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생 생존가이드

60
공동 작성: 김진우, 성상현, 이승훈, 이주석(ㄱㄴㄷ순) 최종 편집: 이승훈 Graduate School Survival Guide.

Upload: postech

Post on 11-Apr-2017

378 views

Category:

Career


1 download

TRANSCRIPT

공동 작성: 김진우, 성상현, 이승훈, 이주석(ㄱㄴㄷ순)

최종 편집: 이승훈

Graduate School Survival Guide.

연구 너란 어려운 개새끼...

연구 너란 어려운 개새끼...

지옥에 온걸환영해요

그렇다면

연구란 무엇인가

연구란 무엇인가

현재 사회에 존재하는문제를 해결하는 것

아직 인식되지않는(그러나 발생할) 문제를 제기하는 것

사실이나 원리를 발견하기위해 수행되는 특정주제, 분야 또는 문제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방법

연구란사실이나원리를 발견하기위해 수행되는 특정 주제, 분야 또는 문제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방법

이제까지 해결되지않았고, 해결시 그 가치가분명한 문제를 대상으로 다양한이론 및 방법론을활용하여 본인이원하는 결과를 도출해내고 이를 발표하는 것

과학적인 방법을활용하여기존의 연구 결과 및 실험 결과들에대해 비판적으로고민함으로써, 새로운 가치 및 진리를 추구하는과정

연구란 무엇인가

기존에있던문제를새롭게(더 좋게) 푸는 것

현재 사회에 존재하는문제를 해결하는 것

아직 인식되지않는(그러나 발생할) 문제를 제기하는 것

사실이나 원리를 발견하기위해 수행되는 특정주제, 분야 또는 문제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방법

연구란사실이나원리를 발견하기위해 수행되는 특정 주제, 분야 또는 문제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방법

이제까지 해결되지않았고, 해결시 그 가치가분명한 문제를 대상으로 다양한이론 및 방법론을활용하여 본인이원하는 결과를 도출해내고 이를 발표하는 것

과학적인 방법을활용하여기존의 연구 결과 및 실험 결과들에대해 비판적으로고민함으로써, 새로운 가치 및 진리를 추구하는과정

연구란 무엇인가

기존에있던문제를새롭게(더 좋게) 푸는 것

현재 사회에 존재하는문제를 해결하는 것

아직 인식되지않는(그러나 발생할) 문제를 제기하는 것

사실이나 원리를 발견하기위해 수행되는 특정주제, 분야 또는 문제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방법

연구란사실이나원리를 발견하기위해 수행되는 특정 주제, 분야 또는 문제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방법

이제까지 해결되지않았고, 해결시 그 가치가분명한 문제를 대상으로 다양한이론 및 방법론을활용하여 본인이원하는 결과를 도출해내고 이를 발표하는 것

과학적인 방법을활용하여기존의 연구 결과 및 실험 결과들에대해 비판적으로고민함으로써, 새로운 가치 및 진리를 추구하는과정

만약 풀만한문제가 없다면?

연구란 무엇인가

기존에없던문제를제시하는 것

기존에있던문제를새롭게(더 좋게) 푸는 것

현재 사회에 존재하는문제를 해결하는 것

아직 인식되지않는(그러나 발생할) 문제를 제기하는 것

사실이나 원리를 발견하기위해 수행되는 특정주제, 분야 또는 문제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방법

연구란사실이나원리를 발견하기위해 수행되는 특정 주제, 분야 또는 문제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방법

이제까지 해결되지않았고, 해결시 그 가치가분명한 문제를 대상으로 다양한이론 및 방법론을활용하여 본인이원하는 결과를 도출해내고 이를 발표하는 것

과학적인 방법을활용하여기존의 연구 결과 및 실험 결과들에대해 비판적으로고민함으로써, 새로운 가치 및 진리를 추구하는과정

만약 풀만한문제가 없다면?

연구란 무엇인가

기존에없던문제를제시하는 것

기존에있던문제를새롭게(더 좋게) 푸는 것

현재 사회에 존재하는문제를 해결하는 것

아직 인식되지않는(그러나 발생할) 문제를 제기하는 것

사실이나 원리를 발견하기위해 수행되는 특정주제, 분야 또는 문제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방법

연구란사실이나원리를 발견하기위해 수행되는 특정 주제, 분야 또는 문제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방법

이제까지 해결되지않았고, 해결시 그 가치가분명한 문제를 대상으로 다양한이론 및 방법론을활용하여 본인이원하는 결과를 도출해내고 이를 발표하는 것

과학적인 방법을활용하여기존의 연구 결과 및 실험 결과들에대해 비판적으로고민함으로써, 새로운 가치 및 진리를 추구하는과정

결국연구는 과거와 현재의지식을 연결하는 작업

그렇다면

연구자란 무엇인가

연구자란 무엇인가.

