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악동암의 방사선 치료 - koreamed synapse to ohngren ... classification of maxillary...

9
Vol. XV , No. 1, 1979 -Abstract Ratiotherapy of Malignant Tumor of Maxillary Sinuses K.W. Kim, M.D. , D. H. Lee , M.D. and C. V. Park, M.D. Department of Radiology and Nuc!ear Medicin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 Korea Sixty nine patients of maligna nt tumors of the maxillary sinuses were treated at the Vonsei Cancer Center from January 1970 to Marc h 1978 by CO.60 teleth e rapy uni t. We analysed their clinical fi ndin gs, histopatho logical findings , clinical staging, .treatment and res ult 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Male to fema le ratio was 3: 1. The most prevalent age group was in fifth , sixth and seve nth decades (82.6%). 2. Histp at hologically , squamous ce ll carcinoma occurred most frequently which was 53 in 69 patients (76.8%). Lympho ma and adenoid cystic carcinoma were 3 patients (4.3%) respectively. 3. Maxillary swel ling was most frequent clinical manifestation and can be seen in 50 out of 69 patients (72. 5%). 4. C1 inica l stag in g acco rding to TNM system proposed by Sisson can be done in 49 patient s. Majority of pati ents were T-3 a nd T-4 and occupied 83.7 % (41/49). Accordin g to Ohngren 5 lin e, tumor locating in infrast ractur e were 33 patients and in suprastructure 16 patient s. 5. Amon g 69 pa tients, 59 patie nt s were treated by rad iatio n on ly , 5 patie nts were sugery plus rad iation and 5 patients by chemotherapeutic in fusion plus radiation. 6. In 31 patients who might be passed 5 yea rs afte r treatment, follow up can be done in only 13 patient s. 10 patients were tr eated by rad iation only a nd 3 pat ie nt s by s'u rgery plus radiation. Presumed 5 year survival rate was 3/1 0 (30%) in patients with ra diation only a nd 2/3 (66.7 %) in patients with surgery Iplus radiation. Amon g 13 pa tients , 5 patients occurred in infrastructure a nd 5 patients in suprastructure. Mean surv ival months of patie nt with in frast ru cture were 49 months a nd suprastructure were 3 1. 8 months I. ) 10- 1970 l 1978 3 Co - 60 - 254-

Upload: dangdien

Post on 29-May-2018

22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상악동암의 방사선 치료 - KoreaMed Synapse to Ohngren ... Classification of Maxillary Cancer by Sisson Tl: 1) Tumor invasion of the anterior wall without skin involvement

大韓放射綠훌훌學會誌 Vol. XV , No. 1, 1979

-Abstract

상악동암의 방사선 치료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김기황 · 이도행·박창윤

Ratiotherapy of Malignant Tumor of Maxillary Sinuses

K.W. Kim, M.D. , D. H. Lee, M.D. and C. V. Park, M.D.

Department of Radiology and Nuc!ear Medicin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Sixty nine patients of malignant tumors of the maxillary sinuses were treated at the Vonsei Cancer

Center from Ja nuary 1970 to March 1978 by CO.60 teletherapy uni t.

We analysed their clinical fi ndings, histopathological findings , clinical staging, .treatment and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Male to female ratio was 3: 1. The most prevalent age group was in fifth, sixth and seve nth decades

(82.6%).

2. Histpathologi cally, squamous cell carcinoma occurred most frequently which was 53 in 69 patients

(76.8%). Lympho ma and adenoid cystic carcinoma were 3 patients (4.3%) respectively.

3. Maxillary swel ling was most frequent clinical manifestation and can be seen in 50 out of 69 patients

(72.5%).

4. C1 inica l stag ing acco rding to TNM system proposed by Sisso n can be done in 49 patients. Majority

of patients were T-3 a nd T-4 and occupied 83.7% (41/49). According to Ohngren ’5 line, tumor

locati ng in infrast racture were 33 patients and in suprastructure 16 patients.

5. Among 69 patients, 59 patients were treated by rad iatio n on ly, 5 patie nts were sugery plus rad iation

and 5 patients by chemotherapeutic in f usion plus radiation.

6. In 31 patients who might be passed 5 years after treatment, follow up can be done in only 13 patients.

10 patients were treated by rad iation only a nd 3 pat ients by s'u rgery plus radiation. Presumed 5 year

survival rate was 3/1 0 (30%) in patients with radiation only a nd 2/3 (66.7%) in patients with surgery

Iplus radiation. Among 13 patients, 5 patients occurred in infrastructure a nd 5 patients in suprastructure.

