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 "#$%&'()* +, -&./0$%12 34567*89:;a4 bc1n/c&de1n/$fg 8&hi dj# k-+$&lmi, $%/+ny

199
연구보고서 537호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한 투자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전략 2008. 12. 산업연구원

Upload: others

Post on 27-Jan-2021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연구보고서 537호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한 투자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전략

    2008. 12.

    윤우진․오영석․최희선․김원규․김진웅․노영진․

    최용재․서동혁․이건우․박문수․조덕희․조영삼․

    배진한

    산업연구원

  • ii

    머리말

    외환위기 이후 우리 경제는 투자와 고용의 부진이라는 새로운 경제적 난

    관에 직면해 오고 있습니다. 설비투자는 과거 고도성장 시기에 보여주었던

    역동성을 잃어가고 있으며 고용 불안은 새로운 경제적․사회적 문제로 대두

    되고 있습니다. 투자와 고용의 저하는 어느 국가를 막론하고 경제가 발전하

    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또는 지속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현상이지만, 우리

    나라의 경우는 명실상부한 선진경제로의 진입하기에 앞서 고착화될 수 있다

    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투자 부진은 총수요를 감소시켜 경기하강을 증폭시키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고 자본축적의 부족을 야기하여 경제의 장기적인 성장능력에 부정적인 영

    향을 미칩니다. 또한 일자리 부족은 소득 감소와 소비 침체로 연결되어 경기

    를 둔화시키고 장기적으로는 저축 부족을 유발하여 경제성장을 저해합니다.

    따라서 모든 국가는 투자를 통한 생산과 고용의 촉진을 일차적인 경제목표

    로 삼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과거 정부는 물론 현 정부에서도 투자 활성화

    와 일자리 창출을 국정과제의 최우선으로 삼고 있습니다.

    이 보고서는 우리나라 기업의 설비투자 부진과 일자리 부족의 현상 진단

    과 원인 분석을 다루고 있습니다. 보고서는 투자와 고용 문제의 본질을 심도

    있게 파악하기 위하여 거시적 접근과 아울러 산업적․미시적 접근을 동시에

    시도했습니다. 총론에서는 거시적인 접근을 통해 투자와 고용의 총체적인 모

    습을 진단하고 각론에서 도출되는 함의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있습니다. 각

    론은 제조업과 서비스산업, 그리고 중소기업 분야로 나누어 발견된 사실과

    통계적 분석을 기초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보고서가 목표로

    한 주제와 분야가 광범위하기 때문에 전반적인 내용들은 수미일관된 체계를

    갖추었다기 보다는 각 장별로 독립적인 분석과 결론을 담고 있습니다.

    보고서 작성을 위해 많은 분들이 참여하여 노력을 해 주었습니다. 윤우진

    박사는 전 연구본부장으로서 과제의 책임을 맡아주었고 오영석, 최희선 박사

    두 분은 각각 투자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부문의 간사로서 수고해 주었습니

    다. II장은 간사인 두 분과 함께 최용재 박사가 참여하였고 계량분석은 김원

    규, 노영진, 김진웅 박사가 맡아 기여하였습니다. III장은 오영석, 서동혁 박

    사(투자)와 함께 최희선 박사가 충남대 배진한 교수(일자리)의 원고 도움을

    받아 작성하였습니다. IV장은 이건우(투자), 박문수 박사(일자리)가 담당했고,

    V장은 조덕희(투자), 조영삼 박사(일자리)가 각각 집필해 주었습니다.

    아무쪼록 이 보고서가 투자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관심을 가지신 전문가

    나 정책담당자 분들에게 다소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끝으로 보고서에

    담긴 내용은 필자들의 개인적인 견해와 주장이며, 연구원의 공식의견을 대표

  • iii

    하는 것이 아님을 밝힙니다.

    2008년 12월

    산업연구원장 오상봉

  • iv

    목 차

    요 약

    Abstract

    제Ⅰ장 서 론 ··········································································································1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2. 연구의 범위와 주요 내용 ··············································································3

    제II장 우리 산업의 투자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5

    1. 문제의 제기 ········································································································5

    2. 투자부진 현황과 원인 분석 ··········································································7

    (1) 투자부진 현황 ·······························································································7

    (2) 투자부진의 원인 분석 ···············································································11

    3. 일자리 부족 현황과 원인 분석 ·································································21

    (1) 일자리 부족 현황 ·······················································································21

    (2) 일자리 부족의 원인 분석 ·········································································26

    4. 투자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간의 관계분석 ·······································33

    (1) 일자리 창출을 위한 투자의 중요성 ·······················································33

    (2) 산업별 자료에 기초한 실증분석 ·····························································34

    (3) 거시자료에 기초한 실증분석 ···································································38

    5. 투자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방향 ·····································40

    (1) 투자 활성화 ·································································································40

    (2) 일자리 창출 ·································································································43

    제Ⅲ장 제조업의 투자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47

    1. 제조업의 투자 현황과 투자 활성화 전략 ·············································47

    (1) 제조업의 투자부진 현황 ·········································································47

    (2) 제조업 발전을 위한 투자 활성화 전략 ·················································58

    (3) 제조업의 투자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 ···············································69

    2. 제조업 일자리 현황과 정책 방향 ·····························································73

    (1) 제조업의 고용 추이 및 일자리구조 변화 ···············································73

    (2) 제조업 일자리에 영향을 미친 구조적 요인 ···········································79

    (3) 제조업 일자리 창출정책의 방향 ·······························································84

  • v

    제Ⅳ장 서비스산업의 투자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87

    1. 서비스산업의 투자 활성화 ··········································································87

    (1) 서비스산업의 업종별 투자 추이와 특징 ·················································87

    (2) 서비스산업의 무형자산 투자 추이 ···························································93

    (3) 서비스산업 투자와 생산·고용 간의 관계 ·············································101

    (4) 서비스산업 투자활동의 생산 및 고용 파급효과 ·································104

    (5) 서비스산업의 투자 활성화 전략 ·····························································109

    2. 서비스 일자리 창출 ·····················································································112

    (1) 서비스산업의 일자리 변동추이 ·······························································112

    (2) 노동생산성 변동 요인분해 ·····································································129

    (3) 서비스산업의 업종별 특성 ·····································································134

    (4) 정책제안 ·······································································································138

    제Ⅴ장 중소기업의 투자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140

    1. 중소기업의 설비투자 부진 실태 및 대책 ············································140

    (1) 제조 중소기업의 설비투자 부진 실태 ···················································140

    (2) 설비투자 부진 원인 ·············································································141

    (3) 시사점 ·········································································································149

    (4) 설비투자 활성화 방안 ···············································································150

    2. 중소기업의 일자리 창출 구조 및 정책과제 ·······································154

    (1) 제조 중소기업의 일자리 창출 현황 및 추이 ·······································154

    (2) 특징 및 제약요인 ·······················································································158

    (3) 시사점 ···········································································································164

    (4) 정책과제 : 양질의 지속가능한 고용창출 ··········································165

    참고문헌 ·····················································································································174

  • vi

    표차례

    외환위기 전후 각 지표 증가율 ·······························································6

    주요 선진국과 설비투자 증가율 비교 ···················································8

    취업자 일인당 자본스톡 증가율 추이 ···················································9

    산업별 설비투자 증가율 추이 ·······························································10

    규모별 설비투자 비중 및 증가율 추이 ···············································11

    설비투자 부진에 대한 기존 문헌 요약 ···············································14

    자본의 한계생산성과 사용자비용의 추정식 ·······································17

    설비투자함수 추정결과 ···········································································19

    주요 고용지표의 추이 ···········································································22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취업유발효과 비교(2003년) ··························24

    총수요항목의 취업유발효과 비교(2003년) ····································24

    임금격차 및 저임금근로자 비율 국제비교 ·····································25

    고용의 성장탄력성 추이 ·······································································27

    수요항목이 고용증가율에 미치는 영향 ·············································28

    노동력 부족 현황(%) ·············································································31

    산업별 고용증가율, 투자증가율 및 총요소생산성 증가율 ············35

    고용증가율과 투자증가율 및 총요소생산성 증가율간의 관계 ·····37

    우리나라 제조업 실질투자의 연평균 증가율 ·····································48

    우리나라 제조업내 업종별 투자비중 추이(명목투자 기준) ············49

    ICT 투자의 연평균 증가율 ··································································50

