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연차보고서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15612/1/연차... · 2019. 1. 16. ·...

239
2010. 2 2009 연차보고서

Upload: others

Post on 08-Oct-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2010. 2

    2009 연차보고서

  • 머 리 말

    이 연차보고서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현황과 2009년 한 해 동안 수행한 조사연구

    사업의 주요 결과, 정책지원사업, 농림기술관리센터 및 농촌정보문화센터, 중국사무소의

    업무 등을 정리·수록하여 참고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발간하였다.

    우리 연구원은 2009년도에 ①농림업과 식품산업의 생산·유통혁신 ②농업·농촌

    부문의 성장잠재력 및 자원개발 ③농가경제 안정 및 경영인력 육성 ④농촌지역 활성

    화 및 복지 증진 ⑤FTA·DDA 협상과 국제화 대응 등을 연구의 기본방향으로 설정하

    였다. 이러한 연구의 기본방향하에 과제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타 출연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 강화, 국제기구, 대학 및 연구소 등과의 연구협력을 통해 2009년에 176건

    의 연구과제 및 관련사업을 완료하였다.

    연구사업 외에 농어업·농어촌특별대책위원회 참여 등 정책지원 업무와 정책연구협

    의회, 정책워크숍, 정책토론회, 국제학술대회 개최 등 폭넓은 활동을 통하여 농림정책개

    발과 지원을 위해 노력하였으며, 직원의 자질향상을 위하여 KREI 세미나·농경토론회

    및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였다.

    2009년 9월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으로 독립법인화된 농림기술관리센터는

    213과제의 신규선정 및 지원, 215과제의 중간평가, 113과제의 최종평가 등을 실

    시하였으며, 산·학·연 공동연구를 통한 농림기술의 산업화 촉진을 위하여 다양한 성

    과활용과 기술개발사업을 지원하였다. 농업·농촌의 가치, 농업정책, 농식품 소비촉

    진 홍보 등을 목적으로 설립된 농촌정보문화센터는 언론 동향·대응사례 분석 및 정

    책제안, 농업·농촌 가치 및 농정 홍보에 대한 여론조사 사업 등 농정현안의 국민 이해증

    진을 위한 활동을 하였다.

    뛰어난 연구결과와 사업성과를 만들어 내기 위해 맡은 바 최선을 다한 직원 여

    러분과 연구수행에 도움을 주신 관계자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를 드린다.

    2010. 2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오 세 익

  • i

    목 차

    Ⅰ. 일 반 현 황 ····················································································· 1

    1. 연 혁 ····························································································· 1

    2. 임 무 ····························································································· 1

    3. 기 구 ····························································································· 2

    4. 정 원 ····························································································· 4

    5. 인 사 ····························································································· 5

    6. 예 산 ····························································································· 9

    Ⅱ. 연 구 사 업 ··················································································· 10

    1. 기본방향 ······················································································· 10

    2. 조사연구사업 총괄 ······································································ 10

    3. 농식품정책연구 ············································································ 11

    4. 농업농촌정책연구 ········································································ 16

    5. 농업관측정보연구 ········································································ 19

    6. 글로벌협력연구 ············································································ 20

    7. 산림정책연구 ················································································ 22

    8. 미래정책연구 ················································································ 23

    9. 기획조정실 ···················································································· 24

    Ⅲ. 정책지원 및 기타 활동 ································································ 25

    1. 현 황 ··························································································· 25

    2. 정책지원연구 ················································································ 25

    3. 협의회, 자문회의 및 토론회 개최 ············································ 30

    Ⅳ. 정보관리 ························································································· 69

    1. 전 산 ··························································································· 69

  • ii

    2. 도서자료 ······················································································· 72

    3. 출 판 ··························································································· 75

    4. 벤처 농기업 보육사업 ································································ 77

    Ⅴ. 연구조성사업 및 학술활동 ··························································· 79

    1. 현 황 ··························································································· 79

    2. KREI 세미나 ················································································· 79

    3. 농경토론회 ···················································································· 80

    Ⅵ. 국제교류 ························································································· 81

    1. 현 황 ··························································································· 81

    2. 국제학술대회 개최 ······································································ 81

    3. 국제학술회의 참가 ······································································ 96

    4. 해외조사 활동 ·············································································· 98

    5. 외국인 내방 ················································································ 107

    Ⅶ. 농정여론 조사사업 및 교육·홍보활동 ······································ 110

    1. 현지통신원 운용 ········································································ 110

    2. 현지통신원 대상 여론조사 ······················································· 113

    3. 성과 확산 및 언론보도실적 ····················································· 114

    4. 대외협력업무 ·············································································· 115

    Ⅷ. 농림기술관리센터 ········································································ 118

    1. 일반현황 ······················································································ 118

    2. 정책지원 및 사업기획 ······························································ 120

    3. 사업관리 및 성과확산 ······························································ 122

    4. 정보관리 등 ················································································ 125

    5. 농림기술개발사업 연구성과 관리현황 ···································· 127

    Ⅸ. 농촌정보문화센터 ········································································ 128

    1. 일반현황 ······················································································ 128

  • iii

    2. 기본사업 ······················································································ 130

    3. 수탁사업 ······················································································ 132

    4. 홍보지원 ······················································································ 154

    Ⅹ. 중국사무소 ···················································································· 157

    1. 일반현황 ······················································································ 157

    2. 주요사업 ······················································································ 159

    3. 2009년도 중국사무소 주요 업무일지 ······································ 169

    Ⅺ. 2009년도 간행물 발간목록 ························································· 176

    Ⅻ. 임원 및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이사 명단 ································ 186

    ⅩⅢ. 직 원 명 단 ················································································· 187

    ⅩⅣ. 2009년도 연구원 주요일지 ························································· 193

  • 1

    Ⅰ. 일 반 현 황

    1. 연 혁

    한국농촌경제연구원(영문명칭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약칭

    KREI)은 농림경제 및 농촌 사회 문제를 종합적으로 조사·연구하여

    국민경제 발전과 국민복지 증진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1978년

    4월 1일 재단법인으로 설립되었다. 1995년 9월 27일에는 농림분야의

    기술개발투자의 지원 및 관리업무를 전담할 농림기술관리센터가 연

    구원 부설기관으로 설립되었고, 1999년부터는 원내에 농업관측정보

    센터를 설치하여 농업관측사업을 시작하였다. 같은 해 1월 29일에는

    연구원 설립 근거법이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로 바뀌면서 국무조정실 산하 경제사회연구회로 소속기관

    이 변경되었다. 2002년 2월 6일 원내에 벤처농기업창업보육센터를 개

    소하고, 2004년 7월 27일에는 경제사회연구회 최우수 기관으로 선정

    되어 국무총리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2005년 4월 28일에는 농

    업·농촌의 가치 및 주요 농업정책 홍보업무를 전담하는 농촌정보문

    화센터가 연구원 부설기관으로 설립되었고, 2008년 3월 6일에는 중국

    의 농림업정책 동향과 농업·농촌, 소비시장 등에 관한 정보자료 수

    집·분석을 위한 중국사무소를 개설하였다.

    2. 임 무

    연구원은 설립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사업을 수행

    한다.

    ◦ 중장기 농림경제계획 및 정책수단에 관한 조사연구

    ◦ 농림부문의 단기정책에 관한 조사연구

  • 2

    ◦ 농어촌민의 복지증진 및 농어촌사회문제에 관한 조사연구

    ◦ 농림업 정책의 국민 이해증진 조사연구 및 대국민 여론조사·홍보

    ◦ 정부 및 국내외 공공기관 및 민간단체 등으로부터 연구용역 수탁

    ◦ 연구결과의 출판 및 배포

    ◦ 관계기간의 공무원 및 기타 단체의 수탁 연수

    ◦ 농림기술개발사업의 관리

    ◦ 상기 연구원 임무의 부대사업 및 기타연구원의 목적달성을 위해

    필요한 사업

    3. 기 구

    기구는 연구업무를 수행하는 본원과 부설기관으로 농업·농촌가치

    이해 및 도농교류 협력사업을 수행하는 농촌정보문화센터로 구성되

    어 있다.

    부설기관으로 농촌정보문화센터와 함께 농림기술개발사업을 관리

    하는 농림기술관리센터(1995년 9월 27일 발족)가 있었으나, 농림수산

    식품과학기술육성법에 의거, 2009년 9월 17일 독립법인 농림수산식

    품기술기획평가원으로 출범함에 따라 1개 부설기관으로 축소되었다.

    본원은 3본부 1센터 2실의 연구부서와 2실의 지원부서로 조직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농촌정보문화센터에는 1실을 두고 있다.

  • 3

    < 기 구 표 >

    원 장

    감 사(비상근)

    감사담당

    부 원 장농촌정보문화

    센터소장

    농업농촌정책연구본부

  • 4

    4. 정 원

    정원은 본원 141명 및 부설 농촌정보문화센터 16명 등 총 157명이

    며, 별정직을 제외한 2009년 말 현원은 해외유학 등 휴직자 9명을 포

    함한 본원 130명, 부설 농촌정보문화센터 14명으로 총 144명이다.

