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절 t 세포의 다양성에 의한 면역항상성 유지 · 2015-05-06 · 면의 mhc class ii...

7
01 분자세포생물학뉴스레터 논/단 서론 면역계는 감염 시 감염의 인지 및 체액성, 세포성 반응 을 통하여 감염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면역계 가 제 기능을 못할 때 감염성 질환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암 억제기능도 떨어지게 된다. 한편 과도한 면역세포들의 활 성화는 알러지와 류마티스성 관절염, 루푸스, 건선 등과 같 은 자가면역질환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면역반응 활 성화와 억제력 간의 균형을 유지하는 ‛면역항상성(immune homeostasis)’ 회복이 면역관련 질환들을 극복하는 데 가 장 중요한 요소이다. 면역 억제 반응에는 다양한 종류의 면 역억제세포(immune suppressor cell)들이 존재하며, 특 히 척추동물의 면역계에는 조절 T 세포(Regulatory T cell, T reg )라고 불리는 T세포의 아형이 자가면역질환의 억제 및 면역항상성 유지에 필수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절 T 세포의 종류에는 대표적으로 Foxp3 전사인자를 발현하는 Foxp3 + T reg 세포와 Foxp3를 발현하지 않지만 IL-10을 분 비하는 Tr1 세포, TGF-β를 분비하는 Th3 세포, 그리고 Qa1-restricted CD8 + T reg 세포 등이 있다 [1-4]. 이들 조절 T 세포들은 흉선에서 T 세포의 생성 및 발달 과정 중에 분화되거나 말초에서 naïve T 세포로부터 항원 특이적 반응 과정 중에 분화됨으로써 조절 T 세포의 기능 을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전자를 흉선 유래 조절 T 세포 혹은 자연발생 조절 T 세포(thymus-derived or naturally-occurring T reg ), 후자를 말초 유래 조절 T 세포 혹은 유도된 조절 T 세포(periphery-derived or induced T reg ) 라고 한다 (그림 1). 흉선 유래 조절 T 세포로는 thymic Foxp3 + T reg 세포와 CD8 + T reg 세포가 있고, 말초 유래 조절 T 세포로는 peripheral Foxp3 + T reg 세포, Tr1 세포, Th3 세포 등이 있다. 이들 중 CD8 + T reg 세포, Tr1 세 포, Th3 세포들은 분화과정을 조절하는 전사인자, 분화 후 안정성, 독립적인 계통(lineage)인지 아형(subset)인지의 여부 등이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또한 이들은 Foxp3 + T reg 세포의 면역억제 기전의 일부와 유사한 역할을 담당하 며, 이들이 인간의 질병에 관여하는 지에 대한 연구도 비교 조절 T 세포의 다양성에 의한 면역항상성 유지 나형진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E-mail: [email protected] 정연석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E-mail: : [email protected]

Upload: others

Post on 21-Feb-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조절 T 세포의 다양성에 의한 면역항상성 유지 · 2015-05-06 · 면의 MHC class II 분자와 강하게 결합하여 수지상세포의 성 숙 및 면역자극능을

01 ● ● 분 자 세 포 생 물 학 뉴 스 레 터

논/단

서론

면역계는 감염 시 감염의 인지 및 체액성, 세포성 반응

을 통하여 감염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면역계

가 제 기능을 못할 때 감염성 질환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암

억제기능도 떨어지게 된다. 한편 과도한 면역세포들의 활

성화는 알러지와 류마티스성 관절염, 루푸스, 건선 등과 같

은 자가면역질환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면역반응 활

성화와 억제력 간의 균형을 유지하는 ‛면역항상성(immune

homeostasis)’ 회복이 면역관련 질환들을 극복하는 데 가

장 중요한 요소이다. 면역 억제 반응에는 다양한 종류의 면

역억제세포(immune suppressor cell)들이 존재하며, 특

히 척추동물의 면역계에는 조절 T 세포(Regulatory T cell,

Treg)라고 불리는 T세포의 아형이 자가면역질환의 억제 및

면역항상성 유지에 필수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절 T

세포의 종류에는 대표적으로 Foxp3 전사인자를 발현하는

Foxp3+ Treg 세포와 Foxp3를 발현하지 않지만 IL-10을 분

비하는 Tr1 세포, TGF-β를 분비하는 Th3 세포, 그리고

Qa1-restricted CD8+ Treg 세포 등이 있다 [1-4].

