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환자를 위한 영적 돌봄

26
암암암암 암암 암암 암암 암암암암암암 암암암암암암 암암 암암암암암암

Upload: ko-hyeongseok

Post on 16-May-2015

1.910 views

Category:

Education


2 download

DESCRIPTION

암환자를 위한 영적 돌봄 자료입니다.

TRANSCRIPT

Page 1: 암환자를 위한 영적 돌봄

암환자를 위한 영적 돌봄

  서울성모병원 호스피스담당

고 형석 스테파노신부

Page 2: 암환자를 위한 영적 돌봄

그래도 인생은 아름답다 (Buttafava)

" 모든 사람이 살다 보면 운명을 결정하는 날이 있습니다 .그날 하나의 문이 열리고 다른 문은 닫히게 됩니다 . 때로는 역경이나 고통 , 새로운 만남 , 기쁨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우리가 ' 변하고 ' 나면 더 이상 예전으로 되돌아갈 수 없습니다 ."

Page 3: 암환자를 위한 영적 돌봄

김수환 추기경을 통해 돌아본 " 평화로운 죽음 "

 죽음이 임박한 내 가족이 1 분 1 초라도 더 살기를 바라는 마음은 사랑입니다 . 하지만 故 김수환스테파노 추기경의 선종은 사랑뿐만 아니라 평화에 대해서도 말하고 있습니다 .   http://news.sbs.co.kr/section_news/news_read.jsp?news_id=N1000548368

Page 4: 암환자를 위한 영적 돌봄

76 세 할아버지의 호스피스 봉사

경기도 용인의 요양시설‘ 샘물의 집’에서 7 년째 봉사하고 있는 정온철 할아버지 .   http://www.tagstory.com/video/video_post.aspx?media_id=V000289551

Page 5: 암환자를 위한 영적 돌봄

삶의 마지막 여정에 사랑으로 함께 하는 사람들 " 호스피스 "

 

Page 6: 암환자를 위한 영적 돌봄

질병은 인간에게 육체적 , 심리적 그리고 영성적 측면에서의 도전이다 . 따라서 전반적인 치료적 응답은 이러한 차원을 고려해야 한다 . 영성적 차원은 ' 한 인간의 존재 전반에 스며들고 , 개인의 생리적이며 사회 , 심리적인 본성을 통합하고 초월하는 생명의 원칙 ' 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

영성적 도움 ( 플라비아 카레타 , 2003)

Page 7: 암환자를 위한 영적 돌봄

영성적 요소의 명확한 기준

- 신체적 , 감성적 , 사회적 차원을 조화시키고 일치시키는 통합력 . - 환자를 자극하여 자신의 삶에 있어서 목적과 의미를 찾고 하느님과 관계를 맺도록 자극하는 것 . - 다른 사람들과 자기 자신을 나누는 것을 배우면서 스스로를 초월하여 타인과 일체감을 갖도록 하는 일 . - 행동 방향을 이끄는 개인의 인식과 확신에 영향을 끼치는 일 .

Page 8: 암환자를 위한 영적 돌봄

" 왜 하필이면 나에게 ?"

- 자기 자신을 알고자 하는 욕구 , 혹은 처음으로 자신을 깊이 이해하고자 하는 욕구 . - 자기 자신을 이해하고 또한 스스로의 현실을 이해하며 , 자신의 삶 , 고통 ,  죽음에 의미를 부여하고자 하는 욕구 . - 어디로 가는지 ? 무엇 때문에 가고 있는지 ? 그리고 신비스런 순간들 , 고통스런 순간들을 반드시 통과해서 가야만 하는지 ?  등을 알고자 하는 욕구 . - 자기 자신의 두려움 , 일상 생활 , 좌절감 , 희망을 표현하고픈 욕구 .  

Page 9: 암환자를 위한 영적 돌봄

영적 돌봄 (Spiritual Care) 이란 ? ( 김종오 )

1) 영성 (Spirituality) 의 개념 인간 삶의 현장인 이 세상과의 연관 속에서 계속되는 인간의 총체적 체험의 의미를 명상과 성찰을 통해 살펴보는 추구 : 우리의 신앙체험 혹은 하느님 체험이 삶의 구체적인 현장에서 살고 증거되는 모습으로 자신의 신체적 , 심리적 , 사회적 , 정신적인 차원의 영적인 조화와 균형을 찾는 모든 노력을 말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나와 절대자 , 나와 타인 , 나와 내적 자아와의 관계를 인식하고 질병의 고통 속에서도 삶의 의미와 희망 , 용서와 화해 ,하느님 ( 초월적 절대자 ) 에 대한 믿음 , 관계 속에서 지속적인 사랑을 체험하고 추구하는 에너지이다 .