    비ICT 투자의 연평균 증가율 ································································51

    투자동기별 투자비중(명목투자 기준) ··················································52

    제조업의 1인당 자본스톡의 연평균 증가율 비교 ···························54

    업종별 1인당 자본스톡 수준의 국제비교 ···········································55

    우리나라 제조업의 산업별 자본의 평균생산성 지수추이 ···············57

    투자유형별 투자유발요인 ·······································································62

    산업별 세부적 투자촉진요인 및 제약요인 ·······································64

    산업별 설비투자동기 변화 ···································································65

    기계 산업의 투자유망분야 ···································································67

    소재산업의 투자유망분야 ·····································································68

    전자산업의 투자유망분야 ·····································································68

  • vii

    신산업분야의 투자유망분야 ·································································69

    산업별 직간접 취업유발효과(2003년 산업연관표 기준) ················77

    고용계수 감소율의 국제비교 ·······························································78

    제조업 산업별 피고용자 수 변화율의 국제비교 ·····························79

    산업별 수입유발계수 추이 ···································································81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직종별 취업자 수 추이 ·································84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설비투자 증가율 비교 ·····································87

    서비스산업의 내역별 설비투자 추이 ···················································88

    부문별 총고정자본형성 증가율 추이 ···················································90

    민간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서비스 비중 추이 ·································91

    서비스산업의 총고정자본형성 내역별 추이 ·······································92

    서비스업종별 자산구성 (2005년, 기업체․연말잔액 기준) ·············94

    서비스업종별 무형자산 구성 (2005년, 연말잔액 기준) ···················95

    부문별 소프트웨어 투자 추이 ·······························································96

    산업부문별 연구개발비 추이 ·······························································97

    서비스업종별 연구개발비 추이 ···························································98

    산업부문별 기술도입액 추이 ·····························································100

    한·미·일 3국의 산업부문별 자본집약도 비교(PPP 기준) ············103

    산업별 투자활동에 따른 전산업 생산 및 고용유발효과 ···········107

    제조업․서비스업의 투자활동에 따른 산업별 생산 및

    고용유발효과 ·························································································108

    서비스산업 업종별 부가가치 생산액 변화추이 ·····························118

    OECD 국가의 서비스업 부가가치 및 고용 비중 ··························123

    OECD 국가의 서비스업종별 생산성(한국=100) ·····························125

    OECD 국가 제조업 대비 서비스산업 노동생산성(제조업=100) ·127

    OECD 국가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노동생산성 증가율 ················128

    서비스산업 4개 범주별 노동생산성 변동 기여도 ·························136

    제조 중소기업의 자금운용 관련 중요 지표 ·····································144

    한․일 중소기업의 부채비율 및 설비투자 자금조달 비교 ···········146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투자 추이 ·························································147

    신제품 개발후 상품화 추진시 애로요인 ···········································151

    가장 필요한 개발기술 사업화 지원제도 ·········································153

    중소기업 기술개발 제품 구매실적 ·····················································154

    사업체 종사자 수 추이(전산업) ··························································155

    종사자 수 추이(제조업) ········································································156

    대기업과 중소기업 종사자 수의 전년대비 증감률 추이(제조업) 157

  • viii

    제조업의 종사자규모별 사업체 수 추이 ·········································158

    종사자규모별 사업체 수 구성의 국별 비교(제조업) ····················159

    업종별 종사자규모별 종사자 수 변화 추이(제조업) ····················160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매출액 영업이익률 추이 ·····························162

    중소제조업의 판매형태․판매처별 판매액 비중(2006) ···············170

  • ix

    그림차례

    실질GDP, 설비투자 및 취업자 수1) 증가 추이 ························5

    설비투자/GDP 비중(%, 명목기준) ···················································7

    설비투자 괴리도 및 순환 변동치 추이 ···········································8

    경제성장률 및 고용지표 변화 추이 ···············································21

    성장 및 생산의 취업유발효과 추이 ···············································23

    전문직 및 단순노무직 비중 추이 및 일자리 5분위별 증감 ·······26

    노동생산성 증가율 분해 및 기간별 추이 ·····································30

    산업별 고용비중 및 노동생산성 추이 ·············································30

    충격반응함수 ·························································································39

    제조업 실질투자 지수(1995=100) 추이 ············································48

    제조업의 ICT/비ICT 투자지수(1995=100) 추이 ····························50

    제조업의 실질투자중 ICT투자의 비중 ············································50

    설비능력증가용 투자의 구성비 추이 ···············································53

    제조업의 1인당 자본스톡의 수준비교(미국=100) ··························55

    제조업 및 주요 업종별 자본의 평균생산성 지수(95=1) 추이 ····57

    재도약을 통한 우리나라 제조업의 선진화 경로 ···························59

    한국 제조업의 미래경쟁력 원천과 발전방향 ·······························61

    투자환경 전개과정의 투자수요 강도 ···············································66

    경공업 및 중화학공업 부문 사업체 종사자 수 추이 ·················73

    제조업 사업체 종사자 규모별 종사자 수 추이 ···························74

    전산업 사업체 종사자 규모별 종사자 수 추이 ···························75

    제조업 중분류 산업별 성장률과 고용계수 변화 추이 ···············76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설비투자 증가율 추이 ·································87

    서비스산업의 내역별 설비투자 증가율 추이 ·······························88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총고정자본형성 추이 비교 ·························90

    민간소비 증가율과 서비스업 투자 증가율 추이 ···························91

    서비스산업의 총고정자본형성 내역별 증가율 추이 ·····················92

    서비스업종별 유형자산 및 무형자산의 비중 비교(2005년) ········94

    서비스산업의 무형자산 구성(2005년, 연말잔액 기준) ·················95

    부문별 소프트웨어 투자증가율 추이 ···············································96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연구개발비 추이 비교 ·································98

    주요국 R&D 지출의 산업부문별 구성(2004년) ····························99

    서비스산업의 기술도입액 추이 ·····················································100

  • x

    제조업․서비스업의 투자 증가율과 GDP 증가율 비교 ···········102

    서비스업 투자 증가율과 고용 증가율 비교 ·······························102

    한·미·일의 제조업과 서비스업 자본집약도 비교 ····················103

    산업부문별 투자활동에 따른 전산업 생산 및 고용유발효과 · 106

    서비스업종별 투자활동에 따른 전산업 생산 및 고용유발효과

    ·········································································································106

    제조업과 서비스업 취업자 비중 ···················································113

    제조업과 서비스산업 고용 증가율 ···············································113

    서비스 업종별 고용 증가율 ·························································114

    제조업과 서비스업 취업계수 추이 ···············································114

    제조업과 서비스업 고용탄력성 ·····················································115

    서비스 업종별 고용자 수 변화 ···················································116

    서비스산업 부문별 고용 비중 변화 ·············································116

    제조업과 서비스업 부가가치 비중 ···············································117

    제조업과 서비스산업의 노동생산성 추이 ···································119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노동생산성 연간 변동률 추이 ···············120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노동생산성 구간 변동률 추이 ···············120

    서비스 업종별 노동생산성 변동 기여도 ·····································121

    서비스 업종별 구간 평균 노동생산성 변동 기여도 ·················122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노동생산성 국제비교 ·······························124

    제조업 노동생산성 변동률 분해결과 ···········································131

    제조업 구조변화 효과 ·····································································132

    서비스업 노동생산성 변동률 분해결과 ·····································132

    서비스업 구조변화 효과 ·································································133

    서비스업 부문별 고용증가율과 1인당 부가가치 ·······················134

    서비스산업 4개 범주별 노동생산성 증가 기여도 ·····················135

    4개 범주별 서비스산업 구조변화 효과 ·······································137

    제조 중소기업․대기업의 설비투자 추이 ·····································140

    제조 중소기업의 설비투자효율성 추이 ·········································143

    중소기업의 총투자(설비투자+기술개발+해외투자) 추이 ············147

    중소기업 생산액 대비 투자 비율 추이 ·········································148

    해외투자 확대가 국내 설비투자에 미치는 영향 ·························149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사업화 성공률(2006년) ····························151

    신설․부도법인 수 추이 ·································································161

    기술집약업종의 창업 추이 ·······························································162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생산증가율 추이 ·······································163

  • xi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수출비중 추이 ···········································163

  • 1

    < 요 약 >

    I. 문제의 제기

    외환위기 이후 우리 경제의 설비투자는 역동성을 잃어가고 있으며 고용 불

    안은 일상화되어 가고 있다. 외환위기 이후인 1999~2007년 간 설비투자의 증

    가율은 6.4%에 그쳐 1980년대에 비하면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취업자 수 증

    가율 역시 1980~90년간 5.1%, 1990~97년 간3.5%, 1999~2007년간 2.4%로 갈수

    록 낮아지고 있다.