Mean surv iva l months of patie nt with inf rastructure were 49 months a nd suprastructure were 31. 8

months‘

I. 서 론

상악동암의 원발암은 흔하지 않으며 두경 부 종양중

그 치료가 문제되는 부위이다j) 대부분이 펀i영상피 암

으로 그 행동이 파괴적이 켜 칭윤성이 나 진행된경우에

도 웬 말부위에 국한되어 있는 경향이 있다 2 ) 영 의 발

견 당시 에 경부 임파선 전。1 가 되어 있는 경 우는 10-

1 5%로 비교적 낮다. 이와같이 임파절 전이 가 비교적

늦게 일어 남에 도 울구하고 종양의 근치 가 방사선 혹은

수술 단독치 료나 영 용치료로서도 그 예후가 좋지않다-

저자들윤 연세 대학교 암센타 방사선 치료실에 서

1970 년 l 월부터 1978 년 3 월까지 상악동 종양으로

수술 혹은조직생검으로 확진된환자중 Co - 60 원격치

료장치를 이용하여 방사선 치료을 받았던 69 예를대상

으로 임상적 소견 , 명리조직학척 소견, 뱅 기분류, 치 료

앙볍과 치료후 추적조사의 결과를 분석하여 운현 고

찰과 함께 보고 하고져 한마.

- 254-

Page 2: 상악동암의 방사선 치료 - KoreaMed Synapse to Ohngren ... Classification of Maxillary Cancer by Sisson Tl: 1) Tumor invasion of the anterior wall without skin involvement

II. 관 찰 성 적

1. 성벨및연령별분포

념여 성옐lJ l 는 3 로 낭자에서 우월 하였고 40 세

에서 69 세 사이 가 총 57 영으로 선체 환자의 82.6 %

를 차지 하고 있었 마 CTable 1).

T able 1. Material

1. Sex Male 52 Fem a le17

2. Age Di st ribution

Age No. of patient

a ) 10 - 19 1. 4

b ) 20 - 29 l. 4

c) 30 - 39 6 8.7

d ) 40 - 49 21 30.4

e) 50 - 59 22 31. 9

f) 60 - 69 14 20.3

g) Over 70 4 5 .8

Total 69 100.0

2 . 병 리조직학척 소견

총 69 영의 환자중 1 례 를 제외하고는 모두영리조

직학적으로 확진이 되었으며 이중 펀평상피 암이 53 예

(76 .8 %)로 가장 높은 벤도를 보여 주었고 악성 임파

종과 선냥냥암 (Adenoid cystic carcinoma) 이 각기 3 예

(4.3%) , 미분환세포암과 섬유육종이 각기 2 예 (2.9%) 였

고 , 유두전이성세포암 , 골원성육종 , 형절세포암, 퇴행성

상피세포암(Anapla s tic epirhe l ial ce l1 carcinoma ) 그

러 고 맥 판육종이 각기 l 예 였 다 ( Table 2)

3. 임상적 소견

내원 당시 주 증상으로는 올의 부종이 32 예 ( 46.4

%)로 가장 많았고 바폐쇄증 20 여1(29%), 두통 13 예

CHU, %),비 루 1 2 예 ( 17.4 %). 볼의 동통과 치 통이

각기 11 예 ( 15.9 %) , 비 출혈파 안우통증이 8 예 (1 1

6 %) ,우개 팽만감 5 예 (7.2 %), 유루가 2 예 (2 . 9 %)와

저작장애 l 예 를 보여주었다O‘abl e 3). 이학척 소 견

으로는 상악부종。I 50 예 (7L . 5 %)로 가장 많이 관찰

되었고 비종괴 1 7예 (24 . 6 %), 치은구개종괴 14 여I ( 20.

3 %) , 안구돌출 7 에 ( 10.1 %) , 상악동구강누판 4 예 ( 5 .

tl %)를 불 수 있 었 다 치 료 전 국소 입 파선 전 이 는

14 에 (20 %)에 서 관찰할 수 있었다( Tab le 3) .

- 255

Table 2. Hisropathol'; gic C l a~s ific arion

H i s ropa tho logy No . of pati en t (% )

I. S quamo us ce i 1 carcinom a 53 76.8

2. Lymphoma 3 4 . 3

3. Adenoid cystic carcinoma 3 4.3

4. Papillary transitional cell ca . l 1. 4

5. Undiffe renciated ce ll 2 2.9 carCIßoma

6. Fi bro sarcoma 2 2.9

7. Osreogenic sa r coma 1.4

8. Pl asmocytoma 1.4

9. Anallplastlc epitlle lial 1.4 c e 11 ca rcmoma

10. Angiosa r~'Oma 1. 4

11. P athology Unknown 1.4

Total 69 100 .0

4 영기 별 분류

명가 l셜 분류는 Si 잉son 에 의거한 끼'M 분류법을 사

용하였 고 (Tabl e 4) 병 가 분류가 가능한 환자 49 영 중

대부분은 진행된 강 十껴로 41 영 (tl3 .7 %)이 었다 (T­

able 5;\ 또한 상악동암을 주요 발생 부위에 따라 안구

의 내 측안각파 하악각을 연결하는 Ohngren 씨 션에 의

거 하여 분류해 본 결 과 Infr as tructure 가 33 예 Sup

ras tructure 가 16 예 로 Infrastructure 에 서 2 배 많이

딸생하였마.

