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일 저류층 물성 및 수압파쇄 조건에 따른 생산감퇴곡선 인자 ... · 2020. 3....

10
223 셰일가스(shale gas)는 유체투과도가 매우 낮은 치밀한 암체에 존재하며, 지질학적으로 광범위하게 부존되어 있 는 신석유자원(unconventional petroleum resources) 중 비 교적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다(Kim et al., 2014). 과거에는 상업성이 낮아 셰일 저류층의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수평정 시추, 수압파쇄(hydraulic fracturing) 등과 같이 생 산성을 증대시키는 기술의 발달로 개발단가가 크게 낮아져 상업적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Shin et al., 2012). 21세기 에 들어 북미지역을 중심으로 셰일가스 개발이 활성화되어 셰일가스 혁명으로 일컬어질 만큼 전 세계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Jang et al., 2013), 향후 석유가격에 따라 개발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있는 매우 중요한 석유자원으로 인식 되고 있다. 셰일가스 개발을 위해서는 해당 지역의 평가작업에 의한 궁극가채량(estimated ultimate recovery; EUR) 추정이 필 수적이다. 궁극가채량이란 생산종료 시점까지 상업적인 생산이 가능한 자원량으로(Sung et al., 2009) 이를 추정하 기 위해서 경제적인 요소 외에 생산기간에 따른 셰일가스 의 생산거동이 중요하다. 현장에서는 주변 생산정의 생산 거동과 유사할 것으로 예상하는 경우가 많으나, 각 생산정 의 생산거동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생산거 셰일 저류층 물성 및 수압파쇄 조건에 따른 생산감퇴곡선 인자 영향 분석 강판상 1) · 신효진 1) · 임종세 1) * Effect of Shale Reservoir Property and Condition of Hydraulic Fracture on Decline Curve Analysis Factor Pan-Sang Kang, Hyo-Jin Shin, and Jong-Se Lim* ( Received 31 March 2017; Final version Received 22 June 2017; Accepted 22 June 2017) Abstract : As technology advances,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in developing shale gas. Analysis and estimation of shale gas production behavior are necessary for shale gas development. In this paper, simulation of shale gas production was performed depending on reservoir properties (porosity and permeability of matrix and natural fracture) and condition of hydraulic fracture (half-length and spacing). The effect of reservoir properties and the condition of hydraulic fracture on production behavior of shale gas were examined. Decline curve analysis (DCA) factors, which represent production behavior of shale gas, were derived by matching process between DCA and simulation result. The variation of shale gas production behavior was understood by analyzing the variation of DCA factors. The qualitative relationship between influential parameters (reservoir properties and the condition of hydraulic fracture) and production behavior of shale gas was identified and the degree of influence by each parameter was analyzed. Key words : Shale gas, Production behavior, Simulation, Decline curve analysis (DCA) 약 : 신기술의 개발에 따라 유체투과도가 매우 낮은 셰일 저류층에 부존되어 있는 가스 자원개발이 큰 관심을 받 고 있다. 셰일가스 개발을 위해서는 셰일가스 생산거동 분석과 추정이 필수적이므로 이 연구에서는 셰일 저류층 물성 과 수압파쇄 조건이 셰일가스 생산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셰일 저류층 모델을 이용하여 저류층 물성(암체와 자연균열의 공극률, 유체투과도), 수압파쇄 조건(수압파쇄균열 길이, 간격)에 따른 셰일가스 생 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저류층 물성과 수압파쇄 조건에 따라 생산거동 특성을 나타내는 생산감퇴곡선분석기 법의 인자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셰일가스 생산거동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저류층 물성, 수압파쇄 조건과 셰일 가스 생산거동 간의 관계를 파악하였고 각각의 영향 요소가 셰일가스 생산거동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도출하였다. 주요어 : 셰일가스, 생산거동, 시뮬레이션, 생산감퇴곡선분석 1) 한국해양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Corresponding Author(임종세) E-mail; [email protected] Address; Dept. of Energy & Resources Engineering,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Busan, Korea ISSN 2288-0291(print) ISSN 2288-2790(online) 한국자원공학회지 J. Korean Soc. Miner. Energy Resour. Eng. Vol. 54, No. 3 (2017) pp. 223-232, https://doi.org/10.12972/ksmer.2017.54.3.223 연구논문