Page 10: 암환자를 위한 영적 돌봄

영적 돌봄 (Spiritual Care)

2) 영적 건강 

영적 돌봄의 핵심은 환자의 영적 건강이다 . 영적 건강은 종교적 ( 신앙적 ) 요소인 하느님과의 관계와 실존적 요소로서 자신과 이웃 , 삶의 목적과 의미에 초점을 둠: 삶에 대한 긍정적인 느낌과 태도 ( 환자의 건강과 전일성 ) 

Page 11: 암환자를 위한 영적 돌봄

영적 돌봄 (Spiritual Care)

3) 영적 건강 지표 

- 나는 하느님이 나를 사랑하시고 돌보아 주심을 믿고 느낀다- 나는 하느님과 개인적으로 의미 있는 관계를 맺고 있다- 나는 하느님과 관계를 맺음으로써 고독감을 느끼지 않는다- 나는 삶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인다- 나의 삶은 충만하고 만족하다고 느낀다- 나의 삶의 궁극적인 목적이 있음을 믿는다 

Page 12: 암환자를 위한 영적 돌봄

영적 돌봄 (Spiritual Care)

4) 영적 고통 영혼과 육체의 조화가 깨어져 버린 상태에서 오는 영혼의 파괴 상태: 죄의식 , 종교의식을 수행할 수 없는 것 , 종교적 / 영적 믿음과 처방된 건강관리법 ( 치료 ) 과의 모순 , 자신의 삶과 실제로 처해 있는 자신의 환경에 대한 의미의 결여 , 하느님과의 관계 붕괴 ,가까운 사람을 용서하지 못하는 것 .

Page 13: 암환자를 위한 영적 돌봄

영적 돌봄 (Spiritual Care)

5) 영적 고통의 특징 영적 고통은 사람의 전존재에 침투되어 생물학적 , 사회 심리학적 특성을 통합하고 초월하는 삶의 원칙을 붕괴시키는 것이다 .( 피셋트 ).

Page 14: 암환자를 위한 영적 돌봄

영적 돌봄 (Spiritual Care)

영적 고통의 특징인 다음과 같다 . - 삶과 죽음의 의미 , 믿음에 대한 관심을 표현- 하느님에 대한 분노와 원망 ( 개인에 의하여 정의된 )- 고통의 의미에 대한 질문- 믿음에 대한 내적 갈등 표현- 하느님 ( 신 : 절대자 ) 이나 최고 가치에 대한 관심 표현- 자신의 존재 의미에 대한 질문 .

Page 15: 암환자를 위한 영적 돌봄

영적 돌봄 (Spiritual Care)

- 일상적인 종교의식에 참여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선택하지 않음- 영적인 도움 갈구- 치료법의 도덕적 , 윤리적 의미에 대한 질문- 종교 지도자에 대한 분노 표현- 행동과 기분 상태의 변화- 질병을 벌로 여김- 하느님의 용서를 불신- 자신을 수용하지 못함- 자책감에 빠짐- 자신의 문제에 대한 책임 회피- 신체상의 불만을 이야기함 .

Page 16: 암환자를 위한 영적 돌봄

영적 돌봄 (Spiritual Care)

6) 영적 욕구영적 욕구란 하느님과의 역동적인 개인관계를 확립하고 유지하는데 필요한 요인으로 하느님과의 관계를 통하여용서 , 사랑 , 희망 , 신뢰 , 창의성 , 생의 의미와 목적에 대한 :- 의미 추구의 욕구 : 생의 가치 , 고통의 의미 ;자연질서 순응 , 존엄성- 용서에 대한 욕구 : 절대자나 의미있는 타인의 용서 ;평화 , 최선의 노력- 사랑의 경험에 대한 욕구 : 신의 사랑 , 대인 관계- 희망에 대한 욕구 : 일반적인 것과 죽음을 넘어서는 희망을 갖도록 도움 .

Page 17: 암환자를 위한 영적 돌봄

영적 돌봄 (Spiritual Care)

7) 영적 진단 ( 대화 ) 영적 진단 지침 ( 프라이저 1979) - 거룩함에 대한 의식 ; 궁극적 가치와 의미 - 섭리에 대한 감지 ; 하느님의 섭리에 대한 이해와 감지- 은총에 대한 이해- 일체감 ; 사회와 신앙 공동체에서의 소속감- 소명의식 ; 삶의 목적과 소명 및 근본적 태도  

Page 18: 암환자를 위한 영적 돌봄

영적 돌봄 (Spiritual Care)

