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수록논문에 대한 계량분석kostat.go.kr/attach/journal/14-01-06.pdf · 한편 위...

16
통계연구(2009), 제14권 제1호, 99-114 <통계연구>의 수록논문에 대한 계량분석 최경호 1) 유진아 2) 요약 <통계연구>는 국가경제 및 사회현상에 관한 인구 사회 경제 산업 등 각종 국가통계를 이용한 이 론적이고 실증적인 연구 분석논문과 통계이론 및 통계작성기법의 연구 개발에 관한 창의적이고 유용한 연구논문을 수록하고 있는 전문학술지이다. 창간호를 기점으로 볼 때 10여 년의 시간이 지난 시점에서, <통계연구>에 대한 현재의 모습을 정확하게 파악해 보는 것도 의미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통계연구>에 대하여 계량서지학적인 측면에서 그 특징을 분석해 보고, 나 아가 내용분석을 통하여 그 모습을 알아봄으로써 향후 전문학술지로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하 여 모색해 보았다. 그 결과 다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 내용분석을 통하여 현재 활동하고 있는 연구자들의 논문수, 전공, 직업 등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통계연구>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 로 활용될 수 있다. 둘째, 저자들의 생산성을 Lotka법칙에 의해 분석한 결과 Lotka의 상수인 =2가 수정되지 않고 그대로 적용됨을 입증하였다. 셋째, 핵심저자군을 산출하기 위해 Brookes의 그래프적 분석법을 이용하여, 전체 171명 중 핵심저자군은 12명임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인용문 헌의 이용률감소정도와 반감기를 측정한 결과, 이용률감소인자의 평균은 0.350 그리고 반감기는 3.497년으로 나타나, 반감기가 매우 빠르게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주요용어 : Lotka 법칙, Bradford 법칙, 이용률감소법칙 1. 서론 우리나라의 통계학 관련 학술저널로는 각종 학회에서 발간되는 논문집들이 있는 데, 대표적인 것들로 한국통계학회에서 발간되는 <응용통계연구>, <한국통계학회논문 집> 그리고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에서 발간되는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등이 있 다. 그러나 이들 논문집들은 모두 사단법인 형태의 학술단체에서 발간되는 것이며, 국 가기관에서 발간되는 학술저널로는 통계청의 <통계연구>가 유일하다. <통계연구>는 국가경제 및 사회현상에 관한 인구․사회․경제․산업 등 각종 국 가통계를 이용한 이론적이고 실증적인 연구․분석논문과 통계이론 및 통계작성기법의 연구․개발에 관한 창의적이고 유용한 연구 논문을 수록하고 있는 전문학술지이다. 1996년 가을에 창간호를 발간한 이래 매년 봄과 가을 2회에 걸쳐 발간되고 있는데, 2004년도 상반기에 한국학술진흥재단 등재후보 학술지에 선정되었으며, 현재는 통계 청 산하 통계개발원 연구기획실에서 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창간호를 기점으로 볼 때 10여 년의 시간이 지난바, 이제 한번쯤 뒤돌아보고 현재 의 모습을 정확하게 파악해 보는 것도 의미를 갖는다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 <통계연구>에 대하여 계량서지학적인 측면에서 특징을 분석해 보고, 나아가 1) 전주대학교 대체의학대학 기초의과학과(통계학), 교수. E-mail: [email protected] 2) 전주대학교 교양학부, 객원교수. E-mail: [email protected]

Upload: others

Post on 21-Sep-2019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통계연구(2009), 제14권 제1호, 99-114

<통계연구>의 수록논문에 대한 계량분석

최경호1) 유진아2)

요약

<통계연구>는 국가경제 및 사회현상에 관한 인구 사회 경제 산업 등 각종 국가통계를 이용한 이

론적이고 실증적인 연구 분석논문과 통계이론 및 통계작성기법의 연구 개발에 관한 창의적이고

유용한 연구논문을 수록하고 있는 전문학술지이다. 창간호를 기점으로 볼 때 10여 년의 시간이

지난 시점에서, <통계연구>에 대한 현재의 모습을 정확하게 파악해 보는 것도 의미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통계연구>에 대하여 계량서지학적인 측면에서 그 특징을 분석해 보고, 나

아가 내용분석을 통하여 그 모습을 알아봄으로써 향후 전문학술지로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하

여 모색해 보았다. 그 결과 다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 내용분석을 통하여 현재 활동하고 있는