    2009. 12. 31 현재

    종직 급

    정 원 현 원 결 원

    비 고본 원ⓐ

    농촌정보문화센터

    계ⓐ+ⓑ

    본원ⓒ

    농촌정보문화센터

    계ⓒ+ⓓ

    본원ⓐ-ⓒ=ⓔ

    농촌정보문화센터ⓑ-ⓓ=ⓕ

    계ⓔ+ⓕ

    원 장 1 1 1 1

    ※ 특별휴직자 3명 포함 (선임연구위원 2명,

    연구위원 1명)

    ※ 일반휴직자 9명 포함 (연구위원 1명, 부연구위원 1명, 전문연구원 7명)

    선임연구위원연 구 위 원부연구 위원전문연 구원연 구 원

    107 5 112

    1533191913

    1

    12

    1633202113

    △8 △1 △9

    책임연구조원주임연구조원연 구 조 원

    6 6312

    312

    △1

    소 계 113 5 118 105 4 109 △8 △1 △9

    선임전 문원1 급 전 문 원2 급 전 문 원3 급 전 문 원

    8 843

    43

    △1 △1

    소 계 8 8 7 7 △1 △1

    선임관 리원1 급 관 리 원2 급 관 리 원3 급 관 리 원

    18 3 21

    2646

    11

    1

    3747

    책임행정조원·책임기능원주임행정조원·주임기능원행정조원·기능원

    9 9312

    213

    △3 △3

    소 계 27 3 30 24 3 27 △3 △3

    합 계 141 16 157 130 14 144 △11 △2 △13

  • 5

    5. 인 사

    2009년에 농촌정보문화센터 소장 1명과 박사급 2명, 행정직 1명,

    비정규직 정규화 임용 11명 및 초청직 3명 등 18명을 채용한 반면,

    희망퇴직 4명과 농림기술관리센터 별도 법인화로 인한 퇴직 14명 및

    기타사유로 인한 퇴직 7명 등 35명의 퇴직이 있었다. 또한 인력 운영

    면에서는 승진 16명, 청와대 대통령실 파견 1명이 있었으며, 해외유

    학 9명을 포함하여 총 18명의 휴직이 있었다.

    < 임 용 >

    2009. 12. 31 현재

    일 자 직 급 성 명 소 속

    2009. 2.16 선 임 관 리 원 윤 기 호 농 림 기 술 관 리 센 터

    2009. 3. 2 초빙연구위원 배 종 하 글 로 벌 협 력 연 구 본 부

    2009. 5.11 연 구 원 김 동 훈 농 식 품 협 력 연 구 본 부

    2009. 5.11 연 구 원 윤 종 열 농 업 관 측 정 보 센 터

    2009. 5.11 연 구 원 이 정 민 농 업 관 측 정 보 센 터

    2009. 5.11 연 구 원 김 영 단 산 림 정 책 연 구 실

    2009. 6. 1 초 청 연 구 원 장 도 환 농 업 관 측 정 보 센 터

    2009. 6. 1 초 청 연 구 원 한 승 용 농 업 관 측 정 보 센 터

    2009. 6. 1 초 청 연 구 원 반 현 정 미 래 정 책 연 구 실

    2009. 8. 3 선임연구위원 이 상 곤 농 촌 정 보 문 화 센 터

    2009. 8. 3 전 문 연 구 원 김 미 복 농업농촌정책연구본부

    2009.10. 1 연 구 원 김 창 호 농업농촌정책연구본부

    2009.10. 1 연 구 원 김 정 승 글 로 벌 협 력 연 구 본 부

    2009.10. 1 연 구 원 정 대 희 글 로 벌 협 력 연 구 본 부

    2009.10. 1 연 구 원 박 영 구 농 업 관 측 정 보 센 터

    2009.10. 1 연 구 원 최 익 창 농 업 관 측 정 보 센 터

    2009.10. 1 연 구 원 허 정 회 미 래 정 책 연 구 실

    2009.10. 1 행 정 조 원 전 형 주 행 정 실

    계 18명

  • 6

    < 승 진 >

    2009. 12. 31 현재

    일 자 직 급 성 명 소 속

    2009. 4. 1 선임연구위원 박 시 현 농업농촌정책연구본부

    2009. 4. 1 선임연구위원 강 창 용 기 획 조 정 실

    2009. 4. 1 연 구 위 원 김 배 성 농 업 관 측 정 보 센 터

    2009. 4. 1 연 구 위 원 박 기 환 기 획 조 정 실

    2009. 4. 1 부 연 구 위 원 최 병 옥 농 식 품 정 책 연 구 본 부

    2009. 4. 1 부 연 구 위 원 황 윤 재 농 식 품 정 책 연 구 본 부

    2009. 4. 1 부 연 구 위 원 김 정 섭 농업농촌정책연구본부

    2009. 4. 1 부 연 구 위 원 이 명 기 미 래 정 책 연 구 실

    2009. 4. 1 부 연 구 위 원 류 영 섭 농 림 기 술 관 리 센 터

    2009. 4. 1 부 연 구 위 원 신 완 식 농 림 기 술 관 리 센 터

    2009. 4. 1 부 연 구 위 원 이 금 선 농 림 기 술 관 리 센 터

    2009. 4. 1 1 급 관 리 원 성 진 석 기 획 조 정 실

    2009.10. 1 연 구 위 원 김 경 필 농 식 품 정 책 연 구 본 부

    2009.10. 1 연 구 위 원 이 상 민 산 림 정 책 연 구 실

    2009.10. 1 부 연 구 위 원 전 상 곤 농 식 품 정 책 연 구 본 부

    2009.10. 1 1 급 관 리 원 허 상 성 농 촌 정 보 문 화 센 터

    계 16 명

    < 파 견 >2009. 12. 31 현재

    기 간 소 속 직 급 성 명 파견처

    2008. 4.21~2010. 4.20 농식품정책연구본부 연구위원 정민국 청와대 대통령실

    계 1 명

  • 7

    < 퇴 직 >

    2009. 12. 31 현재

    일 자 직 급 성 명 소 속

    2009. 2.16 부 연 구 위 원 김 철 민 농 식 품 정 책 연 구 본 부

    2009. 5.19 초 청 연 구 원 유 찬 희 미 래 정 책 연 구 실

    2009. 6.17 초 청 연 구 원 주 현 정 농 식 품 정 책 연 구 본 부

    2009. 6.18 연 구 원 이 용 호 미 래 정 책 연 구 실

    2009. 7.16 선임연구위원 신 동 헌 농 촌 정 보 문 화 센 터

    2009. 7.17 초 청 연 구 원 조 용 원 농업농촌정책연구본부

    2009. 8.21 1 급 관 리 원 박 을 행 정 실

    2009. 8.21 부 연 구 위 원 김 형 모 농 림 기 술 관 리 센 터

    2009. 8.21 책 임 기 능 원 윤 여 흥 농 림 기 술 관 리 센 터

    2009. 9. 1 전 문 연 구 원 황 승 재 농 림 기 술 관 리 센 터

    2009. 9.17 부 연 구 위 원 류 영 섭 농 림 기 술 관 리 센 터

    2009. 9.17 부 연 구 위 원 신 완 식 농 림 기 술 관 리 센 터

    2009. 9.17 부 연 구 위 원 이 금 선 농 림 기 술 관 리 센 터

    2009. 9.17 부 연 구 위 원 장 승 동 농 림 기 술 관 리 센 터

    2009. 9.17 부 연 구 위 원 최 양 석 농 림 기 술 관 리 센 터

    2009. 9.17 전 문 연 구 원 서 형 석 농 림 기 술 관 리 센 터

    2009. 9.17 전 문 연 구 원 신 봉 철 농 림 기 술 관 리 센 터

    2009. 9.17 연 구 원 김 성 일 농 림 기 술 관 리 센 터

    2009. 9.17 연 구 원 최 국 현 농 림 기 술 관 리 센 터

    2009. 9.17 연 구 조 원 문 영 미 농 림 기 술 관 리 센 터

    2009. 9.17 연 구 조 원 한 경 숙 농 림 기 술 관 리 센 터

    2009. 9.17 선 임 관 리 원 윤 기 호 농 림 기 술 관 리 센 터

    2009. 9.17 1 급 관 리 원 박 형 삼 농 림 기 술 관 리 센 터

    2009. 9.17 2 급 관 리 원 유 영 찬 농 림 기 술 관 리 센 터

    2009.10. 1 행 정 조 원 박 지 윤 행 정 실

    계 25 명

  • 8

    < 휴 직 >

    2009. 12. 31 현재

    직 급 성 명 사 유 기 간

    선임연구위원 이 규 천 특 별 휴 직 2009. 1.28~2010. 1.27

    선임연구위원 오 내 원 특 별 휴 직 2009. 2.24~2010. 2.23

    연 구 위 원 박 시 현 특 별 휴 직 2008. 1.31~2009. 1.29

    연 구 위 원 이 계 임 특 별 휴 직 2009. 7. 1~2010. 6.30

    연 구 위 원 박 준 기 특 별 휴 직 2008. 8. 7~2009. 8. 4

    연 구 위 원 김 홍 상 일 반 휴 직 2007. 2.12~2010. 2.11

    부 연 구 위 원 김 용 렬 일 반 휴 직 2009. 6. 1~2010. 5.31

    전 문 연 구 원 한 석 호 해 외 유 학 2005. 8. 1~2009. 7.20

    전 문 연 구 원 전 익 수 해 외 유 학 2003. 8.18~2009. 9.10

    전 문 연 구 원 김 윤 형 해 외 유 학 2004. 7.27~2010. 7.26

    전 문 연 구 원 서 대 석 해 외 유 학 2004. 8.16~2010. 8.15

    전 문 연 구 원 김 종 선 해 외 유 학 2004.10.20~2010.10.19

    전 문 연 구 원 김 성 우 해 외 유 학 2005. 8. 1~2010. 7.31

    전 문 연 구 원 이 병 훈 해 외 유 학 2006. 8.16~2011. 8.15

    전 문 연 구 원 민 경 택 해 외 유 학 2007. 3.26~2012. 3.25

    전 문 연 구 원 지 인 배 해 외 유 학 2007. 7.25~2012. 7.24

    연 구 조 원 이 경 미 육 아 휴 직 2008.12. 1~2009. 8.31

    전 문 연 구 원 유 정 인 육 아 휴 직 2009. 8.30~2010. 5.31

    계 18 명

  • 9

    6. 예 산

    2009년도 예산은 일반회계 19,892백만원, 농업관측특별회계 4,515백

    만원으로 2008년도 일반회계 18,290백만원, 농업관측특별회계 4,504백

    만원 보다 1,602백만원, 11백만원 각각 증액 편성되었다.

