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과 비판적 사고

64
과과과 과과과 과과 과과 과과과 과과 (5 과 23 과 )

Upload: beau

Post on 08-Feb-2016

69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DESCRIPTION

과학과 비판적 사고. 첨단 기술과 미래 (5 월 23 일 ). 나노테크놀로지 ( Nano -technology, NT). ■ 나노 ( nano ) 란 무엇인가 고대 그리스어의 ‘ 난장이 ’ 를 뜻하는 나노스 ( nanos ) 에서 나온 말 나노 ( nano ): 10 억분의 1 을 의미 나노 기술 : 100 나노미터까지 다루는 기술 - 분자의 크기로 이 구조에서 물질의 물리적 , 화학적 영향을 조절하는 능력을 갖추는 기술 - 아주 작은 물질들을 제어하고 활용하는 기술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TRANSCRIPT

Page 1: 과학과 비판적 사고

과학과 비판적 사고첨단 기술과 미래

(5 월 23 일 )

Page 2: 과학과 비판적 사고

나노테크놀로지 (Nano-technology, NT)

■ 나노 (nano) 란 무엇인가 고대 그리스어의 ‘난장이’를 뜻하는 나노스 (nanos) 에서

나온 말 나노 (nano): 10 억분의 1 을 의미 나노 기술 : 100 나노미터까지 다루는 기술 - 분자의 크기로 이 구조에서 물질의 물리적 , 화학적

영향을 조절하는 능력을 갖추는 기술 - 아주 작은 물질들을 제어하고 활용하는 기술 - 나노 기술의 세계에서는 원자를 이동시켜 원하는

배열로 만들어 낼 수 있음 .

Page 3: 과학과 비판적 사고

나노테크놀로지 (Nano-technology, NT)

“ 나노 기술은 다음에 올 산업 혁명이다 .” : 미국 국립 나노 기술 지원단

“ 나노 기술은 새로운 세계로 들어가는 입구다 .”

: 미국 국립 과학 재단

Page 4: 과학과 비판적 사고

나노테크놀로지 (Nano-technology, NT)

원자나 분자를 조작함으로써 기존에는 불가능 했던 전혀 새로운 성질이나 기능이 기술적으로 가능해 졌음을 의미

매크로 (macro, 크기 ) 세계에서 나노 세계로 넘어가면 물질의 성질이 급격히 바뀜과 동시에 그것을 기초로 생산된 제품의 성질도 바뀌게 됨 .

예 ) 흑연과 다이아몬드

Page 5: 과학과 비판적 사고

나노테크놀로지 (Nano-technology, NT)

Page 6: 과학과 비판적 사고
Page 7: 과학과 비판적 사고
Page 8: 과학과 비판적 사고

나노 기술에서 취급하는 대표적인 분야

재료부분 - 탄소 나노 튜브 , 나노 자성체

나노 화합물 - 기계부분 : 마이크로 로봇 - 생명과학분야 : 신약개발이 포함 . : 무궁무진한 분야이며 학제간 종합 기술 분야

로 나타남

Page 9: 과학과 비판적 사고

나노 수준에서 다양한 형태로 결합한 탄소

Page 10: 과학과 비판적 사고

나노 기술을 구현하는 방식

톱 다운 (Top-down) 방식 : 조각가처럼 깎아내거나 표면에 덧붙이는 것 예 ) 마이크로칩

바텀 - 업 (bottom-up) 방식 : 스스로 구조를 조립하는 방식 예 ) 탄소 나노 튜브

Page 11: 과학과 비판적 사고
Page 12: 과학과 비판적 사고

주사 터널링 현미경 (STM, Scan-ning Tunneling Microscope)

주사 터널링 현미경으로 원자나 분자를 볼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이들을 변형시킴 .

1990 년 IBM 사는 35 개의 크세논 (Xe) 원자를 하나씩 정확한 위치에 배열함 .

Page 13: 과학과 비판적 사고

주사 터널링 현미경 (STM, Scan-ning Tunneling Microscope)

Page 14: 과학과 비판적 사고

주사 터널링 현미경을 이용해 크세논 원자를 움직여 5 나노미터 높이로 IBM 로고를 세움 .

