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24
충충충충충 충충충충 7 차차 차차차차 차차차 차차차차차 차차 сэтгэцийн эрүүл мэндийг дэмжих ба сэтгэцийн өвчнөөс урьдчилан сэргийлэх

Upload: sujaubuns

Post on 03-Aug-2015

15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7 차시 정신건강 증진과 정신질환의 예방 сэтгэцийн эрүүл мэндийг дэмжих ба

сэтгэцийн өвчнөөс урьдчилан сэргийлэх

Page 2: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2 / 24

학습목표 хичээлийн зорилго

학습목차 хичээлийн зорилт

1. 1 차 예방의 모형들2. 간호 사정3. 간호계획과 수행4. 평가

▪ 미국인들은 정신건강이 전반적인 건강에 필수적이라는 것을 이해한다 .

▪ 정신건강의 증진과 정실질환의 예방을 이해한다 .

학습목표 및 학습목차

Page 3: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3 / 24

1. 정신건강증진과 정신질환 예방

▪ 정신건강 증진과 정신질환 예방은 정신간호의 중요한 부분이며 정신건강은 종종 단순히

정신질환이 없는 것으로 생활되지만 , 실제로 그것은 훨씬 더 광범위

▪ 미국 Healthy People 2010(USDHHS, 2000) 의 목표 - 정신건강은 성공적인 정신기능의 상태이며 결과적으로 생산적인 활동을 할 수 있는 것 , 그리고 관계를 충족시키고 변화에 적응하며 역경에 대처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을 말하며 또한 개인적 안녕 , 가족과의 대인관계 , 그리고 사회에 대한 기여에 꼭 필요한 것

▪ 미국 정신건강에 관한 신 자유위원회 (New Freedom Commission) 의 보고서 약속완수하기 - 미국에서의 정신건강관리 변화시키기 (Achieving the Promise: Transforming Mental Health Care in America(2003) 는 첫 번째 목표와 두 개의 권장 사항들에 초점

권장사항

1

2

치료를 요구하는 증상을 줄이기 위한 국가적 캠페인과 자살 예방을 위한 국가적 캠페인과 자살 예방을 위한 국가적 전략을 촉진시키고 시행한다 .

정신건강을 신체건강과 동일하게 긴급한 문제로 제시한다 . 그러므로 정신건강과 정신질환 예방에 관한 초점을 오래된 현안이다 .

Page 4: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4 / 24

1. 정신건강증진과 정신질환 예방

1) 1 차 예방의 모형들 1 дүгээр шатны урьчдилан сэргийлэлтийн загварууд▪ “ 한 온스의 예방은 한 파운드의 치료의 가치가 있다” 혹은 “치료는 비용이 많이 든다 ; 예방은

7 돈으로 살 수 없다”와 같은 슬로건으로 설명

▪ 1 차 예방이 힘을 얻고 있는 이유

1 질병을 치료하기보다는 예방을 하는 건강관리시스템이 경제적으로 더 효율적이라고 인식하기 시작했기 때문에

2 좋은 정신건강은 심각한 신체 질환을 가진 사람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일반적으로 더 오랜 수명에 기여하는 것이 확인되어 왔기 때문에

▪ 증진 (promotion) 은 인간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 건강에 대하여 전인적(holistic) 인 접근을 끌어들임

1 스트레스 원들을 피하거나 보다 더 적응적으로 처리하도록 돕는 것

2 자원 , 정책 , 환경의 요인들을 변화시켜 더 이상 스트레스 원이 되지 않고 오히려 사람들의 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

Page 5: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5 / 24

1. 정신건강증진과 정신질환 예방

1) 1 차 예방의 모형들 1 дүгээр шатны урьчдилан сэргийлэлтийн загварууд공중보건예방모형 нийгмийн эрүүл ахуйн урьдчилан сэргийлэх

загвар▪ 이 모형에서의 강조점은 위험성이 높은 집단에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전체 인구를 위한 정신질환의 위험을 줄이는 데 있음

▪ 모형의 사용은 정신건강 전문가들이 지역사회의 위기 중재의 치료 양식을 가지고 중재하는 것과 같은 기술에 익숙해야 가능

▪ 지역사회의 요구사정 - 공중보건 모형에서 서비스들은 지역사회 요구에 대해 문화적으로 민감하게 사정을 한 것에 바탕으로 두고 개발되고 전달되며 , 정신건강의 요구를 결정하기 위해 서비스의 필요성을 판단하는 데는 네 가지 기법을 사용