    총예산에서 정부출연금 규모는 17,945 백만원으로 2008년도 16,339

    백만원 대비 1,606백만원(9.8%) 증액되었으며, 자체수입은 6,462백만

    원으로 2008년도 6,455백만원 대비 7백만원(0.1%) 증액되었다.

    < 2009년도 예산 현황 >

    ◦ 일반회계

    단위: 백만원

    구 분 2008 2009 증 감

    수입

    정부출연금 12,013 13,509 1,496

    자 체 수 입 6,277 6,383 106

    합 계 18,290 19,892 1,602

    지출

    인 건 비 8,541 8,609 68

    연구사업비 8,645 10,062 1,417

    경상운영비 1,018 1,081 63

    시 설 비 86 140 54

    합 계 18,290 19,892 1,602

    ◦ 농업관측특별회계단위: 백만원

    구 분 2008 2009 증 감

    수입

    정부출연금 4,326 4,436 110

    자 체 수 입 178 79 △99

    합 계 4,504 4,515 11

    지출

    운 영 비 1,423 1,441 18

    -인 건 비 1,370 1,388 18

    -경상운영비 53 53 -

    사 업 비 3,081 3,074 △7

    합 계 4,504 4,515 11

  • 10

    Ⅱ. 연 구 사 업

    1. 기본방향

    2009년도 연구는 농림업과 식품산업의 생산·유통혁신 연구, 농업·

    농촌부문의 성장잠재력 및 자원개발 연구, 농가경제 안정 및 경영인

    력 육성 연구, 농촌지역 활성화 및 복지 증진 연구, FTA·DDA 협상과

    국제화 대응 연구 등 중장기 기초연구와 수요자 지향의 중대형 정책

    연구를 적절히 배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2. 조사연구사업 총괄

    2009년도에는 모두 176과제를 수행하였다. 그 중 148개 과제를 완

    료하였으며, 28개 과제는 2010년도까지 계속된다.

    < 연구사업 총괄 >

    연 구 부 문 총과제 수 2009년 완료과제 2010년 계속과제

    농식품정책연구 70 58 12

    농업농촌정책연구 45 37 8

    농업관측정보연구 11 8 3

    글로벌협력연구 28 26 2

    산림정책연구 8 7 1

    미래정책연구 11 9 2

    기획조정실 3 3 -

    계 176 148 28

  • 11

    3. 농식품정책연구

    < 연구사업 내역 >

    순번과제성격

    과 제 명 연구기간 책임자

    1 기본 식품안전기본법 시행에 따른 농식품 안전관리 체계 개편방향 - 중앙 및 지방정부의 역할 정립을 중심으로

    2009.01.01-2009.08.31 황윤재

    2 기본 시설원예산업의 재도약 방안 - 생산, 수출부문 중심

    2009.01.01-2009.10.31 박현태

    3 기본 농식품 R&D의 전망과 정책 과제 2009.01.01-2009.10.31 권오복

    4 기본 농산물 물류체계 진단과 효율화 방안 2009.01.01-2009.10.31 전창곤

    5 기본 신선편이농산물시장의 실태와 활성화 방안 2009.01.01-2009.10.31 이용선

    6 기본 농어업 부가가치의 새로운 창출을 위한 식품산업의 중장기 발전 전략(1/5차년도)

    2009.01.01-2009.10.31 최지현

    7 기본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부문 영향분석과 대응전략(2/2차년도)

    2009.01.01-2009.10.31 김창길

    8 기본 쇠고기산업의 구조와 발전 방안 2009.01.01-2009.10.31 우병준

    9 수시(이월)

    음식점 원산지 표시제도의 현황과 과제 2008.11.15-2009.02.28 이계임

    10 수시 쇠고기 등급제의 효과와 정책 과제 2009.06.22-2009.11.15 전상곤

    11 수시 농약표시의 문제점과 정책 과제 2009.08.17-2009.12.31 권오복

    12 수시 농어업용 에너지 절감시설 보급효과 및 정책방안 2009.10.01-2009.11.30 김연중

    13 수시 탄소성적표시제도의 농업분야 적용과 시사점 2009.11.01-2009.12.31 김창길

    14 수시 쌀 수급안정 방안 연구 2009.11.11-2009.12.31 박동규

    15 수시 쇠고기 수요 환경 변화가 한우 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2009.12.11-2010.03.10 전상곤

  • 12

    순번과제성격

    과 제 명 연구기간 책임자

    16 특별 농산물도매시장 발전과 과제 2009.09.01-2010.08.31 조명기

    17 연구관련사업

    2008년도 식품수급표 2009.07.01-2009.12.31 황윤재

    18 용역(이월)

    지역특산물 마케팅 지원(2/3차년도) 2008.07.01-2009.06.30 황윤재

    19 용역(이월)

    금산약초물류집하장 건립 종합운영계획 수립 2008.07.15-2009.08.31 전창곤

    20 용역(이월)

    백합해외시장의 동향과 수출확대 전략(1/3차년도) 2008.08.20-2009.08.19 강창용

    21 용역(이월)

    과채류의 수출 브랜드 개발과 육성 전략(1/5차년도) 2008.08.20-2009.08.19 전창곤

    22 용역(이월)

    단감 수출전문단지 조성 및 조직화를 위한 기술지원(1/5차년도)

    2008.08.20-2009.08.19 김경필

    23 용역(이월)

    과채류의 물류체계 개선 및 수출 상품화 개발(1/2차년도)

    2008.08.20-2009.08.19 조명기

    24 용역(이월)

    닭고기 수출 마케팅 전략 및 개발기술의 적용가능성 분석(1/2차년도)

    2008.08.20-2009.08.19 우병준

    25 용역(이월)

    강화군 농수산물 유통분야 장기발전계획수립 2008.09.28-2009.03.29 국승용

    26 용역(이월)

    수출대상국별 검역 및 통관제도와 물류애로 해결을 통한 시장개척 방안(1/5차년도)

    2008.10.01-2009.07.31 이용선

    27 용역(이월)

    식품전용 산업단지 조성사업 타당성조사 및 기본구상

    2008.10.06-2009.04.05 최지현

    28 용역(이월)

    표준거래계약서 개발 2008.11.06-2009.01.31 최병옥

    29 용역(이월)

    평택시 슈퍼오닝유통회사 타당성 검토 2008.11.19-2009.02.16 국승용

    30 용역(이월)

    국립수의과학검역원 영남시설 이전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2008.11.25-2009.12.29 조명기

    31 용역(이월)

    강원권 농산물종합유통시설 건립계획 수립 2008.12.12-2009.05.29 국승용

  • 13

    순번과제성격

    과 제 명 연구기간 책임자

    32 용역(이월)

    기능성 콩식품 개발의 경제성 평가와 국내외 시장분석 및 마케팅전략(1/3차년도)

    2008.12.20-2009.12.19 최지현

    33 용역(이월)

    정부양곡 조작요율 산정 연구 2008.12.29-2009.07.28 성명환

    34 용역 농업분야 배출권거래제와 CDM사업의 적용방안 연구(1차년도)

    2009.01.01-2009.12.31 김창길

    35 용역 제1세부과제: 유기농업 실천농가의 경영실태 분석유기농업 실천농가 경영 및 유통체계 개선 방안 연구(2차년도)

    2009.01.01-2009.12.31 김창길

    36 용역 제2세부과제: 주요국의 유기농업 경영성과 분석유기농업 실천농가 경영 및 유통체계 개선 방안 연구(2차년도)

    2009.01.01-2009.12.31 전상곤

    37 용역 제3세부과제: 광역친환경농업단지 유기농 클러스터의 경영실태 분석유기농업 실천농가 경영 및 유통체계 개선 방안 연구(2차년도)

    2009.01.01-2009.12.31 정학균

    38 용역 문경시 농산물 유통체계 종합개선계획 수립 2009.02.10-2009.07.09 전창곤

    39 용역 안성 농식품 허브물류센터 사업계획 수립 2009.03.03-2009.07.31 국승용

    40 용역 양주시 농업·농촌 발전전략 및 방안 2009.04.03-2009.09.29 김연중

    41 용역 세계 김치연구소 설립 마스터플랜 수립 2009.04.06-2009.06.30 최지현

    42 용역 고추가공제품의 해외 소비 동향 조사 2009.04.10-2010.04.09 김성훈

    43 용역 한·뉴질랜드 FTA 체결이 사슴 산업에 미치는 파급 영향 분석

    2009.04.20-2009.06.05 우병준

    44 용역 배추가공(김치,절임)공장 타당성 검토 2009.06.02-2009.07.16 이용선

    45 용역 농업용 신재생에너지 활용방안 연구 2009.06.30-2009.10.31 김연중

    46 용역 식생활 교육 기본계획 수립 연구 2009.07.14-2009.12.12 황윤재

    47 용역 과수분야 소득보전직불·폐업지원사업 개선방안 연구 2009.07.15-2009.09.14 김경필

  • 14

    순번과제성격

    과 제 명 연구기간 책임자

    48 용역 MMA 쌀 관리방안 연구 2009.07.29-2009.10.15 박동규

    49 용역 유해물질 잔류조사 시스템 구축 2009.07.30-2009.11.30 한재환

    50 용역 표준규격 공동출하사업 제도개선 및 풀 이용단가 조사 연구

    2009.08.14-2010.01.15 최병옥

    51 용역 농축산물판매촉진사업 제도개선 연구 2009.09.01-2009.11.30 김성훈

    52 용역 국내외 연 생산·가공·유통 실태조사 및 무안군 연산업 육성방안 연구

    2009.09.01-2010.02.20 성명환

    53 용역 FTA에 대비한 축산물 유통·물류체계 선진화 방안 2009.09.16-2010.03.13 우병준

    54 용역 농축수산물 브랜드 육성정책 개선방안 2009.09.29-2009.12.15 최병옥

    55 용역 밭농업 소득보전 지원제도 시행방안 연구 2009.11.20-2010.08.16 박동규

    56 용역 쌀가루 수요 전망과 공장 건립 타당성 분석 2009.11.30-2010.05.31 박동규

    57 용역 FTA 대비 전라북도 농업·농촌 중장기 종합발전계획 2009.12.09-2010.09.04 김연중

    58 용역 기후변화 대응 전북의 미래농업 기술개발 전략 2009.12.29-2010.09.28 김창길

    59 용역 제주지하수가 지역경제 및 산업에 기여하는 경제적 가치 평가

    2009.12.30-2010.10.29 성명환

    60 정책(이월)

