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선화 하은혜 2014 실행기능adhd 스마트폰

19
- 17 - * In this paper, Sookmyung Women's University in 2014 is part of a master's thesis. 1)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 Sookmyung Women's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Sun Hwa Oh, 26-5, 4.19-ro 13-gil, Gangbuk-gu, Seoul, Korea. E-mail: [email protected] The Effects of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Impairments and ADHD Symptoms on the Issue of Smart Phone Addiction * Oh, Sun-hwa 1) Ha, Eun-hye 2)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impairments and ADHD symptoms on the issue of smart phone addi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789 elementary schoolchildren in grades 5t and 6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regards to the results of the smart phone usage and type survey, the children's total using time per a day indicated that 39.3% used the phone less than 1 hour, 29.9% less than 1-2 hours, and 14.2% 2-3 hours per day, respectively. Second, 41.6% of the respondents use on the major functions answered SNS KakaoTalk etc.and the most use applications also were SNSat a percentage of 32.4%. Third, the total score of the Executive Function Impairments Scale and ADHD symptom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smart phone addiction. Fourth,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effects of executive function impairments on smart phone, both overall and sub-factors impacted upon smart phone addiction. Among the sub-factors of execution function impairments, attention deficit impairments were confirmed as being the best means of describing children's smart phone addiction. Fifth,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effects of ADHD symptoms on smart phone addiction, significant effects was confirmed. Additionally, sub-factors in ADHD symptoms relative to attention deficits showed the greatest impact. However, regarding smart phone addiction, the influence of impulsivity was not significant in relative terms. Key words : children, executive function impairments, ADHD symptoms, smart phone addiction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2014, Vol. 17, No. 1, 17-35. ISSN 1229-0858

Upload: -

Post on 02-Jul-2015

176 views

Category:

Documents


6 download

TRANSCRIPT

Page 1: 오선화 하은혜 2014 실행기능adhd 스마트폰

- 17 -

* In this paper, Sookmyung Women's University in 2014 is part of a master's thesis.

1)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 Sookmyung Women's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Sun Hwa Oh, 26-5, 4.19-ro 13-gil, Gangbuk-gu, Seoul, Korea.

E-mail: [email protected]

The Effects of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Impairments and

ADHD Symptoms on the Issue of Smart Phone Addiction*

Oh, Sun-hwa1)

Ha, Eun-hye2)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impairments and ADHD

symptoms on the issue of smart phone addi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789 elementary

schoolchildren in grades 5t and 6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regards to the results of the

smart phone usage and type survey, the children's total using time per a day indicated that 39.3% used the phone

less than 1 hour, 29.9% less than 1-2 hours, and 14.2% 2-3 hours per day, respectively. Second, 41.6% of the

respondents use on the major functions answered ‘SNS KakaoTalk etc.’ and the most use applications also were

‘SNS’ at a percentage of 32.4%. Third, the total score of the Executive Function Impairments Scale and ADHD

symptom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smart phone addiction. Fourth,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effects of

executive function impairments on smart phone, both overall and sub-factors impacted upon smart phone addiction.

Among the sub-factors of execution function impairments, attention deficit impairments were confirmed as being the

best means of describing children's smart phone addiction. Fifth,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effects of ADHD

symptoms on smart phone addiction, significant effects was confirmed. Additionally, sub-factors in ADHD symptoms

relative to attention deficits showed the greatest impact. However, regarding smart phone addiction, the influence of

impulsivity was not significant in relative terms.

Key words : children, executive function impairments, ADHD symptoms, smart phone addiction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2014, Vol. 17, No. 1, 17-35.

ISSN 1229-0858

Page 2: 오선화 하은혜 2014 실행기능adhd 스마트폰

한국놀이치료학회지 제17권 제1호

- 18 -

Ⅰ. 서 론

최근 스마트폰 이용이 보편화되면서 스마트

폰 의존 증후군을 경험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등 스마트폰 이용에 따른 부작용이 사회문제로

두되고 있다. 스마트폰이란 무선 인터넷 인

라가 구축되어 있어 상시 속이 가능한 미디어

로(Chen, 2012), 미디어 독이 사회 문제로 지

되고 있는 가운데 스마트폰 독이 인터넷

게임 독만큼 심각한 수 인 것으로 나타났다

(Kim, Kim, & Jung, 2012). 스마트폰 독이란 스

마트폰 이용에 몰두하는 시간이 길고, 이로

인해 일상생활에 지장을 래하는 상태(Hwang,

Son, & Choi, 2011)라고 할 수 있다.

이 게 사회 으로 스마트폰 독에 한 우

려와 문제 들이 지속 으로 조명되고 있는 것

에 비해 스마트폰 독에 한 학문 논의는

아직까지 미비한 수 이다(Hwang et al, 2011;

Park & Lee, 2011). 한 기존의 뉴미디어들과 달

리 스마트폰은 매우 빨리 확산되고 있어 기기에

한 인식이 이미 화 단계에 들어서 있음에

도 불구하고 스마트폰이라는 매체가 등장한지

얼마 되지 않았고, 많은 사람들이 보편 으로

사용하게 된 지도 그리 오래되지 않아, 아직까

지 스마트폰 독 상을 뒷받침 할 충분한 증

거나 연구가 부족하다. 따라서 스마트폰 독에

인터넷 휴 폰 독 개념을 차용하여 선행연

구를 검토하 다.

인터넷 독의 역작용에 한 연구에서는 인

터넷 과다 사용은 사회 철회나 우울증 같

은 새로운 정신병리를 유발할 수 있고(Mitchell,

2000) 우울증, 사회공포증, 충동조 장애, ADHD

와 같은 기존의 정신병리를 좀 더 심화시킬 수

있다고 하 다(Orzack, 1996). 한 성장기 뇌 발

달을 해하고 정체성의 확립에 장애를 일으키

기도 하는데 청소년 성인에 비해 아동에게

더 큰 향을 미쳤으며(Kim, 2004), 연령이 어릴

수록 학교 부 응에 미치는 향이 더 큰 것으

로 나타났다(Yoon, 2008). 인터넷 독에 한 선

행연구이지만 스마트폰 이용자 90% 이상이

스마트폰을 통한 인터넷 이용자(Korea Internet A

Security Agency, 2013)라는 에서 매우 유사한

폐해가 일어날 수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한

어릴수록 역작용이 더 클 수 있기 때문에 등

학교 고학년 아동을 상으로 스마트폰 독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스마트폰 이용자 습성에 해 확인한

선행연구(Lee, 2012)에서는 사람들이 처음에는 의

식 으로 어떤 행 를 하지만, 동일한 행 를

반복하다보면 그 행 에 강한 충성도를 가지게

되어 지나치게 몰두하게 되고, 추후 해당 행

를 하지 않게 되면 심리 으로 불안해진다고 하

다. 결국 스마트폰에 독된 사용자들은 스마

트폰이 없으면 불안감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스마트폰은 인터넷을 기능을 내장한 휴 폰

이기 때문에 스마트폰 독이 온라인 인터넷

독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기도 하지만, 매체가

다르기 때문에 다른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이

게 인터넷 독과 스마트폰 독의 다르면서

도 매우 유사한 특징에 해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2011)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첫째, 구인 인 측면에서 단, 내성, 의존,

조, 불안, 강박 사용, 생활장애 등의 특징을

공유한다. 둘째, 즐거움, 외로움, 인 계로 사

용동기를 정리해볼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은

편리성 면에서 PC를 이용한 인터넷과 차별성을

가진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차이 은 인터넷

독은 실도피, 도 /성취동기가 있는데 비해

스마트폰 독은 자기과시, 체면 차리기, 인정이

한 동기가 있다는 것이다. 셋째, 두 매체 모두

사용하지 않을 때 단, 내성의 증상을 보이고

Page 3: 오선화 하은혜 2014 실행기능adhd 스마트폰

오선화․하은혜 / 아동의 실행기능 ADHD 증상이 스마트폰 독에 미치는 향

- 19 -

일상생활의 어려움에 향을 미치며 인터넷이나

휴 폰을 사용하지 않고 있을 때에도 하고 있는

듯한 환상 느낌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인터넷

독이 스마트폰 독보다 우울, 편집, 반항, 강

박 등에서 더 큰 문제를 보이고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 스마트폰 독은 우울보다는 산만하고

에 지가 상승하는 문제가 더 심각할 수 있다.