    올해 들어 미국에서 발생한 금융위기가 전세계적으로 확산됨에 따라 세계경

    제는 1930대 대공황 이후 최대의 실물경기 침체에 직면하고 있다. 각국의 내수

    와 수출이 크게 부진함에 따라 우리 경제도 국내외 유효수요 부족으로 인하여

    투자와 생산이 위축되고 고용 사정도 급속하게 악화되고 있다.

    Ⅱ. 우리 산업의 투자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1. 투자부진 현황과 원인 분석

    최근 수년간 설비투자의 비중은 과거에 비하여 현저히 저하되었다.

    1970~2007년간 설비투자 비중은 평균 12.1%였으나 최근에는 10% 이하로 낮아

    졌다. 분기별 설비투자의 순환변동을 보면 2000년대 이후 변동성이 축소되어

    투자의 역동성이 상실되었다. 설비투자의 추세괴리도를 보면 2001년 이후 장기

    추세를 크게 하회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선진국에 비해 설비투자의 증가세가 경제성장률에 비해 상

    대적으로 빠르게 둔화되고 있다는 데 문제가 있다. 우리나라의 설비투자 부진

    은 취업자 일인당 자본스톡의 증가세 둔화를 야기해 잠재성장률 하락의 주요

    인이 되고 있다. 2000년 이후 전산업 일인당 자본스톡 연평균 증가율은 2.6%

    에 그쳐 1990년대의 4% 수준에 못 미치고 있으며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 비

    해서도 증가세가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투자 부진에 관해서는 가장 직관적인 견해는 거시변수인 금리나 환율이나

    미시변수인 조세, 자본재가격 등의 비용요인이 설비투자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

    성이다. 기업의 현금 흐름을 중시하는 시각에서 보면 외환위기 이후 대기업의

    수익성이나 현금 유보가 크게 증가하여 투자에 긍정적으로 작용했으나, 중소기

    업의 경우는 수익성 저하, 신용 부족 등으로 재무적인 투자 제약이 발생했다.

    투자 부진의 가장 포괄적인 설명은 외환위기 이후 투자리스크가 증가했다는

  • 2

    것이다. 투자리스크의 증가는 성장이 둔화되고 경기순환 주기가 짧아지면서 수

    익성 있는 투자기회가 감소했거나, 기업들의 경영행태가 보수적으로 변하여 리

    스크가 큰 장기성장형 투자를 회피하고 있다는 내용이다.

    우리나라의 설비투자율(설비투자/자본스톡)과 결정요인 간의 장기적인 관계

    를 살펴보기 위하여 신고전학파 이론에 의한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국내 설비투자 증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자본의 한계생산성과 사

    용자비용, 부채비율, 경상이익률, 총요소생산성, 고용주비율 및 산업구조 변수

    등으로 추정되었다.

    2. 일자리 부족 현황과 원인 분석

    2000년대 이후 우리 경제는 일자리 창출이 정체를 보이면서 소위 ‘고용없는

    성장(jobless growth)’ 현상이 가시화되고 있다. 2005년 이후 취업자 증가는 30

    만명 미만으로, 취업자 수 증가율은 1% 초반으로 낮아졌다. 우리나라의 고용

    률(2006년)은 59.8%로 OECD 평균 66.1%, 미국의 72%, 일본의 70%, 영국의

    72.5%에 비해 크게 낮은 편이다.

    경제성장률의 둔화와 함께 산업구조의 변화, 노동집약산업의 해외이전, 노동

    절약형 설비자동화 등으로 일자리 부족이 심화되고 있다. 1% 성장이 유발하는

    취업자 수를 계산한 결과 1995년 13만5천명에서 2003년에는 12만2천명으로 오

    히려 감소하였다. 부가가치 10억원 당 유발취업자 수는 제조업이 1995년 22.1

    명에서 2003년 12.1명으로, 서비스업이 같은 기간 중 30.9명에서 20.5명으로 각

    각 감소하였다.

    일자리 부족은 경기순환적으로 내수, 수출 또는 투자 부진으로 경기가 하강

    하면서 일자리 소멸에 비하여 일자리 창출이 미흡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구조

    적․추세적으로는 기술, 제도, 혁신의 차이에 의한 생산성 변화 및 국제분업

    구조의 변화에 따라 산업구조가 재편되는 과정에서 일자리 창출 영역의 외연

    적 확대가 미흡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2000년대 이후 고용의 성장탄력성이 과거에 비하여 점차로 저하된 사실은

    경기순환과정에서 일자리 창출능력이 약화되었음을 시사하고 있다. 실제로 총

    수요항목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결과, 내수 항목이 순수

    출 항목에 비해 고용증가율에 더 큰 영향력을 가지며, 내수항목 중에서는 소비

    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경우 산업구조적으로 제조업에서는 높은 생산성 증가와 고용 감

    소를, 서비스산업에서는 낮은 생산성 향상과 고용 증가를 보이고 있다. 고용

    이동에 따른 생산성 변화를 요인분해 해본 결과, 2000년대 이후에는 생산성 증

    가율이 높은 제조업에서 방출된 노동력이 생산성 증가율이 낮은 서비스업으로

  • 3

    급속히 유입되면서 전반적인 생산성 둔화를 촉발했다.

    3. 투자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간의 관계분석

    산업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투자증가율은 고용증가율에 긍정적인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은 고용증가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은 투자증가율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시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투자증가율 충격은 고용증가율에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요소생산성 증가율 충격은 투자증가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고용증가율에는 정의 효과를 미치나

    유의성이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추정결과는 투자 활성화 및 혁신 강화가 경제 전체의 고용창출 확대

    에, 그리고 혁신강화는 투자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4. 투자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방향

    투자 활성화를 위하여 기업들이 투자에 소요되는 생산요소 및 자금조달 비

    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경쟁력 있는 투자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 규제 완화 및

    수요기반형 인력 양성을 통해 토지, 인력 등 생산요소의 원활한 공급을 지원하

    고 조세제도의 간소화 및 금융제도의 선진화를 통해 투자자금 조달의 용이성

    및 투명성을 확보해야 한다.

    총요소생산성 향상을 통해 자본의 한계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물적자본

    투자보다는 기술․혁신 주도형 투자 중심으로 투자패턴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

    모방․응용기술 중심에서 핵심원천기술에 집중하는 혁신친화형 R&D체제의 확

    립과 지식․기술의 창출에 기여하는 인적자본의 축적이 중요하다.

    경제의 서비스화 현상에 대응하여 서비스산업의 특성에 걸맞는 투자전략의

    강화가 필요하다. 서비스 진입 규제 등을 완화하여 기업 간 경쟁을 촉진하고

    기업가 정신이 최대한 발현되도록 관련 제도를 개선해야 할 것이다. 서비스 부

    문의 무형투자, 특히 R&D투자의 활성화를 위해 과거 제조업 중심의 R&D 지

    원방식에서 벗어나 서비스업의 특성을 고려한 지원방식으로 전환해야 할 것이

    다.

    성장과 고용의 선순환을 촉진하기 위하여 경제성장률 제고와 아울러 고용의

    성장탄력성을 높임으로써 경제의 고용창출력을 강화해야 한다. 안정적이고 좋

    은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거시정책, 산업정책, 교육정책, 고용 및 복지정책

    등 관련 정책들을 조화롭게 운용할 필요가 있다.