Upload: others

Post on 26-Jan-2021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223

    서 론

    셰일가스(shale gas)는 유체투과도가 매우 낮은 치밀한

    암체에 존재하며, 지질학적으로 광범위하게 부존되어 있

    는 신석유자원(unconventional petroleum resources) 중 비

    교적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다(Kim et al., 2014). 과거에는

    상업성이 낮아 셰일 저류층의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수평정 시추, 수압파쇄(hydraulic fracturing) 등과 같이 생

    산성을 증대시키는 기술의 발달로 개발단가가 크게 낮아져

    상업적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Shin et al., 2012). 21세기

    에 들어 북미지역을 중심으로 셰일가스 개발이 활성화되어

    ‘셰일가스 혁명’으로 일컬어질 만큼 전 세계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Jang et al., 2013), 향후 석유가격에 따라 개발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있는 매우 중요한 석유자원으로 인식

    되고 있다.

    셰일가스 개발을 위해서는 해당 지역의 평가작업에 의한

    궁극가채량(estimated ultimate recovery; EUR) 추정이 필

    수적이다. 궁극가채량이란 생산종료 시점까지 상업적인

    생산이 가능한 자원량으로(Sung et al., 2009) 이를 추정하

    기 위해서 경제적인 요소 외에 생산기간에 따른 셰일가스

    의 생산거동이 중요하다. 현장에서는 주변 생산정의 생산

    거동과 유사할 것으로 예상하는 경우가 많으나, 각 생산정

    의 생산거동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생산거

    셰일 저류층 물성 및 수압파쇄 조건에 따른 생산감퇴곡선 인자 영향 분석

    강판상1) ·신효진1) ·임종세1)*

    Effect of Shale Reservoir Property and Condition of Hydraulic Fracture

    on Decline Curve Analysis Factor

    Pan-Sang Kang, Hyo-Jin Shin, and Jong-Se Lim*

    (Received 31 March 2017; Final version Received 22 June 2017; Accepted 22 June 2017)

    Abstract : As technology advances,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in developing shale gas. Analysis and estimation

    of shale gas production behavior are necessary for shale gas development. In this paper, simulation of shale gas

    production was performed depending on reservoir properties (porosity and permeability of matrix and natural fracture)

    and condition of hydraulic fracture (half-length and spacing). The effect of reservoir properties and the condition of

    hydraulic fracture on production behavior of shale gas were examined. Decline curve analysis (DCA) factors, which

    represent production behavior of shale gas, were derived by matching process between DCA and simulation result. The

    variation of shale gas production behavior was understood by analyzing the variation of DCA factors. The qualitative

    relationship between influential parameters (reservoir properties and the condition of hydraulic fracture) and production

    behavior of shale gas was identified and the degree of influence by each parameter was analyzed.

    Key words : Shale gas, Production behavior, Simulation, Decline curve analysis (DCA)

    요 약 : 신기술의 개발에 따라 유체투과도가 매우 낮은 셰일 저류층에 부존되어 있는 가스 자원개발이 큰 관심을 받

    고 있다. 셰일가스 개발을 위해서는 셰일가스 생산거동 분석과 추정이 필수적이므로 이 연구에서는 셰일 저류층 물성

    과 수압파쇄 조건이 셰일가스 생산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셰일 저류층 모델을 이용하여

    저류층 물성(암체와 자연균열의 공극률, 유체투과도), 수압파쇄 조건(수압파쇄균열 길이, 간격)에 따른 셰일가스 생

    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저류층 물성과 수압파쇄 조건에 따라 생산거동 특성을 나타내는 생산감퇴곡선분석기

    법의 인자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셰일가스 생산거동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저류층 물성, 수압파쇄 조건과 셰일

    가스 생산거동 간의 관계를 파악하였고 각각의 영향 요소가 셰일가스 생산거동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도출하였다.

    주요어 : 셰일가스, 생산거동, 시뮬레이션, 생산감퇴곡선분석

    1) 한국해양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Corresponding Author(임종세)

    E-mail; [email protected]

    Address; Dept. of Energy & Resources Engineering,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Busan, Korea

    ISSN 2288-0291(print)

    ISSN 2288-2790(online)

    한국자원공학회지 J. Korean Soc. Miner. Energy Resour. Eng.