여기에 인터넷 독과 비교하여 스마트폰 독

의 개념에 추가될 내용으로 스마트폰이 PC를 이

용한 인터넷보다 편리하고 근성이 증 되어

있다는 , 그리고 제공하는 앱이 무수히 많아

원하는 카테고리별로 찾을 수 있어서 인터넷 사

용보다 훨씬 사용자 심으로 맞추어져 있는

등이 있다 이러한 특징은 컨텐츠별 독 가능성

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인터넷보다 더 손쉽

게 독될 험성을 가지고 있다.

인터넷 게임 독의 경우, 공격성과 정 상

을 보이며(Lee, 2007; Cho, 2010), 게임 비 독 아

동에 비해 공격 인 행동 특성을 보여 응에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고 보고되고 있다(Lee,

2007).

이러한 독 문제와 련하여 미국정신의학

회(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APA)에서는 물

질이 개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개인 혹은 타인에

게 해가 될 수 있는 행 를 수행하려는 충동이

나 욕구, 유혹 등에 항하지 못하는 행동장애

를 충동 조 장애(Impulse-Control Disorder)로 규정

하고 있다(APA, 2000). 즉, 스마트폰 독 성향이

있는 사람들의 경우, 충동성을 조 하는데 어려

움이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충동성과 련하여 뇌의 두 피질은 충동

성 통제에 요한 역할을 하는데, 두 피질

의 두-선조체(fronto-striatal) 억압 체계의 손상은

충동성과 련이 있다(Kalenscher, Ohmann, &

Güntürkün, 2006; Lane, Cherek, Rhodes, &

Tcheremissine, 2003). 최근 이러한 충동성과

하게 련이 있는 요인으로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이 규명되었다.

실행기능이란 미래의 목 을 달성하기 해

어떤 한 문제해결 틀(set)을 유지하는 능력으

로(Welsh & Pennington, 1988), 목표지향 인 행동

을 지속시키는 인지 과정이다(Razza & Blair,

2009). 즉, 뇌피질의 한 역인 두엽

(prefrontal cortex)이 자기조 을 가능하게 하는 정

신활동을 통제하며, 결국 이 정신활동을 실행기

능이라는 용어로 통합하면서 두엽 역과 실

행기능과의 련성을 주장하 다. 이러한 기능

을 담당하고 있는 두엽의 손상은 실행기능의

결함으로 연결되며, 이는 반응 억제 능력의 이

상 는 반응지연의 어려움으로 나타날 수 있다

고 하 다(Barkley & Murphy, 1998).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기반으로 실행기능과 련된 선행연구

들에서는 충동조 장애에 해당되는 사람은

두엽 실행기능에 문제가 있다고(Horn, Dolan,

Elliott, Deakin, & Woodruff, 2003) 거론되고 있다.

실행기능에 한 연구는 ADHD 아동을 상

으로 가장 많이 진행되었으며, 자폐 아동, 학습

장애 아동, 뚜렛 장애 아동 등 임상 장면에

있는 아동을 상으로 한 연구들도 많은 비 을

차지하고 있다. 한 비행청소년이나 인터넷

독자와 같이 최근 우리사회에서 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상들도 연구되었다(Kong, &

Lim, 2011). 그러나 실행기능에 한 연구는 비

교 기단계이며 지 까지 수행기반의 검사들

을 활용하여 일 일로 실시되었기 때문에 범

한 상에게 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이유들로 선행연구가 많지 않은 편이었

다. 스마트폰 독의 경우에도 최근에 쟁 이

된 문제이기 때문에 두 변인 간의 연구는 매우

제한 이었다.

실행기능과 인터넷 독의 련성을 규명한

선행연구에서는 인터넷 게임 독 집단에서 충

Page 4: 오선화 하은혜 2014 실행기능adhd 스마트폰

한국놀이치료학회지 제17권 제1호

- 20 -

동성 새로운 경험 추구 차원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비합리 인 의사결정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Kim, & Ahn, 2005). 한 인터

넷 독 성향자의 두엽 실행기능의 특징을 밝

힌 Jeon, Hyen과 Chun(2011)의 연구에서는 인터

넷 독 성향자들에게서 충동성이 높게 나타났

고 인지 유연성이 낮게 나타나, 두엽 실행

기능의 성격/정서 측면에 손상이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와 같이 실행기능과 인터넷 독 간의

련성을 규명한 선행연구가 존재하기는 하 으나

매우 소수 으며 스마트폰 독과의 련성을

규명한 연구는 극히 제한 이었다. 최근 스마트

폰 독이 쟁 으로 떠오르고 있는 문제이며

독의 가장 큰 원인으로 충동조 의 어려움이 규

명되고 있으므로 충동성을 조 하는 인지기능의

메카인 실행기능의 향력을 확인할 필요가 있

다.

한편 인터넷은 사람이 가진 본능 인 충동을

자극하고 튀어나오게 만드는 경향이 있다고 하

는데, 평범한 이용자들은 그러한 충동을 경험

하지 않거나 히 제어한다. 그러나 이에 취

약한 사람들은 인터넷 독에 쉽게 빠질 수 있

다고 하 다(Cau, Su, Liu, & Gao, 2007). 그런데

이러한 취약성을 지닌 사람들에게서 많이 나타

나는 증상 하나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

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이하

ADHD)가 연구되고 있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는 부주의와 과잉행동ㆍ충동성의 범주에 해

당되는 증상을 보이는 병리이다(APA, 2000).

ADHD와 인터넷 과다사용의 계는 국내외의

여러 연구들에 의해 검증되고 있는데 높은 수

의 ADHD 증상을 가진 아동에게서 심각한 수

의 인터넷 사용률을 찾아볼 수 있었으며(Yoo et

al., 2004), 병원을 찾는 등학생의 인터넷 사용

문제를 살펴본 연구에서도 ADHD 아동이 다른

장애를 가진 아동에 비해 인터넷 독에 빠질

험이 매우 높은 것으로 밝 졌다(Kwon, &

Jang, 2010). 한 높은 ADHD 증상을 보이는 청

소년이 일반 청소년에 비해 인터넷 독으로 이

어질 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Kim, Lee, &

Park, 2010; Wee, & Chae, 2004).

최근에 학생을 상으로 스마트폰 독과

ADHD 증상과의 련성을 규명한 연구 결과에

서는 스마트폰 독과 ADHD 증상 간에 정

상 계가 나타났다(Kim et al, 2013).

의 선행연구들을 통해 실행기능 ADHD

증상과 인터넷 독 스마트폰 독 간의

련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실행기능과

ADHD 증상이 스마트폰 독에 미치는 향에

해 직 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제한

이었다. 따라서 ADHD 증상이 스마트폰 독

에 미치는 향을 보다 명확하게 규명할 필요가

있다.

ADHD는 과잉행동ㆍ충동성 우세형, 주의력

결핍 우세형, 복합형의 세 가지 하 유형으로

구분되며(APA, 2000), 유형에 따라 나타나는 행

동 특성에도 차이가 있는데, 복합형은 과잉행동/

충동성과 지속 부주의에서, 주의력 결핍형은

느린 인지 템포/과소각성 부주의에서 두드러

진 문제가 있다(Lee, & Hong, 2006b). 이와 련

하여 Kim(2008)은 각 유형에서 나타나는 인터넷

독을 알아보고자 χ2검증을 실시하 다. 그 결

과, 주의력 결핍형에서의 인터넷 독 비율은

55.5%, 충동성 과잉행동 형에서의 인터넷

독 비율은 35.3%, 혼합형에서의 인터넷 독 비

율은 50%로 나타나 주의력 결핍형에서의 인터

넷 독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Kim et al(2010)의 연구에서는 ADHD 하 유형