  • 4

    양질의 고용기반 창출력을 유지하기 위해 핵심 부품소재산업 등 기술력이

    높은 제조업과 부가가치가 높은 서비스산업에서 신성장동력을 발굴․지원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끊임없는 기술혁신이 요구되는 고기술 산업군에서는 역동적

    으로 변화하는 기업의 노동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제고해야 한다. 고용효과가 높은 대표적인 고부가가치 서비스업인 교육, 의료,

    금융 및 사업서비스 산업에서 대대적인 규제완화 및 제도개선이 필요하다.

    중소기업 부문에서 양질의 일자리는 건실한 신생기업의 창업이 촉진되어야

    한다. 창업 성공을 지원하기 위하여 창업보육사업의 질적 내실화가 필요하다.

    중소기업의 고용창출구조가 고도화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의 사업구조 고도화

    가 선행되어야 한다. 중소기업이 사업구조의 고도화를 통하여 성장성을 높이고

    고부가가치화를 실현함으로써 안정적 고용 확대가 가능하다.

    Ⅲ. 제조업의 투자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1. 제조업의 투자 현황과 투자 활성화 전략

    우리나라 제조업의 투자(실질고정자본형성)는 1980~90년 기간에는 연평균

    15.9%, 1990~2000년 기간은 연평균 5.1%, 그리고 2000~05년 기간은 연평균

    5.5%의 증가율을 보였다. 1990년대에는 투자의 절대규모가 감소한 외환위기

    시기가 포함되어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2000년대 들어 제조업의 투자는 장기

    추세상 다소 둔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특히, 2006년에는 전년대비 2.2%의

    증가율을 기록하는 등 최근에 투자가 더욱 둔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2000

    년 이후 우리나라 제조업의 투자증가율은 미국보다는 높지만 일본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특히, 발전단계 및 기술수준이 우리나라보다 앞선 일본 제조업의 투

    자는 2000~05년 기간 중 연평균 12.8%를 기록했다.

    2000년대 들어 우리나라 제조업의 투자의 부진은 주로 ICT 투자의 부진에

    기인하는 것이다. 즉, 1990년대 제조업의 투자를 주도했던 ICT 투자는 2000~05

    년 기간 중 연평균 0.3% 증가하는 데 그쳤다. 반면, 비ICT 투자는 같은 기간

    중 연평균 7.6%를 기록했다. 또한 우리나라 제조업의 투자구조는 2005년 이후

    신제품 생산을 위한 투자 및 수출수요 대비용 투자의 비중이 하락하고 있다.

    이는 신기술․신제품에 대한 투자의 확대를 통해 새로운 수출 분야를 개척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우리나라 제조업의 1인당 자본스톡 수준(미국=100)은 1980년의 49.7 수준에

    서 2005년에는 65.0 수준으로 높아져 미국과의 격차가 좁혀지고 있지만, 일본

    과의 격차는 확대되고 있다. 우리 제조업이 선진국과의 노동생산성 격차를 축

  • 5

    소하기 위해서는 투자확대를 통한 1인당 자본스톡의 격차 축소와, 기술향상을

    통한 총요소생산성의 향상이 필요하다. 더욱이, 우리나라 제조업의 자본생산성

    이 2000년 이후 거의 정체상태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에는 자본생산성

    의 향상을 수반할 수 있는 기술체화형 투자 혹은 내생적 투자 전략이 보다 강

    화되어야 한다.

    향후 우리 제조업은 현 주력산업의 성장을 대체 혹은 보완할 수 있는 신성

    장동력 분야, 즉 융복합화 부문, 산업내 고부가가치화 부문, 그리고 녹색기술

    및 환경․에너지 분야 등에 대한 투자를 강화해 나가야 한다. 신성장동력에 대

    한 투자 활성화를 위해서는 R&D시스템의 개편, 창조적 인력양성 등 혁신인프

    라의 구축이 필요하다. 또한 제조업 전반에 걸쳐 기업의 신규투자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저렴한 산업용지의 공급, 수요중시형 기술․기능인력의 양성, 조세․

    금융제도의 개선 등 생산요소 공급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여건 조성이 필요하

    다.

    2. 제조업 일자리 현황과 일자리 창출 전략

    우리나라 제조업의 일자리 수는 1990년대에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감소 추세

    는 2000년 이후에도 지속되고 있다. 전산업 취업자 수에서 제조업 취업자 수가

    차지하는 비중은 외환위기 이전 1993~1997년간 23.2%였으나 2007년에는 17.6%

    정도이다. 제조업은 외환위기 이후인 1998~2007년간 전산업 성장률인 5.5%를

    크게 웃도는 9.5%의 성장률로 성장하여 경제성장을 주도하였지만, 제조업 고

    용계수는 계속 감소하였다. 주요 선진국에서도 제조업 고용계수가 빠르게 감소

    하고 있기는 하지만, 우리나라는 상대적으로 더 빠르게 감소하고 있다.

    일자리 수 변동은 제조업 부문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외환위기 이후 중

    공업 부문의 일자리 수는 증가하고 있고, 경공업과 화학, 비금속광물 부문에서

    는 일자리 수가 빠르게 감소하고 있다. 대체적으로 볼 때 고기술 산업에서는

    일자리 수가 증가하는 반면, 저기술 산업에서는 구조조정과 기술혁신이 진행되

    면서 일자리 수가 빠르게 감소하고 있다. 제조업 일자리 수가 감소하고 있기는

    하지만, 제조업이 우리 경제의 일자리 창출에서 차지하는 위치는 중요하다. 제

    조업은 간접취업유발효과가 큰 산업이고, 특히 중화학공업의 경우에는 그 상승

    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일자리 창출에 걸림돌이 되는 요인으로는 우선 우리나라 제조업 단

    위노동비용 상승을 지적할 수 있다. 우리나라 제조업 단위노동비용의 연간 변

    화율을 보면, 2000~2006년까지 연평균 3.2%(달러표시) 증가하였으며, 경쟁상대

    국이 아닌 호주(8%), 영국(4.4%) 등보다는 낮지만, 미국(-0.4%), 일본(-4.9%) 등

    보다는 높은 편이다. 또한 제조업 투자가 부진하여 일자리 수 증가가 둔화되었

  • 6

    으며, 서비스업의 낮은 생산성은 제조업 일자리 창출을 저해하였다. 중화학공

    업 부문에서는 2004~2006년간 투자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

    고 일자리 수가 많이 증가하였지만, 2007년에는 음의 증가율로 반전되었다. 그

    리고 제조업 노동시장의 유연성은 특히 상용근로자의 경우에는 매우 낮아, 국

    제경쟁여건 특히 제조업 부문의 노동시장 유연성 강화압력에 적절히 적응하지

    못하고 있다.

    제조업 일자리 창출 및 유지를 위해서는 일자리 창출 동력을 확충해야 한다.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서, 성장성이 높은 제조업 내 신산업, IT 산업

    등 주요 수출업종, 핵심 소재부품산업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고기술 산

    업 고급인력에 대한 노동시장 유연성을 높이고 활용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저

    기술 산업에서는 고용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기술혁신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요구 인력의 수준이 높아지고 있으므로, 이들 부문에서 방출되는 노

    동력에 대한 재교육훈련과 취업알선 등의 고용서비스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청년층의 고용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학교로부터 직장으로의 원활한 이

    행을 지원해야 하며, 더욱 근본적인 것은 교육이 산업의 수요에 맞도록 인적자

    원개발체제를 개편해야 한다.

    Ⅳ. 서비스산업의 투자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1. 서비스산업의 투자 현황과 투자 활성화 전략

    총고정자본형성을 통해 본 서비스산업의 투자는 최근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

    고 있는 제조업 투자와는 달리 외환위기 후 최근까지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

    다. 수출이나 설비투자에의 의존도가 높은 제조업과는 달리 서비스산업의 경우

    내수, 특히 소비의존형 산업으로서의 성격이 강하므로 내수회복 지연에 크게

    영향을 받은 데 기인한다.

    GDP와 고용에서 차지하는 서비스산업의 높은 비중과 지속적인 비중 확대를

    감안할 때, 서비스산업 투자의 부진은 향후 우리 경제의 장기적인 성장잠재력

    확충과 고용증대에 커다란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서비스산업의

    경제적 비중이 증가하면서 90년대 중반 이후 서비스산업 투자와 성장, 투자와

    고용 간의 관계가 긴밀화되었다. 우리 경제의 성장잠재력을 높이고 고용을 증

    대시키기 위해서는 제조업의 투자 활성화 뿐 아니라 서비스업의 투자 회복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매우 중요하다.

