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독일문학사 정치사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6/pusan/inseongki/1.pdf•...

23
1독일문학사/정치사 개요 부산대학교 독어독문학과 인성기

Upload: others

Post on 31-Mar-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1장 독일문학사/정치사 개요 부산대학교 독어독문학과 인성기

  • 독일문학사는 독일의 문학의 역사를 반영하는가?

    • 현재 독일 문학사에서 거론되는 작품들은 어떤 작품들인가?

    • 선택의 기준은?

    • 정전 Kanon ( vs. 통속문학)이란?

    • Harold Bloom “The Great Books”

    • 현재 독일 중고등학교 “국어 Deutsch” 교과서에 채택되는 작품들

  • 관점에 따라서 두 갈래 또는 세 갈래의 독일문학사가 가능한가?

    1. 진보진영의 독일문학사가 중시하는 것 • 사회참여문학

    • 계몽주의적 내용

    • 삼월전기의 정치문학/ 나치시대의 反파시즘 문학

    2. 보수진영의 독일문학사가 중시하는 것 • 순수문학

    • 예술적 형식

    • 괴테 시대의 이상주의 문학

  • 3. 오스트리아의 연구자들이 중시하는 것

    • 오스트리아 지역 출신 또는 활동 작가

    • 세기말 빈 모더니즘 문학

    • “합스부르크 신화Der habsburgische Mythos”(Claudio Magris)의 허구성 비판

    • 현대의 언어회의/언어비판 작품

  • 전통적 문학사에 대한 도전

    • 야우스 H. R. Jauss의 수용미학

    • 실제로 대중 독자가 선호하는 작품들의 역사

    • 지식인 작가/예술가의 작품성보다는 민중의 삶을 대변하는 문학작품

  • 사회정치적 관점의 독일문학사

    • 시대마다 변화하는 사회정치적 변화에 대한 지식인 작가들의 생활 감정과 이념을 대표적으로 반영하는 작품들을 채택

    • 연구방법: 문학사 연구와 사회정치사, 사상사 연구의 병행

    - 역사와 철학 그리고 사회정치 현실의 관점으로 문학작품을 고찰하고

    - 문학의 언어와 형식 연구를 통해서 다시 역사와 사회를 깊이 이해하는

    상호순환적 연구방법

  • 현실, 사상 그리고 예술의 상호조명으로서의 문학사

    사회

    정치사

    철학사상사

    문학사

  • 독문학사의 일반적인 시대구분

    • 중세 500-1500

    • 인문주의, 르네상스 종교개혁 1500-1600

    • 바로크 1600-1720

    • 계몽주의 1720-1790

    • 질풍노도 1765-1790

    • 고전주의 1786-1832

    • 낭만주의 1798-1835

  • • 비더마이어 1815-1848

    • 청년독일/ 3월전기 1825-1848

    • 시적 사실주의 1848-1900

    • 모더니즘

    - 자연주의 1880-1900

    - 표현주의 1910-1925

    • 모더니즘 논쟁 이후의 20세기 현대

  • 독일의 사회정치사 개관

  • 중세

    • 독일지역에서 독일어권의 사회정치가 본격적으로 시작됨

    • 북동부 게르만족이 훈족의 침입을 받아 현재의 독일지역에 유입

    • 476년 게르만족은 이탈리아의 서로마제국(395-)을 멸망시킴

    • 서고트왕국, 동고트왕국, 부르군트왕국, 프랑크왕국 등이 독일지역에 건립됨

    • 게르만족의 독일은 문화적으로는 기독교 라틴 로마문명권에 편입됨

    • 8세기경부터 독일어 방언들이 형성되기 시작함

  • 중세의 사회적 특징 봉건제도

    • 게르만족 특유의 봉건제도를 발전시킴

    • 전국 각지에 백작 comes, count, 변경백작 margrave, 공작 duke을 임명하여 황제의 지배권 강화

    • 800년“신성로마제국”(-1806)의 출범

    • 교황 레오3세가 프랑크왕국의 칼대제에게 “신성로마제국 황제”라는 명목상의 제위를 수여함

    • 실제 권력은 각 지방의 제후들에게 있음

    • 영방(領邦)들의 연방(聯邦)국가체제

  • 중부 유럽의 형성

    • 유럽문화의 주도권은 실질적으로는 동로마제국이 장악

    • 동로마 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플

    • 서로마제국으로서의 “신성로마제국”은 843년 베르됭 Verdun조약으로 3아들의 3국으로 분열됨

    •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의 기원이 됨

    • 독일지역의 “신성로마제국”은 원주민 켈트족과 게르만족 등으로 구성된 다민족 국가를 형성

    • 그러나 그 이름은 명목만 존재하며

    • 독일(및 이탈리아) 지역은 그 이후 수많은 중소형 영주국가들로 분할되어 통치됨

  • “신성로마제국” 황제의 선출제도

    • 1198년부터 1806년까지 지속

    • Karl 4세이후의 “선(選)제후 Kurfürst” 전통

    • 쾰른, 마인츠, 트리어 대주교

    라인 궁중백, 작센 공, 브란덴부르크

    변경백, 보헤미아 국왕

    • 현대 독일연방제도의 기원이 됨

  • “신성로마제국”의 독일황제들은 로마 가톨릭과 경쟁 관계

    • 1077 Canossa의 굴욕 하인리히 4세

    - 성직자에 대한 세속권력자의 도전 실패

    - 교회는 토지기증, 수도원, 십일조, 헌납금 등으로 권력화

    - 성직자 매직행위 성행

    • 그레고리우스 7세(클뤼니 출신 수도사 Hildebrand)의 교회개혁

    • 매직 금지와 성직자 결혼 금지

    - 세속권력자의 성직 서임권 몰수

  • 중세 봉건사회의 자급자족적 경제

    • 봉건(封建)제 Feudum

    • “봉급에 바탕을 두고 세워진 제도”