Page 15: 과학과 비판적 사고

나노 기술의 역사

Page 16: 과학과 비판적 사고

플러렌 (Fullerene) 건축가 ‘버크 민스터’의

이름을 따서 지어짐 분자량 720mg/mol 의

탄소 화합물 , 탄소 60 개로 이루어짐

축구공모양이므로 ‘버키볼’이라 불림

축구공처럼 매우 높은 온도와 압력에도 견디는 매우 안정된 구조

기계적 특성이 우수 , 열전도도 낮고 , 전기 절연성

금속을 추가하면 초전도성을 가짐

Page 17: 과학과 비판적 사고

플러렌의 응용 고온에서도 초전도성이 우수 , 내부에 금속을

함유할 수 있다 ( 저장 장치 )

플러렌이 들어있는 플라스틱은 매우 단단하고 날카로워 절삭도구로 이용됨

내구성이나 내열성을 높이거나 정전기 제거 , 잡음필터로의 응용이 가능

용도 : 윤활제 , 공업용 촉매제 , 초전도체 , 축전지 , 의약품 , 전자 분야 등등

Page 18: 과학과 비판적 사고

나노 기술의 특징

Page 19: 과학과 비판적 사고

1) 탄소 나노 튜브 10 년전 일본 NEC 의 이지마 스미오 박사가

우연히 발견함 탄소 나노 튜브는 최대직경이 수십

나노미터에 불과하면서도 강도는 강철의 100배 , 전기 전도도는 구리와 동일함 .

초소형 전자제품과 컴퓨터 시장을 주도할 미래형 반도체

기술상의 장벽이 하나 둘 허물어지고 있지 만 본격 상용화는 10 년 이후에나 가능할 것으로 예상됨 ( 반도체 메모리 분야 )

Page 20: 과학과 비판적 사고
Page 21: 과학과 비판적 사고

2) 나노 응용 분야 : 나노자성체 (반도체 저장분야)

손톱 만한 디스켓에 수백만 장의 문서를 저장할 수 있는 분야로 자성을 띤 나노 입자 들을 촘촘히 집적해서 만듬 .

입자가 자성을 띠지 않을 때는 0, 전기가 통해 자성을 띠면 1 이 되어 2진법으로 정보를 저장함 .

자성을 가진 입자의 최소 크기는 현재 10 나노미터 정도임 .

Page 22: 과학과 비판적 사고

액체자석 액체 자성체는 ferrofluid

라고도 하며 ,  상당히 재미있는 물질 .

보통 용기에 메탄올을 채워서 그 안에 넣고 다님 .

자성 유체는 직경 10nm ( 나노 밀리 ) 라고 하는 매우 작은 강자성 미립자를 계면활성제로 덮어 , 물이나 기름 등의 용매로 분산시킴

자성유체는 스피커에의 응용 , 또 컴퓨터의 HDD(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 내에 이용되고 있는 도전성 방진 Seal

반도체 제조장치용 진공 Seal 평상시는 ART 의 소재로서

작품의 중요한 부분에 사용됨 .

Page 23: 과학과 비판적 사고

2) 나노 응용 분야 : 나노 재료 배터리에 어떤 물질을

넣으면 배터리를 오랫동안 쓸 수 있을까 ?

산업화가 용이한 새 나노화합물을 만들어 내는 분야임

리튬 이온 배터리용 나노 주석 결정 : 에너지 저장용량 향상

Page 24: 과학과 비판적 사고

2) 나노 응용 분야 : 나노 재료 화장품 , 코팅용 나노 재료

자외선 차단용 나노 재료 화장품

자동차 타이어에 탄소를 박아 윤활성을 높이고 마모를 덜어주는 타이어 코팅용 나노 재료‘카본 블랙’

Page 25: 과학과 비판적 사고

나노 클러스터 구조를 이용한 표면 강화

고효율 선택제 촉매제로 쓰임 .

Page 26: 과학과 비판적 사고

3) 만능 분자 어셈블러

미국의 컴퓨터 과학자 드렉슬러 (kim Eric

Drexler, 1955~) 의 주장 미래에는 만능 분자 어셈블러

(molecular assembler)가 실용화되어 모든 물질의 분자 구조를 자유 자재로 조립하여 어떠한 분자 구조의 물질도 만들 수 있다고 주장 .

자기 조립 : self-assembly 에서 더 나아가 자기 복제

Page 27: 과학과 비판적 사고

만능 로봇 : 인공지능 → 자유롭게 작동 . 자기 복제 가능

세포 내 리보솜 ( 생명체의 어셈블러 ) 실제 존재

현재 수 mm - 수십 ㎛의 마이크로 머신 연구 진행 중

의료분야에의 응용 예 )DNA 의 문제점 치료 , 암세포 파괴

Page 28: 과학과 비판적 사고

만능 분자 어셈블러(Molecular assembler)

Page 29: 과학과 비판적 사고

나노 로봇이 인체에 들어가서 의료 행위에 사용되기 위한 세가지 조건

첫째 , 인체에 들어가서 살아남아야 한다

둘째 , 자신의 임무를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지녀야 한다 .