    Vol. 54, No. 3 (2017) pp. 223-232, https://doi.org/10.12972/ksmer.2017.54.3.223

    연구논문

  • 강판상 · 신효진 · 임종세

    한국자원공학회지

    224

    동은 셰일가스가 부존되어 있는 저류층 물성과 이를 생산

    하기 위해 적용하는 수압파쇄 조건에 따라 달라지므로 각

    요소들이 셰일가스 생산거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이 필요하

    다. Osholake(2010)는 수압파쇄 조건과 프로판트(proppant)

    적용 조건이 셰일가스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Wang(2014)은 저류층 물성과 수압파쇄 조건이 셰일가스

    생산량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주요 영향요소를 도출하

    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존 연구들은 셰일가스 생산량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수행하였으나 현장에서 효율적인 생산운영을 위해서는 생

    산거동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현장에서는 과거의 셰

    일가스 생산자료를 이용해 향후 생산거동을 추정하는 생산

    감퇴곡선분석기법(decline curve analysis; DCA)을 주로

    활용하고 있다. 각 생산감퇴곡선 인자들은 셰일가스 생산

    거동의 특성을 나타내므로 저류층과 수압파쇄 조건에 따른

    생산감퇴곡선 인자 변화 분석 연구가 중요하나 아직 연구

    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이 논문에서는 각 요소들이 생산감

    퇴곡선 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Fig. 1과 같이 저류층 물성과 수압파쇄 조건에 따른 셰일

    가스 생산자료 확보를 위해 셰일 저류층을 모사하였다. 특

    정 현장의 저류층 조건을 모사할 경우 연구결과 활용에 더

    현실성이 있을 수 있으나, 대상 현장의 특성이 일반적이지

    않다면 오히려 다른 현장의 연구결과를 참고할 경우 그 범

    용도가 낮아진다. 또한, 저류층 시뮬레이션에 사용될 수 있

    는 현장 자료를 모두 확보한 경우는 극히 드물다. 이 연구에

    서는 저류층 물성과 수압파쇄 조건에 따른 생산감퇴곡선

    인자의 변화 경향을 분석하는 것이 주요 목표이므로 저류

    층 모델링 수행 시 특정 현장을 가정하지 않고 여러 현장에

    서의 정보를 조사하여 반영하였다. 상용 소프트웨어인

    CMG사의 GEM을 이용하여 저류층 물성과 수압파쇄 조건

    에 따른 셰일가스 생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시뮬레

    이션 결과인 생산 자료에 생산감퇴곡선분석기법을 적용하

    여 비선형회귀분석(nonlinear regression)을 통해 적합한

    생산감퇴곡선 인자를 도출하였으며, 저류층 물성과 수압

    파쇄 조건에 따른 생산감퇴곡선 인자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셰일 저류층 모델링

    대부분의 셰일 저류층은 자연균열(natural fracture)이 존

    재하는 균열 저류층이므로(Wang, 2014), 균질한 균열 저

    류층을 Fig. 2와 같이 만들어 물과 메탄가스(CH4)가 존재

    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사용된 균열 저류층 모델은 이원

    유체투과도(dual permeability) 모델로 저류층 몸체가 되는

    암체(matrix)와 자연균열로 구성되어 있다. 저류층 모델은

    5개의 층으로 구성하였고, 중간층인 3번째 층에 수평정과

    수압파쇄가 적용된 상태를 모사하였다. 저류층 모델을 만

    들 시 입력 값은 Tables 1, 2와 같다. Langmuir 부피는 암석

    에 흡착될 수 있는 최대 가스부피이며, Langmuir 압력은 흡

    착된 가스부피가 Langmuir 부피의 절반이 되는 압력조건이

    다(Langmuir, 1918). 가스 용적계수(gas formation volume

    factor)는 CMG의 유체물성 라이브러리 내 저장된 메탄가

    스 물성 정보를 사용하였다. 수압파쇄 조건은 Fig. 3과 같이

    수압파쇄균열 길이, 간격을 고려하였다. Table 2를 참고하

    여 기준(base case) 조건에서 저류층 물성과 수압파쇄 조건

    Fig. 1. Workflow of this research.

    Fig. 2. Reservoir model.

    Fig. 3. Illustration of hydraulic fracture condition.