연구자들의 논문수, 전공, 직업 등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통계연구>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

로 활용될 수 있다. 둘째, 저자들의 생산성을 Lotka법칙에 의해 분석한 결과 Lotka의 상수인

=2가 수정되지 않고 그대로 적용됨을 입증하였다. 셋째, 핵심저자군을 산출하기 위해 Brookes의

그래프적 분석법을 이용하여, 전체 171명 중 핵심저자군은 12명임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인용문

헌의 이용률감소정도와 반감기를 측정한 결과, 이용률감소인자의 평균은 0.350 그리고 반감기는

3.497년으로 나타나, 반감기가 매우 빠르게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주요용어 : Lotka 법칙, Bradford 법칙, 이용률감소법칙

1. 서론

우리나라의 통계학 련 학술 로는 각종 학회에서 발간되는 논문집들이 있는

데, 표 인 것들로 한국통계학회에서 발간되는 <응용통계연구>, <한국통계학회논문

집> 그리고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에서 발간되는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등이 있

다. 그러나 이들 논문집들은 모두 사단법인 형태의 학술단체에서 발간되는 것이며, 국

가기 에서 발간되는 학술 로는 통계청의 <통계연구>가 유일하다.

<통계연구>는 국가경제 사회 상에 한 인구․사회․경제․산업 등 각종 국

가통계를 이용한 이론 이고 실증 인 연구․분석논문과 통계이론 통계작성기법의

연구․개발에 한 창의 이고 유용한 연구 논문을 수록하고 있는 문학술지이다.

1996년 가을에 창간호를 발간한 이래 매년 과 가을 2회에 걸쳐 발간되고 있는데,

2004년도 상반기에 한국학술진흥재단 등재후보 학술지에 선정되었으며, 재는 통계

청 산하 통계개발원 연구기획실에서 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창간호를 기 으로 볼 때 10여 년의 시간이 지난바, 이제 한번쯤 뒤돌아보고 재

의 모습을 정확하게 악해 보는 것도 의미를 갖는다고 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

는 <통계연구>에 하여 계량서지학 인 측면에서 그 특징을 분석해 보고, 나아가

1) 주 학교 체의학 학 기 의과학과(통계학), 교수. E-mail: [email protected]

2) 주 학교 교양학부, 객원교수. E-mail: [email protected]

100 최경호․유진아

내용분석을 통하여 그 모습을 알아 으로써 향후 문학술지로서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상기 연구목 을 달성하기 한 연구범 는 <통계연구>에 한 내용분석과 계량

서지학 분석인데, 구체 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게재논문수의 변화모습을 악해 본다.

둘째, 공동연구의 변화추이 자의 주요 공 등을 살펴본다.

셋째, 1996년 창간호부터 2008년 호까지 171편의 논문을 발표한 125명의 자를

상으로 생산성을 분석하여 Lotka(1926) 법칙이 용되는지 여부를 통계 으로 검정

해 보고, 논문분산법칙에 따른 핵심 자군의 크기에 하여 알아본다.

넷째, 171편의 논문에 인용된 총 2,926편의 인용문헌에 하여, 형태 언어별 분

석, 발행국별 분석, 통계학문헌의 수명감소 상 반감기를 측정하는 등 인용문헌 분석

을 실시한다.

2. 이론적 배경

2.1 Lotka법칙

Lotka(1926)는 화학자와 물리학자의 학술 생산성에 한 빈도분포를 조사하 다.

그 결과 특정 주제 분야에서 n편의 논문을 발표하는 자의 수와 이들이 발표한 논

문의 수가 일정한 분포를 보이고 있음을 발견하고, n편의 논문을 생산한 자의 비

율에 하여 , 그리고 n편의 논문을 생산한 자수에 하여 로

공식화 하 다. 여기서 는 n편의 논문을 생산한 자의 비율이고, 는 특정주제 분

야의 상수이며 은 편의 논문을 생산한 자수, x는 1편의 논문을 발표한 자의

수를 나타낸다. 한편 식에서 α= 2인 경우를 Lotka의 역제곱법칙(Inverse Square

Law)이라고 한다.

Lotka는 생산성분석을 통해 자의 양 , 질 측이 모두 가능하며 소수의 연구

자가 다수의 논문을 생산하는 경향이 있다고 하 다.

