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52

Upload: others

Post on 20-Mar-2020

5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1)

田 炯 權(昌原大)

Ⅰ 序 言

Ⅱ 米價와 物價 變動

1 米價 변동

2 物價 변동

Ⅲ 物價변동의 원인

1 수요측면

2 화폐문제

3공급기타

Ⅳ 物價와 景氣(생활)

1穀賤傷農과 不況

2생활경기의 발달

Ⅴ 結 言

Ⅰ 序 言

물가의 변화는 경제 현상의 변동을 구체적 수치를 통해서 체계적으

로 보여 준다는 면에서 대단히 주목되는 주제이다 물가의 변동은 해

당시기 경제 주체들간의 합리적인 행동 선택과 관계설정을 추구하는

과정이라 볼 수 있다 또 물가는 민중의 생계와 생활에 직결되는 것으

로 그 변동은 생활 수준을 추측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주로 淸代 前

期 江南의 물가 변동을 중심으로 중국 물가사를 연구한 岸本美緖는 物

價史연구 성과와 구체적 소개를 lsquo物價史 硏究의 珼狀과 課題rsquo 라는 절

로서 잘 요약하고 있다1) 중국에서 출간된 譚文熙의 中國物價史는

이 논문은 2011-12년도 창원대학교 교내 연구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1) 岸本美緖 淸末前期の物價と經済变動 (東京 硏文出版 1997) 제1장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90방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데 각 지역의 지방지나 日記류 등 여러 자

료에서 가격을 찾아내고 지역간 차이를 무시한 채 時 계열의 물가사를

구성하고 있다2)

物價史 연구의 어려움은 우선 구체적인 물가 기록자체가 매우 드물

다는 것이다 단편적인 물가 기록을 이용하여 체계를 갖추고자 할 때

당면하는 문제는 화폐와 도량형의 불통일이다 따라서 지역간 격차를

무시한 채 물가사 구성을 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고 설득력이 떨어지는

일이다 청말에서 민국기에 걸쳐서는 스페인 멕시코에서 유입된 외국

銀元과 국내의 銀兩 制錢 銅元 등 다양한 화폐가 혼용되고 있어 상호

비교를 어렵게 하고 있다3)

도량형의 경우도 너무 복잡 다양하여 諸家의 연구서가 상이한 표준

들을 제시할 뿐 개별 지역으로 들어가면 환산 가능한 계산표를 만들지

못하고 있다4)

이런 자료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호남과 관련된 물가 연구도 일부

행해지고 있다 淸初 揚子江 중류 지방의 米価 변동에 대한 연구가 있

고5) Wong amp Perdue의 호남 곡물 가격 연구가 있다6) Perdue의 연구

에서는 18세기 전 기간 호남의 米価가 거의 변함이 없는 것으로 되어

있어 이용된 史料 糧価淸單의 신빙성이 의심된다 근대 양식 상업 조

직 및 통계 기구의 기록을 이용하여 장강 중하류 지역의 米価 변동을

조사한 論考도 있다7)

2) 譚文熙 中国物價史 (武漢 湖北人民出版社 1994)

3) 邱思達 中国近現代鑄幣圖說 (北京 中国書店 1989) p1

4) 吳承洛 中国度量衡史 (北京 商務印書館 1937) 梁方仲 中国歷代戶口田地

田賦統計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1980) 洪成和 淸代度量衡硏究史 (中國史

硏究 54 2008) 18世紀 中國 江南地域의 화폐사용관행 (明淸史硏究 362011)

5) 鄭哲雄 淸初 陽子江 三省지역의 미곡 유통과 가격구조 (歷史學報 1431994)

6) Wong amp Perdue ldquoGrain Markets and Food Supplies in Eighteenth Century

Hunanrdquo (T G Rawski Chinese History in Economic PerspectiveCalifornia Univ Press 1992)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91또 도량형 문제 穀米折算 문제 銀錢折算 문제 米価 대표치 등 여

러 가지 한계를 고려하면서 18세기 兩湖지역 米価의 변동을 정리한 것

이나8) 米価 변화를 통해서 淸代 兩湖의 人地 관계와 농업 발전을 추

적한 것도 있다9)

연구 대상 지역을 좁혀서 縣이나 府 범위를 한정하여 물가 변동을

고찰하거나10) 상품유통과 관련하여 부분적으로 米価와 物価를 연구한

것도 있다11)

本考를 구성하게 된 동기는 長沙에서 발행된 湘報에서 1898년 당

시 매일의 물가 기록을 발견하게 된 것이다12)

매일의 물가 기록은 淸末에는 거의 찾아보기 어려운 희귀한 자료이

다 여기에 지방지와 기타 史料를 종합하여 대체로 淸末民國期 그 중

에서 주로 同治(1862-74) 이후 民國25年(1936)까지를 분석 대상으로

한 물가사를 구성해 보고자 한다

本考의 문제의식은 이 시기 물가 변동의 궤적은 어떠하였으며 어떤

특징인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또 통설과 같이 이 시기에 제국주의 침

략이 날로 심화되었으며 물가 상승폭이 날로 증대되어 인민생활은 더

욱 빈곤하게 되었는가13) 근대 농산 상품화의 발전이 도리어 농촌의

빈곤을 가중시켰는지를 탐색해 보는 것이다14)

물가사가 일차적으로 물가의 등락 변동을 추적하는 것이지만 단순

7) 侯楊方 長江中下流地區米穀長途貿易 1912-1937 (中国經済史硏究 1996年2期)

8) 龔勝生 18世紀 兩湖糧価時空特徵硏究 (中国農史 1995-3)9) 龔勝生 淸代兩湖農業地理 (武昌 華中師範大學出版社 1996) pp270-287

10)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 91998)

11)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 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12) 湘報 (北京 中華書局 2006)

13) 譚文熙 앞의 책 p256

14) 徐正元 中国近代農産商品化的發展與米市的形成 (復印報刊經濟史 1997-3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92하게 명목 수치만을 제시하는데 그칠 것이 아니라 상대 물가를 파악하

여 실질적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 岸本美緖의 경제 변동론적 관

점을 시야에 넣고서 이 시기 물가 변동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

이 본고의 문제의식이다

Ⅱ 米價와 物價 變動

1 米價 변동

1) 단기 변동

米價의 단기 변동은 우선 계절 변동을 생각할 수 있다 全漢昇과

kraus는 蘇州 織造 李煦의 奏摺에서 추출된 1713-19년의 蘇州 米価와

1913년-19년의 上海의 매월 米価를 비교하여 200년의 간격에도 불구하

고 兩者의 계절 변동폭이 유사하다는 것을 밝힌 바 있다15) 陳春聲은

1751-70년의 廣州 米価와 1931-36년의 廣州 米価의 계절 변동폭을 비

교한 끝에 前者의 계절 변동 폭이 後者보다 약간 적다는 결론을 내고

있다16) 이들 所論은 18세기 米糧 교역망과 시장 통합성을 높이 평가

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나 어떤 측면에서는 교통과 수송수단의 발달

상업의 발달이라는 역사의 전진 방향과는 맞지 않는 결론이라 생각이

된다 호남지역에서도 乾隆(1736-1795) 시기에 비하여 同治(1862-1874)

光緖(1875-1908) 시기의 계절 변동 폭이 크다고 하고 그 이유는 인구

증가와 더불어 상인 작용의 차이가 있었다는 지적도 있다17) 이 역시

청 말에 미곡 장거리 무역 종사의 상인 활동이 18세기 보다 미약해 졌

다는 인식인데 쉽게 수긍하기는 어렵다

15) 岸本美緖 앞의 책 pp31-32

16) 위의 책 p33

17) 張麗芬 湖南省米糧市場産銷硏究(1644-1937) (台北 1990) pp241-242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93

上白米 石155斤 次白米 石152斤 中米 石150斤

1石価 1斤価 石価 斤価 石価 斤価

-310 3000(文) 1935(文) 2900(文) 1908(文) 2800(文) 1867(文)

311-320

321-331 3005 1938 2902 1912 2800 1867

401-410 3070 1981 2970 1954 2810 1874

411-420 3240 2090 3140 2066 3040 2027

421-430 3450 2226 3350 2204 3250 2167

501-510 3660 2361 3560 2342 3450 2299

511-520 3620 2337 3522 2317 3422 2282

521-531 3630 2342 3530 2322 3430 2287

601-610 3425 2210 3325 2188 3225 2150

611-620 3456 2230 3356 2208 3256 2171

621-630 3500 2258 3400 2237 3300 2200

701-710 3631 2343 3531 2323 3431 2287

711-720 3881 2504 3775 2484 3681 2454

lt表1gt 1898年 長沙 米価 (3月-7月)

lt표1gt과 lt표2gt는 湘報에 수록된 1898년 長沙의 米価 변화를 나

타낸 것이다18)

3月부터 7月까지 약 140일간의 매일 물가 변화를 10일간씩 평균하여

제시한 것이다 米穀 1石의 斤数가 長沙는 〇〇斤이라는 통념은 성립

되기 어려운 것 같다 여기에 제시하지 않은 穀價는 河東穀과 河西穀

으로 나뉘어 1石의 斤数가 서로 다를 뿐 아니라 시기에 따라 수시로 1

石의 斤数가 바뀌고 있다19)

18) 湘報 長沙各物時價表

19) 하동곡은 35-515일까지는 1石=124斤 516-613일까지는 1石=120斤 614-

719일까지는 1石=116斤임 하서곡은 35-327일까지는 1石=100斤 328-411일

까지는 1石=126斤 412-515일까지는 1石 100斤 516-613일까지 1石= 124斤

614-719일까지는 1석=120斤임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94米価도 上白米 次白米 등 품질에 따라 1石의 斤數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lt圖1gt 長沙米價 石文

lt圖1gt은 lt표1gt을 그래프로 바꾼 것이다 이것을 보면 米価는 5월

10일 사이에 가장 높고 6월 10일경에 급락했다가 그 후에 상승하고 있

다 圖1)에서 보면 3月에 낮았던 米価가 4月부터 상승하여 5月 초순에

최고가에 도달하고 5月末의 高価를 거쳐 6월 초순에 급락하고 있다 6

月 중순부터는 다시 상승 궤도를 그리고 있다 6月 초순의 급락은 湘報에 실린 6月 9日 기사와 관련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武漢에서 米

価가 공급 부족으로 갑자기 올랐는데 호남미가 도착하여 산처럼 쌓였

다는 것과 그후 하류지역으로 米穀 放出을 금지하니 米価가 急落하였

다는 사정이 나타나고 있다20) 이 시기는 雜糧의 등장 시기와도 맞물

20) 湘報 光緖 24年 4月21日(6月9日) 米価跌落 ldquo現今湘米到漢 聚積成山 一律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95리고 있지만 6月 중순 이후의 米価 상승을 설명하기는 어렵다 同治9

年-10年의 長沙의 米価 변동은 4⟶5⟶6월은 상승하고 6⟶7⟶8⟶9月은

하락 9 10 11 12 1 2는 평온 2⟶3⟶4는 상승 기조를 보이고 있다

동치 9년-13년의 長沙米価는 2⟶3⟶4⟶5月은 상승하고 5⟶6月은 하락

6⟶7⟶8月은 맹렬 하락 9 10 11 12 1 2월은 평온을 나타내고 있

다21) 同治2年(1863) 長沙府知府 丁宝楨이 마련한 lsquo積穀收放賑借章程rsquo에

의하면 5월 某日에 곡식을 대여하고 8월 某日에 거두어들인다고 되어

있다22)

湖南省 經濟調査所의 조사에 의하면 長沙府 각 縣의 中稻 수확 시

기는 長沙縣의 8월 하순을 비롯하여 대부분 8月 이후이다 早稻도 長

沙縣의 7월 중순을 시작으로 거의 7월 중하순에 집중된다23) 드물게 6

月초에 早穀의 등장을 알리는 기사가 있지만 보편적인 것은 아니었다

고 생각된다24)

湘報의 물가 기록은 매일을 기록 대상으로 하였지만 아쉽게도 7

月 20日까지만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1년 전체의 변동 내용은 알 수

없다 3月에서 7月까지의 변동폭을 보면 上白米는 3月 1石당 3000文에

서 7月 3881文으로 편차는 294 次白米는 3月 2900文에서 7月 3775

文으로 편차는 302 中米는 3月 2800문에서 7月 3681文으로 편차는

315이다 3月에서 7月간의 변동폭은 中米의 315가 가장 크고 전체

로서는 대략 30 내외이다 1月에서 12月까지를 고려하면 이 계절 변

동폭은 이 보다 훨씬 더 클 것이라 생각된다

수확 시기의 다양화와 雜糧 재배의 확대 등은 稻穀 수확의 계절적

차이만으로서는 정형화된 米価의 변동을 확정 짓기 어렵게 하는 요인

이었다고 생각된다 湘報에 실린 동일 해의 사정을 보면 전년의 秋

禁止出運下遊 米商業已停辦 所以米価跌落rdquo

21) 張麗芬 앞의 책 pp244-246

22) 同治10年刊 安化縣志 권33 時事記

23) 張人价 編 湖南の穀米 9 (東京 生活社 1940) pp13-21

24) 同治10年刊 攸縣志 권53 祥異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96收가 평상년이었는데 동년 봄에 곡가가 갑자기 올랐다 곧 다시 평온을

되찾았다고 한다25) 1927년의 湖南 米価가 수확 이전에는 1石당 13元

이었는데 수확 후 5元으로 하락하여 615 변동폭이었다는 보고도 있

다26) 湖南の穀米에 의하면 民國17年(1928)년 이전에는 신뢰성 있는

기록이 드물다고 하면서 민국17년(1928)년 부터 24년(1935)까지 8년간

매 月의 米価 기록을 제시하고 있다27) 그 내용을 보면 민국17년은

520(1月) 827(12月)로 변동폭 590 민국18년은 722(7) 970(12)로

343 민국19년은 719(11) 1264(7)로 758 민국20년은 854(1)

1194(9)로 398 민국21년은 627(12) 1294(2)로 1064 민국22년

(1933)은 522(8) 674(1)로 291 민국23년(1934)은 531(3) 916(9)로

725 민국24년(1935)은 916(12) 1118(6)으로 221의 변동폭을 보이

고 있다 米価 최저 月은 1 7 11 1 12 8 3 12月이고 최고 月은 12

12 7 9 2 1 9 6月로 매우 다양하다

민국17년(1928)은 590로 변동폭이 크다 이 해는 군벌 唐生智의

군대가 양자강을 따라 남하하여 長沙로 향하고 남경 정부는 李宗仁軍

이 북상하여 南北軍이 대결한 전쟁 상황이었다28) 민국19년(1930)은 毛

澤東軍이 7월 27日 長沙를 점령 장사소비에트를 건설한 해 이다 이

해 7月이 최고가를 보이고 변동폭이 758나 된 것은 까닭이 있었던

셈이다 민국21年(1932)은 6월부터 4차 圍剿战이 전개 되었고 7月에는

大풍년이 되었다 변동폭이 1064나 된 것도 원인이 있었다 민국 23

년(1934)은 역시 紅軍과 국민당軍의 국지적 대결이 고조된 시기였는데

725의 변동폭을 보이고 있다29) 이상을 종합해 보면 전쟁 상황과 같

은 특수한 사정의 해를 제외한 평상년에서는 대략 20에서 30대의

변동폭을 보이고 있다 그러면서 米穀 수확 시기와 관련된 정형화된

25) 湘報 89號 長沙縣 職員 常達邦 呈批 ldquo且上年秋收 尙得中稔 本年春間 穀価

偶漲 旋卽平減rdquo

26) 章有義 中国近代農業史資料 제2권 p520

27) 張人价 앞의 책 pp89-96

28)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29) 民國30年刊 寧鄕縣新志 卷1 縣年記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97패턴이 약화되고 있다

앞서 lt표1gt과 lt圖1gt 등에서 본 1898年의 변동폭이 3月rarr7月까지만

의 기간이라 全年 기준으로는 315보다 훨씬 클 것이라는 추론을 해

보았다 그렇다면 민국시기 평상년의 변동폭 20-30는 종전에 비해

감소된 것이 아닐까 생각해 볼 수 있다

계절 변동폭을 줄이는 요인 중 하나는 雜糧 재배의 확대라고 생각

된다 호남 城步縣에서 知縣 盛溢源이 雜糧 재배를 장려하여 米価를

내리려고 했던 것은 同治 년간의 일이다30) 兩湖農業地理를 보면 고

구마 재배 확대를 알리는 府縣志 35개 중에 27곳이 同治 년간 간행 지

방지이다 옥수수는 51개 중에 27곳이 同治 년간 지방지이다31) 호남일

대에서 잡량 재배의 확대는 19세기 후반의 일이다 이것을 보면 18세

기의 米価 계절 변동 보다는 청말민국기의 편차가 적어야 할 것이다

雜糧은 가정의 自給用이거나 지방 소시장의 교역품이라는 통념과 달리

민국시기에는 漢口에 수출되는 장거리 商品糧이 되고 있다32) 다음으

로 洋米 수입 증가를 생각할 수 있다 米価 변동에 洋米 수입 증가가

영향을 주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33) 또 洋米 수입이 거의 3月-6月에

집중되고 특히 4月에 고조되며 7月 이후 國産米의 지속 등장시에는 수

입량이 격감했다는 조사도 있다34) 洋米 수입 증가가 이 시기 米価의

계절 변동폭을 18세기보다는 축소할 수 있는 이유가 된다고 생각된다

청말민국기에는 철도 輪船 등 수송수단의 발달 시장과 상업의 발달

로 상인의 능력은 강화되었다고 여겨진다 추수기에 상인이 대량 매입

을 하고 端境期에 비싸게 팔려고 하는 것은 상인 개인을 위한 이윤 추

구 활동이다 米価의 계절 편차는 곧 바로 전부 상인의 이익은 아니다

30) 李文治 中国近代農業史資料 권1 p538

31) 龔勝生 앞의 책 pp143-145 pp135-137

32)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33) 徐正元 中国近代農産品化的發展與米市的 形成 (復印經濟史 1997年 3期)

34) 呂紹理 近代廣東與東南亞的米糧貿易(1866-1931) (政治大歷史學報 12

1995)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98매입가에 보관비용 손실비용 금융비용 등 부대비용을 제외한 것이 이

윤 범위이다 상인의 買占 행위는 넓게 보아서는 미곡의 수급관계 조

절 작용이라고 볼 수도 있다 따라서 정치 군사적 이유나 특별한 天災

상황이 아니라면 米価의 계절 변동폭은 18세기보다 근현대에 축소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여겨진다

2) 장기 추세

淸代 米價는 장기 추세에서 상승세인데 그 가운데 17세기 후반 19

세기 24분기 19세기 780년대 3회의 低落期가 있다는 조사가 있

다35) 19세기 전반 특히 24분기에는 일반적으로 극심한 디플레이션

시기여서 급격한 하강 국면이고 太平天國 시기는 급격한 요동이 뒤따

른다 1875에서 1911년까지는 가장 인플레이션이 심한 단계로 그 중

1875-85년 사이는 안정속의 상승이고 그 후 혁명전야까지 지속 상승

추세라는 파악도 있다36)

18세기 乾隆년간(1736-1795)에도 蘇州의 米価가 60년간 세 배 상승

했다는 조사도 있는데37) 비슷한 기간 長沙府 湘陰縣도 300 상승한

것으로 되어있다38) 18세기 전후 약 100년간 가격 수준이 300 상승

했다는 당시인의 인식도 있다39)

同治 이후에 제국주의 침략이 날로 강화되고 淸代 경제가 쇠퇴하였

으며 물가 상승폭이 날로 커졌다는 인식40)이 있지만 18세기 물가 상승

을 고려하면 제국주의 침략과 상관없이 물가 상승이 지속되었던 것을

알 수 있다

35) 岸本美緖 앞의 책 p17

36) Yeh-chien Wang Secular Trends of Rice in the Yanzi Delta 1638-1935(California Univ Press 1992)

37) 위의 논문

38) E S Rawski Agricultural Change and the Peasant Economy of SouthChina (Harvard Univ Press 1972)

39) 郭成康 18世紀中國物價問題和政府對策 (淸史硏究 96-1)40) 譚文熙 앞의 책 p25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99민국시기에는 1920년대까지 米価가 지속 상승하고 인플레이션이 심

해 매년 33 비율로 상승했다는 조사가 있다41) 민국 전기는 비교적

안정 속의 상승세이고 민국 중기는 역시 기본상 상승이지만 1932-35

년 사이는 하강하고 있다는 견해도 있다42)

湖南 내부 각 지역의 米価도 상호간에 긴말한 연동 관계를 보이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고43) 上海와 長沙 사이에도 고도 상관있는 것이

파악된 바 있다 그러나 공간을 달리 하면 도량형이나 화폐 종류 등의

차이로 정확한 변화를 파악하기 어렵다 되도록 좁은 범위의 지역을

연구 대상으로 할 때 상대적인 정밀도가 높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래

서 本考에서 長沙縣을 중심으로 같은 長沙府 내의 몇 개 縣을 관찰하

여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 이후 民國中期인 1936년까지를 주

대상으로 物価 변동을 살펴보려 한다

兩湖農業地理에서는 湖南 湖北의 米価를 세부 지역 구분 없이 종

합하고 있는데 例示 가격의 시기 역시 일정하지 않다 따라서 정밀성

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lt표2gt와 lt표3gt은 長沙府 醴陵縣志에기재된 것으로 해당 지역 상인의 장부와 縣商會 조직에 의한 기록을

토대로 한 것이다44) 당시인의 물가 변동에 대한 인식이라 비교적 정

확하다고 생각된다 같은 長沙府 寧鄕縣에서도 光緖7年 穀価가 1石당

600文이라는 기록이 있는데 lt표2gt의 예릉현 광서4년(1878) 기록과 근

접하고 있다45) 長沙를 중심 시장으로 하여 같은 府內의 시장 통합성

이 큰 것은 이미 확인한 바 있다46)

41) Yeh-chien Wang 앞의 논문

42) 譚文熙 앞의 책 p302 p356

43)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物価

44)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45)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46) 張麗芬 앞의 책 p197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0

시기 단위 가격(文) 米価

광서4년(1878) 石 680 1360

광서14년(1888) 780 1560

광서19년(1893) 680 1360

선통원년(1909) 2000 4000

민국원년(1912) 2800 5600

민국5년(1916) 2800 5600

민국10년(1921) 3800 7600

lt表2gt 醴陵縣 穀価(a)(私家數簿에 의함)

lt圖2gt 醴陵縣 穀價(a) 石文

-附記 前淸通行制錢文으로써 단위 민국초년에는 비록 銅元을 사용하나 관습상 1銅

元은 10文에 해당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1

시기 단위 가격(元) 米価

민국15년(1926) 石 160 32

민국20년(1931) 240 48

민국25년(1936) 250 50

민국27년(1938) 280 56

민국28년(1939) 500 100

민국29년(1940) 800 160

민국30년(1941) 3000

-lt表2gt lt表3gt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物価

lt表3gt醴陵縣 穀価(b)(縣商會 조사)

lt圖3gt 醴陵縣 穀價 石元

lt표2gt와 lt圖2gt를 보면 長沙府의 米価는 光緖4년(1878)부터 광서19

년까지 비교적 낮은 채로 있다가 그 이후 급등하여 청말에서 민국 전

기 까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lt표3gt과 lt圖3gt을 보면 민국 15년

(1926)에서 민국 27년(1938)까지 비교적 안정속의 상승세를 보이다가

그 후에 급등하고 있다 本考에서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는 것은 민국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2

時期 銀価(兩石) 錢価(文石) 出典

道光 16年(1836) 10 1400 民國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Prime 25年(1845) 05 1000同治長沙縣志 권33

祥異 光緖善化縣志 咸豊元年(1851) 08 1600 民國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함풍 3年(1853) 05 1000 同治湘鄕縣志 권5 祥異함풍 6年(1856) 07-08 1400-1600 同治安化縣志 권34 五行

同治元年(1862) 308 4000 同治瀏陽縣志 권14 祥異

同治 9年(1870) 296-370 4000-5000 Prime

光緖 7년(1881) 08-266 1200(4000) 民國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光緖年間 125-188 2000-3000 長沙日報 宣統2年2月

선통32年(1906) 25 4000 Prime

선통 2年(1910) 412 7000 Prime

長沙日報는 兩湖農業地理 p274에서 再引用

lt表4gt 長沙府 縣志等 米価 기록

중기인 1936년까지이다 항일 전쟁 발발과 國共 대립 등으로 극도의

혼란기인 민국후기는 특히 경제면에서 역사적 실체를 파악하기가 매우

어렵다

lt표4gt는 주로 長沙府 내의 縣志를 이용하여 米価를 정리한 것이다

흉년시의 특별한 가격이 아니라 평상년 가격 위주로 작성한 것이다

풍년시의 가격도 있으나 수년간 풍년이 지속되었다면 常年 가격에 준

한다고 생각된다 함풍3년(1853)의 米価는 兩湖南農業地理에 인용된

曾國藩 上奏시의 米価와 동일하다 같은 자료를 더 이용하면 함풍7년

(1857)에는 駱文忠公遺集 1石당 3200-3500文의 기사가 있다 역시

曾國藩의 上奏文에 同治2年은 1石당 30兩인데 당시의 銀錢比価로 환

산하면 3900文이므로 lt표4gt上 동치 元年 4000文과 거의 유사하다 同

治7년(1868)은 李瀚章의 上奏文에 4000文 전후로 되어있어 표의 내용

과 거의 일치한다 이것들을 짜 맞추어 보면 위 지방지 기록이 상당한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3

lt圖4gt 長沙의 米価 변동

bull광서4년 14년 19년은 예릉현지 물가표 기재 이용

bull광서7년은 민국 영향현지 기록 가을 이전의 평상 가격 이용

bull광서32년은 水災시의 가격

예릉현 물가표상의 광서 기록을 보충하여 수정한 결과

신뢰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표4)의 내용에 長沙府 醴陵縣志의 물가

표상 광서4년 14년 19년을 포함하여 구성해 본 것이 lt圖4gt이다

이것을 종합하여 보면 도광 16년(1836) 이후 함풍6년(1856)까지는

비교적 저렴한 米価가 유지되다가 함풍7년(1857)이후 米価가 급등한

것으로 생각 된다 동치 년간은 동치원년(1862) 4000文에서 동치2년

3900文 동치7년 4000文전후 동치9년 4000-5000文으로 계속 高米価가

유지된 시기였다 그런데 銀錢比値는 동치2년 1300文 동치 7년

1300-1400文으로 도광말 함풍초보다 오히려 안정되어 있다 淸末 이

지역의 지방지를 검토하면 거의 모두 嘉慶 이전은 米価를 銀兩으로 표

시하다가 道光 이후는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도광 이후 淸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4末은 米価도 錢文価가 실제 시장 가치를 잘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

다 동치 년간 상당히 高米価가 유지되었지만 道光末咸豊初와 같은 lsquo銀

貴錢賤rsquo 현상은 보이지 않기 때문에 米価 상승이 농민에게 어느 정도

유리했다 여겨진다 lt圖4gt를 보면 光緖 전반에는 米価가 상대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光緖19年(1893)까지는 하락 안정세를 보이다가 그 후에

급등하고 있다 호남성 수확기의 中米 가격 조사에서도 비슷한 경향이

보인다47) 中米 가격도 광서22년(1896)부터 대체로 상승추세인데 광서

34년(1908)에 급등하고 있다 앞서 彭信威가 연구한 江浙 米価 변동에

19세기 24분기와 19세기 780년대가 米価低落期에 해당된다고 하는

데48) 이것과 유사한 면을 가지면서 약간의 편차가 있다 즉 동치 년간

(1862-74) 70년대 전반까지는 대체로 高米価가 유지되었고 光緖 전반

의 하락은 90년대 전반까지인 것으로 생각되는 것이다 淸末 上海의

米価 조사도 1862-71(213) 1872-81(128) 1882-91(142) 1892-1901

(207)로 되어 있어 위 호남 長沙의 米価 변동과 비슷한 궤적을 그리고

있다49)

lt표1gt에 제시된 광서 24년(1898)의 長沙 米価도 3000文-4000文 사

이에 형성되어 상당한 高米価이다 같은 湘報에 실린 내용에 岳州에

집결된 湖南米가 漢口에 운송 판매되는데 米価는 3700-800文 또는 4천

수백文에 이른다고 되어 있다50) 대략 光緖20年(1894) 이후부터 淸末까

지 高米価가 지속되었다고 생각된다 松江府續志의 기록을 이용하여

光緖年間 低米価와 그로 인한 장기 不況이라는 해석은 長沙府 일대에

서는 드러나지 않는다51) 低米価는 光緖年間 전체는 아니고 光緖

(1875-1908) 년간의 거의 전반에 해당하는 1893년 이전의 일로 생각된

다 후반에서 淸末까지는 急騰에 가까운 高米価의 변동을 보여주고 있

47) 岸本美緖 앞의 책 p19

48) 同上 p443

49) 湘報 76號 p67650) 李文治 中国近代農業史資料 제1집 p561 岸本美緖의 해석 앞의 책

pp442-443

51) 張人价 앞의 책 pp93-9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5

機米 河米 糯米 총 평균

가격 지수 가격 지수 가격 지수 가격 지수

1928 652 7564 503 7065 805 9015 653 7944

1929 862 10000 712 10000 893 10000 822 10000

1930 1003 11636 862 12107 1037 11613 967 11764

1931 1002 11624 845 11868 1020 11422 956 11630

1932 1008 11694 817 11475 947 10605 924 11241

1933 594 6868 504 7079 757 8477 618 7525

1934 671 7784 590 8287 812 9093 691 8406

1935 1004 11647 810 11376 1012 11333 942 11460

lt表5gt 長沙의 米価(石元)

예릉현 물가표를 보면 民國 시기에도 대체로 안정속의 상승세가 지

속된다 청말에서 1921년까지 米価가 급등한 것으로 보이지만 1926년

에서 1936년까지는 안정 속 상승의 추세이다 兩圖 사이에는 가격 단

위의 차이가 있어 직접 접속은 곤란하지만 흐름은 그렇다고 여겨진다

호남성경제조사소 의 조사에 근거한 민국17년(1928)부터 민국24년

(1935)까지의 8년간 米価 기록을 제시한 것이 lt표5gt이다52)

이것을 보면 등락은 있지만 비교적 米価가 안정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上海의 米価도 1912-1928년 사이 407 상승하였는데 1921-1928년

사이에는 154 상승하였다53) 호남성의 米価는 宣統2年-民國元年 3개

년 평균가와 민국 21-23년 3개년 평균가를 비교했을 때 86 상승이라

는 조사도 있다54) 대체로 淸末에서 民國 전기까지는 가격이 급등하고

민국 중기에는 안정 속의 상승이 추세였다고 생각된다

호남성 汝城縣의 물가변동을 보면 우선 지방지 편찬자의 시기 구분

52) 徐正元 上海近代稻米市場価格變動分析 (中國經濟史硏究 1996年 2期)

53) 張人价 앞의 책 p87

54)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 91998)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6

1898年 1935年

소금 56文斤 57斤

洋油 50文斤 64斤

돼지고기 105文斤 30斤 015-020元斤 25-33斤

鷄育 123文斤 26斤

羊肉 117文斤 27斤

茶油 100文斤 32斤 019-024斤 21-26斤 瀏陽가격

면화(中棉) 217文斤 15斤 03-05斤 10-17斤 湘陰 Prime

1898年 中米1石価 (湘報소재 1石 3193文 적용)

1935年 長沙米価 民國25年 刊 通郵地方物産誌 湖南의 長沙靖港米価(担40-60元

의 중간 값 이용) 1石은 1担보다 크므로 실제 米価는 이보다 높을 것임

이 의미있다고 생각된다 同治丁卯志 편찬 이후부터라고 명시하고 있

는데 丁卯年은 同治6년(1867)이다 이후부터 민국21년(1932)까지를 세

시기로 구분한다55) 同光 시기 光宣 시기 民國 시기이다 즉 동치 후

반에서 광서 전반 광서 후반에서 선통 년간이니 광서 후반부터 물가

상승이 컸던 것을 반영한다고 여겨진다 여성현 물가표상 米価 변동을

단순 비교하면 지수는 100 200 400으로 변한다 1930년대 전반의 米

価는 동치 후기에 비하여 약 65년만에 300 상승한 것이다 이것을

신뢰하더라도 앞서 18세기 전후 백년간 물가가 300 상승하였다는 당

시인의 인식과 상승률은 거의 비슷하다56) 장사부 상음현에서도 18세

기 중후반 67년간 米価가 300 상승한 바 있다 예릉현 물가 표상

1878년에서 1921년까지는 米価는 약 458 상승하였지만 1926년에서

1936년까지 10년간은 약 563 상승에 그쳤다 민국 중기는 비교적 안

정속의 상승을 보여 주고 있다 lt표5gt에 제시된 長沙 機米의 8년간

가격도 54 정도 상승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미가의 명목 수치상 등

락을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질 가치를 알아보려면 상대 물가 즉

米1石価의 구매력이 얼마인지를 보아야 한다

lt表6gt 長沙 中米 1石価의 구매력 변동

55) 郭成康 앞의 논문

56) 張麗芬 앞의 책 p270 각주7)에 보면 호남성 1担価는 140-150斤 1898年 長

沙 米価는 1石당 150-155斤임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7

1935년의 長沙 米価는 通郵地方物産誌의 長沙 靖港의 米 1担価를

이용하였다 실제 石은 担보다 크므로 米価는 여기서 잡은 5元을 상회

할 것이라 생각된다57) 같은 자료의 물가를 이용하여 제시한 lt표6gt을

보면 돼지고기 값은 1898년의 30斤에서 1935년은 25-35斤 사이이다

그 범위 안에 있는 것을 보면 米価의 실질 구매력은 유지되고 있다

茶油는 다소 하락하였지만 면화도 유지 또는 상승이라 볼 수 있다

예릉현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돼지고기는 상승 추세 속에 일

부 하락년이 있다 선통 원년과 민국 원년에 수치가 상승한 것은 米価

의 폭등이 기타 물가를 크게 앞지른 것으로 여겨진다 민국 중기에 약

간 하락하였지만 1935년의 돼지고기 구매력은 광서4년(1878)에 비해

67정도 상승하고 있다 茶油의 경우도 민국 10년(1921)까지 米의 상

대 구매력이 대폭 상승하고 있다 이것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米価 변

동을 통해 농민 소득이 하강했다고 여겨지지 않는다

광서4년1878

광서14년1888

광서19년1893

선통원년1909

민국원년1912

민국5년1916

민국10년1921

민국15년1926

민국20년1931

민국25년1936

猪肉 15斤 25斤 22斤 36斤 35斤 23斤 27斤 16斤 28斤 25斤

草魚 34斤 39斤 38斤 57斤 62斤 35斤 - 20斤 32斤 33斤

茶油 12斤 23斤 25斤 27斤 - - 25斤 - ① -

鹽 23斤 26斤 22斤 33斤 62斤 - 42斤

棉花 7斤 16斤 5斤 - - - - - ②

洋紗 - - - - - - - ③

煤油 - - - - - - - 15병 2병 11병

雞 17斤 22斤 20斤 33斤 22斤 19斤 21斤 - - -

史料上 穀価를 lsquo1米2穀rsquo의 원칙에 따라 米価로 환산하였음① 민국 15년(1926)부터는 茶油의 단위가 石으로 되어 있어 비교 곤란② Prime 棉花의 단위가 石으로 되어 있어 비교 곤란③ Prime 羊紗의 단위가 件으로 되어 있어 이해 곤란

lt表7gt 醴陵縣 米価의 물품구매력 변동추세(米1石의 구매력)

57) 刘泱泱 湖南通史 近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p487-488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8

품목

시기

단위

同光

(1870-1890)

光宣

(1890-1911)

民國

(1912-1932)

肉 斤 188 188 175

鹽 斤 60 75 636

洋紗 捆 100 100同光시기洋紗통행안함

土布 尺 100 120 140

洋油 甁 20 10同光시기

洋油 未 盛行

茶油 斤 188 188 175

桐油 斤 214 200 194

柴 750 875

同治丁卯志(1867)편찬 이후라 되어 있어 대략 70년부터 잡은 것이다

lt表8gt 湖南 汝城縣의 穀1石価의 구매력 변동

호남 汝城縣의 穀1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고기는 光宣 시기에

유지되다가 민국 시기에 약간 하락하였으나 근소한 수치이다 鹽의 구

매력은 光宣 시기에 대폭 올랐다가 民國 시기에 하락하였으나 同光 시

기 보다는 높은 수치이다 洋紗에 대한 구매력은 光宣 시기에서 民國

시기에도 계속 유지되고 있다 茶油는 고기와 같은 변화이다 土布에

대해서는 구매력이 계속 증가한다 洋油에 대해서는 民國 시기에 구매

력 감소를 보이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호남의 대외무역은 외국의 공

업품과 농부산품 원료를 교환하는 것인데 고가의 공업품 대신 강제

저가의 수단으로 호남의 농산품을 약탈한다는 견해58)는 약간의 재검

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공업 상품 가격의 翦刀差에 대해서도 洋紗

의 경우를 보면 나타나지 않고 있다59)

이상을 종합하면 同治年間의 高米価 光緖前半(1875-1891)까지의 상

대적 低米価 光緖後半-宣統까지의 高米価 급등 民國前期의 계속 상승

58) 李金錚 二十年來 中國 近代 鄕村 經濟史的 新探索 (歷史硏究 2003年 4

期)

59) 譚文熙 앞의 책 pp298-299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9

品目 洋麵 淮鹽 茶油 桐油 洋油 猪肉 雞 鴨 烟煤 柴煤

단위시기

包 斤 100斤 100斤箱2桶(50斤)

斤 斤 斤 100斤 衡斗

31-310 26兩 56文 73兩 19兩 104文 112文 88文 320文 24文

311-320 26兩 Prime 73 19 104文 128文 88文 320文 24文

321-331 26兩 Prime 73 625兩 189 108文 128文 88文 320文 252

41-410 26兩 Prime 728 628 186 320文 240

411-420 27兩 Prime 728 626 183 254 228

421-430 29兩 Prime 72 616 181 314 260

51-510 293兩 Prime 711 606 178 310 240

511-520 274 Prime 71 60 183 314 240

521-531 26 Prime 71 60 185 314 229

61-610 26 Prime 699 60 185 299 219

611-620 231 Prime 734 61 184 320 255

621-630 22 Prime 754 62 183 311 254

71-710 22 Prime 774 649 183 310 250

711-719 218 Prime 768 631 181 318 265

면화는 上棉 中棉 下棉의 가격이 제시되고 있으나 여기서 생략함

lt表9gt 1898年 3-7月間 長沙物価

民國中期(1926-1936)까지 안정이라는 米価 변동의 궤적을 확인할 수

있고 그 기간 동안 米価의 실질 구매력은 유지 또는 상승이 대체적 추

세였다 생각된다

2 物價 변동

1) 단기 변동

湘報에 수록된 光緖24년(1898)의 長沙 물가 변동을 표시한 것이

lt表9gt와 lt圖5gt이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0

品目 단위 최고가 최저가 시기 유통량 행선지

鴨絨 斤 500 300 冬 上海 北平 天津 南京

일반적으로 米価와 物価는 상호 연동적이라 생각되지만 여기서 물

가의 단기 변동은 米価와는 다소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대체로

등락 폭이 크지 않다 洋油 洋麵 桐油 등의 변동폭이 크지 않다 면화

만 4월 10일 20일 사이에 상승이 있지만 5월부터는 하락하고 있다

淮鹽 가격은 斤당 56文으로 3月에서 7월 사이에 전혀 변동이 없다

長沙지역은 원래 淮鹽 관할 구역이었으나 太平天國 시기에 교통 두절

로 川鹽 소비지역이 되었다 太平天國후 曾國藩이 이 지역을 淮鹽 소

비지역으로 회복하기 위해 여러 가지 개혁 조치를 행하고 督銷局에서

가격을 核定하여 고시하는 牌價 제도를 시행한 바 있다 일종의 통제

가격제도에 의해 가격 상승이 억제되고 있었던 것이다 直隷의 景縣의

소금 값은 1890년에 斤당 46文 1900년에 斤당 68文이라는 조사도 있

다60) 長寧縣에서는 光緖29年(1903)에 鹽価가 斤당 55文이라는 보고도

있는데 이것은 長沙 1898年의 鹽価와 유사하다61)

戰亂後에 淸朝정부의 淮鹽 소비지 회복 정책에도 불구하고 四川鹽

이 계속 私鹽으로 침투하였기 때문에 長沙의 淮鹽価를 저렴한 통제 가

격下에 두고 있었다고 생각 된다62) 圖6)에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柴煤

는 米価와 같이 5月10日에 최고가에 가깝고 6월10일에 하락하고 그후

에 상승하고 있다 烟煤의 경우에도 비슷한 궤적을 그리고 있다 이것

은 米価와의 연동관계가 비교적 분명하다

1935년의 長沙 物価의 단기 변동 폭을 알 수 있는 것이 lt표10gt이

lt表10gt 長沙物価 通郵地方物産志

60) 李文治 앞의 책 p562

61) 譚文熙 앞의 책 p267-268

62) 佐伯富 中國史硏究 第1卷 (京都 同朋舍 1978) pp340-36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1

黑鉛 石 2200 1300 全年 50000石 漢口上海

棉紗 件 22000 1800 Prime 24000件 本省

棉布 疋 120 150() Prime 1000000 漢口

麵粉 袋 50 250 Prime 140000 Prime

線襪 雙 106 Prime 6000000 本省

毛呢鞋 Prime 200 180 Prime 400000 Prime

夏布 疋 1000 200 夏 20000 上海漢口

火柴 箱 500 300 全年 10000 本省

刺繡 Prime國內및外洋

매년 産量 약50만元

玻璃器 件 300 200 Prime 9000 本省

肥皀 箱 70 50 Prime 30000 Prime

絲綿三角 兩 040 020 Prime 40000 Prime

國貨電池 打 060 040 Prime 200000 Prime

猪 斤 020 015 Prime 50000只 漢口上海

豬毛 担 6000 5000 Prime 4000kg Prime

粗窑器 卡 350 250 Prime 100000套 長江연안

毛筆 支 050 020 Prime 本省 및 황하 각성

여기서 보면 변동폭이 100 이상인 것은 면포 夏布 絲線三角 毛

筆 麵粉 등이다 또 50 이상인 것은 鴨絨(가공오리털) 667 흑연

692 火柴(성냥) 667 玻璃器(유리그릇) 50 국산 電池 50 등이

다 비누는 40 粗窰器는 40이다 棉沙 222 毛呢鞋는 111 돼

지 333이다 단기 변동 폭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고 생각된다 이

것은 이런 물품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성이 크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그런데 1898年의 경우는 茶油 洋油 등 물품의 가격 변동폭이 적은 것

은 무엇 때문일까 어쩌면 당시의 시장 가격 조사가 부정확했는지도

알 수 없다

1935年의 물가에서 綿沙의 변동폭이 적은 것은 당시 항상적인 수요

가 있었기 때문이 아닐까 비누의 변동폭도 40로 비교적 적은데 생

필품으로 수요가 지속 증대된 까닭이 아닐까 한다 通郵地方物産誌에 기재된 醴陵縣 夏布 가격은 40元-100元 사이인데 民國醴陵縣志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2

圖5) 1898年 3月-7月 長沙物價

의 物価表上에는 70元(1938)이라 되어 있다 物産誌 가격은 1935年

의 것인데 예릉현지의 가격이 그 범위 안에 있어 서로 다른 자료간에

부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63) 物産誌 上 相潭株洲의 茶油 값

매 石 160-240元(1935)은 예릉현지 물가표의 민국 20년(1931) 茶油 매

石 240元과 일치하고 있다 표12)에 1936年 煤油 값은 병당 44元이다

그런데 民國 安鄕縣志에서도 1934년 煤油 값은 병당 38元으로 되어

있어 兩者 사이에 유사성을 보여주고 있다64) 그러므로 醴陵縣志 物価의 종적 비교도 신뢰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洋麵은 包당 가격

茶油桐油洋油는 100斤당 가격

棉花 100斤당 가격

2) 장기 변동

長沙의 물가 변동을 보려면 湘報 수록의 광서 24年(1898) 물가와

63) 交通部郵政總局 編 中國通郵地方物産誌 (華世出版 1988)

64) 民國 安鄕縣志 卷11 食貨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3

품명 단위광서4년

(1878)

광서14년

(1888)

광서19년

(1893)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

(1912)

민국5년

(1916)

민국10년

(1921)

豬肉 斤 88文 63 62 112 160 240 280

雞 斤 80 72 68 120 250 300 360

lt表12gt 醴陵縣 物価表 (b) (商会조사)

품명 단위민국15년(1926)

민국20년(1931)

민국25년(1936)

민국27년(1938)

민국28년(1939)

민국29년(1940)

민국30년(1941)

猪肉 百斤 200원 170 200 360 400 561 1300

草魚 Prime 160 150 150

茶油 石 240 290 560 760 2000

鹽 石 120 140 150 160 2000

洋紗 件 2200 2200 2400 2000 2500 1500

土布 匹 27 70

夏布 Prime 70 70 140

竹布 Prime 100 100 8000

棉花 石 20 25 40 100 200 400

煤炭 石 020 030 040 050 230 70

煤油 甁 220 240 440 90 300 460 200

毛邊紙 石 198 432 1200

黑靛粉 桶10斤 100 200 1500 2000

赤金 兩 50 70 80 90 500 560 1600

lt表11gt 醴陵縣 物価表 (a)(私家數簿에 의한 것)

民國24年(1935)의 通郵地方物産誌 기록을 직접 비교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양 자료 사이에 화폐와 단위가 서로 달라 직접 비교할 수가 없

다 그래서 당시인의 물가 변동 기록인 長沙府 醴陵縣 物価表를 이용

하는 것이 파악 방법이 될 것이다

lt표11gt lt표12gt 와 lt圖6gt lt圖7gt을 보면 개별 물품에 따라 차이

는 있지만 대체적인 흐름은 米価 변동과 유사한 궤적을 보여주고 있

다 즉 光緖 前半에 비교적 안정적이다가 光緖 후반부터 급상승하여

민국 전기까지 상승하고 있다 1926년부터 1936년까지는 가격 안정세

를 보여 주고 있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4

雞蛋 個 2 2 3 4 10 15 20

草魚 斤 40 40 36 70 90 160

茶油 斤 116 69 54 150 300

鹽 斤 60 60 63 120 90 180

煤 石 50 120 50

苧麻 斤 270 99 170

棉花 斤 200 96 280

竹布 尺 70 62 60 60 90

靑洋布 尺 55 50 50 70

白蓮紙 刀 40 82 80 100

-附記 前淸 통행 制錢文으로써 단위 민국 초년에는 비록 銅元을 단위 사용하나 관습상 매 1銅元은 錢10文에 해당

圖6) 醴陵縣 物価 (a)

① 豬肉 斤당 가격 ② 雞肉 斤당 가격 ③ 茶油 斤당 가격

④ 鹽 斤당 가격 ⑤ 棉花 斤당 가격 ⑥ 草魚 斤당 가격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5

圖7) 醴陵縣 物価(b)

① 猪肉 百斤당 가격 元 ② 草魚 百斤당 가격 元 ③ 茶油 石당 가격 元

④ 鹽 石당 가격 元 ⑤ 洋紗 件당 가격 元 ⑥ 棉花 石당 가격 元

⑦ 煤油 甁당 가격 元

米価가 物価와 연동되는 것에 대해서 江都縣史料를 보면 ldquo産米 구역

에서 年末에 米価가 상승하니 百物이 昻貴했다rdquo65)라고 되어 있다 湖

南지역 米価 연구 자료에도 米価 추세는 거의 물가 수준과 같다는 주

장이 있다66)

光緖末宣統年間의 물가 상승을 나타내는 史料를 보면 다음과 같다

이제 각종 惡政의 결과로 百物의 騰貴를 초래했는데 小民의 日用 수요

65) 李文治 앞의 책 p470 ldquo江都爲産米區域 年末米価騰踊 百物因以昻貴rdquo

66) 張麗芬 앞의 책 p22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6음식은 그 가격이 십년 전에 비해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과 居室 器用

蔬饌의 비용 牛種糞漑의 비용도 예전 보다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도 비록

동일 비례로 함께 올랐으나 이미 넉넉하지 못해 괴롭다67)

이것을 보면 米価와 物価가 연동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청말

특히 光緖 후반 이후에 각종 物価가 두 배 올랐다는 사정을 알 수 있

다 上海의 物価도 같은 시기에 상승하고 있다68)

lt표11gt lt표12gt와 lt圖67gt을 검토해 보면 돼지고기 값은 광서 14

년 광서 19년까지는 다소 하락세를 보이다가 宣統원년(1909)부터 급격

히 상승하고 있다 민국원년(1912)의 가격은 160文으로 1878年의 88文

에 비해 거의 두 배에 해당한다 위에 인용한 宣統 2年 8月 國風報의 물가 두 배 인상과 정확하게 부합되고 있다 민국 전기인 1926년까

지 계속 상승하고 있지만 1926년에서 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이고 있

돼지고기 값은 1878년-1909년 사이 273 상승했고 1912-1921년 사

이에 75 상승했다 닭은 각기 50와 44 상승했다 계란은 100

100 상승이었다 淸末 비교 시기는 31년간인데 비해 민국 전기는 9

년간에 불과하다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가 급등한 것은 충분히

알 수 있다 1926년에서 1936년 10년간 돼지 값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거의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이었다

民國 醴陵縣志에도 ldquo辛亥혁명이전에는 물가가 심한 등락이 없었는

데 민국 후에 들어와서 차츰 상승했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69) 圖6)을 보

면 닭고기도 비슷한 궤적을 보이고 있다 草魚의 경우도 청말 민국전

기는 상승이 주요 동선이고 민국 중기(1926-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

67) 國風報 第1年 21期 宣統 2年 8月 (李文治 앞의 책 p561) ldquo今也以種種惡

政之結果 以致百物騰踊 小民日用 飮食所需 其価皆視十年前兩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居

室器用蔬饌之費 牛種糞漑之費兩倍于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雖以同一比例以俱騰 旣苦不

給矣rdquo

68) 岸本美緖 앞의 책 p443

6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物價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7이고 있다 譚文熙 物価史에는 민국 전기는 안정속의 상승세로 민국

중기는 파동속의 상승으로 정리를 하고 있는데 여기와는 약간의 차이

를 보이고 있다70) lt표11gt과 lt표12gt 사이의 화폐 단위 차이로 인한

연속적 파악에 다소 어려움이 있으나 대체의 추세는 짐작할 수 있다

또 품목에 따라 공란이 있어 연결 관계가 애매한 부분이 있다 1936년

이후는 중일 전쟁의 혼란과 불환지폐의 강제 통용 등의 사정으로 本考

에서는 분석 대상 범위에서 제외 하고자 한다

Ⅱ 物價 변동의 원인

1 수요 측면

米価와 物價가 상호 연동관계에 있고 넓은 의미에서는 米価도 물가

의 일부이다 米価 및 물가의 상승은 우선 수요의 증가에 원인이 있다

고 할 것이다 수요증가는 일반으로 인구 증가이다 湖南의 인구는 嘉

慶21年(1816) 18754259명에서 1898年 21174000명으로 다시 民國17년

(1928)에는 31501212人으로 비약적 성장을 하였다71) 약 110년 동안

인구가 1300만 가까이 증가하였고 비율로는 679가 증가하였다 長沙

府의 인구도 가경 25년(1820)에서는 4290086명이었는데 민국23년

(1934)에는 8421330명으로 약 400만명 이상 증가하여 963 상승을

보이고 있다72)

인구의 증가가 수요 증대를 초래하는 일반 요인이지만 湖南의 米穀

移出이 해당 지역 민중의 식량을 제외하고 남는 잉여 米만은 아니다

70) 譚文熙 앞의 책 pp302-307 여기서는 민국 전기는 1912-1927년 민국 중기

는 1927-1937년으로 구분하고 있다

71) 湖南省志 地理志 (長沙 湖南人民出版社 1982) pp230-238

72)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8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의 증대가 더 중요한 요인일 것이다 淸末에

와서 새로운 생업을 통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가 많이 증가하고

있는데 醴陵縣 사례를 한번 검토해 보겠다 史料는 다음과 같다73)

同治志에 이르기를 醴陵의 풍속은 lsquo安土重遷rsquo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상인이 外地에 나

가 장사하는 이가 적었다 배를 이용하여 외부 상업을 하는 것은 淥口 부

근의 米穀商일 뿐이었다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邑人들이 茶제조로 武漢에 판매하는 자가

이익이 배가 되었다 이때부터 龍門일대에 매양 봄에 茶를 제조하고 가리

는 廠이 항상 수십이었다 光緖末年에는 도자기업 夏布 編爆이 일어나서

대신하였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이를 믿고 생계를 삼는자가 무려 십만인이다

同治志 편찬 단계만 해도 사람들이 토착 안주하여 멀리 이동하는

것을 어렵게 여겼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큰 이익을 보고 그

후 도자 기업 夏布 編爆 제조에 종사하여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나 되었다는 것이다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의 성장을

보여주는 것이다 長沙의 빠른 도시화도 주목된다 長沙日報에 실린

내용을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74)

光緖32년(1906)에 火災 조사시에 城廂 내외가 매일 식량으로 穀 5000

石이 필요하였다 지금 교통이 편리하고 상인 旅客이 배로 증가하였으니

매일 마땅히 1-2000石을 더해야 한다(宣統 2年(1910) 2月 17日 長沙日

報)이것을 보면 光緖32년(1906)에서 宣統2년(1910)은 불과 5년이 채 되

지 않는데 상인 집단이 배로 증가하였다니 城內外의 유동인구 급증을

짐작할 수 있다 長沙城의 인구는 1916年에 177882人이었고 1931年은

385514人으로 증가하였다 불과 15년 사이에 1167 증가이다 배 이

73)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ldquo同治志云 醴俗安土重遷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商賈外

貿者少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揚帆外貿則 僅淥口附近之穀米商而已 光緖初 紅茶業興 邑人製茶

販運 漢皋者 獲利倍蓰自是來龍門一帶 每屆春日 製茶捒茶列廠恒數十 訖於光緖

末年 則有瓷業及夏布編爆起而代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恃以爲生者 無慮 十萬人rdquo

74) 李文治 앞의 책 p551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9상이 증가하였으니 長沙의 도시화도 급속히 진전 되고 있다75)

민국10年의 湖南 實業雜誌 보도를 보면 당시 長沙에 蓆工 500人

刻字工 300人 방직공 3200人 이발공 800人 香工 400人 합계 5200人

이 있었다 長沙大公報에 의하면 민국9년(1920)에 長沙에는 부두공

2600人 糞夫 500人 轎夫 1300 車夫 2300人으로 합계 7000人 정도

가 있었다76) 같은 시기 호남성의 광부가 160萬人이고 여기에 手藝工

苦力을 합치면 190만 전후였다고 한다 예릉현에서는 東鄕 일대에서

編爆業 종사자가 수만이고 東北兩鄕에서 磁廠의 女工도 수천이나 되었

다는 기록도 있다77) 湖南 邵陽縣에서도 淸末에 工匠이 5만 상인이 12

만 정도였다는 통계도 있다78) 이렇게 비농업 인구가 다른 생업을 통

해 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로 증가하고 있던 것이 확인된다 이런 유

효 수요 증가를 설명해 주는 다른 史料 하나를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

다79)

어째서 米穀이 날로 적어지고 날로 비싸지는가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水旱災가 날로 많고 농사짓는데 날로 게으르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말은

진실로 일리가 있는데 다 그런 것은 아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선교사 洋商 洋官 洋

兵은 증가한 것이 외국에서 온 사람이다 敎民 游民 賭民 盜民은 內地

에서 증가한 자이다 무릇 농사짓는 사람은 하나인데 먹는 자는 헤아릴

수가 없다 米穀이 어찌 비싸지 않을 수 있겠는가

光緖後期의 사정을 전하고 있는 위 史料를 보면 외국에서 온 선교

사 상인 군인 관리 등도 米価 상승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국내

외를 막론하고 비농업 인구의 급격한 성장이 米価 상승의 원인이라 생

각된다

湖南과 長沙의 米穀은 해당 지역 안에서 소비되는 것보다 揚子江

75) 張朋園 中國現代化的區域硏究 -湖南省 (台北 1998) p376

76) 위의 책 pp412-413

77)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農業經濟

78) 光緖33年刊 邵陽縣鄕土志 권2 인류 실업

79) 李文治 앞의 책 p77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0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많다 청말민국시기에도 지속적인 湖南米의

移出이 있었던 것은 이미 밝힌바 있다80)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穀

米가 騰貴한 이유가 外省의 采辦이 많은 때문이라고 하고 있다81) 상

담현에서도 동치 4년(1865)이전에 해마다 풍년이었는데 穀価가 까닭

없이 騰貴한 것은 江南이 처음 회복되어 米穀의 販運이 많아진 때문이

라고 하고 있다82) 1898年에도 長沙에서 米穀의 원거리 送出을 바라는

지주 富戶와 주민의 갈등 관계가 노출되고 있다83) 宣統2年(1910)의 기

록에도 湖北의 흉년으로 出境 米穀이 과다하여 米価가 급등했는데 작

년 末에는 1石5000文이었다가 금년에는 1石 8000文에 이르렀다는 내

용이 있다84) 같은 자료에 湖南米가 당도 하지 않으면 武漢에서 변란

이 일어난다고 할 정도이다

하류의 上海는 한적한 어촌에서 근대에 대도시로 성장하였다 武漢

上海등의 도시화와 상공업 발전 인구 집중은 長沙米의 급격한 수요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宣統 년간에 長沙가 전국적인 4大 米市의 하나

로 성장한 것은 우연한 일은 아니다85)

근대에 대외 교역증가가 물가 상승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생각된

다 1873년에서 1930年 사이에 농산물 수출 통계는 1910년을 100으로

했을 때 1873년은 12 1893년은 123 1903년 386 1920년은 1324

1930년은 2709로 급상승하고 있다86) 농산물의 수출은 해외 수요의 증

가이다 이런 교역상 수요 증대는 가격의 등귀 뿐 아니라 작물 재배

면적의 확대에도 기여하고 있다

80)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81)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20

82) 光緖6年刊 湘潭縣志 卷29 災祥志

83) 湘報 89號 長沙縣職員常達邦呈批

84) 李文治 앞의 책 p381

85) 徐正元 中國近代農産商品化的發展與米市的形成 (復印報刊經济史 1997年3期)

86)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권2 p14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1宣統2년(1910) 長沙에 영국 상인이 출현하여 米穀 구매를 단행하자

米価가 하루에 여러 번 급등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였다87) 湖南에서

는 또 광동 상인의 영향을 받아 紅茶 제조법을 습득하여 홍차를 대량

생산하여 구미에 수출하였다 19세기 60년대부터 20세기 초에 특히 호

남 茶 생산 판매가 극히 발달하였다88) 주요 산지 중에는 長沙 湘潭

安化 등이 손꼽히고 있다

桐油의 수출 또한 괄목할 만한 것이다 湖南의 桐油 수출은 1922년

전국의 3336 1923년은 372로 성장하였다 1929년에는 全省 수출

총액의 45 정도를 차지하였고 桐油 상품화율 80에 달하였다89) 대

외교역을 통한 농산품의 해외 수요 증가는 직간접으로 물가 상승에 작

용하고 있다

2 화폐 문제

물가와 화폐의 관계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통상 화폐 수량의 증가가

생산총량의 증가보다 초과할 때 물가상승이 일어난다90) 보통 淸 후기

에는 아편무역에 따른 銀의 해외 유출과 그 결과 야기된 lsquo銀貴錢賤rsquo 현

상 통화팽창에 의해 물가가 상승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91)

실제 淸末民國기에 걸쳐 통화 팽창과 물가 상승에 대한 기록을 찾

는 것은 어렵지 않다 王業鍵에 의하면 淸末 특히 1875年부터 1911年

까지는 인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단계였다고 한다92)

民國 寧鄕縣志에 보면 ldquo光緖29年(1903)에 처음으로 當十銅元을 주

87) 李文治 앞의 책 p550-551

88) 劉泱泱 앞의 책 p46

89) 宋斐夫 主篇 湖南通史 現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5 p276

90) 陳民 法幣發行制度與通貨膨脹 (復印報刊經济史 2001-1)91) 龔勝生 앞의 책 pp275-280 岸本美緖 앞의 책 p444 張麗芬 앞의 책

p217

92) Yeh-chien Wang Secular Trends of Rice in the Yanzi Delta 1638-1935(California Univ Press 1992)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2조하여 전국에 통용시켰는데 물가의 등귀가 이때부터 시작되었다rdquo는

기록이 있다93) 醴陵縣에서는 光緖32年에 當十銅元을 주조하여 制錢과

병행시켰고 宣統원년에 銀元이 이미 성행하였다 민국원년에는 當二十

銅元을 주조하였는데 雙銅元이라 칭하였다94) 영향현에서도 광서말에

私鑄錢인 毛錢이 나오고 지폐가 통용되는 등 통화팽창이 상업을 일변

시켰다고 한다95)

종전에 비해 실질 가치가 열악한 當十 當二十 등 銅元의 남발과 鈔

票의 성행은 화폐 시장의 과잉을 초래하였다 정식의 鈔票 이외도 각

현 발행의 私鈔와 錢莊에서 발행한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시중에 범람

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민국 시대에는 화폐 남발이 더욱 심하였다 호

남은행을 비롯한 저축은행 농업은행 등이 각기 각종 지폐를 발행하여

혼란이 가중되었다 1915년에 호남의 은행은 33개인데 그 중 장사현 7

개 상담현이 7개였다96)

군벌들이 은행을 개설하거나 질 낮은 화폐 통용을 강제하는 등의

혼란이 민국시기 특징 중의 하나이다97) 화폐 시장에는 銀元 銀角 銅

元 지폐와 鈔票 市票등 유사 화폐까지 복잡middot혼란의 양상이 나타나고

결과적으로 물가 상승을 피할 수가 없었다

선통2년(1910) 격렬한 米価 騰貴가 있었고 長沙에서 대규모 搶米 폭

동이 일어났는데 이것은 단순한 흉년때문이 아니고 銅元 남발 등 화폐

제도 혼란에 기인한 것이었다98) 1880년대 초부터 1920년대까지는 인

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시기로 매년 33 비율로 상승하였으며 1930년

총 화폐보유고는 60억 원에 달했다 반 세기간 화폐 공급은 8-10배 증

가하였다99)

93)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ldquo光緖 二十九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始鑄當十銅幣 通

行全國 物価之踊始此rdquo

94) 民國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95)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財用錄 상업

96) 張朋園 앞의 책 pp258-259

97) 宋斐夫 앞의 책 pp10-12

98) 岸本美緖 앞의 책 p51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3

時期 銀(兩) 錢(文) 出典

乾隆 嘉慶년간 10 1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道光 初(1821) Prime 1300-1400 Prime

Prime 18年(1838) Prime 1400 林則徐湖廣奏橋 권3

Prime 25年(1845) Prime 2000上下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Prime 末年(1850)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咸豊 元年(1851) Prime 2000 民國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咸豊 初 Prime 2300-2400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8 부역

咸豊 3年(1853) Prime 20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5年(1855)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Prime 6年(1856) Prime 2000 湖文忠公遺集 권12

Prime 7年(1857) Prime 1600 骆文忠公奏議 권7

Prime 8年(1858) Prime 1400 胡文忠公遺集 권85

Prime 10年(1860) Prime 1300-1400 胡文忠公遺集 권70

同治 2年(1863) Prime 13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7年(1868) Prime 1300-1400 李瀚章 瀝陳湖北等省漕務

Prime 10年(1871) Prime 1600-1700 同治10年 長沙縣志 권8 부역 錢法

光緖32年(1906) Prime 1600 長沙日報 宣統2年 2月27日

선통 2年(1910) Prime 1700 國風報 宣統2年 3月 21日

표 지방지에서 직접 採錄제외는 龔勝生 淸代兩湖農業地理 pp270-277에서 湖南부분을 발췌하여 再引用한 것임

表13) 湖南의 銀錢比値

그런데 아편전쟁 전후 銀의 과도한 해외 유출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이

초래되고 이것이 물가 상승의 주요인이라 생각되고 있는 데는 약간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表13)을 보면 銀錢比価가 일시적으로 상승하였다

가 다시 하강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은전비가는 지역에 따라 차

이가 있지만 호남 장사를 위주로 정리한 것이 표13)이다100)

99)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0) 邱思達 中國近現代鑄幣圖說 (北京 中國書店 1991) p109 참조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4

주목되는 것은 道光末에서 咸豊初에 일시적으로 상승하였지만 淸末

의 比価가 낮은 편에 속하는 현상이다 청말에 은전비가가 비교적 안

정되고 있는 것이다 아편전쟁 후 5항 개항으로 교역이 확대된 상황에

서 아편무역 증대에도 불구하고 차와 silk 수출에 힘입어 은의 순유입

이 오히려 증가되는 현상이 나타났던 것이다101) 또 光緖17년(1891)이

후 세계 銀価하락 현상으로 은유입이 증가되었다102) 19세기 후반 중

국이 세계 사회에 연결되면서 중국의 무역 적자에도 불구하고 淸 정부

에 대한 대량 차관과 자본 투자를 통해서 거대한 양의 銀이 중국에 유

입되었다 1871년에서 1913년 사이 은의 순 수입은 2억 4천만 海關兩

혹은 3억 6천만 銀달러로 추정되고 있다 세계 시장의 은가 하락과 은

의 대량 유입은 중국의 국내 시장에서 물가 상승을 유도한 것이다103)

이런 배경으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은 일시적인 것이고 청말민국기 전체를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민국 시기에는 銀元과 錢의 교환 비율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은의 유입 현상에도 불구하고 宣統 원년 11150文의 비율에서 민국6년

2250文 민국11년 2840文 민국17년 3500文 민국22년 7200文까지 급등

하고 있다 예릉현의 기록이지만 이것으로 청말보다 민국시기에 통화

팽창현상이 극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4)

銀과 錢이 주요 화폐이고 그 환율이 항상 문제가 되고 있지만 주로

청 후기 이후는 錢文 위주의 경제로 바뀌고 있다고 생각된다 長沙府

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면 대부분 道光 이후는 화폐를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淸 前期는 米価를 銀으로 표시하던 것과는 대조적이

다105) 예릉현에서는 민간에서 세금을 납부하거나 大宗무역을 할 때를

101)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2) 邱思達 앞의 책 pp92-93

103)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4)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10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光緖3年刊 善化縣志 同治13年刊 湘鄕縣志 光

緖15年刊 湘潭縣志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民國37年刊 醴陵縣志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5제외하고 紋銀 사용자가 거의 없다 도광 이후 교역시 대부분 錢文을

사용했다는 기록을 보면 淸 後期는 錢 경제 위주로 넘어간 것 같

다106) 세금을 낼 때 외에 銀錢이 필요 없는 일반민은 錢文 사용권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너무나 당연하다

함풍4년에 長沙에서 大錢을 주조하여 통용시켰으나 결국 시장의 신

뢰를 얻지 못하여 퇴출되고 말았다 1854년 7월에 주조를 시작하여

1855년 4月에 주조를 정지하였다107) 이것을 보면 통화 남발도 결국

시장의 제약을 받고 있다

민국 7년(1918) 3月 張敬堯가 裕湘銀行을 개설하여 銀元票 1000만元

銅元票 3000만元을 발행하였다 그 결과 시장은 혼란에 빠지고 시중금

융은 마비 상태가 되었으며 결국 裕湘銀行 발행의 惡幣는 폐지와 같이

되었다108) 권력에 의하여 통화 팽창이 시도되더라도 시장이 감당할

수 없는 지경이 되면 중단될 수밖에 없다 과도한 통화 팽창은 시장의

질서에 의해 어느 정도 제약 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예릉현에서도 光緖 년간에 錢莊 24곳이 출현하여 盛業을 누렸는데

民國7年(1918) 兵禍로 停業하는 곳이 많아졌고 정부의 통화 남발 화폐

가치 하락 금융혼란의 현상이 나타났다109) 민국18년(1929) 이후는 정

국이 안정되고 교통 편리로 百業이 진흥되고 은행이 역할을 하게 되었

이상에서 보면 淸末까지는 은전비가가 안정되고 통화 관리가 어느

정도 성공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光緖 宣統 시기에 銀元의 주조 외국

銀貨의 대량유입 當十銅元 등 주조로 통화팽창이 많이 되었고 이시기

물가 상승과 연관되고 있다 민국 초기에도 정국 혼란과 무계획적 통

화남발로 물가의 급등을 초래하였다 민국 중기에는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것 같다

106) 龔勝生 앞의 책 p279

107) 劉泱泱 앞의 책 pp150-155

108) 宋斐夫 앞의 책 pp10-11

10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6영향현에서도 민국 21년(1932) lsquo穀賤錢荒rsquo의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

다110) 청말민국기에 전반적으로 화폐량의 증가가 현저했던 것은 사실

이다 다양한 화폐의 등장 銀兩 銀元 銅錢 銅元 외에 외국 銀元의 유

입 그 외 鈔票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출현하였으며 양적인 팽창도 분

명하다 하지만 대외 교역 증가와 경제 활동 인구의 증가 유통 상품의

양적 증가에 의해 시장의 화폐 수요가 증대된 것도 사실이다 통화 발

행은 일차적으로는 경제 주체의 수요에 부응하는 것이지만 그것이 과

도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3 공급기타 요소

물가는 기본적으로 수요공급의 관계에서 결정되는 것이 원칙이다

청말민국기에 걸쳐 인구가 급증하여 물가가 상승한 것은 자연스런 일

이다 그러나 물가 상승률 면에서 청말의 경우가 18세기의 증가율에

비해 크다고 할 수 없다 물가 상승률을 억제하면서 비교적 안정 속의

상승을 할 수 있었던 것은 공급의 증가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청말민국기에 湖南米의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 현상이 지속된 배경

에 비약적인 경지 면적 확대와 새로운 품종 개량 시비법 발전 등 농

업 생산 증대가 있었다는 것은 이미 밝혀진 바 있다111) 米穀 공급의

증대가 물가 상승을 완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雜糧 재배가 同治

(1862-74) 년간에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민중의 식량 문제 해결에 기여

하고 米価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던 것을 城步縣 知縣 盛溢源을

통해서 알 수 있다

洋米 수입이 國産米의 보충 역할을 했다는 지적이 있지만 결국 시

110) 民國30年刊 寧鄕縣新志 전1 縣年記

111) 田炯權 淸末民國期 湖廣地方의 農業生産力과 生産關係 (慶南史學 7

1995)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2001)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

究 25 200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7장에 대한 미곡 공급을 증대시켜 가격 안정에 기여했다고 생각된

다112)

민국 시대 관련 사료를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113)

금일 정세를 보면 국내 米価의 등락은 결코 國産米의 생산량이 많고

적음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외국 産米 구역의 풍년 여부에 따라 영

향이 대단히 크다

이것을 보면 洋米 수입이 國産米価를 조절한다고 볼 수 있다 비슷

한 시기 上海에서도 湖南米가 수입 米의 영향으로 가격이 약간 적게

올랐다는 史料도 있다114) 湘報에도 日本米가 수입되어 중국의 米価

가 차츰 내려갔다는 기록이 있다115) 같은 湘報에 보면 ldquo외국물산이

날로 풍부하여 중국 상품의 판로를 막는데 서양 상품의 가격이 낮으면

중국 상품 가격이 홀로 증가할 수 없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116) 결국 洋

貨도 중국에서는 시장에 대한 상품 공급의 증가이고 이것이 상품 가격

상승을 억제하고 있는 것이다 같은 자료에 중국의 土藥이 널리 판매

되니 외래 洋藥의 가격이 폭락한 사정도 소개되고 있다117)

또 洋蠟의 수입으로 국산 白蠟 가격이 매 100斤 200元에서 100元으

로 폭락한 일도 있었다118) 1921년 독일 면화가 대량 수입되어 중국의

綿価가 하락한 일도 있다119) 光緖년간 부터 중국이 綿紗 생산을 개시

하자 華商과 洋商사이에 가격 경쟁이 시작되었다 수입 綿布도 洋商이

國産布와 경쟁하기 위해 가격을 낮추어 공급하였다120)

112) 王良行 淸末對外貿易的關聯效果(1860-1911) (近代中國對外貿易史論集1997)

113)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卷3 p413

114) 위의 책 p416

115) 湘報 제45호 p1419

116) 湘報 제13호 ldquo外洋之出産日盛 足以抵華貨之銷路 洋価低則華貨不能獨增rdquo

117) 湘報 제162호 p1608

118) 章有義 앞의 책 권3 p662

119) 譚文熙 앞의 책 p342

120) 譚文熙 위의 책 p368 p374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8상인의 가격 조종이 물가 변동에 하나의 요소는 될 수 있다 예릉현

의 土資 판매에 있어 객상의 가격 조종에 저항하기 위해 주민들이 公

司를 조직하여 가격을 바로 잡았다는 기록도 있다121) 지주 부농 米商

등의 매점매석에 의한 가격 조종 사실은 흔히 발견된다122) 秋收期에

시장에 대량 방출된 곡식을 저렴한 가격에 매입하여 端境期에 되팔아

이익을 남기는 것은 상인의 오래된 관행이다 이윤 추구를 위한 개인

의 행위지만 넓게 보면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행위이기도 하

다 각지 농산품 가격 변동 조사에서 원인이 밝혀진 10건 가운데 전쟁

이 2건 豊凶 水旱災가 7건 상인 조종은 단 한 건 뿐이었다123) 제국

주의 상인에 의한 가격 조종이라는 것도 결국 중국 상인의 이윤 추구

행위와 본질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湘報의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124)

輪船이 이미 통행하고 있고 철로가 이미 만들어 졌다 제조업이 날로

번성하고 통상조약이 행해지니 상인이 계속 내왕하고 온갖 상품이 유통

된다 사계절 틈이 없으니 일용 각 물품이 그 가격이 반드시 저렴할 것

이다

이것을 보면 통상 개시 후 교통이 발달하고 상품 교역이 증대된다

는 것과 그 결과 일용품의 가격이 저렴해졌다는 것을 당시인이 인식하

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서방 각국과의 무역 증대는 상품 공급의 증가

이고 가격 경쟁을 통해 물가 상승을 완만하게 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

121)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22) 李文治 앞의 책 p559

123)湘報 제49號 ldquo輪船旣行 鉄路旣造 製造日盛 商約可行 商賈絡繹 百産流通

歲時無間 則日用物品 其価必廉rdquo

124) 安本美緖 앞의 책 제7장 pp239-288 제12장 431-455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9

Ⅲ 物價와 景氣(생활)

1 穀賤傷農과 不況

物價 문제를 단순히 등락의 흐름에만 주목하기보다 경기변동론적

입장에서 好況 不況의 문제로 연관시켜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

이다 岸本美緖는 康熙年間의 lsquo穀賤rsquo 현상이 不況과 연결되어 있고 光

緖年間 蘇州의 不況도 lsquo穀賤rsquo이 원인이었음을 지목하고 있다125)

그런데 長沙府 중심의 湖南의 사정을 검토해 보면 lsquo穀賤rsquo 관련 기록

이 道光 咸豊 시기와 民國 中期에 집중되고 있다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26)

道光 25年(1845) ldquo穀賤斗穀錢五十文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値穀賤錢価亦賤 民甚苦之rdquo

장사현과 縣治를 長沙城 내에 두고 있는 善化현에서도 같은 해에

비슷한 기록이 있다127)

道光25年 穀賤自十五年起 連年俱穀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中下戶苦之

咸豊5年 穀賤

장사현 기록을 보면 穀価도 싸고 錢価도 싸서 민이 고통 받는다 했

으니 이 당시 은의 해외 유출과 은전비가 문제로 민중이 고통 받은 사

실을 알 수 있다 선화현은 장사현과 연접하고 통합과 분리가 단속되

었던 거의 동일 지역이다 선화현 기록을 보면 도광25년의 lsquo穀賤rsquo이 해

당년도만의 일이 아니고 道光15年(1835)부터 계속된 현상임을 밝히고

있다

12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33 祥異

126)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127) 民國30年刊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0인근의 寧鄕縣에서 보면 ldquo道光26年 歲豊 穀奇賤傷農 佃農以穀賤大

困rdquo이라는 기사가 있다128) lsquo穀奇賤rsquo이라 하였으니 평상시 보지 못한

하락이었다고 생각된다 더구나 소작료 납부가 대부분 현물지대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佃農은 米穀의 상품화 과정에서 배제되었다는 종전의

통념과 달리 佃農도 곡가 하락으로 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같은 기록에 함풍원년에도 ldquo有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以穀賤漕折苛rdquo라 하고 있어

역시 곡가 하락으로 세금 납부에 곤란을 겪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장사부 內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아도 同治 년간에는 lsquo穀賤rsquo 기

재가 보이지 않고 전술한 도광 함풍 년간에 집중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후의 기록을 찾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ldquo湖南自夏秋以來雨暢時若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故無論高低田畝咸稱大稔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甚

賎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反有入不敷出之慨矣rdquo (益聞錄 69号 광서6년828)129)

ldquo(長沙農村) 近年來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穀米求售 価値至賤 日用各物 則又極昻 收穫所

得 不足顧其工本 多已漸陷于無力耕種之境rdquo (新靑年 7권 6호 1920년 5

월)130)

ldquo湖南近年來之天災人禍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天災旣足以減少收量 地方不靖 産品滯銷

価値復因以低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而生活日昻 工価及日用物品 繼續增漲 收入支出 常苦

不得平衡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rdquo (中國棉産改進統計會議專刊 1931)131)ldquo湘省爲産穀素豊之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年歲收 屢佔大有 而長江流域亦値豊收 更

有大宗洋米 運貨傾銷致湘米頓失市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価格低賤 不僅農村經濟 陷于絶

境 市面金融 亦大受打擊rdquo (銀行週報 18권 9기 1934313)

이외에도 1936年의 사실로 호남의 武岡 東安 일대에서 lsquo豊年穀賤rsquo으

로 省城에 운반할 때 운송비와 각종 捐稅 부담을 감당할 수 없어 陳米

를 불태웠다는 기록이 있다

128) 李文治 앞의 책 p557

129) 章有義 앞의 책 권2 p432

130) 章有義 앞의 책 권3 p795

131) 章有義 위의 책 p620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1이것을 보면 주로 1930년대에 lsquo穀賤rsquo과 不況이 집중 묘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lsquo穀賤rsquo 즉 불황이라고 하면 도광함풍초의 곡천과 불

황 同治光緖宣統期의 lsquo穀貴rsquo즉 好況 다시 民國 전기의 好況 民國 中期

의 불황으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물가의 상승기가 호황적 국면이라는 것은 알려

져 있지만 이것은 전체 물가의 문제이다 위 자료에서 보면 1920년 장

사 농촌에서는 곡가는 싼데 일용품 가격은 극히 높다고 하고 있고

1931년의 기록도 工價와 일용품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농민이 다수를 점하기 때문에 미곡가의 하락은 농민 수입 감소

와 구매력 저하를 가져오고 이것이 농촌 불황의 한 요인이 될 수 있

다 그러나 工賃과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시장의 한계 안에서의

일이다 또한 실업률과 고용 지표 등도 고려되어야 하는데 만족할만한

통계의 부족으로 명확한 답을 얻기는 어렵다

그런데 米価와 물가는 개별 년도나 시점에서 서로 상이한 궤적도

있지만 圖2 3 6 7을 보면 대체적으로는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예릉의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광서 4년(1878)에 비하여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1912)에는 현격한 상승세였다가 그 후에 등락을 거듭

하고 있지만 민국25년(1936)의 경우는 광서4년보다는 높거나 유사한

경우가 많다

2 생활 경기의 발달

당시인들이 체감하던 생활 경기의 수준이 어떠했는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

光緖刊 善化縣志를 보면 다음과 같다132)

132)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16 풍속 附論 ldquo古人 酒肉以養老 而今則黃口稚子

無不酒肉之人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日不旦穀貴鹽貴 而酒肉皆貴 則好惡可知矣 一今鄕間柴炭

其価數倍於昔日 瀕河之地 莫不燒煤rdquo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2옛사람들은 술과 고기로 노인을 부양하였는데 지금은 어린아이도 술과

고기를 먹지 않는 이가 없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요사이 미곡과 소금이 비쌀 뿐 아니

라 술과 고기가 모두가 비싸니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지금 향간에 柴炭이 그 값이 예전보다 수배인데 하천 근처 사람은

煤를 때지 않는 사람이 없다

同治 攸縣志 에도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33)

예전에 士大夫도 집에 있을 때 엄동이 아니면 가죽옷을 입지 않았다

지금 關中의 가죽옷 상인이 유현에 와서 1년에 은 만여 냥을 얻을 수 있

다 기타 비단 옷은 蘇州 杭州 및 嶺南에서 오는 것이 또 배가 되니 1년

에 수만금을 소비한다

醴陵縣에서도 비슷한 인식을 볼 수 있다134)

ldquo예전 풍속이 儉樸하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이 명절 아니면 고기를 먹지 않고

慶弔事가 아니면 술을 베풀지 않고 손님 접대는 닭 잡는데 그치고 鮮味

는 생선에 그쳤고 縣城의 食肆는 飽麵茶館에 그치고 酒席으로 業을 삼는

자가 없었다

지금은 酒樓菜館이 거리에 가득차고 中人의 집에도 술자리가 베풀어지

고 사치를 다툰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예전에 士類大半이 淥江書院에 모이면 그 가운데 비단신을 신은 자가

불과 수인이었고 羊가죽 옷을 입은 자가 불과 1 2人이었다 지금은 비단

신과 가죽옷이 거의 常服이 되었고 日用品은 舶來品이 많다rdquo

이 내용을 보면 예릉현의 생활 수준이 급격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예릉현지 기록에는 부인들이 上海의 유행을 쫓아 사치를 추구한

다는 내용도 있고 청말부터 外貨를 서로 자랑한다는 내용도 있다 종

133) 同治10年刊 攸縣志 권18 풍속 衣服 ldquo衣服 昔時 士大夫 家居非嚴冬不御裘

今關中裘商來攸 歲可得銀萬餘兩 其他錦繡之運自蘇杭及嶺南者 則又倍之 計一歲

之戶 所費數萬金rdquo

134)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4장 풍속 생활 ldquo旧俗民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非令節不

食肉 非慶弔不置酒 欵客止於殺鷄 鮮味止於草魚 縣城食肆 止於飽麵茶館 無以酒

席爲業者 今則酒樓菜館 遍於街市 中人之家酬酢往還 爭奢鬪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旧時士類

大半 集於淥江書院 一院之中 著緞鞋者 不過数人 襲羊裘者 不過 一二人 今則絲

履皮袍殆成常服 日用之品 多自舶來rdquo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3전에 菜油 棉油로 燈을 켜다 집집마다 煤油를 사용한다거나 세탁시

茶枯鹼水를 쓰다가 대부분 비누를 사용하는 일상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135)

또 寧鄕縣에서도 ldquo同光之間 地方安寧 家給人足(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함)縣城商業 於時爲盛rdquo이라 하고 있어 同治(1862-74) 光

緖(1875-1908) 시기가 好況이었음을 알 수 있다136) 湘報에도 ldquo民間

之喜用洋貨日甚一日rdquo이라 하고 있어 洋貨 사용의 확대를 짐작할 수 있

다137)

광서년간 무역이 확대되고 여기에 대해 유익하다는 인식의 기록이

湘報에 나오고 있다138)

ldquo輪船과 철로가 개통되고 항구 개항이 증가 되는 것은 실로 중국에 유

익하고 손해가 없다 저 눈이 콩만큼 큰 자가 걸핏하면 통상이 중국에 해

가 된다고 하니 어찌 심히 어리석지 않은가rdquo

무역 확대를 지적하고 통상이 유익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예릉현

지에도 同治志에는 풍속이 lsquo安士重遷rsquo하고 상인이 외부 활동하는 자가

적었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고 光緖末에 도자기 夏布 編爆業

이 일어나 융성하여 이에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 넘는다고

하고 있다139) 예릉향토지에도 商旅 왕래가 예전보다 10배라는 서술이

있다140)

장사시의 行業발달 상황을 보면 민국 5년(1916)에서 民國22年(1935)

사이에 식품업은 281⟶2124 사치품은 171⟶1128 복장은 43⟶2028 農

礦은 621⟶1156 洋貨 127⟶233 금융 130⟶164 공예 2121⟶3344 문구

17⟶355 등 비약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141)

135)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 工商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6장 실업

136) 民國30年刊 寧鄕縣志 財用錄 民業

137) 湘報 제13호 1898年 3月 21日

138) 湘報 제162号 1898年 9月 23日

13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40) 民國15年刊 醴陵鄕土志 제6장 실업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4이것은 장사의 생활수준 향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당시에

通商의 확대 주장도 湘報에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142)

이상에서 보면 청말민국기에 대체적인 추세는 好況이었다고 생각된

다 생활 수준의 향상이 눈에 띄고 米価와 물가도 연동되면서 상승하

는 추세였다 米価의 상승이 구매력 수준의 제고가 되기 때문에 米穀

생산 중심지역에 상인들의 行號가 집중되는 것이 보였다143) 임금의

경우에도 호남 汝城縣에서 실질 임금이 유지 또는 상승하는 것을 확인

한 바 있다144) 全漢昇도 1875년부터 1925년까지에 걸쳐 四川 合江현

의 임금과 물가 변동의 추세가 거의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바 있

다145) 앞서 인용한 1931년 中國棉産改進計劃 에도 임금과 일용품 가

격이 함께 오른다고 하고 있어 임금이 물가에 연동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생활 수준 향상을 기록하고 있던 지방지에도 빈부 격차를 암시하는

내용이 있고 物力이 날로 쇠퇴한다든지 하는 기록이 있다 대외 무역

이 적자라 하더라도 차관 원조 뿐 아니라 외국 상인의 진출이 자본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好況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Ⅴ 結 言

이제까지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이후 民國中期인 1936年

까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여 米価와 물가 변동 물가 변동의 원인

141) 張朋園 앞의 책 p387

142) 湘報 44호 中外通商利害論 湘報 67号 論湖南茶務急宜整頓

143)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144)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9 1998)

145) 安本美緖 앞의 책 p2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5물가와 생활 경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米価 변동은 단기 변동에 있어서 전쟁이나 天災 등의 특수한 사정

의 해를 제외하고는 光緖 년간에 비해 민국 중기의 계절 변동폭이 축

소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米価의 계절 변동을 완화 시

켜 주는 雜糧의 재배가 湖南 지역에서는 대부분 同治 년간에 보급 확

대가 되고 있다 교통과 상업 발달 등의 이유로 청말에서 민국기로 갈

수록 계절 변동폭을 축소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변동에서는 長沙府縣의 물가 변동 예릉현 물가 변동 등을 살

펴 볼 때 전체로서는 상승 추세 중에 도광 함풍 시기의 低米価 同治

년간의 高米価 光緖전반의 低米価 光緖後半에서 宣統 년간의 高米価

民國 前期의 高米価 民國 中期의 低米価의 등락을 보이고 있다

民國 中期의 米価는 長沙 8개년 米価 추세에서도 안정속의 상승세

를 보이고 있다 명목상 수치 뿐 아니라 米価의 상대 물가로 보는 실

질 구매력도 宣統 民國元年에까지 급상승하였다가 민국 시기 등락을

거듭하지만 민국25년(1936)까지 광서4년(1878) 대비 유지 또는 상승 추

세였다

物価변동은 개별 상품에 따라 편차가 있고 米価와는 전혀 상이한

궤적을 그리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米価와 연동 관계를 보이

고 있다 1898년 물가의 단기 변동은 이상할 만큼 변동폭이 크지 않다

당시 물가 조사자의 보고가 정확했는지 의심될 정도이다 1935년의 장

사 물가에서 단기 변동을 보면 변동폭이 100이상인 夏布 毛筆 麵粉

棉布등을 비롯하여 50 이상인 오리털 흑연 성냥 국산 전지 등을

비롯하여 40 이상인 비누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기 변동폭

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 이것은 이런 물품들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

성이 크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物価의 장기 변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米価와 대체로 비슷한 궤적

을 보이고 있다 청말에서 민국전기에 걸쳐 물가 상승폭이 두드러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 상승폭이 더욱 크

다 돼지고기 값을 예로 들면 1878년에서 1909년 사이에 273 상승했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6고 1912-1921년 사이에 75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닭은 각 50와 44

상승했다 청말은 31년간의 수치이고 민국 전기는 9년간이니 물가의

상대적 급등을 알 수 있다 1926에서 1936년까지 10년간 돼지 고기 값

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

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

세를 보이고 있다 민국 중기의 米価가 일부 lsquo穀賤rsquo 현상을 보인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음으로 물가 변동의 원인에 대해서는 군벌간의 전쟁이나 정치적

혼란 등 정치 군사적 요인을 제외하고 대체로 검토해 보았다

수요 측면에서는 湖南米의 유통이 호남 내부의 인구 증가에도 불구

하고 양자강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지속된 것이 米価 상승의 한 원

인이었다 上海나 武漢 등의 도시화와 인구집중은 이들 지역 양식 수

요를 폭증시켰다 일부 洋米 수입에도 불구하고 湖南米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으로써 米価를 상승시켰다 또 장사를 비롯한 각지의 새로운 수

공업 산업의 발달로 비농업 인구가 증가하고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유

효수요로 성장하여 米価 상승을 유도하였다 양식의 이출은 해당 지역

인구 식량을 전부 제외한 나머지 잉여가 수출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력

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청말민국기에는 호남의 내부 외부에

서 미곡에 대한 유효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것이 米価 상승의 한 요인

이었다

화폐 문제에 있어 화폐 수량의 증가가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것

은 상식이다 종래 아편전쟁 전후 은의 해외 유출 증가가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을 초래하여 물가 상승과 인민의 빈곤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지방지 등의 史料에서 검토한 결과 은전비가는 도광함풍초의

일시적 상승 후에 함풍 7년 이후는 도리어 하락하고 있다 同治 년간

에 대부분 1兩 1300文 수준에서 안정되고 있다 光緖末宣統년간에도

1600-1700文 수준으로 도광함풍 초보다는 낮은 편이다 청말민국시

기에 화폐의 남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한계를 넘었을 때 시장의 통용

거부로 마침내 중단되고 있다 청말민국기에 외국 銀元의 유입과 국내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7의 銀元 주조 銅元 지폐 외에 鈔票 市票 등 화폐 시장에 투입된 화

폐량은 엄청나게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로서는 어느 정

도 시장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외 교역과 상품량의

증대 경제 활동 인구의 증대 미곡 생산 및 농산품 생산의 증대로 화

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것이 화폐량의 막대한 증가와 유

통속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

었다고 생각된다 즉 안정 속의 물가 상승이 유도된 것이다

공급면에서 보면 대외 교역을 통한 서양 상품의 수입은 전체로서는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물건의 공급 증가를 통해서

혹은 국내 상품과의 경쟁 때문에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었

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침략과 물가 폭등이라는 도식적

견해와 달리 현실에서는 물가 억제 작용도 있었던 것이다

물가와 경기면에서 보면 물가가 비쌀 때 호경기가 많은 것은 사실

이다 그런데 lsquo穀賤rsquo 현상이 불황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서 長沙 지역의 경우를 검토해 보았다 도광함풍 년간까지 lsquo穀賤rsquo현상

과 불경기적 상황에 대한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동치광서 년간에는

米価가 등귀한 시점인데 이 시기는 紅茶業의 번성이나 각종 수공업의

번성으로 好況의 면모가 보이고 있다 민국 시기에는 민국 중기에 lsquo穀

賤rsquo의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史料上에 민국 중기의 lsquo穀賤rsquo은 임금이나

다른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다 물가 상승기와 好況

이 맞물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민국 중기는 lsquo穀賤rsquo 현상과 서로 어긋

나는 것이다 이 시기의 不況 서술은 농촌의 농민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표시이다

생활 수준에 대한 지방지 기록 등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주민들의

洋貨 사용이 보편화되고 의복 음식 주거 등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것

을 지적하고 있다 물가는 상승하였지만 同治 이전에 비하여 분명히

사치품의 소비 증대와 中人의 집도 소비 수준이 제고된 것이 드러나고

있다 민중의 빈곤은 있으나 이 시기 빈부 격차가 커지고 생활 수준의

격차가 커진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2: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90방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데 각 지역의 지방지나 日記류 등 여러 자

료에서 가격을 찾아내고 지역간 차이를 무시한 채 時 계열의 물가사를

구성하고 있다2)

物價史 연구의 어려움은 우선 구체적인 물가 기록자체가 매우 드물

다는 것이다 단편적인 물가 기록을 이용하여 체계를 갖추고자 할 때

당면하는 문제는 화폐와 도량형의 불통일이다 따라서 지역간 격차를

무시한 채 물가사 구성을 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고 설득력이 떨어지는

일이다 청말에서 민국기에 걸쳐서는 스페인 멕시코에서 유입된 외국

銀元과 국내의 銀兩 制錢 銅元 등 다양한 화폐가 혼용되고 있어 상호

비교를 어렵게 하고 있다3)

도량형의 경우도 너무 복잡 다양하여 諸家의 연구서가 상이한 표준

들을 제시할 뿐 개별 지역으로 들어가면 환산 가능한 계산표를 만들지

못하고 있다4)

이런 자료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호남과 관련된 물가 연구도 일부

행해지고 있다 淸初 揚子江 중류 지방의 米価 변동에 대한 연구가 있

고5) Wong amp Perdue의 호남 곡물 가격 연구가 있다6) Perdue의 연구

에서는 18세기 전 기간 호남의 米価가 거의 변함이 없는 것으로 되어

있어 이용된 史料 糧価淸單의 신빙성이 의심된다 근대 양식 상업 조

직 및 통계 기구의 기록을 이용하여 장강 중하류 지역의 米価 변동을

조사한 論考도 있다7)

2) 譚文熙 中国物價史 (武漢 湖北人民出版社 1994)

3) 邱思達 中国近現代鑄幣圖說 (北京 中国書店 1989) p1

4) 吳承洛 中国度量衡史 (北京 商務印書館 1937) 梁方仲 中国歷代戶口田地

田賦統計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1980) 洪成和 淸代度量衡硏究史 (中國史

硏究 54 2008) 18世紀 中國 江南地域의 화폐사용관행 (明淸史硏究 362011)

5) 鄭哲雄 淸初 陽子江 三省지역의 미곡 유통과 가격구조 (歷史學報 1431994)

6) Wong amp Perdue ldquoGrain Markets and Food Supplies in Eighteenth Century

Hunanrdquo (T G Rawski Chinese History in Economic PerspectiveCalifornia Univ Press 1992)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91또 도량형 문제 穀米折算 문제 銀錢折算 문제 米価 대표치 등 여

러 가지 한계를 고려하면서 18세기 兩湖지역 米価의 변동을 정리한 것

이나8) 米価 변화를 통해서 淸代 兩湖의 人地 관계와 농업 발전을 추

적한 것도 있다9)

연구 대상 지역을 좁혀서 縣이나 府 범위를 한정하여 물가 변동을

고찰하거나10) 상품유통과 관련하여 부분적으로 米価와 物価를 연구한

것도 있다11)

本考를 구성하게 된 동기는 長沙에서 발행된 湘報에서 1898년 당

시 매일의 물가 기록을 발견하게 된 것이다12)

매일의 물가 기록은 淸末에는 거의 찾아보기 어려운 희귀한 자료이

다 여기에 지방지와 기타 史料를 종합하여 대체로 淸末民國期 그 중

에서 주로 同治(1862-74) 이후 民國25年(1936)까지를 분석 대상으로

한 물가사를 구성해 보고자 한다

本考의 문제의식은 이 시기 물가 변동의 궤적은 어떠하였으며 어떤

특징인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또 통설과 같이 이 시기에 제국주의 침

략이 날로 심화되었으며 물가 상승폭이 날로 증대되어 인민생활은 더

욱 빈곤하게 되었는가13) 근대 농산 상품화의 발전이 도리어 농촌의

빈곤을 가중시켰는지를 탐색해 보는 것이다14)

물가사가 일차적으로 물가의 등락 변동을 추적하는 것이지만 단순

7) 侯楊方 長江中下流地區米穀長途貿易 1912-1937 (中国經済史硏究 1996年2期)

8) 龔勝生 18世紀 兩湖糧価時空特徵硏究 (中国農史 1995-3)9) 龔勝生 淸代兩湖農業地理 (武昌 華中師範大學出版社 1996) pp270-287

10)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 91998)

11)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 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12) 湘報 (北京 中華書局 2006)

13) 譚文熙 앞의 책 p256

14) 徐正元 中国近代農産商品化的發展與米市的形成 (復印報刊經濟史 1997-3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92하게 명목 수치만을 제시하는데 그칠 것이 아니라 상대 물가를 파악하

여 실질적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 岸本美緖의 경제 변동론적 관

점을 시야에 넣고서 이 시기 물가 변동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

이 본고의 문제의식이다

Ⅱ 米價와 物價 變動

1 米價 변동

1) 단기 변동

米價의 단기 변동은 우선 계절 변동을 생각할 수 있다 全漢昇과

kraus는 蘇州 織造 李煦의 奏摺에서 추출된 1713-19년의 蘇州 米価와

1913년-19년의 上海의 매월 米価를 비교하여 200년의 간격에도 불구하

고 兩者의 계절 변동폭이 유사하다는 것을 밝힌 바 있다15) 陳春聲은

1751-70년의 廣州 米価와 1931-36년의 廣州 米価의 계절 변동폭을 비

교한 끝에 前者의 계절 변동 폭이 後者보다 약간 적다는 결론을 내고

있다16) 이들 所論은 18세기 米糧 교역망과 시장 통합성을 높이 평가

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나 어떤 측면에서는 교통과 수송수단의 발달

상업의 발달이라는 역사의 전진 방향과는 맞지 않는 결론이라 생각이

된다 호남지역에서도 乾隆(1736-1795) 시기에 비하여 同治(1862-1874)

光緖(1875-1908) 시기의 계절 변동 폭이 크다고 하고 그 이유는 인구

증가와 더불어 상인 작용의 차이가 있었다는 지적도 있다17) 이 역시

청 말에 미곡 장거리 무역 종사의 상인 활동이 18세기 보다 미약해 졌

다는 인식인데 쉽게 수긍하기는 어렵다

15) 岸本美緖 앞의 책 pp31-32

16) 위의 책 p33

17) 張麗芬 湖南省米糧市場産銷硏究(1644-1937) (台北 1990) pp241-242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93

上白米 石155斤 次白米 石152斤 中米 石150斤

1石価 1斤価 石価 斤価 石価 斤価

-310 3000(文) 1935(文) 2900(文) 1908(文) 2800(文) 1867(文)

311-320

321-331 3005 1938 2902 1912 2800 1867

401-410 3070 1981 2970 1954 2810 1874

411-420 3240 2090 3140 2066 3040 2027

421-430 3450 2226 3350 2204 3250 2167

501-510 3660 2361 3560 2342 3450 2299

511-520 3620 2337 3522 2317 3422 2282

521-531 3630 2342 3530 2322 3430 2287

601-610 3425 2210 3325 2188 3225 2150

611-620 3456 2230 3356 2208 3256 2171

621-630 3500 2258 3400 2237 3300 2200

701-710 3631 2343 3531 2323 3431 2287

711-720 3881 2504 3775 2484 3681 2454

lt表1gt 1898年 長沙 米価 (3月-7月)

lt표1gt과 lt표2gt는 湘報에 수록된 1898년 長沙의 米価 변화를 나

타낸 것이다18)

3月부터 7月까지 약 140일간의 매일 물가 변화를 10일간씩 평균하여

제시한 것이다 米穀 1石의 斤数가 長沙는 〇〇斤이라는 통념은 성립

되기 어려운 것 같다 여기에 제시하지 않은 穀價는 河東穀과 河西穀

으로 나뉘어 1石의 斤数가 서로 다를 뿐 아니라 시기에 따라 수시로 1

石의 斤数가 바뀌고 있다19)

18) 湘報 長沙各物時價表

19) 하동곡은 35-515일까지는 1石=124斤 516-613일까지는 1石=120斤 614-

719일까지는 1石=116斤임 하서곡은 35-327일까지는 1石=100斤 328-411일

까지는 1石=126斤 412-515일까지는 1石 100斤 516-613일까지 1石= 124斤

614-719일까지는 1석=120斤임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94米価도 上白米 次白米 등 품질에 따라 1石의 斤數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lt圖1gt 長沙米價 石文

lt圖1gt은 lt표1gt을 그래프로 바꾼 것이다 이것을 보면 米価는 5월

10일 사이에 가장 높고 6월 10일경에 급락했다가 그 후에 상승하고 있

다 圖1)에서 보면 3月에 낮았던 米価가 4月부터 상승하여 5月 초순에

최고가에 도달하고 5月末의 高価를 거쳐 6월 초순에 급락하고 있다 6

月 중순부터는 다시 상승 궤도를 그리고 있다 6月 초순의 급락은 湘報에 실린 6月 9日 기사와 관련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武漢에서 米

価가 공급 부족으로 갑자기 올랐는데 호남미가 도착하여 산처럼 쌓였

다는 것과 그후 하류지역으로 米穀 放出을 금지하니 米価가 急落하였

다는 사정이 나타나고 있다20) 이 시기는 雜糧의 등장 시기와도 맞물

20) 湘報 光緖 24年 4月21日(6月9日) 米価跌落 ldquo現今湘米到漢 聚積成山 一律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95리고 있지만 6月 중순 이후의 米価 상승을 설명하기는 어렵다 同治9

年-10年의 長沙의 米価 변동은 4⟶5⟶6월은 상승하고 6⟶7⟶8⟶9月은

하락 9 10 11 12 1 2는 평온 2⟶3⟶4는 상승 기조를 보이고 있다

동치 9년-13년의 長沙米価는 2⟶3⟶4⟶5月은 상승하고 5⟶6月은 하락

6⟶7⟶8月은 맹렬 하락 9 10 11 12 1 2월은 평온을 나타내고 있

다21) 同治2年(1863) 長沙府知府 丁宝楨이 마련한 lsquo積穀收放賑借章程rsquo에

의하면 5월 某日에 곡식을 대여하고 8월 某日에 거두어들인다고 되어

있다22)

湖南省 經濟調査所의 조사에 의하면 長沙府 각 縣의 中稻 수확 시

기는 長沙縣의 8월 하순을 비롯하여 대부분 8月 이후이다 早稻도 長

沙縣의 7월 중순을 시작으로 거의 7월 중하순에 집중된다23) 드물게 6

月초에 早穀의 등장을 알리는 기사가 있지만 보편적인 것은 아니었다

고 생각된다24)

湘報의 물가 기록은 매일을 기록 대상으로 하였지만 아쉽게도 7

月 20日까지만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1년 전체의 변동 내용은 알 수

없다 3月에서 7月까지의 변동폭을 보면 上白米는 3月 1石당 3000文에

서 7月 3881文으로 편차는 294 次白米는 3月 2900文에서 7月 3775

文으로 편차는 302 中米는 3月 2800문에서 7月 3681文으로 편차는

315이다 3月에서 7月간의 변동폭은 中米의 315가 가장 크고 전체

로서는 대략 30 내외이다 1月에서 12月까지를 고려하면 이 계절 변

동폭은 이 보다 훨씬 더 클 것이라 생각된다

수확 시기의 다양화와 雜糧 재배의 확대 등은 稻穀 수확의 계절적

차이만으로서는 정형화된 米価의 변동을 확정 짓기 어렵게 하는 요인

이었다고 생각된다 湘報에 실린 동일 해의 사정을 보면 전년의 秋

禁止出運下遊 米商業已停辦 所以米価跌落rdquo

21) 張麗芬 앞의 책 pp244-246

22) 同治10年刊 安化縣志 권33 時事記

23) 張人价 編 湖南の穀米 9 (東京 生活社 1940) pp13-21

24) 同治10年刊 攸縣志 권53 祥異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96收가 평상년이었는데 동년 봄에 곡가가 갑자기 올랐다 곧 다시 평온을

되찾았다고 한다25) 1927년의 湖南 米価가 수확 이전에는 1石당 13元

이었는데 수확 후 5元으로 하락하여 615 변동폭이었다는 보고도 있

다26) 湖南の穀米에 의하면 民國17年(1928)년 이전에는 신뢰성 있는

기록이 드물다고 하면서 민국17년(1928)년 부터 24년(1935)까지 8년간

매 月의 米価 기록을 제시하고 있다27) 그 내용을 보면 민국17년은

520(1月) 827(12月)로 변동폭 590 민국18년은 722(7) 970(12)로

343 민국19년은 719(11) 1264(7)로 758 민국20년은 854(1)

1194(9)로 398 민국21년은 627(12) 1294(2)로 1064 민국22년

(1933)은 522(8) 674(1)로 291 민국23년(1934)은 531(3) 916(9)로

725 민국24년(1935)은 916(12) 1118(6)으로 221의 변동폭을 보이

고 있다 米価 최저 月은 1 7 11 1 12 8 3 12月이고 최고 月은 12

12 7 9 2 1 9 6月로 매우 다양하다

민국17년(1928)은 590로 변동폭이 크다 이 해는 군벌 唐生智의

군대가 양자강을 따라 남하하여 長沙로 향하고 남경 정부는 李宗仁軍

이 북상하여 南北軍이 대결한 전쟁 상황이었다28) 민국19년(1930)은 毛

澤東軍이 7월 27日 長沙를 점령 장사소비에트를 건설한 해 이다 이

해 7月이 최고가를 보이고 변동폭이 758나 된 것은 까닭이 있었던

셈이다 민국21年(1932)은 6월부터 4차 圍剿战이 전개 되었고 7月에는

大풍년이 되었다 변동폭이 1064나 된 것도 원인이 있었다 민국 23

년(1934)은 역시 紅軍과 국민당軍의 국지적 대결이 고조된 시기였는데

725의 변동폭을 보이고 있다29) 이상을 종합해 보면 전쟁 상황과 같

은 특수한 사정의 해를 제외한 평상년에서는 대략 20에서 30대의

변동폭을 보이고 있다 그러면서 米穀 수확 시기와 관련된 정형화된

25) 湘報 89號 長沙縣 職員 常達邦 呈批 ldquo且上年秋收 尙得中稔 本年春間 穀価

偶漲 旋卽平減rdquo

26) 章有義 中国近代農業史資料 제2권 p520

27) 張人价 앞의 책 pp89-96

28)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29) 民國30年刊 寧鄕縣新志 卷1 縣年記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97패턴이 약화되고 있다

앞서 lt표1gt과 lt圖1gt 등에서 본 1898年의 변동폭이 3月rarr7月까지만

의 기간이라 全年 기준으로는 315보다 훨씬 클 것이라는 추론을 해

보았다 그렇다면 민국시기 평상년의 변동폭 20-30는 종전에 비해

감소된 것이 아닐까 생각해 볼 수 있다

계절 변동폭을 줄이는 요인 중 하나는 雜糧 재배의 확대라고 생각

된다 호남 城步縣에서 知縣 盛溢源이 雜糧 재배를 장려하여 米価를

내리려고 했던 것은 同治 년간의 일이다30) 兩湖農業地理를 보면 고

구마 재배 확대를 알리는 府縣志 35개 중에 27곳이 同治 년간 간행 지

방지이다 옥수수는 51개 중에 27곳이 同治 년간 지방지이다31) 호남일

대에서 잡량 재배의 확대는 19세기 후반의 일이다 이것을 보면 18세

기의 米価 계절 변동 보다는 청말민국기의 편차가 적어야 할 것이다

雜糧은 가정의 自給用이거나 지방 소시장의 교역품이라는 통념과 달리

민국시기에는 漢口에 수출되는 장거리 商品糧이 되고 있다32) 다음으

로 洋米 수입 증가를 생각할 수 있다 米価 변동에 洋米 수입 증가가

영향을 주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33) 또 洋米 수입이 거의 3月-6月에

집중되고 특히 4月에 고조되며 7月 이후 國産米의 지속 등장시에는 수

입량이 격감했다는 조사도 있다34) 洋米 수입 증가가 이 시기 米価의

계절 변동폭을 18세기보다는 축소할 수 있는 이유가 된다고 생각된다

청말민국기에는 철도 輪船 등 수송수단의 발달 시장과 상업의 발달

로 상인의 능력은 강화되었다고 여겨진다 추수기에 상인이 대량 매입

을 하고 端境期에 비싸게 팔려고 하는 것은 상인 개인을 위한 이윤 추

구 활동이다 米価의 계절 편차는 곧 바로 전부 상인의 이익은 아니다

30) 李文治 中国近代農業史資料 권1 p538

31) 龔勝生 앞의 책 pp143-145 pp135-137

32)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33) 徐正元 中国近代農産品化的發展與米市的 形成 (復印經濟史 1997年 3期)

34) 呂紹理 近代廣東與東南亞的米糧貿易(1866-1931) (政治大歷史學報 12

1995)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98매입가에 보관비용 손실비용 금융비용 등 부대비용을 제외한 것이 이

윤 범위이다 상인의 買占 행위는 넓게 보아서는 미곡의 수급관계 조

절 작용이라고 볼 수도 있다 따라서 정치 군사적 이유나 특별한 天災

상황이 아니라면 米価의 계절 변동폭은 18세기보다 근현대에 축소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여겨진다

2) 장기 추세

淸代 米價는 장기 추세에서 상승세인데 그 가운데 17세기 후반 19

세기 24분기 19세기 780년대 3회의 低落期가 있다는 조사가 있

다35) 19세기 전반 특히 24분기에는 일반적으로 극심한 디플레이션

시기여서 급격한 하강 국면이고 太平天國 시기는 급격한 요동이 뒤따

른다 1875에서 1911년까지는 가장 인플레이션이 심한 단계로 그 중

1875-85년 사이는 안정속의 상승이고 그 후 혁명전야까지 지속 상승

추세라는 파악도 있다36)

18세기 乾隆년간(1736-1795)에도 蘇州의 米価가 60년간 세 배 상승

했다는 조사도 있는데37) 비슷한 기간 長沙府 湘陰縣도 300 상승한

것으로 되어있다38) 18세기 전후 약 100년간 가격 수준이 300 상승

했다는 당시인의 인식도 있다39)

同治 이후에 제국주의 침략이 날로 강화되고 淸代 경제가 쇠퇴하였

으며 물가 상승폭이 날로 커졌다는 인식40)이 있지만 18세기 물가 상승

을 고려하면 제국주의 침략과 상관없이 물가 상승이 지속되었던 것을

알 수 있다

35) 岸本美緖 앞의 책 p17

36) Yeh-chien Wang Secular Trends of Rice in the Yanzi Delta 1638-1935(California Univ Press 1992)

37) 위의 논문

38) E S Rawski Agricultural Change and the Peasant Economy of SouthChina (Harvard Univ Press 1972)

39) 郭成康 18世紀中國物價問題和政府對策 (淸史硏究 96-1)40) 譚文熙 앞의 책 p25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99민국시기에는 1920년대까지 米価가 지속 상승하고 인플레이션이 심

해 매년 33 비율로 상승했다는 조사가 있다41) 민국 전기는 비교적

안정 속의 상승세이고 민국 중기는 역시 기본상 상승이지만 1932-35

년 사이는 하강하고 있다는 견해도 있다42)

湖南 내부 각 지역의 米価도 상호간에 긴말한 연동 관계를 보이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고43) 上海와 長沙 사이에도 고도 상관있는 것이

파악된 바 있다 그러나 공간을 달리 하면 도량형이나 화폐 종류 등의

차이로 정확한 변화를 파악하기 어렵다 되도록 좁은 범위의 지역을

연구 대상으로 할 때 상대적인 정밀도가 높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래

서 本考에서 長沙縣을 중심으로 같은 長沙府 내의 몇 개 縣을 관찰하

여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 이후 民國中期인 1936년까지를 주

대상으로 物価 변동을 살펴보려 한다

兩湖農業地理에서는 湖南 湖北의 米価를 세부 지역 구분 없이 종

합하고 있는데 例示 가격의 시기 역시 일정하지 않다 따라서 정밀성

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lt표2gt와 lt표3gt은 長沙府 醴陵縣志에기재된 것으로 해당 지역 상인의 장부와 縣商會 조직에 의한 기록을

토대로 한 것이다44) 당시인의 물가 변동에 대한 인식이라 비교적 정

확하다고 생각된다 같은 長沙府 寧鄕縣에서도 光緖7年 穀価가 1石당

600文이라는 기록이 있는데 lt표2gt의 예릉현 광서4년(1878) 기록과 근

접하고 있다45) 長沙를 중심 시장으로 하여 같은 府內의 시장 통합성

이 큰 것은 이미 확인한 바 있다46)

41) Yeh-chien Wang 앞의 논문

42) 譚文熙 앞의 책 p302 p356

43)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物価

44)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45)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46) 張麗芬 앞의 책 p197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0

시기 단위 가격(文) 米価

광서4년(1878) 石 680 1360

광서14년(1888) 780 1560

광서19년(1893) 680 1360

선통원년(1909) 2000 4000

민국원년(1912) 2800 5600

민국5년(1916) 2800 5600

민국10년(1921) 3800 7600

lt表2gt 醴陵縣 穀価(a)(私家數簿에 의함)

lt圖2gt 醴陵縣 穀價(a) 石文

-附記 前淸通行制錢文으로써 단위 민국초년에는 비록 銅元을 사용하나 관습상 1銅

元은 10文에 해당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1

시기 단위 가격(元) 米価

민국15년(1926) 石 160 32

민국20년(1931) 240 48

민국25년(1936) 250 50

민국27년(1938) 280 56

민국28년(1939) 500 100

민국29년(1940) 800 160

민국30년(1941) 3000

-lt表2gt lt表3gt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物価

lt表3gt醴陵縣 穀価(b)(縣商會 조사)

lt圖3gt 醴陵縣 穀價 石元

lt표2gt와 lt圖2gt를 보면 長沙府의 米価는 光緖4년(1878)부터 광서19

년까지 비교적 낮은 채로 있다가 그 이후 급등하여 청말에서 민국 전

기 까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lt표3gt과 lt圖3gt을 보면 민국 15년

(1926)에서 민국 27년(1938)까지 비교적 안정속의 상승세를 보이다가

그 후에 급등하고 있다 本考에서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는 것은 민국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2

時期 銀価(兩石) 錢価(文石) 出典

道光 16年(1836) 10 1400 民國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Prime 25年(1845) 05 1000同治長沙縣志 권33

祥異 光緖善化縣志 咸豊元年(1851) 08 1600 民國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함풍 3年(1853) 05 1000 同治湘鄕縣志 권5 祥異함풍 6年(1856) 07-08 1400-1600 同治安化縣志 권34 五行

同治元年(1862) 308 4000 同治瀏陽縣志 권14 祥異

同治 9年(1870) 296-370 4000-5000 Prime

光緖 7년(1881) 08-266 1200(4000) 民國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光緖年間 125-188 2000-3000 長沙日報 宣統2年2月

선통32年(1906) 25 4000 Prime

선통 2年(1910) 412 7000 Prime

長沙日報는 兩湖農業地理 p274에서 再引用

lt表4gt 長沙府 縣志等 米価 기록

중기인 1936년까지이다 항일 전쟁 발발과 國共 대립 등으로 극도의

혼란기인 민국후기는 특히 경제면에서 역사적 실체를 파악하기가 매우

어렵다

lt표4gt는 주로 長沙府 내의 縣志를 이용하여 米価를 정리한 것이다

흉년시의 특별한 가격이 아니라 평상년 가격 위주로 작성한 것이다

풍년시의 가격도 있으나 수년간 풍년이 지속되었다면 常年 가격에 준

한다고 생각된다 함풍3년(1853)의 米価는 兩湖南農業地理에 인용된

曾國藩 上奏시의 米価와 동일하다 같은 자료를 더 이용하면 함풍7년

(1857)에는 駱文忠公遺集 1石당 3200-3500文의 기사가 있다 역시

曾國藩의 上奏文에 同治2年은 1石당 30兩인데 당시의 銀錢比価로 환

산하면 3900文이므로 lt표4gt上 동치 元年 4000文과 거의 유사하다 同

治7년(1868)은 李瀚章의 上奏文에 4000文 전후로 되어있어 표의 내용

과 거의 일치한다 이것들을 짜 맞추어 보면 위 지방지 기록이 상당한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3

lt圖4gt 長沙의 米価 변동

bull광서4년 14년 19년은 예릉현지 물가표 기재 이용

bull광서7년은 민국 영향현지 기록 가을 이전의 평상 가격 이용

bull광서32년은 水災시의 가격

예릉현 물가표상의 광서 기록을 보충하여 수정한 결과

신뢰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표4)의 내용에 長沙府 醴陵縣志의 물가

표상 광서4년 14년 19년을 포함하여 구성해 본 것이 lt圖4gt이다

이것을 종합하여 보면 도광 16년(1836) 이후 함풍6년(1856)까지는

비교적 저렴한 米価가 유지되다가 함풍7년(1857)이후 米価가 급등한

것으로 생각 된다 동치 년간은 동치원년(1862) 4000文에서 동치2년

3900文 동치7년 4000文전후 동치9년 4000-5000文으로 계속 高米価가

유지된 시기였다 그런데 銀錢比値는 동치2년 1300文 동치 7년

1300-1400文으로 도광말 함풍초보다 오히려 안정되어 있다 淸末 이

지역의 지방지를 검토하면 거의 모두 嘉慶 이전은 米価를 銀兩으로 표

시하다가 道光 이후는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도광 이후 淸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4末은 米価도 錢文価가 실제 시장 가치를 잘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

다 동치 년간 상당히 高米価가 유지되었지만 道光末咸豊初와 같은 lsquo銀

貴錢賤rsquo 현상은 보이지 않기 때문에 米価 상승이 농민에게 어느 정도

유리했다 여겨진다 lt圖4gt를 보면 光緖 전반에는 米価가 상대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光緖19年(1893)까지는 하락 안정세를 보이다가 그 후에

급등하고 있다 호남성 수확기의 中米 가격 조사에서도 비슷한 경향이

보인다47) 中米 가격도 광서22년(1896)부터 대체로 상승추세인데 광서

34년(1908)에 급등하고 있다 앞서 彭信威가 연구한 江浙 米価 변동에

19세기 24분기와 19세기 780년대가 米価低落期에 해당된다고 하는

데48) 이것과 유사한 면을 가지면서 약간의 편차가 있다 즉 동치 년간

(1862-74) 70년대 전반까지는 대체로 高米価가 유지되었고 光緖 전반

의 하락은 90년대 전반까지인 것으로 생각되는 것이다 淸末 上海의

米価 조사도 1862-71(213) 1872-81(128) 1882-91(142) 1892-1901

(207)로 되어 있어 위 호남 長沙의 米価 변동과 비슷한 궤적을 그리고

있다49)

lt표1gt에 제시된 광서 24년(1898)의 長沙 米価도 3000文-4000文 사

이에 형성되어 상당한 高米価이다 같은 湘報에 실린 내용에 岳州에

집결된 湖南米가 漢口에 운송 판매되는데 米価는 3700-800文 또는 4천

수백文에 이른다고 되어 있다50) 대략 光緖20年(1894) 이후부터 淸末까

지 高米価가 지속되었다고 생각된다 松江府續志의 기록을 이용하여

光緖年間 低米価와 그로 인한 장기 不況이라는 해석은 長沙府 일대에

서는 드러나지 않는다51) 低米価는 光緖年間 전체는 아니고 光緖

(1875-1908) 년간의 거의 전반에 해당하는 1893년 이전의 일로 생각된

다 후반에서 淸末까지는 急騰에 가까운 高米価의 변동을 보여주고 있

47) 岸本美緖 앞의 책 p19

48) 同上 p443

49) 湘報 76號 p67650) 李文治 中国近代農業史資料 제1집 p561 岸本美緖의 해석 앞의 책

pp442-443

51) 張人价 앞의 책 pp93-9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5

機米 河米 糯米 총 평균

가격 지수 가격 지수 가격 지수 가격 지수

1928 652 7564 503 7065 805 9015 653 7944

1929 862 10000 712 10000 893 10000 822 10000

1930 1003 11636 862 12107 1037 11613 967 11764

1931 1002 11624 845 11868 1020 11422 956 11630

1932 1008 11694 817 11475 947 10605 924 11241

1933 594 6868 504 7079 757 8477 618 7525

1934 671 7784 590 8287 812 9093 691 8406

1935 1004 11647 810 11376 1012 11333 942 11460

lt表5gt 長沙의 米価(石元)

예릉현 물가표를 보면 民國 시기에도 대체로 안정속의 상승세가 지

속된다 청말에서 1921년까지 米価가 급등한 것으로 보이지만 1926년

에서 1936년까지는 안정 속 상승의 추세이다 兩圖 사이에는 가격 단

위의 차이가 있어 직접 접속은 곤란하지만 흐름은 그렇다고 여겨진다

호남성경제조사소 의 조사에 근거한 민국17년(1928)부터 민국24년

(1935)까지의 8년간 米価 기록을 제시한 것이 lt표5gt이다52)

이것을 보면 등락은 있지만 비교적 米価가 안정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上海의 米価도 1912-1928년 사이 407 상승하였는데 1921-1928년

사이에는 154 상승하였다53) 호남성의 米価는 宣統2年-民國元年 3개

년 평균가와 민국 21-23년 3개년 평균가를 비교했을 때 86 상승이라

는 조사도 있다54) 대체로 淸末에서 民國 전기까지는 가격이 급등하고

민국 중기에는 안정 속의 상승이 추세였다고 생각된다

호남성 汝城縣의 물가변동을 보면 우선 지방지 편찬자의 시기 구분

52) 徐正元 上海近代稻米市場価格變動分析 (中國經濟史硏究 1996年 2期)

53) 張人价 앞의 책 p87

54)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 91998)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6

1898年 1935年

소금 56文斤 57斤

洋油 50文斤 64斤

돼지고기 105文斤 30斤 015-020元斤 25-33斤

鷄育 123文斤 26斤

羊肉 117文斤 27斤

茶油 100文斤 32斤 019-024斤 21-26斤 瀏陽가격

면화(中棉) 217文斤 15斤 03-05斤 10-17斤 湘陰 Prime

1898年 中米1石価 (湘報소재 1石 3193文 적용)

1935年 長沙米価 民國25年 刊 通郵地方物産誌 湖南의 長沙靖港米価(担40-60元

의 중간 값 이용) 1石은 1担보다 크므로 실제 米価는 이보다 높을 것임

이 의미있다고 생각된다 同治丁卯志 편찬 이후부터라고 명시하고 있

는데 丁卯年은 同治6년(1867)이다 이후부터 민국21년(1932)까지를 세

시기로 구분한다55) 同光 시기 光宣 시기 民國 시기이다 즉 동치 후

반에서 광서 전반 광서 후반에서 선통 년간이니 광서 후반부터 물가

상승이 컸던 것을 반영한다고 여겨진다 여성현 물가표상 米価 변동을

단순 비교하면 지수는 100 200 400으로 변한다 1930년대 전반의 米

価는 동치 후기에 비하여 약 65년만에 300 상승한 것이다 이것을

신뢰하더라도 앞서 18세기 전후 백년간 물가가 300 상승하였다는 당

시인의 인식과 상승률은 거의 비슷하다56) 장사부 상음현에서도 18세

기 중후반 67년간 米価가 300 상승한 바 있다 예릉현 물가 표상

1878년에서 1921년까지는 米価는 약 458 상승하였지만 1926년에서

1936년까지 10년간은 약 563 상승에 그쳤다 민국 중기는 비교적 안

정속의 상승을 보여 주고 있다 lt표5gt에 제시된 長沙 機米의 8년간

가격도 54 정도 상승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미가의 명목 수치상 등

락을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질 가치를 알아보려면 상대 물가 즉

米1石価의 구매력이 얼마인지를 보아야 한다

lt表6gt 長沙 中米 1石価의 구매력 변동

55) 郭成康 앞의 논문

56) 張麗芬 앞의 책 p270 각주7)에 보면 호남성 1担価는 140-150斤 1898年 長

沙 米価는 1石당 150-155斤임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7

1935년의 長沙 米価는 通郵地方物産誌의 長沙 靖港의 米 1担価를

이용하였다 실제 石은 担보다 크므로 米価는 여기서 잡은 5元을 상회

할 것이라 생각된다57) 같은 자료의 물가를 이용하여 제시한 lt표6gt을

보면 돼지고기 값은 1898년의 30斤에서 1935년은 25-35斤 사이이다

그 범위 안에 있는 것을 보면 米価의 실질 구매력은 유지되고 있다

茶油는 다소 하락하였지만 면화도 유지 또는 상승이라 볼 수 있다

예릉현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돼지고기는 상승 추세 속에 일

부 하락년이 있다 선통 원년과 민국 원년에 수치가 상승한 것은 米価

의 폭등이 기타 물가를 크게 앞지른 것으로 여겨진다 민국 중기에 약

간 하락하였지만 1935년의 돼지고기 구매력은 광서4년(1878)에 비해

67정도 상승하고 있다 茶油의 경우도 민국 10년(1921)까지 米의 상

대 구매력이 대폭 상승하고 있다 이것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米価 변

동을 통해 농민 소득이 하강했다고 여겨지지 않는다

광서4년1878

광서14년1888

광서19년1893

선통원년1909

민국원년1912

민국5년1916

민국10년1921

민국15년1926

민국20년1931

민국25년1936

猪肉 15斤 25斤 22斤 36斤 35斤 23斤 27斤 16斤 28斤 25斤

草魚 34斤 39斤 38斤 57斤 62斤 35斤 - 20斤 32斤 33斤

茶油 12斤 23斤 25斤 27斤 - - 25斤 - ① -

鹽 23斤 26斤 22斤 33斤 62斤 - 42斤

棉花 7斤 16斤 5斤 - - - - - ②

洋紗 - - - - - - - ③

煤油 - - - - - - - 15병 2병 11병

雞 17斤 22斤 20斤 33斤 22斤 19斤 21斤 - - -

史料上 穀価를 lsquo1米2穀rsquo의 원칙에 따라 米価로 환산하였음① 민국 15년(1926)부터는 茶油의 단위가 石으로 되어 있어 비교 곤란② Prime 棉花의 단위가 石으로 되어 있어 비교 곤란③ Prime 羊紗의 단위가 件으로 되어 있어 이해 곤란

lt表7gt 醴陵縣 米価의 물품구매력 변동추세(米1石의 구매력)

57) 刘泱泱 湖南通史 近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p487-488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8

품목

시기

단위

同光

(1870-1890)

光宣

(1890-1911)

民國

(1912-1932)

肉 斤 188 188 175

鹽 斤 60 75 636

洋紗 捆 100 100同光시기洋紗통행안함

土布 尺 100 120 140

洋油 甁 20 10同光시기

洋油 未 盛行

茶油 斤 188 188 175

桐油 斤 214 200 194

柴 750 875

同治丁卯志(1867)편찬 이후라 되어 있어 대략 70년부터 잡은 것이다

lt表8gt 湖南 汝城縣의 穀1石価의 구매력 변동

호남 汝城縣의 穀1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고기는 光宣 시기에

유지되다가 민국 시기에 약간 하락하였으나 근소한 수치이다 鹽의 구

매력은 光宣 시기에 대폭 올랐다가 民國 시기에 하락하였으나 同光 시

기 보다는 높은 수치이다 洋紗에 대한 구매력은 光宣 시기에서 民國

시기에도 계속 유지되고 있다 茶油는 고기와 같은 변화이다 土布에

대해서는 구매력이 계속 증가한다 洋油에 대해서는 民國 시기에 구매

력 감소를 보이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호남의 대외무역은 외국의 공

업품과 농부산품 원료를 교환하는 것인데 고가의 공업품 대신 강제

저가의 수단으로 호남의 농산품을 약탈한다는 견해58)는 약간의 재검

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공업 상품 가격의 翦刀差에 대해서도 洋紗

의 경우를 보면 나타나지 않고 있다59)

이상을 종합하면 同治年間의 高米価 光緖前半(1875-1891)까지의 상

대적 低米価 光緖後半-宣統까지의 高米価 급등 民國前期의 계속 상승

58) 李金錚 二十年來 中國 近代 鄕村 經濟史的 新探索 (歷史硏究 2003年 4

期)

59) 譚文熙 앞의 책 pp298-299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9

品目 洋麵 淮鹽 茶油 桐油 洋油 猪肉 雞 鴨 烟煤 柴煤

단위시기

包 斤 100斤 100斤箱2桶(50斤)

斤 斤 斤 100斤 衡斗

31-310 26兩 56文 73兩 19兩 104文 112文 88文 320文 24文

311-320 26兩 Prime 73 19 104文 128文 88文 320文 24文

321-331 26兩 Prime 73 625兩 189 108文 128文 88文 320文 252

41-410 26兩 Prime 728 628 186 320文 240

411-420 27兩 Prime 728 626 183 254 228

421-430 29兩 Prime 72 616 181 314 260

51-510 293兩 Prime 711 606 178 310 240

511-520 274 Prime 71 60 183 314 240

521-531 26 Prime 71 60 185 314 229

61-610 26 Prime 699 60 185 299 219

611-620 231 Prime 734 61 184 320 255

621-630 22 Prime 754 62 183 311 254

71-710 22 Prime 774 649 183 310 250

711-719 218 Prime 768 631 181 318 265

면화는 上棉 中棉 下棉의 가격이 제시되고 있으나 여기서 생략함

lt表9gt 1898年 3-7月間 長沙物価

民國中期(1926-1936)까지 안정이라는 米価 변동의 궤적을 확인할 수

있고 그 기간 동안 米価의 실질 구매력은 유지 또는 상승이 대체적 추

세였다 생각된다

2 物價 변동

1) 단기 변동

湘報에 수록된 光緖24년(1898)의 長沙 물가 변동을 표시한 것이

lt表9gt와 lt圖5gt이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0

品目 단위 최고가 최저가 시기 유통량 행선지

鴨絨 斤 500 300 冬 上海 北平 天津 南京

일반적으로 米価와 物価는 상호 연동적이라 생각되지만 여기서 물

가의 단기 변동은 米価와는 다소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대체로

등락 폭이 크지 않다 洋油 洋麵 桐油 등의 변동폭이 크지 않다 면화

만 4월 10일 20일 사이에 상승이 있지만 5월부터는 하락하고 있다

淮鹽 가격은 斤당 56文으로 3月에서 7월 사이에 전혀 변동이 없다

長沙지역은 원래 淮鹽 관할 구역이었으나 太平天國 시기에 교통 두절

로 川鹽 소비지역이 되었다 太平天國후 曾國藩이 이 지역을 淮鹽 소

비지역으로 회복하기 위해 여러 가지 개혁 조치를 행하고 督銷局에서

가격을 核定하여 고시하는 牌價 제도를 시행한 바 있다 일종의 통제

가격제도에 의해 가격 상승이 억제되고 있었던 것이다 直隷의 景縣의

소금 값은 1890년에 斤당 46文 1900년에 斤당 68文이라는 조사도 있

다60) 長寧縣에서는 光緖29年(1903)에 鹽価가 斤당 55文이라는 보고도

있는데 이것은 長沙 1898年의 鹽価와 유사하다61)

戰亂後에 淸朝정부의 淮鹽 소비지 회복 정책에도 불구하고 四川鹽

이 계속 私鹽으로 침투하였기 때문에 長沙의 淮鹽価를 저렴한 통제 가

격下에 두고 있었다고 생각 된다62) 圖6)에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柴煤

는 米価와 같이 5月10日에 최고가에 가깝고 6월10일에 하락하고 그후

에 상승하고 있다 烟煤의 경우에도 비슷한 궤적을 그리고 있다 이것

은 米価와의 연동관계가 비교적 분명하다

1935년의 長沙 物価의 단기 변동 폭을 알 수 있는 것이 lt표10gt이

lt表10gt 長沙物価 通郵地方物産志

60) 李文治 앞의 책 p562

61) 譚文熙 앞의 책 p267-268

62) 佐伯富 中國史硏究 第1卷 (京都 同朋舍 1978) pp340-36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1

黑鉛 石 2200 1300 全年 50000石 漢口上海

棉紗 件 22000 1800 Prime 24000件 本省

棉布 疋 120 150() Prime 1000000 漢口

麵粉 袋 50 250 Prime 140000 Prime

線襪 雙 106 Prime 6000000 本省

毛呢鞋 Prime 200 180 Prime 400000 Prime

夏布 疋 1000 200 夏 20000 上海漢口

火柴 箱 500 300 全年 10000 本省

刺繡 Prime國內및外洋

매년 産量 약50만元

玻璃器 件 300 200 Prime 9000 本省

肥皀 箱 70 50 Prime 30000 Prime

絲綿三角 兩 040 020 Prime 40000 Prime

國貨電池 打 060 040 Prime 200000 Prime

猪 斤 020 015 Prime 50000只 漢口上海

豬毛 担 6000 5000 Prime 4000kg Prime

粗窑器 卡 350 250 Prime 100000套 長江연안

毛筆 支 050 020 Prime 本省 및 황하 각성

여기서 보면 변동폭이 100 이상인 것은 면포 夏布 絲線三角 毛

筆 麵粉 등이다 또 50 이상인 것은 鴨絨(가공오리털) 667 흑연

692 火柴(성냥) 667 玻璃器(유리그릇) 50 국산 電池 50 등이

다 비누는 40 粗窰器는 40이다 棉沙 222 毛呢鞋는 111 돼

지 333이다 단기 변동 폭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고 생각된다 이

것은 이런 물품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성이 크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그런데 1898年의 경우는 茶油 洋油 등 물품의 가격 변동폭이 적은 것

은 무엇 때문일까 어쩌면 당시의 시장 가격 조사가 부정확했는지도

알 수 없다

1935年의 물가에서 綿沙의 변동폭이 적은 것은 당시 항상적인 수요

가 있었기 때문이 아닐까 비누의 변동폭도 40로 비교적 적은데 생

필품으로 수요가 지속 증대된 까닭이 아닐까 한다 通郵地方物産誌에 기재된 醴陵縣 夏布 가격은 40元-100元 사이인데 民國醴陵縣志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2

圖5) 1898年 3月-7月 長沙物價

의 物価表上에는 70元(1938)이라 되어 있다 物産誌 가격은 1935年

의 것인데 예릉현지의 가격이 그 범위 안에 있어 서로 다른 자료간에

부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63) 物産誌 上 相潭株洲의 茶油 값

매 石 160-240元(1935)은 예릉현지 물가표의 민국 20년(1931) 茶油 매

石 240元과 일치하고 있다 표12)에 1936年 煤油 값은 병당 44元이다

그런데 民國 安鄕縣志에서도 1934년 煤油 값은 병당 38元으로 되어

있어 兩者 사이에 유사성을 보여주고 있다64) 그러므로 醴陵縣志 物価의 종적 비교도 신뢰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洋麵은 包당 가격

茶油桐油洋油는 100斤당 가격

棉花 100斤당 가격

2) 장기 변동

長沙의 물가 변동을 보려면 湘報 수록의 광서 24年(1898) 물가와

63) 交通部郵政總局 編 中國通郵地方物産誌 (華世出版 1988)

64) 民國 安鄕縣志 卷11 食貨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3

품명 단위광서4년

(1878)

광서14년

(1888)

광서19년

(1893)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

(1912)

민국5년

(1916)

민국10년

(1921)

豬肉 斤 88文 63 62 112 160 240 280

雞 斤 80 72 68 120 250 300 360

lt表12gt 醴陵縣 物価表 (b) (商会조사)

품명 단위민국15년(1926)

민국20년(1931)

민국25년(1936)

민국27년(1938)

민국28년(1939)

민국29년(1940)

민국30년(1941)

猪肉 百斤 200원 170 200 360 400 561 1300

草魚 Prime 160 150 150

茶油 石 240 290 560 760 2000

鹽 石 120 140 150 160 2000

洋紗 件 2200 2200 2400 2000 2500 1500

土布 匹 27 70

夏布 Prime 70 70 140

竹布 Prime 100 100 8000

棉花 石 20 25 40 100 200 400

煤炭 石 020 030 040 050 230 70

煤油 甁 220 240 440 90 300 460 200

毛邊紙 石 198 432 1200

黑靛粉 桶10斤 100 200 1500 2000

赤金 兩 50 70 80 90 500 560 1600

lt表11gt 醴陵縣 物価表 (a)(私家數簿에 의한 것)

民國24年(1935)의 通郵地方物産誌 기록을 직접 비교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양 자료 사이에 화폐와 단위가 서로 달라 직접 비교할 수가 없

다 그래서 당시인의 물가 변동 기록인 長沙府 醴陵縣 物価表를 이용

하는 것이 파악 방법이 될 것이다

lt표11gt lt표12gt 와 lt圖6gt lt圖7gt을 보면 개별 물품에 따라 차이

는 있지만 대체적인 흐름은 米価 변동과 유사한 궤적을 보여주고 있

다 즉 光緖 前半에 비교적 안정적이다가 光緖 후반부터 급상승하여

민국 전기까지 상승하고 있다 1926년부터 1936년까지는 가격 안정세

를 보여 주고 있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4

雞蛋 個 2 2 3 4 10 15 20

草魚 斤 40 40 36 70 90 160

茶油 斤 116 69 54 150 300

鹽 斤 60 60 63 120 90 180

煤 石 50 120 50

苧麻 斤 270 99 170

棉花 斤 200 96 280

竹布 尺 70 62 60 60 90

靑洋布 尺 55 50 50 70

白蓮紙 刀 40 82 80 100

-附記 前淸 통행 制錢文으로써 단위 민국 초년에는 비록 銅元을 단위 사용하나 관습상 매 1銅元은 錢10文에 해당

圖6) 醴陵縣 物価 (a)

① 豬肉 斤당 가격 ② 雞肉 斤당 가격 ③ 茶油 斤당 가격

④ 鹽 斤당 가격 ⑤ 棉花 斤당 가격 ⑥ 草魚 斤당 가격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5

圖7) 醴陵縣 物価(b)

① 猪肉 百斤당 가격 元 ② 草魚 百斤당 가격 元 ③ 茶油 石당 가격 元

④ 鹽 石당 가격 元 ⑤ 洋紗 件당 가격 元 ⑥ 棉花 石당 가격 元

⑦ 煤油 甁당 가격 元

米価가 物価와 연동되는 것에 대해서 江都縣史料를 보면 ldquo産米 구역

에서 年末에 米価가 상승하니 百物이 昻貴했다rdquo65)라고 되어 있다 湖

南지역 米価 연구 자료에도 米価 추세는 거의 물가 수준과 같다는 주

장이 있다66)

光緖末宣統年間의 물가 상승을 나타내는 史料를 보면 다음과 같다

이제 각종 惡政의 결과로 百物의 騰貴를 초래했는데 小民의 日用 수요

65) 李文治 앞의 책 p470 ldquo江都爲産米區域 年末米価騰踊 百物因以昻貴rdquo

66) 張麗芬 앞의 책 p22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6음식은 그 가격이 십년 전에 비해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과 居室 器用

蔬饌의 비용 牛種糞漑의 비용도 예전 보다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도 비록

동일 비례로 함께 올랐으나 이미 넉넉하지 못해 괴롭다67)

이것을 보면 米価와 物価가 연동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청말

특히 光緖 후반 이후에 각종 物価가 두 배 올랐다는 사정을 알 수 있

다 上海의 物価도 같은 시기에 상승하고 있다68)

lt표11gt lt표12gt와 lt圖67gt을 검토해 보면 돼지고기 값은 광서 14

년 광서 19년까지는 다소 하락세를 보이다가 宣統원년(1909)부터 급격

히 상승하고 있다 민국원년(1912)의 가격은 160文으로 1878年의 88文

에 비해 거의 두 배에 해당한다 위에 인용한 宣統 2年 8月 國風報의 물가 두 배 인상과 정확하게 부합되고 있다 민국 전기인 1926년까

지 계속 상승하고 있지만 1926년에서 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이고 있

돼지고기 값은 1878년-1909년 사이 273 상승했고 1912-1921년 사

이에 75 상승했다 닭은 각기 50와 44 상승했다 계란은 100

100 상승이었다 淸末 비교 시기는 31년간인데 비해 민국 전기는 9

년간에 불과하다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가 급등한 것은 충분히

알 수 있다 1926년에서 1936년 10년간 돼지 값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거의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이었다

民國 醴陵縣志에도 ldquo辛亥혁명이전에는 물가가 심한 등락이 없었는

데 민국 후에 들어와서 차츰 상승했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69) 圖6)을 보

면 닭고기도 비슷한 궤적을 보이고 있다 草魚의 경우도 청말 민국전

기는 상승이 주요 동선이고 민국 중기(1926-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

67) 國風報 第1年 21期 宣統 2年 8月 (李文治 앞의 책 p561) ldquo今也以種種惡

政之結果 以致百物騰踊 小民日用 飮食所需 其価皆視十年前兩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居

室器用蔬饌之費 牛種糞漑之費兩倍于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雖以同一比例以俱騰 旣苦不

給矣rdquo

68) 岸本美緖 앞의 책 p443

6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物價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7이고 있다 譚文熙 物価史에는 민국 전기는 안정속의 상승세로 민국

중기는 파동속의 상승으로 정리를 하고 있는데 여기와는 약간의 차이

를 보이고 있다70) lt표11gt과 lt표12gt 사이의 화폐 단위 차이로 인한

연속적 파악에 다소 어려움이 있으나 대체의 추세는 짐작할 수 있다

또 품목에 따라 공란이 있어 연결 관계가 애매한 부분이 있다 1936년

이후는 중일 전쟁의 혼란과 불환지폐의 강제 통용 등의 사정으로 本考

에서는 분석 대상 범위에서 제외 하고자 한다

Ⅱ 物價 변동의 원인

1 수요 측면

米価와 物價가 상호 연동관계에 있고 넓은 의미에서는 米価도 물가

의 일부이다 米価 및 물가의 상승은 우선 수요의 증가에 원인이 있다

고 할 것이다 수요증가는 일반으로 인구 증가이다 湖南의 인구는 嘉

慶21年(1816) 18754259명에서 1898年 21174000명으로 다시 民國17년

(1928)에는 31501212人으로 비약적 성장을 하였다71) 약 110년 동안

인구가 1300만 가까이 증가하였고 비율로는 679가 증가하였다 長沙

府의 인구도 가경 25년(1820)에서는 4290086명이었는데 민국23년

(1934)에는 8421330명으로 약 400만명 이상 증가하여 963 상승을

보이고 있다72)

인구의 증가가 수요 증대를 초래하는 일반 요인이지만 湖南의 米穀

移出이 해당 지역 민중의 식량을 제외하고 남는 잉여 米만은 아니다

70) 譚文熙 앞의 책 pp302-307 여기서는 민국 전기는 1912-1927년 민국 중기

는 1927-1937년으로 구분하고 있다

71) 湖南省志 地理志 (長沙 湖南人民出版社 1982) pp230-238

72)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8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의 증대가 더 중요한 요인일 것이다 淸末에

와서 새로운 생업을 통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가 많이 증가하고

있는데 醴陵縣 사례를 한번 검토해 보겠다 史料는 다음과 같다73)

同治志에 이르기를 醴陵의 풍속은 lsquo安土重遷rsquo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상인이 外地에 나

가 장사하는 이가 적었다 배를 이용하여 외부 상업을 하는 것은 淥口 부

근의 米穀商일 뿐이었다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邑人들이 茶제조로 武漢에 판매하는 자가

이익이 배가 되었다 이때부터 龍門일대에 매양 봄에 茶를 제조하고 가리

는 廠이 항상 수십이었다 光緖末年에는 도자기업 夏布 編爆이 일어나서

대신하였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이를 믿고 생계를 삼는자가 무려 십만인이다

同治志 편찬 단계만 해도 사람들이 토착 안주하여 멀리 이동하는

것을 어렵게 여겼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큰 이익을 보고 그

후 도자 기업 夏布 編爆 제조에 종사하여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나 되었다는 것이다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의 성장을

보여주는 것이다 長沙의 빠른 도시화도 주목된다 長沙日報에 실린

내용을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74)

光緖32년(1906)에 火災 조사시에 城廂 내외가 매일 식량으로 穀 5000

石이 필요하였다 지금 교통이 편리하고 상인 旅客이 배로 증가하였으니

매일 마땅히 1-2000石을 더해야 한다(宣統 2年(1910) 2月 17日 長沙日

報)이것을 보면 光緖32년(1906)에서 宣統2년(1910)은 불과 5년이 채 되

지 않는데 상인 집단이 배로 증가하였다니 城內外의 유동인구 급증을

짐작할 수 있다 長沙城의 인구는 1916年에 177882人이었고 1931年은

385514人으로 증가하였다 불과 15년 사이에 1167 증가이다 배 이

73)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ldquo同治志云 醴俗安土重遷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商賈外

貿者少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揚帆外貿則 僅淥口附近之穀米商而已 光緖初 紅茶業興 邑人製茶

販運 漢皋者 獲利倍蓰自是來龍門一帶 每屆春日 製茶捒茶列廠恒數十 訖於光緖

末年 則有瓷業及夏布編爆起而代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恃以爲生者 無慮 十萬人rdquo

74) 李文治 앞의 책 p551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9상이 증가하였으니 長沙의 도시화도 급속히 진전 되고 있다75)

민국10年의 湖南 實業雜誌 보도를 보면 당시 長沙에 蓆工 500人

刻字工 300人 방직공 3200人 이발공 800人 香工 400人 합계 5200人

이 있었다 長沙大公報에 의하면 민국9년(1920)에 長沙에는 부두공

2600人 糞夫 500人 轎夫 1300 車夫 2300人으로 합계 7000人 정도

가 있었다76) 같은 시기 호남성의 광부가 160萬人이고 여기에 手藝工

苦力을 합치면 190만 전후였다고 한다 예릉현에서는 東鄕 일대에서

編爆業 종사자가 수만이고 東北兩鄕에서 磁廠의 女工도 수천이나 되었

다는 기록도 있다77) 湖南 邵陽縣에서도 淸末에 工匠이 5만 상인이 12

만 정도였다는 통계도 있다78) 이렇게 비농업 인구가 다른 생업을 통

해 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로 증가하고 있던 것이 확인된다 이런 유

효 수요 증가를 설명해 주는 다른 史料 하나를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

다79)

어째서 米穀이 날로 적어지고 날로 비싸지는가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水旱災가 날로 많고 농사짓는데 날로 게으르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말은

진실로 일리가 있는데 다 그런 것은 아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선교사 洋商 洋官 洋

兵은 증가한 것이 외국에서 온 사람이다 敎民 游民 賭民 盜民은 內地

에서 증가한 자이다 무릇 농사짓는 사람은 하나인데 먹는 자는 헤아릴

수가 없다 米穀이 어찌 비싸지 않을 수 있겠는가

光緖後期의 사정을 전하고 있는 위 史料를 보면 외국에서 온 선교

사 상인 군인 관리 등도 米価 상승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국내

외를 막론하고 비농업 인구의 급격한 성장이 米価 상승의 원인이라 생

각된다

湖南과 長沙의 米穀은 해당 지역 안에서 소비되는 것보다 揚子江

75) 張朋園 中國現代化的區域硏究 -湖南省 (台北 1998) p376

76) 위의 책 pp412-413

77)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農業經濟

78) 光緖33年刊 邵陽縣鄕土志 권2 인류 실업

79) 李文治 앞의 책 p77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0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많다 청말민국시기에도 지속적인 湖南米의

移出이 있었던 것은 이미 밝힌바 있다80)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穀

米가 騰貴한 이유가 外省의 采辦이 많은 때문이라고 하고 있다81) 상

담현에서도 동치 4년(1865)이전에 해마다 풍년이었는데 穀価가 까닭

없이 騰貴한 것은 江南이 처음 회복되어 米穀의 販運이 많아진 때문이

라고 하고 있다82) 1898年에도 長沙에서 米穀의 원거리 送出을 바라는

지주 富戶와 주민의 갈등 관계가 노출되고 있다83) 宣統2年(1910)의 기

록에도 湖北의 흉년으로 出境 米穀이 과다하여 米価가 급등했는데 작

년 末에는 1石5000文이었다가 금년에는 1石 8000文에 이르렀다는 내

용이 있다84) 같은 자료에 湖南米가 당도 하지 않으면 武漢에서 변란

이 일어난다고 할 정도이다

하류의 上海는 한적한 어촌에서 근대에 대도시로 성장하였다 武漢

上海등의 도시화와 상공업 발전 인구 집중은 長沙米의 급격한 수요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宣統 년간에 長沙가 전국적인 4大 米市의 하나

로 성장한 것은 우연한 일은 아니다85)

근대에 대외 교역증가가 물가 상승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생각된

다 1873년에서 1930年 사이에 농산물 수출 통계는 1910년을 100으로

했을 때 1873년은 12 1893년은 123 1903년 386 1920년은 1324

1930년은 2709로 급상승하고 있다86) 농산물의 수출은 해외 수요의 증

가이다 이런 교역상 수요 증대는 가격의 등귀 뿐 아니라 작물 재배

면적의 확대에도 기여하고 있다

80)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81)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20

82) 光緖6年刊 湘潭縣志 卷29 災祥志

83) 湘報 89號 長沙縣職員常達邦呈批

84) 李文治 앞의 책 p381

85) 徐正元 中國近代農産商品化的發展與米市的形成 (復印報刊經济史 1997年3期)

86)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권2 p14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1宣統2년(1910) 長沙에 영국 상인이 출현하여 米穀 구매를 단행하자

米価가 하루에 여러 번 급등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였다87) 湖南에서

는 또 광동 상인의 영향을 받아 紅茶 제조법을 습득하여 홍차를 대량

생산하여 구미에 수출하였다 19세기 60년대부터 20세기 초에 특히 호

남 茶 생산 판매가 극히 발달하였다88) 주요 산지 중에는 長沙 湘潭

安化 등이 손꼽히고 있다

桐油의 수출 또한 괄목할 만한 것이다 湖南의 桐油 수출은 1922년

전국의 3336 1923년은 372로 성장하였다 1929년에는 全省 수출

총액의 45 정도를 차지하였고 桐油 상품화율 80에 달하였다89) 대

외교역을 통한 농산품의 해외 수요 증가는 직간접으로 물가 상승에 작

용하고 있다

2 화폐 문제

물가와 화폐의 관계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통상 화폐 수량의 증가가

생산총량의 증가보다 초과할 때 물가상승이 일어난다90) 보통 淸 후기

에는 아편무역에 따른 銀의 해외 유출과 그 결과 야기된 lsquo銀貴錢賤rsquo 현

상 통화팽창에 의해 물가가 상승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91)

실제 淸末民國기에 걸쳐 통화 팽창과 물가 상승에 대한 기록을 찾

는 것은 어렵지 않다 王業鍵에 의하면 淸末 특히 1875年부터 1911年

까지는 인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단계였다고 한다92)

民國 寧鄕縣志에 보면 ldquo光緖29年(1903)에 처음으로 當十銅元을 주

87) 李文治 앞의 책 p550-551

88) 劉泱泱 앞의 책 p46

89) 宋斐夫 主篇 湖南通史 現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5 p276

90) 陳民 法幣發行制度與通貨膨脹 (復印報刊經济史 2001-1)91) 龔勝生 앞의 책 pp275-280 岸本美緖 앞의 책 p444 張麗芬 앞의 책

p217

92) Yeh-chien Wang Secular Trends of Rice in the Yanzi Delta 1638-1935(California Univ Press 1992)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2조하여 전국에 통용시켰는데 물가의 등귀가 이때부터 시작되었다rdquo는

기록이 있다93) 醴陵縣에서는 光緖32年에 當十銅元을 주조하여 制錢과

병행시켰고 宣統원년에 銀元이 이미 성행하였다 민국원년에는 當二十

銅元을 주조하였는데 雙銅元이라 칭하였다94) 영향현에서도 광서말에

私鑄錢인 毛錢이 나오고 지폐가 통용되는 등 통화팽창이 상업을 일변

시켰다고 한다95)

종전에 비해 실질 가치가 열악한 當十 當二十 등 銅元의 남발과 鈔

票의 성행은 화폐 시장의 과잉을 초래하였다 정식의 鈔票 이외도 각

현 발행의 私鈔와 錢莊에서 발행한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시중에 범람

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민국 시대에는 화폐 남발이 더욱 심하였다 호

남은행을 비롯한 저축은행 농업은행 등이 각기 각종 지폐를 발행하여

혼란이 가중되었다 1915년에 호남의 은행은 33개인데 그 중 장사현 7

개 상담현이 7개였다96)

군벌들이 은행을 개설하거나 질 낮은 화폐 통용을 강제하는 등의

혼란이 민국시기 특징 중의 하나이다97) 화폐 시장에는 銀元 銀角 銅

元 지폐와 鈔票 市票등 유사 화폐까지 복잡middot혼란의 양상이 나타나고

결과적으로 물가 상승을 피할 수가 없었다

선통2년(1910) 격렬한 米価 騰貴가 있었고 長沙에서 대규모 搶米 폭

동이 일어났는데 이것은 단순한 흉년때문이 아니고 銅元 남발 등 화폐

제도 혼란에 기인한 것이었다98) 1880년대 초부터 1920년대까지는 인

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시기로 매년 33 비율로 상승하였으며 1930년

총 화폐보유고는 60억 원에 달했다 반 세기간 화폐 공급은 8-10배 증

가하였다99)

93)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ldquo光緖 二十九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始鑄當十銅幣 通

行全國 物価之踊始此rdquo

94) 民國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95)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財用錄 상업

96) 張朋園 앞의 책 pp258-259

97) 宋斐夫 앞의 책 pp10-12

98) 岸本美緖 앞의 책 p51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3

時期 銀(兩) 錢(文) 出典

乾隆 嘉慶년간 10 1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道光 初(1821) Prime 1300-1400 Prime

Prime 18年(1838) Prime 1400 林則徐湖廣奏橋 권3

Prime 25年(1845) Prime 2000上下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Prime 末年(1850)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咸豊 元年(1851) Prime 2000 民國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咸豊 初 Prime 2300-2400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8 부역

咸豊 3年(1853) Prime 20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5年(1855)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Prime 6年(1856) Prime 2000 湖文忠公遺集 권12

Prime 7年(1857) Prime 1600 骆文忠公奏議 권7

Prime 8年(1858) Prime 1400 胡文忠公遺集 권85

Prime 10年(1860) Prime 1300-1400 胡文忠公遺集 권70

同治 2年(1863) Prime 13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7年(1868) Prime 1300-1400 李瀚章 瀝陳湖北等省漕務

Prime 10年(1871) Prime 1600-1700 同治10年 長沙縣志 권8 부역 錢法

光緖32年(1906) Prime 1600 長沙日報 宣統2年 2月27日

선통 2年(1910) Prime 1700 國風報 宣統2年 3月 21日

표 지방지에서 직접 採錄제외는 龔勝生 淸代兩湖農業地理 pp270-277에서 湖南부분을 발췌하여 再引用한 것임

表13) 湖南의 銀錢比値

그런데 아편전쟁 전후 銀의 과도한 해외 유출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이

초래되고 이것이 물가 상승의 주요인이라 생각되고 있는 데는 약간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表13)을 보면 銀錢比価가 일시적으로 상승하였다

가 다시 하강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은전비가는 지역에 따라 차

이가 있지만 호남 장사를 위주로 정리한 것이 표13)이다100)

99)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0) 邱思達 中國近現代鑄幣圖說 (北京 中國書店 1991) p109 참조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4

주목되는 것은 道光末에서 咸豊初에 일시적으로 상승하였지만 淸末

의 比価가 낮은 편에 속하는 현상이다 청말에 은전비가가 비교적 안

정되고 있는 것이다 아편전쟁 후 5항 개항으로 교역이 확대된 상황에

서 아편무역 증대에도 불구하고 차와 silk 수출에 힘입어 은의 순유입

이 오히려 증가되는 현상이 나타났던 것이다101) 또 光緖17년(1891)이

후 세계 銀価하락 현상으로 은유입이 증가되었다102) 19세기 후반 중

국이 세계 사회에 연결되면서 중국의 무역 적자에도 불구하고 淸 정부

에 대한 대량 차관과 자본 투자를 통해서 거대한 양의 銀이 중국에 유

입되었다 1871년에서 1913년 사이 은의 순 수입은 2억 4천만 海關兩

혹은 3억 6천만 銀달러로 추정되고 있다 세계 시장의 은가 하락과 은

의 대량 유입은 중국의 국내 시장에서 물가 상승을 유도한 것이다103)

이런 배경으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은 일시적인 것이고 청말민국기 전체를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민국 시기에는 銀元과 錢의 교환 비율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은의 유입 현상에도 불구하고 宣統 원년 11150文의 비율에서 민국6년

2250文 민국11년 2840文 민국17년 3500文 민국22년 7200文까지 급등

하고 있다 예릉현의 기록이지만 이것으로 청말보다 민국시기에 통화

팽창현상이 극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4)

銀과 錢이 주요 화폐이고 그 환율이 항상 문제가 되고 있지만 주로

청 후기 이후는 錢文 위주의 경제로 바뀌고 있다고 생각된다 長沙府

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면 대부분 道光 이후는 화폐를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淸 前期는 米価를 銀으로 표시하던 것과는 대조적이

다105) 예릉현에서는 민간에서 세금을 납부하거나 大宗무역을 할 때를

101)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2) 邱思達 앞의 책 pp92-93

103)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4)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10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光緖3年刊 善化縣志 同治13年刊 湘鄕縣志 光

緖15年刊 湘潭縣志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民國37年刊 醴陵縣志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5제외하고 紋銀 사용자가 거의 없다 도광 이후 교역시 대부분 錢文을

사용했다는 기록을 보면 淸 後期는 錢 경제 위주로 넘어간 것 같

다106) 세금을 낼 때 외에 銀錢이 필요 없는 일반민은 錢文 사용권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너무나 당연하다

함풍4년에 長沙에서 大錢을 주조하여 통용시켰으나 결국 시장의 신

뢰를 얻지 못하여 퇴출되고 말았다 1854년 7월에 주조를 시작하여

1855년 4月에 주조를 정지하였다107) 이것을 보면 통화 남발도 결국

시장의 제약을 받고 있다

민국 7년(1918) 3月 張敬堯가 裕湘銀行을 개설하여 銀元票 1000만元

銅元票 3000만元을 발행하였다 그 결과 시장은 혼란에 빠지고 시중금

융은 마비 상태가 되었으며 결국 裕湘銀行 발행의 惡幣는 폐지와 같이

되었다108) 권력에 의하여 통화 팽창이 시도되더라도 시장이 감당할

수 없는 지경이 되면 중단될 수밖에 없다 과도한 통화 팽창은 시장의

질서에 의해 어느 정도 제약 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예릉현에서도 光緖 년간에 錢莊 24곳이 출현하여 盛業을 누렸는데

民國7年(1918) 兵禍로 停業하는 곳이 많아졌고 정부의 통화 남발 화폐

가치 하락 금융혼란의 현상이 나타났다109) 민국18년(1929) 이후는 정

국이 안정되고 교통 편리로 百業이 진흥되고 은행이 역할을 하게 되었

이상에서 보면 淸末까지는 은전비가가 안정되고 통화 관리가 어느

정도 성공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光緖 宣統 시기에 銀元의 주조 외국

銀貨의 대량유입 當十銅元 등 주조로 통화팽창이 많이 되었고 이시기

물가 상승과 연관되고 있다 민국 초기에도 정국 혼란과 무계획적 통

화남발로 물가의 급등을 초래하였다 민국 중기에는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것 같다

106) 龔勝生 앞의 책 p279

107) 劉泱泱 앞의 책 pp150-155

108) 宋斐夫 앞의 책 pp10-11

10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6영향현에서도 민국 21년(1932) lsquo穀賤錢荒rsquo의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

다110) 청말민국기에 전반적으로 화폐량의 증가가 현저했던 것은 사실

이다 다양한 화폐의 등장 銀兩 銀元 銅錢 銅元 외에 외국 銀元의 유

입 그 외 鈔票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출현하였으며 양적인 팽창도 분

명하다 하지만 대외 교역 증가와 경제 활동 인구의 증가 유통 상품의

양적 증가에 의해 시장의 화폐 수요가 증대된 것도 사실이다 통화 발

행은 일차적으로는 경제 주체의 수요에 부응하는 것이지만 그것이 과

도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3 공급기타 요소

물가는 기본적으로 수요공급의 관계에서 결정되는 것이 원칙이다

청말민국기에 걸쳐 인구가 급증하여 물가가 상승한 것은 자연스런 일

이다 그러나 물가 상승률 면에서 청말의 경우가 18세기의 증가율에

비해 크다고 할 수 없다 물가 상승률을 억제하면서 비교적 안정 속의

상승을 할 수 있었던 것은 공급의 증가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청말민국기에 湖南米의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 현상이 지속된 배경

에 비약적인 경지 면적 확대와 새로운 품종 개량 시비법 발전 등 농

업 생산 증대가 있었다는 것은 이미 밝혀진 바 있다111) 米穀 공급의

증대가 물가 상승을 완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雜糧 재배가 同治

(1862-74) 년간에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민중의 식량 문제 해결에 기여

하고 米価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던 것을 城步縣 知縣 盛溢源을

통해서 알 수 있다

洋米 수입이 國産米의 보충 역할을 했다는 지적이 있지만 결국 시

110) 民國30年刊 寧鄕縣新志 전1 縣年記

111) 田炯權 淸末民國期 湖廣地方의 農業生産力과 生産關係 (慶南史學 7

1995)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2001)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

究 25 200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7장에 대한 미곡 공급을 증대시켜 가격 안정에 기여했다고 생각된

다112)

민국 시대 관련 사료를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113)

금일 정세를 보면 국내 米価의 등락은 결코 國産米의 생산량이 많고

적음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외국 産米 구역의 풍년 여부에 따라 영

향이 대단히 크다

이것을 보면 洋米 수입이 國産米価를 조절한다고 볼 수 있다 비슷

한 시기 上海에서도 湖南米가 수입 米의 영향으로 가격이 약간 적게

올랐다는 史料도 있다114) 湘報에도 日本米가 수입되어 중국의 米価

가 차츰 내려갔다는 기록이 있다115) 같은 湘報에 보면 ldquo외국물산이

날로 풍부하여 중국 상품의 판로를 막는데 서양 상품의 가격이 낮으면

중국 상품 가격이 홀로 증가할 수 없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116) 결국 洋

貨도 중국에서는 시장에 대한 상품 공급의 증가이고 이것이 상품 가격

상승을 억제하고 있는 것이다 같은 자료에 중국의 土藥이 널리 판매

되니 외래 洋藥의 가격이 폭락한 사정도 소개되고 있다117)

또 洋蠟의 수입으로 국산 白蠟 가격이 매 100斤 200元에서 100元으

로 폭락한 일도 있었다118) 1921년 독일 면화가 대량 수입되어 중국의

綿価가 하락한 일도 있다119) 光緖년간 부터 중국이 綿紗 생산을 개시

하자 華商과 洋商사이에 가격 경쟁이 시작되었다 수입 綿布도 洋商이

國産布와 경쟁하기 위해 가격을 낮추어 공급하였다120)

112) 王良行 淸末對外貿易的關聯效果(1860-1911) (近代中國對外貿易史論集1997)

113)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卷3 p413

114) 위의 책 p416

115) 湘報 제45호 p1419

116) 湘報 제13호 ldquo外洋之出産日盛 足以抵華貨之銷路 洋価低則華貨不能獨增rdquo

117) 湘報 제162호 p1608

118) 章有義 앞의 책 권3 p662

119) 譚文熙 앞의 책 p342

120) 譚文熙 위의 책 p368 p374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8상인의 가격 조종이 물가 변동에 하나의 요소는 될 수 있다 예릉현

의 土資 판매에 있어 객상의 가격 조종에 저항하기 위해 주민들이 公

司를 조직하여 가격을 바로 잡았다는 기록도 있다121) 지주 부농 米商

등의 매점매석에 의한 가격 조종 사실은 흔히 발견된다122) 秋收期에

시장에 대량 방출된 곡식을 저렴한 가격에 매입하여 端境期에 되팔아

이익을 남기는 것은 상인의 오래된 관행이다 이윤 추구를 위한 개인

의 행위지만 넓게 보면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행위이기도 하

다 각지 농산품 가격 변동 조사에서 원인이 밝혀진 10건 가운데 전쟁

이 2건 豊凶 水旱災가 7건 상인 조종은 단 한 건 뿐이었다123) 제국

주의 상인에 의한 가격 조종이라는 것도 결국 중국 상인의 이윤 추구

행위와 본질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湘報의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124)

輪船이 이미 통행하고 있고 철로가 이미 만들어 졌다 제조업이 날로

번성하고 통상조약이 행해지니 상인이 계속 내왕하고 온갖 상품이 유통

된다 사계절 틈이 없으니 일용 각 물품이 그 가격이 반드시 저렴할 것

이다

이것을 보면 통상 개시 후 교통이 발달하고 상품 교역이 증대된다

는 것과 그 결과 일용품의 가격이 저렴해졌다는 것을 당시인이 인식하

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서방 각국과의 무역 증대는 상품 공급의 증가

이고 가격 경쟁을 통해 물가 상승을 완만하게 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

121)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22) 李文治 앞의 책 p559

123)湘報 제49號 ldquo輪船旣行 鉄路旣造 製造日盛 商約可行 商賈絡繹 百産流通

歲時無間 則日用物品 其価必廉rdquo

124) 安本美緖 앞의 책 제7장 pp239-288 제12장 431-455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9

Ⅲ 物價와 景氣(생활)

1 穀賤傷農과 不況

物價 문제를 단순히 등락의 흐름에만 주목하기보다 경기변동론적

입장에서 好況 不況의 문제로 연관시켜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

이다 岸本美緖는 康熙年間의 lsquo穀賤rsquo 현상이 不況과 연결되어 있고 光

緖年間 蘇州의 不況도 lsquo穀賤rsquo이 원인이었음을 지목하고 있다125)

그런데 長沙府 중심의 湖南의 사정을 검토해 보면 lsquo穀賤rsquo 관련 기록

이 道光 咸豊 시기와 民國 中期에 집중되고 있다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26)

道光 25年(1845) ldquo穀賤斗穀錢五十文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値穀賤錢価亦賤 民甚苦之rdquo

장사현과 縣治를 長沙城 내에 두고 있는 善化현에서도 같은 해에

비슷한 기록이 있다127)

道光25年 穀賤自十五年起 連年俱穀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中下戶苦之

咸豊5年 穀賤

장사현 기록을 보면 穀価도 싸고 錢価도 싸서 민이 고통 받는다 했

으니 이 당시 은의 해외 유출과 은전비가 문제로 민중이 고통 받은 사

실을 알 수 있다 선화현은 장사현과 연접하고 통합과 분리가 단속되

었던 거의 동일 지역이다 선화현 기록을 보면 도광25년의 lsquo穀賤rsquo이 해

당년도만의 일이 아니고 道光15年(1835)부터 계속된 현상임을 밝히고

있다

12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33 祥異

126)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127) 民國30年刊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0인근의 寧鄕縣에서 보면 ldquo道光26年 歲豊 穀奇賤傷農 佃農以穀賤大

困rdquo이라는 기사가 있다128) lsquo穀奇賤rsquo이라 하였으니 평상시 보지 못한

하락이었다고 생각된다 더구나 소작료 납부가 대부분 현물지대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佃農은 米穀의 상품화 과정에서 배제되었다는 종전의

통념과 달리 佃農도 곡가 하락으로 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같은 기록에 함풍원년에도 ldquo有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以穀賤漕折苛rdquo라 하고 있어

역시 곡가 하락으로 세금 납부에 곤란을 겪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장사부 內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아도 同治 년간에는 lsquo穀賤rsquo 기

재가 보이지 않고 전술한 도광 함풍 년간에 집중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후의 기록을 찾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ldquo湖南自夏秋以來雨暢時若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故無論高低田畝咸稱大稔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甚

賎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反有入不敷出之慨矣rdquo (益聞錄 69号 광서6년828)129)

ldquo(長沙農村) 近年來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穀米求售 価値至賤 日用各物 則又極昻 收穫所

得 不足顧其工本 多已漸陷于無力耕種之境rdquo (新靑年 7권 6호 1920년 5

월)130)

ldquo湖南近年來之天災人禍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天災旣足以減少收量 地方不靖 産品滯銷

価値復因以低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而生活日昻 工価及日用物品 繼續增漲 收入支出 常苦

不得平衡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rdquo (中國棉産改進統計會議專刊 1931)131)ldquo湘省爲産穀素豊之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年歲收 屢佔大有 而長江流域亦値豊收 更

有大宗洋米 運貨傾銷致湘米頓失市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価格低賤 不僅農村經濟 陷于絶

境 市面金融 亦大受打擊rdquo (銀行週報 18권 9기 1934313)

이외에도 1936年의 사실로 호남의 武岡 東安 일대에서 lsquo豊年穀賤rsquo으

로 省城에 운반할 때 운송비와 각종 捐稅 부담을 감당할 수 없어 陳米

를 불태웠다는 기록이 있다

128) 李文治 앞의 책 p557

129) 章有義 앞의 책 권2 p432

130) 章有義 앞의 책 권3 p795

131) 章有義 위의 책 p620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1이것을 보면 주로 1930년대에 lsquo穀賤rsquo과 不況이 집중 묘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lsquo穀賤rsquo 즉 불황이라고 하면 도광함풍초의 곡천과 불

황 同治光緖宣統期의 lsquo穀貴rsquo즉 好況 다시 民國 전기의 好況 民國 中期

의 불황으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물가의 상승기가 호황적 국면이라는 것은 알려

져 있지만 이것은 전체 물가의 문제이다 위 자료에서 보면 1920년 장

사 농촌에서는 곡가는 싼데 일용품 가격은 극히 높다고 하고 있고

1931년의 기록도 工價와 일용품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농민이 다수를 점하기 때문에 미곡가의 하락은 농민 수입 감소

와 구매력 저하를 가져오고 이것이 농촌 불황의 한 요인이 될 수 있

다 그러나 工賃과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시장의 한계 안에서의

일이다 또한 실업률과 고용 지표 등도 고려되어야 하는데 만족할만한

통계의 부족으로 명확한 답을 얻기는 어렵다

그런데 米価와 물가는 개별 년도나 시점에서 서로 상이한 궤적도

있지만 圖2 3 6 7을 보면 대체적으로는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예릉의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광서 4년(1878)에 비하여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1912)에는 현격한 상승세였다가 그 후에 등락을 거듭

하고 있지만 민국25년(1936)의 경우는 광서4년보다는 높거나 유사한

경우가 많다

2 생활 경기의 발달

당시인들이 체감하던 생활 경기의 수준이 어떠했는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

光緖刊 善化縣志를 보면 다음과 같다132)

132)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16 풍속 附論 ldquo古人 酒肉以養老 而今則黃口稚子

無不酒肉之人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日不旦穀貴鹽貴 而酒肉皆貴 則好惡可知矣 一今鄕間柴炭

其価數倍於昔日 瀕河之地 莫不燒煤rdquo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2옛사람들은 술과 고기로 노인을 부양하였는데 지금은 어린아이도 술과

고기를 먹지 않는 이가 없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요사이 미곡과 소금이 비쌀 뿐 아니

라 술과 고기가 모두가 비싸니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지금 향간에 柴炭이 그 값이 예전보다 수배인데 하천 근처 사람은

煤를 때지 않는 사람이 없다

同治 攸縣志 에도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33)

예전에 士大夫도 집에 있을 때 엄동이 아니면 가죽옷을 입지 않았다

지금 關中의 가죽옷 상인이 유현에 와서 1년에 은 만여 냥을 얻을 수 있

다 기타 비단 옷은 蘇州 杭州 및 嶺南에서 오는 것이 또 배가 되니 1년

에 수만금을 소비한다

醴陵縣에서도 비슷한 인식을 볼 수 있다134)

ldquo예전 풍속이 儉樸하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이 명절 아니면 고기를 먹지 않고

慶弔事가 아니면 술을 베풀지 않고 손님 접대는 닭 잡는데 그치고 鮮味

는 생선에 그쳤고 縣城의 食肆는 飽麵茶館에 그치고 酒席으로 業을 삼는

자가 없었다

지금은 酒樓菜館이 거리에 가득차고 中人의 집에도 술자리가 베풀어지

고 사치를 다툰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예전에 士類大半이 淥江書院에 모이면 그 가운데 비단신을 신은 자가

불과 수인이었고 羊가죽 옷을 입은 자가 불과 1 2人이었다 지금은 비단

신과 가죽옷이 거의 常服이 되었고 日用品은 舶來品이 많다rdquo

이 내용을 보면 예릉현의 생활 수준이 급격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예릉현지 기록에는 부인들이 上海의 유행을 쫓아 사치를 추구한

다는 내용도 있고 청말부터 外貨를 서로 자랑한다는 내용도 있다 종

133) 同治10年刊 攸縣志 권18 풍속 衣服 ldquo衣服 昔時 士大夫 家居非嚴冬不御裘

今關中裘商來攸 歲可得銀萬餘兩 其他錦繡之運自蘇杭及嶺南者 則又倍之 計一歲

之戶 所費數萬金rdquo

134)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4장 풍속 생활 ldquo旧俗民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非令節不

食肉 非慶弔不置酒 欵客止於殺鷄 鮮味止於草魚 縣城食肆 止於飽麵茶館 無以酒

席爲業者 今則酒樓菜館 遍於街市 中人之家酬酢往還 爭奢鬪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旧時士類

大半 集於淥江書院 一院之中 著緞鞋者 不過数人 襲羊裘者 不過 一二人 今則絲

履皮袍殆成常服 日用之品 多自舶來rdquo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3전에 菜油 棉油로 燈을 켜다 집집마다 煤油를 사용한다거나 세탁시

茶枯鹼水를 쓰다가 대부분 비누를 사용하는 일상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135)

또 寧鄕縣에서도 ldquo同光之間 地方安寧 家給人足(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함)縣城商業 於時爲盛rdquo이라 하고 있어 同治(1862-74) 光

緖(1875-1908) 시기가 好況이었음을 알 수 있다136) 湘報에도 ldquo民間

之喜用洋貨日甚一日rdquo이라 하고 있어 洋貨 사용의 확대를 짐작할 수 있

다137)

광서년간 무역이 확대되고 여기에 대해 유익하다는 인식의 기록이

湘報에 나오고 있다138)

ldquo輪船과 철로가 개통되고 항구 개항이 증가 되는 것은 실로 중국에 유

익하고 손해가 없다 저 눈이 콩만큼 큰 자가 걸핏하면 통상이 중국에 해

가 된다고 하니 어찌 심히 어리석지 않은가rdquo

무역 확대를 지적하고 통상이 유익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예릉현

지에도 同治志에는 풍속이 lsquo安士重遷rsquo하고 상인이 외부 활동하는 자가

적었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고 光緖末에 도자기 夏布 編爆業

이 일어나 융성하여 이에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 넘는다고

하고 있다139) 예릉향토지에도 商旅 왕래가 예전보다 10배라는 서술이

있다140)

장사시의 行業발달 상황을 보면 민국 5년(1916)에서 民國22年(1935)

사이에 식품업은 281⟶2124 사치품은 171⟶1128 복장은 43⟶2028 農

礦은 621⟶1156 洋貨 127⟶233 금융 130⟶164 공예 2121⟶3344 문구

17⟶355 등 비약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141)

135)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 工商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6장 실업

136) 民國30年刊 寧鄕縣志 財用錄 民業

137) 湘報 제13호 1898年 3月 21日

138) 湘報 제162号 1898年 9月 23日

13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40) 民國15年刊 醴陵鄕土志 제6장 실업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4이것은 장사의 생활수준 향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당시에

通商의 확대 주장도 湘報에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142)

이상에서 보면 청말민국기에 대체적인 추세는 好況이었다고 생각된

다 생활 수준의 향상이 눈에 띄고 米価와 물가도 연동되면서 상승하

는 추세였다 米価의 상승이 구매력 수준의 제고가 되기 때문에 米穀

생산 중심지역에 상인들의 行號가 집중되는 것이 보였다143) 임금의

경우에도 호남 汝城縣에서 실질 임금이 유지 또는 상승하는 것을 확인

한 바 있다144) 全漢昇도 1875년부터 1925년까지에 걸쳐 四川 合江현

의 임금과 물가 변동의 추세가 거의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바 있

다145) 앞서 인용한 1931년 中國棉産改進計劃 에도 임금과 일용품 가

격이 함께 오른다고 하고 있어 임금이 물가에 연동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생활 수준 향상을 기록하고 있던 지방지에도 빈부 격차를 암시하는

내용이 있고 物力이 날로 쇠퇴한다든지 하는 기록이 있다 대외 무역

이 적자라 하더라도 차관 원조 뿐 아니라 외국 상인의 진출이 자본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好況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Ⅴ 結 言

이제까지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이후 民國中期인 1936年

까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여 米価와 물가 변동 물가 변동의 원인

141) 張朋園 앞의 책 p387

142) 湘報 44호 中外通商利害論 湘報 67号 論湖南茶務急宜整頓

143)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144)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9 1998)

145) 安本美緖 앞의 책 p2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5물가와 생활 경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米価 변동은 단기 변동에 있어서 전쟁이나 天災 등의 특수한 사정

의 해를 제외하고는 光緖 년간에 비해 민국 중기의 계절 변동폭이 축

소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米価의 계절 변동을 완화 시

켜 주는 雜糧의 재배가 湖南 지역에서는 대부분 同治 년간에 보급 확

대가 되고 있다 교통과 상업 발달 등의 이유로 청말에서 민국기로 갈

수록 계절 변동폭을 축소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변동에서는 長沙府縣의 물가 변동 예릉현 물가 변동 등을 살

펴 볼 때 전체로서는 상승 추세 중에 도광 함풍 시기의 低米価 同治

년간의 高米価 光緖전반의 低米価 光緖後半에서 宣統 년간의 高米価

民國 前期의 高米価 民國 中期의 低米価의 등락을 보이고 있다

民國 中期의 米価는 長沙 8개년 米価 추세에서도 안정속의 상승세

를 보이고 있다 명목상 수치 뿐 아니라 米価의 상대 물가로 보는 실

질 구매력도 宣統 民國元年에까지 급상승하였다가 민국 시기 등락을

거듭하지만 민국25년(1936)까지 광서4년(1878) 대비 유지 또는 상승 추

세였다

物価변동은 개별 상품에 따라 편차가 있고 米価와는 전혀 상이한

궤적을 그리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米価와 연동 관계를 보이

고 있다 1898년 물가의 단기 변동은 이상할 만큼 변동폭이 크지 않다

당시 물가 조사자의 보고가 정확했는지 의심될 정도이다 1935년의 장

사 물가에서 단기 변동을 보면 변동폭이 100이상인 夏布 毛筆 麵粉

棉布등을 비롯하여 50 이상인 오리털 흑연 성냥 국산 전지 등을

비롯하여 40 이상인 비누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기 변동폭

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 이것은 이런 물품들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

성이 크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物価의 장기 변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米価와 대체로 비슷한 궤적

을 보이고 있다 청말에서 민국전기에 걸쳐 물가 상승폭이 두드러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 상승폭이 더욱 크

다 돼지고기 값을 예로 들면 1878년에서 1909년 사이에 273 상승했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6고 1912-1921년 사이에 75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닭은 각 50와 44

상승했다 청말은 31년간의 수치이고 민국 전기는 9년간이니 물가의

상대적 급등을 알 수 있다 1926에서 1936년까지 10년간 돼지 고기 값

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

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

세를 보이고 있다 민국 중기의 米価가 일부 lsquo穀賤rsquo 현상을 보인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음으로 물가 변동의 원인에 대해서는 군벌간의 전쟁이나 정치적

혼란 등 정치 군사적 요인을 제외하고 대체로 검토해 보았다

수요 측면에서는 湖南米의 유통이 호남 내부의 인구 증가에도 불구

하고 양자강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지속된 것이 米価 상승의 한 원

인이었다 上海나 武漢 등의 도시화와 인구집중은 이들 지역 양식 수

요를 폭증시켰다 일부 洋米 수입에도 불구하고 湖南米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으로써 米価를 상승시켰다 또 장사를 비롯한 각지의 새로운 수

공업 산업의 발달로 비농업 인구가 증가하고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유

효수요로 성장하여 米価 상승을 유도하였다 양식의 이출은 해당 지역

인구 식량을 전부 제외한 나머지 잉여가 수출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력

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청말민국기에는 호남의 내부 외부에

서 미곡에 대한 유효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것이 米価 상승의 한 요인

이었다

화폐 문제에 있어 화폐 수량의 증가가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것

은 상식이다 종래 아편전쟁 전후 은의 해외 유출 증가가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을 초래하여 물가 상승과 인민의 빈곤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지방지 등의 史料에서 검토한 결과 은전비가는 도광함풍초의

일시적 상승 후에 함풍 7년 이후는 도리어 하락하고 있다 同治 년간

에 대부분 1兩 1300文 수준에서 안정되고 있다 光緖末宣統년간에도

1600-1700文 수준으로 도광함풍 초보다는 낮은 편이다 청말민국시

기에 화폐의 남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한계를 넘었을 때 시장의 통용

거부로 마침내 중단되고 있다 청말민국기에 외국 銀元의 유입과 국내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7의 銀元 주조 銅元 지폐 외에 鈔票 市票 등 화폐 시장에 투입된 화

폐량은 엄청나게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로서는 어느 정

도 시장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외 교역과 상품량의

증대 경제 활동 인구의 증대 미곡 생산 및 농산품 생산의 증대로 화

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것이 화폐량의 막대한 증가와 유

통속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

었다고 생각된다 즉 안정 속의 물가 상승이 유도된 것이다

공급면에서 보면 대외 교역을 통한 서양 상품의 수입은 전체로서는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물건의 공급 증가를 통해서

혹은 국내 상품과의 경쟁 때문에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었

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침략과 물가 폭등이라는 도식적

견해와 달리 현실에서는 물가 억제 작용도 있었던 것이다

물가와 경기면에서 보면 물가가 비쌀 때 호경기가 많은 것은 사실

이다 그런데 lsquo穀賤rsquo 현상이 불황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서 長沙 지역의 경우를 검토해 보았다 도광함풍 년간까지 lsquo穀賤rsquo현상

과 불경기적 상황에 대한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동치광서 년간에는

米価가 등귀한 시점인데 이 시기는 紅茶業의 번성이나 각종 수공업의

번성으로 好況의 면모가 보이고 있다 민국 시기에는 민국 중기에 lsquo穀

賤rsquo의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史料上에 민국 중기의 lsquo穀賤rsquo은 임금이나

다른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다 물가 상승기와 好況

이 맞물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민국 중기는 lsquo穀賤rsquo 현상과 서로 어긋

나는 것이다 이 시기의 不況 서술은 농촌의 농민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표시이다

생활 수준에 대한 지방지 기록 등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주민들의

洋貨 사용이 보편화되고 의복 음식 주거 등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것

을 지적하고 있다 물가는 상승하였지만 同治 이전에 비하여 분명히

사치품의 소비 증대와 中人의 집도 소비 수준이 제고된 것이 드러나고

있다 민중의 빈곤은 있으나 이 시기 빈부 격차가 커지고 생활 수준의

격차가 커진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3: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91또 도량형 문제 穀米折算 문제 銀錢折算 문제 米価 대표치 등 여

러 가지 한계를 고려하면서 18세기 兩湖지역 米価의 변동을 정리한 것

이나8) 米価 변화를 통해서 淸代 兩湖의 人地 관계와 농업 발전을 추

적한 것도 있다9)

연구 대상 지역을 좁혀서 縣이나 府 범위를 한정하여 물가 변동을

고찰하거나10) 상품유통과 관련하여 부분적으로 米価와 物価를 연구한

것도 있다11)

本考를 구성하게 된 동기는 長沙에서 발행된 湘報에서 1898년 당

시 매일의 물가 기록을 발견하게 된 것이다12)

매일의 물가 기록은 淸末에는 거의 찾아보기 어려운 희귀한 자료이

다 여기에 지방지와 기타 史料를 종합하여 대체로 淸末民國期 그 중

에서 주로 同治(1862-74) 이후 民國25年(1936)까지를 분석 대상으로

한 물가사를 구성해 보고자 한다

本考의 문제의식은 이 시기 물가 변동의 궤적은 어떠하였으며 어떤

특징인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또 통설과 같이 이 시기에 제국주의 침

략이 날로 심화되었으며 물가 상승폭이 날로 증대되어 인민생활은 더

욱 빈곤하게 되었는가13) 근대 농산 상품화의 발전이 도리어 농촌의

빈곤을 가중시켰는지를 탐색해 보는 것이다14)

물가사가 일차적으로 물가의 등락 변동을 추적하는 것이지만 단순

7) 侯楊方 長江中下流地區米穀長途貿易 1912-1937 (中国經済史硏究 1996年2期)

8) 龔勝生 18世紀 兩湖糧価時空特徵硏究 (中国農史 1995-3)9) 龔勝生 淸代兩湖農業地理 (武昌 華中師範大學出版社 1996) pp270-287

10)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 91998)

11)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 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12) 湘報 (北京 中華書局 2006)

13) 譚文熙 앞의 책 p256

14) 徐正元 中国近代農産商品化的發展與米市的形成 (復印報刊經濟史 1997-3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92하게 명목 수치만을 제시하는데 그칠 것이 아니라 상대 물가를 파악하

여 실질적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 岸本美緖의 경제 변동론적 관

점을 시야에 넣고서 이 시기 물가 변동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

이 본고의 문제의식이다

Ⅱ 米價와 物價 變動

1 米價 변동

1) 단기 변동

米價의 단기 변동은 우선 계절 변동을 생각할 수 있다 全漢昇과

kraus는 蘇州 織造 李煦의 奏摺에서 추출된 1713-19년의 蘇州 米価와

1913년-19년의 上海의 매월 米価를 비교하여 200년의 간격에도 불구하

고 兩者의 계절 변동폭이 유사하다는 것을 밝힌 바 있다15) 陳春聲은

1751-70년의 廣州 米価와 1931-36년의 廣州 米価의 계절 변동폭을 비

교한 끝에 前者의 계절 변동 폭이 後者보다 약간 적다는 결론을 내고

있다16) 이들 所論은 18세기 米糧 교역망과 시장 통합성을 높이 평가

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나 어떤 측면에서는 교통과 수송수단의 발달

상업의 발달이라는 역사의 전진 방향과는 맞지 않는 결론이라 생각이

된다 호남지역에서도 乾隆(1736-1795) 시기에 비하여 同治(1862-1874)

光緖(1875-1908) 시기의 계절 변동 폭이 크다고 하고 그 이유는 인구

증가와 더불어 상인 작용의 차이가 있었다는 지적도 있다17) 이 역시

청 말에 미곡 장거리 무역 종사의 상인 활동이 18세기 보다 미약해 졌

다는 인식인데 쉽게 수긍하기는 어렵다

15) 岸本美緖 앞의 책 pp31-32

16) 위의 책 p33

17) 張麗芬 湖南省米糧市場産銷硏究(1644-1937) (台北 1990) pp241-242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93

上白米 石155斤 次白米 石152斤 中米 石150斤

1石価 1斤価 石価 斤価 石価 斤価

-310 3000(文) 1935(文) 2900(文) 1908(文) 2800(文) 1867(文)

311-320

321-331 3005 1938 2902 1912 2800 1867

401-410 3070 1981 2970 1954 2810 1874

411-420 3240 2090 3140 2066 3040 2027

421-430 3450 2226 3350 2204 3250 2167

501-510 3660 2361 3560 2342 3450 2299

511-520 3620 2337 3522 2317 3422 2282

521-531 3630 2342 3530 2322 3430 2287

601-610 3425 2210 3325 2188 3225 2150

611-620 3456 2230 3356 2208 3256 2171

621-630 3500 2258 3400 2237 3300 2200

701-710 3631 2343 3531 2323 3431 2287

711-720 3881 2504 3775 2484 3681 2454

lt表1gt 1898年 長沙 米価 (3月-7月)

lt표1gt과 lt표2gt는 湘報에 수록된 1898년 長沙의 米価 변화를 나

타낸 것이다18)

3月부터 7月까지 약 140일간의 매일 물가 변화를 10일간씩 평균하여

제시한 것이다 米穀 1石의 斤数가 長沙는 〇〇斤이라는 통념은 성립

되기 어려운 것 같다 여기에 제시하지 않은 穀價는 河東穀과 河西穀

으로 나뉘어 1石의 斤数가 서로 다를 뿐 아니라 시기에 따라 수시로 1

石의 斤数가 바뀌고 있다19)

18) 湘報 長沙各物時價表

19) 하동곡은 35-515일까지는 1石=124斤 516-613일까지는 1石=120斤 614-

719일까지는 1石=116斤임 하서곡은 35-327일까지는 1石=100斤 328-411일

까지는 1石=126斤 412-515일까지는 1石 100斤 516-613일까지 1石= 124斤

614-719일까지는 1석=120斤임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94米価도 上白米 次白米 등 품질에 따라 1石의 斤數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lt圖1gt 長沙米價 石文

lt圖1gt은 lt표1gt을 그래프로 바꾼 것이다 이것을 보면 米価는 5월

10일 사이에 가장 높고 6월 10일경에 급락했다가 그 후에 상승하고 있

다 圖1)에서 보면 3月에 낮았던 米価가 4月부터 상승하여 5月 초순에

최고가에 도달하고 5月末의 高価를 거쳐 6월 초순에 급락하고 있다 6

月 중순부터는 다시 상승 궤도를 그리고 있다 6月 초순의 급락은 湘報에 실린 6月 9日 기사와 관련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武漢에서 米

価가 공급 부족으로 갑자기 올랐는데 호남미가 도착하여 산처럼 쌓였

다는 것과 그후 하류지역으로 米穀 放出을 금지하니 米価가 急落하였

다는 사정이 나타나고 있다20) 이 시기는 雜糧의 등장 시기와도 맞물

20) 湘報 光緖 24年 4月21日(6月9日) 米価跌落 ldquo現今湘米到漢 聚積成山 一律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95리고 있지만 6月 중순 이후의 米価 상승을 설명하기는 어렵다 同治9

年-10年의 長沙의 米価 변동은 4⟶5⟶6월은 상승하고 6⟶7⟶8⟶9月은

하락 9 10 11 12 1 2는 평온 2⟶3⟶4는 상승 기조를 보이고 있다

동치 9년-13년의 長沙米価는 2⟶3⟶4⟶5月은 상승하고 5⟶6月은 하락

6⟶7⟶8月은 맹렬 하락 9 10 11 12 1 2월은 평온을 나타내고 있

다21) 同治2年(1863) 長沙府知府 丁宝楨이 마련한 lsquo積穀收放賑借章程rsquo에

의하면 5월 某日에 곡식을 대여하고 8월 某日에 거두어들인다고 되어

있다22)

湖南省 經濟調査所의 조사에 의하면 長沙府 각 縣의 中稻 수확 시

기는 長沙縣의 8월 하순을 비롯하여 대부분 8月 이후이다 早稻도 長

沙縣의 7월 중순을 시작으로 거의 7월 중하순에 집중된다23) 드물게 6

月초에 早穀의 등장을 알리는 기사가 있지만 보편적인 것은 아니었다

고 생각된다24)

湘報의 물가 기록은 매일을 기록 대상으로 하였지만 아쉽게도 7

月 20日까지만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1년 전체의 변동 내용은 알 수

없다 3月에서 7月까지의 변동폭을 보면 上白米는 3月 1石당 3000文에

서 7月 3881文으로 편차는 294 次白米는 3月 2900文에서 7月 3775

文으로 편차는 302 中米는 3月 2800문에서 7月 3681文으로 편차는

315이다 3月에서 7月간의 변동폭은 中米의 315가 가장 크고 전체

로서는 대략 30 내외이다 1月에서 12月까지를 고려하면 이 계절 변

동폭은 이 보다 훨씬 더 클 것이라 생각된다

수확 시기의 다양화와 雜糧 재배의 확대 등은 稻穀 수확의 계절적

차이만으로서는 정형화된 米価의 변동을 확정 짓기 어렵게 하는 요인

이었다고 생각된다 湘報에 실린 동일 해의 사정을 보면 전년의 秋

禁止出運下遊 米商業已停辦 所以米価跌落rdquo

21) 張麗芬 앞의 책 pp244-246

22) 同治10年刊 安化縣志 권33 時事記

23) 張人价 編 湖南の穀米 9 (東京 生活社 1940) pp13-21

24) 同治10年刊 攸縣志 권53 祥異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96收가 평상년이었는데 동년 봄에 곡가가 갑자기 올랐다 곧 다시 평온을

되찾았다고 한다25) 1927년의 湖南 米価가 수확 이전에는 1石당 13元

이었는데 수확 후 5元으로 하락하여 615 변동폭이었다는 보고도 있

다26) 湖南の穀米에 의하면 民國17年(1928)년 이전에는 신뢰성 있는

기록이 드물다고 하면서 민국17년(1928)년 부터 24년(1935)까지 8년간

매 月의 米価 기록을 제시하고 있다27) 그 내용을 보면 민국17년은

520(1月) 827(12月)로 변동폭 590 민국18년은 722(7) 970(12)로

343 민국19년은 719(11) 1264(7)로 758 민국20년은 854(1)

1194(9)로 398 민국21년은 627(12) 1294(2)로 1064 민국22년

(1933)은 522(8) 674(1)로 291 민국23년(1934)은 531(3) 916(9)로

725 민국24년(1935)은 916(12) 1118(6)으로 221의 변동폭을 보이

고 있다 米価 최저 月은 1 7 11 1 12 8 3 12月이고 최고 月은 12

12 7 9 2 1 9 6月로 매우 다양하다

민국17년(1928)은 590로 변동폭이 크다 이 해는 군벌 唐生智의

군대가 양자강을 따라 남하하여 長沙로 향하고 남경 정부는 李宗仁軍

이 북상하여 南北軍이 대결한 전쟁 상황이었다28) 민국19년(1930)은 毛

澤東軍이 7월 27日 長沙를 점령 장사소비에트를 건설한 해 이다 이

해 7月이 최고가를 보이고 변동폭이 758나 된 것은 까닭이 있었던

셈이다 민국21年(1932)은 6월부터 4차 圍剿战이 전개 되었고 7月에는

大풍년이 되었다 변동폭이 1064나 된 것도 원인이 있었다 민국 23

년(1934)은 역시 紅軍과 국민당軍의 국지적 대결이 고조된 시기였는데

725의 변동폭을 보이고 있다29) 이상을 종합해 보면 전쟁 상황과 같

은 특수한 사정의 해를 제외한 평상년에서는 대략 20에서 30대의

변동폭을 보이고 있다 그러면서 米穀 수확 시기와 관련된 정형화된

25) 湘報 89號 長沙縣 職員 常達邦 呈批 ldquo且上年秋收 尙得中稔 本年春間 穀価

偶漲 旋卽平減rdquo

26) 章有義 中国近代農業史資料 제2권 p520

27) 張人价 앞의 책 pp89-96

28)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29) 民國30年刊 寧鄕縣新志 卷1 縣年記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97패턴이 약화되고 있다

앞서 lt표1gt과 lt圖1gt 등에서 본 1898年의 변동폭이 3月rarr7月까지만

의 기간이라 全年 기준으로는 315보다 훨씬 클 것이라는 추론을 해

보았다 그렇다면 민국시기 평상년의 변동폭 20-30는 종전에 비해

감소된 것이 아닐까 생각해 볼 수 있다

계절 변동폭을 줄이는 요인 중 하나는 雜糧 재배의 확대라고 생각

된다 호남 城步縣에서 知縣 盛溢源이 雜糧 재배를 장려하여 米価를

내리려고 했던 것은 同治 년간의 일이다30) 兩湖農業地理를 보면 고

구마 재배 확대를 알리는 府縣志 35개 중에 27곳이 同治 년간 간행 지

방지이다 옥수수는 51개 중에 27곳이 同治 년간 지방지이다31) 호남일

대에서 잡량 재배의 확대는 19세기 후반의 일이다 이것을 보면 18세

기의 米価 계절 변동 보다는 청말민국기의 편차가 적어야 할 것이다

雜糧은 가정의 自給用이거나 지방 소시장의 교역품이라는 통념과 달리

민국시기에는 漢口에 수출되는 장거리 商品糧이 되고 있다32) 다음으

로 洋米 수입 증가를 생각할 수 있다 米価 변동에 洋米 수입 증가가

영향을 주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33) 또 洋米 수입이 거의 3月-6月에

집중되고 특히 4月에 고조되며 7月 이후 國産米의 지속 등장시에는 수

입량이 격감했다는 조사도 있다34) 洋米 수입 증가가 이 시기 米価의

계절 변동폭을 18세기보다는 축소할 수 있는 이유가 된다고 생각된다

청말민국기에는 철도 輪船 등 수송수단의 발달 시장과 상업의 발달

로 상인의 능력은 강화되었다고 여겨진다 추수기에 상인이 대량 매입

을 하고 端境期에 비싸게 팔려고 하는 것은 상인 개인을 위한 이윤 추

구 활동이다 米価의 계절 편차는 곧 바로 전부 상인의 이익은 아니다

30) 李文治 中国近代農業史資料 권1 p538

31) 龔勝生 앞의 책 pp143-145 pp135-137

32)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33) 徐正元 中国近代農産品化的發展與米市的 形成 (復印經濟史 1997年 3期)

34) 呂紹理 近代廣東與東南亞的米糧貿易(1866-1931) (政治大歷史學報 12

1995)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98매입가에 보관비용 손실비용 금융비용 등 부대비용을 제외한 것이 이

윤 범위이다 상인의 買占 행위는 넓게 보아서는 미곡의 수급관계 조

절 작용이라고 볼 수도 있다 따라서 정치 군사적 이유나 특별한 天災

상황이 아니라면 米価의 계절 변동폭은 18세기보다 근현대에 축소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여겨진다

2) 장기 추세

淸代 米價는 장기 추세에서 상승세인데 그 가운데 17세기 후반 19

세기 24분기 19세기 780년대 3회의 低落期가 있다는 조사가 있

다35) 19세기 전반 특히 24분기에는 일반적으로 극심한 디플레이션

시기여서 급격한 하강 국면이고 太平天國 시기는 급격한 요동이 뒤따

른다 1875에서 1911년까지는 가장 인플레이션이 심한 단계로 그 중

1875-85년 사이는 안정속의 상승이고 그 후 혁명전야까지 지속 상승

추세라는 파악도 있다36)

18세기 乾隆년간(1736-1795)에도 蘇州의 米価가 60년간 세 배 상승

했다는 조사도 있는데37) 비슷한 기간 長沙府 湘陰縣도 300 상승한

것으로 되어있다38) 18세기 전후 약 100년간 가격 수준이 300 상승

했다는 당시인의 인식도 있다39)

同治 이후에 제국주의 침략이 날로 강화되고 淸代 경제가 쇠퇴하였

으며 물가 상승폭이 날로 커졌다는 인식40)이 있지만 18세기 물가 상승

을 고려하면 제국주의 침략과 상관없이 물가 상승이 지속되었던 것을

알 수 있다

35) 岸本美緖 앞의 책 p17

36) Yeh-chien Wang Secular Trends of Rice in the Yanzi Delta 1638-1935(California Univ Press 1992)

37) 위의 논문

38) E S Rawski Agricultural Change and the Peasant Economy of SouthChina (Harvard Univ Press 1972)

39) 郭成康 18世紀中國物價問題和政府對策 (淸史硏究 96-1)40) 譚文熙 앞의 책 p25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99민국시기에는 1920년대까지 米価가 지속 상승하고 인플레이션이 심

해 매년 33 비율로 상승했다는 조사가 있다41) 민국 전기는 비교적

안정 속의 상승세이고 민국 중기는 역시 기본상 상승이지만 1932-35

년 사이는 하강하고 있다는 견해도 있다42)

湖南 내부 각 지역의 米価도 상호간에 긴말한 연동 관계를 보이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고43) 上海와 長沙 사이에도 고도 상관있는 것이

파악된 바 있다 그러나 공간을 달리 하면 도량형이나 화폐 종류 등의

차이로 정확한 변화를 파악하기 어렵다 되도록 좁은 범위의 지역을

연구 대상으로 할 때 상대적인 정밀도가 높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래

서 本考에서 長沙縣을 중심으로 같은 長沙府 내의 몇 개 縣을 관찰하

여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 이후 民國中期인 1936년까지를 주

대상으로 物価 변동을 살펴보려 한다

兩湖農業地理에서는 湖南 湖北의 米価를 세부 지역 구분 없이 종

합하고 있는데 例示 가격의 시기 역시 일정하지 않다 따라서 정밀성

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lt표2gt와 lt표3gt은 長沙府 醴陵縣志에기재된 것으로 해당 지역 상인의 장부와 縣商會 조직에 의한 기록을

토대로 한 것이다44) 당시인의 물가 변동에 대한 인식이라 비교적 정

확하다고 생각된다 같은 長沙府 寧鄕縣에서도 光緖7年 穀価가 1石당

600文이라는 기록이 있는데 lt표2gt의 예릉현 광서4년(1878) 기록과 근

접하고 있다45) 長沙를 중심 시장으로 하여 같은 府內의 시장 통합성

이 큰 것은 이미 확인한 바 있다46)

41) Yeh-chien Wang 앞의 논문

42) 譚文熙 앞의 책 p302 p356

43)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物価

44)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45)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46) 張麗芬 앞의 책 p197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0

시기 단위 가격(文) 米価

광서4년(1878) 石 680 1360

광서14년(1888) 780 1560

광서19년(1893) 680 1360

선통원년(1909) 2000 4000

민국원년(1912) 2800 5600

민국5년(1916) 2800 5600

민국10년(1921) 3800 7600

lt表2gt 醴陵縣 穀価(a)(私家數簿에 의함)

lt圖2gt 醴陵縣 穀價(a) 石文

-附記 前淸通行制錢文으로써 단위 민국초년에는 비록 銅元을 사용하나 관습상 1銅

元은 10文에 해당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1

시기 단위 가격(元) 米価

민국15년(1926) 石 160 32

민국20년(1931) 240 48

민국25년(1936) 250 50

민국27년(1938) 280 56

민국28년(1939) 500 100

민국29년(1940) 800 160

민국30년(1941) 3000

-lt表2gt lt表3gt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物価

lt表3gt醴陵縣 穀価(b)(縣商會 조사)

lt圖3gt 醴陵縣 穀價 石元

lt표2gt와 lt圖2gt를 보면 長沙府의 米価는 光緖4년(1878)부터 광서19

년까지 비교적 낮은 채로 있다가 그 이후 급등하여 청말에서 민국 전

기 까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lt표3gt과 lt圖3gt을 보면 민국 15년

(1926)에서 민국 27년(1938)까지 비교적 안정속의 상승세를 보이다가

그 후에 급등하고 있다 本考에서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는 것은 민국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2

時期 銀価(兩石) 錢価(文石) 出典

道光 16年(1836) 10 1400 民國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Prime 25年(1845) 05 1000同治長沙縣志 권33

祥異 光緖善化縣志 咸豊元年(1851) 08 1600 民國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함풍 3年(1853) 05 1000 同治湘鄕縣志 권5 祥異함풍 6年(1856) 07-08 1400-1600 同治安化縣志 권34 五行

同治元年(1862) 308 4000 同治瀏陽縣志 권14 祥異

同治 9年(1870) 296-370 4000-5000 Prime

光緖 7년(1881) 08-266 1200(4000) 民國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光緖年間 125-188 2000-3000 長沙日報 宣統2年2月

선통32年(1906) 25 4000 Prime

선통 2年(1910) 412 7000 Prime

長沙日報는 兩湖農業地理 p274에서 再引用

lt表4gt 長沙府 縣志等 米価 기록

중기인 1936년까지이다 항일 전쟁 발발과 國共 대립 등으로 극도의

혼란기인 민국후기는 특히 경제면에서 역사적 실체를 파악하기가 매우

어렵다

lt표4gt는 주로 長沙府 내의 縣志를 이용하여 米価를 정리한 것이다

흉년시의 특별한 가격이 아니라 평상년 가격 위주로 작성한 것이다

풍년시의 가격도 있으나 수년간 풍년이 지속되었다면 常年 가격에 준

한다고 생각된다 함풍3년(1853)의 米価는 兩湖南農業地理에 인용된

曾國藩 上奏시의 米価와 동일하다 같은 자료를 더 이용하면 함풍7년

(1857)에는 駱文忠公遺集 1石당 3200-3500文의 기사가 있다 역시

曾國藩의 上奏文에 同治2年은 1石당 30兩인데 당시의 銀錢比価로 환

산하면 3900文이므로 lt표4gt上 동치 元年 4000文과 거의 유사하다 同

治7년(1868)은 李瀚章의 上奏文에 4000文 전후로 되어있어 표의 내용

과 거의 일치한다 이것들을 짜 맞추어 보면 위 지방지 기록이 상당한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3

lt圖4gt 長沙의 米価 변동

bull광서4년 14년 19년은 예릉현지 물가표 기재 이용

bull광서7년은 민국 영향현지 기록 가을 이전의 평상 가격 이용

bull광서32년은 水災시의 가격

예릉현 물가표상의 광서 기록을 보충하여 수정한 결과

신뢰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표4)의 내용에 長沙府 醴陵縣志의 물가

표상 광서4년 14년 19년을 포함하여 구성해 본 것이 lt圖4gt이다

이것을 종합하여 보면 도광 16년(1836) 이후 함풍6년(1856)까지는

비교적 저렴한 米価가 유지되다가 함풍7년(1857)이후 米価가 급등한

것으로 생각 된다 동치 년간은 동치원년(1862) 4000文에서 동치2년

3900文 동치7년 4000文전후 동치9년 4000-5000文으로 계속 高米価가

유지된 시기였다 그런데 銀錢比値는 동치2년 1300文 동치 7년

1300-1400文으로 도광말 함풍초보다 오히려 안정되어 있다 淸末 이

지역의 지방지를 검토하면 거의 모두 嘉慶 이전은 米価를 銀兩으로 표

시하다가 道光 이후는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도광 이후 淸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4末은 米価도 錢文価가 실제 시장 가치를 잘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

다 동치 년간 상당히 高米価가 유지되었지만 道光末咸豊初와 같은 lsquo銀

貴錢賤rsquo 현상은 보이지 않기 때문에 米価 상승이 농민에게 어느 정도

유리했다 여겨진다 lt圖4gt를 보면 光緖 전반에는 米価가 상대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光緖19年(1893)까지는 하락 안정세를 보이다가 그 후에

급등하고 있다 호남성 수확기의 中米 가격 조사에서도 비슷한 경향이

보인다47) 中米 가격도 광서22년(1896)부터 대체로 상승추세인데 광서

34년(1908)에 급등하고 있다 앞서 彭信威가 연구한 江浙 米価 변동에

19세기 24분기와 19세기 780년대가 米価低落期에 해당된다고 하는

데48) 이것과 유사한 면을 가지면서 약간의 편차가 있다 즉 동치 년간

(1862-74) 70년대 전반까지는 대체로 高米価가 유지되었고 光緖 전반

의 하락은 90년대 전반까지인 것으로 생각되는 것이다 淸末 上海의

米価 조사도 1862-71(213) 1872-81(128) 1882-91(142) 1892-1901

(207)로 되어 있어 위 호남 長沙의 米価 변동과 비슷한 궤적을 그리고

있다49)

lt표1gt에 제시된 광서 24년(1898)의 長沙 米価도 3000文-4000文 사

이에 형성되어 상당한 高米価이다 같은 湘報에 실린 내용에 岳州에

집결된 湖南米가 漢口에 운송 판매되는데 米価는 3700-800文 또는 4천

수백文에 이른다고 되어 있다50) 대략 光緖20年(1894) 이후부터 淸末까

지 高米価가 지속되었다고 생각된다 松江府續志의 기록을 이용하여

光緖年間 低米価와 그로 인한 장기 不況이라는 해석은 長沙府 일대에

서는 드러나지 않는다51) 低米価는 光緖年間 전체는 아니고 光緖

(1875-1908) 년간의 거의 전반에 해당하는 1893년 이전의 일로 생각된

다 후반에서 淸末까지는 急騰에 가까운 高米価의 변동을 보여주고 있

47) 岸本美緖 앞의 책 p19

48) 同上 p443

49) 湘報 76號 p67650) 李文治 中国近代農業史資料 제1집 p561 岸本美緖의 해석 앞의 책

pp442-443

51) 張人价 앞의 책 pp93-9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5

機米 河米 糯米 총 평균

가격 지수 가격 지수 가격 지수 가격 지수

1928 652 7564 503 7065 805 9015 653 7944

1929 862 10000 712 10000 893 10000 822 10000

1930 1003 11636 862 12107 1037 11613 967 11764

1931 1002 11624 845 11868 1020 11422 956 11630

1932 1008 11694 817 11475 947 10605 924 11241

1933 594 6868 504 7079 757 8477 618 7525

1934 671 7784 590 8287 812 9093 691 8406

1935 1004 11647 810 11376 1012 11333 942 11460

lt表5gt 長沙의 米価(石元)

예릉현 물가표를 보면 民國 시기에도 대체로 안정속의 상승세가 지

속된다 청말에서 1921년까지 米価가 급등한 것으로 보이지만 1926년

에서 1936년까지는 안정 속 상승의 추세이다 兩圖 사이에는 가격 단

위의 차이가 있어 직접 접속은 곤란하지만 흐름은 그렇다고 여겨진다

호남성경제조사소 의 조사에 근거한 민국17년(1928)부터 민국24년

(1935)까지의 8년간 米価 기록을 제시한 것이 lt표5gt이다52)

이것을 보면 등락은 있지만 비교적 米価가 안정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上海의 米価도 1912-1928년 사이 407 상승하였는데 1921-1928년

사이에는 154 상승하였다53) 호남성의 米価는 宣統2年-民國元年 3개

년 평균가와 민국 21-23년 3개년 평균가를 비교했을 때 86 상승이라

는 조사도 있다54) 대체로 淸末에서 民國 전기까지는 가격이 급등하고

민국 중기에는 안정 속의 상승이 추세였다고 생각된다

호남성 汝城縣의 물가변동을 보면 우선 지방지 편찬자의 시기 구분

52) 徐正元 上海近代稻米市場価格變動分析 (中國經濟史硏究 1996年 2期)

53) 張人价 앞의 책 p87

54)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 91998)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6

1898年 1935年

소금 56文斤 57斤

洋油 50文斤 64斤

돼지고기 105文斤 30斤 015-020元斤 25-33斤

鷄育 123文斤 26斤

羊肉 117文斤 27斤

茶油 100文斤 32斤 019-024斤 21-26斤 瀏陽가격

면화(中棉) 217文斤 15斤 03-05斤 10-17斤 湘陰 Prime

1898年 中米1石価 (湘報소재 1石 3193文 적용)

1935年 長沙米価 民國25年 刊 通郵地方物産誌 湖南의 長沙靖港米価(担40-60元

의 중간 값 이용) 1石은 1担보다 크므로 실제 米価는 이보다 높을 것임

이 의미있다고 생각된다 同治丁卯志 편찬 이후부터라고 명시하고 있

는데 丁卯年은 同治6년(1867)이다 이후부터 민국21년(1932)까지를 세

시기로 구분한다55) 同光 시기 光宣 시기 民國 시기이다 즉 동치 후

반에서 광서 전반 광서 후반에서 선통 년간이니 광서 후반부터 물가

상승이 컸던 것을 반영한다고 여겨진다 여성현 물가표상 米価 변동을

단순 비교하면 지수는 100 200 400으로 변한다 1930년대 전반의 米

価는 동치 후기에 비하여 약 65년만에 300 상승한 것이다 이것을

신뢰하더라도 앞서 18세기 전후 백년간 물가가 300 상승하였다는 당

시인의 인식과 상승률은 거의 비슷하다56) 장사부 상음현에서도 18세

기 중후반 67년간 米価가 300 상승한 바 있다 예릉현 물가 표상

1878년에서 1921년까지는 米価는 약 458 상승하였지만 1926년에서

1936년까지 10년간은 약 563 상승에 그쳤다 민국 중기는 비교적 안

정속의 상승을 보여 주고 있다 lt표5gt에 제시된 長沙 機米의 8년간

가격도 54 정도 상승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미가의 명목 수치상 등

락을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질 가치를 알아보려면 상대 물가 즉

米1石価의 구매력이 얼마인지를 보아야 한다

lt表6gt 長沙 中米 1石価의 구매력 변동

55) 郭成康 앞의 논문

56) 張麗芬 앞의 책 p270 각주7)에 보면 호남성 1担価는 140-150斤 1898年 長

沙 米価는 1石당 150-155斤임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7

1935년의 長沙 米価는 通郵地方物産誌의 長沙 靖港의 米 1担価를

이용하였다 실제 石은 担보다 크므로 米価는 여기서 잡은 5元을 상회

할 것이라 생각된다57) 같은 자료의 물가를 이용하여 제시한 lt표6gt을

보면 돼지고기 값은 1898년의 30斤에서 1935년은 25-35斤 사이이다

그 범위 안에 있는 것을 보면 米価의 실질 구매력은 유지되고 있다

茶油는 다소 하락하였지만 면화도 유지 또는 상승이라 볼 수 있다

예릉현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돼지고기는 상승 추세 속에 일

부 하락년이 있다 선통 원년과 민국 원년에 수치가 상승한 것은 米価

의 폭등이 기타 물가를 크게 앞지른 것으로 여겨진다 민국 중기에 약

간 하락하였지만 1935년의 돼지고기 구매력은 광서4년(1878)에 비해

67정도 상승하고 있다 茶油의 경우도 민국 10년(1921)까지 米의 상

대 구매력이 대폭 상승하고 있다 이것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米価 변

동을 통해 농민 소득이 하강했다고 여겨지지 않는다

광서4년1878

광서14년1888

광서19년1893

선통원년1909

민국원년1912

민국5년1916

민국10년1921

민국15년1926

민국20년1931

민국25년1936

猪肉 15斤 25斤 22斤 36斤 35斤 23斤 27斤 16斤 28斤 25斤

草魚 34斤 39斤 38斤 57斤 62斤 35斤 - 20斤 32斤 33斤

茶油 12斤 23斤 25斤 27斤 - - 25斤 - ① -

鹽 23斤 26斤 22斤 33斤 62斤 - 42斤

棉花 7斤 16斤 5斤 - - - - - ②

洋紗 - - - - - - - ③

煤油 - - - - - - - 15병 2병 11병

雞 17斤 22斤 20斤 33斤 22斤 19斤 21斤 - - -

史料上 穀価를 lsquo1米2穀rsquo의 원칙에 따라 米価로 환산하였음① 민국 15년(1926)부터는 茶油의 단위가 石으로 되어 있어 비교 곤란② Prime 棉花의 단위가 石으로 되어 있어 비교 곤란③ Prime 羊紗의 단위가 件으로 되어 있어 이해 곤란

lt表7gt 醴陵縣 米価의 물품구매력 변동추세(米1石의 구매력)

57) 刘泱泱 湖南通史 近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p487-488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8

품목

시기

단위

同光

(1870-1890)

光宣

(1890-1911)

民國

(1912-1932)

肉 斤 188 188 175

鹽 斤 60 75 636

洋紗 捆 100 100同光시기洋紗통행안함

土布 尺 100 120 140

洋油 甁 20 10同光시기

洋油 未 盛行

茶油 斤 188 188 175

桐油 斤 214 200 194

柴 750 875

同治丁卯志(1867)편찬 이후라 되어 있어 대략 70년부터 잡은 것이다

lt表8gt 湖南 汝城縣의 穀1石価의 구매력 변동

호남 汝城縣의 穀1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고기는 光宣 시기에

유지되다가 민국 시기에 약간 하락하였으나 근소한 수치이다 鹽의 구

매력은 光宣 시기에 대폭 올랐다가 民國 시기에 하락하였으나 同光 시

기 보다는 높은 수치이다 洋紗에 대한 구매력은 光宣 시기에서 民國

시기에도 계속 유지되고 있다 茶油는 고기와 같은 변화이다 土布에

대해서는 구매력이 계속 증가한다 洋油에 대해서는 民國 시기에 구매

력 감소를 보이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호남의 대외무역은 외국의 공

업품과 농부산품 원료를 교환하는 것인데 고가의 공업품 대신 강제

저가의 수단으로 호남의 농산품을 약탈한다는 견해58)는 약간의 재검

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공업 상품 가격의 翦刀差에 대해서도 洋紗

의 경우를 보면 나타나지 않고 있다59)

이상을 종합하면 同治年間의 高米価 光緖前半(1875-1891)까지의 상

대적 低米価 光緖後半-宣統까지의 高米価 급등 民國前期의 계속 상승

58) 李金錚 二十年來 中國 近代 鄕村 經濟史的 新探索 (歷史硏究 2003年 4

期)

59) 譚文熙 앞의 책 pp298-299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9

品目 洋麵 淮鹽 茶油 桐油 洋油 猪肉 雞 鴨 烟煤 柴煤

단위시기

包 斤 100斤 100斤箱2桶(50斤)

斤 斤 斤 100斤 衡斗

31-310 26兩 56文 73兩 19兩 104文 112文 88文 320文 24文

311-320 26兩 Prime 73 19 104文 128文 88文 320文 24文

321-331 26兩 Prime 73 625兩 189 108文 128文 88文 320文 252

41-410 26兩 Prime 728 628 186 320文 240

411-420 27兩 Prime 728 626 183 254 228

421-430 29兩 Prime 72 616 181 314 260

51-510 293兩 Prime 711 606 178 310 240

511-520 274 Prime 71 60 183 314 240

521-531 26 Prime 71 60 185 314 229

61-610 26 Prime 699 60 185 299 219

611-620 231 Prime 734 61 184 320 255

621-630 22 Prime 754 62 183 311 254

71-710 22 Prime 774 649 183 310 250

711-719 218 Prime 768 631 181 318 265

면화는 上棉 中棉 下棉의 가격이 제시되고 있으나 여기서 생략함

lt表9gt 1898年 3-7月間 長沙物価

民國中期(1926-1936)까지 안정이라는 米価 변동의 궤적을 확인할 수

있고 그 기간 동안 米価의 실질 구매력은 유지 또는 상승이 대체적 추

세였다 생각된다

2 物價 변동

1) 단기 변동

湘報에 수록된 光緖24년(1898)의 長沙 물가 변동을 표시한 것이

lt表9gt와 lt圖5gt이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0

品目 단위 최고가 최저가 시기 유통량 행선지

鴨絨 斤 500 300 冬 上海 北平 天津 南京

일반적으로 米価와 物価는 상호 연동적이라 생각되지만 여기서 물

가의 단기 변동은 米価와는 다소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대체로

등락 폭이 크지 않다 洋油 洋麵 桐油 등의 변동폭이 크지 않다 면화

만 4월 10일 20일 사이에 상승이 있지만 5월부터는 하락하고 있다

淮鹽 가격은 斤당 56文으로 3月에서 7월 사이에 전혀 변동이 없다

長沙지역은 원래 淮鹽 관할 구역이었으나 太平天國 시기에 교통 두절

로 川鹽 소비지역이 되었다 太平天國후 曾國藩이 이 지역을 淮鹽 소

비지역으로 회복하기 위해 여러 가지 개혁 조치를 행하고 督銷局에서

가격을 核定하여 고시하는 牌價 제도를 시행한 바 있다 일종의 통제

가격제도에 의해 가격 상승이 억제되고 있었던 것이다 直隷의 景縣의

소금 값은 1890년에 斤당 46文 1900년에 斤당 68文이라는 조사도 있

다60) 長寧縣에서는 光緖29年(1903)에 鹽価가 斤당 55文이라는 보고도

있는데 이것은 長沙 1898年의 鹽価와 유사하다61)

戰亂後에 淸朝정부의 淮鹽 소비지 회복 정책에도 불구하고 四川鹽

이 계속 私鹽으로 침투하였기 때문에 長沙의 淮鹽価를 저렴한 통제 가

격下에 두고 있었다고 생각 된다62) 圖6)에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柴煤

는 米価와 같이 5月10日에 최고가에 가깝고 6월10일에 하락하고 그후

에 상승하고 있다 烟煤의 경우에도 비슷한 궤적을 그리고 있다 이것

은 米価와의 연동관계가 비교적 분명하다

1935년의 長沙 物価의 단기 변동 폭을 알 수 있는 것이 lt표10gt이

lt表10gt 長沙物価 通郵地方物産志

60) 李文治 앞의 책 p562

61) 譚文熙 앞의 책 p267-268

62) 佐伯富 中國史硏究 第1卷 (京都 同朋舍 1978) pp340-36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1

黑鉛 石 2200 1300 全年 50000石 漢口上海

棉紗 件 22000 1800 Prime 24000件 本省

棉布 疋 120 150() Prime 1000000 漢口

麵粉 袋 50 250 Prime 140000 Prime

線襪 雙 106 Prime 6000000 本省

毛呢鞋 Prime 200 180 Prime 400000 Prime

夏布 疋 1000 200 夏 20000 上海漢口

火柴 箱 500 300 全年 10000 本省

刺繡 Prime國內및外洋

매년 産量 약50만元

玻璃器 件 300 200 Prime 9000 本省

肥皀 箱 70 50 Prime 30000 Prime

絲綿三角 兩 040 020 Prime 40000 Prime

國貨電池 打 060 040 Prime 200000 Prime

猪 斤 020 015 Prime 50000只 漢口上海

豬毛 担 6000 5000 Prime 4000kg Prime

粗窑器 卡 350 250 Prime 100000套 長江연안

毛筆 支 050 020 Prime 本省 및 황하 각성

여기서 보면 변동폭이 100 이상인 것은 면포 夏布 絲線三角 毛

筆 麵粉 등이다 또 50 이상인 것은 鴨絨(가공오리털) 667 흑연

692 火柴(성냥) 667 玻璃器(유리그릇) 50 국산 電池 50 등이

다 비누는 40 粗窰器는 40이다 棉沙 222 毛呢鞋는 111 돼

지 333이다 단기 변동 폭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고 생각된다 이

것은 이런 물품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성이 크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그런데 1898年의 경우는 茶油 洋油 등 물품의 가격 변동폭이 적은 것

은 무엇 때문일까 어쩌면 당시의 시장 가격 조사가 부정확했는지도

알 수 없다

1935年의 물가에서 綿沙의 변동폭이 적은 것은 당시 항상적인 수요

가 있었기 때문이 아닐까 비누의 변동폭도 40로 비교적 적은데 생

필품으로 수요가 지속 증대된 까닭이 아닐까 한다 通郵地方物産誌에 기재된 醴陵縣 夏布 가격은 40元-100元 사이인데 民國醴陵縣志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2

圖5) 1898年 3月-7月 長沙物價

의 物価表上에는 70元(1938)이라 되어 있다 物産誌 가격은 1935年

의 것인데 예릉현지의 가격이 그 범위 안에 있어 서로 다른 자료간에

부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63) 物産誌 上 相潭株洲의 茶油 값

매 石 160-240元(1935)은 예릉현지 물가표의 민국 20년(1931) 茶油 매

石 240元과 일치하고 있다 표12)에 1936年 煤油 값은 병당 44元이다

그런데 民國 安鄕縣志에서도 1934년 煤油 값은 병당 38元으로 되어

있어 兩者 사이에 유사성을 보여주고 있다64) 그러므로 醴陵縣志 物価의 종적 비교도 신뢰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洋麵은 包당 가격

茶油桐油洋油는 100斤당 가격

棉花 100斤당 가격

2) 장기 변동

長沙의 물가 변동을 보려면 湘報 수록의 광서 24年(1898) 물가와

63) 交通部郵政總局 編 中國通郵地方物産誌 (華世出版 1988)

64) 民國 安鄕縣志 卷11 食貨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3

품명 단위광서4년

(1878)

광서14년

(1888)

광서19년

(1893)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

(1912)

민국5년

(1916)

민국10년

(1921)

豬肉 斤 88文 63 62 112 160 240 280

雞 斤 80 72 68 120 250 300 360

lt表12gt 醴陵縣 物価表 (b) (商会조사)

품명 단위민국15년(1926)

민국20년(1931)

민국25년(1936)

민국27년(1938)

민국28년(1939)

민국29년(1940)

민국30년(1941)

猪肉 百斤 200원 170 200 360 400 561 1300

草魚 Prime 160 150 150

茶油 石 240 290 560 760 2000

鹽 石 120 140 150 160 2000

洋紗 件 2200 2200 2400 2000 2500 1500

土布 匹 27 70

夏布 Prime 70 70 140

竹布 Prime 100 100 8000

棉花 石 20 25 40 100 200 400

煤炭 石 020 030 040 050 230 70

煤油 甁 220 240 440 90 300 460 200

毛邊紙 石 198 432 1200

黑靛粉 桶10斤 100 200 1500 2000

赤金 兩 50 70 80 90 500 560 1600

lt表11gt 醴陵縣 物価表 (a)(私家數簿에 의한 것)

民國24年(1935)의 通郵地方物産誌 기록을 직접 비교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양 자료 사이에 화폐와 단위가 서로 달라 직접 비교할 수가 없

다 그래서 당시인의 물가 변동 기록인 長沙府 醴陵縣 物価表를 이용

하는 것이 파악 방법이 될 것이다

lt표11gt lt표12gt 와 lt圖6gt lt圖7gt을 보면 개별 물품에 따라 차이

는 있지만 대체적인 흐름은 米価 변동과 유사한 궤적을 보여주고 있

다 즉 光緖 前半에 비교적 안정적이다가 光緖 후반부터 급상승하여

민국 전기까지 상승하고 있다 1926년부터 1936년까지는 가격 안정세

를 보여 주고 있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4

雞蛋 個 2 2 3 4 10 15 20

草魚 斤 40 40 36 70 90 160

茶油 斤 116 69 54 150 300

鹽 斤 60 60 63 120 90 180

煤 石 50 120 50

苧麻 斤 270 99 170

棉花 斤 200 96 280

竹布 尺 70 62 60 60 90

靑洋布 尺 55 50 50 70

白蓮紙 刀 40 82 80 100

-附記 前淸 통행 制錢文으로써 단위 민국 초년에는 비록 銅元을 단위 사용하나 관습상 매 1銅元은 錢10文에 해당

圖6) 醴陵縣 物価 (a)

① 豬肉 斤당 가격 ② 雞肉 斤당 가격 ③ 茶油 斤당 가격

④ 鹽 斤당 가격 ⑤ 棉花 斤당 가격 ⑥ 草魚 斤당 가격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5

圖7) 醴陵縣 物価(b)

① 猪肉 百斤당 가격 元 ② 草魚 百斤당 가격 元 ③ 茶油 石당 가격 元

④ 鹽 石당 가격 元 ⑤ 洋紗 件당 가격 元 ⑥ 棉花 石당 가격 元

⑦ 煤油 甁당 가격 元

米価가 物価와 연동되는 것에 대해서 江都縣史料를 보면 ldquo産米 구역

에서 年末에 米価가 상승하니 百物이 昻貴했다rdquo65)라고 되어 있다 湖

南지역 米価 연구 자료에도 米価 추세는 거의 물가 수준과 같다는 주

장이 있다66)

光緖末宣統年間의 물가 상승을 나타내는 史料를 보면 다음과 같다

이제 각종 惡政의 결과로 百物의 騰貴를 초래했는데 小民의 日用 수요

65) 李文治 앞의 책 p470 ldquo江都爲産米區域 年末米価騰踊 百物因以昻貴rdquo

66) 張麗芬 앞의 책 p22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6음식은 그 가격이 십년 전에 비해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과 居室 器用

蔬饌의 비용 牛種糞漑의 비용도 예전 보다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도 비록

동일 비례로 함께 올랐으나 이미 넉넉하지 못해 괴롭다67)

이것을 보면 米価와 物価가 연동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청말

특히 光緖 후반 이후에 각종 物価가 두 배 올랐다는 사정을 알 수 있

다 上海의 物価도 같은 시기에 상승하고 있다68)

lt표11gt lt표12gt와 lt圖67gt을 검토해 보면 돼지고기 값은 광서 14

년 광서 19년까지는 다소 하락세를 보이다가 宣統원년(1909)부터 급격

히 상승하고 있다 민국원년(1912)의 가격은 160文으로 1878年의 88文

에 비해 거의 두 배에 해당한다 위에 인용한 宣統 2年 8月 國風報의 물가 두 배 인상과 정확하게 부합되고 있다 민국 전기인 1926년까

지 계속 상승하고 있지만 1926년에서 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이고 있

돼지고기 값은 1878년-1909년 사이 273 상승했고 1912-1921년 사

이에 75 상승했다 닭은 각기 50와 44 상승했다 계란은 100

100 상승이었다 淸末 비교 시기는 31년간인데 비해 민국 전기는 9

년간에 불과하다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가 급등한 것은 충분히

알 수 있다 1926년에서 1936년 10년간 돼지 값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거의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이었다

民國 醴陵縣志에도 ldquo辛亥혁명이전에는 물가가 심한 등락이 없었는

데 민국 후에 들어와서 차츰 상승했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69) 圖6)을 보

면 닭고기도 비슷한 궤적을 보이고 있다 草魚의 경우도 청말 민국전

기는 상승이 주요 동선이고 민국 중기(1926-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

67) 國風報 第1年 21期 宣統 2年 8月 (李文治 앞의 책 p561) ldquo今也以種種惡

政之結果 以致百物騰踊 小民日用 飮食所需 其価皆視十年前兩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居

室器用蔬饌之費 牛種糞漑之費兩倍于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雖以同一比例以俱騰 旣苦不

給矣rdquo

68) 岸本美緖 앞의 책 p443

6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物價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7이고 있다 譚文熙 物価史에는 민국 전기는 안정속의 상승세로 민국

중기는 파동속의 상승으로 정리를 하고 있는데 여기와는 약간의 차이

를 보이고 있다70) lt표11gt과 lt표12gt 사이의 화폐 단위 차이로 인한

연속적 파악에 다소 어려움이 있으나 대체의 추세는 짐작할 수 있다

또 품목에 따라 공란이 있어 연결 관계가 애매한 부분이 있다 1936년

이후는 중일 전쟁의 혼란과 불환지폐의 강제 통용 등의 사정으로 本考

에서는 분석 대상 범위에서 제외 하고자 한다

Ⅱ 物價 변동의 원인

1 수요 측면

米価와 物價가 상호 연동관계에 있고 넓은 의미에서는 米価도 물가

의 일부이다 米価 및 물가의 상승은 우선 수요의 증가에 원인이 있다

고 할 것이다 수요증가는 일반으로 인구 증가이다 湖南의 인구는 嘉

慶21年(1816) 18754259명에서 1898年 21174000명으로 다시 民國17년

(1928)에는 31501212人으로 비약적 성장을 하였다71) 약 110년 동안

인구가 1300만 가까이 증가하였고 비율로는 679가 증가하였다 長沙

府의 인구도 가경 25년(1820)에서는 4290086명이었는데 민국23년

(1934)에는 8421330명으로 약 400만명 이상 증가하여 963 상승을

보이고 있다72)

인구의 증가가 수요 증대를 초래하는 일반 요인이지만 湖南의 米穀

移出이 해당 지역 민중의 식량을 제외하고 남는 잉여 米만은 아니다

70) 譚文熙 앞의 책 pp302-307 여기서는 민국 전기는 1912-1927년 민국 중기

는 1927-1937년으로 구분하고 있다

71) 湖南省志 地理志 (長沙 湖南人民出版社 1982) pp230-238

72)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8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의 증대가 더 중요한 요인일 것이다 淸末에

와서 새로운 생업을 통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가 많이 증가하고

있는데 醴陵縣 사례를 한번 검토해 보겠다 史料는 다음과 같다73)

同治志에 이르기를 醴陵의 풍속은 lsquo安土重遷rsquo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상인이 外地에 나

가 장사하는 이가 적었다 배를 이용하여 외부 상업을 하는 것은 淥口 부

근의 米穀商일 뿐이었다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邑人들이 茶제조로 武漢에 판매하는 자가

이익이 배가 되었다 이때부터 龍門일대에 매양 봄에 茶를 제조하고 가리

는 廠이 항상 수십이었다 光緖末年에는 도자기업 夏布 編爆이 일어나서

대신하였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이를 믿고 생계를 삼는자가 무려 십만인이다

同治志 편찬 단계만 해도 사람들이 토착 안주하여 멀리 이동하는

것을 어렵게 여겼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큰 이익을 보고 그

후 도자 기업 夏布 編爆 제조에 종사하여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나 되었다는 것이다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의 성장을

보여주는 것이다 長沙의 빠른 도시화도 주목된다 長沙日報에 실린

내용을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74)

光緖32년(1906)에 火災 조사시에 城廂 내외가 매일 식량으로 穀 5000

石이 필요하였다 지금 교통이 편리하고 상인 旅客이 배로 증가하였으니

매일 마땅히 1-2000石을 더해야 한다(宣統 2年(1910) 2月 17日 長沙日

報)이것을 보면 光緖32년(1906)에서 宣統2년(1910)은 불과 5년이 채 되

지 않는데 상인 집단이 배로 증가하였다니 城內外의 유동인구 급증을

짐작할 수 있다 長沙城의 인구는 1916年에 177882人이었고 1931年은

385514人으로 증가하였다 불과 15년 사이에 1167 증가이다 배 이

73)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ldquo同治志云 醴俗安土重遷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商賈外

貿者少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揚帆外貿則 僅淥口附近之穀米商而已 光緖初 紅茶業興 邑人製茶

販運 漢皋者 獲利倍蓰自是來龍門一帶 每屆春日 製茶捒茶列廠恒數十 訖於光緖

末年 則有瓷業及夏布編爆起而代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恃以爲生者 無慮 十萬人rdquo

74) 李文治 앞의 책 p551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9상이 증가하였으니 長沙의 도시화도 급속히 진전 되고 있다75)

민국10年의 湖南 實業雜誌 보도를 보면 당시 長沙에 蓆工 500人

刻字工 300人 방직공 3200人 이발공 800人 香工 400人 합계 5200人

이 있었다 長沙大公報에 의하면 민국9년(1920)에 長沙에는 부두공

2600人 糞夫 500人 轎夫 1300 車夫 2300人으로 합계 7000人 정도

가 있었다76) 같은 시기 호남성의 광부가 160萬人이고 여기에 手藝工

苦力을 합치면 190만 전후였다고 한다 예릉현에서는 東鄕 일대에서

編爆業 종사자가 수만이고 東北兩鄕에서 磁廠의 女工도 수천이나 되었

다는 기록도 있다77) 湖南 邵陽縣에서도 淸末에 工匠이 5만 상인이 12

만 정도였다는 통계도 있다78) 이렇게 비농업 인구가 다른 생업을 통

해 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로 증가하고 있던 것이 확인된다 이런 유

효 수요 증가를 설명해 주는 다른 史料 하나를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

다79)

어째서 米穀이 날로 적어지고 날로 비싸지는가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水旱災가 날로 많고 농사짓는데 날로 게으르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말은

진실로 일리가 있는데 다 그런 것은 아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선교사 洋商 洋官 洋

兵은 증가한 것이 외국에서 온 사람이다 敎民 游民 賭民 盜民은 內地

에서 증가한 자이다 무릇 농사짓는 사람은 하나인데 먹는 자는 헤아릴

수가 없다 米穀이 어찌 비싸지 않을 수 있겠는가

光緖後期의 사정을 전하고 있는 위 史料를 보면 외국에서 온 선교

사 상인 군인 관리 등도 米価 상승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국내

외를 막론하고 비농업 인구의 급격한 성장이 米価 상승의 원인이라 생

각된다

湖南과 長沙의 米穀은 해당 지역 안에서 소비되는 것보다 揚子江

75) 張朋園 中國現代化的區域硏究 -湖南省 (台北 1998) p376

76) 위의 책 pp412-413

77)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農業經濟

78) 光緖33年刊 邵陽縣鄕土志 권2 인류 실업

79) 李文治 앞의 책 p77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0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많다 청말민국시기에도 지속적인 湖南米의

移出이 있었던 것은 이미 밝힌바 있다80)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穀

米가 騰貴한 이유가 外省의 采辦이 많은 때문이라고 하고 있다81) 상

담현에서도 동치 4년(1865)이전에 해마다 풍년이었는데 穀価가 까닭

없이 騰貴한 것은 江南이 처음 회복되어 米穀의 販運이 많아진 때문이

라고 하고 있다82) 1898年에도 長沙에서 米穀의 원거리 送出을 바라는

지주 富戶와 주민의 갈등 관계가 노출되고 있다83) 宣統2年(1910)의 기

록에도 湖北의 흉년으로 出境 米穀이 과다하여 米価가 급등했는데 작

년 末에는 1石5000文이었다가 금년에는 1石 8000文에 이르렀다는 내

용이 있다84) 같은 자료에 湖南米가 당도 하지 않으면 武漢에서 변란

이 일어난다고 할 정도이다

하류의 上海는 한적한 어촌에서 근대에 대도시로 성장하였다 武漢

上海등의 도시화와 상공업 발전 인구 집중은 長沙米의 급격한 수요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宣統 년간에 長沙가 전국적인 4大 米市의 하나

로 성장한 것은 우연한 일은 아니다85)

근대에 대외 교역증가가 물가 상승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생각된

다 1873년에서 1930年 사이에 농산물 수출 통계는 1910년을 100으로

했을 때 1873년은 12 1893년은 123 1903년 386 1920년은 1324

1930년은 2709로 급상승하고 있다86) 농산물의 수출은 해외 수요의 증

가이다 이런 교역상 수요 증대는 가격의 등귀 뿐 아니라 작물 재배

면적의 확대에도 기여하고 있다

80)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81)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20

82) 光緖6年刊 湘潭縣志 卷29 災祥志

83) 湘報 89號 長沙縣職員常達邦呈批

84) 李文治 앞의 책 p381

85) 徐正元 中國近代農産商品化的發展與米市的形成 (復印報刊經济史 1997年3期)

86)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권2 p14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1宣統2년(1910) 長沙에 영국 상인이 출현하여 米穀 구매를 단행하자

米価가 하루에 여러 번 급등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였다87) 湖南에서

는 또 광동 상인의 영향을 받아 紅茶 제조법을 습득하여 홍차를 대량

생산하여 구미에 수출하였다 19세기 60년대부터 20세기 초에 특히 호

남 茶 생산 판매가 극히 발달하였다88) 주요 산지 중에는 長沙 湘潭

安化 등이 손꼽히고 있다

桐油의 수출 또한 괄목할 만한 것이다 湖南의 桐油 수출은 1922년

전국의 3336 1923년은 372로 성장하였다 1929년에는 全省 수출

총액의 45 정도를 차지하였고 桐油 상품화율 80에 달하였다89) 대

외교역을 통한 농산품의 해외 수요 증가는 직간접으로 물가 상승에 작

용하고 있다

2 화폐 문제

물가와 화폐의 관계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통상 화폐 수량의 증가가

생산총량의 증가보다 초과할 때 물가상승이 일어난다90) 보통 淸 후기

에는 아편무역에 따른 銀의 해외 유출과 그 결과 야기된 lsquo銀貴錢賤rsquo 현

상 통화팽창에 의해 물가가 상승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91)

실제 淸末民國기에 걸쳐 통화 팽창과 물가 상승에 대한 기록을 찾

는 것은 어렵지 않다 王業鍵에 의하면 淸末 특히 1875年부터 1911年

까지는 인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단계였다고 한다92)

民國 寧鄕縣志에 보면 ldquo光緖29年(1903)에 처음으로 當十銅元을 주

87) 李文治 앞의 책 p550-551

88) 劉泱泱 앞의 책 p46

89) 宋斐夫 主篇 湖南通史 現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5 p276

90) 陳民 法幣發行制度與通貨膨脹 (復印報刊經济史 2001-1)91) 龔勝生 앞의 책 pp275-280 岸本美緖 앞의 책 p444 張麗芬 앞의 책

p217

92) Yeh-chien Wang Secular Trends of Rice in the Yanzi Delta 1638-1935(California Univ Press 1992)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2조하여 전국에 통용시켰는데 물가의 등귀가 이때부터 시작되었다rdquo는

기록이 있다93) 醴陵縣에서는 光緖32年에 當十銅元을 주조하여 制錢과

병행시켰고 宣統원년에 銀元이 이미 성행하였다 민국원년에는 當二十

銅元을 주조하였는데 雙銅元이라 칭하였다94) 영향현에서도 광서말에

私鑄錢인 毛錢이 나오고 지폐가 통용되는 등 통화팽창이 상업을 일변

시켰다고 한다95)

종전에 비해 실질 가치가 열악한 當十 當二十 등 銅元의 남발과 鈔

票의 성행은 화폐 시장의 과잉을 초래하였다 정식의 鈔票 이외도 각

현 발행의 私鈔와 錢莊에서 발행한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시중에 범람

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민국 시대에는 화폐 남발이 더욱 심하였다 호

남은행을 비롯한 저축은행 농업은행 등이 각기 각종 지폐를 발행하여

혼란이 가중되었다 1915년에 호남의 은행은 33개인데 그 중 장사현 7

개 상담현이 7개였다96)

군벌들이 은행을 개설하거나 질 낮은 화폐 통용을 강제하는 등의

혼란이 민국시기 특징 중의 하나이다97) 화폐 시장에는 銀元 銀角 銅

元 지폐와 鈔票 市票등 유사 화폐까지 복잡middot혼란의 양상이 나타나고

결과적으로 물가 상승을 피할 수가 없었다

선통2년(1910) 격렬한 米価 騰貴가 있었고 長沙에서 대규모 搶米 폭

동이 일어났는데 이것은 단순한 흉년때문이 아니고 銅元 남발 등 화폐

제도 혼란에 기인한 것이었다98) 1880년대 초부터 1920년대까지는 인

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시기로 매년 33 비율로 상승하였으며 1930년

총 화폐보유고는 60억 원에 달했다 반 세기간 화폐 공급은 8-10배 증

가하였다99)

93)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ldquo光緖 二十九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始鑄當十銅幣 通

行全國 物価之踊始此rdquo

94) 民國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95)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財用錄 상업

96) 張朋園 앞의 책 pp258-259

97) 宋斐夫 앞의 책 pp10-12

98) 岸本美緖 앞의 책 p51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3

時期 銀(兩) 錢(文) 出典

乾隆 嘉慶년간 10 1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道光 初(1821) Prime 1300-1400 Prime

Prime 18年(1838) Prime 1400 林則徐湖廣奏橋 권3

Prime 25年(1845) Prime 2000上下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Prime 末年(1850)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咸豊 元年(1851) Prime 2000 民國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咸豊 初 Prime 2300-2400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8 부역

咸豊 3年(1853) Prime 20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5年(1855)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Prime 6年(1856) Prime 2000 湖文忠公遺集 권12

Prime 7年(1857) Prime 1600 骆文忠公奏議 권7

Prime 8年(1858) Prime 1400 胡文忠公遺集 권85

Prime 10年(1860) Prime 1300-1400 胡文忠公遺集 권70

同治 2年(1863) Prime 13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7年(1868) Prime 1300-1400 李瀚章 瀝陳湖北等省漕務

Prime 10年(1871) Prime 1600-1700 同治10年 長沙縣志 권8 부역 錢法

光緖32年(1906) Prime 1600 長沙日報 宣統2年 2月27日

선통 2年(1910) Prime 1700 國風報 宣統2年 3月 21日

표 지방지에서 직접 採錄제외는 龔勝生 淸代兩湖農業地理 pp270-277에서 湖南부분을 발췌하여 再引用한 것임

表13) 湖南의 銀錢比値

그런데 아편전쟁 전후 銀의 과도한 해외 유출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이

초래되고 이것이 물가 상승의 주요인이라 생각되고 있는 데는 약간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表13)을 보면 銀錢比価가 일시적으로 상승하였다

가 다시 하강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은전비가는 지역에 따라 차

이가 있지만 호남 장사를 위주로 정리한 것이 표13)이다100)

99)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0) 邱思達 中國近現代鑄幣圖說 (北京 中國書店 1991) p109 참조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4

주목되는 것은 道光末에서 咸豊初에 일시적으로 상승하였지만 淸末

의 比価가 낮은 편에 속하는 현상이다 청말에 은전비가가 비교적 안

정되고 있는 것이다 아편전쟁 후 5항 개항으로 교역이 확대된 상황에

서 아편무역 증대에도 불구하고 차와 silk 수출에 힘입어 은의 순유입

이 오히려 증가되는 현상이 나타났던 것이다101) 또 光緖17년(1891)이

후 세계 銀価하락 현상으로 은유입이 증가되었다102) 19세기 후반 중

국이 세계 사회에 연결되면서 중국의 무역 적자에도 불구하고 淸 정부

에 대한 대량 차관과 자본 투자를 통해서 거대한 양의 銀이 중국에 유

입되었다 1871년에서 1913년 사이 은의 순 수입은 2억 4천만 海關兩

혹은 3억 6천만 銀달러로 추정되고 있다 세계 시장의 은가 하락과 은

의 대량 유입은 중국의 국내 시장에서 물가 상승을 유도한 것이다103)

이런 배경으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은 일시적인 것이고 청말민국기 전체를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민국 시기에는 銀元과 錢의 교환 비율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은의 유입 현상에도 불구하고 宣統 원년 11150文의 비율에서 민국6년

2250文 민국11년 2840文 민국17년 3500文 민국22년 7200文까지 급등

하고 있다 예릉현의 기록이지만 이것으로 청말보다 민국시기에 통화

팽창현상이 극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4)

銀과 錢이 주요 화폐이고 그 환율이 항상 문제가 되고 있지만 주로

청 후기 이후는 錢文 위주의 경제로 바뀌고 있다고 생각된다 長沙府

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면 대부분 道光 이후는 화폐를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淸 前期는 米価를 銀으로 표시하던 것과는 대조적이

다105) 예릉현에서는 민간에서 세금을 납부하거나 大宗무역을 할 때를

101)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2) 邱思達 앞의 책 pp92-93

103)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4)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10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光緖3年刊 善化縣志 同治13年刊 湘鄕縣志 光

緖15年刊 湘潭縣志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民國37年刊 醴陵縣志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5제외하고 紋銀 사용자가 거의 없다 도광 이후 교역시 대부분 錢文을

사용했다는 기록을 보면 淸 後期는 錢 경제 위주로 넘어간 것 같

다106) 세금을 낼 때 외에 銀錢이 필요 없는 일반민은 錢文 사용권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너무나 당연하다

함풍4년에 長沙에서 大錢을 주조하여 통용시켰으나 결국 시장의 신

뢰를 얻지 못하여 퇴출되고 말았다 1854년 7월에 주조를 시작하여

1855년 4月에 주조를 정지하였다107) 이것을 보면 통화 남발도 결국

시장의 제약을 받고 있다

민국 7년(1918) 3月 張敬堯가 裕湘銀行을 개설하여 銀元票 1000만元

銅元票 3000만元을 발행하였다 그 결과 시장은 혼란에 빠지고 시중금

융은 마비 상태가 되었으며 결국 裕湘銀行 발행의 惡幣는 폐지와 같이

되었다108) 권력에 의하여 통화 팽창이 시도되더라도 시장이 감당할

수 없는 지경이 되면 중단될 수밖에 없다 과도한 통화 팽창은 시장의

질서에 의해 어느 정도 제약 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예릉현에서도 光緖 년간에 錢莊 24곳이 출현하여 盛業을 누렸는데

民國7年(1918) 兵禍로 停業하는 곳이 많아졌고 정부의 통화 남발 화폐

가치 하락 금융혼란의 현상이 나타났다109) 민국18년(1929) 이후는 정

국이 안정되고 교통 편리로 百業이 진흥되고 은행이 역할을 하게 되었

이상에서 보면 淸末까지는 은전비가가 안정되고 통화 관리가 어느

정도 성공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光緖 宣統 시기에 銀元의 주조 외국

銀貨의 대량유입 當十銅元 등 주조로 통화팽창이 많이 되었고 이시기

물가 상승과 연관되고 있다 민국 초기에도 정국 혼란과 무계획적 통

화남발로 물가의 급등을 초래하였다 민국 중기에는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것 같다

106) 龔勝生 앞의 책 p279

107) 劉泱泱 앞의 책 pp150-155

108) 宋斐夫 앞의 책 pp10-11

10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6영향현에서도 민국 21년(1932) lsquo穀賤錢荒rsquo의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

다110) 청말민국기에 전반적으로 화폐량의 증가가 현저했던 것은 사실

이다 다양한 화폐의 등장 銀兩 銀元 銅錢 銅元 외에 외국 銀元의 유

입 그 외 鈔票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출현하였으며 양적인 팽창도 분

명하다 하지만 대외 교역 증가와 경제 활동 인구의 증가 유통 상품의

양적 증가에 의해 시장의 화폐 수요가 증대된 것도 사실이다 통화 발

행은 일차적으로는 경제 주체의 수요에 부응하는 것이지만 그것이 과

도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3 공급기타 요소

물가는 기본적으로 수요공급의 관계에서 결정되는 것이 원칙이다

청말민국기에 걸쳐 인구가 급증하여 물가가 상승한 것은 자연스런 일

이다 그러나 물가 상승률 면에서 청말의 경우가 18세기의 증가율에

비해 크다고 할 수 없다 물가 상승률을 억제하면서 비교적 안정 속의

상승을 할 수 있었던 것은 공급의 증가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청말민국기에 湖南米의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 현상이 지속된 배경

에 비약적인 경지 면적 확대와 새로운 품종 개량 시비법 발전 등 농

업 생산 증대가 있었다는 것은 이미 밝혀진 바 있다111) 米穀 공급의

증대가 물가 상승을 완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雜糧 재배가 同治

(1862-74) 년간에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민중의 식량 문제 해결에 기여

하고 米価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던 것을 城步縣 知縣 盛溢源을

통해서 알 수 있다

洋米 수입이 國産米의 보충 역할을 했다는 지적이 있지만 결국 시

110) 民國30年刊 寧鄕縣新志 전1 縣年記

111) 田炯權 淸末民國期 湖廣地方의 農業生産力과 生産關係 (慶南史學 7

1995)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2001)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

究 25 200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7장에 대한 미곡 공급을 증대시켜 가격 안정에 기여했다고 생각된

다112)

민국 시대 관련 사료를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113)

금일 정세를 보면 국내 米価의 등락은 결코 國産米의 생산량이 많고

적음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외국 産米 구역의 풍년 여부에 따라 영

향이 대단히 크다

이것을 보면 洋米 수입이 國産米価를 조절한다고 볼 수 있다 비슷

한 시기 上海에서도 湖南米가 수입 米의 영향으로 가격이 약간 적게

올랐다는 史料도 있다114) 湘報에도 日本米가 수입되어 중국의 米価

가 차츰 내려갔다는 기록이 있다115) 같은 湘報에 보면 ldquo외국물산이

날로 풍부하여 중국 상품의 판로를 막는데 서양 상품의 가격이 낮으면

중국 상품 가격이 홀로 증가할 수 없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116) 결국 洋

貨도 중국에서는 시장에 대한 상품 공급의 증가이고 이것이 상품 가격

상승을 억제하고 있는 것이다 같은 자료에 중국의 土藥이 널리 판매

되니 외래 洋藥의 가격이 폭락한 사정도 소개되고 있다117)

또 洋蠟의 수입으로 국산 白蠟 가격이 매 100斤 200元에서 100元으

로 폭락한 일도 있었다118) 1921년 독일 면화가 대량 수입되어 중국의

綿価가 하락한 일도 있다119) 光緖년간 부터 중국이 綿紗 생산을 개시

하자 華商과 洋商사이에 가격 경쟁이 시작되었다 수입 綿布도 洋商이

國産布와 경쟁하기 위해 가격을 낮추어 공급하였다120)

112) 王良行 淸末對外貿易的關聯效果(1860-1911) (近代中國對外貿易史論集1997)

113)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卷3 p413

114) 위의 책 p416

115) 湘報 제45호 p1419

116) 湘報 제13호 ldquo外洋之出産日盛 足以抵華貨之銷路 洋価低則華貨不能獨增rdquo

117) 湘報 제162호 p1608

118) 章有義 앞의 책 권3 p662

119) 譚文熙 앞의 책 p342

120) 譚文熙 위의 책 p368 p374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8상인의 가격 조종이 물가 변동에 하나의 요소는 될 수 있다 예릉현

의 土資 판매에 있어 객상의 가격 조종에 저항하기 위해 주민들이 公

司를 조직하여 가격을 바로 잡았다는 기록도 있다121) 지주 부농 米商

등의 매점매석에 의한 가격 조종 사실은 흔히 발견된다122) 秋收期에

시장에 대량 방출된 곡식을 저렴한 가격에 매입하여 端境期에 되팔아

이익을 남기는 것은 상인의 오래된 관행이다 이윤 추구를 위한 개인

의 행위지만 넓게 보면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행위이기도 하

다 각지 농산품 가격 변동 조사에서 원인이 밝혀진 10건 가운데 전쟁

이 2건 豊凶 水旱災가 7건 상인 조종은 단 한 건 뿐이었다123) 제국

주의 상인에 의한 가격 조종이라는 것도 결국 중국 상인의 이윤 추구

행위와 본질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湘報의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124)

輪船이 이미 통행하고 있고 철로가 이미 만들어 졌다 제조업이 날로

번성하고 통상조약이 행해지니 상인이 계속 내왕하고 온갖 상품이 유통

된다 사계절 틈이 없으니 일용 각 물품이 그 가격이 반드시 저렴할 것

이다

이것을 보면 통상 개시 후 교통이 발달하고 상품 교역이 증대된다

는 것과 그 결과 일용품의 가격이 저렴해졌다는 것을 당시인이 인식하

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서방 각국과의 무역 증대는 상품 공급의 증가

이고 가격 경쟁을 통해 물가 상승을 완만하게 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

121)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22) 李文治 앞의 책 p559

123)湘報 제49號 ldquo輪船旣行 鉄路旣造 製造日盛 商約可行 商賈絡繹 百産流通

歲時無間 則日用物品 其価必廉rdquo

124) 安本美緖 앞의 책 제7장 pp239-288 제12장 431-455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9

Ⅲ 物價와 景氣(생활)

1 穀賤傷農과 不況

物價 문제를 단순히 등락의 흐름에만 주목하기보다 경기변동론적

입장에서 好況 不況의 문제로 연관시켜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

이다 岸本美緖는 康熙年間의 lsquo穀賤rsquo 현상이 不況과 연결되어 있고 光

緖年間 蘇州의 不況도 lsquo穀賤rsquo이 원인이었음을 지목하고 있다125)

그런데 長沙府 중심의 湖南의 사정을 검토해 보면 lsquo穀賤rsquo 관련 기록

이 道光 咸豊 시기와 民國 中期에 집중되고 있다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26)

道光 25年(1845) ldquo穀賤斗穀錢五十文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値穀賤錢価亦賤 民甚苦之rdquo

장사현과 縣治를 長沙城 내에 두고 있는 善化현에서도 같은 해에

비슷한 기록이 있다127)

道光25年 穀賤自十五年起 連年俱穀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中下戶苦之

咸豊5年 穀賤

장사현 기록을 보면 穀価도 싸고 錢価도 싸서 민이 고통 받는다 했

으니 이 당시 은의 해외 유출과 은전비가 문제로 민중이 고통 받은 사

실을 알 수 있다 선화현은 장사현과 연접하고 통합과 분리가 단속되

었던 거의 동일 지역이다 선화현 기록을 보면 도광25년의 lsquo穀賤rsquo이 해

당년도만의 일이 아니고 道光15年(1835)부터 계속된 현상임을 밝히고

있다

12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33 祥異

126)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127) 民國30年刊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0인근의 寧鄕縣에서 보면 ldquo道光26年 歲豊 穀奇賤傷農 佃農以穀賤大

困rdquo이라는 기사가 있다128) lsquo穀奇賤rsquo이라 하였으니 평상시 보지 못한

하락이었다고 생각된다 더구나 소작료 납부가 대부분 현물지대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佃農은 米穀의 상품화 과정에서 배제되었다는 종전의

통념과 달리 佃農도 곡가 하락으로 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같은 기록에 함풍원년에도 ldquo有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以穀賤漕折苛rdquo라 하고 있어

역시 곡가 하락으로 세금 납부에 곤란을 겪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장사부 內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아도 同治 년간에는 lsquo穀賤rsquo 기

재가 보이지 않고 전술한 도광 함풍 년간에 집중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후의 기록을 찾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ldquo湖南自夏秋以來雨暢時若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故無論高低田畝咸稱大稔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甚

賎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反有入不敷出之慨矣rdquo (益聞錄 69号 광서6년828)129)

ldquo(長沙農村) 近年來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穀米求售 価値至賤 日用各物 則又極昻 收穫所

得 不足顧其工本 多已漸陷于無力耕種之境rdquo (新靑年 7권 6호 1920년 5

월)130)

ldquo湖南近年來之天災人禍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天災旣足以減少收量 地方不靖 産品滯銷

価値復因以低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而生活日昻 工価及日用物品 繼續增漲 收入支出 常苦

不得平衡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rdquo (中國棉産改進統計會議專刊 1931)131)ldquo湘省爲産穀素豊之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年歲收 屢佔大有 而長江流域亦値豊收 更

有大宗洋米 運貨傾銷致湘米頓失市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価格低賤 不僅農村經濟 陷于絶

境 市面金融 亦大受打擊rdquo (銀行週報 18권 9기 1934313)

이외에도 1936年의 사실로 호남의 武岡 東安 일대에서 lsquo豊年穀賤rsquo으

로 省城에 운반할 때 운송비와 각종 捐稅 부담을 감당할 수 없어 陳米

를 불태웠다는 기록이 있다

128) 李文治 앞의 책 p557

129) 章有義 앞의 책 권2 p432

130) 章有義 앞의 책 권3 p795

131) 章有義 위의 책 p620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1이것을 보면 주로 1930년대에 lsquo穀賤rsquo과 不況이 집중 묘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lsquo穀賤rsquo 즉 불황이라고 하면 도광함풍초의 곡천과 불

황 同治光緖宣統期의 lsquo穀貴rsquo즉 好況 다시 民國 전기의 好況 民國 中期

의 불황으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물가의 상승기가 호황적 국면이라는 것은 알려

져 있지만 이것은 전체 물가의 문제이다 위 자료에서 보면 1920년 장

사 농촌에서는 곡가는 싼데 일용품 가격은 극히 높다고 하고 있고

1931년의 기록도 工價와 일용품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농민이 다수를 점하기 때문에 미곡가의 하락은 농민 수입 감소

와 구매력 저하를 가져오고 이것이 농촌 불황의 한 요인이 될 수 있

다 그러나 工賃과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시장의 한계 안에서의

일이다 또한 실업률과 고용 지표 등도 고려되어야 하는데 만족할만한

통계의 부족으로 명확한 답을 얻기는 어렵다

그런데 米価와 물가는 개별 년도나 시점에서 서로 상이한 궤적도

있지만 圖2 3 6 7을 보면 대체적으로는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예릉의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광서 4년(1878)에 비하여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1912)에는 현격한 상승세였다가 그 후에 등락을 거듭

하고 있지만 민국25년(1936)의 경우는 광서4년보다는 높거나 유사한

경우가 많다

2 생활 경기의 발달

당시인들이 체감하던 생활 경기의 수준이 어떠했는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

光緖刊 善化縣志를 보면 다음과 같다132)

132)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16 풍속 附論 ldquo古人 酒肉以養老 而今則黃口稚子

無不酒肉之人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日不旦穀貴鹽貴 而酒肉皆貴 則好惡可知矣 一今鄕間柴炭

其価數倍於昔日 瀕河之地 莫不燒煤rdquo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2옛사람들은 술과 고기로 노인을 부양하였는데 지금은 어린아이도 술과

고기를 먹지 않는 이가 없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요사이 미곡과 소금이 비쌀 뿐 아니

라 술과 고기가 모두가 비싸니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지금 향간에 柴炭이 그 값이 예전보다 수배인데 하천 근처 사람은

煤를 때지 않는 사람이 없다

同治 攸縣志 에도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33)

예전에 士大夫도 집에 있을 때 엄동이 아니면 가죽옷을 입지 않았다

지금 關中의 가죽옷 상인이 유현에 와서 1년에 은 만여 냥을 얻을 수 있

다 기타 비단 옷은 蘇州 杭州 및 嶺南에서 오는 것이 또 배가 되니 1년

에 수만금을 소비한다

醴陵縣에서도 비슷한 인식을 볼 수 있다134)

ldquo예전 풍속이 儉樸하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이 명절 아니면 고기를 먹지 않고

慶弔事가 아니면 술을 베풀지 않고 손님 접대는 닭 잡는데 그치고 鮮味

는 생선에 그쳤고 縣城의 食肆는 飽麵茶館에 그치고 酒席으로 業을 삼는

자가 없었다

지금은 酒樓菜館이 거리에 가득차고 中人의 집에도 술자리가 베풀어지

고 사치를 다툰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예전에 士類大半이 淥江書院에 모이면 그 가운데 비단신을 신은 자가

불과 수인이었고 羊가죽 옷을 입은 자가 불과 1 2人이었다 지금은 비단

신과 가죽옷이 거의 常服이 되었고 日用品은 舶來品이 많다rdquo

이 내용을 보면 예릉현의 생활 수준이 급격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예릉현지 기록에는 부인들이 上海의 유행을 쫓아 사치를 추구한

다는 내용도 있고 청말부터 外貨를 서로 자랑한다는 내용도 있다 종

133) 同治10年刊 攸縣志 권18 풍속 衣服 ldquo衣服 昔時 士大夫 家居非嚴冬不御裘

今關中裘商來攸 歲可得銀萬餘兩 其他錦繡之運自蘇杭及嶺南者 則又倍之 計一歲

之戶 所費數萬金rdquo

134)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4장 풍속 생활 ldquo旧俗民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非令節不

食肉 非慶弔不置酒 欵客止於殺鷄 鮮味止於草魚 縣城食肆 止於飽麵茶館 無以酒

席爲業者 今則酒樓菜館 遍於街市 中人之家酬酢往還 爭奢鬪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旧時士類

大半 集於淥江書院 一院之中 著緞鞋者 不過数人 襲羊裘者 不過 一二人 今則絲

履皮袍殆成常服 日用之品 多自舶來rdquo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3전에 菜油 棉油로 燈을 켜다 집집마다 煤油를 사용한다거나 세탁시

茶枯鹼水를 쓰다가 대부분 비누를 사용하는 일상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135)

또 寧鄕縣에서도 ldquo同光之間 地方安寧 家給人足(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함)縣城商業 於時爲盛rdquo이라 하고 있어 同治(1862-74) 光

緖(1875-1908) 시기가 好況이었음을 알 수 있다136) 湘報에도 ldquo民間

之喜用洋貨日甚一日rdquo이라 하고 있어 洋貨 사용의 확대를 짐작할 수 있

다137)

광서년간 무역이 확대되고 여기에 대해 유익하다는 인식의 기록이

湘報에 나오고 있다138)

ldquo輪船과 철로가 개통되고 항구 개항이 증가 되는 것은 실로 중국에 유

익하고 손해가 없다 저 눈이 콩만큼 큰 자가 걸핏하면 통상이 중국에 해

가 된다고 하니 어찌 심히 어리석지 않은가rdquo

무역 확대를 지적하고 통상이 유익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예릉현

지에도 同治志에는 풍속이 lsquo安士重遷rsquo하고 상인이 외부 활동하는 자가

적었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고 光緖末에 도자기 夏布 編爆業

이 일어나 융성하여 이에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 넘는다고

하고 있다139) 예릉향토지에도 商旅 왕래가 예전보다 10배라는 서술이

있다140)

장사시의 行業발달 상황을 보면 민국 5년(1916)에서 民國22年(1935)

사이에 식품업은 281⟶2124 사치품은 171⟶1128 복장은 43⟶2028 農

礦은 621⟶1156 洋貨 127⟶233 금융 130⟶164 공예 2121⟶3344 문구

17⟶355 등 비약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141)

135)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 工商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6장 실업

136) 民國30年刊 寧鄕縣志 財用錄 民業

137) 湘報 제13호 1898年 3月 21日

138) 湘報 제162号 1898年 9月 23日

13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40) 民國15年刊 醴陵鄕土志 제6장 실업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4이것은 장사의 생활수준 향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당시에

通商의 확대 주장도 湘報에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142)

이상에서 보면 청말민국기에 대체적인 추세는 好況이었다고 생각된

다 생활 수준의 향상이 눈에 띄고 米価와 물가도 연동되면서 상승하

는 추세였다 米価의 상승이 구매력 수준의 제고가 되기 때문에 米穀

생산 중심지역에 상인들의 行號가 집중되는 것이 보였다143) 임금의

경우에도 호남 汝城縣에서 실질 임금이 유지 또는 상승하는 것을 확인

한 바 있다144) 全漢昇도 1875년부터 1925년까지에 걸쳐 四川 合江현

의 임금과 물가 변동의 추세가 거의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바 있

다145) 앞서 인용한 1931년 中國棉産改進計劃 에도 임금과 일용품 가

격이 함께 오른다고 하고 있어 임금이 물가에 연동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생활 수준 향상을 기록하고 있던 지방지에도 빈부 격차를 암시하는

내용이 있고 物力이 날로 쇠퇴한다든지 하는 기록이 있다 대외 무역

이 적자라 하더라도 차관 원조 뿐 아니라 외국 상인의 진출이 자본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好況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Ⅴ 結 言

이제까지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이후 民國中期인 1936年

까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여 米価와 물가 변동 물가 변동의 원인

141) 張朋園 앞의 책 p387

142) 湘報 44호 中外通商利害論 湘報 67号 論湖南茶務急宜整頓

143)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144)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9 1998)

145) 安本美緖 앞의 책 p2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5물가와 생활 경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米価 변동은 단기 변동에 있어서 전쟁이나 天災 등의 특수한 사정

의 해를 제외하고는 光緖 년간에 비해 민국 중기의 계절 변동폭이 축

소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米価의 계절 변동을 완화 시

켜 주는 雜糧의 재배가 湖南 지역에서는 대부분 同治 년간에 보급 확

대가 되고 있다 교통과 상업 발달 등의 이유로 청말에서 민국기로 갈

수록 계절 변동폭을 축소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변동에서는 長沙府縣의 물가 변동 예릉현 물가 변동 등을 살

펴 볼 때 전체로서는 상승 추세 중에 도광 함풍 시기의 低米価 同治

년간의 高米価 光緖전반의 低米価 光緖後半에서 宣統 년간의 高米価

民國 前期의 高米価 民國 中期의 低米価의 등락을 보이고 있다

民國 中期의 米価는 長沙 8개년 米価 추세에서도 안정속의 상승세

를 보이고 있다 명목상 수치 뿐 아니라 米価의 상대 물가로 보는 실

질 구매력도 宣統 民國元年에까지 급상승하였다가 민국 시기 등락을

거듭하지만 민국25년(1936)까지 광서4년(1878) 대비 유지 또는 상승 추

세였다

物価변동은 개별 상품에 따라 편차가 있고 米価와는 전혀 상이한

궤적을 그리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米価와 연동 관계를 보이

고 있다 1898년 물가의 단기 변동은 이상할 만큼 변동폭이 크지 않다

당시 물가 조사자의 보고가 정확했는지 의심될 정도이다 1935년의 장

사 물가에서 단기 변동을 보면 변동폭이 100이상인 夏布 毛筆 麵粉

棉布등을 비롯하여 50 이상인 오리털 흑연 성냥 국산 전지 등을

비롯하여 40 이상인 비누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기 변동폭

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 이것은 이런 물품들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

성이 크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物価의 장기 변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米価와 대체로 비슷한 궤적

을 보이고 있다 청말에서 민국전기에 걸쳐 물가 상승폭이 두드러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 상승폭이 더욱 크

다 돼지고기 값을 예로 들면 1878년에서 1909년 사이에 273 상승했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6고 1912-1921년 사이에 75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닭은 각 50와 44

상승했다 청말은 31년간의 수치이고 민국 전기는 9년간이니 물가의

상대적 급등을 알 수 있다 1926에서 1936년까지 10년간 돼지 고기 값

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

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

세를 보이고 있다 민국 중기의 米価가 일부 lsquo穀賤rsquo 현상을 보인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음으로 물가 변동의 원인에 대해서는 군벌간의 전쟁이나 정치적

혼란 등 정치 군사적 요인을 제외하고 대체로 검토해 보았다

수요 측면에서는 湖南米의 유통이 호남 내부의 인구 증가에도 불구

하고 양자강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지속된 것이 米価 상승의 한 원

인이었다 上海나 武漢 등의 도시화와 인구집중은 이들 지역 양식 수

요를 폭증시켰다 일부 洋米 수입에도 불구하고 湖南米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으로써 米価를 상승시켰다 또 장사를 비롯한 각지의 새로운 수

공업 산업의 발달로 비농업 인구가 증가하고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유

효수요로 성장하여 米価 상승을 유도하였다 양식의 이출은 해당 지역

인구 식량을 전부 제외한 나머지 잉여가 수출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력

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청말민국기에는 호남의 내부 외부에

서 미곡에 대한 유효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것이 米価 상승의 한 요인

이었다

화폐 문제에 있어 화폐 수량의 증가가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것

은 상식이다 종래 아편전쟁 전후 은의 해외 유출 증가가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을 초래하여 물가 상승과 인민의 빈곤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지방지 등의 史料에서 검토한 결과 은전비가는 도광함풍초의

일시적 상승 후에 함풍 7년 이후는 도리어 하락하고 있다 同治 년간

에 대부분 1兩 1300文 수준에서 안정되고 있다 光緖末宣統년간에도

1600-1700文 수준으로 도광함풍 초보다는 낮은 편이다 청말민국시

기에 화폐의 남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한계를 넘었을 때 시장의 통용

거부로 마침내 중단되고 있다 청말민국기에 외국 銀元의 유입과 국내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7의 銀元 주조 銅元 지폐 외에 鈔票 市票 등 화폐 시장에 투입된 화

폐량은 엄청나게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로서는 어느 정

도 시장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외 교역과 상품량의

증대 경제 활동 인구의 증대 미곡 생산 및 농산품 생산의 증대로 화

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것이 화폐량의 막대한 증가와 유

통속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

었다고 생각된다 즉 안정 속의 물가 상승이 유도된 것이다

공급면에서 보면 대외 교역을 통한 서양 상품의 수입은 전체로서는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물건의 공급 증가를 통해서

혹은 국내 상품과의 경쟁 때문에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었

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침략과 물가 폭등이라는 도식적

견해와 달리 현실에서는 물가 억제 작용도 있었던 것이다

물가와 경기면에서 보면 물가가 비쌀 때 호경기가 많은 것은 사실

이다 그런데 lsquo穀賤rsquo 현상이 불황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서 長沙 지역의 경우를 검토해 보았다 도광함풍 년간까지 lsquo穀賤rsquo현상

과 불경기적 상황에 대한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동치광서 년간에는

米価가 등귀한 시점인데 이 시기는 紅茶業의 번성이나 각종 수공업의

번성으로 好況의 면모가 보이고 있다 민국 시기에는 민국 중기에 lsquo穀

賤rsquo의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史料上에 민국 중기의 lsquo穀賤rsquo은 임금이나

다른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다 물가 상승기와 好況

이 맞물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민국 중기는 lsquo穀賤rsquo 현상과 서로 어긋

나는 것이다 이 시기의 不況 서술은 농촌의 농민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표시이다

생활 수준에 대한 지방지 기록 등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주민들의

洋貨 사용이 보편화되고 의복 음식 주거 등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것

을 지적하고 있다 물가는 상승하였지만 同治 이전에 비하여 분명히

사치품의 소비 증대와 中人의 집도 소비 수준이 제고된 것이 드러나고

있다 민중의 빈곤은 있으나 이 시기 빈부 격차가 커지고 생활 수준의

격차가 커진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4: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92하게 명목 수치만을 제시하는데 그칠 것이 아니라 상대 물가를 파악하

여 실질적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 岸本美緖의 경제 변동론적 관

점을 시야에 넣고서 이 시기 물가 변동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

이 본고의 문제의식이다

Ⅱ 米價와 物價 變動

1 米價 변동

1) 단기 변동

米價의 단기 변동은 우선 계절 변동을 생각할 수 있다 全漢昇과

kraus는 蘇州 織造 李煦의 奏摺에서 추출된 1713-19년의 蘇州 米価와

1913년-19년의 上海의 매월 米価를 비교하여 200년의 간격에도 불구하

고 兩者의 계절 변동폭이 유사하다는 것을 밝힌 바 있다15) 陳春聲은

1751-70년의 廣州 米価와 1931-36년의 廣州 米価의 계절 변동폭을 비

교한 끝에 前者의 계절 변동 폭이 後者보다 약간 적다는 결론을 내고

있다16) 이들 所論은 18세기 米糧 교역망과 시장 통합성을 높이 평가

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나 어떤 측면에서는 교통과 수송수단의 발달

상업의 발달이라는 역사의 전진 방향과는 맞지 않는 결론이라 생각이

된다 호남지역에서도 乾隆(1736-1795) 시기에 비하여 同治(1862-1874)

光緖(1875-1908) 시기의 계절 변동 폭이 크다고 하고 그 이유는 인구

증가와 더불어 상인 작용의 차이가 있었다는 지적도 있다17) 이 역시

청 말에 미곡 장거리 무역 종사의 상인 활동이 18세기 보다 미약해 졌

다는 인식인데 쉽게 수긍하기는 어렵다

15) 岸本美緖 앞의 책 pp31-32

16) 위의 책 p33

17) 張麗芬 湖南省米糧市場産銷硏究(1644-1937) (台北 1990) pp241-242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93

上白米 石155斤 次白米 石152斤 中米 石150斤

1石価 1斤価 石価 斤価 石価 斤価

-310 3000(文) 1935(文) 2900(文) 1908(文) 2800(文) 1867(文)

311-320

321-331 3005 1938 2902 1912 2800 1867

401-410 3070 1981 2970 1954 2810 1874

411-420 3240 2090 3140 2066 3040 2027

421-430 3450 2226 3350 2204 3250 2167

501-510 3660 2361 3560 2342 3450 2299

511-520 3620 2337 3522 2317 3422 2282

521-531 3630 2342 3530 2322 3430 2287

601-610 3425 2210 3325 2188 3225 2150

611-620 3456 2230 3356 2208 3256 2171

621-630 3500 2258 3400 2237 3300 2200

701-710 3631 2343 3531 2323 3431 2287

711-720 3881 2504 3775 2484 3681 2454

lt表1gt 1898年 長沙 米価 (3月-7月)

lt표1gt과 lt표2gt는 湘報에 수록된 1898년 長沙의 米価 변화를 나

타낸 것이다18)

3月부터 7月까지 약 140일간의 매일 물가 변화를 10일간씩 평균하여

제시한 것이다 米穀 1石의 斤数가 長沙는 〇〇斤이라는 통념은 성립

되기 어려운 것 같다 여기에 제시하지 않은 穀價는 河東穀과 河西穀

으로 나뉘어 1石의 斤数가 서로 다를 뿐 아니라 시기에 따라 수시로 1

石의 斤数가 바뀌고 있다19)

18) 湘報 長沙各物時價表

19) 하동곡은 35-515일까지는 1石=124斤 516-613일까지는 1石=120斤 614-

719일까지는 1石=116斤임 하서곡은 35-327일까지는 1石=100斤 328-411일

까지는 1石=126斤 412-515일까지는 1石 100斤 516-613일까지 1石= 124斤

614-719일까지는 1석=120斤임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94米価도 上白米 次白米 등 품질에 따라 1石의 斤數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lt圖1gt 長沙米價 石文

lt圖1gt은 lt표1gt을 그래프로 바꾼 것이다 이것을 보면 米価는 5월

10일 사이에 가장 높고 6월 10일경에 급락했다가 그 후에 상승하고 있

다 圖1)에서 보면 3月에 낮았던 米価가 4月부터 상승하여 5月 초순에

최고가에 도달하고 5月末의 高価를 거쳐 6월 초순에 급락하고 있다 6

月 중순부터는 다시 상승 궤도를 그리고 있다 6月 초순의 급락은 湘報에 실린 6月 9日 기사와 관련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武漢에서 米

価가 공급 부족으로 갑자기 올랐는데 호남미가 도착하여 산처럼 쌓였

다는 것과 그후 하류지역으로 米穀 放出을 금지하니 米価가 急落하였

다는 사정이 나타나고 있다20) 이 시기는 雜糧의 등장 시기와도 맞물

20) 湘報 光緖 24年 4月21日(6月9日) 米価跌落 ldquo現今湘米到漢 聚積成山 一律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95리고 있지만 6月 중순 이후의 米価 상승을 설명하기는 어렵다 同治9

年-10年의 長沙의 米価 변동은 4⟶5⟶6월은 상승하고 6⟶7⟶8⟶9月은

하락 9 10 11 12 1 2는 평온 2⟶3⟶4는 상승 기조를 보이고 있다

동치 9년-13년의 長沙米価는 2⟶3⟶4⟶5月은 상승하고 5⟶6月은 하락

6⟶7⟶8月은 맹렬 하락 9 10 11 12 1 2월은 평온을 나타내고 있

다21) 同治2年(1863) 長沙府知府 丁宝楨이 마련한 lsquo積穀收放賑借章程rsquo에

의하면 5월 某日에 곡식을 대여하고 8월 某日에 거두어들인다고 되어

있다22)

湖南省 經濟調査所의 조사에 의하면 長沙府 각 縣의 中稻 수확 시

기는 長沙縣의 8월 하순을 비롯하여 대부분 8月 이후이다 早稻도 長

沙縣의 7월 중순을 시작으로 거의 7월 중하순에 집중된다23) 드물게 6

月초에 早穀의 등장을 알리는 기사가 있지만 보편적인 것은 아니었다

고 생각된다24)

湘報의 물가 기록은 매일을 기록 대상으로 하였지만 아쉽게도 7

月 20日까지만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1년 전체의 변동 내용은 알 수

없다 3月에서 7月까지의 변동폭을 보면 上白米는 3月 1石당 3000文에

서 7月 3881文으로 편차는 294 次白米는 3月 2900文에서 7月 3775

文으로 편차는 302 中米는 3月 2800문에서 7月 3681文으로 편차는

315이다 3月에서 7月간의 변동폭은 中米의 315가 가장 크고 전체

로서는 대략 30 내외이다 1月에서 12月까지를 고려하면 이 계절 변

동폭은 이 보다 훨씬 더 클 것이라 생각된다

수확 시기의 다양화와 雜糧 재배의 확대 등은 稻穀 수확의 계절적

차이만으로서는 정형화된 米価의 변동을 확정 짓기 어렵게 하는 요인

이었다고 생각된다 湘報에 실린 동일 해의 사정을 보면 전년의 秋

禁止出運下遊 米商業已停辦 所以米価跌落rdquo

21) 張麗芬 앞의 책 pp244-246

22) 同治10年刊 安化縣志 권33 時事記

23) 張人价 編 湖南の穀米 9 (東京 生活社 1940) pp13-21

24) 同治10年刊 攸縣志 권53 祥異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96收가 평상년이었는데 동년 봄에 곡가가 갑자기 올랐다 곧 다시 평온을

되찾았다고 한다25) 1927년의 湖南 米価가 수확 이전에는 1石당 13元

이었는데 수확 후 5元으로 하락하여 615 변동폭이었다는 보고도 있

다26) 湖南の穀米에 의하면 民國17年(1928)년 이전에는 신뢰성 있는

기록이 드물다고 하면서 민국17년(1928)년 부터 24년(1935)까지 8년간

매 月의 米価 기록을 제시하고 있다27) 그 내용을 보면 민국17년은

520(1月) 827(12月)로 변동폭 590 민국18년은 722(7) 970(12)로

343 민국19년은 719(11) 1264(7)로 758 민국20년은 854(1)

1194(9)로 398 민국21년은 627(12) 1294(2)로 1064 민국22년

(1933)은 522(8) 674(1)로 291 민국23년(1934)은 531(3) 916(9)로

725 민국24년(1935)은 916(12) 1118(6)으로 221의 변동폭을 보이

고 있다 米価 최저 月은 1 7 11 1 12 8 3 12月이고 최고 月은 12

12 7 9 2 1 9 6月로 매우 다양하다

민국17년(1928)은 590로 변동폭이 크다 이 해는 군벌 唐生智의

군대가 양자강을 따라 남하하여 長沙로 향하고 남경 정부는 李宗仁軍

이 북상하여 南北軍이 대결한 전쟁 상황이었다28) 민국19년(1930)은 毛

澤東軍이 7월 27日 長沙를 점령 장사소비에트를 건설한 해 이다 이

해 7月이 최고가를 보이고 변동폭이 758나 된 것은 까닭이 있었던

셈이다 민국21年(1932)은 6월부터 4차 圍剿战이 전개 되었고 7月에는

大풍년이 되었다 변동폭이 1064나 된 것도 원인이 있었다 민국 23

년(1934)은 역시 紅軍과 국민당軍의 국지적 대결이 고조된 시기였는데

725의 변동폭을 보이고 있다29) 이상을 종합해 보면 전쟁 상황과 같

은 특수한 사정의 해를 제외한 평상년에서는 대략 20에서 30대의

변동폭을 보이고 있다 그러면서 米穀 수확 시기와 관련된 정형화된

25) 湘報 89號 長沙縣 職員 常達邦 呈批 ldquo且上年秋收 尙得中稔 本年春間 穀価

偶漲 旋卽平減rdquo

26) 章有義 中国近代農業史資料 제2권 p520

27) 張人价 앞의 책 pp89-96

28)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29) 民國30年刊 寧鄕縣新志 卷1 縣年記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97패턴이 약화되고 있다

앞서 lt표1gt과 lt圖1gt 등에서 본 1898年의 변동폭이 3月rarr7月까지만

의 기간이라 全年 기준으로는 315보다 훨씬 클 것이라는 추론을 해

보았다 그렇다면 민국시기 평상년의 변동폭 20-30는 종전에 비해

감소된 것이 아닐까 생각해 볼 수 있다

계절 변동폭을 줄이는 요인 중 하나는 雜糧 재배의 확대라고 생각

된다 호남 城步縣에서 知縣 盛溢源이 雜糧 재배를 장려하여 米価를

내리려고 했던 것은 同治 년간의 일이다30) 兩湖農業地理를 보면 고

구마 재배 확대를 알리는 府縣志 35개 중에 27곳이 同治 년간 간행 지

방지이다 옥수수는 51개 중에 27곳이 同治 년간 지방지이다31) 호남일

대에서 잡량 재배의 확대는 19세기 후반의 일이다 이것을 보면 18세

기의 米価 계절 변동 보다는 청말민국기의 편차가 적어야 할 것이다

雜糧은 가정의 自給用이거나 지방 소시장의 교역품이라는 통념과 달리

민국시기에는 漢口에 수출되는 장거리 商品糧이 되고 있다32) 다음으

로 洋米 수입 증가를 생각할 수 있다 米価 변동에 洋米 수입 증가가

영향을 주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33) 또 洋米 수입이 거의 3月-6月에

집중되고 특히 4月에 고조되며 7月 이후 國産米의 지속 등장시에는 수

입량이 격감했다는 조사도 있다34) 洋米 수입 증가가 이 시기 米価의

계절 변동폭을 18세기보다는 축소할 수 있는 이유가 된다고 생각된다

청말민국기에는 철도 輪船 등 수송수단의 발달 시장과 상업의 발달

로 상인의 능력은 강화되었다고 여겨진다 추수기에 상인이 대량 매입

을 하고 端境期에 비싸게 팔려고 하는 것은 상인 개인을 위한 이윤 추

구 활동이다 米価의 계절 편차는 곧 바로 전부 상인의 이익은 아니다

30) 李文治 中国近代農業史資料 권1 p538

31) 龔勝生 앞의 책 pp143-145 pp135-137

32)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33) 徐正元 中国近代農産品化的發展與米市的 形成 (復印經濟史 1997年 3期)

34) 呂紹理 近代廣東與東南亞的米糧貿易(1866-1931) (政治大歷史學報 12

1995)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98매입가에 보관비용 손실비용 금융비용 등 부대비용을 제외한 것이 이

윤 범위이다 상인의 買占 행위는 넓게 보아서는 미곡의 수급관계 조

절 작용이라고 볼 수도 있다 따라서 정치 군사적 이유나 특별한 天災

상황이 아니라면 米価의 계절 변동폭은 18세기보다 근현대에 축소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여겨진다

2) 장기 추세

淸代 米價는 장기 추세에서 상승세인데 그 가운데 17세기 후반 19

세기 24분기 19세기 780년대 3회의 低落期가 있다는 조사가 있

다35) 19세기 전반 특히 24분기에는 일반적으로 극심한 디플레이션

시기여서 급격한 하강 국면이고 太平天國 시기는 급격한 요동이 뒤따

른다 1875에서 1911년까지는 가장 인플레이션이 심한 단계로 그 중

1875-85년 사이는 안정속의 상승이고 그 후 혁명전야까지 지속 상승

추세라는 파악도 있다36)

18세기 乾隆년간(1736-1795)에도 蘇州의 米価가 60년간 세 배 상승

했다는 조사도 있는데37) 비슷한 기간 長沙府 湘陰縣도 300 상승한

것으로 되어있다38) 18세기 전후 약 100년간 가격 수준이 300 상승

했다는 당시인의 인식도 있다39)

同治 이후에 제국주의 침략이 날로 강화되고 淸代 경제가 쇠퇴하였

으며 물가 상승폭이 날로 커졌다는 인식40)이 있지만 18세기 물가 상승

을 고려하면 제국주의 침략과 상관없이 물가 상승이 지속되었던 것을

알 수 있다

35) 岸本美緖 앞의 책 p17

36) Yeh-chien Wang Secular Trends of Rice in the Yanzi Delta 1638-1935(California Univ Press 1992)

37) 위의 논문

38) E S Rawski Agricultural Change and the Peasant Economy of SouthChina (Harvard Univ Press 1972)

39) 郭成康 18世紀中國物價問題和政府對策 (淸史硏究 96-1)40) 譚文熙 앞의 책 p25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99민국시기에는 1920년대까지 米価가 지속 상승하고 인플레이션이 심

해 매년 33 비율로 상승했다는 조사가 있다41) 민국 전기는 비교적

안정 속의 상승세이고 민국 중기는 역시 기본상 상승이지만 1932-35

년 사이는 하강하고 있다는 견해도 있다42)

湖南 내부 각 지역의 米価도 상호간에 긴말한 연동 관계를 보이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고43) 上海와 長沙 사이에도 고도 상관있는 것이

파악된 바 있다 그러나 공간을 달리 하면 도량형이나 화폐 종류 등의

차이로 정확한 변화를 파악하기 어렵다 되도록 좁은 범위의 지역을

연구 대상으로 할 때 상대적인 정밀도가 높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래

서 本考에서 長沙縣을 중심으로 같은 長沙府 내의 몇 개 縣을 관찰하

여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 이후 民國中期인 1936년까지를 주

대상으로 物価 변동을 살펴보려 한다

兩湖農業地理에서는 湖南 湖北의 米価를 세부 지역 구분 없이 종

합하고 있는데 例示 가격의 시기 역시 일정하지 않다 따라서 정밀성

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lt표2gt와 lt표3gt은 長沙府 醴陵縣志에기재된 것으로 해당 지역 상인의 장부와 縣商會 조직에 의한 기록을

토대로 한 것이다44) 당시인의 물가 변동에 대한 인식이라 비교적 정

확하다고 생각된다 같은 長沙府 寧鄕縣에서도 光緖7年 穀価가 1石당

600文이라는 기록이 있는데 lt표2gt의 예릉현 광서4년(1878) 기록과 근

접하고 있다45) 長沙를 중심 시장으로 하여 같은 府內의 시장 통합성

이 큰 것은 이미 확인한 바 있다46)

41) Yeh-chien Wang 앞의 논문

42) 譚文熙 앞의 책 p302 p356

43)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物価

44)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45)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46) 張麗芬 앞의 책 p197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0

시기 단위 가격(文) 米価

광서4년(1878) 石 680 1360

광서14년(1888) 780 1560

광서19년(1893) 680 1360

선통원년(1909) 2000 4000

민국원년(1912) 2800 5600

민국5년(1916) 2800 5600

민국10년(1921) 3800 7600

lt表2gt 醴陵縣 穀価(a)(私家數簿에 의함)

lt圖2gt 醴陵縣 穀價(a) 石文

-附記 前淸通行制錢文으로써 단위 민국초년에는 비록 銅元을 사용하나 관습상 1銅

元은 10文에 해당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1

시기 단위 가격(元) 米価

민국15년(1926) 石 160 32

민국20년(1931) 240 48

민국25년(1936) 250 50

민국27년(1938) 280 56

민국28년(1939) 500 100

민국29년(1940) 800 160

민국30년(1941) 3000

-lt表2gt lt表3gt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物価

lt表3gt醴陵縣 穀価(b)(縣商會 조사)

lt圖3gt 醴陵縣 穀價 石元

lt표2gt와 lt圖2gt를 보면 長沙府의 米価는 光緖4년(1878)부터 광서19

년까지 비교적 낮은 채로 있다가 그 이후 급등하여 청말에서 민국 전

기 까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lt표3gt과 lt圖3gt을 보면 민국 15년

(1926)에서 민국 27년(1938)까지 비교적 안정속의 상승세를 보이다가

그 후에 급등하고 있다 本考에서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는 것은 민국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2

時期 銀価(兩石) 錢価(文石) 出典

道光 16年(1836) 10 1400 民國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Prime 25年(1845) 05 1000同治長沙縣志 권33

祥異 光緖善化縣志 咸豊元年(1851) 08 1600 民國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함풍 3年(1853) 05 1000 同治湘鄕縣志 권5 祥異함풍 6年(1856) 07-08 1400-1600 同治安化縣志 권34 五行

同治元年(1862) 308 4000 同治瀏陽縣志 권14 祥異

同治 9年(1870) 296-370 4000-5000 Prime

光緖 7년(1881) 08-266 1200(4000) 民國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光緖年間 125-188 2000-3000 長沙日報 宣統2年2月

선통32年(1906) 25 4000 Prime

선통 2年(1910) 412 7000 Prime

長沙日報는 兩湖農業地理 p274에서 再引用

lt表4gt 長沙府 縣志等 米価 기록

중기인 1936년까지이다 항일 전쟁 발발과 國共 대립 등으로 극도의

혼란기인 민국후기는 특히 경제면에서 역사적 실체를 파악하기가 매우

어렵다

lt표4gt는 주로 長沙府 내의 縣志를 이용하여 米価를 정리한 것이다

흉년시의 특별한 가격이 아니라 평상년 가격 위주로 작성한 것이다

풍년시의 가격도 있으나 수년간 풍년이 지속되었다면 常年 가격에 준

한다고 생각된다 함풍3년(1853)의 米価는 兩湖南農業地理에 인용된

曾國藩 上奏시의 米価와 동일하다 같은 자료를 더 이용하면 함풍7년

(1857)에는 駱文忠公遺集 1石당 3200-3500文의 기사가 있다 역시

曾國藩의 上奏文에 同治2年은 1石당 30兩인데 당시의 銀錢比価로 환

산하면 3900文이므로 lt표4gt上 동치 元年 4000文과 거의 유사하다 同

治7년(1868)은 李瀚章의 上奏文에 4000文 전후로 되어있어 표의 내용

과 거의 일치한다 이것들을 짜 맞추어 보면 위 지방지 기록이 상당한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3

lt圖4gt 長沙의 米価 변동

bull광서4년 14년 19년은 예릉현지 물가표 기재 이용

bull광서7년은 민국 영향현지 기록 가을 이전의 평상 가격 이용

bull광서32년은 水災시의 가격

예릉현 물가표상의 광서 기록을 보충하여 수정한 결과

신뢰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표4)의 내용에 長沙府 醴陵縣志의 물가

표상 광서4년 14년 19년을 포함하여 구성해 본 것이 lt圖4gt이다

이것을 종합하여 보면 도광 16년(1836) 이후 함풍6년(1856)까지는

비교적 저렴한 米価가 유지되다가 함풍7년(1857)이후 米価가 급등한

것으로 생각 된다 동치 년간은 동치원년(1862) 4000文에서 동치2년

3900文 동치7년 4000文전후 동치9년 4000-5000文으로 계속 高米価가

유지된 시기였다 그런데 銀錢比値는 동치2년 1300文 동치 7년

1300-1400文으로 도광말 함풍초보다 오히려 안정되어 있다 淸末 이

지역의 지방지를 검토하면 거의 모두 嘉慶 이전은 米価를 銀兩으로 표

시하다가 道光 이후는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도광 이후 淸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4末은 米価도 錢文価가 실제 시장 가치를 잘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

다 동치 년간 상당히 高米価가 유지되었지만 道光末咸豊初와 같은 lsquo銀

貴錢賤rsquo 현상은 보이지 않기 때문에 米価 상승이 농민에게 어느 정도

유리했다 여겨진다 lt圖4gt를 보면 光緖 전반에는 米価가 상대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光緖19年(1893)까지는 하락 안정세를 보이다가 그 후에