  • 셰일 저류층 물성 및 수압파쇄 조건에 따른 생산감퇴곡선 인자 영향 분석

    제54권 제3호

    225

    이 각각 변할 경우에 대해 10년간 셰일가스 생산이 되도록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생산감퇴곡선분석기법

    생산감퇴곡선분석기법은 과거의 셰일가스 생산자료로

    부터 초기생산량(initial production rate), 초기감퇴율(initial

    decline rate), 감퇴지수(decline exponent)와 같은 생산감

    퇴곡선 인자를 구하고, 이를 적용해 향후 생산거동을 예측

    을 하는 목적으로 현재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

    법이 가능한 이유는 생산감퇴곡선 인자가 대상 셰일가스

    생산거동의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시

    뮬레이션을 이용해 셰일가스 생산자료를 얻고 생산감퇴가

    발생하기 시작하는 시점의 생산량을 초기생산량으로 선정

    하였다. 초기생산량 이후의 생산량 자료는 생산량 자료와

    추정된 자료의 편차 제곱합이 최소가 되는 값을 추출하는

    Hougen-Watson 모델(Bates and Watts, 1988)을 이용하여

    생산감퇴곡선 인자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저류층 물성

    과 수압파쇄 조건에 따른 생산감퇴곡선 인자 변화를 파악

    하고자 하였다. 사용한 생산감퇴곡선분석기법은 현장에서

    널리 활용되는 모델 중 하나인 Arps(1945) 쌍곡선 함수로

    다음 식 (1)을 사용하였다.

    (1)

    : decline exponent

    : initial decline rate

    : production rate

    : initial gas rate

    생산감퇴곡선 인자 중 초기감퇴율 값이 커질수록 초기의

    생산감퇴가 급격히 발생하고 감퇴지수 값이 커질수록 후반

    부로 가는 생산거동이 점차 완만해진다(Fig. 4). 이와 같이

    Table 2. Input data for reservoir properties and hydraulic fracture conditions

    ParameterInput data of

    base case

    Range of Each

    ParameterRefernece

    Reservoir

    Properties

    Matrix porosity, % 8 2~16 Uzoh et al., 2010

    Natural fracture porosity, % 1.5 0.1~3 Uzoh et al., 2010

    Matrix permeability, md 1×10-4 1×10-2~1×10-7 Uzoh et al., 2010

    Natural fracture permeability, md 1×10-3 1×10-4~3 Uzoh et al., 2010

    Hydraulic

    Fracture

    Conditions

    Hydraulic fracture spacing, ft 400 200~600 Uzoh et al., 2010

    Hydraulic fracture half length, ft 300 100~500 Wang, 2014

    Table 1. Setup information of shale reservoir model

    Parameter Value

    Grid number (x, y, z) 50, 50, 5

    Grid size (x, y, z), ft 100, 100, 30

    Reservoir pressure, psi6,000 at 7,000 ft(3,000~8,000,

    Uzoh et al., 2010)

    Local grid refinement around

    hydraulic fracture (x, y, z)7, 7, 1

    Rock compressibility, psi-15×10-5

    (5×10-5~5×10-3,

    Uzoh et al., 2010)

    Sigma factor modelGK model

    (Gilman and Kazemi, 1983)

    Gas adsorption model

    Extended Langmuir’s isotherm model

    (Arri et al., 1992; Hall et al., 1994)

    Langmuir volume, scf/ton150

    (60~380, Dong et al., 2014; Rezaee, 2015)

    Langmuir pressure, psi

    1,000(850~1,241,

    Dong et al., 2014; Rezaee, 2015)

    Intrinsic permeability of

    hydraulic fracture, md

    300(15.02~600.6,

    Uzoh et al., 2010)

    Width of hydraulic

    fracture, ft

    0.333(Uzoh et al., 2010)

    Initial gas saturation 0.8

    Initial water saturation 0.2

    Boundary condition no flux boundary

    Production conditionMinimum bottom hole

    pressure 500 psi

  • 강판상 · 신효진 · 임종세

    한국자원공학회지

    226

    생산 초기의 생산량 감퇴는 초기감퇴율, 그 이후의 생산량

    감퇴는 감퇴지수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기준 조건에서 생산량 자료와 Arps 쌍곡선 함수를 이용

    한 결과는 Fig. 5와 같이 잘 맞는 것을 확인하였다.