2.2 Bradford의 논문분산법칙

1943년 Bradford는 특정 주제 분야에 있어서 그 분야의 과학잡지에 분산되어 출

되는 여러 련 논문들은 공통 인 분포 상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찰하고, 이를 서

술 법칙과 그래 법칙의 형태로 제시하 다(박성미, 1988).

이 그래 분석법은 Brookes(1969)가 다음과 같은 수학 공식으로 나타냄으

로써 응용성이 높아졌다.

(2.1)

<통계연구>의 수록논문에 한 계량분석 101

<그림 2.1> Bradford 분산법칙 그래

여기에서 R(n) = α nβ는 <그림 2.1>의 그래 에서 곡선부분 AC를 나타내고, α

는 가장 생산성이 높은 잡지(혹은 자)에 실린 기사수를, β는 핵심잡지군을 형성하

는 곡선의 굴곡을 결정하는 상수로서 β < 1이다. R(n) = k log e n/s는 직선부분 CE

를 나타내는데, k는 직선의 기울기를 s는 직선 CE를 연속 으로 그렸을 때 x축과 만

나는 의 x좌표를 말한다.

2.3 이용률 감소법칙

1960년에 Burton과 Kebler는 핵물리학분야의 방사성 물질의 반감기 개념을 용하

여 9개 과학 분야의 반감기를 측정한 후 순수과학 분야가 응용과학분야보다 긴 반감

기를 가짐을 발견하 으며, 그 결과 과학문헌의 이용가치가 출 년 이후 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 음지수함수 으로 감소하는 상을 최 로 찰하 다(박성미, 1988). 이후

Brookes(1970)는 이용률감소법칙을 특정시기에 발표된 논문이 싣고 있는 인용문헌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유효성의 감소로 설명하 다.

즉, 그는 문헌의 성장률이 이용률감소에 미치는 향에 해 인용문헌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유용성의 감소로 해석하고, 출 후 경과된 시간 과 계 잔여이용가

치 사이의 계를 지수함수 로 나타냈다. 여기서 a는 수명감소인자

( a < 1)이고, 는 출 후 년 이상 경과된 문헌의 인용빈도수를 나타내며, 은 샘

서지를 구성하는 문헌들의 총 이용 빈도수를 말한다.

수함수를 이용하면 식은 라는 직선을 나타내는 식

으로 표 할 수 있다. 실제로 분석문헌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통해 수명감소인자( a)와

반감기( h)를 구하기 해서는 로부터 최소자승법을 사용하

여 계산한다.

102 최경호․유진아

3. 내용분석

본 에서는 <통계연구>에 한 계량 분석의 하나로, 연도별 게재 논문수, 연도별 자

수, 자의 직업유형, 자의 공 등에 하여 내용분석 해보자.

통계연구의 1996년 가을 창간호부터 2008년 호까지의 총 게재논문편수(171편)를

연도별로 정리한 결과 <표 3.1> <그림 3.1>과 같다.

<표 3.1> 연도별 논문수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합계

합계 6 16 16 18 14 17 11 14 13 18 13 10 5 171

2%

3%

4%

5%

6%

7%

8%

9%

10%

11%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연도

<그림 3.1> 연도별 논문수 분포

한편 연도별로 공동 자수별 논문편수를 알아본 결과는 <표 3.2>와 같다. 자가

1명인 경우가 99편으로 가장 많았고, 2인 자가 45편, 3인 자가 22편, 4인 자가

5편으로 나타났는데, 그 비율은 <그림 3.2>와 같다.

1인57.89%

2인26.32%

3인12.87%

4인2.92%

<그림 3.2> 공동 자수 체 비율

<통계연구>의 수록논문에 한 계량분석 103

나아가 <표 3.2>로부터 최근 5년 동안은 1인 자의 비율은 감소하고 공 자수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최근 공동연구의 요성이 반 된 때문으

로 단된다. 2인 이상의 공동 자 논문의 추이는 <그림 3.3>과 같다.

