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발전 지역디자인

27
2011.4.20 성경륭 교수 ( 한림대 사회학과 ) 지역의 가치를 높이는 지역디자인/사회적 기업

Upload: -

Post on 10-Jul-2015

854 views

Category:

Documents


1 download

TRANSCRIPT

Page 1: 지역발전 지역디자인

2 0 1 1 . 4 . 2 0

성 경 륭 교 수 ( 한 림 대 사 회 학 과 )

지역의 가치를 높이는

지역디자인/사회적 기업

Page 2: 지역발전 지역디자인

지역사회의 중요성 (1) 2

지역은 삶의 핵심 요소

- 天時(시간), 地利(공간), 人和(인간)

- 삶의 근본 = 시간+공간+인간의 결합

세계화, 사회변동과 지역사회

- 세계화: 공간적 이동의 확산자본/노동/상품/정보/문화의 전지구적 이동 (국내이동+국제이동)

- 탈영토화의 진행지역사회의 번영 또는 황폐화

Page 3: 지역발전 지역디자인

지역사회의 중요성 (2)3

지역사회는 삶의 현장이고 경쟁력의 기본단위

- 지역가치의 증진지역사회 발전, 지역공동체의 견고성 유지

- 과제: mobile factors의 이동에 대응하여 immobile assets 형성

Immobile Assets- 자연적 조건: 지형적 특성, 생태환경, 아름다운 경관

- 인공적 조건: 좋은 사회간접자본 (도로, 철도, 전기, 초고속통신망,Wi-Fi망, 상하수도 등), 좋은 건축물, 각종 시설물 (공원, 체육시설,공연시설 등)

- 사회문화적 역량: 좋은 학교/인적자원, 역사문화적 자원, 활력있

는 문화활동, 사회안전, 사회적 자본과 공공적 문화 (자발적 협력,자원봉사)

- 경제적 역량: 좋은 대학/연구소, 연구개발역량, 기업체, 경쟁력

있는 산업, 산학연 클러스터의 존재

Page 4: 지역발전 지역디자인

세계화와 공간변화: 두 가지 흐름4

Agglomeration (집중, 거대화)- 산업과 인구의 집적: Global City/Mega-City (1천만), Megalo-

polis, Metropolitan City (1백만)- 서비스 중심의 복합적 산업구조: 금융, 행정, 의료, 교육, 법률서비

스, 회계, 엔터테인먼트, 디자인, 유통, 연구개발 등

- 중추관리기능 (정부행정, 글로벌 기업의 본사)의 집적국

내외 타 도시와 지역 관리, global linkages & management

Specialization (전문화, 특성화)- 생존에 성공한 중소도시, 타운, 농촌 마을전문화

* 강소도시, 강소마을

- 도시: 창조도시, 문화도시, 혁신 클러스터

- 농촌: 특화 농업, 그린 투어리즘, 도농 연계

Page 5: 지역발전 지역디자인

도시화의 진전 도시화의 결과

64.2

49.8

30.7

17.312.2 10.2

35.8

50.2

69.3

82.787.8 89.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960 1970 1980 1990 2000 2005

Rural Area Uraban Area

인구의 도시 집중

- 집중의 고통

농촌의 공동화

- 이탈의 고통

인간 삶의 부조화

5

한국의 도시화와 농촌 공동화

Page 6: 지역발전 지역디자인

한국사회의 미래: 도시와 농촌의 재창조6

도시와 농촌의 분열/단절 극복

- 도시: 인간이 당장 필요한 모든 것을 축적부/소득/문화의 원천

- 농촌: 인간이 무시한 모든 소중한 자원(자연/Amenity) 보유생명/

건강/재충전의 원천

많은 도시/농촌이 전문화/특성화에 무관심하거나 실패하고 있음

건강한 삶의 모습

- urbanity와 rurality의 결합

- 도시의 농촌요소 도입: 도시농업, 도시정원, 도시공원, 도시인의 농촌회귀

(주말 농장, 농촌체험 참여, 귀농)

- 농촌의 도시요소 도입: 도시적 문화의 향유, 도시 방문, 인터넷 활용

- 도농혼주: 5都2村, 4都3村 등 다양한 결합

Page 7: 지역발전 지역디자인

지역디자인의 개념7

목표

- 지역가치의 증진을 위한 연구와 실천

이념

- ①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공생의 생

태 공동체 형성

- ② 균형있는 지역/공간발전

- ③ 삶의 질과 행복 증진

Page 8: 지역발전 지역디자인

지역디자인의 주요 내용8

지역가치를 구성하는 세 가지 요소 (3C Design)