    서비스산업 투자의 경우 기계․장치 등 생산설비 중심의 제조업 투자와는

    달리 건물 등 부동산 투자의 비중이 매우 높고 차량 및 운반구의 비중이 높아

  • 7

    투자의 증가가 곧 바로 해당산업에서의 생산이나 고용의 증가로 이어진다고

    보기는 어렵다. 수출을 통한 수요창출의 여지가 큰 제조업과는 달리 서비스산

    업의 생산은 국내소비 수요에 크게 의존하고 있어 수요기반의 확충 없이 투자

    확대를 통한 생산이나 고용 증대는 기대하기 곤란하다.

    서비스산업의 투자 촉진을 위해서는 경쟁력이 취약한 유통․물류업과 금융

    업, 향후 수요 확대가 예상되는 의료․교육 등 사회서비스업, 제조업 생산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사업서비스업 등 향후 성장가능성이 높은 업종을 중심으

    로 제반 투자환경을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서비스분야에서의 각종 진입 및

    입지관련 규제의 완화․철폐, R&D 및 정보화 투자 확대를 위한 금융·세제 지

    원, 시장개방 및 외국인투자 유치를 위한 제도 정비, 서비스수출 확대를 통한

    수요기반의 확충 등이 필요하다.

    2. 서비스산업의 일자리 현황과 일자리 창출 전략

    경제의 서비스화가 진전되고 있는 우리 경제에서 서비스산업의 경우 서비스

    부문에서의 고용비중과 부가가치비중의 변화가 동조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는

    여러 선진국들과는 다르게 고용비중은 확대되고 실질부가가치 비중이 축소되

    고 있어 서비스산업에서의 생산성 수준이 낮고 그 증가추세도 느린 것으로 나

    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우리 경제가 보몰의 세계(Baumol's world)에 빠져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내포하고 있다.

    서비스산업의 저생산성의 원인을 요인분해방법으로 분석해 본 결과, 서비스

    산업의 저생산성의 결과는 도·소매, 음식 및 숙박 등의 개인서비스업과 같은

    저부가가치 업종의 지나친 비대화가 1차적인 원인으로 도출되었다. 서비스산업

    저생산성의 또 다른 원인은 제조업과의 연관성이 매우 큰 금융·보험 및 사업

    서비스업의 낙후성으로 나타났다. 경제성장에 따른 소득탄력성이 높은 업종으

    로 알려진 교육서비스, 공공행정, 보건 및 사회복지사업 등의 사회서비스업의

    비중 및 생산성이 상대적으로 저조한 것 역시 전체서비스업의 고용과 생산성

    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서비스산업의 고부가가치화와 질 높은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첫

    째, 다양하고 이질적인 세부업종들로 구성되어 있어 생산성의 편차가 매우 큰

    서비스산업의 특성을 고려한 후 개별산업별 차별적인 정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고용을 직접적으로 흡수함으로써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산업을 지원하는 한편, 여성 등의 고용을 간접적으로 지원하는 개인서비스 및

    의료보건서비스, 미래의 고용을 원활히 해주는 교육훈련 및 고용지원 서비스는

    차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셋째, 서비스산업의 다양성을 고려할 때 적극적인

    일자리 창출을 위한 수요증대 뿐만 아니라, 일자리와 구직자간의 불일치를 시

  • 8

    정하는 제도적 장치가 요구된다.

    V. 중소기업의 투자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1. 중소기업의 설비투자 부진 실태 및 대책

    제조 중소기업의 설비투자는 1998∼2007년간 대기업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부진했을 뿐만 아니라, 중소기업의 생산액 대비 설비투자 비율의 장기 하락에

    서 나타나고 있듯이, 절대적인 수준에서도 매우 부진했다. 제조 중소기업의 생

    산액 대비 설비투자의 비율은 1998년 0.9%에서 2000년 1.6%로 일시 증가했지

    만, 이후 2006년까지 1.1% 감소하는 부진을 보였다..

    1998∼2007년 간 제조 중소기업의 설비투자 부진 원인은 우리 경제의 내수

    부진에 따른 중소기업의 평균가동률 하락, 설비투자의 수익성 하락, 자금운용

    에서의 높아진 위험회피 성향, 국내 설비투자보다는 해외투자 및 기술개발투자

    를 중시하는 투자 행태의 변화 등의 요인을 들 수 있다.

    중소기업은 판매 형태 구성에서 내수 비중이 85%에 달하며, 설비투자 동기

    의 75%가 기존 설비의 유지․확장에 있는 만큼 내수 부진에 따른 평균가동률

    하락은 설비투자 위축의 직접적인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자금

    운용에서의 위험회피 성향이 증가함에 따라서 설비투자를 위한 차입은 줄이고,

    자기자금의 범위 안에서 안정적으로 설비투자에 치중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

    다.

    제조 중소기업의 국내 설비투자가 1998∼2007년 기간 장기 하락한 것에 비

    하여, 국내 설비투자는 물론 기술개발투자 및 해외투자를 포함한 총투자는 같

    은 기간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이러한 투자 행태의 변화는 과거 자본의 양적

    확대를 추구하는 투자전략에서 생산요소의 질적 개선 및 글로벌화를 추구하는

    투자전략으로의 변화를 시사하는 것이다.

    앞으로 1∼2년 이내에 제조 중소기업의 설비투자가 장기 부진에서 벗어날

    것으로 전망하기는 어렵지만, 2000년 이후 크게 증가된 중소기업 기술개발투자

    의 사업화를 통하여 설비투자를 촉진할 수 있다면, 이것이 중소기업 설비투자

    활성화의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중소기업의 개발기술 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창업초기기업 및 소기업

    을 중심으로 한 정책자금 지원과 기술개발 제품의 구매를 촉진하기 위한 시책

    등을 확대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9

    2. 중소기업의 일자리 창출 구조 및 정책과제

    제조업의 고용 추이에서 나타난 특징으로는 무엇보다도 50인 미만의 소기업

    층이 일자리 창출을 주도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는 우리나라 제조업의

    종업원규모별 사업체 수 구성 추이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의미한다. 우리

    나라의 종업원규모별 사업체 구성은 50인 미만 소기업층의 저변은 확대된 반

    면 대기업층과 중간규모층의 사업체 저변은 약화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종업원규모별 고용 기여도의 차이로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라 제조업의 종업원

    규모별 사업체 수 구성은 일본, 독일, 영국 등 주요 선진국에 비해 중간규모층

    과 대기업층이 얇고 소기업층에 집중 분포되어 기업규모의 영세화 현상이 두

    드러진다.

    제조 중소기업의 일자리 창출 추이의 또 다른 특징은 중소기업 부문의 일자

    리 창출능력과 여지가 점차 줄어들고 있다는 점이다. 우리 경제에서 기업 진

    입률과 퇴출률이 동반 하락하면서 경제의 역동성이 떨어지는 모습을 보이는

    가운데, 창업기업 수는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고용의 질과 성장속

    도가 일반 기업에 비해 월등한 혁신형 창업의 감소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

    는 향후 중소기업의 건강한 일자리 창출 기능을 크게 제약할 수 있다.

    지난 수년간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격차구조가 심화되고 고착화된 점도 중

    소기업의 일자리 창출과 관련하여 유념해야 할 부분이다. 대기업과의 격차구조

    는 어느 정도 불가피한 현상이라고 할 수 있으나 격차가 계속 확대되거나 고

    착화되는 것은 적지 않은 문제들을 내포하게 된다. 이는 궁극적으로 중소기업

    의 일자리 창출기능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특히 일자리의 질을 악화시킴

    으로써 대기업과의 격차를 더욱 심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중소제조업의 일자리 창출 구조는 향후 중소기업정책이 중소기업

    고용 창출의 질적 측면에 좀 더 유의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중소기업의

    성장 구조와 내용의 질적 전환을 중요한 정책과제로 다룰 필요가 있음을 시사

    한다.