<표 3.2> 연도에 따른 공동 자수별 논문편수

자수출연도

자수 합계

1인 % 2인 % 3인 % 4인 % 편수 %

1996 4 66.67 2 33.33 0 0.00 0 0.00 6 3.51

1997 10 62.50 5 31.25 1 6.25 0 0.00 16 9.36

1998 11 68.75 5 31.25 0 0.00 0 0.00 16 9.36

1999 11 61.11 5 27.78 1 5.56 1 5.56 18 10.53

2000 12 85.71 1 7.14 1 7.14 0 0.00 14 8.19

2001 13 76.47 4 23.53 0 0.00 0 0.00 17 9.94

2002 3 27.27 2 18.18 3 27.27 3 27.27 11 6.43

2003 9 64.29 4 28.57 0 0.00 1 7.14 14 8.19

2004 9 69.23 2 15.38 2 15.38 0 0.00 13 7.60

2005 6 33.33 7 38.89 5 27.78 0 0.00 18 10.53

2006 7 53.85 4 30.77 2 15.38 0 0.00 13 7.60

2007 3 30.00 2 20.00 5 50.00 0 0.00 10 5.85

2008 1 20.00 2 40.00 2 40.00 0 0.00 5 2.92

합계 99 57.89 45 26.32 22 12.87 5 2.92 171 100.00

0

2

4

6

8

10

12

14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그림 3.3> 연도에 따른 공동 자별 논문편수의 추이

세 번째로 첫 번째 자의 직업유형을 <표 3.3>과 같이 교수, 연구원 정보센터,

학원생, 정부기 회사, 기타 등 5개로 분류해 보았다. 여기서 기타는 시간강사,

학원 졸업생, Post Doctor 등이다. 분석결과 정부기 회사에 속한 자가

53.39%로 가장 많았으며, 교수 28.07%, 연구원 정보센터, 기타, 학원생 순으로

나타났다.

104 최경호․유진아

직업

출연도

교수 연구원/ 정보센터 학원생 정부기 /

회사기타

(강사,Post D) 합 계

인원수 % 인원수 % 인원수 % 인원수 % 인원수 % 편수 %

1996 2 33.33 0 0.00 0 0.00 4 66.67 0 0.00 6 3.51

1997 4 25.00 1 6.25 0 0.00 11 68.75 0 0.00 16 9.36

1998 7 43.75 2 12.50 0 0.00 7 43.75 0 0.00 16 9.36

1999 2 11.11 2 11.11 1 5.56 13 72.22 0 0.00 18 10.53

2000 1 7.14 4 28.57 0 0.00 9 64.29 0 0.00 14 8.19

2001 2 11.76 2 11.76 0 0.00 12 70.59 1 5.88 17 9.94

2002 6 54.55 0 0.00 0 0.00 4 36.36 1 9.09 11 6.43

2003 4 28.57 0 0.00 3 21.43 5 35.71 2 14.29 14 8.19

2004 1 7.69 2 15.38 1 7.69 8 61.54 1 7.69 13 7.60

2005 7 38.89 2 11.11 1 5.56 7 38.89 1 5.56 18 10.53

2006 5 38.46 0 0.00 0 0.00 8 61.54 0 0.00 13 7.60

2007 4 40.00 0 0.00 1 10.00 4 40.00 1 10.00 10 5.85

2008 3 60.00 0 0.00 0 0.00 1 20.00 1 20.00 5 2.92

합계 48 28.07 15 8.77 7 4.09 93 54.39 8 4.68 171 100.00

<표 3.3> 자의 직업유형

마지막으로, 자의 주요 공을 악해 보면 <표 3.4>와 같다. 여기서 자의 정

확한 공을 악하기 어려운 경우(67.84%)를 제외하면, 자의 주요 공은 통계학

16.96%, 경제학 무역학 9.36%, 사회학 4.68%, 보건학 1.17% 순으로 <그림 3.4>와

같이 나타났다.