이들 조절 T 세포들은 흉선에서 T 세포의 생성 및 발달

과정 중에 분화되거나 말초에서 naïve T 세포로부터 항원

특이적 반응 과정 중에 분화됨으로써 조절 T 세포의 기능

을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전자를 흉선 유래 조절

T 세포 혹은 자연발생 조절 T 세포(thymus-derived or

naturally-occurring Treg), 후자를 말초 유래 조절 T 세포

혹은 유도된 조절 T 세포(periphery-derived or induced

Treg) 라고 한다 (그림 1). 흉선 유래 조절 T 세포로는

thymic Foxp3+ Treg 세포와 CD8+ Treg 세포가 있고, 말초

유래 조절 T 세포로는 peripheral Foxp3+ Treg 세포, Tr1

세포, Th3 세포 등이 있다. 이들 중 CD8+ Treg 세포, Tr1 세

포, Th3 세포들은 분화과정을 조절하는 전사인자, 분화 후

안정성, 독립적인 계통(lineage)인지 아형(subset)인지의

여부 등이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또한 이들은 Foxp3+

Treg 세포의 면역억제 기전의 일부와 유사한 역할을 담당하

며, 이들이 인간의 질병에 관여하는 지에 대한 연구도 비교

조절 T 세포의 다양성에 의한

면역항상성 유지

나 형 진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E-mail: [email protected]

정 연 석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E-mail: : [email protected]

Page 2: 조절 T 세포의 다양성에 의한 면역항상성 유지 · 2015-05-06 · 면의 MHC class II 분자와 강하게 결합하여 수지상세포의 성 숙 및 면역자극능을

molecular and cellular Biology Newsletter

웹 진 2015ㅣ5 ● ● 02

적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반해 Foxp3+ Treg 세포는 인간 및

실험동물모델에서 기능이 비교적 명확하게 연구되어 있으

며 이들의 기능을 억제하거나 향상시킴으로써 질병을 치료

하려는 임상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따라서 이 논

단에서는 Foxp3+ Treg 세포의 기본적인 이해와 최신 연구동

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Foxp3+ Treg 세포의 발견

조절 T 세포의 존재가능성은 신생 쥐의 흉선 적출 실험

을 통해 알려졌다. 신생 쥐의 흉선을 제거한 경우 T 세포 매

개성 자가면역반응이 일어나며 [5], 성체 생쥐 또한 흉선 적

출 및 X-ray 조사로 자가면역질환이 유도되었고 [6], 이

는 다른 성체 생쥐의 흉선세포 또는 비장세포를 입양전달

(adoptive transfer)함으로써 막을 수 있었다 [7]. T 세포

중에서도 CD4+ T 세포를 주입하면 자가면역반응이 억제되

었으며 이를 통하여 억제작용을 하는 T 세포 아형인 조절 T

세포의 존재를 추정하였다. 조절 T 세포의 표지로서 연구

초기 CD5, CD45RB가 알려졌다 [8,9]. 1995년 Sakaguchi

연구 팀에 의해 CD5, CD45RB보다 더욱 명확한 표지인

CD25(IL-2Rα)가 발견되었다. CD25+ T세포는 말초 CD4+

T 세포의 5~10% 정도, CD8+ T 세포의 1% 정도를 차지하

며, CD25+CD4+ T세포의 경우 기존에 알려진 CD5highCD4+

T세포와 CD45RBlowCD4+ T 세포 모두에 포함된다. CD25+

T 세포를 제거한 비장세포를 흉선이 없는 누드마우스에 주

입한 경우 여러 장기(갑상선, 부신, 랑게르한스섬, 위 등)에

서 자가면역질환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질환의 빈도는 기존

조절T 세포의 표지로 알려진 CD5low 또는 CD45RBhigh T세

포를 제거하여 주입한 경우에 비해 더 높게 관찰되었다. 이

러한 자가면역반응은 CD25+CD4+ T 세포를 함께 주입하여

줌으로써 빈도가 감소하거나 일어나지 않았다 [10]. 이 연구

를 통해 CD25+CD4+ 조절 T 세포가 자가면역을 억제하는

조절 T 세포임이 입증되었다.