셋째 , 조립 , 양산을 위해 스스로 자기 복제가 가능해야 한다 .

Page 30: 과학과 비판적 사고

나노 로봇의 특징 첫째 , 크기는 머리카락 굵기의 100 분의 1 에

지나지 않음 둘째 , 모든 부품은 생체 단백질로 구성됨 . 셋째 , 로봇의 동력은 인체 내의 전기를 이용함 넷째 , 몸체에 붙어 있는 70 개의 바이오 센서를

통해 각종 암과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함 다섯째 , 수집된 데이터는 초감도 안테나를 통해

외부로 전송됨 여섯째 , 몸 속의 나노 로봇은 주어진 임무를

수행하고 일주일 후에 자동으로 분해되어 배출됨 .

Page 31: 과학과 비판적 사고

나노 과학의 회색빛 미래 << 먹이 >> 라는 소설

Þ 나노 크기를 가지며 자기 복제가 가능한 로봇을 인간이 과연 기술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를 제기함 .

Þ 진화의 방향이 ‘발전’과 ‘전진’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 시스템의 복잡성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는 생각을 통해 나노 과학 기술에 대한 인간의 통제 가능성에 대해 회의적 .

Page 32: 과학과 비판적 사고

4) 나노 과학이 던지는 잠재적 위험 환경이나 생물에 미치는 영향 : 탄소 나노 튜브를 용액의 형태로 쥐의 폐

조직에 주입 폐에서 응집현상 폐 조직 손상(2003 년 NASA 와 화학 관련 회사 듀퐁 )

: 탄소 나노 입자인 버키볼이 포함된 용액 어류의 뇌세포 조직을 손상시킬 가능성 제기

(2005 년 독성학자인 에바 오베르되르스터 )

Page 33: 과학과 비판적 사고

박테리아에 나노 모터 부착한 경우

나노 입자는 뇌로 들어갈 수 있음

크기가 작으므로 기도에서 걸러지지 않고 바로 폐세포로 들어감

크기가 작을 수록 화학반응을 하는 표면적이 넓어져 없던 독성이 나타날 수 있음 .

Page 34: 과학과 비판적 사고

4) 나노 과학이 던지는 잠재적 위험 군사 목적 기술로 사용될 경우 : 엄청난 파괴력을 가짐 개인 정보의 측면 : 개인의 유전 정보를 비롯한 모든 정보를

한곳에서 독점 자기 조립 기술 : 일반 물리의 지배 뿐만 아니라 양자 역학적

지배도 받기 때문에 예측하지 못한 상황 자기 복제를 통해 생물을 죽일 수도 있음

Page 35: 과학과 비판적 사고

5) 그래핀 (Grephene)

Page 36: 과학과 비판적 사고

안드레 가임과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교수 “ 노벨 위원회는 5 일 올해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로 탄소 원자들이 6 각형 구조로 결합해 원자 하나 두께의 평면을 이루는 그래핀에 대한 선구적인 연구를 수행해온 두 과학자를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2010 년 )

Page 37: 과학과 비판적 사고

그래핀은 흑연에서 가장 얇게 한 겹을 떼어낸 , 탄소 원자가 육각형 형태의 벌집 모양을 한 인공 나노 물질

강철보다 200 배 이상 강하고 구리보다 100 배 이상 전기가 잘 통하는 물리적 , 전기적 특성

단결정 실리콘보다 100 배 이상 전자를 빠르게 이동시킴

빛을 98% 이상 투과 시킬 정도로 투명함

디스플레이와 차세대 반도체 , 자동차와 항공기의 몸체 강화 신소재 등으로 주목 받음

Page 38: 과학과 비판적 사고

그래핀의 상용화

Page 39: 과학과 비판적 사고

(2) 사이보그

■ 생명과학과 기술

뇌 이외의 부분 , 즉 수족 내장 등을 교체한 ․개조인간 .

생물과 기계장치의 결합체를 뜻함 . cyber-netic 과 organism 의 두 단어 합성

이미 근 전류로 움직이는 의족 의수 등 ․생체기능대행 로봇 개발 , 인공심장이식

Page 40: 과학과 비판적 사고

곤충 사이보그

Page 41: 과학과 비판적 사고

■ 인공두뇌

사이보그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임 인간의 두뇌 기능을 수행하는 인공

시스템으로서 인간의 뇌처럼 생각하는 컴퓨터

스스로 생각하고 , 공부하고 ,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도 하는 제 5 세대 컴퓨터가 개발

But, 인간의 지적 활동을 대행하는 기계로 인간의 뇌를 대치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여기는 견해도 있음 .