급등하고 있다 호남성 수확기의 中米 가격 조사에서도 비슷한 경향이

보인다47) 中米 가격도 광서22년(1896)부터 대체로 상승추세인데 광서

34년(1908)에 급등하고 있다 앞서 彭信威가 연구한 江浙 米価 변동에

19세기 24분기와 19세기 780년대가 米価低落期에 해당된다고 하는

데48) 이것과 유사한 면을 가지면서 약간의 편차가 있다 즉 동치 년간

(1862-74) 70년대 전반까지는 대체로 高米価가 유지되었고 光緖 전반

의 하락은 90년대 전반까지인 것으로 생각되는 것이다 淸末 上海의

米価 조사도 1862-71(213) 1872-81(128) 1882-91(142) 1892-1901

(207)로 되어 있어 위 호남 長沙의 米価 변동과 비슷한 궤적을 그리고

있다49)

lt표1gt에 제시된 광서 24년(1898)의 長沙 米価도 3000文-4000文 사

이에 형성되어 상당한 高米価이다 같은 湘報에 실린 내용에 岳州에

집결된 湖南米가 漢口에 운송 판매되는데 米価는 3700-800文 또는 4천

수백文에 이른다고 되어 있다50) 대략 光緖20年(1894) 이후부터 淸末까

지 高米価가 지속되었다고 생각된다 松江府續志의 기록을 이용하여

光緖年間 低米価와 그로 인한 장기 不況이라는 해석은 長沙府 일대에

서는 드러나지 않는다51) 低米価는 光緖年間 전체는 아니고 光緖

(1875-1908) 년간의 거의 전반에 해당하는 1893년 이전의 일로 생각된

다 후반에서 淸末까지는 急騰에 가까운 高米価의 변동을 보여주고 있

47) 岸本美緖 앞의 책 p19

48) 同上 p443

49) 湘報 76號 p67650) 李文治 中国近代農業史資料 제1집 p561 岸本美緖의 해석 앞의 책

pp442-443

51) 張人价 앞의 책 pp93-9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5

機米 河米 糯米 총 평균

가격 지수 가격 지수 가격 지수 가격 지수

1928 652 7564 503 7065 805 9015 653 7944

1929 862 10000 712 10000 893 10000 822 10000

1930 1003 11636 862 12107 1037 11613 967 11764

1931 1002 11624 845 11868 1020 11422 956 11630

1932 1008 11694 817 11475 947 10605 924 11241

1933 594 6868 504 7079 757 8477 618 7525

1934 671 7784 590 8287 812 9093 691 8406

1935 1004 11647 810 11376 1012 11333 942 11460

lt表5gt 長沙의 米価(石元)

예릉현 물가표를 보면 民國 시기에도 대체로 안정속의 상승세가 지

속된다 청말에서 1921년까지 米価가 급등한 것으로 보이지만 1926년

에서 1936년까지는 안정 속 상승의 추세이다 兩圖 사이에는 가격 단

위의 차이가 있어 직접 접속은 곤란하지만 흐름은 그렇다고 여겨진다

호남성경제조사소 의 조사에 근거한 민국17년(1928)부터 민국24년

(1935)까지의 8년간 米価 기록을 제시한 것이 lt표5gt이다52)

이것을 보면 등락은 있지만 비교적 米価가 안정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上海의 米価도 1912-1928년 사이 407 상승하였는데 1921-1928년

사이에는 154 상승하였다53) 호남성의 米価는 宣統2年-民國元年 3개

년 평균가와 민국 21-23년 3개년 평균가를 비교했을 때 86 상승이라

는 조사도 있다54) 대체로 淸末에서 民國 전기까지는 가격이 급등하고

민국 중기에는 안정 속의 상승이 추세였다고 생각된다

호남성 汝城縣의 물가변동을 보면 우선 지방지 편찬자의 시기 구분

52) 徐正元 上海近代稻米市場価格變動分析 (中國經濟史硏究 1996年 2期)

53) 張人价 앞의 책 p87

54)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 91998)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6

1898年 1935年

소금 56文斤 57斤

洋油 50文斤 64斤

돼지고기 105文斤 30斤 015-020元斤 25-33斤

鷄育 123文斤 26斤

羊肉 117文斤 27斤

茶油 100文斤 32斤 019-024斤 21-26斤 瀏陽가격

면화(中棉) 217文斤 15斤 03-05斤 10-17斤 湘陰 Prime

1898年 中米1石価 (湘報소재 1石 3193文 적용)

1935年 長沙米価 民國25年 刊 通郵地方物産誌 湖南의 長沙靖港米価(担40-60元

의 중간 값 이용) 1石은 1担보다 크므로 실제 米価는 이보다 높을 것임

이 의미있다고 생각된다 同治丁卯志 편찬 이후부터라고 명시하고 있

는데 丁卯年은 同治6년(1867)이다 이후부터 민국21년(1932)까지를 세

시기로 구분한다55) 同光 시기 光宣 시기 民國 시기이다 즉 동치 후

반에서 광서 전반 광서 후반에서 선통 년간이니 광서 후반부터 물가

상승이 컸던 것을 반영한다고 여겨진다 여성현 물가표상 米価 변동을

단순 비교하면 지수는 100 200 400으로 변한다 1930년대 전반의 米

価는 동치 후기에 비하여 약 65년만에 300 상승한 것이다 이것을

신뢰하더라도 앞서 18세기 전후 백년간 물가가 300 상승하였다는 당

시인의 인식과 상승률은 거의 비슷하다56) 장사부 상음현에서도 18세

기 중후반 67년간 米価가 300 상승한 바 있다 예릉현 물가 표상

1878년에서 1921년까지는 米価는 약 458 상승하였지만 1926년에서

1936년까지 10년간은 약 563 상승에 그쳤다 민국 중기는 비교적 안

정속의 상승을 보여 주고 있다 lt표5gt에 제시된 長沙 機米의 8년간

가격도 54 정도 상승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미가의 명목 수치상 등

락을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질 가치를 알아보려면 상대 물가 즉

米1石価의 구매력이 얼마인지를 보아야 한다

lt表6gt 長沙 中米 1石価의 구매력 변동

55) 郭成康 앞의 논문

56) 張麗芬 앞의 책 p270 각주7)에 보면 호남성 1担価는 140-150斤 1898年 長

沙 米価는 1石당 150-155斤임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7

1935년의 長沙 米価는 通郵地方物産誌의 長沙 靖港의 米 1担価를

이용하였다 실제 石은 担보다 크므로 米価는 여기서 잡은 5元을 상회

할 것이라 생각된다57) 같은 자료의 물가를 이용하여 제시한 lt표6gt을

보면 돼지고기 값은 1898년의 30斤에서 1935년은 25-35斤 사이이다

그 범위 안에 있는 것을 보면 米価의 실질 구매력은 유지되고 있다

茶油는 다소 하락하였지만 면화도 유지 또는 상승이라 볼 수 있다

예릉현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돼지고기는 상승 추세 속에 일

부 하락년이 있다 선통 원년과 민국 원년에 수치가 상승한 것은 米価

의 폭등이 기타 물가를 크게 앞지른 것으로 여겨진다 민국 중기에 약

간 하락하였지만 1935년의 돼지고기 구매력은 광서4년(1878)에 비해

67정도 상승하고 있다 茶油의 경우도 민국 10년(1921)까지 米의 상

대 구매력이 대폭 상승하고 있다 이것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米価 변

동을 통해 농민 소득이 하강했다고 여겨지지 않는다

광서4년1878

광서14년1888

광서19년1893

선통원년1909

민국원년1912

민국5년1916

민국10년1921

민국15년1926

민국20년1931

민국25년1936

猪肉 15斤 25斤 22斤 36斤 35斤 23斤 27斤 16斤 28斤 25斤

草魚 34斤 39斤 38斤 57斤 62斤 35斤 - 20斤 32斤 33斤

茶油 12斤 23斤 25斤 27斤 - - 25斤 - ① -

鹽 23斤 26斤 22斤 33斤 62斤 - 42斤

棉花 7斤 16斤 5斤 - - - - - ②

洋紗 - - - - - - - ③

煤油 - - - - - - - 15병 2병 11병

雞 17斤 22斤 20斤 33斤 22斤 19斤 21斤 - - -

史料上 穀価를 lsquo1米2穀rsquo의 원칙에 따라 米価로 환산하였음① 민국 15년(1926)부터는 茶油의 단위가 石으로 되어 있어 비교 곤란② Prime 棉花의 단위가 石으로 되어 있어 비교 곤란③ Prime 羊紗의 단위가 件으로 되어 있어 이해 곤란

lt表7gt 醴陵縣 米価의 물품구매력 변동추세(米1石의 구매력)

57) 刘泱泱 湖南通史 近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p487-488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8

품목

시기

단위

同光

(1870-1890)

光宣

(1890-1911)

民國

(1912-1932)

肉 斤 188 188 175

鹽 斤 60 75 636

洋紗 捆 100 100同光시기洋紗통행안함

土布 尺 100 120 140

洋油 甁 20 10同光시기

洋油 未 盛行

茶油 斤 188 188 175

桐油 斤 214 200 194

柴 750 875

同治丁卯志(1867)편찬 이후라 되어 있어 대략 70년부터 잡은 것이다

lt表8gt 湖南 汝城縣의 穀1石価의 구매력 변동

호남 汝城縣의 穀1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고기는 光宣 시기에

유지되다가 민국 시기에 약간 하락하였으나 근소한 수치이다 鹽의 구

매력은 光宣 시기에 대폭 올랐다가 民國 시기에 하락하였으나 同光 시

기 보다는 높은 수치이다 洋紗에 대한 구매력은 光宣 시기에서 民國

시기에도 계속 유지되고 있다 茶油는 고기와 같은 변화이다 土布에

대해서는 구매력이 계속 증가한다 洋油에 대해서는 民國 시기에 구매

력 감소를 보이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호남의 대외무역은 외국의 공

업품과 농부산품 원료를 교환하는 것인데 고가의 공업품 대신 강제

저가의 수단으로 호남의 농산품을 약탈한다는 견해58)는 약간의 재검

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공업 상품 가격의 翦刀差에 대해서도 洋紗

의 경우를 보면 나타나지 않고 있다59)

이상을 종합하면 同治年間의 高米価 光緖前半(1875-1891)까지의 상

대적 低米価 光緖後半-宣統까지의 高米価 급등 民國前期의 계속 상승

58) 李金錚 二十年來 中國 近代 鄕村 經濟史的 新探索 (歷史硏究 2003年 4

期)

59) 譚文熙 앞의 책 pp298-299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9

品目 洋麵 淮鹽 茶油 桐油 洋油 猪肉 雞 鴨 烟煤 柴煤

단위시기

包 斤 100斤 100斤箱2桶(50斤)

斤 斤 斤 100斤 衡斗

31-310 26兩 56文 73兩 19兩 104文 112文 88文 320文 24文

311-320 26兩 Prime 73 19 104文 128文 88文 320文 24文

321-331 26兩 Prime 73 625兩 189 108文 128文 88文 320文 252

41-410 26兩 Prime 728 628 186 320文 240

411-420 27兩 Prime 728 626 183 254 228

421-430 29兩 Prime 72 616 181 314 260

51-510 293兩 Prime 711 606 178 310 240

511-520 274 Prime 71 60 183 314 240

521-531 26 Prime 71 60 185 314 229

61-610 26 Prime 699 60 185 299 219

611-620 231 Prime 734 61 184 320 255

621-630 22 Prime 754 62 183 311 254

71-710 22 Prime 774 649 183 310 250

711-719 218 Prime 768 631 181 318 265

면화는 上棉 中棉 下棉의 가격이 제시되고 있으나 여기서 생략함

lt表9gt 1898年 3-7月間 長沙物価

民國中期(1926-1936)까지 안정이라는 米価 변동의 궤적을 확인할 수

있고 그 기간 동안 米価의 실질 구매력은 유지 또는 상승이 대체적 추

세였다 생각된다

2 物價 변동

1) 단기 변동

湘報에 수록된 光緖24년(1898)의 長沙 물가 변동을 표시한 것이

lt表9gt와 lt圖5gt이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0

品目 단위 최고가 최저가 시기 유통량 행선지

鴨絨 斤 500 300 冬 上海 北平 天津 南京

일반적으로 米価와 物価는 상호 연동적이라 생각되지만 여기서 물

가의 단기 변동은 米価와는 다소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대체로

등락 폭이 크지 않다 洋油 洋麵 桐油 등의 변동폭이 크지 않다 면화

만 4월 10일 20일 사이에 상승이 있지만 5월부터는 하락하고 있다

淮鹽 가격은 斤당 56文으로 3月에서 7월 사이에 전혀 변동이 없다

長沙지역은 원래 淮鹽 관할 구역이었으나 太平天國 시기에 교통 두절

로 川鹽 소비지역이 되었다 太平天國후 曾國藩이 이 지역을 淮鹽 소

비지역으로 회복하기 위해 여러 가지 개혁 조치를 행하고 督銷局에서

가격을 核定하여 고시하는 牌價 제도를 시행한 바 있다 일종의 통제

가격제도에 의해 가격 상승이 억제되고 있었던 것이다 直隷의 景縣의

소금 값은 1890년에 斤당 46文 1900년에 斤당 68文이라는 조사도 있

다60) 長寧縣에서는 光緖29年(1903)에 鹽価가 斤당 55文이라는 보고도

있는데 이것은 長沙 1898年의 鹽価와 유사하다61)

戰亂後에 淸朝정부의 淮鹽 소비지 회복 정책에도 불구하고 四川鹽

이 계속 私鹽으로 침투하였기 때문에 長沙의 淮鹽価를 저렴한 통제 가

격下에 두고 있었다고 생각 된다62) 圖6)에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柴煤

는 米価와 같이 5月10日에 최고가에 가깝고 6월10일에 하락하고 그후

에 상승하고 있다 烟煤의 경우에도 비슷한 궤적을 그리고 있다 이것

은 米価와의 연동관계가 비교적 분명하다

1935년의 長沙 物価의 단기 변동 폭을 알 수 있는 것이 lt표10gt이

lt表10gt 長沙物価 通郵地方物産志

60) 李文治 앞의 책 p562

61) 譚文熙 앞의 책 p267-268

62) 佐伯富 中國史硏究 第1卷 (京都 同朋舍 1978) pp340-36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1

黑鉛 石 2200 1300 全年 50000石 漢口上海

棉紗 件 22000 1800 Prime 24000件 本省

棉布 疋 120 150() Prime 1000000 漢口

麵粉 袋 50 250 Prime 140000 Prime

線襪 雙 106 Prime 6000000 本省

毛呢鞋 Prime 200 180 Prime 400000 Prime

夏布 疋 1000 200 夏 20000 上海漢口

火柴 箱 500 300 全年 10000 本省

刺繡 Prime國內및外洋

매년 産量 약50만元

玻璃器 件 300 200 Prime 9000 本省

肥皀 箱 70 50 Prime 30000 Prime

絲綿三角 兩 040 020 Prime 40000 Prime

國貨電池 打 060 040 Prime 200000 Prime

猪 斤 020 015 Prime 50000只 漢口上海

豬毛 担 6000 5000 Prime 4000kg Prime

粗窑器 卡 350 250 Prime 100000套 長江연안

毛筆 支 050 020 Prime 本省 및 황하 각성

여기서 보면 변동폭이 100 이상인 것은 면포 夏布 絲線三角 毛

筆 麵粉 등이다 또 50 이상인 것은 鴨絨(가공오리털) 667 흑연

692 火柴(성냥) 667 玻璃器(유리그릇) 50 국산 電池 50 등이

다 비누는 40 粗窰器는 40이다 棉沙 222 毛呢鞋는 111 돼

지 333이다 단기 변동 폭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고 생각된다 이

것은 이런 물품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성이 크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그런데 1898年의 경우는 茶油 洋油 등 물품의 가격 변동폭이 적은 것

은 무엇 때문일까 어쩌면 당시의 시장 가격 조사가 부정확했는지도

알 수 없다

1935年의 물가에서 綿沙의 변동폭이 적은 것은 당시 항상적인 수요

가 있었기 때문이 아닐까 비누의 변동폭도 40로 비교적 적은데 생

필품으로 수요가 지속 증대된 까닭이 아닐까 한다 通郵地方物産誌에 기재된 醴陵縣 夏布 가격은 40元-100元 사이인데 民國醴陵縣志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2

圖5) 1898年 3月-7月 長沙物價

의 物価表上에는 70元(1938)이라 되어 있다 物産誌 가격은 1935年

의 것인데 예릉현지의 가격이 그 범위 안에 있어 서로 다른 자료간에

부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63) 物産誌 上 相潭株洲의 茶油 값

매 石 160-240元(1935)은 예릉현지 물가표의 민국 20년(1931) 茶油 매

石 240元과 일치하고 있다 표12)에 1936年 煤油 값은 병당 44元이다

그런데 民國 安鄕縣志에서도 1934년 煤油 값은 병당 38元으로 되어

있어 兩者 사이에 유사성을 보여주고 있다64) 그러므로 醴陵縣志 物価의 종적 비교도 신뢰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洋麵은 包당 가격

茶油桐油洋油는 100斤당 가격

棉花 100斤당 가격

2) 장기 변동

長沙의 물가 변동을 보려면 湘報 수록의 광서 24年(1898) 물가와

63) 交通部郵政總局 編 中國通郵地方物産誌 (華世出版 1988)

64) 民國 安鄕縣志 卷11 食貨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3

품명 단위광서4년

(1878)

광서14년

(1888)

광서19년

(1893)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

(1912)

민국5년

(1916)

민국10년

(1921)

豬肉 斤 88文 63 62 112 160 240 280

雞 斤 80 72 68 120 250 300 360

lt表12gt 醴陵縣 物価表 (b) (商会조사)

품명 단위민국15년(1926)

민국20년(1931)

민국25년(1936)

민국27년(1938)

민국28년(1939)

민국29년(1940)

민국30년(1941)

猪肉 百斤 200원 170 200 360 400 561 1300

草魚 Prime 160 150 150

茶油 石 240 290 560 760 2000

鹽 石 120 140 150 160 2000

洋紗 件 2200 2200 2400 2000 2500 1500

土布 匹 27 70

夏布 Prime 70 70 140

竹布 Prime 100 100 8000

棉花 石 20 25 40 100 200 400

煤炭 石 020 030 040 050 230 70

煤油 甁 220 240 440 90 300 460 200

毛邊紙 石 198 432 1200

黑靛粉 桶10斤 100 200 1500 2000

赤金 兩 50 70 80 90 500 560 1600

lt表11gt 醴陵縣 物価表 (a)(私家數簿에 의한 것)

民國24年(1935)의 通郵地方物産誌 기록을 직접 비교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양 자료 사이에 화폐와 단위가 서로 달라 직접 비교할 수가 없

다 그래서 당시인의 물가 변동 기록인 長沙府 醴陵縣 物価表를 이용

하는 것이 파악 방법이 될 것이다

lt표11gt lt표12gt 와 lt圖6gt lt圖7gt을 보면 개별 물품에 따라 차이

는 있지만 대체적인 흐름은 米価 변동과 유사한 궤적을 보여주고 있

다 즉 光緖 前半에 비교적 안정적이다가 光緖 후반부터 급상승하여

민국 전기까지 상승하고 있다 1926년부터 1936년까지는 가격 안정세

를 보여 주고 있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4

雞蛋 個 2 2 3 4 10 15 20

草魚 斤 40 40 36 70 90 160

茶油 斤 116 69 54 150 300

鹽 斤 60 60 63 120 90 180

煤 石 50 120 50

苧麻 斤 270 99 170

棉花 斤 200 96 280

竹布 尺 70 62 60 60 90

靑洋布 尺 55 50 50 70

白蓮紙 刀 40 82 80 100

-附記 前淸 통행 制錢文으로써 단위 민국 초년에는 비록 銅元을 단위 사용하나 관습상 매 1銅元은 錢10文에 해당

圖6) 醴陵縣 物価 (a)

① 豬肉 斤당 가격 ② 雞肉 斤당 가격 ③ 茶油 斤당 가격

④ 鹽 斤당 가격 ⑤ 棉花 斤당 가격 ⑥ 草魚 斤당 가격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5

圖7) 醴陵縣 物価(b)

① 猪肉 百斤당 가격 元 ② 草魚 百斤당 가격 元 ③ 茶油 石당 가격 元

④ 鹽 石당 가격 元 ⑤ 洋紗 件당 가격 元 ⑥ 棉花 石당 가격 元

⑦ 煤油 甁당 가격 元

米価가 物価와 연동되는 것에 대해서 江都縣史料를 보면 ldquo産米 구역

에서 年末에 米価가 상승하니 百物이 昻貴했다rdquo65)라고 되어 있다 湖

南지역 米価 연구 자료에도 米価 추세는 거의 물가 수준과 같다는 주

장이 있다66)

光緖末宣統年間의 물가 상승을 나타내는 史料를 보면 다음과 같다

이제 각종 惡政의 결과로 百物의 騰貴를 초래했는데 小民의 日用 수요

65) 李文治 앞의 책 p470 ldquo江都爲産米區域 年末米価騰踊 百物因以昻貴rdquo

66) 張麗芬 앞의 책 p22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6음식은 그 가격이 십년 전에 비해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과 居室 器用

蔬饌의 비용 牛種糞漑의 비용도 예전 보다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도 비록

동일 비례로 함께 올랐으나 이미 넉넉하지 못해 괴롭다67)

이것을 보면 米価와 物価가 연동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청말

특히 光緖 후반 이후에 각종 物価가 두 배 올랐다는 사정을 알 수 있

다 上海의 物価도 같은 시기에 상승하고 있다68)

lt표11gt lt표12gt와 lt圖67gt을 검토해 보면 돼지고기 값은 광서 14

년 광서 19년까지는 다소 하락세를 보이다가 宣統원년(1909)부터 급격

히 상승하고 있다 민국원년(1912)의 가격은 160文으로 1878年의 88文

에 비해 거의 두 배에 해당한다 위에 인용한 宣統 2年 8月 國風報의 물가 두 배 인상과 정확하게 부합되고 있다 민국 전기인 1926년까

지 계속 상승하고 있지만 1926년에서 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이고 있

돼지고기 값은 1878년-1909년 사이 273 상승했고 1912-1921년 사

이에 75 상승했다 닭은 각기 50와 44 상승했다 계란은 100

100 상승이었다 淸末 비교 시기는 31년간인데 비해 민국 전기는 9

년간에 불과하다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가 급등한 것은 충분히

알 수 있다 1926년에서 1936년 10년간 돼지 값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거의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이었다

民國 醴陵縣志에도 ldquo辛亥혁명이전에는 물가가 심한 등락이 없었는

데 민국 후에 들어와서 차츰 상승했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69) 圖6)을 보

면 닭고기도 비슷한 궤적을 보이고 있다 草魚의 경우도 청말 민국전

기는 상승이 주요 동선이고 민국 중기(1926-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

67) 國風報 第1年 21期 宣統 2年 8月 (李文治 앞의 책 p561) ldquo今也以種種惡

政之結果 以致百物騰踊 小民日用 飮食所需 其価皆視十年前兩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居

室器用蔬饌之費 牛種糞漑之費兩倍于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雖以同一比例以俱騰 旣苦不

給矣rdquo

68) 岸本美緖 앞의 책 p443

6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物價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7이고 있다 譚文熙 物価史에는 민국 전기는 안정속의 상승세로 민국

중기는 파동속의 상승으로 정리를 하고 있는데 여기와는 약간의 차이

를 보이고 있다70) lt표11gt과 lt표12gt 사이의 화폐 단위 차이로 인한

연속적 파악에 다소 어려움이 있으나 대체의 추세는 짐작할 수 있다

또 품목에 따라 공란이 있어 연결 관계가 애매한 부분이 있다 1936년

이후는 중일 전쟁의 혼란과 불환지폐의 강제 통용 등의 사정으로 本考

에서는 분석 대상 범위에서 제외 하고자 한다

Ⅱ 物價 변동의 원인

1 수요 측면

米価와 物價가 상호 연동관계에 있고 넓은 의미에서는 米価도 물가

의 일부이다 米価 및 물가의 상승은 우선 수요의 증가에 원인이 있다

고 할 것이다 수요증가는 일반으로 인구 증가이다 湖南의 인구는 嘉

慶21年(1816) 18754259명에서 1898年 21174000명으로 다시 民國17년

(1928)에는 31501212人으로 비약적 성장을 하였다71) 약 110년 동안

인구가 1300만 가까이 증가하였고 비율로는 679가 증가하였다 長沙

府의 인구도 가경 25년(1820)에서는 4290086명이었는데 민국23년

(1934)에는 8421330명으로 약 400만명 이상 증가하여 963 상승을

보이고 있다72)

인구의 증가가 수요 증대를 초래하는 일반 요인이지만 湖南의 米穀

移出이 해당 지역 민중의 식량을 제외하고 남는 잉여 米만은 아니다

70) 譚文熙 앞의 책 pp302-307 여기서는 민국 전기는 1912-1927년 민국 중기

는 1927-1937년으로 구분하고 있다

71) 湖南省志 地理志 (長沙 湖南人民出版社 1982) pp230-238

72)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8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의 증대가 더 중요한 요인일 것이다 淸末에

와서 새로운 생업을 통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가 많이 증가하고

있는데 醴陵縣 사례를 한번 검토해 보겠다 史料는 다음과 같다73)

同治志에 이르기를 醴陵의 풍속은 lsquo安土重遷rsquo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상인이 外地에 나

가 장사하는 이가 적었다 배를 이용하여 외부 상업을 하는 것은 淥口 부

근의 米穀商일 뿐이었다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邑人들이 茶제조로 武漢에 판매하는 자가

이익이 배가 되었다 이때부터 龍門일대에 매양 봄에 茶를 제조하고 가리

는 廠이 항상 수십이었다 光緖末年에는 도자기업 夏布 編爆이 일어나서

대신하였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이를 믿고 생계를 삼는자가 무려 십만인이다

同治志 편찬 단계만 해도 사람들이 토착 안주하여 멀리 이동하는

것을 어렵게 여겼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큰 이익을 보고 그

후 도자 기업 夏布 編爆 제조에 종사하여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나 되었다는 것이다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의 성장을

보여주는 것이다 長沙의 빠른 도시화도 주목된다 長沙日報에 실린

내용을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74)

光緖32년(1906)에 火災 조사시에 城廂 내외가 매일 식량으로 穀 5000

石이 필요하였다 지금 교통이 편리하고 상인 旅客이 배로 증가하였으니

매일 마땅히 1-2000石을 더해야 한다(宣統 2年(1910) 2月 17日 長沙日

報)이것을 보면 光緖32년(1906)에서 宣統2년(1910)은 불과 5년이 채 되

지 않는데 상인 집단이 배로 증가하였다니 城內外의 유동인구 급증을

짐작할 수 있다 長沙城의 인구는 1916年에 177882人이었고 1931年은

385514人으로 증가하였다 불과 15년 사이에 1167 증가이다 배 이

73)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ldquo同治志云 醴俗安土重遷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商賈外

貿者少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揚帆外貿則 僅淥口附近之穀米商而已 光緖初 紅茶業興 邑人製茶

販運 漢皋者 獲利倍蓰自是來龍門一帶 每屆春日 製茶捒茶列廠恒數十 訖於光緖

末年 則有瓷業及夏布編爆起而代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恃以爲生者 無慮 十萬人rdquo

74) 李文治 앞의 책 p551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9상이 증가하였으니 長沙의 도시화도 급속히 진전 되고 있다75)

민국10年의 湖南 實業雜誌 보도를 보면 당시 長沙에 蓆工 500人

刻字工 300人 방직공 3200人 이발공 800人 香工 400人 합계 5200人

이 있었다 長沙大公報에 의하면 민국9년(1920)에 長沙에는 부두공

2600人 糞夫 500人 轎夫 1300 車夫 2300人으로 합계 7000人 정도

가 있었다76) 같은 시기 호남성의 광부가 160萬人이고 여기에 手藝工

苦力을 합치면 190만 전후였다고 한다 예릉현에서는 東鄕 일대에서

編爆業 종사자가 수만이고 東北兩鄕에서 磁廠의 女工도 수천이나 되었

다는 기록도 있다77) 湖南 邵陽縣에서도 淸末에 工匠이 5만 상인이 12

만 정도였다는 통계도 있다78) 이렇게 비농업 인구가 다른 생업을 통

해 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로 증가하고 있던 것이 확인된다 이런 유

효 수요 증가를 설명해 주는 다른 史料 하나를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

다79)

어째서 米穀이 날로 적어지고 날로 비싸지는가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水旱災가 날로 많고 농사짓는데 날로 게으르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말은

진실로 일리가 있는데 다 그런 것은 아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선교사 洋商 洋官 洋

兵은 증가한 것이 외국에서 온 사람이다 敎民 游民 賭民 盜民은 內地

에서 증가한 자이다 무릇 농사짓는 사람은 하나인데 먹는 자는 헤아릴

수가 없다 米穀이 어찌 비싸지 않을 수 있겠는가

光緖後期의 사정을 전하고 있는 위 史料를 보면 외국에서 온 선교

사 상인 군인 관리 등도 米価 상승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국내

외를 막론하고 비농업 인구의 급격한 성장이 米価 상승의 원인이라 생

각된다

湖南과 長沙의 米穀은 해당 지역 안에서 소비되는 것보다 揚子江

75) 張朋園 中國現代化的區域硏究 -湖南省 (台北 1998) p376

76) 위의 책 pp412-413

77)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農業經濟

78) 光緖33年刊 邵陽縣鄕土志 권2 인류 실업

79) 李文治 앞의 책 p77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0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많다 청말민국시기에도 지속적인 湖南米의

移出이 있었던 것은 이미 밝힌바 있다80)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穀

米가 騰貴한 이유가 外省의 采辦이 많은 때문이라고 하고 있다81) 상

담현에서도 동치 4년(1865)이전에 해마다 풍년이었는데 穀価가 까닭

없이 騰貴한 것은 江南이 처음 회복되어 米穀의 販運이 많아진 때문이

라고 하고 있다82) 1898年에도 長沙에서 米穀의 원거리 送出을 바라는

지주 富戶와 주민의 갈등 관계가 노출되고 있다83) 宣統2年(1910)의 기

록에도 湖北의 흉년으로 出境 米穀이 과다하여 米価가 급등했는데 작

년 末에는 1石5000文이었다가 금년에는 1石 8000文에 이르렀다는 내

용이 있다84) 같은 자료에 湖南米가 당도 하지 않으면 武漢에서 변란

이 일어난다고 할 정도이다

하류의 上海는 한적한 어촌에서 근대에 대도시로 성장하였다 武漢

上海등의 도시화와 상공업 발전 인구 집중은 長沙米의 급격한 수요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宣統 년간에 長沙가 전국적인 4大 米市의 하나

로 성장한 것은 우연한 일은 아니다85)

근대에 대외 교역증가가 물가 상승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생각된

다 1873년에서 1930年 사이에 농산물 수출 통계는 1910년을 100으로

했을 때 1873년은 12 1893년은 123 1903년 386 1920년은 1324

1930년은 2709로 급상승하고 있다86) 농산물의 수출은 해외 수요의 증

가이다 이런 교역상 수요 증대는 가격의 등귀 뿐 아니라 작물 재배

면적의 확대에도 기여하고 있다

80)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81)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20

82) 光緖6年刊 湘潭縣志 卷29 災祥志

83) 湘報 89號 長沙縣職員常達邦呈批

84) 李文治 앞의 책 p381

85) 徐正元 中國近代農産商品化的發展與米市的形成 (復印報刊經济史 1997年3期)

86)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권2 p14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1宣統2년(1910) 長沙에 영국 상인이 출현하여 米穀 구매를 단행하자

米価가 하루에 여러 번 급등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였다87) 湖南에서

는 또 광동 상인의 영향을 받아 紅茶 제조법을 습득하여 홍차를 대량

생산하여 구미에 수출하였다 19세기 60년대부터 20세기 초에 특히 호

남 茶 생산 판매가 극히 발달하였다88) 주요 산지 중에는 長沙 湘潭

安化 등이 손꼽히고 있다

桐油의 수출 또한 괄목할 만한 것이다 湖南의 桐油 수출은 1922년

전국의 3336 1923년은 372로 성장하였다 1929년에는 全省 수출

총액의 45 정도를 차지하였고 桐油 상품화율 80에 달하였다89) 대

외교역을 통한 농산품의 해외 수요 증가는 직간접으로 물가 상승에 작

용하고 있다

2 화폐 문제

물가와 화폐의 관계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통상 화폐 수량의 증가가

생산총량의 증가보다 초과할 때 물가상승이 일어난다90) 보통 淸 후기

에는 아편무역에 따른 銀의 해외 유출과 그 결과 야기된 lsquo銀貴錢賤rsquo 현

상 통화팽창에 의해 물가가 상승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91)

실제 淸末民國기에 걸쳐 통화 팽창과 물가 상승에 대한 기록을 찾

는 것은 어렵지 않다 王業鍵에 의하면 淸末 특히 1875年부터 1911年

까지는 인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단계였다고 한다92)

民國 寧鄕縣志에 보면 ldquo光緖29年(1903)에 처음으로 當十銅元을 주

87) 李文治 앞의 책 p550-551

88) 劉泱泱 앞의 책 p46

89) 宋斐夫 主篇 湖南通史 現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5 p276

90) 陳民 法幣發行制度與通貨膨脹 (復印報刊經济史 2001-1)91) 龔勝生 앞의 책 pp275-280 岸本美緖 앞의 책 p444 張麗芬 앞의 책

p217

92) Yeh-chien Wang Secular Trends of Rice in the Yanzi Delta 1638-1935(California Univ Press 1992)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2조하여 전국에 통용시켰는데 물가의 등귀가 이때부터 시작되었다rdquo는

기록이 있다93) 醴陵縣에서는 光緖32年에 當十銅元을 주조하여 制錢과

병행시켰고 宣統원년에 銀元이 이미 성행하였다 민국원년에는 當二十

銅元을 주조하였는데 雙銅元이라 칭하였다94) 영향현에서도 광서말에

私鑄錢인 毛錢이 나오고 지폐가 통용되는 등 통화팽창이 상업을 일변

시켰다고 한다95)

종전에 비해 실질 가치가 열악한 當十 當二十 등 銅元의 남발과 鈔

票의 성행은 화폐 시장의 과잉을 초래하였다 정식의 鈔票 이외도 각

현 발행의 私鈔와 錢莊에서 발행한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시중에 범람

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민국 시대에는 화폐 남발이 더욱 심하였다 호

남은행을 비롯한 저축은행 농업은행 등이 각기 각종 지폐를 발행하여

혼란이 가중되었다 1915년에 호남의 은행은 33개인데 그 중 장사현 7

개 상담현이 7개였다96)

군벌들이 은행을 개설하거나 질 낮은 화폐 통용을 강제하는 등의

혼란이 민국시기 특징 중의 하나이다97) 화폐 시장에는 銀元 銀角 銅

元 지폐와 鈔票 市票등 유사 화폐까지 복잡middot혼란의 양상이 나타나고

결과적으로 물가 상승을 피할 수가 없었다

선통2년(1910) 격렬한 米価 騰貴가 있었고 長沙에서 대규모 搶米 폭

동이 일어났는데 이것은 단순한 흉년때문이 아니고 銅元 남발 등 화폐

제도 혼란에 기인한 것이었다98) 1880년대 초부터 1920년대까지는 인

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시기로 매년 33 비율로 상승하였으며 1930년

총 화폐보유고는 60억 원에 달했다 반 세기간 화폐 공급은 8-10배 증

가하였다99)

93)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ldquo光緖 二十九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始鑄當十銅幣 通

行全國 物価之踊始此rdquo

94) 民國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95)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財用錄 상업

96) 張朋園 앞의 책 pp258-259

97) 宋斐夫 앞의 책 pp10-12

98) 岸本美緖 앞의 책 p51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3

時期 銀(兩) 錢(文) 出典

乾隆 嘉慶년간 10 1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道光 初(1821) Prime 1300-1400 Prime

Prime 18年(1838) Prime 1400 林則徐湖廣奏橋 권3

Prime 25年(1845) Prime 2000上下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Prime 末年(1850)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咸豊 元年(1851) Prime 2000 民國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咸豊 初 Prime 2300-2400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8 부역

咸豊 3年(1853) Prime 20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5年(1855)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Prime 6年(1856) Prime 2000 湖文忠公遺集 권12

Prime 7年(1857) Prime 1600 骆文忠公奏議 권7

Prime 8年(1858) Prime 1400 胡文忠公遺集 권85

Prime 10年(1860) Prime 1300-1400 胡文忠公遺集 권70

同治 2年(1863) Prime 13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7年(1868) Prime 1300-1400 李瀚章 瀝陳湖北等省漕務

Prime 10年(1871) Prime 1600-1700 同治10年 長沙縣志 권8 부역 錢法

光緖32年(1906) Prime 1600 長沙日報 宣統2年 2月27日

선통 2年(1910) Prime 1700 國風報 宣統2年 3月 21日

표 지방지에서 직접 採錄제외는 龔勝生 淸代兩湖農業地理 pp270-277에서 湖南부분을 발췌하여 再引用한 것임

表13) 湖南의 銀錢比値

그런데 아편전쟁 전후 銀의 과도한 해외 유출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이

초래되고 이것이 물가 상승의 주요인이라 생각되고 있는 데는 약간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表13)을 보면 銀錢比価가 일시적으로 상승하였다

가 다시 하강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은전비가는 지역에 따라 차

이가 있지만 호남 장사를 위주로 정리한 것이 표13)이다100)

99)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0) 邱思達 中國近現代鑄幣圖說 (北京 中國書店 1991) p109 참조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4

주목되는 것은 道光末에서 咸豊初에 일시적으로 상승하였지만 淸末

의 比価가 낮은 편에 속하는 현상이다 청말에 은전비가가 비교적 안

정되고 있는 것이다 아편전쟁 후 5항 개항으로 교역이 확대된 상황에

서 아편무역 증대에도 불구하고 차와 silk 수출에 힘입어 은의 순유입

이 오히려 증가되는 현상이 나타났던 것이다101) 또 光緖17년(1891)이

후 세계 銀価하락 현상으로 은유입이 증가되었다102) 19세기 후반 중

국이 세계 사회에 연결되면서 중국의 무역 적자에도 불구하고 淸 정부

에 대한 대량 차관과 자본 투자를 통해서 거대한 양의 銀이 중국에 유

입되었다 1871년에서 1913년 사이 은의 순 수입은 2억 4천만 海關兩

혹은 3억 6천만 銀달러로 추정되고 있다 세계 시장의 은가 하락과 은

의 대량 유입은 중국의 국내 시장에서 물가 상승을 유도한 것이다103)

이런 배경으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은 일시적인 것이고 청말민국기 전체를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민국 시기에는 銀元과 錢의 교환 비율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은의 유입 현상에도 불구하고 宣統 원년 11150文의 비율에서 민국6년

2250文 민국11년 2840文 민국17년 3500文 민국22년 7200文까지 급등

하고 있다 예릉현의 기록이지만 이것으로 청말보다 민국시기에 통화

팽창현상이 극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4)

銀과 錢이 주요 화폐이고 그 환율이 항상 문제가 되고 있지만 주로

청 후기 이후는 錢文 위주의 경제로 바뀌고 있다고 생각된다 長沙府

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면 대부분 道光 이후는 화폐를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淸 前期는 米価를 銀으로 표시하던 것과는 대조적이

다105) 예릉현에서는 민간에서 세금을 납부하거나 大宗무역을 할 때를

101)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2) 邱思達 앞의 책 pp92-93

103)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4)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10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光緖3年刊 善化縣志 同治13年刊 湘鄕縣志 光

緖15年刊 湘潭縣志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民國37年刊 醴陵縣志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5제외하고 紋銀 사용자가 거의 없다 도광 이후 교역시 대부분 錢文을

사용했다는 기록을 보면 淸 後期는 錢 경제 위주로 넘어간 것 같

다106) 세금을 낼 때 외에 銀錢이 필요 없는 일반민은 錢文 사용권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너무나 당연하다

함풍4년에 長沙에서 大錢을 주조하여 통용시켰으나 결국 시장의 신

뢰를 얻지 못하여 퇴출되고 말았다 1854년 7월에 주조를 시작하여

1855년 4月에 주조를 정지하였다107) 이것을 보면 통화 남발도 결국

시장의 제약을 받고 있다

민국 7년(1918) 3月 張敬堯가 裕湘銀行을 개설하여 銀元票 1000만元

銅元票 3000만元을 발행하였다 그 결과 시장은 혼란에 빠지고 시중금

융은 마비 상태가 되었으며 결국 裕湘銀行 발행의 惡幣는 폐지와 같이

되었다108) 권력에 의하여 통화 팽창이 시도되더라도 시장이 감당할

수 없는 지경이 되면 중단될 수밖에 없다 과도한 통화 팽창은 시장의

질서에 의해 어느 정도 제약 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예릉현에서도 光緖 년간에 錢莊 24곳이 출현하여 盛業을 누렸는데

民國7年(1918) 兵禍로 停業하는 곳이 많아졌고 정부의 통화 남발 화폐

가치 하락 금융혼란의 현상이 나타났다109) 민국18년(1929) 이후는 정

국이 안정되고 교통 편리로 百業이 진흥되고 은행이 역할을 하게 되었

이상에서 보면 淸末까지는 은전비가가 안정되고 통화 관리가 어느

정도 성공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光緖 宣統 시기에 銀元의 주조 외국

銀貨의 대량유입 當十銅元 등 주조로 통화팽창이 많이 되었고 이시기

물가 상승과 연관되고 있다 민국 초기에도 정국 혼란과 무계획적 통

화남발로 물가의 급등을 초래하였다 민국 중기에는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것 같다

106) 龔勝生 앞의 책 p279

107) 劉泱泱 앞의 책 pp150-155

108) 宋斐夫 앞의 책 pp10-11

10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6영향현에서도 민국 21년(1932) lsquo穀賤錢荒rsquo의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

다110) 청말민국기에 전반적으로 화폐량의 증가가 현저했던 것은 사실

이다 다양한 화폐의 등장 銀兩 銀元 銅錢 銅元 외에 외국 銀元의 유

입 그 외 鈔票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출현하였으며 양적인 팽창도 분

명하다 하지만 대외 교역 증가와 경제 활동 인구의 증가 유통 상품의

양적 증가에 의해 시장의 화폐 수요가 증대된 것도 사실이다 통화 발

행은 일차적으로는 경제 주체의 수요에 부응하는 것이지만 그것이 과

도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3 공급기타 요소

물가는 기본적으로 수요공급의 관계에서 결정되는 것이 원칙이다

청말민국기에 걸쳐 인구가 급증하여 물가가 상승한 것은 자연스런 일

이다 그러나 물가 상승률 면에서 청말의 경우가 18세기의 증가율에

비해 크다고 할 수 없다 물가 상승률을 억제하면서 비교적 안정 속의

상승을 할 수 있었던 것은 공급의 증가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청말민국기에 湖南米의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 현상이 지속된 배경

에 비약적인 경지 면적 확대와 새로운 품종 개량 시비법 발전 등 농

업 생산 증대가 있었다는 것은 이미 밝혀진 바 있다111) 米穀 공급의

증대가 물가 상승을 완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雜糧 재배가 同治

(1862-74) 년간에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민중의 식량 문제 해결에 기여

하고 米価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던 것을 城步縣 知縣 盛溢源을

통해서 알 수 있다

洋米 수입이 國産米의 보충 역할을 했다는 지적이 있지만 결국 시

110) 民國30年刊 寧鄕縣新志 전1 縣年記

111) 田炯權 淸末民國期 湖廣地方의 農業生産力과 生産關係 (慶南史學 7

1995)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2001)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

究 25 200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7장에 대한 미곡 공급을 증대시켜 가격 안정에 기여했다고 생각된

다112)

민국 시대 관련 사료를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113)

금일 정세를 보면 국내 米価의 등락은 결코 國産米의 생산량이 많고

적음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외국 産米 구역의 풍년 여부에 따라 영

향이 대단히 크다

이것을 보면 洋米 수입이 國産米価를 조절한다고 볼 수 있다 비슷

한 시기 上海에서도 湖南米가 수입 米의 영향으로 가격이 약간 적게

올랐다는 史料도 있다114) 湘報에도 日本米가 수입되어 중국의 米価

가 차츰 내려갔다는 기록이 있다115) 같은 湘報에 보면 ldquo외국물산이

날로 풍부하여 중국 상품의 판로를 막는데 서양 상품의 가격이 낮으면

중국 상품 가격이 홀로 증가할 수 없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116) 결국 洋

貨도 중국에서는 시장에 대한 상품 공급의 증가이고 이것이 상품 가격

상승을 억제하고 있는 것이다 같은 자료에 중국의 土藥이 널리 판매

되니 외래 洋藥의 가격이 폭락한 사정도 소개되고 있다117)

또 洋蠟의 수입으로 국산 白蠟 가격이 매 100斤 200元에서 100元으

로 폭락한 일도 있었다118) 1921년 독일 면화가 대량 수입되어 중국의

綿価가 하락한 일도 있다119) 光緖년간 부터 중국이 綿紗 생산을 개시

하자 華商과 洋商사이에 가격 경쟁이 시작되었다 수입 綿布도 洋商이

國産布와 경쟁하기 위해 가격을 낮추어 공급하였다120)

112) 王良行 淸末對外貿易的關聯效果(1860-1911) (近代中國對外貿易史論集1997)

113)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卷3 p413

114) 위의 책 p416

115) 湘報 제45호 p1419

116) 湘報 제13호 ldquo外洋之出産日盛 足以抵華貨之銷路 洋価低則華貨不能獨增rdquo

117) 湘報 제162호 p1608

118) 章有義 앞의 책 권3 p662

119) 譚文熙 앞의 책 p342

120) 譚文熙 위의 책 p368 p374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8상인의 가격 조종이 물가 변동에 하나의 요소는 될 수 있다 예릉현

의 土資 판매에 있어 객상의 가격 조종에 저항하기 위해 주민들이 公

司를 조직하여 가격을 바로 잡았다는 기록도 있다121) 지주 부농 米商

등의 매점매석에 의한 가격 조종 사실은 흔히 발견된다122) 秋收期에

시장에 대량 방출된 곡식을 저렴한 가격에 매입하여 端境期에 되팔아

이익을 남기는 것은 상인의 오래된 관행이다 이윤 추구를 위한 개인

의 행위지만 넓게 보면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행위이기도 하

다 각지 농산품 가격 변동 조사에서 원인이 밝혀진 10건 가운데 전쟁

이 2건 豊凶 水旱災가 7건 상인 조종은 단 한 건 뿐이었다123) 제국

주의 상인에 의한 가격 조종이라는 것도 결국 중국 상인의 이윤 추구

행위와 본질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湘報의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124)

輪船이 이미 통행하고 있고 철로가 이미 만들어 졌다 제조업이 날로

번성하고 통상조약이 행해지니 상인이 계속 내왕하고 온갖 상품이 유통

된다 사계절 틈이 없으니 일용 각 물품이 그 가격이 반드시 저렴할 것

이다

이것을 보면 통상 개시 후 교통이 발달하고 상품 교역이 증대된다

는 것과 그 결과 일용품의 가격이 저렴해졌다는 것을 당시인이 인식하

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서방 각국과의 무역 증대는 상품 공급의 증가

이고 가격 경쟁을 통해 물가 상승을 완만하게 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

121)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22) 李文治 앞의 책 p559

123)湘報 제49號 ldquo輪船旣行 鉄路旣造 製造日盛 商約可行 商賈絡繹 百産流通

歲時無間 則日用物品 其価必廉rdquo

124) 安本美緖 앞의 책 제7장 pp239-288 제12장 431-455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9

Ⅲ 物價와 景氣(생활)

1 穀賤傷農과 不況

物價 문제를 단순히 등락의 흐름에만 주목하기보다 경기변동론적

입장에서 好況 不況의 문제로 연관시켜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

이다 岸本美緖는 康熙年間의 lsquo穀賤rsquo 현상이 不況과 연결되어 있고 光

緖年間 蘇州의 不況도 lsquo穀賤rsquo이 원인이었음을 지목하고 있다125)

그런데 長沙府 중심의 湖南의 사정을 검토해 보면 lsquo穀賤rsquo 관련 기록

이 道光 咸豊 시기와 民國 中期에 집중되고 있다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26)

道光 25年(1845) ldquo穀賤斗穀錢五十文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値穀賤錢価亦賤 民甚苦之rdquo

장사현과 縣治를 長沙城 내에 두고 있는 善化현에서도 같은 해에

비슷한 기록이 있다127)

道光25年 穀賤自十五年起 連年俱穀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中下戶苦之

咸豊5年 穀賤

장사현 기록을 보면 穀価도 싸고 錢価도 싸서 민이 고통 받는다 했

으니 이 당시 은의 해외 유출과 은전비가 문제로 민중이 고통 받은 사

실을 알 수 있다 선화현은 장사현과 연접하고 통합과 분리가 단속되

었던 거의 동일 지역이다 선화현 기록을 보면 도광25년의 lsquo穀賤rsquo이 해

당년도만의 일이 아니고 道光15年(1835)부터 계속된 현상임을 밝히고

있다

12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33 祥異

126)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127) 民國30年刊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0인근의 寧鄕縣에서 보면 ldquo道光26年 歲豊 穀奇賤傷農 佃農以穀賤大

困rdquo이라는 기사가 있다128) lsquo穀奇賤rsquo이라 하였으니 평상시 보지 못한

하락이었다고 생각된다 더구나 소작료 납부가 대부분 현물지대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佃農은 米穀의 상품화 과정에서 배제되었다는 종전의

통념과 달리 佃農도 곡가 하락으로 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같은 기록에 함풍원년에도 ldquo有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以穀賤漕折苛rdquo라 하고 있어

역시 곡가 하락으로 세금 납부에 곤란을 겪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장사부 內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아도 同治 년간에는 lsquo穀賤rsquo 기

재가 보이지 않고 전술한 도광 함풍 년간에 집중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후의 기록을 찾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ldquo湖南自夏秋以來雨暢時若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故無論高低田畝咸稱大稔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甚

賎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反有入不敷出之慨矣rdquo (益聞錄 69号 광서6년828)129)

ldquo(長沙農村) 近年來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穀米求售 価値至賤 日用各物 則又極昻 收穫所

得 不足顧其工本 多已漸陷于無力耕種之境rdquo (新靑年 7권 6호 1920년 5

월)130)

ldquo湖南近年來之天災人禍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天災旣足以減少收量 地方不靖 産品滯銷

価値復因以低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而生活日昻 工価及日用物品 繼續增漲 收入支出 常苦

不得平衡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rdquo (中國棉産改進統計會議專刊 1931)131)ldquo湘省爲産穀素豊之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年歲收 屢佔大有 而長江流域亦値豊收 更

有大宗洋米 運貨傾銷致湘米頓失市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価格低賤 不僅農村經濟 陷于絶

境 市面金融 亦大受打擊rdquo (銀行週報 18권 9기 1934313)

이외에도 1936年의 사실로 호남의 武岡 東安 일대에서 lsquo豊年穀賤rsquo으

로 省城에 운반할 때 운송비와 각종 捐稅 부담을 감당할 수 없어 陳米

를 불태웠다는 기록이 있다

128) 李文治 앞의 책 p557

129) 章有義 앞의 책 권2 p432

130) 章有義 앞의 책 권3 p795

131) 章有義 위의 책 p620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1이것을 보면 주로 1930년대에 lsquo穀賤rsquo과 不況이 집중 묘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lsquo穀賤rsquo 즉 불황이라고 하면 도광함풍초의 곡천과 불

황 同治光緖宣統期의 lsquo穀貴rsquo즉 好況 다시 民國 전기의 好況 民國 中期

의 불황으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물가의 상승기가 호황적 국면이라는 것은 알려

져 있지만 이것은 전체 물가의 문제이다 위 자료에서 보면 1920년 장

사 농촌에서는 곡가는 싼데 일용품 가격은 극히 높다고 하고 있고

1931년의 기록도 工價와 일용품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농민이 다수를 점하기 때문에 미곡가의 하락은 농민 수입 감소

와 구매력 저하를 가져오고 이것이 농촌 불황의 한 요인이 될 수 있

다 그러나 工賃과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시장의 한계 안에서의

일이다 또한 실업률과 고용 지표 등도 고려되어야 하는데 만족할만한

통계의 부족으로 명확한 답을 얻기는 어렵다

그런데 米価와 물가는 개별 년도나 시점에서 서로 상이한 궤적도

있지만 圖2 3 6 7을 보면 대체적으로는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예릉의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광서 4년(1878)에 비하여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1912)에는 현격한 상승세였다가 그 후에 등락을 거듭

하고 있지만 민국25년(1936)의 경우는 광서4년보다는 높거나 유사한

경우가 많다

2 생활 경기의 발달

당시인들이 체감하던 생활 경기의 수준이 어떠했는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

光緖刊 善化縣志를 보면 다음과 같다132)

132)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16 풍속 附論 ldquo古人 酒肉以養老 而今則黃口稚子

無不酒肉之人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日不旦穀貴鹽貴 而酒肉皆貴 則好惡可知矣 一今鄕間柴炭

其価數倍於昔日 瀕河之地 莫不燒煤rdquo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2옛사람들은 술과 고기로 노인을 부양하였는데 지금은 어린아이도 술과

고기를 먹지 않는 이가 없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요사이 미곡과 소금이 비쌀 뿐 아니

라 술과 고기가 모두가 비싸니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지금 향간에 柴炭이 그 값이 예전보다 수배인데 하천 근처 사람은

煤를 때지 않는 사람이 없다

同治 攸縣志 에도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33)

예전에 士大夫도 집에 있을 때 엄동이 아니면 가죽옷을 입지 않았다

지금 關中의 가죽옷 상인이 유현에 와서 1년에 은 만여 냥을 얻을 수 있

다 기타 비단 옷은 蘇州 杭州 및 嶺南에서 오는 것이 또 배가 되니 1년

에 수만금을 소비한다

醴陵縣에서도 비슷한 인식을 볼 수 있다134)

ldquo예전 풍속이 儉樸하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이 명절 아니면 고기를 먹지 않고

慶弔事가 아니면 술을 베풀지 않고 손님 접대는 닭 잡는데 그치고 鮮味

는 생선에 그쳤고 縣城의 食肆는 飽麵茶館에 그치고 酒席으로 業을 삼는

자가 없었다

지금은 酒樓菜館이 거리에 가득차고 中人의 집에도 술자리가 베풀어지

고 사치를 다툰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예전에 士類大半이 淥江書院에 모이면 그 가운데 비단신을 신은 자가

불과 수인이었고 羊가죽 옷을 입은 자가 불과 1 2人이었다 지금은 비단

신과 가죽옷이 거의 常服이 되었고 日用品은 舶來品이 많다rdquo

이 내용을 보면 예릉현의 생활 수준이 급격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예릉현지 기록에는 부인들이 上海의 유행을 쫓아 사치를 추구한

다는 내용도 있고 청말부터 外貨를 서로 자랑한다는 내용도 있다 종

133) 同治10年刊 攸縣志 권18 풍속 衣服 ldquo衣服 昔時 士大夫 家居非嚴冬不御裘

今關中裘商來攸 歲可得銀萬餘兩 其他錦繡之運自蘇杭及嶺南者 則又倍之 計一歲

之戶 所費數萬金rdquo

134)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4장 풍속 생활 ldquo旧俗民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非令節不

食肉 非慶弔不置酒 欵客止於殺鷄 鮮味止於草魚 縣城食肆 止於飽麵茶館 無以酒

席爲業者 今則酒樓菜館 遍於街市 中人之家酬酢往還 爭奢鬪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旧時士類

大半 集於淥江書院 一院之中 著緞鞋者 不過数人 襲羊裘者 不過 一二人 今則絲

履皮袍殆成常服 日用之品 多自舶來rdquo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3전에 菜油 棉油로 燈을 켜다 집집마다 煤油를 사용한다거나 세탁시

茶枯鹼水를 쓰다가 대부분 비누를 사용하는 일상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135)

또 寧鄕縣에서도 ldquo同光之間 地方安寧 家給人足(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함)縣城商業 於時爲盛rdquo이라 하고 있어 同治(1862-74) 光

緖(1875-1908) 시기가 好況이었음을 알 수 있다136) 湘報에도 ldquo民間

之喜用洋貨日甚一日rdquo이라 하고 있어 洋貨 사용의 확대를 짐작할 수 있

다137)

광서년간 무역이 확대되고 여기에 대해 유익하다는 인식의 기록이

湘報에 나오고 있다138)

ldquo輪船과 철로가 개통되고 항구 개항이 증가 되는 것은 실로 중국에 유

익하고 손해가 없다 저 눈이 콩만큼 큰 자가 걸핏하면 통상이 중국에 해

가 된다고 하니 어찌 심히 어리석지 않은가rdquo

무역 확대를 지적하고 통상이 유익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예릉현

지에도 同治志에는 풍속이 lsquo安士重遷rsquo하고 상인이 외부 활동하는 자가

적었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고 光緖末에 도자기 夏布 編爆業

이 일어나 융성하여 이에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 넘는다고

하고 있다139) 예릉향토지에도 商旅 왕래가 예전보다 10배라는 서술이

있다140)

장사시의 行業발달 상황을 보면 민국 5년(1916)에서 民國22年(1935)

사이에 식품업은 281⟶2124 사치품은 171⟶1128 복장은 43⟶2028 農

礦은 621⟶1156 洋貨 127⟶233 금융 130⟶164 공예 2121⟶3344 문구

17⟶355 등 비약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141)

135)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 工商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6장 실업

136) 民國30年刊 寧鄕縣志 財用錄 民業

137) 湘報 제13호 1898年 3月 21日

138) 湘報 제162号 1898年 9月 23日

13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40) 民國15年刊 醴陵鄕土志 제6장 실업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4이것은 장사의 생활수준 향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당시에

通商의 확대 주장도 湘報에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142)

이상에서 보면 청말민국기에 대체적인 추세는 好況이었다고 생각된

다 생활 수준의 향상이 눈에 띄고 米価와 물가도 연동되면서 상승하

는 추세였다 米価의 상승이 구매력 수준의 제고가 되기 때문에 米穀

생산 중심지역에 상인들의 行號가 집중되는 것이 보였다143) 임금의

경우에도 호남 汝城縣에서 실질 임금이 유지 또는 상승하는 것을 확인

한 바 있다144) 全漢昇도 1875년부터 1925년까지에 걸쳐 四川 合江현

의 임금과 물가 변동의 추세가 거의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바 있

다145) 앞서 인용한 1931년 中國棉産改進計劃 에도 임금과 일용품 가

격이 함께 오른다고 하고 있어 임금이 물가에 연동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생활 수준 향상을 기록하고 있던 지방지에도 빈부 격차를 암시하는

내용이 있고 物力이 날로 쇠퇴한다든지 하는 기록이 있다 대외 무역

이 적자라 하더라도 차관 원조 뿐 아니라 외국 상인의 진출이 자본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好況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Ⅴ 結 言

이제까지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이후 民國中期인 1936年

까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여 米価와 물가 변동 물가 변동의 원인

141) 張朋園 앞의 책 p387

142) 湘報 44호 中外通商利害論 湘報 67号 論湖南茶務急宜整頓

143)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144)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9 1998)

145) 安本美緖 앞의 책 p2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5물가와 생활 경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米価 변동은 단기 변동에 있어서 전쟁이나 天災 등의 특수한 사정

의 해를 제외하고는 光緖 년간에 비해 민국 중기의 계절 변동폭이 축

소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米価의 계절 변동을 완화 시

켜 주는 雜糧의 재배가 湖南 지역에서는 대부분 同治 년간에 보급 확

대가 되고 있다 교통과 상업 발달 등의 이유로 청말에서 민국기로 갈

수록 계절 변동폭을 축소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변동에서는 長沙府縣의 물가 변동 예릉현 물가 변동 등을 살

펴 볼 때 전체로서는 상승 추세 중에 도광 함풍 시기의 低米価 同治

년간의 高米価 光緖전반의 低米価 光緖後半에서 宣統 년간의 高米価

民國 前期의 高米価 民國 中期의 低米価의 등락을 보이고 있다

民國 中期의 米価는 長沙 8개년 米価 추세에서도 안정속의 상승세

를 보이고 있다 명목상 수치 뿐 아니라 米価의 상대 물가로 보는 실

질 구매력도 宣統 民國元年에까지 급상승하였다가 민국 시기 등락을

거듭하지만 민국25년(1936)까지 광서4년(1878) 대비 유지 또는 상승 추

세였다

物価변동은 개별 상품에 따라 편차가 있고 米価와는 전혀 상이한

궤적을 그리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米価와 연동 관계를 보이

고 있다 1898년 물가의 단기 변동은 이상할 만큼 변동폭이 크지 않다

당시 물가 조사자의 보고가 정확했는지 의심될 정도이다 1935년의 장

사 물가에서 단기 변동을 보면 변동폭이 100이상인 夏布 毛筆 麵粉

棉布등을 비롯하여 50 이상인 오리털 흑연 성냥 국산 전지 등을

비롯하여 40 이상인 비누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기 변동폭

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 이것은 이런 물품들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

성이 크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物価의 장기 변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米価와 대체로 비슷한 궤적

을 보이고 있다 청말에서 민국전기에 걸쳐 물가 상승폭이 두드러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 상승폭이 더욱 크

다 돼지고기 값을 예로 들면 1878년에서 1909년 사이에 273 상승했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6고 1912-1921년 사이에 75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닭은 각 50와 44

상승했다 청말은 31년간의 수치이고 민국 전기는 9년간이니 물가의

상대적 급등을 알 수 있다 1926에서 1936년까지 10년간 돼지 고기 값

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

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

세를 보이고 있다 민국 중기의 米価가 일부 lsquo穀賤rsquo 현상을 보인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음으로 물가 변동의 원인에 대해서는 군벌간의 전쟁이나 정치적

혼란 등 정치 군사적 요인을 제외하고 대체로 검토해 보았다

수요 측면에서는 湖南米의 유통이 호남 내부의 인구 증가에도 불구

하고 양자강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지속된 것이 米価 상승의 한 원

인이었다 上海나 武漢 등의 도시화와 인구집중은 이들 지역 양식 수

요를 폭증시켰다 일부 洋米 수입에도 불구하고 湖南米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으로써 米価를 상승시켰다 또 장사를 비롯한 각지의 새로운 수

공업 산업의 발달로 비농업 인구가 증가하고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유

효수요로 성장하여 米価 상승을 유도하였다 양식의 이출은 해당 지역

인구 식량을 전부 제외한 나머지 잉여가 수출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력

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청말민국기에는 호남의 내부 외부에

서 미곡에 대한 유효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것이 米価 상승의 한 요인

이었다

화폐 문제에 있어 화폐 수량의 증가가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것

은 상식이다 종래 아편전쟁 전후 은의 해외 유출 증가가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을 초래하여 물가 상승과 인민의 빈곤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지방지 등의 史料에서 검토한 결과 은전비가는 도광함풍초의

일시적 상승 후에 함풍 7년 이후는 도리어 하락하고 있다 同治 년간

에 대부분 1兩 1300文 수준에서 안정되고 있다 光緖末宣統년간에도

1600-1700文 수준으로 도광함풍 초보다는 낮은 편이다 청말민국시

기에 화폐의 남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한계를 넘었을 때 시장의 통용

거부로 마침내 중단되고 있다 청말민국기에 외국 銀元의 유입과 국내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7의 銀元 주조 銅元 지폐 외에 鈔票 市票 등 화폐 시장에 투입된 화

폐량은 엄청나게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로서는 어느 정

도 시장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외 교역과 상품량의

증대 경제 활동 인구의 증대 미곡 생산 및 농산품 생산의 증대로 화

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것이 화폐량의 막대한 증가와 유

통속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

었다고 생각된다 즉 안정 속의 물가 상승이 유도된 것이다

공급면에서 보면 대외 교역을 통한 서양 상품의 수입은 전체로서는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물건의 공급 증가를 통해서

혹은 국내 상품과의 경쟁 때문에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었

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침략과 물가 폭등이라는 도식적

견해와 달리 현실에서는 물가 억제 작용도 있었던 것이다

물가와 경기면에서 보면 물가가 비쌀 때 호경기가 많은 것은 사실

이다 그런데 lsquo穀賤rsquo 현상이 불황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서 長沙 지역의 경우를 검토해 보았다 도광함풍 년간까지 lsquo穀賤rsquo현상

과 불경기적 상황에 대한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동치광서 년간에는

米価가 등귀한 시점인데 이 시기는 紅茶業의 번성이나 각종 수공업의

번성으로 好況의 면모가 보이고 있다 민국 시기에는 민국 중기에 lsquo穀

賤rsquo의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史料上에 민국 중기의 lsquo穀賤rsquo은 임금이나

다른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다 물가 상승기와 好況

이 맞물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민국 중기는 lsquo穀賤rsquo 현상과 서로 어긋

나는 것이다 이 시기의 不況 서술은 농촌의 농민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표시이다

생활 수준에 대한 지방지 기록 등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주민들의

洋貨 사용이 보편화되고 의복 음식 주거 등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것

을 지적하고 있다 물가는 상승하였지만 同治 이전에 비하여 분명히

사치품의 소비 증대와 中人의 집도 소비 수준이 제고된 것이 드러나고

있다 민중의 빈곤은 있으나 이 시기 빈부 격차가 커지고 생활 수준의

격차가 커진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5: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93

上白米 石155斤 次白米 石152斤 中米 石150斤

1石価 1斤価 石価 斤価 石価 斤価

-310 3000(文) 1935(文) 2900(文) 1908(文) 2800(文) 1867(文)

311-320

321-331 3005 1938 2902 1912 2800 1867

401-410 3070 1981 2970 1954 2810 1874

411-420 3240 2090 3140 2066 3040 2027

421-430 3450 2226 3350 2204 3250 2167

501-510 3660 2361 3560 2342 3450 2299

511-520 3620 2337 3522 2317 3422 2282

521-531 3630 2342 3530 2322 3430 2287

601-610 3425 2210 3325 2188 3225 2150

611-620 3456 2230 3356 2208 3256 2171

621-630 3500 2258 3400 2237 3300 2200

701-710 3631 2343 3531 2323 3431 2287

711-720 3881 2504 3775 2484 3681 2454

lt表1gt 1898年 長沙 米価 (3月-7月)

lt표1gt과 lt표2gt는 湘報에 수록된 1898년 長沙의 米価 변화를 나

타낸 것이다18)

3月부터 7月까지 약 140일간의 매일 물가 변화를 10일간씩 평균하여

제시한 것이다 米穀 1石의 斤数가 長沙는 〇〇斤이라는 통념은 성립

되기 어려운 것 같다 여기에 제시하지 않은 穀價는 河東穀과 河西穀

으로 나뉘어 1石의 斤数가 서로 다를 뿐 아니라 시기에 따라 수시로 1

石의 斤数가 바뀌고 있다19)

18) 湘報 長沙各物時價表

19) 하동곡은 35-515일까지는 1石=124斤 516-613일까지는 1石=120斤 614-

719일까지는 1石=116斤임 하서곡은 35-327일까지는 1石=100斤 328-411일

까지는 1石=126斤 412-515일까지는 1石 100斤 516-613일까지 1石= 124斤

614-719일까지는 1석=120斤임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94米価도 上白米 次白米 등 품질에 따라 1石의 斤數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lt圖1gt 長沙米價 石文

lt圖1gt은 lt표1gt을 그래프로 바꾼 것이다 이것을 보면 米価는 5월

10일 사이에 가장 높고 6월 10일경에 급락했다가 그 후에 상승하고 있

다 圖1)에서 보면 3月에 낮았던 米価가 4月부터 상승하여 5月 초순에

최고가에 도달하고 5月末의 高価를 거쳐 6월 초순에 급락하고 있다 6

月 중순부터는 다시 상승 궤도를 그리고 있다 6月 초순의 급락은 湘報에 실린 6月 9日 기사와 관련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武漢에서 米

価가 공급 부족으로 갑자기 올랐는데 호남미가 도착하여 산처럼 쌓였

다는 것과 그후 하류지역으로 米穀 放出을 금지하니 米価가 急落하였

다는 사정이 나타나고 있다20) 이 시기는 雜糧의 등장 시기와도 맞물

20) 湘報 光緖 24年 4月21日(6月9日) 米価跌落 ldquo現今湘米到漢 聚積成山 一律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95리고 있지만 6月 중순 이후의 米価 상승을 설명하기는 어렵다 同治9

年-10年의 長沙의 米価 변동은 4⟶5⟶6월은 상승하고 6⟶7⟶8⟶9月은

하락 9 10 11 12 1 2는 평온 2⟶3⟶4는 상승 기조를 보이고 있다

동치 9년-13년의 長沙米価는 2⟶3⟶4⟶5月은 상승하고 5⟶6月은 하락

6⟶7⟶8月은 맹렬 하락 9 10 11 12 1 2월은 평온을 나타내고 있

다21) 同治2年(1863) 長沙府知府 丁宝楨이 마련한 lsquo積穀收放賑借章程rsquo에

의하면 5월 某日에 곡식을 대여하고 8월 某日에 거두어들인다고 되어

있다22)

湖南省 經濟調査所의 조사에 의하면 長沙府 각 縣의 中稻 수확 시

기는 長沙縣의 8월 하순을 비롯하여 대부분 8月 이후이다 早稻도 長

沙縣의 7월 중순을 시작으로 거의 7월 중하순에 집중된다23) 드물게 6

月초에 早穀의 등장을 알리는 기사가 있지만 보편적인 것은 아니었다

고 생각된다24)

湘報의 물가 기록은 매일을 기록 대상으로 하였지만 아쉽게도 7

月 20日까지만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1년 전체의 변동 내용은 알 수

없다 3月에서 7月까지의 변동폭을 보면 上白米는 3月 1石당 3000文에

서 7月 3881文으로 편차는 294 次白米는 3月 2900文에서 7月 3775

文으로 편차는 302 中米는 3月 2800문에서 7月 3681文으로 편차는

315이다 3月에서 7月간의 변동폭은 中米의 315가 가장 크고 전체

로서는 대략 30 내외이다 1月에서 12月까지를 고려하면 이 계절 변

동폭은 이 보다 훨씬 더 클 것이라 생각된다

수확 시기의 다양화와 雜糧 재배의 확대 등은 稻穀 수확의 계절적

차이만으로서는 정형화된 米価의 변동을 확정 짓기 어렵게 하는 요인

이었다고 생각된다 湘報에 실린 동일 해의 사정을 보면 전년의 秋

禁止出運下遊 米商業已停辦 所以米価跌落rdquo

21) 張麗芬 앞의 책 pp244-246

22) 同治10年刊 安化縣志 권33 時事記

23) 張人价 編 湖南の穀米 9 (東京 生活社 1940) pp13-21

24) 同治10年刊 攸縣志 권53 祥異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96收가 평상년이었는데 동년 봄에 곡가가 갑자기 올랐다 곧 다시 평온을

되찾았다고 한다25) 1927년의 湖南 米価가 수확 이전에는 1石당 13元

이었는데 수확 후 5元으로 하락하여 615 변동폭이었다는 보고도 있

다26) 湖南の穀米에 의하면 民國17年(1928)년 이전에는 신뢰성 있는

기록이 드물다고 하면서 민국17년(1928)년 부터 24년(1935)까지 8년간

매 月의 米価 기록을 제시하고 있다27) 그 내용을 보면 민국17년은

520(1月) 827(12月)로 변동폭 590 민국18년은 722(7) 970(12)로

343 민국19년은 719(11) 1264(7)로 758 민국20년은 854(1)

1194(9)로 398 민국21년은 627(12) 1294(2)로 1064 민국22년

(1933)은 522(8) 674(1)로 291 민국23년(1934)은 531(3) 916(9)로

725 민국24년(1935)은 916(12) 1118(6)으로 221의 변동폭을 보이

고 있다 米価 최저 月은 1 7 11 1 12 8 3 12月이고 최고 月은 12

12 7 9 2 1 9 6月로 매우 다양하다

민국17년(1928)은 590로 변동폭이 크다 이 해는 군벌 唐生智의

군대가 양자강을 따라 남하하여 長沙로 향하고 남경 정부는 李宗仁軍

이 북상하여 南北軍이 대결한 전쟁 상황이었다28) 민국19년(1930)은 毛

澤東軍이 7월 27日 長沙를 점령 장사소비에트를 건설한 해 이다 이

해 7月이 최고가를 보이고 변동폭이 758나 된 것은 까닭이 있었던

셈이다 민국21年(1932)은 6월부터 4차 圍剿战이 전개 되었고 7月에는

大풍년이 되었다 변동폭이 1064나 된 것도 원인이 있었다 민국 23

년(1934)은 역시 紅軍과 국민당軍의 국지적 대결이 고조된 시기였는데

725의 변동폭을 보이고 있다29) 이상을 종합해 보면 전쟁 상황과 같

은 특수한 사정의 해를 제외한 평상년에서는 대략 20에서 30대의

변동폭을 보이고 있다 그러면서 米穀 수확 시기와 관련된 정형화된

25) 湘報 89號 長沙縣 職員 常達邦 呈批 ldquo且上年秋收 尙得中稔 本年春間 穀価

偶漲 旋卽平減rdquo

26) 章有義 中国近代農業史資料 제2권 p520

27) 張人价 앞의 책 pp89-96

28)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29) 民國30年刊 寧鄕縣新志 卷1 縣年記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97패턴이 약화되고 있다

앞서 lt표1gt과 lt圖1gt 등에서 본 1898年의 변동폭이 3月rarr7月까지만

의 기간이라 全年 기준으로는 315보다 훨씬 클 것이라는 추론을 해

보았다 그렇다면 민국시기 평상년의 변동폭 20-30는 종전에 비해

감소된 것이 아닐까 생각해 볼 수 있다

계절 변동폭을 줄이는 요인 중 하나는 雜糧 재배의 확대라고 생각

된다 호남 城步縣에서 知縣 盛溢源이 雜糧 재배를 장려하여 米価를

내리려고 했던 것은 同治 년간의 일이다30) 兩湖農業地理를 보면 고

구마 재배 확대를 알리는 府縣志 35개 중에 27곳이 同治 년간 간행 지

방지이다 옥수수는 51개 중에 27곳이 同治 년간 지방지이다31) 호남일

대에서 잡량 재배의 확대는 19세기 후반의 일이다 이것을 보면 18세

기의 米価 계절 변동 보다는 청말민국기의 편차가 적어야 할 것이다

雜糧은 가정의 自給用이거나 지방 소시장의 교역품이라는 통념과 달리

민국시기에는 漢口에 수출되는 장거리 商品糧이 되고 있다32) 다음으

로 洋米 수입 증가를 생각할 수 있다 米価 변동에 洋米 수입 증가가

영향을 주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33) 또 洋米 수입이 거의 3月-6月에

집중되고 특히 4月에 고조되며 7月 이후 國産米의 지속 등장시에는 수

입량이 격감했다는 조사도 있다34) 洋米 수입 증가가 이 시기 米価의

계절 변동폭을 18세기보다는 축소할 수 있는 이유가 된다고 생각된다

청말민국기에는 철도 輪船 등 수송수단의 발달 시장과 상업의 발달

로 상인의 능력은 강화되었다고 여겨진다 추수기에 상인이 대량 매입

을 하고 端境期에 비싸게 팔려고 하는 것은 상인 개인을 위한 이윤 추

구 활동이다 米価의 계절 편차는 곧 바로 전부 상인의 이익은 아니다

30) 李文治 中国近代農業史資料 권1 p538

31) 龔勝生 앞의 책 pp143-145 pp135-137

32)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33) 徐正元 中国近代農産品化的發展與米市的 形成 (復印經濟史 1997年 3期)

34) 呂紹理 近代廣東與東南亞的米糧貿易(1866-1931) (政治大歷史學報 12

1995)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98매입가에 보관비용 손실비용 금융비용 등 부대비용을 제외한 것이 이

윤 범위이다 상인의 買占 행위는 넓게 보아서는 미곡의 수급관계 조

절 작용이라고 볼 수도 있다 따라서 정치 군사적 이유나 특별한 天災

상황이 아니라면 米価의 계절 변동폭은 18세기보다 근현대에 축소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여겨진다

2) 장기 추세

淸代 米價는 장기 추세에서 상승세인데 그 가운데 17세기 후반 19

세기 24분기 19세기 780년대 3회의 低落期가 있다는 조사가 있

다35) 19세기 전반 특히 24분기에는 일반적으로 극심한 디플레이션

시기여서 급격한 하강 국면이고 太平天國 시기는 급격한 요동이 뒤따

른다 1875에서 1911년까지는 가장 인플레이션이 심한 단계로 그 중

1875-85년 사이는 안정속의 상승이고 그 후 혁명전야까지 지속 상승

추세라는 파악도 있다36)

18세기 乾隆년간(1736-1795)에도 蘇州의 米価가 60년간 세 배 상승

했다는 조사도 있는데37) 비슷한 기간 長沙府 湘陰縣도 300 상승한

것으로 되어있다38) 18세기 전후 약 100년간 가격 수준이 300 상승

했다는 당시인의 인식도 있다39)

同治 이후에 제국주의 침략이 날로 강화되고 淸代 경제가 쇠퇴하였

으며 물가 상승폭이 날로 커졌다는 인식40)이 있지만 18세기 물가 상승

을 고려하면 제국주의 침략과 상관없이 물가 상승이 지속되었던 것을

알 수 있다

35) 岸本美緖 앞의 책 p17

36) Yeh-chien Wang Secular Trends of Rice in the Yanzi Delta 1638-1935(California Univ Press 1992)

37) 위의 논문

38) E S Rawski Agricultural Change and the Peasant Economy of SouthChina (Harvard Univ Press 1972)

39) 郭成康 18世紀中國物價問題和政府對策 (淸史硏究 96-1)40) 譚文熙 앞의 책 p25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99민국시기에는 1920년대까지 米価가 지속 상승하고 인플레이션이 심

해 매년 33 비율로 상승했다는 조사가 있다41) 민국 전기는 비교적

안정 속의 상승세이고 민국 중기는 역시 기본상 상승이지만 1932-35

년 사이는 하강하고 있다는 견해도 있다42)

湖南 내부 각 지역의 米価도 상호간에 긴말한 연동 관계를 보이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고43) 上海와 長沙 사이에도 고도 상관있는 것이

파악된 바 있다 그러나 공간을 달리 하면 도량형이나 화폐 종류 등의

차이로 정확한 변화를 파악하기 어렵다 되도록 좁은 범위의 지역을

연구 대상으로 할 때 상대적인 정밀도가 높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래

서 本考에서 長沙縣을 중심으로 같은 長沙府 내의 몇 개 縣을 관찰하

여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 이후 民國中期인 1936년까지를 주

대상으로 物価 변동을 살펴보려 한다

兩湖農業地理에서는 湖南 湖北의 米価를 세부 지역 구분 없이 종

합하고 있는데 例示 가격의 시기 역시 일정하지 않다 따라서 정밀성

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lt표2gt와 lt표3gt은 長沙府 醴陵縣志에기재된 것으로 해당 지역 상인의 장부와 縣商會 조직에 의한 기록을

토대로 한 것이다44) 당시인의 물가 변동에 대한 인식이라 비교적 정

확하다고 생각된다 같은 長沙府 寧鄕縣에서도 光緖7年 穀価가 1石당

600文이라는 기록이 있는데 lt표2gt의 예릉현 광서4년(1878) 기록과 근

접하고 있다45) 長沙를 중심 시장으로 하여 같은 府內의 시장 통합성

이 큰 것은 이미 확인한 바 있다46)

41) Yeh-chien Wang 앞의 논문

42) 譚文熙 앞의 책 p302 p356

43)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物価

44)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45)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46) 張麗芬 앞의 책 p197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0

시기 단위 가격(文) 米価

광서4년(1878) 石 680 1360

광서14년(1888) 780 1560

광서19년(1893) 680 1360

선통원년(1909) 2000 4000

민국원년(1912) 2800 5600

민국5년(1916) 2800 5600

민국10년(1921) 3800 7600

lt表2gt 醴陵縣 穀価(a)(私家數簿에 의함)

lt圖2gt 醴陵縣 穀價(a) 石文

-附記 前淸通行制錢文으로써 단위 민국초년에는 비록 銅元을 사용하나 관습상 1銅

元은 10文에 해당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1

시기 단위 가격(元) 米価

민국15년(1926) 石 160 32

민국20년(1931) 240 48

민국25년(1936) 250 50

민국27년(1938) 280 56

민국28년(1939) 500 100

민국29년(1940) 800 160

민국30년(1941) 3000

-lt表2gt lt表3gt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物価

lt表3gt醴陵縣 穀価(b)(縣商會 조사)

lt圖3gt 醴陵縣 穀價 石元

lt표2gt와 lt圖2gt를 보면 長沙府의 米価는 光緖4년(1878)부터 광서19

년까지 비교적 낮은 채로 있다가 그 이후 급등하여 청말에서 민국 전

기 까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lt표3gt과 lt圖3gt을 보면 민국 15년

(1926)에서 민국 27년(1938)까지 비교적 안정속의 상승세를 보이다가

그 후에 급등하고 있다 本考에서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는 것은 민국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2

時期 銀価(兩石) 錢価(文石) 出典

道光 16年(1836) 10 1400 民國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Prime 25年(1845) 05 1000同治長沙縣志 권33

祥異 光緖善化縣志 咸豊元年(1851) 08 1600 民國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함풍 3年(1853) 05 1000 同治湘鄕縣志 권5 祥異함풍 6年(1856) 07-08 1400-1600 同治安化縣志 권34 五行

同治元年(1862) 308 4000 同治瀏陽縣志 권14 祥異

同治 9年(1870) 296-370 4000-5000 Prime

光緖 7년(1881) 08-266 1200(4000) 民國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光緖年間 125-188 2000-3000 長沙日報 宣統2年2月

선통32年(1906) 25 4000 Prime

선통 2年(1910) 412 7000 Prime

長沙日報는 兩湖農業地理 p274에서 再引用

lt表4gt 長沙府 縣志等 米価 기록

중기인 1936년까지이다 항일 전쟁 발발과 國共 대립 등으로 극도의

혼란기인 민국후기는 특히 경제면에서 역사적 실체를 파악하기가 매우

어렵다

lt표4gt는 주로 長沙府 내의 縣志를 이용하여 米価를 정리한 것이다

흉년시의 특별한 가격이 아니라 평상년 가격 위주로 작성한 것이다

풍년시의 가격도 있으나 수년간 풍년이 지속되었다면 常年 가격에 준

한다고 생각된다 함풍3년(1853)의 米価는 兩湖南農業地理에 인용된

曾國藩 上奏시의 米価와 동일하다 같은 자료를 더 이용하면 함풍7년

(1857)에는 駱文忠公遺集 1石당 3200-3500文의 기사가 있다 역시

曾國藩의 上奏文에 同治2年은 1石당 30兩인데 당시의 銀錢比価로 환

산하면 3900文이므로 lt표4gt上 동치 元年 4000文과 거의 유사하다 同

治7년(1868)은 李瀚章의 上奏文에 4000文 전후로 되어있어 표의 내용

과 거의 일치한다 이것들을 짜 맞추어 보면 위 지방지 기록이 상당한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3

lt圖4gt 長沙의 米価 변동

bull광서4년 14년 19년은 예릉현지 물가표 기재 이용

bull광서7년은 민국 영향현지 기록 가을 이전의 평상 가격 이용

bull광서32년은 水災시의 가격

예릉현 물가표상의 광서 기록을 보충하여 수정한 결과

신뢰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표4)의 내용에 長沙府 醴陵縣志의 물가

표상 광서4년 14년 19년을 포함하여 구성해 본 것이 lt圖4gt이다

이것을 종합하여 보면 도광 16년(1836) 이후 함풍6년(1856)까지는

비교적 저렴한 米価가 유지되다가 함풍7년(1857)이후 米価가 급등한

것으로 생각 된다 동치 년간은 동치원년(1862) 4000文에서 동치2년

3900文 동치7년 4000文전후 동치9년 4000-5000文으로 계속 高米価가

유지된 시기였다 그런데 銀錢比値는 동치2년 1300文 동치 7년

1300-1400文으로 도광말 함풍초보다 오히려 안정되어 있다 淸末 이

지역의 지방지를 검토하면 거의 모두 嘉慶 이전은 米価를 銀兩으로 표

시하다가 道光 이후는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도광 이후 淸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4末은 米価도 錢文価가 실제 시장 가치를 잘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

다 동치 년간 상당히 高米価가 유지되었지만 道光末咸豊初와 같은 lsquo銀

貴錢賤rsquo 현상은 보이지 않기 때문에 米価 상승이 농민에게 어느 정도

유리했다 여겨진다 lt圖4gt를 보면 光緖 전반에는 米価가 상대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光緖19年(1893)까지는 하락 안정세를 보이다가 그 후에

급등하고 있다 호남성 수확기의 中米 가격 조사에서도 비슷한 경향이

보인다47) 中米 가격도 광서22년(1896)부터 대체로 상승추세인데 광서

34년(1908)에 급등하고 있다 앞서 彭信威가 연구한 江浙 米価 변동에

19세기 24분기와 19세기 780년대가 米価低落期에 해당된다고 하는

데48) 이것과 유사한 면을 가지면서 약간의 편차가 있다 즉 동치 년간

(1862-74) 70년대 전반까지는 대체로 高米価가 유지되었고 光緖 전반

의 하락은 90년대 전반까지인 것으로 생각되는 것이다 淸末 上海의

米価 조사도 1862-71(213) 1872-81(128) 1882-91(142) 1892-1901

(207)로 되어 있어 위 호남 長沙의 米価 변동과 비슷한 궤적을 그리고

있다49)

lt표1gt에 제시된 광서 24년(1898)의 長沙 米価도 3000文-4000文 사

이에 형성되어 상당한 高米価이다 같은 湘報에 실린 내용에 岳州에

집결된 湖南米가 漢口에 운송 판매되는데 米価는 3700-800文 또는 4천

수백文에 이른다고 되어 있다50) 대략 光緖20年(1894) 이후부터 淸末까

지 高米価가 지속되었다고 생각된다 松江府續志의 기록을 이용하여

光緖年間 低米価와 그로 인한 장기 不況이라는 해석은 長沙府 일대에

서는 드러나지 않는다51) 低米価는 光緖年間 전체는 아니고 光緖

(1875-1908) 년간의 거의 전반에 해당하는 1893년 이전의 일로 생각된

다 후반에서 淸末까지는 急騰에 가까운 高米価의 변동을 보여주고 있

47) 岸本美緖 앞의 책 p19

48) 同上 p443

49) 湘報 76號 p67650) 李文治 中国近代農業史資料 제1집 p561 岸本美緖의 해석 앞의 책

pp442-443

51) 張人价 앞의 책 pp93-9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5

機米 河米 糯米 총 평균

가격 지수 가격 지수 가격 지수 가격 지수

1928 652 7564 503 7065 805 9015 653 7944

1929 862 10000 712 10000 893 10000 822 10000

1930 1003 11636 862 12107 1037 11613 967 11764

1931 1002 11624 845 11868 1020 11422 956 11630

1932 1008 11694 817 11475 947 10605 924 11241

1933 594 6868 504 7079 757 8477 618 7525

1934 671 7784 590 8287 812 9093 691 8406

1935 1004 11647 810 11376 1012 11333 942 11460

lt表5gt 長沙의 米価(石元)

예릉현 물가표를 보면 民國 시기에도 대체로 안정속의 상승세가 지

속된다 청말에서 1921년까지 米価가 급등한 것으로 보이지만 1926년

에서 1936년까지는 안정 속 상승의 추세이다 兩圖 사이에는 가격 단

위의 차이가 있어 직접 접속은 곤란하지만 흐름은 그렇다고 여겨진다

호남성경제조사소 의 조사에 근거한 민국17년(1928)부터 민국24년

(1935)까지의 8년간 米価 기록을 제시한 것이 lt표5gt이다52)

이것을 보면 등락은 있지만 비교적 米価가 안정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上海의 米価도 1912-1928년 사이 407 상승하였는데 1921-1928년

사이에는 154 상승하였다53) 호남성의 米価는 宣統2年-民國元年 3개

년 평균가와 민국 21-23년 3개년 평균가를 비교했을 때 86 상승이라

는 조사도 있다54) 대체로 淸末에서 民國 전기까지는 가격이 급등하고

민국 중기에는 안정 속의 상승이 추세였다고 생각된다

호남성 汝城縣의 물가변동을 보면 우선 지방지 편찬자의 시기 구분

52) 徐正元 上海近代稻米市場価格變動分析 (中國經濟史硏究 1996年 2期)

53) 張人价 앞의 책 p87

54)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 91998)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6

1898年 1935年

소금 56文斤 57斤

洋油 50文斤 64斤

돼지고기 105文斤 30斤 015-020元斤 25-33斤

鷄育 123文斤 26斤

羊肉 117文斤 27斤

茶油 100文斤 32斤 019-024斤 21-26斤 瀏陽가격

면화(中棉) 217文斤 15斤 03-05斤 10-17斤 湘陰 Prime

1898年 中米1石価 (湘報소재 1石 3193文 적용)

1935年 長沙米価 民國25年 刊 通郵地方物産誌 湖南의 長沙靖港米価(担40-60元

의 중간 값 이용) 1石은 1担보다 크므로 실제 米価는 이보다 높을 것임

이 의미있다고 생각된다 同治丁卯志 편찬 이후부터라고 명시하고 있

는데 丁卯年은 同治6년(1867)이다 이후부터 민국21년(1932)까지를 세

시기로 구분한다55) 同光 시기 光宣 시기 民國 시기이다 즉 동치 후

반에서 광서 전반 광서 후반에서 선통 년간이니 광서 후반부터 물가

상승이 컸던 것을 반영한다고 여겨진다 여성현 물가표상 米価 변동을

단순 비교하면 지수는 100 200 400으로 변한다 1930년대 전반의 米

価는 동치 후기에 비하여 약 65년만에 300 상승한 것이다 이것을

신뢰하더라도 앞서 18세기 전후 백년간 물가가 300 상승하였다는 당

시인의 인식과 상승률은 거의 비슷하다56) 장사부 상음현에서도 18세

기 중후반 67년간 米価가 300 상승한 바 있다 예릉현 물가 표상

1878년에서 1921년까지는 米価는 약 458 상승하였지만 1926년에서

1936년까지 10년간은 약 563 상승에 그쳤다 민국 중기는 비교적 안

정속의 상승을 보여 주고 있다 lt표5gt에 제시된 長沙 機米의 8년간

가격도 54 정도 상승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미가의 명목 수치상 등

락을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질 가치를 알아보려면 상대 물가 즉

米1石価의 구매력이 얼마인지를 보아야 한다

lt表6gt 長沙 中米 1石価의 구매력 변동

55) 郭成康 앞의 논문

56) 張麗芬 앞의 책 p270 각주7)에 보면 호남성 1担価는 140-150斤 1898年 長

沙 米価는 1石당 150-155斤임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7

1935년의 長沙 米価는 通郵地方物産誌의 長沙 靖港의 米 1担価를

이용하였다 실제 石은 担보다 크므로 米価는 여기서 잡은 5元을 상회

할 것이라 생각된다57) 같은 자료의 물가를 이용하여 제시한 lt표6gt을

보면 돼지고기 값은 1898년의 30斤에서 1935년은 25-35斤 사이이다

그 범위 안에 있는 것을 보면 米価의 실질 구매력은 유지되고 있다

茶油는 다소 하락하였지만 면화도 유지 또는 상승이라 볼 수 있다

예릉현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돼지고기는 상승 추세 속에 일

부 하락년이 있다 선통 원년과 민국 원년에 수치가 상승한 것은 米価

의 폭등이 기타 물가를 크게 앞지른 것으로 여겨진다 민국 중기에 약

간 하락하였지만 1935년의 돼지고기 구매력은 광서4년(1878)에 비해

67정도 상승하고 있다 茶油의 경우도 민국 10년(1921)까지 米의 상

대 구매력이 대폭 상승하고 있다 이것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米価 변

동을 통해 농민 소득이 하강했다고 여겨지지 않는다

광서4년1878

광서14년1888

광서19년1893

선통원년1909

민국원년1912

민국5년1916

민국10년1921

민국15년1926

민국20년1931

민국25년1936

猪肉 15斤 25斤 22斤 36斤 35斤 23斤 27斤 16斤 28斤 25斤

草魚 34斤 39斤 38斤 57斤 62斤 35斤 - 20斤 32斤 33斤

茶油 12斤 23斤 25斤 27斤 - - 25斤 - ① -

鹽 23斤 26斤 22斤 33斤 62斤 - 42斤

棉花 7斤 16斤 5斤 - - - - - ②

洋紗 - - - - - - - ③

煤油 - - - - - - - 15병 2병 11병

雞 17斤 22斤 20斤 33斤 22斤 19斤 21斤 - - -

史料上 穀価를 lsquo1米2穀rsquo의 원칙에 따라 米価로 환산하였음① 민국 15년(1926)부터는 茶油의 단위가 石으로 되어 있어 비교 곤란② Prime 棉花의 단위가 石으로 되어 있어 비교 곤란③ Prime 羊紗의 단위가 件으로 되어 있어 이해 곤란

lt表7gt 醴陵縣 米価의 물품구매력 변동추세(米1石의 구매력)

57) 刘泱泱 湖南通史 近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p487-488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8

품목

시기

단위

同光

(1870-1890)

光宣

(1890-1911)

民國

(1912-1932)

肉 斤 188 188 175

鹽 斤 60 75 636

洋紗 捆 100 100同光시기洋紗통행안함

土布 尺 100 120 140

洋油 甁 20 10同光시기

洋油 未 盛行

茶油 斤 188 188 175

桐油 斤 214 200 194

柴 750 875

同治丁卯志(1867)편찬 이후라 되어 있어 대략 70년부터 잡은 것이다

lt表8gt 湖南 汝城縣의 穀1石価의 구매력 변동

호남 汝城縣의 穀1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고기는 光宣 시기에

유지되다가 민국 시기에 약간 하락하였으나 근소한 수치이다 鹽의 구

매력은 光宣 시기에 대폭 올랐다가 民國 시기에 하락하였으나 同光 시

기 보다는 높은 수치이다 洋紗에 대한 구매력은 光宣 시기에서 民國

시기에도 계속 유지되고 있다 茶油는 고기와 같은 변화이다 土布에

대해서는 구매력이 계속 증가한다 洋油에 대해서는 民國 시기에 구매

력 감소를 보이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호남의 대외무역은 외국의 공

업품과 농부산품 원료를 교환하는 것인데 고가의 공업품 대신 강제

저가의 수단으로 호남의 농산품을 약탈한다는 견해58)는 약간의 재검

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공업 상품 가격의 翦刀差에 대해서도 洋紗

의 경우를 보면 나타나지 않고 있다59)

이상을 종합하면 同治年間의 高米価 光緖前半(1875-1891)까지의 상

대적 低米価 光緖後半-宣統까지의 高米価 급등 民國前期의 계속 상승

58) 李金錚 二十年來 中國 近代 鄕村 經濟史的 新探索 (歷史硏究 2003年 4

期)

59) 譚文熙 앞의 책 pp298-299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9

品目 洋麵 淮鹽 茶油 桐油 洋油 猪肉 雞 鴨 烟煤 柴煤

단위시기

包 斤 100斤 100斤箱2桶(50斤)

斤 斤 斤 100斤 衡斗

31-310 26兩 56文 73兩 19兩 104文 112文 88文 320文 24文

311-320 26兩 Prime 73 19 104文 128文 88文 320文 24文

321-331 26兩 Prime 73 625兩 189 108文 128文 88文 320文 252

41-410 26兩 Prime 728 628 186 320文 240

411-420 27兩 Prime 728 626 183 254 228

421-430 29兩 Prime 72 616 181 314 260

51-510 293兩 Prime 711 606 178 310 240

511-520 274 Prime 71 60 183 314 240

521-531 26 Prime 71 60 185 314 229

61-610 26 Prime 699 60 185 299 219

611-620 231 Prime 734 61 184 320 255

621-630 22 Prime 754 62 183 311 254

71-710 22 Prime 774 649 183 310 250

711-719 218 Prime 768 631 181 318 265

면화는 上棉 中棉 下棉의 가격이 제시되고 있으나 여기서 생략함

lt表9gt 1898年 3-7月間 長沙物価

民國中期(1926-1936)까지 안정이라는 米価 변동의 궤적을 확인할 수

있고 그 기간 동안 米価의 실질 구매력은 유지 또는 상승이 대체적 추

세였다 생각된다

2 物價 변동

1) 단기 변동

湘報에 수록된 光緖24년(1898)의 長沙 물가 변동을 표시한 것이

lt表9gt와 lt圖5gt이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0

品目 단위 최고가 최저가 시기 유통량 행선지

鴨絨 斤 500 300 冬 上海 北平 天津 南京

일반적으로 米価와 物価는 상호 연동적이라 생각되지만 여기서 물

가의 단기 변동은 米価와는 다소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대체로

등락 폭이 크지 않다 洋油 洋麵 桐油 등의 변동폭이 크지 않다 면화

만 4월 10일 20일 사이에 상승이 있지만 5월부터는 하락하고 있다

淮鹽 가격은 斤당 56文으로 3月에서 7월 사이에 전혀 변동이 없다

長沙지역은 원래 淮鹽 관할 구역이었으나 太平天國 시기에 교통 두절

로 川鹽 소비지역이 되었다 太平天國후 曾國藩이 이 지역을 淮鹽 소

비지역으로 회복하기 위해 여러 가지 개혁 조치를 행하고 督銷局에서

가격을 核定하여 고시하는 牌價 제도를 시행한 바 있다 일종의 통제

가격제도에 의해 가격 상승이 억제되고 있었던 것이다 直隷의 景縣의

소금 값은 1890년에 斤당 46文 1900년에 斤당 68文이라는 조사도 있

다60) 長寧縣에서는 光緖29年(1903)에 鹽価가 斤당 55文이라는 보고도

있는데 이것은 長沙 1898年의 鹽価와 유사하다61)

戰亂後에 淸朝정부의 淮鹽 소비지 회복 정책에도 불구하고 四川鹽

이 계속 私鹽으로 침투하였기 때문에 長沙의 淮鹽価를 저렴한 통제 가

격下에 두고 있었다고 생각 된다62) 圖6)에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柴煤

는 米価와 같이 5月10日에 최고가에 가깝고 6월10일에 하락하고 그후

에 상승하고 있다 烟煤의 경우에도 비슷한 궤적을 그리고 있다 이것

은 米価와의 연동관계가 비교적 분명하다

1935년의 長沙 物価의 단기 변동 폭을 알 수 있는 것이 lt표10gt이

lt表10gt 長沙物価 通郵地方物産志

60) 李文治 앞의 책 p562

61) 譚文熙 앞의 책 p267-268

62) 佐伯富 中國史硏究 第1卷 (京都 同朋舍 1978) pp340-36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1

黑鉛 石 2200 1300 全年 50000石 漢口上海

棉紗 件 22000 1800 Prime 24000件 本省

棉布 疋 120 150() Prime 1000000 漢口

麵粉 袋 50 250 Prime 140000 Prime

線襪 雙 106 Prime 6000000 本省

毛呢鞋 Prime 200 180 Prime 400000 Prime

夏布 疋 1000 200 夏 20000 上海漢口

火柴 箱 500 300 全年 10000 本省

刺繡 Prime國內및外洋

매년 産量 약50만元

玻璃器 件 300 200 Prime 9000 本省

肥皀 箱 70 50 Prime 30000 Prime

絲綿三角 兩 040 020 Prime 40000 Prime

國貨電池 打 060 040 Prime 200000 Prime

猪 斤 020 015 Prime 50000只 漢口上海

豬毛 担 6000 5000 Prime 4000kg Prime

粗窑器 卡 350 250 Prime 100000套 長江연안

毛筆 支 050 020 Prime 本省 및 황하 각성

여기서 보면 변동폭이 100 이상인 것은 면포 夏布 絲線三角 毛

筆 麵粉 등이다 또 50 이상인 것은 鴨絨(가공오리털) 667 흑연

692 火柴(성냥) 667 玻璃器(유리그릇) 50 국산 電池 50 등이

다 비누는 40 粗窰器는 40이다 棉沙 222 毛呢鞋는 111 돼

지 333이다 단기 변동 폭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고 생각된다 이

것은 이런 물품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성이 크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그런데 1898年의 경우는 茶油 洋油 등 물품의 가격 변동폭이 적은 것

은 무엇 때문일까 어쩌면 당시의 시장 가격 조사가 부정확했는지도

알 수 없다

1935年의 물가에서 綿沙의 변동폭이 적은 것은 당시 항상적인 수요

가 있었기 때문이 아닐까 비누의 변동폭도 40로 비교적 적은데 생

필품으로 수요가 지속 증대된 까닭이 아닐까 한다 通郵地方物産誌에 기재된 醴陵縣 夏布 가격은 40元-100元 사이인데 民國醴陵縣志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2

圖5) 1898年 3月-7月 長沙物價

의 物価表上에는 70元(1938)이라 되어 있다 物産誌 가격은 1935年

의 것인데 예릉현지의 가격이 그 범위 안에 있어 서로 다른 자료간에

부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63) 物産誌 上 相潭株洲의 茶油 값

매 石 160-240元(1935)은 예릉현지 물가표의 민국 20년(1931) 茶油 매

石 240元과 일치하고 있다 표12)에 1936年 煤油 값은 병당 44元이다

그런데 民國 安鄕縣志에서도 1934년 煤油 값은 병당 38元으로 되어

있어 兩者 사이에 유사성을 보여주고 있다64) 그러므로 醴陵縣志 物価의 종적 비교도 신뢰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洋麵은 包당 가격

茶油桐油洋油는 100斤당 가격

棉花 100斤당 가격

2) 장기 변동

長沙의 물가 변동을 보려면 湘報 수록의 광서 24年(1898) 물가와

63) 交通部郵政總局 編 中國通郵地方物産誌 (華世出版 1988)

64) 民國 安鄕縣志 卷11 食貨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3

품명 단위광서4년

(1878)

광서14년

(1888)

광서19년

(1893)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

(1912)

민국5년

(1916)

민국10년

(1921)

豬肉 斤 88文 63 62 112 160 240 280

雞 斤 80 72 68 120 250 300 360

lt表12gt 醴陵縣 物価表 (b) (商会조사)

품명 단위민국15년(1926)

민국20년(1931)

민국25년(1936)

민국27년(1938)

민국28년(1939)

민국29년(1940)

민국30년(1941)

猪肉 百斤 200원 170 200 360 400 561 1300

草魚 Prime 160 150 150

茶油 石 240 290 560 760 2000

鹽 石 120 140 150 160 2000

洋紗 件 2200 2200 2400 2000 2500 1500

土布 匹 27 70

夏布 Prime 70 70 140

竹布 Prime 100 100 8000

棉花 石 20 25 40 100 200 400

煤炭 石 020 030 040 050 230 70

煤油 甁 220 240 440 90 300 460 200

毛邊紙 石 198 432 1200

黑靛粉 桶10斤 100 200 1500 2000

赤金 兩 50 70 80 90 500 560 1600

lt表11gt 醴陵縣 物価表 (a)(私家數簿에 의한 것)

民國24年(1935)의 通郵地方物産誌 기록을 직접 비교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양 자료 사이에 화폐와 단위가 서로 달라 직접 비교할 수가 없

다 그래서 당시인의 물가 변동 기록인 長沙府 醴陵縣 物価表를 이용

하는 것이 파악 방법이 될 것이다

lt표11gt lt표12gt 와 lt圖6gt lt圖7gt을 보면 개별 물품에 따라 차이

는 있지만 대체적인 흐름은 米価 변동과 유사한 궤적을 보여주고 있

다 즉 光緖 前半에 비교적 안정적이다가 光緖 후반부터 급상승하여

민국 전기까지 상승하고 있다 1926년부터 1936년까지는 가격 안정세

를 보여 주고 있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4

雞蛋 個 2 2 3 4 10 15 20

草魚 斤 40 40 36 70 90 160

茶油 斤 116 69 54 150 300

鹽 斤 60 60 63 120 90 180

煤 石 50 120 50

苧麻 斤 270 99 170

棉花 斤 200 96 280

竹布 尺 70 62 60 60 90

靑洋布 尺 55 50 50 70

白蓮紙 刀 40 82 80 100

-附記 前淸 통행 制錢文으로써 단위 민국 초년에는 비록 銅元을 단위 사용하나 관습상 매 1銅元은 錢10文에 해당

圖6) 醴陵縣 物価 (a)

① 豬肉 斤당 가격 ② 雞肉 斤당 가격 ③ 茶油 斤당 가격

④ 鹽 斤당 가격 ⑤ 棉花 斤당 가격 ⑥ 草魚 斤당 가격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5

圖7) 醴陵縣 物価(b)

① 猪肉 百斤당 가격 元 ② 草魚 百斤당 가격 元 ③ 茶油 石당 가격 元

④ 鹽 石당 가격 元 ⑤ 洋紗 件당 가격 元 ⑥ 棉花 石당 가격 元

⑦ 煤油 甁당 가격 元

米価가 物価와 연동되는 것에 대해서 江都縣史料를 보면 ldquo産米 구역

에서 年末에 米価가 상승하니 百物이 昻貴했다rdquo65)라고 되어 있다 湖

南지역 米価 연구 자료에도 米価 추세는 거의 물가 수준과 같다는 주

장이 있다66)

光緖末宣統年間의 물가 상승을 나타내는 史料를 보면 다음과 같다

이제 각종 惡政의 결과로 百物의 騰貴를 초래했는데 小民의 日用 수요

65) 李文治 앞의 책 p470 ldquo江都爲産米區域 年末米価騰踊 百物因以昻貴rdquo

66) 張麗芬 앞의 책 p22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6음식은 그 가격이 십년 전에 비해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과 居室 器用

蔬饌의 비용 牛種糞漑의 비용도 예전 보다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도 비록

동일 비례로 함께 올랐으나 이미 넉넉하지 못해 괴롭다67)

이것을 보면 米価와 物価가 연동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청말

특히 光緖 후반 이후에 각종 物価가 두 배 올랐다는 사정을 알 수 있

다 上海의 物価도 같은 시기에 상승하고 있다68)

lt표11gt lt표12gt와 lt圖67gt을 검토해 보면 돼지고기 값은 광서 14

년 광서 19년까지는 다소 하락세를 보이다가 宣統원년(1909)부터 급격

히 상승하고 있다 민국원년(1912)의 가격은 160文으로 1878年의 88文

에 비해 거의 두 배에 해당한다 위에 인용한 宣統 2年 8月 國風報의 물가 두 배 인상과 정확하게 부합되고 있다 민국 전기인 1926년까

지 계속 상승하고 있지만 1926년에서 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이고 있

돼지고기 값은 1878년-1909년 사이 273 상승했고 1912-1921년 사

이에 75 상승했다 닭은 각기 50와 44 상승했다 계란은 100

100 상승이었다 淸末 비교 시기는 31년간인데 비해 민국 전기는 9

년간에 불과하다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가 급등한 것은 충분히

알 수 있다 1926년에서 1936년 10년간 돼지 값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거의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이었다

民國 醴陵縣志에도 ldquo辛亥혁명이전에는 물가가 심한 등락이 없었는

데 민국 후에 들어와서 차츰 상승했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69) 圖6)을 보

면 닭고기도 비슷한 궤적을 보이고 있다 草魚의 경우도 청말 민국전

기는 상승이 주요 동선이고 민국 중기(1926-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

67) 國風報 第1年 21期 宣統 2年 8月 (李文治 앞의 책 p561) ldquo今也以種種惡

政之結果 以致百物騰踊 小民日用 飮食所需 其価皆視十年前兩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居

室器用蔬饌之費 牛種糞漑之費兩倍于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雖以同一比例以俱騰 旣苦不

給矣rdquo

68) 岸本美緖 앞의 책 p443

6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物價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7이고 있다 譚文熙 物価史에는 민국 전기는 안정속의 상승세로 민국

중기는 파동속의 상승으로 정리를 하고 있는데 여기와는 약간의 차이

를 보이고 있다70) lt표11gt과 lt표12gt 사이의 화폐 단위 차이로 인한

연속적 파악에 다소 어려움이 있으나 대체의 추세는 짐작할 수 있다

또 품목에 따라 공란이 있어 연결 관계가 애매한 부분이 있다 1936년

이후는 중일 전쟁의 혼란과 불환지폐의 강제 통용 등의 사정으로 本考

에서는 분석 대상 범위에서 제외 하고자 한다

Ⅱ 物價 변동의 원인

1 수요 측면

米価와 物價가 상호 연동관계에 있고 넓은 의미에서는 米価도 물가

의 일부이다 米価 및 물가의 상승은 우선 수요의 증가에 원인이 있다

고 할 것이다 수요증가는 일반으로 인구 증가이다 湖南의 인구는 嘉

慶21年(1816) 18754259명에서 1898年 21174000명으로 다시 民國17년

(1928)에는 31501212人으로 비약적 성장을 하였다71) 약 110년 동안

인구가 1300만 가까이 증가하였고 비율로는 679가 증가하였다 長沙

府의 인구도 가경 25년(1820)에서는 4290086명이었는데 민국23년

(1934)에는 8421330명으로 약 400만명 이상 증가하여 963 상승을

보이고 있다72)

인구의 증가가 수요 증대를 초래하는 일반 요인이지만 湖南의 米穀

移出이 해당 지역 민중의 식량을 제외하고 남는 잉여 米만은 아니다

70) 譚文熙 앞의 책 pp302-307 여기서는 민국 전기는 1912-1927년 민국 중기

는 1927-1937년으로 구분하고 있다

71) 湖南省志 地理志 (長沙 湖南人民出版社 1982) pp230-238

72)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8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의 증대가 더 중요한 요인일 것이다 淸末에

와서 새로운 생업을 통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가 많이 증가하고

있는데 醴陵縣 사례를 한번 검토해 보겠다 史料는 다음과 같다73)

同治志에 이르기를 醴陵의 풍속은 lsquo安土重遷rsquo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상인이 外地에 나

가 장사하는 이가 적었다 배를 이용하여 외부 상업을 하는 것은 淥口 부

근의 米穀商일 뿐이었다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邑人들이 茶제조로 武漢에 판매하는 자가

이익이 배가 되었다 이때부터 龍門일대에 매양 봄에 茶를 제조하고 가리

는 廠이 항상 수십이었다 光緖末年에는 도자기업 夏布 編爆이 일어나서

대신하였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이를 믿고 생계를 삼는자가 무려 십만인이다

同治志 편찬 단계만 해도 사람들이 토착 안주하여 멀리 이동하는

것을 어렵게 여겼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큰 이익을 보고 그

후 도자 기업 夏布 編爆 제조에 종사하여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나 되었다는 것이다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의 성장을

보여주는 것이다 長沙의 빠른 도시화도 주목된다 長沙日報에 실린

내용을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74)

光緖32년(1906)에 火災 조사시에 城廂 내외가 매일 식량으로 穀 5000

石이 필요하였다 지금 교통이 편리하고 상인 旅客이 배로 증가하였으니

매일 마땅히 1-2000石을 더해야 한다(宣統 2年(1910) 2月 17日 長沙日

報)이것을 보면 光緖32년(1906)에서 宣統2년(1910)은 불과 5년이 채 되

지 않는데 상인 집단이 배로 증가하였다니 城內外의 유동인구 급증을

짐작할 수 있다 長沙城의 인구는 1916年에 177882人이었고 1931年은

385514人으로 증가하였다 불과 15년 사이에 1167 증가이다 배 이

73)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ldquo同治志云 醴俗安土重遷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商賈外

貿者少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揚帆外貿則 僅淥口附近之穀米商而已 光緖初 紅茶業興 邑人製茶

販運 漢皋者 獲利倍蓰自是來龍門一帶 每屆春日 製茶捒茶列廠恒數十 訖於光緖

末年 則有瓷業及夏布編爆起而代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恃以爲生者 無慮 十萬人rdquo

74) 李文治 앞의 책 p551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9상이 증가하였으니 長沙의 도시화도 급속히 진전 되고 있다75)

민국10年의 湖南 實業雜誌 보도를 보면 당시 長沙에 蓆工 500人

刻字工 300人 방직공 3200人 이발공 800人 香工 400人 합계 5200人

이 있었다 長沙大公報에 의하면 민국9년(1920)에 長沙에는 부두공

2600人 糞夫 500人 轎夫 1300 車夫 2300人으로 합계 7000人 정도

가 있었다76) 같은 시기 호남성의 광부가 160萬人이고 여기에 手藝工

苦力을 합치면 190만 전후였다고 한다 예릉현에서는 東鄕 일대에서

編爆業 종사자가 수만이고 東北兩鄕에서 磁廠의 女工도 수천이나 되었

다는 기록도 있다77) 湖南 邵陽縣에서도 淸末에 工匠이 5만 상인이 12

만 정도였다는 통계도 있다78) 이렇게 비농업 인구가 다른 생업을 통

해 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로 증가하고 있던 것이 확인된다 이런 유

효 수요 증가를 설명해 주는 다른 史料 하나를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

다79)

어째서 米穀이 날로 적어지고 날로 비싸지는가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水旱災가 날로 많고 농사짓는데 날로 게으르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말은

진실로 일리가 있는데 다 그런 것은 아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선교사 洋商 洋官 洋

兵은 증가한 것이 외국에서 온 사람이다 敎民 游民 賭民 盜民은 內地

에서 증가한 자이다 무릇 농사짓는 사람은 하나인데 먹는 자는 헤아릴

수가 없다 米穀이 어찌 비싸지 않을 수 있겠는가

光緖後期의 사정을 전하고 있는 위 史料를 보면 외국에서 온 선교

사 상인 군인 관리 등도 米価 상승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국내

외를 막론하고 비농업 인구의 급격한 성장이 米価 상승의 원인이라 생

각된다

湖南과 長沙의 米穀은 해당 지역 안에서 소비되는 것보다 揚子江

75) 張朋園 中國現代化的區域硏究 -湖南省 (台北 1998) p376

76) 위의 책 pp412-413

77)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農業經濟

78) 光緖33年刊 邵陽縣鄕土志 권2 인류 실업

79) 李文治 앞의 책 p77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0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많다 청말민국시기에도 지속적인 湖南米의

移出이 있었던 것은 이미 밝힌바 있다80)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穀

米가 騰貴한 이유가 外省의 采辦이 많은 때문이라고 하고 있다81) 상

담현에서도 동치 4년(1865)이전에 해마다 풍년이었는데 穀価가 까닭

없이 騰貴한 것은 江南이 처음 회복되어 米穀의 販運이 많아진 때문이

라고 하고 있다82) 1898年에도 長沙에서 米穀의 원거리 送出을 바라는

지주 富戶와 주민의 갈등 관계가 노출되고 있다83) 宣統2年(1910)의 기

록에도 湖北의 흉년으로 出境 米穀이 과다하여 米価가 급등했는데 작

년 末에는 1石5000文이었다가 금년에는 1石 8000文에 이르렀다는 내

용이 있다84) 같은 자료에 湖南米가 당도 하지 않으면 武漢에서 변란

이 일어난다고 할 정도이다

하류의 上海는 한적한 어촌에서 근대에 대도시로 성장하였다 武漢

上海등의 도시화와 상공업 발전 인구 집중은 長沙米의 급격한 수요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宣統 년간에 長沙가 전국적인 4大 米市의 하나

로 성장한 것은 우연한 일은 아니다85)

근대에 대외 교역증가가 물가 상승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생각된

다 1873년에서 1930年 사이에 농산물 수출 통계는 1910년을 100으로

했을 때 1873년은 12 1893년은 123 1903년 386 1920년은 1324

1930년은 2709로 급상승하고 있다86) 농산물의 수출은 해외 수요의 증

가이다 이런 교역상 수요 증대는 가격의 등귀 뿐 아니라 작물 재배

면적의 확대에도 기여하고 있다

80)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81)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20

82) 光緖6年刊 湘潭縣志 卷29 災祥志

83) 湘報 89號 長沙縣職員常達邦呈批

84) 李文治 앞의 책 p381

85) 徐正元 中國近代農産商品化的發展與米市的形成 (復印報刊經济史 1997年3期)

86)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권2 p14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1宣統2년(1910) 長沙에 영국 상인이 출현하여 米穀 구매를 단행하자

米価가 하루에 여러 번 급등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였다87) 湖南에서

는 또 광동 상인의 영향을 받아 紅茶 제조법을 습득하여 홍차를 대량

생산하여 구미에 수출하였다 19세기 60년대부터 20세기 초에 특히 호

남 茶 생산 판매가 극히 발달하였다88) 주요 산지 중에는 長沙 湘潭

安化 등이 손꼽히고 있다

桐油의 수출 또한 괄목할 만한 것이다 湖南의 桐油 수출은 1922년

전국의 3336 1923년은 372로 성장하였다 1929년에는 全省 수출

총액의 45 정도를 차지하였고 桐油 상품화율 80에 달하였다89) 대

외교역을 통한 농산품의 해외 수요 증가는 직간접으로 물가 상승에 작

용하고 있다

2 화폐 문제

물가와 화폐의 관계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통상 화폐 수량의 증가가

생산총량의 증가보다 초과할 때 물가상승이 일어난다90) 보통 淸 후기

에는 아편무역에 따른 銀의 해외 유출과 그 결과 야기된 lsquo銀貴錢賤rsquo 현

상 통화팽창에 의해 물가가 상승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91)

실제 淸末民國기에 걸쳐 통화 팽창과 물가 상승에 대한 기록을 찾

는 것은 어렵지 않다 王業鍵에 의하면 淸末 특히 1875年부터 1911年

까지는 인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단계였다고 한다92)

民國 寧鄕縣志에 보면 ldquo光緖29年(1903)에 처음으로 當十銅元을 주

87) 李文治 앞의 책 p550-551

88) 劉泱泱 앞의 책 p46

89) 宋斐夫 主篇 湖南通史 現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5 p276

90) 陳民 法幣發行制度與通貨膨脹 (復印報刊經济史 2001-1)91) 龔勝生 앞의 책 pp275-280 岸本美緖 앞의 책 p444 張麗芬 앞의 책

p217

92) Yeh-chien Wang Secular Trends of Rice in the Yanzi Delta 1638-1935(California Univ Press 1992)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2조하여 전국에 통용시켰는데 물가의 등귀가 이때부터 시작되었다rdquo는

기록이 있다93) 醴陵縣에서는 光緖32年에 當十銅元을 주조하여 制錢과

병행시켰고 宣統원년에 銀元이 이미 성행하였다 민국원년에는 當二十

銅元을 주조하였는데 雙銅元이라 칭하였다94) 영향현에서도 광서말에

私鑄錢인 毛錢이 나오고 지폐가 통용되는 등 통화팽창이 상업을 일변

시켰다고 한다95)

종전에 비해 실질 가치가 열악한 當十 當二十 등 銅元의 남발과 鈔

票의 성행은 화폐 시장의 과잉을 초래하였다 정식의 鈔票 이외도 각

현 발행의 私鈔와 錢莊에서 발행한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시중에 범람

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민국 시대에는 화폐 남발이 더욱 심하였다 호

남은행을 비롯한 저축은행 농업은행 등이 각기 각종 지폐를 발행하여

혼란이 가중되었다 1915년에 호남의 은행은 33개인데 그 중 장사현 7

개 상담현이 7개였다96)

군벌들이 은행을 개설하거나 질 낮은 화폐 통용을 강제하는 등의

혼란이 민국시기 특징 중의 하나이다97) 화폐 시장에는 銀元 銀角 銅

元 지폐와 鈔票 市票등 유사 화폐까지 복잡middot혼란의 양상이 나타나고

결과적으로 물가 상승을 피할 수가 없었다

선통2년(1910) 격렬한 米価 騰貴가 있었고 長沙에서 대규모 搶米 폭

동이 일어났는데 이것은 단순한 흉년때문이 아니고 銅元 남발 등 화폐

제도 혼란에 기인한 것이었다98) 1880년대 초부터 1920년대까지는 인

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시기로 매년 33 비율로 상승하였으며 1930년

총 화폐보유고는 60억 원에 달했다 반 세기간 화폐 공급은 8-10배 증

가하였다99)

93)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ldquo光緖 二十九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始鑄當十銅幣 通

行全國 物価之踊始此rdquo

94) 民國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95)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財用錄 상업

96) 張朋園 앞의 책 pp258-259

97) 宋斐夫 앞의 책 pp10-12

98) 岸本美緖 앞의 책 p51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3

時期 銀(兩) 錢(文) 出典

乾隆 嘉慶년간 10 1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道光 初(1821) Prime 1300-1400 Prime

Prime 18年(1838) Prime 1400 林則徐湖廣奏橋 권3

Prime 25年(1845) Prime 2000上下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Prime 末年(1850)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咸豊 元年(1851) Prime 2000 民國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咸豊 初 Prime 2300-2400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8 부역

咸豊 3年(1853) Prime 20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5年(1855)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Prime 6年(1856) Prime 2000 湖文忠公遺集 권12

Prime 7年(1857) Prime 1600 骆文忠公奏議 권7

Prime 8年(1858) Prime 1400 胡文忠公遺集 권85

Prime 10年(1860) Prime 1300-1400 胡文忠公遺集 권70

同治 2年(1863) Prime 13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7年(1868) Prime 1300-1400 李瀚章 瀝陳湖北等省漕務

Prime 10年(1871) Prime 1600-1700 同治10年 長沙縣志 권8 부역 錢法

光緖32年(1906) Prime 1600 長沙日報 宣統2年 2月27日

선통 2年(1910) Prime 1700 國風報 宣統2年 3月 21日

표 지방지에서 직접 採錄제외는 龔勝生 淸代兩湖農業地理 pp270-277에서 湖南부분을 발췌하여 再引用한 것임

表13) 湖南의 銀錢比値

그런데 아편전쟁 전후 銀의 과도한 해외 유출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이

초래되고 이것이 물가 상승의 주요인이라 생각되고 있는 데는 약간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表13)을 보면 銀錢比価가 일시적으로 상승하였다

가 다시 하강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은전비가는 지역에 따라 차

이가 있지만 호남 장사를 위주로 정리한 것이 표13)이다100)

99)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0) 邱思達 中國近現代鑄幣圖說 (北京 中國書店 1991) p109 참조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4

주목되는 것은 道光末에서 咸豊初에 일시적으로 상승하였지만 淸末

의 比価가 낮은 편에 속하는 현상이다 청말에 은전비가가 비교적 안

정되고 있는 것이다 아편전쟁 후 5항 개항으로 교역이 확대된 상황에

서 아편무역 증대에도 불구하고 차와 silk 수출에 힘입어 은의 순유입

이 오히려 증가되는 현상이 나타났던 것이다101) 또 光緖17년(1891)이

후 세계 銀価하락 현상으로 은유입이 증가되었다102) 19세기 후반 중

국이 세계 사회에 연결되면서 중국의 무역 적자에도 불구하고 淸 정부

에 대한 대량 차관과 자본 투자를 통해서 거대한 양의 銀이 중국에 유

입되었다 1871년에서 1913년 사이 은의 순 수입은 2억 4천만 海關兩

혹은 3억 6천만 銀달러로 추정되고 있다 세계 시장의 은가 하락과 은

의 대량 유입은 중국의 국내 시장에서 물가 상승을 유도한 것이다103)

이런 배경으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은 일시적인 것이고 청말민국기 전체를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민국 시기에는 銀元과 錢의 교환 비율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은의 유입 현상에도 불구하고 宣統 원년 11150文의 비율에서 민국6년

2250文 민국11년 2840文 민국17년 3500文 민국22년 7200文까지 급등

하고 있다 예릉현의 기록이지만 이것으로 청말보다 민국시기에 통화

팽창현상이 극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4)

銀과 錢이 주요 화폐이고 그 환율이 항상 문제가 되고 있지만 주로

청 후기 이후는 錢文 위주의 경제로 바뀌고 있다고 생각된다 長沙府

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면 대부분 道光 이후는 화폐를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淸 前期는 米価를 銀으로 표시하던 것과는 대조적이

다105) 예릉현에서는 민간에서 세금을 납부하거나 大宗무역을 할 때를

101)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2) 邱思達 앞의 책 pp92-93

103)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4)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10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光緖3年刊 善化縣志 同治13年刊 湘鄕縣志 光

緖15年刊 湘潭縣志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民國37年刊 醴陵縣志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5제외하고 紋銀 사용자가 거의 없다 도광 이후 교역시 대부분 錢文을

사용했다는 기록을 보면 淸 後期는 錢 경제 위주로 넘어간 것 같

다106) 세금을 낼 때 외에 銀錢이 필요 없는 일반민은 錢文 사용권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너무나 당연하다

함풍4년에 長沙에서 大錢을 주조하여 통용시켰으나 결국 시장의 신

뢰를 얻지 못하여 퇴출되고 말았다 1854년 7월에 주조를 시작하여

1855년 4月에 주조를 정지하였다107) 이것을 보면 통화 남발도 결국

시장의 제약을 받고 있다

민국 7년(1918) 3月 張敬堯가 裕湘銀行을 개설하여 銀元票 1000만元

銅元票 3000만元을 발행하였다 그 결과 시장은 혼란에 빠지고 시중금

융은 마비 상태가 되었으며 결국 裕湘銀行 발행의 惡幣는 폐지와 같이

되었다108) 권력에 의하여 통화 팽창이 시도되더라도 시장이 감당할

수 없는 지경이 되면 중단될 수밖에 없다 과도한 통화 팽창은 시장의

질서에 의해 어느 정도 제약 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예릉현에서도 光緖 년간에 錢莊 24곳이 출현하여 盛業을 누렸는데

民國7年(1918) 兵禍로 停業하는 곳이 많아졌고 정부의 통화 남발 화폐

가치 하락 금융혼란의 현상이 나타났다109) 민국18년(1929) 이후는 정

국이 안정되고 교통 편리로 百業이 진흥되고 은행이 역할을 하게 되었

이상에서 보면 淸末까지는 은전비가가 안정되고 통화 관리가 어느

정도 성공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光緖 宣統 시기에 銀元의 주조 외국

銀貨의 대량유입 當十銅元 등 주조로 통화팽창이 많이 되었고 이시기

물가 상승과 연관되고 있다 민국 초기에도 정국 혼란과 무계획적 통

화남발로 물가의 급등을 초래하였다 민국 중기에는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것 같다

106) 龔勝生 앞의 책 p279

107) 劉泱泱 앞의 책 pp150-155

108) 宋斐夫 앞의 책 pp10-11

10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6영향현에서도 민국 21년(1932) lsquo穀賤錢荒rsquo의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

다110) 청말민국기에 전반적으로 화폐량의 증가가 현저했던 것은 사실

이다 다양한 화폐의 등장 銀兩 銀元 銅錢 銅元 외에 외국 銀元의 유

입 그 외 鈔票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출현하였으며 양적인 팽창도 분

명하다 하지만 대외 교역 증가와 경제 활동 인구의 증가 유통 상품의

양적 증가에 의해 시장의 화폐 수요가 증대된 것도 사실이다 통화 발

행은 일차적으로는 경제 주체의 수요에 부응하는 것이지만 그것이 과

도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3 공급기타 요소

물가는 기본적으로 수요공급의 관계에서 결정되는 것이 원칙이다

청말민국기에 걸쳐 인구가 급증하여 물가가 상승한 것은 자연스런 일

이다 그러나 물가 상승률 면에서 청말의 경우가 18세기의 증가율에

비해 크다고 할 수 없다 물가 상승률을 억제하면서 비교적 안정 속의

상승을 할 수 있었던 것은 공급의 증가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청말민국기에 湖南米의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 현상이 지속된 배경

에 비약적인 경지 면적 확대와 새로운 품종 개량 시비법 발전 등 농

업 생산 증대가 있었다는 것은 이미 밝혀진 바 있다111) 米穀 공급의

증대가 물가 상승을 완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雜糧 재배가 同治

(1862-74) 년간에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민중의 식량 문제 해결에 기여

하고 米価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던 것을 城步縣 知縣 盛溢源을

통해서 알 수 있다

洋米 수입이 國産米의 보충 역할을 했다는 지적이 있지만 결국 시

110) 民國30年刊 寧鄕縣新志 전1 縣年記

111) 田炯權 淸末民國期 湖廣地方의 農業生産力과 生産關係 (慶南史學 7

1995)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2001)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

究 25 200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7장에 대한 미곡 공급을 증대시켜 가격 안정에 기여했다고 생각된

다112)

민국 시대 관련 사료를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113)

금일 정세를 보면 국내 米価의 등락은 결코 國産米의 생산량이 많고

적음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외국 産米 구역의 풍년 여부에 따라 영

향이 대단히 크다

이것을 보면 洋米 수입이 國産米価를 조절한다고 볼 수 있다 비슷

한 시기 上海에서도 湖南米가 수입 米의 영향으로 가격이 약간 적게

올랐다는 史料도 있다114) 湘報에도 日本米가 수입되어 중국의 米価

가 차츰 내려갔다는 기록이 있다115) 같은 湘報에 보면 ldquo외국물산이

날로 풍부하여 중국 상품의 판로를 막는데 서양 상품의 가격이 낮으면

중국 상품 가격이 홀로 증가할 수 없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116) 결국 洋

貨도 중국에서는 시장에 대한 상품 공급의 증가이고 이것이 상품 가격

상승을 억제하고 있는 것이다 같은 자료에 중국의 土藥이 널리 판매

되니 외래 洋藥의 가격이 폭락한 사정도 소개되고 있다117)

또 洋蠟의 수입으로 국산 白蠟 가격이 매 100斤 200元에서 100元으

로 폭락한 일도 있었다118) 1921년 독일 면화가 대량 수입되어 중국의

綿価가 하락한 일도 있다119) 光緖년간 부터 중국이 綿紗 생산을 개시

하자 華商과 洋商사이에 가격 경쟁이 시작되었다 수입 綿布도 洋商이

國産布와 경쟁하기 위해 가격을 낮추어 공급하였다120)

112) 王良行 淸末對外貿易的關聯效果(1860-1911) (近代中國對外貿易史論集1997)

113)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卷3 p413

114) 위의 책 p416

115) 湘報 제45호 p1419

116) 湘報 제13호 ldquo外洋之出産日盛 足以抵華貨之銷路 洋価低則華貨不能獨增rdquo

117) 湘報 제162호 p1608

118) 章有義 앞의 책 권3 p662

119) 譚文熙 앞의 책 p342

120) 譚文熙 위의 책 p368 p374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8상인의 가격 조종이 물가 변동에 하나의 요소는 될 수 있다 예릉현

의 土資 판매에 있어 객상의 가격 조종에 저항하기 위해 주민들이 公

司를 조직하여 가격을 바로 잡았다는 기록도 있다121) 지주 부농 米商

등의 매점매석에 의한 가격 조종 사실은 흔히 발견된다122) 秋收期에

시장에 대량 방출된 곡식을 저렴한 가격에 매입하여 端境期에 되팔아

이익을 남기는 것은 상인의 오래된 관행이다 이윤 추구를 위한 개인

의 행위지만 넓게 보면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행위이기도 하

다 각지 농산품 가격 변동 조사에서 원인이 밝혀진 10건 가운데 전쟁

이 2건 豊凶 水旱災가 7건 상인 조종은 단 한 건 뿐이었다123) 제국

주의 상인에 의한 가격 조종이라는 것도 결국 중국 상인의 이윤 추구

행위와 본질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湘報의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124)

輪船이 이미 통행하고 있고 철로가 이미 만들어 졌다 제조업이 날로

번성하고 통상조약이 행해지니 상인이 계속 내왕하고 온갖 상품이 유통

된다 사계절 틈이 없으니 일용 각 물품이 그 가격이 반드시 저렴할 것

이다

이것을 보면 통상 개시 후 교통이 발달하고 상품 교역이 증대된다

는 것과 그 결과 일용품의 가격이 저렴해졌다는 것을 당시인이 인식하

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서방 각국과의 무역 증대는 상품 공급의 증가

이고 가격 경쟁을 통해 물가 상승을 완만하게 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

121)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22) 李文治 앞의 책 p559

123)湘報 제49號 ldquo輪船旣行 鉄路旣造 製造日盛 商約可行 商賈絡繹 百産流通

歲時無間 則日用物品 其価必廉rdquo

124) 安本美緖 앞의 책 제7장 pp239-288 제12장 431-455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9

Ⅲ 物價와 景氣(생활)

1 穀賤傷農과 不況

物價 문제를 단순히 등락의 흐름에만 주목하기보다 경기변동론적

입장에서 好況 不況의 문제로 연관시켜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

이다 岸本美緖는 康熙年間의 lsquo穀賤rsquo 현상이 不況과 연결되어 있고 光

緖年間 蘇州의 不況도 lsquo穀賤rsquo이 원인이었음을 지목하고 있다125)

그런데 長沙府 중심의 湖南의 사정을 검토해 보면 lsquo穀賤rsquo 관련 기록

이 道光 咸豊 시기와 民國 中期에 집중되고 있다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26)

道光 25年(1845) ldquo穀賤斗穀錢五十文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値穀賤錢価亦賤 民甚苦之rdquo

장사현과 縣治를 長沙城 내에 두고 있는 善化현에서도 같은 해에

비슷한 기록이 있다127)

道光25年 穀賤自十五年起 連年俱穀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中下戶苦之

咸豊5年 穀賤

장사현 기록을 보면 穀価도 싸고 錢価도 싸서 민이 고통 받는다 했

으니 이 당시 은의 해외 유출과 은전비가 문제로 민중이 고통 받은 사

실을 알 수 있다 선화현은 장사현과 연접하고 통합과 분리가 단속되

었던 거의 동일 지역이다 선화현 기록을 보면 도광25년의 lsquo穀賤rsquo이 해

당년도만의 일이 아니고 道光15年(1835)부터 계속된 현상임을 밝히고

있다

12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33 祥異

126)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127) 民國30年刊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0인근의 寧鄕縣에서 보면 ldquo道光26年 歲豊 穀奇賤傷農 佃農以穀賤大

困rdquo이라는 기사가 있다128) lsquo穀奇賤rsquo이라 하였으니 평상시 보지 못한

하락이었다고 생각된다 더구나 소작료 납부가 대부분 현물지대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佃農은 米穀의 상품화 과정에서 배제되었다는 종전의

통념과 달리 佃農도 곡가 하락으로 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같은 기록에 함풍원년에도 ldquo有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以穀賤漕折苛rdquo라 하고 있어

역시 곡가 하락으로 세금 납부에 곤란을 겪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장사부 內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아도 同治 년간에는 lsquo穀賤rsquo 기

재가 보이지 않고 전술한 도광 함풍 년간에 집중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후의 기록을 찾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ldquo湖南自夏秋以來雨暢時若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故無論高低田畝咸稱大稔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甚

賎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反有入不敷出之慨矣rdquo (益聞錄 69号 광서6년828)129)

ldquo(長沙農村) 近年來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穀米求售 価値至賤 日用各物 則又極昻 收穫所

得 不足顧其工本 多已漸陷于無力耕種之境rdquo (新靑年 7권 6호 1920년 5

월)130)

ldquo湖南近年來之天災人禍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天災旣足以減少收量 地方不靖 産品滯銷

価値復因以低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而生活日昻 工価及日用物品 繼續增漲 收入支出 常苦

不得平衡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rdquo (中國棉産改進統計會議專刊 1931)131)ldquo湘省爲産穀素豊之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年歲收 屢佔大有 而長江流域亦値豊收 更

有大宗洋米 運貨傾銷致湘米頓失市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価格低賤 不僅農村經濟 陷于絶

境 市面金融 亦大受打擊rdquo (銀行週報 18권 9기 1934313)

이외에도 1936年의 사실로 호남의 武岡 東安 일대에서 lsquo豊年穀賤rsquo으

로 省城에 운반할 때 운송비와 각종 捐稅 부담을 감당할 수 없어 陳米

를 불태웠다는 기록이 있다

128) 李文治 앞의 책 p557

129) 章有義 앞의 책 권2 p432

130) 章有義 앞의 책 권3 p795

131) 章有義 위의 책 p620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1이것을 보면 주로 1930년대에 lsquo穀賤rsquo과 不況이 집중 묘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lsquo穀賤rsquo 즉 불황이라고 하면 도광함풍초의 곡천과 불

황 同治光緖宣統期의 lsquo穀貴rsquo즉 好況 다시 民國 전기의 好況 民國 中期

의 불황으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물가의 상승기가 호황적 국면이라는 것은 알려

져 있지만 이것은 전체 물가의 문제이다 위 자료에서 보면 1920년 장

사 농촌에서는 곡가는 싼데 일용품 가격은 극히 높다고 하고 있고

1931년의 기록도 工價와 일용품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농민이 다수를 점하기 때문에 미곡가의 하락은 농민 수입 감소

와 구매력 저하를 가져오고 이것이 농촌 불황의 한 요인이 될 수 있

다 그러나 工賃과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시장의 한계 안에서의

일이다 또한 실업률과 고용 지표 등도 고려되어야 하는데 만족할만한

통계의 부족으로 명확한 답을 얻기는 어렵다

그런데 米価와 물가는 개별 년도나 시점에서 서로 상이한 궤적도

있지만 圖2 3 6 7을 보면 대체적으로는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예릉의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광서 4년(1878)에 비하여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1912)에는 현격한 상승세였다가 그 후에 등락을 거듭

하고 있지만 민국25년(1936)의 경우는 광서4년보다는 높거나 유사한

경우가 많다

2 생활 경기의 발달

당시인들이 체감하던 생활 경기의 수준이 어떠했는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

光緖刊 善化縣志를 보면 다음과 같다132)

132)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16 풍속 附論 ldquo古人 酒肉以養老 而今則黃口稚子

無不酒肉之人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日不旦穀貴鹽貴 而酒肉皆貴 則好惡可知矣 一今鄕間柴炭

其価數倍於昔日 瀕河之地 莫不燒煤rdquo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2옛사람들은 술과 고기로 노인을 부양하였는데 지금은 어린아이도 술과

고기를 먹지 않는 이가 없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요사이 미곡과 소금이 비쌀 뿐 아니

라 술과 고기가 모두가 비싸니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지금 향간에 柴炭이 그 값이 예전보다 수배인데 하천 근처 사람은

煤를 때지 않는 사람이 없다

同治 攸縣志 에도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33)

예전에 士大夫도 집에 있을 때 엄동이 아니면 가죽옷을 입지 않았다

지금 關中의 가죽옷 상인이 유현에 와서 1년에 은 만여 냥을 얻을 수 있

다 기타 비단 옷은 蘇州 杭州 및 嶺南에서 오는 것이 또 배가 되니 1년

에 수만금을 소비한다

醴陵縣에서도 비슷한 인식을 볼 수 있다134)

ldquo예전 풍속이 儉樸하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이 명절 아니면 고기를 먹지 않고

慶弔事가 아니면 술을 베풀지 않고 손님 접대는 닭 잡는데 그치고 鮮味

는 생선에 그쳤고 縣城의 食肆는 飽麵茶館에 그치고 酒席으로 業을 삼는

자가 없었다

지금은 酒樓菜館이 거리에 가득차고 中人의 집에도 술자리가 베풀어지

고 사치를 다툰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예전에 士類大半이 淥江書院에 모이면 그 가운데 비단신을 신은 자가

불과 수인이었고 羊가죽 옷을 입은 자가 불과 1 2人이었다 지금은 비단

신과 가죽옷이 거의 常服이 되었고 日用品은 舶來品이 많다rdquo

이 내용을 보면 예릉현의 생활 수준이 급격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예릉현지 기록에는 부인들이 上海의 유행을 쫓아 사치를 추구한

다는 내용도 있고 청말부터 外貨를 서로 자랑한다는 내용도 있다 종

133) 同治10年刊 攸縣志 권18 풍속 衣服 ldquo衣服 昔時 士大夫 家居非嚴冬不御裘

今關中裘商來攸 歲可得銀萬餘兩 其他錦繡之運自蘇杭及嶺南者 則又倍之 計一歲

之戶 所費數萬金rdquo

134)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4장 풍속 생활 ldquo旧俗民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非令節不

食肉 非慶弔不置酒 欵客止於殺鷄 鮮味止於草魚 縣城食肆 止於飽麵茶館 無以酒

席爲業者 今則酒樓菜館 遍於街市 中人之家酬酢往還 爭奢鬪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旧時士類

大半 集於淥江書院 一院之中 著緞鞋者 不過数人 襲羊裘者 不過 一二人 今則絲

履皮袍殆成常服 日用之品 多自舶來rdquo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3전에 菜油 棉油로 燈을 켜다 집집마다 煤油를 사용한다거나 세탁시

茶枯鹼水를 쓰다가 대부분 비누를 사용하는 일상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135)

또 寧鄕縣에서도 ldquo同光之間 地方安寧 家給人足(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함)縣城商業 於時爲盛rdquo이라 하고 있어 同治(1862-74) 光

緖(1875-1908) 시기가 好況이었음을 알 수 있다136) 湘報에도 ldquo民間

之喜用洋貨日甚一日rdquo이라 하고 있어 洋貨 사용의 확대를 짐작할 수 있

다137)

광서년간 무역이 확대되고 여기에 대해 유익하다는 인식의 기록이

湘報에 나오고 있다138)

ldquo輪船과 철로가 개통되고 항구 개항이 증가 되는 것은 실로 중국에 유

익하고 손해가 없다 저 눈이 콩만큼 큰 자가 걸핏하면 통상이 중국에 해

가 된다고 하니 어찌 심히 어리석지 않은가rdquo

무역 확대를 지적하고 통상이 유익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예릉현

지에도 同治志에는 풍속이 lsquo安士重遷rsquo하고 상인이 외부 활동하는 자가

적었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고 光緖末에 도자기 夏布 編爆業

이 일어나 융성하여 이에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 넘는다고

하고 있다139) 예릉향토지에도 商旅 왕래가 예전보다 10배라는 서술이

있다140)

장사시의 行業발달 상황을 보면 민국 5년(1916)에서 民國22年(1935)

사이에 식품업은 281⟶2124 사치품은 171⟶1128 복장은 43⟶2028 農

礦은 621⟶1156 洋貨 127⟶233 금융 130⟶164 공예 2121⟶3344 문구

17⟶355 등 비약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141)

135)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 工商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6장 실업

136) 民國30年刊 寧鄕縣志 財用錄 民業

137) 湘報 제13호 1898年 3月 21日

138) 湘報 제162号 1898年 9月 23日

13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40) 民國15年刊 醴陵鄕土志 제6장 실업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4이것은 장사의 생활수준 향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당시에

通商의 확대 주장도 湘報에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142)

이상에서 보면 청말민국기에 대체적인 추세는 好況이었다고 생각된

다 생활 수준의 향상이 눈에 띄고 米価와 물가도 연동되면서 상승하

는 추세였다 米価의 상승이 구매력 수준의 제고가 되기 때문에 米穀

생산 중심지역에 상인들의 行號가 집중되는 것이 보였다143) 임금의

경우에도 호남 汝城縣에서 실질 임금이 유지 또는 상승하는 것을 확인

한 바 있다144) 全漢昇도 1875년부터 1925년까지에 걸쳐 四川 合江현

의 임금과 물가 변동의 추세가 거의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바 있

다145) 앞서 인용한 1931년 中國棉産改進計劃 에도 임금과 일용품 가

격이 함께 오른다고 하고 있어 임금이 물가에 연동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생활 수준 향상을 기록하고 있던 지방지에도 빈부 격차를 암시하는

내용이 있고 物力이 날로 쇠퇴한다든지 하는 기록이 있다 대외 무역

이 적자라 하더라도 차관 원조 뿐 아니라 외국 상인의 진출이 자본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好況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Ⅴ 結 言

이제까지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이후 民國中期인 1936年

까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여 米価와 물가 변동 물가 변동의 원인

141) 張朋園 앞의 책 p387

142) 湘報 44호 中外通商利害論 湘報 67号 論湖南茶務急宜整頓

143)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144)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9 1998)

145) 安本美緖 앞의 책 p2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5물가와 생활 경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米価 변동은 단기 변동에 있어서 전쟁이나 天災 등의 특수한 사정

의 해를 제외하고는 光緖 년간에 비해 민국 중기의 계절 변동폭이 축

소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米価의 계절 변동을 완화 시

켜 주는 雜糧의 재배가 湖南 지역에서는 대부분 同治 년간에 보급 확

대가 되고 있다 교통과 상업 발달 등의 이유로 청말에서 민국기로 갈

수록 계절 변동폭을 축소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변동에서는 長沙府縣의 물가 변동 예릉현 물가 변동 등을 살

펴 볼 때 전체로서는 상승 추세 중에 도광 함풍 시기의 低米価 同治

년간의 高米価 光緖전반의 低米価 光緖後半에서 宣統 년간의 高米価

民國 前期의 高米価 民國 中期의 低米価의 등락을 보이고 있다

民國 中期의 米価는 長沙 8개년 米価 추세에서도 안정속의 상승세

를 보이고 있다 명목상 수치 뿐 아니라 米価의 상대 물가로 보는 실

질 구매력도 宣統 民國元年에까지 급상승하였다가 민국 시기 등락을

거듭하지만 민국25년(1936)까지 광서4년(1878) 대비 유지 또는 상승 추

세였다

物価변동은 개별 상품에 따라 편차가 있고 米価와는 전혀 상이한

궤적을 그리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米価와 연동 관계를 보이

고 있다 1898년 물가의 단기 변동은 이상할 만큼 변동폭이 크지 않다

당시 물가 조사자의 보고가 정확했는지 의심될 정도이다 1935년의 장

사 물가에서 단기 변동을 보면 변동폭이 100이상인 夏布 毛筆 麵粉

棉布등을 비롯하여 50 이상인 오리털 흑연 성냥 국산 전지 등을

비롯하여 40 이상인 비누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기 변동폭

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 이것은 이런 물품들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

성이 크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物価의 장기 변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米価와 대체로 비슷한 궤적

을 보이고 있다 청말에서 민국전기에 걸쳐 물가 상승폭이 두드러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 상승폭이 더욱 크

다 돼지고기 값을 예로 들면 1878년에서 1909년 사이에 273 상승했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6고 1912-1921년 사이에 75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닭은 각 50와 44

상승했다 청말은 31년간의 수치이고 민국 전기는 9년간이니 물가의

상대적 급등을 알 수 있다 1926에서 1936년까지 10년간 돼지 고기 값

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

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

세를 보이고 있다 민국 중기의 米価가 일부 lsquo穀賤rsquo 현상을 보인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음으로 물가 변동의 원인에 대해서는 군벌간의 전쟁이나 정치적

혼란 등 정치 군사적 요인을 제외하고 대체로 검토해 보았다

수요 측면에서는 湖南米의 유통이 호남 내부의 인구 증가에도 불구

하고 양자강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지속된 것이 米価 상승의 한 원

인이었다 上海나 武漢 등의 도시화와 인구집중은 이들 지역 양식 수

요를 폭증시켰다 일부 洋米 수입에도 불구하고 湖南米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으로써 米価를 상승시켰다 또 장사를 비롯한 각지의 새로운 수

공업 산업의 발달로 비농업 인구가 증가하고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유

효수요로 성장하여 米価 상승을 유도하였다 양식의 이출은 해당 지역

인구 식량을 전부 제외한 나머지 잉여가 수출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력

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청말민국기에는 호남의 내부 외부에

서 미곡에 대한 유효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것이 米価 상승의 한 요인

이었다

화폐 문제에 있어 화폐 수량의 증가가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것

은 상식이다 종래 아편전쟁 전후 은의 해외 유출 증가가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을 초래하여 물가 상승과 인민의 빈곤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지방지 등의 史料에서 검토한 결과 은전비가는 도광함풍초의

일시적 상승 후에 함풍 7년 이후는 도리어 하락하고 있다 同治 년간

에 대부분 1兩 1300文 수준에서 안정되고 있다 光緖末宣統년간에도

1600-1700文 수준으로 도광함풍 초보다는 낮은 편이다 청말민국시

기에 화폐의 남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한계를 넘었을 때 시장의 통용

거부로 마침내 중단되고 있다 청말민국기에 외국 銀元의 유입과 국내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7의 銀元 주조 銅元 지폐 외에 鈔票 市票 등 화폐 시장에 투입된 화

폐량은 엄청나게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로서는 어느 정

도 시장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외 교역과 상품량의

증대 경제 활동 인구의 증대 미곡 생산 및 농산품 생산의 증대로 화

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것이 화폐량의 막대한 증가와 유

통속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

었다고 생각된다 즉 안정 속의 물가 상승이 유도된 것이다

공급면에서 보면 대외 교역을 통한 서양 상품의 수입은 전체로서는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물건의 공급 증가를 통해서

혹은 국내 상품과의 경쟁 때문에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었

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침략과 물가 폭등이라는 도식적

견해와 달리 현실에서는 물가 억제 작용도 있었던 것이다

물가와 경기면에서 보면 물가가 비쌀 때 호경기가 많은 것은 사실

이다 그런데 lsquo穀賤rsquo 현상이 불황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서 長沙 지역의 경우를 검토해 보았다 도광함풍 년간까지 lsquo穀賤rsquo현상

과 불경기적 상황에 대한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동치광서 년간에는

米価가 등귀한 시점인데 이 시기는 紅茶業의 번성이나 각종 수공업의

번성으로 好況의 면모가 보이고 있다 민국 시기에는 민국 중기에 lsquo穀

賤rsquo의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史料上에 민국 중기의 lsquo穀賤rsquo은 임금이나

다른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다 물가 상승기와 好況

이 맞물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민국 중기는 lsquo穀賤rsquo 현상과 서로 어긋

나는 것이다 이 시기의 不況 서술은 농촌의 농민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표시이다

생활 수준에 대한 지방지 기록 등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주민들의

洋貨 사용이 보편화되고 의복 음식 주거 등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것

을 지적하고 있다 물가는 상승하였지만 同治 이전에 비하여 분명히

사치품의 소비 증대와 中人의 집도 소비 수준이 제고된 것이 드러나고

있다 민중의 빈곤은 있으나 이 시기 빈부 격차가 커지고 생활 수준의

격차가 커진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6: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94米価도 上白米 次白米 등 품질에 따라 1石의 斤數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lt圖1gt 長沙米價 石文

lt圖1gt은 lt표1gt을 그래프로 바꾼 것이다 이것을 보면 米価는 5월

10일 사이에 가장 높고 6월 10일경에 급락했다가 그 후에 상승하고 있

다 圖1)에서 보면 3月에 낮았던 米価가 4月부터 상승하여 5月 초순에

최고가에 도달하고 5月末의 高価를 거쳐 6월 초순에 급락하고 있다 6

月 중순부터는 다시 상승 궤도를 그리고 있다 6月 초순의 급락은 湘報에 실린 6月 9日 기사와 관련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武漢에서 米

価가 공급 부족으로 갑자기 올랐는데 호남미가 도착하여 산처럼 쌓였

다는 것과 그후 하류지역으로 米穀 放出을 금지하니 米価가 急落하였

다는 사정이 나타나고 있다20) 이 시기는 雜糧의 등장 시기와도 맞물

20) 湘報 光緖 24年 4月21日(6月9日) 米価跌落 ldquo現今湘米到漢 聚積成山 一律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95리고 있지만 6月 중순 이후의 米価 상승을 설명하기는 어렵다 同治9

年-10年의 長沙의 米価 변동은 4⟶5⟶6월은 상승하고 6⟶7⟶8⟶9月은

하락 9 10 11 12 1 2는 평온 2⟶3⟶4는 상승 기조를 보이고 있다

동치 9년-13년의 長沙米価는 2⟶3⟶4⟶5月은 상승하고 5⟶6月은 하락

6⟶7⟶8月은 맹렬 하락 9 10 11 12 1 2월은 평온을 나타내고 있

다21) 同治2年(1863) 長沙府知府 丁宝楨이 마련한 lsquo積穀收放賑借章程rsquo에

의하면 5월 某日에 곡식을 대여하고 8월 某日에 거두어들인다고 되어

있다22)

湖南省 經濟調査所의 조사에 의하면 長沙府 각 縣의 中稻 수확 시

기는 長沙縣의 8월 하순을 비롯하여 대부분 8月 이후이다 早稻도 長

沙縣의 7월 중순을 시작으로 거의 7월 중하순에 집중된다23) 드물게 6

月초에 早穀의 등장을 알리는 기사가 있지만 보편적인 것은 아니었다

고 생각된다24)

湘報의 물가 기록은 매일을 기록 대상으로 하였지만 아쉽게도 7

月 20日까지만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1년 전체의 변동 내용은 알 수

없다 3月에서 7月까지의 변동폭을 보면 上白米는 3月 1石당 3000文에

서 7月 3881文으로 편차는 294 次白米는 3月 2900文에서 7月 3775

文으로 편차는 302 中米는 3月 2800문에서 7月 3681文으로 편차는

315이다 3月에서 7月간의 변동폭은 中米의 315가 가장 크고 전체

로서는 대략 30 내외이다 1月에서 12月까지를 고려하면 이 계절 변

동폭은 이 보다 훨씬 더 클 것이라 생각된다

수확 시기의 다양화와 雜糧 재배의 확대 등은 稻穀 수확의 계절적

차이만으로서는 정형화된 米価의 변동을 확정 짓기 어렵게 하는 요인

이었다고 생각된다 湘報에 실린 동일 해의 사정을 보면 전년의 秋

禁止出運下遊 米商業已停辦 所以米価跌落rdquo

21) 張麗芬 앞의 책 pp244-246

22) 同治10年刊 安化縣志 권33 時事記

23) 張人价 編 湖南の穀米 9 (東京 生活社 1940) pp13-21

24) 同治10年刊 攸縣志 권53 祥異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96收가 평상년이었는데 동년 봄에 곡가가 갑자기 올랐다 곧 다시 평온을

되찾았다고 한다25) 1927년의 湖南 米価가 수확 이전에는 1石당 13元

이었는데 수확 후 5元으로 하락하여 615 변동폭이었다는 보고도 있

다26) 湖南の穀米에 의하면 民國17年(1928)년 이전에는 신뢰성 있는

기록이 드물다고 하면서 민국17년(1928)년 부터 24년(1935)까지 8년간

매 月의 米価 기록을 제시하고 있다27) 그 내용을 보면 민국17년은

520(1月) 827(12月)로 변동폭 590 민국18년은 722(7) 970(12)로

343 민국19년은 719(11) 1264(7)로 758 민국20년은 854(1)

1194(9)로 398 민국21년은 627(12) 1294(2)로 1064 민국22년

(1933)은 522(8) 674(1)로 291 민국23년(1934)은 531(3) 916(9)로

725 민국24년(1935)은 916(12) 1118(6)으로 221의 변동폭을 보이

고 있다 米価 최저 月은 1 7 11 1 12 8 3 12月이고 최고 月은 12

12 7 9 2 1 9 6月로 매우 다양하다

민국17년(1928)은 590로 변동폭이 크다 이 해는 군벌 唐生智의

군대가 양자강을 따라 남하하여 長沙로 향하고 남경 정부는 李宗仁軍

이 북상하여 南北軍이 대결한 전쟁 상황이었다28) 민국19년(1930)은 毛

澤東軍이 7월 27日 長沙를 점령 장사소비에트를 건설한 해 이다 이

해 7月이 최고가를 보이고 변동폭이 758나 된 것은 까닭이 있었던

셈이다 민국21年(1932)은 6월부터 4차 圍剿战이 전개 되었고 7月에는

大풍년이 되었다 변동폭이 1064나 된 것도 원인이 있었다 민국 23

년(1934)은 역시 紅軍과 국민당軍의 국지적 대결이 고조된 시기였는데

725의 변동폭을 보이고 있다29) 이상을 종합해 보면 전쟁 상황과 같

은 특수한 사정의 해를 제외한 평상년에서는 대략 20에서 30대의

변동폭을 보이고 있다 그러면서 米穀 수확 시기와 관련된 정형화된

25) 湘報 89號 長沙縣 職員 常達邦 呈批 ldquo且上年秋收 尙得中稔 本年春間 穀価

偶漲 旋卽平減rdquo

26) 章有義 中国近代農業史資料 제2권 p520

27) 張人价 앞의 책 pp89-96

28)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29) 民國30年刊 寧鄕縣新志 卷1 縣年記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97패턴이 약화되고 있다

앞서 lt표1gt과 lt圖1gt 등에서 본 1898年의 변동폭이 3月rarr7月까지만

의 기간이라 全年 기준으로는 315보다 훨씬 클 것이라는 추론을 해

보았다 그렇다면 민국시기 평상년의 변동폭 20-30는 종전에 비해

감소된 것이 아닐까 생각해 볼 수 있다

계절 변동폭을 줄이는 요인 중 하나는 雜糧 재배의 확대라고 생각

된다 호남 城步縣에서 知縣 盛溢源이 雜糧 재배를 장려하여 米価를

내리려고 했던 것은 同治 년간의 일이다30) 兩湖農業地理를 보면 고

구마 재배 확대를 알리는 府縣志 35개 중에 27곳이 同治 년간 간행 지

방지이다 옥수수는 51개 중에 27곳이 同治 년간 지방지이다31) 호남일

대에서 잡량 재배의 확대는 19세기 후반의 일이다 이것을 보면 18세

기의 米価 계절 변동 보다는 청말민국기의 편차가 적어야 할 것이다

雜糧은 가정의 自給用이거나 지방 소시장의 교역품이라는 통념과 달리

민국시기에는 漢口에 수출되는 장거리 商品糧이 되고 있다32) 다음으

로 洋米 수입 증가를 생각할 수 있다 米価 변동에 洋米 수입 증가가

영향을 주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33) 또 洋米 수입이 거의 3月-6月에

집중되고 특히 4月에 고조되며 7月 이후 國産米의 지속 등장시에는 수

입량이 격감했다는 조사도 있다34) 洋米 수입 증가가 이 시기 米価의

계절 변동폭을 18세기보다는 축소할 수 있는 이유가 된다고 생각된다

청말민국기에는 철도 輪船 등 수송수단의 발달 시장과 상업의 발달

로 상인의 능력은 강화되었다고 여겨진다 추수기에 상인이 대량 매입

을 하고 端境期에 비싸게 팔려고 하는 것은 상인 개인을 위한 이윤 추

구 활동이다 米価의 계절 편차는 곧 바로 전부 상인의 이익은 아니다

30) 李文治 中国近代農業史資料 권1 p538

31) 龔勝生 앞의 책 pp143-145 pp135-137

32)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33) 徐正元 中国近代農産品化的發展與米市的 形成 (復印經濟史 1997年 3期)

34) 呂紹理 近代廣東與東南亞的米糧貿易(1866-1931) (政治大歷史學報 12

1995)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98매입가에 보관비용 손실비용 금융비용 등 부대비용을 제외한 것이 이

윤 범위이다 상인의 買占 행위는 넓게 보아서는 미곡의 수급관계 조

절 작용이라고 볼 수도 있다 따라서 정치 군사적 이유나 특별한 天災

상황이 아니라면 米価의 계절 변동폭은 18세기보다 근현대에 축소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여겨진다

2) 장기 추세

淸代 米價는 장기 추세에서 상승세인데 그 가운데 17세기 후반 19

세기 24분기 19세기 780년대 3회의 低落期가 있다는 조사가 있

다35) 19세기 전반 특히 24분기에는 일반적으로 극심한 디플레이션

시기여서 급격한 하강 국면이고 太平天國 시기는 급격한 요동이 뒤따

른다 1875에서 1911년까지는 가장 인플레이션이 심한 단계로 그 중

1875-85년 사이는 안정속의 상승이고 그 후 혁명전야까지 지속 상승

추세라는 파악도 있다36)

18세기 乾隆년간(1736-1795)에도 蘇州의 米価가 60년간 세 배 상승

했다는 조사도 있는데37) 비슷한 기간 長沙府 湘陰縣도 300 상승한

것으로 되어있다38) 18세기 전후 약 100년간 가격 수준이 300 상승

했다는 당시인의 인식도 있다39)

同治 이후에 제국주의 침략이 날로 강화되고 淸代 경제가 쇠퇴하였

으며 물가 상승폭이 날로 커졌다는 인식40)이 있지만 18세기 물가 상승

을 고려하면 제국주의 침략과 상관없이 물가 상승이 지속되었던 것을

알 수 있다

35) 岸本美緖 앞의 책 p17

36) Yeh-chien Wang Secular Trends of Rice in the Yanzi Delta 1638-1935(California Univ Press 1992)

37) 위의 논문

38) E S Rawski Agricultural Change and the Peasant Economy of SouthChina (Harvard Univ Press 1972)

39) 郭成康 18世紀中國物價問題和政府對策 (淸史硏究 96-1)40) 譚文熙 앞의 책 p25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99민국시기에는 1920년대까지 米価가 지속 상승하고 인플레이션이 심

해 매년 33 비율로 상승했다는 조사가 있다41) 민국 전기는 비교적

안정 속의 상승세이고 민국 중기는 역시 기본상 상승이지만 1932-35

년 사이는 하강하고 있다는 견해도 있다42)

湖南 내부 각 지역의 米価도 상호간에 긴말한 연동 관계를 보이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고43) 上海와 長沙 사이에도 고도 상관있는 것이

파악된 바 있다 그러나 공간을 달리 하면 도량형이나 화폐 종류 등의

차이로 정확한 변화를 파악하기 어렵다 되도록 좁은 범위의 지역을

연구 대상으로 할 때 상대적인 정밀도가 높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래

서 本考에서 長沙縣을 중심으로 같은 長沙府 내의 몇 개 縣을 관찰하

여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 이후 民國中期인 1936년까지를 주

대상으로 物価 변동을 살펴보려 한다

兩湖農業地理에서는 湖南 湖北의 米価를 세부 지역 구분 없이 종

합하고 있는데 例示 가격의 시기 역시 일정하지 않다 따라서 정밀성

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lt표2gt와 lt표3gt은 長沙府 醴陵縣志에기재된 것으로 해당 지역 상인의 장부와 縣商會 조직에 의한 기록을

토대로 한 것이다44) 당시인의 물가 변동에 대한 인식이라 비교적 정

확하다고 생각된다 같은 長沙府 寧鄕縣에서도 光緖7年 穀価가 1石당

600文이라는 기록이 있는데 lt표2gt의 예릉현 광서4년(1878) 기록과 근

접하고 있다45) 長沙를 중심 시장으로 하여 같은 府內의 시장 통합성

이 큰 것은 이미 확인한 바 있다46)

41) Yeh-chien Wang 앞의 논문

42) 譚文熙 앞의 책 p302 p356

43)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物価

44)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45)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46) 張麗芬 앞의 책 p197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0

시기 단위 가격(文) 米価

광서4년(1878) 石 680 1360

광서14년(1888) 780 1560

광서19년(1893) 680 1360

선통원년(1909) 2000 4000

민국원년(1912) 2800 5600

민국5년(1916) 2800 5600

민국10년(1921) 3800 7600

lt表2gt 醴陵縣 穀価(a)(私家數簿에 의함)

lt圖2gt 醴陵縣 穀價(a) 石文

-附記 前淸通行制錢文으로써 단위 민국초년에는 비록 銅元을 사용하나 관습상 1銅

元은 10文에 해당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1

시기 단위 가격(元) 米価

민국15년(1926) 石 160 32

민국20년(1931) 240 48

민국25년(1936) 250 50

민국27년(1938) 280 56

민국28년(1939) 500 100

민국29년(1940) 800 160

민국30년(1941) 3000

-lt表2gt lt表3gt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物価

lt表3gt醴陵縣 穀価(b)(縣商會 조사)

lt圖3gt 醴陵縣 穀價 石元

lt표2gt와 lt圖2gt를 보면 長沙府의 米価는 光緖4년(1878)부터 광서19

년까지 비교적 낮은 채로 있다가 그 이후 급등하여 청말에서 민국 전

기 까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lt표3gt과 lt圖3gt을 보면 민국 15년

(1926)에서 민국 27년(1938)까지 비교적 안정속의 상승세를 보이다가

그 후에 급등하고 있다 本考에서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는 것은 민국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2

時期 銀価(兩石) 錢価(文石) 出典

道光 16年(1836) 10 1400 民國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Prime 25年(1845) 05 1000同治長沙縣志 권33

祥異 光緖善化縣志 咸豊元年(1851) 08 1600 民國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함풍 3年(1853) 05 1000 同治湘鄕縣志 권5 祥異함풍 6年(1856) 07-08 1400-1600 同治安化縣志 권34 五行

同治元年(1862) 308 4000 同治瀏陽縣志 권14 祥異

同治 9年(1870) 296-370 4000-5000 Prime

光緖 7년(1881) 08-266 1200(4000) 民國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光緖年間 125-188 2000-3000 長沙日報 宣統2年2月

선통32年(1906) 25 4000 Prime

선통 2年(1910) 412 7000 Prime

長沙日報는 兩湖農業地理 p274에서 再引用

lt表4gt 長沙府 縣志等 米価 기록

중기인 1936년까지이다 항일 전쟁 발발과 國共 대립 등으로 극도의

혼란기인 민국후기는 특히 경제면에서 역사적 실체를 파악하기가 매우

어렵다

lt표4gt는 주로 長沙府 내의 縣志를 이용하여 米価를 정리한 것이다

흉년시의 특별한 가격이 아니라 평상년 가격 위주로 작성한 것이다

풍년시의 가격도 있으나 수년간 풍년이 지속되었다면 常年 가격에 준

한다고 생각된다 함풍3년(1853)의 米価는 兩湖南農業地理에 인용된

曾國藩 上奏시의 米価와 동일하다 같은 자료를 더 이용하면 함풍7년

(1857)에는 駱文忠公遺集 1石당 3200-3500文의 기사가 있다 역시

曾國藩의 上奏文에 同治2年은 1石당 30兩인데 당시의 銀錢比価로 환

산하면 3900文이므로 lt표4gt上 동치 元年 4000文과 거의 유사하다 同

治7년(1868)은 李瀚章의 上奏文에 4000文 전후로 되어있어 표의 내용

과 거의 일치한다 이것들을 짜 맞추어 보면 위 지방지 기록이 상당한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3

lt圖4gt 長沙의 米価 변동

bull광서4년 14년 19년은 예릉현지 물가표 기재 이용

bull광서7년은 민국 영향현지 기록 가을 이전의 평상 가격 이용

bull광서32년은 水災시의 가격

예릉현 물가표상의 광서 기록을 보충하여 수정한 결과

신뢰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표4)의 내용에 長沙府 醴陵縣志의 물가

표상 광서4년 14년 19년을 포함하여 구성해 본 것이 lt圖4gt이다

이것을 종합하여 보면 도광 16년(1836) 이후 함풍6년(1856)까지는

비교적 저렴한 米価가 유지되다가 함풍7년(1857)이후 米価가 급등한

것으로 생각 된다 동치 년간은 동치원년(1862) 4000文에서 동치2년

3900文 동치7년 4000文전후 동치9년 4000-5000文으로 계속 高米価가

유지된 시기였다 그런데 銀錢比値는 동치2년 1300文 동치 7년

1300-1400文으로 도광말 함풍초보다 오히려 안정되어 있다 淸末 이

지역의 지방지를 검토하면 거의 모두 嘉慶 이전은 米価를 銀兩으로 표

시하다가 道光 이후는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도광 이후 淸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4末은 米価도 錢文価가 실제 시장 가치를 잘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

다 동치 년간 상당히 高米価가 유지되었지만 道光末咸豊初와 같은 lsquo銀

貴錢賤rsquo 현상은 보이지 않기 때문에 米価 상승이 농민에게 어느 정도

유리했다 여겨진다 lt圖4gt를 보면 光緖 전반에는 米価가 상대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光緖19年(1893)까지는 하락 안정세를 보이다가 그 후에

급등하고 있다 호남성 수확기의 中米 가격 조사에서도 비슷한 경향이

보인다47) 中米 가격도 광서22년(1896)부터 대체로 상승추세인데 광서

34년(1908)에 급등하고 있다 앞서 彭信威가 연구한 江浙 米価 변동에

19세기 24분기와 19세기 780년대가 米価低落期에 해당된다고 하는

데48) 이것과 유사한 면을 가지면서 약간의 편차가 있다 즉 동치 년간

(1862-74) 70년대 전반까지는 대체로 高米価가 유지되었고 光緖 전반

의 하락은 90년대 전반까지인 것으로 생각되는 것이다 淸末 上海의

米価 조사도 1862-71(213) 1872-81(128) 1882-91(142) 1892-1901

(207)로 되어 있어 위 호남 長沙의 米価 변동과 비슷한 궤적을 그리고

있다49)

lt표1gt에 제시된 광서 24년(1898)의 長沙 米価도 3000文-4000文 사

이에 형성되어 상당한 高米価이다 같은 湘報에 실린 내용에 岳州에

집결된 湖南米가 漢口에 운송 판매되는데 米価는 3700-800文 또는 4천

수백文에 이른다고 되어 있다50) 대략 光緖20年(1894) 이후부터 淸末까

지 高米価가 지속되었다고 생각된다 松江府續志의 기록을 이용하여

光緖年間 低米価와 그로 인한 장기 不況이라는 해석은 長沙府 일대에

서는 드러나지 않는다51) 低米価는 光緖年間 전체는 아니고 光緖

(1875-1908) 년간의 거의 전반에 해당하는 1893년 이전의 일로 생각된

다 후반에서 淸末까지는 急騰에 가까운 高米価의 변동을 보여주고 있

47) 岸本美緖 앞의 책 p19

48) 同上 p443

49) 湘報 76號 p67650) 李文治 中国近代農業史資料 제1집 p561 岸本美緖의 해석 앞의 책

pp442-443

51) 張人价 앞의 책 pp93-9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5

機米 河米 糯米 총 평균

가격 지수 가격 지수 가격 지수 가격 지수

1928 652 7564 503 7065 805 9015 653 7944

1929 862 10000 712 10000 893 10000 822 10000

1930 1003 11636 862 12107 1037 11613 967 11764

1931 1002 11624 845 11868 1020 11422 956 11630

1932 1008 11694 817 11475 947 10605 924 11241

1933 594 6868 504 7079 757 8477 618 7525

1934 671 7784 590 8287 812 9093 691 8406

1935 1004 11647 810 11376 1012 11333 942 11460

lt表5gt 長沙의 米価(石元)

예릉현 물가표를 보면 民國 시기에도 대체로 안정속의 상승세가 지

속된다 청말에서 1921년까지 米価가 급등한 것으로 보이지만 1926년

에서 1936년까지는 안정 속 상승의 추세이다 兩圖 사이에는 가격 단

위의 차이가 있어 직접 접속은 곤란하지만 흐름은 그렇다고 여겨진다

호남성경제조사소 의 조사에 근거한 민국17년(1928)부터 민국24년

(1935)까지의 8년간 米価 기록을 제시한 것이 lt표5gt이다52)

이것을 보면 등락은 있지만 비교적 米価가 안정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上海의 米価도 1912-1928년 사이 407 상승하였는데 1921-1928년

사이에는 154 상승하였다53) 호남성의 米価는 宣統2年-民國元年 3개

년 평균가와 민국 21-23년 3개년 평균가를 비교했을 때 86 상승이라

는 조사도 있다54) 대체로 淸末에서 民國 전기까지는 가격이 급등하고

민국 중기에는 안정 속의 상승이 추세였다고 생각된다

호남성 汝城縣의 물가변동을 보면 우선 지방지 편찬자의 시기 구분

52) 徐正元 上海近代稻米市場価格變動分析 (中國經濟史硏究 1996年 2期)

53) 張人价 앞의 책 p87

54)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 91998)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6

1898年 1935年

소금 56文斤 57斤

洋油 50文斤 64斤

돼지고기 105文斤 30斤 015-020元斤 25-33斤

鷄育 123文斤 26斤

羊肉 117文斤 27斤

茶油 100文斤 32斤 019-024斤 21-26斤 瀏陽가격

면화(中棉) 217文斤 15斤 03-05斤 10-17斤 湘陰 Prime

1898年 中米1石価 (湘報소재 1石 3193文 적용)

1935年 長沙米価 民國25年 刊 通郵地方物産誌 湖南의 長沙靖港米価(担40-60元

의 중간 값 이용) 1石은 1担보다 크므로 실제 米価는 이보다 높을 것임

이 의미있다고 생각된다 同治丁卯志 편찬 이후부터라고 명시하고 있

는데 丁卯年은 同治6년(1867)이다 이후부터 민국21년(1932)까지를 세

시기로 구분한다55) 同光 시기 光宣 시기 民國 시기이다 즉 동치 후

반에서 광서 전반 광서 후반에서 선통 년간이니 광서 후반부터 물가

상승이 컸던 것을 반영한다고 여겨진다 여성현 물가표상 米価 변동을

단순 비교하면 지수는 100 200 400으로 변한다 1930년대 전반의 米

価는 동치 후기에 비하여 약 65년만에 300 상승한 것이다 이것을

신뢰하더라도 앞서 18세기 전후 백년간 물가가 300 상승하였다는 당

시인의 인식과 상승률은 거의 비슷하다56) 장사부 상음현에서도 18세

기 중후반 67년간 米価가 300 상승한 바 있다 예릉현 물가 표상

1878년에서 1921년까지는 米価는 약 458 상승하였지만 1926년에서

1936년까지 10년간은 약 563 상승에 그쳤다 민국 중기는 비교적 안

정속의 상승을 보여 주고 있다 lt표5gt에 제시된 長沙 機米의 8년간

가격도 54 정도 상승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미가의 명목 수치상 등

락을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질 가치를 알아보려면 상대 물가 즉

米1石価의 구매력이 얼마인지를 보아야 한다

lt表6gt 長沙 中米 1石価의 구매력 변동

55) 郭成康 앞의 논문

56) 張麗芬 앞의 책 p270 각주7)에 보면 호남성 1担価는 140-150斤 1898年 長

沙 米価는 1石당 150-155斤임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7

1935년의 長沙 米価는 通郵地方物産誌의 長沙 靖港의 米 1担価를

이용하였다 실제 石은 担보다 크므로 米価는 여기서 잡은 5元을 상회

할 것이라 생각된다57) 같은 자료의 물가를 이용하여 제시한 lt표6gt을

보면 돼지고기 값은 1898년의 30斤에서 1935년은 25-35斤 사이이다

그 범위 안에 있는 것을 보면 米価의 실질 구매력은 유지되고 있다

茶油는 다소 하락하였지만 면화도 유지 또는 상승이라 볼 수 있다

예릉현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돼지고기는 상승 추세 속에 일

부 하락년이 있다 선통 원년과 민국 원년에 수치가 상승한 것은 米価

의 폭등이 기타 물가를 크게 앞지른 것으로 여겨진다 민국 중기에 약

간 하락하였지만 1935년의 돼지고기 구매력은 광서4년(1878)에 비해

67정도 상승하고 있다 茶油의 경우도 민국 10년(1921)까지 米의 상

대 구매력이 대폭 상승하고 있다 이것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米価 변

동을 통해 농민 소득이 하강했다고 여겨지지 않는다

광서4년1878

광서14년1888

광서19년1893

선통원년1909

민국원년1912

민국5년1916

민국10년1921

민국15년1926

민국20년1931

민국25년1936

猪肉 15斤 25斤 22斤 36斤 35斤 23斤 27斤 16斤 28斤 25斤

草魚 34斤 39斤 38斤 57斤 62斤 35斤 - 20斤 32斤 33斤

茶油 12斤 23斤 25斤 27斤 - - 25斤 - ① -

鹽 23斤 26斤 22斤 33斤 62斤 - 42斤

棉花 7斤 16斤 5斤 - - - - - ②

洋紗 - - - - - - - ③

煤油 - - - - - - - 15병 2병 11병

雞 17斤 22斤 20斤 33斤 22斤 19斤 21斤 - - -

史料上 穀価를 lsquo1米2穀rsquo의 원칙에 따라 米価로 환산하였음① 민국 15년(1926)부터는 茶油의 단위가 石으로 되어 있어 비교 곤란② Prime 棉花의 단위가 石으로 되어 있어 비교 곤란③ Prime 羊紗의 단위가 件으로 되어 있어 이해 곤란

lt表7gt 醴陵縣 米価의 물품구매력 변동추세(米1石의 구매력)

57) 刘泱泱 湖南通史 近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p487-488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8

품목

시기

단위

同光

(1870-1890)

光宣

(1890-1911)

民國

(1912-1932)

肉 斤 188 188 175

鹽 斤 60 75 636

洋紗 捆 100 100同光시기洋紗통행안함

土布 尺 100 120 140

洋油 甁 20 10同光시기

洋油 未 盛行

茶油 斤 188 188 175

桐油 斤 214 200 194

柴 750 875

同治丁卯志(1867)편찬 이후라 되어 있어 대략 70년부터 잡은 것이다

lt表8gt 湖南 汝城縣의 穀1石価의 구매력 변동

호남 汝城縣의 穀1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고기는 光宣 시기에

유지되다가 민국 시기에 약간 하락하였으나 근소한 수치이다 鹽의 구

매력은 光宣 시기에 대폭 올랐다가 民國 시기에 하락하였으나 同光 시

기 보다는 높은 수치이다 洋紗에 대한 구매력은 光宣 시기에서 民國

시기에도 계속 유지되고 있다 茶油는 고기와 같은 변화이다 土布에

대해서는 구매력이 계속 증가한다 洋油에 대해서는 民國 시기에 구매

력 감소를 보이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호남의 대외무역은 외국의 공

업품과 농부산품 원료를 교환하는 것인데 고가의 공업품 대신 강제

저가의 수단으로 호남의 농산품을 약탈한다는 견해58)는 약간의 재검

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공업 상품 가격의 翦刀差에 대해서도 洋紗

의 경우를 보면 나타나지 않고 있다59)

이상을 종합하면 同治年間의 高米価 光緖前半(1875-1891)까지의 상

대적 低米価 光緖後半-宣統까지의 高米価 급등 民國前期의 계속 상승

58) 李金錚 二十年來 中國 近代 鄕村 經濟史的 新探索 (歷史硏究 2003年 4

期)

59) 譚文熙 앞의 책 pp298-299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9

品目 洋麵 淮鹽 茶油 桐油 洋油 猪肉 雞 鴨 烟煤 柴煤

단위시기

包 斤 100斤 100斤箱2桶(50斤)

斤 斤 斤 100斤 衡斗

31-310 26兩 56文 73兩 19兩 104文 112文 88文 320文 24文

311-320 26兩 Prime 73 19 104文 128文 88文 320文 24文

321-331 26兩 Prime 73 625兩 189 108文 128文 88文 320文 252

41-410 26兩 Prime 728 628 186 320文 240

411-420 27兩 Prime 728 626 183 254 228

421-430 29兩 Prime 72 616 181 314 260

51-510 293兩 Prime 711 606 178 310 240

511-520 274 Prime 71 60 183 314 240

521-531 26 Prime 71 60 185 314 229

61-610 26 Prime 699 60 185 299 219

611-620 231 Prime 734 61 184 320 255

621-630 22 Prime 754 62 183 311 254

71-710 22 Prime 774 649 183 310 250

711-719 218 Prime 768 631 181 318 265

면화는 上棉 中棉 下棉의 가격이 제시되고 있으나 여기서 생략함

lt表9gt 1898年 3-7月間 長沙物価

民國中期(1926-1936)까지 안정이라는 米価 변동의 궤적을 확인할 수

있고 그 기간 동안 米価의 실질 구매력은 유지 또는 상승이 대체적 추

세였다 생각된다

2 物價 변동

1) 단기 변동

湘報에 수록된 光緖24년(1898)의 長沙 물가 변동을 표시한 것이

lt表9gt와 lt圖5gt이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0

品目 단위 최고가 최저가 시기 유통량 행선지

鴨絨 斤 500 300 冬 上海 北平 天津 南京

일반적으로 米価와 物価는 상호 연동적이라 생각되지만 여기서 물

가의 단기 변동은 米価와는 다소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대체로

등락 폭이 크지 않다 洋油 洋麵 桐油 등의 변동폭이 크지 않다 면화

만 4월 10일 20일 사이에 상승이 있지만 5월부터는 하락하고 있다

淮鹽 가격은 斤당 56文으로 3月에서 7월 사이에 전혀 변동이 없다

長沙지역은 원래 淮鹽 관할 구역이었으나 太平天國 시기에 교통 두절

로 川鹽 소비지역이 되었다 太平天國후 曾國藩이 이 지역을 淮鹽 소

비지역으로 회복하기 위해 여러 가지 개혁 조치를 행하고 督銷局에서

가격을 核定하여 고시하는 牌價 제도를 시행한 바 있다 일종의 통제

가격제도에 의해 가격 상승이 억제되고 있었던 것이다 直隷의 景縣의

소금 값은 1890년에 斤당 46文 1900년에 斤당 68文이라는 조사도 있

다60) 長寧縣에서는 光緖29年(1903)에 鹽価가 斤당 55文이라는 보고도

있는데 이것은 長沙 1898年의 鹽価와 유사하다61)

戰亂後에 淸朝정부의 淮鹽 소비지 회복 정책에도 불구하고 四川鹽

이 계속 私鹽으로 침투하였기 때문에 長沙의 淮鹽価를 저렴한 통제 가

격下에 두고 있었다고 생각 된다62) 圖6)에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柴煤

는 米価와 같이 5月10日에 최고가에 가깝고 6월10일에 하락하고 그후

에 상승하고 있다 烟煤의 경우에도 비슷한 궤적을 그리고 있다 이것

은 米価와의 연동관계가 비교적 분명하다

1935년의 長沙 物価의 단기 변동 폭을 알 수 있는 것이 lt표10gt이

lt表10gt 長沙物価 通郵地方物産志

60) 李文治 앞의 책 p562

61) 譚文熙 앞의 책 p267-268

62) 佐伯富 中國史硏究 第1卷 (京都 同朋舍 1978) pp340-36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1

黑鉛 石 2200 1300 全年 50000石 漢口上海

棉紗 件 22000 1800 Prime 24000件 本省

棉布 疋 120 150() Prime 1000000 漢口

麵粉 袋 50 250 Prime 140000 Prime

線襪 雙 106 Prime 6000000 本省

毛呢鞋 Prime 200 180 Prime 400000 Prime

夏布 疋 1000 200 夏 20000 上海漢口

火柴 箱 500 300 全年 10000 本省

刺繡 Prime國內및外洋

매년 産量 약50만元

玻璃器 件 300 200 Prime 9000 本省

肥皀 箱 70 50 Prime 30000 Prime

絲綿三角 兩 040 020 Prime 40000 Prime

國貨電池 打 060 040 Prime 200000 Prime

猪 斤 020 015 Prime 50000只 漢口上海

豬毛 担 6000 5000 Prime 4000kg Prime

粗窑器 卡 350 250 Prime 100000套 長江연안

毛筆 支 050 020 Prime 本省 및 황하 각성

여기서 보면 변동폭이 100 이상인 것은 면포 夏布 絲線三角 毛

筆 麵粉 등이다 또 50 이상인 것은 鴨絨(가공오리털) 667 흑연

692 火柴(성냥) 667 玻璃器(유리그릇) 50 국산 電池 50 등이

다 비누는 40 粗窰器는 40이다 棉沙 222 毛呢鞋는 111 돼

지 333이다 단기 변동 폭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고 생각된다 이

것은 이런 물품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성이 크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그런데 1898年의 경우는 茶油 洋油 등 물품의 가격 변동폭이 적은 것

은 무엇 때문일까 어쩌면 당시의 시장 가격 조사가 부정확했는지도

알 수 없다

1935年의 물가에서 綿沙의 변동폭이 적은 것은 당시 항상적인 수요

가 있었기 때문이 아닐까 비누의 변동폭도 40로 비교적 적은데 생

필품으로 수요가 지속 증대된 까닭이 아닐까 한다 通郵地方物産誌에 기재된 醴陵縣 夏布 가격은 40元-100元 사이인데 民國醴陵縣志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2

圖5) 1898年 3月-7月 長沙物價

의 物価表上에는 70元(1938)이라 되어 있다 物産誌 가격은 1935年

의 것인데 예릉현지의 가격이 그 범위 안에 있어 서로 다른 자료간에

부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63) 物産誌 上 相潭株洲의 茶油 값

매 石 160-240元(1935)은 예릉현지 물가표의 민국 20년(1931) 茶油 매

石 240元과 일치하고 있다 표12)에 1936年 煤油 값은 병당 44元이다

그런데 民國 安鄕縣志에서도 1934년 煤油 값은 병당 38元으로 되어

있어 兩者 사이에 유사성을 보여주고 있다64) 그러므로 醴陵縣志 物価의 종적 비교도 신뢰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洋麵은 包당 가격

茶油桐油洋油는 100斤당 가격

棉花 100斤당 가격

2) 장기 변동

長沙의 물가 변동을 보려면 湘報 수록의 광서 24年(1898) 물가와

63) 交通部郵政總局 編 中國通郵地方物産誌 (華世出版 1988)

64) 民國 安鄕縣志 卷11 食貨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3

품명 단위광서4년

(1878)

광서14년

(1888)

광서19년

(1893)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

(1912)

민국5년

(1916)

민국10년

(1921)

豬肉 斤 88文 63 62 112 160 240 280

雞 斤 80 72 68 120 250 300 360

lt表12gt 醴陵縣 物価表 (b) (商会조사)

품명 단위민국15년(1926)

민국20년(1931)

민국25년(1936)

민국27년(1938)

민국28년(1939)

민국29년(1940)

민국30년(1941)

猪肉 百斤 200원 170 200 360 400 561 1300

草魚 Prime 160 150 150

茶油 石 240 290 560 760 2000

鹽 石 120 140 150 160 2000

洋紗 件 2200 2200 2400 2000 2500 1500

土布 匹 27 70

夏布 Prime 70 70 140

竹布 Prime 100 100 8000

棉花 石 20 25 40 100 200 400

煤炭 石 020 030 040 050 230 70

煤油 甁 220 240 440 90 300 460 200

毛邊紙 石 198 432 1200

黑靛粉 桶10斤 100 200 1500 2000

赤金 兩 50 70 80 90 500 560 1600

lt表11gt 醴陵縣 物価表 (a)(私家數簿에 의한 것)

民國24年(1935)의 通郵地方物産誌 기록을 직접 비교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양 자료 사이에 화폐와 단위가 서로 달라 직접 비교할 수가 없

다 그래서 당시인의 물가 변동 기록인 長沙府 醴陵縣 物価表를 이용

하는 것이 파악 방법이 될 것이다

lt표11gt lt표12gt 와 lt圖6gt lt圖7gt을 보면 개별 물품에 따라 차이

는 있지만 대체적인 흐름은 米価 변동과 유사한 궤적을 보여주고 있

다 즉 光緖 前半에 비교적 안정적이다가 光緖 후반부터 급상승하여

민국 전기까지 상승하고 있다 1926년부터 1936년까지는 가격 안정세

를 보여 주고 있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4

雞蛋 個 2 2 3 4 10 15 20

草魚 斤 40 40 36 70 90 160

茶油 斤 116 69 54 150 300

鹽 斤 60 60 63 120 90 180

煤 石 50 120 50

苧麻 斤 270 99 170

棉花 斤 200 96 280

竹布 尺 70 62 60 60 90

靑洋布 尺 55 50 50 70

白蓮紙 刀 40 82 80 100

-附記 前淸 통행 制錢文으로써 단위 민국 초년에는 비록 銅元을 단위 사용하나 관습상 매 1銅元은 錢10文에 해당

圖6) 醴陵縣 物価 (a)

① 豬肉 斤당 가격 ② 雞肉 斤당 가격 ③ 茶油 斤당 가격

④ 鹽 斤당 가격 ⑤ 棉花 斤당 가격 ⑥ 草魚 斤당 가격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5

圖7) 醴陵縣 物価(b)

① 猪肉 百斤당 가격 元 ② 草魚 百斤당 가격 元 ③ 茶油 石당 가격 元

④ 鹽 石당 가격 元 ⑤ 洋紗 件당 가격 元 ⑥ 棉花 石당 가격 元

⑦ 煤油 甁당 가격 元

米価가 物価와 연동되는 것에 대해서 江都縣史料를 보면 ldquo産米 구역

에서 年末에 米価가 상승하니 百物이 昻貴했다rdquo65)라고 되어 있다 湖

南지역 米価 연구 자료에도 米価 추세는 거의 물가 수준과 같다는 주

장이 있다66)

光緖末宣統年間의 물가 상승을 나타내는 史料를 보면 다음과 같다

이제 각종 惡政의 결과로 百物의 騰貴를 초래했는데 小民의 日用 수요

65) 李文治 앞의 책 p470 ldquo江都爲産米區域 年末米価騰踊 百物因以昻貴rdquo

66) 張麗芬 앞의 책 p22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6음식은 그 가격이 십년 전에 비해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과 居室 器用

蔬饌의 비용 牛種糞漑의 비용도 예전 보다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도 비록

동일 비례로 함께 올랐으나 이미 넉넉하지 못해 괴롭다67)

이것을 보면 米価와 物価가 연동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청말

특히 光緖 후반 이후에 각종 物価가 두 배 올랐다는 사정을 알 수 있

다 上海의 物価도 같은 시기에 상승하고 있다68)

lt표11gt lt표12gt와 lt圖67gt을 검토해 보면 돼지고기 값은 광서 14

년 광서 19년까지는 다소 하락세를 보이다가 宣統원년(1909)부터 급격

히 상승하고 있다 민국원년(1912)의 가격은 160文으로 1878年의 88文

에 비해 거의 두 배에 해당한다 위에 인용한 宣統 2年 8月 國風報의 물가 두 배 인상과 정확하게 부합되고 있다 민국 전기인 1926년까

지 계속 상승하고 있지만 1926년에서 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이고 있

돼지고기 값은 1878년-1909년 사이 273 상승했고 1912-1921년 사

이에 75 상승했다 닭은 각기 50와 44 상승했다 계란은 100

100 상승이었다 淸末 비교 시기는 31년간인데 비해 민국 전기는 9

년간에 불과하다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가 급등한 것은 충분히

알 수 있다 1926년에서 1936년 10년간 돼지 값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거의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이었다

民國 醴陵縣志에도 ldquo辛亥혁명이전에는 물가가 심한 등락이 없었는

데 민국 후에 들어와서 차츰 상승했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69) 圖6)을 보

면 닭고기도 비슷한 궤적을 보이고 있다 草魚의 경우도 청말 민국전

기는 상승이 주요 동선이고 민국 중기(1926-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

67) 國風報 第1年 21期 宣統 2年 8月 (李文治 앞의 책 p561) ldquo今也以種種惡

政之結果 以致百物騰踊 小民日用 飮食所需 其価皆視十年前兩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居

室器用蔬饌之費 牛種糞漑之費兩倍于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雖以同一比例以俱騰 旣苦不

給矣rdquo

68) 岸本美緖 앞의 책 p443

6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物價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7이고 있다 譚文熙 物価史에는 민국 전기는 안정속의 상승세로 민국

중기는 파동속의 상승으로 정리를 하고 있는데 여기와는 약간의 차이

를 보이고 있다70) lt표11gt과 lt표12gt 사이의 화폐 단위 차이로 인한

연속적 파악에 다소 어려움이 있으나 대체의 추세는 짐작할 수 있다

또 품목에 따라 공란이 있어 연결 관계가 애매한 부분이 있다 1936년

이후는 중일 전쟁의 혼란과 불환지폐의 강제 통용 등의 사정으로 本考

에서는 분석 대상 범위에서 제외 하고자 한다

Ⅱ 物價 변동의 원인

1 수요 측면

米価와 物價가 상호 연동관계에 있고 넓은 의미에서는 米価도 물가

의 일부이다 米価 및 물가의 상승은 우선 수요의 증가에 원인이 있다

고 할 것이다 수요증가는 일반으로 인구 증가이다 湖南의 인구는 嘉

慶21年(1816) 18754259명에서 1898年 21174000명으로 다시 民國17년

(1928)에는 31501212人으로 비약적 성장을 하였다71) 약 110년 동안

인구가 1300만 가까이 증가하였고 비율로는 679가 증가하였다 長沙

府의 인구도 가경 25년(1820)에서는 4290086명이었는데 민국23년

(1934)에는 8421330명으로 약 400만명 이상 증가하여 963 상승을

보이고 있다72)

인구의 증가가 수요 증대를 초래하는 일반 요인이지만 湖南의 米穀

移出이 해당 지역 민중의 식량을 제외하고 남는 잉여 米만은 아니다

70) 譚文熙 앞의 책 pp302-307 여기서는 민국 전기는 1912-1927년 민국 중기

는 1927-1937년으로 구분하고 있다

71) 湖南省志 地理志 (長沙 湖南人民出版社 1982) pp230-238

72)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8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의 증대가 더 중요한 요인일 것이다 淸末에

와서 새로운 생업을 통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가 많이 증가하고

있는데 醴陵縣 사례를 한번 검토해 보겠다 史料는 다음과 같다73)

同治志에 이르기를 醴陵의 풍속은 lsquo安土重遷rsquo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상인이 外地에 나

가 장사하는 이가 적었다 배를 이용하여 외부 상업을 하는 것은 淥口 부

근의 米穀商일 뿐이었다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邑人들이 茶제조로 武漢에 판매하는 자가

이익이 배가 되었다 이때부터 龍門일대에 매양 봄에 茶를 제조하고 가리

는 廠이 항상 수십이었다 光緖末年에는 도자기업 夏布 編爆이 일어나서

대신하였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이를 믿고 생계를 삼는자가 무려 십만인이다

同治志 편찬 단계만 해도 사람들이 토착 안주하여 멀리 이동하는

것을 어렵게 여겼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큰 이익을 보고 그

후 도자 기업 夏布 編爆 제조에 종사하여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나 되었다는 것이다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의 성장을

보여주는 것이다 長沙의 빠른 도시화도 주목된다 長沙日報에 실린

내용을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74)

光緖32년(1906)에 火災 조사시에 城廂 내외가 매일 식량으로 穀 5000

石이 필요하였다 지금 교통이 편리하고 상인 旅客이 배로 증가하였으니

매일 마땅히 1-2000石을 더해야 한다(宣統 2年(1910) 2月 17日 長沙日

報)이것을 보면 光緖32년(1906)에서 宣統2년(1910)은 불과 5년이 채 되

지 않는데 상인 집단이 배로 증가하였다니 城內外의 유동인구 급증을

짐작할 수 있다 長沙城의 인구는 1916年에 177882人이었고 1931年은

385514人으로 증가하였다 불과 15년 사이에 1167 증가이다 배 이

73)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ldquo同治志云 醴俗安土重遷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商賈外

貿者少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揚帆外貿則 僅淥口附近之穀米商而已 光緖初 紅茶業興 邑人製茶

販運 漢皋者 獲利倍蓰自是來龍門一帶 每屆春日 製茶捒茶列廠恒數十 訖於光緖

末年 則有瓷業及夏布編爆起而代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恃以爲生者 無慮 十萬人rdquo

74) 李文治 앞의 책 p551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9상이 증가하였으니 長沙의 도시화도 급속히 진전 되고 있다75)

민국10年의 湖南 實業雜誌 보도를 보면 당시 長沙에 蓆工 500人

刻字工 300人 방직공 3200人 이발공 800人 香工 400人 합계 5200人

이 있었다 長沙大公報에 의하면 민국9년(1920)에 長沙에는 부두공

2600人 糞夫 500人 轎夫 1300 車夫 2300人으로 합계 7000人 정도

가 있었다76) 같은 시기 호남성의 광부가 160萬人이고 여기에 手藝工

苦力을 합치면 190만 전후였다고 한다 예릉현에서는 東鄕 일대에서

編爆業 종사자가 수만이고 東北兩鄕에서 磁廠의 女工도 수천이나 되었

다는 기록도 있다77) 湖南 邵陽縣에서도 淸末에 工匠이 5만 상인이 12

만 정도였다는 통계도 있다78) 이렇게 비농업 인구가 다른 생업을 통

해 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로 증가하고 있던 것이 확인된다 이런 유

효 수요 증가를 설명해 주는 다른 史料 하나를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

다79)

어째서 米穀이 날로 적어지고 날로 비싸지는가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水旱災가 날로 많고 농사짓는데 날로 게으르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말은

진실로 일리가 있는데 다 그런 것은 아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선교사 洋商 洋官 洋

兵은 증가한 것이 외국에서 온 사람이다 敎民 游民 賭民 盜民은 內地

에서 증가한 자이다 무릇 농사짓는 사람은 하나인데 먹는 자는 헤아릴

수가 없다 米穀이 어찌 비싸지 않을 수 있겠는가

光緖後期의 사정을 전하고 있는 위 史料를 보면 외국에서 온 선교

사 상인 군인 관리 등도 米価 상승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국내

외를 막론하고 비농업 인구의 급격한 성장이 米価 상승의 원인이라 생

각된다

湖南과 長沙의 米穀은 해당 지역 안에서 소비되는 것보다 揚子江

75) 張朋園 中國現代化的區域硏究 -湖南省 (台北 1998) p376

76) 위의 책 pp412-413

77)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農業經濟

78) 光緖33年刊 邵陽縣鄕土志 권2 인류 실업

79) 李文治 앞의 책 p77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0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많다 청말민국시기에도 지속적인 湖南米의

移出이 있었던 것은 이미 밝힌바 있다80)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穀

米가 騰貴한 이유가 外省의 采辦이 많은 때문이라고 하고 있다81) 상

담현에서도 동치 4년(1865)이전에 해마다 풍년이었는데 穀価가 까닭

없이 騰貴한 것은 江南이 처음 회복되어 米穀의 販運이 많아진 때문이

라고 하고 있다82) 1898年에도 長沙에서 米穀의 원거리 送出을 바라는

지주 富戶와 주민의 갈등 관계가 노출되고 있다83) 宣統2年(1910)의 기

록에도 湖北의 흉년으로 出境 米穀이 과다하여 米価가 급등했는데 작

년 末에는 1石5000文이었다가 금년에는 1石 8000文에 이르렀다는 내

용이 있다84) 같은 자료에 湖南米가 당도 하지 않으면 武漢에서 변란

이 일어난다고 할 정도이다

하류의 上海는 한적한 어촌에서 근대에 대도시로 성장하였다 武漢

上海등의 도시화와 상공업 발전 인구 집중은 長沙米의 급격한 수요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宣統 년간에 長沙가 전국적인 4大 米市의 하나

로 성장한 것은 우연한 일은 아니다85)

근대에 대외 교역증가가 물가 상승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생각된

다 1873년에서 1930年 사이에 농산물 수출 통계는 1910년을 100으로

했을 때 1873년은 12 1893년은 123 1903년 386 1920년은 1324

1930년은 2709로 급상승하고 있다86) 농산물의 수출은 해외 수요의 증

가이다 이런 교역상 수요 증대는 가격의 등귀 뿐 아니라 작물 재배

면적의 확대에도 기여하고 있다

80)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81)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20

82) 光緖6年刊 湘潭縣志 卷29 災祥志

83) 湘報 89號 長沙縣職員常達邦呈批

84) 李文治 앞의 책 p381

85) 徐正元 中國近代農産商品化的發展與米市的形成 (復印報刊經济史 1997年3期)

86)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권2 p14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1宣統2년(1910) 長沙에 영국 상인이 출현하여 米穀 구매를 단행하자

米価가 하루에 여러 번 급등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였다87) 湖南에서

는 또 광동 상인의 영향을 받아 紅茶 제조법을 습득하여 홍차를 대량

생산하여 구미에 수출하였다 19세기 60년대부터 20세기 초에 특히 호

남 茶 생산 판매가 극히 발달하였다88) 주요 산지 중에는 長沙 湘潭

安化 등이 손꼽히고 있다

桐油의 수출 또한 괄목할 만한 것이다 湖南의 桐油 수출은 1922년

전국의 3336 1923년은 372로 성장하였다 1929년에는 全省 수출

총액의 45 정도를 차지하였고 桐油 상품화율 80에 달하였다89) 대

외교역을 통한 농산품의 해외 수요 증가는 직간접으로 물가 상승에 작

용하고 있다

2 화폐 문제

물가와 화폐의 관계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통상 화폐 수량의 증가가

생산총량의 증가보다 초과할 때 물가상승이 일어난다90) 보통 淸 후기

에는 아편무역에 따른 銀의 해외 유출과 그 결과 야기된 lsquo銀貴錢賤rsquo 현

상 통화팽창에 의해 물가가 상승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91)

실제 淸末民國기에 걸쳐 통화 팽창과 물가 상승에 대한 기록을 찾

는 것은 어렵지 않다 王業鍵에 의하면 淸末 특히 1875年부터 1911年

까지는 인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단계였다고 한다92)

民國 寧鄕縣志에 보면 ldquo光緖29年(1903)에 처음으로 當十銅元을 주

87) 李文治 앞의 책 p550-551

88) 劉泱泱 앞의 책 p46

89) 宋斐夫 主篇 湖南通史 現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5 p276

90) 陳民 法幣發行制度與通貨膨脹 (復印報刊經济史 2001-1)91) 龔勝生 앞의 책 pp275-280 岸本美緖 앞의 책 p444 張麗芬 앞의 책

p217

92) Yeh-chien Wang Secular Trends of Rice in the Yanzi Delta 1638-1935(California Univ Press 1992)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2조하여 전국에 통용시켰는데 물가의 등귀가 이때부터 시작되었다rdquo는

기록이 있다93) 醴陵縣에서는 光緖32年에 當十銅元을 주조하여 制錢과

병행시켰고 宣統원년에 銀元이 이미 성행하였다 민국원년에는 當二十

銅元을 주조하였는데 雙銅元이라 칭하였다94) 영향현에서도 광서말에

私鑄錢인 毛錢이 나오고 지폐가 통용되는 등 통화팽창이 상업을 일변

시켰다고 한다95)

종전에 비해 실질 가치가 열악한 當十 當二十 등 銅元의 남발과 鈔

票의 성행은 화폐 시장의 과잉을 초래하였다 정식의 鈔票 이외도 각

현 발행의 私鈔와 錢莊에서 발행한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시중에 범람

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민국 시대에는 화폐 남발이 더욱 심하였다 호

남은행을 비롯한 저축은행 농업은행 등이 각기 각종 지폐를 발행하여

혼란이 가중되었다 1915년에 호남의 은행은 33개인데 그 중 장사현 7

개 상담현이 7개였다96)

군벌들이 은행을 개설하거나 질 낮은 화폐 통용을 강제하는 등의

혼란이 민국시기 특징 중의 하나이다97) 화폐 시장에는 銀元 銀角 銅

元 지폐와 鈔票 市票등 유사 화폐까지 복잡middot혼란의 양상이 나타나고

결과적으로 물가 상승을 피할 수가 없었다

선통2년(1910) 격렬한 米価 騰貴가 있었고 長沙에서 대규모 搶米 폭

동이 일어났는데 이것은 단순한 흉년때문이 아니고 銅元 남발 등 화폐

제도 혼란에 기인한 것이었다98) 1880년대 초부터 1920년대까지는 인

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시기로 매년 33 비율로 상승하였으며 1930년

총 화폐보유고는 60억 원에 달했다 반 세기간 화폐 공급은 8-10배 증

가하였다99)

93)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ldquo光緖 二十九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始鑄當十銅幣 通

行全國 物価之踊始此rdquo

94) 民國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95)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財用錄 상업

96) 張朋園 앞의 책 pp258-259

97) 宋斐夫 앞의 책 pp10-12

98) 岸本美緖 앞의 책 p51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3

時期 銀(兩) 錢(文) 出典

乾隆 嘉慶년간 10 1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道光 初(1821) Prime 1300-1400 Prime

Prime 18年(1838) Prime 1400 林則徐湖廣奏橋 권3

Prime 25年(1845) Prime 2000上下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Prime 末年(1850)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咸豊 元年(1851) Prime 2000 民國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咸豊 初 Prime 2300-2400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8 부역

咸豊 3年(1853) Prime 20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5年(1855)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Prime 6年(1856) Prime 2000 湖文忠公遺集 권12

Prime 7年(1857) Prime 1600 骆文忠公奏議 권7

Prime 8年(1858) Prime 1400 胡文忠公遺集 권85

Prime 10年(1860) Prime 1300-1400 胡文忠公遺集 권70

同治 2年(1863) Prime 13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7年(1868) Prime 1300-1400 李瀚章 瀝陳湖北等省漕務

Prime 10年(1871) Prime 1600-1700 同治10年 長沙縣志 권8 부역 錢法

光緖32年(1906) Prime 1600 長沙日報 宣統2年 2月27日

선통 2年(1910) Prime 1700 國風報 宣統2年 3月 21日

표 지방지에서 직접 採錄제외는 龔勝生 淸代兩湖農業地理 pp270-277에서 湖南부분을 발췌하여 再引用한 것임

表13) 湖南의 銀錢比値

그런데 아편전쟁 전후 銀의 과도한 해외 유출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이

초래되고 이것이 물가 상승의 주요인이라 생각되고 있는 데는 약간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表13)을 보면 銀錢比価가 일시적으로 상승하였다

가 다시 하강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은전비가는 지역에 따라 차

이가 있지만 호남 장사를 위주로 정리한 것이 표13)이다100)

99)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0) 邱思達 中國近現代鑄幣圖說 (北京 中國書店 1991) p109 참조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4

주목되는 것은 道光末에서 咸豊初에 일시적으로 상승하였지만 淸末

의 比価가 낮은 편에 속하는 현상이다 청말에 은전비가가 비교적 안

정되고 있는 것이다 아편전쟁 후 5항 개항으로 교역이 확대된 상황에

서 아편무역 증대에도 불구하고 차와 silk 수출에 힘입어 은의 순유입

이 오히려 증가되는 현상이 나타났던 것이다101) 또 光緖17년(1891)이

후 세계 銀価하락 현상으로 은유입이 증가되었다102) 19세기 후반 중

국이 세계 사회에 연결되면서 중국의 무역 적자에도 불구하고 淸 정부

에 대한 대량 차관과 자본 투자를 통해서 거대한 양의 銀이 중국에 유

입되었다 1871년에서 1913년 사이 은의 순 수입은 2억 4천만 海關兩

혹은 3억 6천만 銀달러로 추정되고 있다 세계 시장의 은가 하락과 은

의 대량 유입은 중국의 국내 시장에서 물가 상승을 유도한 것이다103)

이런 배경으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은 일시적인 것이고 청말민국기 전체를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민국 시기에는 銀元과 錢의 교환 비율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은의 유입 현상에도 불구하고 宣統 원년 11150文의 비율에서 민국6년

2250文 민국11년 2840文 민국17년 3500文 민국22년 7200文까지 급등

하고 있다 예릉현의 기록이지만 이것으로 청말보다 민국시기에 통화

팽창현상이 극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4)

銀과 錢이 주요 화폐이고 그 환율이 항상 문제가 되고 있지만 주로

청 후기 이후는 錢文 위주의 경제로 바뀌고 있다고 생각된다 長沙府

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면 대부분 道光 이후는 화폐를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淸 前期는 米価를 銀으로 표시하던 것과는 대조적이

다105) 예릉현에서는 민간에서 세금을 납부하거나 大宗무역을 할 때를

101)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2) 邱思達 앞의 책 pp92-93

103)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4)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10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光緖3年刊 善化縣志 同治13年刊 湘鄕縣志 光

緖15年刊 湘潭縣志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民國37年刊 醴陵縣志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5제외하고 紋銀 사용자가 거의 없다 도광 이후 교역시 대부분 錢文을

사용했다는 기록을 보면 淸 後期는 錢 경제 위주로 넘어간 것 같

다106) 세금을 낼 때 외에 銀錢이 필요 없는 일반민은 錢文 사용권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너무나 당연하다

함풍4년에 長沙에서 大錢을 주조하여 통용시켰으나 결국 시장의 신

뢰를 얻지 못하여 퇴출되고 말았다 1854년 7월에 주조를 시작하여

1855년 4月에 주조를 정지하였다107) 이것을 보면 통화 남발도 결국

시장의 제약을 받고 있다

민국 7년(1918) 3月 張敬堯가 裕湘銀行을 개설하여 銀元票 1000만元

銅元票 3000만元을 발행하였다 그 결과 시장은 혼란에 빠지고 시중금

융은 마비 상태가 되었으며 결국 裕湘銀行 발행의 惡幣는 폐지와 같이

되었다108) 권력에 의하여 통화 팽창이 시도되더라도 시장이 감당할

수 없는 지경이 되면 중단될 수밖에 없다 과도한 통화 팽창은 시장의

질서에 의해 어느 정도 제약 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예릉현에서도 光緖 년간에 錢莊 24곳이 출현하여 盛業을 누렸는데

民國7年(1918) 兵禍로 停業하는 곳이 많아졌고 정부의 통화 남발 화폐

가치 하락 금융혼란의 현상이 나타났다109) 민국18년(1929) 이후는 정

국이 안정되고 교통 편리로 百業이 진흥되고 은행이 역할을 하게 되었

이상에서 보면 淸末까지는 은전비가가 안정되고 통화 관리가 어느

정도 성공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光緖 宣統 시기에 銀元의 주조 외국

銀貨의 대량유입 當十銅元 등 주조로 통화팽창이 많이 되었고 이시기

물가 상승과 연관되고 있다 민국 초기에도 정국 혼란과 무계획적 통

화남발로 물가의 급등을 초래하였다 민국 중기에는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것 같다

106) 龔勝生 앞의 책 p279

107) 劉泱泱 앞의 책 pp150-155

108) 宋斐夫 앞의 책 pp10-11

10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6영향현에서도 민국 21년(1932) lsquo穀賤錢荒rsquo의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

다110) 청말민국기에 전반적으로 화폐량의 증가가 현저했던 것은 사실

이다 다양한 화폐의 등장 銀兩 銀元 銅錢 銅元 외에 외국 銀元의 유

입 그 외 鈔票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출현하였으며 양적인 팽창도 분

명하다 하지만 대외 교역 증가와 경제 활동 인구의 증가 유통 상품의

양적 증가에 의해 시장의 화폐 수요가 증대된 것도 사실이다 통화 발

행은 일차적으로는 경제 주체의 수요에 부응하는 것이지만 그것이 과

도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3 공급기타 요소

물가는 기본적으로 수요공급의 관계에서 결정되는 것이 원칙이다

청말민국기에 걸쳐 인구가 급증하여 물가가 상승한 것은 자연스런 일

이다 그러나 물가 상승률 면에서 청말의 경우가 18세기의 증가율에

비해 크다고 할 수 없다 물가 상승률을 억제하면서 비교적 안정 속의

상승을 할 수 있었던 것은 공급의 증가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청말민국기에 湖南米의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 현상이 지속된 배경

에 비약적인 경지 면적 확대와 새로운 품종 개량 시비법 발전 등 농

업 생산 증대가 있었다는 것은 이미 밝혀진 바 있다111) 米穀 공급의

증대가 물가 상승을 완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雜糧 재배가 同治

(1862-74) 년간에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민중의 식량 문제 해결에 기여

하고 米価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던 것을 城步縣 知縣 盛溢源을

통해서 알 수 있다

洋米 수입이 國産米의 보충 역할을 했다는 지적이 있지만 결국 시

110) 民國30年刊 寧鄕縣新志 전1 縣年記

111) 田炯權 淸末民國期 湖廣地方의 農業生産力과 生産關係 (慶南史學 7

1995)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2001)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

究 25 200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7장에 대한 미곡 공급을 증대시켜 가격 안정에 기여했다고 생각된

다112)

민국 시대 관련 사료를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113)

금일 정세를 보면 국내 米価의 등락은 결코 國産米의 생산량이 많고

적음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외국 産米 구역의 풍년 여부에 따라 영

향이 대단히 크다

이것을 보면 洋米 수입이 國産米価를 조절한다고 볼 수 있다 비슷

한 시기 上海에서도 湖南米가 수입 米의 영향으로 가격이 약간 적게

올랐다는 史料도 있다114) 湘報에도 日本米가 수입되어 중국의 米価

가 차츰 내려갔다는 기록이 있다115) 같은 湘報에 보면 ldquo외국물산이

날로 풍부하여 중국 상품의 판로를 막는데 서양 상품의 가격이 낮으면

중국 상품 가격이 홀로 증가할 수 없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116) 결국 洋

貨도 중국에서는 시장에 대한 상품 공급의 증가이고 이것이 상품 가격

상승을 억제하고 있는 것이다 같은 자료에 중국의 土藥이 널리 판매

되니 외래 洋藥의 가격이 폭락한 사정도 소개되고 있다117)

또 洋蠟의 수입으로 국산 白蠟 가격이 매 100斤 200元에서 100元으

로 폭락한 일도 있었다118) 1921년 독일 면화가 대량 수입되어 중국의

綿価가 하락한 일도 있다119) 光緖년간 부터 중국이 綿紗 생산을 개시

하자 華商과 洋商사이에 가격 경쟁이 시작되었다 수입 綿布도 洋商이

國産布와 경쟁하기 위해 가격을 낮추어 공급하였다120)

112) 王良行 淸末對外貿易的關聯效果(1860-1911) (近代中國對外貿易史論集1997)

113)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卷3 p413

114) 위의 책 p416

115) 湘報 제45호 p1419

116) 湘報 제13호 ldquo外洋之出産日盛 足以抵華貨之銷路 洋価低則華貨不能獨增rdquo

117) 湘報 제162호 p1608

118) 章有義 앞의 책 권3 p662

119) 譚文熙 앞의 책 p342

120) 譚文熙 위의 책 p368 p374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8상인의 가격 조종이 물가 변동에 하나의 요소는 될 수 있다 예릉현

의 土資 판매에 있어 객상의 가격 조종에 저항하기 위해 주민들이 公

司를 조직하여 가격을 바로 잡았다는 기록도 있다121) 지주 부농 米商

등의 매점매석에 의한 가격 조종 사실은 흔히 발견된다122) 秋收期에

시장에 대량 방출된 곡식을 저렴한 가격에 매입하여 端境期에 되팔아

이익을 남기는 것은 상인의 오래된 관행이다 이윤 추구를 위한 개인

의 행위지만 넓게 보면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행위이기도 하

다 각지 농산품 가격 변동 조사에서 원인이 밝혀진 10건 가운데 전쟁

이 2건 豊凶 水旱災가 7건 상인 조종은 단 한 건 뿐이었다123) 제국

주의 상인에 의한 가격 조종이라는 것도 결국 중국 상인의 이윤 추구

행위와 본질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湘報의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124)

輪船이 이미 통행하고 있고 철로가 이미 만들어 졌다 제조업이 날로

번성하고 통상조약이 행해지니 상인이 계속 내왕하고 온갖 상품이 유통

된다 사계절 틈이 없으니 일용 각 물품이 그 가격이 반드시 저렴할 것

이다

이것을 보면 통상 개시 후 교통이 발달하고 상품 교역이 증대된다

는 것과 그 결과 일용품의 가격이 저렴해졌다는 것을 당시인이 인식하

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서방 각국과의 무역 증대는 상품 공급의 증가

이고 가격 경쟁을 통해 물가 상승을 완만하게 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

121)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22) 李文治 앞의 책 p559

123)湘報 제49號 ldquo輪船旣行 鉄路旣造 製造日盛 商約可行 商賈絡繹 百産流通

歲時無間 則日用物品 其価必廉rdquo

124) 安本美緖 앞의 책 제7장 pp239-288 제12장 431-455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9

Ⅲ 物價와 景氣(생활)

1 穀賤傷農과 不況

物價 문제를 단순히 등락의 흐름에만 주목하기보다 경기변동론적

입장에서 好況 不況의 문제로 연관시켜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

이다 岸本美緖는 康熙年間의 lsquo穀賤rsquo 현상이 不況과 연결되어 있고 光

緖年間 蘇州의 不況도 lsquo穀賤rsquo이 원인이었음을 지목하고 있다125)

그런데 長沙府 중심의 湖南의 사정을 검토해 보면 lsquo穀賤rsquo 관련 기록

이 道光 咸豊 시기와 民國 中期에 집중되고 있다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26)

道光 25年(1845) ldquo穀賤斗穀錢五十文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値穀賤錢価亦賤 民甚苦之rdquo

장사현과 縣治를 長沙城 내에 두고 있는 善化현에서도 같은 해에

비슷한 기록이 있다127)

道光25年 穀賤自十五年起 連年俱穀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中下戶苦之

咸豊5年 穀賤

장사현 기록을 보면 穀価도 싸고 錢価도 싸서 민이 고통 받는다 했

으니 이 당시 은의 해외 유출과 은전비가 문제로 민중이 고통 받은 사

실을 알 수 있다 선화현은 장사현과 연접하고 통합과 분리가 단속되

었던 거의 동일 지역이다 선화현 기록을 보면 도광25년의 lsquo穀賤rsquo이 해

당년도만의 일이 아니고 道光15年(1835)부터 계속된 현상임을 밝히고

있다

12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33 祥異

126)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127) 民國30年刊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0인근의 寧鄕縣에서 보면 ldquo道光26年 歲豊 穀奇賤傷農 佃農以穀賤大

困rdquo이라는 기사가 있다128) lsquo穀奇賤rsquo이라 하였으니 평상시 보지 못한

하락이었다고 생각된다 더구나 소작료 납부가 대부분 현물지대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佃農은 米穀의 상품화 과정에서 배제되었다는 종전의

통념과 달리 佃農도 곡가 하락으로 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같은 기록에 함풍원년에도 ldquo有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以穀賤漕折苛rdquo라 하고 있어

역시 곡가 하락으로 세금 납부에 곤란을 겪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장사부 內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아도 同治 년간에는 lsquo穀賤rsquo 기

재가 보이지 않고 전술한 도광 함풍 년간에 집중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후의 기록을 찾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ldquo湖南自夏秋以來雨暢時若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故無論高低田畝咸稱大稔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甚

賎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反有入不敷出之慨矣rdquo (益聞錄 69号 광서6년828)129)

ldquo(長沙農村) 近年來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穀米求售 価値至賤 日用各物 則又極昻 收穫所

得 不足顧其工本 多已漸陷于無力耕種之境rdquo (新靑年 7권 6호 1920년 5

월)130)

ldquo湖南近年來之天災人禍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天災旣足以減少收量 地方不靖 産品滯銷

価値復因以低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而生活日昻 工価及日用物品 繼續增漲 收入支出 常苦

不得平衡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rdquo (中國棉産改進統計會議專刊 1931)131)ldquo湘省爲産穀素豊之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年歲收 屢佔大有 而長江流域亦値豊收 更

有大宗洋米 運貨傾銷致湘米頓失市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価格低賤 不僅農村經濟 陷于絶

境 市面金融 亦大受打擊rdquo (銀行週報 18권 9기 1934313)

이외에도 1936年의 사실로 호남의 武岡 東安 일대에서 lsquo豊年穀賤rsquo으

로 省城에 운반할 때 운송비와 각종 捐稅 부담을 감당할 수 없어 陳米

를 불태웠다는 기록이 있다

128) 李文治 앞의 책 p557

129) 章有義 앞의 책 권2 p432

130) 章有義 앞의 책 권3 p795

131) 章有義 위의 책 p620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1이것을 보면 주로 1930년대에 lsquo穀賤rsquo과 不況이 집중 묘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lsquo穀賤rsquo 즉 불황이라고 하면 도광함풍초의 곡천과 불

황 同治光緖宣統期의 lsquo穀貴rsquo즉 好況 다시 民國 전기의 好況 民國 中期

의 불황으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물가의 상승기가 호황적 국면이라는 것은 알려

져 있지만 이것은 전체 물가의 문제이다 위 자료에서 보면 1920년 장

사 농촌에서는 곡가는 싼데 일용품 가격은 극히 높다고 하고 있고

1931년의 기록도 工價와 일용품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농민이 다수를 점하기 때문에 미곡가의 하락은 농민 수입 감소

와 구매력 저하를 가져오고 이것이 농촌 불황의 한 요인이 될 수 있

다 그러나 工賃과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시장의 한계 안에서의

일이다 또한 실업률과 고용 지표 등도 고려되어야 하는데 만족할만한

통계의 부족으로 명확한 답을 얻기는 어렵다

그런데 米価와 물가는 개별 년도나 시점에서 서로 상이한 궤적도

있지만 圖2 3 6 7을 보면 대체적으로는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예릉의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광서 4년(1878)에 비하여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1912)에는 현격한 상승세였다가 그 후에 등락을 거듭

하고 있지만 민국25년(1936)의 경우는 광서4년보다는 높거나 유사한

경우가 많다

2 생활 경기의 발달

당시인들이 체감하던 생활 경기의 수준이 어떠했는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

光緖刊 善化縣志를 보면 다음과 같다132)

132)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16 풍속 附論 ldquo古人 酒肉以養老 而今則黃口稚子

無不酒肉之人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日不旦穀貴鹽貴 而酒肉皆貴 則好惡可知矣 一今鄕間柴炭

其価數倍於昔日 瀕河之地 莫不燒煤rdquo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2옛사람들은 술과 고기로 노인을 부양하였는데 지금은 어린아이도 술과

고기를 먹지 않는 이가 없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요사이 미곡과 소금이 비쌀 뿐 아니

라 술과 고기가 모두가 비싸니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지금 향간에 柴炭이 그 값이 예전보다 수배인데 하천 근처 사람은

煤를 때지 않는 사람이 없다

同治 攸縣志 에도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33)

예전에 士大夫도 집에 있을 때 엄동이 아니면 가죽옷을 입지 않았다

지금 關中의 가죽옷 상인이 유현에 와서 1년에 은 만여 냥을 얻을 수 있

다 기타 비단 옷은 蘇州 杭州 및 嶺南에서 오는 것이 또 배가 되니 1년

에 수만금을 소비한다

醴陵縣에서도 비슷한 인식을 볼 수 있다134)

ldquo예전 풍속이 儉樸하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이 명절 아니면 고기를 먹지 않고

慶弔事가 아니면 술을 베풀지 않고 손님 접대는 닭 잡는데 그치고 鮮味

는 생선에 그쳤고 縣城의 食肆는 飽麵茶館에 그치고 酒席으로 業을 삼는

자가 없었다

지금은 酒樓菜館이 거리에 가득차고 中人의 집에도 술자리가 베풀어지

고 사치를 다툰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예전에 士類大半이 淥江書院에 모이면 그 가운데 비단신을 신은 자가

불과 수인이었고 羊가죽 옷을 입은 자가 불과 1 2人이었다 지금은 비단

신과 가죽옷이 거의 常服이 되었고 日用品은 舶來品이 많다rdquo

이 내용을 보면 예릉현의 생활 수준이 급격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예릉현지 기록에는 부인들이 上海의 유행을 쫓아 사치를 추구한

다는 내용도 있고 청말부터 外貨를 서로 자랑한다는 내용도 있다 종

133) 同治10年刊 攸縣志 권18 풍속 衣服 ldquo衣服 昔時 士大夫 家居非嚴冬不御裘

今關中裘商來攸 歲可得銀萬餘兩 其他錦繡之運自蘇杭及嶺南者 則又倍之 計一歲

之戶 所費數萬金rdquo

134)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4장 풍속 생활 ldquo旧俗民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非令節不

食肉 非慶弔不置酒 欵客止於殺鷄 鮮味止於草魚 縣城食肆 止於飽麵茶館 無以酒

席爲業者 今則酒樓菜館 遍於街市 中人之家酬酢往還 爭奢鬪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旧時士類

大半 集於淥江書院 一院之中 著緞鞋者 不過数人 襲羊裘者 不過 一二人 今則絲

履皮袍殆成常服 日用之品 多自舶來rdquo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3전에 菜油 棉油로 燈을 켜다 집집마다 煤油를 사용한다거나 세탁시

茶枯鹼水를 쓰다가 대부분 비누를 사용하는 일상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135)

또 寧鄕縣에서도 ldquo同光之間 地方安寧 家給人足(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함)縣城商業 於時爲盛rdquo이라 하고 있어 同治(1862-74) 光

緖(1875-1908) 시기가 好況이었음을 알 수 있다136) 湘報에도 ldquo民間

之喜用洋貨日甚一日rdquo이라 하고 있어 洋貨 사용의 확대를 짐작할 수 있

다137)

광서년간 무역이 확대되고 여기에 대해 유익하다는 인식의 기록이

湘報에 나오고 있다138)

ldquo輪船과 철로가 개통되고 항구 개항이 증가 되는 것은 실로 중국에 유

익하고 손해가 없다 저 눈이 콩만큼 큰 자가 걸핏하면 통상이 중국에 해

가 된다고 하니 어찌 심히 어리석지 않은가rdquo

무역 확대를 지적하고 통상이 유익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예릉현

지에도 同治志에는 풍속이 lsquo安士重遷rsquo하고 상인이 외부 활동하는 자가

적었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고 光緖末에 도자기 夏布 編爆業

이 일어나 융성하여 이에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 넘는다고

하고 있다139) 예릉향토지에도 商旅 왕래가 예전보다 10배라는 서술이

있다140)

장사시의 行業발달 상황을 보면 민국 5년(1916)에서 民國22年(1935)

사이에 식품업은 281⟶2124 사치품은 171⟶1128 복장은 43⟶2028 農

礦은 621⟶1156 洋貨 127⟶233 금융 130⟶164 공예 2121⟶3344 문구

17⟶355 등 비약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141)

135)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 工商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6장 실업

136) 民國30年刊 寧鄕縣志 財用錄 民業

137) 湘報 제13호 1898年 3月 21日

138) 湘報 제162号 1898年 9月 23日

13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40) 民國15年刊 醴陵鄕土志 제6장 실업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4이것은 장사의 생활수준 향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당시에

通商의 확대 주장도 湘報에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142)

이상에서 보면 청말민국기에 대체적인 추세는 好況이었다고 생각된

다 생활 수준의 향상이 눈에 띄고 米価와 물가도 연동되면서 상승하

는 추세였다 米価의 상승이 구매력 수준의 제고가 되기 때문에 米穀

생산 중심지역에 상인들의 行號가 집중되는 것이 보였다143) 임금의

경우에도 호남 汝城縣에서 실질 임금이 유지 또는 상승하는 것을 확인

한 바 있다144) 全漢昇도 1875년부터 1925년까지에 걸쳐 四川 合江현

의 임금과 물가 변동의 추세가 거의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바 있

다145) 앞서 인용한 1931년 中國棉産改進計劃 에도 임금과 일용품 가

격이 함께 오른다고 하고 있어 임금이 물가에 연동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생활 수준 향상을 기록하고 있던 지방지에도 빈부 격차를 암시하는

내용이 있고 物力이 날로 쇠퇴한다든지 하는 기록이 있다 대외 무역

이 적자라 하더라도 차관 원조 뿐 아니라 외국 상인의 진출이 자본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好況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Ⅴ 結 言

이제까지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이후 民國中期인 1936年

까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여 米価와 물가 변동 물가 변동의 원인

141) 張朋園 앞의 책 p387

142) 湘報 44호 中外通商利害論 湘報 67号 論湖南茶務急宜整頓

143)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144)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9 1998)

145) 安本美緖 앞의 책 p2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5물가와 생활 경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米価 변동은 단기 변동에 있어서 전쟁이나 天災 등의 특수한 사정

의 해를 제외하고는 光緖 년간에 비해 민국 중기의 계절 변동폭이 축

소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米価의 계절 변동을 완화 시

켜 주는 雜糧의 재배가 湖南 지역에서는 대부분 同治 년간에 보급 확

대가 되고 있다 교통과 상업 발달 등의 이유로 청말에서 민국기로 갈

수록 계절 변동폭을 축소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변동에서는 長沙府縣의 물가 변동 예릉현 물가 변동 등을 살

펴 볼 때 전체로서는 상승 추세 중에 도광 함풍 시기의 低米価 同治

년간의 高米価 光緖전반의 低米価 光緖後半에서 宣統 년간의 高米価

民國 前期의 高米価 民國 中期의 低米価의 등락을 보이고 있다

民國 中期의 米価는 長沙 8개년 米価 추세에서도 안정속의 상승세

를 보이고 있다 명목상 수치 뿐 아니라 米価의 상대 물가로 보는 실

질 구매력도 宣統 民國元年에까지 급상승하였다가 민국 시기 등락을

거듭하지만 민국25년(1936)까지 광서4년(1878) 대비 유지 또는 상승 추

세였다

物価변동은 개별 상품에 따라 편차가 있고 米価와는 전혀 상이한

궤적을 그리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米価와 연동 관계를 보이

고 있다 1898년 물가의 단기 변동은 이상할 만큼 변동폭이 크지 않다

당시 물가 조사자의 보고가 정확했는지 의심될 정도이다 1935년의 장

사 물가에서 단기 변동을 보면 변동폭이 100이상인 夏布 毛筆 麵粉

棉布등을 비롯하여 50 이상인 오리털 흑연 성냥 국산 전지 등을

비롯하여 40 이상인 비누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기 변동폭

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 이것은 이런 물품들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

성이 크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物価의 장기 변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米価와 대체로 비슷한 궤적

을 보이고 있다 청말에서 민국전기에 걸쳐 물가 상승폭이 두드러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 상승폭이 더욱 크

다 돼지고기 값을 예로 들면 1878년에서 1909년 사이에 273 상승했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6고 1912-1921년 사이에 75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닭은 각 50와 44

상승했다 청말은 31년간의 수치이고 민국 전기는 9년간이니 물가의

상대적 급등을 알 수 있다 1926에서 1936년까지 10년간 돼지 고기 값

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

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

세를 보이고 있다 민국 중기의 米価가 일부 lsquo穀賤rsquo 현상을 보인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음으로 물가 변동의 원인에 대해서는 군벌간의 전쟁이나 정치적

혼란 등 정치 군사적 요인을 제외하고 대체로 검토해 보았다

수요 측면에서는 湖南米의 유통이 호남 내부의 인구 증가에도 불구

하고 양자강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지속된 것이 米価 상승의 한 원

인이었다 上海나 武漢 등의 도시화와 인구집중은 이들 지역 양식 수

요를 폭증시켰다 일부 洋米 수입에도 불구하고 湖南米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으로써 米価를 상승시켰다 또 장사를 비롯한 각지의 새로운 수

공업 산업의 발달로 비농업 인구가 증가하고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유

효수요로 성장하여 米価 상승을 유도하였다 양식의 이출은 해당 지역

인구 식량을 전부 제외한 나머지 잉여가 수출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력

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청말민국기에는 호남의 내부 외부에

서 미곡에 대한 유효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것이 米価 상승의 한 요인

이었다

화폐 문제에 있어 화폐 수량의 증가가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것

은 상식이다 종래 아편전쟁 전후 은의 해외 유출 증가가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을 초래하여 물가 상승과 인민의 빈곤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지방지 등의 史料에서 검토한 결과 은전비가는 도광함풍초의

일시적 상승 후에 함풍 7년 이후는 도리어 하락하고 있다 同治 년간

에 대부분 1兩 1300文 수준에서 안정되고 있다 光緖末宣統년간에도

1600-1700文 수준으로 도광함풍 초보다는 낮은 편이다 청말민국시

기에 화폐의 남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한계를 넘었을 때 시장의 통용

거부로 마침내 중단되고 있다 청말민국기에 외국 銀元의 유입과 국내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7의 銀元 주조 銅元 지폐 외에 鈔票 市票 등 화폐 시장에 투입된 화

폐량은 엄청나게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로서는 어느 정

도 시장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외 교역과 상품량의

증대 경제 활동 인구의 증대 미곡 생산 및 농산품 생산의 증대로 화

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것이 화폐량의 막대한 증가와 유

통속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

었다고 생각된다 즉 안정 속의 물가 상승이 유도된 것이다

공급면에서 보면 대외 교역을 통한 서양 상품의 수입은 전체로서는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물건의 공급 증가를 통해서

혹은 국내 상품과의 경쟁 때문에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었

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침략과 물가 폭등이라는 도식적

견해와 달리 현실에서는 물가 억제 작용도 있었던 것이다

물가와 경기면에서 보면 물가가 비쌀 때 호경기가 많은 것은 사실

이다 그런데 lsquo穀賤rsquo 현상이 불황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서 長沙 지역의 경우를 검토해 보았다 도광함풍 년간까지 lsquo穀賤rsquo현상

과 불경기적 상황에 대한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동치광서 년간에는

米価가 등귀한 시점인데 이 시기는 紅茶業의 번성이나 각종 수공업의

번성으로 好況의 면모가 보이고 있다 민국 시기에는 민국 중기에 lsquo穀

賤rsquo의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史料上에 민국 중기의 lsquo穀賤rsquo은 임금이나

다른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다 물가 상승기와 好況

이 맞물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민국 중기는 lsquo穀賤rsquo 현상과 서로 어긋

나는 것이다 이 시기의 不況 서술은 농촌의 농민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표시이다

생활 수준에 대한 지방지 기록 등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주민들의

洋貨 사용이 보편화되고 의복 음식 주거 등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것

을 지적하고 있다 물가는 상승하였지만 同治 이전에 비하여 분명히

사치품의 소비 증대와 中人의 집도 소비 수준이 제고된 것이 드러나고

있다 민중의 빈곤은 있으나 이 시기 빈부 격차가 커지고 생활 수준의

격차가 커진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7: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95리고 있지만 6月 중순 이후의 米価 상승을 설명하기는 어렵다 同治9

年-10年의 長沙의 米価 변동은 4⟶5⟶6월은 상승하고 6⟶7⟶8⟶9月은

하락 9 10 11 12 1 2는 평온 2⟶3⟶4는 상승 기조를 보이고 있다

동치 9년-13년의 長沙米価는 2⟶3⟶4⟶5月은 상승하고 5⟶6月은 하락

6⟶7⟶8月은 맹렬 하락 9 10 11 12 1 2월은 평온을 나타내고 있

다21) 同治2年(1863) 長沙府知府 丁宝楨이 마련한 lsquo積穀收放賑借章程rsquo에

의하면 5월 某日에 곡식을 대여하고 8월 某日에 거두어들인다고 되어

있다22)

湖南省 經濟調査所의 조사에 의하면 長沙府 각 縣의 中稻 수확 시

기는 長沙縣의 8월 하순을 비롯하여 대부분 8月 이후이다 早稻도 長

沙縣의 7월 중순을 시작으로 거의 7월 중하순에 집중된다23) 드물게 6

月초에 早穀의 등장을 알리는 기사가 있지만 보편적인 것은 아니었다

고 생각된다24)

湘報의 물가 기록은 매일을 기록 대상으로 하였지만 아쉽게도 7

月 20日까지만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1년 전체의 변동 내용은 알 수

없다 3月에서 7月까지의 변동폭을 보면 上白米는 3月 1石당 3000文에

서 7月 3881文으로 편차는 294 次白米는 3月 2900文에서 7月 3775

文으로 편차는 302 中米는 3月 2800문에서 7月 3681文으로 편차는

315이다 3月에서 7月간의 변동폭은 中米의 315가 가장 크고 전체

로서는 대략 30 내외이다 1月에서 12月까지를 고려하면 이 계절 변

동폭은 이 보다 훨씬 더 클 것이라 생각된다

수확 시기의 다양화와 雜糧 재배의 확대 등은 稻穀 수확의 계절적

차이만으로서는 정형화된 米価의 변동을 확정 짓기 어렵게 하는 요인

이었다고 생각된다 湘報에 실린 동일 해의 사정을 보면 전년의 秋

禁止出運下遊 米商業已停辦 所以米価跌落rdquo

21) 張麗芬 앞의 책 pp244-246

22) 同治10年刊 安化縣志 권33 時事記

23) 張人价 編 湖南の穀米 9 (東京 生活社 1940) pp13-21

24) 同治10年刊 攸縣志 권53 祥異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96收가 평상년이었는데 동년 봄에 곡가가 갑자기 올랐다 곧 다시 평온을

되찾았다고 한다25) 1927년의 湖南 米価가 수확 이전에는 1石당 13元

이었는데 수확 후 5元으로 하락하여 615 변동폭이었다는 보고도 있

다26) 湖南の穀米에 의하면 民國17年(1928)년 이전에는 신뢰성 있는

기록이 드물다고 하면서 민국17년(1928)년 부터 24년(1935)까지 8년간

매 月의 米価 기록을 제시하고 있다27) 그 내용을 보면 민국17년은

520(1月) 827(12月)로 변동폭 590 민국18년은 722(7) 970(12)로

343 민국19년은 719(11) 1264(7)로 758 민국20년은 854(1)

1194(9)로 398 민국21년은 627(12) 1294(2)로 1064 민국22년

(1933)은 522(8) 674(1)로 291 민국23년(1934)은 531(3) 916(9)로

725 민국24년(1935)은 916(12) 1118(6)으로 221의 변동폭을 보이

고 있다 米価 최저 月은 1 7 11 1 12 8 3 12月이고 최고 月은 12

12 7 9 2 1 9 6月로 매우 다양하다

민국17년(1928)은 590로 변동폭이 크다 이 해는 군벌 唐生智의

군대가 양자강을 따라 남하하여 長沙로 향하고 남경 정부는 李宗仁軍

이 북상하여 南北軍이 대결한 전쟁 상황이었다28) 민국19년(1930)은 毛

澤東軍이 7월 27日 長沙를 점령 장사소비에트를 건설한 해 이다 이

해 7月이 최고가를 보이고 변동폭이 758나 된 것은 까닭이 있었던

셈이다 민국21年(1932)은 6월부터 4차 圍剿战이 전개 되었고 7月에는

大풍년이 되었다 변동폭이 1064나 된 것도 원인이 있었다 민국 23

년(1934)은 역시 紅軍과 국민당軍의 국지적 대결이 고조된 시기였는데

725의 변동폭을 보이고 있다29) 이상을 종합해 보면 전쟁 상황과 같

은 특수한 사정의 해를 제외한 평상년에서는 대략 20에서 30대의

변동폭을 보이고 있다 그러면서 米穀 수확 시기와 관련된 정형화된

25) 湘報 89號 長沙縣 職員 常達邦 呈批 ldquo且上年秋收 尙得中稔 本年春間 穀価

偶漲 旋卽平減rdquo

26) 章有義 中国近代農業史資料 제2권 p520

27) 張人价 앞의 책 pp89-96

28)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29) 民國30年刊 寧鄕縣新志 卷1 縣年記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97패턴이 약화되고 있다

앞서 lt표1gt과 lt圖1gt 등에서 본 1898年의 변동폭이 3月rarr7月까지만

의 기간이라 全年 기준으로는 315보다 훨씬 클 것이라는 추론을 해

보았다 그렇다면 민국시기 평상년의 변동폭 20-30는 종전에 비해

감소된 것이 아닐까 생각해 볼 수 있다

계절 변동폭을 줄이는 요인 중 하나는 雜糧 재배의 확대라고 생각

된다 호남 城步縣에서 知縣 盛溢源이 雜糧 재배를 장려하여 米価를

내리려고 했던 것은 同治 년간의 일이다30) 兩湖農業地理를 보면 고

구마 재배 확대를 알리는 府縣志 35개 중에 27곳이 同治 년간 간행 지

방지이다 옥수수는 51개 중에 27곳이 同治 년간 지방지이다31) 호남일

대에서 잡량 재배의 확대는 19세기 후반의 일이다 이것을 보면 18세

기의 米価 계절 변동 보다는 청말민국기의 편차가 적어야 할 것이다

雜糧은 가정의 自給用이거나 지방 소시장의 교역품이라는 통념과 달리

민국시기에는 漢口에 수출되는 장거리 商品糧이 되고 있다32) 다음으

로 洋米 수입 증가를 생각할 수 있다 米価 변동에 洋米 수입 증가가

영향을 주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33) 또 洋米 수입이 거의 3月-6月에

집중되고 특히 4月에 고조되며 7月 이후 國産米의 지속 등장시에는 수

입량이 격감했다는 조사도 있다34) 洋米 수입 증가가 이 시기 米価의

계절 변동폭을 18세기보다는 축소할 수 있는 이유가 된다고 생각된다

청말민국기에는 철도 輪船 등 수송수단의 발달 시장과 상업의 발달

로 상인의 능력은 강화되었다고 여겨진다 추수기에 상인이 대량 매입

을 하고 端境期에 비싸게 팔려고 하는 것은 상인 개인을 위한 이윤 추

구 활동이다 米価의 계절 편차는 곧 바로 전부 상인의 이익은 아니다

30) 李文治 中国近代農業史資料 권1 p538

31) 龔勝生 앞의 책 pp143-145 pp135-137

32)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33) 徐正元 中国近代農産品化的發展與米市的 形成 (復印經濟史 1997年 3期)

34) 呂紹理 近代廣東與東南亞的米糧貿易(1866-1931) (政治大歷史學報 12

1995)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98매입가에 보관비용 손실비용 금융비용 등 부대비용을 제외한 것이 이

윤 범위이다 상인의 買占 행위는 넓게 보아서는 미곡의 수급관계 조

절 작용이라고 볼 수도 있다 따라서 정치 군사적 이유나 특별한 天災

상황이 아니라면 米価의 계절 변동폭은 18세기보다 근현대에 축소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여겨진다

2) 장기 추세

淸代 米價는 장기 추세에서 상승세인데 그 가운데 17세기 후반 19

세기 24분기 19세기 780년대 3회의 低落期가 있다는 조사가 있

다35) 19세기 전반 특히 24분기에는 일반적으로 극심한 디플레이션

시기여서 급격한 하강 국면이고 太平天國 시기는 급격한 요동이 뒤따

른다 1875에서 1911년까지는 가장 인플레이션이 심한 단계로 그 중

1875-85년 사이는 안정속의 상승이고 그 후 혁명전야까지 지속 상승

추세라는 파악도 있다36)

18세기 乾隆년간(1736-1795)에도 蘇州의 米価가 60년간 세 배 상승

했다는 조사도 있는데37) 비슷한 기간 長沙府 湘陰縣도 300 상승한

것으로 되어있다38) 18세기 전후 약 100년간 가격 수준이 300 상승

했다는 당시인의 인식도 있다39)

同治 이후에 제국주의 침략이 날로 강화되고 淸代 경제가 쇠퇴하였

으며 물가 상승폭이 날로 커졌다는 인식40)이 있지만 18세기 물가 상승

을 고려하면 제국주의 침략과 상관없이 물가 상승이 지속되었던 것을

알 수 있다

35) 岸本美緖 앞의 책 p17

36) Yeh-chien Wang Secular Trends of Rice in the Yanzi Delta 1638-1935(California Univ Press 1992)

37) 위의 논문

38) E S Rawski Agricultural Change and the Peasant Economy of SouthChina (Harvard Univ Press 1972)

39) 郭成康 18世紀中國物價問題和政府對策 (淸史硏究 96-1)40) 譚文熙 앞의 책 p25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99민국시기에는 1920년대까지 米価가 지속 상승하고 인플레이션이 심

해 매년 33 비율로 상승했다는 조사가 있다41) 민국 전기는 비교적

안정 속의 상승세이고 민국 중기는 역시 기본상 상승이지만 1932-35

년 사이는 하강하고 있다는 견해도 있다42)

湖南 내부 각 지역의 米価도 상호간에 긴말한 연동 관계를 보이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고43) 上海와 長沙 사이에도 고도 상관있는 것이

파악된 바 있다 그러나 공간을 달리 하면 도량형이나 화폐 종류 등의

차이로 정확한 변화를 파악하기 어렵다 되도록 좁은 범위의 지역을

연구 대상으로 할 때 상대적인 정밀도가 높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래

서 本考에서 長沙縣을 중심으로 같은 長沙府 내의 몇 개 縣을 관찰하

여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 이후 民國中期인 1936년까지를 주

대상으로 物価 변동을 살펴보려 한다

兩湖農業地理에서는 湖南 湖北의 米価를 세부 지역 구분 없이 종

합하고 있는데 例示 가격의 시기 역시 일정하지 않다 따라서 정밀성

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lt표2gt와 lt표3gt은 長沙府 醴陵縣志에기재된 것으로 해당 지역 상인의 장부와 縣商會 조직에 의한 기록을

토대로 한 것이다44) 당시인의 물가 변동에 대한 인식이라 비교적 정

확하다고 생각된다 같은 長沙府 寧鄕縣에서도 光緖7年 穀価가 1石당

600文이라는 기록이 있는데 lt표2gt의 예릉현 광서4년(1878) 기록과 근

접하고 있다45) 長沙를 중심 시장으로 하여 같은 府內의 시장 통합성

이 큰 것은 이미 확인한 바 있다46)

41) Yeh-chien Wang 앞의 논문

42) 譚文熙 앞의 책 p302 p356

43)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物価

44)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45)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46) 張麗芬 앞의 책 p197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0

시기 단위 가격(文) 米価

광서4년(1878) 石 680 1360

광서14년(1888) 780 1560

광서19년(1893) 680 1360

선통원년(1909) 2000 4000

민국원년(1912) 2800 5600

민국5년(1916) 2800 5600

민국10년(1921) 3800 7600

lt表2gt 醴陵縣 穀価(a)(私家數簿에 의함)

lt圖2gt 醴陵縣 穀價(a) 石文

-附記 前淸通行制錢文으로써 단위 민국초년에는 비록 銅元을 사용하나 관습상 1銅

元은 10文에 해당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1

시기 단위 가격(元) 米価

민국15년(1926) 石 160 32

민국20년(1931) 240 48

민국25년(1936) 250 50

민국27년(1938) 280 56

민국28년(1939) 500 100

민국29년(1940) 800 160

민국30년(1941) 3000

-lt表2gt lt表3gt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物価

lt表3gt醴陵縣 穀価(b)(縣商會 조사)

lt圖3gt 醴陵縣 穀價 石元

lt표2gt와 lt圖2gt를 보면 長沙府의 米価는 光緖4년(1878)부터 광서19

년까지 비교적 낮은 채로 있다가 그 이후 급등하여 청말에서 민국 전

기 까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lt표3gt과 lt圖3gt을 보면 민국 15년

(1926)에서 민국 27년(1938)까지 비교적 안정속의 상승세를 보이다가

그 후에 급등하고 있다 本考에서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는 것은 민국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2

時期 銀価(兩石) 錢価(文石) 出典

道光 16年(1836) 10 1400 民國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Prime 25年(1845) 05 1000同治長沙縣志 권33

祥異 光緖善化縣志 咸豊元年(1851) 08 1600 民國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함풍 3年(1853) 05 1000 同治湘鄕縣志 권5 祥異함풍 6年(1856) 07-08 1400-1600 同治安化縣志 권34 五行

同治元年(1862) 308 4000 同治瀏陽縣志 권14 祥異

同治 9年(1870) 296-370 4000-5000 Prime

光緖 7년(1881) 08-266 1200(4000) 民國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光緖年間 125-188 2000-3000 長沙日報 宣統2年2月

선통32年(1906) 25 4000 Prime

선통 2年(1910) 412 7000 Prime

長沙日報는 兩湖農業地理 p274에서 再引用

lt表4gt 長沙府 縣志等 米価 기록

중기인 1936년까지이다 항일 전쟁 발발과 國共 대립 등으로 극도의

혼란기인 민국후기는 특히 경제면에서 역사적 실체를 파악하기가 매우

어렵다

lt표4gt는 주로 長沙府 내의 縣志를 이용하여 米価를 정리한 것이다

흉년시의 특별한 가격이 아니라 평상년 가격 위주로 작성한 것이다

풍년시의 가격도 있으나 수년간 풍년이 지속되었다면 常年 가격에 준

한다고 생각된다 함풍3년(1853)의 米価는 兩湖南農業地理에 인용된

曾國藩 上奏시의 米価와 동일하다 같은 자료를 더 이용하면 함풍7년

(1857)에는 駱文忠公遺集 1石당 3200-3500文의 기사가 있다 역시

曾國藩의 上奏文에 同治2年은 1石당 30兩인데 당시의 銀錢比価로 환

산하면 3900文이므로 lt표4gt上 동치 元年 4000文과 거의 유사하다 同

治7년(1868)은 李瀚章의 上奏文에 4000文 전후로 되어있어 표의 내용

과 거의 일치한다 이것들을 짜 맞추어 보면 위 지방지 기록이 상당한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3

lt圖4gt 長沙의 米価 변동

bull광서4년 14년 19년은 예릉현지 물가표 기재 이용

bull광서7년은 민국 영향현지 기록 가을 이전의 평상 가격 이용

bull광서32년은 水災시의 가격

예릉현 물가표상의 광서 기록을 보충하여 수정한 결과

신뢰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표4)의 내용에 長沙府 醴陵縣志의 물가

표상 광서4년 14년 19년을 포함하여 구성해 본 것이 lt圖4gt이다

이것을 종합하여 보면 도광 16년(1836) 이후 함풍6년(1856)까지는

비교적 저렴한 米価가 유지되다가 함풍7년(1857)이후 米価가 급등한

것으로 생각 된다 동치 년간은 동치원년(1862) 4000文에서 동치2년

3900文 동치7년 4000文전후 동치9년 4000-5000文으로 계속 高米価가

유지된 시기였다 그런데 銀錢比値는 동치2년 1300文 동치 7년

1300-1400文으로 도광말 함풍초보다 오히려 안정되어 있다 淸末 이

지역의 지방지를 검토하면 거의 모두 嘉慶 이전은 米価를 銀兩으로 표

시하다가 道光 이후는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도광 이후 淸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4末은 米価도 錢文価가 실제 시장 가치를 잘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

다 동치 년간 상당히 高米価가 유지되었지만 道光末咸豊初와 같은 lsquo銀

貴錢賤rsquo 현상은 보이지 않기 때문에 米価 상승이 농민에게 어느 정도

유리했다 여겨진다 lt圖4gt를 보면 光緖 전반에는 米価가 상대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光緖19年(1893)까지는 하락 안정세를 보이다가 그 후에

급등하고 있다 호남성 수확기의 中米 가격 조사에서도 비슷한 경향이

보인다47) 中米 가격도 광서22년(1896)부터 대체로 상승추세인데 광서

34년(1908)에 급등하고 있다 앞서 彭信威가 연구한 江浙 米価 변동에

19세기 24분기와 19세기 780년대가 米価低落期에 해당된다고 하는

데48) 이것과 유사한 면을 가지면서 약간의 편차가 있다 즉 동치 년간

(1862-74) 70년대 전반까지는 대체로 高米価가 유지되었고 光緖 전반

의 하락은 90년대 전반까지인 것으로 생각되는 것이다 淸末 上海의

米価 조사도 1862-71(213) 1872-81(128) 1882-91(142) 1892-1901

(207)로 되어 있어 위 호남 長沙의 米価 변동과 비슷한 궤적을 그리고

있다49)

lt표1gt에 제시된 광서 24년(1898)의 長沙 米価도 3000文-4000文 사

이에 형성되어 상당한 高米価이다 같은 湘報에 실린 내용에 岳州에

집결된 湖南米가 漢口에 운송 판매되는데 米価는 3700-800文 또는 4천

수백文에 이른다고 되어 있다50) 대략 光緖20年(1894) 이후부터 淸末까

지 高米価가 지속되었다고 생각된다 松江府續志의 기록을 이용하여

光緖年間 低米価와 그로 인한 장기 不況이라는 해석은 長沙府 일대에

서는 드러나지 않는다51) 低米価는 光緖年間 전체는 아니고 光緖

(1875-1908) 년간의 거의 전반에 해당하는 1893년 이전의 일로 생각된

다 후반에서 淸末까지는 急騰에 가까운 高米価의 변동을 보여주고 있

47) 岸本美緖 앞의 책 p19

48) 同上 p443

49) 湘報 76號 p67650) 李文治 中国近代農業史資料 제1집 p561 岸本美緖의 해석 앞의 책

pp442-443

51) 張人价 앞의 책 pp93-9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5

機米 河米 糯米 총 평균

가격 지수 가격 지수 가격 지수 가격 지수

1928 652 7564 503 7065 805 9015 653 7944

1929 862 10000 712 10000 893 10000 822 10000

1930 1003 11636 862 12107 1037 11613 967 11764

1931 1002 11624 845 11868 1020 11422 956 11630

1932 1008 11694 817 11475 947 10605 924 11241

1933 594 6868 504 7079 757 8477 618 7525

1934 671 7784 590 8287 812 9093 691 8406

1935 1004 11647 810 11376 1012 11333 942 11460

lt表5gt 長沙의 米価(石元)

예릉현 물가표를 보면 民國 시기에도 대체로 안정속의 상승세가 지

속된다 청말에서 1921년까지 米価가 급등한 것으로 보이지만 1926년

에서 1936년까지는 안정 속 상승의 추세이다 兩圖 사이에는 가격 단

위의 차이가 있어 직접 접속은 곤란하지만 흐름은 그렇다고 여겨진다

호남성경제조사소 의 조사에 근거한 민국17년(1928)부터 민국24년

(1935)까지의 8년간 米価 기록을 제시한 것이 lt표5gt이다52)

이것을 보면 등락은 있지만 비교적 米価가 안정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上海의 米価도 1912-1928년 사이 407 상승하였는데 1921-1928년

사이에는 154 상승하였다53) 호남성의 米価는 宣統2年-民國元年 3개

년 평균가와 민국 21-23년 3개년 평균가를 비교했을 때 86 상승이라

는 조사도 있다54) 대체로 淸末에서 民國 전기까지는 가격이 급등하고

민국 중기에는 안정 속의 상승이 추세였다고 생각된다

호남성 汝城縣의 물가변동을 보면 우선 지방지 편찬자의 시기 구분

52) 徐正元 上海近代稻米市場価格變動分析 (中國經濟史硏究 1996年 2期)

53) 張人价 앞의 책 p87

54)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 91998)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6

1898年 1935年

소금 56文斤 57斤

洋油 50文斤 64斤

돼지고기 105文斤 30斤 015-020元斤 25-33斤

鷄育 123文斤 26斤

羊肉 117文斤 27斤

茶油 100文斤 32斤 019-024斤 21-26斤 瀏陽가격

면화(中棉) 217文斤 15斤 03-05斤 10-17斤 湘陰 Prime

1898年 中米1石価 (湘報소재 1石 3193文 적용)

1935年 長沙米価 民國25年 刊 通郵地方物産誌 湖南의 長沙靖港米価(担40-60元

의 중간 값 이용) 1石은 1担보다 크므로 실제 米価는 이보다 높을 것임

이 의미있다고 생각된다 同治丁卯志 편찬 이후부터라고 명시하고 있

는데 丁卯年은 同治6년(1867)이다 이후부터 민국21년(1932)까지를 세

시기로 구분한다55) 同光 시기 光宣 시기 民國 시기이다 즉 동치 후

반에서 광서 전반 광서 후반에서 선통 년간이니 광서 후반부터 물가

상승이 컸던 것을 반영한다고 여겨진다 여성현 물가표상 米価 변동을

단순 비교하면 지수는 100 200 400으로 변한다 1930년대 전반의 米

価는 동치 후기에 비하여 약 65년만에 300 상승한 것이다 이것을

신뢰하더라도 앞서 18세기 전후 백년간 물가가 300 상승하였다는 당

시인의 인식과 상승률은 거의 비슷하다56) 장사부 상음현에서도 18세

기 중후반 67년간 米価가 300 상승한 바 있다 예릉현 물가 표상

1878년에서 1921년까지는 米価는 약 458 상승하였지만 1926년에서

1936년까지 10년간은 약 563 상승에 그쳤다 민국 중기는 비교적 안

정속의 상승을 보여 주고 있다 lt표5gt에 제시된 長沙 機米의 8년간

가격도 54 정도 상승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미가의 명목 수치상 등

락을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질 가치를 알아보려면 상대 물가 즉

米1石価의 구매력이 얼마인지를 보아야 한다

lt表6gt 長沙 中米 1石価의 구매력 변동

55) 郭成康 앞의 논문

56) 張麗芬 앞의 책 p270 각주7)에 보면 호남성 1担価는 140-150斤 1898年 長

沙 米価는 1石당 150-155斤임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7

1935년의 長沙 米価는 通郵地方物産誌의 長沙 靖港의 米 1担価를

이용하였다 실제 石은 担보다 크므로 米価는 여기서 잡은 5元을 상회

할 것이라 생각된다57) 같은 자료의 물가를 이용하여 제시한 lt표6gt을

보면 돼지고기 값은 1898년의 30斤에서 1935년은 25-35斤 사이이다

그 범위 안에 있는 것을 보면 米価의 실질 구매력은 유지되고 있다

茶油는 다소 하락하였지만 면화도 유지 또는 상승이라 볼 수 있다

예릉현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돼지고기는 상승 추세 속에 일

부 하락년이 있다 선통 원년과 민국 원년에 수치가 상승한 것은 米価

의 폭등이 기타 물가를 크게 앞지른 것으로 여겨진다 민국 중기에 약

간 하락하였지만 1935년의 돼지고기 구매력은 광서4년(1878)에 비해

67정도 상승하고 있다 茶油의 경우도 민국 10년(1921)까지 米의 상

대 구매력이 대폭 상승하고 있다 이것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米価 변

동을 통해 농민 소득이 하강했다고 여겨지지 않는다

광서4년1878

광서14년1888

광서19년1893

선통원년1909

민국원년1912

민국5년1916

민국10년1921

민국15년1926

민국20년1931

민국25년1936

猪肉 15斤 25斤 22斤 36斤 35斤 23斤 27斤 16斤 28斤 25斤

草魚 34斤 39斤 38斤 57斤 62斤 35斤 - 20斤 32斤 33斤

茶油 12斤 23斤 25斤 27斤 - - 25斤 - ① -

鹽 23斤 26斤 22斤 33斤 62斤 - 42斤

棉花 7斤 16斤 5斤 - - - - - ②

洋紗 - - - - - - - ③

煤油 - - - - - - - 15병 2병 11병

雞 17斤 22斤 20斤 33斤 22斤 19斤 21斤 - - -

史料上 穀価를 lsquo1米2穀rsquo의 원칙에 따라 米価로 환산하였음① 민국 15년(1926)부터는 茶油의 단위가 石으로 되어 있어 비교 곤란② Prime 棉花의 단위가 石으로 되어 있어 비교 곤란③ Prime 羊紗의 단위가 件으로 되어 있어 이해 곤란

lt表7gt 醴陵縣 米価의 물품구매력 변동추세(米1石의 구매력)

57) 刘泱泱 湖南通史 近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p487-488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8

품목

시기

단위

同光

(1870-1890)

光宣

(1890-1911)

民國

(1912-1932)

肉 斤 188 188 175

鹽 斤 60 75 636

洋紗 捆 100 100同光시기洋紗통행안함

土布 尺 100 120 140

洋油 甁 20 10同光시기

洋油 未 盛行

茶油 斤 188 188 175

桐油 斤 214 200 194

柴 750 875

同治丁卯志(1867)편찬 이후라 되어 있어 대략 70년부터 잡은 것이다

lt表8gt 湖南 汝城縣의 穀1石価의 구매력 변동

호남 汝城縣의 穀1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고기는 光宣 시기에

유지되다가 민국 시기에 약간 하락하였으나 근소한 수치이다 鹽의 구

매력은 光宣 시기에 대폭 올랐다가 民國 시기에 하락하였으나 同光 시

기 보다는 높은 수치이다 洋紗에 대한 구매력은 光宣 시기에서 民國

시기에도 계속 유지되고 있다 茶油는 고기와 같은 변화이다 土布에

대해서는 구매력이 계속 증가한다 洋油에 대해서는 民國 시기에 구매

력 감소를 보이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호남의 대외무역은 외국의 공

업품과 농부산품 원료를 교환하는 것인데 고가의 공업품 대신 강제

저가의 수단으로 호남의 농산품을 약탈한다는 견해58)는 약간의 재검

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공업 상품 가격의 翦刀差에 대해서도 洋紗

의 경우를 보면 나타나지 않고 있다59)

이상을 종합하면 同治年間의 高米価 光緖前半(1875-1891)까지의 상

대적 低米価 光緖後半-宣統까지의 高米価 급등 民國前期의 계속 상승

58) 李金錚 二十年來 中國 近代 鄕村 經濟史的 新探索 (歷史硏究 2003年 4

期)

59) 譚文熙 앞의 책 pp298-299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9

品目 洋麵 淮鹽 茶油 桐油 洋油 猪肉 雞 鴨 烟煤 柴煤

단위시기

包 斤 100斤 100斤箱2桶(50斤)

斤 斤 斤 100斤 衡斗

31-310 26兩 56文 73兩 19兩 104文 112文 88文 320文 24文

311-320 26兩 Prime 73 19 104文 128文 88文 320文 24文

321-331 26兩 Prime 73 625兩 189 108文 128文 88文 320文 252

41-410 26兩 Prime 728 628 186 320文 240

411-420 27兩 Prime 728 626 183 254 228

421-430 29兩 Prime 72 616 181 314 260

51-510 293兩 Prime 711 606 178 310 240

511-520 274 Prime 71 60 183 314 240

521-531 26 Prime 71 60 185 314 229

61-610 26 Prime 699 60 185 299 219

611-620 231 Prime 734 61 184 320 255

621-630 22 Prime 754 62 183 311 254

71-710 22 Prime 774 649 183 310 250

711-719 218 Prime 768 631 181 318 265

면화는 上棉 中棉 下棉의 가격이 제시되고 있으나 여기서 생략함

lt表9gt 1898年 3-7月間 長沙物価

民國中期(1926-1936)까지 안정이라는 米価 변동의 궤적을 확인할 수

있고 그 기간 동안 米価의 실질 구매력은 유지 또는 상승이 대체적 추

세였다 생각된다

2 物價 변동

1) 단기 변동

湘報에 수록된 光緖24년(1898)의 長沙 물가 변동을 표시한 것이

lt表9gt와 lt圖5gt이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0

品目 단위 최고가 최저가 시기 유통량 행선지

鴨絨 斤 500 300 冬 上海 北平 天津 南京

일반적으로 米価와 物価는 상호 연동적이라 생각되지만 여기서 물

가의 단기 변동은 米価와는 다소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대체로

등락 폭이 크지 않다 洋油 洋麵 桐油 등의 변동폭이 크지 않다 면화

만 4월 10일 20일 사이에 상승이 있지만 5월부터는 하락하고 있다

淮鹽 가격은 斤당 56文으로 3月에서 7월 사이에 전혀 변동이 없다

長沙지역은 원래 淮鹽 관할 구역이었으나 太平天國 시기에 교통 두절

로 川鹽 소비지역이 되었다 太平天國후 曾國藩이 이 지역을 淮鹽 소

비지역으로 회복하기 위해 여러 가지 개혁 조치를 행하고 督銷局에서

가격을 核定하여 고시하는 牌價 제도를 시행한 바 있다 일종의 통제

가격제도에 의해 가격 상승이 억제되고 있었던 것이다 直隷의 景縣의

소금 값은 1890년에 斤당 46文 1900년에 斤당 68文이라는 조사도 있

다60) 長寧縣에서는 光緖29年(1903)에 鹽価가 斤당 55文이라는 보고도

있는데 이것은 長沙 1898年의 鹽価와 유사하다61)

戰亂後에 淸朝정부의 淮鹽 소비지 회복 정책에도 불구하고 四川鹽

이 계속 私鹽으로 침투하였기 때문에 長沙의 淮鹽価를 저렴한 통제 가

격下에 두고 있었다고 생각 된다62) 圖6)에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柴煤

는 米価와 같이 5月10日에 최고가에 가깝고 6월10일에 하락하고 그후

에 상승하고 있다 烟煤의 경우에도 비슷한 궤적을 그리고 있다 이것

은 米価와의 연동관계가 비교적 분명하다

1935년의 長沙 物価의 단기 변동 폭을 알 수 있는 것이 lt표10gt이

lt表10gt 長沙物価 通郵地方物産志

60) 李文治 앞의 책 p562

61) 譚文熙 앞의 책 p267-268

62) 佐伯富 中國史硏究 第1卷 (京都 同朋舍 1978) pp340-36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1

黑鉛 石 2200 1300 全年 50000石 漢口上海

棉紗 件 22000 1800 Prime 24000件 本省

棉布 疋 120 150() Prime 1000000 漢口

麵粉 袋 50 250 Prime 140000 Prime

線襪 雙 106 Prime 6000000 本省

毛呢鞋 Prime 200 180 Prime 400000 Prime

夏布 疋 1000 200 夏 20000 上海漢口

火柴 箱 500 300 全年 10000 本省

刺繡 Prime國內및外洋

매년 産量 약50만元

玻璃器 件 300 200 Prime 9000 本省

肥皀 箱 70 50 Prime 30000 Prime

絲綿三角 兩 040 020 Prime 40000 Prime

國貨電池 打 060 040 Prime 200000 Prime

猪 斤 020 015 Prime 50000只 漢口上海

豬毛 担 6000 5000 Prime 4000kg Prime

粗窑器 卡 350 250 Prime 100000套 長江연안

毛筆 支 050 020 Prime 本省 및 황하 각성

여기서 보면 변동폭이 100 이상인 것은 면포 夏布 絲線三角 毛

筆 麵粉 등이다 또 50 이상인 것은 鴨絨(가공오리털) 667 흑연

692 火柴(성냥) 667 玻璃器(유리그릇) 50 국산 電池 50 등이

다 비누는 40 粗窰器는 40이다 棉沙 222 毛呢鞋는 111 돼

지 333이다 단기 변동 폭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고 생각된다 이

것은 이런 물품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성이 크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그런데 1898年의 경우는 茶油 洋油 등 물품의 가격 변동폭이 적은 것

은 무엇 때문일까 어쩌면 당시의 시장 가격 조사가 부정확했는지도

알 수 없다

1935年의 물가에서 綿沙의 변동폭이 적은 것은 당시 항상적인 수요

가 있었기 때문이 아닐까 비누의 변동폭도 40로 비교적 적은데 생

필품으로 수요가 지속 증대된 까닭이 아닐까 한다 通郵地方物産誌에 기재된 醴陵縣 夏布 가격은 40元-100元 사이인데 民國醴陵縣志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2

圖5) 1898年 3月-7月 長沙物價

의 物価表上에는 70元(1938)이라 되어 있다 物産誌 가격은 1935年

의 것인데 예릉현지의 가격이 그 범위 안에 있어 서로 다른 자료간에

부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63) 物産誌 上 相潭株洲의 茶油 값

매 石 160-240元(1935)은 예릉현지 물가표의 민국 20년(1931) 茶油 매

石 240元과 일치하고 있다 표12)에 1936年 煤油 값은 병당 44元이다

그런데 民國 安鄕縣志에서도 1934년 煤油 값은 병당 38元으로 되어

있어 兩者 사이에 유사성을 보여주고 있다64) 그러므로 醴陵縣志 物価의 종적 비교도 신뢰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洋麵은 包당 가격

茶油桐油洋油는 100斤당 가격

棉花 100斤당 가격

2) 장기 변동

長沙의 물가 변동을 보려면 湘報 수록의 광서 24年(1898) 물가와

63) 交通部郵政總局 編 中國通郵地方物産誌 (華世出版 1988)

64) 民國 安鄕縣志 卷11 食貨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3

품명 단위광서4년

(1878)

광서14년

(1888)

광서19년

(1893)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

(1912)

민국5년

(1916)

민국10년

(1921)

豬肉 斤 88文 63 62 112 160 240 280

雞 斤 80 72 68 120 250 300 360

lt表12gt 醴陵縣 物価表 (b) (商会조사)

품명 단위민국15년(1926)

민국20년(1931)

민국25년(1936)

민국27년(1938)

민국28년(1939)

민국29년(1940)

민국30년(1941)

猪肉 百斤 200원 170 200 360 400 561 1300

草魚 Prime 160 150 150

茶油 石 240 290 560 760 2000

鹽 石 120 140 150 160 2000

洋紗 件 2200 2200 2400 2000 2500 1500

土布 匹 27 70

夏布 Prime 70 70 140

竹布 Prime 100 100 8000

棉花 石 20 25 40 100 200 400

煤炭 石 020 030 040 050 230 70

煤油 甁 220 240 440 90 300 460 200

毛邊紙 石 198 432 1200

黑靛粉 桶10斤 100 200 1500 2000

赤金 兩 50 70 80 90 500 560 1600

lt表11gt 醴陵縣 物価表 (a)(私家數簿에 의한 것)

民國24年(1935)의 通郵地方物産誌 기록을 직접 비교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양 자료 사이에 화폐와 단위가 서로 달라 직접 비교할 수가 없

다 그래서 당시인의 물가 변동 기록인 長沙府 醴陵縣 物価表를 이용

하는 것이 파악 방법이 될 것이다

lt표11gt lt표12gt 와 lt圖6gt lt圖7gt을 보면 개별 물품에 따라 차이

는 있지만 대체적인 흐름은 米価 변동과 유사한 궤적을 보여주고 있

다 즉 光緖 前半에 비교적 안정적이다가 光緖 후반부터 급상승하여

민국 전기까지 상승하고 있다 1926년부터 1936년까지는 가격 안정세

를 보여 주고 있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4

雞蛋 個 2 2 3 4 10 15 20

草魚 斤 40 40 36 70 90 160

茶油 斤 116 69 54 150 300

鹽 斤 60 60 63 120 90 180

煤 石 50 120 50

苧麻 斤 270 99 170

棉花 斤 200 96 280

竹布 尺 70 62 60 60 90

靑洋布 尺 55 50 50 70

白蓮紙 刀 40 82 80 100

-附記 前淸 통행 制錢文으로써 단위 민국 초년에는 비록 銅元을 단위 사용하나 관습상 매 1銅元은 錢10文에 해당

圖6) 醴陵縣 物価 (a)

① 豬肉 斤당 가격 ② 雞肉 斤당 가격 ③ 茶油 斤당 가격

④ 鹽 斤당 가격 ⑤ 棉花 斤당 가격 ⑥ 草魚 斤당 가격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5

圖7) 醴陵縣 物価(b)

① 猪肉 百斤당 가격 元 ② 草魚 百斤당 가격 元 ③ 茶油 石당 가격 元

④ 鹽 石당 가격 元 ⑤ 洋紗 件당 가격 元 ⑥ 棉花 石당 가격 元

⑦ 煤油 甁당 가격 元

米価가 物価와 연동되는 것에 대해서 江都縣史料를 보면 ldquo産米 구역

에서 年末에 米価가 상승하니 百物이 昻貴했다rdquo65)라고 되어 있다 湖

南지역 米価 연구 자료에도 米価 추세는 거의 물가 수준과 같다는 주

장이 있다66)

光緖末宣統年間의 물가 상승을 나타내는 史料를 보면 다음과 같다

이제 각종 惡政의 결과로 百物의 騰貴를 초래했는데 小民의 日用 수요

65) 李文治 앞의 책 p470 ldquo江都爲産米區域 年末米価騰踊 百物因以昻貴rdquo

66) 張麗芬 앞의 책 p22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6음식은 그 가격이 십년 전에 비해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과 居室 器用

蔬饌의 비용 牛種糞漑의 비용도 예전 보다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도 비록

동일 비례로 함께 올랐으나 이미 넉넉하지 못해 괴롭다67)

이것을 보면 米価와 物価가 연동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청말

특히 光緖 후반 이후에 각종 物価가 두 배 올랐다는 사정을 알 수 있

다 上海의 物価도 같은 시기에 상승하고 있다68)

lt표11gt lt표12gt와 lt圖67gt을 검토해 보면 돼지고기 값은 광서 14

년 광서 19년까지는 다소 하락세를 보이다가 宣統원년(1909)부터 급격

히 상승하고 있다 민국원년(1912)의 가격은 160文으로 1878年의 88文

에 비해 거의 두 배에 해당한다 위에 인용한 宣統 2年 8月 國風報의 물가 두 배 인상과 정확하게 부합되고 있다 민국 전기인 1926년까

지 계속 상승하고 있지만 1926년에서 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이고 있

돼지고기 값은 1878년-1909년 사이 273 상승했고 1912-1921년 사

이에 75 상승했다 닭은 각기 50와 44 상승했다 계란은 100

100 상승이었다 淸末 비교 시기는 31년간인데 비해 민국 전기는 9

년간에 불과하다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가 급등한 것은 충분히

알 수 있다 1926년에서 1936년 10년간 돼지 값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거의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이었다

民國 醴陵縣志에도 ldquo辛亥혁명이전에는 물가가 심한 등락이 없었는

데 민국 후에 들어와서 차츰 상승했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69) 圖6)을 보

면 닭고기도 비슷한 궤적을 보이고 있다 草魚의 경우도 청말 민국전

기는 상승이 주요 동선이고 민국 중기(1926-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

67) 國風報 第1年 21期 宣統 2年 8月 (李文治 앞의 책 p561) ldquo今也以種種惡

政之結果 以致百物騰踊 小民日用 飮食所需 其価皆視十年前兩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居

室器用蔬饌之費 牛種糞漑之費兩倍于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雖以同一比例以俱騰 旣苦不

給矣rdquo

68) 岸本美緖 앞의 책 p443

6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物價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7이고 있다 譚文熙 物価史에는 민국 전기는 안정속의 상승세로 민국

중기는 파동속의 상승으로 정리를 하고 있는데 여기와는 약간의 차이

를 보이고 있다70) lt표11gt과 lt표12gt 사이의 화폐 단위 차이로 인한

연속적 파악에 다소 어려움이 있으나 대체의 추세는 짐작할 수 있다

또 품목에 따라 공란이 있어 연결 관계가 애매한 부분이 있다 1936년

이후는 중일 전쟁의 혼란과 불환지폐의 강제 통용 등의 사정으로 本考

에서는 분석 대상 범위에서 제외 하고자 한다

Ⅱ 物價 변동의 원인

1 수요 측면

米価와 物價가 상호 연동관계에 있고 넓은 의미에서는 米価도 물가

의 일부이다 米価 및 물가의 상승은 우선 수요의 증가에 원인이 있다

고 할 것이다 수요증가는 일반으로 인구 증가이다 湖南의 인구는 嘉

慶21年(1816) 18754259명에서 1898年 21174000명으로 다시 民國17년

(1928)에는 31501212人으로 비약적 성장을 하였다71) 약 110년 동안

인구가 1300만 가까이 증가하였고 비율로는 679가 증가하였다 長沙

府의 인구도 가경 25년(1820)에서는 4290086명이었는데 민국23년

(1934)에는 8421330명으로 약 400만명 이상 증가하여 963 상승을

보이고 있다72)

인구의 증가가 수요 증대를 초래하는 일반 요인이지만 湖南의 米穀

移出이 해당 지역 민중의 식량을 제외하고 남는 잉여 米만은 아니다

70) 譚文熙 앞의 책 pp302-307 여기서는 민국 전기는 1912-1927년 민국 중기

는 1927-1937년으로 구분하고 있다

71) 湖南省志 地理志 (長沙 湖南人民出版社 1982) pp230-238

72)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8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의 증대가 더 중요한 요인일 것이다 淸末에

와서 새로운 생업을 통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가 많이 증가하고

있는데 醴陵縣 사례를 한번 검토해 보겠다 史料는 다음과 같다73)

同治志에 이르기를 醴陵의 풍속은 lsquo安土重遷rsquo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상인이 外地에 나

가 장사하는 이가 적었다 배를 이용하여 외부 상업을 하는 것은 淥口 부

근의 米穀商일 뿐이었다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邑人들이 茶제조로 武漢에 판매하는 자가

이익이 배가 되었다 이때부터 龍門일대에 매양 봄에 茶를 제조하고 가리

는 廠이 항상 수십이었다 光緖末年에는 도자기업 夏布 編爆이 일어나서

대신하였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이를 믿고 생계를 삼는자가 무려 십만인이다

同治志 편찬 단계만 해도 사람들이 토착 안주하여 멀리 이동하는

것을 어렵게 여겼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큰 이익을 보고 그

후 도자 기업 夏布 編爆 제조에 종사하여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나 되었다는 것이다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의 성장을

보여주는 것이다 長沙의 빠른 도시화도 주목된다 長沙日報에 실린

내용을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74)

光緖32년(1906)에 火災 조사시에 城廂 내외가 매일 식량으로 穀 5000

石이 필요하였다 지금 교통이 편리하고 상인 旅客이 배로 증가하였으니

매일 마땅히 1-2000石을 더해야 한다(宣統 2年(1910) 2月 17日 長沙日

報)이것을 보면 光緖32년(1906)에서 宣統2년(1910)은 불과 5년이 채 되

지 않는데 상인 집단이 배로 증가하였다니 城內外의 유동인구 급증을

짐작할 수 있다 長沙城의 인구는 1916年에 177882人이었고 1931年은

385514人으로 증가하였다 불과 15년 사이에 1167 증가이다 배 이

73)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ldquo同治志云 醴俗安土重遷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商賈外

貿者少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揚帆外貿則 僅淥口附近之穀米商而已 光緖初 紅茶業興 邑人製茶

販運 漢皋者 獲利倍蓰自是來龍門一帶 每屆春日 製茶捒茶列廠恒數十 訖於光緖

末年 則有瓷業及夏布編爆起而代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恃以爲生者 無慮 十萬人rdquo

74) 李文治 앞의 책 p551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9상이 증가하였으니 長沙의 도시화도 급속히 진전 되고 있다75)

민국10年의 湖南 實業雜誌 보도를 보면 당시 長沙에 蓆工 500人

刻字工 300人 방직공 3200人 이발공 800人 香工 400人 합계 5200人

이 있었다 長沙大公報에 의하면 민국9년(1920)에 長沙에는 부두공

2600人 糞夫 500人 轎夫 1300 車夫 2300人으로 합계 7000人 정도

가 있었다76) 같은 시기 호남성의 광부가 160萬人이고 여기에 手藝工

苦力을 합치면 190만 전후였다고 한다 예릉현에서는 東鄕 일대에서

編爆業 종사자가 수만이고 東北兩鄕에서 磁廠의 女工도 수천이나 되었

다는 기록도 있다77) 湖南 邵陽縣에서도 淸末에 工匠이 5만 상인이 12

만 정도였다는 통계도 있다78) 이렇게 비농업 인구가 다른 생업을 통

해 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로 증가하고 있던 것이 확인된다 이런 유

효 수요 증가를 설명해 주는 다른 史料 하나를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

다79)

어째서 米穀이 날로 적어지고 날로 비싸지는가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水旱災가 날로 많고 농사짓는데 날로 게으르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말은

진실로 일리가 있는데 다 그런 것은 아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선교사 洋商 洋官 洋

兵은 증가한 것이 외국에서 온 사람이다 敎民 游民 賭民 盜民은 內地

에서 증가한 자이다 무릇 농사짓는 사람은 하나인데 먹는 자는 헤아릴

수가 없다 米穀이 어찌 비싸지 않을 수 있겠는가

光緖後期의 사정을 전하고 있는 위 史料를 보면 외국에서 온 선교

사 상인 군인 관리 등도 米価 상승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국내

외를 막론하고 비농업 인구의 급격한 성장이 米価 상승의 원인이라 생

각된다

湖南과 長沙의 米穀은 해당 지역 안에서 소비되는 것보다 揚子江

75) 張朋園 中國現代化的區域硏究 -湖南省 (台北 1998) p376

76) 위의 책 pp412-413

77)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農業經濟

78) 光緖33年刊 邵陽縣鄕土志 권2 인류 실업

79) 李文治 앞의 책 p77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0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많다 청말민국시기에도 지속적인 湖南米의

移出이 있었던 것은 이미 밝힌바 있다80)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穀

米가 騰貴한 이유가 外省의 采辦이 많은 때문이라고 하고 있다81) 상

담현에서도 동치 4년(1865)이전에 해마다 풍년이었는데 穀価가 까닭

없이 騰貴한 것은 江南이 처음 회복되어 米穀의 販運이 많아진 때문이

라고 하고 있다82) 1898年에도 長沙에서 米穀의 원거리 送出을 바라는

지주 富戶와 주민의 갈등 관계가 노출되고 있다83) 宣統2年(1910)의 기

록에도 湖北의 흉년으로 出境 米穀이 과다하여 米価가 급등했는데 작

년 末에는 1石5000文이었다가 금년에는 1石 8000文에 이르렀다는 내

용이 있다84) 같은 자료에 湖南米가 당도 하지 않으면 武漢에서 변란

이 일어난다고 할 정도이다

하류의 上海는 한적한 어촌에서 근대에 대도시로 성장하였다 武漢

上海등의 도시화와 상공업 발전 인구 집중은 長沙米의 급격한 수요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宣統 년간에 長沙가 전국적인 4大 米市의 하나

로 성장한 것은 우연한 일은 아니다85)

근대에 대외 교역증가가 물가 상승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생각된

다 1873년에서 1930年 사이에 농산물 수출 통계는 1910년을 100으로

했을 때 1873년은 12 1893년은 123 1903년 386 1920년은 1324

1930년은 2709로 급상승하고 있다86) 농산물의 수출은 해외 수요의 증

가이다 이런 교역상 수요 증대는 가격의 등귀 뿐 아니라 작물 재배

면적의 확대에도 기여하고 있다

80)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81)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20

82) 光緖6年刊 湘潭縣志 卷29 災祥志

83) 湘報 89號 長沙縣職員常達邦呈批

84) 李文治 앞의 책 p381

85) 徐正元 中國近代農産商品化的發展與米市的形成 (復印報刊經济史 1997年3期)

86)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권2 p14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1宣統2년(1910) 長沙에 영국 상인이 출현하여 米穀 구매를 단행하자

米価가 하루에 여러 번 급등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였다87) 湖南에서

는 또 광동 상인의 영향을 받아 紅茶 제조법을 습득하여 홍차를 대량

생산하여 구미에 수출하였다 19세기 60년대부터 20세기 초에 특히 호

남 茶 생산 판매가 극히 발달하였다88) 주요 산지 중에는 長沙 湘潭

安化 등이 손꼽히고 있다

桐油의 수출 또한 괄목할 만한 것이다 湖南의 桐油 수출은 1922년

전국의 3336 1923년은 372로 성장하였다 1929년에는 全省 수출

총액의 45 정도를 차지하였고 桐油 상품화율 80에 달하였다89) 대

외교역을 통한 농산품의 해외 수요 증가는 직간접으로 물가 상승에 작

용하고 있다

2 화폐 문제

물가와 화폐의 관계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통상 화폐 수량의 증가가

생산총량의 증가보다 초과할 때 물가상승이 일어난다90) 보통 淸 후기

에는 아편무역에 따른 銀의 해외 유출과 그 결과 야기된 lsquo銀貴錢賤rsquo 현

상 통화팽창에 의해 물가가 상승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91)

실제 淸末民國기에 걸쳐 통화 팽창과 물가 상승에 대한 기록을 찾

는 것은 어렵지 않다 王業鍵에 의하면 淸末 특히 1875年부터 1911年

까지는 인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단계였다고 한다92)

民國 寧鄕縣志에 보면 ldquo光緖29年(1903)에 처음으로 當十銅元을 주

87) 李文治 앞의 책 p550-551

88) 劉泱泱 앞의 책 p46

89) 宋斐夫 主篇 湖南通史 現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5 p276

90) 陳民 法幣發行制度與通貨膨脹 (復印報刊經济史 2001-1)91) 龔勝生 앞의 책 pp275-280 岸本美緖 앞의 책 p444 張麗芬 앞의 책

p217

92) Yeh-chien Wang Secular Trends of Rice in the Yanzi Delta 1638-1935(California Univ Press 1992)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2조하여 전국에 통용시켰는데 물가의 등귀가 이때부터 시작되었다rdquo는

기록이 있다93) 醴陵縣에서는 光緖32年에 當十銅元을 주조하여 制錢과

병행시켰고 宣統원년에 銀元이 이미 성행하였다 민국원년에는 當二十

銅元을 주조하였는데 雙銅元이라 칭하였다94) 영향현에서도 광서말에

私鑄錢인 毛錢이 나오고 지폐가 통용되는 등 통화팽창이 상업을 일변

시켰다고 한다95)

종전에 비해 실질 가치가 열악한 當十 當二十 등 銅元의 남발과 鈔

票의 성행은 화폐 시장의 과잉을 초래하였다 정식의 鈔票 이외도 각

현 발행의 私鈔와 錢莊에서 발행한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시중에 범람

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민국 시대에는 화폐 남발이 더욱 심하였다 호

남은행을 비롯한 저축은행 농업은행 등이 각기 각종 지폐를 발행하여

혼란이 가중되었다 1915년에 호남의 은행은 33개인데 그 중 장사현 7

개 상담현이 7개였다96)

군벌들이 은행을 개설하거나 질 낮은 화폐 통용을 강제하는 등의

혼란이 민국시기 특징 중의 하나이다97) 화폐 시장에는 銀元 銀角 銅

元 지폐와 鈔票 市票등 유사 화폐까지 복잡middot혼란의 양상이 나타나고

결과적으로 물가 상승을 피할 수가 없었다

선통2년(1910) 격렬한 米価 騰貴가 있었고 長沙에서 대규모 搶米 폭

동이 일어났는데 이것은 단순한 흉년때문이 아니고 銅元 남발 등 화폐

제도 혼란에 기인한 것이었다98) 1880년대 초부터 1920년대까지는 인

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시기로 매년 33 비율로 상승하였으며 1930년

총 화폐보유고는 60억 원에 달했다 반 세기간 화폐 공급은 8-10배 증

가하였다99)

93)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ldquo光緖 二十九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始鑄當十銅幣 通

行全國 物価之踊始此rdquo

94) 民國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95)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財用錄 상업

96) 張朋園 앞의 책 pp258-259

97) 宋斐夫 앞의 책 pp10-12

98) 岸本美緖 앞의 책 p51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3

時期 銀(兩) 錢(文) 出典

乾隆 嘉慶년간 10 1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道光 初(1821) Prime 1300-1400 Prime

Prime 18年(1838) Prime 1400 林則徐湖廣奏橋 권3

Prime 25年(1845) Prime 2000上下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Prime 末年(1850)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咸豊 元年(1851) Prime 2000 民國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咸豊 初 Prime 2300-2400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8 부역

咸豊 3年(1853) Prime 20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5年(1855)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Prime 6年(1856) Prime 2000 湖文忠公遺集 권12

Prime 7年(1857) Prime 1600 骆文忠公奏議 권7

Prime 8年(1858) Prime 1400 胡文忠公遺集 권85

Prime 10年(1860) Prime 1300-1400 胡文忠公遺集 권70

同治 2年(1863) Prime 13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7年(1868) Prime 1300-1400 李瀚章 瀝陳湖北等省漕務

Prime 10年(1871) Prime 1600-1700 同治10年 長沙縣志 권8 부역 錢法

光緖32年(1906) Prime 1600 長沙日報 宣統2年 2月27日

선통 2年(1910) Prime 1700 國風報 宣統2年 3月 21日

표 지방지에서 직접 採錄제외는 龔勝生 淸代兩湖農業地理 pp270-277에서 湖南부분을 발췌하여 再引用한 것임

表13) 湖南의 銀錢比値

그런데 아편전쟁 전후 銀의 과도한 해외 유출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이

초래되고 이것이 물가 상승의 주요인이라 생각되고 있는 데는 약간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表13)을 보면 銀錢比価가 일시적으로 상승하였다

가 다시 하강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은전비가는 지역에 따라 차

이가 있지만 호남 장사를 위주로 정리한 것이 표13)이다100)

99)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0) 邱思達 中國近現代鑄幣圖說 (北京 中國書店 1991) p109 참조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4

주목되는 것은 道光末에서 咸豊初에 일시적으로 상승하였지만 淸末

의 比価가 낮은 편에 속하는 현상이다 청말에 은전비가가 비교적 안

정되고 있는 것이다 아편전쟁 후 5항 개항으로 교역이 확대된 상황에

서 아편무역 증대에도 불구하고 차와 silk 수출에 힘입어 은의 순유입

이 오히려 증가되는 현상이 나타났던 것이다101) 또 光緖17년(1891)이

후 세계 銀価하락 현상으로 은유입이 증가되었다102) 19세기 후반 중

국이 세계 사회에 연결되면서 중국의 무역 적자에도 불구하고 淸 정부

에 대한 대량 차관과 자본 투자를 통해서 거대한 양의 銀이 중국에 유

입되었다 1871년에서 1913년 사이 은의 순 수입은 2억 4천만 海關兩

혹은 3억 6천만 銀달러로 추정되고 있다 세계 시장의 은가 하락과 은

의 대량 유입은 중국의 국내 시장에서 물가 상승을 유도한 것이다103)

이런 배경으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은 일시적인 것이고 청말민국기 전체를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민국 시기에는 銀元과 錢의 교환 비율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은의 유입 현상에도 불구하고 宣統 원년 11150文의 비율에서 민국6년

2250文 민국11년 2840文 민국17년 3500文 민국22년 7200文까지 급등

하고 있다 예릉현의 기록이지만 이것으로 청말보다 민국시기에 통화

팽창현상이 극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4)

銀과 錢이 주요 화폐이고 그 환율이 항상 문제가 되고 있지만 주로

청 후기 이후는 錢文 위주의 경제로 바뀌고 있다고 생각된다 長沙府

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면 대부분 道光 이후는 화폐를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淸 前期는 米価를 銀으로 표시하던 것과는 대조적이

다105) 예릉현에서는 민간에서 세금을 납부하거나 大宗무역을 할 때를

101)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2) 邱思達 앞의 책 pp92-93

103)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4)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10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光緖3年刊 善化縣志 同治13年刊 湘鄕縣志 光

緖15年刊 湘潭縣志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民國37年刊 醴陵縣志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5제외하고 紋銀 사용자가 거의 없다 도광 이후 교역시 대부분 錢文을

사용했다는 기록을 보면 淸 後期는 錢 경제 위주로 넘어간 것 같

다106) 세금을 낼 때 외에 銀錢이 필요 없는 일반민은 錢文 사용권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너무나 당연하다

함풍4년에 長沙에서 大錢을 주조하여 통용시켰으나 결국 시장의 신

뢰를 얻지 못하여 퇴출되고 말았다 1854년 7월에 주조를 시작하여

1855년 4月에 주조를 정지하였다107) 이것을 보면 통화 남발도 결국

시장의 제약을 받고 있다

민국 7년(1918) 3月 張敬堯가 裕湘銀行을 개설하여 銀元票 1000만元

銅元票 3000만元을 발행하였다 그 결과 시장은 혼란에 빠지고 시중금

융은 마비 상태가 되었으며 결국 裕湘銀行 발행의 惡幣는 폐지와 같이

되었다108) 권력에 의하여 통화 팽창이 시도되더라도 시장이 감당할

수 없는 지경이 되면 중단될 수밖에 없다 과도한 통화 팽창은 시장의

질서에 의해 어느 정도 제약 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예릉현에서도 光緖 년간에 錢莊 24곳이 출현하여 盛業을 누렸는데

民國7年(1918) 兵禍로 停業하는 곳이 많아졌고 정부의 통화 남발 화폐

가치 하락 금융혼란의 현상이 나타났다109) 민국18년(1929) 이후는 정

국이 안정되고 교통 편리로 百業이 진흥되고 은행이 역할을 하게 되었

이상에서 보면 淸末까지는 은전비가가 안정되고 통화 관리가 어느

정도 성공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光緖 宣統 시기에 銀元의 주조 외국

銀貨의 대량유입 當十銅元 등 주조로 통화팽창이 많이 되었고 이시기

물가 상승과 연관되고 있다 민국 초기에도 정국 혼란과 무계획적 통

화남발로 물가의 급등을 초래하였다 민국 중기에는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것 같다

106) 龔勝生 앞의 책 p279

107) 劉泱泱 앞의 책 pp150-155

108) 宋斐夫 앞의 책 pp10-11

10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6영향현에서도 민국 21년(1932) lsquo穀賤錢荒rsquo의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

다110) 청말민국기에 전반적으로 화폐량의 증가가 현저했던 것은 사실

이다 다양한 화폐의 등장 銀兩 銀元 銅錢 銅元 외에 외국 銀元의 유

입 그 외 鈔票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출현하였으며 양적인 팽창도 분

명하다 하지만 대외 교역 증가와 경제 활동 인구의 증가 유통 상품의

양적 증가에 의해 시장의 화폐 수요가 증대된 것도 사실이다 통화 발

행은 일차적으로는 경제 주체의 수요에 부응하는 것이지만 그것이 과

도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3 공급기타 요소

물가는 기본적으로 수요공급의 관계에서 결정되는 것이 원칙이다

청말민국기에 걸쳐 인구가 급증하여 물가가 상승한 것은 자연스런 일

이다 그러나 물가 상승률 면에서 청말의 경우가 18세기의 증가율에

비해 크다고 할 수 없다 물가 상승률을 억제하면서 비교적 안정 속의

상승을 할 수 있었던 것은 공급의 증가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청말민국기에 湖南米의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 현상이 지속된 배경

에 비약적인 경지 면적 확대와 새로운 품종 개량 시비법 발전 등 농

업 생산 증대가 있었다는 것은 이미 밝혀진 바 있다111) 米穀 공급의

증대가 물가 상승을 완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雜糧 재배가 同治

(1862-74) 년간에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민중의 식량 문제 해결에 기여

하고 米価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던 것을 城步縣 知縣 盛溢源을

통해서 알 수 있다

洋米 수입이 國産米의 보충 역할을 했다는 지적이 있지만 결국 시

110) 民國30年刊 寧鄕縣新志 전1 縣年記

111) 田炯權 淸末民國期 湖廣地方의 農業生産力과 生産關係 (慶南史學 7

1995)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2001)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

究 25 200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7장에 대한 미곡 공급을 증대시켜 가격 안정에 기여했다고 생각된

다112)

민국 시대 관련 사료를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113)

금일 정세를 보면 국내 米価의 등락은 결코 國産米의 생산량이 많고

적음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외국 産米 구역의 풍년 여부에 따라 영

향이 대단히 크다

이것을 보면 洋米 수입이 國産米価를 조절한다고 볼 수 있다 비슷

한 시기 上海에서도 湖南米가 수입 米의 영향으로 가격이 약간 적게

올랐다는 史料도 있다114) 湘報에도 日本米가 수입되어 중국의 米価

가 차츰 내려갔다는 기록이 있다115) 같은 湘報에 보면 ldquo외국물산이

날로 풍부하여 중국 상품의 판로를 막는데 서양 상품의 가격이 낮으면

중국 상품 가격이 홀로 증가할 수 없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116) 결국 洋

貨도 중국에서는 시장에 대한 상품 공급의 증가이고 이것이 상품 가격

상승을 억제하고 있는 것이다 같은 자료에 중국의 土藥이 널리 판매

되니 외래 洋藥의 가격이 폭락한 사정도 소개되고 있다117)

또 洋蠟의 수입으로 국산 白蠟 가격이 매 100斤 200元에서 100元으

로 폭락한 일도 있었다118) 1921년 독일 면화가 대량 수입되어 중국의

綿価가 하락한 일도 있다119) 光緖년간 부터 중국이 綿紗 생산을 개시

하자 華商과 洋商사이에 가격 경쟁이 시작되었다 수입 綿布도 洋商이

國産布와 경쟁하기 위해 가격을 낮추어 공급하였다120)

112) 王良行 淸末對外貿易的關聯效果(1860-1911) (近代中國對外貿易史論集1997)

113)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卷3 p413

114) 위의 책 p416

115) 湘報 제45호 p1419

116) 湘報 제13호 ldquo外洋之出産日盛 足以抵華貨之銷路 洋価低則華貨不能獨增rdquo

117) 湘報 제162호 p1608

118) 章有義 앞의 책 권3 p662

119) 譚文熙 앞의 책 p342

120) 譚文熙 위의 책 p368 p374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8상인의 가격 조종이 물가 변동에 하나의 요소는 될 수 있다 예릉현