    영향정도 분석

    각각의 저류층 물성과 수압파쇄 조건이 셰일가스 생산거

    동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각 요소 값의 범위

    는 동일하게 설정하였다. Table 1과 같이 저류층 물성과 수

    압파쇄 조건의 범위가 다르므로 다음 식 (2)를 사용하여 저

    류층 물성과 수압파쇄 조건의 범위를 1~100으로 정규화

    (normalization or feature scaling) 하였다.

    max

    min

    min

    (2)

    : lowest value for normalization

    : highest value for normalization

    ′ : normalized value

    : value of each parameter

    (reservoir and hydraulic fracture)

    max

    : highest value of each parameter

    (reservoir and hydraulic fracture)

    min

    : lowest value of each parameter

    (reservoir and hydraulic fracture)

    선형, 지수, 자연로그 함수를 적용하여 저류층 물성, 수압

    파쇄 조건의 정규화된 값과 생산감퇴곡선 인자의 관계가

    나타나는 함수를 선정하였고 이를 적용하여 저류층 물성과

    수압파쇄 조건 각각이 셰일가스 생산거동에 미치는 영향정

    도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Table 2를 참고하여 저류층 물성(암체, 자연균열의 공극

    률, 유체투과도)과 수압파쇄 조건(수압파쇄균열 길이와 간

    격)이 변함에 따른 셰일가스 생산거동 변화를 파악하였다.

    이를 생산감퇴곡선분석기법에 적용하여 도출된 각 생산감

    퇴곡선 인자를 다음과 같이 나타내었다.

    암체 및 자연균열 공극률

    암체 공극률에 따른 초기감퇴율(Fig. 6(a)), 감퇴지수

    (Fig. 6(b))를 나타내었다. 암체 공극률이 크면 초기감퇴율

    이 작아졌고 감퇴지수가 커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와 같은

    경향은 생산시기 초, 중기에 셰일가스 생산량 감퇴가 완만

    해지는 것을 의미하므로 암체 공극률이 크면 생산에 우호

    적인 조건이나 Fig. 6(a)와 같이 초기생산 감퇴에는 큰 영향

    이 없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자연균열 공극률에 따른 셰일가스 생산거동 분석결과

    (Fig. 7) 초기감퇴율이 증가하고 감퇴지수가 다소 증가하는

    (a) initial decline rate (b) decline exponent

    Fig. 4. Variation of production behavior depending on Arps parameter (Kang et al., 2016).

    Fig. 5. Production data(dot) and estimated production data

    (line) using Hougen-Watson model and Arps equation in base

    case.

  • 셰일 저류층 물성 및 수압파쇄 조건에 따른 생산감퇴곡선 인자 영향 분석

    제54권 제3호

    227

    경향이 있었다. Fig. 7(b)와 같이 감퇴지수에 대한 영향은

    작았고 암체 공극률의 경우보다 초기감퇴율에 다른 영향을

    미치고 영향정도도 큰 것으로 판단한다.

    초기감퇴율의 경향이 암체 공극률과 다른 그 원인을 분

    석하고자 암체와 자연균열 공극률에 따른 초기생산량 변화

    그래프를 도시하였다(Fig. 8). 그 결과 자연균열 공극률 변

    화에 따른 초기생산량 변화가 암체 공극률 경우 보다 큰 것

    을 확인하였다. 초기생산량의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

    은 수평정과 수압파쇄 등에 의한 자극(stimulated)영역 주

    위의 부존 가스 생산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

    다. 그러므로 자연균열 공극률이 커지면 암체 공극률보다

    자극영역 주위 가스 생산을 가속화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자연균열 공극률이 크면 초기에 많은 양의 가스 생산

    이 이루어지나 자극영역과 먼 위치의 부존 가스 생산에는

    (a) initial decline rate (b) decline exponent

    Fig. 6. Variation of DCA factors depending on matrix porosity (color filled lozenge: base case).

    (a) initial decline rate (b) decline exponent

    Fig. 7. Variation of DCA factors depending on natural fracture porosity (color filled lozenge: base case).

    Fig. 8. Comparison of initial gas rate between natural fracture

    and matrix porosity. Fig. 9. 3rd layer of reservoir model.