Page 42: 과학과 비판적 사고

■ 인공두뇌 인간의 두뇌 구조를 모방한 신경망 컴퓨터(Neural Network): 다양한 정보를 직감적이고 종합적이며 병렬적으로 처리함

사용자의 특성을 스스로 학습하고 , 인공 시스템의 학습 능력을 변화된 환경에 적용하거나 , 복잡한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영역까지 확대 .

인공 두뇌에 대한 연구는 현대 과학의 마지막 미개척 분야로서 뇌의 기능과 구조를 밝혀 내어 궁극적으로는 컴퓨터에 생명체의 기능을 적용하여 인간 노동력을 대체하고자 함 .

우리나라의 경우 초기형 인공 두뇌를 개발하여 실제적인 응용 시스템 완성

Page 43: 과학과 비판적 사고

이언 피어슨 (Ian Pearson, 1959~)

2030 년쯤 컴퓨터와 인간의 두뇌가 결합하는 제 3 의 혁명이 일어남

사람처럼 생각하는 뛰어난 인공두뇌의 탄생을 예견

가까운 미래에 컴퓨터와 인간이 결합한 새로운 형의 인간의 탄생 가능성 예측

Page 44: 과학과 비판적 사고

■ 인공지능 인간의 지능적 행위를 시뮬레이션하는 개념과

방법들에 관한 컴퓨터의 한 분야 인공지능 분야의 거두인 Feigenbaum 은 이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 “ 컴퓨터에 의한 언어적 추론의 개념과 방법을

연구하며 추론하는데 사용되는 지식을 언어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연구한다 . 인간이 서로간에 지능적이라고 인식하는 대로 행동하도록 컴퓨터가 만들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추구하는 분야이다 "

Page 45: 과학과 비판적 사고

인공 지능의 한계점 인간의 지능적 과정에는 학습 (learning), 추론

(inference), 교정 (self-correction) 등으로 구성되어 이를 컴퓨터에 구현할 수 있도록 연구되어왔다 . 더구나 무의식중에 얻어지는 상식은 그 양이 방대하여 컴퓨터로 구현하기가 어렵지만 , 이에 관한 연구도 시도되고 있다 .

그러나 인간이 걷고 , 말하고 , 자전거를 타고 , 자동차 운전을 할 때 , 의식적으로 심사숙고해서 의사결정을 하는 것이 아님

인간의 기술은 그 자신의 일부이므로 그 기술을 인지할 필요가 없다는 것은 마치 그가 일상적 동작에서 그 자신의 몸을 움직이는 것을 낱낱이 알 필요가 없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 따라서 인간을 궁극적으로 모방하려는 시도는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

Page 46: 과학과 비판적 사고

(6) 질서와 혼돈의 본성

■ 예측 불가한 혼돈 (CHAOS) 상태

단순화된 질서 파괴되어 혼돈상태로 전 이하는 과정 이해하는 새로운 방법론이 20 세기 후반기인 현재 급속히 발전

전이과정을 분석 결과 혼돈상태는 예측 불가능하고 이해할 수 없는 대상이 아니라 그 속에 전에는 몰랐던 새로운 규칙 성 내재 발견 , 서로 연관된 새로운 질서

Page 47: 과학과 비판적 사고

■ 카오스의 특성

① 초기 값에 관한 민감한 반응

② 나비효과

③ 프랙탈 ( 자기닮음 )

④ 자기조직 ( 생명력 )

Page 48: 과학과 비판적 사고

(2) 질서 속의 혼돈 , 혼돈 속의 질서

■ 동역학과 결정론

고대인은 우주를 혼돈 : 카오스 (chaos) 라는 말은 원래 우주 → 행성의 운동 ( 규칙성 ) → 근대에는 세계가 혼돈이 아니라 질서라는 새로운 사고

결정론 : 초기 조건이 하나로 결정되면 나중의 상태도 정확하게 한가지로 결정된다는 의미 .