사회적 지표chig

주 정보 제공자

지역사회 공개토론회

neeltte

역학적 연구

공공의 기록과 보고서에서 발견되는 서술적 통계 자료

지역사회의 필요사항들에 대하여 잘 알고 있는 사람들

지역사회의 구성원들이 지역사회의 정신건강 필요성에 관한 생각 , 신념들을 표현할 수 있도록 토론

지역사회 주민의 정신장애의 발병률과 이환율을 검토

Page 6: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6 / 24

1. 정신건강증진과 정신질환 예방

1) 1 차 예방의 모형들 1 дүгээр шатны урьчдилан сэргийлэлтийн загварууд공중보건예방모형 нийгмийн эрүүл ахуйн урьдчилан сэргийлэх загвар

▪ 위험이 높은 집단을 확인하고 우선순위 정하기 - 요구 사정으로부터 나온 자료가 분석되면 , 구체적인 위험성 높은 집단이 나타남 | - 역학적 연구는 가난 , 편부모 가정과 청소년기 임신 사이의 높은 상관관계

▪ 중재 - 공중보건모형은 정신질환과 정서적 장애에 대해 예방적 중재의 세 가지 수준을 적용한다 .(Caplan, 1964)

1 차 예방

2차 예방

3차 예방

장애의 새로운 사례가 발병하는 비율을 줄임으로써 정신장애의 발병률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

사례의 조기 발견 , 선별검사 (screening), 그리고 신속하고 효과적인 치료를 통하여 현존하는 사례들의 수를 줄임으로써 정신장애의 이환율을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

재활활동을 통하여 정신장애와 장애의 중증 정도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

Page 7: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7 / 24

1. 정신건강증진과 정신질환 예방

1) 1 차 예방의 모형들 1 дүгээр шатны урьчдилан сэргийлэлтийн загварууд의학예방 모형 анагаах ухааны урьдчилан сэргийлэх

загвар▪ 정신질환의 구체적인 원인들을 발견하기 위하여 생물학적 연구와 두뇌 연구에 초점을 두며 , 1 차 예방 활동은 개별적인 환자의 질병예방에 초점

- 예방적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을 정당화하는 질병을 확인- 사람들이 질병을 가지고 있는지 아닌지에 따라 집단으로 구별될 수 있도록 질병의 진단을 위한 신뢰할 만한 방법을 개발

- 예방적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을 정당화하는 질병을 확인- 사람들이 질병을 가지고 있는지 아닌지에 따라 집단으로 구별될 수 있도록 질병의 진단을 위한 신뢰할 만한 방법을 개발

11

- 일련의 역학적인 연구와 실험실 연구에 의하여 질병의 원인을 확인- 일련의 역학적인 연구와 실험실 연구에 의하여 질병의 원인을 확인22

- 이러한 연구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하여 실험적이고 예방적인 중재 프로그램을 시작하고 평가

- 이러한 연구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하여 실험적이고 예방적인 중재 프로그램을 시작하고 평가

33

▪ 이 모형은 영양상의 질병 등 광범위한 질병들을 통제하는데 효과를 발휘해 옴

▪ 다양한 정신장애들을 예방하는 데에도 유용하다는 것이 증명됨

Page 8: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8 / 24

1. 정신건강증진과 정신질환 예방

▪ 간호예방모형은 위험요인들 , 보호요인들 , 취약성 , 그리고 인간적 반응들에 초점을 둠으로써 정신건강을 증진시키고 정신질환을 예방하는 것 중요함을 강조

▪ 간호예방 모형에서 , “ 환자”는 개인이나 , 가족 , 혹은 지역사회가 될 수 있으며 , 그것은 정신장애가 본질적으로 다양한 요인들의 상호작용의 결과가 원인이라는 것을 강조

▪ 또한 정신질환 예방이 좀 더 행동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대처 반응의 증진과 생활 스트레스 원들에 대한 부적응적 반응의 예방으로 고려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됨

간호예방 모형은 문제들이 다원적이고 , 모든 사람들은 스트레스가 심한 생활상의 사건들에 취약하며 , 어떤 장애나 문제들이 결과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가정해야 함