혼합형이 인터넷 고 험 사용자군(48.39%)이

될 가능성이 높으며, 주의력 결핍형은 잠재

험 사용자군(56.58%)이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

Page 5: 오선화 하은혜 2014 실행기능adhd 스마트폰

오선화․하은혜 / 아동의 실행기능 ADHD 증상이 스마트폰 독에 미치는 향

- 21 -

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ADHD 하 유

형 각각의 증상 정도에 따라 독 정도가 달라

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ADHD 증

상 하 요인에 따라 스마트폰 독 정도에 미치

는 상 향력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한편 ADHD와 실행기능의 계에 해서

Barkley(1991)는 ADHD 아동의 주요 특성을 주의

력 결핍이나 과잉행동 그 자체로 보기보다는

ADHD 아동의 반응억제 는 빈약한 반응지연

을 제시하여 ADHD의 행동과 학습의 문제 원인

을 두엽 손상으로 인한 실행기능의 결함에서

찾고자 하 다. 한 Weyandt와 Willis(1994)는

ADHD를 가진 아동들은 감정을 통제하는 데 만

성 인 문제를 가지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증

상이 결국 두엽 손상으로 인한 실행기능 결함

에서 기인한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반면

Willcurt(2002)는 ‘실행기능의 결함은 하게

ADHD와 련이 있기는 하지만, 그러한 실행기

능의 결여가 ADHD를 일으키는 필요충분조건은

아니다.’ 라고 결론을 내렸다. 이와 같이 실행기

능과 ADHD 증상이 일부 련되거나 일치되는

부분이 있어 두 변인 간의 계에 해서 상반

된 의견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개념

인 이해 면에서 혼란이 있을 수 있다. 이는

실행기능에 한 연구 심의 증가에도 불구

하고 아직 명확한 용어 정의 구성요소에

한 견해의 일치가 이루어지지 않은 (Emmons,

2005)에서 비롯되었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

서는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과 ADHD 증상 각각

이 스마트폰 독에 미치는 향력을 확인하고

독으로 이어지는데 요한 향을 미치는 요

인을 검증하고자 하 다.

이와 같은 문제제기와 필요성에 따라 본 연

구에서는 등학교 5, 6학년 아동들을 상으로

실행기능 결함과 ADHD 증상이 스마트폰 독

에 미치는 향을 확인한 뒤, 각각의 하 요인

들의 상 향력을 규명하 다.

와 같은 연구목 에 따라 본 연구에서 설

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스

마트폰 이용 실태 사용유형은 어떠한가? 둘

째,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이 스마트폰 독에

미치는 향은 어떠한가? 셋째, 아동의 ADHD

증상이 스마트폰 독에 미치는 향은 어떠한

가?

Ⅱ. 연구방법

1. 연구 상

서울ㆍ경기 내에 소재한 등학교 9곳에 재학

인 5, 6학년 아동들에게 1,317부의 질문지를

배포하여 설문을 실시한 결과, 1,287부가 회수되

었다.

분석 휴 폰 스마트폰 유무를 악하

기 해 회수된 질문지 성별에 해 응답하

지 않은 14부를 제외한 1273부를 100%로 두고

기술통계를 실시한 결과, 남학생이 679명(53.3%)

으로 594명(46.7%)인 여학생보다 약 6.6%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5학년 남학생은 356명

(28.0%), 여학생은 317명(24.9%)이었고, 6학년 남

학생은 323명(25.4%), 여학생은 277(21.8%)명이었

다. 휴 폰 유무에 해서는 1,273명 1,135명

(89.1%)은 휴 폰을 가지고 있다고 응답하 으

며, 138명(10.9%)은 휴 폰이 없다고 응답하 다.

휴 폰이 있다고 응답한 아동 1,135명 , 936명

(82.5%)은 스마트폰이었고, 나머지 199명(17.5%)

는 비스마트폰이었다.

그러고 나서 휴 폰이 없다고 응답한 설문

138부를 제외하고 남은 1,135부에서 비스마트폰

사용자라고 기록한 설문 201부를 제외한 나머지

948부 무성의한 응답 등을 제거한 뒤, 798부

를 분석에 사용하 다. 등학생 5, 6학년을

Page 6: 오선화 하은혜 2014 실행기능adhd 스마트폰

한국놀이치료학회지 제17권 제1호

- 22 -

상으로 선정한 근거는 실행기능이 6세부터 10세

사이에 격히 발달하며 12세쯤이 되면 성인 수

의 수행을 보이게 된다는 연구 결과(Do, Cho,

Kim, Kim, & Shin, 2010)와 국내에서 최근 5년

간(2007-2011년) 20세 이하를 상으로 ADHD에

해 조사한 연구에서 7세-13세의 유율이

68.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에서도 10세

가 11.2%, 9세가 10.6%로, 가장 높은 유율을

나타낸 것으로 확인된 결과(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1)에 기 하 다.

2. 측정 도구

1) 실행기능 결함 질문지

아동용 실행기능 결함 질문지는 Park과 Song

(2012)이 등학교에 재학 인 4-6학년 아동들

을 상으로 개발한 척도이다. 이 질문지는 총

29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 개의 상 요인

인 주의 통제와 목표 지향을 측정한다. 주의 통

제는 주의집 , 환, 목표 지향은 계획 조직

화, 행동 정서조 의 하 척도로 이루어져

있다. 이 척도는 매우 아니다(1 )부터 매우 그

다(5 )까지로 구성된 5 Likert 척도로 구성

되어 있으며, 본 연구에서 확인한 체 신뢰도

는 Cronbach’s ɑ=.92 다.

2) ADHD 증상 척도

아동의 ADHD 증상 정도를 악하기 해

Kim(2002)이 5학년 아동 684명을 상으로

ADHD 경향성을 확인하기 해 개발·타당화한

ADHD 아동용 척도를 사용하 다. 이 척도는

아니다(1 )에서 아주 그 다(5 )까지로 구성

된 5 Likert 척도로, 수가 높을수록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정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

다. 이 척도는 주의산만(15문항), 충동성(10문항),

과잉행동(15문항), 인 계(10문항)에 한 총

5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척도는 등학교

4, 5학년 아동들을 상으로 활용되어 왔으며

상담 심리치료의 사 -사후 검사를 통한

수 변화로 치료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해 활용

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ADHD의 핵심 증상인 주의산

만, 충동성, 과잉행동을 하 척도로 하여 40문항

을 사용하 고, 본 연구에서 확인한 체 신뢰

도는 Cronbach’s ɑ=.94 다.

3) 독 자가진단 척도 (S 척도)

아동의 스마트폰 독 정도를 확인하기 해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2011)에서 등

학교 고학년부터 고등학생을 상으로 개발한

질문지를 사용하 다. 이 척도는 그 지

않다(1 )에서 매우 그 다(4 )까지로 구성된 자

기보고식 4 Likert 척도이며, 일상생활장애(5문

항), 가상세계지향성(2문항), 단(4문항), 내성(4

문항)에 한 총 1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총 을 기 으로 독 정도를

측정하 으며, 본 연구에서 확인한 체 신뢰도

는 Cronbach’s ɑ=.88 다.

3. 자료처리 분석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하여, SPSS 20.0을

이용하여 분석하 다. 연구 상의 인구학 특

성 연구문제 1을 확인하기 해 빈도(N),

백분율(%)을 구하는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

고, 각 측정도구의 내 합치도 검증을 해

Cronbach’s ɑ계수를 산출하 다. 한 세 변인 간

상 을 분석하기 해 Pearson 률상 분석을 실

시하 다. 그러고 나서 연구문제 2를 확인하기

해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 총 을 독립변인으

로 하고 스마트폰 독 총 을 종속변인으로 하

여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뒤, 실행기능 결함의

Page 7: 오선화 하은혜 2014 실행기능adhd 스마트폰

오선화․하은혜 / 아동의 실행기능 ADHD 증상이 스마트폰 독에 미치는 향

- 23 -

Use period of smart phone N(%)

Less than 6 months 130(16.5)

6 months - 1 year 151(19.2)

Less than 1 year - 2 years 282(35.9)

Less than 2 - 3 years 173(22.0)

More than 3 years 50( 6.4)

Total daily use time of smart phone N(%)

Less than 1 hour 310(39.3)

Less than 1 hour - 2 hours 236(29.9)

Less than 2 - 3 hours 112(14.2)

Less than 3 - 4 hours 66( 8.4)

Less than 4 - 6 hours 46( 5.8)

More than 6 hours 18( 2.3)

Average monthly charge of smart phone N(%)

Less than 20,000 won 181(24.1)

Less than 20,000 - 40,000won 267(35.6)

Less than 40,000 - 60,000won 180(24.0)

Less than 60,000 - 80,000won 68( 9.1)

Less than 80,000 - 100,000won 39( 5.2)

More than 100,000 won 16( 2.1)

Use motive N(%)

Because of recent fashion 175(22.9)

In order to search for News and other information 72( 9.4)

Because of helping business and academic 44( 5.8)

In order to communicate widely with around people 206(27.0)

Etc. 266(34.9)

Compare rates before and after the use

of smart phone (Including payments terminals)N(%)

Reduced than before 52( 6.8)

Similar 379(49.5)

Increased than before 335(43.7)

Table 1. Usage of smart phone

(N=798,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total non-response.)

