, Ñ Á 2 w À ²%%% À ²%%* ýd k , Å 2 Ý / Ñ 'dy ecg &...

4
35 ECG & EP CASES VOL.11 NO.3 심방세동 환자에서 DDD에서 DDI로의 인공심박동기 조율 방식의 전환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조 정관 Nam-Sik Yoon, MD / Jeong-Gwan Cho, MD Division of Cardi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Medical Schoo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A case of DDD pacemaker-reprogramming to DDI in a patient with atrial fibrillation ABSTRACT DDI, defined as AV (atrioventricular) sequential, non-P-synchronous pacing with dual-chamber sensing, allows sensing in both chambers and inhibition in both chambers, but an atrial event will not trigger a ventricular response. Occasionally a DDD device to DDI is useful in preventing the patient from experiencing brief rapid atrial rates. In DDI mode, the rapid atrial fibrillation or flutter waves cannot trigger beats in the ventricle. Modern pacemakers have programs called automatic mode switching and these algorithms have generally eliminated the need for fixed DDI pacing. On the other hand, if the atrial fibrillation is intermittent, the DDI mode will prevent the patient from being paced briefly at maximum tracking rate before being switched to a slower mode. Another potential use for DDI is in a patient with persistent sinus bradycardia. A DDI pacemaker with rate responsiveness will pace consistently in the atrium and the rate-responsive device will allow a somewhat physiologic response to activity. Key words: pacemaker atrial fibrillation 서론 DDI 조율 방식의 인공심박동기는 심방과 심실의 신호를 감지하고 억제할 수 있다. 그리하여 심방의 신호에 반응하 여 심실을 조율하지는 않는다. 경우에 따라 조율 방식이 DDD에서 DDI로 변화할 수 있다면, 빠른 심방 율동을 갖는 환자에서 빠른 심실 조율이 일어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대부분의 DDD 조율 방식의 인공심박동기는 자동 조율방식 변환(automatic mode switching)이라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이는 동성빈맥 또는 심방빈맥과 같은 빠른 심방 율동 에 반응한 빠른 심실 반응을 느리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DDI 조율 방식으로 전환하여 심방의 율동을 nontracking 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DDI 조율 방식을 일시적으로 사용 할 수가 있다. 1 예를 들어 환자의 심방세동이 간헐적이라면 DDI 조율 방식은 심실이 최고 조율 속도로 조율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DDIR 조율 방식의 인공심박동기는 지속적인 동서맥 환자에서 또한 효과적이다. DDIR 조율 방 식의 인공심박동기는 환자의 활동성에 반응하여 일정하게 심방을 조율할 수 있다. 2 Received: June 24, 2010 Revision Received: August 10, 2010 Accepted: Correspondence: Nam-Sik Yoon, MD, Division of Cardi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Medical Schoo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671 Jeabongro, Dong-gu, Gwangju, Korea Tel: 82-62-220-6272, Fax: 82-62-225-6260 E-mail: [email protected]

Upload: others

Post on 28-Jun-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 Ñ Á 2 W À ²%%% À ²%%* ýD K , Å 2 Ý / Ñ 'Dy ECG & EParrhythmia.medimedia.co.kr/archive/archive/34/PDF/34/심방세동... · Tom K: The nuts and bolts of cardiac pacing,

35

ECG

& E

P C

ASES

VOL.11 NO.3

심방세동환자에서DDD에서DDI로의인공심박동기조율방식의전환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윤 남 식 / 조 정 관Nam-Sik Yoon, MD / Jeong-Gwan Cho, MDDivision of Cardi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Medical Schoo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A case of DDD pacemaker-reprogramming to DDI in a patient withatrial fibrillation

ABSTRACTDDI, defined as AV (atrioventricular) sequential, non-P-synchronous pacing with dual-chamber sensing, allows

sensing in both chambers and inhibition in both chambers, but an atrial event will not trigger a ventricular

response. Occasionally a DDD device to DDI is useful in preventing the patient from experiencing brief rapid

atrial rates. In DDI mode, the rapid atrial fibrillation or flutter waves cannot trigger beats in the ventricle.

Modern pacemakers have programs called automatic mode switching and these algorithms have generally

eliminated the need for fixed DDI pacing. On the other hand, if the atrial fibrillation is intermittent, the DDI

mode will prevent the patient from being paced briefly at maximum tracking rate before being switched to a

slower mode. Another potential use for DDI is in a patient with persistent sinus bradycardia. A DDI pacemaker

with rate responsiveness will pace consistently in the atrium and the rate-responsive device will allow a

somewhat physiologic response to activity.