조절 T 세포에 대한 연구는 IPEX증후군(immunodysre-

gulation polyendocrinopathy enteropathy X-linked

syndrome)이라 불리는 인간의 자가면역질환 연구를 통해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IPEX 증후군의 증상은 자가면

역성 장질환, 자가면역성 내분비질환, 습진성 피부염, 손

발톱 이상 등 이다. 이와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생쥐 모델

이 Scurfy 생쥐이고, Scurfy 생쥐는 X-연관 열성 돌연변

이로 반접합체 수컷생쥐의 경우 태어난 후 한 달 이내에 고

감마글로불린혈증, 비장 및 림프절 비대, 피부염, 간세포괴

사, 위장관출혈 등이 유발되어 6주 이내에 사망한다. 유전

학의 발달로 Scrufy 생쥐에서 결함이 있는 유전자가 동정

되었으며, 이것이 Foxp3이다 [11]. 사람의 IPEX 증후군에

서 결함이 있는 유전자 역시 생쥐 Foxp3의 병렬상동유전자

(ortholog)인 FOXP3임이 밝혀졌다 [12]. 이때 Foxp3 돌

연변이를 가지는 암컷 이형접합 생쥐의 경우에는 증상이 나

타나지 않는데, 무작위적인 X염색체 불활성화로 인해 특정

T 세포에서 정상 유전자를 발현하여 질병의 발현을 막기 때

문이다 [13].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세 개의 연구팀에서

CD25+CD4+ 조절 T 세포의 Foxp3 발현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CD25+CD4+ 조절 T 세포에서만 높은 수준의 Foxp3

발현이 관찰되었다. 미성숙 CD25-CD4+ T세포나 활성화

된 CD4+ T cell에서는 발현되지 않았다. CD25-CD4+ T 세

포에 Foxp3를 인위적으로 도입하였을 때 CD25, CTLA-4

(cytotoxic T lymphocyte-associated protein 4), CD103

의 발현이 증가하며, in vitro에서 다른 T 세포의 증식을 억

제하고, 염증성 장질환이 유도된 SCID 생쥐 모델에서 질환

의 진행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였다. 더불어 Foxp3가 조절

그림 1. 조절 T 세포의 종류와 발생에 따른 분류

Page 3: 조절 T 세포의 다양성에 의한 면역항상성 유지 · 2015-05-06 · 면의 MHC class II 분자와 강하게 결합하여 수지상세포의 성 숙 및 면역자극능을

논/단

03 ● ● 분 자 세 포 생 물 학 뉴 스 레 터

T 세포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Foxp3 결실

골수와 야생형골수를 T세포-결실 생쥐에 주입한 골수키메

라 모델을 통해 확인되었다. 이 골수키메라 모델의 비장 및

림프절 분석을 통해 새롭게 증식한 CD25+ 조절 T 세포는

오직 Foxp3가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세포에서부터 생겨난

것임을 확인하였다. 정리하자면 Foxp3 전사인자가 조절 T

세포의 분화 및 억제 기능에 있어 필수적이고 충분한 요소

이며, 조절 T 세포 계통을 정의한다고 할 수 있다 [14-16].