의 土資 판매에 있어 객상의 가격 조종에 저항하기 위해 주민들이 公

司를 조직하여 가격을 바로 잡았다는 기록도 있다121) 지주 부농 米商

등의 매점매석에 의한 가격 조종 사실은 흔히 발견된다122) 秋收期에

시장에 대량 방출된 곡식을 저렴한 가격에 매입하여 端境期에 되팔아

이익을 남기는 것은 상인의 오래된 관행이다 이윤 추구를 위한 개인

의 행위지만 넓게 보면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행위이기도 하

다 각지 농산품 가격 변동 조사에서 원인이 밝혀진 10건 가운데 전쟁

이 2건 豊凶 水旱災가 7건 상인 조종은 단 한 건 뿐이었다123) 제국

주의 상인에 의한 가격 조종이라는 것도 결국 중국 상인의 이윤 추구

행위와 본질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湘報의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124)

輪船이 이미 통행하고 있고 철로가 이미 만들어 졌다 제조업이 날로

번성하고 통상조약이 행해지니 상인이 계속 내왕하고 온갖 상품이 유통

된다 사계절 틈이 없으니 일용 각 물품이 그 가격이 반드시 저렴할 것

이다

이것을 보면 통상 개시 후 교통이 발달하고 상품 교역이 증대된다

는 것과 그 결과 일용품의 가격이 저렴해졌다는 것을 당시인이 인식하

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서방 각국과의 무역 증대는 상품 공급의 증가

이고 가격 경쟁을 통해 물가 상승을 완만하게 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

121)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22) 李文治 앞의 책 p559

123)湘報 제49號 ldquo輪船旣行 鉄路旣造 製造日盛 商約可行 商賈絡繹 百産流通

歲時無間 則日用物品 其価必廉rdquo

124) 安本美緖 앞의 책 제7장 pp239-288 제12장 431-455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9

Ⅲ 物價와 景氣(생활)

1 穀賤傷農과 不況

物價 문제를 단순히 등락의 흐름에만 주목하기보다 경기변동론적

입장에서 好況 不況의 문제로 연관시켜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

이다 岸本美緖는 康熙年間의 lsquo穀賤rsquo 현상이 不況과 연결되어 있고 光

緖年間 蘇州의 不況도 lsquo穀賤rsquo이 원인이었음을 지목하고 있다125)

그런데 長沙府 중심의 湖南의 사정을 검토해 보면 lsquo穀賤rsquo 관련 기록

이 道光 咸豊 시기와 民國 中期에 집중되고 있다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26)

道光 25年(1845) ldquo穀賤斗穀錢五十文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値穀賤錢価亦賤 民甚苦之rdquo

장사현과 縣治를 長沙城 내에 두고 있는 善化현에서도 같은 해에

비슷한 기록이 있다127)

道光25年 穀賤自十五年起 連年俱穀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中下戶苦之

咸豊5年 穀賤

장사현 기록을 보면 穀価도 싸고 錢価도 싸서 민이 고통 받는다 했

으니 이 당시 은의 해외 유출과 은전비가 문제로 민중이 고통 받은 사

실을 알 수 있다 선화현은 장사현과 연접하고 통합과 분리가 단속되

었던 거의 동일 지역이다 선화현 기록을 보면 도광25년의 lsquo穀賤rsquo이 해

당년도만의 일이 아니고 道光15年(1835)부터 계속된 현상임을 밝히고

있다

12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33 祥異

126)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127) 民國30年刊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0인근의 寧鄕縣에서 보면 ldquo道光26年 歲豊 穀奇賤傷農 佃農以穀賤大

困rdquo이라는 기사가 있다128) lsquo穀奇賤rsquo이라 하였으니 평상시 보지 못한

하락이었다고 생각된다 더구나 소작료 납부가 대부분 현물지대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佃農은 米穀의 상품화 과정에서 배제되었다는 종전의

통념과 달리 佃農도 곡가 하락으로 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같은 기록에 함풍원년에도 ldquo有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以穀賤漕折苛rdquo라 하고 있어

역시 곡가 하락으로 세금 납부에 곤란을 겪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장사부 內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아도 同治 년간에는 lsquo穀賤rsquo 기

재가 보이지 않고 전술한 도광 함풍 년간에 집중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후의 기록을 찾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ldquo湖南自夏秋以來雨暢時若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故無論高低田畝咸稱大稔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甚

賎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反有入不敷出之慨矣rdquo (益聞錄 69号 광서6년828)129)

ldquo(長沙農村) 近年來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穀米求售 価値至賤 日用各物 則又極昻 收穫所

得 不足顧其工本 多已漸陷于無力耕種之境rdquo (新靑年 7권 6호 1920년 5

월)130)

ldquo湖南近年來之天災人禍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天災旣足以減少收量 地方不靖 産品滯銷

価値復因以低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而生活日昻 工価及日用物品 繼續增漲 收入支出 常苦

不得平衡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rdquo (中國棉産改進統計會議專刊 1931)131)ldquo湘省爲産穀素豊之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年歲收 屢佔大有 而長江流域亦値豊收 更

有大宗洋米 運貨傾銷致湘米頓失市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価格低賤 不僅農村經濟 陷于絶

境 市面金融 亦大受打擊rdquo (銀行週報 18권 9기 1934313)

이외에도 1936年의 사실로 호남의 武岡 東安 일대에서 lsquo豊年穀賤rsquo으

로 省城에 운반할 때 운송비와 각종 捐稅 부담을 감당할 수 없어 陳米

를 불태웠다는 기록이 있다

128) 李文治 앞의 책 p557

129) 章有義 앞의 책 권2 p432

130) 章有義 앞의 책 권3 p795

131) 章有義 위의 책 p620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1이것을 보면 주로 1930년대에 lsquo穀賤rsquo과 不況이 집중 묘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lsquo穀賤rsquo 즉 불황이라고 하면 도광함풍초의 곡천과 불

황 同治光緖宣統期의 lsquo穀貴rsquo즉 好況 다시 民國 전기의 好況 民國 中期

의 불황으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물가의 상승기가 호황적 국면이라는 것은 알려

져 있지만 이것은 전체 물가의 문제이다 위 자료에서 보면 1920년 장

사 농촌에서는 곡가는 싼데 일용품 가격은 극히 높다고 하고 있고

1931년의 기록도 工價와 일용품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농민이 다수를 점하기 때문에 미곡가의 하락은 농민 수입 감소

와 구매력 저하를 가져오고 이것이 농촌 불황의 한 요인이 될 수 있

다 그러나 工賃과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시장의 한계 안에서의

일이다 또한 실업률과 고용 지표 등도 고려되어야 하는데 만족할만한

통계의 부족으로 명확한 답을 얻기는 어렵다

그런데 米価와 물가는 개별 년도나 시점에서 서로 상이한 궤적도

있지만 圖2 3 6 7을 보면 대체적으로는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예릉의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광서 4년(1878)에 비하여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1912)에는 현격한 상승세였다가 그 후에 등락을 거듭

하고 있지만 민국25년(1936)의 경우는 광서4년보다는 높거나 유사한

경우가 많다

2 생활 경기의 발달

당시인들이 체감하던 생활 경기의 수준이 어떠했는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

光緖刊 善化縣志를 보면 다음과 같다132)

132)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16 풍속 附論 ldquo古人 酒肉以養老 而今則黃口稚子

無不酒肉之人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日不旦穀貴鹽貴 而酒肉皆貴 則好惡可知矣 一今鄕間柴炭

其価數倍於昔日 瀕河之地 莫不燒煤rdquo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2옛사람들은 술과 고기로 노인을 부양하였는데 지금은 어린아이도 술과

고기를 먹지 않는 이가 없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요사이 미곡과 소금이 비쌀 뿐 아니

라 술과 고기가 모두가 비싸니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지금 향간에 柴炭이 그 값이 예전보다 수배인데 하천 근처 사람은

煤를 때지 않는 사람이 없다

同治 攸縣志 에도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33)

예전에 士大夫도 집에 있을 때 엄동이 아니면 가죽옷을 입지 않았다

지금 關中의 가죽옷 상인이 유현에 와서 1년에 은 만여 냥을 얻을 수 있

다 기타 비단 옷은 蘇州 杭州 및 嶺南에서 오는 것이 또 배가 되니 1년

에 수만금을 소비한다

醴陵縣에서도 비슷한 인식을 볼 수 있다134)

ldquo예전 풍속이 儉樸하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이 명절 아니면 고기를 먹지 않고

慶弔事가 아니면 술을 베풀지 않고 손님 접대는 닭 잡는데 그치고 鮮味

는 생선에 그쳤고 縣城의 食肆는 飽麵茶館에 그치고 酒席으로 業을 삼는

자가 없었다

지금은 酒樓菜館이 거리에 가득차고 中人의 집에도 술자리가 베풀어지

고 사치를 다툰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예전에 士類大半이 淥江書院에 모이면 그 가운데 비단신을 신은 자가

불과 수인이었고 羊가죽 옷을 입은 자가 불과 1 2人이었다 지금은 비단

신과 가죽옷이 거의 常服이 되었고 日用品은 舶來品이 많다rdquo

이 내용을 보면 예릉현의 생활 수준이 급격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예릉현지 기록에는 부인들이 上海의 유행을 쫓아 사치를 추구한

다는 내용도 있고 청말부터 外貨를 서로 자랑한다는 내용도 있다 종

133) 同治10年刊 攸縣志 권18 풍속 衣服 ldquo衣服 昔時 士大夫 家居非嚴冬不御裘

今關中裘商來攸 歲可得銀萬餘兩 其他錦繡之運自蘇杭及嶺南者 則又倍之 計一歲

之戶 所費數萬金rdquo

134)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4장 풍속 생활 ldquo旧俗民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非令節不

食肉 非慶弔不置酒 欵客止於殺鷄 鮮味止於草魚 縣城食肆 止於飽麵茶館 無以酒

席爲業者 今則酒樓菜館 遍於街市 中人之家酬酢往還 爭奢鬪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旧時士類

大半 集於淥江書院 一院之中 著緞鞋者 不過数人 襲羊裘者 不過 一二人 今則絲

履皮袍殆成常服 日用之品 多自舶來rdquo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3전에 菜油 棉油로 燈을 켜다 집집마다 煤油를 사용한다거나 세탁시

茶枯鹼水를 쓰다가 대부분 비누를 사용하는 일상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135)

또 寧鄕縣에서도 ldquo同光之間 地方安寧 家給人足(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함)縣城商業 於時爲盛rdquo이라 하고 있어 同治(1862-74) 光

緖(1875-1908) 시기가 好況이었음을 알 수 있다136) 湘報에도 ldquo民間

之喜用洋貨日甚一日rdquo이라 하고 있어 洋貨 사용의 확대를 짐작할 수 있

다137)

광서년간 무역이 확대되고 여기에 대해 유익하다는 인식의 기록이

湘報에 나오고 있다138)

ldquo輪船과 철로가 개통되고 항구 개항이 증가 되는 것은 실로 중국에 유

익하고 손해가 없다 저 눈이 콩만큼 큰 자가 걸핏하면 통상이 중국에 해

가 된다고 하니 어찌 심히 어리석지 않은가rdquo

무역 확대를 지적하고 통상이 유익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예릉현

지에도 同治志에는 풍속이 lsquo安士重遷rsquo하고 상인이 외부 활동하는 자가

적었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고 光緖末에 도자기 夏布 編爆業

이 일어나 융성하여 이에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 넘는다고

하고 있다139) 예릉향토지에도 商旅 왕래가 예전보다 10배라는 서술이

있다140)

장사시의 行業발달 상황을 보면 민국 5년(1916)에서 民國22年(1935)

사이에 식품업은 281⟶2124 사치품은 171⟶1128 복장은 43⟶2028 農

礦은 621⟶1156 洋貨 127⟶233 금융 130⟶164 공예 2121⟶3344 문구

17⟶355 등 비약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141)

135)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 工商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6장 실업

136) 民國30年刊 寧鄕縣志 財用錄 民業

137) 湘報 제13호 1898年 3月 21日

138) 湘報 제162号 1898年 9月 23日

13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40) 民國15年刊 醴陵鄕土志 제6장 실업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4이것은 장사의 생활수준 향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당시에

通商의 확대 주장도 湘報에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142)

이상에서 보면 청말민국기에 대체적인 추세는 好況이었다고 생각된

다 생활 수준의 향상이 눈에 띄고 米価와 물가도 연동되면서 상승하

는 추세였다 米価의 상승이 구매력 수준의 제고가 되기 때문에 米穀

생산 중심지역에 상인들의 行號가 집중되는 것이 보였다143) 임금의

경우에도 호남 汝城縣에서 실질 임금이 유지 또는 상승하는 것을 확인

한 바 있다144) 全漢昇도 1875년부터 1925년까지에 걸쳐 四川 合江현

의 임금과 물가 변동의 추세가 거의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바 있

다145) 앞서 인용한 1931년 中國棉産改進計劃 에도 임금과 일용품 가

격이 함께 오른다고 하고 있어 임금이 물가에 연동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생활 수준 향상을 기록하고 있던 지방지에도 빈부 격차를 암시하는

내용이 있고 物力이 날로 쇠퇴한다든지 하는 기록이 있다 대외 무역

이 적자라 하더라도 차관 원조 뿐 아니라 외국 상인의 진출이 자본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好況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Ⅴ 結 言

이제까지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이후 民國中期인 1936年

까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여 米価와 물가 변동 물가 변동의 원인

141) 張朋園 앞의 책 p387

142) 湘報 44호 中外通商利害論 湘報 67号 論湖南茶務急宜整頓

143)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144)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9 1998)

145) 安本美緖 앞의 책 p2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5물가와 생활 경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米価 변동은 단기 변동에 있어서 전쟁이나 天災 등의 특수한 사정

의 해를 제외하고는 光緖 년간에 비해 민국 중기의 계절 변동폭이 축

소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米価의 계절 변동을 완화 시

켜 주는 雜糧의 재배가 湖南 지역에서는 대부분 同治 년간에 보급 확

대가 되고 있다 교통과 상업 발달 등의 이유로 청말에서 민국기로 갈

수록 계절 변동폭을 축소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변동에서는 長沙府縣의 물가 변동 예릉현 물가 변동 등을 살

펴 볼 때 전체로서는 상승 추세 중에 도광 함풍 시기의 低米価 同治

년간의 高米価 光緖전반의 低米価 光緖後半에서 宣統 년간의 高米価

民國 前期의 高米価 民國 中期의 低米価의 등락을 보이고 있다

民國 中期의 米価는 長沙 8개년 米価 추세에서도 안정속의 상승세

를 보이고 있다 명목상 수치 뿐 아니라 米価의 상대 물가로 보는 실

질 구매력도 宣統 民國元年에까지 급상승하였다가 민국 시기 등락을

거듭하지만 민국25년(1936)까지 광서4년(1878) 대비 유지 또는 상승 추

세였다

物価변동은 개별 상품에 따라 편차가 있고 米価와는 전혀 상이한

궤적을 그리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米価와 연동 관계를 보이

고 있다 1898년 물가의 단기 변동은 이상할 만큼 변동폭이 크지 않다

당시 물가 조사자의 보고가 정확했는지 의심될 정도이다 1935년의 장

사 물가에서 단기 변동을 보면 변동폭이 100이상인 夏布 毛筆 麵粉

棉布등을 비롯하여 50 이상인 오리털 흑연 성냥 국산 전지 등을

비롯하여 40 이상인 비누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기 변동폭

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 이것은 이런 물품들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

성이 크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物価의 장기 변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米価와 대체로 비슷한 궤적

을 보이고 있다 청말에서 민국전기에 걸쳐 물가 상승폭이 두드러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 상승폭이 더욱 크

다 돼지고기 값을 예로 들면 1878년에서 1909년 사이에 273 상승했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6고 1912-1921년 사이에 75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닭은 각 50와 44

상승했다 청말은 31년간의 수치이고 민국 전기는 9년간이니 물가의

상대적 급등을 알 수 있다 1926에서 1936년까지 10년간 돼지 고기 값

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

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

세를 보이고 있다 민국 중기의 米価가 일부 lsquo穀賤rsquo 현상을 보인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음으로 물가 변동의 원인에 대해서는 군벌간의 전쟁이나 정치적

혼란 등 정치 군사적 요인을 제외하고 대체로 검토해 보았다

수요 측면에서는 湖南米의 유통이 호남 내부의 인구 증가에도 불구

하고 양자강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지속된 것이 米価 상승의 한 원

인이었다 上海나 武漢 등의 도시화와 인구집중은 이들 지역 양식 수

요를 폭증시켰다 일부 洋米 수입에도 불구하고 湖南米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으로써 米価를 상승시켰다 또 장사를 비롯한 각지의 새로운 수

공업 산업의 발달로 비농업 인구가 증가하고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유

효수요로 성장하여 米価 상승을 유도하였다 양식의 이출은 해당 지역

인구 식량을 전부 제외한 나머지 잉여가 수출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력

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청말민국기에는 호남의 내부 외부에

서 미곡에 대한 유효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것이 米価 상승의 한 요인

이었다

화폐 문제에 있어 화폐 수량의 증가가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것

은 상식이다 종래 아편전쟁 전후 은의 해외 유출 증가가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을 초래하여 물가 상승과 인민의 빈곤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지방지 등의 史料에서 검토한 결과 은전비가는 도광함풍초의

일시적 상승 후에 함풍 7년 이후는 도리어 하락하고 있다 同治 년간

에 대부분 1兩 1300文 수준에서 안정되고 있다 光緖末宣統년간에도

1600-1700文 수준으로 도광함풍 초보다는 낮은 편이다 청말민국시

기에 화폐의 남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한계를 넘었을 때 시장의 통용

거부로 마침내 중단되고 있다 청말민국기에 외국 銀元의 유입과 국내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7의 銀元 주조 銅元 지폐 외에 鈔票 市票 등 화폐 시장에 투입된 화

폐량은 엄청나게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로서는 어느 정

도 시장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외 교역과 상품량의

증대 경제 활동 인구의 증대 미곡 생산 및 농산품 생산의 증대로 화

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것이 화폐량의 막대한 증가와 유

통속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

었다고 생각된다 즉 안정 속의 물가 상승이 유도된 것이다

공급면에서 보면 대외 교역을 통한 서양 상품의 수입은 전체로서는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물건의 공급 증가를 통해서

혹은 국내 상품과의 경쟁 때문에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었

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침략과 물가 폭등이라는 도식적

견해와 달리 현실에서는 물가 억제 작용도 있었던 것이다

물가와 경기면에서 보면 물가가 비쌀 때 호경기가 많은 것은 사실

이다 그런데 lsquo穀賤rsquo 현상이 불황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서 長沙 지역의 경우를 검토해 보았다 도광함풍 년간까지 lsquo穀賤rsquo현상

과 불경기적 상황에 대한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동치광서 년간에는

米価가 등귀한 시점인데 이 시기는 紅茶業의 번성이나 각종 수공업의

번성으로 好況의 면모가 보이고 있다 민국 시기에는 민국 중기에 lsquo穀

賤rsquo의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史料上에 민국 중기의 lsquo穀賤rsquo은 임금이나

다른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다 물가 상승기와 好況

이 맞물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민국 중기는 lsquo穀賤rsquo 현상과 서로 어긋

나는 것이다 이 시기의 不況 서술은 농촌의 농민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표시이다

생활 수준에 대한 지방지 기록 등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주민들의

洋貨 사용이 보편화되고 의복 음식 주거 등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것

을 지적하고 있다 물가는 상승하였지만 同治 이전에 비하여 분명히

사치품의 소비 증대와 中人의 집도 소비 수준이 제고된 것이 드러나고

있다 민중의 빈곤은 있으나 이 시기 빈부 격차가 커지고 생활 수준의

격차가 커진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8: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96收가 평상년이었는데 동년 봄에 곡가가 갑자기 올랐다 곧 다시 평온을

되찾았다고 한다25) 1927년의 湖南 米価가 수확 이전에는 1石당 13元

이었는데 수확 후 5元으로 하락하여 615 변동폭이었다는 보고도 있

다26) 湖南の穀米에 의하면 民國17年(1928)년 이전에는 신뢰성 있는

기록이 드물다고 하면서 민국17년(1928)년 부터 24년(1935)까지 8년간

매 月의 米価 기록을 제시하고 있다27) 그 내용을 보면 민국17년은

520(1月) 827(12月)로 변동폭 590 민국18년은 722(7) 970(12)로

343 민국19년은 719(11) 1264(7)로 758 민국20년은 854(1)

1194(9)로 398 민국21년은 627(12) 1294(2)로 1064 민국22년

(1933)은 522(8) 674(1)로 291 민국23년(1934)은 531(3) 916(9)로

725 민국24년(1935)은 916(12) 1118(6)으로 221의 변동폭을 보이

고 있다 米価 최저 月은 1 7 11 1 12 8 3 12月이고 최고 月은 12

12 7 9 2 1 9 6月로 매우 다양하다

민국17년(1928)은 590로 변동폭이 크다 이 해는 군벌 唐生智의

군대가 양자강을 따라 남하하여 長沙로 향하고 남경 정부는 李宗仁軍

이 북상하여 南北軍이 대결한 전쟁 상황이었다28) 민국19년(1930)은 毛

澤東軍이 7월 27日 長沙를 점령 장사소비에트를 건설한 해 이다 이

해 7月이 최고가를 보이고 변동폭이 758나 된 것은 까닭이 있었던

셈이다 민국21年(1932)은 6월부터 4차 圍剿战이 전개 되었고 7月에는

大풍년이 되었다 변동폭이 1064나 된 것도 원인이 있었다 민국 23

년(1934)은 역시 紅軍과 국민당軍의 국지적 대결이 고조된 시기였는데

725의 변동폭을 보이고 있다29) 이상을 종합해 보면 전쟁 상황과 같

은 특수한 사정의 해를 제외한 평상년에서는 대략 20에서 30대의

변동폭을 보이고 있다 그러면서 米穀 수확 시기와 관련된 정형화된

25) 湘報 89號 長沙縣 職員 常達邦 呈批 ldquo且上年秋收 尙得中稔 本年春間 穀価

偶漲 旋卽平減rdquo

26) 章有義 中国近代農業史資料 제2권 p520

27) 張人价 앞의 책 pp89-96

28)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29) 民國30年刊 寧鄕縣新志 卷1 縣年記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97패턴이 약화되고 있다

앞서 lt표1gt과 lt圖1gt 등에서 본 1898年의 변동폭이 3月rarr7月까지만

의 기간이라 全年 기준으로는 315보다 훨씬 클 것이라는 추론을 해

보았다 그렇다면 민국시기 평상년의 변동폭 20-30는 종전에 비해

감소된 것이 아닐까 생각해 볼 수 있다

계절 변동폭을 줄이는 요인 중 하나는 雜糧 재배의 확대라고 생각

된다 호남 城步縣에서 知縣 盛溢源이 雜糧 재배를 장려하여 米価를

내리려고 했던 것은 同治 년간의 일이다30) 兩湖農業地理를 보면 고

구마 재배 확대를 알리는 府縣志 35개 중에 27곳이 同治 년간 간행 지

방지이다 옥수수는 51개 중에 27곳이 同治 년간 지방지이다31) 호남일

대에서 잡량 재배의 확대는 19세기 후반의 일이다 이것을 보면 18세

기의 米価 계절 변동 보다는 청말민국기의 편차가 적어야 할 것이다

雜糧은 가정의 自給用이거나 지방 소시장의 교역품이라는 통념과 달리

민국시기에는 漢口에 수출되는 장거리 商品糧이 되고 있다32) 다음으

로 洋米 수입 증가를 생각할 수 있다 米価 변동에 洋米 수입 증가가

영향을 주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33) 또 洋米 수입이 거의 3月-6月에

집중되고 특히 4月에 고조되며 7月 이후 國産米의 지속 등장시에는 수

입량이 격감했다는 조사도 있다34) 洋米 수입 증가가 이 시기 米価의

계절 변동폭을 18세기보다는 축소할 수 있는 이유가 된다고 생각된다

청말민국기에는 철도 輪船 등 수송수단의 발달 시장과 상업의 발달

로 상인의 능력은 강화되었다고 여겨진다 추수기에 상인이 대량 매입

을 하고 端境期에 비싸게 팔려고 하는 것은 상인 개인을 위한 이윤 추

구 활동이다 米価의 계절 편차는 곧 바로 전부 상인의 이익은 아니다

30) 李文治 中国近代農業史資料 권1 p538

31) 龔勝生 앞의 책 pp143-145 pp135-137

32)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33) 徐正元 中国近代農産品化的發展與米市的 形成 (復印經濟史 1997年 3期)

34) 呂紹理 近代廣東與東南亞的米糧貿易(1866-1931) (政治大歷史學報 12

1995)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98매입가에 보관비용 손실비용 금융비용 등 부대비용을 제외한 것이 이

윤 범위이다 상인의 買占 행위는 넓게 보아서는 미곡의 수급관계 조

절 작용이라고 볼 수도 있다 따라서 정치 군사적 이유나 특별한 天災

상황이 아니라면 米価의 계절 변동폭은 18세기보다 근현대에 축소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여겨진다

2) 장기 추세

淸代 米價는 장기 추세에서 상승세인데 그 가운데 17세기 후반 19

세기 24분기 19세기 780년대 3회의 低落期가 있다는 조사가 있

다35) 19세기 전반 특히 24분기에는 일반적으로 극심한 디플레이션

시기여서 급격한 하강 국면이고 太平天國 시기는 급격한 요동이 뒤따

른다 1875에서 1911년까지는 가장 인플레이션이 심한 단계로 그 중

1875-85년 사이는 안정속의 상승이고 그 후 혁명전야까지 지속 상승

추세라는 파악도 있다36)

18세기 乾隆년간(1736-1795)에도 蘇州의 米価가 60년간 세 배 상승

했다는 조사도 있는데37) 비슷한 기간 長沙府 湘陰縣도 300 상승한

것으로 되어있다38) 18세기 전후 약 100년간 가격 수준이 300 상승

했다는 당시인의 인식도 있다39)

同治 이후에 제국주의 침략이 날로 강화되고 淸代 경제가 쇠퇴하였

으며 물가 상승폭이 날로 커졌다는 인식40)이 있지만 18세기 물가 상승

을 고려하면 제국주의 침략과 상관없이 물가 상승이 지속되었던 것을

알 수 있다

35) 岸本美緖 앞의 책 p17

36) Yeh-chien Wang Secular Trends of Rice in the Yanzi Delta 1638-1935(California Univ Press 1992)

37) 위의 논문

38) E S Rawski Agricultural Change and the Peasant Economy of SouthChina (Harvard Univ Press 1972)

39) 郭成康 18世紀中國物價問題和政府對策 (淸史硏究 96-1)40) 譚文熙 앞의 책 p25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99민국시기에는 1920년대까지 米価가 지속 상승하고 인플레이션이 심

해 매년 33 비율로 상승했다는 조사가 있다41) 민국 전기는 비교적

안정 속의 상승세이고 민국 중기는 역시 기본상 상승이지만 1932-35

년 사이는 하강하고 있다는 견해도 있다42)

湖南 내부 각 지역의 米価도 상호간에 긴말한 연동 관계를 보이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고43) 上海와 長沙 사이에도 고도 상관있는 것이

파악된 바 있다 그러나 공간을 달리 하면 도량형이나 화폐 종류 등의

차이로 정확한 변화를 파악하기 어렵다 되도록 좁은 범위의 지역을

연구 대상으로 할 때 상대적인 정밀도가 높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래

서 本考에서 長沙縣을 중심으로 같은 長沙府 내의 몇 개 縣을 관찰하

여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 이후 民國中期인 1936년까지를 주

대상으로 物価 변동을 살펴보려 한다

兩湖農業地理에서는 湖南 湖北의 米価를 세부 지역 구분 없이 종

합하고 있는데 例示 가격의 시기 역시 일정하지 않다 따라서 정밀성

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lt표2gt와 lt표3gt은 長沙府 醴陵縣志에기재된 것으로 해당 지역 상인의 장부와 縣商會 조직에 의한 기록을

토대로 한 것이다44) 당시인의 물가 변동에 대한 인식이라 비교적 정

확하다고 생각된다 같은 長沙府 寧鄕縣에서도 光緖7年 穀価가 1石당

600文이라는 기록이 있는데 lt표2gt의 예릉현 광서4년(1878) 기록과 근

접하고 있다45) 長沙를 중심 시장으로 하여 같은 府內의 시장 통합성

이 큰 것은 이미 확인한 바 있다46)

41) Yeh-chien Wang 앞의 논문

42) 譚文熙 앞의 책 p302 p356

43)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物価

44)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45)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46) 張麗芬 앞의 책 p197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0

시기 단위 가격(文) 米価

광서4년(1878) 石 680 1360

광서14년(1888) 780 1560

광서19년(1893) 680 1360

선통원년(1909) 2000 4000

민국원년(1912) 2800 5600

민국5년(1916) 2800 5600

민국10년(1921) 3800 7600

lt表2gt 醴陵縣 穀価(a)(私家數簿에 의함)

lt圖2gt 醴陵縣 穀價(a) 石文

-附記 前淸通行制錢文으로써 단위 민국초년에는 비록 銅元을 사용하나 관습상 1銅

元은 10文에 해당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1

시기 단위 가격(元) 米価

민국15년(1926) 石 160 32

민국20년(1931) 240 48

민국25년(1936) 250 50

민국27년(1938) 280 56

민국28년(1939) 500 100

민국29년(1940) 800 160

민국30년(1941) 3000

-lt表2gt lt表3gt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物価

lt表3gt醴陵縣 穀価(b)(縣商會 조사)

lt圖3gt 醴陵縣 穀價 石元

lt표2gt와 lt圖2gt를 보면 長沙府의 米価는 光緖4년(1878)부터 광서19

년까지 비교적 낮은 채로 있다가 그 이후 급등하여 청말에서 민국 전

기 까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lt표3gt과 lt圖3gt을 보면 민국 15년

(1926)에서 민국 27년(1938)까지 비교적 안정속의 상승세를 보이다가

그 후에 급등하고 있다 本考에서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는 것은 민국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2

時期 銀価(兩石) 錢価(文石) 出典

道光 16年(1836) 10 1400 民國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Prime 25年(1845) 05 1000同治長沙縣志 권33

祥異 光緖善化縣志 咸豊元年(1851) 08 1600 民國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함풍 3年(1853) 05 1000 同治湘鄕縣志 권5 祥異함풍 6年(1856) 07-08 1400-1600 同治安化縣志 권34 五行

同治元年(1862) 308 4000 同治瀏陽縣志 권14 祥異

同治 9年(1870) 296-370 4000-5000 Prime

光緖 7년(1881) 08-266 1200(4000) 民國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光緖年間 125-188 2000-3000 長沙日報 宣統2年2月

선통32年(1906) 25 4000 Prime

선통 2年(1910) 412 7000 Prime

長沙日報는 兩湖農業地理 p274에서 再引用

lt表4gt 長沙府 縣志等 米価 기록

중기인 1936년까지이다 항일 전쟁 발발과 國共 대립 등으로 극도의

혼란기인 민국후기는 특히 경제면에서 역사적 실체를 파악하기가 매우

어렵다

lt표4gt는 주로 長沙府 내의 縣志를 이용하여 米価를 정리한 것이다

흉년시의 특별한 가격이 아니라 평상년 가격 위주로 작성한 것이다

풍년시의 가격도 있으나 수년간 풍년이 지속되었다면 常年 가격에 준

한다고 생각된다 함풍3년(1853)의 米価는 兩湖南農業地理에 인용된

曾國藩 上奏시의 米価와 동일하다 같은 자료를 더 이용하면 함풍7년

(1857)에는 駱文忠公遺集 1石당 3200-3500文의 기사가 있다 역시

曾國藩의 上奏文에 同治2年은 1石당 30兩인데 당시의 銀錢比価로 환

산하면 3900文이므로 lt표4gt上 동치 元年 4000文과 거의 유사하다 同

治7년(1868)은 李瀚章의 上奏文에 4000文 전후로 되어있어 표의 내용

과 거의 일치한다 이것들을 짜 맞추어 보면 위 지방지 기록이 상당한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3

lt圖4gt 長沙의 米価 변동

bull광서4년 14년 19년은 예릉현지 물가표 기재 이용

bull광서7년은 민국 영향현지 기록 가을 이전의 평상 가격 이용

bull광서32년은 水災시의 가격

예릉현 물가표상의 광서 기록을 보충하여 수정한 결과

신뢰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표4)의 내용에 長沙府 醴陵縣志의 물가

표상 광서4년 14년 19년을 포함하여 구성해 본 것이 lt圖4gt이다

이것을 종합하여 보면 도광 16년(1836) 이후 함풍6년(1856)까지는

비교적 저렴한 米価가 유지되다가 함풍7년(1857)이후 米価가 급등한

것으로 생각 된다 동치 년간은 동치원년(1862) 4000文에서 동치2년

3900文 동치7년 4000文전후 동치9년 4000-5000文으로 계속 高米価가

유지된 시기였다 그런데 銀錢比値는 동치2년 1300文 동치 7년

1300-1400文으로 도광말 함풍초보다 오히려 안정되어 있다 淸末 이

지역의 지방지를 검토하면 거의 모두 嘉慶 이전은 米価를 銀兩으로 표

시하다가 道光 이후는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도광 이후 淸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4末은 米価도 錢文価가 실제 시장 가치를 잘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

다 동치 년간 상당히 高米価가 유지되었지만 道光末咸豊初와 같은 lsquo銀

貴錢賤rsquo 현상은 보이지 않기 때문에 米価 상승이 농민에게 어느 정도

유리했다 여겨진다 lt圖4gt를 보면 光緖 전반에는 米価가 상대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光緖19年(1893)까지는 하락 안정세를 보이다가 그 후에

급등하고 있다 호남성 수확기의 中米 가격 조사에서도 비슷한 경향이

보인다47) 中米 가격도 광서22년(1896)부터 대체로 상승추세인데 광서

34년(1908)에 급등하고 있다 앞서 彭信威가 연구한 江浙 米価 변동에

19세기 24분기와 19세기 780년대가 米価低落期에 해당된다고 하는

데48) 이것과 유사한 면을 가지면서 약간의 편차가 있다 즉 동치 년간

(1862-74) 70년대 전반까지는 대체로 高米価가 유지되었고 光緖 전반

의 하락은 90년대 전반까지인 것으로 생각되는 것이다 淸末 上海의

米価 조사도 1862-71(213) 1872-81(128) 1882-91(142) 1892-1901

(207)로 되어 있어 위 호남 長沙의 米価 변동과 비슷한 궤적을 그리고

있다49)

lt표1gt에 제시된 광서 24년(1898)의 長沙 米価도 3000文-4000文 사

이에 형성되어 상당한 高米価이다 같은 湘報에 실린 내용에 岳州에

집결된 湖南米가 漢口에 운송 판매되는데 米価는 3700-800文 또는 4천

수백文에 이른다고 되어 있다50) 대략 光緖20年(1894) 이후부터 淸末까

지 高米価가 지속되었다고 생각된다 松江府續志의 기록을 이용하여

光緖年間 低米価와 그로 인한 장기 不況이라는 해석은 長沙府 일대에

서는 드러나지 않는다51) 低米価는 光緖年間 전체는 아니고 光緖

(1875-1908) 년간의 거의 전반에 해당하는 1893년 이전의 일로 생각된

다 후반에서 淸末까지는 急騰에 가까운 高米価의 변동을 보여주고 있

47) 岸本美緖 앞의 책 p19

48) 同上 p443

49) 湘報 76號 p67650) 李文治 中国近代農業史資料 제1집 p561 岸本美緖의 해석 앞의 책

pp442-443

51) 張人价 앞의 책 pp93-9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5

機米 河米 糯米 총 평균

가격 지수 가격 지수 가격 지수 가격 지수

1928 652 7564 503 7065 805 9015 653 7944

1929 862 10000 712 10000 893 10000 822 10000

1930 1003 11636 862 12107 1037 11613 967 11764

1931 1002 11624 845 11868 1020 11422 956 11630

1932 1008 11694 817 11475 947 10605 924 11241

1933 594 6868 504 7079 757 8477 618 7525

1934 671 7784 590 8287 812 9093 691 8406

1935 1004 11647 810 11376 1012 11333 942 11460

lt表5gt 長沙의 米価(石元)

예릉현 물가표를 보면 民國 시기에도 대체로 안정속의 상승세가 지

속된다 청말에서 1921년까지 米価가 급등한 것으로 보이지만 1926년

에서 1936년까지는 안정 속 상승의 추세이다 兩圖 사이에는 가격 단

위의 차이가 있어 직접 접속은 곤란하지만 흐름은 그렇다고 여겨진다

호남성경제조사소 의 조사에 근거한 민국17년(1928)부터 민국24년

(1935)까지의 8년간 米価 기록을 제시한 것이 lt표5gt이다52)

이것을 보면 등락은 있지만 비교적 米価가 안정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上海의 米価도 1912-1928년 사이 407 상승하였는데 1921-1928년

사이에는 154 상승하였다53) 호남성의 米価는 宣統2年-民國元年 3개

년 평균가와 민국 21-23년 3개년 평균가를 비교했을 때 86 상승이라

는 조사도 있다54) 대체로 淸末에서 民國 전기까지는 가격이 급등하고

민국 중기에는 안정 속의 상승이 추세였다고 생각된다

호남성 汝城縣의 물가변동을 보면 우선 지방지 편찬자의 시기 구분

52) 徐正元 上海近代稻米市場価格變動分析 (中國經濟史硏究 1996年 2期)

53) 張人价 앞의 책 p87

54)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 91998)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6

1898年 1935年

소금 56文斤 57斤

洋油 50文斤 64斤

돼지고기 105文斤 30斤 015-020元斤 25-33斤

鷄育 123文斤 26斤

羊肉 117文斤 27斤

茶油 100文斤 32斤 019-024斤 21-26斤 瀏陽가격

면화(中棉) 217文斤 15斤 03-05斤 10-17斤 湘陰 Prime

1898年 中米1石価 (湘報소재 1石 3193文 적용)

1935年 長沙米価 民國25年 刊 通郵地方物産誌 湖南의 長沙靖港米価(担40-60元

의 중간 값 이용) 1石은 1担보다 크므로 실제 米価는 이보다 높을 것임

이 의미있다고 생각된다 同治丁卯志 편찬 이후부터라고 명시하고 있

는데 丁卯年은 同治6년(1867)이다 이후부터 민국21년(1932)까지를 세

시기로 구분한다55) 同光 시기 光宣 시기 民國 시기이다 즉 동치 후

반에서 광서 전반 광서 후반에서 선통 년간이니 광서 후반부터 물가

상승이 컸던 것을 반영한다고 여겨진다 여성현 물가표상 米価 변동을

단순 비교하면 지수는 100 200 400으로 변한다 1930년대 전반의 米

価는 동치 후기에 비하여 약 65년만에 300 상승한 것이다 이것을

신뢰하더라도 앞서 18세기 전후 백년간 물가가 300 상승하였다는 당

시인의 인식과 상승률은 거의 비슷하다56) 장사부 상음현에서도 18세

기 중후반 67년간 米価가 300 상승한 바 있다 예릉현 물가 표상

1878년에서 1921년까지는 米価는 약 458 상승하였지만 1926년에서

1936년까지 10년간은 약 563 상승에 그쳤다 민국 중기는 비교적 안

정속의 상승을 보여 주고 있다 lt표5gt에 제시된 長沙 機米의 8년간

가격도 54 정도 상승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미가의 명목 수치상 등

락을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질 가치를 알아보려면 상대 물가 즉

米1石価의 구매력이 얼마인지를 보아야 한다

lt表6gt 長沙 中米 1石価의 구매력 변동

55) 郭成康 앞의 논문

56) 張麗芬 앞의 책 p270 각주7)에 보면 호남성 1担価는 140-150斤 1898年 長

沙 米価는 1石당 150-155斤임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7

1935년의 長沙 米価는 通郵地方物産誌의 長沙 靖港의 米 1担価를

이용하였다 실제 石은 担보다 크므로 米価는 여기서 잡은 5元을 상회

할 것이라 생각된다57) 같은 자료의 물가를 이용하여 제시한 lt표6gt을

보면 돼지고기 값은 1898년의 30斤에서 1935년은 25-35斤 사이이다

그 범위 안에 있는 것을 보면 米価의 실질 구매력은 유지되고 있다

茶油는 다소 하락하였지만 면화도 유지 또는 상승이라 볼 수 있다

예릉현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돼지고기는 상승 추세 속에 일

부 하락년이 있다 선통 원년과 민국 원년에 수치가 상승한 것은 米価

의 폭등이 기타 물가를 크게 앞지른 것으로 여겨진다 민국 중기에 약

간 하락하였지만 1935년의 돼지고기 구매력은 광서4년(1878)에 비해

67정도 상승하고 있다 茶油의 경우도 민국 10년(1921)까지 米의 상

대 구매력이 대폭 상승하고 있다 이것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米価 변

동을 통해 농민 소득이 하강했다고 여겨지지 않는다

광서4년1878

광서14년1888

광서19년1893

선통원년1909

민국원년1912

민국5년1916

민국10년1921

민국15년1926

민국20년1931

민국25년1936

猪肉 15斤 25斤 22斤 36斤 35斤 23斤 27斤 16斤 28斤 25斤

草魚 34斤 39斤 38斤 57斤 62斤 35斤 - 20斤 32斤 33斤

茶油 12斤 23斤 25斤 27斤 - - 25斤 - ① -

鹽 23斤 26斤 22斤 33斤 62斤 - 42斤

棉花 7斤 16斤 5斤 - - - - - ②

洋紗 - - - - - - - ③

煤油 - - - - - - - 15병 2병 11병

雞 17斤 22斤 20斤 33斤 22斤 19斤 21斤 - - -

史料上 穀価를 lsquo1米2穀rsquo의 원칙에 따라 米価로 환산하였음① 민국 15년(1926)부터는 茶油의 단위가 石으로 되어 있어 비교 곤란② Prime 棉花의 단위가 石으로 되어 있어 비교 곤란③ Prime 羊紗의 단위가 件으로 되어 있어 이해 곤란

lt表7gt 醴陵縣 米価의 물품구매력 변동추세(米1石의 구매력)

57) 刘泱泱 湖南通史 近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p487-488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8

품목

시기

단위

同光

(1870-1890)

光宣

(1890-1911)

民國

(1912-1932)

肉 斤 188 188 175

鹽 斤 60 75 636

洋紗 捆 100 100同光시기洋紗통행안함

土布 尺 100 120 140

洋油 甁 20 10同光시기

洋油 未 盛行

茶油 斤 188 188 175

桐油 斤 214 200 194

柴 750 875

同治丁卯志(1867)편찬 이후라 되어 있어 대략 70년부터 잡은 것이다

lt表8gt 湖南 汝城縣의 穀1石価의 구매력 변동

호남 汝城縣의 穀1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고기는 光宣 시기에

유지되다가 민국 시기에 약간 하락하였으나 근소한 수치이다 鹽의 구

매력은 光宣 시기에 대폭 올랐다가 民國 시기에 하락하였으나 同光 시

기 보다는 높은 수치이다 洋紗에 대한 구매력은 光宣 시기에서 民國

시기에도 계속 유지되고 있다 茶油는 고기와 같은 변화이다 土布에

대해서는 구매력이 계속 증가한다 洋油에 대해서는 民國 시기에 구매

력 감소를 보이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호남의 대외무역은 외국의 공

업품과 농부산품 원료를 교환하는 것인데 고가의 공업품 대신 강제

저가의 수단으로 호남의 농산품을 약탈한다는 견해58)는 약간의 재검

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공업 상품 가격의 翦刀差에 대해서도 洋紗

의 경우를 보면 나타나지 않고 있다59)

이상을 종합하면 同治年間의 高米価 光緖前半(1875-1891)까지의 상

대적 低米価 光緖後半-宣統까지의 高米価 급등 民國前期의 계속 상승

58) 李金錚 二十年來 中國 近代 鄕村 經濟史的 新探索 (歷史硏究 2003年 4

期)

59) 譚文熙 앞의 책 pp298-299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9

品目 洋麵 淮鹽 茶油 桐油 洋油 猪肉 雞 鴨 烟煤 柴煤

단위시기

包 斤 100斤 100斤箱2桶(50斤)

斤 斤 斤 100斤 衡斗

31-310 26兩 56文 73兩 19兩 104文 112文 88文 320文 24文

311-320 26兩 Prime 73 19 104文 128文 88文 320文 24文

321-331 26兩 Prime 73 625兩 189 108文 128文 88文 320文 252

41-410 26兩 Prime 728 628 186 320文 240

411-420 27兩 Prime 728 626 183 254 228

421-430 29兩 Prime 72 616 181 314 260

51-510 293兩 Prime 711 606 178 310 240

511-520 274 Prime 71 60 183 314 240

521-531 26 Prime 71 60 185 314 229

61-610 26 Prime 699 60 185 299 219

611-620 231 Prime 734 61 184 320 255

621-630 22 Prime 754 62 183 311 254

71-710 22 Prime 774 649 183 310 250

711-719 218 Prime 768 631 181 318 265

면화는 上棉 中棉 下棉의 가격이 제시되고 있으나 여기서 생략함

lt表9gt 1898年 3-7月間 長沙物価

民國中期(1926-1936)까지 안정이라는 米価 변동의 궤적을 확인할 수

있고 그 기간 동안 米価의 실질 구매력은 유지 또는 상승이 대체적 추

세였다 생각된다

2 物價 변동

1) 단기 변동

湘報에 수록된 光緖24년(1898)의 長沙 물가 변동을 표시한 것이

lt表9gt와 lt圖5gt이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0

品目 단위 최고가 최저가 시기 유통량 행선지

鴨絨 斤 500 300 冬 上海 北平 天津 南京

일반적으로 米価와 物価는 상호 연동적이라 생각되지만 여기서 물

가의 단기 변동은 米価와는 다소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대체로

등락 폭이 크지 않다 洋油 洋麵 桐油 등의 변동폭이 크지 않다 면화

만 4월 10일 20일 사이에 상승이 있지만 5월부터는 하락하고 있다

淮鹽 가격은 斤당 56文으로 3月에서 7월 사이에 전혀 변동이 없다

長沙지역은 원래 淮鹽 관할 구역이었으나 太平天國 시기에 교통 두절

로 川鹽 소비지역이 되었다 太平天國후 曾國藩이 이 지역을 淮鹽 소

비지역으로 회복하기 위해 여러 가지 개혁 조치를 행하고 督銷局에서

가격을 核定하여 고시하는 牌價 제도를 시행한 바 있다 일종의 통제

가격제도에 의해 가격 상승이 억제되고 있었던 것이다 直隷의 景縣의

소금 값은 1890년에 斤당 46文 1900년에 斤당 68文이라는 조사도 있

다60) 長寧縣에서는 光緖29年(1903)에 鹽価가 斤당 55文이라는 보고도

있는데 이것은 長沙 1898年의 鹽価와 유사하다61)

戰亂後에 淸朝정부의 淮鹽 소비지 회복 정책에도 불구하고 四川鹽

이 계속 私鹽으로 침투하였기 때문에 長沙의 淮鹽価를 저렴한 통제 가

격下에 두고 있었다고 생각 된다62) 圖6)에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柴煤

는 米価와 같이 5月10日에 최고가에 가깝고 6월10일에 하락하고 그후

에 상승하고 있다 烟煤의 경우에도 비슷한 궤적을 그리고 있다 이것

은 米価와의 연동관계가 비교적 분명하다

1935년의 長沙 物価의 단기 변동 폭을 알 수 있는 것이 lt표10gt이

lt表10gt 長沙物価 通郵地方物産志

60) 李文治 앞의 책 p562

61) 譚文熙 앞의 책 p267-268

62) 佐伯富 中國史硏究 第1卷 (京都 同朋舍 1978) pp340-36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1

黑鉛 石 2200 1300 全年 50000石 漢口上海

棉紗 件 22000 1800 Prime 24000件 本省

棉布 疋 120 150() Prime 1000000 漢口

麵粉 袋 50 250 Prime 140000 Prime

線襪 雙 106 Prime 6000000 本省

毛呢鞋 Prime 200 180 Prime 400000 Prime

夏布 疋 1000 200 夏 20000 上海漢口

火柴 箱 500 300 全年 10000 本省

刺繡 Prime國內및外洋

매년 産量 약50만元

玻璃器 件 300 200 Prime 9000 本省

肥皀 箱 70 50 Prime 30000 Prime

絲綿三角 兩 040 020 Prime 40000 Prime

國貨電池 打 060 040 Prime 200000 Prime

猪 斤 020 015 Prime 50000只 漢口上海

豬毛 担 6000 5000 Prime 4000kg Prime

粗窑器 卡 350 250 Prime 100000套 長江연안

毛筆 支 050 020 Prime 本省 및 황하 각성

여기서 보면 변동폭이 100 이상인 것은 면포 夏布 絲線三角 毛

筆 麵粉 등이다 또 50 이상인 것은 鴨絨(가공오리털) 667 흑연

692 火柴(성냥) 667 玻璃器(유리그릇) 50 국산 電池 50 등이

다 비누는 40 粗窰器는 40이다 棉沙 222 毛呢鞋는 111 돼

지 333이다 단기 변동 폭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고 생각된다 이

것은 이런 물품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성이 크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그런데 1898年의 경우는 茶油 洋油 등 물품의 가격 변동폭이 적은 것

은 무엇 때문일까 어쩌면 당시의 시장 가격 조사가 부정확했는지도

알 수 없다

1935年의 물가에서 綿沙의 변동폭이 적은 것은 당시 항상적인 수요

가 있었기 때문이 아닐까 비누의 변동폭도 40로 비교적 적은데 생

필품으로 수요가 지속 증대된 까닭이 아닐까 한다 通郵地方物産誌에 기재된 醴陵縣 夏布 가격은 40元-100元 사이인데 民國醴陵縣志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2

圖5) 1898年 3月-7月 長沙物價

의 物価表上에는 70元(1938)이라 되어 있다 物産誌 가격은 1935年

의 것인데 예릉현지의 가격이 그 범위 안에 있어 서로 다른 자료간에

부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63) 物産誌 上 相潭株洲의 茶油 값

매 石 160-240元(1935)은 예릉현지 물가표의 민국 20년(1931) 茶油 매

石 240元과 일치하고 있다 표12)에 1936年 煤油 값은 병당 44元이다

그런데 民國 安鄕縣志에서도 1934년 煤油 값은 병당 38元으로 되어

있어 兩者 사이에 유사성을 보여주고 있다64) 그러므로 醴陵縣志 物価의 종적 비교도 신뢰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洋麵은 包당 가격

茶油桐油洋油는 100斤당 가격

棉花 100斤당 가격

2) 장기 변동

長沙의 물가 변동을 보려면 湘報 수록의 광서 24年(1898) 물가와

63) 交通部郵政總局 編 中國通郵地方物産誌 (華世出版 1988)

64) 民國 安鄕縣志 卷11 食貨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3

품명 단위광서4년

(1878)

광서14년

(1888)

광서19년

(1893)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

(1912)

민국5년

(1916)

민국10년

(1921)

豬肉 斤 88文 63 62 112 160 240 280

雞 斤 80 72 68 120 250 300 360

lt表12gt 醴陵縣 物価表 (b) (商会조사)

품명 단위민국15년(1926)

민국20년(1931)

민국25년(1936)

민국27년(1938)

민국28년(1939)

민국29년(1940)

민국30년(1941)

猪肉 百斤 200원 170 200 360 400 561 1300

草魚 Prime 160 150 150

茶油 石 240 290 560 760 2000

鹽 石 120 140 150 160 2000

洋紗 件 2200 2200 2400 2000 2500 1500

土布 匹 27 70

夏布 Prime 70 70 140

竹布 Prime 100 100 8000

棉花 石 20 25 40 100 200 400

煤炭 石 020 030 040 050 230 70

煤油 甁 220 240 440 90 300 460 200

毛邊紙 石 198 432 1200

黑靛粉 桶10斤 100 200 1500 2000

赤金 兩 50 70 80 90 500 560 1600

lt表11gt 醴陵縣 物価表 (a)(私家數簿에 의한 것)

民國24年(1935)의 通郵地方物産誌 기록을 직접 비교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양 자료 사이에 화폐와 단위가 서로 달라 직접 비교할 수가 없

다 그래서 당시인의 물가 변동 기록인 長沙府 醴陵縣 物価表를 이용

하는 것이 파악 방법이 될 것이다

lt표11gt lt표12gt 와 lt圖6gt lt圖7gt을 보면 개별 물품에 따라 차이

는 있지만 대체적인 흐름은 米価 변동과 유사한 궤적을 보여주고 있

다 즉 光緖 前半에 비교적 안정적이다가 光緖 후반부터 급상승하여

민국 전기까지 상승하고 있다 1926년부터 1936년까지는 가격 안정세

를 보여 주고 있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4

雞蛋 個 2 2 3 4 10 15 20

草魚 斤 40 40 36 70 90 160

茶油 斤 116 69 54 150 300

鹽 斤 60 60 63 120 90 180

煤 石 50 120 50

苧麻 斤 270 99 170

棉花 斤 200 96 280

竹布 尺 70 62 60 60 90

靑洋布 尺 55 50 50 70

白蓮紙 刀 40 82 80 100

-附記 前淸 통행 制錢文으로써 단위 민국 초년에는 비록 銅元을 단위 사용하나 관습상 매 1銅元은 錢10文에 해당

圖6) 醴陵縣 物価 (a)

① 豬肉 斤당 가격 ② 雞肉 斤당 가격 ③ 茶油 斤당 가격

④ 鹽 斤당 가격 ⑤ 棉花 斤당 가격 ⑥ 草魚 斤당 가격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5

圖7) 醴陵縣 物価(b)

① 猪肉 百斤당 가격 元 ② 草魚 百斤당 가격 元 ③ 茶油 石당 가격 元

④ 鹽 石당 가격 元 ⑤ 洋紗 件당 가격 元 ⑥ 棉花 石당 가격 元

⑦ 煤油 甁당 가격 元

米価가 物価와 연동되는 것에 대해서 江都縣史料를 보면 ldquo産米 구역

에서 年末에 米価가 상승하니 百物이 昻貴했다rdquo65)라고 되어 있다 湖

南지역 米価 연구 자료에도 米価 추세는 거의 물가 수준과 같다는 주

장이 있다66)

光緖末宣統年間의 물가 상승을 나타내는 史料를 보면 다음과 같다

이제 각종 惡政의 결과로 百物의 騰貴를 초래했는데 小民의 日用 수요

65) 李文治 앞의 책 p470 ldquo江都爲産米區域 年末米価騰踊 百物因以昻貴rdquo

66) 張麗芬 앞의 책 p22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6음식은 그 가격이 십년 전에 비해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과 居室 器用

蔬饌의 비용 牛種糞漑의 비용도 예전 보다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도 비록

동일 비례로 함께 올랐으나 이미 넉넉하지 못해 괴롭다67)

이것을 보면 米価와 物価가 연동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청말

특히 光緖 후반 이후에 각종 物価가 두 배 올랐다는 사정을 알 수 있

다 上海의 物価도 같은 시기에 상승하고 있다68)

lt표11gt lt표12gt와 lt圖67gt을 검토해 보면 돼지고기 값은 광서 14

년 광서 19년까지는 다소 하락세를 보이다가 宣統원년(1909)부터 급격

히 상승하고 있다 민국원년(1912)의 가격은 160文으로 1878年의 88文

에 비해 거의 두 배에 해당한다 위에 인용한 宣統 2年 8月 國風報의 물가 두 배 인상과 정확하게 부합되고 있다 민국 전기인 1926년까

지 계속 상승하고 있지만 1926년에서 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이고 있

돼지고기 값은 1878년-1909년 사이 273 상승했고 1912-1921년 사

이에 75 상승했다 닭은 각기 50와 44 상승했다 계란은 100

100 상승이었다 淸末 비교 시기는 31년간인데 비해 민국 전기는 9

년간에 불과하다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가 급등한 것은 충분히

알 수 있다 1926년에서 1936년 10년간 돼지 값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거의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이었다

民國 醴陵縣志에도 ldquo辛亥혁명이전에는 물가가 심한 등락이 없었는

데 민국 후에 들어와서 차츰 상승했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69) 圖6)을 보

면 닭고기도 비슷한 궤적을 보이고 있다 草魚의 경우도 청말 민국전

기는 상승이 주요 동선이고 민국 중기(1926-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

67) 國風報 第1年 21期 宣統 2年 8月 (李文治 앞의 책 p561) ldquo今也以種種惡

政之結果 以致百物騰踊 小民日用 飮食所需 其価皆視十年前兩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居

室器用蔬饌之費 牛種糞漑之費兩倍于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雖以同一比例以俱騰 旣苦不

給矣rdquo

68) 岸本美緖 앞의 책 p443

6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物價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7이고 있다 譚文熙 物価史에는 민국 전기는 안정속의 상승세로 민국

중기는 파동속의 상승으로 정리를 하고 있는데 여기와는 약간의 차이

를 보이고 있다70) lt표11gt과 lt표12gt 사이의 화폐 단위 차이로 인한

연속적 파악에 다소 어려움이 있으나 대체의 추세는 짐작할 수 있다

또 품목에 따라 공란이 있어 연결 관계가 애매한 부분이 있다 1936년

이후는 중일 전쟁의 혼란과 불환지폐의 강제 통용 등의 사정으로 本考

에서는 분석 대상 범위에서 제외 하고자 한다

Ⅱ 物價 변동의 원인

1 수요 측면

米価와 物價가 상호 연동관계에 있고 넓은 의미에서는 米価도 물가

의 일부이다 米価 및 물가의 상승은 우선 수요의 증가에 원인이 있다

고 할 것이다 수요증가는 일반으로 인구 증가이다 湖南의 인구는 嘉

慶21年(1816) 18754259명에서 1898年 21174000명으로 다시 民國17년

(1928)에는 31501212人으로 비약적 성장을 하였다71) 약 110년 동안

인구가 1300만 가까이 증가하였고 비율로는 679가 증가하였다 長沙

府의 인구도 가경 25년(1820)에서는 4290086명이었는데 민국23년

(1934)에는 8421330명으로 약 400만명 이상 증가하여 963 상승을

보이고 있다72)

인구의 증가가 수요 증대를 초래하는 일반 요인이지만 湖南의 米穀

移出이 해당 지역 민중의 식량을 제외하고 남는 잉여 米만은 아니다

70) 譚文熙 앞의 책 pp302-307 여기서는 민국 전기는 1912-1927년 민국 중기

는 1927-1937년으로 구분하고 있다

71) 湖南省志 地理志 (長沙 湖南人民出版社 1982) pp230-238

72)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8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의 증대가 더 중요한 요인일 것이다 淸末에

와서 새로운 생업을 통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가 많이 증가하고

있는데 醴陵縣 사례를 한번 검토해 보겠다 史料는 다음과 같다73)

同治志에 이르기를 醴陵의 풍속은 lsquo安土重遷rsquo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상인이 外地에 나

가 장사하는 이가 적었다 배를 이용하여 외부 상업을 하는 것은 淥口 부

근의 米穀商일 뿐이었다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邑人들이 茶제조로 武漢에 판매하는 자가

이익이 배가 되었다 이때부터 龍門일대에 매양 봄에 茶를 제조하고 가리

는 廠이 항상 수십이었다 光緖末年에는 도자기업 夏布 編爆이 일어나서

대신하였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이를 믿고 생계를 삼는자가 무려 십만인이다

同治志 편찬 단계만 해도 사람들이 토착 안주하여 멀리 이동하는

것을 어렵게 여겼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큰 이익을 보고 그

후 도자 기업 夏布 編爆 제조에 종사하여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나 되었다는 것이다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의 성장을

보여주는 것이다 長沙의 빠른 도시화도 주목된다 長沙日報에 실린

내용을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74)

光緖32년(1906)에 火災 조사시에 城廂 내외가 매일 식량으로 穀 5000

石이 필요하였다 지금 교통이 편리하고 상인 旅客이 배로 증가하였으니

매일 마땅히 1-2000石을 더해야 한다(宣統 2年(1910) 2月 17日 長沙日

報)이것을 보면 光緖32년(1906)에서 宣統2년(1910)은 불과 5년이 채 되

지 않는데 상인 집단이 배로 증가하였다니 城內外의 유동인구 급증을

짐작할 수 있다 長沙城의 인구는 1916年에 177882人이었고 1931年은

385514人으로 증가하였다 불과 15년 사이에 1167 증가이다 배 이

73)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ldquo同治志云 醴俗安土重遷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商賈外

貿者少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揚帆外貿則 僅淥口附近之穀米商而已 光緖初 紅茶業興 邑人製茶

販運 漢皋者 獲利倍蓰自是來龍門一帶 每屆春日 製茶捒茶列廠恒數十 訖於光緖

末年 則有瓷業及夏布編爆起而代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恃以爲生者 無慮 十萬人rdquo

74) 李文治 앞의 책 p551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9상이 증가하였으니 長沙의 도시화도 급속히 진전 되고 있다75)

민국10年의 湖南 實業雜誌 보도를 보면 당시 長沙에 蓆工 500人

刻字工 300人 방직공 3200人 이발공 800人 香工 400人 합계 5200人

이 있었다 長沙大公報에 의하면 민국9년(1920)에 長沙에는 부두공

2600人 糞夫 500人 轎夫 1300 車夫 2300人으로 합계 7000人 정도

가 있었다76) 같은 시기 호남성의 광부가 160萬人이고 여기에 手藝工

苦力을 합치면 190만 전후였다고 한다 예릉현에서는 東鄕 일대에서

編爆業 종사자가 수만이고 東北兩鄕에서 磁廠의 女工도 수천이나 되었

다는 기록도 있다77) 湖南 邵陽縣에서도 淸末에 工匠이 5만 상인이 12

만 정도였다는 통계도 있다78) 이렇게 비농업 인구가 다른 생업을 통

해 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로 증가하고 있던 것이 확인된다 이런 유

효 수요 증가를 설명해 주는 다른 史料 하나를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

다79)

어째서 米穀이 날로 적어지고 날로 비싸지는가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水旱災가 날로 많고 농사짓는데 날로 게으르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말은

진실로 일리가 있는데 다 그런 것은 아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선교사 洋商 洋官 洋

兵은 증가한 것이 외국에서 온 사람이다 敎民 游民 賭民 盜民은 內地

에서 증가한 자이다 무릇 농사짓는 사람은 하나인데 먹는 자는 헤아릴

수가 없다 米穀이 어찌 비싸지 않을 수 있겠는가

光緖後期의 사정을 전하고 있는 위 史料를 보면 외국에서 온 선교

사 상인 군인 관리 등도 米価 상승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국내

외를 막론하고 비농업 인구의 급격한 성장이 米価 상승의 원인이라 생

각된다

湖南과 長沙의 米穀은 해당 지역 안에서 소비되는 것보다 揚子江

75) 張朋園 中國現代化的區域硏究 -湖南省 (台北 1998) p376

76) 위의 책 pp412-413

77)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農業經濟

78) 光緖33年刊 邵陽縣鄕土志 권2 인류 실업

79) 李文治 앞의 책 p77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0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많다 청말민국시기에도 지속적인 湖南米의

移出이 있었던 것은 이미 밝힌바 있다80)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穀

米가 騰貴한 이유가 外省의 采辦이 많은 때문이라고 하고 있다81) 상

담현에서도 동치 4년(1865)이전에 해마다 풍년이었는데 穀価가 까닭

없이 騰貴한 것은 江南이 처음 회복되어 米穀의 販運이 많아진 때문이

라고 하고 있다82) 1898年에도 長沙에서 米穀의 원거리 送出을 바라는

지주 富戶와 주민의 갈등 관계가 노출되고 있다83) 宣統2年(1910)의 기

록에도 湖北의 흉년으로 出境 米穀이 과다하여 米価가 급등했는데 작

년 末에는 1石5000文이었다가 금년에는 1石 8000文에 이르렀다는 내

용이 있다84) 같은 자료에 湖南米가 당도 하지 않으면 武漢에서 변란

이 일어난다고 할 정도이다

하류의 上海는 한적한 어촌에서 근대에 대도시로 성장하였다 武漢

上海등의 도시화와 상공업 발전 인구 집중은 長沙米의 급격한 수요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宣統 년간에 長沙가 전국적인 4大 米市의 하나

로 성장한 것은 우연한 일은 아니다85)

근대에 대외 교역증가가 물가 상승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생각된

다 1873년에서 1930年 사이에 농산물 수출 통계는 1910년을 100으로

했을 때 1873년은 12 1893년은 123 1903년 386 1920년은 1324

1930년은 2709로 급상승하고 있다86) 농산물의 수출은 해외 수요의 증

가이다 이런 교역상 수요 증대는 가격의 등귀 뿐 아니라 작물 재배

면적의 확대에도 기여하고 있다

80)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81)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20

82) 光緖6年刊 湘潭縣志 卷29 災祥志

83) 湘報 89號 長沙縣職員常達邦呈批

84) 李文治 앞의 책 p381

85) 徐正元 中國近代農産商品化的發展與米市的形成 (復印報刊經济史 1997年3期)

86)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권2 p14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1宣統2년(1910) 長沙에 영국 상인이 출현하여 米穀 구매를 단행하자

米価가 하루에 여러 번 급등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였다87) 湖南에서

는 또 광동 상인의 영향을 받아 紅茶 제조법을 습득하여 홍차를 대량

생산하여 구미에 수출하였다 19세기 60년대부터 20세기 초에 특히 호

남 茶 생산 판매가 극히 발달하였다88) 주요 산지 중에는 長沙 湘潭

安化 등이 손꼽히고 있다

桐油의 수출 또한 괄목할 만한 것이다 湖南의 桐油 수출은 1922년

전국의 3336 1923년은 372로 성장하였다 1929년에는 全省 수출

총액의 45 정도를 차지하였고 桐油 상품화율 80에 달하였다89) 대

외교역을 통한 농산품의 해외 수요 증가는 직간접으로 물가 상승에 작

용하고 있다

2 화폐 문제

물가와 화폐의 관계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통상 화폐 수량의 증가가

생산총량의 증가보다 초과할 때 물가상승이 일어난다90) 보통 淸 후기

에는 아편무역에 따른 銀의 해외 유출과 그 결과 야기된 lsquo銀貴錢賤rsquo 현

상 통화팽창에 의해 물가가 상승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91)

실제 淸末民國기에 걸쳐 통화 팽창과 물가 상승에 대한 기록을 찾

는 것은 어렵지 않다 王業鍵에 의하면 淸末 특히 1875年부터 1911年

까지는 인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단계였다고 한다92)

民國 寧鄕縣志에 보면 ldquo光緖29年(1903)에 처음으로 當十銅元을 주

87) 李文治 앞의 책 p550-551

88) 劉泱泱 앞의 책 p46

89) 宋斐夫 主篇 湖南通史 現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5 p276

90) 陳民 法幣發行制度與通貨膨脹 (復印報刊經济史 2001-1)91) 龔勝生 앞의 책 pp275-280 岸本美緖 앞의 책 p444 張麗芬 앞의 책

p217

92) Yeh-chien Wang Secular Trends of Rice in the Yanzi Delta 1638-1935(California Univ Press 1992)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2조하여 전국에 통용시켰는데 물가의 등귀가 이때부터 시작되었다rdquo는

기록이 있다93) 醴陵縣에서는 光緖32年에 當十銅元을 주조하여 制錢과

병행시켰고 宣統원년에 銀元이 이미 성행하였다 민국원년에는 當二十

銅元을 주조하였는데 雙銅元이라 칭하였다94) 영향현에서도 광서말에

私鑄錢인 毛錢이 나오고 지폐가 통용되는 등 통화팽창이 상업을 일변

시켰다고 한다95)

종전에 비해 실질 가치가 열악한 當十 當二十 등 銅元의 남발과 鈔

票의 성행은 화폐 시장의 과잉을 초래하였다 정식의 鈔票 이외도 각

현 발행의 私鈔와 錢莊에서 발행한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시중에 범람

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민국 시대에는 화폐 남발이 더욱 심하였다 호

남은행을 비롯한 저축은행 농업은행 등이 각기 각종 지폐를 발행하여

혼란이 가중되었다 1915년에 호남의 은행은 33개인데 그 중 장사현 7

개 상담현이 7개였다96)

군벌들이 은행을 개설하거나 질 낮은 화폐 통용을 강제하는 등의

혼란이 민국시기 특징 중의 하나이다97) 화폐 시장에는 銀元 銀角 銅

元 지폐와 鈔票 市票등 유사 화폐까지 복잡middot혼란의 양상이 나타나고

결과적으로 물가 상승을 피할 수가 없었다

선통2년(1910) 격렬한 米価 騰貴가 있었고 長沙에서 대규모 搶米 폭

동이 일어났는데 이것은 단순한 흉년때문이 아니고 銅元 남발 등 화폐

제도 혼란에 기인한 것이었다98) 1880년대 초부터 1920년대까지는 인

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시기로 매년 33 비율로 상승하였으며 1930년

총 화폐보유고는 60억 원에 달했다 반 세기간 화폐 공급은 8-10배 증

가하였다99)

93)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ldquo光緖 二十九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始鑄當十銅幣 通

行全國 物価之踊始此rdquo

94) 民國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95)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財用錄 상업

96) 張朋園 앞의 책 pp258-259

97) 宋斐夫 앞의 책 pp10-12

98) 岸本美緖 앞의 책 p51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3

時期 銀(兩) 錢(文) 出典

乾隆 嘉慶년간 10 1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道光 初(1821) Prime 1300-1400 Prime

Prime 18年(1838) Prime 1400 林則徐湖廣奏橋 권3

Prime 25年(1845) Prime 2000上下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Prime 末年(1850)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咸豊 元年(1851) Prime 2000 民國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咸豊 初 Prime 2300-2400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8 부역

咸豊 3年(1853) Prime 20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5年(1855)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Prime 6年(1856) Prime 2000 湖文忠公遺集 권12

Prime 7年(1857) Prime 1600 骆文忠公奏議 권7

Prime 8年(1858) Prime 1400 胡文忠公遺集 권85

Prime 10年(1860) Prime 1300-1400 胡文忠公遺集 권70

同治 2年(1863) Prime 13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7年(1868) Prime 1300-1400 李瀚章 瀝陳湖北等省漕務

Prime 10年(1871) Prime 1600-1700 同治10年 長沙縣志 권8 부역 錢法

光緖32年(1906) Prime 1600 長沙日報 宣統2年 2月27日

선통 2年(1910) Prime 1700 國風報 宣統2年 3月 21日

표 지방지에서 직접 採錄제외는 龔勝生 淸代兩湖農業地理 pp270-277에서 湖南부분을 발췌하여 再引用한 것임

表13) 湖南의 銀錢比値

그런데 아편전쟁 전후 銀의 과도한 해외 유출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이

초래되고 이것이 물가 상승의 주요인이라 생각되고 있는 데는 약간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表13)을 보면 銀錢比価가 일시적으로 상승하였다

가 다시 하강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은전비가는 지역에 따라 차

이가 있지만 호남 장사를 위주로 정리한 것이 표13)이다100)

99)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0) 邱思達 中國近現代鑄幣圖說 (北京 中國書店 1991) p109 참조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4

주목되는 것은 道光末에서 咸豊初에 일시적으로 상승하였지만 淸末

의 比価가 낮은 편에 속하는 현상이다 청말에 은전비가가 비교적 안

정되고 있는 것이다 아편전쟁 후 5항 개항으로 교역이 확대된 상황에

서 아편무역 증대에도 불구하고 차와 silk 수출에 힘입어 은의 순유입

이 오히려 증가되는 현상이 나타났던 것이다101) 또 光緖17년(1891)이

후 세계 銀価하락 현상으로 은유입이 증가되었다102) 19세기 후반 중

국이 세계 사회에 연결되면서 중국의 무역 적자에도 불구하고 淸 정부

에 대한 대량 차관과 자본 투자를 통해서 거대한 양의 銀이 중국에 유

입되었다 1871년에서 1913년 사이 은의 순 수입은 2억 4천만 海關兩

혹은 3억 6천만 銀달러로 추정되고 있다 세계 시장의 은가 하락과 은

의 대량 유입은 중국의 국내 시장에서 물가 상승을 유도한 것이다103)

이런 배경으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은 일시적인 것이고 청말민국기 전체를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민국 시기에는 銀元과 錢의 교환 비율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은의 유입 현상에도 불구하고 宣統 원년 11150文의 비율에서 민국6년

2250文 민국11년 2840文 민국17년 3500文 민국22년 7200文까지 급등

하고 있다 예릉현의 기록이지만 이것으로 청말보다 민국시기에 통화

팽창현상이 극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4)

銀과 錢이 주요 화폐이고 그 환율이 항상 문제가 되고 있지만 주로

청 후기 이후는 錢文 위주의 경제로 바뀌고 있다고 생각된다 長沙府

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면 대부분 道光 이후는 화폐를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淸 前期는 米価를 銀으로 표시하던 것과는 대조적이

다105) 예릉현에서는 민간에서 세금을 납부하거나 大宗무역을 할 때를

101)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2) 邱思達 앞의 책 pp92-93

103)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4)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10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光緖3年刊 善化縣志 同治13年刊 湘鄕縣志 光

緖15年刊 湘潭縣志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民國37年刊 醴陵縣志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5제외하고 紋銀 사용자가 거의 없다 도광 이후 교역시 대부분 錢文을

사용했다는 기록을 보면 淸 後期는 錢 경제 위주로 넘어간 것 같

다106) 세금을 낼 때 외에 銀錢이 필요 없는 일반민은 錢文 사용권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너무나 당연하다

함풍4년에 長沙에서 大錢을 주조하여 통용시켰으나 결국 시장의 신

뢰를 얻지 못하여 퇴출되고 말았다 1854년 7월에 주조를 시작하여

1855년 4月에 주조를 정지하였다107) 이것을 보면 통화 남발도 결국

시장의 제약을 받고 있다

민국 7년(1918) 3月 張敬堯가 裕湘銀行을 개설하여 銀元票 1000만元

銅元票 3000만元을 발행하였다 그 결과 시장은 혼란에 빠지고 시중금

융은 마비 상태가 되었으며 결국 裕湘銀行 발행의 惡幣는 폐지와 같이

되었다108) 권력에 의하여 통화 팽창이 시도되더라도 시장이 감당할

수 없는 지경이 되면 중단될 수밖에 없다 과도한 통화 팽창은 시장의

질서에 의해 어느 정도 제약 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예릉현에서도 光緖 년간에 錢莊 24곳이 출현하여 盛業을 누렸는데

民國7年(1918) 兵禍로 停業하는 곳이 많아졌고 정부의 통화 남발 화폐

가치 하락 금융혼란의 현상이 나타났다109) 민국18년(1929) 이후는 정

국이 안정되고 교통 편리로 百業이 진흥되고 은행이 역할을 하게 되었

이상에서 보면 淸末까지는 은전비가가 안정되고 통화 관리가 어느

정도 성공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光緖 宣統 시기에 銀元의 주조 외국

銀貨의 대량유입 當十銅元 등 주조로 통화팽창이 많이 되었고 이시기

물가 상승과 연관되고 있다 민국 초기에도 정국 혼란과 무계획적 통

화남발로 물가의 급등을 초래하였다 민국 중기에는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것 같다

106) 龔勝生 앞의 책 p279

107) 劉泱泱 앞의 책 pp150-155

108) 宋斐夫 앞의 책 pp10-11

10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6영향현에서도 민국 21년(1932) lsquo穀賤錢荒rsquo의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

다110) 청말민국기에 전반적으로 화폐량의 증가가 현저했던 것은 사실

이다 다양한 화폐의 등장 銀兩 銀元 銅錢 銅元 외에 외국 銀元의 유

입 그 외 鈔票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출현하였으며 양적인 팽창도 분

명하다 하지만 대외 교역 증가와 경제 활동 인구의 증가 유통 상품의

양적 증가에 의해 시장의 화폐 수요가 증대된 것도 사실이다 통화 발

행은 일차적으로는 경제 주체의 수요에 부응하는 것이지만 그것이 과

도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3 공급기타 요소

물가는 기본적으로 수요공급의 관계에서 결정되는 것이 원칙이다

청말민국기에 걸쳐 인구가 급증하여 물가가 상승한 것은 자연스런 일

이다 그러나 물가 상승률 면에서 청말의 경우가 18세기의 증가율에

비해 크다고 할 수 없다 물가 상승률을 억제하면서 비교적 안정 속의

상승을 할 수 있었던 것은 공급의 증가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청말민국기에 湖南米의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 현상이 지속된 배경

에 비약적인 경지 면적 확대와 새로운 품종 개량 시비법 발전 등 농

업 생산 증대가 있었다는 것은 이미 밝혀진 바 있다111) 米穀 공급의

증대가 물가 상승을 완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雜糧 재배가 同治

(1862-74) 년간에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민중의 식량 문제 해결에 기여

하고 米価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던 것을 城步縣 知縣 盛溢源을

통해서 알 수 있다

洋米 수입이 國産米의 보충 역할을 했다는 지적이 있지만 결국 시

110) 民國30年刊 寧鄕縣新志 전1 縣年記

111) 田炯權 淸末民國期 湖廣地方의 農業生産力과 生産關係 (慶南史學 7

1995)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2001)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

究 25 200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7장에 대한 미곡 공급을 증대시켜 가격 안정에 기여했다고 생각된

다112)

민국 시대 관련 사료를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113)

금일 정세를 보면 국내 米価의 등락은 결코 國産米의 생산량이 많고

적음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외국 産米 구역의 풍년 여부에 따라 영

향이 대단히 크다

이것을 보면 洋米 수입이 國産米価를 조절한다고 볼 수 있다 비슷

한 시기 上海에서도 湖南米가 수입 米의 영향으로 가격이 약간 적게

올랐다는 史料도 있다114) 湘報에도 日本米가 수입되어 중국의 米価

가 차츰 내려갔다는 기록이 있다115) 같은 湘報에 보면 ldquo외국물산이

날로 풍부하여 중국 상품의 판로를 막는데 서양 상품의 가격이 낮으면

중국 상품 가격이 홀로 증가할 수 없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116) 결국 洋

貨도 중국에서는 시장에 대한 상품 공급의 증가이고 이것이 상품 가격

상승을 억제하고 있는 것이다 같은 자료에 중국의 土藥이 널리 판매

되니 외래 洋藥의 가격이 폭락한 사정도 소개되고 있다117)

또 洋蠟의 수입으로 국산 白蠟 가격이 매 100斤 200元에서 100元으

로 폭락한 일도 있었다118) 1921년 독일 면화가 대량 수입되어 중국의

綿価가 하락한 일도 있다119) 光緖년간 부터 중국이 綿紗 생산을 개시

하자 華商과 洋商사이에 가격 경쟁이 시작되었다 수입 綿布도 洋商이

國産布와 경쟁하기 위해 가격을 낮추어 공급하였다120)

112) 王良行 淸末對外貿易的關聯效果(1860-1911) (近代中國對外貿易史論集1997)

113)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卷3 p413

114) 위의 책 p416

115) 湘報 제45호 p1419

116) 湘報 제13호 ldquo外洋之出産日盛 足以抵華貨之銷路 洋価低則華貨不能獨增rdquo

117) 湘報 제162호 p1608

118) 章有義 앞의 책 권3 p662

119) 譚文熙 앞의 책 p342

120) 譚文熙 위의 책 p368 p374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8상인의 가격 조종이 물가 변동에 하나의 요소는 될 수 있다 예릉현

의 土資 판매에 있어 객상의 가격 조종에 저항하기 위해 주민들이 公

司를 조직하여 가격을 바로 잡았다는 기록도 있다121) 지주 부농 米商

등의 매점매석에 의한 가격 조종 사실은 흔히 발견된다122) 秋收期에

시장에 대량 방출된 곡식을 저렴한 가격에 매입하여 端境期에 되팔아

이익을 남기는 것은 상인의 오래된 관행이다 이윤 추구를 위한 개인

의 행위지만 넓게 보면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행위이기도 하

다 각지 농산품 가격 변동 조사에서 원인이 밝혀진 10건 가운데 전쟁

이 2건 豊凶 水旱災가 7건 상인 조종은 단 한 건 뿐이었다123) 제국

주의 상인에 의한 가격 조종이라는 것도 결국 중국 상인의 이윤 추구

행위와 본질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湘報의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124)

輪船이 이미 통행하고 있고 철로가 이미 만들어 졌다 제조업이 날로

번성하고 통상조약이 행해지니 상인이 계속 내왕하고 온갖 상품이 유통

된다 사계절 틈이 없으니 일용 각 물품이 그 가격이 반드시 저렴할 것

이다

이것을 보면 통상 개시 후 교통이 발달하고 상품 교역이 증대된다

는 것과 그 결과 일용품의 가격이 저렴해졌다는 것을 당시인이 인식하

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서방 각국과의 무역 증대는 상품 공급의 증가

이고 가격 경쟁을 통해 물가 상승을 완만하게 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

121)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22) 李文治 앞의 책 p559

123)湘報 제49號 ldquo輪船旣行 鉄路旣造 製造日盛 商約可行 商賈絡繹 百産流通

歲時無間 則日用物品 其価必廉rdquo

124) 安本美緖 앞의 책 제7장 pp239-288 제12장 431-455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9

Ⅲ 物價와 景氣(생활)

1 穀賤傷農과 不況

物價 문제를 단순히 등락의 흐름에만 주목하기보다 경기변동론적

입장에서 好況 不況의 문제로 연관시켜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

이다 岸本美緖는 康熙年間의 lsquo穀賤rsquo 현상이 不況과 연결되어 있고 光

緖年間 蘇州의 不況도 lsquo穀賤rsquo이 원인이었음을 지목하고 있다125)

그런데 長沙府 중심의 湖南의 사정을 검토해 보면 lsquo穀賤rsquo 관련 기록

이 道光 咸豊 시기와 民國 中期에 집중되고 있다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26)

道光 25年(1845) ldquo穀賤斗穀錢五十文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値穀賤錢価亦賤 民甚苦之rdquo

장사현과 縣治를 長沙城 내에 두고 있는 善化현에서도 같은 해에

비슷한 기록이 있다127)

道光25年 穀賤自十五年起 連年俱穀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中下戶苦之

咸豊5年 穀賤

장사현 기록을 보면 穀価도 싸고 錢価도 싸서 민이 고통 받는다 했

으니 이 당시 은의 해외 유출과 은전비가 문제로 민중이 고통 받은 사

실을 알 수 있다 선화현은 장사현과 연접하고 통합과 분리가 단속되

었던 거의 동일 지역이다 선화현 기록을 보면 도광25년의 lsquo穀賤rsquo이 해

당년도만의 일이 아니고 道光15年(1835)부터 계속된 현상임을 밝히고

있다

12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33 祥異

126)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127) 民國30年刊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0인근의 寧鄕縣에서 보면 ldquo道光26年 歲豊 穀奇賤傷農 佃農以穀賤大

困rdquo이라는 기사가 있다128) lsquo穀奇賤rsquo이라 하였으니 평상시 보지 못한

하락이었다고 생각된다 더구나 소작료 납부가 대부분 현물지대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佃農은 米穀의 상품화 과정에서 배제되었다는 종전의

통념과 달리 佃農도 곡가 하락으로 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같은 기록에 함풍원년에도 ldquo有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以穀賤漕折苛rdquo라 하고 있어

역시 곡가 하락으로 세금 납부에 곤란을 겪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장사부 內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아도 同治 년간에는 lsquo穀賤rsquo 기

재가 보이지 않고 전술한 도광 함풍 년간에 집중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후의 기록을 찾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ldquo湖南自夏秋以來雨暢時若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故無論高低田畝咸稱大稔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甚

賎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反有入不敷出之慨矣rdquo (益聞錄 69号 광서6년828)129)

ldquo(長沙農村) 近年來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穀米求售 価値至賤 日用各物 則又極昻 收穫所

得 不足顧其工本 多已漸陷于無力耕種之境rdquo (新靑年 7권 6호 1920년 5

월)130)

ldquo湖南近年來之天災人禍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天災旣足以減少收量 地方不靖 産品滯銷

価値復因以低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而生活日昻 工価及日用物品 繼續增漲 收入支出 常苦

不得平衡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rdquo (中國棉産改進統計會議專刊 1931)131)ldquo湘省爲産穀素豊之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年歲收 屢佔大有 而長江流域亦値豊收 更

有大宗洋米 運貨傾銷致湘米頓失市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価格低賤 不僅農村經濟 陷于絶

境 市面金融 亦大受打擊rdquo (銀行週報 18권 9기 1934313)

이외에도 1936年의 사실로 호남의 武岡 東安 일대에서 lsquo豊年穀賤rsquo으

로 省城에 운반할 때 운송비와 각종 捐稅 부담을 감당할 수 없어 陳米

를 불태웠다는 기록이 있다

128) 李文治 앞의 책 p557

129) 章有義 앞의 책 권2 p432

130) 章有義 앞의 책 권3 p795

131) 章有義 위의 책 p620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1이것을 보면 주로 1930년대에 lsquo穀賤rsquo과 不況이 집중 묘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lsquo穀賤rsquo 즉 불황이라고 하면 도광함풍초의 곡천과 불

황 同治光緖宣統期의 lsquo穀貴rsquo즉 好況 다시 民國 전기의 好況 民國 中期

의 불황으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물가의 상승기가 호황적 국면이라는 것은 알려

져 있지만 이것은 전체 물가의 문제이다 위 자료에서 보면 1920년 장

사 농촌에서는 곡가는 싼데 일용품 가격은 극히 높다고 하고 있고

1931년의 기록도 工價와 일용품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농민이 다수를 점하기 때문에 미곡가의 하락은 농민 수입 감소

와 구매력 저하를 가져오고 이것이 농촌 불황의 한 요인이 될 수 있

다 그러나 工賃과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시장의 한계 안에서의

일이다 또한 실업률과 고용 지표 등도 고려되어야 하는데 만족할만한

통계의 부족으로 명확한 답을 얻기는 어렵다

그런데 米価와 물가는 개별 년도나 시점에서 서로 상이한 궤적도

있지만 圖2 3 6 7을 보면 대체적으로는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예릉의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광서 4년(1878)에 비하여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1912)에는 현격한 상승세였다가 그 후에 등락을 거듭

하고 있지만 민국25년(1936)의 경우는 광서4년보다는 높거나 유사한

경우가 많다

2 생활 경기의 발달

당시인들이 체감하던 생활 경기의 수준이 어떠했는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

光緖刊 善化縣志를 보면 다음과 같다132)

132)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16 풍속 附論 ldquo古人 酒肉以養老 而今則黃口稚子

無不酒肉之人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日不旦穀貴鹽貴 而酒肉皆貴 則好惡可知矣 一今鄕間柴炭

其価數倍於昔日 瀕河之地 莫不燒煤rdquo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2옛사람들은 술과 고기로 노인을 부양하였는데 지금은 어린아이도 술과

고기를 먹지 않는 이가 없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요사이 미곡과 소금이 비쌀 뿐 아니

라 술과 고기가 모두가 비싸니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지금 향간에 柴炭이 그 값이 예전보다 수배인데 하천 근처 사람은

煤를 때지 않는 사람이 없다

同治 攸縣志 에도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33)

예전에 士大夫도 집에 있을 때 엄동이 아니면 가죽옷을 입지 않았다

지금 關中의 가죽옷 상인이 유현에 와서 1년에 은 만여 냥을 얻을 수 있

다 기타 비단 옷은 蘇州 杭州 및 嶺南에서 오는 것이 또 배가 되니 1년

에 수만금을 소비한다

醴陵縣에서도 비슷한 인식을 볼 수 있다134)

ldquo예전 풍속이 儉樸하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이 명절 아니면 고기를 먹지 않고

慶弔事가 아니면 술을 베풀지 않고 손님 접대는 닭 잡는데 그치고 鮮味

는 생선에 그쳤고 縣城의 食肆는 飽麵茶館에 그치고 酒席으로 業을 삼는

자가 없었다

지금은 酒樓菜館이 거리에 가득차고 中人의 집에도 술자리가 베풀어지

고 사치를 다툰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예전에 士類大半이 淥江書院에 모이면 그 가운데 비단신을 신은 자가

불과 수인이었고 羊가죽 옷을 입은 자가 불과 1 2人이었다 지금은 비단

신과 가죽옷이 거의 常服이 되었고 日用品은 舶來品이 많다rdquo

이 내용을 보면 예릉현의 생활 수준이 급격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예릉현지 기록에는 부인들이 上海의 유행을 쫓아 사치를 추구한

다는 내용도 있고 청말부터 外貨를 서로 자랑한다는 내용도 있다 종

133) 同治10年刊 攸縣志 권18 풍속 衣服 ldquo衣服 昔時 士大夫 家居非嚴冬不御裘

今關中裘商來攸 歲可得銀萬餘兩 其他錦繡之運自蘇杭及嶺南者 則又倍之 計一歲

之戶 所費數萬金rdquo

134)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4장 풍속 생활 ldquo旧俗民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非令節不

食肉 非慶弔不置酒 欵客止於殺鷄 鮮味止於草魚 縣城食肆 止於飽麵茶館 無以酒

席爲業者 今則酒樓菜館 遍於街市 中人之家酬酢往還 爭奢鬪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旧時士類

大半 集於淥江書院 一院之中 著緞鞋者 不過数人 襲羊裘者 不過 一二人 今則絲

履皮袍殆成常服 日用之品 多自舶來rdquo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3전에 菜油 棉油로 燈을 켜다 집집마다 煤油를 사용한다거나 세탁시

茶枯鹼水를 쓰다가 대부분 비누를 사용하는 일상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135)

또 寧鄕縣에서도 ldquo同光之間 地方安寧 家給人足(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함)縣城商業 於時爲盛rdquo이라 하고 있어 同治(1862-74) 光

緖(1875-1908) 시기가 好況이었음을 알 수 있다136) 湘報에도 ldquo民間

之喜用洋貨日甚一日rdquo이라 하고 있어 洋貨 사용의 확대를 짐작할 수 있

다137)

광서년간 무역이 확대되고 여기에 대해 유익하다는 인식의 기록이

湘報에 나오고 있다138)

ldquo輪船과 철로가 개통되고 항구 개항이 증가 되는 것은 실로 중국에 유

익하고 손해가 없다 저 눈이 콩만큼 큰 자가 걸핏하면 통상이 중국에 해

가 된다고 하니 어찌 심히 어리석지 않은가rdquo

무역 확대를 지적하고 통상이 유익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예릉현

지에도 同治志에는 풍속이 lsquo安士重遷rsquo하고 상인이 외부 활동하는 자가

적었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고 光緖末에 도자기 夏布 編爆業

이 일어나 융성하여 이에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 넘는다고

하고 있다139) 예릉향토지에도 商旅 왕래가 예전보다 10배라는 서술이

있다140)

장사시의 行業발달 상황을 보면 민국 5년(1916)에서 民國22年(1935)

사이에 식품업은 281⟶2124 사치품은 171⟶1128 복장은 43⟶2028 農

礦은 621⟶1156 洋貨 127⟶233 금융 130⟶164 공예 2121⟶3344 문구

17⟶355 등 비약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141)

135)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 工商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6장 실업

136) 民國30年刊 寧鄕縣志 財用錄 民業

137) 湘報 제13호 1898年 3月 21日

138) 湘報 제162号 1898年 9月 23日

13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40) 民國15年刊 醴陵鄕土志 제6장 실업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4이것은 장사의 생활수준 향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당시에

通商의 확대 주장도 湘報에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142)

이상에서 보면 청말민국기에 대체적인 추세는 好況이었다고 생각된

다 생활 수준의 향상이 눈에 띄고 米価와 물가도 연동되면서 상승하

는 추세였다 米価의 상승이 구매력 수준의 제고가 되기 때문에 米穀

생산 중심지역에 상인들의 行號가 집중되는 것이 보였다143) 임금의

경우에도 호남 汝城縣에서 실질 임금이 유지 또는 상승하는 것을 확인

한 바 있다144) 全漢昇도 1875년부터 1925년까지에 걸쳐 四川 合江현

의 임금과 물가 변동의 추세가 거의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바 있

다145) 앞서 인용한 1931년 中國棉産改進計劃 에도 임금과 일용품 가

격이 함께 오른다고 하고 있어 임금이 물가에 연동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생활 수준 향상을 기록하고 있던 지방지에도 빈부 격차를 암시하는

내용이 있고 物力이 날로 쇠퇴한다든지 하는 기록이 있다 대외 무역

이 적자라 하더라도 차관 원조 뿐 아니라 외국 상인의 진출이 자본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好況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Ⅴ 結 言

이제까지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이후 民國中期인 1936年

까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여 米価와 물가 변동 물가 변동의 원인

141) 張朋園 앞의 책 p387

142) 湘報 44호 中外通商利害論 湘報 67号 論湖南茶務急宜整頓

143)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144)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9 1998)

145) 安本美緖 앞의 책 p2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5물가와 생활 경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米価 변동은 단기 변동에 있어서 전쟁이나 天災 등의 특수한 사정

의 해를 제외하고는 光緖 년간에 비해 민국 중기의 계절 변동폭이 축

소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米価의 계절 변동을 완화 시

켜 주는 雜糧의 재배가 湖南 지역에서는 대부분 同治 년간에 보급 확

대가 되고 있다 교통과 상업 발달 등의 이유로 청말에서 민국기로 갈

수록 계절 변동폭을 축소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변동에서는 長沙府縣의 물가 변동 예릉현 물가 변동 등을 살

펴 볼 때 전체로서는 상승 추세 중에 도광 함풍 시기의 低米価 同治

년간의 高米価 光緖전반의 低米価 光緖後半에서 宣統 년간의 高米価

民國 前期의 高米価 民國 中期의 低米価의 등락을 보이고 있다

民國 中期의 米価는 長沙 8개년 米価 추세에서도 안정속의 상승세

를 보이고 있다 명목상 수치 뿐 아니라 米価의 상대 물가로 보는 실

질 구매력도 宣統 民國元年에까지 급상승하였다가 민국 시기 등락을

거듭하지만 민국25년(1936)까지 광서4년(1878) 대비 유지 또는 상승 추

세였다

物価변동은 개별 상품에 따라 편차가 있고 米価와는 전혀 상이한

궤적을 그리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米価와 연동 관계를 보이

고 있다 1898년 물가의 단기 변동은 이상할 만큼 변동폭이 크지 않다

당시 물가 조사자의 보고가 정확했는지 의심될 정도이다 1935년의 장

사 물가에서 단기 변동을 보면 변동폭이 100이상인 夏布 毛筆 麵粉

棉布등을 비롯하여 50 이상인 오리털 흑연 성냥 국산 전지 등을

비롯하여 40 이상인 비누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기 변동폭

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 이것은 이런 물품들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

성이 크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物価의 장기 변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米価와 대체로 비슷한 궤적

을 보이고 있다 청말에서 민국전기에 걸쳐 물가 상승폭이 두드러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 상승폭이 더욱 크

다 돼지고기 값을 예로 들면 1878년에서 1909년 사이에 273 상승했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6고 1912-1921년 사이에 75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닭은 각 50와 44

상승했다 청말은 31년간의 수치이고 민국 전기는 9년간이니 물가의

상대적 급등을 알 수 있다 1926에서 1936년까지 10년간 돼지 고기 값

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

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

세를 보이고 있다 민국 중기의 米価가 일부 lsquo穀賤rsquo 현상을 보인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음으로 물가 변동의 원인에 대해서는 군벌간의 전쟁이나 정치적

혼란 등 정치 군사적 요인을 제외하고 대체로 검토해 보았다

수요 측면에서는 湖南米의 유통이 호남 내부의 인구 증가에도 불구

하고 양자강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지속된 것이 米価 상승의 한 원

인이었다 上海나 武漢 등의 도시화와 인구집중은 이들 지역 양식 수

요를 폭증시켰다 일부 洋米 수입에도 불구하고 湖南米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으로써 米価를 상승시켰다 또 장사를 비롯한 각지의 새로운 수

공업 산업의 발달로 비농업 인구가 증가하고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유

효수요로 성장하여 米価 상승을 유도하였다 양식의 이출은 해당 지역

인구 식량을 전부 제외한 나머지 잉여가 수출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력

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청말민국기에는 호남의 내부 외부에

서 미곡에 대한 유효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것이 米価 상승의 한 요인

이었다

화폐 문제에 있어 화폐 수량의 증가가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것

은 상식이다 종래 아편전쟁 전후 은의 해외 유출 증가가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을 초래하여 물가 상승과 인민의 빈곤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지방지 등의 史料에서 검토한 결과 은전비가는 도광함풍초의

일시적 상승 후에 함풍 7년 이후는 도리어 하락하고 있다 同治 년간

에 대부분 1兩 1300文 수준에서 안정되고 있다 光緖末宣統년간에도

1600-1700文 수준으로 도광함풍 초보다는 낮은 편이다 청말민국시

기에 화폐의 남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한계를 넘었을 때 시장의 통용

거부로 마침내 중단되고 있다 청말민국기에 외국 銀元의 유입과 국내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7의 銀元 주조 銅元 지폐 외에 鈔票 市票 등 화폐 시장에 투입된 화

폐량은 엄청나게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로서는 어느 정

도 시장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외 교역과 상품량의

증대 경제 활동 인구의 증대 미곡 생산 및 농산품 생산의 증대로 화

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것이 화폐량의 막대한 증가와 유

통속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

었다고 생각된다 즉 안정 속의 물가 상승이 유도된 것이다

공급면에서 보면 대외 교역을 통한 서양 상품의 수입은 전체로서는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물건의 공급 증가를 통해서

혹은 국내 상품과의 경쟁 때문에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었

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침략과 물가 폭등이라는 도식적

견해와 달리 현실에서는 물가 억제 작용도 있었던 것이다

물가와 경기면에서 보면 물가가 비쌀 때 호경기가 많은 것은 사실

이다 그런데 lsquo穀賤rsquo 현상이 불황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서 長沙 지역의 경우를 검토해 보았다 도광함풍 년간까지 lsquo穀賤rsquo현상

과 불경기적 상황에 대한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동치광서 년간에는

米価가 등귀한 시점인데 이 시기는 紅茶業의 번성이나 각종 수공업의

번성으로 好況의 면모가 보이고 있다 민국 시기에는 민국 중기에 lsquo穀

賤rsquo의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史料上에 민국 중기의 lsquo穀賤rsquo은 임금이나

다른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다 물가 상승기와 好況

이 맞물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민국 중기는 lsquo穀賤rsquo 현상과 서로 어긋

나는 것이다 이 시기의 不況 서술은 농촌의 농민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표시이다

생활 수준에 대한 지방지 기록 등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주민들의

洋貨 사용이 보편화되고 의복 음식 주거 등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것

을 지적하고 있다 물가는 상승하였지만 同治 이전에 비하여 분명히

사치품의 소비 증대와 中人의 집도 소비 수준이 제고된 것이 드러나고

있다 민중의 빈곤은 있으나 이 시기 빈부 격차가 커지고 생활 수준의

격차가 커진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9: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97패턴이 약화되고 있다

앞서 lt표1gt과 lt圖1gt 등에서 본 1898年의 변동폭이 3月rarr7月까지만

의 기간이라 全年 기준으로는 315보다 훨씬 클 것이라는 추론을 해

보았다 그렇다면 민국시기 평상년의 변동폭 20-30는 종전에 비해

감소된 것이 아닐까 생각해 볼 수 있다

계절 변동폭을 줄이는 요인 중 하나는 雜糧 재배의 확대라고 생각

된다 호남 城步縣에서 知縣 盛溢源이 雜糧 재배를 장려하여 米価를

내리려고 했던 것은 同治 년간의 일이다30) 兩湖農業地理를 보면 고

구마 재배 확대를 알리는 府縣志 35개 중에 27곳이 同治 년간 간행 지

방지이다 옥수수는 51개 중에 27곳이 同治 년간 지방지이다31) 호남일

대에서 잡량 재배의 확대는 19세기 후반의 일이다 이것을 보면 18세

기의 米価 계절 변동 보다는 청말민국기의 편차가 적어야 할 것이다

雜糧은 가정의 自給用이거나 지방 소시장의 교역품이라는 통념과 달리

민국시기에는 漢口에 수출되는 장거리 商品糧이 되고 있다32) 다음으

로 洋米 수입 증가를 생각할 수 있다 米価 변동에 洋米 수입 증가가

영향을 주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33) 또 洋米 수입이 거의 3月-6月에

집중되고 특히 4月에 고조되며 7月 이후 國産米의 지속 등장시에는 수

입량이 격감했다는 조사도 있다34) 洋米 수입 증가가 이 시기 米価의

계절 변동폭을 18세기보다는 축소할 수 있는 이유가 된다고 생각된다

청말민국기에는 철도 輪船 등 수송수단의 발달 시장과 상업의 발달

로 상인의 능력은 강화되었다고 여겨진다 추수기에 상인이 대량 매입

을 하고 端境期에 비싸게 팔려고 하는 것은 상인 개인을 위한 이윤 추

구 활동이다 米価의 계절 편차는 곧 바로 전부 상인의 이익은 아니다

30) 李文治 中国近代農業史資料 권1 p538

31) 龔勝生 앞의 책 pp143-145 pp135-137

32)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33) 徐正元 中国近代農産品化的發展與米市的 形成 (復印經濟史 1997年 3期)

34) 呂紹理 近代廣東與東南亞的米糧貿易(1866-1931) (政治大歷史學報 12

1995)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98매입가에 보관비용 손실비용 금융비용 등 부대비용을 제외한 것이 이

윤 범위이다 상인의 買占 행위는 넓게 보아서는 미곡의 수급관계 조

절 작용이라고 볼 수도 있다 따라서 정치 군사적 이유나 특별한 天災

상황이 아니라면 米価의 계절 변동폭은 18세기보다 근현대에 축소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여겨진다

2) 장기 추세

淸代 米價는 장기 추세에서 상승세인데 그 가운데 17세기 후반 19

세기 24분기 19세기 780년대 3회의 低落期가 있다는 조사가 있

다35) 19세기 전반 특히 24분기에는 일반적으로 극심한 디플레이션

시기여서 급격한 하강 국면이고 太平天國 시기는 급격한 요동이 뒤따

른다 1875에서 1911년까지는 가장 인플레이션이 심한 단계로 그 중

1875-85년 사이는 안정속의 상승이고 그 후 혁명전야까지 지속 상승

추세라는 파악도 있다36)

18세기 乾隆년간(1736-1795)에도 蘇州의 米価가 60년간 세 배 상승

했다는 조사도 있는데37) 비슷한 기간 長沙府 湘陰縣도 300 상승한

것으로 되어있다38) 18세기 전후 약 100년간 가격 수준이 300 상승

했다는 당시인의 인식도 있다39)

同治 이후에 제국주의 침략이 날로 강화되고 淸代 경제가 쇠퇴하였

으며 물가 상승폭이 날로 커졌다는 인식40)이 있지만 18세기 물가 상승

을 고려하면 제국주의 침략과 상관없이 물가 상승이 지속되었던 것을

알 수 있다

35) 岸本美緖 앞의 책 p17

36) Yeh-chien Wang Secular Trends of Rice in the Yanzi Delta 1638-1935(California Univ Press 1992)

37) 위의 논문

38) E S Rawski Agricultural Change and the Peasant Economy of SouthChina (Harvard Univ Press 1972)

39) 郭成康 18世紀中國物價問題和政府對策 (淸史硏究 96-1)40) 譚文熙 앞의 책 p25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99민국시기에는 1920년대까지 米価가 지속 상승하고 인플레이션이 심

해 매년 33 비율로 상승했다는 조사가 있다41) 민국 전기는 비교적

안정 속의 상승세이고 민국 중기는 역시 기본상 상승이지만 1932-35

년 사이는 하강하고 있다는 견해도 있다42)

湖南 내부 각 지역의 米価도 상호간에 긴말한 연동 관계를 보이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고43) 上海와 長沙 사이에도 고도 상관있는 것이

파악된 바 있다 그러나 공간을 달리 하면 도량형이나 화폐 종류 등의

차이로 정확한 변화를 파악하기 어렵다 되도록 좁은 범위의 지역을

연구 대상으로 할 때 상대적인 정밀도가 높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래

서 本考에서 長沙縣을 중심으로 같은 長沙府 내의 몇 개 縣을 관찰하

여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 이후 民國中期인 1936년까지를 주

대상으로 物価 변동을 살펴보려 한다

兩湖農業地理에서는 湖南 湖北의 米価를 세부 지역 구분 없이 종

합하고 있는데 例示 가격의 시기 역시 일정하지 않다 따라서 정밀성

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lt표2gt와 lt표3gt은 長沙府 醴陵縣志에기재된 것으로 해당 지역 상인의 장부와 縣商會 조직에 의한 기록을

토대로 한 것이다44) 당시인의 물가 변동에 대한 인식이라 비교적 정

확하다고 생각된다 같은 長沙府 寧鄕縣에서도 光緖7年 穀価가 1石당

600文이라는 기록이 있는데 lt표2gt의 예릉현 광서4년(1878) 기록과 근

접하고 있다45) 長沙를 중심 시장으로 하여 같은 府內의 시장 통합성

이 큰 것은 이미 확인한 바 있다46)

41) Yeh-chien Wang 앞의 논문

42) 譚文熙 앞의 책 p302 p356

43)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物価

44)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45)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46) 張麗芬 앞의 책 p197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0

시기 단위 가격(文) 米価

광서4년(1878) 石 680 1360

광서14년(1888) 780 1560

광서19년(1893) 680 1360

선통원년(1909) 2000 4000

민국원년(1912) 2800 5600

민국5년(1916) 2800 5600

민국10년(1921) 3800 7600

lt表2gt 醴陵縣 穀価(a)(私家數簿에 의함)

lt圖2gt 醴陵縣 穀價(a) 石文

-附記 前淸通行制錢文으로써 단위 민국초년에는 비록 銅元을 사용하나 관습상 1銅

元은 10文에 해당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1

시기 단위 가격(元) 米価

민국15년(1926) 石 160 32

민국20년(1931) 240 48

민국25년(1936) 250 50

민국27년(1938) 280 56

민국28년(1939) 500 100

민국29년(1940) 800 160

민국30년(1941) 3000

-lt表2gt lt表3gt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物価

lt表3gt醴陵縣 穀価(b)(縣商會 조사)

lt圖3gt 醴陵縣 穀價 石元

lt표2gt와 lt圖2gt를 보면 長沙府의 米価는 光緖4년(1878)부터 광서19

년까지 비교적 낮은 채로 있다가 그 이후 급등하여 청말에서 민국 전

기 까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lt표3gt과 lt圖3gt을 보면 민국 15년

(1926)에서 민국 27년(1938)까지 비교적 안정속의 상승세를 보이다가

그 후에 급등하고 있다 本考에서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는 것은 민국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2

時期 銀価(兩石) 錢価(文石) 出典

道光 16年(1836) 10 1400 民國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Prime 25年(1845) 05 1000同治長沙縣志 권33

祥異 光緖善化縣志 咸豊元年(1851) 08 1600 民國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함풍 3年(1853) 05 1000 同治湘鄕縣志 권5 祥異함풍 6年(1856) 07-08 1400-1600 同治安化縣志 권34 五行

同治元年(1862) 308 4000 同治瀏陽縣志 권14 祥異

同治 9年(1870) 296-370 4000-5000 Prime

光緖 7년(1881) 08-266 1200(4000) 民國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光緖年間 125-188 2000-3000 長沙日報 宣統2年2月

선통32年(1906) 25 4000 Prime

선통 2年(1910) 412 7000 Prime

長沙日報는 兩湖農業地理 p274에서 再引用

lt表4gt 長沙府 縣志等 米価 기록

중기인 1936년까지이다 항일 전쟁 발발과 國共 대립 등으로 극도의

혼란기인 민국후기는 특히 경제면에서 역사적 실체를 파악하기가 매우

어렵다

lt표4gt는 주로 長沙府 내의 縣志를 이용하여 米価를 정리한 것이다

흉년시의 특별한 가격이 아니라 평상년 가격 위주로 작성한 것이다

풍년시의 가격도 있으나 수년간 풍년이 지속되었다면 常年 가격에 준

한다고 생각된다 함풍3년(1853)의 米価는 兩湖南農業地理에 인용된

曾國藩 上奏시의 米価와 동일하다 같은 자료를 더 이용하면 함풍7년

(1857)에는 駱文忠公遺集 1石당 3200-3500文의 기사가 있다 역시

曾國藩의 上奏文에 同治2年은 1石당 30兩인데 당시의 銀錢比価로 환

산하면 3900文이므로 lt표4gt上 동치 元年 4000文과 거의 유사하다 同

治7년(1868)은 李瀚章의 上奏文에 4000文 전후로 되어있어 표의 내용

과 거의 일치한다 이것들을 짜 맞추어 보면 위 지방지 기록이 상당한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3

lt圖4gt 長沙의 米価 변동

bull광서4년 14년 19년은 예릉현지 물가표 기재 이용

bull광서7년은 민국 영향현지 기록 가을 이전의 평상 가격 이용

bull광서32년은 水災시의 가격

예릉현 물가표상의 광서 기록을 보충하여 수정한 결과

신뢰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표4)의 내용에 長沙府 醴陵縣志의 물가

표상 광서4년 14년 19년을 포함하여 구성해 본 것이 lt圖4gt이다

이것을 종합하여 보면 도광 16년(1836) 이후 함풍6년(1856)까지는

비교적 저렴한 米価가 유지되다가 함풍7년(1857)이후 米価가 급등한

것으로 생각 된다 동치 년간은 동치원년(1862) 4000文에서 동치2년

3900文 동치7년 4000文전후 동치9년 4000-5000文으로 계속 高米価가

유지된 시기였다 그런데 銀錢比値는 동치2년 1300文 동치 7년

1300-1400文으로 도광말 함풍초보다 오히려 안정되어 있다 淸末 이

지역의 지방지를 검토하면 거의 모두 嘉慶 이전은 米価를 銀兩으로 표

시하다가 道光 이후는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도광 이후 淸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4末은 米価도 錢文価가 실제 시장 가치를 잘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

다 동치 년간 상당히 高米価가 유지되었지만 道光末咸豊初와 같은 lsquo銀

貴錢賤rsquo 현상은 보이지 않기 때문에 米価 상승이 농민에게 어느 정도

유리했다 여겨진다 lt圖4gt를 보면 光緖 전반에는 米価가 상대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光緖19年(1893)까지는 하락 안정세를 보이다가 그 후에

급등하고 있다 호남성 수확기의 中米 가격 조사에서도 비슷한 경향이

보인다47) 中米 가격도 광서22년(1896)부터 대체로 상승추세인데 광서

34년(1908)에 급등하고 있다 앞서 彭信威가 연구한 江浙 米価 변동에

19세기 24분기와 19세기 780년대가 米価低落期에 해당된다고 하는

데48) 이것과 유사한 면을 가지면서 약간의 편차가 있다 즉 동치 년간

(1862-74) 70년대 전반까지는 대체로 高米価가 유지되었고 光緖 전반

의 하락은 90년대 전반까지인 것으로 생각되는 것이다 淸末 上海의

米価 조사도 1862-71(213) 1872-81(128) 1882-91(142) 1892-1901

(207)로 되어 있어 위 호남 長沙의 米価 변동과 비슷한 궤적을 그리고

있다49)

lt표1gt에 제시된 광서 24년(1898)의 長沙 米価도 3000文-4000文 사

이에 형성되어 상당한 高米価이다 같은 湘報에 실린 내용에 岳州에

집결된 湖南米가 漢口에 운송 판매되는데 米価는 3700-800文 또는 4천

수백文에 이른다고 되어 있다50) 대략 光緖20年(1894) 이후부터 淸末까

지 高米価가 지속되었다고 생각된다 松江府續志의 기록을 이용하여

光緖年間 低米価와 그로 인한 장기 不況이라는 해석은 長沙府 일대에

서는 드러나지 않는다51) 低米価는 光緖年間 전체는 아니고 光緖

(1875-1908) 년간의 거의 전반에 해당하는 1893년 이전의 일로 생각된

다 후반에서 淸末까지는 急騰에 가까운 高米価의 변동을 보여주고 있

47) 岸本美緖 앞의 책 p19

48) 同上 p443

49) 湘報 76號 p67650) 李文治 中国近代農業史資料 제1집 p561 岸本美緖의 해석 앞의 책

pp442-443

51) 張人价 앞의 책 pp93-9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5

機米 河米 糯米 총 평균

가격 지수 가격 지수 가격 지수 가격 지수

1928 652 7564 503 7065 805 9015 653 7944

1929 862 10000 712 10000 893 10000 822 10000

1930 1003 11636 862 12107 1037 11613 967 11764

1931 1002 11624 845 11868 1020 11422 956 11630

1932 1008 11694 817 11475 947 10605 924 11241

1933 594 6868 504 7079 757 8477 618 7525

1934 671 7784 590 8287 812 9093 691 8406

1935 1004 11647 810 11376 1012 11333 942 11460

lt表5gt 長沙의 米価(石元)

예릉현 물가표를 보면 民國 시기에도 대체로 안정속의 상승세가 지

속된다 청말에서 1921년까지 米価가 급등한 것으로 보이지만 1926년

에서 1936년까지는 안정 속 상승의 추세이다 兩圖 사이에는 가격 단

위의 차이가 있어 직접 접속은 곤란하지만 흐름은 그렇다고 여겨진다

호남성경제조사소 의 조사에 근거한 민국17년(1928)부터 민국24년

(1935)까지의 8년간 米価 기록을 제시한 것이 lt표5gt이다52)

이것을 보면 등락은 있지만 비교적 米価가 안정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上海의 米価도 1912-1928년 사이 407 상승하였는데 1921-1928년

사이에는 154 상승하였다53) 호남성의 米価는 宣統2年-民國元年 3개

년 평균가와 민국 21-23년 3개년 평균가를 비교했을 때 86 상승이라

는 조사도 있다54) 대체로 淸末에서 民國 전기까지는 가격이 급등하고

민국 중기에는 안정 속의 상승이 추세였다고 생각된다

호남성 汝城縣의 물가변동을 보면 우선 지방지 편찬자의 시기 구분

52) 徐正元 上海近代稻米市場価格變動分析 (中國經濟史硏究 1996年 2期)

53) 張人价 앞의 책 p87

54)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 91998)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6

1898年 1935年

소금 56文斤 57斤

洋油 50文斤 64斤

돼지고기 105文斤 30斤 015-020元斤 25-33斤

鷄育 123文斤 26斤

羊肉 117文斤 27斤

茶油 100文斤 32斤 019-024斤 21-26斤 瀏陽가격

면화(中棉) 217文斤 15斤 03-05斤 10-17斤 湘陰 Prime

1898年 中米1石価 (湘報소재 1石 3193文 적용)

1935年 長沙米価 民國25年 刊 通郵地方物産誌 湖南의 長沙靖港米価(担40-60元

의 중간 값 이용) 1石은 1担보다 크므로 실제 米価는 이보다 높을 것임

이 의미있다고 생각된다 同治丁卯志 편찬 이후부터라고 명시하고 있

는데 丁卯年은 同治6년(1867)이다 이후부터 민국21년(1932)까지를 세

시기로 구분한다55) 同光 시기 光宣 시기 民國 시기이다 즉 동치 후

반에서 광서 전반 광서 후반에서 선통 년간이니 광서 후반부터 물가

상승이 컸던 것을 반영한다고 여겨진다 여성현 물가표상 米価 변동을

단순 비교하면 지수는 100 200 400으로 변한다 1930년대 전반의 米

価는 동치 후기에 비하여 약 65년만에 300 상승한 것이다 이것을

신뢰하더라도 앞서 18세기 전후 백년간 물가가 300 상승하였다는 당

시인의 인식과 상승률은 거의 비슷하다56) 장사부 상음현에서도 18세

기 중후반 67년간 米価가 300 상승한 바 있다 예릉현 물가 표상

1878년에서 1921년까지는 米価는 약 458 상승하였지만 1926년에서

1936년까지 10년간은 약 563 상승에 그쳤다 민국 중기는 비교적 안

정속의 상승을 보여 주고 있다 lt표5gt에 제시된 長沙 機米의 8년간

가격도 54 정도 상승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미가의 명목 수치상 등

락을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질 가치를 알아보려면 상대 물가 즉

米1石価의 구매력이 얼마인지를 보아야 한다

lt表6gt 長沙 中米 1石価의 구매력 변동

55) 郭成康 앞의 논문

56) 張麗芬 앞의 책 p270 각주7)에 보면 호남성 1担価는 140-150斤 1898年 長

沙 米価는 1石당 150-155斤임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7

1935년의 長沙 米価는 通郵地方物産誌의 長沙 靖港의 米 1担価를

이용하였다 실제 石은 担보다 크므로 米価는 여기서 잡은 5元을 상회

할 것이라 생각된다57) 같은 자료의 물가를 이용하여 제시한 lt표6gt을

보면 돼지고기 값은 1898년의 30斤에서 1935년은 25-35斤 사이이다

그 범위 안에 있는 것을 보면 米価의 실질 구매력은 유지되고 있다

茶油는 다소 하락하였지만 면화도 유지 또는 상승이라 볼 수 있다

예릉현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돼지고기는 상승 추세 속에 일

부 하락년이 있다 선통 원년과 민국 원년에 수치가 상승한 것은 米価

의 폭등이 기타 물가를 크게 앞지른 것으로 여겨진다 민국 중기에 약

간 하락하였지만 1935년의 돼지고기 구매력은 광서4년(1878)에 비해

67정도 상승하고 있다 茶油의 경우도 민국 10년(1921)까지 米의 상

대 구매력이 대폭 상승하고 있다 이것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米価 변

동을 통해 농민 소득이 하강했다고 여겨지지 않는다

광서4년1878

광서14년1888

광서19년1893

선통원년1909

민국원년1912

민국5년1916

민국10년1921

민국15년1926

민국20년1931

민국25년1936

猪肉 15斤 25斤 22斤 36斤 35斤 23斤 27斤 16斤 28斤 25斤

草魚 34斤 39斤 38斤 57斤 62斤 35斤 - 20斤 32斤 33斤

茶油 12斤 23斤 25斤 27斤 - - 25斤 - ① -

鹽 23斤 26斤 22斤 33斤 62斤 - 42斤

棉花 7斤 16斤 5斤 - - - - - ②

洋紗 - - - - - - - ③

煤油 - - - - - - - 15병 2병 11병

雞 17斤 22斤 20斤 33斤 22斤 19斤 21斤 - - -

史料上 穀価를 lsquo1米2穀rsquo의 원칙에 따라 米価로 환산하였음① 민국 15년(1926)부터는 茶油의 단위가 石으로 되어 있어 비교 곤란② Prime 棉花의 단위가 石으로 되어 있어 비교 곤란③ Prime 羊紗의 단위가 件으로 되어 있어 이해 곤란

lt表7gt 醴陵縣 米価의 물품구매력 변동추세(米1石의 구매력)

57) 刘泱泱 湖南通史 近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p487-488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8

품목

시기

단위

同光

(1870-1890)

光宣

(1890-1911)

民國

(1912-1932)

肉 斤 188 188 175

鹽 斤 60 75 636

洋紗 捆 100 100同光시기洋紗통행안함

土布 尺 100 120 140

洋油 甁 20 10同光시기

洋油 未 盛行

茶油 斤 188 188 175

桐油 斤 214 200 194

柴 750 875

同治丁卯志(1867)편찬 이후라 되어 있어 대략 70년부터 잡은 것이다

lt表8gt 湖南 汝城縣의 穀1石価의 구매력 변동

호남 汝城縣의 穀1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고기는 光宣 시기에

유지되다가 민국 시기에 약간 하락하였으나 근소한 수치이다 鹽의 구

매력은 光宣 시기에 대폭 올랐다가 民國 시기에 하락하였으나 同光 시

기 보다는 높은 수치이다 洋紗에 대한 구매력은 光宣 시기에서 民國

시기에도 계속 유지되고 있다 茶油는 고기와 같은 변화이다 土布에

대해서는 구매력이 계속 증가한다 洋油에 대해서는 民國 시기에 구매

력 감소를 보이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호남의 대외무역은 외국의 공

업품과 농부산품 원료를 교환하는 것인데 고가의 공업품 대신 강제

저가의 수단으로 호남의 농산품을 약탈한다는 견해58)는 약간의 재검

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공업 상품 가격의 翦刀差에 대해서도 洋紗

의 경우를 보면 나타나지 않고 있다59)

이상을 종합하면 同治年間의 高米価 光緖前半(1875-1891)까지의 상

대적 低米価 光緖後半-宣統까지의 高米価 급등 民國前期의 계속 상승

58) 李金錚 二十年來 中國 近代 鄕村 經濟史的 新探索 (歷史硏究 2003年 4

期)

59) 譚文熙 앞의 책 pp298-299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9

品目 洋麵 淮鹽 茶油 桐油 洋油 猪肉 雞 鴨 烟煤 柴煤

단위시기

包 斤 100斤 100斤箱2桶(50斤)

斤 斤 斤 100斤 衡斗

31-310 26兩 56文 73兩 19兩 104文 112文 88文 320文 24文

311-320 26兩 Prime 73 19 104文 128文 88文 320文 24文

321-331 26兩 Prime 73 625兩 189 108文 128文 88文 320文 252

41-410 26兩 Prime 728 628 186 320文 240

411-420 27兩 Prime 728 626 183 254 228

421-430 29兩 Prime 72 616 181 314 260

51-510 293兩 Prime 711 606 178 310 240

511-520 274 Prime 71 60 183 314 240

521-531 26 Prime 71 60 185 314 229

61-610 26 Prime 699 60 185 299 219

611-620 231 Prime 734 61 184 320 255

621-630 22 Prime 754 62 183 311 254

71-710 22 Prime 774 649 183 310 250

711-719 218 Prime 768 631 181 318 265

면화는 上棉 中棉 下棉의 가격이 제시되고 있으나 여기서 생략함

lt表9gt 1898年 3-7月間 長沙物価

民國中期(1926-1936)까지 안정이라는 米価 변동의 궤적을 확인할 수

있고 그 기간 동안 米価의 실질 구매력은 유지 또는 상승이 대체적 추

세였다 생각된다

2 物價 변동

1) 단기 변동

湘報에 수록된 光緖24년(1898)의 長沙 물가 변동을 표시한 것이

lt表9gt와 lt圖5gt이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0

品目 단위 최고가 최저가 시기 유통량 행선지

鴨絨 斤 500 300 冬 上海 北平 天津 南京

일반적으로 米価와 物価는 상호 연동적이라 생각되지만 여기서 물

가의 단기 변동은 米価와는 다소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대체로

등락 폭이 크지 않다 洋油 洋麵 桐油 등의 변동폭이 크지 않다 면화

만 4월 10일 20일 사이에 상승이 있지만 5월부터는 하락하고 있다

淮鹽 가격은 斤당 56文으로 3月에서 7월 사이에 전혀 변동이 없다

長沙지역은 원래 淮鹽 관할 구역이었으나 太平天國 시기에 교통 두절

로 川鹽 소비지역이 되었다 太平天國후 曾國藩이 이 지역을 淮鹽 소

비지역으로 회복하기 위해 여러 가지 개혁 조치를 행하고 督銷局에서

가격을 核定하여 고시하는 牌價 제도를 시행한 바 있다 일종의 통제

가격제도에 의해 가격 상승이 억제되고 있었던 것이다 直隷의 景縣의

소금 값은 1890년에 斤당 46文 1900년에 斤당 68文이라는 조사도 있

다60) 長寧縣에서는 光緖29年(1903)에 鹽価가 斤당 55文이라는 보고도

있는데 이것은 長沙 1898年의 鹽価와 유사하다61)

戰亂後에 淸朝정부의 淮鹽 소비지 회복 정책에도 불구하고 四川鹽

이 계속 私鹽으로 침투하였기 때문에 長沙의 淮鹽価를 저렴한 통제 가

격下에 두고 있었다고 생각 된다62) 圖6)에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柴煤

는 米価와 같이 5月10日에 최고가에 가깝고 6월10일에 하락하고 그후

에 상승하고 있다 烟煤의 경우에도 비슷한 궤적을 그리고 있다 이것

은 米価와의 연동관계가 비교적 분명하다

1935년의 長沙 物価의 단기 변동 폭을 알 수 있는 것이 lt표10gt이

lt表10gt 長沙物価 通郵地方物産志

60) 李文治 앞의 책 p562

61) 譚文熙 앞의 책 p267-268

62) 佐伯富 中國史硏究 第1卷 (京都 同朋舍 1978) pp340-36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1

黑鉛 石 2200 1300 全年 50000石 漢口上海

棉紗 件 22000 1800 Prime 24000件 本省

棉布 疋 120 150() Prime 1000000 漢口

麵粉 袋 50 250 Prime 140000 Prime

線襪 雙 106 Prime 6000000 本省

毛呢鞋 Prime 200 180 Prime 400000 Prime

夏布 疋 1000 200 夏 20000 上海漢口

火柴 箱 500 300 全年 10000 本省

刺繡 Prime國內및外洋

매년 産量 약50만元

玻璃器 件 300 200 Prime 9000 本省

肥皀 箱 70 50 Prime 30000 Prime

絲綿三角 兩 040 020 Prime 40000 Prime

國貨電池 打 060 040 Prime 200000 Prime

猪 斤 020 015 Prime 50000只 漢口上海

豬毛 担 6000 5000 Prime 4000kg Prime

粗窑器 卡 350 250 Prime 100000套 長江연안

毛筆 支 050 020 Prime 本省 및 황하 각성

여기서 보면 변동폭이 100 이상인 것은 면포 夏布 絲線三角 毛

筆 麵粉 등이다 또 50 이상인 것은 鴨絨(가공오리털) 667 흑연

692 火柴(성냥) 667 玻璃器(유리그릇) 50 국산 電池 50 등이

다 비누는 40 粗窰器는 40이다 棉沙 222 毛呢鞋는 111 돼

지 333이다 단기 변동 폭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고 생각된다 이

것은 이런 물품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성이 크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그런데 1898年의 경우는 茶油 洋油 등 물품의 가격 변동폭이 적은 것

은 무엇 때문일까 어쩌면 당시의 시장 가격 조사가 부정확했는지도

알 수 없다

1935年의 물가에서 綿沙의 변동폭이 적은 것은 당시 항상적인 수요

가 있었기 때문이 아닐까 비누의 변동폭도 40로 비교적 적은데 생

필품으로 수요가 지속 증대된 까닭이 아닐까 한다 通郵地方物産誌에 기재된 醴陵縣 夏布 가격은 40元-100元 사이인데 民國醴陵縣志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2

圖5) 1898年 3月-7月 長沙物價

의 物価表上에는 70元(1938)이라 되어 있다 物産誌 가격은 1935年

의 것인데 예릉현지의 가격이 그 범위 안에 있어 서로 다른 자료간에

부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63) 物産誌 上 相潭株洲의 茶油 값

매 石 160-240元(1935)은 예릉현지 물가표의 민국 20년(1931) 茶油 매

石 240元과 일치하고 있다 표12)에 1936年 煤油 값은 병당 44元이다

그런데 民國 安鄕縣志에서도 1934년 煤油 값은 병당 38元으로 되어

있어 兩者 사이에 유사성을 보여주고 있다64) 그러므로 醴陵縣志 物価의 종적 비교도 신뢰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洋麵은 包당 가격

茶油桐油洋油는 100斤당 가격

棉花 100斤당 가격

2) 장기 변동

長沙의 물가 변동을 보려면 湘報 수록의 광서 24年(1898) 물가와

63) 交通部郵政總局 編 中國通郵地方物産誌 (華世出版 1988)

64) 民國 安鄕縣志 卷11 食貨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3

품명 단위광서4년

(1878)

광서14년

(1888)

광서19년

(1893)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

(1912)

민국5년

(1916)

민국10년

(1921)

豬肉 斤 88文 63 62 112 160 240 280

雞 斤 80 72 68 120 250 300 360

lt表12gt 醴陵縣 物価表 (b) (商会조사)

품명 단위민국15년(1926)

민국20년(1931)

민국25년(1936)

민국27년(1938)

민국28년(1939)

민국29년(1940)

민국30년(1941)

猪肉 百斤 200원 170 200 360 400 561 1300

草魚 Prime 160 150 150

茶油 石 240 290 560 760 2000

鹽 石 120 140 150 160 2000

洋紗 件 2200 2200 2400 2000 2500 1500

土布 匹 27 70

夏布 Prime 70 70 140

竹布 Prime 100 100 8000

棉花 石 20 25 40 100 200 400

煤炭 石 020 030 040 050 230 70

煤油 甁 220 240 440 90 300 460 200

毛邊紙 石 198 432 1200

黑靛粉 桶10斤 100 200 1500 2000

赤金 兩 50 70 80 90 500 560 1600

lt表11gt 醴陵縣 物価表 (a)(私家數簿에 의한 것)

民國24年(1935)의 通郵地方物産誌 기록을 직접 비교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양 자료 사이에 화폐와 단위가 서로 달라 직접 비교할 수가 없

다 그래서 당시인의 물가 변동 기록인 長沙府 醴陵縣 物価表를 이용

하는 것이 파악 방법이 될 것이다

lt표11gt lt표12gt 와 lt圖6gt lt圖7gt을 보면 개별 물품에 따라 차이

는 있지만 대체적인 흐름은 米価 변동과 유사한 궤적을 보여주고 있

다 즉 光緖 前半에 비교적 안정적이다가 光緖 후반부터 급상승하여

민국 전기까지 상승하고 있다 1926년부터 1936년까지는 가격 안정세

를 보여 주고 있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4

雞蛋 個 2 2 3 4 10 15 20

草魚 斤 40 40 36 70 90 160

茶油 斤 116 69 54 150 300

鹽 斤 60 60 63 120 90 180

煤 石 50 120 50

苧麻 斤 270 99 170

棉花 斤 200 96 280

竹布 尺 70 62 60 60 90

靑洋布 尺 55 50 50 70

白蓮紙 刀 40 82 80 100

-附記 前淸 통행 制錢文으로써 단위 민국 초년에는 비록 銅元을 단위 사용하나 관습상 매 1銅元은 錢10文에 해당

圖6) 醴陵縣 物価 (a)

① 豬肉 斤당 가격 ② 雞肉 斤당 가격 ③ 茶油 斤당 가격

④ 鹽 斤당 가격 ⑤ 棉花 斤당 가격 ⑥ 草魚 斤당 가격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5

圖7) 醴陵縣 物価(b)

① 猪肉 百斤당 가격 元 ② 草魚 百斤당 가격 元 ③ 茶油 石당 가격 元

④ 鹽 石당 가격 元 ⑤ 洋紗 件당 가격 元 ⑥ 棉花 石당 가격 元

⑦ 煤油 甁당 가격 元

米価가 物価와 연동되는 것에 대해서 江都縣史料를 보면 ldquo産米 구역

에서 年末에 米価가 상승하니 百物이 昻貴했다rdquo65)라고 되어 있다 湖

南지역 米価 연구 자료에도 米価 추세는 거의 물가 수준과 같다는 주

장이 있다66)

光緖末宣統年間의 물가 상승을 나타내는 史料를 보면 다음과 같다

이제 각종 惡政의 결과로 百物의 騰貴를 초래했는데 小民의 日用 수요

65) 李文治 앞의 책 p470 ldquo江都爲産米區域 年末米価騰踊 百物因以昻貴rdquo

66) 張麗芬 앞의 책 p22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6음식은 그 가격이 십년 전에 비해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과 居室 器用

蔬饌의 비용 牛種糞漑의 비용도 예전 보다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도 비록

동일 비례로 함께 올랐으나 이미 넉넉하지 못해 괴롭다67)

이것을 보면 米価와 物価가 연동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청말

특히 光緖 후반 이후에 각종 物価가 두 배 올랐다는 사정을 알 수 있

다 上海의 物価도 같은 시기에 상승하고 있다68)

lt표11gt lt표12gt와 lt圖67gt을 검토해 보면 돼지고기 값은 광서 14

년 광서 19년까지는 다소 하락세를 보이다가 宣統원년(1909)부터 급격

히 상승하고 있다 민국원년(1912)의 가격은 160文으로 1878年의 88文

에 비해 거의 두 배에 해당한다 위에 인용한 宣統 2年 8月 國風報의 물가 두 배 인상과 정확하게 부합되고 있다 민국 전기인 1926년까

지 계속 상승하고 있지만 1926년에서 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이고 있

돼지고기 값은 1878년-1909년 사이 273 상승했고 1912-1921년 사

이에 75 상승했다 닭은 각기 50와 44 상승했다 계란은 100

100 상승이었다 淸末 비교 시기는 31년간인데 비해 민국 전기는 9

년간에 불과하다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가 급등한 것은 충분히

알 수 있다 1926년에서 1936년 10년간 돼지 값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거의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이었다

民國 醴陵縣志에도 ldquo辛亥혁명이전에는 물가가 심한 등락이 없었는

데 민국 후에 들어와서 차츰 상승했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69) 圖6)을 보

면 닭고기도 비슷한 궤적을 보이고 있다 草魚의 경우도 청말 민국전

기는 상승이 주요 동선이고 민국 중기(1926-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

67) 國風報 第1年 21期 宣統 2年 8月 (李文治 앞의 책 p561) ldquo今也以種種惡

政之結果 以致百物騰踊 小民日用 飮食所需 其価皆視十年前兩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居

室器用蔬饌之費 牛種糞漑之費兩倍于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雖以同一比例以俱騰 旣苦不

給矣rdquo

68) 岸本美緖 앞의 책 p443

6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物價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7이고 있다 譚文熙 物価史에는 민국 전기는 안정속의 상승세로 민국

중기는 파동속의 상승으로 정리를 하고 있는데 여기와는 약간의 차이

를 보이고 있다70) lt표11gt과 lt표12gt 사이의 화폐 단위 차이로 인한

연속적 파악에 다소 어려움이 있으나 대체의 추세는 짐작할 수 있다

또 품목에 따라 공란이 있어 연결 관계가 애매한 부분이 있다 1936년

이후는 중일 전쟁의 혼란과 불환지폐의 강제 통용 등의 사정으로 本考

에서는 분석 대상 범위에서 제외 하고자 한다

Ⅱ 物價 변동의 원인

1 수요 측면

米価와 物價가 상호 연동관계에 있고 넓은 의미에서는 米価도 물가

의 일부이다 米価 및 물가의 상승은 우선 수요의 증가에 원인이 있다

고 할 것이다 수요증가는 일반으로 인구 증가이다 湖南의 인구는 嘉

慶21年(1816) 18754259명에서 1898年 21174000명으로 다시 民國17년

(1928)에는 31501212人으로 비약적 성장을 하였다71) 약 110년 동안

인구가 1300만 가까이 증가하였고 비율로는 679가 증가하였다 長沙

府의 인구도 가경 25년(1820)에서는 4290086명이었는데 민국23년

(1934)에는 8421330명으로 약 400만명 이상 증가하여 963 상승을

보이고 있다72)

인구의 증가가 수요 증대를 초래하는 일반 요인이지만 湖南의 米穀

移出이 해당 지역 민중의 식량을 제외하고 남는 잉여 米만은 아니다

70) 譚文熙 앞의 책 pp302-307 여기서는 민국 전기는 1912-1927년 민국 중기

는 1927-1937년으로 구분하고 있다

71) 湖南省志 地理志 (長沙 湖南人民出版社 1982) pp230-238

72)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8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의 증대가 더 중요한 요인일 것이다 淸末에

와서 새로운 생업을 통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가 많이 증가하고

있는데 醴陵縣 사례를 한번 검토해 보겠다 史料는 다음과 같다73)

同治志에 이르기를 醴陵의 풍속은 lsquo安土重遷rsquo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상인이 外地에 나

가 장사하는 이가 적었다 배를 이용하여 외부 상업을 하는 것은 淥口 부

근의 米穀商일 뿐이었다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邑人들이 茶제조로 武漢에 판매하는 자가

이익이 배가 되었다 이때부터 龍門일대에 매양 봄에 茶를 제조하고 가리

는 廠이 항상 수십이었다 光緖末年에는 도자기업 夏布 編爆이 일어나서

대신하였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이를 믿고 생계를 삼는자가 무려 십만인이다

同治志 편찬 단계만 해도 사람들이 토착 안주하여 멀리 이동하는

것을 어렵게 여겼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큰 이익을 보고 그

후 도자 기업 夏布 編爆 제조에 종사하여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나 되었다는 것이다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의 성장을

보여주는 것이다 長沙의 빠른 도시화도 주목된다 長沙日報에 실린

내용을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74)

光緖32년(1906)에 火災 조사시에 城廂 내외가 매일 식량으로 穀 5000

石이 필요하였다 지금 교통이 편리하고 상인 旅客이 배로 증가하였으니

매일 마땅히 1-2000石을 더해야 한다(宣統 2年(1910) 2月 17日 長沙日

報)이것을 보면 光緖32년(1906)에서 宣統2년(1910)은 불과 5년이 채 되

지 않는데 상인 집단이 배로 증가하였다니 城內外의 유동인구 급증을

짐작할 수 있다 長沙城의 인구는 1916年에 177882人이었고 1931年은

385514人으로 증가하였다 불과 15년 사이에 1167 증가이다 배 이

73)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ldquo同治志云 醴俗安土重遷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商賈外

貿者少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揚帆外貿則 僅淥口附近之穀米商而已 光緖初 紅茶業興 邑人製茶

販運 漢皋者 獲利倍蓰自是來龍門一帶 每屆春日 製茶捒茶列廠恒數十 訖於光緖

末年 則有瓷業及夏布編爆起而代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恃以爲生者 無慮 十萬人rdquo

74) 李文治 앞의 책 p551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9상이 증가하였으니 長沙의 도시화도 급속히 진전 되고 있다75)

민국10年의 湖南 實業雜誌 보도를 보면 당시 長沙에 蓆工 500人

刻字工 300人 방직공 3200人 이발공 800人 香工 400人 합계 5200人

이 있었다 長沙大公報에 의하면 민국9년(1920)에 長沙에는 부두공

2600人 糞夫 500人 轎夫 1300 車夫 2300人으로 합계 7000人 정도

가 있었다76) 같은 시기 호남성의 광부가 160萬人이고 여기에 手藝工

苦力을 합치면 190만 전후였다고 한다 예릉현에서는 東鄕 일대에서

編爆業 종사자가 수만이고 東北兩鄕에서 磁廠의 女工도 수천이나 되었

다는 기록도 있다77) 湖南 邵陽縣에서도 淸末에 工匠이 5만 상인이 12

만 정도였다는 통계도 있다78) 이렇게 비농업 인구가 다른 생업을 통

해 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로 증가하고 있던 것이 확인된다 이런 유

효 수요 증가를 설명해 주는 다른 史料 하나를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

다79)

어째서 米穀이 날로 적어지고 날로 비싸지는가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水旱災가 날로 많고 농사짓는데 날로 게으르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말은

진실로 일리가 있는데 다 그런 것은 아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선교사 洋商 洋官 洋

兵은 증가한 것이 외국에서 온 사람이다 敎民 游民 賭民 盜民은 內地

에서 증가한 자이다 무릇 농사짓는 사람은 하나인데 먹는 자는 헤아릴

수가 없다 米穀이 어찌 비싸지 않을 수 있겠는가

光緖後期의 사정을 전하고 있는 위 史料를 보면 외국에서 온 선교

사 상인 군인 관리 등도 米価 상승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국내

외를 막론하고 비농업 인구의 급격한 성장이 米価 상승의 원인이라 생

각된다

湖南과 長沙의 米穀은 해당 지역 안에서 소비되는 것보다 揚子江

75) 張朋園 中國現代化的區域硏究 -湖南省 (台北 1998) p376

76) 위의 책 pp412-413

77)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農業經濟

78) 光緖33年刊 邵陽縣鄕土志 권2 인류 실업

79) 李文治 앞의 책 p77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0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많다 청말민국시기에도 지속적인 湖南米의

移出이 있었던 것은 이미 밝힌바 있다80)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穀

米가 騰貴한 이유가 外省의 采辦이 많은 때문이라고 하고 있다81) 상

담현에서도 동치 4년(1865)이전에 해마다 풍년이었는데 穀価가 까닭

없이 騰貴한 것은 江南이 처음 회복되어 米穀의 販運이 많아진 때문이

라고 하고 있다82) 1898年에도 長沙에서 米穀의 원거리 送出을 바라는

지주 富戶와 주민의 갈등 관계가 노출되고 있다83) 宣統2年(1910)의 기

록에도 湖北의 흉년으로 出境 米穀이 과다하여 米価가 급등했는데 작

년 末에는 1石5000文이었다가 금년에는 1石 8000文에 이르렀다는 내

용이 있다84) 같은 자료에 湖南米가 당도 하지 않으면 武漢에서 변란

이 일어난다고 할 정도이다

하류의 上海는 한적한 어촌에서 근대에 대도시로 성장하였다 武漢

上海등의 도시화와 상공업 발전 인구 집중은 長沙米의 급격한 수요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宣統 년간에 長沙가 전국적인 4大 米市의 하나

로 성장한 것은 우연한 일은 아니다85)

근대에 대외 교역증가가 물가 상승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생각된

다 1873년에서 1930年 사이에 농산물 수출 통계는 1910년을 100으로

했을 때 1873년은 12 1893년은 123 1903년 386 1920년은 1324

1930년은 2709로 급상승하고 있다86) 농산물의 수출은 해외 수요의 증

가이다 이런 교역상 수요 증대는 가격의 등귀 뿐 아니라 작물 재배

면적의 확대에도 기여하고 있다

80)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81)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20

82) 光緖6年刊 湘潭縣志 卷29 災祥志

83) 湘報 89號 長沙縣職員常達邦呈批

84) 李文治 앞의 책 p381

85) 徐正元 中國近代農産商品化的發展與米市的形成 (復印報刊經济史 1997年3期)

86)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권2 p14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1宣統2년(1910) 長沙에 영국 상인이 출현하여 米穀 구매를 단행하자

米価가 하루에 여러 번 급등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였다87) 湖南에서

는 또 광동 상인의 영향을 받아 紅茶 제조법을 습득하여 홍차를 대량

생산하여 구미에 수출하였다 19세기 60년대부터 20세기 초에 특히 호

남 茶 생산 판매가 극히 발달하였다88) 주요 산지 중에는 長沙 湘潭

安化 등이 손꼽히고 있다

桐油의 수출 또한 괄목할 만한 것이다 湖南의 桐油 수출은 1922년

전국의 3336 1923년은 372로 성장하였다 1929년에는 全省 수출

총액의 45 정도를 차지하였고 桐油 상품화율 80에 달하였다89) 대

외교역을 통한 농산품의 해외 수요 증가는 직간접으로 물가 상승에 작

용하고 있다

2 화폐 문제

물가와 화폐의 관계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통상 화폐 수량의 증가가

생산총량의 증가보다 초과할 때 물가상승이 일어난다90) 보통 淸 후기

에는 아편무역에 따른 銀의 해외 유출과 그 결과 야기된 lsquo銀貴錢賤rsquo 현

상 통화팽창에 의해 물가가 상승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91)

실제 淸末民國기에 걸쳐 통화 팽창과 물가 상승에 대한 기록을 찾

는 것은 어렵지 않다 王業鍵에 의하면 淸末 특히 1875年부터 1911年

까지는 인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단계였다고 한다92)

民國 寧鄕縣志에 보면 ldquo光緖29年(1903)에 처음으로 當十銅元을 주

87) 李文治 앞의 책 p550-551

88) 劉泱泱 앞의 책 p46

89) 宋斐夫 主篇 湖南通史 現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5 p276

90) 陳民 法幣發行制度與通貨膨脹 (復印報刊經济史 2001-1)91) 龔勝生 앞의 책 pp275-280 岸本美緖 앞의 책 p444 張麗芬 앞의 책

p217

92) Yeh-chien Wang Secular Trends of Rice in the Yanzi Delta 1638-1935(California Univ Press 1992)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2조하여 전국에 통용시켰는데 물가의 등귀가 이때부터 시작되었다rdquo는

기록이 있다93) 醴陵縣에서는 光緖32年에 當十銅元을 주조하여 制錢과

병행시켰고 宣統원년에 銀元이 이미 성행하였다 민국원년에는 當二十

銅元을 주조하였는데 雙銅元이라 칭하였다94) 영향현에서도 광서말에

私鑄錢인 毛錢이 나오고 지폐가 통용되는 등 통화팽창이 상업을 일변

시켰다고 한다95)

종전에 비해 실질 가치가 열악한 當十 當二十 등 銅元의 남발과 鈔

票의 성행은 화폐 시장의 과잉을 초래하였다 정식의 鈔票 이외도 각

현 발행의 私鈔와 錢莊에서 발행한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시중에 범람

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민국 시대에는 화폐 남발이 더욱 심하였다 호

남은행을 비롯한 저축은행 농업은행 등이 각기 각종 지폐를 발행하여

혼란이 가중되었다 1915년에 호남의 은행은 33개인데 그 중 장사현 7

개 상담현이 7개였다96)

군벌들이 은행을 개설하거나 질 낮은 화폐 통용을 강제하는 등의

혼란이 민국시기 특징 중의 하나이다97) 화폐 시장에는 銀元 銀角 銅

元 지폐와 鈔票 市票등 유사 화폐까지 복잡middot혼란의 양상이 나타나고

결과적으로 물가 상승을 피할 수가 없었다

선통2년(1910) 격렬한 米価 騰貴가 있었고 長沙에서 대규모 搶米 폭

동이 일어났는데 이것은 단순한 흉년때문이 아니고 銅元 남발 등 화폐

제도 혼란에 기인한 것이었다98) 1880년대 초부터 1920년대까지는 인

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시기로 매년 33 비율로 상승하였으며 1930년

총 화폐보유고는 60억 원에 달했다 반 세기간 화폐 공급은 8-10배 증

가하였다99)

93)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ldquo光緖 二十九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始鑄當十銅幣 通

行全國 物価之踊始此rdquo

94) 民國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95)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財用錄 상업

96) 張朋園 앞의 책 pp258-259

97) 宋斐夫 앞의 책 pp10-12

98) 岸本美緖 앞의 책 p51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3

時期 銀(兩) 錢(文) 出典

乾隆 嘉慶년간 10 1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道光 初(1821) Prime 1300-1400 Prime

Prime 18年(1838) Prime 1400 林則徐湖廣奏橋 권3

Prime 25年(1845) Prime 2000上下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Prime 末年(1850)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咸豊 元年(1851) Prime 2000 民國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咸豊 初 Prime 2300-2400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8 부역

咸豊 3年(1853) Prime 20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5年(1855)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Prime 6年(1856) Prime 2000 湖文忠公遺集 권12

Prime 7年(1857) Prime 1600 骆文忠公奏議 권7

Prime 8年(1858) Prime 1400 胡文忠公遺集 권85

Prime 10年(1860) Prime 1300-1400 胡文忠公遺集 권70

同治 2年(1863) Prime 13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7年(1868) Prime 1300-1400 李瀚章 瀝陳湖北等省漕務

Prime 10年(1871) Prime 1600-1700 同治10年 長沙縣志 권8 부역 錢法

光緖32年(1906) Prime 1600 長沙日報 宣統2年 2月27日

선통 2年(1910) Prime 1700 國風報 宣統2年 3月 21日

표 지방지에서 직접 採錄제외는 龔勝生 淸代兩湖農業地理 pp270-277에서 湖南부분을 발췌하여 再引用한 것임

表13) 湖南의 銀錢比値

그런데 아편전쟁 전후 銀의 과도한 해외 유출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이

초래되고 이것이 물가 상승의 주요인이라 생각되고 있는 데는 약간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表13)을 보면 銀錢比価가 일시적으로 상승하였다

가 다시 하강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은전비가는 지역에 따라 차

이가 있지만 호남 장사를 위주로 정리한 것이 표13)이다100)

99)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0) 邱思達 中國近現代鑄幣圖說 (北京 中國書店 1991) p109 참조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4

주목되는 것은 道光末에서 咸豊初에 일시적으로 상승하였지만 淸末

의 比価가 낮은 편에 속하는 현상이다 청말에 은전비가가 비교적 안

정되고 있는 것이다 아편전쟁 후 5항 개항으로 교역이 확대된 상황에

서 아편무역 증대에도 불구하고 차와 silk 수출에 힘입어 은의 순유입

이 오히려 증가되는 현상이 나타났던 것이다101) 또 光緖17년(1891)이

후 세계 銀価하락 현상으로 은유입이 증가되었다102) 19세기 후반 중

국이 세계 사회에 연결되면서 중국의 무역 적자에도 불구하고 淸 정부

에 대한 대량 차관과 자본 투자를 통해서 거대한 양의 銀이 중국에 유

입되었다 1871년에서 1913년 사이 은의 순 수입은 2억 4천만 海關兩

혹은 3억 6천만 銀달러로 추정되고 있다 세계 시장의 은가 하락과 은

의 대량 유입은 중국의 국내 시장에서 물가 상승을 유도한 것이다103)

이런 배경으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은 일시적인 것이고 청말민국기 전체를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민국 시기에는 銀元과 錢의 교환 비율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은의 유입 현상에도 불구하고 宣統 원년 11150文의 비율에서 민국6년

2250文 민국11년 2840文 민국17년 3500文 민국22년 7200文까지 급등

하고 있다 예릉현의 기록이지만 이것으로 청말보다 민국시기에 통화

팽창현상이 극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4)

銀과 錢이 주요 화폐이고 그 환율이 항상 문제가 되고 있지만 주로

청 후기 이후는 錢文 위주의 경제로 바뀌고 있다고 생각된다 長沙府

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면 대부분 道光 이후는 화폐를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淸 前期는 米価를 銀으로 표시하던 것과는 대조적이

다105) 예릉현에서는 민간에서 세금을 납부하거나 大宗무역을 할 때를

101)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2) 邱思達 앞의 책 pp92-93

103)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4)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10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光緖3年刊 善化縣志 同治13年刊 湘鄕縣志 光

緖15年刊 湘潭縣志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民國37年刊 醴陵縣志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5제외하고 紋銀 사용자가 거의 없다 도광 이후 교역시 대부분 錢文을

사용했다는 기록을 보면 淸 後期는 錢 경제 위주로 넘어간 것 같

다106) 세금을 낼 때 외에 銀錢이 필요 없는 일반민은 錢文 사용권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너무나 당연하다

함풍4년에 長沙에서 大錢을 주조하여 통용시켰으나 결국 시장의 신

뢰를 얻지 못하여 퇴출되고 말았다 1854년 7월에 주조를 시작하여

1855년 4月에 주조를 정지하였다107) 이것을 보면 통화 남발도 결국

시장의 제약을 받고 있다

민국 7년(1918) 3月 張敬堯가 裕湘銀行을 개설하여 銀元票 1000만元

銅元票 3000만元을 발행하였다 그 결과 시장은 혼란에 빠지고 시중금

융은 마비 상태가 되었으며 결국 裕湘銀行 발행의 惡幣는 폐지와 같이

되었다108) 권력에 의하여 통화 팽창이 시도되더라도 시장이 감당할

수 없는 지경이 되면 중단될 수밖에 없다 과도한 통화 팽창은 시장의

질서에 의해 어느 정도 제약 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예릉현에서도 光緖 년간에 錢莊 24곳이 출현하여 盛業을 누렸는데

民國7年(1918) 兵禍로 停業하는 곳이 많아졌고 정부의 통화 남발 화폐

가치 하락 금융혼란의 현상이 나타났다109) 민국18년(1929) 이후는 정

국이 안정되고 교통 편리로 百業이 진흥되고 은행이 역할을 하게 되었

이상에서 보면 淸末까지는 은전비가가 안정되고 통화 관리가 어느

정도 성공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光緖 宣統 시기에 銀元의 주조 외국

銀貨의 대량유입 當十銅元 등 주조로 통화팽창이 많이 되었고 이시기

물가 상승과 연관되고 있다 민국 초기에도 정국 혼란과 무계획적 통

화남발로 물가의 급등을 초래하였다 민국 중기에는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것 같다

106) 龔勝生 앞의 책 p279

107) 劉泱泱 앞의 책 pp150-155

108) 宋斐夫 앞의 책 pp10-11

10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6영향현에서도 민국 21년(1932) lsquo穀賤錢荒rsquo의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

다110) 청말민국기에 전반적으로 화폐량의 증가가 현저했던 것은 사실

이다 다양한 화폐의 등장 銀兩 銀元 銅錢 銅元 외에 외국 銀元의 유

입 그 외 鈔票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출현하였으며 양적인 팽창도 분

명하다 하지만 대외 교역 증가와 경제 활동 인구의 증가 유통 상품의

양적 증가에 의해 시장의 화폐 수요가 증대된 것도 사실이다 통화 발

행은 일차적으로는 경제 주체의 수요에 부응하는 것이지만 그것이 과

도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3 공급기타 요소

물가는 기본적으로 수요공급의 관계에서 결정되는 것이 원칙이다

청말민국기에 걸쳐 인구가 급증하여 물가가 상승한 것은 자연스런 일

이다 그러나 물가 상승률 면에서 청말의 경우가 18세기의 증가율에

비해 크다고 할 수 없다 물가 상승률을 억제하면서 비교적 안정 속의

상승을 할 수 있었던 것은 공급의 증가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청말민국기에 湖南米의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 현상이 지속된 배경

에 비약적인 경지 면적 확대와 새로운 품종 개량 시비법 발전 등 농

업 생산 증대가 있었다는 것은 이미 밝혀진 바 있다111) 米穀 공급의

증대가 물가 상승을 완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雜糧 재배가 同治

(1862-74) 년간에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민중의 식량 문제 해결에 기여

하고 米価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던 것을 城步縣 知縣 盛溢源을

통해서 알 수 있다

洋米 수입이 國産米의 보충 역할을 했다는 지적이 있지만 결국 시

110) 民國30年刊 寧鄕縣新志 전1 縣年記

111) 田炯權 淸末民國期 湖廣地方의 農業生産力과 生産關係 (慶南史學 7

1995)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2001)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

究 25 200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7장에 대한 미곡 공급을 증대시켜 가격 안정에 기여했다고 생각된

다112)

민국 시대 관련 사료를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113)

금일 정세를 보면 국내 米価의 등락은 결코 國産米의 생산량이 많고

적음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외국 産米 구역의 풍년 여부에 따라 영

향이 대단히 크다

이것을 보면 洋米 수입이 國産米価를 조절한다고 볼 수 있다 비슷

한 시기 上海에서도 湖南米가 수입 米의 영향으로 가격이 약간 적게

올랐다는 史料도 있다114) 湘報에도 日本米가 수입되어 중국의 米価

가 차츰 내려갔다는 기록이 있다115) 같은 湘報에 보면 ldquo외국물산이

날로 풍부하여 중국 상품의 판로를 막는데 서양 상품의 가격이 낮으면

중국 상품 가격이 홀로 증가할 수 없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116) 결국 洋

貨도 중국에서는 시장에 대한 상품 공급의 증가이고 이것이 상품 가격

상승을 억제하고 있는 것이다 같은 자료에 중국의 土藥이 널리 판매

되니 외래 洋藥의 가격이 폭락한 사정도 소개되고 있다117)

또 洋蠟의 수입으로 국산 白蠟 가격이 매 100斤 200元에서 100元으

로 폭락한 일도 있었다118) 1921년 독일 면화가 대량 수입되어 중국의

綿価가 하락한 일도 있다119) 光緖년간 부터 중국이 綿紗 생산을 개시

하자 華商과 洋商사이에 가격 경쟁이 시작되었다 수입 綿布도 洋商이

國産布와 경쟁하기 위해 가격을 낮추어 공급하였다120)

112) 王良行 淸末對外貿易的關聯效果(1860-1911) (近代中國對外貿易史論集1997)

113)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卷3 p413

114) 위의 책 p416

115) 湘報 제45호 p1419

116) 湘報 제13호 ldquo外洋之出産日盛 足以抵華貨之銷路 洋価低則華貨不能獨增rdquo

117) 湘報 제162호 p1608

118) 章有義 앞의 책 권3 p662

119) 譚文熙 앞의 책 p342

120) 譚文熙 위의 책 p368 p374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8상인의 가격 조종이 물가 변동에 하나의 요소는 될 수 있다 예릉현

의 土資 판매에 있어 객상의 가격 조종에 저항하기 위해 주민들이 公

司를 조직하여 가격을 바로 잡았다는 기록도 있다121) 지주 부농 米商

등의 매점매석에 의한 가격 조종 사실은 흔히 발견된다122) 秋收期에

시장에 대량 방출된 곡식을 저렴한 가격에 매입하여 端境期에 되팔아

이익을 남기는 것은 상인의 오래된 관행이다 이윤 추구를 위한 개인

의 행위지만 넓게 보면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행위이기도 하

다 각지 농산품 가격 변동 조사에서 원인이 밝혀진 10건 가운데 전쟁

이 2건 豊凶 水旱災가 7건 상인 조종은 단 한 건 뿐이었다123) 제국

주의 상인에 의한 가격 조종이라는 것도 결국 중국 상인의 이윤 추구

행위와 본질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湘報의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124)

輪船이 이미 통행하고 있고 철로가 이미 만들어 졌다 제조업이 날로

번성하고 통상조약이 행해지니 상인이 계속 내왕하고 온갖 상품이 유통

된다 사계절 틈이 없으니 일용 각 물품이 그 가격이 반드시 저렴할 것

이다

이것을 보면 통상 개시 후 교통이 발달하고 상품 교역이 증대된다

는 것과 그 결과 일용품의 가격이 저렴해졌다는 것을 당시인이 인식하

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서방 각국과의 무역 증대는 상품 공급의 증가

이고 가격 경쟁을 통해 물가 상승을 완만하게 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

121)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22) 李文治 앞의 책 p559

123)湘報 제49號 ldquo輪船旣行 鉄路旣造 製造日盛 商約可行 商賈絡繹 百産流通

歲時無間 則日用物品 其価必廉rdquo

124) 安本美緖 앞의 책 제7장 pp239-288 제12장 431-455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9

Ⅲ 物價와 景氣(생활)

1 穀賤傷農과 不況

物價 문제를 단순히 등락의 흐름에만 주목하기보다 경기변동론적

입장에서 好況 不況의 문제로 연관시켜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

이다 岸本美緖는 康熙年間의 lsquo穀賤rsquo 현상이 不況과 연결되어 있고 光

緖年間 蘇州의 不況도 lsquo穀賤rsquo이 원인이었음을 지목하고 있다125)

그런데 長沙府 중심의 湖南의 사정을 검토해 보면 lsquo穀賤rsquo 관련 기록

이 道光 咸豊 시기와 民國 中期에 집중되고 있다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26)

道光 25年(1845) ldquo穀賤斗穀錢五十文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値穀賤錢価亦賤 民甚苦之rdquo

장사현과 縣治를 長沙城 내에 두고 있는 善化현에서도 같은 해에

비슷한 기록이 있다127)

道光25年 穀賤自十五年起 連年俱穀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中下戶苦之

咸豊5年 穀賤

장사현 기록을 보면 穀価도 싸고 錢価도 싸서 민이 고통 받는다 했

으니 이 당시 은의 해외 유출과 은전비가 문제로 민중이 고통 받은 사

실을 알 수 있다 선화현은 장사현과 연접하고 통합과 분리가 단속되

었던 거의 동일 지역이다 선화현 기록을 보면 도광25년의 lsquo穀賤rsquo이 해

당년도만의 일이 아니고 道光15年(1835)부터 계속된 현상임을 밝히고

있다

12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33 祥異

126)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127) 民國30年刊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0인근의 寧鄕縣에서 보면 ldquo道光26年 歲豊 穀奇賤傷農 佃農以穀賤大

困rdquo이라는 기사가 있다128) lsquo穀奇賤rsquo이라 하였으니 평상시 보지 못한

하락이었다고 생각된다 더구나 소작료 납부가 대부분 현물지대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佃農은 米穀의 상품화 과정에서 배제되었다는 종전의

통념과 달리 佃農도 곡가 하락으로 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같은 기록에 함풍원년에도 ldquo有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以穀賤漕折苛rdquo라 하고 있어

역시 곡가 하락으로 세금 납부에 곤란을 겪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장사부 內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아도 同治 년간에는 lsquo穀賤rsquo 기

재가 보이지 않고 전술한 도광 함풍 년간에 집중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후의 기록을 찾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ldquo湖南自夏秋以來雨暢時若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故無論高低田畝咸稱大稔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甚

賎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反有入不敷出之慨矣rdquo (益聞錄 69号 광서6년828)129)

ldquo(長沙農村) 近年來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穀米求售 価値至賤 日用各物 則又極昻 收穫所

得 不足顧其工本 多已漸陷于無力耕種之境rdquo (新靑年 7권 6호 1920년 5

월)130)

ldquo湖南近年來之天災人禍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天災旣足以減少收量 地方不靖 産品滯銷

価値復因以低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而生活日昻 工価及日用物品 繼續增漲 收入支出 常苦

不得平衡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rdquo (中國棉産改進統計會議專刊 1931)131)ldquo湘省爲産穀素豊之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年歲收 屢佔大有 而長江流域亦値豊收 更

有大宗洋米 運貨傾銷致湘米頓失市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価格低賤 不僅農村經濟 陷于絶

境 市面金融 亦大受打擊rdquo (銀行週報 18권 9기 1934313)

이외에도 1936年의 사실로 호남의 武岡 東安 일대에서 lsquo豊年穀賤rsquo으

로 省城에 운반할 때 운송비와 각종 捐稅 부담을 감당할 수 없어 陳米

를 불태웠다는 기록이 있다

128) 李文治 앞의 책 p557

129) 章有義 앞의 책 권2 p432

130) 章有義 앞의 책 권3 p795

131) 章有義 위의 책 p620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1이것을 보면 주로 1930년대에 lsquo穀賤rsquo과 不況이 집중 묘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lsquo穀賤rsquo 즉 불황이라고 하면 도광함풍초의 곡천과 불

황 同治光緖宣統期의 lsquo穀貴rsquo즉 好況 다시 民國 전기의 好況 民國 中期

의 불황으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물가의 상승기가 호황적 국면이라는 것은 알려

져 있지만 이것은 전체 물가의 문제이다 위 자료에서 보면 1920년 장

사 농촌에서는 곡가는 싼데 일용품 가격은 극히 높다고 하고 있고

1931년의 기록도 工價와 일용품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농민이 다수를 점하기 때문에 미곡가의 하락은 농민 수입 감소

와 구매력 저하를 가져오고 이것이 농촌 불황의 한 요인이 될 수 있

다 그러나 工賃과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시장의 한계 안에서의

일이다 또한 실업률과 고용 지표 등도 고려되어야 하는데 만족할만한

통계의 부족으로 명확한 답을 얻기는 어렵다

그런데 米価와 물가는 개별 년도나 시점에서 서로 상이한 궤적도

있지만 圖2 3 6 7을 보면 대체적으로는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예릉의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광서 4년(1878)에 비하여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1912)에는 현격한 상승세였다가 그 후에 등락을 거듭

하고 있지만 민국25년(1936)의 경우는 광서4년보다는 높거나 유사한

경우가 많다

2 생활 경기의 발달

당시인들이 체감하던 생활 경기의 수준이 어떠했는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

光緖刊 善化縣志를 보면 다음과 같다132)

132)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16 풍속 附論 ldquo古人 酒肉以養老 而今則黃口稚子

無不酒肉之人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日不旦穀貴鹽貴 而酒肉皆貴 則好惡可知矣 一今鄕間柴炭

其価數倍於昔日 瀕河之地 莫不燒煤rdquo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2옛사람들은 술과 고기로 노인을 부양하였는데 지금은 어린아이도 술과

고기를 먹지 않는 이가 없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요사이 미곡과 소금이 비쌀 뿐 아니

라 술과 고기가 모두가 비싸니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지금 향간에 柴炭이 그 값이 예전보다 수배인데 하천 근처 사람은

煤를 때지 않는 사람이 없다

同治 攸縣志 에도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33)

예전에 士大夫도 집에 있을 때 엄동이 아니면 가죽옷을 입지 않았다

지금 關中의 가죽옷 상인이 유현에 와서 1년에 은 만여 냥을 얻을 수 있

다 기타 비단 옷은 蘇州 杭州 및 嶺南에서 오는 것이 또 배가 되니 1년

에 수만금을 소비한다

醴陵縣에서도 비슷한 인식을 볼 수 있다134)

ldquo예전 풍속이 儉樸하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이 명절 아니면 고기를 먹지 않고

慶弔事가 아니면 술을 베풀지 않고 손님 접대는 닭 잡는데 그치고 鮮味

는 생선에 그쳤고 縣城의 食肆는 飽麵茶館에 그치고 酒席으로 業을 삼는

자가 없었다

지금은 酒樓菜館이 거리에 가득차고 中人의 집에도 술자리가 베풀어지

고 사치를 다툰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예전에 士類大半이 淥江書院에 모이면 그 가운데 비단신을 신은 자가

불과 수인이었고 羊가죽 옷을 입은 자가 불과 1 2人이었다 지금은 비단

신과 가죽옷이 거의 常服이 되었고 日用品은 舶來品이 많다rdquo

이 내용을 보면 예릉현의 생활 수준이 급격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예릉현지 기록에는 부인들이 上海의 유행을 쫓아 사치를 추구한

다는 내용도 있고 청말부터 外貨를 서로 자랑한다는 내용도 있다 종

133) 同治10年刊 攸縣志 권18 풍속 衣服 ldquo衣服 昔時 士大夫 家居非嚴冬不御裘

今關中裘商來攸 歲可得銀萬餘兩 其他錦繡之運自蘇杭及嶺南者 則又倍之 計一歲

之戶 所費數萬金rdquo

134)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4장 풍속 생활 ldquo旧俗民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非令節不

食肉 非慶弔不置酒 欵客止於殺鷄 鮮味止於草魚 縣城食肆 止於飽麵茶館 無以酒

席爲業者 今則酒樓菜館 遍於街市 中人之家酬酢往還 爭奢鬪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旧時士類

大半 集於淥江書院 一院之中 著緞鞋者 不過数人 襲羊裘者 不過 一二人 今則絲

履皮袍殆成常服 日用之品 多自舶來rdquo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3전에 菜油 棉油로 燈을 켜다 집집마다 煤油를 사용한다거나 세탁시

茶枯鹼水를 쓰다가 대부분 비누를 사용하는 일상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135)

또 寧鄕縣에서도 ldquo同光之間 地方安寧 家給人足(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함)縣城商業 於時爲盛rdquo이라 하고 있어 同治(1862-74) 光

緖(1875-1908) 시기가 好況이었음을 알 수 있다136) 湘報에도 ldquo民間

之喜用洋貨日甚一日rdquo이라 하고 있어 洋貨 사용의 확대를 짐작할 수 있

다137)

광서년간 무역이 확대되고 여기에 대해 유익하다는 인식의 기록이

湘報에 나오고 있다138)

ldquo輪船과 철로가 개통되고 항구 개항이 증가 되는 것은 실로 중국에 유

익하고 손해가 없다 저 눈이 콩만큼 큰 자가 걸핏하면 통상이 중국에 해

가 된다고 하니 어찌 심히 어리석지 않은가rdquo

무역 확대를 지적하고 통상이 유익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예릉현

지에도 同治志에는 풍속이 lsquo安士重遷rsquo하고 상인이 외부 활동하는 자가

적었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고 光緖末에 도자기 夏布 編爆業

이 일어나 융성하여 이에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 넘는다고

하고 있다139) 예릉향토지에도 商旅 왕래가 예전보다 10배라는 서술이

있다140)

장사시의 行業발달 상황을 보면 민국 5년(1916)에서 民國22年(1935)

사이에 식품업은 281⟶2124 사치품은 171⟶1128 복장은 43⟶2028 農

礦은 621⟶1156 洋貨 127⟶233 금융 130⟶164 공예 2121⟶3344 문구

17⟶355 등 비약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141)

135)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 工商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6장 실업

136) 民國30年刊 寧鄕縣志 財用錄 民業

137) 湘報 제13호 1898年 3月 21日

138) 湘報 제162号 1898年 9月 23日

13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40) 民國15年刊 醴陵鄕土志 제6장 실업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4이것은 장사의 생활수준 향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당시에

通商의 확대 주장도 湘報에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142)

이상에서 보면 청말민국기에 대체적인 추세는 好況이었다고 생각된

다 생활 수준의 향상이 눈에 띄고 米価와 물가도 연동되면서 상승하

는 추세였다 米価의 상승이 구매력 수준의 제고가 되기 때문에 米穀

생산 중심지역에 상인들의 行號가 집중되는 것이 보였다143) 임금의

경우에도 호남 汝城縣에서 실질 임금이 유지 또는 상승하는 것을 확인

한 바 있다144) 全漢昇도 1875년부터 1925년까지에 걸쳐 四川 合江현

의 임금과 물가 변동의 추세가 거의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바 있

다145) 앞서 인용한 1931년 中國棉産改進計劃 에도 임금과 일용품 가

격이 함께 오른다고 하고 있어 임금이 물가에 연동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생활 수준 향상을 기록하고 있던 지방지에도 빈부 격차를 암시하는

내용이 있고 物力이 날로 쇠퇴한다든지 하는 기록이 있다 대외 무역

이 적자라 하더라도 차관 원조 뿐 아니라 외국 상인의 진출이 자본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好況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Ⅴ 結 言

이제까지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이후 民國中期인 1936年

까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여 米価와 물가 변동 물가 변동의 원인

141) 張朋園 앞의 책 p387

142) 湘報 44호 中外通商利害論 湘報 67号 論湖南茶務急宜整頓

143)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144)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9 1998)

145) 安本美緖 앞의 책 p2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5물가와 생활 경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米価 변동은 단기 변동에 있어서 전쟁이나 天災 등의 특수한 사정

의 해를 제외하고는 光緖 년간에 비해 민국 중기의 계절 변동폭이 축

소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米価의 계절 변동을 완화 시

켜 주는 雜糧의 재배가 湖南 지역에서는 대부분 同治 년간에 보급 확

대가 되고 있다 교통과 상업 발달 등의 이유로 청말에서 민국기로 갈

수록 계절 변동폭을 축소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변동에서는 長沙府縣의 물가 변동 예릉현 물가 변동 등을 살

펴 볼 때 전체로서는 상승 추세 중에 도광 함풍 시기의 低米価 同治

년간의 高米価 光緖전반의 低米価 光緖後半에서 宣統 년간의 高米価

民國 前期의 高米価 民國 中期의 低米価의 등락을 보이고 있다

民國 中期의 米価는 長沙 8개년 米価 추세에서도 안정속의 상승세

를 보이고 있다 명목상 수치 뿐 아니라 米価의 상대 물가로 보는 실

질 구매력도 宣統 民國元年에까지 급상승하였다가 민국 시기 등락을

거듭하지만 민국25년(1936)까지 광서4년(1878) 대비 유지 또는 상승 추

세였다

物価변동은 개별 상품에 따라 편차가 있고 米価와는 전혀 상이한

궤적을 그리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米価와 연동 관계를 보이

고 있다 1898년 물가의 단기 변동은 이상할 만큼 변동폭이 크지 않다

당시 물가 조사자의 보고가 정확했는지 의심될 정도이다 1935년의 장

사 물가에서 단기 변동을 보면 변동폭이 100이상인 夏布 毛筆 麵粉

棉布등을 비롯하여 50 이상인 오리털 흑연 성냥 국산 전지 등을

비롯하여 40 이상인 비누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기 변동폭

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 이것은 이런 물품들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

성이 크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物価의 장기 변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米価와 대체로 비슷한 궤적

을 보이고 있다 청말에서 민국전기에 걸쳐 물가 상승폭이 두드러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 상승폭이 더욱 크

다 돼지고기 값을 예로 들면 1878년에서 1909년 사이에 273 상승했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6고 1912-1921년 사이에 75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닭은 각 50와 44

상승했다 청말은 31년간의 수치이고 민국 전기는 9년간이니 물가의

상대적 급등을 알 수 있다 1926에서 1936년까지 10년간 돼지 고기 값

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

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

세를 보이고 있다 민국 중기의 米価가 일부 lsquo穀賤rsquo 현상을 보인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음으로 물가 변동의 원인에 대해서는 군벌간의 전쟁이나 정치적

혼란 등 정치 군사적 요인을 제외하고 대체로 검토해 보았다

수요 측면에서는 湖南米의 유통이 호남 내부의 인구 증가에도 불구

하고 양자강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지속된 것이 米価 상승의 한 원

인이었다 上海나 武漢 등의 도시화와 인구집중은 이들 지역 양식 수

요를 폭증시켰다 일부 洋米 수입에도 불구하고 湖南米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으로써 米価를 상승시켰다 또 장사를 비롯한 각지의 새로운 수

공업 산업의 발달로 비농업 인구가 증가하고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유

효수요로 성장하여 米価 상승을 유도하였다 양식의 이출은 해당 지역

인구 식량을 전부 제외한 나머지 잉여가 수출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력

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청말민국기에는 호남의 내부 외부에

서 미곡에 대한 유효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것이 米価 상승의 한 요인

이었다

화폐 문제에 있어 화폐 수량의 증가가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것

은 상식이다 종래 아편전쟁 전후 은의 해외 유출 증가가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을 초래하여 물가 상승과 인민의 빈곤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지방지 등의 史料에서 검토한 결과 은전비가는 도광함풍초의

일시적 상승 후에 함풍 7년 이후는 도리어 하락하고 있다 同治 년간

에 대부분 1兩 1300文 수준에서 안정되고 있다 光緖末宣統년간에도

1600-1700文 수준으로 도광함풍 초보다는 낮은 편이다 청말민국시

기에 화폐의 남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한계를 넘었을 때 시장의 통용

거부로 마침내 중단되고 있다 청말민국기에 외국 銀元의 유입과 국내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7의 銀元 주조 銅元 지폐 외에 鈔票 市票 등 화폐 시장에 투입된 화

폐량은 엄청나게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로서는 어느 정

도 시장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외 교역과 상품량의

증대 경제 활동 인구의 증대 미곡 생산 및 농산품 생산의 증대로 화

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것이 화폐량의 막대한 증가와 유

통속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

었다고 생각된다 즉 안정 속의 물가 상승이 유도된 것이다

공급면에서 보면 대외 교역을 통한 서양 상품의 수입은 전체로서는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물건의 공급 증가를 통해서

혹은 국내 상품과의 경쟁 때문에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었

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침략과 물가 폭등이라는 도식적

견해와 달리 현실에서는 물가 억제 작용도 있었던 것이다

물가와 경기면에서 보면 물가가 비쌀 때 호경기가 많은 것은 사실

이다 그런데 lsquo穀賤rsquo 현상이 불황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서 長沙 지역의 경우를 검토해 보았다 도광함풍 년간까지 lsquo穀賤rsquo현상

과 불경기적 상황에 대한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동치광서 년간에는

米価가 등귀한 시점인데 이 시기는 紅茶業의 번성이나 각종 수공업의

번성으로 好況의 면모가 보이고 있다 민국 시기에는 민국 중기에 lsquo穀

賤rsquo의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史料上에 민국 중기의 lsquo穀賤rsquo은 임금이나

다른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다 물가 상승기와 好況

이 맞물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민국 중기는 lsquo穀賤rsquo 현상과 서로 어긋

나는 것이다 이 시기의 不況 서술은 농촌의 농민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표시이다

생활 수준에 대한 지방지 기록 등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주민들의

洋貨 사용이 보편화되고 의복 음식 주거 등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것

을 지적하고 있다 물가는 상승하였지만 同治 이전에 비하여 분명히

사치품의 소비 증대와 中人의 집도 소비 수준이 제고된 것이 드러나고

있다 민중의 빈곤은 있으나 이 시기 빈부 격차가 커지고 생활 수준의

격차가 커진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10: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98매입가에 보관비용 손실비용 금융비용 등 부대비용을 제외한 것이 이

윤 범위이다 상인의 買占 행위는 넓게 보아서는 미곡의 수급관계 조

절 작용이라고 볼 수도 있다 따라서 정치 군사적 이유나 특별한 天災

상황이 아니라면 米価의 계절 변동폭은 18세기보다 근현대에 축소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여겨진다

2) 장기 추세

淸代 米價는 장기 추세에서 상승세인데 그 가운데 17세기 후반 19

세기 24분기 19세기 780년대 3회의 低落期가 있다는 조사가 있

다35) 19세기 전반 특히 24분기에는 일반적으로 극심한 디플레이션

시기여서 급격한 하강 국면이고 太平天國 시기는 급격한 요동이 뒤따

른다 1875에서 1911년까지는 가장 인플레이션이 심한 단계로 그 중

1875-85년 사이는 안정속의 상승이고 그 후 혁명전야까지 지속 상승

추세라는 파악도 있다36)

18세기 乾隆년간(1736-1795)에도 蘇州의 米価가 60년간 세 배 상승

했다는 조사도 있는데37) 비슷한 기간 長沙府 湘陰縣도 300 상승한

것으로 되어있다38) 18세기 전후 약 100년간 가격 수준이 300 상승

했다는 당시인의 인식도 있다39)

同治 이후에 제국주의 침략이 날로 강화되고 淸代 경제가 쇠퇴하였

으며 물가 상승폭이 날로 커졌다는 인식40)이 있지만 18세기 물가 상승

을 고려하면 제국주의 침략과 상관없이 물가 상승이 지속되었던 것을

알 수 있다

35) 岸本美緖 앞의 책 p17

36) Yeh-chien Wang Secular Trends of Rice in the Yanzi Delta 1638-1935(California Univ Press 1992)

37) 위의 논문

38) E S Rawski Agricultural Change and the Peasant Economy of SouthChina (Harvard Univ Press 1972)

39) 郭成康 18世紀中國物價問題和政府對策 (淸史硏究 96-1)40) 譚文熙 앞의 책 p25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99민국시기에는 1920년대까지 米価가 지속 상승하고 인플레이션이 심

해 매년 33 비율로 상승했다는 조사가 있다41) 민국 전기는 비교적

안정 속의 상승세이고 민국 중기는 역시 기본상 상승이지만 1932-35

년 사이는 하강하고 있다는 견해도 있다42)

湖南 내부 각 지역의 米価도 상호간에 긴말한 연동 관계를 보이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고43) 上海와 長沙 사이에도 고도 상관있는 것이

파악된 바 있다 그러나 공간을 달리 하면 도량형이나 화폐 종류 등의

차이로 정확한 변화를 파악하기 어렵다 되도록 좁은 범위의 지역을

연구 대상으로 할 때 상대적인 정밀도가 높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래

서 本考에서 長沙縣을 중심으로 같은 長沙府 내의 몇 개 縣을 관찰하

여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 이후 民國中期인 1936년까지를 주

대상으로 物価 변동을 살펴보려 한다

兩湖農業地理에서는 湖南 湖北의 米価를 세부 지역 구분 없이 종

합하고 있는데 例示 가격의 시기 역시 일정하지 않다 따라서 정밀성

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lt표2gt와 lt표3gt은 長沙府 醴陵縣志에기재된 것으로 해당 지역 상인의 장부와 縣商會 조직에 의한 기록을

토대로 한 것이다44) 당시인의 물가 변동에 대한 인식이라 비교적 정

확하다고 생각된다 같은 長沙府 寧鄕縣에서도 光緖7年 穀価가 1石당

600文이라는 기록이 있는데 lt표2gt의 예릉현 광서4년(1878) 기록과 근

접하고 있다45) 長沙를 중심 시장으로 하여 같은 府內의 시장 통합성

이 큰 것은 이미 확인한 바 있다46)

41) Yeh-chien Wang 앞의 논문

42) 譚文熙 앞의 책 p302 p356

43)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物価

44)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45)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46) 張麗芬 앞의 책 p197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0

시기 단위 가격(文) 米価

광서4년(1878) 石 680 1360

광서14년(1888) 780 1560

광서19년(1893) 680 1360

선통원년(1909) 2000 4000

민국원년(1912) 2800 5600

민국5년(1916) 2800 5600

민국10년(1921) 3800 7600

lt表2gt 醴陵縣 穀価(a)(私家數簿에 의함)

lt圖2gt 醴陵縣 穀價(a) 石文

-附記 前淸通行制錢文으로써 단위 민국초년에는 비록 銅元을 사용하나 관습상 1銅

元은 10文에 해당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1

시기 단위 가격(元) 米価

민국15년(1926) 石 160 32

민국20년(1931) 240 48

민국25년(1936) 250 50

민국27년(1938) 280 56

민국28년(1939) 500 100

민국29년(1940) 800 160

민국30년(1941) 3000

-lt表2gt lt表3gt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物価

lt表3gt醴陵縣 穀価(b)(縣商會 조사)

lt圖3gt 醴陵縣 穀價 石元

lt표2gt와 lt圖2gt를 보면 長沙府의 米価는 光緖4년(1878)부터 광서19

년까지 비교적 낮은 채로 있다가 그 이후 급등하여 청말에서 민국 전

기 까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lt표3gt과 lt圖3gt을 보면 민국 15년

(1926)에서 민국 27년(1938)까지 비교적 안정속의 상승세를 보이다가

그 후에 급등하고 있다 本考에서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는 것은 민국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2

時期 銀価(兩石) 錢価(文石) 出典

道光 16年(1836) 10 1400 民國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Prime 25年(1845) 05 1000同治長沙縣志 권33

祥異 光緖善化縣志 咸豊元年(1851) 08 1600 民國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함풍 3年(1853) 05 1000 同治湘鄕縣志 권5 祥異함풍 6年(1856) 07-08 1400-1600 同治安化縣志 권34 五行

同治元年(1862) 308 4000 同治瀏陽縣志 권14 祥異

同治 9年(1870) 296-370 4000-5000 Prime

光緖 7년(1881) 08-266 1200(4000) 民國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光緖年間 125-188 2000-3000 長沙日報 宣統2年2月

선통32年(1906) 25 4000 Prime

선통 2年(1910) 412 7000 Prime

長沙日報는 兩湖農業地理 p274에서 再引用

lt表4gt 長沙府 縣志等 米価 기록

중기인 1936년까지이다 항일 전쟁 발발과 國共 대립 등으로 극도의

혼란기인 민국후기는 특히 경제면에서 역사적 실체를 파악하기가 매우

어렵다

lt표4gt는 주로 長沙府 내의 縣志를 이용하여 米価를 정리한 것이다

흉년시의 특별한 가격이 아니라 평상년 가격 위주로 작성한 것이다

풍년시의 가격도 있으나 수년간 풍년이 지속되었다면 常年 가격에 준

한다고 생각된다 함풍3년(1853)의 米価는 兩湖南農業地理에 인용된

曾國藩 上奏시의 米価와 동일하다 같은 자료를 더 이용하면 함풍7년

(1857)에는 駱文忠公遺集 1石당 3200-3500文의 기사가 있다 역시

曾國藩의 上奏文에 同治2年은 1石당 30兩인데 당시의 銀錢比価로 환

산하면 3900文이므로 lt표4gt上 동치 元年 4000文과 거의 유사하다 同

治7년(1868)은 李瀚章의 上奏文에 4000文 전후로 되어있어 표의 내용

과 거의 일치한다 이것들을 짜 맞추어 보면 위 지방지 기록이 상당한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3

lt圖4gt 長沙의 米価 변동

bull광서4년 14년 19년은 예릉현지 물가표 기재 이용

bull광서7년은 민국 영향현지 기록 가을 이전의 평상 가격 이용

bull광서32년은 水災시의 가격

예릉현 물가표상의 광서 기록을 보충하여 수정한 결과

신뢰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표4)의 내용에 長沙府 醴陵縣志의 물가

표상 광서4년 14년 19년을 포함하여 구성해 본 것이 lt圖4gt이다

이것을 종합하여 보면 도광 16년(1836) 이후 함풍6년(1856)까지는

비교적 저렴한 米価가 유지되다가 함풍7년(1857)이후 米価가 급등한

것으로 생각 된다 동치 년간은 동치원년(1862) 4000文에서 동치2년

3900文 동치7년 4000文전후 동치9년 4000-5000文으로 계속 高米価가

유지된 시기였다 그런데 銀錢比値는 동치2년 1300文 동치 7년

1300-1400文으로 도광말 함풍초보다 오히려 안정되어 있다 淸末 이

지역의 지방지를 검토하면 거의 모두 嘉慶 이전은 米価를 銀兩으로 표

시하다가 道光 이후는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도광 이후 淸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4末은 米価도 錢文価가 실제 시장 가치를 잘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

다 동치 년간 상당히 高米価가 유지되었지만 道光末咸豊初와 같은 lsquo銀

貴錢賤rsquo 현상은 보이지 않기 때문에 米価 상승이 농민에게 어느 정도

유리했다 여겨진다 lt圖4gt를 보면 光緖 전반에는 米価가 상대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光緖19年(1893)까지는 하락 안정세를 보이다가 그 후에

급등하고 있다 호남성 수확기의 中米 가격 조사에서도 비슷한 경향이

보인다47) 中米 가격도 광서22년(1896)부터 대체로 상승추세인데 광서

34년(1908)에 급등하고 있다 앞서 彭信威가 연구한 江浙 米価 변동에

19세기 24분기와 19세기 780년대가 米価低落期에 해당된다고 하는

데48) 이것과 유사한 면을 가지면서 약간의 편차가 있다 즉 동치 년간

(1862-74) 70년대 전반까지는 대체로 高米価가 유지되었고 光緖 전반

의 하락은 90년대 전반까지인 것으로 생각되는 것이다 淸末 上海의

米価 조사도 1862-71(213) 1872-81(128) 1882-91(142) 1892-1901

(207)로 되어 있어 위 호남 長沙의 米価 변동과 비슷한 궤적을 그리고

있다49)

lt표1gt에 제시된 광서 24년(1898)의 長沙 米価도 3000文-4000文 사

이에 형성되어 상당한 高米価이다 같은 湘報에 실린 내용에 岳州에

집결된 湖南米가 漢口에 운송 판매되는데 米価는 3700-800文 또는 4천

수백文에 이른다고 되어 있다50) 대략 光緖20年(1894) 이후부터 淸末까

지 高米価가 지속되었다고 생각된다 松江府續志의 기록을 이용하여

光緖年間 低米価와 그로 인한 장기 不況이라는 해석은 長沙府 일대에

서는 드러나지 않는다51) 低米価는 光緖年間 전체는 아니고 光緖

(1875-1908) 년간의 거의 전반에 해당하는 1893년 이전의 일로 생각된

다 후반에서 淸末까지는 急騰에 가까운 高米価의 변동을 보여주고 있

47) 岸本美緖 앞의 책 p19

48) 同上 p443

49) 湘報 76號 p67650) 李文治 中国近代農業史資料 제1집 p561 岸本美緖의 해석 앞의 책

pp442-443

51) 張人价 앞의 책 pp93-9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5

機米 河米 糯米 총 평균

가격 지수 가격 지수 가격 지수 가격 지수

1928 652 7564 503 7065 805 9015 653 7944

1929 862 10000 712 10000 893 10000 822 10000

1930 1003 11636 862 12107 1037 11613 967 11764

1931 1002 11624 845 11868 1020 11422 956 11630

1932 1008 11694 817 11475 947 10605 924 11241

1933 594 6868 504 7079 757 8477 618 7525

1934 671 7784 590 8287 812 9093 691 8406

1935 1004 11647 810 11376 1012 11333 942 11460

lt表5gt 長沙의 米価(石元)

예릉현 물가표를 보면 民國 시기에도 대체로 안정속의 상승세가 지

속된다 청말에서 1921년까지 米価가 급등한 것으로 보이지만 1926년

에서 1936년까지는 안정 속 상승의 추세이다 兩圖 사이에는 가격 단

위의 차이가 있어 직접 접속은 곤란하지만 흐름은 그렇다고 여겨진다

호남성경제조사소 의 조사에 근거한 민국17년(1928)부터 민국24년

(1935)까지의 8년간 米価 기록을 제시한 것이 lt표5gt이다52)

이것을 보면 등락은 있지만 비교적 米価가 안정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上海의 米価도 1912-1928년 사이 407 상승하였는데 1921-1928년

사이에는 154 상승하였다53) 호남성의 米価는 宣統2年-民國元年 3개

년 평균가와 민국 21-23년 3개년 평균가를 비교했을 때 86 상승이라

는 조사도 있다54) 대체로 淸末에서 民國 전기까지는 가격이 급등하고

민국 중기에는 안정 속의 상승이 추세였다고 생각된다

호남성 汝城縣의 물가변동을 보면 우선 지방지 편찬자의 시기 구분

52) 徐正元 上海近代稻米市場価格變動分析 (中國經濟史硏究 1996年 2期)

53) 張人价 앞의 책 p87

54)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 91998)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6

1898年 1935年

소금 56文斤 57斤

洋油 50文斤 64斤

돼지고기 105文斤 30斤 015-020元斤 25-33斤

鷄育 123文斤 26斤

羊肉 117文斤 27斤

茶油 100文斤 32斤 019-024斤 21-26斤 瀏陽가격

면화(中棉) 217文斤 15斤 03-05斤 10-17斤 湘陰 Prime

1898年 中米1石価 (湘報소재 1石 3193文 적용)

1935年 長沙米価 民國25年 刊 通郵地方物産誌 湖南의 長沙靖港米価(担40-60元

의 중간 값 이용) 1石은 1担보다 크므로 실제 米価는 이보다 높을 것임

이 의미있다고 생각된다 同治丁卯志 편찬 이후부터라고 명시하고 있

는데 丁卯年은 同治6년(1867)이다 이후부터 민국21년(1932)까지를 세

시기로 구분한다55) 同光 시기 光宣 시기 民國 시기이다 즉 동치 후

반에서 광서 전반 광서 후반에서 선통 년간이니 광서 후반부터 물가

상승이 컸던 것을 반영한다고 여겨진다 여성현 물가표상 米価 변동을

단순 비교하면 지수는 100 200 400으로 변한다 1930년대 전반의 米

価는 동치 후기에 비하여 약 65년만에 300 상승한 것이다 이것을

신뢰하더라도 앞서 18세기 전후 백년간 물가가 300 상승하였다는 당

시인의 인식과 상승률은 거의 비슷하다56) 장사부 상음현에서도 18세

기 중후반 67년간 米価가 300 상승한 바 있다 예릉현 물가 표상

1878년에서 1921년까지는 米価는 약 458 상승하였지만 1926년에서

1936년까지 10년간은 약 563 상승에 그쳤다 민국 중기는 비교적 안

정속의 상승을 보여 주고 있다 lt표5gt에 제시된 長沙 機米의 8년간

가격도 54 정도 상승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미가의 명목 수치상 등

락을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질 가치를 알아보려면 상대 물가 즉

米1石価의 구매력이 얼마인지를 보아야 한다

lt表6gt 長沙 中米 1石価의 구매력 변동

55) 郭成康 앞의 논문

56) 張麗芬 앞의 책 p270 각주7)에 보면 호남성 1担価는 140-150斤 1898年 長

沙 米価는 1石당 150-155斤임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7

1935년의 長沙 米価는 通郵地方物産誌의 長沙 靖港의 米 1担価를

이용하였다 실제 石은 担보다 크므로 米価는 여기서 잡은 5元을 상회

할 것이라 생각된다57) 같은 자료의 물가를 이용하여 제시한 lt표6gt을

보면 돼지고기 값은 1898년의 30斤에서 1935년은 25-35斤 사이이다

그 범위 안에 있는 것을 보면 米価의 실질 구매력은 유지되고 있다

茶油는 다소 하락하였지만 면화도 유지 또는 상승이라 볼 수 있다

예릉현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돼지고기는 상승 추세 속에 일

부 하락년이 있다 선통 원년과 민국 원년에 수치가 상승한 것은 米価

의 폭등이 기타 물가를 크게 앞지른 것으로 여겨진다 민국 중기에 약

간 하락하였지만 1935년의 돼지고기 구매력은 광서4년(1878)에 비해

67정도 상승하고 있다 茶油의 경우도 민국 10년(1921)까지 米의 상

대 구매력이 대폭 상승하고 있다 이것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米価 변

동을 통해 농민 소득이 하강했다고 여겨지지 않는다

광서4년1878

광서14년1888

광서19년1893

선통원년1909

민국원년1912

민국5년1916

민국10년1921

민국15년1926

민국20년1931

민국25년1936

猪肉 15斤 25斤 22斤 36斤 35斤 23斤 27斤 16斤 28斤 25斤

草魚 34斤 39斤 38斤 57斤 62斤 35斤 - 20斤 32斤 33斤

茶油 12斤 23斤 25斤 27斤 - - 25斤 - ① -

鹽 23斤 26斤 22斤 33斤 62斤 - 42斤

棉花 7斤 16斤 5斤 - - - - - ②

洋紗 - - - - - - - ③

煤油 - - - - - - - 15병 2병 11병

雞 17斤 22斤 20斤 33斤 22斤 19斤 21斤 - - -

史料上 穀価를 lsquo1米2穀rsquo의 원칙에 따라 米価로 환산하였음① 민국 15년(1926)부터는 茶油의 단위가 石으로 되어 있어 비교 곤란② Prime 棉花의 단위가 石으로 되어 있어 비교 곤란③ Prime 羊紗의 단위가 件으로 되어 있어 이해 곤란

lt表7gt 醴陵縣 米価의 물품구매력 변동추세(米1石의 구매력)

57) 刘泱泱 湖南通史 近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p487-488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8

품목

시기

단위

同光

(1870-1890)

光宣

(1890-1911)

民國

(1912-1932)

肉 斤 188 188 175

鹽 斤 60 75 636

洋紗 捆 100 100同光시기洋紗통행안함

土布 尺 100 120 140

洋油 甁 20 10同光시기

洋油 未 盛行

茶油 斤 188 188 175

桐油 斤 214 200 194

柴 750 875

同治丁卯志(1867)편찬 이후라 되어 있어 대략 70년부터 잡은 것이다

lt表8gt 湖南 汝城縣의 穀1石価의 구매력 변동

호남 汝城縣의 穀1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고기는 光宣 시기에

유지되다가 민국 시기에 약간 하락하였으나 근소한 수치이다 鹽의 구

매력은 光宣 시기에 대폭 올랐다가 民國 시기에 하락하였으나 同光 시

기 보다는 높은 수치이다 洋紗에 대한 구매력은 光宣 시기에서 民國

시기에도 계속 유지되고 있다 茶油는 고기와 같은 변화이다 土布에

대해서는 구매력이 계속 증가한다 洋油에 대해서는 民國 시기에 구매

력 감소를 보이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호남의 대외무역은 외국의 공

업품과 농부산품 원료를 교환하는 것인데 고가의 공업품 대신 강제

저가의 수단으로 호남의 농산품을 약탈한다는 견해58)는 약간의 재검

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공업 상품 가격의 翦刀差에 대해서도 洋紗

의 경우를 보면 나타나지 않고 있다59)

이상을 종합하면 同治年間의 高米価 光緖前半(1875-1891)까지의 상

대적 低米価 光緖後半-宣統까지의 高米価 급등 民國前期의 계속 상승

58) 李金錚 二十年來 中國 近代 鄕村 經濟史的 新探索 (歷史硏究 2003年 4

期)

59) 譚文熙 앞의 책 pp298-299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9

品目 洋麵 淮鹽 茶油 桐油 洋油 猪肉 雞 鴨 烟煤 柴煤

단위시기

包 斤 100斤 100斤箱2桶(50斤)

斤 斤 斤 100斤 衡斗

31-310 26兩 56文 73兩 19兩 104文 112文 88文 320文 24文

311-320 26兩 Prime 73 19 104文 128文 88文 320文 24文

321-331 26兩 Prime 73 625兩 189 108文 128文 88文 320文 252

41-410 26兩 Prime 728 628 186 320文 240

411-420 27兩 Prime 728 626 183 254 228

421-430 29兩 Prime 72 616 181 314 260

51-510 293兩 Prime 711 606 178 310 240

511-520 274 Prime 71 60 183 314 240

521-531 26 Prime 71 60 185 314 229

61-610 26 Prime 699 60 185 299 219

611-620 231 Prime 734 61 184 320 255

621-630 22 Prime 754 62 183 311 254

71-710 22 Prime 774 649 183 310 250

711-719 218 Prime 768 631 181 318 265

면화는 上棉 中棉 下棉의 가격이 제시되고 있으나 여기서 생략함

lt表9gt 1898年 3-7月間 長沙物価

民國中期(1926-1936)까지 안정이라는 米価 변동의 궤적을 확인할 수

있고 그 기간 동안 米価의 실질 구매력은 유지 또는 상승이 대체적 추

세였다 생각된다

2 物價 변동

1) 단기 변동

湘報에 수록된 光緖24년(1898)의 長沙 물가 변동을 표시한 것이

lt表9gt와 lt圖5gt이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0

品目 단위 최고가 최저가 시기 유통량 행선지

鴨絨 斤 500 300 冬 上海 北平 天津 南京

일반적으로 米価와 物価는 상호 연동적이라 생각되지만 여기서 물

가의 단기 변동은 米価와는 다소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대체로

등락 폭이 크지 않다 洋油 洋麵 桐油 등의 변동폭이 크지 않다 면화

만 4월 10일 20일 사이에 상승이 있지만 5월부터는 하락하고 있다

淮鹽 가격은 斤당 56文으로 3月에서 7월 사이에 전혀 변동이 없다

長沙지역은 원래 淮鹽 관할 구역이었으나 太平天國 시기에 교통 두절

로 川鹽 소비지역이 되었다 太平天國후 曾國藩이 이 지역을 淮鹽 소

비지역으로 회복하기 위해 여러 가지 개혁 조치를 행하고 督銷局에서

가격을 核定하여 고시하는 牌價 제도를 시행한 바 있다 일종의 통제

가격제도에 의해 가격 상승이 억제되고 있었던 것이다 直隷의 景縣의

소금 값은 1890년에 斤당 46文 1900년에 斤당 68文이라는 조사도 있

다60) 長寧縣에서는 光緖29年(1903)에 鹽価가 斤당 55文이라는 보고도

있는데 이것은 長沙 1898年의 鹽価와 유사하다61)

戰亂後에 淸朝정부의 淮鹽 소비지 회복 정책에도 불구하고 四川鹽

이 계속 私鹽으로 침투하였기 때문에 長沙의 淮鹽価를 저렴한 통제 가

격下에 두고 있었다고 생각 된다62) 圖6)에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柴煤

는 米価와 같이 5月10日에 최고가에 가깝고 6월10일에 하락하고 그후

에 상승하고 있다 烟煤의 경우에도 비슷한 궤적을 그리고 있다 이것

은 米価와의 연동관계가 비교적 분명하다

1935년의 長沙 物価의 단기 변동 폭을 알 수 있는 것이 lt표10gt이

lt表10gt 長沙物価 通郵地方物産志

60) 李文治 앞의 책 p562

61) 譚文熙 앞의 책 p267-268

62) 佐伯富 中國史硏究 第1卷 (京都 同朋舍 1978) pp340-36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1

黑鉛 石 2200 1300 全年 50000石 漢口上海

棉紗 件 22000 1800 Prime 24000件 本省

棉布 疋 120 150() Prime 1000000 漢口

麵粉 袋 50 250 Prime 140000 Prime

線襪 雙 106 Prime 6000000 本省

毛呢鞋 Prime 200 180 Prime 400000 Prime

夏布 疋 1000 200 夏 20000 上海漢口

火柴 箱 500 300 全年 10000 本省

刺繡 Prime國內및外洋

매년 産量 약50만元

玻璃器 件 300 200 Prime 9000 本省

肥皀 箱 70 50 Prime 30000 Prime

絲綿三角 兩 040 020 Prime 40000 Prime

國貨電池 打 060 040 Prime 200000 Prime

猪 斤 020 015 Prime 50000只 漢口上海

豬毛 担 6000 5000 Prime 4000kg Prime

粗窑器 卡 350 250 Prime 100000套 長江연안

毛筆 支 050 020 Prime 本省 및 황하 각성

여기서 보면 변동폭이 100 이상인 것은 면포 夏布 絲線三角 毛

筆 麵粉 등이다 또 50 이상인 것은 鴨絨(가공오리털) 667 흑연

692 火柴(성냥) 667 玻璃器(유리그릇) 50 국산 電池 50 등이

다 비누는 40 粗窰器는 40이다 棉沙 222 毛呢鞋는 111 돼

지 333이다 단기 변동 폭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고 생각된다 이

것은 이런 물품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성이 크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그런데 1898年의 경우는 茶油 洋油 등 물품의 가격 변동폭이 적은 것

은 무엇 때문일까 어쩌면 당시의 시장 가격 조사가 부정확했는지도

알 수 없다

1935年의 물가에서 綿沙의 변동폭이 적은 것은 당시 항상적인 수요

가 있었기 때문이 아닐까 비누의 변동폭도 40로 비교적 적은데 생

필품으로 수요가 지속 증대된 까닭이 아닐까 한다 通郵地方物産誌에 기재된 醴陵縣 夏布 가격은 40元-100元 사이인데 民國醴陵縣志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2

圖5) 1898年 3月-7月 長沙物價

의 物価表上에는 70元(1938)이라 되어 있다 物産誌 가격은 1935年

의 것인데 예릉현지의 가격이 그 범위 안에 있어 서로 다른 자료간에

부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63) 物産誌 上 相潭株洲의 茶油 값

매 石 160-240元(1935)은 예릉현지 물가표의 민국 20년(1931) 茶油 매

石 240元과 일치하고 있다 표12)에 1936年 煤油 값은 병당 44元이다

그런데 民國 安鄕縣志에서도 1934년 煤油 값은 병당 38元으로 되어

있어 兩者 사이에 유사성을 보여주고 있다64) 그러므로 醴陵縣志 物価의 종적 비교도 신뢰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洋麵은 包당 가격

茶油桐油洋油는 100斤당 가격

棉花 100斤당 가격

2) 장기 변동

長沙의 물가 변동을 보려면 湘報 수록의 광서 24年(1898) 물가와

63) 交通部郵政總局 編 中國通郵地方物産誌 (華世出版 1988)

64) 民國 安鄕縣志 卷11 食貨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3

품명 단위광서4년

(1878)

광서14년

(1888)

광서19년

(1893)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

(1912)

민국5년

(1916)

민국10년

(1921)

豬肉 斤 88文 63 62 112 160 240 280

雞 斤 80 72 68 120 250 300 360

lt表12gt 醴陵縣 物価表 (b) (商会조사)

품명 단위민국15년(1926)

민국20년(1931)

민국25년(1936)

민국27년(1938)

민국28년(1939)

민국29년(1940)

민국30년(1941)

猪肉 百斤 200원 170 200 360 400 561 1300

草魚 Prime 160 150 150

茶油 石 240 290 560 760 2000

鹽 石 120 140 150 160 2000

洋紗 件 2200 2200 2400 2000 2500 1500

土布 匹 27 70

夏布 Prime 70 70 140

竹布 Prime 100 100 8000

棉花 石 20 25 40 100 200 400

煤炭 石 020 030 040 050 230 70

煤油 甁 220 240 440 90 300 460 200

毛邊紙 石 198 432 1200

黑靛粉 桶10斤 100 200 1500 2000

赤金 兩 50 70 80 90 500 560 1600

lt表11gt 醴陵縣 物価表 (a)(私家數簿에 의한 것)

民國24年(1935)의 通郵地方物産誌 기록을 직접 비교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양 자료 사이에 화폐와 단위가 서로 달라 직접 비교할 수가 없

다 그래서 당시인의 물가 변동 기록인 長沙府 醴陵縣 物価表를 이용

하는 것이 파악 방법이 될 것이다

lt표11gt lt표12gt 와 lt圖6gt lt圖7gt을 보면 개별 물품에 따라 차이

는 있지만 대체적인 흐름은 米価 변동과 유사한 궤적을 보여주고 있

다 즉 光緖 前半에 비교적 안정적이다가 光緖 후반부터 급상승하여

민국 전기까지 상승하고 있다 1926년부터 1936년까지는 가격 안정세

를 보여 주고 있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4

雞蛋 個 2 2 3 4 10 15 20

草魚 斤 40 40 36 70 90 160

茶油 斤 116 69 54 150 300

鹽 斤 60 60 63 120 90 180

煤 石 50 120 50

苧麻 斤 270 99 170

棉花 斤 200 96 280

竹布 尺 70 62 60 60 90

靑洋布 尺 55 50 50 70

白蓮紙 刀 40 82 80 100

-附記 前淸 통행 制錢文으로써 단위 민국 초년에는 비록 銅元을 단위 사용하나 관습상 매 1銅元은 錢10文에 해당

圖6) 醴陵縣 物価 (a)

① 豬肉 斤당 가격 ② 雞肉 斤당 가격 ③ 茶油 斤당 가격

④ 鹽 斤당 가격 ⑤ 棉花 斤당 가격 ⑥ 草魚 斤당 가격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5

圖7) 醴陵縣 物価(b)

① 猪肉 百斤당 가격 元 ② 草魚 百斤당 가격 元 ③ 茶油 石당 가격 元

④ 鹽 石당 가격 元 ⑤ 洋紗 件당 가격 元 ⑥ 棉花 石당 가격 元

⑦ 煤油 甁당 가격 元

米価가 物価와 연동되는 것에 대해서 江都縣史料를 보면 ldquo産米 구역

에서 年末에 米価가 상승하니 百物이 昻貴했다rdquo65)라고 되어 있다 湖

南지역 米価 연구 자료에도 米価 추세는 거의 물가 수준과 같다는 주

장이 있다66)

光緖末宣統年間의 물가 상승을 나타내는 史料를 보면 다음과 같다

이제 각종 惡政의 결과로 百物의 騰貴를 초래했는데 小民의 日用 수요

65) 李文治 앞의 책 p470 ldquo江都爲産米區域 年末米価騰踊 百物因以昻貴rdquo

66) 張麗芬 앞의 책 p22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6음식은 그 가격이 십년 전에 비해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과 居室 器用

蔬饌의 비용 牛種糞漑의 비용도 예전 보다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도 비록

동일 비례로 함께 올랐으나 이미 넉넉하지 못해 괴롭다67)

이것을 보면 米価와 物価가 연동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청말

특히 光緖 후반 이후에 각종 物価가 두 배 올랐다는 사정을 알 수 있

다 上海의 物価도 같은 시기에 상승하고 있다68)

lt표11gt lt표12gt와 lt圖67gt을 검토해 보면 돼지고기 값은 광서 14

년 광서 19년까지는 다소 하락세를 보이다가 宣統원년(1909)부터 급격

히 상승하고 있다 민국원년(1912)의 가격은 160文으로 1878年의 88文

에 비해 거의 두 배에 해당한다 위에 인용한 宣統 2年 8月 國風報의 물가 두 배 인상과 정확하게 부합되고 있다 민국 전기인 1926년까

지 계속 상승하고 있지만 1926년에서 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이고 있

돼지고기 값은 1878년-1909년 사이 273 상승했고 1912-1921년 사

이에 75 상승했다 닭은 각기 50와 44 상승했다 계란은 100

100 상승이었다 淸末 비교 시기는 31년간인데 비해 민국 전기는 9

년간에 불과하다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가 급등한 것은 충분히

알 수 있다 1926년에서 1936년 10년간 돼지 값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거의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이었다

民國 醴陵縣志에도 ldquo辛亥혁명이전에는 물가가 심한 등락이 없었는

데 민국 후에 들어와서 차츰 상승했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69) 圖6)을 보

면 닭고기도 비슷한 궤적을 보이고 있다 草魚의 경우도 청말 민국전

기는 상승이 주요 동선이고 민국 중기(1926-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

67) 國風報 第1年 21期 宣統 2年 8月 (李文治 앞의 책 p561) ldquo今也以種種惡

政之結果 以致百物騰踊 小民日用 飮食所需 其価皆視十年前兩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居

室器用蔬饌之費 牛種糞漑之費兩倍于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雖以同一比例以俱騰 旣苦不

給矣rdquo

68) 岸本美緖 앞의 책 p443

6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物價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7이고 있다 譚文熙 物価史에는 민국 전기는 안정속의 상승세로 민국

중기는 파동속의 상승으로 정리를 하고 있는데 여기와는 약간의 차이

를 보이고 있다70) lt표11gt과 lt표12gt 사이의 화폐 단위 차이로 인한

연속적 파악에 다소 어려움이 있으나 대체의 추세는 짐작할 수 있다

또 품목에 따라 공란이 있어 연결 관계가 애매한 부분이 있다 1936년

이후는 중일 전쟁의 혼란과 불환지폐의 강제 통용 등의 사정으로 本考

에서는 분석 대상 범위에서 제외 하고자 한다

Ⅱ 物價 변동의 원인

1 수요 측면

米価와 物價가 상호 연동관계에 있고 넓은 의미에서는 米価도 물가

의 일부이다 米価 및 물가의 상승은 우선 수요의 증가에 원인이 있다

고 할 것이다 수요증가는 일반으로 인구 증가이다 湖南의 인구는 嘉

慶21年(1816) 18754259명에서 1898年 21174000명으로 다시 民國17년

(1928)에는 31501212人으로 비약적 성장을 하였다71) 약 110년 동안

인구가 1300만 가까이 증가하였고 비율로는 679가 증가하였다 長沙

府의 인구도 가경 25년(1820)에서는 4290086명이었는데 민국23년

(1934)에는 8421330명으로 약 400만명 이상 증가하여 963 상승을

보이고 있다72)

인구의 증가가 수요 증대를 초래하는 일반 요인이지만 湖南의 米穀

移出이 해당 지역 민중의 식량을 제외하고 남는 잉여 米만은 아니다

70) 譚文熙 앞의 책 pp302-307 여기서는 민국 전기는 1912-1927년 민국 중기

는 1927-1937년으로 구분하고 있다

71) 湖南省志 地理志 (長沙 湖南人民出版社 1982) pp230-238

72)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8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의 증대가 더 중요한 요인일 것이다 淸末에

와서 새로운 생업을 통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가 많이 증가하고

있는데 醴陵縣 사례를 한번 검토해 보겠다 史料는 다음과 같다73)

同治志에 이르기를 醴陵의 풍속은 lsquo安土重遷rsquo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상인이 外地에 나

가 장사하는 이가 적었다 배를 이용하여 외부 상업을 하는 것은 淥口 부

근의 米穀商일 뿐이었다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邑人들이 茶제조로 武漢에 판매하는 자가

이익이 배가 되었다 이때부터 龍門일대에 매양 봄에 茶를 제조하고 가리

는 廠이 항상 수십이었다 光緖末年에는 도자기업 夏布 編爆이 일어나서

대신하였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이를 믿고 생계를 삼는자가 무려 십만인이다

同治志 편찬 단계만 해도 사람들이 토착 안주하여 멀리 이동하는

것을 어렵게 여겼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큰 이익을 보고 그

후 도자 기업 夏布 編爆 제조에 종사하여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나 되었다는 것이다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의 성장을

보여주는 것이다 長沙의 빠른 도시화도 주목된다 長沙日報에 실린

내용을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74)

光緖32년(1906)에 火災 조사시에 城廂 내외가 매일 식량으로 穀 5000

石이 필요하였다 지금 교통이 편리하고 상인 旅客이 배로 증가하였으니

매일 마땅히 1-2000石을 더해야 한다(宣統 2年(1910) 2月 17日 長沙日

報)이것을 보면 光緖32년(1906)에서 宣統2년(1910)은 불과 5년이 채 되

지 않는데 상인 집단이 배로 증가하였다니 城內外의 유동인구 급증을

짐작할 수 있다 長沙城의 인구는 1916年에 177882人이었고 1931年은

385514人으로 증가하였다 불과 15년 사이에 1167 증가이다 배 이

73)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ldquo同治志云 醴俗安土重遷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商賈外

貿者少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揚帆外貿則 僅淥口附近之穀米商而已 光緖初 紅茶業興 邑人製茶

販運 漢皋者 獲利倍蓰自是來龍門一帶 每屆春日 製茶捒茶列廠恒數十 訖於光緖

末年 則有瓷業及夏布編爆起而代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恃以爲生者 無慮 十萬人rdquo

74) 李文治 앞의 책 p551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9상이 증가하였으니 長沙의 도시화도 급속히 진전 되고 있다75)

민국10年의 湖南 實業雜誌 보도를 보면 당시 長沙에 蓆工 500人

刻字工 300人 방직공 3200人 이발공 800人 香工 400人 합계 5200人

이 있었다 長沙大公報에 의하면 민국9년(1920)에 長沙에는 부두공

2600人 糞夫 500人 轎夫 1300 車夫 2300人으로 합계 7000人 정도

가 있었다76) 같은 시기 호남성의 광부가 160萬人이고 여기에 手藝工

苦力을 합치면 190만 전후였다고 한다 예릉현에서는 東鄕 일대에서

編爆業 종사자가 수만이고 東北兩鄕에서 磁廠의 女工도 수천이나 되었

다는 기록도 있다77) 湖南 邵陽縣에서도 淸末에 工匠이 5만 상인이 12

만 정도였다는 통계도 있다78) 이렇게 비농업 인구가 다른 생업을 통

해 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로 증가하고 있던 것이 확인된다 이런 유

효 수요 증가를 설명해 주는 다른 史料 하나를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

다79)

어째서 米穀이 날로 적어지고 날로 비싸지는가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水旱災가 날로 많고 농사짓는데 날로 게으르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말은

진실로 일리가 있는데 다 그런 것은 아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선교사 洋商 洋官 洋

兵은 증가한 것이 외국에서 온 사람이다 敎民 游民 賭民 盜民은 內地

에서 증가한 자이다 무릇 농사짓는 사람은 하나인데 먹는 자는 헤아릴

수가 없다 米穀이 어찌 비싸지 않을 수 있겠는가

光緖後期의 사정을 전하고 있는 위 史料를 보면 외국에서 온 선교

사 상인 군인 관리 등도 米価 상승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국내

외를 막론하고 비농업 인구의 급격한 성장이 米価 상승의 원인이라 생

각된다

湖南과 長沙의 米穀은 해당 지역 안에서 소비되는 것보다 揚子江

75) 張朋園 中國現代化的區域硏究 -湖南省 (台北 1998) p376

76) 위의 책 pp412-413

77)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農業經濟

78) 光緖33年刊 邵陽縣鄕土志 권2 인류 실업

79) 李文治 앞의 책 p77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0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많다 청말민국시기에도 지속적인 湖南米의

移出이 있었던 것은 이미 밝힌바 있다80)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穀

米가 騰貴한 이유가 外省의 采辦이 많은 때문이라고 하고 있다81) 상

담현에서도 동치 4년(1865)이전에 해마다 풍년이었는데 穀価가 까닭

없이 騰貴한 것은 江南이 처음 회복되어 米穀의 販運이 많아진 때문이

라고 하고 있다82) 1898年에도 長沙에서 米穀의 원거리 送出을 바라는

지주 富戶와 주민의 갈등 관계가 노출되고 있다83) 宣統2年(1910)의 기

록에도 湖北의 흉년으로 出境 米穀이 과다하여 米価가 급등했는데 작

년 末에는 1石5000文이었다가 금년에는 1石 8000文에 이르렀다는 내

용이 있다84) 같은 자료에 湖南米가 당도 하지 않으면 武漢에서 변란

이 일어난다고 할 정도이다

하류의 上海는 한적한 어촌에서 근대에 대도시로 성장하였다 武漢

上海등의 도시화와 상공업 발전 인구 집중은 長沙米의 급격한 수요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宣統 년간에 長沙가 전국적인 4大 米市의 하나

로 성장한 것은 우연한 일은 아니다85)

근대에 대외 교역증가가 물가 상승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생각된

다 1873년에서 1930年 사이에 농산물 수출 통계는 1910년을 100으로

했을 때 1873년은 12 1893년은 123 1903년 386 1920년은 1324

1930년은 2709로 급상승하고 있다86) 농산물의 수출은 해외 수요의 증

가이다 이런 교역상 수요 증대는 가격의 등귀 뿐 아니라 작물 재배

면적의 확대에도 기여하고 있다

80)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81)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20

82) 光緖6年刊 湘潭縣志 卷29 災祥志

83) 湘報 89號 長沙縣職員常達邦呈批

84) 李文治 앞의 책 p381

85) 徐正元 中國近代農産商品化的發展與米市的形成 (復印報刊經济史 1997年3期)

86)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권2 p14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1宣統2년(1910) 長沙에 영국 상인이 출현하여 米穀 구매를 단행하자

米価가 하루에 여러 번 급등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였다87) 湖南에서

는 또 광동 상인의 영향을 받아 紅茶 제조법을 습득하여 홍차를 대량

생산하여 구미에 수출하였다 19세기 60년대부터 20세기 초에 특히 호

남 茶 생산 판매가 극히 발달하였다88) 주요 산지 중에는 長沙 湘潭

安化 등이 손꼽히고 있다

桐油의 수출 또한 괄목할 만한 것이다 湖南의 桐油 수출은 1922년

전국의 3336 1923년은 372로 성장하였다 1929년에는 全省 수출

총액의 45 정도를 차지하였고 桐油 상품화율 80에 달하였다89) 대

외교역을 통한 농산품의 해외 수요 증가는 직간접으로 물가 상승에 작

용하고 있다

2 화폐 문제

물가와 화폐의 관계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통상 화폐 수량의 증가가

생산총량의 증가보다 초과할 때 물가상승이 일어난다90) 보통 淸 후기

에는 아편무역에 따른 銀의 해외 유출과 그 결과 야기된 lsquo銀貴錢賤rsquo 현

상 통화팽창에 의해 물가가 상승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91)

실제 淸末民國기에 걸쳐 통화 팽창과 물가 상승에 대한 기록을 찾

는 것은 어렵지 않다 王業鍵에 의하면 淸末 특히 1875年부터 1911年

까지는 인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단계였다고 한다92)

民國 寧鄕縣志에 보면 ldquo光緖29年(1903)에 처음으로 當十銅元을 주

87) 李文治 앞의 책 p550-551

88) 劉泱泱 앞의 책 p46

89) 宋斐夫 主篇 湖南通史 現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5 p276

90) 陳民 法幣發行制度與通貨膨脹 (復印報刊經济史 2001-1)91) 龔勝生 앞의 책 pp275-280 岸本美緖 앞의 책 p444 張麗芬 앞의 책

p217

92) Yeh-chien Wang Secular Trends of Rice in the Yanzi Delta 1638-1935(California Univ Press 1992)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2조하여 전국에 통용시켰는데 물가의 등귀가 이때부터 시작되었다rdquo는

기록이 있다93) 醴陵縣에서는 光緖32年에 當十銅元을 주조하여 制錢과

병행시켰고 宣統원년에 銀元이 이미 성행하였다 민국원년에는 當二十

銅元을 주조하였는데 雙銅元이라 칭하였다94) 영향현에서도 광서말에

私鑄錢인 毛錢이 나오고 지폐가 통용되는 등 통화팽창이 상업을 일변

시켰다고 한다95)

종전에 비해 실질 가치가 열악한 當十 當二十 등 銅元의 남발과 鈔

票의 성행은 화폐 시장의 과잉을 초래하였다 정식의 鈔票 이외도 각

현 발행의 私鈔와 錢莊에서 발행한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시중에 범람

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민국 시대에는 화폐 남발이 더욱 심하였다 호

남은행을 비롯한 저축은행 농업은행 등이 각기 각종 지폐를 발행하여

혼란이 가중되었다 1915년에 호남의 은행은 33개인데 그 중 장사현 7

개 상담현이 7개였다96)

군벌들이 은행을 개설하거나 질 낮은 화폐 통용을 강제하는 등의

혼란이 민국시기 특징 중의 하나이다97) 화폐 시장에는 銀元 銀角 銅

元 지폐와 鈔票 市票등 유사 화폐까지 복잡middot혼란의 양상이 나타나고

결과적으로 물가 상승을 피할 수가 없었다

선통2년(1910) 격렬한 米価 騰貴가 있었고 長沙에서 대규모 搶米 폭

동이 일어났는데 이것은 단순한 흉년때문이 아니고 銅元 남발 등 화폐

제도 혼란에 기인한 것이었다98) 1880년대 초부터 1920년대까지는 인

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시기로 매년 33 비율로 상승하였으며 1930년

총 화폐보유고는 60억 원에 달했다 반 세기간 화폐 공급은 8-10배 증

가하였다99)

93)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ldquo光緖 二十九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始鑄當十銅幣 通

行全國 物価之踊始此rdquo

94) 民國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95)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財用錄 상업

96) 張朋園 앞의 책 pp258-259

97) 宋斐夫 앞의 책 pp10-12

98) 岸本美緖 앞의 책 p51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3

時期 銀(兩) 錢(文) 出典

乾隆 嘉慶년간 10 1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道光 初(1821) Prime 1300-1400 Prime

Prime 18年(1838) Prime 1400 林則徐湖廣奏橋 권3

Prime 25年(1845) Prime 2000上下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Prime 末年(1850)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咸豊 元年(1851) Prime 2000 民國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咸豊 初 Prime 2300-2400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8 부역

咸豊 3年(1853) Prime 20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5年(1855)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Prime 6年(1856) Prime 2000 湖文忠公遺集 권12

Prime 7年(1857) Prime 1600 骆文忠公奏議 권7

Prime 8年(1858) Prime 1400 胡文忠公遺集 권85

Prime 10年(1860) Prime 1300-1400 胡文忠公遺集 권70

同治 2年(1863) Prime 13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7年(1868) Prime 1300-1400 李瀚章 瀝陳湖北等省漕務

Prime 10年(1871) Prime 1600-1700 同治10年 長沙縣志 권8 부역 錢法

光緖32年(1906) Prime 1600 長沙日報 宣統2年 2月27日

선통 2年(1910) Prime 1700 國風報 宣統2年 3月 21日

표 지방지에서 직접 採錄제외는 龔勝生 淸代兩湖農業地理 pp270-277에서 湖南부분을 발췌하여 再引用한 것임

表13) 湖南의 銀錢比値

그런데 아편전쟁 전후 銀의 과도한 해외 유출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이

초래되고 이것이 물가 상승의 주요인이라 생각되고 있는 데는 약간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表13)을 보면 銀錢比価가 일시적으로 상승하였다

가 다시 하강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은전비가는 지역에 따라 차

이가 있지만 호남 장사를 위주로 정리한 것이 표13)이다100)

99)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0) 邱思達 中國近現代鑄幣圖說 (北京 中國書店 1991) p109 참조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4

주목되는 것은 道光末에서 咸豊初에 일시적으로 상승하였지만 淸末

의 比価가 낮은 편에 속하는 현상이다 청말에 은전비가가 비교적 안

정되고 있는 것이다 아편전쟁 후 5항 개항으로 교역이 확대된 상황에

서 아편무역 증대에도 불구하고 차와 silk 수출에 힘입어 은의 순유입

이 오히려 증가되는 현상이 나타났던 것이다101) 또 光緖17년(1891)이

후 세계 銀価하락 현상으로 은유입이 증가되었다102) 19세기 후반 중

국이 세계 사회에 연결되면서 중국의 무역 적자에도 불구하고 淸 정부

에 대한 대량 차관과 자본 투자를 통해서 거대한 양의 銀이 중국에 유

입되었다 1871년에서 1913년 사이 은의 순 수입은 2억 4천만 海關兩

혹은 3억 6천만 銀달러로 추정되고 있다 세계 시장의 은가 하락과 은

의 대량 유입은 중국의 국내 시장에서 물가 상승을 유도한 것이다103)

이런 배경으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은 일시적인 것이고 청말민국기 전체를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민국 시기에는 銀元과 錢의 교환 비율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은의 유입 현상에도 불구하고 宣統 원년 11150文의 비율에서 민국6년

2250文 민국11년 2840文 민국17년 3500文 민국22년 7200文까지 급등

하고 있다 예릉현의 기록이지만 이것으로 청말보다 민국시기에 통화

팽창현상이 극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4)

銀과 錢이 주요 화폐이고 그 환율이 항상 문제가 되고 있지만 주로

청 후기 이후는 錢文 위주의 경제로 바뀌고 있다고 생각된다 長沙府

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면 대부분 道光 이후는 화폐를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淸 前期는 米価를 銀으로 표시하던 것과는 대조적이

다105) 예릉현에서는 민간에서 세금을 납부하거나 大宗무역을 할 때를

101)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2) 邱思達 앞의 책 pp92-93

103)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4)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10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光緖3年刊 善化縣志 同治13年刊 湘鄕縣志 光

緖15年刊 湘潭縣志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民國37年刊 醴陵縣志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5제외하고 紋銀 사용자가 거의 없다 도광 이후 교역시 대부분 錢文을

사용했다는 기록을 보면 淸 後期는 錢 경제 위주로 넘어간 것 같

다106) 세금을 낼 때 외에 銀錢이 필요 없는 일반민은 錢文 사용권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너무나 당연하다

함풍4년에 長沙에서 大錢을 주조하여 통용시켰으나 결국 시장의 신

뢰를 얻지 못하여 퇴출되고 말았다 1854년 7월에 주조를 시작하여

1855년 4月에 주조를 정지하였다107) 이것을 보면 통화 남발도 결국

시장의 제약을 받고 있다

민국 7년(1918) 3月 張敬堯가 裕湘銀行을 개설하여 銀元票 1000만元

銅元票 3000만元을 발행하였다 그 결과 시장은 혼란에 빠지고 시중금

융은 마비 상태가 되었으며 결국 裕湘銀行 발행의 惡幣는 폐지와 같이

되었다108) 권력에 의하여 통화 팽창이 시도되더라도 시장이 감당할

수 없는 지경이 되면 중단될 수밖에 없다 과도한 통화 팽창은 시장의

질서에 의해 어느 정도 제약 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예릉현에서도 光緖 년간에 錢莊 24곳이 출현하여 盛業을 누렸는데

民國7年(1918) 兵禍로 停業하는 곳이 많아졌고 정부의 통화 남발 화폐

가치 하락 금융혼란의 현상이 나타났다109) 민국18년(1929) 이후는 정

국이 안정되고 교통 편리로 百業이 진흥되고 은행이 역할을 하게 되었

이상에서 보면 淸末까지는 은전비가가 안정되고 통화 관리가 어느

정도 성공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光緖 宣統 시기에 銀元의 주조 외국

銀貨의 대량유입 當十銅元 등 주조로 통화팽창이 많이 되었고 이시기

물가 상승과 연관되고 있다 민국 초기에도 정국 혼란과 무계획적 통

화남발로 물가의 급등을 초래하였다 민국 중기에는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것 같다

106) 龔勝生 앞의 책 p279

107) 劉泱泱 앞의 책 pp150-155

108) 宋斐夫 앞의 책 pp10-11

10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6영향현에서도 민국 21년(1932) lsquo穀賤錢荒rsquo의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

다110) 청말민국기에 전반적으로 화폐량의 증가가 현저했던 것은 사실

이다 다양한 화폐의 등장 銀兩 銀元 銅錢 銅元 외에 외국 銀元의 유

입 그 외 鈔票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출현하였으며 양적인 팽창도 분

명하다 하지만 대외 교역 증가와 경제 활동 인구의 증가 유통 상품의

양적 증가에 의해 시장의 화폐 수요가 증대된 것도 사실이다 통화 발

행은 일차적으로는 경제 주체의 수요에 부응하는 것이지만 그것이 과

도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3 공급기타 요소

물가는 기본적으로 수요공급의 관계에서 결정되는 것이 원칙이다

청말민국기에 걸쳐 인구가 급증하여 물가가 상승한 것은 자연스런 일

이다 그러나 물가 상승률 면에서 청말의 경우가 18세기의 증가율에

비해 크다고 할 수 없다 물가 상승률을 억제하면서 비교적 안정 속의

상승을 할 수 있었던 것은 공급의 증가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청말민국기에 湖南米의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 현상이 지속된 배경

에 비약적인 경지 면적 확대와 새로운 품종 개량 시비법 발전 등 농

업 생산 증대가 있었다는 것은 이미 밝혀진 바 있다111) 米穀 공급의

증대가 물가 상승을 완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雜糧 재배가 同治

(1862-74) 년간에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민중의 식량 문제 해결에 기여

하고 米価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던 것을 城步縣 知縣 盛溢源을

통해서 알 수 있다

洋米 수입이 國産米의 보충 역할을 했다는 지적이 있지만 결국 시

110) 民國30年刊 寧鄕縣新志 전1 縣年記

111) 田炯權 淸末民國期 湖廣地方의 農業生産力과 生産關係 (慶南史學 7

1995)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2001)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

究 25 200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7장에 대한 미곡 공급을 증대시켜 가격 안정에 기여했다고 생각된

다112)

민국 시대 관련 사료를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113)

금일 정세를 보면 국내 米価의 등락은 결코 國産米의 생산량이 많고

적음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외국 産米 구역의 풍년 여부에 따라 영

향이 대단히 크다

이것을 보면 洋米 수입이 國産米価를 조절한다고 볼 수 있다 비슷

한 시기 上海에서도 湖南米가 수입 米의 영향으로 가격이 약간 적게

올랐다는 史料도 있다114) 湘報에도 日本米가 수입되어 중국의 米価

가 차츰 내려갔다는 기록이 있다115) 같은 湘報에 보면 ldquo외국물산이

날로 풍부하여 중국 상품의 판로를 막는데 서양 상품의 가격이 낮으면

중국 상품 가격이 홀로 증가할 수 없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116) 결국 洋

貨도 중국에서는 시장에 대한 상품 공급의 증가이고 이것이 상품 가격

상승을 억제하고 있는 것이다 같은 자료에 중국의 土藥이 널리 판매

되니 외래 洋藥의 가격이 폭락한 사정도 소개되고 있다117)

또 洋蠟의 수입으로 국산 白蠟 가격이 매 100斤 200元에서 100元으

로 폭락한 일도 있었다118) 1921년 독일 면화가 대량 수입되어 중국의

綿価가 하락한 일도 있다119) 光緖년간 부터 중국이 綿紗 생산을 개시

하자 華商과 洋商사이에 가격 경쟁이 시작되었다 수입 綿布도 洋商이

國産布와 경쟁하기 위해 가격을 낮추어 공급하였다120)

112) 王良行 淸末對外貿易的關聯效果(1860-1911) (近代中國對外貿易史論集1997)

113)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卷3 p413

114) 위의 책 p416

115) 湘報 제45호 p1419

116) 湘報 제13호 ldquo外洋之出産日盛 足以抵華貨之銷路 洋価低則華貨不能獨增rdquo

117) 湘報 제162호 p1608

118) 章有義 앞의 책 권3 p662

119) 譚文熙 앞의 책 p342

120) 譚文熙 위의 책 p368 p374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8상인의 가격 조종이 물가 변동에 하나의 요소는 될 수 있다 예릉현

의 土資 판매에 있어 객상의 가격 조종에 저항하기 위해 주민들이 公

司를 조직하여 가격을 바로 잡았다는 기록도 있다121) 지주 부농 米商

등의 매점매석에 의한 가격 조종 사실은 흔히 발견된다122) 秋收期에

시장에 대량 방출된 곡식을 저렴한 가격에 매입하여 端境期에 되팔아

이익을 남기는 것은 상인의 오래된 관행이다 이윤 추구를 위한 개인

의 행위지만 넓게 보면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행위이기도 하

다 각지 농산품 가격 변동 조사에서 원인이 밝혀진 10건 가운데 전쟁

이 2건 豊凶 水旱災가 7건 상인 조종은 단 한 건 뿐이었다123) 제국

주의 상인에 의한 가격 조종이라는 것도 결국 중국 상인의 이윤 추구

행위와 본질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湘報의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124)

輪船이 이미 통행하고 있고 철로가 이미 만들어 졌다 제조업이 날로

번성하고 통상조약이 행해지니 상인이 계속 내왕하고 온갖 상품이 유통

된다 사계절 틈이 없으니 일용 각 물품이 그 가격이 반드시 저렴할 것

이다

이것을 보면 통상 개시 후 교통이 발달하고 상품 교역이 증대된다

는 것과 그 결과 일용품의 가격이 저렴해졌다는 것을 당시인이 인식하

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서방 각국과의 무역 증대는 상품 공급의 증가

이고 가격 경쟁을 통해 물가 상승을 완만하게 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

121)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22) 李文治 앞의 책 p559

123)湘報 제49號 ldquo輪船旣行 鉄路旣造 製造日盛 商約可行 商賈絡繹 百産流通

歲時無間 則日用物品 其価必廉rdquo

124) 安本美緖 앞의 책 제7장 pp239-288 제12장 431-455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9

Ⅲ 物價와 景氣(생활)

1 穀賤傷農과 不況

物價 문제를 단순히 등락의 흐름에만 주목하기보다 경기변동론적

입장에서 好況 不況의 문제로 연관시켜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

이다 岸本美緖는 康熙年間의 lsquo穀賤rsquo 현상이 不況과 연결되어 있고 光

緖年間 蘇州의 不況도 lsquo穀賤rsquo이 원인이었음을 지목하고 있다125)

그런데 長沙府 중심의 湖南의 사정을 검토해 보면 lsquo穀賤rsquo 관련 기록

이 道光 咸豊 시기와 民國 中期에 집중되고 있다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26)

道光 25年(1845) ldquo穀賤斗穀錢五十文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値穀賤錢価亦賤 民甚苦之rdquo

장사현과 縣治를 長沙城 내에 두고 있는 善化현에서도 같은 해에

비슷한 기록이 있다127)

道光25年 穀賤自十五年起 連年俱穀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中下戶苦之

咸豊5年 穀賤

장사현 기록을 보면 穀価도 싸고 錢価도 싸서 민이 고통 받는다 했

으니 이 당시 은의 해외 유출과 은전비가 문제로 민중이 고통 받은 사

실을 알 수 있다 선화현은 장사현과 연접하고 통합과 분리가 단속되

었던 거의 동일 지역이다 선화현 기록을 보면 도광25년의 lsquo穀賤rsquo이 해

당년도만의 일이 아니고 道光15年(1835)부터 계속된 현상임을 밝히고

있다

12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33 祥異

126)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127) 民國30年刊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0인근의 寧鄕縣에서 보면 ldquo道光26年 歲豊 穀奇賤傷農 佃農以穀賤大

困rdquo이라는 기사가 있다128) lsquo穀奇賤rsquo이라 하였으니 평상시 보지 못한

하락이었다고 생각된다 더구나 소작료 납부가 대부분 현물지대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佃農은 米穀의 상품화 과정에서 배제되었다는 종전의

통념과 달리 佃農도 곡가 하락으로 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같은 기록에 함풍원년에도 ldquo有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以穀賤漕折苛rdquo라 하고 있어

역시 곡가 하락으로 세금 납부에 곤란을 겪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장사부 內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아도 同治 년간에는 lsquo穀賤rsquo 기

재가 보이지 않고 전술한 도광 함풍 년간에 집중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후의 기록을 찾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ldquo湖南自夏秋以來雨暢時若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故無論高低田畝咸稱大稔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甚

賎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反有入不敷出之慨矣rdquo (益聞錄 69号 광서6년828)129)

ldquo(長沙農村) 近年來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穀米求售 価値至賤 日用各物 則又極昻 收穫所

得 不足顧其工本 多已漸陷于無力耕種之境rdquo (新靑年 7권 6호 1920년 5

월)130)

ldquo湖南近年來之天災人禍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天災旣足以減少收量 地方不靖 産品滯銷

価値復因以低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而生活日昻 工価及日用物品 繼續增漲 收入支出 常苦

不得平衡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rdquo (中國棉産改進統計會議專刊 1931)131)ldquo湘省爲産穀素豊之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年歲收 屢佔大有 而長江流域亦値豊收 更

有大宗洋米 運貨傾銷致湘米頓失市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価格低賤 不僅農村經濟 陷于絶

境 市面金融 亦大受打擊rdquo (銀行週報 18권 9기 1934313)

이외에도 1936年의 사실로 호남의 武岡 東安 일대에서 lsquo豊年穀賤rsquo으

로 省城에 운반할 때 운송비와 각종 捐稅 부담을 감당할 수 없어 陳米

를 불태웠다는 기록이 있다

128) 李文治 앞의 책 p557

129) 章有義 앞의 책 권2 p432

130) 章有義 앞의 책 권3 p795

131) 章有義 위의 책 p620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1이것을 보면 주로 1930년대에 lsquo穀賤rsquo과 不況이 집중 묘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lsquo穀賤rsquo 즉 불황이라고 하면 도광함풍초의 곡천과 불

황 同治光緖宣統期의 lsquo穀貴rsquo즉 好況 다시 民國 전기의 好況 民國 中期

의 불황으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물가의 상승기가 호황적 국면이라는 것은 알려

져 있지만 이것은 전체 물가의 문제이다 위 자료에서 보면 1920년 장

사 농촌에서는 곡가는 싼데 일용품 가격은 극히 높다고 하고 있고

1931년의 기록도 工價와 일용품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농민이 다수를 점하기 때문에 미곡가의 하락은 농민 수입 감소

와 구매력 저하를 가져오고 이것이 농촌 불황의 한 요인이 될 수 있

다 그러나 工賃과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시장의 한계 안에서의

일이다 또한 실업률과 고용 지표 등도 고려되어야 하는데 만족할만한

통계의 부족으로 명확한 답을 얻기는 어렵다

그런데 米価와 물가는 개별 년도나 시점에서 서로 상이한 궤적도

있지만 圖2 3 6 7을 보면 대체적으로는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예릉의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광서 4년(1878)에 비하여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1912)에는 현격한 상승세였다가 그 후에 등락을 거듭

하고 있지만 민국25년(1936)의 경우는 광서4년보다는 높거나 유사한

경우가 많다

2 생활 경기의 발달

당시인들이 체감하던 생활 경기의 수준이 어떠했는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

光緖刊 善化縣志를 보면 다음과 같다132)

132)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16 풍속 附論 ldquo古人 酒肉以養老 而今則黃口稚子

無不酒肉之人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日不旦穀貴鹽貴 而酒肉皆貴 則好惡可知矣 一今鄕間柴炭

其価數倍於昔日 瀕河之地 莫不燒煤rdquo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2옛사람들은 술과 고기로 노인을 부양하였는데 지금은 어린아이도 술과

고기를 먹지 않는 이가 없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요사이 미곡과 소금이 비쌀 뿐 아니

라 술과 고기가 모두가 비싸니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지금 향간에 柴炭이 그 값이 예전보다 수배인데 하천 근처 사람은

煤를 때지 않는 사람이 없다

同治 攸縣志 에도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33)

예전에 士大夫도 집에 있을 때 엄동이 아니면 가죽옷을 입지 않았다

지금 關中의 가죽옷 상인이 유현에 와서 1년에 은 만여 냥을 얻을 수 있

다 기타 비단 옷은 蘇州 杭州 및 嶺南에서 오는 것이 또 배가 되니 1년

에 수만금을 소비한다

醴陵縣에서도 비슷한 인식을 볼 수 있다134)

ldquo예전 풍속이 儉樸하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이 명절 아니면 고기를 먹지 않고

慶弔事가 아니면 술을 베풀지 않고 손님 접대는 닭 잡는데 그치고 鮮味

는 생선에 그쳤고 縣城의 食肆는 飽麵茶館에 그치고 酒席으로 業을 삼는

자가 없었다

지금은 酒樓菜館이 거리에 가득차고 中人의 집에도 술자리가 베풀어지

고 사치를 다툰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예전에 士類大半이 淥江書院에 모이면 그 가운데 비단신을 신은 자가

불과 수인이었고 羊가죽 옷을 입은 자가 불과 1 2人이었다 지금은 비단

신과 가죽옷이 거의 常服이 되었고 日用品은 舶來品이 많다rdquo

이 내용을 보면 예릉현의 생활 수준이 급격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예릉현지 기록에는 부인들이 上海의 유행을 쫓아 사치를 추구한

다는 내용도 있고 청말부터 外貨를 서로 자랑한다는 내용도 있다 종

133) 同治10年刊 攸縣志 권18 풍속 衣服 ldquo衣服 昔時 士大夫 家居非嚴冬不御裘

今關中裘商來攸 歲可得銀萬餘兩 其他錦繡之運自蘇杭及嶺南者 則又倍之 計一歲

之戶 所費數萬金rdquo

134)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4장 풍속 생활 ldquo旧俗民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非令節不

食肉 非慶弔不置酒 欵客止於殺鷄 鮮味止於草魚 縣城食肆 止於飽麵茶館 無以酒

席爲業者 今則酒樓菜館 遍於街市 中人之家酬酢往還 爭奢鬪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旧時士類

大半 集於淥江書院 一院之中 著緞鞋者 不過数人 襲羊裘者 不過 一二人 今則絲

履皮袍殆成常服 日用之品 多自舶來rdquo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3전에 菜油 棉油로 燈을 켜다 집집마다 煤油를 사용한다거나 세탁시

茶枯鹼水를 쓰다가 대부분 비누를 사용하는 일상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135)

또 寧鄕縣에서도 ldquo同光之間 地方安寧 家給人足(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함)縣城商業 於時爲盛rdquo이라 하고 있어 同治(1862-74) 光

緖(1875-1908) 시기가 好況이었음을 알 수 있다136) 湘報에도 ldquo民間

之喜用洋貨日甚一日rdquo이라 하고 있어 洋貨 사용의 확대를 짐작할 수 있

다137)

광서년간 무역이 확대되고 여기에 대해 유익하다는 인식의 기록이

湘報에 나오고 있다138)

ldquo輪船과 철로가 개통되고 항구 개항이 증가 되는 것은 실로 중국에 유

익하고 손해가 없다 저 눈이 콩만큼 큰 자가 걸핏하면 통상이 중국에 해

가 된다고 하니 어찌 심히 어리석지 않은가rdquo

무역 확대를 지적하고 통상이 유익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예릉현

지에도 同治志에는 풍속이 lsquo安士重遷rsquo하고 상인이 외부 활동하는 자가

적었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고 光緖末에 도자기 夏布 編爆業

이 일어나 융성하여 이에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 넘는다고

하고 있다139) 예릉향토지에도 商旅 왕래가 예전보다 10배라는 서술이

있다140)

장사시의 行業발달 상황을 보면 민국 5년(1916)에서 民國22年(1935)

사이에 식품업은 281⟶2124 사치품은 171⟶1128 복장은 43⟶2028 農

礦은 621⟶1156 洋貨 127⟶233 금융 130⟶164 공예 2121⟶3344 문구

17⟶355 등 비약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141)

135)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 工商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6장 실업

136) 民國30年刊 寧鄕縣志 財用錄 民業

137) 湘報 제13호 1898年 3月 21日

138) 湘報 제162号 1898年 9月 23日

13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40) 民國15年刊 醴陵鄕土志 제6장 실업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4이것은 장사의 생활수준 향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당시에

通商의 확대 주장도 湘報에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142)

이상에서 보면 청말민국기에 대체적인 추세는 好況이었다고 생각된

다 생활 수준의 향상이 눈에 띄고 米価와 물가도 연동되면서 상승하

는 추세였다 米価의 상승이 구매력 수준의 제고가 되기 때문에 米穀

생산 중심지역에 상인들의 行號가 집중되는 것이 보였다143) 임금의

경우에도 호남 汝城縣에서 실질 임금이 유지 또는 상승하는 것을 확인

한 바 있다144) 全漢昇도 1875년부터 1925년까지에 걸쳐 四川 合江현

의 임금과 물가 변동의 추세가 거의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바 있

다145) 앞서 인용한 1931년 中國棉産改進計劃 에도 임금과 일용품 가

격이 함께 오른다고 하고 있어 임금이 물가에 연동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생활 수준 향상을 기록하고 있던 지방지에도 빈부 격차를 암시하는

내용이 있고 物力이 날로 쇠퇴한다든지 하는 기록이 있다 대외 무역

이 적자라 하더라도 차관 원조 뿐 아니라 외국 상인의 진출이 자본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好況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Ⅴ 結 言

이제까지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이후 民國中期인 1936年

까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여 米価와 물가 변동 물가 변동의 원인

141) 張朋園 앞의 책 p387

142) 湘報 44호 中外通商利害論 湘報 67号 論湖南茶務急宜整頓

143)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144)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9 1998)

145) 安本美緖 앞의 책 p2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5물가와 생활 경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米価 변동은 단기 변동에 있어서 전쟁이나 天災 등의 특수한 사정

의 해를 제외하고는 光緖 년간에 비해 민국 중기의 계절 변동폭이 축

소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米価의 계절 변동을 완화 시

켜 주는 雜糧의 재배가 湖南 지역에서는 대부분 同治 년간에 보급 확

대가 되고 있다 교통과 상업 발달 등의 이유로 청말에서 민국기로 갈

수록 계절 변동폭을 축소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변동에서는 長沙府縣의 물가 변동 예릉현 물가 변동 등을 살

펴 볼 때 전체로서는 상승 추세 중에 도광 함풍 시기의 低米価 同治

년간의 高米価 光緖전반의 低米価 光緖後半에서 宣統 년간의 高米価

民國 前期의 高米価 民國 中期의 低米価의 등락을 보이고 있다

民國 中期의 米価는 長沙 8개년 米価 추세에서도 안정속의 상승세

를 보이고 있다 명목상 수치 뿐 아니라 米価의 상대 물가로 보는 실

질 구매력도 宣統 民國元年에까지 급상승하였다가 민국 시기 등락을

거듭하지만 민국25년(1936)까지 광서4년(1878) 대비 유지 또는 상승 추

세였다

物価변동은 개별 상품에 따라 편차가 있고 米価와는 전혀 상이한

궤적을 그리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米価와 연동 관계를 보이

고 있다 1898년 물가의 단기 변동은 이상할 만큼 변동폭이 크지 않다

당시 물가 조사자의 보고가 정확했는지 의심될 정도이다 1935년의 장

사 물가에서 단기 변동을 보면 변동폭이 100이상인 夏布 毛筆 麵粉

棉布등을 비롯하여 50 이상인 오리털 흑연 성냥 국산 전지 등을

비롯하여 40 이상인 비누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기 변동폭

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 이것은 이런 물품들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

성이 크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物価의 장기 변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米価와 대체로 비슷한 궤적

을 보이고 있다 청말에서 민국전기에 걸쳐 물가 상승폭이 두드러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 상승폭이 더욱 크

다 돼지고기 값을 예로 들면 1878년에서 1909년 사이에 273 상승했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6고 1912-1921년 사이에 75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닭은 각 50와 44

상승했다 청말은 31년간의 수치이고 민국 전기는 9년간이니 물가의

상대적 급등을 알 수 있다 1926에서 1936년까지 10년간 돼지 고기 값

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

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

세를 보이고 있다 민국 중기의 米価가 일부 lsquo穀賤rsquo 현상을 보인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음으로 물가 변동의 원인에 대해서는 군벌간의 전쟁이나 정치적

혼란 등 정치 군사적 요인을 제외하고 대체로 검토해 보았다

수요 측면에서는 湖南米의 유통이 호남 내부의 인구 증가에도 불구

하고 양자강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지속된 것이 米価 상승의 한 원

인이었다 上海나 武漢 등의 도시화와 인구집중은 이들 지역 양식 수

요를 폭증시켰다 일부 洋米 수입에도 불구하고 湖南米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으로써 米価를 상승시켰다 또 장사를 비롯한 각지의 새로운 수

공업 산업의 발달로 비농업 인구가 증가하고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유

효수요로 성장하여 米価 상승을 유도하였다 양식의 이출은 해당 지역

인구 식량을 전부 제외한 나머지 잉여가 수출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력

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청말민국기에는 호남의 내부 외부에

서 미곡에 대한 유효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것이 米価 상승의 한 요인

이었다

화폐 문제에 있어 화폐 수량의 증가가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것

은 상식이다 종래 아편전쟁 전후 은의 해외 유출 증가가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을 초래하여 물가 상승과 인민의 빈곤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지방지 등의 史料에서 검토한 결과 은전비가는 도광함풍초의

일시적 상승 후에 함풍 7년 이후는 도리어 하락하고 있다 同治 년간

에 대부분 1兩 1300文 수준에서 안정되고 있다 光緖末宣統년간에도

1600-1700文 수준으로 도광함풍 초보다는 낮은 편이다 청말민국시

기에 화폐의 남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한계를 넘었을 때 시장의 통용

거부로 마침내 중단되고 있다 청말민국기에 외국 銀元의 유입과 국내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7의 銀元 주조 銅元 지폐 외에 鈔票 市票 등 화폐 시장에 투입된 화

폐량은 엄청나게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로서는 어느 정

도 시장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외 교역과 상품량의

증대 경제 활동 인구의 증대 미곡 생산 및 농산품 생산의 증대로 화

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것이 화폐량의 막대한 증가와 유

통속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

었다고 생각된다 즉 안정 속의 물가 상승이 유도된 것이다

공급면에서 보면 대외 교역을 통한 서양 상품의 수입은 전체로서는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물건의 공급 증가를 통해서

혹은 국내 상품과의 경쟁 때문에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었

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침략과 물가 폭등이라는 도식적

견해와 달리 현실에서는 물가 억제 작용도 있었던 것이다

물가와 경기면에서 보면 물가가 비쌀 때 호경기가 많은 것은 사실

이다 그런데 lsquo穀賤rsquo 현상이 불황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서 長沙 지역의 경우를 검토해 보았다 도광함풍 년간까지 lsquo穀賤rsquo현상

과 불경기적 상황에 대한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동치광서 년간에는

米価가 등귀한 시점인데 이 시기는 紅茶業의 번성이나 각종 수공업의

번성으로 好況의 면모가 보이고 있다 민국 시기에는 민국 중기에 lsquo穀

賤rsquo의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史料上에 민국 중기의 lsquo穀賤rsquo은 임금이나

다른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다 물가 상승기와 好況

이 맞물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민국 중기는 lsquo穀賤rsquo 현상과 서로 어긋

나는 것이다 이 시기의 不況 서술은 농촌의 농민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표시이다

생활 수준에 대한 지방지 기록 등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주민들의

洋貨 사용이 보편화되고 의복 음식 주거 등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것

을 지적하고 있다 물가는 상승하였지만 同治 이전에 비하여 분명히

사치품의 소비 증대와 中人의 집도 소비 수준이 제고된 것이 드러나고

있다 민중의 빈곤은 있으나 이 시기 빈부 격차가 커지고 생활 수준의

격차가 커진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11: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99민국시기에는 1920년대까지 米価가 지속 상승하고 인플레이션이 심

해 매년 33 비율로 상승했다는 조사가 있다41) 민국 전기는 비교적

안정 속의 상승세이고 민국 중기는 역시 기본상 상승이지만 1932-35

년 사이는 하강하고 있다는 견해도 있다42)

湖南 내부 각 지역의 米価도 상호간에 긴말한 연동 관계를 보이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고43) 上海와 長沙 사이에도 고도 상관있는 것이

파악된 바 있다 그러나 공간을 달리 하면 도량형이나 화폐 종류 등의

차이로 정확한 변화를 파악하기 어렵다 되도록 좁은 범위의 지역을

연구 대상으로 할 때 상대적인 정밀도가 높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래

서 本考에서 長沙縣을 중심으로 같은 長沙府 내의 몇 개 縣을 관찰하

여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 이후 民國中期인 1936년까지를 주

대상으로 物価 변동을 살펴보려 한다

兩湖農業地理에서는 湖南 湖北의 米価를 세부 지역 구분 없이 종

합하고 있는데 例示 가격의 시기 역시 일정하지 않다 따라서 정밀성

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lt표2gt와 lt표3gt은 長沙府 醴陵縣志에기재된 것으로 해당 지역 상인의 장부와 縣商會 조직에 의한 기록을

토대로 한 것이다44) 당시인의 물가 변동에 대한 인식이라 비교적 정

확하다고 생각된다 같은 長沙府 寧鄕縣에서도 光緖7年 穀価가 1石당

600文이라는 기록이 있는데 lt표2gt의 예릉현 광서4년(1878) 기록과 근

접하고 있다45) 長沙를 중심 시장으로 하여 같은 府內의 시장 통합성

이 큰 것은 이미 확인한 바 있다46)

41) Yeh-chien Wang 앞의 논문

42) 譚文熙 앞의 책 p302 p356

43)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物価

44)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45)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46) 張麗芬 앞의 책 p197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0

시기 단위 가격(文) 米価

광서4년(1878) 石 680 1360

광서14년(1888) 780 1560

광서19년(1893) 680 1360

선통원년(1909) 2000 4000

민국원년(1912) 2800 5600

민국5년(1916) 2800 5600

민국10년(1921) 3800 7600

lt表2gt 醴陵縣 穀価(a)(私家數簿에 의함)

lt圖2gt 醴陵縣 穀價(a) 石文

-附記 前淸通行制錢文으로써 단위 민국초년에는 비록 銅元을 사용하나 관습상 1銅

元은 10文에 해당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1

시기 단위 가격(元) 米価

민국15년(1926) 石 160 32

민국20년(1931) 240 48

민국25년(1936) 250 50

민국27년(1938) 280 56

민국28년(1939) 500 100

민국29년(1940) 800 160

민국30년(1941) 3000

-lt表2gt lt表3gt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物価

lt表3gt醴陵縣 穀価(b)(縣商會 조사)

lt圖3gt 醴陵縣 穀價 石元

lt표2gt와 lt圖2gt를 보면 長沙府의 米価는 光緖4년(1878)부터 광서19

년까지 비교적 낮은 채로 있다가 그 이후 급등하여 청말에서 민국 전

기 까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lt표3gt과 lt圖3gt을 보면 민국 15년

(1926)에서 민국 27년(1938)까지 비교적 안정속의 상승세를 보이다가

그 후에 급등하고 있다 本考에서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는 것은 민국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2

時期 銀価(兩石) 錢価(文石) 出典

道光 16年(1836) 10 1400 民國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Prime 25年(1845) 05 1000同治長沙縣志 권33

祥異 光緖善化縣志 咸豊元年(1851) 08 1600 民國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함풍 3年(1853) 05 1000 同治湘鄕縣志 권5 祥異함풍 6年(1856) 07-08 1400-1600 同治安化縣志 권34 五行

同治元年(1862) 308 4000 同治瀏陽縣志 권14 祥異

同治 9年(1870) 296-370 4000-5000 Prime

光緖 7년(1881) 08-266 1200(4000) 民國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光緖年間 125-188 2000-3000 長沙日報 宣統2年2月

선통32年(1906) 25 4000 Prime

선통 2年(1910) 412 7000 Prime

長沙日報는 兩湖農業地理 p274에서 再引用

lt表4gt 長沙府 縣志等 米価 기록

중기인 1936년까지이다 항일 전쟁 발발과 國共 대립 등으로 극도의

혼란기인 민국후기는 특히 경제면에서 역사적 실체를 파악하기가 매우

어렵다

lt표4gt는 주로 長沙府 내의 縣志를 이용하여 米価를 정리한 것이다

흉년시의 특별한 가격이 아니라 평상년 가격 위주로 작성한 것이다

풍년시의 가격도 있으나 수년간 풍년이 지속되었다면 常年 가격에 준

한다고 생각된다 함풍3년(1853)의 米価는 兩湖南農業地理에 인용된

曾國藩 上奏시의 米価와 동일하다 같은 자료를 더 이용하면 함풍7년

(1857)에는 駱文忠公遺集 1石당 3200-3500文의 기사가 있다 역시

曾國藩의 上奏文에 同治2年은 1石당 30兩인데 당시의 銀錢比価로 환

산하면 3900文이므로 lt표4gt上 동치 元年 4000文과 거의 유사하다 同

治7년(1868)은 李瀚章의 上奏文에 4000文 전후로 되어있어 표의 내용

과 거의 일치한다 이것들을 짜 맞추어 보면 위 지방지 기록이 상당한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3

lt圖4gt 長沙의 米価 변동

bull광서4년 14년 19년은 예릉현지 물가표 기재 이용

bull광서7년은 민국 영향현지 기록 가을 이전의 평상 가격 이용

bull광서32년은 水災시의 가격

예릉현 물가표상의 광서 기록을 보충하여 수정한 결과

신뢰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표4)의 내용에 長沙府 醴陵縣志의 물가

표상 광서4년 14년 19년을 포함하여 구성해 본 것이 lt圖4gt이다

이것을 종합하여 보면 도광 16년(1836) 이후 함풍6년(1856)까지는

비교적 저렴한 米価가 유지되다가 함풍7년(1857)이후 米価가 급등한

것으로 생각 된다 동치 년간은 동치원년(1862) 4000文에서 동치2년

3900文 동치7년 4000文전후 동치9년 4000-5000文으로 계속 高米価가

유지된 시기였다 그런데 銀錢比値는 동치2년 1300文 동치 7년

1300-1400文으로 도광말 함풍초보다 오히려 안정되어 있다 淸末 이

지역의 지방지를 검토하면 거의 모두 嘉慶 이전은 米価를 銀兩으로 표

시하다가 道光 이후는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도광 이후 淸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4末은 米価도 錢文価가 실제 시장 가치를 잘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

다 동치 년간 상당히 高米価가 유지되었지만 道光末咸豊初와 같은 lsquo銀

貴錢賤rsquo 현상은 보이지 않기 때문에 米価 상승이 농민에게 어느 정도

유리했다 여겨진다 lt圖4gt를 보면 光緖 전반에는 米価가 상대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光緖19年(1893)까지는 하락 안정세를 보이다가 그 후에

급등하고 있다 호남성 수확기의 中米 가격 조사에서도 비슷한 경향이

보인다47) 中米 가격도 광서22년(1896)부터 대체로 상승추세인데 광서

34년(1908)에 급등하고 있다 앞서 彭信威가 연구한 江浙 米価 변동에

19세기 24분기와 19세기 780년대가 米価低落期에 해당된다고 하는

데48) 이것과 유사한 면을 가지면서 약간의 편차가 있다 즉 동치 년간

(1862-74) 70년대 전반까지는 대체로 高米価가 유지되었고 光緖 전반

의 하락은 90년대 전반까지인 것으로 생각되는 것이다 淸末 上海의

米価 조사도 1862-71(213) 1872-81(128) 1882-91(142) 1892-1901

(207)로 되어 있어 위 호남 長沙의 米価 변동과 비슷한 궤적을 그리고

있다49)

lt표1gt에 제시된 광서 24년(1898)의 長沙 米価도 3000文-4000文 사

이에 형성되어 상당한 高米価이다 같은 湘報에 실린 내용에 岳州에

집결된 湖南米가 漢口에 운송 판매되는데 米価는 3700-800文 또는 4천

수백文에 이른다고 되어 있다50) 대략 光緖20年(1894) 이후부터 淸末까

지 高米価가 지속되었다고 생각된다 松江府續志의 기록을 이용하여

光緖年間 低米価와 그로 인한 장기 不況이라는 해석은 長沙府 일대에

서는 드러나지 않는다51) 低米価는 光緖年間 전체는 아니고 光緖

(1875-1908) 년간의 거의 전반에 해당하는 1893년 이전의 일로 생각된

다 후반에서 淸末까지는 急騰에 가까운 高米価의 변동을 보여주고 있

47) 岸本美緖 앞의 책 p19

48) 同上 p443

49) 湘報 76號 p67650) 李文治 中国近代農業史資料 제1집 p561 岸本美緖의 해석 앞의 책

pp442-443

51) 張人价 앞의 책 pp93-9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5

機米 河米 糯米 총 평균

가격 지수 가격 지수 가격 지수 가격 지수

1928 652 7564 503 7065 805 9015 653 7944

1929 862 10000 712 10000 893 10000 822 10000

1930 1003 11636 862 12107 1037 11613 967 11764

1931 1002 11624 845 11868 1020 11422 956 11630

1932 1008 11694 817 11475 947 10605 924 11241

1933 594 6868 504 7079 757 8477 618 7525

1934 671 7784 590 8287 812 9093 691 8406

1935 1004 11647 810 11376 1012 11333 942 11460

lt表5gt 長沙의 米価(石元)

예릉현 물가표를 보면 民國 시기에도 대체로 안정속의 상승세가 지

속된다 청말에서 1921년까지 米価가 급등한 것으로 보이지만 1926년

에서 1936년까지는 안정 속 상승의 추세이다 兩圖 사이에는 가격 단

위의 차이가 있어 직접 접속은 곤란하지만 흐름은 그렇다고 여겨진다

호남성경제조사소 의 조사에 근거한 민국17년(1928)부터 민국24년

(1935)까지의 8년간 米価 기록을 제시한 것이 lt표5gt이다52)

이것을 보면 등락은 있지만 비교적 米価가 안정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上海의 米価도 1912-1928년 사이 407 상승하였는데 1921-1928년

사이에는 154 상승하였다53) 호남성의 米価는 宣統2年-民國元年 3개

년 평균가와 민국 21-23년 3개년 평균가를 비교했을 때 86 상승이라

는 조사도 있다54) 대체로 淸末에서 民國 전기까지는 가격이 급등하고

민국 중기에는 안정 속의 상승이 추세였다고 생각된다

호남성 汝城縣의 물가변동을 보면 우선 지방지 편찬자의 시기 구분

52) 徐正元 上海近代稻米市場価格變動分析 (中國經濟史硏究 1996年 2期)

53) 張人价 앞의 책 p87

54)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 91998)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6

1898年 1935年

소금 56文斤 57斤

洋油 50文斤 64斤

돼지고기 105文斤 30斤 015-020元斤 25-33斤

鷄育 123文斤 26斤

羊肉 117文斤 27斤

茶油 100文斤 32斤 019-024斤 21-26斤 瀏陽가격

면화(中棉) 217文斤 15斤 03-05斤 10-17斤 湘陰 Prime

1898年 中米1石価 (湘報소재 1石 3193文 적용)

1935年 長沙米価 民國25年 刊 通郵地方物産誌 湖南의 長沙靖港米価(担40-60元

의 중간 값 이용) 1石은 1担보다 크므로 실제 米価는 이보다 높을 것임

이 의미있다고 생각된다 同治丁卯志 편찬 이후부터라고 명시하고 있

는데 丁卯年은 同治6년(1867)이다 이후부터 민국21년(1932)까지를 세

시기로 구분한다55) 同光 시기 光宣 시기 民國 시기이다 즉 동치 후

반에서 광서 전반 광서 후반에서 선통 년간이니 광서 후반부터 물가

상승이 컸던 것을 반영한다고 여겨진다 여성현 물가표상 米価 변동을

단순 비교하면 지수는 100 200 400으로 변한다 1930년대 전반의 米

価는 동치 후기에 비하여 약 65년만에 300 상승한 것이다 이것을

신뢰하더라도 앞서 18세기 전후 백년간 물가가 300 상승하였다는 당

시인의 인식과 상승률은 거의 비슷하다56) 장사부 상음현에서도 18세

기 중후반 67년간 米価가 300 상승한 바 있다 예릉현 물가 표상

1878년에서 1921년까지는 米価는 약 458 상승하였지만 1926년에서

1936년까지 10년간은 약 563 상승에 그쳤다 민국 중기는 비교적 안

정속의 상승을 보여 주고 있다 lt표5gt에 제시된 長沙 機米의 8년간

가격도 54 정도 상승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미가의 명목 수치상 등

락을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질 가치를 알아보려면 상대 물가 즉

米1石価의 구매력이 얼마인지를 보아야 한다

lt表6gt 長沙 中米 1石価의 구매력 변동

55) 郭成康 앞의 논문

56) 張麗芬 앞의 책 p270 각주7)에 보면 호남성 1担価는 140-150斤 1898年 長

沙 米価는 1石당 150-155斤임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7

1935년의 長沙 米価는 通郵地方物産誌의 長沙 靖港의 米 1担価를

이용하였다 실제 石은 担보다 크므로 米価는 여기서 잡은 5元을 상회

할 것이라 생각된다57) 같은 자료의 물가를 이용하여 제시한 lt표6gt을

보면 돼지고기 값은 1898년의 30斤에서 1935년은 25-35斤 사이이다

그 범위 안에 있는 것을 보면 米価의 실질 구매력은 유지되고 있다

茶油는 다소 하락하였지만 면화도 유지 또는 상승이라 볼 수 있다

예릉현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돼지고기는 상승 추세 속에 일

부 하락년이 있다 선통 원년과 민국 원년에 수치가 상승한 것은 米価

의 폭등이 기타 물가를 크게 앞지른 것으로 여겨진다 민국 중기에 약

간 하락하였지만 1935년의 돼지고기 구매력은 광서4년(1878)에 비해

67정도 상승하고 있다 茶油의 경우도 민국 10년(1921)까지 米의 상

대 구매력이 대폭 상승하고 있다 이것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米価 변

동을 통해 농민 소득이 하강했다고 여겨지지 않는다

광서4년1878

광서14년1888

광서19년1893

선통원년1909

민국원년1912

민국5년1916

민국10년1921

민국15년1926

민국20년1931

민국25년1936

猪肉 15斤 25斤 22斤 36斤 35斤 23斤 27斤 16斤 28斤 25斤

草魚 34斤 39斤 38斤 57斤 62斤 35斤 - 20斤 32斤 33斤

茶油 12斤 23斤 25斤 27斤 - - 25斤 - ① -

鹽 23斤 26斤 22斤 33斤 62斤 - 42斤

棉花 7斤 16斤 5斤 - - - - - ②

洋紗 - - - - - - - ③

煤油 - - - - - - - 15병 2병 11병

雞 17斤 22斤 20斤 33斤 22斤 19斤 21斤 - - -

史料上 穀価를 lsquo1米2穀rsquo의 원칙에 따라 米価로 환산하였음① 민국 15년(1926)부터는 茶油의 단위가 石으로 되어 있어 비교 곤란② Prime 棉花의 단위가 石으로 되어 있어 비교 곤란③ Prime 羊紗의 단위가 件으로 되어 있어 이해 곤란

lt表7gt 醴陵縣 米価의 물품구매력 변동추세(米1石의 구매력)

57) 刘泱泱 湖南通史 近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p487-488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8

품목

시기

단위

同光

(1870-1890)

光宣

(1890-1911)

民國

(1912-1932)

肉 斤 188 188 175

鹽 斤 60 75 636

洋紗 捆 100 100同光시기洋紗통행안함

土布 尺 100 120 140

洋油 甁 20 10同光시기

洋油 未 盛行

茶油 斤 188 188 175

桐油 斤 214 200 194

柴 750 875

同治丁卯志(1867)편찬 이후라 되어 있어 대략 70년부터 잡은 것이다

lt表8gt 湖南 汝城縣의 穀1石価의 구매력 변동

호남 汝城縣의 穀1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고기는 光宣 시기에

유지되다가 민국 시기에 약간 하락하였으나 근소한 수치이다 鹽의 구

매력은 光宣 시기에 대폭 올랐다가 民國 시기에 하락하였으나 同光 시

기 보다는 높은 수치이다 洋紗에 대한 구매력은 光宣 시기에서 民國

시기에도 계속 유지되고 있다 茶油는 고기와 같은 변화이다 土布에

대해서는 구매력이 계속 증가한다 洋油에 대해서는 民國 시기에 구매

력 감소를 보이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호남의 대외무역은 외국의 공

업품과 농부산품 원료를 교환하는 것인데 고가의 공업품 대신 강제

저가의 수단으로 호남의 농산품을 약탈한다는 견해58)는 약간의 재검

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공업 상품 가격의 翦刀差에 대해서도 洋紗

의 경우를 보면 나타나지 않고 있다59)

이상을 종합하면 同治年間의 高米価 光緖前半(1875-1891)까지의 상

대적 低米価 光緖後半-宣統까지의 高米価 급등 民國前期의 계속 상승

58) 李金錚 二十年來 中國 近代 鄕村 經濟史的 新探索 (歷史硏究 2003年 4

期)

59) 譚文熙 앞의 책 pp298-299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9

品目 洋麵 淮鹽 茶油 桐油 洋油 猪肉 雞 鴨 烟煤 柴煤

단위시기

包 斤 100斤 100斤箱2桶(50斤)

斤 斤 斤 100斤 衡斗

31-310 26兩 56文 73兩 19兩 104文 112文 88文 320文 24文

311-320 26兩 Prime 73 19 104文 128文 88文 320文 24文

321-331 26兩 Prime 73 625兩 189 108文 128文 88文 320文 252

41-410 26兩 Prime 728 628 186 320文 240

411-420 27兩 Prime 728 626 183 254 228

421-430 29兩 Prime 72 616 181 314 260

51-510 293兩 Prime 711 606 178 310 240

511-520 274 Prime 71 60 183 314 240

521-531 26 Prime 71 60 185 314 229

61-610 26 Prime 699 60 185 299 219

611-620 231 Prime 734 61 184 320 255

621-630 22 Prime 754 62 183 311 254

71-710 22 Prime 774 649 183 310 250

711-719 218 Prime 768 631 181 318 265

면화는 上棉 中棉 下棉의 가격이 제시되고 있으나 여기서 생략함

lt表9gt 1898年 3-7月間 長沙物価

民國中期(1926-1936)까지 안정이라는 米価 변동의 궤적을 확인할 수

있고 그 기간 동안 米価의 실질 구매력은 유지 또는 상승이 대체적 추

세였다 생각된다

2 物價 변동

1) 단기 변동

湘報에 수록된 光緖24년(1898)의 長沙 물가 변동을 표시한 것이

lt表9gt와 lt圖5gt이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0

品目 단위 최고가 최저가 시기 유통량 행선지

鴨絨 斤 500 300 冬 上海 北平 天津 南京

일반적으로 米価와 物価는 상호 연동적이라 생각되지만 여기서 물

가의 단기 변동은 米価와는 다소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대체로

등락 폭이 크지 않다 洋油 洋麵 桐油 등의 변동폭이 크지 않다 면화

만 4월 10일 20일 사이에 상승이 있지만 5월부터는 하락하고 있다

淮鹽 가격은 斤당 56文으로 3月에서 7월 사이에 전혀 변동이 없다

長沙지역은 원래 淮鹽 관할 구역이었으나 太平天國 시기에 교통 두절

로 川鹽 소비지역이 되었다 太平天國후 曾國藩이 이 지역을 淮鹽 소

비지역으로 회복하기 위해 여러 가지 개혁 조치를 행하고 督銷局에서

가격을 核定하여 고시하는 牌價 제도를 시행한 바 있다 일종의 통제

가격제도에 의해 가격 상승이 억제되고 있었던 것이다 直隷의 景縣의

소금 값은 1890년에 斤당 46文 1900년에 斤당 68文이라는 조사도 있

다60) 長寧縣에서는 光緖29年(1903)에 鹽価가 斤당 55文이라는 보고도

있는데 이것은 長沙 1898年의 鹽価와 유사하다61)

戰亂後에 淸朝정부의 淮鹽 소비지 회복 정책에도 불구하고 四川鹽

이 계속 私鹽으로 침투하였기 때문에 長沙의 淮鹽価를 저렴한 통제 가

격下에 두고 있었다고 생각 된다62) 圖6)에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柴煤

는 米価와 같이 5月10日에 최고가에 가깝고 6월10일에 하락하고 그후

에 상승하고 있다 烟煤의 경우에도 비슷한 궤적을 그리고 있다 이것

은 米価와의 연동관계가 비교적 분명하다

1935년의 長沙 物価의 단기 변동 폭을 알 수 있는 것이 lt표10gt이

lt表10gt 長沙物価 通郵地方物産志

60) 李文治 앞의 책 p562

61) 譚文熙 앞의 책 p267-268

62) 佐伯富 中國史硏究 第1卷 (京都 同朋舍 1978) pp340-36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1

黑鉛 石 2200 1300 全年 50000石 漢口上海

棉紗 件 22000 1800 Prime 24000件 本省

棉布 疋 120 150() Prime 1000000 漢口

麵粉 袋 50 250 Prime 140000 Prime

線襪 雙 106 Prime 6000000 本省

毛呢鞋 Prime 200 180 Prime 400000 Prime

夏布 疋 1000 200 夏 20000 上海漢口

火柴 箱 500 300 全年 10000 本省

刺繡 Prime國內및外洋

매년 産量 약50만元

玻璃器 件 300 200 Prime 9000 本省

肥皀 箱 70 50 Prime 30000 Prime

絲綿三角 兩 040 020 Prime 40000 Prime

國貨電池 打 060 040 Prime 200000 Prime

猪 斤 020 015 Prime 50000只 漢口上海

豬毛 担 6000 5000 Prime 4000kg Prime

粗窑器 卡 350 250 Prime 100000套 長江연안

毛筆 支 050 020 Prime 本省 및 황하 각성

여기서 보면 변동폭이 100 이상인 것은 면포 夏布 絲線三角 毛

筆 麵粉 등이다 또 50 이상인 것은 鴨絨(가공오리털) 667 흑연

692 火柴(성냥) 667 玻璃器(유리그릇) 50 국산 電池 50 등이

다 비누는 40 粗窰器는 40이다 棉沙 222 毛呢鞋는 111 돼

지 333이다 단기 변동 폭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고 생각된다 이

것은 이런 물품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성이 크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그런데 1898年의 경우는 茶油 洋油 등 물품의 가격 변동폭이 적은 것

은 무엇 때문일까 어쩌면 당시의 시장 가격 조사가 부정확했는지도

알 수 없다

1935年의 물가에서 綿沙의 변동폭이 적은 것은 당시 항상적인 수요

가 있었기 때문이 아닐까 비누의 변동폭도 40로 비교적 적은데 생

필품으로 수요가 지속 증대된 까닭이 아닐까 한다 通郵地方物産誌에 기재된 醴陵縣 夏布 가격은 40元-100元 사이인데 民國醴陵縣志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2

圖5) 1898年 3月-7月 長沙物價

의 物価表上에는 70元(1938)이라 되어 있다 物産誌 가격은 1935年

의 것인데 예릉현지의 가격이 그 범위 안에 있어 서로 다른 자료간에

부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63) 物産誌 上 相潭株洲의 茶油 값

매 石 160-240元(1935)은 예릉현지 물가표의 민국 20년(1931) 茶油 매

石 240元과 일치하고 있다 표12)에 1936年 煤油 값은 병당 44元이다

그런데 民國 安鄕縣志에서도 1934년 煤油 값은 병당 38元으로 되어

있어 兩者 사이에 유사성을 보여주고 있다64) 그러므로 醴陵縣志 物価의 종적 비교도 신뢰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洋麵은 包당 가격

茶油桐油洋油는 100斤당 가격

棉花 100斤당 가격

2) 장기 변동

長沙의 물가 변동을 보려면 湘報 수록의 광서 24年(1898) 물가와

63) 交通部郵政總局 編 中國通郵地方物産誌 (華世出版 1988)

64) 民國 安鄕縣志 卷11 食貨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3

품명 단위광서4년

(1878)

광서14년

(1888)

광서19년

(1893)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

(1912)

민국5년

(1916)

민국10년

(1921)

豬肉 斤 88文 63 62 112 160 240 280

雞 斤 80 72 68 120 250 300 360

lt表12gt 醴陵縣 物価表 (b) (商会조사)

품명 단위민국15년(1926)

민국20년(1931)

민국25년(1936)

민국27년(1938)

민국28년(1939)

민국29년(1940)

민국30년(1941)

猪肉 百斤 200원 170 200 360 400 561 1300

草魚 Prime 160 150 150

茶油 石 240 290 560 760 2000

鹽 石 120 140 150 160 2000

洋紗 件 2200 2200 2400 2000 2500 1500

土布 匹 27 70

夏布 Prime 70 70 140

竹布 Prime 100 100 8000

棉花 石 20 25 40 100 200 400

煤炭 石 020 030 040 050 230 70

煤油 甁 220 240 440 90 300 460 200

毛邊紙 石 198 432 1200

黑靛粉 桶10斤 100 200 1500 2000

赤金 兩 50 70 80 90 500 560 1600

lt表11gt 醴陵縣 物価表 (a)(私家數簿에 의한 것)

民國24年(1935)의 通郵地方物産誌 기록을 직접 비교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양 자료 사이에 화폐와 단위가 서로 달라 직접 비교할 수가 없

다 그래서 당시인의 물가 변동 기록인 長沙府 醴陵縣 物価表를 이용

하는 것이 파악 방법이 될 것이다

lt표11gt lt표12gt 와 lt圖6gt lt圖7gt을 보면 개별 물품에 따라 차이

는 있지만 대체적인 흐름은 米価 변동과 유사한 궤적을 보여주고 있

다 즉 光緖 前半에 비교적 안정적이다가 光緖 후반부터 급상승하여

민국 전기까지 상승하고 있다 1926년부터 1936년까지는 가격 안정세

를 보여 주고 있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4

雞蛋 個 2 2 3 4 10 15 20

草魚 斤 40 40 36 70 90 160

茶油 斤 116 69 54 150 300

鹽 斤 60 60 63 120 90 180

煤 石 50 120 50

苧麻 斤 270 99 170

棉花 斤 200 96 280

竹布 尺 70 62 60 60 90

靑洋布 尺 55 50 50 70

白蓮紙 刀 40 82 80 100

-附記 前淸 통행 制錢文으로써 단위 민국 초년에는 비록 銅元을 단위 사용하나 관습상 매 1銅元은 錢10文에 해당

圖6) 醴陵縣 物価 (a)

① 豬肉 斤당 가격 ② 雞肉 斤당 가격 ③ 茶油 斤당 가격

④ 鹽 斤당 가격 ⑤ 棉花 斤당 가격 ⑥ 草魚 斤당 가격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5

圖7) 醴陵縣 物価(b)

① 猪肉 百斤당 가격 元 ② 草魚 百斤당 가격 元 ③ 茶油 石당 가격 元

④ 鹽 石당 가격 元 ⑤ 洋紗 件당 가격 元 ⑥ 棉花 石당 가격 元

⑦ 煤油 甁당 가격 元

米価가 物価와 연동되는 것에 대해서 江都縣史料를 보면 ldquo産米 구역

에서 年末에 米価가 상승하니 百物이 昻貴했다rdquo65)라고 되어 있다 湖

南지역 米価 연구 자료에도 米価 추세는 거의 물가 수준과 같다는 주

장이 있다66)

光緖末宣統年間의 물가 상승을 나타내는 史料를 보면 다음과 같다

이제 각종 惡政의 결과로 百物의 騰貴를 초래했는데 小民의 日用 수요

65) 李文治 앞의 책 p470 ldquo江都爲産米區域 年末米価騰踊 百物因以昻貴rdquo

66) 張麗芬 앞의 책 p22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6음식은 그 가격이 십년 전에 비해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과 居室 器用

蔬饌의 비용 牛種糞漑의 비용도 예전 보다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도 비록

동일 비례로 함께 올랐으나 이미 넉넉하지 못해 괴롭다67)

이것을 보면 米価와 物価가 연동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청말

특히 光緖 후반 이후에 각종 物価가 두 배 올랐다는 사정을 알 수 있

다 上海의 物価도 같은 시기에 상승하고 있다68)

lt표11gt lt표12gt와 lt圖67gt을 검토해 보면 돼지고기 값은 광서 14

년 광서 19년까지는 다소 하락세를 보이다가 宣統원년(1909)부터 급격

히 상승하고 있다 민국원년(1912)의 가격은 160文으로 1878年의 88文

에 비해 거의 두 배에 해당한다 위에 인용한 宣統 2年 8月 國風報의 물가 두 배 인상과 정확하게 부합되고 있다 민국 전기인 1926년까

지 계속 상승하고 있지만 1926년에서 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이고 있

돼지고기 값은 1878년-1909년 사이 273 상승했고 1912-1921년 사

이에 75 상승했다 닭은 각기 50와 44 상승했다 계란은 100

100 상승이었다 淸末 비교 시기는 31년간인데 비해 민국 전기는 9

년간에 불과하다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가 급등한 것은 충분히

알 수 있다 1926년에서 1936년 10년간 돼지 값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거의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이었다

民國 醴陵縣志에도 ldquo辛亥혁명이전에는 물가가 심한 등락이 없었는

데 민국 후에 들어와서 차츰 상승했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69) 圖6)을 보

면 닭고기도 비슷한 궤적을 보이고 있다 草魚의 경우도 청말 민국전

기는 상승이 주요 동선이고 민국 중기(1926-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

67) 國風報 第1年 21期 宣統 2年 8月 (李文治 앞의 책 p561) ldquo今也以種種惡

政之結果 以致百物騰踊 小民日用 飮食所需 其価皆視十年前兩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居

室器用蔬饌之費 牛種糞漑之費兩倍于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雖以同一比例以俱騰 旣苦不

給矣rdquo

68) 岸本美緖 앞의 책 p443

6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物價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7이고 있다 譚文熙 物価史에는 민국 전기는 안정속의 상승세로 민국

중기는 파동속의 상승으로 정리를 하고 있는데 여기와는 약간의 차이

를 보이고 있다70) lt표11gt과 lt표12gt 사이의 화폐 단위 차이로 인한

연속적 파악에 다소 어려움이 있으나 대체의 추세는 짐작할 수 있다

또 품목에 따라 공란이 있어 연결 관계가 애매한 부분이 있다 1936년

이후는 중일 전쟁의 혼란과 불환지폐의 강제 통용 등의 사정으로 本考

에서는 분석 대상 범위에서 제외 하고자 한다

Ⅱ 物價 변동의 원인

1 수요 측면

米価와 物價가 상호 연동관계에 있고 넓은 의미에서는 米価도 물가

의 일부이다 米価 및 물가의 상승은 우선 수요의 증가에 원인이 있다

고 할 것이다 수요증가는 일반으로 인구 증가이다 湖南의 인구는 嘉

慶21年(1816) 18754259명에서 1898年 21174000명으로 다시 民國17년

(1928)에는 31501212人으로 비약적 성장을 하였다71) 약 110년 동안

인구가 1300만 가까이 증가하였고 비율로는 679가 증가하였다 長沙

府의 인구도 가경 25년(1820)에서는 4290086명이었는데 민국23년

(1934)에는 8421330명으로 약 400만명 이상 증가하여 963 상승을

보이고 있다72)

인구의 증가가 수요 증대를 초래하는 일반 요인이지만 湖南의 米穀

移出이 해당 지역 민중의 식량을 제외하고 남는 잉여 米만은 아니다

70) 譚文熙 앞의 책 pp302-307 여기서는 민국 전기는 1912-1927년 민국 중기

는 1927-1937년으로 구분하고 있다

71) 湖南省志 地理志 (長沙 湖南人民出版社 1982) pp230-238

72)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8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의 증대가 더 중요한 요인일 것이다 淸末에

와서 새로운 생업을 통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가 많이 증가하고

있는데 醴陵縣 사례를 한번 검토해 보겠다 史料는 다음과 같다73)

同治志에 이르기를 醴陵의 풍속은 lsquo安土重遷rsquo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상인이 外地에 나

가 장사하는 이가 적었다 배를 이용하여 외부 상업을 하는 것은 淥口 부

근의 米穀商일 뿐이었다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邑人들이 茶제조로 武漢에 판매하는 자가

이익이 배가 되었다 이때부터 龍門일대에 매양 봄에 茶를 제조하고 가리

는 廠이 항상 수십이었다 光緖末年에는 도자기업 夏布 編爆이 일어나서

대신하였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이를 믿고 생계를 삼는자가 무려 십만인이다

同治志 편찬 단계만 해도 사람들이 토착 안주하여 멀리 이동하는

것을 어렵게 여겼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큰 이익을 보고 그

후 도자 기업 夏布 編爆 제조에 종사하여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나 되었다는 것이다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의 성장을

보여주는 것이다 長沙의 빠른 도시화도 주목된다 長沙日報에 실린

내용을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74)

光緖32년(1906)에 火災 조사시에 城廂 내외가 매일 식량으로 穀 5000

石이 필요하였다 지금 교통이 편리하고 상인 旅客이 배로 증가하였으니

매일 마땅히 1-2000石을 더해야 한다(宣統 2年(1910) 2月 17日 長沙日

報)이것을 보면 光緖32년(1906)에서 宣統2년(1910)은 불과 5년이 채 되

지 않는데 상인 집단이 배로 증가하였다니 城內外의 유동인구 급증을

짐작할 수 있다 長沙城의 인구는 1916年에 177882人이었고 1931年은

385514人으로 증가하였다 불과 15년 사이에 1167 증가이다 배 이

73)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ldquo同治志云 醴俗安土重遷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商賈外

貿者少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揚帆外貿則 僅淥口附近之穀米商而已 光緖初 紅茶業興 邑人製茶

販運 漢皋者 獲利倍蓰自是來龍門一帶 每屆春日 製茶捒茶列廠恒數十 訖於光緖

末年 則有瓷業及夏布編爆起而代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恃以爲生者 無慮 十萬人rdquo

74) 李文治 앞의 책 p551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9상이 증가하였으니 長沙의 도시화도 급속히 진전 되고 있다75)

민국10年의 湖南 實業雜誌 보도를 보면 당시 長沙에 蓆工 500人

刻字工 300人 방직공 3200人 이발공 800人 香工 400人 합계 5200人

이 있었다 長沙大公報에 의하면 민국9년(1920)에 長沙에는 부두공

2600人 糞夫 500人 轎夫 1300 車夫 2300人으로 합계 7000人 정도

가 있었다76) 같은 시기 호남성의 광부가 160萬人이고 여기에 手藝工

苦力을 합치면 190만 전후였다고 한다 예릉현에서는 東鄕 일대에서

編爆業 종사자가 수만이고 東北兩鄕에서 磁廠의 女工도 수천이나 되었

다는 기록도 있다77) 湖南 邵陽縣에서도 淸末에 工匠이 5만 상인이 12

만 정도였다는 통계도 있다78) 이렇게 비농업 인구가 다른 생업을 통

해 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로 증가하고 있던 것이 확인된다 이런 유

효 수요 증가를 설명해 주는 다른 史料 하나를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

다79)

어째서 米穀이 날로 적어지고 날로 비싸지는가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水旱災가 날로 많고 농사짓는데 날로 게으르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말은

진실로 일리가 있는데 다 그런 것은 아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선교사 洋商 洋官 洋

兵은 증가한 것이 외국에서 온 사람이다 敎民 游民 賭民 盜民은 內地

에서 증가한 자이다 무릇 농사짓는 사람은 하나인데 먹는 자는 헤아릴

수가 없다 米穀이 어찌 비싸지 않을 수 있겠는가

光緖後期의 사정을 전하고 있는 위 史料를 보면 외국에서 온 선교

사 상인 군인 관리 등도 米価 상승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국내

외를 막론하고 비농업 인구의 급격한 성장이 米価 상승의 원인이라 생

각된다

湖南과 長沙의 米穀은 해당 지역 안에서 소비되는 것보다 揚子江

75) 張朋園 中國現代化的區域硏究 -湖南省 (台北 1998) p376

76) 위의 책 pp412-413

77)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農業經濟

78) 光緖33年刊 邵陽縣鄕土志 권2 인류 실업

79) 李文治 앞의 책 p77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0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많다 청말민국시기에도 지속적인 湖南米의

移出이 있었던 것은 이미 밝힌바 있다80)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穀

米가 騰貴한 이유가 外省의 采辦이 많은 때문이라고 하고 있다81) 상

담현에서도 동치 4년(1865)이전에 해마다 풍년이었는데 穀価가 까닭

없이 騰貴한 것은 江南이 처음 회복되어 米穀의 販運이 많아진 때문이

라고 하고 있다82) 1898年에도 長沙에서 米穀의 원거리 送出을 바라는

지주 富戶와 주민의 갈등 관계가 노출되고 있다83) 宣統2年(1910)의 기

록에도 湖北의 흉년으로 出境 米穀이 과다하여 米価가 급등했는데 작

년 末에는 1石5000文이었다가 금년에는 1石 8000文에 이르렀다는 내

용이 있다84) 같은 자료에 湖南米가 당도 하지 않으면 武漢에서 변란

이 일어난다고 할 정도이다

하류의 上海는 한적한 어촌에서 근대에 대도시로 성장하였다 武漢

上海등의 도시화와 상공업 발전 인구 집중은 長沙米의 급격한 수요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宣統 년간에 長沙가 전국적인 4大 米市의 하나

로 성장한 것은 우연한 일은 아니다85)

근대에 대외 교역증가가 물가 상승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생각된

다 1873년에서 1930年 사이에 농산물 수출 통계는 1910년을 100으로

했을 때 1873년은 12 1893년은 123 1903년 386 1920년은 1324

1930년은 2709로 급상승하고 있다86) 농산물의 수출은 해외 수요의 증

가이다 이런 교역상 수요 증대는 가격의 등귀 뿐 아니라 작물 재배

면적의 확대에도 기여하고 있다

80)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81)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20

82) 光緖6年刊 湘潭縣志 卷29 災祥志

83) 湘報 89號 長沙縣職員常達邦呈批

84) 李文治 앞의 책 p381

85) 徐正元 中國近代農産商品化的發展與米市的形成 (復印報刊經济史 1997年3期)

86)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권2 p14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1宣統2년(1910) 長沙에 영국 상인이 출현하여 米穀 구매를 단행하자

米価가 하루에 여러 번 급등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였다87) 湖南에서

는 또 광동 상인의 영향을 받아 紅茶 제조법을 습득하여 홍차를 대량

생산하여 구미에 수출하였다 19세기 60년대부터 20세기 초에 특히 호

남 茶 생산 판매가 극히 발달하였다88) 주요 산지 중에는 長沙 湘潭

安化 등이 손꼽히고 있다

桐油의 수출 또한 괄목할 만한 것이다 湖南의 桐油 수출은 1922년

전국의 3336 1923년은 372로 성장하였다 1929년에는 全省 수출

총액의 45 정도를 차지하였고 桐油 상품화율 80에 달하였다89) 대

외교역을 통한 농산품의 해외 수요 증가는 직간접으로 물가 상승에 작

용하고 있다

2 화폐 문제

물가와 화폐의 관계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통상 화폐 수량의 증가가

생산총량의 증가보다 초과할 때 물가상승이 일어난다90) 보통 淸 후기

에는 아편무역에 따른 銀의 해외 유출과 그 결과 야기된 lsquo銀貴錢賤rsquo 현

상 통화팽창에 의해 물가가 상승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91)

실제 淸末民國기에 걸쳐 통화 팽창과 물가 상승에 대한 기록을 찾

는 것은 어렵지 않다 王業鍵에 의하면 淸末 특히 1875年부터 1911年

까지는 인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단계였다고 한다92)

民國 寧鄕縣志에 보면 ldquo光緖29年(1903)에 처음으로 當十銅元을 주

87) 李文治 앞의 책 p550-551

88) 劉泱泱 앞의 책 p46

89) 宋斐夫 主篇 湖南通史 現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5 p276

90) 陳民 法幣發行制度與通貨膨脹 (復印報刊經济史 2001-1)91) 龔勝生 앞의 책 pp275-280 岸本美緖 앞의 책 p444 張麗芬 앞의 책

p217

92) Yeh-chien Wang Secular Trends of Rice in the Yanzi Delta 1638-1935(California Univ Press 1992)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2조하여 전국에 통용시켰는데 물가의 등귀가 이때부터 시작되었다rdquo는

기록이 있다93) 醴陵縣에서는 光緖32年에 當十銅元을 주조하여 制錢과

병행시켰고 宣統원년에 銀元이 이미 성행하였다 민국원년에는 當二十

銅元을 주조하였는데 雙銅元이라 칭하였다94) 영향현에서도 광서말에

私鑄錢인 毛錢이 나오고 지폐가 통용되는 등 통화팽창이 상업을 일변

시켰다고 한다95)

종전에 비해 실질 가치가 열악한 當十 當二十 등 銅元의 남발과 鈔

票의 성행은 화폐 시장의 과잉을 초래하였다 정식의 鈔票 이외도 각

현 발행의 私鈔와 錢莊에서 발행한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시중에 범람

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민국 시대에는 화폐 남발이 더욱 심하였다 호

남은행을 비롯한 저축은행 농업은행 등이 각기 각종 지폐를 발행하여

혼란이 가중되었다 1915년에 호남의 은행은 33개인데 그 중 장사현 7

개 상담현이 7개였다96)

군벌들이 은행을 개설하거나 질 낮은 화폐 통용을 강제하는 등의

혼란이 민국시기 특징 중의 하나이다97) 화폐 시장에는 銀元 銀角 銅

元 지폐와 鈔票 市票등 유사 화폐까지 복잡middot혼란의 양상이 나타나고

결과적으로 물가 상승을 피할 수가 없었다

선통2년(1910) 격렬한 米価 騰貴가 있었고 長沙에서 대규모 搶米 폭

동이 일어났는데 이것은 단순한 흉년때문이 아니고 銅元 남발 등 화폐

제도 혼란에 기인한 것이었다98) 1880년대 초부터 1920년대까지는 인

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시기로 매년 33 비율로 상승하였으며 1930년

총 화폐보유고는 60억 원에 달했다 반 세기간 화폐 공급은 8-10배 증

가하였다99)

93)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ldquo光緖 二十九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始鑄當十銅幣 通

行全國 物価之踊始此rdquo

94) 民國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95)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財用錄 상업

96) 張朋園 앞의 책 pp258-259

97) 宋斐夫 앞의 책 pp10-12

98) 岸本美緖 앞의 책 p51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3

時期 銀(兩) 錢(文) 出典

乾隆 嘉慶년간 10 1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道光 初(1821) Prime 1300-1400 Prime

Prime 18年(1838) Prime 1400 林則徐湖廣奏橋 권3

Prime 25年(1845) Prime 2000上下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Prime 末年(1850)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咸豊 元年(1851) Prime 2000 民國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咸豊 初 Prime 2300-2400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8 부역

咸豊 3年(1853) Prime 20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5年(1855)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Prime 6年(1856) Prime 2000 湖文忠公遺集 권12

Prime 7年(1857) Prime 1600 骆文忠公奏議 권7

Prime 8年(1858) Prime 1400 胡文忠公遺集 권85

Prime 10年(1860) Prime 1300-1400 胡文忠公遺集 권70

同治 2年(1863) Prime 13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7年(1868) Prime 1300-1400 李瀚章 瀝陳湖北等省漕務

Prime 10年(1871) Prime 1600-1700 同治10年 長沙縣志 권8 부역 錢法

光緖32年(1906) Prime 1600 長沙日報 宣統2年 2月27日

선통 2年(1910) Prime 1700 國風報 宣統2年 3月 21日

표 지방지에서 직접 採錄제외는 龔勝生 淸代兩湖農業地理 pp270-277에서 湖南부분을 발췌하여 再引用한 것임

表13) 湖南의 銀錢比値

그런데 아편전쟁 전후 銀의 과도한 해외 유출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이

초래되고 이것이 물가 상승의 주요인이라 생각되고 있는 데는 약간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表13)을 보면 銀錢比価가 일시적으로 상승하였다

가 다시 하강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은전비가는 지역에 따라 차

이가 있지만 호남 장사를 위주로 정리한 것이 표13)이다100)