    일자리 관점에서 중소기업정책의 핵심과제는 양질의 지속가능한 고용 창출

    을 도모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지속성을 담

    보하기 어려운 일자리의 안정적 구조조정을 병행 추진할 필요가 있다. 세부 정

    책과제로는 건강한 신생기업의 시장 진입 촉진, 사업구조 고도화를 통한 성장

    성 제고, 중소기업 영위시장 확대를 통한 고용창출 기반 확충, 숙련 형성 및

    제고를 위한 교육훈련 투자 확대 및 내실화, 성장지체 중소기업의 구조조정 원

    활화 등을 제시할 수 있다.

  • 10

    Abstract

    Reviving Business Investment and Job Creation: Problems and Policies

    Since the financial crisis in 1998, the Korean economy has experienced

    sluggish growth in both investment and employment. The average growth

    rate of plant and equipment investment fell to 6.4% between 1999 and

    2007, which was about the half that of the 1980s. The average growth rate

    of employment also fell to 2.4% during the current decade from 5.1% in

    the 1980s. This trend raised a concern as to whether the Korean economy

    is loosing its industrial competitiveness. The Korean economy now faces a

    serious challenge in overcoming further deterioration of business investment

    and job creation following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riggered in the second

    half of 2008.

    This study purports to analyze the causes of stagnant investment and

    employment, and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their revitalization. In

    chapter II, we provide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sessment of

    investment and employment performance since 1998. The ratio of plant and

    equipment investment to output (GDP) fell to below 10% during the recent

    few years. To investigate economic factors affecting investment empirically,

    this report uses a neoclassical model of investment. We find that Korea's

    investment performance has been affected by several factors, including the

    marginal productivity of capital, the user cost of capital, debt ratio, profit

    ratio, total factor productivity, entrepreneurship, and the structural change

    in different industries.

    In the Korean economy, the number of jobs generated by a single 1%

    economic growth decreased to 122,000 in 2003 from 135,000 in 1995. This

    reduction in the capacity for job creation is primarily due to widespread

    labor-saving technologies in the manufacturing sector and the decline of

    labor-intensive industries. Employment is closely associated with growth in

    aggregate demand. We find that domestic demand had a greater effect on

    employment than export. Among them, consumption turns out to have the

    most significant impact on employment.

    We also conducted an empirical test to find out the long-term

    relationship between investment and employment, using both

    macroeconomic and industry data. Our finding is that an increase in

  • 11

    investment could lead to higher long-run employment and an increase in

    total factor productivity induced by invest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employment in all industries.

    The chapter concludes that the Korean economy desperately needs new

    growth engines to promote higher growth rate by encouraging the new

    entry of innovative firms and promoting the structural adjustment of

    incumbent firms in the industry’s value chain. Major policy suggestions

    include the creation of a cost competitive business environment,

    deregulation of product and financial markets and public R&D support.

    In chapter III, we discuss investment and job creation in the

    manufacturing sector. The growth rate of real fixed-capital formation

    decreased to 5.5% for the period 2000-2005 from 15.9% for the period

    1990-2000. Poor capital formation is caused mainly by decreased investment

    in the ICT industry this decade. The change of employment in the

    manufacturing sector varies by specific industry. While employment has

    been increasing in heavy industry, it has been rapidly decreasing in the

    light and chemical industry. This trend in the manufacturing sector implies

    that new industrial growth engines should continue to be developed in

    order to foster investment and job creation.

    In chapter IV, we deal with the service industry. Prior to 2000, the

    service industry has been expanding both in terms of investment and

    employment. The growth rate of investment and employment has since not

    recovered because of sluggish domestic consumption and low productivity

    in the industry. This phenomenon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the Korean

    economy might be in a Baumol's World and thus could have a negative

    effect on productivity and employment. To facilitate investment and job

    creation in the service industry, domestic demand should be boosted and

    differentiated policies be designed for each specific service considering their

    significant product differences.

    Chapter V is devoted to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MEs).

    Investment performance by SMEs has been poor, compare with large-sized

    firms. The ratio of investment to output for SMEs has declined to 1.1% in

    2006 from 1.6% in 2000. A substantial part of SMEs' job creation stems

    from those with 50 or fewer employees. To promote investment and

    employment by SMEs, government policy should focus on encouraging

    commercialization of technologies and providing skilled human resources.

  • 12

    제Ⅰ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외환위기 이후 우리 경제는 커다란 패러다임의 변화를 겪고 있다. 과거 고도

    성장 시대에 투자-생산-고용-소득으로 이어지는 경제의 선순환은 확대균형을

    통해 우리경 제의 성장 원동력으로 작용했다. 기업들은 적극적인 설비투자 확

    대를 통해 생산과 고용 증대에 절대적인 기여를 하였다. 고용 증대에 따른 소

    득증대는 기업들의 투자의욕을 불러일으켜 다시 투자 확대로 이어졌다.

    외환위기 이후 우리 경제구조와 기업행태가 선진국형으로 변하면서 투자와

    일자리 창출은 중대한 도전을 받고 있다. 기업 설비투자는 역동성을 잃어가고

    있으며 고용 불안은 일상화되어 가고 있다. 투자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이 ‘국

    민의 정부’와 ‘참여정부’는 물론 현 정부에서도 최대 경제현안으로 다루어지고

    있으나 근본적인 해결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우리보다 앞서 가고 있는 선진

    국들 역시 경제발전 과정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모두 투자 부진과 일자리

    부족을 경험했기 때문에 어쩌면 우리 경제도 선진화과정에서 당연히 겪어야

    할 고민일지도 모른다.

    과거에는 기업들이 공격적인 투자를 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인식되

    었고, 투자(특히, 설비투자)의 활성화는 경제발전을 이끄는 견인차로 여겨졌다.

    이 같은 인식의 연장선상에서 2000년대 이후의 설비투자 부진은 성장 동력의

    상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투자의 중요성에 대한 재인식은 거시경제는 물론

    산업과 기업에 대해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투자는 경제의 총수요를 구성하는 항목이므로 투자수요의 변동은 총수요에

    영향을 미쳐 경제순환을 증폭시킨다. 또한 투자 확대는 자본축적을 통해 총공

    급능력을 향상시키므로 장기적인 경제성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미시

    적으로는 투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즉 시장구조, 조세제도, 금융시장, 기업

    재무구조, 기업가 정신 등에 관한 성찰이 투자 현상을 이해하는데 필요하다.

    투자의 역동성 상실은 경기순환과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분석과 투

    자결정 요인에 관한 거시적․미시적 요인의 규명을 요구하고 있다.

    투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해서는 많은 분석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

    다. 가장 전통적인 접근방법은 금리, 환율, 자본재가격 등 가격 및 비용 요인들

    이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신고전학파의 사용자 비용

    (user cost of capital)에 기초한 분석은 이론과 모형의 정교함에도 불구하고 단

    기적인 투자의 변동성을 설명하는 데 무리가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2000년대 이후 우리 경제의 투자 부진에 관한 가장 포괄적인 견해는 미래

    투자수익률과 성장전망에 대한 기대 저하에 따라 투자리스크가 증가했다는 것

  • 13

    이다. 이 주장은 거시경제 환경과 기업경영 환경의 불확실성이 투자의 기대수

    익률을 높여 기업들이 과거와 같은 공격적인 투자를 꺼려하고 있다는 내용이

    다.

    기업의 현금 흐름 등 재무적인 요인도 투자 결정의 중요한 요인이다. 외환위

    기 이후 대기업의 경우는 수익성이나 현금 유보가 크게 증가하여 투자에 긍정

    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이나, 중소기업의 경우는 수익성 저하, 신용 부족 등

    으로 인해 현금 흐름상의 투자 제약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일자리 문제 역시 고도성장 시대에는 겪어보지 못한 새로운 현상이다. 일자

    리 부족은 거시적으로는 경제성장의 둔화에 기인하고, 미시적으로는 산업구조

    의 변화에 원인이 있다. 일자리 부족의 문제는 단순한 일자리의 감소라는 양적

    인 측면뿐만 아니라 일자리의 양극화라는 질적인 측면도 고려해야 한다. 소득

    이 증가할수록 양질의 일자리에 대한 욕구가 커지기 때문에 일자리의 질적인

    양극화는 소득분배의 악화로 이어져 정치사회적인 불안을 초래한다.