<표 3.4> 자의 주요 공

출연도

통계학 경제학/무역학

사회학/행정학/지역정보

보건학/방의학

기타(미상포함) 합계

인원수 % 인원수 % 인원수 % 인원수 % 인원수 % 편수 %

1996 0 0.00 2 33.33 0 0.00 0 0.00 4 66.67 6 3.51

1997 4 25.00 0 0.00 0 0.00 0 0.00 12 75.00 16 9.36

1998 4 25.00 2 12.50 1 6.25 0 0.00 9 56.25 16 9.36

1999 1 5.56 0 0.00 0 0.00 0 0.00 17 94.44 18 10.53

2000 0 0.00 1 7.14 0 0.00 0 0.00 13 92.86 14 8.19

2001 2 11.76 1 5.88 0 0.00 0 0.00 14 82.35 17 9.94

2002 4 36.36 2 18.18 0 0.00 0 0.00 5 45.45 11 6.43

2003 2 14.29 2 14.29 2 14.29 0 0.00 8 57.14 14 8.19

2004 2 15.38 0 0.00 0 0.00 1 7.69 10 76.92 13 7.60

2005 4 22.22 2 11.11 0 0.00 1 5.56 11 61.11 18 10.53

2006 1 7.69 3 23.08 1 7.69 0 0.00 8 61.54 13 7.60

2007 2 20.00 1 10.00 3 30.00 0 0.00 4 40.00 10 5.85

2008 3 60.00 0 0.00 1 20.00 0 0.00 1 20.00 5 2.92

합계 29 16.96 16 9.36 8 4.68 2 1.17 116 67.84 171 100.00

<통계연구>의 수록논문에 한 계량분석 105

통계학52%

무역학경제학/29%

사회학/행정학/지역정보15%

예방의학보건학/4%

<그림 3.4> 자의 주요 공 비율( 악 가능 경우)

4. 계량서지학적 분석

4.1 생산성 분석

가. Lotka법칙에 의한 분석

통계연구의 생산성을 분석하기 하여 1996년부터 2008년까지 171편의 논문을 발

표한 125명의 자들을 Lotka법칙에 의해 분석하 다. 여기에서도 박성미(1988)나 윤

구호와 이 철(1991)에서와 같이, 체 자수는 공 자를 제외한 첫 번째 자만을

상으로 한바, <표 4.1>과 같다.

<표 4.1> 자 논문의 분포

논문수 자수 논문수× 자수

1 94 (75.2) 94(55.0)

2 19 (15.2) 38(22.2)

3 10 (8.0) 30(17.5)

4 1 (0.8) 4(2.3)

5 1 (0.8) 5(2.9)

합계 125 (100) 171(100)

<표 4.1>에서 보듯이 1편의 논문을 발표한 자들의 비율은 75.2%로 나타났는데,

이 비율은 Lotka가 제시한 화학과 물리학 분야의 60%, Voos(1974)가 제시한 자계

산학 분야의 71%보다는 높으나 정보학 분야의 88%보다는 다.

생산성분석을 하여 편의 논문을 발표한 자의 실제치와 Lotka법칙에 의해 산

출된 이론치를 정리해 보면 <표 4.2>와 같다.

106 최경호․유진아

<표 4.2> n편의 논문을 발표한 자의 실제치와 이론치

논문수( n ) 실제치( O i ) 이론치( E i )

1 94 94.00

2 19 23.50

3 10 10.44

4 1 5.88

5 1 3.76

합계 125 137.58

이제 Lotka공식에 의해 산출된 이론치가 합한가를 검정하기 해서는 -검정법

을 사용해야 하는데, -검정을 하기 해서는 <표 4.2>에서의 상이한 실제치와 이론

치를 동일하게 해 주어야만 한다. 따라서 상이한 실제치와 이론치를 동일하게 해 주기

해, Voos(1974)가 제시한 S값을 사용하여 Lotka공식을 다음과 같이 수정하 다.

≒ (4.1)

수정이론치 (4.2)

의 식 (4.1)과 (4.2)에 의하여 수정된 수정이론치는 <표 4.3>과 같다. <표 4.3>

을 이용하여 실제치와 수정이론치에 한 -검정 결과, 자유도 4 그리고 유의수

5%에서 임계치가 로 검정통계량 값 6.370보다 커서 귀무가설이 채택

된다. 즉 5%의 유의수 에서 실제치와 수정이론치가 합함을 알 수 있다. 이것은

Lotka의 상수인 가 자계산학 분야인 과 도서 학 정보학 분야

와는 달리, 수정되지 않고 그 로 <통계연구>에 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표 4.3> n편의 논문을 발표한 자의 실제치와 수정이론치

논문수( ) 실제치( ) 수정이론치( )

1 94 85.62

2 19 21.40

3 10 9.51

4 1 5.35

5 1 3.42

합계 125 125.31

나. Bradford의 법칙에 의한 분석

<통계연구> 자의 생산성을 분석하여 핵심 자를 산출하기 하여, 125명의

자를 상으로 Brookes(1969)의 그래 분석법을 용하 다. <표 4.4>는 125명의

자들이 발표한 171편의 논문에 한 분포표이다.