Foxp3+ Treg 세포매개의 면역반응 억제기전

Foxp3+ Treg 세포는 다음의 세 가지 기전을 통하여 면역

억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첫째로 억제성 사이토카인을 통한 면역반응의 억제를 들

수가 있다. Foxp3+ Treg 세포는 억제성 사이토카인인 IL-

10, TGF-β, IL-35등을 분비한다. 또한 Foxp3+ Treg 세포

는 TGF-β 를 세포 표면에 발현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

다. 이들은 대표적인 면역억제 기능을 보이는 사이토카인들

로(immune suppressive cytokines) 근거리에 있는 다양

한 선천 면역세포 및 효과 T 세포(effector T cell)에 작용해

면역반응을 억제한다 [17-19].

다음으로 물질대사의 방해를 통한 억제기전이 존재한

다. Foxp3+ Treg 세포 표면에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는

CD25(IL-2Rα chain)로 인해 세포 주변 국소적으로 분포

하는 IL-2를 제거하는 결과를 초래하며, 이는 사이토카인

결핍으로 인한 효과 T 세포의 활성화 억제 및 세포자살을

유도한다고 알려져 있다 [20]. 사람의 FOXP3+ Treg 세포를

이용한 실험에서 FOXP3+ Treg 세포의 작용에 IL-2의 제거

가 꼭 필요하지 않다는 보고를 참고해 볼 때 관련 추가연구

가 필요하다 [21]. 최근 이러한 물질대사 방해를 통한 두 가

지의 새로운 억제기전이 제시되었다. 세포내부 혹은 세포외

부에 아데노신 뉴클레오시드 방출을 유도하는 기전으로, 전

자는 Foxp3+ Treg 세포가 효과 T 세포와의 간극연접을 통해

직접적으로 억제신호물질인 cAMP(cyclic AMP)를 전달하

여 억제가 이루어지며 [22], 후자의 경우 Foxp3+ Treg 세포

의 세포막에 존재하는 외부효소인 CD39, CD73에 의해 세

포주변 아데노신이 생성되어 효과 T 세포에 존재하는 아데

노신 수용체 2A(A2AR)을 통해 인식됨으로써 효과 T 세포의

기능을 억제한다 [23].

마지막으로 수지상세포를 비롯한 항원공여세포를 대상으로

한 억제 기전이 있다. 공동자극분자인 CTLA4는 Foxp3+ Treg

세포 표면에 대량으로 발현되어 있으며, 이는 수지상세포 표

면에 존재하는 CD80/86와 상호작용함으로써 관용유도 수지

상세포(tolerogenic dendritic cell)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러한 수지상세포들에서 트립토판대사에 관련된 효소인

IDO(indoleamine 2,3-dioxygenase)의 발현을 유도하여 분

비하게 하고, 이들은 T 세포에서 친세포사멸 대사물을 만들어

냄으로써 억제작용을 한다 [24,25]. 추가로 Foxp3+ Treg 세포

에 존재하는 LAG3(Lymphocyte-activation gene 3)를 통해

서도 억제 기전이 이루어진다. LAG3는 미성숙 수지상세포 표

면의 MHC class II 분자와 강하게 결합하여 수지상세포의 성

숙 및 면역자극능을 저해한다 [26].

종류 작용 기전

사이토카인 분비 IL-10, TGF-β, IL-35와 같은 억제성 사이토카인의 분비

대사방해

CD25매개성 CD25 (IL-2Rα) 에 의한 국소적인 IL-2 결핍으로 인한 효과 T 세포의 활성화 억제

cAMP 매개성 효과 T 세포와의 간극연접을 통한 cAMP의 전달 및 뒤따른 세포자살

아데노신 매개성 CD39, CD73에 의한 아데노신 생성 및 효과 T 세포 상의 수용체를 통한 면역 기능 억제

수지상세포매개성

CTLA4 매개성 수지상세포 표면의 CD80/86를 통해 관용유도 수지상세포로의 전환 및 IDO 생성유도

LAG 매개성 수지상세포 표면의 MHC class II와 결합하여 수지상세포의 성숙 및 면역자극능 저해

표 1. Foxp3+ Treg 세포의 면역억제 기전

Page 4: 조절 T 세포의 다양성에 의한 면역항상성 유지 · 2015-05-06 · 면의 MHC class II 분자와 강하게 결합하여 수지상세포의 성 숙 및 면역자극능을

molecular and cellular Biology Newsletter

웹 진 2015ㅣ5 ● ● 04

이와 같이 Foxp3+ Treg 세포는 특화된 면역억제 기전들을

활용하여 면역반응의 시작단계, 면역세포의 증식 및 효과세

포의 기능 등 면역반응의 모든 단계를 강력하게 억제할 수

있다 (표1).