하 요인 4개를 독립변인으로, 스마트폰 독

총 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다회귀분석을 실시

하 다. 다음으로 연구문제 3을 확인하기 해

아동의 ADHD 증상 총 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스마트폰 독 총 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단순

회귀분석을 실시한 뒤, ADHD 하 요인 3가지

를 독립변인으로, 스마트폰 독 총 을 종속변

인으로 하여 다회귀분석을 실시하 다.

Ⅲ. 연구결과 해석

1. 스마트폰 이용 실태 사용유형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 아동 798명을 상

으로 스마트폰 이용 실태 사용유형에 해

조사하 다. 그 결과는 Table 1, 2, 3과 같다. 스

마트폰 이용 실태에 한 질문 , 스마트폰 총

사용기간에 해서는 ‘1-2년 미만’이 282명(35.9%)

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173명(22.0%)이

‘2년-3년 미만’이라고 응답하 다. 하루 평균 사

용 시간은 ‘1시간 미만’이 310명(39.3%)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 고 그 다음, ‘1-2시간 미

만’이 236명(29.9%)으로 나타나, 2시간 미만 사용

하는 비율이 반 이상을 차지하 다.

월 평균 요 을 묻는 질문에는 단말기 할부

포함 ‘2-4만원’이라고 응답한 아동들이 267명

(35.6%)으로 가장 많았다. 이 휴 폰 요 과

스마트폰 사용 후 요 을 비교하는 질문에 해

서는 ‘ 과 비슷하다’가 379명(49.5%), ‘ 보

다 늘었다’가 335명(43.7%)이었으며, ‘ 보다

었다’고 응답한 아동들은 52명(6.8%)에 그쳤다.

스마트폰 사용 동기에 해서는 ‘주변 사람

들과의 폭넓은 커뮤니 이션을 해’가 206명

(27.0%)으로 가장 많았다. 주로 사용하는 기능은

‘카카오톡 등 SNS’ 311명(41.6%), ‘게임 등 취미

오락 기능’ 201명(26.9%), ‘음악/ 화감상

DMB시청’ 79명(10.6%), ‘인터넷 정보검색’ 68명

(9.1%), ‘음성통화’ 64명(8.6%), ‘문자메시지’ 25명

(3.3%) 순이었다. 최다 사용 어 리 이션 한

‘SNS(소셜네트워크, 페이스북, 트 터, 카카오스

토리, 인스타그램 등)’가 246명(32.4%)으로 가장

Page 8: 오선화 하은혜 2014 실행기능adhd 스마트폰

한국놀이치료학회지 제17권 제1호

- 24 -

Very

satisfiedSatisfaction So so Dissatisfaction

317(40.0) 369(46.5) 96(12.1) 11( 1.4)

Part of the most satisfying (N/%)

Easy to obtain and utilize various

information through a web search187(27.9)

Formation of a wide range

of contacts through SNS

(Kakao Talk, Twitter, etc.) services

309(46.1)

Helping to relieve stress

through the use of various games

and various applications

175(26.1)

Table 2. Satisfaction after using smart phone and part

of satisfaction

(N=798,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total non-response.)

Most frequently used functions (N/%)

Voice calls 64( 8.6)

Text Messages 25( 3.3)

Internet information search 68( 9.1)

Music / watching movies and DMB 79(10.6)

Entertainment features such as games 201(26.9)

SNS(KakaoTalk etc.) 311(41.6)

The most commonly used type of application (N/%)

Data and information obtained

(News, weather, education and learning.

Language information search, etc.)

67( 8.8)

Mobile messenger (Kakao Talk, Tiktok,

Lines, etc.), Text messages (SMS, MMS)190(25.0)

SNS (social network, Facebook,

Twitter, Kacao story, Instagram, etc.)246(32.4)

Mobile games and Entertainment 208(27.4)

Others: calendar, alarm, public transport

services, such as taking pictures 49( 6.4)

Table 3. Commonly used phone features and

applications

(N=798,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total non-response.)

많은 비율을 차지하 다.

스마트폰 사용 후 만족도에 한 질문에는

678명(86.5%)이 만족 는 매우 만족이라고 응답

하 으며 이들에게 가장 만족하는 부분에 해

질문한 결과 ‘SNS(카카오톡, 트 터 등) 서비스

를 활용한 폭넓은 인맥형성’이 309명(46.1%)으로

가장 많았다.

각 어 리 이션의 하루 이용 시간을 조사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스마트폰 어 리 이션을 유사 속성에 따라

연구자가 A, B, C, D유형으로 분류하 다. A유

형은 정보추구의 목 으로 활용되는 정보검색,

어학 교육, 일정 리를 포함하고 있으며, B

유형은 계 형성 유지를 해 활용되는 모

바일메신 와 SNS가 포함된다. 그리고 SNG와

멀티 모바일게임은 사람들과 함께 즐기는 게임

이라는 에서 C유형으로 분류하 고 싱 모바

일 게임은 D유형으로 분류하 다.

각 항목에 한 하루 이용 시간에 해 조사

한 결과, A유형 어 리 이션은 ‘거의 안함’과

‘30분 이내’가 90%를 차지하여 사용 빈도가 매

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B유형의 총 사용빈도는 ‘30분 이내’가 31.9%

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30분-1시간’ 25.2%,

‘거의 안함’ 19.7%, ‘1-2시간’ 13.5%, ‘2-3시간’

5.6%, ‘3시간 이상’ 4.1% 순이었다. B유형 각각

의 어 리 이션을 세부 으로 살펴보면, 모바

일 메신 는 ‘30분 이내’가 273명(34.5%), ‘30분-1

시간’이 216명(27.3%), ‘거의 안함’ 129명(16.3%),

‘1-2시간’ 96명(12.1%), ‘2시간 이상’ 49명(6.2%),

‘3시간 이상’ 28명(3.5%) 순이었다. SNS 한 ‘30

분 이내’가 229명(29.2%)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거의 안함’과 ‘30분-1시간’이 각각

182명(23.2%)과 181명(23.1%)으로 비슷한 비율을

차지하 다. 그 외 ‘1-2시간’ 116명(14.8%), ‘2시

간 이상’ 39명(5.0%), ‘3시간 이상’ 36명(4.6%)으

Page 9: 오선화 하은혜 2014 실행기능adhd 스마트폰

오선화․하은혜 / 아동의 실행기능 ADHD 증상이 스마트폰 독에 미치는 향

- 25 -

A B C D

Information

search

Language

and

Education

Scheduling %Mobile

messengerSNS %

Mobile game

(SNG,

Multi game)

Mobile game

(Single game)

Almost no372

(46.9)

500

(63.3)

416

(53.0) 54.4

129

(16.3)

182

(23.2) 19.7

201

(25.4)

356

(44.9)

Less than

30minutes

346

(43.6)

210

(26.6)

296

(37.7) 36.0

273

(34.5)

229

(29.2) 31.9

241

(30.4)

246

(31.0)

30minutes

-1hour

58

( 7.3)

58

( 7.3)

55

( 7.0) 7.2

216

(27.3)

181

(23.1) 25.2

198

(25.0)

126

(15.9)

1hour

-2hours

14

( 1.8)

15

( 1.9)

14

( 1.8) 1.8

96

(12.1)

116

(14.8) 13.5

93

(11.7)

47

( 5.9)

More than

2hours

1

( 0.1)

5

( 0.6)

4

( 0.5) 0.4

49

( 6.2)

39

( 5.0) 5.6

42

( 5.3)

11

( 1.4)

More than

3hours

2

( 0.3)

2

( 0.3)

0

( 0.0) 0.2

28

( 3.5)

36

( 4.6)

4.1

17

( 2.1)

7

( 0.9)

Table 4. Use time a day about each item in the smart phone application. (N/%)

(N=798,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total non-response.)