<통계연구>의 수록논문에 한 계량분석 107

<표 4.4> 자의 논문분포 상황

논문수( )

자수()

자 계( )

논문수* 자수( × )

논문 계(× )

5 1 1 5 5 0.000

4 1 2 4 9 0.693

3 10 12 30 39 2.485

2 19 31 38 77 3.434

1 94 125 94 171 4.828

<표 4.4>와 식 (2.1)을 이용하여, 생산성이 가장 높은 자에 의해 발표된 논문의

수 α값은 5, β값은 <표 4.5>로부터 평균값인 0.842, S값은 8.659, C값은 12, K값은

57.154로 산출되었다(<그림 2.1>참조). 따라서 <통계연구>에 해서는 12명의 자가

핵심 자군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0.00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저 자 누 계

논문

누계

1 2 s c=12 31 125

<그림 4.1> 국내 자의 생산성 분석

<표 4.5> Brookes의 β값

n β1 0.999

2 0.954

12 0.571

4.2 인용문헌 분석

가. 형태별 분석

<통계연구>의 인용문헌 연도가 불확실한 것을 제외한 총 2,926편을 6개 유형

으로 구분하여 형태별로 분석하 다. 논문에는 학회, 학술지, 세미나 등에 발표된 자

료를, 단행본에는 단독으로 출 된 교재나 개론서, 연감 등의 자료를 포함하여 구분하

다. 연구보고서에는 연구기 들이 발간한 연구결과와 학 등에서 발간한 보고서를

포함하 다. 그 결과 <표 4.6>과 같은데, 이 논문은 40.2%, 단행본 48.9%, 연구보

고서 4.9%, 웹사이트 2.9%, 학 논문 2.6%, 기타 0.6%로 나타났다.

108 최경호․유진아

<표 4.6> 인용문헌의 형태별 분포

논문 단행본 연구보고서 웹사이트 학 논문 기타 합계

문헌수 % 문헌

수 % 문헌수 % 문헌

수 % 문헌수 % 문헌

수 % 문헌수 %

1860-1950 7 43.75 9 56.25 0 0.00 0 0.00 0 0.00 0 0.00 16 0.55

1951-1960 15 57.69 10 38.46 0 0.00 0 0.00 1 3.85 0 0.00 26 0.89

1961-1970 33 55.93 24 40.68 2 3.39 0 0.00 0 0.00 0 0.00 59 2.02

1961-1970 107 53.77 85 42.71 6 3.02 0 0.00 1 0.50 0 0.00 199 6.80

1981-1990 260 49.43 246 46.77 8 1.52 0 0.00 11 2.09 1 0.19 526 17.98

1991-1995 249 37.50 374 56.33 19 2.86 2 0.30 20 3.01 0 0.00 664 22.70

1996 76 40.21 96 50.79 9 4.76 1 0.53 6 3.17 1 0.53 189 6.46

1997 68 30.36 131 58.48 11 4.91 1 0.45 9 4.02 4 1.79 224 7.66

1998 66 38.82 84 49.41 12 7.06 2 1.18 5 2.94 1 0.59 170 5.81

1999 63 36.84 83 48.54 16 9.36 3 1.75 5 2.92 1 0.58 171 5.85

2000 50 34.48 70 48.28 13 8.97 7 4.83 4 2.76 1 0.69 145 4.96

2001 48 40.00 56 46.67 10 8.33 3 2.50 3 2.50 0 0.00 120 4.10

2002 41 35.96 51 44.74 8 7.02 7 6.14 6 5.26 1 0.88 114 3.90

2003 38 39.18 29 29.90 12 12.37 15 15.46 2 2.06 1 1.03 97 3.32

2004 25 30.12 31 37.35 9 10.84 11 13.25 2 2.41 5 6.02 83 2.84

2005 17 34.69 21 42.86 3 6.12 7 14.29 1 2.04 0 0.00 49 1.68

2006 9 27.27 16 48.48 2 6.06 6 18.18 0 0.00 0 0.00 33 1.13

2007 4 10.00 13 32.50 3 7.50 20 50.00 0 0.00 0 0.00 40 1.37

합계 1176 40.21 1429 48.85 143 4.89 85 2.91 76 2.60 16 0.55 2925 100.0

한 기타자료의 내역으로는 분류가 불가능한 5편을 제외하면, 월간물이 63.6%, 소

트웨어 27.3%, 강의자료 9.1%로 나타났다.

<표 4.7> 기타자료의 내역

출 물기타 합계

강의자료 % 소 트웨어 % 월간물 % 인용문수 %

합계 1 6.3 4 25.0 11 68.8 11 100.0

나. 언어별 분석

인용문헌 2,925편을 연도별 언어형태별로 조사한 결과, <표 4.8>과 같이 나타났다.