  • 강판상 · 신효진 · 임종세

    한국자원공학회지

    228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았다. 이로 인해 자극영역 주위로 이

    동하는 가스양이 적어 초기생산 감퇴가 커지고, Fig. 7(b)와

    같이 후반부 생산거동에는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유추

    할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Fig. 9와 같이 2개의 위치에서 생산

    종료 시점(생산 시작 후 10년)에서 가스포화도를 파악하였

    다. 이 논문에서 분석한 암체와 자연균열 공극률이 각각

    14%와 3% 조건에서 위치에 따른 가스포화도는 Fig. 10과

    같다. 자극영역 근처의 있는 ① 위치에서는 자연균열 공극

    률의 경우 암체 공극률의 경우보다 가스포화도가 낮은 반

    면 ② 위치에서는 가스포화도 차이가 거의 없었다.

    암체 및 자연균열 유체투과도

    암체 유체투과도에 따른 셰일가스 생산거동 분석결과 암

    체 유체투과도가 크면 초기감퇴율이 증가하고 감퇴지수가

    감소하였다(Fig. 11). 자연균열 유체투과도가 크면 초기감

    퇴율과 감퇴지수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Fig. 12).

    Table 2와 같이 셰일 암체 유체투과도의 범위는 1×10-2~

    1×10-7 md이고 기준 조건의 자연균열 유체투과도는 1×10-3

    md이다. 암체가 자연균열 유체투과도보다 크면 비현실적

    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으므로 이 연구에서 분석한 암체 유

    체투과도 범위는 1×10-3~1×10-7 md 이다. 암체에 비해 자연

    균열 유체투과도에 따른 생산감퇴곡선 인자 변화가 큰 것

    을 확인할 수 있다. 암체와 자연균열 유체투과도에 따른 초

    기생산량 변화는 Fig. 13과 같다. 암체와 자연균열 유체투

    과도 범위가 비슷한 0.0001~0.01 md 까지의 초기생산량

    결과만 살펴보면 암체 유체투과도 변화에 따른 초기생산량

    변화가 자연균열 유체투과도 경우 보다 크다. 이를 통해 암

    체 유체투과도가 커지면 자연균열 유체투과도보다 자극영

    역 주위 가스 생산을 가속화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a) initial decline rate (b) decline exponent

    Fig. 11. Variation of DCA factors depending on matrix permeability (color filled lozenge: base case).

    (a) initial decline rate (b) decline exponent

    Fig. 12. Variation of DCA factors depending on natural fracture permeability (color filled lozenge: base case).

    Fig. 10. Gas saturation at ① and ② at Fig. 9.

  • 셰일 저류층 물성 및 수압파쇄 조건에 따른 생산감퇴곡선 인자 영향 분석

    제54권 제3호

    229

    수압파쇄균열 길이 및 간격

    수압파쇄균열이 길거나 간격이 좁으면 초기감퇴율이 감

    소하고 감퇴지수가 증가하여 셰일가스 생산거동에 서로 유

    사한 영향을 주는 것을 파악하였다(Fig. 14, 15). 수압파쇄

    균열이 길거나 간격이 좁으면 저류층자극부피(stimulated

    reservoir volume; SRV)가 증가하므로 식 (3)을 적용해 셰

    일가스 생산거동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Fig. 16). 그 결

    과 저류층자극부피와 셰일가스 생산거동에 관련이 있는 것

    을 확인할 수 있으나 수압파쇄균열 길이와 간격 각각에 따

    라 영향정도는 다른 것으로 파악하였다.

    (a) initial decline rate (b) decline exponent

    Fig. 14. Variation of DCA factors depending on hydraulic fracture half length (color filled lozenge: base case).

    (a) initial decline rate (b) decline exponent

    Fig. 15. Variation of DCA factors depending on hydraulic fracture spacing (color filled lozenge: base case).

    (a) initial decline rate (b) decline exponent

    Fig. 16. Variation of DCA factors depending on SRVsim.

    Fig. 13. Comparison of initial gas rate between natural

    fracture and matrix permeability.

  • 강판상 · 신효진 · 임종세

    한국자원공학회지

    230

    × (3)

    : applied SRV

    : SRV in base case

    저류층 물성 및 수압파쇄 조건과 셰일가스 생산거동

    관계

    저류층 물성, 수압파쇄 조건과 생산감퇴곡선 인자들의

    정성적 관계를 Table 3과 같이 파악할 수 있다.