로 나타났다.

C유형으로 분류된 모바일게임(SNG, 멀티게임)

은 ‘30분 이내’ 241명(30.4%), ‘거의 안함’ 201명

(25.4%), ‘30분-1시간’ 181명(23.1%), ‘1-2시간’ 93

명(11.7%), ‘2시간 이상’ 42명(5.3%), ‘3시간 이상’

17명(2.1%) 순이었다. 이와 달리 D유형 모바일게

임(싱 게임)은 ‘거의 안함’이 356명(44.9%)으로

거의 반가량의 비율을 차지하 으며 그 다음

으로 ‘30분 이내’가 246명(31.0%)으로 조사되었

다. 그 외 ‘30분-1시간’ 126명(15.9%), ‘1-2시간’

47명(5.9%), ‘2시간 이상’ 42명(1.4%), ‘3시간 이

상’ 7명(0.9%)으로 확인되었다.

2. 측정변인들의 상 계

스마트폰 독과 실행기능 결함 ADHD 증

상의 상 계를 확인하기 해 Pearson의 상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Table 5에 제시하 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립변인인 실행기능 결함의 총 은 종

속변인인 스마트폰 독 총 과 유의한 정 상

계를 나타냈다(r=.53, p<.01). 한 실행기능

결함의 하 요인인 주의집 (r=.54), 환(r=.43),

계획 조직화(r=.38), 행동 정서조 (r=.25)

도 스마트폰 독 총 과 p<.01 수 에서 유의

한 정 상 계를 나타냈다.

둘째, 독립변인인 ADHD 증상의 총 은 종속

변인인 스마트폰 독 총 한 유의한 정

상 계를 나타냈다(r=.62, p<.01). 하 요인인

주의산만(r=.61), 충동성(r=.46), 과잉행동(r=.55)

역시 p<.01 수 에서 유의한 정 상 계를

나타냈다.

Page 10: 오선화 하은혜 2014 실행기능adhd 스마트폰

한국놀이치료학회지 제17권 제1호

- 26 -

  1 2 2-1 2-1a 2-1b 2-2 2-2a 2-2b 3 3-1 3-2 3-3

1. Smart phone

addiction total score1

2. Executive function

impairments.53

**1

2-1. Attentional control .56**

.75**

1

2-1a. Concentration .54**

.73**

.93**

1

2-1b. Shifting .43**

.57**

.83**

.56**

1

2-2. Goal orientation .37**

.90**

.38**

.40**

.25**

1

2-2a. Planning &

Organization.38

**.86

**.44

**.47

**.26

**.92

**1

2-2b. Behavioral &

Emotional regulation.25

**.70

**.21

**.21

**.16

**.84

**.56

**1

3. ADHD symptoms

total score.62

**.71

**.75

**.74

**.56

**.49

**.52

**.31

**1

3-1. Inattention .61**

.74**

.69**

.69**

.51**

.58**

.60**

.40**

.88**

1

3-2. Impulsivity .46**

.50**

.56**

.57**

.39**

.33**

.35**

.20**

.85**

.61**

1

3-3. Hyperactivity .55**

.60**

.71**

.69**

.55**

.37**

.40**

.21**

.93**

.69**

.74**

1

Mean

(Standard Deviation)

26.35

(7.12)

71.09

(18.22)

24.89

(8.70)

15.48

(5.87)

9.41

(3.91)

46.20

(13.01)

28.20

(8.50)

18.00

(6.19)

84.10

(23.16)

32.40

(9.37)

21.33

(5.92)

30.37

(10.70)

**p< .01

Table 5. Correlation among smart phone addiction, executive function impairments, and ADHD symptoms

(N=798)

3.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이 스마트폰 독에

미치는 향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이 스마트폰 독에 미

치는 향을 확인하기 해 단순회귀분석을 실

시하 고 그 결과는 Table 6과 같다.

Table 6과 같이 실행기능 결함은 스마트폰

독 총 에 유의한 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

었으며, 그 설명력은 28% 다(b=.21, t=17.53,

p<.001). 한 실행기능 결함 총 이 스마트

폰 독의 하 요인인 일상생활 장애(b=.08,

t=15.89), 가상세계 지향성(b=.02, t=11.21), 단

(b=.04, t=10.96), 내성(b=.07, t=15.62)에 미치는

향력 모두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고(p<.001),

그 설명력은 13-24% 사이 다.

한편 실행기능 결함의 4개 하 요인이 스마

트폰 독 총 에 미치는 향력을 확인하기

해 다회귀분석을 실시하 고, 그 결과는 Table

7과 같다. Table 7에서 실행기능 결함의 주의통

제요인(β=.40, p<.001) 목표지향요인(β= .10,

p<.001) 모두 스마트폰 독 총 에 통계 으로

유의한 향을 미쳤고, 그 설명력은 34%이었으

Page 11: 오선화 하은혜 2014 실행기능adhd 스마트폰

오선화․하은혜 / 아동의 실행기능 ADHD 증상이 스마트폰 독에 미치는 향

- 27 -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b t r2 F

Disturbance of adaptive functions

Executive function

impairments total score

.08 15.89***

.24 252.39***

Virtual life orientation .02 11.21***

.14 125.67***

Withdrawal .04 10.96*** .13 120.09***

Tolerance .07 15.62***

.24 244.18***

Smart phone addiction total score .21 17.53***

.28 307.11***

***p< .001

Table 6. Simple regression analysis of executive function impairments on smart phone (N=798)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β t R2 F

Smart phone

addiction

Attentional control .40 15.56***

.34 201.96***

Goal orientation .10 5.74***

Concentration .36 9.37***

.39 101.10***

Shifting .19 5.32***

Planning & Organization .11 2.93**

Behavioral & Emotional regulation .08 2.41*

***p< .001,

**p< .01,

*p< .05

Table 7.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executive function impairments on smart phone (N=798)

며 주의통제요인의 상 향력이 더 큰 것으

로 확인되었다. 한 실행기능 결함의 하 요

인들 모두 스마트폰 독을 유의하게 설명하

으며, 그 설명력은 39% 다(F=101.10, p<.001).

그 주의집 (β=.36, p<.001)의 향력이 상

으로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환(β

=.19, p<.001), 계획 조직화(β=.11, p<.01), 행

동 정서조 (β=.08, p<.05) 순으로 스마트폰

독에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아동의 ADHD 증상이 스마트폰 독에

미치는 향

아동의 ADHD 증상 총 이 스마트폰 독 총

에 미치는 향력을 확인하기 해 단순회귀

분석을 실시하 고 그 결과는 Table 8과 같다.

Table 8과 같이 ADHD 총 이 스마트폰 독

총 에 유의한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으며 그 설명력은 38%이었다(b=.19, t=22.11,

p<.001). 한 ADHD 증상 총 이 스마트폰

독의 각 하 요인들인 일상생활 장애(b=.07,

t=18.73), 가상세계 지향성(b=.02, t=14.26), 단

(b=.05, t=15.61), 내성(b=.06, t=17.54) 모두에 미

치는 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그 설명력은 20-31% 사이 다.

한편 ADHD 증상 3개 하 요인이 스마트폰

독 총 에 미치는 상 향력을 확인하기

하여 다회귀분석을 실시하 고, 그 결과는

Table 9와 같다.