    쌀 관세화유예 협상 3년의 평가 및 관세화 대비 보완방안에 관한 연구

    2008.07.23-2009.02.22 박동규

    61 정책(이월)

    GMO 생산유통실태 파악 및 GMO표시 편익분석 연구

    2008.10.02-2009.03.31 한재환

    62 정책(이월)

    주요 밭작물 산업의 활성화 방안 연구 2008.11.05-2009.05.04 성명환

    63 정책(이월)

    GMO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전략수립을 위한 연구 2008.12.01-2009.03.31 황윤재

  • 15

    순번과제성격

    과 제 명 연구기간 책임자

    64 정책 제2세부과제: 떫은감 수출전문단지조성 및 운영 프로그램 개발 연구떫은감의 수출 상품화 및 시장개척 연구(1차년도)

    2009.03.01-2010.02.28 김경필

    65 정책 국제원자재 가격의 국내 가공식품 가격 반영 정도 분석

    2009.03.20-2009.04.19 김성훈

    66 정책 가공식품 원료 등 원산지 표시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2009.04.16-2009.08.15 최지현

    67 정책 육우산업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2009.06.12-2009.10.11 전상곤

    68 정책 품종보호제도의 10년 운영평가와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2009.06.12-2009.11.30 성명환

    69 정책 친환경농업직접지불제 개편 및 환경기준 준수조건 지원정책 도입방안 연구

    2009.06.12-2009.12.11 김창길

    70 정책 시설농자재산업의 발전방안 연구 2009.07.01-2009.11.30 권오복

  • 16

    4. 농업농촌정책연구

    < 연구사업 내역 >

    순번과제성격

    과 제 명 연구기간 책임자

    1 기본 농어촌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추진실태와 개선 방안 2009.01.01-2009.06.30 박대식

    2 기본 농업부문 지방공기업의 발전 방안 2009.01.01-2009.10.31 박석두

    3 기본 지방자치단체의 농림투융자 국고보조금 운용 효율화 방안

    2009.01.01-2009.10.31 황의식

    4 기본 경제·사회여건 변화에 따른 농지제도 개편방안 (2/2차년도)

    2009.01.01-2009.10.31 김수석

    5 기본 기초생활권 생활 서비스 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2009.01.01-2009.10.31 송미령

    6 기본 경제·생활권 광역화에 따른 농어촌경제활성화 방안(1/2차년도)

    2009.01.01-2009.10.31 이동필

    7 기본 농촌개발사업 참여 주체의 역량 강화 방안 2009.01.01-2009.10.31 김정섭

    8 기본 지역농업 주체의 확립과 육성 방안 2009.01.01-2009.10.31 박문호

    9 수시 농업협동조합 선진화 방안 연구 2009.03.02-2009.06.29 황의식

    10 수시 기초생활권 발전을 위한 지역혁신체계 구축방안 2009.03.16-2009.04.30 송미령

    11 수시 농어촌 경관관리사업의 추진 실태와 개선 방안 2009.05.11-2009.08.10 성주인

    12 수시 조건불리지역 직접지불제의 평가와 개선방향 2009.05.15-2009.08.14 김태곤

    13 수시 영세고령농의 사회안전망 개선방안 2009.06.01-2009.07.31 박대식

    14 수시 농촌학교의 활성화 실태와 시사점 2009.09.14-2009.12.31 최경환

    15 특별 농어촌 거점도시(뉴타운) 조성사업 추진방안과 과제 2009.12.01-2010.05.31 송미령

  • 17

    순번과제성격

    과 제 명 연구기간 책임자

    16 특별 농업·농촌부문 공공갈등 사례와 갈등관리방안 연구 2009.12.15-2010.06.30 김수석

    17 용역(이월)

    안동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중장기 발전계획 2008.06.17-2009.05.12 박석두

    18 용역(이월)

    순창군 서부권(복흥, 쌍치, 구림면) 장기발전 계획 2008.07.17-2009.01.16 김정섭

    19 용역(이월)

    기초생활권 유형별 계획수립 매뉴얼 개발 2008.11.14-2009.03.13 송미령

    20 용역(이월)

    간척지의 효율적인 활용방안 2008.12.26-2009.10.20 박석두

    21 용역(이월)

    증평군 농업·농촌발전 기본계획 수립 2008.12.29-2009.06.27 송미령

    22 용역 「장성 대단위 사과재배단지 조성」 사전타당성 조사 및 개발사업 기본계획 수립

    2009.02.10-2009.08.09 최경환

    23 용역 기초생활권 계획 수립관련 테마별 네트워크 포럼 컨설팅

    2009.03.10-2009.06.15 김정섭

    24 용역 조천읍 지역발전 10개년 계획 2009.03.10-2009.12.31 김태곤

    25 용역 전통주 국내외 산업현황 및 세계화 가능성 조사 2009.03.20-2009.09.30 이동필

    26 용역 농촌 및 낙후지역 개발사업의 통합적 추진모형 구축 2009.03.20-2009.11.19 김광선

    27 용역 부산광역시 농업농촌 및 식품안전 발전 종합대책 수립

    2009.03.25-2009.11.24 박문호

    28 용역 농림수산식품분야 국가재정운용계획수립 지원사업 2009.04.01-2009.09.30 이동필

    29 용역 한국경제 60년사(농업분야) 2009.04.01-2009.12.20 박석두

    30 용역 경북혁신도시 산학연 클러스터 발전방안(농생명산업 부문)

    2009.04.08-2010.02.02 박시현

    31 용역 「2009울진세계친환경농업엑스포」 평가 분석 및 사후관리 방안

    2009.06.05-2009.11.02 김정섭

  • 18

    순번과제성격

    과 제 명 연구기간 책임자

    32 용역 중부내륙중심권 정부사업 공동발굴 2009.06.25-2010.02.20 박시현

    33 용역 농어촌 경제활성화 우수사례 연구 2009.07.01-2009.10.30 성주인

    34 용역 농지보전과 농업진흥지역제도 개선방안 2009.07.17-2009.11.30 김수석

    35 용역 장수군 농가경제분석 및 농정발전방안 2009.08.12-2009.12.31 김정섭

    36 용역 강화군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 2009.09.01-2010.05.28 박문호

    37 용역 2011 금산세계인삼엑스포 기본구상 및 타당성 연구 2009.10.01-2010.01.28 최경환

    38 용역 기초생활권 유형별 발전전략과 정책과제 연구 2009.11.01-2009.12.30 송미령

    39 용역 농촌용수관리 환경변화에 따른 대응방안 2009.12.22-2010.11.30 박석두

    40 용역 초중등교과서 모니터링 및 개선 제안사업 2009.12.31-2010.06.30 최경환

    41 정책(이월)

    기초생활권 정책 방향 도출을 위한 생활환경, 고용 등 지표 조사 연구

    2008.12.25-2009.03.26 송미령

    42 정책 농협중앙회 사업구조 개선 및 일선조합 연계방안 연구

    2009.05.06-2009.12.05 황의식

    43 정책 삶의 질 향상 기본·실행계획 추진 평가 및 제2차 기본계획 수립 연구

    2009.06.01-2009.09.30 박대식

    44 정책 지역발전정책 변화에 대응한 농어촌 정책 방향설정 및 농어촌 서비스기준 도입방안 연구

    2009.06.01-2009.12.15 송미령

    45 정책 농가단위 소득안정제 실시방안 및 직불제도 개편방안 연구

    2009.06.12-2009.12.21 김태곤

  • 19

    5. 농업관측정보연구

    < 연구사업 내역 >

    순번과제성격

    과 제 명 연구기간 책임자

    1 연구관련사업

    농업전망 2010 2009.01.01-2009.12.31 김정호

    2 연구관련사업

    농업·농촌경제동향 2009.01.01-2009.12.31 김배성

    3 연구관련사업

    농업관측월보 채소 2009.01.01-2009.12.31 신용광

    4 연구관련사업

    농업관측월보 과일 2009.01.01-2009.12.31 정은미

    5 연구관련사업

    농업관측월보 과채 2009.01.01-2009.12.31 정은미

    6 연구관련사업

    농업관측월보 축산 2009.01.01-2009.12.31 허 덕

    7 연구관련사업

    농업관측월보 곡물 2009.01.01-2009.12.31 허 덕

    8 특별 중기선행관측 기본모형 개발 연구 2009.10.19-2010.01.31 한석호

    9 특별 농업농촌 2050, 비전과 과제 2009.11.04-2010.06.30 김정호

    10 용역 딸기 국산신품종 보급효과 분석(1차년도) 2009.01.01-2009.12.31 정은미

    11 용역 농축산물 선행관측 시범사업 2009.11.03-2010.01.31 김정호

  • 20

    6. 글로벌협력연구

    < 연구사업 내역 >

    순번과제성격

    과 제 명 연구기간 책임자

    1 기본(이월)