    • 봉건 feudal의 원뜻 “재산, 돈 fee”

    • 실제로 지급된 것은 “땅(地)”

    • “恩貸地 (은대지)”

    • 은대 (恩 + 貸) Bene + ficium

    • 주종관계 형성

    • 종사(從士)제,

    • 장원 manor 경제

  • 같은 시대 이웃나라 로마제국의 역사

    • 포에니 전쟁으로 지중해의 패권을 장악하고 로마공화국 건설

    • 로마제국시대 이후로는 차츰 알프스 이북으로 세력확장

    • 침략의 전초기지로서 라인강을 따라 병영들을 세우고

    • 군사도로를 건설함

    • 초기에는 고대 그리스신화를 계승한 로마의 신화에 나오는 신들을 북유럽에 전파

    • 쥬피터, 헤르메스…

    • 중세부터는 수도사들이 기독교 전파

  • 동로마제국의 역사

    • 330년 콘스탄티누스가 그리스 식민도시 “비잔틴”에 동로마제국의 수도를 건설

    • “콘스탄티노플”로 명명

    • 그리스 정교

    • 1204년 4차 십자군에 의해 함락

    • 기독교

    • 1453년 오스만 제국에 의해 멸망

    • “이스탄불”로 개명

    • 현재 인구의 99%가 무슬렘

  • 중세 중반기 이후의 독일의 역사

    • 1254-1273 “신성로마제국”은 大空位 시대 등 사회정치적 진공상태

    • 15세기 중반부터 프랑크 왕국의 쇠퇴기에 합스부르크의 오스트리아 왕국이 세력을 키우기 시작하여 “신성로마제국 황제”임을 자처. 명맥이 다시 이어짐

    • 같은 시대에 신성로마제국 북부지역에서 인문주의 태동

    • 네덜란드의 도시들

    • 에라스무스

  • 인문주의, 르네상스, 그리고 종교개혁 시기

    • 1517-1521 루터의 종교개혁 95개 명제 제시 이후의 농민전쟁 시기

    • 1618-1648 30년 종교전쟁의 혼란기

  • 반종교개혁과 계몽전제군주 시대의 독일

    • 1648-1748 베스트팔렌 조약 이후 유럽의 다국가 체제 시대

    • 1740 프로이센에서 프리드리히 대제 등극

    • 1740-1789 계몽전제군주들의 학술진흥 시대, 왕립학술원

    • 1789 프랑스 대혁명

    • 1803-1814 나폴레옹의 중부유럽 침공, 독일의 해방전쟁 시대

    • 1814-15 빈 국제회의 Vienna Congress 로 유럽 각국의 정치가 봉건체제로 복고

    • 1815-1848 귀족계층과 시민계층 간의 사회정치적 긴장 지속

    오스트리아 외교관/총리 메테르니히 치하의 감시 체재

  • 독일의 정치적 보수화와 산업화

    • 1848-1871 3월혁명의 실패에서부터 제2제국의 건국까지

    대독일주의 vs. 소독일주의 외교 논쟁

    • 1871 보불전쟁에서 승리한 빌헬름 1세, 입헌군주제

    소독일주의 이념으로 “독일제국Deutsches Kaiserreich” 선포

    • 1871-1914 비스마르크의 실리적 외교정책의 성공에서부터 1차대전의 발발까지

    인구증가, 산업발달, 사회보장제도 발달

    • 1914-1918 1차 세계대전

  • 20세기의 현대

    • 1918-1933 바이마르 공화국의 미국식 민주주의 도입

    • 1933-1945 히틀러의 제3제국

    • 1945-1949 2차 세계대전

    • 1945-1969 동서독 냉전시대

    • 1970-1989 사민당 브란트 집권/ 적군파 청년들의 반자본주의 테러 시대

    • 1989/1990- 현재 독일통일 이후 유럽의 정치 경제를 주도하기 시작

    1장 독일문학사/정치사 개요독일문학사는 독일의 문학의 역사를 반영하는가?��관점에 따라서�두 갈래 또는 세 갈래의 독일문학사가 가능한가?슬라이드 번호 4전통적 문학사에 대한 도전사회정치적 관점의 독일문학사현실, 사상 그리고 예술의 상호조명으로서의 문학사독문학사의 일반적인 시대구분슬라이드 번호 9독일의 사회정치사 개관중세중세의 사회적 특징�봉건제도중부 유럽의 형성“신성로마제국” 황제의 선출제도“신성로마제국”의 독일황제들은 로마 가톨릭과 경쟁 관계�중세 봉건사회의 자급자족적 경제같은 시대 이웃나라 로마제국의 역사동로마제국의 역사중세 중반기 이후의 독일의 역사인문주의, 르네상스, 그리고 종교개혁 시기반종교개혁과 계몽전제군주 시대의 독일독일의 정치적 보수화와 산업화20세기의 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