예 ) 네 명의 상처받기 쉬운 사람들이 결혼의 붕괴나 실직과 같은 스트레스가 심한 생활상의 사건들에 직면한다면 ? - 한 사람은 심하게 우울하게 될 수 있고 , - 두 번째 사람은 자동차 사고를 일으킬 수 있고 , - 세 번째 사람은 장차 알코올 중독에 빠져들 수 있고 , - 네 번째 사람은 관상동맥질환에 걸릴 수도 있는 것

간호예방 모형 сувилахуйн урьдчилан сэргийлэх загвар

1) 1 차 예방의 모형들 1 дүгээр шатны урьчдилан сэргийлэлтийн загварууд

Page 9: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9 / 24

1. 정신건강증진과 정신질환 예방

▪ 간호예방 모형은 각각의 문제에 대한 원인을 탐색하지 않는다 . 오히려 ,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1상당 비율의 주민들 사이에 부적응적 대처반응을 초래한다고 여겨지는 스트레스 원을 확인하고 , 그 스트레스 원과 부적응적 반응에 위험성이 있는 사람들을 확실하게 확인하기 위한 절차들을 개발

2역학적 방법과 실험실 방법에 의하여 , 스트레스 원의 결과에 대하여 연구하고 그 부정 적인 결과들을 어떻게 줄이고 제거할 수 있는지에 관련된 가설을 개발

3 이 가설들에 바탕을 둔 실험적 예방 중재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평가

▪ 간호 모형은 또한 간호과정을 적용하여 , 확인된 스트레스 원과 연관된 부적응적 대처반응 들의 1 차 예방에 초점을 두고 간호활동이 이루어짐

1) 1 차 예방의 모형들 1 дүгээр шатны урьчдилан сэргийлэлтийн загварууд간호예방 모형 сувилахуйн урьдчилан сэргийлэх загвар

Page 10: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10 / 24

1. 정신건강증진과 정신질환 예방

사정 хяналт

부적응적 반응을 촉진시키는 스트레스 요인과 그것에 취약하거나 위험성이 있는 인구집단 혹은 표적 집단을 확인하기

▪ 따라서 간호과정은 정신질환의 발병률을 줄이고 정신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목표지향적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

계획 төлөвлөлт

구체적인 예방 전략들과 그 전략들이 적용될 수 있는 사회적 기관과 상황들을 공식화하기

수행 хэрэгжүүлэл

т확인된 스트레스 요인들에 대한 부적응적 반응을 겨냥한 선택된 간호중재를 적용 하고 적응 강화하기

평가 дүгнэлт

단기와 장기적 결과 , 자원의 사용 , 다른 예방 전략들과의 비교를 통한 간호중재의 유효성 결정하기

1) 1 차 예방의 모형들 1 дүгээр шатны урьчдилан сэргийлэлтийн загварууд간호예방 모형 сувилахуйн урьдчилан сэргийлэлтийн

загвар

Page 11: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11 / 24

1. 정신건강증진과 정신질환 예방

2) 간호사정 сувилахуйн хяналт

위험요인과 보호요인들 ▪ 위험요인들

- 어느 한 사람이 장애를 일으킬 가능성이 더 커지도록 하는 병의 소인적(predisposing) 특징을 말함 - 몇몇 위험요인들은 성별이나 가족력처럼 고정되어 있으며 , 반면에 다른 요인들은 사회적 지지부족이나 읽을 능력이 없음과 같이 변화될 수 있는 것들 - 현재의 연구는 생물학적 , 심리적 , 환경적 위험요인들의 상호작용과 정신질환이 일으키는 유전자와 같이 생물학적 위험요인들이 궁극적으로 발현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어떻게 그것들을 변경할 수 있는가에 초점

▪ 보호요인들 -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을 개선시키고 결과적으로 적응적 행동을 이끌어낼 수 있는 대처 자원과 대처기제 - 이 요인들은 개인 , 가족 , 그리고 지역사회에 존재하며 , 위험요인들의 영향력에 강력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 보호요인들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 큼

Page 12: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12 / 24

1. 정신건강증진과 정신질환 예방

2) 간호사정 сувилахуйн хяналт

대상 주민들 объект иргэд

보편적 (Universal)1

▪ 위험요인들에 대한 고려 없이 일반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한다 .