- ① 특성화: 개성, 독특성, 차별성 Concept Design

- ② 콘텐츠: 창의성, 풍부성, 매력성 Content Design

- ③ 도시/농촌 연계, 지역/세계 연계: local-local, local-

regional, local-national connections, local-global

connections Connection Design

핵심과제

- 상상력의 발휘를 통한 새로운 가치창조 및 이를 실현하기위한 문화적/사회적/경제적 실천

Page 9: 지역발전 지역디자인

A. 지역디자인의 분야: Concept Design

9

지역가치와 차별성의 원천

- 지역의 경관, 지형적 특성, 역사문화적 자원, 산업경제적 자원

- New Concept, New Brand 창출

특색있는 도시

- 문화도시, 문학도시, 음악도시, 공연도시, 패션도시, 다아이몬

드 도시, 휴양도시, 정원도시, 슬로시티, 클러스터 도시 등

특색있는 농촌

- 연어마을, 산천어마을, 농촌체험마을, 한우마을, 허브마을, 황태마을, 곰취마을, 찐빵마을, 한과마을, 복분자마을, 장류타운, 김치마을, 명상마을, 슬로푸드 타운, 장수마을, 휴양타운, 주말농장

Page 10: 지역발전 지역디자인

<참고> 특색있는 도시와 농촌10

도시

- 문학 (세익스피어, 제임스 조이스, 박경리, 이외

수), 미술/건축 (고흐, 가우디, 박수근), 공연/축

제 (앙굴렘, 몬트리올, 춘천, 부산), 휴양(소치, 칸쿤, 충무, 첨단클러스터(실리콘 밸리, 소피아앙티

폴리스, 대덕)

농촌: “물의 나라”(화천) “나비의 고장”(함평), “산소마을”(인제), “장류산업의 메카”(순창)

기타: 커피의 도시”(강릉) 새로운 시도

Page 11: 지역발전 지역디자인

B. 지역디자인의 분야: Content Design (1)11

지역혁신 디자인

- 지역발전의 요체: ASP (Actor-System-Project) 모델

- Actor: 지역발전의 주체 “사람의 생각을 바꾸는 것”

*참고: 장성아카데미, 분권아카데미, 한림대 평생교육원

- System: 지역발전을 위한 공동학습/협동 시스템사

회적 자본 + 집단지성 Group Genius 발휘

- Project: 비교우위가 있고 지역이 가장 잘 할 수 있는

사업

Page 12: 지역발전 지역디자인

지역디자인의 분야: Content Design (2)12

지역산업 디자인

- 지역특화산업 (기존산업): 고도화, 복합화

- 신산업 육성: 대학/연구소의 역할, 신기술 개발, 기술의

상업화, 기술기업의 유치

- 유망 신산업 분야 (강원도): 바이오, 에너지, 재료/소재산업, 콘텐츠

산업, 관광산업

- 산업클러스터 조성

지역농업 디자인

- 특성화, 복합화, 고부가가치화

- 6차산업화: 1+2+3차 산업 결합 (농업생산+가공+유통/체험/학습/구매)

- 도농연계 체제 구축

Page 13: 지역발전 지역디자인

지역디자인의 분야: Content Design (3)13

지역공간 디자인 (국내외 “명품도시” 추진)

- UNEP의 LivCom Awards: “가장 살기좋은 도시”

- UNESCO: “창의도시”

- Sweden, Globe Forum: “지속가능 도시”

- ICSID (국제산업디자인단체협의회): “세계디자인수

도”

- 국제슬로시티연맹: “세계 Slow City”

- 국내 기구: “도시대상” “생생도시”(EcoRich City)

Page 14: 지역발전 지역디자인

지역디자인의 분야: Content Design (4)14

지역축제 디자인

지역교육 디자인

지역문화 디자인

지역환경 디자인

특별사업 기획 (예)

- 강원도민일보: 국토정중앙 사업 (양구), 이사부 선양사업 (삼척), 김삿갓 사업 (영월), 산소길 사업 (강원전역) 등

- 타 지역: 이순신 장군 선양 (통영, 순천), 박경리 선생기념 (통영), 홍길동 (장성), 논개 (진주), 올레길(제주)

Page 15: 지역발전 지역디자인

C. 지역디자인의 분야: Connection Design

15

도농연계의 필요성

- 풍요/소득와 생명/건강/장수/행복을 위해 도시와 농촌은

서로를 필요로 함

도시민 초청: 지역축제

농산물 판매: 오프라인(축제시 지역화폐 활용), 온라인 직거래), 유기농 회원 초청 행사 (Visible Market)

국내연계: 자매결연 등

국제연계: 자매결연 (지자체 수준), 주민/학자/기업수준의연계

홍보/온라인 연계: 인터넷/웹사이트, SNS

오프라인 연계; 사회적 네트워크

Page 16: 지역발전 지역디자인

사회적 기업16

개념

- 공적 목적을 수행하는 민간 기업으로서 기업가적 방식

으로 사회적 목적과 공공성을 추구하는 기업

참여주체

- 영리기관

- 비영리기관: 재단, 협동조합, 시민단체

유형 (정부인증)