(앞서 설명한)연구(라고 불리는 것)를 하는 사람

연구자란 무엇인가.

(앞서 설명한)연구(라고 불리는 것)를 하는 사람(그러나, 이렇게 설명하면 너무 모호함)

우리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우리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오늘 논문을 읽은 사람

그리고

연구 문장을 쓴 사람연구자 =

오늘 논문을 읽은 사람

그리고

연구 문장을 쓴 사람연구자 =

사람의 직업은 특정 정의가아닌, 오늘한일로 결정(바쁠 때라도 abstract정도는 읽는 것은 습관화하는것이 중요)

우리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대학원생 == 연구자)?

그렇다면?

(대학원생 == 연구자)?

반은 맞고, 반은 틀림

그럼 대학원생은 연구자인가?

냉정히말해서,

대학원생이 스스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능력이 있다고 보기는 어려움

(특히, 저년차의 경우)

냉정히말해서,

대학원생이 스스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능력이 있다고 보기는 어려움

(특히, 저년차의 경우)

대학원생 = 연구자가 되기 위한과정

그럼 대학원생은 연구자인가?

대학원생

(좁은 의미에서는) 교수님의 연구를 수행하는 사람

또한

자신이 속한 연구실의 기존 Context 하에서연구를 수행하는 사람

=

따라서

그럼 대학원생은 연구자인가?

대학원생그냥

잘못된 선택을한사람=

어쩌면

그럼 대학원생은 연구자인가?

그럼 대학원생은 연구자인가?

대학원생그냥

잘못된 선택을한사람=

어쩌면

ㅠㅠ

어쨌든,

대학원생이 되면

연구를 해야함

어쨌든,

대학원생이 되면

연구를 해야함

그런데,

연구를 하려면

연구주제가 필요함

어쨌든,

대학원생이 되면

연구를 해야함

그런데,

연구를 하려면

연구주제가 필요함

따라서,

대학원생은

연구주제가 필요함

+ =

어쨌든,

대학원생이 되면

연구를 해야함

그런데,

연구를 하려면

연구주제가 필요함

따라서,

대학원생은

연구주제가 필요함

(소름 돋는 삼단논법)

+ =

연구 주제는 어떻게 찾는가.

일반적으로 대학원에서의 연구주제는 선배들의 연구 주제에서 심화

랩 선배들의 논문들(레퍼런스 포함)을 지속적으로 읽고 궁금한 점들, 한계점을명확히짚어나가는 것이 연구주제를찾는하나의방법

또한산업계/학계의최신분야를 지속적으로파악하는것이 필수적.

산업계 주요 동향을 파악하고, 현재 산업계에서 풀지 못하는 문제, 한계 등을파악(연구 주제 선정)하고, 자신이 어떻게새롭게 풀어낼 것인지계속 고민.

주요 저널들에 실리는 프로세스 관련최신 논문들을읽으면서 전체연구동향을파악

– 연구도 유행에 따라서변함.

– 물론 전체 연구동향을파악하는것은연차가 좀 쌓여야 가능함.

• 조급하게 생각하지 말 것.

연구 주제는 어떻게 찾는가.

사실, 연구주제만잘잡으면 정작 연구는쉬움

연구 주제는 어떻게 찾는가.

사실, 연구주제만잘잡으면 정작 연구는쉬움

다시 말하면,

연구주제를잡는 것이개어렵다는 소리

연구 주제는 어떻게 찾는가.

좋은 논문을 꾸준히 깊게, 많이비판적으로 읽다 보면 어느 순간 보임(연구에는 정말 왕도가없음)

연구 주제는 어떻게 찾는가.

좋은 논문을 꾸준히 깊게, 많이비판적으로 읽다 보면 어느 순간 보임(연구에는 정말 왕도가없음)(사실 나도잘안보이뮤ㅠ)

연구 주제는 어떻게 찾는가.

그렇다고,

연구를 너무 어려워해서는 안됨

연구 주제는 어떻게 찾는가.

