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글피피티 최종

28
간첩, 시대를 품다 2013-2 우리말과 글쓰기 - 영화 GROUP 05 윤예전 조신혜 임지원 구다회 조유진 박원빈 양지혜 전정아

Upload: jihyeee

Post on 20-Jun-2015

115 views

Category:

Documents


3 download

TRANSCRIPT

Page 1: 우글피피티 최종

간첩, 시대를 품다 2013-2 우리말과 글쓰기 - 영화

GROUP 05 윤예전 조신혜 임지원 구다회 조유진 박원빈 양지혜 전정아

Page 2: 우글피피티 최종

PART Ⅰ

PART Ⅱ

PART IV

1

목차 간첩, 시대를 품다

본론 - 쉬리 vs. 은밀하게 위대하게

결론 - “간첩이 아닌 간첩”

서론

PART Ⅲ 본론 - 무서운 “간첩”? “잘생긴” 간첩

Page 3: 우글피피티 최종

2

PART Ⅰ

서론

Page 4: 우글피피티 최종

3

Page 5: 우글피피티 최종

4

PART 1

간첩 영화란?

간첩

한 국가나 단체의 비밀이나 상황을 몰래 알아내어 경쟁 또는 대립 관계에 있는 국가나 단체에 제공하는 사람

우리나라에서 나오는 간첩 영화의 대부분은 북한에서 내려온 간첩을 다룬다.

Page 6: 우글피피티 최종

5

PART 1

간첩 영화의 역사

Page 7: 우글피피티 최종

6

PART 1

간첩 영화의 역사

50-70년대

• 박정희 정권이 등장하면서 반공 영화가 주요 장르로 자리매김 함 • 북한은 우리를 파괴하는 적이자 언제 공격해올 지 모르는 주적

70-90년대

• 국제적인 데탕트 분위기와 대미 공약에 편승 • 사람들의 인식 속의 북한은 여전히 부정적 • 반공 영화는 여전히 존재

Page 8: 우글피피티 최종

7

PART 1

간첩 영화의 역사

90-00년대

• 통일과 분단에 대한 관심 증가 • 북한 사람들을 인간적인 모습으로 인식하기 시작 • 통일이라는 추상적인 개념보다는 그 안에 살아가는 인간의 삶의 차원의 문제에 주목

최근의 동향

• 생계형 간첩에 대한 인식 증가 • 간첩들의 인간미와 감정적 측면 강조

Page 9: 우글피피티 최종

PART 1

간첩 영화의 두 축 <쉬리>와 <은밀하게 위대하게>

• <쉬리>와 <은밀하게 위대하게> 속 극명한 대조

- 북한 간첩을 폭력적으로 묘사한 반공영화적 성격을 띤 마지막 영화 <쉬리>

- 북한 간첩을 희화화한 새로운 시각으로도 흥행에 성공한<은밀하게 위대하게>

8

Page 10: 우글피피티 최종

PART II

쉬리 vs. 은밀하게 위대하게

9

Page 11: 우글피피티 최종

10

PART II

1. 현실을 말해봐,

쉬리

Page 12: 우글피피티 최종

PART 2

현실을 말해봐, – 쉬리[1998] 개봉된 당시 시대적 상황

IMF

• 경제위기 하에 국민 단합 → 애국심마케팅 • 심리적 위축

냉전구도의 유지

• 햇볕정책의 실패 → 잠수정 침투, 제2 연평해전

11

Page 13: 우글피피티 최종

PART 2

현실을 말해봐, – 쉬리[1998] 간첩이 그려지는 양상

폭력적

• 살인병기화 – 살인의 수단화 • 폭력만이 문제해결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믿음.