선택적 (Selective)2

▪ 특정 장애를 일으킬 위험이나 상당히 높은 개인들이나 집단들을 대상으로 한다 .

지시적 (Indicated)3

▪ 구체적인 정신장애의 전조를 나타내는 징후나 , 그 장애에 대한 소 인을 가리키는 생물학적인 표시가 잇는 것으로 확인된 위험성이 높은 개인들을 대상으로 한다 .

Page 13: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13 / 24

1. 정신건강증진과 정신질환 예방

2) 간호사정 сувилахуйн хяналт

간호예방 사정 및 간호사의 역할 сувилахуйн урьдчилан сэргийлэх хяналт ба

сувилагчийн үүрэг▪ 간호사는 인간의 기능을 사정하고 효율적인 간호 중재를 하기 위하여 성장과 발달에 대한 지식은 필수적

▪ 정상적인 발달단계 , 발달 과업 , 그리고 특정요인에 익숙해야 함이것은 간호사가 그 사람이 과거에 어떤 문제에 직면했었고 앞으로 어떤 도전이 가로놓여 있는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

▪ 1 차 예방에서의 사정은 정신장애에 걸리기 쉽거나 , 특정 스트레스 요인들이나 위험요인들에 부적응적 대처반응을 나타낼 수 있는 개인이나 집단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함 그와 같은 사정을 완성하기 위하여 , 간호사는 이론 , 연구 , 그리고 임상 실무에서 형성된 정보를 통합하는 능력이 필요

▪ 간호사는 집단들이 공유하고 있는 것은 생활 속에서의 사건의 경험 , 스트레스 요인 , 또는 어떤 종류의 상실을 나타내든 대처할 수 있는 자신의 능력을 지나치게 압박을 가하는 등의 위험요인들이 있음을 알아야 함

▪ 하위집단이 더 분명하게 정의될수록 , 더욱 구체적으로 예방 전략들이 연구되고 확인되고 시행될 수 있음

Page 14: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14 / 24

1. 정신건강증진과 정신질환 예방

3) 간호계획과 수행 сувилахуйн төлөвлөгөө ба хэрэгжүүлэлт

▪ 전반적인 간호 목적은 건설적인 대처 기제를 증진시키고 적응적 대처 반응들을 극대화하는 것

▪ 예방 전략들은 병에 걸리기 쉽게 하는 요인들 , 병을 촉진시키는 (precipitating) 스트레스

요인들 , 스트레스 요인들에 대한 평가 , 대처 자원들 그리고 다음의 중재들을 통한

대처기전들에 영향을 미치는 쪽으로 방향이 설정되어야 함

▪ 간호사는 이들 각각에서 위험요인들을 감소시키거나 보호요인들을 증가시키는 데 초점

건강교육

환경적변화

사회적지지

낙인감소

건강교육 (health education) эрүүл мэндийн боловсрол

▪ 정신건강에서의 1 차 예방의 건강교육은 능력 형성 (competence duilding), 즉 원기회복 (resilience) 을 통하여 개인과 집단을 강화시키는 것을 말함 많은 부적응적 반응들이 능력 부족 , 즉 자신의 삶에 대한 인지된 통제력 부족 , 그리고 그 결과로서 생기는 낮은 자존감의 결과라는 가정에 근거 , 능력 형성은 원기회복이라고도 말함

Page 15: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15 / 24

1. 정신건강증진과 정신질환 예방

3) 간호계획과 수행 сувилахуйн төлөвлөгөө ба хэрэгжүүлэлт

건강교육 (health education) эрүүл мэндийн боловсрол▪ 자기 효능 (self-efficacy) - 자기 효능은 자신의 개인적 능력에 대한 믿음 - 높은 수준의 자기 효능은 자신의 생각 , 동기유발 , 기분 , 그리고 신체적 건강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침 (Bandura. 1997) - 효능 (efficacy) 에 대한 의식이 낮은 사람들은 어려운 일들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고 , 그들은 포부가 낮고 그들의 목적에 열성적으로 헌신하지 못함 - 건강교육과 관련된 예방적 중재들은 사람들에게 자신의 삶에 대한 통제력을 갖추도록 하고 원기회복과 자기 효능을 가지고 자기통제적 변화의 과정을 시작할 수 있게 해줌