Key words: ■ pacemaker ■ atrial fibrillation

서론

DDI 조율방식의인공심박동기는심방과심실의신호를

감지하고 억제할 수 있다. 그리하여 심방의 신호에 반응하

여 심실을 조율하지는 않는다. 경우에 따라 조율 방식이

DDD에서DDI로변화할수있다면, 빠른심방율동을갖는

환자에서 빠른 심실 조율이 일어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대부분의DDD 조율방식의인공심박동기는자동조율방식

변환(automatic mode switching)이라는기능을탑재하고

있다. 이는동성빈맥또는심방빈맥과같은빠른심방율동

에 반응한 빠른 심실 반응을 느리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DDI 조율방식으로전환하여심방의율동을nontracking

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DDI 조율 방식을 일시적으로 사용

할수가있다.1 예를들어환자의심방세동이간헐적이라면

DDI 조율 방식은 심실이 최고 조율 속도로 조율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DDIR 조율 방식의 인공심박동기는

지속적인동서맥환자에서또한효과적이다. DDIR 조율방

식의 인공심박동기는 환자의 활동성에 반응하여 일정하게

심방을조율할수있다.2

Received: June 24, 2010Revision Received: August 10, 2010Accepted: Correspondence: Nam-Sik Yoon, MD, Division of Cardiology, Departmentof Internal Medicine, Medical Schoo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671Jeabongro, Dong-gu, Gwangju, KoreaTel: 82-62-220-6272, Fax: 82-62-225-6260E-mail: [email protected]

Page 2: , Ñ Á 2 W À ²%%% À ²%%* ýD K , Å 2 Ý / Ñ 'Dy ECG & EParrhythmia.medimedia.co.kr/archive/archive/34/PDF/34/심방세동... · Tom K: The nuts and bolts of cardiac pacing,

ECG

& E

P C

ASES

36 Journal of Cardiac Arrhythmia

증례

66세의 여성 환자가 실신을 주소로 내원하 다. 환자는

내원3년전에불안정형협심증을진단받고치료중이었으며,

발작성 심방세동에 대하여 sotalol 160 mg, profapenone

450 mg, aspirin 100 mg을복용하고있었다. 응급실내원

시동서맥을보이고있었으나, 어지러움을호소하지는않았

다. 홀터 심전도에서 동휴지가 확인되어서 동기능 평가를

시행하 다(Figure 1). 기저 심박주기는 850 ms 고 동기

능회복시간(sinus node recovery time)은 6,557 ms로측

정되어, 불가피한항부정맥제사용중발생한동기능부전으

로진단하고DDD 조율방식의인공심박동기를시술하 다

(Figure 2). 환자는적절한항부정맥제사용중에어지러움

을 호소하지 않고 퇴원하 다. 6개월 뒤 환자는 노작성 호

흡곤란을호소하며외래에내원하 다. 당시측정한심전도

에는기저의심방세동율동에불규칙적인심실조율이있음

Figure 2. Electrocardiogram after DDDR pacemaker implantation. Pacing spikes are visible in front of P and QRS waves.

Figure 1. Sinus node recovery time was 6,557 ms at 850 ms of baseline sinus cycle length.

Page 3: , Ñ Á 2 W À ²%%% À ²%%* ýD K , Å 2 Ý / Ñ 'Dy ECG & EParrhythmia.medimedia.co.kr/archive/archive/34/PDF/34/심방세동... · Tom K: The nuts and bolts of cardiac pacing,

37

ECG

& E

P C

ASES

VOL.11 NO.3

을확인하 다(Figure 3). 환자의증상은불필요한심실조

율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하고, 불필요한 조율을 억제하기

위해 조율 방식을 DDD 방식에서 DDI 방식으로 전환하

다(Figure 4). 심박동기에 기록된 심방 고속율동 빈도

(atrial high rate episode)가 잦아서 자동 조율 방식 변환

(automatic mode switching) 기능을 사용하지는 않았고,

추후외래추적관찰하며조정하기로하 다. 조율방식전

환후환자의증상은소실되었고이후추적관찰중이다.

고찰

만성 심방세동이 있는 환자에서 인공심박동기의 조율

방식의선택은일반적으로ventricular inhibited (VVI) 방

식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비지속성 심방세동이 있는 환

자에서VVI 방식의사용은상대적으로이상적이지않다.심

방세동이없는상태에서VVI 방식의조율은방실비동기화

Figure 4. Electrocardiogram after mode change from DDD to DDI.

Figure 3. Electrocardiogram when the patient complained about excertional dyspnea. Atrial fibrillation and ventricularpacing rhythm are visible.

Page 4: , Ñ Á 2 W À ²%%% À ²%%* ýD K , Å 2 Ý / Ñ 'Dy ECG & EParrhythmia.medimedia.co.kr/archive/archive/34/PDF/34/심방세동... · Tom K: The nuts and bolts of cardiac pacing,

ECG

& E

P C

ASES

38 Journal of Cardiac Arrhythmia

를초래하고이로인해환자는흉부불편감등을느끼게된

다. 또한 심방빈맥 혹은 심방조동의 경우에서 빠른 심방활

동을모두감지해서심실조율이작동된다면빈맥으로인하여

환자는 두근거림을 느끼게 될 것이다. 그래서 고안된 것이

자동 조율방식 변환이다. 자동 조율 방식 변환(automatic

mode switching)이란DDD 혹은DDDR 방식의심박동기

를갖고있는 환자에서발작성 심방세동이나 조동같은 심

방성 빈맥이 발생하면, 심박동기가 이를 감지하여 심방성

빈맥을따라심실박동이조율되지않게DDI 방식으로자동

전환 되었다가 심방성 빈맥이 종료되면 다시 원래의 조율

방식으로복귀하는기능을말한다. 이러한기능은불필요한

심실조율의기회를줄여주고불필요한조율로인한심계항

진및흉부불편감을줄여줄수있는효과적인방법이다.

References

1. Kenneth AE, Mark AW: Cardiac pacing and ICDs, 4th ed.Blackwell Publishing, 2005;276. 2. Tom K: The nuts and bolts of cardiac pacing, Blackwell Futura,2005;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