Table 9와 같이 ADHD 증상의 하 요인인

주의집 (β=.44, p<.001)과 과잉행동(β=.22,

p<.001)이 스마트폰 독 총 에 유의한 향을

Page 12: 오선화 하은혜 2014 실행기능adhd 스마트폰

한국놀이치료학회지 제17권 제1호

- 28 -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b t r2

F

Disturbance of adaptive functions

ADHD

symptoms total score

.07 18.73***

.31 350.75***

Virtual life orientation .02 14.26***

.20 203.25***

Withdrawal .05 15.61***

.23 243.65***

Tolerance .06 17.54***

.28 307.78***

Smart phone addiction total score .19 22.11***

.38 488.72***

***p< .001

Table 8. Simple regression analysis of ADHD symptoms on smart phone (N=798)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β t R2

F

Smart phone addiction

Inattention .44 11.39***

.40 178.34***

Impulsivity .03 .71

Hyperactivity .22 4.90***

***p< .001

Table 9.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ADHD symptoms on smart phone (N=798)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그 설명력은 40%

다(F=178.34, p<.001). 그러나 하 요인 충

동성은 스마트폰 독 총 에 유의한 향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Ⅳ. 논의 결론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과

ADHD증상이 스마트폰 독에 미치는 향을

확인하기 해 등학교 5, 6학년 아동 798명을

상으로 설문연구를 실시하 다. 그 연구결과

를 토 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등학생 5, 6학년을 상으로 스마트폰

이용 실태 사용유형에 해 조사한 결과, 스

마트폰 하루 총 사용시간은 1시간 미만이 39.3%

로 가장 많았고 1-2시간 미만이 29.9%, 2-3시간

이 14.2%를 차지하 다. 이는 Internet addiction

prevention counseling center of Gangbuk에서 2012

년 수행된 청소년 스마트폰 사용실태 독

황 조사에서 등학생 4-6학년의 스마트폰 하

루 사용시간 1시간 미만이 66.2%로 나타난

결과와 상당히 큰 차이를 보 다. 특히 학년별

조사에서 하루에 1시간 미만 사용하는 비율이 4

학년은 84.7%, 5학년 71%, 6학년 40.9%로 나타

났으며, 1시간 이상 사용하는 비율은 고학년일

수록 늘었다. 이를 통해 등학교 고학년으로

갈수록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격히 늘어난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아동기의 후반과 청소년기의 시작 에 걸쳐

있는 등학교 5, 6학년 아동들은 가족이나 선

생님보다는 래집단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내기

시작하고 그들과 공감 를 형성하여 나름의 의

식, 가치, 규범, 세계 등을 공유하고 발 시켜

독특한 하 문화를 만들어나가기 시작한다(Lee,

Lee, & Shin, 2009). 이 시기의 아동들은 휴 폰을

통해 자신만의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래들과의

Page 13: 오선화 하은혜 2014 실행기능adhd 스마트폰

오선화․하은혜 / 아동의 실행기능 ADHD 증상이 스마트폰 독에 미치는 향

- 29 -

유 를 강화하기 해 이용하기도 한다. 한

래 간 소통이나 게임을 통해 다양한 것들을

공유하기도 한다(Gwag, & Lee, 2009). 그런데 아

동이나 청소년의 경우, 자아정체성이 아직 형성

되지 않아 낮은 자기 통제력과 효능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성인에 비해 매체에 독

될 가능성이 높고(Park, 2004) 매체 독에 더욱

큰 향을 받을 수 있다(Kim, 2004). 따라서 스

마트폰에 노출되는 시간이 늘어나고 다양하게

활용하기 시작하는 시 인 등학교 5, 6학년

시기가 스마트폰 독의 시작 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나 교사가 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의 스마트폰 사용을 감독하여 이들이 사

용 시간을 조 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할 필요

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주로 사용하는 스마트폰 기능에 해서

는 반에 가까운 인원인 41.6%가 ‘카카오톡 등

SNS’ 라고 응답하 고 최다 사용 어 리 이션

도 ‘SNS(소셜네트워크, 페이스북, 트 터, 카카오

스토리, 인스타그램 등)’가 32.4%로 가장 많았다.

그리고 가장 만족하는 부분에 해서는 거의

반에 가까운 46.1%가 ‘SNS(카카오톡, 트 터 등)

서비스를 통한 폭넓은 인맥형성’이라고 응답하

여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 다.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 채 메신

SNS 사용률을 학령별로 나 어 좀 더 자세히 조

사한 결과, 학생 46.2%, 고등학생 62.6%로

(Internet addiction prevention counseling center of

Gangbuk., 2012), 학령이 올라갈수록 모바일 메신

SNS 사용비율이 높았다. 이를 통해 등

학교 고학년 아동들에서 모바일 메신 SNS

와 련된 어 리 이션의 사용 비율이 높은 것

은 ·고등학생들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나 체

어 리 이션 사용 비율에 있어서는 학령별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변인들 간의 상 계를 확인한 결과,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과 ADHD 증상은 스마트

폰 독과 정 상 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실행기능 능력이 부족할수록,

ADHD 증상 정도가 심각할수록 스마트폰 독

에 취약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넷째,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이 스마트폰 독

에 미치는 향을 확인한 결과, 실행기능 결함

이 클수록 스마트폰 독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

로 확인되었다. 한 실행기능 결함이 스마트폰

독의 하 요인인 일상생활 장애, 가상세계

지향성, 단, 내성에 미치는 향을 검증한 결

과,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학생들을

상으로 인터넷 독 성향자들의 두엽 실행

기능 특징을 확인한 Jeon et al(2011)의 연구에서

인터넷 독 성향자들이 비목표 자극에 한 운

동 반응을 제지하는 능력이 부족하며 충동 인

것으로 나타나 두엽 실행기능의 일부분이

하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한 결과와 유사하다.

그러나 이를 아동에까지 확장하여 용하는 데

에는 지지할만한 선행연구가 충분하지 않으므로

후속 연구를 통한 검증이 필요하다.

한편 실행기능 결함의 하 요인들이 스마트

폰 독에 미치는 향력에 해서 확인한 결

과, ‘목표지향요인’ 보다 ‘주의통제요인’이 상

으로 스마트폰 독에 미치는 향이 크며 주

의통제요인에 해당하는 ‘주의집 ’의 결함이 스

마트폰 독에 더욱 부정 인 향을 끼치는 것

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스마트폰이 실시간

으로 인터넷을 활용할 수 있는 휴 용 기기인

것과 련이 있다. 이러한 기기 특징으로 아동

들은 스마트폰이 필요할 때면 언제든 꺼내 다양

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집 이 분산될

때마다 사용이 편리한 스마트폰을 꺼내 사용하

게 될 가능성이 높다. 한 부분의 아동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고 응답한 모바일 메신

나 SNS의 경우, 부분 진동이나 알림음 등을

Page 14: 오선화 하은혜 2014 실행기능adhd 스마트폰

한국놀이치료학회지 제17권 제1호

- 30 -

통해 즉각 인 커뮤니 이션을 시도하는데 두

엽의 결함이 있는 경우, 불편한 외부자극에

한 반사 인 반응, 즉 주의가 분산되는 것을 억

제시키는 능력인 ‘ 주의력’에도 결함이 있

어(Cho, 2001), 알림이 울리는 순간 확인하려 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주의집 에 결함이 있는

아동들이 스마트폰 독에 더욱 취약할 수 있다

고 추론할 수 있다.

다섯째, 아동의 ADHD 증상이 스마트폰 독

에 미치는 향력을 확인한 결과, ADHD 증상

정도가 심할수록 스마트폰 독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Zentall과 Zentall(1983)의 연

구에 따르면 ADHD 아동들은 일반아동들에 비

해 더 자극 이며 강한 감각자극을 추구하는 경

향이 있으며 단일 자극에 오랫동안 주의를 기울

이지 못하기 때문에 동 이며 화려한 자극에 더

많이 주의를 집 한다. 그런데 스마트폰은 언제

어디서든 다양한 기능 어 리 이션을 제한

없이 즐길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

한 특징으로 인해 ADHD 증상을 가진 아동들은

스마트폰 사용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게 되고 지

속 으로 주의를 기울이게 되면서 독될 가능

성을 높이게 되는 것이다.

보다 구체 인 향력을 검증하기 해

ADHD 하 요인별로 스마트폰 독에 미치는

향을 확인한 결과, 아동의 주의 산만이 충동

성 과잉행동 증상에 비하여 스마트폰 독을

더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주

의력 결핍형에서 인터넷 독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한 연구(Kim, 2008)와 유사하다.