5. 치 료

1 ) 치료방법

。l 용된 치료방법은 크게 둘로 나눌 수 있다. 방사선

단독요법과 명용요법 으로 병용요법에는 수술과 방사선

치 료 그러고 화학요엽과 방사선 치료의 두가지 요법을

시 행하였였 다 (Table 6).

A. 방사선 단독치료

송 59 명이 ω - 60 원격치료장치 블 이용하여 치료

을 받았다.

치료부위 :해당부위의 방사선 치료 조사벙위는 병의

진행 정 도에 따라 약간의 차。l 을 두었으역 상연은 안와

상연, 하연은상치은협측푸 ( Superior gingivobuαa l gur ­

ter ) • 내측으로는 정중선을 념 어 1 cm정도까지 포함

하여 조사야의 크기 가 8 x 6 cm가 되게 하였으며 김이

는 익상쿠개와까지 포함하였다.

조사방법 1979 년 이후 저자들이 사용한 조사방맴

은 크게 3 가지 방냄으로 나눌 수 있마.

Page 3: 상악동암의 방사선 치료 - KoreaMed Synapse to Ohngren ... Classification of Maxillary Cancer by Sisson Tl: 1) Tumor invasion of the anterior wall without skin involvement

Table 3. Symptom and Sign of Maxi l1 ary Sinus Ma ligna ncy

syπl ;:>tom Sign

1. F acia l Chee k sw e lling 32 (46.4 %) Ma~ llary s\" e lling . . 50 (72 .5 %) with or 'wi th out iende메e ss

Cheek pain II (15 . 9 % )

2. Nasa l Nasa l Obs truction 20 (29 % ) Nasa lmass 17 ( 24.6 % )

3. Or2 1

Rhino r'rh ea

Epi staxisis

Tooth ach e

Palatal Fu lln ess

T ri smus

4. Occu lar Eye paÏn

Epiphora

5. Regiona l L ymph No de

6. G eneral Headache

Table 4 .

12 Cl74 %)

8 Cl1. 6 "1o)

1 ; (] 5 . 9 %)

5 ( 7.2 %)

I ( 1. 4 %)

8 ( 11. 6%)

2(2.9 %.'

13 (Ul. 8 %)

G ingivopata l mass

Fistule , antal to o ral

P ro pto si s

Met as ta sis

C lass ifi cation of Maxill a r y Cance r by Sis son

Tl: 1) Tumor invasion of the ant e rio r wall without skin involvement.

2) Tum or of i nfer i or nasoan t r al wall wi thout ski n i nvolveme nt

3) Tum or 01 ante ri o r medi al pal a te

T2: 1) Tum or invasion of the l ate r al wa ll without mus cl e involvemen t

2) Tum or invas ion of the superior wa ll without orbit a l i nvo l vement.

14 (2 0. 3%)

4 ( 5 .8 %)

7 (10.1 % )

14 (20.0 %)

T 3: 1) Tumor inva sion of ante ri or e thmoid ce ll s without involvement of the cri brifo rm pla te.

2) Tum or i nva sion 01 pte rygoi d . musc l e wi th or wi t hout com bin ati on o f T2.

3) Tumor invas ion 01 orbit in combin at ion w ith T 2

4 ) Tum or invasion 01 ante ri or wall of antrum with skin in vo lvement.

T4: 1) Tumor in vas ion of poste ri or e thmoid ce ll s with or without T 3 .

2) Tumor invasion of cri brif orm plate ‘

3) Tum or invas ion of pte r ygo id max ill a r y recess.

4) Tumor extension to other antr um.

5) Tumor extension to ethmo sphenoid r ecess or s ph enoid s inu s

6) Tum or invasion of pte r ygo id plat e .

@ 전방일문수직 조사(Anterior one port ar)

영소에 충분한 종양선량을 조사할 수 있었고 반대 측 눈은

용이하게 방사선피폭으」로 부터 차폐할 수 있었다 (Fig 1 )

@ 파o pair Wedge

45 。쐐기 형필타을 이용하여 2 문직 각조사하는 경우

(F ig 2 - A)반매 측 안구에 방사선 피 폭선 량이 많아지

기 때 문에 측연 조사시는 5 - 1 0 。후땅으로 각도을 줌

으로서 t난대측 안구에 유해한 방사선을 줄일 수 있었

마{ Fig 2 - 13)

(3) 전방-문수직조사와 측쐐 기필터 조사방법

이 경우 종양부위에 이교적 많은 선량분포를 보이 며

반대측 안우에도 비교적 적 은 양의 방사선이 조사됨 을

볼 수 있 다 (Fig. 3).