    저류층 물성, 수압파쇄 조건의 정규화된 값과 생산감퇴

    곡선 인자는 Fig. 17과 같다. 생산감퇴곡선 인자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큰 자연균열 유체투과도와 수압파쇄균열 길

    이, 간격 분석 결과만 도시하였다. 대부분의 저류층 물성과

    수압파쇄 조건의 정규화된 값에 따른 생산감퇴곡선 인자

    변화는 선형 함수와 관계가 있었으나 자연균열 유체투과도

    의 경우 맞지 않았다. 각 요소가 생산감퇴곡선 인자 변화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동일 함수를 사용해

    야 하므로 모든 저류층 물성과 수압파쇄 조건의 정규화된

    값에 따른 생산감퇴곡선 인자 변화 경향을 나타낼 수 있는

    자연로그 함수를 식 (4)와 같이 적용하였다.

    log ′ (4)

    : value of each DCA parameter

    : coefficient

    Table 3. Qualitative relationship between DCA factors and

    reservoir properties & hydraulic fracture conditions

    ParameterInitial gas

    rate

    Initial

    decline

    rate

    Decline

    exponent

    Matrix porosity↑ ↑ ↓ ↑

    Natural fracture

    porosity↑↑ ↑ ↑

    Matrix permeability↑ ↑ ↑ ↓

    Natural fracture

    permeability↑↑ ↓ ↓

    Hydraulic fracture half

    length↑↑ ↓ ↓

    Hydraulic fracture

    spacing↓↑ ↓ ↓

    ↑ : increase ↓ : decrease

    (a) initial decline rate

    (b) decline exponent

    Fig. 17. Variations of DCA factors depending on natural

    fracture permeability & hydraulic fracture conditions (line:

    estimated data using Equ. (4)).

    (a) initial decline rate

    (b) decline exponent

    Fig. 18. Degree of effect of reservoir properties & hydraulic

    fracture conditions.

  • 셰일 저류층 물성 및 수압파쇄 조건에 따른 생산감퇴곡선 인자 영향 분석

    제54권 제3호

    231

    저류층 물성과 수압파쇄 조건에 따른 생산감퇴곡선 인자

    의 변화 정도는 식 (4)에서 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러

    므로 저류층 물성과 수압파쇄 조건 각각의 를 파악하여

    각 생산감퇴곡선 인자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Fig. 18과 같이

    도출하였다. 생산감퇴곡선 인자에 자연균열 유체투과도가

    미치는 영향정도가 가장 컸으며, 암체와 자연균열 공극률

    은 다른 요소들에 비해 영향정도가 상대적으로 작은 것을

    확인하였다. 수압파쇄균열 길이는 간격에 비해 초기생산

    감퇴율에 더 큰 영향을 미쳤으며 감퇴지수의 경우 수압파

    쇄균열 간격이 길이에 비해 더 큰 영향을 미쳤다.

    결 론

    이 연구에서는 저류층 물성과 수압파쇄 요소가 셰일가스

    생산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현장과

    연구사례를 반영한 셰일 저류층 모델을 이용하여 셰일가스

    생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셰일가스 생산거동 특성

    을 나타내는 생산감퇴곡선 인자를 도출하기 위해 생산 시

    뮬레이션 결과에 생산감퇴곡선분석기법 중 Arps 쌍곡선

    함수를 적용하였다.

    공극률, 유체투과도는 암체와 자연균열에 따라 초기감퇴

    율에 다른 영향을 미쳤다. 공극률과 유체투과도는 서로 감

    퇴지수에 다른 영향을 미쳤다. 저류층 물성, 수압파쇄 요소

    각각이 셰일가스 생산거동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분석한

    결과 생산감퇴분석 인자에 자연균열 유체투과도의 영향이

    가장 컸으며 수압파쇄균열 길이와 간격은 각각 초기감퇴율

    과 감퇴지수에 미치는 정성적 영향은 유사하여 저류층자극

    부피와 생산감퇴곡선 인자 분석에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

    악되었으나 각각의 요소에 대한 영향 정도는 다른 것으로

    파악되었다.