한 본 연구에서 실행기능 결함의 하 요인

주의집 결함이 스마트폰 독을 가장 잘 설명

한 결과와도 일치한다.

이는 주의력 결핍 우세형 아동이 보이는 주

의 특성을 느린 인지 템포라고 명명(Lathey,

Schaughency, Frame, & Strauss, 1985)한 것과 련

이 있다. 느린 인지 템포란 느린 정보처리, 게

을러 보이는 듯한 느린 행동, 무기력해 보이는

것, 백일몽, 낮은 수 의 각성, 비활동성, 그리고

수동성을 말한다(Barkley, Dupaul, & McMurry,

1990). 이로 인해 주의의 이동과 이탈에 어려움

이 생겨 결국 정보처리 효율성이 낮아지게 되는

것이다(Lee, & Hong, 2006a). 이러한 이유로 주의

가 산만한 아동들은 스마트폰 사용이 잦아지면

서 일상생활의 장애를 겪게 되더라도 효율 으

로 생각하고 환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스마트

폰 과다사용을 이지 못하고 계속 으로 사용

하여 결국 독에 빠지게 되는 것이라고 추론할

수 있다.

반면 본 연구에서 ADHD 하 요인 충동

성은 스마트폰 독에 유의한 향을 미치지 않

는다고 확인되었다. 이는 인터넷 독에 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으로 충동성을 꼽은 국외 연

구들(Davis, 2001; Realmuto, Winters, August, Lee,

Fahnhorst, & Botzet, 2009; Young, 1996)과 상반되

는 결과이다. 그런데 충동성과 스마트폰 독

간의 상 계를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둘 간에 다소 높은 정 상 계가 나타났다.

이 결과는 충동성이 ADHD 하 요인들과 비교

하 을 때 상 인 향력이 크지는 않으나 단

독 으로는 스마트폰 독과 계가 있다는 것

을 의미하는 결과이다.

이와 같이 충동성이 스마트폰 독과 련이

있으나 다른 ADHD 하 요인들에 비해 상

으로 낮은 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결과는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2011)에

서 스마트폰 사용 결과로 산만하고 에 지가 상

승하는 문제를 든 것과도 련이 있을 수 있다.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난 뒤 산만하고 에 지가

상승하게 되는 것은 다시 스마트폰을 사용하

게 되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

이 반복되면서 아동이 스마트폰을 더욱 자주,

Page 15: 오선화 하은혜 2014 실행기능adhd 스마트폰

오선화․하은혜 / 아동의 실행기능 ADHD 증상이 스마트폰 독에 미치는 향

- 31 -

그리고 오래 사용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경로를 뒷받침할 만

한 충분한 선행연구가 부족하므로 후속연구를

통한 검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과

ADHD 증상이 스마트폰 독에 미치는 향을

확인하 으며, 이를 통해 실행기능 결함의 ‘주의

집 ’ 요인과 ADHD증상 하 요인 ‘주의 산

만’이 스마트폰 독을 상 으로 가장 잘 설

명한다는 결과가 도출되 다. 이러한 결과는 아

동의 스마트폰 독을 방하고 치료하기 해

주의 집 능력의 향상에 직 으로 개입하는

것이 효과 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제한 과 후속연구를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들을 상으로 자기보고식 질문지

를 사용하여 얻은 자료이기 때문에 다소 주

일 수 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자기보고식

질문지 외에 다양한 측정 방법을 사용하여 좀

더 객 으로 측정하고 평가할 필요가 있다.

둘째, 스마트폰이 출시되어 이용률이 증가한

지 오래되지 않았고 스마트폰 독에 해 논의

하기 시작한지도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스마

트폰 독에 한 개념화 진단 기 이 명확

하게 확립되어있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국내외

연구가 충분하지 않아, 이를 논의하기 해 인

터넷 독과 련된 선행 연구들을 다수 참조하

다. 스마트폰 독과 인터넷 독은 공통 도

있지만 분명히 차이 도 존재하므로 스마트폰

독에 해 좀 더 폭넓고 문 인 연구를 수

행하기 해서는 스마트폰 독에 한 명확한

개념화와 더불어 이와 련된 다양한 연구가 이

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실행기능 결함

ADHD 증상을 세분화하여 하 역별로 스마트

폰 독에 미치는 향을 확인하 다. 실행기능

이 ‘내 인 자기조 감으로 작동하는 과정’이

라는 에서 독과 련이 깊을 수 있으며

ADHD 한 증상의 특성으로 인해 독에 취약

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변인을 상으로 한

매개효과나 조 효과 검증 등의 후속연구를 통

해 스마트폰 독 방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재 변인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제한 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독에 한 연구를 등학교 고학년

아동들로 확장하 고,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부분 수행검사로 측정되었던 실행기능 결함과

ADHD 증상을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활용하여

측정하 다. 이를 통해 상을 좀 더 일반화할

수 있도록 가능성을 넓혔다. 한 기존의 스마

트폰 독 연구가 부분 독자의 성격이나

환경 원인 등에 을 맞추어 진행이 되었다

면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독의 원인으로 신

경심리학 측면을 반 하 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Reference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4th rev

de(text revisio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Inc.

Barkley, R. A. (1991).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handbook for diagnosis and treatment.

New York: The Guilford Press.

Barkley, R. A., & Murphy, K. R. (1998).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Clinical

Workbook (2nd ed.). NY: Guilford Press.

Barkley, R. A., Dupaul, G, J., & McMurry, M. B.

(1990). Comprehensive evaluation of attention

deficit disorder with and without hyperactivity

as defined by research criteria. Journal of

Page 16: 오선화 하은혜 2014 실행기능adhd 스마트폰

한국놀이치료학회지 제17권 제1호

- 32 -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8, 775-789.

Cau, F., Su, L., Liu, T., & Gao, X.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impulsivity and Internet

addiction in a sample of Chinese adolescents.

European Psychiatry, 22, 466-471.

Chen, B. X. (2012). Always on the future of society.

(Kim, Tae-hoon translation). Seoul: Yein.

Cho, Eun-jung (2010). Preschooler's internet- game

addictive inclination, emotional regulation and

aggres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Gangwon:

Yonsei University.

Cho, Soo-cheoul (2001).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Davis, R. A. (2001). A cognitive-behavioral model of

pathological internet us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17(2), 187-195.

Do, Rye-mi, Cho, Soo-churl, Kim, Boong-nyun, Kim,

Jae-won, & Shin, Min-sup (2010). Development

of Executive Function in Childhood.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sychotherapy, 2(2),

1-12.

Emmons, C. L. (2005). Executive functioning and

behavior: A study of children with ADHD in a

summer treatment program. Doctor's thesis,

University of Pennsylvania, Indiana, United

States of America.

Gwag, Min-joo, & Lee, Hee-sook (2009). The

Characteristics of Trend and Addictive

Inclination in Mobile Phone Use among

Adolescents. The Journal of Human Ecology. 13(1),

183-205.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2.

5. 12). Children․Youth Attention Deficit

Disorder 8 people out of 10 ‘男’ (press release).

Seoul: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http://www.hira.or.kr.

Horn, N. R., Dolan, M., Elliott, R., Deakin, J. F.,

& Woodruff, P. W. (2003). Response inhibition

and impulsivity: An fMRI study. Neuropsychologia,

41(14), 1959-1966.

Hwang, Ha-sung, Sohn, Seung-hye, & Choi, Yun

-jung (2011). Exploring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Addiction - Characteristics of Users

and Functional Attributes. The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25(2), 277-313.

Internet addiction prevention counseling center of

Gangbuk. (2013, 2). A survey on the smartphone

usage and addiction of Youth people-focusing on

Gangbuk and Seongbuk-. Seoul: Kim, Eun-young.

Jeon, Hye-yeon, Hyun, Myoung-ho, & Chun,

Young-min (2011). The Characteristic of Frontal

Lobe's Executive Function in Internet Addic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6(1),

215-229.

Kalenscher, T., Ohmann, T., & Güntürkün, O.

(2006). The neuroscience of impulsive and

self-controlled decis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physiology, 62(2), 203-211.