99)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0) 邱思達 中國近現代鑄幣圖說 (北京 中國書店 1991) p109 참조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4

주목되는 것은 道光末에서 咸豊初에 일시적으로 상승하였지만 淸末

의 比価가 낮은 편에 속하는 현상이다 청말에 은전비가가 비교적 안

정되고 있는 것이다 아편전쟁 후 5항 개항으로 교역이 확대된 상황에

서 아편무역 증대에도 불구하고 차와 silk 수출에 힘입어 은의 순유입

이 오히려 증가되는 현상이 나타났던 것이다101) 또 光緖17년(1891)이

후 세계 銀価하락 현상으로 은유입이 증가되었다102) 19세기 후반 중

국이 세계 사회에 연결되면서 중국의 무역 적자에도 불구하고 淸 정부

에 대한 대량 차관과 자본 투자를 통해서 거대한 양의 銀이 중국에 유

입되었다 1871년에서 1913년 사이 은의 순 수입은 2억 4천만 海關兩

혹은 3억 6천만 銀달러로 추정되고 있다 세계 시장의 은가 하락과 은

의 대량 유입은 중국의 국내 시장에서 물가 상승을 유도한 것이다103)

이런 배경으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은 일시적인 것이고 청말민국기 전체를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민국 시기에는 銀元과 錢의 교환 비율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은의 유입 현상에도 불구하고 宣統 원년 11150文의 비율에서 민국6년

2250文 민국11년 2840文 민국17년 3500文 민국22년 7200文까지 급등

하고 있다 예릉현의 기록이지만 이것으로 청말보다 민국시기에 통화

팽창현상이 극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4)

銀과 錢이 주요 화폐이고 그 환율이 항상 문제가 되고 있지만 주로

청 후기 이후는 錢文 위주의 경제로 바뀌고 있다고 생각된다 長沙府

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면 대부분 道光 이후는 화폐를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淸 前期는 米価를 銀으로 표시하던 것과는 대조적이

다105) 예릉현에서는 민간에서 세금을 납부하거나 大宗무역을 할 때를

101)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2) 邱思達 앞의 책 pp92-93

103)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4)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10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光緖3年刊 善化縣志 同治13年刊 湘鄕縣志 光

緖15年刊 湘潭縣志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民國37年刊 醴陵縣志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5제외하고 紋銀 사용자가 거의 없다 도광 이후 교역시 대부분 錢文을

사용했다는 기록을 보면 淸 後期는 錢 경제 위주로 넘어간 것 같

다106) 세금을 낼 때 외에 銀錢이 필요 없는 일반민은 錢文 사용권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너무나 당연하다

함풍4년에 長沙에서 大錢을 주조하여 통용시켰으나 결국 시장의 신

뢰를 얻지 못하여 퇴출되고 말았다 1854년 7월에 주조를 시작하여

1855년 4月에 주조를 정지하였다107) 이것을 보면 통화 남발도 결국

시장의 제약을 받고 있다

민국 7년(1918) 3月 張敬堯가 裕湘銀行을 개설하여 銀元票 1000만元

銅元票 3000만元을 발행하였다 그 결과 시장은 혼란에 빠지고 시중금

융은 마비 상태가 되었으며 결국 裕湘銀行 발행의 惡幣는 폐지와 같이

되었다108) 권력에 의하여 통화 팽창이 시도되더라도 시장이 감당할

수 없는 지경이 되면 중단될 수밖에 없다 과도한 통화 팽창은 시장의

질서에 의해 어느 정도 제약 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예릉현에서도 光緖 년간에 錢莊 24곳이 출현하여 盛業을 누렸는데

民國7年(1918) 兵禍로 停業하는 곳이 많아졌고 정부의 통화 남발 화폐

가치 하락 금융혼란의 현상이 나타났다109) 민국18년(1929) 이후는 정

국이 안정되고 교통 편리로 百業이 진흥되고 은행이 역할을 하게 되었

이상에서 보면 淸末까지는 은전비가가 안정되고 통화 관리가 어느

정도 성공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光緖 宣統 시기에 銀元의 주조 외국

銀貨의 대량유입 當十銅元 등 주조로 통화팽창이 많이 되었고 이시기

물가 상승과 연관되고 있다 민국 초기에도 정국 혼란과 무계획적 통

화남발로 물가의 급등을 초래하였다 민국 중기에는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것 같다

106) 龔勝生 앞의 책 p279

107) 劉泱泱 앞의 책 pp150-155

108) 宋斐夫 앞의 책 pp10-11

10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6영향현에서도 민국 21년(1932) lsquo穀賤錢荒rsquo의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

다110) 청말민국기에 전반적으로 화폐량의 증가가 현저했던 것은 사실

이다 다양한 화폐의 등장 銀兩 銀元 銅錢 銅元 외에 외국 銀元의 유

입 그 외 鈔票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출현하였으며 양적인 팽창도 분

명하다 하지만 대외 교역 증가와 경제 활동 인구의 증가 유통 상품의

양적 증가에 의해 시장의 화폐 수요가 증대된 것도 사실이다 통화 발

행은 일차적으로는 경제 주체의 수요에 부응하는 것이지만 그것이 과

도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3 공급기타 요소

물가는 기본적으로 수요공급의 관계에서 결정되는 것이 원칙이다

청말민국기에 걸쳐 인구가 급증하여 물가가 상승한 것은 자연스런 일

이다 그러나 물가 상승률 면에서 청말의 경우가 18세기의 증가율에

비해 크다고 할 수 없다 물가 상승률을 억제하면서 비교적 안정 속의

상승을 할 수 있었던 것은 공급의 증가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청말민국기에 湖南米의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 현상이 지속된 배경

에 비약적인 경지 면적 확대와 새로운 품종 개량 시비법 발전 등 농

업 생산 증대가 있었다는 것은 이미 밝혀진 바 있다111) 米穀 공급의

증대가 물가 상승을 완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雜糧 재배가 同治

(1862-74) 년간에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민중의 식량 문제 해결에 기여

하고 米価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던 것을 城步縣 知縣 盛溢源을

통해서 알 수 있다

洋米 수입이 國産米의 보충 역할을 했다는 지적이 있지만 결국 시

110) 民國30年刊 寧鄕縣新志 전1 縣年記

111) 田炯權 淸末民國期 湖廣地方의 農業生産力과 生産關係 (慶南史學 7

1995)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2001)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

究 25 200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7장에 대한 미곡 공급을 증대시켜 가격 안정에 기여했다고 생각된

다112)

민국 시대 관련 사료를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113)

금일 정세를 보면 국내 米価의 등락은 결코 國産米의 생산량이 많고

적음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외국 産米 구역의 풍년 여부에 따라 영

향이 대단히 크다

이것을 보면 洋米 수입이 國産米価를 조절한다고 볼 수 있다 비슷

한 시기 上海에서도 湖南米가 수입 米의 영향으로 가격이 약간 적게

올랐다는 史料도 있다114) 湘報에도 日本米가 수입되어 중국의 米価

가 차츰 내려갔다는 기록이 있다115) 같은 湘報에 보면 ldquo외국물산이

날로 풍부하여 중국 상품의 판로를 막는데 서양 상품의 가격이 낮으면

중국 상품 가격이 홀로 증가할 수 없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116) 결국 洋

貨도 중국에서는 시장에 대한 상품 공급의 증가이고 이것이 상품 가격

상승을 억제하고 있는 것이다 같은 자료에 중국의 土藥이 널리 판매

되니 외래 洋藥의 가격이 폭락한 사정도 소개되고 있다117)

또 洋蠟의 수입으로 국산 白蠟 가격이 매 100斤 200元에서 100元으

로 폭락한 일도 있었다118) 1921년 독일 면화가 대량 수입되어 중국의

綿価가 하락한 일도 있다119) 光緖년간 부터 중국이 綿紗 생산을 개시

하자 華商과 洋商사이에 가격 경쟁이 시작되었다 수입 綿布도 洋商이

國産布와 경쟁하기 위해 가격을 낮추어 공급하였다120)

112) 王良行 淸末對外貿易的關聯效果(1860-1911) (近代中國對外貿易史論集1997)

113)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卷3 p413

114) 위의 책 p416

115) 湘報 제45호 p1419

116) 湘報 제13호 ldquo外洋之出産日盛 足以抵華貨之銷路 洋価低則華貨不能獨增rdquo

117) 湘報 제162호 p1608

118) 章有義 앞의 책 권3 p662

119) 譚文熙 앞의 책 p342

120) 譚文熙 위의 책 p368 p374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8상인의 가격 조종이 물가 변동에 하나의 요소는 될 수 있다 예릉현

의 土資 판매에 있어 객상의 가격 조종에 저항하기 위해 주민들이 公

司를 조직하여 가격을 바로 잡았다는 기록도 있다121) 지주 부농 米商

등의 매점매석에 의한 가격 조종 사실은 흔히 발견된다122) 秋收期에

시장에 대량 방출된 곡식을 저렴한 가격에 매입하여 端境期에 되팔아

이익을 남기는 것은 상인의 오래된 관행이다 이윤 추구를 위한 개인

의 행위지만 넓게 보면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행위이기도 하

다 각지 농산품 가격 변동 조사에서 원인이 밝혀진 10건 가운데 전쟁

이 2건 豊凶 水旱災가 7건 상인 조종은 단 한 건 뿐이었다123) 제국

주의 상인에 의한 가격 조종이라는 것도 결국 중국 상인의 이윤 추구

행위와 본질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湘報의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124)

輪船이 이미 통행하고 있고 철로가 이미 만들어 졌다 제조업이 날로

번성하고 통상조약이 행해지니 상인이 계속 내왕하고 온갖 상품이 유통

된다 사계절 틈이 없으니 일용 각 물품이 그 가격이 반드시 저렴할 것

이다

이것을 보면 통상 개시 후 교통이 발달하고 상품 교역이 증대된다

는 것과 그 결과 일용품의 가격이 저렴해졌다는 것을 당시인이 인식하

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서방 각국과의 무역 증대는 상품 공급의 증가

이고 가격 경쟁을 통해 물가 상승을 완만하게 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

121)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22) 李文治 앞의 책 p559

123)湘報 제49號 ldquo輪船旣行 鉄路旣造 製造日盛 商約可行 商賈絡繹 百産流通

歲時無間 則日用物品 其価必廉rdquo

124) 安本美緖 앞의 책 제7장 pp239-288 제12장 431-455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9

Ⅲ 物價와 景氣(생활)

1 穀賤傷農과 不況

物價 문제를 단순히 등락의 흐름에만 주목하기보다 경기변동론적

입장에서 好況 不況의 문제로 연관시켜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

이다 岸本美緖는 康熙年間의 lsquo穀賤rsquo 현상이 不況과 연결되어 있고 光

緖年間 蘇州의 不況도 lsquo穀賤rsquo이 원인이었음을 지목하고 있다125)

그런데 長沙府 중심의 湖南의 사정을 검토해 보면 lsquo穀賤rsquo 관련 기록

이 道光 咸豊 시기와 民國 中期에 집중되고 있다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26)

道光 25年(1845) ldquo穀賤斗穀錢五十文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値穀賤錢価亦賤 民甚苦之rdquo

장사현과 縣治를 長沙城 내에 두고 있는 善化현에서도 같은 해에

비슷한 기록이 있다127)

道光25年 穀賤自十五年起 連年俱穀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中下戶苦之

咸豊5年 穀賤

장사현 기록을 보면 穀価도 싸고 錢価도 싸서 민이 고통 받는다 했

으니 이 당시 은의 해외 유출과 은전비가 문제로 민중이 고통 받은 사

실을 알 수 있다 선화현은 장사현과 연접하고 통합과 분리가 단속되

었던 거의 동일 지역이다 선화현 기록을 보면 도광25년의 lsquo穀賤rsquo이 해

당년도만의 일이 아니고 道光15年(1835)부터 계속된 현상임을 밝히고

있다

12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33 祥異

126)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127) 民國30年刊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0인근의 寧鄕縣에서 보면 ldquo道光26年 歲豊 穀奇賤傷農 佃農以穀賤大

困rdquo이라는 기사가 있다128) lsquo穀奇賤rsquo이라 하였으니 평상시 보지 못한

하락이었다고 생각된다 더구나 소작료 납부가 대부분 현물지대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佃農은 米穀의 상품화 과정에서 배제되었다는 종전의

통념과 달리 佃農도 곡가 하락으로 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같은 기록에 함풍원년에도 ldquo有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以穀賤漕折苛rdquo라 하고 있어

역시 곡가 하락으로 세금 납부에 곤란을 겪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장사부 內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아도 同治 년간에는 lsquo穀賤rsquo 기

재가 보이지 않고 전술한 도광 함풍 년간에 집중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후의 기록을 찾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ldquo湖南自夏秋以來雨暢時若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故無論高低田畝咸稱大稔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甚

賎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反有入不敷出之慨矣rdquo (益聞錄 69号 광서6년828)129)

ldquo(長沙農村) 近年來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穀米求售 価値至賤 日用各物 則又極昻 收穫所

得 不足顧其工本 多已漸陷于無力耕種之境rdquo (新靑年 7권 6호 1920년 5

월)130)

ldquo湖南近年來之天災人禍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天災旣足以減少收量 地方不靖 産品滯銷

価値復因以低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而生活日昻 工価及日用物品 繼續增漲 收入支出 常苦

不得平衡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rdquo (中國棉産改進統計會議專刊 1931)131)ldquo湘省爲産穀素豊之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年歲收 屢佔大有 而長江流域亦値豊收 更

有大宗洋米 運貨傾銷致湘米頓失市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価格低賤 不僅農村經濟 陷于絶

境 市面金融 亦大受打擊rdquo (銀行週報 18권 9기 1934313)

이외에도 1936年의 사실로 호남의 武岡 東安 일대에서 lsquo豊年穀賤rsquo으

로 省城에 운반할 때 운송비와 각종 捐稅 부담을 감당할 수 없어 陳米

를 불태웠다는 기록이 있다

128) 李文治 앞의 책 p557

129) 章有義 앞의 책 권2 p432

130) 章有義 앞의 책 권3 p795

131) 章有義 위의 책 p620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1이것을 보면 주로 1930년대에 lsquo穀賤rsquo과 不況이 집중 묘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lsquo穀賤rsquo 즉 불황이라고 하면 도광함풍초의 곡천과 불

황 同治光緖宣統期의 lsquo穀貴rsquo즉 好況 다시 民國 전기의 好況 民國 中期

의 불황으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물가의 상승기가 호황적 국면이라는 것은 알려

져 있지만 이것은 전체 물가의 문제이다 위 자료에서 보면 1920년 장

사 농촌에서는 곡가는 싼데 일용품 가격은 극히 높다고 하고 있고

1931년의 기록도 工價와 일용품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농민이 다수를 점하기 때문에 미곡가의 하락은 농민 수입 감소

와 구매력 저하를 가져오고 이것이 농촌 불황의 한 요인이 될 수 있

다 그러나 工賃과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시장의 한계 안에서의

일이다 또한 실업률과 고용 지표 등도 고려되어야 하는데 만족할만한

통계의 부족으로 명확한 답을 얻기는 어렵다

그런데 米価와 물가는 개별 년도나 시점에서 서로 상이한 궤적도

있지만 圖2 3 6 7을 보면 대체적으로는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예릉의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광서 4년(1878)에 비하여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1912)에는 현격한 상승세였다가 그 후에 등락을 거듭

하고 있지만 민국25년(1936)의 경우는 광서4년보다는 높거나 유사한

경우가 많다

2 생활 경기의 발달

당시인들이 체감하던 생활 경기의 수준이 어떠했는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

光緖刊 善化縣志를 보면 다음과 같다132)

132)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16 풍속 附論 ldquo古人 酒肉以養老 而今則黃口稚子

無不酒肉之人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日不旦穀貴鹽貴 而酒肉皆貴 則好惡可知矣 一今鄕間柴炭

其価數倍於昔日 瀕河之地 莫不燒煤rdquo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2옛사람들은 술과 고기로 노인을 부양하였는데 지금은 어린아이도 술과

고기를 먹지 않는 이가 없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요사이 미곡과 소금이 비쌀 뿐 아니

라 술과 고기가 모두가 비싸니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지금 향간에 柴炭이 그 값이 예전보다 수배인데 하천 근처 사람은

煤를 때지 않는 사람이 없다

同治 攸縣志 에도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33)

예전에 士大夫도 집에 있을 때 엄동이 아니면 가죽옷을 입지 않았다

지금 關中의 가죽옷 상인이 유현에 와서 1년에 은 만여 냥을 얻을 수 있

다 기타 비단 옷은 蘇州 杭州 및 嶺南에서 오는 것이 또 배가 되니 1년

에 수만금을 소비한다

醴陵縣에서도 비슷한 인식을 볼 수 있다134)

ldquo예전 풍속이 儉樸하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이 명절 아니면 고기를 먹지 않고

慶弔事가 아니면 술을 베풀지 않고 손님 접대는 닭 잡는데 그치고 鮮味

는 생선에 그쳤고 縣城의 食肆는 飽麵茶館에 그치고 酒席으로 業을 삼는

자가 없었다

지금은 酒樓菜館이 거리에 가득차고 中人의 집에도 술자리가 베풀어지

고 사치를 다툰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예전에 士類大半이 淥江書院에 모이면 그 가운데 비단신을 신은 자가

불과 수인이었고 羊가죽 옷을 입은 자가 불과 1 2人이었다 지금은 비단

신과 가죽옷이 거의 常服이 되었고 日用品은 舶來品이 많다rdquo

이 내용을 보면 예릉현의 생활 수준이 급격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예릉현지 기록에는 부인들이 上海의 유행을 쫓아 사치를 추구한

다는 내용도 있고 청말부터 外貨를 서로 자랑한다는 내용도 있다 종

133) 同治10年刊 攸縣志 권18 풍속 衣服 ldquo衣服 昔時 士大夫 家居非嚴冬不御裘

今關中裘商來攸 歲可得銀萬餘兩 其他錦繡之運自蘇杭及嶺南者 則又倍之 計一歲

之戶 所費數萬金rdquo

134)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4장 풍속 생활 ldquo旧俗民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非令節不

食肉 非慶弔不置酒 欵客止於殺鷄 鮮味止於草魚 縣城食肆 止於飽麵茶館 無以酒

席爲業者 今則酒樓菜館 遍於街市 中人之家酬酢往還 爭奢鬪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旧時士類

大半 集於淥江書院 一院之中 著緞鞋者 不過数人 襲羊裘者 不過 一二人 今則絲

履皮袍殆成常服 日用之品 多自舶來rdquo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3전에 菜油 棉油로 燈을 켜다 집집마다 煤油를 사용한다거나 세탁시

茶枯鹼水를 쓰다가 대부분 비누를 사용하는 일상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135)

또 寧鄕縣에서도 ldquo同光之間 地方安寧 家給人足(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함)縣城商業 於時爲盛rdquo이라 하고 있어 同治(1862-74) 光

緖(1875-1908) 시기가 好況이었음을 알 수 있다136) 湘報에도 ldquo民間

之喜用洋貨日甚一日rdquo이라 하고 있어 洋貨 사용의 확대를 짐작할 수 있

다137)

광서년간 무역이 확대되고 여기에 대해 유익하다는 인식의 기록이

湘報에 나오고 있다138)

ldquo輪船과 철로가 개통되고 항구 개항이 증가 되는 것은 실로 중국에 유

익하고 손해가 없다 저 눈이 콩만큼 큰 자가 걸핏하면 통상이 중국에 해

가 된다고 하니 어찌 심히 어리석지 않은가rdquo

무역 확대를 지적하고 통상이 유익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예릉현

지에도 同治志에는 풍속이 lsquo安士重遷rsquo하고 상인이 외부 활동하는 자가

적었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고 光緖末에 도자기 夏布 編爆業

이 일어나 융성하여 이에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 넘는다고

하고 있다139) 예릉향토지에도 商旅 왕래가 예전보다 10배라는 서술이

있다140)

장사시의 行業발달 상황을 보면 민국 5년(1916)에서 民國22年(1935)

사이에 식품업은 281⟶2124 사치품은 171⟶1128 복장은 43⟶2028 農

礦은 621⟶1156 洋貨 127⟶233 금융 130⟶164 공예 2121⟶3344 문구

17⟶355 등 비약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141)

135)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 工商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6장 실업

136) 民國30年刊 寧鄕縣志 財用錄 民業

137) 湘報 제13호 1898年 3月 21日

138) 湘報 제162号 1898年 9月 23日

13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40) 民國15年刊 醴陵鄕土志 제6장 실업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4이것은 장사의 생활수준 향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당시에

通商의 확대 주장도 湘報에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142)

이상에서 보면 청말민국기에 대체적인 추세는 好況이었다고 생각된

다 생활 수준의 향상이 눈에 띄고 米価와 물가도 연동되면서 상승하

는 추세였다 米価의 상승이 구매력 수준의 제고가 되기 때문에 米穀

생산 중심지역에 상인들의 行號가 집중되는 것이 보였다143) 임금의

경우에도 호남 汝城縣에서 실질 임금이 유지 또는 상승하는 것을 확인

한 바 있다144) 全漢昇도 1875년부터 1925년까지에 걸쳐 四川 合江현

의 임금과 물가 변동의 추세가 거의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바 있

다145) 앞서 인용한 1931년 中國棉産改進計劃 에도 임금과 일용품 가

격이 함께 오른다고 하고 있어 임금이 물가에 연동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생활 수준 향상을 기록하고 있던 지방지에도 빈부 격차를 암시하는

내용이 있고 物力이 날로 쇠퇴한다든지 하는 기록이 있다 대외 무역

이 적자라 하더라도 차관 원조 뿐 아니라 외국 상인의 진출이 자본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好況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Ⅴ 結 言

이제까지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이후 民國中期인 1936年

까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여 米価와 물가 변동 물가 변동의 원인

141) 張朋園 앞의 책 p387

142) 湘報 44호 中外通商利害論 湘報 67号 論湖南茶務急宜整頓

143)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144)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9 1998)

145) 安本美緖 앞의 책 p2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5물가와 생활 경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米価 변동은 단기 변동에 있어서 전쟁이나 天災 등의 특수한 사정

의 해를 제외하고는 光緖 년간에 비해 민국 중기의 계절 변동폭이 축

소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米価의 계절 변동을 완화 시

켜 주는 雜糧의 재배가 湖南 지역에서는 대부분 同治 년간에 보급 확

대가 되고 있다 교통과 상업 발달 등의 이유로 청말에서 민국기로 갈

수록 계절 변동폭을 축소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변동에서는 長沙府縣의 물가 변동 예릉현 물가 변동 등을 살

펴 볼 때 전체로서는 상승 추세 중에 도광 함풍 시기의 低米価 同治

년간의 高米価 光緖전반의 低米価 光緖後半에서 宣統 년간의 高米価

民國 前期의 高米価 民國 中期의 低米価의 등락을 보이고 있다

民國 中期의 米価는 長沙 8개년 米価 추세에서도 안정속의 상승세

를 보이고 있다 명목상 수치 뿐 아니라 米価의 상대 물가로 보는 실

질 구매력도 宣統 民國元年에까지 급상승하였다가 민국 시기 등락을

거듭하지만 민국25년(1936)까지 광서4년(1878) 대비 유지 또는 상승 추

세였다

物価변동은 개별 상품에 따라 편차가 있고 米価와는 전혀 상이한

궤적을 그리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米価와 연동 관계를 보이

고 있다 1898년 물가의 단기 변동은 이상할 만큼 변동폭이 크지 않다

당시 물가 조사자의 보고가 정확했는지 의심될 정도이다 1935년의 장

사 물가에서 단기 변동을 보면 변동폭이 100이상인 夏布 毛筆 麵粉

棉布등을 비롯하여 50 이상인 오리털 흑연 성냥 국산 전지 등을

비롯하여 40 이상인 비누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기 변동폭

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 이것은 이런 물품들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

성이 크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物価의 장기 변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米価와 대체로 비슷한 궤적

을 보이고 있다 청말에서 민국전기에 걸쳐 물가 상승폭이 두드러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 상승폭이 더욱 크

다 돼지고기 값을 예로 들면 1878년에서 1909년 사이에 273 상승했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6고 1912-1921년 사이에 75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닭은 각 50와 44

상승했다 청말은 31년간의 수치이고 민국 전기는 9년간이니 물가의

상대적 급등을 알 수 있다 1926에서 1936년까지 10년간 돼지 고기 값

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

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

세를 보이고 있다 민국 중기의 米価가 일부 lsquo穀賤rsquo 현상을 보인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음으로 물가 변동의 원인에 대해서는 군벌간의 전쟁이나 정치적

혼란 등 정치 군사적 요인을 제외하고 대체로 검토해 보았다

수요 측면에서는 湖南米의 유통이 호남 내부의 인구 증가에도 불구

하고 양자강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지속된 것이 米価 상승의 한 원

인이었다 上海나 武漢 등의 도시화와 인구집중은 이들 지역 양식 수

요를 폭증시켰다 일부 洋米 수입에도 불구하고 湖南米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으로써 米価를 상승시켰다 또 장사를 비롯한 각지의 새로운 수

공업 산업의 발달로 비농업 인구가 증가하고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유

효수요로 성장하여 米価 상승을 유도하였다 양식의 이출은 해당 지역

인구 식량을 전부 제외한 나머지 잉여가 수출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력

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청말민국기에는 호남의 내부 외부에

서 미곡에 대한 유효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것이 米価 상승의 한 요인

이었다

화폐 문제에 있어 화폐 수량의 증가가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것

은 상식이다 종래 아편전쟁 전후 은의 해외 유출 증가가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을 초래하여 물가 상승과 인민의 빈곤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지방지 등의 史料에서 검토한 결과 은전비가는 도광함풍초의

일시적 상승 후에 함풍 7년 이후는 도리어 하락하고 있다 同治 년간

에 대부분 1兩 1300文 수준에서 안정되고 있다 光緖末宣統년간에도

1600-1700文 수준으로 도광함풍 초보다는 낮은 편이다 청말민국시

기에 화폐의 남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한계를 넘었을 때 시장의 통용

거부로 마침내 중단되고 있다 청말민국기에 외국 銀元의 유입과 국내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7의 銀元 주조 銅元 지폐 외에 鈔票 市票 등 화폐 시장에 투입된 화

폐량은 엄청나게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로서는 어느 정

도 시장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외 교역과 상품량의

증대 경제 활동 인구의 증대 미곡 생산 및 농산품 생산의 증대로 화

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것이 화폐량의 막대한 증가와 유

통속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

었다고 생각된다 즉 안정 속의 물가 상승이 유도된 것이다

공급면에서 보면 대외 교역을 통한 서양 상품의 수입은 전체로서는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물건의 공급 증가를 통해서

혹은 국내 상품과의 경쟁 때문에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었

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침략과 물가 폭등이라는 도식적

견해와 달리 현실에서는 물가 억제 작용도 있었던 것이다

물가와 경기면에서 보면 물가가 비쌀 때 호경기가 많은 것은 사실

이다 그런데 lsquo穀賤rsquo 현상이 불황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서 長沙 지역의 경우를 검토해 보았다 도광함풍 년간까지 lsquo穀賤rsquo현상

과 불경기적 상황에 대한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동치광서 년간에는

米価가 등귀한 시점인데 이 시기는 紅茶業의 번성이나 각종 수공업의

번성으로 好況의 면모가 보이고 있다 민국 시기에는 민국 중기에 lsquo穀

賤rsquo의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史料上에 민국 중기의 lsquo穀賤rsquo은 임금이나

다른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다 물가 상승기와 好況

이 맞물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민국 중기는 lsquo穀賤rsquo 현상과 서로 어긋

나는 것이다 이 시기의 不況 서술은 농촌의 농민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표시이다

생활 수준에 대한 지방지 기록 등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주민들의

洋貨 사용이 보편화되고 의복 음식 주거 등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것

을 지적하고 있다 물가는 상승하였지만 同治 이전에 비하여 분명히

사치품의 소비 증대와 中人의 집도 소비 수준이 제고된 것이 드러나고

있다 민중의 빈곤은 있으나 이 시기 빈부 격차가 커지고 생활 수준의

격차가 커진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12: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0

시기 단위 가격(文) 米価

광서4년(1878) 石 680 1360

광서14년(1888) 780 1560

광서19년(1893) 680 1360

선통원년(1909) 2000 4000

민국원년(1912) 2800 5600

민국5년(1916) 2800 5600

민국10년(1921) 3800 7600

lt表2gt 醴陵縣 穀価(a)(私家數簿에 의함)

lt圖2gt 醴陵縣 穀價(a) 石文

-附記 前淸通行制錢文으로써 단위 민국초년에는 비록 銅元을 사용하나 관습상 1銅

元은 10文에 해당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1

시기 단위 가격(元) 米価

민국15년(1926) 石 160 32

민국20년(1931) 240 48

민국25년(1936) 250 50

민국27년(1938) 280 56

민국28년(1939) 500 100

민국29년(1940) 800 160

민국30년(1941) 3000

-lt表2gt lt表3gt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物価

lt表3gt醴陵縣 穀価(b)(縣商會 조사)

lt圖3gt 醴陵縣 穀價 石元

lt표2gt와 lt圖2gt를 보면 長沙府의 米価는 光緖4년(1878)부터 광서19

년까지 비교적 낮은 채로 있다가 그 이후 급등하여 청말에서 민국 전

기 까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lt표3gt과 lt圖3gt을 보면 민국 15년

(1926)에서 민국 27년(1938)까지 비교적 안정속의 상승세를 보이다가

그 후에 급등하고 있다 本考에서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는 것은 민국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2

時期 銀価(兩石) 錢価(文石) 出典

道光 16年(1836) 10 1400 民國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Prime 25年(1845) 05 1000同治長沙縣志 권33

祥異 光緖善化縣志 咸豊元年(1851) 08 1600 民國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함풍 3年(1853) 05 1000 同治湘鄕縣志 권5 祥異함풍 6年(1856) 07-08 1400-1600 同治安化縣志 권34 五行

同治元年(1862) 308 4000 同治瀏陽縣志 권14 祥異

同治 9年(1870) 296-370 4000-5000 Prime

光緖 7년(1881) 08-266 1200(4000) 民國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光緖年間 125-188 2000-3000 長沙日報 宣統2年2月

선통32年(1906) 25 4000 Prime

선통 2年(1910) 412 7000 Prime

長沙日報는 兩湖農業地理 p274에서 再引用

lt表4gt 長沙府 縣志等 米価 기록

중기인 1936년까지이다 항일 전쟁 발발과 國共 대립 등으로 극도의

혼란기인 민국후기는 특히 경제면에서 역사적 실체를 파악하기가 매우

어렵다

lt표4gt는 주로 長沙府 내의 縣志를 이용하여 米価를 정리한 것이다

흉년시의 특별한 가격이 아니라 평상년 가격 위주로 작성한 것이다

풍년시의 가격도 있으나 수년간 풍년이 지속되었다면 常年 가격에 준

한다고 생각된다 함풍3년(1853)의 米価는 兩湖南農業地理에 인용된

曾國藩 上奏시의 米価와 동일하다 같은 자료를 더 이용하면 함풍7년

(1857)에는 駱文忠公遺集 1石당 3200-3500文의 기사가 있다 역시

曾國藩의 上奏文에 同治2年은 1石당 30兩인데 당시의 銀錢比価로 환

산하면 3900文이므로 lt표4gt上 동치 元年 4000文과 거의 유사하다 同

治7년(1868)은 李瀚章의 上奏文에 4000文 전후로 되어있어 표의 내용

과 거의 일치한다 이것들을 짜 맞추어 보면 위 지방지 기록이 상당한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3

lt圖4gt 長沙의 米価 변동

bull광서4년 14년 19년은 예릉현지 물가표 기재 이용

bull광서7년은 민국 영향현지 기록 가을 이전의 평상 가격 이용

bull광서32년은 水災시의 가격

예릉현 물가표상의 광서 기록을 보충하여 수정한 결과

신뢰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표4)의 내용에 長沙府 醴陵縣志의 물가

표상 광서4년 14년 19년을 포함하여 구성해 본 것이 lt圖4gt이다

이것을 종합하여 보면 도광 16년(1836) 이후 함풍6년(1856)까지는

비교적 저렴한 米価가 유지되다가 함풍7년(1857)이후 米価가 급등한

것으로 생각 된다 동치 년간은 동치원년(1862) 4000文에서 동치2년

3900文 동치7년 4000文전후 동치9년 4000-5000文으로 계속 高米価가

유지된 시기였다 그런데 銀錢比値는 동치2년 1300文 동치 7년

1300-1400文으로 도광말 함풍초보다 오히려 안정되어 있다 淸末 이

지역의 지방지를 검토하면 거의 모두 嘉慶 이전은 米価를 銀兩으로 표

시하다가 道光 이후는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도광 이후 淸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4末은 米価도 錢文価가 실제 시장 가치를 잘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

다 동치 년간 상당히 高米価가 유지되었지만 道光末咸豊初와 같은 lsquo銀

貴錢賤rsquo 현상은 보이지 않기 때문에 米価 상승이 농민에게 어느 정도

유리했다 여겨진다 lt圖4gt를 보면 光緖 전반에는 米価가 상대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光緖19年(1893)까지는 하락 안정세를 보이다가 그 후에

급등하고 있다 호남성 수확기의 中米 가격 조사에서도 비슷한 경향이

보인다47) 中米 가격도 광서22년(1896)부터 대체로 상승추세인데 광서

34년(1908)에 급등하고 있다 앞서 彭信威가 연구한 江浙 米価 변동에

19세기 24분기와 19세기 780년대가 米価低落期에 해당된다고 하는

데48) 이것과 유사한 면을 가지면서 약간의 편차가 있다 즉 동치 년간

(1862-74) 70년대 전반까지는 대체로 高米価가 유지되었고 光緖 전반

의 하락은 90년대 전반까지인 것으로 생각되는 것이다 淸末 上海의

米価 조사도 1862-71(213) 1872-81(128) 1882-91(142) 1892-1901

(207)로 되어 있어 위 호남 長沙의 米価 변동과 비슷한 궤적을 그리고

있다49)

lt표1gt에 제시된 광서 24년(1898)의 長沙 米価도 3000文-4000文 사

이에 형성되어 상당한 高米価이다 같은 湘報에 실린 내용에 岳州에

집결된 湖南米가 漢口에 운송 판매되는데 米価는 3700-800文 또는 4천

수백文에 이른다고 되어 있다50) 대략 光緖20年(1894) 이후부터 淸末까

지 高米価가 지속되었다고 생각된다 松江府續志의 기록을 이용하여

光緖年間 低米価와 그로 인한 장기 不況이라는 해석은 長沙府 일대에

서는 드러나지 않는다51) 低米価는 光緖年間 전체는 아니고 光緖

(1875-1908) 년간의 거의 전반에 해당하는 1893년 이전의 일로 생각된

다 후반에서 淸末까지는 急騰에 가까운 高米価의 변동을 보여주고 있

47) 岸本美緖 앞의 책 p19

48) 同上 p443

49) 湘報 76號 p67650) 李文治 中国近代農業史資料 제1집 p561 岸本美緖의 해석 앞의 책

pp442-443

51) 張人价 앞의 책 pp93-9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5

機米 河米 糯米 총 평균

가격 지수 가격 지수 가격 지수 가격 지수

1928 652 7564 503 7065 805 9015 653 7944

1929 862 10000 712 10000 893 10000 822 10000

1930 1003 11636 862 12107 1037 11613 967 11764

1931 1002 11624 845 11868 1020 11422 956 11630

1932 1008 11694 817 11475 947 10605 924 11241

1933 594 6868 504 7079 757 8477 618 7525

1934 671 7784 590 8287 812 9093 691 8406

1935 1004 11647 810 11376 1012 11333 942 11460

lt表5gt 長沙의 米価(石元)

예릉현 물가표를 보면 民國 시기에도 대체로 안정속의 상승세가 지

속된다 청말에서 1921년까지 米価가 급등한 것으로 보이지만 1926년

에서 1936년까지는 안정 속 상승의 추세이다 兩圖 사이에는 가격 단

위의 차이가 있어 직접 접속은 곤란하지만 흐름은 그렇다고 여겨진다

호남성경제조사소 의 조사에 근거한 민국17년(1928)부터 민국24년

(1935)까지의 8년간 米価 기록을 제시한 것이 lt표5gt이다52)

이것을 보면 등락은 있지만 비교적 米価가 안정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上海의 米価도 1912-1928년 사이 407 상승하였는데 1921-1928년

사이에는 154 상승하였다53) 호남성의 米価는 宣統2年-民國元年 3개

년 평균가와 민국 21-23년 3개년 평균가를 비교했을 때 86 상승이라

는 조사도 있다54) 대체로 淸末에서 民國 전기까지는 가격이 급등하고

민국 중기에는 안정 속의 상승이 추세였다고 생각된다

호남성 汝城縣의 물가변동을 보면 우선 지방지 편찬자의 시기 구분

52) 徐正元 上海近代稻米市場価格變動分析 (中國經濟史硏究 1996年 2期)

53) 張人价 앞의 책 p87

54)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 91998)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6

1898年 1935年

소금 56文斤 57斤

洋油 50文斤 64斤

돼지고기 105文斤 30斤 015-020元斤 25-33斤

鷄育 123文斤 26斤

羊肉 117文斤 27斤

茶油 100文斤 32斤 019-024斤 21-26斤 瀏陽가격

면화(中棉) 217文斤 15斤 03-05斤 10-17斤 湘陰 Prime

1898年 中米1石価 (湘報소재 1石 3193文 적용)

1935年 長沙米価 民國25年 刊 通郵地方物産誌 湖南의 長沙靖港米価(担40-60元

의 중간 값 이용) 1石은 1担보다 크므로 실제 米価는 이보다 높을 것임

이 의미있다고 생각된다 同治丁卯志 편찬 이후부터라고 명시하고 있

는데 丁卯年은 同治6년(1867)이다 이후부터 민국21년(1932)까지를 세

시기로 구분한다55) 同光 시기 光宣 시기 民國 시기이다 즉 동치 후

반에서 광서 전반 광서 후반에서 선통 년간이니 광서 후반부터 물가

상승이 컸던 것을 반영한다고 여겨진다 여성현 물가표상 米価 변동을

단순 비교하면 지수는 100 200 400으로 변한다 1930년대 전반의 米

価는 동치 후기에 비하여 약 65년만에 300 상승한 것이다 이것을

신뢰하더라도 앞서 18세기 전후 백년간 물가가 300 상승하였다는 당

시인의 인식과 상승률은 거의 비슷하다56) 장사부 상음현에서도 18세

기 중후반 67년간 米価가 300 상승한 바 있다 예릉현 물가 표상

1878년에서 1921년까지는 米価는 약 458 상승하였지만 1926년에서

1936년까지 10년간은 약 563 상승에 그쳤다 민국 중기는 비교적 안

정속의 상승을 보여 주고 있다 lt표5gt에 제시된 長沙 機米의 8년간

가격도 54 정도 상승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미가의 명목 수치상 등

락을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질 가치를 알아보려면 상대 물가 즉

米1石価의 구매력이 얼마인지를 보아야 한다

lt表6gt 長沙 中米 1石価의 구매력 변동

55) 郭成康 앞의 논문

56) 張麗芬 앞의 책 p270 각주7)에 보면 호남성 1担価는 140-150斤 1898年 長

沙 米価는 1石당 150-155斤임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7

1935년의 長沙 米価는 通郵地方物産誌의 長沙 靖港의 米 1担価를

이용하였다 실제 石은 担보다 크므로 米価는 여기서 잡은 5元을 상회

할 것이라 생각된다57) 같은 자료의 물가를 이용하여 제시한 lt표6gt을

보면 돼지고기 값은 1898년의 30斤에서 1935년은 25-35斤 사이이다

그 범위 안에 있는 것을 보면 米価의 실질 구매력은 유지되고 있다

茶油는 다소 하락하였지만 면화도 유지 또는 상승이라 볼 수 있다

예릉현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돼지고기는 상승 추세 속에 일

부 하락년이 있다 선통 원년과 민국 원년에 수치가 상승한 것은 米価

의 폭등이 기타 물가를 크게 앞지른 것으로 여겨진다 민국 중기에 약

간 하락하였지만 1935년의 돼지고기 구매력은 광서4년(1878)에 비해

67정도 상승하고 있다 茶油의 경우도 민국 10년(1921)까지 米의 상

대 구매력이 대폭 상승하고 있다 이것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米価 변

동을 통해 농민 소득이 하강했다고 여겨지지 않는다

광서4년1878

광서14년1888

광서19년1893

선통원년1909

민국원년1912

민국5년1916

민국10년1921

민국15년1926

민국20년1931

민국25년1936

猪肉 15斤 25斤 22斤 36斤 35斤 23斤 27斤 16斤 28斤 25斤

草魚 34斤 39斤 38斤 57斤 62斤 35斤 - 20斤 32斤 33斤

茶油 12斤 23斤 25斤 27斤 - - 25斤 - ① -

鹽 23斤 26斤 22斤 33斤 62斤 - 42斤

棉花 7斤 16斤 5斤 - - - - - ②

洋紗 - - - - - - - ③

煤油 - - - - - - - 15병 2병 11병

雞 17斤 22斤 20斤 33斤 22斤 19斤 21斤 - - -

史料上 穀価를 lsquo1米2穀rsquo의 원칙에 따라 米価로 환산하였음① 민국 15년(1926)부터는 茶油의 단위가 石으로 되어 있어 비교 곤란② Prime 棉花의 단위가 石으로 되어 있어 비교 곤란③ Prime 羊紗의 단위가 件으로 되어 있어 이해 곤란

lt表7gt 醴陵縣 米価의 물품구매력 변동추세(米1石의 구매력)

57) 刘泱泱 湖南通史 近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p487-488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8

품목

시기

단위

同光

(1870-1890)

光宣

(1890-1911)

民國

(1912-1932)

肉 斤 188 188 175

鹽 斤 60 75 636

洋紗 捆 100 100同光시기洋紗통행안함

土布 尺 100 120 140

洋油 甁 20 10同光시기

洋油 未 盛行

茶油 斤 188 188 175

桐油 斤 214 200 194

柴 750 875

同治丁卯志(1867)편찬 이후라 되어 있어 대략 70년부터 잡은 것이다

lt表8gt 湖南 汝城縣의 穀1石価의 구매력 변동

호남 汝城縣의 穀1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고기는 光宣 시기에

유지되다가 민국 시기에 약간 하락하였으나 근소한 수치이다 鹽의 구

매력은 光宣 시기에 대폭 올랐다가 民國 시기에 하락하였으나 同光 시

기 보다는 높은 수치이다 洋紗에 대한 구매력은 光宣 시기에서 民國

시기에도 계속 유지되고 있다 茶油는 고기와 같은 변화이다 土布에

대해서는 구매력이 계속 증가한다 洋油에 대해서는 民國 시기에 구매

력 감소를 보이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호남의 대외무역은 외국의 공

업품과 농부산품 원료를 교환하는 것인데 고가의 공업품 대신 강제

저가의 수단으로 호남의 농산품을 약탈한다는 견해58)는 약간의 재검

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공업 상품 가격의 翦刀差에 대해서도 洋紗

의 경우를 보면 나타나지 않고 있다59)

이상을 종합하면 同治年間의 高米価 光緖前半(1875-1891)까지의 상

대적 低米価 光緖後半-宣統까지의 高米価 급등 民國前期의 계속 상승

58) 李金錚 二十年來 中國 近代 鄕村 經濟史的 新探索 (歷史硏究 2003年 4

期)

59) 譚文熙 앞의 책 pp298-299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9

品目 洋麵 淮鹽 茶油 桐油 洋油 猪肉 雞 鴨 烟煤 柴煤

단위시기

包 斤 100斤 100斤箱2桶(50斤)

斤 斤 斤 100斤 衡斗

31-310 26兩 56文 73兩 19兩 104文 112文 88文 320文 24文

311-320 26兩 Prime 73 19 104文 128文 88文 320文 24文

321-331 26兩 Prime 73 625兩 189 108文 128文 88文 320文 252

41-410 26兩 Prime 728 628 186 320文 240

411-420 27兩 Prime 728 626 183 254 228

421-430 29兩 Prime 72 616 181 314 260

51-510 293兩 Prime 711 606 178 310 240

511-520 274 Prime 71 60 183 314 240

521-531 26 Prime 71 60 185 314 229

61-610 26 Prime 699 60 185 299 219

611-620 231 Prime 734 61 184 320 255

621-630 22 Prime 754 62 183 311 254

71-710 22 Prime 774 649 183 310 250

711-719 218 Prime 768 631 181 318 265

면화는 上棉 中棉 下棉의 가격이 제시되고 있으나 여기서 생략함

lt表9gt 1898年 3-7月間 長沙物価

民國中期(1926-1936)까지 안정이라는 米価 변동의 궤적을 확인할 수

있고 그 기간 동안 米価의 실질 구매력은 유지 또는 상승이 대체적 추

세였다 생각된다

2 物價 변동

1) 단기 변동

湘報에 수록된 光緖24년(1898)의 長沙 물가 변동을 표시한 것이

lt表9gt와 lt圖5gt이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0

品目 단위 최고가 최저가 시기 유통량 행선지

鴨絨 斤 500 300 冬 上海 北平 天津 南京

일반적으로 米価와 物価는 상호 연동적이라 생각되지만 여기서 물

가의 단기 변동은 米価와는 다소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대체로

등락 폭이 크지 않다 洋油 洋麵 桐油 등의 변동폭이 크지 않다 면화

만 4월 10일 20일 사이에 상승이 있지만 5월부터는 하락하고 있다

淮鹽 가격은 斤당 56文으로 3月에서 7월 사이에 전혀 변동이 없다

長沙지역은 원래 淮鹽 관할 구역이었으나 太平天國 시기에 교통 두절

로 川鹽 소비지역이 되었다 太平天國후 曾國藩이 이 지역을 淮鹽 소

비지역으로 회복하기 위해 여러 가지 개혁 조치를 행하고 督銷局에서

가격을 核定하여 고시하는 牌價 제도를 시행한 바 있다 일종의 통제

가격제도에 의해 가격 상승이 억제되고 있었던 것이다 直隷의 景縣의

소금 값은 1890년에 斤당 46文 1900년에 斤당 68文이라는 조사도 있

다60) 長寧縣에서는 光緖29年(1903)에 鹽価가 斤당 55文이라는 보고도

있는데 이것은 長沙 1898年의 鹽価와 유사하다61)

戰亂後에 淸朝정부의 淮鹽 소비지 회복 정책에도 불구하고 四川鹽

이 계속 私鹽으로 침투하였기 때문에 長沙의 淮鹽価를 저렴한 통제 가

격下에 두고 있었다고 생각 된다62) 圖6)에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柴煤

는 米価와 같이 5月10日에 최고가에 가깝고 6월10일에 하락하고 그후

에 상승하고 있다 烟煤의 경우에도 비슷한 궤적을 그리고 있다 이것

은 米価와의 연동관계가 비교적 분명하다

1935년의 長沙 物価의 단기 변동 폭을 알 수 있는 것이 lt표10gt이

lt表10gt 長沙物価 通郵地方物産志

60) 李文治 앞의 책 p562

61) 譚文熙 앞의 책 p267-268

62) 佐伯富 中國史硏究 第1卷 (京都 同朋舍 1978) pp340-36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1

黑鉛 石 2200 1300 全年 50000石 漢口上海

棉紗 件 22000 1800 Prime 24000件 本省

棉布 疋 120 150() Prime 1000000 漢口

麵粉 袋 50 250 Prime 140000 Prime

線襪 雙 106 Prime 6000000 本省

毛呢鞋 Prime 200 180 Prime 400000 Prime

夏布 疋 1000 200 夏 20000 上海漢口

火柴 箱 500 300 全年 10000 本省

刺繡 Prime國內및外洋

매년 産量 약50만元

玻璃器 件 300 200 Prime 9000 本省

肥皀 箱 70 50 Prime 30000 Prime

絲綿三角 兩 040 020 Prime 40000 Prime

國貨電池 打 060 040 Prime 200000 Prime

猪 斤 020 015 Prime 50000只 漢口上海

豬毛 担 6000 5000 Prime 4000kg Prime

粗窑器 卡 350 250 Prime 100000套 長江연안

毛筆 支 050 020 Prime 本省 및 황하 각성

여기서 보면 변동폭이 100 이상인 것은 면포 夏布 絲線三角 毛

筆 麵粉 등이다 또 50 이상인 것은 鴨絨(가공오리털) 667 흑연

692 火柴(성냥) 667 玻璃器(유리그릇) 50 국산 電池 50 등이

다 비누는 40 粗窰器는 40이다 棉沙 222 毛呢鞋는 111 돼

지 333이다 단기 변동 폭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고 생각된다 이

것은 이런 물품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성이 크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그런데 1898年의 경우는 茶油 洋油 등 물품의 가격 변동폭이 적은 것

은 무엇 때문일까 어쩌면 당시의 시장 가격 조사가 부정확했는지도

알 수 없다

1935年의 물가에서 綿沙의 변동폭이 적은 것은 당시 항상적인 수요

가 있었기 때문이 아닐까 비누의 변동폭도 40로 비교적 적은데 생

필품으로 수요가 지속 증대된 까닭이 아닐까 한다 通郵地方物産誌에 기재된 醴陵縣 夏布 가격은 40元-100元 사이인데 民國醴陵縣志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2

圖5) 1898年 3月-7月 長沙物價

의 物価表上에는 70元(1938)이라 되어 있다 物産誌 가격은 1935年

의 것인데 예릉현지의 가격이 그 범위 안에 있어 서로 다른 자료간에

부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63) 物産誌 上 相潭株洲의 茶油 값

매 石 160-240元(1935)은 예릉현지 물가표의 민국 20년(1931) 茶油 매

石 240元과 일치하고 있다 표12)에 1936年 煤油 값은 병당 44元이다

그런데 民國 安鄕縣志에서도 1934년 煤油 값은 병당 38元으로 되어

있어 兩者 사이에 유사성을 보여주고 있다64) 그러므로 醴陵縣志 物価의 종적 비교도 신뢰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洋麵은 包당 가격

茶油桐油洋油는 100斤당 가격

棉花 100斤당 가격

2) 장기 변동

長沙의 물가 변동을 보려면 湘報 수록의 광서 24年(1898) 물가와

63) 交通部郵政總局 編 中國通郵地方物産誌 (華世出版 1988)

64) 民國 安鄕縣志 卷11 食貨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3

품명 단위광서4년

(1878)

광서14년

(1888)

광서19년

(1893)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

(1912)

민국5년

(1916)

민국10년

(1921)

豬肉 斤 88文 63 62 112 160 240 280

雞 斤 80 72 68 120 250 300 360

lt表12gt 醴陵縣 物価表 (b) (商会조사)

품명 단위민국15년(1926)

민국20년(1931)

민국25년(1936)

민국27년(1938)

민국28년(1939)

민국29년(1940)

민국30년(1941)

猪肉 百斤 200원 170 200 360 400 561 1300

草魚 Prime 160 150 150

茶油 石 240 290 560 760 2000

鹽 石 120 140 150 160 2000

洋紗 件 2200 2200 2400 2000 2500 1500

土布 匹 27 70

夏布 Prime 70 70 140

竹布 Prime 100 100 8000

棉花 石 20 25 40 100 200 400

煤炭 石 020 030 040 050 230 70

煤油 甁 220 240 440 90 300 460 200

毛邊紙 石 198 432 1200

黑靛粉 桶10斤 100 200 1500 2000

赤金 兩 50 70 80 90 500 560 1600

lt表11gt 醴陵縣 物価表 (a)(私家數簿에 의한 것)

民國24年(1935)의 通郵地方物産誌 기록을 직접 비교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양 자료 사이에 화폐와 단위가 서로 달라 직접 비교할 수가 없

다 그래서 당시인의 물가 변동 기록인 長沙府 醴陵縣 物価表를 이용

하는 것이 파악 방법이 될 것이다

lt표11gt lt표12gt 와 lt圖6gt lt圖7gt을 보면 개별 물품에 따라 차이

는 있지만 대체적인 흐름은 米価 변동과 유사한 궤적을 보여주고 있

다 즉 光緖 前半에 비교적 안정적이다가 光緖 후반부터 급상승하여

민국 전기까지 상승하고 있다 1926년부터 1936년까지는 가격 안정세

를 보여 주고 있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4

雞蛋 個 2 2 3 4 10 15 20

草魚 斤 40 40 36 70 90 160

茶油 斤 116 69 54 150 300

鹽 斤 60 60 63 120 90 180

煤 石 50 120 50

苧麻 斤 270 99 170

棉花 斤 200 96 280

竹布 尺 70 62 60 60 90

靑洋布 尺 55 50 50 70

白蓮紙 刀 40 82 80 100

-附記 前淸 통행 制錢文으로써 단위 민국 초년에는 비록 銅元을 단위 사용하나 관습상 매 1銅元은 錢10文에 해당

圖6) 醴陵縣 物価 (a)

① 豬肉 斤당 가격 ② 雞肉 斤당 가격 ③ 茶油 斤당 가격

④ 鹽 斤당 가격 ⑤ 棉花 斤당 가격 ⑥ 草魚 斤당 가격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5

圖7) 醴陵縣 物価(b)

① 猪肉 百斤당 가격 元 ② 草魚 百斤당 가격 元 ③ 茶油 石당 가격 元

④ 鹽 石당 가격 元 ⑤ 洋紗 件당 가격 元 ⑥ 棉花 石당 가격 元

⑦ 煤油 甁당 가격 元

米価가 物価와 연동되는 것에 대해서 江都縣史料를 보면 ldquo産米 구역

에서 年末에 米価가 상승하니 百物이 昻貴했다rdquo65)라고 되어 있다 湖

南지역 米価 연구 자료에도 米価 추세는 거의 물가 수준과 같다는 주

장이 있다66)

光緖末宣統年間의 물가 상승을 나타내는 史料를 보면 다음과 같다

이제 각종 惡政의 결과로 百物의 騰貴를 초래했는데 小民의 日用 수요

65) 李文治 앞의 책 p470 ldquo江都爲産米區域 年末米価騰踊 百物因以昻貴rdquo

66) 張麗芬 앞의 책 p22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6음식은 그 가격이 십년 전에 비해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과 居室 器用

蔬饌의 비용 牛種糞漑의 비용도 예전 보다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도 비록

동일 비례로 함께 올랐으나 이미 넉넉하지 못해 괴롭다67)

이것을 보면 米価와 物価가 연동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청말

특히 光緖 후반 이후에 각종 物価가 두 배 올랐다는 사정을 알 수 있

다 上海의 物価도 같은 시기에 상승하고 있다68)

lt표11gt lt표12gt와 lt圖67gt을 검토해 보면 돼지고기 값은 광서 14

년 광서 19년까지는 다소 하락세를 보이다가 宣統원년(1909)부터 급격

히 상승하고 있다 민국원년(1912)의 가격은 160文으로 1878年의 88文

에 비해 거의 두 배에 해당한다 위에 인용한 宣統 2年 8月 國風報의 물가 두 배 인상과 정확하게 부합되고 있다 민국 전기인 1926년까

지 계속 상승하고 있지만 1926년에서 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이고 있

돼지고기 값은 1878년-1909년 사이 273 상승했고 1912-1921년 사

이에 75 상승했다 닭은 각기 50와 44 상승했다 계란은 100

100 상승이었다 淸末 비교 시기는 31년간인데 비해 민국 전기는 9

년간에 불과하다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가 급등한 것은 충분히

알 수 있다 1926년에서 1936년 10년간 돼지 값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거의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이었다

民國 醴陵縣志에도 ldquo辛亥혁명이전에는 물가가 심한 등락이 없었는

데 민국 후에 들어와서 차츰 상승했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69) 圖6)을 보

면 닭고기도 비슷한 궤적을 보이고 있다 草魚의 경우도 청말 민국전

기는 상승이 주요 동선이고 민국 중기(1926-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

67) 國風報 第1年 21期 宣統 2年 8月 (李文治 앞의 책 p561) ldquo今也以種種惡

政之結果 以致百物騰踊 小民日用 飮食所需 其価皆視十年前兩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居

室器用蔬饌之費 牛種糞漑之費兩倍于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雖以同一比例以俱騰 旣苦不

給矣rdquo

68) 岸本美緖 앞의 책 p443

6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物價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7이고 있다 譚文熙 物価史에는 민국 전기는 안정속의 상승세로 민국

중기는 파동속의 상승으로 정리를 하고 있는데 여기와는 약간의 차이

를 보이고 있다70) lt표11gt과 lt표12gt 사이의 화폐 단위 차이로 인한

연속적 파악에 다소 어려움이 있으나 대체의 추세는 짐작할 수 있다

또 품목에 따라 공란이 있어 연결 관계가 애매한 부분이 있다 1936년

이후는 중일 전쟁의 혼란과 불환지폐의 강제 통용 등의 사정으로 本考

에서는 분석 대상 범위에서 제외 하고자 한다

Ⅱ 物價 변동의 원인

1 수요 측면

米価와 物價가 상호 연동관계에 있고 넓은 의미에서는 米価도 물가

의 일부이다 米価 및 물가의 상승은 우선 수요의 증가에 원인이 있다

고 할 것이다 수요증가는 일반으로 인구 증가이다 湖南의 인구는 嘉

慶21年(1816) 18754259명에서 1898年 21174000명으로 다시 民國17년

(1928)에는 31501212人으로 비약적 성장을 하였다71) 약 110년 동안

인구가 1300만 가까이 증가하였고 비율로는 679가 증가하였다 長沙

府의 인구도 가경 25년(1820)에서는 4290086명이었는데 민국23년

(1934)에는 8421330명으로 약 400만명 이상 증가하여 963 상승을

보이고 있다72)

인구의 증가가 수요 증대를 초래하는 일반 요인이지만 湖南의 米穀

移出이 해당 지역 민중의 식량을 제외하고 남는 잉여 米만은 아니다

70) 譚文熙 앞의 책 pp302-307 여기서는 민국 전기는 1912-1927년 민국 중기

는 1927-1937년으로 구분하고 있다

71) 湖南省志 地理志 (長沙 湖南人民出版社 1982) pp230-238

72)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8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의 증대가 더 중요한 요인일 것이다 淸末에

와서 새로운 생업을 통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가 많이 증가하고

있는데 醴陵縣 사례를 한번 검토해 보겠다 史料는 다음과 같다73)

同治志에 이르기를 醴陵의 풍속은 lsquo安土重遷rsquo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상인이 外地에 나

가 장사하는 이가 적었다 배를 이용하여 외부 상업을 하는 것은 淥口 부

근의 米穀商일 뿐이었다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邑人들이 茶제조로 武漢에 판매하는 자가

이익이 배가 되었다 이때부터 龍門일대에 매양 봄에 茶를 제조하고 가리

는 廠이 항상 수십이었다 光緖末年에는 도자기업 夏布 編爆이 일어나서

대신하였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이를 믿고 생계를 삼는자가 무려 십만인이다

同治志 편찬 단계만 해도 사람들이 토착 안주하여 멀리 이동하는

것을 어렵게 여겼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큰 이익을 보고 그

후 도자 기업 夏布 編爆 제조에 종사하여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나 되었다는 것이다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의 성장을

보여주는 것이다 長沙의 빠른 도시화도 주목된다 長沙日報에 실린

내용을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74)

光緖32년(1906)에 火災 조사시에 城廂 내외가 매일 식량으로 穀 5000

石이 필요하였다 지금 교통이 편리하고 상인 旅客이 배로 증가하였으니

매일 마땅히 1-2000石을 더해야 한다(宣統 2年(1910) 2月 17日 長沙日

報)이것을 보면 光緖32년(1906)에서 宣統2년(1910)은 불과 5년이 채 되

지 않는데 상인 집단이 배로 증가하였다니 城內外의 유동인구 급증을

짐작할 수 있다 長沙城의 인구는 1916年에 177882人이었고 1931年은

385514人으로 증가하였다 불과 15년 사이에 1167 증가이다 배 이

73)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ldquo同治志云 醴俗安土重遷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商賈外

貿者少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揚帆外貿則 僅淥口附近之穀米商而已 光緖初 紅茶業興 邑人製茶

販運 漢皋者 獲利倍蓰自是來龍門一帶 每屆春日 製茶捒茶列廠恒數十 訖於光緖

末年 則有瓷業及夏布編爆起而代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恃以爲生者 無慮 十萬人rdquo

74) 李文治 앞의 책 p551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9상이 증가하였으니 長沙의 도시화도 급속히 진전 되고 있다75)

민국10年의 湖南 實業雜誌 보도를 보면 당시 長沙에 蓆工 500人

刻字工 300人 방직공 3200人 이발공 800人 香工 400人 합계 5200人

이 있었다 長沙大公報에 의하면 민국9년(1920)에 長沙에는 부두공

2600人 糞夫 500人 轎夫 1300 車夫 2300人으로 합계 7000人 정도

가 있었다76) 같은 시기 호남성의 광부가 160萬人이고 여기에 手藝工

苦力을 합치면 190만 전후였다고 한다 예릉현에서는 東鄕 일대에서

編爆業 종사자가 수만이고 東北兩鄕에서 磁廠의 女工도 수천이나 되었

다는 기록도 있다77) 湖南 邵陽縣에서도 淸末에 工匠이 5만 상인이 12

만 정도였다는 통계도 있다78) 이렇게 비농업 인구가 다른 생업을 통

해 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로 증가하고 있던 것이 확인된다 이런 유

효 수요 증가를 설명해 주는 다른 史料 하나를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

다79)

어째서 米穀이 날로 적어지고 날로 비싸지는가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水旱災가 날로 많고 농사짓는데 날로 게으르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말은

진실로 일리가 있는데 다 그런 것은 아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선교사 洋商 洋官 洋

兵은 증가한 것이 외국에서 온 사람이다 敎民 游民 賭民 盜民은 內地

에서 증가한 자이다 무릇 농사짓는 사람은 하나인데 먹는 자는 헤아릴

수가 없다 米穀이 어찌 비싸지 않을 수 있겠는가

光緖後期의 사정을 전하고 있는 위 史料를 보면 외국에서 온 선교

사 상인 군인 관리 등도 米価 상승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국내

외를 막론하고 비농업 인구의 급격한 성장이 米価 상승의 원인이라 생

각된다

湖南과 長沙의 米穀은 해당 지역 안에서 소비되는 것보다 揚子江

75) 張朋園 中國現代化的區域硏究 -湖南省 (台北 1998) p376

76) 위의 책 pp412-413

77)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農業經濟

78) 光緖33年刊 邵陽縣鄕土志 권2 인류 실업

79) 李文治 앞의 책 p77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0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많다 청말민국시기에도 지속적인 湖南米의

移出이 있었던 것은 이미 밝힌바 있다80)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穀

米가 騰貴한 이유가 外省의 采辦이 많은 때문이라고 하고 있다81) 상

담현에서도 동치 4년(1865)이전에 해마다 풍년이었는데 穀価가 까닭

없이 騰貴한 것은 江南이 처음 회복되어 米穀의 販運이 많아진 때문이

라고 하고 있다82) 1898年에도 長沙에서 米穀의 원거리 送出을 바라는

지주 富戶와 주민의 갈등 관계가 노출되고 있다83) 宣統2年(1910)의 기

록에도 湖北의 흉년으로 出境 米穀이 과다하여 米価가 급등했는데 작

년 末에는 1石5000文이었다가 금년에는 1石 8000文에 이르렀다는 내

용이 있다84) 같은 자료에 湖南米가 당도 하지 않으면 武漢에서 변란

이 일어난다고 할 정도이다

하류의 上海는 한적한 어촌에서 근대에 대도시로 성장하였다 武漢

上海등의 도시화와 상공업 발전 인구 집중은 長沙米의 급격한 수요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宣統 년간에 長沙가 전국적인 4大 米市의 하나

로 성장한 것은 우연한 일은 아니다85)

근대에 대외 교역증가가 물가 상승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생각된

다 1873년에서 1930年 사이에 농산물 수출 통계는 1910년을 100으로

했을 때 1873년은 12 1893년은 123 1903년 386 1920년은 1324

1930년은 2709로 급상승하고 있다86) 농산물의 수출은 해외 수요의 증

가이다 이런 교역상 수요 증대는 가격의 등귀 뿐 아니라 작물 재배

면적의 확대에도 기여하고 있다

80)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81)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20

82) 光緖6年刊 湘潭縣志 卷29 災祥志

83) 湘報 89號 長沙縣職員常達邦呈批

84) 李文治 앞의 책 p381

85) 徐正元 中國近代農産商品化的發展與米市的形成 (復印報刊經济史 1997年3期)

86)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권2 p14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1宣統2년(1910) 長沙에 영국 상인이 출현하여 米穀 구매를 단행하자

米価가 하루에 여러 번 급등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였다87) 湖南에서

는 또 광동 상인의 영향을 받아 紅茶 제조법을 습득하여 홍차를 대량

생산하여 구미에 수출하였다 19세기 60년대부터 20세기 초에 특히 호

남 茶 생산 판매가 극히 발달하였다88) 주요 산지 중에는 長沙 湘潭

安化 등이 손꼽히고 있다

桐油의 수출 또한 괄목할 만한 것이다 湖南의 桐油 수출은 1922년

전국의 3336 1923년은 372로 성장하였다 1929년에는 全省 수출

총액의 45 정도를 차지하였고 桐油 상품화율 80에 달하였다89) 대

외교역을 통한 농산품의 해외 수요 증가는 직간접으로 물가 상승에 작

용하고 있다

2 화폐 문제

물가와 화폐의 관계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통상 화폐 수량의 증가가

생산총량의 증가보다 초과할 때 물가상승이 일어난다90) 보통 淸 후기

에는 아편무역에 따른 銀의 해외 유출과 그 결과 야기된 lsquo銀貴錢賤rsquo 현

상 통화팽창에 의해 물가가 상승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91)

실제 淸末民國기에 걸쳐 통화 팽창과 물가 상승에 대한 기록을 찾

는 것은 어렵지 않다 王業鍵에 의하면 淸末 특히 1875年부터 1911年

까지는 인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단계였다고 한다92)

民國 寧鄕縣志에 보면 ldquo光緖29年(1903)에 처음으로 當十銅元을 주

87) 李文治 앞의 책 p550-551

88) 劉泱泱 앞의 책 p46

89) 宋斐夫 主篇 湖南通史 現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5 p276

90) 陳民 法幣發行制度與通貨膨脹 (復印報刊經济史 2001-1)91) 龔勝生 앞의 책 pp275-280 岸本美緖 앞의 책 p444 張麗芬 앞의 책

p217

92) Yeh-chien Wang Secular Trends of Rice in the Yanzi Delta 1638-1935(California Univ Press 1992)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2조하여 전국에 통용시켰는데 물가의 등귀가 이때부터 시작되었다rdquo는

기록이 있다93) 醴陵縣에서는 光緖32年에 當十銅元을 주조하여 制錢과

병행시켰고 宣統원년에 銀元이 이미 성행하였다 민국원년에는 當二十

銅元을 주조하였는데 雙銅元이라 칭하였다94) 영향현에서도 광서말에

私鑄錢인 毛錢이 나오고 지폐가 통용되는 등 통화팽창이 상업을 일변

시켰다고 한다95)

종전에 비해 실질 가치가 열악한 當十 當二十 등 銅元의 남발과 鈔

票의 성행은 화폐 시장의 과잉을 초래하였다 정식의 鈔票 이외도 각

현 발행의 私鈔와 錢莊에서 발행한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시중에 범람

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민국 시대에는 화폐 남발이 더욱 심하였다 호

남은행을 비롯한 저축은행 농업은행 등이 각기 각종 지폐를 발행하여

혼란이 가중되었다 1915년에 호남의 은행은 33개인데 그 중 장사현 7

개 상담현이 7개였다96)

군벌들이 은행을 개설하거나 질 낮은 화폐 통용을 강제하는 등의

혼란이 민국시기 특징 중의 하나이다97) 화폐 시장에는 銀元 銀角 銅

元 지폐와 鈔票 市票등 유사 화폐까지 복잡middot혼란의 양상이 나타나고

결과적으로 물가 상승을 피할 수가 없었다

선통2년(1910) 격렬한 米価 騰貴가 있었고 長沙에서 대규모 搶米 폭

동이 일어났는데 이것은 단순한 흉년때문이 아니고 銅元 남발 등 화폐

제도 혼란에 기인한 것이었다98) 1880년대 초부터 1920년대까지는 인

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시기로 매년 33 비율로 상승하였으며 1930년

총 화폐보유고는 60억 원에 달했다 반 세기간 화폐 공급은 8-10배 증

가하였다99)

93)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ldquo光緖 二十九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始鑄當十銅幣 通

行全國 物価之踊始此rdquo

94) 民國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95)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財用錄 상업

96) 張朋園 앞의 책 pp258-259

97) 宋斐夫 앞의 책 pp10-12

98) 岸本美緖 앞의 책 p51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3

時期 銀(兩) 錢(文) 出典

乾隆 嘉慶년간 10 1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道光 初(1821) Prime 1300-1400 Prime

Prime 18年(1838) Prime 1400 林則徐湖廣奏橋 권3

Prime 25年(1845) Prime 2000上下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Prime 末年(1850)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咸豊 元年(1851) Prime 2000 民國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咸豊 初 Prime 2300-2400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8 부역

咸豊 3年(1853) Prime 20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5年(1855)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Prime 6年(1856) Prime 2000 湖文忠公遺集 권12

Prime 7年(1857) Prime 1600 骆文忠公奏議 권7

Prime 8年(1858) Prime 1400 胡文忠公遺集 권85

Prime 10年(1860) Prime 1300-1400 胡文忠公遺集 권70

同治 2年(1863) Prime 13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7年(1868) Prime 1300-1400 李瀚章 瀝陳湖北等省漕務

Prime 10年(1871) Prime 1600-1700 同治10年 長沙縣志 권8 부역 錢法

光緖32年(1906) Prime 1600 長沙日報 宣統2年 2月27日

선통 2年(1910) Prime 1700 國風報 宣統2年 3月 21日

표 지방지에서 직접 採錄제외는 龔勝生 淸代兩湖農業地理 pp270-277에서 湖南부분을 발췌하여 再引用한 것임

表13) 湖南의 銀錢比値

그런데 아편전쟁 전후 銀의 과도한 해외 유출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이

초래되고 이것이 물가 상승의 주요인이라 생각되고 있는 데는 약간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表13)을 보면 銀錢比価가 일시적으로 상승하였다

가 다시 하강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은전비가는 지역에 따라 차

이가 있지만 호남 장사를 위주로 정리한 것이 표13)이다100)

99)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0) 邱思達 中國近現代鑄幣圖說 (北京 中國書店 1991) p109 참조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4

주목되는 것은 道光末에서 咸豊初에 일시적으로 상승하였지만 淸末

의 比価가 낮은 편에 속하는 현상이다 청말에 은전비가가 비교적 안

정되고 있는 것이다 아편전쟁 후 5항 개항으로 교역이 확대된 상황에

서 아편무역 증대에도 불구하고 차와 silk 수출에 힘입어 은의 순유입

이 오히려 증가되는 현상이 나타났던 것이다101) 또 光緖17년(1891)이

후 세계 銀価하락 현상으로 은유입이 증가되었다102) 19세기 후반 중

국이 세계 사회에 연결되면서 중국의 무역 적자에도 불구하고 淸 정부

에 대한 대량 차관과 자본 투자를 통해서 거대한 양의 銀이 중국에 유

입되었다 1871년에서 1913년 사이 은의 순 수입은 2억 4천만 海關兩

혹은 3억 6천만 銀달러로 추정되고 있다 세계 시장의 은가 하락과 은

의 대량 유입은 중국의 국내 시장에서 물가 상승을 유도한 것이다103)

이런 배경으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은 일시적인 것이고 청말민국기 전체를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민국 시기에는 銀元과 錢의 교환 비율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은의 유입 현상에도 불구하고 宣統 원년 11150文의 비율에서 민국6년

2250文 민국11년 2840文 민국17년 3500文 민국22년 7200文까지 급등

하고 있다 예릉현의 기록이지만 이것으로 청말보다 민국시기에 통화

팽창현상이 극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4)

銀과 錢이 주요 화폐이고 그 환율이 항상 문제가 되고 있지만 주로

청 후기 이후는 錢文 위주의 경제로 바뀌고 있다고 생각된다 長沙府

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면 대부분 道光 이후는 화폐를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淸 前期는 米価를 銀으로 표시하던 것과는 대조적이

다105) 예릉현에서는 민간에서 세금을 납부하거나 大宗무역을 할 때를

101)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2) 邱思達 앞의 책 pp92-93

103)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4)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10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光緖3年刊 善化縣志 同治13年刊 湘鄕縣志 光

緖15年刊 湘潭縣志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民國37年刊 醴陵縣志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5제외하고 紋銀 사용자가 거의 없다 도광 이후 교역시 대부분 錢文을

사용했다는 기록을 보면 淸 後期는 錢 경제 위주로 넘어간 것 같

다106) 세금을 낼 때 외에 銀錢이 필요 없는 일반민은 錢文 사용권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너무나 당연하다

함풍4년에 長沙에서 大錢을 주조하여 통용시켰으나 결국 시장의 신

뢰를 얻지 못하여 퇴출되고 말았다 1854년 7월에 주조를 시작하여

1855년 4月에 주조를 정지하였다107) 이것을 보면 통화 남발도 결국

시장의 제약을 받고 있다

민국 7년(1918) 3月 張敬堯가 裕湘銀行을 개설하여 銀元票 1000만元

銅元票 3000만元을 발행하였다 그 결과 시장은 혼란에 빠지고 시중금

융은 마비 상태가 되었으며 결국 裕湘銀行 발행의 惡幣는 폐지와 같이

되었다108) 권력에 의하여 통화 팽창이 시도되더라도 시장이 감당할

수 없는 지경이 되면 중단될 수밖에 없다 과도한 통화 팽창은 시장의

질서에 의해 어느 정도 제약 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예릉현에서도 光緖 년간에 錢莊 24곳이 출현하여 盛業을 누렸는데

民國7年(1918) 兵禍로 停業하는 곳이 많아졌고 정부의 통화 남발 화폐

가치 하락 금융혼란의 현상이 나타났다109) 민국18년(1929) 이후는 정

국이 안정되고 교통 편리로 百業이 진흥되고 은행이 역할을 하게 되었

이상에서 보면 淸末까지는 은전비가가 안정되고 통화 관리가 어느

정도 성공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光緖 宣統 시기에 銀元의 주조 외국

銀貨의 대량유입 當十銅元 등 주조로 통화팽창이 많이 되었고 이시기

물가 상승과 연관되고 있다 민국 초기에도 정국 혼란과 무계획적 통

화남발로 물가의 급등을 초래하였다 민국 중기에는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것 같다

106) 龔勝生 앞의 책 p279

107) 劉泱泱 앞의 책 pp150-155

108) 宋斐夫 앞의 책 pp10-11

10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6영향현에서도 민국 21년(1932) lsquo穀賤錢荒rsquo의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

다110) 청말민국기에 전반적으로 화폐량의 증가가 현저했던 것은 사실

이다 다양한 화폐의 등장 銀兩 銀元 銅錢 銅元 외에 외국 銀元의 유

입 그 외 鈔票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출현하였으며 양적인 팽창도 분

명하다 하지만 대외 교역 증가와 경제 활동 인구의 증가 유통 상품의

양적 증가에 의해 시장의 화폐 수요가 증대된 것도 사실이다 통화 발

행은 일차적으로는 경제 주체의 수요에 부응하는 것이지만 그것이 과

도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3 공급기타 요소

물가는 기본적으로 수요공급의 관계에서 결정되는 것이 원칙이다

청말민국기에 걸쳐 인구가 급증하여 물가가 상승한 것은 자연스런 일

이다 그러나 물가 상승률 면에서 청말의 경우가 18세기의 증가율에

비해 크다고 할 수 없다 물가 상승률을 억제하면서 비교적 안정 속의

상승을 할 수 있었던 것은 공급의 증가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청말민국기에 湖南米의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 현상이 지속된 배경

에 비약적인 경지 면적 확대와 새로운 품종 개량 시비법 발전 등 농

업 생산 증대가 있었다는 것은 이미 밝혀진 바 있다111) 米穀 공급의

증대가 물가 상승을 완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雜糧 재배가 同治

(1862-74) 년간에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민중의 식량 문제 해결에 기여

하고 米価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던 것을 城步縣 知縣 盛溢源을

통해서 알 수 있다

洋米 수입이 國産米의 보충 역할을 했다는 지적이 있지만 결국 시

110) 民國30年刊 寧鄕縣新志 전1 縣年記

111) 田炯權 淸末民國期 湖廣地方의 農業生産力과 生産關係 (慶南史學 7

1995)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2001)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

究 25 200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7장에 대한 미곡 공급을 증대시켜 가격 안정에 기여했다고 생각된

다112)

민국 시대 관련 사료를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113)

금일 정세를 보면 국내 米価의 등락은 결코 國産米의 생산량이 많고

적음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외국 産米 구역의 풍년 여부에 따라 영

향이 대단히 크다

이것을 보면 洋米 수입이 國産米価를 조절한다고 볼 수 있다 비슷

한 시기 上海에서도 湖南米가 수입 米의 영향으로 가격이 약간 적게

올랐다는 史料도 있다114) 湘報에도 日本米가 수입되어 중국의 米価

가 차츰 내려갔다는 기록이 있다115) 같은 湘報에 보면 ldquo외국물산이

날로 풍부하여 중국 상품의 판로를 막는데 서양 상품의 가격이 낮으면

중국 상품 가격이 홀로 증가할 수 없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116) 결국 洋

貨도 중국에서는 시장에 대한 상품 공급의 증가이고 이것이 상품 가격

상승을 억제하고 있는 것이다 같은 자료에 중국의 土藥이 널리 판매

되니 외래 洋藥의 가격이 폭락한 사정도 소개되고 있다117)

또 洋蠟의 수입으로 국산 白蠟 가격이 매 100斤 200元에서 100元으

로 폭락한 일도 있었다118) 1921년 독일 면화가 대량 수입되어 중국의

綿価가 하락한 일도 있다119) 光緖년간 부터 중국이 綿紗 생산을 개시

하자 華商과 洋商사이에 가격 경쟁이 시작되었다 수입 綿布도 洋商이

國産布와 경쟁하기 위해 가격을 낮추어 공급하였다120)

112) 王良行 淸末對外貿易的關聯效果(1860-1911) (近代中國對外貿易史論集1997)

113)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卷3 p413

114) 위의 책 p416

115) 湘報 제45호 p1419

116) 湘報 제13호 ldquo外洋之出産日盛 足以抵華貨之銷路 洋価低則華貨不能獨增rdquo

117) 湘報 제162호 p1608

118) 章有義 앞의 책 권3 p662

119) 譚文熙 앞의 책 p342

120) 譚文熙 위의 책 p368 p374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8상인의 가격 조종이 물가 변동에 하나의 요소는 될 수 있다 예릉현

의 土資 판매에 있어 객상의 가격 조종에 저항하기 위해 주민들이 公

司를 조직하여 가격을 바로 잡았다는 기록도 있다121) 지주 부농 米商

등의 매점매석에 의한 가격 조종 사실은 흔히 발견된다122) 秋收期에

시장에 대량 방출된 곡식을 저렴한 가격에 매입하여 端境期에 되팔아

이익을 남기는 것은 상인의 오래된 관행이다 이윤 추구를 위한 개인

의 행위지만 넓게 보면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행위이기도 하

다 각지 농산품 가격 변동 조사에서 원인이 밝혀진 10건 가운데 전쟁

이 2건 豊凶 水旱災가 7건 상인 조종은 단 한 건 뿐이었다123) 제국

주의 상인에 의한 가격 조종이라는 것도 결국 중국 상인의 이윤 추구

행위와 본질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湘報의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124)

輪船이 이미 통행하고 있고 철로가 이미 만들어 졌다 제조업이 날로

번성하고 통상조약이 행해지니 상인이 계속 내왕하고 온갖 상품이 유통

된다 사계절 틈이 없으니 일용 각 물품이 그 가격이 반드시 저렴할 것

이다

이것을 보면 통상 개시 후 교통이 발달하고 상품 교역이 증대된다

는 것과 그 결과 일용품의 가격이 저렴해졌다는 것을 당시인이 인식하

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서방 각국과의 무역 증대는 상품 공급의 증가

이고 가격 경쟁을 통해 물가 상승을 완만하게 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

121)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22) 李文治 앞의 책 p559

123)湘報 제49號 ldquo輪船旣行 鉄路旣造 製造日盛 商約可行 商賈絡繹 百産流通

歲時無間 則日用物品 其価必廉rdquo

124) 安本美緖 앞의 책 제7장 pp239-288 제12장 431-455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9

Ⅲ 物價와 景氣(생활)

1 穀賤傷農과 不況

物價 문제를 단순히 등락의 흐름에만 주목하기보다 경기변동론적

입장에서 好況 不況의 문제로 연관시켜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

이다 岸本美緖는 康熙年間의 lsquo穀賤rsquo 현상이 不況과 연결되어 있고 光

緖年間 蘇州의 不況도 lsquo穀賤rsquo이 원인이었음을 지목하고 있다125)

그런데 長沙府 중심의 湖南의 사정을 검토해 보면 lsquo穀賤rsquo 관련 기록

이 道光 咸豊 시기와 民國 中期에 집중되고 있다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26)

道光 25年(1845) ldquo穀賤斗穀錢五十文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値穀賤錢価亦賤 民甚苦之rdquo

장사현과 縣治를 長沙城 내에 두고 있는 善化현에서도 같은 해에

비슷한 기록이 있다127)

道光25年 穀賤自十五年起 連年俱穀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中下戶苦之

咸豊5年 穀賤

장사현 기록을 보면 穀価도 싸고 錢価도 싸서 민이 고통 받는다 했

으니 이 당시 은의 해외 유출과 은전비가 문제로 민중이 고통 받은 사

실을 알 수 있다 선화현은 장사현과 연접하고 통합과 분리가 단속되

었던 거의 동일 지역이다 선화현 기록을 보면 도광25년의 lsquo穀賤rsquo이 해

당년도만의 일이 아니고 道光15年(1835)부터 계속된 현상임을 밝히고

있다

12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33 祥異

126)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127) 民國30年刊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0인근의 寧鄕縣에서 보면 ldquo道光26年 歲豊 穀奇賤傷農 佃農以穀賤大

困rdquo이라는 기사가 있다128) lsquo穀奇賤rsquo이라 하였으니 평상시 보지 못한

하락이었다고 생각된다 더구나 소작료 납부가 대부분 현물지대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佃農은 米穀의 상품화 과정에서 배제되었다는 종전의

통념과 달리 佃農도 곡가 하락으로 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같은 기록에 함풍원년에도 ldquo有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以穀賤漕折苛rdquo라 하고 있어

역시 곡가 하락으로 세금 납부에 곤란을 겪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장사부 內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아도 同治 년간에는 lsquo穀賤rsquo 기

재가 보이지 않고 전술한 도광 함풍 년간에 집중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후의 기록을 찾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ldquo湖南自夏秋以來雨暢時若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故無論高低田畝咸稱大稔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甚

賎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反有入不敷出之慨矣rdquo (益聞錄 69号 광서6년828)129)

ldquo(長沙農村) 近年來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穀米求售 価値至賤 日用各物 則又極昻 收穫所

得 不足顧其工本 多已漸陷于無力耕種之境rdquo (新靑年 7권 6호 1920년 5

월)130)

ldquo湖南近年來之天災人禍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天災旣足以減少收量 地方不靖 産品滯銷

価値復因以低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而生活日昻 工価及日用物品 繼續增漲 收入支出 常苦

不得平衡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rdquo (中國棉産改進統計會議專刊 1931)131)ldquo湘省爲産穀素豊之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年歲收 屢佔大有 而長江流域亦値豊收 更

有大宗洋米 運貨傾銷致湘米頓失市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価格低賤 不僅農村經濟 陷于絶

境 市面金融 亦大受打擊rdquo (銀行週報 18권 9기 1934313)

이외에도 1936年의 사실로 호남의 武岡 東安 일대에서 lsquo豊年穀賤rsquo으

로 省城에 운반할 때 운송비와 각종 捐稅 부담을 감당할 수 없어 陳米

를 불태웠다는 기록이 있다

128) 李文治 앞의 책 p557

129) 章有義 앞의 책 권2 p432

130) 章有義 앞의 책 권3 p795

131) 章有義 위의 책 p620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1이것을 보면 주로 1930년대에 lsquo穀賤rsquo과 不況이 집중 묘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lsquo穀賤rsquo 즉 불황이라고 하면 도광함풍초의 곡천과 불

황 同治光緖宣統期의 lsquo穀貴rsquo즉 好況 다시 民國 전기의 好況 民國 中期

의 불황으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물가의 상승기가 호황적 국면이라는 것은 알려

져 있지만 이것은 전체 물가의 문제이다 위 자료에서 보면 1920년 장

사 농촌에서는 곡가는 싼데 일용품 가격은 극히 높다고 하고 있고

1931년의 기록도 工價와 일용품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농민이 다수를 점하기 때문에 미곡가의 하락은 농민 수입 감소

와 구매력 저하를 가져오고 이것이 농촌 불황의 한 요인이 될 수 있

다 그러나 工賃과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시장의 한계 안에서의

일이다 또한 실업률과 고용 지표 등도 고려되어야 하는데 만족할만한

통계의 부족으로 명확한 답을 얻기는 어렵다

그런데 米価와 물가는 개별 년도나 시점에서 서로 상이한 궤적도

있지만 圖2 3 6 7을 보면 대체적으로는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예릉의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광서 4년(1878)에 비하여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1912)에는 현격한 상승세였다가 그 후에 등락을 거듭

하고 있지만 민국25년(1936)의 경우는 광서4년보다는 높거나 유사한

경우가 많다

2 생활 경기의 발달

당시인들이 체감하던 생활 경기의 수준이 어떠했는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

光緖刊 善化縣志를 보면 다음과 같다132)

132)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16 풍속 附論 ldquo古人 酒肉以養老 而今則黃口稚子

無不酒肉之人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日不旦穀貴鹽貴 而酒肉皆貴 則好惡可知矣 一今鄕間柴炭

其価數倍於昔日 瀕河之地 莫不燒煤rdquo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2옛사람들은 술과 고기로 노인을 부양하였는데 지금은 어린아이도 술과

고기를 먹지 않는 이가 없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요사이 미곡과 소금이 비쌀 뿐 아니

라 술과 고기가 모두가 비싸니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지금 향간에 柴炭이 그 값이 예전보다 수배인데 하천 근처 사람은

煤를 때지 않는 사람이 없다

同治 攸縣志 에도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33)

예전에 士大夫도 집에 있을 때 엄동이 아니면 가죽옷을 입지 않았다

지금 關中의 가죽옷 상인이 유현에 와서 1년에 은 만여 냥을 얻을 수 있

다 기타 비단 옷은 蘇州 杭州 및 嶺南에서 오는 것이 또 배가 되니 1년

에 수만금을 소비한다

醴陵縣에서도 비슷한 인식을 볼 수 있다134)

ldquo예전 풍속이 儉樸하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이 명절 아니면 고기를 먹지 않고

慶弔事가 아니면 술을 베풀지 않고 손님 접대는 닭 잡는데 그치고 鮮味

는 생선에 그쳤고 縣城의 食肆는 飽麵茶館에 그치고 酒席으로 業을 삼는

자가 없었다

지금은 酒樓菜館이 거리에 가득차고 中人의 집에도 술자리가 베풀어지

고 사치를 다툰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예전에 士類大半이 淥江書院에 모이면 그 가운데 비단신을 신은 자가

불과 수인이었고 羊가죽 옷을 입은 자가 불과 1 2人이었다 지금은 비단

신과 가죽옷이 거의 常服이 되었고 日用品은 舶來品이 많다rdquo

이 내용을 보면 예릉현의 생활 수준이 급격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예릉현지 기록에는 부인들이 上海의 유행을 쫓아 사치를 추구한

다는 내용도 있고 청말부터 外貨를 서로 자랑한다는 내용도 있다 종

133) 同治10年刊 攸縣志 권18 풍속 衣服 ldquo衣服 昔時 士大夫 家居非嚴冬不御裘

今關中裘商來攸 歲可得銀萬餘兩 其他錦繡之運自蘇杭及嶺南者 則又倍之 計一歲

之戶 所費數萬金rdquo

134)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4장 풍속 생활 ldquo旧俗民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非令節不

食肉 非慶弔不置酒 欵客止於殺鷄 鮮味止於草魚 縣城食肆 止於飽麵茶館 無以酒

席爲業者 今則酒樓菜館 遍於街市 中人之家酬酢往還 爭奢鬪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旧時士類

大半 集於淥江書院 一院之中 著緞鞋者 不過数人 襲羊裘者 不過 一二人 今則絲

履皮袍殆成常服 日用之品 多自舶來rdquo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3전에 菜油 棉油로 燈을 켜다 집집마다 煤油를 사용한다거나 세탁시

茶枯鹼水를 쓰다가 대부분 비누를 사용하는 일상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135)

또 寧鄕縣에서도 ldquo同光之間 地方安寧 家給人足(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함)縣城商業 於時爲盛rdquo이라 하고 있어 同治(1862-74) 光

緖(1875-1908) 시기가 好況이었음을 알 수 있다136) 湘報에도 ldquo民間

之喜用洋貨日甚一日rdquo이라 하고 있어 洋貨 사용의 확대를 짐작할 수 있

다137)

광서년간 무역이 확대되고 여기에 대해 유익하다는 인식의 기록이

湘報에 나오고 있다138)

ldquo輪船과 철로가 개통되고 항구 개항이 증가 되는 것은 실로 중국에 유

익하고 손해가 없다 저 눈이 콩만큼 큰 자가 걸핏하면 통상이 중국에 해

가 된다고 하니 어찌 심히 어리석지 않은가rdquo

무역 확대를 지적하고 통상이 유익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예릉현

지에도 同治志에는 풍속이 lsquo安士重遷rsquo하고 상인이 외부 활동하는 자가

적었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고 光緖末에 도자기 夏布 編爆業

이 일어나 융성하여 이에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 넘는다고

하고 있다139) 예릉향토지에도 商旅 왕래가 예전보다 10배라는 서술이

있다140)

장사시의 行業발달 상황을 보면 민국 5년(1916)에서 民國22年(1935)

사이에 식품업은 281⟶2124 사치품은 171⟶1128 복장은 43⟶2028 農

礦은 621⟶1156 洋貨 127⟶233 금융 130⟶164 공예 2121⟶3344 문구

17⟶355 등 비약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141)

135)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 工商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6장 실업

136) 民國30年刊 寧鄕縣志 財用錄 民業

137) 湘報 제13호 1898年 3月 21日

138) 湘報 제162号 1898年 9月 23日

13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40) 民國15年刊 醴陵鄕土志 제6장 실업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4이것은 장사의 생활수준 향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당시에

通商의 확대 주장도 湘報에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142)

이상에서 보면 청말민국기에 대체적인 추세는 好況이었다고 생각된

다 생활 수준의 향상이 눈에 띄고 米価와 물가도 연동되면서 상승하

는 추세였다 米価의 상승이 구매력 수준의 제고가 되기 때문에 米穀

생산 중심지역에 상인들의 行號가 집중되는 것이 보였다143) 임금의

경우에도 호남 汝城縣에서 실질 임금이 유지 또는 상승하는 것을 확인

한 바 있다144) 全漢昇도 1875년부터 1925년까지에 걸쳐 四川 合江현

의 임금과 물가 변동의 추세가 거의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바 있

다145) 앞서 인용한 1931년 中國棉産改進計劃 에도 임금과 일용품 가

격이 함께 오른다고 하고 있어 임금이 물가에 연동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생활 수준 향상을 기록하고 있던 지방지에도 빈부 격차를 암시하는

내용이 있고 物力이 날로 쇠퇴한다든지 하는 기록이 있다 대외 무역

이 적자라 하더라도 차관 원조 뿐 아니라 외국 상인의 진출이 자본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好況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Ⅴ 結 言

이제까지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이후 民國中期인 1936年

까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여 米価와 물가 변동 물가 변동의 원인

141) 張朋園 앞의 책 p387

142) 湘報 44호 中外通商利害論 湘報 67号 論湖南茶務急宜整頓

143)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144)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9 1998)

145) 安本美緖 앞의 책 p2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5물가와 생활 경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米価 변동은 단기 변동에 있어서 전쟁이나 天災 등의 특수한 사정

의 해를 제외하고는 光緖 년간에 비해 민국 중기의 계절 변동폭이 축

소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米価의 계절 변동을 완화 시

켜 주는 雜糧의 재배가 湖南 지역에서는 대부분 同治 년간에 보급 확

대가 되고 있다 교통과 상업 발달 등의 이유로 청말에서 민국기로 갈

수록 계절 변동폭을 축소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변동에서는 長沙府縣의 물가 변동 예릉현 물가 변동 등을 살

펴 볼 때 전체로서는 상승 추세 중에 도광 함풍 시기의 低米価 同治

년간의 高米価 光緖전반의 低米価 光緖後半에서 宣統 년간의 高米価

民國 前期의 高米価 民國 中期의 低米価의 등락을 보이고 있다

民國 中期의 米価는 長沙 8개년 米価 추세에서도 안정속의 상승세

를 보이고 있다 명목상 수치 뿐 아니라 米価의 상대 물가로 보는 실

질 구매력도 宣統 民國元年에까지 급상승하였다가 민국 시기 등락을

거듭하지만 민국25년(1936)까지 광서4년(1878) 대비 유지 또는 상승 추

세였다

物価변동은 개별 상품에 따라 편차가 있고 米価와는 전혀 상이한

궤적을 그리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米価와 연동 관계를 보이

고 있다 1898년 물가의 단기 변동은 이상할 만큼 변동폭이 크지 않다

당시 물가 조사자의 보고가 정확했는지 의심될 정도이다 1935년의 장

사 물가에서 단기 변동을 보면 변동폭이 100이상인 夏布 毛筆 麵粉

棉布등을 비롯하여 50 이상인 오리털 흑연 성냥 국산 전지 등을

비롯하여 40 이상인 비누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기 변동폭

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 이것은 이런 물품들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

성이 크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物価의 장기 변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米価와 대체로 비슷한 궤적

을 보이고 있다 청말에서 민국전기에 걸쳐 물가 상승폭이 두드러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 상승폭이 더욱 크

다 돼지고기 값을 예로 들면 1878년에서 1909년 사이에 273 상승했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6고 1912-1921년 사이에 75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닭은 각 50와 44

상승했다 청말은 31년간의 수치이고 민국 전기는 9년간이니 물가의

상대적 급등을 알 수 있다 1926에서 1936년까지 10년간 돼지 고기 값

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

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

세를 보이고 있다 민국 중기의 米価가 일부 lsquo穀賤rsquo 현상을 보인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음으로 물가 변동의 원인에 대해서는 군벌간의 전쟁이나 정치적

혼란 등 정치 군사적 요인을 제외하고 대체로 검토해 보았다

수요 측면에서는 湖南米의 유통이 호남 내부의 인구 증가에도 불구

하고 양자강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지속된 것이 米価 상승의 한 원

인이었다 上海나 武漢 등의 도시화와 인구집중은 이들 지역 양식 수

요를 폭증시켰다 일부 洋米 수입에도 불구하고 湖南米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으로써 米価를 상승시켰다 또 장사를 비롯한 각지의 새로운 수

공업 산업의 발달로 비농업 인구가 증가하고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유

효수요로 성장하여 米価 상승을 유도하였다 양식의 이출은 해당 지역

인구 식량을 전부 제외한 나머지 잉여가 수출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력

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청말민국기에는 호남의 내부 외부에

서 미곡에 대한 유효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것이 米価 상승의 한 요인

이었다

화폐 문제에 있어 화폐 수량의 증가가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것

은 상식이다 종래 아편전쟁 전후 은의 해외 유출 증가가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을 초래하여 물가 상승과 인민의 빈곤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지방지 등의 史料에서 검토한 결과 은전비가는 도광함풍초의

일시적 상승 후에 함풍 7년 이후는 도리어 하락하고 있다 同治 년간

에 대부분 1兩 1300文 수준에서 안정되고 있다 光緖末宣統년간에도

1600-1700文 수준으로 도광함풍 초보다는 낮은 편이다 청말민국시

기에 화폐의 남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한계를 넘었을 때 시장의 통용

거부로 마침내 중단되고 있다 청말민국기에 외국 銀元의 유입과 국내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7의 銀元 주조 銅元 지폐 외에 鈔票 市票 등 화폐 시장에 투입된 화

폐량은 엄청나게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로서는 어느 정

도 시장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외 교역과 상품량의

증대 경제 활동 인구의 증대 미곡 생산 및 농산품 생산의 증대로 화

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것이 화폐량의 막대한 증가와 유

통속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

었다고 생각된다 즉 안정 속의 물가 상승이 유도된 것이다

공급면에서 보면 대외 교역을 통한 서양 상품의 수입은 전체로서는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물건의 공급 증가를 통해서

혹은 국내 상품과의 경쟁 때문에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었

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침략과 물가 폭등이라는 도식적

견해와 달리 현실에서는 물가 억제 작용도 있었던 것이다

물가와 경기면에서 보면 물가가 비쌀 때 호경기가 많은 것은 사실

이다 그런데 lsquo穀賤rsquo 현상이 불황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서 長沙 지역의 경우를 검토해 보았다 도광함풍 년간까지 lsquo穀賤rsquo현상

과 불경기적 상황에 대한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동치광서 년간에는

米価가 등귀한 시점인데 이 시기는 紅茶業의 번성이나 각종 수공업의

번성으로 好況의 면모가 보이고 있다 민국 시기에는 민국 중기에 lsquo穀

賤rsquo의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史料上에 민국 중기의 lsquo穀賤rsquo은 임금이나

다른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다 물가 상승기와 好況

이 맞물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민국 중기는 lsquo穀賤rsquo 현상과 서로 어긋

나는 것이다 이 시기의 不況 서술은 농촌의 농민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표시이다

생활 수준에 대한 지방지 기록 등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주민들의

洋貨 사용이 보편화되고 의복 음식 주거 등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것

을 지적하고 있다 물가는 상승하였지만 同治 이전에 비하여 분명히

사치품의 소비 증대와 中人의 집도 소비 수준이 제고된 것이 드러나고

있다 민중의 빈곤은 있으나 이 시기 빈부 격차가 커지고 생활 수준의

격차가 커진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13: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1

시기 단위 가격(元) 米価

민국15년(1926) 石 160 32

민국20년(1931) 240 48

민국25년(1936) 250 50

민국27년(1938) 280 56

민국28년(1939) 500 100

민국29년(1940) 800 160

민국30년(1941) 3000

-lt表2gt lt表3gt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物価

lt表3gt醴陵縣 穀価(b)(縣商會 조사)

lt圖3gt 醴陵縣 穀價 石元

lt표2gt와 lt圖2gt를 보면 長沙府의 米価는 光緖4년(1878)부터 광서19

년까지 비교적 낮은 채로 있다가 그 이후 급등하여 청말에서 민국 전

기 까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lt표3gt과 lt圖3gt을 보면 민국 15년

(1926)에서 민국 27년(1938)까지 비교적 안정속의 상승세를 보이다가

그 후에 급등하고 있다 本考에서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는 것은 민국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2

時期 銀価(兩石) 錢価(文石) 出典

道光 16年(1836) 10 1400 民國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Prime 25年(1845) 05 1000同治長沙縣志 권33

祥異 光緖善化縣志 咸豊元年(1851) 08 1600 民國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함풍 3年(1853) 05 1000 同治湘鄕縣志 권5 祥異함풍 6年(1856) 07-08 1400-1600 同治安化縣志 권34 五行

同治元年(1862) 308 4000 同治瀏陽縣志 권14 祥異

同治 9年(1870) 296-370 4000-5000 Prime

光緖 7년(1881) 08-266 1200(4000) 民國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光緖年間 125-188 2000-3000 長沙日報 宣統2年2月

선통32年(1906) 25 4000 Prime

선통 2年(1910) 412 7000 Prime

長沙日報는 兩湖農業地理 p274에서 再引用

lt表4gt 長沙府 縣志等 米価 기록

중기인 1936년까지이다 항일 전쟁 발발과 國共 대립 등으로 극도의

혼란기인 민국후기는 특히 경제면에서 역사적 실체를 파악하기가 매우

어렵다

lt표4gt는 주로 長沙府 내의 縣志를 이용하여 米価를 정리한 것이다

흉년시의 특별한 가격이 아니라 평상년 가격 위주로 작성한 것이다

풍년시의 가격도 있으나 수년간 풍년이 지속되었다면 常年 가격에 준

한다고 생각된다 함풍3년(1853)의 米価는 兩湖南農業地理에 인용된

曾國藩 上奏시의 米価와 동일하다 같은 자료를 더 이용하면 함풍7년

(1857)에는 駱文忠公遺集 1石당 3200-3500文의 기사가 있다 역시

曾國藩의 上奏文에 同治2年은 1石당 30兩인데 당시의 銀錢比価로 환

산하면 3900文이므로 lt표4gt上 동치 元年 4000文과 거의 유사하다 同

治7년(1868)은 李瀚章의 上奏文에 4000文 전후로 되어있어 표의 내용

과 거의 일치한다 이것들을 짜 맞추어 보면 위 지방지 기록이 상당한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3

lt圖4gt 長沙의 米価 변동

bull광서4년 14년 19년은 예릉현지 물가표 기재 이용

bull광서7년은 민국 영향현지 기록 가을 이전의 평상 가격 이용

bull광서32년은 水災시의 가격

예릉현 물가표상의 광서 기록을 보충하여 수정한 결과

신뢰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표4)의 내용에 長沙府 醴陵縣志의 물가

표상 광서4년 14년 19년을 포함하여 구성해 본 것이 lt圖4gt이다

이것을 종합하여 보면 도광 16년(1836) 이후 함풍6년(1856)까지는

비교적 저렴한 米価가 유지되다가 함풍7년(1857)이후 米価가 급등한

것으로 생각 된다 동치 년간은 동치원년(1862) 4000文에서 동치2년

3900文 동치7년 4000文전후 동치9년 4000-5000文으로 계속 高米価가

유지된 시기였다 그런데 銀錢比値는 동치2년 1300文 동치 7년

1300-1400文으로 도광말 함풍초보다 오히려 안정되어 있다 淸末 이

지역의 지방지를 검토하면 거의 모두 嘉慶 이전은 米価를 銀兩으로 표

시하다가 道光 이후는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도광 이후 淸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4末은 米価도 錢文価가 실제 시장 가치를 잘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

다 동치 년간 상당히 高米価가 유지되었지만 道光末咸豊初와 같은 lsquo銀

貴錢賤rsquo 현상은 보이지 않기 때문에 米価 상승이 농민에게 어느 정도

유리했다 여겨진다 lt圖4gt를 보면 光緖 전반에는 米価가 상대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光緖19年(1893)까지는 하락 안정세를 보이다가 그 후에

급등하고 있다 호남성 수확기의 中米 가격 조사에서도 비슷한 경향이

보인다47) 中米 가격도 광서22년(1896)부터 대체로 상승추세인데 광서

34년(1908)에 급등하고 있다 앞서 彭信威가 연구한 江浙 米価 변동에

19세기 24분기와 19세기 780년대가 米価低落期에 해당된다고 하는

데48) 이것과 유사한 면을 가지면서 약간의 편차가 있다 즉 동치 년간

(1862-74) 70년대 전반까지는 대체로 高米価가 유지되었고 光緖 전반

의 하락은 90년대 전반까지인 것으로 생각되는 것이다 淸末 上海의

米価 조사도 1862-71(213) 1872-81(128) 1882-91(142) 1892-1901

(207)로 되어 있어 위 호남 長沙의 米価 변동과 비슷한 궤적을 그리고

있다49)

lt표1gt에 제시된 광서 24년(1898)의 長沙 米価도 3000文-4000文 사

이에 형성되어 상당한 高米価이다 같은 湘報에 실린 내용에 岳州에

집결된 湖南米가 漢口에 운송 판매되는데 米価는 3700-800文 또는 4천

수백文에 이른다고 되어 있다50) 대략 光緖20年(1894) 이후부터 淸末까

지 高米価가 지속되었다고 생각된다 松江府續志의 기록을 이용하여

光緖年間 低米価와 그로 인한 장기 不況이라는 해석은 長沙府 일대에

서는 드러나지 않는다51) 低米価는 光緖年間 전체는 아니고 光緖

(1875-1908) 년간의 거의 전반에 해당하는 1893년 이전의 일로 생각된

다 후반에서 淸末까지는 急騰에 가까운 高米価의 변동을 보여주고 있

47) 岸本美緖 앞의 책 p19

48) 同上 p443

49) 湘報 76號 p67650) 李文治 中国近代農業史資料 제1집 p561 岸本美緖의 해석 앞의 책

pp442-443

51) 張人价 앞의 책 pp93-9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5

機米 河米 糯米 총 평균

가격 지수 가격 지수 가격 지수 가격 지수

1928 652 7564 503 7065 805 9015 653 7944

1929 862 10000 712 10000 893 10000 822 10000

1930 1003 11636 862 12107 1037 11613 967 11764

1931 1002 11624 845 11868 1020 11422 956 11630

1932 1008 11694 817 11475 947 10605 924 11241

1933 594 6868 504 7079 757 8477 618 7525

1934 671 7784 590 8287 812 9093 691 8406

1935 1004 11647 810 11376 1012 11333 942 11460

lt表5gt 長沙의 米価(石元)

예릉현 물가표를 보면 民國 시기에도 대체로 안정속의 상승세가 지

속된다 청말에서 1921년까지 米価가 급등한 것으로 보이지만 1926년

에서 1936년까지는 안정 속 상승의 추세이다 兩圖 사이에는 가격 단

위의 차이가 있어 직접 접속은 곤란하지만 흐름은 그렇다고 여겨진다

호남성경제조사소 의 조사에 근거한 민국17년(1928)부터 민국24년

(1935)까지의 8년간 米価 기록을 제시한 것이 lt표5gt이다52)

이것을 보면 등락은 있지만 비교적 米価가 안정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上海의 米価도 1912-1928년 사이 407 상승하였는데 1921-1928년

사이에는 154 상승하였다53) 호남성의 米価는 宣統2年-民國元年 3개

년 평균가와 민국 21-23년 3개년 평균가를 비교했을 때 86 상승이라

는 조사도 있다54) 대체로 淸末에서 民國 전기까지는 가격이 급등하고

민국 중기에는 안정 속의 상승이 추세였다고 생각된다

호남성 汝城縣의 물가변동을 보면 우선 지방지 편찬자의 시기 구분

52) 徐正元 上海近代稻米市場価格變動分析 (中國經濟史硏究 1996年 2期)

53) 張人价 앞의 책 p87

54)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 91998)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6

1898年 1935年

소금 56文斤 57斤

洋油 50文斤 64斤

돼지고기 105文斤 30斤 015-020元斤 25-33斤

鷄育 123文斤 26斤

羊肉 117文斤 27斤

茶油 100文斤 32斤 019-024斤 21-26斤 瀏陽가격

면화(中棉) 217文斤 15斤 03-05斤 10-17斤 湘陰 Prime

1898年 中米1石価 (湘報소재 1石 3193文 적용)

1935年 長沙米価 民國25年 刊 通郵地方物産誌 湖南의 長沙靖港米価(担40-60元

의 중간 값 이용) 1石은 1担보다 크므로 실제 米価는 이보다 높을 것임

이 의미있다고 생각된다 同治丁卯志 편찬 이후부터라고 명시하고 있

는데 丁卯年은 同治6년(1867)이다 이후부터 민국21년(1932)까지를 세

시기로 구분한다55) 同光 시기 光宣 시기 民國 시기이다 즉 동치 후

반에서 광서 전반 광서 후반에서 선통 년간이니 광서 후반부터 물가

상승이 컸던 것을 반영한다고 여겨진다 여성현 물가표상 米価 변동을

단순 비교하면 지수는 100 200 400으로 변한다 1930년대 전반의 米

価는 동치 후기에 비하여 약 65년만에 300 상승한 것이다 이것을

신뢰하더라도 앞서 18세기 전후 백년간 물가가 300 상승하였다는 당

시인의 인식과 상승률은 거의 비슷하다56) 장사부 상음현에서도 18세

기 중후반 67년간 米価가 300 상승한 바 있다 예릉현 물가 표상

1878년에서 1921년까지는 米価는 약 458 상승하였지만 1926년에서

1936년까지 10년간은 약 563 상승에 그쳤다 민국 중기는 비교적 안

정속의 상승을 보여 주고 있다 lt표5gt에 제시된 長沙 機米의 8년간

가격도 54 정도 상승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미가의 명목 수치상 등

락을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질 가치를 알아보려면 상대 물가 즉

米1石価의 구매력이 얼마인지를 보아야 한다

lt表6gt 長沙 中米 1石価의 구매력 변동

55) 郭成康 앞의 논문

56) 張麗芬 앞의 책 p270 각주7)에 보면 호남성 1担価는 140-150斤 1898年 長

沙 米価는 1石당 150-155斤임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7

1935년의 長沙 米価는 通郵地方物産誌의 長沙 靖港의 米 1担価를

이용하였다 실제 石은 担보다 크므로 米価는 여기서 잡은 5元을 상회

할 것이라 생각된다57) 같은 자료의 물가를 이용하여 제시한 lt표6gt을

보면 돼지고기 값은 1898년의 30斤에서 1935년은 25-35斤 사이이다

그 범위 안에 있는 것을 보면 米価의 실질 구매력은 유지되고 있다

茶油는 다소 하락하였지만 면화도 유지 또는 상승이라 볼 수 있다

예릉현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돼지고기는 상승 추세 속에 일

부 하락년이 있다 선통 원년과 민국 원년에 수치가 상승한 것은 米価

의 폭등이 기타 물가를 크게 앞지른 것으로 여겨진다 민국 중기에 약

간 하락하였지만 1935년의 돼지고기 구매력은 광서4년(1878)에 비해

67정도 상승하고 있다 茶油의 경우도 민국 10년(1921)까지 米의 상

대 구매력이 대폭 상승하고 있다 이것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米価 변

동을 통해 농민 소득이 하강했다고 여겨지지 않는다

광서4년1878

광서14년1888

광서19년1893

선통원년1909

민국원년1912

민국5년1916

민국10년1921

민국15년1926

민국20년1931

민국25년1936

猪肉 15斤 25斤 22斤 36斤 35斤 23斤 27斤 16斤 28斤 25斤

草魚 34斤 39斤 38斤 57斤 62斤 35斤 - 20斤 32斤 33斤

茶油 12斤 23斤 25斤 27斤 - - 25斤 - ① -

鹽 23斤 26斤 22斤 33斤 62斤 - 42斤

棉花 7斤 16斤 5斤 - - - - - ②

洋紗 - - - - - - - ③

煤油 - - - - - - - 15병 2병 11병

雞 17斤 22斤 20斤 33斤 22斤 19斤 21斤 - - -

史料上 穀価를 lsquo1米2穀rsquo의 원칙에 따라 米価로 환산하였음① 민국 15년(1926)부터는 茶油의 단위가 石으로 되어 있어 비교 곤란② Prime 棉花의 단위가 石으로 되어 있어 비교 곤란③ Prime 羊紗의 단위가 件으로 되어 있어 이해 곤란

lt表7gt 醴陵縣 米価의 물품구매력 변동추세(米1石의 구매력)

57) 刘泱泱 湖南通史 近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p487-488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8

품목

시기

단위

同光

(1870-1890)

光宣

(1890-1911)

民國

(1912-1932)

肉 斤 188 188 175

鹽 斤 60 75 636

洋紗 捆 100 100同光시기洋紗통행안함

土布 尺 100 120 140

洋油 甁 20 10同光시기

洋油 未 盛行

茶油 斤 188 188 175

桐油 斤 214 200 194

柴 750 875

同治丁卯志(1867)편찬 이후라 되어 있어 대략 70년부터 잡은 것이다

lt表8gt 湖南 汝城縣의 穀1石価의 구매력 변동

호남 汝城縣의 穀1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고기는 光宣 시기에

유지되다가 민국 시기에 약간 하락하였으나 근소한 수치이다 鹽의 구

매력은 光宣 시기에 대폭 올랐다가 民國 시기에 하락하였으나 同光 시

기 보다는 높은 수치이다 洋紗에 대한 구매력은 光宣 시기에서 民國

시기에도 계속 유지되고 있다 茶油는 고기와 같은 변화이다 土布에

대해서는 구매력이 계속 증가한다 洋油에 대해서는 民國 시기에 구매

력 감소를 보이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호남의 대외무역은 외국의 공

업품과 농부산품 원료를 교환하는 것인데 고가의 공업품 대신 강제

저가의 수단으로 호남의 농산품을 약탈한다는 견해58)는 약간의 재검

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공업 상품 가격의 翦刀差에 대해서도 洋紗

의 경우를 보면 나타나지 않고 있다59)

이상을 종합하면 同治年間의 高米価 光緖前半(1875-1891)까지의 상

대적 低米価 光緖後半-宣統까지의 高米価 급등 民國前期의 계속 상승

58) 李金錚 二十年來 中國 近代 鄕村 經濟史的 新探索 (歷史硏究 2003年 4

期)

59) 譚文熙 앞의 책 pp298-299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9

品目 洋麵 淮鹽 茶油 桐油 洋油 猪肉 雞 鴨 烟煤 柴煤

단위시기

包 斤 100斤 100斤箱2桶(50斤)

斤 斤 斤 100斤 衡斗

31-310 26兩 56文 73兩 19兩 104文 112文 88文 320文 24文

311-320 26兩 Prime 73 19 104文 128文 88文 320文 24文

321-331 26兩 Prime 73 625兩 189 108文 128文 88文 320文 252

41-410 26兩 Prime 728 628 186 320文 240

411-420 27兩 Prime 728 626 183 254 228

421-430 29兩 Prime 72 616 181 314 260

51-510 293兩 Prime 711 606 178 310 240

511-520 274 Prime 71 60 183 314 240

521-531 26 Prime 71 60 185 314 229

61-610 26 Prime 699 60 185 299 219

611-620 231 Prime 734 61 184 320 255

621-630 22 Prime 754 62 183 311 254

71-710 22 Prime 774 649 183 310 250

711-719 218 Prime 768 631 181 318 265

면화는 上棉 中棉 下棉의 가격이 제시되고 있으나 여기서 생략함

lt表9gt 1898年 3-7月間 長沙物価

民國中期(1926-1936)까지 안정이라는 米価 변동의 궤적을 확인할 수

있고 그 기간 동안 米価의 실질 구매력은 유지 또는 상승이 대체적 추

세였다 생각된다

2 物價 변동

1) 단기 변동

湘報에 수록된 光緖24년(1898)의 長沙 물가 변동을 표시한 것이

lt表9gt와 lt圖5gt이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0

品目 단위 최고가 최저가 시기 유통량 행선지

鴨絨 斤 500 300 冬 上海 北平 天津 南京

일반적으로 米価와 物価는 상호 연동적이라 생각되지만 여기서 물

가의 단기 변동은 米価와는 다소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대체로

등락 폭이 크지 않다 洋油 洋麵 桐油 등의 변동폭이 크지 않다 면화

만 4월 10일 20일 사이에 상승이 있지만 5월부터는 하락하고 있다

淮鹽 가격은 斤당 56文으로 3月에서 7월 사이에 전혀 변동이 없다

長沙지역은 원래 淮鹽 관할 구역이었으나 太平天國 시기에 교통 두절

로 川鹽 소비지역이 되었다 太平天國후 曾國藩이 이 지역을 淮鹽 소

비지역으로 회복하기 위해 여러 가지 개혁 조치를 행하고 督銷局에서

가격을 核定하여 고시하는 牌價 제도를 시행한 바 있다 일종의 통제

가격제도에 의해 가격 상승이 억제되고 있었던 것이다 直隷의 景縣의

소금 값은 1890년에 斤당 46文 1900년에 斤당 68文이라는 조사도 있

다60) 長寧縣에서는 光緖29年(1903)에 鹽価가 斤당 55文이라는 보고도

있는데 이것은 長沙 1898年의 鹽価와 유사하다61)

戰亂後에 淸朝정부의 淮鹽 소비지 회복 정책에도 불구하고 四川鹽

이 계속 私鹽으로 침투하였기 때문에 長沙의 淮鹽価를 저렴한 통제 가

격下에 두고 있었다고 생각 된다62) 圖6)에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柴煤

는 米価와 같이 5月10日에 최고가에 가깝고 6월10일에 하락하고 그후

에 상승하고 있다 烟煤의 경우에도 비슷한 궤적을 그리고 있다 이것

은 米価와의 연동관계가 비교적 분명하다

1935년의 長沙 物価의 단기 변동 폭을 알 수 있는 것이 lt표10gt이

lt表10gt 長沙物価 通郵地方物産志

60) 李文治 앞의 책 p562

61) 譚文熙 앞의 책 p267-268

62) 佐伯富 中國史硏究 第1卷 (京都 同朋舍 1978) pp340-36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1

黑鉛 石 2200 1300 全年 50000石 漢口上海

棉紗 件 22000 1800 Prime 24000件 本省

棉布 疋 120 150() Prime 1000000 漢口

麵粉 袋 50 250 Prime 140000 Prime

線襪 雙 106 Prime 6000000 本省

毛呢鞋 Prime 200 180 Prime 400000 Prime

夏布 疋 1000 200 夏 20000 上海漢口

火柴 箱 500 300 全年 10000 本省

刺繡 Prime國內및外洋

매년 産量 약50만元

玻璃器 件 300 200 Prime 9000 本省

肥皀 箱 70 50 Prime 30000 Prime

絲綿三角 兩 040 020 Prime 40000 Prime

國貨電池 打 060 040 Prime 200000 Prime

猪 斤 020 015 Prime 50000只 漢口上海

豬毛 担 6000 5000 Prime 4000kg Prime

粗窑器 卡 350 250 Prime 100000套 長江연안

毛筆 支 050 020 Prime 本省 및 황하 각성

여기서 보면 변동폭이 100 이상인 것은 면포 夏布 絲線三角 毛

筆 麵粉 등이다 또 50 이상인 것은 鴨絨(가공오리털) 667 흑연

692 火柴(성냥) 667 玻璃器(유리그릇) 50 국산 電池 50 등이

다 비누는 40 粗窰器는 40이다 棉沙 222 毛呢鞋는 111 돼

지 333이다 단기 변동 폭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고 생각된다 이

것은 이런 물품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성이 크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그런데 1898年의 경우는 茶油 洋油 등 물품의 가격 변동폭이 적은 것

은 무엇 때문일까 어쩌면 당시의 시장 가격 조사가 부정확했는지도

알 수 없다

1935年의 물가에서 綿沙의 변동폭이 적은 것은 당시 항상적인 수요

가 있었기 때문이 아닐까 비누의 변동폭도 40로 비교적 적은데 생

필품으로 수요가 지속 증대된 까닭이 아닐까 한다 通郵地方物産誌에 기재된 醴陵縣 夏布 가격은 40元-100元 사이인데 民國醴陵縣志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2

圖5) 1898年 3月-7月 長沙物價

의 物価表上에는 70元(1938)이라 되어 있다 物産誌 가격은 1935年

의 것인데 예릉현지의 가격이 그 범위 안에 있어 서로 다른 자료간에

부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63) 物産誌 上 相潭株洲의 茶油 값

매 石 160-240元(1935)은 예릉현지 물가표의 민국 20년(1931) 茶油 매

石 240元과 일치하고 있다 표12)에 1936年 煤油 값은 병당 44元이다

그런데 民國 安鄕縣志에서도 1934년 煤油 값은 병당 38元으로 되어

있어 兩者 사이에 유사성을 보여주고 있다64) 그러므로 醴陵縣志 物価의 종적 비교도 신뢰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洋麵은 包당 가격

茶油桐油洋油는 100斤당 가격

棉花 100斤당 가격

2) 장기 변동

長沙의 물가 변동을 보려면 湘報 수록의 광서 24年(1898) 물가와

63) 交通部郵政總局 編 中國通郵地方物産誌 (華世出版 1988)

64) 民國 安鄕縣志 卷11 食貨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3

품명 단위광서4년

(1878)

광서14년

(1888)

광서19년

(1893)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

(1912)

민국5년

(1916)

민국10년

(1921)

豬肉 斤 88文 63 62 112 160 240 280

雞 斤 80 72 68 120 250 300 360

lt表12gt 醴陵縣 物価表 (b) (商会조사)

품명 단위민국15년(1926)

민국20년(1931)

민국25년(1936)

민국27년(1938)

민국28년(1939)

민국29년(1940)

민국30년(1941)

猪肉 百斤 200원 170 200 360 400 561 1300

草魚 Prime 160 150 150

茶油 石 240 290 560 760 2000

鹽 石 120 140 150 160 2000

洋紗 件 2200 2200 2400 2000 2500 1500

土布 匹 27 70

夏布 Prime 70 70 140

竹布 Prime 100 100 8000

棉花 石 20 25 40 100 200 400

煤炭 石 020 030 040 050 230 70

煤油 甁 220 240 440 90 300 460 200

毛邊紙 石 198 432 1200

黑靛粉 桶10斤 100 200 1500 2000

赤金 兩 50 70 80 90 500 560 1600

lt表11gt 醴陵縣 物価表 (a)(私家數簿에 의한 것)

民國24年(1935)의 通郵地方物産誌 기록을 직접 비교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양 자료 사이에 화폐와 단위가 서로 달라 직접 비교할 수가 없

다 그래서 당시인의 물가 변동 기록인 長沙府 醴陵縣 物価表를 이용

하는 것이 파악 방법이 될 것이다

lt표11gt lt표12gt 와 lt圖6gt lt圖7gt을 보면 개별 물품에 따라 차이

는 있지만 대체적인 흐름은 米価 변동과 유사한 궤적을 보여주고 있

다 즉 光緖 前半에 비교적 안정적이다가 光緖 후반부터 급상승하여

민국 전기까지 상승하고 있다 1926년부터 1936년까지는 가격 안정세

를 보여 주고 있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4

雞蛋 個 2 2 3 4 10 15 20

草魚 斤 40 40 36 70 90 160

茶油 斤 116 69 54 150 300

鹽 斤 60 60 63 120 90 180

煤 石 50 120 50

苧麻 斤 270 99 170

棉花 斤 200 96 280

竹布 尺 70 62 60 60 90

靑洋布 尺 55 50 50 70

白蓮紙 刀 40 82 80 100

-附記 前淸 통행 制錢文으로써 단위 민국 초년에는 비록 銅元을 단위 사용하나 관습상 매 1銅元은 錢10文에 해당

圖6) 醴陵縣 物価 (a)

① 豬肉 斤당 가격 ② 雞肉 斤당 가격 ③ 茶油 斤당 가격

④ 鹽 斤당 가격 ⑤ 棉花 斤당 가격 ⑥ 草魚 斤당 가격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5

圖7) 醴陵縣 物価(b)

① 猪肉 百斤당 가격 元 ② 草魚 百斤당 가격 元 ③ 茶油 石당 가격 元

④ 鹽 石당 가격 元 ⑤ 洋紗 件당 가격 元 ⑥ 棉花 石당 가격 元

⑦ 煤油 甁당 가격 元

米価가 物価와 연동되는 것에 대해서 江都縣史料를 보면 ldquo産米 구역

에서 年末에 米価가 상승하니 百物이 昻貴했다rdquo65)라고 되어 있다 湖

南지역 米価 연구 자료에도 米価 추세는 거의 물가 수준과 같다는 주

장이 있다66)

光緖末宣統年間의 물가 상승을 나타내는 史料를 보면 다음과 같다

이제 각종 惡政의 결과로 百物의 騰貴를 초래했는데 小民의 日用 수요

65) 李文治 앞의 책 p470 ldquo江都爲産米區域 年末米価騰踊 百物因以昻貴rdquo

66) 張麗芬 앞의 책 p22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6음식은 그 가격이 십년 전에 비해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과 居室 器用

蔬饌의 비용 牛種糞漑의 비용도 예전 보다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도 비록

동일 비례로 함께 올랐으나 이미 넉넉하지 못해 괴롭다67)

이것을 보면 米価와 物価가 연동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청말

특히 光緖 후반 이후에 각종 物価가 두 배 올랐다는 사정을 알 수 있

다 上海의 物価도 같은 시기에 상승하고 있다68)

lt표11gt lt표12gt와 lt圖67gt을 검토해 보면 돼지고기 값은 광서 14

년 광서 19년까지는 다소 하락세를 보이다가 宣統원년(1909)부터 급격

히 상승하고 있다 민국원년(1912)의 가격은 160文으로 1878年의 88文

에 비해 거의 두 배에 해당한다 위에 인용한 宣統 2年 8月 國風報의 물가 두 배 인상과 정확하게 부합되고 있다 민국 전기인 1926년까

지 계속 상승하고 있지만 1926년에서 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이고 있

돼지고기 값은 1878년-1909년 사이 273 상승했고 1912-1921년 사

이에 75 상승했다 닭은 각기 50와 44 상승했다 계란은 100

100 상승이었다 淸末 비교 시기는 31년간인데 비해 민국 전기는 9

년간에 불과하다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가 급등한 것은 충분히

알 수 있다 1926년에서 1936년 10년간 돼지 값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거의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이었다

民國 醴陵縣志에도 ldquo辛亥혁명이전에는 물가가 심한 등락이 없었는

데 민국 후에 들어와서 차츰 상승했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69) 圖6)을 보

면 닭고기도 비슷한 궤적을 보이고 있다 草魚의 경우도 청말 민국전

기는 상승이 주요 동선이고 민국 중기(1926-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

67) 國風報 第1年 21期 宣統 2年 8月 (李文治 앞의 책 p561) ldquo今也以種種惡

政之結果 以致百物騰踊 小民日用 飮食所需 其価皆視十年前兩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居

室器用蔬饌之費 牛種糞漑之費兩倍于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雖以同一比例以俱騰 旣苦不

給矣rdquo

68) 岸本美緖 앞의 책 p443

6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物價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7이고 있다 譚文熙 物価史에는 민국 전기는 안정속의 상승세로 민국

중기는 파동속의 상승으로 정리를 하고 있는데 여기와는 약간의 차이

를 보이고 있다70) lt표11gt과 lt표12gt 사이의 화폐 단위 차이로 인한

연속적 파악에 다소 어려움이 있으나 대체의 추세는 짐작할 수 있다

또 품목에 따라 공란이 있어 연결 관계가 애매한 부분이 있다 1936년

이후는 중일 전쟁의 혼란과 불환지폐의 강제 통용 등의 사정으로 本考

에서는 분석 대상 범위에서 제외 하고자 한다

Ⅱ 物價 변동의 원인

1 수요 측면

米価와 物價가 상호 연동관계에 있고 넓은 의미에서는 米価도 물가

의 일부이다 米価 및 물가의 상승은 우선 수요의 증가에 원인이 있다

고 할 것이다 수요증가는 일반으로 인구 증가이다 湖南의 인구는 嘉

慶21年(1816) 18754259명에서 1898年 21174000명으로 다시 民國17년

(1928)에는 31501212人으로 비약적 성장을 하였다71) 약 110년 동안

인구가 1300만 가까이 증가하였고 비율로는 679가 증가하였다 長沙

府의 인구도 가경 25년(1820)에서는 4290086명이었는데 민국23년

(1934)에는 8421330명으로 약 400만명 이상 증가하여 963 상승을

보이고 있다72)

인구의 증가가 수요 증대를 초래하는 일반 요인이지만 湖南의 米穀

移出이 해당 지역 민중의 식량을 제외하고 남는 잉여 米만은 아니다

70) 譚文熙 앞의 책 pp302-307 여기서는 민국 전기는 1912-1927년 민국 중기

는 1927-1937년으로 구분하고 있다

71) 湖南省志 地理志 (長沙 湖南人民出版社 1982) pp230-238

72)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8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의 증대가 더 중요한 요인일 것이다 淸末에

와서 새로운 생업을 통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가 많이 증가하고

있는데 醴陵縣 사례를 한번 검토해 보겠다 史料는 다음과 같다73)

同治志에 이르기를 醴陵의 풍속은 lsquo安土重遷rsquo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상인이 外地에 나

가 장사하는 이가 적었다 배를 이용하여 외부 상업을 하는 것은 淥口 부

근의 米穀商일 뿐이었다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邑人들이 茶제조로 武漢에 판매하는 자가

이익이 배가 되었다 이때부터 龍門일대에 매양 봄에 茶를 제조하고 가리

는 廠이 항상 수십이었다 光緖末年에는 도자기업 夏布 編爆이 일어나서

대신하였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이를 믿고 생계를 삼는자가 무려 십만인이다

同治志 편찬 단계만 해도 사람들이 토착 안주하여 멀리 이동하는

것을 어렵게 여겼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큰 이익을 보고 그

후 도자 기업 夏布 編爆 제조에 종사하여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나 되었다는 것이다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의 성장을

보여주는 것이다 長沙의 빠른 도시화도 주목된다 長沙日報에 실린

내용을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74)

光緖32년(1906)에 火災 조사시에 城廂 내외가 매일 식량으로 穀 5000

石이 필요하였다 지금 교통이 편리하고 상인 旅客이 배로 증가하였으니

매일 마땅히 1-2000石을 더해야 한다(宣統 2年(1910) 2月 17日 長沙日

報)이것을 보면 光緖32년(1906)에서 宣統2년(1910)은 불과 5년이 채 되

지 않는데 상인 집단이 배로 증가하였다니 城內外의 유동인구 급증을

짐작할 수 있다 長沙城의 인구는 1916年에 177882人이었고 1931年은

385514人으로 증가하였다 불과 15년 사이에 1167 증가이다 배 이

73)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ldquo同治志云 醴俗安土重遷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商賈外

貿者少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揚帆外貿則 僅淥口附近之穀米商而已 光緖初 紅茶業興 邑人製茶

販運 漢皋者 獲利倍蓰自是來龍門一帶 每屆春日 製茶捒茶列廠恒數十 訖於光緖

末年 則有瓷業及夏布編爆起而代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恃以爲生者 無慮 十萬人rdquo

74) 李文治 앞의 책 p551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9상이 증가하였으니 長沙의 도시화도 급속히 진전 되고 있다75)

민국10年의 湖南 實業雜誌 보도를 보면 당시 長沙에 蓆工 500人

刻字工 300人 방직공 3200人 이발공 800人 香工 400人 합계 5200人

이 있었다 長沙大公報에 의하면 민국9년(1920)에 長沙에는 부두공

2600人 糞夫 500人 轎夫 1300 車夫 2300人으로 합계 7000人 정도

가 있었다76) 같은 시기 호남성의 광부가 160萬人이고 여기에 手藝工

苦力을 합치면 190만 전후였다고 한다 예릉현에서는 東鄕 일대에서

編爆業 종사자가 수만이고 東北兩鄕에서 磁廠의 女工도 수천이나 되었

다는 기록도 있다77) 湖南 邵陽縣에서도 淸末에 工匠이 5만 상인이 12

만 정도였다는 통계도 있다78) 이렇게 비농업 인구가 다른 생업을 통

해 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로 증가하고 있던 것이 확인된다 이런 유

효 수요 증가를 설명해 주는 다른 史料 하나를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

다79)

어째서 米穀이 날로 적어지고 날로 비싸지는가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水旱災가 날로 많고 농사짓는데 날로 게으르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말은

진실로 일리가 있는데 다 그런 것은 아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선교사 洋商 洋官 洋

兵은 증가한 것이 외국에서 온 사람이다 敎民 游民 賭民 盜民은 內地

에서 증가한 자이다 무릇 농사짓는 사람은 하나인데 먹는 자는 헤아릴

수가 없다 米穀이 어찌 비싸지 않을 수 있겠는가

光緖後期의 사정을 전하고 있는 위 史料를 보면 외국에서 온 선교

사 상인 군인 관리 등도 米価 상승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국내

외를 막론하고 비농업 인구의 급격한 성장이 米価 상승의 원인이라 생

각된다

湖南과 長沙의 米穀은 해당 지역 안에서 소비되는 것보다 揚子江

75) 張朋園 中國現代化的區域硏究 -湖南省 (台北 1998) p376

76) 위의 책 pp412-413

77)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農業經濟

78) 光緖33年刊 邵陽縣鄕土志 권2 인류 실업

79) 李文治 앞의 책 p77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0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많다 청말민국시기에도 지속적인 湖南米의

移出이 있었던 것은 이미 밝힌바 있다80)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穀

米가 騰貴한 이유가 外省의 采辦이 많은 때문이라고 하고 있다81) 상

담현에서도 동치 4년(1865)이전에 해마다 풍년이었는데 穀価가 까닭

없이 騰貴한 것은 江南이 처음 회복되어 米穀의 販運이 많아진 때문이

라고 하고 있다82) 1898年에도 長沙에서 米穀의 원거리 送出을 바라는

지주 富戶와 주민의 갈등 관계가 노출되고 있다83) 宣統2年(1910)의 기

록에도 湖北의 흉년으로 出境 米穀이 과다하여 米価가 급등했는데 작

년 末에는 1石5000文이었다가 금년에는 1石 8000文에 이르렀다는 내

용이 있다84) 같은 자료에 湖南米가 당도 하지 않으면 武漢에서 변란

이 일어난다고 할 정도이다

하류의 上海는 한적한 어촌에서 근대에 대도시로 성장하였다 武漢

上海등의 도시화와 상공업 발전 인구 집중은 長沙米의 급격한 수요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宣統 년간에 長沙가 전국적인 4大 米市의 하나

로 성장한 것은 우연한 일은 아니다85)

근대에 대외 교역증가가 물가 상승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생각된

다 1873년에서 1930年 사이에 농산물 수출 통계는 1910년을 100으로

했을 때 1873년은 12 1893년은 123 1903년 386 1920년은 1324

1930년은 2709로 급상승하고 있다86) 농산물의 수출은 해외 수요의 증

가이다 이런 교역상 수요 증대는 가격의 등귀 뿐 아니라 작물 재배

면적의 확대에도 기여하고 있다

80)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81)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20

82) 光緖6年刊 湘潭縣志 卷29 災祥志

83) 湘報 89號 長沙縣職員常達邦呈批

84) 李文治 앞의 책 p381

85) 徐正元 中國近代農産商品化的發展與米市的形成 (復印報刊經济史 1997年3期)

86)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권2 p14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1宣統2년(1910) 長沙에 영국 상인이 출현하여 米穀 구매를 단행하자

米価가 하루에 여러 번 급등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였다87) 湖南에서

는 또 광동 상인의 영향을 받아 紅茶 제조법을 습득하여 홍차를 대량

생산하여 구미에 수출하였다 19세기 60년대부터 20세기 초에 특히 호

남 茶 생산 판매가 극히 발달하였다88) 주요 산지 중에는 長沙 湘潭

安化 등이 손꼽히고 있다

桐油의 수출 또한 괄목할 만한 것이다 湖南의 桐油 수출은 1922년

전국의 3336 1923년은 372로 성장하였다 1929년에는 全省 수출

총액의 45 정도를 차지하였고 桐油 상품화율 80에 달하였다89) 대

외교역을 통한 농산품의 해외 수요 증가는 직간접으로 물가 상승에 작

용하고 있다

2 화폐 문제

물가와 화폐의 관계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통상 화폐 수량의 증가가

생산총량의 증가보다 초과할 때 물가상승이 일어난다90) 보통 淸 후기

에는 아편무역에 따른 銀의 해외 유출과 그 결과 야기된 lsquo銀貴錢賤rsquo 현

상 통화팽창에 의해 물가가 상승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91)

실제 淸末民國기에 걸쳐 통화 팽창과 물가 상승에 대한 기록을 찾

는 것은 어렵지 않다 王業鍵에 의하면 淸末 특히 1875年부터 1911年

까지는 인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단계였다고 한다92)

民國 寧鄕縣志에 보면 ldquo光緖29年(1903)에 처음으로 當十銅元을 주

87) 李文治 앞의 책 p550-551

88) 劉泱泱 앞의 책 p46

89) 宋斐夫 主篇 湖南通史 現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5 p276

90) 陳民 法幣發行制度與通貨膨脹 (復印報刊經济史 2001-1)91) 龔勝生 앞의 책 pp275-280 岸本美緖 앞의 책 p444 張麗芬 앞의 책

p217

92) Yeh-chien Wang Secular Trends of Rice in the Yanzi Delta 1638-1935(California Univ Press 1992)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2조하여 전국에 통용시켰는데 물가의 등귀가 이때부터 시작되었다rdquo는

기록이 있다93) 醴陵縣에서는 光緖32年에 當十銅元을 주조하여 制錢과

병행시켰고 宣統원년에 銀元이 이미 성행하였다 민국원년에는 當二十

銅元을 주조하였는데 雙銅元이라 칭하였다94) 영향현에서도 광서말에

私鑄錢인 毛錢이 나오고 지폐가 통용되는 등 통화팽창이 상업을 일변

시켰다고 한다95)

종전에 비해 실질 가치가 열악한 當十 當二十 등 銅元의 남발과 鈔

票의 성행은 화폐 시장의 과잉을 초래하였다 정식의 鈔票 이외도 각

현 발행의 私鈔와 錢莊에서 발행한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시중에 범람

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민국 시대에는 화폐 남발이 더욱 심하였다 호

남은행을 비롯한 저축은행 농업은행 등이 각기 각종 지폐를 발행하여

혼란이 가중되었다 1915년에 호남의 은행은 33개인데 그 중 장사현 7

개 상담현이 7개였다96)

군벌들이 은행을 개설하거나 질 낮은 화폐 통용을 강제하는 등의

혼란이 민국시기 특징 중의 하나이다97) 화폐 시장에는 銀元 銀角 銅

元 지폐와 鈔票 市票등 유사 화폐까지 복잡middot혼란의 양상이 나타나고

결과적으로 물가 상승을 피할 수가 없었다

선통2년(1910) 격렬한 米価 騰貴가 있었고 長沙에서 대규모 搶米 폭

동이 일어났는데 이것은 단순한 흉년때문이 아니고 銅元 남발 등 화폐

제도 혼란에 기인한 것이었다98) 1880년대 초부터 1920년대까지는 인

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시기로 매년 33 비율로 상승하였으며 1930년

총 화폐보유고는 60억 원에 달했다 반 세기간 화폐 공급은 8-10배 증

가하였다99)

93)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ldquo光緖 二十九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始鑄當十銅幣 通

行全國 物価之踊始此rdquo

94) 民國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95)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財用錄 상업

96) 張朋園 앞의 책 pp258-259

97) 宋斐夫 앞의 책 pp10-12

98) 岸本美緖 앞의 책 p51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3

時期 銀(兩) 錢(文) 出典

乾隆 嘉慶년간 10 1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道光 初(1821) Prime 1300-1400 Prime

Prime 18年(1838) Prime 1400 林則徐湖廣奏橋 권3

Prime 25年(1845) Prime 2000上下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Prime 末年(1850)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咸豊 元年(1851) Prime 2000 民國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咸豊 初 Prime 2300-2400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8 부역

咸豊 3年(1853) Prime 20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5年(1855)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Prime 6年(1856) Prime 2000 湖文忠公遺集 권12

Prime 7年(1857) Prime 1600 骆文忠公奏議 권7

Prime 8年(1858) Prime 1400 胡文忠公遺集 권85

Prime 10年(1860) Prime 1300-1400 胡文忠公遺集 권70

同治 2年(1863) Prime 13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7年(1868) Prime 1300-1400 李瀚章 瀝陳湖北等省漕務

Prime 10年(1871) Prime 1600-1700 同治10年 長沙縣志 권8 부역 錢法

光緖32年(1906) Prime 1600 長沙日報 宣統2年 2月27日

선통 2年(1910) Prime 1700 國風報 宣統2年 3月 21日

표 지방지에서 직접 採錄제외는 龔勝生 淸代兩湖農業地理 pp270-277에서 湖南부분을 발췌하여 再引用한 것임

表13) 湖南의 銀錢比値

그런데 아편전쟁 전후 銀의 과도한 해외 유출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이

초래되고 이것이 물가 상승의 주요인이라 생각되고 있는 데는 약간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表13)을 보면 銀錢比価가 일시적으로 상승하였다

가 다시 하강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은전비가는 지역에 따라 차

이가 있지만 호남 장사를 위주로 정리한 것이 표13)이다100)

99)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0) 邱思達 中國近現代鑄幣圖說 (北京 中國書店 1991) p109 참조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4

주목되는 것은 道光末에서 咸豊初에 일시적으로 상승하였지만 淸末

의 比価가 낮은 편에 속하는 현상이다 청말에 은전비가가 비교적 안

정되고 있는 것이다 아편전쟁 후 5항 개항으로 교역이 확대된 상황에

서 아편무역 증대에도 불구하고 차와 silk 수출에 힘입어 은의 순유입

이 오히려 증가되는 현상이 나타났던 것이다101) 또 光緖17년(1891)이

후 세계 銀価하락 현상으로 은유입이 증가되었다102) 19세기 후반 중

국이 세계 사회에 연결되면서 중국의 무역 적자에도 불구하고 淸 정부

에 대한 대량 차관과 자본 투자를 통해서 거대한 양의 銀이 중국에 유

입되었다 1871년에서 1913년 사이 은의 순 수입은 2억 4천만 海關兩

혹은 3억 6천만 銀달러로 추정되고 있다 세계 시장의 은가 하락과 은

의 대량 유입은 중국의 국내 시장에서 물가 상승을 유도한 것이다103)

이런 배경으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은 일시적인 것이고 청말민국기 전체를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민국 시기에는 銀元과 錢의 교환 비율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은의 유입 현상에도 불구하고 宣統 원년 11150文의 비율에서 민국6년

2250文 민국11년 2840文 민국17년 3500文 민국22년 7200文까지 급등

하고 있다 예릉현의 기록이지만 이것으로 청말보다 민국시기에 통화

팽창현상이 극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4)

銀과 錢이 주요 화폐이고 그 환율이 항상 문제가 되고 있지만 주로

청 후기 이후는 錢文 위주의 경제로 바뀌고 있다고 생각된다 長沙府

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면 대부분 道光 이후는 화폐를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淸 前期는 米価를 銀으로 표시하던 것과는 대조적이

다105) 예릉현에서는 민간에서 세금을 납부하거나 大宗무역을 할 때를

101)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2) 邱思達 앞의 책 pp92-93

103)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4)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10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光緖3年刊 善化縣志 同治13年刊 湘鄕縣志 光

緖15年刊 湘潭縣志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民國37年刊 醴陵縣志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5제외하고 紋銀 사용자가 거의 없다 도광 이후 교역시 대부분 錢文을

사용했다는 기록을 보면 淸 後期는 錢 경제 위주로 넘어간 것 같

다106) 세금을 낼 때 외에 銀錢이 필요 없는 일반민은 錢文 사용권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너무나 당연하다

함풍4년에 長沙에서 大錢을 주조하여 통용시켰으나 결국 시장의 신

뢰를 얻지 못하여 퇴출되고 말았다 1854년 7월에 주조를 시작하여

1855년 4月에 주조를 정지하였다107) 이것을 보면 통화 남발도 결국

시장의 제약을 받고 있다

민국 7년(1918) 3月 張敬堯가 裕湘銀行을 개설하여 銀元票 1000만元

銅元票 3000만元을 발행하였다 그 결과 시장은 혼란에 빠지고 시중금

융은 마비 상태가 되었으며 결국 裕湘銀行 발행의 惡幣는 폐지와 같이

되었다108) 권력에 의하여 통화 팽창이 시도되더라도 시장이 감당할

수 없는 지경이 되면 중단될 수밖에 없다 과도한 통화 팽창은 시장의

질서에 의해 어느 정도 제약 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예릉현에서도 光緖 년간에 錢莊 24곳이 출현하여 盛業을 누렸는데

民國7年(1918) 兵禍로 停業하는 곳이 많아졌고 정부의 통화 남발 화폐

가치 하락 금융혼란의 현상이 나타났다109) 민국18년(1929) 이후는 정

국이 안정되고 교통 편리로 百業이 진흥되고 은행이 역할을 하게 되었

이상에서 보면 淸末까지는 은전비가가 안정되고 통화 관리가 어느

정도 성공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光緖 宣統 시기에 銀元의 주조 외국

銀貨의 대량유입 當十銅元 등 주조로 통화팽창이 많이 되었고 이시기

물가 상승과 연관되고 있다 민국 초기에도 정국 혼란과 무계획적 통

화남발로 물가의 급등을 초래하였다 민국 중기에는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것 같다

106) 龔勝生 앞의 책 p279

107) 劉泱泱 앞의 책 pp150-155

108) 宋斐夫 앞의 책 pp10-11

10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6영향현에서도 민국 21년(1932) lsquo穀賤錢荒rsquo의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

다110) 청말민국기에 전반적으로 화폐량의 증가가 현저했던 것은 사실

이다 다양한 화폐의 등장 銀兩 銀元 銅錢 銅元 외에 외국 銀元의 유

입 그 외 鈔票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출현하였으며 양적인 팽창도 분

명하다 하지만 대외 교역 증가와 경제 활동 인구의 증가 유통 상품의

양적 증가에 의해 시장의 화폐 수요가 증대된 것도 사실이다 통화 발

행은 일차적으로는 경제 주체의 수요에 부응하는 것이지만 그것이 과

도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3 공급기타 요소

물가는 기본적으로 수요공급의 관계에서 결정되는 것이 원칙이다

청말민국기에 걸쳐 인구가 급증하여 물가가 상승한 것은 자연스런 일

이다 그러나 물가 상승률 면에서 청말의 경우가 18세기의 증가율에

비해 크다고 할 수 없다 물가 상승률을 억제하면서 비교적 안정 속의

상승을 할 수 있었던 것은 공급의 증가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청말민국기에 湖南米의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 현상이 지속된 배경

에 비약적인 경지 면적 확대와 새로운 품종 개량 시비법 발전 등 농

업 생산 증대가 있었다는 것은 이미 밝혀진 바 있다111) 米穀 공급의

증대가 물가 상승을 완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雜糧 재배가 同治

(1862-74) 년간에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민중의 식량 문제 해결에 기여

하고 米価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던 것을 城步縣 知縣 盛溢源을

통해서 알 수 있다

洋米 수입이 國産米의 보충 역할을 했다는 지적이 있지만 결국 시

110) 民國30年刊 寧鄕縣新志 전1 縣年記

111) 田炯權 淸末民國期 湖廣地方의 農業生産力과 生産關係 (慶南史學 7

1995)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2001)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

究 25 200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7장에 대한 미곡 공급을 증대시켜 가격 안정에 기여했다고 생각된

다112)

민국 시대 관련 사료를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113)

금일 정세를 보면 국내 米価의 등락은 결코 國産米의 생산량이 많고

적음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외국 産米 구역의 풍년 여부에 따라 영

향이 대단히 크다

이것을 보면 洋米 수입이 國産米価를 조절한다고 볼 수 있다 비슷

한 시기 上海에서도 湖南米가 수입 米의 영향으로 가격이 약간 적게

올랐다는 史料도 있다114) 湘報에도 日本米가 수입되어 중국의 米価

가 차츰 내려갔다는 기록이 있다115) 같은 湘報에 보면 ldquo외국물산이

날로 풍부하여 중국 상품의 판로를 막는데 서양 상품의 가격이 낮으면

중국 상품 가격이 홀로 증가할 수 없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116) 결국 洋

貨도 중국에서는 시장에 대한 상품 공급의 증가이고 이것이 상품 가격

상승을 억제하고 있는 것이다 같은 자료에 중국의 土藥이 널리 판매

되니 외래 洋藥의 가격이 폭락한 사정도 소개되고 있다117)

또 洋蠟의 수입으로 국산 白蠟 가격이 매 100斤 200元에서 100元으

로 폭락한 일도 있었다118) 1921년 독일 면화가 대량 수입되어 중국의

綿価가 하락한 일도 있다119) 光緖년간 부터 중국이 綿紗 생산을 개시

하자 華商과 洋商사이에 가격 경쟁이 시작되었다 수입 綿布도 洋商이

國産布와 경쟁하기 위해 가격을 낮추어 공급하였다120)

112) 王良行 淸末對外貿易的關聯效果(1860-1911) (近代中國對外貿易史論集1997)

113)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卷3 p413

114) 위의 책 p416

115) 湘報 제45호 p1419

116) 湘報 제13호 ldquo外洋之出産日盛 足以抵華貨之銷路 洋価低則華貨不能獨增rdquo

117) 湘報 제162호 p1608

118) 章有義 앞의 책 권3 p662

119) 譚文熙 앞의 책 p342

120) 譚文熙 위의 책 p368 p374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8상인의 가격 조종이 물가 변동에 하나의 요소는 될 수 있다 예릉현

의 土資 판매에 있어 객상의 가격 조종에 저항하기 위해 주민들이 公

司를 조직하여 가격을 바로 잡았다는 기록도 있다121) 지주 부농 米商

등의 매점매석에 의한 가격 조종 사실은 흔히 발견된다122) 秋收期에

시장에 대량 방출된 곡식을 저렴한 가격에 매입하여 端境期에 되팔아

이익을 남기는 것은 상인의 오래된 관행이다 이윤 추구를 위한 개인

의 행위지만 넓게 보면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행위이기도 하

다 각지 농산품 가격 변동 조사에서 원인이 밝혀진 10건 가운데 전쟁

이 2건 豊凶 水旱災가 7건 상인 조종은 단 한 건 뿐이었다123) 제국

주의 상인에 의한 가격 조종이라는 것도 결국 중국 상인의 이윤 추구

행위와 본질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湘報의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124)

輪船이 이미 통행하고 있고 철로가 이미 만들어 졌다 제조업이 날로

번성하고 통상조약이 행해지니 상인이 계속 내왕하고 온갖 상품이 유통

된다 사계절 틈이 없으니 일용 각 물품이 그 가격이 반드시 저렴할 것

이다

이것을 보면 통상 개시 후 교통이 발달하고 상품 교역이 증대된다

는 것과 그 결과 일용품의 가격이 저렴해졌다는 것을 당시인이 인식하

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서방 각국과의 무역 증대는 상품 공급의 증가

이고 가격 경쟁을 통해 물가 상승을 완만하게 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

121)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22) 李文治 앞의 책 p559

123)湘報 제49號 ldquo輪船旣行 鉄路旣造 製造日盛 商約可行 商賈絡繹 百産流通

歲時無間 則日用物品 其価必廉rdquo

124) 安本美緖 앞의 책 제7장 pp239-288 제12장 431-455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9

Ⅲ 物價와 景氣(생활)

1 穀賤傷農과 不況

物價 문제를 단순히 등락의 흐름에만 주목하기보다 경기변동론적

입장에서 好況 不況의 문제로 연관시켜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

이다 岸本美緖는 康熙年間의 lsquo穀賤rsquo 현상이 不況과 연결되어 있고 光

緖年間 蘇州의 不況도 lsquo穀賤rsquo이 원인이었음을 지목하고 있다125)

그런데 長沙府 중심의 湖南의 사정을 검토해 보면 lsquo穀賤rsquo 관련 기록

이 道光 咸豊 시기와 民國 中期에 집중되고 있다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26)

道光 25年(1845) ldquo穀賤斗穀錢五十文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値穀賤錢価亦賤 民甚苦之rdquo

장사현과 縣治를 長沙城 내에 두고 있는 善化현에서도 같은 해에

비슷한 기록이 있다127)

道光25年 穀賤自十五年起 連年俱穀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中下戶苦之

咸豊5年 穀賤

장사현 기록을 보면 穀価도 싸고 錢価도 싸서 민이 고통 받는다 했

으니 이 당시 은의 해외 유출과 은전비가 문제로 민중이 고통 받은 사

실을 알 수 있다 선화현은 장사현과 연접하고 통합과 분리가 단속되

었던 거의 동일 지역이다 선화현 기록을 보면 도광25년의 lsquo穀賤rsquo이 해

당년도만의 일이 아니고 道光15年(1835)부터 계속된 현상임을 밝히고

있다

12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33 祥異

126)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127) 民國30年刊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0인근의 寧鄕縣에서 보면 ldquo道光26年 歲豊 穀奇賤傷農 佃農以穀賤大

困rdquo이라는 기사가 있다128) lsquo穀奇賤rsquo이라 하였으니 평상시 보지 못한

하락이었다고 생각된다 더구나 소작료 납부가 대부분 현물지대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佃農은 米穀의 상품화 과정에서 배제되었다는 종전의

통념과 달리 佃農도 곡가 하락으로 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같은 기록에 함풍원년에도 ldquo有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以穀賤漕折苛rdquo라 하고 있어

역시 곡가 하락으로 세금 납부에 곤란을 겪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장사부 內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아도 同治 년간에는 lsquo穀賤rsquo 기

재가 보이지 않고 전술한 도광 함풍 년간에 집중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후의 기록을 찾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ldquo湖南自夏秋以來雨暢時若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故無論高低田畝咸稱大稔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甚

賎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反有入不敷出之慨矣rdquo (益聞錄 69号 광서6년828)129)

ldquo(長沙農村) 近年來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穀米求售 価値至賤 日用各物 則又極昻 收穫所

得 不足顧其工本 多已漸陷于無力耕種之境rdquo (新靑年 7권 6호 1920년 5

월)130)

ldquo湖南近年來之天災人禍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天災旣足以減少收量 地方不靖 産品滯銷

価値復因以低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而生活日昻 工価及日用物品 繼續增漲 收入支出 常苦

不得平衡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rdquo (中國棉産改進統計會議專刊 1931)131)ldquo湘省爲産穀素豊之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年歲收 屢佔大有 而長江流域亦値豊收 更

有大宗洋米 運貨傾銷致湘米頓失市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価格低賤 不僅農村經濟 陷于絶

境 市面金融 亦大受打擊rdquo (銀行週報 18권 9기 1934313)

이외에도 1936年의 사실로 호남의 武岡 東安 일대에서 lsquo豊年穀賤rsquo으

로 省城에 운반할 때 운송비와 각종 捐稅 부담을 감당할 수 없어 陳米

를 불태웠다는 기록이 있다

128) 李文治 앞의 책 p557

129) 章有義 앞의 책 권2 p432

130) 章有義 앞의 책 권3 p795

131) 章有義 위의 책 p620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1이것을 보면 주로 1930년대에 lsquo穀賤rsquo과 不況이 집중 묘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lsquo穀賤rsquo 즉 불황이라고 하면 도광함풍초의 곡천과 불

황 同治光緖宣統期의 lsquo穀貴rsquo즉 好況 다시 民國 전기의 好況 民國 中期

의 불황으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물가의 상승기가 호황적 국면이라는 것은 알려

져 있지만 이것은 전체 물가의 문제이다 위 자료에서 보면 1920년 장

사 농촌에서는 곡가는 싼데 일용품 가격은 극히 높다고 하고 있고

1931년의 기록도 工價와 일용품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농민이 다수를 점하기 때문에 미곡가의 하락은 농민 수입 감소

와 구매력 저하를 가져오고 이것이 농촌 불황의 한 요인이 될 수 있

다 그러나 工賃과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시장의 한계 안에서의

일이다 또한 실업률과 고용 지표 등도 고려되어야 하는데 만족할만한

통계의 부족으로 명확한 답을 얻기는 어렵다

그런데 米価와 물가는 개별 년도나 시점에서 서로 상이한 궤적도

있지만 圖2 3 6 7을 보면 대체적으로는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예릉의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광서 4년(1878)에 비하여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1912)에는 현격한 상승세였다가 그 후에 등락을 거듭

하고 있지만 민국25년(1936)의 경우는 광서4년보다는 높거나 유사한

경우가 많다

2 생활 경기의 발달

당시인들이 체감하던 생활 경기의 수준이 어떠했는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

光緖刊 善化縣志를 보면 다음과 같다132)

132)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16 풍속 附論 ldquo古人 酒肉以養老 而今則黃口稚子

無不酒肉之人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日不旦穀貴鹽貴 而酒肉皆貴 則好惡可知矣 一今鄕間柴炭

其価數倍於昔日 瀕河之地 莫不燒煤rdquo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2옛사람들은 술과 고기로 노인을 부양하였는데 지금은 어린아이도 술과

고기를 먹지 않는 이가 없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요사이 미곡과 소금이 비쌀 뿐 아니

라 술과 고기가 모두가 비싸니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지금 향간에 柴炭이 그 값이 예전보다 수배인데 하천 근처 사람은

煤를 때지 않는 사람이 없다

同治 攸縣志 에도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33)

예전에 士大夫도 집에 있을 때 엄동이 아니면 가죽옷을 입지 않았다

지금 關中의 가죽옷 상인이 유현에 와서 1년에 은 만여 냥을 얻을 수 있

다 기타 비단 옷은 蘇州 杭州 및 嶺南에서 오는 것이 또 배가 되니 1년

에 수만금을 소비한다

醴陵縣에서도 비슷한 인식을 볼 수 있다134)

ldquo예전 풍속이 儉樸하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이 명절 아니면 고기를 먹지 않고

慶弔事가 아니면 술을 베풀지 않고 손님 접대는 닭 잡는데 그치고 鮮味

는 생선에 그쳤고 縣城의 食肆는 飽麵茶館에 그치고 酒席으로 業을 삼는

자가 없었다

지금은 酒樓菜館이 거리에 가득차고 中人의 집에도 술자리가 베풀어지

고 사치를 다툰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예전에 士類大半이 淥江書院에 모이면 그 가운데 비단신을 신은 자가

불과 수인이었고 羊가죽 옷을 입은 자가 불과 1 2人이었다 지금은 비단

신과 가죽옷이 거의 常服이 되었고 日用品은 舶來品이 많다rdquo

이 내용을 보면 예릉현의 생활 수준이 급격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예릉현지 기록에는 부인들이 上海의 유행을 쫓아 사치를 추구한

다는 내용도 있고 청말부터 外貨를 서로 자랑한다는 내용도 있다 종

133) 同治10年刊 攸縣志 권18 풍속 衣服 ldquo衣服 昔時 士大夫 家居非嚴冬不御裘

今關中裘商來攸 歲可得銀萬餘兩 其他錦繡之運自蘇杭及嶺南者 則又倍之 計一歲

之戶 所費數萬金rdquo

134)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4장 풍속 생활 ldquo旧俗民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非令節不

食肉 非慶弔不置酒 欵客止於殺鷄 鮮味止於草魚 縣城食肆 止於飽麵茶館 無以酒

席爲業者 今則酒樓菜館 遍於街市 中人之家酬酢往還 爭奢鬪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旧時士類

大半 集於淥江書院 一院之中 著緞鞋者 不過数人 襲羊裘者 不過 一二人 今則絲

履皮袍殆成常服 日用之品 多自舶來rdquo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3전에 菜油 棉油로 燈을 켜다 집집마다 煤油를 사용한다거나 세탁시

茶枯鹼水를 쓰다가 대부분 비누를 사용하는 일상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135)

또 寧鄕縣에서도 ldquo同光之間 地方安寧 家給人足(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함)縣城商業 於時爲盛rdquo이라 하고 있어 同治(1862-74) 光

緖(1875-1908) 시기가 好況이었음을 알 수 있다136) 湘報에도 ldquo民間

之喜用洋貨日甚一日rdquo이라 하고 있어 洋貨 사용의 확대를 짐작할 수 있

다137)

광서년간 무역이 확대되고 여기에 대해 유익하다는 인식의 기록이

湘報에 나오고 있다138)

ldquo輪船과 철로가 개통되고 항구 개항이 증가 되는 것은 실로 중국에 유

익하고 손해가 없다 저 눈이 콩만큼 큰 자가 걸핏하면 통상이 중국에 해

가 된다고 하니 어찌 심히 어리석지 않은가rdquo

무역 확대를 지적하고 통상이 유익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예릉현

지에도 同治志에는 풍속이 lsquo安士重遷rsquo하고 상인이 외부 활동하는 자가

적었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고 光緖末에 도자기 夏布 編爆業

이 일어나 융성하여 이에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 넘는다고

하고 있다139) 예릉향토지에도 商旅 왕래가 예전보다 10배라는 서술이

있다140)

장사시의 行業발달 상황을 보면 민국 5년(1916)에서 民國22年(1935)

사이에 식품업은 281⟶2124 사치품은 171⟶1128 복장은 43⟶2028 農

礦은 621⟶1156 洋貨 127⟶233 금융 130⟶164 공예 2121⟶3344 문구

17⟶355 등 비약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141)

135)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 工商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6장 실업

136) 民國30年刊 寧鄕縣志 財用錄 民業

137) 湘報 제13호 1898年 3月 21日

138) 湘報 제162号 1898年 9月 23日

13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40) 民國15年刊 醴陵鄕土志 제6장 실업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4이것은 장사의 생활수준 향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당시에

通商의 확대 주장도 湘報에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142)

이상에서 보면 청말민국기에 대체적인 추세는 好況이었다고 생각된

다 생활 수준의 향상이 눈에 띄고 米価와 물가도 연동되면서 상승하

는 추세였다 米価의 상승이 구매력 수준의 제고가 되기 때문에 米穀

생산 중심지역에 상인들의 行號가 집중되는 것이 보였다143) 임금의

경우에도 호남 汝城縣에서 실질 임금이 유지 또는 상승하는 것을 확인

한 바 있다144) 全漢昇도 1875년부터 1925년까지에 걸쳐 四川 合江현

의 임금과 물가 변동의 추세가 거의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바 있

다145) 앞서 인용한 1931년 中國棉産改進計劃 에도 임금과 일용품 가

격이 함께 오른다고 하고 있어 임금이 물가에 연동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생활 수준 향상을 기록하고 있던 지방지에도 빈부 격차를 암시하는

내용이 있고 物力이 날로 쇠퇴한다든지 하는 기록이 있다 대외 무역

이 적자라 하더라도 차관 원조 뿐 아니라 외국 상인의 진출이 자본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好況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Ⅴ 結 言

이제까지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이후 民國中期인 1936年

까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여 米価와 물가 변동 물가 변동의 원인

141) 張朋園 앞의 책 p387

142) 湘報 44호 中外通商利害論 湘報 67号 論湖南茶務急宜整頓

143)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144)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9 1998)

145) 安本美緖 앞의 책 p2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5물가와 생활 경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米価 변동은 단기 변동에 있어서 전쟁이나 天災 등의 특수한 사정

의 해를 제외하고는 光緖 년간에 비해 민국 중기의 계절 변동폭이 축

소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米価의 계절 변동을 완화 시

켜 주는 雜糧의 재배가 湖南 지역에서는 대부분 同治 년간에 보급 확

대가 되고 있다 교통과 상업 발달 등의 이유로 청말에서 민국기로 갈

수록 계절 변동폭을 축소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변동에서는 長沙府縣의 물가 변동 예릉현 물가 변동 등을 살

펴 볼 때 전체로서는 상승 추세 중에 도광 함풍 시기의 低米価 同治

년간의 高米価 光緖전반의 低米価 光緖後半에서 宣統 년간의 高米価

民國 前期의 高米価 民國 中期의 低米価의 등락을 보이고 있다

民國 中期의 米価는 長沙 8개년 米価 추세에서도 안정속의 상승세

를 보이고 있다 명목상 수치 뿐 아니라 米価의 상대 물가로 보는 실

질 구매력도 宣統 民國元年에까지 급상승하였다가 민국 시기 등락을

거듭하지만 민국25년(1936)까지 광서4년(1878) 대비 유지 또는 상승 추

세였다

物価변동은 개별 상품에 따라 편차가 있고 米価와는 전혀 상이한

궤적을 그리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米価와 연동 관계를 보이

고 있다 1898년 물가의 단기 변동은 이상할 만큼 변동폭이 크지 않다

당시 물가 조사자의 보고가 정확했는지 의심될 정도이다 1935년의 장

사 물가에서 단기 변동을 보면 변동폭이 100이상인 夏布 毛筆 麵粉

棉布등을 비롯하여 50 이상인 오리털 흑연 성냥 국산 전지 등을

비롯하여 40 이상인 비누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기 변동폭

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 이것은 이런 물품들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

성이 크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物価의 장기 변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米価와 대체로 비슷한 궤적

을 보이고 있다 청말에서 민국전기에 걸쳐 물가 상승폭이 두드러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 상승폭이 더욱 크

다 돼지고기 값을 예로 들면 1878년에서 1909년 사이에 273 상승했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6고 1912-1921년 사이에 75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닭은 각 50와 44

상승했다 청말은 31년간의 수치이고 민국 전기는 9년간이니 물가의

상대적 급등을 알 수 있다 1926에서 1936년까지 10년간 돼지 고기 값

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

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

세를 보이고 있다 민국 중기의 米価가 일부 lsquo穀賤rsquo 현상을 보인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음으로 물가 변동의 원인에 대해서는 군벌간의 전쟁이나 정치적

혼란 등 정치 군사적 요인을 제외하고 대체로 검토해 보았다

수요 측면에서는 湖南米의 유통이 호남 내부의 인구 증가에도 불구

하고 양자강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지속된 것이 米価 상승의 한 원

인이었다 上海나 武漢 등의 도시화와 인구집중은 이들 지역 양식 수

요를 폭증시켰다 일부 洋米 수입에도 불구하고 湖南米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으로써 米価를 상승시켰다 또 장사를 비롯한 각지의 새로운 수

공업 산업의 발달로 비농업 인구가 증가하고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유

효수요로 성장하여 米価 상승을 유도하였다 양식의 이출은 해당 지역

인구 식량을 전부 제외한 나머지 잉여가 수출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력

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청말민국기에는 호남의 내부 외부에

서 미곡에 대한 유효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것이 米価 상승의 한 요인

이었다

화폐 문제에 있어 화폐 수량의 증가가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것

은 상식이다 종래 아편전쟁 전후 은의 해외 유출 증가가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을 초래하여 물가 상승과 인민의 빈곤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지방지 등의 史料에서 검토한 결과 은전비가는 도광함풍초의

일시적 상승 후에 함풍 7년 이후는 도리어 하락하고 있다 同治 년간

에 대부분 1兩 1300文 수준에서 안정되고 있다 光緖末宣統년간에도

1600-1700文 수준으로 도광함풍 초보다는 낮은 편이다 청말민국시

기에 화폐의 남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한계를 넘었을 때 시장의 통용

거부로 마침내 중단되고 있다 청말민국기에 외국 銀元의 유입과 국내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7의 銀元 주조 銅元 지폐 외에 鈔票 市票 등 화폐 시장에 투입된 화

폐량은 엄청나게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로서는 어느 정

도 시장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외 교역과 상품량의

증대 경제 활동 인구의 증대 미곡 생산 및 농산품 생산의 증대로 화

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것이 화폐량의 막대한 증가와 유

통속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

었다고 생각된다 즉 안정 속의 물가 상승이 유도된 것이다

공급면에서 보면 대외 교역을 통한 서양 상품의 수입은 전체로서는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물건의 공급 증가를 통해서

혹은 국내 상품과의 경쟁 때문에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었

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침략과 물가 폭등이라는 도식적

견해와 달리 현실에서는 물가 억제 작용도 있었던 것이다

물가와 경기면에서 보면 물가가 비쌀 때 호경기가 많은 것은 사실

이다 그런데 lsquo穀賤rsquo 현상이 불황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서 長沙 지역의 경우를 검토해 보았다 도광함풍 년간까지 lsquo穀賤rsquo현상

과 불경기적 상황에 대한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동치광서 년간에는

米価가 등귀한 시점인데 이 시기는 紅茶業의 번성이나 각종 수공업의

번성으로 好況의 면모가 보이고 있다 민국 시기에는 민국 중기에 lsquo穀

賤rsquo의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史料上에 민국 중기의 lsquo穀賤rsquo은 임금이나

다른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다 물가 상승기와 好況

이 맞물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민국 중기는 lsquo穀賤rsquo 현상과 서로 어긋

나는 것이다 이 시기의 不況 서술은 농촌의 농민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표시이다

생활 수준에 대한 지방지 기록 등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주민들의

洋貨 사용이 보편화되고 의복 음식 주거 등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것

을 지적하고 있다 물가는 상승하였지만 同治 이전에 비하여 분명히

사치품의 소비 증대와 中人의 집도 소비 수준이 제고된 것이 드러나고

있다 민중의 빈곤은 있으나 이 시기 빈부 격차가 커지고 생활 수준의

격차가 커진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14: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2

時期 銀価(兩石) 錢価(文石) 出典

道光 16年(1836) 10 1400 民國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Prime 25年(1845) 05 1000同治長沙縣志 권33

祥異 光緖善化縣志 咸豊元年(1851) 08 1600 民國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함풍 3年(1853) 05 1000 同治湘鄕縣志 권5 祥異함풍 6年(1856) 07-08 1400-1600 同治安化縣志 권34 五行

同治元年(1862) 308 4000 同治瀏陽縣志 권14 祥異

同治 9年(1870) 296-370 4000-5000 Prime

光緖 7년(1881) 08-266 1200(4000) 民國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光緖年間 125-188 2000-3000 長沙日報 宣統2年2月

선통32年(1906) 25 4000 Prime

선통 2年(1910) 412 7000 Prime

長沙日報는 兩湖農業地理 p274에서 再引用

lt表4gt 長沙府 縣志等 米価 기록

중기인 1936년까지이다 항일 전쟁 발발과 國共 대립 등으로 극도의

혼란기인 민국후기는 특히 경제면에서 역사적 실체를 파악하기가 매우

어렵다

lt표4gt는 주로 長沙府 내의 縣志를 이용하여 米価를 정리한 것이다

흉년시의 특별한 가격이 아니라 평상년 가격 위주로 작성한 것이다

풍년시의 가격도 있으나 수년간 풍년이 지속되었다면 常年 가격에 준

한다고 생각된다 함풍3년(1853)의 米価는 兩湖南農業地理에 인용된

曾國藩 上奏시의 米価와 동일하다 같은 자료를 더 이용하면 함풍7년

(1857)에는 駱文忠公遺集 1石당 3200-3500文의 기사가 있다 역시

曾國藩의 上奏文에 同治2年은 1石당 30兩인데 당시의 銀錢比価로 환

산하면 3900文이므로 lt표4gt上 동치 元年 4000文과 거의 유사하다 同

治7년(1868)은 李瀚章의 上奏文에 4000文 전후로 되어있어 표의 내용

과 거의 일치한다 이것들을 짜 맞추어 보면 위 지방지 기록이 상당한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3

lt圖4gt 長沙의 米価 변동

bull광서4년 14년 19년은 예릉현지 물가표 기재 이용

bull광서7년은 민국 영향현지 기록 가을 이전의 평상 가격 이용

bull광서32년은 水災시의 가격

예릉현 물가표상의 광서 기록을 보충하여 수정한 결과

신뢰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표4)의 내용에 長沙府 醴陵縣志의 물가

표상 광서4년 14년 19년을 포함하여 구성해 본 것이 lt圖4gt이다

이것을 종합하여 보면 도광 16년(1836) 이후 함풍6년(1856)까지는

비교적 저렴한 米価가 유지되다가 함풍7년(1857)이후 米価가 급등한

것으로 생각 된다 동치 년간은 동치원년(1862) 4000文에서 동치2년

3900文 동치7년 4000文전후 동치9년 4000-5000文으로 계속 高米価가

유지된 시기였다 그런데 銀錢比値는 동치2년 1300文 동치 7년

1300-1400文으로 도광말 함풍초보다 오히려 안정되어 있다 淸末 이

지역의 지방지를 검토하면 거의 모두 嘉慶 이전은 米価를 銀兩으로 표

시하다가 道光 이후는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도광 이후 淸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4末은 米価도 錢文価가 실제 시장 가치를 잘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

다 동치 년간 상당히 高米価가 유지되었지만 道光末咸豊初와 같은 lsquo銀

貴錢賤rsquo 현상은 보이지 않기 때문에 米価 상승이 농민에게 어느 정도

유리했다 여겨진다 lt圖4gt를 보면 光緖 전반에는 米価가 상대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光緖19年(1893)까지는 하락 안정세를 보이다가 그 후에

급등하고 있다 호남성 수확기의 中米 가격 조사에서도 비슷한 경향이

보인다47) 中米 가격도 광서22년(1896)부터 대체로 상승추세인데 광서

34년(1908)에 급등하고 있다 앞서 彭信威가 연구한 江浙 米価 변동에

19세기 24분기와 19세기 780년대가 米価低落期에 해당된다고 하는

데48) 이것과 유사한 면을 가지면서 약간의 편차가 있다 즉 동치 년간

(1862-74) 70년대 전반까지는 대체로 高米価가 유지되었고 光緖 전반

의 하락은 90년대 전반까지인 것으로 생각되는 것이다 淸末 上海의

米価 조사도 1862-71(213) 1872-81(128) 1882-91(142) 1892-1901

(207)로 되어 있어 위 호남 長沙의 米価 변동과 비슷한 궤적을 그리고

있다49)

lt표1gt에 제시된 광서 24년(1898)의 長沙 米価도 3000文-4000文 사

이에 형성되어 상당한 高米価이다 같은 湘報에 실린 내용에 岳州에

집결된 湖南米가 漢口에 운송 판매되는데 米価는 3700-800文 또는 4천

수백文에 이른다고 되어 있다50) 대략 光緖20年(1894) 이후부터 淸末까

지 高米価가 지속되었다고 생각된다 松江府續志의 기록을 이용하여

光緖年間 低米価와 그로 인한 장기 不況이라는 해석은 長沙府 일대에

서는 드러나지 않는다51) 低米価는 光緖年間 전체는 아니고 光緖

(1875-1908) 년간의 거의 전반에 해당하는 1893년 이전의 일로 생각된

다 후반에서 淸末까지는 急騰에 가까운 高米価의 변동을 보여주고 있

47) 岸本美緖 앞의 책 p19

48) 同上 p443

49) 湘報 76號 p67650) 李文治 中国近代農業史資料 제1집 p561 岸本美緖의 해석 앞의 책

pp442-443

51) 張人价 앞의 책 pp93-9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5

機米 河米 糯米 총 평균

가격 지수 가격 지수 가격 지수 가격 지수

1928 652 7564 503 7065 805 9015 653 7944

1929 862 10000 712 10000 893 10000 822 10000

1930 1003 11636 862 12107 1037 11613 967 11764

1931 1002 11624 845 11868 1020 11422 956 11630

1932 1008 11694 817 11475 947 10605 924 11241

1933 594 6868 504 7079 757 8477 618 7525

1934 671 7784 590 8287 812 9093 691 8406

1935 1004 11647 810 11376 1012 11333 942 11460

lt表5gt 長沙의 米価(石元)

예릉현 물가표를 보면 民國 시기에도 대체로 안정속의 상승세가 지

속된다 청말에서 1921년까지 米価가 급등한 것으로 보이지만 1926년

에서 1936년까지는 안정 속 상승의 추세이다 兩圖 사이에는 가격 단

위의 차이가 있어 직접 접속은 곤란하지만 흐름은 그렇다고 여겨진다

호남성경제조사소 의 조사에 근거한 민국17년(1928)부터 민국24년

(1935)까지의 8년간 米価 기록을 제시한 것이 lt표5gt이다52)

이것을 보면 등락은 있지만 비교적 米価가 안정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上海의 米価도 1912-1928년 사이 407 상승하였는데 1921-1928년

사이에는 154 상승하였다53) 호남성의 米価는 宣統2年-民國元年 3개

년 평균가와 민국 21-23년 3개년 평균가를 비교했을 때 86 상승이라

는 조사도 있다54) 대체로 淸末에서 民國 전기까지는 가격이 급등하고

민국 중기에는 안정 속의 상승이 추세였다고 생각된다

호남성 汝城縣의 물가변동을 보면 우선 지방지 편찬자의 시기 구분

52) 徐正元 上海近代稻米市場価格變動分析 (中國經濟史硏究 1996年 2期)

53) 張人价 앞의 책 p87

54)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 91998)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6

1898年 1935年

소금 56文斤 57斤

洋油 50文斤 64斤

돼지고기 105文斤 30斤 015-020元斤 25-33斤

鷄育 123文斤 26斤

羊肉 117文斤 27斤

茶油 100文斤 32斤 019-024斤 21-26斤 瀏陽가격

면화(中棉) 217文斤 15斤 03-05斤 10-17斤 湘陰 Prime

1898年 中米1石価 (湘報소재 1石 3193文 적용)

1935年 長沙米価 民國25年 刊 通郵地方物産誌 湖南의 長沙靖港米価(担40-60元

의 중간 값 이용) 1石은 1担보다 크므로 실제 米価는 이보다 높을 것임

이 의미있다고 생각된다 同治丁卯志 편찬 이후부터라고 명시하고 있

는데 丁卯年은 同治6년(1867)이다 이후부터 민국21년(1932)까지를 세

시기로 구분한다55) 同光 시기 光宣 시기 民國 시기이다 즉 동치 후

반에서 광서 전반 광서 후반에서 선통 년간이니 광서 후반부터 물가

상승이 컸던 것을 반영한다고 여겨진다 여성현 물가표상 米価 변동을

단순 비교하면 지수는 100 200 400으로 변한다 1930년대 전반의 米

価는 동치 후기에 비하여 약 65년만에 300 상승한 것이다 이것을

신뢰하더라도 앞서 18세기 전후 백년간 물가가 300 상승하였다는 당

시인의 인식과 상승률은 거의 비슷하다56) 장사부 상음현에서도 18세

기 중후반 67년간 米価가 300 상승한 바 있다 예릉현 물가 표상

1878년에서 1921년까지는 米価는 약 458 상승하였지만 1926년에서

1936년까지 10년간은 약 563 상승에 그쳤다 민국 중기는 비교적 안

정속의 상승을 보여 주고 있다 lt표5gt에 제시된 長沙 機米의 8년간

가격도 54 정도 상승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미가의 명목 수치상 등

락을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질 가치를 알아보려면 상대 물가 즉

米1石価의 구매력이 얼마인지를 보아야 한다

lt表6gt 長沙 中米 1石価의 구매력 변동

55) 郭成康 앞의 논문

56) 張麗芬 앞의 책 p270 각주7)에 보면 호남성 1担価는 140-150斤 1898年 長

沙 米価는 1石당 150-155斤임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7

1935년의 長沙 米価는 通郵地方物産誌의 長沙 靖港의 米 1担価를

이용하였다 실제 石은 担보다 크므로 米価는 여기서 잡은 5元을 상회

할 것이라 생각된다57) 같은 자료의 물가를 이용하여 제시한 lt표6gt을

보면 돼지고기 값은 1898년의 30斤에서 1935년은 25-35斤 사이이다

그 범위 안에 있는 것을 보면 米価의 실질 구매력은 유지되고 있다

茶油는 다소 하락하였지만 면화도 유지 또는 상승이라 볼 수 있다

예릉현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돼지고기는 상승 추세 속에 일

부 하락년이 있다 선통 원년과 민국 원년에 수치가 상승한 것은 米価

의 폭등이 기타 물가를 크게 앞지른 것으로 여겨진다 민국 중기에 약

간 하락하였지만 1935년의 돼지고기 구매력은 광서4년(1878)에 비해

67정도 상승하고 있다 茶油의 경우도 민국 10년(1921)까지 米의 상

대 구매력이 대폭 상승하고 있다 이것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米価 변

동을 통해 농민 소득이 하강했다고 여겨지지 않는다

광서4년1878

광서14년1888

광서19년1893

선통원년1909

민국원년1912

민국5년1916

민국10년1921

민국15년1926

민국20년1931

민국25년1936

猪肉 15斤 25斤 22斤 36斤 35斤 23斤 27斤 16斤 28斤 25斤

草魚 34斤 39斤 38斤 57斤 62斤 35斤 - 20斤 32斤 33斤

茶油 12斤 23斤 25斤 27斤 - - 25斤 - ① -

鹽 23斤 26斤 22斤 33斤 62斤 - 42斤

棉花 7斤 16斤 5斤 - - - - - ②

洋紗 - - - - - - - ③

煤油 - - - - - - - 15병 2병 11병

雞 17斤 22斤 20斤 33斤 22斤 19斤 21斤 - - -

史料上 穀価를 lsquo1米2穀rsquo의 원칙에 따라 米価로 환산하였음① 민국 15년(1926)부터는 茶油의 단위가 石으로 되어 있어 비교 곤란② Prime 棉花의 단위가 石으로 되어 있어 비교 곤란③ Prime 羊紗의 단위가 件으로 되어 있어 이해 곤란

lt表7gt 醴陵縣 米価의 물품구매력 변동추세(米1石의 구매력)

57) 刘泱泱 湖南通史 近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p487-488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8

품목

시기

단위

同光

(1870-1890)

光宣

(1890-1911)

民國

(1912-1932)

肉 斤 188 188 175

鹽 斤 60 75 636

洋紗 捆 100 100同光시기洋紗통행안함

土布 尺 100 120 140

洋油 甁 20 10同光시기

洋油 未 盛行

茶油 斤 188 188 175

桐油 斤 214 200 194

柴 750 875

同治丁卯志(1867)편찬 이후라 되어 있어 대략 70년부터 잡은 것이다

lt表8gt 湖南 汝城縣의 穀1石価의 구매력 변동

호남 汝城縣의 穀1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고기는 光宣 시기에

유지되다가 민국 시기에 약간 하락하였으나 근소한 수치이다 鹽의 구

매력은 光宣 시기에 대폭 올랐다가 民國 시기에 하락하였으나 同光 시

기 보다는 높은 수치이다 洋紗에 대한 구매력은 光宣 시기에서 民國

시기에도 계속 유지되고 있다 茶油는 고기와 같은 변화이다 土布에

대해서는 구매력이 계속 증가한다 洋油에 대해서는 民國 시기에 구매

력 감소를 보이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호남의 대외무역은 외국의 공

업품과 농부산품 원료를 교환하는 것인데 고가의 공업품 대신 강제

저가의 수단으로 호남의 농산품을 약탈한다는 견해58)는 약간의 재검

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공업 상품 가격의 翦刀差에 대해서도 洋紗

의 경우를 보면 나타나지 않고 있다59)

이상을 종합하면 同治年間의 高米価 光緖前半(1875-1891)까지의 상

대적 低米価 光緖後半-宣統까지의 高米価 급등 民國前期의 계속 상승

58) 李金錚 二十年來 中國 近代 鄕村 經濟史的 新探索 (歷史硏究 2003年 4

期)

59) 譚文熙 앞의 책 pp298-299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9

品目 洋麵 淮鹽 茶油 桐油 洋油 猪肉 雞 鴨 烟煤 柴煤

단위시기

包 斤 100斤 100斤箱2桶(50斤)

斤 斤 斤 100斤 衡斗

31-310 26兩 56文 73兩 19兩 104文 112文 88文 320文 24文

311-320 26兩 Prime 73 19 104文 128文 88文 320文 24文

321-331 26兩 Prime 73 625兩 189 108文 128文 88文 320文 252

41-410 26兩 Prime 728 628 186 320文 240

411-420 27兩 Prime 728 626 183 254 228

421-430 29兩 Prime 72 616 181 314 260

51-510 293兩 Prime 711 606 178 310 240

511-520 274 Prime 71 60 183 314 240

521-531 26 Prime 71 60 185 314 229

61-610 26 Prime 699 60 185 299 219

611-620 231 Prime 734 61 184 320 255

621-630 22 Prime 754 62 183 311 254

71-710 22 Prime 774 649 183 310 250

711-719 218 Prime 768 631 181 318 265

면화는 上棉 中棉 下棉의 가격이 제시되고 있으나 여기서 생략함

lt表9gt 1898年 3-7月間 長沙物価

民國中期(1926-1936)까지 안정이라는 米価 변동의 궤적을 확인할 수

있고 그 기간 동안 米価의 실질 구매력은 유지 또는 상승이 대체적 추

세였다 생각된다

2 物價 변동

1) 단기 변동

湘報에 수록된 光緖24년(1898)의 長沙 물가 변동을 표시한 것이

lt表9gt와 lt圖5gt이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0

品目 단위 최고가 최저가 시기 유통량 행선지

鴨絨 斤 500 300 冬 上海 北平 天津 南京

일반적으로 米価와 物価는 상호 연동적이라 생각되지만 여기서 물

가의 단기 변동은 米価와는 다소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대체로

등락 폭이 크지 않다 洋油 洋麵 桐油 등의 변동폭이 크지 않다 면화

만 4월 10일 20일 사이에 상승이 있지만 5월부터는 하락하고 있다

淮鹽 가격은 斤당 56文으로 3月에서 7월 사이에 전혀 변동이 없다

長沙지역은 원래 淮鹽 관할 구역이었으나 太平天國 시기에 교통 두절

로 川鹽 소비지역이 되었다 太平天國후 曾國藩이 이 지역을 淮鹽 소

비지역으로 회복하기 위해 여러 가지 개혁 조치를 행하고 督銷局에서

가격을 核定하여 고시하는 牌價 제도를 시행한 바 있다 일종의 통제

가격제도에 의해 가격 상승이 억제되고 있었던 것이다 直隷의 景縣의

소금 값은 1890년에 斤당 46文 1900년에 斤당 68文이라는 조사도 있

다60) 長寧縣에서는 光緖29年(1903)에 鹽価가 斤당 55文이라는 보고도

있는데 이것은 長沙 1898年의 鹽価와 유사하다61)

戰亂後에 淸朝정부의 淮鹽 소비지 회복 정책에도 불구하고 四川鹽

이 계속 私鹽으로 침투하였기 때문에 長沙의 淮鹽価를 저렴한 통제 가

격下에 두고 있었다고 생각 된다62) 圖6)에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柴煤

는 米価와 같이 5月10日에 최고가에 가깝고 6월10일에 하락하고 그후

에 상승하고 있다 烟煤의 경우에도 비슷한 궤적을 그리고 있다 이것

은 米価와의 연동관계가 비교적 분명하다

1935년의 長沙 物価의 단기 변동 폭을 알 수 있는 것이 lt표10gt이

lt表10gt 長沙物価 通郵地方物産志

60) 李文治 앞의 책 p562

61) 譚文熙 앞의 책 p267-268

62) 佐伯富 中國史硏究 第1卷 (京都 同朋舍 1978) pp340-36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1

黑鉛 石 2200 1300 全年 50000石 漢口上海

棉紗 件 22000 1800 Prime 24000件 本省

棉布 疋 120 150() Prime 1000000 漢口

麵粉 袋 50 250 Prime 140000 Prime

線襪 雙 106 Prime 6000000 本省

毛呢鞋 Prime 200 180 Prime 400000 Prime

夏布 疋 1000 200 夏 20000 上海漢口

火柴 箱 500 300 全年 10000 本省

刺繡 Prime國內및外洋

매년 産量 약50만元

玻璃器 件 300 200 Prime 9000 本省

肥皀 箱 70 50 Prime 30000 Prime

絲綿三角 兩 040 020 Prime 40000 Prime

國貨電池 打 060 040 Prime 200000 Prime

猪 斤 020 015 Prime 50000只 漢口上海

豬毛 担 6000 5000 Prime 4000kg Prime

粗窑器 卡 350 250 Prime 100000套 長江연안

毛筆 支 050 020 Prime 本省 및 황하 각성

여기서 보면 변동폭이 100 이상인 것은 면포 夏布 絲線三角 毛

筆 麵粉 등이다 또 50 이상인 것은 鴨絨(가공오리털) 667 흑연

692 火柴(성냥) 667 玻璃器(유리그릇) 50 국산 電池 50 등이

다 비누는 40 粗窰器는 40이다 棉沙 222 毛呢鞋는 111 돼

지 333이다 단기 변동 폭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고 생각된다 이

것은 이런 물품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성이 크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그런데 1898年의 경우는 茶油 洋油 등 물품의 가격 변동폭이 적은 것

은 무엇 때문일까 어쩌면 당시의 시장 가격 조사가 부정확했는지도

알 수 없다

1935年의 물가에서 綿沙의 변동폭이 적은 것은 당시 항상적인 수요

가 있었기 때문이 아닐까 비누의 변동폭도 40로 비교적 적은데 생

필품으로 수요가 지속 증대된 까닭이 아닐까 한다 通郵地方物産誌에 기재된 醴陵縣 夏布 가격은 40元-100元 사이인데 民國醴陵縣志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2

圖5) 1898年 3月-7月 長沙物價

의 物価表上에는 70元(1938)이라 되어 있다 物産誌 가격은 1935年

의 것인데 예릉현지의 가격이 그 범위 안에 있어 서로 다른 자료간에

부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63) 物産誌 上 相潭株洲의 茶油 값

매 石 160-240元(1935)은 예릉현지 물가표의 민국 20년(1931) 茶油 매

石 240元과 일치하고 있다 표12)에 1936年 煤油 값은 병당 44元이다

그런데 民國 安鄕縣志에서도 1934년 煤油 값은 병당 38元으로 되어

있어 兩者 사이에 유사성을 보여주고 있다64) 그러므로 醴陵縣志 物価의 종적 비교도 신뢰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洋麵은 包당 가격

茶油桐油洋油는 100斤당 가격

棉花 100斤당 가격

2) 장기 변동

長沙의 물가 변동을 보려면 湘報 수록의 광서 24年(1898) 물가와

63) 交通部郵政總局 編 中國通郵地方物産誌 (華世出版 1988)

64) 民國 安鄕縣志 卷11 食貨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3

품명 단위광서4년

(1878)

광서14년

(1888)

광서19년

(1893)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

(1912)

민국5년

(1916)

민국10년

(1921)

豬肉 斤 88文 63 62 112 160 240 280

雞 斤 80 72 68 120 250 300 360

lt表12gt 醴陵縣 物価表 (b) (商会조사)

품명 단위민국15년(1926)

민국20년(1931)

민국25년(1936)

민국27년(1938)

민국28년(1939)

민국29년(1940)

민국30년(1941)

猪肉 百斤 200원 170 200 360 400 561 1300

草魚 Prime 160 150 150

茶油 石 240 290 560 760 2000

鹽 石 120 140 150 160 2000

洋紗 件 2200 2200 2400 2000 2500 1500

土布 匹 27 70

夏布 Prime 70 70 140

竹布 Prime 100 100 8000

棉花 石 20 25 40 100 200 400

煤炭 石 020 030 040 050 230 70

煤油 甁 220 240 440 90 300 460 200

毛邊紙 石 198 432 1200

黑靛粉 桶10斤 100 200 1500 2000

赤金 兩 50 70 80 90 500 560 1600

lt表11gt 醴陵縣 物価表 (a)(私家數簿에 의한 것)

民國24年(1935)의 通郵地方物産誌 기록을 직접 비교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양 자료 사이에 화폐와 단위가 서로 달라 직접 비교할 수가 없

다 그래서 당시인의 물가 변동 기록인 長沙府 醴陵縣 物価表를 이용

하는 것이 파악 방법이 될 것이다

lt표11gt lt표12gt 와 lt圖6gt lt圖7gt을 보면 개별 물품에 따라 차이

는 있지만 대체적인 흐름은 米価 변동과 유사한 궤적을 보여주고 있

다 즉 光緖 前半에 비교적 안정적이다가 光緖 후반부터 급상승하여

민국 전기까지 상승하고 있다 1926년부터 1936년까지는 가격 안정세

를 보여 주고 있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4

雞蛋 個 2 2 3 4 10 15 20

草魚 斤 40 40 36 70 90 160

茶油 斤 116 69 54 150 300

鹽 斤 60 60 63 120 90 180

煤 石 50 120 50

苧麻 斤 270 99 170

棉花 斤 200 96 280

竹布 尺 70 62 60 60 90

靑洋布 尺 55 50 50 70

白蓮紙 刀 40 82 80 100

-附記 前淸 통행 制錢文으로써 단위 민국 초년에는 비록 銅元을 단위 사용하나 관습상 매 1銅元은 錢10文에 해당

圖6) 醴陵縣 物価 (a)

① 豬肉 斤당 가격 ② 雞肉 斤당 가격 ③ 茶油 斤당 가격

④ 鹽 斤당 가격 ⑤ 棉花 斤당 가격 ⑥ 草魚 斤당 가격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5

圖7) 醴陵縣 物価(b)

① 猪肉 百斤당 가격 元 ② 草魚 百斤당 가격 元 ③ 茶油 石당 가격 元

④ 鹽 石당 가격 元 ⑤ 洋紗 件당 가격 元 ⑥ 棉花 石당 가격 元

⑦ 煤油 甁당 가격 元

米価가 物価와 연동되는 것에 대해서 江都縣史料를 보면 ldquo産米 구역

에서 年末에 米価가 상승하니 百物이 昻貴했다rdquo65)라고 되어 있다 湖

南지역 米価 연구 자료에도 米価 추세는 거의 물가 수준과 같다는 주

장이 있다66)

光緖末宣統年間의 물가 상승을 나타내는 史料를 보면 다음과 같다

이제 각종 惡政의 결과로 百物의 騰貴를 초래했는데 小民의 日用 수요

65) 李文治 앞의 책 p470 ldquo江都爲産米區域 年末米価騰踊 百物因以昻貴rdquo

66) 張麗芬 앞의 책 p22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6음식은 그 가격이 십년 전에 비해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과 居室 器用

蔬饌의 비용 牛種糞漑의 비용도 예전 보다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도 비록

동일 비례로 함께 올랐으나 이미 넉넉하지 못해 괴롭다67)

이것을 보면 米価와 物価가 연동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청말

특히 光緖 후반 이후에 각종 物価가 두 배 올랐다는 사정을 알 수 있

다 上海의 物価도 같은 시기에 상승하고 있다68)

lt표11gt lt표12gt와 lt圖67gt을 검토해 보면 돼지고기 값은 광서 14

년 광서 19년까지는 다소 하락세를 보이다가 宣統원년(1909)부터 급격

히 상승하고 있다 민국원년(1912)의 가격은 160文으로 1878年의 88文

에 비해 거의 두 배에 해당한다 위에 인용한 宣統 2年 8月 國風報의 물가 두 배 인상과 정확하게 부합되고 있다 민국 전기인 1926년까

지 계속 상승하고 있지만 1926년에서 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이고 있

돼지고기 값은 1878년-1909년 사이 273 상승했고 1912-1921년 사

이에 75 상승했다 닭은 각기 50와 44 상승했다 계란은 100

100 상승이었다 淸末 비교 시기는 31년간인데 비해 민국 전기는 9

년간에 불과하다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가 급등한 것은 충분히

알 수 있다 1926년에서 1936년 10년간 돼지 값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거의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이었다

民國 醴陵縣志에도 ldquo辛亥혁명이전에는 물가가 심한 등락이 없었는

데 민국 후에 들어와서 차츰 상승했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69) 圖6)을 보

면 닭고기도 비슷한 궤적을 보이고 있다 草魚의 경우도 청말 민국전

기는 상승이 주요 동선이고 민국 중기(1926-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

67) 國風報 第1年 21期 宣統 2年 8月 (李文治 앞의 책 p561) ldquo今也以種種惡

政之結果 以致百物騰踊 小民日用 飮食所需 其価皆視十年前兩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居

室器用蔬饌之費 牛種糞漑之費兩倍于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雖以同一比例以俱騰 旣苦不

給矣rdquo

68) 岸本美緖 앞의 책 p443

6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物價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7이고 있다 譚文熙 物価史에는 민국 전기는 안정속의 상승세로 민국

중기는 파동속의 상승으로 정리를 하고 있는데 여기와는 약간의 차이

를 보이고 있다70) lt표11gt과 lt표12gt 사이의 화폐 단위 차이로 인한

연속적 파악에 다소 어려움이 있으나 대체의 추세는 짐작할 수 있다

또 품목에 따라 공란이 있어 연결 관계가 애매한 부분이 있다 1936년

이후는 중일 전쟁의 혼란과 불환지폐의 강제 통용 등의 사정으로 本考

에서는 분석 대상 범위에서 제외 하고자 한다

Ⅱ 物價 변동의 원인

1 수요 측면

米価와 物價가 상호 연동관계에 있고 넓은 의미에서는 米価도 물가

의 일부이다 米価 및 물가의 상승은 우선 수요의 증가에 원인이 있다

고 할 것이다 수요증가는 일반으로 인구 증가이다 湖南의 인구는 嘉

慶21年(1816) 18754259명에서 1898年 21174000명으로 다시 民國17년

(1928)에는 31501212人으로 비약적 성장을 하였다71) 약 110년 동안

인구가 1300만 가까이 증가하였고 비율로는 679가 증가하였다 長沙

府의 인구도 가경 25년(1820)에서는 4290086명이었는데 민국23년

(1934)에는 8421330명으로 약 400만명 이상 증가하여 963 상승을

보이고 있다72)

인구의 증가가 수요 증대를 초래하는 일반 요인이지만 湖南의 米穀

移出이 해당 지역 민중의 식량을 제외하고 남는 잉여 米만은 아니다

70) 譚文熙 앞의 책 pp302-307 여기서는 민국 전기는 1912-1927년 민국 중기

는 1927-1937년으로 구분하고 있다

71) 湖南省志 地理志 (長沙 湖南人民出版社 1982) pp230-238

72)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8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의 증대가 더 중요한 요인일 것이다 淸末에

와서 새로운 생업을 통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가 많이 증가하고

있는데 醴陵縣 사례를 한번 검토해 보겠다 史料는 다음과 같다73)

同治志에 이르기를 醴陵의 풍속은 lsquo安土重遷rsquo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상인이 外地에 나

가 장사하는 이가 적었다 배를 이용하여 외부 상업을 하는 것은 淥口 부

근의 米穀商일 뿐이었다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邑人들이 茶제조로 武漢에 판매하는 자가

이익이 배가 되었다 이때부터 龍門일대에 매양 봄에 茶를 제조하고 가리

는 廠이 항상 수십이었다 光緖末年에는 도자기업 夏布 編爆이 일어나서

대신하였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이를 믿고 생계를 삼는자가 무려 십만인이다

同治志 편찬 단계만 해도 사람들이 토착 안주하여 멀리 이동하는

것을 어렵게 여겼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큰 이익을 보고 그

후 도자 기업 夏布 編爆 제조에 종사하여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나 되었다는 것이다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의 성장을

보여주는 것이다 長沙의 빠른 도시화도 주목된다 長沙日報에 실린

내용을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74)

光緖32년(1906)에 火災 조사시에 城廂 내외가 매일 식량으로 穀 5000

石이 필요하였다 지금 교통이 편리하고 상인 旅客이 배로 증가하였으니

매일 마땅히 1-2000石을 더해야 한다(宣統 2年(1910) 2月 17日 長沙日

報)이것을 보면 光緖32년(1906)에서 宣統2년(1910)은 불과 5년이 채 되

지 않는데 상인 집단이 배로 증가하였다니 城內外의 유동인구 급증을

짐작할 수 있다 長沙城의 인구는 1916年에 177882人이었고 1931年은

385514人으로 증가하였다 불과 15년 사이에 1167 증가이다 배 이

73)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ldquo同治志云 醴俗安土重遷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商賈外

貿者少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揚帆外貿則 僅淥口附近之穀米商而已 光緖初 紅茶業興 邑人製茶

販運 漢皋者 獲利倍蓰自是來龍門一帶 每屆春日 製茶捒茶列廠恒數十 訖於光緖

末年 則有瓷業及夏布編爆起而代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恃以爲生者 無慮 十萬人rdquo

74) 李文治 앞의 책 p551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9상이 증가하였으니 長沙의 도시화도 급속히 진전 되고 있다75)

민국10年의 湖南 實業雜誌 보도를 보면 당시 長沙에 蓆工 500人

刻字工 300人 방직공 3200人 이발공 800人 香工 400人 합계 5200人

이 있었다 長沙大公報에 의하면 민국9년(1920)에 長沙에는 부두공

2600人 糞夫 500人 轎夫 1300 車夫 2300人으로 합계 7000人 정도

가 있었다76) 같은 시기 호남성의 광부가 160萬人이고 여기에 手藝工

苦力을 합치면 190만 전후였다고 한다 예릉현에서는 東鄕 일대에서

編爆業 종사자가 수만이고 東北兩鄕에서 磁廠의 女工도 수천이나 되었

다는 기록도 있다77) 湖南 邵陽縣에서도 淸末에 工匠이 5만 상인이 12

만 정도였다는 통계도 있다78) 이렇게 비농업 인구가 다른 생업을 통

해 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로 증가하고 있던 것이 확인된다 이런 유

효 수요 증가를 설명해 주는 다른 史料 하나를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

다79)

어째서 米穀이 날로 적어지고 날로 비싸지는가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水旱災가 날로 많고 농사짓는데 날로 게으르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말은

진실로 일리가 있는데 다 그런 것은 아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선교사 洋商 洋官 洋

兵은 증가한 것이 외국에서 온 사람이다 敎民 游民 賭民 盜民은 內地

에서 증가한 자이다 무릇 농사짓는 사람은 하나인데 먹는 자는 헤아릴

수가 없다 米穀이 어찌 비싸지 않을 수 있겠는가

光緖後期의 사정을 전하고 있는 위 史料를 보면 외국에서 온 선교

사 상인 군인 관리 등도 米価 상승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국내

외를 막론하고 비농업 인구의 급격한 성장이 米価 상승의 원인이라 생

각된다

湖南과 長沙의 米穀은 해당 지역 안에서 소비되는 것보다 揚子江

75) 張朋園 中國現代化的區域硏究 -湖南省 (台北 1998) p376

76) 위의 책 pp412-413

77)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農業經濟

78) 光緖33年刊 邵陽縣鄕土志 권2 인류 실업

79) 李文治 앞의 책 p77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0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많다 청말민국시기에도 지속적인 湖南米의

移出이 있었던 것은 이미 밝힌바 있다80)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穀

米가 騰貴한 이유가 外省의 采辦이 많은 때문이라고 하고 있다81) 상

담현에서도 동치 4년(1865)이전에 해마다 풍년이었는데 穀価가 까닭

없이 騰貴한 것은 江南이 처음 회복되어 米穀의 販運이 많아진 때문이

라고 하고 있다82) 1898年에도 長沙에서 米穀의 원거리 送出을 바라는

지주 富戶와 주민의 갈등 관계가 노출되고 있다83) 宣統2年(1910)의 기

록에도 湖北의 흉년으로 出境 米穀이 과다하여 米価가 급등했는데 작

년 末에는 1石5000文이었다가 금년에는 1石 8000文에 이르렀다는 내

용이 있다84) 같은 자료에 湖南米가 당도 하지 않으면 武漢에서 변란

이 일어난다고 할 정도이다

하류의 上海는 한적한 어촌에서 근대에 대도시로 성장하였다 武漢

上海등의 도시화와 상공업 발전 인구 집중은 長沙米의 급격한 수요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宣統 년간에 長沙가 전국적인 4大 米市의 하나

로 성장한 것은 우연한 일은 아니다85)

근대에 대외 교역증가가 물가 상승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생각된

다 1873년에서 1930年 사이에 농산물 수출 통계는 1910년을 100으로

했을 때 1873년은 12 1893년은 123 1903년 386 1920년은 1324

1930년은 2709로 급상승하고 있다86) 농산물의 수출은 해외 수요의 증

가이다 이런 교역상 수요 증대는 가격의 등귀 뿐 아니라 작물 재배

면적의 확대에도 기여하고 있다

80)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81)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20

82) 光緖6年刊 湘潭縣志 卷29 災祥志

83) 湘報 89號 長沙縣職員常達邦呈批

84) 李文治 앞의 책 p381

85) 徐正元 中國近代農産商品化的發展與米市的形成 (復印報刊經济史 1997年3期)

86)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권2 p14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1宣統2년(1910) 長沙에 영국 상인이 출현하여 米穀 구매를 단행하자

米価가 하루에 여러 번 급등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였다87) 湖南에서

는 또 광동 상인의 영향을 받아 紅茶 제조법을 습득하여 홍차를 대량

생산하여 구미에 수출하였다 19세기 60년대부터 20세기 초에 특히 호

남 茶 생산 판매가 극히 발달하였다88) 주요 산지 중에는 長沙 湘潭

安化 등이 손꼽히고 있다

桐油의 수출 또한 괄목할 만한 것이다 湖南의 桐油 수출은 1922년

전국의 3336 1923년은 372로 성장하였다 1929년에는 全省 수출

총액의 45 정도를 차지하였고 桐油 상품화율 80에 달하였다89) 대

외교역을 통한 농산품의 해외 수요 증가는 직간접으로 물가 상승에 작

용하고 있다

2 화폐 문제

물가와 화폐의 관계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통상 화폐 수량의 증가가

생산총량의 증가보다 초과할 때 물가상승이 일어난다90) 보통 淸 후기

에는 아편무역에 따른 銀의 해외 유출과 그 결과 야기된 lsquo銀貴錢賤rsquo 현

상 통화팽창에 의해 물가가 상승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91)

실제 淸末民國기에 걸쳐 통화 팽창과 물가 상승에 대한 기록을 찾

는 것은 어렵지 않다 王業鍵에 의하면 淸末 특히 1875年부터 1911年

까지는 인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단계였다고 한다92)

民國 寧鄕縣志에 보면 ldquo光緖29年(1903)에 처음으로 當十銅元을 주

87) 李文治 앞의 책 p550-551

88) 劉泱泱 앞의 책 p46

89) 宋斐夫 主篇 湖南通史 現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5 p276

90) 陳民 法幣發行制度與通貨膨脹 (復印報刊經济史 2001-1)91) 龔勝生 앞의 책 pp275-280 岸本美緖 앞의 책 p444 張麗芬 앞의 책

p217

92) Yeh-chien Wang Secular Trends of Rice in the Yanzi Delta 1638-1935(California Univ Press 1992)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2조하여 전국에 통용시켰는데 물가의 등귀가 이때부터 시작되었다rdquo는

기록이 있다93) 醴陵縣에서는 光緖32年에 當十銅元을 주조하여 制錢과

병행시켰고 宣統원년에 銀元이 이미 성행하였다 민국원년에는 當二十

銅元을 주조하였는데 雙銅元이라 칭하였다94) 영향현에서도 광서말에

私鑄錢인 毛錢이 나오고 지폐가 통용되는 등 통화팽창이 상업을 일변

시켰다고 한다95)

종전에 비해 실질 가치가 열악한 當十 當二十 등 銅元의 남발과 鈔

票의 성행은 화폐 시장의 과잉을 초래하였다 정식의 鈔票 이외도 각

현 발행의 私鈔와 錢莊에서 발행한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시중에 범람

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민국 시대에는 화폐 남발이 더욱 심하였다 호

남은행을 비롯한 저축은행 농업은행 등이 각기 각종 지폐를 발행하여

혼란이 가중되었다 1915년에 호남의 은행은 33개인데 그 중 장사현 7

개 상담현이 7개였다96)

군벌들이 은행을 개설하거나 질 낮은 화폐 통용을 강제하는 등의

혼란이 민국시기 특징 중의 하나이다97) 화폐 시장에는 銀元 銀角 銅

元 지폐와 鈔票 市票등 유사 화폐까지 복잡middot혼란의 양상이 나타나고

결과적으로 물가 상승을 피할 수가 없었다

선통2년(1910) 격렬한 米価 騰貴가 있었고 長沙에서 대규모 搶米 폭

동이 일어났는데 이것은 단순한 흉년때문이 아니고 銅元 남발 등 화폐

제도 혼란에 기인한 것이었다98) 1880년대 초부터 1920년대까지는 인

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시기로 매년 33 비율로 상승하였으며 1930년

총 화폐보유고는 60억 원에 달했다 반 세기간 화폐 공급은 8-10배 증

가하였다99)

93)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ldquo光緖 二十九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始鑄當十銅幣 通

行全國 物価之踊始此rdquo

94) 民國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95)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財用錄 상업

96) 張朋園 앞의 책 pp258-259

97) 宋斐夫 앞의 책 pp10-12

98) 岸本美緖 앞의 책 p51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3

時期 銀(兩) 錢(文) 出典

乾隆 嘉慶년간 10 1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道光 初(1821) Prime 1300-1400 Prime

Prime 18年(1838) Prime 1400 林則徐湖廣奏橋 권3

Prime 25年(1845) Prime 2000上下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Prime 末年(1850)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咸豊 元年(1851) Prime 2000 民國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咸豊 初 Prime 2300-2400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8 부역

咸豊 3年(1853) Prime 20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5年(1855)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Prime 6年(1856) Prime 2000 湖文忠公遺集 권12

Prime 7年(1857) Prime 1600 骆文忠公奏議 권7

Prime 8年(1858) Prime 1400 胡文忠公遺集 권85

Prime 10年(1860) Prime 1300-1400 胡文忠公遺集 권70

同治 2年(1863) Prime 13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7年(1868) Prime 1300-1400 李瀚章 瀝陳湖北等省漕務

Prime 10年(1871) Prime 1600-1700 同治10年 長沙縣志 권8 부역 錢法

光緖32年(1906) Prime 1600 長沙日報 宣統2年 2月27日

선통 2年(1910) Prime 1700 國風報 宣統2年 3月 21日

표 지방지에서 직접 採錄제외는 龔勝生 淸代兩湖農業地理 pp270-277에서 湖南부분을 발췌하여 再引用한 것임

表13) 湖南의 銀錢比値

그런데 아편전쟁 전후 銀의 과도한 해외 유출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이

초래되고 이것이 물가 상승의 주요인이라 생각되고 있는 데는 약간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表13)을 보면 銀錢比価가 일시적으로 상승하였다

가 다시 하강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은전비가는 지역에 따라 차

이가 있지만 호남 장사를 위주로 정리한 것이 표13)이다100)

99)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0) 邱思達 中國近現代鑄幣圖說 (北京 中國書店 1991) p109 참조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4

주목되는 것은 道光末에서 咸豊初에 일시적으로 상승하였지만 淸末

의 比価가 낮은 편에 속하는 현상이다 청말에 은전비가가 비교적 안

정되고 있는 것이다 아편전쟁 후 5항 개항으로 교역이 확대된 상황에

서 아편무역 증대에도 불구하고 차와 silk 수출에 힘입어 은의 순유입

이 오히려 증가되는 현상이 나타났던 것이다101) 또 光緖17년(1891)이

후 세계 銀価하락 현상으로 은유입이 증가되었다102) 19세기 후반 중

국이 세계 사회에 연결되면서 중국의 무역 적자에도 불구하고 淸 정부

에 대한 대량 차관과 자본 투자를 통해서 거대한 양의 銀이 중국에 유

입되었다 1871년에서 1913년 사이 은의 순 수입은 2억 4천만 海關兩

혹은 3억 6천만 銀달러로 추정되고 있다 세계 시장의 은가 하락과 은

의 대량 유입은 중국의 국내 시장에서 물가 상승을 유도한 것이다103)

이런 배경으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은 일시적인 것이고 청말민국기 전체를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민국 시기에는 銀元과 錢의 교환 비율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은의 유입 현상에도 불구하고 宣統 원년 11150文의 비율에서 민국6년

2250文 민국11년 2840文 민국17년 3500文 민국22년 7200文까지 급등

하고 있다 예릉현의 기록이지만 이것으로 청말보다 민국시기에 통화

팽창현상이 극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4)

銀과 錢이 주요 화폐이고 그 환율이 항상 문제가 되고 있지만 주로

청 후기 이후는 錢文 위주의 경제로 바뀌고 있다고 생각된다 長沙府

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면 대부분 道光 이후는 화폐를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淸 前期는 米価를 銀으로 표시하던 것과는 대조적이

다105) 예릉현에서는 민간에서 세금을 납부하거나 大宗무역을 할 때를

101)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2) 邱思達 앞의 책 pp92-93

103)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4)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10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光緖3年刊 善化縣志 同治13年刊 湘鄕縣志 光

緖15年刊 湘潭縣志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民國37年刊 醴陵縣志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5제외하고 紋銀 사용자가 거의 없다 도광 이후 교역시 대부분 錢文을

사용했다는 기록을 보면 淸 後期는 錢 경제 위주로 넘어간 것 같

다106) 세금을 낼 때 외에 銀錢이 필요 없는 일반민은 錢文 사용권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너무나 당연하다

함풍4년에 長沙에서 大錢을 주조하여 통용시켰으나 결국 시장의 신

뢰를 얻지 못하여 퇴출되고 말았다 1854년 7월에 주조를 시작하여

1855년 4月에 주조를 정지하였다107) 이것을 보면 통화 남발도 결국

시장의 제약을 받고 있다

민국 7년(1918) 3月 張敬堯가 裕湘銀行을 개설하여 銀元票 1000만元

銅元票 3000만元을 발행하였다 그 결과 시장은 혼란에 빠지고 시중금

융은 마비 상태가 되었으며 결국 裕湘銀行 발행의 惡幣는 폐지와 같이

되었다108) 권력에 의하여 통화 팽창이 시도되더라도 시장이 감당할

수 없는 지경이 되면 중단될 수밖에 없다 과도한 통화 팽창은 시장의

질서에 의해 어느 정도 제약 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예릉현에서도 光緖 년간에 錢莊 24곳이 출현하여 盛業을 누렸는데

民國7年(1918) 兵禍로 停業하는 곳이 많아졌고 정부의 통화 남발 화폐

가치 하락 금융혼란의 현상이 나타났다109) 민국18년(1929) 이후는 정

국이 안정되고 교통 편리로 百業이 진흥되고 은행이 역할을 하게 되었

이상에서 보면 淸末까지는 은전비가가 안정되고 통화 관리가 어느

정도 성공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光緖 宣統 시기에 銀元의 주조 외국

銀貨의 대량유입 當十銅元 등 주조로 통화팽창이 많이 되었고 이시기

물가 상승과 연관되고 있다 민국 초기에도 정국 혼란과 무계획적 통

화남발로 물가의 급등을 초래하였다 민국 중기에는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것 같다

106) 龔勝生 앞의 책 p279

107) 劉泱泱 앞의 책 pp150-155

108) 宋斐夫 앞의 책 pp10-11

10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6영향현에서도 민국 21년(1932) lsquo穀賤錢荒rsquo의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

다110) 청말민국기에 전반적으로 화폐량의 증가가 현저했던 것은 사실

이다 다양한 화폐의 등장 銀兩 銀元 銅錢 銅元 외에 외국 銀元의 유

입 그 외 鈔票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출현하였으며 양적인 팽창도 분

명하다 하지만 대외 교역 증가와 경제 활동 인구의 증가 유통 상품의

양적 증가에 의해 시장의 화폐 수요가 증대된 것도 사실이다 통화 발

행은 일차적으로는 경제 주체의 수요에 부응하는 것이지만 그것이 과

도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3 공급기타 요소

물가는 기본적으로 수요공급의 관계에서 결정되는 것이 원칙이다

청말민국기에 걸쳐 인구가 급증하여 물가가 상승한 것은 자연스런 일

이다 그러나 물가 상승률 면에서 청말의 경우가 18세기의 증가율에

비해 크다고 할 수 없다 물가 상승률을 억제하면서 비교적 안정 속의

상승을 할 수 있었던 것은 공급의 증가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청말민국기에 湖南米의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 현상이 지속된 배경

에 비약적인 경지 면적 확대와 새로운 품종 개량 시비법 발전 등 농

업 생산 증대가 있었다는 것은 이미 밝혀진 바 있다111) 米穀 공급의

증대가 물가 상승을 완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雜糧 재배가 同治

(1862-74) 년간에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민중의 식량 문제 해결에 기여

하고 米価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던 것을 城步縣 知縣 盛溢源을

통해서 알 수 있다

洋米 수입이 國産米의 보충 역할을 했다는 지적이 있지만 결국 시

110) 民國30年刊 寧鄕縣新志 전1 縣年記

111) 田炯權 淸末民國期 湖廣地方의 農業生産力과 生産關係 (慶南史學 7

1995)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2001)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

究 25 200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7장에 대한 미곡 공급을 증대시켜 가격 안정에 기여했다고 생각된

다112)

민국 시대 관련 사료를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113)

금일 정세를 보면 국내 米価의 등락은 결코 國産米의 생산량이 많고

적음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외국 産米 구역의 풍년 여부에 따라 영

향이 대단히 크다

이것을 보면 洋米 수입이 國産米価를 조절한다고 볼 수 있다 비슷

한 시기 上海에서도 湖南米가 수입 米의 영향으로 가격이 약간 적게

올랐다는 史料도 있다114) 湘報에도 日本米가 수입되어 중국의 米価

가 차츰 내려갔다는 기록이 있다115) 같은 湘報에 보면 ldquo외국물산이

날로 풍부하여 중국 상품의 판로를 막는데 서양 상품의 가격이 낮으면

중국 상품 가격이 홀로 증가할 수 없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116) 결국 洋

貨도 중국에서는 시장에 대한 상품 공급의 증가이고 이것이 상품 가격

상승을 억제하고 있는 것이다 같은 자료에 중국의 土藥이 널리 판매

되니 외래 洋藥의 가격이 폭락한 사정도 소개되고 있다117)

또 洋蠟의 수입으로 국산 白蠟 가격이 매 100斤 200元에서 100元으

로 폭락한 일도 있었다118) 1921년 독일 면화가 대량 수입되어 중국의

綿価가 하락한 일도 있다119) 光緖년간 부터 중국이 綿紗 생산을 개시

하자 華商과 洋商사이에 가격 경쟁이 시작되었다 수입 綿布도 洋商이

國産布와 경쟁하기 위해 가격을 낮추어 공급하였다120)

112) 王良行 淸末對外貿易的關聯效果(1860-1911) (近代中國對外貿易史論集1997)

113)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卷3 p413

114) 위의 책 p416

115) 湘報 제45호 p1419

116) 湘報 제13호 ldquo外洋之出産日盛 足以抵華貨之銷路 洋価低則華貨不能獨增rdquo

117) 湘報 제162호 p1608

118) 章有義 앞의 책 권3 p662

119) 譚文熙 앞의 책 p342

120) 譚文熙 위의 책 p368 p374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8상인의 가격 조종이 물가 변동에 하나의 요소는 될 수 있다 예릉현

의 土資 판매에 있어 객상의 가격 조종에 저항하기 위해 주민들이 公

司를 조직하여 가격을 바로 잡았다는 기록도 있다121) 지주 부농 米商

등의 매점매석에 의한 가격 조종 사실은 흔히 발견된다122) 秋收期에

시장에 대량 방출된 곡식을 저렴한 가격에 매입하여 端境期에 되팔아

이익을 남기는 것은 상인의 오래된 관행이다 이윤 추구를 위한 개인

의 행위지만 넓게 보면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행위이기도 하

다 각지 농산품 가격 변동 조사에서 원인이 밝혀진 10건 가운데 전쟁

이 2건 豊凶 水旱災가 7건 상인 조종은 단 한 건 뿐이었다123) 제국

주의 상인에 의한 가격 조종이라는 것도 결국 중국 상인의 이윤 추구

행위와 본질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湘報의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124)

輪船이 이미 통행하고 있고 철로가 이미 만들어 졌다 제조업이 날로

번성하고 통상조약이 행해지니 상인이 계속 내왕하고 온갖 상품이 유통

된다 사계절 틈이 없으니 일용 각 물품이 그 가격이 반드시 저렴할 것

이다

이것을 보면 통상 개시 후 교통이 발달하고 상품 교역이 증대된다

는 것과 그 결과 일용품의 가격이 저렴해졌다는 것을 당시인이 인식하

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서방 각국과의 무역 증대는 상품 공급의 증가

이고 가격 경쟁을 통해 물가 상승을 완만하게 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

121)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22) 李文治 앞의 책 p559

123)湘報 제49號 ldquo輪船旣行 鉄路旣造 製造日盛 商約可行 商賈絡繹 百産流通

歲時無間 則日用物品 其価必廉rdquo

124) 安本美緖 앞의 책 제7장 pp239-288 제12장 431-455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9

Ⅲ 物價와 景氣(생활)

1 穀賤傷農과 不況

物價 문제를 단순히 등락의 흐름에만 주목하기보다 경기변동론적

입장에서 好況 不況의 문제로 연관시켜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

이다 岸本美緖는 康熙年間의 lsquo穀賤rsquo 현상이 不況과 연결되어 있고 光

緖年間 蘇州의 不況도 lsquo穀賤rsquo이 원인이었음을 지목하고 있다125)

그런데 長沙府 중심의 湖南의 사정을 검토해 보면 lsquo穀賤rsquo 관련 기록

이 道光 咸豊 시기와 民國 中期에 집중되고 있다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26)

道光 25年(1845) ldquo穀賤斗穀錢五十文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値穀賤錢価亦賤 民甚苦之rdquo

장사현과 縣治를 長沙城 내에 두고 있는 善化현에서도 같은 해에

비슷한 기록이 있다127)

道光25年 穀賤自十五年起 連年俱穀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中下戶苦之

咸豊5年 穀賤

장사현 기록을 보면 穀価도 싸고 錢価도 싸서 민이 고통 받는다 했

으니 이 당시 은의 해외 유출과 은전비가 문제로 민중이 고통 받은 사

실을 알 수 있다 선화현은 장사현과 연접하고 통합과 분리가 단속되

었던 거의 동일 지역이다 선화현 기록을 보면 도광25년의 lsquo穀賤rsquo이 해

당년도만의 일이 아니고 道光15年(1835)부터 계속된 현상임을 밝히고

있다

12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33 祥異

126)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127) 民國30年刊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0인근의 寧鄕縣에서 보면 ldquo道光26年 歲豊 穀奇賤傷農 佃農以穀賤大

困rdquo이라는 기사가 있다128) lsquo穀奇賤rsquo이라 하였으니 평상시 보지 못한

하락이었다고 생각된다 더구나 소작료 납부가 대부분 현물지대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佃農은 米穀의 상품화 과정에서 배제되었다는 종전의

통념과 달리 佃農도 곡가 하락으로 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같은 기록에 함풍원년에도 ldquo有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以穀賤漕折苛rdquo라 하고 있어

역시 곡가 하락으로 세금 납부에 곤란을 겪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장사부 內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아도 同治 년간에는 lsquo穀賤rsquo 기

재가 보이지 않고 전술한 도광 함풍 년간에 집중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후의 기록을 찾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ldquo湖南自夏秋以來雨暢時若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故無論高低田畝咸稱大稔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甚

賎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反有入不敷出之慨矣rdquo (益聞錄 69号 광서6년828)129)

ldquo(長沙農村) 近年來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穀米求售 価値至賤 日用各物 則又極昻 收穫所

得 不足顧其工本 多已漸陷于無力耕種之境rdquo (新靑年 7권 6호 1920년 5

월)130)

ldquo湖南近年來之天災人禍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天災旣足以減少收量 地方不靖 産品滯銷

価値復因以低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而生活日昻 工価及日用物品 繼續增漲 收入支出 常苦

不得平衡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rdquo (中國棉産改進統計會議專刊 1931)131)ldquo湘省爲産穀素豊之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年歲收 屢佔大有 而長江流域亦値豊收 更

有大宗洋米 運貨傾銷致湘米頓失市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価格低賤 不僅農村經濟 陷于絶

境 市面金融 亦大受打擊rdquo (銀行週報 18권 9기 1934313)

이외에도 1936年의 사실로 호남의 武岡 東安 일대에서 lsquo豊年穀賤rsquo으

로 省城에 운반할 때 운송비와 각종 捐稅 부담을 감당할 수 없어 陳米

를 불태웠다는 기록이 있다

128) 李文治 앞의 책 p557

129) 章有義 앞의 책 권2 p432

130) 章有義 앞의 책 권3 p795

131) 章有義 위의 책 p620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1이것을 보면 주로 1930년대에 lsquo穀賤rsquo과 不況이 집중 묘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lsquo穀賤rsquo 즉 불황이라고 하면 도광함풍초의 곡천과 불

황 同治光緖宣統期의 lsquo穀貴rsquo즉 好況 다시 民國 전기의 好況 民國 中期

의 불황으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물가의 상승기가 호황적 국면이라는 것은 알려

져 있지만 이것은 전체 물가의 문제이다 위 자료에서 보면 1920년 장

사 농촌에서는 곡가는 싼데 일용품 가격은 극히 높다고 하고 있고

1931년의 기록도 工價와 일용품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농민이 다수를 점하기 때문에 미곡가의 하락은 농민 수입 감소

와 구매력 저하를 가져오고 이것이 농촌 불황의 한 요인이 될 수 있

다 그러나 工賃과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시장의 한계 안에서의

일이다 또한 실업률과 고용 지표 등도 고려되어야 하는데 만족할만한

통계의 부족으로 명확한 답을 얻기는 어렵다

그런데 米価와 물가는 개별 년도나 시점에서 서로 상이한 궤적도

있지만 圖2 3 6 7을 보면 대체적으로는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예릉의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광서 4년(1878)에 비하여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1912)에는 현격한 상승세였다가 그 후에 등락을 거듭

하고 있지만 민국25년(1936)의 경우는 광서4년보다는 높거나 유사한

경우가 많다

2 생활 경기의 발달

당시인들이 체감하던 생활 경기의 수준이 어떠했는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

光緖刊 善化縣志를 보면 다음과 같다132)

132)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16 풍속 附論 ldquo古人 酒肉以養老 而今則黃口稚子

無不酒肉之人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日不旦穀貴鹽貴 而酒肉皆貴 則好惡可知矣 一今鄕間柴炭

其価數倍於昔日 瀕河之地 莫不燒煤rdquo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2옛사람들은 술과 고기로 노인을 부양하였는데 지금은 어린아이도 술과

고기를 먹지 않는 이가 없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요사이 미곡과 소금이 비쌀 뿐 아니

라 술과 고기가 모두가 비싸니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지금 향간에 柴炭이 그 값이 예전보다 수배인데 하천 근처 사람은

煤를 때지 않는 사람이 없다

同治 攸縣志 에도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33)

예전에 士大夫도 집에 있을 때 엄동이 아니면 가죽옷을 입지 않았다

지금 關中의 가죽옷 상인이 유현에 와서 1년에 은 만여 냥을 얻을 수 있

다 기타 비단 옷은 蘇州 杭州 및 嶺南에서 오는 것이 또 배가 되니 1년

에 수만금을 소비한다

醴陵縣에서도 비슷한 인식을 볼 수 있다134)

ldquo예전 풍속이 儉樸하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이 명절 아니면 고기를 먹지 않고

慶弔事가 아니면 술을 베풀지 않고 손님 접대는 닭 잡는데 그치고 鮮味

는 생선에 그쳤고 縣城의 食肆는 飽麵茶館에 그치고 酒席으로 業을 삼는

자가 없었다

지금은 酒樓菜館이 거리에 가득차고 中人의 집에도 술자리가 베풀어지

고 사치를 다툰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예전에 士類大半이 淥江書院에 모이면 그 가운데 비단신을 신은 자가

불과 수인이었고 羊가죽 옷을 입은 자가 불과 1 2人이었다 지금은 비단

신과 가죽옷이 거의 常服이 되었고 日用品은 舶來品이 많다rdquo

이 내용을 보면 예릉현의 생활 수준이 급격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예릉현지 기록에는 부인들이 上海의 유행을 쫓아 사치를 추구한

다는 내용도 있고 청말부터 外貨를 서로 자랑한다는 내용도 있다 종

133) 同治10年刊 攸縣志 권18 풍속 衣服 ldquo衣服 昔時 士大夫 家居非嚴冬不御裘

今關中裘商來攸 歲可得銀萬餘兩 其他錦繡之運自蘇杭及嶺南者 則又倍之 計一歲

之戶 所費數萬金rdquo

134)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4장 풍속 생활 ldquo旧俗民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非令節不

食肉 非慶弔不置酒 欵客止於殺鷄 鮮味止於草魚 縣城食肆 止於飽麵茶館 無以酒

席爲業者 今則酒樓菜館 遍於街市 中人之家酬酢往還 爭奢鬪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旧時士類

大半 集於淥江書院 一院之中 著緞鞋者 不過数人 襲羊裘者 不過 一二人 今則絲

履皮袍殆成常服 日用之品 多自舶來rdquo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3전에 菜油 棉油로 燈을 켜다 집집마다 煤油를 사용한다거나 세탁시

茶枯鹼水를 쓰다가 대부분 비누를 사용하는 일상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135)

또 寧鄕縣에서도 ldquo同光之間 地方安寧 家給人足(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함)縣城商業 於時爲盛rdquo이라 하고 있어 同治(1862-74) 光

緖(1875-1908) 시기가 好況이었음을 알 수 있다136) 湘報에도 ldquo民間

之喜用洋貨日甚一日rdquo이라 하고 있어 洋貨 사용의 확대를 짐작할 수 있

다137)

광서년간 무역이 확대되고 여기에 대해 유익하다는 인식의 기록이

湘報에 나오고 있다138)

ldquo輪船과 철로가 개통되고 항구 개항이 증가 되는 것은 실로 중국에 유

익하고 손해가 없다 저 눈이 콩만큼 큰 자가 걸핏하면 통상이 중국에 해

가 된다고 하니 어찌 심히 어리석지 않은가rdquo

무역 확대를 지적하고 통상이 유익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예릉현

지에도 同治志에는 풍속이 lsquo安士重遷rsquo하고 상인이 외부 활동하는 자가

적었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고 光緖末에 도자기 夏布 編爆業

이 일어나 융성하여 이에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 넘는다고

하고 있다139) 예릉향토지에도 商旅 왕래가 예전보다 10배라는 서술이

있다140)

장사시의 行業발달 상황을 보면 민국 5년(1916)에서 民國22年(1935)

사이에 식품업은 281⟶2124 사치품은 171⟶1128 복장은 43⟶2028 農

礦은 621⟶1156 洋貨 127⟶233 금융 130⟶164 공예 2121⟶3344 문구

17⟶355 등 비약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141)

135)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 工商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6장 실업

136) 民國30年刊 寧鄕縣志 財用錄 民業

137) 湘報 제13호 1898年 3月 21日

138) 湘報 제162号 1898年 9月 23日

13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40) 民國15年刊 醴陵鄕土志 제6장 실업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4이것은 장사의 생활수준 향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당시에

通商의 확대 주장도 湘報에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142)

이상에서 보면 청말민국기에 대체적인 추세는 好況이었다고 생각된

다 생활 수준의 향상이 눈에 띄고 米価와 물가도 연동되면서 상승하

는 추세였다 米価의 상승이 구매력 수준의 제고가 되기 때문에 米穀

생산 중심지역에 상인들의 行號가 집중되는 것이 보였다143) 임금의

경우에도 호남 汝城縣에서 실질 임금이 유지 또는 상승하는 것을 확인

한 바 있다144) 全漢昇도 1875년부터 1925년까지에 걸쳐 四川 合江현

의 임금과 물가 변동의 추세가 거의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바 있

다145) 앞서 인용한 1931년 中國棉産改進計劃 에도 임금과 일용품 가

격이 함께 오른다고 하고 있어 임금이 물가에 연동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생활 수준 향상을 기록하고 있던 지방지에도 빈부 격차를 암시하는

내용이 있고 物力이 날로 쇠퇴한다든지 하는 기록이 있다 대외 무역

이 적자라 하더라도 차관 원조 뿐 아니라 외국 상인의 진출이 자본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好況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Ⅴ 結 言

이제까지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이후 民國中期인 1936年

까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여 米価와 물가 변동 물가 변동의 원인

141) 張朋園 앞의 책 p387

142) 湘報 44호 中外通商利害論 湘報 67号 論湖南茶務急宜整頓

143)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144)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9 1998)

145) 安本美緖 앞의 책 p2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5물가와 생활 경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米価 변동은 단기 변동에 있어서 전쟁이나 天災 등의 특수한 사정

의 해를 제외하고는 光緖 년간에 비해 민국 중기의 계절 변동폭이 축

소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米価의 계절 변동을 완화 시

켜 주는 雜糧의 재배가 湖南 지역에서는 대부분 同治 년간에 보급 확

대가 되고 있다 교통과 상업 발달 등의 이유로 청말에서 민국기로 갈

수록 계절 변동폭을 축소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변동에서는 長沙府縣의 물가 변동 예릉현 물가 변동 등을 살

펴 볼 때 전체로서는 상승 추세 중에 도광 함풍 시기의 低米価 同治

년간의 高米価 光緖전반의 低米価 光緖後半에서 宣統 년간의 高米価

民國 前期의 高米価 民國 中期의 低米価의 등락을 보이고 있다

民國 中期의 米価는 長沙 8개년 米価 추세에서도 안정속의 상승세

를 보이고 있다 명목상 수치 뿐 아니라 米価의 상대 물가로 보는 실

질 구매력도 宣統 民國元年에까지 급상승하였다가 민국 시기 등락을

거듭하지만 민국25년(1936)까지 광서4년(1878) 대비 유지 또는 상승 추

세였다

物価변동은 개별 상품에 따라 편차가 있고 米価와는 전혀 상이한

궤적을 그리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米価와 연동 관계를 보이

고 있다 1898년 물가의 단기 변동은 이상할 만큼 변동폭이 크지 않다

당시 물가 조사자의 보고가 정확했는지 의심될 정도이다 1935년의 장

사 물가에서 단기 변동을 보면 변동폭이 100이상인 夏布 毛筆 麵粉

棉布등을 비롯하여 50 이상인 오리털 흑연 성냥 국산 전지 등을

비롯하여 40 이상인 비누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기 변동폭

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 이것은 이런 물품들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

성이 크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物価의 장기 변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米価와 대체로 비슷한 궤적

을 보이고 있다 청말에서 민국전기에 걸쳐 물가 상승폭이 두드러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 상승폭이 더욱 크

다 돼지고기 값을 예로 들면 1878년에서 1909년 사이에 273 상승했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6고 1912-1921년 사이에 75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닭은 각 50와 44

상승했다 청말은 31년간의 수치이고 민국 전기는 9년간이니 물가의

상대적 급등을 알 수 있다 1926에서 1936년까지 10년간 돼지 고기 값

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

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

세를 보이고 있다 민국 중기의 米価가 일부 lsquo穀賤rsquo 현상을 보인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음으로 물가 변동의 원인에 대해서는 군벌간의 전쟁이나 정치적

혼란 등 정치 군사적 요인을 제외하고 대체로 검토해 보았다

수요 측면에서는 湖南米의 유통이 호남 내부의 인구 증가에도 불구

하고 양자강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지속된 것이 米価 상승의 한 원

인이었다 上海나 武漢 등의 도시화와 인구집중은 이들 지역 양식 수

요를 폭증시켰다 일부 洋米 수입에도 불구하고 湖南米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으로써 米価를 상승시켰다 또 장사를 비롯한 각지의 새로운 수

공업 산업의 발달로 비농업 인구가 증가하고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유

효수요로 성장하여 米価 상승을 유도하였다 양식의 이출은 해당 지역

인구 식량을 전부 제외한 나머지 잉여가 수출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력

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청말민국기에는 호남의 내부 외부에

서 미곡에 대한 유효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것이 米価 상승의 한 요인

이었다

화폐 문제에 있어 화폐 수량의 증가가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것

은 상식이다 종래 아편전쟁 전후 은의 해외 유출 증가가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을 초래하여 물가 상승과 인민의 빈곤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지방지 등의 史料에서 검토한 결과 은전비가는 도광함풍초의

일시적 상승 후에 함풍 7년 이후는 도리어 하락하고 있다 同治 년간

에 대부분 1兩 1300文 수준에서 안정되고 있다 光緖末宣統년간에도

1600-1700文 수준으로 도광함풍 초보다는 낮은 편이다 청말민국시

기에 화폐의 남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한계를 넘었을 때 시장의 통용

거부로 마침내 중단되고 있다 청말민국기에 외국 銀元의 유입과 국내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7의 銀元 주조 銅元 지폐 외에 鈔票 市票 등 화폐 시장에 투입된 화

폐량은 엄청나게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로서는 어느 정

도 시장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외 교역과 상품량의

증대 경제 활동 인구의 증대 미곡 생산 및 농산품 생산의 증대로 화

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것이 화폐량의 막대한 증가와 유

통속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

었다고 생각된다 즉 안정 속의 물가 상승이 유도된 것이다

공급면에서 보면 대외 교역을 통한 서양 상품의 수입은 전체로서는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물건의 공급 증가를 통해서

혹은 국내 상품과의 경쟁 때문에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었

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침략과 물가 폭등이라는 도식적

견해와 달리 현실에서는 물가 억제 작용도 있었던 것이다

물가와 경기면에서 보면 물가가 비쌀 때 호경기가 많은 것은 사실

이다 그런데 lsquo穀賤rsquo 현상이 불황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서 長沙 지역의 경우를 검토해 보았다 도광함풍 년간까지 lsquo穀賤rsquo현상

과 불경기적 상황에 대한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동치광서 년간에는

米価가 등귀한 시점인데 이 시기는 紅茶業의 번성이나 각종 수공업의

번성으로 好況의 면모가 보이고 있다 민국 시기에는 민국 중기에 lsquo穀

賤rsquo의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史料上에 민국 중기의 lsquo穀賤rsquo은 임금이나

다른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다 물가 상승기와 好況

이 맞물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민국 중기는 lsquo穀賤rsquo 현상과 서로 어긋

나는 것이다 이 시기의 不況 서술은 농촌의 농민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표시이다

생활 수준에 대한 지방지 기록 등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주민들의

洋貨 사용이 보편화되고 의복 음식 주거 등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것

을 지적하고 있다 물가는 상승하였지만 同治 이전에 비하여 분명히

사치품의 소비 증대와 中人의 집도 소비 수준이 제고된 것이 드러나고

있다 민중의 빈곤은 있으나 이 시기 빈부 격차가 커지고 생활 수준의

격차가 커진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15: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3

lt圖4gt 長沙의 米価 변동

bull광서4년 14년 19년은 예릉현지 물가표 기재 이용

bull광서7년은 민국 영향현지 기록 가을 이전의 평상 가격 이용

bull광서32년은 水災시의 가격

예릉현 물가표상의 광서 기록을 보충하여 수정한 결과

신뢰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표4)의 내용에 長沙府 醴陵縣志의 물가

표상 광서4년 14년 19년을 포함하여 구성해 본 것이 lt圖4gt이다

이것을 종합하여 보면 도광 16년(1836) 이후 함풍6년(1856)까지는

비교적 저렴한 米価가 유지되다가 함풍7년(1857)이후 米価가 급등한

것으로 생각 된다 동치 년간은 동치원년(1862) 4000文에서 동치2년

3900文 동치7년 4000文전후 동치9년 4000-5000文으로 계속 高米価가

유지된 시기였다 그런데 銀錢比値는 동치2년 1300文 동치 7년

1300-1400文으로 도광말 함풍초보다 오히려 안정되어 있다 淸末 이

지역의 지방지를 검토하면 거의 모두 嘉慶 이전은 米価를 銀兩으로 표

시하다가 道光 이후는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도광 이후 淸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4末은 米価도 錢文価가 실제 시장 가치를 잘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

다 동치 년간 상당히 高米価가 유지되었지만 道光末咸豊初와 같은 lsquo銀

貴錢賤rsquo 현상은 보이지 않기 때문에 米価 상승이 농민에게 어느 정도

유리했다 여겨진다 lt圖4gt를 보면 光緖 전반에는 米価가 상대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光緖19年(1893)까지는 하락 안정세를 보이다가 그 후에

급등하고 있다 호남성 수확기의 中米 가격 조사에서도 비슷한 경향이

보인다47) 中米 가격도 광서22년(1896)부터 대체로 상승추세인데 광서

34년(1908)에 급등하고 있다 앞서 彭信威가 연구한 江浙 米価 변동에

19세기 24분기와 19세기 780년대가 米価低落期에 해당된다고 하는

데48) 이것과 유사한 면을 가지면서 약간의 편차가 있다 즉 동치 년간

(1862-74) 70년대 전반까지는 대체로 高米価가 유지되었고 光緖 전반

의 하락은 90년대 전반까지인 것으로 생각되는 것이다 淸末 上海의

米価 조사도 1862-71(213) 1872-81(128) 1882-91(142) 1892-1901

(207)로 되어 있어 위 호남 長沙의 米価 변동과 비슷한 궤적을 그리고

있다49)

lt표1gt에 제시된 광서 24년(1898)의 長沙 米価도 3000文-4000文 사

이에 형성되어 상당한 高米価이다 같은 湘報에 실린 내용에 岳州에

집결된 湖南米가 漢口에 운송 판매되는데 米価는 3700-800文 또는 4천

수백文에 이른다고 되어 있다50) 대략 光緖20年(1894) 이후부터 淸末까

지 高米価가 지속되었다고 생각된다 松江府續志의 기록을 이용하여

光緖年間 低米価와 그로 인한 장기 不況이라는 해석은 長沙府 일대에

서는 드러나지 않는다51) 低米価는 光緖年間 전체는 아니고 光緖

(1875-1908) 년간의 거의 전반에 해당하는 1893년 이전의 일로 생각된

다 후반에서 淸末까지는 急騰에 가까운 高米価의 변동을 보여주고 있

47) 岸本美緖 앞의 책 p19

48) 同上 p443

49) 湘報 76號 p67650) 李文治 中国近代農業史資料 제1집 p561 岸本美緖의 해석 앞의 책

pp442-443

51) 張人价 앞의 책 pp93-9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5

機米 河米 糯米 총 평균

가격 지수 가격 지수 가격 지수 가격 지수

1928 652 7564 503 7065 805 9015 653 7944

1929 862 10000 712 10000 893 10000 822 10000

1930 1003 11636 862 12107 1037 11613 967 11764

1931 1002 11624 845 11868 1020 11422 956 11630

1932 1008 11694 817 11475 947 10605 924 11241

1933 594 6868 504 7079 757 8477 618 7525

1934 671 7784 590 8287 812 9093 691 8406

1935 1004 11647 810 11376 1012 11333 942 11460

lt表5gt 長沙의 米価(石元)

예릉현 물가표를 보면 民國 시기에도 대체로 안정속의 상승세가 지

속된다 청말에서 1921년까지 米価가 급등한 것으로 보이지만 1926년

에서 1936년까지는 안정 속 상승의 추세이다 兩圖 사이에는 가격 단

위의 차이가 있어 직접 접속은 곤란하지만 흐름은 그렇다고 여겨진다

호남성경제조사소 의 조사에 근거한 민국17년(1928)부터 민국24년

(1935)까지의 8년간 米価 기록을 제시한 것이 lt표5gt이다52)

이것을 보면 등락은 있지만 비교적 米価가 안정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上海의 米価도 1912-1928년 사이 407 상승하였는데 1921-1928년

사이에는 154 상승하였다53) 호남성의 米価는 宣統2年-民國元年 3개

년 평균가와 민국 21-23년 3개년 평균가를 비교했을 때 86 상승이라

는 조사도 있다54) 대체로 淸末에서 民國 전기까지는 가격이 급등하고

민국 중기에는 안정 속의 상승이 추세였다고 생각된다

호남성 汝城縣의 물가변동을 보면 우선 지방지 편찬자의 시기 구분

52) 徐正元 上海近代稻米市場価格變動分析 (中國經濟史硏究 1996年 2期)

53) 張人价 앞의 책 p87

54)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 91998)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6

1898年 1935年

소금 56文斤 57斤

洋油 50文斤 64斤

돼지고기 105文斤 30斤 015-020元斤 25-33斤

鷄育 123文斤 26斤

羊肉 117文斤 27斤

茶油 100文斤 32斤 019-024斤 21-26斤 瀏陽가격

면화(中棉) 217文斤 15斤 03-05斤 10-17斤 湘陰 Prime

1898年 中米1石価 (湘報소재 1石 3193文 적용)

1935年 長沙米価 民國25年 刊 通郵地方物産誌 湖南의 長沙靖港米価(担40-60元

의 중간 값 이용) 1石은 1担보다 크므로 실제 米価는 이보다 높을 것임

이 의미있다고 생각된다 同治丁卯志 편찬 이후부터라고 명시하고 있

는데 丁卯年은 同治6년(1867)이다 이후부터 민국21년(1932)까지를 세

시기로 구분한다55) 同光 시기 光宣 시기 民國 시기이다 즉 동치 후

반에서 광서 전반 광서 후반에서 선통 년간이니 광서 후반부터 물가

상승이 컸던 것을 반영한다고 여겨진다 여성현 물가표상 米価 변동을

단순 비교하면 지수는 100 200 400으로 변한다 1930년대 전반의 米

価는 동치 후기에 비하여 약 65년만에 300 상승한 것이다 이것을

신뢰하더라도 앞서 18세기 전후 백년간 물가가 300 상승하였다는 당

시인의 인식과 상승률은 거의 비슷하다56) 장사부 상음현에서도 18세

기 중후반 67년간 米価가 300 상승한 바 있다 예릉현 물가 표상

1878년에서 1921년까지는 米価는 약 458 상승하였지만 1926년에서

1936년까지 10년간은 약 563 상승에 그쳤다 민국 중기는 비교적 안

정속의 상승을 보여 주고 있다 lt표5gt에 제시된 長沙 機米의 8년간

가격도 54 정도 상승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미가의 명목 수치상 등

락을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질 가치를 알아보려면 상대 물가 즉

米1石価의 구매력이 얼마인지를 보아야 한다

lt表6gt 長沙 中米 1石価의 구매력 변동

55) 郭成康 앞의 논문

56) 張麗芬 앞의 책 p270 각주7)에 보면 호남성 1担価는 140-150斤 1898年 長

沙 米価는 1石당 150-155斤임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7

1935년의 長沙 米価는 通郵地方物産誌의 長沙 靖港의 米 1担価를

이용하였다 실제 石은 担보다 크므로 米価는 여기서 잡은 5元을 상회

할 것이라 생각된다57) 같은 자료의 물가를 이용하여 제시한 lt표6gt을

보면 돼지고기 값은 1898년의 30斤에서 1935년은 25-35斤 사이이다

그 범위 안에 있는 것을 보면 米価의 실질 구매력은 유지되고 있다

茶油는 다소 하락하였지만 면화도 유지 또는 상승이라 볼 수 있다

예릉현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돼지고기는 상승 추세 속에 일

부 하락년이 있다 선통 원년과 민국 원년에 수치가 상승한 것은 米価

의 폭등이 기타 물가를 크게 앞지른 것으로 여겨진다 민국 중기에 약

간 하락하였지만 1935년의 돼지고기 구매력은 광서4년(1878)에 비해

67정도 상승하고 있다 茶油의 경우도 민국 10년(1921)까지 米의 상

대 구매력이 대폭 상승하고 있다 이것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米価 변

동을 통해 농민 소득이 하강했다고 여겨지지 않는다

광서4년1878

광서14년1888

광서19년1893

선통원년1909

민국원년1912

민국5년1916

민국10년1921

민국15년1926

민국20년1931

민국25년1936

猪肉 15斤 25斤 22斤 36斤 35斤 23斤 27斤 16斤 28斤 25斤

草魚 34斤 39斤 38斤 57斤 62斤 35斤 - 20斤 32斤 33斤

茶油 12斤 23斤 25斤 27斤 - - 25斤 - ① -

鹽 23斤 26斤 22斤 33斤 62斤 - 42斤

棉花 7斤 16斤 5斤 - - - - - ②

洋紗 - - - - - - - ③

煤油 - - - - - - - 15병 2병 11병

雞 17斤 22斤 20斤 33斤 22斤 19斤 21斤 - - -

史料上 穀価를 lsquo1米2穀rsquo의 원칙에 따라 米価로 환산하였음① 민국 15년(1926)부터는 茶油의 단위가 石으로 되어 있어 비교 곤란② Prime 棉花의 단위가 石으로 되어 있어 비교 곤란③ Prime 羊紗의 단위가 件으로 되어 있어 이해 곤란

lt表7gt 醴陵縣 米価의 물품구매력 변동추세(米1石의 구매력)

57) 刘泱泱 湖南通史 近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p487-488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8

품목

시기

단위

同光

(1870-1890)

光宣

(1890-1911)

民國

(1912-1932)

肉 斤 188 188 175

鹽 斤 60 75 636

洋紗 捆 100 100同光시기洋紗통행안함

土布 尺 100 120 140

洋油 甁 20 10同光시기

洋油 未 盛行

茶油 斤 188 188 175

桐油 斤 214 200 194

柴 750 875

同治丁卯志(1867)편찬 이후라 되어 있어 대략 70년부터 잡은 것이다

lt表8gt 湖南 汝城縣의 穀1石価의 구매력 변동

호남 汝城縣의 穀1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고기는 光宣 시기에

유지되다가 민국 시기에 약간 하락하였으나 근소한 수치이다 鹽의 구

매력은 光宣 시기에 대폭 올랐다가 民國 시기에 하락하였으나 同光 시

기 보다는 높은 수치이다 洋紗에 대한 구매력은 光宣 시기에서 民國

시기에도 계속 유지되고 있다 茶油는 고기와 같은 변화이다 土布에

대해서는 구매력이 계속 증가한다 洋油에 대해서는 民國 시기에 구매

력 감소를 보이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호남의 대외무역은 외국의 공

업품과 농부산품 원료를 교환하는 것인데 고가의 공업품 대신 강제

저가의 수단으로 호남의 농산품을 약탈한다는 견해58)는 약간의 재검

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공업 상품 가격의 翦刀差에 대해서도 洋紗

의 경우를 보면 나타나지 않고 있다59)

이상을 종합하면 同治年間의 高米価 光緖前半(1875-1891)까지의 상

대적 低米価 光緖後半-宣統까지의 高米価 급등 民國前期의 계속 상승

58) 李金錚 二十年來 中國 近代 鄕村 經濟史的 新探索 (歷史硏究 2003年 4

期)

59) 譚文熙 앞의 책 pp298-299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9

品目 洋麵 淮鹽 茶油 桐油 洋油 猪肉 雞 鴨 烟煤 柴煤

단위시기

包 斤 100斤 100斤箱2桶(50斤)

斤 斤 斤 100斤 衡斗

31-310 26兩 56文 73兩 19兩 104文 112文 88文 320文 24文

311-320 26兩 Prime 73 19 104文 128文 88文 320文 24文

321-331 26兩 Prime 73 625兩 189 108文 128文 88文 320文 252

41-410 26兩 Prime 728 628 186 320文 240

411-420 27兩 Prime 728 626 183 254 228

421-430 29兩 Prime 72 616 181 314 260

51-510 293兩 Prime 711 606 178 310 240

511-520 274 Prime 71 60 183 314 240

521-531 26 Prime 71 60 185 314 229

61-610 26 Prime 699 60 185 299 219

611-620 231 Prime 734 61 184 320 255

621-630 22 Prime 754 62 183 311 254

71-710 22 Prime 774 649 183 310 250

711-719 218 Prime 768 631 181 318 265

면화는 上棉 中棉 下棉의 가격이 제시되고 있으나 여기서 생략함

lt表9gt 1898年 3-7月間 長沙物価

民國中期(1926-1936)까지 안정이라는 米価 변동의 궤적을 확인할 수

있고 그 기간 동안 米価의 실질 구매력은 유지 또는 상승이 대체적 추

세였다 생각된다

2 物價 변동

1) 단기 변동

湘報에 수록된 光緖24년(1898)의 長沙 물가 변동을 표시한 것이

lt表9gt와 lt圖5gt이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0

品目 단위 최고가 최저가 시기 유통량 행선지

鴨絨 斤 500 300 冬 上海 北平 天津 南京

일반적으로 米価와 物価는 상호 연동적이라 생각되지만 여기서 물

가의 단기 변동은 米価와는 다소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대체로

등락 폭이 크지 않다 洋油 洋麵 桐油 등의 변동폭이 크지 않다 면화

만 4월 10일 20일 사이에 상승이 있지만 5월부터는 하락하고 있다

淮鹽 가격은 斤당 56文으로 3月에서 7월 사이에 전혀 변동이 없다

長沙지역은 원래 淮鹽 관할 구역이었으나 太平天國 시기에 교통 두절

로 川鹽 소비지역이 되었다 太平天國후 曾國藩이 이 지역을 淮鹽 소

비지역으로 회복하기 위해 여러 가지 개혁 조치를 행하고 督銷局에서

가격을 核定하여 고시하는 牌價 제도를 시행한 바 있다 일종의 통제

가격제도에 의해 가격 상승이 억제되고 있었던 것이다 直隷의 景縣의

소금 값은 1890년에 斤당 46文 1900년에 斤당 68文이라는 조사도 있

다60) 長寧縣에서는 光緖29年(1903)에 鹽価가 斤당 55文이라는 보고도

있는데 이것은 長沙 1898年의 鹽価와 유사하다61)

戰亂後에 淸朝정부의 淮鹽 소비지 회복 정책에도 불구하고 四川鹽

이 계속 私鹽으로 침투하였기 때문에 長沙의 淮鹽価를 저렴한 통제 가

격下에 두고 있었다고 생각 된다62) 圖6)에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柴煤

는 米価와 같이 5月10日에 최고가에 가깝고 6월10일에 하락하고 그후

에 상승하고 있다 烟煤의 경우에도 비슷한 궤적을 그리고 있다 이것

은 米価와의 연동관계가 비교적 분명하다

1935년의 長沙 物価의 단기 변동 폭을 알 수 있는 것이 lt표10gt이

lt表10gt 長沙物価 通郵地方物産志

60) 李文治 앞의 책 p562

61) 譚文熙 앞의 책 p267-268

62) 佐伯富 中國史硏究 第1卷 (京都 同朋舍 1978) pp340-36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1

黑鉛 石 2200 1300 全年 50000石 漢口上海

棉紗 件 22000 1800 Prime 24000件 本省

棉布 疋 120 150() Prime 1000000 漢口

麵粉 袋 50 250 Prime 140000 Prime

線襪 雙 106 Prime 6000000 本省

毛呢鞋 Prime 200 180 Prime 400000 Prime

夏布 疋 1000 200 夏 20000 上海漢口

火柴 箱 500 300 全年 10000 本省

刺繡 Prime國內및外洋

매년 産量 약50만元

玻璃器 件 300 200 Prime 9000 本省

肥皀 箱 70 50 Prime 30000 Prime

絲綿三角 兩 040 020 Prime 40000 Prime

國貨電池 打 060 040 Prime 200000 Prime

猪 斤 020 015 Prime 50000只 漢口上海

豬毛 担 6000 5000 Prime 4000kg Prime

粗窑器 卡 350 250 Prime 100000套 長江연안

毛筆 支 050 020 Prime 本省 및 황하 각성

여기서 보면 변동폭이 100 이상인 것은 면포 夏布 絲線三角 毛

筆 麵粉 등이다 또 50 이상인 것은 鴨絨(가공오리털) 667 흑연

692 火柴(성냥) 667 玻璃器(유리그릇) 50 국산 電池 50 등이

다 비누는 40 粗窰器는 40이다 棉沙 222 毛呢鞋는 111 돼

지 333이다 단기 변동 폭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고 생각된다 이

것은 이런 물품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성이 크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그런데 1898年의 경우는 茶油 洋油 등 물품의 가격 변동폭이 적은 것

은 무엇 때문일까 어쩌면 당시의 시장 가격 조사가 부정확했는지도

알 수 없다

1935年의 물가에서 綿沙의 변동폭이 적은 것은 당시 항상적인 수요

가 있었기 때문이 아닐까 비누의 변동폭도 40로 비교적 적은데 생

필품으로 수요가 지속 증대된 까닭이 아닐까 한다 通郵地方物産誌에 기재된 醴陵縣 夏布 가격은 40元-100元 사이인데 民國醴陵縣志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2

圖5) 1898年 3月-7月 長沙物價

의 物価表上에는 70元(1938)이라 되어 있다 物産誌 가격은 1935年

의 것인데 예릉현지의 가격이 그 범위 안에 있어 서로 다른 자료간에

부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63) 物産誌 上 相潭株洲의 茶油 값

매 石 160-240元(1935)은 예릉현지 물가표의 민국 20년(1931) 茶油 매

石 240元과 일치하고 있다 표12)에 1936年 煤油 값은 병당 44元이다

그런데 民國 安鄕縣志에서도 1934년 煤油 값은 병당 38元으로 되어

있어 兩者 사이에 유사성을 보여주고 있다64) 그러므로 醴陵縣志 物価의 종적 비교도 신뢰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洋麵은 包당 가격

茶油桐油洋油는 100斤당 가격

棉花 100斤당 가격

2) 장기 변동

長沙의 물가 변동을 보려면 湘報 수록의 광서 24年(1898) 물가와

63) 交通部郵政總局 編 中國通郵地方物産誌 (華世出版 1988)

64) 民國 安鄕縣志 卷11 食貨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3

품명 단위광서4년

(1878)

광서14년

(1888)

광서19년

(1893)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

(1912)

민국5년

(1916)

민국10년

(1921)

豬肉 斤 88文 63 62 112 160 240 280

雞 斤 80 72 68 120 250 300 360

lt表12gt 醴陵縣 物価表 (b) (商会조사)

품명 단위민국15년(1926)

민국20년(1931)

민국25년(1936)

민국27년(1938)

민국28년(1939)

민국29년(1940)

민국30년(1941)

猪肉 百斤 200원 170 200 360 400 561 1300

草魚 Prime 160 150 150

茶油 石 240 290 560 760 2000

鹽 石 120 140 150 160 2000

洋紗 件 2200 2200 2400 2000 2500 1500

土布 匹 27 70

夏布 Prime 70 70 140

竹布 Prime 100 100 8000

棉花 石 20 25 40 100 200 400

煤炭 石 020 030 040 050 230 70

煤油 甁 220 240 440 90 300 460 200

毛邊紙 石 198 432 1200

黑靛粉 桶10斤 100 200 1500 2000

赤金 兩 50 70 80 90 500 560 1600

lt表11gt 醴陵縣 物価表 (a)(私家數簿에 의한 것)

民國24年(1935)의 通郵地方物産誌 기록을 직접 비교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양 자료 사이에 화폐와 단위가 서로 달라 직접 비교할 수가 없

다 그래서 당시인의 물가 변동 기록인 長沙府 醴陵縣 物価表를 이용

하는 것이 파악 방법이 될 것이다

lt표11gt lt표12gt 와 lt圖6gt lt圖7gt을 보면 개별 물품에 따라 차이

는 있지만 대체적인 흐름은 米価 변동과 유사한 궤적을 보여주고 있

다 즉 光緖 前半에 비교적 안정적이다가 光緖 후반부터 급상승하여

민국 전기까지 상승하고 있다 1926년부터 1936년까지는 가격 안정세

를 보여 주고 있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4

雞蛋 個 2 2 3 4 10 15 20

草魚 斤 40 40 36 70 90 160

茶油 斤 116 69 54 150 300

鹽 斤 60 60 63 120 90 180

煤 石 50 120 50

苧麻 斤 270 99 170

棉花 斤 200 96 280

竹布 尺 70 62 60 60 90

靑洋布 尺 55 50 50 70

白蓮紙 刀 40 82 80 100

-附記 前淸 통행 制錢文으로써 단위 민국 초년에는 비록 銅元을 단위 사용하나 관습상 매 1銅元은 錢10文에 해당

圖6) 醴陵縣 物価 (a)

① 豬肉 斤당 가격 ② 雞肉 斤당 가격 ③ 茶油 斤당 가격

④ 鹽 斤당 가격 ⑤ 棉花 斤당 가격 ⑥ 草魚 斤당 가격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5

圖7) 醴陵縣 物価(b)

① 猪肉 百斤당 가격 元 ② 草魚 百斤당 가격 元 ③ 茶油 石당 가격 元

④ 鹽 石당 가격 元 ⑤ 洋紗 件당 가격 元 ⑥ 棉花 石당 가격 元

⑦ 煤油 甁당 가격 元

米価가 物価와 연동되는 것에 대해서 江都縣史料를 보면 ldquo産米 구역

에서 年末에 米価가 상승하니 百物이 昻貴했다rdquo65)라고 되어 있다 湖

南지역 米価 연구 자료에도 米価 추세는 거의 물가 수준과 같다는 주

장이 있다66)

光緖末宣統年間의 물가 상승을 나타내는 史料를 보면 다음과 같다

이제 각종 惡政의 결과로 百物의 騰貴를 초래했는데 小民의 日用 수요

65) 李文治 앞의 책 p470 ldquo江都爲産米區域 年末米価騰踊 百物因以昻貴rdquo

66) 張麗芬 앞의 책 p22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6음식은 그 가격이 십년 전에 비해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과 居室 器用

蔬饌의 비용 牛種糞漑의 비용도 예전 보다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도 비록

동일 비례로 함께 올랐으나 이미 넉넉하지 못해 괴롭다67)

이것을 보면 米価와 物価가 연동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청말

특히 光緖 후반 이후에 각종 物価가 두 배 올랐다는 사정을 알 수 있

다 上海의 物価도 같은 시기에 상승하고 있다68)

lt표11gt lt표12gt와 lt圖67gt을 검토해 보면 돼지고기 값은 광서 14

년 광서 19년까지는 다소 하락세를 보이다가 宣統원년(1909)부터 급격

히 상승하고 있다 민국원년(1912)의 가격은 160文으로 1878年의 88文

에 비해 거의 두 배에 해당한다 위에 인용한 宣統 2年 8月 國風報의 물가 두 배 인상과 정확하게 부합되고 있다 민국 전기인 1926년까

지 계속 상승하고 있지만 1926년에서 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이고 있

돼지고기 값은 1878년-1909년 사이 273 상승했고 1912-1921년 사

이에 75 상승했다 닭은 각기 50와 44 상승했다 계란은 100

100 상승이었다 淸末 비교 시기는 31년간인데 비해 민국 전기는 9

년간에 불과하다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가 급등한 것은 충분히

알 수 있다 1926년에서 1936년 10년간 돼지 값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거의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이었다

民國 醴陵縣志에도 ldquo辛亥혁명이전에는 물가가 심한 등락이 없었는

데 민국 후에 들어와서 차츰 상승했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69) 圖6)을 보

면 닭고기도 비슷한 궤적을 보이고 있다 草魚의 경우도 청말 민국전

기는 상승이 주요 동선이고 민국 중기(1926-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

67) 國風報 第1年 21期 宣統 2年 8月 (李文治 앞의 책 p561) ldquo今也以種種惡

政之結果 以致百物騰踊 小民日用 飮食所需 其価皆視十年前兩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居

室器用蔬饌之費 牛種糞漑之費兩倍于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雖以同一比例以俱騰 旣苦不

給矣rdquo

68) 岸本美緖 앞의 책 p443

6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物價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7이고 있다 譚文熙 物価史에는 민국 전기는 안정속의 상승세로 민국

중기는 파동속의 상승으로 정리를 하고 있는데 여기와는 약간의 차이

를 보이고 있다70) lt표11gt과 lt표12gt 사이의 화폐 단위 차이로 인한

연속적 파악에 다소 어려움이 있으나 대체의 추세는 짐작할 수 있다

또 품목에 따라 공란이 있어 연결 관계가 애매한 부분이 있다 1936년

이후는 중일 전쟁의 혼란과 불환지폐의 강제 통용 등의 사정으로 本考

에서는 분석 대상 범위에서 제외 하고자 한다

Ⅱ 物價 변동의 원인

1 수요 측면

米価와 物價가 상호 연동관계에 있고 넓은 의미에서는 米価도 물가

의 일부이다 米価 및 물가의 상승은 우선 수요의 증가에 원인이 있다

고 할 것이다 수요증가는 일반으로 인구 증가이다 湖南의 인구는 嘉

慶21年(1816) 18754259명에서 1898年 21174000명으로 다시 民國17년

(1928)에는 31501212人으로 비약적 성장을 하였다71) 약 110년 동안

인구가 1300만 가까이 증가하였고 비율로는 679가 증가하였다 長沙

府의 인구도 가경 25년(1820)에서는 4290086명이었는데 민국23년

(1934)에는 8421330명으로 약 400만명 이상 증가하여 963 상승을

보이고 있다72)

인구의 증가가 수요 증대를 초래하는 일반 요인이지만 湖南의 米穀

移出이 해당 지역 민중의 식량을 제외하고 남는 잉여 米만은 아니다

70) 譚文熙 앞의 책 pp302-307 여기서는 민국 전기는 1912-1927년 민국 중기

는 1927-1937년으로 구분하고 있다

71) 湖南省志 地理志 (長沙 湖南人民出版社 1982) pp230-238

72)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8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의 증대가 더 중요한 요인일 것이다 淸末에

와서 새로운 생업을 통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가 많이 증가하고

있는데 醴陵縣 사례를 한번 검토해 보겠다 史料는 다음과 같다73)

同治志에 이르기를 醴陵의 풍속은 lsquo安土重遷rsquo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상인이 外地에 나

가 장사하는 이가 적었다 배를 이용하여 외부 상업을 하는 것은 淥口 부

근의 米穀商일 뿐이었다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邑人들이 茶제조로 武漢에 판매하는 자가

이익이 배가 되었다 이때부터 龍門일대에 매양 봄에 茶를 제조하고 가리

는 廠이 항상 수십이었다 光緖末年에는 도자기업 夏布 編爆이 일어나서

대신하였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이를 믿고 생계를 삼는자가 무려 십만인이다

同治志 편찬 단계만 해도 사람들이 토착 안주하여 멀리 이동하는

것을 어렵게 여겼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큰 이익을 보고 그

후 도자 기업 夏布 編爆 제조에 종사하여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나 되었다는 것이다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의 성장을

보여주는 것이다 長沙의 빠른 도시화도 주목된다 長沙日報에 실린

내용을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74)

光緖32년(1906)에 火災 조사시에 城廂 내외가 매일 식량으로 穀 5000

石이 필요하였다 지금 교통이 편리하고 상인 旅客이 배로 증가하였으니

매일 마땅히 1-2000石을 더해야 한다(宣統 2年(1910) 2月 17日 長沙日

報)이것을 보면 光緖32년(1906)에서 宣統2년(1910)은 불과 5년이 채 되

지 않는데 상인 집단이 배로 증가하였다니 城內外의 유동인구 급증을

짐작할 수 있다 長沙城의 인구는 1916年에 177882人이었고 1931年은

385514人으로 증가하였다 불과 15년 사이에 1167 증가이다 배 이

73)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ldquo同治志云 醴俗安土重遷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商賈外

貿者少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揚帆外貿則 僅淥口附近之穀米商而已 光緖初 紅茶業興 邑人製茶

販運 漢皋者 獲利倍蓰自是來龍門一帶 每屆春日 製茶捒茶列廠恒數十 訖於光緖

末年 則有瓷業及夏布編爆起而代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恃以爲生者 無慮 十萬人rdquo

74) 李文治 앞의 책 p551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9상이 증가하였으니 長沙의 도시화도 급속히 진전 되고 있다75)

민국10年의 湖南 實業雜誌 보도를 보면 당시 長沙에 蓆工 500人

刻字工 300人 방직공 3200人 이발공 800人 香工 400人 합계 5200人

이 있었다 長沙大公報에 의하면 민국9년(1920)에 長沙에는 부두공

2600人 糞夫 500人 轎夫 1300 車夫 2300人으로 합계 7000人 정도

가 있었다76) 같은 시기 호남성의 광부가 160萬人이고 여기에 手藝工

苦力을 합치면 190만 전후였다고 한다 예릉현에서는 東鄕 일대에서

編爆業 종사자가 수만이고 東北兩鄕에서 磁廠의 女工도 수천이나 되었

다는 기록도 있다77) 湖南 邵陽縣에서도 淸末에 工匠이 5만 상인이 12

만 정도였다는 통계도 있다78) 이렇게 비농업 인구가 다른 생업을 통

해 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로 증가하고 있던 것이 확인된다 이런 유

효 수요 증가를 설명해 주는 다른 史料 하나를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

다79)

어째서 米穀이 날로 적어지고 날로 비싸지는가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水旱災가 날로 많고 농사짓는데 날로 게으르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말은

진실로 일리가 있는데 다 그런 것은 아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선교사 洋商 洋官 洋

兵은 증가한 것이 외국에서 온 사람이다 敎民 游民 賭民 盜民은 內地

에서 증가한 자이다 무릇 농사짓는 사람은 하나인데 먹는 자는 헤아릴

수가 없다 米穀이 어찌 비싸지 않을 수 있겠는가

光緖後期의 사정을 전하고 있는 위 史料를 보면 외국에서 온 선교

사 상인 군인 관리 등도 米価 상승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국내

외를 막론하고 비농업 인구의 급격한 성장이 米価 상승의 원인이라 생

각된다

湖南과 長沙의 米穀은 해당 지역 안에서 소비되는 것보다 揚子江

75) 張朋園 中國現代化的區域硏究 -湖南省 (台北 1998) p376

76) 위의 책 pp412-413

77)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農業經濟

78) 光緖33年刊 邵陽縣鄕土志 권2 인류 실업

79) 李文治 앞의 책 p77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0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많다 청말민국시기에도 지속적인 湖南米의

移出이 있었던 것은 이미 밝힌바 있다80)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穀

米가 騰貴한 이유가 外省의 采辦이 많은 때문이라고 하고 있다81) 상

담현에서도 동치 4년(1865)이전에 해마다 풍년이었는데 穀価가 까닭

없이 騰貴한 것은 江南이 처음 회복되어 米穀의 販運이 많아진 때문이

라고 하고 있다82) 1898年에도 長沙에서 米穀의 원거리 送出을 바라는

지주 富戶와 주민의 갈등 관계가 노출되고 있다83) 宣統2年(1910)의 기

록에도 湖北의 흉년으로 出境 米穀이 과다하여 米価가 급등했는데 작

년 末에는 1石5000文이었다가 금년에는 1石 8000文에 이르렀다는 내

용이 있다84) 같은 자료에 湖南米가 당도 하지 않으면 武漢에서 변란

이 일어난다고 할 정도이다

하류의 上海는 한적한 어촌에서 근대에 대도시로 성장하였다 武漢

上海등의 도시화와 상공업 발전 인구 집중은 長沙米의 급격한 수요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宣統 년간에 長沙가 전국적인 4大 米市의 하나

로 성장한 것은 우연한 일은 아니다85)

근대에 대외 교역증가가 물가 상승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생각된

다 1873년에서 1930年 사이에 농산물 수출 통계는 1910년을 100으로

했을 때 1873년은 12 1893년은 123 1903년 386 1920년은 1324

1930년은 2709로 급상승하고 있다86) 농산물의 수출은 해외 수요의 증

가이다 이런 교역상 수요 증대는 가격의 등귀 뿐 아니라 작물 재배

면적의 확대에도 기여하고 있다

80)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81)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20

82) 光緖6年刊 湘潭縣志 卷29 災祥志

83) 湘報 89號 長沙縣職員常達邦呈批

84) 李文治 앞의 책 p381

85) 徐正元 中國近代農産商品化的發展與米市的形成 (復印報刊經济史 1997年3期)

86)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권2 p14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1宣統2년(1910) 長沙에 영국 상인이 출현하여 米穀 구매를 단행하자

米価가 하루에 여러 번 급등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였다87) 湖南에서

는 또 광동 상인의 영향을 받아 紅茶 제조법을 습득하여 홍차를 대량

생산하여 구미에 수출하였다 19세기 60년대부터 20세기 초에 특히 호

남 茶 생산 판매가 극히 발달하였다88) 주요 산지 중에는 長沙 湘潭

安化 등이 손꼽히고 있다

桐油의 수출 또한 괄목할 만한 것이다 湖南의 桐油 수출은 1922년

전국의 3336 1923년은 372로 성장하였다 1929년에는 全省 수출

총액의 45 정도를 차지하였고 桐油 상품화율 80에 달하였다89) 대

외교역을 통한 농산품의 해외 수요 증가는 직간접으로 물가 상승에 작

용하고 있다

2 화폐 문제

물가와 화폐의 관계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통상 화폐 수량의 증가가

생산총량의 증가보다 초과할 때 물가상승이 일어난다90) 보통 淸 후기

에는 아편무역에 따른 銀의 해외 유출과 그 결과 야기된 lsquo銀貴錢賤rsquo 현

상 통화팽창에 의해 물가가 상승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91)

실제 淸末民國기에 걸쳐 통화 팽창과 물가 상승에 대한 기록을 찾

는 것은 어렵지 않다 王業鍵에 의하면 淸末 특히 1875年부터 1911年

까지는 인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단계였다고 한다92)

民國 寧鄕縣志에 보면 ldquo光緖29年(1903)에 처음으로 當十銅元을 주

87) 李文治 앞의 책 p550-551

88) 劉泱泱 앞의 책 p46

89) 宋斐夫 主篇 湖南通史 現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5 p276

90) 陳民 法幣發行制度與通貨膨脹 (復印報刊經济史 2001-1)91) 龔勝生 앞의 책 pp275-280 岸本美緖 앞의 책 p444 張麗芬 앞의 책

p217

92) Yeh-chien Wang Secular Trends of Rice in the Yanzi Delta 1638-1935(California Univ Press 1992)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2조하여 전국에 통용시켰는데 물가의 등귀가 이때부터 시작되었다rdquo는

기록이 있다93) 醴陵縣에서는 光緖32年에 當十銅元을 주조하여 制錢과

병행시켰고 宣統원년에 銀元이 이미 성행하였다 민국원년에는 當二十

銅元을 주조하였는데 雙銅元이라 칭하였다94) 영향현에서도 광서말에

私鑄錢인 毛錢이 나오고 지폐가 통용되는 등 통화팽창이 상업을 일변

시켰다고 한다95)

종전에 비해 실질 가치가 열악한 當十 當二十 등 銅元의 남발과 鈔

票의 성행은 화폐 시장의 과잉을 초래하였다 정식의 鈔票 이외도 각

현 발행의 私鈔와 錢莊에서 발행한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시중에 범람

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민국 시대에는 화폐 남발이 더욱 심하였다 호

남은행을 비롯한 저축은행 농업은행 등이 각기 각종 지폐를 발행하여

혼란이 가중되었다 1915년에 호남의 은행은 33개인데 그 중 장사현 7

개 상담현이 7개였다96)

군벌들이 은행을 개설하거나 질 낮은 화폐 통용을 강제하는 등의

혼란이 민국시기 특징 중의 하나이다97) 화폐 시장에는 銀元 銀角 銅

元 지폐와 鈔票 市票등 유사 화폐까지 복잡middot혼란의 양상이 나타나고

결과적으로 물가 상승을 피할 수가 없었다

선통2년(1910) 격렬한 米価 騰貴가 있었고 長沙에서 대규모 搶米 폭

동이 일어났는데 이것은 단순한 흉년때문이 아니고 銅元 남발 등 화폐

제도 혼란에 기인한 것이었다98) 1880년대 초부터 1920년대까지는 인

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시기로 매년 33 비율로 상승하였으며 1930년

총 화폐보유고는 60억 원에 달했다 반 세기간 화폐 공급은 8-10배 증

가하였다99)

93)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ldquo光緖 二十九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始鑄當十銅幣 通

行全國 物価之踊始此rdquo

94) 民國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95)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財用錄 상업

96) 張朋園 앞의 책 pp258-259

97) 宋斐夫 앞의 책 pp10-12

98) 岸本美緖 앞의 책 p51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3

時期 銀(兩) 錢(文) 出典

乾隆 嘉慶년간 10 1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道光 初(1821) Prime 1300-1400 Prime

Prime 18年(1838) Prime 1400 林則徐湖廣奏橋 권3

Prime 25年(1845) Prime 2000上下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Prime 末年(1850)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咸豊 元年(1851) Prime 2000 民國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咸豊 初 Prime 2300-2400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8 부역

咸豊 3年(1853) Prime 20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5年(1855)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Prime 6年(1856) Prime 2000 湖文忠公遺集 권12

Prime 7年(1857) Prime 1600 骆文忠公奏議 권7

Prime 8年(1858) Prime 1400 胡文忠公遺集 권85

Prime 10年(1860) Prime 1300-1400 胡文忠公遺集 권70

同治 2年(1863) Prime 13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7年(1868) Prime 1300-1400 李瀚章 瀝陳湖北等省漕務

Prime 10年(1871) Prime 1600-1700 同治10年 長沙縣志 권8 부역 錢法

光緖32年(1906) Prime 1600 長沙日報 宣統2年 2月27日

선통 2年(1910) Prime 1700 國風報 宣統2年 3月 21日

표 지방지에서 직접 採錄제외는 龔勝生 淸代兩湖農業地理 pp270-277에서 湖南부분을 발췌하여 再引用한 것임

表13) 湖南의 銀錢比値

그런데 아편전쟁 전후 銀의 과도한 해외 유출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이

초래되고 이것이 물가 상승의 주요인이라 생각되고 있는 데는 약간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表13)을 보면 銀錢比価가 일시적으로 상승하였다

가 다시 하강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은전비가는 지역에 따라 차

이가 있지만 호남 장사를 위주로 정리한 것이 표13)이다100)

99)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0) 邱思達 中國近現代鑄幣圖說 (北京 中國書店 1991) p109 참조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4

주목되는 것은 道光末에서 咸豊初에 일시적으로 상승하였지만 淸末

의 比価가 낮은 편에 속하는 현상이다 청말에 은전비가가 비교적 안

정되고 있는 것이다 아편전쟁 후 5항 개항으로 교역이 확대된 상황에

서 아편무역 증대에도 불구하고 차와 silk 수출에 힘입어 은의 순유입

이 오히려 증가되는 현상이 나타났던 것이다101) 또 光緖17년(1891)이

후 세계 銀価하락 현상으로 은유입이 증가되었다102) 19세기 후반 중

국이 세계 사회에 연결되면서 중국의 무역 적자에도 불구하고 淸 정부

에 대한 대량 차관과 자본 투자를 통해서 거대한 양의 銀이 중국에 유

입되었다 1871년에서 1913년 사이 은의 순 수입은 2억 4천만 海關兩

혹은 3억 6천만 銀달러로 추정되고 있다 세계 시장의 은가 하락과 은

의 대량 유입은 중국의 국내 시장에서 물가 상승을 유도한 것이다103)

이런 배경으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은 일시적인 것이고 청말민국기 전체를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민국 시기에는 銀元과 錢의 교환 비율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은의 유입 현상에도 불구하고 宣統 원년 11150文의 비율에서 민국6년

2250文 민국11년 2840文 민국17년 3500文 민국22년 7200文까지 급등

하고 있다 예릉현의 기록이지만 이것으로 청말보다 민국시기에 통화

팽창현상이 극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4)

銀과 錢이 주요 화폐이고 그 환율이 항상 문제가 되고 있지만 주로

청 후기 이후는 錢文 위주의 경제로 바뀌고 있다고 생각된다 長沙府

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면 대부분 道光 이후는 화폐를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淸 前期는 米価를 銀으로 표시하던 것과는 대조적이

다105) 예릉현에서는 민간에서 세금을 납부하거나 大宗무역을 할 때를

101)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2) 邱思達 앞의 책 pp92-93

103)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4)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10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光緖3年刊 善化縣志 同治13年刊 湘鄕縣志 光

緖15年刊 湘潭縣志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民國37年刊 醴陵縣志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5제외하고 紋銀 사용자가 거의 없다 도광 이후 교역시 대부분 錢文을

사용했다는 기록을 보면 淸 後期는 錢 경제 위주로 넘어간 것 같

다106) 세금을 낼 때 외에 銀錢이 필요 없는 일반민은 錢文 사용권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너무나 당연하다

함풍4년에 長沙에서 大錢을 주조하여 통용시켰으나 결국 시장의 신

뢰를 얻지 못하여 퇴출되고 말았다 1854년 7월에 주조를 시작하여

1855년 4月에 주조를 정지하였다107) 이것을 보면 통화 남발도 결국

시장의 제약을 받고 있다

민국 7년(1918) 3月 張敬堯가 裕湘銀行을 개설하여 銀元票 1000만元

銅元票 3000만元을 발행하였다 그 결과 시장은 혼란에 빠지고 시중금

융은 마비 상태가 되었으며 결국 裕湘銀行 발행의 惡幣는 폐지와 같이

되었다108) 권력에 의하여 통화 팽창이 시도되더라도 시장이 감당할

수 없는 지경이 되면 중단될 수밖에 없다 과도한 통화 팽창은 시장의

질서에 의해 어느 정도 제약 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예릉현에서도 光緖 년간에 錢莊 24곳이 출현하여 盛業을 누렸는데

民國7年(1918) 兵禍로 停業하는 곳이 많아졌고 정부의 통화 남발 화폐

가치 하락 금융혼란의 현상이 나타났다109) 민국18년(1929) 이후는 정

국이 안정되고 교통 편리로 百業이 진흥되고 은행이 역할을 하게 되었

이상에서 보면 淸末까지는 은전비가가 안정되고 통화 관리가 어느

정도 성공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光緖 宣統 시기에 銀元의 주조 외국

銀貨의 대량유입 當十銅元 등 주조로 통화팽창이 많이 되었고 이시기

물가 상승과 연관되고 있다 민국 초기에도 정국 혼란과 무계획적 통

화남발로 물가의 급등을 초래하였다 민국 중기에는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것 같다

106) 龔勝生 앞의 책 p279

107) 劉泱泱 앞의 책 pp150-155

108) 宋斐夫 앞의 책 pp10-11

10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6영향현에서도 민국 21년(1932) lsquo穀賤錢荒rsquo의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

다110) 청말민국기에 전반적으로 화폐량의 증가가 현저했던 것은 사실

이다 다양한 화폐의 등장 銀兩 銀元 銅錢 銅元 외에 외국 銀元의 유

입 그 외 鈔票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출현하였으며 양적인 팽창도 분

명하다 하지만 대외 교역 증가와 경제 활동 인구의 증가 유통 상품의

양적 증가에 의해 시장의 화폐 수요가 증대된 것도 사실이다 통화 발

행은 일차적으로는 경제 주체의 수요에 부응하는 것이지만 그것이 과

도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3 공급기타 요소

물가는 기본적으로 수요공급의 관계에서 결정되는 것이 원칙이다

청말민국기에 걸쳐 인구가 급증하여 물가가 상승한 것은 자연스런 일

이다 그러나 물가 상승률 면에서 청말의 경우가 18세기의 증가율에

비해 크다고 할 수 없다 물가 상승률을 억제하면서 비교적 안정 속의

상승을 할 수 있었던 것은 공급의 증가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청말민국기에 湖南米의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 현상이 지속된 배경

에 비약적인 경지 면적 확대와 새로운 품종 개량 시비법 발전 등 농

업 생산 증대가 있었다는 것은 이미 밝혀진 바 있다111) 米穀 공급의

증대가 물가 상승을 완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雜糧 재배가 同治

(1862-74) 년간에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민중의 식량 문제 해결에 기여

하고 米価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던 것을 城步縣 知縣 盛溢源을

통해서 알 수 있다

洋米 수입이 國産米의 보충 역할을 했다는 지적이 있지만 결국 시

110) 民國30年刊 寧鄕縣新志 전1 縣年記

111) 田炯權 淸末民國期 湖廣地方의 農業生産力과 生産關係 (慶南史學 7

1995)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2001)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

究 25 200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7장에 대한 미곡 공급을 증대시켜 가격 안정에 기여했다고 생각된

다112)

민국 시대 관련 사료를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113)

금일 정세를 보면 국내 米価의 등락은 결코 國産米의 생산량이 많고

적음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외국 産米 구역의 풍년 여부에 따라 영

향이 대단히 크다

이것을 보면 洋米 수입이 國産米価를 조절한다고 볼 수 있다 비슷

한 시기 上海에서도 湖南米가 수입 米의 영향으로 가격이 약간 적게

올랐다는 史料도 있다114) 湘報에도 日本米가 수입되어 중국의 米価

가 차츰 내려갔다는 기록이 있다115) 같은 湘報에 보면 ldquo외국물산이

날로 풍부하여 중국 상품의 판로를 막는데 서양 상품의 가격이 낮으면

중국 상품 가격이 홀로 증가할 수 없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116) 결국 洋

貨도 중국에서는 시장에 대한 상품 공급의 증가이고 이것이 상품 가격

상승을 억제하고 있는 것이다 같은 자료에 중국의 土藥이 널리 판매

되니 외래 洋藥의 가격이 폭락한 사정도 소개되고 있다117)

또 洋蠟의 수입으로 국산 白蠟 가격이 매 100斤 200元에서 100元으

로 폭락한 일도 있었다118) 1921년 독일 면화가 대량 수입되어 중국의

綿価가 하락한 일도 있다119) 光緖년간 부터 중국이 綿紗 생산을 개시

하자 華商과 洋商사이에 가격 경쟁이 시작되었다 수입 綿布도 洋商이

國産布와 경쟁하기 위해 가격을 낮추어 공급하였다120)

112) 王良行 淸末對外貿易的關聯效果(1860-1911) (近代中國對外貿易史論集1997)

113)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卷3 p413

114) 위의 책 p416

115) 湘報 제45호 p1419

116) 湘報 제13호 ldquo外洋之出産日盛 足以抵華貨之銷路 洋価低則華貨不能獨增rdquo

117) 湘報 제162호 p1608

118) 章有義 앞의 책 권3 p662

119) 譚文熙 앞의 책 p342

120) 譚文熙 위의 책 p368 p374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8상인의 가격 조종이 물가 변동에 하나의 요소는 될 수 있다 예릉현

의 土資 판매에 있어 객상의 가격 조종에 저항하기 위해 주민들이 公

司를 조직하여 가격을 바로 잡았다는 기록도 있다121) 지주 부농 米商

등의 매점매석에 의한 가격 조종 사실은 흔히 발견된다122) 秋收期에

시장에 대량 방출된 곡식을 저렴한 가격에 매입하여 端境期에 되팔아

이익을 남기는 것은 상인의 오래된 관행이다 이윤 추구를 위한 개인

의 행위지만 넓게 보면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행위이기도 하

다 각지 농산품 가격 변동 조사에서 원인이 밝혀진 10건 가운데 전쟁

이 2건 豊凶 水旱災가 7건 상인 조종은 단 한 건 뿐이었다123) 제국

주의 상인에 의한 가격 조종이라는 것도 결국 중국 상인의 이윤 추구

행위와 본질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湘報의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124)

輪船이 이미 통행하고 있고 철로가 이미 만들어 졌다 제조업이 날로

번성하고 통상조약이 행해지니 상인이 계속 내왕하고 온갖 상품이 유통

된다 사계절 틈이 없으니 일용 각 물품이 그 가격이 반드시 저렴할 것

이다

이것을 보면 통상 개시 후 교통이 발달하고 상품 교역이 증대된다

는 것과 그 결과 일용품의 가격이 저렴해졌다는 것을 당시인이 인식하

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서방 각국과의 무역 증대는 상품 공급의 증가

이고 가격 경쟁을 통해 물가 상승을 완만하게 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

121)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22) 李文治 앞의 책 p559

123)湘報 제49號 ldquo輪船旣行 鉄路旣造 製造日盛 商約可行 商賈絡繹 百産流通

歲時無間 則日用物品 其価必廉rdquo

124) 安本美緖 앞의 책 제7장 pp239-288 제12장 431-455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9

Ⅲ 物價와 景氣(생활)

1 穀賤傷農과 不況

物價 문제를 단순히 등락의 흐름에만 주목하기보다 경기변동론적

입장에서 好況 不況의 문제로 연관시켜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

이다 岸本美緖는 康熙年間의 lsquo穀賤rsquo 현상이 不況과 연결되어 있고 光

緖年間 蘇州의 不況도 lsquo穀賤rsquo이 원인이었음을 지목하고 있다125)

그런데 長沙府 중심의 湖南의 사정을 검토해 보면 lsquo穀賤rsquo 관련 기록

이 道光 咸豊 시기와 民國 中期에 집중되고 있다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26)

道光 25年(1845) ldquo穀賤斗穀錢五十文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値穀賤錢価亦賤 民甚苦之rdquo

장사현과 縣治를 長沙城 내에 두고 있는 善化현에서도 같은 해에

비슷한 기록이 있다127)

道光25年 穀賤自十五年起 連年俱穀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中下戶苦之

咸豊5年 穀賤

장사현 기록을 보면 穀価도 싸고 錢価도 싸서 민이 고통 받는다 했

으니 이 당시 은의 해외 유출과 은전비가 문제로 민중이 고통 받은 사

실을 알 수 있다 선화현은 장사현과 연접하고 통합과 분리가 단속되

었던 거의 동일 지역이다 선화현 기록을 보면 도광25년의 lsquo穀賤rsquo이 해

당년도만의 일이 아니고 道光15年(1835)부터 계속된 현상임을 밝히고

있다

12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33 祥異

126)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127) 民國30年刊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0인근의 寧鄕縣에서 보면 ldquo道光26年 歲豊 穀奇賤傷農 佃農以穀賤大

困rdquo이라는 기사가 있다128) lsquo穀奇賤rsquo이라 하였으니 평상시 보지 못한

하락이었다고 생각된다 더구나 소작료 납부가 대부분 현물지대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佃農은 米穀의 상품화 과정에서 배제되었다는 종전의

통념과 달리 佃農도 곡가 하락으로 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같은 기록에 함풍원년에도 ldquo有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以穀賤漕折苛rdquo라 하고 있어

역시 곡가 하락으로 세금 납부에 곤란을 겪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장사부 內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아도 同治 년간에는 lsquo穀賤rsquo 기

재가 보이지 않고 전술한 도광 함풍 년간에 집중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후의 기록을 찾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ldquo湖南自夏秋以來雨暢時若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故無論高低田畝咸稱大稔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甚

賎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反有入不敷出之慨矣rdquo (益聞錄 69号 광서6년828)129)

ldquo(長沙農村) 近年來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穀米求售 価値至賤 日用各物 則又極昻 收穫所

得 不足顧其工本 多已漸陷于無力耕種之境rdquo (新靑年 7권 6호 1920년 5

월)130)

ldquo湖南近年來之天災人禍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天災旣足以減少收量 地方不靖 産品滯銷

価値復因以低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而生活日昻 工価及日用物品 繼續增漲 收入支出 常苦

不得平衡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rdquo (中國棉産改進統計會議專刊 1931)131)ldquo湘省爲産穀素豊之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年歲收 屢佔大有 而長江流域亦値豊收 更

有大宗洋米 運貨傾銷致湘米頓失市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価格低賤 不僅農村經濟 陷于絶

境 市面金融 亦大受打擊rdquo (銀行週報 18권 9기 1934313)

이외에도 1936年의 사실로 호남의 武岡 東安 일대에서 lsquo豊年穀賤rsquo으

로 省城에 운반할 때 운송비와 각종 捐稅 부담을 감당할 수 없어 陳米

를 불태웠다는 기록이 있다

128) 李文治 앞의 책 p557

129) 章有義 앞의 책 권2 p432

130) 章有義 앞의 책 권3 p795

131) 章有義 위의 책 p620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1이것을 보면 주로 1930년대에 lsquo穀賤rsquo과 不況이 집중 묘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lsquo穀賤rsquo 즉 불황이라고 하면 도광함풍초의 곡천과 불

황 同治光緖宣統期의 lsquo穀貴rsquo즉 好況 다시 民國 전기의 好況 民國 中期

의 불황으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물가의 상승기가 호황적 국면이라는 것은 알려

져 있지만 이것은 전체 물가의 문제이다 위 자료에서 보면 1920년 장

사 농촌에서는 곡가는 싼데 일용품 가격은 극히 높다고 하고 있고

1931년의 기록도 工價와 일용품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농민이 다수를 점하기 때문에 미곡가의 하락은 농민 수입 감소

와 구매력 저하를 가져오고 이것이 농촌 불황의 한 요인이 될 수 있

다 그러나 工賃과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시장의 한계 안에서의

일이다 또한 실업률과 고용 지표 등도 고려되어야 하는데 만족할만한

통계의 부족으로 명확한 답을 얻기는 어렵다

그런데 米価와 물가는 개별 년도나 시점에서 서로 상이한 궤적도

있지만 圖2 3 6 7을 보면 대체적으로는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예릉의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광서 4년(1878)에 비하여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1912)에는 현격한 상승세였다가 그 후에 등락을 거듭

하고 있지만 민국25년(1936)의 경우는 광서4년보다는 높거나 유사한

경우가 많다

2 생활 경기의 발달

당시인들이 체감하던 생활 경기의 수준이 어떠했는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

光緖刊 善化縣志를 보면 다음과 같다132)

132)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16 풍속 附論 ldquo古人 酒肉以養老 而今則黃口稚子

無不酒肉之人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日不旦穀貴鹽貴 而酒肉皆貴 則好惡可知矣 一今鄕間柴炭

其価數倍於昔日 瀕河之地 莫不燒煤rdquo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2옛사람들은 술과 고기로 노인을 부양하였는데 지금은 어린아이도 술과

고기를 먹지 않는 이가 없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요사이 미곡과 소금이 비쌀 뿐 아니

라 술과 고기가 모두가 비싸니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지금 향간에 柴炭이 그 값이 예전보다 수배인데 하천 근처 사람은

煤를 때지 않는 사람이 없다

同治 攸縣志 에도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33)

예전에 士大夫도 집에 있을 때 엄동이 아니면 가죽옷을 입지 않았다

지금 關中의 가죽옷 상인이 유현에 와서 1년에 은 만여 냥을 얻을 수 있

다 기타 비단 옷은 蘇州 杭州 및 嶺南에서 오는 것이 또 배가 되니 1년

에 수만금을 소비한다

醴陵縣에서도 비슷한 인식을 볼 수 있다134)

ldquo예전 풍속이 儉樸하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이 명절 아니면 고기를 먹지 않고

慶弔事가 아니면 술을 베풀지 않고 손님 접대는 닭 잡는데 그치고 鮮味

는 생선에 그쳤고 縣城의 食肆는 飽麵茶館에 그치고 酒席으로 業을 삼는

자가 없었다

지금은 酒樓菜館이 거리에 가득차고 中人의 집에도 술자리가 베풀어지

고 사치를 다툰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예전에 士類大半이 淥江書院에 모이면 그 가운데 비단신을 신은 자가

불과 수인이었고 羊가죽 옷을 입은 자가 불과 1 2人이었다 지금은 비단

신과 가죽옷이 거의 常服이 되었고 日用品은 舶來品이 많다rdquo

이 내용을 보면 예릉현의 생활 수준이 급격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예릉현지 기록에는 부인들이 上海의 유행을 쫓아 사치를 추구한

다는 내용도 있고 청말부터 外貨를 서로 자랑한다는 내용도 있다 종

133) 同治10年刊 攸縣志 권18 풍속 衣服 ldquo衣服 昔時 士大夫 家居非嚴冬不御裘

今關中裘商來攸 歲可得銀萬餘兩 其他錦繡之運自蘇杭及嶺南者 則又倍之 計一歲

之戶 所費數萬金rdquo

134)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4장 풍속 생활 ldquo旧俗民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非令節不

食肉 非慶弔不置酒 欵客止於殺鷄 鮮味止於草魚 縣城食肆 止於飽麵茶館 無以酒

席爲業者 今則酒樓菜館 遍於街市 中人之家酬酢往還 爭奢鬪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旧時士類