    고용 불안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안정적 경제성장을 통한 일자리의 지속적인

    창출과 함께 임금 격차 해소, 사회복지 확대, 노동시장 유연화 등의 종합적인

    정책대응을 검토해야 한다. 투자 부진은 직간접적으로 생산성 변화를 통해 일

    자리 창출과 파괴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양자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도

    필요하다.

    일자리 창출의 부진 원인은 경기순환적 요인과 구조적(또는 추세적) 요인으

    로 구분된다. 경기순환적으로 고용이 감소하는 것은 내수, 수출 또는 투자의

    부진으로 경기가 하강하면서 일자리 소멸(job destruction)에 비하여 일자리 창

    출(job creation)이 미흡하기 때문이다. 구조적․추세적으로는 기술, 제도, 혁신

    의 차이에 따른 생산성 변화 및 국제 분업 구조의 변화에 따라 산업구조가 재

    편되는 과정에서 일자리 창출 영역의 외연적 확대가 미흡하기 때문에 일자리

    부족이 심화된다.

    우리 경제가 겪고 있는 일자리 부족은 경기순환적으로 내수 부진에 따른 저

    성장으로 고용 창출이 미흡한 것이 주된 원인이나, 산업 전반의 적극적 구조조

    정이 약화되면서 소멸된 일자리를 대체할 새로운 일자리 창출이 부족한 데도

    원인이 있다.

    이 같은 기본인식 하에 본 보고서는 우리 경제의 설비투자 부진과 일자리

    부족 현황을 거시적․산업적인 관점에서 살펴보고 설비투자와 고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투자와 일자리에

    관한 연구는 산업이나 기업 차원의 미시적 접근을 통해 실체를 좀 더 분명히

    알 수 있기 때문에 보고서에서는 산업 부문별로 또는 기업 규모별 분석에 초

    점을 두고 있다.

  • 14

    2. 연구의 범위와 주요 내용

    본 연구는 총 4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장은 투자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로 나누어 중요한 이슈에 관한 현황 분석이나 실증 분석을 시도한 후 도

    출되는 정책제언을 기술하고 있다.

    먼저 제II장에서는 투자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의 큰 흐름을 짚어보고자 하였

    다. 총론에 해당하는 이 장에서는 우리 경제의 설비투자 수준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투자 부진이 어디서 유래되었는가를 살펴보고, 투자 부진에 관한 여러

    가지 견해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투자 부진에 관한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투자결정 요인에 관한 모형을 설정하여 실증분석을 하고 추정결과가 의미하는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일자리 창출 전략에서는 일자리 부족 문제를 양적․질적인 측면에서 평가하

    고 일자리 부족의 원인을 경제의 저성장, 산업구조의 변화, 노동시장의 수급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마지막 절에서는 투자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간의 관계

    를 실증분석을 통해 규명해 보았다.

    제III장에서는 제조업의 투자와 일자리 문제를 다루고 있다. 제조업에서는 생

    산성에 대한 기여도가 서로 다른 ICT(정보통신기술)투자와 비ICT투자의 현황

    과 제조업 자본스톡의 국제적 비교 및 자본생산성의 추이를 살펴보았다. 우리

    의 주력산업이 아직은 제조업 중심이므로 신성장 제조업 육성을 위한 투자 전

    략을 별도로 분리하여 심층적으로 다루었다.

    제조업의 일자리는 생산성과 역의 관계를 보이기 때문에 업종별 취업유발구

    조를 토대로 고용구조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기술진보와 글로벌화, 그리고 경

    제의 서비스화가 제조업 고용구조에 미치는 영향은 이슈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비교적 자세히 기술하였다. 산업구조나 노동환경의 변화에 따라 나타나는 제조

    업 고용구조의 변동도 별도의 절로 다루었다.

    제IV장은 서비스산업의 투자와 일자리 문제를 다루고 있다. 서비스부문의

    투자는 유형투자뿐만 아니라 무형투자의 역할이 크기 때문에 총고정자산형성

    을 중심으로 무형투자의 현황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서비스업은 제조업에

    비하여 투자의 생산 및 고용유발효과가 작기 때문에 국제비교를 통해 낮은 고

    용유발의 원인을 분석하였다.

    서비스업의 고용에서는 일자리 창출보다는 노동생산성 향상이 더 중요한 문

    제이므로 낮은 생산성과 과잉 고용에서 파급되는 보몰의 병폐(Baumol's

    Disease)에 초점을 맞추었다. 생산성 변화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제조업과

    서비스업 및 서비스 세부업종에서의 생산성 변화 분해를 통해 생산성 부진의

    원인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제V장에서는 투자 및 일자리 창출의 핵심적 역할을 하는 중소기

  • 15

    업 부문의 구조적 문제를 다루었다. 이 장은 중소기업은 기술수준과 부가가치

    가 높은 기업의 창업과 중견기업으로의 성장이 문제 해결의 핵심이라는 인식

    에 바탕을 두고 있다. 외환위기 이후 대기업에 비하여 크게 부진한 중소기업의

    투자는 내수 부진에 따른 투자여력 감소와 구조조정 지연이 커다란 문제점으

    로 제시되었다.

    중소기업의 고용 부진은 생산성이 낮은 소기업 중심의 고용과 기업가정신의

    퇴조 등으로 인한 창업 감소가 주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고용 없는 성장은

    중소기업이 유발하는 양질의 일자리 부족에 기인하므로 기술과 혁신을 통해

    대기업에 버금가는 일자리 창출방안이 제시되었다.

  • 16

    제II장 우리 산업의 투자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1. 문제의 제기

    외환위기 이후 우리 경제는 투자의 역동성(investment dynamics)이 상실되면

    서 고용 없는 성장(jobless growth) 이 심화되고 있다. 설비투자와 고용의 추세

    적 부진은 1998년을 전후하여 설비투자와 취업자 수의 로그 값을 표시한 에서 나타나고 있다.

    외환위기 이전의 설비투자 기울기는 실질GDP 기울기보다 가파르면서 굴곡

    을 보이고 있으나, 외환위기 이후에는 양자가 수렴하고 있다. 설비투자의 역동

    성이 약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취업자 수의 기울기는 실질GDP 기

    울기에 비하여 갈수록 완만해지고 있다. 성장을 하더라도 고용흡수력이 갈수록

    약화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3개 지표의 증가율을 기간으로 나누어 비교하면 외환위기 이후의 수치가 크

    게 둔화되고 있다( 참조). 1999~2007년 간 실질GDP증가율은 5.2%에

    머물러 그 이전 기간에 비하여 크게 둔화되었다. 같은 기간 중 설비투자의 증

    가율은 6.4%에 그쳐 1980년대 비하면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취업자 수 증가

    율은 1980~90년간 5.1%, 1990~97년간 3.5%, 1999~2007년간 2.4%로 갈수록 낮

    아지고 있다.

    실질GDP, 설비투자 및 취업자 수1) 증가 추이

    5

    5.2

    5.4

    5.6

    5.8

    6

    3.8

    4

    4.2

    4.4

    4.6

    4.8

    5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log(취업자수), 좌축

    log(실질GDP) 우축

    log(설비투자) 좌축

    외환위기

    자료: 한국은행, 통계청

    주: 1) 취업자 수는 농림어업을 제외한 수치임.

  • 17

    외환위기 전후 각 지표 증가율

    연평균,%

    실질GDP 설비투자 취업자 수1)

    1980~90 8.7 12.1 5.1

    1990~97 7.2 7.8 3.5

    1999~07(‘98 제외) 5.2 6.4 2.4

    자료: 한국은행, 통계청

    주: 1) 취업자 수는 농림어업을 제외한 수치임.

    국민계정 상으로 보면 설비투자는 총수요의 구성항목이므로 경기순환적으로

    설비투자의 부진이 승수효과를 통해 실질GDP의 증가를 제약했다는 해석도 가

    능하다. 다만, 설비투자를 통한 자본축적이 총공급의 확대를 통해 장기적인 경

    제성장률의 상승에 기여했는가는 별도의 검증이 필요할 것이다.1)

    한편, 실질GDP와 고용은 오쿤의 법칙(Okun's Law)에 따라 정의 관계에 있

    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실질GDP 증가율이 낮아지면 취업자 수 증가율도 낮아

    진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앞에서 본 바와 같이 성장률 하락에 비하여 취업자

    수의 증가율이 지나치게 낮아졌기 때문에 그 원인에 관한 규명이 필요하다. 특

    히, 성장의 고용유발효과 감소가 산업구조의 변화에 기인하는지, 아니면 노동

    시장의 구조 변화에 기인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중요하다.