한국어문헌이 1,183편으로 40.44%, 일어문헌이 160편으로 5.57%, 어문헌이 1,580편

으로 54.02%, 불어문헌이 2편으로 0.07%로 나타나, 어문헌의 비 이 높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통계연구>의 수록논문에 한 계량분석 109

<표 4.8> 인용문헌의 언어별 분포

언어형태

한국어 % 일어 % 어 % 불어 %

1860-1950 0 0.00 0 0.00 15 93.75 1 6.25

1951-1960 1 3.85 0 0.00 25 96.15 0 0.00

1961-1970 0 0.00 0 0.00 59 100.00 0 0.00

1971-1980 11 5.53 16 8.04 172 86.43 0 0.00

1981-1990 128 24.33 44 8.37 353 67.11 1 0.19

1991-1995 251 37.80 64 9.64 349 52.56 0 0.00

1996 97 51.32 13 6.88 79 41.80 0 0.00

1997 124 55.36 4 1.79 96 42.86 0 0.00

1998 93 54.71 5 2.94 72 42.35 0 0.00

1999 95 55.56 5 2.92 71 41.52 0 0.00

2000 81 55.86 1 0.69 63 43.45 0 0.00

2001 63 52.50 4 3.33 53 44.17 0 0.00

2002 63 55.26 1 0.88 50 43.86 0 0.00

2003 50 51.55 0 0.00 47 48.45 0 0.00

2004 55 66.27 0 0.00 28 33.73 0 0.00

2005 29 59.18 0 0.00 20 40.82 0 0.00

2006 24 72.73 0 0.00 9 27.27 0 0.00

2007 18 45.00 3 7.50 19 47.50 0 0.00

합계 1183 40.44 160 5.47 1580 54.02 2 0.07

다. 이용률감소법칙에 의한 분석

이용률감소정도를 측정하기 하여 인용문헌을 Brooks(1970)의 이용률감소법칙에

따라 분석하 다. <표 4.9>는 연도별로 인용문헌의 출 후 경과된 시간에 따른 인용

문헌수와 인용문헌의 계를 작성한 것이다. <그림 4.2>는 Brookes의 공식과 최소자

승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그래 로 나타낸 것이다.

<표 4.9> 인용문헌의 연도별 분포( 체)

인용문헌 출 연도 출 후 경과시간 인용문헌수 인용문헌 계

2007 0 40 2925

2006 1 33 2885

2005 2 49 2852

2004 3 83 2803

2003 4 97 2720

2002 5 114 2623

2001 6 120 2509

2000 7 145 2389

1999 8 171 2244

110 최경호․유진아

인용문헌 출 연도 출 후 경과시간 인용문헌수 인용문헌 계

1998 9 170 2073

1997 10 224 1903

1996 11 189 1679

1995 12 196 1490

1994 13 129 1294

1993 14 140 1165

1992 15 118 1025

1991 16 81 907

1990 17 94 826

1989 18 79 732

1988 19 66 653

1987 20 68 587

1986 21 47 519

1985 22 34 472

1984 23 25 438

1983 24 35 413

1982 25 45 378

1981 26 33 333

1980 27 42 300

1979 28 28 258

1978 29 15 230

1977 30 24 215

1976 31 31 191

1975 32 11 160

1974 33 12 149

1973 34 12 137

1972 35 11 125

1971 36 13 114

1961-1970 37-46 59 101

1951-1960 47-56 26 42

1860-1950 57-147 16 16

<표 4.9>의 계속

0

5 0 0

1 0 0 0

1 5 0 0

2 0 0 0

2 5 0 0

3 0 0 0

3 5 0 0

0 2 0 4 0 6 0 8 0

t

U(t)

<그림 4.2> 이용률 감소 그래

<통계연구>의 수록논문에 한 계량분석 111

분석결과 <표 4.10>에서 볼 수 있듯이, 이용률감소인자의 평균은 0.35이고 반감기

는 3.5년으로 악되었다. 이는 1900년 부터 1980년 반까지의 통계문헌에 한 연

구인 박성미(1988)의 8.0년에 비하면 반감의 정도가 매우 빨라짐을 알 수 있다. 반감

기란 출 년 이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과학문헌의 이용가치가 감소하는 기간으로,

로부터 구한다. 여기서 는 로부터 최소자승

법에 의하여 구해진다. 단 은 샘 서지를 구성하는 문헌들의 총이용 빈도를 나타낸

다.