- 사회적 일자리 제공형: 취약계층 고용 50% 이상

- 사회적 서비스 제공형: 전체 서비스 대상 중 취약계층 비율이 50% 이상

- 혼합형: 고용과 서비스 비중이 각각 30% 이상

Page 17: 지역발전 지역디자인

사회적 기업의 분야

*인증현황 (2011.4 현재, 501곳)17

Page 18: 지역발전 지역디자인

커뮤니티 비즈니스 (CB)18

사회적 공익과 경제적 이익을 동시에 추구하며, 지역의 과제를 비즈니스의 방식으로 해결하고 그 활동의이익을 지역 사회에 환원하는 것을 의미

- 지역주민들이 지역의 자원을 이용하여 지역의 과제들을 해결해 나가는 지속가능한 사업 모델

사회적 기업의 지역화 전략이라고 볼 수도 있음

지역특성에 맞는 다양한 사업을 개발하여 고용을 창출하고 지역문제를 해결지역경제 활성화, 지역연대성 강화, 자생적 지역공동체 기반 구축

Page 19: 지역발전 지역디자인

CB와 사회적 기업의 관계19

Page 20: 지역발전 지역디자인

CB의 다양한 형태20

Page 21: 지역발전 지역디자인

<참고> CB의 사업분야21

Page 22: 지역발전 지역디자인

미래과제 (1)22

다양한 지역사업의 기획 실험 (예)

- 구제역 이후 낙농업의 돌파구: 복합 낙농업 육성 (6차산업화)

- 설악산 관광특구 기획

- 고속도로 및 국도변 휴게소 재창조: 친환경 건축, 신재생에너지 활용, 로컬 푸드 사용, 지역공예품 선물가게, 소공원등

- 지역특색을 살리는 전시/컨벤션 (중소규모) 기획

- 허브단지 조성: 허브산업 클러스터

- 천상의 화원 (대관령): 꽃 산업 육성

- 경춘선 복선전철 테마 열차 운영

Page 23: 지역발전 지역디자인

미래과제 (2)23

지역디자인/사회적 기업/커뮤니티 비즈니스 육성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기업 설

립 필요

- 지역주민 참여를 통해 지역경제를 부흥하고 지역공동체를 강화하기 위해

서는 지역디자인, 사회적 기업, CB의 활성화가 필수적

- 이를 위해 사회적 기업 외에 다양한 형태의 기업 설립 필요: 1인 기업, 농업

소기업, 농업법인, 향토기업, 마을기업, 지역디자인 기업(기획사)

- 이를 통해 투자확대, 고용증진, 이익창출, 이익공유의 선순환을 모색

“지역디자인 MBA 과정” 개설 추진

- 대학+지자체 협력

- 기본 교과목: 철학/도덕, 사회학, 경제학, 사회추세론, IT/SNS (소셜 미디어)

등, 집단지성론(Group Genius론), 협력의 경제학

- 경영학 과목: 기업설립/운영, 투자, 홍보/마케팅, 회계, 기업의 사회적 책임

Page 24: 지역발전 지역디자인

새로운 직업의 창출 (1) 24

지역사업 플래너

지역사업 컨설팅

지자체 사업 기획/평가

마을특화사업 기획/평가

지역축제 기획가

지역산업 기획가

기획, 평가, 자문, 교육

Page 25: 지역발전 지역디자인

새로운 직업의 창출 (2) 25

그린 투어리즘 기획가

지역관광 연계 로컬 푸드 유통

건강장수 마을 기획/운영

명상센터/힐링센터 운영

자연친화형 빌리지 디자인: 친환경적 건축, 신재생에너지 사용, 로컬 푸드 소비

허브산업 디자인: 허브 생산/가공/유통을 결합한6차산업 육성

사회적 기업가

Community Business 운영

Page 26: 지역발전 지역디자인

화천군을 위한 제안26

지역축제 개선방안 연구

체류형/체험형 휴양관광 사업 활성화 방안 기획

유후인형 그린투어리즘 기획: 자연과 역사의 보존, 도시민에게 농촌 체험 기회 제공

지역농산물 유통체계 개선: 직거래, 온라인거래

스토리 발굴단행본 출판 (한글, 일어, 중국어, 영어) + 영상제작

국내외 홍보: 인터넷, SNS 활용 (트위터, 페이스북, 유튜브)

화천 관광 포트폴리오 구성: 관광 100선, 먹거리 100가지, 놀거리 100가지, 살거리 100가지 등

<지역디자인 MBA 스쿨> 개설

Page 27: 지역발전 지역디자인

결론: 연구와 디자인에서 경영으로27

지역사회 연구

지역디자인

지역경영

- Peter Drucker: 토지, 자본, 노동, 기술, 원료 등 정태적 상태의 생산요소를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생산하는 동태적인 과정이 경영(management): “잠자고 있는 생산요소를 창의적으로 결합하여 살아 움직이게하고 목적성을 부여하여 부가가치를 생산하는 과정”

- 이제 최고의 지역가치를 발굴하고 실현하는 “지역경영”이 필요한 시대

지역경영의 과제: Concept Design, Content Design, Connection Design을 통해 지역가치를 극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