그렇다고,

연구를 너무 어려워해서는 안됨

‘좋은 논문’을 쓰는 방향자체를 목적에,

처음부터 ‘좋은 논문’을 쓰려고 하면체함

연구 주제는 어떻게 찾는가.

일단 스스로 풀 수 있는아주 ‘작은 문제’를 설정하고, 이를 풀어가며, 대학원 과정에서 자신감을 붙이는 것이 중요

연구 주제는 어떻게 찾는가.

일단 스스로 풀 수 있는아주 ‘작은 문제’를 설정하고, 이를 풀어가며, 대학원 과정에서 자신감을 붙이는 것이 중요

(수업 프로젝트들을활용하며 시험해보는것이 좋음)

논문은 어디서 어떻게찾는가

좋은 논문 찾는 방법.

1. (저년차에는) 연구실 선배들 논문을 읽으며 연구실 Context를 파악

필요하다면각 논문별로 Reference를확인해가면서읽을것

적당히읽지말고, 이 논문이 전달하려는 ‘메세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

좋은 논문 찾는 방법.

2. (이제 아주 조금은 알겠거나, 혹은 지겹다 싶으면) Web-DB에서 검색

Google Scholar/Sciencedirect/Scopus에서연구실 주요 키워드로 검색

(개인적으로는)Google scholar가가장 유용함

– Google Scholar Alert: 주요 저자의 관련 논문게재 시 메일로 공지

좋은 논문 찾는 방법.

3. (연구주제가 어느 정도 명확해지면) Key-paper 중심으로 Back-tracking

연구자/연구기관/저널별로 Grouping하며 읽는 것이 중요

좋은 논문 찾는 방법.

4. (논문이 대략적으로 작성되었으면)논문 투고 Target 저널 중심으로 논문을 검색

그 동안 읽은 논문들이 주로 어떤 저널/컨퍼런스에 게재되었는지확인

Acceptance rate를 높이기 위해, target 저널 중심으로레퍼런스를 보완하는 것이 필요

Journal, Proceeding, SCI, Impact Factor

Journal: 연구자가 연구분야에 맞게, 저널에 투고하고, 저널편집위원(reviewer)의 리뷰과정을 거쳐 수록되는 저널

SCI급: Science Citation Index, 과학인용색인

– 저널을 평가하여특정 기준을 통과한 저널들의 목록 ==> 괜찮은 저널 목록

– 그러나, SCI급이라고무조건 좋은 저널도, 아니라고 나쁜 저널도 아님.

• 저널별로 고유한 특성이 있음.

SCOPUS급: SCI에 비해 조금 덜 괜찮은과학 저널 목록

Impact factor: 이전 2년 동안 해당 저널에 출판되었던 논문들의인용횟수평균값

Proceeding: Conference 발표 논문들이 게재되는 논문집

Journal, Proceeding, SCI, Impact Factor

Journal: 연구자가 연구분야에 맞게, 저널에 투고하고, 저널편집위원(reviewer)의 리뷰과정을 거쳐 수록되는 저널

SCI급: Science Citation Index, 과학인용색인

– 저널을 평가하여특정 기준을 통과한 저널들의 목록 ==> 괜찮은 저널 목록

– 그러나, SCI급이라고무조건 좋은 저널도, 아니라고 나쁜 저널도 아님.

• 저널별로 고유한 특성이 있음.

SCOPUS급: SCI에 비해 조금 덜 괜찮은과학 저널 목록

Impact factor: 이전 2년 동안 해당 저널에 출판되었던 논문들의인용횟수평균값

Proceeding: Conference 발표 논문들이 게재되는 논문집

Journal, Proceeding, SCI, Impact Factor

Journal: 연구자가 연구분야에 맞게, 저널에 투고하고, 저널편집위원(reviewer)의 리뷰과정을 거쳐 수록되는 저널

SCI급: Science Citation Index, 과학인용색인

– 저널을 평가하여특정 기준을 통과한 저널들의 목록 ==> 괜찮은 저널 목록

– 그러나, SCI급이라고무조건 좋은 저널도, 아니라고 나쁜 저널도 아님.

• 저널별로 고유한 특성이 있음.