Foxp3+ Treg 세포 아형

Foxp3+ Treg 세포는 여러 보조 T 세포 아형의 반응을 억

제하며, 이를 위해 Foxp3+ Treg 세포에서 Foxp3와 더불어

특정한 전사인자의 발현이 필요하다는 것이 최근 연구에서

밝혀졌다.

가장 먼저, Rudensky 박사 연구팀에 의해 Th2 효

과 세포의 분화에 필요한 IRF4(interferon regulatory

factor-4)에 관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이들은 Foxp3+ Treg

세포에서만 특이적으로 Irf4가 제거된 생쥐에서 림프절비

대, 체중감소, 피부염증 등의 자가면역질환의 증세를 관찰

하였으며, 조직병리학적 분석으로 이자, 폐, 위 등에서 광범

위한 염증반응이 관찰되었다. 이 생쥐의 CD4+ T 세포에서

Th2 사이토카인의 생성이 특이적으로 증가하고, Th2 반응

의존적인 항체의 생산도 증가되었다. 분자수준의 기전으로

IRF4는 Foxp3와 복합체를 이루어 Th2 반응 억제에 관련된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해보면

Foxp3+ Treg 세포에서 IRF4의 활성화는 Th2 반응의 억제

를 통한 type 2 염증반응의 조절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27].

거의 비슷한 시기에 Campbell 박사 연구팀에서 Foxp3+

Treg 세포에서 Th1 효과 세포의 분화에 중요한 전사인자인

T-bet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T-bet을 제거한 생쥐

(Tbx21-/-)의 Foxp3+ Treg 세포에서 Th1 반응 장소로의 이

동, 증식 및 축적에 기능하는 CXCR3의 발현의 감소가 나

타나며, Foxp3+ Treg 세포가 없는 Scurfy 생쥐에 각각 야

생형 및 Tbx21-/- 생쥐의 비장 및 말초 림프절 세포를 주입

하면 야생형 세포 주입 생쥐에 비해 CD4+CD44high 효과 T

세포에서 IFN-γ+ 세포의 비율이 높았으며, 염증반응 증가

(림프절과 비장의 비대)가 관찰되었다. 야생형 및 Tbx21-/-

Foxp3+ Treg 세포가 함께 존재할 때 Th1 염증반응 장소로의

축적비율 비교해보면 야생형이 더 높았다. 즉, Foxp3+ Treg

세포에서의 T-bet 전사인자의 발현이 Th1 반응의 억제 및

CXCR3의 발현을 통하여 Th1 염증반응 장소로의 축적을 유

도한다 [28]. 따라서 T-bet을 발현하는 Foxp3+ Treg 세포

는 type 1 염증반응의 조절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Th17 세포 반응에서도 비슷한 원리가 적용된다. Foxp3+

Treg 세포 특이적인 Stat3 결핍 생쥐에서는 자가면역성 염

증성 장질환의 소견을 보이며 CD4+Foxp- 세포들의 사이

토카인 생성 양상을 보면 Th1, Th2관련 사이토카인의 수준

은 차이가 없지만, Th17 관련 사이토카인인 IL-17을 분비

하는 IL-17+ 세포의 증가가 관찰된다. 또한 이들 마우스에

IL-17에 대한 항체를 투여하였을 때 염증성 장질환이 호전

되었다. 즉 Foxp3+ Treg 세포에서 STAT3의 활성화는 Th17

반응을 효율적으로 조절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T-bet

전사인자와 동일하게 STAT3 전사인자도 Th17 반응 장소로

이동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CCR6의 발현을 유도한다.

