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학에 대하여

20
언어학에 대하여 2016.02.04 LAB MEETING

Upload: yoonjungwon

Post on 11-Apr-2017

322 views

Category:

Education


3 download

TRANSCRIPT

Page 1: 언어학에 대하여

언어학에 대하여 2016.02.04 LAB MEETING

Page 2: 언어학에 대하여

언어학 정의.방대하게 나눠지는 언어학과 관련된 기본적인 학문들,이것들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발전해왔는데그 가운데 중요한 촘스키의 생성문법!이를 적용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Page 3: 언어학에 대하여

언어학은 '인간의 언어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 의사전달을 목적으로 계획된 기호체계인 인간의 언어를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

출처: http://wikipedia.org, 책 “촘스키, 누가 무엇으로 세상을 지배하는가’

Page 4: 언어학에 대하여

언어학?? 언어학은 무엇인가?

“ 의사전달을 목적으로 계획된 기호체계인 인간의 언어를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

연구목적

인간의 언어를 연구함으로써 인간이 가지고 있는 무의식적인 지식을체계화, 규칙화 시키는 것 (예: 문법)

연구대상

과거와 현재의 모든 언어와 언어전달과정에서 생기는 물리적, 생리적, 심리적 요인,그리고 말을 기록하는 문자에 의한 표기체계 등이 연구 대상.

하위분야

이론언어학 - 음운론(소리의 패턴 연구), 형태론(단어 내부구조 연구), 통사론, 의미론, 화용론…응용언어학 - 사회 언어학, 전산 언어학, 심리언어학, 기호학, 신경언어학

언어학은 '인간의 언어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Page 5: 언어학에 대하여

언어학은 크게 6가지의 세부학문으로 나눌 수 있다.언어학은 큰 골격으로 음성학,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의미론, 화용론 등으로 나눌 수가 있다. 이런 뿌리를 바탕으로 심리언어학, 사회언어학 등 다양한 방면으로 발전해 나아갔다.

음성학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의미론

화용론

주어진 언어 내에서 또는 범언어적으로 소리가 어떻게 기능하는가를 기술하는 학문

단어의 내부 구조에 대한 학문

문장의 구조를 파악하는 학문

단어의 의미와 단어의 조합에 따른 의미 변화에 대한 학문

대화에서 화자의 말이 어떻게 사용되는가에 대한 학문

인간이 발화할 때 그 말소리를 연구하는 학문

예시) 왜 올바른 문장이 되지 않는가?I am a student I a student am

Page 6: 언어학에 대하여

언어학은 크게 6가지의 세부학문으로 나눌 수 있다.언어학은 큰 골격으로 음성학,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의미론, 화용론 등으로 나눌 수가 있다. 이런 뿌리를 바탕으로 심리언어학, 사회언어학 등 다양한 방면으로 발전해 나아갔다.

음성학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의미론

화용론

한 언어내에서 사용되는 언어음성의 기능 및 체계를 연구하는 학문 예) 언어의 음성의 구조를 밝히는 것: 영어 [l] [R] - 한글 [ㄹ]

단어의 내부 구조에 대한 학문

문장의 구조를 파악하는 학문

단어의 의미와 단어의 조합에 따른 의미 변화에 대한 학문

대화에서 화자의 말이 어떻게 사용되는가에 대한 학문

인간이 발화할 때 그 말소리를 연구하는 학문

예시) 왜 올바른 문장이 되지 않는가?I am a student I a student am

언어 음성

Page 7: 언어학에 대하여

언어학은 크게 6가지의 세부학문으로 나눌 수 있다.언어학은 큰 골격으로 음성학,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의미론, 화용론 등으로 나눌 수가 있다. 이런 뿌리를 바탕으로 심리언어학, 사회언어학 등 다양한 방면으로 발전해 나아갔다.

음성학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의미론

화용론

한 언어내에서 사용되는 언어음성의 기능 및 체계를 연구하는 학문 예) 언어의 음성의 구조를 밝히는 것: 영어 [l] [R] - 한글 [ㄹ]

단어의 내부 구조 및 그 구성성분의 분류를 목적으로 하는 학문예) 명사의 복수 men, women은 동사의 복수 are 와는 별개의 것

문장의 구조를 파악하는 학문예) I am a student / I a student am

단어의 의미와 단어의 조합에 따른 의미 변화에 대한 학문

대화에서 화자의 말이 어떻게 사용되는가에 대한 학문

인간이 발화할 때 그 말소리를 연구하는 학문

문법을 구성

언어 음성

Page 8: 언어학에 대하여

언어학은 크게 6가지의 세부학문으로 나눌 수 있다.언어학은 큰 골격으로 음성학,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의미론, 화용론 등으로 나눌 수가 있다. 이런 뿌리를 바탕으로 심리언어학, 사회언어학 등 다양한 방면으로 발전해 나아갔다.