조사량 : 원 말부위 에 6000 ~ 7400 r ad s 를 6~8 주

에 걸쳐 분할 조사하였으며 부작용이 싱할 경우 일정

한 휴식기간을 두고 재치 료를 시행하였마. 엄파선 천

이 부위 에 는 4000 ~ 5000 r ads 를 Co- 60 원격 치 료 장

치냐 8 Mev 천자선을 이용하여 4 '" 5 주에 걸쳐 분할

조사하였다. 원발부위에 재발암의 경우 3 명의 환자

에서 적극적인 방사선 치 료를 시행 하였으며 이중 l 영

。 1 2 년동얀의 장기 생손을 보여 주였다.

B. 영용요법 총 10 명이 병용요법을 맏았으멕 5 영은 수솔과 방

사선치료를 5 명은 약물요법과 방사선치료를 받았다.

- 25 6 -

Page 4: 상악동암의 방사선 치료 - KoreaMed Synapse to Ohngren ... Classification of Maxillary Cancer by Sisson Tl: 1) Tumor invasion of the anterior wall without skin involvement

AN T

F<T 7~ ANT

LT RT 짧 6주ζ- LT

샌첼 ongJe 60。

/ Fi g . 1. Isodose distribution of ant e rior one pO Tt a l Fig . 3 . Isod,ose distributi on of anterior one portal

irri dation by Co- 60 te le the rapy unit . and lateral wedge irridation by Co-60

( 550. 80) t e le therapy uni t.

RT

ANT

5 X5 .....--까-딛 LT

(4S'W)

F (4면/lj 'V I

•‘ X

‘ α m싸 90'

AN T

RT 7 X 9 - iE"""' _ __ ~ , (4S' W)

293'

α .. ~ ~ 111

.‘ • κ g “‘、- 、

LT

A . Port al c ombination with right ang l e B. Po s t erior tilting of la t eral portal

wi th 5 0 degr ee .

Fi g . 2 I sodose di s tribution of two pa i r wedge port a l irridation by C o- 60 te le ther apy unit .

T able 5. Correla t.Ïon with s tage anà tumor loc ation according t o Ohngren', li ne

5 tage L oca ti on Int ras tructu re Supra struc ture Ext en si\e Tot a l

11 2 0 0 2

1깅 3 3 0 6

TJ 16 11 0 27

] ‘4 12 2 10 24

1'0 13 1 33 16 10 59

- 25 7 -

Page 5: 상악동암의 방사선 치료 - KoreaMed Synapse to Ohngren ... Classification of Maxillary Cancer by Sisson Tl: 1) Tumor invasion of the anterior wall without skin involvement

@ 수술과 수숭후 방사선치 료

시행된 수술방엽은 부분척 상악 절제 혹은 근치 상

악 절제술이었고 수술후 3 r~ 4 주 후에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였다. 치료량은 5000 ~ 6000 r ads 를 5~6 주

에 걸쳐 분할 조사하였 다.

@ 약물요법과 방사선치료

이 경 우에 는 배 액 처 치 (Drainage Procedure ) 와 같

은 최 초의 수술적 인 가료후 5-Fu 250 mg/day 를 10

~ 14 일간에 결쳐 동맥내 주업하였거 나 500 mg/day

로 수얼동얀 측두동맥 을 통하여 주입 하였 다.

Modali ty of Treatmen t

No. of patients

59

5

Table 6

Modality of Treatment

1. Radiation on\y

1) An terior one portal

2) Two pair wedge

3) An terior one portal plus lateral wedge

2. Combined Therapy

1) S urgery plus r.adi ati on

2) Chemotherapeuti c infusion plus radiati on

5

/

i織 f나 Fig. 4 - B. Two months after operation film shows

no maxillary hazines s and no further

bony destruction on water' s proj ection

Fig. 4-A. Pre • operative radiogram of maxillary

sinuses shows total haziness and bony

de struction of inferior lateral wall of

Rt maxillary sinus.

Survival Year after Treatm ent Table 7.

Foll ow up Survival months Statu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Ex pir e

live

Expi re

Exp i re

Exp i re

Exp i r e

Expi re

Ex pi re

Ex p i re

Ex pi re

Expir e

live

6 yrs 7mon

6yrs 4mon.

3yrs 4mon.

1 yr 2mon.

5 yrs lmon

2yrs 4mon.

1 yr 6mon.

1 yr 5mon.

3 yr s

6yrs 7mon.