    주요국과의 농업부문 FTA 추진 현황과 전망 2008.09.01-2009.03.28 최세균

    2 기본 농업부문 FTA 이행 및 보완대책 평가 2009.01.01-2009.10.31 최세균

    3 기본 북한농업·농촌실태와 대북 농업지원 방향 연구 - 협동농장을 중심으로

    2009.01.01-2009.10.31 김영훈

    4 기본 식량안보체계 구축을 위한 해외농업개발과 자원 확보 방안(1/3차년도)

    2009.01.01-2009.10.31 허 장

    5 기본 국제 곡물시장 분석과 수입방식 개선 방안 2009.01.01-2009.10.31 이대섭

    6 수시(이월)

    국제농업협력의 추진전략 및 실천방안 2008.12.15-2009.02.28 허 장

    7 수시 농식품 분야 투자활성화 세부 실천방안 2009.01.19-2009.02.06 김용택

    8 수시 농식품 수출증대 전략 2009.03.01-2009.06.30 최세균

    9 특별 중국 동북3성 중단립종 쌀산업 구조 변화와 생산계열화 실태 조사 연구

    2009.08.01-2009.12.31 전형진

    10 연구관련사업

    KREI-북한농업동향 2009.01.01-2009.12.31 권태진

    11 연구관련사업

    중국농업동향 2009.01.01-2009.12.31 전형진

    12 용역(이월)

    캄보디아 농촌개발 정책 및 전략 수립 PMC 사업 2007.07.24-2009.07.23 김용택

    13 용역(이월)

    경상북도 해외농업개발 추진방향 연구 2008.11.28-2009.03.28 허 장

    14 용역 러시아 연해주 경남농장개발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수립

    2009.02.10-2009.07.09 김경덕

    15 용역 네팔 농촌개발 연수과정 2009.03.05-2009.03.20 허 장

  • 21

    순번과제성격

    과 제 명 연구기간 책임자

    16 용역 농식품 안전체계의 효율적 구축방안 연구 2009.05.25-2009.08.27 배종하

    17 용역 농산물 HS관세체제 개편방안에 대한 연구 2009.08.03-2009.11.15 최세균

    18 용역 아프리카 새마을운동 시범마을 사업을 위한 타당성 연구

    2009.08.13-2009.10.15 허 장

    19 용역 아프리카 농촌협동조합 역량 강화 연수 2009.08.27-2009.09.11 이대섭

    20 정책(이월)

    DDA 농업협상 시나리오별 영향분석 및 국내대책 방향 연구

    2008.06.26-2009.01.25 송주호

    21 정책(이월)

    한·중 FTA 협상대비 품목군별 대응방안 연구 2008.07.28-2009.01.20 어명근

    22 정책 임산물 FTA협상 영향 분석(메르코수르, 페루) 2009.02.01-2009.10.31 어명근

    23 정책 캄보디아 농촌마을 소액금융지원 시범사업 2009.04.15-2010.04.14 김경덕

    24 정책 남북한 농림산물 계약재배 추진방안 연구 2009.05.04-2009.11.03 권태진

    25 정책 남북농수산교류협력 증진을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에 관한 연구

    2009.05.04-2009.12.03 김영훈

    26 정책 DDA 농업협상 품목별 협상대책 연구 2009.06.18-2009.12.16 송주호

    27 정책 FTA 체결에 따른 농업분야 영향분석 및 대응방안 연구

    2009.07.16-2009.12.21 김태훈

    28 정책 2009년 국제농업협력사업 평가 2009.11.26-2010.01.08 이대섭

  • 22

    7. 산림정책연구

    < 연구사업 내역 >

    순번과제성격

    과 제 명 연구기간 책임자

    1 기본 임산물과 식품산업의 연계 강화 방안 - 단기소득 임산물 중심으로

    2009.01.01-2009.10.31 이상민

    2 용역(이월)

    순천 국제생태정원박람회 유치·개최 타당성 조사 2008.12.22-2009.02.15 석현덕

    3 용역 2009년 임업관측사업 2009.01.01-2009.12.31 장철수

    4 용역 녹색성장 국가전략 및 5개년계획 연구 2009.07.01-2009.10.31 석현덕

    5 정책 제1세부과제: FTA 체결관련 임업부문 경쟁력 강화 방안산림산업경쟁력 강화방안 연구(2차년도)

    2009.02.01-2009.12.22 장철수

    6 정책 제2세부과제: 품목별 산림산업 클러스터 육성산림산업경쟁력 강화방안 연구(2차년도)

    2009.02.01-2009.12.22 석현덕

    7 정책 제3세부과제: 떫은감 수출유망시장 발굴 및 시장개척 연구떫은감의 수출 상품화 및 시장개척 연구(1차년도)

    2009.03.01-2010.02.28 석현덕

    8 정책 2009년 주요 재정사업(목재소득) 성과평가 및 모니터링 2009.03.12-2009.11.30 석현덕

  • 23

    8. 미래정책연구

    < 연구사업 내역 >

    순번과제성격

    과 제 명 연구기간 책임자

    1 기본(이월)

    농업경쟁력 저해요인 실태 분석을 통한 농업부문 경쟁력 제고 방안 연구

    2008.09.01-2009.03.31 김병률

    2 기본 식품제조업 부분균형모형(FISMO) 개발 2009.01.01-2009.10.31 김명환

    3 수시(이월)

    경제여건변화가 농업에 미치는 영향과 과제 2008.10.29-2009.02.28 김명환

    4 연구관련사업

    KREI-KASMO 2009 운영·개발 연구 2009.01.01-2009.12.31 조영수

    5 연구관련사업

    AGLINK-COSIMO 2009 운영·개발 연구 2009.01.01-2009.12.31 조영수

    6 연구관련사업

    세계농업정보 2009.01.01-2009.12.31 이명기

    7 용역 화훼공판장 시설현대화 및 부지활용방안 연구 2009.09.25-2010.02.24 김병률

    8 정책(이월)

    새정부 신농업 비전과 전략과제 연구 2008.11.04-2009.02.02 김병률

    9 정책 농어업선진화방안 마련을 위한 세부과제 연구 2009.06.18-2009.08.18 김병률

    10 정책 농어업·농어촌 미래전략과제 정책화방안 연구 2009.07.09-2009.12.30 김병률

    11 정책 2020 농어업·농어촌 비전과 전략 연구 2009.10.12-2010.03.11 박성재

  • 24

    9. 기획조정실

    < 연구사업 내역 >

    순번과제성격

    과 제 명 연구기간 책임자

    1 연구관련사업

    동북아농정연구포럼(FANEA) 운영 사업 2009.01.01-2009.12.31 박기환

    2 연구관련사업

    동아시아 농업사 국제학술대회 운영 사업 2009.01.01-2009.12.31 박기환

    3 연구관련사업

    농업·농촌에 대한 2009년도 국민의식조사 2009.09.01-2009.12.31 김동원

  • 25

    Ⅲ. 정책지원 및 기타 활동

    1. 현 황

    구 분 건 수

    ◦ 정책지원연구

    - 정책현안 해결을 위한 작업반 참여 20

    - 정책현안 해결을 위한 자문활동 및 위원회 41

    - 현안과제에 대한 자료검토 및 작성 18

    ◦ 협 의 회 393

    ◦ 자 문 회 의 160

    ◦ 토 론 회 15

    ◦ 정책워크숍 15

    ◦ 정책연구협의회 2

    합 계 664

    2. 정책지원연구

    2-1. 정책현안 해결을 위한 작업반 참여

    1) 청와대 쇠고기 산업의 경제학 작업팀

    2) 농림수산식품부 농업선진화위원회 거버넌스 선진화분과 작업팀

    3) 농림수산식품부 딸기 생산유통구조 개선대책 및 대표조직 육성

    방안 작업팀

    4) 농림수산식품부 신성장 동력 ‘고부가 식품산업’ 민관 작업팀

    5) 농림수산식품부 농어업용 에너지 사용 합리화 작업팀

  • 26

    6) 농림수산식품부 농가단위 소득안정제 작업팀

    7) 농림수산식품부 배추 생산-유통구조 개선방안 자료

    8) 농림수산식품부 농식품 수출전략 과제 도출

    9) 농림수산식품부 토마토 품목 대표조직 설립 작업팀

    10) 농림수산식품부 농어업재해보험 통합 추진 실무반(WG)