大半 集於淥江書院 一院之中 著緞鞋者 不過数人 襲羊裘者 不過 一二人 今則絲

履皮袍殆成常服 日用之品 多自舶來rdquo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3전에 菜油 棉油로 燈을 켜다 집집마다 煤油를 사용한다거나 세탁시

茶枯鹼水를 쓰다가 대부분 비누를 사용하는 일상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135)

또 寧鄕縣에서도 ldquo同光之間 地方安寧 家給人足(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함)縣城商業 於時爲盛rdquo이라 하고 있어 同治(1862-74) 光

緖(1875-1908) 시기가 好況이었음을 알 수 있다136) 湘報에도 ldquo民間

之喜用洋貨日甚一日rdquo이라 하고 있어 洋貨 사용의 확대를 짐작할 수 있

다137)

광서년간 무역이 확대되고 여기에 대해 유익하다는 인식의 기록이

湘報에 나오고 있다138)

ldquo輪船과 철로가 개통되고 항구 개항이 증가 되는 것은 실로 중국에 유

익하고 손해가 없다 저 눈이 콩만큼 큰 자가 걸핏하면 통상이 중국에 해

가 된다고 하니 어찌 심히 어리석지 않은가rdquo

무역 확대를 지적하고 통상이 유익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예릉현

지에도 同治志에는 풍속이 lsquo安士重遷rsquo하고 상인이 외부 활동하는 자가

적었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고 光緖末에 도자기 夏布 編爆業

이 일어나 융성하여 이에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 넘는다고

하고 있다139) 예릉향토지에도 商旅 왕래가 예전보다 10배라는 서술이

있다140)

장사시의 行業발달 상황을 보면 민국 5년(1916)에서 民國22年(1935)

사이에 식품업은 281⟶2124 사치품은 171⟶1128 복장은 43⟶2028 農

礦은 621⟶1156 洋貨 127⟶233 금융 130⟶164 공예 2121⟶3344 문구

17⟶355 등 비약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141)

135)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 工商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6장 실업

136) 民國30年刊 寧鄕縣志 財用錄 民業

137) 湘報 제13호 1898年 3月 21日

138) 湘報 제162号 1898年 9月 23日

13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40) 民國15年刊 醴陵鄕土志 제6장 실업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4이것은 장사의 생활수준 향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당시에

通商의 확대 주장도 湘報에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142)

이상에서 보면 청말민국기에 대체적인 추세는 好況이었다고 생각된

다 생활 수준의 향상이 눈에 띄고 米価와 물가도 연동되면서 상승하

는 추세였다 米価의 상승이 구매력 수준의 제고가 되기 때문에 米穀

생산 중심지역에 상인들의 行號가 집중되는 것이 보였다143) 임금의

경우에도 호남 汝城縣에서 실질 임금이 유지 또는 상승하는 것을 확인

한 바 있다144) 全漢昇도 1875년부터 1925년까지에 걸쳐 四川 合江현

의 임금과 물가 변동의 추세가 거의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바 있

다145) 앞서 인용한 1931년 中國棉産改進計劃 에도 임금과 일용품 가

격이 함께 오른다고 하고 있어 임금이 물가에 연동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생활 수준 향상을 기록하고 있던 지방지에도 빈부 격차를 암시하는

내용이 있고 物力이 날로 쇠퇴한다든지 하는 기록이 있다 대외 무역

이 적자라 하더라도 차관 원조 뿐 아니라 외국 상인의 진출이 자본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好況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Ⅴ 結 言

이제까지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이후 民國中期인 1936年

까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여 米価와 물가 변동 물가 변동의 원인

141) 張朋園 앞의 책 p387

142) 湘報 44호 中外通商利害論 湘報 67号 論湖南茶務急宜整頓

143)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144)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9 1998)

145) 安本美緖 앞의 책 p2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5물가와 생활 경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米価 변동은 단기 변동에 있어서 전쟁이나 天災 등의 특수한 사정

의 해를 제외하고는 光緖 년간에 비해 민국 중기의 계절 변동폭이 축

소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米価의 계절 변동을 완화 시

켜 주는 雜糧의 재배가 湖南 지역에서는 대부분 同治 년간에 보급 확

대가 되고 있다 교통과 상업 발달 등의 이유로 청말에서 민국기로 갈

수록 계절 변동폭을 축소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변동에서는 長沙府縣의 물가 변동 예릉현 물가 변동 등을 살

펴 볼 때 전체로서는 상승 추세 중에 도광 함풍 시기의 低米価 同治

년간의 高米価 光緖전반의 低米価 光緖後半에서 宣統 년간의 高米価

民國 前期의 高米価 民國 中期의 低米価의 등락을 보이고 있다

民國 中期의 米価는 長沙 8개년 米価 추세에서도 안정속의 상승세

를 보이고 있다 명목상 수치 뿐 아니라 米価의 상대 물가로 보는 실

질 구매력도 宣統 民國元年에까지 급상승하였다가 민국 시기 등락을

거듭하지만 민국25년(1936)까지 광서4년(1878) 대비 유지 또는 상승 추

세였다

物価변동은 개별 상품에 따라 편차가 있고 米価와는 전혀 상이한

궤적을 그리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米価와 연동 관계를 보이

고 있다 1898년 물가의 단기 변동은 이상할 만큼 변동폭이 크지 않다

당시 물가 조사자의 보고가 정확했는지 의심될 정도이다 1935년의 장

사 물가에서 단기 변동을 보면 변동폭이 100이상인 夏布 毛筆 麵粉

棉布등을 비롯하여 50 이상인 오리털 흑연 성냥 국산 전지 등을

비롯하여 40 이상인 비누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기 변동폭

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 이것은 이런 물품들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

성이 크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物価의 장기 변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米価와 대체로 비슷한 궤적

을 보이고 있다 청말에서 민국전기에 걸쳐 물가 상승폭이 두드러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 상승폭이 더욱 크

다 돼지고기 값을 예로 들면 1878년에서 1909년 사이에 273 상승했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6고 1912-1921년 사이에 75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닭은 각 50와 44

상승했다 청말은 31년간의 수치이고 민국 전기는 9년간이니 물가의

상대적 급등을 알 수 있다 1926에서 1936년까지 10년간 돼지 고기 값

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

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

세를 보이고 있다 민국 중기의 米価가 일부 lsquo穀賤rsquo 현상을 보인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음으로 물가 변동의 원인에 대해서는 군벌간의 전쟁이나 정치적

혼란 등 정치 군사적 요인을 제외하고 대체로 검토해 보았다

수요 측면에서는 湖南米의 유통이 호남 내부의 인구 증가에도 불구

하고 양자강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지속된 것이 米価 상승의 한 원

인이었다 上海나 武漢 등의 도시화와 인구집중은 이들 지역 양식 수

요를 폭증시켰다 일부 洋米 수입에도 불구하고 湖南米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으로써 米価를 상승시켰다 또 장사를 비롯한 각지의 새로운 수

공업 산업의 발달로 비농업 인구가 증가하고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유

효수요로 성장하여 米価 상승을 유도하였다 양식의 이출은 해당 지역

인구 식량을 전부 제외한 나머지 잉여가 수출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력

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청말민국기에는 호남의 내부 외부에

서 미곡에 대한 유효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것이 米価 상승의 한 요인

이었다

화폐 문제에 있어 화폐 수량의 증가가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것

은 상식이다 종래 아편전쟁 전후 은의 해외 유출 증가가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을 초래하여 물가 상승과 인민의 빈곤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지방지 등의 史料에서 검토한 결과 은전비가는 도광함풍초의

일시적 상승 후에 함풍 7년 이후는 도리어 하락하고 있다 同治 년간

에 대부분 1兩 1300文 수준에서 안정되고 있다 光緖末宣統년간에도

1600-1700文 수준으로 도광함풍 초보다는 낮은 편이다 청말민국시

기에 화폐의 남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한계를 넘었을 때 시장의 통용

거부로 마침내 중단되고 있다 청말민국기에 외국 銀元의 유입과 국내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7의 銀元 주조 銅元 지폐 외에 鈔票 市票 등 화폐 시장에 투입된 화

폐량은 엄청나게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로서는 어느 정

도 시장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외 교역과 상품량의

증대 경제 활동 인구의 증대 미곡 생산 및 농산품 생산의 증대로 화

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것이 화폐량의 막대한 증가와 유

통속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

었다고 생각된다 즉 안정 속의 물가 상승이 유도된 것이다

공급면에서 보면 대외 교역을 통한 서양 상품의 수입은 전체로서는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물건의 공급 증가를 통해서

혹은 국내 상품과의 경쟁 때문에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었

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침략과 물가 폭등이라는 도식적

견해와 달리 현실에서는 물가 억제 작용도 있었던 것이다

물가와 경기면에서 보면 물가가 비쌀 때 호경기가 많은 것은 사실

이다 그런데 lsquo穀賤rsquo 현상이 불황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서 長沙 지역의 경우를 검토해 보았다 도광함풍 년간까지 lsquo穀賤rsquo현상

과 불경기적 상황에 대한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동치광서 년간에는

米価가 등귀한 시점인데 이 시기는 紅茶業의 번성이나 각종 수공업의

번성으로 好況의 면모가 보이고 있다 민국 시기에는 민국 중기에 lsquo穀

賤rsquo의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史料上에 민국 중기의 lsquo穀賤rsquo은 임금이나

다른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다 물가 상승기와 好況

이 맞물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민국 중기는 lsquo穀賤rsquo 현상과 서로 어긋

나는 것이다 이 시기의 不況 서술은 농촌의 농민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표시이다

생활 수준에 대한 지방지 기록 등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주민들의

洋貨 사용이 보편화되고 의복 음식 주거 등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것

을 지적하고 있다 물가는 상승하였지만 同治 이전에 비하여 분명히

사치품의 소비 증대와 中人의 집도 소비 수준이 제고된 것이 드러나고

있다 민중의 빈곤은 있으나 이 시기 빈부 격차가 커지고 생활 수준의

격차가 커진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16: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4末은 米価도 錢文価가 실제 시장 가치를 잘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

다 동치 년간 상당히 高米価가 유지되었지만 道光末咸豊初와 같은 lsquo銀

貴錢賤rsquo 현상은 보이지 않기 때문에 米価 상승이 농민에게 어느 정도

유리했다 여겨진다 lt圖4gt를 보면 光緖 전반에는 米価가 상대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光緖19年(1893)까지는 하락 안정세를 보이다가 그 후에

급등하고 있다 호남성 수확기의 中米 가격 조사에서도 비슷한 경향이

보인다47) 中米 가격도 광서22년(1896)부터 대체로 상승추세인데 광서

34년(1908)에 급등하고 있다 앞서 彭信威가 연구한 江浙 米価 변동에

19세기 24분기와 19세기 780년대가 米価低落期에 해당된다고 하는

데48) 이것과 유사한 면을 가지면서 약간의 편차가 있다 즉 동치 년간

(1862-74) 70년대 전반까지는 대체로 高米価가 유지되었고 光緖 전반

의 하락은 90년대 전반까지인 것으로 생각되는 것이다 淸末 上海의

米価 조사도 1862-71(213) 1872-81(128) 1882-91(142) 1892-1901

(207)로 되어 있어 위 호남 長沙의 米価 변동과 비슷한 궤적을 그리고

있다49)

lt표1gt에 제시된 광서 24년(1898)의 長沙 米価도 3000文-4000文 사

이에 형성되어 상당한 高米価이다 같은 湘報에 실린 내용에 岳州에

집결된 湖南米가 漢口에 운송 판매되는데 米価는 3700-800文 또는 4천

수백文에 이른다고 되어 있다50) 대략 光緖20年(1894) 이후부터 淸末까

지 高米価가 지속되었다고 생각된다 松江府續志의 기록을 이용하여

光緖年間 低米価와 그로 인한 장기 不況이라는 해석은 長沙府 일대에

서는 드러나지 않는다51) 低米価는 光緖年間 전체는 아니고 光緖

(1875-1908) 년간의 거의 전반에 해당하는 1893년 이전의 일로 생각된

다 후반에서 淸末까지는 急騰에 가까운 高米価의 변동을 보여주고 있

47) 岸本美緖 앞의 책 p19

48) 同上 p443

49) 湘報 76號 p67650) 李文治 中国近代農業史資料 제1집 p561 岸本美緖의 해석 앞의 책

pp442-443

51) 張人价 앞의 책 pp93-9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5

機米 河米 糯米 총 평균

가격 지수 가격 지수 가격 지수 가격 지수

1928 652 7564 503 7065 805 9015 653 7944

1929 862 10000 712 10000 893 10000 822 10000

1930 1003 11636 862 12107 1037 11613 967 11764

1931 1002 11624 845 11868 1020 11422 956 11630

1932 1008 11694 817 11475 947 10605 924 11241

1933 594 6868 504 7079 757 8477 618 7525

1934 671 7784 590 8287 812 9093 691 8406

1935 1004 11647 810 11376 1012 11333 942 11460

lt表5gt 長沙의 米価(石元)

예릉현 물가표를 보면 民國 시기에도 대체로 안정속의 상승세가 지

속된다 청말에서 1921년까지 米価가 급등한 것으로 보이지만 1926년

에서 1936년까지는 안정 속 상승의 추세이다 兩圖 사이에는 가격 단

위의 차이가 있어 직접 접속은 곤란하지만 흐름은 그렇다고 여겨진다

호남성경제조사소 의 조사에 근거한 민국17년(1928)부터 민국24년

(1935)까지의 8년간 米価 기록을 제시한 것이 lt표5gt이다52)

이것을 보면 등락은 있지만 비교적 米価가 안정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上海의 米価도 1912-1928년 사이 407 상승하였는데 1921-1928년

사이에는 154 상승하였다53) 호남성의 米価는 宣統2年-民國元年 3개

년 평균가와 민국 21-23년 3개년 평균가를 비교했을 때 86 상승이라

는 조사도 있다54) 대체로 淸末에서 民國 전기까지는 가격이 급등하고

민국 중기에는 안정 속의 상승이 추세였다고 생각된다

호남성 汝城縣의 물가변동을 보면 우선 지방지 편찬자의 시기 구분

52) 徐正元 上海近代稻米市場価格變動分析 (中國經濟史硏究 1996年 2期)

53) 張人价 앞의 책 p87

54)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 91998)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6

1898年 1935年

소금 56文斤 57斤

洋油 50文斤 64斤

돼지고기 105文斤 30斤 015-020元斤 25-33斤

鷄育 123文斤 26斤

羊肉 117文斤 27斤

茶油 100文斤 32斤 019-024斤 21-26斤 瀏陽가격

면화(中棉) 217文斤 15斤 03-05斤 10-17斤 湘陰 Prime

1898年 中米1石価 (湘報소재 1石 3193文 적용)

1935年 長沙米価 民國25年 刊 通郵地方物産誌 湖南의 長沙靖港米価(担40-60元

의 중간 값 이용) 1石은 1担보다 크므로 실제 米価는 이보다 높을 것임

이 의미있다고 생각된다 同治丁卯志 편찬 이후부터라고 명시하고 있

는데 丁卯年은 同治6년(1867)이다 이후부터 민국21년(1932)까지를 세

시기로 구분한다55) 同光 시기 光宣 시기 民國 시기이다 즉 동치 후

반에서 광서 전반 광서 후반에서 선통 년간이니 광서 후반부터 물가

상승이 컸던 것을 반영한다고 여겨진다 여성현 물가표상 米価 변동을

단순 비교하면 지수는 100 200 400으로 변한다 1930년대 전반의 米

価는 동치 후기에 비하여 약 65년만에 300 상승한 것이다 이것을

신뢰하더라도 앞서 18세기 전후 백년간 물가가 300 상승하였다는 당

시인의 인식과 상승률은 거의 비슷하다56) 장사부 상음현에서도 18세

기 중후반 67년간 米価가 300 상승한 바 있다 예릉현 물가 표상

1878년에서 1921년까지는 米価는 약 458 상승하였지만 1926년에서

1936년까지 10년간은 약 563 상승에 그쳤다 민국 중기는 비교적 안

정속의 상승을 보여 주고 있다 lt표5gt에 제시된 長沙 機米의 8년간

가격도 54 정도 상승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미가의 명목 수치상 등

락을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질 가치를 알아보려면 상대 물가 즉

米1石価의 구매력이 얼마인지를 보아야 한다

lt表6gt 長沙 中米 1石価의 구매력 변동

55) 郭成康 앞의 논문

56) 張麗芬 앞의 책 p270 각주7)에 보면 호남성 1担価는 140-150斤 1898年 長

沙 米価는 1石당 150-155斤임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7

1935년의 長沙 米価는 通郵地方物産誌의 長沙 靖港의 米 1担価를

이용하였다 실제 石은 担보다 크므로 米価는 여기서 잡은 5元을 상회

할 것이라 생각된다57) 같은 자료의 물가를 이용하여 제시한 lt표6gt을

보면 돼지고기 값은 1898년의 30斤에서 1935년은 25-35斤 사이이다

그 범위 안에 있는 것을 보면 米価의 실질 구매력은 유지되고 있다

茶油는 다소 하락하였지만 면화도 유지 또는 상승이라 볼 수 있다

예릉현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돼지고기는 상승 추세 속에 일

부 하락년이 있다 선통 원년과 민국 원년에 수치가 상승한 것은 米価

의 폭등이 기타 물가를 크게 앞지른 것으로 여겨진다 민국 중기에 약

간 하락하였지만 1935년의 돼지고기 구매력은 광서4년(1878)에 비해

67정도 상승하고 있다 茶油의 경우도 민국 10년(1921)까지 米의 상

대 구매력이 대폭 상승하고 있다 이것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米価 변

동을 통해 농민 소득이 하강했다고 여겨지지 않는다

광서4년1878

광서14년1888

광서19년1893

선통원년1909

민국원년1912

민국5년1916

민국10년1921

민국15년1926

민국20년1931

민국25년1936

猪肉 15斤 25斤 22斤 36斤 35斤 23斤 27斤 16斤 28斤 25斤

草魚 34斤 39斤 38斤 57斤 62斤 35斤 - 20斤 32斤 33斤

茶油 12斤 23斤 25斤 27斤 - - 25斤 - ① -

鹽 23斤 26斤 22斤 33斤 62斤 - 42斤

棉花 7斤 16斤 5斤 - - - - - ②

洋紗 - - - - - - - ③

煤油 - - - - - - - 15병 2병 11병

雞 17斤 22斤 20斤 33斤 22斤 19斤 21斤 - - -

史料上 穀価를 lsquo1米2穀rsquo의 원칙에 따라 米価로 환산하였음① 민국 15년(1926)부터는 茶油의 단위가 石으로 되어 있어 비교 곤란② Prime 棉花의 단위가 石으로 되어 있어 비교 곤란③ Prime 羊紗의 단위가 件으로 되어 있어 이해 곤란

lt表7gt 醴陵縣 米価의 물품구매력 변동추세(米1石의 구매력)

57) 刘泱泱 湖南通史 近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p487-488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8

품목

시기

단위

同光

(1870-1890)

光宣

(1890-1911)

民國

(1912-1932)

肉 斤 188 188 175

鹽 斤 60 75 636

洋紗 捆 100 100同光시기洋紗통행안함

土布 尺 100 120 140

洋油 甁 20 10同光시기

洋油 未 盛行

茶油 斤 188 188 175

桐油 斤 214 200 194

柴 750 875

同治丁卯志(1867)편찬 이후라 되어 있어 대략 70년부터 잡은 것이다

lt表8gt 湖南 汝城縣의 穀1石価의 구매력 변동

호남 汝城縣의 穀1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고기는 光宣 시기에

유지되다가 민국 시기에 약간 하락하였으나 근소한 수치이다 鹽의 구

매력은 光宣 시기에 대폭 올랐다가 民國 시기에 하락하였으나 同光 시

기 보다는 높은 수치이다 洋紗에 대한 구매력은 光宣 시기에서 民國

시기에도 계속 유지되고 있다 茶油는 고기와 같은 변화이다 土布에

대해서는 구매력이 계속 증가한다 洋油에 대해서는 民國 시기에 구매

력 감소를 보이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호남의 대외무역은 외국의 공

업품과 농부산품 원료를 교환하는 것인데 고가의 공업품 대신 강제

저가의 수단으로 호남의 농산품을 약탈한다는 견해58)는 약간의 재검

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공업 상품 가격의 翦刀差에 대해서도 洋紗

의 경우를 보면 나타나지 않고 있다59)

이상을 종합하면 同治年間의 高米価 光緖前半(1875-1891)까지의 상

대적 低米価 光緖後半-宣統까지의 高米価 급등 民國前期의 계속 상승

58) 李金錚 二十年來 中國 近代 鄕村 經濟史的 新探索 (歷史硏究 2003年 4

期)

59) 譚文熙 앞의 책 pp298-299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9

品目 洋麵 淮鹽 茶油 桐油 洋油 猪肉 雞 鴨 烟煤 柴煤

단위시기

包 斤 100斤 100斤箱2桶(50斤)

斤 斤 斤 100斤 衡斗

31-310 26兩 56文 73兩 19兩 104文 112文 88文 320文 24文

311-320 26兩 Prime 73 19 104文 128文 88文 320文 24文

321-331 26兩 Prime 73 625兩 189 108文 128文 88文 320文 252

41-410 26兩 Prime 728 628 186 320文 240

411-420 27兩 Prime 728 626 183 254 228

421-430 29兩 Prime 72 616 181 314 260

51-510 293兩 Prime 711 606 178 310 240

511-520 274 Prime 71 60 183 314 240

521-531 26 Prime 71 60 185 314 229

61-610 26 Prime 699 60 185 299 219

611-620 231 Prime 734 61 184 320 255

621-630 22 Prime 754 62 183 311 254

71-710 22 Prime 774 649 183 310 250

711-719 218 Prime 768 631 181 318 265

면화는 上棉 中棉 下棉의 가격이 제시되고 있으나 여기서 생략함

lt表9gt 1898年 3-7月間 長沙物価

民國中期(1926-1936)까지 안정이라는 米価 변동의 궤적을 확인할 수

있고 그 기간 동안 米価의 실질 구매력은 유지 또는 상승이 대체적 추

세였다 생각된다

2 物價 변동

1) 단기 변동

湘報에 수록된 光緖24년(1898)의 長沙 물가 변동을 표시한 것이

lt表9gt와 lt圖5gt이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0

品目 단위 최고가 최저가 시기 유통량 행선지

鴨絨 斤 500 300 冬 上海 北平 天津 南京

일반적으로 米価와 物価는 상호 연동적이라 생각되지만 여기서 물

가의 단기 변동은 米価와는 다소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대체로

등락 폭이 크지 않다 洋油 洋麵 桐油 등의 변동폭이 크지 않다 면화

만 4월 10일 20일 사이에 상승이 있지만 5월부터는 하락하고 있다

淮鹽 가격은 斤당 56文으로 3月에서 7월 사이에 전혀 변동이 없다

長沙지역은 원래 淮鹽 관할 구역이었으나 太平天國 시기에 교통 두절

로 川鹽 소비지역이 되었다 太平天國후 曾國藩이 이 지역을 淮鹽 소

비지역으로 회복하기 위해 여러 가지 개혁 조치를 행하고 督銷局에서

가격을 核定하여 고시하는 牌價 제도를 시행한 바 있다 일종의 통제

가격제도에 의해 가격 상승이 억제되고 있었던 것이다 直隷의 景縣의

소금 값은 1890년에 斤당 46文 1900년에 斤당 68文이라는 조사도 있

다60) 長寧縣에서는 光緖29年(1903)에 鹽価가 斤당 55文이라는 보고도

있는데 이것은 長沙 1898年의 鹽価와 유사하다61)

戰亂後에 淸朝정부의 淮鹽 소비지 회복 정책에도 불구하고 四川鹽

이 계속 私鹽으로 침투하였기 때문에 長沙의 淮鹽価를 저렴한 통제 가

격下에 두고 있었다고 생각 된다62) 圖6)에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柴煤

는 米価와 같이 5月10日에 최고가에 가깝고 6월10일에 하락하고 그후

에 상승하고 있다 烟煤의 경우에도 비슷한 궤적을 그리고 있다 이것

은 米価와의 연동관계가 비교적 분명하다

1935년의 長沙 物価의 단기 변동 폭을 알 수 있는 것이 lt표10gt이

lt表10gt 長沙物価 通郵地方物産志

60) 李文治 앞의 책 p562

61) 譚文熙 앞의 책 p267-268

62) 佐伯富 中國史硏究 第1卷 (京都 同朋舍 1978) pp340-36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1

黑鉛 石 2200 1300 全年 50000石 漢口上海

棉紗 件 22000 1800 Prime 24000件 本省

棉布 疋 120 150() Prime 1000000 漢口

麵粉 袋 50 250 Prime 140000 Prime

線襪 雙 106 Prime 6000000 本省

毛呢鞋 Prime 200 180 Prime 400000 Prime

夏布 疋 1000 200 夏 20000 上海漢口

火柴 箱 500 300 全年 10000 本省

刺繡 Prime國內및外洋

매년 産量 약50만元

玻璃器 件 300 200 Prime 9000 本省

肥皀 箱 70 50 Prime 30000 Prime

絲綿三角 兩 040 020 Prime 40000 Prime

國貨電池 打 060 040 Prime 200000 Prime

猪 斤 020 015 Prime 50000只 漢口上海

豬毛 担 6000 5000 Prime 4000kg Prime

粗窑器 卡 350 250 Prime 100000套 長江연안

毛筆 支 050 020 Prime 本省 및 황하 각성

여기서 보면 변동폭이 100 이상인 것은 면포 夏布 絲線三角 毛

筆 麵粉 등이다 또 50 이상인 것은 鴨絨(가공오리털) 667 흑연

692 火柴(성냥) 667 玻璃器(유리그릇) 50 국산 電池 50 등이

다 비누는 40 粗窰器는 40이다 棉沙 222 毛呢鞋는 111 돼

지 333이다 단기 변동 폭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고 생각된다 이

것은 이런 물품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성이 크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그런데 1898年의 경우는 茶油 洋油 등 물품의 가격 변동폭이 적은 것

은 무엇 때문일까 어쩌면 당시의 시장 가격 조사가 부정확했는지도

알 수 없다

1935年의 물가에서 綿沙의 변동폭이 적은 것은 당시 항상적인 수요

가 있었기 때문이 아닐까 비누의 변동폭도 40로 비교적 적은데 생

필품으로 수요가 지속 증대된 까닭이 아닐까 한다 通郵地方物産誌에 기재된 醴陵縣 夏布 가격은 40元-100元 사이인데 民國醴陵縣志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2

圖5) 1898年 3月-7月 長沙物價

의 物価表上에는 70元(1938)이라 되어 있다 物産誌 가격은 1935年

의 것인데 예릉현지의 가격이 그 범위 안에 있어 서로 다른 자료간에

부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63) 物産誌 上 相潭株洲의 茶油 값

매 石 160-240元(1935)은 예릉현지 물가표의 민국 20년(1931) 茶油 매

石 240元과 일치하고 있다 표12)에 1936年 煤油 값은 병당 44元이다

그런데 民國 安鄕縣志에서도 1934년 煤油 값은 병당 38元으로 되어

있어 兩者 사이에 유사성을 보여주고 있다64) 그러므로 醴陵縣志 物価의 종적 비교도 신뢰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洋麵은 包당 가격

茶油桐油洋油는 100斤당 가격

棉花 100斤당 가격

2) 장기 변동

長沙의 물가 변동을 보려면 湘報 수록의 광서 24年(1898) 물가와

63) 交通部郵政總局 編 中國通郵地方物産誌 (華世出版 1988)

64) 民國 安鄕縣志 卷11 食貨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3

품명 단위광서4년

(1878)

광서14년

(1888)

광서19년

(1893)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

(1912)

민국5년

(1916)

민국10년

(1921)

豬肉 斤 88文 63 62 112 160 240 280

雞 斤 80 72 68 120 250 300 360

lt表12gt 醴陵縣 物価表 (b) (商会조사)

품명 단위민국15년(1926)

민국20년(1931)

민국25년(1936)

민국27년(1938)

민국28년(1939)

민국29년(1940)

민국30년(1941)

猪肉 百斤 200원 170 200 360 400 561 1300

草魚 Prime 160 150 150

茶油 石 240 290 560 760 2000

鹽 石 120 140 150 160 2000

洋紗 件 2200 2200 2400 2000 2500 1500

土布 匹 27 70

夏布 Prime 70 70 140

竹布 Prime 100 100 8000

棉花 石 20 25 40 100 200 400

煤炭 石 020 030 040 050 230 70

煤油 甁 220 240 440 90 300 460 200

毛邊紙 石 198 432 1200

黑靛粉 桶10斤 100 200 1500 2000

赤金 兩 50 70 80 90 500 560 1600

lt表11gt 醴陵縣 物価表 (a)(私家數簿에 의한 것)

民國24年(1935)의 通郵地方物産誌 기록을 직접 비교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양 자료 사이에 화폐와 단위가 서로 달라 직접 비교할 수가 없

다 그래서 당시인의 물가 변동 기록인 長沙府 醴陵縣 物価表를 이용

하는 것이 파악 방법이 될 것이다

lt표11gt lt표12gt 와 lt圖6gt lt圖7gt을 보면 개별 물품에 따라 차이

는 있지만 대체적인 흐름은 米価 변동과 유사한 궤적을 보여주고 있

다 즉 光緖 前半에 비교적 안정적이다가 光緖 후반부터 급상승하여

민국 전기까지 상승하고 있다 1926년부터 1936년까지는 가격 안정세

를 보여 주고 있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4

雞蛋 個 2 2 3 4 10 15 20

草魚 斤 40 40 36 70 90 160

茶油 斤 116 69 54 150 300

鹽 斤 60 60 63 120 90 180

煤 石 50 120 50

苧麻 斤 270 99 170

棉花 斤 200 96 280

竹布 尺 70 62 60 60 90

靑洋布 尺 55 50 50 70

白蓮紙 刀 40 82 80 100

-附記 前淸 통행 制錢文으로써 단위 민국 초년에는 비록 銅元을 단위 사용하나 관습상 매 1銅元은 錢10文에 해당

圖6) 醴陵縣 物価 (a)

① 豬肉 斤당 가격 ② 雞肉 斤당 가격 ③ 茶油 斤당 가격

④ 鹽 斤당 가격 ⑤ 棉花 斤당 가격 ⑥ 草魚 斤당 가격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5

圖7) 醴陵縣 物価(b)

① 猪肉 百斤당 가격 元 ② 草魚 百斤당 가격 元 ③ 茶油 石당 가격 元

④ 鹽 石당 가격 元 ⑤ 洋紗 件당 가격 元 ⑥ 棉花 石당 가격 元

⑦ 煤油 甁당 가격 元

米価가 物価와 연동되는 것에 대해서 江都縣史料를 보면 ldquo産米 구역

에서 年末에 米価가 상승하니 百物이 昻貴했다rdquo65)라고 되어 있다 湖

南지역 米価 연구 자료에도 米価 추세는 거의 물가 수준과 같다는 주

장이 있다66)

光緖末宣統年間의 물가 상승을 나타내는 史料를 보면 다음과 같다

이제 각종 惡政의 결과로 百物의 騰貴를 초래했는데 小民의 日用 수요

65) 李文治 앞의 책 p470 ldquo江都爲産米區域 年末米価騰踊 百物因以昻貴rdquo

66) 張麗芬 앞의 책 p22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6음식은 그 가격이 십년 전에 비해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과 居室 器用

蔬饌의 비용 牛種糞漑의 비용도 예전 보다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도 비록

동일 비례로 함께 올랐으나 이미 넉넉하지 못해 괴롭다67)

이것을 보면 米価와 物価가 연동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청말

특히 光緖 후반 이후에 각종 物価가 두 배 올랐다는 사정을 알 수 있

다 上海의 物価도 같은 시기에 상승하고 있다68)

lt표11gt lt표12gt와 lt圖67gt을 검토해 보면 돼지고기 값은 광서 14

년 광서 19년까지는 다소 하락세를 보이다가 宣統원년(1909)부터 급격

히 상승하고 있다 민국원년(1912)의 가격은 160文으로 1878年의 88文

에 비해 거의 두 배에 해당한다 위에 인용한 宣統 2年 8月 國風報의 물가 두 배 인상과 정확하게 부합되고 있다 민국 전기인 1926년까

지 계속 상승하고 있지만 1926년에서 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이고 있

돼지고기 값은 1878년-1909년 사이 273 상승했고 1912-1921년 사

이에 75 상승했다 닭은 각기 50와 44 상승했다 계란은 100

100 상승이었다 淸末 비교 시기는 31년간인데 비해 민국 전기는 9

년간에 불과하다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가 급등한 것은 충분히

알 수 있다 1926년에서 1936년 10년간 돼지 값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거의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이었다

民國 醴陵縣志에도 ldquo辛亥혁명이전에는 물가가 심한 등락이 없었는

데 민국 후에 들어와서 차츰 상승했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69) 圖6)을 보

면 닭고기도 비슷한 궤적을 보이고 있다 草魚의 경우도 청말 민국전

기는 상승이 주요 동선이고 민국 중기(1926-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

67) 國風報 第1年 21期 宣統 2年 8月 (李文治 앞의 책 p561) ldquo今也以種種惡

政之結果 以致百物騰踊 小民日用 飮食所需 其価皆視十年前兩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居

室器用蔬饌之費 牛種糞漑之費兩倍于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雖以同一比例以俱騰 旣苦不

給矣rdquo

68) 岸本美緖 앞의 책 p443

6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物價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7이고 있다 譚文熙 物価史에는 민국 전기는 안정속의 상승세로 민국

중기는 파동속의 상승으로 정리를 하고 있는데 여기와는 약간의 차이

를 보이고 있다70) lt표11gt과 lt표12gt 사이의 화폐 단위 차이로 인한

연속적 파악에 다소 어려움이 있으나 대체의 추세는 짐작할 수 있다

또 품목에 따라 공란이 있어 연결 관계가 애매한 부분이 있다 1936년

이후는 중일 전쟁의 혼란과 불환지폐의 강제 통용 등의 사정으로 本考

에서는 분석 대상 범위에서 제외 하고자 한다

Ⅱ 物價 변동의 원인

1 수요 측면

米価와 物價가 상호 연동관계에 있고 넓은 의미에서는 米価도 물가

의 일부이다 米価 및 물가의 상승은 우선 수요의 증가에 원인이 있다

고 할 것이다 수요증가는 일반으로 인구 증가이다 湖南의 인구는 嘉

慶21年(1816) 18754259명에서 1898年 21174000명으로 다시 民國17년

(1928)에는 31501212人으로 비약적 성장을 하였다71) 약 110년 동안

인구가 1300만 가까이 증가하였고 비율로는 679가 증가하였다 長沙

府의 인구도 가경 25년(1820)에서는 4290086명이었는데 민국23년

(1934)에는 8421330명으로 약 400만명 이상 증가하여 963 상승을

보이고 있다72)

인구의 증가가 수요 증대를 초래하는 일반 요인이지만 湖南의 米穀

移出이 해당 지역 민중의 식량을 제외하고 남는 잉여 米만은 아니다

70) 譚文熙 앞의 책 pp302-307 여기서는 민국 전기는 1912-1927년 민국 중기

는 1927-1937년으로 구분하고 있다

71) 湖南省志 地理志 (長沙 湖南人民出版社 1982) pp230-238

72)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8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의 증대가 더 중요한 요인일 것이다 淸末에

와서 새로운 생업을 통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가 많이 증가하고

있는데 醴陵縣 사례를 한번 검토해 보겠다 史料는 다음과 같다73)

同治志에 이르기를 醴陵의 풍속은 lsquo安土重遷rsquo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상인이 外地에 나

가 장사하는 이가 적었다 배를 이용하여 외부 상업을 하는 것은 淥口 부

근의 米穀商일 뿐이었다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邑人들이 茶제조로 武漢에 판매하는 자가

이익이 배가 되었다 이때부터 龍門일대에 매양 봄에 茶를 제조하고 가리

는 廠이 항상 수십이었다 光緖末年에는 도자기업 夏布 編爆이 일어나서

대신하였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이를 믿고 생계를 삼는자가 무려 십만인이다

同治志 편찬 단계만 해도 사람들이 토착 안주하여 멀리 이동하는

것을 어렵게 여겼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큰 이익을 보고 그

후 도자 기업 夏布 編爆 제조에 종사하여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나 되었다는 것이다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의 성장을

보여주는 것이다 長沙의 빠른 도시화도 주목된다 長沙日報에 실린

내용을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74)

光緖32년(1906)에 火災 조사시에 城廂 내외가 매일 식량으로 穀 5000

石이 필요하였다 지금 교통이 편리하고 상인 旅客이 배로 증가하였으니

매일 마땅히 1-2000石을 더해야 한다(宣統 2年(1910) 2月 17日 長沙日

報)이것을 보면 光緖32년(1906)에서 宣統2년(1910)은 불과 5년이 채 되

지 않는데 상인 집단이 배로 증가하였다니 城內外의 유동인구 급증을

짐작할 수 있다 長沙城의 인구는 1916年에 177882人이었고 1931年은

385514人으로 증가하였다 불과 15년 사이에 1167 증가이다 배 이

73)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ldquo同治志云 醴俗安土重遷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商賈外

貿者少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揚帆外貿則 僅淥口附近之穀米商而已 光緖初 紅茶業興 邑人製茶

販運 漢皋者 獲利倍蓰自是來龍門一帶 每屆春日 製茶捒茶列廠恒數十 訖於光緖

末年 則有瓷業及夏布編爆起而代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恃以爲生者 無慮 十萬人rdquo

74) 李文治 앞의 책 p551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9상이 증가하였으니 長沙의 도시화도 급속히 진전 되고 있다75)

민국10年의 湖南 實業雜誌 보도를 보면 당시 長沙에 蓆工 500人

刻字工 300人 방직공 3200人 이발공 800人 香工 400人 합계 5200人

이 있었다 長沙大公報에 의하면 민국9년(1920)에 長沙에는 부두공

2600人 糞夫 500人 轎夫 1300 車夫 2300人으로 합계 7000人 정도

가 있었다76) 같은 시기 호남성의 광부가 160萬人이고 여기에 手藝工

苦力을 합치면 190만 전후였다고 한다 예릉현에서는 東鄕 일대에서

編爆業 종사자가 수만이고 東北兩鄕에서 磁廠의 女工도 수천이나 되었

다는 기록도 있다77) 湖南 邵陽縣에서도 淸末에 工匠이 5만 상인이 12

만 정도였다는 통계도 있다78) 이렇게 비농업 인구가 다른 생업을 통

해 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로 증가하고 있던 것이 확인된다 이런 유

효 수요 증가를 설명해 주는 다른 史料 하나를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

다79)

어째서 米穀이 날로 적어지고 날로 비싸지는가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水旱災가 날로 많고 농사짓는데 날로 게으르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말은

진실로 일리가 있는데 다 그런 것은 아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선교사 洋商 洋官 洋

兵은 증가한 것이 외국에서 온 사람이다 敎民 游民 賭民 盜民은 內地

에서 증가한 자이다 무릇 농사짓는 사람은 하나인데 먹는 자는 헤아릴

수가 없다 米穀이 어찌 비싸지 않을 수 있겠는가

光緖後期의 사정을 전하고 있는 위 史料를 보면 외국에서 온 선교

사 상인 군인 관리 등도 米価 상승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국내

외를 막론하고 비농업 인구의 급격한 성장이 米価 상승의 원인이라 생

각된다

湖南과 長沙의 米穀은 해당 지역 안에서 소비되는 것보다 揚子江

75) 張朋園 中國現代化的區域硏究 -湖南省 (台北 1998) p376

76) 위의 책 pp412-413

77)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農業經濟

78) 光緖33年刊 邵陽縣鄕土志 권2 인류 실업

79) 李文治 앞의 책 p77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0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많다 청말민국시기에도 지속적인 湖南米의

移出이 있었던 것은 이미 밝힌바 있다80)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穀

米가 騰貴한 이유가 外省의 采辦이 많은 때문이라고 하고 있다81) 상

담현에서도 동치 4년(1865)이전에 해마다 풍년이었는데 穀価가 까닭

없이 騰貴한 것은 江南이 처음 회복되어 米穀의 販運이 많아진 때문이

라고 하고 있다82) 1898年에도 長沙에서 米穀의 원거리 送出을 바라는

지주 富戶와 주민의 갈등 관계가 노출되고 있다83) 宣統2年(1910)의 기

록에도 湖北의 흉년으로 出境 米穀이 과다하여 米価가 급등했는데 작

년 末에는 1石5000文이었다가 금년에는 1石 8000文에 이르렀다는 내

용이 있다84) 같은 자료에 湖南米가 당도 하지 않으면 武漢에서 변란

이 일어난다고 할 정도이다

하류의 上海는 한적한 어촌에서 근대에 대도시로 성장하였다 武漢

上海등의 도시화와 상공업 발전 인구 집중은 長沙米의 급격한 수요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宣統 년간에 長沙가 전국적인 4大 米市의 하나

로 성장한 것은 우연한 일은 아니다85)

근대에 대외 교역증가가 물가 상승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생각된

다 1873년에서 1930年 사이에 농산물 수출 통계는 1910년을 100으로

했을 때 1873년은 12 1893년은 123 1903년 386 1920년은 1324

1930년은 2709로 급상승하고 있다86) 농산물의 수출은 해외 수요의 증

가이다 이런 교역상 수요 증대는 가격의 등귀 뿐 아니라 작물 재배

면적의 확대에도 기여하고 있다

80)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81)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20

82) 光緖6年刊 湘潭縣志 卷29 災祥志

83) 湘報 89號 長沙縣職員常達邦呈批

84) 李文治 앞의 책 p381

85) 徐正元 中國近代農産商品化的發展與米市的形成 (復印報刊經济史 1997年3期)

86)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권2 p14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1宣統2년(1910) 長沙에 영국 상인이 출현하여 米穀 구매를 단행하자

米価가 하루에 여러 번 급등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였다87) 湖南에서

는 또 광동 상인의 영향을 받아 紅茶 제조법을 습득하여 홍차를 대량

생산하여 구미에 수출하였다 19세기 60년대부터 20세기 초에 특히 호

남 茶 생산 판매가 극히 발달하였다88) 주요 산지 중에는 長沙 湘潭

安化 등이 손꼽히고 있다

桐油의 수출 또한 괄목할 만한 것이다 湖南의 桐油 수출은 1922년

전국의 3336 1923년은 372로 성장하였다 1929년에는 全省 수출

총액의 45 정도를 차지하였고 桐油 상품화율 80에 달하였다89) 대

외교역을 통한 농산품의 해외 수요 증가는 직간접으로 물가 상승에 작

용하고 있다

2 화폐 문제

물가와 화폐의 관계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통상 화폐 수량의 증가가

생산총량의 증가보다 초과할 때 물가상승이 일어난다90) 보통 淸 후기

에는 아편무역에 따른 銀의 해외 유출과 그 결과 야기된 lsquo銀貴錢賤rsquo 현

상 통화팽창에 의해 물가가 상승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91)

실제 淸末民國기에 걸쳐 통화 팽창과 물가 상승에 대한 기록을 찾

는 것은 어렵지 않다 王業鍵에 의하면 淸末 특히 1875年부터 1911年

까지는 인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단계였다고 한다92)

民國 寧鄕縣志에 보면 ldquo光緖29年(1903)에 처음으로 當十銅元을 주

87) 李文治 앞의 책 p550-551

88) 劉泱泱 앞의 책 p46

89) 宋斐夫 主篇 湖南通史 現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5 p276

90) 陳民 法幣發行制度與通貨膨脹 (復印報刊經济史 2001-1)91) 龔勝生 앞의 책 pp275-280 岸本美緖 앞의 책 p444 張麗芬 앞의 책

p217

92) Yeh-chien Wang Secular Trends of Rice in the Yanzi Delta 1638-1935(California Univ Press 1992)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2조하여 전국에 통용시켰는데 물가의 등귀가 이때부터 시작되었다rdquo는

기록이 있다93) 醴陵縣에서는 光緖32年에 當十銅元을 주조하여 制錢과

병행시켰고 宣統원년에 銀元이 이미 성행하였다 민국원년에는 當二十

銅元을 주조하였는데 雙銅元이라 칭하였다94) 영향현에서도 광서말에

私鑄錢인 毛錢이 나오고 지폐가 통용되는 등 통화팽창이 상업을 일변

시켰다고 한다95)

종전에 비해 실질 가치가 열악한 當十 當二十 등 銅元의 남발과 鈔

票의 성행은 화폐 시장의 과잉을 초래하였다 정식의 鈔票 이외도 각

현 발행의 私鈔와 錢莊에서 발행한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시중에 범람

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민국 시대에는 화폐 남발이 더욱 심하였다 호

남은행을 비롯한 저축은행 농업은행 등이 각기 각종 지폐를 발행하여

혼란이 가중되었다 1915년에 호남의 은행은 33개인데 그 중 장사현 7

개 상담현이 7개였다96)

군벌들이 은행을 개설하거나 질 낮은 화폐 통용을 강제하는 등의

혼란이 민국시기 특징 중의 하나이다97) 화폐 시장에는 銀元 銀角 銅

元 지폐와 鈔票 市票등 유사 화폐까지 복잡middot혼란의 양상이 나타나고

결과적으로 물가 상승을 피할 수가 없었다

선통2년(1910) 격렬한 米価 騰貴가 있었고 長沙에서 대규모 搶米 폭

동이 일어났는데 이것은 단순한 흉년때문이 아니고 銅元 남발 등 화폐

제도 혼란에 기인한 것이었다98) 1880년대 초부터 1920년대까지는 인

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시기로 매년 33 비율로 상승하였으며 1930년

총 화폐보유고는 60억 원에 달했다 반 세기간 화폐 공급은 8-10배 증

가하였다99)

93)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ldquo光緖 二十九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始鑄當十銅幣 通

行全國 物価之踊始此rdquo

94) 民國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95)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財用錄 상업

96) 張朋園 앞의 책 pp258-259

97) 宋斐夫 앞의 책 pp10-12

98) 岸本美緖 앞의 책 p51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3

時期 銀(兩) 錢(文) 出典

乾隆 嘉慶년간 10 1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道光 初(1821) Prime 1300-1400 Prime

Prime 18年(1838) Prime 1400 林則徐湖廣奏橋 권3

Prime 25年(1845) Prime 2000上下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Prime 末年(1850)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咸豊 元年(1851) Prime 2000 民國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咸豊 初 Prime 2300-2400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8 부역

咸豊 3年(1853) Prime 20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5年(1855)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Prime 6年(1856) Prime 2000 湖文忠公遺集 권12

Prime 7年(1857) Prime 1600 骆文忠公奏議 권7

Prime 8年(1858) Prime 1400 胡文忠公遺集 권85

Prime 10年(1860) Prime 1300-1400 胡文忠公遺集 권70

同治 2年(1863) Prime 13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7年(1868) Prime 1300-1400 李瀚章 瀝陳湖北等省漕務

Prime 10年(1871) Prime 1600-1700 同治10年 長沙縣志 권8 부역 錢法

光緖32年(1906) Prime 1600 長沙日報 宣統2年 2月27日

선통 2年(1910) Prime 1700 國風報 宣統2年 3月 21日

표 지방지에서 직접 採錄제외는 龔勝生 淸代兩湖農業地理 pp270-277에서 湖南부분을 발췌하여 再引用한 것임

表13) 湖南의 銀錢比値

그런데 아편전쟁 전후 銀의 과도한 해외 유출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이

초래되고 이것이 물가 상승의 주요인이라 생각되고 있는 데는 약간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表13)을 보면 銀錢比価가 일시적으로 상승하였다

가 다시 하강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은전비가는 지역에 따라 차

이가 있지만 호남 장사를 위주로 정리한 것이 표13)이다100)

99)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0) 邱思達 中國近現代鑄幣圖說 (北京 中國書店 1991) p109 참조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4

주목되는 것은 道光末에서 咸豊初에 일시적으로 상승하였지만 淸末

의 比価가 낮은 편에 속하는 현상이다 청말에 은전비가가 비교적 안

정되고 있는 것이다 아편전쟁 후 5항 개항으로 교역이 확대된 상황에

서 아편무역 증대에도 불구하고 차와 silk 수출에 힘입어 은의 순유입

이 오히려 증가되는 현상이 나타났던 것이다101) 또 光緖17년(1891)이

후 세계 銀価하락 현상으로 은유입이 증가되었다102) 19세기 후반 중

국이 세계 사회에 연결되면서 중국의 무역 적자에도 불구하고 淸 정부

에 대한 대량 차관과 자본 투자를 통해서 거대한 양의 銀이 중국에 유

입되었다 1871년에서 1913년 사이 은의 순 수입은 2억 4천만 海關兩

혹은 3억 6천만 銀달러로 추정되고 있다 세계 시장의 은가 하락과 은

의 대량 유입은 중국의 국내 시장에서 물가 상승을 유도한 것이다103)

이런 배경으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은 일시적인 것이고 청말민국기 전체를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민국 시기에는 銀元과 錢의 교환 비율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은의 유입 현상에도 불구하고 宣統 원년 11150文의 비율에서 민국6년

2250文 민국11년 2840文 민국17년 3500文 민국22년 7200文까지 급등

하고 있다 예릉현의 기록이지만 이것으로 청말보다 민국시기에 통화

팽창현상이 극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4)

銀과 錢이 주요 화폐이고 그 환율이 항상 문제가 되고 있지만 주로

청 후기 이후는 錢文 위주의 경제로 바뀌고 있다고 생각된다 長沙府

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면 대부분 道光 이후는 화폐를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淸 前期는 米価를 銀으로 표시하던 것과는 대조적이

다105) 예릉현에서는 민간에서 세금을 납부하거나 大宗무역을 할 때를

101)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2) 邱思達 앞의 책 pp92-93

103)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4)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10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光緖3年刊 善化縣志 同治13年刊 湘鄕縣志 光

緖15年刊 湘潭縣志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民國37年刊 醴陵縣志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5제외하고 紋銀 사용자가 거의 없다 도광 이후 교역시 대부분 錢文을

사용했다는 기록을 보면 淸 後期는 錢 경제 위주로 넘어간 것 같

다106) 세금을 낼 때 외에 銀錢이 필요 없는 일반민은 錢文 사용권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너무나 당연하다

함풍4년에 長沙에서 大錢을 주조하여 통용시켰으나 결국 시장의 신

뢰를 얻지 못하여 퇴출되고 말았다 1854년 7월에 주조를 시작하여

1855년 4月에 주조를 정지하였다107) 이것을 보면 통화 남발도 결국

시장의 제약을 받고 있다

민국 7년(1918) 3月 張敬堯가 裕湘銀行을 개설하여 銀元票 1000만元

銅元票 3000만元을 발행하였다 그 결과 시장은 혼란에 빠지고 시중금

융은 마비 상태가 되었으며 결국 裕湘銀行 발행의 惡幣는 폐지와 같이

되었다108) 권력에 의하여 통화 팽창이 시도되더라도 시장이 감당할

수 없는 지경이 되면 중단될 수밖에 없다 과도한 통화 팽창은 시장의

질서에 의해 어느 정도 제약 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예릉현에서도 光緖 년간에 錢莊 24곳이 출현하여 盛業을 누렸는데

民國7年(1918) 兵禍로 停業하는 곳이 많아졌고 정부의 통화 남발 화폐

가치 하락 금융혼란의 현상이 나타났다109) 민국18년(1929) 이후는 정

국이 안정되고 교통 편리로 百業이 진흥되고 은행이 역할을 하게 되었

이상에서 보면 淸末까지는 은전비가가 안정되고 통화 관리가 어느

정도 성공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光緖 宣統 시기에 銀元의 주조 외국

銀貨의 대량유입 當十銅元 등 주조로 통화팽창이 많이 되었고 이시기

물가 상승과 연관되고 있다 민국 초기에도 정국 혼란과 무계획적 통

화남발로 물가의 급등을 초래하였다 민국 중기에는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것 같다

106) 龔勝生 앞의 책 p279

107) 劉泱泱 앞의 책 pp150-155

108) 宋斐夫 앞의 책 pp10-11

10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6영향현에서도 민국 21년(1932) lsquo穀賤錢荒rsquo의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

다110) 청말민국기에 전반적으로 화폐량의 증가가 현저했던 것은 사실

이다 다양한 화폐의 등장 銀兩 銀元 銅錢 銅元 외에 외국 銀元의 유

입 그 외 鈔票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출현하였으며 양적인 팽창도 분

명하다 하지만 대외 교역 증가와 경제 활동 인구의 증가 유통 상품의

양적 증가에 의해 시장의 화폐 수요가 증대된 것도 사실이다 통화 발

행은 일차적으로는 경제 주체의 수요에 부응하는 것이지만 그것이 과

도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3 공급기타 요소

물가는 기본적으로 수요공급의 관계에서 결정되는 것이 원칙이다

청말민국기에 걸쳐 인구가 급증하여 물가가 상승한 것은 자연스런 일

이다 그러나 물가 상승률 면에서 청말의 경우가 18세기의 증가율에

비해 크다고 할 수 없다 물가 상승률을 억제하면서 비교적 안정 속의

상승을 할 수 있었던 것은 공급의 증가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청말민국기에 湖南米의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 현상이 지속된 배경

에 비약적인 경지 면적 확대와 새로운 품종 개량 시비법 발전 등 농

업 생산 증대가 있었다는 것은 이미 밝혀진 바 있다111) 米穀 공급의

증대가 물가 상승을 완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雜糧 재배가 同治

(1862-74) 년간에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민중의 식량 문제 해결에 기여

하고 米価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던 것을 城步縣 知縣 盛溢源을

통해서 알 수 있다

洋米 수입이 國産米의 보충 역할을 했다는 지적이 있지만 결국 시

110) 民國30年刊 寧鄕縣新志 전1 縣年記

111) 田炯權 淸末民國期 湖廣地方의 農業生産力과 生産關係 (慶南史學 7

1995)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2001)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

究 25 200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7장에 대한 미곡 공급을 증대시켜 가격 안정에 기여했다고 생각된

다112)

민국 시대 관련 사료를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113)

금일 정세를 보면 국내 米価의 등락은 결코 國産米의 생산량이 많고

적음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외국 産米 구역의 풍년 여부에 따라 영

향이 대단히 크다

이것을 보면 洋米 수입이 國産米価를 조절한다고 볼 수 있다 비슷

한 시기 上海에서도 湖南米가 수입 米의 영향으로 가격이 약간 적게

올랐다는 史料도 있다114) 湘報에도 日本米가 수입되어 중국의 米価

가 차츰 내려갔다는 기록이 있다115) 같은 湘報에 보면 ldquo외국물산이

날로 풍부하여 중국 상품의 판로를 막는데 서양 상품의 가격이 낮으면

중국 상품 가격이 홀로 증가할 수 없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116) 결국 洋

貨도 중국에서는 시장에 대한 상품 공급의 증가이고 이것이 상품 가격

상승을 억제하고 있는 것이다 같은 자료에 중국의 土藥이 널리 판매

되니 외래 洋藥의 가격이 폭락한 사정도 소개되고 있다117)

또 洋蠟의 수입으로 국산 白蠟 가격이 매 100斤 200元에서 100元으

로 폭락한 일도 있었다118) 1921년 독일 면화가 대량 수입되어 중국의

綿価가 하락한 일도 있다119) 光緖년간 부터 중국이 綿紗 생산을 개시

하자 華商과 洋商사이에 가격 경쟁이 시작되었다 수입 綿布도 洋商이

國産布와 경쟁하기 위해 가격을 낮추어 공급하였다120)

112) 王良行 淸末對外貿易的關聯效果(1860-1911) (近代中國對外貿易史論集1997)

113)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卷3 p413

114) 위의 책 p416

115) 湘報 제45호 p1419

116) 湘報 제13호 ldquo外洋之出産日盛 足以抵華貨之銷路 洋価低則華貨不能獨增rdquo

117) 湘報 제162호 p1608

118) 章有義 앞의 책 권3 p662

119) 譚文熙 앞의 책 p342

120) 譚文熙 위의 책 p368 p374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8상인의 가격 조종이 물가 변동에 하나의 요소는 될 수 있다 예릉현

의 土資 판매에 있어 객상의 가격 조종에 저항하기 위해 주민들이 公

司를 조직하여 가격을 바로 잡았다는 기록도 있다121) 지주 부농 米商

등의 매점매석에 의한 가격 조종 사실은 흔히 발견된다122) 秋收期에

시장에 대량 방출된 곡식을 저렴한 가격에 매입하여 端境期에 되팔아

이익을 남기는 것은 상인의 오래된 관행이다 이윤 추구를 위한 개인

의 행위지만 넓게 보면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행위이기도 하

다 각지 농산품 가격 변동 조사에서 원인이 밝혀진 10건 가운데 전쟁

이 2건 豊凶 水旱災가 7건 상인 조종은 단 한 건 뿐이었다123) 제국

주의 상인에 의한 가격 조종이라는 것도 결국 중국 상인의 이윤 추구

행위와 본질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湘報의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124)

輪船이 이미 통행하고 있고 철로가 이미 만들어 졌다 제조업이 날로

번성하고 통상조약이 행해지니 상인이 계속 내왕하고 온갖 상품이 유통

된다 사계절 틈이 없으니 일용 각 물품이 그 가격이 반드시 저렴할 것

이다

이것을 보면 통상 개시 후 교통이 발달하고 상품 교역이 증대된다

는 것과 그 결과 일용품의 가격이 저렴해졌다는 것을 당시인이 인식하

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서방 각국과의 무역 증대는 상품 공급의 증가

이고 가격 경쟁을 통해 물가 상승을 완만하게 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

121)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22) 李文治 앞의 책 p559

123)湘報 제49號 ldquo輪船旣行 鉄路旣造 製造日盛 商約可行 商賈絡繹 百産流通

歲時無間 則日用物品 其価必廉rdquo

124) 安本美緖 앞의 책 제7장 pp239-288 제12장 431-455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9

Ⅲ 物價와 景氣(생활)

1 穀賤傷農과 不況

物價 문제를 단순히 등락의 흐름에만 주목하기보다 경기변동론적

입장에서 好況 不況의 문제로 연관시켜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

이다 岸本美緖는 康熙年間의 lsquo穀賤rsquo 현상이 不況과 연결되어 있고 光

緖年間 蘇州의 不況도 lsquo穀賤rsquo이 원인이었음을 지목하고 있다125)

그런데 長沙府 중심의 湖南의 사정을 검토해 보면 lsquo穀賤rsquo 관련 기록

이 道光 咸豊 시기와 民國 中期에 집중되고 있다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26)

道光 25年(1845) ldquo穀賤斗穀錢五十文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値穀賤錢価亦賤 民甚苦之rdquo

장사현과 縣治를 長沙城 내에 두고 있는 善化현에서도 같은 해에

비슷한 기록이 있다127)

道光25年 穀賤自十五年起 連年俱穀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中下戶苦之

咸豊5年 穀賤

장사현 기록을 보면 穀価도 싸고 錢価도 싸서 민이 고통 받는다 했

으니 이 당시 은의 해외 유출과 은전비가 문제로 민중이 고통 받은 사

실을 알 수 있다 선화현은 장사현과 연접하고 통합과 분리가 단속되

었던 거의 동일 지역이다 선화현 기록을 보면 도광25년의 lsquo穀賤rsquo이 해

당년도만의 일이 아니고 道光15年(1835)부터 계속된 현상임을 밝히고

있다

12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33 祥異

126)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127) 民國30年刊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0인근의 寧鄕縣에서 보면 ldquo道光26年 歲豊 穀奇賤傷農 佃農以穀賤大

困rdquo이라는 기사가 있다128) lsquo穀奇賤rsquo이라 하였으니 평상시 보지 못한

하락이었다고 생각된다 더구나 소작료 납부가 대부분 현물지대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佃農은 米穀의 상품화 과정에서 배제되었다는 종전의

통념과 달리 佃農도 곡가 하락으로 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같은 기록에 함풍원년에도 ldquo有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以穀賤漕折苛rdquo라 하고 있어

역시 곡가 하락으로 세금 납부에 곤란을 겪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장사부 內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아도 同治 년간에는 lsquo穀賤rsquo 기

재가 보이지 않고 전술한 도광 함풍 년간에 집중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후의 기록을 찾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ldquo湖南自夏秋以來雨暢時若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故無論高低田畝咸稱大稔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甚

賎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反有入不敷出之慨矣rdquo (益聞錄 69号 광서6년828)129)

ldquo(長沙農村) 近年來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穀米求售 価値至賤 日用各物 則又極昻 收穫所

得 不足顧其工本 多已漸陷于無力耕種之境rdquo (新靑年 7권 6호 1920년 5

월)130)

ldquo湖南近年來之天災人禍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天災旣足以減少收量 地方不靖 産品滯銷

価値復因以低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而生活日昻 工価及日用物品 繼續增漲 收入支出 常苦

不得平衡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rdquo (中國棉産改進統計會議專刊 1931)131)ldquo湘省爲産穀素豊之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年歲收 屢佔大有 而長江流域亦値豊收 更

有大宗洋米 運貨傾銷致湘米頓失市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価格低賤 不僅農村經濟 陷于絶

境 市面金融 亦大受打擊rdquo (銀行週報 18권 9기 1934313)

이외에도 1936年의 사실로 호남의 武岡 東安 일대에서 lsquo豊年穀賤rsquo으

로 省城에 운반할 때 운송비와 각종 捐稅 부담을 감당할 수 없어 陳米

를 불태웠다는 기록이 있다

128) 李文治 앞의 책 p557

129) 章有義 앞의 책 권2 p432

130) 章有義 앞의 책 권3 p795

131) 章有義 위의 책 p620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1이것을 보면 주로 1930년대에 lsquo穀賤rsquo과 不況이 집중 묘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lsquo穀賤rsquo 즉 불황이라고 하면 도광함풍초의 곡천과 불

황 同治光緖宣統期의 lsquo穀貴rsquo즉 好況 다시 民國 전기의 好況 民國 中期

의 불황으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물가의 상승기가 호황적 국면이라는 것은 알려

져 있지만 이것은 전체 물가의 문제이다 위 자료에서 보면 1920년 장

사 농촌에서는 곡가는 싼데 일용품 가격은 극히 높다고 하고 있고

1931년의 기록도 工價와 일용품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농민이 다수를 점하기 때문에 미곡가의 하락은 농민 수입 감소

와 구매력 저하를 가져오고 이것이 농촌 불황의 한 요인이 될 수 있

다 그러나 工賃과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시장의 한계 안에서의

일이다 또한 실업률과 고용 지표 등도 고려되어야 하는데 만족할만한

통계의 부족으로 명확한 답을 얻기는 어렵다

그런데 米価와 물가는 개별 년도나 시점에서 서로 상이한 궤적도

있지만 圖2 3 6 7을 보면 대체적으로는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예릉의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광서 4년(1878)에 비하여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1912)에는 현격한 상승세였다가 그 후에 등락을 거듭

하고 있지만 민국25년(1936)의 경우는 광서4년보다는 높거나 유사한

경우가 많다

2 생활 경기의 발달

당시인들이 체감하던 생활 경기의 수준이 어떠했는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

光緖刊 善化縣志를 보면 다음과 같다132)

132)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16 풍속 附論 ldquo古人 酒肉以養老 而今則黃口稚子

無不酒肉之人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日不旦穀貴鹽貴 而酒肉皆貴 則好惡可知矣 一今鄕間柴炭

其価數倍於昔日 瀕河之地 莫不燒煤rdquo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2옛사람들은 술과 고기로 노인을 부양하였는데 지금은 어린아이도 술과

고기를 먹지 않는 이가 없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요사이 미곡과 소금이 비쌀 뿐 아니

라 술과 고기가 모두가 비싸니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지금 향간에 柴炭이 그 값이 예전보다 수배인데 하천 근처 사람은

煤를 때지 않는 사람이 없다

同治 攸縣志 에도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33)

예전에 士大夫도 집에 있을 때 엄동이 아니면 가죽옷을 입지 않았다

지금 關中의 가죽옷 상인이 유현에 와서 1년에 은 만여 냥을 얻을 수 있

다 기타 비단 옷은 蘇州 杭州 및 嶺南에서 오는 것이 또 배가 되니 1년

에 수만금을 소비한다

醴陵縣에서도 비슷한 인식을 볼 수 있다134)

ldquo예전 풍속이 儉樸하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이 명절 아니면 고기를 먹지 않고

慶弔事가 아니면 술을 베풀지 않고 손님 접대는 닭 잡는데 그치고 鮮味

는 생선에 그쳤고 縣城의 食肆는 飽麵茶館에 그치고 酒席으로 業을 삼는

자가 없었다

지금은 酒樓菜館이 거리에 가득차고 中人의 집에도 술자리가 베풀어지

고 사치를 다툰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예전에 士類大半이 淥江書院에 모이면 그 가운데 비단신을 신은 자가

불과 수인이었고 羊가죽 옷을 입은 자가 불과 1 2人이었다 지금은 비단

신과 가죽옷이 거의 常服이 되었고 日用品은 舶來品이 많다rdquo

이 내용을 보면 예릉현의 생활 수준이 급격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예릉현지 기록에는 부인들이 上海의 유행을 쫓아 사치를 추구한

다는 내용도 있고 청말부터 外貨를 서로 자랑한다는 내용도 있다 종

133) 同治10年刊 攸縣志 권18 풍속 衣服 ldquo衣服 昔時 士大夫 家居非嚴冬不御裘

今關中裘商來攸 歲可得銀萬餘兩 其他錦繡之運自蘇杭及嶺南者 則又倍之 計一歲

之戶 所費數萬金rdquo

134)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4장 풍속 생활 ldquo旧俗民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非令節不

食肉 非慶弔不置酒 欵客止於殺鷄 鮮味止於草魚 縣城食肆 止於飽麵茶館 無以酒

席爲業者 今則酒樓菜館 遍於街市 中人之家酬酢往還 爭奢鬪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旧時士類

大半 集於淥江書院 一院之中 著緞鞋者 不過数人 襲羊裘者 不過 一二人 今則絲

履皮袍殆成常服 日用之品 多自舶來rdquo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3전에 菜油 棉油로 燈을 켜다 집집마다 煤油를 사용한다거나 세탁시

茶枯鹼水를 쓰다가 대부분 비누를 사용하는 일상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135)

또 寧鄕縣에서도 ldquo同光之間 地方安寧 家給人足(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함)縣城商業 於時爲盛rdquo이라 하고 있어 同治(1862-74) 光

緖(1875-1908) 시기가 好況이었음을 알 수 있다136) 湘報에도 ldquo民間

之喜用洋貨日甚一日rdquo이라 하고 있어 洋貨 사용의 확대를 짐작할 수 있

다137)

광서년간 무역이 확대되고 여기에 대해 유익하다는 인식의 기록이

湘報에 나오고 있다138)

ldquo輪船과 철로가 개통되고 항구 개항이 증가 되는 것은 실로 중국에 유

익하고 손해가 없다 저 눈이 콩만큼 큰 자가 걸핏하면 통상이 중국에 해

가 된다고 하니 어찌 심히 어리석지 않은가rdquo

무역 확대를 지적하고 통상이 유익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예릉현

지에도 同治志에는 풍속이 lsquo安士重遷rsquo하고 상인이 외부 활동하는 자가

적었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고 光緖末에 도자기 夏布 編爆業

이 일어나 융성하여 이에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 넘는다고

하고 있다139) 예릉향토지에도 商旅 왕래가 예전보다 10배라는 서술이

있다140)

장사시의 行業발달 상황을 보면 민국 5년(1916)에서 民國22年(1935)

사이에 식품업은 281⟶2124 사치품은 171⟶1128 복장은 43⟶2028 農

礦은 621⟶1156 洋貨 127⟶233 금융 130⟶164 공예 2121⟶3344 문구

17⟶355 등 비약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141)

135)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 工商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6장 실업

136) 民國30年刊 寧鄕縣志 財用錄 民業

137) 湘報 제13호 1898年 3月 21日

138) 湘報 제162号 1898年 9月 23日

13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40) 民國15年刊 醴陵鄕土志 제6장 실업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4이것은 장사의 생활수준 향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당시에

通商의 확대 주장도 湘報에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142)

이상에서 보면 청말민국기에 대체적인 추세는 好況이었다고 생각된

다 생활 수준의 향상이 눈에 띄고 米価와 물가도 연동되면서 상승하

는 추세였다 米価의 상승이 구매력 수준의 제고가 되기 때문에 米穀

생산 중심지역에 상인들의 行號가 집중되는 것이 보였다143) 임금의

경우에도 호남 汝城縣에서 실질 임금이 유지 또는 상승하는 것을 확인

한 바 있다144) 全漢昇도 1875년부터 1925년까지에 걸쳐 四川 合江현

의 임금과 물가 변동의 추세가 거의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바 있

다145) 앞서 인용한 1931년 中國棉産改進計劃 에도 임금과 일용품 가

격이 함께 오른다고 하고 있어 임금이 물가에 연동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생활 수준 향상을 기록하고 있던 지방지에도 빈부 격차를 암시하는

내용이 있고 物力이 날로 쇠퇴한다든지 하는 기록이 있다 대외 무역

이 적자라 하더라도 차관 원조 뿐 아니라 외국 상인의 진출이 자본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好況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Ⅴ 結 言

이제까지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이후 民國中期인 1936年

까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여 米価와 물가 변동 물가 변동의 원인

141) 張朋園 앞의 책 p387

142) 湘報 44호 中外通商利害論 湘報 67号 論湖南茶務急宜整頓

143)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144)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9 1998)

145) 安本美緖 앞의 책 p2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5물가와 생활 경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米価 변동은 단기 변동에 있어서 전쟁이나 天災 등의 특수한 사정

의 해를 제외하고는 光緖 년간에 비해 민국 중기의 계절 변동폭이 축

소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米価의 계절 변동을 완화 시

켜 주는 雜糧의 재배가 湖南 지역에서는 대부분 同治 년간에 보급 확

대가 되고 있다 교통과 상업 발달 등의 이유로 청말에서 민국기로 갈

수록 계절 변동폭을 축소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변동에서는 長沙府縣의 물가 변동 예릉현 물가 변동 등을 살

펴 볼 때 전체로서는 상승 추세 중에 도광 함풍 시기의 低米価 同治

년간의 高米価 光緖전반의 低米価 光緖後半에서 宣統 년간의 高米価

民國 前期의 高米価 民國 中期의 低米価의 등락을 보이고 있다

民國 中期의 米価는 長沙 8개년 米価 추세에서도 안정속의 상승세

를 보이고 있다 명목상 수치 뿐 아니라 米価의 상대 물가로 보는 실

질 구매력도 宣統 民國元年에까지 급상승하였다가 민국 시기 등락을

거듭하지만 민국25년(1936)까지 광서4년(1878) 대비 유지 또는 상승 추

세였다

物価변동은 개별 상품에 따라 편차가 있고 米価와는 전혀 상이한

궤적을 그리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米価와 연동 관계를 보이

고 있다 1898년 물가의 단기 변동은 이상할 만큼 변동폭이 크지 않다

당시 물가 조사자의 보고가 정확했는지 의심될 정도이다 1935년의 장

사 물가에서 단기 변동을 보면 변동폭이 100이상인 夏布 毛筆 麵粉

棉布등을 비롯하여 50 이상인 오리털 흑연 성냥 국산 전지 등을

비롯하여 40 이상인 비누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기 변동폭

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 이것은 이런 물품들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

성이 크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物価의 장기 변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米価와 대체로 비슷한 궤적

을 보이고 있다 청말에서 민국전기에 걸쳐 물가 상승폭이 두드러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 상승폭이 더욱 크

다 돼지고기 값을 예로 들면 1878년에서 1909년 사이에 273 상승했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6고 1912-1921년 사이에 75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닭은 각 50와 44

상승했다 청말은 31년간의 수치이고 민국 전기는 9년간이니 물가의

상대적 급등을 알 수 있다 1926에서 1936년까지 10년간 돼지 고기 값

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

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

세를 보이고 있다 민국 중기의 米価가 일부 lsquo穀賤rsquo 현상을 보인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음으로 물가 변동의 원인에 대해서는 군벌간의 전쟁이나 정치적

혼란 등 정치 군사적 요인을 제외하고 대체로 검토해 보았다

수요 측면에서는 湖南米의 유통이 호남 내부의 인구 증가에도 불구

하고 양자강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지속된 것이 米価 상승의 한 원

인이었다 上海나 武漢 등의 도시화와 인구집중은 이들 지역 양식 수

요를 폭증시켰다 일부 洋米 수입에도 불구하고 湖南米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으로써 米価를 상승시켰다 또 장사를 비롯한 각지의 새로운 수

공업 산업의 발달로 비농업 인구가 증가하고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유

효수요로 성장하여 米価 상승을 유도하였다 양식의 이출은 해당 지역

인구 식량을 전부 제외한 나머지 잉여가 수출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력

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청말민국기에는 호남의 내부 외부에

서 미곡에 대한 유효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것이 米価 상승의 한 요인

이었다

화폐 문제에 있어 화폐 수량의 증가가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것

은 상식이다 종래 아편전쟁 전후 은의 해외 유출 증가가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을 초래하여 물가 상승과 인민의 빈곤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지방지 등의 史料에서 검토한 결과 은전비가는 도광함풍초의

일시적 상승 후에 함풍 7년 이후는 도리어 하락하고 있다 同治 년간

에 대부분 1兩 1300文 수준에서 안정되고 있다 光緖末宣統년간에도

1600-1700文 수준으로 도광함풍 초보다는 낮은 편이다 청말민국시

기에 화폐의 남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한계를 넘었을 때 시장의 통용

거부로 마침내 중단되고 있다 청말민국기에 외국 銀元의 유입과 국내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7의 銀元 주조 銅元 지폐 외에 鈔票 市票 등 화폐 시장에 투입된 화

폐량은 엄청나게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로서는 어느 정

도 시장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외 교역과 상품량의

증대 경제 활동 인구의 증대 미곡 생산 및 농산품 생산의 증대로 화

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것이 화폐량의 막대한 증가와 유

통속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

었다고 생각된다 즉 안정 속의 물가 상승이 유도된 것이다

공급면에서 보면 대외 교역을 통한 서양 상품의 수입은 전체로서는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물건의 공급 증가를 통해서

혹은 국내 상품과의 경쟁 때문에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었

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침략과 물가 폭등이라는 도식적

견해와 달리 현실에서는 물가 억제 작용도 있었던 것이다

물가와 경기면에서 보면 물가가 비쌀 때 호경기가 많은 것은 사실

이다 그런데 lsquo穀賤rsquo 현상이 불황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서 長沙 지역의 경우를 검토해 보았다 도광함풍 년간까지 lsquo穀賤rsquo현상

과 불경기적 상황에 대한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동치광서 년간에는

米価가 등귀한 시점인데 이 시기는 紅茶業의 번성이나 각종 수공업의

번성으로 好況의 면모가 보이고 있다 민국 시기에는 민국 중기에 lsquo穀

賤rsquo의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史料上에 민국 중기의 lsquo穀賤rsquo은 임금이나

다른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다 물가 상승기와 好況

이 맞물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민국 중기는 lsquo穀賤rsquo 현상과 서로 어긋

나는 것이다 이 시기의 不況 서술은 농촌의 농민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표시이다

생활 수준에 대한 지방지 기록 등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주민들의

洋貨 사용이 보편화되고 의복 음식 주거 등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것

을 지적하고 있다 물가는 상승하였지만 同治 이전에 비하여 분명히

사치품의 소비 증대와 中人의 집도 소비 수준이 제고된 것이 드러나고

있다 민중의 빈곤은 있으나 이 시기 빈부 격차가 커지고 생활 수준의

격차가 커진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17: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5

機米 河米 糯米 총 평균

가격 지수 가격 지수 가격 지수 가격 지수

1928 652 7564 503 7065 805 9015 653 7944

1929 862 10000 712 10000 893 10000 822 10000

1930 1003 11636 862 12107 1037 11613 967 11764

1931 1002 11624 845 11868 1020 11422 956 11630

1932 1008 11694 817 11475 947 10605 924 11241

1933 594 6868 504 7079 757 8477 618 7525

1934 671 7784 590 8287 812 9093 691 8406

1935 1004 11647 810 11376 1012 11333 942 11460

lt表5gt 長沙의 米価(石元)

예릉현 물가표를 보면 民國 시기에도 대체로 안정속의 상승세가 지

속된다 청말에서 1921년까지 米価가 급등한 것으로 보이지만 1926년

에서 1936년까지는 안정 속 상승의 추세이다 兩圖 사이에는 가격 단

위의 차이가 있어 직접 접속은 곤란하지만 흐름은 그렇다고 여겨진다

호남성경제조사소 의 조사에 근거한 민국17년(1928)부터 민국24년

(1935)까지의 8년간 米価 기록을 제시한 것이 lt표5gt이다52)

이것을 보면 등락은 있지만 비교적 米価가 안정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上海의 米価도 1912-1928년 사이 407 상승하였는데 1921-1928년

사이에는 154 상승하였다53) 호남성의 米価는 宣統2年-民國元年 3개

년 평균가와 민국 21-23년 3개년 평균가를 비교했을 때 86 상승이라

는 조사도 있다54) 대체로 淸末에서 民國 전기까지는 가격이 급등하고

민국 중기에는 안정 속의 상승이 추세였다고 생각된다

호남성 汝城縣의 물가변동을 보면 우선 지방지 편찬자의 시기 구분

52) 徐正元 上海近代稻米市場価格變動分析 (中國經濟史硏究 1996年 2期)

53) 張人价 앞의 책 p87

54)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 91998)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6

1898年 1935年

소금 56文斤 57斤

洋油 50文斤 64斤

돼지고기 105文斤 30斤 015-020元斤 25-33斤

鷄育 123文斤 26斤

羊肉 117文斤 27斤

茶油 100文斤 32斤 019-024斤 21-26斤 瀏陽가격

면화(中棉) 217文斤 15斤 03-05斤 10-17斤 湘陰 Prime

1898年 中米1石価 (湘報소재 1石 3193文 적용)

1935年 長沙米価 民國25年 刊 通郵地方物産誌 湖南의 長沙靖港米価(担40-60元

의 중간 값 이용) 1石은 1担보다 크므로 실제 米価는 이보다 높을 것임

이 의미있다고 생각된다 同治丁卯志 편찬 이후부터라고 명시하고 있

는데 丁卯年은 同治6년(1867)이다 이후부터 민국21년(1932)까지를 세

시기로 구분한다55) 同光 시기 光宣 시기 民國 시기이다 즉 동치 후

반에서 광서 전반 광서 후반에서 선통 년간이니 광서 후반부터 물가

상승이 컸던 것을 반영한다고 여겨진다 여성현 물가표상 米価 변동을

단순 비교하면 지수는 100 200 400으로 변한다 1930년대 전반의 米

価는 동치 후기에 비하여 약 65년만에 300 상승한 것이다 이것을

신뢰하더라도 앞서 18세기 전후 백년간 물가가 300 상승하였다는 당

시인의 인식과 상승률은 거의 비슷하다56) 장사부 상음현에서도 18세

기 중후반 67년간 米価가 300 상승한 바 있다 예릉현 물가 표상

1878년에서 1921년까지는 米価는 약 458 상승하였지만 1926년에서

1936년까지 10년간은 약 563 상승에 그쳤다 민국 중기는 비교적 안

정속의 상승을 보여 주고 있다 lt표5gt에 제시된 長沙 機米의 8년간

가격도 54 정도 상승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미가의 명목 수치상 등

락을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질 가치를 알아보려면 상대 물가 즉

米1石価의 구매력이 얼마인지를 보아야 한다

lt表6gt 長沙 中米 1石価의 구매력 변동

55) 郭成康 앞의 논문

56) 張麗芬 앞의 책 p270 각주7)에 보면 호남성 1担価는 140-150斤 1898年 長

沙 米価는 1石당 150-155斤임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7

1935년의 長沙 米価는 通郵地方物産誌의 長沙 靖港의 米 1担価를

이용하였다 실제 石은 担보다 크므로 米価는 여기서 잡은 5元을 상회

할 것이라 생각된다57) 같은 자료의 물가를 이용하여 제시한 lt표6gt을

보면 돼지고기 값은 1898년의 30斤에서 1935년은 25-35斤 사이이다

그 범위 안에 있는 것을 보면 米価의 실질 구매력은 유지되고 있다

茶油는 다소 하락하였지만 면화도 유지 또는 상승이라 볼 수 있다

예릉현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돼지고기는 상승 추세 속에 일

부 하락년이 있다 선통 원년과 민국 원년에 수치가 상승한 것은 米価

의 폭등이 기타 물가를 크게 앞지른 것으로 여겨진다 민국 중기에 약

간 하락하였지만 1935년의 돼지고기 구매력은 광서4년(1878)에 비해

67정도 상승하고 있다 茶油의 경우도 민국 10년(1921)까지 米의 상

대 구매력이 대폭 상승하고 있다 이것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米価 변

동을 통해 농민 소득이 하강했다고 여겨지지 않는다

광서4년1878

광서14년1888

광서19년1893

선통원년1909

민국원년1912

민국5년1916

민국10년1921

민국15년1926

민국20년1931

민국25년1936

猪肉 15斤 25斤 22斤 36斤 35斤 23斤 27斤 16斤 28斤 25斤

草魚 34斤 39斤 38斤 57斤 62斤 35斤 - 20斤 32斤 33斤

茶油 12斤 23斤 25斤 27斤 - - 25斤 - ① -

鹽 23斤 26斤 22斤 33斤 62斤 - 42斤

棉花 7斤 16斤 5斤 - - - - - ②

洋紗 - - - - - - - ③

煤油 - - - - - - - 15병 2병 11병

雞 17斤 22斤 20斤 33斤 22斤 19斤 21斤 - - -

史料上 穀価를 lsquo1米2穀rsquo의 원칙에 따라 米価로 환산하였음① 민국 15년(1926)부터는 茶油의 단위가 石으로 되어 있어 비교 곤란② Prime 棉花의 단위가 石으로 되어 있어 비교 곤란③ Prime 羊紗의 단위가 件으로 되어 있어 이해 곤란

lt表7gt 醴陵縣 米価의 물품구매력 변동추세(米1石의 구매력)

57) 刘泱泱 湖南通史 近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p487-488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8

품목

시기

단위

同光

(1870-1890)

光宣

(1890-1911)

民國

(1912-1932)

肉 斤 188 188 175

鹽 斤 60 75 636

洋紗 捆 100 100同光시기洋紗통행안함

土布 尺 100 120 140

洋油 甁 20 10同光시기

洋油 未 盛行

茶油 斤 188 188 175

桐油 斤 214 200 194

柴 750 875

同治丁卯志(1867)편찬 이후라 되어 있어 대략 70년부터 잡은 것이다

lt表8gt 湖南 汝城縣의 穀1石価의 구매력 변동

호남 汝城縣의 穀1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고기는 光宣 시기에

유지되다가 민국 시기에 약간 하락하였으나 근소한 수치이다 鹽의 구

매력은 光宣 시기에 대폭 올랐다가 民國 시기에 하락하였으나 同光 시

기 보다는 높은 수치이다 洋紗에 대한 구매력은 光宣 시기에서 民國

시기에도 계속 유지되고 있다 茶油는 고기와 같은 변화이다 土布에

대해서는 구매력이 계속 증가한다 洋油에 대해서는 民國 시기에 구매

력 감소를 보이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호남의 대외무역은 외국의 공

업품과 농부산품 원료를 교환하는 것인데 고가의 공업품 대신 강제

저가의 수단으로 호남의 농산품을 약탈한다는 견해58)는 약간의 재검

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공업 상품 가격의 翦刀差에 대해서도 洋紗

의 경우를 보면 나타나지 않고 있다59)

이상을 종합하면 同治年間의 高米価 光緖前半(1875-1891)까지의 상

대적 低米価 光緖後半-宣統까지의 高米価 급등 民國前期의 계속 상승

58) 李金錚 二十年來 中國 近代 鄕村 經濟史的 新探索 (歷史硏究 2003年 4

期)

59) 譚文熙 앞의 책 pp298-299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9

品目 洋麵 淮鹽 茶油 桐油 洋油 猪肉 雞 鴨 烟煤 柴煤

단위시기

包 斤 100斤 100斤箱2桶(50斤)

斤 斤 斤 100斤 衡斗

31-310 26兩 56文 73兩 19兩 104文 112文 88文 320文 24文

311-320 26兩 Prime 73 19 104文 128文 88文 320文 24文

321-331 26兩 Prime 73 625兩 189 108文 128文 88文 320文 252

41-410 26兩 Prime 728 628 186 320文 240

411-420 27兩 Prime 728 626 183 254 228

421-430 29兩 Prime 72 616 181 314 260

51-510 293兩 Prime 711 606 178 310 240

511-520 274 Prime 71 60 183 314 240

521-531 26 Prime 71 60 185 314 229

61-610 26 Prime 699 60 185 299 219

611-620 231 Prime 734 61 184 320 255

621-630 22 Prime 754 62 183 311 254

71-710 22 Prime 774 649 183 310 250

711-719 218 Prime 768 631 181 318 265

면화는 上棉 中棉 下棉의 가격이 제시되고 있으나 여기서 생략함

lt表9gt 1898年 3-7月間 長沙物価

民國中期(1926-1936)까지 안정이라는 米価 변동의 궤적을 확인할 수

있고 그 기간 동안 米価의 실질 구매력은 유지 또는 상승이 대체적 추

세였다 생각된다

2 物價 변동

1) 단기 변동

湘報에 수록된 光緖24년(1898)의 長沙 물가 변동을 표시한 것이

lt表9gt와 lt圖5gt이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0

品目 단위 최고가 최저가 시기 유통량 행선지

鴨絨 斤 500 300 冬 上海 北平 天津 南京

일반적으로 米価와 物価는 상호 연동적이라 생각되지만 여기서 물

가의 단기 변동은 米価와는 다소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대체로

등락 폭이 크지 않다 洋油 洋麵 桐油 등의 변동폭이 크지 않다 면화

만 4월 10일 20일 사이에 상승이 있지만 5월부터는 하락하고 있다

淮鹽 가격은 斤당 56文으로 3月에서 7월 사이에 전혀 변동이 없다

長沙지역은 원래 淮鹽 관할 구역이었으나 太平天國 시기에 교통 두절

로 川鹽 소비지역이 되었다 太平天國후 曾國藩이 이 지역을 淮鹽 소

비지역으로 회복하기 위해 여러 가지 개혁 조치를 행하고 督銷局에서

가격을 核定하여 고시하는 牌價 제도를 시행한 바 있다 일종의 통제

가격제도에 의해 가격 상승이 억제되고 있었던 것이다 直隷의 景縣의

소금 값은 1890년에 斤당 46文 1900년에 斤당 68文이라는 조사도 있

다60) 長寧縣에서는 光緖29年(1903)에 鹽価가 斤당 55文이라는 보고도

있는데 이것은 長沙 1898年의 鹽価와 유사하다61)

戰亂後에 淸朝정부의 淮鹽 소비지 회복 정책에도 불구하고 四川鹽

이 계속 私鹽으로 침투하였기 때문에 長沙의 淮鹽価를 저렴한 통제 가

격下에 두고 있었다고 생각 된다62) 圖6)에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柴煤

는 米価와 같이 5月10日에 최고가에 가깝고 6월10일에 하락하고 그후

에 상승하고 있다 烟煤의 경우에도 비슷한 궤적을 그리고 있다 이것

은 米価와의 연동관계가 비교적 분명하다

1935년의 長沙 物価의 단기 변동 폭을 알 수 있는 것이 lt표10gt이

lt表10gt 長沙物価 通郵地方物産志

60) 李文治 앞의 책 p562

61) 譚文熙 앞의 책 p267-268

62) 佐伯富 中國史硏究 第1卷 (京都 同朋舍 1978) pp340-36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1

黑鉛 石 2200 1300 全年 50000石 漢口上海

棉紗 件 22000 1800 Prime 24000件 本省

棉布 疋 120 150() Prime 1000000 漢口

麵粉 袋 50 250 Prime 140000 Prime

線襪 雙 106 Prime 6000000 本省

毛呢鞋 Prime 200 180 Prime 400000 Prime

夏布 疋 1000 200 夏 20000 上海漢口

火柴 箱 500 300 全年 10000 本省

刺繡 Prime國內및外洋

매년 産量 약50만元

玻璃器 件 300 200 Prime 9000 本省

肥皀 箱 70 50 Prime 30000 Prime

絲綿三角 兩 040 020 Prime 40000 Prime

國貨電池 打 060 040 Prime 200000 Prime

猪 斤 020 015 Prime 50000只 漢口上海

豬毛 担 6000 5000 Prime 4000kg Prime

粗窑器 卡 350 250 Prime 100000套 長江연안

毛筆 支 050 020 Prime 本省 및 황하 각성

여기서 보면 변동폭이 100 이상인 것은 면포 夏布 絲線三角 毛

筆 麵粉 등이다 또 50 이상인 것은 鴨絨(가공오리털) 667 흑연

692 火柴(성냥) 667 玻璃器(유리그릇) 50 국산 電池 50 등이

다 비누는 40 粗窰器는 40이다 棉沙 222 毛呢鞋는 111 돼

지 333이다 단기 변동 폭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고 생각된다 이

것은 이런 물품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성이 크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그런데 1898年의 경우는 茶油 洋油 등 물품의 가격 변동폭이 적은 것

은 무엇 때문일까 어쩌면 당시의 시장 가격 조사가 부정확했는지도

알 수 없다

1935年의 물가에서 綿沙의 변동폭이 적은 것은 당시 항상적인 수요

가 있었기 때문이 아닐까 비누의 변동폭도 40로 비교적 적은데 생

필품으로 수요가 지속 증대된 까닭이 아닐까 한다 通郵地方物産誌에 기재된 醴陵縣 夏布 가격은 40元-100元 사이인데 民國醴陵縣志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2

圖5) 1898年 3月-7月 長沙物價

의 物価表上에는 70元(1938)이라 되어 있다 物産誌 가격은 1935年

의 것인데 예릉현지의 가격이 그 범위 안에 있어 서로 다른 자료간에

부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63) 物産誌 上 相潭株洲의 茶油 값

매 石 160-240元(1935)은 예릉현지 물가표의 민국 20년(1931) 茶油 매

石 240元과 일치하고 있다 표12)에 1936年 煤油 값은 병당 44元이다

그런데 民國 安鄕縣志에서도 1934년 煤油 값은 병당 38元으로 되어

있어 兩者 사이에 유사성을 보여주고 있다64) 그러므로 醴陵縣志 物価의 종적 비교도 신뢰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洋麵은 包당 가격

茶油桐油洋油는 100斤당 가격

棉花 100斤당 가격

2) 장기 변동

長沙의 물가 변동을 보려면 湘報 수록의 광서 24年(1898) 물가와

63) 交通部郵政總局 編 中國通郵地方物産誌 (華世出版 1988)

64) 民國 安鄕縣志 卷11 食貨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3

품명 단위광서4년

(1878)

광서14년

(1888)

광서19년

(1893)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

(1912)

민국5년

(1916)

민국10년

(1921)

豬肉 斤 88文 63 62 112 160 240 280

雞 斤 80 72 68 120 250 300 360

lt表12gt 醴陵縣 物価表 (b) (商会조사)

품명 단위민국15년(1926)

민국20년(1931)

민국25년(1936)

민국27년(1938)

민국28년(1939)

민국29년(1940)

민국30년(1941)

猪肉 百斤 200원 170 200 360 400 561 1300

草魚 Prime 160 150 150

茶油 石 240 290 560 760 2000

鹽 石 120 140 150 160 2000

洋紗 件 2200 2200 2400 2000 2500 1500

土布 匹 27 70

夏布 Prime 70 70 140

竹布 Prime 100 100 8000

棉花 石 20 25 40 100 200 400

煤炭 石 020 030 040 050 230 70

煤油 甁 220 240 440 90 300 460 200

毛邊紙 石 198 432 1200

黑靛粉 桶10斤 100 200 1500 2000

赤金 兩 50 70 80 90 500 560 1600

lt表11gt 醴陵縣 物価表 (a)(私家數簿에 의한 것)

民國24年(1935)의 通郵地方物産誌 기록을 직접 비교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양 자료 사이에 화폐와 단위가 서로 달라 직접 비교할 수가 없

다 그래서 당시인의 물가 변동 기록인 長沙府 醴陵縣 物価表를 이용

하는 것이 파악 방법이 될 것이다

lt표11gt lt표12gt 와 lt圖6gt lt圖7gt을 보면 개별 물품에 따라 차이

는 있지만 대체적인 흐름은 米価 변동과 유사한 궤적을 보여주고 있

다 즉 光緖 前半에 비교적 안정적이다가 光緖 후반부터 급상승하여

민국 전기까지 상승하고 있다 1926년부터 1936년까지는 가격 안정세

를 보여 주고 있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4

雞蛋 個 2 2 3 4 10 15 20

草魚 斤 40 40 36 70 90 160

茶油 斤 116 69 54 150 300

鹽 斤 60 60 63 120 90 180

煤 石 50 120 50

苧麻 斤 270 99 170

棉花 斤 200 96 280

竹布 尺 70 62 60 60 90

靑洋布 尺 55 50 50 70

白蓮紙 刀 40 82 80 100

-附記 前淸 통행 制錢文으로써 단위 민국 초년에는 비록 銅元을 단위 사용하나 관습상 매 1銅元은 錢10文에 해당

圖6) 醴陵縣 物価 (a)

① 豬肉 斤당 가격 ② 雞肉 斤당 가격 ③ 茶油 斤당 가격

④ 鹽 斤당 가격 ⑤ 棉花 斤당 가격 ⑥ 草魚 斤당 가격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5

圖7) 醴陵縣 物価(b)

① 猪肉 百斤당 가격 元 ② 草魚 百斤당 가격 元 ③ 茶油 石당 가격 元

④ 鹽 石당 가격 元 ⑤ 洋紗 件당 가격 元 ⑥ 棉花 石당 가격 元

⑦ 煤油 甁당 가격 元

米価가 物価와 연동되는 것에 대해서 江都縣史料를 보면 ldquo産米 구역

에서 年末에 米価가 상승하니 百物이 昻貴했다rdquo65)라고 되어 있다 湖

南지역 米価 연구 자료에도 米価 추세는 거의 물가 수준과 같다는 주

장이 있다66)

光緖末宣統年間의 물가 상승을 나타내는 史料를 보면 다음과 같다

이제 각종 惡政의 결과로 百物의 騰貴를 초래했는데 小民의 日用 수요

65) 李文治 앞의 책 p470 ldquo江都爲産米區域 年末米価騰踊 百物因以昻貴rdquo

66) 張麗芬 앞의 책 p22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6음식은 그 가격이 십년 전에 비해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과 居室 器用

蔬饌의 비용 牛種糞漑의 비용도 예전 보다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도 비록

동일 비례로 함께 올랐으나 이미 넉넉하지 못해 괴롭다67)

이것을 보면 米価와 物価가 연동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청말

특히 光緖 후반 이후에 각종 物価가 두 배 올랐다는 사정을 알 수 있

다 上海의 物価도 같은 시기에 상승하고 있다68)

lt표11gt lt표12gt와 lt圖67gt을 검토해 보면 돼지고기 값은 광서 14

년 광서 19년까지는 다소 하락세를 보이다가 宣統원년(1909)부터 급격

히 상승하고 있다 민국원년(1912)의 가격은 160文으로 1878年의 88文

에 비해 거의 두 배에 해당한다 위에 인용한 宣統 2年 8月 國風報의 물가 두 배 인상과 정확하게 부합되고 있다 민국 전기인 1926년까

지 계속 상승하고 있지만 1926년에서 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이고 있

돼지고기 값은 1878년-1909년 사이 273 상승했고 1912-1921년 사

이에 75 상승했다 닭은 각기 50와 44 상승했다 계란은 100

100 상승이었다 淸末 비교 시기는 31년간인데 비해 민국 전기는 9

년간에 불과하다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가 급등한 것은 충분히

알 수 있다 1926년에서 1936년 10년간 돼지 값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거의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이었다

民國 醴陵縣志에도 ldquo辛亥혁명이전에는 물가가 심한 등락이 없었는

데 민국 후에 들어와서 차츰 상승했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69) 圖6)을 보

면 닭고기도 비슷한 궤적을 보이고 있다 草魚의 경우도 청말 민국전

기는 상승이 주요 동선이고 민국 중기(1926-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

67) 國風報 第1年 21期 宣統 2年 8月 (李文治 앞의 책 p561) ldquo今也以種種惡

政之結果 以致百物騰踊 小民日用 飮食所需 其価皆視十年前兩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居

室器用蔬饌之費 牛種糞漑之費兩倍于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雖以同一比例以俱騰 旣苦不

給矣rdquo

68) 岸本美緖 앞의 책 p443

6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物價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7이고 있다 譚文熙 物価史에는 민국 전기는 안정속의 상승세로 민국

중기는 파동속의 상승으로 정리를 하고 있는데 여기와는 약간의 차이

를 보이고 있다70) lt표11gt과 lt표12gt 사이의 화폐 단위 차이로 인한

연속적 파악에 다소 어려움이 있으나 대체의 추세는 짐작할 수 있다

또 품목에 따라 공란이 있어 연결 관계가 애매한 부분이 있다 1936년

이후는 중일 전쟁의 혼란과 불환지폐의 강제 통용 등의 사정으로 本考

에서는 분석 대상 범위에서 제외 하고자 한다

Ⅱ 物價 변동의 원인

1 수요 측면

米価와 物價가 상호 연동관계에 있고 넓은 의미에서는 米価도 물가

의 일부이다 米価 및 물가의 상승은 우선 수요의 증가에 원인이 있다

고 할 것이다 수요증가는 일반으로 인구 증가이다 湖南의 인구는 嘉

慶21年(1816) 18754259명에서 1898年 21174000명으로 다시 民國17년

(1928)에는 31501212人으로 비약적 성장을 하였다71) 약 110년 동안

인구가 1300만 가까이 증가하였고 비율로는 679가 증가하였다 長沙

府의 인구도 가경 25년(1820)에서는 4290086명이었는데 민국23년

(1934)에는 8421330명으로 약 400만명 이상 증가하여 963 상승을

보이고 있다72)

인구의 증가가 수요 증대를 초래하는 일반 요인이지만 湖南의 米穀

移出이 해당 지역 민중의 식량을 제외하고 남는 잉여 米만은 아니다

70) 譚文熙 앞의 책 pp302-307 여기서는 민국 전기는 1912-1927년 민국 중기

는 1927-1937년으로 구분하고 있다

71) 湖南省志 地理志 (長沙 湖南人民出版社 1982) pp230-238

72)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8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의 증대가 더 중요한 요인일 것이다 淸末에

와서 새로운 생업을 통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가 많이 증가하고

있는데 醴陵縣 사례를 한번 검토해 보겠다 史料는 다음과 같다73)

同治志에 이르기를 醴陵의 풍속은 lsquo安土重遷rsquo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상인이 外地에 나

가 장사하는 이가 적었다 배를 이용하여 외부 상업을 하는 것은 淥口 부

근의 米穀商일 뿐이었다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邑人들이 茶제조로 武漢에 판매하는 자가

이익이 배가 되었다 이때부터 龍門일대에 매양 봄에 茶를 제조하고 가리

는 廠이 항상 수십이었다 光緖末年에는 도자기업 夏布 編爆이 일어나서

대신하였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이를 믿고 생계를 삼는자가 무려 십만인이다

同治志 편찬 단계만 해도 사람들이 토착 안주하여 멀리 이동하는

것을 어렵게 여겼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큰 이익을 보고 그

후 도자 기업 夏布 編爆 제조에 종사하여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나 되었다는 것이다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의 성장을

보여주는 것이다 長沙의 빠른 도시화도 주목된다 長沙日報에 실린

내용을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74)

光緖32년(1906)에 火災 조사시에 城廂 내외가 매일 식량으로 穀 5000

石이 필요하였다 지금 교통이 편리하고 상인 旅客이 배로 증가하였으니

매일 마땅히 1-2000石을 더해야 한다(宣統 2年(1910) 2月 17日 長沙日

報)이것을 보면 光緖32년(1906)에서 宣統2년(1910)은 불과 5년이 채 되

지 않는데 상인 집단이 배로 증가하였다니 城內外의 유동인구 급증을

짐작할 수 있다 長沙城의 인구는 1916年에 177882人이었고 1931年은

385514人으로 증가하였다 불과 15년 사이에 1167 증가이다 배 이

73)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ldquo同治志云 醴俗安土重遷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商賈外

貿者少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揚帆外貿則 僅淥口附近之穀米商而已 光緖初 紅茶業興 邑人製茶

販運 漢皋者 獲利倍蓰自是來龍門一帶 每屆春日 製茶捒茶列廠恒數十 訖於光緖

末年 則有瓷業及夏布編爆起而代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恃以爲生者 無慮 十萬人rdquo

74) 李文治 앞의 책 p551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9상이 증가하였으니 長沙의 도시화도 급속히 진전 되고 있다75)

민국10年의 湖南 實業雜誌 보도를 보면 당시 長沙에 蓆工 500人

刻字工 300人 방직공 3200人 이발공 800人 香工 400人 합계 5200人

이 있었다 長沙大公報에 의하면 민국9년(1920)에 長沙에는 부두공

2600人 糞夫 500人 轎夫 1300 車夫 2300人으로 합계 7000人 정도

가 있었다76) 같은 시기 호남성의 광부가 160萬人이고 여기에 手藝工

苦力을 합치면 190만 전후였다고 한다 예릉현에서는 東鄕 일대에서

編爆業 종사자가 수만이고 東北兩鄕에서 磁廠의 女工도 수천이나 되었

다는 기록도 있다77) 湖南 邵陽縣에서도 淸末에 工匠이 5만 상인이 12

만 정도였다는 통계도 있다78) 이렇게 비농업 인구가 다른 생업을 통

해 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로 증가하고 있던 것이 확인된다 이런 유

효 수요 증가를 설명해 주는 다른 史料 하나를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

다79)

어째서 米穀이 날로 적어지고 날로 비싸지는가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水旱災가 날로 많고 농사짓는데 날로 게으르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말은

진실로 일리가 있는데 다 그런 것은 아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선교사 洋商 洋官 洋

兵은 증가한 것이 외국에서 온 사람이다 敎民 游民 賭民 盜民은 內地

에서 증가한 자이다 무릇 농사짓는 사람은 하나인데 먹는 자는 헤아릴

수가 없다 米穀이 어찌 비싸지 않을 수 있겠는가

光緖後期의 사정을 전하고 있는 위 史料를 보면 외국에서 온 선교

사 상인 군인 관리 등도 米価 상승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국내

외를 막론하고 비농업 인구의 급격한 성장이 米価 상승의 원인이라 생

각된다

湖南과 長沙의 米穀은 해당 지역 안에서 소비되는 것보다 揚子江

75) 張朋園 中國現代化的區域硏究 -湖南省 (台北 1998) p376

76) 위의 책 pp412-413

77)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農業經濟

78) 光緖33年刊 邵陽縣鄕土志 권2 인류 실업

79) 李文治 앞의 책 p77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0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많다 청말민국시기에도 지속적인 湖南米의

移出이 있었던 것은 이미 밝힌바 있다80)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穀

米가 騰貴한 이유가 外省의 采辦이 많은 때문이라고 하고 있다81) 상

담현에서도 동치 4년(1865)이전에 해마다 풍년이었는데 穀価가 까닭

없이 騰貴한 것은 江南이 처음 회복되어 米穀의 販運이 많아진 때문이

라고 하고 있다82) 1898年에도 長沙에서 米穀의 원거리 送出을 바라는

지주 富戶와 주민의 갈등 관계가 노출되고 있다83) 宣統2年(1910)의 기

록에도 湖北의 흉년으로 出境 米穀이 과다하여 米価가 급등했는데 작

년 末에는 1石5000文이었다가 금년에는 1石 8000文에 이르렀다는 내

용이 있다84) 같은 자료에 湖南米가 당도 하지 않으면 武漢에서 변란

이 일어난다고 할 정도이다

하류의 上海는 한적한 어촌에서 근대에 대도시로 성장하였다 武漢

上海등의 도시화와 상공업 발전 인구 집중은 長沙米의 급격한 수요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宣統 년간에 長沙가 전국적인 4大 米市의 하나

로 성장한 것은 우연한 일은 아니다85)

근대에 대외 교역증가가 물가 상승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생각된

다 1873년에서 1930年 사이에 농산물 수출 통계는 1910년을 100으로

했을 때 1873년은 12 1893년은 123 1903년 386 1920년은 1324

1930년은 2709로 급상승하고 있다86) 농산물의 수출은 해외 수요의 증

가이다 이런 교역상 수요 증대는 가격의 등귀 뿐 아니라 작물 재배

면적의 확대에도 기여하고 있다

80)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81)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20

82) 光緖6年刊 湘潭縣志 卷29 災祥志

83) 湘報 89號 長沙縣職員常達邦呈批

84) 李文治 앞의 책 p381

85) 徐正元 中國近代農産商品化的發展與米市的形成 (復印報刊經济史 1997年3期)

86)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권2 p14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1宣統2년(1910) 長沙에 영국 상인이 출현하여 米穀 구매를 단행하자

米価가 하루에 여러 번 급등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였다87) 湖南에서

는 또 광동 상인의 영향을 받아 紅茶 제조법을 습득하여 홍차를 대량

생산하여 구미에 수출하였다 19세기 60년대부터 20세기 초에 특히 호

남 茶 생산 판매가 극히 발달하였다88) 주요 산지 중에는 長沙 湘潭

安化 등이 손꼽히고 있다

桐油의 수출 또한 괄목할 만한 것이다 湖南의 桐油 수출은 1922년

전국의 3336 1923년은 372로 성장하였다 1929년에는 全省 수출

총액의 45 정도를 차지하였고 桐油 상품화율 80에 달하였다89) 대

외교역을 통한 농산품의 해외 수요 증가는 직간접으로 물가 상승에 작

용하고 있다

2 화폐 문제

물가와 화폐의 관계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통상 화폐 수량의 증가가

생산총량의 증가보다 초과할 때 물가상승이 일어난다90) 보통 淸 후기

에는 아편무역에 따른 銀의 해외 유출과 그 결과 야기된 lsquo銀貴錢賤rsquo 현

상 통화팽창에 의해 물가가 상승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91)

실제 淸末民國기에 걸쳐 통화 팽창과 물가 상승에 대한 기록을 찾

는 것은 어렵지 않다 王業鍵에 의하면 淸末 특히 1875年부터 1911年

까지는 인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단계였다고 한다92)

民國 寧鄕縣志에 보면 ldquo光緖29年(1903)에 처음으로 當十銅元을 주

87) 李文治 앞의 책 p550-551

88) 劉泱泱 앞의 책 p46

89) 宋斐夫 主篇 湖南通史 現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5 p276

90) 陳民 法幣發行制度與通貨膨脹 (復印報刊經济史 2001-1)91) 龔勝生 앞의 책 pp275-280 岸本美緖 앞의 책 p444 張麗芬 앞의 책

p217

92) Yeh-chien Wang Secular Trends of Rice in the Yanzi Delta 1638-1935(California Univ Press 1992)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2조하여 전국에 통용시켰는데 물가의 등귀가 이때부터 시작되었다rdquo는

기록이 있다93) 醴陵縣에서는 光緖32年에 當十銅元을 주조하여 制錢과

병행시켰고 宣統원년에 銀元이 이미 성행하였다 민국원년에는 當二十

銅元을 주조하였는데 雙銅元이라 칭하였다94) 영향현에서도 광서말에

私鑄錢인 毛錢이 나오고 지폐가 통용되는 등 통화팽창이 상업을 일변

시켰다고 한다95)

종전에 비해 실질 가치가 열악한 當十 當二十 등 銅元의 남발과 鈔

票의 성행은 화폐 시장의 과잉을 초래하였다 정식의 鈔票 이외도 각

현 발행의 私鈔와 錢莊에서 발행한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시중에 범람

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민국 시대에는 화폐 남발이 더욱 심하였다 호

남은행을 비롯한 저축은행 농업은행 등이 각기 각종 지폐를 발행하여

혼란이 가중되었다 1915년에 호남의 은행은 33개인데 그 중 장사현 7

개 상담현이 7개였다96)

군벌들이 은행을 개설하거나 질 낮은 화폐 통용을 강제하는 등의

혼란이 민국시기 특징 중의 하나이다97) 화폐 시장에는 銀元 銀角 銅

元 지폐와 鈔票 市票등 유사 화폐까지 복잡middot혼란의 양상이 나타나고

결과적으로 물가 상승을 피할 수가 없었다

선통2년(1910) 격렬한 米価 騰貴가 있었고 長沙에서 대규모 搶米 폭

동이 일어났는데 이것은 단순한 흉년때문이 아니고 銅元 남발 등 화폐

제도 혼란에 기인한 것이었다98) 1880년대 초부터 1920년대까지는 인

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시기로 매년 33 비율로 상승하였으며 1930년

총 화폐보유고는 60억 원에 달했다 반 세기간 화폐 공급은 8-10배 증

가하였다99)

93)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ldquo光緖 二十九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始鑄當十銅幣 通

行全國 物価之踊始此rdquo

94) 民國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95)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財用錄 상업

96) 張朋園 앞의 책 pp258-259

97) 宋斐夫 앞의 책 pp10-12

98) 岸本美緖 앞의 책 p51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3

時期 銀(兩) 錢(文) 出典

乾隆 嘉慶년간 10 1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道光 初(1821) Prime 1300-1400 Prime

Prime 18年(1838) Prime 1400 林則徐湖廣奏橋 권3

Prime 25年(1845) Prime 2000上下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Prime 末年(1850)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咸豊 元年(1851) Prime 2000 民國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咸豊 初 Prime 2300-2400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8 부역

咸豊 3年(1853) Prime 20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5年(1855)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Prime 6年(1856) Prime 2000 湖文忠公遺集 권12

Prime 7年(1857) Prime 1600 骆文忠公奏議 권7

Prime 8年(1858) Prime 1400 胡文忠公遺集 권85

Prime 10年(1860) Prime 1300-1400 胡文忠公遺集 권70

同治 2年(1863) Prime 13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7年(1868) Prime 1300-1400 李瀚章 瀝陳湖北等省漕務

Prime 10年(1871) Prime 1600-1700 同治10年 長沙縣志 권8 부역 錢法

光緖32年(1906) Prime 1600 長沙日報 宣統2年 2月27日

선통 2年(1910) Prime 1700 國風報 宣統2年 3月 21日

표 지방지에서 직접 採錄제외는 龔勝生 淸代兩湖農業地理 pp270-277에서 湖南부분을 발췌하여 再引用한 것임

表13) 湖南의 銀錢比値

그런데 아편전쟁 전후 銀의 과도한 해외 유출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이

초래되고 이것이 물가 상승의 주요인이라 생각되고 있는 데는 약간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表13)을 보면 銀錢比価가 일시적으로 상승하였다

가 다시 하강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은전비가는 지역에 따라 차

이가 있지만 호남 장사를 위주로 정리한 것이 표13)이다100)

99)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0) 邱思達 中國近現代鑄幣圖說 (北京 中國書店 1991) p109 참조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4

주목되는 것은 道光末에서 咸豊初에 일시적으로 상승하였지만 淸末

의 比価가 낮은 편에 속하는 현상이다 청말에 은전비가가 비교적 안

정되고 있는 것이다 아편전쟁 후 5항 개항으로 교역이 확대된 상황에

서 아편무역 증대에도 불구하고 차와 silk 수출에 힘입어 은의 순유입

이 오히려 증가되는 현상이 나타났던 것이다101) 또 光緖17년(1891)이

후 세계 銀価하락 현상으로 은유입이 증가되었다102) 19세기 후반 중

국이 세계 사회에 연결되면서 중국의 무역 적자에도 불구하고 淸 정부

에 대한 대량 차관과 자본 투자를 통해서 거대한 양의 銀이 중국에 유

입되었다 1871년에서 1913년 사이 은의 순 수입은 2억 4천만 海關兩

혹은 3억 6천만 銀달러로 추정되고 있다 세계 시장의 은가 하락과 은

의 대량 유입은 중국의 국내 시장에서 물가 상승을 유도한 것이다103)

이런 배경으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은 일시적인 것이고 청말민국기 전체를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민국 시기에는 銀元과 錢의 교환 비율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은의 유입 현상에도 불구하고 宣統 원년 11150文의 비율에서 민국6년

2250文 민국11년 2840文 민국17년 3500文 민국22년 7200文까지 급등

하고 있다 예릉현의 기록이지만 이것으로 청말보다 민국시기에 통화

팽창현상이 극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4)

銀과 錢이 주요 화폐이고 그 환율이 항상 문제가 되고 있지만 주로

청 후기 이후는 錢文 위주의 경제로 바뀌고 있다고 생각된다 長沙府

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면 대부분 道光 이후는 화폐를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淸 前期는 米価를 銀으로 표시하던 것과는 대조적이

다105) 예릉현에서는 민간에서 세금을 납부하거나 大宗무역을 할 때를

101)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2) 邱思達 앞의 책 pp92-93

103)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4)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10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光緖3年刊 善化縣志 同治13年刊 湘鄕縣志 光

緖15年刊 湘潭縣志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民國37年刊 醴陵縣志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5제외하고 紋銀 사용자가 거의 없다 도광 이후 교역시 대부분 錢文을

사용했다는 기록을 보면 淸 後期는 錢 경제 위주로 넘어간 것 같

다106) 세금을 낼 때 외에 銀錢이 필요 없는 일반민은 錢文 사용권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너무나 당연하다

함풍4년에 長沙에서 大錢을 주조하여 통용시켰으나 결국 시장의 신

뢰를 얻지 못하여 퇴출되고 말았다 1854년 7월에 주조를 시작하여

1855년 4月에 주조를 정지하였다107) 이것을 보면 통화 남발도 결국

시장의 제약을 받고 있다

민국 7년(1918) 3月 張敬堯가 裕湘銀行을 개설하여 銀元票 1000만元

銅元票 3000만元을 발행하였다 그 결과 시장은 혼란에 빠지고 시중금

융은 마비 상태가 되었으며 결국 裕湘銀行 발행의 惡幣는 폐지와 같이

되었다108) 권력에 의하여 통화 팽창이 시도되더라도 시장이 감당할

수 없는 지경이 되면 중단될 수밖에 없다 과도한 통화 팽창은 시장의

질서에 의해 어느 정도 제약 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예릉현에서도 光緖 년간에 錢莊 24곳이 출현하여 盛業을 누렸는데

民國7年(1918) 兵禍로 停業하는 곳이 많아졌고 정부의 통화 남발 화폐

가치 하락 금융혼란의 현상이 나타났다109) 민국18년(1929) 이후는 정

국이 안정되고 교통 편리로 百業이 진흥되고 은행이 역할을 하게 되었

이상에서 보면 淸末까지는 은전비가가 안정되고 통화 관리가 어느

정도 성공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光緖 宣統 시기에 銀元의 주조 외국

銀貨의 대량유입 當十銅元 등 주조로 통화팽창이 많이 되었고 이시기

물가 상승과 연관되고 있다 민국 초기에도 정국 혼란과 무계획적 통

화남발로 물가의 급등을 초래하였다 민국 중기에는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것 같다

106) 龔勝生 앞의 책 p279

107) 劉泱泱 앞의 책 pp150-155

108) 宋斐夫 앞의 책 pp10-11

10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6영향현에서도 민국 21년(1932) lsquo穀賤錢荒rsquo의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

다110) 청말민국기에 전반적으로 화폐량의 증가가 현저했던 것은 사실

이다 다양한 화폐의 등장 銀兩 銀元 銅錢 銅元 외에 외국 銀元의 유

입 그 외 鈔票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출현하였으며 양적인 팽창도 분

명하다 하지만 대외 교역 증가와 경제 활동 인구의 증가 유통 상품의

양적 증가에 의해 시장의 화폐 수요가 증대된 것도 사실이다 통화 발

행은 일차적으로는 경제 주체의 수요에 부응하는 것이지만 그것이 과

도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3 공급기타 요소

물가는 기본적으로 수요공급의 관계에서 결정되는 것이 원칙이다

청말민국기에 걸쳐 인구가 급증하여 물가가 상승한 것은 자연스런 일

이다 그러나 물가 상승률 면에서 청말의 경우가 18세기의 증가율에

비해 크다고 할 수 없다 물가 상승률을 억제하면서 비교적 안정 속의

상승을 할 수 있었던 것은 공급의 증가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청말민국기에 湖南米의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 현상이 지속된 배경

에 비약적인 경지 면적 확대와 새로운 품종 개량 시비법 발전 등 농

업 생산 증대가 있었다는 것은 이미 밝혀진 바 있다111) 米穀 공급의

증대가 물가 상승을 완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雜糧 재배가 同治

(1862-74) 년간에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민중의 식량 문제 해결에 기여

하고 米価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던 것을 城步縣 知縣 盛溢源을

통해서 알 수 있다

洋米 수입이 國産米의 보충 역할을 했다는 지적이 있지만 결국 시

110) 民國30年刊 寧鄕縣新志 전1 縣年記

111) 田炯權 淸末民國期 湖廣地方의 農業生産力과 生産關係 (慶南史學 7

1995)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2001)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

究 25 200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7장에 대한 미곡 공급을 증대시켜 가격 안정에 기여했다고 생각된

다112)

민국 시대 관련 사료를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113)

금일 정세를 보면 국내 米価의 등락은 결코 國産米의 생산량이 많고

적음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외국 産米 구역의 풍년 여부에 따라 영

향이 대단히 크다

이것을 보면 洋米 수입이 國産米価를 조절한다고 볼 수 있다 비슷

한 시기 上海에서도 湖南米가 수입 米의 영향으로 가격이 약간 적게

올랐다는 史料도 있다114) 湘報에도 日本米가 수입되어 중국의 米価

가 차츰 내려갔다는 기록이 있다115) 같은 湘報에 보면 ldquo외국물산이

날로 풍부하여 중국 상품의 판로를 막는데 서양 상품의 가격이 낮으면

중국 상품 가격이 홀로 증가할 수 없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116) 결국 洋

貨도 중국에서는 시장에 대한 상품 공급의 증가이고 이것이 상품 가격

상승을 억제하고 있는 것이다 같은 자료에 중국의 土藥이 널리 판매

되니 외래 洋藥의 가격이 폭락한 사정도 소개되고 있다117)

또 洋蠟의 수입으로 국산 白蠟 가격이 매 100斤 200元에서 100元으

로 폭락한 일도 있었다118) 1921년 독일 면화가 대량 수입되어 중국의

綿価가 하락한 일도 있다119) 光緖년간 부터 중국이 綿紗 생산을 개시

하자 華商과 洋商사이에 가격 경쟁이 시작되었다 수입 綿布도 洋商이

國産布와 경쟁하기 위해 가격을 낮추어 공급하였다120)

112) 王良行 淸末對外貿易的關聯效果(1860-1911) (近代中國對外貿易史論集1997)

113)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卷3 p413

114) 위의 책 p416

115) 湘報 제45호 p1419

116) 湘報 제13호 ldquo外洋之出産日盛 足以抵華貨之銷路 洋価低則華貨不能獨增rdquo

117) 湘報 제162호 p1608

118) 章有義 앞의 책 권3 p662

119) 譚文熙 앞의 책 p342

120) 譚文熙 위의 책 p368 p374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8상인의 가격 조종이 물가 변동에 하나의 요소는 될 수 있다 예릉현

의 土資 판매에 있어 객상의 가격 조종에 저항하기 위해 주민들이 公

司를 조직하여 가격을 바로 잡았다는 기록도 있다121) 지주 부농 米商

등의 매점매석에 의한 가격 조종 사실은 흔히 발견된다122) 秋收期에

시장에 대량 방출된 곡식을 저렴한 가격에 매입하여 端境期에 되팔아

이익을 남기는 것은 상인의 오래된 관행이다 이윤 추구를 위한 개인

의 행위지만 넓게 보면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행위이기도 하

다 각지 농산품 가격 변동 조사에서 원인이 밝혀진 10건 가운데 전쟁

이 2건 豊凶 水旱災가 7건 상인 조종은 단 한 건 뿐이었다123) 제국

주의 상인에 의한 가격 조종이라는 것도 결국 중국 상인의 이윤 추구

행위와 본질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湘報의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124)

輪船이 이미 통행하고 있고 철로가 이미 만들어 졌다 제조업이 날로

번성하고 통상조약이 행해지니 상인이 계속 내왕하고 온갖 상품이 유통

된다 사계절 틈이 없으니 일용 각 물품이 그 가격이 반드시 저렴할 것

이다

이것을 보면 통상 개시 후 교통이 발달하고 상품 교역이 증대된다

는 것과 그 결과 일용품의 가격이 저렴해졌다는 것을 당시인이 인식하

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서방 각국과의 무역 증대는 상품 공급의 증가

이고 가격 경쟁을 통해 물가 상승을 완만하게 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

121)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22) 李文治 앞의 책 p559

123)湘報 제49號 ldquo輪船旣行 鉄路旣造 製造日盛 商約可行 商賈絡繹 百産流通

歲時無間 則日用物品 其価必廉rdquo

124) 安本美緖 앞의 책 제7장 pp239-288 제12장 431-455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9

Ⅲ 物價와 景氣(생활)

1 穀賤傷農과 不況

物價 문제를 단순히 등락의 흐름에만 주목하기보다 경기변동론적

입장에서 好況 不況의 문제로 연관시켜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

이다 岸本美緖는 康熙年間의 lsquo穀賤rsquo 현상이 不況과 연결되어 있고 光

緖年間 蘇州의 不況도 lsquo穀賤rsquo이 원인이었음을 지목하고 있다125)

그런데 長沙府 중심의 湖南의 사정을 검토해 보면 lsquo穀賤rsquo 관련 기록

이 道光 咸豊 시기와 民國 中期에 집중되고 있다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26)

道光 25年(1845) ldquo穀賤斗穀錢五十文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値穀賤錢価亦賤 民甚苦之rdquo

장사현과 縣治를 長沙城 내에 두고 있는 善化현에서도 같은 해에

비슷한 기록이 있다127)

道光25年 穀賤自十五年起 連年俱穀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中下戶苦之

咸豊5年 穀賤

장사현 기록을 보면 穀価도 싸고 錢価도 싸서 민이 고통 받는다 했

으니 이 당시 은의 해외 유출과 은전비가 문제로 민중이 고통 받은 사

실을 알 수 있다 선화현은 장사현과 연접하고 통합과 분리가 단속되

었던 거의 동일 지역이다 선화현 기록을 보면 도광25년의 lsquo穀賤rsquo이 해

당년도만의 일이 아니고 道光15年(1835)부터 계속된 현상임을 밝히고

있다

12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33 祥異

126)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127) 民國30年刊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0인근의 寧鄕縣에서 보면 ldquo道光26年 歲豊 穀奇賤傷農 佃農以穀賤大

困rdquo이라는 기사가 있다128) lsquo穀奇賤rsquo이라 하였으니 평상시 보지 못한

하락이었다고 생각된다 더구나 소작료 납부가 대부분 현물지대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佃農은 米穀의 상품화 과정에서 배제되었다는 종전의

통념과 달리 佃農도 곡가 하락으로 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같은 기록에 함풍원년에도 ldquo有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以穀賤漕折苛rdquo라 하고 있어

역시 곡가 하락으로 세금 납부에 곤란을 겪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장사부 內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아도 同治 년간에는 lsquo穀賤rsquo 기

재가 보이지 않고 전술한 도광 함풍 년간에 집중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후의 기록을 찾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ldquo湖南自夏秋以來雨暢時若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故無論高低田畝咸稱大稔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甚

賎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反有入不敷出之慨矣rdquo (益聞錄 69号 광서6년828)129)

ldquo(長沙農村) 近年來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穀米求售 価値至賤 日用各物 則又極昻 收穫所

得 不足顧其工本 多已漸陷于無力耕種之境rdquo (新靑年 7권 6호 1920년 5

월)130)

ldquo湖南近年來之天災人禍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天災旣足以減少收量 地方不靖 産品滯銷

価値復因以低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而生活日昻 工価及日用物品 繼續增漲 收入支出 常苦

不得平衡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rdquo (中國棉産改進統計會議專刊 1931)131)ldquo湘省爲産穀素豊之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年歲收 屢佔大有 而長江流域亦値豊收 更

有大宗洋米 運貨傾銷致湘米頓失市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価格低賤 不僅農村經濟 陷于絶

境 市面金融 亦大受打擊rdquo (銀行週報 18권 9기 1934313)

이외에도 1936年의 사실로 호남의 武岡 東安 일대에서 lsquo豊年穀賤rsquo으

로 省城에 운반할 때 운송비와 각종 捐稅 부담을 감당할 수 없어 陳米

를 불태웠다는 기록이 있다

128) 李文治 앞의 책 p557

129) 章有義 앞의 책 권2 p432

130) 章有義 앞의 책 권3 p795

131) 章有義 위의 책 p620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1이것을 보면 주로 1930년대에 lsquo穀賤rsquo과 不況이 집중 묘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lsquo穀賤rsquo 즉 불황이라고 하면 도광함풍초의 곡천과 불

황 同治光緖宣統期의 lsquo穀貴rsquo즉 好況 다시 民國 전기의 好況 民國 中期

의 불황으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물가의 상승기가 호황적 국면이라는 것은 알려

져 있지만 이것은 전체 물가의 문제이다 위 자료에서 보면 1920년 장

사 농촌에서는 곡가는 싼데 일용품 가격은 극히 높다고 하고 있고

1931년의 기록도 工價와 일용품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농민이 다수를 점하기 때문에 미곡가의 하락은 농민 수입 감소

와 구매력 저하를 가져오고 이것이 농촌 불황의 한 요인이 될 수 있

다 그러나 工賃과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시장의 한계 안에서의

일이다 또한 실업률과 고용 지표 등도 고려되어야 하는데 만족할만한

통계의 부족으로 명확한 답을 얻기는 어렵다

그런데 米価와 물가는 개별 년도나 시점에서 서로 상이한 궤적도

있지만 圖2 3 6 7을 보면 대체적으로는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예릉의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광서 4년(1878)에 비하여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1912)에는 현격한 상승세였다가 그 후에 등락을 거듭

하고 있지만 민국25년(1936)의 경우는 광서4년보다는 높거나 유사한

경우가 많다

2 생활 경기의 발달

당시인들이 체감하던 생활 경기의 수준이 어떠했는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

光緖刊 善化縣志를 보면 다음과 같다132)

132)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16 풍속 附論 ldquo古人 酒肉以養老 而今則黃口稚子

無不酒肉之人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日不旦穀貴鹽貴 而酒肉皆貴 則好惡可知矣 一今鄕間柴炭

其価數倍於昔日 瀕河之地 莫不燒煤rdquo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2옛사람들은 술과 고기로 노인을 부양하였는데 지금은 어린아이도 술과

고기를 먹지 않는 이가 없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요사이 미곡과 소금이 비쌀 뿐 아니

라 술과 고기가 모두가 비싸니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지금 향간에 柴炭이 그 값이 예전보다 수배인데 하천 근처 사람은

煤를 때지 않는 사람이 없다

同治 攸縣志 에도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33)

예전에 士大夫도 집에 있을 때 엄동이 아니면 가죽옷을 입지 않았다

지금 關中의 가죽옷 상인이 유현에 와서 1년에 은 만여 냥을 얻을 수 있

다 기타 비단 옷은 蘇州 杭州 및 嶺南에서 오는 것이 또 배가 되니 1년

에 수만금을 소비한다

醴陵縣에서도 비슷한 인식을 볼 수 있다134)

ldquo예전 풍속이 儉樸하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이 명절 아니면 고기를 먹지 않고

慶弔事가 아니면 술을 베풀지 않고 손님 접대는 닭 잡는데 그치고 鮮味

는 생선에 그쳤고 縣城의 食肆는 飽麵茶館에 그치고 酒席으로 業을 삼는

자가 없었다

지금은 酒樓菜館이 거리에 가득차고 中人의 집에도 술자리가 베풀어지

고 사치를 다툰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예전에 士類大半이 淥江書院에 모이면 그 가운데 비단신을 신은 자가

불과 수인이었고 羊가죽 옷을 입은 자가 불과 1 2人이었다 지금은 비단

신과 가죽옷이 거의 常服이 되었고 日用品은 舶來品이 많다rdquo

이 내용을 보면 예릉현의 생활 수준이 급격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예릉현지 기록에는 부인들이 上海의 유행을 쫓아 사치를 추구한

다는 내용도 있고 청말부터 外貨를 서로 자랑한다는 내용도 있다 종

133) 同治10年刊 攸縣志 권18 풍속 衣服 ldquo衣服 昔時 士大夫 家居非嚴冬不御裘

今關中裘商來攸 歲可得銀萬餘兩 其他錦繡之運自蘇杭及嶺南者 則又倍之 計一歲

之戶 所費數萬金rdquo

134)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4장 풍속 생활 ldquo旧俗民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非令節不

食肉 非慶弔不置酒 欵客止於殺鷄 鮮味止於草魚 縣城食肆 止於飽麵茶館 無以酒

席爲業者 今則酒樓菜館 遍於街市 中人之家酬酢往還 爭奢鬪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旧時士類

大半 集於淥江書院 一院之中 著緞鞋者 不過数人 襲羊裘者 不過 一二人 今則絲

履皮袍殆成常服 日用之品 多自舶來rdquo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3전에 菜油 棉油로 燈을 켜다 집집마다 煤油를 사용한다거나 세탁시

茶枯鹼水를 쓰다가 대부분 비누를 사용하는 일상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135)

또 寧鄕縣에서도 ldquo同光之間 地方安寧 家給人足(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함)縣城商業 於時爲盛rdquo이라 하고 있어 同治(1862-74) 光

緖(1875-1908) 시기가 好況이었음을 알 수 있다136) 湘報에도 ldquo民間

之喜用洋貨日甚一日rdquo이라 하고 있어 洋貨 사용의 확대를 짐작할 수 있

다137)

광서년간 무역이 확대되고 여기에 대해 유익하다는 인식의 기록이

湘報에 나오고 있다138)

ldquo輪船과 철로가 개통되고 항구 개항이 증가 되는 것은 실로 중국에 유

익하고 손해가 없다 저 눈이 콩만큼 큰 자가 걸핏하면 통상이 중국에 해

가 된다고 하니 어찌 심히 어리석지 않은가rdquo

무역 확대를 지적하고 통상이 유익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예릉현

지에도 同治志에는 풍속이 lsquo安士重遷rsquo하고 상인이 외부 활동하는 자가

적었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고 光緖末에 도자기 夏布 編爆業

이 일어나 융성하여 이에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 넘는다고

하고 있다139) 예릉향토지에도 商旅 왕래가 예전보다 10배라는 서술이

있다140)

장사시의 行業발달 상황을 보면 민국 5년(1916)에서 民國22年(1935)

사이에 식품업은 281⟶2124 사치품은 171⟶1128 복장은 43⟶2028 農

礦은 621⟶1156 洋貨 127⟶233 금융 130⟶164 공예 2121⟶3344 문구

17⟶355 등 비약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141)

135)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 工商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6장 실업

136) 民國30年刊 寧鄕縣志 財用錄 民業

137) 湘報 제13호 1898年 3月 21日

138) 湘報 제162号 1898年 9月 23日

13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40) 民國15年刊 醴陵鄕土志 제6장 실업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4이것은 장사의 생활수준 향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당시에

通商의 확대 주장도 湘報에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142)

이상에서 보면 청말민국기에 대체적인 추세는 好況이었다고 생각된

다 생활 수준의 향상이 눈에 띄고 米価와 물가도 연동되면서 상승하

는 추세였다 米価의 상승이 구매력 수준의 제고가 되기 때문에 米穀

생산 중심지역에 상인들의 行號가 집중되는 것이 보였다143) 임금의

경우에도 호남 汝城縣에서 실질 임금이 유지 또는 상승하는 것을 확인

한 바 있다144) 全漢昇도 1875년부터 1925년까지에 걸쳐 四川 合江현

의 임금과 물가 변동의 추세가 거의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바 있

다145) 앞서 인용한 1931년 中國棉産改進計劃 에도 임금과 일용품 가

격이 함께 오른다고 하고 있어 임금이 물가에 연동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생활 수준 향상을 기록하고 있던 지방지에도 빈부 격차를 암시하는

내용이 있고 物力이 날로 쇠퇴한다든지 하는 기록이 있다 대외 무역

이 적자라 하더라도 차관 원조 뿐 아니라 외국 상인의 진출이 자본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好況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Ⅴ 結 言

이제까지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이후 民國中期인 1936年

까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여 米価와 물가 변동 물가 변동의 원인

141) 張朋園 앞의 책 p387

142) 湘報 44호 中外通商利害論 湘報 67号 論湖南茶務急宜整頓

143)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144)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9 1998)

145) 安本美緖 앞의 책 p2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5물가와 생활 경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米価 변동은 단기 변동에 있어서 전쟁이나 天災 등의 특수한 사정

의 해를 제외하고는 光緖 년간에 비해 민국 중기의 계절 변동폭이 축

소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米価의 계절 변동을 완화 시

켜 주는 雜糧의 재배가 湖南 지역에서는 대부분 同治 년간에 보급 확

대가 되고 있다 교통과 상업 발달 등의 이유로 청말에서 민국기로 갈

수록 계절 변동폭을 축소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변동에서는 長沙府縣의 물가 변동 예릉현 물가 변동 등을 살

펴 볼 때 전체로서는 상승 추세 중에 도광 함풍 시기의 低米価 同治

년간의 高米価 光緖전반의 低米価 光緖後半에서 宣統 년간의 高米価

民國 前期의 高米価 民國 中期의 低米価의 등락을 보이고 있다

民國 中期의 米価는 長沙 8개년 米価 추세에서도 안정속의 상승세

를 보이고 있다 명목상 수치 뿐 아니라 米価의 상대 물가로 보는 실

질 구매력도 宣統 民國元年에까지 급상승하였다가 민국 시기 등락을

거듭하지만 민국25년(1936)까지 광서4년(1878) 대비 유지 또는 상승 추

세였다

物価변동은 개별 상품에 따라 편차가 있고 米価와는 전혀 상이한

궤적을 그리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米価와 연동 관계를 보이

고 있다 1898년 물가의 단기 변동은 이상할 만큼 변동폭이 크지 않다

당시 물가 조사자의 보고가 정확했는지 의심될 정도이다 1935년의 장

사 물가에서 단기 변동을 보면 변동폭이 100이상인 夏布 毛筆 麵粉

棉布등을 비롯하여 50 이상인 오리털 흑연 성냥 국산 전지 등을

비롯하여 40 이상인 비누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기 변동폭

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 이것은 이런 물품들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

성이 크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物価의 장기 변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米価와 대체로 비슷한 궤적

을 보이고 있다 청말에서 민국전기에 걸쳐 물가 상승폭이 두드러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 상승폭이 더욱 크

다 돼지고기 값을 예로 들면 1878년에서 1909년 사이에 273 상승했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6고 1912-1921년 사이에 75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닭은 각 50와 44

상승했다 청말은 31년간의 수치이고 민국 전기는 9년간이니 물가의

상대적 급등을 알 수 있다 1926에서 1936년까지 10년간 돼지 고기 값

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

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

세를 보이고 있다 민국 중기의 米価가 일부 lsquo穀賤rsquo 현상을 보인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음으로 물가 변동의 원인에 대해서는 군벌간의 전쟁이나 정치적

혼란 등 정치 군사적 요인을 제외하고 대체로 검토해 보았다

수요 측면에서는 湖南米의 유통이 호남 내부의 인구 증가에도 불구

하고 양자강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지속된 것이 米価 상승의 한 원

인이었다 上海나 武漢 등의 도시화와 인구집중은 이들 지역 양식 수

요를 폭증시켰다 일부 洋米 수입에도 불구하고 湖南米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으로써 米価를 상승시켰다 또 장사를 비롯한 각지의 새로운 수

공업 산업의 발달로 비농업 인구가 증가하고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유

효수요로 성장하여 米価 상승을 유도하였다 양식의 이출은 해당 지역

인구 식량을 전부 제외한 나머지 잉여가 수출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력

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청말민국기에는 호남의 내부 외부에

서 미곡에 대한 유효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것이 米価 상승의 한 요인

이었다

화폐 문제에 있어 화폐 수량의 증가가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것

은 상식이다 종래 아편전쟁 전후 은의 해외 유출 증가가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을 초래하여 물가 상승과 인민의 빈곤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지방지 등의 史料에서 검토한 결과 은전비가는 도광함풍초의

일시적 상승 후에 함풍 7년 이후는 도리어 하락하고 있다 同治 년간

에 대부분 1兩 1300文 수준에서 안정되고 있다 光緖末宣統년간에도

1600-1700文 수준으로 도광함풍 초보다는 낮은 편이다 청말민국시

기에 화폐의 남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한계를 넘었을 때 시장의 통용

거부로 마침내 중단되고 있다 청말민국기에 외국 銀元의 유입과 국내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7의 銀元 주조 銅元 지폐 외에 鈔票 市票 등 화폐 시장에 투입된 화

폐량은 엄청나게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로서는 어느 정

도 시장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외 교역과 상품량의

증대 경제 활동 인구의 증대 미곡 생산 및 농산품 생산의 증대로 화

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것이 화폐량의 막대한 증가와 유

통속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

었다고 생각된다 즉 안정 속의 물가 상승이 유도된 것이다

공급면에서 보면 대외 교역을 통한 서양 상품의 수입은 전체로서는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물건의 공급 증가를 통해서

혹은 국내 상품과의 경쟁 때문에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었

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침략과 물가 폭등이라는 도식적

견해와 달리 현실에서는 물가 억제 작용도 있었던 것이다

물가와 경기면에서 보면 물가가 비쌀 때 호경기가 많은 것은 사실

이다 그런데 lsquo穀賤rsquo 현상이 불황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서 長沙 지역의 경우를 검토해 보았다 도광함풍 년간까지 lsquo穀賤rsquo현상

과 불경기적 상황에 대한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동치광서 년간에는

米価가 등귀한 시점인데 이 시기는 紅茶業의 번성이나 각종 수공업의

번성으로 好況의 면모가 보이고 있다 민국 시기에는 민국 중기에 lsquo穀

賤rsquo의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史料上에 민국 중기의 lsquo穀賤rsquo은 임금이나

다른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다 물가 상승기와 好況

이 맞물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민국 중기는 lsquo穀賤rsquo 현상과 서로 어긋

나는 것이다 이 시기의 不況 서술은 농촌의 농민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표시이다

생활 수준에 대한 지방지 기록 등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주민들의

洋貨 사용이 보편화되고 의복 음식 주거 등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것

을 지적하고 있다 물가는 상승하였지만 同治 이전에 비하여 분명히

사치품의 소비 증대와 中人의 집도 소비 수준이 제고된 것이 드러나고

있다 민중의 빈곤은 있으나 이 시기 빈부 격차가 커지고 생활 수준의

격차가 커진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18: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6

1898年 1935年

소금 56文斤 57斤

洋油 50文斤 64斤

돼지고기 105文斤 30斤 015-020元斤 25-33斤

鷄育 123文斤 26斤

羊肉 117文斤 27斤

茶油 100文斤 32斤 019-024斤 21-26斤 瀏陽가격

면화(中棉) 217文斤 15斤 03-05斤 10-17斤 湘陰 Prime

1898年 中米1石価 (湘報소재 1石 3193文 적용)

1935年 長沙米価 民國25年 刊 通郵地方物産誌 湖南의 長沙靖港米価(担40-60元

의 중간 값 이용) 1石은 1担보다 크므로 실제 米価는 이보다 높을 것임

이 의미있다고 생각된다 同治丁卯志 편찬 이후부터라고 명시하고 있

는데 丁卯年은 同治6년(1867)이다 이후부터 민국21년(1932)까지를 세

시기로 구분한다55) 同光 시기 光宣 시기 民國 시기이다 즉 동치 후

반에서 광서 전반 광서 후반에서 선통 년간이니 광서 후반부터 물가

상승이 컸던 것을 반영한다고 여겨진다 여성현 물가표상 米価 변동을

단순 비교하면 지수는 100 200 400으로 변한다 1930년대 전반의 米

価는 동치 후기에 비하여 약 65년만에 300 상승한 것이다 이것을

신뢰하더라도 앞서 18세기 전후 백년간 물가가 300 상승하였다는 당

시인의 인식과 상승률은 거의 비슷하다56) 장사부 상음현에서도 18세

기 중후반 67년간 米価가 300 상승한 바 있다 예릉현 물가 표상

1878년에서 1921년까지는 米価는 약 458 상승하였지만 1926년에서

1936년까지 10년간은 약 563 상승에 그쳤다 민국 중기는 비교적 안

정속의 상승을 보여 주고 있다 lt표5gt에 제시된 長沙 機米의 8년간

가격도 54 정도 상승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미가의 명목 수치상 등

락을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질 가치를 알아보려면 상대 물가 즉

米1石価의 구매력이 얼마인지를 보아야 한다

lt表6gt 長沙 中米 1石価의 구매력 변동

55) 郭成康 앞의 논문

56) 張麗芬 앞의 책 p270 각주7)에 보면 호남성 1担価는 140-150斤 1898年 長

沙 米価는 1石당 150-155斤임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7

1935년의 長沙 米価는 通郵地方物産誌의 長沙 靖港의 米 1担価를

이용하였다 실제 石은 担보다 크므로 米価는 여기서 잡은 5元을 상회

할 것이라 생각된다57) 같은 자료의 물가를 이용하여 제시한 lt표6gt을

보면 돼지고기 값은 1898년의 30斤에서 1935년은 25-35斤 사이이다

그 범위 안에 있는 것을 보면 米価의 실질 구매력은 유지되고 있다

茶油는 다소 하락하였지만 면화도 유지 또는 상승이라 볼 수 있다

예릉현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돼지고기는 상승 추세 속에 일

부 하락년이 있다 선통 원년과 민국 원년에 수치가 상승한 것은 米価

의 폭등이 기타 물가를 크게 앞지른 것으로 여겨진다 민국 중기에 약

간 하락하였지만 1935년의 돼지고기 구매력은 광서4년(1878)에 비해

67정도 상승하고 있다 茶油의 경우도 민국 10년(1921)까지 米의 상

대 구매력이 대폭 상승하고 있다 이것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米価 변

동을 통해 농민 소득이 하강했다고 여겨지지 않는다

광서4년1878

광서14년1888

광서19년1893

선통원년1909

민국원년1912

민국5년1916

민국10년1921

민국15년1926

민국20년1931

민국25년1936

猪肉 15斤 25斤 22斤 36斤 35斤 23斤 27斤 16斤 28斤 25斤

草魚 34斤 39斤 38斤 57斤 62斤 35斤 - 20斤 32斤 33斤

茶油 12斤 23斤 25斤 27斤 - - 25斤 - ① -

鹽 23斤 26斤 22斤 33斤 62斤 - 42斤

棉花 7斤 16斤 5斤 - - - - - ②

洋紗 - - - - - - - ③

煤油 - - - - - - - 15병 2병 11병

雞 17斤 22斤 20斤 33斤 22斤 19斤 21斤 - - -

史料上 穀価를 lsquo1米2穀rsquo의 원칙에 따라 米価로 환산하였음① 민국 15년(1926)부터는 茶油의 단위가 石으로 되어 있어 비교 곤란② Prime 棉花의 단위가 石으로 되어 있어 비교 곤란③ Prime 羊紗의 단위가 件으로 되어 있어 이해 곤란

lt表7gt 醴陵縣 米価의 물품구매력 변동추세(米1石의 구매력)

57) 刘泱泱 湖南通史 近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p487-488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8

품목

시기

단위

同光

(1870-1890)

光宣

(1890-1911)

民國

(1912-1932)

肉 斤 188 188 175

鹽 斤 60 75 636

洋紗 捆 100 100同光시기洋紗통행안함

土布 尺 100 120 140

洋油 甁 20 10同光시기

洋油 未 盛行

茶油 斤 188 188 175

桐油 斤 214 200 194

柴 750 875

同治丁卯志(1867)편찬 이후라 되어 있어 대략 70년부터 잡은 것이다

lt表8gt 湖南 汝城縣의 穀1石価의 구매력 변동

호남 汝城縣의 穀1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고기는 光宣 시기에

유지되다가 민국 시기에 약간 하락하였으나 근소한 수치이다 鹽의 구

매력은 光宣 시기에 대폭 올랐다가 民國 시기에 하락하였으나 同光 시

기 보다는 높은 수치이다 洋紗에 대한 구매력은 光宣 시기에서 民國

시기에도 계속 유지되고 있다 茶油는 고기와 같은 변화이다 土布에

대해서는 구매력이 계속 증가한다 洋油에 대해서는 民國 시기에 구매

력 감소를 보이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호남의 대외무역은 외국의 공

업품과 농부산품 원료를 교환하는 것인데 고가의 공업품 대신 강제

저가의 수단으로 호남의 농산품을 약탈한다는 견해58)는 약간의 재검

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공업 상품 가격의 翦刀差에 대해서도 洋紗

의 경우를 보면 나타나지 않고 있다59)

이상을 종합하면 同治年間의 高米価 光緖前半(1875-1891)까지의 상

대적 低米価 光緖後半-宣統까지의 高米価 급등 民國前期의 계속 상승

58) 李金錚 二十年來 中國 近代 鄕村 經濟史的 新探索 (歷史硏究 2003年 4

期)

59) 譚文熙 앞의 책 pp298-299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9

品目 洋麵 淮鹽 茶油 桐油 洋油 猪肉 雞 鴨 烟煤 柴煤

단위시기

包 斤 100斤 100斤箱2桶(50斤)

斤 斤 斤 100斤 衡斗

31-310 26兩 56文 73兩 19兩 104文 112文 88文 320文 24文

311-320 26兩 Prime 73 19 104文 128文 88文 320文 24文

321-331 26兩 Prime 73 625兩 189 108文 128文 88文 320文 252

41-410 26兩 Prime 728 628 186 320文 240

411-420 27兩 Prime 728 626 183 254 228

421-430 29兩 Prime 72 616 181 314 260

51-510 293兩 Prime 711 606 178 310 240

511-520 274 Prime 71 60 183 314 240

521-531 26 Prime 71 60 185 314 229

61-610 26 Prime 699 60 185 299 219

611-620 231 Prime 734 61 184 320 255

621-630 22 Prime 754 62 183 311 254

71-710 22 Prime 774 649 183 310 250

711-719 218 Prime 768 631 181 318 265

면화는 上棉 中棉 下棉의 가격이 제시되고 있으나 여기서 생략함

lt表9gt 1898年 3-7月間 長沙物価

民國中期(1926-1936)까지 안정이라는 米価 변동의 궤적을 확인할 수

있고 그 기간 동안 米価의 실질 구매력은 유지 또는 상승이 대체적 추

세였다 생각된다

2 物價 변동

1) 단기 변동

湘報에 수록된 光緖24년(1898)의 長沙 물가 변동을 표시한 것이

lt表9gt와 lt圖5gt이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0

品目 단위 최고가 최저가 시기 유통량 행선지

鴨絨 斤 500 300 冬 上海 北平 天津 南京

일반적으로 米価와 物価는 상호 연동적이라 생각되지만 여기서 물

가의 단기 변동은 米価와는 다소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대체로

등락 폭이 크지 않다 洋油 洋麵 桐油 등의 변동폭이 크지 않다 면화

만 4월 10일 20일 사이에 상승이 있지만 5월부터는 하락하고 있다

淮鹽 가격은 斤당 56文으로 3月에서 7월 사이에 전혀 변동이 없다

長沙지역은 원래 淮鹽 관할 구역이었으나 太平天國 시기에 교통 두절

로 川鹽 소비지역이 되었다 太平天國후 曾國藩이 이 지역을 淮鹽 소

비지역으로 회복하기 위해 여러 가지 개혁 조치를 행하고 督銷局에서

가격을 核定하여 고시하는 牌價 제도를 시행한 바 있다 일종의 통제

가격제도에 의해 가격 상승이 억제되고 있었던 것이다 直隷의 景縣의

소금 값은 1890년에 斤당 46文 1900년에 斤당 68文이라는 조사도 있

다60) 長寧縣에서는 光緖29年(1903)에 鹽価가 斤당 55文이라는 보고도

있는데 이것은 長沙 1898年의 鹽価와 유사하다61)

戰亂後에 淸朝정부의 淮鹽 소비지 회복 정책에도 불구하고 四川鹽

이 계속 私鹽으로 침투하였기 때문에 長沙의 淮鹽価를 저렴한 통제 가

격下에 두고 있었다고 생각 된다62) 圖6)에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柴煤

는 米価와 같이 5月10日에 최고가에 가깝고 6월10일에 하락하고 그후

에 상승하고 있다 烟煤의 경우에도 비슷한 궤적을 그리고 있다 이것

은 米価와의 연동관계가 비교적 분명하다

1935년의 長沙 物価의 단기 변동 폭을 알 수 있는 것이 lt표10gt이

lt表10gt 長沙物価 通郵地方物産志

60) 李文治 앞의 책 p562

61) 譚文熙 앞의 책 p267-268

62) 佐伯富 中國史硏究 第1卷 (京都 同朋舍 1978) pp340-36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1

黑鉛 石 2200 1300 全年 50000石 漢口上海

棉紗 件 22000 1800 Prime 24000件 本省

棉布 疋 120 150() Prime 1000000 漢口

麵粉 袋 50 250 Prime 140000 Prime

線襪 雙 106 Prime 6000000 本省

毛呢鞋 Prime 200 180 Prime 400000 Prime

夏布 疋 1000 200 夏 20000 上海漢口

火柴 箱 500 300 全年 10000 本省

刺繡 Prime國內및外洋

매년 産量 약50만元

玻璃器 件 300 200 Prime 9000 本省

肥皀 箱 70 50 Prime 30000 Prime

絲綿三角 兩 040 020 Prime 40000 Prime

國貨電池 打 060 040 Prime 200000 Prime

猪 斤 020 015 Prime 50000只 漢口上海

豬毛 担 6000 5000 Prime 4000kg Prime

粗窑器 卡 350 250 Prime 100000套 長江연안

毛筆 支 050 020 Prime 本省 및 황하 각성

여기서 보면 변동폭이 100 이상인 것은 면포 夏布 絲線三角 毛

筆 麵粉 등이다 또 50 이상인 것은 鴨絨(가공오리털) 667 흑연

692 火柴(성냥) 667 玻璃器(유리그릇) 50 국산 電池 50 등이

다 비누는 40 粗窰器는 40이다 棉沙 222 毛呢鞋는 111 돼

지 333이다 단기 변동 폭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고 생각된다 이

것은 이런 물품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성이 크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그런데 1898年의 경우는 茶油 洋油 등 물품의 가격 변동폭이 적은 것

은 무엇 때문일까 어쩌면 당시의 시장 가격 조사가 부정확했는지도

알 수 없다

1935年의 물가에서 綿沙의 변동폭이 적은 것은 당시 항상적인 수요

가 있었기 때문이 아닐까 비누의 변동폭도 40로 비교적 적은데 생

필품으로 수요가 지속 증대된 까닭이 아닐까 한다 通郵地方物産誌에 기재된 醴陵縣 夏布 가격은 40元-100元 사이인데 民國醴陵縣志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2

圖5) 1898年 3月-7月 長沙物價

의 物価表上에는 70元(1938)이라 되어 있다 物産誌 가격은 1935年

의 것인데 예릉현지의 가격이 그 범위 안에 있어 서로 다른 자료간에

부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63) 物産誌 上 相潭株洲의 茶油 값

매 石 160-240元(1935)은 예릉현지 물가표의 민국 20년(1931) 茶油 매

石 240元과 일치하고 있다 표12)에 1936年 煤油 값은 병당 44元이다

그런데 民國 安鄕縣志에서도 1934년 煤油 값은 병당 38元으로 되어

있어 兩者 사이에 유사성을 보여주고 있다64) 그러므로 醴陵縣志 物価의 종적 비교도 신뢰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洋麵은 包당 가격

茶油桐油洋油는 100斤당 가격

棉花 100斤당 가격

2) 장기 변동

長沙의 물가 변동을 보려면 湘報 수록의 광서 24年(1898) 물가와

63) 交通部郵政總局 編 中國通郵地方物産誌 (華世出版 1988)

64) 民國 安鄕縣志 卷11 食貨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3

품명 단위광서4년

(1878)

광서14년

(1888)

광서19년

(1893)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

(1912)

민국5년

(1916)

민국10년

(1921)

豬肉 斤 88文 63 62 112 160 240 280

雞 斤 80 72 68 120 250 300 360

lt表12gt 醴陵縣 物価表 (b) (商会조사)

품명 단위민국15년(1926)

민국20년(1931)

민국25년(1936)

민국27년(1938)

민국28년(1939)

민국29년(1940)

민국30년(1941)

猪肉 百斤 200원 170 200 360 400 561 1300

草魚 Prime 160 150 150

茶油 石 240 290 560 760 2000

鹽 石 120 140 150 160 2000

洋紗 件 2200 2200 2400 2000 2500 1500

土布 匹 27 70

夏布 Prime 70 70 140

竹布 Prime 100 100 8000

棉花 石 20 25 40 100 200 400

煤炭 石 020 030 040 050 230 70

煤油 甁 220 240 440 90 300 460 200

毛邊紙 石 198 432 1200

黑靛粉 桶10斤 100 200 1500 2000

赤金 兩 50 70 80 90 500 560 1600

lt表11gt 醴陵縣 物価表 (a)(私家數簿에 의한 것)

民國24年(1935)의 通郵地方物産誌 기록을 직접 비교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양 자료 사이에 화폐와 단위가 서로 달라 직접 비교할 수가 없

다 그래서 당시인의 물가 변동 기록인 長沙府 醴陵縣 物価表를 이용

하는 것이 파악 방법이 될 것이다

lt표11gt lt표12gt 와 lt圖6gt lt圖7gt을 보면 개별 물품에 따라 차이

는 있지만 대체적인 흐름은 米価 변동과 유사한 궤적을 보여주고 있

다 즉 光緖 前半에 비교적 안정적이다가 光緖 후반부터 급상승하여

민국 전기까지 상승하고 있다 1926년부터 1936년까지는 가격 안정세

를 보여 주고 있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4

雞蛋 個 2 2 3 4 10 15 20

草魚 斤 40 40 36 70 90 160

茶油 斤 116 69 54 150 300

鹽 斤 60 60 63 120 90 180

煤 石 50 120 50

苧麻 斤 270 99 170

棉花 斤 200 96 280

竹布 尺 70 62 60 60 90

靑洋布 尺 55 50 50 70

白蓮紙 刀 40 82 80 100

-附記 前淸 통행 制錢文으로써 단위 민국 초년에는 비록 銅元을 단위 사용하나 관습상 매 1銅元은 錢10文에 해당

圖6) 醴陵縣 物価 (a)

① 豬肉 斤당 가격 ② 雞肉 斤당 가격 ③ 茶油 斤당 가격

④ 鹽 斤당 가격 ⑤ 棉花 斤당 가격 ⑥ 草魚 斤당 가격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5

圖7) 醴陵縣 物価(b)

① 猪肉 百斤당 가격 元 ② 草魚 百斤당 가격 元 ③ 茶油 石당 가격 元

④ 鹽 石당 가격 元 ⑤ 洋紗 件당 가격 元 ⑥ 棉花 石당 가격 元

⑦ 煤油 甁당 가격 元

米価가 物価와 연동되는 것에 대해서 江都縣史料를 보면 ldquo産米 구역

에서 年末에 米価가 상승하니 百物이 昻貴했다rdquo65)라고 되어 있다 湖

南지역 米価 연구 자료에도 米価 추세는 거의 물가 수준과 같다는 주

장이 있다66)

光緖末宣統年間의 물가 상승을 나타내는 史料를 보면 다음과 같다

이제 각종 惡政의 결과로 百物의 騰貴를 초래했는데 小民의 日用 수요

65) 李文治 앞의 책 p470 ldquo江都爲産米區域 年末米価騰踊 百物因以昻貴rdquo

66) 張麗芬 앞의 책 p22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6음식은 그 가격이 십년 전에 비해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과 居室 器用

蔬饌의 비용 牛種糞漑의 비용도 예전 보다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도 비록

동일 비례로 함께 올랐으나 이미 넉넉하지 못해 괴롭다67)

이것을 보면 米価와 物価가 연동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청말

특히 光緖 후반 이후에 각종 物価가 두 배 올랐다는 사정을 알 수 있

다 上海의 物価도 같은 시기에 상승하고 있다68)

lt표11gt lt표12gt와 lt圖67gt을 검토해 보면 돼지고기 값은 광서 14

년 광서 19년까지는 다소 하락세를 보이다가 宣統원년(1909)부터 급격

히 상승하고 있다 민국원년(1912)의 가격은 160文으로 1878年의 88文

에 비해 거의 두 배에 해당한다 위에 인용한 宣統 2年 8月 國風報의 물가 두 배 인상과 정확하게 부합되고 있다 민국 전기인 1926년까

지 계속 상승하고 있지만 1926년에서 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이고 있

돼지고기 값은 1878년-1909년 사이 273 상승했고 1912-1921년 사

이에 75 상승했다 닭은 각기 50와 44 상승했다 계란은 100

100 상승이었다 淸末 비교 시기는 31년간인데 비해 민국 전기는 9

년간에 불과하다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가 급등한 것은 충분히

알 수 있다 1926년에서 1936년 10년간 돼지 값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거의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이었다

民國 醴陵縣志에도 ldquo辛亥혁명이전에는 물가가 심한 등락이 없었는

데 민국 후에 들어와서 차츰 상승했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69) 圖6)을 보

면 닭고기도 비슷한 궤적을 보이고 있다 草魚의 경우도 청말 민국전

기는 상승이 주요 동선이고 민국 중기(1926-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

67) 國風報 第1年 21期 宣統 2年 8月 (李文治 앞의 책 p561) ldquo今也以種種惡

政之結果 以致百物騰踊 小民日用 飮食所需 其価皆視十年前兩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居

室器用蔬饌之費 牛種糞漑之費兩倍于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雖以同一比例以俱騰 旣苦不

給矣rdquo

68) 岸本美緖 앞의 책 p443

6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物價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7이고 있다 譚文熙 物価史에는 민국 전기는 안정속의 상승세로 민국

중기는 파동속의 상승으로 정리를 하고 있는데 여기와는 약간의 차이

를 보이고 있다70) lt표11gt과 lt표12gt 사이의 화폐 단위 차이로 인한

연속적 파악에 다소 어려움이 있으나 대체의 추세는 짐작할 수 있다

또 품목에 따라 공란이 있어 연결 관계가 애매한 부분이 있다 1936년

이후는 중일 전쟁의 혼란과 불환지폐의 강제 통용 등의 사정으로 本考

에서는 분석 대상 범위에서 제외 하고자 한다

Ⅱ 物價 변동의 원인

1 수요 측면

米価와 物價가 상호 연동관계에 있고 넓은 의미에서는 米価도 물가

의 일부이다 米価 및 물가의 상승은 우선 수요의 증가에 원인이 있다

고 할 것이다 수요증가는 일반으로 인구 증가이다 湖南의 인구는 嘉

慶21年(1816) 18754259명에서 1898年 21174000명으로 다시 民國17년

(1928)에는 31501212人으로 비약적 성장을 하였다71) 약 110년 동안

인구가 1300만 가까이 증가하였고 비율로는 679가 증가하였다 長沙

府의 인구도 가경 25년(1820)에서는 4290086명이었는데 민국23년

(1934)에는 8421330명으로 약 400만명 이상 증가하여 963 상승을

보이고 있다72)

인구의 증가가 수요 증대를 초래하는 일반 요인이지만 湖南의 米穀

移出이 해당 지역 민중의 식량을 제외하고 남는 잉여 米만은 아니다

70) 譚文熙 앞의 책 pp302-307 여기서는 민국 전기는 1912-1927년 민국 중기

는 1927-1937년으로 구분하고 있다

71) 湖南省志 地理志 (長沙 湖南人民出版社 1982) pp230-238

72)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8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의 증대가 더 중요한 요인일 것이다 淸末에

와서 새로운 생업을 통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가 많이 증가하고

있는데 醴陵縣 사례를 한번 검토해 보겠다 史料는 다음과 같다73)

同治志에 이르기를 醴陵의 풍속은 lsquo安土重遷rsquo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상인이 外地에 나

가 장사하는 이가 적었다 배를 이용하여 외부 상업을 하는 것은 淥口 부

근의 米穀商일 뿐이었다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邑人들이 茶제조로 武漢에 판매하는 자가

이익이 배가 되었다 이때부터 龍門일대에 매양 봄에 茶를 제조하고 가리

는 廠이 항상 수십이었다 光緖末年에는 도자기업 夏布 編爆이 일어나서

대신하였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이를 믿고 생계를 삼는자가 무려 십만인이다

同治志 편찬 단계만 해도 사람들이 토착 안주하여 멀리 이동하는

것을 어렵게 여겼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큰 이익을 보고 그

후 도자 기업 夏布 編爆 제조에 종사하여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나 되었다는 것이다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의 성장을

보여주는 것이다 長沙의 빠른 도시화도 주목된다 長沙日報에 실린

내용을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74)

光緖32년(1906)에 火災 조사시에 城廂 내외가 매일 식량으로 穀 5000

石이 필요하였다 지금 교통이 편리하고 상인 旅客이 배로 증가하였으니

매일 마땅히 1-2000石을 더해야 한다(宣統 2年(1910) 2月 17日 長沙日

報)이것을 보면 光緖32년(1906)에서 宣統2년(1910)은 불과 5년이 채 되

지 않는데 상인 집단이 배로 증가하였다니 城內外의 유동인구 급증을

짐작할 수 있다 長沙城의 인구는 1916年에 177882人이었고 1931年은

385514人으로 증가하였다 불과 15년 사이에 1167 증가이다 배 이

73)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ldquo同治志云 醴俗安土重遷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商賈外

貿者少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揚帆外貿則 僅淥口附近之穀米商而已 光緖初 紅茶業興 邑人製茶

販運 漢皋者 獲利倍蓰自是來龍門一帶 每屆春日 製茶捒茶列廠恒數十 訖於光緖

末年 則有瓷業及夏布編爆起而代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恃以爲生者 無慮 十萬人rdquo

74) 李文治 앞의 책 p551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9상이 증가하였으니 長沙의 도시화도 급속히 진전 되고 있다75)

민국10年의 湖南 實業雜誌 보도를 보면 당시 長沙에 蓆工 500人

刻字工 300人 방직공 3200人 이발공 800人 香工 400人 합계 5200人

이 있었다 長沙大公報에 의하면 민국9년(1920)에 長沙에는 부두공

2600人 糞夫 500人 轎夫 1300 車夫 2300人으로 합계 7000人 정도

가 있었다76) 같은 시기 호남성의 광부가 160萬人이고 여기에 手藝工

苦力을 합치면 190만 전후였다고 한다 예릉현에서는 東鄕 일대에서

編爆業 종사자가 수만이고 東北兩鄕에서 磁廠의 女工도 수천이나 되었

다는 기록도 있다77) 湖南 邵陽縣에서도 淸末에 工匠이 5만 상인이 12

만 정도였다는 통계도 있다78) 이렇게 비농업 인구가 다른 생업을 통

해 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로 증가하고 있던 것이 확인된다 이런 유

효 수요 증가를 설명해 주는 다른 史料 하나를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

다79)

어째서 米穀이 날로 적어지고 날로 비싸지는가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水旱災가 날로 많고 농사짓는데 날로 게으르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말은

진실로 일리가 있는데 다 그런 것은 아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선교사 洋商 洋官 洋

兵은 증가한 것이 외국에서 온 사람이다 敎民 游民 賭民 盜民은 內地

에서 증가한 자이다 무릇 농사짓는 사람은 하나인데 먹는 자는 헤아릴

수가 없다 米穀이 어찌 비싸지 않을 수 있겠는가

光緖後期의 사정을 전하고 있는 위 史料를 보면 외국에서 온 선교

사 상인 군인 관리 등도 米価 상승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국내

외를 막론하고 비농업 인구의 급격한 성장이 米価 상승의 원인이라 생

각된다

湖南과 長沙의 米穀은 해당 지역 안에서 소비되는 것보다 揚子江

75) 張朋園 中國現代化的區域硏究 -湖南省 (台北 1998) p376

76) 위의 책 pp412-413

77)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農業經濟

78) 光緖33年刊 邵陽縣鄕土志 권2 인류 실업

79) 李文治 앞의 책 p77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0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많다 청말민국시기에도 지속적인 湖南米의

移出이 있었던 것은 이미 밝힌바 있다80)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穀

米가 騰貴한 이유가 外省의 采辦이 많은 때문이라고 하고 있다81) 상

담현에서도 동치 4년(1865)이전에 해마다 풍년이었는데 穀価가 까닭

없이 騰貴한 것은 江南이 처음 회복되어 米穀의 販運이 많아진 때문이

라고 하고 있다82) 1898年에도 長沙에서 米穀의 원거리 送出을 바라는

지주 富戶와 주민의 갈등 관계가 노출되고 있다83) 宣統2年(1910)의 기

록에도 湖北의 흉년으로 出境 米穀이 과다하여 米価가 급등했는데 작

년 末에는 1石5000文이었다가 금년에는 1石 8000文에 이르렀다는 내

용이 있다84) 같은 자료에 湖南米가 당도 하지 않으면 武漢에서 변란

이 일어난다고 할 정도이다

하류의 上海는 한적한 어촌에서 근대에 대도시로 성장하였다 武漢

上海등의 도시화와 상공업 발전 인구 집중은 長沙米의 급격한 수요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宣統 년간에 長沙가 전국적인 4大 米市의 하나

로 성장한 것은 우연한 일은 아니다85)

근대에 대외 교역증가가 물가 상승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생각된

다 1873년에서 1930年 사이에 농산물 수출 통계는 1910년을 100으로

했을 때 1873년은 12 1893년은 123 1903년 386 1920년은 1324

1930년은 2709로 급상승하고 있다86) 농산물의 수출은 해외 수요의 증

가이다 이런 교역상 수요 증대는 가격의 등귀 뿐 아니라 작물 재배

면적의 확대에도 기여하고 있다

80)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81)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20

82) 光緖6年刊 湘潭縣志 卷29 災祥志

83) 湘報 89號 長沙縣職員常達邦呈批

84) 李文治 앞의 책 p381

85) 徐正元 中國近代農産商品化的發展與米市的形成 (復印報刊經济史 1997年3期)

86)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권2 p14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1宣統2년(1910) 長沙에 영국 상인이 출현하여 米穀 구매를 단행하자

米価가 하루에 여러 번 급등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였다87) 湖南에서

는 또 광동 상인의 영향을 받아 紅茶 제조법을 습득하여 홍차를 대량

생산하여 구미에 수출하였다 19세기 60년대부터 20세기 초에 특히 호

남 茶 생산 판매가 극히 발달하였다88) 주요 산지 중에는 長沙 湘潭

安化 등이 손꼽히고 있다

桐油의 수출 또한 괄목할 만한 것이다 湖南의 桐油 수출은 1922년

전국의 3336 1923년은 372로 성장하였다 1929년에는 全省 수출

총액의 45 정도를 차지하였고 桐油 상품화율 80에 달하였다89) 대

외교역을 통한 농산품의 해외 수요 증가는 직간접으로 물가 상승에 작

용하고 있다

2 화폐 문제

물가와 화폐의 관계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통상 화폐 수량의 증가가

생산총량의 증가보다 초과할 때 물가상승이 일어난다90) 보통 淸 후기

에는 아편무역에 따른 銀의 해외 유출과 그 결과 야기된 lsquo銀貴錢賤rsquo 현

상 통화팽창에 의해 물가가 상승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91)

실제 淸末民國기에 걸쳐 통화 팽창과 물가 상승에 대한 기록을 찾

는 것은 어렵지 않다 王業鍵에 의하면 淸末 특히 1875年부터 1911年

까지는 인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단계였다고 한다92)

民國 寧鄕縣志에 보면 ldquo光緖29年(1903)에 처음으로 當十銅元을 주

87) 李文治 앞의 책 p550-551

88) 劉泱泱 앞의 책 p46

89) 宋斐夫 主篇 湖南通史 現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5 p276

90) 陳民 法幣發行制度與通貨膨脹 (復印報刊經济史 2001-1)91) 龔勝生 앞의 책 pp275-280 岸本美緖 앞의 책 p444 張麗芬 앞의 책

p217

92) Yeh-chien Wang Secular Trends of Rice in the Yanzi Delta 1638-1935(California Univ Press 1992)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2조하여 전국에 통용시켰는데 물가의 등귀가 이때부터 시작되었다rdquo는

기록이 있다93) 醴陵縣에서는 光緖32年에 當十銅元을 주조하여 制錢과

병행시켰고 宣統원년에 銀元이 이미 성행하였다 민국원년에는 當二十

銅元을 주조하였는데 雙銅元이라 칭하였다94) 영향현에서도 광서말에

私鑄錢인 毛錢이 나오고 지폐가 통용되는 등 통화팽창이 상업을 일변

시켰다고 한다95)

종전에 비해 실질 가치가 열악한 當十 當二十 등 銅元의 남발과 鈔

票의 성행은 화폐 시장의 과잉을 초래하였다 정식의 鈔票 이외도 각

현 발행의 私鈔와 錢莊에서 발행한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시중에 범람

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민국 시대에는 화폐 남발이 더욱 심하였다 호

남은행을 비롯한 저축은행 농업은행 등이 각기 각종 지폐를 발행하여

혼란이 가중되었다 1915년에 호남의 은행은 33개인데 그 중 장사현 7

개 상담현이 7개였다96)

군벌들이 은행을 개설하거나 질 낮은 화폐 통용을 강제하는 등의

혼란이 민국시기 특징 중의 하나이다97) 화폐 시장에는 銀元 銀角 銅

元 지폐와 鈔票 市票등 유사 화폐까지 복잡middot혼란의 양상이 나타나고

결과적으로 물가 상승을 피할 수가 없었다

선통2년(1910) 격렬한 米価 騰貴가 있었고 長沙에서 대규모 搶米 폭

동이 일어났는데 이것은 단순한 흉년때문이 아니고 銅元 남발 등 화폐

제도 혼란에 기인한 것이었다98) 1880년대 초부터 1920년대까지는 인

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시기로 매년 33 비율로 상승하였으며 1930년

총 화폐보유고는 60억 원에 달했다 반 세기간 화폐 공급은 8-10배 증

가하였다99)

93)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ldquo光緖 二十九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始鑄當十銅幣 通

行全國 物価之踊始此rdquo

94) 民國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95)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財用錄 상업

96) 張朋園 앞의 책 pp258-259

97) 宋斐夫 앞의 책 pp10-12

98) 岸本美緖 앞의 책 p51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3

時期 銀(兩) 錢(文) 出典

乾隆 嘉慶년간 10 1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道光 初(1821) Prime 1300-1400 Prime

Prime 18年(1838) Prime 1400 林則徐湖廣奏橋 권3

Prime 25年(1845) Prime 2000上下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Prime 末年(1850)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咸豊 元年(1851) Prime 2000 民國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咸豊 初 Prime 2300-2400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8 부역

咸豊 3年(1853) Prime 20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5年(1855)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Prime 6年(1856) Prime 2000 湖文忠公遺集 권12

Prime 7年(1857) Prime 1600 骆文忠公奏議 권7

Prime 8年(1858) Prime 1400 胡文忠公遺集 권85

Prime 10年(1860) Prime 1300-1400 胡文忠公遺集 권70

同治 2年(1863) Prime 13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7年(1868) Prime 1300-1400 李瀚章 瀝陳湖北等省漕務

Prime 10年(1871) Prime 1600-1700 同治10年 長沙縣志 권8 부역 錢法

光緖32年(1906) Prime 1600 長沙日報 宣統2年 2月27日

선통 2年(1910) Prime 1700 國風報 宣統2年 3月 21日

표 지방지에서 직접 採錄제외는 龔勝生 淸代兩湖農業地理 pp270-277에서 湖南부분을 발췌하여 再引用한 것임

表13) 湖南의 銀錢比値

그런데 아편전쟁 전후 銀의 과도한 해외 유출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이

초래되고 이것이 물가 상승의 주요인이라 생각되고 있는 데는 약간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表13)을 보면 銀錢比価가 일시적으로 상승하였다

가 다시 하강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은전비가는 지역에 따라 차

이가 있지만 호남 장사를 위주로 정리한 것이 표13)이다100)

99)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0) 邱思達 中國近現代鑄幣圖說 (北京 中國書店 1991) p109 참조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4

주목되는 것은 道光末에서 咸豊初에 일시적으로 상승하였지만 淸末

의 比価가 낮은 편에 속하는 현상이다 청말에 은전비가가 비교적 안

정되고 있는 것이다 아편전쟁 후 5항 개항으로 교역이 확대된 상황에

서 아편무역 증대에도 불구하고 차와 silk 수출에 힘입어 은의 순유입

이 오히려 증가되는 현상이 나타났던 것이다101) 또 光緖17년(1891)이

후 세계 銀価하락 현상으로 은유입이 증가되었다102) 19세기 후반 중

국이 세계 사회에 연결되면서 중국의 무역 적자에도 불구하고 淸 정부

에 대한 대량 차관과 자본 투자를 통해서 거대한 양의 銀이 중국에 유

입되었다 1871년에서 1913년 사이 은의 순 수입은 2억 4천만 海關兩

혹은 3억 6천만 銀달러로 추정되고 있다 세계 시장의 은가 하락과 은

의 대량 유입은 중국의 국내 시장에서 물가 상승을 유도한 것이다103)

이런 배경으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은 일시적인 것이고 청말민국기 전체를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민국 시기에는 銀元과 錢의 교환 비율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은의 유입 현상에도 불구하고 宣統 원년 11150文의 비율에서 민국6년

2250文 민국11년 2840文 민국17년 3500文 민국22년 7200文까지 급등

하고 있다 예릉현의 기록이지만 이것으로 청말보다 민국시기에 통화

팽창현상이 극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4)

銀과 錢이 주요 화폐이고 그 환율이 항상 문제가 되고 있지만 주로

청 후기 이후는 錢文 위주의 경제로 바뀌고 있다고 생각된다 長沙府

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면 대부분 道光 이후는 화폐를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淸 前期는 米価를 銀으로 표시하던 것과는 대조적이

다105) 예릉현에서는 민간에서 세금을 납부하거나 大宗무역을 할 때를

101)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2) 邱思達 앞의 책 pp92-93

103)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4)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10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光緖3年刊 善化縣志 同治13年刊 湘鄕縣志 光

緖15年刊 湘潭縣志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民國37年刊 醴陵縣志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5제외하고 紋銀 사용자가 거의 없다 도광 이후 교역시 대부분 錢文을

사용했다는 기록을 보면 淸 後期는 錢 경제 위주로 넘어간 것 같

다106) 세금을 낼 때 외에 銀錢이 필요 없는 일반민은 錢文 사용권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너무나 당연하다

함풍4년에 長沙에서 大錢을 주조하여 통용시켰으나 결국 시장의 신

뢰를 얻지 못하여 퇴출되고 말았다 1854년 7월에 주조를 시작하여

1855년 4月에 주조를 정지하였다107) 이것을 보면 통화 남발도 결국

시장의 제약을 받고 있다

민국 7년(1918) 3月 張敬堯가 裕湘銀行을 개설하여 銀元票 1000만元

銅元票 3000만元을 발행하였다 그 결과 시장은 혼란에 빠지고 시중금

융은 마비 상태가 되었으며 결국 裕湘銀行 발행의 惡幣는 폐지와 같이

되었다108) 권력에 의하여 통화 팽창이 시도되더라도 시장이 감당할

수 없는 지경이 되면 중단될 수밖에 없다 과도한 통화 팽창은 시장의

질서에 의해 어느 정도 제약 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예릉현에서도 光緖 년간에 錢莊 24곳이 출현하여 盛業을 누렸는데

民國7年(1918) 兵禍로 停業하는 곳이 많아졌고 정부의 통화 남발 화폐

가치 하락 금융혼란의 현상이 나타났다109) 민국18년(1929) 이후는 정

국이 안정되고 교통 편리로 百業이 진흥되고 은행이 역할을 하게 되었

이상에서 보면 淸末까지는 은전비가가 안정되고 통화 관리가 어느

정도 성공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光緖 宣統 시기에 銀元의 주조 외국

銀貨의 대량유입 當十銅元 등 주조로 통화팽창이 많이 되었고 이시기

물가 상승과 연관되고 있다 민국 초기에도 정국 혼란과 무계획적 통

화남발로 물가의 급등을 초래하였다 민국 중기에는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것 같다

106) 龔勝生 앞의 책 p279

107) 劉泱泱 앞의 책 pp150-155

108) 宋斐夫 앞의 책 pp10-11

10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6영향현에서도 민국 21년(1932) lsquo穀賤錢荒rsquo의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

다110) 청말민국기에 전반적으로 화폐량의 증가가 현저했던 것은 사실

이다 다양한 화폐의 등장 銀兩 銀元 銅錢 銅元 외에 외국 銀元의 유

입 그 외 鈔票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출현하였으며 양적인 팽창도 분

명하다 하지만 대외 교역 증가와 경제 활동 인구의 증가 유통 상품의

양적 증가에 의해 시장의 화폐 수요가 증대된 것도 사실이다 통화 발

행은 일차적으로는 경제 주체의 수요에 부응하는 것이지만 그것이 과

도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3 공급기타 요소

물가는 기본적으로 수요공급의 관계에서 결정되는 것이 원칙이다

청말민국기에 걸쳐 인구가 급증하여 물가가 상승한 것은 자연스런 일

이다 그러나 물가 상승률 면에서 청말의 경우가 18세기의 증가율에

비해 크다고 할 수 없다 물가 상승률을 억제하면서 비교적 안정 속의

상승을 할 수 있었던 것은 공급의 증가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청말민국기에 湖南米의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 현상이 지속된 배경

에 비약적인 경지 면적 확대와 새로운 품종 개량 시비법 발전 등 농

업 생산 증대가 있었다는 것은 이미 밝혀진 바 있다111) 米穀 공급의

증대가 물가 상승을 완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雜糧 재배가 同治

(1862-74) 년간에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민중의 식량 문제 해결에 기여

하고 米価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던 것을 城步縣 知縣 盛溢源을

통해서 알 수 있다

洋米 수입이 國産米의 보충 역할을 했다는 지적이 있지만 결국 시

110) 民國30年刊 寧鄕縣新志 전1 縣年記

111) 田炯權 淸末民國期 湖廣地方의 農業生産力과 生産關係 (慶南史學 7

1995)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2001)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

究 25 200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7장에 대한 미곡 공급을 증대시켜 가격 안정에 기여했다고 생각된

다112)

민국 시대 관련 사료를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113)

금일 정세를 보면 국내 米価의 등락은 결코 國産米의 생산량이 많고

적음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외국 産米 구역의 풍년 여부에 따라 영

향이 대단히 크다

이것을 보면 洋米 수입이 國産米価를 조절한다고 볼 수 있다 비슷

한 시기 上海에서도 湖南米가 수입 米의 영향으로 가격이 약간 적게

올랐다는 史料도 있다114) 湘報에도 日本米가 수입되어 중국의 米価

가 차츰 내려갔다는 기록이 있다115) 같은 湘報에 보면 ldquo외국물산이

날로 풍부하여 중국 상품의 판로를 막는데 서양 상품의 가격이 낮으면

중국 상품 가격이 홀로 증가할 수 없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116) 결국 洋

貨도 중국에서는 시장에 대한 상품 공급의 증가이고 이것이 상품 가격

상승을 억제하고 있는 것이다 같은 자료에 중국의 土藥이 널리 판매

되니 외래 洋藥의 가격이 폭락한 사정도 소개되고 있다117)

또 洋蠟의 수입으로 국산 白蠟 가격이 매 100斤 200元에서 100元으

로 폭락한 일도 있었다118) 1921년 독일 면화가 대량 수입되어 중국의

綿価가 하락한 일도 있다119) 光緖년간 부터 중국이 綿紗 생산을 개시

하자 華商과 洋商사이에 가격 경쟁이 시작되었다 수입 綿布도 洋商이

國産布와 경쟁하기 위해 가격을 낮추어 공급하였다120)

112) 王良行 淸末對外貿易的關聯效果(1860-1911) (近代中國對外貿易史論集1997)

113)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卷3 p413

114) 위의 책 p416

115) 湘報 제45호 p1419

116) 湘報 제13호 ldquo外洋之出産日盛 足以抵華貨之銷路 洋価低則華貨不能獨增rdquo

117) 湘報 제162호 p1608

118) 章有義 앞의 책 권3 p662

119) 譚文熙 앞의 책 p342

120) 譚文熙 위의 책 p368 p374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8상인의 가격 조종이 물가 변동에 하나의 요소는 될 수 있다 예릉현

의 土資 판매에 있어 객상의 가격 조종에 저항하기 위해 주민들이 公

司를 조직하여 가격을 바로 잡았다는 기록도 있다121) 지주 부농 米商

등의 매점매석에 의한 가격 조종 사실은 흔히 발견된다122) 秋收期에

시장에 대량 방출된 곡식을 저렴한 가격에 매입하여 端境期에 되팔아

이익을 남기는 것은 상인의 오래된 관행이다 이윤 추구를 위한 개인

의 행위지만 넓게 보면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행위이기도 하

다 각지 농산품 가격 변동 조사에서 원인이 밝혀진 10건 가운데 전쟁

이 2건 豊凶 水旱災가 7건 상인 조종은 단 한 건 뿐이었다123) 제국

주의 상인에 의한 가격 조종이라는 것도 결국 중국 상인의 이윤 추구

행위와 본질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湘報의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124)

輪船이 이미 통행하고 있고 철로가 이미 만들어 졌다 제조업이 날로

번성하고 통상조약이 행해지니 상인이 계속 내왕하고 온갖 상품이 유통

된다 사계절 틈이 없으니 일용 각 물품이 그 가격이 반드시 저렴할 것

이다

이것을 보면 통상 개시 후 교통이 발달하고 상품 교역이 증대된다

는 것과 그 결과 일용품의 가격이 저렴해졌다는 것을 당시인이 인식하

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서방 각국과의 무역 증대는 상품 공급의 증가

이고 가격 경쟁을 통해 물가 상승을 완만하게 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

121)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22) 李文治 앞의 책 p559

123)湘報 제49號 ldquo輪船旣行 鉄路旣造 製造日盛 商約可行 商賈絡繹 百産流通

歲時無間 則日用物品 其価必廉rdquo

124) 安本美緖 앞의 책 제7장 pp239-288 제12장 431-455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9

Ⅲ 物價와 景氣(생활)

1 穀賤傷農과 不況

物價 문제를 단순히 등락의 흐름에만 주목하기보다 경기변동론적

입장에서 好況 不況의 문제로 연관시켜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

이다 岸本美緖는 康熙年間의 lsquo穀賤rsquo 현상이 不況과 연결되어 있고 光

緖年間 蘇州의 不況도 lsquo穀賤rsquo이 원인이었음을 지목하고 있다125)

그런데 長沙府 중심의 湖南의 사정을 검토해 보면 lsquo穀賤rsquo 관련 기록

이 道光 咸豊 시기와 民國 中期에 집중되고 있다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26)

道光 25年(1845) ldquo穀賤斗穀錢五十文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値穀賤錢価亦賤 民甚苦之rdquo

장사현과 縣治를 長沙城 내에 두고 있는 善化현에서도 같은 해에

비슷한 기록이 있다127)

道光25年 穀賤自十五年起 連年俱穀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中下戶苦之

咸豊5年 穀賤

장사현 기록을 보면 穀価도 싸고 錢価도 싸서 민이 고통 받는다 했

으니 이 당시 은의 해외 유출과 은전비가 문제로 민중이 고통 받은 사

실을 알 수 있다 선화현은 장사현과 연접하고 통합과 분리가 단속되

었던 거의 동일 지역이다 선화현 기록을 보면 도광25년의 lsquo穀賤rsquo이 해

당년도만의 일이 아니고 道光15年(1835)부터 계속된 현상임을 밝히고

있다

12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33 祥異

126)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127) 民國30年刊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0인근의 寧鄕縣에서 보면 ldquo道光26年 歲豊 穀奇賤傷農 佃農以穀賤大

困rdquo이라는 기사가 있다128) lsquo穀奇賤rsquo이라 하였으니 평상시 보지 못한

하락이었다고 생각된다 더구나 소작료 납부가 대부분 현물지대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佃農은 米穀의 상품화 과정에서 배제되었다는 종전의

통념과 달리 佃農도 곡가 하락으로 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같은 기록에 함풍원년에도 ldquo有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以穀賤漕折苛rdquo라 하고 있어

역시 곡가 하락으로 세금 납부에 곤란을 겪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장사부 內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아도 同治 년간에는 lsquo穀賤rsquo 기

재가 보이지 않고 전술한 도광 함풍 년간에 집중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후의 기록을 찾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ldquo湖南自夏秋以來雨暢時若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故無論高低田畝咸稱大稔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甚

賎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反有入不敷出之慨矣rdquo (益聞錄 69号 광서6년828)129)

ldquo(長沙農村) 近年來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穀米求售 価値至賤 日用各物 則又極昻 收穫所

得 不足顧其工本 多已漸陷于無力耕種之境rdquo (新靑年 7권 6호 1920년 5

월)130)

ldquo湖南近年來之天災人禍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天災旣足以減少收量 地方不靖 産品滯銷

価値復因以低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而生活日昻 工価及日用物品 繼續增漲 收入支出 常苦

不得平衡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rdquo (中國棉産改進統計會議專刊 1931)131)ldquo湘省爲産穀素豊之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年歲收 屢佔大有 而長江流域亦値豊收 更

有大宗洋米 運貨傾銷致湘米頓失市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価格低賤 不僅農村經濟 陷于絶

境 市面金融 亦大受打擊rdquo (銀行週報 18권 9기 1934313)

이외에도 1936年의 사실로 호남의 武岡 東安 일대에서 lsquo豊年穀賤rsquo으

로 省城에 운반할 때 운송비와 각종 捐稅 부담을 감당할 수 없어 陳米

를 불태웠다는 기록이 있다

128) 李文治 앞의 책 p557

129) 章有義 앞의 책 권2 p432

130) 章有義 앞의 책 권3 p795

131) 章有義 위의 책 p620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1이것을 보면 주로 1930년대에 lsquo穀賤rsquo과 不況이 집중 묘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lsquo穀賤rsquo 즉 불황이라고 하면 도광함풍초의 곡천과 불

황 同治光緖宣統期의 lsquo穀貴rsquo즉 好況 다시 民國 전기의 好況 民國 中期

의 불황으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물가의 상승기가 호황적 국면이라는 것은 알려

져 있지만 이것은 전체 물가의 문제이다 위 자료에서 보면 1920년 장

사 농촌에서는 곡가는 싼데 일용품 가격은 극히 높다고 하고 있고

1931년의 기록도 工價와 일용품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농민이 다수를 점하기 때문에 미곡가의 하락은 농민 수입 감소

와 구매력 저하를 가져오고 이것이 농촌 불황의 한 요인이 될 수 있

다 그러나 工賃과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시장의 한계 안에서의

일이다 또한 실업률과 고용 지표 등도 고려되어야 하는데 만족할만한

통계의 부족으로 명확한 답을 얻기는 어렵다

그런데 米価와 물가는 개별 년도나 시점에서 서로 상이한 궤적도

있지만 圖2 3 6 7을 보면 대체적으로는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예릉의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광서 4년(1878)에 비하여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1912)에는 현격한 상승세였다가 그 후에 등락을 거듭

하고 있지만 민국25년(1936)의 경우는 광서4년보다는 높거나 유사한

경우가 많다

2 생활 경기의 발달

당시인들이 체감하던 생활 경기의 수준이 어떠했는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

光緖刊 善化縣志를 보면 다음과 같다132)

132)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16 풍속 附論 ldquo古人 酒肉以養老 而今則黃口稚子

無不酒肉之人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日不旦穀貴鹽貴 而酒肉皆貴 則好惡可知矣 一今鄕間柴炭

其価數倍於昔日 瀕河之地 莫不燒煤rdquo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2옛사람들은 술과 고기로 노인을 부양하였는데 지금은 어린아이도 술과

고기를 먹지 않는 이가 없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요사이 미곡과 소금이 비쌀 뿐 아니

라 술과 고기가 모두가 비싸니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지금 향간에 柴炭이 그 값이 예전보다 수배인데 하천 근처 사람은

煤를 때지 않는 사람이 없다

同治 攸縣志 에도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33)

예전에 士大夫도 집에 있을 때 엄동이 아니면 가죽옷을 입지 않았다

지금 關中의 가죽옷 상인이 유현에 와서 1년에 은 만여 냥을 얻을 수 있

다 기타 비단 옷은 蘇州 杭州 및 嶺南에서 오는 것이 또 배가 되니 1년

에 수만금을 소비한다

醴陵縣에서도 비슷한 인식을 볼 수 있다134)

ldquo예전 풍속이 儉樸하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이 명절 아니면 고기를 먹지 않고

慶弔事가 아니면 술을 베풀지 않고 손님 접대는 닭 잡는데 그치고 鮮味

는 생선에 그쳤고 縣城의 食肆는 飽麵茶館에 그치고 酒席으로 業을 삼는

자가 없었다

지금은 酒樓菜館이 거리에 가득차고 中人의 집에도 술자리가 베풀어지

고 사치를 다툰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예전에 士類大半이 淥江書院에 모이면 그 가운데 비단신을 신은 자가

불과 수인이었고 羊가죽 옷을 입은 자가 불과 1 2人이었다 지금은 비단

신과 가죽옷이 거의 常服이 되었고 日用品은 舶來品이 많다rdquo

이 내용을 보면 예릉현의 생활 수준이 급격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예릉현지 기록에는 부인들이 上海의 유행을 쫓아 사치를 추구한

다는 내용도 있고 청말부터 外貨를 서로 자랑한다는 내용도 있다 종

133) 同治10年刊 攸縣志 권18 풍속 衣服 ldquo衣服 昔時 士大夫 家居非嚴冬不御裘

今關中裘商來攸 歲可得銀萬餘兩 其他錦繡之運自蘇杭及嶺南者 則又倍之 計一歲

之戶 所費數萬金rdquo

134)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4장 풍속 생활 ldquo旧俗民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非令節不

食肉 非慶弔不置酒 欵客止於殺鷄 鮮味止於草魚 縣城食肆 止於飽麵茶館 無以酒

席爲業者 今則酒樓菜館 遍於街市 中人之家酬酢往還 爭奢鬪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旧時士類

大半 集於淥江書院 一院之中 著緞鞋者 不過数人 襲羊裘者 不過 一二人 今則絲

履皮袍殆成常服 日用之品 多自舶來rdquo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3전에 菜油 棉油로 燈을 켜다 집집마다 煤油를 사용한다거나 세탁시

茶枯鹼水를 쓰다가 대부분 비누를 사용하는 일상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135)

또 寧鄕縣에서도 ldquo同光之間 地方安寧 家給人足(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함)縣城商業 於時爲盛rdquo이라 하고 있어 同治(1862-74) 光

緖(1875-1908) 시기가 好況이었음을 알 수 있다136) 湘報에도 ldquo民間

之喜用洋貨日甚一日rdquo이라 하고 있어 洋貨 사용의 확대를 짐작할 수 있

다137)

광서년간 무역이 확대되고 여기에 대해 유익하다는 인식의 기록이

湘報에 나오고 있다138)

ldquo輪船과 철로가 개통되고 항구 개항이 증가 되는 것은 실로 중국에 유

익하고 손해가 없다 저 눈이 콩만큼 큰 자가 걸핏하면 통상이 중국에 해

가 된다고 하니 어찌 심히 어리석지 않은가rdquo

무역 확대를 지적하고 통상이 유익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예릉현

지에도 同治志에는 풍속이 lsquo安士重遷rsquo하고 상인이 외부 활동하는 자가

적었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고 光緖末에 도자기 夏布 編爆業

이 일어나 융성하여 이에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 넘는다고

하고 있다139) 예릉향토지에도 商旅 왕래가 예전보다 10배라는 서술이

있다140)

장사시의 行業발달 상황을 보면 민국 5년(1916)에서 民國22年(1935)

사이에 식품업은 281⟶2124 사치품은 171⟶1128 복장은 43⟶2028 農

礦은 621⟶1156 洋貨 127⟶233 금융 130⟶164 공예 2121⟶3344 문구

17⟶355 등 비약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141)

135)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 工商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6장 실업

136) 民國30年刊 寧鄕縣志 財用錄 民業

137) 湘報 제13호 1898年 3月 21日

138) 湘報 제162号 1898年 9月 23日

13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40) 民國15年刊 醴陵鄕土志 제6장 실업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4이것은 장사의 생활수준 향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당시에

通商의 확대 주장도 湘報에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142)

이상에서 보면 청말민국기에 대체적인 추세는 好況이었다고 생각된

다 생활 수준의 향상이 눈에 띄고 米価와 물가도 연동되면서 상승하

는 추세였다 米価의 상승이 구매력 수준의 제고가 되기 때문에 米穀

생산 중심지역에 상인들의 行號가 집중되는 것이 보였다143) 임금의

경우에도 호남 汝城縣에서 실질 임금이 유지 또는 상승하는 것을 확인

한 바 있다144) 全漢昇도 1875년부터 1925년까지에 걸쳐 四川 合江현

의 임금과 물가 변동의 추세가 거의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바 있

다145) 앞서 인용한 1931년 中國棉産改進計劃 에도 임금과 일용품 가

격이 함께 오른다고 하고 있어 임금이 물가에 연동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생활 수준 향상을 기록하고 있던 지방지에도 빈부 격차를 암시하는

내용이 있고 物力이 날로 쇠퇴한다든지 하는 기록이 있다 대외 무역

이 적자라 하더라도 차관 원조 뿐 아니라 외국 상인의 진출이 자본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好況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Ⅴ 結 言

이제까지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이후 民國中期인 1936年

까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여 米価와 물가 변동 물가 변동의 원인

141) 張朋園 앞의 책 p387

142) 湘報 44호 中外通商利害論 湘報 67号 論湖南茶務急宜整頓

143)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144)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9 1998)

145) 安本美緖 앞의 책 p2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5물가와 생활 경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米価 변동은 단기 변동에 있어서 전쟁이나 天災 등의 특수한 사정

의 해를 제외하고는 光緖 년간에 비해 민국 중기의 계절 변동폭이 축

소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米価의 계절 변동을 완화 시

켜 주는 雜糧의 재배가 湖南 지역에서는 대부분 同治 년간에 보급 확

대가 되고 있다 교통과 상업 발달 등의 이유로 청말에서 민국기로 갈

수록 계절 변동폭을 축소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변동에서는 長沙府縣의 물가 변동 예릉현 물가 변동 등을 살

펴 볼 때 전체로서는 상승 추세 중에 도광 함풍 시기의 低米価 同治

년간의 高米価 光緖전반의 低米価 光緖後半에서 宣統 년간의 高米価

民國 前期의 高米価 民國 中期의 低米価의 등락을 보이고 있다

民國 中期의 米価는 長沙 8개년 米価 추세에서도 안정속의 상승세

를 보이고 있다 명목상 수치 뿐 아니라 米価의 상대 물가로 보는 실

질 구매력도 宣統 民國元年에까지 급상승하였다가 민국 시기 등락을

거듭하지만 민국25년(1936)까지 광서4년(1878) 대비 유지 또는 상승 추

세였다

物価변동은 개별 상품에 따라 편차가 있고 米価와는 전혀 상이한

궤적을 그리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米価와 연동 관계를 보이

고 있다 1898년 물가의 단기 변동은 이상할 만큼 변동폭이 크지 않다

당시 물가 조사자의 보고가 정확했는지 의심될 정도이다 1935년의 장

사 물가에서 단기 변동을 보면 변동폭이 100이상인 夏布 毛筆 麵粉

棉布등을 비롯하여 50 이상인 오리털 흑연 성냥 국산 전지 등을

비롯하여 40 이상인 비누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기 변동폭

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 이것은 이런 물품들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

성이 크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物価의 장기 변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米価와 대체로 비슷한 궤적

을 보이고 있다 청말에서 민국전기에 걸쳐 물가 상승폭이 두드러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 상승폭이 더욱 크

다 돼지고기 값을 예로 들면 1878년에서 1909년 사이에 273 상승했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6고 1912-1921년 사이에 75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닭은 각 50와 44

상승했다 청말은 31년간의 수치이고 민국 전기는 9년간이니 물가의

상대적 급등을 알 수 있다 1926에서 1936년까지 10년간 돼지 고기 값

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

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

세를 보이고 있다 민국 중기의 米価가 일부 lsquo穀賤rsquo 현상을 보인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음으로 물가 변동의 원인에 대해서는 군벌간의 전쟁이나 정치적

혼란 등 정치 군사적 요인을 제외하고 대체로 검토해 보았다

수요 측면에서는 湖南米의 유통이 호남 내부의 인구 증가에도 불구

하고 양자강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지속된 것이 米価 상승의 한 원

인이었다 上海나 武漢 등의 도시화와 인구집중은 이들 지역 양식 수

요를 폭증시켰다 일부 洋米 수입에도 불구하고 湖南米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으로써 米価를 상승시켰다 또 장사를 비롯한 각지의 새로운 수

공업 산업의 발달로 비농업 인구가 증가하고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유

효수요로 성장하여 米価 상승을 유도하였다 양식의 이출은 해당 지역

인구 식량을 전부 제외한 나머지 잉여가 수출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력

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청말민국기에는 호남의 내부 외부에

서 미곡에 대한 유효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것이 米価 상승의 한 요인

이었다

화폐 문제에 있어 화폐 수량의 증가가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것

은 상식이다 종래 아편전쟁 전후 은의 해외 유출 증가가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을 초래하여 물가 상승과 인민의 빈곤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지방지 등의 史料에서 검토한 결과 은전비가는 도광함풍초의

일시적 상승 후에 함풍 7년 이후는 도리어 하락하고 있다 同治 년간

에 대부분 1兩 1300文 수준에서 안정되고 있다 光緖末宣統년간에도

1600-1700文 수준으로 도광함풍 초보다는 낮은 편이다 청말민국시

기에 화폐의 남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한계를 넘었을 때 시장의 통용

거부로 마침내 중단되고 있다 청말민국기에 외국 銀元의 유입과 국내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7의 銀元 주조 銅元 지폐 외에 鈔票 市票 등 화폐 시장에 투입된 화

폐량은 엄청나게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로서는 어느 정

도 시장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외 교역과 상품량의

증대 경제 활동 인구의 증대 미곡 생산 및 농산품 생산의 증대로 화

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것이 화폐량의 막대한 증가와 유

통속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

었다고 생각된다 즉 안정 속의 물가 상승이 유도된 것이다

공급면에서 보면 대외 교역을 통한 서양 상품의 수입은 전체로서는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물건의 공급 증가를 통해서

혹은 국내 상품과의 경쟁 때문에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었

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침략과 물가 폭등이라는 도식적

견해와 달리 현실에서는 물가 억제 작용도 있었던 것이다

물가와 경기면에서 보면 물가가 비쌀 때 호경기가 많은 것은 사실

이다 그런데 lsquo穀賤rsquo 현상이 불황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서 長沙 지역의 경우를 검토해 보았다 도광함풍 년간까지 lsquo穀賤rsquo현상

과 불경기적 상황에 대한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동치광서 년간에는

米価가 등귀한 시점인데 이 시기는 紅茶業의 번성이나 각종 수공업의

번성으로 好況의 면모가 보이고 있다 민국 시기에는 민국 중기에 lsquo穀

賤rsquo의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史料上에 민국 중기의 lsquo穀賤rsquo은 임금이나

다른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다 물가 상승기와 好況

이 맞물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민국 중기는 lsquo穀賤rsquo 현상과 서로 어긋

나는 것이다 이 시기의 不況 서술은 농촌의 농민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표시이다

생활 수준에 대한 지방지 기록 등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주민들의

洋貨 사용이 보편화되고 의복 음식 주거 등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것

을 지적하고 있다 물가는 상승하였지만 同治 이전에 비하여 분명히

사치품의 소비 증대와 中人의 집도 소비 수준이 제고된 것이 드러나고

있다 민중의 빈곤은 있으나 이 시기 빈부 격차가 커지고 생활 수준의

격차가 커진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19: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7

1935년의 長沙 米価는 通郵地方物産誌의 長沙 靖港의 米 1担価를

이용하였다 실제 石은 担보다 크므로 米価는 여기서 잡은 5元을 상회

할 것이라 생각된다57) 같은 자료의 물가를 이용하여 제시한 lt표6gt을

보면 돼지고기 값은 1898년의 30斤에서 1935년은 25-35斤 사이이다

그 범위 안에 있는 것을 보면 米価의 실질 구매력은 유지되고 있다

茶油는 다소 하락하였지만 면화도 유지 또는 상승이라 볼 수 있다

예릉현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돼지고기는 상승 추세 속에 일

부 하락년이 있다 선통 원년과 민국 원년에 수치가 상승한 것은 米価

의 폭등이 기타 물가를 크게 앞지른 것으로 여겨진다 민국 중기에 약

간 하락하였지만 1935년의 돼지고기 구매력은 광서4년(1878)에 비해

67정도 상승하고 있다 茶油의 경우도 민국 10년(1921)까지 米의 상

대 구매력이 대폭 상승하고 있다 이것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米価 변

동을 통해 농민 소득이 하강했다고 여겨지지 않는다

광서4년1878

광서14년1888

광서19년1893

선통원년1909

민국원년1912

민국5년1916

민국10년1921

민국15년1926

민국20년1931

민국25년1936

猪肉 15斤 25斤 22斤 36斤 35斤 23斤 27斤 16斤 28斤 25斤

草魚 34斤 39斤 38斤 57斤 62斤 35斤 - 20斤 32斤 33斤

茶油 12斤 23斤 25斤 27斤 - - 25斤 - ① -

鹽 23斤 26斤 22斤 33斤 62斤 - 42斤

棉花 7斤 16斤 5斤 - - - - - ②

洋紗 - - - - - - - ③

煤油 - - - - - - - 15병 2병 11병

雞 17斤 22斤 20斤 33斤 22斤 19斤 21斤 - - -

史料上 穀価를 lsquo1米2穀rsquo의 원칙에 따라 米価로 환산하였음① 민국 15년(1926)부터는 茶油의 단위가 石으로 되어 있어 비교 곤란② Prime 棉花의 단위가 石으로 되어 있어 비교 곤란③ Prime 羊紗의 단위가 件으로 되어 있어 이해 곤란

lt表7gt 醴陵縣 米価의 물품구매력 변동추세(米1石의 구매력)

57) 刘泱泱 湖南通史 近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p487-488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8

품목

시기

단위

同光

(1870-1890)

光宣

(1890-1911)

民國

(1912-1932)

肉 斤 188 188 175

鹽 斤 60 75 636

洋紗 捆 100 100同光시기洋紗통행안함

土布 尺 100 120 140

洋油 甁 20 10同光시기

洋油 未 盛行

茶油 斤 188 188 175

桐油 斤 214 200 194

柴 750 875

同治丁卯志(1867)편찬 이후라 되어 있어 대략 70년부터 잡은 것이다

lt表8gt 湖南 汝城縣의 穀1石価의 구매력 변동

호남 汝城縣의 穀1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고기는 光宣 시기에

유지되다가 민국 시기에 약간 하락하였으나 근소한 수치이다 鹽의 구

매력은 光宣 시기에 대폭 올랐다가 民國 시기에 하락하였으나 同光 시

기 보다는 높은 수치이다 洋紗에 대한 구매력은 光宣 시기에서 民國

시기에도 계속 유지되고 있다 茶油는 고기와 같은 변화이다 土布에

대해서는 구매력이 계속 증가한다 洋油에 대해서는 民國 시기에 구매

력 감소를 보이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호남의 대외무역은 외국의 공

업품과 농부산품 원료를 교환하는 것인데 고가의 공업품 대신 강제

저가의 수단으로 호남의 농산품을 약탈한다는 견해58)는 약간의 재검

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공업 상품 가격의 翦刀差에 대해서도 洋紗

의 경우를 보면 나타나지 않고 있다59)

이상을 종합하면 同治年間의 高米価 光緖前半(1875-1891)까지의 상

대적 低米価 光緖後半-宣統까지의 高米価 급등 民國前期의 계속 상승

58) 李金錚 二十年來 中國 近代 鄕村 經濟史的 新探索 (歷史硏究 2003年 4

期)

59) 譚文熙 앞의 책 pp298-299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9

品目 洋麵 淮鹽 茶油 桐油 洋油 猪肉 雞 鴨 烟煤 柴煤

단위시기

包 斤 100斤 100斤箱2桶(50斤)

斤 斤 斤 100斤 衡斗

31-310 26兩 56文 73兩 19兩 104文 112文 88文 320文 24文

311-320 26兩 Prime 73 19 104文 128文 88文 320文 24文

321-331 26兩 Prime 73 625兩 189 108文 128文 88文 320文 252

41-410 26兩 Prime 728 628 186 320文 240

411-420 27兩 Prime 728 626 183 254 228

421-430 29兩 Prime 72 616 181 314 260

51-510 293兩 Prime 711 606 178 310 240

511-520 274 Prime 71 60 183 314 240

521-531 26 Prime 71 60 185 314 229

61-610 26 Prime 699 60 185 299 219

611-620 231 Prime 734 61 184 320 255

621-630 22 Prime 754 62 183 311 254

71-710 22 Prime 774 649 183 310 250

711-719 218 Prime 768 631 181 318 265

면화는 上棉 中棉 下棉의 가격이 제시되고 있으나 여기서 생략함

lt表9gt 1898年 3-7月間 長沙物価

民國中期(1926-1936)까지 안정이라는 米価 변동의 궤적을 확인할 수

있고 그 기간 동안 米価의 실질 구매력은 유지 또는 상승이 대체적 추

세였다 생각된다

2 物價 변동

1) 단기 변동

湘報에 수록된 光緖24년(1898)의 長沙 물가 변동을 표시한 것이

lt表9gt와 lt圖5gt이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0

品目 단위 최고가 최저가 시기 유통량 행선지

鴨絨 斤 500 300 冬 上海 北平 天津 南京

일반적으로 米価와 物価는 상호 연동적이라 생각되지만 여기서 물

가의 단기 변동은 米価와는 다소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대체로

등락 폭이 크지 않다 洋油 洋麵 桐油 등의 변동폭이 크지 않다 면화

만 4월 10일 20일 사이에 상승이 있지만 5월부터는 하락하고 있다

淮鹽 가격은 斤당 56文으로 3月에서 7월 사이에 전혀 변동이 없다

長沙지역은 원래 淮鹽 관할 구역이었으나 太平天國 시기에 교통 두절

로 川鹽 소비지역이 되었다 太平天國후 曾國藩이 이 지역을 淮鹽 소

비지역으로 회복하기 위해 여러 가지 개혁 조치를 행하고 督銷局에서

가격을 核定하여 고시하는 牌價 제도를 시행한 바 있다 일종의 통제

가격제도에 의해 가격 상승이 억제되고 있었던 것이다 直隷의 景縣의

소금 값은 1890년에 斤당 46文 1900년에 斤당 68文이라는 조사도 있

다60) 長寧縣에서는 光緖29年(1903)에 鹽価가 斤당 55文이라는 보고도

있는데 이것은 長沙 1898年의 鹽価와 유사하다61)

戰亂後에 淸朝정부의 淮鹽 소비지 회복 정책에도 불구하고 四川鹽

이 계속 私鹽으로 침투하였기 때문에 長沙의 淮鹽価를 저렴한 통제 가

격下에 두고 있었다고 생각 된다62) 圖6)에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柴煤

는 米価와 같이 5月10日에 최고가에 가깝고 6월10일에 하락하고 그후

에 상승하고 있다 烟煤의 경우에도 비슷한 궤적을 그리고 있다 이것

은 米価와의 연동관계가 비교적 분명하다

1935년의 長沙 物価의 단기 변동 폭을 알 수 있는 것이 lt표10gt이

lt表10gt 長沙物価 通郵地方物産志

60) 李文治 앞의 책 p562

61) 譚文熙 앞의 책 p267-268

62) 佐伯富 中國史硏究 第1卷 (京都 同朋舍 1978) pp340-36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1

黑鉛 石 2200 1300 全年 50000石 漢口上海

棉紗 件 22000 1800 Prime 24000件 本省

棉布 疋 120 150() Prime 1000000 漢口

麵粉 袋 50 250 Prime 140000 Prime

線襪 雙 106 Prime 6000000 本省

毛呢鞋 Prime 200 180 Prime 400000 Prime

夏布 疋 1000 200 夏 20000 上海漢口

火柴 箱 500 300 全年 10000 本省

刺繡 Prime國內및外洋

매년 産量 약50만元

玻璃器 件 300 200 Prime 9000 本省

肥皀 箱 70 50 Prime 30000 Prime

絲綿三角 兩 040 020 Prime 40000 Prime

國貨電池 打 060 040 Prime 200000 Prime

猪 斤 020 015 Prime 50000只 漢口上海

豬毛 担 6000 5000 Prime 4000kg Prime

粗窑器 卡 350 250 Prime 100000套 長江연안

毛筆 支 050 020 Prime 本省 및 황하 각성

여기서 보면 변동폭이 100 이상인 것은 면포 夏布 絲線三角 毛

筆 麵粉 등이다 또 50 이상인 것은 鴨絨(가공오리털) 667 흑연

692 火柴(성냥) 667 玻璃器(유리그릇) 50 국산 電池 50 등이

다 비누는 40 粗窰器는 40이다 棉沙 222 毛呢鞋는 111 돼

지 333이다 단기 변동 폭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고 생각된다 이

것은 이런 물품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성이 크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그런데 1898年의 경우는 茶油 洋油 등 물품의 가격 변동폭이 적은 것

은 무엇 때문일까 어쩌면 당시의 시장 가격 조사가 부정확했는지도

알 수 없다

1935年의 물가에서 綿沙의 변동폭이 적은 것은 당시 항상적인 수요

가 있었기 때문이 아닐까 비누의 변동폭도 40로 비교적 적은데 생

필품으로 수요가 지속 증대된 까닭이 아닐까 한다 通郵地方物産誌에 기재된 醴陵縣 夏布 가격은 40元-100元 사이인데 民國醴陵縣志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2

圖5) 1898年 3月-7月 長沙物價

의 物価表上에는 70元(1938)이라 되어 있다 物産誌 가격은 1935年

의 것인데 예릉현지의 가격이 그 범위 안에 있어 서로 다른 자료간에

부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63) 物産誌 上 相潭株洲의 茶油 값

매 石 160-240元(1935)은 예릉현지 물가표의 민국 20년(1931) 茶油 매

石 240元과 일치하고 있다 표12)에 1936年 煤油 값은 병당 44元이다

그런데 民國 安鄕縣志에서도 1934년 煤油 값은 병당 38元으로 되어

있어 兩者 사이에 유사성을 보여주고 있다64) 그러므로 醴陵縣志 物価의 종적 비교도 신뢰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洋麵은 包당 가격

茶油桐油洋油는 100斤당 가격

棉花 100斤당 가격

2) 장기 변동

長沙의 물가 변동을 보려면 湘報 수록의 광서 24年(1898) 물가와

63) 交通部郵政總局 編 中國通郵地方物産誌 (華世出版 1988)

64) 民國 安鄕縣志 卷11 食貨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3

품명 단위광서4년

(1878)

광서14년

(1888)

광서19년

(1893)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

(1912)

민국5년

(1916)

민국10년

(1921)

豬肉 斤 88文 63 62 112 160 240 280

雞 斤 80 72 68 120 250 300 360

lt表12gt 醴陵縣 物価表 (b) (商会조사)

품명 단위민국15년(1926)

민국20년(1931)

민국25년(1936)

민국27년(1938)

민국28년(1939)

민국29년(1940)

민국30년(1941)

猪肉 百斤 200원 170 200 360 400 561 1300

草魚 Prime 160 150 150

茶油 石 240 290 560 760 2000

鹽 石 120 140 150 160 2000

洋紗 件 2200 2200 2400 2000 2500 1500

土布 匹 27 70

夏布 Prime 70 70 140

竹布 Prime 100 100 8000

棉花 石 20 25 40 100 200 400

煤炭 石 020 030 040 050 230 70

煤油 甁 220 240 440 90 300 460 200

毛邊紙 石 198 432 1200

黑靛粉 桶10斤 100 200 1500 2000

赤金 兩 50 70 80 90 500 560 1600

lt表11gt 醴陵縣 物価表 (a)(私家數簿에 의한 것)

民國24年(1935)의 通郵地方物産誌 기록을 직접 비교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양 자료 사이에 화폐와 단위가 서로 달라 직접 비교할 수가 없

다 그래서 당시인의 물가 변동 기록인 長沙府 醴陵縣 物価表를 이용

하는 것이 파악 방법이 될 것이다

lt표11gt lt표12gt 와 lt圖6gt lt圖7gt을 보면 개별 물품에 따라 차이

는 있지만 대체적인 흐름은 米価 변동과 유사한 궤적을 보여주고 있

다 즉 光緖 前半에 비교적 안정적이다가 光緖 후반부터 급상승하여

민국 전기까지 상승하고 있다 1926년부터 1936년까지는 가격 안정세

를 보여 주고 있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4

雞蛋 個 2 2 3 4 10 15 20

草魚 斤 40 40 36 70 90 160

茶油 斤 116 69 54 150 300

鹽 斤 60 60 63 120 90 180

煤 石 50 120 50

苧麻 斤 270 99 170

棉花 斤 200 96 280

竹布 尺 70 62 60 60 90

靑洋布 尺 55 50 50 70

白蓮紙 刀 40 82 80 100

-附記 前淸 통행 制錢文으로써 단위 민국 초년에는 비록 銅元을 단위 사용하나 관습상 매 1銅元은 錢10文에 해당

圖6) 醴陵縣 物価 (a)

① 豬肉 斤당 가격 ② 雞肉 斤당 가격 ③ 茶油 斤당 가격

④ 鹽 斤당 가격 ⑤ 棉花 斤당 가격 ⑥ 草魚 斤당 가격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5

圖7) 醴陵縣 物価(b)

① 猪肉 百斤당 가격 元 ② 草魚 百斤당 가격 元 ③ 茶油 石당 가격 元

④ 鹽 石당 가격 元 ⑤ 洋紗 件당 가격 元 ⑥ 棉花 石당 가격 元

⑦ 煤油 甁당 가격 元

米価가 物価와 연동되는 것에 대해서 江都縣史料를 보면 ldquo産米 구역

에서 年末에 米価가 상승하니 百物이 昻貴했다rdquo65)라고 되어 있다 湖

南지역 米価 연구 자료에도 米価 추세는 거의 물가 수준과 같다는 주

장이 있다66)

光緖末宣統年間의 물가 상승을 나타내는 史料를 보면 다음과 같다

이제 각종 惡政의 결과로 百物의 騰貴를 초래했는데 小民의 日用 수요

65) 李文治 앞의 책 p470 ldquo江都爲産米區域 年末米価騰踊 百物因以昻貴rdquo

66) 張麗芬 앞의 책 p22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6음식은 그 가격이 십년 전에 비해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과 居室 器用

蔬饌의 비용 牛種糞漑의 비용도 예전 보다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도 비록

동일 비례로 함께 올랐으나 이미 넉넉하지 못해 괴롭다67)

이것을 보면 米価와 物価가 연동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청말

특히 光緖 후반 이후에 각종 物価가 두 배 올랐다는 사정을 알 수 있

다 上海의 物価도 같은 시기에 상승하고 있다68)

lt표11gt lt표12gt와 lt圖67gt을 검토해 보면 돼지고기 값은 광서 14

년 광서 19년까지는 다소 하락세를 보이다가 宣統원년(1909)부터 급격

히 상승하고 있다 민국원년(1912)의 가격은 160文으로 1878年의 88文

에 비해 거의 두 배에 해당한다 위에 인용한 宣統 2年 8月 國風報의 물가 두 배 인상과 정확하게 부합되고 있다 민국 전기인 1926년까

지 계속 상승하고 있지만 1926년에서 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이고 있

돼지고기 값은 1878년-1909년 사이 273 상승했고 1912-1921년 사

이에 75 상승했다 닭은 각기 50와 44 상승했다 계란은 100

100 상승이었다 淸末 비교 시기는 31년간인데 비해 민국 전기는 9

년간에 불과하다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가 급등한 것은 충분히

알 수 있다 1926년에서 1936년 10년간 돼지 값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거의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이었다

民國 醴陵縣志에도 ldquo辛亥혁명이전에는 물가가 심한 등락이 없었는

데 민국 후에 들어와서 차츰 상승했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69) 圖6)을 보

면 닭고기도 비슷한 궤적을 보이고 있다 草魚의 경우도 청말 민국전

기는 상승이 주요 동선이고 민국 중기(1926-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

67) 國風報 第1年 21期 宣統 2年 8月 (李文治 앞의 책 p561) ldquo今也以種種惡

政之結果 以致百物騰踊 小民日用 飮食所需 其価皆視十年前兩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居

室器用蔬饌之費 牛種糞漑之費兩倍于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雖以同一比例以俱騰 旣苦不

給矣rdquo

68) 岸本美緖 앞의 책 p443

6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物價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7이고 있다 譚文熙 物価史에는 민국 전기는 안정속의 상승세로 민국

중기는 파동속의 상승으로 정리를 하고 있는데 여기와는 약간의 차이

를 보이고 있다70) lt표11gt과 lt표12gt 사이의 화폐 단위 차이로 인한

연속적 파악에 다소 어려움이 있으나 대체의 추세는 짐작할 수 있다

또 품목에 따라 공란이 있어 연결 관계가 애매한 부분이 있다 1936년

이후는 중일 전쟁의 혼란과 불환지폐의 강제 통용 등의 사정으로 本考

에서는 분석 대상 범위에서 제외 하고자 한다

Ⅱ 物價 변동의 원인

1 수요 측면

米価와 物價가 상호 연동관계에 있고 넓은 의미에서는 米価도 물가

의 일부이다 米価 및 물가의 상승은 우선 수요의 증가에 원인이 있다

고 할 것이다 수요증가는 일반으로 인구 증가이다 湖南의 인구는 嘉

慶21年(1816) 18754259명에서 1898年 21174000명으로 다시 民國17년

(1928)에는 31501212人으로 비약적 성장을 하였다71) 약 110년 동안

인구가 1300만 가까이 증가하였고 비율로는 679가 증가하였다 長沙

府의 인구도 가경 25년(1820)에서는 4290086명이었는데 민국23년

(1934)에는 8421330명으로 약 400만명 이상 증가하여 963 상승을

보이고 있다72)

인구의 증가가 수요 증대를 초래하는 일반 요인이지만 湖南의 米穀

移出이 해당 지역 민중의 식량을 제외하고 남는 잉여 米만은 아니다

70) 譚文熙 앞의 책 pp302-307 여기서는 민국 전기는 1912-1927년 민국 중기

는 1927-1937년으로 구분하고 있다

71) 湖南省志 地理志 (長沙 湖南人民出版社 1982) pp230-238

72)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8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의 증대가 더 중요한 요인일 것이다 淸末에

와서 새로운 생업을 통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가 많이 증가하고

있는데 醴陵縣 사례를 한번 검토해 보겠다 史料는 다음과 같다73)

同治志에 이르기를 醴陵의 풍속은 lsquo安土重遷rsquo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상인이 外地에 나

가 장사하는 이가 적었다 배를 이용하여 외부 상업을 하는 것은 淥口 부

근의 米穀商일 뿐이었다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邑人들이 茶제조로 武漢에 판매하는 자가

이익이 배가 되었다 이때부터 龍門일대에 매양 봄에 茶를 제조하고 가리

는 廠이 항상 수십이었다 光緖末年에는 도자기업 夏布 編爆이 일어나서

대신하였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이를 믿고 생계를 삼는자가 무려 십만인이다

同治志 편찬 단계만 해도 사람들이 토착 안주하여 멀리 이동하는

것을 어렵게 여겼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큰 이익을 보고 그

후 도자 기업 夏布 編爆 제조에 종사하여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나 되었다는 것이다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의 성장을

보여주는 것이다 長沙의 빠른 도시화도 주목된다 長沙日報에 실린

내용을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74)

光緖32년(1906)에 火災 조사시에 城廂 내외가 매일 식량으로 穀 5000

石이 필요하였다 지금 교통이 편리하고 상인 旅客이 배로 증가하였으니

매일 마땅히 1-2000石을 더해야 한다(宣統 2年(1910) 2月 17日 長沙日

報)이것을 보면 光緖32년(1906)에서 宣統2년(1910)은 불과 5년이 채 되

지 않는데 상인 집단이 배로 증가하였다니 城內外의 유동인구 급증을

짐작할 수 있다 長沙城의 인구는 1916年에 177882人이었고 1931年은

385514人으로 증가하였다 불과 15년 사이에 1167 증가이다 배 이

73)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ldquo同治志云 醴俗安土重遷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商賈外

貿者少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揚帆外貿則 僅淥口附近之穀米商而已 光緖初 紅茶業興 邑人製茶

販運 漢皋者 獲利倍蓰自是來龍門一帶 每屆春日 製茶捒茶列廠恒數十 訖於光緖

末年 則有瓷業及夏布編爆起而代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恃以爲生者 無慮 十萬人rdquo

74) 李文治 앞의 책 p551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9상이 증가하였으니 長沙의 도시화도 급속히 진전 되고 있다75)

민국10年의 湖南 實業雜誌 보도를 보면 당시 長沙에 蓆工 500人

刻字工 300人 방직공 3200人 이발공 800人 香工 400人 합계 5200人

이 있었다 長沙大公報에 의하면 민국9년(1920)에 長沙에는 부두공

2600人 糞夫 500人 轎夫 1300 車夫 2300人으로 합계 7000人 정도

가 있었다76) 같은 시기 호남성의 광부가 160萬人이고 여기에 手藝工

苦力을 합치면 190만 전후였다고 한다 예릉현에서는 東鄕 일대에서

編爆業 종사자가 수만이고 東北兩鄕에서 磁廠의 女工도 수천이나 되었

다는 기록도 있다77) 湖南 邵陽縣에서도 淸末에 工匠이 5만 상인이 12

만 정도였다는 통계도 있다78) 이렇게 비농업 인구가 다른 생업을 통

해 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로 증가하고 있던 것이 확인된다 이런 유

효 수요 증가를 설명해 주는 다른 史料 하나를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

다79)

어째서 米穀이 날로 적어지고 날로 비싸지는가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水旱災가 날로 많고 농사짓는데 날로 게으르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말은

진실로 일리가 있는데 다 그런 것은 아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선교사 洋商 洋官 洋

兵은 증가한 것이 외국에서 온 사람이다 敎民 游民 賭民 盜民은 內地

에서 증가한 자이다 무릇 농사짓는 사람은 하나인데 먹는 자는 헤아릴

수가 없다 米穀이 어찌 비싸지 않을 수 있겠는가

光緖後期의 사정을 전하고 있는 위 史料를 보면 외국에서 온 선교

사 상인 군인 관리 등도 米価 상승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국내

외를 막론하고 비농업 인구의 급격한 성장이 米価 상승의 원인이라 생

각된다

湖南과 長沙의 米穀은 해당 지역 안에서 소비되는 것보다 揚子江

75) 張朋園 中國現代化的區域硏究 -湖南省 (台北 1998) p376

76) 위의 책 pp412-413

77)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農業經濟

78) 光緖33年刊 邵陽縣鄕土志 권2 인류 실업

79) 李文治 앞의 책 p77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0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많다 청말민국시기에도 지속적인 湖南米의

移出이 있었던 것은 이미 밝힌바 있다80)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穀

米가 騰貴한 이유가 外省의 采辦이 많은 때문이라고 하고 있다81) 상

담현에서도 동치 4년(1865)이전에 해마다 풍년이었는데 穀価가 까닭

없이 騰貴한 것은 江南이 처음 회복되어 米穀의 販運이 많아진 때문이

라고 하고 있다82) 1898年에도 長沙에서 米穀의 원거리 送出을 바라는

지주 富戶와 주민의 갈등 관계가 노출되고 있다83) 宣統2年(1910)의 기

록에도 湖北의 흉년으로 出境 米穀이 과다하여 米価가 급등했는데 작

년 末에는 1石5000文이었다가 금년에는 1石 8000文에 이르렀다는 내

용이 있다84) 같은 자료에 湖南米가 당도 하지 않으면 武漢에서 변란

이 일어난다고 할 정도이다

하류의 上海는 한적한 어촌에서 근대에 대도시로 성장하였다 武漢

上海등의 도시화와 상공업 발전 인구 집중은 長沙米의 급격한 수요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宣統 년간에 長沙가 전국적인 4大 米市의 하나

로 성장한 것은 우연한 일은 아니다85)

근대에 대외 교역증가가 물가 상승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생각된

다 1873년에서 1930年 사이에 농산물 수출 통계는 1910년을 100으로

했을 때 1873년은 12 1893년은 123 1903년 386 1920년은 1324

1930년은 2709로 급상승하고 있다86) 농산물의 수출은 해외 수요의 증

가이다 이런 교역상 수요 증대는 가격의 등귀 뿐 아니라 작물 재배

면적의 확대에도 기여하고 있다

80)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81)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20

82) 光緖6年刊 湘潭縣志 卷29 災祥志

83) 湘報 89號 長沙縣職員常達邦呈批

84) 李文治 앞의 책 p381

85) 徐正元 中國近代農産商品化的發展與米市的形成 (復印報刊經济史 1997年3期)

86)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권2 p14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1宣統2년(1910) 長沙에 영국 상인이 출현하여 米穀 구매를 단행하자

米価가 하루에 여러 번 급등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였다87) 湖南에서

는 또 광동 상인의 영향을 받아 紅茶 제조법을 습득하여 홍차를 대량

생산하여 구미에 수출하였다 19세기 60년대부터 20세기 초에 특히 호

남 茶 생산 판매가 극히 발달하였다88) 주요 산지 중에는 長沙 湘潭

安化 등이 손꼽히고 있다

桐油의 수출 또한 괄목할 만한 것이다 湖南의 桐油 수출은 1922년

전국의 3336 1923년은 372로 성장하였다 1929년에는 全省 수출

총액의 45 정도를 차지하였고 桐油 상품화율 80에 달하였다89) 대

외교역을 통한 농산품의 해외 수요 증가는 직간접으로 물가 상승에 작

용하고 있다

2 화폐 문제

물가와 화폐의 관계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통상 화폐 수량의 증가가

생산총량의 증가보다 초과할 때 물가상승이 일어난다90) 보통 淸 후기

에는 아편무역에 따른 銀의 해외 유출과 그 결과 야기된 lsquo銀貴錢賤rsquo 현

상 통화팽창에 의해 물가가 상승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91)

실제 淸末民國기에 걸쳐 통화 팽창과 물가 상승에 대한 기록을 찾

는 것은 어렵지 않다 王業鍵에 의하면 淸末 특히 1875年부터 1911年

까지는 인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단계였다고 한다92)

民國 寧鄕縣志에 보면 ldquo光緖29年(1903)에 처음으로 當十銅元을 주

87) 李文治 앞의 책 p550-551

88) 劉泱泱 앞의 책 p46

89) 宋斐夫 主篇 湖南通史 現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5 p276

90) 陳民 法幣發行制度與通貨膨脹 (復印報刊經济史 2001-1)91) 龔勝生 앞의 책 pp275-280 岸本美緖 앞의 책 p444 張麗芬 앞의 책

p217

92) Yeh-chien Wang Secular Trends of Rice in the Yanzi Delta 1638-1935(California Univ Press 1992)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2조하여 전국에 통용시켰는데 물가의 등귀가 이때부터 시작되었다rdquo는

기록이 있다93) 醴陵縣에서는 光緖32年에 當十銅元을 주조하여 制錢과

병행시켰고 宣統원년에 銀元이 이미 성행하였다 민국원년에는 當二十

銅元을 주조하였는데 雙銅元이라 칭하였다94) 영향현에서도 광서말에

私鑄錢인 毛錢이 나오고 지폐가 통용되는 등 통화팽창이 상업을 일변

시켰다고 한다95)

종전에 비해 실질 가치가 열악한 當十 當二十 등 銅元의 남발과 鈔

票의 성행은 화폐 시장의 과잉을 초래하였다 정식의 鈔票 이외도 각

현 발행의 私鈔와 錢莊에서 발행한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시중에 범람

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민국 시대에는 화폐 남발이 더욱 심하였다 호

남은행을 비롯한 저축은행 농업은행 등이 각기 각종 지폐를 발행하여

혼란이 가중되었다 1915년에 호남의 은행은 33개인데 그 중 장사현 7

개 상담현이 7개였다96)

군벌들이 은행을 개설하거나 질 낮은 화폐 통용을 강제하는 등의

혼란이 민국시기 특징 중의 하나이다97) 화폐 시장에는 銀元 銀角 銅

元 지폐와 鈔票 市票등 유사 화폐까지 복잡middot혼란의 양상이 나타나고

결과적으로 물가 상승을 피할 수가 없었다

선통2년(1910) 격렬한 米価 騰貴가 있었고 長沙에서 대규모 搶米 폭

동이 일어났는데 이것은 단순한 흉년때문이 아니고 銅元 남발 등 화폐

제도 혼란에 기인한 것이었다98) 1880년대 초부터 1920년대까지는 인

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시기로 매년 33 비율로 상승하였으며 1930년

총 화폐보유고는 60억 원에 달했다 반 세기간 화폐 공급은 8-10배 증

가하였다99)

93)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ldquo光緖 二十九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始鑄當十銅幣 通

行全國 物価之踊始此rdquo

94) 民國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95)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財用錄 상업

96) 張朋園 앞의 책 pp258-259

97) 宋斐夫 앞의 책 pp10-12

98) 岸本美緖 앞의 책 p51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3

時期 銀(兩) 錢(文) 出典

乾隆 嘉慶년간 10 1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道光 初(1821) Prime 1300-1400 Prime

Prime 18年(1838) Prime 1400 林則徐湖廣奏橋 권3

Prime 25年(1845) Prime 2000上下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Prime 末年(1850)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咸豊 元年(1851) Prime 2000 民國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咸豊 初 Prime 2300-2400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8 부역

咸豊 3年(1853) Prime 20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5年(1855)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Prime 6年(1856) Prime 2000 湖文忠公遺集 권12

Prime 7年(1857) Prime 1600 骆文忠公奏議 권7

Prime 8年(1858) Prime 1400 胡文忠公遺集 권85

Prime 10年(1860) Prime 1300-1400 胡文忠公遺集 권70

同治 2年(1863) Prime 13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7年(1868) Prime 1300-1400 李瀚章 瀝陳湖北等省漕務

Prime 10年(1871) Prime 1600-1700 同治10年 長沙縣志 권8 부역 錢法

光緖32年(1906) Prime 1600 長沙日報 宣統2年 2月27日

선통 2年(1910) Prime 1700 國風報 宣統2年 3月 21日

표 지방지에서 직접 採錄제외는 龔勝生 淸代兩湖農業地理 pp270-277에서 湖南부분을 발췌하여 再引用한 것임

表13) 湖南의 銀錢比値

그런데 아편전쟁 전후 銀의 과도한 해외 유출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이

초래되고 이것이 물가 상승의 주요인이라 생각되고 있는 데는 약간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表13)을 보면 銀錢比価가 일시적으로 상승하였다

가 다시 하강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은전비가는 지역에 따라 차

이가 있지만 호남 장사를 위주로 정리한 것이 표13)이다100)

99)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0) 邱思達 中國近現代鑄幣圖說 (北京 中國書店 1991) p109 참조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4

주목되는 것은 道光末에서 咸豊初에 일시적으로 상승하였지만 淸末

의 比価가 낮은 편에 속하는 현상이다 청말에 은전비가가 비교적 안

정되고 있는 것이다 아편전쟁 후 5항 개항으로 교역이 확대된 상황에

서 아편무역 증대에도 불구하고 차와 silk 수출에 힘입어 은의 순유입

이 오히려 증가되는 현상이 나타났던 것이다101) 또 光緖17년(1891)이

후 세계 銀価하락 현상으로 은유입이 증가되었다102) 19세기 후반 중

국이 세계 사회에 연결되면서 중국의 무역 적자에도 불구하고 淸 정부

에 대한 대량 차관과 자본 투자를 통해서 거대한 양의 銀이 중국에 유

입되었다 1871년에서 1913년 사이 은의 순 수입은 2억 4천만 海關兩

혹은 3억 6천만 銀달러로 추정되고 있다 세계 시장의 은가 하락과 은

의 대량 유입은 중국의 국내 시장에서 물가 상승을 유도한 것이다103)

이런 배경으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은 일시적인 것이고 청말민국기 전체를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민국 시기에는 銀元과 錢의 교환 비율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은의 유입 현상에도 불구하고 宣統 원년 11150文의 비율에서 민국6년

2250文 민국11년 2840文 민국17년 3500文 민국22년 7200文까지 급등

하고 있다 예릉현의 기록이지만 이것으로 청말보다 민국시기에 통화

팽창현상이 극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4)

銀과 錢이 주요 화폐이고 그 환율이 항상 문제가 되고 있지만 주로

청 후기 이후는 錢文 위주의 경제로 바뀌고 있다고 생각된다 長沙府

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면 대부분 道光 이후는 화폐를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淸 前期는 米価를 銀으로 표시하던 것과는 대조적이

다105) 예릉현에서는 민간에서 세금을 납부하거나 大宗무역을 할 때를

101)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2) 邱思達 앞의 책 pp92-93

103)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4)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10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光緖3年刊 善化縣志 同治13年刊 湘鄕縣志 光

緖15年刊 湘潭縣志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民國37年刊 醴陵縣志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5제외하고 紋銀 사용자가 거의 없다 도광 이후 교역시 대부분 錢文을

사용했다는 기록을 보면 淸 後期는 錢 경제 위주로 넘어간 것 같

다106) 세금을 낼 때 외에 銀錢이 필요 없는 일반민은 錢文 사용권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너무나 당연하다

함풍4년에 長沙에서 大錢을 주조하여 통용시켰으나 결국 시장의 신

뢰를 얻지 못하여 퇴출되고 말았다 1854년 7월에 주조를 시작하여

1855년 4月에 주조를 정지하였다107) 이것을 보면 통화 남발도 결국

시장의 제약을 받고 있다

민국 7년(1918) 3月 張敬堯가 裕湘銀行을 개설하여 銀元票 1000만元

銅元票 3000만元을 발행하였다 그 결과 시장은 혼란에 빠지고 시중금

융은 마비 상태가 되었으며 결국 裕湘銀行 발행의 惡幣는 폐지와 같이

되었다108) 권력에 의하여 통화 팽창이 시도되더라도 시장이 감당할

수 없는 지경이 되면 중단될 수밖에 없다 과도한 통화 팽창은 시장의

질서에 의해 어느 정도 제약 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예릉현에서도 光緖 년간에 錢莊 24곳이 출현하여 盛業을 누렸는데

民國7年(1918) 兵禍로 停業하는 곳이 많아졌고 정부의 통화 남발 화폐

가치 하락 금융혼란의 현상이 나타났다109) 민국18년(1929) 이후는 정

국이 안정되고 교통 편리로 百業이 진흥되고 은행이 역할을 하게 되었

이상에서 보면 淸末까지는 은전비가가 안정되고 통화 관리가 어느

정도 성공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光緖 宣統 시기에 銀元의 주조 외국

銀貨의 대량유입 當十銅元 등 주조로 통화팽창이 많이 되었고 이시기

물가 상승과 연관되고 있다 민국 초기에도 정국 혼란과 무계획적 통

화남발로 물가의 급등을 초래하였다 민국 중기에는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것 같다

106) 龔勝生 앞의 책 p279

107) 劉泱泱 앞의 책 pp150-155

108) 宋斐夫 앞의 책 pp10-11

10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6영향현에서도 민국 21년(1932) lsquo穀賤錢荒rsquo의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

다110) 청말민국기에 전반적으로 화폐량의 증가가 현저했던 것은 사실

이다 다양한 화폐의 등장 銀兩 銀元 銅錢 銅元 외에 외국 銀元의 유

입 그 외 鈔票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출현하였으며 양적인 팽창도 분

명하다 하지만 대외 교역 증가와 경제 활동 인구의 증가 유통 상품의

양적 증가에 의해 시장의 화폐 수요가 증대된 것도 사실이다 통화 발

행은 일차적으로는 경제 주체의 수요에 부응하는 것이지만 그것이 과

도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3 공급기타 요소

물가는 기본적으로 수요공급의 관계에서 결정되는 것이 원칙이다

청말민국기에 걸쳐 인구가 급증하여 물가가 상승한 것은 자연스런 일

이다 그러나 물가 상승률 면에서 청말의 경우가 18세기의 증가율에

비해 크다고 할 수 없다 물가 상승률을 억제하면서 비교적 안정 속의

상승을 할 수 있었던 것은 공급의 증가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청말민국기에 湖南米의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 현상이 지속된 배경

에 비약적인 경지 면적 확대와 새로운 품종 개량 시비법 발전 등 농

업 생산 증대가 있었다는 것은 이미 밝혀진 바 있다111) 米穀 공급의

증대가 물가 상승을 완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雜糧 재배가 同治

(1862-74) 년간에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민중의 식량 문제 해결에 기여

하고 米価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던 것을 城步縣 知縣 盛溢源을

통해서 알 수 있다

洋米 수입이 國産米의 보충 역할을 했다는 지적이 있지만 결국 시

110) 民國30年刊 寧鄕縣新志 전1 縣年記

111) 田炯權 淸末民國期 湖廣地方의 農業生産力과 生産關係 (慶南史學 7

1995)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2001)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

究 25 200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7장에 대한 미곡 공급을 증대시켜 가격 안정에 기여했다고 생각된

다112)

민국 시대 관련 사료를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113)

금일 정세를 보면 국내 米価의 등락은 결코 國産米의 생산량이 많고

적음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외국 産米 구역의 풍년 여부에 따라 영

향이 대단히 크다

이것을 보면 洋米 수입이 國産米価를 조절한다고 볼 수 있다 비슷

한 시기 上海에서도 湖南米가 수입 米의 영향으로 가격이 약간 적게

올랐다는 史料도 있다114) 湘報에도 日本米가 수입되어 중국의 米価

가 차츰 내려갔다는 기록이 있다115) 같은 湘報에 보면 ldquo외국물산이

날로 풍부하여 중국 상품의 판로를 막는데 서양 상품의 가격이 낮으면

중국 상품 가격이 홀로 증가할 수 없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116) 결국 洋

貨도 중국에서는 시장에 대한 상품 공급의 증가이고 이것이 상품 가격

상승을 억제하고 있는 것이다 같은 자료에 중국의 土藥이 널리 판매

되니 외래 洋藥의 가격이 폭락한 사정도 소개되고 있다117)

또 洋蠟의 수입으로 국산 白蠟 가격이 매 100斤 200元에서 100元으

로 폭락한 일도 있었다118) 1921년 독일 면화가 대량 수입되어 중국의

綿価가 하락한 일도 있다119) 光緖년간 부터 중국이 綿紗 생산을 개시

하자 華商과 洋商사이에 가격 경쟁이 시작되었다 수입 綿布도 洋商이

國産布와 경쟁하기 위해 가격을 낮추어 공급하였다120)

112) 王良行 淸末對外貿易的關聯效果(1860-1911) (近代中國對外貿易史論集1997)

113)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卷3 p413

114) 위의 책 p416

115) 湘報 제45호 p1419

116) 湘報 제13호 ldquo外洋之出産日盛 足以抵華貨之銷路 洋価低則華貨不能獨增rdquo

117) 湘報 제162호 p1608

118) 章有義 앞의 책 권3 p662

119) 譚文熙 앞의 책 p342

120) 譚文熙 위의 책 p368 p374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8상인의 가격 조종이 물가 변동에 하나의 요소는 될 수 있다 예릉현

의 土資 판매에 있어 객상의 가격 조종에 저항하기 위해 주민들이 公

司를 조직하여 가격을 바로 잡았다는 기록도 있다121) 지주 부농 米商

등의 매점매석에 의한 가격 조종 사실은 흔히 발견된다122) 秋收期에

시장에 대량 방출된 곡식을 저렴한 가격에 매입하여 端境期에 되팔아

이익을 남기는 것은 상인의 오래된 관행이다 이윤 추구를 위한 개인

의 행위지만 넓게 보면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행위이기도 하

다 각지 농산품 가격 변동 조사에서 원인이 밝혀진 10건 가운데 전쟁

이 2건 豊凶 水旱災가 7건 상인 조종은 단 한 건 뿐이었다123) 제국

주의 상인에 의한 가격 조종이라는 것도 결국 중국 상인의 이윤 추구

행위와 본질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湘報의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124)

輪船이 이미 통행하고 있고 철로가 이미 만들어 졌다 제조업이 날로

번성하고 통상조약이 행해지니 상인이 계속 내왕하고 온갖 상품이 유통

된다 사계절 틈이 없으니 일용 각 물품이 그 가격이 반드시 저렴할 것

이다

이것을 보면 통상 개시 후 교통이 발달하고 상품 교역이 증대된다

는 것과 그 결과 일용품의 가격이 저렴해졌다는 것을 당시인이 인식하

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서방 각국과의 무역 증대는 상품 공급의 증가

이고 가격 경쟁을 통해 물가 상승을 완만하게 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

121)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22) 李文治 앞의 책 p559

123)湘報 제49號 ldquo輪船旣行 鉄路旣造 製造日盛 商約可行 商賈絡繹 百産流通

歲時無間 則日用物品 其価必廉rdquo

124) 安本美緖 앞의 책 제7장 pp239-288 제12장 431-455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9

Ⅲ 物價와 景氣(생활)

1 穀賤傷農과 不況

物價 문제를 단순히 등락의 흐름에만 주목하기보다 경기변동론적

입장에서 好況 不況의 문제로 연관시켜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

이다 岸本美緖는 康熙年間의 lsquo穀賤rsquo 현상이 不況과 연결되어 있고 光

緖年間 蘇州의 不況도 lsquo穀賤rsquo이 원인이었음을 지목하고 있다125)

그런데 長沙府 중심의 湖南의 사정을 검토해 보면 lsquo穀賤rsquo 관련 기록

이 道光 咸豊 시기와 民國 中期에 집중되고 있다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26)

道光 25年(1845) ldquo穀賤斗穀錢五十文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値穀賤錢価亦賤 民甚苦之rdquo

장사현과 縣治를 長沙城 내에 두고 있는 善化현에서도 같은 해에

비슷한 기록이 있다127)

道光25年 穀賤自十五年起 連年俱穀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中下戶苦之

咸豊5年 穀賤

장사현 기록을 보면 穀価도 싸고 錢価도 싸서 민이 고통 받는다 했

으니 이 당시 은의 해외 유출과 은전비가 문제로 민중이 고통 받은 사

실을 알 수 있다 선화현은 장사현과 연접하고 통합과 분리가 단속되

었던 거의 동일 지역이다 선화현 기록을 보면 도광25년의 lsquo穀賤rsquo이 해

당년도만의 일이 아니고 道光15年(1835)부터 계속된 현상임을 밝히고

있다

12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33 祥異

126)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127) 民國30年刊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0인근의 寧鄕縣에서 보면 ldquo道光26年 歲豊 穀奇賤傷農 佃農以穀賤大

困rdquo이라는 기사가 있다128) lsquo穀奇賤rsquo이라 하였으니 평상시 보지 못한

하락이었다고 생각된다 더구나 소작료 납부가 대부분 현물지대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佃農은 米穀의 상품화 과정에서 배제되었다는 종전의

통념과 달리 佃農도 곡가 하락으로 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같은 기록에 함풍원년에도 ldquo有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以穀賤漕折苛rdquo라 하고 있어

역시 곡가 하락으로 세금 납부에 곤란을 겪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장사부 內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아도 同治 년간에는 lsquo穀賤rsquo 기

재가 보이지 않고 전술한 도광 함풍 년간에 집중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후의 기록을 찾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ldquo湖南自夏秋以來雨暢時若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故無論高低田畝咸稱大稔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甚

賎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反有入不敷出之慨矣rdquo (益聞錄 69号 광서6년828)129)

ldquo(長沙農村) 近年來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穀米求售 価値至賤 日用各物 則又極昻 收穫所

得 不足顧其工本 多已漸陷于無力耕種之境rdquo (新靑年 7권 6호 1920년 5

월)130)

ldquo湖南近年來之天災人禍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天災旣足以減少收量 地方不靖 産品滯銷

価値復因以低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而生活日昻 工価及日用物品 繼續增漲 收入支出 常苦

不得平衡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rdquo (中國棉産改進統計會議專刊 1931)131)ldquo湘省爲産穀素豊之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年歲收 屢佔大有 而長江流域亦値豊收 更

有大宗洋米 運貨傾銷致湘米頓失市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価格低賤 不僅農村經濟 陷于絶

境 市面金融 亦大受打擊rdquo (銀行週報 18권 9기 1934313)

이외에도 1936年의 사실로 호남의 武岡 東安 일대에서 lsquo豊年穀賤rsquo으

로 省城에 운반할 때 운송비와 각종 捐稅 부담을 감당할 수 없어 陳米

를 불태웠다는 기록이 있다

128) 李文治 앞의 책 p557

129) 章有義 앞의 책 권2 p432

130) 章有義 앞의 책 권3 p795

131) 章有義 위의 책 p620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1이것을 보면 주로 1930년대에 lsquo穀賤rsquo과 不況이 집중 묘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lsquo穀賤rsquo 즉 불황이라고 하면 도광함풍초의 곡천과 불

황 同治光緖宣統期의 lsquo穀貴rsquo즉 好況 다시 民國 전기의 好況 民國 中期

의 불황으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물가의 상승기가 호황적 국면이라는 것은 알려

져 있지만 이것은 전체 물가의 문제이다 위 자료에서 보면 1920년 장

사 농촌에서는 곡가는 싼데 일용품 가격은 극히 높다고 하고 있고

1931년의 기록도 工價와 일용품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농민이 다수를 점하기 때문에 미곡가의 하락은 농민 수입 감소

와 구매력 저하를 가져오고 이것이 농촌 불황의 한 요인이 될 수 있

다 그러나 工賃과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시장의 한계 안에서의

일이다 또한 실업률과 고용 지표 등도 고려되어야 하는데 만족할만한

통계의 부족으로 명확한 답을 얻기는 어렵다

그런데 米価와 물가는 개별 년도나 시점에서 서로 상이한 궤적도

있지만 圖2 3 6 7을 보면 대체적으로는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예릉의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광서 4년(1878)에 비하여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1912)에는 현격한 상승세였다가 그 후에 등락을 거듭

하고 있지만 민국25년(1936)의 경우는 광서4년보다는 높거나 유사한

경우가 많다

2 생활 경기의 발달

당시인들이 체감하던 생활 경기의 수준이 어떠했는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

光緖刊 善化縣志를 보면 다음과 같다132)

132)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16 풍속 附論 ldquo古人 酒肉以養老 而今則黃口稚子

無不酒肉之人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日不旦穀貴鹽貴 而酒肉皆貴 則好惡可知矣 一今鄕間柴炭

其価數倍於昔日 瀕河之地 莫不燒煤rdquo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2옛사람들은 술과 고기로 노인을 부양하였는데 지금은 어린아이도 술과

고기를 먹지 않는 이가 없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요사이 미곡과 소금이 비쌀 뿐 아니

라 술과 고기가 모두가 비싸니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지금 향간에 柴炭이 그 값이 예전보다 수배인데 하천 근처 사람은

煤를 때지 않는 사람이 없다

同治 攸縣志 에도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33)

예전에 士大夫도 집에 있을 때 엄동이 아니면 가죽옷을 입지 않았다

지금 關中의 가죽옷 상인이 유현에 와서 1년에 은 만여 냥을 얻을 수 있

다 기타 비단 옷은 蘇州 杭州 및 嶺南에서 오는 것이 또 배가 되니 1년

에 수만금을 소비한다

醴陵縣에서도 비슷한 인식을 볼 수 있다134)

ldquo예전 풍속이 儉樸하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이 명절 아니면 고기를 먹지 않고

慶弔事가 아니면 술을 베풀지 않고 손님 접대는 닭 잡는데 그치고 鮮味

는 생선에 그쳤고 縣城의 食肆는 飽麵茶館에 그치고 酒席으로 業을 삼는

자가 없었다

지금은 酒樓菜館이 거리에 가득차고 中人의 집에도 술자리가 베풀어지

고 사치를 다툰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예전에 士類大半이 淥江書院에 모이면 그 가운데 비단신을 신은 자가

불과 수인이었고 羊가죽 옷을 입은 자가 불과 1 2人이었다 지금은 비단

신과 가죽옷이 거의 常服이 되었고 日用品은 舶來品이 많다rdquo

이 내용을 보면 예릉현의 생활 수준이 급격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예릉현지 기록에는 부인들이 上海의 유행을 쫓아 사치를 추구한

다는 내용도 있고 청말부터 外貨를 서로 자랑한다는 내용도 있다 종

133) 同治10年刊 攸縣志 권18 풍속 衣服 ldquo衣服 昔時 士大夫 家居非嚴冬不御裘

今關中裘商來攸 歲可得銀萬餘兩 其他錦繡之運自蘇杭及嶺南者 則又倍之 計一歲

之戶 所費數萬金rdquo

134)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4장 풍속 생활 ldquo旧俗民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非令節不

食肉 非慶弔不置酒 欵客止於殺鷄 鮮味止於草魚 縣城食肆 止於飽麵茶館 無以酒

席爲業者 今則酒樓菜館 遍於街市 中人之家酬酢往還 爭奢鬪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旧時士類

大半 集於淥江書院 一院之中 著緞鞋者 不過数人 襲羊裘者 不過 一二人 今則絲

履皮袍殆成常服 日用之品 多自舶來rdquo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3전에 菜油 棉油로 燈을 켜다 집집마다 煤油를 사용한다거나 세탁시

茶枯鹼水를 쓰다가 대부분 비누를 사용하는 일상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135)

또 寧鄕縣에서도 ldquo同光之間 地方安寧 家給人足(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함)縣城商業 於時爲盛rdquo이라 하고 있어 同治(1862-74) 光

緖(1875-1908) 시기가 好況이었음을 알 수 있다136) 湘報에도 ldquo民間

之喜用洋貨日甚一日rdquo이라 하고 있어 洋貨 사용의 확대를 짐작할 수 있

다137)

광서년간 무역이 확대되고 여기에 대해 유익하다는 인식의 기록이

湘報에 나오고 있다138)

ldquo輪船과 철로가 개통되고 항구 개항이 증가 되는 것은 실로 중국에 유

익하고 손해가 없다 저 눈이 콩만큼 큰 자가 걸핏하면 통상이 중국에 해

가 된다고 하니 어찌 심히 어리석지 않은가rdquo

무역 확대를 지적하고 통상이 유익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예릉현

지에도 同治志에는 풍속이 lsquo安士重遷rsquo하고 상인이 외부 활동하는 자가

적었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고 光緖末에 도자기 夏布 編爆業

이 일어나 융성하여 이에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 넘는다고

하고 있다139) 예릉향토지에도 商旅 왕래가 예전보다 10배라는 서술이

있다140)

장사시의 行業발달 상황을 보면 민국 5년(1916)에서 民國22年(1935)

사이에 식품업은 281⟶2124 사치품은 171⟶1128 복장은 43⟶2028 農

礦은 621⟶1156 洋貨 127⟶233 금융 130⟶164 공예 2121⟶3344 문구

17⟶355 등 비약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141)

135)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 工商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6장 실업

136) 民國30年刊 寧鄕縣志 財用錄 民業

137) 湘報 제13호 1898年 3月 21日

138) 湘報 제162号 1898年 9月 23日

13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40) 民國15年刊 醴陵鄕土志 제6장 실업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4이것은 장사의 생활수준 향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당시에

通商의 확대 주장도 湘報에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142)

이상에서 보면 청말민국기에 대체적인 추세는 好況이었다고 생각된

다 생활 수준의 향상이 눈에 띄고 米価와 물가도 연동되면서 상승하

는 추세였다 米価의 상승이 구매력 수준의 제고가 되기 때문에 米穀

생산 중심지역에 상인들의 行號가 집중되는 것이 보였다143) 임금의

경우에도 호남 汝城縣에서 실질 임금이 유지 또는 상승하는 것을 확인

한 바 있다144) 全漢昇도 1875년부터 1925년까지에 걸쳐 四川 合江현

의 임금과 물가 변동의 추세가 거의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바 있

다145) 앞서 인용한 1931년 中國棉産改進計劃 에도 임금과 일용품 가

격이 함께 오른다고 하고 있어 임금이 물가에 연동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생활 수준 향상을 기록하고 있던 지방지에도 빈부 격차를 암시하는

내용이 있고 物力이 날로 쇠퇴한다든지 하는 기록이 있다 대외 무역

이 적자라 하더라도 차관 원조 뿐 아니라 외국 상인의 진출이 자본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好況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Ⅴ 結 言

이제까지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이후 民國中期인 1936年

까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여 米価와 물가 변동 물가 변동의 원인

141) 張朋園 앞의 책 p387

142) 湘報 44호 中外通商利害論 湘報 67号 論湖南茶務急宜整頓

143)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144)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9 1998)

145) 安本美緖 앞의 책 p2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5물가와 생활 경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米価 변동은 단기 변동에 있어서 전쟁이나 天災 등의 특수한 사정

의 해를 제외하고는 光緖 년간에 비해 민국 중기의 계절 변동폭이 축

소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米価의 계절 변동을 완화 시

켜 주는 雜糧의 재배가 湖南 지역에서는 대부분 同治 년간에 보급 확

대가 되고 있다 교통과 상업 발달 등의 이유로 청말에서 민국기로 갈

수록 계절 변동폭을 축소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변동에서는 長沙府縣의 물가 변동 예릉현 물가 변동 등을 살

펴 볼 때 전체로서는 상승 추세 중에 도광 함풍 시기의 低米価 同治

년간의 高米価 光緖전반의 低米価 光緖後半에서 宣統 년간의 高米価

民國 前期의 高米価 民國 中期의 低米価의 등락을 보이고 있다

民國 中期의 米価는 長沙 8개년 米価 추세에서도 안정속의 상승세

를 보이고 있다 명목상 수치 뿐 아니라 米価의 상대 물가로 보는 실

질 구매력도 宣統 民國元年에까지 급상승하였다가 민국 시기 등락을

거듭하지만 민국25년(1936)까지 광서4년(1878) 대비 유지 또는 상승 추

세였다

物価변동은 개별 상품에 따라 편차가 있고 米価와는 전혀 상이한

궤적을 그리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米価와 연동 관계를 보이

고 있다 1898년 물가의 단기 변동은 이상할 만큼 변동폭이 크지 않다

당시 물가 조사자의 보고가 정확했는지 의심될 정도이다 1935년의 장

사 물가에서 단기 변동을 보면 변동폭이 100이상인 夏布 毛筆 麵粉

棉布등을 비롯하여 50 이상인 오리털 흑연 성냥 국산 전지 등을

비롯하여 40 이상인 비누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기 변동폭

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 이것은 이런 물품들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

성이 크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物価의 장기 변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米価와 대체로 비슷한 궤적

을 보이고 있다 청말에서 민국전기에 걸쳐 물가 상승폭이 두드러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 상승폭이 더욱 크

다 돼지고기 값을 예로 들면 1878년에서 1909년 사이에 273 상승했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6고 1912-1921년 사이에 75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닭은 각 50와 44

상승했다 청말은 31년간의 수치이고 민국 전기는 9년간이니 물가의

상대적 급등을 알 수 있다 1926에서 1936년까지 10년간 돼지 고기 값

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

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

세를 보이고 있다 민국 중기의 米価가 일부 lsquo穀賤rsquo 현상을 보인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음으로 물가 변동의 원인에 대해서는 군벌간의 전쟁이나 정치적

혼란 등 정치 군사적 요인을 제외하고 대체로 검토해 보았다

수요 측면에서는 湖南米의 유통이 호남 내부의 인구 증가에도 불구

하고 양자강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지속된 것이 米価 상승의 한 원

인이었다 上海나 武漢 등의 도시화와 인구집중은 이들 지역 양식 수

요를 폭증시켰다 일부 洋米 수입에도 불구하고 湖南米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으로써 米価를 상승시켰다 또 장사를 비롯한 각지의 새로운 수

공업 산업의 발달로 비농업 인구가 증가하고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유

효수요로 성장하여 米価 상승을 유도하였다 양식의 이출은 해당 지역

인구 식량을 전부 제외한 나머지 잉여가 수출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력

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청말민국기에는 호남의 내부 외부에

서 미곡에 대한 유효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것이 米価 상승의 한 요인

이었다

화폐 문제에 있어 화폐 수량의 증가가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것

은 상식이다 종래 아편전쟁 전후 은의 해외 유출 증가가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을 초래하여 물가 상승과 인민의 빈곤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지방지 등의 史料에서 검토한 결과 은전비가는 도광함풍초의

일시적 상승 후에 함풍 7년 이후는 도리어 하락하고 있다 同治 년간

에 대부분 1兩 1300文 수준에서 안정되고 있다 光緖末宣統년간에도

1600-1700文 수준으로 도광함풍 초보다는 낮은 편이다 청말민국시

기에 화폐의 남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한계를 넘었을 때 시장의 통용

거부로 마침내 중단되고 있다 청말민국기에 외국 銀元의 유입과 국내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7의 銀元 주조 銅元 지폐 외에 鈔票 市票 등 화폐 시장에 투입된 화

폐량은 엄청나게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로서는 어느 정

도 시장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외 교역과 상품량의

증대 경제 활동 인구의 증대 미곡 생산 및 농산품 생산의 증대로 화

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것이 화폐량의 막대한 증가와 유

통속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

었다고 생각된다 즉 안정 속의 물가 상승이 유도된 것이다

공급면에서 보면 대외 교역을 통한 서양 상품의 수입은 전체로서는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물건의 공급 증가를 통해서

혹은 국내 상품과의 경쟁 때문에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었

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침략과 물가 폭등이라는 도식적

견해와 달리 현실에서는 물가 억제 작용도 있었던 것이다

물가와 경기면에서 보면 물가가 비쌀 때 호경기가 많은 것은 사실

이다 그런데 lsquo穀賤rsquo 현상이 불황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서 長沙 지역의 경우를 검토해 보았다 도광함풍 년간까지 lsquo穀賤rsquo현상

과 불경기적 상황에 대한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동치광서 년간에는

米価가 등귀한 시점인데 이 시기는 紅茶業의 번성이나 각종 수공업의

번성으로 好況의 면모가 보이고 있다 민국 시기에는 민국 중기에 lsquo穀

賤rsquo의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史料上에 민국 중기의 lsquo穀賤rsquo은 임금이나

다른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다 물가 상승기와 好況

이 맞물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민국 중기는 lsquo穀賤rsquo 현상과 서로 어긋

나는 것이다 이 시기의 不況 서술은 농촌의 농민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표시이다

생활 수준에 대한 지방지 기록 등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주민들의

洋貨 사용이 보편화되고 의복 음식 주거 등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것

을 지적하고 있다 물가는 상승하였지만 同治 이전에 비하여 분명히

사치품의 소비 증대와 中人의 집도 소비 수준이 제고된 것이 드러나고

있다 민중의 빈곤은 있으나 이 시기 빈부 격차가 커지고 생활 수준의

격차가 커진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20: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08

품목

시기

단위

同光

(1870-1890)

光宣

(1890-1911)

民國

(1912-1932)

肉 斤 188 188 175

鹽 斤 60 75 636

洋紗 捆 100 100同光시기洋紗통행안함

土布 尺 100 120 140

洋油 甁 20 10同光시기

洋油 未 盛行

茶油 斤 188 188 175

桐油 斤 214 200 194

柴 750 875

同治丁卯志(1867)편찬 이후라 되어 있어 대략 70년부터 잡은 것이다

lt表8gt 湖南 汝城縣의 穀1石価의 구매력 변동

호남 汝城縣의 穀1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고기는 光宣 시기에

유지되다가 민국 시기에 약간 하락하였으나 근소한 수치이다 鹽의 구

매력은 光宣 시기에 대폭 올랐다가 民國 시기에 하락하였으나 同光 시

기 보다는 높은 수치이다 洋紗에 대한 구매력은 光宣 시기에서 民國

시기에도 계속 유지되고 있다 茶油는 고기와 같은 변화이다 土布에

대해서는 구매력이 계속 증가한다 洋油에 대해서는 民國 시기에 구매

력 감소를 보이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호남의 대외무역은 외국의 공

업품과 농부산품 원료를 교환하는 것인데 고가의 공업품 대신 강제

저가의 수단으로 호남의 농산품을 약탈한다는 견해58)는 약간의 재검

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공업 상품 가격의 翦刀差에 대해서도 洋紗

의 경우를 보면 나타나지 않고 있다59)

이상을 종합하면 同治年間의 高米価 光緖前半(1875-1891)까지의 상

대적 低米価 光緖後半-宣統까지의 高米価 급등 民國前期의 계속 상승

58) 李金錚 二十年來 中國 近代 鄕村 經濟史的 新探索 (歷史硏究 2003年 4

期)

59) 譚文熙 앞의 책 pp298-299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9

品目 洋麵 淮鹽 茶油 桐油 洋油 猪肉 雞 鴨 烟煤 柴煤

단위시기

包 斤 100斤 100斤箱2桶(50斤)

斤 斤 斤 100斤 衡斗

31-310 26兩 56文 73兩 19兩 104文 112文 88文 320文 24文

311-320 26兩 Prime 73 19 104文 128文 88文 320文 24文

321-331 26兩 Prime 73 625兩 189 108文 128文 88文 320文 252

41-410 26兩 Prime 728 628 186 320文 240

411-420 27兩 Prime 728 626 183 254 228

421-430 29兩 Prime 72 616 181 314 260

51-510 293兩 Prime 711 606 178 310 240

511-520 274 Prime 71 60 183 314 240

521-531 26 Prime 71 60 185 314 229

61-610 26 Prime 699 60 185 299 219

611-620 231 Prime 734 61 184 320 255

621-630 22 Prime 754 62 183 311 254

71-710 22 Prime 774 649 183 310 250

711-719 218 Prime 768 631 181 318 265

면화는 上棉 中棉 下棉의 가격이 제시되고 있으나 여기서 생략함

lt表9gt 1898年 3-7月間 長沙物価

民國中期(1926-1936)까지 안정이라는 米価 변동의 궤적을 확인할 수

있고 그 기간 동안 米価의 실질 구매력은 유지 또는 상승이 대체적 추

세였다 생각된다

2 物價 변동

1) 단기 변동

湘報에 수록된 光緖24년(1898)의 長沙 물가 변동을 표시한 것이

lt表9gt와 lt圖5gt이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0

品目 단위 최고가 최저가 시기 유통량 행선지

鴨絨 斤 500 300 冬 上海 北平 天津 南京

일반적으로 米価와 物価는 상호 연동적이라 생각되지만 여기서 물

가의 단기 변동은 米価와는 다소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대체로

등락 폭이 크지 않다 洋油 洋麵 桐油 등의 변동폭이 크지 않다 면화

만 4월 10일 20일 사이에 상승이 있지만 5월부터는 하락하고 있다

淮鹽 가격은 斤당 56文으로 3月에서 7월 사이에 전혀 변동이 없다

長沙지역은 원래 淮鹽 관할 구역이었으나 太平天國 시기에 교통 두절

로 川鹽 소비지역이 되었다 太平天國후 曾國藩이 이 지역을 淮鹽 소

비지역으로 회복하기 위해 여러 가지 개혁 조치를 행하고 督銷局에서

가격을 核定하여 고시하는 牌價 제도를 시행한 바 있다 일종의 통제

가격제도에 의해 가격 상승이 억제되고 있었던 것이다 直隷의 景縣의

소금 값은 1890년에 斤당 46文 1900년에 斤당 68文이라는 조사도 있

다60) 長寧縣에서는 光緖29年(1903)에 鹽価가 斤당 55文이라는 보고도

있는데 이것은 長沙 1898年의 鹽価와 유사하다61)

戰亂後에 淸朝정부의 淮鹽 소비지 회복 정책에도 불구하고 四川鹽

이 계속 私鹽으로 침투하였기 때문에 長沙의 淮鹽価를 저렴한 통제 가

격下에 두고 있었다고 생각 된다62) 圖6)에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柴煤

는 米価와 같이 5月10日에 최고가에 가깝고 6월10일에 하락하고 그후

에 상승하고 있다 烟煤의 경우에도 비슷한 궤적을 그리고 있다 이것

은 米価와의 연동관계가 비교적 분명하다

1935년의 長沙 物価의 단기 변동 폭을 알 수 있는 것이 lt표10gt이

lt表10gt 長沙物価 通郵地方物産志

60) 李文治 앞의 책 p562

61) 譚文熙 앞의 책 p267-268

62) 佐伯富 中國史硏究 第1卷 (京都 同朋舍 1978) pp340-36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1

黑鉛 石 2200 1300 全年 50000石 漢口上海

棉紗 件 22000 1800 Prime 24000件 本省

棉布 疋 120 150() Prime 1000000 漢口

麵粉 袋 50 250 Prime 140000 Prime

線襪 雙 106 Prime 6000000 本省

毛呢鞋 Prime 200 180 Prime 400000 Prime

夏布 疋 1000 200 夏 20000 上海漢口

火柴 箱 500 300 全年 10000 本省

刺繡 Prime國內및外洋

매년 産量 약50만元

玻璃器 件 300 200 Prime 9000 本省

肥皀 箱 70 50 Prime 30000 Prime

絲綿三角 兩 040 020 Prime 40000 Prime

國貨電池 打 060 040 Prime 200000 Prime

猪 斤 020 015 Prime 50000只 漢口上海

豬毛 担 6000 5000 Prime 4000kg Prime

粗窑器 卡 350 250 Prime 100000套 長江연안

毛筆 支 050 020 Prime 本省 및 황하 각성

여기서 보면 변동폭이 100 이상인 것은 면포 夏布 絲線三角 毛

筆 麵粉 등이다 또 50 이상인 것은 鴨絨(가공오리털) 667 흑연

692 火柴(성냥) 667 玻璃器(유리그릇) 50 국산 電池 50 등이

다 비누는 40 粗窰器는 40이다 棉沙 222 毛呢鞋는 111 돼

지 333이다 단기 변동 폭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고 생각된다 이

것은 이런 물품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성이 크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그런데 1898年의 경우는 茶油 洋油 등 물품의 가격 변동폭이 적은 것

은 무엇 때문일까 어쩌면 당시의 시장 가격 조사가 부정확했는지도

알 수 없다

1935年의 물가에서 綿沙의 변동폭이 적은 것은 당시 항상적인 수요

가 있었기 때문이 아닐까 비누의 변동폭도 40로 비교적 적은데 생

필품으로 수요가 지속 증대된 까닭이 아닐까 한다 通郵地方物産誌에 기재된 醴陵縣 夏布 가격은 40元-100元 사이인데 民國醴陵縣志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2

圖5) 1898年 3月-7月 長沙物價

의 物価表上에는 70元(1938)이라 되어 있다 物産誌 가격은 1935年

의 것인데 예릉현지의 가격이 그 범위 안에 있어 서로 다른 자료간에

부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63) 物産誌 上 相潭株洲의 茶油 값

매 石 160-240元(1935)은 예릉현지 물가표의 민국 20년(1931) 茶油 매

石 240元과 일치하고 있다 표12)에 1936年 煤油 값은 병당 44元이다

그런데 民國 安鄕縣志에서도 1934년 煤油 값은 병당 38元으로 되어

있어 兩者 사이에 유사성을 보여주고 있다64) 그러므로 醴陵縣志 物価의 종적 비교도 신뢰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洋麵은 包당 가격

茶油桐油洋油는 100斤당 가격

棉花 100斤당 가격

2) 장기 변동

長沙의 물가 변동을 보려면 湘報 수록의 광서 24年(1898) 물가와

63) 交通部郵政總局 編 中國通郵地方物産誌 (華世出版 1988)

64) 民國 安鄕縣志 卷11 食貨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3

품명 단위광서4년

(1878)

광서14년

(1888)

광서19년

(1893)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

(1912)

민국5년

(1916)

민국10년

(1921)

豬肉 斤 88文 63 62 112 160 240 280

雞 斤 80 72 68 120 250 300 360

lt表12gt 醴陵縣 物価表 (b) (商会조사)

품명 단위민국15년(1926)

민국20년(1931)

민국25년(1936)

민국27년(1938)

민국28년(1939)

민국29년(1940)

민국30년(1941)

猪肉 百斤 200원 170 200 360 400 561 1300

草魚 Prime 160 150 150

茶油 石 240 290 560 760 2000

鹽 石 120 140 150 160 2000

洋紗 件 2200 2200 2400 2000 2500 1500

土布 匹 27 70

夏布 Prime 70 70 140

竹布 Prime 100 100 8000

棉花 石 20 25 40 100 200 400

煤炭 石 020 030 040 050 230 70

煤油 甁 220 240 440 90 300 460 200

毛邊紙 石 198 432 1200

黑靛粉 桶10斤 100 200 1500 2000

赤金 兩 50 70 80 90 500 560 1600

lt表11gt 醴陵縣 物価表 (a)(私家數簿에 의한 것)

民國24年(1935)의 通郵地方物産誌 기록을 직접 비교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양 자료 사이에 화폐와 단위가 서로 달라 직접 비교할 수가 없

다 그래서 당시인의 물가 변동 기록인 長沙府 醴陵縣 物価表를 이용

하는 것이 파악 방법이 될 것이다

lt표11gt lt표12gt 와 lt圖6gt lt圖7gt을 보면 개별 물품에 따라 차이

는 있지만 대체적인 흐름은 米価 변동과 유사한 궤적을 보여주고 있

다 즉 光緖 前半에 비교적 안정적이다가 光緖 후반부터 급상승하여

민국 전기까지 상승하고 있다 1926년부터 1936년까지는 가격 안정세

를 보여 주고 있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4

雞蛋 個 2 2 3 4 10 15 20

草魚 斤 40 40 36 70 90 160

茶油 斤 116 69 54 150 300

鹽 斤 60 60 63 120 90 180

煤 石 50 120 50

苧麻 斤 270 99 170

棉花 斤 200 96 280

竹布 尺 70 62 60 60 90

靑洋布 尺 55 50 50 70

白蓮紙 刀 40 82 80 100

-附記 前淸 통행 制錢文으로써 단위 민국 초년에는 비록 銅元을 단위 사용하나 관습상 매 1銅元은 錢10文에 해당

圖6) 醴陵縣 物価 (a)

① 豬肉 斤당 가격 ② 雞肉 斤당 가격 ③ 茶油 斤당 가격

④ 鹽 斤당 가격 ⑤ 棉花 斤당 가격 ⑥ 草魚 斤당 가격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5

圖7) 醴陵縣 物価(b)

① 猪肉 百斤당 가격 元 ② 草魚 百斤당 가격 元 ③ 茶油 石당 가격 元

④ 鹽 石당 가격 元 ⑤ 洋紗 件당 가격 元 ⑥ 棉花 石당 가격 元

⑦ 煤油 甁당 가격 元

米価가 物価와 연동되는 것에 대해서 江都縣史料를 보면 ldquo産米 구역

에서 年末에 米価가 상승하니 百物이 昻貴했다rdquo65)라고 되어 있다 湖

南지역 米価 연구 자료에도 米価 추세는 거의 물가 수준과 같다는 주

장이 있다66)

光緖末宣統年間의 물가 상승을 나타내는 史料를 보면 다음과 같다

이제 각종 惡政의 결과로 百物의 騰貴를 초래했는데 小民의 日用 수요

65) 李文治 앞의 책 p470 ldquo江都爲産米區域 年末米価騰踊 百物因以昻貴rdquo

66) 張麗芬 앞의 책 p22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6음식은 그 가격이 십년 전에 비해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과 居室 器用

蔬饌의 비용 牛種糞漑의 비용도 예전 보다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도 비록

동일 비례로 함께 올랐으나 이미 넉넉하지 못해 괴롭다67)

이것을 보면 米価와 物価가 연동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청말

특히 光緖 후반 이후에 각종 物価가 두 배 올랐다는 사정을 알 수 있

다 上海의 物価도 같은 시기에 상승하고 있다68)

lt표11gt lt표12gt와 lt圖67gt을 검토해 보면 돼지고기 값은 광서 14

년 광서 19년까지는 다소 하락세를 보이다가 宣統원년(1909)부터 급격

히 상승하고 있다 민국원년(1912)의 가격은 160文으로 1878年의 88文

에 비해 거의 두 배에 해당한다 위에 인용한 宣統 2年 8月 國風報의 물가 두 배 인상과 정확하게 부합되고 있다 민국 전기인 1926년까

지 계속 상승하고 있지만 1926년에서 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이고 있

돼지고기 값은 1878년-1909년 사이 273 상승했고 1912-1921년 사

이에 75 상승했다 닭은 각기 50와 44 상승했다 계란은 100

100 상승이었다 淸末 비교 시기는 31년간인데 비해 민국 전기는 9

년간에 불과하다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가 급등한 것은 충분히

알 수 있다 1926년에서 1936년 10년간 돼지 값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거의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이었다

民國 醴陵縣志에도 ldquo辛亥혁명이전에는 물가가 심한 등락이 없었는

데 민국 후에 들어와서 차츰 상승했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69) 圖6)을 보

면 닭고기도 비슷한 궤적을 보이고 있다 草魚의 경우도 청말 민국전

기는 상승이 주요 동선이고 민국 중기(1926-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

67) 國風報 第1年 21期 宣統 2年 8月 (李文治 앞의 책 p561) ldquo今也以種種惡

政之結果 以致百物騰踊 小民日用 飮食所需 其価皆視十年前兩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居

室器用蔬饌之費 牛種糞漑之費兩倍于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雖以同一比例以俱騰 旣苦不

給矣rdquo

68) 岸本美緖 앞의 책 p443

6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物價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7이고 있다 譚文熙 物価史에는 민국 전기는 안정속의 상승세로 민국

중기는 파동속의 상승으로 정리를 하고 있는데 여기와는 약간의 차이

를 보이고 있다70) lt표11gt과 lt표12gt 사이의 화폐 단위 차이로 인한

연속적 파악에 다소 어려움이 있으나 대체의 추세는 짐작할 수 있다

또 품목에 따라 공란이 있어 연결 관계가 애매한 부분이 있다 1936년

이후는 중일 전쟁의 혼란과 불환지폐의 강제 통용 등의 사정으로 本考

에서는 분석 대상 범위에서 제외 하고자 한다

Ⅱ 物價 변동의 원인

1 수요 측면

米価와 物價가 상호 연동관계에 있고 넓은 의미에서는 米価도 물가

의 일부이다 米価 및 물가의 상승은 우선 수요의 증가에 원인이 있다

고 할 것이다 수요증가는 일반으로 인구 증가이다 湖南의 인구는 嘉

慶21年(1816) 18754259명에서 1898年 21174000명으로 다시 民國17년

(1928)에는 31501212人으로 비약적 성장을 하였다71) 약 110년 동안

인구가 1300만 가까이 증가하였고 비율로는 679가 증가하였다 長沙

府의 인구도 가경 25년(1820)에서는 4290086명이었는데 민국23년

(1934)에는 8421330명으로 약 400만명 이상 증가하여 963 상승을

보이고 있다72)

인구의 증가가 수요 증대를 초래하는 일반 요인이지만 湖南의 米穀

移出이 해당 지역 민중의 식량을 제외하고 남는 잉여 米만은 아니다

70) 譚文熙 앞의 책 pp302-307 여기서는 민국 전기는 1912-1927년 민국 중기

는 1927-1937년으로 구분하고 있다

71) 湖南省志 地理志 (長沙 湖南人民出版社 1982) pp230-238

72)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8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의 증대가 더 중요한 요인일 것이다 淸末에

와서 새로운 생업을 통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가 많이 증가하고

있는데 醴陵縣 사례를 한번 검토해 보겠다 史料는 다음과 같다73)

同治志에 이르기를 醴陵의 풍속은 lsquo安土重遷rsquo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상인이 外地에 나

가 장사하는 이가 적었다 배를 이용하여 외부 상업을 하는 것은 淥口 부

근의 米穀商일 뿐이었다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邑人들이 茶제조로 武漢에 판매하는 자가

이익이 배가 되었다 이때부터 龍門일대에 매양 봄에 茶를 제조하고 가리

는 廠이 항상 수십이었다 光緖末年에는 도자기업 夏布 編爆이 일어나서

대신하였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이를 믿고 생계를 삼는자가 무려 십만인이다

同治志 편찬 단계만 해도 사람들이 토착 안주하여 멀리 이동하는

것을 어렵게 여겼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큰 이익을 보고 그

후 도자 기업 夏布 編爆 제조에 종사하여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나 되었다는 것이다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의 성장을

보여주는 것이다 長沙의 빠른 도시화도 주목된다 長沙日報에 실린

내용을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74)

光緖32년(1906)에 火災 조사시에 城廂 내외가 매일 식량으로 穀 5000

石이 필요하였다 지금 교통이 편리하고 상인 旅客이 배로 증가하였으니

매일 마땅히 1-2000石을 더해야 한다(宣統 2年(1910) 2月 17日 長沙日

報)이것을 보면 光緖32년(1906)에서 宣統2년(1910)은 불과 5년이 채 되

지 않는데 상인 집단이 배로 증가하였다니 城內外의 유동인구 급증을

짐작할 수 있다 長沙城의 인구는 1916年에 177882人이었고 1931年은

385514人으로 증가하였다 불과 15년 사이에 1167 증가이다 배 이

73)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ldquo同治志云 醴俗安土重遷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商賈外

貿者少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揚帆外貿則 僅淥口附近之穀米商而已 光緖初 紅茶業興 邑人製茶

販運 漢皋者 獲利倍蓰自是來龍門一帶 每屆春日 製茶捒茶列廠恒數十 訖於光緖

末年 則有瓷業及夏布編爆起而代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恃以爲生者 無慮 十萬人rdquo

74) 李文治 앞의 책 p551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9상이 증가하였으니 長沙의 도시화도 급속히 진전 되고 있다75)

민국10年의 湖南 實業雜誌 보도를 보면 당시 長沙에 蓆工 500人

刻字工 300人 방직공 3200人 이발공 800人 香工 400人 합계 5200人

이 있었다 長沙大公報에 의하면 민국9년(1920)에 長沙에는 부두공

2600人 糞夫 500人 轎夫 1300 車夫 2300人으로 합계 7000人 정도

가 있었다76) 같은 시기 호남성의 광부가 160萬人이고 여기에 手藝工

苦力을 합치면 190만 전후였다고 한다 예릉현에서는 東鄕 일대에서

編爆業 종사자가 수만이고 東北兩鄕에서 磁廠의 女工도 수천이나 되었

다는 기록도 있다77) 湖南 邵陽縣에서도 淸末에 工匠이 5만 상인이 12

만 정도였다는 통계도 있다78) 이렇게 비농업 인구가 다른 생업을 통

해 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로 증가하고 있던 것이 확인된다 이런 유

효 수요 증가를 설명해 주는 다른 史料 하나를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

다79)

어째서 米穀이 날로 적어지고 날로 비싸지는가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水旱災가 날로 많고 농사짓는데 날로 게으르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말은

진실로 일리가 있는데 다 그런 것은 아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선교사 洋商 洋官 洋

兵은 증가한 것이 외국에서 온 사람이다 敎民 游民 賭民 盜民은 內地

에서 증가한 자이다 무릇 농사짓는 사람은 하나인데 먹는 자는 헤아릴

수가 없다 米穀이 어찌 비싸지 않을 수 있겠는가

光緖後期의 사정을 전하고 있는 위 史料를 보면 외국에서 온 선교

사 상인 군인 관리 등도 米価 상승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국내

외를 막론하고 비농업 인구의 급격한 성장이 米価 상승의 원인이라 생

각된다

湖南과 長沙의 米穀은 해당 지역 안에서 소비되는 것보다 揚子江

75) 張朋園 中國現代化的區域硏究 -湖南省 (台北 1998) p376

76) 위의 책 pp412-413

77)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農業經濟

78) 光緖33年刊 邵陽縣鄕土志 권2 인류 실업

79) 李文治 앞의 책 p77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0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많다 청말민국시기에도 지속적인 湖南米의

移出이 있었던 것은 이미 밝힌바 있다80)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穀

米가 騰貴한 이유가 外省의 采辦이 많은 때문이라고 하고 있다81) 상

담현에서도 동치 4년(1865)이전에 해마다 풍년이었는데 穀価가 까닭

없이 騰貴한 것은 江南이 처음 회복되어 米穀의 販運이 많아진 때문이

라고 하고 있다82) 1898年에도 長沙에서 米穀의 원거리 送出을 바라는

지주 富戶와 주민의 갈등 관계가 노출되고 있다83) 宣統2年(1910)의 기

록에도 湖北의 흉년으로 出境 米穀이 과다하여 米価가 급등했는데 작

년 末에는 1石5000文이었다가 금년에는 1石 8000文에 이르렀다는 내

용이 있다84) 같은 자료에 湖南米가 당도 하지 않으면 武漢에서 변란

이 일어난다고 할 정도이다

하류의 上海는 한적한 어촌에서 근대에 대도시로 성장하였다 武漢

上海등의 도시화와 상공업 발전 인구 집중은 長沙米의 급격한 수요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宣統 년간에 長沙가 전국적인 4大 米市의 하나

로 성장한 것은 우연한 일은 아니다85)

근대에 대외 교역증가가 물가 상승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생각된

다 1873년에서 1930年 사이에 농산물 수출 통계는 1910년을 100으로

했을 때 1873년은 12 1893년은 123 1903년 386 1920년은 1324

1930년은 2709로 급상승하고 있다86) 농산물의 수출은 해외 수요의 증

가이다 이런 교역상 수요 증대는 가격의 등귀 뿐 아니라 작물 재배

면적의 확대에도 기여하고 있다

80)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81)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20

82) 光緖6年刊 湘潭縣志 卷29 災祥志

83) 湘報 89號 長沙縣職員常達邦呈批

84) 李文治 앞의 책 p381

85) 徐正元 中國近代農産商品化的發展與米市的形成 (復印報刊經济史 1997年3期)

86)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권2 p14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1宣統2년(1910) 長沙에 영국 상인이 출현하여 米穀 구매를 단행하자

米価가 하루에 여러 번 급등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였다87) 湖南에서

는 또 광동 상인의 영향을 받아 紅茶 제조법을 습득하여 홍차를 대량

생산하여 구미에 수출하였다 19세기 60년대부터 20세기 초에 특히 호

남 茶 생산 판매가 극히 발달하였다88) 주요 산지 중에는 長沙 湘潭

安化 등이 손꼽히고 있다

桐油의 수출 또한 괄목할 만한 것이다 湖南의 桐油 수출은 1922년

전국의 3336 1923년은 372로 성장하였다 1929년에는 全省 수출

총액의 45 정도를 차지하였고 桐油 상품화율 80에 달하였다89) 대

외교역을 통한 농산품의 해외 수요 증가는 직간접으로 물가 상승에 작

용하고 있다

2 화폐 문제

물가와 화폐의 관계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통상 화폐 수량의 증가가

생산총량의 증가보다 초과할 때 물가상승이 일어난다90) 보통 淸 후기

에는 아편무역에 따른 銀의 해외 유출과 그 결과 야기된 lsquo銀貴錢賤rsquo 현

상 통화팽창에 의해 물가가 상승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91)

실제 淸末民國기에 걸쳐 통화 팽창과 물가 상승에 대한 기록을 찾

는 것은 어렵지 않다 王業鍵에 의하면 淸末 특히 1875年부터 1911年

까지는 인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단계였다고 한다92)

民國 寧鄕縣志에 보면 ldquo光緖29年(1903)에 처음으로 當十銅元을 주

87) 李文治 앞의 책 p550-551

88) 劉泱泱 앞의 책 p46

89) 宋斐夫 主篇 湖南通史 現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5 p276

90) 陳民 法幣發行制度與通貨膨脹 (復印報刊經济史 2001-1)91) 龔勝生 앞의 책 pp275-280 岸本美緖 앞의 책 p444 張麗芬 앞의 책

p217

92) Yeh-chien Wang Secular Trends of Rice in the Yanzi Delta 1638-1935(California Univ Press 1992)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2조하여 전국에 통용시켰는데 물가의 등귀가 이때부터 시작되었다rdquo는

기록이 있다93) 醴陵縣에서는 光緖32年에 當十銅元을 주조하여 制錢과

병행시켰고 宣統원년에 銀元이 이미 성행하였다 민국원년에는 當二十

銅元을 주조하였는데 雙銅元이라 칭하였다94) 영향현에서도 광서말에

私鑄錢인 毛錢이 나오고 지폐가 통용되는 등 통화팽창이 상업을 일변

시켰다고 한다95)

종전에 비해 실질 가치가 열악한 當十 當二十 등 銅元의 남발과 鈔

票의 성행은 화폐 시장의 과잉을 초래하였다 정식의 鈔票 이외도 각

현 발행의 私鈔와 錢莊에서 발행한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시중에 범람

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민국 시대에는 화폐 남발이 더욱 심하였다 호

남은행을 비롯한 저축은행 농업은행 등이 각기 각종 지폐를 발행하여

혼란이 가중되었다 1915년에 호남의 은행은 33개인데 그 중 장사현 7

개 상담현이 7개였다96)

군벌들이 은행을 개설하거나 질 낮은 화폐 통용을 강제하는 등의

혼란이 민국시기 특징 중의 하나이다97) 화폐 시장에는 銀元 銀角 銅

元 지폐와 鈔票 市票등 유사 화폐까지 복잡middot혼란의 양상이 나타나고

결과적으로 물가 상승을 피할 수가 없었다

선통2년(1910) 격렬한 米価 騰貴가 있었고 長沙에서 대규모 搶米 폭

동이 일어났는데 이것은 단순한 흉년때문이 아니고 銅元 남발 등 화폐

제도 혼란에 기인한 것이었다98) 1880년대 초부터 1920년대까지는 인

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시기로 매년 33 비율로 상승하였으며 1930년

총 화폐보유고는 60억 원에 달했다 반 세기간 화폐 공급은 8-10배 증

가하였다99)

93)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ldquo光緖 二十九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始鑄當十銅幣 通

行全國 物価之踊始此rdquo

94) 民國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95)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財用錄 상업

96) 張朋園 앞의 책 pp258-259

97) 宋斐夫 앞의 책 pp10-12

98) 岸本美緖 앞의 책 p51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3

時期 銀(兩) 錢(文) 出典

乾隆 嘉慶년간 10 1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道光 初(1821) Prime 1300-1400 Prime

Prime 18年(1838) Prime 1400 林則徐湖廣奏橋 권3

Prime 25年(1845) Prime 2000上下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Prime 末年(1850)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咸豊 元年(1851) Prime 2000 民國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咸豊 初 Prime 2300-2400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8 부역

咸豊 3年(1853) Prime 20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5年(1855)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Prime 6年(1856) Prime 2000 湖文忠公遺集 권12

Prime 7年(1857) Prime 1600 骆文忠公奏議 권7

Prime 8年(1858) Prime 1400 胡文忠公遺集 권85

Prime 10年(1860) Prime 1300-1400 胡文忠公遺集 권70

同治 2年(1863) Prime 13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7年(1868) Prime 1300-1400 李瀚章 瀝陳湖北等省漕務

Prime 10年(1871) Prime 1600-1700 同治10年 長沙縣志 권8 부역 錢法

光緖32年(1906) Prime 1600 長沙日報 宣統2年 2月27日

선통 2年(1910) Prime 1700 國風報 宣統2年 3月 21日

표 지방지에서 직접 採錄제외는 龔勝生 淸代兩湖農業地理 pp270-277에서 湖南부분을 발췌하여 再引用한 것임

表13) 湖南의 銀錢比値

그런데 아편전쟁 전후 銀의 과도한 해외 유출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이

초래되고 이것이 물가 상승의 주요인이라 생각되고 있는 데는 약간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表13)을 보면 銀錢比価가 일시적으로 상승하였다

가 다시 하강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은전비가는 지역에 따라 차

이가 있지만 호남 장사를 위주로 정리한 것이 표13)이다100)

99)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0) 邱思達 中國近現代鑄幣圖說 (北京 中國書店 1991) p109 참조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4

주목되는 것은 道光末에서 咸豊初에 일시적으로 상승하였지만 淸末

의 比価가 낮은 편에 속하는 현상이다 청말에 은전비가가 비교적 안

정되고 있는 것이다 아편전쟁 후 5항 개항으로 교역이 확대된 상황에

서 아편무역 증대에도 불구하고 차와 silk 수출에 힘입어 은의 순유입

이 오히려 증가되는 현상이 나타났던 것이다101) 또 光緖17년(1891)이

후 세계 銀価하락 현상으로 은유입이 증가되었다102) 19세기 후반 중

국이 세계 사회에 연결되면서 중국의 무역 적자에도 불구하고 淸 정부

에 대한 대량 차관과 자본 투자를 통해서 거대한 양의 銀이 중국에 유

입되었다 1871년에서 1913년 사이 은의 순 수입은 2억 4천만 海關兩

혹은 3억 6천만 銀달러로 추정되고 있다 세계 시장의 은가 하락과 은

의 대량 유입은 중국의 국내 시장에서 물가 상승을 유도한 것이다103)

이런 배경으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은 일시적인 것이고 청말민국기 전체를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민국 시기에는 銀元과 錢의 교환 비율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은의 유입 현상에도 불구하고 宣統 원년 11150文의 비율에서 민국6년

2250文 민국11년 2840文 민국17년 3500文 민국22년 7200文까지 급등

하고 있다 예릉현의 기록이지만 이것으로 청말보다 민국시기에 통화

팽창현상이 극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4)

銀과 錢이 주요 화폐이고 그 환율이 항상 문제가 되고 있지만 주로

청 후기 이후는 錢文 위주의 경제로 바뀌고 있다고 생각된다 長沙府

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면 대부분 道光 이후는 화폐를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淸 前期는 米価를 銀으로 표시하던 것과는 대조적이

다105) 예릉현에서는 민간에서 세금을 납부하거나 大宗무역을 할 때를

101)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2) 邱思達 앞의 책 pp92-93

103)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4)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10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光緖3年刊 善化縣志 同治13年刊 湘鄕縣志 光

緖15年刊 湘潭縣志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民國37年刊 醴陵縣志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5제외하고 紋銀 사용자가 거의 없다 도광 이후 교역시 대부분 錢文을

사용했다는 기록을 보면 淸 後期는 錢 경제 위주로 넘어간 것 같

다106) 세금을 낼 때 외에 銀錢이 필요 없는 일반민은 錢文 사용권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너무나 당연하다

함풍4년에 長沙에서 大錢을 주조하여 통용시켰으나 결국 시장의 신

뢰를 얻지 못하여 퇴출되고 말았다 1854년 7월에 주조를 시작하여

1855년 4月에 주조를 정지하였다107) 이것을 보면 통화 남발도 결국

시장의 제약을 받고 있다

민국 7년(1918) 3月 張敬堯가 裕湘銀行을 개설하여 銀元票 1000만元

銅元票 3000만元을 발행하였다 그 결과 시장은 혼란에 빠지고 시중금

융은 마비 상태가 되었으며 결국 裕湘銀行 발행의 惡幣는 폐지와 같이

되었다108) 권력에 의하여 통화 팽창이 시도되더라도 시장이 감당할

수 없는 지경이 되면 중단될 수밖에 없다 과도한 통화 팽창은 시장의

질서에 의해 어느 정도 제약 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예릉현에서도 光緖 년간에 錢莊 24곳이 출현하여 盛業을 누렸는데

民國7年(1918) 兵禍로 停業하는 곳이 많아졌고 정부의 통화 남발 화폐

가치 하락 금융혼란의 현상이 나타났다109) 민국18년(1929) 이후는 정

국이 안정되고 교통 편리로 百業이 진흥되고 은행이 역할을 하게 되었

이상에서 보면 淸末까지는 은전비가가 안정되고 통화 관리가 어느

정도 성공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光緖 宣統 시기에 銀元의 주조 외국

銀貨의 대량유입 當十銅元 등 주조로 통화팽창이 많이 되었고 이시기

물가 상승과 연관되고 있다 민국 초기에도 정국 혼란과 무계획적 통

화남발로 물가의 급등을 초래하였다 민국 중기에는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것 같다

106) 龔勝生 앞의 책 p279

107) 劉泱泱 앞의 책 pp150-155

108) 宋斐夫 앞의 책 pp10-11

10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6영향현에서도 민국 21년(1932) lsquo穀賤錢荒rsquo의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

다110) 청말민국기에 전반적으로 화폐량의 증가가 현저했던 것은 사실

이다 다양한 화폐의 등장 銀兩 銀元 銅錢 銅元 외에 외국 銀元의 유

입 그 외 鈔票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출현하였으며 양적인 팽창도 분

명하다 하지만 대외 교역 증가와 경제 활동 인구의 증가 유통 상품의

양적 증가에 의해 시장의 화폐 수요가 증대된 것도 사실이다 통화 발

행은 일차적으로는 경제 주체의 수요에 부응하는 것이지만 그것이 과

도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3 공급기타 요소

물가는 기본적으로 수요공급의 관계에서 결정되는 것이 원칙이다

청말민국기에 걸쳐 인구가 급증하여 물가가 상승한 것은 자연스런 일

이다 그러나 물가 상승률 면에서 청말의 경우가 18세기의 증가율에

비해 크다고 할 수 없다 물가 상승률을 억제하면서 비교적 안정 속의

상승을 할 수 있었던 것은 공급의 증가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청말민국기에 湖南米의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 현상이 지속된 배경

에 비약적인 경지 면적 확대와 새로운 품종 개량 시비법 발전 등 농

업 생산 증대가 있었다는 것은 이미 밝혀진 바 있다111) 米穀 공급의

증대가 물가 상승을 완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雜糧 재배가 同治

(1862-74) 년간에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민중의 식량 문제 해결에 기여