SCOPUS급: SCI에 비해 조금 덜 괜찮은과학 저널 목록

Impact factor: 이전 2년 동안 해당 저널에 출판되었던 논문들의인용횟수평균값

Proceeding: Conference 발표 논문들이 게재되는 논문집

Journal, Proceeding, SCI, Impact Factor

Journal: 연구자가 연구분야에 맞게, 저널에 투고하고, 저널편집위원(reviewer)의 리뷰과정을 거쳐 수록되는 저널

SCI급: Science Citation Index, 과학인용색인

– 저널을 평가하여특정 기준을 통과한 저널들의 목록 ==> 괜찮은 저널 목록

– 그러나, SCI급이라고무조건 좋은 저널도, 아니라고 나쁜 저널도 아님.

• 저널별로 고유한 특성이 있음.

SCOPUS급: SCI에 비해 조금 덜 괜찮은과학 저널 목록

Impact factor: 이전 2년 동안 해당 저널에 출판되었던 논문들의인용횟수평균값 ==> 그냥 높으면 좋은 저널.

Proceeding: Conference 발표 논문들이 게재되는 논문집

Journal, Proceeding, SCI, Impact Factor

일반적으로는

(물론 특정학과는컨퍼런스가 저널보다 중요, 예를 들면 컴공)

Conference에서 발표된 논문이수정/보완/확장되어 Journal에 게재

(따라서, Proceeding이 조금 더 Trendy함)

Proceeding은 참고만 하고, Journal 중심으로 읽는 것이 좋음

Journal, Proceeding, SCI, Impact Factor

일반적으로는

(물론 특정학과는컨퍼런스가 저널보다 중요, 예를 들면 컴공)

Conference에서 발표된 논문이수정/보완/확장되어 Journal에 게재

(따라서, Proceeding이 조금 더 Trendy함)

물론 특정학과(예를 들면 컴공)는Conference가 Journal보다 중요

Journal, Proceeding, SCI, Impact Factor

일반적으로는

(물론 특정학과는컨퍼런스가 저널보다 중요, 예를 들면 컴공)

Conference에서 발표된 논문이수정/보완/확장되어 Journal에 게재

(따라서, Proceeding이 조금 더 Trendy함)

Proceeding은 참고만 하고, Journal 중심으로 읽는 것이 좋음

그럼 논문은 어떻게 하면잘 읽나요?

그럼 논문은 어떻게 하면잘 읽나요?

지름길 같은 거, 그딴 거 없음.

그럼 논문은 어떻게 하면잘 읽나요?

지름길 같은 거, 그딴 거 없음.

그래도 굳이 Tip을 주자면

처음에 논문이 낯설고 어려운 이유

1. 죄다영어라서 모르겠음

2. 관련배경지식이 없어서

둘 중에서 정답은?

처음에 논문이 낯설고 어려운 이유

1. 죄다영어라서 모르겠음(O)

2. 관련배경지식이 없어서(O)

처음에 논문이 낯설고 어려운 이유

1. 죄다영어라서 모르겠음(O)

적응의문제, 연구자의길로 들어온 이상, 계속마주쳐야하는문제

틈틈히 영어 공부를계속 하는것밖에답이 엄슴

– 물론 많은 경우 영어실력의 문제가 아닌배경지식의 문제

처음에 논문이 낯설고 어려운 이유

2. 관련배경지식이 없어서(O)

조급해 하지말고, 천천히읽는 것이 중요.

– 하나의 논문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접근.

• 논문은 정답이 아님. 하나의 가설임.

• 다만, 논리적으로 Detail하게까는 것이 중요함.

처음에 논문이 낯설고 어려운 이유

2. 관련배경지식이 없어서(O)

정말모르겠으면, 한글로된 논문을 찾아서 전체내용을 훑어 보는 것이 편할 수도 있음

– 그러나, 영어로 지식을 습득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중요하므로, 가급적 비추천

처음에 논문이 낯설고 어려운 이유

2. 관련배경지식이 없어서(O)

어느 정도 논문 읽는 것에익숙해지면, 저자, 기관, 저널 등도 눈 여겨 볼 것

– 논문=‘특정 연구기관’의 ‘특정연구자’가 ‘특정저널’에 제출

연구자/연구기관/저널또한중요한 정보

그러나, 논문을 이해하는 건 어려워도,

까먹기는 너무 쉬움

논문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려면

1. 논문 읽고의식적으로중요한내용을 정리

주요 문장, 주요 figure, Graphical Abstract 작성 등

이 부분은 저년차부터 좋은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음

2. 주기적으로과거에읽은 논문들을 Remind

3. 다양한 Tool(Evernote 등)을 활용

그러나 Tool은 Tool일 뿐.

Any Question?

Feedback은언제나 환영합니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