    11) 농림수산식품부 마을경관보전계획 T/F 활동을 위한 출장

    12) 농림수산식품부 경관보전직불제 사업지구 모니터링

    13) 농림수산식품부 마을경관보전계획 매뉴얼 작업팀

    14) 녹생성장위원회 녹색성장위원회 녹색산업작업반

    15) 기획재정부 농축수산물 수급 안정 작업팀

    16) 지역균형발전위원회 ’08년 균특사업 본평가 작업반

    17) 지역균형발전위원회 국가균형발전특별사업 작업팀

    18) 농림수산식품부 경관보전직불제 하반기 모니터링 작업팀

    19) 농림수산식품부 2009년도 하계작물 경관보전직불제 모니터링 작업팀

    20) 농림수산식품부 농촌정책 비전과 패러다임 작업반

    2-2. 정책현안 해결을 위한 자문활동 및 위원회

    1)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

    2) 국가균형발전위원회 2008년 국가균형발전사업 추진실적 평가 본

    평가위원회

    3) 국무총리실 국무총리실 녹색성장 정무업무평가위원회

    4) 국토해양부 규제개혁평가단 자문위원

    5) 국토해양부 4대강 살리기 위원회

    6) 녹생성장위원회

    7) 농림수산식품부 국가식품클러스터 추진위원회

  • 27

    8) 농림수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 기술기획평가원 설립준비위원회

    9) 농림수산식품부 농어업선진화위원회

    10) 농림수산식품부 녹색식생활 지침 개발 자문위원회

    11) 농림수산식품부 농산물품질관리심의회

    12) 농림수산식품부 2009 광역클러스터사업단 선정 공개발표평가 위원회

    13) 농림수산식품부 친환경농업센터 선정위원회

    14) 농림수산식품부 자체평가위원회

    15) 농림수산식품부 규제심사위원회의 참석

    16) 농림수산식품부 대규모 농어업회사 육성 추진위원회

    17) 농림수산식품부 농어업재해대책심의위원회

    18) 농림수산식품부 농작물재해보험심의회

    19) 농림수산식품부 10년 고품질쌀 브랜드 육성사업 대상자 선정을

    위한 공개발표 평가위원회

    20) 농림수산식품부 도시민 유치 지원사업 대상지 선정 심사위원회

    21) 농림수산식품부 감귤 유통명령 심사위원회

    22) 농림수산식품부 한우산업발전연구회 운영위원회

    23) 농림수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과학기술위원회

    24) 농림수산식품부 2010년 수출선도조직 운영위원회

    25) 농림수산식품부 도시락농정포럼

    26) 농림수산식품부 농협 신경분리추진위원회

    27) 농림수산식품부 거버넌스 선진화위원회

    28) 농어업농어촌특별대책위원회 해외농수산자원협력 특별분과위원회

    29) 대통령자문위원회 지역발전위원회

    30) 대통령자문위원회 지역개발전문위원회

    31) 외교통상부 FTA민간대책위원회

    32) 미래기획위원회 한식세계화추진위원회

    33) 미래기획위원회

  • 28

    34) 산림청 2010년 수목원, 박물관, 생태숲 신규 조성사업 타당성 심

    사위원회

    35) 산림청 펠릿제조시설 사업공모심의회

    36) 산림청 산림소득공모사업평가위원회

    37) 산림청 2010 산림조합특화사업 공모 평가위원회

    38) 산림청 산림정책평가위원회

    39) 지식경제부 핵심녹색산업 선정위원회

    40) 통일부 정책자문위원회

    41) 행정안전부 시군구 자율통합지원위원회

    * 위원회 참석은 분과회의 등 세부회의가 많아 1건으로 처리

    2-3. 현안과제에 대한 자료검토 및 작성

    1) 국가인권위원회 정책자문자료 작성

    2) 기획재정부 농산물 수급안정 사업 개선방향 작성

    3) 기획재정부 재정부정책요청 자료 작성

    4) 농림수산식품부 배추 생산-유통구조 개선방안 자료 작성(배추

    가치사슬)

    5) 농림수산식품부 농업선진화위원회 경쟁력강화분과 자료 작성

    6) 농림수산식품부 정책연구과제 수행기관 선정 심의

    7) 농림수산식품부 농업선진화위원회 경쟁력강화분과회의 자료 작성

    지원

    8) 농림수산식품부 농산물 중금속 기준 설정 확대 검토

    9) 농림수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부 규제심사위원회 서면심사

    10) 농림수산식품부 자체규제심사

    11) 농림수산식품부 사료관리법 시행규칙 개정안에 대한 서면심사

  • 29

    12) 농림수산식품부 농어가 부채문제 해결을 위한 경영회생프로그램

    작성

    13) 농림수산식품부 농업금융과 정책자문자료 제공

    14) 농림수산식품부 농어업선진화위원회 상정 안건 작성

    15) 농림수산식품부 OECD 논의자료(농촌 지역사회 복지에 대한 농

    업정책의 영향)에 대한 검토

    16) 농림수산식품부 식량자급율 관련 과수자급율 검토

    17) 산림청 한-인도 CEPA 체결에 따른 주요 임산물 영향 분석

    18) 통일부 대북 인도적 지원 투명성 확보 방안 자료작성

  • 30

    건수 부서 연 구 과 제 명연구

    책임자일시 장 소

    참여자명수주 요 내 용

    원내 원외

    1 농식품강화군 농수산물 유통분야 장기발전계획 수립 연구

    국승용 1.2(금)연구동 5층

    회의실10 -

    강화군 농업 현황 및 유통회사 설립 타당성 검토

    2 관측 농업전망 2009 김정호 1. 8(수) 소회의실 3 6농업전망 2009 유관기관 홍보부스 관련 협의

    3 농식품단감 수출전문단지 조성 및 조직화를 위한 기술 지원(1/5차년도)

    김경필 1.12(월)연구동 5층

    회의실6 - 단감 수출 관련 협의

    4 농식품수출대상국별 검역 및 통관제도와 물류애로 해결을 통한 시장개척 방안(1차년도)

    이용선 1.15(목)연구동 4층

    회의실10 -

    배 수출경쟁력 증대 관련 협의(과제 구성 협의)

    5 농식품강화군 농수산물 유통분야 장기발전계획 수립 연구

    국승용 1.19(월) 강화군청 3 17 용역과제 중간보고

    6 산림순천국제생태정원박람회 유치, 개최 타당성 조사

    석현덕 1.22(목)순청시청 소회의실

    4 10순천 국제생태정원박람회 유치, 개최 타당성 조사 업무협의회

    7 농식품 평택시 슈퍼오닝유통회사 타당성 검토 국승용 1.23(금)평택시

    농업기술센터2 21 용역과제 중간보고

    8 농식품 주요 밭작물 산업의 활성화 방안 연구 성명환 1.30(금)농식품부 회의실

    5 5 중간검토회의

    9 농식품국립수의과학검역원 영남지원 시설 이전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조명기 2.3(화)연구동 4층

    회의실4 1

    위탁연구 추진 상황 및 연구 추진 상황 점검

    10 농식품쌀 관세화유예 협상 3년의 평가 및 관세화 대비 보완방안에 관한 연구

    박동규 2.5(목)농림수산식품부

    회의실4 11 쌀 관세화 토론회 내용 협의

    11 농식품과채류의 물류체계 개선 및 수출 상품화 개발(1차년도)

    전창곤 2.6(금) 김제 농산무역 1 8토마토 수출 상품화 개발 전문가 협의

    12 농식품 지역 특산물 마케팅지원(2차년도) 황윤재 2.9(월)연구동 5층

    회의실3 9

    연구 진행 상황 검토 및 운영 방향 협의

    13 농식품닭고기 수출 마케팅 전략 및 개발 기술의 적용 가능성 분석

    우병준 2.10(화) 건국대학교 3 7과제별 진행상황 및 향후 방향에 관한 논의

    3. 협의회, 자문회의 및 토론회 개최

    3-1. 협의회 개최

  • 31

    건수 부서 연 구 과 제 명연구

    책임자일시 장 소

    참여자명수주 요 내 용

    원내 원외

    14 농식품농어업 부가가치의 새로운 창출을 위한 식품산업의 중장기 발전 전략(1/5차년도)

    최지현 2.11(수) 소회의실 11 5 농어업 부가가치 전문가 협의

    15 농식품국립수의과학검역원 영남지원 시설 이전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조명기 2.11(수) 부산발전연구원 3 11 위탁연구 계약 협의

    16 산림순천국제생태정원박람회 유치, 개최 타당성 조사

    석현덕 2.11(수)순청시청 소회의실

    4 10 업무협의회

    17 농식품 평택시 슈퍼오닝유통회사 타당성 검토 국승용 2.12(목) 평택시청 2 19 용역과제 최종보고

    18 농식품GMO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전략수립을 위한 정책연구

    황윤재 2.12(목)농림수산식품부

    대회의실3 17

    연구 내용 중간점검(정책과제 중간보고)

    19 농식품GMO 생산, 유통실태 파악 및 GMO표시 편익분석 연구

    한재환 2.13(금)농림수산식품부

    대회의실11 3

    GMO표시제 확대와 관련한 업계 자문회의

    20 글로벌러시아 연해주 경남농장개발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김경덕 2.17(화)경상남도개발공사

    3 10 과제 수행방향 협의

    21 농식품 음식점 원산지 표시제도의 현황과 과제 이계임 2.17(화)식품공업협회

    회의실3 14 원산지 표시제 개선방안 논의

    22 농식품 쇠고기산업의 구조와 발전 방안 우병준 2.18(수)연구동 5층

    회의실6 - 설계세미나 자료 검토

    23 산림 품목별 산림산업 클러스터 육성 석현덕 2.18(수) 산림청 회의실 2 8 업무협의회

    24 농식품기후변화에 따른 농업부문 영향분석과 대응전략(2/2차년도)

    김창길 2.20(금)연구동 5층

    회의실8 - 설계세미나 자료 검토

    25 농식품단감 수출전문단지 조성 및 조직화를 위한 기술 지원(1/5차년도)

    김경필 2.24(화)연구동 5층

    회의실10 -

    향후 연구 수행방향 및 조사 관련 논의

    26 농식품문경시 농산물 유통체계 종합개선계획 수립

    전창곤 2.24(화) 문경시청 3 12 발주처 착수보고

    27 농식품GMO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전략수립을 위한 정책연구

    황윤재 2.26(목)연구동 4층

    회의실8 8

    GMO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전문가 의견 수집

    28농업농촌

    기초생활권 유형별 계획수립 매뉴얼 개발

    송미령 3.3(화)국가균형발전위원회 회의실

    1 143개 유형 사례지역 대상 매뉴얼 초안 설명

  • 32

    건수 부서 연 구 과 제 명연구

    책임자일시 장 소

    참여자명수주 요 내 용

    원내 원외

    29 농식품기후변화에 따른 농업부문 영향분석과 대응전략(2/2차년도)