8) 영적 돌봄의 시행 하느님 , 자신 , 이웃 , 환경과의 올바른 관계를 유지 , 성장시킨다 .자신의 존재의미와 현재 상황의 의미를 찾아 희망을 가지고 질병을 극복하게 돕고 말기 환자의 경우는 죽음을 잘 맞이하도록 도와 준다 . - 대화를 통한 영적 돌봄- 기도를 통한 영적 돌봄- 성서나 종교 서적을 이용한 영적 돌봄- 종교 예식을 통한 영적 돌봄 

Page 19: 암환자를 위한 영적 돌봄

암 환자의 소리 : 초점이 맞지 않고 시야가 좁은 렌즈 (Alden Sproull)

암이란 깊은 영적 , 정서적 , 문화적 함의를 가진 잠행성 질병이다 . 암은 더럽고 침습적이며 육체를 유린하고 영혼을 일그러뜨리는 병으로 인식되어 있다 .그것은 죄를 유발하고(" 나의 자궁은 30 년 전 그 사건에서 유래됐다 ."), 두려움을 자극하며(" 나는 내가 죽어 가고 있음을 알지만 , 그 죽음의 과정이 얼마나 고통스러울 것인가 ?"),의심을 불러일으키는 (" 나는 정말 CT 검사를 믿을 수 있을까 ?")질병이다 . 따라서 상실 속에서 비탄과 저항에 처한 암 환자의 개인적인 상황을 먼저 듣고 , 이해하며 , 사랑하고 , 배우며 , 진정한 희망을 소중히 간직하도록 돕는다 .

Page 20: 암환자를 위한 영적 돌봄

암의 전 ( 前 ) 단계

; 시야는 넓고 광범위하며 확실하다 . 암진단은 우리로 하여금 갑자기 삶의 불확실성과유한성에 직면하게 한다 . 

Page 21: 암환자를 위한 영적 돌봄

암의 발견

; 사진은 뒤범벅이 된다 . 암 진단으로 감춰진 진실들 . 미룰 수 밖에 없는 개인적인 삶의 문제들 . 암에 대한 의학적 지식 , 정보에 집착함 .

Page 22: 암환자를 위한 영적 돌봄

통제된 암

; 회복의 확실성 많은 암환자들은 비록 그들의 병의 경과가 어떻게 될지 불확실하지만 삶의 깊은 의미에 초점을 맞춘다 . 자신의 육체적 삶이 불확실성으로 가득 차 있는 동안에도내적 평온과 위로를 느끼는 것은 참으로 아름다운 아이러니이다 .

Page 23: 암환자를 위한 영적 돌봄

암의 재발

; 초점은 뒤범벅되고 축소된다 . 암의 재발은 엄청나게 곤혹스러운 경험이다 . 치료에 대한 확신을 뒤흔들고 최악의 두려움이 드러나게 만든다 . 암 발견 단계에서 느꼈던 많은 감정들이 표면화되며 ,더 강렬하게 대두된다 .; 그것은 병이 통제될 수 없음을 의미하며 또한 그 개인의삶이 통제를 벗어났음을 의미한다 .

Page 24: 암환자를 위한 영적 돌봄

슬픔의 과정들 (E. Kubler Ross)

백 명의 말기 환자들과 나눈 상담 사례에 따라 규정한 단계들 . 1)부정 : 진실 거부 ( 아니야 , 나는 아니야 !) 2)분노 : 진실 확인 ( 하필이면 왜 나인가 ?) 3) 타협 : 진실에 대한 타협 ( 그래 , 나야 . 그런데 만약 ) 4) 우울 : 진실 앞에서 느끼는 좌절감 ( 그래 , 나야 .) 5) 수용 : 진실과의 화해 ( 그래 , 나야 . 나는 준비되어 있어 .)

Page 25: 암환자를 위한 영적 돌봄

죽어 가는 상태; 시각은 좁아지고 예민해진다 . 사랑하는 이와 함께 있고 싶어하며많은 환자들은 대부분 공통적으로 정화 과정을 거친다 . 그들이 어떤 방식으로 그 과정을 거치며 또 그들의 힘을 어디에 맞추느냐 하는 것은 서로 다를 것이다 . 암환자들의 최종적인 영적 돌봄은 그러한 과정을 돕는 것이다 . 즉 그들이한때 그들의 삶의 힘을 소진했던 것에서 시선을 돌려 자신의 남은 힘을 가장 소중한 것에 쏟도록 돕는 것이다 . 삶을 죽음에넘겨주는 순간에도 더 깊고 예민한 초점에 삶을 맞출 수 있다는 것이다 .  

Page 26: 암환자를 위한 영적 돌봄

사랑받는 사람의 삶- 세상 속에서 영적인 삶을 (헨리 나웬 )

 1. 사랑받는 사람으로 존재하기 2. 사랑받는 사람이 되어가기    1) 받아들여지다 .    2) 축복받다 .    3)부서지다 .    4) 내어주다 . 3. 사랑받는 사람으로 살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