▪ 수행의 유형 - 능력형성 , 즉 자기효능 증가시키기에 관련된 건강교육은 네 가지 유형의 중재들을 포함

1 건강과 질병에 관련된 개인 혹은 집단의 문제와 사건들 , 정상적인 발달 과업과 잠재적인 문제들에 대한 인식 증가시키기

2 잠재적인 스트레스 요인들 , 가능한 결과 ( 적응적 , 부적응적 둘 다 포함 ),

그리고 대안적 대처 반응들에 대한 이해 증가시키기

Page 16: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16 / 24

1. 정신건강증진과 정신질환 예방

3) 간호계획과 수행 сувилахуйн төлөвлөгөө ба хэрэгжүүлэлт

건강교육 (health education) эрүүл мэндийн боловсрол

▪ 수행의 유형

- 기술 , 스트레스와 좌절감에 대한 내인성 , 동기 , 희망 , 분노 관리 , 그리고 자존감 등과 같이 대처 기술을 개선시키거나 극대화하는 것을 의미

▪ 프로그램과 활동 - 정신건강교육은 어떤 환경에서라도 시행할 수 있으며 , 형식적이거나 비형식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고 개인이나 집단을 대상으로 할수 있음 - 스트레스에 대한 개인의 소인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설정된 건강교육은 다양한 형식을 취할 수 있음 - 미국 간호중재분류 (Nursing Intervention Classification(NIC) 체계 (Dochterman and Bulechek, 2004) 에서 확인된 건강교육 활동 <Box 6-2>

3 필요한 자원들을 획득할 수 있는 곳과 방법에 대한 지식 증가시키기

4 개인 혹은 집단의 실질적인 대처능력 증가시키기 , 이것은 문제해결하기 ,

의사소통

Page 17: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17 / 24

1. 정신건강증진과 정신질환 예방

3) 간호계획과 수행 сувилахуйн төлөвлөгөө ба хэрэгжүүлэлт

환경 변화 (enviromental change) хүрээлэн буй орчны өөрчлөлт

▪ 1 차 예방에서 환경 변화와 관련된 활동들은 사회적 환경에 초점을 두며 , 개인이나 집단의 직접적인 환경의 변화나 더 큰 규모의 사회적 체제의 변화를 포함

▪ 경제상태 , 직장 , 주거 , 가족 상황에서의 변화들을 포함한 다양한 환경 변화들은 정신건강 증진을 가능하게 함 - 경제적으로는 , 예산이나 금전 관리에 있어서 재정적인 원조나 도움을 위한 자원들을 얻을 수 있음 - 청소년이나 주부 , 또는 더 나이든 성인에게는 완전히 새로운 직업을 시작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음

▪ 환경 변화들은 대처 자원들을 증가시키고 , 스트레스 요인들의 본질을 수정하고 , 긍정적이고 보람 있으며 자기 강화의 경험을 증가시킴으로써 정신건강을 증진시켜야 함직장 환경의 변화 직업 테스트 , 지도 상담 , 교육 , 또는 직장 환경의 변화

주거 환경의 변화 이사 , 가족과 친구들을 떠나거나 그들에게 되돌아오는 것

가족 환경의 변화 탁아시설 이용 , 유아원이나 초등학교 또는 캠프에 등록하기 등

Page 18: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18 / 24

1. 정신건강증진과 정신질환 예방

3) 간호계획과 수행 сувилахуйн төлөвлөгөө ба хэрэгжүүлэлт

환경 변화 (enviromental change) хүрээлэн буй орчны өөрчлөлт

▪ 조직과 정치 (organizations and politics) - 간호사들도 건강관리 기구나 정책결정 과정에 영향력을 행사하여 조직적이고 정치적인 수준에서 환경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음 - 만약 간호사들이 , 간호 전문직이 건강 증진에 귀중하게 기여하고 있는 것을 입증하려면 , 간호사가 간호 관리의 비용으로 효과적이면서 질적인 간호를 제공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기록이 있어야 하고 , 보다 많은 대상자들이 간호사를 찾도록 홍보하고 간호 서비스에 대한 적절한 비용과 적절한 보험수가를 확보해야 함 - 조직 내에서 , 환경적 변화는 프로그램 자문을 통하여 성취 , 지역사회 계획과 개발에 관여하는 것은 많은 다른 분야들에 영향을 줄 수 있음 - 미래의 많은 정신건강 예방 전략들이 성공적이 되려면