하고 米価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던 것을 城步縣 知縣 盛溢源을

통해서 알 수 있다

洋米 수입이 國産米의 보충 역할을 했다는 지적이 있지만 결국 시

110) 民國30年刊 寧鄕縣新志 전1 縣年記

111) 田炯權 淸末民國期 湖廣地方의 農業生産力과 生産關係 (慶南史學 7

1995)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2001)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

究 25 200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7장에 대한 미곡 공급을 증대시켜 가격 안정에 기여했다고 생각된

다112)

민국 시대 관련 사료를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113)

금일 정세를 보면 국내 米価의 등락은 결코 國産米의 생산량이 많고

적음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외국 産米 구역의 풍년 여부에 따라 영

향이 대단히 크다

이것을 보면 洋米 수입이 國産米価를 조절한다고 볼 수 있다 비슷

한 시기 上海에서도 湖南米가 수입 米의 영향으로 가격이 약간 적게

올랐다는 史料도 있다114) 湘報에도 日本米가 수입되어 중국의 米価

가 차츰 내려갔다는 기록이 있다115) 같은 湘報에 보면 ldquo외국물산이

날로 풍부하여 중국 상품의 판로를 막는데 서양 상품의 가격이 낮으면

중국 상품 가격이 홀로 증가할 수 없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116) 결국 洋

貨도 중국에서는 시장에 대한 상품 공급의 증가이고 이것이 상품 가격

상승을 억제하고 있는 것이다 같은 자료에 중국의 土藥이 널리 판매

되니 외래 洋藥의 가격이 폭락한 사정도 소개되고 있다117)

또 洋蠟의 수입으로 국산 白蠟 가격이 매 100斤 200元에서 100元으

로 폭락한 일도 있었다118) 1921년 독일 면화가 대량 수입되어 중국의

綿価가 하락한 일도 있다119) 光緖년간 부터 중국이 綿紗 생산을 개시

하자 華商과 洋商사이에 가격 경쟁이 시작되었다 수입 綿布도 洋商이

國産布와 경쟁하기 위해 가격을 낮추어 공급하였다120)

112) 王良行 淸末對外貿易的關聯效果(1860-1911) (近代中國對外貿易史論集1997)

113)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卷3 p413

114) 위의 책 p416

115) 湘報 제45호 p1419

116) 湘報 제13호 ldquo外洋之出産日盛 足以抵華貨之銷路 洋価低則華貨不能獨增rdquo

117) 湘報 제162호 p1608

118) 章有義 앞의 책 권3 p662

119) 譚文熙 앞의 책 p342

120) 譚文熙 위의 책 p368 p374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8상인의 가격 조종이 물가 변동에 하나의 요소는 될 수 있다 예릉현

의 土資 판매에 있어 객상의 가격 조종에 저항하기 위해 주민들이 公

司를 조직하여 가격을 바로 잡았다는 기록도 있다121) 지주 부농 米商

등의 매점매석에 의한 가격 조종 사실은 흔히 발견된다122) 秋收期에

시장에 대량 방출된 곡식을 저렴한 가격에 매입하여 端境期에 되팔아

이익을 남기는 것은 상인의 오래된 관행이다 이윤 추구를 위한 개인

의 행위지만 넓게 보면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행위이기도 하

다 각지 농산품 가격 변동 조사에서 원인이 밝혀진 10건 가운데 전쟁

이 2건 豊凶 水旱災가 7건 상인 조종은 단 한 건 뿐이었다123) 제국

주의 상인에 의한 가격 조종이라는 것도 결국 중국 상인의 이윤 추구

행위와 본질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湘報의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124)

輪船이 이미 통행하고 있고 철로가 이미 만들어 졌다 제조업이 날로

번성하고 통상조약이 행해지니 상인이 계속 내왕하고 온갖 상품이 유통

된다 사계절 틈이 없으니 일용 각 물품이 그 가격이 반드시 저렴할 것

이다

이것을 보면 통상 개시 후 교통이 발달하고 상품 교역이 증대된다

는 것과 그 결과 일용품의 가격이 저렴해졌다는 것을 당시인이 인식하

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서방 각국과의 무역 증대는 상품 공급의 증가

이고 가격 경쟁을 통해 물가 상승을 완만하게 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

121)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22) 李文治 앞의 책 p559

123)湘報 제49號 ldquo輪船旣行 鉄路旣造 製造日盛 商約可行 商賈絡繹 百産流通

歲時無間 則日用物品 其価必廉rdquo

124) 安本美緖 앞의 책 제7장 pp239-288 제12장 431-455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9

Ⅲ 物價와 景氣(생활)

1 穀賤傷農과 不況

物價 문제를 단순히 등락의 흐름에만 주목하기보다 경기변동론적

입장에서 好況 不況의 문제로 연관시켜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

이다 岸本美緖는 康熙年間의 lsquo穀賤rsquo 현상이 不況과 연결되어 있고 光

緖年間 蘇州의 不況도 lsquo穀賤rsquo이 원인이었음을 지목하고 있다125)

그런데 長沙府 중심의 湖南의 사정을 검토해 보면 lsquo穀賤rsquo 관련 기록

이 道光 咸豊 시기와 民國 中期에 집중되고 있다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26)

道光 25年(1845) ldquo穀賤斗穀錢五十文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値穀賤錢価亦賤 民甚苦之rdquo

장사현과 縣治를 長沙城 내에 두고 있는 善化현에서도 같은 해에

비슷한 기록이 있다127)

道光25年 穀賤自十五年起 連年俱穀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中下戶苦之

咸豊5年 穀賤

장사현 기록을 보면 穀価도 싸고 錢価도 싸서 민이 고통 받는다 했

으니 이 당시 은의 해외 유출과 은전비가 문제로 민중이 고통 받은 사

실을 알 수 있다 선화현은 장사현과 연접하고 통합과 분리가 단속되

었던 거의 동일 지역이다 선화현 기록을 보면 도광25년의 lsquo穀賤rsquo이 해

당년도만의 일이 아니고 道光15年(1835)부터 계속된 현상임을 밝히고

있다

12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33 祥異

126)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127) 民國30年刊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0인근의 寧鄕縣에서 보면 ldquo道光26年 歲豊 穀奇賤傷農 佃農以穀賤大

困rdquo이라는 기사가 있다128) lsquo穀奇賤rsquo이라 하였으니 평상시 보지 못한

하락이었다고 생각된다 더구나 소작료 납부가 대부분 현물지대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佃農은 米穀의 상품화 과정에서 배제되었다는 종전의

통념과 달리 佃農도 곡가 하락으로 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같은 기록에 함풍원년에도 ldquo有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以穀賤漕折苛rdquo라 하고 있어

역시 곡가 하락으로 세금 납부에 곤란을 겪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장사부 內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아도 同治 년간에는 lsquo穀賤rsquo 기

재가 보이지 않고 전술한 도광 함풍 년간에 집중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후의 기록을 찾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ldquo湖南自夏秋以來雨暢時若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故無論高低田畝咸稱大稔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甚

賎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反有入不敷出之慨矣rdquo (益聞錄 69号 광서6년828)129)

ldquo(長沙農村) 近年來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穀米求售 価値至賤 日用各物 則又極昻 收穫所

得 不足顧其工本 多已漸陷于無力耕種之境rdquo (新靑年 7권 6호 1920년 5

월)130)

ldquo湖南近年來之天災人禍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天災旣足以減少收量 地方不靖 産品滯銷

価値復因以低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而生活日昻 工価及日用物品 繼續增漲 收入支出 常苦

不得平衡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rdquo (中國棉産改進統計會議專刊 1931)131)ldquo湘省爲産穀素豊之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年歲收 屢佔大有 而長江流域亦値豊收 更

有大宗洋米 運貨傾銷致湘米頓失市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価格低賤 不僅農村經濟 陷于絶

境 市面金融 亦大受打擊rdquo (銀行週報 18권 9기 1934313)

이외에도 1936年의 사실로 호남의 武岡 東安 일대에서 lsquo豊年穀賤rsquo으

로 省城에 운반할 때 운송비와 각종 捐稅 부담을 감당할 수 없어 陳米

를 불태웠다는 기록이 있다

128) 李文治 앞의 책 p557

129) 章有義 앞의 책 권2 p432

130) 章有義 앞의 책 권3 p795

131) 章有義 위의 책 p620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1이것을 보면 주로 1930년대에 lsquo穀賤rsquo과 不況이 집중 묘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lsquo穀賤rsquo 즉 불황이라고 하면 도광함풍초의 곡천과 불

황 同治光緖宣統期의 lsquo穀貴rsquo즉 好況 다시 民國 전기의 好況 民國 中期

의 불황으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물가의 상승기가 호황적 국면이라는 것은 알려

져 있지만 이것은 전체 물가의 문제이다 위 자료에서 보면 1920년 장

사 농촌에서는 곡가는 싼데 일용품 가격은 극히 높다고 하고 있고

1931년의 기록도 工價와 일용품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농민이 다수를 점하기 때문에 미곡가의 하락은 농민 수입 감소

와 구매력 저하를 가져오고 이것이 농촌 불황의 한 요인이 될 수 있

다 그러나 工賃과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시장의 한계 안에서의

일이다 또한 실업률과 고용 지표 등도 고려되어야 하는데 만족할만한

통계의 부족으로 명확한 답을 얻기는 어렵다

그런데 米価와 물가는 개별 년도나 시점에서 서로 상이한 궤적도

있지만 圖2 3 6 7을 보면 대체적으로는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예릉의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광서 4년(1878)에 비하여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1912)에는 현격한 상승세였다가 그 후에 등락을 거듭

하고 있지만 민국25년(1936)의 경우는 광서4년보다는 높거나 유사한

경우가 많다

2 생활 경기의 발달

당시인들이 체감하던 생활 경기의 수준이 어떠했는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

光緖刊 善化縣志를 보면 다음과 같다132)

132)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16 풍속 附論 ldquo古人 酒肉以養老 而今則黃口稚子

無不酒肉之人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日不旦穀貴鹽貴 而酒肉皆貴 則好惡可知矣 一今鄕間柴炭

其価數倍於昔日 瀕河之地 莫不燒煤rdquo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2옛사람들은 술과 고기로 노인을 부양하였는데 지금은 어린아이도 술과

고기를 먹지 않는 이가 없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요사이 미곡과 소금이 비쌀 뿐 아니

라 술과 고기가 모두가 비싸니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지금 향간에 柴炭이 그 값이 예전보다 수배인데 하천 근처 사람은

煤를 때지 않는 사람이 없다

同治 攸縣志 에도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33)

예전에 士大夫도 집에 있을 때 엄동이 아니면 가죽옷을 입지 않았다

지금 關中의 가죽옷 상인이 유현에 와서 1년에 은 만여 냥을 얻을 수 있

다 기타 비단 옷은 蘇州 杭州 및 嶺南에서 오는 것이 또 배가 되니 1년

에 수만금을 소비한다

醴陵縣에서도 비슷한 인식을 볼 수 있다134)

ldquo예전 풍속이 儉樸하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이 명절 아니면 고기를 먹지 않고

慶弔事가 아니면 술을 베풀지 않고 손님 접대는 닭 잡는데 그치고 鮮味

는 생선에 그쳤고 縣城의 食肆는 飽麵茶館에 그치고 酒席으로 業을 삼는

자가 없었다

지금은 酒樓菜館이 거리에 가득차고 中人의 집에도 술자리가 베풀어지

고 사치를 다툰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예전에 士類大半이 淥江書院에 모이면 그 가운데 비단신을 신은 자가

불과 수인이었고 羊가죽 옷을 입은 자가 불과 1 2人이었다 지금은 비단

신과 가죽옷이 거의 常服이 되었고 日用品은 舶來品이 많다rdquo

이 내용을 보면 예릉현의 생활 수준이 급격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예릉현지 기록에는 부인들이 上海의 유행을 쫓아 사치를 추구한

다는 내용도 있고 청말부터 外貨를 서로 자랑한다는 내용도 있다 종

133) 同治10年刊 攸縣志 권18 풍속 衣服 ldquo衣服 昔時 士大夫 家居非嚴冬不御裘

今關中裘商來攸 歲可得銀萬餘兩 其他錦繡之運自蘇杭及嶺南者 則又倍之 計一歲

之戶 所費數萬金rdquo

134)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4장 풍속 생활 ldquo旧俗民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非令節不

食肉 非慶弔不置酒 欵客止於殺鷄 鮮味止於草魚 縣城食肆 止於飽麵茶館 無以酒

席爲業者 今則酒樓菜館 遍於街市 中人之家酬酢往還 爭奢鬪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旧時士類

大半 集於淥江書院 一院之中 著緞鞋者 不過数人 襲羊裘者 不過 一二人 今則絲

履皮袍殆成常服 日用之品 多自舶來rdquo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3전에 菜油 棉油로 燈을 켜다 집집마다 煤油를 사용한다거나 세탁시

茶枯鹼水를 쓰다가 대부분 비누를 사용하는 일상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135)

또 寧鄕縣에서도 ldquo同光之間 地方安寧 家給人足(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함)縣城商業 於時爲盛rdquo이라 하고 있어 同治(1862-74) 光

緖(1875-1908) 시기가 好況이었음을 알 수 있다136) 湘報에도 ldquo民間

之喜用洋貨日甚一日rdquo이라 하고 있어 洋貨 사용의 확대를 짐작할 수 있

다137)

광서년간 무역이 확대되고 여기에 대해 유익하다는 인식의 기록이

湘報에 나오고 있다138)

ldquo輪船과 철로가 개통되고 항구 개항이 증가 되는 것은 실로 중국에 유

익하고 손해가 없다 저 눈이 콩만큼 큰 자가 걸핏하면 통상이 중국에 해

가 된다고 하니 어찌 심히 어리석지 않은가rdquo

무역 확대를 지적하고 통상이 유익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예릉현

지에도 同治志에는 풍속이 lsquo安士重遷rsquo하고 상인이 외부 활동하는 자가

적었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고 光緖末에 도자기 夏布 編爆業

이 일어나 융성하여 이에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 넘는다고

하고 있다139) 예릉향토지에도 商旅 왕래가 예전보다 10배라는 서술이

있다140)

장사시의 行業발달 상황을 보면 민국 5년(1916)에서 民國22年(1935)

사이에 식품업은 281⟶2124 사치품은 171⟶1128 복장은 43⟶2028 農

礦은 621⟶1156 洋貨 127⟶233 금융 130⟶164 공예 2121⟶3344 문구

17⟶355 등 비약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141)

135)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 工商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6장 실업

136) 民國30年刊 寧鄕縣志 財用錄 民業

137) 湘報 제13호 1898年 3月 21日

138) 湘報 제162号 1898年 9月 23日

13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40) 民國15年刊 醴陵鄕土志 제6장 실업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4이것은 장사의 생활수준 향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당시에

通商의 확대 주장도 湘報에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142)

이상에서 보면 청말민국기에 대체적인 추세는 好況이었다고 생각된

다 생활 수준의 향상이 눈에 띄고 米価와 물가도 연동되면서 상승하

는 추세였다 米価의 상승이 구매력 수준의 제고가 되기 때문에 米穀

생산 중심지역에 상인들의 行號가 집중되는 것이 보였다143) 임금의

경우에도 호남 汝城縣에서 실질 임금이 유지 또는 상승하는 것을 확인

한 바 있다144) 全漢昇도 1875년부터 1925년까지에 걸쳐 四川 合江현

의 임금과 물가 변동의 추세가 거의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바 있

다145) 앞서 인용한 1931년 中國棉産改進計劃 에도 임금과 일용품 가

격이 함께 오른다고 하고 있어 임금이 물가에 연동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생활 수준 향상을 기록하고 있던 지방지에도 빈부 격차를 암시하는

내용이 있고 物力이 날로 쇠퇴한다든지 하는 기록이 있다 대외 무역

이 적자라 하더라도 차관 원조 뿐 아니라 외국 상인의 진출이 자본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好況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Ⅴ 結 言

이제까지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이후 民國中期인 1936年

까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여 米価와 물가 변동 물가 변동의 원인

141) 張朋園 앞의 책 p387

142) 湘報 44호 中外通商利害論 湘報 67号 論湖南茶務急宜整頓

143)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144)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9 1998)

145) 安本美緖 앞의 책 p2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5물가와 생활 경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米価 변동은 단기 변동에 있어서 전쟁이나 天災 등의 특수한 사정

의 해를 제외하고는 光緖 년간에 비해 민국 중기의 계절 변동폭이 축

소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米価의 계절 변동을 완화 시

켜 주는 雜糧의 재배가 湖南 지역에서는 대부분 同治 년간에 보급 확

대가 되고 있다 교통과 상업 발달 등의 이유로 청말에서 민국기로 갈

수록 계절 변동폭을 축소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변동에서는 長沙府縣의 물가 변동 예릉현 물가 변동 등을 살

펴 볼 때 전체로서는 상승 추세 중에 도광 함풍 시기의 低米価 同治

년간의 高米価 光緖전반의 低米価 光緖後半에서 宣統 년간의 高米価

民國 前期의 高米価 民國 中期의 低米価의 등락을 보이고 있다

民國 中期의 米価는 長沙 8개년 米価 추세에서도 안정속의 상승세

를 보이고 있다 명목상 수치 뿐 아니라 米価의 상대 물가로 보는 실

질 구매력도 宣統 民國元年에까지 급상승하였다가 민국 시기 등락을

거듭하지만 민국25년(1936)까지 광서4년(1878) 대비 유지 또는 상승 추

세였다

物価변동은 개별 상품에 따라 편차가 있고 米価와는 전혀 상이한

궤적을 그리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米価와 연동 관계를 보이

고 있다 1898년 물가의 단기 변동은 이상할 만큼 변동폭이 크지 않다

당시 물가 조사자의 보고가 정확했는지 의심될 정도이다 1935년의 장

사 물가에서 단기 변동을 보면 변동폭이 100이상인 夏布 毛筆 麵粉

棉布등을 비롯하여 50 이상인 오리털 흑연 성냥 국산 전지 등을

비롯하여 40 이상인 비누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기 변동폭

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 이것은 이런 물품들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

성이 크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物価의 장기 변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米価와 대체로 비슷한 궤적

을 보이고 있다 청말에서 민국전기에 걸쳐 물가 상승폭이 두드러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 상승폭이 더욱 크

다 돼지고기 값을 예로 들면 1878년에서 1909년 사이에 273 상승했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6고 1912-1921년 사이에 75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닭은 각 50와 44

상승했다 청말은 31년간의 수치이고 민국 전기는 9년간이니 물가의

상대적 급등을 알 수 있다 1926에서 1936년까지 10년간 돼지 고기 값

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

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

세를 보이고 있다 민국 중기의 米価가 일부 lsquo穀賤rsquo 현상을 보인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음으로 물가 변동의 원인에 대해서는 군벌간의 전쟁이나 정치적

혼란 등 정치 군사적 요인을 제외하고 대체로 검토해 보았다

수요 측면에서는 湖南米의 유통이 호남 내부의 인구 증가에도 불구

하고 양자강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지속된 것이 米価 상승의 한 원

인이었다 上海나 武漢 등의 도시화와 인구집중은 이들 지역 양식 수

요를 폭증시켰다 일부 洋米 수입에도 불구하고 湖南米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으로써 米価를 상승시켰다 또 장사를 비롯한 각지의 새로운 수

공업 산업의 발달로 비농업 인구가 증가하고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유

효수요로 성장하여 米価 상승을 유도하였다 양식의 이출은 해당 지역

인구 식량을 전부 제외한 나머지 잉여가 수출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력

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청말민국기에는 호남의 내부 외부에

서 미곡에 대한 유효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것이 米価 상승의 한 요인

이었다

화폐 문제에 있어 화폐 수량의 증가가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것

은 상식이다 종래 아편전쟁 전후 은의 해외 유출 증가가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을 초래하여 물가 상승과 인민의 빈곤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지방지 등의 史料에서 검토한 결과 은전비가는 도광함풍초의

일시적 상승 후에 함풍 7년 이후는 도리어 하락하고 있다 同治 년간

에 대부분 1兩 1300文 수준에서 안정되고 있다 光緖末宣統년간에도

1600-1700文 수준으로 도광함풍 초보다는 낮은 편이다 청말민국시

기에 화폐의 남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한계를 넘었을 때 시장의 통용

거부로 마침내 중단되고 있다 청말민국기에 외국 銀元의 유입과 국내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7의 銀元 주조 銅元 지폐 외에 鈔票 市票 등 화폐 시장에 투입된 화

폐량은 엄청나게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로서는 어느 정

도 시장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외 교역과 상품량의

증대 경제 활동 인구의 증대 미곡 생산 및 농산품 생산의 증대로 화

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것이 화폐량의 막대한 증가와 유

통속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

었다고 생각된다 즉 안정 속의 물가 상승이 유도된 것이다

공급면에서 보면 대외 교역을 통한 서양 상품의 수입은 전체로서는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물건의 공급 증가를 통해서

혹은 국내 상품과의 경쟁 때문에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었

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침략과 물가 폭등이라는 도식적

견해와 달리 현실에서는 물가 억제 작용도 있었던 것이다

물가와 경기면에서 보면 물가가 비쌀 때 호경기가 많은 것은 사실

이다 그런데 lsquo穀賤rsquo 현상이 불황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서 長沙 지역의 경우를 검토해 보았다 도광함풍 년간까지 lsquo穀賤rsquo현상

과 불경기적 상황에 대한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동치광서 년간에는

米価가 등귀한 시점인데 이 시기는 紅茶業의 번성이나 각종 수공업의

번성으로 好況의 면모가 보이고 있다 민국 시기에는 민국 중기에 lsquo穀

賤rsquo의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史料上에 민국 중기의 lsquo穀賤rsquo은 임금이나

다른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다 물가 상승기와 好況

이 맞물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민국 중기는 lsquo穀賤rsquo 현상과 서로 어긋

나는 것이다 이 시기의 不況 서술은 농촌의 농민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표시이다

생활 수준에 대한 지방지 기록 등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주민들의

洋貨 사용이 보편화되고 의복 음식 주거 등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것

을 지적하고 있다 물가는 상승하였지만 同治 이전에 비하여 분명히

사치품의 소비 증대와 中人의 집도 소비 수준이 제고된 것이 드러나고

있다 민중의 빈곤은 있으나 이 시기 빈부 격차가 커지고 생활 수준의

격차가 커진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21: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09

品目 洋麵 淮鹽 茶油 桐油 洋油 猪肉 雞 鴨 烟煤 柴煤

단위시기

包 斤 100斤 100斤箱2桶(50斤)

斤 斤 斤 100斤 衡斗

31-310 26兩 56文 73兩 19兩 104文 112文 88文 320文 24文

311-320 26兩 Prime 73 19 104文 128文 88文 320文 24文

321-331 26兩 Prime 73 625兩 189 108文 128文 88文 320文 252

41-410 26兩 Prime 728 628 186 320文 240

411-420 27兩 Prime 728 626 183 254 228

421-430 29兩 Prime 72 616 181 314 260

51-510 293兩 Prime 711 606 178 310 240

511-520 274 Prime 71 60 183 314 240

521-531 26 Prime 71 60 185 314 229

61-610 26 Prime 699 60 185 299 219

611-620 231 Prime 734 61 184 320 255

621-630 22 Prime 754 62 183 311 254

71-710 22 Prime 774 649 183 310 250

711-719 218 Prime 768 631 181 318 265

면화는 上棉 中棉 下棉의 가격이 제시되고 있으나 여기서 생략함

lt表9gt 1898年 3-7月間 長沙物価

民國中期(1926-1936)까지 안정이라는 米価 변동의 궤적을 확인할 수

있고 그 기간 동안 米価의 실질 구매력은 유지 또는 상승이 대체적 추

세였다 생각된다

2 物價 변동

1) 단기 변동

湘報에 수록된 光緖24년(1898)의 長沙 물가 변동을 표시한 것이

lt表9gt와 lt圖5gt이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0

品目 단위 최고가 최저가 시기 유통량 행선지

鴨絨 斤 500 300 冬 上海 北平 天津 南京

일반적으로 米価와 物価는 상호 연동적이라 생각되지만 여기서 물

가의 단기 변동은 米価와는 다소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대체로

등락 폭이 크지 않다 洋油 洋麵 桐油 등의 변동폭이 크지 않다 면화

만 4월 10일 20일 사이에 상승이 있지만 5월부터는 하락하고 있다

淮鹽 가격은 斤당 56文으로 3月에서 7월 사이에 전혀 변동이 없다

長沙지역은 원래 淮鹽 관할 구역이었으나 太平天國 시기에 교통 두절

로 川鹽 소비지역이 되었다 太平天國후 曾國藩이 이 지역을 淮鹽 소

비지역으로 회복하기 위해 여러 가지 개혁 조치를 행하고 督銷局에서

가격을 核定하여 고시하는 牌價 제도를 시행한 바 있다 일종의 통제

가격제도에 의해 가격 상승이 억제되고 있었던 것이다 直隷의 景縣의

소금 값은 1890년에 斤당 46文 1900년에 斤당 68文이라는 조사도 있

다60) 長寧縣에서는 光緖29年(1903)에 鹽価가 斤당 55文이라는 보고도

있는데 이것은 長沙 1898年의 鹽価와 유사하다61)

戰亂後에 淸朝정부의 淮鹽 소비지 회복 정책에도 불구하고 四川鹽

이 계속 私鹽으로 침투하였기 때문에 長沙의 淮鹽価를 저렴한 통제 가

격下에 두고 있었다고 생각 된다62) 圖6)에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柴煤

는 米価와 같이 5月10日에 최고가에 가깝고 6월10일에 하락하고 그후

에 상승하고 있다 烟煤의 경우에도 비슷한 궤적을 그리고 있다 이것

은 米価와의 연동관계가 비교적 분명하다

1935년의 長沙 物価의 단기 변동 폭을 알 수 있는 것이 lt표10gt이

lt表10gt 長沙物価 通郵地方物産志

60) 李文治 앞의 책 p562

61) 譚文熙 앞의 책 p267-268

62) 佐伯富 中國史硏究 第1卷 (京都 同朋舍 1978) pp340-36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1

黑鉛 石 2200 1300 全年 50000石 漢口上海

棉紗 件 22000 1800 Prime 24000件 本省

棉布 疋 120 150() Prime 1000000 漢口

麵粉 袋 50 250 Prime 140000 Prime

線襪 雙 106 Prime 6000000 本省

毛呢鞋 Prime 200 180 Prime 400000 Prime

夏布 疋 1000 200 夏 20000 上海漢口

火柴 箱 500 300 全年 10000 本省

刺繡 Prime國內및外洋

매년 産量 약50만元

玻璃器 件 300 200 Prime 9000 本省

肥皀 箱 70 50 Prime 30000 Prime

絲綿三角 兩 040 020 Prime 40000 Prime

國貨電池 打 060 040 Prime 200000 Prime

猪 斤 020 015 Prime 50000只 漢口上海

豬毛 担 6000 5000 Prime 4000kg Prime

粗窑器 卡 350 250 Prime 100000套 長江연안

毛筆 支 050 020 Prime 本省 및 황하 각성

여기서 보면 변동폭이 100 이상인 것은 면포 夏布 絲線三角 毛

筆 麵粉 등이다 또 50 이상인 것은 鴨絨(가공오리털) 667 흑연

692 火柴(성냥) 667 玻璃器(유리그릇) 50 국산 電池 50 등이

다 비누는 40 粗窰器는 40이다 棉沙 222 毛呢鞋는 111 돼

지 333이다 단기 변동 폭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고 생각된다 이

것은 이런 물품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성이 크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그런데 1898年의 경우는 茶油 洋油 등 물품의 가격 변동폭이 적은 것

은 무엇 때문일까 어쩌면 당시의 시장 가격 조사가 부정확했는지도

알 수 없다

1935年의 물가에서 綿沙의 변동폭이 적은 것은 당시 항상적인 수요

가 있었기 때문이 아닐까 비누의 변동폭도 40로 비교적 적은데 생

필품으로 수요가 지속 증대된 까닭이 아닐까 한다 通郵地方物産誌에 기재된 醴陵縣 夏布 가격은 40元-100元 사이인데 民國醴陵縣志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2

圖5) 1898年 3月-7月 長沙物價

의 物価表上에는 70元(1938)이라 되어 있다 物産誌 가격은 1935年

의 것인데 예릉현지의 가격이 그 범위 안에 있어 서로 다른 자료간에

부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63) 物産誌 上 相潭株洲의 茶油 값

매 石 160-240元(1935)은 예릉현지 물가표의 민국 20년(1931) 茶油 매

石 240元과 일치하고 있다 표12)에 1936年 煤油 값은 병당 44元이다

그런데 民國 安鄕縣志에서도 1934년 煤油 값은 병당 38元으로 되어

있어 兩者 사이에 유사성을 보여주고 있다64) 그러므로 醴陵縣志 物価의 종적 비교도 신뢰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洋麵은 包당 가격

茶油桐油洋油는 100斤당 가격

棉花 100斤당 가격

2) 장기 변동

長沙의 물가 변동을 보려면 湘報 수록의 광서 24年(1898) 물가와

63) 交通部郵政總局 編 中國通郵地方物産誌 (華世出版 1988)

64) 民國 安鄕縣志 卷11 食貨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3

품명 단위광서4년

(1878)

광서14년

(1888)

광서19년

(1893)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

(1912)

민국5년

(1916)

민국10년

(1921)

豬肉 斤 88文 63 62 112 160 240 280

雞 斤 80 72 68 120 250 300 360

lt表12gt 醴陵縣 物価表 (b) (商会조사)

품명 단위민국15년(1926)

민국20년(1931)

민국25년(1936)

민국27년(1938)

민국28년(1939)

민국29년(1940)

민국30년(1941)

猪肉 百斤 200원 170 200 360 400 561 1300

草魚 Prime 160 150 150

茶油 石 240 290 560 760 2000

鹽 石 120 140 150 160 2000

洋紗 件 2200 2200 2400 2000 2500 1500

土布 匹 27 70

夏布 Prime 70 70 140

竹布 Prime 100 100 8000

棉花 石 20 25 40 100 200 400

煤炭 石 020 030 040 050 230 70

煤油 甁 220 240 440 90 300 460 200

毛邊紙 石 198 432 1200

黑靛粉 桶10斤 100 200 1500 2000

赤金 兩 50 70 80 90 500 560 1600

lt表11gt 醴陵縣 物価表 (a)(私家數簿에 의한 것)

民國24年(1935)의 通郵地方物産誌 기록을 직접 비교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양 자료 사이에 화폐와 단위가 서로 달라 직접 비교할 수가 없

다 그래서 당시인의 물가 변동 기록인 長沙府 醴陵縣 物価表를 이용

하는 것이 파악 방법이 될 것이다

lt표11gt lt표12gt 와 lt圖6gt lt圖7gt을 보면 개별 물품에 따라 차이

는 있지만 대체적인 흐름은 米価 변동과 유사한 궤적을 보여주고 있

다 즉 光緖 前半에 비교적 안정적이다가 光緖 후반부터 급상승하여

민국 전기까지 상승하고 있다 1926년부터 1936년까지는 가격 안정세

를 보여 주고 있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4

雞蛋 個 2 2 3 4 10 15 20

草魚 斤 40 40 36 70 90 160

茶油 斤 116 69 54 150 300

鹽 斤 60 60 63 120 90 180

煤 石 50 120 50

苧麻 斤 270 99 170

棉花 斤 200 96 280

竹布 尺 70 62 60 60 90

靑洋布 尺 55 50 50 70

白蓮紙 刀 40 82 80 100

-附記 前淸 통행 制錢文으로써 단위 민국 초년에는 비록 銅元을 단위 사용하나 관습상 매 1銅元은 錢10文에 해당

圖6) 醴陵縣 物価 (a)

① 豬肉 斤당 가격 ② 雞肉 斤당 가격 ③ 茶油 斤당 가격

④ 鹽 斤당 가격 ⑤ 棉花 斤당 가격 ⑥ 草魚 斤당 가격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5

圖7) 醴陵縣 物価(b)

① 猪肉 百斤당 가격 元 ② 草魚 百斤당 가격 元 ③ 茶油 石당 가격 元

④ 鹽 石당 가격 元 ⑤ 洋紗 件당 가격 元 ⑥ 棉花 石당 가격 元

⑦ 煤油 甁당 가격 元

米価가 物価와 연동되는 것에 대해서 江都縣史料를 보면 ldquo産米 구역

에서 年末에 米価가 상승하니 百物이 昻貴했다rdquo65)라고 되어 있다 湖

南지역 米価 연구 자료에도 米価 추세는 거의 물가 수준과 같다는 주

장이 있다66)

光緖末宣統年間의 물가 상승을 나타내는 史料를 보면 다음과 같다

이제 각종 惡政의 결과로 百物의 騰貴를 초래했는데 小民의 日用 수요

65) 李文治 앞의 책 p470 ldquo江都爲産米區域 年末米価騰踊 百物因以昻貴rdquo

66) 張麗芬 앞의 책 p22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6음식은 그 가격이 십년 전에 비해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과 居室 器用

蔬饌의 비용 牛種糞漑의 비용도 예전 보다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도 비록

동일 비례로 함께 올랐으나 이미 넉넉하지 못해 괴롭다67)

이것을 보면 米価와 物価가 연동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청말

특히 光緖 후반 이후에 각종 物価가 두 배 올랐다는 사정을 알 수 있

다 上海의 物価도 같은 시기에 상승하고 있다68)

lt표11gt lt표12gt와 lt圖67gt을 검토해 보면 돼지고기 값은 광서 14

년 광서 19년까지는 다소 하락세를 보이다가 宣統원년(1909)부터 급격

히 상승하고 있다 민국원년(1912)의 가격은 160文으로 1878年의 88文

에 비해 거의 두 배에 해당한다 위에 인용한 宣統 2年 8月 國風報의 물가 두 배 인상과 정확하게 부합되고 있다 민국 전기인 1926년까

지 계속 상승하고 있지만 1926년에서 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이고 있

돼지고기 값은 1878년-1909년 사이 273 상승했고 1912-1921년 사

이에 75 상승했다 닭은 각기 50와 44 상승했다 계란은 100

100 상승이었다 淸末 비교 시기는 31년간인데 비해 민국 전기는 9

년간에 불과하다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가 급등한 것은 충분히

알 수 있다 1926년에서 1936년 10년간 돼지 값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거의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이었다

民國 醴陵縣志에도 ldquo辛亥혁명이전에는 물가가 심한 등락이 없었는

데 민국 후에 들어와서 차츰 상승했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69) 圖6)을 보

면 닭고기도 비슷한 궤적을 보이고 있다 草魚의 경우도 청말 민국전

기는 상승이 주요 동선이고 민국 중기(1926-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

67) 國風報 第1年 21期 宣統 2年 8月 (李文治 앞의 책 p561) ldquo今也以種種惡

政之結果 以致百物騰踊 小民日用 飮食所需 其価皆視十年前兩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居

室器用蔬饌之費 牛種糞漑之費兩倍于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雖以同一比例以俱騰 旣苦不

給矣rdquo

68) 岸本美緖 앞의 책 p443

6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物價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7이고 있다 譚文熙 物価史에는 민국 전기는 안정속의 상승세로 민국

중기는 파동속의 상승으로 정리를 하고 있는데 여기와는 약간의 차이

를 보이고 있다70) lt표11gt과 lt표12gt 사이의 화폐 단위 차이로 인한

연속적 파악에 다소 어려움이 있으나 대체의 추세는 짐작할 수 있다

또 품목에 따라 공란이 있어 연결 관계가 애매한 부분이 있다 1936년

이후는 중일 전쟁의 혼란과 불환지폐의 강제 통용 등의 사정으로 本考

에서는 분석 대상 범위에서 제외 하고자 한다

Ⅱ 物價 변동의 원인

1 수요 측면

米価와 物價가 상호 연동관계에 있고 넓은 의미에서는 米価도 물가

의 일부이다 米価 및 물가의 상승은 우선 수요의 증가에 원인이 있다

고 할 것이다 수요증가는 일반으로 인구 증가이다 湖南의 인구는 嘉

慶21年(1816) 18754259명에서 1898年 21174000명으로 다시 民國17년

(1928)에는 31501212人으로 비약적 성장을 하였다71) 약 110년 동안

인구가 1300만 가까이 증가하였고 비율로는 679가 증가하였다 長沙

府의 인구도 가경 25년(1820)에서는 4290086명이었는데 민국23년

(1934)에는 8421330명으로 약 400만명 이상 증가하여 963 상승을

보이고 있다72)

인구의 증가가 수요 증대를 초래하는 일반 요인이지만 湖南의 米穀

移出이 해당 지역 민중의 식량을 제외하고 남는 잉여 米만은 아니다

70) 譚文熙 앞의 책 pp302-307 여기서는 민국 전기는 1912-1927년 민국 중기

는 1927-1937년으로 구분하고 있다

71) 湖南省志 地理志 (長沙 湖南人民出版社 1982) pp230-238

72)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8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의 증대가 더 중요한 요인일 것이다 淸末에

와서 새로운 생업을 통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가 많이 증가하고

있는데 醴陵縣 사례를 한번 검토해 보겠다 史料는 다음과 같다73)

同治志에 이르기를 醴陵의 풍속은 lsquo安土重遷rsquo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상인이 外地에 나

가 장사하는 이가 적었다 배를 이용하여 외부 상업을 하는 것은 淥口 부

근의 米穀商일 뿐이었다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邑人들이 茶제조로 武漢에 판매하는 자가

이익이 배가 되었다 이때부터 龍門일대에 매양 봄에 茶를 제조하고 가리

는 廠이 항상 수십이었다 光緖末年에는 도자기업 夏布 編爆이 일어나서

대신하였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이를 믿고 생계를 삼는자가 무려 십만인이다

同治志 편찬 단계만 해도 사람들이 토착 안주하여 멀리 이동하는

것을 어렵게 여겼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큰 이익을 보고 그

후 도자 기업 夏布 編爆 제조에 종사하여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나 되었다는 것이다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의 성장을

보여주는 것이다 長沙의 빠른 도시화도 주목된다 長沙日報에 실린

내용을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74)

光緖32년(1906)에 火災 조사시에 城廂 내외가 매일 식량으로 穀 5000

石이 필요하였다 지금 교통이 편리하고 상인 旅客이 배로 증가하였으니

매일 마땅히 1-2000石을 더해야 한다(宣統 2年(1910) 2月 17日 長沙日

報)이것을 보면 光緖32년(1906)에서 宣統2년(1910)은 불과 5년이 채 되

지 않는데 상인 집단이 배로 증가하였다니 城內外의 유동인구 급증을

짐작할 수 있다 長沙城의 인구는 1916年에 177882人이었고 1931年은

385514人으로 증가하였다 불과 15년 사이에 1167 증가이다 배 이

73)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ldquo同治志云 醴俗安土重遷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商賈外

貿者少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揚帆外貿則 僅淥口附近之穀米商而已 光緖初 紅茶業興 邑人製茶

販運 漢皋者 獲利倍蓰自是來龍門一帶 每屆春日 製茶捒茶列廠恒數十 訖於光緖

末年 則有瓷業及夏布編爆起而代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恃以爲生者 無慮 十萬人rdquo

74) 李文治 앞의 책 p551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9상이 증가하였으니 長沙의 도시화도 급속히 진전 되고 있다75)

민국10年의 湖南 實業雜誌 보도를 보면 당시 長沙에 蓆工 500人

刻字工 300人 방직공 3200人 이발공 800人 香工 400人 합계 5200人

이 있었다 長沙大公報에 의하면 민국9년(1920)에 長沙에는 부두공

2600人 糞夫 500人 轎夫 1300 車夫 2300人으로 합계 7000人 정도

가 있었다76) 같은 시기 호남성의 광부가 160萬人이고 여기에 手藝工

苦力을 합치면 190만 전후였다고 한다 예릉현에서는 東鄕 일대에서

編爆業 종사자가 수만이고 東北兩鄕에서 磁廠의 女工도 수천이나 되었

다는 기록도 있다77) 湖南 邵陽縣에서도 淸末에 工匠이 5만 상인이 12

만 정도였다는 통계도 있다78) 이렇게 비농업 인구가 다른 생업을 통

해 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로 증가하고 있던 것이 확인된다 이런 유

효 수요 증가를 설명해 주는 다른 史料 하나를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

다79)

어째서 米穀이 날로 적어지고 날로 비싸지는가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水旱災가 날로 많고 농사짓는데 날로 게으르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말은

진실로 일리가 있는데 다 그런 것은 아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선교사 洋商 洋官 洋

兵은 증가한 것이 외국에서 온 사람이다 敎民 游民 賭民 盜民은 內地

에서 증가한 자이다 무릇 농사짓는 사람은 하나인데 먹는 자는 헤아릴

수가 없다 米穀이 어찌 비싸지 않을 수 있겠는가

光緖後期의 사정을 전하고 있는 위 史料를 보면 외국에서 온 선교

사 상인 군인 관리 등도 米価 상승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국내

외를 막론하고 비농업 인구의 급격한 성장이 米価 상승의 원인이라 생

각된다

湖南과 長沙의 米穀은 해당 지역 안에서 소비되는 것보다 揚子江

75) 張朋園 中國現代化的區域硏究 -湖南省 (台北 1998) p376

76) 위의 책 pp412-413

77)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農業經濟

78) 光緖33年刊 邵陽縣鄕土志 권2 인류 실업

79) 李文治 앞의 책 p77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0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많다 청말민국시기에도 지속적인 湖南米의

移出이 있었던 것은 이미 밝힌바 있다80)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穀

米가 騰貴한 이유가 外省의 采辦이 많은 때문이라고 하고 있다81) 상

담현에서도 동치 4년(1865)이전에 해마다 풍년이었는데 穀価가 까닭

없이 騰貴한 것은 江南이 처음 회복되어 米穀의 販運이 많아진 때문이

라고 하고 있다82) 1898年에도 長沙에서 米穀의 원거리 送出을 바라는

지주 富戶와 주민의 갈등 관계가 노출되고 있다83) 宣統2年(1910)의 기

록에도 湖北의 흉년으로 出境 米穀이 과다하여 米価가 급등했는데 작

년 末에는 1石5000文이었다가 금년에는 1石 8000文에 이르렀다는 내

용이 있다84) 같은 자료에 湖南米가 당도 하지 않으면 武漢에서 변란

이 일어난다고 할 정도이다

하류의 上海는 한적한 어촌에서 근대에 대도시로 성장하였다 武漢

上海등의 도시화와 상공업 발전 인구 집중은 長沙米의 급격한 수요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宣統 년간에 長沙가 전국적인 4大 米市의 하나

로 성장한 것은 우연한 일은 아니다85)

근대에 대외 교역증가가 물가 상승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생각된

다 1873년에서 1930年 사이에 농산물 수출 통계는 1910년을 100으로

했을 때 1873년은 12 1893년은 123 1903년 386 1920년은 1324

1930년은 2709로 급상승하고 있다86) 농산물의 수출은 해외 수요의 증

가이다 이런 교역상 수요 증대는 가격의 등귀 뿐 아니라 작물 재배

면적의 확대에도 기여하고 있다

80)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81)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20

82) 光緖6年刊 湘潭縣志 卷29 災祥志

83) 湘報 89號 長沙縣職員常達邦呈批

84) 李文治 앞의 책 p381

85) 徐正元 中國近代農産商品化的發展與米市的形成 (復印報刊經济史 1997年3期)

86)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권2 p14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1宣統2년(1910) 長沙에 영국 상인이 출현하여 米穀 구매를 단행하자

米価가 하루에 여러 번 급등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였다87) 湖南에서

는 또 광동 상인의 영향을 받아 紅茶 제조법을 습득하여 홍차를 대량

생산하여 구미에 수출하였다 19세기 60년대부터 20세기 초에 특히 호

남 茶 생산 판매가 극히 발달하였다88) 주요 산지 중에는 長沙 湘潭

安化 등이 손꼽히고 있다

桐油의 수출 또한 괄목할 만한 것이다 湖南의 桐油 수출은 1922년

전국의 3336 1923년은 372로 성장하였다 1929년에는 全省 수출

총액의 45 정도를 차지하였고 桐油 상품화율 80에 달하였다89) 대

외교역을 통한 농산품의 해외 수요 증가는 직간접으로 물가 상승에 작

용하고 있다

2 화폐 문제

물가와 화폐의 관계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통상 화폐 수량의 증가가

생산총량의 증가보다 초과할 때 물가상승이 일어난다90) 보통 淸 후기

에는 아편무역에 따른 銀의 해외 유출과 그 결과 야기된 lsquo銀貴錢賤rsquo 현

상 통화팽창에 의해 물가가 상승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91)

실제 淸末民國기에 걸쳐 통화 팽창과 물가 상승에 대한 기록을 찾

는 것은 어렵지 않다 王業鍵에 의하면 淸末 특히 1875年부터 1911年

까지는 인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단계였다고 한다92)

民國 寧鄕縣志에 보면 ldquo光緖29年(1903)에 처음으로 當十銅元을 주

87) 李文治 앞의 책 p550-551

88) 劉泱泱 앞의 책 p46

89) 宋斐夫 主篇 湖南通史 現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5 p276

90) 陳民 法幣發行制度與通貨膨脹 (復印報刊經济史 2001-1)91) 龔勝生 앞의 책 pp275-280 岸本美緖 앞의 책 p444 張麗芬 앞의 책

p217

92) Yeh-chien Wang Secular Trends of Rice in the Yanzi Delta 1638-1935(California Univ Press 1992)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2조하여 전국에 통용시켰는데 물가의 등귀가 이때부터 시작되었다rdquo는

기록이 있다93) 醴陵縣에서는 光緖32年에 當十銅元을 주조하여 制錢과

병행시켰고 宣統원년에 銀元이 이미 성행하였다 민국원년에는 當二十

銅元을 주조하였는데 雙銅元이라 칭하였다94) 영향현에서도 광서말에

私鑄錢인 毛錢이 나오고 지폐가 통용되는 등 통화팽창이 상업을 일변

시켰다고 한다95)

종전에 비해 실질 가치가 열악한 當十 當二十 등 銅元의 남발과 鈔

票의 성행은 화폐 시장의 과잉을 초래하였다 정식의 鈔票 이외도 각

현 발행의 私鈔와 錢莊에서 발행한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시중에 범람

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민국 시대에는 화폐 남발이 더욱 심하였다 호

남은행을 비롯한 저축은행 농업은행 등이 각기 각종 지폐를 발행하여

혼란이 가중되었다 1915년에 호남의 은행은 33개인데 그 중 장사현 7

개 상담현이 7개였다96)

군벌들이 은행을 개설하거나 질 낮은 화폐 통용을 강제하는 등의

혼란이 민국시기 특징 중의 하나이다97) 화폐 시장에는 銀元 銀角 銅

元 지폐와 鈔票 市票등 유사 화폐까지 복잡middot혼란의 양상이 나타나고

결과적으로 물가 상승을 피할 수가 없었다

선통2년(1910) 격렬한 米価 騰貴가 있었고 長沙에서 대규모 搶米 폭

동이 일어났는데 이것은 단순한 흉년때문이 아니고 銅元 남발 등 화폐

제도 혼란에 기인한 것이었다98) 1880년대 초부터 1920년대까지는 인

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시기로 매년 33 비율로 상승하였으며 1930년

총 화폐보유고는 60억 원에 달했다 반 세기간 화폐 공급은 8-10배 증

가하였다99)

93)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ldquo光緖 二十九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始鑄當十銅幣 通

行全國 物価之踊始此rdquo

94) 民國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95)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財用錄 상업

96) 張朋園 앞의 책 pp258-259

97) 宋斐夫 앞의 책 pp10-12

98) 岸本美緖 앞의 책 p51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3

時期 銀(兩) 錢(文) 出典

乾隆 嘉慶년간 10 1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道光 初(1821) Prime 1300-1400 Prime

Prime 18年(1838) Prime 1400 林則徐湖廣奏橋 권3

Prime 25年(1845) Prime 2000上下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Prime 末年(1850)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咸豊 元年(1851) Prime 2000 民國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咸豊 初 Prime 2300-2400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8 부역

咸豊 3年(1853) Prime 20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5年(1855)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Prime 6年(1856) Prime 2000 湖文忠公遺集 권12

Prime 7年(1857) Prime 1600 骆文忠公奏議 권7

Prime 8年(1858) Prime 1400 胡文忠公遺集 권85

Prime 10年(1860) Prime 1300-1400 胡文忠公遺集 권70

同治 2年(1863) Prime 13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7年(1868) Prime 1300-1400 李瀚章 瀝陳湖北等省漕務

Prime 10年(1871) Prime 1600-1700 同治10年 長沙縣志 권8 부역 錢法

光緖32年(1906) Prime 1600 長沙日報 宣統2年 2月27日

선통 2年(1910) Prime 1700 國風報 宣統2年 3月 21日

표 지방지에서 직접 採錄제외는 龔勝生 淸代兩湖農業地理 pp270-277에서 湖南부분을 발췌하여 再引用한 것임

表13) 湖南의 銀錢比値

그런데 아편전쟁 전후 銀의 과도한 해외 유출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이

초래되고 이것이 물가 상승의 주요인이라 생각되고 있는 데는 약간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表13)을 보면 銀錢比価가 일시적으로 상승하였다

가 다시 하강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은전비가는 지역에 따라 차

이가 있지만 호남 장사를 위주로 정리한 것이 표13)이다100)

99)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0) 邱思達 中國近現代鑄幣圖說 (北京 中國書店 1991) p109 참조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4

주목되는 것은 道光末에서 咸豊初에 일시적으로 상승하였지만 淸末

의 比価가 낮은 편에 속하는 현상이다 청말에 은전비가가 비교적 안

정되고 있는 것이다 아편전쟁 후 5항 개항으로 교역이 확대된 상황에

서 아편무역 증대에도 불구하고 차와 silk 수출에 힘입어 은의 순유입

이 오히려 증가되는 현상이 나타났던 것이다101) 또 光緖17년(1891)이

후 세계 銀価하락 현상으로 은유입이 증가되었다102) 19세기 후반 중

국이 세계 사회에 연결되면서 중국의 무역 적자에도 불구하고 淸 정부

에 대한 대량 차관과 자본 투자를 통해서 거대한 양의 銀이 중국에 유

입되었다 1871년에서 1913년 사이 은의 순 수입은 2억 4천만 海關兩

혹은 3억 6천만 銀달러로 추정되고 있다 세계 시장의 은가 하락과 은

의 대량 유입은 중국의 국내 시장에서 물가 상승을 유도한 것이다103)

이런 배경으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은 일시적인 것이고 청말민국기 전체를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민국 시기에는 銀元과 錢의 교환 비율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은의 유입 현상에도 불구하고 宣統 원년 11150文의 비율에서 민국6년

2250文 민국11년 2840文 민국17년 3500文 민국22년 7200文까지 급등

하고 있다 예릉현의 기록이지만 이것으로 청말보다 민국시기에 통화

팽창현상이 극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4)

銀과 錢이 주요 화폐이고 그 환율이 항상 문제가 되고 있지만 주로

청 후기 이후는 錢文 위주의 경제로 바뀌고 있다고 생각된다 長沙府

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면 대부분 道光 이후는 화폐를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淸 前期는 米価를 銀으로 표시하던 것과는 대조적이

다105) 예릉현에서는 민간에서 세금을 납부하거나 大宗무역을 할 때를

101)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2) 邱思達 앞의 책 pp92-93

103)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4)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10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光緖3年刊 善化縣志 同治13年刊 湘鄕縣志 光

緖15年刊 湘潭縣志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民國37年刊 醴陵縣志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5제외하고 紋銀 사용자가 거의 없다 도광 이후 교역시 대부분 錢文을

사용했다는 기록을 보면 淸 後期는 錢 경제 위주로 넘어간 것 같

다106) 세금을 낼 때 외에 銀錢이 필요 없는 일반민은 錢文 사용권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너무나 당연하다

함풍4년에 長沙에서 大錢을 주조하여 통용시켰으나 결국 시장의 신

뢰를 얻지 못하여 퇴출되고 말았다 1854년 7월에 주조를 시작하여

1855년 4月에 주조를 정지하였다107) 이것을 보면 통화 남발도 결국

시장의 제약을 받고 있다

민국 7년(1918) 3月 張敬堯가 裕湘銀行을 개설하여 銀元票 1000만元

銅元票 3000만元을 발행하였다 그 결과 시장은 혼란에 빠지고 시중금

융은 마비 상태가 되었으며 결국 裕湘銀行 발행의 惡幣는 폐지와 같이

되었다108) 권력에 의하여 통화 팽창이 시도되더라도 시장이 감당할

수 없는 지경이 되면 중단될 수밖에 없다 과도한 통화 팽창은 시장의

질서에 의해 어느 정도 제약 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예릉현에서도 光緖 년간에 錢莊 24곳이 출현하여 盛業을 누렸는데

民國7年(1918) 兵禍로 停業하는 곳이 많아졌고 정부의 통화 남발 화폐

가치 하락 금융혼란의 현상이 나타났다109) 민국18년(1929) 이후는 정

국이 안정되고 교통 편리로 百業이 진흥되고 은행이 역할을 하게 되었

이상에서 보면 淸末까지는 은전비가가 안정되고 통화 관리가 어느

정도 성공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光緖 宣統 시기에 銀元의 주조 외국

銀貨의 대량유입 當十銅元 등 주조로 통화팽창이 많이 되었고 이시기

물가 상승과 연관되고 있다 민국 초기에도 정국 혼란과 무계획적 통

화남발로 물가의 급등을 초래하였다 민국 중기에는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것 같다

106) 龔勝生 앞의 책 p279

107) 劉泱泱 앞의 책 pp150-155

108) 宋斐夫 앞의 책 pp10-11

10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6영향현에서도 민국 21년(1932) lsquo穀賤錢荒rsquo의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

다110) 청말민국기에 전반적으로 화폐량의 증가가 현저했던 것은 사실

이다 다양한 화폐의 등장 銀兩 銀元 銅錢 銅元 외에 외국 銀元의 유

입 그 외 鈔票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출현하였으며 양적인 팽창도 분

명하다 하지만 대외 교역 증가와 경제 활동 인구의 증가 유통 상품의

양적 증가에 의해 시장의 화폐 수요가 증대된 것도 사실이다 통화 발

행은 일차적으로는 경제 주체의 수요에 부응하는 것이지만 그것이 과

도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3 공급기타 요소

물가는 기본적으로 수요공급의 관계에서 결정되는 것이 원칙이다

청말민국기에 걸쳐 인구가 급증하여 물가가 상승한 것은 자연스런 일

이다 그러나 물가 상승률 면에서 청말의 경우가 18세기의 증가율에

비해 크다고 할 수 없다 물가 상승률을 억제하면서 비교적 안정 속의

상승을 할 수 있었던 것은 공급의 증가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청말민국기에 湖南米의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 현상이 지속된 배경

에 비약적인 경지 면적 확대와 새로운 품종 개량 시비법 발전 등 농

업 생산 증대가 있었다는 것은 이미 밝혀진 바 있다111) 米穀 공급의

증대가 물가 상승을 완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雜糧 재배가 同治

(1862-74) 년간에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민중의 식량 문제 해결에 기여

하고 米価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던 것을 城步縣 知縣 盛溢源을

통해서 알 수 있다

洋米 수입이 國産米의 보충 역할을 했다는 지적이 있지만 결국 시

110) 民國30年刊 寧鄕縣新志 전1 縣年記

111) 田炯權 淸末民國期 湖廣地方의 農業生産力과 生産關係 (慶南史學 7

1995)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2001)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

究 25 200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7장에 대한 미곡 공급을 증대시켜 가격 안정에 기여했다고 생각된

다112)

민국 시대 관련 사료를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113)

금일 정세를 보면 국내 米価의 등락은 결코 國産米의 생산량이 많고

적음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외국 産米 구역의 풍년 여부에 따라 영

향이 대단히 크다

이것을 보면 洋米 수입이 國産米価를 조절한다고 볼 수 있다 비슷

한 시기 上海에서도 湖南米가 수입 米의 영향으로 가격이 약간 적게

올랐다는 史料도 있다114) 湘報에도 日本米가 수입되어 중국의 米価

가 차츰 내려갔다는 기록이 있다115) 같은 湘報에 보면 ldquo외국물산이

날로 풍부하여 중국 상품의 판로를 막는데 서양 상품의 가격이 낮으면

중국 상품 가격이 홀로 증가할 수 없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116) 결국 洋

貨도 중국에서는 시장에 대한 상품 공급의 증가이고 이것이 상품 가격

상승을 억제하고 있는 것이다 같은 자료에 중국의 土藥이 널리 판매

되니 외래 洋藥의 가격이 폭락한 사정도 소개되고 있다117)

또 洋蠟의 수입으로 국산 白蠟 가격이 매 100斤 200元에서 100元으

로 폭락한 일도 있었다118) 1921년 독일 면화가 대량 수입되어 중국의

綿価가 하락한 일도 있다119) 光緖년간 부터 중국이 綿紗 생산을 개시

하자 華商과 洋商사이에 가격 경쟁이 시작되었다 수입 綿布도 洋商이

國産布와 경쟁하기 위해 가격을 낮추어 공급하였다120)

112) 王良行 淸末對外貿易的關聯效果(1860-1911) (近代中國對外貿易史論集1997)

113)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卷3 p413

114) 위의 책 p416

115) 湘報 제45호 p1419

116) 湘報 제13호 ldquo外洋之出産日盛 足以抵華貨之銷路 洋価低則華貨不能獨增rdquo

117) 湘報 제162호 p1608

118) 章有義 앞의 책 권3 p662

119) 譚文熙 앞의 책 p342

120) 譚文熙 위의 책 p368 p374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8상인의 가격 조종이 물가 변동에 하나의 요소는 될 수 있다 예릉현

의 土資 판매에 있어 객상의 가격 조종에 저항하기 위해 주민들이 公

司를 조직하여 가격을 바로 잡았다는 기록도 있다121) 지주 부농 米商

등의 매점매석에 의한 가격 조종 사실은 흔히 발견된다122) 秋收期에

시장에 대량 방출된 곡식을 저렴한 가격에 매입하여 端境期에 되팔아

이익을 남기는 것은 상인의 오래된 관행이다 이윤 추구를 위한 개인

의 행위지만 넓게 보면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행위이기도 하

다 각지 농산품 가격 변동 조사에서 원인이 밝혀진 10건 가운데 전쟁

이 2건 豊凶 水旱災가 7건 상인 조종은 단 한 건 뿐이었다123) 제국

주의 상인에 의한 가격 조종이라는 것도 결국 중국 상인의 이윤 추구

행위와 본질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湘報의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124)

輪船이 이미 통행하고 있고 철로가 이미 만들어 졌다 제조업이 날로

번성하고 통상조약이 행해지니 상인이 계속 내왕하고 온갖 상품이 유통

된다 사계절 틈이 없으니 일용 각 물품이 그 가격이 반드시 저렴할 것

이다

이것을 보면 통상 개시 후 교통이 발달하고 상품 교역이 증대된다

는 것과 그 결과 일용품의 가격이 저렴해졌다는 것을 당시인이 인식하

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서방 각국과의 무역 증대는 상품 공급의 증가

이고 가격 경쟁을 통해 물가 상승을 완만하게 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

121)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22) 李文治 앞의 책 p559

123)湘報 제49號 ldquo輪船旣行 鉄路旣造 製造日盛 商約可行 商賈絡繹 百産流通

歲時無間 則日用物品 其価必廉rdquo

124) 安本美緖 앞의 책 제7장 pp239-288 제12장 431-455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9

Ⅲ 物價와 景氣(생활)

1 穀賤傷農과 不況

物價 문제를 단순히 등락의 흐름에만 주목하기보다 경기변동론적

입장에서 好況 不況의 문제로 연관시켜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

이다 岸本美緖는 康熙年間의 lsquo穀賤rsquo 현상이 不況과 연결되어 있고 光

緖年間 蘇州의 不況도 lsquo穀賤rsquo이 원인이었음을 지목하고 있다125)

그런데 長沙府 중심의 湖南의 사정을 검토해 보면 lsquo穀賤rsquo 관련 기록

이 道光 咸豊 시기와 民國 中期에 집중되고 있다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26)

道光 25年(1845) ldquo穀賤斗穀錢五十文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値穀賤錢価亦賤 民甚苦之rdquo

장사현과 縣治를 長沙城 내에 두고 있는 善化현에서도 같은 해에

비슷한 기록이 있다127)

道光25年 穀賤自十五年起 連年俱穀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中下戶苦之

咸豊5年 穀賤

장사현 기록을 보면 穀価도 싸고 錢価도 싸서 민이 고통 받는다 했

으니 이 당시 은의 해외 유출과 은전비가 문제로 민중이 고통 받은 사

실을 알 수 있다 선화현은 장사현과 연접하고 통합과 분리가 단속되

었던 거의 동일 지역이다 선화현 기록을 보면 도광25년의 lsquo穀賤rsquo이 해

당년도만의 일이 아니고 道光15年(1835)부터 계속된 현상임을 밝히고

있다

12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33 祥異

126)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127) 民國30年刊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0인근의 寧鄕縣에서 보면 ldquo道光26年 歲豊 穀奇賤傷農 佃農以穀賤大

困rdquo이라는 기사가 있다128) lsquo穀奇賤rsquo이라 하였으니 평상시 보지 못한

하락이었다고 생각된다 더구나 소작료 납부가 대부분 현물지대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佃農은 米穀의 상품화 과정에서 배제되었다는 종전의

통념과 달리 佃農도 곡가 하락으로 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같은 기록에 함풍원년에도 ldquo有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以穀賤漕折苛rdquo라 하고 있어

역시 곡가 하락으로 세금 납부에 곤란을 겪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장사부 內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아도 同治 년간에는 lsquo穀賤rsquo 기

재가 보이지 않고 전술한 도광 함풍 년간에 집중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후의 기록을 찾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ldquo湖南自夏秋以來雨暢時若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故無論高低田畝咸稱大稔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甚

賎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反有入不敷出之慨矣rdquo (益聞錄 69号 광서6년828)129)

ldquo(長沙農村) 近年來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穀米求售 価値至賤 日用各物 則又極昻 收穫所

得 不足顧其工本 多已漸陷于無力耕種之境rdquo (新靑年 7권 6호 1920년 5

월)130)

ldquo湖南近年來之天災人禍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天災旣足以減少收量 地方不靖 産品滯銷

価値復因以低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而生活日昻 工価及日用物品 繼續增漲 收入支出 常苦

不得平衡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rdquo (中國棉産改進統計會議專刊 1931)131)ldquo湘省爲産穀素豊之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年歲收 屢佔大有 而長江流域亦値豊收 更

有大宗洋米 運貨傾銷致湘米頓失市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価格低賤 不僅農村經濟 陷于絶

境 市面金融 亦大受打擊rdquo (銀行週報 18권 9기 1934313)

이외에도 1936年의 사실로 호남의 武岡 東安 일대에서 lsquo豊年穀賤rsquo으

로 省城에 운반할 때 운송비와 각종 捐稅 부담을 감당할 수 없어 陳米

를 불태웠다는 기록이 있다

128) 李文治 앞의 책 p557

129) 章有義 앞의 책 권2 p432

130) 章有義 앞의 책 권3 p795

131) 章有義 위의 책 p620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1이것을 보면 주로 1930년대에 lsquo穀賤rsquo과 不況이 집중 묘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lsquo穀賤rsquo 즉 불황이라고 하면 도광함풍초의 곡천과 불

황 同治光緖宣統期의 lsquo穀貴rsquo즉 好況 다시 民國 전기의 好況 民國 中期

의 불황으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물가의 상승기가 호황적 국면이라는 것은 알려

져 있지만 이것은 전체 물가의 문제이다 위 자료에서 보면 1920년 장

사 농촌에서는 곡가는 싼데 일용품 가격은 극히 높다고 하고 있고

1931년의 기록도 工價와 일용품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농민이 다수를 점하기 때문에 미곡가의 하락은 농민 수입 감소

와 구매력 저하를 가져오고 이것이 농촌 불황의 한 요인이 될 수 있

다 그러나 工賃과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시장의 한계 안에서의

일이다 또한 실업률과 고용 지표 등도 고려되어야 하는데 만족할만한

통계의 부족으로 명확한 답을 얻기는 어렵다

그런데 米価와 물가는 개별 년도나 시점에서 서로 상이한 궤적도

있지만 圖2 3 6 7을 보면 대체적으로는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예릉의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광서 4년(1878)에 비하여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1912)에는 현격한 상승세였다가 그 후에 등락을 거듭

하고 있지만 민국25년(1936)의 경우는 광서4년보다는 높거나 유사한

경우가 많다

2 생활 경기의 발달

당시인들이 체감하던 생활 경기의 수준이 어떠했는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

光緖刊 善化縣志를 보면 다음과 같다132)

132)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16 풍속 附論 ldquo古人 酒肉以養老 而今則黃口稚子

無不酒肉之人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日不旦穀貴鹽貴 而酒肉皆貴 則好惡可知矣 一今鄕間柴炭

其価數倍於昔日 瀕河之地 莫不燒煤rdquo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2옛사람들은 술과 고기로 노인을 부양하였는데 지금은 어린아이도 술과

고기를 먹지 않는 이가 없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요사이 미곡과 소금이 비쌀 뿐 아니

라 술과 고기가 모두가 비싸니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지금 향간에 柴炭이 그 값이 예전보다 수배인데 하천 근처 사람은

煤를 때지 않는 사람이 없다

同治 攸縣志 에도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33)

예전에 士大夫도 집에 있을 때 엄동이 아니면 가죽옷을 입지 않았다

지금 關中의 가죽옷 상인이 유현에 와서 1년에 은 만여 냥을 얻을 수 있

다 기타 비단 옷은 蘇州 杭州 및 嶺南에서 오는 것이 또 배가 되니 1년

에 수만금을 소비한다

醴陵縣에서도 비슷한 인식을 볼 수 있다134)

ldquo예전 풍속이 儉樸하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이 명절 아니면 고기를 먹지 않고

慶弔事가 아니면 술을 베풀지 않고 손님 접대는 닭 잡는데 그치고 鮮味

는 생선에 그쳤고 縣城의 食肆는 飽麵茶館에 그치고 酒席으로 業을 삼는

자가 없었다

지금은 酒樓菜館이 거리에 가득차고 中人의 집에도 술자리가 베풀어지

고 사치를 다툰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예전에 士類大半이 淥江書院에 모이면 그 가운데 비단신을 신은 자가

불과 수인이었고 羊가죽 옷을 입은 자가 불과 1 2人이었다 지금은 비단

신과 가죽옷이 거의 常服이 되었고 日用品은 舶來品이 많다rdquo

이 내용을 보면 예릉현의 생활 수준이 급격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예릉현지 기록에는 부인들이 上海의 유행을 쫓아 사치를 추구한

다는 내용도 있고 청말부터 外貨를 서로 자랑한다는 내용도 있다 종

133) 同治10年刊 攸縣志 권18 풍속 衣服 ldquo衣服 昔時 士大夫 家居非嚴冬不御裘

今關中裘商來攸 歲可得銀萬餘兩 其他錦繡之運自蘇杭及嶺南者 則又倍之 計一歲

之戶 所費數萬金rdquo

134)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4장 풍속 생활 ldquo旧俗民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非令節不

食肉 非慶弔不置酒 欵客止於殺鷄 鮮味止於草魚 縣城食肆 止於飽麵茶館 無以酒

席爲業者 今則酒樓菜館 遍於街市 中人之家酬酢往還 爭奢鬪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旧時士類

大半 集於淥江書院 一院之中 著緞鞋者 不過数人 襲羊裘者 不過 一二人 今則絲

履皮袍殆成常服 日用之品 多自舶來rdquo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3전에 菜油 棉油로 燈을 켜다 집집마다 煤油를 사용한다거나 세탁시

茶枯鹼水를 쓰다가 대부분 비누를 사용하는 일상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135)

또 寧鄕縣에서도 ldquo同光之間 地方安寧 家給人足(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함)縣城商業 於時爲盛rdquo이라 하고 있어 同治(1862-74) 光

緖(1875-1908) 시기가 好況이었음을 알 수 있다136) 湘報에도 ldquo民間

之喜用洋貨日甚一日rdquo이라 하고 있어 洋貨 사용의 확대를 짐작할 수 있

다137)

광서년간 무역이 확대되고 여기에 대해 유익하다는 인식의 기록이

湘報에 나오고 있다138)

ldquo輪船과 철로가 개통되고 항구 개항이 증가 되는 것은 실로 중국에 유

익하고 손해가 없다 저 눈이 콩만큼 큰 자가 걸핏하면 통상이 중국에 해

가 된다고 하니 어찌 심히 어리석지 않은가rdquo

무역 확대를 지적하고 통상이 유익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예릉현

지에도 同治志에는 풍속이 lsquo安士重遷rsquo하고 상인이 외부 활동하는 자가

적었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고 光緖末에 도자기 夏布 編爆業

이 일어나 융성하여 이에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 넘는다고

하고 있다139) 예릉향토지에도 商旅 왕래가 예전보다 10배라는 서술이

있다140)

장사시의 行業발달 상황을 보면 민국 5년(1916)에서 民國22年(1935)

사이에 식품업은 281⟶2124 사치품은 171⟶1128 복장은 43⟶2028 農

礦은 621⟶1156 洋貨 127⟶233 금융 130⟶164 공예 2121⟶3344 문구

17⟶355 등 비약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141)

135)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 工商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6장 실업

136) 民國30年刊 寧鄕縣志 財用錄 民業

137) 湘報 제13호 1898年 3月 21日

138) 湘報 제162号 1898年 9月 23日

13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40) 民國15年刊 醴陵鄕土志 제6장 실업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4이것은 장사의 생활수준 향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당시에

通商의 확대 주장도 湘報에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142)

이상에서 보면 청말민국기에 대체적인 추세는 好況이었다고 생각된

다 생활 수준의 향상이 눈에 띄고 米価와 물가도 연동되면서 상승하

는 추세였다 米価의 상승이 구매력 수준의 제고가 되기 때문에 米穀

생산 중심지역에 상인들의 行號가 집중되는 것이 보였다143) 임금의

경우에도 호남 汝城縣에서 실질 임금이 유지 또는 상승하는 것을 확인

한 바 있다144) 全漢昇도 1875년부터 1925년까지에 걸쳐 四川 合江현

의 임금과 물가 변동의 추세가 거의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바 있

다145) 앞서 인용한 1931년 中國棉産改進計劃 에도 임금과 일용품 가

격이 함께 오른다고 하고 있어 임금이 물가에 연동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생활 수준 향상을 기록하고 있던 지방지에도 빈부 격차를 암시하는

내용이 있고 物力이 날로 쇠퇴한다든지 하는 기록이 있다 대외 무역

이 적자라 하더라도 차관 원조 뿐 아니라 외국 상인의 진출이 자본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好況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Ⅴ 結 言

이제까지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이후 民國中期인 1936年

까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여 米価와 물가 변동 물가 변동의 원인

141) 張朋園 앞의 책 p387

142) 湘報 44호 中外通商利害論 湘報 67号 論湖南茶務急宜整頓

143)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144)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9 1998)

145) 安本美緖 앞의 책 p2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5물가와 생활 경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米価 변동은 단기 변동에 있어서 전쟁이나 天災 등의 특수한 사정

의 해를 제외하고는 光緖 년간에 비해 민국 중기의 계절 변동폭이 축

소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米価의 계절 변동을 완화 시

켜 주는 雜糧의 재배가 湖南 지역에서는 대부분 同治 년간에 보급 확

대가 되고 있다 교통과 상업 발달 등의 이유로 청말에서 민국기로 갈

수록 계절 변동폭을 축소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변동에서는 長沙府縣의 물가 변동 예릉현 물가 변동 등을 살

펴 볼 때 전체로서는 상승 추세 중에 도광 함풍 시기의 低米価 同治

년간의 高米価 光緖전반의 低米価 光緖後半에서 宣統 년간의 高米価

民國 前期의 高米価 民國 中期의 低米価의 등락을 보이고 있다

民國 中期의 米価는 長沙 8개년 米価 추세에서도 안정속의 상승세

를 보이고 있다 명목상 수치 뿐 아니라 米価의 상대 물가로 보는 실

질 구매력도 宣統 民國元年에까지 급상승하였다가 민국 시기 등락을

거듭하지만 민국25년(1936)까지 광서4년(1878) 대비 유지 또는 상승 추

세였다

物価변동은 개별 상품에 따라 편차가 있고 米価와는 전혀 상이한

궤적을 그리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米価와 연동 관계를 보이

고 있다 1898년 물가의 단기 변동은 이상할 만큼 변동폭이 크지 않다

당시 물가 조사자의 보고가 정확했는지 의심될 정도이다 1935년의 장

사 물가에서 단기 변동을 보면 변동폭이 100이상인 夏布 毛筆 麵粉

棉布등을 비롯하여 50 이상인 오리털 흑연 성냥 국산 전지 등을

비롯하여 40 이상인 비누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기 변동폭

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 이것은 이런 물품들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

성이 크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物価의 장기 변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米価와 대체로 비슷한 궤적

을 보이고 있다 청말에서 민국전기에 걸쳐 물가 상승폭이 두드러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 상승폭이 더욱 크

다 돼지고기 값을 예로 들면 1878년에서 1909년 사이에 273 상승했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6고 1912-1921년 사이에 75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닭은 각 50와 44

상승했다 청말은 31년간의 수치이고 민국 전기는 9년간이니 물가의

상대적 급등을 알 수 있다 1926에서 1936년까지 10년간 돼지 고기 값

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

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

세를 보이고 있다 민국 중기의 米価가 일부 lsquo穀賤rsquo 현상을 보인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음으로 물가 변동의 원인에 대해서는 군벌간의 전쟁이나 정치적

혼란 등 정치 군사적 요인을 제외하고 대체로 검토해 보았다

수요 측면에서는 湖南米의 유통이 호남 내부의 인구 증가에도 불구

하고 양자강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지속된 것이 米価 상승의 한 원

인이었다 上海나 武漢 등의 도시화와 인구집중은 이들 지역 양식 수

요를 폭증시켰다 일부 洋米 수입에도 불구하고 湖南米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으로써 米価를 상승시켰다 또 장사를 비롯한 각지의 새로운 수

공업 산업의 발달로 비농업 인구가 증가하고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유

효수요로 성장하여 米価 상승을 유도하였다 양식의 이출은 해당 지역

인구 식량을 전부 제외한 나머지 잉여가 수출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력

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청말민국기에는 호남의 내부 외부에

서 미곡에 대한 유효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것이 米価 상승의 한 요인

이었다

화폐 문제에 있어 화폐 수량의 증가가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것

은 상식이다 종래 아편전쟁 전후 은의 해외 유출 증가가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을 초래하여 물가 상승과 인민의 빈곤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지방지 등의 史料에서 검토한 결과 은전비가는 도광함풍초의

일시적 상승 후에 함풍 7년 이후는 도리어 하락하고 있다 同治 년간

에 대부분 1兩 1300文 수준에서 안정되고 있다 光緖末宣統년간에도

1600-1700文 수준으로 도광함풍 초보다는 낮은 편이다 청말민국시

기에 화폐의 남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한계를 넘었을 때 시장의 통용

거부로 마침내 중단되고 있다 청말민국기에 외국 銀元의 유입과 국내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7의 銀元 주조 銅元 지폐 외에 鈔票 市票 등 화폐 시장에 투입된 화

폐량은 엄청나게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로서는 어느 정

도 시장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외 교역과 상품량의

증대 경제 활동 인구의 증대 미곡 생산 및 농산품 생산의 증대로 화

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것이 화폐량의 막대한 증가와 유

통속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

었다고 생각된다 즉 안정 속의 물가 상승이 유도된 것이다

공급면에서 보면 대외 교역을 통한 서양 상품의 수입은 전체로서는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물건의 공급 증가를 통해서

혹은 국내 상품과의 경쟁 때문에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었

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침략과 물가 폭등이라는 도식적

견해와 달리 현실에서는 물가 억제 작용도 있었던 것이다

물가와 경기면에서 보면 물가가 비쌀 때 호경기가 많은 것은 사실

이다 그런데 lsquo穀賤rsquo 현상이 불황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서 長沙 지역의 경우를 검토해 보았다 도광함풍 년간까지 lsquo穀賤rsquo현상

과 불경기적 상황에 대한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동치광서 년간에는

米価가 등귀한 시점인데 이 시기는 紅茶業의 번성이나 각종 수공업의

번성으로 好況의 면모가 보이고 있다 민국 시기에는 민국 중기에 lsquo穀

賤rsquo의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史料上에 민국 중기의 lsquo穀賤rsquo은 임금이나

다른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다 물가 상승기와 好況

이 맞물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민국 중기는 lsquo穀賤rsquo 현상과 서로 어긋

나는 것이다 이 시기의 不況 서술은 농촌의 농민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표시이다

생활 수준에 대한 지방지 기록 등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주민들의

洋貨 사용이 보편화되고 의복 음식 주거 등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것

을 지적하고 있다 물가는 상승하였지만 同治 이전에 비하여 분명히

사치품의 소비 증대와 中人의 집도 소비 수준이 제고된 것이 드러나고

있다 민중의 빈곤은 있으나 이 시기 빈부 격차가 커지고 생활 수준의

격차가 커진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22: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0

品目 단위 최고가 최저가 시기 유통량 행선지

鴨絨 斤 500 300 冬 上海 北平 天津 南京

일반적으로 米価와 物価는 상호 연동적이라 생각되지만 여기서 물

가의 단기 변동은 米価와는 다소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대체로

등락 폭이 크지 않다 洋油 洋麵 桐油 등의 변동폭이 크지 않다 면화

만 4월 10일 20일 사이에 상승이 있지만 5월부터는 하락하고 있다

淮鹽 가격은 斤당 56文으로 3月에서 7월 사이에 전혀 변동이 없다

長沙지역은 원래 淮鹽 관할 구역이었으나 太平天國 시기에 교통 두절

로 川鹽 소비지역이 되었다 太平天國후 曾國藩이 이 지역을 淮鹽 소

비지역으로 회복하기 위해 여러 가지 개혁 조치를 행하고 督銷局에서

가격을 核定하여 고시하는 牌價 제도를 시행한 바 있다 일종의 통제

가격제도에 의해 가격 상승이 억제되고 있었던 것이다 直隷의 景縣의

소금 값은 1890년에 斤당 46文 1900년에 斤당 68文이라는 조사도 있

다60) 長寧縣에서는 光緖29年(1903)에 鹽価가 斤당 55文이라는 보고도

있는데 이것은 長沙 1898年의 鹽価와 유사하다61)

戰亂後에 淸朝정부의 淮鹽 소비지 회복 정책에도 불구하고 四川鹽

이 계속 私鹽으로 침투하였기 때문에 長沙의 淮鹽価를 저렴한 통제 가

격下에 두고 있었다고 생각 된다62) 圖6)에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柴煤

는 米価와 같이 5月10日에 최고가에 가깝고 6월10일에 하락하고 그후

에 상승하고 있다 烟煤의 경우에도 비슷한 궤적을 그리고 있다 이것

은 米価와의 연동관계가 비교적 분명하다

1935년의 長沙 物価의 단기 변동 폭을 알 수 있는 것이 lt표10gt이

lt表10gt 長沙物価 通郵地方物産志

60) 李文治 앞의 책 p562

61) 譚文熙 앞의 책 p267-268

62) 佐伯富 中國史硏究 第1卷 (京都 同朋舍 1978) pp340-36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1

黑鉛 石 2200 1300 全年 50000石 漢口上海

棉紗 件 22000 1800 Prime 24000件 本省

棉布 疋 120 150() Prime 1000000 漢口

麵粉 袋 50 250 Prime 140000 Prime

線襪 雙 106 Prime 6000000 本省

毛呢鞋 Prime 200 180 Prime 400000 Prime

夏布 疋 1000 200 夏 20000 上海漢口

火柴 箱 500 300 全年 10000 本省

刺繡 Prime國內및外洋

매년 産量 약50만元

玻璃器 件 300 200 Prime 9000 本省

肥皀 箱 70 50 Prime 30000 Prime

絲綿三角 兩 040 020 Prime 40000 Prime

國貨電池 打 060 040 Prime 200000 Prime

猪 斤 020 015 Prime 50000只 漢口上海

豬毛 担 6000 5000 Prime 4000kg Prime

粗窑器 卡 350 250 Prime 100000套 長江연안

毛筆 支 050 020 Prime 本省 및 황하 각성

여기서 보면 변동폭이 100 이상인 것은 면포 夏布 絲線三角 毛

筆 麵粉 등이다 또 50 이상인 것은 鴨絨(가공오리털) 667 흑연

692 火柴(성냥) 667 玻璃器(유리그릇) 50 국산 電池 50 등이

다 비누는 40 粗窰器는 40이다 棉沙 222 毛呢鞋는 111 돼

지 333이다 단기 변동 폭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고 생각된다 이

것은 이런 물품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성이 크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그런데 1898年의 경우는 茶油 洋油 등 물품의 가격 변동폭이 적은 것

은 무엇 때문일까 어쩌면 당시의 시장 가격 조사가 부정확했는지도

알 수 없다

1935年의 물가에서 綿沙의 변동폭이 적은 것은 당시 항상적인 수요

가 있었기 때문이 아닐까 비누의 변동폭도 40로 비교적 적은데 생

필품으로 수요가 지속 증대된 까닭이 아닐까 한다 通郵地方物産誌에 기재된 醴陵縣 夏布 가격은 40元-100元 사이인데 民國醴陵縣志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2

圖5) 1898年 3月-7月 長沙物價

의 物価表上에는 70元(1938)이라 되어 있다 物産誌 가격은 1935年

의 것인데 예릉현지의 가격이 그 범위 안에 있어 서로 다른 자료간에

부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63) 物産誌 上 相潭株洲의 茶油 값

매 石 160-240元(1935)은 예릉현지 물가표의 민국 20년(1931) 茶油 매

石 240元과 일치하고 있다 표12)에 1936年 煤油 값은 병당 44元이다

그런데 民國 安鄕縣志에서도 1934년 煤油 값은 병당 38元으로 되어

있어 兩者 사이에 유사성을 보여주고 있다64) 그러므로 醴陵縣志 物価의 종적 비교도 신뢰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洋麵은 包당 가격

茶油桐油洋油는 100斤당 가격

棉花 100斤당 가격

2) 장기 변동

長沙의 물가 변동을 보려면 湘報 수록의 광서 24年(1898) 물가와

63) 交通部郵政總局 編 中國通郵地方物産誌 (華世出版 1988)

64) 民國 安鄕縣志 卷11 食貨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3

품명 단위광서4년

(1878)

광서14년

(1888)

광서19년

(1893)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

(1912)

민국5년

(1916)

민국10년

(1921)

豬肉 斤 88文 63 62 112 160 240 280

雞 斤 80 72 68 120 250 300 360

lt表12gt 醴陵縣 物価表 (b) (商会조사)

품명 단위민국15년(1926)

민국20년(1931)

민국25년(1936)

민국27년(1938)

민국28년(1939)

민국29년(1940)

민국30년(1941)

猪肉 百斤 200원 170 200 360 400 561 1300

草魚 Prime 160 150 150

茶油 石 240 290 560 760 2000

鹽 石 120 140 150 160 2000

洋紗 件 2200 2200 2400 2000 2500 1500

土布 匹 27 70

夏布 Prime 70 70 140

竹布 Prime 100 100 8000

棉花 石 20 25 40 100 200 400

煤炭 石 020 030 040 050 230 70

煤油 甁 220 240 440 90 300 460 200

毛邊紙 石 198 432 1200

黑靛粉 桶10斤 100 200 1500 2000

赤金 兩 50 70 80 90 500 560 1600

lt表11gt 醴陵縣 物価表 (a)(私家數簿에 의한 것)

民國24年(1935)의 通郵地方物産誌 기록을 직접 비교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양 자료 사이에 화폐와 단위가 서로 달라 직접 비교할 수가 없

다 그래서 당시인의 물가 변동 기록인 長沙府 醴陵縣 物価表를 이용

하는 것이 파악 방법이 될 것이다

lt표11gt lt표12gt 와 lt圖6gt lt圖7gt을 보면 개별 물품에 따라 차이

는 있지만 대체적인 흐름은 米価 변동과 유사한 궤적을 보여주고 있

다 즉 光緖 前半에 비교적 안정적이다가 光緖 후반부터 급상승하여

민국 전기까지 상승하고 있다 1926년부터 1936년까지는 가격 안정세

를 보여 주고 있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4

雞蛋 個 2 2 3 4 10 15 20

草魚 斤 40 40 36 70 90 160

茶油 斤 116 69 54 150 300

鹽 斤 60 60 63 120 90 180

煤 石 50 120 50

苧麻 斤 270 99 170

棉花 斤 200 96 280

竹布 尺 70 62 60 60 90

靑洋布 尺 55 50 50 70

白蓮紙 刀 40 82 80 100

-附記 前淸 통행 制錢文으로써 단위 민국 초년에는 비록 銅元을 단위 사용하나 관습상 매 1銅元은 錢10文에 해당

圖6) 醴陵縣 物価 (a)

① 豬肉 斤당 가격 ② 雞肉 斤당 가격 ③ 茶油 斤당 가격

④ 鹽 斤당 가격 ⑤ 棉花 斤당 가격 ⑥ 草魚 斤당 가격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5

圖7) 醴陵縣 物価(b)

① 猪肉 百斤당 가격 元 ② 草魚 百斤당 가격 元 ③ 茶油 石당 가격 元

④ 鹽 石당 가격 元 ⑤ 洋紗 件당 가격 元 ⑥ 棉花 石당 가격 元

⑦ 煤油 甁당 가격 元

米価가 物価와 연동되는 것에 대해서 江都縣史料를 보면 ldquo産米 구역

에서 年末에 米価가 상승하니 百物이 昻貴했다rdquo65)라고 되어 있다 湖

南지역 米価 연구 자료에도 米価 추세는 거의 물가 수준과 같다는 주

장이 있다66)

光緖末宣統年間의 물가 상승을 나타내는 史料를 보면 다음과 같다

이제 각종 惡政의 결과로 百物의 騰貴를 초래했는데 小民의 日用 수요

65) 李文治 앞의 책 p470 ldquo江都爲産米區域 年末米価騰踊 百物因以昻貴rdquo

66) 張麗芬 앞의 책 p22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6음식은 그 가격이 십년 전에 비해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과 居室 器用

蔬饌의 비용 牛種糞漑의 비용도 예전 보다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도 비록

동일 비례로 함께 올랐으나 이미 넉넉하지 못해 괴롭다67)

이것을 보면 米価와 物価가 연동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청말

특히 光緖 후반 이후에 각종 物価가 두 배 올랐다는 사정을 알 수 있

다 上海의 物価도 같은 시기에 상승하고 있다68)

lt표11gt lt표12gt와 lt圖67gt을 검토해 보면 돼지고기 값은 광서 14

년 광서 19년까지는 다소 하락세를 보이다가 宣統원년(1909)부터 급격

히 상승하고 있다 민국원년(1912)의 가격은 160文으로 1878年의 88文

에 비해 거의 두 배에 해당한다 위에 인용한 宣統 2年 8月 國風報의 물가 두 배 인상과 정확하게 부합되고 있다 민국 전기인 1926년까

지 계속 상승하고 있지만 1926년에서 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이고 있

돼지고기 값은 1878년-1909년 사이 273 상승했고 1912-1921년 사

이에 75 상승했다 닭은 각기 50와 44 상승했다 계란은 100

100 상승이었다 淸末 비교 시기는 31년간인데 비해 민국 전기는 9

년간에 불과하다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가 급등한 것은 충분히

알 수 있다 1926년에서 1936년 10년간 돼지 값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거의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이었다

民國 醴陵縣志에도 ldquo辛亥혁명이전에는 물가가 심한 등락이 없었는

데 민국 후에 들어와서 차츰 상승했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69) 圖6)을 보

면 닭고기도 비슷한 궤적을 보이고 있다 草魚의 경우도 청말 민국전

기는 상승이 주요 동선이고 민국 중기(1926-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

67) 國風報 第1年 21期 宣統 2年 8月 (李文治 앞의 책 p561) ldquo今也以種種惡

政之結果 以致百物騰踊 小民日用 飮食所需 其価皆視十年前兩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居

室器用蔬饌之費 牛種糞漑之費兩倍于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雖以同一比例以俱騰 旣苦不

給矣rdquo

68) 岸本美緖 앞의 책 p443

6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物價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7이고 있다 譚文熙 物価史에는 민국 전기는 안정속의 상승세로 민국

중기는 파동속의 상승으로 정리를 하고 있는데 여기와는 약간의 차이

를 보이고 있다70) lt표11gt과 lt표12gt 사이의 화폐 단위 차이로 인한

연속적 파악에 다소 어려움이 있으나 대체의 추세는 짐작할 수 있다

또 품목에 따라 공란이 있어 연결 관계가 애매한 부분이 있다 1936년

이후는 중일 전쟁의 혼란과 불환지폐의 강제 통용 등의 사정으로 本考

에서는 분석 대상 범위에서 제외 하고자 한다

Ⅱ 物價 변동의 원인

1 수요 측면

米価와 物價가 상호 연동관계에 있고 넓은 의미에서는 米価도 물가

의 일부이다 米価 및 물가의 상승은 우선 수요의 증가에 원인이 있다

고 할 것이다 수요증가는 일반으로 인구 증가이다 湖南의 인구는 嘉

慶21年(1816) 18754259명에서 1898年 21174000명으로 다시 民國17년

(1928)에는 31501212人으로 비약적 성장을 하였다71) 약 110년 동안

인구가 1300만 가까이 증가하였고 비율로는 679가 증가하였다 長沙

府의 인구도 가경 25년(1820)에서는 4290086명이었는데 민국23년

(1934)에는 8421330명으로 약 400만명 이상 증가하여 963 상승을

보이고 있다72)

인구의 증가가 수요 증대를 초래하는 일반 요인이지만 湖南의 米穀

移出이 해당 지역 민중의 식량을 제외하고 남는 잉여 米만은 아니다

70) 譚文熙 앞의 책 pp302-307 여기서는 민국 전기는 1912-1927년 민국 중기

는 1927-1937년으로 구분하고 있다

71) 湖南省志 地理志 (長沙 湖南人民出版社 1982) pp230-238

72)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8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의 증대가 더 중요한 요인일 것이다 淸末에

와서 새로운 생업을 통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가 많이 증가하고

있는데 醴陵縣 사례를 한번 검토해 보겠다 史料는 다음과 같다73)

同治志에 이르기를 醴陵의 풍속은 lsquo安土重遷rsquo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상인이 外地에 나

가 장사하는 이가 적었다 배를 이용하여 외부 상업을 하는 것은 淥口 부

근의 米穀商일 뿐이었다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邑人들이 茶제조로 武漢에 판매하는 자가

이익이 배가 되었다 이때부터 龍門일대에 매양 봄에 茶를 제조하고 가리

는 廠이 항상 수십이었다 光緖末年에는 도자기업 夏布 編爆이 일어나서

대신하였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이를 믿고 생계를 삼는자가 무려 십만인이다

同治志 편찬 단계만 해도 사람들이 토착 안주하여 멀리 이동하는

것을 어렵게 여겼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큰 이익을 보고 그

후 도자 기업 夏布 編爆 제조에 종사하여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나 되었다는 것이다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의 성장을

보여주는 것이다 長沙의 빠른 도시화도 주목된다 長沙日報에 실린

내용을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74)

光緖32년(1906)에 火災 조사시에 城廂 내외가 매일 식량으로 穀 5000

石이 필요하였다 지금 교통이 편리하고 상인 旅客이 배로 증가하였으니

매일 마땅히 1-2000石을 더해야 한다(宣統 2年(1910) 2月 17日 長沙日

報)이것을 보면 光緖32년(1906)에서 宣統2년(1910)은 불과 5년이 채 되

지 않는데 상인 집단이 배로 증가하였다니 城內外의 유동인구 급증을

짐작할 수 있다 長沙城의 인구는 1916年에 177882人이었고 1931年은

385514人으로 증가하였다 불과 15년 사이에 1167 증가이다 배 이

73)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ldquo同治志云 醴俗安土重遷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商賈外

貿者少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揚帆外貿則 僅淥口附近之穀米商而已 光緖初 紅茶業興 邑人製茶

販運 漢皋者 獲利倍蓰自是來龍門一帶 每屆春日 製茶捒茶列廠恒數十 訖於光緖

末年 則有瓷業及夏布編爆起而代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恃以爲生者 無慮 十萬人rdquo

74) 李文治 앞의 책 p551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9상이 증가하였으니 長沙의 도시화도 급속히 진전 되고 있다75)

민국10年의 湖南 實業雜誌 보도를 보면 당시 長沙에 蓆工 500人

刻字工 300人 방직공 3200人 이발공 800人 香工 400人 합계 5200人

이 있었다 長沙大公報에 의하면 민국9년(1920)에 長沙에는 부두공

2600人 糞夫 500人 轎夫 1300 車夫 2300人으로 합계 7000人 정도

가 있었다76) 같은 시기 호남성의 광부가 160萬人이고 여기에 手藝工

苦力을 합치면 190만 전후였다고 한다 예릉현에서는 東鄕 일대에서

編爆業 종사자가 수만이고 東北兩鄕에서 磁廠의 女工도 수천이나 되었

다는 기록도 있다77) 湖南 邵陽縣에서도 淸末에 工匠이 5만 상인이 12

만 정도였다는 통계도 있다78) 이렇게 비농업 인구가 다른 생업을 통

해 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로 증가하고 있던 것이 확인된다 이런 유

효 수요 증가를 설명해 주는 다른 史料 하나를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

다79)

어째서 米穀이 날로 적어지고 날로 비싸지는가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水旱災가 날로 많고 농사짓는데 날로 게으르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말은

진실로 일리가 있는데 다 그런 것은 아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선교사 洋商 洋官 洋

兵은 증가한 것이 외국에서 온 사람이다 敎民 游民 賭民 盜民은 內地

에서 증가한 자이다 무릇 농사짓는 사람은 하나인데 먹는 자는 헤아릴

수가 없다 米穀이 어찌 비싸지 않을 수 있겠는가

光緖後期의 사정을 전하고 있는 위 史料를 보면 외국에서 온 선교

사 상인 군인 관리 등도 米価 상승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국내

외를 막론하고 비농업 인구의 급격한 성장이 米価 상승의 원인이라 생

각된다

湖南과 長沙의 米穀은 해당 지역 안에서 소비되는 것보다 揚子江

75) 張朋園 中國現代化的區域硏究 -湖南省 (台北 1998) p376

76) 위의 책 pp412-413

77)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農業經濟

78) 光緖33年刊 邵陽縣鄕土志 권2 인류 실업

79) 李文治 앞의 책 p77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0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많다 청말민국시기에도 지속적인 湖南米의

移出이 있었던 것은 이미 밝힌바 있다80)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穀

米가 騰貴한 이유가 外省의 采辦이 많은 때문이라고 하고 있다81) 상

담현에서도 동치 4년(1865)이전에 해마다 풍년이었는데 穀価가 까닭

없이 騰貴한 것은 江南이 처음 회복되어 米穀의 販運이 많아진 때문이

라고 하고 있다82) 1898年에도 長沙에서 米穀의 원거리 送出을 바라는

지주 富戶와 주민의 갈등 관계가 노출되고 있다83) 宣統2年(1910)의 기

록에도 湖北의 흉년으로 出境 米穀이 과다하여 米価가 급등했는데 작

년 末에는 1石5000文이었다가 금년에는 1石 8000文에 이르렀다는 내

용이 있다84) 같은 자료에 湖南米가 당도 하지 않으면 武漢에서 변란

이 일어난다고 할 정도이다

하류의 上海는 한적한 어촌에서 근대에 대도시로 성장하였다 武漢

上海등의 도시화와 상공업 발전 인구 집중은 長沙米의 급격한 수요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宣統 년간에 長沙가 전국적인 4大 米市의 하나

로 성장한 것은 우연한 일은 아니다85)

근대에 대외 교역증가가 물가 상승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생각된

다 1873년에서 1930年 사이에 농산물 수출 통계는 1910년을 100으로

했을 때 1873년은 12 1893년은 123 1903년 386 1920년은 1324

1930년은 2709로 급상승하고 있다86) 농산물의 수출은 해외 수요의 증

가이다 이런 교역상 수요 증대는 가격의 등귀 뿐 아니라 작물 재배

면적의 확대에도 기여하고 있다

80)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81)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20

82) 光緖6年刊 湘潭縣志 卷29 災祥志

83) 湘報 89號 長沙縣職員常達邦呈批

84) 李文治 앞의 책 p381

85) 徐正元 中國近代農産商品化的發展與米市的形成 (復印報刊經济史 1997年3期)

86)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권2 p14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1宣統2년(1910) 長沙에 영국 상인이 출현하여 米穀 구매를 단행하자

米価가 하루에 여러 번 급등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였다87) 湖南에서

는 또 광동 상인의 영향을 받아 紅茶 제조법을 습득하여 홍차를 대량

생산하여 구미에 수출하였다 19세기 60년대부터 20세기 초에 특히 호

남 茶 생산 판매가 극히 발달하였다88) 주요 산지 중에는 長沙 湘潭

安化 등이 손꼽히고 있다

桐油의 수출 또한 괄목할 만한 것이다 湖南의 桐油 수출은 1922년

전국의 3336 1923년은 372로 성장하였다 1929년에는 全省 수출

총액의 45 정도를 차지하였고 桐油 상품화율 80에 달하였다89) 대

외교역을 통한 농산품의 해외 수요 증가는 직간접으로 물가 상승에 작

용하고 있다

2 화폐 문제

물가와 화폐의 관계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통상 화폐 수량의 증가가

생산총량의 증가보다 초과할 때 물가상승이 일어난다90) 보통 淸 후기

에는 아편무역에 따른 銀의 해외 유출과 그 결과 야기된 lsquo銀貴錢賤rsquo 현

상 통화팽창에 의해 물가가 상승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91)

실제 淸末民國기에 걸쳐 통화 팽창과 물가 상승에 대한 기록을 찾

는 것은 어렵지 않다 王業鍵에 의하면 淸末 특히 1875年부터 1911年

까지는 인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단계였다고 한다92)

民國 寧鄕縣志에 보면 ldquo光緖29年(1903)에 처음으로 當十銅元을 주

87) 李文治 앞의 책 p550-551

88) 劉泱泱 앞의 책 p46

89) 宋斐夫 主篇 湖南通史 現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5 p276

90) 陳民 法幣發行制度與通貨膨脹 (復印報刊經济史 2001-1)91) 龔勝生 앞의 책 pp275-280 岸本美緖 앞의 책 p444 張麗芬 앞의 책

p217

92) Yeh-chien Wang Secular Trends of Rice in the Yanzi Delta 1638-1935(California Univ Press 1992)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2조하여 전국에 통용시켰는데 물가의 등귀가 이때부터 시작되었다rdquo는

기록이 있다93) 醴陵縣에서는 光緖32年에 當十銅元을 주조하여 制錢과

병행시켰고 宣統원년에 銀元이 이미 성행하였다 민국원년에는 當二十

銅元을 주조하였는데 雙銅元이라 칭하였다94) 영향현에서도 광서말에

私鑄錢인 毛錢이 나오고 지폐가 통용되는 등 통화팽창이 상업을 일변

시켰다고 한다95)

종전에 비해 실질 가치가 열악한 當十 當二十 등 銅元의 남발과 鈔

票의 성행은 화폐 시장의 과잉을 초래하였다 정식의 鈔票 이외도 각

현 발행의 私鈔와 錢莊에서 발행한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시중에 범람

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민국 시대에는 화폐 남발이 더욱 심하였다 호

남은행을 비롯한 저축은행 농업은행 등이 각기 각종 지폐를 발행하여

혼란이 가중되었다 1915년에 호남의 은행은 33개인데 그 중 장사현 7

개 상담현이 7개였다96)

군벌들이 은행을 개설하거나 질 낮은 화폐 통용을 강제하는 등의

혼란이 민국시기 특징 중의 하나이다97) 화폐 시장에는 銀元 銀角 銅

元 지폐와 鈔票 市票등 유사 화폐까지 복잡middot혼란의 양상이 나타나고

결과적으로 물가 상승을 피할 수가 없었다

선통2년(1910) 격렬한 米価 騰貴가 있었고 長沙에서 대규모 搶米 폭

동이 일어났는데 이것은 단순한 흉년때문이 아니고 銅元 남발 등 화폐

제도 혼란에 기인한 것이었다98) 1880년대 초부터 1920년대까지는 인

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시기로 매년 33 비율로 상승하였으며 1930년

총 화폐보유고는 60억 원에 달했다 반 세기간 화폐 공급은 8-10배 증

가하였다99)

93)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ldquo光緖 二十九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始鑄當十銅幣 通

行全國 物価之踊始此rdquo

94) 民國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95)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財用錄 상업

96) 張朋園 앞의 책 pp258-259

97) 宋斐夫 앞의 책 pp10-12

98) 岸本美緖 앞의 책 p51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3

時期 銀(兩) 錢(文) 出典

乾隆 嘉慶년간 10 1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道光 初(1821) Prime 1300-1400 Prime

Prime 18年(1838) Prime 1400 林則徐湖廣奏橋 권3

Prime 25年(1845) Prime 2000上下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Prime 末年(1850)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咸豊 元年(1851) Prime 2000 民國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咸豊 初 Prime 2300-2400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8 부역

咸豊 3年(1853) Prime 20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5年(1855)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Prime 6年(1856) Prime 2000 湖文忠公遺集 권12

Prime 7年(1857) Prime 1600 骆文忠公奏議 권7

Prime 8年(1858) Prime 1400 胡文忠公遺集 권85

Prime 10年(1860) Prime 1300-1400 胡文忠公遺集 권70

同治 2年(1863) Prime 13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7年(1868) Prime 1300-1400 李瀚章 瀝陳湖北等省漕務

Prime 10年(1871) Prime 1600-1700 同治10年 長沙縣志 권8 부역 錢法

光緖32年(1906) Prime 1600 長沙日報 宣統2年 2月27日

선통 2年(1910) Prime 1700 國風報 宣統2年 3月 21日

표 지방지에서 직접 採錄제외는 龔勝生 淸代兩湖農業地理 pp270-277에서 湖南부분을 발췌하여 再引用한 것임

表13) 湖南의 銀錢比値

그런데 아편전쟁 전후 銀의 과도한 해외 유출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이

초래되고 이것이 물가 상승의 주요인이라 생각되고 있는 데는 약간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表13)을 보면 銀錢比価가 일시적으로 상승하였다

가 다시 하강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은전비가는 지역에 따라 차

이가 있지만 호남 장사를 위주로 정리한 것이 표13)이다100)

99)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0) 邱思達 中國近現代鑄幣圖說 (北京 中國書店 1991) p109 참조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4

주목되는 것은 道光末에서 咸豊初에 일시적으로 상승하였지만 淸末

의 比価가 낮은 편에 속하는 현상이다 청말에 은전비가가 비교적 안

정되고 있는 것이다 아편전쟁 후 5항 개항으로 교역이 확대된 상황에

서 아편무역 증대에도 불구하고 차와 silk 수출에 힘입어 은의 순유입

이 오히려 증가되는 현상이 나타났던 것이다101) 또 光緖17년(1891)이

후 세계 銀価하락 현상으로 은유입이 증가되었다102) 19세기 후반 중

국이 세계 사회에 연결되면서 중국의 무역 적자에도 불구하고 淸 정부

에 대한 대량 차관과 자본 투자를 통해서 거대한 양의 銀이 중국에 유

입되었다 1871년에서 1913년 사이 은의 순 수입은 2억 4천만 海關兩

혹은 3억 6천만 銀달러로 추정되고 있다 세계 시장의 은가 하락과 은

의 대량 유입은 중국의 국내 시장에서 물가 상승을 유도한 것이다103)

이런 배경으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은 일시적인 것이고 청말민국기 전체를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민국 시기에는 銀元과 錢의 교환 비율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은의 유입 현상에도 불구하고 宣統 원년 11150文의 비율에서 민국6년

2250文 민국11년 2840文 민국17년 3500文 민국22년 7200文까지 급등

하고 있다 예릉현의 기록이지만 이것으로 청말보다 민국시기에 통화

팽창현상이 극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4)

銀과 錢이 주요 화폐이고 그 환율이 항상 문제가 되고 있지만 주로

청 후기 이후는 錢文 위주의 경제로 바뀌고 있다고 생각된다 長沙府

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면 대부분 道光 이후는 화폐를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淸 前期는 米価를 銀으로 표시하던 것과는 대조적이

다105) 예릉현에서는 민간에서 세금을 납부하거나 大宗무역을 할 때를

101)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2) 邱思達 앞의 책 pp92-93

103)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4)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10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光緖3年刊 善化縣志 同治13年刊 湘鄕縣志 光

緖15年刊 湘潭縣志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民國37年刊 醴陵縣志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5제외하고 紋銀 사용자가 거의 없다 도광 이후 교역시 대부분 錢文을

사용했다는 기록을 보면 淸 後期는 錢 경제 위주로 넘어간 것 같

다106) 세금을 낼 때 외에 銀錢이 필요 없는 일반민은 錢文 사용권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너무나 당연하다

함풍4년에 長沙에서 大錢을 주조하여 통용시켰으나 결국 시장의 신

뢰를 얻지 못하여 퇴출되고 말았다 1854년 7월에 주조를 시작하여

1855년 4月에 주조를 정지하였다107) 이것을 보면 통화 남발도 결국

시장의 제약을 받고 있다

민국 7년(1918) 3月 張敬堯가 裕湘銀行을 개설하여 銀元票 1000만元

銅元票 3000만元을 발행하였다 그 결과 시장은 혼란에 빠지고 시중금

융은 마비 상태가 되었으며 결국 裕湘銀行 발행의 惡幣는 폐지와 같이

되었다108) 권력에 의하여 통화 팽창이 시도되더라도 시장이 감당할

수 없는 지경이 되면 중단될 수밖에 없다 과도한 통화 팽창은 시장의

질서에 의해 어느 정도 제약 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예릉현에서도 光緖 년간에 錢莊 24곳이 출현하여 盛業을 누렸는데

民國7年(1918) 兵禍로 停業하는 곳이 많아졌고 정부의 통화 남발 화폐

가치 하락 금융혼란의 현상이 나타났다109) 민국18년(1929) 이후는 정

국이 안정되고 교통 편리로 百業이 진흥되고 은행이 역할을 하게 되었

이상에서 보면 淸末까지는 은전비가가 안정되고 통화 관리가 어느

정도 성공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光緖 宣統 시기에 銀元의 주조 외국

銀貨의 대량유입 當十銅元 등 주조로 통화팽창이 많이 되었고 이시기

물가 상승과 연관되고 있다 민국 초기에도 정국 혼란과 무계획적 통

화남발로 물가의 급등을 초래하였다 민국 중기에는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것 같다

106) 龔勝生 앞의 책 p279

107) 劉泱泱 앞의 책 pp150-155

108) 宋斐夫 앞의 책 pp10-11

10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6영향현에서도 민국 21년(1932) lsquo穀賤錢荒rsquo의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

다110) 청말민국기에 전반적으로 화폐량의 증가가 현저했던 것은 사실

이다 다양한 화폐의 등장 銀兩 銀元 銅錢 銅元 외에 외국 銀元의 유

입 그 외 鈔票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출현하였으며 양적인 팽창도 분

명하다 하지만 대외 교역 증가와 경제 활동 인구의 증가 유통 상품의

양적 증가에 의해 시장의 화폐 수요가 증대된 것도 사실이다 통화 발

행은 일차적으로는 경제 주체의 수요에 부응하는 것이지만 그것이 과

도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3 공급기타 요소

물가는 기본적으로 수요공급의 관계에서 결정되는 것이 원칙이다

청말민국기에 걸쳐 인구가 급증하여 물가가 상승한 것은 자연스런 일

이다 그러나 물가 상승률 면에서 청말의 경우가 18세기의 증가율에

비해 크다고 할 수 없다 물가 상승률을 억제하면서 비교적 안정 속의

상승을 할 수 있었던 것은 공급의 증가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청말민국기에 湖南米의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 현상이 지속된 배경

에 비약적인 경지 면적 확대와 새로운 품종 개량 시비법 발전 등 농

업 생산 증대가 있었다는 것은 이미 밝혀진 바 있다111) 米穀 공급의

증대가 물가 상승을 완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雜糧 재배가 同治

(1862-74) 년간에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민중의 식량 문제 해결에 기여

하고 米価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던 것을 城步縣 知縣 盛溢源을

통해서 알 수 있다

洋米 수입이 國産米의 보충 역할을 했다는 지적이 있지만 결국 시

110) 民國30年刊 寧鄕縣新志 전1 縣年記

111) 田炯權 淸末民國期 湖廣地方의 農業生産力과 生産關係 (慶南史學 7

1995)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2001)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

究 25 200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7장에 대한 미곡 공급을 증대시켜 가격 안정에 기여했다고 생각된

다112)

민국 시대 관련 사료를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113)

금일 정세를 보면 국내 米価의 등락은 결코 國産米의 생산량이 많고

적음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외국 産米 구역의 풍년 여부에 따라 영

향이 대단히 크다

이것을 보면 洋米 수입이 國産米価를 조절한다고 볼 수 있다 비슷

한 시기 上海에서도 湖南米가 수입 米의 영향으로 가격이 약간 적게

올랐다는 史料도 있다114) 湘報에도 日本米가 수입되어 중국의 米価

가 차츰 내려갔다는 기록이 있다115) 같은 湘報에 보면 ldquo외국물산이

날로 풍부하여 중국 상품의 판로를 막는데 서양 상품의 가격이 낮으면

중국 상품 가격이 홀로 증가할 수 없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116) 결국 洋

貨도 중국에서는 시장에 대한 상품 공급의 증가이고 이것이 상품 가격

상승을 억제하고 있는 것이다 같은 자료에 중국의 土藥이 널리 판매

되니 외래 洋藥의 가격이 폭락한 사정도 소개되고 있다117)

또 洋蠟의 수입으로 국산 白蠟 가격이 매 100斤 200元에서 100元으

로 폭락한 일도 있었다118) 1921년 독일 면화가 대량 수입되어 중국의

綿価가 하락한 일도 있다119) 光緖년간 부터 중국이 綿紗 생산을 개시

하자 華商과 洋商사이에 가격 경쟁이 시작되었다 수입 綿布도 洋商이

國産布와 경쟁하기 위해 가격을 낮추어 공급하였다120)

112) 王良行 淸末對外貿易的關聯效果(1860-1911) (近代中國對外貿易史論集1997)

113)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卷3 p413

114) 위의 책 p416

115) 湘報 제45호 p1419

116) 湘報 제13호 ldquo外洋之出産日盛 足以抵華貨之銷路 洋価低則華貨不能獨增rdquo

117) 湘報 제162호 p1608

118) 章有義 앞의 책 권3 p662

119) 譚文熙 앞의 책 p342

120) 譚文熙 위의 책 p368 p374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8상인의 가격 조종이 물가 변동에 하나의 요소는 될 수 있다 예릉현

의 土資 판매에 있어 객상의 가격 조종에 저항하기 위해 주민들이 公

司를 조직하여 가격을 바로 잡았다는 기록도 있다121) 지주 부농 米商

등의 매점매석에 의한 가격 조종 사실은 흔히 발견된다122) 秋收期에

시장에 대량 방출된 곡식을 저렴한 가격에 매입하여 端境期에 되팔아

이익을 남기는 것은 상인의 오래된 관행이다 이윤 추구를 위한 개인

의 행위지만 넓게 보면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행위이기도 하

다 각지 농산품 가격 변동 조사에서 원인이 밝혀진 10건 가운데 전쟁

이 2건 豊凶 水旱災가 7건 상인 조종은 단 한 건 뿐이었다123) 제국

주의 상인에 의한 가격 조종이라는 것도 결국 중국 상인의 이윤 추구

행위와 본질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湘報의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124)

輪船이 이미 통행하고 있고 철로가 이미 만들어 졌다 제조업이 날로

번성하고 통상조약이 행해지니 상인이 계속 내왕하고 온갖 상품이 유통

된다 사계절 틈이 없으니 일용 각 물품이 그 가격이 반드시 저렴할 것

이다

이것을 보면 통상 개시 후 교통이 발달하고 상품 교역이 증대된다

는 것과 그 결과 일용품의 가격이 저렴해졌다는 것을 당시인이 인식하

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서방 각국과의 무역 증대는 상품 공급의 증가

이고 가격 경쟁을 통해 물가 상승을 완만하게 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

121)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22) 李文治 앞의 책 p559

123)湘報 제49號 ldquo輪船旣行 鉄路旣造 製造日盛 商約可行 商賈絡繹 百産流通

歲時無間 則日用物品 其価必廉rdquo

124) 安本美緖 앞의 책 제7장 pp239-288 제12장 431-455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9

Ⅲ 物價와 景氣(생활)

1 穀賤傷農과 不況

物價 문제를 단순히 등락의 흐름에만 주목하기보다 경기변동론적

입장에서 好況 不況의 문제로 연관시켜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

이다 岸本美緖는 康熙年間의 lsquo穀賤rsquo 현상이 不況과 연결되어 있고 光

緖年間 蘇州의 不況도 lsquo穀賤rsquo이 원인이었음을 지목하고 있다125)

그런데 長沙府 중심의 湖南의 사정을 검토해 보면 lsquo穀賤rsquo 관련 기록

이 道光 咸豊 시기와 民國 中期에 집중되고 있다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26)

道光 25年(1845) ldquo穀賤斗穀錢五十文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値穀賤錢価亦賤 民甚苦之rdquo

장사현과 縣治를 長沙城 내에 두고 있는 善化현에서도 같은 해에

비슷한 기록이 있다127)

道光25年 穀賤自十五年起 連年俱穀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中下戶苦之

咸豊5年 穀賤

장사현 기록을 보면 穀価도 싸고 錢価도 싸서 민이 고통 받는다 했

으니 이 당시 은의 해외 유출과 은전비가 문제로 민중이 고통 받은 사

실을 알 수 있다 선화현은 장사현과 연접하고 통합과 분리가 단속되

었던 거의 동일 지역이다 선화현 기록을 보면 도광25년의 lsquo穀賤rsquo이 해

당년도만의 일이 아니고 道光15年(1835)부터 계속된 현상임을 밝히고

있다

12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33 祥異

126)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127) 民國30年刊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0인근의 寧鄕縣에서 보면 ldquo道光26年 歲豊 穀奇賤傷農 佃農以穀賤大

困rdquo이라는 기사가 있다128) lsquo穀奇賤rsquo이라 하였으니 평상시 보지 못한

하락이었다고 생각된다 더구나 소작료 납부가 대부분 현물지대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佃農은 米穀의 상품화 과정에서 배제되었다는 종전의

통념과 달리 佃農도 곡가 하락으로 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같은 기록에 함풍원년에도 ldquo有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以穀賤漕折苛rdquo라 하고 있어

역시 곡가 하락으로 세금 납부에 곤란을 겪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장사부 內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아도 同治 년간에는 lsquo穀賤rsquo 기

재가 보이지 않고 전술한 도광 함풍 년간에 집중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후의 기록을 찾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ldquo湖南自夏秋以來雨暢時若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故無論高低田畝咸稱大稔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甚

賎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反有入不敷出之慨矣rdquo (益聞錄 69号 광서6년828)129)

ldquo(長沙農村) 近年來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穀米求售 価値至賤 日用各物 則又極昻 收穫所

得 不足顧其工本 多已漸陷于無力耕種之境rdquo (新靑年 7권 6호 1920년 5

월)130)

ldquo湖南近年來之天災人禍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天災旣足以減少收量 地方不靖 産品滯銷

価値復因以低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而生活日昻 工価及日用物品 繼續增漲 收入支出 常苦

不得平衡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rdquo (中國棉産改進統計會議專刊 1931)131)ldquo湘省爲産穀素豊之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年歲收 屢佔大有 而長江流域亦値豊收 更

有大宗洋米 運貨傾銷致湘米頓失市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価格低賤 不僅農村經濟 陷于絶

境 市面金融 亦大受打擊rdquo (銀行週報 18권 9기 1934313)

이외에도 1936年의 사실로 호남의 武岡 東安 일대에서 lsquo豊年穀賤rsquo으

로 省城에 운반할 때 운송비와 각종 捐稅 부담을 감당할 수 없어 陳米

를 불태웠다는 기록이 있다

128) 李文治 앞의 책 p557

129) 章有義 앞의 책 권2 p432

130) 章有義 앞의 책 권3 p795

131) 章有義 위의 책 p620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1이것을 보면 주로 1930년대에 lsquo穀賤rsquo과 不況이 집중 묘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lsquo穀賤rsquo 즉 불황이라고 하면 도광함풍초의 곡천과 불

황 同治光緖宣統期의 lsquo穀貴rsquo즉 好況 다시 民國 전기의 好況 民國 中期

의 불황으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물가의 상승기가 호황적 국면이라는 것은 알려

져 있지만 이것은 전체 물가의 문제이다 위 자료에서 보면 1920년 장

사 농촌에서는 곡가는 싼데 일용품 가격은 극히 높다고 하고 있고

1931년의 기록도 工價와 일용품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농민이 다수를 점하기 때문에 미곡가의 하락은 농민 수입 감소

와 구매력 저하를 가져오고 이것이 농촌 불황의 한 요인이 될 수 있

다 그러나 工賃과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시장의 한계 안에서의

일이다 또한 실업률과 고용 지표 등도 고려되어야 하는데 만족할만한

통계의 부족으로 명확한 답을 얻기는 어렵다

그런데 米価와 물가는 개별 년도나 시점에서 서로 상이한 궤적도

있지만 圖2 3 6 7을 보면 대체적으로는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예릉의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광서 4년(1878)에 비하여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1912)에는 현격한 상승세였다가 그 후에 등락을 거듭

하고 있지만 민국25년(1936)의 경우는 광서4년보다는 높거나 유사한

경우가 많다

2 생활 경기의 발달

당시인들이 체감하던 생활 경기의 수준이 어떠했는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

光緖刊 善化縣志를 보면 다음과 같다132)

132)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16 풍속 附論 ldquo古人 酒肉以養老 而今則黃口稚子

無不酒肉之人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日不旦穀貴鹽貴 而酒肉皆貴 則好惡可知矣 一今鄕間柴炭

其価數倍於昔日 瀕河之地 莫不燒煤rdquo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2옛사람들은 술과 고기로 노인을 부양하였는데 지금은 어린아이도 술과

고기를 먹지 않는 이가 없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요사이 미곡과 소금이 비쌀 뿐 아니

라 술과 고기가 모두가 비싸니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지금 향간에 柴炭이 그 값이 예전보다 수배인데 하천 근처 사람은

煤를 때지 않는 사람이 없다

同治 攸縣志 에도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33)

예전에 士大夫도 집에 있을 때 엄동이 아니면 가죽옷을 입지 않았다

지금 關中의 가죽옷 상인이 유현에 와서 1년에 은 만여 냥을 얻을 수 있

다 기타 비단 옷은 蘇州 杭州 및 嶺南에서 오는 것이 또 배가 되니 1년

에 수만금을 소비한다

醴陵縣에서도 비슷한 인식을 볼 수 있다134)

ldquo예전 풍속이 儉樸하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이 명절 아니면 고기를 먹지 않고

慶弔事가 아니면 술을 베풀지 않고 손님 접대는 닭 잡는데 그치고 鮮味

는 생선에 그쳤고 縣城의 食肆는 飽麵茶館에 그치고 酒席으로 業을 삼는

자가 없었다

지금은 酒樓菜館이 거리에 가득차고 中人의 집에도 술자리가 베풀어지

고 사치를 다툰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예전에 士類大半이 淥江書院에 모이면 그 가운데 비단신을 신은 자가

불과 수인이었고 羊가죽 옷을 입은 자가 불과 1 2人이었다 지금은 비단

신과 가죽옷이 거의 常服이 되었고 日用品은 舶來品이 많다rdquo

이 내용을 보면 예릉현의 생활 수준이 급격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예릉현지 기록에는 부인들이 上海의 유행을 쫓아 사치를 추구한

다는 내용도 있고 청말부터 外貨를 서로 자랑한다는 내용도 있다 종

133) 同治10年刊 攸縣志 권18 풍속 衣服 ldquo衣服 昔時 士大夫 家居非嚴冬不御裘

今關中裘商來攸 歲可得銀萬餘兩 其他錦繡之運自蘇杭及嶺南者 則又倍之 計一歲

之戶 所費數萬金rdquo

134)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4장 풍속 생활 ldquo旧俗民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非令節不

食肉 非慶弔不置酒 欵客止於殺鷄 鮮味止於草魚 縣城食肆 止於飽麵茶館 無以酒

席爲業者 今則酒樓菜館 遍於街市 中人之家酬酢往還 爭奢鬪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旧時士類

大半 集於淥江書院 一院之中 著緞鞋者 不過数人 襲羊裘者 不過 一二人 今則絲

履皮袍殆成常服 日用之品 多自舶來rdquo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3전에 菜油 棉油로 燈을 켜다 집집마다 煤油를 사용한다거나 세탁시

茶枯鹼水를 쓰다가 대부분 비누를 사용하는 일상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135)

또 寧鄕縣에서도 ldquo同光之間 地方安寧 家給人足(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함)縣城商業 於時爲盛rdquo이라 하고 있어 同治(1862-74) 光

緖(1875-1908) 시기가 好況이었음을 알 수 있다136) 湘報에도 ldquo民間

之喜用洋貨日甚一日rdquo이라 하고 있어 洋貨 사용의 확대를 짐작할 수 있

다137)

광서년간 무역이 확대되고 여기에 대해 유익하다는 인식의 기록이

湘報에 나오고 있다138)

ldquo輪船과 철로가 개통되고 항구 개항이 증가 되는 것은 실로 중국에 유

익하고 손해가 없다 저 눈이 콩만큼 큰 자가 걸핏하면 통상이 중국에 해

가 된다고 하니 어찌 심히 어리석지 않은가rdquo

무역 확대를 지적하고 통상이 유익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예릉현

지에도 同治志에는 풍속이 lsquo安士重遷rsquo하고 상인이 외부 활동하는 자가

적었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고 光緖末에 도자기 夏布 編爆業

이 일어나 융성하여 이에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 넘는다고

하고 있다139) 예릉향토지에도 商旅 왕래가 예전보다 10배라는 서술이

있다140)

장사시의 行業발달 상황을 보면 민국 5년(1916)에서 民國22年(1935)

사이에 식품업은 281⟶2124 사치품은 171⟶1128 복장은 43⟶2028 農

礦은 621⟶1156 洋貨 127⟶233 금융 130⟶164 공예 2121⟶3344 문구

17⟶355 등 비약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141)

135)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 工商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6장 실업

136) 民國30年刊 寧鄕縣志 財用錄 民業

137) 湘報 제13호 1898年 3月 21日

138) 湘報 제162号 1898年 9月 23日

13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40) 民國15年刊 醴陵鄕土志 제6장 실업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4이것은 장사의 생활수준 향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당시에

通商의 확대 주장도 湘報에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142)

이상에서 보면 청말민국기에 대체적인 추세는 好況이었다고 생각된

다 생활 수준의 향상이 눈에 띄고 米価와 물가도 연동되면서 상승하

는 추세였다 米価의 상승이 구매력 수준의 제고가 되기 때문에 米穀

생산 중심지역에 상인들의 行號가 집중되는 것이 보였다143) 임금의

경우에도 호남 汝城縣에서 실질 임금이 유지 또는 상승하는 것을 확인

한 바 있다144) 全漢昇도 1875년부터 1925년까지에 걸쳐 四川 合江현

의 임금과 물가 변동의 추세가 거의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바 있

다145) 앞서 인용한 1931년 中國棉産改進計劃 에도 임금과 일용품 가

격이 함께 오른다고 하고 있어 임금이 물가에 연동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생활 수준 향상을 기록하고 있던 지방지에도 빈부 격차를 암시하는

내용이 있고 物力이 날로 쇠퇴한다든지 하는 기록이 있다 대외 무역

이 적자라 하더라도 차관 원조 뿐 아니라 외국 상인의 진출이 자본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好況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Ⅴ 結 言

이제까지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이후 民國中期인 1936年

까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여 米価와 물가 변동 물가 변동의 원인

141) 張朋園 앞의 책 p387

142) 湘報 44호 中外通商利害論 湘報 67号 論湖南茶務急宜整頓

143)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144)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9 1998)

145) 安本美緖 앞의 책 p2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5물가와 생활 경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米価 변동은 단기 변동에 있어서 전쟁이나 天災 등의 특수한 사정

의 해를 제외하고는 光緖 년간에 비해 민국 중기의 계절 변동폭이 축

소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米価의 계절 변동을 완화 시

켜 주는 雜糧의 재배가 湖南 지역에서는 대부분 同治 년간에 보급 확

대가 되고 있다 교통과 상업 발달 등의 이유로 청말에서 민국기로 갈

수록 계절 변동폭을 축소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변동에서는 長沙府縣의 물가 변동 예릉현 물가 변동 등을 살

펴 볼 때 전체로서는 상승 추세 중에 도광 함풍 시기의 低米価 同治

년간의 高米価 光緖전반의 低米価 光緖後半에서 宣統 년간의 高米価

民國 前期의 高米価 民國 中期의 低米価의 등락을 보이고 있다

民國 中期의 米価는 長沙 8개년 米価 추세에서도 안정속의 상승세

를 보이고 있다 명목상 수치 뿐 아니라 米価의 상대 물가로 보는 실

질 구매력도 宣統 民國元年에까지 급상승하였다가 민국 시기 등락을

거듭하지만 민국25년(1936)까지 광서4년(1878) 대비 유지 또는 상승 추

세였다

物価변동은 개별 상품에 따라 편차가 있고 米価와는 전혀 상이한

궤적을 그리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米価와 연동 관계를 보이

고 있다 1898년 물가의 단기 변동은 이상할 만큼 변동폭이 크지 않다

당시 물가 조사자의 보고가 정확했는지 의심될 정도이다 1935년의 장

사 물가에서 단기 변동을 보면 변동폭이 100이상인 夏布 毛筆 麵粉

棉布등을 비롯하여 50 이상인 오리털 흑연 성냥 국산 전지 등을

비롯하여 40 이상인 비누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기 변동폭

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 이것은 이런 물품들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

성이 크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物価의 장기 변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米価와 대체로 비슷한 궤적

을 보이고 있다 청말에서 민국전기에 걸쳐 물가 상승폭이 두드러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 상승폭이 더욱 크

다 돼지고기 값을 예로 들면 1878년에서 1909년 사이에 273 상승했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6고 1912-1921년 사이에 75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닭은 각 50와 44

상승했다 청말은 31년간의 수치이고 민국 전기는 9년간이니 물가의

상대적 급등을 알 수 있다 1926에서 1936년까지 10년간 돼지 고기 값

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

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

세를 보이고 있다 민국 중기의 米価가 일부 lsquo穀賤rsquo 현상을 보인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음으로 물가 변동의 원인에 대해서는 군벌간의 전쟁이나 정치적

혼란 등 정치 군사적 요인을 제외하고 대체로 검토해 보았다

수요 측면에서는 湖南米의 유통이 호남 내부의 인구 증가에도 불구

하고 양자강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지속된 것이 米価 상승의 한 원

인이었다 上海나 武漢 등의 도시화와 인구집중은 이들 지역 양식 수

요를 폭증시켰다 일부 洋米 수입에도 불구하고 湖南米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으로써 米価를 상승시켰다 또 장사를 비롯한 각지의 새로운 수

공업 산업의 발달로 비농업 인구가 증가하고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유

효수요로 성장하여 米価 상승을 유도하였다 양식의 이출은 해당 지역

인구 식량을 전부 제외한 나머지 잉여가 수출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력

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청말민국기에는 호남의 내부 외부에

서 미곡에 대한 유효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것이 米価 상승의 한 요인

이었다

화폐 문제에 있어 화폐 수량의 증가가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것

은 상식이다 종래 아편전쟁 전후 은의 해외 유출 증가가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을 초래하여 물가 상승과 인민의 빈곤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지방지 등의 史料에서 검토한 결과 은전비가는 도광함풍초의

일시적 상승 후에 함풍 7년 이후는 도리어 하락하고 있다 同治 년간

에 대부분 1兩 1300文 수준에서 안정되고 있다 光緖末宣統년간에도

1600-1700文 수준으로 도광함풍 초보다는 낮은 편이다 청말민국시

기에 화폐의 남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한계를 넘었을 때 시장의 통용

거부로 마침내 중단되고 있다 청말민국기에 외국 銀元의 유입과 국내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7의 銀元 주조 銅元 지폐 외에 鈔票 市票 등 화폐 시장에 투입된 화

폐량은 엄청나게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로서는 어느 정

도 시장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외 교역과 상품량의

증대 경제 활동 인구의 증대 미곡 생산 및 농산품 생산의 증대로 화

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것이 화폐량의 막대한 증가와 유

통속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

었다고 생각된다 즉 안정 속의 물가 상승이 유도된 것이다

공급면에서 보면 대외 교역을 통한 서양 상품의 수입은 전체로서는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물건의 공급 증가를 통해서

혹은 국내 상품과의 경쟁 때문에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었

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침략과 물가 폭등이라는 도식적

견해와 달리 현실에서는 물가 억제 작용도 있었던 것이다

물가와 경기면에서 보면 물가가 비쌀 때 호경기가 많은 것은 사실

이다 그런데 lsquo穀賤rsquo 현상이 불황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서 長沙 지역의 경우를 검토해 보았다 도광함풍 년간까지 lsquo穀賤rsquo현상

과 불경기적 상황에 대한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동치광서 년간에는

米価가 등귀한 시점인데 이 시기는 紅茶業의 번성이나 각종 수공업의

번성으로 好況의 면모가 보이고 있다 민국 시기에는 민국 중기에 lsquo穀

賤rsquo의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史料上에 민국 중기의 lsquo穀賤rsquo은 임금이나

다른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다 물가 상승기와 好況

이 맞물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민국 중기는 lsquo穀賤rsquo 현상과 서로 어긋

나는 것이다 이 시기의 不況 서술은 농촌의 농민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표시이다

생활 수준에 대한 지방지 기록 등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주민들의

洋貨 사용이 보편화되고 의복 음식 주거 등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것

을 지적하고 있다 물가는 상승하였지만 同治 이전에 비하여 분명히

사치품의 소비 증대와 中人의 집도 소비 수준이 제고된 것이 드러나고

있다 민중의 빈곤은 있으나 이 시기 빈부 격차가 커지고 생활 수준의

격차가 커진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23: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1

黑鉛 石 2200 1300 全年 50000石 漢口上海

棉紗 件 22000 1800 Prime 24000件 本省

棉布 疋 120 150() Prime 1000000 漢口

麵粉 袋 50 250 Prime 140000 Prime

線襪 雙 106 Prime 6000000 本省

毛呢鞋 Prime 200 180 Prime 400000 Prime

夏布 疋 1000 200 夏 20000 上海漢口

火柴 箱 500 300 全年 10000 本省

刺繡 Prime國內및外洋

매년 産量 약50만元

玻璃器 件 300 200 Prime 9000 本省

肥皀 箱 70 50 Prime 30000 Prime

絲綿三角 兩 040 020 Prime 40000 Prime

國貨電池 打 060 040 Prime 200000 Prime

猪 斤 020 015 Prime 50000只 漢口上海

豬毛 担 6000 5000 Prime 4000kg Prime

粗窑器 卡 350 250 Prime 100000套 長江연안

毛筆 支 050 020 Prime 本省 및 황하 각성

여기서 보면 변동폭이 100 이상인 것은 면포 夏布 絲線三角 毛

筆 麵粉 등이다 또 50 이상인 것은 鴨絨(가공오리털) 667 흑연

692 火柴(성냥) 667 玻璃器(유리그릇) 50 국산 電池 50 등이

다 비누는 40 粗窰器는 40이다 棉沙 222 毛呢鞋는 111 돼

지 333이다 단기 변동 폭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고 생각된다 이

것은 이런 물품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성이 크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그런데 1898年의 경우는 茶油 洋油 등 물품의 가격 변동폭이 적은 것

은 무엇 때문일까 어쩌면 당시의 시장 가격 조사가 부정확했는지도

알 수 없다

1935年의 물가에서 綿沙의 변동폭이 적은 것은 당시 항상적인 수요

가 있었기 때문이 아닐까 비누의 변동폭도 40로 비교적 적은데 생

필품으로 수요가 지속 증대된 까닭이 아닐까 한다 通郵地方物産誌에 기재된 醴陵縣 夏布 가격은 40元-100元 사이인데 民國醴陵縣志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2

圖5) 1898年 3月-7月 長沙物價

의 物価表上에는 70元(1938)이라 되어 있다 物産誌 가격은 1935年

의 것인데 예릉현지의 가격이 그 범위 안에 있어 서로 다른 자료간에

부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63) 物産誌 上 相潭株洲의 茶油 값

매 石 160-240元(1935)은 예릉현지 물가표의 민국 20년(1931) 茶油 매

石 240元과 일치하고 있다 표12)에 1936年 煤油 값은 병당 44元이다

그런데 民國 安鄕縣志에서도 1934년 煤油 값은 병당 38元으로 되어

있어 兩者 사이에 유사성을 보여주고 있다64) 그러므로 醴陵縣志 物価의 종적 비교도 신뢰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洋麵은 包당 가격

茶油桐油洋油는 100斤당 가격

棉花 100斤당 가격

2) 장기 변동

長沙의 물가 변동을 보려면 湘報 수록의 광서 24年(1898) 물가와

63) 交通部郵政總局 編 中國通郵地方物産誌 (華世出版 1988)

64) 民國 安鄕縣志 卷11 食貨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3

품명 단위광서4년

(1878)

광서14년

(1888)

광서19년

(1893)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

(1912)

민국5년

(1916)

민국10년

(1921)

豬肉 斤 88文 63 62 112 160 240 280

雞 斤 80 72 68 120 250 300 360

lt表12gt 醴陵縣 物価表 (b) (商会조사)

품명 단위민국15년(1926)

민국20년(1931)

민국25년(1936)

민국27년(1938)

민국28년(1939)

민국29년(1940)

민국30년(1941)

猪肉 百斤 200원 170 200 360 400 561 1300

草魚 Prime 160 150 150

茶油 石 240 290 560 760 2000

鹽 石 120 140 150 160 2000

洋紗 件 2200 2200 2400 2000 2500 1500

土布 匹 27 70

夏布 Prime 70 70 140

竹布 Prime 100 100 8000

棉花 石 20 25 40 100 200 400

煤炭 石 020 030 040 050 230 70

煤油 甁 220 240 440 90 300 460 200

毛邊紙 石 198 432 1200

黑靛粉 桶10斤 100 200 1500 2000

赤金 兩 50 70 80 90 500 560 1600

lt表11gt 醴陵縣 物価表 (a)(私家數簿에 의한 것)

民國24年(1935)의 通郵地方物産誌 기록을 직접 비교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양 자료 사이에 화폐와 단위가 서로 달라 직접 비교할 수가 없

다 그래서 당시인의 물가 변동 기록인 長沙府 醴陵縣 物価表를 이용

하는 것이 파악 방법이 될 것이다

lt표11gt lt표12gt 와 lt圖6gt lt圖7gt을 보면 개별 물품에 따라 차이

는 있지만 대체적인 흐름은 米価 변동과 유사한 궤적을 보여주고 있

다 즉 光緖 前半에 비교적 안정적이다가 光緖 후반부터 급상승하여

민국 전기까지 상승하고 있다 1926년부터 1936년까지는 가격 안정세

를 보여 주고 있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4

雞蛋 個 2 2 3 4 10 15 20

草魚 斤 40 40 36 70 90 160

茶油 斤 116 69 54 150 300

鹽 斤 60 60 63 120 90 180

煤 石 50 120 50

苧麻 斤 270 99 170

棉花 斤 200 96 280

竹布 尺 70 62 60 60 90

靑洋布 尺 55 50 50 70

白蓮紙 刀 40 82 80 100

-附記 前淸 통행 制錢文으로써 단위 민국 초년에는 비록 銅元을 단위 사용하나 관습상 매 1銅元은 錢10文에 해당

圖6) 醴陵縣 物価 (a)

① 豬肉 斤당 가격 ② 雞肉 斤당 가격 ③ 茶油 斤당 가격

④ 鹽 斤당 가격 ⑤ 棉花 斤당 가격 ⑥ 草魚 斤당 가격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5

圖7) 醴陵縣 物価(b)

① 猪肉 百斤당 가격 元 ② 草魚 百斤당 가격 元 ③ 茶油 石당 가격 元

④ 鹽 石당 가격 元 ⑤ 洋紗 件당 가격 元 ⑥ 棉花 石당 가격 元

⑦ 煤油 甁당 가격 元

米価가 物価와 연동되는 것에 대해서 江都縣史料를 보면 ldquo産米 구역

에서 年末에 米価가 상승하니 百物이 昻貴했다rdquo65)라고 되어 있다 湖

南지역 米価 연구 자료에도 米価 추세는 거의 물가 수준과 같다는 주

장이 있다66)

光緖末宣統年間의 물가 상승을 나타내는 史料를 보면 다음과 같다

이제 각종 惡政의 결과로 百物의 騰貴를 초래했는데 小民의 日用 수요

65) 李文治 앞의 책 p470 ldquo江都爲産米區域 年末米価騰踊 百物因以昻貴rdquo

66) 張麗芬 앞의 책 p22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6음식은 그 가격이 십년 전에 비해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과 居室 器用

蔬饌의 비용 牛種糞漑의 비용도 예전 보다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도 비록

동일 비례로 함께 올랐으나 이미 넉넉하지 못해 괴롭다67)

이것을 보면 米価와 物価가 연동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청말

특히 光緖 후반 이후에 각종 物価가 두 배 올랐다는 사정을 알 수 있

다 上海의 物価도 같은 시기에 상승하고 있다68)

lt표11gt lt표12gt와 lt圖67gt을 검토해 보면 돼지고기 값은 광서 14

년 광서 19년까지는 다소 하락세를 보이다가 宣統원년(1909)부터 급격

히 상승하고 있다 민국원년(1912)의 가격은 160文으로 1878年의 88文

에 비해 거의 두 배에 해당한다 위에 인용한 宣統 2年 8月 國風報의 물가 두 배 인상과 정확하게 부합되고 있다 민국 전기인 1926년까

지 계속 상승하고 있지만 1926년에서 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이고 있

돼지고기 값은 1878년-1909년 사이 273 상승했고 1912-1921년 사

이에 75 상승했다 닭은 각기 50와 44 상승했다 계란은 100

100 상승이었다 淸末 비교 시기는 31년간인데 비해 민국 전기는 9

년간에 불과하다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가 급등한 것은 충분히

알 수 있다 1926년에서 1936년 10년간 돼지 값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거의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이었다

民國 醴陵縣志에도 ldquo辛亥혁명이전에는 물가가 심한 등락이 없었는

데 민국 후에 들어와서 차츰 상승했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69) 圖6)을 보

면 닭고기도 비슷한 궤적을 보이고 있다 草魚의 경우도 청말 민국전

기는 상승이 주요 동선이고 민국 중기(1926-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

67) 國風報 第1年 21期 宣統 2年 8月 (李文治 앞의 책 p561) ldquo今也以種種惡

政之結果 以致百物騰踊 小民日用 飮食所需 其価皆視十年前兩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居

室器用蔬饌之費 牛種糞漑之費兩倍于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雖以同一比例以俱騰 旣苦不

給矣rdquo

68) 岸本美緖 앞의 책 p443

6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物價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7이고 있다 譚文熙 物価史에는 민국 전기는 안정속의 상승세로 민국

중기는 파동속의 상승으로 정리를 하고 있는데 여기와는 약간의 차이

를 보이고 있다70) lt표11gt과 lt표12gt 사이의 화폐 단위 차이로 인한

연속적 파악에 다소 어려움이 있으나 대체의 추세는 짐작할 수 있다

또 품목에 따라 공란이 있어 연결 관계가 애매한 부분이 있다 1936년

이후는 중일 전쟁의 혼란과 불환지폐의 강제 통용 등의 사정으로 本考

에서는 분석 대상 범위에서 제외 하고자 한다

Ⅱ 物價 변동의 원인

1 수요 측면

米価와 物價가 상호 연동관계에 있고 넓은 의미에서는 米価도 물가

의 일부이다 米価 및 물가의 상승은 우선 수요의 증가에 원인이 있다

고 할 것이다 수요증가는 일반으로 인구 증가이다 湖南의 인구는 嘉

慶21年(1816) 18754259명에서 1898年 21174000명으로 다시 民國17년

(1928)에는 31501212人으로 비약적 성장을 하였다71) 약 110년 동안

인구가 1300만 가까이 증가하였고 비율로는 679가 증가하였다 長沙

府의 인구도 가경 25년(1820)에서는 4290086명이었는데 민국23년

(1934)에는 8421330명으로 약 400만명 이상 증가하여 963 상승을

보이고 있다72)

인구의 증가가 수요 증대를 초래하는 일반 요인이지만 湖南의 米穀

移出이 해당 지역 민중의 식량을 제외하고 남는 잉여 米만은 아니다

70) 譚文熙 앞의 책 pp302-307 여기서는 민국 전기는 1912-1927년 민국 중기

는 1927-1937년으로 구분하고 있다

71) 湖南省志 地理志 (長沙 湖南人民出版社 1982) pp230-238

72)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8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의 증대가 더 중요한 요인일 것이다 淸末에

와서 새로운 생업을 통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가 많이 증가하고

있는데 醴陵縣 사례를 한번 검토해 보겠다 史料는 다음과 같다73)

同治志에 이르기를 醴陵의 풍속은 lsquo安土重遷rsquo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상인이 外地에 나

가 장사하는 이가 적었다 배를 이용하여 외부 상업을 하는 것은 淥口 부

근의 米穀商일 뿐이었다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邑人들이 茶제조로 武漢에 판매하는 자가

이익이 배가 되었다 이때부터 龍門일대에 매양 봄에 茶를 제조하고 가리

는 廠이 항상 수십이었다 光緖末年에는 도자기업 夏布 編爆이 일어나서

대신하였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이를 믿고 생계를 삼는자가 무려 십만인이다

同治志 편찬 단계만 해도 사람들이 토착 안주하여 멀리 이동하는

것을 어렵게 여겼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큰 이익을 보고 그

후 도자 기업 夏布 編爆 제조에 종사하여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나 되었다는 것이다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의 성장을

보여주는 것이다 長沙의 빠른 도시화도 주목된다 長沙日報에 실린

내용을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74)

光緖32년(1906)에 火災 조사시에 城廂 내외가 매일 식량으로 穀 5000

石이 필요하였다 지금 교통이 편리하고 상인 旅客이 배로 증가하였으니

매일 마땅히 1-2000石을 더해야 한다(宣統 2年(1910) 2月 17日 長沙日

報)이것을 보면 光緖32년(1906)에서 宣統2년(1910)은 불과 5년이 채 되

지 않는데 상인 집단이 배로 증가하였다니 城內外의 유동인구 급증을

짐작할 수 있다 長沙城의 인구는 1916年에 177882人이었고 1931年은

385514人으로 증가하였다 불과 15년 사이에 1167 증가이다 배 이

73)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ldquo同治志云 醴俗安土重遷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商賈外

貿者少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揚帆外貿則 僅淥口附近之穀米商而已 光緖初 紅茶業興 邑人製茶

販運 漢皋者 獲利倍蓰自是來龍門一帶 每屆春日 製茶捒茶列廠恒數十 訖於光緖

末年 則有瓷業及夏布編爆起而代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恃以爲生者 無慮 十萬人rdquo

74) 李文治 앞의 책 p551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9상이 증가하였으니 長沙의 도시화도 급속히 진전 되고 있다75)

민국10年의 湖南 實業雜誌 보도를 보면 당시 長沙에 蓆工 500人

刻字工 300人 방직공 3200人 이발공 800人 香工 400人 합계 5200人

이 있었다 長沙大公報에 의하면 민국9년(1920)에 長沙에는 부두공

2600人 糞夫 500人 轎夫 1300 車夫 2300人으로 합계 7000人 정도

가 있었다76) 같은 시기 호남성의 광부가 160萬人이고 여기에 手藝工

苦力을 합치면 190만 전후였다고 한다 예릉현에서는 東鄕 일대에서

編爆業 종사자가 수만이고 東北兩鄕에서 磁廠의 女工도 수천이나 되었

다는 기록도 있다77) 湖南 邵陽縣에서도 淸末에 工匠이 5만 상인이 12

만 정도였다는 통계도 있다78) 이렇게 비농업 인구가 다른 생업을 통

해 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로 증가하고 있던 것이 확인된다 이런 유

효 수요 증가를 설명해 주는 다른 史料 하나를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

다79)

어째서 米穀이 날로 적어지고 날로 비싸지는가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水旱災가 날로 많고 농사짓는데 날로 게으르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말은

진실로 일리가 있는데 다 그런 것은 아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선교사 洋商 洋官 洋

兵은 증가한 것이 외국에서 온 사람이다 敎民 游民 賭民 盜民은 內地

에서 증가한 자이다 무릇 농사짓는 사람은 하나인데 먹는 자는 헤아릴

수가 없다 米穀이 어찌 비싸지 않을 수 있겠는가

光緖後期의 사정을 전하고 있는 위 史料를 보면 외국에서 온 선교

사 상인 군인 관리 등도 米価 상승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국내

외를 막론하고 비농업 인구의 급격한 성장이 米価 상승의 원인이라 생

각된다

湖南과 長沙의 米穀은 해당 지역 안에서 소비되는 것보다 揚子江

75) 張朋園 中國現代化的區域硏究 -湖南省 (台北 1998) p376

76) 위의 책 pp412-413

77)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農業經濟

78) 光緖33年刊 邵陽縣鄕土志 권2 인류 실업

79) 李文治 앞의 책 p77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0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많다 청말민국시기에도 지속적인 湖南米의

移出이 있었던 것은 이미 밝힌바 있다80)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穀

米가 騰貴한 이유가 外省의 采辦이 많은 때문이라고 하고 있다81) 상

담현에서도 동치 4년(1865)이전에 해마다 풍년이었는데 穀価가 까닭

없이 騰貴한 것은 江南이 처음 회복되어 米穀의 販運이 많아진 때문이

라고 하고 있다82) 1898年에도 長沙에서 米穀의 원거리 送出을 바라는

지주 富戶와 주민의 갈등 관계가 노출되고 있다83) 宣統2年(1910)의 기

록에도 湖北의 흉년으로 出境 米穀이 과다하여 米価가 급등했는데 작

년 末에는 1石5000文이었다가 금년에는 1石 8000文에 이르렀다는 내

용이 있다84) 같은 자료에 湖南米가 당도 하지 않으면 武漢에서 변란

이 일어난다고 할 정도이다

하류의 上海는 한적한 어촌에서 근대에 대도시로 성장하였다 武漢

上海등의 도시화와 상공업 발전 인구 집중은 長沙米의 급격한 수요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宣統 년간에 長沙가 전국적인 4大 米市의 하나

로 성장한 것은 우연한 일은 아니다85)

근대에 대외 교역증가가 물가 상승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생각된

다 1873년에서 1930年 사이에 농산물 수출 통계는 1910년을 100으로

했을 때 1873년은 12 1893년은 123 1903년 386 1920년은 1324

1930년은 2709로 급상승하고 있다86) 농산물의 수출은 해외 수요의 증

가이다 이런 교역상 수요 증대는 가격의 등귀 뿐 아니라 작물 재배

면적의 확대에도 기여하고 있다

80)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81)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20

82) 光緖6年刊 湘潭縣志 卷29 災祥志

83) 湘報 89號 長沙縣職員常達邦呈批

84) 李文治 앞의 책 p381

85) 徐正元 中國近代農産商品化的發展與米市的形成 (復印報刊經济史 1997年3期)

86)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권2 p14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1宣統2년(1910) 長沙에 영국 상인이 출현하여 米穀 구매를 단행하자

米価가 하루에 여러 번 급등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였다87) 湖南에서

는 또 광동 상인의 영향을 받아 紅茶 제조법을 습득하여 홍차를 대량

생산하여 구미에 수출하였다 19세기 60년대부터 20세기 초에 특히 호

남 茶 생산 판매가 극히 발달하였다88) 주요 산지 중에는 長沙 湘潭

安化 등이 손꼽히고 있다

桐油의 수출 또한 괄목할 만한 것이다 湖南의 桐油 수출은 1922년

전국의 3336 1923년은 372로 성장하였다 1929년에는 全省 수출

총액의 45 정도를 차지하였고 桐油 상품화율 80에 달하였다89) 대

외교역을 통한 농산품의 해외 수요 증가는 직간접으로 물가 상승에 작

용하고 있다

2 화폐 문제

물가와 화폐의 관계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통상 화폐 수량의 증가가

생산총량의 증가보다 초과할 때 물가상승이 일어난다90) 보통 淸 후기

에는 아편무역에 따른 銀의 해외 유출과 그 결과 야기된 lsquo銀貴錢賤rsquo 현

상 통화팽창에 의해 물가가 상승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91)

실제 淸末民國기에 걸쳐 통화 팽창과 물가 상승에 대한 기록을 찾

는 것은 어렵지 않다 王業鍵에 의하면 淸末 특히 1875年부터 1911年

까지는 인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단계였다고 한다92)

民國 寧鄕縣志에 보면 ldquo光緖29年(1903)에 처음으로 當十銅元을 주

87) 李文治 앞의 책 p550-551

88) 劉泱泱 앞의 책 p46

89) 宋斐夫 主篇 湖南通史 現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5 p276

90) 陳民 法幣發行制度與通貨膨脹 (復印報刊經济史 2001-1)91) 龔勝生 앞의 책 pp275-280 岸本美緖 앞의 책 p444 張麗芬 앞의 책

p217

92) Yeh-chien Wang Secular Trends of Rice in the Yanzi Delta 1638-1935(California Univ Press 1992)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2조하여 전국에 통용시켰는데 물가의 등귀가 이때부터 시작되었다rdquo는

기록이 있다93) 醴陵縣에서는 光緖32年에 當十銅元을 주조하여 制錢과

병행시켰고 宣統원년에 銀元이 이미 성행하였다 민국원년에는 當二十

銅元을 주조하였는데 雙銅元이라 칭하였다94) 영향현에서도 광서말에

私鑄錢인 毛錢이 나오고 지폐가 통용되는 등 통화팽창이 상업을 일변

시켰다고 한다95)

종전에 비해 실질 가치가 열악한 當十 當二十 등 銅元의 남발과 鈔

票의 성행은 화폐 시장의 과잉을 초래하였다 정식의 鈔票 이외도 각

현 발행의 私鈔와 錢莊에서 발행한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시중에 범람

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민국 시대에는 화폐 남발이 더욱 심하였다 호

남은행을 비롯한 저축은행 농업은행 등이 각기 각종 지폐를 발행하여

혼란이 가중되었다 1915년에 호남의 은행은 33개인데 그 중 장사현 7

개 상담현이 7개였다96)

군벌들이 은행을 개설하거나 질 낮은 화폐 통용을 강제하는 등의

혼란이 민국시기 특징 중의 하나이다97) 화폐 시장에는 銀元 銀角 銅

元 지폐와 鈔票 市票등 유사 화폐까지 복잡middot혼란의 양상이 나타나고

결과적으로 물가 상승을 피할 수가 없었다

선통2년(1910) 격렬한 米価 騰貴가 있었고 長沙에서 대규모 搶米 폭

동이 일어났는데 이것은 단순한 흉년때문이 아니고 銅元 남발 등 화폐

제도 혼란에 기인한 것이었다98) 1880년대 초부터 1920년대까지는 인

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시기로 매년 33 비율로 상승하였으며 1930년

총 화폐보유고는 60억 원에 달했다 반 세기간 화폐 공급은 8-10배 증

가하였다99)

93)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ldquo光緖 二十九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始鑄當十銅幣 通

行全國 物価之踊始此rdquo

94) 民國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95)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財用錄 상업

96) 張朋園 앞의 책 pp258-259

97) 宋斐夫 앞의 책 pp10-12

98) 岸本美緖 앞의 책 p51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3

時期 銀(兩) 錢(文) 出典

乾隆 嘉慶년간 10 1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道光 初(1821) Prime 1300-1400 Prime

Prime 18年(1838) Prime 1400 林則徐湖廣奏橋 권3

Prime 25年(1845) Prime 2000上下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Prime 末年(1850)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咸豊 元年(1851) Prime 2000 民國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咸豊 初 Prime 2300-2400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8 부역

咸豊 3年(1853) Prime 20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5年(1855)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Prime 6年(1856) Prime 2000 湖文忠公遺集 권12

Prime 7年(1857) Prime 1600 骆文忠公奏議 권7

Prime 8年(1858) Prime 1400 胡文忠公遺集 권85

Prime 10年(1860) Prime 1300-1400 胡文忠公遺集 권70

同治 2年(1863) Prime 13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7年(1868) Prime 1300-1400 李瀚章 瀝陳湖北等省漕務

Prime 10年(1871) Prime 1600-1700 同治10年 長沙縣志 권8 부역 錢法

光緖32年(1906) Prime 1600 長沙日報 宣統2年 2月27日

선통 2年(1910) Prime 1700 國風報 宣統2年 3月 21日

표 지방지에서 직접 採錄제외는 龔勝生 淸代兩湖農業地理 pp270-277에서 湖南부분을 발췌하여 再引用한 것임

表13) 湖南의 銀錢比値

그런데 아편전쟁 전후 銀의 과도한 해외 유출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이

초래되고 이것이 물가 상승의 주요인이라 생각되고 있는 데는 약간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表13)을 보면 銀錢比価가 일시적으로 상승하였다

가 다시 하강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은전비가는 지역에 따라 차

이가 있지만 호남 장사를 위주로 정리한 것이 표13)이다100)

99)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0) 邱思達 中國近現代鑄幣圖說 (北京 中國書店 1991) p109 참조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4

주목되는 것은 道光末에서 咸豊初에 일시적으로 상승하였지만 淸末

의 比価가 낮은 편에 속하는 현상이다 청말에 은전비가가 비교적 안

정되고 있는 것이다 아편전쟁 후 5항 개항으로 교역이 확대된 상황에

서 아편무역 증대에도 불구하고 차와 silk 수출에 힘입어 은의 순유입

이 오히려 증가되는 현상이 나타났던 것이다101) 또 光緖17년(1891)이

후 세계 銀価하락 현상으로 은유입이 증가되었다102) 19세기 후반 중

국이 세계 사회에 연결되면서 중국의 무역 적자에도 불구하고 淸 정부

에 대한 대량 차관과 자본 투자를 통해서 거대한 양의 銀이 중국에 유

입되었다 1871년에서 1913년 사이 은의 순 수입은 2억 4천만 海關兩

혹은 3억 6천만 銀달러로 추정되고 있다 세계 시장의 은가 하락과 은

의 대량 유입은 중국의 국내 시장에서 물가 상승을 유도한 것이다103)

이런 배경으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은 일시적인 것이고 청말민국기 전체를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민국 시기에는 銀元과 錢의 교환 비율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은의 유입 현상에도 불구하고 宣統 원년 11150文의 비율에서 민국6년

2250文 민국11년 2840文 민국17년 3500文 민국22년 7200文까지 급등

하고 있다 예릉현의 기록이지만 이것으로 청말보다 민국시기에 통화

팽창현상이 극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4)

銀과 錢이 주요 화폐이고 그 환율이 항상 문제가 되고 있지만 주로

청 후기 이후는 錢文 위주의 경제로 바뀌고 있다고 생각된다 長沙府

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면 대부분 道光 이후는 화폐를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淸 前期는 米価를 銀으로 표시하던 것과는 대조적이

다105) 예릉현에서는 민간에서 세금을 납부하거나 大宗무역을 할 때를

101)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2) 邱思達 앞의 책 pp92-93

103)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4)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10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光緖3年刊 善化縣志 同治13年刊 湘鄕縣志 光

緖15年刊 湘潭縣志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民國37年刊 醴陵縣志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5제외하고 紋銀 사용자가 거의 없다 도광 이후 교역시 대부분 錢文을

사용했다는 기록을 보면 淸 後期는 錢 경제 위주로 넘어간 것 같

다106) 세금을 낼 때 외에 銀錢이 필요 없는 일반민은 錢文 사용권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너무나 당연하다

함풍4년에 長沙에서 大錢을 주조하여 통용시켰으나 결국 시장의 신

뢰를 얻지 못하여 퇴출되고 말았다 1854년 7월에 주조를 시작하여

1855년 4月에 주조를 정지하였다107) 이것을 보면 통화 남발도 결국

시장의 제약을 받고 있다

민국 7년(1918) 3月 張敬堯가 裕湘銀行을 개설하여 銀元票 1000만元

銅元票 3000만元을 발행하였다 그 결과 시장은 혼란에 빠지고 시중금

융은 마비 상태가 되었으며 결국 裕湘銀行 발행의 惡幣는 폐지와 같이

되었다108) 권력에 의하여 통화 팽창이 시도되더라도 시장이 감당할

수 없는 지경이 되면 중단될 수밖에 없다 과도한 통화 팽창은 시장의

질서에 의해 어느 정도 제약 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예릉현에서도 光緖 년간에 錢莊 24곳이 출현하여 盛業을 누렸는데

民國7年(1918) 兵禍로 停業하는 곳이 많아졌고 정부의 통화 남발 화폐

가치 하락 금융혼란의 현상이 나타났다109) 민국18년(1929) 이후는 정

국이 안정되고 교통 편리로 百業이 진흥되고 은행이 역할을 하게 되었

이상에서 보면 淸末까지는 은전비가가 안정되고 통화 관리가 어느

정도 성공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光緖 宣統 시기에 銀元의 주조 외국

銀貨의 대량유입 當十銅元 등 주조로 통화팽창이 많이 되었고 이시기

물가 상승과 연관되고 있다 민국 초기에도 정국 혼란과 무계획적 통

화남발로 물가의 급등을 초래하였다 민국 중기에는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것 같다

106) 龔勝生 앞의 책 p279

107) 劉泱泱 앞의 책 pp150-155

108) 宋斐夫 앞의 책 pp10-11

10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6영향현에서도 민국 21년(1932) lsquo穀賤錢荒rsquo의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

다110) 청말민국기에 전반적으로 화폐량의 증가가 현저했던 것은 사실

이다 다양한 화폐의 등장 銀兩 銀元 銅錢 銅元 외에 외국 銀元의 유

입 그 외 鈔票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출현하였으며 양적인 팽창도 분

명하다 하지만 대외 교역 증가와 경제 활동 인구의 증가 유통 상품의

양적 증가에 의해 시장의 화폐 수요가 증대된 것도 사실이다 통화 발

행은 일차적으로는 경제 주체의 수요에 부응하는 것이지만 그것이 과

도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3 공급기타 요소

물가는 기본적으로 수요공급의 관계에서 결정되는 것이 원칙이다

청말민국기에 걸쳐 인구가 급증하여 물가가 상승한 것은 자연스런 일

이다 그러나 물가 상승률 면에서 청말의 경우가 18세기의 증가율에

비해 크다고 할 수 없다 물가 상승률을 억제하면서 비교적 안정 속의

상승을 할 수 있었던 것은 공급의 증가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청말민국기에 湖南米의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 현상이 지속된 배경

에 비약적인 경지 면적 확대와 새로운 품종 개량 시비법 발전 등 농

업 생산 증대가 있었다는 것은 이미 밝혀진 바 있다111) 米穀 공급의

증대가 물가 상승을 완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雜糧 재배가 同治

(1862-74) 년간에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민중의 식량 문제 해결에 기여

하고 米価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던 것을 城步縣 知縣 盛溢源을

통해서 알 수 있다

洋米 수입이 國産米의 보충 역할을 했다는 지적이 있지만 결국 시

110) 民國30年刊 寧鄕縣新志 전1 縣年記

111) 田炯權 淸末民國期 湖廣地方의 農業生産力과 生産關係 (慶南史學 7

1995)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2001)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

究 25 200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7장에 대한 미곡 공급을 증대시켜 가격 안정에 기여했다고 생각된

다112)

민국 시대 관련 사료를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113)

금일 정세를 보면 국내 米価의 등락은 결코 國産米의 생산량이 많고

적음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외국 産米 구역의 풍년 여부에 따라 영

향이 대단히 크다

이것을 보면 洋米 수입이 國産米価를 조절한다고 볼 수 있다 비슷

한 시기 上海에서도 湖南米가 수입 米의 영향으로 가격이 약간 적게

올랐다는 史料도 있다114) 湘報에도 日本米가 수입되어 중국의 米価

가 차츰 내려갔다는 기록이 있다115) 같은 湘報에 보면 ldquo외국물산이

날로 풍부하여 중국 상품의 판로를 막는데 서양 상품의 가격이 낮으면

중국 상품 가격이 홀로 증가할 수 없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116) 결국 洋

貨도 중국에서는 시장에 대한 상품 공급의 증가이고 이것이 상품 가격

상승을 억제하고 있는 것이다 같은 자료에 중국의 土藥이 널리 판매

되니 외래 洋藥의 가격이 폭락한 사정도 소개되고 있다117)

또 洋蠟의 수입으로 국산 白蠟 가격이 매 100斤 200元에서 100元으

로 폭락한 일도 있었다118) 1921년 독일 면화가 대량 수입되어 중국의

綿価가 하락한 일도 있다119) 光緖년간 부터 중국이 綿紗 생산을 개시

하자 華商과 洋商사이에 가격 경쟁이 시작되었다 수입 綿布도 洋商이

國産布와 경쟁하기 위해 가격을 낮추어 공급하였다120)

112) 王良行 淸末對外貿易的關聯效果(1860-1911) (近代中國對外貿易史論集1997)

113)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卷3 p413

114) 위의 책 p416

115) 湘報 제45호 p1419

116) 湘報 제13호 ldquo外洋之出産日盛 足以抵華貨之銷路 洋価低則華貨不能獨增rdquo

117) 湘報 제162호 p1608

118) 章有義 앞의 책 권3 p662

119) 譚文熙 앞의 책 p342

120) 譚文熙 위의 책 p368 p374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8상인의 가격 조종이 물가 변동에 하나의 요소는 될 수 있다 예릉현

의 土資 판매에 있어 객상의 가격 조종에 저항하기 위해 주민들이 公

司를 조직하여 가격을 바로 잡았다는 기록도 있다121) 지주 부농 米商

등의 매점매석에 의한 가격 조종 사실은 흔히 발견된다122) 秋收期에

시장에 대량 방출된 곡식을 저렴한 가격에 매입하여 端境期에 되팔아

이익을 남기는 것은 상인의 오래된 관행이다 이윤 추구를 위한 개인

의 행위지만 넓게 보면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행위이기도 하

다 각지 농산품 가격 변동 조사에서 원인이 밝혀진 10건 가운데 전쟁

이 2건 豊凶 水旱災가 7건 상인 조종은 단 한 건 뿐이었다123) 제국

주의 상인에 의한 가격 조종이라는 것도 결국 중국 상인의 이윤 추구

행위와 본질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湘報의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124)

輪船이 이미 통행하고 있고 철로가 이미 만들어 졌다 제조업이 날로

번성하고 통상조약이 행해지니 상인이 계속 내왕하고 온갖 상품이 유통

된다 사계절 틈이 없으니 일용 각 물품이 그 가격이 반드시 저렴할 것

이다

이것을 보면 통상 개시 후 교통이 발달하고 상품 교역이 증대된다

는 것과 그 결과 일용품의 가격이 저렴해졌다는 것을 당시인이 인식하

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서방 각국과의 무역 증대는 상품 공급의 증가

이고 가격 경쟁을 통해 물가 상승을 완만하게 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

121)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22) 李文治 앞의 책 p559

123)湘報 제49號 ldquo輪船旣行 鉄路旣造 製造日盛 商約可行 商賈絡繹 百産流通

歲時無間 則日用物品 其価必廉rdquo

124) 安本美緖 앞의 책 제7장 pp239-288 제12장 431-455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9

Ⅲ 物價와 景氣(생활)

1 穀賤傷農과 不況

物價 문제를 단순히 등락의 흐름에만 주목하기보다 경기변동론적

입장에서 好況 不況의 문제로 연관시켜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

이다 岸本美緖는 康熙年間의 lsquo穀賤rsquo 현상이 不況과 연결되어 있고 光

緖年間 蘇州의 不況도 lsquo穀賤rsquo이 원인이었음을 지목하고 있다125)

그런데 長沙府 중심의 湖南의 사정을 검토해 보면 lsquo穀賤rsquo 관련 기록

이 道光 咸豊 시기와 民國 中期에 집중되고 있다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26)

道光 25年(1845) ldquo穀賤斗穀錢五十文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値穀賤錢価亦賤 民甚苦之rdquo

장사현과 縣治를 長沙城 내에 두고 있는 善化현에서도 같은 해에

비슷한 기록이 있다127)

道光25年 穀賤自十五年起 連年俱穀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中下戶苦之

咸豊5年 穀賤

장사현 기록을 보면 穀価도 싸고 錢価도 싸서 민이 고통 받는다 했

으니 이 당시 은의 해외 유출과 은전비가 문제로 민중이 고통 받은 사

실을 알 수 있다 선화현은 장사현과 연접하고 통합과 분리가 단속되

었던 거의 동일 지역이다 선화현 기록을 보면 도광25년의 lsquo穀賤rsquo이 해

당년도만의 일이 아니고 道光15年(1835)부터 계속된 현상임을 밝히고

있다

12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33 祥異

126)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127) 民國30年刊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0인근의 寧鄕縣에서 보면 ldquo道光26年 歲豊 穀奇賤傷農 佃農以穀賤大

困rdquo이라는 기사가 있다128) lsquo穀奇賤rsquo이라 하였으니 평상시 보지 못한

하락이었다고 생각된다 더구나 소작료 납부가 대부분 현물지대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佃農은 米穀의 상품화 과정에서 배제되었다는 종전의

통념과 달리 佃農도 곡가 하락으로 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같은 기록에 함풍원년에도 ldquo有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以穀賤漕折苛rdquo라 하고 있어

역시 곡가 하락으로 세금 납부에 곤란을 겪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장사부 內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아도 同治 년간에는 lsquo穀賤rsquo 기

재가 보이지 않고 전술한 도광 함풍 년간에 집중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후의 기록을 찾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ldquo湖南自夏秋以來雨暢時若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故無論高低田畝咸稱大稔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甚

賎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反有入不敷出之慨矣rdquo (益聞錄 69号 광서6년828)129)

ldquo(長沙農村) 近年來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穀米求售 価値至賤 日用各物 則又極昻 收穫所

得 不足顧其工本 多已漸陷于無力耕種之境rdquo (新靑年 7권 6호 1920년 5

월)130)

ldquo湖南近年來之天災人禍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天災旣足以減少收量 地方不靖 産品滯銷

価値復因以低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而生活日昻 工価及日用物品 繼續增漲 收入支出 常苦

不得平衡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rdquo (中國棉産改進統計會議專刊 1931)131)ldquo湘省爲産穀素豊之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年歲收 屢佔大有 而長江流域亦値豊收 更

有大宗洋米 運貨傾銷致湘米頓失市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価格低賤 不僅農村經濟 陷于絶

境 市面金融 亦大受打擊rdquo (銀行週報 18권 9기 1934313)

이외에도 1936年의 사실로 호남의 武岡 東安 일대에서 lsquo豊年穀賤rsquo으

로 省城에 운반할 때 운송비와 각종 捐稅 부담을 감당할 수 없어 陳米

를 불태웠다는 기록이 있다

128) 李文治 앞의 책 p557

129) 章有義 앞의 책 권2 p432

130) 章有義 앞의 책 권3 p795

131) 章有義 위의 책 p620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1이것을 보면 주로 1930년대에 lsquo穀賤rsquo과 不況이 집중 묘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lsquo穀賤rsquo 즉 불황이라고 하면 도광함풍초의 곡천과 불

황 同治光緖宣統期의 lsquo穀貴rsquo즉 好況 다시 民國 전기의 好況 民國 中期

의 불황으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물가의 상승기가 호황적 국면이라는 것은 알려

져 있지만 이것은 전체 물가의 문제이다 위 자료에서 보면 1920년 장

사 농촌에서는 곡가는 싼데 일용품 가격은 극히 높다고 하고 있고

1931년의 기록도 工價와 일용품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농민이 다수를 점하기 때문에 미곡가의 하락은 농민 수입 감소

와 구매력 저하를 가져오고 이것이 농촌 불황의 한 요인이 될 수 있

다 그러나 工賃과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시장의 한계 안에서의

일이다 또한 실업률과 고용 지표 등도 고려되어야 하는데 만족할만한

통계의 부족으로 명확한 답을 얻기는 어렵다

그런데 米価와 물가는 개별 년도나 시점에서 서로 상이한 궤적도

있지만 圖2 3 6 7을 보면 대체적으로는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예릉의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광서 4년(1878)에 비하여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1912)에는 현격한 상승세였다가 그 후에 등락을 거듭

하고 있지만 민국25년(1936)의 경우는 광서4년보다는 높거나 유사한

경우가 많다

2 생활 경기의 발달

당시인들이 체감하던 생활 경기의 수준이 어떠했는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

光緖刊 善化縣志를 보면 다음과 같다132)

132)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16 풍속 附論 ldquo古人 酒肉以養老 而今則黃口稚子

無不酒肉之人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日不旦穀貴鹽貴 而酒肉皆貴 則好惡可知矣 一今鄕間柴炭

其価數倍於昔日 瀕河之地 莫不燒煤rdquo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2옛사람들은 술과 고기로 노인을 부양하였는데 지금은 어린아이도 술과

고기를 먹지 않는 이가 없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요사이 미곡과 소금이 비쌀 뿐 아니

라 술과 고기가 모두가 비싸니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지금 향간에 柴炭이 그 값이 예전보다 수배인데 하천 근처 사람은

煤를 때지 않는 사람이 없다

同治 攸縣志 에도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33)

예전에 士大夫도 집에 있을 때 엄동이 아니면 가죽옷을 입지 않았다

지금 關中의 가죽옷 상인이 유현에 와서 1년에 은 만여 냥을 얻을 수 있

다 기타 비단 옷은 蘇州 杭州 및 嶺南에서 오는 것이 또 배가 되니 1년

에 수만금을 소비한다

醴陵縣에서도 비슷한 인식을 볼 수 있다134)

ldquo예전 풍속이 儉樸하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이 명절 아니면 고기를 먹지 않고

慶弔事가 아니면 술을 베풀지 않고 손님 접대는 닭 잡는데 그치고 鮮味

는 생선에 그쳤고 縣城의 食肆는 飽麵茶館에 그치고 酒席으로 業을 삼는

자가 없었다

지금은 酒樓菜館이 거리에 가득차고 中人의 집에도 술자리가 베풀어지

고 사치를 다툰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예전에 士類大半이 淥江書院에 모이면 그 가운데 비단신을 신은 자가

불과 수인이었고 羊가죽 옷을 입은 자가 불과 1 2人이었다 지금은 비단

신과 가죽옷이 거의 常服이 되었고 日用品은 舶來品이 많다rdquo

이 내용을 보면 예릉현의 생활 수준이 급격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예릉현지 기록에는 부인들이 上海의 유행을 쫓아 사치를 추구한

다는 내용도 있고 청말부터 外貨를 서로 자랑한다는 내용도 있다 종

133) 同治10年刊 攸縣志 권18 풍속 衣服 ldquo衣服 昔時 士大夫 家居非嚴冬不御裘

今關中裘商來攸 歲可得銀萬餘兩 其他錦繡之運自蘇杭及嶺南者 則又倍之 計一歲

之戶 所費數萬金rdquo

134)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4장 풍속 생활 ldquo旧俗民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非令節不

食肉 非慶弔不置酒 欵客止於殺鷄 鮮味止於草魚 縣城食肆 止於飽麵茶館 無以酒

席爲業者 今則酒樓菜館 遍於街市 中人之家酬酢往還 爭奢鬪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旧時士類

大半 集於淥江書院 一院之中 著緞鞋者 不過数人 襲羊裘者 不過 一二人 今則絲

履皮袍殆成常服 日用之品 多自舶來rdquo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3전에 菜油 棉油로 燈을 켜다 집집마다 煤油를 사용한다거나 세탁시

茶枯鹼水를 쓰다가 대부분 비누를 사용하는 일상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135)

또 寧鄕縣에서도 ldquo同光之間 地方安寧 家給人足(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함)縣城商業 於時爲盛rdquo이라 하고 있어 同治(1862-74) 光

緖(1875-1908) 시기가 好況이었음을 알 수 있다136) 湘報에도 ldquo民間

之喜用洋貨日甚一日rdquo이라 하고 있어 洋貨 사용의 확대를 짐작할 수 있

다137)

광서년간 무역이 확대되고 여기에 대해 유익하다는 인식의 기록이

湘報에 나오고 있다138)

ldquo輪船과 철로가 개통되고 항구 개항이 증가 되는 것은 실로 중국에 유

익하고 손해가 없다 저 눈이 콩만큼 큰 자가 걸핏하면 통상이 중국에 해

가 된다고 하니 어찌 심히 어리석지 않은가rdquo

무역 확대를 지적하고 통상이 유익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예릉현

지에도 同治志에는 풍속이 lsquo安士重遷rsquo하고 상인이 외부 활동하는 자가

적었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고 光緖末에 도자기 夏布 編爆業

이 일어나 융성하여 이에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 넘는다고

하고 있다139) 예릉향토지에도 商旅 왕래가 예전보다 10배라는 서술이

있다140)

장사시의 行業발달 상황을 보면 민국 5년(1916)에서 民國22年(1935)

사이에 식품업은 281⟶2124 사치품은 171⟶1128 복장은 43⟶2028 農

礦은 621⟶1156 洋貨 127⟶233 금융 130⟶164 공예 2121⟶3344 문구

17⟶355 등 비약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141)

135)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 工商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6장 실업

136) 民國30年刊 寧鄕縣志 財用錄 民業

137) 湘報 제13호 1898年 3月 21日

138) 湘報 제162号 1898年 9月 23日

13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40) 民國15年刊 醴陵鄕土志 제6장 실업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4이것은 장사의 생활수준 향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당시에

通商의 확대 주장도 湘報에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142)

이상에서 보면 청말민국기에 대체적인 추세는 好況이었다고 생각된

다 생활 수준의 향상이 눈에 띄고 米価와 물가도 연동되면서 상승하

는 추세였다 米価의 상승이 구매력 수준의 제고가 되기 때문에 米穀

생산 중심지역에 상인들의 行號가 집중되는 것이 보였다143) 임금의

경우에도 호남 汝城縣에서 실질 임금이 유지 또는 상승하는 것을 확인

한 바 있다144) 全漢昇도 1875년부터 1925년까지에 걸쳐 四川 合江현

의 임금과 물가 변동의 추세가 거의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바 있

다145) 앞서 인용한 1931년 中國棉産改進計劃 에도 임금과 일용품 가

격이 함께 오른다고 하고 있어 임금이 물가에 연동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생활 수준 향상을 기록하고 있던 지방지에도 빈부 격차를 암시하는

내용이 있고 物力이 날로 쇠퇴한다든지 하는 기록이 있다 대외 무역

이 적자라 하더라도 차관 원조 뿐 아니라 외국 상인의 진출이 자본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好況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Ⅴ 結 言

이제까지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이후 民國中期인 1936年

까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여 米価와 물가 변동 물가 변동의 원인

141) 張朋園 앞의 책 p387

142) 湘報 44호 中外通商利害論 湘報 67号 論湖南茶務急宜整頓

143)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144)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9 1998)

145) 安本美緖 앞의 책 p2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5물가와 생활 경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米価 변동은 단기 변동에 있어서 전쟁이나 天災 등의 특수한 사정

의 해를 제외하고는 光緖 년간에 비해 민국 중기의 계절 변동폭이 축

소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米価의 계절 변동을 완화 시

켜 주는 雜糧의 재배가 湖南 지역에서는 대부분 同治 년간에 보급 확

대가 되고 있다 교통과 상업 발달 등의 이유로 청말에서 민국기로 갈

수록 계절 변동폭을 축소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변동에서는 長沙府縣의 물가 변동 예릉현 물가 변동 등을 살

펴 볼 때 전체로서는 상승 추세 중에 도광 함풍 시기의 低米価 同治

년간의 高米価 光緖전반의 低米価 光緖後半에서 宣統 년간의 高米価

民國 前期의 高米価 民國 中期의 低米価의 등락을 보이고 있다

民國 中期의 米価는 長沙 8개년 米価 추세에서도 안정속의 상승세

를 보이고 있다 명목상 수치 뿐 아니라 米価의 상대 물가로 보는 실

질 구매력도 宣統 民國元年에까지 급상승하였다가 민국 시기 등락을

거듭하지만 민국25년(1936)까지 광서4년(1878) 대비 유지 또는 상승 추

세였다

物価변동은 개별 상품에 따라 편차가 있고 米価와는 전혀 상이한

궤적을 그리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米価와 연동 관계를 보이

고 있다 1898년 물가의 단기 변동은 이상할 만큼 변동폭이 크지 않다

당시 물가 조사자의 보고가 정확했는지 의심될 정도이다 1935년의 장

사 물가에서 단기 변동을 보면 변동폭이 100이상인 夏布 毛筆 麵粉

棉布등을 비롯하여 50 이상인 오리털 흑연 성냥 국산 전지 등을

비롯하여 40 이상인 비누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기 변동폭

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 이것은 이런 물품들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

성이 크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物価의 장기 변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米価와 대체로 비슷한 궤적

을 보이고 있다 청말에서 민국전기에 걸쳐 물가 상승폭이 두드러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 상승폭이 더욱 크

다 돼지고기 값을 예로 들면 1878년에서 1909년 사이에 273 상승했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6고 1912-1921년 사이에 75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닭은 각 50와 44

상승했다 청말은 31년간의 수치이고 민국 전기는 9년간이니 물가의

상대적 급등을 알 수 있다 1926에서 1936년까지 10년간 돼지 고기 값

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

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

세를 보이고 있다 민국 중기의 米価가 일부 lsquo穀賤rsquo 현상을 보인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음으로 물가 변동의 원인에 대해서는 군벌간의 전쟁이나 정치적

혼란 등 정치 군사적 요인을 제외하고 대체로 검토해 보았다

수요 측면에서는 湖南米의 유통이 호남 내부의 인구 증가에도 불구

하고 양자강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지속된 것이 米価 상승의 한 원

인이었다 上海나 武漢 등의 도시화와 인구집중은 이들 지역 양식 수

요를 폭증시켰다 일부 洋米 수입에도 불구하고 湖南米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으로써 米価를 상승시켰다 또 장사를 비롯한 각지의 새로운 수

공업 산업의 발달로 비농업 인구가 증가하고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유

효수요로 성장하여 米価 상승을 유도하였다 양식의 이출은 해당 지역

인구 식량을 전부 제외한 나머지 잉여가 수출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력

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청말민국기에는 호남의 내부 외부에

서 미곡에 대한 유효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것이 米価 상승의 한 요인

이었다

화폐 문제에 있어 화폐 수량의 증가가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것

은 상식이다 종래 아편전쟁 전후 은의 해외 유출 증가가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을 초래하여 물가 상승과 인민의 빈곤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지방지 등의 史料에서 검토한 결과 은전비가는 도광함풍초의

일시적 상승 후에 함풍 7년 이후는 도리어 하락하고 있다 同治 년간

에 대부분 1兩 1300文 수준에서 안정되고 있다 光緖末宣統년간에도

1600-1700文 수준으로 도광함풍 초보다는 낮은 편이다 청말민국시

기에 화폐의 남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한계를 넘었을 때 시장의 통용

거부로 마침내 중단되고 있다 청말민국기에 외국 銀元의 유입과 국내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7의 銀元 주조 銅元 지폐 외에 鈔票 市票 등 화폐 시장에 투입된 화

폐량은 엄청나게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로서는 어느 정

도 시장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외 교역과 상품량의

증대 경제 활동 인구의 증대 미곡 생산 및 농산품 생산의 증대로 화

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것이 화폐량의 막대한 증가와 유

통속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

었다고 생각된다 즉 안정 속의 물가 상승이 유도된 것이다

공급면에서 보면 대외 교역을 통한 서양 상품의 수입은 전체로서는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물건의 공급 증가를 통해서

혹은 국내 상품과의 경쟁 때문에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었

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침략과 물가 폭등이라는 도식적

견해와 달리 현실에서는 물가 억제 작용도 있었던 것이다

물가와 경기면에서 보면 물가가 비쌀 때 호경기가 많은 것은 사실

이다 그런데 lsquo穀賤rsquo 현상이 불황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서 長沙 지역의 경우를 검토해 보았다 도광함풍 년간까지 lsquo穀賤rsquo현상

과 불경기적 상황에 대한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동치광서 년간에는

米価가 등귀한 시점인데 이 시기는 紅茶業의 번성이나 각종 수공업의

번성으로 好況의 면모가 보이고 있다 민국 시기에는 민국 중기에 lsquo穀

賤rsquo의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史料上에 민국 중기의 lsquo穀賤rsquo은 임금이나

다른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다 물가 상승기와 好況

이 맞물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민국 중기는 lsquo穀賤rsquo 현상과 서로 어긋

나는 것이다 이 시기의 不況 서술은 농촌의 농민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표시이다

생활 수준에 대한 지방지 기록 등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주민들의

洋貨 사용이 보편화되고 의복 음식 주거 등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것

을 지적하고 있다 물가는 상승하였지만 同治 이전에 비하여 분명히

사치품의 소비 증대와 中人의 집도 소비 수준이 제고된 것이 드러나고

있다 민중의 빈곤은 있으나 이 시기 빈부 격차가 커지고 생활 수준의

격차가 커진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24: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2

圖5) 1898年 3月-7月 長沙物價

의 物価表上에는 70元(1938)이라 되어 있다 物産誌 가격은 1935年

의 것인데 예릉현지의 가격이 그 범위 안에 있어 서로 다른 자료간에

부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63) 物産誌 上 相潭株洲의 茶油 값

매 石 160-240元(1935)은 예릉현지 물가표의 민국 20년(1931) 茶油 매

石 240元과 일치하고 있다 표12)에 1936年 煤油 값은 병당 44元이다

그런데 民國 安鄕縣志에서도 1934년 煤油 값은 병당 38元으로 되어

있어 兩者 사이에 유사성을 보여주고 있다64) 그러므로 醴陵縣志 物価의 종적 비교도 신뢰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洋麵은 包당 가격

茶油桐油洋油는 100斤당 가격

棉花 100斤당 가격

2) 장기 변동

長沙의 물가 변동을 보려면 湘報 수록의 광서 24年(1898) 물가와

63) 交通部郵政總局 編 中國通郵地方物産誌 (華世出版 1988)

64) 民國 安鄕縣志 卷11 食貨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3

품명 단위광서4년

(1878)

광서14년

(1888)

광서19년

(1893)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

(1912)

민국5년

(1916)

민국10년

(1921)

豬肉 斤 88文 63 62 112 160 240 280

雞 斤 80 72 68 120 250 300 360

lt表12gt 醴陵縣 物価表 (b) (商会조사)

품명 단위민국15년(1926)

민국20년(1931)

민국25년(1936)

민국27년(1938)

민국28년(1939)

민국29년(1940)

민국30년(1941)

猪肉 百斤 200원 170 200 360 400 561 1300

草魚 Prime 160 150 150

茶油 石 240 290 560 760 2000

鹽 石 120 140 150 160 2000

洋紗 件 2200 2200 2400 2000 2500 1500

土布 匹 27 70

夏布 Prime 70 70 140

竹布 Prime 100 100 8000

棉花 石 20 25 40 100 200 400

煤炭 石 020 030 040 050 230 70

煤油 甁 220 240 440 90 300 460 200

毛邊紙 石 198 432 1200

黑靛粉 桶10斤 100 200 1500 2000

赤金 兩 50 70 80 90 500 560 1600

lt表11gt 醴陵縣 物価表 (a)(私家數簿에 의한 것)

民國24年(1935)의 通郵地方物産誌 기록을 직접 비교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양 자료 사이에 화폐와 단위가 서로 달라 직접 비교할 수가 없

다 그래서 당시인의 물가 변동 기록인 長沙府 醴陵縣 物価表를 이용

하는 것이 파악 방법이 될 것이다

lt표11gt lt표12gt 와 lt圖6gt lt圖7gt을 보면 개별 물품에 따라 차이

는 있지만 대체적인 흐름은 米価 변동과 유사한 궤적을 보여주고 있

다 즉 光緖 前半에 비교적 안정적이다가 光緖 후반부터 급상승하여

민국 전기까지 상승하고 있다 1926년부터 1936년까지는 가격 안정세

를 보여 주고 있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4

雞蛋 個 2 2 3 4 10 15 20

草魚 斤 40 40 36 70 90 160

茶油 斤 116 69 54 150 300

鹽 斤 60 60 63 120 90 180

煤 石 50 120 50

苧麻 斤 270 99 170

棉花 斤 200 96 280

竹布 尺 70 62 60 60 90

靑洋布 尺 55 50 50 70

白蓮紙 刀 40 82 80 100

-附記 前淸 통행 制錢文으로써 단위 민국 초년에는 비록 銅元을 단위 사용하나 관습상 매 1銅元은 錢10文에 해당

圖6) 醴陵縣 物価 (a)

① 豬肉 斤당 가격 ② 雞肉 斤당 가격 ③ 茶油 斤당 가격

④ 鹽 斤당 가격 ⑤ 棉花 斤당 가격 ⑥ 草魚 斤당 가격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5

圖7) 醴陵縣 物価(b)

① 猪肉 百斤당 가격 元 ② 草魚 百斤당 가격 元 ③ 茶油 石당 가격 元

④ 鹽 石당 가격 元 ⑤ 洋紗 件당 가격 元 ⑥ 棉花 石당 가격 元

⑦ 煤油 甁당 가격 元

米価가 物価와 연동되는 것에 대해서 江都縣史料를 보면 ldquo産米 구역

에서 年末에 米価가 상승하니 百物이 昻貴했다rdquo65)라고 되어 있다 湖

南지역 米価 연구 자료에도 米価 추세는 거의 물가 수준과 같다는 주

장이 있다66)

光緖末宣統年間의 물가 상승을 나타내는 史料를 보면 다음과 같다

이제 각종 惡政의 결과로 百物의 騰貴를 초래했는데 小民의 日用 수요

65) 李文治 앞의 책 p470 ldquo江都爲産米區域 年末米価騰踊 百物因以昻貴rdquo

66) 張麗芬 앞의 책 p22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6음식은 그 가격이 십년 전에 비해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과 居室 器用

蔬饌의 비용 牛種糞漑의 비용도 예전 보다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도 비록

동일 비례로 함께 올랐으나 이미 넉넉하지 못해 괴롭다67)

이것을 보면 米価와 物価가 연동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청말

특히 光緖 후반 이후에 각종 物価가 두 배 올랐다는 사정을 알 수 있

다 上海의 物価도 같은 시기에 상승하고 있다68)

lt표11gt lt표12gt와 lt圖67gt을 검토해 보면 돼지고기 값은 광서 14

년 광서 19년까지는 다소 하락세를 보이다가 宣統원년(1909)부터 급격

히 상승하고 있다 민국원년(1912)의 가격은 160文으로 1878年의 88文

에 비해 거의 두 배에 해당한다 위에 인용한 宣統 2年 8月 國風報의 물가 두 배 인상과 정확하게 부합되고 있다 민국 전기인 1926년까

지 계속 상승하고 있지만 1926년에서 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이고 있

돼지고기 값은 1878년-1909년 사이 273 상승했고 1912-1921년 사

이에 75 상승했다 닭은 각기 50와 44 상승했다 계란은 100

100 상승이었다 淸末 비교 시기는 31년간인데 비해 민국 전기는 9

년간에 불과하다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가 급등한 것은 충분히

알 수 있다 1926년에서 1936년 10년간 돼지 값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거의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이었다

民國 醴陵縣志에도 ldquo辛亥혁명이전에는 물가가 심한 등락이 없었는

데 민국 후에 들어와서 차츰 상승했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69) 圖6)을 보

면 닭고기도 비슷한 궤적을 보이고 있다 草魚의 경우도 청말 민국전

기는 상승이 주요 동선이고 민국 중기(1926-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

67) 國風報 第1年 21期 宣統 2年 8月 (李文治 앞의 책 p561) ldquo今也以種種惡

政之結果 以致百物騰踊 小民日用 飮食所需 其価皆視十年前兩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居

室器用蔬饌之費 牛種糞漑之費兩倍于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雖以同一比例以俱騰 旣苦不

給矣rdquo

68) 岸本美緖 앞의 책 p443

6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物價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7이고 있다 譚文熙 物価史에는 민국 전기는 안정속의 상승세로 민국

중기는 파동속의 상승으로 정리를 하고 있는데 여기와는 약간의 차이

를 보이고 있다70) lt표11gt과 lt표12gt 사이의 화폐 단위 차이로 인한

연속적 파악에 다소 어려움이 있으나 대체의 추세는 짐작할 수 있다

또 품목에 따라 공란이 있어 연결 관계가 애매한 부분이 있다 1936년

이후는 중일 전쟁의 혼란과 불환지폐의 강제 통용 등의 사정으로 本考

에서는 분석 대상 범위에서 제외 하고자 한다

Ⅱ 物價 변동의 원인

1 수요 측면

米価와 物價가 상호 연동관계에 있고 넓은 의미에서는 米価도 물가

의 일부이다 米価 및 물가의 상승은 우선 수요의 증가에 원인이 있다

고 할 것이다 수요증가는 일반으로 인구 증가이다 湖南의 인구는 嘉

慶21年(1816) 18754259명에서 1898年 21174000명으로 다시 民國17년

(1928)에는 31501212人으로 비약적 성장을 하였다71) 약 110년 동안

인구가 1300만 가까이 증가하였고 비율로는 679가 증가하였다 長沙

府의 인구도 가경 25년(1820)에서는 4290086명이었는데 민국23년

(1934)에는 8421330명으로 약 400만명 이상 증가하여 963 상승을

보이고 있다72)

인구의 증가가 수요 증대를 초래하는 일반 요인이지만 湖南의 米穀

移出이 해당 지역 민중의 식량을 제외하고 남는 잉여 米만은 아니다

70) 譚文熙 앞의 책 pp302-307 여기서는 민국 전기는 1912-1927년 민국 중기

는 1927-1937년으로 구분하고 있다

71) 湖南省志 地理志 (長沙 湖南人民出版社 1982) pp230-238

72)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8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의 증대가 더 중요한 요인일 것이다 淸末에

와서 새로운 생업을 통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가 많이 증가하고

있는데 醴陵縣 사례를 한번 검토해 보겠다 史料는 다음과 같다73)

同治志에 이르기를 醴陵의 풍속은 lsquo安土重遷rsquo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상인이 外地에 나

가 장사하는 이가 적었다 배를 이용하여 외부 상업을 하는 것은 淥口 부

근의 米穀商일 뿐이었다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邑人들이 茶제조로 武漢에 판매하는 자가

이익이 배가 되었다 이때부터 龍門일대에 매양 봄에 茶를 제조하고 가리

는 廠이 항상 수십이었다 光緖末年에는 도자기업 夏布 編爆이 일어나서

대신하였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이를 믿고 생계를 삼는자가 무려 십만인이다

同治志 편찬 단계만 해도 사람들이 토착 안주하여 멀리 이동하는

것을 어렵게 여겼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큰 이익을 보고 그

후 도자 기업 夏布 編爆 제조에 종사하여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나 되었다는 것이다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의 성장을

보여주는 것이다 長沙의 빠른 도시화도 주목된다 長沙日報에 실린

내용을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74)

光緖32년(1906)에 火災 조사시에 城廂 내외가 매일 식량으로 穀 5000

石이 필요하였다 지금 교통이 편리하고 상인 旅客이 배로 증가하였으니

매일 마땅히 1-2000石을 더해야 한다(宣統 2年(1910) 2月 17日 長沙日

報)이것을 보면 光緖32년(1906)에서 宣統2년(1910)은 불과 5년이 채 되

지 않는데 상인 집단이 배로 증가하였다니 城內外의 유동인구 급증을

짐작할 수 있다 長沙城의 인구는 1916年에 177882人이었고 1931年은

385514人으로 증가하였다 불과 15년 사이에 1167 증가이다 배 이

73)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ldquo同治志云 醴俗安土重遷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商賈外

貿者少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揚帆外貿則 僅淥口附近之穀米商而已 光緖初 紅茶業興 邑人製茶

販運 漢皋者 獲利倍蓰自是來龍門一帶 每屆春日 製茶捒茶列廠恒數十 訖於光緖

末年 則有瓷業及夏布編爆起而代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恃以爲生者 無慮 十萬人rdquo

74) 李文治 앞의 책 p551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9상이 증가하였으니 長沙의 도시화도 급속히 진전 되고 있다75)

민국10年의 湖南 實業雜誌 보도를 보면 당시 長沙에 蓆工 500人

刻字工 300人 방직공 3200人 이발공 800人 香工 400人 합계 5200人

이 있었다 長沙大公報에 의하면 민국9년(1920)에 長沙에는 부두공

2600人 糞夫 500人 轎夫 1300 車夫 2300人으로 합계 7000人 정도

가 있었다76) 같은 시기 호남성의 광부가 160萬人이고 여기에 手藝工

苦力을 합치면 190만 전후였다고 한다 예릉현에서는 東鄕 일대에서

編爆業 종사자가 수만이고 東北兩鄕에서 磁廠의 女工도 수천이나 되었

다는 기록도 있다77) 湖南 邵陽縣에서도 淸末에 工匠이 5만 상인이 12

만 정도였다는 통계도 있다78) 이렇게 비농업 인구가 다른 생업을 통

해 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로 증가하고 있던 것이 확인된다 이런 유

효 수요 증가를 설명해 주는 다른 史料 하나를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

다79)

어째서 米穀이 날로 적어지고 날로 비싸지는가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水旱災가 날로 많고 농사짓는데 날로 게으르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말은

진실로 일리가 있는데 다 그런 것은 아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선교사 洋商 洋官 洋

兵은 증가한 것이 외국에서 온 사람이다 敎民 游民 賭民 盜民은 內地

에서 증가한 자이다 무릇 농사짓는 사람은 하나인데 먹는 자는 헤아릴

수가 없다 米穀이 어찌 비싸지 않을 수 있겠는가

光緖後期의 사정을 전하고 있는 위 史料를 보면 외국에서 온 선교

사 상인 군인 관리 등도 米価 상승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국내

외를 막론하고 비농업 인구의 급격한 성장이 米価 상승의 원인이라 생

각된다

湖南과 長沙의 米穀은 해당 지역 안에서 소비되는 것보다 揚子江

75) 張朋園 中國現代化的區域硏究 -湖南省 (台北 1998) p376

76) 위의 책 pp412-413

77)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農業經濟

78) 光緖33年刊 邵陽縣鄕土志 권2 인류 실업

79) 李文治 앞의 책 p77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0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많다 청말민국시기에도 지속적인 湖南米의

移出이 있었던 것은 이미 밝힌바 있다80)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穀

米가 騰貴한 이유가 外省의 采辦이 많은 때문이라고 하고 있다81) 상

담현에서도 동치 4년(1865)이전에 해마다 풍년이었는데 穀価가 까닭

없이 騰貴한 것은 江南이 처음 회복되어 米穀의 販運이 많아진 때문이

라고 하고 있다82) 1898年에도 長沙에서 米穀의 원거리 送出을 바라는

지주 富戶와 주민의 갈등 관계가 노출되고 있다83) 宣統2年(1910)의 기

록에도 湖北의 흉년으로 出境 米穀이 과다하여 米価가 급등했는데 작

년 末에는 1石5000文이었다가 금년에는 1石 8000文에 이르렀다는 내

용이 있다84) 같은 자료에 湖南米가 당도 하지 않으면 武漢에서 변란

이 일어난다고 할 정도이다

하류의 上海는 한적한 어촌에서 근대에 대도시로 성장하였다 武漢

上海등의 도시화와 상공업 발전 인구 집중은 長沙米의 급격한 수요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宣統 년간에 長沙가 전국적인 4大 米市의 하나

로 성장한 것은 우연한 일은 아니다85)

근대에 대외 교역증가가 물가 상승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생각된

다 1873년에서 1930年 사이에 농산물 수출 통계는 1910년을 100으로

했을 때 1873년은 12 1893년은 123 1903년 386 1920년은 1324

1930년은 2709로 급상승하고 있다86) 농산물의 수출은 해외 수요의 증

가이다 이런 교역상 수요 증대는 가격의 등귀 뿐 아니라 작물 재배

면적의 확대에도 기여하고 있다

80)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81)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20

82) 光緖6年刊 湘潭縣志 卷29 災祥志

83) 湘報 89號 長沙縣職員常達邦呈批

84) 李文治 앞의 책 p381

85) 徐正元 中國近代農産商品化的發展與米市的形成 (復印報刊經济史 1997年3期)

86)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권2 p14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1宣統2년(1910) 長沙에 영국 상인이 출현하여 米穀 구매를 단행하자

米価가 하루에 여러 번 급등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였다87) 湖南에서

는 또 광동 상인의 영향을 받아 紅茶 제조법을 습득하여 홍차를 대량

생산하여 구미에 수출하였다 19세기 60년대부터 20세기 초에 특히 호

남 茶 생산 판매가 극히 발달하였다88) 주요 산지 중에는 長沙 湘潭

安化 등이 손꼽히고 있다

桐油의 수출 또한 괄목할 만한 것이다 湖南의 桐油 수출은 1922년

전국의 3336 1923년은 372로 성장하였다 1929년에는 全省 수출

총액의 45 정도를 차지하였고 桐油 상품화율 80에 달하였다89) 대

외교역을 통한 농산품의 해외 수요 증가는 직간접으로 물가 상승에 작

용하고 있다

2 화폐 문제

물가와 화폐의 관계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통상 화폐 수량의 증가가

생산총량의 증가보다 초과할 때 물가상승이 일어난다90) 보통 淸 후기

에는 아편무역에 따른 銀의 해외 유출과 그 결과 야기된 lsquo銀貴錢賤rsquo 현

상 통화팽창에 의해 물가가 상승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91)

실제 淸末民國기에 걸쳐 통화 팽창과 물가 상승에 대한 기록을 찾

는 것은 어렵지 않다 王業鍵에 의하면 淸末 특히 1875年부터 1911年

까지는 인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단계였다고 한다92)

民國 寧鄕縣志에 보면 ldquo光緖29年(1903)에 처음으로 當十銅元을 주

87) 李文治 앞의 책 p550-551

88) 劉泱泱 앞의 책 p46

89) 宋斐夫 主篇 湖南通史 現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5 p276

90) 陳民 法幣發行制度與通貨膨脹 (復印報刊經济史 2001-1)91) 龔勝生 앞의 책 pp275-280 岸本美緖 앞의 책 p444 張麗芬 앞의 책

p217

92) Yeh-chien Wang Secular Trends of Rice in the Yanzi Delta 1638-1935(California Univ Press 1992)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2조하여 전국에 통용시켰는데 물가의 등귀가 이때부터 시작되었다rdquo는

기록이 있다93) 醴陵縣에서는 光緖32年에 當十銅元을 주조하여 制錢과

병행시켰고 宣統원년에 銀元이 이미 성행하였다 민국원년에는 當二十

銅元을 주조하였는데 雙銅元이라 칭하였다94) 영향현에서도 광서말에

私鑄錢인 毛錢이 나오고 지폐가 통용되는 등 통화팽창이 상업을 일변

시켰다고 한다95)

종전에 비해 실질 가치가 열악한 當十 當二十 등 銅元의 남발과 鈔

票의 성행은 화폐 시장의 과잉을 초래하였다 정식의 鈔票 이외도 각

현 발행의 私鈔와 錢莊에서 발행한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시중에 범람

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민국 시대에는 화폐 남발이 더욱 심하였다 호

남은행을 비롯한 저축은행 농업은행 등이 각기 각종 지폐를 발행하여

혼란이 가중되었다 1915년에 호남의 은행은 33개인데 그 중 장사현 7

개 상담현이 7개였다96)

군벌들이 은행을 개설하거나 질 낮은 화폐 통용을 강제하는 등의

혼란이 민국시기 특징 중의 하나이다97) 화폐 시장에는 銀元 銀角 銅

元 지폐와 鈔票 市票등 유사 화폐까지 복잡middot혼란의 양상이 나타나고

결과적으로 물가 상승을 피할 수가 없었다

선통2년(1910) 격렬한 米価 騰貴가 있었고 長沙에서 대규모 搶米 폭

동이 일어났는데 이것은 단순한 흉년때문이 아니고 銅元 남발 등 화폐

제도 혼란에 기인한 것이었다98) 1880년대 초부터 1920년대까지는 인

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시기로 매년 33 비율로 상승하였으며 1930년

총 화폐보유고는 60억 원에 달했다 반 세기간 화폐 공급은 8-10배 증

가하였다99)

93)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ldquo光緖 二十九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始鑄當十銅幣 通

行全國 物価之踊始此rdquo

94) 民國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95)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財用錄 상업

96) 張朋園 앞의 책 pp258-259

97) 宋斐夫 앞의 책 pp10-12

98) 岸本美緖 앞의 책 p51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3

時期 銀(兩) 錢(文) 出典

乾隆 嘉慶년간 10 1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道光 初(1821) Prime 1300-1400 Prime

Prime 18年(1838) Prime 1400 林則徐湖廣奏橋 권3

Prime 25年(1845) Prime 2000上下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Prime 末年(1850)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咸豊 元年(1851) Prime 2000 民國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咸豊 初 Prime 2300-2400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8 부역

咸豊 3年(1853) Prime 20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5年(1855)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Prime 6年(1856) Prime 2000 湖文忠公遺集 권12

Prime 7年(1857) Prime 1600 骆文忠公奏議 권7

Prime 8年(1858) Prime 1400 胡文忠公遺集 권85

Prime 10年(1860) Prime 1300-1400 胡文忠公遺集 권70

同治 2年(1863) Prime 13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7年(1868) Prime 1300-1400 李瀚章 瀝陳湖北等省漕務

Prime 10年(1871) Prime 1600-1700 同治10年 長沙縣志 권8 부역 錢法

光緖32年(1906) Prime 1600 長沙日報 宣統2年 2月27日

선통 2年(1910) Prime 1700 國風報 宣統2年 3月 21日

표 지방지에서 직접 採錄제외는 龔勝生 淸代兩湖農業地理 pp270-277에서 湖南부분을 발췌하여 再引用한 것임

表13) 湖南의 銀錢比値

그런데 아편전쟁 전후 銀의 과도한 해외 유출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이

초래되고 이것이 물가 상승의 주요인이라 생각되고 있는 데는 약간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表13)을 보면 銀錢比価가 일시적으로 상승하였다

가 다시 하강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은전비가는 지역에 따라 차

이가 있지만 호남 장사를 위주로 정리한 것이 표13)이다100)

99)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0) 邱思達 中國近現代鑄幣圖說 (北京 中國書店 1991) p109 참조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4

주목되는 것은 道光末에서 咸豊初에 일시적으로 상승하였지만 淸末

의 比価가 낮은 편에 속하는 현상이다 청말에 은전비가가 비교적 안

정되고 있는 것이다 아편전쟁 후 5항 개항으로 교역이 확대된 상황에

서 아편무역 증대에도 불구하고 차와 silk 수출에 힘입어 은의 순유입

이 오히려 증가되는 현상이 나타났던 것이다101) 또 光緖17년(1891)이

후 세계 銀価하락 현상으로 은유입이 증가되었다102) 19세기 후반 중

국이 세계 사회에 연결되면서 중국의 무역 적자에도 불구하고 淸 정부

에 대한 대량 차관과 자본 투자를 통해서 거대한 양의 銀이 중국에 유

입되었다 1871년에서 1913년 사이 은의 순 수입은 2억 4천만 海關兩

혹은 3억 6천만 銀달러로 추정되고 있다 세계 시장의 은가 하락과 은

의 대량 유입은 중국의 국내 시장에서 물가 상승을 유도한 것이다103)

이런 배경으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은 일시적인 것이고 청말민국기 전체를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민국 시기에는 銀元과 錢의 교환 비율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은의 유입 현상에도 불구하고 宣統 원년 11150文의 비율에서 민국6년

2250文 민국11년 2840文 민국17년 3500文 민국22년 7200文까지 급등

하고 있다 예릉현의 기록이지만 이것으로 청말보다 민국시기에 통화

팽창현상이 극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4)

銀과 錢이 주요 화폐이고 그 환율이 항상 문제가 되고 있지만 주로

청 후기 이후는 錢文 위주의 경제로 바뀌고 있다고 생각된다 長沙府

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면 대부분 道光 이후는 화폐를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淸 前期는 米価를 銀으로 표시하던 것과는 대조적이

다105) 예릉현에서는 민간에서 세금을 납부하거나 大宗무역을 할 때를

101)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2) 邱思達 앞의 책 pp92-93

103)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4)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10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光緖3年刊 善化縣志 同治13年刊 湘鄕縣志 光

緖15年刊 湘潭縣志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民國37年刊 醴陵縣志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5제외하고 紋銀 사용자가 거의 없다 도광 이후 교역시 대부분 錢文을

사용했다는 기록을 보면 淸 後期는 錢 경제 위주로 넘어간 것 같

다106) 세금을 낼 때 외에 銀錢이 필요 없는 일반민은 錢文 사용권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너무나 당연하다

함풍4년에 長沙에서 大錢을 주조하여 통용시켰으나 결국 시장의 신

뢰를 얻지 못하여 퇴출되고 말았다 1854년 7월에 주조를 시작하여

1855년 4月에 주조를 정지하였다107) 이것을 보면 통화 남발도 결국

시장의 제약을 받고 있다

민국 7년(1918) 3月 張敬堯가 裕湘銀行을 개설하여 銀元票 1000만元

銅元票 3000만元을 발행하였다 그 결과 시장은 혼란에 빠지고 시중금

융은 마비 상태가 되었으며 결국 裕湘銀行 발행의 惡幣는 폐지와 같이

되었다108) 권력에 의하여 통화 팽창이 시도되더라도 시장이 감당할

수 없는 지경이 되면 중단될 수밖에 없다 과도한 통화 팽창은 시장의

질서에 의해 어느 정도 제약 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예릉현에서도 光緖 년간에 錢莊 24곳이 출현하여 盛業을 누렸는데

民國7年(1918) 兵禍로 停業하는 곳이 많아졌고 정부의 통화 남발 화폐

가치 하락 금융혼란의 현상이 나타났다109) 민국18년(1929) 이후는 정

국이 안정되고 교통 편리로 百業이 진흥되고 은행이 역할을 하게 되었

이상에서 보면 淸末까지는 은전비가가 안정되고 통화 관리가 어느

정도 성공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光緖 宣統 시기에 銀元의 주조 외국

銀貨의 대량유입 當十銅元 등 주조로 통화팽창이 많이 되었고 이시기

물가 상승과 연관되고 있다 민국 초기에도 정국 혼란과 무계획적 통

화남발로 물가의 급등을 초래하였다 민국 중기에는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것 같다

106) 龔勝生 앞의 책 p279

107) 劉泱泱 앞의 책 pp150-155

108) 宋斐夫 앞의 책 pp10-11

10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6영향현에서도 민국 21년(1932) lsquo穀賤錢荒rsquo의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

다110) 청말민국기에 전반적으로 화폐량의 증가가 현저했던 것은 사실

이다 다양한 화폐의 등장 銀兩 銀元 銅錢 銅元 외에 외국 銀元의 유

입 그 외 鈔票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출현하였으며 양적인 팽창도 분

명하다 하지만 대외 교역 증가와 경제 활동 인구의 증가 유통 상품의

양적 증가에 의해 시장의 화폐 수요가 증대된 것도 사실이다 통화 발

행은 일차적으로는 경제 주체의 수요에 부응하는 것이지만 그것이 과

도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3 공급기타 요소

물가는 기본적으로 수요공급의 관계에서 결정되는 것이 원칙이다

청말민국기에 걸쳐 인구가 급증하여 물가가 상승한 것은 자연스런 일

이다 그러나 물가 상승률 면에서 청말의 경우가 18세기의 증가율에

비해 크다고 할 수 없다 물가 상승률을 억제하면서 비교적 안정 속의

상승을 할 수 있었던 것은 공급의 증가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청말민국기에 湖南米의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 현상이 지속된 배경

에 비약적인 경지 면적 확대와 새로운 품종 개량 시비법 발전 등 농

업 생산 증대가 있었다는 것은 이미 밝혀진 바 있다111) 米穀 공급의

증대가 물가 상승을 완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雜糧 재배가 同治

(1862-74) 년간에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민중의 식량 문제 해결에 기여

하고 米価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던 것을 城步縣 知縣 盛溢源을

통해서 알 수 있다

洋米 수입이 國産米의 보충 역할을 했다는 지적이 있지만 결국 시

110) 民國30年刊 寧鄕縣新志 전1 縣年記

111) 田炯權 淸末民國期 湖廣地方의 農業生産力과 生産關係 (慶南史學 7

1995)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2001)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

究 25 200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7장에 대한 미곡 공급을 증대시켜 가격 안정에 기여했다고 생각된

다112)

민국 시대 관련 사료를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113)

금일 정세를 보면 국내 米価의 등락은 결코 國産米의 생산량이 많고

적음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외국 産米 구역의 풍년 여부에 따라 영

향이 대단히 크다

이것을 보면 洋米 수입이 國産米価를 조절한다고 볼 수 있다 비슷

한 시기 上海에서도 湖南米가 수입 米의 영향으로 가격이 약간 적게

올랐다는 史料도 있다114) 湘報에도 日本米가 수입되어 중국의 米価

가 차츰 내려갔다는 기록이 있다115) 같은 湘報에 보면 ldquo외국물산이

날로 풍부하여 중국 상품의 판로를 막는데 서양 상품의 가격이 낮으면

중국 상품 가격이 홀로 증가할 수 없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116) 결국 洋

貨도 중국에서는 시장에 대한 상품 공급의 증가이고 이것이 상품 가격

상승을 억제하고 있는 것이다 같은 자료에 중국의 土藥이 널리 판매

되니 외래 洋藥의 가격이 폭락한 사정도 소개되고 있다117)

또 洋蠟의 수입으로 국산 白蠟 가격이 매 100斤 200元에서 100元으

로 폭락한 일도 있었다118) 1921년 독일 면화가 대량 수입되어 중국의

綿価가 하락한 일도 있다119) 光緖년간 부터 중국이 綿紗 생산을 개시

하자 華商과 洋商사이에 가격 경쟁이 시작되었다 수입 綿布도 洋商이

國産布와 경쟁하기 위해 가격을 낮추어 공급하였다120)

112) 王良行 淸末對外貿易的關聯效果(1860-1911) (近代中國對外貿易史論集1997)

113)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卷3 p413

114) 위의 책 p416

115) 湘報 제45호 p1419

116) 湘報 제13호 ldquo外洋之出産日盛 足以抵華貨之銷路 洋価低則華貨不能獨增rdquo

117) 湘報 제162호 p1608

118) 章有義 앞의 책 권3 p662

119) 譚文熙 앞의 책 p342

120) 譚文熙 위의 책 p368 p374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8상인의 가격 조종이 물가 변동에 하나의 요소는 될 수 있다 예릉현

의 土資 판매에 있어 객상의 가격 조종에 저항하기 위해 주민들이 公

司를 조직하여 가격을 바로 잡았다는 기록도 있다121) 지주 부농 米商

등의 매점매석에 의한 가격 조종 사실은 흔히 발견된다122) 秋收期에

시장에 대량 방출된 곡식을 저렴한 가격에 매입하여 端境期에 되팔아

이익을 남기는 것은 상인의 오래된 관행이다 이윤 추구를 위한 개인

의 행위지만 넓게 보면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행위이기도 하

다 각지 농산품 가격 변동 조사에서 원인이 밝혀진 10건 가운데 전쟁

이 2건 豊凶 水旱災가 7건 상인 조종은 단 한 건 뿐이었다123) 제국

주의 상인에 의한 가격 조종이라는 것도 결국 중국 상인의 이윤 추구

행위와 본질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湘報의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124)

輪船이 이미 통행하고 있고 철로가 이미 만들어 졌다 제조업이 날로

번성하고 통상조약이 행해지니 상인이 계속 내왕하고 온갖 상품이 유통

된다 사계절 틈이 없으니 일용 각 물품이 그 가격이 반드시 저렴할 것

이다

이것을 보면 통상 개시 후 교통이 발달하고 상품 교역이 증대된다

는 것과 그 결과 일용품의 가격이 저렴해졌다는 것을 당시인이 인식하

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서방 각국과의 무역 증대는 상품 공급의 증가

이고 가격 경쟁을 통해 물가 상승을 완만하게 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

121)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22) 李文治 앞의 책 p559

123)湘報 제49號 ldquo輪船旣行 鉄路旣造 製造日盛 商約可行 商賈絡繹 百産流通

歲時無間 則日用物品 其価必廉rdquo

124) 安本美緖 앞의 책 제7장 pp239-288 제12장 431-455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9

Ⅲ 物價와 景氣(생활)

1 穀賤傷農과 不況

物價 문제를 단순히 등락의 흐름에만 주목하기보다 경기변동론적

입장에서 好況 不況의 문제로 연관시켜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

이다 岸本美緖는 康熙年間의 lsquo穀賤rsquo 현상이 不況과 연결되어 있고 光

緖年間 蘇州의 不況도 lsquo穀賤rsquo이 원인이었음을 지목하고 있다125)

그런데 長沙府 중심의 湖南의 사정을 검토해 보면 lsquo穀賤rsquo 관련 기록

이 道光 咸豊 시기와 民國 中期에 집중되고 있다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26)

道光 25年(1845) ldquo穀賤斗穀錢五十文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値穀賤錢価亦賤 民甚苦之rdquo

장사현과 縣治를 長沙城 내에 두고 있는 善化현에서도 같은 해에

비슷한 기록이 있다127)

道光25年 穀賤自十五年起 連年俱穀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中下戶苦之

咸豊5年 穀賤

장사현 기록을 보면 穀価도 싸고 錢価도 싸서 민이 고통 받는다 했

으니 이 당시 은의 해외 유출과 은전비가 문제로 민중이 고통 받은 사

실을 알 수 있다 선화현은 장사현과 연접하고 통합과 분리가 단속되

었던 거의 동일 지역이다 선화현 기록을 보면 도광25년의 lsquo穀賤rsquo이 해

당년도만의 일이 아니고 道光15年(1835)부터 계속된 현상임을 밝히고

있다

12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33 祥異

126)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127) 民國30年刊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0인근의 寧鄕縣에서 보면 ldquo道光26年 歲豊 穀奇賤傷農 佃農以穀賤大

困rdquo이라는 기사가 있다128) lsquo穀奇賤rsquo이라 하였으니 평상시 보지 못한

하락이었다고 생각된다 더구나 소작료 납부가 대부분 현물지대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佃農은 米穀의 상품화 과정에서 배제되었다는 종전의

통념과 달리 佃農도 곡가 하락으로 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같은 기록에 함풍원년에도 ldquo有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以穀賤漕折苛rdquo라 하고 있어

역시 곡가 하락으로 세금 납부에 곤란을 겪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장사부 內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아도 同治 년간에는 lsquo穀賤rsquo 기

재가 보이지 않고 전술한 도광 함풍 년간에 집중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후의 기록을 찾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ldquo湖南自夏秋以來雨暢時若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故無論高低田畝咸稱大稔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甚

賎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反有入不敷出之慨矣rdquo (益聞錄 69号 광서6년828)129)

ldquo(長沙農村) 近年來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穀米求售 価値至賤 日用各物 則又極昻 收穫所

得 不足顧其工本 多已漸陷于無力耕種之境rdquo (新靑年 7권 6호 1920년 5

월)130)

ldquo湖南近年來之天災人禍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天災旣足以減少收量 地方不靖 産品滯銷

価値復因以低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而生活日昻 工価及日用物品 繼續增漲 收入支出 常苦

不得平衡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rdquo (中國棉産改進統計會議專刊 1931)131)ldquo湘省爲産穀素豊之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年歲收 屢佔大有 而長江流域亦値豊收 更

有大宗洋米 運貨傾銷致湘米頓失市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価格低賤 不僅農村經濟 陷于絶

境 市面金融 亦大受打擊rdquo (銀行週報 18권 9기 1934313)

이외에도 1936年의 사실로 호남의 武岡 東安 일대에서 lsquo豊年穀賤rsquo으

로 省城에 운반할 때 운송비와 각종 捐稅 부담을 감당할 수 없어 陳米

를 불태웠다는 기록이 있다

128) 李文治 앞의 책 p557

129) 章有義 앞의 책 권2 p432

130) 章有義 앞의 책 권3 p795

131) 章有義 위의 책 p620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1이것을 보면 주로 1930년대에 lsquo穀賤rsquo과 不況이 집중 묘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lsquo穀賤rsquo 즉 불황이라고 하면 도광함풍초의 곡천과 불

황 同治光緖宣統期의 lsquo穀貴rsquo즉 好況 다시 民國 전기의 好況 民國 中期

의 불황으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물가의 상승기가 호황적 국면이라는 것은 알려

져 있지만 이것은 전체 물가의 문제이다 위 자료에서 보면 1920년 장

사 농촌에서는 곡가는 싼데 일용품 가격은 극히 높다고 하고 있고

1931년의 기록도 工價와 일용품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농민이 다수를 점하기 때문에 미곡가의 하락은 농민 수입 감소

와 구매력 저하를 가져오고 이것이 농촌 불황의 한 요인이 될 수 있

다 그러나 工賃과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시장의 한계 안에서의

일이다 또한 실업률과 고용 지표 등도 고려되어야 하는데 만족할만한

통계의 부족으로 명확한 답을 얻기는 어렵다

그런데 米価와 물가는 개별 년도나 시점에서 서로 상이한 궤적도

있지만 圖2 3 6 7을 보면 대체적으로는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예릉의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광서 4년(1878)에 비하여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1912)에는 현격한 상승세였다가 그 후에 등락을 거듭

하고 있지만 민국25년(1936)의 경우는 광서4년보다는 높거나 유사한

경우가 많다

2 생활 경기의 발달

당시인들이 체감하던 생활 경기의 수준이 어떠했는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

光緖刊 善化縣志를 보면 다음과 같다132)

132)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16 풍속 附論 ldquo古人 酒肉以養老 而今則黃口稚子

無不酒肉之人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日不旦穀貴鹽貴 而酒肉皆貴 則好惡可知矣 一今鄕間柴炭

其価數倍於昔日 瀕河之地 莫不燒煤rdquo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2옛사람들은 술과 고기로 노인을 부양하였는데 지금은 어린아이도 술과

고기를 먹지 않는 이가 없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요사이 미곡과 소금이 비쌀 뿐 아니

라 술과 고기가 모두가 비싸니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지금 향간에 柴炭이 그 값이 예전보다 수배인데 하천 근처 사람은

煤를 때지 않는 사람이 없다

同治 攸縣志 에도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33)

예전에 士大夫도 집에 있을 때 엄동이 아니면 가죽옷을 입지 않았다

지금 關中의 가죽옷 상인이 유현에 와서 1년에 은 만여 냥을 얻을 수 있

다 기타 비단 옷은 蘇州 杭州 및 嶺南에서 오는 것이 또 배가 되니 1년

에 수만금을 소비한다

醴陵縣에서도 비슷한 인식을 볼 수 있다134)

ldquo예전 풍속이 儉樸하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이 명절 아니면 고기를 먹지 않고

慶弔事가 아니면 술을 베풀지 않고 손님 접대는 닭 잡는데 그치고 鮮味

는 생선에 그쳤고 縣城의 食肆는 飽麵茶館에 그치고 酒席으로 業을 삼는

자가 없었다

지금은 酒樓菜館이 거리에 가득차고 中人의 집에도 술자리가 베풀어지

고 사치를 다툰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예전에 士類大半이 淥江書院에 모이면 그 가운데 비단신을 신은 자가

불과 수인이었고 羊가죽 옷을 입은 자가 불과 1 2人이었다 지금은 비단

신과 가죽옷이 거의 常服이 되었고 日用品은 舶來品이 많다rdquo

이 내용을 보면 예릉현의 생활 수준이 급격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예릉현지 기록에는 부인들이 上海의 유행을 쫓아 사치를 추구한

다는 내용도 있고 청말부터 外貨를 서로 자랑한다는 내용도 있다 종

133) 同治10年刊 攸縣志 권18 풍속 衣服 ldquo衣服 昔時 士大夫 家居非嚴冬不御裘

今關中裘商來攸 歲可得銀萬餘兩 其他錦繡之運自蘇杭及嶺南者 則又倍之 計一歲

之戶 所費數萬金rdquo

134)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4장 풍속 생활 ldquo旧俗民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非令節不

食肉 非慶弔不置酒 欵客止於殺鷄 鮮味止於草魚 縣城食肆 止於飽麵茶館 無以酒

席爲業者 今則酒樓菜館 遍於街市 中人之家酬酢往還 爭奢鬪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旧時士類

大半 集於淥江書院 一院之中 著緞鞋者 不過数人 襲羊裘者 不過 一二人 今則絲

履皮袍殆成常服 日用之品 多自舶來rdquo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3전에 菜油 棉油로 燈을 켜다 집집마다 煤油를 사용한다거나 세탁시

茶枯鹼水를 쓰다가 대부분 비누를 사용하는 일상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135)

또 寧鄕縣에서도 ldquo同光之間 地方安寧 家給人足(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함)縣城商業 於時爲盛rdquo이라 하고 있어 同治(1862-74) 光

緖(1875-1908) 시기가 好況이었음을 알 수 있다136) 湘報에도 ldquo民間

之喜用洋貨日甚一日rdquo이라 하고 있어 洋貨 사용의 확대를 짐작할 수 있

다137)

광서년간 무역이 확대되고 여기에 대해 유익하다는 인식의 기록이

湘報에 나오고 있다138)

ldquo輪船과 철로가 개통되고 항구 개항이 증가 되는 것은 실로 중국에 유

익하고 손해가 없다 저 눈이 콩만큼 큰 자가 걸핏하면 통상이 중국에 해

가 된다고 하니 어찌 심히 어리석지 않은가rdquo

무역 확대를 지적하고 통상이 유익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예릉현

지에도 同治志에는 풍속이 lsquo安士重遷rsquo하고 상인이 외부 활동하는 자가

적었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고 光緖末에 도자기 夏布 編爆業

이 일어나 융성하여 이에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 넘는다고

하고 있다139) 예릉향토지에도 商旅 왕래가 예전보다 10배라는 서술이

있다140)

장사시의 行業발달 상황을 보면 민국 5년(1916)에서 民國22年(1935)

사이에 식품업은 281⟶2124 사치품은 171⟶1128 복장은 43⟶2028 農

礦은 621⟶1156 洋貨 127⟶233 금융 130⟶164 공예 2121⟶3344 문구

17⟶355 등 비약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141)

135)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 工商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6장 실업

136) 民國30年刊 寧鄕縣志 財用錄 民業

137) 湘報 제13호 1898年 3月 21日

138) 湘報 제162号 1898年 9月 23日

13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40) 民國15年刊 醴陵鄕土志 제6장 실업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4이것은 장사의 생활수준 향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당시에

通商의 확대 주장도 湘報에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142)

이상에서 보면 청말민국기에 대체적인 추세는 好況이었다고 생각된

다 생활 수준의 향상이 눈에 띄고 米価와 물가도 연동되면서 상승하

는 추세였다 米価의 상승이 구매력 수준의 제고가 되기 때문에 米穀

생산 중심지역에 상인들의 行號가 집중되는 것이 보였다143) 임금의

경우에도 호남 汝城縣에서 실질 임금이 유지 또는 상승하는 것을 확인

한 바 있다144) 全漢昇도 1875년부터 1925년까지에 걸쳐 四川 合江현

의 임금과 물가 변동의 추세가 거의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바 있

다145) 앞서 인용한 1931년 中國棉産改進計劃 에도 임금과 일용품 가

격이 함께 오른다고 하고 있어 임금이 물가에 연동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생활 수준 향상을 기록하고 있던 지방지에도 빈부 격차를 암시하는

내용이 있고 物力이 날로 쇠퇴한다든지 하는 기록이 있다 대외 무역

이 적자라 하더라도 차관 원조 뿐 아니라 외국 상인의 진출이 자본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好況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Ⅴ 結 言

이제까지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이후 民國中期인 1936年

까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여 米価와 물가 변동 물가 변동의 원인

141) 張朋園 앞의 책 p387

142) 湘報 44호 中外通商利害論 湘報 67号 論湖南茶務急宜整頓

143)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144)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9 1998)

145) 安本美緖 앞의 책 p2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5물가와 생활 경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米価 변동은 단기 변동에 있어서 전쟁이나 天災 등의 특수한 사정

의 해를 제외하고는 光緖 년간에 비해 민국 중기의 계절 변동폭이 축

소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米価의 계절 변동을 완화 시

켜 주는 雜糧의 재배가 湖南 지역에서는 대부분 同治 년간에 보급 확

대가 되고 있다 교통과 상업 발달 등의 이유로 청말에서 민국기로 갈

수록 계절 변동폭을 축소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변동에서는 長沙府縣의 물가 변동 예릉현 물가 변동 등을 살

펴 볼 때 전체로서는 상승 추세 중에 도광 함풍 시기의 低米価 同治

년간의 高米価 光緖전반의 低米価 光緖後半에서 宣統 년간의 高米価

民國 前期의 高米価 民國 中期의 低米価의 등락을 보이고 있다

民國 中期의 米価는 長沙 8개년 米価 추세에서도 안정속의 상승세

를 보이고 있다 명목상 수치 뿐 아니라 米価의 상대 물가로 보는 실

질 구매력도 宣統 民國元年에까지 급상승하였다가 민국 시기 등락을

거듭하지만 민국25년(1936)까지 광서4년(1878) 대비 유지 또는 상승 추

세였다

物価변동은 개별 상품에 따라 편차가 있고 米価와는 전혀 상이한

궤적을 그리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米価와 연동 관계를 보이

고 있다 1898년 물가의 단기 변동은 이상할 만큼 변동폭이 크지 않다

당시 물가 조사자의 보고가 정확했는지 의심될 정도이다 1935년의 장

사 물가에서 단기 변동을 보면 변동폭이 100이상인 夏布 毛筆 麵粉

棉布등을 비롯하여 50 이상인 오리털 흑연 성냥 국산 전지 등을

비롯하여 40 이상인 비누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기 변동폭

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 이것은 이런 물품들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

성이 크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物価의 장기 변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米価와 대체로 비슷한 궤적

을 보이고 있다 청말에서 민국전기에 걸쳐 물가 상승폭이 두드러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 상승폭이 더욱 크

다 돼지고기 값을 예로 들면 1878년에서 1909년 사이에 273 상승했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6고 1912-1921년 사이에 75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닭은 각 50와 44

상승했다 청말은 31년간의 수치이고 민국 전기는 9년간이니 물가의

상대적 급등을 알 수 있다 1926에서 1936년까지 10년간 돼지 고기 값

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

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

세를 보이고 있다 민국 중기의 米価가 일부 lsquo穀賤rsquo 현상을 보인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음으로 물가 변동의 원인에 대해서는 군벌간의 전쟁이나 정치적

혼란 등 정치 군사적 요인을 제외하고 대체로 검토해 보았다

수요 측면에서는 湖南米의 유통이 호남 내부의 인구 증가에도 불구

하고 양자강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지속된 것이 米価 상승의 한 원

인이었다 上海나 武漢 등의 도시화와 인구집중은 이들 지역 양식 수

요를 폭증시켰다 일부 洋米 수입에도 불구하고 湖南米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으로써 米価를 상승시켰다 또 장사를 비롯한 각지의 새로운 수

공업 산업의 발달로 비농업 인구가 증가하고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유

효수요로 성장하여 米価 상승을 유도하였다 양식의 이출은 해당 지역

인구 식량을 전부 제외한 나머지 잉여가 수출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력

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청말민국기에는 호남의 내부 외부에

서 미곡에 대한 유효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것이 米価 상승의 한 요인

이었다

화폐 문제에 있어 화폐 수량의 증가가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것

은 상식이다 종래 아편전쟁 전후 은의 해외 유출 증가가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을 초래하여 물가 상승과 인민의 빈곤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지방지 등의 史料에서 검토한 결과 은전비가는 도광함풍초의

일시적 상승 후에 함풍 7년 이후는 도리어 하락하고 있다 同治 년간

에 대부분 1兩 1300文 수준에서 안정되고 있다 光緖末宣統년간에도

1600-1700文 수준으로 도광함풍 초보다는 낮은 편이다 청말민국시

기에 화폐의 남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한계를 넘었을 때 시장의 통용

거부로 마침내 중단되고 있다 청말민국기에 외국 銀元의 유입과 국내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7의 銀元 주조 銅元 지폐 외에 鈔票 市票 등 화폐 시장에 투입된 화

폐량은 엄청나게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로서는 어느 정

도 시장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외 교역과 상품량의

증대 경제 활동 인구의 증대 미곡 생산 및 농산품 생산의 증대로 화

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것이 화폐량의 막대한 증가와 유

통속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

었다고 생각된다 즉 안정 속의 물가 상승이 유도된 것이다

공급면에서 보면 대외 교역을 통한 서양 상품의 수입은 전체로서는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물건의 공급 증가를 통해서

혹은 국내 상품과의 경쟁 때문에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었

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침략과 물가 폭등이라는 도식적

견해와 달리 현실에서는 물가 억제 작용도 있었던 것이다

물가와 경기면에서 보면 물가가 비쌀 때 호경기가 많은 것은 사실

이다 그런데 lsquo穀賤rsquo 현상이 불황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서 長沙 지역의 경우를 검토해 보았다 도광함풍 년간까지 lsquo穀賤rsquo현상

과 불경기적 상황에 대한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동치광서 년간에는

米価가 등귀한 시점인데 이 시기는 紅茶業의 번성이나 각종 수공업의

번성으로 好況의 면모가 보이고 있다 민국 시기에는 민국 중기에 lsquo穀

賤rsquo의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史料上에 민국 중기의 lsquo穀賤rsquo은 임금이나

다른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다 물가 상승기와 好況

이 맞물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민국 중기는 lsquo穀賤rsquo 현상과 서로 어긋

나는 것이다 이 시기의 不況 서술은 농촌의 농민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표시이다

생활 수준에 대한 지방지 기록 등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주민들의

洋貨 사용이 보편화되고 의복 음식 주거 등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것

을 지적하고 있다 물가는 상승하였지만 同治 이전에 비하여 분명히

사치품의 소비 증대와 中人의 집도 소비 수준이 제고된 것이 드러나고

있다 민중의 빈곤은 있으나 이 시기 빈부 격차가 커지고 생활 수준의

격차가 커진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25: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3

품명 단위광서4년

(1878)

광서14년

(1888)

광서19년

(1893)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

(1912)

민국5년

(1916)

민국10년

(1921)

豬肉 斤 88文 63 62 112 160 240 280

雞 斤 80 72 68 120 250 300 360

lt表12gt 醴陵縣 物価表 (b) (商会조사)

품명 단위민국15년(1926)

민국20년(1931)

민국25년(1936)

민국27년(1938)

민국28년(1939)

민국29년(1940)

민국30년(1941)

猪肉 百斤 200원 170 200 360 400 561 1300

草魚 Prime 160 150 150

茶油 石 240 290 560 760 2000

鹽 石 120 140 150 160 2000

洋紗 件 2200 2200 2400 2000 2500 1500

土布 匹 27 70

夏布 Prime 70 70 140

竹布 Prime 100 100 8000

棉花 石 20 25 40 100 200 400

煤炭 石 020 030 040 050 230 70

煤油 甁 220 240 440 90 300 460 200

毛邊紙 石 198 432 1200

黑靛粉 桶10斤 100 200 1500 2000

赤金 兩 50 70 80 90 500 560 1600

lt表11gt 醴陵縣 物価表 (a)(私家數簿에 의한 것)

民國24年(1935)의 通郵地方物産誌 기록을 직접 비교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양 자료 사이에 화폐와 단위가 서로 달라 직접 비교할 수가 없

다 그래서 당시인의 물가 변동 기록인 長沙府 醴陵縣 物価表를 이용

하는 것이 파악 방법이 될 것이다

lt표11gt lt표12gt 와 lt圖6gt lt圖7gt을 보면 개별 물품에 따라 차이

는 있지만 대체적인 흐름은 米価 변동과 유사한 궤적을 보여주고 있

다 즉 光緖 前半에 비교적 안정적이다가 光緖 후반부터 급상승하여

민국 전기까지 상승하고 있다 1926년부터 1936년까지는 가격 안정세

를 보여 주고 있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4

雞蛋 個 2 2 3 4 10 15 20

草魚 斤 40 40 36 70 90 160

茶油 斤 116 69 54 150 300

鹽 斤 60 60 63 120 90 180

煤 石 50 120 50

苧麻 斤 270 99 170

棉花 斤 200 96 280

竹布 尺 70 62 60 60 90

靑洋布 尺 55 50 50 70

白蓮紙 刀 40 82 80 100

-附記 前淸 통행 制錢文으로써 단위 민국 초년에는 비록 銅元을 단위 사용하나 관습상 매 1銅元은 錢10文에 해당

圖6) 醴陵縣 物価 (a)

① 豬肉 斤당 가격 ② 雞肉 斤당 가격 ③ 茶油 斤당 가격

④ 鹽 斤당 가격 ⑤ 棉花 斤당 가격 ⑥ 草魚 斤당 가격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5

圖7) 醴陵縣 物価(b)

① 猪肉 百斤당 가격 元 ② 草魚 百斤당 가격 元 ③ 茶油 石당 가격 元

④ 鹽 石당 가격 元 ⑤ 洋紗 件당 가격 元 ⑥ 棉花 石당 가격 元

⑦ 煤油 甁당 가격 元

米価가 物価와 연동되는 것에 대해서 江都縣史料를 보면 ldquo産米 구역

에서 年末에 米価가 상승하니 百物이 昻貴했다rdquo65)라고 되어 있다 湖

南지역 米価 연구 자료에도 米価 추세는 거의 물가 수준과 같다는 주

장이 있다66)

光緖末宣統年間의 물가 상승을 나타내는 史料를 보면 다음과 같다

이제 각종 惡政의 결과로 百物의 騰貴를 초래했는데 小民의 日用 수요

65) 李文治 앞의 책 p470 ldquo江都爲産米區域 年末米価騰踊 百物因以昻貴rdquo

66) 張麗芬 앞의 책 p22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6음식은 그 가격이 십년 전에 비해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과 居室 器用

蔬饌의 비용 牛種糞漑의 비용도 예전 보다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도 비록

동일 비례로 함께 올랐으나 이미 넉넉하지 못해 괴롭다67)

이것을 보면 米価와 物価가 연동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청말

특히 光緖 후반 이후에 각종 物価가 두 배 올랐다는 사정을 알 수 있

다 上海의 物価도 같은 시기에 상승하고 있다68)

lt표11gt lt표12gt와 lt圖67gt을 검토해 보면 돼지고기 값은 광서 14

년 광서 19년까지는 다소 하락세를 보이다가 宣統원년(1909)부터 급격

히 상승하고 있다 민국원년(1912)의 가격은 160文으로 1878年의 88文

에 비해 거의 두 배에 해당한다 위에 인용한 宣統 2年 8月 國風報의 물가 두 배 인상과 정확하게 부합되고 있다 민국 전기인 1926년까

지 계속 상승하고 있지만 1926년에서 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이고 있

돼지고기 값은 1878년-1909년 사이 273 상승했고 1912-1921년 사

이에 75 상승했다 닭은 각기 50와 44 상승했다 계란은 100

100 상승이었다 淸末 비교 시기는 31년간인데 비해 민국 전기는 9

년간에 불과하다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가 급등한 것은 충분히

알 수 있다 1926년에서 1936년 10년간 돼지 값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거의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이었다

民國 醴陵縣志에도 ldquo辛亥혁명이전에는 물가가 심한 등락이 없었는

데 민국 후에 들어와서 차츰 상승했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69) 圖6)을 보

면 닭고기도 비슷한 궤적을 보이고 있다 草魚의 경우도 청말 민국전

기는 상승이 주요 동선이고 민국 중기(1926-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

67) 國風報 第1年 21期 宣統 2年 8月 (李文治 앞의 책 p561) ldquo今也以種種惡

政之結果 以致百物騰踊 小民日用 飮食所需 其価皆視十年前兩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居

室器用蔬饌之費 牛種糞漑之費兩倍于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雖以同一比例以俱騰 旣苦不

給矣rdquo

68) 岸本美緖 앞의 책 p443

6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物價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7이고 있다 譚文熙 物価史에는 민국 전기는 안정속의 상승세로 민국

중기는 파동속의 상승으로 정리를 하고 있는데 여기와는 약간의 차이

를 보이고 있다70) lt표11gt과 lt표12gt 사이의 화폐 단위 차이로 인한

연속적 파악에 다소 어려움이 있으나 대체의 추세는 짐작할 수 있다

또 품목에 따라 공란이 있어 연결 관계가 애매한 부분이 있다 1936년

이후는 중일 전쟁의 혼란과 불환지폐의 강제 통용 등의 사정으로 本考

에서는 분석 대상 범위에서 제외 하고자 한다

Ⅱ 物價 변동의 원인

1 수요 측면

米価와 物價가 상호 연동관계에 있고 넓은 의미에서는 米価도 물가

의 일부이다 米価 및 물가의 상승은 우선 수요의 증가에 원인이 있다

고 할 것이다 수요증가는 일반으로 인구 증가이다 湖南의 인구는 嘉

慶21年(1816) 18754259명에서 1898年 21174000명으로 다시 民國17년

(1928)에는 31501212人으로 비약적 성장을 하였다71) 약 110년 동안

인구가 1300만 가까이 증가하였고 비율로는 679가 증가하였다 長沙

府의 인구도 가경 25년(1820)에서는 4290086명이었는데 민국23년

(1934)에는 8421330명으로 약 400만명 이상 증가하여 963 상승을

보이고 있다72)

인구의 증가가 수요 증대를 초래하는 일반 요인이지만 湖南의 米穀

移出이 해당 지역 민중의 식량을 제외하고 남는 잉여 米만은 아니다

70) 譚文熙 앞의 책 pp302-307 여기서는 민국 전기는 1912-1927년 민국 중기

는 1927-1937년으로 구분하고 있다

71) 湖南省志 地理志 (長沙 湖南人民出版社 1982) pp230-238

72)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8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의 증대가 더 중요한 요인일 것이다 淸末에

와서 새로운 생업을 통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가 많이 증가하고

있는데 醴陵縣 사례를 한번 검토해 보겠다 史料는 다음과 같다73)

同治志에 이르기를 醴陵의 풍속은 lsquo安土重遷rsquo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상인이 外地에 나

가 장사하는 이가 적었다 배를 이용하여 외부 상업을 하는 것은 淥口 부

근의 米穀商일 뿐이었다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邑人들이 茶제조로 武漢에 판매하는 자가

이익이 배가 되었다 이때부터 龍門일대에 매양 봄에 茶를 제조하고 가리

는 廠이 항상 수십이었다 光緖末年에는 도자기업 夏布 編爆이 일어나서

대신하였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이를 믿고 생계를 삼는자가 무려 십만인이다

同治志 편찬 단계만 해도 사람들이 토착 안주하여 멀리 이동하는

것을 어렵게 여겼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큰 이익을 보고 그

후 도자 기업 夏布 編爆 제조에 종사하여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나 되었다는 것이다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의 성장을

보여주는 것이다 長沙의 빠른 도시화도 주목된다 長沙日報에 실린

내용을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74)

光緖32년(1906)에 火災 조사시에 城廂 내외가 매일 식량으로 穀 5000

石이 필요하였다 지금 교통이 편리하고 상인 旅客이 배로 증가하였으니

매일 마땅히 1-2000石을 더해야 한다(宣統 2年(1910) 2月 17日 長沙日

報)이것을 보면 光緖32년(1906)에서 宣統2년(1910)은 불과 5년이 채 되

지 않는데 상인 집단이 배로 증가하였다니 城內外의 유동인구 급증을

짐작할 수 있다 長沙城의 인구는 1916年에 177882人이었고 1931年은

385514人으로 증가하였다 불과 15년 사이에 1167 증가이다 배 이

73)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ldquo同治志云 醴俗安土重遷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商賈外

貿者少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揚帆外貿則 僅淥口附近之穀米商而已 光緖初 紅茶業興 邑人製茶

販運 漢皋者 獲利倍蓰自是來龍門一帶 每屆春日 製茶捒茶列廠恒數十 訖於光緖

末年 則有瓷業及夏布編爆起而代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恃以爲生者 無慮 十萬人rdquo

74) 李文治 앞의 책 p551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9상이 증가하였으니 長沙의 도시화도 급속히 진전 되고 있다75)

민국10年의 湖南 實業雜誌 보도를 보면 당시 長沙에 蓆工 500人

刻字工 300人 방직공 3200人 이발공 800人 香工 400人 합계 5200人

이 있었다 長沙大公報에 의하면 민국9년(1920)에 長沙에는 부두공

2600人 糞夫 500人 轎夫 1300 車夫 2300人으로 합계 7000人 정도

가 있었다76) 같은 시기 호남성의 광부가 160萬人이고 여기에 手藝工

苦力을 합치면 190만 전후였다고 한다 예릉현에서는 東鄕 일대에서

編爆業 종사자가 수만이고 東北兩鄕에서 磁廠의 女工도 수천이나 되었

다는 기록도 있다77) 湖南 邵陽縣에서도 淸末에 工匠이 5만 상인이 12

만 정도였다는 통계도 있다78) 이렇게 비농업 인구가 다른 생업을 통

해 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로 증가하고 있던 것이 확인된다 이런 유

효 수요 증가를 설명해 주는 다른 史料 하나를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

다79)

어째서 米穀이 날로 적어지고 날로 비싸지는가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水旱災가 날로 많고 농사짓는데 날로 게으르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말은

진실로 일리가 있는데 다 그런 것은 아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선교사 洋商 洋官 洋

兵은 증가한 것이 외국에서 온 사람이다 敎民 游民 賭民 盜民은 內地

에서 증가한 자이다 무릇 농사짓는 사람은 하나인데 먹는 자는 헤아릴

수가 없다 米穀이 어찌 비싸지 않을 수 있겠는가

光緖後期의 사정을 전하고 있는 위 史料를 보면 외국에서 온 선교

사 상인 군인 관리 등도 米価 상승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국내

외를 막론하고 비농업 인구의 급격한 성장이 米価 상승의 원인이라 생

각된다

湖南과 長沙의 米穀은 해당 지역 안에서 소비되는 것보다 揚子江

75) 張朋園 中國現代化的區域硏究 -湖南省 (台北 1998) p376

76) 위의 책 pp412-413

77)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農業經濟

78) 光緖33年刊 邵陽縣鄕土志 권2 인류 실업

79) 李文治 앞의 책 p77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0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많다 청말민국시기에도 지속적인 湖南米의

移出이 있었던 것은 이미 밝힌바 있다80)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穀

米가 騰貴한 이유가 外省의 采辦이 많은 때문이라고 하고 있다81) 상

담현에서도 동치 4년(1865)이전에 해마다 풍년이었는데 穀価가 까닭

없이 騰貴한 것은 江南이 처음 회복되어 米穀의 販運이 많아진 때문이

라고 하고 있다82) 1898年에도 長沙에서 米穀의 원거리 送出을 바라는

지주 富戶와 주민의 갈등 관계가 노출되고 있다83) 宣統2年(1910)의 기

록에도 湖北의 흉년으로 出境 米穀이 과다하여 米価가 급등했는데 작

년 末에는 1石5000文이었다가 금년에는 1石 8000文에 이르렀다는 내

용이 있다84) 같은 자료에 湖南米가 당도 하지 않으면 武漢에서 변란

이 일어난다고 할 정도이다

하류의 上海는 한적한 어촌에서 근대에 대도시로 성장하였다 武漢

上海등의 도시화와 상공업 발전 인구 집중은 長沙米의 급격한 수요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宣統 년간에 長沙가 전국적인 4大 米市의 하나

로 성장한 것은 우연한 일은 아니다85)

근대에 대외 교역증가가 물가 상승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생각된

다 1873년에서 1930年 사이에 농산물 수출 통계는 1910년을 100으로

했을 때 1873년은 12 1893년은 123 1903년 386 1920년은 1324

1930년은 2709로 급상승하고 있다86) 농산물의 수출은 해외 수요의 증

가이다 이런 교역상 수요 증대는 가격의 등귀 뿐 아니라 작물 재배

면적의 확대에도 기여하고 있다

80)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81)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20

82) 光緖6年刊 湘潭縣志 卷29 災祥志

83) 湘報 89號 長沙縣職員常達邦呈批

84) 李文治 앞의 책 p381

85) 徐正元 中國近代農産商品化的發展與米市的形成 (復印報刊經济史 1997年3期)

86)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권2 p14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1宣統2년(1910) 長沙에 영국 상인이 출현하여 米穀 구매를 단행하자

米価가 하루에 여러 번 급등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였다87) 湖南에서

는 또 광동 상인의 영향을 받아 紅茶 제조법을 습득하여 홍차를 대량

생산하여 구미에 수출하였다 19세기 60년대부터 20세기 초에 특히 호

남 茶 생산 판매가 극히 발달하였다88) 주요 산지 중에는 長沙 湘潭

安化 등이 손꼽히고 있다

桐油의 수출 또한 괄목할 만한 것이다 湖南의 桐油 수출은 1922년

전국의 3336 1923년은 372로 성장하였다 1929년에는 全省 수출

총액의 45 정도를 차지하였고 桐油 상품화율 80에 달하였다89) 대

외교역을 통한 농산품의 해외 수요 증가는 직간접으로 물가 상승에 작

용하고 있다

2 화폐 문제

물가와 화폐의 관계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통상 화폐 수량의 증가가

생산총량의 증가보다 초과할 때 물가상승이 일어난다90) 보통 淸 후기

에는 아편무역에 따른 銀의 해외 유출과 그 결과 야기된 lsquo銀貴錢賤rsquo 현

상 통화팽창에 의해 물가가 상승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91)

실제 淸末民國기에 걸쳐 통화 팽창과 물가 상승에 대한 기록을 찾

는 것은 어렵지 않다 王業鍵에 의하면 淸末 특히 1875年부터 1911年

까지는 인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단계였다고 한다92)

民國 寧鄕縣志에 보면 ldquo光緖29年(1903)에 처음으로 當十銅元을 주

87) 李文治 앞의 책 p550-551

88) 劉泱泱 앞의 책 p46

89) 宋斐夫 主篇 湖南通史 現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5 p276

90) 陳民 法幣發行制度與通貨膨脹 (復印報刊經济史 2001-1)91) 龔勝生 앞의 책 pp275-280 岸本美緖 앞의 책 p444 張麗芬 앞의 책

p217

92) Yeh-chien Wang Secular Trends of Rice in the Yanzi Delta 1638-1935(California Univ Press 1992)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2조하여 전국에 통용시켰는데 물가의 등귀가 이때부터 시작되었다rdquo는

기록이 있다93) 醴陵縣에서는 光緖32年에 當十銅元을 주조하여 制錢과

병행시켰고 宣統원년에 銀元이 이미 성행하였다 민국원년에는 當二十

銅元을 주조하였는데 雙銅元이라 칭하였다94) 영향현에서도 광서말에

私鑄錢인 毛錢이 나오고 지폐가 통용되는 등 통화팽창이 상업을 일변

시켰다고 한다95)

종전에 비해 실질 가치가 열악한 當十 當二十 등 銅元의 남발과 鈔

票의 성행은 화폐 시장의 과잉을 초래하였다 정식의 鈔票 이외도 각

현 발행의 私鈔와 錢莊에서 발행한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시중에 범람

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민국 시대에는 화폐 남발이 더욱 심하였다 호

남은행을 비롯한 저축은행 농업은행 등이 각기 각종 지폐를 발행하여

혼란이 가중되었다 1915년에 호남의 은행은 33개인데 그 중 장사현 7

개 상담현이 7개였다96)

군벌들이 은행을 개설하거나 질 낮은 화폐 통용을 강제하는 등의

혼란이 민국시기 특징 중의 하나이다97) 화폐 시장에는 銀元 銀角 銅

元 지폐와 鈔票 市票등 유사 화폐까지 복잡middot혼란의 양상이 나타나고

결과적으로 물가 상승을 피할 수가 없었다

선통2년(1910) 격렬한 米価 騰貴가 있었고 長沙에서 대규모 搶米 폭

동이 일어났는데 이것은 단순한 흉년때문이 아니고 銅元 남발 등 화폐

제도 혼란에 기인한 것이었다98) 1880년대 초부터 1920년대까지는 인

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시기로 매년 33 비율로 상승하였으며 1930년

총 화폐보유고는 60억 원에 달했다 반 세기간 화폐 공급은 8-10배 증

가하였다99)

93)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ldquo光緖 二十九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始鑄當十銅幣 通

行全國 物価之踊始此rdquo

94) 民國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95)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財用錄 상업

96) 張朋園 앞의 책 pp258-259

97) 宋斐夫 앞의 책 pp10-12

98) 岸本美緖 앞의 책 p51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3

時期 銀(兩) 錢(文) 出典

乾隆 嘉慶년간 10 1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道光 初(1821) Prime 1300-1400 Prime

Prime 18年(1838) Prime 1400 林則徐湖廣奏橋 권3

Prime 25年(1845) Prime 2000上下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Prime 末年(1850)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咸豊 元年(1851) Prime 2000 民國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咸豊 初 Prime 2300-2400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8 부역

咸豊 3年(1853) Prime 20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5年(1855)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Prime 6年(1856) Prime 2000 湖文忠公遺集 권12

Prime 7年(1857) Prime 1600 骆文忠公奏議 권7

Prime 8年(1858) Prime 1400 胡文忠公遺集 권85

Prime 10年(1860) Prime 1300-1400 胡文忠公遺集 권70

同治 2年(1863) Prime 13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7年(1868) Prime 1300-1400 李瀚章 瀝陳湖北等省漕務

Prime 10年(1871) Prime 1600-1700 同治10年 長沙縣志 권8 부역 錢法

光緖32年(1906) Prime 1600 長沙日報 宣統2年 2月27日

선통 2年(1910) Prime 1700 國風報 宣統2年 3月 21日

표 지방지에서 직접 採錄제외는 龔勝生 淸代兩湖農業地理 pp270-277에서 湖南부분을 발췌하여 再引用한 것임

表13) 湖南의 銀錢比値

그런데 아편전쟁 전후 銀의 과도한 해외 유출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이

초래되고 이것이 물가 상승의 주요인이라 생각되고 있는 데는 약간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表13)을 보면 銀錢比価가 일시적으로 상승하였다

가 다시 하강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은전비가는 지역에 따라 차

이가 있지만 호남 장사를 위주로 정리한 것이 표13)이다100)

99)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0) 邱思達 中國近現代鑄幣圖說 (北京 中國書店 1991) p109 참조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4

주목되는 것은 道光末에서 咸豊初에 일시적으로 상승하였지만 淸末

의 比価가 낮은 편에 속하는 현상이다 청말에 은전비가가 비교적 안

정되고 있는 것이다 아편전쟁 후 5항 개항으로 교역이 확대된 상황에

서 아편무역 증대에도 불구하고 차와 silk 수출에 힘입어 은의 순유입

이 오히려 증가되는 현상이 나타났던 것이다101) 또 光緖17년(1891)이

후 세계 銀価하락 현상으로 은유입이 증가되었다102) 19세기 후반 중

국이 세계 사회에 연결되면서 중국의 무역 적자에도 불구하고 淸 정부

에 대한 대량 차관과 자본 투자를 통해서 거대한 양의 銀이 중국에 유

입되었다 1871년에서 1913년 사이 은의 순 수입은 2억 4천만 海關兩

혹은 3억 6천만 銀달러로 추정되고 있다 세계 시장의 은가 하락과 은

의 대량 유입은 중국의 국내 시장에서 물가 상승을 유도한 것이다103)

이런 배경으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은 일시적인 것이고 청말민국기 전체를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민국 시기에는 銀元과 錢의 교환 비율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은의 유입 현상에도 불구하고 宣統 원년 11150文의 비율에서 민국6년

2250文 민국11년 2840文 민국17년 3500文 민국22년 7200文까지 급등

하고 있다 예릉현의 기록이지만 이것으로 청말보다 민국시기에 통화

팽창현상이 극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4)

銀과 錢이 주요 화폐이고 그 환율이 항상 문제가 되고 있지만 주로

청 후기 이후는 錢文 위주의 경제로 바뀌고 있다고 생각된다 長沙府

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면 대부분 道光 이후는 화폐를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淸 前期는 米価를 銀으로 표시하던 것과는 대조적이

다105) 예릉현에서는 민간에서 세금을 납부하거나 大宗무역을 할 때를

101)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2) 邱思達 앞의 책 pp92-93

103)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4)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10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光緖3年刊 善化縣志 同治13年刊 湘鄕縣志 光

緖15年刊 湘潭縣志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民國37年刊 醴陵縣志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5제외하고 紋銀 사용자가 거의 없다 도광 이후 교역시 대부분 錢文을

사용했다는 기록을 보면 淸 後期는 錢 경제 위주로 넘어간 것 같

다106) 세금을 낼 때 외에 銀錢이 필요 없는 일반민은 錢文 사용권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너무나 당연하다

함풍4년에 長沙에서 大錢을 주조하여 통용시켰으나 결국 시장의 신

뢰를 얻지 못하여 퇴출되고 말았다 1854년 7월에 주조를 시작하여

1855년 4月에 주조를 정지하였다107) 이것을 보면 통화 남발도 결국

시장의 제약을 받고 있다

민국 7년(1918) 3月 張敬堯가 裕湘銀行을 개설하여 銀元票 1000만元

銅元票 3000만元을 발행하였다 그 결과 시장은 혼란에 빠지고 시중금

융은 마비 상태가 되었으며 결국 裕湘銀行 발행의 惡幣는 폐지와 같이

되었다108) 권력에 의하여 통화 팽창이 시도되더라도 시장이 감당할

수 없는 지경이 되면 중단될 수밖에 없다 과도한 통화 팽창은 시장의

질서에 의해 어느 정도 제약 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예릉현에서도 光緖 년간에 錢莊 24곳이 출현하여 盛業을 누렸는데

民國7年(1918) 兵禍로 停業하는 곳이 많아졌고 정부의 통화 남발 화폐

가치 하락 금융혼란의 현상이 나타났다109) 민국18년(1929) 이후는 정

국이 안정되고 교통 편리로 百業이 진흥되고 은행이 역할을 하게 되었

이상에서 보면 淸末까지는 은전비가가 안정되고 통화 관리가 어느

정도 성공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光緖 宣統 시기에 銀元의 주조 외국

銀貨의 대량유입 當十銅元 등 주조로 통화팽창이 많이 되었고 이시기

물가 상승과 연관되고 있다 민국 초기에도 정국 혼란과 무계획적 통

화남발로 물가의 급등을 초래하였다 민국 중기에는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것 같다

106) 龔勝生 앞의 책 p279

107) 劉泱泱 앞의 책 pp150-155

108) 宋斐夫 앞의 책 pp10-11

10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6영향현에서도 민국 21년(1932) lsquo穀賤錢荒rsquo의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

다110) 청말민국기에 전반적으로 화폐량의 증가가 현저했던 것은 사실

이다 다양한 화폐의 등장 銀兩 銀元 銅錢 銅元 외에 외국 銀元의 유

입 그 외 鈔票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출현하였으며 양적인 팽창도 분

명하다 하지만 대외 교역 증가와 경제 활동 인구의 증가 유통 상품의

양적 증가에 의해 시장의 화폐 수요가 증대된 것도 사실이다 통화 발

행은 일차적으로는 경제 주체의 수요에 부응하는 것이지만 그것이 과

도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3 공급기타 요소

물가는 기본적으로 수요공급의 관계에서 결정되는 것이 원칙이다

청말민국기에 걸쳐 인구가 급증하여 물가가 상승한 것은 자연스런 일

이다 그러나 물가 상승률 면에서 청말의 경우가 18세기의 증가율에

비해 크다고 할 수 없다 물가 상승률을 억제하면서 비교적 안정 속의

상승을 할 수 있었던 것은 공급의 증가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청말민국기에 湖南米의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 현상이 지속된 배경

에 비약적인 경지 면적 확대와 새로운 품종 개량 시비법 발전 등 농

업 생산 증대가 있었다는 것은 이미 밝혀진 바 있다111) 米穀 공급의

증대가 물가 상승을 완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雜糧 재배가 同治

(1862-74) 년간에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민중의 식량 문제 해결에 기여

하고 米価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던 것을 城步縣 知縣 盛溢源을

통해서 알 수 있다

洋米 수입이 國産米의 보충 역할을 했다는 지적이 있지만 결국 시

110) 民國30年刊 寧鄕縣新志 전1 縣年記

111) 田炯權 淸末民國期 湖廣地方의 農業生産力과 生産關係 (慶南史學 7

1995)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2001)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

究 25 200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7장에 대한 미곡 공급을 증대시켜 가격 안정에 기여했다고 생각된

다112)

민국 시대 관련 사료를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113)

금일 정세를 보면 국내 米価의 등락은 결코 國産米의 생산량이 많고

적음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외국 産米 구역의 풍년 여부에 따라 영

향이 대단히 크다

이것을 보면 洋米 수입이 國産米価를 조절한다고 볼 수 있다 비슷

한 시기 上海에서도 湖南米가 수입 米의 영향으로 가격이 약간 적게

올랐다는 史料도 있다114) 湘報에도 日本米가 수입되어 중국의 米価

가 차츰 내려갔다는 기록이 있다115) 같은 湘報에 보면 ldquo외국물산이

날로 풍부하여 중국 상품의 판로를 막는데 서양 상품의 가격이 낮으면

중국 상품 가격이 홀로 증가할 수 없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116) 결국 洋

貨도 중국에서는 시장에 대한 상품 공급의 증가이고 이것이 상품 가격

상승을 억제하고 있는 것이다 같은 자료에 중국의 土藥이 널리 판매

되니 외래 洋藥의 가격이 폭락한 사정도 소개되고 있다117)

또 洋蠟의 수입으로 국산 白蠟 가격이 매 100斤 200元에서 100元으

로 폭락한 일도 있었다118) 1921년 독일 면화가 대량 수입되어 중국의

綿価가 하락한 일도 있다119) 光緖년간 부터 중국이 綿紗 생산을 개시

하자 華商과 洋商사이에 가격 경쟁이 시작되었다 수입 綿布도 洋商이

國産布와 경쟁하기 위해 가격을 낮추어 공급하였다120)

112) 王良行 淸末對外貿易的關聯效果(1860-1911) (近代中國對外貿易史論集1997)

113)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卷3 p413

114) 위의 책 p416

115) 湘報 제45호 p1419

116) 湘報 제13호 ldquo外洋之出産日盛 足以抵華貨之銷路 洋価低則華貨不能獨增rdquo

117) 湘報 제162호 p1608

118) 章有義 앞의 책 권3 p662

119) 譚文熙 앞의 책 p342

120) 譚文熙 위의 책 p368 p374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8상인의 가격 조종이 물가 변동에 하나의 요소는 될 수 있다 예릉현

의 土資 판매에 있어 객상의 가격 조종에 저항하기 위해 주민들이 公

司를 조직하여 가격을 바로 잡았다는 기록도 있다121) 지주 부농 米商

등의 매점매석에 의한 가격 조종 사실은 흔히 발견된다122) 秋收期에

시장에 대량 방출된 곡식을 저렴한 가격에 매입하여 端境期에 되팔아

이익을 남기는 것은 상인의 오래된 관행이다 이윤 추구를 위한 개인

의 행위지만 넓게 보면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행위이기도 하

다 각지 농산품 가격 변동 조사에서 원인이 밝혀진 10건 가운데 전쟁

이 2건 豊凶 水旱災가 7건 상인 조종은 단 한 건 뿐이었다123) 제국

주의 상인에 의한 가격 조종이라는 것도 결국 중국 상인의 이윤 추구

행위와 본질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湘報의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124)

輪船이 이미 통행하고 있고 철로가 이미 만들어 졌다 제조업이 날로

번성하고 통상조약이 행해지니 상인이 계속 내왕하고 온갖 상품이 유통

된다 사계절 틈이 없으니 일용 각 물품이 그 가격이 반드시 저렴할 것

이다

이것을 보면 통상 개시 후 교통이 발달하고 상품 교역이 증대된다

는 것과 그 결과 일용품의 가격이 저렴해졌다는 것을 당시인이 인식하

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서방 각국과의 무역 증대는 상품 공급의 증가

이고 가격 경쟁을 통해 물가 상승을 완만하게 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

121)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22) 李文治 앞의 책 p559

123)湘報 제49號 ldquo輪船旣行 鉄路旣造 製造日盛 商約可行 商賈絡繹 百産流通

歲時無間 則日用物品 其価必廉rdquo

124) 安本美緖 앞의 책 제7장 pp239-288 제12장 431-455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9

Ⅲ 物價와 景氣(생활)

1 穀賤傷農과 不況

物價 문제를 단순히 등락의 흐름에만 주목하기보다 경기변동론적

입장에서 好況 不況의 문제로 연관시켜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

이다 岸本美緖는 康熙年間의 lsquo穀賤rsquo 현상이 不況과 연결되어 있고 光

緖年間 蘇州의 不況도 lsquo穀賤rsquo이 원인이었음을 지목하고 있다125)

그런데 長沙府 중심의 湖南의 사정을 검토해 보면 lsquo穀賤rsquo 관련 기록

이 道光 咸豊 시기와 民國 中期에 집중되고 있다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26)

道光 25年(1845) ldquo穀賤斗穀錢五十文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値穀賤錢価亦賤 民甚苦之rdquo

장사현과 縣治를 長沙城 내에 두고 있는 善化현에서도 같은 해에

비슷한 기록이 있다127)

道光25年 穀賤自十五年起 連年俱穀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中下戶苦之

咸豊5年 穀賤

장사현 기록을 보면 穀価도 싸고 錢価도 싸서 민이 고통 받는다 했

으니 이 당시 은의 해외 유출과 은전비가 문제로 민중이 고통 받은 사

실을 알 수 있다 선화현은 장사현과 연접하고 통합과 분리가 단속되

었던 거의 동일 지역이다 선화현 기록을 보면 도광25년의 lsquo穀賤rsquo이 해

당년도만의 일이 아니고 道光15年(1835)부터 계속된 현상임을 밝히고

있다

12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33 祥異

126)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127) 民國30年刊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0인근의 寧鄕縣에서 보면 ldquo道光26年 歲豊 穀奇賤傷農 佃農以穀賤大

困rdquo이라는 기사가 있다128) lsquo穀奇賤rsquo이라 하였으니 평상시 보지 못한

하락이었다고 생각된다 더구나 소작료 납부가 대부분 현물지대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佃農은 米穀의 상품화 과정에서 배제되었다는 종전의

통념과 달리 佃農도 곡가 하락으로 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같은 기록에 함풍원년에도 ldquo有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以穀賤漕折苛rdquo라 하고 있어

역시 곡가 하락으로 세금 납부에 곤란을 겪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장사부 內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아도 同治 년간에는 lsquo穀賤rsquo 기

재가 보이지 않고 전술한 도광 함풍 년간에 집중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후의 기록을 찾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ldquo湖南自夏秋以來雨暢時若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故無論高低田畝咸稱大稔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甚

賎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反有入不敷出之慨矣rdquo (益聞錄 69号 광서6년828)129)

ldquo(長沙農村) 近年來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穀米求售 価値至賤 日用各物 則又極昻 收穫所

得 不足顧其工本 多已漸陷于無力耕種之境rdquo (新靑年 7권 6호 1920년 5

월)130)

ldquo湖南近年來之天災人禍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天災旣足以減少收量 地方不靖 産品滯銷

価値復因以低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而生活日昻 工価及日用物品 繼續增漲 收入支出 常苦

不得平衡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rdquo (中國棉産改進統計會議專刊 1931)131)ldquo湘省爲産穀素豊之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年歲收 屢佔大有 而長江流域亦値豊收 更

有大宗洋米 運貨傾銷致湘米頓失市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価格低賤 不僅農村經濟 陷于絶

境 市面金融 亦大受打擊rdquo (銀行週報 18권 9기 1934313)

이외에도 1936年의 사실로 호남의 武岡 東安 일대에서 lsquo豊年穀賤rsquo으

로 省城에 운반할 때 운송비와 각종 捐稅 부담을 감당할 수 없어 陳米

를 불태웠다는 기록이 있다

128) 李文治 앞의 책 p557

129) 章有義 앞의 책 권2 p432

130) 章有義 앞의 책 권3 p795

131) 章有義 위의 책 p620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1이것을 보면 주로 1930년대에 lsquo穀賤rsquo과 不況이 집중 묘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lsquo穀賤rsquo 즉 불황이라고 하면 도광함풍초의 곡천과 불

황 同治光緖宣統期의 lsquo穀貴rsquo즉 好況 다시 民國 전기의 好況 民國 中期

의 불황으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물가의 상승기가 호황적 국면이라는 것은 알려

져 있지만 이것은 전체 물가의 문제이다 위 자료에서 보면 1920년 장

사 농촌에서는 곡가는 싼데 일용품 가격은 극히 높다고 하고 있고

1931년의 기록도 工價와 일용품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농민이 다수를 점하기 때문에 미곡가의 하락은 농민 수입 감소

와 구매력 저하를 가져오고 이것이 농촌 불황의 한 요인이 될 수 있

다 그러나 工賃과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시장의 한계 안에서의

일이다 또한 실업률과 고용 지표 등도 고려되어야 하는데 만족할만한

통계의 부족으로 명확한 답을 얻기는 어렵다

그런데 米価와 물가는 개별 년도나 시점에서 서로 상이한 궤적도

있지만 圖2 3 6 7을 보면 대체적으로는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예릉의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광서 4년(1878)에 비하여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1912)에는 현격한 상승세였다가 그 후에 등락을 거듭

하고 있지만 민국25년(1936)의 경우는 광서4년보다는 높거나 유사한

경우가 많다

2 생활 경기의 발달

당시인들이 체감하던 생활 경기의 수준이 어떠했는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

光緖刊 善化縣志를 보면 다음과 같다132)

132)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16 풍속 附論 ldquo古人 酒肉以養老 而今則黃口稚子

無不酒肉之人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日不旦穀貴鹽貴 而酒肉皆貴 則好惡可知矣 一今鄕間柴炭

其価數倍於昔日 瀕河之地 莫不燒煤rdquo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2옛사람들은 술과 고기로 노인을 부양하였는데 지금은 어린아이도 술과

고기를 먹지 않는 이가 없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요사이 미곡과 소금이 비쌀 뿐 아니

라 술과 고기가 모두가 비싸니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지금 향간에 柴炭이 그 값이 예전보다 수배인데 하천 근처 사람은

煤를 때지 않는 사람이 없다

同治 攸縣志 에도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33)

예전에 士大夫도 집에 있을 때 엄동이 아니면 가죽옷을 입지 않았다

지금 關中의 가죽옷 상인이 유현에 와서 1년에 은 만여 냥을 얻을 수 있

다 기타 비단 옷은 蘇州 杭州 및 嶺南에서 오는 것이 또 배가 되니 1년

에 수만금을 소비한다

醴陵縣에서도 비슷한 인식을 볼 수 있다134)

ldquo예전 풍속이 儉樸하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이 명절 아니면 고기를 먹지 않고

慶弔事가 아니면 술을 베풀지 않고 손님 접대는 닭 잡는데 그치고 鮮味

는 생선에 그쳤고 縣城의 食肆는 飽麵茶館에 그치고 酒席으로 業을 삼는

자가 없었다

지금은 酒樓菜館이 거리에 가득차고 中人의 집에도 술자리가 베풀어지

고 사치를 다툰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예전에 士類大半이 淥江書院에 모이면 그 가운데 비단신을 신은 자가

불과 수인이었고 羊가죽 옷을 입은 자가 불과 1 2人이었다 지금은 비단

신과 가죽옷이 거의 常服이 되었고 日用品은 舶來品이 많다rdquo

이 내용을 보면 예릉현의 생활 수준이 급격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예릉현지 기록에는 부인들이 上海의 유행을 쫓아 사치를 추구한

다는 내용도 있고 청말부터 外貨를 서로 자랑한다는 내용도 있다 종

133) 同治10年刊 攸縣志 권18 풍속 衣服 ldquo衣服 昔時 士大夫 家居非嚴冬不御裘

今關中裘商來攸 歲可得銀萬餘兩 其他錦繡之運自蘇杭及嶺南者 則又倍之 計一歲

之戶 所費數萬金rdquo

134)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4장 풍속 생활 ldquo旧俗民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非令節不

食肉 非慶弔不置酒 欵客止於殺鷄 鮮味止於草魚 縣城食肆 止於飽麵茶館 無以酒

席爲業者 今則酒樓菜館 遍於街市 中人之家酬酢往還 爭奢鬪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旧時士類

大半 集於淥江書院 一院之中 著緞鞋者 不過数人 襲羊裘者 不過 一二人 今則絲

履皮袍殆成常服 日用之品 多自舶來rdquo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3전에 菜油 棉油로 燈을 켜다 집집마다 煤油를 사용한다거나 세탁시

茶枯鹼水를 쓰다가 대부분 비누를 사용하는 일상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135)

또 寧鄕縣에서도 ldquo同光之間 地方安寧 家給人足(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함)縣城商業 於時爲盛rdquo이라 하고 있어 同治(1862-74) 光

緖(1875-1908) 시기가 好況이었음을 알 수 있다136) 湘報에도 ldquo民間

之喜用洋貨日甚一日rdquo이라 하고 있어 洋貨 사용의 확대를 짐작할 수 있

다137)

광서년간 무역이 확대되고 여기에 대해 유익하다는 인식의 기록이

湘報에 나오고 있다138)

ldquo輪船과 철로가 개통되고 항구 개항이 증가 되는 것은 실로 중국에 유

익하고 손해가 없다 저 눈이 콩만큼 큰 자가 걸핏하면 통상이 중국에 해

가 된다고 하니 어찌 심히 어리석지 않은가rdquo

무역 확대를 지적하고 통상이 유익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예릉현

지에도 同治志에는 풍속이 lsquo安士重遷rsquo하고 상인이 외부 활동하는 자가

적었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고 光緖末에 도자기 夏布 編爆業

이 일어나 융성하여 이에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 넘는다고

하고 있다139) 예릉향토지에도 商旅 왕래가 예전보다 10배라는 서술이

있다140)

장사시의 行業발달 상황을 보면 민국 5년(1916)에서 民國22年(1935)

사이에 식품업은 281⟶2124 사치품은 171⟶1128 복장은 43⟶2028 農

礦은 621⟶1156 洋貨 127⟶233 금융 130⟶164 공예 2121⟶3344 문구

17⟶355 등 비약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141)

135)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 工商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6장 실업

136) 民國30年刊 寧鄕縣志 財用錄 民業

137) 湘報 제13호 1898年 3月 21日

138) 湘報 제162号 1898年 9月 23日

13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40) 民國15年刊 醴陵鄕土志 제6장 실업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4이것은 장사의 생활수준 향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당시에

通商의 확대 주장도 湘報에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142)

이상에서 보면 청말민국기에 대체적인 추세는 好況이었다고 생각된

다 생활 수준의 향상이 눈에 띄고 米価와 물가도 연동되면서 상승하

는 추세였다 米価의 상승이 구매력 수준의 제고가 되기 때문에 米穀

생산 중심지역에 상인들의 行號가 집중되는 것이 보였다143) 임금의

경우에도 호남 汝城縣에서 실질 임금이 유지 또는 상승하는 것을 확인

한 바 있다144) 全漢昇도 1875년부터 1925년까지에 걸쳐 四川 合江현

의 임금과 물가 변동의 추세가 거의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바 있

다145) 앞서 인용한 1931년 中國棉産改進計劃 에도 임금과 일용품 가

격이 함께 오른다고 하고 있어 임금이 물가에 연동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생활 수준 향상을 기록하고 있던 지방지에도 빈부 격차를 암시하는

내용이 있고 物力이 날로 쇠퇴한다든지 하는 기록이 있다 대외 무역

이 적자라 하더라도 차관 원조 뿐 아니라 외국 상인의 진출이 자본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好況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Ⅴ 結 言

이제까지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이후 民國中期인 1936年

까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여 米価와 물가 변동 물가 변동의 원인

141) 張朋園 앞의 책 p387

142) 湘報 44호 中外通商利害論 湘報 67号 論湖南茶務急宜整頓

143)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144)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9 1998)

145) 安本美緖 앞의 책 p2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5물가와 생활 경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米価 변동은 단기 변동에 있어서 전쟁이나 天災 등의 특수한 사정

의 해를 제외하고는 光緖 년간에 비해 민국 중기의 계절 변동폭이 축

소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米価의 계절 변동을 완화 시

켜 주는 雜糧의 재배가 湖南 지역에서는 대부분 同治 년간에 보급 확

대가 되고 있다 교통과 상업 발달 등의 이유로 청말에서 민국기로 갈

수록 계절 변동폭을 축소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변동에서는 長沙府縣의 물가 변동 예릉현 물가 변동 등을 살

펴 볼 때 전체로서는 상승 추세 중에 도광 함풍 시기의 低米価 同治

년간의 高米価 光緖전반의 低米価 光緖後半에서 宣統 년간의 高米価

民國 前期의 高米価 民國 中期의 低米価의 등락을 보이고 있다

民國 中期의 米価는 長沙 8개년 米価 추세에서도 안정속의 상승세

를 보이고 있다 명목상 수치 뿐 아니라 米価의 상대 물가로 보는 실

질 구매력도 宣統 民國元年에까지 급상승하였다가 민국 시기 등락을

거듭하지만 민국25년(1936)까지 광서4년(1878) 대비 유지 또는 상승 추

세였다

物価변동은 개별 상품에 따라 편차가 있고 米価와는 전혀 상이한

궤적을 그리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米価와 연동 관계를 보이

고 있다 1898년 물가의 단기 변동은 이상할 만큼 변동폭이 크지 않다

당시 물가 조사자의 보고가 정확했는지 의심될 정도이다 1935년의 장

사 물가에서 단기 변동을 보면 변동폭이 100이상인 夏布 毛筆 麵粉

棉布등을 비롯하여 50 이상인 오리털 흑연 성냥 국산 전지 등을

비롯하여 40 이상인 비누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기 변동폭

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 이것은 이런 물품들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

성이 크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物価의 장기 변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米価와 대체로 비슷한 궤적

을 보이고 있다 청말에서 민국전기에 걸쳐 물가 상승폭이 두드러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 상승폭이 더욱 크

다 돼지고기 값을 예로 들면 1878년에서 1909년 사이에 273 상승했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6고 1912-1921년 사이에 75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닭은 각 50와 44

상승했다 청말은 31년간의 수치이고 민국 전기는 9년간이니 물가의

상대적 급등을 알 수 있다 1926에서 1936년까지 10년간 돼지 고기 값

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

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

세를 보이고 있다 민국 중기의 米価가 일부 lsquo穀賤rsquo 현상을 보인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음으로 물가 변동의 원인에 대해서는 군벌간의 전쟁이나 정치적

혼란 등 정치 군사적 요인을 제외하고 대체로 검토해 보았다

수요 측면에서는 湖南米의 유통이 호남 내부의 인구 증가에도 불구

하고 양자강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지속된 것이 米価 상승의 한 원

인이었다 上海나 武漢 등의 도시화와 인구집중은 이들 지역 양식 수

요를 폭증시켰다 일부 洋米 수입에도 불구하고 湖南米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으로써 米価를 상승시켰다 또 장사를 비롯한 각지의 새로운 수

공업 산업의 발달로 비농업 인구가 증가하고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유

효수요로 성장하여 米価 상승을 유도하였다 양식의 이출은 해당 지역

인구 식량을 전부 제외한 나머지 잉여가 수출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력

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청말민국기에는 호남의 내부 외부에

서 미곡에 대한 유효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것이 米価 상승의 한 요인

이었다

화폐 문제에 있어 화폐 수량의 증가가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것

은 상식이다 종래 아편전쟁 전후 은의 해외 유출 증가가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을 초래하여 물가 상승과 인민의 빈곤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지방지 등의 史料에서 검토한 결과 은전비가는 도광함풍초의

일시적 상승 후에 함풍 7년 이후는 도리어 하락하고 있다 同治 년간

에 대부분 1兩 1300文 수준에서 안정되고 있다 光緖末宣統년간에도

1600-1700文 수준으로 도광함풍 초보다는 낮은 편이다 청말민국시

기에 화폐의 남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한계를 넘었을 때 시장의 통용

거부로 마침내 중단되고 있다 청말민국기에 외국 銀元의 유입과 국내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7의 銀元 주조 銅元 지폐 외에 鈔票 市票 등 화폐 시장에 투입된 화

폐량은 엄청나게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로서는 어느 정

도 시장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외 교역과 상품량의

증대 경제 활동 인구의 증대 미곡 생산 및 농산품 생산의 증대로 화

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것이 화폐량의 막대한 증가와 유

통속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

었다고 생각된다 즉 안정 속의 물가 상승이 유도된 것이다

공급면에서 보면 대외 교역을 통한 서양 상품의 수입은 전체로서는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물건의 공급 증가를 통해서

혹은 국내 상품과의 경쟁 때문에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었

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침략과 물가 폭등이라는 도식적

견해와 달리 현실에서는 물가 억제 작용도 있었던 것이다

물가와 경기면에서 보면 물가가 비쌀 때 호경기가 많은 것은 사실

이다 그런데 lsquo穀賤rsquo 현상이 불황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서 長沙 지역의 경우를 검토해 보았다 도광함풍 년간까지 lsquo穀賤rsquo현상

과 불경기적 상황에 대한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동치광서 년간에는

米価가 등귀한 시점인데 이 시기는 紅茶業의 번성이나 각종 수공업의

번성으로 好況의 면모가 보이고 있다 민국 시기에는 민국 중기에 lsquo穀

賤rsquo의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史料上에 민국 중기의 lsquo穀賤rsquo은 임금이나

다른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다 물가 상승기와 好況

이 맞물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민국 중기는 lsquo穀賤rsquo 현상과 서로 어긋

나는 것이다 이 시기의 不況 서술은 농촌의 농민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표시이다

생활 수준에 대한 지방지 기록 등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주민들의

洋貨 사용이 보편화되고 의복 음식 주거 등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것

을 지적하고 있다 물가는 상승하였지만 同治 이전에 비하여 분명히

사치품의 소비 증대와 中人의 집도 소비 수준이 제고된 것이 드러나고

있다 민중의 빈곤은 있으나 이 시기 빈부 격차가 커지고 생활 수준의

격차가 커진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26: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4

雞蛋 個 2 2 3 4 10 15 20

草魚 斤 40 40 36 70 90 160

茶油 斤 116 69 54 150 300

鹽 斤 60 60 63 120 90 180

煤 石 50 120 50

苧麻 斤 270 99 170

棉花 斤 200 96 280

竹布 尺 70 62 60 60 90

靑洋布 尺 55 50 50 70

白蓮紙 刀 40 82 80 100

-附記 前淸 통행 制錢文으로써 단위 민국 초년에는 비록 銅元을 단위 사용하나 관습상 매 1銅元은 錢10文에 해당

圖6) 醴陵縣 物価 (a)

① 豬肉 斤당 가격 ② 雞肉 斤당 가격 ③ 茶油 斤당 가격

④ 鹽 斤당 가격 ⑤ 棉花 斤당 가격 ⑥ 草魚 斤당 가격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5

圖7) 醴陵縣 物価(b)

① 猪肉 百斤당 가격 元 ② 草魚 百斤당 가격 元 ③ 茶油 石당 가격 元

④ 鹽 石당 가격 元 ⑤ 洋紗 件당 가격 元 ⑥ 棉花 石당 가격 元

⑦ 煤油 甁당 가격 元

米価가 物価와 연동되는 것에 대해서 江都縣史料를 보면 ldquo産米 구역

에서 年末에 米価가 상승하니 百物이 昻貴했다rdquo65)라고 되어 있다 湖

南지역 米価 연구 자료에도 米価 추세는 거의 물가 수준과 같다는 주

장이 있다66)

光緖末宣統年間의 물가 상승을 나타내는 史料를 보면 다음과 같다

이제 각종 惡政의 결과로 百物의 騰貴를 초래했는데 小民의 日用 수요

65) 李文治 앞의 책 p470 ldquo江都爲産米區域 年末米価騰踊 百物因以昻貴rdquo

66) 張麗芬 앞의 책 p22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6음식은 그 가격이 십년 전에 비해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과 居室 器用

蔬饌의 비용 牛種糞漑의 비용도 예전 보다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도 비록

동일 비례로 함께 올랐으나 이미 넉넉하지 못해 괴롭다67)

이것을 보면 米価와 物価가 연동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청말

특히 光緖 후반 이후에 각종 物価가 두 배 올랐다는 사정을 알 수 있

다 上海의 物価도 같은 시기에 상승하고 있다68)

lt표11gt lt표12gt와 lt圖67gt을 검토해 보면 돼지고기 값은 광서 14

년 광서 19년까지는 다소 하락세를 보이다가 宣統원년(1909)부터 급격

히 상승하고 있다 민국원년(1912)의 가격은 160文으로 1878年의 88文

에 비해 거의 두 배에 해당한다 위에 인용한 宣統 2年 8月 國風報의 물가 두 배 인상과 정확하게 부합되고 있다 민국 전기인 1926년까

지 계속 상승하고 있지만 1926년에서 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이고 있

돼지고기 값은 1878년-1909년 사이 273 상승했고 1912-1921년 사

이에 75 상승했다 닭은 각기 50와 44 상승했다 계란은 100

100 상승이었다 淸末 비교 시기는 31년간인데 비해 민국 전기는 9

년간에 불과하다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가 급등한 것은 충분히

알 수 있다 1926년에서 1936년 10년간 돼지 값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거의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이었다

民國 醴陵縣志에도 ldquo辛亥혁명이전에는 물가가 심한 등락이 없었는

데 민국 후에 들어와서 차츰 상승했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69) 圖6)을 보

면 닭고기도 비슷한 궤적을 보이고 있다 草魚의 경우도 청말 민국전

기는 상승이 주요 동선이고 민국 중기(1926-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

67) 國風報 第1年 21期 宣統 2年 8月 (李文治 앞의 책 p561) ldquo今也以種種惡

政之結果 以致百物騰踊 小民日用 飮食所需 其価皆視十年前兩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居

室器用蔬饌之費 牛種糞漑之費兩倍于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雖以同一比例以俱騰 旣苦不

給矣rdquo

68) 岸本美緖 앞의 책 p443

6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物價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7이고 있다 譚文熙 物価史에는 민국 전기는 안정속의 상승세로 민국

중기는 파동속의 상승으로 정리를 하고 있는데 여기와는 약간의 차이

를 보이고 있다70) lt표11gt과 lt표12gt 사이의 화폐 단위 차이로 인한

연속적 파악에 다소 어려움이 있으나 대체의 추세는 짐작할 수 있다

또 품목에 따라 공란이 있어 연결 관계가 애매한 부분이 있다 1936년

이후는 중일 전쟁의 혼란과 불환지폐의 강제 통용 등의 사정으로 本考

에서는 분석 대상 범위에서 제외 하고자 한다

Ⅱ 物價 변동의 원인

1 수요 측면

米価와 物價가 상호 연동관계에 있고 넓은 의미에서는 米価도 물가

의 일부이다 米価 및 물가의 상승은 우선 수요의 증가에 원인이 있다

고 할 것이다 수요증가는 일반으로 인구 증가이다 湖南의 인구는 嘉

慶21年(1816) 18754259명에서 1898年 21174000명으로 다시 民國17년

(1928)에는 31501212人으로 비약적 성장을 하였다71) 약 110년 동안

인구가 1300만 가까이 증가하였고 비율로는 679가 증가하였다 長沙

府의 인구도 가경 25년(1820)에서는 4290086명이었는데 민국23년

(1934)에는 8421330명으로 약 400만명 이상 증가하여 963 상승을

보이고 있다72)

인구의 증가가 수요 증대를 초래하는 일반 요인이지만 湖南의 米穀

移出이 해당 지역 민중의 식량을 제외하고 남는 잉여 米만은 아니다

70) 譚文熙 앞의 책 pp302-307 여기서는 민국 전기는 1912-1927년 민국 중기

는 1927-1937년으로 구분하고 있다

71) 湖南省志 地理志 (長沙 湖南人民出版社 1982) pp230-238

72)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8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의 증대가 더 중요한 요인일 것이다 淸末에

와서 새로운 생업을 통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가 많이 증가하고

있는데 醴陵縣 사례를 한번 검토해 보겠다 史料는 다음과 같다73)

同治志에 이르기를 醴陵의 풍속은 lsquo安土重遷rsquo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상인이 外地에 나

가 장사하는 이가 적었다 배를 이용하여 외부 상업을 하는 것은 淥口 부

근의 米穀商일 뿐이었다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邑人들이 茶제조로 武漢에 판매하는 자가

이익이 배가 되었다 이때부터 龍門일대에 매양 봄에 茶를 제조하고 가리

는 廠이 항상 수십이었다 光緖末年에는 도자기업 夏布 編爆이 일어나서

대신하였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이를 믿고 생계를 삼는자가 무려 십만인이다

同治志 편찬 단계만 해도 사람들이 토착 안주하여 멀리 이동하는

것을 어렵게 여겼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큰 이익을 보고 그

후 도자 기업 夏布 編爆 제조에 종사하여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나 되었다는 것이다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의 성장을

보여주는 것이다 長沙의 빠른 도시화도 주목된다 長沙日報에 실린

내용을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74)

光緖32년(1906)에 火災 조사시에 城廂 내외가 매일 식량으로 穀 5000

石이 필요하였다 지금 교통이 편리하고 상인 旅客이 배로 증가하였으니

매일 마땅히 1-2000石을 더해야 한다(宣統 2年(1910) 2月 17日 長沙日

報)이것을 보면 光緖32년(1906)에서 宣統2년(1910)은 불과 5년이 채 되

지 않는데 상인 집단이 배로 증가하였다니 城內外의 유동인구 급증을

짐작할 수 있다 長沙城의 인구는 1916年에 177882人이었고 1931年은

385514人으로 증가하였다 불과 15년 사이에 1167 증가이다 배 이

73)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ldquo同治志云 醴俗安土重遷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商賈外

貿者少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揚帆外貿則 僅淥口附近之穀米商而已 光緖初 紅茶業興 邑人製茶

販運 漢皋者 獲利倍蓰自是來龍門一帶 每屆春日 製茶捒茶列廠恒數十 訖於光緖

末年 則有瓷業及夏布編爆起而代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恃以爲生者 無慮 十萬人rdquo

74) 李文治 앞의 책 p551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9상이 증가하였으니 長沙의 도시화도 급속히 진전 되고 있다75)

민국10年의 湖南 實業雜誌 보도를 보면 당시 長沙에 蓆工 500人

刻字工 300人 방직공 3200人 이발공 800人 香工 400人 합계 5200人

이 있었다 長沙大公報에 의하면 민국9년(1920)에 長沙에는 부두공

2600人 糞夫 500人 轎夫 1300 車夫 2300人으로 합계 7000人 정도

가 있었다76) 같은 시기 호남성의 광부가 160萬人이고 여기에 手藝工

苦力을 합치면 190만 전후였다고 한다 예릉현에서는 東鄕 일대에서

編爆業 종사자가 수만이고 東北兩鄕에서 磁廠의 女工도 수천이나 되었

다는 기록도 있다77) 湖南 邵陽縣에서도 淸末에 工匠이 5만 상인이 12

만 정도였다는 통계도 있다78) 이렇게 비농업 인구가 다른 생업을 통

해 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로 증가하고 있던 것이 확인된다 이런 유

효 수요 증가를 설명해 주는 다른 史料 하나를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

다79)

어째서 米穀이 날로 적어지고 날로 비싸지는가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水旱災가 날로 많고 농사짓는데 날로 게으르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말은

진실로 일리가 있는데 다 그런 것은 아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선교사 洋商 洋官 洋

兵은 증가한 것이 외국에서 온 사람이다 敎民 游民 賭民 盜民은 內地

에서 증가한 자이다 무릇 농사짓는 사람은 하나인데 먹는 자는 헤아릴

수가 없다 米穀이 어찌 비싸지 않을 수 있겠는가

光緖後期의 사정을 전하고 있는 위 史料를 보면 외국에서 온 선교

사 상인 군인 관리 등도 米価 상승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국내

외를 막론하고 비농업 인구의 급격한 성장이 米価 상승의 원인이라 생

각된다

湖南과 長沙의 米穀은 해당 지역 안에서 소비되는 것보다 揚子江

75) 張朋園 中國現代化的區域硏究 -湖南省 (台北 1998) p376

76) 위의 책 pp412-413

77)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農業經濟

78) 光緖33年刊 邵陽縣鄕土志 권2 인류 실업

79) 李文治 앞의 책 p77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0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많다 청말민국시기에도 지속적인 湖南米의

移出이 있었던 것은 이미 밝힌바 있다80)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穀

米가 騰貴한 이유가 外省의 采辦이 많은 때문이라고 하고 있다81) 상

담현에서도 동치 4년(1865)이전에 해마다 풍년이었는데 穀価가 까닭

없이 騰貴한 것은 江南이 처음 회복되어 米穀의 販運이 많아진 때문이

라고 하고 있다82) 1898年에도 長沙에서 米穀의 원거리 送出을 바라는

지주 富戶와 주민의 갈등 관계가 노출되고 있다83) 宣統2年(1910)의 기

록에도 湖北의 흉년으로 出境 米穀이 과다하여 米価가 급등했는데 작

년 末에는 1石5000文이었다가 금년에는 1石 8000文에 이르렀다는 내

용이 있다84) 같은 자료에 湖南米가 당도 하지 않으면 武漢에서 변란

이 일어난다고 할 정도이다

하류의 上海는 한적한 어촌에서 근대에 대도시로 성장하였다 武漢

上海등의 도시화와 상공업 발전 인구 집중은 長沙米의 급격한 수요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宣統 년간에 長沙가 전국적인 4大 米市의 하나

로 성장한 것은 우연한 일은 아니다85)

근대에 대외 교역증가가 물가 상승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생각된

다 1873년에서 1930年 사이에 농산물 수출 통계는 1910년을 100으로

했을 때 1873년은 12 1893년은 123 1903년 386 1920년은 1324

1930년은 2709로 급상승하고 있다86) 농산물의 수출은 해외 수요의 증

가이다 이런 교역상 수요 증대는 가격의 등귀 뿐 아니라 작물 재배

면적의 확대에도 기여하고 있다

80)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81)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20

82) 光緖6年刊 湘潭縣志 卷29 災祥志

83) 湘報 89號 長沙縣職員常達邦呈批

84) 李文治 앞의 책 p381

85) 徐正元 中國近代農産商品化的發展與米市的形成 (復印報刊經济史 1997年3期)

86)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권2 p14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1宣統2년(1910) 長沙에 영국 상인이 출현하여 米穀 구매를 단행하자

米価가 하루에 여러 번 급등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였다87) 湖南에서

는 또 광동 상인의 영향을 받아 紅茶 제조법을 습득하여 홍차를 대량

생산하여 구미에 수출하였다 19세기 60년대부터 20세기 초에 특히 호

남 茶 생산 판매가 극히 발달하였다88) 주요 산지 중에는 長沙 湘潭

安化 등이 손꼽히고 있다

桐油의 수출 또한 괄목할 만한 것이다 湖南의 桐油 수출은 1922년

전국의 3336 1923년은 372로 성장하였다 1929년에는 全省 수출

총액의 45 정도를 차지하였고 桐油 상품화율 80에 달하였다89) 대

외교역을 통한 농산품의 해외 수요 증가는 직간접으로 물가 상승에 작

용하고 있다

2 화폐 문제

물가와 화폐의 관계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통상 화폐 수량의 증가가

생산총량의 증가보다 초과할 때 물가상승이 일어난다90) 보통 淸 후기

에는 아편무역에 따른 銀의 해외 유출과 그 결과 야기된 lsquo銀貴錢賤rsquo 현

상 통화팽창에 의해 물가가 상승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91)

실제 淸末民國기에 걸쳐 통화 팽창과 물가 상승에 대한 기록을 찾

는 것은 어렵지 않다 王業鍵에 의하면 淸末 특히 1875年부터 1911年

까지는 인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단계였다고 한다92)

民國 寧鄕縣志에 보면 ldquo光緖29年(1903)에 처음으로 當十銅元을 주

87) 李文治 앞의 책 p550-551

88) 劉泱泱 앞의 책 p46

89) 宋斐夫 主篇 湖南通史 現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5 p276

90) 陳民 法幣發行制度與通貨膨脹 (復印報刊經济史 2001-1)91) 龔勝生 앞의 책 pp275-280 岸本美緖 앞의 책 p444 張麗芬 앞의 책

p217

92) Yeh-chien Wang Secular Trends of Rice in the Yanzi Delta 1638-1935(California Univ Press 1992)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2조하여 전국에 통용시켰는데 물가의 등귀가 이때부터 시작되었다rdquo는

기록이 있다93) 醴陵縣에서는 光緖32年에 當十銅元을 주조하여 制錢과

병행시켰고 宣統원년에 銀元이 이미 성행하였다 민국원년에는 當二十

銅元을 주조하였는데 雙銅元이라 칭하였다94) 영향현에서도 광서말에

私鑄錢인 毛錢이 나오고 지폐가 통용되는 등 통화팽창이 상업을 일변

시켰다고 한다95)

종전에 비해 실질 가치가 열악한 當十 當二十 등 銅元의 남발과 鈔

票의 성행은 화폐 시장의 과잉을 초래하였다 정식의 鈔票 이외도 각

현 발행의 私鈔와 錢莊에서 발행한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시중에 범람

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민국 시대에는 화폐 남발이 더욱 심하였다 호

남은행을 비롯한 저축은행 농업은행 등이 각기 각종 지폐를 발행하여

혼란이 가중되었다 1915년에 호남의 은행은 33개인데 그 중 장사현 7

개 상담현이 7개였다96)