음성학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의미론

화용론

한 언어내에서 사용되는 언어음성의 기능 및 체계를 연구하는 학문 예) 언어의 음성의 구조를 밝히는 것: 영어 [l] [R] - 한글 [ㄹ]

단어의 내부 구조 및 그 구성성분의 분류를 목적으로 하는 학문예) 명사의 복수 men, women은 동사의 복수 are 와는 별개의 것

문장의 구조를 파악하는 학문예) I am a student / I a student am

단어의 의미와 단어의 조합에 따른 의미 변화에 대한 학문예) Hot - cold는 완전한 대립반의어인가? ‘미지근한’도 있는데 그 관계적 의미는?

대화에서 화자의 말이 어떻게 사용되는가에 대한 학문예) “I am a teacher”

인간이 발화할 때 그 말소리를 연구하는 학문

문법을 구성

언어의의미현상

언어 음성

Page 9: 언어학에 대하여

언어학은 크게 4단계로 발전해왔고,

고대 그리스시대~18세기 이전 20세기 초반 20세기 중후반

전통문법 구조주의 언어학 생성언어학

19세기

역사비교언어학

- 역사적으로 언어가 어떻게 바뀌어 왔는지, 서로 비슷한 계통의 언어는 어떻게 형성 되었는지에 대해 연구 - 아우구스트 슐라이허(독일)

- 언어의 논리적 개념으로 문법의 전통 수립

- 언어는 하나의 체계로 존재하기 때문에 개별적인 문법요소보다는 요소 간의 관계를 통해 설명해야 한다.- 소쉬르

- 자연어의 이미 만들어진 표현들을 계속적으로 "만들어내는"(specify or generate) 일종의 규칙들의 집합- 촘스키

Page 10: 언어학에 대하여

전통문법 구조주의 언어학 생성언어학역사비교언어학

- 역사적으로 언어가 어떻게 바뀌어 왔는지, 서로 비슷한 계통의 언어는 어떻게 형성 되었는지에 대해 연구 - 아우구스트 슐라이허(독일)

- 언어의 논리적 개념으로 문법의 전통 수립

- 언어는 하나의 체계로 존재하기 때문에 개별적인 문법요소보다는 요소 간의 관계를 통해 설명해야 한다.- 소쉬르

- 자연어의 이미 만들어진 표현들을 계속적으로 "만들어내는"(specify or generate) 일종의 규칙들의 집합- 촘스키

공시성 (synchrony)통시성 (diachronic)어느 특정한 순간에 체계의 상태를 연구하는 것

시간의 흐름에 따르는 과정을 연구하는 것

언어학을 바라보는 관점이 위치하는 시간축에 따라통시적 연구, 공시적 연구로 나뉜다.

고대 그리스시대~18세기 이전 20세기 초반 20세기 중후반19세기

Page 11: 언어학에 대하여

전통문법 구조주의 언어학 생성언어학역사비교언어학

- 역사적으로 언어가 어떻게 바뀌어 왔는지, 서로 비슷한 계통의 언어는 어떻게 형성 되었는지에 대해 연구 - 아우구스트 슐라이허(독일)

- 언어의 논리적 개념으로 문법의 전통 수립

- 언어는 하나의 체계로 존재하기 때문에 개별적인 문법요소보다는 요소 간의 관계를 통해 설명해야 한다.- 소쉬르

- 자연어의 이미 만들어진 표현들을 계속적으로 "만들어내는"(specify or generate) 일종의 규칙들의 집합- 촘스키

공시성 (synchrony)통시성 (diachronic)어느 특정한 순간에 체계의 상태를 연구하는 것

시간의 흐름에 따르는 과정을 연구하는 것

언어학을 바라보는 관점이 위치하는 시간축에 따라통시적 연구, 공시적 연구로 나뉜다.

고대 그리스시대~18세기 이전 20세기 초반 20세기 중후반19세기

Page 12: 언어학에 대하여

촘스키의 생성언어학(생성문법,변형문법),“인간의 언어는 복잡하고 추상적인 것으로 인간은 무한한 언어를 창조해 낼 수 있다.”