1 어느 특정 집단이 어떤 특정 스트레스 요인에 취약한가

2 제안된 예방 프로그램이 어떻게 이익이 되고 비용 효율이 높은가

3 그 프로그램이 어느 정도까지 성공할 수 있는가

Page 19: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19 / 24

1. 정신건강증진과 정신질환 예방

3) 간호계획과 수행 сувилахуйн төлөвлөгөө ба хэрэгжүүлэлт

사회적 지지 (social support) нийгмийн дэмжлэг

▪ 1 차 예방 전략으로서 , 사회적 체계를 지지하는 것은 보호적 요인을 강화하기 위해 적절한 사회적 지지를 증강하는 것과 잠정적으로 스트레스가 심한 사건의 효과를 완화할 수 있는 방법들을 개발하는 것을 의미

▪ 사회적 지지체계는 개인과 가족들의 강점을 강조하고 , 질병보다는 건강에 초점을 두어 도움을 준다 .

▪ 사회적 지지는 1 차 , 2 차 , 3 차 모든 수준의 예방에 중요하며 , 다음의 사항에 목표

건강증진 행동을 장려하기

사람들이 문제 초기에 도움 요청을 하도록 돕기

면역체계 기능과 기타 생리 기능 과정을 향상시키기

1

2

3

잠재적으로 스트레스가 심한 사건의 발생 줄이기

스트레스가 심한 사건들에 대처하는 능력 기르기

만성적인 정신적 신체적 질병 관리를 돕기

4

5

6

Page 20: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20 / 24

1. 정신건강증진과 정신질환 예방

3) 간호계획과 수행 сувилахуйн төлөвлөгөө ба хэрэгжүүлэлт

사회적 지지 (social support) нийгмийн дэмжлэг

▪ 사회적 지지가 부족한 사람들은 사망 위험이 더 높음

▪ 사회적 지지체계를 극대화하는 목표달성

고위험 집단이 필요로 하는 사회적 지지의 양이 결정되어야 하고 이용 가능한 사회적 지지의 양과 비교되어야 함

1

급성 스트레스 요인들은 좀 더 강도 높은 직접적인 지지를 필요로 하는 경향이 있으며 , 한편 만성적 문제들에 대한 지지 자원들은 지속되지 않고 사라지는 경향

2

아기의 출생이나 승진과 같은 , 개인의 사회적 조직망에 의해서 긍정적인 방식으로 여겨지는 변화들이나 스트레스 요인들은 상당한 지지를 받는 반면에 이혼과 같은 부정적인 사건은 지지를 거의 받지 못함

3

각 개인이 필요로 하는 사회적 지지의 양과 유형은 다르므로 한 사람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사회적 지지의 양과 유형이 다른 사람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할 수도 있음

4

Page 21: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21 / 24

1. 정신건강증진과 정신질환 예방

3) 간호계획과 수행 сувилахуйн төлөвлөгөө ба хэрэгжүүлэлт

사회적 지지 (social support) нийгмийн дэмжлэг

▪ 중재 유형들 - 사회적 지지는 1 차 예방에서 중재를 계획하고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 네 가지 특정 중재 유형들이 가능함

1문제 영역과 고위험 집단들을 확인하기 위하여 지역 사회와 이웃들을 사정하는데 사회적 지지양상들이 사용함

2지역사회 지지체계와 공식적인 정신건강 서비스 간의 연계 증진환자에게 적절한 지역사회 지지체계의 이용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함