<표 4.10> 연도별 이용률감소인자와 반감기

인용연도 이용률감소인자(a) 반감기(h)

2006 0.986 50.339

2005 0.975 27.425

2004 0.958 16.269

2003 0.930 9.539

2002 0.897 6.361

2001 0.858 4.518

2000 0.817 3.424

1999 0.767 2.615

1998 0.709 2.013

1997 0.651 1.612

1996 0.574 1.249

1995 0.509 1.028

체 0.350 3.497

5. 결론

계량서지학에 한 연구는 정보의 속성이나 형태를 수량 으로 근하여 특수한

패턴이나 경향 등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러한 계량서지학 분석은 정보의 크기나 노화,

증식 등의 성질과 학문 는 주제의 구성 등을 설명해 주고 더 나아가 정보학의 방향

제시를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은 국내유일 정부기 발행 통계 련 학술잡지인 <통계연구>에 하여,

내용분석 계량서지학 연구방법을 용함으로써 계량분석을 수행한 경우로, 다음

을 알 수 있었다.

첫째, 내용분석을 통하여 재 활동하고 있는 연구자들의 논문수, 공, 직업 등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통계연구> 활성화를 한 기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한

로 체 투고자 통계학 공자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통계연구>에

한 여타 학문의 심이 다는 반증이다. 따라서 <통계연구>의 활성화를 하여 보

다 다양한 학문분야에 홍보를 하고, 문호를 개방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자들이 생산성을 Lotka법칙에 의해 분석한 결과 Lotka의 상수인 α=2가

수정되지 않고 그 로 용됨을 입증하 다. 즉, <통계연구>에 해서도 다수의 논문

을 생산하는 소수의 자가 소수의 논문을 생산하는 다수의 자보다 더 많은 논문을

112 최경호․유진아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핵심 자군을 산출하기 해 Brookes의 그래 분석법을 이용하여, 체

171명 핵심 자군은 12명임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인용문헌의 이용률감소정도와 반감기를 측정한 결과, 이용률감소인자의 평균

은 0.350 그리고 반감기는 3.497년으로 나타나, 반감기가 매우 빠르게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통계연구>의 수록논문에 한 계량분석 113

참고문헌

박성미 (1988). 한국통계학문헌의 계량서지학 분석, 〈도서 리학회지〉, 5(1), 104-130.

윤구호, 이 철 (1991). 의학문헌의 계량서지학 분석, 〈도서 학논집〉, 18, 61-89.

통계청 (1997-2007). 〈통계연구〉, 통계청.

Alfred J. Lotka. (1926).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Scientific Productivity,

Journal of the Washington Academy of Science, 16(12), 317-323.

Brookes, B. C. (1969). Bradford's law and bibliography of science, Nature, 224,

953-956.

(1970). Obsolescence of special library periodicals: sampling errors

and utility contour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21(5), 320-329.

Voos, Henry. (1974). Lotka and information science,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25(4), 270-272.

(2008년 10월 1일 수, 2009년 2월 16일 수정, 2009년 3월 9일 채택)

114 최경호․유진아

Quantitative Analysis on <Statistics Research Journal>

Kyoung-Ho Choi1) Jin-Ah You2)

Abstract

'Statistics Research Journal' is a professional journal including useful and original research

papers using a variety of national statistics population, society, economy, industry on

national economy and social phenomenons which have theoretical objective research, analysis

papers and statistical theory as well as research, development of statistical drawing

technique. Seeing the first edition as its starting point, we think that we have to grasp what

"Statistics Research Journal" is accurately since it was published 10years ago. In this paper,

on 'Statistics Research Journal' with a bibliometric view, we have to analyze its characteristics

and through contents analysis, hereafter grope the direction of a professional journal.

Followings are results of this paper. First, We found total number of accepted paper,

resercher's major and occupation. Second, Lotka's constant was not changed in =2. Third,

the number of core research was 12. Forth, the term of half-life was very fast.

Key words : Lotka's law, Bradford's law, half-life analysis

1) Professor, College of Alternative Medicine(Statistics Major), Jeonju University, Jeonju,

E-mail: [email protected]

2) Instructor, School of Liberal Arts, Jeonju University, Jeonju, 560-759, Korea. E-mail: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