    김창길 3.4(수)농림수산식품부

    6층 회의실4 11

    기후변화 대책관련 농식품부 정책협의

    30 농식품과채류의 물류체계 개선 및 수출 상품화 개발(1차년도)

    조명기 3.5(목)부안 아그리아

    토마토2 11

    토마토 수출상품 생산자 조사를 위한 전문가 간담회

    31농업농촌

    기초생활권 유형별 계획수립 매뉴얼 개발

    송미령 3.5(목)연구동 3층

    회의실12 3

    기초생활권 계획 수립 매뉴얼 초안 상호 검토 및 논의

    32농업농촌

    기초생활권 유형별 계획수립 매뉴얼 개발

    송미령 3.6(금)연천군청 회의실

    3 11사례지역 핵심 현안 및 개발 방향 논의

    33 글로벌러시아 연해주 경남농장개발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김경덕 3.6(금)연구동 3층

    회의실5 1

    연해주 현지 해외농업개발 관련 상황 및 의견 청취

    34 농식품식품안전기본법 시행에 따른 농식품 안전관리 체계 개편방향: 중앙 및 지방정부의 역할 정립을 중심으로

    황윤재 3.9(월) 소회의실 7 3 과제관련 업무협의

    35 농식품 농식품 R&D 전망과 정책 과제 권오복 3.9(월)농식품부

    농생명산업팀 회의실

    2 6 농자재 관련 R&D 연구 협의

    36 농식품식품전용산업단지 조성사업 타당성 조사 및 기본 구상

    최지현 3.10(화) 소회의실 3 13국가식품클러스터 조성 세부실행계획 수립

    37 농식품식품전용산업단지 조성사업 타당성 조사 및 기본 구상

    최지현 3.13(금) 익산시청 3 9 식품전용 산업단지 중간보고회

    38농업농촌

    경제·생활권광역화에 따른 농어촌경제 활성화방안

    이동필 3.13(금)연구동 3층

    회의실8 3

    협동연구의 내용 및 범위, 방법에 관한 협의

    39 농식품국립수의과학검역원 영남지원 시설 이전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조명기 3.16(월)연구동 4층

    회의실5 3

    영남지원 이전사업 건축기본계획 협의

    40 글로벌러시아 연해주 경남농장개발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김경덕 3.16(월)연구동 3층

    회의실9 1

    러시아 연해주 농업·농촌 전문가 업무협의회

    41 농식품기후변화에 따른 농업부문 영향분석과 대응전략(2/2차년도)

    김창길 3.18(수)연구동 4층

    회의실10 -

    기본과제 보완세미나 연구진 원내 협의

    42 농식품농어업 부가가치의 새로운 창출을 위한 식품산업의 중장기 발전 전략(1/5차년도)

    최지현 3.18(수) 중회의실 7 2연구원 TF 팀원들의 농림수산식품부의 수출정책 전략 및 방향 공유, 향후 TF 활동방향 정립

    43 농식품신선편이농산물 시장의 실태와 활성화 방안

    이용선 3.18(수) 한국식품연구원 3 3 연구 추진계획 협의

  • 33

    건수 부서 연 구 과 제 명연구

    책임자일시 장 소

    참여자명수주 요 내 용

    원내 원외

    44 농식품국립수의과학검역원 영남지원 시설 이전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조명기 3.18(수)국립수의과학검역원 인천지원

    2층 회의실4 9

    국립수의과학검역원 인천지원 업무협의

    45 농식품농어업 부가가치의 새로운 창출을 위한 식품산업의 중장기 발전 전략(1/5차년도)

    최지현 3.19(목) 중회의실 24 62010년도 과제발굴을 위한 전문가 간담회(1차)

    46 글로벌임산물 FTA 협상 영향 분석; 메르코수르, 페루

    어명근 3.19(목) 연구동 205호 4 0 현지 조사 협의

    47 농식품시설원예산업의 재도약 방안 - 생산, 수출부문 중심 -

    박현태 3.20(금) 중회의실 17 62010년도 과제발굴을 위한 전문가 간담회(2차)

    48 농식품(제2세부과제) 주요국의 유기농업 경영성과 분석 - 유기농업 실천농가 경영 및 유통체계 개선방안 연구

    전상곤 3.23(월)연구동 4층

    회의실8 - 과제 관련 연구진 원내 협의

    49농업농촌

    기초생활권 계획 수립 관련 테마별 네트워크 포럼 컨설팅

    김정섭 3.23(월)연구동 3층

    회의실3 4 전문가 초청 연구 협의

    50농업농촌

    안동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중장기 발전계획

    박석두 3.25(수)안동시청 회의실

    2 11 최종보고 관련 업무 협의

    51 농식품GMO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전략수립을 위한 정책연구

    황윤재 3.26(목)농식품부

    영상회의실3 8 연구 내용 최종 점검

    52농업농촌

    기초생활권 생활 서비스 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송미령 3.26(목)과천 그레이스

    호텔3 24

    부문별 서비스 기준 항목 논의 및 지역실태조사 초안 검토

    53 산림임산물과 식품산업의 연계 강화방안 - 단기임산물 중심으로

    이상민 3.26(목) 중회의실 6 42010년도 과제발굴을 위한 전문가 간담회

    54농업농촌

    농업협동조합 선진화 방안 연구 황의식 3.27(금)서울 팔레스

    호텔7 12 농협 신경분리 방안 검토

    55농업농촌

    경제·사회여건 변화에 따른 농지제도 개편방안(2/2차년도)

    김수석 3.27(금) 대회의실 27 62010년도 과제발굴을 위한 전문가 간담회

    56 산림 품목별 산림산업 클러스터 육성 석현덕 3.30(월) 산림청 회의실 3 22 연구협의 및 도별 간담회 개최

    57농업농촌

    기초생활권 계획 수립 관련 테마별 네트워크 포럼 컨설팅

    김정섭 4.2(목)균형위

    대회의실3 22

    과제 추진 경과 및 향후 연구 방향 논의

    58 농식품닭고기 수출 마케팅 전략 및 개발 기술의 적용 가능성 분석

    우병준 4.2(목)연구동 4층

    회의실6 4

    닭고기 수출시장 소비자 조사관련 업무협의

    59 농식품국제원자재 가격의 국내 가공식품 가격 반영 정도 분석

    김성훈 4.2(목) 식품공업협회 3 17업체 원가 조사를 위한 업체 의견 청취

  • 34

    건수 부서 연 구 과 제 명연구

    책임자일시 장 소

    참여자명수주 요 내 용

    원내 원외

    60 농식품 쌀 관세화 전환과 쌀 직불제 개편 방안 박동규 4.3(금)농림수산식품부 식량정책단장실

    1 9쌀 관세화 논의 방향, 기타 양정 현안 논의

    61 농식품문경시 농산물 유통체계 종합개선계획 수립

    전창곤 4.3(금)문경시청 회의실

    2 10 과제 관련 현지 업무 협의

    62 농식품국립수의과학검역원 영남지원 시설 이전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조명기 4.3(금)천사동주민센터 2층 대회의실

    4 15수과원 영남지원 이전 예정지 타당성 검토

    63 농식품GMO 생산, 유통실태 파악 및 GMO표시 편익분석 연구

    한재환 4.3(금) 농식품부 2 3 최종보고를 위한 연구결과 검토

    64 글로벌 KREI 북한농업동향 권태진 4.6(월) 소회의실 13 0KREI 북한농업동향의 발간 방향 및 북한농업정보 홈페이지 활성화 방안

    65 농식품

    (제3세부과제) 광역친환경농업단지 유기농클러스터의 경영실태 분석 - 유기농업 실천농가 경영 및 유통체계 개선방안 연구

    정학균 4.6(월)연구동 4층

    회의실6 - 과제 관련 원내 연구진 협의

    66 농식품강화군 농수산물 유통분야 장기발전계획 수립 연구

    국승용 4.7(화) 강화군청 3 17 용역과제 발주처 최종보고

    67 농식품농어업 부가가치의 새로운 창출을 위한 식품산업의 중장기 발전 전략(1/5차년도)

    최지현 4.7(화) 중회의실 11 1산업연관분석의 식품산업부문 활용 방안 논의

    68농업농촌

    간척지의 효율적인 활용 방안 연구 박석두 4.7(화)연구동 3층

    회의실9 3

    위탁 연구기관의 연구계획 발표 및 업무 협의

    69 농식품강화군 농수산물 유통분야 장기발전계획 수립 연구

    국승용 4.8(수) 강화군의회 3 15 용역과제 발주처 최종보고

    70 농식품백합해외시장의 동향과 수출확대 전략(1/3차년도)

    권오복 4.9(목)태안군

    농업기술센터3 7

    태안 수출백합 생산 및 수출현황 파악

    71 농식품 양주시 농업·농촌 발전전략 및 방안 김연중 4.9(목)양주시

    기술센터2 5 과제관련 현지 업무협의

    72 농식품문경시 농산물 유통체계 종합개선계획 수립

    전창곤 4.9(목)문경시청 2층

    소회의실2 11

    문경시 유통시설 현황파악을 위한 업무협의

    73 농식품국제원자재 가격의 국내 가공식품 가격 반영 정도 분석

    김성훈 4.9(목)식품공업협회

    회의실4 31 자료 수집을 위한 업체 간담회

  • 35

    건수 부서 연 구 과 제 명연구

    책임자일시 장 소

    참여자명수주 요 내 용

    원내 원외

    74농업농촌

    증평군 농업·농촌 기본계획 송미령 4.9(목) 증평읍사무소 4 65증평읍 마을 개발 수요 조사 및 의견 수렴

    75 농식품농어업 부가가치의 새로운 창출을 위한 식품산업의 중장기 발전 전략(1/5차년도)