2 yr s 8mon.

5 yr s.

9mon

Location

?

I

I

?·?·S

S

S

S

Treatment

Radi ati On only

Radiation only

Radiation only

Radiati on only

Radiation plus Surgery

Radi ati on only

Radiati on on Iy

Radiation only

Radiati on only

Radiati on only

Radiati on only

Radiation plus surgery

Radiation plus surgery

Stage

q니

끼4

끼J qtu

T

T

T

T

qJ

?i

jaT

T

T

T

T4

꺼N FN

R

?

””

Pathology

Squarnous cell Ca.

Epidermoid Ca.

Epidermoid Ca.

Epidermoid Ca.

Epidermoid Ca

Epidermoid Ca

Squamous ce 11 Ca.

Reticulum celJ sarcoma Epidermoid Ca.

Squamous cell Ca.

Squamous cell Ca

Epidermoid Ca.

Squamous cell Ca.

Case

S

Ex p i r e

* 1 ’ Infrastructur e ? : Undetermine

258 -

S: Supra s tructur e

Page 6: 상악동암의 방사선 치료 - KoreaMed Synapse to Ohngren ... Classification of Maxillary Cancer by Sisson Tl: 1) Tumor invasion of the anterior wall without skin involvement

F ig . 5 - A. Radiogram befor e irri dat ion of. maxill­ary s inu s show s total h a rin ess with

bony des truction on ante rior inf erior

and l ateral wall

Fig. 5-B. F ilm taken one month after radiation thcrapy s hows mor e clear bony margin

and air sh adow .

l‘ iμ. 5-{ ‘ F ilm tak e n 4 month s a f ter radiation

th e rap y shows nea rl y norm al findings .

- 259

화학요법제 주업시작 수일이내에 방사선 치료를 시

작하였 고 6000 ~ 7000 rads 를 6~7 주에 걸쳐 분할

조사하였다.

6. 증례

증례 1 : 40세 냥자 환자로 치 료당시 벙 기 는 T2NoM。

이고 우측 상악동암이었다. 종양선량 6600 radc 를 조

사하고 8주후 근치수술을 받은 환자로 치료천 사진상

CFig 4-A) 에 는 우측상악동내에 Total haz i ness와 하

외 측백의 골파괴를 볼 수 있었다. 수술 2 개월 후 사

진상 (Fig. 4 - 13 ) 에는 상악동내의 haziness 는 볼

수 없고 골파괴의 소견은 아직 남아있으나 치유펀 소

견을 보이고 있다.

중례 2 40 세 남자로 우측 상악동 악성임파종으로

병기는 T4NoMo 이었고 치료천 사진상 (F i g.5 - A) 에

전, 하, 외측벽의 골칭윤을 올 수 있었고 이 학적으로

쿠강상악동누판이 판찰되였던 환자로 방사선 치료 l 개

월 후 단순 x-선 사진상 (Fi g . 5- 1 3) 에서 골연이 좀

더 영확하게 나타났고 상악동에 공기가 보이기 시작하

였다 4 개월 후 사진상 ( Fi g . 5-C)에서 브연 거의

정상 소견을 보여주었다.

증례 3 45 세 납자 환자로 뱅기는 T4NoMo 였으며

치 료전 x-신 사진상 (F ig. 6-A) 에서 내 , 측벽의 골 *1 _9 ... .Q.. ~ ζ느 。 1 어 d 디 ι" λAμη

방사선단독치료를 받았고 치료 l 개월 후 단순 x­선 사잔 상 CF ig. 6- 13) 에 는 Haziness 가 현저 히 줄

Fig. 6-A. Pre - treatment film of maxillar y s inu s

sh ows haziness and bon y des truction

of medial and l atera l wall of Ht maxi -

ll ary s inu s.

Page 7: 상악동암의 방사선 치료 - KoreaMed Synapse to Ohngren ... Classification of Maxillary Cancer by Sisson Tl: 1) Tumor invasion of the anterior wall without skin involvement

;?~) -.f'- 3c

Fig. 6 - B. Film t aken one month afte r radiation

th erapy show s decrease in haziness

and abscence of bony invasion .

7. 추적조사결과

1970 년 이후 치료를 말고 치 료 완료일로부터 5 년

이상 경과한 환자 31 영 중- 추적조사가 가능했던 환

자는 13 예 였 마 (Table 7) . 이들 중에 방사선 단독

치 료를 받았던 환자는 10 명이 었고 방사선 치료와 수

술의 영용치료를 받은 환자는 3 영이었다. 충분한 추

적조사는 아니지만 추정되는 5 년생 존율은 ( Table 8 )

방사선 단독치 효가 φ/10 ( 30 %) 였 고 수울석 방뱀 파 방사선 명용치료에서는 2/3 (66 . 7 %) 였마. 또한 13

명 의 환자중 Infr as tructure ‘ 가 5 명 으로 평균 생 촌월

수가 49 개 월 이었고 suprastructure 가 5명으로 31.8

개 월 이었다 (Table 9).