STAT3 전사인자가 없는 Foxp3+ Treg 세포는 CCR6의 발현

감소가 나타나며 이로 인해 Foxp3+ Treg 세포가 Th17 매개

염증반응 장소로 이동하지 못하고 따라서 Th17 매개 염증

반응의 억제 실패의 추가원인이 될 수 있다 [29].

Th1, Th2, Th17 세포 아형에 더불어 CXCR5를 발현하는

별개의 보조 T 세포의 유형인 여포 보조 T 세포(follicular

helper T; Tfh)의 경우 종자중심(germinal center)에서 B

세포의 활성, 항체 생산증가 및 기억 B 세포로의 분화를 조

절한다. 이때 CXCR5의 발현 및 여포 보조 세포의 발생은

전사억제인자인 Bcl-6가 필요하다. 흉선유래의 Foxp3+

Treg 세포 중 일부는 Bcl-6를 발현하며 이는 Foxp3+ Treg

세포로 하여금 CXCR5를 발현하도록 한다 [30]. 이는 여

포 조절 T세포(follicular regulatory T cell, Tfr)이라 불리

며, 항체 친화도 성숙 및 형질 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기능

을 하여 종자중심반응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T세포

에서 IL-10의 발현을 매개하는 전사억제인자인 Blimp-1도

여포 조절 T 세포에서 Bcl-6와 함께 발현된다. Bcl-6가 존

Page 5: 조절 T 세포의 다양성에 의한 면역항상성 유지 · 2015-05-06 · 면의 MHC class II 분자와 강하게 결합하여 수지상세포의 성 숙 및 면역자극능을

논/단

05 ● ● 분 자 세 포 생 물 학 뉴 스 레 터

재하지 않으면 종자중심의 존재 유무와 상관없이 여포 조절

T 세포가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Bcl-6는 여포 조절 T세

포의 생성에 필수적이다. Blimp-1이 없는 경우 여포 보조

T세포의 비율에는 변화가 없지만 여포 조절 T 세포의 비율

은 두 배 정도 상승하였다. Blimp-1이 효과 조절 T 세포의

수를 제한한다는 사실을 고려해볼 때 Blimp-1은 여포 조절

T 세포 집단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31].

이와는 별개로 최근 Qa-1 제한적인 CD8+ 조절 T 세포가

존재하여 Qa-1+ 여포 보조 T 세포를 억제한다고 보고되었

다. Qa-1 돌연변이 생쥐의 경우 6개월령에서 여포 보조 T

세포 집단이 야생형에 비해 5배 가량 증가됨이 관찰되었고,

GL7+CD95+ B세포의 경우 야생형에 비해 15배 이상의 증

가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여포 보조 T 세포 특이적인 CD8+

조절 T 세포는 CXCR5, ICOSL을 발현하는 반면, CD4+ 조

절 T 세포와는 다르게 CTLA4, Foxp3는 발현하지 않았다.

CD8+ 조절 T 세포의 계통을 대표하는 전사인자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알려진 작용기전은 퍼포린(perforin) 의존적인

여포 보조 T 세포의 억제이다. 이를 통해 여포 보조 T 세포

를 통한 자가항체의 생성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4].

이를 종합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Foxp3- 세포에서

활성화되는 전사인자가 효과 T 세포의 활성 및 분화에 영향

을 미친다면, Foxp3+ 세포에서의 동일한 전사인자의 활성

은 대응 하는 보조 T 세포 매개 면역반응의 억제에 중요하

다 (그림 2). 이는 관련 전사인자의 활성을 통해 조절 T 세

포가 각 아형 반응에 대해 선택적으로 이동을 할 수 있게 하

거나 대응하는 보조 T 세포 매개 면역반응을 효율적으로 억

제하도록 해주는 방식(혹은 두 방법 모두)과 관련이 있을 것

으로 생각된다.