군벌들이 은행을 개설하거나 질 낮은 화폐 통용을 강제하는 등의

혼란이 민국시기 특징 중의 하나이다97) 화폐 시장에는 銀元 銀角 銅

元 지폐와 鈔票 市票등 유사 화폐까지 복잡middot혼란의 양상이 나타나고

결과적으로 물가 상승을 피할 수가 없었다

선통2년(1910) 격렬한 米価 騰貴가 있었고 長沙에서 대규모 搶米 폭

동이 일어났는데 이것은 단순한 흉년때문이 아니고 銅元 남발 등 화폐

제도 혼란에 기인한 것이었다98) 1880년대 초부터 1920년대까지는 인

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시기로 매년 33 비율로 상승하였으며 1930년

총 화폐보유고는 60억 원에 달했다 반 세기간 화폐 공급은 8-10배 증

가하였다99)

93)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ldquo光緖 二十九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始鑄當十銅幣 通

行全國 物価之踊始此rdquo

94) 民國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95)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財用錄 상업

96) 張朋園 앞의 책 pp258-259

97) 宋斐夫 앞의 책 pp10-12

98) 岸本美緖 앞의 책 p51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3

時期 銀(兩) 錢(文) 出典

乾隆 嘉慶년간 10 1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道光 初(1821) Prime 1300-1400 Prime

Prime 18年(1838) Prime 1400 林則徐湖廣奏橋 권3

Prime 25年(1845) Prime 2000上下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Prime 末年(1850)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咸豊 元年(1851) Prime 2000 民國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咸豊 初 Prime 2300-2400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8 부역

咸豊 3年(1853) Prime 20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5年(1855)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Prime 6年(1856) Prime 2000 湖文忠公遺集 권12

Prime 7年(1857) Prime 1600 骆文忠公奏議 권7

Prime 8年(1858) Prime 1400 胡文忠公遺集 권85

Prime 10年(1860) Prime 1300-1400 胡文忠公遺集 권70

同治 2年(1863) Prime 13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7年(1868) Prime 1300-1400 李瀚章 瀝陳湖北等省漕務

Prime 10年(1871) Prime 1600-1700 同治10年 長沙縣志 권8 부역 錢法

光緖32年(1906) Prime 1600 長沙日報 宣統2年 2月27日

선통 2年(1910) Prime 1700 國風報 宣統2年 3月 21日

표 지방지에서 직접 採錄제외는 龔勝生 淸代兩湖農業地理 pp270-277에서 湖南부분을 발췌하여 再引用한 것임

表13) 湖南의 銀錢比値

그런데 아편전쟁 전후 銀의 과도한 해외 유출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이

초래되고 이것이 물가 상승의 주요인이라 생각되고 있는 데는 약간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表13)을 보면 銀錢比価가 일시적으로 상승하였다

가 다시 하강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은전비가는 지역에 따라 차

이가 있지만 호남 장사를 위주로 정리한 것이 표13)이다100)

99)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0) 邱思達 中國近現代鑄幣圖說 (北京 中國書店 1991) p109 참조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4

주목되는 것은 道光末에서 咸豊初에 일시적으로 상승하였지만 淸末

의 比価가 낮은 편에 속하는 현상이다 청말에 은전비가가 비교적 안

정되고 있는 것이다 아편전쟁 후 5항 개항으로 교역이 확대된 상황에

서 아편무역 증대에도 불구하고 차와 silk 수출에 힘입어 은의 순유입

이 오히려 증가되는 현상이 나타났던 것이다101) 또 光緖17년(1891)이

후 세계 銀価하락 현상으로 은유입이 증가되었다102) 19세기 후반 중

국이 세계 사회에 연결되면서 중국의 무역 적자에도 불구하고 淸 정부

에 대한 대량 차관과 자본 투자를 통해서 거대한 양의 銀이 중국에 유

입되었다 1871년에서 1913년 사이 은의 순 수입은 2억 4천만 海關兩

혹은 3억 6천만 銀달러로 추정되고 있다 세계 시장의 은가 하락과 은

의 대량 유입은 중국의 국내 시장에서 물가 상승을 유도한 것이다103)

이런 배경으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은 일시적인 것이고 청말민국기 전체를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민국 시기에는 銀元과 錢의 교환 비율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은의 유입 현상에도 불구하고 宣統 원년 11150文의 비율에서 민국6년

2250文 민국11년 2840文 민국17년 3500文 민국22년 7200文까지 급등

하고 있다 예릉현의 기록이지만 이것으로 청말보다 민국시기에 통화

팽창현상이 극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4)

銀과 錢이 주요 화폐이고 그 환율이 항상 문제가 되고 있지만 주로

청 후기 이후는 錢文 위주의 경제로 바뀌고 있다고 생각된다 長沙府

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면 대부분 道光 이후는 화폐를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淸 前期는 米価를 銀으로 표시하던 것과는 대조적이

다105) 예릉현에서는 민간에서 세금을 납부하거나 大宗무역을 할 때를

101)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2) 邱思達 앞의 책 pp92-93

103)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4)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10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光緖3年刊 善化縣志 同治13年刊 湘鄕縣志 光

緖15年刊 湘潭縣志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民國37年刊 醴陵縣志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5제외하고 紋銀 사용자가 거의 없다 도광 이후 교역시 대부분 錢文을

사용했다는 기록을 보면 淸 後期는 錢 경제 위주로 넘어간 것 같

다106) 세금을 낼 때 외에 銀錢이 필요 없는 일반민은 錢文 사용권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너무나 당연하다

함풍4년에 長沙에서 大錢을 주조하여 통용시켰으나 결국 시장의 신

뢰를 얻지 못하여 퇴출되고 말았다 1854년 7월에 주조를 시작하여

1855년 4月에 주조를 정지하였다107) 이것을 보면 통화 남발도 결국

시장의 제약을 받고 있다

민국 7년(1918) 3月 張敬堯가 裕湘銀行을 개설하여 銀元票 1000만元

銅元票 3000만元을 발행하였다 그 결과 시장은 혼란에 빠지고 시중금

융은 마비 상태가 되었으며 결국 裕湘銀行 발행의 惡幣는 폐지와 같이

되었다108) 권력에 의하여 통화 팽창이 시도되더라도 시장이 감당할

수 없는 지경이 되면 중단될 수밖에 없다 과도한 통화 팽창은 시장의

질서에 의해 어느 정도 제약 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예릉현에서도 光緖 년간에 錢莊 24곳이 출현하여 盛業을 누렸는데

民國7年(1918) 兵禍로 停業하는 곳이 많아졌고 정부의 통화 남발 화폐

가치 하락 금융혼란의 현상이 나타났다109) 민국18년(1929) 이후는 정

국이 안정되고 교통 편리로 百業이 진흥되고 은행이 역할을 하게 되었

이상에서 보면 淸末까지는 은전비가가 안정되고 통화 관리가 어느

정도 성공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光緖 宣統 시기에 銀元의 주조 외국

銀貨의 대량유입 當十銅元 등 주조로 통화팽창이 많이 되었고 이시기

물가 상승과 연관되고 있다 민국 초기에도 정국 혼란과 무계획적 통

화남발로 물가의 급등을 초래하였다 민국 중기에는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것 같다

106) 龔勝生 앞의 책 p279

107) 劉泱泱 앞의 책 pp150-155

108) 宋斐夫 앞의 책 pp10-11

10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6영향현에서도 민국 21년(1932) lsquo穀賤錢荒rsquo의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

다110) 청말민국기에 전반적으로 화폐량의 증가가 현저했던 것은 사실

이다 다양한 화폐의 등장 銀兩 銀元 銅錢 銅元 외에 외국 銀元의 유

입 그 외 鈔票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출현하였으며 양적인 팽창도 분

명하다 하지만 대외 교역 증가와 경제 활동 인구의 증가 유통 상품의

양적 증가에 의해 시장의 화폐 수요가 증대된 것도 사실이다 통화 발

행은 일차적으로는 경제 주체의 수요에 부응하는 것이지만 그것이 과

도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3 공급기타 요소

물가는 기본적으로 수요공급의 관계에서 결정되는 것이 원칙이다

청말민국기에 걸쳐 인구가 급증하여 물가가 상승한 것은 자연스런 일

이다 그러나 물가 상승률 면에서 청말의 경우가 18세기의 증가율에

비해 크다고 할 수 없다 물가 상승률을 억제하면서 비교적 안정 속의

상승을 할 수 있었던 것은 공급의 증가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청말민국기에 湖南米의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 현상이 지속된 배경

에 비약적인 경지 면적 확대와 새로운 품종 개량 시비법 발전 등 농

업 생산 증대가 있었다는 것은 이미 밝혀진 바 있다111) 米穀 공급의

증대가 물가 상승을 완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雜糧 재배가 同治

(1862-74) 년간에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민중의 식량 문제 해결에 기여

하고 米価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던 것을 城步縣 知縣 盛溢源을

통해서 알 수 있다

洋米 수입이 國産米의 보충 역할을 했다는 지적이 있지만 결국 시

110) 民國30年刊 寧鄕縣新志 전1 縣年記

111) 田炯權 淸末民國期 湖廣地方의 農業生産力과 生産關係 (慶南史學 7

1995)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2001)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

究 25 200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7장에 대한 미곡 공급을 증대시켜 가격 안정에 기여했다고 생각된

다112)

민국 시대 관련 사료를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113)

금일 정세를 보면 국내 米価의 등락은 결코 國産米의 생산량이 많고

적음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외국 産米 구역의 풍년 여부에 따라 영

향이 대단히 크다

이것을 보면 洋米 수입이 國産米価를 조절한다고 볼 수 있다 비슷

한 시기 上海에서도 湖南米가 수입 米의 영향으로 가격이 약간 적게

올랐다는 史料도 있다114) 湘報에도 日本米가 수입되어 중국의 米価

가 차츰 내려갔다는 기록이 있다115) 같은 湘報에 보면 ldquo외국물산이

날로 풍부하여 중국 상품의 판로를 막는데 서양 상품의 가격이 낮으면

중국 상품 가격이 홀로 증가할 수 없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116) 결국 洋

貨도 중국에서는 시장에 대한 상품 공급의 증가이고 이것이 상품 가격

상승을 억제하고 있는 것이다 같은 자료에 중국의 土藥이 널리 판매

되니 외래 洋藥의 가격이 폭락한 사정도 소개되고 있다117)

또 洋蠟의 수입으로 국산 白蠟 가격이 매 100斤 200元에서 100元으

로 폭락한 일도 있었다118) 1921년 독일 면화가 대량 수입되어 중국의

綿価가 하락한 일도 있다119) 光緖년간 부터 중국이 綿紗 생산을 개시

하자 華商과 洋商사이에 가격 경쟁이 시작되었다 수입 綿布도 洋商이

國産布와 경쟁하기 위해 가격을 낮추어 공급하였다120)

112) 王良行 淸末對外貿易的關聯效果(1860-1911) (近代中國對外貿易史論集1997)

113)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卷3 p413

114) 위의 책 p416

115) 湘報 제45호 p1419

116) 湘報 제13호 ldquo外洋之出産日盛 足以抵華貨之銷路 洋価低則華貨不能獨增rdquo

117) 湘報 제162호 p1608

118) 章有義 앞의 책 권3 p662

119) 譚文熙 앞의 책 p342

120) 譚文熙 위의 책 p368 p374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8상인의 가격 조종이 물가 변동에 하나의 요소는 될 수 있다 예릉현

의 土資 판매에 있어 객상의 가격 조종에 저항하기 위해 주민들이 公

司를 조직하여 가격을 바로 잡았다는 기록도 있다121) 지주 부농 米商

등의 매점매석에 의한 가격 조종 사실은 흔히 발견된다122) 秋收期에

시장에 대량 방출된 곡식을 저렴한 가격에 매입하여 端境期에 되팔아

이익을 남기는 것은 상인의 오래된 관행이다 이윤 추구를 위한 개인

의 행위지만 넓게 보면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행위이기도 하

다 각지 농산품 가격 변동 조사에서 원인이 밝혀진 10건 가운데 전쟁

이 2건 豊凶 水旱災가 7건 상인 조종은 단 한 건 뿐이었다123) 제국

주의 상인에 의한 가격 조종이라는 것도 결국 중국 상인의 이윤 추구

행위와 본질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湘報의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124)

輪船이 이미 통행하고 있고 철로가 이미 만들어 졌다 제조업이 날로

번성하고 통상조약이 행해지니 상인이 계속 내왕하고 온갖 상품이 유통

된다 사계절 틈이 없으니 일용 각 물품이 그 가격이 반드시 저렴할 것

이다

이것을 보면 통상 개시 후 교통이 발달하고 상품 교역이 증대된다

는 것과 그 결과 일용품의 가격이 저렴해졌다는 것을 당시인이 인식하

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서방 각국과의 무역 증대는 상품 공급의 증가

이고 가격 경쟁을 통해 물가 상승을 완만하게 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

121)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22) 李文治 앞의 책 p559

123)湘報 제49號 ldquo輪船旣行 鉄路旣造 製造日盛 商約可行 商賈絡繹 百産流通

歲時無間 則日用物品 其価必廉rdquo

124) 安本美緖 앞의 책 제7장 pp239-288 제12장 431-455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9

Ⅲ 物價와 景氣(생활)

1 穀賤傷農과 不況

物價 문제를 단순히 등락의 흐름에만 주목하기보다 경기변동론적

입장에서 好況 不況의 문제로 연관시켜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

이다 岸本美緖는 康熙年間의 lsquo穀賤rsquo 현상이 不況과 연결되어 있고 光

緖年間 蘇州의 不況도 lsquo穀賤rsquo이 원인이었음을 지목하고 있다125)

그런데 長沙府 중심의 湖南의 사정을 검토해 보면 lsquo穀賤rsquo 관련 기록

이 道光 咸豊 시기와 民國 中期에 집중되고 있다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26)

道光 25年(1845) ldquo穀賤斗穀錢五十文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値穀賤錢価亦賤 民甚苦之rdquo

장사현과 縣治를 長沙城 내에 두고 있는 善化현에서도 같은 해에

비슷한 기록이 있다127)

道光25年 穀賤自十五年起 連年俱穀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中下戶苦之

咸豊5年 穀賤

장사현 기록을 보면 穀価도 싸고 錢価도 싸서 민이 고통 받는다 했

으니 이 당시 은의 해외 유출과 은전비가 문제로 민중이 고통 받은 사

실을 알 수 있다 선화현은 장사현과 연접하고 통합과 분리가 단속되

었던 거의 동일 지역이다 선화현 기록을 보면 도광25년의 lsquo穀賤rsquo이 해

당년도만의 일이 아니고 道光15年(1835)부터 계속된 현상임을 밝히고

있다

12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33 祥異

126)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127) 民國30年刊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0인근의 寧鄕縣에서 보면 ldquo道光26年 歲豊 穀奇賤傷農 佃農以穀賤大

困rdquo이라는 기사가 있다128) lsquo穀奇賤rsquo이라 하였으니 평상시 보지 못한

하락이었다고 생각된다 더구나 소작료 납부가 대부분 현물지대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佃農은 米穀의 상품화 과정에서 배제되었다는 종전의

통념과 달리 佃農도 곡가 하락으로 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같은 기록에 함풍원년에도 ldquo有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以穀賤漕折苛rdquo라 하고 있어

역시 곡가 하락으로 세금 납부에 곤란을 겪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장사부 內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아도 同治 년간에는 lsquo穀賤rsquo 기

재가 보이지 않고 전술한 도광 함풍 년간에 집중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후의 기록을 찾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ldquo湖南自夏秋以來雨暢時若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故無論高低田畝咸稱大稔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甚

賎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反有入不敷出之慨矣rdquo (益聞錄 69号 광서6년828)129)

ldquo(長沙農村) 近年來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穀米求售 価値至賤 日用各物 則又極昻 收穫所

得 不足顧其工本 多已漸陷于無力耕種之境rdquo (新靑年 7권 6호 1920년 5

월)130)

ldquo湖南近年來之天災人禍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天災旣足以減少收量 地方不靖 産品滯銷

価値復因以低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而生活日昻 工価及日用物品 繼續增漲 收入支出 常苦

不得平衡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rdquo (中國棉産改進統計會議專刊 1931)131)ldquo湘省爲産穀素豊之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年歲收 屢佔大有 而長江流域亦値豊收 更

有大宗洋米 運貨傾銷致湘米頓失市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価格低賤 不僅農村經濟 陷于絶

境 市面金融 亦大受打擊rdquo (銀行週報 18권 9기 1934313)

이외에도 1936年의 사실로 호남의 武岡 東安 일대에서 lsquo豊年穀賤rsquo으

로 省城에 운반할 때 운송비와 각종 捐稅 부담을 감당할 수 없어 陳米

를 불태웠다는 기록이 있다

128) 李文治 앞의 책 p557

129) 章有義 앞의 책 권2 p432

130) 章有義 앞의 책 권3 p795

131) 章有義 위의 책 p620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1이것을 보면 주로 1930년대에 lsquo穀賤rsquo과 不況이 집중 묘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lsquo穀賤rsquo 즉 불황이라고 하면 도광함풍초의 곡천과 불

황 同治光緖宣統期의 lsquo穀貴rsquo즉 好況 다시 民國 전기의 好況 民國 中期

의 불황으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물가의 상승기가 호황적 국면이라는 것은 알려

져 있지만 이것은 전체 물가의 문제이다 위 자료에서 보면 1920년 장

사 농촌에서는 곡가는 싼데 일용품 가격은 극히 높다고 하고 있고

1931년의 기록도 工價와 일용품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농민이 다수를 점하기 때문에 미곡가의 하락은 농민 수입 감소

와 구매력 저하를 가져오고 이것이 농촌 불황의 한 요인이 될 수 있

다 그러나 工賃과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시장의 한계 안에서의

일이다 또한 실업률과 고용 지표 등도 고려되어야 하는데 만족할만한

통계의 부족으로 명확한 답을 얻기는 어렵다

그런데 米価와 물가는 개별 년도나 시점에서 서로 상이한 궤적도

있지만 圖2 3 6 7을 보면 대체적으로는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예릉의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광서 4년(1878)에 비하여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1912)에는 현격한 상승세였다가 그 후에 등락을 거듭

하고 있지만 민국25년(1936)의 경우는 광서4년보다는 높거나 유사한

경우가 많다

2 생활 경기의 발달

당시인들이 체감하던 생활 경기의 수준이 어떠했는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

光緖刊 善化縣志를 보면 다음과 같다132)

132)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16 풍속 附論 ldquo古人 酒肉以養老 而今則黃口稚子

無不酒肉之人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日不旦穀貴鹽貴 而酒肉皆貴 則好惡可知矣 一今鄕間柴炭

其価數倍於昔日 瀕河之地 莫不燒煤rdquo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2옛사람들은 술과 고기로 노인을 부양하였는데 지금은 어린아이도 술과

고기를 먹지 않는 이가 없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요사이 미곡과 소금이 비쌀 뿐 아니

라 술과 고기가 모두가 비싸니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지금 향간에 柴炭이 그 값이 예전보다 수배인데 하천 근처 사람은

煤를 때지 않는 사람이 없다

同治 攸縣志 에도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33)

예전에 士大夫도 집에 있을 때 엄동이 아니면 가죽옷을 입지 않았다

지금 關中의 가죽옷 상인이 유현에 와서 1년에 은 만여 냥을 얻을 수 있

다 기타 비단 옷은 蘇州 杭州 및 嶺南에서 오는 것이 또 배가 되니 1년

에 수만금을 소비한다

醴陵縣에서도 비슷한 인식을 볼 수 있다134)

ldquo예전 풍속이 儉樸하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이 명절 아니면 고기를 먹지 않고

慶弔事가 아니면 술을 베풀지 않고 손님 접대는 닭 잡는데 그치고 鮮味

는 생선에 그쳤고 縣城의 食肆는 飽麵茶館에 그치고 酒席으로 業을 삼는

자가 없었다

지금은 酒樓菜館이 거리에 가득차고 中人의 집에도 술자리가 베풀어지

고 사치를 다툰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예전에 士類大半이 淥江書院에 모이면 그 가운데 비단신을 신은 자가

불과 수인이었고 羊가죽 옷을 입은 자가 불과 1 2人이었다 지금은 비단

신과 가죽옷이 거의 常服이 되었고 日用品은 舶來品이 많다rdquo

이 내용을 보면 예릉현의 생활 수준이 급격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예릉현지 기록에는 부인들이 上海의 유행을 쫓아 사치를 추구한

다는 내용도 있고 청말부터 外貨를 서로 자랑한다는 내용도 있다 종

133) 同治10年刊 攸縣志 권18 풍속 衣服 ldquo衣服 昔時 士大夫 家居非嚴冬不御裘

今關中裘商來攸 歲可得銀萬餘兩 其他錦繡之運自蘇杭及嶺南者 則又倍之 計一歲

之戶 所費數萬金rdquo

134)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4장 풍속 생활 ldquo旧俗民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非令節不

食肉 非慶弔不置酒 欵客止於殺鷄 鮮味止於草魚 縣城食肆 止於飽麵茶館 無以酒

席爲業者 今則酒樓菜館 遍於街市 中人之家酬酢往還 爭奢鬪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旧時士類

大半 集於淥江書院 一院之中 著緞鞋者 不過数人 襲羊裘者 不過 一二人 今則絲

履皮袍殆成常服 日用之品 多自舶來rdquo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3전에 菜油 棉油로 燈을 켜다 집집마다 煤油를 사용한다거나 세탁시

茶枯鹼水를 쓰다가 대부분 비누를 사용하는 일상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135)

또 寧鄕縣에서도 ldquo同光之間 地方安寧 家給人足(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함)縣城商業 於時爲盛rdquo이라 하고 있어 同治(1862-74) 光

緖(1875-1908) 시기가 好況이었음을 알 수 있다136) 湘報에도 ldquo民間

之喜用洋貨日甚一日rdquo이라 하고 있어 洋貨 사용의 확대를 짐작할 수 있

다137)

광서년간 무역이 확대되고 여기에 대해 유익하다는 인식의 기록이

湘報에 나오고 있다138)

ldquo輪船과 철로가 개통되고 항구 개항이 증가 되는 것은 실로 중국에 유

익하고 손해가 없다 저 눈이 콩만큼 큰 자가 걸핏하면 통상이 중국에 해

가 된다고 하니 어찌 심히 어리석지 않은가rdquo

무역 확대를 지적하고 통상이 유익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예릉현

지에도 同治志에는 풍속이 lsquo安士重遷rsquo하고 상인이 외부 활동하는 자가

적었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고 光緖末에 도자기 夏布 編爆業

이 일어나 융성하여 이에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 넘는다고

하고 있다139) 예릉향토지에도 商旅 왕래가 예전보다 10배라는 서술이

있다140)

장사시의 行業발달 상황을 보면 민국 5년(1916)에서 民國22年(1935)

사이에 식품업은 281⟶2124 사치품은 171⟶1128 복장은 43⟶2028 農

礦은 621⟶1156 洋貨 127⟶233 금융 130⟶164 공예 2121⟶3344 문구

17⟶355 등 비약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141)

135)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 工商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6장 실업

136) 民國30年刊 寧鄕縣志 財用錄 民業

137) 湘報 제13호 1898年 3月 21日

138) 湘報 제162号 1898年 9月 23日

13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40) 民國15年刊 醴陵鄕土志 제6장 실업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4이것은 장사의 생활수준 향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당시에

通商의 확대 주장도 湘報에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142)

이상에서 보면 청말민국기에 대체적인 추세는 好況이었다고 생각된

다 생활 수준의 향상이 눈에 띄고 米価와 물가도 연동되면서 상승하

는 추세였다 米価의 상승이 구매력 수준의 제고가 되기 때문에 米穀

생산 중심지역에 상인들의 行號가 집중되는 것이 보였다143) 임금의

경우에도 호남 汝城縣에서 실질 임금이 유지 또는 상승하는 것을 확인

한 바 있다144) 全漢昇도 1875년부터 1925년까지에 걸쳐 四川 合江현

의 임금과 물가 변동의 추세가 거의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바 있

다145) 앞서 인용한 1931년 中國棉産改進計劃 에도 임금과 일용품 가

격이 함께 오른다고 하고 있어 임금이 물가에 연동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생활 수준 향상을 기록하고 있던 지방지에도 빈부 격차를 암시하는

내용이 있고 物力이 날로 쇠퇴한다든지 하는 기록이 있다 대외 무역

이 적자라 하더라도 차관 원조 뿐 아니라 외국 상인의 진출이 자본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好況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Ⅴ 結 言

이제까지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이후 民國中期인 1936年

까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여 米価와 물가 변동 물가 변동의 원인

141) 張朋園 앞의 책 p387

142) 湘報 44호 中外通商利害論 湘報 67号 論湖南茶務急宜整頓

143)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144)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9 1998)

145) 安本美緖 앞의 책 p2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5물가와 생활 경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米価 변동은 단기 변동에 있어서 전쟁이나 天災 등의 특수한 사정

의 해를 제외하고는 光緖 년간에 비해 민국 중기의 계절 변동폭이 축

소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米価의 계절 변동을 완화 시

켜 주는 雜糧의 재배가 湖南 지역에서는 대부분 同治 년간에 보급 확

대가 되고 있다 교통과 상업 발달 등의 이유로 청말에서 민국기로 갈

수록 계절 변동폭을 축소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변동에서는 長沙府縣의 물가 변동 예릉현 물가 변동 등을 살

펴 볼 때 전체로서는 상승 추세 중에 도광 함풍 시기의 低米価 同治

년간의 高米価 光緖전반의 低米価 光緖後半에서 宣統 년간의 高米価

民國 前期의 高米価 民國 中期의 低米価의 등락을 보이고 있다

民國 中期의 米価는 長沙 8개년 米価 추세에서도 안정속의 상승세

를 보이고 있다 명목상 수치 뿐 아니라 米価의 상대 물가로 보는 실

질 구매력도 宣統 民國元年에까지 급상승하였다가 민국 시기 등락을

거듭하지만 민국25년(1936)까지 광서4년(1878) 대비 유지 또는 상승 추

세였다

物価변동은 개별 상품에 따라 편차가 있고 米価와는 전혀 상이한

궤적을 그리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米価와 연동 관계를 보이

고 있다 1898년 물가의 단기 변동은 이상할 만큼 변동폭이 크지 않다

당시 물가 조사자의 보고가 정확했는지 의심될 정도이다 1935년의 장

사 물가에서 단기 변동을 보면 변동폭이 100이상인 夏布 毛筆 麵粉

棉布등을 비롯하여 50 이상인 오리털 흑연 성냥 국산 전지 등을

비롯하여 40 이상인 비누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기 변동폭

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 이것은 이런 물품들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

성이 크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物価의 장기 변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米価와 대체로 비슷한 궤적

을 보이고 있다 청말에서 민국전기에 걸쳐 물가 상승폭이 두드러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 상승폭이 더욱 크

다 돼지고기 값을 예로 들면 1878년에서 1909년 사이에 273 상승했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6고 1912-1921년 사이에 75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닭은 각 50와 44

상승했다 청말은 31년간의 수치이고 민국 전기는 9년간이니 물가의

상대적 급등을 알 수 있다 1926에서 1936년까지 10년간 돼지 고기 값

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

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

세를 보이고 있다 민국 중기의 米価가 일부 lsquo穀賤rsquo 현상을 보인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음으로 물가 변동의 원인에 대해서는 군벌간의 전쟁이나 정치적

혼란 등 정치 군사적 요인을 제외하고 대체로 검토해 보았다

수요 측면에서는 湖南米의 유통이 호남 내부의 인구 증가에도 불구

하고 양자강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지속된 것이 米価 상승의 한 원

인이었다 上海나 武漢 등의 도시화와 인구집중은 이들 지역 양식 수

요를 폭증시켰다 일부 洋米 수입에도 불구하고 湖南米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으로써 米価를 상승시켰다 또 장사를 비롯한 각지의 새로운 수

공업 산업의 발달로 비농업 인구가 증가하고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유

효수요로 성장하여 米価 상승을 유도하였다 양식의 이출은 해당 지역

인구 식량을 전부 제외한 나머지 잉여가 수출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력

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청말민국기에는 호남의 내부 외부에

서 미곡에 대한 유효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것이 米価 상승의 한 요인

이었다

화폐 문제에 있어 화폐 수량의 증가가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것

은 상식이다 종래 아편전쟁 전후 은의 해외 유출 증가가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을 초래하여 물가 상승과 인민의 빈곤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지방지 등의 史料에서 검토한 결과 은전비가는 도광함풍초의

일시적 상승 후에 함풍 7년 이후는 도리어 하락하고 있다 同治 년간

에 대부분 1兩 1300文 수준에서 안정되고 있다 光緖末宣統년간에도

1600-1700文 수준으로 도광함풍 초보다는 낮은 편이다 청말민국시

기에 화폐의 남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한계를 넘었을 때 시장의 통용

거부로 마침내 중단되고 있다 청말민국기에 외국 銀元의 유입과 국내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7의 銀元 주조 銅元 지폐 외에 鈔票 市票 등 화폐 시장에 투입된 화

폐량은 엄청나게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로서는 어느 정

도 시장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외 교역과 상품량의

증대 경제 활동 인구의 증대 미곡 생산 및 농산품 생산의 증대로 화

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것이 화폐량의 막대한 증가와 유

통속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

었다고 생각된다 즉 안정 속의 물가 상승이 유도된 것이다

공급면에서 보면 대외 교역을 통한 서양 상품의 수입은 전체로서는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물건의 공급 증가를 통해서

혹은 국내 상품과의 경쟁 때문에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었

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침략과 물가 폭등이라는 도식적

견해와 달리 현실에서는 물가 억제 작용도 있었던 것이다

물가와 경기면에서 보면 물가가 비쌀 때 호경기가 많은 것은 사실

이다 그런데 lsquo穀賤rsquo 현상이 불황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서 長沙 지역의 경우를 검토해 보았다 도광함풍 년간까지 lsquo穀賤rsquo현상

과 불경기적 상황에 대한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동치광서 년간에는

米価가 등귀한 시점인데 이 시기는 紅茶業의 번성이나 각종 수공업의

번성으로 好況의 면모가 보이고 있다 민국 시기에는 민국 중기에 lsquo穀

賤rsquo의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史料上에 민국 중기의 lsquo穀賤rsquo은 임금이나

다른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다 물가 상승기와 好況

이 맞물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민국 중기는 lsquo穀賤rsquo 현상과 서로 어긋

나는 것이다 이 시기의 不況 서술은 농촌의 농민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표시이다

생활 수준에 대한 지방지 기록 등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주민들의

洋貨 사용이 보편화되고 의복 음식 주거 등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것

을 지적하고 있다 물가는 상승하였지만 同治 이전에 비하여 분명히

사치품의 소비 증대와 中人의 집도 소비 수준이 제고된 것이 드러나고

있다 민중의 빈곤은 있으나 이 시기 빈부 격차가 커지고 생활 수준의

격차가 커진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27: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5

圖7) 醴陵縣 物価(b)

① 猪肉 百斤당 가격 元 ② 草魚 百斤당 가격 元 ③ 茶油 石당 가격 元

④ 鹽 石당 가격 元 ⑤ 洋紗 件당 가격 元 ⑥ 棉花 石당 가격 元

⑦ 煤油 甁당 가격 元

米価가 物価와 연동되는 것에 대해서 江都縣史料를 보면 ldquo産米 구역

에서 年末에 米価가 상승하니 百物이 昻貴했다rdquo65)라고 되어 있다 湖

南지역 米価 연구 자료에도 米価 추세는 거의 물가 수준과 같다는 주

장이 있다66)

光緖末宣統年間의 물가 상승을 나타내는 史料를 보면 다음과 같다

이제 각종 惡政의 결과로 百物의 騰貴를 초래했는데 小民의 日用 수요

65) 李文治 앞의 책 p470 ldquo江都爲産米區域 年末米価騰踊 百物因以昻貴rdquo

66) 張麗芬 앞의 책 p22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6음식은 그 가격이 십년 전에 비해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과 居室 器用

蔬饌의 비용 牛種糞漑의 비용도 예전 보다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도 비록

동일 비례로 함께 올랐으나 이미 넉넉하지 못해 괴롭다67)

이것을 보면 米価와 物価가 연동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청말

특히 光緖 후반 이후에 각종 物価가 두 배 올랐다는 사정을 알 수 있

다 上海의 物価도 같은 시기에 상승하고 있다68)

lt표11gt lt표12gt와 lt圖67gt을 검토해 보면 돼지고기 값은 광서 14

년 광서 19년까지는 다소 하락세를 보이다가 宣統원년(1909)부터 급격

히 상승하고 있다 민국원년(1912)의 가격은 160文으로 1878年의 88文

에 비해 거의 두 배에 해당한다 위에 인용한 宣統 2年 8月 國風報의 물가 두 배 인상과 정확하게 부합되고 있다 민국 전기인 1926년까

지 계속 상승하고 있지만 1926년에서 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이고 있

돼지고기 값은 1878년-1909년 사이 273 상승했고 1912-1921년 사

이에 75 상승했다 닭은 각기 50와 44 상승했다 계란은 100

100 상승이었다 淸末 비교 시기는 31년간인데 비해 민국 전기는 9

년간에 불과하다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가 급등한 것은 충분히

알 수 있다 1926년에서 1936년 10년간 돼지 값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거의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이었다

民國 醴陵縣志에도 ldquo辛亥혁명이전에는 물가가 심한 등락이 없었는

데 민국 후에 들어와서 차츰 상승했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69) 圖6)을 보

면 닭고기도 비슷한 궤적을 보이고 있다 草魚의 경우도 청말 민국전

기는 상승이 주요 동선이고 민국 중기(1926-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

67) 國風報 第1年 21期 宣統 2年 8月 (李文治 앞의 책 p561) ldquo今也以種種惡

政之結果 以致百物騰踊 小民日用 飮食所需 其価皆視十年前兩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居

室器用蔬饌之費 牛種糞漑之費兩倍于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雖以同一比例以俱騰 旣苦不

給矣rdquo

68) 岸本美緖 앞의 책 p443

6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物價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7이고 있다 譚文熙 物価史에는 민국 전기는 안정속의 상승세로 민국

중기는 파동속의 상승으로 정리를 하고 있는데 여기와는 약간의 차이

를 보이고 있다70) lt표11gt과 lt표12gt 사이의 화폐 단위 차이로 인한

연속적 파악에 다소 어려움이 있으나 대체의 추세는 짐작할 수 있다

또 품목에 따라 공란이 있어 연결 관계가 애매한 부분이 있다 1936년

이후는 중일 전쟁의 혼란과 불환지폐의 강제 통용 등의 사정으로 本考

에서는 분석 대상 범위에서 제외 하고자 한다

Ⅱ 物價 변동의 원인

1 수요 측면

米価와 物價가 상호 연동관계에 있고 넓은 의미에서는 米価도 물가

의 일부이다 米価 및 물가의 상승은 우선 수요의 증가에 원인이 있다

고 할 것이다 수요증가는 일반으로 인구 증가이다 湖南의 인구는 嘉

慶21年(1816) 18754259명에서 1898年 21174000명으로 다시 民國17년

(1928)에는 31501212人으로 비약적 성장을 하였다71) 약 110년 동안

인구가 1300만 가까이 증가하였고 비율로는 679가 증가하였다 長沙

府의 인구도 가경 25년(1820)에서는 4290086명이었는데 민국23년

(1934)에는 8421330명으로 약 400만명 이상 증가하여 963 상승을

보이고 있다72)

인구의 증가가 수요 증대를 초래하는 일반 요인이지만 湖南의 米穀

移出이 해당 지역 민중의 식량을 제외하고 남는 잉여 米만은 아니다

70) 譚文熙 앞의 책 pp302-307 여기서는 민국 전기는 1912-1927년 민국 중기

는 1927-1937년으로 구분하고 있다

71) 湖南省志 地理志 (長沙 湖南人民出版社 1982) pp230-238

72)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8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의 증대가 더 중요한 요인일 것이다 淸末에

와서 새로운 생업을 통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가 많이 증가하고

있는데 醴陵縣 사례를 한번 검토해 보겠다 史料는 다음과 같다73)

同治志에 이르기를 醴陵의 풍속은 lsquo安土重遷rsquo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상인이 外地에 나

가 장사하는 이가 적었다 배를 이용하여 외부 상업을 하는 것은 淥口 부

근의 米穀商일 뿐이었다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邑人들이 茶제조로 武漢에 판매하는 자가

이익이 배가 되었다 이때부터 龍門일대에 매양 봄에 茶를 제조하고 가리

는 廠이 항상 수십이었다 光緖末年에는 도자기업 夏布 編爆이 일어나서

대신하였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이를 믿고 생계를 삼는자가 무려 십만인이다

同治志 편찬 단계만 해도 사람들이 토착 안주하여 멀리 이동하는

것을 어렵게 여겼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큰 이익을 보고 그

후 도자 기업 夏布 編爆 제조에 종사하여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나 되었다는 것이다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의 성장을

보여주는 것이다 長沙의 빠른 도시화도 주목된다 長沙日報에 실린

내용을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74)

光緖32년(1906)에 火災 조사시에 城廂 내외가 매일 식량으로 穀 5000

石이 필요하였다 지금 교통이 편리하고 상인 旅客이 배로 증가하였으니

매일 마땅히 1-2000石을 더해야 한다(宣統 2年(1910) 2月 17日 長沙日

報)이것을 보면 光緖32년(1906)에서 宣統2년(1910)은 불과 5년이 채 되

지 않는데 상인 집단이 배로 증가하였다니 城內外의 유동인구 급증을

짐작할 수 있다 長沙城의 인구는 1916年에 177882人이었고 1931年은

385514人으로 증가하였다 불과 15년 사이에 1167 증가이다 배 이

73)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ldquo同治志云 醴俗安土重遷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商賈外

貿者少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揚帆外貿則 僅淥口附近之穀米商而已 光緖初 紅茶業興 邑人製茶

販運 漢皋者 獲利倍蓰自是來龍門一帶 每屆春日 製茶捒茶列廠恒數十 訖於光緖

末年 則有瓷業及夏布編爆起而代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恃以爲生者 無慮 十萬人rdquo

74) 李文治 앞의 책 p551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9상이 증가하였으니 長沙의 도시화도 급속히 진전 되고 있다75)

민국10年의 湖南 實業雜誌 보도를 보면 당시 長沙에 蓆工 500人

刻字工 300人 방직공 3200人 이발공 800人 香工 400人 합계 5200人

이 있었다 長沙大公報에 의하면 민국9년(1920)에 長沙에는 부두공

2600人 糞夫 500人 轎夫 1300 車夫 2300人으로 합계 7000人 정도

가 있었다76) 같은 시기 호남성의 광부가 160萬人이고 여기에 手藝工

苦力을 합치면 190만 전후였다고 한다 예릉현에서는 東鄕 일대에서

編爆業 종사자가 수만이고 東北兩鄕에서 磁廠의 女工도 수천이나 되었

다는 기록도 있다77) 湖南 邵陽縣에서도 淸末에 工匠이 5만 상인이 12

만 정도였다는 통계도 있다78) 이렇게 비농업 인구가 다른 생업을 통

해 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로 증가하고 있던 것이 확인된다 이런 유

효 수요 증가를 설명해 주는 다른 史料 하나를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

다79)

어째서 米穀이 날로 적어지고 날로 비싸지는가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水旱災가 날로 많고 농사짓는데 날로 게으르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말은

진실로 일리가 있는데 다 그런 것은 아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선교사 洋商 洋官 洋

兵은 증가한 것이 외국에서 온 사람이다 敎民 游民 賭民 盜民은 內地

에서 증가한 자이다 무릇 농사짓는 사람은 하나인데 먹는 자는 헤아릴

수가 없다 米穀이 어찌 비싸지 않을 수 있겠는가

光緖後期의 사정을 전하고 있는 위 史料를 보면 외국에서 온 선교

사 상인 군인 관리 등도 米価 상승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국내

외를 막론하고 비농업 인구의 급격한 성장이 米価 상승의 원인이라 생

각된다

湖南과 長沙의 米穀은 해당 지역 안에서 소비되는 것보다 揚子江

75) 張朋園 中國現代化的區域硏究 -湖南省 (台北 1998) p376

76) 위의 책 pp412-413

77)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農業經濟

78) 光緖33年刊 邵陽縣鄕土志 권2 인류 실업

79) 李文治 앞의 책 p77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0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많다 청말민국시기에도 지속적인 湖南米의

移出이 있었던 것은 이미 밝힌바 있다80)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穀

米가 騰貴한 이유가 外省의 采辦이 많은 때문이라고 하고 있다81) 상

담현에서도 동치 4년(1865)이전에 해마다 풍년이었는데 穀価가 까닭

없이 騰貴한 것은 江南이 처음 회복되어 米穀의 販運이 많아진 때문이

라고 하고 있다82) 1898年에도 長沙에서 米穀의 원거리 送出을 바라는

지주 富戶와 주민의 갈등 관계가 노출되고 있다83) 宣統2年(1910)의 기

록에도 湖北의 흉년으로 出境 米穀이 과다하여 米価가 급등했는데 작

년 末에는 1石5000文이었다가 금년에는 1石 8000文에 이르렀다는 내

용이 있다84) 같은 자료에 湖南米가 당도 하지 않으면 武漢에서 변란

이 일어난다고 할 정도이다

하류의 上海는 한적한 어촌에서 근대에 대도시로 성장하였다 武漢

上海등의 도시화와 상공업 발전 인구 집중은 長沙米의 급격한 수요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宣統 년간에 長沙가 전국적인 4大 米市의 하나

로 성장한 것은 우연한 일은 아니다85)

근대에 대외 교역증가가 물가 상승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생각된

다 1873년에서 1930年 사이에 농산물 수출 통계는 1910년을 100으로

했을 때 1873년은 12 1893년은 123 1903년 386 1920년은 1324

1930년은 2709로 급상승하고 있다86) 농산물의 수출은 해외 수요의 증

가이다 이런 교역상 수요 증대는 가격의 등귀 뿐 아니라 작물 재배

면적의 확대에도 기여하고 있다

80)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81)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20

82) 光緖6年刊 湘潭縣志 卷29 災祥志

83) 湘報 89號 長沙縣職員常達邦呈批

84) 李文治 앞의 책 p381

85) 徐正元 中國近代農産商品化的發展與米市的形成 (復印報刊經济史 1997年3期)

86)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권2 p14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1宣統2년(1910) 長沙에 영국 상인이 출현하여 米穀 구매를 단행하자

米価가 하루에 여러 번 급등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였다87) 湖南에서

는 또 광동 상인의 영향을 받아 紅茶 제조법을 습득하여 홍차를 대량

생산하여 구미에 수출하였다 19세기 60년대부터 20세기 초에 특히 호

남 茶 생산 판매가 극히 발달하였다88) 주요 산지 중에는 長沙 湘潭

安化 등이 손꼽히고 있다

桐油의 수출 또한 괄목할 만한 것이다 湖南의 桐油 수출은 1922년

전국의 3336 1923년은 372로 성장하였다 1929년에는 全省 수출

총액의 45 정도를 차지하였고 桐油 상품화율 80에 달하였다89) 대

외교역을 통한 농산품의 해외 수요 증가는 직간접으로 물가 상승에 작

용하고 있다

2 화폐 문제

물가와 화폐의 관계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통상 화폐 수량의 증가가

생산총량의 증가보다 초과할 때 물가상승이 일어난다90) 보통 淸 후기

에는 아편무역에 따른 銀의 해외 유출과 그 결과 야기된 lsquo銀貴錢賤rsquo 현

상 통화팽창에 의해 물가가 상승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91)

실제 淸末民國기에 걸쳐 통화 팽창과 물가 상승에 대한 기록을 찾

는 것은 어렵지 않다 王業鍵에 의하면 淸末 특히 1875年부터 1911年

까지는 인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단계였다고 한다92)

民國 寧鄕縣志에 보면 ldquo光緖29年(1903)에 처음으로 當十銅元을 주

87) 李文治 앞의 책 p550-551

88) 劉泱泱 앞의 책 p46

89) 宋斐夫 主篇 湖南通史 現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5 p276

90) 陳民 法幣發行制度與通貨膨脹 (復印報刊經济史 2001-1)91) 龔勝生 앞의 책 pp275-280 岸本美緖 앞의 책 p444 張麗芬 앞의 책

p217

92) Yeh-chien Wang Secular Trends of Rice in the Yanzi Delta 1638-1935(California Univ Press 1992)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2조하여 전국에 통용시켰는데 물가의 등귀가 이때부터 시작되었다rdquo는

기록이 있다93) 醴陵縣에서는 光緖32年에 當十銅元을 주조하여 制錢과

병행시켰고 宣統원년에 銀元이 이미 성행하였다 민국원년에는 當二十

銅元을 주조하였는데 雙銅元이라 칭하였다94) 영향현에서도 광서말에

私鑄錢인 毛錢이 나오고 지폐가 통용되는 등 통화팽창이 상업을 일변

시켰다고 한다95)

종전에 비해 실질 가치가 열악한 當十 當二十 등 銅元의 남발과 鈔

票의 성행은 화폐 시장의 과잉을 초래하였다 정식의 鈔票 이외도 각

현 발행의 私鈔와 錢莊에서 발행한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시중에 범람

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민국 시대에는 화폐 남발이 더욱 심하였다 호

남은행을 비롯한 저축은행 농업은행 등이 각기 각종 지폐를 발행하여

혼란이 가중되었다 1915년에 호남의 은행은 33개인데 그 중 장사현 7

개 상담현이 7개였다96)

군벌들이 은행을 개설하거나 질 낮은 화폐 통용을 강제하는 등의

혼란이 민국시기 특징 중의 하나이다97) 화폐 시장에는 銀元 銀角 銅

元 지폐와 鈔票 市票등 유사 화폐까지 복잡middot혼란의 양상이 나타나고

결과적으로 물가 상승을 피할 수가 없었다

선통2년(1910) 격렬한 米価 騰貴가 있었고 長沙에서 대규모 搶米 폭

동이 일어났는데 이것은 단순한 흉년때문이 아니고 銅元 남발 등 화폐

제도 혼란에 기인한 것이었다98) 1880년대 초부터 1920년대까지는 인

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시기로 매년 33 비율로 상승하였으며 1930년

총 화폐보유고는 60억 원에 달했다 반 세기간 화폐 공급은 8-10배 증

가하였다99)

93)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ldquo光緖 二十九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始鑄當十銅幣 通

行全國 物価之踊始此rdquo

94) 民國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95)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財用錄 상업

96) 張朋園 앞의 책 pp258-259

97) 宋斐夫 앞의 책 pp10-12

98) 岸本美緖 앞의 책 p51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3

時期 銀(兩) 錢(文) 出典

乾隆 嘉慶년간 10 1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道光 初(1821) Prime 1300-1400 Prime

Prime 18年(1838) Prime 1400 林則徐湖廣奏橋 권3

Prime 25年(1845) Prime 2000上下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Prime 末年(1850)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咸豊 元年(1851) Prime 2000 民國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咸豊 初 Prime 2300-2400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8 부역

咸豊 3年(1853) Prime 20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5年(1855)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Prime 6年(1856) Prime 2000 湖文忠公遺集 권12

Prime 7年(1857) Prime 1600 骆文忠公奏議 권7

Prime 8年(1858) Prime 1400 胡文忠公遺集 권85

Prime 10年(1860) Prime 1300-1400 胡文忠公遺集 권70

同治 2年(1863) Prime 13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7年(1868) Prime 1300-1400 李瀚章 瀝陳湖北等省漕務

Prime 10年(1871) Prime 1600-1700 同治10年 長沙縣志 권8 부역 錢法

光緖32年(1906) Prime 1600 長沙日報 宣統2年 2月27日

선통 2年(1910) Prime 1700 國風報 宣統2年 3月 21日

표 지방지에서 직접 採錄제외는 龔勝生 淸代兩湖農業地理 pp270-277에서 湖南부분을 발췌하여 再引用한 것임

表13) 湖南의 銀錢比値

그런데 아편전쟁 전후 銀의 과도한 해외 유출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이

초래되고 이것이 물가 상승의 주요인이라 생각되고 있는 데는 약간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表13)을 보면 銀錢比価가 일시적으로 상승하였다

가 다시 하강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은전비가는 지역에 따라 차

이가 있지만 호남 장사를 위주로 정리한 것이 표13)이다100)

99)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0) 邱思達 中國近現代鑄幣圖說 (北京 中國書店 1991) p109 참조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4

주목되는 것은 道光末에서 咸豊初에 일시적으로 상승하였지만 淸末

의 比価가 낮은 편에 속하는 현상이다 청말에 은전비가가 비교적 안

정되고 있는 것이다 아편전쟁 후 5항 개항으로 교역이 확대된 상황에

서 아편무역 증대에도 불구하고 차와 silk 수출에 힘입어 은의 순유입

이 오히려 증가되는 현상이 나타났던 것이다101) 또 光緖17년(1891)이

후 세계 銀価하락 현상으로 은유입이 증가되었다102) 19세기 후반 중

국이 세계 사회에 연결되면서 중국의 무역 적자에도 불구하고 淸 정부

에 대한 대량 차관과 자본 투자를 통해서 거대한 양의 銀이 중국에 유

입되었다 1871년에서 1913년 사이 은의 순 수입은 2억 4천만 海關兩

혹은 3억 6천만 銀달러로 추정되고 있다 세계 시장의 은가 하락과 은

의 대량 유입은 중국의 국내 시장에서 물가 상승을 유도한 것이다103)

이런 배경으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은 일시적인 것이고 청말민국기 전체를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민국 시기에는 銀元과 錢의 교환 비율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은의 유입 현상에도 불구하고 宣統 원년 11150文의 비율에서 민국6년

2250文 민국11년 2840文 민국17년 3500文 민국22년 7200文까지 급등

하고 있다 예릉현의 기록이지만 이것으로 청말보다 민국시기에 통화

팽창현상이 극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4)

銀과 錢이 주요 화폐이고 그 환율이 항상 문제가 되고 있지만 주로

청 후기 이후는 錢文 위주의 경제로 바뀌고 있다고 생각된다 長沙府

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면 대부분 道光 이후는 화폐를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淸 前期는 米価를 銀으로 표시하던 것과는 대조적이

다105) 예릉현에서는 민간에서 세금을 납부하거나 大宗무역을 할 때를

101)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2) 邱思達 앞의 책 pp92-93

103)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4)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10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光緖3年刊 善化縣志 同治13年刊 湘鄕縣志 光

緖15年刊 湘潭縣志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民國37年刊 醴陵縣志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5제외하고 紋銀 사용자가 거의 없다 도광 이후 교역시 대부분 錢文을

사용했다는 기록을 보면 淸 後期는 錢 경제 위주로 넘어간 것 같

다106) 세금을 낼 때 외에 銀錢이 필요 없는 일반민은 錢文 사용권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너무나 당연하다

함풍4년에 長沙에서 大錢을 주조하여 통용시켰으나 결국 시장의 신

뢰를 얻지 못하여 퇴출되고 말았다 1854년 7월에 주조를 시작하여

1855년 4月에 주조를 정지하였다107) 이것을 보면 통화 남발도 결국

시장의 제약을 받고 있다

민국 7년(1918) 3月 張敬堯가 裕湘銀行을 개설하여 銀元票 1000만元

銅元票 3000만元을 발행하였다 그 결과 시장은 혼란에 빠지고 시중금

융은 마비 상태가 되었으며 결국 裕湘銀行 발행의 惡幣는 폐지와 같이

되었다108) 권력에 의하여 통화 팽창이 시도되더라도 시장이 감당할

수 없는 지경이 되면 중단될 수밖에 없다 과도한 통화 팽창은 시장의

질서에 의해 어느 정도 제약 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예릉현에서도 光緖 년간에 錢莊 24곳이 출현하여 盛業을 누렸는데

民國7年(1918) 兵禍로 停業하는 곳이 많아졌고 정부의 통화 남발 화폐

가치 하락 금융혼란의 현상이 나타났다109) 민국18년(1929) 이후는 정

국이 안정되고 교통 편리로 百業이 진흥되고 은행이 역할을 하게 되었

이상에서 보면 淸末까지는 은전비가가 안정되고 통화 관리가 어느

정도 성공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光緖 宣統 시기에 銀元의 주조 외국

銀貨의 대량유입 當十銅元 등 주조로 통화팽창이 많이 되었고 이시기

물가 상승과 연관되고 있다 민국 초기에도 정국 혼란과 무계획적 통

화남발로 물가의 급등을 초래하였다 민국 중기에는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것 같다

106) 龔勝生 앞의 책 p279

107) 劉泱泱 앞의 책 pp150-155

108) 宋斐夫 앞의 책 pp10-11

10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6영향현에서도 민국 21년(1932) lsquo穀賤錢荒rsquo의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

다110) 청말민국기에 전반적으로 화폐량의 증가가 현저했던 것은 사실

이다 다양한 화폐의 등장 銀兩 銀元 銅錢 銅元 외에 외국 銀元의 유

입 그 외 鈔票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출현하였으며 양적인 팽창도 분

명하다 하지만 대외 교역 증가와 경제 활동 인구의 증가 유통 상품의

양적 증가에 의해 시장의 화폐 수요가 증대된 것도 사실이다 통화 발

행은 일차적으로는 경제 주체의 수요에 부응하는 것이지만 그것이 과

도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3 공급기타 요소

물가는 기본적으로 수요공급의 관계에서 결정되는 것이 원칙이다

청말민국기에 걸쳐 인구가 급증하여 물가가 상승한 것은 자연스런 일

이다 그러나 물가 상승률 면에서 청말의 경우가 18세기의 증가율에

비해 크다고 할 수 없다 물가 상승률을 억제하면서 비교적 안정 속의

상승을 할 수 있었던 것은 공급의 증가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청말민국기에 湖南米의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 현상이 지속된 배경

에 비약적인 경지 면적 확대와 새로운 품종 개량 시비법 발전 등 농

업 생산 증대가 있었다는 것은 이미 밝혀진 바 있다111) 米穀 공급의

증대가 물가 상승을 완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雜糧 재배가 同治

(1862-74) 년간에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민중의 식량 문제 해결에 기여

하고 米価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던 것을 城步縣 知縣 盛溢源을

통해서 알 수 있다

洋米 수입이 國産米의 보충 역할을 했다는 지적이 있지만 결국 시

110) 民國30年刊 寧鄕縣新志 전1 縣年記

111) 田炯權 淸末民國期 湖廣地方의 農業生産力과 生産關係 (慶南史學 7

1995)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2001)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

究 25 200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7장에 대한 미곡 공급을 증대시켜 가격 안정에 기여했다고 생각된

다112)

민국 시대 관련 사료를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113)

금일 정세를 보면 국내 米価의 등락은 결코 國産米의 생산량이 많고

적음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외국 産米 구역의 풍년 여부에 따라 영

향이 대단히 크다

이것을 보면 洋米 수입이 國産米価를 조절한다고 볼 수 있다 비슷

한 시기 上海에서도 湖南米가 수입 米의 영향으로 가격이 약간 적게

올랐다는 史料도 있다114) 湘報에도 日本米가 수입되어 중국의 米価

가 차츰 내려갔다는 기록이 있다115) 같은 湘報에 보면 ldquo외국물산이

날로 풍부하여 중국 상품의 판로를 막는데 서양 상품의 가격이 낮으면

중국 상품 가격이 홀로 증가할 수 없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116) 결국 洋

貨도 중국에서는 시장에 대한 상품 공급의 증가이고 이것이 상품 가격

상승을 억제하고 있는 것이다 같은 자료에 중국의 土藥이 널리 판매

되니 외래 洋藥의 가격이 폭락한 사정도 소개되고 있다117)

또 洋蠟의 수입으로 국산 白蠟 가격이 매 100斤 200元에서 100元으

로 폭락한 일도 있었다118) 1921년 독일 면화가 대량 수입되어 중국의

綿価가 하락한 일도 있다119) 光緖년간 부터 중국이 綿紗 생산을 개시

하자 華商과 洋商사이에 가격 경쟁이 시작되었다 수입 綿布도 洋商이

國産布와 경쟁하기 위해 가격을 낮추어 공급하였다120)

112) 王良行 淸末對外貿易的關聯效果(1860-1911) (近代中國對外貿易史論集1997)

113)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卷3 p413

114) 위의 책 p416

115) 湘報 제45호 p1419

116) 湘報 제13호 ldquo外洋之出産日盛 足以抵華貨之銷路 洋価低則華貨不能獨增rdquo

117) 湘報 제162호 p1608

118) 章有義 앞의 책 권3 p662

119) 譚文熙 앞의 책 p342

120) 譚文熙 위의 책 p368 p374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8상인의 가격 조종이 물가 변동에 하나의 요소는 될 수 있다 예릉현

의 土資 판매에 있어 객상의 가격 조종에 저항하기 위해 주민들이 公

司를 조직하여 가격을 바로 잡았다는 기록도 있다121) 지주 부농 米商

등의 매점매석에 의한 가격 조종 사실은 흔히 발견된다122) 秋收期에

시장에 대량 방출된 곡식을 저렴한 가격에 매입하여 端境期에 되팔아

이익을 남기는 것은 상인의 오래된 관행이다 이윤 추구를 위한 개인

의 행위지만 넓게 보면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행위이기도 하

다 각지 농산품 가격 변동 조사에서 원인이 밝혀진 10건 가운데 전쟁

이 2건 豊凶 水旱災가 7건 상인 조종은 단 한 건 뿐이었다123) 제국

주의 상인에 의한 가격 조종이라는 것도 결국 중국 상인의 이윤 추구

행위와 본질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湘報의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124)

輪船이 이미 통행하고 있고 철로가 이미 만들어 졌다 제조업이 날로

번성하고 통상조약이 행해지니 상인이 계속 내왕하고 온갖 상품이 유통

된다 사계절 틈이 없으니 일용 각 물품이 그 가격이 반드시 저렴할 것

이다

이것을 보면 통상 개시 후 교통이 발달하고 상품 교역이 증대된다

는 것과 그 결과 일용품의 가격이 저렴해졌다는 것을 당시인이 인식하

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서방 각국과의 무역 증대는 상품 공급의 증가

이고 가격 경쟁을 통해 물가 상승을 완만하게 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

121)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22) 李文治 앞의 책 p559

123)湘報 제49號 ldquo輪船旣行 鉄路旣造 製造日盛 商約可行 商賈絡繹 百産流通

歲時無間 則日用物品 其価必廉rdquo

124) 安本美緖 앞의 책 제7장 pp239-288 제12장 431-455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9

Ⅲ 物價와 景氣(생활)

1 穀賤傷農과 不況

物價 문제를 단순히 등락의 흐름에만 주목하기보다 경기변동론적

입장에서 好況 不況의 문제로 연관시켜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

이다 岸本美緖는 康熙年間의 lsquo穀賤rsquo 현상이 不況과 연결되어 있고 光

緖年間 蘇州의 不況도 lsquo穀賤rsquo이 원인이었음을 지목하고 있다125)

그런데 長沙府 중심의 湖南의 사정을 검토해 보면 lsquo穀賤rsquo 관련 기록

이 道光 咸豊 시기와 民國 中期에 집중되고 있다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26)

道光 25年(1845) ldquo穀賤斗穀錢五十文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値穀賤錢価亦賤 民甚苦之rdquo

장사현과 縣治를 長沙城 내에 두고 있는 善化현에서도 같은 해에

비슷한 기록이 있다127)

道光25年 穀賤自十五年起 連年俱穀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中下戶苦之

咸豊5年 穀賤

장사현 기록을 보면 穀価도 싸고 錢価도 싸서 민이 고통 받는다 했

으니 이 당시 은의 해외 유출과 은전비가 문제로 민중이 고통 받은 사

실을 알 수 있다 선화현은 장사현과 연접하고 통합과 분리가 단속되

었던 거의 동일 지역이다 선화현 기록을 보면 도광25년의 lsquo穀賤rsquo이 해

당년도만의 일이 아니고 道光15年(1835)부터 계속된 현상임을 밝히고

있다

12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33 祥異

126)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127) 民國30年刊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0인근의 寧鄕縣에서 보면 ldquo道光26年 歲豊 穀奇賤傷農 佃農以穀賤大

困rdquo이라는 기사가 있다128) lsquo穀奇賤rsquo이라 하였으니 평상시 보지 못한

하락이었다고 생각된다 더구나 소작료 납부가 대부분 현물지대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佃農은 米穀의 상품화 과정에서 배제되었다는 종전의

통념과 달리 佃農도 곡가 하락으로 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같은 기록에 함풍원년에도 ldquo有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以穀賤漕折苛rdquo라 하고 있어

역시 곡가 하락으로 세금 납부에 곤란을 겪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장사부 內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아도 同治 년간에는 lsquo穀賤rsquo 기

재가 보이지 않고 전술한 도광 함풍 년간에 집중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후의 기록을 찾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ldquo湖南自夏秋以來雨暢時若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故無論高低田畝咸稱大稔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甚

賎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反有入不敷出之慨矣rdquo (益聞錄 69号 광서6년828)129)

ldquo(長沙農村) 近年來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穀米求售 価値至賤 日用各物 則又極昻 收穫所

得 不足顧其工本 多已漸陷于無力耕種之境rdquo (新靑年 7권 6호 1920년 5

월)130)

ldquo湖南近年來之天災人禍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天災旣足以減少收量 地方不靖 産品滯銷

価値復因以低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而生活日昻 工価及日用物品 繼續增漲 收入支出 常苦

不得平衡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rdquo (中國棉産改進統計會議專刊 1931)131)ldquo湘省爲産穀素豊之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年歲收 屢佔大有 而長江流域亦値豊收 更

有大宗洋米 運貨傾銷致湘米頓失市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価格低賤 不僅農村經濟 陷于絶

境 市面金融 亦大受打擊rdquo (銀行週報 18권 9기 1934313)

이외에도 1936年의 사실로 호남의 武岡 東安 일대에서 lsquo豊年穀賤rsquo으

로 省城에 운반할 때 운송비와 각종 捐稅 부담을 감당할 수 없어 陳米

를 불태웠다는 기록이 있다

128) 李文治 앞의 책 p557

129) 章有義 앞의 책 권2 p432

130) 章有義 앞의 책 권3 p795

131) 章有義 위의 책 p620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1이것을 보면 주로 1930년대에 lsquo穀賤rsquo과 不況이 집중 묘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lsquo穀賤rsquo 즉 불황이라고 하면 도광함풍초의 곡천과 불

황 同治光緖宣統期의 lsquo穀貴rsquo즉 好況 다시 民國 전기의 好況 民國 中期

의 불황으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물가의 상승기가 호황적 국면이라는 것은 알려

져 있지만 이것은 전체 물가의 문제이다 위 자료에서 보면 1920년 장

사 농촌에서는 곡가는 싼데 일용품 가격은 극히 높다고 하고 있고

1931년의 기록도 工價와 일용품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농민이 다수를 점하기 때문에 미곡가의 하락은 농민 수입 감소

와 구매력 저하를 가져오고 이것이 농촌 불황의 한 요인이 될 수 있

다 그러나 工賃과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시장의 한계 안에서의

일이다 또한 실업률과 고용 지표 등도 고려되어야 하는데 만족할만한

통계의 부족으로 명확한 답을 얻기는 어렵다

그런데 米価와 물가는 개별 년도나 시점에서 서로 상이한 궤적도

있지만 圖2 3 6 7을 보면 대체적으로는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예릉의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광서 4년(1878)에 비하여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1912)에는 현격한 상승세였다가 그 후에 등락을 거듭

하고 있지만 민국25년(1936)의 경우는 광서4년보다는 높거나 유사한

경우가 많다

2 생활 경기의 발달

당시인들이 체감하던 생활 경기의 수준이 어떠했는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

光緖刊 善化縣志를 보면 다음과 같다132)

132)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16 풍속 附論 ldquo古人 酒肉以養老 而今則黃口稚子

無不酒肉之人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日不旦穀貴鹽貴 而酒肉皆貴 則好惡可知矣 一今鄕間柴炭

其価數倍於昔日 瀕河之地 莫不燒煤rdquo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2옛사람들은 술과 고기로 노인을 부양하였는데 지금은 어린아이도 술과

고기를 먹지 않는 이가 없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요사이 미곡과 소금이 비쌀 뿐 아니

라 술과 고기가 모두가 비싸니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지금 향간에 柴炭이 그 값이 예전보다 수배인데 하천 근처 사람은

煤를 때지 않는 사람이 없다

同治 攸縣志 에도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33)

예전에 士大夫도 집에 있을 때 엄동이 아니면 가죽옷을 입지 않았다

지금 關中의 가죽옷 상인이 유현에 와서 1년에 은 만여 냥을 얻을 수 있

다 기타 비단 옷은 蘇州 杭州 및 嶺南에서 오는 것이 또 배가 되니 1년

에 수만금을 소비한다

醴陵縣에서도 비슷한 인식을 볼 수 있다134)

ldquo예전 풍속이 儉樸하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이 명절 아니면 고기를 먹지 않고

慶弔事가 아니면 술을 베풀지 않고 손님 접대는 닭 잡는데 그치고 鮮味

는 생선에 그쳤고 縣城의 食肆는 飽麵茶館에 그치고 酒席으로 業을 삼는

자가 없었다

지금은 酒樓菜館이 거리에 가득차고 中人의 집에도 술자리가 베풀어지

고 사치를 다툰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예전에 士類大半이 淥江書院에 모이면 그 가운데 비단신을 신은 자가

불과 수인이었고 羊가죽 옷을 입은 자가 불과 1 2人이었다 지금은 비단

신과 가죽옷이 거의 常服이 되었고 日用品은 舶來品이 많다rdquo

이 내용을 보면 예릉현의 생활 수준이 급격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예릉현지 기록에는 부인들이 上海의 유행을 쫓아 사치를 추구한

다는 내용도 있고 청말부터 外貨를 서로 자랑한다는 내용도 있다 종

133) 同治10年刊 攸縣志 권18 풍속 衣服 ldquo衣服 昔時 士大夫 家居非嚴冬不御裘

今關中裘商來攸 歲可得銀萬餘兩 其他錦繡之運自蘇杭及嶺南者 則又倍之 計一歲

之戶 所費數萬金rdquo

134)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4장 풍속 생활 ldquo旧俗民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非令節不

食肉 非慶弔不置酒 欵客止於殺鷄 鮮味止於草魚 縣城食肆 止於飽麵茶館 無以酒

席爲業者 今則酒樓菜館 遍於街市 中人之家酬酢往還 爭奢鬪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旧時士類

大半 集於淥江書院 一院之中 著緞鞋者 不過数人 襲羊裘者 不過 一二人 今則絲

履皮袍殆成常服 日用之品 多自舶來rdquo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3전에 菜油 棉油로 燈을 켜다 집집마다 煤油를 사용한다거나 세탁시

茶枯鹼水를 쓰다가 대부분 비누를 사용하는 일상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135)

또 寧鄕縣에서도 ldquo同光之間 地方安寧 家給人足(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함)縣城商業 於時爲盛rdquo이라 하고 있어 同治(1862-74) 光

緖(1875-1908) 시기가 好況이었음을 알 수 있다136) 湘報에도 ldquo民間

之喜用洋貨日甚一日rdquo이라 하고 있어 洋貨 사용의 확대를 짐작할 수 있

다137)

광서년간 무역이 확대되고 여기에 대해 유익하다는 인식의 기록이

湘報에 나오고 있다138)

ldquo輪船과 철로가 개통되고 항구 개항이 증가 되는 것은 실로 중국에 유

익하고 손해가 없다 저 눈이 콩만큼 큰 자가 걸핏하면 통상이 중국에 해

가 된다고 하니 어찌 심히 어리석지 않은가rdquo

무역 확대를 지적하고 통상이 유익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예릉현

지에도 同治志에는 풍속이 lsquo安士重遷rsquo하고 상인이 외부 활동하는 자가

적었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고 光緖末에 도자기 夏布 編爆業

이 일어나 융성하여 이에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 넘는다고

하고 있다139) 예릉향토지에도 商旅 왕래가 예전보다 10배라는 서술이

있다140)

장사시의 行業발달 상황을 보면 민국 5년(1916)에서 民國22年(1935)

사이에 식품업은 281⟶2124 사치품은 171⟶1128 복장은 43⟶2028 農

礦은 621⟶1156 洋貨 127⟶233 금융 130⟶164 공예 2121⟶3344 문구

17⟶355 등 비약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141)

135)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 工商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6장 실업

136) 民國30年刊 寧鄕縣志 財用錄 民業

137) 湘報 제13호 1898年 3月 21日

138) 湘報 제162号 1898年 9月 23日

13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40) 民國15年刊 醴陵鄕土志 제6장 실업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4이것은 장사의 생활수준 향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당시에

通商의 확대 주장도 湘報에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142)

이상에서 보면 청말민국기에 대체적인 추세는 好況이었다고 생각된

다 생활 수준의 향상이 눈에 띄고 米価와 물가도 연동되면서 상승하

는 추세였다 米価의 상승이 구매력 수준의 제고가 되기 때문에 米穀

생산 중심지역에 상인들의 行號가 집중되는 것이 보였다143) 임금의

경우에도 호남 汝城縣에서 실질 임금이 유지 또는 상승하는 것을 확인

한 바 있다144) 全漢昇도 1875년부터 1925년까지에 걸쳐 四川 合江현

의 임금과 물가 변동의 추세가 거의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바 있

다145) 앞서 인용한 1931년 中國棉産改進計劃 에도 임금과 일용품 가

격이 함께 오른다고 하고 있어 임금이 물가에 연동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생활 수준 향상을 기록하고 있던 지방지에도 빈부 격차를 암시하는

내용이 있고 物力이 날로 쇠퇴한다든지 하는 기록이 있다 대외 무역

이 적자라 하더라도 차관 원조 뿐 아니라 외국 상인의 진출이 자본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好況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Ⅴ 結 言

이제까지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이후 民國中期인 1936年

까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여 米価와 물가 변동 물가 변동의 원인

141) 張朋園 앞의 책 p387

142) 湘報 44호 中外通商利害論 湘報 67号 論湖南茶務急宜整頓

143)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144)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9 1998)

145) 安本美緖 앞의 책 p2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5물가와 생활 경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米価 변동은 단기 변동에 있어서 전쟁이나 天災 등의 특수한 사정

의 해를 제외하고는 光緖 년간에 비해 민국 중기의 계절 변동폭이 축

소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米価의 계절 변동을 완화 시

켜 주는 雜糧의 재배가 湖南 지역에서는 대부분 同治 년간에 보급 확

대가 되고 있다 교통과 상업 발달 등의 이유로 청말에서 민국기로 갈

수록 계절 변동폭을 축소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변동에서는 長沙府縣의 물가 변동 예릉현 물가 변동 등을 살

펴 볼 때 전체로서는 상승 추세 중에 도광 함풍 시기의 低米価 同治

년간의 高米価 光緖전반의 低米価 光緖後半에서 宣統 년간의 高米価

民國 前期의 高米価 民國 中期의 低米価의 등락을 보이고 있다

民國 中期의 米価는 長沙 8개년 米価 추세에서도 안정속의 상승세

를 보이고 있다 명목상 수치 뿐 아니라 米価의 상대 물가로 보는 실

질 구매력도 宣統 民國元年에까지 급상승하였다가 민국 시기 등락을

거듭하지만 민국25년(1936)까지 광서4년(1878) 대비 유지 또는 상승 추

세였다

物価변동은 개별 상품에 따라 편차가 있고 米価와는 전혀 상이한

궤적을 그리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米価와 연동 관계를 보이

고 있다 1898년 물가의 단기 변동은 이상할 만큼 변동폭이 크지 않다

당시 물가 조사자의 보고가 정확했는지 의심될 정도이다 1935년의 장

사 물가에서 단기 변동을 보면 변동폭이 100이상인 夏布 毛筆 麵粉

棉布등을 비롯하여 50 이상인 오리털 흑연 성냥 국산 전지 등을

비롯하여 40 이상인 비누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기 변동폭

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 이것은 이런 물품들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

성이 크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物価의 장기 변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米価와 대체로 비슷한 궤적

을 보이고 있다 청말에서 민국전기에 걸쳐 물가 상승폭이 두드러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 상승폭이 더욱 크

다 돼지고기 값을 예로 들면 1878년에서 1909년 사이에 273 상승했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6고 1912-1921년 사이에 75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닭은 각 50와 44

상승했다 청말은 31년간의 수치이고 민국 전기는 9년간이니 물가의

상대적 급등을 알 수 있다 1926에서 1936년까지 10년간 돼지 고기 값

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

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

세를 보이고 있다 민국 중기의 米価가 일부 lsquo穀賤rsquo 현상을 보인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음으로 물가 변동의 원인에 대해서는 군벌간의 전쟁이나 정치적

혼란 등 정치 군사적 요인을 제외하고 대체로 검토해 보았다

수요 측면에서는 湖南米의 유통이 호남 내부의 인구 증가에도 불구

하고 양자강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지속된 것이 米価 상승의 한 원

인이었다 上海나 武漢 등의 도시화와 인구집중은 이들 지역 양식 수

요를 폭증시켰다 일부 洋米 수입에도 불구하고 湖南米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으로써 米価를 상승시켰다 또 장사를 비롯한 각지의 새로운 수

공업 산업의 발달로 비농업 인구가 증가하고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유

효수요로 성장하여 米価 상승을 유도하였다 양식의 이출은 해당 지역

인구 식량을 전부 제외한 나머지 잉여가 수출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력

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청말민국기에는 호남의 내부 외부에

서 미곡에 대한 유효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것이 米価 상승의 한 요인

이었다

화폐 문제에 있어 화폐 수량의 증가가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것

은 상식이다 종래 아편전쟁 전후 은의 해외 유출 증가가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을 초래하여 물가 상승과 인민의 빈곤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지방지 등의 史料에서 검토한 결과 은전비가는 도광함풍초의

일시적 상승 후에 함풍 7년 이후는 도리어 하락하고 있다 同治 년간

에 대부분 1兩 1300文 수준에서 안정되고 있다 光緖末宣統년간에도

1600-1700文 수준으로 도광함풍 초보다는 낮은 편이다 청말민국시

기에 화폐의 남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한계를 넘었을 때 시장의 통용

거부로 마침내 중단되고 있다 청말민국기에 외국 銀元의 유입과 국내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7의 銀元 주조 銅元 지폐 외에 鈔票 市票 등 화폐 시장에 투입된 화

폐량은 엄청나게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로서는 어느 정

도 시장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외 교역과 상품량의

증대 경제 활동 인구의 증대 미곡 생산 및 농산품 생산의 증대로 화

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것이 화폐량의 막대한 증가와 유

통속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

었다고 생각된다 즉 안정 속의 물가 상승이 유도된 것이다

공급면에서 보면 대외 교역을 통한 서양 상품의 수입은 전체로서는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물건의 공급 증가를 통해서

혹은 국내 상품과의 경쟁 때문에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었

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침략과 물가 폭등이라는 도식적

견해와 달리 현실에서는 물가 억제 작용도 있었던 것이다

물가와 경기면에서 보면 물가가 비쌀 때 호경기가 많은 것은 사실

이다 그런데 lsquo穀賤rsquo 현상이 불황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서 長沙 지역의 경우를 검토해 보았다 도광함풍 년간까지 lsquo穀賤rsquo현상

과 불경기적 상황에 대한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동치광서 년간에는

米価가 등귀한 시점인데 이 시기는 紅茶業의 번성이나 각종 수공업의

번성으로 好況의 면모가 보이고 있다 민국 시기에는 민국 중기에 lsquo穀

賤rsquo의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史料上에 민국 중기의 lsquo穀賤rsquo은 임금이나

다른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다 물가 상승기와 好況

이 맞물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민국 중기는 lsquo穀賤rsquo 현상과 서로 어긋

나는 것이다 이 시기의 不況 서술은 농촌의 농민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표시이다

생활 수준에 대한 지방지 기록 등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주민들의

洋貨 사용이 보편화되고 의복 음식 주거 등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것

을 지적하고 있다 물가는 상승하였지만 同治 이전에 비하여 분명히

사치품의 소비 증대와 中人의 집도 소비 수준이 제고된 것이 드러나고

있다 민중의 빈곤은 있으나 이 시기 빈부 격차가 커지고 생활 수준의

격차가 커진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28: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6음식은 그 가격이 십년 전에 비해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과 居室 器用

蔬饌의 비용 牛種糞漑의 비용도 예전 보다 두 배이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도 비록

동일 비례로 함께 올랐으나 이미 넉넉하지 못해 괴롭다67)

이것을 보면 米価와 物価가 연동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청말

특히 光緖 후반 이후에 각종 物価가 두 배 올랐다는 사정을 알 수 있

다 上海의 物価도 같은 시기에 상승하고 있다68)

lt표11gt lt표12gt와 lt圖67gt을 검토해 보면 돼지고기 값은 광서 14

년 광서 19년까지는 다소 하락세를 보이다가 宣統원년(1909)부터 급격

히 상승하고 있다 민국원년(1912)의 가격은 160文으로 1878年의 88文

에 비해 거의 두 배에 해당한다 위에 인용한 宣統 2年 8月 國風報의 물가 두 배 인상과 정확하게 부합되고 있다 민국 전기인 1926년까

지 계속 상승하고 있지만 1926년에서 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이고 있

돼지고기 값은 1878년-1909년 사이 273 상승했고 1912-1921년 사

이에 75 상승했다 닭은 각기 50와 44 상승했다 계란은 100

100 상승이었다 淸末 비교 시기는 31년간인데 비해 민국 전기는 9

년간에 불과하다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가 급등한 것은 충분히

알 수 있다 1926년에서 1936년 10년간 돼지 값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거의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이었다

民國 醴陵縣志에도 ldquo辛亥혁명이전에는 물가가 심한 등락이 없었는

데 민국 후에 들어와서 차츰 상승했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69) 圖6)을 보

면 닭고기도 비슷한 궤적을 보이고 있다 草魚의 경우도 청말 민국전

기는 상승이 주요 동선이고 민국 중기(1926-1936)까지는 안정세를 보

67) 國風報 第1年 21期 宣統 2年 8月 (李文治 앞의 책 p561) ldquo今也以種種惡

政之結果 以致百物騰踊 小民日用 飮食所需 其価皆視十年前兩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衣服居

室器用蔬饌之費 牛種糞漑之費兩倍于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雖以同一比例以俱騰 旣苦不

給矣rdquo

68) 岸本美緖 앞의 책 p443

6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物價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7이고 있다 譚文熙 物価史에는 민국 전기는 안정속의 상승세로 민국

중기는 파동속의 상승으로 정리를 하고 있는데 여기와는 약간의 차이

를 보이고 있다70) lt표11gt과 lt표12gt 사이의 화폐 단위 차이로 인한

연속적 파악에 다소 어려움이 있으나 대체의 추세는 짐작할 수 있다

또 품목에 따라 공란이 있어 연결 관계가 애매한 부분이 있다 1936년

이후는 중일 전쟁의 혼란과 불환지폐의 강제 통용 등의 사정으로 本考

에서는 분석 대상 범위에서 제외 하고자 한다

Ⅱ 物價 변동의 원인

1 수요 측면

米価와 物價가 상호 연동관계에 있고 넓은 의미에서는 米価도 물가

의 일부이다 米価 및 물가의 상승은 우선 수요의 증가에 원인이 있다

고 할 것이다 수요증가는 일반으로 인구 증가이다 湖南의 인구는 嘉

慶21年(1816) 18754259명에서 1898年 21174000명으로 다시 民國17년

(1928)에는 31501212人으로 비약적 성장을 하였다71) 약 110년 동안

인구가 1300만 가까이 증가하였고 비율로는 679가 증가하였다 長沙

府의 인구도 가경 25년(1820)에서는 4290086명이었는데 민국23년

(1934)에는 8421330명으로 약 400만명 이상 증가하여 963 상승을

보이고 있다72)

인구의 증가가 수요 증대를 초래하는 일반 요인이지만 湖南의 米穀

移出이 해당 지역 민중의 식량을 제외하고 남는 잉여 米만은 아니다

70) 譚文熙 앞의 책 pp302-307 여기서는 민국 전기는 1912-1927년 민국 중기

는 1927-1937년으로 구분하고 있다

71) 湖南省志 地理志 (長沙 湖南人民出版社 1982) pp230-238

72)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8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의 증대가 더 중요한 요인일 것이다 淸末에

와서 새로운 생업을 통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가 많이 증가하고

있는데 醴陵縣 사례를 한번 검토해 보겠다 史料는 다음과 같다73)

同治志에 이르기를 醴陵의 풍속은 lsquo安土重遷rsquo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상인이 外地에 나

가 장사하는 이가 적었다 배를 이용하여 외부 상업을 하는 것은 淥口 부

근의 米穀商일 뿐이었다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邑人들이 茶제조로 武漢에 판매하는 자가

이익이 배가 되었다 이때부터 龍門일대에 매양 봄에 茶를 제조하고 가리

는 廠이 항상 수십이었다 光緖末年에는 도자기업 夏布 編爆이 일어나서

대신하였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이를 믿고 생계를 삼는자가 무려 십만인이다

同治志 편찬 단계만 해도 사람들이 토착 안주하여 멀리 이동하는

것을 어렵게 여겼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큰 이익을 보고 그

후 도자 기업 夏布 編爆 제조에 종사하여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나 되었다는 것이다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의 성장을

보여주는 것이다 長沙의 빠른 도시화도 주목된다 長沙日報에 실린

내용을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74)

光緖32년(1906)에 火災 조사시에 城廂 내외가 매일 식량으로 穀 5000

石이 필요하였다 지금 교통이 편리하고 상인 旅客이 배로 증가하였으니

매일 마땅히 1-2000石을 더해야 한다(宣統 2年(1910) 2月 17日 長沙日

報)이것을 보면 光緖32년(1906)에서 宣統2년(1910)은 불과 5년이 채 되

지 않는데 상인 집단이 배로 증가하였다니 城內外의 유동인구 급증을

짐작할 수 있다 長沙城의 인구는 1916年에 177882人이었고 1931年은

385514人으로 증가하였다 불과 15년 사이에 1167 증가이다 배 이

73)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ldquo同治志云 醴俗安土重遷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商賈外

貿者少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揚帆外貿則 僅淥口附近之穀米商而已 光緖初 紅茶業興 邑人製茶

販運 漢皋者 獲利倍蓰自是來龍門一帶 每屆春日 製茶捒茶列廠恒數十 訖於光緖

末年 則有瓷業及夏布編爆起而代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恃以爲生者 無慮 十萬人rdquo

74) 李文治 앞의 책 p551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9상이 증가하였으니 長沙의 도시화도 급속히 진전 되고 있다75)

민국10年의 湖南 實業雜誌 보도를 보면 당시 長沙에 蓆工 500人

刻字工 300人 방직공 3200人 이발공 800人 香工 400人 합계 5200人

이 있었다 長沙大公報에 의하면 민국9년(1920)에 長沙에는 부두공

2600人 糞夫 500人 轎夫 1300 車夫 2300人으로 합계 7000人 정도

가 있었다76) 같은 시기 호남성의 광부가 160萬人이고 여기에 手藝工

苦力을 합치면 190만 전후였다고 한다 예릉현에서는 東鄕 일대에서

編爆業 종사자가 수만이고 東北兩鄕에서 磁廠의 女工도 수천이나 되었

다는 기록도 있다77) 湖南 邵陽縣에서도 淸末에 工匠이 5만 상인이 12

만 정도였다는 통계도 있다78) 이렇게 비농업 인구가 다른 생업을 통

해 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로 증가하고 있던 것이 확인된다 이런 유

효 수요 증가를 설명해 주는 다른 史料 하나를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

다79)

어째서 米穀이 날로 적어지고 날로 비싸지는가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水旱災가 날로 많고 농사짓는데 날로 게으르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말은

진실로 일리가 있는데 다 그런 것은 아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선교사 洋商 洋官 洋

兵은 증가한 것이 외국에서 온 사람이다 敎民 游民 賭民 盜民은 內地

에서 증가한 자이다 무릇 농사짓는 사람은 하나인데 먹는 자는 헤아릴

수가 없다 米穀이 어찌 비싸지 않을 수 있겠는가

光緖後期의 사정을 전하고 있는 위 史料를 보면 외국에서 온 선교

사 상인 군인 관리 등도 米価 상승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국내

외를 막론하고 비농업 인구의 급격한 성장이 米価 상승의 원인이라 생

각된다

湖南과 長沙의 米穀은 해당 지역 안에서 소비되는 것보다 揚子江

75) 張朋園 中國現代化的區域硏究 -湖南省 (台北 1998) p376

76) 위의 책 pp412-413

77)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農業經濟

78) 光緖33年刊 邵陽縣鄕土志 권2 인류 실업

79) 李文治 앞의 책 p77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0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많다 청말민국시기에도 지속적인 湖南米의

移出이 있었던 것은 이미 밝힌바 있다80)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穀

米가 騰貴한 이유가 外省의 采辦이 많은 때문이라고 하고 있다81) 상

담현에서도 동치 4년(1865)이전에 해마다 풍년이었는데 穀価가 까닭

없이 騰貴한 것은 江南이 처음 회복되어 米穀의 販運이 많아진 때문이

라고 하고 있다82) 1898年에도 長沙에서 米穀의 원거리 送出을 바라는

지주 富戶와 주민의 갈등 관계가 노출되고 있다83) 宣統2年(1910)의 기

록에도 湖北의 흉년으로 出境 米穀이 과다하여 米価가 급등했는데 작

년 末에는 1石5000文이었다가 금년에는 1石 8000文에 이르렀다는 내

용이 있다84) 같은 자료에 湖南米가 당도 하지 않으면 武漢에서 변란

이 일어난다고 할 정도이다

하류의 上海는 한적한 어촌에서 근대에 대도시로 성장하였다 武漢

上海등의 도시화와 상공업 발전 인구 집중은 長沙米의 급격한 수요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宣統 년간에 長沙가 전국적인 4大 米市의 하나

로 성장한 것은 우연한 일은 아니다85)

근대에 대외 교역증가가 물가 상승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생각된

다 1873년에서 1930年 사이에 농산물 수출 통계는 1910년을 100으로

했을 때 1873년은 12 1893년은 123 1903년 386 1920년은 1324

1930년은 2709로 급상승하고 있다86) 농산물의 수출은 해외 수요의 증

가이다 이런 교역상 수요 증대는 가격의 등귀 뿐 아니라 작물 재배

면적의 확대에도 기여하고 있다

80)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81)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20

82) 光緖6年刊 湘潭縣志 卷29 災祥志

83) 湘報 89號 長沙縣職員常達邦呈批

84) 李文治 앞의 책 p381

85) 徐正元 中國近代農産商品化的發展與米市的形成 (復印報刊經济史 1997年3期)

86)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권2 p14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1宣統2년(1910) 長沙에 영국 상인이 출현하여 米穀 구매를 단행하자

米価가 하루에 여러 번 급등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였다87) 湖南에서

는 또 광동 상인의 영향을 받아 紅茶 제조법을 습득하여 홍차를 대량

생산하여 구미에 수출하였다 19세기 60년대부터 20세기 초에 특히 호

남 茶 생산 판매가 극히 발달하였다88) 주요 산지 중에는 長沙 湘潭

安化 등이 손꼽히고 있다

桐油의 수출 또한 괄목할 만한 것이다 湖南의 桐油 수출은 1922년

전국의 3336 1923년은 372로 성장하였다 1929년에는 全省 수출

총액의 45 정도를 차지하였고 桐油 상품화율 80에 달하였다89) 대

외교역을 통한 농산품의 해외 수요 증가는 직간접으로 물가 상승에 작

용하고 있다

2 화폐 문제

물가와 화폐의 관계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통상 화폐 수량의 증가가

생산총량의 증가보다 초과할 때 물가상승이 일어난다90) 보통 淸 후기

에는 아편무역에 따른 銀의 해외 유출과 그 결과 야기된 lsquo銀貴錢賤rsquo 현

상 통화팽창에 의해 물가가 상승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91)

실제 淸末民國기에 걸쳐 통화 팽창과 물가 상승에 대한 기록을 찾

는 것은 어렵지 않다 王業鍵에 의하면 淸末 특히 1875年부터 1911年

까지는 인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단계였다고 한다92)

民國 寧鄕縣志에 보면 ldquo光緖29年(1903)에 처음으로 當十銅元을 주

87) 李文治 앞의 책 p550-551

88) 劉泱泱 앞의 책 p46

89) 宋斐夫 主篇 湖南通史 現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5 p276

90) 陳民 法幣發行制度與通貨膨脹 (復印報刊經济史 2001-1)91) 龔勝生 앞의 책 pp275-280 岸本美緖 앞의 책 p444 張麗芬 앞의 책

p217

92) Yeh-chien Wang Secular Trends of Rice in the Yanzi Delta 1638-1935(California Univ Press 1992)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2조하여 전국에 통용시켰는데 물가의 등귀가 이때부터 시작되었다rdquo는

기록이 있다93) 醴陵縣에서는 光緖32年에 當十銅元을 주조하여 制錢과

병행시켰고 宣統원년에 銀元이 이미 성행하였다 민국원년에는 當二十

銅元을 주조하였는데 雙銅元이라 칭하였다94) 영향현에서도 광서말에

私鑄錢인 毛錢이 나오고 지폐가 통용되는 등 통화팽창이 상업을 일변

시켰다고 한다95)

종전에 비해 실질 가치가 열악한 當十 當二十 등 銅元의 남발과 鈔

票의 성행은 화폐 시장의 과잉을 초래하였다 정식의 鈔票 이외도 각

현 발행의 私鈔와 錢莊에서 발행한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시중에 범람

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민국 시대에는 화폐 남발이 더욱 심하였다 호

남은행을 비롯한 저축은행 농업은행 등이 각기 각종 지폐를 발행하여

혼란이 가중되었다 1915년에 호남의 은행은 33개인데 그 중 장사현 7

개 상담현이 7개였다96)

군벌들이 은행을 개설하거나 질 낮은 화폐 통용을 강제하는 등의

혼란이 민국시기 특징 중의 하나이다97) 화폐 시장에는 銀元 銀角 銅

元 지폐와 鈔票 市票등 유사 화폐까지 복잡middot혼란의 양상이 나타나고

결과적으로 물가 상승을 피할 수가 없었다

선통2년(1910) 격렬한 米価 騰貴가 있었고 長沙에서 대규모 搶米 폭

동이 일어났는데 이것은 단순한 흉년때문이 아니고 銅元 남발 등 화폐

제도 혼란에 기인한 것이었다98) 1880년대 초부터 1920년대까지는 인

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시기로 매년 33 비율로 상승하였으며 1930년

총 화폐보유고는 60억 원에 달했다 반 세기간 화폐 공급은 8-10배 증

가하였다99)

93)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ldquo光緖 二十九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始鑄當十銅幣 通

行全國 物価之踊始此rdquo

94) 民國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95)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財用錄 상업

96) 張朋園 앞의 책 pp258-259

97) 宋斐夫 앞의 책 pp10-12

98) 岸本美緖 앞의 책 p51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3

時期 銀(兩) 錢(文) 出典

乾隆 嘉慶년간 10 1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道光 初(1821) Prime 1300-1400 Prime

Prime 18年(1838) Prime 1400 林則徐湖廣奏橋 권3

Prime 25年(1845) Prime 2000上下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Prime 末年(1850)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咸豊 元年(1851) Prime 2000 民國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咸豊 初 Prime 2300-2400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8 부역

咸豊 3年(1853) Prime 20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5年(1855)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Prime 6年(1856) Prime 2000 湖文忠公遺集 권12

Prime 7年(1857) Prime 1600 骆文忠公奏議 권7

Prime 8年(1858) Prime 1400 胡文忠公遺集 권85

Prime 10年(1860) Prime 1300-1400 胡文忠公遺集 권70

同治 2年(1863) Prime 13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7年(1868) Prime 1300-1400 李瀚章 瀝陳湖北等省漕務

Prime 10年(1871) Prime 1600-1700 同治10年 長沙縣志 권8 부역 錢法

光緖32年(1906) Prime 1600 長沙日報 宣統2年 2月27日

선통 2年(1910) Prime 1700 國風報 宣統2年 3月 21日

표 지방지에서 직접 採錄제외는 龔勝生 淸代兩湖農業地理 pp270-277에서 湖南부분을 발췌하여 再引用한 것임

表13) 湖南의 銀錢比値

그런데 아편전쟁 전후 銀의 과도한 해외 유출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이

초래되고 이것이 물가 상승의 주요인이라 생각되고 있는 데는 약간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表13)을 보면 銀錢比価가 일시적으로 상승하였다

가 다시 하강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은전비가는 지역에 따라 차

이가 있지만 호남 장사를 위주로 정리한 것이 표13)이다100)

99)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0) 邱思達 中國近現代鑄幣圖說 (北京 中國書店 1991) p109 참조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4

주목되는 것은 道光末에서 咸豊初에 일시적으로 상승하였지만 淸末

의 比価가 낮은 편에 속하는 현상이다 청말에 은전비가가 비교적 안

정되고 있는 것이다 아편전쟁 후 5항 개항으로 교역이 확대된 상황에

서 아편무역 증대에도 불구하고 차와 silk 수출에 힘입어 은의 순유입

이 오히려 증가되는 현상이 나타났던 것이다101) 또 光緖17년(1891)이

후 세계 銀価하락 현상으로 은유입이 증가되었다102) 19세기 후반 중

국이 세계 사회에 연결되면서 중국의 무역 적자에도 불구하고 淸 정부

에 대한 대량 차관과 자본 투자를 통해서 거대한 양의 銀이 중국에 유

입되었다 1871년에서 1913년 사이 은의 순 수입은 2억 4천만 海關兩

혹은 3억 6천만 銀달러로 추정되고 있다 세계 시장의 은가 하락과 은

의 대량 유입은 중국의 국내 시장에서 물가 상승을 유도한 것이다103)

이런 배경으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은 일시적인 것이고 청말민국기 전체를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민국 시기에는 銀元과 錢의 교환 비율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은의 유입 현상에도 불구하고 宣統 원년 11150文의 비율에서 민국6년

2250文 민국11년 2840文 민국17년 3500文 민국22년 7200文까지 급등

하고 있다 예릉현의 기록이지만 이것으로 청말보다 민국시기에 통화

팽창현상이 극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4)

銀과 錢이 주요 화폐이고 그 환율이 항상 문제가 되고 있지만 주로

청 후기 이후는 錢文 위주의 경제로 바뀌고 있다고 생각된다 長沙府

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면 대부분 道光 이후는 화폐를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淸 前期는 米価를 銀으로 표시하던 것과는 대조적이

다105) 예릉현에서는 민간에서 세금을 납부하거나 大宗무역을 할 때를

101)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2) 邱思達 앞의 책 pp92-93

103)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4)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10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光緖3年刊 善化縣志 同治13年刊 湘鄕縣志 光

緖15年刊 湘潭縣志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民國37年刊 醴陵縣志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5제외하고 紋銀 사용자가 거의 없다 도광 이후 교역시 대부분 錢文을

사용했다는 기록을 보면 淸 後期는 錢 경제 위주로 넘어간 것 같

다106) 세금을 낼 때 외에 銀錢이 필요 없는 일반민은 錢文 사용권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너무나 당연하다

함풍4년에 長沙에서 大錢을 주조하여 통용시켰으나 결국 시장의 신

뢰를 얻지 못하여 퇴출되고 말았다 1854년 7월에 주조를 시작하여

1855년 4月에 주조를 정지하였다107) 이것을 보면 통화 남발도 결국

시장의 제약을 받고 있다

민국 7년(1918) 3月 張敬堯가 裕湘銀行을 개설하여 銀元票 1000만元

銅元票 3000만元을 발행하였다 그 결과 시장은 혼란에 빠지고 시중금

융은 마비 상태가 되었으며 결국 裕湘銀行 발행의 惡幣는 폐지와 같이

되었다108) 권력에 의하여 통화 팽창이 시도되더라도 시장이 감당할

수 없는 지경이 되면 중단될 수밖에 없다 과도한 통화 팽창은 시장의

질서에 의해 어느 정도 제약 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예릉현에서도 光緖 년간에 錢莊 24곳이 출현하여 盛業을 누렸는데

民國7年(1918) 兵禍로 停業하는 곳이 많아졌고 정부의 통화 남발 화폐

가치 하락 금융혼란의 현상이 나타났다109) 민국18년(1929) 이후는 정

국이 안정되고 교통 편리로 百業이 진흥되고 은행이 역할을 하게 되었

이상에서 보면 淸末까지는 은전비가가 안정되고 통화 관리가 어느

정도 성공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光緖 宣統 시기에 銀元의 주조 외국

銀貨의 대량유입 當十銅元 등 주조로 통화팽창이 많이 되었고 이시기

물가 상승과 연관되고 있다 민국 초기에도 정국 혼란과 무계획적 통

화남발로 물가의 급등을 초래하였다 민국 중기에는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것 같다

106) 龔勝生 앞의 책 p279

107) 劉泱泱 앞의 책 pp150-155

108) 宋斐夫 앞의 책 pp10-11

10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6영향현에서도 민국 21년(1932) lsquo穀賤錢荒rsquo의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

다110) 청말민국기에 전반적으로 화폐량의 증가가 현저했던 것은 사실

이다 다양한 화폐의 등장 銀兩 銀元 銅錢 銅元 외에 외국 銀元의 유

입 그 외 鈔票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출현하였으며 양적인 팽창도 분

명하다 하지만 대외 교역 증가와 경제 활동 인구의 증가 유통 상품의

양적 증가에 의해 시장의 화폐 수요가 증대된 것도 사실이다 통화 발

행은 일차적으로는 경제 주체의 수요에 부응하는 것이지만 그것이 과

도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3 공급기타 요소

물가는 기본적으로 수요공급의 관계에서 결정되는 것이 원칙이다

청말민국기에 걸쳐 인구가 급증하여 물가가 상승한 것은 자연스런 일

이다 그러나 물가 상승률 면에서 청말의 경우가 18세기의 증가율에

비해 크다고 할 수 없다 물가 상승률을 억제하면서 비교적 안정 속의

상승을 할 수 있었던 것은 공급의 증가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청말민국기에 湖南米의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 현상이 지속된 배경

에 비약적인 경지 면적 확대와 새로운 품종 개량 시비법 발전 등 농

업 생산 증대가 있었다는 것은 이미 밝혀진 바 있다111) 米穀 공급의

증대가 물가 상승을 완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雜糧 재배가 同治

(1862-74) 년간에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민중의 식량 문제 해결에 기여

하고 米価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던 것을 城步縣 知縣 盛溢源을

통해서 알 수 있다

洋米 수입이 國産米의 보충 역할을 했다는 지적이 있지만 결국 시

110) 民國30年刊 寧鄕縣新志 전1 縣年記

111) 田炯權 淸末民國期 湖廣地方의 農業生産力과 生産關係 (慶南史學 7

1995)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2001)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

究 25 200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7장에 대한 미곡 공급을 증대시켜 가격 안정에 기여했다고 생각된

다112)

민국 시대 관련 사료를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113)

금일 정세를 보면 국내 米価의 등락은 결코 國産米의 생산량이 많고

적음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외국 産米 구역의 풍년 여부에 따라 영

향이 대단히 크다

이것을 보면 洋米 수입이 國産米価를 조절한다고 볼 수 있다 비슷

한 시기 上海에서도 湖南米가 수입 米의 영향으로 가격이 약간 적게

올랐다는 史料도 있다114) 湘報에도 日本米가 수입되어 중국의 米価

가 차츰 내려갔다는 기록이 있다115) 같은 湘報에 보면 ldquo외국물산이

날로 풍부하여 중국 상품의 판로를 막는데 서양 상품의 가격이 낮으면

중국 상품 가격이 홀로 증가할 수 없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116) 결국 洋

貨도 중국에서는 시장에 대한 상품 공급의 증가이고 이것이 상품 가격

상승을 억제하고 있는 것이다 같은 자료에 중국의 土藥이 널리 판매

되니 외래 洋藥의 가격이 폭락한 사정도 소개되고 있다117)

또 洋蠟의 수입으로 국산 白蠟 가격이 매 100斤 200元에서 100元으

로 폭락한 일도 있었다118) 1921년 독일 면화가 대량 수입되어 중국의

綿価가 하락한 일도 있다119) 光緖년간 부터 중국이 綿紗 생산을 개시

하자 華商과 洋商사이에 가격 경쟁이 시작되었다 수입 綿布도 洋商이

國産布와 경쟁하기 위해 가격을 낮추어 공급하였다120)

112) 王良行 淸末對外貿易的關聯效果(1860-1911) (近代中國對外貿易史論集1997)

113)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卷3 p413

114) 위의 책 p416

115) 湘報 제45호 p1419

116) 湘報 제13호 ldquo外洋之出産日盛 足以抵華貨之銷路 洋価低則華貨不能獨增rdquo

117) 湘報 제162호 p1608

118) 章有義 앞의 책 권3 p662

119) 譚文熙 앞의 책 p342

120) 譚文熙 위의 책 p368 p374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8상인의 가격 조종이 물가 변동에 하나의 요소는 될 수 있다 예릉현

의 土資 판매에 있어 객상의 가격 조종에 저항하기 위해 주민들이 公

司를 조직하여 가격을 바로 잡았다는 기록도 있다121) 지주 부농 米商

등의 매점매석에 의한 가격 조종 사실은 흔히 발견된다122) 秋收期에

시장에 대량 방출된 곡식을 저렴한 가격에 매입하여 端境期에 되팔아

이익을 남기는 것은 상인의 오래된 관행이다 이윤 추구를 위한 개인

의 행위지만 넓게 보면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행위이기도 하

다 각지 농산품 가격 변동 조사에서 원인이 밝혀진 10건 가운데 전쟁

이 2건 豊凶 水旱災가 7건 상인 조종은 단 한 건 뿐이었다123) 제국

주의 상인에 의한 가격 조종이라는 것도 결국 중국 상인의 이윤 추구

행위와 본질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湘報의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124)

輪船이 이미 통행하고 있고 철로가 이미 만들어 졌다 제조업이 날로

번성하고 통상조약이 행해지니 상인이 계속 내왕하고 온갖 상품이 유통

된다 사계절 틈이 없으니 일용 각 물품이 그 가격이 반드시 저렴할 것

이다

이것을 보면 통상 개시 후 교통이 발달하고 상품 교역이 증대된다

는 것과 그 결과 일용품의 가격이 저렴해졌다는 것을 당시인이 인식하

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서방 각국과의 무역 증대는 상품 공급의 증가

이고 가격 경쟁을 통해 물가 상승을 완만하게 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

121)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22) 李文治 앞의 책 p559

123)湘報 제49號 ldquo輪船旣行 鉄路旣造 製造日盛 商約可行 商賈絡繹 百産流通

歲時無間 則日用物品 其価必廉rdquo

124) 安本美緖 앞의 책 제7장 pp239-288 제12장 431-455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9

Ⅲ 物價와 景氣(생활)

1 穀賤傷農과 不況

物價 문제를 단순히 등락의 흐름에만 주목하기보다 경기변동론적

입장에서 好況 不況의 문제로 연관시켜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

이다 岸本美緖는 康熙年間의 lsquo穀賤rsquo 현상이 不況과 연결되어 있고 光

緖年間 蘇州의 不況도 lsquo穀賤rsquo이 원인이었음을 지목하고 있다125)

그런데 長沙府 중심의 湖南의 사정을 검토해 보면 lsquo穀賤rsquo 관련 기록

이 道光 咸豊 시기와 民國 中期에 집중되고 있다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26)

道光 25年(1845) ldquo穀賤斗穀錢五十文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値穀賤錢価亦賤 民甚苦之rdquo

장사현과 縣治를 長沙城 내에 두고 있는 善化현에서도 같은 해에

비슷한 기록이 있다127)

道光25年 穀賤自十五年起 連年俱穀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中下戶苦之

咸豊5年 穀賤

장사현 기록을 보면 穀価도 싸고 錢価도 싸서 민이 고통 받는다 했

으니 이 당시 은의 해외 유출과 은전비가 문제로 민중이 고통 받은 사

실을 알 수 있다 선화현은 장사현과 연접하고 통합과 분리가 단속되

었던 거의 동일 지역이다 선화현 기록을 보면 도광25년의 lsquo穀賤rsquo이 해

당년도만의 일이 아니고 道光15年(1835)부터 계속된 현상임을 밝히고

있다

12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33 祥異

126)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127) 民國30年刊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0인근의 寧鄕縣에서 보면 ldquo道光26年 歲豊 穀奇賤傷農 佃農以穀賤大

困rdquo이라는 기사가 있다128) lsquo穀奇賤rsquo이라 하였으니 평상시 보지 못한

하락이었다고 생각된다 더구나 소작료 납부가 대부분 현물지대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佃農은 米穀의 상품화 과정에서 배제되었다는 종전의

통념과 달리 佃農도 곡가 하락으로 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같은 기록에 함풍원년에도 ldquo有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以穀賤漕折苛rdquo라 하고 있어

역시 곡가 하락으로 세금 납부에 곤란을 겪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장사부 內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아도 同治 년간에는 lsquo穀賤rsquo 기

재가 보이지 않고 전술한 도광 함풍 년간에 집중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후의 기록을 찾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ldquo湖南自夏秋以來雨暢時若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故無論高低田畝咸稱大稔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甚

賎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反有入不敷出之慨矣rdquo (益聞錄 69号 광서6년828)129)

ldquo(長沙農村) 近年來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穀米求售 価値至賤 日用各物 則又極昻 收穫所

得 不足顧其工本 多已漸陷于無力耕種之境rdquo (新靑年 7권 6호 1920년 5

월)130)

ldquo湖南近年來之天災人禍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天災旣足以減少收量 地方不靖 産品滯銷

価値復因以低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而生活日昻 工価及日用物品 繼續增漲 收入支出 常苦

不得平衡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rdquo (中國棉産改進統計會議專刊 1931)131)ldquo湘省爲産穀素豊之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年歲收 屢佔大有 而長江流域亦値豊收 更

有大宗洋米 運貨傾銷致湘米頓失市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価格低賤 不僅農村經濟 陷于絶

境 市面金融 亦大受打擊rdquo (銀行週報 18권 9기 1934313)

이외에도 1936年의 사실로 호남의 武岡 東安 일대에서 lsquo豊年穀賤rsquo으

로 省城에 운반할 때 운송비와 각종 捐稅 부담을 감당할 수 없어 陳米

를 불태웠다는 기록이 있다

128) 李文治 앞의 책 p557

129) 章有義 앞의 책 권2 p432

130) 章有義 앞의 책 권3 p795

131) 章有義 위의 책 p620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1이것을 보면 주로 1930년대에 lsquo穀賤rsquo과 不況이 집중 묘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lsquo穀賤rsquo 즉 불황이라고 하면 도광함풍초의 곡천과 불

황 同治光緖宣統期의 lsquo穀貴rsquo즉 好況 다시 民國 전기의 好況 民國 中期

의 불황으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물가의 상승기가 호황적 국면이라는 것은 알려

져 있지만 이것은 전체 물가의 문제이다 위 자료에서 보면 1920년 장

사 농촌에서는 곡가는 싼데 일용품 가격은 극히 높다고 하고 있고

1931년의 기록도 工價와 일용품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농민이 다수를 점하기 때문에 미곡가의 하락은 농민 수입 감소

와 구매력 저하를 가져오고 이것이 농촌 불황의 한 요인이 될 수 있

다 그러나 工賃과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시장의 한계 안에서의

일이다 또한 실업률과 고용 지표 등도 고려되어야 하는데 만족할만한

통계의 부족으로 명확한 답을 얻기는 어렵다

그런데 米価와 물가는 개별 년도나 시점에서 서로 상이한 궤적도

있지만 圖2 3 6 7을 보면 대체적으로는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예릉의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광서 4년(1878)에 비하여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1912)에는 현격한 상승세였다가 그 후에 등락을 거듭

하고 있지만 민국25년(1936)의 경우는 광서4년보다는 높거나 유사한

경우가 많다

2 생활 경기의 발달

당시인들이 체감하던 생활 경기의 수준이 어떠했는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

光緖刊 善化縣志를 보면 다음과 같다132)

132)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16 풍속 附論 ldquo古人 酒肉以養老 而今則黃口稚子

無不酒肉之人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日不旦穀貴鹽貴 而酒肉皆貴 則好惡可知矣 一今鄕間柴炭

其価數倍於昔日 瀕河之地 莫不燒煤rdquo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2옛사람들은 술과 고기로 노인을 부양하였는데 지금은 어린아이도 술과

고기를 먹지 않는 이가 없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요사이 미곡과 소금이 비쌀 뿐 아니

라 술과 고기가 모두가 비싸니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지금 향간에 柴炭이 그 값이 예전보다 수배인데 하천 근처 사람은

煤를 때지 않는 사람이 없다

同治 攸縣志 에도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33)

예전에 士大夫도 집에 있을 때 엄동이 아니면 가죽옷을 입지 않았다

지금 關中의 가죽옷 상인이 유현에 와서 1년에 은 만여 냥을 얻을 수 있

다 기타 비단 옷은 蘇州 杭州 및 嶺南에서 오는 것이 또 배가 되니 1년

에 수만금을 소비한다

醴陵縣에서도 비슷한 인식을 볼 수 있다134)

ldquo예전 풍속이 儉樸하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이 명절 아니면 고기를 먹지 않고

慶弔事가 아니면 술을 베풀지 않고 손님 접대는 닭 잡는데 그치고 鮮味

는 생선에 그쳤고 縣城의 食肆는 飽麵茶館에 그치고 酒席으로 業을 삼는

자가 없었다

지금은 酒樓菜館이 거리에 가득차고 中人의 집에도 술자리가 베풀어지

고 사치를 다툰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예전에 士類大半이 淥江書院에 모이면 그 가운데 비단신을 신은 자가

불과 수인이었고 羊가죽 옷을 입은 자가 불과 1 2人이었다 지금은 비단

신과 가죽옷이 거의 常服이 되었고 日用品은 舶來品이 많다rdquo

이 내용을 보면 예릉현의 생활 수준이 급격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예릉현지 기록에는 부인들이 上海의 유행을 쫓아 사치를 추구한

다는 내용도 있고 청말부터 外貨를 서로 자랑한다는 내용도 있다 종

133) 同治10年刊 攸縣志 권18 풍속 衣服 ldquo衣服 昔時 士大夫 家居非嚴冬不御裘

今關中裘商來攸 歲可得銀萬餘兩 其他錦繡之運自蘇杭及嶺南者 則又倍之 計一歲

之戶 所費數萬金rdquo

134)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4장 풍속 생활 ldquo旧俗民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非令節不

食肉 非慶弔不置酒 欵客止於殺鷄 鮮味止於草魚 縣城食肆 止於飽麵茶館 無以酒

席爲業者 今則酒樓菜館 遍於街市 中人之家酬酢往還 爭奢鬪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旧時士類

大半 集於淥江書院 一院之中 著緞鞋者 不過数人 襲羊裘者 不過 一二人 今則絲

履皮袍殆成常服 日用之品 多自舶來rdquo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3전에 菜油 棉油로 燈을 켜다 집집마다 煤油를 사용한다거나 세탁시

茶枯鹼水를 쓰다가 대부분 비누를 사용하는 일상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135)

또 寧鄕縣에서도 ldquo同光之間 地方安寧 家給人足(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함)縣城商業 於時爲盛rdquo이라 하고 있어 同治(1862-74) 光

緖(1875-1908) 시기가 好況이었음을 알 수 있다136) 湘報에도 ldquo民間

之喜用洋貨日甚一日rdquo이라 하고 있어 洋貨 사용의 확대를 짐작할 수 있

다137)

광서년간 무역이 확대되고 여기에 대해 유익하다는 인식의 기록이

湘報에 나오고 있다138)

ldquo輪船과 철로가 개통되고 항구 개항이 증가 되는 것은 실로 중국에 유

익하고 손해가 없다 저 눈이 콩만큼 큰 자가 걸핏하면 통상이 중국에 해

가 된다고 하니 어찌 심히 어리석지 않은가rdquo

무역 확대를 지적하고 통상이 유익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예릉현

지에도 同治志에는 풍속이 lsquo安士重遷rsquo하고 상인이 외부 활동하는 자가

적었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고 光緖末에 도자기 夏布 編爆業

이 일어나 융성하여 이에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 넘는다고

하고 있다139) 예릉향토지에도 商旅 왕래가 예전보다 10배라는 서술이

있다140)

장사시의 行業발달 상황을 보면 민국 5년(1916)에서 民國22年(1935)

사이에 식품업은 281⟶2124 사치품은 171⟶1128 복장은 43⟶2028 農

礦은 621⟶1156 洋貨 127⟶233 금융 130⟶164 공예 2121⟶3344 문구

17⟶355 등 비약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141)

135)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 工商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6장 실업

136) 民國30年刊 寧鄕縣志 財用錄 民業

137) 湘報 제13호 1898年 3月 21日

138) 湘報 제162号 1898年 9月 23日

13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40) 民國15年刊 醴陵鄕土志 제6장 실업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4이것은 장사의 생활수준 향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당시에

通商의 확대 주장도 湘報에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142)

이상에서 보면 청말민국기에 대체적인 추세는 好況이었다고 생각된

다 생활 수준의 향상이 눈에 띄고 米価와 물가도 연동되면서 상승하

는 추세였다 米価의 상승이 구매력 수준의 제고가 되기 때문에 米穀

생산 중심지역에 상인들의 行號가 집중되는 것이 보였다143) 임금의

경우에도 호남 汝城縣에서 실질 임금이 유지 또는 상승하는 것을 확인

한 바 있다144) 全漢昇도 1875년부터 1925년까지에 걸쳐 四川 合江현

의 임금과 물가 변동의 추세가 거의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바 있

다145) 앞서 인용한 1931년 中國棉産改進計劃 에도 임금과 일용품 가

격이 함께 오른다고 하고 있어 임금이 물가에 연동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생활 수준 향상을 기록하고 있던 지방지에도 빈부 격차를 암시하는

내용이 있고 物力이 날로 쇠퇴한다든지 하는 기록이 있다 대외 무역

이 적자라 하더라도 차관 원조 뿐 아니라 외국 상인의 진출이 자본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好況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Ⅴ 結 言

이제까지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이후 民國中期인 1936年

까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여 米価와 물가 변동 물가 변동의 원인

141) 張朋園 앞의 책 p387

142) 湘報 44호 中外通商利害論 湘報 67号 論湖南茶務急宜整頓

143)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144)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9 1998)

145) 安本美緖 앞의 책 p2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5물가와 생활 경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米価 변동은 단기 변동에 있어서 전쟁이나 天災 등의 특수한 사정

의 해를 제외하고는 光緖 년간에 비해 민국 중기의 계절 변동폭이 축

소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米価의 계절 변동을 완화 시

켜 주는 雜糧의 재배가 湖南 지역에서는 대부분 同治 년간에 보급 확

대가 되고 있다 교통과 상업 발달 등의 이유로 청말에서 민국기로 갈

수록 계절 변동폭을 축소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변동에서는 長沙府縣의 물가 변동 예릉현 물가 변동 등을 살

펴 볼 때 전체로서는 상승 추세 중에 도광 함풍 시기의 低米価 同治

년간의 高米価 光緖전반의 低米価 光緖後半에서 宣統 년간의 高米価

民國 前期의 高米価 民國 中期의 低米価의 등락을 보이고 있다

民國 中期의 米価는 長沙 8개년 米価 추세에서도 안정속의 상승세

를 보이고 있다 명목상 수치 뿐 아니라 米価의 상대 물가로 보는 실

질 구매력도 宣統 民國元年에까지 급상승하였다가 민국 시기 등락을

거듭하지만 민국25년(1936)까지 광서4년(1878) 대비 유지 또는 상승 추

세였다

物価변동은 개별 상품에 따라 편차가 있고 米価와는 전혀 상이한

궤적을 그리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米価와 연동 관계를 보이

고 있다 1898년 물가의 단기 변동은 이상할 만큼 변동폭이 크지 않다

당시 물가 조사자의 보고가 정확했는지 의심될 정도이다 1935년의 장

사 물가에서 단기 변동을 보면 변동폭이 100이상인 夏布 毛筆 麵粉

棉布등을 비롯하여 50 이상인 오리털 흑연 성냥 국산 전지 등을

비롯하여 40 이상인 비누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기 변동폭

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 이것은 이런 물품들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

성이 크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物価의 장기 변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米価와 대체로 비슷한 궤적

을 보이고 있다 청말에서 민국전기에 걸쳐 물가 상승폭이 두드러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 상승폭이 더욱 크

다 돼지고기 값을 예로 들면 1878년에서 1909년 사이에 273 상승했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6고 1912-1921년 사이에 75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닭은 각 50와 44

상승했다 청말은 31년간의 수치이고 민국 전기는 9년간이니 물가의

상대적 급등을 알 수 있다 1926에서 1936년까지 10년간 돼지 고기 값

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

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

세를 보이고 있다 민국 중기의 米価가 일부 lsquo穀賤rsquo 현상을 보인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음으로 물가 변동의 원인에 대해서는 군벌간의 전쟁이나 정치적

혼란 등 정치 군사적 요인을 제외하고 대체로 검토해 보았다

수요 측면에서는 湖南米의 유통이 호남 내부의 인구 증가에도 불구

하고 양자강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지속된 것이 米価 상승의 한 원

인이었다 上海나 武漢 등의 도시화와 인구집중은 이들 지역 양식 수

요를 폭증시켰다 일부 洋米 수입에도 불구하고 湖南米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으로써 米価를 상승시켰다 또 장사를 비롯한 각지의 새로운 수

공업 산업의 발달로 비농업 인구가 증가하고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유

효수요로 성장하여 米価 상승을 유도하였다 양식의 이출은 해당 지역

인구 식량을 전부 제외한 나머지 잉여가 수출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력

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청말민국기에는 호남의 내부 외부에

서 미곡에 대한 유효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것이 米価 상승의 한 요인

이었다

화폐 문제에 있어 화폐 수량의 증가가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것

은 상식이다 종래 아편전쟁 전후 은의 해외 유출 증가가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을 초래하여 물가 상승과 인민의 빈곤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지방지 등의 史料에서 검토한 결과 은전비가는 도광함풍초의

일시적 상승 후에 함풍 7년 이후는 도리어 하락하고 있다 同治 년간

에 대부분 1兩 1300文 수준에서 안정되고 있다 光緖末宣統년간에도

1600-1700文 수준으로 도광함풍 초보다는 낮은 편이다 청말민국시

기에 화폐의 남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한계를 넘었을 때 시장의 통용

거부로 마침내 중단되고 있다 청말민국기에 외국 銀元의 유입과 국내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7의 銀元 주조 銅元 지폐 외에 鈔票 市票 등 화폐 시장에 투입된 화

폐량은 엄청나게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로서는 어느 정

도 시장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외 교역과 상품량의

증대 경제 활동 인구의 증대 미곡 생산 및 농산품 생산의 증대로 화

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것이 화폐량의 막대한 증가와 유

통속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

었다고 생각된다 즉 안정 속의 물가 상승이 유도된 것이다

공급면에서 보면 대외 교역을 통한 서양 상품의 수입은 전체로서는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물건의 공급 증가를 통해서

혹은 국내 상품과의 경쟁 때문에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었

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침략과 물가 폭등이라는 도식적

견해와 달리 현실에서는 물가 억제 작용도 있었던 것이다

물가와 경기면에서 보면 물가가 비쌀 때 호경기가 많은 것은 사실

이다 그런데 lsquo穀賤rsquo 현상이 불황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서 長沙 지역의 경우를 검토해 보았다 도광함풍 년간까지 lsquo穀賤rsquo현상

과 불경기적 상황에 대한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동치광서 년간에는

米価가 등귀한 시점인데 이 시기는 紅茶業의 번성이나 각종 수공업의

번성으로 好況의 면모가 보이고 있다 민국 시기에는 민국 중기에 lsquo穀

賤rsquo의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史料上에 민국 중기의 lsquo穀賤rsquo은 임금이나

다른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다 물가 상승기와 好況

이 맞물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민국 중기는 lsquo穀賤rsquo 현상과 서로 어긋

나는 것이다 이 시기의 不況 서술은 농촌의 농민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표시이다

생활 수준에 대한 지방지 기록 등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주민들의

洋貨 사용이 보편화되고 의복 음식 주거 등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것

을 지적하고 있다 물가는 상승하였지만 同治 이전에 비하여 분명히

사치품의 소비 증대와 中人의 집도 소비 수준이 제고된 것이 드러나고

있다 민중의 빈곤은 있으나 이 시기 빈부 격차가 커지고 생활 수준의

격차가 커진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29: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7이고 있다 譚文熙 物価史에는 민국 전기는 안정속의 상승세로 민국

중기는 파동속의 상승으로 정리를 하고 있는데 여기와는 약간의 차이

를 보이고 있다70) lt표11gt과 lt표12gt 사이의 화폐 단위 차이로 인한

연속적 파악에 다소 어려움이 있으나 대체의 추세는 짐작할 수 있다

또 품목에 따라 공란이 있어 연결 관계가 애매한 부분이 있다 1936년

이후는 중일 전쟁의 혼란과 불환지폐의 강제 통용 등의 사정으로 本考

에서는 분석 대상 범위에서 제외 하고자 한다

Ⅱ 物價 변동의 원인

1 수요 측면

米価와 物價가 상호 연동관계에 있고 넓은 의미에서는 米価도 물가

의 일부이다 米価 및 물가의 상승은 우선 수요의 증가에 원인이 있다

고 할 것이다 수요증가는 일반으로 인구 증가이다 湖南의 인구는 嘉

慶21年(1816) 18754259명에서 1898年 21174000명으로 다시 民國17년

(1928)에는 31501212人으로 비약적 성장을 하였다71) 약 110년 동안

인구가 1300만 가까이 증가하였고 비율로는 679가 증가하였다 長沙

府의 인구도 가경 25년(1820)에서는 4290086명이었는데 민국23년

(1934)에는 8421330명으로 약 400만명 이상 증가하여 963 상승을

보이고 있다72)

인구의 증가가 수요 증대를 초래하는 일반 요인이지만 湖南의 米穀

移出이 해당 지역 민중의 식량을 제외하고 남는 잉여 米만은 아니다

70) 譚文熙 앞의 책 pp302-307 여기서는 민국 전기는 1912-1927년 민국 중기

는 1927-1937년으로 구분하고 있다

71) 湖南省志 地理志 (長沙 湖南人民出版社 1982) pp230-238

72) 전형권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8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의 증대가 더 중요한 요인일 것이다 淸末에

와서 새로운 생업을 통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가 많이 증가하고

있는데 醴陵縣 사례를 한번 검토해 보겠다 史料는 다음과 같다73)

同治志에 이르기를 醴陵의 풍속은 lsquo安土重遷rsquo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상인이 外地에 나

가 장사하는 이가 적었다 배를 이용하여 외부 상업을 하는 것은 淥口 부

근의 米穀商일 뿐이었다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邑人들이 茶제조로 武漢에 판매하는 자가

이익이 배가 되었다 이때부터 龍門일대에 매양 봄에 茶를 제조하고 가리

는 廠이 항상 수십이었다 光緖末年에는 도자기업 夏布 編爆이 일어나서

대신하였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이를 믿고 생계를 삼는자가 무려 십만인이다

同治志 편찬 단계만 해도 사람들이 토착 안주하여 멀리 이동하는

것을 어렵게 여겼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큰 이익을 보고 그

후 도자 기업 夏布 編爆 제조에 종사하여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나 되었다는 것이다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의 성장을

보여주는 것이다 長沙의 빠른 도시화도 주목된다 長沙日報에 실린

내용을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74)

光緖32년(1906)에 火災 조사시에 城廂 내외가 매일 식량으로 穀 5000

石이 필요하였다 지금 교통이 편리하고 상인 旅客이 배로 증가하였으니

매일 마땅히 1-2000石을 더해야 한다(宣統 2年(1910) 2月 17日 長沙日

報)이것을 보면 光緖32년(1906)에서 宣統2년(1910)은 불과 5년이 채 되

지 않는데 상인 집단이 배로 증가하였다니 城內外의 유동인구 급증을

짐작할 수 있다 長沙城의 인구는 1916年에 177882人이었고 1931年은

385514人으로 증가하였다 불과 15년 사이에 1167 증가이다 배 이

73)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ldquo同治志云 醴俗安土重遷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商賈外

貿者少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揚帆外貿則 僅淥口附近之穀米商而已 光緖初 紅茶業興 邑人製茶

販運 漢皋者 獲利倍蓰自是來龍門一帶 每屆春日 製茶捒茶列廠恒數十 訖於光緖

末年 則有瓷業及夏布編爆起而代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恃以爲生者 無慮 十萬人rdquo

74) 李文治 앞의 책 p551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9상이 증가하였으니 長沙의 도시화도 급속히 진전 되고 있다75)

민국10年의 湖南 實業雜誌 보도를 보면 당시 長沙에 蓆工 500人

刻字工 300人 방직공 3200人 이발공 800人 香工 400人 합계 5200人

이 있었다 長沙大公報에 의하면 민국9년(1920)에 長沙에는 부두공

2600人 糞夫 500人 轎夫 1300 車夫 2300人으로 합계 7000人 정도

가 있었다76) 같은 시기 호남성의 광부가 160萬人이고 여기에 手藝工

苦力을 합치면 190만 전후였다고 한다 예릉현에서는 東鄕 일대에서

編爆業 종사자가 수만이고 東北兩鄕에서 磁廠의 女工도 수천이나 되었

다는 기록도 있다77) 湖南 邵陽縣에서도 淸末에 工匠이 5만 상인이 12

만 정도였다는 통계도 있다78) 이렇게 비농업 인구가 다른 생업을 통

해 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로 증가하고 있던 것이 확인된다 이런 유

효 수요 증가를 설명해 주는 다른 史料 하나를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

다79)

어째서 米穀이 날로 적어지고 날로 비싸지는가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水旱災가 날로 많고 농사짓는데 날로 게으르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말은

진실로 일리가 있는데 다 그런 것은 아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선교사 洋商 洋官 洋

兵은 증가한 것이 외국에서 온 사람이다 敎民 游民 賭民 盜民은 內地

에서 증가한 자이다 무릇 농사짓는 사람은 하나인데 먹는 자는 헤아릴

수가 없다 米穀이 어찌 비싸지 않을 수 있겠는가

光緖後期의 사정을 전하고 있는 위 史料를 보면 외국에서 온 선교

사 상인 군인 관리 등도 米価 상승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국내

외를 막론하고 비농업 인구의 급격한 성장이 米価 상승의 원인이라 생

각된다

湖南과 長沙의 米穀은 해당 지역 안에서 소비되는 것보다 揚子江

75) 張朋園 中國現代化的區域硏究 -湖南省 (台北 1998) p376

76) 위의 책 pp412-413

77)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農業經濟

78) 光緖33年刊 邵陽縣鄕土志 권2 인류 실업

79) 李文治 앞의 책 p77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0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많다 청말민국시기에도 지속적인 湖南米의

移出이 있었던 것은 이미 밝힌바 있다80)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穀

米가 騰貴한 이유가 外省의 采辦이 많은 때문이라고 하고 있다81) 상

담현에서도 동치 4년(1865)이전에 해마다 풍년이었는데 穀価가 까닭

없이 騰貴한 것은 江南이 처음 회복되어 米穀의 販運이 많아진 때문이

라고 하고 있다82) 1898年에도 長沙에서 米穀의 원거리 送出을 바라는

지주 富戶와 주민의 갈등 관계가 노출되고 있다83) 宣統2年(1910)의 기

록에도 湖北의 흉년으로 出境 米穀이 과다하여 米価가 급등했는데 작

년 末에는 1石5000文이었다가 금년에는 1石 8000文에 이르렀다는 내

용이 있다84) 같은 자료에 湖南米가 당도 하지 않으면 武漢에서 변란

이 일어난다고 할 정도이다

하류의 上海는 한적한 어촌에서 근대에 대도시로 성장하였다 武漢

上海등의 도시화와 상공업 발전 인구 집중은 長沙米의 급격한 수요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宣統 년간에 長沙가 전국적인 4大 米市의 하나

로 성장한 것은 우연한 일은 아니다85)

근대에 대외 교역증가가 물가 상승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생각된

다 1873년에서 1930年 사이에 농산물 수출 통계는 1910년을 100으로

했을 때 1873년은 12 1893년은 123 1903년 386 1920년은 1324

1930년은 2709로 급상승하고 있다86) 농산물의 수출은 해외 수요의 증

가이다 이런 교역상 수요 증대는 가격의 등귀 뿐 아니라 작물 재배

면적의 확대에도 기여하고 있다

80)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81)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20

82) 光緖6年刊 湘潭縣志 卷29 災祥志

83) 湘報 89號 長沙縣職員常達邦呈批

84) 李文治 앞의 책 p381

85) 徐正元 中國近代農産商品化的發展與米市的形成 (復印報刊經济史 1997年3期)

86)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권2 p14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1宣統2년(1910) 長沙에 영국 상인이 출현하여 米穀 구매를 단행하자

米価가 하루에 여러 번 급등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였다87) 湖南에서

는 또 광동 상인의 영향을 받아 紅茶 제조법을 습득하여 홍차를 대량

생산하여 구미에 수출하였다 19세기 60년대부터 20세기 초에 특히 호

남 茶 생산 판매가 극히 발달하였다88) 주요 산지 중에는 長沙 湘潭

安化 등이 손꼽히고 있다

桐油의 수출 또한 괄목할 만한 것이다 湖南의 桐油 수출은 1922년

전국의 3336 1923년은 372로 성장하였다 1929년에는 全省 수출

총액의 45 정도를 차지하였고 桐油 상품화율 80에 달하였다89) 대

외교역을 통한 농산품의 해외 수요 증가는 직간접으로 물가 상승에 작

용하고 있다

2 화폐 문제

물가와 화폐의 관계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통상 화폐 수량의 증가가

생산총량의 증가보다 초과할 때 물가상승이 일어난다90) 보통 淸 후기

에는 아편무역에 따른 銀의 해외 유출과 그 결과 야기된 lsquo銀貴錢賤rsquo 현

상 통화팽창에 의해 물가가 상승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91)

실제 淸末民國기에 걸쳐 통화 팽창과 물가 상승에 대한 기록을 찾

는 것은 어렵지 않다 王業鍵에 의하면 淸末 특히 1875年부터 1911年

까지는 인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단계였다고 한다92)

民國 寧鄕縣志에 보면 ldquo光緖29年(1903)에 처음으로 當十銅元을 주

87) 李文治 앞의 책 p550-551

88) 劉泱泱 앞의 책 p46

89) 宋斐夫 主篇 湖南通史 現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5 p276

90) 陳民 法幣發行制度與通貨膨脹 (復印報刊經济史 2001-1)91) 龔勝生 앞의 책 pp275-280 岸本美緖 앞의 책 p444 張麗芬 앞의 책

p217

92) Yeh-chien Wang Secular Trends of Rice in the Yanzi Delta 1638-1935(California Univ Press 1992)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2조하여 전국에 통용시켰는데 물가의 등귀가 이때부터 시작되었다rdquo는

기록이 있다93) 醴陵縣에서는 光緖32年에 當十銅元을 주조하여 制錢과

병행시켰고 宣統원년에 銀元이 이미 성행하였다 민국원년에는 當二十

銅元을 주조하였는데 雙銅元이라 칭하였다94) 영향현에서도 광서말에

私鑄錢인 毛錢이 나오고 지폐가 통용되는 등 통화팽창이 상업을 일변

시켰다고 한다95)

종전에 비해 실질 가치가 열악한 當十 當二十 등 銅元의 남발과 鈔

票의 성행은 화폐 시장의 과잉을 초래하였다 정식의 鈔票 이외도 각

현 발행의 私鈔와 錢莊에서 발행한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시중에 범람

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민국 시대에는 화폐 남발이 더욱 심하였다 호

남은행을 비롯한 저축은행 농업은행 등이 각기 각종 지폐를 발행하여

혼란이 가중되었다 1915년에 호남의 은행은 33개인데 그 중 장사현 7

개 상담현이 7개였다96)

군벌들이 은행을 개설하거나 질 낮은 화폐 통용을 강제하는 등의

혼란이 민국시기 특징 중의 하나이다97) 화폐 시장에는 銀元 銀角 銅

元 지폐와 鈔票 市票등 유사 화폐까지 복잡middot혼란의 양상이 나타나고

결과적으로 물가 상승을 피할 수가 없었다

선통2년(1910) 격렬한 米価 騰貴가 있었고 長沙에서 대규모 搶米 폭

동이 일어났는데 이것은 단순한 흉년때문이 아니고 銅元 남발 등 화폐

제도 혼란에 기인한 것이었다98) 1880년대 초부터 1920년대까지는 인

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시기로 매년 33 비율로 상승하였으며 1930년

총 화폐보유고는 60억 원에 달했다 반 세기간 화폐 공급은 8-10배 증

가하였다99)

93)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ldquo光緖 二十九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始鑄當十銅幣 通

行全國 物価之踊始此rdquo

94) 民國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95)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財用錄 상업

96) 張朋園 앞의 책 pp258-259

97) 宋斐夫 앞의 책 pp10-12

98) 岸本美緖 앞의 책 p51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3

時期 銀(兩) 錢(文) 出典

乾隆 嘉慶년간 10 1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道光 初(1821) Prime 1300-1400 Prime

Prime 18年(1838) Prime 1400 林則徐湖廣奏橋 권3

Prime 25年(1845) Prime 2000上下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Prime 末年(1850)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咸豊 元年(1851) Prime 2000 民國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咸豊 初 Prime 2300-2400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8 부역

咸豊 3年(1853) Prime 20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5年(1855)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Prime 6年(1856) Prime 2000 湖文忠公遺集 권12

Prime 7年(1857) Prime 1600 骆文忠公奏議 권7

Prime 8年(1858) Prime 1400 胡文忠公遺集 권85

Prime 10年(1860) Prime 1300-1400 胡文忠公遺集 권70

同治 2年(1863) Prime 13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7年(1868) Prime 1300-1400 李瀚章 瀝陳湖北等省漕務

Prime 10年(1871) Prime 1600-1700 同治10年 長沙縣志 권8 부역 錢法

光緖32年(1906) Prime 1600 長沙日報 宣統2年 2月27日

선통 2年(1910) Prime 1700 國風報 宣統2年 3月 21日

표 지방지에서 직접 採錄제외는 龔勝生 淸代兩湖農業地理 pp270-277에서 湖南부분을 발췌하여 再引用한 것임

表13) 湖南의 銀錢比値

그런데 아편전쟁 전후 銀의 과도한 해외 유출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이

초래되고 이것이 물가 상승의 주요인이라 생각되고 있는 데는 약간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表13)을 보면 銀錢比価가 일시적으로 상승하였다

가 다시 하강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은전비가는 지역에 따라 차

이가 있지만 호남 장사를 위주로 정리한 것이 표13)이다100)

99)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0) 邱思達 中國近現代鑄幣圖說 (北京 中國書店 1991) p109 참조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4

주목되는 것은 道光末에서 咸豊初에 일시적으로 상승하였지만 淸末

의 比価가 낮은 편에 속하는 현상이다 청말에 은전비가가 비교적 안

정되고 있는 것이다 아편전쟁 후 5항 개항으로 교역이 확대된 상황에

서 아편무역 증대에도 불구하고 차와 silk 수출에 힘입어 은의 순유입

이 오히려 증가되는 현상이 나타났던 것이다101) 또 光緖17년(1891)이

후 세계 銀価하락 현상으로 은유입이 증가되었다102) 19세기 후반 중

국이 세계 사회에 연결되면서 중국의 무역 적자에도 불구하고 淸 정부

에 대한 대량 차관과 자본 투자를 통해서 거대한 양의 銀이 중국에 유

입되었다 1871년에서 1913년 사이 은의 순 수입은 2억 4천만 海關兩

혹은 3억 6천만 銀달러로 추정되고 있다 세계 시장의 은가 하락과 은

의 대량 유입은 중국의 국내 시장에서 물가 상승을 유도한 것이다103)

이런 배경으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은 일시적인 것이고 청말민국기 전체를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민국 시기에는 銀元과 錢의 교환 비율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은의 유입 현상에도 불구하고 宣統 원년 11150文의 비율에서 민국6년

2250文 민국11년 2840文 민국17년 3500文 민국22년 7200文까지 급등

하고 있다 예릉현의 기록이지만 이것으로 청말보다 민국시기에 통화

팽창현상이 극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4)

銀과 錢이 주요 화폐이고 그 환율이 항상 문제가 되고 있지만 주로

청 후기 이후는 錢文 위주의 경제로 바뀌고 있다고 생각된다 長沙府

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면 대부분 道光 이후는 화폐를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淸 前期는 米価를 銀으로 표시하던 것과는 대조적이

다105) 예릉현에서는 민간에서 세금을 납부하거나 大宗무역을 할 때를

101)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2) 邱思達 앞의 책 pp92-93

103)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4)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10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光緖3年刊 善化縣志 同治13年刊 湘鄕縣志 光

緖15年刊 湘潭縣志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民國37年刊 醴陵縣志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5제외하고 紋銀 사용자가 거의 없다 도광 이후 교역시 대부분 錢文을

사용했다는 기록을 보면 淸 後期는 錢 경제 위주로 넘어간 것 같

다106) 세금을 낼 때 외에 銀錢이 필요 없는 일반민은 錢文 사용권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너무나 당연하다

함풍4년에 長沙에서 大錢을 주조하여 통용시켰으나 결국 시장의 신

뢰를 얻지 못하여 퇴출되고 말았다 1854년 7월에 주조를 시작하여

1855년 4月에 주조를 정지하였다107) 이것을 보면 통화 남발도 결국

시장의 제약을 받고 있다

민국 7년(1918) 3月 張敬堯가 裕湘銀行을 개설하여 銀元票 1000만元

銅元票 3000만元을 발행하였다 그 결과 시장은 혼란에 빠지고 시중금

융은 마비 상태가 되었으며 결국 裕湘銀行 발행의 惡幣는 폐지와 같이

되었다108) 권력에 의하여 통화 팽창이 시도되더라도 시장이 감당할

수 없는 지경이 되면 중단될 수밖에 없다 과도한 통화 팽창은 시장의

질서에 의해 어느 정도 제약 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예릉현에서도 光緖 년간에 錢莊 24곳이 출현하여 盛業을 누렸는데

民國7年(1918) 兵禍로 停業하는 곳이 많아졌고 정부의 통화 남발 화폐

가치 하락 금융혼란의 현상이 나타났다109) 민국18년(1929) 이후는 정

국이 안정되고 교통 편리로 百業이 진흥되고 은행이 역할을 하게 되었

이상에서 보면 淸末까지는 은전비가가 안정되고 통화 관리가 어느

정도 성공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光緖 宣統 시기에 銀元의 주조 외국

銀貨의 대량유입 當十銅元 등 주조로 통화팽창이 많이 되었고 이시기

물가 상승과 연관되고 있다 민국 초기에도 정국 혼란과 무계획적 통

화남발로 물가의 급등을 초래하였다 민국 중기에는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것 같다

106) 龔勝生 앞의 책 p279

107) 劉泱泱 앞의 책 pp150-155

108) 宋斐夫 앞의 책 pp10-11

10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6영향현에서도 민국 21년(1932) lsquo穀賤錢荒rsquo의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

다110) 청말민국기에 전반적으로 화폐량의 증가가 현저했던 것은 사실

이다 다양한 화폐의 등장 銀兩 銀元 銅錢 銅元 외에 외국 銀元의 유

입 그 외 鈔票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출현하였으며 양적인 팽창도 분

명하다 하지만 대외 교역 증가와 경제 활동 인구의 증가 유통 상품의

양적 증가에 의해 시장의 화폐 수요가 증대된 것도 사실이다 통화 발

행은 일차적으로는 경제 주체의 수요에 부응하는 것이지만 그것이 과

도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3 공급기타 요소

물가는 기본적으로 수요공급의 관계에서 결정되는 것이 원칙이다

청말민국기에 걸쳐 인구가 급증하여 물가가 상승한 것은 자연스런 일

이다 그러나 물가 상승률 면에서 청말의 경우가 18세기의 증가율에

비해 크다고 할 수 없다 물가 상승률을 억제하면서 비교적 안정 속의

상승을 할 수 있었던 것은 공급의 증가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청말민국기에 湖南米의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 현상이 지속된 배경

에 비약적인 경지 면적 확대와 새로운 품종 개량 시비법 발전 등 농

업 생산 증대가 있었다는 것은 이미 밝혀진 바 있다111) 米穀 공급의

증대가 물가 상승을 완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雜糧 재배가 同治

(1862-74) 년간에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민중의 식량 문제 해결에 기여

하고 米価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던 것을 城步縣 知縣 盛溢源을

통해서 알 수 있다

洋米 수입이 國産米의 보충 역할을 했다는 지적이 있지만 결국 시

110) 民國30年刊 寧鄕縣新志 전1 縣年記

111) 田炯權 淸末民國期 湖廣地方의 農業生産力과 生産關係 (慶南史學 7

1995)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2001)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

究 25 200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7장에 대한 미곡 공급을 증대시켜 가격 안정에 기여했다고 생각된

다112)

민국 시대 관련 사료를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113)

금일 정세를 보면 국내 米価의 등락은 결코 國産米의 생산량이 많고

적음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외국 産米 구역의 풍년 여부에 따라 영

향이 대단히 크다

이것을 보면 洋米 수입이 國産米価를 조절한다고 볼 수 있다 비슷

한 시기 上海에서도 湖南米가 수입 米의 영향으로 가격이 약간 적게

올랐다는 史料도 있다114) 湘報에도 日本米가 수입되어 중국의 米価

가 차츰 내려갔다는 기록이 있다115) 같은 湘報에 보면 ldquo외국물산이

날로 풍부하여 중국 상품의 판로를 막는데 서양 상품의 가격이 낮으면

중국 상품 가격이 홀로 증가할 수 없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116) 결국 洋

貨도 중국에서는 시장에 대한 상품 공급의 증가이고 이것이 상품 가격

상승을 억제하고 있는 것이다 같은 자료에 중국의 土藥이 널리 판매

되니 외래 洋藥의 가격이 폭락한 사정도 소개되고 있다117)

또 洋蠟의 수입으로 국산 白蠟 가격이 매 100斤 200元에서 100元으

로 폭락한 일도 있었다118) 1921년 독일 면화가 대량 수입되어 중국의

綿価가 하락한 일도 있다119) 光緖년간 부터 중국이 綿紗 생산을 개시

하자 華商과 洋商사이에 가격 경쟁이 시작되었다 수입 綿布도 洋商이

國産布와 경쟁하기 위해 가격을 낮추어 공급하였다120)

112) 王良行 淸末對外貿易的關聯效果(1860-1911) (近代中國對外貿易史論集1997)

113)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卷3 p413

114) 위의 책 p416

115) 湘報 제45호 p1419

116) 湘報 제13호 ldquo外洋之出産日盛 足以抵華貨之銷路 洋価低則華貨不能獨增rdquo

117) 湘報 제162호 p1608

118) 章有義 앞의 책 권3 p662

119) 譚文熙 앞의 책 p342

120) 譚文熙 위의 책 p368 p374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8상인의 가격 조종이 물가 변동에 하나의 요소는 될 수 있다 예릉현

의 土資 판매에 있어 객상의 가격 조종에 저항하기 위해 주민들이 公

司를 조직하여 가격을 바로 잡았다는 기록도 있다121) 지주 부농 米商

등의 매점매석에 의한 가격 조종 사실은 흔히 발견된다122) 秋收期에

시장에 대량 방출된 곡식을 저렴한 가격에 매입하여 端境期에 되팔아

이익을 남기는 것은 상인의 오래된 관행이다 이윤 추구를 위한 개인

의 행위지만 넓게 보면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행위이기도 하

다 각지 농산품 가격 변동 조사에서 원인이 밝혀진 10건 가운데 전쟁

이 2건 豊凶 水旱災가 7건 상인 조종은 단 한 건 뿐이었다123) 제국

주의 상인에 의한 가격 조종이라는 것도 결국 중국 상인의 이윤 추구

행위와 본질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湘報의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124)

輪船이 이미 통행하고 있고 철로가 이미 만들어 졌다 제조업이 날로

번성하고 통상조약이 행해지니 상인이 계속 내왕하고 온갖 상품이 유통

된다 사계절 틈이 없으니 일용 각 물품이 그 가격이 반드시 저렴할 것

이다

이것을 보면 통상 개시 후 교통이 발달하고 상품 교역이 증대된다

는 것과 그 결과 일용품의 가격이 저렴해졌다는 것을 당시인이 인식하

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서방 각국과의 무역 증대는 상품 공급의 증가

이고 가격 경쟁을 통해 물가 상승을 완만하게 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

121)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22) 李文治 앞의 책 p559

123)湘報 제49號 ldquo輪船旣行 鉄路旣造 製造日盛 商約可行 商賈絡繹 百産流通

歲時無間 則日用物品 其価必廉rdquo

124) 安本美緖 앞의 책 제7장 pp239-288 제12장 431-455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9

Ⅲ 物價와 景氣(생활)

1 穀賤傷農과 不況

物價 문제를 단순히 등락의 흐름에만 주목하기보다 경기변동론적

입장에서 好況 不況의 문제로 연관시켜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

이다 岸本美緖는 康熙年間의 lsquo穀賤rsquo 현상이 不況과 연결되어 있고 光

緖年間 蘇州의 不況도 lsquo穀賤rsquo이 원인이었음을 지목하고 있다125)

그런데 長沙府 중심의 湖南의 사정을 검토해 보면 lsquo穀賤rsquo 관련 기록

이 道光 咸豊 시기와 民國 中期에 집중되고 있다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26)

道光 25年(1845) ldquo穀賤斗穀錢五十文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値穀賤錢価亦賤 民甚苦之rdquo

장사현과 縣治를 長沙城 내에 두고 있는 善化현에서도 같은 해에

비슷한 기록이 있다127)

道光25年 穀賤自十五年起 連年俱穀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中下戶苦之

咸豊5年 穀賤

장사현 기록을 보면 穀価도 싸고 錢価도 싸서 민이 고통 받는다 했

으니 이 당시 은의 해외 유출과 은전비가 문제로 민중이 고통 받은 사

실을 알 수 있다 선화현은 장사현과 연접하고 통합과 분리가 단속되

었던 거의 동일 지역이다 선화현 기록을 보면 도광25년의 lsquo穀賤rsquo이 해

당년도만의 일이 아니고 道光15年(1835)부터 계속된 현상임을 밝히고

있다

12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33 祥異

126)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127) 民國30年刊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0인근의 寧鄕縣에서 보면 ldquo道光26年 歲豊 穀奇賤傷農 佃農以穀賤大

困rdquo이라는 기사가 있다128) lsquo穀奇賤rsquo이라 하였으니 평상시 보지 못한

하락이었다고 생각된다 더구나 소작료 납부가 대부분 현물지대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佃農은 米穀의 상품화 과정에서 배제되었다는 종전의

통념과 달리 佃農도 곡가 하락으로 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같은 기록에 함풍원년에도 ldquo有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以穀賤漕折苛rdquo라 하고 있어

역시 곡가 하락으로 세금 납부에 곤란을 겪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장사부 內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아도 同治 년간에는 lsquo穀賤rsquo 기

재가 보이지 않고 전술한 도광 함풍 년간에 집중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후의 기록을 찾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ldquo湖南自夏秋以來雨暢時若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故無論高低田畝咸稱大稔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甚

賎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反有入不敷出之慨矣rdquo (益聞錄 69号 광서6년828)129)

ldquo(長沙農村) 近年來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穀米求售 価値至賤 日用各物 則又極昻 收穫所

得 不足顧其工本 多已漸陷于無力耕種之境rdquo (新靑年 7권 6호 1920년 5

월)130)

ldquo湖南近年來之天災人禍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天災旣足以減少收量 地方不靖 産品滯銷

価値復因以低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而生活日昻 工価及日用物品 繼續增漲 收入支出 常苦

不得平衡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rdquo (中國棉産改進統計會議專刊 1931)131)ldquo湘省爲産穀素豊之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年歲收 屢佔大有 而長江流域亦値豊收 更

有大宗洋米 運貨傾銷致湘米頓失市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価格低賤 不僅農村經濟 陷于絶

境 市面金融 亦大受打擊rdquo (銀行週報 18권 9기 1934313)

이외에도 1936年의 사실로 호남의 武岡 東安 일대에서 lsquo豊年穀賤rsquo으

로 省城에 운반할 때 운송비와 각종 捐稅 부담을 감당할 수 없어 陳米

를 불태웠다는 기록이 있다

128) 李文治 앞의 책 p557

129) 章有義 앞의 책 권2 p432

130) 章有義 앞의 책 권3 p795

131) 章有義 위의 책 p620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1이것을 보면 주로 1930년대에 lsquo穀賤rsquo과 不況이 집중 묘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lsquo穀賤rsquo 즉 불황이라고 하면 도광함풍초의 곡천과 불

황 同治光緖宣統期의 lsquo穀貴rsquo즉 好況 다시 民國 전기의 好況 民國 中期

의 불황으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물가의 상승기가 호황적 국면이라는 것은 알려

져 있지만 이것은 전체 물가의 문제이다 위 자료에서 보면 1920년 장

사 농촌에서는 곡가는 싼데 일용품 가격은 극히 높다고 하고 있고

1931년의 기록도 工價와 일용품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농민이 다수를 점하기 때문에 미곡가의 하락은 농민 수입 감소

와 구매력 저하를 가져오고 이것이 농촌 불황의 한 요인이 될 수 있

다 그러나 工賃과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시장의 한계 안에서의

일이다 또한 실업률과 고용 지표 등도 고려되어야 하는데 만족할만한

통계의 부족으로 명확한 답을 얻기는 어렵다

그런데 米価와 물가는 개별 년도나 시점에서 서로 상이한 궤적도

있지만 圖2 3 6 7을 보면 대체적으로는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예릉의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광서 4년(1878)에 비하여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1912)에는 현격한 상승세였다가 그 후에 등락을 거듭

하고 있지만 민국25년(1936)의 경우는 광서4년보다는 높거나 유사한

경우가 많다

2 생활 경기의 발달

당시인들이 체감하던 생활 경기의 수준이 어떠했는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

光緖刊 善化縣志를 보면 다음과 같다132)

132)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16 풍속 附論 ldquo古人 酒肉以養老 而今則黃口稚子

無不酒肉之人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日不旦穀貴鹽貴 而酒肉皆貴 則好惡可知矣 一今鄕間柴炭

其価數倍於昔日 瀕河之地 莫不燒煤rdquo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2옛사람들은 술과 고기로 노인을 부양하였는데 지금은 어린아이도 술과

고기를 먹지 않는 이가 없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요사이 미곡과 소금이 비쌀 뿐 아니

라 술과 고기가 모두가 비싸니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지금 향간에 柴炭이 그 값이 예전보다 수배인데 하천 근처 사람은

煤를 때지 않는 사람이 없다

同治 攸縣志 에도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33)

예전에 士大夫도 집에 있을 때 엄동이 아니면 가죽옷을 입지 않았다

지금 關中의 가죽옷 상인이 유현에 와서 1년에 은 만여 냥을 얻을 수 있

다 기타 비단 옷은 蘇州 杭州 및 嶺南에서 오는 것이 또 배가 되니 1년

에 수만금을 소비한다

醴陵縣에서도 비슷한 인식을 볼 수 있다134)

ldquo예전 풍속이 儉樸하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이 명절 아니면 고기를 먹지 않고

慶弔事가 아니면 술을 베풀지 않고 손님 접대는 닭 잡는데 그치고 鮮味

는 생선에 그쳤고 縣城의 食肆는 飽麵茶館에 그치고 酒席으로 業을 삼는

자가 없었다

지금은 酒樓菜館이 거리에 가득차고 中人의 집에도 술자리가 베풀어지

고 사치를 다툰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예전에 士類大半이 淥江書院에 모이면 그 가운데 비단신을 신은 자가

불과 수인이었고 羊가죽 옷을 입은 자가 불과 1 2人이었다 지금은 비단

신과 가죽옷이 거의 常服이 되었고 日用品은 舶來品이 많다rdquo

이 내용을 보면 예릉현의 생활 수준이 급격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예릉현지 기록에는 부인들이 上海의 유행을 쫓아 사치를 추구한

다는 내용도 있고 청말부터 外貨를 서로 자랑한다는 내용도 있다 종

133) 同治10年刊 攸縣志 권18 풍속 衣服 ldquo衣服 昔時 士大夫 家居非嚴冬不御裘

今關中裘商來攸 歲可得銀萬餘兩 其他錦繡之運自蘇杭及嶺南者 則又倍之 計一歲

之戶 所費數萬金rdquo

134)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4장 풍속 생활 ldquo旧俗民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非令節不

食肉 非慶弔不置酒 欵客止於殺鷄 鮮味止於草魚 縣城食肆 止於飽麵茶館 無以酒

席爲業者 今則酒樓菜館 遍於街市 中人之家酬酢往還 爭奢鬪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旧時士類

大半 集於淥江書院 一院之中 著緞鞋者 不過数人 襲羊裘者 不過 一二人 今則絲

履皮袍殆成常服 日用之品 多自舶來rdquo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3전에 菜油 棉油로 燈을 켜다 집집마다 煤油를 사용한다거나 세탁시

茶枯鹼水를 쓰다가 대부분 비누를 사용하는 일상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135)

또 寧鄕縣에서도 ldquo同光之間 地方安寧 家給人足(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함)縣城商業 於時爲盛rdquo이라 하고 있어 同治(1862-74) 光

緖(1875-1908) 시기가 好況이었음을 알 수 있다136) 湘報에도 ldquo民間

之喜用洋貨日甚一日rdquo이라 하고 있어 洋貨 사용의 확대를 짐작할 수 있

다137)

광서년간 무역이 확대되고 여기에 대해 유익하다는 인식의 기록이

湘報에 나오고 있다138)

ldquo輪船과 철로가 개통되고 항구 개항이 증가 되는 것은 실로 중국에 유

익하고 손해가 없다 저 눈이 콩만큼 큰 자가 걸핏하면 통상이 중국에 해

가 된다고 하니 어찌 심히 어리석지 않은가rdquo

무역 확대를 지적하고 통상이 유익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예릉현

지에도 同治志에는 풍속이 lsquo安士重遷rsquo하고 상인이 외부 활동하는 자가

적었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고 光緖末에 도자기 夏布 編爆業

이 일어나 융성하여 이에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 넘는다고

하고 있다139) 예릉향토지에도 商旅 왕래가 예전보다 10배라는 서술이

있다140)

장사시의 行業발달 상황을 보면 민국 5년(1916)에서 民國22年(1935)

사이에 식품업은 281⟶2124 사치품은 171⟶1128 복장은 43⟶2028 農

礦은 621⟶1156 洋貨 127⟶233 금융 130⟶164 공예 2121⟶3344 문구

17⟶355 등 비약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141)

135)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 工商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6장 실업

136) 民國30年刊 寧鄕縣志 財用錄 民業

137) 湘報 제13호 1898年 3月 21日

138) 湘報 제162号 1898年 9月 23日

13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40) 民國15年刊 醴陵鄕土志 제6장 실업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4이것은 장사의 생활수준 향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당시에

通商의 확대 주장도 湘報에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142)

이상에서 보면 청말민국기에 대체적인 추세는 好況이었다고 생각된

다 생활 수준의 향상이 눈에 띄고 米価와 물가도 연동되면서 상승하

는 추세였다 米価의 상승이 구매력 수준의 제고가 되기 때문에 米穀

생산 중심지역에 상인들의 行號가 집중되는 것이 보였다143) 임금의

경우에도 호남 汝城縣에서 실질 임금이 유지 또는 상승하는 것을 확인

한 바 있다144) 全漢昇도 1875년부터 1925년까지에 걸쳐 四川 合江현

의 임금과 물가 변동의 추세가 거의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바 있

다145) 앞서 인용한 1931년 中國棉産改進計劃 에도 임금과 일용품 가

격이 함께 오른다고 하고 있어 임금이 물가에 연동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생활 수준 향상을 기록하고 있던 지방지에도 빈부 격차를 암시하는

내용이 있고 物力이 날로 쇠퇴한다든지 하는 기록이 있다 대외 무역

이 적자라 하더라도 차관 원조 뿐 아니라 외국 상인의 진출이 자본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好況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Ⅴ 結 言

이제까지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이후 民國中期인 1936年

까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여 米価와 물가 변동 물가 변동의 원인

141) 張朋園 앞의 책 p387

142) 湘報 44호 中外通商利害論 湘報 67号 論湖南茶務急宜整頓

143)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144)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9 1998)

145) 安本美緖 앞의 책 p2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5물가와 생활 경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米価 변동은 단기 변동에 있어서 전쟁이나 天災 등의 특수한 사정

의 해를 제외하고는 光緖 년간에 비해 민국 중기의 계절 변동폭이 축

소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米価의 계절 변동을 완화 시

켜 주는 雜糧의 재배가 湖南 지역에서는 대부분 同治 년간에 보급 확

대가 되고 있다 교통과 상업 발달 등의 이유로 청말에서 민국기로 갈

수록 계절 변동폭을 축소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변동에서는 長沙府縣의 물가 변동 예릉현 물가 변동 등을 살

펴 볼 때 전체로서는 상승 추세 중에 도광 함풍 시기의 低米価 同治

년간의 高米価 光緖전반의 低米価 光緖後半에서 宣統 년간의 高米価

民國 前期의 高米価 民國 中期의 低米価의 등락을 보이고 있다

民國 中期의 米価는 長沙 8개년 米価 추세에서도 안정속의 상승세

를 보이고 있다 명목상 수치 뿐 아니라 米価의 상대 물가로 보는 실

질 구매력도 宣統 民國元年에까지 급상승하였다가 민국 시기 등락을

거듭하지만 민국25년(1936)까지 광서4년(1878) 대비 유지 또는 상승 추

세였다

物価변동은 개별 상품에 따라 편차가 있고 米価와는 전혀 상이한

궤적을 그리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米価와 연동 관계를 보이

고 있다 1898년 물가의 단기 변동은 이상할 만큼 변동폭이 크지 않다

당시 물가 조사자의 보고가 정확했는지 의심될 정도이다 1935년의 장

사 물가에서 단기 변동을 보면 변동폭이 100이상인 夏布 毛筆 麵粉

棉布등을 비롯하여 50 이상인 오리털 흑연 성냥 국산 전지 등을

비롯하여 40 이상인 비누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기 변동폭

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 이것은 이런 물품들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

성이 크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物価의 장기 변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米価와 대체로 비슷한 궤적

을 보이고 있다 청말에서 민국전기에 걸쳐 물가 상승폭이 두드러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 상승폭이 더욱 크

다 돼지고기 값을 예로 들면 1878년에서 1909년 사이에 273 상승했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6고 1912-1921년 사이에 75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닭은 각 50와 44

상승했다 청말은 31년간의 수치이고 민국 전기는 9년간이니 물가의

상대적 급등을 알 수 있다 1926에서 1936년까지 10년간 돼지 고기 값

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

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

세를 보이고 있다 민국 중기의 米価가 일부 lsquo穀賤rsquo 현상을 보인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음으로 물가 변동의 원인에 대해서는 군벌간의 전쟁이나 정치적

혼란 등 정치 군사적 요인을 제외하고 대체로 검토해 보았다

수요 측면에서는 湖南米의 유통이 호남 내부의 인구 증가에도 불구

하고 양자강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지속된 것이 米価 상승의 한 원

인이었다 上海나 武漢 등의 도시화와 인구집중은 이들 지역 양식 수

요를 폭증시켰다 일부 洋米 수입에도 불구하고 湖南米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으로써 米価를 상승시켰다 또 장사를 비롯한 각지의 새로운 수

공업 산업의 발달로 비농업 인구가 증가하고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유

효수요로 성장하여 米価 상승을 유도하였다 양식의 이출은 해당 지역

인구 식량을 전부 제외한 나머지 잉여가 수출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력

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청말민국기에는 호남의 내부 외부에

서 미곡에 대한 유효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것이 米価 상승의 한 요인

이었다

화폐 문제에 있어 화폐 수량의 증가가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것

은 상식이다 종래 아편전쟁 전후 은의 해외 유출 증가가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을 초래하여 물가 상승과 인민의 빈곤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지방지 등의 史料에서 검토한 결과 은전비가는 도광함풍초의

일시적 상승 후에 함풍 7년 이후는 도리어 하락하고 있다 同治 년간

에 대부분 1兩 1300文 수준에서 안정되고 있다 光緖末宣統년간에도

1600-1700文 수준으로 도광함풍 초보다는 낮은 편이다 청말민국시

기에 화폐의 남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한계를 넘었을 때 시장의 통용

거부로 마침내 중단되고 있다 청말민국기에 외국 銀元의 유입과 국내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7의 銀元 주조 銅元 지폐 외에 鈔票 市票 등 화폐 시장에 투입된 화

폐량은 엄청나게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로서는 어느 정

도 시장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외 교역과 상품량의

증대 경제 활동 인구의 증대 미곡 생산 및 농산품 생산의 증대로 화

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것이 화폐량의 막대한 증가와 유

통속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

었다고 생각된다 즉 안정 속의 물가 상승이 유도된 것이다

공급면에서 보면 대외 교역을 통한 서양 상품의 수입은 전체로서는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물건의 공급 증가를 통해서

혹은 국내 상품과의 경쟁 때문에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었

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침략과 물가 폭등이라는 도식적

견해와 달리 현실에서는 물가 억제 작용도 있었던 것이다

물가와 경기면에서 보면 물가가 비쌀 때 호경기가 많은 것은 사실

이다 그런데 lsquo穀賤rsquo 현상이 불황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서 長沙 지역의 경우를 검토해 보았다 도광함풍 년간까지 lsquo穀賤rsquo현상

과 불경기적 상황에 대한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동치광서 년간에는

米価가 등귀한 시점인데 이 시기는 紅茶業의 번성이나 각종 수공업의

번성으로 好況의 면모가 보이고 있다 민국 시기에는 민국 중기에 lsquo穀

賤rsquo의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史料上에 민국 중기의 lsquo穀賤rsquo은 임금이나

다른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다 물가 상승기와 好況

이 맞물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민국 중기는 lsquo穀賤rsquo 현상과 서로 어긋

나는 것이다 이 시기의 不況 서술은 농촌의 농민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표시이다

생활 수준에 대한 지방지 기록 등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주민들의

洋貨 사용이 보편화되고 의복 음식 주거 등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것

을 지적하고 있다 물가는 상승하였지만 同治 이전에 비하여 분명히

사치품의 소비 증대와 中人의 집도 소비 수준이 제고된 것이 드러나고

있다 민중의 빈곤은 있으나 이 시기 빈부 격차가 커지고 생활 수준의

격차가 커진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30: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18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의 증대가 더 중요한 요인일 것이다 淸末에

와서 새로운 생업을 통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가 많이 증가하고

있는데 醴陵縣 사례를 한번 검토해 보겠다 史料는 다음과 같다73)

同治志에 이르기를 醴陵의 풍속은 lsquo安土重遷rsquo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상인이 外地에 나

가 장사하는 이가 적었다 배를 이용하여 외부 상업을 하는 것은 淥口 부

근의 米穀商일 뿐이었다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邑人들이 茶제조로 武漢에 판매하는 자가

이익이 배가 되었다 이때부터 龍門일대에 매양 봄에 茶를 제조하고 가리

는 廠이 항상 수십이었다 光緖末年에는 도자기업 夏布 編爆이 일어나서

대신하였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이를 믿고 생계를 삼는자가 무려 십만인이다

同治志 편찬 단계만 해도 사람들이 토착 안주하여 멀리 이동하는

것을 어렵게 여겼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 큰 이익을 보고 그

후 도자 기업 夏布 編爆 제조에 종사하여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나 되었다는 것이다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비농업 인구의 성장을

보여주는 것이다 長沙의 빠른 도시화도 주목된다 長沙日報에 실린

내용을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74)

光緖32년(1906)에 火災 조사시에 城廂 내외가 매일 식량으로 穀 5000

石이 필요하였다 지금 교통이 편리하고 상인 旅客이 배로 증가하였으니

매일 마땅히 1-2000石을 더해야 한다(宣統 2年(1910) 2月 17日 長沙日

報)이것을 보면 光緖32년(1906)에서 宣統2년(1910)은 불과 5년이 채 되

지 않는데 상인 집단이 배로 증가하였다니 城內外의 유동인구 급증을

짐작할 수 있다 長沙城의 인구는 1916年에 177882人이었고 1931年은

385514人으로 증가하였다 불과 15년 사이에 1167 증가이다 배 이

73)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ldquo同治志云 醴俗安土重遷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商賈外

貿者少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揚帆外貿則 僅淥口附近之穀米商而已 光緖初 紅茶業興 邑人製茶

販運 漢皋者 獲利倍蓰自是來龍門一帶 每屆春日 製茶捒茶列廠恒數十 訖於光緖

末年 則有瓷業及夏布編爆起而代之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恃以爲生者 無慮 十萬人rdquo

74) 李文治 앞의 책 p551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9상이 증가하였으니 長沙의 도시화도 급속히 진전 되고 있다75)

민국10年의 湖南 實業雜誌 보도를 보면 당시 長沙에 蓆工 500人

刻字工 300人 방직공 3200人 이발공 800人 香工 400人 합계 5200人

이 있었다 長沙大公報에 의하면 민국9년(1920)에 長沙에는 부두공

2600人 糞夫 500人 轎夫 1300 車夫 2300人으로 합계 7000人 정도

가 있었다76) 같은 시기 호남성의 광부가 160萬人이고 여기에 手藝工

苦力을 합치면 190만 전후였다고 한다 예릉현에서는 東鄕 일대에서

編爆業 종사자가 수만이고 東北兩鄕에서 磁廠의 女工도 수천이나 되었

다는 기록도 있다77) 湖南 邵陽縣에서도 淸末에 工匠이 5만 상인이 12

만 정도였다는 통계도 있다78) 이렇게 비농업 인구가 다른 생업을 통

해 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로 증가하고 있던 것이 확인된다 이런 유

효 수요 증가를 설명해 주는 다른 史料 하나를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

다79)

어째서 米穀이 날로 적어지고 날로 비싸지는가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水旱災가 날로 많고 농사짓는데 날로 게으르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말은

진실로 일리가 있는데 다 그런 것은 아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선교사 洋商 洋官 洋

兵은 증가한 것이 외국에서 온 사람이다 敎民 游民 賭民 盜民은 內地

에서 증가한 자이다 무릇 농사짓는 사람은 하나인데 먹는 자는 헤아릴

수가 없다 米穀이 어찌 비싸지 않을 수 있겠는가

光緖後期의 사정을 전하고 있는 위 史料를 보면 외국에서 온 선교

사 상인 군인 관리 등도 米価 상승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국내

외를 막론하고 비농업 인구의 급격한 성장이 米価 상승의 원인이라 생

각된다

湖南과 長沙의 米穀은 해당 지역 안에서 소비되는 것보다 揚子江

75) 張朋園 中國現代化的區域硏究 -湖南省 (台北 1998) p376

76) 위의 책 pp412-413

77)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農業經濟

78) 光緖33年刊 邵陽縣鄕土志 권2 인류 실업

79) 李文治 앞의 책 p77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0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많다 청말민국시기에도 지속적인 湖南米의

移出이 있었던 것은 이미 밝힌바 있다80)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穀

米가 騰貴한 이유가 外省의 采辦이 많은 때문이라고 하고 있다81) 상

담현에서도 동치 4년(1865)이전에 해마다 풍년이었는데 穀価가 까닭

없이 騰貴한 것은 江南이 처음 회복되어 米穀의 販運이 많아진 때문이

라고 하고 있다82) 1898年에도 長沙에서 米穀의 원거리 送出을 바라는

지주 富戶와 주민의 갈등 관계가 노출되고 있다83) 宣統2年(1910)의 기

록에도 湖北의 흉년으로 出境 米穀이 과다하여 米価가 급등했는데 작

년 末에는 1石5000文이었다가 금년에는 1石 8000文에 이르렀다는 내

용이 있다84) 같은 자료에 湖南米가 당도 하지 않으면 武漢에서 변란

이 일어난다고 할 정도이다

하류의 上海는 한적한 어촌에서 근대에 대도시로 성장하였다 武漢

上海등의 도시화와 상공업 발전 인구 집중은 長沙米의 급격한 수요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宣統 년간에 長沙가 전국적인 4大 米市의 하나

로 성장한 것은 우연한 일은 아니다85)

근대에 대외 교역증가가 물가 상승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생각된

다 1873년에서 1930年 사이에 농산물 수출 통계는 1910년을 100으로

했을 때 1873년은 12 1893년은 123 1903년 386 1920년은 1324

1930년은 2709로 급상승하고 있다86) 농산물의 수출은 해외 수요의 증

가이다 이런 교역상 수요 증대는 가격의 등귀 뿐 아니라 작물 재배

면적의 확대에도 기여하고 있다

80)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81)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20

82) 光緖6年刊 湘潭縣志 卷29 災祥志

83) 湘報 89號 長沙縣職員常達邦呈批

84) 李文治 앞의 책 p381

85) 徐正元 中國近代農産商品化的發展與米市的形成 (復印報刊經济史 1997年3期)

86)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권2 p14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1宣統2년(1910) 長沙에 영국 상인이 출현하여 米穀 구매를 단행하자

米価가 하루에 여러 번 급등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였다87) 湖南에서

는 또 광동 상인의 영향을 받아 紅茶 제조법을 습득하여 홍차를 대량

생산하여 구미에 수출하였다 19세기 60년대부터 20세기 초에 특히 호

남 茶 생산 판매가 극히 발달하였다88) 주요 산지 중에는 長沙 湘潭

安化 등이 손꼽히고 있다

桐油의 수출 또한 괄목할 만한 것이다 湖南의 桐油 수출은 1922년

전국의 3336 1923년은 372로 성장하였다 1929년에는 全省 수출

총액의 45 정도를 차지하였고 桐油 상품화율 80에 달하였다89) 대

외교역을 통한 농산품의 해외 수요 증가는 직간접으로 물가 상승에 작

용하고 있다

2 화폐 문제

물가와 화폐의 관계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통상 화폐 수량의 증가가

생산총량의 증가보다 초과할 때 물가상승이 일어난다90) 보통 淸 후기

에는 아편무역에 따른 銀의 해외 유출과 그 결과 야기된 lsquo銀貴錢賤rsquo 현

상 통화팽창에 의해 물가가 상승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91)

실제 淸末民國기에 걸쳐 통화 팽창과 물가 상승에 대한 기록을 찾

는 것은 어렵지 않다 王業鍵에 의하면 淸末 특히 1875年부터 1911年

까지는 인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단계였다고 한다92)

民國 寧鄕縣志에 보면 ldquo光緖29年(1903)에 처음으로 當十銅元을 주

87) 李文治 앞의 책 p550-551

88) 劉泱泱 앞의 책 p46

89) 宋斐夫 主篇 湖南通史 現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5 p276

90) 陳民 法幣發行制度與通貨膨脹 (復印報刊經济史 2001-1)91) 龔勝生 앞의 책 pp275-280 岸本美緖 앞의 책 p444 張麗芬 앞의 책

p217

92) Yeh-chien Wang Secular Trends of Rice in the Yanzi Delta 1638-1935(California Univ Press 1992)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2조하여 전국에 통용시켰는데 물가의 등귀가 이때부터 시작되었다rdquo는

기록이 있다93) 醴陵縣에서는 光緖32年에 當十銅元을 주조하여 制錢과

병행시켰고 宣統원년에 銀元이 이미 성행하였다 민국원년에는 當二十

銅元을 주조하였는데 雙銅元이라 칭하였다94) 영향현에서도 광서말에

私鑄錢인 毛錢이 나오고 지폐가 통용되는 등 통화팽창이 상업을 일변

시켰다고 한다95)

종전에 비해 실질 가치가 열악한 當十 當二十 등 銅元의 남발과 鈔

票의 성행은 화폐 시장의 과잉을 초래하였다 정식의 鈔票 이외도 각

현 발행의 私鈔와 錢莊에서 발행한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시중에 범람

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민국 시대에는 화폐 남발이 더욱 심하였다 호

남은행을 비롯한 저축은행 농업은행 등이 각기 각종 지폐를 발행하여

혼란이 가중되었다 1915년에 호남의 은행은 33개인데 그 중 장사현 7

개 상담현이 7개였다96)

군벌들이 은행을 개설하거나 질 낮은 화폐 통용을 강제하는 등의

혼란이 민국시기 특징 중의 하나이다97) 화폐 시장에는 銀元 銀角 銅

元 지폐와 鈔票 市票등 유사 화폐까지 복잡middot혼란의 양상이 나타나고

결과적으로 물가 상승을 피할 수가 없었다

선통2년(1910) 격렬한 米価 騰貴가 있었고 長沙에서 대규모 搶米 폭

동이 일어났는데 이것은 단순한 흉년때문이 아니고 銅元 남발 등 화폐

제도 혼란에 기인한 것이었다98) 1880년대 초부터 1920년대까지는 인

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시기로 매년 33 비율로 상승하였으며 1930년

총 화폐보유고는 60억 원에 달했다 반 세기간 화폐 공급은 8-10배 증

가하였다99)

93)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ldquo光緖 二十九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始鑄當十銅幣 通

行全國 物価之踊始此rdquo

94) 民國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95)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財用錄 상업

96) 張朋園 앞의 책 pp258-259

97) 宋斐夫 앞의 책 pp10-12

98) 岸本美緖 앞의 책 p51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3

時期 銀(兩) 錢(文) 出典

乾隆 嘉慶년간 10 1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道光 初(1821) Prime 1300-1400 Prime

Prime 18年(1838) Prime 1400 林則徐湖廣奏橋 권3

Prime 25年(1845) Prime 2000上下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Prime 末年(1850)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咸豊 元年(1851) Prime 2000 民國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咸豊 初 Prime 2300-2400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8 부역

咸豊 3年(1853) Prime 20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5年(1855)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Prime 6年(1856) Prime 2000 湖文忠公遺集 권12

Prime 7年(1857) Prime 1600 骆文忠公奏議 권7

Prime 8年(1858) Prime 1400 胡文忠公遺集 권85

Prime 10年(1860) Prime 1300-1400 胡文忠公遺集 권70

同治 2年(1863) Prime 13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7年(1868) Prime 1300-1400 李瀚章 瀝陳湖北等省漕務

Prime 10年(1871) Prime 1600-1700 同治10年 長沙縣志 권8 부역 錢法

光緖32年(1906) Prime 1600 長沙日報 宣統2年 2月27日

선통 2年(1910) Prime 1700 國風報 宣統2年 3月 21日

표 지방지에서 직접 採錄제외는 龔勝生 淸代兩湖農業地理 pp270-277에서 湖南부분을 발췌하여 再引用한 것임

表13) 湖南의 銀錢比値

그런데 아편전쟁 전후 銀의 과도한 해외 유출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이

초래되고 이것이 물가 상승의 주요인이라 생각되고 있는 데는 약간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表13)을 보면 銀錢比価가 일시적으로 상승하였다

가 다시 하강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은전비가는 지역에 따라 차

이가 있지만 호남 장사를 위주로 정리한 것이 표13)이다100)

99)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0) 邱思達 中國近現代鑄幣圖說 (北京 中國書店 1991) p109 참조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4

주목되는 것은 道光末에서 咸豊初에 일시적으로 상승하였지만 淸末

의 比価가 낮은 편에 속하는 현상이다 청말에 은전비가가 비교적 안

정되고 있는 것이다 아편전쟁 후 5항 개항으로 교역이 확대된 상황에

서 아편무역 증대에도 불구하고 차와 silk 수출에 힘입어 은의 순유입

이 오히려 증가되는 현상이 나타났던 것이다101) 또 光緖17년(1891)이

후 세계 銀価하락 현상으로 은유입이 증가되었다102) 19세기 후반 중

국이 세계 사회에 연결되면서 중국의 무역 적자에도 불구하고 淸 정부

에 대한 대량 차관과 자본 투자를 통해서 거대한 양의 銀이 중국에 유

입되었다 1871년에서 1913년 사이 은의 순 수입은 2억 4천만 海關兩

혹은 3억 6천만 銀달러로 추정되고 있다 세계 시장의 은가 하락과 은

의 대량 유입은 중국의 국내 시장에서 물가 상승을 유도한 것이다103)

이런 배경으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은 일시적인 것이고 청말민국기 전체를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민국 시기에는 銀元과 錢의 교환 비율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은의 유입 현상에도 불구하고 宣統 원년 11150文의 비율에서 민국6년

2250文 민국11년 2840文 민국17년 3500文 민국22년 7200文까지 급등

하고 있다 예릉현의 기록이지만 이것으로 청말보다 민국시기에 통화

팽창현상이 극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4)

銀과 錢이 주요 화폐이고 그 환율이 항상 문제가 되고 있지만 주로

청 후기 이후는 錢文 위주의 경제로 바뀌고 있다고 생각된다 長沙府

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면 대부분 道光 이후는 화폐를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淸 前期는 米価를 銀으로 표시하던 것과는 대조적이

다105) 예릉현에서는 민간에서 세금을 납부하거나 大宗무역을 할 때를

101)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2) 邱思達 앞의 책 pp92-93

103)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4)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10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光緖3年刊 善化縣志 同治13年刊 湘鄕縣志 光

緖15年刊 湘潭縣志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民國37年刊 醴陵縣志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5제외하고 紋銀 사용자가 거의 없다 도광 이후 교역시 대부분 錢文을

사용했다는 기록을 보면 淸 後期는 錢 경제 위주로 넘어간 것 같

다106) 세금을 낼 때 외에 銀錢이 필요 없는 일반민은 錢文 사용권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너무나 당연하다

함풍4년에 長沙에서 大錢을 주조하여 통용시켰으나 결국 시장의 신

뢰를 얻지 못하여 퇴출되고 말았다 1854년 7월에 주조를 시작하여

1855년 4月에 주조를 정지하였다107) 이것을 보면 통화 남발도 결국

시장의 제약을 받고 있다

민국 7년(1918) 3月 張敬堯가 裕湘銀行을 개설하여 銀元票 1000만元

銅元票 3000만元을 발행하였다 그 결과 시장은 혼란에 빠지고 시중금

융은 마비 상태가 되었으며 결국 裕湘銀行 발행의 惡幣는 폐지와 같이

되었다108) 권력에 의하여 통화 팽창이 시도되더라도 시장이 감당할

수 없는 지경이 되면 중단될 수밖에 없다 과도한 통화 팽창은 시장의

질서에 의해 어느 정도 제약 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예릉현에서도 光緖 년간에 錢莊 24곳이 출현하여 盛業을 누렸는데

民國7年(1918) 兵禍로 停業하는 곳이 많아졌고 정부의 통화 남발 화폐

가치 하락 금융혼란의 현상이 나타났다109) 민국18년(1929) 이후는 정

국이 안정되고 교통 편리로 百業이 진흥되고 은행이 역할을 하게 되었

이상에서 보면 淸末까지는 은전비가가 안정되고 통화 관리가 어느

정도 성공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光緖 宣統 시기에 銀元의 주조 외국

銀貨의 대량유입 當十銅元 등 주조로 통화팽창이 많이 되었고 이시기

물가 상승과 연관되고 있다 민국 초기에도 정국 혼란과 무계획적 통

화남발로 물가의 급등을 초래하였다 민국 중기에는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것 같다

106) 龔勝生 앞의 책 p279

107) 劉泱泱 앞의 책 pp150-155

108) 宋斐夫 앞의 책 pp10-11

10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6영향현에서도 민국 21년(1932) lsquo穀賤錢荒rsquo의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

다110) 청말민국기에 전반적으로 화폐량의 증가가 현저했던 것은 사실

이다 다양한 화폐의 등장 銀兩 銀元 銅錢 銅元 외에 외국 銀元의 유

입 그 외 鈔票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출현하였으며 양적인 팽창도 분

명하다 하지만 대외 교역 증가와 경제 활동 인구의 증가 유통 상품의

양적 증가에 의해 시장의 화폐 수요가 증대된 것도 사실이다 통화 발

행은 일차적으로는 경제 주체의 수요에 부응하는 것이지만 그것이 과

도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3 공급기타 요소

물가는 기본적으로 수요공급의 관계에서 결정되는 것이 원칙이다

청말민국기에 걸쳐 인구가 급증하여 물가가 상승한 것은 자연스런 일

이다 그러나 물가 상승률 면에서 청말의 경우가 18세기의 증가율에

비해 크다고 할 수 없다 물가 상승률을 억제하면서 비교적 안정 속의

상승을 할 수 있었던 것은 공급의 증가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청말민국기에 湖南米의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 현상이 지속된 배경

에 비약적인 경지 면적 확대와 새로운 품종 개량 시비법 발전 등 농

업 생산 증대가 있었다는 것은 이미 밝혀진 바 있다111) 米穀 공급의

증대가 물가 상승을 완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雜糧 재배가 同治

(1862-74) 년간에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민중의 식량 문제 해결에 기여

하고 米価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던 것을 城步縣 知縣 盛溢源을

통해서 알 수 있다

洋米 수입이 國産米의 보충 역할을 했다는 지적이 있지만 결국 시

110) 民國30年刊 寧鄕縣新志 전1 縣年記

111) 田炯權 淸末民國期 湖廣地方의 農業生産力과 生産關係 (慶南史學 7

1995)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2001)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

究 25 200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7장에 대한 미곡 공급을 증대시켜 가격 안정에 기여했다고 생각된

다112)

민국 시대 관련 사료를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113)

금일 정세를 보면 국내 米価의 등락은 결코 國産米의 생산량이 많고

적음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외국 産米 구역의 풍년 여부에 따라 영

향이 대단히 크다

이것을 보면 洋米 수입이 國産米価를 조절한다고 볼 수 있다 비슷

한 시기 上海에서도 湖南米가 수입 米의 영향으로 가격이 약간 적게

올랐다는 史料도 있다114) 湘報에도 日本米가 수입되어 중국의 米価

가 차츰 내려갔다는 기록이 있다115) 같은 湘報에 보면 ldquo외국물산이

날로 풍부하여 중국 상품의 판로를 막는데 서양 상품의 가격이 낮으면

중국 상품 가격이 홀로 증가할 수 없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116) 결국 洋

貨도 중국에서는 시장에 대한 상품 공급의 증가이고 이것이 상품 가격

상승을 억제하고 있는 것이다 같은 자료에 중국의 土藥이 널리 판매

되니 외래 洋藥의 가격이 폭락한 사정도 소개되고 있다117)

또 洋蠟의 수입으로 국산 白蠟 가격이 매 100斤 200元에서 100元으

로 폭락한 일도 있었다118) 1921년 독일 면화가 대량 수입되어 중국의

綿価가 하락한 일도 있다119) 光緖년간 부터 중국이 綿紗 생산을 개시

하자 華商과 洋商사이에 가격 경쟁이 시작되었다 수입 綿布도 洋商이

國産布와 경쟁하기 위해 가격을 낮추어 공급하였다120)

112) 王良行 淸末對外貿易的關聯效果(1860-1911) (近代中國對外貿易史論集1997)

113)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卷3 p413

114) 위의 책 p416

115) 湘報 제45호 p1419

116) 湘報 제13호 ldquo外洋之出産日盛 足以抵華貨之銷路 洋価低則華貨不能獨增rdquo

117) 湘報 제162호 p1608

118) 章有義 앞의 책 권3 p662

119) 譚文熙 앞의 책 p342

120) 譚文熙 위의 책 p368 p374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8상인의 가격 조종이 물가 변동에 하나의 요소는 될 수 있다 예릉현

의 土資 판매에 있어 객상의 가격 조종에 저항하기 위해 주민들이 公

司를 조직하여 가격을 바로 잡았다는 기록도 있다121) 지주 부농 米商

등의 매점매석에 의한 가격 조종 사실은 흔히 발견된다122) 秋收期에

시장에 대량 방출된 곡식을 저렴한 가격에 매입하여 端境期에 되팔아

이익을 남기는 것은 상인의 오래된 관행이다 이윤 추구를 위한 개인

의 행위지만 넓게 보면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행위이기도 하

다 각지 농산품 가격 변동 조사에서 원인이 밝혀진 10건 가운데 전쟁

이 2건 豊凶 水旱災가 7건 상인 조종은 단 한 건 뿐이었다123) 제국

주의 상인에 의한 가격 조종이라는 것도 결국 중국 상인의 이윤 추구

행위와 본질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湘報의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124)

輪船이 이미 통행하고 있고 철로가 이미 만들어 졌다 제조업이 날로

번성하고 통상조약이 행해지니 상인이 계속 내왕하고 온갖 상품이 유통

된다 사계절 틈이 없으니 일용 각 물품이 그 가격이 반드시 저렴할 것

이다

이것을 보면 통상 개시 후 교통이 발달하고 상품 교역이 증대된다

는 것과 그 결과 일용품의 가격이 저렴해졌다는 것을 당시인이 인식하

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서방 각국과의 무역 증대는 상품 공급의 증가

이고 가격 경쟁을 통해 물가 상승을 완만하게 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

121)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22) 李文治 앞의 책 p559

123)湘報 제49號 ldquo輪船旣行 鉄路旣造 製造日盛 商約可行 商賈絡繹 百産流通

歲時無間 則日用物品 其価必廉rdquo

124) 安本美緖 앞의 책 제7장 pp239-288 제12장 431-455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9

Ⅲ 物價와 景氣(생활)

1 穀賤傷農과 不況

物價 문제를 단순히 등락의 흐름에만 주목하기보다 경기변동론적

입장에서 好況 不況의 문제로 연관시켜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

이다 岸本美緖는 康熙年間의 lsquo穀賤rsquo 현상이 不況과 연결되어 있고 光

緖年間 蘇州의 不況도 lsquo穀賤rsquo이 원인이었음을 지목하고 있다125)

그런데 長沙府 중심의 湖南의 사정을 검토해 보면 lsquo穀賤rsquo 관련 기록

이 道光 咸豊 시기와 民國 中期에 집중되고 있다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26)

道光 25年(1845) ldquo穀賤斗穀錢五十文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値穀賤錢価亦賤 民甚苦之rdquo

장사현과 縣治를 長沙城 내에 두고 있는 善化현에서도 같은 해에

비슷한 기록이 있다127)

道光25年 穀賤自十五年起 連年俱穀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中下戶苦之

咸豊5年 穀賤

장사현 기록을 보면 穀価도 싸고 錢価도 싸서 민이 고통 받는다 했

으니 이 당시 은의 해외 유출과 은전비가 문제로 민중이 고통 받은 사

실을 알 수 있다 선화현은 장사현과 연접하고 통합과 분리가 단속되

었던 거의 동일 지역이다 선화현 기록을 보면 도광25년의 lsquo穀賤rsquo이 해

당년도만의 일이 아니고 道光15年(1835)부터 계속된 현상임을 밝히고

있다

12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33 祥異

126)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127) 民國30年刊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0인근의 寧鄕縣에서 보면 ldquo道光26年 歲豊 穀奇賤傷農 佃農以穀賤大

困rdquo이라는 기사가 있다128) lsquo穀奇賤rsquo이라 하였으니 평상시 보지 못한

하락이었다고 생각된다 더구나 소작료 납부가 대부분 현물지대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佃農은 米穀의 상품화 과정에서 배제되었다는 종전의

통념과 달리 佃農도 곡가 하락으로 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같은 기록에 함풍원년에도 ldquo有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以穀賤漕折苛rdquo라 하고 있어

역시 곡가 하락으로 세금 납부에 곤란을 겪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장사부 內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아도 同治 년간에는 lsquo穀賤rsquo 기

재가 보이지 않고 전술한 도광 함풍 년간에 집중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후의 기록을 찾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ldquo湖南自夏秋以來雨暢時若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故無論高低田畝咸稱大稔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甚

賎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反有入不敷出之慨矣rdquo (益聞錄 69号 광서6년828)129)

ldquo(長沙農村) 近年來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穀米求售 価値至賤 日用各物 則又極昻 收穫所

得 不足顧其工本 多已漸陷于無力耕種之境rdquo (新靑年 7권 6호 1920년 5

월)130)

ldquo湖南近年來之天災人禍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天災旣足以減少收量 地方不靖 産品滯銷

価値復因以低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而生活日昻 工価及日用物品 繼續增漲 收入支出 常苦

不得平衡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rdquo (中國棉産改進統計會議專刊 1931)131)ldquo湘省爲産穀素豊之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年歲收 屢佔大有 而長江流域亦値豊收 更

有大宗洋米 運貨傾銷致湘米頓失市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価格低賤 不僅農村經濟 陷于絶

境 市面金融 亦大受打擊rdquo (銀行週報 18권 9기 1934313)

이외에도 1936年의 사실로 호남의 武岡 東安 일대에서 lsquo豊年穀賤rsquo으

로 省城에 운반할 때 운송비와 각종 捐稅 부담을 감당할 수 없어 陳米

를 불태웠다는 기록이 있다

128) 李文治 앞의 책 p557

129) 章有義 앞의 책 권2 p432

130) 章有義 앞의 책 권3 p795

131) 章有義 위의 책 p620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1이것을 보면 주로 1930년대에 lsquo穀賤rsquo과 不況이 집중 묘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lsquo穀賤rsquo 즉 불황이라고 하면 도광함풍초의 곡천과 불

황 同治光緖宣統期의 lsquo穀貴rsquo즉 好況 다시 民國 전기의 好況 民國 中期

의 불황으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물가의 상승기가 호황적 국면이라는 것은 알려

져 있지만 이것은 전체 물가의 문제이다 위 자료에서 보면 1920년 장

사 농촌에서는 곡가는 싼데 일용품 가격은 극히 높다고 하고 있고

1931년의 기록도 工價와 일용품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농민이 다수를 점하기 때문에 미곡가의 하락은 농민 수입 감소

와 구매력 저하를 가져오고 이것이 농촌 불황의 한 요인이 될 수 있

다 그러나 工賃과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시장의 한계 안에서의

일이다 또한 실업률과 고용 지표 등도 고려되어야 하는데 만족할만한

통계의 부족으로 명확한 답을 얻기는 어렵다

그런데 米価와 물가는 개별 년도나 시점에서 서로 상이한 궤적도

있지만 圖2 3 6 7을 보면 대체적으로는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예릉의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광서 4년(1878)에 비하여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1912)에는 현격한 상승세였다가 그 후에 등락을 거듭

하고 있지만 민국25년(1936)의 경우는 광서4년보다는 높거나 유사한

경우가 많다

2 생활 경기의 발달

당시인들이 체감하던 생활 경기의 수준이 어떠했는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

光緖刊 善化縣志를 보면 다음과 같다132)

132)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16 풍속 附論 ldquo古人 酒肉以養老 而今則黃口稚子

無不酒肉之人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日不旦穀貴鹽貴 而酒肉皆貴 則好惡可知矣 一今鄕間柴炭

其価數倍於昔日 瀕河之地 莫不燒煤rdquo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2옛사람들은 술과 고기로 노인을 부양하였는데 지금은 어린아이도 술과

고기를 먹지 않는 이가 없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요사이 미곡과 소금이 비쌀 뿐 아니

라 술과 고기가 모두가 비싸니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지금 향간에 柴炭이 그 값이 예전보다 수배인데 하천 근처 사람은

煤를 때지 않는 사람이 없다

同治 攸縣志 에도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33)

예전에 士大夫도 집에 있을 때 엄동이 아니면 가죽옷을 입지 않았다

지금 關中의 가죽옷 상인이 유현에 와서 1년에 은 만여 냥을 얻을 수 있

다 기타 비단 옷은 蘇州 杭州 및 嶺南에서 오는 것이 또 배가 되니 1년

에 수만금을 소비한다

醴陵縣에서도 비슷한 인식을 볼 수 있다134)

ldquo예전 풍속이 儉樸하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이 명절 아니면 고기를 먹지 않고

慶弔事가 아니면 술을 베풀지 않고 손님 접대는 닭 잡는데 그치고 鮮味

는 생선에 그쳤고 縣城의 食肆는 飽麵茶館에 그치고 酒席으로 業을 삼는

자가 없었다

지금은 酒樓菜館이 거리에 가득차고 中人의 집에도 술자리가 베풀어지

고 사치를 다툰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예전에 士類大半이 淥江書院에 모이면 그 가운데 비단신을 신은 자가

불과 수인이었고 羊가죽 옷을 입은 자가 불과 1 2人이었다 지금은 비단

신과 가죽옷이 거의 常服이 되었고 日用品은 舶來品이 많다rdquo

이 내용을 보면 예릉현의 생활 수준이 급격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예릉현지 기록에는 부인들이 上海의 유행을 쫓아 사치를 추구한

다는 내용도 있고 청말부터 外貨를 서로 자랑한다는 내용도 있다 종

133) 同治10年刊 攸縣志 권18 풍속 衣服 ldquo衣服 昔時 士大夫 家居非嚴冬不御裘

今關中裘商來攸 歲可得銀萬餘兩 其他錦繡之運自蘇杭及嶺南者 則又倍之 計一歲

之戶 所費數萬金rdquo

134)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4장 풍속 생활 ldquo旧俗民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非令節不

食肉 非慶弔不置酒 欵客止於殺鷄 鮮味止於草魚 縣城食肆 止於飽麵茶館 無以酒

席爲業者 今則酒樓菜館 遍於街市 中人之家酬酢往還 爭奢鬪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旧時士類

大半 集於淥江書院 一院之中 著緞鞋者 不過数人 襲羊裘者 不過 一二人 今則絲

履皮袍殆成常服 日用之品 多自舶來rdquo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3전에 菜油 棉油로 燈을 켜다 집집마다 煤油를 사용한다거나 세탁시

茶枯鹼水를 쓰다가 대부분 비누를 사용하는 일상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135)

또 寧鄕縣에서도 ldquo同光之間 地方安寧 家給人足(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함)縣城商業 於時爲盛rdquo이라 하고 있어 同治(1862-74) 光

緖(1875-1908) 시기가 好況이었음을 알 수 있다136) 湘報에도 ldquo民間

之喜用洋貨日甚一日rdquo이라 하고 있어 洋貨 사용의 확대를 짐작할 수 있

다137)

광서년간 무역이 확대되고 여기에 대해 유익하다는 인식의 기록이

湘報에 나오고 있다138)

ldquo輪船과 철로가 개통되고 항구 개항이 증가 되는 것은 실로 중국에 유

익하고 손해가 없다 저 눈이 콩만큼 큰 자가 걸핏하면 통상이 중국에 해

가 된다고 하니 어찌 심히 어리석지 않은가rdquo

무역 확대를 지적하고 통상이 유익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예릉현

지에도 同治志에는 풍속이 lsquo安士重遷rsquo하고 상인이 외부 활동하는 자가

적었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고 光緖末에 도자기 夏布 編爆業

이 일어나 융성하여 이에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 넘는다고

하고 있다139) 예릉향토지에도 商旅 왕래가 예전보다 10배라는 서술이

있다140)

장사시의 行業발달 상황을 보면 민국 5년(1916)에서 民國22年(1935)

사이에 식품업은 281⟶2124 사치품은 171⟶1128 복장은 43⟶2028 農

礦은 621⟶1156 洋貨 127⟶233 금융 130⟶164 공예 2121⟶3344 문구

17⟶355 등 비약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141)

135)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 工商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6장 실업

136) 民國30年刊 寧鄕縣志 財用錄 民業

137) 湘報 제13호 1898年 3月 21日

138) 湘報 제162号 1898年 9月 23日

13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40) 民國15年刊 醴陵鄕土志 제6장 실업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4이것은 장사의 생활수준 향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당시에

通商의 확대 주장도 湘報에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142)

이상에서 보면 청말민국기에 대체적인 추세는 好況이었다고 생각된

다 생활 수준의 향상이 눈에 띄고 米価와 물가도 연동되면서 상승하

는 추세였다 米価의 상승이 구매력 수준의 제고가 되기 때문에 米穀

생산 중심지역에 상인들의 行號가 집중되는 것이 보였다143) 임금의

경우에도 호남 汝城縣에서 실질 임금이 유지 또는 상승하는 것을 확인

한 바 있다144) 全漢昇도 1875년부터 1925년까지에 걸쳐 四川 合江현

의 임금과 물가 변동의 추세가 거의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바 있

다145) 앞서 인용한 1931년 中國棉産改進計劃 에도 임금과 일용품 가

격이 함께 오른다고 하고 있어 임금이 물가에 연동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생활 수준 향상을 기록하고 있던 지방지에도 빈부 격차를 암시하는

내용이 있고 物力이 날로 쇠퇴한다든지 하는 기록이 있다 대외 무역

이 적자라 하더라도 차관 원조 뿐 아니라 외국 상인의 진출이 자본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好況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Ⅴ 結 言

이제까지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이후 民國中期인 1936年

까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여 米価와 물가 변동 물가 변동의 원인

141) 張朋園 앞의 책 p387

142) 湘報 44호 中外通商利害論 湘報 67号 論湖南茶務急宜整頓

143)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144)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9 1998)

145) 安本美緖 앞의 책 p2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5물가와 생활 경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米価 변동은 단기 변동에 있어서 전쟁이나 天災 등의 특수한 사정

의 해를 제외하고는 光緖 년간에 비해 민국 중기의 계절 변동폭이 축

소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米価의 계절 변동을 완화 시

켜 주는 雜糧의 재배가 湖南 지역에서는 대부분 同治 년간에 보급 확

대가 되고 있다 교통과 상업 발달 등의 이유로 청말에서 민국기로 갈

수록 계절 변동폭을 축소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변동에서는 長沙府縣의 물가 변동 예릉현 물가 변동 등을 살

펴 볼 때 전체로서는 상승 추세 중에 도광 함풍 시기의 低米価 同治

년간의 高米価 光緖전반의 低米価 光緖後半에서 宣統 년간의 高米価

民國 前期의 高米価 民國 中期의 低米価의 등락을 보이고 있다

民國 中期의 米価는 長沙 8개년 米価 추세에서도 안정속의 상승세

를 보이고 있다 명목상 수치 뿐 아니라 米価의 상대 물가로 보는 실

질 구매력도 宣統 民國元年에까지 급상승하였다가 민국 시기 등락을

거듭하지만 민국25년(1936)까지 광서4년(1878) 대비 유지 또는 상승 추

세였다

物価변동은 개별 상품에 따라 편차가 있고 米価와는 전혀 상이한

궤적을 그리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米価와 연동 관계를 보이

고 있다 1898년 물가의 단기 변동은 이상할 만큼 변동폭이 크지 않다

당시 물가 조사자의 보고가 정확했는지 의심될 정도이다 1935년의 장

사 물가에서 단기 변동을 보면 변동폭이 100이상인 夏布 毛筆 麵粉

棉布등을 비롯하여 50 이상인 오리털 흑연 성냥 국산 전지 등을

비롯하여 40 이상인 비누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기 변동폭

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 이것은 이런 물품들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

성이 크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物価의 장기 변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米価와 대체로 비슷한 궤적

을 보이고 있다 청말에서 민국전기에 걸쳐 물가 상승폭이 두드러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 상승폭이 더욱 크

다 돼지고기 값을 예로 들면 1878년에서 1909년 사이에 273 상승했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6고 1912-1921년 사이에 75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닭은 각 50와 44

상승했다 청말은 31년간의 수치이고 민국 전기는 9년간이니 물가의

상대적 급등을 알 수 있다 1926에서 1936년까지 10년간 돼지 고기 값

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

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

세를 보이고 있다 민국 중기의 米価가 일부 lsquo穀賤rsquo 현상을 보인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음으로 물가 변동의 원인에 대해서는 군벌간의 전쟁이나 정치적

혼란 등 정치 군사적 요인을 제외하고 대체로 검토해 보았다

수요 측면에서는 湖南米의 유통이 호남 내부의 인구 증가에도 불구

하고 양자강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지속된 것이 米価 상승의 한 원

인이었다 上海나 武漢 등의 도시화와 인구집중은 이들 지역 양식 수

요를 폭증시켰다 일부 洋米 수입에도 불구하고 湖南米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으로써 米価를 상승시켰다 또 장사를 비롯한 각지의 새로운 수

공업 산업의 발달로 비농업 인구가 증가하고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유

효수요로 성장하여 米価 상승을 유도하였다 양식의 이출은 해당 지역

인구 식량을 전부 제외한 나머지 잉여가 수출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력

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청말민국기에는 호남의 내부 외부에

서 미곡에 대한 유효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것이 米価 상승의 한 요인

이었다

화폐 문제에 있어 화폐 수량의 증가가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것

은 상식이다 종래 아편전쟁 전후 은의 해외 유출 증가가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을 초래하여 물가 상승과 인민의 빈곤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지방지 등의 史料에서 검토한 결과 은전비가는 도광함풍초의

일시적 상승 후에 함풍 7년 이후는 도리어 하락하고 있다 同治 년간

에 대부분 1兩 1300文 수준에서 안정되고 있다 光緖末宣統년간에도

1600-1700文 수준으로 도광함풍 초보다는 낮은 편이다 청말민국시

기에 화폐의 남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한계를 넘었을 때 시장의 통용

거부로 마침내 중단되고 있다 청말민국기에 외국 銀元의 유입과 국내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7의 銀元 주조 銅元 지폐 외에 鈔票 市票 등 화폐 시장에 투입된 화

폐량은 엄청나게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로서는 어느 정

도 시장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외 교역과 상품량의

증대 경제 활동 인구의 증대 미곡 생산 및 농산품 생산의 증대로 화

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것이 화폐량의 막대한 증가와 유

통속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

었다고 생각된다 즉 안정 속의 물가 상승이 유도된 것이다

공급면에서 보면 대외 교역을 통한 서양 상품의 수입은 전체로서는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물건의 공급 증가를 통해서

혹은 국내 상품과의 경쟁 때문에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었

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침략과 물가 폭등이라는 도식적

견해와 달리 현실에서는 물가 억제 작용도 있었던 것이다

물가와 경기면에서 보면 물가가 비쌀 때 호경기가 많은 것은 사실

이다 그런데 lsquo穀賤rsquo 현상이 불황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서 長沙 지역의 경우를 검토해 보았다 도광함풍 년간까지 lsquo穀賤rsquo현상

과 불경기적 상황에 대한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동치광서 년간에는

米価가 등귀한 시점인데 이 시기는 紅茶業의 번성이나 각종 수공업의

번성으로 好況의 면모가 보이고 있다 민국 시기에는 민국 중기에 lsquo穀

賤rsquo의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史料上에 민국 중기의 lsquo穀賤rsquo은 임금이나

다른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다 물가 상승기와 好況

이 맞물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민국 중기는 lsquo穀賤rsquo 현상과 서로 어긋

나는 것이다 이 시기의 不況 서술은 농촌의 농민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표시이다

생활 수준에 대한 지방지 기록 등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주민들의

洋貨 사용이 보편화되고 의복 음식 주거 등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것

을 지적하고 있다 물가는 상승하였지만 同治 이전에 비하여 분명히

사치품의 소비 증대와 中人의 집도 소비 수준이 제고된 것이 드러나고

있다 민중의 빈곤은 있으나 이 시기 빈부 격차가 커지고 생활 수준의

격차가 커진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31: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19상이 증가하였으니 長沙의 도시화도 급속히 진전 되고 있다75)

민국10年의 湖南 實業雜誌 보도를 보면 당시 長沙에 蓆工 500人

刻字工 300人 방직공 3200人 이발공 800人 香工 400人 합계 5200人

이 있었다 長沙大公報에 의하면 민국9년(1920)에 長沙에는 부두공

2600人 糞夫 500人 轎夫 1300 車夫 2300人으로 합계 7000人 정도

가 있었다76) 같은 시기 호남성의 광부가 160萬人이고 여기에 手藝工

苦力을 합치면 190만 전후였다고 한다 예릉현에서는 東鄕 일대에서

編爆業 종사자가 수만이고 東北兩鄕에서 磁廠의 女工도 수천이나 되었

다는 기록도 있다77) 湖南 邵陽縣에서도 淸末에 工匠이 5만 상인이 12

만 정도였다는 통계도 있다78) 이렇게 비농업 인구가 다른 생업을 통

해 구매력을 가진 유효 수요로 증가하고 있던 것이 확인된다 이런 유

효 수요 증가를 설명해 주는 다른 史料 하나를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

다79)

어째서 米穀이 날로 적어지고 날로 비싸지는가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水旱災가 날로 많고 농사짓는데 날로 게으르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말은

진실로 일리가 있는데 다 그런 것은 아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선교사 洋商 洋官 洋

兵은 증가한 것이 외국에서 온 사람이다 敎民 游民 賭民 盜民은 內地

에서 증가한 자이다 무릇 농사짓는 사람은 하나인데 먹는 자는 헤아릴

수가 없다 米穀이 어찌 비싸지 않을 수 있겠는가

光緖後期의 사정을 전하고 있는 위 史料를 보면 외국에서 온 선교

사 상인 군인 관리 등도 米価 상승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국내

외를 막론하고 비농업 인구의 급격한 성장이 米価 상승의 원인이라 생

각된다

湖南과 長沙의 米穀은 해당 지역 안에서 소비되는 것보다 揚子江

75) 張朋園 中國現代化的區域硏究 -湖南省 (台北 1998) p376

76) 위의 책 pp412-413

77)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農業經濟

78) 光緖33年刊 邵陽縣鄕土志 권2 인류 실업

79) 李文治 앞의 책 p771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0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많다 청말민국시기에도 지속적인 湖南米의

移出이 있었던 것은 이미 밝힌바 있다80)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穀

米가 騰貴한 이유가 外省의 采辦이 많은 때문이라고 하고 있다81) 상

담현에서도 동치 4년(1865)이전에 해마다 풍년이었는데 穀価가 까닭

없이 騰貴한 것은 江南이 처음 회복되어 米穀의 販運이 많아진 때문이

라고 하고 있다82) 1898年에도 長沙에서 米穀의 원거리 送出을 바라는

지주 富戶와 주민의 갈등 관계가 노출되고 있다83) 宣統2年(1910)의 기

록에도 湖北의 흉년으로 出境 米穀이 과다하여 米価가 급등했는데 작

년 末에는 1石5000文이었다가 금년에는 1石 8000文에 이르렀다는 내

용이 있다84) 같은 자료에 湖南米가 당도 하지 않으면 武漢에서 변란

이 일어난다고 할 정도이다

하류의 上海는 한적한 어촌에서 근대에 대도시로 성장하였다 武漢

上海등의 도시화와 상공업 발전 인구 집중은 長沙米의 급격한 수요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宣統 년간에 長沙가 전국적인 4大 米市의 하나

로 성장한 것은 우연한 일은 아니다85)

근대에 대외 교역증가가 물가 상승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생각된

다 1873년에서 1930年 사이에 농산물 수출 통계는 1910년을 100으로

했을 때 1873년은 12 1893년은 123 1903년 386 1920년은 1324

1930년은 2709로 급상승하고 있다86) 농산물의 수출은 해외 수요의 증

가이다 이런 교역상 수요 증대는 가격의 등귀 뿐 아니라 작물 재배

면적의 확대에도 기여하고 있다

80)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81)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20

82) 光緖6年刊 湘潭縣志 卷29 災祥志

83) 湘報 89號 長沙縣職員常達邦呈批

84) 李文治 앞의 책 p381

85) 徐正元 中國近代農産商品化的發展與米市的形成 (復印報刊經济史 1997年3期)

86)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권2 p14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1宣統2년(1910) 長沙에 영국 상인이 출현하여 米穀 구매를 단행하자

米価가 하루에 여러 번 급등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였다87) 湖南에서

는 또 광동 상인의 영향을 받아 紅茶 제조법을 습득하여 홍차를 대량

생산하여 구미에 수출하였다 19세기 60년대부터 20세기 초에 특히 호

남 茶 생산 판매가 극히 발달하였다88) 주요 산지 중에는 長沙 湘潭

安化 등이 손꼽히고 있다

桐油의 수출 또한 괄목할 만한 것이다 湖南의 桐油 수출은 1922년

전국의 3336 1923년은 372로 성장하였다 1929년에는 全省 수출

총액의 45 정도를 차지하였고 桐油 상품화율 80에 달하였다89) 대

외교역을 통한 농산품의 해외 수요 증가는 직간접으로 물가 상승에 작

용하고 있다

2 화폐 문제

물가와 화폐의 관계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통상 화폐 수량의 증가가

생산총량의 증가보다 초과할 때 물가상승이 일어난다90) 보통 淸 후기

에는 아편무역에 따른 銀의 해외 유출과 그 결과 야기된 lsquo銀貴錢賤rsquo 현

상 통화팽창에 의해 물가가 상승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91)

실제 淸末民國기에 걸쳐 통화 팽창과 물가 상승에 대한 기록을 찾

는 것은 어렵지 않다 王業鍵에 의하면 淸末 특히 1875年부터 1911年

까지는 인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단계였다고 한다92)

民國 寧鄕縣志에 보면 ldquo光緖29年(1903)에 처음으로 當十銅元을 주

87) 李文治 앞의 책 p550-551

88) 劉泱泱 앞의 책 p46

89) 宋斐夫 主篇 湖南通史 現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5 p276

90) 陳民 法幣發行制度與通貨膨脹 (復印報刊經济史 2001-1)91) 龔勝生 앞의 책 pp275-280 岸本美緖 앞의 책 p444 張麗芬 앞의 책

p217

92) Yeh-chien Wang Secular Trends of Rice in the Yanzi Delta 1638-1935(California Univ Press 1992)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2조하여 전국에 통용시켰는데 물가의 등귀가 이때부터 시작되었다rdquo는

기록이 있다93) 醴陵縣에서는 光緖32年에 當十銅元을 주조하여 制錢과

병행시켰고 宣統원년에 銀元이 이미 성행하였다 민국원년에는 當二十

銅元을 주조하였는데 雙銅元이라 칭하였다94) 영향현에서도 광서말에

私鑄錢인 毛錢이 나오고 지폐가 통용되는 등 통화팽창이 상업을 일변

시켰다고 한다95)

종전에 비해 실질 가치가 열악한 當十 當二十 등 銅元의 남발과 鈔

票의 성행은 화폐 시장의 과잉을 초래하였다 정식의 鈔票 이외도 각

현 발행의 私鈔와 錢莊에서 발행한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시중에 범람

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민국 시대에는 화폐 남발이 더욱 심하였다 호

남은행을 비롯한 저축은행 농업은행 등이 각기 각종 지폐를 발행하여

혼란이 가중되었다 1915년에 호남의 은행은 33개인데 그 중 장사현 7

개 상담현이 7개였다96)

군벌들이 은행을 개설하거나 질 낮은 화폐 통용을 강제하는 등의

혼란이 민국시기 특징 중의 하나이다97) 화폐 시장에는 銀元 銀角 銅

元 지폐와 鈔票 市票등 유사 화폐까지 복잡middot혼란의 양상이 나타나고

결과적으로 물가 상승을 피할 수가 없었다

선통2년(1910) 격렬한 米価 騰貴가 있었고 長沙에서 대규모 搶米 폭

동이 일어났는데 이것은 단순한 흉년때문이 아니고 銅元 남발 등 화폐

제도 혼란에 기인한 것이었다98) 1880년대 초부터 1920년대까지는 인

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시기로 매년 33 비율로 상승하였으며 1930년

총 화폐보유고는 60억 원에 달했다 반 세기간 화폐 공급은 8-10배 증

가하였다99)

93)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ldquo光緖 二十九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始鑄當十銅幣 通

行全國 物価之踊始此rdquo

94) 民國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95)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財用錄 상업

96) 張朋園 앞의 책 pp258-259

97) 宋斐夫 앞의 책 pp10-12

98) 岸本美緖 앞의 책 p51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3

時期 銀(兩) 錢(文) 出典

乾隆 嘉慶년간 10 1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道光 初(1821) Prime 1300-1400 Prime

Prime 18年(1838) Prime 1400 林則徐湖廣奏橋 권3

Prime 25年(1845) Prime 2000上下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Prime 末年(1850)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咸豊 元年(1851) Prime 2000 民國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咸豊 初 Prime 2300-2400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8 부역

咸豊 3年(1853) Prime 20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5年(1855)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Prime 6年(1856) Prime 2000 湖文忠公遺集 권12

Prime 7年(1857) Prime 1600 骆文忠公奏議 권7

Prime 8年(1858) Prime 1400 胡文忠公遺集 권85

Prime 10年(1860) Prime 1300-1400 胡文忠公遺集 권70

同治 2年(1863) Prime 13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7年(1868) Prime 1300-1400 李瀚章 瀝陳湖北等省漕務

Prime 10年(1871) Prime 1600-1700 同治10年 長沙縣志 권8 부역 錢法

光緖32年(1906) Prime 1600 長沙日報 宣統2年 2月27日

선통 2年(1910) Prime 1700 國風報 宣統2年 3月 21日

표 지방지에서 직접 採錄제외는 龔勝生 淸代兩湖農業地理 pp270-277에서 湖南부분을 발췌하여 再引用한 것임

表13) 湖南의 銀錢比値

그런데 아편전쟁 전후 銀의 과도한 해외 유출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이

초래되고 이것이 물가 상승의 주요인이라 생각되고 있는 데는 약간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表13)을 보면 銀錢比価가 일시적으로 상승하였다

가 다시 하강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은전비가는 지역에 따라 차

이가 있지만 호남 장사를 위주로 정리한 것이 표13)이다100)

99)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0) 邱思達 中國近現代鑄幣圖說 (北京 中國書店 1991) p109 참조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4

주목되는 것은 道光末에서 咸豊初에 일시적으로 상승하였지만 淸末

의 比価가 낮은 편에 속하는 현상이다 청말에 은전비가가 비교적 안

정되고 있는 것이다 아편전쟁 후 5항 개항으로 교역이 확대된 상황에

서 아편무역 증대에도 불구하고 차와 silk 수출에 힘입어 은의 순유입

이 오히려 증가되는 현상이 나타났던 것이다101) 또 光緖17년(1891)이

후 세계 銀価하락 현상으로 은유입이 증가되었다102) 19세기 후반 중

국이 세계 사회에 연결되면서 중국의 무역 적자에도 불구하고 淸 정부

에 대한 대량 차관과 자본 투자를 통해서 거대한 양의 銀이 중국에 유

입되었다 1871년에서 1913년 사이 은의 순 수입은 2억 4천만 海關兩

혹은 3억 6천만 銀달러로 추정되고 있다 세계 시장의 은가 하락과 은

의 대량 유입은 중국의 국내 시장에서 물가 상승을 유도한 것이다103)

이런 배경으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은 일시적인 것이고 청말민국기 전체를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민국 시기에는 銀元과 錢의 교환 비율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은의 유입 현상에도 불구하고 宣統 원년 11150文의 비율에서 민국6년

2250文 민국11년 2840文 민국17년 3500文 민국22년 7200文까지 급등

하고 있다 예릉현의 기록이지만 이것으로 청말보다 민국시기에 통화

팽창현상이 극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4)

銀과 錢이 주요 화폐이고 그 환율이 항상 문제가 되고 있지만 주로

청 후기 이후는 錢文 위주의 경제로 바뀌고 있다고 생각된다 長沙府

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면 대부분 道光 이후는 화폐를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淸 前期는 米価를 銀으로 표시하던 것과는 대조적이

다105) 예릉현에서는 민간에서 세금을 납부하거나 大宗무역을 할 때를

101)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2) 邱思達 앞의 책 pp92-93

103)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4)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10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光緖3年刊 善化縣志 同治13年刊 湘鄕縣志 光

緖15年刊 湘潭縣志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民國37年刊 醴陵縣志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5제외하고 紋銀 사용자가 거의 없다 도광 이후 교역시 대부분 錢文을

사용했다는 기록을 보면 淸 後期는 錢 경제 위주로 넘어간 것 같

다106) 세금을 낼 때 외에 銀錢이 필요 없는 일반민은 錢文 사용권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너무나 당연하다

함풍4년에 長沙에서 大錢을 주조하여 통용시켰으나 결국 시장의 신

뢰를 얻지 못하여 퇴출되고 말았다 1854년 7월에 주조를 시작하여

1855년 4月에 주조를 정지하였다107) 이것을 보면 통화 남발도 결국

시장의 제약을 받고 있다

민국 7년(1918) 3月 張敬堯가 裕湘銀行을 개설하여 銀元票 1000만元

銅元票 3000만元을 발행하였다 그 결과 시장은 혼란에 빠지고 시중금

융은 마비 상태가 되었으며 결국 裕湘銀行 발행의 惡幣는 폐지와 같이

되었다108) 권력에 의하여 통화 팽창이 시도되더라도 시장이 감당할

수 없는 지경이 되면 중단될 수밖에 없다 과도한 통화 팽창은 시장의

질서에 의해 어느 정도 제약 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예릉현에서도 光緖 년간에 錢莊 24곳이 출현하여 盛業을 누렸는데

民國7年(1918) 兵禍로 停業하는 곳이 많아졌고 정부의 통화 남발 화폐

가치 하락 금융혼란의 현상이 나타났다109) 민국18년(1929) 이후는 정

국이 안정되고 교통 편리로 百業이 진흥되고 은행이 역할을 하게 되었

이상에서 보면 淸末까지는 은전비가가 안정되고 통화 관리가 어느

정도 성공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光緖 宣統 시기에 銀元의 주조 외국

銀貨의 대량유입 當十銅元 등 주조로 통화팽창이 많이 되었고 이시기

물가 상승과 연관되고 있다 민국 초기에도 정국 혼란과 무계획적 통

화남발로 물가의 급등을 초래하였다 민국 중기에는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것 같다

106) 龔勝生 앞의 책 p279

107) 劉泱泱 앞의 책 pp150-155

108) 宋斐夫 앞의 책 pp10-11

10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6영향현에서도 민국 21년(1932) lsquo穀賤錢荒rsquo의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

다110) 청말민국기에 전반적으로 화폐량의 증가가 현저했던 것은 사실

이다 다양한 화폐의 등장 銀兩 銀元 銅錢 銅元 외에 외국 銀元의 유

입 그 외 鈔票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출현하였으며 양적인 팽창도 분

명하다 하지만 대외 교역 증가와 경제 활동 인구의 증가 유통 상품의

양적 증가에 의해 시장의 화폐 수요가 증대된 것도 사실이다 통화 발

행은 일차적으로는 경제 주체의 수요에 부응하는 것이지만 그것이 과

도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3 공급기타 요소

물가는 기본적으로 수요공급의 관계에서 결정되는 것이 원칙이다

청말민국기에 걸쳐 인구가 급증하여 물가가 상승한 것은 자연스런 일

이다 그러나 물가 상승률 면에서 청말의 경우가 18세기의 증가율에

비해 크다고 할 수 없다 물가 상승률을 억제하면서 비교적 안정 속의

상승을 할 수 있었던 것은 공급의 증가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청말민국기에 湖南米의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 현상이 지속된 배경

에 비약적인 경지 면적 확대와 새로운 품종 개량 시비법 발전 등 농

업 생산 증대가 있었다는 것은 이미 밝혀진 바 있다111) 米穀 공급의

증대가 물가 상승을 완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雜糧 재배가 同治

(1862-74) 년간에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민중의 식량 문제 해결에 기여

하고 米価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던 것을 城步縣 知縣 盛溢源을

통해서 알 수 있다

洋米 수입이 國産米의 보충 역할을 했다는 지적이 있지만 결국 시

110) 民國30年刊 寧鄕縣新志 전1 縣年記

111) 田炯權 淸末民國期 湖廣地方의 農業生産力과 生産關係 (慶南史學 7

1995)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2001)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

究 25 200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7장에 대한 미곡 공급을 증대시켜 가격 안정에 기여했다고 생각된

다112)

민국 시대 관련 사료를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113)

금일 정세를 보면 국내 米価의 등락은 결코 國産米의 생산량이 많고

적음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외국 産米 구역의 풍년 여부에 따라 영

향이 대단히 크다

이것을 보면 洋米 수입이 國産米価를 조절한다고 볼 수 있다 비슷

한 시기 上海에서도 湖南米가 수입 米의 영향으로 가격이 약간 적게

올랐다는 史料도 있다114) 湘報에도 日本米가 수입되어 중국의 米価

가 차츰 내려갔다는 기록이 있다115) 같은 湘報에 보면 ldquo외국물산이

날로 풍부하여 중국 상품의 판로를 막는데 서양 상품의 가격이 낮으면

중국 상품 가격이 홀로 증가할 수 없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116) 결국 洋

貨도 중국에서는 시장에 대한 상품 공급의 증가이고 이것이 상품 가격

상승을 억제하고 있는 것이다 같은 자료에 중국의 土藥이 널리 판매

되니 외래 洋藥의 가격이 폭락한 사정도 소개되고 있다117)

또 洋蠟의 수입으로 국산 白蠟 가격이 매 100斤 200元에서 100元으

로 폭락한 일도 있었다118) 1921년 독일 면화가 대량 수입되어 중국의

綿価가 하락한 일도 있다119) 光緖년간 부터 중국이 綿紗 생산을 개시

하자 華商과 洋商사이에 가격 경쟁이 시작되었다 수입 綿布도 洋商이

國産布와 경쟁하기 위해 가격을 낮추어 공급하였다120)

112) 王良行 淸末對外貿易的關聯效果(1860-1911) (近代中國對外貿易史論集1997)

113)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卷3 p413

114) 위의 책 p416

115) 湘報 제45호 p1419

116) 湘報 제13호 ldquo外洋之出産日盛 足以抵華貨之銷路 洋価低則華貨不能獨增rdquo

117) 湘報 제162호 p1608

118) 章有義 앞의 책 권3 p662

119) 譚文熙 앞의 책 p342

120) 譚文熙 위의 책 p368 p374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8상인의 가격 조종이 물가 변동에 하나의 요소는 될 수 있다 예릉현

의 土資 판매에 있어 객상의 가격 조종에 저항하기 위해 주민들이 公

司를 조직하여 가격을 바로 잡았다는 기록도 있다121) 지주 부농 米商

등의 매점매석에 의한 가격 조종 사실은 흔히 발견된다122) 秋收期에

시장에 대량 방출된 곡식을 저렴한 가격에 매입하여 端境期에 되팔아

이익을 남기는 것은 상인의 오래된 관행이다 이윤 추구를 위한 개인

의 행위지만 넓게 보면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행위이기도 하

다 각지 농산품 가격 변동 조사에서 원인이 밝혀진 10건 가운데 전쟁

이 2건 豊凶 水旱災가 7건 상인 조종은 단 한 건 뿐이었다123) 제국

주의 상인에 의한 가격 조종이라는 것도 결국 중국 상인의 이윤 추구

행위와 본질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湘報의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124)

輪船이 이미 통행하고 있고 철로가 이미 만들어 졌다 제조업이 날로

번성하고 통상조약이 행해지니 상인이 계속 내왕하고 온갖 상품이 유통

된다 사계절 틈이 없으니 일용 각 물품이 그 가격이 반드시 저렴할 것

이다

이것을 보면 통상 개시 후 교통이 발달하고 상품 교역이 증대된다

는 것과 그 결과 일용품의 가격이 저렴해졌다는 것을 당시인이 인식하

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서방 각국과의 무역 증대는 상품 공급의 증가

이고 가격 경쟁을 통해 물가 상승을 완만하게 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

121)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22) 李文治 앞의 책 p559

123)湘報 제49號 ldquo輪船旣行 鉄路旣造 製造日盛 商約可行 商賈絡繹 百産流通

歲時無間 則日用物品 其価必廉rdquo

124) 安本美緖 앞의 책 제7장 pp239-288 제12장 431-455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9

Ⅲ 物價와 景氣(생활)

1 穀賤傷農과 不況

物價 문제를 단순히 등락의 흐름에만 주목하기보다 경기변동론적

입장에서 好況 不況의 문제로 연관시켜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

이다 岸本美緖는 康熙年間의 lsquo穀賤rsquo 현상이 不況과 연결되어 있고 光

緖年間 蘇州의 不況도 lsquo穀賤rsquo이 원인이었음을 지목하고 있다125)

그런데 長沙府 중심의 湖南의 사정을 검토해 보면 lsquo穀賤rsquo 관련 기록

이 道光 咸豊 시기와 民國 中期에 집중되고 있다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26)

道光 25年(1845) ldquo穀賤斗穀錢五十文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値穀賤錢価亦賤 民甚苦之rdquo

장사현과 縣治를 長沙城 내에 두고 있는 善化현에서도 같은 해에

비슷한 기록이 있다127)

道光25年 穀賤自十五年起 連年俱穀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中下戶苦之

咸豊5年 穀賤

장사현 기록을 보면 穀価도 싸고 錢価도 싸서 민이 고통 받는다 했

으니 이 당시 은의 해외 유출과 은전비가 문제로 민중이 고통 받은 사

실을 알 수 있다 선화현은 장사현과 연접하고 통합과 분리가 단속되

었던 거의 동일 지역이다 선화현 기록을 보면 도광25년의 lsquo穀賤rsquo이 해

당년도만의 일이 아니고 道光15年(1835)부터 계속된 현상임을 밝히고

있다

12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33 祥異

126)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127) 民國30年刊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0인근의 寧鄕縣에서 보면 ldquo道光26年 歲豊 穀奇賤傷農 佃農以穀賤大

困rdquo이라는 기사가 있다128) lsquo穀奇賤rsquo이라 하였으니 평상시 보지 못한

하락이었다고 생각된다 더구나 소작료 납부가 대부분 현물지대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佃農은 米穀의 상품화 과정에서 배제되었다는 종전의

통념과 달리 佃農도 곡가 하락으로 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같은 기록에 함풍원년에도 ldquo有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以穀賤漕折苛rdquo라 하고 있어

역시 곡가 하락으로 세금 납부에 곤란을 겪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장사부 內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아도 同治 년간에는 lsquo穀賤rsquo 기

재가 보이지 않고 전술한 도광 함풍 년간에 집중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후의 기록을 찾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ldquo湖南自夏秋以來雨暢時若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故無論高低田畝咸稱大稔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甚

賎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反有入不敷出之慨矣rdquo (益聞錄 69号 광서6년828)129)

ldquo(長沙農村) 近年來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穀米求售 価値至賤 日用各物 則又極昻 收穫所

得 不足顧其工本 多已漸陷于無力耕種之境rdquo (新靑年 7권 6호 1920년 5

월)130)

ldquo湖南近年來之天災人禍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天災旣足以減少收量 地方不靖 産品滯銷

価値復因以低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而生活日昻 工価及日用物品 繼續增漲 收入支出 常苦

不得平衡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rdquo (中國棉産改進統計會議專刊 1931)131)ldquo湘省爲産穀素豊之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年歲收 屢佔大有 而長江流域亦値豊收 更

有大宗洋米 運貨傾銷致湘米頓失市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価格低賤 不僅農村經濟 陷于絶

境 市面金融 亦大受打擊rdquo (銀行週報 18권 9기 1934313)

이외에도 1936年의 사실로 호남의 武岡 東安 일대에서 lsquo豊年穀賤rsquo으

로 省城에 운반할 때 운송비와 각종 捐稅 부담을 감당할 수 없어 陳米

를 불태웠다는 기록이 있다

128) 李文治 앞의 책 p557

129) 章有義 앞의 책 권2 p432

130) 章有義 앞의 책 권3 p795

131) 章有義 위의 책 p620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1이것을 보면 주로 1930년대에 lsquo穀賤rsquo과 不況이 집중 묘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lsquo穀賤rsquo 즉 불황이라고 하면 도광함풍초의 곡천과 불

황 同治光緖宣統期의 lsquo穀貴rsquo즉 好況 다시 民國 전기의 好況 民國 中期

의 불황으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물가의 상승기가 호황적 국면이라는 것은 알려

져 있지만 이것은 전체 물가의 문제이다 위 자료에서 보면 1920년 장

사 농촌에서는 곡가는 싼데 일용품 가격은 극히 높다고 하고 있고

1931년의 기록도 工價와 일용품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농민이 다수를 점하기 때문에 미곡가의 하락은 농민 수입 감소

와 구매력 저하를 가져오고 이것이 농촌 불황의 한 요인이 될 수 있

다 그러나 工賃과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시장의 한계 안에서의

일이다 또한 실업률과 고용 지표 등도 고려되어야 하는데 만족할만한

통계의 부족으로 명확한 답을 얻기는 어렵다

그런데 米価와 물가는 개별 년도나 시점에서 서로 상이한 궤적도

있지만 圖2 3 6 7을 보면 대체적으로는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예릉의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광서 4년(1878)에 비하여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1912)에는 현격한 상승세였다가 그 후에 등락을 거듭

하고 있지만 민국25년(1936)의 경우는 광서4년보다는 높거나 유사한

경우가 많다

2 생활 경기의 발달

당시인들이 체감하던 생활 경기의 수준이 어떠했는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

光緖刊 善化縣志를 보면 다음과 같다132)

132)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16 풍속 附論 ldquo古人 酒肉以養老 而今則黃口稚子

無不酒肉之人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日不旦穀貴鹽貴 而酒肉皆貴 則好惡可知矣 一今鄕間柴炭

其価數倍於昔日 瀕河之地 莫不燒煤rdquo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2옛사람들은 술과 고기로 노인을 부양하였는데 지금은 어린아이도 술과

고기를 먹지 않는 이가 없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요사이 미곡과 소금이 비쌀 뿐 아니

라 술과 고기가 모두가 비싸니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지금 향간에 柴炭이 그 값이 예전보다 수배인데 하천 근처 사람은

煤를 때지 않는 사람이 없다

同治 攸縣志 에도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33)

예전에 士大夫도 집에 있을 때 엄동이 아니면 가죽옷을 입지 않았다

지금 關中의 가죽옷 상인이 유현에 와서 1년에 은 만여 냥을 얻을 수 있

다 기타 비단 옷은 蘇州 杭州 및 嶺南에서 오는 것이 또 배가 되니 1년

에 수만금을 소비한다

醴陵縣에서도 비슷한 인식을 볼 수 있다134)

ldquo예전 풍속이 儉樸하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이 명절 아니면 고기를 먹지 않고

慶弔事가 아니면 술을 베풀지 않고 손님 접대는 닭 잡는데 그치고 鮮味

는 생선에 그쳤고 縣城의 食肆는 飽麵茶館에 그치고 酒席으로 業을 삼는

자가 없었다

지금은 酒樓菜館이 거리에 가득차고 中人의 집에도 술자리가 베풀어지

고 사치를 다툰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예전에 士類大半이 淥江書院에 모이면 그 가운데 비단신을 신은 자가

불과 수인이었고 羊가죽 옷을 입은 자가 불과 1 2人이었다 지금은 비단

신과 가죽옷이 거의 常服이 되었고 日用品은 舶來品이 많다rdquo

이 내용을 보면 예릉현의 생활 수준이 급격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예릉현지 기록에는 부인들이 上海의 유행을 쫓아 사치를 추구한

다는 내용도 있고 청말부터 外貨를 서로 자랑한다는 내용도 있다 종

133) 同治10年刊 攸縣志 권18 풍속 衣服 ldquo衣服 昔時 士大夫 家居非嚴冬不御裘

今關中裘商來攸 歲可得銀萬餘兩 其他錦繡之運自蘇杭及嶺南者 則又倍之 計一歲

之戶 所費數萬金rdquo

134)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4장 풍속 생활 ldquo旧俗民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非令節不

食肉 非慶弔不置酒 欵客止於殺鷄 鮮味止於草魚 縣城食肆 止於飽麵茶館 無以酒

席爲業者 今則酒樓菜館 遍於街市 中人之家酬酢往還 爭奢鬪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旧時士類

大半 集於淥江書院 一院之中 著緞鞋者 不過数人 襲羊裘者 不過 一二人 今則絲

履皮袍殆成常服 日用之品 多自舶來rdquo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3전에 菜油 棉油로 燈을 켜다 집집마다 煤油를 사용한다거나 세탁시

茶枯鹼水를 쓰다가 대부분 비누를 사용하는 일상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135)

또 寧鄕縣에서도 ldquo同光之間 地方安寧 家給人足(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함)縣城商業 於時爲盛rdquo이라 하고 있어 同治(1862-74) 光

緖(1875-1908) 시기가 好況이었음을 알 수 있다136) 湘報에도 ldquo民間

之喜用洋貨日甚一日rdquo이라 하고 있어 洋貨 사용의 확대를 짐작할 수 있

다137)

광서년간 무역이 확대되고 여기에 대해 유익하다는 인식의 기록이

湘報에 나오고 있다138)

ldquo輪船과 철로가 개통되고 항구 개항이 증가 되는 것은 실로 중국에 유

익하고 손해가 없다 저 눈이 콩만큼 큰 자가 걸핏하면 통상이 중국에 해

가 된다고 하니 어찌 심히 어리석지 않은가rdquo

무역 확대를 지적하고 통상이 유익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예릉현

지에도 同治志에는 풍속이 lsquo安士重遷rsquo하고 상인이 외부 활동하는 자가

적었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고 光緖末에 도자기 夏布 編爆業

이 일어나 융성하여 이에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 넘는다고

하고 있다139) 예릉향토지에도 商旅 왕래가 예전보다 10배라는 서술이

있다140)

장사시의 行業발달 상황을 보면 민국 5년(1916)에서 民國22年(1935)

사이에 식품업은 281⟶2124 사치품은 171⟶1128 복장은 43⟶2028 農

礦은 621⟶1156 洋貨 127⟶233 금융 130⟶164 공예 2121⟶3344 문구

17⟶355 등 비약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141)

135)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 工商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6장 실업

136) 民國30年刊 寧鄕縣志 財用錄 民業

137) 湘報 제13호 1898年 3月 21日

138) 湘報 제162号 1898年 9月 23日

13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40) 民國15年刊 醴陵鄕土志 제6장 실업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4이것은 장사의 생활수준 향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당시에

通商의 확대 주장도 湘報에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142)

이상에서 보면 청말민국기에 대체적인 추세는 好況이었다고 생각된

다 생활 수준의 향상이 눈에 띄고 米価와 물가도 연동되면서 상승하

는 추세였다 米価의 상승이 구매력 수준의 제고가 되기 때문에 米穀

생산 중심지역에 상인들의 行號가 집중되는 것이 보였다143) 임금의

경우에도 호남 汝城縣에서 실질 임금이 유지 또는 상승하는 것을 확인

한 바 있다144) 全漢昇도 1875년부터 1925년까지에 걸쳐 四川 合江현

의 임금과 물가 변동의 추세가 거의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바 있

다145) 앞서 인용한 1931년 中國棉産改進計劃 에도 임금과 일용품 가

격이 함께 오른다고 하고 있어 임금이 물가에 연동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생활 수준 향상을 기록하고 있던 지방지에도 빈부 격차를 암시하는

내용이 있고 物力이 날로 쇠퇴한다든지 하는 기록이 있다 대외 무역

이 적자라 하더라도 차관 원조 뿐 아니라 외국 상인의 진출이 자본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好況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Ⅴ 結 言

이제까지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이후 民國中期인 1936年

까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여 米価와 물가 변동 물가 변동의 원인

141) 張朋園 앞의 책 p387

142) 湘報 44호 中外通商利害論 湘報 67号 論湖南茶務急宜整頓

143)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144)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9 1998)

145) 安本美緖 앞의 책 p2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5물가와 생활 경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米価 변동은 단기 변동에 있어서 전쟁이나 天災 등의 특수한 사정

의 해를 제외하고는 光緖 년간에 비해 민국 중기의 계절 변동폭이 축

소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米価의 계절 변동을 완화 시

켜 주는 雜糧의 재배가 湖南 지역에서는 대부분 同治 년간에 보급 확

대가 되고 있다 교통과 상업 발달 등의 이유로 청말에서 민국기로 갈

수록 계절 변동폭을 축소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변동에서는 長沙府縣의 물가 변동 예릉현 물가 변동 등을 살

펴 볼 때 전체로서는 상승 추세 중에 도광 함풍 시기의 低米価 同治

년간의 高米価 光緖전반의 低米価 光緖後半에서 宣統 년간의 高米価

民國 前期의 高米価 民國 中期의 低米価의 등락을 보이고 있다

民國 中期의 米価는 長沙 8개년 米価 추세에서도 안정속의 상승세

를 보이고 있다 명목상 수치 뿐 아니라 米価의 상대 물가로 보는 실

질 구매력도 宣統 民國元年에까지 급상승하였다가 민국 시기 등락을

거듭하지만 민국25년(1936)까지 광서4년(1878) 대비 유지 또는 상승 추

세였다

物価변동은 개별 상품에 따라 편차가 있고 米価와는 전혀 상이한

궤적을 그리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米価와 연동 관계를 보이

고 있다 1898년 물가의 단기 변동은 이상할 만큼 변동폭이 크지 않다

당시 물가 조사자의 보고가 정확했는지 의심될 정도이다 1935년의 장

사 물가에서 단기 변동을 보면 변동폭이 100이상인 夏布 毛筆 麵粉

棉布등을 비롯하여 50 이상인 오리털 흑연 성냥 국산 전지 등을

비롯하여 40 이상인 비누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기 변동폭

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 이것은 이런 물품들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

성이 크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物価의 장기 변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米価와 대체로 비슷한 궤적

을 보이고 있다 청말에서 민국전기에 걸쳐 물가 상승폭이 두드러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 상승폭이 더욱 크

다 돼지고기 값을 예로 들면 1878년에서 1909년 사이에 273 상승했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6고 1912-1921년 사이에 75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닭은 각 50와 44

상승했다 청말은 31년간의 수치이고 민국 전기는 9년간이니 물가의

상대적 급등을 알 수 있다 1926에서 1936년까지 10년간 돼지 고기 값

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

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

세를 보이고 있다 민국 중기의 米価가 일부 lsquo穀賤rsquo 현상을 보인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음으로 물가 변동의 원인에 대해서는 군벌간의 전쟁이나 정치적

혼란 등 정치 군사적 요인을 제외하고 대체로 검토해 보았다

수요 측면에서는 湖南米의 유통이 호남 내부의 인구 증가에도 불구

하고 양자강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지속된 것이 米価 상승의 한 원

인이었다 上海나 武漢 등의 도시화와 인구집중은 이들 지역 양식 수

요를 폭증시켰다 일부 洋米 수입에도 불구하고 湖南米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으로써 米価를 상승시켰다 또 장사를 비롯한 각지의 새로운 수

공업 산업의 발달로 비농업 인구가 증가하고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유

효수요로 성장하여 米価 상승을 유도하였다 양식의 이출은 해당 지역

인구 식량을 전부 제외한 나머지 잉여가 수출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력

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청말민국기에는 호남의 내부 외부에

서 미곡에 대한 유효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것이 米価 상승의 한 요인

이었다

화폐 문제에 있어 화폐 수량의 증가가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것

은 상식이다 종래 아편전쟁 전후 은의 해외 유출 증가가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을 초래하여 물가 상승과 인민의 빈곤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지방지 등의 史料에서 검토한 결과 은전비가는 도광함풍초의

일시적 상승 후에 함풍 7년 이후는 도리어 하락하고 있다 同治 년간

에 대부분 1兩 1300文 수준에서 안정되고 있다 光緖末宣統년간에도

1600-1700文 수준으로 도광함풍 초보다는 낮은 편이다 청말민국시

기에 화폐의 남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한계를 넘었을 때 시장의 통용

거부로 마침내 중단되고 있다 청말민국기에 외국 銀元의 유입과 국내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7의 銀元 주조 銅元 지폐 외에 鈔票 市票 등 화폐 시장에 투입된 화

폐량은 엄청나게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로서는 어느 정

도 시장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외 교역과 상품량의

증대 경제 활동 인구의 증대 미곡 생산 및 농산품 생산의 증대로 화

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것이 화폐량의 막대한 증가와 유

통속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

었다고 생각된다 즉 안정 속의 물가 상승이 유도된 것이다

공급면에서 보면 대외 교역을 통한 서양 상품의 수입은 전체로서는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물건의 공급 증가를 통해서

혹은 국내 상품과의 경쟁 때문에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었

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침략과 물가 폭등이라는 도식적

견해와 달리 현실에서는 물가 억제 작용도 있었던 것이다

물가와 경기면에서 보면 물가가 비쌀 때 호경기가 많은 것은 사실

이다 그런데 lsquo穀賤rsquo 현상이 불황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서 長沙 지역의 경우를 검토해 보았다 도광함풍 년간까지 lsquo穀賤rsquo현상

과 불경기적 상황에 대한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동치광서 년간에는

米価가 등귀한 시점인데 이 시기는 紅茶業의 번성이나 각종 수공업의

번성으로 好況의 면모가 보이고 있다 민국 시기에는 민국 중기에 lsquo穀

賤rsquo의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史料上에 민국 중기의 lsquo穀賤rsquo은 임금이나

다른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다 물가 상승기와 好況

이 맞물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민국 중기는 lsquo穀賤rsquo 현상과 서로 어긋

나는 것이다 이 시기의 不況 서술은 농촌의 농민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표시이다

생활 수준에 대한 지방지 기록 등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주민들의

洋貨 사용이 보편화되고 의복 음식 주거 등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것

을 지적하고 있다 물가는 상승하였지만 同治 이전에 비하여 분명히

사치품의 소비 증대와 中人의 집도 소비 수준이 제고된 것이 드러나고

있다 민중의 빈곤은 있으나 이 시기 빈부 격차가 커지고 생활 수준의

격차가 커진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32: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0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많다 청말민국시기에도 지속적인 湖南米의

移出이 있었던 것은 이미 밝힌바 있다80)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穀

米가 騰貴한 이유가 外省의 采辦이 많은 때문이라고 하고 있다81) 상

담현에서도 동치 4년(1865)이전에 해마다 풍년이었는데 穀価가 까닭

없이 騰貴한 것은 江南이 처음 회복되어 米穀의 販運이 많아진 때문이

라고 하고 있다82) 1898年에도 長沙에서 米穀의 원거리 送出을 바라는

지주 富戶와 주민의 갈등 관계가 노출되고 있다83) 宣統2年(1910)의 기

록에도 湖北의 흉년으로 出境 米穀이 과다하여 米価가 급등했는데 작

년 末에는 1石5000文이었다가 금년에는 1石 8000文에 이르렀다는 내

용이 있다84) 같은 자료에 湖南米가 당도 하지 않으면 武漢에서 변란

이 일어난다고 할 정도이다

하류의 上海는 한적한 어촌에서 근대에 대도시로 성장하였다 武漢

上海등의 도시화와 상공업 발전 인구 집중은 長沙米의 급격한 수요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宣統 년간에 長沙가 전국적인 4大 米市의 하나

로 성장한 것은 우연한 일은 아니다85)

근대에 대외 교역증가가 물가 상승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생각된

다 1873년에서 1930年 사이에 농산물 수출 통계는 1910년을 100으로

했을 때 1873년은 12 1893년은 123 1903년 386 1920년은 1324

1930년은 2709로 급상승하고 있다86) 농산물의 수출은 해외 수요의 증

가이다 이런 교역상 수요 증대는 가격의 등귀 뿐 아니라 작물 재배

면적의 확대에도 기여하고 있다

80)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81)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20

82) 光緖6年刊 湘潭縣志 卷29 災祥志

83) 湘報 89號 長沙縣職員常達邦呈批

84) 李文治 앞의 책 p381

85) 徐正元 中國近代農産商品化的發展與米市的形成 (復印報刊經济史 1997年3期)

86)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권2 p14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1宣統2년(1910) 長沙에 영국 상인이 출현하여 米穀 구매를 단행하자

米価가 하루에 여러 번 급등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였다87) 湖南에서

는 또 광동 상인의 영향을 받아 紅茶 제조법을 습득하여 홍차를 대량

생산하여 구미에 수출하였다 19세기 60년대부터 20세기 초에 특히 호

남 茶 생산 판매가 극히 발달하였다88) 주요 산지 중에는 長沙 湘潭

安化 등이 손꼽히고 있다

桐油의 수출 또한 괄목할 만한 것이다 湖南의 桐油 수출은 1922년

전국의 3336 1923년은 372로 성장하였다 1929년에는 全省 수출

총액의 45 정도를 차지하였고 桐油 상품화율 80에 달하였다89) 대

외교역을 통한 농산품의 해외 수요 증가는 직간접으로 물가 상승에 작

용하고 있다

2 화폐 문제

물가와 화폐의 관계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통상 화폐 수량의 증가가

생산총량의 증가보다 초과할 때 물가상승이 일어난다90) 보통 淸 후기

에는 아편무역에 따른 銀의 해외 유출과 그 결과 야기된 lsquo銀貴錢賤rsquo 현

상 통화팽창에 의해 물가가 상승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91)

실제 淸末民國기에 걸쳐 통화 팽창과 물가 상승에 대한 기록을 찾

는 것은 어렵지 않다 王業鍵에 의하면 淸末 특히 1875年부터 1911年

까지는 인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단계였다고 한다92)

民國 寧鄕縣志에 보면 ldquo光緖29年(1903)에 처음으로 當十銅元을 주

87) 李文治 앞의 책 p550-551

88) 劉泱泱 앞의 책 p46

89) 宋斐夫 主篇 湖南通史 現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5 p276

90) 陳民 法幣發行制度與通貨膨脹 (復印報刊經济史 2001-1)91) 龔勝生 앞의 책 pp275-280 岸本美緖 앞의 책 p444 張麗芬 앞의 책

p217

92) Yeh-chien Wang Secular Trends of Rice in the Yanzi Delta 1638-1935(California Univ Press 1992)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2조하여 전국에 통용시켰는데 물가의 등귀가 이때부터 시작되었다rdquo는

기록이 있다93) 醴陵縣에서는 光緖32年에 當十銅元을 주조하여 制錢과

병행시켰고 宣統원년에 銀元이 이미 성행하였다 민국원년에는 當二十

銅元을 주조하였는데 雙銅元이라 칭하였다94) 영향현에서도 광서말에

私鑄錢인 毛錢이 나오고 지폐가 통용되는 등 통화팽창이 상업을 일변

시켰다고 한다95)

종전에 비해 실질 가치가 열악한 當十 當二十 등 銅元의 남발과 鈔

票의 성행은 화폐 시장의 과잉을 초래하였다 정식의 鈔票 이외도 각

현 발행의 私鈔와 錢莊에서 발행한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시중에 범람

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민국 시대에는 화폐 남발이 더욱 심하였다 호

남은행을 비롯한 저축은행 농업은행 등이 각기 각종 지폐를 발행하여

혼란이 가중되었다 1915년에 호남의 은행은 33개인데 그 중 장사현 7

개 상담현이 7개였다96)

군벌들이 은행을 개설하거나 질 낮은 화폐 통용을 강제하는 등의

혼란이 민국시기 특징 중의 하나이다97) 화폐 시장에는 銀元 銀角 銅

元 지폐와 鈔票 市票등 유사 화폐까지 복잡middot혼란의 양상이 나타나고

결과적으로 물가 상승을 피할 수가 없었다

선통2년(1910) 격렬한 米価 騰貴가 있었고 長沙에서 대규모 搶米 폭

동이 일어났는데 이것은 단순한 흉년때문이 아니고 銅元 남발 등 화폐

제도 혼란에 기인한 것이었다98) 1880년대 초부터 1920년대까지는 인

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시기로 매년 33 비율로 상승하였으며 1930년

총 화폐보유고는 60억 원에 달했다 반 세기간 화폐 공급은 8-10배 증

가하였다99)

93)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ldquo光緖 二十九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始鑄當十銅幣 通

行全國 物価之踊始此rdquo

94) 民國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95)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財用錄 상업

96) 張朋園 앞의 책 pp258-259

97) 宋斐夫 앞의 책 pp10-12

98) 岸本美緖 앞의 책 p51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3

時期 銀(兩) 錢(文) 出典

乾隆 嘉慶년간 10 1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道光 初(1821) Prime 1300-1400 Prime

Prime 18年(1838) Prime 1400 林則徐湖廣奏橋 권3

Prime 25年(1845) Prime 2000上下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Prime 末年(1850)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咸豊 元年(1851) Prime 2000 民國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咸豊 初 Prime 2300-2400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8 부역

咸豊 3年(1853) Prime 20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5年(1855)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Prime 6年(1856) Prime 2000 湖文忠公遺集 권12

Prime 7年(1857) Prime 1600 骆文忠公奏議 권7

Prime 8年(1858) Prime 1400 胡文忠公遺集 권85

Prime 10年(1860) Prime 1300-1400 胡文忠公遺集 권70

同治 2年(1863) Prime 13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7年(1868) Prime 1300-1400 李瀚章 瀝陳湖北等省漕務

Prime 10年(1871) Prime 1600-1700 同治10年 長沙縣志 권8 부역 錢法

光緖32年(1906) Prime 1600 長沙日報 宣統2年 2月27日

선통 2年(1910) Prime 1700 國風報 宣統2年 3月 21日

표 지방지에서 직접 採錄제외는 龔勝生 淸代兩湖農業地理 pp270-277에서 湖南부분을 발췌하여 再引用한 것임

表13) 湖南의 銀錢比値

그런데 아편전쟁 전후 銀의 과도한 해외 유출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이

초래되고 이것이 물가 상승의 주요인이라 생각되고 있는 데는 약간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表13)을 보면 銀錢比価가 일시적으로 상승하였다

가 다시 하강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은전비가는 지역에 따라 차

이가 있지만 호남 장사를 위주로 정리한 것이 표13)이다100)

99)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0) 邱思達 中國近現代鑄幣圖說 (北京 中國書店 1991) p109 참조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4

주목되는 것은 道光末에서 咸豊初에 일시적으로 상승하였지만 淸末

의 比価가 낮은 편에 속하는 현상이다 청말에 은전비가가 비교적 안

정되고 있는 것이다 아편전쟁 후 5항 개항으로 교역이 확대된 상황에

서 아편무역 증대에도 불구하고 차와 silk 수출에 힘입어 은의 순유입

이 오히려 증가되는 현상이 나타났던 것이다101) 또 光緖17년(1891)이

후 세계 銀価하락 현상으로 은유입이 증가되었다102) 19세기 후반 중

국이 세계 사회에 연결되면서 중국의 무역 적자에도 불구하고 淸 정부

에 대한 대량 차관과 자본 투자를 통해서 거대한 양의 銀이 중국에 유

입되었다 1871년에서 1913년 사이 은의 순 수입은 2억 4천만 海關兩

혹은 3억 6천만 銀달러로 추정되고 있다 세계 시장의 은가 하락과 은

의 대량 유입은 중국의 국내 시장에서 물가 상승을 유도한 것이다103)

이런 배경으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은 일시적인 것이고 청말민국기 전체를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민국 시기에는 銀元과 錢의 교환 비율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은의 유입 현상에도 불구하고 宣統 원년 11150文의 비율에서 민국6년

2250文 민국11년 2840文 민국17년 3500文 민국22년 7200文까지 급등

하고 있다 예릉현의 기록이지만 이것으로 청말보다 민국시기에 통화

팽창현상이 극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4)

銀과 錢이 주요 화폐이고 그 환율이 항상 문제가 되고 있지만 주로

청 후기 이후는 錢文 위주의 경제로 바뀌고 있다고 생각된다 長沙府

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면 대부분 道光 이후는 화폐를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淸 前期는 米価를 銀으로 표시하던 것과는 대조적이

다105) 예릉현에서는 민간에서 세금을 납부하거나 大宗무역을 할 때를

101)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2) 邱思達 앞의 책 pp92-93

103)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4)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10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光緖3年刊 善化縣志 同治13年刊 湘鄕縣志 光

緖15年刊 湘潭縣志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民國37年刊 醴陵縣志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5제외하고 紋銀 사용자가 거의 없다 도광 이후 교역시 대부분 錢文을

사용했다는 기록을 보면 淸 後期는 錢 경제 위주로 넘어간 것 같

다106) 세금을 낼 때 외에 銀錢이 필요 없는 일반민은 錢文 사용권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너무나 당연하다

함풍4년에 長沙에서 大錢을 주조하여 통용시켰으나 결국 시장의 신

뢰를 얻지 못하여 퇴출되고 말았다 1854년 7월에 주조를 시작하여

1855년 4月에 주조를 정지하였다107) 이것을 보면 통화 남발도 결국

시장의 제약을 받고 있다

민국 7년(1918) 3月 張敬堯가 裕湘銀行을 개설하여 銀元票 1000만元

銅元票 3000만元을 발행하였다 그 결과 시장은 혼란에 빠지고 시중금

융은 마비 상태가 되었으며 결국 裕湘銀行 발행의 惡幣는 폐지와 같이

되었다108) 권력에 의하여 통화 팽창이 시도되더라도 시장이 감당할

수 없는 지경이 되면 중단될 수밖에 없다 과도한 통화 팽창은 시장의

질서에 의해 어느 정도 제약 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예릉현에서도 光緖 년간에 錢莊 24곳이 출현하여 盛業을 누렸는데

民國7年(1918) 兵禍로 停業하는 곳이 많아졌고 정부의 통화 남발 화폐

가치 하락 금융혼란의 현상이 나타났다109) 민국18년(1929) 이후는 정

국이 안정되고 교통 편리로 百業이 진흥되고 은행이 역할을 하게 되었

이상에서 보면 淸末까지는 은전비가가 안정되고 통화 관리가 어느

정도 성공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光緖 宣統 시기에 銀元의 주조 외국

銀貨의 대량유입 當十銅元 등 주조로 통화팽창이 많이 되었고 이시기

물가 상승과 연관되고 있다 민국 초기에도 정국 혼란과 무계획적 통

화남발로 물가의 급등을 초래하였다 민국 중기에는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것 같다

106) 龔勝生 앞의 책 p279

107) 劉泱泱 앞의 책 pp150-155

108) 宋斐夫 앞의 책 pp10-11

10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6영향현에서도 민국 21년(1932) lsquo穀賤錢荒rsquo의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

다110) 청말민국기에 전반적으로 화폐량의 증가가 현저했던 것은 사실

이다 다양한 화폐의 등장 銀兩 銀元 銅錢 銅元 외에 외국 銀元의 유

입 그 외 鈔票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출현하였으며 양적인 팽창도 분

명하다 하지만 대외 교역 증가와 경제 활동 인구의 증가 유통 상품의

양적 증가에 의해 시장의 화폐 수요가 증대된 것도 사실이다 통화 발

행은 일차적으로는 경제 주체의 수요에 부응하는 것이지만 그것이 과

도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3 공급기타 요소

물가는 기본적으로 수요공급의 관계에서 결정되는 것이 원칙이다

청말민국기에 걸쳐 인구가 급증하여 물가가 상승한 것은 자연스런 일

이다 그러나 물가 상승률 면에서 청말의 경우가 18세기의 증가율에

비해 크다고 할 수 없다 물가 상승률을 억제하면서 비교적 안정 속의

상승을 할 수 있었던 것은 공급의 증가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청말민국기에 湖南米의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 현상이 지속된 배경

에 비약적인 경지 면적 확대와 새로운 품종 개량 시비법 발전 등 농

업 생산 증대가 있었다는 것은 이미 밝혀진 바 있다111) 米穀 공급의

증대가 물가 상승을 완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雜糧 재배가 同治

(1862-74) 년간에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민중의 식량 문제 해결에 기여

하고 米価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던 것을 城步縣 知縣 盛溢源을

통해서 알 수 있다

洋米 수입이 國産米의 보충 역할을 했다는 지적이 있지만 결국 시

110) 民國30年刊 寧鄕縣新志 전1 縣年記

111) 田炯權 淸末民國期 湖廣地方의 農業生産力과 生産關係 (慶南史學 7

1995)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2001)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

究 25 200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7장에 대한 미곡 공급을 증대시켜 가격 안정에 기여했다고 생각된

다112)

민국 시대 관련 사료를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113)

금일 정세를 보면 국내 米価의 등락은 결코 國産米의 생산량이 많고

적음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외국 産米 구역의 풍년 여부에 따라 영

향이 대단히 크다

이것을 보면 洋米 수입이 國産米価를 조절한다고 볼 수 있다 비슷

한 시기 上海에서도 湖南米가 수입 米의 영향으로 가격이 약간 적게

올랐다는 史料도 있다114) 湘報에도 日本米가 수입되어 중국의 米価

가 차츰 내려갔다는 기록이 있다115) 같은 湘報에 보면 ldquo외국물산이

날로 풍부하여 중국 상품의 판로를 막는데 서양 상품의 가격이 낮으면

중국 상품 가격이 홀로 증가할 수 없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116) 결국 洋

貨도 중국에서는 시장에 대한 상품 공급의 증가이고 이것이 상품 가격

상승을 억제하고 있는 것이다 같은 자료에 중국의 土藥이 널리 판매

되니 외래 洋藥의 가격이 폭락한 사정도 소개되고 있다117)

또 洋蠟의 수입으로 국산 白蠟 가격이 매 100斤 200元에서 100元으

로 폭락한 일도 있었다118) 1921년 독일 면화가 대량 수입되어 중국의

綿価가 하락한 일도 있다119) 光緖년간 부터 중국이 綿紗 생산을 개시

하자 華商과 洋商사이에 가격 경쟁이 시작되었다 수입 綿布도 洋商이

國産布와 경쟁하기 위해 가격을 낮추어 공급하였다120)

112) 王良行 淸末對外貿易的關聯效果(1860-1911) (近代中國對外貿易史論集1997)

113)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卷3 p413

114) 위의 책 p416

115) 湘報 제45호 p1419

116) 湘報 제13호 ldquo外洋之出産日盛 足以抵華貨之銷路 洋価低則華貨不能獨增rdquo

117) 湘報 제162호 p1608

118) 章有義 앞의 책 권3 p662

119) 譚文熙 앞의 책 p342

120) 譚文熙 위의 책 p368 p374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8상인의 가격 조종이 물가 변동에 하나의 요소는 될 수 있다 예릉현

의 土資 판매에 있어 객상의 가격 조종에 저항하기 위해 주민들이 公

司를 조직하여 가격을 바로 잡았다는 기록도 있다121) 지주 부농 米商

등의 매점매석에 의한 가격 조종 사실은 흔히 발견된다122) 秋收期에

시장에 대량 방출된 곡식을 저렴한 가격에 매입하여 端境期에 되팔아

이익을 남기는 것은 상인의 오래된 관행이다 이윤 추구를 위한 개인

의 행위지만 넓게 보면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행위이기도 하

다 각지 농산품 가격 변동 조사에서 원인이 밝혀진 10건 가운데 전쟁

이 2건 豊凶 水旱災가 7건 상인 조종은 단 한 건 뿐이었다123) 제국

주의 상인에 의한 가격 조종이라는 것도 결국 중국 상인의 이윤 추구

행위와 본질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湘報의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124)

輪船이 이미 통행하고 있고 철로가 이미 만들어 졌다 제조업이 날로

번성하고 통상조약이 행해지니 상인이 계속 내왕하고 온갖 상품이 유통

된다 사계절 틈이 없으니 일용 각 물품이 그 가격이 반드시 저렴할 것

이다

이것을 보면 통상 개시 후 교통이 발달하고 상품 교역이 증대된다

는 것과 그 결과 일용품의 가격이 저렴해졌다는 것을 당시인이 인식하

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서방 각국과의 무역 증대는 상품 공급의 증가

이고 가격 경쟁을 통해 물가 상승을 완만하게 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

121)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22) 李文治 앞의 책 p559

123)湘報 제49號 ldquo輪船旣行 鉄路旣造 製造日盛 商約可行 商賈絡繹 百産流通

歲時無間 則日用物品 其価必廉rdquo

124) 安本美緖 앞의 책 제7장 pp239-288 제12장 431-455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9

Ⅲ 物價와 景氣(생활)

1 穀賤傷農과 不況

物價 문제를 단순히 등락의 흐름에만 주목하기보다 경기변동론적

입장에서 好況 不況의 문제로 연관시켜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

이다 岸本美緖는 康熙年間의 lsquo穀賤rsquo 현상이 不況과 연결되어 있고 光

緖年間 蘇州의 不況도 lsquo穀賤rsquo이 원인이었음을 지목하고 있다125)

그런데 長沙府 중심의 湖南의 사정을 검토해 보면 lsquo穀賤rsquo 관련 기록

이 道光 咸豊 시기와 民國 中期에 집중되고 있다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26)

道光 25年(1845) ldquo穀賤斗穀錢五十文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値穀賤錢価亦賤 民甚苦之rdquo

장사현과 縣治를 長沙城 내에 두고 있는 善化현에서도 같은 해에

비슷한 기록이 있다127)

道光25年 穀賤自十五年起 連年俱穀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中下戶苦之

咸豊5年 穀賤

장사현 기록을 보면 穀価도 싸고 錢価도 싸서 민이 고통 받는다 했

으니 이 당시 은의 해외 유출과 은전비가 문제로 민중이 고통 받은 사

실을 알 수 있다 선화현은 장사현과 연접하고 통합과 분리가 단속되

었던 거의 동일 지역이다 선화현 기록을 보면 도광25년의 lsquo穀賤rsquo이 해

당년도만의 일이 아니고 道光15年(1835)부터 계속된 현상임을 밝히고

있다

12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33 祥異

126)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127) 民國30年刊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0인근의 寧鄕縣에서 보면 ldquo道光26年 歲豊 穀奇賤傷農 佃農以穀賤大

困rdquo이라는 기사가 있다128) lsquo穀奇賤rsquo이라 하였으니 평상시 보지 못한

하락이었다고 생각된다 더구나 소작료 납부가 대부분 현물지대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佃農은 米穀의 상품화 과정에서 배제되었다는 종전의

통념과 달리 佃農도 곡가 하락으로 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같은 기록에 함풍원년에도 ldquo有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以穀賤漕折苛rdquo라 하고 있어

역시 곡가 하락으로 세금 납부에 곤란을 겪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장사부 內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아도 同治 년간에는 lsquo穀賤rsquo 기

재가 보이지 않고 전술한 도광 함풍 년간에 집중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후의 기록을 찾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ldquo湖南自夏秋以來雨暢時若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故無論高低田畝咸稱大稔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甚

賎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反有入不敷出之慨矣rdquo (益聞錄 69号 광서6년828)129)

ldquo(長沙農村) 近年來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穀米求售 価値至賤 日用各物 則又極昻 收穫所

得 不足顧其工本 多已漸陷于無力耕種之境rdquo (新靑年 7권 6호 1920년 5

월)130)

ldquo湖南近年來之天災人禍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天災旣足以減少收量 地方不靖 産品滯銷

価値復因以低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而生活日昻 工価及日用物品 繼續增漲 收入支出 常苦

不得平衡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rdquo (中國棉産改進統計會議專刊 1931)131)ldquo湘省爲産穀素豊之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年歲收 屢佔大有 而長江流域亦値豊收 更

有大宗洋米 運貨傾銷致湘米頓失市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価格低賤 不僅農村經濟 陷于絶

境 市面金融 亦大受打擊rdquo (銀行週報 18권 9기 1934313)

이외에도 1936年의 사실로 호남의 武岡 東安 일대에서 lsquo豊年穀賤rsquo으

로 省城에 운반할 때 운송비와 각종 捐稅 부담을 감당할 수 없어 陳米

를 불태웠다는 기록이 있다

128) 李文治 앞의 책 p557

129) 章有義 앞의 책 권2 p432

130) 章有義 앞의 책 권3 p795

131) 章有義 위의 책 p620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1이것을 보면 주로 1930년대에 lsquo穀賤rsquo과 不況이 집중 묘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lsquo穀賤rsquo 즉 불황이라고 하면 도광함풍초의 곡천과 불

황 同治光緖宣統期의 lsquo穀貴rsquo즉 好況 다시 民國 전기의 好況 民國 中期

의 불황으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물가의 상승기가 호황적 국면이라는 것은 알려

져 있지만 이것은 전체 물가의 문제이다 위 자료에서 보면 1920년 장

사 농촌에서는 곡가는 싼데 일용품 가격은 극히 높다고 하고 있고

1931년의 기록도 工價와 일용품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농민이 다수를 점하기 때문에 미곡가의 하락은 농민 수입 감소

와 구매력 저하를 가져오고 이것이 농촌 불황의 한 요인이 될 수 있

다 그러나 工賃과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시장의 한계 안에서의

일이다 또한 실업률과 고용 지표 등도 고려되어야 하는데 만족할만한

통계의 부족으로 명확한 답을 얻기는 어렵다

그런데 米価와 물가는 개별 년도나 시점에서 서로 상이한 궤적도

있지만 圖2 3 6 7을 보면 대체적으로는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예릉의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광서 4년(1878)에 비하여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1912)에는 현격한 상승세였다가 그 후에 등락을 거듭

하고 있지만 민국25년(1936)의 경우는 광서4년보다는 높거나 유사한

경우가 많다

2 생활 경기의 발달

당시인들이 체감하던 생활 경기의 수준이 어떠했는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

光緖刊 善化縣志를 보면 다음과 같다132)

132)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16 풍속 附論 ldquo古人 酒肉以養老 而今則黃口稚子

無不酒肉之人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日不旦穀貴鹽貴 而酒肉皆貴 則好惡可知矣 一今鄕間柴炭

其価數倍於昔日 瀕河之地 莫不燒煤rdquo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2옛사람들은 술과 고기로 노인을 부양하였는데 지금은 어린아이도 술과

고기를 먹지 않는 이가 없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요사이 미곡과 소금이 비쌀 뿐 아니

라 술과 고기가 모두가 비싸니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지금 향간에 柴炭이 그 값이 예전보다 수배인데 하천 근처 사람은

煤를 때지 않는 사람이 없다

同治 攸縣志 에도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33)

예전에 士大夫도 집에 있을 때 엄동이 아니면 가죽옷을 입지 않았다

지금 關中의 가죽옷 상인이 유현에 와서 1년에 은 만여 냥을 얻을 수 있

다 기타 비단 옷은 蘇州 杭州 및 嶺南에서 오는 것이 또 배가 되니 1년

에 수만금을 소비한다

醴陵縣에서도 비슷한 인식을 볼 수 있다134)

ldquo예전 풍속이 儉樸하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이 명절 아니면 고기를 먹지 않고

慶弔事가 아니면 술을 베풀지 않고 손님 접대는 닭 잡는데 그치고 鮮味

는 생선에 그쳤고 縣城의 食肆는 飽麵茶館에 그치고 酒席으로 業을 삼는

자가 없었다

지금은 酒樓菜館이 거리에 가득차고 中人의 집에도 술자리가 베풀어지

고 사치를 다툰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예전에 士類大半이 淥江書院에 모이면 그 가운데 비단신을 신은 자가

불과 수인이었고 羊가죽 옷을 입은 자가 불과 1 2人이었다 지금은 비단

신과 가죽옷이 거의 常服이 되었고 日用品은 舶來品이 많다rdquo

이 내용을 보면 예릉현의 생활 수준이 급격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예릉현지 기록에는 부인들이 上海의 유행을 쫓아 사치를 추구한

다는 내용도 있고 청말부터 外貨를 서로 자랑한다는 내용도 있다 종

133) 同治10年刊 攸縣志 권18 풍속 衣服 ldquo衣服 昔時 士大夫 家居非嚴冬不御裘

今關中裘商來攸 歲可得銀萬餘兩 其他錦繡之運自蘇杭及嶺南者 則又倍之 計一歲

之戶 所費數萬金rdquo

134)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4장 풍속 생활 ldquo旧俗民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非令節不

食肉 非慶弔不置酒 欵客止於殺鷄 鮮味止於草魚 縣城食肆 止於飽麵茶館 無以酒

席爲業者 今則酒樓菜館 遍於街市 中人之家酬酢往還 爭奢鬪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旧時士類

大半 集於淥江書院 一院之中 著緞鞋者 不過数人 襲羊裘者 不過 一二人 今則絲

履皮袍殆成常服 日用之品 多自舶來rdquo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3전에 菜油 棉油로 燈을 켜다 집집마다 煤油를 사용한다거나 세탁시

茶枯鹼水를 쓰다가 대부분 비누를 사용하는 일상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135)

또 寧鄕縣에서도 ldquo同光之間 地方安寧 家給人足(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함)縣城商業 於時爲盛rdquo이라 하고 있어 同治(1862-74) 光

緖(1875-1908) 시기가 好況이었음을 알 수 있다136) 湘報에도 ldquo民間

之喜用洋貨日甚一日rdquo이라 하고 있어 洋貨 사용의 확대를 짐작할 수 있

다137)

광서년간 무역이 확대되고 여기에 대해 유익하다는 인식의 기록이

湘報에 나오고 있다138)

ldquo輪船과 철로가 개통되고 항구 개항이 증가 되는 것은 실로 중국에 유

익하고 손해가 없다 저 눈이 콩만큼 큰 자가 걸핏하면 통상이 중국에 해

가 된다고 하니 어찌 심히 어리석지 않은가rdquo

무역 확대를 지적하고 통상이 유익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예릉현

지에도 同治志에는 풍속이 lsquo安士重遷rsquo하고 상인이 외부 활동하는 자가

적었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고 光緖末에 도자기 夏布 編爆業

이 일어나 융성하여 이에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 넘는다고

하고 있다139) 예릉향토지에도 商旅 왕래가 예전보다 10배라는 서술이

있다140)

장사시의 行業발달 상황을 보면 민국 5년(1916)에서 民國22年(1935)

사이에 식품업은 281⟶2124 사치품은 171⟶1128 복장은 43⟶2028 農

礦은 621⟶1156 洋貨 127⟶233 금융 130⟶164 공예 2121⟶3344 문구

17⟶355 등 비약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141)

135)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 工商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6장 실업

136) 民國30年刊 寧鄕縣志 財用錄 民業

137) 湘報 제13호 1898年 3月 21日

138) 湘報 제162号 1898年 9月 23日

13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40) 民國15年刊 醴陵鄕土志 제6장 실업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4이것은 장사의 생활수준 향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당시에

通商의 확대 주장도 湘報에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142)

이상에서 보면 청말민국기에 대체적인 추세는 好況이었다고 생각된

다 생활 수준의 향상이 눈에 띄고 米価와 물가도 연동되면서 상승하

는 추세였다 米価의 상승이 구매력 수준의 제고가 되기 때문에 米穀

생산 중심지역에 상인들의 行號가 집중되는 것이 보였다143) 임금의

경우에도 호남 汝城縣에서 실질 임금이 유지 또는 상승하는 것을 확인

한 바 있다144) 全漢昇도 1875년부터 1925년까지에 걸쳐 四川 合江현

의 임금과 물가 변동의 추세가 거의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바 있

다145) 앞서 인용한 1931년 中國棉産改進計劃 에도 임금과 일용품 가

격이 함께 오른다고 하고 있어 임금이 물가에 연동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생활 수준 향상을 기록하고 있던 지방지에도 빈부 격차를 암시하는

내용이 있고 物力이 날로 쇠퇴한다든지 하는 기록이 있다 대외 무역

이 적자라 하더라도 차관 원조 뿐 아니라 외국 상인의 진출이 자본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好況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Ⅴ 結 言

이제까지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이후 民國中期인 1936年

까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여 米価와 물가 변동 물가 변동의 원인

141) 張朋園 앞의 책 p387

142) 湘報 44호 中外通商利害論 湘報 67号 論湖南茶務急宜整頓

143)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144)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9 1998)

145) 安本美緖 앞의 책 p2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5물가와 생활 경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米価 변동은 단기 변동에 있어서 전쟁이나 天災 등의 특수한 사정

의 해를 제외하고는 光緖 년간에 비해 민국 중기의 계절 변동폭이 축

소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米価의 계절 변동을 완화 시

켜 주는 雜糧의 재배가 湖南 지역에서는 대부분 同治 년간에 보급 확

대가 되고 있다 교통과 상업 발달 등의 이유로 청말에서 민국기로 갈

수록 계절 변동폭을 축소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변동에서는 長沙府縣의 물가 변동 예릉현 물가 변동 등을 살

펴 볼 때 전체로서는 상승 추세 중에 도광 함풍 시기의 低米価 同治

년간의 高米価 光緖전반의 低米価 光緖後半에서 宣統 년간의 高米価

民國 前期의 高米価 民國 中期의 低米価의 등락을 보이고 있다

民國 中期의 米価는 長沙 8개년 米価 추세에서도 안정속의 상승세

를 보이고 있다 명목상 수치 뿐 아니라 米価의 상대 물가로 보는 실

질 구매력도 宣統 民國元年에까지 급상승하였다가 민국 시기 등락을

거듭하지만 민국25년(1936)까지 광서4년(1878) 대비 유지 또는 상승 추

세였다

物価변동은 개별 상품에 따라 편차가 있고 米価와는 전혀 상이한

궤적을 그리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米価와 연동 관계를 보이

고 있다 1898년 물가의 단기 변동은 이상할 만큼 변동폭이 크지 않다

당시 물가 조사자의 보고가 정확했는지 의심될 정도이다 1935년의 장

사 물가에서 단기 변동을 보면 변동폭이 100이상인 夏布 毛筆 麵粉

棉布등을 비롯하여 50 이상인 오리털 흑연 성냥 국산 전지 등을

비롯하여 40 이상인 비누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기 변동폭

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 이것은 이런 물품들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

성이 크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物価의 장기 변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米価와 대체로 비슷한 궤적

을 보이고 있다 청말에서 민국전기에 걸쳐 물가 상승폭이 두드러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 상승폭이 더욱 크

다 돼지고기 값을 예로 들면 1878년에서 1909년 사이에 273 상승했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6고 1912-1921년 사이에 75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닭은 각 50와 44

상승했다 청말은 31년간의 수치이고 민국 전기는 9년간이니 물가의

상대적 급등을 알 수 있다 1926에서 1936년까지 10년간 돼지 고기 값

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

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

세를 보이고 있다 민국 중기의 米価가 일부 lsquo穀賤rsquo 현상을 보인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음으로 물가 변동의 원인에 대해서는 군벌간의 전쟁이나 정치적

혼란 등 정치 군사적 요인을 제외하고 대체로 검토해 보았다

수요 측면에서는 湖南米의 유통이 호남 내부의 인구 증가에도 불구

하고 양자강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지속된 것이 米価 상승의 한 원

인이었다 上海나 武漢 등의 도시화와 인구집중은 이들 지역 양식 수

요를 폭증시켰다 일부 洋米 수입에도 불구하고 湖南米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으로써 米価를 상승시켰다 또 장사를 비롯한 각지의 새로운 수

공업 산업의 발달로 비농업 인구가 증가하고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유

효수요로 성장하여 米価 상승을 유도하였다 양식의 이출은 해당 지역

인구 식량을 전부 제외한 나머지 잉여가 수출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력

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청말민국기에는 호남의 내부 외부에

서 미곡에 대한 유효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것이 米価 상승의 한 요인

이었다

화폐 문제에 있어 화폐 수량의 증가가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것

은 상식이다 종래 아편전쟁 전후 은의 해외 유출 증가가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을 초래하여 물가 상승과 인민의 빈곤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지방지 등의 史料에서 검토한 결과 은전비가는 도광함풍초의

일시적 상승 후에 함풍 7년 이후는 도리어 하락하고 있다 同治 년간

에 대부분 1兩 1300文 수준에서 안정되고 있다 光緖末宣統년간에도

1600-1700文 수준으로 도광함풍 초보다는 낮은 편이다 청말민국시

기에 화폐의 남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한계를 넘었을 때 시장의 통용

거부로 마침내 중단되고 있다 청말민국기에 외국 銀元의 유입과 국내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7의 銀元 주조 銅元 지폐 외에 鈔票 市票 등 화폐 시장에 투입된 화

폐량은 엄청나게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로서는 어느 정

도 시장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외 교역과 상품량의

증대 경제 활동 인구의 증대 미곡 생산 및 농산품 생산의 증대로 화

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것이 화폐량의 막대한 증가와 유

통속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

었다고 생각된다 즉 안정 속의 물가 상승이 유도된 것이다

공급면에서 보면 대외 교역을 통한 서양 상품의 수입은 전체로서는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물건의 공급 증가를 통해서

혹은 국내 상품과의 경쟁 때문에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었

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침략과 물가 폭등이라는 도식적

견해와 달리 현실에서는 물가 억제 작용도 있었던 것이다

물가와 경기면에서 보면 물가가 비쌀 때 호경기가 많은 것은 사실

이다 그런데 lsquo穀賤rsquo 현상이 불황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서 長沙 지역의 경우를 검토해 보았다 도광함풍 년간까지 lsquo穀賤rsquo현상

과 불경기적 상황에 대한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동치광서 년간에는

米価가 등귀한 시점인데 이 시기는 紅茶業의 번성이나 각종 수공업의

번성으로 好況의 면모가 보이고 있다 민국 시기에는 민국 중기에 lsquo穀

賤rsquo의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史料上에 민국 중기의 lsquo穀賤rsquo은 임금이나

다른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다 물가 상승기와 好況

이 맞물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민국 중기는 lsquo穀賤rsquo 현상과 서로 어긋

나는 것이다 이 시기의 不況 서술은 농촌의 농민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표시이다

생활 수준에 대한 지방지 기록 등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주민들의

洋貨 사용이 보편화되고 의복 음식 주거 등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것

을 지적하고 있다 물가는 상승하였지만 同治 이전에 비하여 분명히

사치품의 소비 증대와 中人의 집도 소비 수준이 제고된 것이 드러나고

있다 민중의 빈곤은 있으나 이 시기 빈부 격차가 커지고 생활 수준의

격차가 커진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33: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1宣統2년(1910) 長沙에 영국 상인이 출현하여 米穀 구매를 단행하자

米価가 하루에 여러 번 급등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였다87) 湖南에서

는 또 광동 상인의 영향을 받아 紅茶 제조법을 습득하여 홍차를 대량

생산하여 구미에 수출하였다 19세기 60년대부터 20세기 초에 특히 호

남 茶 생산 판매가 극히 발달하였다88) 주요 산지 중에는 長沙 湘潭

安化 등이 손꼽히고 있다

桐油의 수출 또한 괄목할 만한 것이다 湖南의 桐油 수출은 1922년

전국의 3336 1923년은 372로 성장하였다 1929년에는 全省 수출

총액의 45 정도를 차지하였고 桐油 상품화율 80에 달하였다89) 대

외교역을 통한 농산품의 해외 수요 증가는 직간접으로 물가 상승에 작

용하고 있다

2 화폐 문제

물가와 화폐의 관계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통상 화폐 수량의 증가가

생산총량의 증가보다 초과할 때 물가상승이 일어난다90) 보통 淸 후기

에는 아편무역에 따른 銀의 해외 유출과 그 결과 야기된 lsquo銀貴錢賤rsquo 현

상 통화팽창에 의해 물가가 상승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91)

실제 淸末民國기에 걸쳐 통화 팽창과 물가 상승에 대한 기록을 찾

는 것은 어렵지 않다 王業鍵에 의하면 淸末 특히 1875年부터 1911年

까지는 인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단계였다고 한다92)

民國 寧鄕縣志에 보면 ldquo光緖29年(1903)에 처음으로 當十銅元을 주

87) 李文治 앞의 책 p550-551

88) 劉泱泱 앞의 책 p46

89) 宋斐夫 主篇 湖南通史 現代卷 (長沙 湖南出版社) p5 p276

90) 陳民 法幣發行制度與通貨膨脹 (復印報刊經济史 2001-1)91) 龔勝生 앞의 책 pp275-280 岸本美緖 앞의 책 p444 張麗芬 앞의 책

p217

92) Yeh-chien Wang Secular Trends of Rice in the Yanzi Delta 1638-1935(California Univ Press 1992)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2조하여 전국에 통용시켰는데 물가의 등귀가 이때부터 시작되었다rdquo는

기록이 있다93) 醴陵縣에서는 光緖32年에 當十銅元을 주조하여 制錢과

병행시켰고 宣統원년에 銀元이 이미 성행하였다 민국원년에는 當二十

銅元을 주조하였는데 雙銅元이라 칭하였다94) 영향현에서도 광서말에

私鑄錢인 毛錢이 나오고 지폐가 통용되는 등 통화팽창이 상업을 일변

시켰다고 한다95)

종전에 비해 실질 가치가 열악한 當十 當二十 등 銅元의 남발과 鈔

票의 성행은 화폐 시장의 과잉을 초래하였다 정식의 鈔票 이외도 각

현 발행의 私鈔와 錢莊에서 발행한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시중에 범람

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민국 시대에는 화폐 남발이 더욱 심하였다 호

남은행을 비롯한 저축은행 농업은행 등이 각기 각종 지폐를 발행하여

혼란이 가중되었다 1915년에 호남의 은행은 33개인데 그 중 장사현 7

개 상담현이 7개였다96)

군벌들이 은행을 개설하거나 질 낮은 화폐 통용을 강제하는 등의

혼란이 민국시기 특징 중의 하나이다97) 화폐 시장에는 銀元 銀角 銅

元 지폐와 鈔票 市票등 유사 화폐까지 복잡middot혼란의 양상이 나타나고

결과적으로 물가 상승을 피할 수가 없었다

선통2년(1910) 격렬한 米価 騰貴가 있었고 長沙에서 대규모 搶米 폭

동이 일어났는데 이것은 단순한 흉년때문이 아니고 銅元 남발 등 화폐

제도 혼란에 기인한 것이었다98) 1880년대 초부터 1920년대까지는 인

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시기로 매년 33 비율로 상승하였으며 1930년

총 화폐보유고는 60억 원에 달했다 반 세기간 화폐 공급은 8-10배 증

가하였다99)

93)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ldquo光緖 二十九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始鑄當十銅幣 通

行全國 物価之踊始此rdquo

94) 民國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95)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財用錄 상업

96) 張朋園 앞의 책 pp258-259

97) 宋斐夫 앞의 책 pp10-12

98) 岸本美緖 앞의 책 p51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3

時期 銀(兩) 錢(文) 出典

乾隆 嘉慶년간 10 1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道光 初(1821) Prime 1300-1400 Prime

Prime 18年(1838) Prime 1400 林則徐湖廣奏橋 권3

Prime 25年(1845) Prime 2000上下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Prime 末年(1850)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咸豊 元年(1851) Prime 2000 民國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咸豊 初 Prime 2300-2400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8 부역

咸豊 3年(1853) Prime 20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5年(1855)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Prime 6年(1856) Prime 2000 湖文忠公遺集 권12

Prime 7年(1857) Prime 1600 骆文忠公奏議 권7

Prime 8年(1858) Prime 1400 胡文忠公遺集 권85

Prime 10年(1860) Prime 1300-1400 胡文忠公遺集 권70

同治 2年(1863) Prime 13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7年(1868) Prime 1300-1400 李瀚章 瀝陳湖北等省漕務

Prime 10年(1871) Prime 1600-1700 同治10年 長沙縣志 권8 부역 錢法

光緖32年(1906) Prime 1600 長沙日報 宣統2年 2月27日

선통 2年(1910) Prime 1700 國風報 宣統2年 3月 21日

표 지방지에서 직접 採錄제외는 龔勝生 淸代兩湖農業地理 pp270-277에서 湖南부분을 발췌하여 再引用한 것임

表13) 湖南의 銀錢比値

그런데 아편전쟁 전후 銀의 과도한 해외 유출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이

초래되고 이것이 물가 상승의 주요인이라 생각되고 있는 데는 약간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表13)을 보면 銀錢比価가 일시적으로 상승하였다

가 다시 하강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은전비가는 지역에 따라 차

이가 있지만 호남 장사를 위주로 정리한 것이 표13)이다100)

99)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0) 邱思達 中國近現代鑄幣圖說 (北京 中國書店 1991) p109 참조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4

주목되는 것은 道光末에서 咸豊初에 일시적으로 상승하였지만 淸末

의 比価가 낮은 편에 속하는 현상이다 청말에 은전비가가 비교적 안

정되고 있는 것이다 아편전쟁 후 5항 개항으로 교역이 확대된 상황에

서 아편무역 증대에도 불구하고 차와 silk 수출에 힘입어 은의 순유입

이 오히려 증가되는 현상이 나타났던 것이다101) 또 光緖17년(1891)이

후 세계 銀価하락 현상으로 은유입이 증가되었다102) 19세기 후반 중

국이 세계 사회에 연결되면서 중국의 무역 적자에도 불구하고 淸 정부

에 대한 대량 차관과 자본 투자를 통해서 거대한 양의 銀이 중국에 유

입되었다 1871년에서 1913년 사이 은의 순 수입은 2억 4천만 海關兩

혹은 3억 6천만 銀달러로 추정되고 있다 세계 시장의 은가 하락과 은

의 대량 유입은 중국의 국내 시장에서 물가 상승을 유도한 것이다103)

이런 배경으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은 일시적인 것이고 청말민국기 전체를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민국 시기에는 銀元과 錢의 교환 비율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은의 유입 현상에도 불구하고 宣統 원년 11150文의 비율에서 민국6년

2250文 민국11년 2840文 민국17년 3500文 민국22년 7200文까지 급등

하고 있다 예릉현의 기록이지만 이것으로 청말보다 민국시기에 통화

팽창현상이 극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4)

銀과 錢이 주요 화폐이고 그 환율이 항상 문제가 되고 있지만 주로

청 후기 이후는 錢文 위주의 경제로 바뀌고 있다고 생각된다 長沙府

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면 대부분 道光 이후는 화폐를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淸 前期는 米価를 銀으로 표시하던 것과는 대조적이

다105) 예릉현에서는 민간에서 세금을 납부하거나 大宗무역을 할 때를

101)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2) 邱思達 앞의 책 pp92-93

103)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4)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10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光緖3年刊 善化縣志 同治13年刊 湘鄕縣志 光

緖15年刊 湘潭縣志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民國37年刊 醴陵縣志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5제외하고 紋銀 사용자가 거의 없다 도광 이후 교역시 대부분 錢文을

사용했다는 기록을 보면 淸 後期는 錢 경제 위주로 넘어간 것 같

다106) 세금을 낼 때 외에 銀錢이 필요 없는 일반민은 錢文 사용권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너무나 당연하다

함풍4년에 長沙에서 大錢을 주조하여 통용시켰으나 결국 시장의 신

뢰를 얻지 못하여 퇴출되고 말았다 1854년 7월에 주조를 시작하여

1855년 4月에 주조를 정지하였다107) 이것을 보면 통화 남발도 결국

시장의 제약을 받고 있다

민국 7년(1918) 3月 張敬堯가 裕湘銀行을 개설하여 銀元票 1000만元

銅元票 3000만元을 발행하였다 그 결과 시장은 혼란에 빠지고 시중금

융은 마비 상태가 되었으며 결국 裕湘銀行 발행의 惡幣는 폐지와 같이

되었다108) 권력에 의하여 통화 팽창이 시도되더라도 시장이 감당할

수 없는 지경이 되면 중단될 수밖에 없다 과도한 통화 팽창은 시장의

질서에 의해 어느 정도 제약 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예릉현에서도 光緖 년간에 錢莊 24곳이 출현하여 盛業을 누렸는데

民國7年(1918) 兵禍로 停業하는 곳이 많아졌고 정부의 통화 남발 화폐

가치 하락 금융혼란의 현상이 나타났다109) 민국18년(1929) 이후는 정

국이 안정되고 교통 편리로 百業이 진흥되고 은행이 역할을 하게 되었

이상에서 보면 淸末까지는 은전비가가 안정되고 통화 관리가 어느

정도 성공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光緖 宣統 시기에 銀元의 주조 외국

銀貨의 대량유입 當十銅元 등 주조로 통화팽창이 많이 되었고 이시기

물가 상승과 연관되고 있다 민국 초기에도 정국 혼란과 무계획적 통

화남발로 물가의 급등을 초래하였다 민국 중기에는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것 같다

106) 龔勝生 앞의 책 p279

107) 劉泱泱 앞의 책 pp150-155

108) 宋斐夫 앞의 책 pp10-11

10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6영향현에서도 민국 21년(1932) lsquo穀賤錢荒rsquo의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

다110) 청말민국기에 전반적으로 화폐량의 증가가 현저했던 것은 사실

이다 다양한 화폐의 등장 銀兩 銀元 銅錢 銅元 외에 외국 銀元의 유

입 그 외 鈔票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출현하였으며 양적인 팽창도 분

명하다 하지만 대외 교역 증가와 경제 활동 인구의 증가 유통 상품의

양적 증가에 의해 시장의 화폐 수요가 증대된 것도 사실이다 통화 발

행은 일차적으로는 경제 주체의 수요에 부응하는 것이지만 그것이 과

도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3 공급기타 요소

물가는 기본적으로 수요공급의 관계에서 결정되는 것이 원칙이다

청말민국기에 걸쳐 인구가 급증하여 물가가 상승한 것은 자연스런 일

이다 그러나 물가 상승률 면에서 청말의 경우가 18세기의 증가율에

비해 크다고 할 수 없다 물가 상승률을 억제하면서 비교적 안정 속의

상승을 할 수 있었던 것은 공급의 증가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청말민국기에 湖南米의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 현상이 지속된 배경

에 비약적인 경지 면적 확대와 새로운 품종 개량 시비법 발전 등 농

업 생산 증대가 있었다는 것은 이미 밝혀진 바 있다111) 米穀 공급의

증대가 물가 상승을 완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雜糧 재배가 同治

(1862-74) 년간에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민중의 식량 문제 해결에 기여

하고 米価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던 것을 城步縣 知縣 盛溢源을

통해서 알 수 있다

洋米 수입이 國産米의 보충 역할을 했다는 지적이 있지만 결국 시

110) 民國30年刊 寧鄕縣新志 전1 縣年記

111) 田炯權 淸末民國期 湖廣地方의 農業生産力과 生産關係 (慶南史學 7

1995)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2001)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

究 25 200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7장에 대한 미곡 공급을 증대시켜 가격 안정에 기여했다고 생각된

다112)

민국 시대 관련 사료를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113)

금일 정세를 보면 국내 米価의 등락은 결코 國産米의 생산량이 많고

적음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외국 産米 구역의 풍년 여부에 따라 영

향이 대단히 크다

이것을 보면 洋米 수입이 國産米価를 조절한다고 볼 수 있다 비슷

한 시기 上海에서도 湖南米가 수입 米의 영향으로 가격이 약간 적게

올랐다는 史料도 있다114) 湘報에도 日本米가 수입되어 중국의 米価

가 차츰 내려갔다는 기록이 있다115) 같은 湘報에 보면 ldquo외국물산이

날로 풍부하여 중국 상품의 판로를 막는데 서양 상품의 가격이 낮으면

중국 상품 가격이 홀로 증가할 수 없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116) 결국 洋

貨도 중국에서는 시장에 대한 상품 공급의 증가이고 이것이 상품 가격

상승을 억제하고 있는 것이다 같은 자료에 중국의 土藥이 널리 판매

되니 외래 洋藥의 가격이 폭락한 사정도 소개되고 있다117)

또 洋蠟의 수입으로 국산 白蠟 가격이 매 100斤 200元에서 100元으

로 폭락한 일도 있었다118) 1921년 독일 면화가 대량 수입되어 중국의

綿価가 하락한 일도 있다119) 光緖년간 부터 중국이 綿紗 생산을 개시

하자 華商과 洋商사이에 가격 경쟁이 시작되었다 수입 綿布도 洋商이

國産布와 경쟁하기 위해 가격을 낮추어 공급하였다120)

112) 王良行 淸末對外貿易的關聯效果(1860-1911) (近代中國對外貿易史論集1997)

113)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卷3 p413

114) 위의 책 p416

115) 湘報 제45호 p1419

116) 湘報 제13호 ldquo外洋之出産日盛 足以抵華貨之銷路 洋価低則華貨不能獨增rdquo

117) 湘報 제162호 p1608

118) 章有義 앞의 책 권3 p662

119) 譚文熙 앞의 책 p342

120) 譚文熙 위의 책 p368 p374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8상인의 가격 조종이 물가 변동에 하나의 요소는 될 수 있다 예릉현

의 土資 판매에 있어 객상의 가격 조종에 저항하기 위해 주민들이 公

司를 조직하여 가격을 바로 잡았다는 기록도 있다121) 지주 부농 米商

등의 매점매석에 의한 가격 조종 사실은 흔히 발견된다122) 秋收期에

시장에 대량 방출된 곡식을 저렴한 가격에 매입하여 端境期에 되팔아

이익을 남기는 것은 상인의 오래된 관행이다 이윤 추구를 위한 개인

의 행위지만 넓게 보면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행위이기도 하

다 각지 농산품 가격 변동 조사에서 원인이 밝혀진 10건 가운데 전쟁

이 2건 豊凶 水旱災가 7건 상인 조종은 단 한 건 뿐이었다123) 제국

주의 상인에 의한 가격 조종이라는 것도 결국 중국 상인의 이윤 추구

행위와 본질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湘報의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124)

輪船이 이미 통행하고 있고 철로가 이미 만들어 졌다 제조업이 날로

번성하고 통상조약이 행해지니 상인이 계속 내왕하고 온갖 상품이 유통

된다 사계절 틈이 없으니 일용 각 물품이 그 가격이 반드시 저렴할 것

이다

이것을 보면 통상 개시 후 교통이 발달하고 상품 교역이 증대된다

는 것과 그 결과 일용품의 가격이 저렴해졌다는 것을 당시인이 인식하

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서방 각국과의 무역 증대는 상품 공급의 증가

이고 가격 경쟁을 통해 물가 상승을 완만하게 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

121)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22) 李文治 앞의 책 p559

123)湘報 제49號 ldquo輪船旣行 鉄路旣造 製造日盛 商約可行 商賈絡繹 百産流通

歲時無間 則日用物品 其価必廉rdquo

124) 安本美緖 앞의 책 제7장 pp239-288 제12장 431-455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9

Ⅲ 物價와 景氣(생활)

1 穀賤傷農과 不況

物價 문제를 단순히 등락의 흐름에만 주목하기보다 경기변동론적

입장에서 好況 不況의 문제로 연관시켜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

이다 岸本美緖는 康熙年間의 lsquo穀賤rsquo 현상이 不況과 연결되어 있고 光

緖年間 蘇州의 不況도 lsquo穀賤rsquo이 원인이었음을 지목하고 있다125)

그런데 長沙府 중심의 湖南의 사정을 검토해 보면 lsquo穀賤rsquo 관련 기록

이 道光 咸豊 시기와 民國 中期에 집중되고 있다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26)

道光 25年(1845) ldquo穀賤斗穀錢五十文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値穀賤錢価亦賤 民甚苦之rdquo