Table 9. Survival Months accoTding to Location

LocatÍon No. of SUTviva l Month patlent

Infrastructure 5 49 Mon.

Suprastruct.u re 5 3 1. 8 M"n.

Undetennin ed 5 51. 3 Mon.

ill. 고 안

상악동암의 예후는 일반적으로 나쁜 종양중의 하나

이 며 보고펀 5 년 생흔율은 10 - 37 %이 다 3 , 4 , 5 , 6 , 7 )

상악동암의 치료는 방사선 단독치료나 수술단독치료

혹은 수술과 방사선치료의 영용치료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l 마 8 1

1 950 년 이션의 치료 방법은 주로 땅사션 단독치료

블 시행하였으며 제한된 수술후에 라마 웅을 상악동에

Fig . 6 -C . Film tak en 9 month s after radi a tion 삼입 하고 종양신 량이 :3000 - 8000 Tad 5 가 되 깨 조사하

th e r apy show s marked bony des truction 였 마. 필요에 따라 추가로 200 - 250 Kvp 와 심부 x -

of superi or and l ateral wall. 선 치 료장치 로 2000 • 000 Tads 을 2 - 4 주에 걸처 분 할 조사하였다. 이 방법에 의한 5 년 생흔율은 Gibb6l

고 곰침윤 소견이 없어졌으냐 9 개월 후 X~선 사잔상 는 21 %을 보고 하였고 Bac les se 9J 등은 20 %을 보 ( Fi g . 6-{;) 에 서 는 상악동의 상연과 측벽 의 성 한 골 고 하였다i 보다 좋은 성적으로는 Dalley4J 등에 의 하 연

파괴 현상이 마시 판찰됨으혹서 국소부위 의 재 딸로 사 40 %을 보고 하고있다.

료되었다 1950 년 이후에는 보마 적극적인 수술방법이 시행되

Tabl e 8. Modali ty of Tr ea tm en t and 5- year sur vi val

Modality of Treatment

Radiati 011 only

Rad iation olu s surge r y

No. of 5 years survival Pati ent s

10 ν/10 (30ro )

3 ι/3 (67%)

- 260

었고 수숭후 방사선치료의 병용치료가 시행되었으역

Zange 와 Schol t z1 0 J 는 근치수술 단독치료로 5 년 생

존율을 37%로 보고하였고 FTazel1 5 J 등은 29 %을 보

고하였마. 영용치료 방법 인 수술과 수술후 방사선치료

에 대 한 보고로는 Zange 와 Scholt z 는 5 년 생존율을

30 %로 보고하였고 Hol s ti 오1. Ri nne71 는 33%을 보

고하였마. 그러 냐 이와같은 망사선 혹은 수술 단독 치

Page 8: 상악동암의 방사선 치료 - KoreaMed Synapse to Ohngren ... Classification of Maxillary Cancer by Sisson Tl: 1) Tumor invasion of the anterior wall without skin involvement

효냐 땅사선치료와 수숨의 병용치료의 정우 좋은 결과

을 얻기 위해 서 는 치료방법의 선택보냐는 환자야 선택

。iI 있마고 할 수 있다 .

Jesse ll1 등은 병용요법으호 수숭전 혹은 수술후 방 사션 조사가 에 후어| 별마른 영향을 마치지 옷하고 비

슷한 결과플 보여 둔마고 보고 한바 있으나 Pearlm­

an2 ) 등에 의하연 수술전 방사선 치 료의 이점으로 수

술후 치 료할 경우보다종양 부위에 혈판 분포가 잘 보

존되어서 산소의 공급이 보마많아 종양이 방사선 감수

성 을 높알 수 있으며 Tumo r free M arg in 이 넓 어 보마

성공적인 수숨을 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근래 Nervi 12 ) 등에 의하연 동액내화학요법제의

주엽과 방사선 치료들 병용함으로서 보다 좋은 성적

을 얻고 있마고 하내 Goepfe r t J3) 등에 의 하연 5 년 생

존율을 26 %로 보고하고 있으며 기존치료에 비해 그

성적이 마을 바 없다고 한다.