맺음말

새로운 보조 T 세포 아형들의 발견과 더불어 Foxp3+ Treg

세포 분야의 연구에서도 비약적인 발전이 있었으며, 그림 2

에 기술된 바와 같이 보조 T 세포 아형의 발달과 이에 상응

하는 Foxp3+ Treg 세포의 아형의 발달이 전사인자 및 케모

카인 수용체 측면에서 매우 유사한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Foxp3와 보조 T 세포 특이적 전사인자들 사이의 길항 작용

을 고려해 볼 때, Foxp3+ Treg 세포의 아형들에서 이들 전사

인자들 사이의 상호작용 기전은 이들의 독특한 기능적 분화

(functional specialization)를 이해하는 데 핵심 요소가 될

것이다. 조절 T 세포 분야의 많은 연구 진척에도 불구하고

그림 2. 보조 T 세포와 Foxp3+ Treg 세포 아형의 비교

Page 6: 조절 T 세포의 다양성에 의한 면역항상성 유지 · 2015-05-06 · 면의 MHC class II 분자와 강하게 결합하여 수지상세포의 성 숙 및 면역자극능을

molecular and cellular Biology Newsletter

웹 진 2015ㅣ5 ● ● 06

조절 T 세포를 활용하여 알러지, 조직이식, 자가면역 등의

면역질환에 응용하려는 임상연구의 결과는 현재까지 회의

적이다. 그러나 조절 T 세포 아형이라는 새로운 개념의 등

장 및 유전자를 활용한 세포 엔지니어링 기술의 발달, 조절

T 세포 증식 방법 및 안정성 연구의 발달 등은 조절 T 세포

를 활용한 면역세포치료법에 획기적인 돌파구를 제공할 것

으로 기대된다.

[ 참고문헌 ]1. Rudensky, A.Y. (2011) Regulatory T cells and

Foxp3. Immunol. Rev. 241, 260–268

2. Pot, C. et al. (2011) Induction of regulatory Tr1

cells and inhibition of T(H)17 cells by IL-27.

Semin. Immunol. 23, 438–445

3. Shevach, E.M. (2006) From vanilla to 28 flavors:

multiple varieties of T regulatory cells. Immunity

25, 195–201

4. Kim, H.-J. et al. (2010) Inhibition of follicular

T-helper cells by CD8+ regulatory T cells is

essential for self tolerance. Nature 467, 328–332

5. Nishizuka, Y. and Sakakura, T. (1969) Thymus and

reproduction: sex-linked dysgenesia of the gonad

after neonatal thymectomy in mice. Science 166,

753–755

6. Penhale, W.J. et al. (1973) Spontaneous thyroiditis

in thymectomized and irradiated Wistar rats. Clin.

Exp. Immunol. 15, 225–236

7. Penhale, W.J. et al. (1976) Thyroiditis in T cell-

depleted rats: suppression of the autoallergic

response by reconstitution with normal lymphoid

cells. Clin. Exp. Immunol. 25, 6–16

8. Sakaguchi, S. et al. (1985) Organ-specific

autoimmune diseases induced in mice by

elimination of T cell subset. I. Evidence for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 cells in natural self-

tolerance; deficit of a T cell subset as a possible

cause of autoimmune disease. J. Exp. Med. 161,

72–87

9. Powrie, F. et al. (1993) Phenotypically distinct

subsets of CD4+ T cells induce or protect from

chronic intestinal inflammation in C. B-17 scid

mice. Int. Immunol. 5, 1461–1471

10. Sakaguchi, S. (2004) Naturally arising CD4+

regulatory t cells for immunologic self-tolerance

and negative control of immune responses. Annu.

Rev. Immunol. 22, 531–562

11. Brunkow, M.E. et al. (2001) Disruption of a new

forkhead/winged-helix protein, scurfin, results in

the fatal lymphoproliferative disorder of the scurfy

mouse. Nat. Genet. 27, 68–73

12. Bennett, C.L. et al. (2001) The immune

dysregulation, polyendocrinopathy, enteropathy,

X-linked syndrome (IPEX) is caused by mutations

of FOXP3. Nat. Genet. 27, 20–21

13. Godfrey, V.L. et al. (1994) Transplantation of T

cell-mediated, lymphoreticular disease from the

scurfy (sf) mouse. Am. J. Pathol. 145, 281–286

14. Hori, S. et al. (2003) Control of regulatory T cell

development by the transcription factor Foxp3.