3현존하는 정신질환자를 돌보는 조직망들의 강화 . 건강관리전문가들은 지역사회에서 비공식적으로 정신질환자를 돌보는 사람들에게 정보와 지원을 제공

4개인과 집단들이 사회적 조직망을 개발하고 , 유지하고 , 확장하고 , 사용하도록 도움

Page 22: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22 / 24

1. 정신건강증진과 정신질환 예방

3) 간호계획과 수행 сувилахуйн төлөвлөгөө ба хэрэгжүүлэлт

사회적 지지 (social support) нийгмийн дэмжлэг

▪ 비공식적인 지지집단들 - 비공식적인 지지집단에는 교회집단 , 시민단체 , 여성 단체 , 또는 직장과 이웃의 지지집단 등이 포함 - 구성원들은 모두 공통적인 경험을 공유하고 , 공통의 목적을 위하여 함께 일하며 , 그들의 삶에 대한 통제력을 얻기 위하여 그들의 힘을 사용하며 , 최근 그와 같은 집단들이 인터넷상에서도 형성됨 .(Bacon, Condon, and Fernsler, 2000) - 자조집단들이 다양한 스트레스에 대처 방법들을 사용하고 , 서로 다른 회원 기준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 각 집단은 특정 개인이나 가족들에 대한 일반적인 유효성과 적합성을 위하여 개별적으로 사정되어야 하며 , 자조 집단에 들어가도록 추천하기 전에 간호사가 몇 가지 분야를 사정해야 함 . <Box 6-5> - 간호사는 가능한 한 방해가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하며 비공식 지지체계에서 일하는 지지자들의 조력 행동의 자연스러운 레퍼토리를 억압하지 않아야 함 - 사회적 지지를 하는 것이 효과적인 중재이기는 하지만 , 1 차 예방 활동들로 제한하지 말고 , 모든 환경에 있는 모든 간호사들은 개인 , 가족 , 그리고 집단의 건강을 극대화하는

전인적 치료 (holistic care) 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이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

Page 23: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23 / 24

1. 정신건강증진과 정신질환 예방

3) 간호계획과 수행 сувилахуйн төлөвлөгөө ба хэрэгжүүлэлт

낙인감소 (stigma reduction) ичгүүр, гутамшигийг бууруулах▪ 낙인 (stigma) 은 사회가 정상이 아닌 , 죄인 , 혹은 위험한 사람들을 확인하고 분리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불명예나 치욕의 표시로 정의

▪ 정신질환자에게 있어서 , 낙인은 그들을 사회와 분리시키고 다른 사람들과 분리시키는 장벽이 됨

▪ 환자와 그 가족들은 종종 정신질환에 대한 진단으로 인하여 가족과 친구들이 멀어지기 때문에 고립과 외로움이 뒤따른다고 말하며 , 환자들은 다른 사람들이 그들을 거부하고 두려워하고 있다고 느끼며 , 가족들은 비난에 직면하게 됨

▪ 정신건강전문가들은 일반국민을 교육하고 , 그들에게 정신건강은 연속체이며 정신질환은 여러 요인들의 복잡한 결합에 의하여 야기된다는 것을 알려야 함

▪ 소비자들 아무도 정신질환이나 감정적 문제들에 면역이 된 사람은 없으며 , 이러한 문제들로 인하여 고통을 겪고 있는 사람들에 대하여 우리가 느끼는 두려움 , 불안 , 심지어 분노조차도 어느 정도는 우리 자신의 가장 깊은 두려움과 분노들이 반영일 수 있음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

Page 24: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24 / 24

1. 정신건강증진과 정신질환 예방

4) 평가 (evaluation) дүгнэх

▪ 1 차 예방에 대하여 논할 때 , 정신질환과 스트레스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것들은 실질적인 목표가 아니며 , 실제적 목표는 대상자의 고통을 덜어주고 대처 능력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

▪ 사회에서 취약한 집단의 구체적인 문제들을 향하여 초점을 맞춘다면 , 간호활동은 좀 더 집중되고 성공 기회를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임

▪ 1 차 예방에서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는 필요하며 , 자원이 줄어드는 미래 사회에서는 증명된 효율성을 가진 프로그램만이 지지를 받을 수 있게 됨

▪ 적용된 예방 전략이 개인과 사회에 이익이 될 단기적 , 장기적 효과들을 가지고 있음이 증명되어야 하며 , 시행된 구체적 전략이 가장 효과적이고 적합하고 효율적인지를 결정할 필요가 있음

대안적 접근법들을 고려하고 임상적 재정적 결과들을 비교하는 것은 평가과정에서 필수적인 것

▪ 1 차 예방 활동에는 그것을 어렵게 하는 많은 장애물들이 있으며 간호사는 선택에 직면하였을 때 , 예방을 증진시키는 것보다는 병에 걸린 사람들의 요구가 일반적으로 우선시 되어야 함을 알아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