12

Page 14: 우글피피티 최종

13

PART 2

현실을 말해봐, – 쉬리[1998] 간첩이 그려지는 양상

남한에 대한 분노

• 월드컵을 개최하는 등 경제적 우위를 차지하고 있

는 남한에 대한 분노

Page 15: 우글피피티 최종

PART 2

현실을 말해봐, - 쉬리[1998] 사회인식에 미치는 영향

여전히 존재하는, 레드 콤플렉스

협력적 동반관계

14

Page 16: 우글피피티 최종

PART II

2. 환상 속의 그대,

‘은밀하게 위대하게’

15

Page 17: 우글피피티 최종

PART 2

은밀하게 위대하게 개봉된 당시 시대적 상황

천안함 피격사건

연평도 포격 도발

미사일 발사, 핵실험 등으로 국제사회 긴장

남북관계 냉각

젊은 세대들의 인식 변화

- 경제적, 정치적 우위 - 인간적 대상으로써 바라

볼 수 있게 됨

암묵적 우위

화해의 신호

통일부 장관, 유연한

대북접근 강조 → 해빙 가능성

개성에서 당국 실무 접촉, 회담 제의

16

Page 18: 우글피피티 최종

PART 2

간첩의 미화 –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 간첩의 희회화

• 꽃미남 간첩

• 평범한 인간 - 동네 주민들에게 인간적인 정

을 느낌 - 동료를 위한 희생

은밀하게 위대하게 간첩이 그려지는 양상

17

Page 19: 우글피피티 최종

PART 2

은밀하게 위대하게 간첩이 그려지는 양상

北-北의 갈등

• 북측의 지시에 반하는 간첩들의 행동

• 북한인들에 의해 도망자 신세가 된 간첩

• 남한 정보기관들은 북측 간첩들을 도움

18

Page 20: 우글피피티 최종

PART 2

은밀하게 위대하게 사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친근감을 느끼게 함 – 평범한 인간으로서의 따뜻한 모습

주위에 가까이 있는 간첩 – 한 동네의 평범한 인물로 분하고 있는 모습

사회적 제도의 희생양 – 고국을 믿고 있던 남파 간첩들이 버림받는 모습

19

Page 21: 우글피피티 최종

PART III

간첩의 변화에 대한 사회 인식 - 긍정 / 부정

20

Page 22: 우글피피티 최종

• 북한에 대한 인식을 바꾸어 에 도움 → 정치적 이슈에 대해 가벼운 접근= 대중들에게 가까이 다가감 → 북한에 대한 인식변화: / → 남북의 이념차이를 떠나 에 집중 • 북한 주민들을 이해하고 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함 • 남북관계에 대한 새로운 정의 → 전쟁을 경험하지 못한 세대가 새롭게 남북관계를 정의하는 방식으로 해석 가능

PART 3

간첩의 변화에 대한 사회의 인식 긍정적 인식

21

Page 23: 우글피피티 최종

PART 3

간첩의 변화에 대한 사회의 인식 부정적 인식

• 간첩의 묘사 → 꽃 미남 배우들 / 희화화 또는 과장된 묘사 → 분단 현실을 너무 간과한 것 • 북한을 보는 → 영화들로 인해 선입견 생성 가능 → 통일에 방해 요인이 될 수 있음. • 남북관계에 대한 지나치게 가벼운 접근 → 전쟁을 겪지 않은 세대들은 을 이해하지 못함

22

Page 24: 우글피피티 최종

PART IV

결론 - 간첩이 아닌 간첩

- 이를 수용하는 우리의 자세

23

Page 25: 우글피피티 최종

PART 4

결론

시대적 상황

에 따른 사회

인식

간첩영화의

변화

사회적

인식의 변화

24

Page 26: 우글피피티 최종

PART 4

결론 간첩이 아닌 간첩

‘창출’된 간첩

• 우리의 인식과 현재 직면해 있는 상황을 바탕으로 생성해낸

• 을 위한 목적으로 흥행 요소들을 가미

25

Page 27: 우글피피티 최종

PART 4

결론 이를 수용하는 우리의 자세

비판적 수용

26

Page 28: 우글피피티 최종

감 사 합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