Science 299, 1057–1061

15. Khattri, R. et al. (2003) An essential role for

Scurfin in CD4+CD25+ T regulatory cells. Nat.

Immunol. 4, 337–342

16. Fontenot, J.D. et al. (2003) Foxp3 programs

the development and function of CD4+CD25+

regulatory T cells. Nat. Immunol. 4, 330–336

17. Asseman, C. et al. (1999) An Essential Role for

Interleukin 10 in the Function of Regulatory T

Cells That Inhibit Intestinal Inflammation. J. Exp.

Med. 190, 995–1004

18. Nakamura, K. et al. (2001) Cell contact-dependent

Page 7: 조절 T 세포의 다양성에 의한 면역항상성 유지 · 2015-05-06 · 면의 MHC class II 분자와 강하게 결합하여 수지상세포의 성 숙 및 면역자극능을

논/단

07 ● ● 분 자 세 포 생 물 학 뉴 스 레 터

immunosuppression by CD4(+)CD25(+) regulatory

T cells is mediated by cell surface-bound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J. Exp. Med. 194,

629–644

19. Collison, L.W. et al. (2007) The inhibitory cytokine

IL-35 contributes to regulatory T-cell function.

Nature 450, 566–569

20. Thornton, A.M. and Shevach, E.M. (1998)

CD4+CD25+ immunoregulatory T cells suppress

polyclonal T cell activation in vitro by inhibiting

interleukin 2 production. J. Exp. Med. 188, 287–

296

21. la Rosa, de, M. et al. (2004) Interleukin-2 is

essential for CD4+CD25+ regulatory T cell function.

Eur. J. Immunol. 34, 2480–2488

22. Kobie, J.J. et al. (2006) T regulatory and primed

uncommitted CD4 T cells express CD73, which

suppresses effector CD4 T cells by converting

5'-adenosine monophosphate to adenosine. J

Immunol 177, 6780–6786

23. Zarek, P.E. et al. (2008) A2A receptor signaling

promotes peripheral tolerance by inducing T-cell

anergy and the generation of adaptive regulatory

T cells. Blood 111, 251–259

24. Read, S. et al. (2000) Cytotoxic T lymphocyte-

associated antigen 4 plays an essential role in the

function of CD25(+)CD4(+) regulatory cells that

control intestinal inflammation. J. Exp. Med. 192,

295–302

25. Fallarino, F. et al. (2003) Modulation of tryptophan

catabolism by regulatory T cells. Nat. Immunol. 4,

1206–1212

26. Huang, C.-T. et al. (2004) Role of LAG-3 in

regulatory T cells. Immunity 21, 503–513

27. Zheng, Y. et al. (2009) Regulatory T-cell

suppressor program co-opts transcription factor

IRF4 to control T(H)2 responses. Nature 458, 351–

356

28. Koch, M.A. et al. (2009) The transcription factor

T-bet controls regulatory T cell homeostasis

and function during type 1 inflammation. Nat.

Immunol. 10, 595–602

29. Chaudhry, A. et al. (2009) CD4+ Regulatory T Cells

Control TH17 Responses in a Stat3-Dependent

Manner. Science 326, 986–991

30. Chung, Y. et al. (2011) Follicular regulatory T cells

expressing Foxp3 and Bcl-6 suppress germinal

center reactions. Nat. Med. 17, 983–988

31. Linterman, M.A. et al. (2011) Foxp3+ follicular

regulatory T cells control the germinal center

response. Nat. Med. 17, 975–982

저 | 자 | 약 | 력

나 형 진

2009-2014 포항공과대학교 생명과학과, 학사

2014-현재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석박사통합과정

정 연 석

1993-1997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학사

1997-2003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석사/박사

2005-2009MD Anderson Cancer Center, 박사후연구원/Instructor

2010-2013 텍사스 주립대 의과대학 (Houston), 조교수

2014-현재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조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