Page 49: 과학과 비판적 사고

기원전 8 세기 고대 그리스 시인 헤시오도스 (Hesiodos) 의『신통기 Theogoneia 』

- 질서 정연한 우주가 생기기 이전에 큰 혼돈상태인 카오스 (khaos) → ' 망망한 허공 '

- 카오스로부터 에레보스 ( 어둠 ) 와 뉴크스 ( 밤 ), 가이아 ( 대지 ), 타르타로스 ( 저승 ) → 아이텔 ( 하늘의 빛 , 정기 ) 과 헤메라 ( 땅의 빛 , 낮 ) → 질서의 세계인 코스모스

질서 : 질서가 있다는 것은 곧 예측

Page 50: 과학과 비판적 사고

■ 실제 세계와 혼돈 현상

실제 세계에는 얼른 보기에 결정론적으로 움직이는 것 같지 않은 현상이 많음

혼돈이라고 부르는 것도 자체로는 질서 : 마구잡이 (random) 의 형태가 아닌

놀랄만한 규칙성이 있음을 의미

혼돈 현상의 발견이 제 3 의 혁명이라고 주장 : 새로운 패러다임 (paradigm)

Page 51: 과학과 비판적 사고

파이겐바움의 갈래치기: 결정론적 혼돈

Page 52: 과학과 비판적 사고

■ 혼돈의 의미

혼돈스러운 것도 사실은 이미 그렇게 결정되어 있다는 점에서 실제로는 혼돈스럽지 않다고도 생각할 수 있음

미세한 초기조건의 차이 때문에 결과는 서로 완전히 달라짐 → 이를 현실적으로 보면 마구잡이라고 할 수밖에 없음 → 방정식의 해가 매우 불규칙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

나비효과 (butterfly effect): 행로에 예기치 않은 사소한 일로 미래가 크게 변함

Page 53: 과학과 비판적 사고

◦ 로렌츠의 기상모델

그림 . 초기값에 대한 민감한 반응

Page 54: 과학과 비판적 사고

■ 혼돈과 질서 (프랙탈 )

모든 것이 혼돈스럽기만 한 것이 아니고 그 속에 사실은 놀라운 질서 → 결정론적 혼돈이 만들어 내는 질서의 구조

Page 55: 과학과 비판적 사고

◦ 프랙탈이란?

프랑스의 수학자인 만델브로트 Mandelbrot 는 1967 년 ' 사이언스 ' 에 「

영국을 둘러싸고 있는 해안선의 총 길이는 얼마인가」라는 제목의 글 발표

' 프랙탈 ' 용어는 만델브로트가 IBM 연 구원 근무 중 자신이 연구하던 것들을 책으로 출간하기 위해 책의 제목을 생 각하다가 라틴어의 Fractus 라는 낱말을 발견 , FRAC-TAL 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는 설

Page 56: 과학과 비판적 사고

◦ 프랙탈이란?

프랙탈의 속성 - 자기 유사성 (Self -Similarity) - 순환성 (Recursiveness)

프랙탈의 예 : 고사리 , 코호곡선 , 만델브로트 곡선 등

Page 57: 과학과 비판적 사고

코호 곡선 고사리

Page 58: 과학과 비판적 사고

만델브로프

Page 59: 과학과 비판적 사고

만델브로프

Page 60: 과학과 비판적 사고

세르핀스키

Page 61: 과학과 비판적 사고

■ 기타 혼돈 현상

생물계에도 혼돈현상 : - 심장 박동을 전기 신호로 보는 심전도 - 뇌의 전기 신호를 보는 뇌파

사회현상 : - 경기가 주기적으로 순환하지 않고 때로는 아주

혼돈 , 주식시세가 혼돈

Page 62: 과학과 비판적 사고

■ 혼돈 현상들의 근원

- 외적 강제력의 영향

- 내재적인 요인

Page 63: 과학과 비판적 사고

(3) 질서와 혼돈의 조화

■ 혼돈 현상은 인간의 한계성을 느끼도록 해 주는 주제

- 인간이 제아무리 애를 써도 초기 조건을 완벽 통제 원리적으로 불가능 .

- 현대문명의 여러 병폐 기인 위치 지시

Page 64: 과학과 비판적 사고

■ 질서와 혼돈은 서로 분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호보완적

결정론적인 질서와 달리 혼돈에서는 초기 조건의 조그만 차이로 완전히 다른 결과

사회의 경우 충분한 시간이 지난 후 대체로 안정된 질서의 상태

카오스란 혼돈 , 무질서를 뜻하는 말 , 무질 서의 정반대인 질서가 필연적인 관계 → 카오스는 무한한 질서 , 풍부한 새로운 구조를 자유롭고 역동적으로 자기 조직하는 능력 , 무한한 창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