종양으| 치료방볍으로 적은 부위의 끌파괴 나 저l 한된

부위에 펴져있는 경 우에는 수숭적인 방법이 나 방사선

단독치료 어느 쪽이나 치 료 성적 이 비 슷하마고 하역

좀 진행된 정우에는 방사선치료와 수술적인 치료을

영용하는 것。l 좋다고 한다 1 3 )

저자들의 69 예중 환자의 성 떨 비 쓴 남자에서 3 배가

- 향 높은 발생빈도를 보였고 연령 분포는 40 -69 세 사

이가 가장 많은 82 . 6 %을 차지하여 대부분이 중장년

층에 많은 빌생빈도을 보여 다른 보고자으| 성적 과 일

치 히였 마 1 , 2 )

상악동암의 뱅리학적 소견은 펀펑상파 암이 가장높

은 빌생빈도을 보이 역 ]) 그외에 선양냥암, 악성입파종 ,

형질세포좋 , 흑색종이 발생 한다고 한다. 저 자의 경우에

도 펀평상피종이 76 .8 %호 가장 높은 빈도들 보여 주

었 다‘

임 상적 인 소견은 Sch e chter 와 Ogu r퍼 ) 에 으1' 1 비

강증상이 32 %로 가장많고 이학적 소견은 비 종괴가

78 %로 비강내 소견이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고 하1.-1

저자의 경우에 는 상악부종이 72 .5 %로 가장 높은 빈

도을 보였다.

TNM 분류법 에 의한 벙기분류는 어려운점이 있으예 4 )

치 료의 계획을 세우는 일파 결과의 분석을 위하여 필

요성이 요망되고 있마 . 저자등은 SiSSOr. 15 J 의 분류엽

을 이용하여 분류하였고 대부분이 진행펀 1'3 + T4 의 명소로 1>3 .7 %을 핀찰할 수 있었마 이 는 Pea rJ man

의 보고인 84 .2 %와 비 슷한 소견을 보여 주고 있 다.

Oh ngren 씨 선에 의하여 상악동임의 원발병쇼을분

류해 관 결괴 In fra s truc t llr e 각 2 매 많이 l살생 하였 는

데 다 른 저 자도 이와짙은 결과을 보고하였다 1 6 시7 )

1 970 년 이 후 치료을 받고 치료완료일로부터 5 년이

정과한 한자 31 영중 추적조사가 가능했던 환자는 13

멍이었고 이중 빙 사신 단독치료자 10 '성중 3 명이 5 년

생존을 보여주었고 근치수술파 방사신 1녕용치료자 3

l갱숭 2 명 이 5 년 생손풀을 보여주어 수숭과 방사선 병 용

치료의 에에샤 마소 여)후가 좋지않냐 생각된마.

Sch ech ter 외 Ogllr a 등에 의 하연 재 딸암의 경 우 좀

너 적 극적인 치료을 할 경우 생존에 도웅을 준마고 보

고한바 있으며 저자의 경우 재멜암 3 이l 에서 적닥적인

근치 방사선 치료들 시행히여 。 1 중 최장 생손을 ]깅- 인것은

2 년이 었마.

N. 결 론

1 970 년 l 월부터 1 978 년 3 월까지 연세대학교 암

센다 치료싣에서 치료→쓸 맨은 69 영의 환자을 대상~

로 잉상적 소견 , 영피조직학적 소견 , 액 기 분류, 치료외

치료후 추적조사의 결과는 다읍과 같다

1. 낭여 성별비는 남자가 3 로 우월하였마.연행

운포는 40 ~ 60 세 사이 가 선체 한자의 82.6 %을 차

지함으로서 풍장년 층에 호발함을 볼 수 있었마.

2. 병리조직학적 분류을보면 펀펑상피 엽이 53 예

(76 . 8 %)로 가장 높은 딴생빈 도란 보여주었고 엄파선

종과 선양낭암이 각기 3 예 (4.3 %) , 마분화셔1 포암괴섬

유육종이 각기 2 예 (2 .9%) , 유두선이성 씨포암, 골원성

육종, 형짚서|포암 , 퇴행성 싱파세포염 , 맥관육종이 각

기 l 예였고 병랴학적으로 규명이 안된것이 l 예였마.

3. TNM분류법응 S is son 에 의한 분류법을 사용하

였고 총 69 영 의 환자중 49 영 。 1 분유지 기능하였 마 .

이중 대부분이 1'3 + 1'4 료서 49 영숭 4 ,에 (83 . 7 %)

을 차지하였마 Ohng ren 씨 선에 의히여 싱악동 암을

분류한 결 파 In fra st r uct u re 가 33 예 su p rastruc ture

가 16 예 로 lnf rast ru야 ure 에 서 많이 발생 함을 볼 수

있었다.

4. 임 상적 인 소견으로쓴 싱 악부종이 72.5 % (5 0 /

69 )호 가장 흔한 소견이 었마.

5. 총 69 명 중 59 영 은 방 사선 단독치 료 을 받 았고

5 영 은 수숭과 방사선병용요법을, 5 영은 호l학요법제

의 옹액내 주잉 치료와 빙사선치료의 영용요법 을 받았

마.