Kim, Dong-hyun, Lee, Kyung-eun, Lee, You-jin, Cha,

Seo-hyun, Lim, Sung-hwan, Won, Chang-youn,

Kwon, Hyuk-min, & Han, Mi-ah (2013). The

Association between Smart Phone Addiction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mong

Some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17(1), 105-112.

Kim, Hyoung-jee, Kim, Jung-hwan, & Jeong,

Se-hoon (2012). Study on the smartphone

addiction and multitasking. The Korean Journal of

Society for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1),

117-118.

Kim, Joung-un (2002). Development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Evaluation

Page 17: 오선화 하은혜 2014 실행기능adhd 스마트폰

오선화․하은혜 / 아동의 실행기능 ADHD 증상이 스마트폰 독에 미치는 향

- 33 -

Scale-Children Version. The Bus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5(1), 25-38.

Kim, Jung-soon (2008). The Mediating Effects of

Adolescents Sensation Seeking Tendenc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DHD and Internet Addi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Sookmyung

Women's University.

Kim, Shin-hee, & Ahn, Chang-il (2005). Personality

trait and Decision-Making of Addicted Internet

Game User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0(4), 415-430.

Kim, Sun-sook (2004). The Analysis of the Internet

Addiction and the School Adapt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Studies, 11(1), 19-37.

Kim, Yong-ik, Lee, Dong-hun, & Park, Won-mo

(2010). The Relationship Among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Symptoms,

Internet Over-Use, and Depression Symptoms in

High School Students of Vocational Track.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1(1), 245-264.

Kong, Young-suk, & Lim, Ji-young (2011). Analysis

of Trends in Research on Executive Function.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20(1), 61-75.

Korea Internet A Security Agency (2013). A survey

on smartphone usage on the second half of 2012.

Kwon, Su-kyong, & Jang, Eun-young (2010).

Internet Use Among Children: An Exploratory

Study of Comorbid Disorders and Predictor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9(4),

1067-1086.

Lane, S. D., Cherek, D. R., Rhoades, H. M., Pietras,

C. J., & Tcheremissine, O. V. (2003).

Relationships among laboratory and psychometric

measures of impulsivity: Implications in

substance abuse and dependence. Addictive

Disorders and their Treatment, 2(2), 33-40.

Lathey, B. B., Schaughency, E. A., Frame, C. L., &

Strauss, S. C. (1985). Teacher rating of

attention problems in children experimentally

classified as exhibiting Attention Deficit Disorder

with and without Hyperactivity.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Psychiatry, 24,

613-616.

Lee, Kook-yong (2012). The Study of Factors in

Affecting the Users' Addictive Behavior in Using

the Smart Phone Applications. The Korean

Journal of Business Education, 27(5), 183-208.

Lee, Myoung-ju, & Hong, Chang-hee (2006a).

Attent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Subtypes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5(4), 969-986.

Lee, Myoung-ju, & Hong, Chang-hee (2006b).

Behavio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ubtypes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 psychology, 19(1), 459-476.

Lee, Sook-hee (2007). The Difference in Children`s

Moral Judgment and the Development Level

According to the Computer Addiction Level.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16(4), 33-44.

Lee, Yeon-mi, Lee, Seon-jeong, & Shin, Hyo-shick

(2009). The Effects of Personal, Familial, School

Environmental Variables on Mobile Phone

Addiction by Adolescent. Th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21(3), 29-43.

Mitchell, P. (2000). Internet addiction: genuine.

diagnosis or not?. The Lancet. 355(9204), 632.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1).

Development of smartphone addiction diagnostic

measure.

Page 18: 오선화 하은혜 2014 실행기능adhd 스마트폰

한국놀이치료학회지 제17권 제1호

- 34 -

Orzack, M., H. (1996). Internet Addiction Treatment.

Electronic message posted to Research

Discussion List. [email protected]. 5.

Aug. http://www.cmhc.com/mlists.research.

Park, B. W., & Lee, K. G. (2011). A Pilot to

Analysis the Effects of User Experience and

Device Characteristics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of Smartphone Users. Communications

in Computer and Information Science, 151, 421-427.

Park, Jae-sung (2004). The Structural Path Model of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and Expected

Self-Control. The Journal of Korean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1(3), 1-17.

Park, Ju-ri, & Song, Hyun-joo (201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eficits Inventory(CEFDI).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1(1), 1-23.

Razza, R. A., & Blair, C. (2009). Associations among

false-belief understanding, executive function, and

social competence: A longitudinal analysis.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30(3),

332-343.

Realmuto, G. M., Winters, K. C., August, G. J.,

Lee, S., Fahnhorst, T., & Botzet, A. (2009).

Drug use and psychosocial functioning of a

community-derived sample of adolescents with

childhood ADHD. Journal of Child and Adolescent

Substance Abuse, 18(2), 172-192.

Wee, Ji-hee, & Chae, Kyu-man (2004). Internet

Addiction Disorder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olescents, Psychological.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3(2),

397-416.

Welsh, M. C. & Pennington, B. F. (1988). Assessing

frontal lobe functioning in children: views

from developmental psychology.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4, 199-230.

Weyandt, L. L., & Willis, W. G. (1994). Executive

functions in school-aged children: potential

efficacy of tasks in discriminating clinical groups.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10, 27-38.

Willcurt, R. C. (2002). Behavior Disorders of Childhood.

New York: Prentice-Hall.

Yoo, H. J., Cho, S. C., Ha, J., Yune, S. K., Kim,

S. J., Hwang, J., Chung, A., Sung, Y. H., &

Lyoo, I. K. (2004).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symptoms and internet addiction.

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 58(5),

487-494.

Yoon, Hye-yeon (2008). The Relation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sonality Features

According to The NEO Personality Assessment System,

Internet Addiction Propensity and School Adjus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en's University.

Young, K. S. (1996). Internet can be as addicting as

alcohol, drugs and gambling. An APA news

releases, http://www.apa.org/releases/internet.

Zentall, S. S., & Zentall, T. R. (1983). Optimal

stimulation: A model of disordered activity and

performance in normal and deviant children.

Psychological Bulletin, 94, 446-471.

원고 수일 : 2014. 01. 11.

수정 수일 : 2014. 02. 11.

게재확정일 : 2014. 02. 14.

Page 19: 오선화 하은혜 2014 실행기능adhd 스마트폰

- 35 -

아동의 실행기능 ADHD 증상이

스마트폰 독에 미치는 향

오 선 화3)

하 은 혜4)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과 ADHD 증상이 스마트폰 독에 미치는 향력을 확인하

다. 이를 해 등학교 5, 6학년 학생 798명을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다. 본 연구의 결

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이용 실태 사용유형을 조사한 결과, 스마트폰 하

루 총 사용시간은 1시간 미만이 39.3%로 가장 많았고 1-2시간 미만이 29.9%, 2-3시간이 14.2%를

차지하 다. 둘째, 주 사용 기능으로 41.6%가 ‘카카오톡 등 SNS’라고 응답하 고 최다 사용 어

리 이션도 ‘SNS’가 32.4%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 다. 셋째, 변인들의 상 계를 확인한 결

과,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 총 ADHD 증상 총 모두 스마트폰 독 총 과 정 상 계

를 나타내, 실행기능 결함과 ADHD 증상이 심할수록 스마트폰 독에 빠질 험이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 다. 넷째,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이 스마트폰 독에 미치는 향을 검증한 결과, 총

과 하 요인 모두 스마트폰 독에 유의한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행기능 결함의

하 요인들 에서도 주의집 결함이 스마트폰 독을 가장 잘 설명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아동의 ADHD 증상이 스마트폰 독에 미치는 향을 검증한 결과, 유의한 향을 미치

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ADHD 증상 하 요인 주의산만이 상 으로 가장 큰 향력을 나

타냈다. 한편 충동성과 스마트폰 독은 정 상 계를 나타냈던 것에 반해 충동성이 스마트폰

독에 미치는 상 인 향력은 유의하지 않았다.

주제어 : 아동, 실행기능 결함, ADHD 증상, 스마트폰 독

3) 숙명여자 학교 일반 학원 아동심리치료 공 석사

4) 숙명여자 학교 일반 학원 아동심리치료 공 교수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2014, Vol. 17, No. 1, 17-35.

ISSN 1229-08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