    현장에서는 셰일가스 생산거동 추정을 위해 생산감퇴곡

    선분석기법을 대부분 사용하나, 생산 초기의 충분하지 않

    은 생산자료 만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주변 생산정

    의 자료를 이용한 생산감퇴곡선 인자를 사용하더라도 대상

    생산정 조건이 동일하기 어려우므로 추정한 생산거동이 정

    확하지 않을 수 있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 수정이 필요한 생

    산감퇴곡선 인자 선정에 참고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사 사

    이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 자원개발특성화대학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Arps, J.J., 1945. Analysis of Decline Curves. Transactions of

    the AIME, 160(1), 228-247.

    Arri, L.E., Yee, D., Morgan, W.D., and Jeansonne, M.W.,

    1992. Modeling Coalbed Methane Production With Binary

    Gas Sorption. Proc. of SPE Rocky Regional Meeting, Casper,

    Wyoming, p.459-472.

    Bates, D.M. and Watts. D.G., 1988. Non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Its Applications (1st Ed.), Wiley & Sons., New

    York, USA, p.271-272.

    Dong, Z., Holditch, S.A., McVay, D.A., Ayers, W.B., Lee,

    W.J., and Morales, E., 2014. Probabilistic Assessment of

    World Recoverable Shale Gas Resources. Proc. of SPE/

    EAGE European Unconventional Resources Conference

    and Exhibition, Vienna, Austria.

    Gilman, J.R. and Kazemi, H., 1983. Improvements in

    Simulation of Naturally Fractured Reservoirs. SPE J., 23(4),

    695-707.

    Hall, F.E., Zhou, C., Gasem, K.A.M., Robinson Jr., R.L., and

    Yee, D., 1994. Adsorption of Pure Methane, Nitrogen, and

    Carbon Dioxide and Their Binary Mixtures on Wet

    Fruitland Coal. Proc. of SPE Eastern Regional Conference

    and Exhibition, Carleston, West Virginia, USA, p.329-344.

    Jang, I.S., Kim, H.T., and Yoon, J.P., 2013. Technology Trend

    of Shale Oil Development in North America. J. of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50(4), 581-595.

    Kang, P.S., Shin, H.J., and Lim, J.S., 2016. Relational Analysis

    Between Reservoir & Hydraulic Fracture and Production

    Behavior of Shale Gas. Proc. of 106th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Spring Conference,

    Wonju, Korea, p.95.

    Kim, J.S., Shin, H.J., and Lim, J.S., 2014. Probabilistic Decline

    Curve Analysis for Forecasting Estimated Ultimate

    Recovery in Shale Gas Play. J. of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51(6), 808-819.

    Langmuir, I., 1918. The Adsorption of Gases on Plane

    Surfaces of Glass, Mica and Platinum. J.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40(9), 1361-1403.

    Osholake, T.A., 2010. Factors Affecting Hydraulically

    Fractured Well Performance in the Marcellus Shale Gas

    Reservoirs, MS Thesis,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USA, 90p.

    Rezaee, R., 2015. Fundamentals of Gas Shale Reservoirs (1st

    Ed.), Wiley & Sons., New Jersey, USA, 399p.

    Shin, C.H., Lee, S.M., Kwon, S.I., Park, D.J., and Lee, Y.S.,

    2012. A Classification and a Survey on the Core Technology

    for Shale Gas Development. J. of the Korean Society of

  • 강판상 · 신효진 · 임종세

    한국자원공학회지

    232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49(3), 395-410.

    Sung, W.M., Kim, S.J., Lee, K.S., and Lim, J.S., 2009. Korean

    Petroleum Resources Classification System. J. of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46(4), 498-508.

    Uzoh, C., Han, J., Hu, L.W., Siripatrachai, N., Osholake, T.,

    and Chen, X., 2010. Economic Optimization Analysis of the

    Development Process on a Field in the Barnett Shale

    Formation, EME 580 Final Report. 165p.

    Wang, J., 2014. Studies of Influencing Factors for Shale Gas

    Reservoir Performance, MS Thesis, Missouri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USA, 66p.

    강 판 상

    현재 한국해양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전공 박사수료

    (本 學會誌 第52券 第5号 參照)

    임 종 세

    현재 한국해양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本 學會誌 第52券 第5号 參照)

    신 효 진

    2011년 한국해양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공학사

    2013년 한국해양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

    전공 공학석사

    현재 한국해양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전공 박사수료

    (E-mail;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