    올해 들어 미국에서 발생한 금융위기가 전세계적으로 확산됨에 따라 세계경

    제는 1930대 대공황 이후 최대의 실물경기 침체에 직면하고 있다. 각국의 내수

    와 수출이 크게 부진함에 따라 국내외 유효수요 부족으로 인하여 투자와 생산

    이 위축되고 고용 사정도 급속하게 악화되고 있다. 대외의존도가 높은 우리나

    라는 내수 부진에 더하여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하던 수출마저 감소할 것으로

    보여 상당 기간 투자 위축과 고용 불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의 발표(2008.12.12)에 따르면 2009년에 우리 경제는 성장률 2% 달

    성, 설비투자 3.8% 감소, 취업자 수 0.2% 증가라는 외환위기 이후 최대의 경기

    침체가 전망되고 있다. 더구나 세계경제가 내년에 최악의 경기침체를 겪은 후

    완만한 회복을 보일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2010년 이후의 설비투자나 고용의

    회복도 낙관할 수 없는 상황이다.

    1) 하준경(2008a)은 우리나라의 경우 투자율과 성장률이 장기적으로 안정적 관계(공적분관계)를 보이지

    않음을 이유로 투자율 상승의 장기적인 성장률 제고 효과에 관하여 회의적인 견해를 제시하고 있다.

  • 18

    0

    2

    4

    6

    8

    10

    12

    14

    16

    18

    '70 '72 '74 '76 '78 '80 '82 '84 '86 '88 '90 '92 '94 '96 '98 '00 '02 '04 '06

    1970~07 평균

    2. 투자부진 현황과 원인 분석

    (1) 투자부진현황

    전술한 바와 같이 1990년대까지 설비투자는 경제성장률을 상회하는 높은 증

    가세를 유지하면서 경제성장을 주도하였으나 외환위기를 거치면서 둔화되기

    시작하여 2000년 이후 경제성장률을 하회하는 부진이 지속되고 있다.

    설비투자의 부진은 설비투자가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으로 판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에서 보듯이 최근 수년간 설비투자의 비중은 과거에

    비하여 현저히 저하되었다. 1970~2007년간 설비투자 비중은 평균 12.1%였으나

    최근에는 10% 이하로 낮아졌다.

    설비투자/GDP 비중(%, 명목기준)

    자료 한국은행

    설비투자의 부진은 단기적인 순환변동과 장기적인 추세괴리로 측정할 수 있

    다. 시계열자료에서 순환변동은 실제 수치가 단기변동을 제거한 수치에서 얼마

    나 벗어났는가를, 추세괴리도는 실제 수치가 장기 추세치에서 얼마나 벗어났는

    가를 각각 나타낸다.

    에서 분기별 설비투자의 순환변동을 보면 2000대 이후 변동성이

    축소되어 투자의 역동성이 상실되었음을 알 수 있다. 설비투자의 추세괴리도를

    보면 2001년 이후 장기추세를 크게 하회하고 있다2). 결국 2000년대 들어 설비

    2) 장기추세치 추정식:log설비투자 log (-12.0) (41.2)

    * 통계는 1980.1Q~2008.3Q까지의 설비투자와 GDP를 이용(2000년 불변가격 기준)

    * ( ) 안의 수치는 t값으로 1% 수준에서 유의

    * 오차항에 대한 단위근 검정 결과, 설비투자와 GDP 간에 공적분 관계 존재

    표준편차

  • 19

    미국 영국 독일 일본 싱가포르 한국

    1인당 국민소득

    1만→2만 달러

    소요기간

    10년

    ‘78→’88

    9년

    ‘87→’96

    11년

    ‘79→’90

    6년

    ‘81→’87

    장기불황

    ‘91→’00

    5년

    ‘89→’94

    14년

    ‘91→’05

    경제성장률 3.2 2.4 2.3 3.4 1.3 9.3 5.3

    설비투자증가율 4.8 4.5 4.1 8.8 0.9 10.8 3.6

    투자는 장기 추세치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을 유지하면서 변동 폭도 상당히

    줄어 든 것으로 판단된다.

    설비투자 괴리도 및 순환 변동치 추이

    -25

    -20

    -15

    -10

    -5

    0

    5

    10

    15

    20

    1980 1982 1984 1986 1988 1990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4 2006 2008

    (%)

    설비투자괴리도

    설비순환변동치

    자료: 한국은행, 「국민계정」의 설비투자 통계에 의거 산출

    주: 1) 설비투자 괴리도=log(실제치/장기추세치)*100

    2) 순환변동치=log(실제치/단기변동이 제거된 수치)*100

    3) 단기변동 제거는 HP filter를 이용

    경제가 서비스화 되고 노동생산성이 증가함에 따라 설비투자 증가세가 둔화

    되는 것은 선진국에서도 관찰되는 보편적인 현상이나 우리나라의 경우 선진국

    에 비해 설비투자의 증가세가 경제성장률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르게 둔화되고

    있다는 데 문제가 있다. 주요 선진국이 1인당 국민소득 1만 달러에서 2만 달러

    에 도달하는 시점에서 경제성장률과 설비투자 증가율을 비교해보면 주요 선진

    국의 경우 경제성장률보다 설비투자 증가율이 높았을 뿐만 아니라 설비투자

    증가율이 높을수록 국민소득 2만 달러에 빠르게 도달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주요 선진국과 설비투자 증가율 비교

    단위:%

    자료: 한국은행, 「국민계정」

    국민경제자문회의, 「동반성장을 위한 비전과 전략」, 2006.

  • 20

    80~90 90~95 95~00 00~05

    한국

    전 산 업 1.1 4.8 4.4 2.6

    제 조 업 3.6 10.3 7.9 5.9

    SOC 0.0 0.9 9.0 0.2

    서비스업 -1.8 1.6 2.2 1.3

    미국

    전 산 업 1.2 1.5 2.1 3.2

    제 조 업 2.2 2.7 3.2 4.4

    SOC 0.1 1.3 -1.4 1.3

    서비스업 0.9 1.4 2.2 3.0

    일본

    전 산 업 5.8 4.4 5.9 3.8

    제 조 업 1.7 6.1 8.8 4.5

    SOC 6.7 0.7 5.6 6.1

    서비스업 6.3 3.8 5.0 3.0

    앞서 언급한 최근 우리나라의 설비투자 부진은 취업자 일인당 자본스톡의

    증가세 둔화를 야기해 잠재성장률 하락의 주요인이 되고 있다. 특히 2000년 이

    후 전산업 일인당 자본스톡 연평균 증가율은 2.6%에 그쳐 1990년대의 4% 수

    준에 못 미치고 있으며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 비해서도 증가세가 낮은 수준

    에 머물고 있다.

    산업별로 살펴보면 제조업의 일인당 자본스톡은 최근 수출호조에 힘입어

    5.9% 증가한 반면, 총자본스톡의 70%를 차지하고 있는 서비스업의 경우 1.3%

    에 머물러 있어 상대적으로 부진한 모습이다. 국제비교를 통해 볼 때도 제조업

    의 증가세는 미국(4.4%), 일본(4.5%)에 비해 왕성한 편이나 서비스업의 일인당

    자본스톡 증가율은 절반에도 못 미치고 있다.

    취업자 일인당 자본스톡 증가율 추이

    단위: %

    자료: EU KLEMS 데이터베이스.

    설비투자의 구조변화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산업별 설비투자 증가율

    추이를 보면 2000년 이후 국내 설비투자는 서비스업 등 비제조업보다는 제조

    업에 의해 주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001~06년 동안 제조업의 연평균 설

    비투자 증가율은 6.7%로 양호한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는 반면 비제조업은

    -2.5%로 부진하여 투자 부진의 주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외환위기 이후 대규모의 구조조정을 단행한 제조업은 과잉투자를 자제하는

    한편 수익성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