- Noam Chomsky에 의해 1950년대 말에 처음 도입된 언어이론 - 인간의 언어생성능력을 문법의 원형으로 간주하여 이를 규명하고자 하는 태도- 현재까지도 학자들에 의해 수정보완되는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언어학이론

개념

- 인간은 선천적으로 언어 능력(competence)을 타고 났으며, 후천적 학습에 의해 언어 수행(performance)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원칙

- 문장의 구조를 심층 구조(또는 내면구조)와 표층구조(또는 표면구조)로 이원적으로 파악 예) “푸른 하늘을 보자.” -> “하늘이 푸르다”라는 문장과 “하늘을 보자”라는 두 개의 문장이 여러 가지 변형 과정을 거쳐서 표면적으로 “푸른 하늘을 보자”라는 문장으로 나타남

Page 13: 언어학에 대하여

“유한한 규칙으로 무한한 문장의 생성이 가능하게 한다.”

- 문법을 크게 어휘부와 통사부 두 부분으로 나누고, 통사부는 범주부와 변형부로 나뉘는데, 범주부에는 여러 가지 범주 규칙 예) 문장은 명사구와 동사구로 이루어진다고 가정 —-(범주기호로 표현)-—> ‘S→ NP + VP'

규칙

촘스키의 생성언어학(생성문법,변형문법),

하늘 푸르다

Page 14: 언어학에 대하여

그래서 우리가 언어학에서 적용시켜볼 수 있는 응용분야는?

1. 생성문법 + 화용론 +의미론 -> 자연어 처리를 통한 알고리즘으로 피드백 전달

현재 PHR 밴드에서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

Page 15: 언어학에 대하여

1. 생성문법 + 화용론 +의미론 -> 자연어 처리를 통한 알고리즘으로 피드백 전달

현재 PHR 밴드에서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

전산언어학

그래서 우리가 언어학에서 적용시켜볼 수 있는 응용분야는?

Page 16: 언어학에 대하여

1. 생성문법 + 화용론 +의미론 -> 자연어 처리를 통한 알고리즘으로 피드백 전달

1) 전산언어학

자연어 이해 (형태소 분석, 의미분석, 대화분석)로 컴퓨터 입장에서 유의미한 데이터들을

만들어내어 통계적인 모형과 논리적인 모형을 다루는 분야

그래서 우리가 언어학에서 적용시켜볼 수 있는 응용분야는?

Page 17: 언어학에 대하여

1. 생성문법 + 화용론 +의미론 -> 자연어 처리를 통한 알고리즘으로 피드백 전달

그래서 우리가 언어학에서 적용시켜볼 수 있는 응용분야는?

생성문법—> 언어의 카테고리화

: 사람들의 반응과 거기에 대응할 수 있는 표현들을 카테고리화 함

: 예) 쿡쿡 쑤셔요 -> 부종 발생

화용론+의미론—> 언어 담화분석

Page 18: 언어학에 대하여

1. 생성문법 + 화용론 +의미론 -> 자연어 처리를 통한 알고리즘으로 피드백 전달

그래서 우리가 언어학에서 적용시켜볼 수 있는 응용분야는?

생성문법—> 언어의 카테고리화

: 사람들의 반응과 거기에 대응할 수 있는 표현들을 카테고리화 함

: 예) 쿡쿡 쑤셔요 -> 부종 발생

화용론+의미론—> 언어 담화분석

Page 19: 언어학에 대하여

1. 생성문법 + 화용론 +의미론 -> 자연어 처리를 통한 알고리즘으로 피드백 전달

그래서 우리가 언어학에서 적용시켜볼 수 있는 응용분야는?

* 담화분석

- 단일한 분야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며, 심리언어학, 사회언어학, 민속지학 등 다방면에서 접근

- 담화의 주요개념: 응결성 vs 응집성

응결성: 담화나 텍스트 내의 관계를 명시적으로 표시하는 것 (Verschueren, 1999), 시간적 순서응집성: 응결성에 상대되는 개념, 담화나 텍스트를 연결해주는 의미상의 조건

- 담화에 대한 접근방법

담화분석: 화행이론 (ex:발화행위, 발화효과행위), 화용론 (ex:문맥적 집중, 대화상의 함축)대화분석: 상호작용적 사회언어학, 의사소통의 민족지학 (ex: 인류학 이론과 언어적 이론의 차이), 대화분석, 다양성 분석

Page 20: 언어학에 대하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