6. 치료후 5 년이 정파한 31 영의 환자중 1 3 명 만

이 추적조사가 가능했우역 이좋 10 영 은 방사신 단독

치료을 받고 3 '딩은 슈 술과 빙사선 병용요엽을 받았으

며 추정 5 년 생 존윤은 방사선 단독치료의 경우 :3 0 %

0 / 10 ) , 수송파 빙사산 뱅용 치료로 3 영 중 2 영。 1 5

년이상 생존하여 망사선 단독치료보다 수숨과 방사선

l영용치료가 보다 。jl3휴가 좋지않나 생각된마 13 영 의

26 1 -

Page 9: 상악동암의 방사선 치료 - KoreaMed Synapse to Ohngren ... Classification of Maxillary Cancer by Sisson Tl: 1) Tumor invasion of the anterior wall without skin involvement

환자중 5 명 이 Infra st ruct ur e 에 생 긴 환자로 평 균

생존웰수는 49 개원이었고 5 영의 Supr astructu r e 에생

긴 환자는 3 1.1; 개원 이 었다.

REFERENCES

1. 5chechter, G. L., and Ogura, J.H. : Maxillary sinus

malignancy. Laryngoscope 82: 796-806, 7972.

2. Pear lman, A. O. , and Abadir, R. Carcinoma of

maxil!ary antrum : The role of preoperative irridation, Laryngoscope 84:400-409, 7974.

3. Bad ir, A.O. , Kuroh ar!i, 5.5. , Webster, J.H. and 5h edd, D. P. Treatment o f cancer of paranasal sinuses, Cancer 23:533-537, 1967.

4. Dalley, V. M. Malignant disease of antrum, Brit. J,

Radiol. 32: 3 78-385, 7959.

5. Fraze ll , E. L., and Lewis, J.5. Cancer of nasal cavity

and accessory sinuses Report of management of

476 patients. Cancer 76:7293-7307 , 7963.

6. Gibb, R. : Treatment of maxillary antrum and ethmoid

by radium, Proc. Roy. 50c. Med. 50:534-537, 7957.

7. Holsti, L. R., and Rinne, R. Treatment of maxillary

tumorsof paranasal sinuses, A cta Radiol. (Th eraphy)

6 ’ 3 77-349, 7967.

8. Kuro hara, 5.5. , Webster, J. H., and Ellis, F. , Fitzgcrald , J. P. , 5h edd, D. P. , and Bad id, A.O. Role of radiation

th eraphy and surgery in the management of localized

epidermoid carcinoma of the maxillary sinus, Am.;.

Roentgenol. Radium Ther. Nuc!. Med. 774:35-42, 7972.

S. Baclesse , F. , Dech aume, M. , and Ca lle, R. Les

ameloblastomes ( OLl adamantinomes) et les epithe­

liomas adamantins (Les resultat obtenus a longue

echeance par les in띠átions), ; . Radiol. E1ectral. 46:

77 3-7 22, 7965.

10. Zange, J., and 5cho ltz, H.J. 25 ;ahr Behandulung

bosartiger bosartiger Geschwulster c!er Nase und

Nebenholen in ; ena und ihr Ergebniss. Ztschr. Laryng., Rhin. , Otol. 42:674-640, 7963.

11. Jesse , R.)-l ., Gocpfert, H. , and Lin dberg, R.D.

5quamous cell carcinoma of maxillary and ethmoid

sinus, Proc. , Natl. Cancer Conf. 7: 793-79 끼 7973,

12. Ne rvi C, Arcange li G, Casale C , Cort ese M, Guadagni

A , Lepera V A reappraisal of intraarterial

chemotheraphy, Cancer 26:577, 7970,

13. Goepfert, H. , J esse , R. H" and Lindberg, R. D. : Arterial

in fusion and radiation theraphy in the treatment of

ac!vanced cancer of the nasal cavity and paranasal

sinuses, Am.;. 5urg. 726:464-468, 7973.

14. Fletcher, G. H. , and Mac Comb, W.5. Cancer of

Head and Nec/? Williams and Wilkins company, Baltimore, Md. , 7966.

15. 5isson , G. A., Johnson , N. E. , and Amir, C. 5. Cancer

of the maxillary sinus : C!inical classiη'cation and

management. Ann. Otol., Rhinol and Laryngol. , 72;

705α 7963

16. 5ato Y, Morita M, Takahash i 너, Watanabe N. Ki r ikac 1:

Combined sugerι radi’otheraphy and regional chemo­

theraphy in carcinoma of the paranasal sinuses, Cancer

25:577, 7970.

17. Del Regato, J.A , 5piut, H.J. Cancer 2nd ed. Mosby

Company 5t. Louis, 7977: page 233.

- 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