장사현과 縣治를 長沙城 내에 두고 있는 善化현에서도 같은 해에

비슷한 기록이 있다127)

道光25年 穀賤自十五年起 連年俱穀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中下戶苦之

咸豊5年 穀賤

장사현 기록을 보면 穀価도 싸고 錢価도 싸서 민이 고통 받는다 했

으니 이 당시 은의 해외 유출과 은전비가 문제로 민중이 고통 받은 사

실을 알 수 있다 선화현은 장사현과 연접하고 통합과 분리가 단속되

었던 거의 동일 지역이다 선화현 기록을 보면 도광25년의 lsquo穀賤rsquo이 해

당년도만의 일이 아니고 道光15年(1835)부터 계속된 현상임을 밝히고

있다

12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33 祥異

126)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127) 民國30年刊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0인근의 寧鄕縣에서 보면 ldquo道光26年 歲豊 穀奇賤傷農 佃農以穀賤大

困rdquo이라는 기사가 있다128) lsquo穀奇賤rsquo이라 하였으니 평상시 보지 못한

하락이었다고 생각된다 더구나 소작료 납부가 대부분 현물지대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佃農은 米穀의 상품화 과정에서 배제되었다는 종전의

통념과 달리 佃農도 곡가 하락으로 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같은 기록에 함풍원년에도 ldquo有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以穀賤漕折苛rdquo라 하고 있어

역시 곡가 하락으로 세금 납부에 곤란을 겪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장사부 內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아도 同治 년간에는 lsquo穀賤rsquo 기

재가 보이지 않고 전술한 도광 함풍 년간에 집중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후의 기록을 찾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ldquo湖南自夏秋以來雨暢時若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故無論高低田畝咸稱大稔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甚

賎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反有入不敷出之慨矣rdquo (益聞錄 69号 광서6년828)129)

ldquo(長沙農村) 近年來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穀米求售 価値至賤 日用各物 則又極昻 收穫所

得 不足顧其工本 多已漸陷于無力耕種之境rdquo (新靑年 7권 6호 1920년 5

월)130)

ldquo湖南近年來之天災人禍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天災旣足以減少收量 地方不靖 産品滯銷

価値復因以低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而生活日昻 工価及日用物品 繼續增漲 收入支出 常苦

不得平衡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rdquo (中國棉産改進統計會議專刊 1931)131)ldquo湘省爲産穀素豊之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年歲收 屢佔大有 而長江流域亦値豊收 更

有大宗洋米 運貨傾銷致湘米頓失市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価格低賤 不僅農村經濟 陷于絶

境 市面金融 亦大受打擊rdquo (銀行週報 18권 9기 1934313)

이외에도 1936年의 사실로 호남의 武岡 東安 일대에서 lsquo豊年穀賤rsquo으

로 省城에 운반할 때 운송비와 각종 捐稅 부담을 감당할 수 없어 陳米

를 불태웠다는 기록이 있다

128) 李文治 앞의 책 p557

129) 章有義 앞의 책 권2 p432

130) 章有義 앞의 책 권3 p795

131) 章有義 위의 책 p620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1이것을 보면 주로 1930년대에 lsquo穀賤rsquo과 不況이 집중 묘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lsquo穀賤rsquo 즉 불황이라고 하면 도광함풍초의 곡천과 불

황 同治光緖宣統期의 lsquo穀貴rsquo즉 好況 다시 民國 전기의 好況 民國 中期

의 불황으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물가의 상승기가 호황적 국면이라는 것은 알려

져 있지만 이것은 전체 물가의 문제이다 위 자료에서 보면 1920년 장

사 농촌에서는 곡가는 싼데 일용품 가격은 극히 높다고 하고 있고

1931년의 기록도 工價와 일용품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농민이 다수를 점하기 때문에 미곡가의 하락은 농민 수입 감소

와 구매력 저하를 가져오고 이것이 농촌 불황의 한 요인이 될 수 있

다 그러나 工賃과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시장의 한계 안에서의

일이다 또한 실업률과 고용 지표 등도 고려되어야 하는데 만족할만한

통계의 부족으로 명확한 답을 얻기는 어렵다

그런데 米価와 물가는 개별 년도나 시점에서 서로 상이한 궤적도

있지만 圖2 3 6 7을 보면 대체적으로는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예릉의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광서 4년(1878)에 비하여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1912)에는 현격한 상승세였다가 그 후에 등락을 거듭

하고 있지만 민국25년(1936)의 경우는 광서4년보다는 높거나 유사한

경우가 많다

2 생활 경기의 발달

당시인들이 체감하던 생활 경기의 수준이 어떠했는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

光緖刊 善化縣志를 보면 다음과 같다132)

132)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16 풍속 附論 ldquo古人 酒肉以養老 而今則黃口稚子

無不酒肉之人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日不旦穀貴鹽貴 而酒肉皆貴 則好惡可知矣 一今鄕間柴炭

其価數倍於昔日 瀕河之地 莫不燒煤rdquo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2옛사람들은 술과 고기로 노인을 부양하였는데 지금은 어린아이도 술과

고기를 먹지 않는 이가 없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요사이 미곡과 소금이 비쌀 뿐 아니

라 술과 고기가 모두가 비싸니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지금 향간에 柴炭이 그 값이 예전보다 수배인데 하천 근처 사람은

煤를 때지 않는 사람이 없다

同治 攸縣志 에도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33)

예전에 士大夫도 집에 있을 때 엄동이 아니면 가죽옷을 입지 않았다

지금 關中의 가죽옷 상인이 유현에 와서 1년에 은 만여 냥을 얻을 수 있

다 기타 비단 옷은 蘇州 杭州 및 嶺南에서 오는 것이 또 배가 되니 1년

에 수만금을 소비한다

醴陵縣에서도 비슷한 인식을 볼 수 있다134)

ldquo예전 풍속이 儉樸하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이 명절 아니면 고기를 먹지 않고

慶弔事가 아니면 술을 베풀지 않고 손님 접대는 닭 잡는데 그치고 鮮味

는 생선에 그쳤고 縣城의 食肆는 飽麵茶館에 그치고 酒席으로 業을 삼는

자가 없었다

지금은 酒樓菜館이 거리에 가득차고 中人의 집에도 술자리가 베풀어지

고 사치를 다툰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예전에 士類大半이 淥江書院에 모이면 그 가운데 비단신을 신은 자가

불과 수인이었고 羊가죽 옷을 입은 자가 불과 1 2人이었다 지금은 비단

신과 가죽옷이 거의 常服이 되었고 日用品은 舶來品이 많다rdquo

이 내용을 보면 예릉현의 생활 수준이 급격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예릉현지 기록에는 부인들이 上海의 유행을 쫓아 사치를 추구한

다는 내용도 있고 청말부터 外貨를 서로 자랑한다는 내용도 있다 종

133) 同治10年刊 攸縣志 권18 풍속 衣服 ldquo衣服 昔時 士大夫 家居非嚴冬不御裘

今關中裘商來攸 歲可得銀萬餘兩 其他錦繡之運自蘇杭及嶺南者 則又倍之 計一歲

之戶 所費數萬金rdquo

134)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4장 풍속 생활 ldquo旧俗民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非令節不

食肉 非慶弔不置酒 欵客止於殺鷄 鮮味止於草魚 縣城食肆 止於飽麵茶館 無以酒

席爲業者 今則酒樓菜館 遍於街市 中人之家酬酢往還 爭奢鬪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旧時士類

大半 集於淥江書院 一院之中 著緞鞋者 不過数人 襲羊裘者 不過 一二人 今則絲

履皮袍殆成常服 日用之品 多自舶來rdquo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3전에 菜油 棉油로 燈을 켜다 집집마다 煤油를 사용한다거나 세탁시

茶枯鹼水를 쓰다가 대부분 비누를 사용하는 일상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135)

또 寧鄕縣에서도 ldquo同光之間 地方安寧 家給人足(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함)縣城商業 於時爲盛rdquo이라 하고 있어 同治(1862-74) 光

緖(1875-1908) 시기가 好況이었음을 알 수 있다136) 湘報에도 ldquo民間

之喜用洋貨日甚一日rdquo이라 하고 있어 洋貨 사용의 확대를 짐작할 수 있

다137)

광서년간 무역이 확대되고 여기에 대해 유익하다는 인식의 기록이

湘報에 나오고 있다138)

ldquo輪船과 철로가 개통되고 항구 개항이 증가 되는 것은 실로 중국에 유

익하고 손해가 없다 저 눈이 콩만큼 큰 자가 걸핏하면 통상이 중국에 해

가 된다고 하니 어찌 심히 어리석지 않은가rdquo

무역 확대를 지적하고 통상이 유익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예릉현

지에도 同治志에는 풍속이 lsquo安士重遷rsquo하고 상인이 외부 활동하는 자가

적었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고 光緖末에 도자기 夏布 編爆業

이 일어나 융성하여 이에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 넘는다고

하고 있다139) 예릉향토지에도 商旅 왕래가 예전보다 10배라는 서술이

있다140)

장사시의 行業발달 상황을 보면 민국 5년(1916)에서 民國22年(1935)

사이에 식품업은 281⟶2124 사치품은 171⟶1128 복장은 43⟶2028 農

礦은 621⟶1156 洋貨 127⟶233 금융 130⟶164 공예 2121⟶3344 문구

17⟶355 등 비약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141)

135)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 工商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6장 실업

136) 民國30年刊 寧鄕縣志 財用錄 民業

137) 湘報 제13호 1898年 3月 21日

138) 湘報 제162号 1898年 9月 23日

13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40) 民國15年刊 醴陵鄕土志 제6장 실업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4이것은 장사의 생활수준 향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당시에

通商의 확대 주장도 湘報에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142)

이상에서 보면 청말민국기에 대체적인 추세는 好況이었다고 생각된

다 생활 수준의 향상이 눈에 띄고 米価와 물가도 연동되면서 상승하

는 추세였다 米価의 상승이 구매력 수준의 제고가 되기 때문에 米穀

생산 중심지역에 상인들의 行號가 집중되는 것이 보였다143) 임금의

경우에도 호남 汝城縣에서 실질 임금이 유지 또는 상승하는 것을 확인

한 바 있다144) 全漢昇도 1875년부터 1925년까지에 걸쳐 四川 合江현

의 임금과 물가 변동의 추세가 거의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바 있

다145) 앞서 인용한 1931년 中國棉産改進計劃 에도 임금과 일용품 가

격이 함께 오른다고 하고 있어 임금이 물가에 연동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생활 수준 향상을 기록하고 있던 지방지에도 빈부 격차를 암시하는

내용이 있고 物力이 날로 쇠퇴한다든지 하는 기록이 있다 대외 무역

이 적자라 하더라도 차관 원조 뿐 아니라 외국 상인의 진출이 자본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好況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Ⅴ 結 言

이제까지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이후 民國中期인 1936年

까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여 米価와 물가 변동 물가 변동의 원인

141) 張朋園 앞의 책 p387

142) 湘報 44호 中外通商利害論 湘報 67号 論湖南茶務急宜整頓

143)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144)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9 1998)

145) 安本美緖 앞의 책 p2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5물가와 생활 경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米価 변동은 단기 변동에 있어서 전쟁이나 天災 등의 특수한 사정

의 해를 제외하고는 光緖 년간에 비해 민국 중기의 계절 변동폭이 축

소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米価의 계절 변동을 완화 시

켜 주는 雜糧의 재배가 湖南 지역에서는 대부분 同治 년간에 보급 확

대가 되고 있다 교통과 상업 발달 등의 이유로 청말에서 민국기로 갈

수록 계절 변동폭을 축소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변동에서는 長沙府縣의 물가 변동 예릉현 물가 변동 등을 살

펴 볼 때 전체로서는 상승 추세 중에 도광 함풍 시기의 低米価 同治

년간의 高米価 光緖전반의 低米価 光緖後半에서 宣統 년간의 高米価

民國 前期의 高米価 民國 中期의 低米価의 등락을 보이고 있다

民國 中期의 米価는 長沙 8개년 米価 추세에서도 안정속의 상승세

를 보이고 있다 명목상 수치 뿐 아니라 米価의 상대 물가로 보는 실

질 구매력도 宣統 民國元年에까지 급상승하였다가 민국 시기 등락을

거듭하지만 민국25년(1936)까지 광서4년(1878) 대비 유지 또는 상승 추

세였다

物価변동은 개별 상품에 따라 편차가 있고 米価와는 전혀 상이한

궤적을 그리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米価와 연동 관계를 보이

고 있다 1898년 물가의 단기 변동은 이상할 만큼 변동폭이 크지 않다

당시 물가 조사자의 보고가 정확했는지 의심될 정도이다 1935년의 장

사 물가에서 단기 변동을 보면 변동폭이 100이상인 夏布 毛筆 麵粉

棉布등을 비롯하여 50 이상인 오리털 흑연 성냥 국산 전지 등을

비롯하여 40 이상인 비누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기 변동폭

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 이것은 이런 물품들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

성이 크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物価의 장기 변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米価와 대체로 비슷한 궤적

을 보이고 있다 청말에서 민국전기에 걸쳐 물가 상승폭이 두드러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 상승폭이 더욱 크

다 돼지고기 값을 예로 들면 1878년에서 1909년 사이에 273 상승했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6고 1912-1921년 사이에 75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닭은 각 50와 44

상승했다 청말은 31년간의 수치이고 민국 전기는 9년간이니 물가의

상대적 급등을 알 수 있다 1926에서 1936년까지 10년간 돼지 고기 값

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

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

세를 보이고 있다 민국 중기의 米価가 일부 lsquo穀賤rsquo 현상을 보인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음으로 물가 변동의 원인에 대해서는 군벌간의 전쟁이나 정치적

혼란 등 정치 군사적 요인을 제외하고 대체로 검토해 보았다

수요 측면에서는 湖南米의 유통이 호남 내부의 인구 증가에도 불구

하고 양자강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지속된 것이 米価 상승의 한 원

인이었다 上海나 武漢 등의 도시화와 인구집중은 이들 지역 양식 수

요를 폭증시켰다 일부 洋米 수입에도 불구하고 湖南米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으로써 米価를 상승시켰다 또 장사를 비롯한 각지의 새로운 수

공업 산업의 발달로 비농업 인구가 증가하고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유

효수요로 성장하여 米価 상승을 유도하였다 양식의 이출은 해당 지역

인구 식량을 전부 제외한 나머지 잉여가 수출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력

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청말민국기에는 호남의 내부 외부에

서 미곡에 대한 유효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것이 米価 상승의 한 요인

이었다

화폐 문제에 있어 화폐 수량의 증가가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것

은 상식이다 종래 아편전쟁 전후 은의 해외 유출 증가가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을 초래하여 물가 상승과 인민의 빈곤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지방지 등의 史料에서 검토한 결과 은전비가는 도광함풍초의

일시적 상승 후에 함풍 7년 이후는 도리어 하락하고 있다 同治 년간

에 대부분 1兩 1300文 수준에서 안정되고 있다 光緖末宣統년간에도

1600-1700文 수준으로 도광함풍 초보다는 낮은 편이다 청말민국시

기에 화폐의 남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한계를 넘었을 때 시장의 통용

거부로 마침내 중단되고 있다 청말민국기에 외국 銀元의 유입과 국내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7의 銀元 주조 銅元 지폐 외에 鈔票 市票 등 화폐 시장에 투입된 화

폐량은 엄청나게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로서는 어느 정

도 시장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외 교역과 상품량의

증대 경제 활동 인구의 증대 미곡 생산 및 농산품 생산의 증대로 화

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것이 화폐량의 막대한 증가와 유

통속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

었다고 생각된다 즉 안정 속의 물가 상승이 유도된 것이다

공급면에서 보면 대외 교역을 통한 서양 상품의 수입은 전체로서는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물건의 공급 증가를 통해서

혹은 국내 상품과의 경쟁 때문에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었

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침략과 물가 폭등이라는 도식적

견해와 달리 현실에서는 물가 억제 작용도 있었던 것이다

물가와 경기면에서 보면 물가가 비쌀 때 호경기가 많은 것은 사실

이다 그런데 lsquo穀賤rsquo 현상이 불황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서 長沙 지역의 경우를 검토해 보았다 도광함풍 년간까지 lsquo穀賤rsquo현상

과 불경기적 상황에 대한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동치광서 년간에는

米価가 등귀한 시점인데 이 시기는 紅茶業의 번성이나 각종 수공업의

번성으로 好況의 면모가 보이고 있다 민국 시기에는 민국 중기에 lsquo穀

賤rsquo의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史料上에 민국 중기의 lsquo穀賤rsquo은 임금이나

다른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다 물가 상승기와 好況

이 맞물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민국 중기는 lsquo穀賤rsquo 현상과 서로 어긋

나는 것이다 이 시기의 不況 서술은 농촌의 농민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표시이다

생활 수준에 대한 지방지 기록 등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주민들의

洋貨 사용이 보편화되고 의복 음식 주거 등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것

을 지적하고 있다 물가는 상승하였지만 同治 이전에 비하여 분명히

사치품의 소비 증대와 中人의 집도 소비 수준이 제고된 것이 드러나고

있다 민중의 빈곤은 있으나 이 시기 빈부 격차가 커지고 생활 수준의

격차가 커진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34: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2조하여 전국에 통용시켰는데 물가의 등귀가 이때부터 시작되었다rdquo는

기록이 있다93) 醴陵縣에서는 光緖32年에 當十銅元을 주조하여 制錢과

병행시켰고 宣統원년에 銀元이 이미 성행하였다 민국원년에는 當二十

銅元을 주조하였는데 雙銅元이라 칭하였다94) 영향현에서도 광서말에

私鑄錢인 毛錢이 나오고 지폐가 통용되는 등 통화팽창이 상업을 일변

시켰다고 한다95)

종전에 비해 실질 가치가 열악한 當十 當二十 등 銅元의 남발과 鈔

票의 성행은 화폐 시장의 과잉을 초래하였다 정식의 鈔票 이외도 각

현 발행의 私鈔와 錢莊에서 발행한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시중에 범람

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민국 시대에는 화폐 남발이 더욱 심하였다 호

남은행을 비롯한 저축은행 농업은행 등이 각기 각종 지폐를 발행하여

혼란이 가중되었다 1915년에 호남의 은행은 33개인데 그 중 장사현 7

개 상담현이 7개였다96)

군벌들이 은행을 개설하거나 질 낮은 화폐 통용을 강제하는 등의

혼란이 민국시기 특징 중의 하나이다97) 화폐 시장에는 銀元 銀角 銅

元 지폐와 鈔票 市票등 유사 화폐까지 복잡middot혼란의 양상이 나타나고

결과적으로 물가 상승을 피할 수가 없었다

선통2년(1910) 격렬한 米価 騰貴가 있었고 長沙에서 대규모 搶米 폭

동이 일어났는데 이것은 단순한 흉년때문이 아니고 銅元 남발 등 화폐

제도 혼란에 기인한 것이었다98) 1880년대 초부터 1920년대까지는 인

플레이션이 가장 심한 시기로 매년 33 비율로 상승하였으며 1930년

총 화폐보유고는 60억 원에 달했다 반 세기간 화폐 공급은 8-10배 증

가하였다99)

93)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縣年記 ldquo光緖 二十九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始鑄當十銅幣 通

行全國 物価之踊始此rdquo

94) 民國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95)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故事篇 財用錄 상업

96) 張朋園 앞의 책 pp258-259

97) 宋斐夫 앞의 책 pp10-12

98) 岸本美緖 앞의 책 p51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3

時期 銀(兩) 錢(文) 出典

乾隆 嘉慶년간 10 1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道光 初(1821) Prime 1300-1400 Prime

Prime 18年(1838) Prime 1400 林則徐湖廣奏橋 권3

Prime 25年(1845) Prime 2000上下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Prime 末年(1850)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咸豊 元年(1851) Prime 2000 民國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咸豊 初 Prime 2300-2400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8 부역

咸豊 3年(1853) Prime 20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5年(1855)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Prime 6年(1856) Prime 2000 湖文忠公遺集 권12

Prime 7年(1857) Prime 1600 骆文忠公奏議 권7

Prime 8年(1858) Prime 1400 胡文忠公遺集 권85

Prime 10年(1860) Prime 1300-1400 胡文忠公遺集 권70

同治 2年(1863) Prime 13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7年(1868) Prime 1300-1400 李瀚章 瀝陳湖北等省漕務

Prime 10年(1871) Prime 1600-1700 同治10年 長沙縣志 권8 부역 錢法

光緖32年(1906) Prime 1600 長沙日報 宣統2年 2月27日

선통 2年(1910) Prime 1700 國風報 宣統2年 3月 21日

표 지방지에서 직접 採錄제외는 龔勝生 淸代兩湖農業地理 pp270-277에서 湖南부분을 발췌하여 再引用한 것임

表13) 湖南의 銀錢比値

그런데 아편전쟁 전후 銀의 과도한 해외 유출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이

초래되고 이것이 물가 상승의 주요인이라 생각되고 있는 데는 약간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表13)을 보면 銀錢比価가 일시적으로 상승하였다

가 다시 하강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은전비가는 지역에 따라 차

이가 있지만 호남 장사를 위주로 정리한 것이 표13)이다100)

99)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0) 邱思達 中國近現代鑄幣圖說 (北京 中國書店 1991) p109 참조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4

주목되는 것은 道光末에서 咸豊初에 일시적으로 상승하였지만 淸末

의 比価가 낮은 편에 속하는 현상이다 청말에 은전비가가 비교적 안

정되고 있는 것이다 아편전쟁 후 5항 개항으로 교역이 확대된 상황에

서 아편무역 증대에도 불구하고 차와 silk 수출에 힘입어 은의 순유입

이 오히려 증가되는 현상이 나타났던 것이다101) 또 光緖17년(1891)이

후 세계 銀価하락 현상으로 은유입이 증가되었다102) 19세기 후반 중

국이 세계 사회에 연결되면서 중국의 무역 적자에도 불구하고 淸 정부

에 대한 대량 차관과 자본 투자를 통해서 거대한 양의 銀이 중국에 유

입되었다 1871년에서 1913년 사이 은의 순 수입은 2억 4천만 海關兩

혹은 3억 6천만 銀달러로 추정되고 있다 세계 시장의 은가 하락과 은

의 대량 유입은 중국의 국내 시장에서 물가 상승을 유도한 것이다103)

이런 배경으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은 일시적인 것이고 청말민국기 전체를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민국 시기에는 銀元과 錢의 교환 비율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은의 유입 현상에도 불구하고 宣統 원년 11150文의 비율에서 민국6년

2250文 민국11년 2840文 민국17년 3500文 민국22년 7200文까지 급등

하고 있다 예릉현의 기록이지만 이것으로 청말보다 민국시기에 통화

팽창현상이 극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4)

銀과 錢이 주요 화폐이고 그 환율이 항상 문제가 되고 있지만 주로

청 후기 이후는 錢文 위주의 경제로 바뀌고 있다고 생각된다 長沙府

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면 대부분 道光 이후는 화폐를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淸 前期는 米価를 銀으로 표시하던 것과는 대조적이

다105) 예릉현에서는 민간에서 세금을 납부하거나 大宗무역을 할 때를

101)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2) 邱思達 앞의 책 pp92-93

103)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4)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10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光緖3年刊 善化縣志 同治13年刊 湘鄕縣志 光

緖15年刊 湘潭縣志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民國37年刊 醴陵縣志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5제외하고 紋銀 사용자가 거의 없다 도광 이후 교역시 대부분 錢文을

사용했다는 기록을 보면 淸 後期는 錢 경제 위주로 넘어간 것 같

다106) 세금을 낼 때 외에 銀錢이 필요 없는 일반민은 錢文 사용권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너무나 당연하다

함풍4년에 長沙에서 大錢을 주조하여 통용시켰으나 결국 시장의 신

뢰를 얻지 못하여 퇴출되고 말았다 1854년 7월에 주조를 시작하여

1855년 4月에 주조를 정지하였다107) 이것을 보면 통화 남발도 결국

시장의 제약을 받고 있다

민국 7년(1918) 3月 張敬堯가 裕湘銀行을 개설하여 銀元票 1000만元

銅元票 3000만元을 발행하였다 그 결과 시장은 혼란에 빠지고 시중금

융은 마비 상태가 되었으며 결국 裕湘銀行 발행의 惡幣는 폐지와 같이

되었다108) 권력에 의하여 통화 팽창이 시도되더라도 시장이 감당할

수 없는 지경이 되면 중단될 수밖에 없다 과도한 통화 팽창은 시장의

질서에 의해 어느 정도 제약 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예릉현에서도 光緖 년간에 錢莊 24곳이 출현하여 盛業을 누렸는데

民國7年(1918) 兵禍로 停業하는 곳이 많아졌고 정부의 통화 남발 화폐

가치 하락 금융혼란의 현상이 나타났다109) 민국18년(1929) 이후는 정

국이 안정되고 교통 편리로 百業이 진흥되고 은행이 역할을 하게 되었

이상에서 보면 淸末까지는 은전비가가 안정되고 통화 관리가 어느

정도 성공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光緖 宣統 시기에 銀元의 주조 외국

銀貨의 대량유입 當十銅元 등 주조로 통화팽창이 많이 되었고 이시기

물가 상승과 연관되고 있다 민국 초기에도 정국 혼란과 무계획적 통

화남발로 물가의 급등을 초래하였다 민국 중기에는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것 같다

106) 龔勝生 앞의 책 p279

107) 劉泱泱 앞의 책 pp150-155

108) 宋斐夫 앞의 책 pp10-11

10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6영향현에서도 민국 21년(1932) lsquo穀賤錢荒rsquo의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

다110) 청말민국기에 전반적으로 화폐량의 증가가 현저했던 것은 사실

이다 다양한 화폐의 등장 銀兩 銀元 銅錢 銅元 외에 외국 銀元의 유

입 그 외 鈔票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출현하였으며 양적인 팽창도 분

명하다 하지만 대외 교역 증가와 경제 활동 인구의 증가 유통 상품의

양적 증가에 의해 시장의 화폐 수요가 증대된 것도 사실이다 통화 발

행은 일차적으로는 경제 주체의 수요에 부응하는 것이지만 그것이 과

도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3 공급기타 요소

물가는 기본적으로 수요공급의 관계에서 결정되는 것이 원칙이다

청말민국기에 걸쳐 인구가 급증하여 물가가 상승한 것은 자연스런 일

이다 그러나 물가 상승률 면에서 청말의 경우가 18세기의 증가율에

비해 크다고 할 수 없다 물가 상승률을 억제하면서 비교적 안정 속의

상승을 할 수 있었던 것은 공급의 증가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청말민국기에 湖南米의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 현상이 지속된 배경

에 비약적인 경지 면적 확대와 새로운 품종 개량 시비법 발전 등 농

업 생산 증대가 있었다는 것은 이미 밝혀진 바 있다111) 米穀 공급의

증대가 물가 상승을 완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雜糧 재배가 同治

(1862-74) 년간에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민중의 식량 문제 해결에 기여

하고 米価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던 것을 城步縣 知縣 盛溢源을

통해서 알 수 있다

洋米 수입이 國産米의 보충 역할을 했다는 지적이 있지만 결국 시

110) 民國30年刊 寧鄕縣新志 전1 縣年記

111) 田炯權 淸末民國期 湖廣地方의 農業生産力과 生産關係 (慶南史學 7

1995)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2001)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

究 25 200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7장에 대한 미곡 공급을 증대시켜 가격 안정에 기여했다고 생각된

다112)

민국 시대 관련 사료를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113)

금일 정세를 보면 국내 米価의 등락은 결코 國産米의 생산량이 많고

적음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외국 産米 구역의 풍년 여부에 따라 영

향이 대단히 크다

이것을 보면 洋米 수입이 國産米価를 조절한다고 볼 수 있다 비슷

한 시기 上海에서도 湖南米가 수입 米의 영향으로 가격이 약간 적게

올랐다는 史料도 있다114) 湘報에도 日本米가 수입되어 중국의 米価

가 차츰 내려갔다는 기록이 있다115) 같은 湘報에 보면 ldquo외국물산이

날로 풍부하여 중국 상품의 판로를 막는데 서양 상품의 가격이 낮으면

중국 상품 가격이 홀로 증가할 수 없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116) 결국 洋

貨도 중국에서는 시장에 대한 상품 공급의 증가이고 이것이 상품 가격

상승을 억제하고 있는 것이다 같은 자료에 중국의 土藥이 널리 판매

되니 외래 洋藥의 가격이 폭락한 사정도 소개되고 있다117)

또 洋蠟의 수입으로 국산 白蠟 가격이 매 100斤 200元에서 100元으

로 폭락한 일도 있었다118) 1921년 독일 면화가 대량 수입되어 중국의

綿価가 하락한 일도 있다119) 光緖년간 부터 중국이 綿紗 생산을 개시

하자 華商과 洋商사이에 가격 경쟁이 시작되었다 수입 綿布도 洋商이

國産布와 경쟁하기 위해 가격을 낮추어 공급하였다120)

112) 王良行 淸末對外貿易的關聯效果(1860-1911) (近代中國對外貿易史論集1997)

113)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卷3 p413

114) 위의 책 p416

115) 湘報 제45호 p1419

116) 湘報 제13호 ldquo外洋之出産日盛 足以抵華貨之銷路 洋価低則華貨不能獨增rdquo

117) 湘報 제162호 p1608

118) 章有義 앞의 책 권3 p662

119) 譚文熙 앞의 책 p342

120) 譚文熙 위의 책 p368 p374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8상인의 가격 조종이 물가 변동에 하나의 요소는 될 수 있다 예릉현

의 土資 판매에 있어 객상의 가격 조종에 저항하기 위해 주민들이 公

司를 조직하여 가격을 바로 잡았다는 기록도 있다121) 지주 부농 米商

등의 매점매석에 의한 가격 조종 사실은 흔히 발견된다122) 秋收期에

시장에 대량 방출된 곡식을 저렴한 가격에 매입하여 端境期에 되팔아

이익을 남기는 것은 상인의 오래된 관행이다 이윤 추구를 위한 개인

의 행위지만 넓게 보면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행위이기도 하

다 각지 농산품 가격 변동 조사에서 원인이 밝혀진 10건 가운데 전쟁

이 2건 豊凶 水旱災가 7건 상인 조종은 단 한 건 뿐이었다123) 제국

주의 상인에 의한 가격 조종이라는 것도 결국 중국 상인의 이윤 추구

행위와 본질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湘報의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124)

輪船이 이미 통행하고 있고 철로가 이미 만들어 졌다 제조업이 날로

번성하고 통상조약이 행해지니 상인이 계속 내왕하고 온갖 상품이 유통

된다 사계절 틈이 없으니 일용 각 물품이 그 가격이 반드시 저렴할 것

이다

이것을 보면 통상 개시 후 교통이 발달하고 상품 교역이 증대된다

는 것과 그 결과 일용품의 가격이 저렴해졌다는 것을 당시인이 인식하

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서방 각국과의 무역 증대는 상품 공급의 증가

이고 가격 경쟁을 통해 물가 상승을 완만하게 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

121)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22) 李文治 앞의 책 p559

123)湘報 제49號 ldquo輪船旣行 鉄路旣造 製造日盛 商約可行 商賈絡繹 百産流通

歲時無間 則日用物品 其価必廉rdquo

124) 安本美緖 앞의 책 제7장 pp239-288 제12장 431-455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9

Ⅲ 物價와 景氣(생활)

1 穀賤傷農과 不況

物價 문제를 단순히 등락의 흐름에만 주목하기보다 경기변동론적

입장에서 好況 不況의 문제로 연관시켜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

이다 岸本美緖는 康熙年間의 lsquo穀賤rsquo 현상이 不況과 연결되어 있고 光

緖年間 蘇州의 不況도 lsquo穀賤rsquo이 원인이었음을 지목하고 있다125)

그런데 長沙府 중심의 湖南의 사정을 검토해 보면 lsquo穀賤rsquo 관련 기록

이 道光 咸豊 시기와 民國 中期에 집중되고 있다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26)

道光 25年(1845) ldquo穀賤斗穀錢五十文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値穀賤錢価亦賤 民甚苦之rdquo

장사현과 縣治를 長沙城 내에 두고 있는 善化현에서도 같은 해에

비슷한 기록이 있다127)

道光25年 穀賤自十五年起 連年俱穀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中下戶苦之

咸豊5年 穀賤

장사현 기록을 보면 穀価도 싸고 錢価도 싸서 민이 고통 받는다 했

으니 이 당시 은의 해외 유출과 은전비가 문제로 민중이 고통 받은 사

실을 알 수 있다 선화현은 장사현과 연접하고 통합과 분리가 단속되

었던 거의 동일 지역이다 선화현 기록을 보면 도광25년의 lsquo穀賤rsquo이 해

당년도만의 일이 아니고 道光15年(1835)부터 계속된 현상임을 밝히고

있다

12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33 祥異

126)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127) 民國30年刊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0인근의 寧鄕縣에서 보면 ldquo道光26年 歲豊 穀奇賤傷農 佃農以穀賤大

困rdquo이라는 기사가 있다128) lsquo穀奇賤rsquo이라 하였으니 평상시 보지 못한

하락이었다고 생각된다 더구나 소작료 납부가 대부분 현물지대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佃農은 米穀의 상품화 과정에서 배제되었다는 종전의

통념과 달리 佃農도 곡가 하락으로 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같은 기록에 함풍원년에도 ldquo有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以穀賤漕折苛rdquo라 하고 있어

역시 곡가 하락으로 세금 납부에 곤란을 겪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장사부 內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아도 同治 년간에는 lsquo穀賤rsquo 기

재가 보이지 않고 전술한 도광 함풍 년간에 집중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후의 기록을 찾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ldquo湖南自夏秋以來雨暢時若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故無論高低田畝咸稱大稔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甚

賎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反有入不敷出之慨矣rdquo (益聞錄 69号 광서6년828)129)

ldquo(長沙農村) 近年來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穀米求售 価値至賤 日用各物 則又極昻 收穫所

得 不足顧其工本 多已漸陷于無力耕種之境rdquo (新靑年 7권 6호 1920년 5

월)130)

ldquo湖南近年來之天災人禍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天災旣足以減少收量 地方不靖 産品滯銷

価値復因以低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而生活日昻 工価及日用物品 繼續增漲 收入支出 常苦

不得平衡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rdquo (中國棉産改進統計會議專刊 1931)131)ldquo湘省爲産穀素豊之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年歲收 屢佔大有 而長江流域亦値豊收 更

有大宗洋米 運貨傾銷致湘米頓失市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価格低賤 不僅農村經濟 陷于絶

境 市面金融 亦大受打擊rdquo (銀行週報 18권 9기 1934313)

이외에도 1936年의 사실로 호남의 武岡 東安 일대에서 lsquo豊年穀賤rsquo으

로 省城에 운반할 때 운송비와 각종 捐稅 부담을 감당할 수 없어 陳米

를 불태웠다는 기록이 있다

128) 李文治 앞의 책 p557

129) 章有義 앞의 책 권2 p432

130) 章有義 앞의 책 권3 p795

131) 章有義 위의 책 p620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1이것을 보면 주로 1930년대에 lsquo穀賤rsquo과 不況이 집중 묘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lsquo穀賤rsquo 즉 불황이라고 하면 도광함풍초의 곡천과 불

황 同治光緖宣統期의 lsquo穀貴rsquo즉 好況 다시 民國 전기의 好況 民國 中期

의 불황으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물가의 상승기가 호황적 국면이라는 것은 알려

져 있지만 이것은 전체 물가의 문제이다 위 자료에서 보면 1920년 장

사 농촌에서는 곡가는 싼데 일용품 가격은 극히 높다고 하고 있고

1931년의 기록도 工價와 일용품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농민이 다수를 점하기 때문에 미곡가의 하락은 농민 수입 감소

와 구매력 저하를 가져오고 이것이 농촌 불황의 한 요인이 될 수 있

다 그러나 工賃과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시장의 한계 안에서의

일이다 또한 실업률과 고용 지표 등도 고려되어야 하는데 만족할만한

통계의 부족으로 명확한 답을 얻기는 어렵다

그런데 米価와 물가는 개별 년도나 시점에서 서로 상이한 궤적도

있지만 圖2 3 6 7을 보면 대체적으로는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예릉의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광서 4년(1878)에 비하여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1912)에는 현격한 상승세였다가 그 후에 등락을 거듭

하고 있지만 민국25년(1936)의 경우는 광서4년보다는 높거나 유사한

경우가 많다

2 생활 경기의 발달

당시인들이 체감하던 생활 경기의 수준이 어떠했는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

光緖刊 善化縣志를 보면 다음과 같다132)

132)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16 풍속 附論 ldquo古人 酒肉以養老 而今則黃口稚子

無不酒肉之人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日不旦穀貴鹽貴 而酒肉皆貴 則好惡可知矣 一今鄕間柴炭

其価數倍於昔日 瀕河之地 莫不燒煤rdquo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2옛사람들은 술과 고기로 노인을 부양하였는데 지금은 어린아이도 술과

고기를 먹지 않는 이가 없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요사이 미곡과 소금이 비쌀 뿐 아니

라 술과 고기가 모두가 비싸니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지금 향간에 柴炭이 그 값이 예전보다 수배인데 하천 근처 사람은

煤를 때지 않는 사람이 없다

同治 攸縣志 에도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33)

예전에 士大夫도 집에 있을 때 엄동이 아니면 가죽옷을 입지 않았다

지금 關中의 가죽옷 상인이 유현에 와서 1년에 은 만여 냥을 얻을 수 있

다 기타 비단 옷은 蘇州 杭州 및 嶺南에서 오는 것이 또 배가 되니 1년

에 수만금을 소비한다

醴陵縣에서도 비슷한 인식을 볼 수 있다134)

ldquo예전 풍속이 儉樸하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이 명절 아니면 고기를 먹지 않고

慶弔事가 아니면 술을 베풀지 않고 손님 접대는 닭 잡는데 그치고 鮮味

는 생선에 그쳤고 縣城의 食肆는 飽麵茶館에 그치고 酒席으로 業을 삼는

자가 없었다

지금은 酒樓菜館이 거리에 가득차고 中人의 집에도 술자리가 베풀어지

고 사치를 다툰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예전에 士類大半이 淥江書院에 모이면 그 가운데 비단신을 신은 자가

불과 수인이었고 羊가죽 옷을 입은 자가 불과 1 2人이었다 지금은 비단

신과 가죽옷이 거의 常服이 되었고 日用品은 舶來品이 많다rdquo

이 내용을 보면 예릉현의 생활 수준이 급격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예릉현지 기록에는 부인들이 上海의 유행을 쫓아 사치를 추구한

다는 내용도 있고 청말부터 外貨를 서로 자랑한다는 내용도 있다 종

133) 同治10年刊 攸縣志 권18 풍속 衣服 ldquo衣服 昔時 士大夫 家居非嚴冬不御裘

今關中裘商來攸 歲可得銀萬餘兩 其他錦繡之運自蘇杭及嶺南者 則又倍之 計一歲

之戶 所費數萬金rdquo

134)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4장 풍속 생활 ldquo旧俗民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非令節不

食肉 非慶弔不置酒 欵客止於殺鷄 鮮味止於草魚 縣城食肆 止於飽麵茶館 無以酒

席爲業者 今則酒樓菜館 遍於街市 中人之家酬酢往還 爭奢鬪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旧時士類

大半 集於淥江書院 一院之中 著緞鞋者 不過数人 襲羊裘者 不過 一二人 今則絲

履皮袍殆成常服 日用之品 多自舶來rdquo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3전에 菜油 棉油로 燈을 켜다 집집마다 煤油를 사용한다거나 세탁시

茶枯鹼水를 쓰다가 대부분 비누를 사용하는 일상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135)

또 寧鄕縣에서도 ldquo同光之間 地方安寧 家給人足(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함)縣城商業 於時爲盛rdquo이라 하고 있어 同治(1862-74) 光

緖(1875-1908) 시기가 好況이었음을 알 수 있다136) 湘報에도 ldquo民間

之喜用洋貨日甚一日rdquo이라 하고 있어 洋貨 사용의 확대를 짐작할 수 있

다137)

광서년간 무역이 확대되고 여기에 대해 유익하다는 인식의 기록이

湘報에 나오고 있다138)

ldquo輪船과 철로가 개통되고 항구 개항이 증가 되는 것은 실로 중국에 유

익하고 손해가 없다 저 눈이 콩만큼 큰 자가 걸핏하면 통상이 중국에 해

가 된다고 하니 어찌 심히 어리석지 않은가rdquo

무역 확대를 지적하고 통상이 유익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예릉현

지에도 同治志에는 풍속이 lsquo安士重遷rsquo하고 상인이 외부 활동하는 자가

적었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고 光緖末에 도자기 夏布 編爆業

이 일어나 융성하여 이에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 넘는다고

하고 있다139) 예릉향토지에도 商旅 왕래가 예전보다 10배라는 서술이

있다140)

장사시의 行業발달 상황을 보면 민국 5년(1916)에서 民國22年(1935)

사이에 식품업은 281⟶2124 사치품은 171⟶1128 복장은 43⟶2028 農

礦은 621⟶1156 洋貨 127⟶233 금융 130⟶164 공예 2121⟶3344 문구

17⟶355 등 비약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141)

135)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 工商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6장 실업

136) 民國30年刊 寧鄕縣志 財用錄 民業

137) 湘報 제13호 1898年 3月 21日

138) 湘報 제162号 1898年 9月 23日

13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40) 民國15年刊 醴陵鄕土志 제6장 실업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4이것은 장사의 생활수준 향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당시에

通商의 확대 주장도 湘報에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142)

이상에서 보면 청말민국기에 대체적인 추세는 好況이었다고 생각된

다 생활 수준의 향상이 눈에 띄고 米価와 물가도 연동되면서 상승하

는 추세였다 米価의 상승이 구매력 수준의 제고가 되기 때문에 米穀

생산 중심지역에 상인들의 行號가 집중되는 것이 보였다143) 임금의

경우에도 호남 汝城縣에서 실질 임금이 유지 또는 상승하는 것을 확인

한 바 있다144) 全漢昇도 1875년부터 1925년까지에 걸쳐 四川 合江현

의 임금과 물가 변동의 추세가 거의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바 있

다145) 앞서 인용한 1931년 中國棉産改進計劃 에도 임금과 일용품 가

격이 함께 오른다고 하고 있어 임금이 물가에 연동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생활 수준 향상을 기록하고 있던 지방지에도 빈부 격차를 암시하는

내용이 있고 物力이 날로 쇠퇴한다든지 하는 기록이 있다 대외 무역

이 적자라 하더라도 차관 원조 뿐 아니라 외국 상인의 진출이 자본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好況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Ⅴ 結 言

이제까지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이후 民國中期인 1936年

까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여 米価와 물가 변동 물가 변동의 원인

141) 張朋園 앞의 책 p387

142) 湘報 44호 中外通商利害論 湘報 67号 論湖南茶務急宜整頓

143)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144)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9 1998)

145) 安本美緖 앞의 책 p2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5물가와 생활 경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米価 변동은 단기 변동에 있어서 전쟁이나 天災 등의 특수한 사정

의 해를 제외하고는 光緖 년간에 비해 민국 중기의 계절 변동폭이 축

소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米価의 계절 변동을 완화 시

켜 주는 雜糧의 재배가 湖南 지역에서는 대부분 同治 년간에 보급 확

대가 되고 있다 교통과 상업 발달 등의 이유로 청말에서 민국기로 갈

수록 계절 변동폭을 축소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변동에서는 長沙府縣의 물가 변동 예릉현 물가 변동 등을 살

펴 볼 때 전체로서는 상승 추세 중에 도광 함풍 시기의 低米価 同治

년간의 高米価 光緖전반의 低米価 光緖後半에서 宣統 년간의 高米価

民國 前期의 高米価 民國 中期의 低米価의 등락을 보이고 있다

民國 中期의 米価는 長沙 8개년 米価 추세에서도 안정속의 상승세

를 보이고 있다 명목상 수치 뿐 아니라 米価의 상대 물가로 보는 실

질 구매력도 宣統 民國元年에까지 급상승하였다가 민국 시기 등락을

거듭하지만 민국25년(1936)까지 광서4년(1878) 대비 유지 또는 상승 추

세였다

物価변동은 개별 상품에 따라 편차가 있고 米価와는 전혀 상이한

궤적을 그리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米価와 연동 관계를 보이

고 있다 1898년 물가의 단기 변동은 이상할 만큼 변동폭이 크지 않다

당시 물가 조사자의 보고가 정확했는지 의심될 정도이다 1935년의 장

사 물가에서 단기 변동을 보면 변동폭이 100이상인 夏布 毛筆 麵粉

棉布등을 비롯하여 50 이상인 오리털 흑연 성냥 국산 전지 등을

비롯하여 40 이상인 비누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기 변동폭

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 이것은 이런 물품들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

성이 크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物価의 장기 변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米価와 대체로 비슷한 궤적

을 보이고 있다 청말에서 민국전기에 걸쳐 물가 상승폭이 두드러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 상승폭이 더욱 크

다 돼지고기 값을 예로 들면 1878년에서 1909년 사이에 273 상승했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6고 1912-1921년 사이에 75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닭은 각 50와 44

상승했다 청말은 31년간의 수치이고 민국 전기는 9년간이니 물가의

상대적 급등을 알 수 있다 1926에서 1936년까지 10년간 돼지 고기 값

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

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

세를 보이고 있다 민국 중기의 米価가 일부 lsquo穀賤rsquo 현상을 보인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음으로 물가 변동의 원인에 대해서는 군벌간의 전쟁이나 정치적

혼란 등 정치 군사적 요인을 제외하고 대체로 검토해 보았다

수요 측면에서는 湖南米의 유통이 호남 내부의 인구 증가에도 불구

하고 양자강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지속된 것이 米価 상승의 한 원

인이었다 上海나 武漢 등의 도시화와 인구집중은 이들 지역 양식 수

요를 폭증시켰다 일부 洋米 수입에도 불구하고 湖南米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으로써 米価를 상승시켰다 또 장사를 비롯한 각지의 새로운 수

공업 산업의 발달로 비농업 인구가 증가하고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유

효수요로 성장하여 米価 상승을 유도하였다 양식의 이출은 해당 지역

인구 식량을 전부 제외한 나머지 잉여가 수출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력

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청말민국기에는 호남의 내부 외부에

서 미곡에 대한 유효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것이 米価 상승의 한 요인

이었다

화폐 문제에 있어 화폐 수량의 증가가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것

은 상식이다 종래 아편전쟁 전후 은의 해외 유출 증가가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을 초래하여 물가 상승과 인민의 빈곤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지방지 등의 史料에서 검토한 결과 은전비가는 도광함풍초의

일시적 상승 후에 함풍 7년 이후는 도리어 하락하고 있다 同治 년간

에 대부분 1兩 1300文 수준에서 안정되고 있다 光緖末宣統년간에도

1600-1700文 수준으로 도광함풍 초보다는 낮은 편이다 청말민국시

기에 화폐의 남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한계를 넘었을 때 시장의 통용

거부로 마침내 중단되고 있다 청말민국기에 외국 銀元의 유입과 국내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7의 銀元 주조 銅元 지폐 외에 鈔票 市票 등 화폐 시장에 투입된 화

폐량은 엄청나게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로서는 어느 정

도 시장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외 교역과 상품량의

증대 경제 활동 인구의 증대 미곡 생산 및 농산품 생산의 증대로 화

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것이 화폐량의 막대한 증가와 유

통속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

었다고 생각된다 즉 안정 속의 물가 상승이 유도된 것이다

공급면에서 보면 대외 교역을 통한 서양 상품의 수입은 전체로서는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물건의 공급 증가를 통해서

혹은 국내 상품과의 경쟁 때문에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었

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침략과 물가 폭등이라는 도식적

견해와 달리 현실에서는 물가 억제 작용도 있었던 것이다

물가와 경기면에서 보면 물가가 비쌀 때 호경기가 많은 것은 사실

이다 그런데 lsquo穀賤rsquo 현상이 불황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서 長沙 지역의 경우를 검토해 보았다 도광함풍 년간까지 lsquo穀賤rsquo현상

과 불경기적 상황에 대한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동치광서 년간에는

米価가 등귀한 시점인데 이 시기는 紅茶業의 번성이나 각종 수공업의

번성으로 好況의 면모가 보이고 있다 민국 시기에는 민국 중기에 lsquo穀

賤rsquo의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史料上에 민국 중기의 lsquo穀賤rsquo은 임금이나

다른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다 물가 상승기와 好況

이 맞물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민국 중기는 lsquo穀賤rsquo 현상과 서로 어긋

나는 것이다 이 시기의 不況 서술은 농촌의 농민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표시이다

생활 수준에 대한 지방지 기록 등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주민들의

洋貨 사용이 보편화되고 의복 음식 주거 등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것

을 지적하고 있다 물가는 상승하였지만 同治 이전에 비하여 분명히

사치품의 소비 증대와 中人의 집도 소비 수준이 제고된 것이 드러나고

있다 민중의 빈곤은 있으나 이 시기 빈부 격차가 커지고 생활 수준의

격차가 커진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35: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3

時期 銀(兩) 錢(文) 出典

乾隆 嘉慶년간 10 1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道光 初(1821) Prime 1300-1400 Prime

Prime 18年(1838) Prime 1400 林則徐湖廣奏橋 권3

Prime 25年(1845) Prime 2000上下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Prime 末年(1850)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咸豊 元年(1851) Prime 2000 民國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咸豊 初 Prime 2300-2400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8 부역

咸豊 3年(1853) Prime 20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5年(1855) Prime 2000 骆秉章 瀝陳湖南籌餉情形折

Prime 6年(1856) Prime 2000 湖文忠公遺集 권12

Prime 7年(1857) Prime 1600 骆文忠公奏議 권7

Prime 8年(1858) Prime 1400 胡文忠公遺集 권85

Prime 10年(1860) Prime 1300-1400 胡文忠公遺集 권70

同治 2年(1863) Prime 1300 曾國藩 籌議京倉需米疏

Prime 7年(1868) Prime 1300-1400 李瀚章 瀝陳湖北等省漕務

Prime 10年(1871) Prime 1600-1700 同治10年 長沙縣志 권8 부역 錢法

光緖32年(1906) Prime 1600 長沙日報 宣統2年 2月27日

선통 2年(1910) Prime 1700 國風報 宣統2年 3月 21日

표 지방지에서 직접 採錄제외는 龔勝生 淸代兩湖農業地理 pp270-277에서 湖南부분을 발췌하여 再引用한 것임

表13) 湖南의 銀錢比値

그런데 아편전쟁 전후 銀의 과도한 해외 유출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이

초래되고 이것이 물가 상승의 주요인이라 생각되고 있는 데는 약간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表13)을 보면 銀錢比価가 일시적으로 상승하였다

가 다시 하강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은전비가는 지역에 따라 차

이가 있지만 호남 장사를 위주로 정리한 것이 표13)이다100)

99)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0) 邱思達 中國近現代鑄幣圖說 (北京 中國書店 1991) p109 참조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4

주목되는 것은 道光末에서 咸豊初에 일시적으로 상승하였지만 淸末

의 比価가 낮은 편에 속하는 현상이다 청말에 은전비가가 비교적 안

정되고 있는 것이다 아편전쟁 후 5항 개항으로 교역이 확대된 상황에

서 아편무역 증대에도 불구하고 차와 silk 수출에 힘입어 은의 순유입

이 오히려 증가되는 현상이 나타났던 것이다101) 또 光緖17년(1891)이

후 세계 銀価하락 현상으로 은유입이 증가되었다102) 19세기 후반 중

국이 세계 사회에 연결되면서 중국의 무역 적자에도 불구하고 淸 정부

에 대한 대량 차관과 자본 투자를 통해서 거대한 양의 銀이 중국에 유

입되었다 1871년에서 1913년 사이 은의 순 수입은 2억 4천만 海關兩

혹은 3억 6천만 銀달러로 추정되고 있다 세계 시장의 은가 하락과 은

의 대량 유입은 중국의 국내 시장에서 물가 상승을 유도한 것이다103)

이런 배경으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은 일시적인 것이고 청말민국기 전체를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민국 시기에는 銀元과 錢의 교환 비율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은의 유입 현상에도 불구하고 宣統 원년 11150文의 비율에서 민국6년

2250文 민국11년 2840文 민국17년 3500文 민국22년 7200文까지 급등

하고 있다 예릉현의 기록이지만 이것으로 청말보다 민국시기에 통화

팽창현상이 극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4)

銀과 錢이 주요 화폐이고 그 환율이 항상 문제가 되고 있지만 주로

청 후기 이후는 錢文 위주의 경제로 바뀌고 있다고 생각된다 長沙府

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면 대부분 道光 이후는 화폐를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淸 前期는 米価를 銀으로 표시하던 것과는 대조적이

다105) 예릉현에서는 민간에서 세금을 납부하거나 大宗무역을 할 때를

101)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2) 邱思達 앞의 책 pp92-93

103)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4)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10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光緖3年刊 善化縣志 同治13年刊 湘鄕縣志 光

緖15年刊 湘潭縣志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民國37年刊 醴陵縣志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5제외하고 紋銀 사용자가 거의 없다 도광 이후 교역시 대부분 錢文을

사용했다는 기록을 보면 淸 後期는 錢 경제 위주로 넘어간 것 같

다106) 세금을 낼 때 외에 銀錢이 필요 없는 일반민은 錢文 사용권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너무나 당연하다

함풍4년에 長沙에서 大錢을 주조하여 통용시켰으나 결국 시장의 신

뢰를 얻지 못하여 퇴출되고 말았다 1854년 7월에 주조를 시작하여

1855년 4月에 주조를 정지하였다107) 이것을 보면 통화 남발도 결국

시장의 제약을 받고 있다

민국 7년(1918) 3月 張敬堯가 裕湘銀行을 개설하여 銀元票 1000만元

銅元票 3000만元을 발행하였다 그 결과 시장은 혼란에 빠지고 시중금

융은 마비 상태가 되었으며 결국 裕湘銀行 발행의 惡幣는 폐지와 같이

되었다108) 권력에 의하여 통화 팽창이 시도되더라도 시장이 감당할

수 없는 지경이 되면 중단될 수밖에 없다 과도한 통화 팽창은 시장의

질서에 의해 어느 정도 제약 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예릉현에서도 光緖 년간에 錢莊 24곳이 출현하여 盛業을 누렸는데

民國7年(1918) 兵禍로 停業하는 곳이 많아졌고 정부의 통화 남발 화폐

가치 하락 금융혼란의 현상이 나타났다109) 민국18년(1929) 이후는 정

국이 안정되고 교통 편리로 百業이 진흥되고 은행이 역할을 하게 되었

이상에서 보면 淸末까지는 은전비가가 안정되고 통화 관리가 어느

정도 성공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光緖 宣統 시기에 銀元의 주조 외국

銀貨의 대량유입 當十銅元 등 주조로 통화팽창이 많이 되었고 이시기

물가 상승과 연관되고 있다 민국 초기에도 정국 혼란과 무계획적 통

화남발로 물가의 급등을 초래하였다 민국 중기에는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것 같다

106) 龔勝生 앞의 책 p279

107) 劉泱泱 앞의 책 pp150-155

108) 宋斐夫 앞의 책 pp10-11

10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6영향현에서도 민국 21년(1932) lsquo穀賤錢荒rsquo의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

다110) 청말민국기에 전반적으로 화폐량의 증가가 현저했던 것은 사실

이다 다양한 화폐의 등장 銀兩 銀元 銅錢 銅元 외에 외국 銀元의 유

입 그 외 鈔票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출현하였으며 양적인 팽창도 분

명하다 하지만 대외 교역 증가와 경제 활동 인구의 증가 유통 상품의

양적 증가에 의해 시장의 화폐 수요가 증대된 것도 사실이다 통화 발

행은 일차적으로는 경제 주체의 수요에 부응하는 것이지만 그것이 과

도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3 공급기타 요소

물가는 기본적으로 수요공급의 관계에서 결정되는 것이 원칙이다

청말민국기에 걸쳐 인구가 급증하여 물가가 상승한 것은 자연스런 일

이다 그러나 물가 상승률 면에서 청말의 경우가 18세기의 증가율에

비해 크다고 할 수 없다 물가 상승률을 억제하면서 비교적 안정 속의

상승을 할 수 있었던 것은 공급의 증가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청말민국기에 湖南米의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 현상이 지속된 배경

에 비약적인 경지 면적 확대와 새로운 품종 개량 시비법 발전 등 농

업 생산 증대가 있었다는 것은 이미 밝혀진 바 있다111) 米穀 공급의

증대가 물가 상승을 완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雜糧 재배가 同治

(1862-74) 년간에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민중의 식량 문제 해결에 기여

하고 米価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던 것을 城步縣 知縣 盛溢源을

통해서 알 수 있다

洋米 수입이 國産米의 보충 역할을 했다는 지적이 있지만 결국 시

110) 民國30年刊 寧鄕縣新志 전1 縣年記

111) 田炯權 淸末民國期 湖廣地方의 農業生産力과 生産關係 (慶南史學 7

1995)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2001)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

究 25 200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7장에 대한 미곡 공급을 증대시켜 가격 안정에 기여했다고 생각된

다112)

민국 시대 관련 사료를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113)

금일 정세를 보면 국내 米価의 등락은 결코 國産米의 생산량이 많고

적음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외국 産米 구역의 풍년 여부에 따라 영

향이 대단히 크다

이것을 보면 洋米 수입이 國産米価를 조절한다고 볼 수 있다 비슷

한 시기 上海에서도 湖南米가 수입 米의 영향으로 가격이 약간 적게

올랐다는 史料도 있다114) 湘報에도 日本米가 수입되어 중국의 米価

가 차츰 내려갔다는 기록이 있다115) 같은 湘報에 보면 ldquo외국물산이

날로 풍부하여 중국 상품의 판로를 막는데 서양 상품의 가격이 낮으면

중국 상품 가격이 홀로 증가할 수 없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116) 결국 洋

貨도 중국에서는 시장에 대한 상품 공급의 증가이고 이것이 상품 가격

상승을 억제하고 있는 것이다 같은 자료에 중국의 土藥이 널리 판매

되니 외래 洋藥의 가격이 폭락한 사정도 소개되고 있다117)

또 洋蠟의 수입으로 국산 白蠟 가격이 매 100斤 200元에서 100元으

로 폭락한 일도 있었다118) 1921년 독일 면화가 대량 수입되어 중국의

綿価가 하락한 일도 있다119) 光緖년간 부터 중국이 綿紗 생산을 개시

하자 華商과 洋商사이에 가격 경쟁이 시작되었다 수입 綿布도 洋商이

國産布와 경쟁하기 위해 가격을 낮추어 공급하였다120)

112) 王良行 淸末對外貿易的關聯效果(1860-1911) (近代中國對外貿易史論集1997)

113)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卷3 p413

114) 위의 책 p416

115) 湘報 제45호 p1419

116) 湘報 제13호 ldquo外洋之出産日盛 足以抵華貨之銷路 洋価低則華貨不能獨增rdquo

117) 湘報 제162호 p1608

118) 章有義 앞의 책 권3 p662

119) 譚文熙 앞의 책 p342

120) 譚文熙 위의 책 p368 p374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8상인의 가격 조종이 물가 변동에 하나의 요소는 될 수 있다 예릉현

의 土資 판매에 있어 객상의 가격 조종에 저항하기 위해 주민들이 公

司를 조직하여 가격을 바로 잡았다는 기록도 있다121) 지주 부농 米商

등의 매점매석에 의한 가격 조종 사실은 흔히 발견된다122) 秋收期에

시장에 대량 방출된 곡식을 저렴한 가격에 매입하여 端境期에 되팔아

이익을 남기는 것은 상인의 오래된 관행이다 이윤 추구를 위한 개인

의 행위지만 넓게 보면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행위이기도 하

다 각지 농산품 가격 변동 조사에서 원인이 밝혀진 10건 가운데 전쟁

이 2건 豊凶 水旱災가 7건 상인 조종은 단 한 건 뿐이었다123) 제국

주의 상인에 의한 가격 조종이라는 것도 결국 중국 상인의 이윤 추구

행위와 본질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湘報의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124)

輪船이 이미 통행하고 있고 철로가 이미 만들어 졌다 제조업이 날로

번성하고 통상조약이 행해지니 상인이 계속 내왕하고 온갖 상품이 유통

된다 사계절 틈이 없으니 일용 각 물품이 그 가격이 반드시 저렴할 것

이다

이것을 보면 통상 개시 후 교통이 발달하고 상품 교역이 증대된다

는 것과 그 결과 일용품의 가격이 저렴해졌다는 것을 당시인이 인식하

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서방 각국과의 무역 증대는 상품 공급의 증가

이고 가격 경쟁을 통해 물가 상승을 완만하게 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

121)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22) 李文治 앞의 책 p559

123)湘報 제49號 ldquo輪船旣行 鉄路旣造 製造日盛 商約可行 商賈絡繹 百産流通

歲時無間 則日用物品 其価必廉rdquo

124) 安本美緖 앞의 책 제7장 pp239-288 제12장 431-455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9

Ⅲ 物價와 景氣(생활)

1 穀賤傷農과 不況

物價 문제를 단순히 등락의 흐름에만 주목하기보다 경기변동론적

입장에서 好況 不況의 문제로 연관시켜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

이다 岸本美緖는 康熙年間의 lsquo穀賤rsquo 현상이 不況과 연결되어 있고 光

緖年間 蘇州의 不況도 lsquo穀賤rsquo이 원인이었음을 지목하고 있다125)

그런데 長沙府 중심의 湖南의 사정을 검토해 보면 lsquo穀賤rsquo 관련 기록

이 道光 咸豊 시기와 民國 中期에 집중되고 있다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26)

道光 25年(1845) ldquo穀賤斗穀錢五十文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値穀賤錢価亦賤 民甚苦之rdquo

장사현과 縣治를 長沙城 내에 두고 있는 善化현에서도 같은 해에

비슷한 기록이 있다127)

道光25年 穀賤自十五年起 連年俱穀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中下戶苦之

咸豊5年 穀賤

장사현 기록을 보면 穀価도 싸고 錢価도 싸서 민이 고통 받는다 했

으니 이 당시 은의 해외 유출과 은전비가 문제로 민중이 고통 받은 사

실을 알 수 있다 선화현은 장사현과 연접하고 통합과 분리가 단속되

었던 거의 동일 지역이다 선화현 기록을 보면 도광25년의 lsquo穀賤rsquo이 해

당년도만의 일이 아니고 道光15年(1835)부터 계속된 현상임을 밝히고

있다

12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33 祥異

126)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127) 民國30年刊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0인근의 寧鄕縣에서 보면 ldquo道光26年 歲豊 穀奇賤傷農 佃農以穀賤大

困rdquo이라는 기사가 있다128) lsquo穀奇賤rsquo이라 하였으니 평상시 보지 못한

하락이었다고 생각된다 더구나 소작료 납부가 대부분 현물지대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佃農은 米穀의 상품화 과정에서 배제되었다는 종전의

통념과 달리 佃農도 곡가 하락으로 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같은 기록에 함풍원년에도 ldquo有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以穀賤漕折苛rdquo라 하고 있어

역시 곡가 하락으로 세금 납부에 곤란을 겪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장사부 內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아도 同治 년간에는 lsquo穀賤rsquo 기

재가 보이지 않고 전술한 도광 함풍 년간에 집중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후의 기록을 찾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ldquo湖南自夏秋以來雨暢時若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故無論高低田畝咸稱大稔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甚

賎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反有入不敷出之慨矣rdquo (益聞錄 69号 광서6년828)129)

ldquo(長沙農村) 近年來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穀米求售 価値至賤 日用各物 則又極昻 收穫所

得 不足顧其工本 多已漸陷于無力耕種之境rdquo (新靑年 7권 6호 1920년 5

월)130)

ldquo湖南近年來之天災人禍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天災旣足以減少收量 地方不靖 産品滯銷

価値復因以低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而生活日昻 工価及日用物品 繼續增漲 收入支出 常苦

不得平衡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rdquo (中國棉産改進統計會議專刊 1931)131)ldquo湘省爲産穀素豊之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年歲收 屢佔大有 而長江流域亦値豊收 更

有大宗洋米 運貨傾銷致湘米頓失市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価格低賤 不僅農村經濟 陷于絶

境 市面金融 亦大受打擊rdquo (銀行週報 18권 9기 1934313)

이외에도 1936年의 사실로 호남의 武岡 東安 일대에서 lsquo豊年穀賤rsquo으

로 省城에 운반할 때 운송비와 각종 捐稅 부담을 감당할 수 없어 陳米

를 불태웠다는 기록이 있다

128) 李文治 앞의 책 p557

129) 章有義 앞의 책 권2 p432

130) 章有義 앞의 책 권3 p795

131) 章有義 위의 책 p620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1이것을 보면 주로 1930년대에 lsquo穀賤rsquo과 不況이 집중 묘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lsquo穀賤rsquo 즉 불황이라고 하면 도광함풍초의 곡천과 불

황 同治光緖宣統期의 lsquo穀貴rsquo즉 好況 다시 民國 전기의 好況 民國 中期

의 불황으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물가의 상승기가 호황적 국면이라는 것은 알려

져 있지만 이것은 전체 물가의 문제이다 위 자료에서 보면 1920년 장

사 농촌에서는 곡가는 싼데 일용품 가격은 극히 높다고 하고 있고

1931년의 기록도 工價와 일용품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농민이 다수를 점하기 때문에 미곡가의 하락은 농민 수입 감소

와 구매력 저하를 가져오고 이것이 농촌 불황의 한 요인이 될 수 있

다 그러나 工賃과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시장의 한계 안에서의

일이다 또한 실업률과 고용 지표 등도 고려되어야 하는데 만족할만한

통계의 부족으로 명확한 답을 얻기는 어렵다

그런데 米価와 물가는 개별 년도나 시점에서 서로 상이한 궤적도

있지만 圖2 3 6 7을 보면 대체적으로는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예릉의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광서 4년(1878)에 비하여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1912)에는 현격한 상승세였다가 그 후에 등락을 거듭

하고 있지만 민국25년(1936)의 경우는 광서4년보다는 높거나 유사한

경우가 많다

2 생활 경기의 발달

당시인들이 체감하던 생활 경기의 수준이 어떠했는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

光緖刊 善化縣志를 보면 다음과 같다132)

132)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16 풍속 附論 ldquo古人 酒肉以養老 而今則黃口稚子

無不酒肉之人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日不旦穀貴鹽貴 而酒肉皆貴 則好惡可知矣 一今鄕間柴炭

其価數倍於昔日 瀕河之地 莫不燒煤rdquo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2옛사람들은 술과 고기로 노인을 부양하였는데 지금은 어린아이도 술과

고기를 먹지 않는 이가 없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요사이 미곡과 소금이 비쌀 뿐 아니

라 술과 고기가 모두가 비싸니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지금 향간에 柴炭이 그 값이 예전보다 수배인데 하천 근처 사람은

煤를 때지 않는 사람이 없다

同治 攸縣志 에도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33)

예전에 士大夫도 집에 있을 때 엄동이 아니면 가죽옷을 입지 않았다

지금 關中의 가죽옷 상인이 유현에 와서 1년에 은 만여 냥을 얻을 수 있

다 기타 비단 옷은 蘇州 杭州 및 嶺南에서 오는 것이 또 배가 되니 1년

에 수만금을 소비한다

醴陵縣에서도 비슷한 인식을 볼 수 있다134)

ldquo예전 풍속이 儉樸하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이 명절 아니면 고기를 먹지 않고

慶弔事가 아니면 술을 베풀지 않고 손님 접대는 닭 잡는데 그치고 鮮味

는 생선에 그쳤고 縣城의 食肆는 飽麵茶館에 그치고 酒席으로 業을 삼는

자가 없었다

지금은 酒樓菜館이 거리에 가득차고 中人의 집에도 술자리가 베풀어지

고 사치를 다툰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예전에 士類大半이 淥江書院에 모이면 그 가운데 비단신을 신은 자가

불과 수인이었고 羊가죽 옷을 입은 자가 불과 1 2人이었다 지금은 비단

신과 가죽옷이 거의 常服이 되었고 日用品은 舶來品이 많다rdquo

이 내용을 보면 예릉현의 생활 수준이 급격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예릉현지 기록에는 부인들이 上海의 유행을 쫓아 사치를 추구한

다는 내용도 있고 청말부터 外貨를 서로 자랑한다는 내용도 있다 종

133) 同治10年刊 攸縣志 권18 풍속 衣服 ldquo衣服 昔時 士大夫 家居非嚴冬不御裘

今關中裘商來攸 歲可得銀萬餘兩 其他錦繡之運自蘇杭及嶺南者 則又倍之 計一歲

之戶 所費數萬金rdquo

134)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4장 풍속 생활 ldquo旧俗民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非令節不

食肉 非慶弔不置酒 欵客止於殺鷄 鮮味止於草魚 縣城食肆 止於飽麵茶館 無以酒

席爲業者 今則酒樓菜館 遍於街市 中人之家酬酢往還 爭奢鬪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旧時士類

大半 集於淥江書院 一院之中 著緞鞋者 不過数人 襲羊裘者 不過 一二人 今則絲

履皮袍殆成常服 日用之品 多自舶來rdquo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3전에 菜油 棉油로 燈을 켜다 집집마다 煤油를 사용한다거나 세탁시

茶枯鹼水를 쓰다가 대부분 비누를 사용하는 일상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135)

또 寧鄕縣에서도 ldquo同光之間 地方安寧 家給人足(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함)縣城商業 於時爲盛rdquo이라 하고 있어 同治(1862-74) 光

緖(1875-1908) 시기가 好況이었음을 알 수 있다136) 湘報에도 ldquo民間

之喜用洋貨日甚一日rdquo이라 하고 있어 洋貨 사용의 확대를 짐작할 수 있

다137)

광서년간 무역이 확대되고 여기에 대해 유익하다는 인식의 기록이

湘報에 나오고 있다138)

ldquo輪船과 철로가 개통되고 항구 개항이 증가 되는 것은 실로 중국에 유

익하고 손해가 없다 저 눈이 콩만큼 큰 자가 걸핏하면 통상이 중국에 해

가 된다고 하니 어찌 심히 어리석지 않은가rdquo

무역 확대를 지적하고 통상이 유익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예릉현

지에도 同治志에는 풍속이 lsquo安士重遷rsquo하고 상인이 외부 활동하는 자가

적었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고 光緖末에 도자기 夏布 編爆業

이 일어나 융성하여 이에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 넘는다고

하고 있다139) 예릉향토지에도 商旅 왕래가 예전보다 10배라는 서술이

있다140)

장사시의 行業발달 상황을 보면 민국 5년(1916)에서 民國22年(1935)

사이에 식품업은 281⟶2124 사치품은 171⟶1128 복장은 43⟶2028 農

礦은 621⟶1156 洋貨 127⟶233 금융 130⟶164 공예 2121⟶3344 문구

17⟶355 등 비약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141)

135)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 工商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6장 실업

136) 民國30年刊 寧鄕縣志 財用錄 民業

137) 湘報 제13호 1898年 3月 21日

138) 湘報 제162号 1898年 9月 23日

13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40) 民國15年刊 醴陵鄕土志 제6장 실업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4이것은 장사의 생활수준 향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당시에

通商의 확대 주장도 湘報에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142)

이상에서 보면 청말민국기에 대체적인 추세는 好況이었다고 생각된

다 생활 수준의 향상이 눈에 띄고 米価와 물가도 연동되면서 상승하

는 추세였다 米価의 상승이 구매력 수준의 제고가 되기 때문에 米穀

생산 중심지역에 상인들의 行號가 집중되는 것이 보였다143) 임금의

경우에도 호남 汝城縣에서 실질 임금이 유지 또는 상승하는 것을 확인

한 바 있다144) 全漢昇도 1875년부터 1925년까지에 걸쳐 四川 合江현

의 임금과 물가 변동의 추세가 거의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바 있

다145) 앞서 인용한 1931년 中國棉産改進計劃 에도 임금과 일용품 가

격이 함께 오른다고 하고 있어 임금이 물가에 연동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생활 수준 향상을 기록하고 있던 지방지에도 빈부 격차를 암시하는

내용이 있고 物力이 날로 쇠퇴한다든지 하는 기록이 있다 대외 무역

이 적자라 하더라도 차관 원조 뿐 아니라 외국 상인의 진출이 자본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好況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Ⅴ 結 言

이제까지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이후 民國中期인 1936年

까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여 米価와 물가 변동 물가 변동의 원인

141) 張朋園 앞의 책 p387

142) 湘報 44호 中外通商利害論 湘報 67号 論湖南茶務急宜整頓

143)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144)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9 1998)

145) 安本美緖 앞의 책 p2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5물가와 생활 경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米価 변동은 단기 변동에 있어서 전쟁이나 天災 등의 특수한 사정

의 해를 제외하고는 光緖 년간에 비해 민국 중기의 계절 변동폭이 축

소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米価의 계절 변동을 완화 시

켜 주는 雜糧의 재배가 湖南 지역에서는 대부분 同治 년간에 보급 확

대가 되고 있다 교통과 상업 발달 등의 이유로 청말에서 민국기로 갈

수록 계절 변동폭을 축소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변동에서는 長沙府縣의 물가 변동 예릉현 물가 변동 등을 살

펴 볼 때 전체로서는 상승 추세 중에 도광 함풍 시기의 低米価 同治

년간의 高米価 光緖전반의 低米価 光緖後半에서 宣統 년간의 高米価

民國 前期의 高米価 民國 中期의 低米価의 등락을 보이고 있다

民國 中期의 米価는 長沙 8개년 米価 추세에서도 안정속의 상승세

를 보이고 있다 명목상 수치 뿐 아니라 米価의 상대 물가로 보는 실

질 구매력도 宣統 民國元年에까지 급상승하였다가 민국 시기 등락을

거듭하지만 민국25년(1936)까지 광서4년(1878) 대비 유지 또는 상승 추

세였다

物価변동은 개별 상품에 따라 편차가 있고 米価와는 전혀 상이한

궤적을 그리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米価와 연동 관계를 보이

고 있다 1898년 물가의 단기 변동은 이상할 만큼 변동폭이 크지 않다

당시 물가 조사자의 보고가 정확했는지 의심될 정도이다 1935년의 장

사 물가에서 단기 변동을 보면 변동폭이 100이상인 夏布 毛筆 麵粉

棉布등을 비롯하여 50 이상인 오리털 흑연 성냥 국산 전지 등을

비롯하여 40 이상인 비누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기 변동폭

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 이것은 이런 물품들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

성이 크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物価의 장기 변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米価와 대체로 비슷한 궤적

을 보이고 있다 청말에서 민국전기에 걸쳐 물가 상승폭이 두드러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 상승폭이 더욱 크

다 돼지고기 값을 예로 들면 1878년에서 1909년 사이에 273 상승했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6고 1912-1921년 사이에 75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닭은 각 50와 44

상승했다 청말은 31년간의 수치이고 민국 전기는 9년간이니 물가의

상대적 급등을 알 수 있다 1926에서 1936년까지 10년간 돼지 고기 값

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

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

세를 보이고 있다 민국 중기의 米価가 일부 lsquo穀賤rsquo 현상을 보인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음으로 물가 변동의 원인에 대해서는 군벌간의 전쟁이나 정치적

혼란 등 정치 군사적 요인을 제외하고 대체로 검토해 보았다

수요 측면에서는 湖南米의 유통이 호남 내부의 인구 증가에도 불구

하고 양자강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지속된 것이 米価 상승의 한 원

인이었다 上海나 武漢 등의 도시화와 인구집중은 이들 지역 양식 수

요를 폭증시켰다 일부 洋米 수입에도 불구하고 湖南米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으로써 米価를 상승시켰다 또 장사를 비롯한 각지의 새로운 수

공업 산업의 발달로 비농업 인구가 증가하고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유

효수요로 성장하여 米価 상승을 유도하였다 양식의 이출은 해당 지역

인구 식량을 전부 제외한 나머지 잉여가 수출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력

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청말민국기에는 호남의 내부 외부에

서 미곡에 대한 유효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것이 米価 상승의 한 요인

이었다

화폐 문제에 있어 화폐 수량의 증가가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것

은 상식이다 종래 아편전쟁 전후 은의 해외 유출 증가가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을 초래하여 물가 상승과 인민의 빈곤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지방지 등의 史料에서 검토한 결과 은전비가는 도광함풍초의

일시적 상승 후에 함풍 7년 이후는 도리어 하락하고 있다 同治 년간

에 대부분 1兩 1300文 수준에서 안정되고 있다 光緖末宣統년간에도

1600-1700文 수준으로 도광함풍 초보다는 낮은 편이다 청말민국시

기에 화폐의 남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한계를 넘었을 때 시장의 통용

거부로 마침내 중단되고 있다 청말민국기에 외국 銀元의 유입과 국내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7의 銀元 주조 銅元 지폐 외에 鈔票 市票 등 화폐 시장에 투입된 화

폐량은 엄청나게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로서는 어느 정

도 시장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외 교역과 상품량의

증대 경제 활동 인구의 증대 미곡 생산 및 농산품 생산의 증대로 화

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것이 화폐량의 막대한 증가와 유

통속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

었다고 생각된다 즉 안정 속의 물가 상승이 유도된 것이다

공급면에서 보면 대외 교역을 통한 서양 상품의 수입은 전체로서는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물건의 공급 증가를 통해서

혹은 국내 상품과의 경쟁 때문에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었

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침략과 물가 폭등이라는 도식적

견해와 달리 현실에서는 물가 억제 작용도 있었던 것이다

물가와 경기면에서 보면 물가가 비쌀 때 호경기가 많은 것은 사실

이다 그런데 lsquo穀賤rsquo 현상이 불황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서 長沙 지역의 경우를 검토해 보았다 도광함풍 년간까지 lsquo穀賤rsquo현상

과 불경기적 상황에 대한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동치광서 년간에는

米価가 등귀한 시점인데 이 시기는 紅茶業의 번성이나 각종 수공업의

번성으로 好況의 면모가 보이고 있다 민국 시기에는 민국 중기에 lsquo穀

賤rsquo의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史料上에 민국 중기의 lsquo穀賤rsquo은 임금이나

다른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다 물가 상승기와 好況

이 맞물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민국 중기는 lsquo穀賤rsquo 현상과 서로 어긋

나는 것이다 이 시기의 不況 서술은 농촌의 농민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표시이다

생활 수준에 대한 지방지 기록 등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주민들의

洋貨 사용이 보편화되고 의복 음식 주거 등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것

을 지적하고 있다 물가는 상승하였지만 同治 이전에 비하여 분명히

사치품의 소비 증대와 中人의 집도 소비 수준이 제고된 것이 드러나고

있다 민중의 빈곤은 있으나 이 시기 빈부 격차가 커지고 생활 수준의

격차가 커진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36: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4

주목되는 것은 道光末에서 咸豊初에 일시적으로 상승하였지만 淸末

의 比価가 낮은 편에 속하는 현상이다 청말에 은전비가가 비교적 안

정되고 있는 것이다 아편전쟁 후 5항 개항으로 교역이 확대된 상황에

서 아편무역 증대에도 불구하고 차와 silk 수출에 힘입어 은의 순유입

이 오히려 증가되는 현상이 나타났던 것이다101) 또 光緖17년(1891)이

후 세계 銀価하락 현상으로 은유입이 증가되었다102) 19세기 후반 중

국이 세계 사회에 연결되면서 중국의 무역 적자에도 불구하고 淸 정부

에 대한 대량 차관과 자본 투자를 통해서 거대한 양의 銀이 중국에 유

입되었다 1871년에서 1913년 사이 은의 순 수입은 2억 4천만 海關兩

혹은 3억 6천만 銀달러로 추정되고 있다 세계 시장의 은가 하락과 은

의 대량 유입은 중국의 국내 시장에서 물가 상승을 유도한 것이다103)

이런 배경으로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은 일시적인 것이고 청말민국기 전체를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민국 시기에는 銀元과 錢의 교환 비율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은의 유입 현상에도 불구하고 宣統 원년 11150文의 비율에서 민국6년

2250文 민국11년 2840文 민국17년 3500文 민국22년 7200文까지 급등

하고 있다 예릉현의 기록이지만 이것으로 청말보다 민국시기에 통화

팽창현상이 극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4)

銀과 錢이 주요 화폐이고 그 환율이 항상 문제가 되고 있지만 주로

청 후기 이후는 錢文 위주의 경제로 바뀌고 있다고 생각된다 長沙府

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면 대부분 道光 이후는 화폐를 錢文으로

표시하고 있다 淸 前期는 米価를 銀으로 표시하던 것과는 대조적이

다105) 예릉현에서는 민간에서 세금을 납부하거나 大宗무역을 할 때를

101)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2) 邱思達 앞의 책 pp92-93

103) Yeh-chien Wang 앞의 논문

104)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10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光緖3年刊 善化縣志 同治13年刊 湘鄕縣志 光

緖15年刊 湘潭縣志 民國30年刊 寧鄕縣志 民國37年刊 醴陵縣志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5제외하고 紋銀 사용자가 거의 없다 도광 이후 교역시 대부분 錢文을

사용했다는 기록을 보면 淸 後期는 錢 경제 위주로 넘어간 것 같

다106) 세금을 낼 때 외에 銀錢이 필요 없는 일반민은 錢文 사용권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너무나 당연하다

함풍4년에 長沙에서 大錢을 주조하여 통용시켰으나 결국 시장의 신

뢰를 얻지 못하여 퇴출되고 말았다 1854년 7월에 주조를 시작하여

1855년 4月에 주조를 정지하였다107) 이것을 보면 통화 남발도 결국

시장의 제약을 받고 있다

민국 7년(1918) 3月 張敬堯가 裕湘銀行을 개설하여 銀元票 1000만元

銅元票 3000만元을 발행하였다 그 결과 시장은 혼란에 빠지고 시중금

융은 마비 상태가 되었으며 결국 裕湘銀行 발행의 惡幣는 폐지와 같이

되었다108) 권력에 의하여 통화 팽창이 시도되더라도 시장이 감당할

수 없는 지경이 되면 중단될 수밖에 없다 과도한 통화 팽창은 시장의

질서에 의해 어느 정도 제약 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예릉현에서도 光緖 년간에 錢莊 24곳이 출현하여 盛業을 누렸는데

民國7年(1918) 兵禍로 停業하는 곳이 많아졌고 정부의 통화 남발 화폐

가치 하락 금융혼란의 현상이 나타났다109) 민국18년(1929) 이후는 정

국이 안정되고 교통 편리로 百業이 진흥되고 은행이 역할을 하게 되었

이상에서 보면 淸末까지는 은전비가가 안정되고 통화 관리가 어느

정도 성공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光緖 宣統 시기에 銀元의 주조 외국

銀貨의 대량유입 當十銅元 등 주조로 통화팽창이 많이 되었고 이시기

물가 상승과 연관되고 있다 민국 초기에도 정국 혼란과 무계획적 통

화남발로 물가의 급등을 초래하였다 민국 중기에는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것 같다

106) 龔勝生 앞의 책 p279

107) 劉泱泱 앞의 책 pp150-155

108) 宋斐夫 앞의 책 pp10-11

10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6영향현에서도 민국 21년(1932) lsquo穀賤錢荒rsquo의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

다110) 청말민국기에 전반적으로 화폐량의 증가가 현저했던 것은 사실

이다 다양한 화폐의 등장 銀兩 銀元 銅錢 銅元 외에 외국 銀元의 유

입 그 외 鈔票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출현하였으며 양적인 팽창도 분

명하다 하지만 대외 교역 증가와 경제 활동 인구의 증가 유통 상품의

양적 증가에 의해 시장의 화폐 수요가 증대된 것도 사실이다 통화 발

행은 일차적으로는 경제 주체의 수요에 부응하는 것이지만 그것이 과

도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3 공급기타 요소

물가는 기본적으로 수요공급의 관계에서 결정되는 것이 원칙이다

청말민국기에 걸쳐 인구가 급증하여 물가가 상승한 것은 자연스런 일

이다 그러나 물가 상승률 면에서 청말의 경우가 18세기의 증가율에

비해 크다고 할 수 없다 물가 상승률을 억제하면서 비교적 안정 속의

상승을 할 수 있었던 것은 공급의 증가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청말민국기에 湖南米의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 현상이 지속된 배경

에 비약적인 경지 면적 확대와 새로운 품종 개량 시비법 발전 등 농

업 생산 증대가 있었다는 것은 이미 밝혀진 바 있다111) 米穀 공급의

증대가 물가 상승을 완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雜糧 재배가 同治

(1862-74) 년간에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민중의 식량 문제 해결에 기여

하고 米価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던 것을 城步縣 知縣 盛溢源을

통해서 알 수 있다

洋米 수입이 國産米의 보충 역할을 했다는 지적이 있지만 결국 시

110) 民國30年刊 寧鄕縣新志 전1 縣年記

111) 田炯權 淸末民國期 湖廣地方의 農業生産力과 生産關係 (慶南史學 7

1995)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2001)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

究 25 200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7장에 대한 미곡 공급을 증대시켜 가격 안정에 기여했다고 생각된

다112)

민국 시대 관련 사료를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113)

금일 정세를 보면 국내 米価의 등락은 결코 國産米의 생산량이 많고

적음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외국 産米 구역의 풍년 여부에 따라 영

향이 대단히 크다

이것을 보면 洋米 수입이 國産米価를 조절한다고 볼 수 있다 비슷

한 시기 上海에서도 湖南米가 수입 米의 영향으로 가격이 약간 적게

올랐다는 史料도 있다114) 湘報에도 日本米가 수입되어 중국의 米価

가 차츰 내려갔다는 기록이 있다115) 같은 湘報에 보면 ldquo외국물산이

날로 풍부하여 중국 상품의 판로를 막는데 서양 상품의 가격이 낮으면

중국 상품 가격이 홀로 증가할 수 없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116) 결국 洋

貨도 중국에서는 시장에 대한 상품 공급의 증가이고 이것이 상품 가격

상승을 억제하고 있는 것이다 같은 자료에 중국의 土藥이 널리 판매

되니 외래 洋藥의 가격이 폭락한 사정도 소개되고 있다117)

또 洋蠟의 수입으로 국산 白蠟 가격이 매 100斤 200元에서 100元으

로 폭락한 일도 있었다118) 1921년 독일 면화가 대량 수입되어 중국의

綿価가 하락한 일도 있다119) 光緖년간 부터 중국이 綿紗 생산을 개시

하자 華商과 洋商사이에 가격 경쟁이 시작되었다 수입 綿布도 洋商이

國産布와 경쟁하기 위해 가격을 낮추어 공급하였다120)

112) 王良行 淸末對外貿易的關聯效果(1860-1911) (近代中國對外貿易史論集1997)

113)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卷3 p413

114) 위의 책 p416

115) 湘報 제45호 p1419

116) 湘報 제13호 ldquo外洋之出産日盛 足以抵華貨之銷路 洋価低則華貨不能獨增rdquo

117) 湘報 제162호 p1608

118) 章有義 앞의 책 권3 p662

119) 譚文熙 앞의 책 p342

120) 譚文熙 위의 책 p368 p374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8상인의 가격 조종이 물가 변동에 하나의 요소는 될 수 있다 예릉현

의 土資 판매에 있어 객상의 가격 조종에 저항하기 위해 주민들이 公

司를 조직하여 가격을 바로 잡았다는 기록도 있다121) 지주 부농 米商

등의 매점매석에 의한 가격 조종 사실은 흔히 발견된다122) 秋收期에

시장에 대량 방출된 곡식을 저렴한 가격에 매입하여 端境期에 되팔아

이익을 남기는 것은 상인의 오래된 관행이다 이윤 추구를 위한 개인

의 행위지만 넓게 보면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행위이기도 하

다 각지 농산품 가격 변동 조사에서 원인이 밝혀진 10건 가운데 전쟁

이 2건 豊凶 水旱災가 7건 상인 조종은 단 한 건 뿐이었다123) 제국

주의 상인에 의한 가격 조종이라는 것도 결국 중국 상인의 이윤 추구

행위와 본질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湘報의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124)

輪船이 이미 통행하고 있고 철로가 이미 만들어 졌다 제조업이 날로

번성하고 통상조약이 행해지니 상인이 계속 내왕하고 온갖 상품이 유통

된다 사계절 틈이 없으니 일용 각 물품이 그 가격이 반드시 저렴할 것

이다

이것을 보면 통상 개시 후 교통이 발달하고 상품 교역이 증대된다

는 것과 그 결과 일용품의 가격이 저렴해졌다는 것을 당시인이 인식하

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서방 각국과의 무역 증대는 상품 공급의 증가

이고 가격 경쟁을 통해 물가 상승을 완만하게 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

121)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22) 李文治 앞의 책 p559

123)湘報 제49號 ldquo輪船旣行 鉄路旣造 製造日盛 商約可行 商賈絡繹 百産流通

歲時無間 則日用物品 其価必廉rdquo

124) 安本美緖 앞의 책 제7장 pp239-288 제12장 431-455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9

Ⅲ 物價와 景氣(생활)

1 穀賤傷農과 不況

物價 문제를 단순히 등락의 흐름에만 주목하기보다 경기변동론적

입장에서 好況 不況의 문제로 연관시켜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

이다 岸本美緖는 康熙年間의 lsquo穀賤rsquo 현상이 不況과 연결되어 있고 光

緖年間 蘇州의 不況도 lsquo穀賤rsquo이 원인이었음을 지목하고 있다125)

그런데 長沙府 중심의 湖南의 사정을 검토해 보면 lsquo穀賤rsquo 관련 기록

이 道光 咸豊 시기와 民國 中期에 집중되고 있다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26)

道光 25年(1845) ldquo穀賤斗穀錢五十文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値穀賤錢価亦賤 民甚苦之rdquo

장사현과 縣治를 長沙城 내에 두고 있는 善化현에서도 같은 해에

비슷한 기록이 있다127)

道光25年 穀賤自十五年起 連年俱穀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中下戶苦之

咸豊5年 穀賤

장사현 기록을 보면 穀価도 싸고 錢価도 싸서 민이 고통 받는다 했

으니 이 당시 은의 해외 유출과 은전비가 문제로 민중이 고통 받은 사

실을 알 수 있다 선화현은 장사현과 연접하고 통합과 분리가 단속되

었던 거의 동일 지역이다 선화현 기록을 보면 도광25년의 lsquo穀賤rsquo이 해

당년도만의 일이 아니고 道光15年(1835)부터 계속된 현상임을 밝히고

있다

12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33 祥異

126)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127) 民國30年刊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0인근의 寧鄕縣에서 보면 ldquo道光26年 歲豊 穀奇賤傷農 佃農以穀賤大

困rdquo이라는 기사가 있다128) lsquo穀奇賤rsquo이라 하였으니 평상시 보지 못한

하락이었다고 생각된다 더구나 소작료 납부가 대부분 현물지대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佃農은 米穀의 상품화 과정에서 배제되었다는 종전의

통념과 달리 佃農도 곡가 하락으로 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같은 기록에 함풍원년에도 ldquo有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以穀賤漕折苛rdquo라 하고 있어

역시 곡가 하락으로 세금 납부에 곤란을 겪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장사부 內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아도 同治 년간에는 lsquo穀賤rsquo 기

재가 보이지 않고 전술한 도광 함풍 년간에 집중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후의 기록을 찾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ldquo湖南自夏秋以來雨暢時若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故無論高低田畝咸稱大稔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甚

賎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反有入不敷出之慨矣rdquo (益聞錄 69号 광서6년828)129)

ldquo(長沙農村) 近年來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穀米求售 価値至賤 日用各物 則又極昻 收穫所

得 不足顧其工本 多已漸陷于無力耕種之境rdquo (新靑年 7권 6호 1920년 5

월)130)

ldquo湖南近年來之天災人禍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天災旣足以減少收量 地方不靖 産品滯銷

価値復因以低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而生活日昻 工価及日用物品 繼續增漲 收入支出 常苦

不得平衡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rdquo (中國棉産改進統計會議專刊 1931)131)ldquo湘省爲産穀素豊之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年歲收 屢佔大有 而長江流域亦値豊收 更

有大宗洋米 運貨傾銷致湘米頓失市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価格低賤 不僅農村經濟 陷于絶

境 市面金融 亦大受打擊rdquo (銀行週報 18권 9기 1934313)

이외에도 1936年의 사실로 호남의 武岡 東安 일대에서 lsquo豊年穀賤rsquo으

로 省城에 운반할 때 운송비와 각종 捐稅 부담을 감당할 수 없어 陳米

를 불태웠다는 기록이 있다

128) 李文治 앞의 책 p557

129) 章有義 앞의 책 권2 p432

130) 章有義 앞의 책 권3 p795

131) 章有義 위의 책 p620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1이것을 보면 주로 1930년대에 lsquo穀賤rsquo과 不況이 집중 묘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lsquo穀賤rsquo 즉 불황이라고 하면 도광함풍초의 곡천과 불

황 同治光緖宣統期의 lsquo穀貴rsquo즉 好況 다시 民國 전기의 好況 民國 中期

의 불황으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물가의 상승기가 호황적 국면이라는 것은 알려

져 있지만 이것은 전체 물가의 문제이다 위 자료에서 보면 1920년 장

사 농촌에서는 곡가는 싼데 일용품 가격은 극히 높다고 하고 있고

1931년의 기록도 工價와 일용품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농민이 다수를 점하기 때문에 미곡가의 하락은 농민 수입 감소

와 구매력 저하를 가져오고 이것이 농촌 불황의 한 요인이 될 수 있

다 그러나 工賃과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시장의 한계 안에서의

일이다 또한 실업률과 고용 지표 등도 고려되어야 하는데 만족할만한

통계의 부족으로 명확한 답을 얻기는 어렵다

그런데 米価와 물가는 개별 년도나 시점에서 서로 상이한 궤적도

있지만 圖2 3 6 7을 보면 대체적으로는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예릉의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광서 4년(1878)에 비하여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1912)에는 현격한 상승세였다가 그 후에 등락을 거듭

하고 있지만 민국25년(1936)의 경우는 광서4년보다는 높거나 유사한

경우가 많다

2 생활 경기의 발달

당시인들이 체감하던 생활 경기의 수준이 어떠했는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

光緖刊 善化縣志를 보면 다음과 같다132)

132)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16 풍속 附論 ldquo古人 酒肉以養老 而今則黃口稚子

無不酒肉之人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日不旦穀貴鹽貴 而酒肉皆貴 則好惡可知矣 一今鄕間柴炭

其価數倍於昔日 瀕河之地 莫不燒煤rdquo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2옛사람들은 술과 고기로 노인을 부양하였는데 지금은 어린아이도 술과

고기를 먹지 않는 이가 없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요사이 미곡과 소금이 비쌀 뿐 아니

라 술과 고기가 모두가 비싸니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지금 향간에 柴炭이 그 값이 예전보다 수배인데 하천 근처 사람은

煤를 때지 않는 사람이 없다

同治 攸縣志 에도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33)

예전에 士大夫도 집에 있을 때 엄동이 아니면 가죽옷을 입지 않았다

지금 關中의 가죽옷 상인이 유현에 와서 1년에 은 만여 냥을 얻을 수 있

다 기타 비단 옷은 蘇州 杭州 및 嶺南에서 오는 것이 또 배가 되니 1년

에 수만금을 소비한다

醴陵縣에서도 비슷한 인식을 볼 수 있다134)

ldquo예전 풍속이 儉樸하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이 명절 아니면 고기를 먹지 않고

慶弔事가 아니면 술을 베풀지 않고 손님 접대는 닭 잡는데 그치고 鮮味

는 생선에 그쳤고 縣城의 食肆는 飽麵茶館에 그치고 酒席으로 業을 삼는

자가 없었다

지금은 酒樓菜館이 거리에 가득차고 中人의 집에도 술자리가 베풀어지

고 사치를 다툰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예전에 士類大半이 淥江書院에 모이면 그 가운데 비단신을 신은 자가

불과 수인이었고 羊가죽 옷을 입은 자가 불과 1 2人이었다 지금은 비단

신과 가죽옷이 거의 常服이 되었고 日用品은 舶來品이 많다rdquo

이 내용을 보면 예릉현의 생활 수준이 급격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예릉현지 기록에는 부인들이 上海의 유행을 쫓아 사치를 추구한

다는 내용도 있고 청말부터 外貨를 서로 자랑한다는 내용도 있다 종

133) 同治10年刊 攸縣志 권18 풍속 衣服 ldquo衣服 昔時 士大夫 家居非嚴冬不御裘

今關中裘商來攸 歲可得銀萬餘兩 其他錦繡之運自蘇杭及嶺南者 則又倍之 計一歲

之戶 所費數萬金rdquo

134)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4장 풍속 생활 ldquo旧俗民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非令節不

食肉 非慶弔不置酒 欵客止於殺鷄 鮮味止於草魚 縣城食肆 止於飽麵茶館 無以酒

席爲業者 今則酒樓菜館 遍於街市 中人之家酬酢往還 爭奢鬪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旧時士類

大半 集於淥江書院 一院之中 著緞鞋者 不過数人 襲羊裘者 不過 一二人 今則絲

履皮袍殆成常服 日用之品 多自舶來rdquo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3전에 菜油 棉油로 燈을 켜다 집집마다 煤油를 사용한다거나 세탁시

茶枯鹼水를 쓰다가 대부분 비누를 사용하는 일상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135)

또 寧鄕縣에서도 ldquo同光之間 地方安寧 家給人足(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함)縣城商業 於時爲盛rdquo이라 하고 있어 同治(1862-74) 光

緖(1875-1908) 시기가 好況이었음을 알 수 있다136) 湘報에도 ldquo民間

之喜用洋貨日甚一日rdquo이라 하고 있어 洋貨 사용의 확대를 짐작할 수 있

다137)

광서년간 무역이 확대되고 여기에 대해 유익하다는 인식의 기록이

湘報에 나오고 있다138)

ldquo輪船과 철로가 개통되고 항구 개항이 증가 되는 것은 실로 중국에 유

익하고 손해가 없다 저 눈이 콩만큼 큰 자가 걸핏하면 통상이 중국에 해

가 된다고 하니 어찌 심히 어리석지 않은가rdquo

무역 확대를 지적하고 통상이 유익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예릉현

지에도 同治志에는 풍속이 lsquo安士重遷rsquo하고 상인이 외부 활동하는 자가

적었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고 光緖末에 도자기 夏布 編爆業

이 일어나 융성하여 이에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 넘는다고

하고 있다139) 예릉향토지에도 商旅 왕래가 예전보다 10배라는 서술이

있다140)

장사시의 行業발달 상황을 보면 민국 5년(1916)에서 民國22年(1935)

사이에 식품업은 281⟶2124 사치품은 171⟶1128 복장은 43⟶2028 農

礦은 621⟶1156 洋貨 127⟶233 금융 130⟶164 공예 2121⟶3344 문구

17⟶355 등 비약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141)

135)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 工商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6장 실업

136) 民國30年刊 寧鄕縣志 財用錄 民業

137) 湘報 제13호 1898年 3月 21日

138) 湘報 제162号 1898年 9月 23日

13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40) 民國15年刊 醴陵鄕土志 제6장 실업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4이것은 장사의 생활수준 향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당시에

通商의 확대 주장도 湘報에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142)

이상에서 보면 청말민국기에 대체적인 추세는 好況이었다고 생각된

다 생활 수준의 향상이 눈에 띄고 米価와 물가도 연동되면서 상승하

는 추세였다 米価의 상승이 구매력 수준의 제고가 되기 때문에 米穀

생산 중심지역에 상인들의 行號가 집중되는 것이 보였다143) 임금의

경우에도 호남 汝城縣에서 실질 임금이 유지 또는 상승하는 것을 확인

한 바 있다144) 全漢昇도 1875년부터 1925년까지에 걸쳐 四川 合江현

의 임금과 물가 변동의 추세가 거의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바 있

다145) 앞서 인용한 1931년 中國棉産改進計劃 에도 임금과 일용품 가

격이 함께 오른다고 하고 있어 임금이 물가에 연동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생활 수준 향상을 기록하고 있던 지방지에도 빈부 격차를 암시하는

내용이 있고 物力이 날로 쇠퇴한다든지 하는 기록이 있다 대외 무역

이 적자라 하더라도 차관 원조 뿐 아니라 외국 상인의 진출이 자본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好況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Ⅴ 結 言

이제까지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이후 民國中期인 1936年

까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여 米価와 물가 변동 물가 변동의 원인

141) 張朋園 앞의 책 p387

142) 湘報 44호 中外通商利害論 湘報 67号 論湖南茶務急宜整頓

143)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144)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9 1998)

145) 安本美緖 앞의 책 p2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5물가와 생활 경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米価 변동은 단기 변동에 있어서 전쟁이나 天災 등의 특수한 사정

의 해를 제외하고는 光緖 년간에 비해 민국 중기의 계절 변동폭이 축

소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米価의 계절 변동을 완화 시

켜 주는 雜糧의 재배가 湖南 지역에서는 대부분 同治 년간에 보급 확

대가 되고 있다 교통과 상업 발달 등의 이유로 청말에서 민국기로 갈

수록 계절 변동폭을 축소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변동에서는 長沙府縣의 물가 변동 예릉현 물가 변동 등을 살

펴 볼 때 전체로서는 상승 추세 중에 도광 함풍 시기의 低米価 同治

년간의 高米価 光緖전반의 低米価 光緖後半에서 宣統 년간의 高米価

民國 前期의 高米価 民國 中期의 低米価의 등락을 보이고 있다

民國 中期의 米価는 長沙 8개년 米価 추세에서도 안정속의 상승세

를 보이고 있다 명목상 수치 뿐 아니라 米価의 상대 물가로 보는 실

질 구매력도 宣統 民國元年에까지 급상승하였다가 민국 시기 등락을

거듭하지만 민국25년(1936)까지 광서4년(1878) 대비 유지 또는 상승 추

세였다

物価변동은 개별 상품에 따라 편차가 있고 米価와는 전혀 상이한

궤적을 그리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米価와 연동 관계를 보이

고 있다 1898년 물가의 단기 변동은 이상할 만큼 변동폭이 크지 않다

당시 물가 조사자의 보고가 정확했는지 의심될 정도이다 1935년의 장

사 물가에서 단기 변동을 보면 변동폭이 100이상인 夏布 毛筆 麵粉

棉布등을 비롯하여 50 이상인 오리털 흑연 성냥 국산 전지 등을

비롯하여 40 이상인 비누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기 변동폭

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 이것은 이런 물품들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

성이 크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物価의 장기 변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米価와 대체로 비슷한 궤적

을 보이고 있다 청말에서 민국전기에 걸쳐 물가 상승폭이 두드러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 상승폭이 더욱 크

다 돼지고기 값을 예로 들면 1878년에서 1909년 사이에 273 상승했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6고 1912-1921년 사이에 75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닭은 각 50와 44

상승했다 청말은 31년간의 수치이고 민국 전기는 9년간이니 물가의

상대적 급등을 알 수 있다 1926에서 1936년까지 10년간 돼지 고기 값

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

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

세를 보이고 있다 민국 중기의 米価가 일부 lsquo穀賤rsquo 현상을 보인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음으로 물가 변동의 원인에 대해서는 군벌간의 전쟁이나 정치적

혼란 등 정치 군사적 요인을 제외하고 대체로 검토해 보았다

수요 측면에서는 湖南米의 유통이 호남 내부의 인구 증가에도 불구

하고 양자강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지속된 것이 米価 상승의 한 원

인이었다 上海나 武漢 등의 도시화와 인구집중은 이들 지역 양식 수

요를 폭증시켰다 일부 洋米 수입에도 불구하고 湖南米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으로써 米価를 상승시켰다 또 장사를 비롯한 각지의 새로운 수

공업 산업의 발달로 비농업 인구가 증가하고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유

효수요로 성장하여 米価 상승을 유도하였다 양식의 이출은 해당 지역

인구 식량을 전부 제외한 나머지 잉여가 수출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력

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청말민국기에는 호남의 내부 외부에

서 미곡에 대한 유효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것이 米価 상승의 한 요인

이었다

화폐 문제에 있어 화폐 수량의 증가가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것

은 상식이다 종래 아편전쟁 전후 은의 해외 유출 증가가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을 초래하여 물가 상승과 인민의 빈곤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지방지 등의 史料에서 검토한 결과 은전비가는 도광함풍초의

일시적 상승 후에 함풍 7년 이후는 도리어 하락하고 있다 同治 년간

에 대부분 1兩 1300文 수준에서 안정되고 있다 光緖末宣統년간에도

1600-1700文 수준으로 도광함풍 초보다는 낮은 편이다 청말민국시

기에 화폐의 남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한계를 넘었을 때 시장의 통용

거부로 마침내 중단되고 있다 청말민국기에 외국 銀元의 유입과 국내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7의 銀元 주조 銅元 지폐 외에 鈔票 市票 등 화폐 시장에 투입된 화

폐량은 엄청나게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로서는 어느 정

도 시장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외 교역과 상품량의

증대 경제 활동 인구의 증대 미곡 생산 및 농산품 생산의 증대로 화

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것이 화폐량의 막대한 증가와 유

통속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

었다고 생각된다 즉 안정 속의 물가 상승이 유도된 것이다

공급면에서 보면 대외 교역을 통한 서양 상품의 수입은 전체로서는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물건의 공급 증가를 통해서

혹은 국내 상품과의 경쟁 때문에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었

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침략과 물가 폭등이라는 도식적

견해와 달리 현실에서는 물가 억제 작용도 있었던 것이다

물가와 경기면에서 보면 물가가 비쌀 때 호경기가 많은 것은 사실

이다 그런데 lsquo穀賤rsquo 현상이 불황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서 長沙 지역의 경우를 검토해 보았다 도광함풍 년간까지 lsquo穀賤rsquo현상

과 불경기적 상황에 대한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동치광서 년간에는

米価가 등귀한 시점인데 이 시기는 紅茶業의 번성이나 각종 수공업의

번성으로 好況의 면모가 보이고 있다 민국 시기에는 민국 중기에 lsquo穀

賤rsquo의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史料上에 민국 중기의 lsquo穀賤rsquo은 임금이나

다른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다 물가 상승기와 好況

이 맞물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민국 중기는 lsquo穀賤rsquo 현상과 서로 어긋

나는 것이다 이 시기의 不況 서술은 농촌의 농민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표시이다

생활 수준에 대한 지방지 기록 등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주민들의

洋貨 사용이 보편화되고 의복 음식 주거 등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것

을 지적하고 있다 물가는 상승하였지만 同治 이전에 비하여 분명히

사치품의 소비 증대와 中人의 집도 소비 수준이 제고된 것이 드러나고

있다 민중의 빈곤은 있으나 이 시기 빈부 격차가 커지고 생활 수준의

격차가 커진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37: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5제외하고 紋銀 사용자가 거의 없다 도광 이후 교역시 대부분 錢文을

사용했다는 기록을 보면 淸 後期는 錢 경제 위주로 넘어간 것 같

다106) 세금을 낼 때 외에 銀錢이 필요 없는 일반민은 錢文 사용권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너무나 당연하다

함풍4년에 長沙에서 大錢을 주조하여 통용시켰으나 결국 시장의 신

뢰를 얻지 못하여 퇴출되고 말았다 1854년 7월에 주조를 시작하여

1855년 4月에 주조를 정지하였다107) 이것을 보면 통화 남발도 결국

시장의 제약을 받고 있다

민국 7년(1918) 3月 張敬堯가 裕湘銀行을 개설하여 銀元票 1000만元

銅元票 3000만元을 발행하였다 그 결과 시장은 혼란에 빠지고 시중금

융은 마비 상태가 되었으며 결국 裕湘銀行 발행의 惡幣는 폐지와 같이

되었다108) 권력에 의하여 통화 팽창이 시도되더라도 시장이 감당할

수 없는 지경이 되면 중단될 수밖에 없다 과도한 통화 팽창은 시장의

질서에 의해 어느 정도 제약 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예릉현에서도 光緖 년간에 錢莊 24곳이 출현하여 盛業을 누렸는데

民國7年(1918) 兵禍로 停業하는 곳이 많아졌고 정부의 통화 남발 화폐

가치 하락 금융혼란의 현상이 나타났다109) 민국18년(1929) 이후는 정

국이 안정되고 교통 편리로 百業이 진흥되고 은행이 역할을 하게 되었

이상에서 보면 淸末까지는 은전비가가 안정되고 통화 관리가 어느

정도 성공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光緖 宣統 시기에 銀元의 주조 외국

銀貨의 대량유입 當十銅元 등 주조로 통화팽창이 많이 되었고 이시기

물가 상승과 연관되고 있다 민국 초기에도 정국 혼란과 무계획적 통

화남발로 물가의 급등을 초래하였다 민국 중기에는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것 같다

106) 龔勝生 앞의 책 p279

107) 劉泱泱 앞의 책 pp150-155

108) 宋斐夫 앞의 책 pp10-11

10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金融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6영향현에서도 민국 21년(1932) lsquo穀賤錢荒rsquo의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

다110) 청말민국기에 전반적으로 화폐량의 증가가 현저했던 것은 사실

이다 다양한 화폐의 등장 銀兩 銀元 銅錢 銅元 외에 외국 銀元의 유

입 그 외 鈔票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출현하였으며 양적인 팽창도 분

명하다 하지만 대외 교역 증가와 경제 활동 인구의 증가 유통 상품의

양적 증가에 의해 시장의 화폐 수요가 증대된 것도 사실이다 통화 발

행은 일차적으로는 경제 주체의 수요에 부응하는 것이지만 그것이 과

도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3 공급기타 요소

물가는 기본적으로 수요공급의 관계에서 결정되는 것이 원칙이다

청말민국기에 걸쳐 인구가 급증하여 물가가 상승한 것은 자연스런 일

이다 그러나 물가 상승률 면에서 청말의 경우가 18세기의 증가율에

비해 크다고 할 수 없다 물가 상승률을 억제하면서 비교적 안정 속의

상승을 할 수 있었던 것은 공급의 증가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청말민국기에 湖南米의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 현상이 지속된 배경

에 비약적인 경지 면적 확대와 새로운 품종 개량 시비법 발전 등 농

업 생산 증대가 있었다는 것은 이미 밝혀진 바 있다111) 米穀 공급의

증대가 물가 상승을 완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雜糧 재배가 同治

(1862-74) 년간에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민중의 식량 문제 해결에 기여

하고 米価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던 것을 城步縣 知縣 盛溢源을

통해서 알 수 있다

洋米 수입이 國産米의 보충 역할을 했다는 지적이 있지만 결국 시

110) 民國30年刊 寧鄕縣新志 전1 縣年記

111) 田炯權 淸末民國期 湖廣地方의 農業生産力과 生産關係 (慶南史學 7

1995)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2001)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

究 25 200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7장에 대한 미곡 공급을 증대시켜 가격 안정에 기여했다고 생각된

다112)

민국 시대 관련 사료를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113)

금일 정세를 보면 국내 米価의 등락은 결코 國産米의 생산량이 많고

적음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외국 産米 구역의 풍년 여부에 따라 영

향이 대단히 크다

이것을 보면 洋米 수입이 國産米価를 조절한다고 볼 수 있다 비슷

한 시기 上海에서도 湖南米가 수입 米의 영향으로 가격이 약간 적게

올랐다는 史料도 있다114) 湘報에도 日本米가 수입되어 중국의 米価

가 차츰 내려갔다는 기록이 있다115) 같은 湘報에 보면 ldquo외국물산이

날로 풍부하여 중국 상품의 판로를 막는데 서양 상품의 가격이 낮으면

중국 상품 가격이 홀로 증가할 수 없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116) 결국 洋

貨도 중국에서는 시장에 대한 상품 공급의 증가이고 이것이 상품 가격

상승을 억제하고 있는 것이다 같은 자료에 중국의 土藥이 널리 판매

되니 외래 洋藥의 가격이 폭락한 사정도 소개되고 있다117)

또 洋蠟의 수입으로 국산 白蠟 가격이 매 100斤 200元에서 100元으

로 폭락한 일도 있었다118) 1921년 독일 면화가 대량 수입되어 중국의

綿価가 하락한 일도 있다119) 光緖년간 부터 중국이 綿紗 생산을 개시

하자 華商과 洋商사이에 가격 경쟁이 시작되었다 수입 綿布도 洋商이

國産布와 경쟁하기 위해 가격을 낮추어 공급하였다120)

112) 王良行 淸末對外貿易的關聯效果(1860-1911) (近代中國對外貿易史論集1997)

113)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卷3 p413

114) 위의 책 p416

115) 湘報 제45호 p1419

116) 湘報 제13호 ldquo外洋之出産日盛 足以抵華貨之銷路 洋価低則華貨不能獨增rdquo

117) 湘報 제162호 p1608

118) 章有義 앞의 책 권3 p662

119) 譚文熙 앞의 책 p342

120) 譚文熙 위의 책 p368 p374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8상인의 가격 조종이 물가 변동에 하나의 요소는 될 수 있다 예릉현

의 土資 판매에 있어 객상의 가격 조종에 저항하기 위해 주민들이 公

司를 조직하여 가격을 바로 잡았다는 기록도 있다121) 지주 부농 米商

등의 매점매석에 의한 가격 조종 사실은 흔히 발견된다122) 秋收期에

시장에 대량 방출된 곡식을 저렴한 가격에 매입하여 端境期에 되팔아

이익을 남기는 것은 상인의 오래된 관행이다 이윤 추구를 위한 개인

의 행위지만 넓게 보면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행위이기도 하

다 각지 농산품 가격 변동 조사에서 원인이 밝혀진 10건 가운데 전쟁

이 2건 豊凶 水旱災가 7건 상인 조종은 단 한 건 뿐이었다123) 제국

주의 상인에 의한 가격 조종이라는 것도 결국 중국 상인의 이윤 추구

행위와 본질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湘報의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124)

輪船이 이미 통행하고 있고 철로가 이미 만들어 졌다 제조업이 날로

번성하고 통상조약이 행해지니 상인이 계속 내왕하고 온갖 상품이 유통

된다 사계절 틈이 없으니 일용 각 물품이 그 가격이 반드시 저렴할 것

이다

이것을 보면 통상 개시 후 교통이 발달하고 상품 교역이 증대된다

는 것과 그 결과 일용품의 가격이 저렴해졌다는 것을 당시인이 인식하

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서방 각국과의 무역 증대는 상품 공급의 증가

이고 가격 경쟁을 통해 물가 상승을 완만하게 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

121)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22) 李文治 앞의 책 p559

123)湘報 제49號 ldquo輪船旣行 鉄路旣造 製造日盛 商約可行 商賈絡繹 百産流通

歲時無間 則日用物品 其価必廉rdquo

124) 安本美緖 앞의 책 제7장 pp239-288 제12장 431-455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9

Ⅲ 物價와 景氣(생활)

1 穀賤傷農과 不況

物價 문제를 단순히 등락의 흐름에만 주목하기보다 경기변동론적

입장에서 好況 不況의 문제로 연관시켜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

이다 岸本美緖는 康熙年間의 lsquo穀賤rsquo 현상이 不況과 연결되어 있고 光

緖年間 蘇州의 不況도 lsquo穀賤rsquo이 원인이었음을 지목하고 있다125)

그런데 長沙府 중심의 湖南의 사정을 검토해 보면 lsquo穀賤rsquo 관련 기록

이 道光 咸豊 시기와 民國 中期에 집중되고 있다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26)

道光 25年(1845) ldquo穀賤斗穀錢五十文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値穀賤錢価亦賤 民甚苦之rdquo

장사현과 縣治를 長沙城 내에 두고 있는 善化현에서도 같은 해에

비슷한 기록이 있다127)

道光25年 穀賤自十五年起 連年俱穀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中下戶苦之

咸豊5年 穀賤

장사현 기록을 보면 穀価도 싸고 錢価도 싸서 민이 고통 받는다 했

으니 이 당시 은의 해외 유출과 은전비가 문제로 민중이 고통 받은 사

실을 알 수 있다 선화현은 장사현과 연접하고 통합과 분리가 단속되

었던 거의 동일 지역이다 선화현 기록을 보면 도광25년의 lsquo穀賤rsquo이 해

당년도만의 일이 아니고 道光15年(1835)부터 계속된 현상임을 밝히고

있다

12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33 祥異

126)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127) 民國30年刊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0인근의 寧鄕縣에서 보면 ldquo道光26年 歲豊 穀奇賤傷農 佃農以穀賤大

困rdquo이라는 기사가 있다128) lsquo穀奇賤rsquo이라 하였으니 평상시 보지 못한

하락이었다고 생각된다 더구나 소작료 납부가 대부분 현물지대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佃農은 米穀의 상품화 과정에서 배제되었다는 종전의

통념과 달리 佃農도 곡가 하락으로 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같은 기록에 함풍원년에도 ldquo有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以穀賤漕折苛rdquo라 하고 있어

역시 곡가 하락으로 세금 납부에 곤란을 겪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장사부 內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아도 同治 년간에는 lsquo穀賤rsquo 기

재가 보이지 않고 전술한 도광 함풍 년간에 집중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후의 기록을 찾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ldquo湖南自夏秋以來雨暢時若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故無論高低田畝咸稱大稔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甚

賎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反有入不敷出之慨矣rdquo (益聞錄 69号 광서6년828)129)

ldquo(長沙農村) 近年來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穀米求售 価値至賤 日用各物 則又極昻 收穫所

得 不足顧其工本 多已漸陷于無力耕種之境rdquo (新靑年 7권 6호 1920년 5

월)130)

ldquo湖南近年來之天災人禍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天災旣足以減少收量 地方不靖 産品滯銷

価値復因以低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而生活日昻 工価及日用物品 繼續增漲 收入支出 常苦

不得平衡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rdquo (中國棉産改進統計會議專刊 1931)131)ldquo湘省爲産穀素豊之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年歲收 屢佔大有 而長江流域亦値豊收 更

有大宗洋米 運貨傾銷致湘米頓失市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価格低賤 不僅農村經濟 陷于絶

境 市面金融 亦大受打擊rdquo (銀行週報 18권 9기 1934313)

이외에도 1936年의 사실로 호남의 武岡 東安 일대에서 lsquo豊年穀賤rsquo으

로 省城에 운반할 때 운송비와 각종 捐稅 부담을 감당할 수 없어 陳米

를 불태웠다는 기록이 있다

128) 李文治 앞의 책 p557

129) 章有義 앞의 책 권2 p432

130) 章有義 앞의 책 권3 p795

131) 章有義 위의 책 p620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1이것을 보면 주로 1930년대에 lsquo穀賤rsquo과 不況이 집중 묘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lsquo穀賤rsquo 즉 불황이라고 하면 도광함풍초의 곡천과 불

황 同治光緖宣統期의 lsquo穀貴rsquo즉 好況 다시 民國 전기의 好況 民國 中期

의 불황으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물가의 상승기가 호황적 국면이라는 것은 알려

져 있지만 이것은 전체 물가의 문제이다 위 자료에서 보면 1920년 장

사 농촌에서는 곡가는 싼데 일용품 가격은 극히 높다고 하고 있고

1931년의 기록도 工價와 일용품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농민이 다수를 점하기 때문에 미곡가의 하락은 농민 수입 감소

와 구매력 저하를 가져오고 이것이 농촌 불황의 한 요인이 될 수 있

다 그러나 工賃과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시장의 한계 안에서의

일이다 또한 실업률과 고용 지표 등도 고려되어야 하는데 만족할만한

통계의 부족으로 명확한 답을 얻기는 어렵다

그런데 米価와 물가는 개별 년도나 시점에서 서로 상이한 궤적도

있지만 圖2 3 6 7을 보면 대체적으로는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예릉의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광서 4년(1878)에 비하여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1912)에는 현격한 상승세였다가 그 후에 등락을 거듭

하고 있지만 민국25년(1936)의 경우는 광서4년보다는 높거나 유사한

경우가 많다

2 생활 경기의 발달

당시인들이 체감하던 생활 경기의 수준이 어떠했는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

光緖刊 善化縣志를 보면 다음과 같다132)

132)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16 풍속 附論 ldquo古人 酒肉以養老 而今則黃口稚子

無不酒肉之人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日不旦穀貴鹽貴 而酒肉皆貴 則好惡可知矣 一今鄕間柴炭

其価數倍於昔日 瀕河之地 莫不燒煤rdquo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2옛사람들은 술과 고기로 노인을 부양하였는데 지금은 어린아이도 술과

고기를 먹지 않는 이가 없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요사이 미곡과 소금이 비쌀 뿐 아니

라 술과 고기가 모두가 비싸니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지금 향간에 柴炭이 그 값이 예전보다 수배인데 하천 근처 사람은

煤를 때지 않는 사람이 없다

同治 攸縣志 에도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33)

예전에 士大夫도 집에 있을 때 엄동이 아니면 가죽옷을 입지 않았다

지금 關中의 가죽옷 상인이 유현에 와서 1년에 은 만여 냥을 얻을 수 있

다 기타 비단 옷은 蘇州 杭州 및 嶺南에서 오는 것이 또 배가 되니 1년

에 수만금을 소비한다

醴陵縣에서도 비슷한 인식을 볼 수 있다134)

ldquo예전 풍속이 儉樸하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이 명절 아니면 고기를 먹지 않고

慶弔事가 아니면 술을 베풀지 않고 손님 접대는 닭 잡는데 그치고 鮮味

는 생선에 그쳤고 縣城의 食肆는 飽麵茶館에 그치고 酒席으로 業을 삼는

자가 없었다

지금은 酒樓菜館이 거리에 가득차고 中人의 집에도 술자리가 베풀어지

고 사치를 다툰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예전에 士類大半이 淥江書院에 모이면 그 가운데 비단신을 신은 자가

불과 수인이었고 羊가죽 옷을 입은 자가 불과 1 2人이었다 지금은 비단

신과 가죽옷이 거의 常服이 되었고 日用品은 舶來品이 많다rdquo

이 내용을 보면 예릉현의 생활 수준이 급격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예릉현지 기록에는 부인들이 上海의 유행을 쫓아 사치를 추구한

다는 내용도 있고 청말부터 外貨를 서로 자랑한다는 내용도 있다 종

133) 同治10年刊 攸縣志 권18 풍속 衣服 ldquo衣服 昔時 士大夫 家居非嚴冬不御裘

今關中裘商來攸 歲可得銀萬餘兩 其他錦繡之運自蘇杭及嶺南者 則又倍之 計一歲

之戶 所費數萬金rdquo

134)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4장 풍속 생활 ldquo旧俗民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非令節不

食肉 非慶弔不置酒 欵客止於殺鷄 鮮味止於草魚 縣城食肆 止於飽麵茶館 無以酒

席爲業者 今則酒樓菜館 遍於街市 中人之家酬酢往還 爭奢鬪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旧時士類

大半 集於淥江書院 一院之中 著緞鞋者 不過数人 襲羊裘者 不過 一二人 今則絲

履皮袍殆成常服 日用之品 多自舶來rdquo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3전에 菜油 棉油로 燈을 켜다 집집마다 煤油를 사용한다거나 세탁시

茶枯鹼水를 쓰다가 대부분 비누를 사용하는 일상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135)

또 寧鄕縣에서도 ldquo同光之間 地方安寧 家給人足(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함)縣城商業 於時爲盛rdquo이라 하고 있어 同治(1862-74) 光

緖(1875-1908) 시기가 好況이었음을 알 수 있다136) 湘報에도 ldquo民間

之喜用洋貨日甚一日rdquo이라 하고 있어 洋貨 사용의 확대를 짐작할 수 있

다137)

광서년간 무역이 확대되고 여기에 대해 유익하다는 인식의 기록이

湘報에 나오고 있다138)

ldquo輪船과 철로가 개통되고 항구 개항이 증가 되는 것은 실로 중국에 유

익하고 손해가 없다 저 눈이 콩만큼 큰 자가 걸핏하면 통상이 중국에 해

가 된다고 하니 어찌 심히 어리석지 않은가rdquo

무역 확대를 지적하고 통상이 유익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예릉현

지에도 同治志에는 풍속이 lsquo安士重遷rsquo하고 상인이 외부 활동하는 자가

적었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고 光緖末에 도자기 夏布 編爆業

이 일어나 융성하여 이에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 넘는다고

하고 있다139) 예릉향토지에도 商旅 왕래가 예전보다 10배라는 서술이

있다140)

장사시의 行業발달 상황을 보면 민국 5년(1916)에서 民國22年(1935)

사이에 식품업은 281⟶2124 사치품은 171⟶1128 복장은 43⟶2028 農

礦은 621⟶1156 洋貨 127⟶233 금융 130⟶164 공예 2121⟶3344 문구

17⟶355 등 비약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141)

135)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 工商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6장 실업

136) 民國30年刊 寧鄕縣志 財用錄 民業

137) 湘報 제13호 1898年 3月 21日

138) 湘報 제162号 1898年 9月 23日

13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40) 民國15年刊 醴陵鄕土志 제6장 실업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4이것은 장사의 생활수준 향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당시에

通商의 확대 주장도 湘報에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142)

이상에서 보면 청말민국기에 대체적인 추세는 好況이었다고 생각된

다 생활 수준의 향상이 눈에 띄고 米価와 물가도 연동되면서 상승하

는 추세였다 米価의 상승이 구매력 수준의 제고가 되기 때문에 米穀

생산 중심지역에 상인들의 行號가 집중되는 것이 보였다143) 임금의

경우에도 호남 汝城縣에서 실질 임금이 유지 또는 상승하는 것을 확인

한 바 있다144) 全漢昇도 1875년부터 1925년까지에 걸쳐 四川 合江현

의 임금과 물가 변동의 추세가 거의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바 있

다145) 앞서 인용한 1931년 中國棉産改進計劃 에도 임금과 일용품 가

격이 함께 오른다고 하고 있어 임금이 물가에 연동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생활 수준 향상을 기록하고 있던 지방지에도 빈부 격차를 암시하는

내용이 있고 物力이 날로 쇠퇴한다든지 하는 기록이 있다 대외 무역

이 적자라 하더라도 차관 원조 뿐 아니라 외국 상인의 진출이 자본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好況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Ⅴ 結 言

이제까지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이후 民國中期인 1936年

까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여 米価와 물가 변동 물가 변동의 원인

141) 張朋園 앞의 책 p387

142) 湘報 44호 中外通商利害論 湘報 67号 論湖南茶務急宜整頓

143)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144)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9 1998)

145) 安本美緖 앞의 책 p2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5물가와 생활 경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米価 변동은 단기 변동에 있어서 전쟁이나 天災 등의 특수한 사정

의 해를 제외하고는 光緖 년간에 비해 민국 중기의 계절 변동폭이 축

소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米価의 계절 변동을 완화 시

켜 주는 雜糧의 재배가 湖南 지역에서는 대부분 同治 년간에 보급 확

대가 되고 있다 교통과 상업 발달 등의 이유로 청말에서 민국기로 갈

수록 계절 변동폭을 축소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변동에서는 長沙府縣의 물가 변동 예릉현 물가 변동 등을 살

펴 볼 때 전체로서는 상승 추세 중에 도광 함풍 시기의 低米価 同治

년간의 高米価 光緖전반의 低米価 光緖後半에서 宣統 년간의 高米価

民國 前期의 高米価 民國 中期의 低米価의 등락을 보이고 있다

民國 中期의 米価는 長沙 8개년 米価 추세에서도 안정속의 상승세

를 보이고 있다 명목상 수치 뿐 아니라 米価의 상대 물가로 보는 실

질 구매력도 宣統 民國元年에까지 급상승하였다가 민국 시기 등락을

거듭하지만 민국25년(1936)까지 광서4년(1878) 대비 유지 또는 상승 추

세였다

物価변동은 개별 상품에 따라 편차가 있고 米価와는 전혀 상이한

궤적을 그리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米価와 연동 관계를 보이

고 있다 1898년 물가의 단기 변동은 이상할 만큼 변동폭이 크지 않다

당시 물가 조사자의 보고가 정확했는지 의심될 정도이다 1935년의 장

사 물가에서 단기 변동을 보면 변동폭이 100이상인 夏布 毛筆 麵粉

棉布등을 비롯하여 50 이상인 오리털 흑연 성냥 국산 전지 등을

비롯하여 40 이상인 비누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기 변동폭

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 이것은 이런 물품들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

성이 크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物価의 장기 변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米価와 대체로 비슷한 궤적

을 보이고 있다 청말에서 민국전기에 걸쳐 물가 상승폭이 두드러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 상승폭이 더욱 크

다 돼지고기 값을 예로 들면 1878년에서 1909년 사이에 273 상승했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6고 1912-1921년 사이에 75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닭은 각 50와 44

상승했다 청말은 31년간의 수치이고 민국 전기는 9년간이니 물가의

상대적 급등을 알 수 있다 1926에서 1936년까지 10년간 돼지 고기 값

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

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

세를 보이고 있다 민국 중기의 米価가 일부 lsquo穀賤rsquo 현상을 보인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음으로 물가 변동의 원인에 대해서는 군벌간의 전쟁이나 정치적

혼란 등 정치 군사적 요인을 제외하고 대체로 검토해 보았다

수요 측면에서는 湖南米의 유통이 호남 내부의 인구 증가에도 불구

하고 양자강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지속된 것이 米価 상승의 한 원

인이었다 上海나 武漢 등의 도시화와 인구집중은 이들 지역 양식 수

요를 폭증시켰다 일부 洋米 수입에도 불구하고 湖南米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으로써 米価를 상승시켰다 또 장사를 비롯한 각지의 새로운 수

공업 산업의 발달로 비농업 인구가 증가하고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유

효수요로 성장하여 米価 상승을 유도하였다 양식의 이출은 해당 지역

인구 식량을 전부 제외한 나머지 잉여가 수출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력

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청말민국기에는 호남의 내부 외부에

서 미곡에 대한 유효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것이 米価 상승의 한 요인

이었다

화폐 문제에 있어 화폐 수량의 증가가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것

은 상식이다 종래 아편전쟁 전후 은의 해외 유출 증가가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을 초래하여 물가 상승과 인민의 빈곤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지방지 등의 史料에서 검토한 결과 은전비가는 도광함풍초의

일시적 상승 후에 함풍 7년 이후는 도리어 하락하고 있다 同治 년간

에 대부분 1兩 1300文 수준에서 안정되고 있다 光緖末宣統년간에도

1600-1700文 수준으로 도광함풍 초보다는 낮은 편이다 청말민국시

기에 화폐의 남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한계를 넘었을 때 시장의 통용

거부로 마침내 중단되고 있다 청말민국기에 외국 銀元의 유입과 국내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7의 銀元 주조 銅元 지폐 외에 鈔票 市票 등 화폐 시장에 투입된 화

폐량은 엄청나게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로서는 어느 정

도 시장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외 교역과 상품량의

증대 경제 활동 인구의 증대 미곡 생산 및 농산품 생산의 증대로 화

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것이 화폐량의 막대한 증가와 유

통속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

었다고 생각된다 즉 안정 속의 물가 상승이 유도된 것이다

공급면에서 보면 대외 교역을 통한 서양 상품의 수입은 전체로서는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물건의 공급 증가를 통해서

혹은 국내 상품과의 경쟁 때문에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었

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침략과 물가 폭등이라는 도식적

견해와 달리 현실에서는 물가 억제 작용도 있었던 것이다

물가와 경기면에서 보면 물가가 비쌀 때 호경기가 많은 것은 사실

이다 그런데 lsquo穀賤rsquo 현상이 불황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서 長沙 지역의 경우를 검토해 보았다 도광함풍 년간까지 lsquo穀賤rsquo현상

과 불경기적 상황에 대한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동치광서 년간에는

米価가 등귀한 시점인데 이 시기는 紅茶業의 번성이나 각종 수공업의

번성으로 好況의 면모가 보이고 있다 민국 시기에는 민국 중기에 lsquo穀

賤rsquo의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史料上에 민국 중기의 lsquo穀賤rsquo은 임금이나

다른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다 물가 상승기와 好況

이 맞물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민국 중기는 lsquo穀賤rsquo 현상과 서로 어긋

나는 것이다 이 시기의 不況 서술은 농촌의 농민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표시이다

생활 수준에 대한 지방지 기록 등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주민들의

洋貨 사용이 보편화되고 의복 음식 주거 등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것

을 지적하고 있다 물가는 상승하였지만 同治 이전에 비하여 분명히

사치품의 소비 증대와 中人의 집도 소비 수준이 제고된 것이 드러나고

있다 민중의 빈곤은 있으나 이 시기 빈부 격차가 커지고 생활 수준의

격차가 커진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38: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6영향현에서도 민국 21년(1932) lsquo穀賤錢荒rsquo의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

다110) 청말민국기에 전반적으로 화폐량의 증가가 현저했던 것은 사실

이다 다양한 화폐의 등장 銀兩 銀元 銅錢 銅元 외에 외국 銀元의 유

입 그 외 鈔票 市票 등 유사 화폐가 출현하였으며 양적인 팽창도 분

명하다 하지만 대외 교역 증가와 경제 활동 인구의 증가 유통 상품의

양적 증가에 의해 시장의 화폐 수요가 증대된 것도 사실이다 통화 발

행은 일차적으로는 경제 주체의 수요에 부응하는 것이지만 그것이 과

도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3 공급기타 요소

물가는 기본적으로 수요공급의 관계에서 결정되는 것이 원칙이다

청말민국기에 걸쳐 인구가 급증하여 물가가 상승한 것은 자연스런 일

이다 그러나 물가 상승률 면에서 청말의 경우가 18세기의 증가율에

비해 크다고 할 수 없다 물가 상승률을 억제하면서 비교적 안정 속의

상승을 할 수 있었던 것은 공급의 증가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청말민국기에 湖南米의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 현상이 지속된 배경

에 비약적인 경지 면적 확대와 새로운 품종 개량 시비법 발전 등 농

업 생산 증대가 있었다는 것은 이미 밝혀진 바 있다111) 米穀 공급의

증대가 물가 상승을 완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雜糧 재배가 同治

(1862-74) 년간에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민중의 식량 문제 해결에 기여

하고 米価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던 것을 城步縣 知縣 盛溢源을

통해서 알 수 있다

洋米 수입이 國産米의 보충 역할을 했다는 지적이 있지만 결국 시

110) 民國30年刊 寧鄕縣新志 전1 縣年記

111) 田炯權 淸末民國期 湖廣地方의 農業生産力과 生産關係 (慶南史學 7

1995)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2001)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

究 25 2006)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7장에 대한 미곡 공급을 증대시켜 가격 안정에 기여했다고 생각된

다112)

민국 시대 관련 사료를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113)

금일 정세를 보면 국내 米価의 등락은 결코 國産米의 생산량이 많고

적음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외국 産米 구역의 풍년 여부에 따라 영

향이 대단히 크다

이것을 보면 洋米 수입이 國産米価를 조절한다고 볼 수 있다 비슷

한 시기 上海에서도 湖南米가 수입 米의 영향으로 가격이 약간 적게

올랐다는 史料도 있다114) 湘報에도 日本米가 수입되어 중국의 米価

가 차츰 내려갔다는 기록이 있다115) 같은 湘報에 보면 ldquo외국물산이

날로 풍부하여 중국 상품의 판로를 막는데 서양 상품의 가격이 낮으면

중국 상품 가격이 홀로 증가할 수 없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116) 결국 洋

貨도 중국에서는 시장에 대한 상품 공급의 증가이고 이것이 상품 가격

상승을 억제하고 있는 것이다 같은 자료에 중국의 土藥이 널리 판매

되니 외래 洋藥의 가격이 폭락한 사정도 소개되고 있다117)

또 洋蠟의 수입으로 국산 白蠟 가격이 매 100斤 200元에서 100元으

로 폭락한 일도 있었다118) 1921년 독일 면화가 대량 수입되어 중국의

綿価가 하락한 일도 있다119) 光緖년간 부터 중국이 綿紗 생산을 개시

하자 華商과 洋商사이에 가격 경쟁이 시작되었다 수입 綿布도 洋商이

國産布와 경쟁하기 위해 가격을 낮추어 공급하였다120)

112) 王良行 淸末對外貿易的關聯效果(1860-1911) (近代中國對外貿易史論集1997)

113)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卷3 p413

114) 위의 책 p416

115) 湘報 제45호 p1419

116) 湘報 제13호 ldquo外洋之出産日盛 足以抵華貨之銷路 洋価低則華貨不能獨增rdquo

117) 湘報 제162호 p1608

118) 章有義 앞의 책 권3 p662

119) 譚文熙 앞의 책 p342

120) 譚文熙 위의 책 p368 p374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8상인의 가격 조종이 물가 변동에 하나의 요소는 될 수 있다 예릉현

의 土資 판매에 있어 객상의 가격 조종에 저항하기 위해 주민들이 公

司를 조직하여 가격을 바로 잡았다는 기록도 있다121) 지주 부농 米商

등의 매점매석에 의한 가격 조종 사실은 흔히 발견된다122) 秋收期에

시장에 대량 방출된 곡식을 저렴한 가격에 매입하여 端境期에 되팔아

이익을 남기는 것은 상인의 오래된 관행이다 이윤 추구를 위한 개인

의 행위지만 넓게 보면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행위이기도 하

다 각지 농산품 가격 변동 조사에서 원인이 밝혀진 10건 가운데 전쟁

이 2건 豊凶 水旱災가 7건 상인 조종은 단 한 건 뿐이었다123) 제국

주의 상인에 의한 가격 조종이라는 것도 결국 중국 상인의 이윤 추구

행위와 본질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湘報의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124)

輪船이 이미 통행하고 있고 철로가 이미 만들어 졌다 제조업이 날로

번성하고 통상조약이 행해지니 상인이 계속 내왕하고 온갖 상품이 유통

된다 사계절 틈이 없으니 일용 각 물품이 그 가격이 반드시 저렴할 것

이다

이것을 보면 통상 개시 후 교통이 발달하고 상품 교역이 증대된다

는 것과 그 결과 일용품의 가격이 저렴해졌다는 것을 당시인이 인식하

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서방 각국과의 무역 증대는 상품 공급의 증가

이고 가격 경쟁을 통해 물가 상승을 완만하게 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

121)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22) 李文治 앞의 책 p559

123)湘報 제49號 ldquo輪船旣行 鉄路旣造 製造日盛 商約可行 商賈絡繹 百産流通

歲時無間 則日用物品 其価必廉rdquo

124) 安本美緖 앞의 책 제7장 pp239-288 제12장 431-455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9

Ⅲ 物價와 景氣(생활)

1 穀賤傷農과 不況

物價 문제를 단순히 등락의 흐름에만 주목하기보다 경기변동론적

입장에서 好況 不況의 문제로 연관시켜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

이다 岸本美緖는 康熙年間의 lsquo穀賤rsquo 현상이 不況과 연결되어 있고 光

緖年間 蘇州의 不況도 lsquo穀賤rsquo이 원인이었음을 지목하고 있다125)

그런데 長沙府 중심의 湖南의 사정을 검토해 보면 lsquo穀賤rsquo 관련 기록

이 道光 咸豊 시기와 民國 中期에 집중되고 있다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26)

道光 25年(1845) ldquo穀賤斗穀錢五十文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値穀賤錢価亦賤 民甚苦之rdquo

장사현과 縣治를 長沙城 내에 두고 있는 善化현에서도 같은 해에

비슷한 기록이 있다127)

道光25年 穀賤自十五年起 連年俱穀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中下戶苦之

咸豊5年 穀賤

장사현 기록을 보면 穀価도 싸고 錢価도 싸서 민이 고통 받는다 했

으니 이 당시 은의 해외 유출과 은전비가 문제로 민중이 고통 받은 사

실을 알 수 있다 선화현은 장사현과 연접하고 통합과 분리가 단속되

었던 거의 동일 지역이다 선화현 기록을 보면 도광25년의 lsquo穀賤rsquo이 해

당년도만의 일이 아니고 道光15年(1835)부터 계속된 현상임을 밝히고

있다

12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33 祥異

126)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127) 民國30年刊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0인근의 寧鄕縣에서 보면 ldquo道光26年 歲豊 穀奇賤傷農 佃農以穀賤大

困rdquo이라는 기사가 있다128) lsquo穀奇賤rsquo이라 하였으니 평상시 보지 못한

하락이었다고 생각된다 더구나 소작료 납부가 대부분 현물지대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佃農은 米穀의 상품화 과정에서 배제되었다는 종전의

통념과 달리 佃農도 곡가 하락으로 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같은 기록에 함풍원년에도 ldquo有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以穀賤漕折苛rdquo라 하고 있어

역시 곡가 하락으로 세금 납부에 곤란을 겪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장사부 內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아도 同治 년간에는 lsquo穀賤rsquo 기

재가 보이지 않고 전술한 도광 함풍 년간에 집중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후의 기록을 찾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ldquo湖南自夏秋以來雨暢時若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故無論高低田畝咸稱大稔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甚

賎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反有入不敷出之慨矣rdquo (益聞錄 69号 광서6년828)129)

ldquo(長沙農村) 近年來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穀米求售 価値至賤 日用各物 則又極昻 收穫所

得 不足顧其工本 多已漸陷于無力耕種之境rdquo (新靑年 7권 6호 1920년 5

월)130)

ldquo湖南近年來之天災人禍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天災旣足以減少收量 地方不靖 産品滯銷

価値復因以低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而生活日昻 工価及日用物品 繼續增漲 收入支出 常苦

不得平衡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rdquo (中國棉産改進統計會議專刊 1931)131)ldquo湘省爲産穀素豊之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年歲收 屢佔大有 而長江流域亦値豊收 更

有大宗洋米 運貨傾銷致湘米頓失市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価格低賤 不僅農村經濟 陷于絶

境 市面金融 亦大受打擊rdquo (銀行週報 18권 9기 1934313)

이외에도 1936年의 사실로 호남의 武岡 東安 일대에서 lsquo豊年穀賤rsquo으

로 省城에 운반할 때 운송비와 각종 捐稅 부담을 감당할 수 없어 陳米

를 불태웠다는 기록이 있다

128) 李文治 앞의 책 p557

129) 章有義 앞의 책 권2 p432

130) 章有義 앞의 책 권3 p795

131) 章有義 위의 책 p620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1이것을 보면 주로 1930년대에 lsquo穀賤rsquo과 不況이 집중 묘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lsquo穀賤rsquo 즉 불황이라고 하면 도광함풍초의 곡천과 불

황 同治光緖宣統期의 lsquo穀貴rsquo즉 好況 다시 民國 전기의 好況 民國 中期

의 불황으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물가의 상승기가 호황적 국면이라는 것은 알려

져 있지만 이것은 전체 물가의 문제이다 위 자료에서 보면 1920년 장

사 농촌에서는 곡가는 싼데 일용품 가격은 극히 높다고 하고 있고

1931년의 기록도 工價와 일용품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농민이 다수를 점하기 때문에 미곡가의 하락은 농민 수입 감소

와 구매력 저하를 가져오고 이것이 농촌 불황의 한 요인이 될 수 있

다 그러나 工賃과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시장의 한계 안에서의

일이다 또한 실업률과 고용 지표 등도 고려되어야 하는데 만족할만한

통계의 부족으로 명확한 답을 얻기는 어렵다

그런데 米価와 물가는 개별 년도나 시점에서 서로 상이한 궤적도

있지만 圖2 3 6 7을 보면 대체적으로는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예릉의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광서 4년(1878)에 비하여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1912)에는 현격한 상승세였다가 그 후에 등락을 거듭

하고 있지만 민국25년(1936)의 경우는 광서4년보다는 높거나 유사한

경우가 많다

2 생활 경기의 발달

당시인들이 체감하던 생활 경기의 수준이 어떠했는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

光緖刊 善化縣志를 보면 다음과 같다132)

132)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16 풍속 附論 ldquo古人 酒肉以養老 而今則黃口稚子

無不酒肉之人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日不旦穀貴鹽貴 而酒肉皆貴 則好惡可知矣 一今鄕間柴炭

其価數倍於昔日 瀕河之地 莫不燒煤rdquo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2옛사람들은 술과 고기로 노인을 부양하였는데 지금은 어린아이도 술과

고기를 먹지 않는 이가 없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요사이 미곡과 소금이 비쌀 뿐 아니

라 술과 고기가 모두가 비싸니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지금 향간에 柴炭이 그 값이 예전보다 수배인데 하천 근처 사람은

煤를 때지 않는 사람이 없다

同治 攸縣志 에도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33)

예전에 士大夫도 집에 있을 때 엄동이 아니면 가죽옷을 입지 않았다

지금 關中의 가죽옷 상인이 유현에 와서 1년에 은 만여 냥을 얻을 수 있

다 기타 비단 옷은 蘇州 杭州 및 嶺南에서 오는 것이 또 배가 되니 1년

에 수만금을 소비한다

醴陵縣에서도 비슷한 인식을 볼 수 있다134)

ldquo예전 풍속이 儉樸하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이 명절 아니면 고기를 먹지 않고

慶弔事가 아니면 술을 베풀지 않고 손님 접대는 닭 잡는데 그치고 鮮味

는 생선에 그쳤고 縣城의 食肆는 飽麵茶館에 그치고 酒席으로 業을 삼는

자가 없었다

지금은 酒樓菜館이 거리에 가득차고 中人의 집에도 술자리가 베풀어지

고 사치를 다툰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예전에 士類大半이 淥江書院에 모이면 그 가운데 비단신을 신은 자가

불과 수인이었고 羊가죽 옷을 입은 자가 불과 1 2人이었다 지금은 비단

신과 가죽옷이 거의 常服이 되었고 日用品은 舶來品이 많다rdquo

이 내용을 보면 예릉현의 생활 수준이 급격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예릉현지 기록에는 부인들이 上海의 유행을 쫓아 사치를 추구한

다는 내용도 있고 청말부터 外貨를 서로 자랑한다는 내용도 있다 종

133) 同治10年刊 攸縣志 권18 풍속 衣服 ldquo衣服 昔時 士大夫 家居非嚴冬不御裘

今關中裘商來攸 歲可得銀萬餘兩 其他錦繡之運自蘇杭及嶺南者 則又倍之 計一歲

之戶 所費數萬金rdquo

134)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4장 풍속 생활 ldquo旧俗民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非令節不

食肉 非慶弔不置酒 欵客止於殺鷄 鮮味止於草魚 縣城食肆 止於飽麵茶館 無以酒

席爲業者 今則酒樓菜館 遍於街市 中人之家酬酢往還 爭奢鬪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旧時士類

大半 集於淥江書院 一院之中 著緞鞋者 不過数人 襲羊裘者 不過 一二人 今則絲

履皮袍殆成常服 日用之品 多自舶來rdquo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3전에 菜油 棉油로 燈을 켜다 집집마다 煤油를 사용한다거나 세탁시

茶枯鹼水를 쓰다가 대부분 비누를 사용하는 일상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135)

또 寧鄕縣에서도 ldquo同光之間 地方安寧 家給人足(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함)縣城商業 於時爲盛rdquo이라 하고 있어 同治(1862-74) 光

緖(1875-1908) 시기가 好況이었음을 알 수 있다136) 湘報에도 ldquo民間

之喜用洋貨日甚一日rdquo이라 하고 있어 洋貨 사용의 확대를 짐작할 수 있

다137)

광서년간 무역이 확대되고 여기에 대해 유익하다는 인식의 기록이

湘報에 나오고 있다138)

ldquo輪船과 철로가 개통되고 항구 개항이 증가 되는 것은 실로 중국에 유

익하고 손해가 없다 저 눈이 콩만큼 큰 자가 걸핏하면 통상이 중국에 해

가 된다고 하니 어찌 심히 어리석지 않은가rdquo

무역 확대를 지적하고 통상이 유익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예릉현

지에도 同治志에는 풍속이 lsquo安士重遷rsquo하고 상인이 외부 활동하는 자가

적었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고 光緖末에 도자기 夏布 編爆業

이 일어나 융성하여 이에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 넘는다고

하고 있다139) 예릉향토지에도 商旅 왕래가 예전보다 10배라는 서술이

있다140)

장사시의 行業발달 상황을 보면 민국 5년(1916)에서 民國22年(1935)

사이에 식품업은 281⟶2124 사치품은 171⟶1128 복장은 43⟶2028 農

礦은 621⟶1156 洋貨 127⟶233 금융 130⟶164 공예 2121⟶3344 문구

17⟶355 등 비약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141)

135)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 工商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6장 실업

136) 民國30年刊 寧鄕縣志 財用錄 民業

137) 湘報 제13호 1898年 3月 21日

138) 湘報 제162号 1898年 9月 23日

13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40) 民國15年刊 醴陵鄕土志 제6장 실업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4이것은 장사의 생활수준 향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당시에

通商의 확대 주장도 湘報에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142)

이상에서 보면 청말민국기에 대체적인 추세는 好況이었다고 생각된

다 생활 수준의 향상이 눈에 띄고 米価와 물가도 연동되면서 상승하

는 추세였다 米価의 상승이 구매력 수준의 제고가 되기 때문에 米穀

생산 중심지역에 상인들의 行號가 집중되는 것이 보였다143) 임금의

경우에도 호남 汝城縣에서 실질 임금이 유지 또는 상승하는 것을 확인

한 바 있다144) 全漢昇도 1875년부터 1925년까지에 걸쳐 四川 合江현

의 임금과 물가 변동의 추세가 거의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바 있

다145) 앞서 인용한 1931년 中國棉産改進計劃 에도 임금과 일용품 가

격이 함께 오른다고 하고 있어 임금이 물가에 연동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생활 수준 향상을 기록하고 있던 지방지에도 빈부 격차를 암시하는

내용이 있고 物力이 날로 쇠퇴한다든지 하는 기록이 있다 대외 무역

이 적자라 하더라도 차관 원조 뿐 아니라 외국 상인의 진출이 자본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好況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Ⅴ 結 言

이제까지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이후 民國中期인 1936年

까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여 米価와 물가 변동 물가 변동의 원인

141) 張朋園 앞의 책 p387

142) 湘報 44호 中外通商利害論 湘報 67号 論湖南茶務急宜整頓

143)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144)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9 1998)

145) 安本美緖 앞의 책 p2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5물가와 생활 경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米価 변동은 단기 변동에 있어서 전쟁이나 天災 등의 특수한 사정

의 해를 제외하고는 光緖 년간에 비해 민국 중기의 계절 변동폭이 축

소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米価의 계절 변동을 완화 시

켜 주는 雜糧의 재배가 湖南 지역에서는 대부분 同治 년간에 보급 확

대가 되고 있다 교통과 상업 발달 등의 이유로 청말에서 민국기로 갈

수록 계절 변동폭을 축소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변동에서는 長沙府縣의 물가 변동 예릉현 물가 변동 등을 살

펴 볼 때 전체로서는 상승 추세 중에 도광 함풍 시기의 低米価 同治

년간의 高米価 光緖전반의 低米価 光緖後半에서 宣統 년간의 高米価

民國 前期의 高米価 民國 中期의 低米価의 등락을 보이고 있다

民國 中期의 米価는 長沙 8개년 米価 추세에서도 안정속의 상승세

를 보이고 있다 명목상 수치 뿐 아니라 米価의 상대 물가로 보는 실

질 구매력도 宣統 民國元年에까지 급상승하였다가 민국 시기 등락을

거듭하지만 민국25년(1936)까지 광서4년(1878) 대비 유지 또는 상승 추

세였다

物価변동은 개별 상품에 따라 편차가 있고 米価와는 전혀 상이한

궤적을 그리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米価와 연동 관계를 보이

고 있다 1898년 물가의 단기 변동은 이상할 만큼 변동폭이 크지 않다

당시 물가 조사자의 보고가 정확했는지 의심될 정도이다 1935년의 장

사 물가에서 단기 변동을 보면 변동폭이 100이상인 夏布 毛筆 麵粉

棉布등을 비롯하여 50 이상인 오리털 흑연 성냥 국산 전지 등을

비롯하여 40 이상인 비누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기 변동폭

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 이것은 이런 물품들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

성이 크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物価의 장기 변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米価와 대체로 비슷한 궤적

을 보이고 있다 청말에서 민국전기에 걸쳐 물가 상승폭이 두드러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 상승폭이 더욱 크

다 돼지고기 값을 예로 들면 1878년에서 1909년 사이에 273 상승했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6고 1912-1921년 사이에 75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닭은 각 50와 44

상승했다 청말은 31년간의 수치이고 민국 전기는 9년간이니 물가의

상대적 급등을 알 수 있다 1926에서 1936년까지 10년간 돼지 고기 값

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

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

세를 보이고 있다 민국 중기의 米価가 일부 lsquo穀賤rsquo 현상을 보인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음으로 물가 변동의 원인에 대해서는 군벌간의 전쟁이나 정치적

혼란 등 정치 군사적 요인을 제외하고 대체로 검토해 보았다

수요 측면에서는 湖南米의 유통이 호남 내부의 인구 증가에도 불구

하고 양자강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지속된 것이 米価 상승의 한 원

인이었다 上海나 武漢 등의 도시화와 인구집중은 이들 지역 양식 수

요를 폭증시켰다 일부 洋米 수입에도 불구하고 湖南米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으로써 米価를 상승시켰다 또 장사를 비롯한 각지의 새로운 수

공업 산업의 발달로 비농업 인구가 증가하고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유

효수요로 성장하여 米価 상승을 유도하였다 양식의 이출은 해당 지역

인구 식량을 전부 제외한 나머지 잉여가 수출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력

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청말민국기에는 호남의 내부 외부에

서 미곡에 대한 유효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것이 米価 상승의 한 요인

이었다

화폐 문제에 있어 화폐 수량의 증가가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것

은 상식이다 종래 아편전쟁 전후 은의 해외 유출 증가가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을 초래하여 물가 상승과 인민의 빈곤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지방지 등의 史料에서 검토한 결과 은전비가는 도광함풍초의

일시적 상승 후에 함풍 7년 이후는 도리어 하락하고 있다 同治 년간

에 대부분 1兩 1300文 수준에서 안정되고 있다 光緖末宣統년간에도

1600-1700文 수준으로 도광함풍 초보다는 낮은 편이다 청말민국시

기에 화폐의 남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한계를 넘었을 때 시장의 통용

거부로 마침내 중단되고 있다 청말민국기에 외국 銀元의 유입과 국내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7의 銀元 주조 銅元 지폐 외에 鈔票 市票 등 화폐 시장에 투입된 화

폐량은 엄청나게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로서는 어느 정

도 시장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외 교역과 상품량의

증대 경제 활동 인구의 증대 미곡 생산 및 농산품 생산의 증대로 화

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것이 화폐량의 막대한 증가와 유

통속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

었다고 생각된다 즉 안정 속의 물가 상승이 유도된 것이다

공급면에서 보면 대외 교역을 통한 서양 상품의 수입은 전체로서는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물건의 공급 증가를 통해서

혹은 국내 상품과의 경쟁 때문에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었

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침략과 물가 폭등이라는 도식적

견해와 달리 현실에서는 물가 억제 작용도 있었던 것이다

물가와 경기면에서 보면 물가가 비쌀 때 호경기가 많은 것은 사실

이다 그런데 lsquo穀賤rsquo 현상이 불황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서 長沙 지역의 경우를 검토해 보았다 도광함풍 년간까지 lsquo穀賤rsquo현상

과 불경기적 상황에 대한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동치광서 년간에는

米価가 등귀한 시점인데 이 시기는 紅茶業의 번성이나 각종 수공업의

번성으로 好況의 면모가 보이고 있다 민국 시기에는 민국 중기에 lsquo穀

賤rsquo의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史料上에 민국 중기의 lsquo穀賤rsquo은 임금이나

다른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다 물가 상승기와 好況

이 맞물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민국 중기는 lsquo穀賤rsquo 현상과 서로 어긋

나는 것이다 이 시기의 不況 서술은 농촌의 농민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표시이다

생활 수준에 대한 지방지 기록 등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주민들의

洋貨 사용이 보편화되고 의복 음식 주거 등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것

을 지적하고 있다 물가는 상승하였지만 同治 이전에 비하여 분명히

사치품의 소비 증대와 中人의 집도 소비 수준이 제고된 것이 드러나고

있다 민중의 빈곤은 있으나 이 시기 빈부 격차가 커지고 생활 수준의

격차가 커진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39: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7장에 대한 미곡 공급을 증대시켜 가격 안정에 기여했다고 생각된

다112)

민국 시대 관련 사료를 하나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113)

금일 정세를 보면 국내 米価의 등락은 결코 國産米의 생산량이 많고

적음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외국 産米 구역의 풍년 여부에 따라 영

향이 대단히 크다

이것을 보면 洋米 수입이 國産米価를 조절한다고 볼 수 있다 비슷

한 시기 上海에서도 湖南米가 수입 米의 영향으로 가격이 약간 적게

올랐다는 史料도 있다114) 湘報에도 日本米가 수입되어 중국의 米価

가 차츰 내려갔다는 기록이 있다115) 같은 湘報에 보면 ldquo외국물산이

날로 풍부하여 중국 상품의 판로를 막는데 서양 상품의 가격이 낮으면

중국 상품 가격이 홀로 증가할 수 없다rdquo라는 기록이 있다116) 결국 洋

貨도 중국에서는 시장에 대한 상품 공급의 증가이고 이것이 상품 가격

상승을 억제하고 있는 것이다 같은 자료에 중국의 土藥이 널리 판매

되니 외래 洋藥의 가격이 폭락한 사정도 소개되고 있다117)

또 洋蠟의 수입으로 국산 白蠟 가격이 매 100斤 200元에서 100元으

로 폭락한 일도 있었다118) 1921년 독일 면화가 대량 수입되어 중국의

綿価가 하락한 일도 있다119) 光緖년간 부터 중국이 綿紗 생산을 개시

하자 華商과 洋商사이에 가격 경쟁이 시작되었다 수입 綿布도 洋商이

國産布와 경쟁하기 위해 가격을 낮추어 공급하였다120)

112) 王良行 淸末對外貿易的關聯效果(1860-1911) (近代中國對外貿易史論集1997)

113) 章有義 中國近代農業史資料 卷3 p413

114) 위의 책 p416

115) 湘報 제45호 p1419

116) 湘報 제13호 ldquo外洋之出産日盛 足以抵華貨之銷路 洋価低則華貨不能獨增rdquo

117) 湘報 제162호 p1608

118) 章有義 앞의 책 권3 p662

119) 譚文熙 앞의 책 p342

120) 譚文熙 위의 책 p368 p374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8상인의 가격 조종이 물가 변동에 하나의 요소는 될 수 있다 예릉현

의 土資 판매에 있어 객상의 가격 조종에 저항하기 위해 주민들이 公

司를 조직하여 가격을 바로 잡았다는 기록도 있다121) 지주 부농 米商

등의 매점매석에 의한 가격 조종 사실은 흔히 발견된다122) 秋收期에

시장에 대량 방출된 곡식을 저렴한 가격에 매입하여 端境期에 되팔아

이익을 남기는 것은 상인의 오래된 관행이다 이윤 추구를 위한 개인

의 행위지만 넓게 보면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행위이기도 하

다 각지 농산품 가격 변동 조사에서 원인이 밝혀진 10건 가운데 전쟁

이 2건 豊凶 水旱災가 7건 상인 조종은 단 한 건 뿐이었다123) 제국

주의 상인에 의한 가격 조종이라는 것도 결국 중국 상인의 이윤 추구

행위와 본질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湘報의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124)

輪船이 이미 통행하고 있고 철로가 이미 만들어 졌다 제조업이 날로

번성하고 통상조약이 행해지니 상인이 계속 내왕하고 온갖 상품이 유통

된다 사계절 틈이 없으니 일용 각 물품이 그 가격이 반드시 저렴할 것

이다

이것을 보면 통상 개시 후 교통이 발달하고 상품 교역이 증대된다

는 것과 그 결과 일용품의 가격이 저렴해졌다는 것을 당시인이 인식하

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서방 각국과의 무역 증대는 상품 공급의 증가

이고 가격 경쟁을 통해 물가 상승을 완만하게 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

121)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22) 李文治 앞의 책 p559

123)湘報 제49號 ldquo輪船旣行 鉄路旣造 製造日盛 商約可行 商賈絡繹 百産流通

歲時無間 則日用物品 其価必廉rdquo

124) 安本美緖 앞의 책 제7장 pp239-288 제12장 431-455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9

Ⅲ 物價와 景氣(생활)

1 穀賤傷農과 不況

物價 문제를 단순히 등락의 흐름에만 주목하기보다 경기변동론적

입장에서 好況 不況의 문제로 연관시켜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

이다 岸本美緖는 康熙年間의 lsquo穀賤rsquo 현상이 不況과 연결되어 있고 光

緖年間 蘇州의 不況도 lsquo穀賤rsquo이 원인이었음을 지목하고 있다125)

그런데 長沙府 중심의 湖南의 사정을 검토해 보면 lsquo穀賤rsquo 관련 기록

이 道光 咸豊 시기와 民國 中期에 집중되고 있다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26)

道光 25年(1845) ldquo穀賤斗穀錢五十文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値穀賤錢価亦賤 民甚苦之rdquo

장사현과 縣治를 長沙城 내에 두고 있는 善化현에서도 같은 해에

비슷한 기록이 있다127)

道光25年 穀賤自十五年起 連年俱穀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中下戶苦之

咸豊5年 穀賤

장사현 기록을 보면 穀価도 싸고 錢価도 싸서 민이 고통 받는다 했

으니 이 당시 은의 해외 유출과 은전비가 문제로 민중이 고통 받은 사

실을 알 수 있다 선화현은 장사현과 연접하고 통합과 분리가 단속되

었던 거의 동일 지역이다 선화현 기록을 보면 도광25년의 lsquo穀賤rsquo이 해

당년도만의 일이 아니고 道光15年(1835)부터 계속된 현상임을 밝히고

있다

12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33 祥異

126)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127) 民國30年刊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0인근의 寧鄕縣에서 보면 ldquo道光26年 歲豊 穀奇賤傷農 佃農以穀賤大

困rdquo이라는 기사가 있다128) lsquo穀奇賤rsquo이라 하였으니 평상시 보지 못한

하락이었다고 생각된다 더구나 소작료 납부가 대부분 현물지대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佃農은 米穀의 상품화 과정에서 배제되었다는 종전의

통념과 달리 佃農도 곡가 하락으로 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같은 기록에 함풍원년에도 ldquo有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以穀賤漕折苛rdquo라 하고 있어

역시 곡가 하락으로 세금 납부에 곤란을 겪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장사부 內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아도 同治 년간에는 lsquo穀賤rsquo 기

재가 보이지 않고 전술한 도광 함풍 년간에 집중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후의 기록을 찾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ldquo湖南自夏秋以來雨暢時若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故無論高低田畝咸稱大稔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甚

賎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反有入不敷出之慨矣rdquo (益聞錄 69号 광서6년828)129)

ldquo(長沙農村) 近年來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穀米求售 価値至賤 日用各物 則又極昻 收穫所

得 不足顧其工本 多已漸陷于無力耕種之境rdquo (新靑年 7권 6호 1920년 5

월)130)

ldquo湖南近年來之天災人禍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天災旣足以減少收量 地方不靖 産品滯銷

価値復因以低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而生活日昻 工価及日用物品 繼續增漲 收入支出 常苦

不得平衡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rdquo (中國棉産改進統計會議專刊 1931)131)ldquo湘省爲産穀素豊之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年歲收 屢佔大有 而長江流域亦値豊收 更

有大宗洋米 運貨傾銷致湘米頓失市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価格低賤 不僅農村經濟 陷于絶

境 市面金融 亦大受打擊rdquo (銀行週報 18권 9기 1934313)

이외에도 1936年의 사실로 호남의 武岡 東安 일대에서 lsquo豊年穀賤rsquo으

로 省城에 운반할 때 운송비와 각종 捐稅 부담을 감당할 수 없어 陳米

를 불태웠다는 기록이 있다

128) 李文治 앞의 책 p557

129) 章有義 앞의 책 권2 p432

130) 章有義 앞의 책 권3 p795

131) 章有義 위의 책 p620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1이것을 보면 주로 1930년대에 lsquo穀賤rsquo과 不況이 집중 묘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lsquo穀賤rsquo 즉 불황이라고 하면 도광함풍초의 곡천과 불

황 同治光緖宣統期의 lsquo穀貴rsquo즉 好況 다시 民國 전기의 好況 民國 中期

의 불황으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물가의 상승기가 호황적 국면이라는 것은 알려

져 있지만 이것은 전체 물가의 문제이다 위 자료에서 보면 1920년 장

사 농촌에서는 곡가는 싼데 일용품 가격은 극히 높다고 하고 있고

1931년의 기록도 工價와 일용품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농민이 다수를 점하기 때문에 미곡가의 하락은 농민 수입 감소

와 구매력 저하를 가져오고 이것이 농촌 불황의 한 요인이 될 수 있

다 그러나 工賃과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시장의 한계 안에서의

일이다 또한 실업률과 고용 지표 등도 고려되어야 하는데 만족할만한

통계의 부족으로 명확한 답을 얻기는 어렵다

그런데 米価와 물가는 개별 년도나 시점에서 서로 상이한 궤적도

있지만 圖2 3 6 7을 보면 대체적으로는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예릉의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광서 4년(1878)에 비하여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1912)에는 현격한 상승세였다가 그 후에 등락을 거듭

하고 있지만 민국25년(1936)의 경우는 광서4년보다는 높거나 유사한

경우가 많다

2 생활 경기의 발달

당시인들이 체감하던 생활 경기의 수준이 어떠했는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

光緖刊 善化縣志를 보면 다음과 같다132)

132)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16 풍속 附論 ldquo古人 酒肉以養老 而今則黃口稚子

無不酒肉之人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日不旦穀貴鹽貴 而酒肉皆貴 則好惡可知矣 一今鄕間柴炭

其価數倍於昔日 瀕河之地 莫不燒煤rdquo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2옛사람들은 술과 고기로 노인을 부양하였는데 지금은 어린아이도 술과

고기를 먹지 않는 이가 없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요사이 미곡과 소금이 비쌀 뿐 아니

라 술과 고기가 모두가 비싸니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지금 향간에 柴炭이 그 값이 예전보다 수배인데 하천 근처 사람은

煤를 때지 않는 사람이 없다

同治 攸縣志 에도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33)

예전에 士大夫도 집에 있을 때 엄동이 아니면 가죽옷을 입지 않았다

지금 關中의 가죽옷 상인이 유현에 와서 1년에 은 만여 냥을 얻을 수 있

다 기타 비단 옷은 蘇州 杭州 및 嶺南에서 오는 것이 또 배가 되니 1년

에 수만금을 소비한다

醴陵縣에서도 비슷한 인식을 볼 수 있다134)

ldquo예전 풍속이 儉樸하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이 명절 아니면 고기를 먹지 않고

慶弔事가 아니면 술을 베풀지 않고 손님 접대는 닭 잡는데 그치고 鮮味

는 생선에 그쳤고 縣城의 食肆는 飽麵茶館에 그치고 酒席으로 業을 삼는

자가 없었다

지금은 酒樓菜館이 거리에 가득차고 中人의 집에도 술자리가 베풀어지

고 사치를 다툰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예전에 士類大半이 淥江書院에 모이면 그 가운데 비단신을 신은 자가

불과 수인이었고 羊가죽 옷을 입은 자가 불과 1 2人이었다 지금은 비단

신과 가죽옷이 거의 常服이 되었고 日用品은 舶來品이 많다rdquo

이 내용을 보면 예릉현의 생활 수준이 급격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예릉현지 기록에는 부인들이 上海의 유행을 쫓아 사치를 추구한

다는 내용도 있고 청말부터 外貨를 서로 자랑한다는 내용도 있다 종

133) 同治10年刊 攸縣志 권18 풍속 衣服 ldquo衣服 昔時 士大夫 家居非嚴冬不御裘

今關中裘商來攸 歲可得銀萬餘兩 其他錦繡之運自蘇杭及嶺南者 則又倍之 計一歲

之戶 所費數萬金rdquo

134)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4장 풍속 생활 ldquo旧俗民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非令節不

食肉 非慶弔不置酒 欵客止於殺鷄 鮮味止於草魚 縣城食肆 止於飽麵茶館 無以酒

席爲業者 今則酒樓菜館 遍於街市 中人之家酬酢往還 爭奢鬪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旧時士類

大半 集於淥江書院 一院之中 著緞鞋者 不過数人 襲羊裘者 不過 一二人 今則絲

履皮袍殆成常服 日用之品 多自舶來rdquo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3전에 菜油 棉油로 燈을 켜다 집집마다 煤油를 사용한다거나 세탁시

茶枯鹼水를 쓰다가 대부분 비누를 사용하는 일상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135)

또 寧鄕縣에서도 ldquo同光之間 地方安寧 家給人足(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함)縣城商業 於時爲盛rdquo이라 하고 있어 同治(1862-74) 光

緖(1875-1908) 시기가 好況이었음을 알 수 있다136) 湘報에도 ldquo民間

之喜用洋貨日甚一日rdquo이라 하고 있어 洋貨 사용의 확대를 짐작할 수 있

다137)

광서년간 무역이 확대되고 여기에 대해 유익하다는 인식의 기록이

湘報에 나오고 있다138)

ldquo輪船과 철로가 개통되고 항구 개항이 증가 되는 것은 실로 중국에 유

익하고 손해가 없다 저 눈이 콩만큼 큰 자가 걸핏하면 통상이 중국에 해

가 된다고 하니 어찌 심히 어리석지 않은가rdquo

무역 확대를 지적하고 통상이 유익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예릉현

지에도 同治志에는 풍속이 lsquo安士重遷rsquo하고 상인이 외부 활동하는 자가

적었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고 光緖末에 도자기 夏布 編爆業

이 일어나 융성하여 이에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 넘는다고

하고 있다139) 예릉향토지에도 商旅 왕래가 예전보다 10배라는 서술이

있다140)

장사시의 行業발달 상황을 보면 민국 5년(1916)에서 民國22年(1935)

사이에 식품업은 281⟶2124 사치품은 171⟶1128 복장은 43⟶2028 農

礦은 621⟶1156 洋貨 127⟶233 금융 130⟶164 공예 2121⟶3344 문구

17⟶355 등 비약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141)

135)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 工商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6장 실업

136) 民國30年刊 寧鄕縣志 財用錄 民業

137) 湘報 제13호 1898年 3月 21日

138) 湘報 제162号 1898年 9月 23日

13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40) 民國15年刊 醴陵鄕土志 제6장 실업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4이것은 장사의 생활수준 향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당시에

通商의 확대 주장도 湘報에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142)

이상에서 보면 청말민국기에 대체적인 추세는 好況이었다고 생각된

다 생활 수준의 향상이 눈에 띄고 米価와 물가도 연동되면서 상승하

는 추세였다 米価의 상승이 구매력 수준의 제고가 되기 때문에 米穀

생산 중심지역에 상인들의 行號가 집중되는 것이 보였다143) 임금의

경우에도 호남 汝城縣에서 실질 임금이 유지 또는 상승하는 것을 확인

한 바 있다144) 全漢昇도 1875년부터 1925년까지에 걸쳐 四川 合江현

의 임금과 물가 변동의 추세가 거의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바 있

다145) 앞서 인용한 1931년 中國棉産改進計劃 에도 임금과 일용품 가

격이 함께 오른다고 하고 있어 임금이 물가에 연동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생활 수준 향상을 기록하고 있던 지방지에도 빈부 격차를 암시하는

내용이 있고 物力이 날로 쇠퇴한다든지 하는 기록이 있다 대외 무역

이 적자라 하더라도 차관 원조 뿐 아니라 외국 상인의 진출이 자본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好況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Ⅴ 結 言

이제까지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이후 民國中期인 1936年

까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여 米価와 물가 변동 물가 변동의 원인

141) 張朋園 앞의 책 p387

142) 湘報 44호 中外通商利害論 湘報 67号 論湖南茶務急宜整頓

143)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144)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9 1998)

145) 安本美緖 앞의 책 p2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5물가와 생활 경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米価 변동은 단기 변동에 있어서 전쟁이나 天災 등의 특수한 사정

의 해를 제외하고는 光緖 년간에 비해 민국 중기의 계절 변동폭이 축

소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米価의 계절 변동을 완화 시

켜 주는 雜糧의 재배가 湖南 지역에서는 대부분 同治 년간에 보급 확

대가 되고 있다 교통과 상업 발달 등의 이유로 청말에서 민국기로 갈

수록 계절 변동폭을 축소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변동에서는 長沙府縣의 물가 변동 예릉현 물가 변동 등을 살

펴 볼 때 전체로서는 상승 추세 중에 도광 함풍 시기의 低米価 同治

년간의 高米価 光緖전반의 低米価 光緖後半에서 宣統 년간의 高米価

民國 前期의 高米価 民國 中期의 低米価의 등락을 보이고 있다

民國 中期의 米価는 長沙 8개년 米価 추세에서도 안정속의 상승세

를 보이고 있다 명목상 수치 뿐 아니라 米価의 상대 물가로 보는 실

질 구매력도 宣統 民國元年에까지 급상승하였다가 민국 시기 등락을

거듭하지만 민국25년(1936)까지 광서4년(1878) 대비 유지 또는 상승 추

세였다

物価변동은 개별 상품에 따라 편차가 있고 米価와는 전혀 상이한

궤적을 그리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米価와 연동 관계를 보이

고 있다 1898년 물가의 단기 변동은 이상할 만큼 변동폭이 크지 않다

당시 물가 조사자의 보고가 정확했는지 의심될 정도이다 1935년의 장

사 물가에서 단기 변동을 보면 변동폭이 100이상인 夏布 毛筆 麵粉

棉布등을 비롯하여 50 이상인 오리털 흑연 성냥 국산 전지 등을

비롯하여 40 이상인 비누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기 변동폭

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 이것은 이런 물품들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

성이 크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物価의 장기 변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米価와 대체로 비슷한 궤적

을 보이고 있다 청말에서 민국전기에 걸쳐 물가 상승폭이 두드러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 상승폭이 더욱 크

다 돼지고기 값을 예로 들면 1878년에서 1909년 사이에 273 상승했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6고 1912-1921년 사이에 75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닭은 각 50와 44

상승했다 청말은 31년간의 수치이고 민국 전기는 9년간이니 물가의

상대적 급등을 알 수 있다 1926에서 1936년까지 10년간 돼지 고기 값

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

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

세를 보이고 있다 민국 중기의 米価가 일부 lsquo穀賤rsquo 현상을 보인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음으로 물가 변동의 원인에 대해서는 군벌간의 전쟁이나 정치적

혼란 등 정치 군사적 요인을 제외하고 대체로 검토해 보았다

수요 측면에서는 湖南米의 유통이 호남 내부의 인구 증가에도 불구

하고 양자강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지속된 것이 米価 상승의 한 원

인이었다 上海나 武漢 등의 도시화와 인구집중은 이들 지역 양식 수

요를 폭증시켰다 일부 洋米 수입에도 불구하고 湖南米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으로써 米価를 상승시켰다 또 장사를 비롯한 각지의 새로운 수

공업 산업의 발달로 비농업 인구가 증가하고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유

효수요로 성장하여 米価 상승을 유도하였다 양식의 이출은 해당 지역

인구 식량을 전부 제외한 나머지 잉여가 수출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력

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청말민국기에는 호남의 내부 외부에

서 미곡에 대한 유효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것이 米価 상승의 한 요인

이었다

화폐 문제에 있어 화폐 수량의 증가가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것

은 상식이다 종래 아편전쟁 전후 은의 해외 유출 증가가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을 초래하여 물가 상승과 인민의 빈곤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지방지 등의 史料에서 검토한 결과 은전비가는 도광함풍초의

일시적 상승 후에 함풍 7년 이후는 도리어 하락하고 있다 同治 년간

에 대부분 1兩 1300文 수준에서 안정되고 있다 光緖末宣統년간에도

1600-1700文 수준으로 도광함풍 초보다는 낮은 편이다 청말민국시

기에 화폐의 남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한계를 넘었을 때 시장의 통용

거부로 마침내 중단되고 있다 청말민국기에 외국 銀元의 유입과 국내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7의 銀元 주조 銅元 지폐 외에 鈔票 市票 등 화폐 시장에 투입된 화

폐량은 엄청나게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로서는 어느 정

도 시장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외 교역과 상품량의

증대 경제 활동 인구의 증대 미곡 생산 및 농산품 생산의 증대로 화

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것이 화폐량의 막대한 증가와 유

통속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

었다고 생각된다 즉 안정 속의 물가 상승이 유도된 것이다

공급면에서 보면 대외 교역을 통한 서양 상품의 수입은 전체로서는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물건의 공급 증가를 통해서

혹은 국내 상품과의 경쟁 때문에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었

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침략과 물가 폭등이라는 도식적

견해와 달리 현실에서는 물가 억제 작용도 있었던 것이다

물가와 경기면에서 보면 물가가 비쌀 때 호경기가 많은 것은 사실

이다 그런데 lsquo穀賤rsquo 현상이 불황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서 長沙 지역의 경우를 검토해 보았다 도광함풍 년간까지 lsquo穀賤rsquo현상

과 불경기적 상황에 대한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동치광서 년간에는

米価가 등귀한 시점인데 이 시기는 紅茶業의 번성이나 각종 수공업의

번성으로 好況의 면모가 보이고 있다 민국 시기에는 민국 중기에 lsquo穀

賤rsquo의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史料上에 민국 중기의 lsquo穀賤rsquo은 임금이나

다른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다 물가 상승기와 好況

이 맞물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민국 중기는 lsquo穀賤rsquo 현상과 서로 어긋

나는 것이다 이 시기의 不況 서술은 농촌의 농민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표시이다

생활 수준에 대한 지방지 기록 등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주민들의

洋貨 사용이 보편화되고 의복 음식 주거 등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것

을 지적하고 있다 물가는 상승하였지만 同治 이전에 비하여 분명히

사치품의 소비 증대와 中人의 집도 소비 수준이 제고된 것이 드러나고

있다 민중의 빈곤은 있으나 이 시기 빈부 격차가 커지고 생활 수준의

격차가 커진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40: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28상인의 가격 조종이 물가 변동에 하나의 요소는 될 수 있다 예릉현

의 土資 판매에 있어 객상의 가격 조종에 저항하기 위해 주민들이 公

司를 조직하여 가격을 바로 잡았다는 기록도 있다121) 지주 부농 米商

등의 매점매석에 의한 가격 조종 사실은 흔히 발견된다122) 秋收期에

시장에 대량 방출된 곡식을 저렴한 가격에 매입하여 端境期에 되팔아

이익을 남기는 것은 상인의 오래된 관행이다 이윤 추구를 위한 개인

의 행위지만 넓게 보면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행위이기도 하

다 각지 농산품 가격 변동 조사에서 원인이 밝혀진 10건 가운데 전쟁

이 2건 豊凶 水旱災가 7건 상인 조종은 단 한 건 뿐이었다123) 제국

주의 상인에 의한 가격 조종이라는 것도 결국 중국 상인의 이윤 추구

행위와 본질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湘報의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124)

輪船이 이미 통행하고 있고 철로가 이미 만들어 졌다 제조업이 날로

번성하고 통상조약이 행해지니 상인이 계속 내왕하고 온갖 상품이 유통

된다 사계절 틈이 없으니 일용 각 물품이 그 가격이 반드시 저렴할 것

이다

이것을 보면 통상 개시 후 교통이 발달하고 상품 교역이 증대된다

는 것과 그 결과 일용품의 가격이 저렴해졌다는 것을 당시인이 인식하

고 있다 청말 민국기에 서방 각국과의 무역 증대는 상품 공급의 증가

이고 가격 경쟁을 통해 물가 상승을 완만하게 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

121)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22) 李文治 앞의 책 p559

123)湘報 제49號 ldquo輪船旣行 鉄路旣造 製造日盛 商約可行 商賈絡繹 百産流通

歲時無間 則日用物品 其価必廉rdquo

124) 安本美緖 앞의 책 제7장 pp239-288 제12장 431-455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9

Ⅲ 物價와 景氣(생활)

1 穀賤傷農과 不況

物價 문제를 단순히 등락의 흐름에만 주목하기보다 경기변동론적

입장에서 好況 不況의 문제로 연관시켜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

이다 岸本美緖는 康熙年間의 lsquo穀賤rsquo 현상이 不況과 연결되어 있고 光

緖年間 蘇州의 不況도 lsquo穀賤rsquo이 원인이었음을 지목하고 있다125)

그런데 長沙府 중심의 湖南의 사정을 검토해 보면 lsquo穀賤rsquo 관련 기록

이 道光 咸豊 시기와 民國 中期에 집중되고 있다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26)

道光 25年(1845) ldquo穀賤斗穀錢五十文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値穀賤錢価亦賤 民甚苦之rdquo

장사현과 縣治를 長沙城 내에 두고 있는 善化현에서도 같은 해에

비슷한 기록이 있다127)

道光25年 穀賤自十五年起 連年俱穀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中下戶苦之

咸豊5年 穀賤

장사현 기록을 보면 穀価도 싸고 錢価도 싸서 민이 고통 받는다 했

으니 이 당시 은의 해외 유출과 은전비가 문제로 민중이 고통 받은 사

실을 알 수 있다 선화현은 장사현과 연접하고 통합과 분리가 단속되

었던 거의 동일 지역이다 선화현 기록을 보면 도광25년의 lsquo穀賤rsquo이 해

당년도만의 일이 아니고 道光15年(1835)부터 계속된 현상임을 밝히고

있다

12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33 祥異

126)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127) 民國30年刊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0인근의 寧鄕縣에서 보면 ldquo道光26年 歲豊 穀奇賤傷農 佃農以穀賤大

困rdquo이라는 기사가 있다128) lsquo穀奇賤rsquo이라 하였으니 평상시 보지 못한

하락이었다고 생각된다 더구나 소작료 납부가 대부분 현물지대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佃農은 米穀의 상품화 과정에서 배제되었다는 종전의

통념과 달리 佃農도 곡가 하락으로 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같은 기록에 함풍원년에도 ldquo有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以穀賤漕折苛rdquo라 하고 있어

역시 곡가 하락으로 세금 납부에 곤란을 겪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장사부 內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아도 同治 년간에는 lsquo穀賤rsquo 기

재가 보이지 않고 전술한 도광 함풍 년간에 집중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후의 기록을 찾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ldquo湖南自夏秋以來雨暢時若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故無論高低田畝咸稱大稔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甚

賎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反有入不敷出之慨矣rdquo (益聞錄 69号 광서6년828)129)

ldquo(長沙農村) 近年來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穀米求售 価値至賤 日用各物 則又極昻 收穫所

得 不足顧其工本 多已漸陷于無力耕種之境rdquo (新靑年 7권 6호 1920년 5

월)130)

ldquo湖南近年來之天災人禍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天災旣足以減少收量 地方不靖 産品滯銷

価値復因以低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而生活日昻 工価及日用物品 繼續增漲 收入支出 常苦

不得平衡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rdquo (中國棉産改進統計會議專刊 1931)131)ldquo湘省爲産穀素豊之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年歲收 屢佔大有 而長江流域亦値豊收 更

有大宗洋米 運貨傾銷致湘米頓失市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価格低賤 不僅農村經濟 陷于絶

境 市面金融 亦大受打擊rdquo (銀行週報 18권 9기 1934313)

이외에도 1936年의 사실로 호남의 武岡 東安 일대에서 lsquo豊年穀賤rsquo으

로 省城에 운반할 때 운송비와 각종 捐稅 부담을 감당할 수 없어 陳米

를 불태웠다는 기록이 있다

128) 李文治 앞의 책 p557

129) 章有義 앞의 책 권2 p432

130) 章有義 앞의 책 권3 p795

131) 章有義 위의 책 p620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1이것을 보면 주로 1930년대에 lsquo穀賤rsquo과 不況이 집중 묘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lsquo穀賤rsquo 즉 불황이라고 하면 도광함풍초의 곡천과 불

황 同治光緖宣統期의 lsquo穀貴rsquo즉 好況 다시 民國 전기의 好況 民國 中期

의 불황으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물가의 상승기가 호황적 국면이라는 것은 알려

져 있지만 이것은 전체 물가의 문제이다 위 자료에서 보면 1920년 장

사 농촌에서는 곡가는 싼데 일용품 가격은 극히 높다고 하고 있고

1931년의 기록도 工價와 일용품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농민이 다수를 점하기 때문에 미곡가의 하락은 농민 수입 감소

와 구매력 저하를 가져오고 이것이 농촌 불황의 한 요인이 될 수 있

다 그러나 工賃과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시장의 한계 안에서의

일이다 또한 실업률과 고용 지표 등도 고려되어야 하는데 만족할만한

통계의 부족으로 명확한 답을 얻기는 어렵다

그런데 米価와 물가는 개별 년도나 시점에서 서로 상이한 궤적도

있지만 圖2 3 6 7을 보면 대체적으로는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예릉의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광서 4년(1878)에 비하여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1912)에는 현격한 상승세였다가 그 후에 등락을 거듭

하고 있지만 민국25년(1936)의 경우는 광서4년보다는 높거나 유사한

경우가 많다

2 생활 경기의 발달

당시인들이 체감하던 생활 경기의 수준이 어떠했는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

光緖刊 善化縣志를 보면 다음과 같다132)

132)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16 풍속 附論 ldquo古人 酒肉以養老 而今則黃口稚子

無不酒肉之人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日不旦穀貴鹽貴 而酒肉皆貴 則好惡可知矣 一今鄕間柴炭

其価數倍於昔日 瀕河之地 莫不燒煤rdquo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2옛사람들은 술과 고기로 노인을 부양하였는데 지금은 어린아이도 술과

고기를 먹지 않는 이가 없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요사이 미곡과 소금이 비쌀 뿐 아니

라 술과 고기가 모두가 비싸니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지금 향간에 柴炭이 그 값이 예전보다 수배인데 하천 근처 사람은

煤를 때지 않는 사람이 없다

同治 攸縣志 에도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33)

예전에 士大夫도 집에 있을 때 엄동이 아니면 가죽옷을 입지 않았다

지금 關中의 가죽옷 상인이 유현에 와서 1년에 은 만여 냥을 얻을 수 있

다 기타 비단 옷은 蘇州 杭州 및 嶺南에서 오는 것이 또 배가 되니 1년

에 수만금을 소비한다

醴陵縣에서도 비슷한 인식을 볼 수 있다134)

ldquo예전 풍속이 儉樸하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이 명절 아니면 고기를 먹지 않고

慶弔事가 아니면 술을 베풀지 않고 손님 접대는 닭 잡는데 그치고 鮮味

는 생선에 그쳤고 縣城의 食肆는 飽麵茶館에 그치고 酒席으로 業을 삼는

자가 없었다

지금은 酒樓菜館이 거리에 가득차고 中人의 집에도 술자리가 베풀어지

고 사치를 다툰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예전에 士類大半이 淥江書院에 모이면 그 가운데 비단신을 신은 자가

불과 수인이었고 羊가죽 옷을 입은 자가 불과 1 2人이었다 지금은 비단

신과 가죽옷이 거의 常服이 되었고 日用品은 舶來品이 많다rdquo

이 내용을 보면 예릉현의 생활 수준이 급격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예릉현지 기록에는 부인들이 上海의 유행을 쫓아 사치를 추구한

다는 내용도 있고 청말부터 外貨를 서로 자랑한다는 내용도 있다 종

133) 同治10年刊 攸縣志 권18 풍속 衣服 ldquo衣服 昔時 士大夫 家居非嚴冬不御裘

今關中裘商來攸 歲可得銀萬餘兩 其他錦繡之運自蘇杭及嶺南者 則又倍之 計一歲

之戶 所費數萬金rdquo

134)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4장 풍속 생활 ldquo旧俗民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非令節不

食肉 非慶弔不置酒 欵客止於殺鷄 鮮味止於草魚 縣城食肆 止於飽麵茶館 無以酒

席爲業者 今則酒樓菜館 遍於街市 中人之家酬酢往還 爭奢鬪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旧時士類

大半 集於淥江書院 一院之中 著緞鞋者 不過数人 襲羊裘者 不過 一二人 今則絲

履皮袍殆成常服 日用之品 多自舶來rdquo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3전에 菜油 棉油로 燈을 켜다 집집마다 煤油를 사용한다거나 세탁시

茶枯鹼水를 쓰다가 대부분 비누를 사용하는 일상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135)

또 寧鄕縣에서도 ldquo同光之間 地方安寧 家給人足(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함)縣城商業 於時爲盛rdquo이라 하고 있어 同治(1862-74) 光

緖(1875-1908) 시기가 好況이었음을 알 수 있다136) 湘報에도 ldquo民間

之喜用洋貨日甚一日rdquo이라 하고 있어 洋貨 사용의 확대를 짐작할 수 있

다137)

광서년간 무역이 확대되고 여기에 대해 유익하다는 인식의 기록이

湘報에 나오고 있다138)

ldquo輪船과 철로가 개통되고 항구 개항이 증가 되는 것은 실로 중국에 유

익하고 손해가 없다 저 눈이 콩만큼 큰 자가 걸핏하면 통상이 중국에 해

가 된다고 하니 어찌 심히 어리석지 않은가rdquo

무역 확대를 지적하고 통상이 유익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예릉현

지에도 同治志에는 풍속이 lsquo安士重遷rsquo하고 상인이 외부 활동하는 자가

적었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고 光緖末에 도자기 夏布 編爆業

이 일어나 융성하여 이에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 넘는다고

하고 있다139) 예릉향토지에도 商旅 왕래가 예전보다 10배라는 서술이

있다140)

장사시의 行業발달 상황을 보면 민국 5년(1916)에서 民國22年(1935)

사이에 식품업은 281⟶2124 사치품은 171⟶1128 복장은 43⟶2028 農

礦은 621⟶1156 洋貨 127⟶233 금융 130⟶164 공예 2121⟶3344 문구

17⟶355 등 비약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141)

135)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 工商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6장 실업

136) 民國30年刊 寧鄕縣志 財用錄 民業

137) 湘報 제13호 1898年 3月 21日

138) 湘報 제162号 1898年 9月 23日

13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40) 民國15年刊 醴陵鄕土志 제6장 실업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4이것은 장사의 생활수준 향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당시에

通商의 확대 주장도 湘報에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142)

이상에서 보면 청말민국기에 대체적인 추세는 好況이었다고 생각된

다 생활 수준의 향상이 눈에 띄고 米価와 물가도 연동되면서 상승하

는 추세였다 米価의 상승이 구매력 수준의 제고가 되기 때문에 米穀

생산 중심지역에 상인들의 行號가 집중되는 것이 보였다143) 임금의

경우에도 호남 汝城縣에서 실질 임금이 유지 또는 상승하는 것을 확인

한 바 있다144) 全漢昇도 1875년부터 1925년까지에 걸쳐 四川 合江현

의 임금과 물가 변동의 추세가 거의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바 있

다145) 앞서 인용한 1931년 中國棉産改進計劃 에도 임금과 일용품 가

격이 함께 오른다고 하고 있어 임금이 물가에 연동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생활 수준 향상을 기록하고 있던 지방지에도 빈부 격차를 암시하는

내용이 있고 物力이 날로 쇠퇴한다든지 하는 기록이 있다 대외 무역

이 적자라 하더라도 차관 원조 뿐 아니라 외국 상인의 진출이 자본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好況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Ⅴ 結 言

이제까지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이후 民國中期인 1936年

까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여 米価와 물가 변동 물가 변동의 원인

141) 張朋園 앞의 책 p387

142) 湘報 44호 中外通商利害論 湘報 67号 論湖南茶務急宜整頓

143)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144)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9 1998)

145) 安本美緖 앞의 책 p2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5물가와 생활 경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米価 변동은 단기 변동에 있어서 전쟁이나 天災 등의 특수한 사정

의 해를 제외하고는 光緖 년간에 비해 민국 중기의 계절 변동폭이 축

소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米価의 계절 변동을 완화 시

켜 주는 雜糧의 재배가 湖南 지역에서는 대부분 同治 년간에 보급 확

대가 되고 있다 교통과 상업 발달 등의 이유로 청말에서 민국기로 갈

수록 계절 변동폭을 축소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변동에서는 長沙府縣의 물가 변동 예릉현 물가 변동 등을 살

펴 볼 때 전체로서는 상승 추세 중에 도광 함풍 시기의 低米価 同治

년간의 高米価 光緖전반의 低米価 光緖後半에서 宣統 년간의 高米価

民國 前期의 高米価 民國 中期의 低米価의 등락을 보이고 있다

民國 中期의 米価는 長沙 8개년 米価 추세에서도 안정속의 상승세

를 보이고 있다 명목상 수치 뿐 아니라 米価의 상대 물가로 보는 실

질 구매력도 宣統 民國元年에까지 급상승하였다가 민국 시기 등락을

거듭하지만 민국25년(1936)까지 광서4년(1878) 대비 유지 또는 상승 추

세였다

物価변동은 개별 상품에 따라 편차가 있고 米価와는 전혀 상이한

궤적을 그리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米価와 연동 관계를 보이

고 있다 1898년 물가의 단기 변동은 이상할 만큼 변동폭이 크지 않다

당시 물가 조사자의 보고가 정확했는지 의심될 정도이다 1935년의 장

사 물가에서 단기 변동을 보면 변동폭이 100이상인 夏布 毛筆 麵粉

棉布등을 비롯하여 50 이상인 오리털 흑연 성냥 국산 전지 등을

비롯하여 40 이상인 비누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기 변동폭

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 이것은 이런 물품들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

성이 크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物価의 장기 변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米価와 대체로 비슷한 궤적

을 보이고 있다 청말에서 민국전기에 걸쳐 물가 상승폭이 두드러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 상승폭이 더욱 크

다 돼지고기 값을 예로 들면 1878년에서 1909년 사이에 273 상승했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6고 1912-1921년 사이에 75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닭은 각 50와 44

상승했다 청말은 31년간의 수치이고 민국 전기는 9년간이니 물가의

상대적 급등을 알 수 있다 1926에서 1936년까지 10년간 돼지 고기 값

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

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

세를 보이고 있다 민국 중기의 米価가 일부 lsquo穀賤rsquo 현상을 보인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음으로 물가 변동의 원인에 대해서는 군벌간의 전쟁이나 정치적

혼란 등 정치 군사적 요인을 제외하고 대체로 검토해 보았다

수요 측면에서는 湖南米의 유통이 호남 내부의 인구 증가에도 불구

하고 양자강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지속된 것이 米価 상승의 한 원

인이었다 上海나 武漢 등의 도시화와 인구집중은 이들 지역 양식 수

요를 폭증시켰다 일부 洋米 수입에도 불구하고 湖南米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으로써 米価를 상승시켰다 또 장사를 비롯한 각지의 새로운 수

공업 산업의 발달로 비농업 인구가 증가하고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유

효수요로 성장하여 米価 상승을 유도하였다 양식의 이출은 해당 지역

인구 식량을 전부 제외한 나머지 잉여가 수출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력

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청말민국기에는 호남의 내부 외부에

서 미곡에 대한 유효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것이 米価 상승의 한 요인

이었다

화폐 문제에 있어 화폐 수량의 증가가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것

은 상식이다 종래 아편전쟁 전후 은의 해외 유출 증가가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을 초래하여 물가 상승과 인민의 빈곤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지방지 등의 史料에서 검토한 결과 은전비가는 도광함풍초의

일시적 상승 후에 함풍 7년 이후는 도리어 하락하고 있다 同治 년간

에 대부분 1兩 1300文 수준에서 안정되고 있다 光緖末宣統년간에도

1600-1700文 수준으로 도광함풍 초보다는 낮은 편이다 청말민국시

기에 화폐의 남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한계를 넘었을 때 시장의 통용

거부로 마침내 중단되고 있다 청말민국기에 외국 銀元의 유입과 국내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7의 銀元 주조 銅元 지폐 외에 鈔票 市票 등 화폐 시장에 투입된 화

폐량은 엄청나게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로서는 어느 정

도 시장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외 교역과 상품량의

증대 경제 활동 인구의 증대 미곡 생산 및 농산품 생산의 증대로 화

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것이 화폐량의 막대한 증가와 유

통속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

었다고 생각된다 즉 안정 속의 물가 상승이 유도된 것이다

공급면에서 보면 대외 교역을 통한 서양 상품의 수입은 전체로서는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물건의 공급 증가를 통해서

혹은 국내 상품과의 경쟁 때문에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었

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침략과 물가 폭등이라는 도식적

견해와 달리 현실에서는 물가 억제 작용도 있었던 것이다

물가와 경기면에서 보면 물가가 비쌀 때 호경기가 많은 것은 사실

이다 그런데 lsquo穀賤rsquo 현상이 불황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서 長沙 지역의 경우를 검토해 보았다 도광함풍 년간까지 lsquo穀賤rsquo현상

과 불경기적 상황에 대한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동치광서 년간에는

米価가 등귀한 시점인데 이 시기는 紅茶業의 번성이나 각종 수공업의

번성으로 好況의 면모가 보이고 있다 민국 시기에는 민국 중기에 lsquo穀

賤rsquo의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史料上에 민국 중기의 lsquo穀賤rsquo은 임금이나

다른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다 물가 상승기와 好況

이 맞물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민국 중기는 lsquo穀賤rsquo 현상과 서로 어긋

나는 것이다 이 시기의 不況 서술은 농촌의 농민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표시이다

생활 수준에 대한 지방지 기록 등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주민들의

洋貨 사용이 보편화되고 의복 음식 주거 등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것

을 지적하고 있다 물가는 상승하였지만 同治 이전에 비하여 분명히

사치품의 소비 증대와 中人의 집도 소비 수준이 제고된 것이 드러나고

있다 민중의 빈곤은 있으나 이 시기 빈부 격차가 커지고 생활 수준의

격차가 커진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41: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29

Ⅲ 物價와 景氣(생활)

1 穀賤傷農과 不況

物價 문제를 단순히 등락의 흐름에만 주목하기보다 경기변동론적

입장에서 好況 不況의 문제로 연관시켜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

이다 岸本美緖는 康熙年間의 lsquo穀賤rsquo 현상이 不況과 연결되어 있고 光

緖年間 蘇州의 不況도 lsquo穀賤rsquo이 원인이었음을 지목하고 있다125)

그런데 長沙府 중심의 湖南의 사정을 검토해 보면 lsquo穀賤rsquo 관련 기록

이 道光 咸豊 시기와 民國 中期에 집중되고 있다

同治 長沙縣志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26)

道光 25年(1845) ldquo穀賤斗穀錢五十文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値穀賤錢価亦賤 民甚苦之rdquo

장사현과 縣治를 長沙城 내에 두고 있는 善化현에서도 같은 해에

비슷한 기록이 있다127)

道光25年 穀賤自十五年起 連年俱穀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中下戶苦之

咸豊5年 穀賤

장사현 기록을 보면 穀価도 싸고 錢価도 싸서 민이 고통 받는다 했

으니 이 당시 은의 해외 유출과 은전비가 문제로 민중이 고통 받은 사

실을 알 수 있다 선화현은 장사현과 연접하고 통합과 분리가 단속되

었던 거의 동일 지역이다 선화현 기록을 보면 도광25년의 lsquo穀賤rsquo이 해

당년도만의 일이 아니고 道光15年(1835)부터 계속된 현상임을 밝히고

있다

125) 同治10年刊 長沙縣志 권33 祥異

126)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33 祥異

127) 民國30年刊 寧鄕縣志 古事篇 縣年記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0인근의 寧鄕縣에서 보면 ldquo道光26年 歲豊 穀奇賤傷農 佃農以穀賤大

困rdquo이라는 기사가 있다128) lsquo穀奇賤rsquo이라 하였으니 평상시 보지 못한

하락이었다고 생각된다 더구나 소작료 납부가 대부분 현물지대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佃農은 米穀의 상품화 과정에서 배제되었다는 종전의

통념과 달리 佃農도 곡가 하락으로 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같은 기록에 함풍원년에도 ldquo有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以穀賤漕折苛rdquo라 하고 있어

역시 곡가 하락으로 세금 납부에 곤란을 겪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장사부 內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아도 同治 년간에는 lsquo穀賤rsquo 기

재가 보이지 않고 전술한 도광 함풍 년간에 집중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후의 기록을 찾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ldquo湖南自夏秋以來雨暢時若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故無論高低田畝咸稱大稔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甚

賎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反有入不敷出之慨矣rdquo (益聞錄 69号 광서6년828)129)

ldquo(長沙農村) 近年來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穀米求售 価値至賤 日用各物 則又極昻 收穫所

得 不足顧其工本 多已漸陷于無力耕種之境rdquo (新靑年 7권 6호 1920년 5

월)130)

ldquo湖南近年來之天災人禍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天災旣足以減少收量 地方不靖 産品滯銷

価値復因以低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而生活日昻 工価及日用物品 繼續增漲 收入支出 常苦

不得平衡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rdquo (中國棉産改進統計會議專刊 1931)131)ldquo湘省爲産穀素豊之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年歲收 屢佔大有 而長江流域亦値豊收 更

有大宗洋米 運貨傾銷致湘米頓失市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価格低賤 不僅農村經濟 陷于絶

境 市面金融 亦大受打擊rdquo (銀行週報 18권 9기 1934313)

이외에도 1936年의 사실로 호남의 武岡 東安 일대에서 lsquo豊年穀賤rsquo으

로 省城에 운반할 때 운송비와 각종 捐稅 부담을 감당할 수 없어 陳米

를 불태웠다는 기록이 있다

128) 李文治 앞의 책 p557

129) 章有義 앞의 책 권2 p432

130) 章有義 앞의 책 권3 p795

131) 章有義 위의 책 p620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1이것을 보면 주로 1930년대에 lsquo穀賤rsquo과 不況이 집중 묘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lsquo穀賤rsquo 즉 불황이라고 하면 도광함풍초의 곡천과 불

황 同治光緖宣統期의 lsquo穀貴rsquo즉 好況 다시 民國 전기의 好況 民國 中期

의 불황으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물가의 상승기가 호황적 국면이라는 것은 알려

져 있지만 이것은 전체 물가의 문제이다 위 자료에서 보면 1920년 장

사 농촌에서는 곡가는 싼데 일용품 가격은 극히 높다고 하고 있고

1931년의 기록도 工價와 일용품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농민이 다수를 점하기 때문에 미곡가의 하락은 농민 수입 감소

와 구매력 저하를 가져오고 이것이 농촌 불황의 한 요인이 될 수 있

다 그러나 工賃과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시장의 한계 안에서의

일이다 또한 실업률과 고용 지표 등도 고려되어야 하는데 만족할만한

통계의 부족으로 명확한 답을 얻기는 어렵다

그런데 米価와 물가는 개별 년도나 시점에서 서로 상이한 궤적도

있지만 圖2 3 6 7을 보면 대체적으로는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예릉의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광서 4년(1878)에 비하여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1912)에는 현격한 상승세였다가 그 후에 등락을 거듭

하고 있지만 민국25년(1936)의 경우는 광서4년보다는 높거나 유사한

경우가 많다

2 생활 경기의 발달

당시인들이 체감하던 생활 경기의 수준이 어떠했는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

光緖刊 善化縣志를 보면 다음과 같다132)

132)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16 풍속 附論 ldquo古人 酒肉以養老 而今則黃口稚子

無不酒肉之人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日不旦穀貴鹽貴 而酒肉皆貴 則好惡可知矣 一今鄕間柴炭

其価數倍於昔日 瀕河之地 莫不燒煤rdquo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2옛사람들은 술과 고기로 노인을 부양하였는데 지금은 어린아이도 술과

고기를 먹지 않는 이가 없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요사이 미곡과 소금이 비쌀 뿐 아니

라 술과 고기가 모두가 비싸니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지금 향간에 柴炭이 그 값이 예전보다 수배인데 하천 근처 사람은

煤를 때지 않는 사람이 없다

同治 攸縣志 에도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33)

예전에 士大夫도 집에 있을 때 엄동이 아니면 가죽옷을 입지 않았다

지금 關中의 가죽옷 상인이 유현에 와서 1년에 은 만여 냥을 얻을 수 있

다 기타 비단 옷은 蘇州 杭州 및 嶺南에서 오는 것이 또 배가 되니 1년

에 수만금을 소비한다

醴陵縣에서도 비슷한 인식을 볼 수 있다134)

ldquo예전 풍속이 儉樸하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이 명절 아니면 고기를 먹지 않고

慶弔事가 아니면 술을 베풀지 않고 손님 접대는 닭 잡는데 그치고 鮮味

는 생선에 그쳤고 縣城의 食肆는 飽麵茶館에 그치고 酒席으로 業을 삼는

자가 없었다

지금은 酒樓菜館이 거리에 가득차고 中人의 집에도 술자리가 베풀어지

고 사치를 다툰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예전에 士類大半이 淥江書院에 모이면 그 가운데 비단신을 신은 자가

불과 수인이었고 羊가죽 옷을 입은 자가 불과 1 2人이었다 지금은 비단

신과 가죽옷이 거의 常服이 되었고 日用品은 舶來品이 많다rdquo

이 내용을 보면 예릉현의 생활 수준이 급격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예릉현지 기록에는 부인들이 上海의 유행을 쫓아 사치를 추구한

다는 내용도 있고 청말부터 外貨를 서로 자랑한다는 내용도 있다 종

133) 同治10年刊 攸縣志 권18 풍속 衣服 ldquo衣服 昔時 士大夫 家居非嚴冬不御裘

今關中裘商來攸 歲可得銀萬餘兩 其他錦繡之運自蘇杭及嶺南者 則又倍之 計一歲

之戶 所費數萬金rdquo

134)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4장 풍속 생활 ldquo旧俗民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非令節不

食肉 非慶弔不置酒 欵客止於殺鷄 鮮味止於草魚 縣城食肆 止於飽麵茶館 無以酒

席爲業者 今則酒樓菜館 遍於街市 中人之家酬酢往還 爭奢鬪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旧時士類

大半 集於淥江書院 一院之中 著緞鞋者 不過数人 襲羊裘者 不過 一二人 今則絲

履皮袍殆成常服 日用之品 多自舶來rdquo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3전에 菜油 棉油로 燈을 켜다 집집마다 煤油를 사용한다거나 세탁시

茶枯鹼水를 쓰다가 대부분 비누를 사용하는 일상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135)

또 寧鄕縣에서도 ldquo同光之間 地方安寧 家給人足(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함)縣城商業 於時爲盛rdquo이라 하고 있어 同治(1862-74) 光

緖(1875-1908) 시기가 好況이었음을 알 수 있다136) 湘報에도 ldquo民間

之喜用洋貨日甚一日rdquo이라 하고 있어 洋貨 사용의 확대를 짐작할 수 있

다137)

광서년간 무역이 확대되고 여기에 대해 유익하다는 인식의 기록이

湘報에 나오고 있다138)

ldquo輪船과 철로가 개통되고 항구 개항이 증가 되는 것은 실로 중국에 유

익하고 손해가 없다 저 눈이 콩만큼 큰 자가 걸핏하면 통상이 중국에 해

가 된다고 하니 어찌 심히 어리석지 않은가rdquo

무역 확대를 지적하고 통상이 유익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예릉현

지에도 同治志에는 풍속이 lsquo安士重遷rsquo하고 상인이 외부 활동하는 자가

적었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고 光緖末에 도자기 夏布 編爆業

이 일어나 융성하여 이에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 넘는다고

하고 있다139) 예릉향토지에도 商旅 왕래가 예전보다 10배라는 서술이

있다140)

장사시의 行業발달 상황을 보면 민국 5년(1916)에서 民國22年(1935)

사이에 식품업은 281⟶2124 사치품은 171⟶1128 복장은 43⟶2028 農

礦은 621⟶1156 洋貨 127⟶233 금융 130⟶164 공예 2121⟶3344 문구

17⟶355 등 비약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141)

135)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 工商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6장 실업

136) 民國30年刊 寧鄕縣志 財用錄 民業

137) 湘報 제13호 1898年 3月 21日

138) 湘報 제162号 1898年 9月 23日

13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40) 民國15年刊 醴陵鄕土志 제6장 실업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4이것은 장사의 생활수준 향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당시에

通商의 확대 주장도 湘報에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142)

이상에서 보면 청말민국기에 대체적인 추세는 好況이었다고 생각된

다 생활 수준의 향상이 눈에 띄고 米価와 물가도 연동되면서 상승하

는 추세였다 米価의 상승이 구매력 수준의 제고가 되기 때문에 米穀

생산 중심지역에 상인들의 行號가 집중되는 것이 보였다143) 임금의

경우에도 호남 汝城縣에서 실질 임금이 유지 또는 상승하는 것을 확인

한 바 있다144) 全漢昇도 1875년부터 1925년까지에 걸쳐 四川 合江현

의 임금과 물가 변동의 추세가 거의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바 있

다145) 앞서 인용한 1931년 中國棉産改進計劃 에도 임금과 일용품 가

격이 함께 오른다고 하고 있어 임금이 물가에 연동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생활 수준 향상을 기록하고 있던 지방지에도 빈부 격차를 암시하는

내용이 있고 物力이 날로 쇠퇴한다든지 하는 기록이 있다 대외 무역

이 적자라 하더라도 차관 원조 뿐 아니라 외국 상인의 진출이 자본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好況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Ⅴ 結 言

이제까지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이후 民國中期인 1936年

까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여 米価와 물가 변동 물가 변동의 원인

141) 張朋園 앞의 책 p387

142) 湘報 44호 中外通商利害論 湘報 67号 論湖南茶務急宜整頓

143)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144)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9 1998)

145) 安本美緖 앞의 책 p2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5물가와 생활 경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米価 변동은 단기 변동에 있어서 전쟁이나 天災 등의 특수한 사정

의 해를 제외하고는 光緖 년간에 비해 민국 중기의 계절 변동폭이 축

소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米価의 계절 변동을 완화 시

켜 주는 雜糧의 재배가 湖南 지역에서는 대부분 同治 년간에 보급 확

대가 되고 있다 교통과 상업 발달 등의 이유로 청말에서 민국기로 갈

수록 계절 변동폭을 축소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변동에서는 長沙府縣의 물가 변동 예릉현 물가 변동 등을 살

펴 볼 때 전체로서는 상승 추세 중에 도광 함풍 시기의 低米価 同治

년간의 高米価 光緖전반의 低米価 光緖後半에서 宣統 년간의 高米価

民國 前期의 高米価 民國 中期의 低米価의 등락을 보이고 있다

民國 中期의 米価는 長沙 8개년 米価 추세에서도 안정속의 상승세

를 보이고 있다 명목상 수치 뿐 아니라 米価의 상대 물가로 보는 실

질 구매력도 宣統 民國元年에까지 급상승하였다가 민국 시기 등락을

거듭하지만 민국25년(1936)까지 광서4년(1878) 대비 유지 또는 상승 추

세였다

物価변동은 개별 상품에 따라 편차가 있고 米価와는 전혀 상이한

궤적을 그리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米価와 연동 관계를 보이

고 있다 1898년 물가의 단기 변동은 이상할 만큼 변동폭이 크지 않다

당시 물가 조사자의 보고가 정확했는지 의심될 정도이다 1935년의 장

사 물가에서 단기 변동을 보면 변동폭이 100이상인 夏布 毛筆 麵粉

棉布등을 비롯하여 50 이상인 오리털 흑연 성냥 국산 전지 등을

비롯하여 40 이상인 비누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기 변동폭

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 이것은 이런 물품들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

성이 크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物価의 장기 변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米価와 대체로 비슷한 궤적

을 보이고 있다 청말에서 민국전기에 걸쳐 물가 상승폭이 두드러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 상승폭이 더욱 크

다 돼지고기 값을 예로 들면 1878년에서 1909년 사이에 273 상승했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6고 1912-1921년 사이에 75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닭은 각 50와 44

상승했다 청말은 31년간의 수치이고 민국 전기는 9년간이니 물가의

상대적 급등을 알 수 있다 1926에서 1936년까지 10년간 돼지 고기 값

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

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

세를 보이고 있다 민국 중기의 米価가 일부 lsquo穀賤rsquo 현상을 보인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음으로 물가 변동의 원인에 대해서는 군벌간의 전쟁이나 정치적

혼란 등 정치 군사적 요인을 제외하고 대체로 검토해 보았다

수요 측면에서는 湖南米의 유통이 호남 내부의 인구 증가에도 불구

하고 양자강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지속된 것이 米価 상승의 한 원

인이었다 上海나 武漢 등의 도시화와 인구집중은 이들 지역 양식 수

요를 폭증시켰다 일부 洋米 수입에도 불구하고 湖南米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으로써 米価를 상승시켰다 또 장사를 비롯한 각지의 새로운 수

공업 산업의 발달로 비농업 인구가 증가하고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유

효수요로 성장하여 米価 상승을 유도하였다 양식의 이출은 해당 지역

인구 식량을 전부 제외한 나머지 잉여가 수출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력

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청말민국기에는 호남의 내부 외부에

서 미곡에 대한 유효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것이 米価 상승의 한 요인

이었다

화폐 문제에 있어 화폐 수량의 증가가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것

은 상식이다 종래 아편전쟁 전후 은의 해외 유출 증가가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을 초래하여 물가 상승과 인민의 빈곤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지방지 등의 史料에서 검토한 결과 은전비가는 도광함풍초의

일시적 상승 후에 함풍 7년 이후는 도리어 하락하고 있다 同治 년간

에 대부분 1兩 1300文 수준에서 안정되고 있다 光緖末宣統년간에도

1600-1700文 수준으로 도광함풍 초보다는 낮은 편이다 청말민국시

기에 화폐의 남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한계를 넘었을 때 시장의 통용

거부로 마침내 중단되고 있다 청말민국기에 외국 銀元의 유입과 국내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7의 銀元 주조 銅元 지폐 외에 鈔票 市票 등 화폐 시장에 투입된 화

폐량은 엄청나게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로서는 어느 정

도 시장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외 교역과 상품량의

증대 경제 활동 인구의 증대 미곡 생산 및 농산품 생산의 증대로 화

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것이 화폐량의 막대한 증가와 유

통속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

었다고 생각된다 즉 안정 속의 물가 상승이 유도된 것이다

공급면에서 보면 대외 교역을 통한 서양 상품의 수입은 전체로서는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물건의 공급 증가를 통해서

혹은 국내 상품과의 경쟁 때문에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었

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침략과 물가 폭등이라는 도식적

견해와 달리 현실에서는 물가 억제 작용도 있었던 것이다

물가와 경기면에서 보면 물가가 비쌀 때 호경기가 많은 것은 사실

이다 그런데 lsquo穀賤rsquo 현상이 불황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서 長沙 지역의 경우를 검토해 보았다 도광함풍 년간까지 lsquo穀賤rsquo현상

과 불경기적 상황에 대한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동치광서 년간에는

米価가 등귀한 시점인데 이 시기는 紅茶業의 번성이나 각종 수공업의

번성으로 好況의 면모가 보이고 있다 민국 시기에는 민국 중기에 lsquo穀

賤rsquo의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史料上에 민국 중기의 lsquo穀賤rsquo은 임금이나

다른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다 물가 상승기와 好況

이 맞물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민국 중기는 lsquo穀賤rsquo 현상과 서로 어긋

나는 것이다 이 시기의 不況 서술은 농촌의 농민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표시이다

생활 수준에 대한 지방지 기록 등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주민들의

洋貨 사용이 보편화되고 의복 음식 주거 등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것

을 지적하고 있다 물가는 상승하였지만 同治 이전에 비하여 분명히

사치품의 소비 증대와 中人의 집도 소비 수준이 제고된 것이 드러나고

있다 민중의 빈곤은 있으나 이 시기 빈부 격차가 커지고 생활 수준의

격차가 커진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42: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0인근의 寧鄕縣에서 보면 ldquo道光26年 歲豊 穀奇賤傷農 佃農以穀賤大

困rdquo이라는 기사가 있다128) lsquo穀奇賤rsquo이라 하였으니 평상시 보지 못한

하락이었다고 생각된다 더구나 소작료 납부가 대부분 현물지대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佃農은 米穀의 상품화 과정에서 배제되었다는 종전의

통념과 달리 佃農도 곡가 하락으로 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같은 기록에 함풍원년에도 ldquo有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以穀賤漕折苛rdquo라 하고 있어

역시 곡가 하락으로 세금 납부에 곤란을 겪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장사부 內의 여러 縣志를 검토해 보아도 同治 년간에는 lsquo穀賤rsquo 기

재가 보이지 않고 전술한 도광 함풍 년간에 집중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후의 기록을 찾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ldquo湖南自夏秋以來雨暢時若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故無論高低田畝咸稱大稔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米価甚

賎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反有入不敷出之慨矣rdquo (益聞錄 69号 광서6년828)129)

ldquo(長沙農村) 近年來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穀米求售 価値至賤 日用各物 則又極昻 收穫所

得 不足顧其工本 多已漸陷于無力耕種之境rdquo (新靑年 7권 6호 1920년 5

월)130)

ldquo湖南近年來之天災人禍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天災旣足以減少收量 地方不靖 産品滯銷

価値復因以低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而生活日昻 工価及日用物品 繼續增漲 收入支出 常苦

不得平衡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rdquo (中國棉産改進統計會議專刊 1931)131)ldquo湘省爲産穀素豊之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年歲收 屢佔大有 而長江流域亦値豊收 更

有大宗洋米 運貨傾銷致湘米頓失市場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価格低賤 不僅農村經濟 陷于絶

境 市面金融 亦大受打擊rdquo (銀行週報 18권 9기 1934313)

이외에도 1936年의 사실로 호남의 武岡 東安 일대에서 lsquo豊年穀賤rsquo으

로 省城에 운반할 때 운송비와 각종 捐稅 부담을 감당할 수 없어 陳米

를 불태웠다는 기록이 있다

128) 李文治 앞의 책 p557

129) 章有義 앞의 책 권2 p432

130) 章有義 앞의 책 권3 p795

131) 章有義 위의 책 p620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1이것을 보면 주로 1930년대에 lsquo穀賤rsquo과 不況이 집중 묘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lsquo穀賤rsquo 즉 불황이라고 하면 도광함풍초의 곡천과 불

황 同治光緖宣統期의 lsquo穀貴rsquo즉 好況 다시 民國 전기의 好況 民國 中期

의 불황으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물가의 상승기가 호황적 국면이라는 것은 알려

져 있지만 이것은 전체 물가의 문제이다 위 자료에서 보면 1920년 장

사 농촌에서는 곡가는 싼데 일용품 가격은 극히 높다고 하고 있고

1931년의 기록도 工價와 일용품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농민이 다수를 점하기 때문에 미곡가의 하락은 농민 수입 감소

와 구매력 저하를 가져오고 이것이 농촌 불황의 한 요인이 될 수 있

다 그러나 工賃과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시장의 한계 안에서의

일이다 또한 실업률과 고용 지표 등도 고려되어야 하는데 만족할만한

통계의 부족으로 명확한 답을 얻기는 어렵다

그런데 米価와 물가는 개별 년도나 시점에서 서로 상이한 궤적도

있지만 圖2 3 6 7을 보면 대체적으로는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예릉의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광서 4년(1878)에 비하여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1912)에는 현격한 상승세였다가 그 후에 등락을 거듭

하고 있지만 민국25년(1936)의 경우는 광서4년보다는 높거나 유사한

경우가 많다

2 생활 경기의 발달

당시인들이 체감하던 생활 경기의 수준이 어떠했는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

光緖刊 善化縣志를 보면 다음과 같다132)

132)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16 풍속 附論 ldquo古人 酒肉以養老 而今則黃口稚子

無不酒肉之人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日不旦穀貴鹽貴 而酒肉皆貴 則好惡可知矣 一今鄕間柴炭

其価數倍於昔日 瀕河之地 莫不燒煤rdquo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2옛사람들은 술과 고기로 노인을 부양하였는데 지금은 어린아이도 술과

고기를 먹지 않는 이가 없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요사이 미곡과 소금이 비쌀 뿐 아니

라 술과 고기가 모두가 비싸니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지금 향간에 柴炭이 그 값이 예전보다 수배인데 하천 근처 사람은

煤를 때지 않는 사람이 없다

同治 攸縣志 에도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33)

예전에 士大夫도 집에 있을 때 엄동이 아니면 가죽옷을 입지 않았다

지금 關中의 가죽옷 상인이 유현에 와서 1년에 은 만여 냥을 얻을 수 있

다 기타 비단 옷은 蘇州 杭州 및 嶺南에서 오는 것이 또 배가 되니 1년

에 수만금을 소비한다

醴陵縣에서도 비슷한 인식을 볼 수 있다134)

ldquo예전 풍속이 儉樸하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이 명절 아니면 고기를 먹지 않고

慶弔事가 아니면 술을 베풀지 않고 손님 접대는 닭 잡는데 그치고 鮮味

는 생선에 그쳤고 縣城의 食肆는 飽麵茶館에 그치고 酒席으로 業을 삼는

자가 없었다

지금은 酒樓菜館이 거리에 가득차고 中人의 집에도 술자리가 베풀어지

고 사치를 다툰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예전에 士類大半이 淥江書院에 모이면 그 가운데 비단신을 신은 자가

불과 수인이었고 羊가죽 옷을 입은 자가 불과 1 2人이었다 지금은 비단

신과 가죽옷이 거의 常服이 되었고 日用品은 舶來品이 많다rdquo

이 내용을 보면 예릉현의 생활 수준이 급격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예릉현지 기록에는 부인들이 上海의 유행을 쫓아 사치를 추구한

다는 내용도 있고 청말부터 外貨를 서로 자랑한다는 내용도 있다 종

133) 同治10年刊 攸縣志 권18 풍속 衣服 ldquo衣服 昔時 士大夫 家居非嚴冬不御裘

今關中裘商來攸 歲可得銀萬餘兩 其他錦繡之運自蘇杭及嶺南者 則又倍之 計一歲

之戶 所費數萬金rdquo

134)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4장 풍속 생활 ldquo旧俗民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非令節不

食肉 非慶弔不置酒 欵客止於殺鷄 鮮味止於草魚 縣城食肆 止於飽麵茶館 無以酒

席爲業者 今則酒樓菜館 遍於街市 中人之家酬酢往還 爭奢鬪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旧時士類

大半 集於淥江書院 一院之中 著緞鞋者 不過数人 襲羊裘者 不過 一二人 今則絲

履皮袍殆成常服 日用之品 多自舶來rdquo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3전에 菜油 棉油로 燈을 켜다 집집마다 煤油를 사용한다거나 세탁시

茶枯鹼水를 쓰다가 대부분 비누를 사용하는 일상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135)

또 寧鄕縣에서도 ldquo同光之間 地方安寧 家給人足(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함)縣城商業 於時爲盛rdquo이라 하고 있어 同治(1862-74) 光

緖(1875-1908) 시기가 好況이었음을 알 수 있다136) 湘報에도 ldquo民間

之喜用洋貨日甚一日rdquo이라 하고 있어 洋貨 사용의 확대를 짐작할 수 있

다137)

광서년간 무역이 확대되고 여기에 대해 유익하다는 인식의 기록이

湘報에 나오고 있다138)

ldquo輪船과 철로가 개통되고 항구 개항이 증가 되는 것은 실로 중국에 유

익하고 손해가 없다 저 눈이 콩만큼 큰 자가 걸핏하면 통상이 중국에 해

가 된다고 하니 어찌 심히 어리석지 않은가rdquo

무역 확대를 지적하고 통상이 유익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예릉현

지에도 同治志에는 풍속이 lsquo安士重遷rsquo하고 상인이 외부 활동하는 자가

적었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고 光緖末에 도자기 夏布 編爆業

이 일어나 융성하여 이에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 넘는다고

하고 있다139) 예릉향토지에도 商旅 왕래가 예전보다 10배라는 서술이

있다140)

장사시의 行業발달 상황을 보면 민국 5년(1916)에서 民國22年(1935)

사이에 식품업은 281⟶2124 사치품은 171⟶1128 복장은 43⟶2028 農

礦은 621⟶1156 洋貨 127⟶233 금융 130⟶164 공예 2121⟶3344 문구

17⟶355 등 비약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141)

135)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 工商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6장 실업

136) 民國30年刊 寧鄕縣志 財用錄 民業

137) 湘報 제13호 1898年 3月 21日

138) 湘報 제162号 1898年 9月 23日

13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40) 民國15年刊 醴陵鄕土志 제6장 실업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4이것은 장사의 생활수준 향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당시에

通商의 확대 주장도 湘報에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142)

이상에서 보면 청말민국기에 대체적인 추세는 好況이었다고 생각된

다 생활 수준의 향상이 눈에 띄고 米価와 물가도 연동되면서 상승하

는 추세였다 米価의 상승이 구매력 수준의 제고가 되기 때문에 米穀

생산 중심지역에 상인들의 行號가 집중되는 것이 보였다143) 임금의

경우에도 호남 汝城縣에서 실질 임금이 유지 또는 상승하는 것을 확인

한 바 있다144) 全漢昇도 1875년부터 1925년까지에 걸쳐 四川 合江현

의 임금과 물가 변동의 추세가 거의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바 있

다145) 앞서 인용한 1931년 中國棉産改進計劃 에도 임금과 일용품 가

격이 함께 오른다고 하고 있어 임금이 물가에 연동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생활 수준 향상을 기록하고 있던 지방지에도 빈부 격차를 암시하는

내용이 있고 物力이 날로 쇠퇴한다든지 하는 기록이 있다 대외 무역

이 적자라 하더라도 차관 원조 뿐 아니라 외국 상인의 진출이 자본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好況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Ⅴ 結 言

이제까지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이후 民國中期인 1936年

까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여 米価와 물가 변동 물가 변동의 원인

141) 張朋園 앞의 책 p387

142) 湘報 44호 中外通商利害論 湘報 67号 論湖南茶務急宜整頓

143)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144)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9 1998)

145) 安本美緖 앞의 책 p2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5물가와 생활 경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米価 변동은 단기 변동에 있어서 전쟁이나 天災 등의 특수한 사정

의 해를 제외하고는 光緖 년간에 비해 민국 중기의 계절 변동폭이 축

소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米価의 계절 변동을 완화 시

켜 주는 雜糧의 재배가 湖南 지역에서는 대부분 同治 년간에 보급 확

대가 되고 있다 교통과 상업 발달 등의 이유로 청말에서 민국기로 갈

수록 계절 변동폭을 축소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변동에서는 長沙府縣의 물가 변동 예릉현 물가 변동 등을 살

펴 볼 때 전체로서는 상승 추세 중에 도광 함풍 시기의 低米価 同治

년간의 高米価 光緖전반의 低米価 光緖後半에서 宣統 년간의 高米価

民國 前期의 高米価 民國 中期의 低米価의 등락을 보이고 있다

民國 中期의 米価는 長沙 8개년 米価 추세에서도 안정속의 상승세

를 보이고 있다 명목상 수치 뿐 아니라 米価의 상대 물가로 보는 실

질 구매력도 宣統 民國元年에까지 급상승하였다가 민국 시기 등락을

거듭하지만 민국25년(1936)까지 광서4년(1878) 대비 유지 또는 상승 추

세였다

物価변동은 개별 상품에 따라 편차가 있고 米価와는 전혀 상이한

궤적을 그리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米価와 연동 관계를 보이

고 있다 1898년 물가의 단기 변동은 이상할 만큼 변동폭이 크지 않다

당시 물가 조사자의 보고가 정확했는지 의심될 정도이다 1935년의 장

사 물가에서 단기 변동을 보면 변동폭이 100이상인 夏布 毛筆 麵粉

棉布등을 비롯하여 50 이상인 오리털 흑연 성냥 국산 전지 등을

비롯하여 40 이상인 비누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기 변동폭

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 이것은 이런 물품들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

성이 크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物価의 장기 변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米価와 대체로 비슷한 궤적

을 보이고 있다 청말에서 민국전기에 걸쳐 물가 상승폭이 두드러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 상승폭이 더욱 크

다 돼지고기 값을 예로 들면 1878년에서 1909년 사이에 273 상승했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6고 1912-1921년 사이에 75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닭은 각 50와 44

상승했다 청말은 31년간의 수치이고 민국 전기는 9년간이니 물가의

상대적 급등을 알 수 있다 1926에서 1936년까지 10년간 돼지 고기 값

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

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

세를 보이고 있다 민국 중기의 米価가 일부 lsquo穀賤rsquo 현상을 보인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음으로 물가 변동의 원인에 대해서는 군벌간의 전쟁이나 정치적

혼란 등 정치 군사적 요인을 제외하고 대체로 검토해 보았다

수요 측면에서는 湖南米의 유통이 호남 내부의 인구 증가에도 불구

하고 양자강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지속된 것이 米価 상승의 한 원

인이었다 上海나 武漢 등의 도시화와 인구집중은 이들 지역 양식 수

요를 폭증시켰다 일부 洋米 수입에도 불구하고 湖南米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으로써 米価를 상승시켰다 또 장사를 비롯한 각지의 새로운 수

공업 산업의 발달로 비농업 인구가 증가하고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유

효수요로 성장하여 米価 상승을 유도하였다 양식의 이출은 해당 지역

인구 식량을 전부 제외한 나머지 잉여가 수출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력

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청말민국기에는 호남의 내부 외부에

서 미곡에 대한 유효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것이 米価 상승의 한 요인

이었다

화폐 문제에 있어 화폐 수량의 증가가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것

은 상식이다 종래 아편전쟁 전후 은의 해외 유출 증가가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을 초래하여 물가 상승과 인민의 빈곤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지방지 등의 史料에서 검토한 결과 은전비가는 도광함풍초의

일시적 상승 후에 함풍 7년 이후는 도리어 하락하고 있다 同治 년간

에 대부분 1兩 1300文 수준에서 안정되고 있다 光緖末宣統년간에도

1600-1700文 수준으로 도광함풍 초보다는 낮은 편이다 청말민국시

기에 화폐의 남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한계를 넘었을 때 시장의 통용

거부로 마침내 중단되고 있다 청말민국기에 외국 銀元의 유입과 국내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7의 銀元 주조 銅元 지폐 외에 鈔票 市票 등 화폐 시장에 투입된 화

폐량은 엄청나게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로서는 어느 정

도 시장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외 교역과 상품량의

증대 경제 활동 인구의 증대 미곡 생산 및 농산품 생산의 증대로 화

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것이 화폐량의 막대한 증가와 유

통속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

었다고 생각된다 즉 안정 속의 물가 상승이 유도된 것이다

공급면에서 보면 대외 교역을 통한 서양 상품의 수입은 전체로서는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물건의 공급 증가를 통해서

혹은 국내 상품과의 경쟁 때문에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었

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침략과 물가 폭등이라는 도식적

견해와 달리 현실에서는 물가 억제 작용도 있었던 것이다

물가와 경기면에서 보면 물가가 비쌀 때 호경기가 많은 것은 사실

이다 그런데 lsquo穀賤rsquo 현상이 불황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서 長沙 지역의 경우를 검토해 보았다 도광함풍 년간까지 lsquo穀賤rsquo현상

과 불경기적 상황에 대한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동치광서 년간에는

米価가 등귀한 시점인데 이 시기는 紅茶業의 번성이나 각종 수공업의

번성으로 好況의 면모가 보이고 있다 민국 시기에는 민국 중기에 lsquo穀

賤rsquo의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史料上에 민국 중기의 lsquo穀賤rsquo은 임금이나

다른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다 물가 상승기와 好況

이 맞물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민국 중기는 lsquo穀賤rsquo 현상과 서로 어긋

나는 것이다 이 시기의 不況 서술은 농촌의 농민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표시이다

생활 수준에 대한 지방지 기록 등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주민들의

洋貨 사용이 보편화되고 의복 음식 주거 등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것

을 지적하고 있다 물가는 상승하였지만 同治 이전에 비하여 분명히

사치품의 소비 증대와 中人의 집도 소비 수준이 제고된 것이 드러나고

있다 민중의 빈곤은 있으나 이 시기 빈부 격차가 커지고 생활 수준의

격차가 커진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43: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1이것을 보면 주로 1930년대에 lsquo穀賤rsquo과 不況이 집중 묘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lsquo穀賤rsquo 즉 불황이라고 하면 도광함풍초의 곡천과 불

황 同治光緖宣統期의 lsquo穀貴rsquo즉 好況 다시 民國 전기의 好況 民國 中期

의 불황으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물가의 상승기가 호황적 국면이라는 것은 알려

져 있지만 이것은 전체 물가의 문제이다 위 자료에서 보면 1920년 장

사 농촌에서는 곡가는 싼데 일용품 가격은 극히 높다고 하고 있고

1931년의 기록도 工價와 일용품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농민이 다수를 점하기 때문에 미곡가의 하락은 농민 수입 감소

와 구매력 저하를 가져오고 이것이 농촌 불황의 한 요인이 될 수 있

다 그러나 工賃과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시장의 한계 안에서의

일이다 또한 실업률과 고용 지표 등도 고려되어야 하는데 만족할만한

통계의 부족으로 명확한 답을 얻기는 어렵다

그런데 米価와 물가는 개별 년도나 시점에서 서로 상이한 궤적도

있지만 圖2 3 6 7을 보면 대체적으로는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예릉의 米価의 구매력 변동을 보면 광서 4년(1878)에 비하여 선통원년

(1909) 민국원년(1912)에는 현격한 상승세였다가 그 후에 등락을 거듭

하고 있지만 민국25년(1936)의 경우는 광서4년보다는 높거나 유사한

경우가 많다

2 생활 경기의 발달

당시인들이 체감하던 생활 경기의 수준이 어떠했는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

光緖刊 善化縣志를 보면 다음과 같다132)

132) 光緖3年刊 善化縣志 권16 풍속 附論 ldquo古人 酒肉以養老 而今則黃口稚子

無不酒肉之人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近日不旦穀貴鹽貴 而酒肉皆貴 則好惡可知矣 一今鄕間柴炭

其価數倍於昔日 瀕河之地 莫不燒煤rdquo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2옛사람들은 술과 고기로 노인을 부양하였는데 지금은 어린아이도 술과

고기를 먹지 않는 이가 없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요사이 미곡과 소금이 비쌀 뿐 아니

라 술과 고기가 모두가 비싸니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지금 향간에 柴炭이 그 값이 예전보다 수배인데 하천 근처 사람은

煤를 때지 않는 사람이 없다

同治 攸縣志 에도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33)

예전에 士大夫도 집에 있을 때 엄동이 아니면 가죽옷을 입지 않았다

지금 關中의 가죽옷 상인이 유현에 와서 1년에 은 만여 냥을 얻을 수 있

다 기타 비단 옷은 蘇州 杭州 및 嶺南에서 오는 것이 또 배가 되니 1년

에 수만금을 소비한다

醴陵縣에서도 비슷한 인식을 볼 수 있다134)

ldquo예전 풍속이 儉樸하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이 명절 아니면 고기를 먹지 않고

慶弔事가 아니면 술을 베풀지 않고 손님 접대는 닭 잡는데 그치고 鮮味

는 생선에 그쳤고 縣城의 食肆는 飽麵茶館에 그치고 酒席으로 業을 삼는

자가 없었다

지금은 酒樓菜館이 거리에 가득차고 中人의 집에도 술자리가 베풀어지

고 사치를 다툰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예전에 士類大半이 淥江書院에 모이면 그 가운데 비단신을 신은 자가

불과 수인이었고 羊가죽 옷을 입은 자가 불과 1 2人이었다 지금은 비단

신과 가죽옷이 거의 常服이 되었고 日用品은 舶來品이 많다rdquo

이 내용을 보면 예릉현의 생활 수준이 급격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예릉현지 기록에는 부인들이 上海의 유행을 쫓아 사치를 추구한

다는 내용도 있고 청말부터 外貨를 서로 자랑한다는 내용도 있다 종

133) 同治10年刊 攸縣志 권18 풍속 衣服 ldquo衣服 昔時 士大夫 家居非嚴冬不御裘

今關中裘商來攸 歲可得銀萬餘兩 其他錦繡之運自蘇杭及嶺南者 則又倍之 計一歲

之戶 所費數萬金rdquo

134)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4장 풍속 생활 ldquo旧俗民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非令節不

食肉 非慶弔不置酒 欵客止於殺鷄 鮮味止於草魚 縣城食肆 止於飽麵茶館 無以酒

席爲業者 今則酒樓菜館 遍於街市 中人之家酬酢往還 爭奢鬪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旧時士類

大半 集於淥江書院 一院之中 著緞鞋者 不過数人 襲羊裘者 不過 一二人 今則絲

履皮袍殆成常服 日用之品 多自舶來rdquo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3전에 菜油 棉油로 燈을 켜다 집집마다 煤油를 사용한다거나 세탁시

茶枯鹼水를 쓰다가 대부분 비누를 사용하는 일상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135)

또 寧鄕縣에서도 ldquo同光之間 地方安寧 家給人足(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함)縣城商業 於時爲盛rdquo이라 하고 있어 同治(1862-74) 光

緖(1875-1908) 시기가 好況이었음을 알 수 있다136) 湘報에도 ldquo民間

之喜用洋貨日甚一日rdquo이라 하고 있어 洋貨 사용의 확대를 짐작할 수 있

다137)

광서년간 무역이 확대되고 여기에 대해 유익하다는 인식의 기록이

湘報에 나오고 있다138)

ldquo輪船과 철로가 개통되고 항구 개항이 증가 되는 것은 실로 중국에 유

익하고 손해가 없다 저 눈이 콩만큼 큰 자가 걸핏하면 통상이 중국에 해

가 된다고 하니 어찌 심히 어리석지 않은가rdquo

무역 확대를 지적하고 통상이 유익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예릉현

지에도 同治志에는 풍속이 lsquo安士重遷rsquo하고 상인이 외부 활동하는 자가

적었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고 光緖末에 도자기 夏布 編爆業

이 일어나 융성하여 이에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 넘는다고

하고 있다139) 예릉향토지에도 商旅 왕래가 예전보다 10배라는 서술이

있다140)

장사시의 行業발달 상황을 보면 민국 5년(1916)에서 民國22年(1935)

사이에 식품업은 281⟶2124 사치품은 171⟶1128 복장은 43⟶2028 農

礦은 621⟶1156 洋貨 127⟶233 금융 130⟶164 공예 2121⟶3344 문구

17⟶355 등 비약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141)

135)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 工商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6장 실업

136) 民國30年刊 寧鄕縣志 財用錄 民業

137) 湘報 제13호 1898年 3月 21日

138) 湘報 제162号 1898年 9月 23日

13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40) 民國15年刊 醴陵鄕土志 제6장 실업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4이것은 장사의 생활수준 향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당시에

通商의 확대 주장도 湘報에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142)

이상에서 보면 청말민국기에 대체적인 추세는 好況이었다고 생각된

다 생활 수준의 향상이 눈에 띄고 米価와 물가도 연동되면서 상승하

는 추세였다 米価의 상승이 구매력 수준의 제고가 되기 때문에 米穀

생산 중심지역에 상인들의 行號가 집중되는 것이 보였다143) 임금의

경우에도 호남 汝城縣에서 실질 임금이 유지 또는 상승하는 것을 확인

한 바 있다144) 全漢昇도 1875년부터 1925년까지에 걸쳐 四川 合江현

의 임금과 물가 변동의 추세가 거의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바 있

다145) 앞서 인용한 1931년 中國棉産改進計劃 에도 임금과 일용품 가

격이 함께 오른다고 하고 있어 임금이 물가에 연동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생활 수준 향상을 기록하고 있던 지방지에도 빈부 격차를 암시하는

내용이 있고 物力이 날로 쇠퇴한다든지 하는 기록이 있다 대외 무역

이 적자라 하더라도 차관 원조 뿐 아니라 외국 상인의 진출이 자본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好況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Ⅴ 結 言

이제까지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이후 民國中期인 1936年

까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여 米価와 물가 변동 물가 변동의 원인

141) 張朋園 앞의 책 p387

142) 湘報 44호 中外通商利害論 湘報 67号 論湖南茶務急宜整頓

143)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144)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9 1998)

145) 安本美緖 앞의 책 p2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5물가와 생활 경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米価 변동은 단기 변동에 있어서 전쟁이나 天災 등의 특수한 사정

의 해를 제외하고는 光緖 년간에 비해 민국 중기의 계절 변동폭이 축

소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米価의 계절 변동을 완화 시

켜 주는 雜糧의 재배가 湖南 지역에서는 대부분 同治 년간에 보급 확

대가 되고 있다 교통과 상업 발달 등의 이유로 청말에서 민국기로 갈

수록 계절 변동폭을 축소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변동에서는 長沙府縣의 물가 변동 예릉현 물가 변동 등을 살

펴 볼 때 전체로서는 상승 추세 중에 도광 함풍 시기의 低米価 同治

년간의 高米価 光緖전반의 低米価 光緖後半에서 宣統 년간의 高米価

民國 前期의 高米価 民國 中期의 低米価의 등락을 보이고 있다

民國 中期의 米価는 長沙 8개년 米価 추세에서도 안정속의 상승세

를 보이고 있다 명목상 수치 뿐 아니라 米価의 상대 물가로 보는 실

질 구매력도 宣統 民國元年에까지 급상승하였다가 민국 시기 등락을

거듭하지만 민국25년(1936)까지 광서4년(1878) 대비 유지 또는 상승 추

세였다

物価변동은 개별 상품에 따라 편차가 있고 米価와는 전혀 상이한

궤적을 그리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米価와 연동 관계를 보이

고 있다 1898년 물가의 단기 변동은 이상할 만큼 변동폭이 크지 않다

당시 물가 조사자의 보고가 정확했는지 의심될 정도이다 1935년의 장

사 물가에서 단기 변동을 보면 변동폭이 100이상인 夏布 毛筆 麵粉

棉布등을 비롯하여 50 이상인 오리털 흑연 성냥 국산 전지 등을

비롯하여 40 이상인 비누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기 변동폭

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 이것은 이런 물품들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

성이 크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物価의 장기 변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米価와 대체로 비슷한 궤적

을 보이고 있다 청말에서 민국전기에 걸쳐 물가 상승폭이 두드러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 상승폭이 더욱 크

다 돼지고기 값을 예로 들면 1878년에서 1909년 사이에 273 상승했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6고 1912-1921년 사이에 75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닭은 각 50와 44

상승했다 청말은 31년간의 수치이고 민국 전기는 9년간이니 물가의

상대적 급등을 알 수 있다 1926에서 1936년까지 10년간 돼지 고기 값

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

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

세를 보이고 있다 민국 중기의 米価가 일부 lsquo穀賤rsquo 현상을 보인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음으로 물가 변동의 원인에 대해서는 군벌간의 전쟁이나 정치적

혼란 등 정치 군사적 요인을 제외하고 대체로 검토해 보았다

수요 측면에서는 湖南米의 유통이 호남 내부의 인구 증가에도 불구

하고 양자강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지속된 것이 米価 상승의 한 원

인이었다 上海나 武漢 등의 도시화와 인구집중은 이들 지역 양식 수

요를 폭증시켰다 일부 洋米 수입에도 불구하고 湖南米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으로써 米価를 상승시켰다 또 장사를 비롯한 각지의 새로운 수

공업 산업의 발달로 비농업 인구가 증가하고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유

효수요로 성장하여 米価 상승을 유도하였다 양식의 이출은 해당 지역

인구 식량을 전부 제외한 나머지 잉여가 수출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력

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청말민국기에는 호남의 내부 외부에

서 미곡에 대한 유효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것이 米価 상승의 한 요인

이었다

화폐 문제에 있어 화폐 수량의 증가가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것

은 상식이다 종래 아편전쟁 전후 은의 해외 유출 증가가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을 초래하여 물가 상승과 인민의 빈곤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지방지 등의 史料에서 검토한 결과 은전비가는 도광함풍초의

일시적 상승 후에 함풍 7년 이후는 도리어 하락하고 있다 同治 년간

에 대부분 1兩 1300文 수준에서 안정되고 있다 光緖末宣統년간에도

1600-1700文 수준으로 도광함풍 초보다는 낮은 편이다 청말민국시

기에 화폐의 남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한계를 넘었을 때 시장의 통용

거부로 마침내 중단되고 있다 청말민국기에 외국 銀元의 유입과 국내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7의 銀元 주조 銅元 지폐 외에 鈔票 市票 등 화폐 시장에 투입된 화

폐량은 엄청나게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로서는 어느 정

도 시장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외 교역과 상품량의

증대 경제 활동 인구의 증대 미곡 생산 및 농산품 생산의 증대로 화

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것이 화폐량의 막대한 증가와 유

통속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

었다고 생각된다 즉 안정 속의 물가 상승이 유도된 것이다

공급면에서 보면 대외 교역을 통한 서양 상품의 수입은 전체로서는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물건의 공급 증가를 통해서

혹은 국내 상품과의 경쟁 때문에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었

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침략과 물가 폭등이라는 도식적

견해와 달리 현실에서는 물가 억제 작용도 있었던 것이다

물가와 경기면에서 보면 물가가 비쌀 때 호경기가 많은 것은 사실

이다 그런데 lsquo穀賤rsquo 현상이 불황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서 長沙 지역의 경우를 검토해 보았다 도광함풍 년간까지 lsquo穀賤rsquo현상

과 불경기적 상황에 대한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동치광서 년간에는

米価가 등귀한 시점인데 이 시기는 紅茶業의 번성이나 각종 수공업의

번성으로 好況의 면모가 보이고 있다 민국 시기에는 민국 중기에 lsquo穀

賤rsquo의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史料上에 민국 중기의 lsquo穀賤rsquo은 임금이나

다른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다 물가 상승기와 好況

이 맞물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민국 중기는 lsquo穀賤rsquo 현상과 서로 어긋

나는 것이다 이 시기의 不況 서술은 농촌의 농민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표시이다

생활 수준에 대한 지방지 기록 등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주민들의

洋貨 사용이 보편화되고 의복 음식 주거 등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것

을 지적하고 있다 물가는 상승하였지만 同治 이전에 비하여 분명히

사치품의 소비 증대와 中人의 집도 소비 수준이 제고된 것이 드러나고

있다 민중의 빈곤은 있으나 이 시기 빈부 격차가 커지고 생활 수준의

격차가 커진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44: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2옛사람들은 술과 고기로 노인을 부양하였는데 지금은 어린아이도 술과

고기를 먹지 않는 이가 없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요사이 미곡과 소금이 비쌀 뿐 아니

라 술과 고기가 모두가 비싸니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지금 향간에 柴炭이 그 값이 예전보다 수배인데 하천 근처 사람은

煤를 때지 않는 사람이 없다

同治 攸縣志 에도 보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133)

예전에 士大夫도 집에 있을 때 엄동이 아니면 가죽옷을 입지 않았다

지금 關中의 가죽옷 상인이 유현에 와서 1년에 은 만여 냥을 얻을 수 있

다 기타 비단 옷은 蘇州 杭州 및 嶺南에서 오는 것이 또 배가 되니 1년

에 수만금을 소비한다

醴陵縣에서도 비슷한 인식을 볼 수 있다134)

ldquo예전 풍속이 儉樸하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이 명절 아니면 고기를 먹지 않고

慶弔事가 아니면 술을 베풀지 않고 손님 접대는 닭 잡는데 그치고 鮮味

는 생선에 그쳤고 縣城의 食肆는 飽麵茶館에 그치고 酒席으로 業을 삼는

자가 없었다

지금은 酒樓菜館이 거리에 가득차고 中人의 집에도 술자리가 베풀어지

고 사치를 다툰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예전에 士類大半이 淥江書院에 모이면 그 가운데 비단신을 신은 자가

불과 수인이었고 羊가죽 옷을 입은 자가 불과 1 2人이었다 지금은 비단

신과 가죽옷이 거의 常服이 되었고 日用品은 舶來品이 많다rdquo

이 내용을 보면 예릉현의 생활 수준이 급격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예릉현지 기록에는 부인들이 上海의 유행을 쫓아 사치를 추구한

다는 내용도 있고 청말부터 外貨를 서로 자랑한다는 내용도 있다 종

133) 同治10年刊 攸縣志 권18 풍속 衣服 ldquo衣服 昔時 士大夫 家居非嚴冬不御裘

今關中裘商來攸 歲可得銀萬餘兩 其他錦繡之運自蘇杭及嶺南者 則又倍之 計一歲

之戶 所費數萬金rdquo

134)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4장 풍속 생활 ldquo旧俗民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鄕民非令節不

食肉 非慶弔不置酒 欵客止於殺鷄 鮮味止於草魚 縣城食肆 止於飽麵茶館 無以酒

席爲業者 今則酒樓菜館 遍於街市 中人之家酬酢往還 爭奢鬪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旧時士類

大半 集於淥江書院 一院之中 著緞鞋者 不過数人 襲羊裘者 不過 一二人 今則絲

履皮袍殆成常服 日用之品 多自舶來rdquo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3전에 菜油 棉油로 燈을 켜다 집집마다 煤油를 사용한다거나 세탁시

茶枯鹼水를 쓰다가 대부분 비누를 사용하는 일상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135)

또 寧鄕縣에서도 ldquo同光之間 地方安寧 家給人足(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함)縣城商業 於時爲盛rdquo이라 하고 있어 同治(1862-74) 光

緖(1875-1908) 시기가 好況이었음을 알 수 있다136) 湘報에도 ldquo民間

之喜用洋貨日甚一日rdquo이라 하고 있어 洋貨 사용의 확대를 짐작할 수 있

다137)

광서년간 무역이 확대되고 여기에 대해 유익하다는 인식의 기록이

湘報에 나오고 있다138)

ldquo輪船과 철로가 개통되고 항구 개항이 증가 되는 것은 실로 중국에 유

익하고 손해가 없다 저 눈이 콩만큼 큰 자가 걸핏하면 통상이 중국에 해

가 된다고 하니 어찌 심히 어리석지 않은가rdquo

무역 확대를 지적하고 통상이 유익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예릉현

지에도 同治志에는 풍속이 lsquo安士重遷rsquo하고 상인이 외부 활동하는 자가

적었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고 光緖末에 도자기 夏布 編爆業

이 일어나 융성하여 이에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 넘는다고

하고 있다139) 예릉향토지에도 商旅 왕래가 예전보다 10배라는 서술이

있다140)

장사시의 行業발달 상황을 보면 민국 5년(1916)에서 民國22年(1935)

사이에 식품업은 281⟶2124 사치품은 171⟶1128 복장은 43⟶2028 農

礦은 621⟶1156 洋貨 127⟶233 금융 130⟶164 공예 2121⟶3344 문구

17⟶355 등 비약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141)

135)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 工商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6장 실업

136) 民國30年刊 寧鄕縣志 財用錄 民業

137) 湘報 제13호 1898年 3月 21日

138) 湘報 제162号 1898年 9月 23日

13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40) 民國15年刊 醴陵鄕土志 제6장 실업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4이것은 장사의 생활수준 향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당시에

通商의 확대 주장도 湘報에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142)

이상에서 보면 청말민국기에 대체적인 추세는 好況이었다고 생각된

다 생활 수준의 향상이 눈에 띄고 米価와 물가도 연동되면서 상승하

는 추세였다 米価의 상승이 구매력 수준의 제고가 되기 때문에 米穀

생산 중심지역에 상인들의 行號가 집중되는 것이 보였다143) 임금의

경우에도 호남 汝城縣에서 실질 임금이 유지 또는 상승하는 것을 확인

한 바 있다144) 全漢昇도 1875년부터 1925년까지에 걸쳐 四川 合江현

의 임금과 물가 변동의 추세가 거의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바 있

다145) 앞서 인용한 1931년 中國棉産改進計劃 에도 임금과 일용품 가

격이 함께 오른다고 하고 있어 임금이 물가에 연동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생활 수준 향상을 기록하고 있던 지방지에도 빈부 격차를 암시하는

내용이 있고 物力이 날로 쇠퇴한다든지 하는 기록이 있다 대외 무역

이 적자라 하더라도 차관 원조 뿐 아니라 외국 상인의 진출이 자본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好況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Ⅴ 結 言

이제까지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이후 民國中期인 1936年

까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여 米価와 물가 변동 물가 변동의 원인

141) 張朋園 앞의 책 p387

142) 湘報 44호 中外通商利害論 湘報 67号 論湖南茶務急宜整頓

143)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144)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9 1998)

145) 安本美緖 앞의 책 p2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5물가와 생활 경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米価 변동은 단기 변동에 있어서 전쟁이나 天災 등의 특수한 사정

의 해를 제외하고는 光緖 년간에 비해 민국 중기의 계절 변동폭이 축

소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米価의 계절 변동을 완화 시

켜 주는 雜糧의 재배가 湖南 지역에서는 대부분 同治 년간에 보급 확

대가 되고 있다 교통과 상업 발달 등의 이유로 청말에서 민국기로 갈

수록 계절 변동폭을 축소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변동에서는 長沙府縣의 물가 변동 예릉현 물가 변동 등을 살

펴 볼 때 전체로서는 상승 추세 중에 도광 함풍 시기의 低米価 同治

년간의 高米価 光緖전반의 低米価 光緖後半에서 宣統 년간의 高米価

民國 前期의 高米価 民國 中期의 低米価의 등락을 보이고 있다

民國 中期의 米価는 長沙 8개년 米価 추세에서도 안정속의 상승세

를 보이고 있다 명목상 수치 뿐 아니라 米価의 상대 물가로 보는 실

질 구매력도 宣統 民國元年에까지 급상승하였다가 민국 시기 등락을

거듭하지만 민국25년(1936)까지 광서4년(1878) 대비 유지 또는 상승 추

세였다

物価변동은 개별 상품에 따라 편차가 있고 米価와는 전혀 상이한

궤적을 그리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米価와 연동 관계를 보이

고 있다 1898년 물가의 단기 변동은 이상할 만큼 변동폭이 크지 않다

당시 물가 조사자의 보고가 정확했는지 의심될 정도이다 1935년의 장

사 물가에서 단기 변동을 보면 변동폭이 100이상인 夏布 毛筆 麵粉

棉布등을 비롯하여 50 이상인 오리털 흑연 성냥 국산 전지 등을

비롯하여 40 이상인 비누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기 변동폭

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 이것은 이런 물품들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

성이 크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物価의 장기 변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米価와 대체로 비슷한 궤적

을 보이고 있다 청말에서 민국전기에 걸쳐 물가 상승폭이 두드러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 상승폭이 더욱 크

다 돼지고기 값을 예로 들면 1878년에서 1909년 사이에 273 상승했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6고 1912-1921년 사이에 75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닭은 각 50와 44

상승했다 청말은 31년간의 수치이고 민국 전기는 9년간이니 물가의

상대적 급등을 알 수 있다 1926에서 1936년까지 10년간 돼지 고기 값

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

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

세를 보이고 있다 민국 중기의 米価가 일부 lsquo穀賤rsquo 현상을 보인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음으로 물가 변동의 원인에 대해서는 군벌간의 전쟁이나 정치적

혼란 등 정치 군사적 요인을 제외하고 대체로 검토해 보았다

수요 측면에서는 湖南米의 유통이 호남 내부의 인구 증가에도 불구

하고 양자강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지속된 것이 米価 상승의 한 원

인이었다 上海나 武漢 등의 도시화와 인구집중은 이들 지역 양식 수

요를 폭증시켰다 일부 洋米 수입에도 불구하고 湖南米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으로써 米価를 상승시켰다 또 장사를 비롯한 각지의 새로운 수

공업 산업의 발달로 비농업 인구가 증가하고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유

효수요로 성장하여 米価 상승을 유도하였다 양식의 이출은 해당 지역

인구 식량을 전부 제외한 나머지 잉여가 수출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력

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청말민국기에는 호남의 내부 외부에

서 미곡에 대한 유효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것이 米価 상승의 한 요인

이었다

화폐 문제에 있어 화폐 수량의 증가가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것

은 상식이다 종래 아편전쟁 전후 은의 해외 유출 증가가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을 초래하여 물가 상승과 인민의 빈곤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지방지 등의 史料에서 검토한 결과 은전비가는 도광함풍초의

일시적 상승 후에 함풍 7년 이후는 도리어 하락하고 있다 同治 년간

에 대부분 1兩 1300文 수준에서 안정되고 있다 光緖末宣統년간에도

1600-1700文 수준으로 도광함풍 초보다는 낮은 편이다 청말민국시

기에 화폐의 남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한계를 넘었을 때 시장의 통용

거부로 마침내 중단되고 있다 청말민국기에 외국 銀元의 유입과 국내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7의 銀元 주조 銅元 지폐 외에 鈔票 市票 등 화폐 시장에 투입된 화

폐량은 엄청나게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로서는 어느 정

도 시장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외 교역과 상품량의

증대 경제 활동 인구의 증대 미곡 생산 및 농산품 생산의 증대로 화

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것이 화폐량의 막대한 증가와 유

통속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

었다고 생각된다 즉 안정 속의 물가 상승이 유도된 것이다

공급면에서 보면 대외 교역을 통한 서양 상품의 수입은 전체로서는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물건의 공급 증가를 통해서

혹은 국내 상품과의 경쟁 때문에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었

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침략과 물가 폭등이라는 도식적

견해와 달리 현실에서는 물가 억제 작용도 있었던 것이다

물가와 경기면에서 보면 물가가 비쌀 때 호경기가 많은 것은 사실

이다 그런데 lsquo穀賤rsquo 현상이 불황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서 長沙 지역의 경우를 검토해 보았다 도광함풍 년간까지 lsquo穀賤rsquo현상

과 불경기적 상황에 대한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동치광서 년간에는

米価가 등귀한 시점인데 이 시기는 紅茶業의 번성이나 각종 수공업의

번성으로 好況의 면모가 보이고 있다 민국 시기에는 민국 중기에 lsquo穀

賤rsquo의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史料上에 민국 중기의 lsquo穀賤rsquo은 임금이나

다른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다 물가 상승기와 好況

이 맞물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민국 중기는 lsquo穀賤rsquo 현상과 서로 어긋

나는 것이다 이 시기의 不況 서술은 농촌의 농민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표시이다

생활 수준에 대한 지방지 기록 등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주민들의

洋貨 사용이 보편화되고 의복 음식 주거 등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것

을 지적하고 있다 물가는 상승하였지만 同治 이전에 비하여 분명히

사치품의 소비 증대와 中人의 집도 소비 수준이 제고된 것이 드러나고

있다 민중의 빈곤은 있으나 이 시기 빈부 격차가 커지고 생활 수준의

격차가 커진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45: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3전에 菜油 棉油로 燈을 켜다 집집마다 煤油를 사용한다거나 세탁시

茶枯鹼水를 쓰다가 대부분 비누를 사용하는 일상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135)

또 寧鄕縣에서도 ldquo同光之間 地方安寧 家給人足(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함)縣城商業 於時爲盛rdquo이라 하고 있어 同治(1862-74) 光

緖(1875-1908) 시기가 好況이었음을 알 수 있다136) 湘報에도 ldquo民間

之喜用洋貨日甚一日rdquo이라 하고 있어 洋貨 사용의 확대를 짐작할 수 있

다137)

광서년간 무역이 확대되고 여기에 대해 유익하다는 인식의 기록이

湘報에 나오고 있다138)

ldquo輪船과 철로가 개통되고 항구 개항이 증가 되는 것은 실로 중국에 유

익하고 손해가 없다 저 눈이 콩만큼 큰 자가 걸핏하면 통상이 중국에 해

가 된다고 하니 어찌 심히 어리석지 않은가rdquo

무역 확대를 지적하고 통상이 유익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예릉현

지에도 同治志에는 풍속이 lsquo安士重遷rsquo하고 상인이 외부 활동하는 자가

적었는데 光緖초에 紅茶業이 일어나고 光緖末에 도자기 夏布 編爆業

이 일어나 융성하여 이에 생계를 유지하는 자가 십만 인이 넘는다고

하고 있다139) 예릉향토지에도 商旅 왕래가 예전보다 10배라는 서술이

있다140)

장사시의 行業발달 상황을 보면 민국 5년(1916)에서 民國22年(1935)

사이에 식품업은 281⟶2124 사치품은 171⟶1128 복장은 43⟶2028 農

礦은 621⟶1156 洋貨 127⟶233 금융 130⟶164 공예 2121⟶3344 문구

17⟶355 등 비약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141)

135)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 工商 民國15年刊 醴陵縣鄕土志 제6장 실업

136) 民國30年刊 寧鄕縣志 財用錄 民業

137) 湘報 제13호 1898年 3月 21日

138) 湘報 제162号 1898年 9月 23日

139) 民國37年刊 醴陵縣志 食貨志 工商

140) 民國15年刊 醴陵鄕土志 제6장 실업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4이것은 장사의 생활수준 향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당시에

通商의 확대 주장도 湘報에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142)

이상에서 보면 청말민국기에 대체적인 추세는 好況이었다고 생각된

다 생활 수준의 향상이 눈에 띄고 米価와 물가도 연동되면서 상승하

는 추세였다 米価의 상승이 구매력 수준의 제고가 되기 때문에 米穀

생산 중심지역에 상인들의 行號가 집중되는 것이 보였다143) 임금의

경우에도 호남 汝城縣에서 실질 임금이 유지 또는 상승하는 것을 확인

한 바 있다144) 全漢昇도 1875년부터 1925년까지에 걸쳐 四川 合江현

의 임금과 물가 변동의 추세가 거의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바 있

다145) 앞서 인용한 1931년 中國棉産改進計劃 에도 임금과 일용품 가

격이 함께 오른다고 하고 있어 임금이 물가에 연동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생활 수준 향상을 기록하고 있던 지방지에도 빈부 격차를 암시하는

내용이 있고 物力이 날로 쇠퇴한다든지 하는 기록이 있다 대외 무역

이 적자라 하더라도 차관 원조 뿐 아니라 외국 상인의 진출이 자본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好況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Ⅴ 結 言

이제까지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이후 民國中期인 1936年

까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여 米価와 물가 변동 물가 변동의 원인

141) 張朋園 앞의 책 p387

142) 湘報 44호 中外通商利害論 湘報 67号 論湖南茶務急宜整頓

143)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144)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9 1998)

145) 安本美緖 앞의 책 p2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5물가와 생활 경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米価 변동은 단기 변동에 있어서 전쟁이나 天災 등의 특수한 사정

의 해를 제외하고는 光緖 년간에 비해 민국 중기의 계절 변동폭이 축

소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米価의 계절 변동을 완화 시

켜 주는 雜糧의 재배가 湖南 지역에서는 대부분 同治 년간에 보급 확

대가 되고 있다 교통과 상업 발달 등의 이유로 청말에서 민국기로 갈

수록 계절 변동폭을 축소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변동에서는 長沙府縣의 물가 변동 예릉현 물가 변동 등을 살

펴 볼 때 전체로서는 상승 추세 중에 도광 함풍 시기의 低米価 同治

년간의 高米価 光緖전반의 低米価 光緖後半에서 宣統 년간의 高米価

民國 前期의 高米価 民國 中期의 低米価의 등락을 보이고 있다

民國 中期의 米価는 長沙 8개년 米価 추세에서도 안정속의 상승세

를 보이고 있다 명목상 수치 뿐 아니라 米価의 상대 물가로 보는 실

질 구매력도 宣統 民國元年에까지 급상승하였다가 민국 시기 등락을

거듭하지만 민국25년(1936)까지 광서4년(1878) 대비 유지 또는 상승 추

세였다

物価변동은 개별 상품에 따라 편차가 있고 米価와는 전혀 상이한

궤적을 그리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米価와 연동 관계를 보이

고 있다 1898년 물가의 단기 변동은 이상할 만큼 변동폭이 크지 않다

당시 물가 조사자의 보고가 정확했는지 의심될 정도이다 1935년의 장

사 물가에서 단기 변동을 보면 변동폭이 100이상인 夏布 毛筆 麵粉

棉布등을 비롯하여 50 이상인 오리털 흑연 성냥 국산 전지 등을

비롯하여 40 이상인 비누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기 변동폭

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 이것은 이런 물품들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

성이 크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物価의 장기 변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米価와 대체로 비슷한 궤적

을 보이고 있다 청말에서 민국전기에 걸쳐 물가 상승폭이 두드러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 상승폭이 더욱 크

다 돼지고기 값을 예로 들면 1878년에서 1909년 사이에 273 상승했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6고 1912-1921년 사이에 75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닭은 각 50와 44

상승했다 청말은 31년간의 수치이고 민국 전기는 9년간이니 물가의

상대적 급등을 알 수 있다 1926에서 1936년까지 10년간 돼지 고기 값

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

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

세를 보이고 있다 민국 중기의 米価가 일부 lsquo穀賤rsquo 현상을 보인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음으로 물가 변동의 원인에 대해서는 군벌간의 전쟁이나 정치적

혼란 등 정치 군사적 요인을 제외하고 대체로 검토해 보았다

수요 측면에서는 湖南米의 유통이 호남 내부의 인구 증가에도 불구

하고 양자강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지속된 것이 米価 상승의 한 원

인이었다 上海나 武漢 등의 도시화와 인구집중은 이들 지역 양식 수

요를 폭증시켰다 일부 洋米 수입에도 불구하고 湖南米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으로써 米価를 상승시켰다 또 장사를 비롯한 각지의 새로운 수

공업 산업의 발달로 비농업 인구가 증가하고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유

효수요로 성장하여 米価 상승을 유도하였다 양식의 이출은 해당 지역

인구 식량을 전부 제외한 나머지 잉여가 수출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력

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청말민국기에는 호남의 내부 외부에

서 미곡에 대한 유효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것이 米価 상승의 한 요인

이었다

화폐 문제에 있어 화폐 수량의 증가가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것

은 상식이다 종래 아편전쟁 전후 은의 해외 유출 증가가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을 초래하여 물가 상승과 인민의 빈곤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지방지 등의 史料에서 검토한 결과 은전비가는 도광함풍초의

일시적 상승 후에 함풍 7년 이후는 도리어 하락하고 있다 同治 년간

에 대부분 1兩 1300文 수준에서 안정되고 있다 光緖末宣統년간에도

1600-1700文 수준으로 도광함풍 초보다는 낮은 편이다 청말민국시

기에 화폐의 남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한계를 넘었을 때 시장의 통용

거부로 마침내 중단되고 있다 청말민국기에 외국 銀元의 유입과 국내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7의 銀元 주조 銅元 지폐 외에 鈔票 市票 등 화폐 시장에 투입된 화

폐량은 엄청나게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로서는 어느 정

도 시장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외 교역과 상품량의

증대 경제 활동 인구의 증대 미곡 생산 및 농산품 생산의 증대로 화

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것이 화폐량의 막대한 증가와 유

통속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

었다고 생각된다 즉 안정 속의 물가 상승이 유도된 것이다

공급면에서 보면 대외 교역을 통한 서양 상품의 수입은 전체로서는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물건의 공급 증가를 통해서

혹은 국내 상품과의 경쟁 때문에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었

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침략과 물가 폭등이라는 도식적

견해와 달리 현실에서는 물가 억제 작용도 있었던 것이다

물가와 경기면에서 보면 물가가 비쌀 때 호경기가 많은 것은 사실

이다 그런데 lsquo穀賤rsquo 현상이 불황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서 長沙 지역의 경우를 검토해 보았다 도광함풍 년간까지 lsquo穀賤rsquo현상

과 불경기적 상황에 대한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동치광서 년간에는

米価가 등귀한 시점인데 이 시기는 紅茶業의 번성이나 각종 수공업의

번성으로 好況의 면모가 보이고 있다 민국 시기에는 민국 중기에 lsquo穀

賤rsquo의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史料上에 민국 중기의 lsquo穀賤rsquo은 임금이나

다른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다 물가 상승기와 好況

이 맞물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민국 중기는 lsquo穀賤rsquo 현상과 서로 어긋

나는 것이다 이 시기의 不況 서술은 농촌의 농민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표시이다

생활 수준에 대한 지방지 기록 등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주민들의

洋貨 사용이 보편화되고 의복 음식 주거 등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것

을 지적하고 있다 물가는 상승하였지만 同治 이전에 비하여 분명히

사치품의 소비 증대와 中人의 집도 소비 수준이 제고된 것이 드러나고

있다 민중의 빈곤은 있으나 이 시기 빈부 격차가 커지고 생활 수준의

격차가 커진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46: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4이것은 장사의 생활수준 향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당시에

通商의 확대 주장도 湘報에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142)

이상에서 보면 청말민국기에 대체적인 추세는 好況이었다고 생각된

다 생활 수준의 향상이 눈에 띄고 米価와 물가도 연동되면서 상승하

는 추세였다 米価의 상승이 구매력 수준의 제고가 되기 때문에 米穀

생산 중심지역에 상인들의 行號가 집중되는 것이 보였다143) 임금의

경우에도 호남 汝城縣에서 실질 임금이 유지 또는 상승하는 것을 확인

한 바 있다144) 全漢昇도 1875년부터 1925년까지에 걸쳐 四川 合江현

의 임금과 물가 변동의 추세가 거의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바 있

다145) 앞서 인용한 1931년 中國棉産改進計劃 에도 임금과 일용품 가

격이 함께 오른다고 하고 있어 임금이 물가에 연동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생활 수준 향상을 기록하고 있던 지방지에도 빈부 격차를 암시하는

내용이 있고 物力이 날로 쇠퇴한다든지 하는 기록이 있다 대외 무역

이 적자라 하더라도 차관 원조 뿐 아니라 외국 상인의 진출이 자본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好況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된다

Ⅴ 結 言

이제까지 淸末民國期 특히 同治(1862-74)이후 民國中期인 1936年

까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여 米価와 물가 변동 물가 변동의 원인

141) 張朋園 앞의 책 p387

142) 湘報 44호 中外通商利害論 湘報 67号 論湖南茶務急宜整頓

143)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의 米穀市場과 商品流通 (東洋史學硏究 74

2001) 淸末民国期 湖南 長沙府의 농업 생산과 상품유통 (明淸史硏究 252006)

144) 田炯權 淸末民国期 湖南 汝城縣의 商品流通과 物価变動 (明淸史硏究9 1998)

145) 安本美緖 앞의 책 p27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5물가와 생활 경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米価 변동은 단기 변동에 있어서 전쟁이나 天災 등의 특수한 사정

의 해를 제외하고는 光緖 년간에 비해 민국 중기의 계절 변동폭이 축

소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米価의 계절 변동을 완화 시

켜 주는 雜糧의 재배가 湖南 지역에서는 대부분 同治 년간에 보급 확

대가 되고 있다 교통과 상업 발달 등의 이유로 청말에서 민국기로 갈

수록 계절 변동폭을 축소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변동에서는 長沙府縣의 물가 변동 예릉현 물가 변동 등을 살

펴 볼 때 전체로서는 상승 추세 중에 도광 함풍 시기의 低米価 同治

년간의 高米価 光緖전반의 低米価 光緖後半에서 宣統 년간의 高米価

民國 前期의 高米価 民國 中期의 低米価의 등락을 보이고 있다

民國 中期의 米価는 長沙 8개년 米価 추세에서도 안정속의 상승세

를 보이고 있다 명목상 수치 뿐 아니라 米価의 상대 물가로 보는 실

질 구매력도 宣統 民國元年에까지 급상승하였다가 민국 시기 등락을

거듭하지만 민국25년(1936)까지 광서4년(1878) 대비 유지 또는 상승 추

세였다

物価변동은 개별 상품에 따라 편차가 있고 米価와는 전혀 상이한

궤적을 그리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米価와 연동 관계를 보이

고 있다 1898년 물가의 단기 변동은 이상할 만큼 변동폭이 크지 않다

당시 물가 조사자의 보고가 정확했는지 의심될 정도이다 1935년의 장

사 물가에서 단기 변동을 보면 변동폭이 100이상인 夏布 毛筆 麵粉

棉布등을 비롯하여 50 이상인 오리털 흑연 성냥 국산 전지 등을

비롯하여 40 이상인 비누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기 변동폭

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 이것은 이런 물품들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

성이 크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物価의 장기 변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米価와 대체로 비슷한 궤적

을 보이고 있다 청말에서 민국전기에 걸쳐 물가 상승폭이 두드러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 상승폭이 더욱 크

다 돼지고기 값을 예로 들면 1878년에서 1909년 사이에 273 상승했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6고 1912-1921년 사이에 75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닭은 각 50와 44

상승했다 청말은 31년간의 수치이고 민국 전기는 9년간이니 물가의

상대적 급등을 알 수 있다 1926에서 1936년까지 10년간 돼지 고기 값

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

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

세를 보이고 있다 민국 중기의 米価가 일부 lsquo穀賤rsquo 현상을 보인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음으로 물가 변동의 원인에 대해서는 군벌간의 전쟁이나 정치적

혼란 등 정치 군사적 요인을 제외하고 대체로 검토해 보았다

수요 측면에서는 湖南米의 유통이 호남 내부의 인구 증가에도 불구

하고 양자강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지속된 것이 米価 상승의 한 원

인이었다 上海나 武漢 등의 도시화와 인구집중은 이들 지역 양식 수

요를 폭증시켰다 일부 洋米 수입에도 불구하고 湖南米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으로써 米価를 상승시켰다 또 장사를 비롯한 각지의 새로운 수

공업 산업의 발달로 비농업 인구가 증가하고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유

효수요로 성장하여 米価 상승을 유도하였다 양식의 이출은 해당 지역

인구 식량을 전부 제외한 나머지 잉여가 수출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력

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청말민국기에는 호남의 내부 외부에

서 미곡에 대한 유효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것이 米価 상승의 한 요인

이었다

화폐 문제에 있어 화폐 수량의 증가가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것

은 상식이다 종래 아편전쟁 전후 은의 해외 유출 증가가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을 초래하여 물가 상승과 인민의 빈곤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지방지 등의 史料에서 검토한 결과 은전비가는 도광함풍초의

일시적 상승 후에 함풍 7년 이후는 도리어 하락하고 있다 同治 년간

에 대부분 1兩 1300文 수준에서 안정되고 있다 光緖末宣統년간에도

1600-1700文 수준으로 도광함풍 초보다는 낮은 편이다 청말민국시

기에 화폐의 남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한계를 넘었을 때 시장의 통용

거부로 마침내 중단되고 있다 청말민국기에 외국 銀元의 유입과 국내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7의 銀元 주조 銅元 지폐 외에 鈔票 市票 등 화폐 시장에 투입된 화

폐량은 엄청나게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로서는 어느 정

도 시장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외 교역과 상품량의

증대 경제 활동 인구의 증대 미곡 생산 및 농산품 생산의 증대로 화

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것이 화폐량의 막대한 증가와 유

통속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

었다고 생각된다 즉 안정 속의 물가 상승이 유도된 것이다

공급면에서 보면 대외 교역을 통한 서양 상품의 수입은 전체로서는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물건의 공급 증가를 통해서

혹은 국내 상품과의 경쟁 때문에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었

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침략과 물가 폭등이라는 도식적

견해와 달리 현실에서는 물가 억제 작용도 있었던 것이다

물가와 경기면에서 보면 물가가 비쌀 때 호경기가 많은 것은 사실

이다 그런데 lsquo穀賤rsquo 현상이 불황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서 長沙 지역의 경우를 검토해 보았다 도광함풍 년간까지 lsquo穀賤rsquo현상

과 불경기적 상황에 대한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동치광서 년간에는

米価가 등귀한 시점인데 이 시기는 紅茶業의 번성이나 각종 수공업의

번성으로 好況의 면모가 보이고 있다 민국 시기에는 민국 중기에 lsquo穀

賤rsquo의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史料上에 민국 중기의 lsquo穀賤rsquo은 임금이나

다른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다 물가 상승기와 好況

이 맞물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민국 중기는 lsquo穀賤rsquo 현상과 서로 어긋

나는 것이다 이 시기의 不況 서술은 농촌의 농민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표시이다

생활 수준에 대한 지방지 기록 등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주민들의

洋貨 사용이 보편화되고 의복 음식 주거 등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것

을 지적하고 있다 물가는 상승하였지만 同治 이전에 비하여 분명히

사치품의 소비 증대와 中人의 집도 소비 수준이 제고된 것이 드러나고

있다 민중의 빈곤은 있으나 이 시기 빈부 격차가 커지고 생활 수준의

격차가 커진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47: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5물가와 생활 경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米価 변동은 단기 변동에 있어서 전쟁이나 天災 등의 특수한 사정

의 해를 제외하고는 光緖 년간에 비해 민국 중기의 계절 변동폭이 축

소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米価의 계절 변동을 완화 시

켜 주는 雜糧의 재배가 湖南 지역에서는 대부분 同治 년간에 보급 확

대가 되고 있다 교통과 상업 발달 등의 이유로 청말에서 민국기로 갈

수록 계절 변동폭을 축소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변동에서는 長沙府縣의 물가 변동 예릉현 물가 변동 등을 살

펴 볼 때 전체로서는 상승 추세 중에 도광 함풍 시기의 低米価 同治

년간의 高米価 光緖전반의 低米価 光緖後半에서 宣統 년간의 高米価

民國 前期의 高米価 民國 中期의 低米価의 등락을 보이고 있다

民國 中期의 米価는 長沙 8개년 米価 추세에서도 안정속의 상승세

를 보이고 있다 명목상 수치 뿐 아니라 米価의 상대 물가로 보는 실

질 구매력도 宣統 民國元年에까지 급상승하였다가 민국 시기 등락을

거듭하지만 민국25년(1936)까지 광서4년(1878) 대비 유지 또는 상승 추

세였다

物価변동은 개별 상품에 따라 편차가 있고 米価와는 전혀 상이한

궤적을 그리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米価와 연동 관계를 보이

고 있다 1898년 물가의 단기 변동은 이상할 만큼 변동폭이 크지 않다

당시 물가 조사자의 보고가 정확했는지 의심될 정도이다 1935년의 장

사 물가에서 단기 변동을 보면 변동폭이 100이상인 夏布 毛筆 麵粉

棉布등을 비롯하여 50 이상인 오리털 흑연 성냥 국산 전지 등을

비롯하여 40 이상인 비누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기 변동폭

이 米価보다 대체로 크다 이것은 이런 물품들이 米穀보다 수요 탄력

성이 크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物価의 장기 변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米価와 대체로 비슷한 궤적

을 보이고 있다 청말에서 민국전기에 걸쳐 물가 상승폭이 두드러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청말보다 민국 전기에 물가 상승폭이 더욱 크

다 돼지고기 값을 예로 들면 1878년에서 1909년 사이에 273 상승했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6고 1912-1921년 사이에 75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닭은 각 50와 44

상승했다 청말은 31년간의 수치이고 민국 전기는 9년간이니 물가의

상대적 급등을 알 수 있다 1926에서 1936년까지 10년간 돼지 고기 값

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

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

세를 보이고 있다 민국 중기의 米価가 일부 lsquo穀賤rsquo 현상을 보인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음으로 물가 변동의 원인에 대해서는 군벌간의 전쟁이나 정치적

혼란 등 정치 군사적 요인을 제외하고 대체로 검토해 보았다

수요 측면에서는 湖南米의 유통이 호남 내부의 인구 증가에도 불구

하고 양자강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지속된 것이 米価 상승의 한 원

인이었다 上海나 武漢 등의 도시화와 인구집중은 이들 지역 양식 수

요를 폭증시켰다 일부 洋米 수입에도 불구하고 湖南米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으로써 米価를 상승시켰다 또 장사를 비롯한 각지의 새로운 수

공업 산업의 발달로 비농업 인구가 증가하고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유

효수요로 성장하여 米価 상승을 유도하였다 양식의 이출은 해당 지역

인구 식량을 전부 제외한 나머지 잉여가 수출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력

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청말민국기에는 호남의 내부 외부에

서 미곡에 대한 유효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것이 米価 상승의 한 요인

이었다

화폐 문제에 있어 화폐 수량의 증가가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것

은 상식이다 종래 아편전쟁 전후 은의 해외 유출 증가가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을 초래하여 물가 상승과 인민의 빈곤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지방지 등의 史料에서 검토한 결과 은전비가는 도광함풍초의

일시적 상승 후에 함풍 7년 이후는 도리어 하락하고 있다 同治 년간

에 대부분 1兩 1300文 수준에서 안정되고 있다 光緖末宣統년간에도

1600-1700文 수준으로 도광함풍 초보다는 낮은 편이다 청말민국시

기에 화폐의 남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한계를 넘었을 때 시장의 통용

거부로 마침내 중단되고 있다 청말민국기에 외국 銀元의 유입과 국내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7의 銀元 주조 銅元 지폐 외에 鈔票 市票 등 화폐 시장에 투입된 화

폐량은 엄청나게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로서는 어느 정

도 시장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외 교역과 상품량의

증대 경제 활동 인구의 증대 미곡 생산 및 농산품 생산의 증대로 화

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것이 화폐량의 막대한 증가와 유

통속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

었다고 생각된다 즉 안정 속의 물가 상승이 유도된 것이다

공급면에서 보면 대외 교역을 통한 서양 상품의 수입은 전체로서는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물건의 공급 증가를 통해서

혹은 국내 상품과의 경쟁 때문에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었

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침략과 물가 폭등이라는 도식적

견해와 달리 현실에서는 물가 억제 작용도 있었던 것이다

물가와 경기면에서 보면 물가가 비쌀 때 호경기가 많은 것은 사실

이다 그런데 lsquo穀賤rsquo 현상이 불황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서 長沙 지역의 경우를 검토해 보았다 도광함풍 년간까지 lsquo穀賤rsquo현상

과 불경기적 상황에 대한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동치광서 년간에는

米価가 등귀한 시점인데 이 시기는 紅茶業의 번성이나 각종 수공업의

번성으로 好況의 면모가 보이고 있다 민국 시기에는 민국 중기에 lsquo穀

賤rsquo의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史料上에 민국 중기의 lsquo穀賤rsquo은 임금이나

다른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다 물가 상승기와 好況

이 맞물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민국 중기는 lsquo穀賤rsquo 현상과 서로 어긋

나는 것이다 이 시기의 不況 서술은 농촌의 농민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표시이다

생활 수준에 대한 지방지 기록 등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주민들의

洋貨 사용이 보편화되고 의복 음식 주거 등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것

을 지적하고 있다 물가는 상승하였지만 同治 이전에 비하여 분명히

사치품의 소비 증대와 中人의 집도 소비 수준이 제고된 것이 드러나고

있다 민중의 빈곤은 있으나 이 시기 빈부 격차가 커지고 생활 수준의

격차가 커진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48: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6고 1912-1921년 사이에 75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닭은 각 50와 44

상승했다 청말은 31년간의 수치이고 민국 전기는 9년간이니 물가의

상대적 급등을 알 수 있다 1926에서 1936년까지 10년간 돼지 고기 값

은 변동이 없다 草魚도 같은 수준이다 洋紗는 1931년까지 변동이 없

다가 1936년에 약간 상승하고 있다 민국 중기의 물가는 상대적 안정

세를 보이고 있다 민국 중기의 米価가 일부 lsquo穀賤rsquo 현상을 보인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음으로 물가 변동의 원인에 대해서는 군벌간의 전쟁이나 정치적

혼란 등 정치 군사적 요인을 제외하고 대체로 검토해 보았다

수요 측면에서는 湖南米의 유통이 호남 내부의 인구 증가에도 불구

하고 양자강 하류 지역으로의 移出이 지속된 것이 米価 상승의 한 원

인이었다 上海나 武漢 등의 도시화와 인구집중은 이들 지역 양식 수

요를 폭증시켰다 일부 洋米 수입에도 불구하고 湖南米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으로써 米価를 상승시켰다 또 장사를 비롯한 각지의 새로운 수

공업 산업의 발달로 비농업 인구가 증가하고 이들이 구매력을 가진 유

효수요로 성장하여 米価 상승을 유도하였다 양식의 이출은 해당 지역

인구 식량을 전부 제외한 나머지 잉여가 수출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력

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청말민국기에는 호남의 내부 외부에

서 미곡에 대한 유효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것이 米価 상승의 한 요인

이었다

화폐 문제에 있어 화폐 수량의 증가가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것

은 상식이다 종래 아편전쟁 전후 은의 해외 유출 증가가 lsquo銀貴錢賤rsquo

현상을 초래하여 물가 상승과 인민의 빈곤을 가져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지방지 등의 史料에서 검토한 결과 은전비가는 도광함풍초의

일시적 상승 후에 함풍 7년 이후는 도리어 하락하고 있다 同治 년간

에 대부분 1兩 1300文 수준에서 안정되고 있다 光緖末宣統년간에도

1600-1700文 수준으로 도광함풍 초보다는 낮은 편이다 청말민국시

기에 화폐의 남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한계를 넘었을 때 시장의 통용

거부로 마침내 중단되고 있다 청말민국기에 외국 銀元의 유입과 국내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7의 銀元 주조 銅元 지폐 외에 鈔票 市票 등 화폐 시장에 투입된 화

폐량은 엄청나게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로서는 어느 정

도 시장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외 교역과 상품량의

증대 경제 활동 인구의 증대 미곡 생산 및 농산품 생산의 증대로 화

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것이 화폐량의 막대한 증가와 유

통속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

었다고 생각된다 즉 안정 속의 물가 상승이 유도된 것이다

공급면에서 보면 대외 교역을 통한 서양 상품의 수입은 전체로서는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물건의 공급 증가를 통해서

혹은 국내 상품과의 경쟁 때문에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었

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침략과 물가 폭등이라는 도식적

견해와 달리 현실에서는 물가 억제 작용도 있었던 것이다

물가와 경기면에서 보면 물가가 비쌀 때 호경기가 많은 것은 사실

이다 그런데 lsquo穀賤rsquo 현상이 불황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서 長沙 지역의 경우를 검토해 보았다 도광함풍 년간까지 lsquo穀賤rsquo현상

과 불경기적 상황에 대한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동치광서 년간에는

米価가 등귀한 시점인데 이 시기는 紅茶業의 번성이나 각종 수공업의

번성으로 好況의 면모가 보이고 있다 민국 시기에는 민국 중기에 lsquo穀

賤rsquo의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史料上에 민국 중기의 lsquo穀賤rsquo은 임금이나

다른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다 물가 상승기와 好況

이 맞물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민국 중기는 lsquo穀賤rsquo 현상과 서로 어긋

나는 것이다 이 시기의 不況 서술은 농촌의 농민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표시이다

생활 수준에 대한 지방지 기록 등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주민들의

洋貨 사용이 보편화되고 의복 음식 주거 등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것

을 지적하고 있다 물가는 상승하였지만 同治 이전에 비하여 분명히

사치품의 소비 증대와 中人의 집도 소비 수준이 제고된 것이 드러나고

있다 민중의 빈곤은 있으나 이 시기 빈부 격차가 커지고 생활 수준의

격차가 커진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49: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7의 銀元 주조 銅元 지폐 외에 鈔票 市票 등 화폐 시장에 투입된 화

폐량은 엄청나게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체로서는 어느 정

도 시장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외 교역과 상품량의

증대 경제 활동 인구의 증대 미곡 생산 및 농산품 생산의 증대로 화

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것이 화폐량의 막대한 증가와 유

통속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

었다고 생각된다 즉 안정 속의 물가 상승이 유도된 것이다

공급면에서 보면 대외 교역을 통한 서양 상품의 수입은 전체로서는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물건의 공급 증가를 통해서

혹은 국내 상품과의 경쟁 때문에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었

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국주의 침략과 물가 폭등이라는 도식적

견해와 달리 현실에서는 물가 억제 작용도 있었던 것이다

물가와 경기면에서 보면 물가가 비쌀 때 호경기가 많은 것은 사실

이다 그런데 lsquo穀賤rsquo 현상이 불황이라는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서 長沙 지역의 경우를 검토해 보았다 도광함풍 년간까지 lsquo穀賤rsquo현상

과 불경기적 상황에 대한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동치광서 년간에는

米価가 등귀한 시점인데 이 시기는 紅茶業의 번성이나 각종 수공업의

번성으로 好況의 면모가 보이고 있다 민국 시기에는 민국 중기에 lsquo穀

賤rsquo의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 史料上에 민국 중기의 lsquo穀賤rsquo은 임금이나

다른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다 물가 상승기와 好況

이 맞물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민국 중기는 lsquo穀賤rsquo 현상과 서로 어긋

나는 것이다 이 시기의 不況 서술은 농촌의 농민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표시이다

생활 수준에 대한 지방지 기록 등을 보면 청말 민국기에 주민들의

洋貨 사용이 보편화되고 의복 음식 주거 등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것

을 지적하고 있다 물가는 상승하였지만 同治 이전에 비하여 분명히

사치품의 소비 증대와 中人의 집도 소비 수준이 제고된 것이 드러나고

있다 민중의 빈곤은 있으나 이 시기 빈부 격차가 커지고 생활 수준의

격차가 커진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50: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38(中文摘要)

清末民国时期湖南长沙之米价和物价动向

田 炯 权

到目前为止 我们对清末民国时期 特别是从同治(1862-74)以后到民国

中期的1936年的米价和物价变动 物价变动的原因 物价和生活景气作了考

察分析

米价变动在短期变动方面 除了在战争或者天灾等特殊情况以外 民国中

期的季节变动幅比光绪年间向缩小的方向进行着 在湖南地区 缓和米价季

节变动的杂粮栽培大部分是在同治年间普及并扩大 由于交通和商业的发

达 从清末到民国期 季节变动幅度越来越小

在长期变动方面 从长沙府县和醴陵县的物价变动等来看 总体上是上涨

趋势 呈现出道光咸丰时期的低米价同治年间的高米价光绪前半的

低米价光绪后半到宣统年间的高米价民国前期的高米价民国中期的

低米价的起落形势

民国中期的米价在长沙8个年度的米价趋势之中 呈现出稳定的上涨趋势

不但名目上的数值 而且以米价的相对物价的实质购买力也在宣统民国

元年期间急速上涨 在民国时期虽然反复起落 但民国25年与光绪4年比较

起来却保持着不变或者上涨趋势

虽然物价变动随着各个商品产生偏差 但跟米价表现着完全不一样的轨

迹 物价跟米价大部分呈现出连动关系 1898年的物价短期变动幅特别小

所以本人对于当时物价调查报告的准确性产生了怀疑 在1935年的长沙物

价短期变动中 从变动幅度达到100以上的夏布毛笔面粉棉布等

50以上的鸭毛黑铅火柴国产电池等 40以上的肥皂等 可以知道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51: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價와 物價動向 (田炯權) 139短期变动幅比米价更大 我认为引起这个现象的原因是这些物品的需求量

比米谷的需求量的弹性更大

如所前述 物价的长期变动跟米价总体上呈现出相似的轨迹 从清末经过

民国前期 物价上涨幅越来越明显 更仔细得来看 民国前期的物价上涨幅

度比清末更大 比如说 猪肉价格从1878年到1909年之间上涨了273

1912-1921年之间上涨了75 同一时期 鸡肉价格各上涨了50和44 清

末显示的是31年间的数值 而民国前期却显示的是9年间的数值 由此可以

知道物价的相对暴涨 从1926年到1936年的10年间 猪肉价格没有发生变

动 草鱼也同样没变 到1931年洋纱的价格没有发生变动 1936年稍微有所

上涨 民国中期的物价呈现出相对稳定局势 这个现象是跟民国中期的米价

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一脉相同

下面 对物价变动的原因除了军阀间的战争或者政治的混乱等政治和军

事原因之外 对其他原因做了分析

从需求方面看 尽管湖南本地的人口增加 湖南米仍向长江下流地区的继

续输出是米价上涨的重要原因之一 上海或者武汉等地的城市化和人口集

中使这个地区粮食需求剧增 虽然有若干的洋米进口 但是对湖南米的需求

仍然增加 使得米价上涨 并且由于以长沙为主的各地新手工业 产业的发

达增加了非农业人口 他们自身具有的购卖力使得有效需求持续成长 最终

诱导了米价上涨 粮食的出口不是完全除外当该地区人口食粮的剩余部分

的出口 而是向购买力高的地方移动 清末民国时期 在湖南的内部外部

增加了对米谷的有效需求 这是米价上涨的一个原因

从货币问题看 众所周知 货币数量的增加引起物价上涨 直到现在 我

们认为鸦片战争前后银两海外流出量的增加导致了lsquo银贵钱贱rsquo现象以及物价

上涨和人民贫困 但是从地方志等史料分析结果看 银钱比价在道光咸丰

初暂时上涨之后 从咸丰7年以后反而下落了 同治年间1两等于1300文 到

了光绪末宣统年间在1600-1700文左右 比光绪咸丰更低 清末民国时

期 货币滥发 但是超过界限的时候 由于市场的通用拒绝使得货币滥发终

于中断 清末民国时期 由于外国银元的流入和国内的银元铸造铜元纸

币外的钞票及市票等 实际上投入货币市场的货币量大量增大 可是从总体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

Page 52: webbuild.knu.ac.kr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4...92 ´³· fùßU D@#Zf=¼pàoWÊág?Q;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140上来说 我认为市场秩序维持得比较稳定 由于对外贸易和商品量的增大

经济活动人口的增大米谷生产及农产品产生的增大 所以对货币的需要

也急增 因此 我认为不管货币量的巨大增加和流通速度的进展如何 多少

可以缓和物价上涨幅度 也就是说在稳定之中诱导了物价上涨

从供应方面来看 我们可以发现 一方面通过对外贸易 西洋商品的进口

总体上牵引了物价上涨 另一方面通过物品供应的增加或者跟国内商品的

竞争使物价上涨得到了缓和 这跟帝国主义侵略和物价暴腾的公式化观点

不一样 物品供应的增加在实际上也起到了物价抑制的功能 从物价和景气

方面来看 物价贵的时候 生活水平比较高 但是 lsquo谷贱rsquo现象又是生活不景

气的一个表现 而之前我们用这个观点来分析了长沙地区 道光咸丰年

间 lsquo谷贱rsquo现象生活不景气的事实很明显 在同治光绪年间 是米价涨价

的时刻 由于红茶的繁盛或者各种手工业的繁盛 这个时期呈现生活景气的

好面貌 民国时期 在民国中期呈现出lsquo谷贱rsquo现象 在史料上的民国中期的

lsquo谷贱rsquo跟赁金或者别的物价上涨形成对照 物价上涨期和生活景气实际上并

行着 在民国中期跟lsquo谷贱rsquo现象呈现出互相违背

从生活水平方面看 通过地方志的记录可知 清末民国期 居民普遍使用

洋货 衣食住等生活水平提高了 虽然物价上涨 但是比同治以前明显呈现

出奢侈品的消费增加和中人家的消费水平的提高 我认为虽然民众的贫困

存在 但是这个时期贫富差距越来越大 因此生活水平的差距也越来越大

주제어 미가 물가 단기변동 장기 변동 구매력

關鍵詞 米價 物價 短期變動 長期 變動 購買力

Keywords rice price prices of commodities short term flucutation long term

flucutation purchase power

(원고접수 2012년 6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8월 10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