    최지현 4.10(금) 중회의실 3 17 식품산업 및 안전성 관련 논의

    76 농식품시설원예산업의 재도약 방안 - 생산, 수출부문 중심 -

    박현태 4.10(금)연구동 4층

    회의실10 -

    연구 진행 상황 점검 및 향후 계획 논의

    77 농식품식품전용산업단지 조성사업 타당성 조사 및 기본구상

    최지현 4.13(월) 익산시청 3 17 과제 관련 발주처 최종보고

    78농업농촌

    농어촌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추진실태와 개선방안

    박대식 4.14(화)청양군

    장기요양보험운영센터

    3 12청양군 노인장기요양시설장 및 요양보호사 간담회

    79 농식품세계 김치연구소 설립 마스터플랜 수립계획

    최지현 4.15(수)농수산물유통공

    사5 15 과제 관련 발주처 착수보고

    80 글로벌러시아 연해주 경남농장개발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김경덕 4.16(목) 경남개발공사 1 9러시아 연해주 현지 조사결과 및 중간보고 관련 협의

    81 농식품농어업 부가가치의 새로운 창출을 위한 식품산업의 중장기 발전 전략(1/5차년도)

    최지현 4.16(목)연구동 4층

    회의실6 -

    식품산업 및 통계 분석 관련 연구진 회의

    82 농식품 쇠고기산업의 구조와 발전 방안 우병준 4.16(목) 중회의실 15 -시장구조분석 방법론(산업조직론) 관련 업무협의

    83 농식품단감 수출전문단지 조성 및 조직화를 위한 기술 지원(1/5차년도)

    김경필 4.17(금)농림기술관리센

    터2 18 업무협의회 개최

    84 농식품(제1세부과제) 유기농업 실천농가의 경영실태 분석 - 유기농업 실천농가 경영 및 유통체계 개선방안 연구

    김창길 4.17(금)연구동 4층

    회의실10 - 과제 관련 원내 연구진 협의

    85 글로벌국제 곡물시장 분석과 수입방식 개선 방안

    이대섭 4.20(월) 사료협회 3 10사료곡물 수입실태 및 국물 메이져 수출량 파악

    86 농식품

    (제3세부과제) 광역친환경농업단지 유기농클러스터의 경영실태 분석 - 유기농업 실천농가 경영 및 유통체계 개선방안 연구

    정학균 4.20(월)연구동 4층

    회의실5 - 과제 관련 원내 연구진 협의

    87 농식품단감 수출전문단지 조성 및 조직화를 위한 기술 지원(1/5차년도)

    김경필 4.21(화)연구동 5층

    회의실7 1 단감 수출업체 조사 관련 논의

  • 36

    건수 부서 연 구 과 제 명연구

    책임자일시 장 소

    참여자명수주 요 내 용

    원내 원외

    88농업농촌

    조천읍 지역발전 10개년 계획 김태곤 4.21(화) 조천읍사무소 3 18 조천읍 지역발전추진협의회 간담회

    89농업농촌

    경제·사회여건 변화에 따른 농지제도 개편방안(2/2차년도)

    김수석 4.21(화)연구동 3층

    회의실6 2 농지제도 개편방향 연구 협의

    90 미래 AGLINK-COSIMO 2009 운영·개발 연구 조영수 4.21(화) 중회의실 15 - 사업설명회

    91 농식품 쌀 관세화 전환과 쌀 직불제 개편 방안 박동규 4.24(금)농림수산식품부 식량정책단장실

    1 8 쌀 관세화 관련 업무협의

    92 농식품단감 수출전문단지 조성 및 조직화를 위한 기술 지원(1/5차년도)

    김경필 4.24(금) 단감연구소 2 10 수출단지 현황 및 개선방안 논의

    93농업농촌

    지역농업 주체의 확립과 육성 방안 박문호 4.24(금) 부산 강서구청 7 15 연구 추진 관련 업무 협의

    94농업농촌

    농어촌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추진실태와 개선방안

    박대식 4.28(화)경기도 양주시 보험공단 지사

    2 12경기도 양주시 노인장기요양시설장 및 요양보호사 간담회

    95 농식품기후변화에 따른 농업부문 영향분석과 대응전략(2/2차년도)

    김창길 4.28(화)연구동 4층

    회의실10 - 과제 관련 원내 연구진 협의

    96 농식품백합해외시장의 동향과 수출확대 전략(1/3차년도)

    권오복 4.29(수)대명비엔에프(주) 회의실

    2 3제주도 백합수출의 동향 및 애로점 파악

    97 농식품시설원예산업의 재도약 방안 - 생산, 수출부문 중심 -

    박현태 4.29(수)연구동 4층

    회의실10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자료 및 농가설문조사표 검토

    98농업농촌

    경제·생활권 광역화에 따른 농어촌경제 활성화 방안

    이동필 4.29(수)연구동 3층

    회의실10 4

    연구진행 및 방향에 관현 협동연구진과의 협의

    99 관측 농업관측연구 김정호 4. 29(수)본관 4층 회의실

    3 3소비관측사업에 대한 소비단체 의견수렴을 위한 협의

    100 글로벌캄보디아 농촌개발 정책 및 전략 수립 PMC 사업

    김용택 4.29(수) 중회의실 9 4 연구진 협의 및 중간보고

    101 산림임산물과 식품산업의 연계 강화방안 - 단기임산물 중심으로

    이상민 4.30(목) 산림청 회의실 7 14 임업분야 통상 정책워크숍 개최

    102 농식품 주요 밭작물 산업의 활성화 방안 연구 성명환 5.4(월) 농림수산식품부 1 5 과제 관련 발주처 최종보고

    103농업농촌

    전통주 국내외 산업현황 및 세계화 가능성 조사

    이동필 5.6(수)농림수산식품부 식품산업진흥팀

    회의실3 9

    연구 내용과 진행 방향 논의 및 선행연구 검토

  • 37

    건수 부서 연 구 과 제 명연구

    책임자일시 장 소

    참여자명수주 요 내 용

    원내 원외

    104농업농촌

    경북혁신도시 산·학·연 클러스터 발전방안

    박시현 5.6(수)국립식물검역원

    회의실4 10

    연구방향에 대한 공유와 이전 공공기관의 기능, 네트워크 실태, 향후 계획에 대한 청취 및 토론

    105농업농촌

    농어촌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추진실태와 개선방안

    박대식 5.6(수)고령군(고령노인복지센터)

    2 7경북 고령군 노인장기요양시설장 및 요양보호사 간담회

    106 농식품농어업 부가가치의 새로운 창출을 위한 식품산업의 중장기 발전 전략(1/5차년도)

    최지현 5.6(수)연구동 5층

    회의실17 - 식품산업 원자료 활용 방안 모색

    107 농식품국립수의과학검역원 영남지원 시설 이전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조명기 5.8(금)부산시청

    수산진흥과1 9 과제 관련 현지 업무 협의

    108 농식품신선편이농산물 시장의 실태와 활성화 방안

    이용선 5.11(월)연구동 4층

    회의실4 2

    신선편이농산물 취급 업체의 동향 및 현황 관련 조사

    109 농식품농어업 부가가치의 새로운 창출을 위한 식품산업의 중장기 발전 전략(1/5차년도)

    최지현 5.11(월)연구동 5층

    회의실19 1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농업과 식품산업의 파급효과 분석

    110 농식품단감 수출전문단지 조성 및 조직화를 위한 기술 지원(1/5차년도)

    김경필 5.12(화) 농촌진흥청 2 5 단감 수출 증대 방안 협의

    111농업농촌

    조천읍 지역발전 10개년 계획 김태곤 5.12(화)조천읍 각 리사무소

    2 7 마을 특성 및 자원조사

    112 산림 품목별 산림산업 클러스터 육성 석현덕 5.13(수)여주임산물유통

    센터회의실3 8

    산림산업 클러스터 전문가 간담회 개최

    113 농식품기후변화에 따른 농업부문 영향분석과 대응전략(2/2차년도)

    김창길 5.14(목)연구동 4층

    회의실7 3 연구진 및 전문가 업무 협의

    114 농식품 쇠고기산업의 구조와 발전 방안 우병준 5.18(월)연구동 4층

    회의실6 - 기본과제 관련 중간보고 내용 협의

    115농업농촌

    경북혁신도시 산·학·연 클러스터 발전방안

    박시현 5.19(화)경북혁신도시

    사업단 회의실(김천)

    3 10농업지원 공공기관 이전에 따른 경북도 및 김천 관련 기능 파악

    116농업농촌

    농림수산식품분야 국가재정운용계획수립 지원사업

    이동필 5.19(화)과청청사 기재부

    6 11보조사업 및 복지 전달체계 효율화, 식품산업 육성 방안 모색

    117 농식품 쌀 관세화 전환과 쌀 직불제 개편 방안 박동규 5.20(수) 농림수산식품부 1 8관세산정 방안 및 지역토론회 추진 계획 협의

    118 농식품식품안전기본법 시행에 따른 농식품 안전관리 체계 개편방향: 중앙 및 지방정부의 역할 정립을 중심으로

    황윤재 5.20(수)연구동 4층

    회의실4 6

    식품안전관리 제도에 대한 전문가 의견 수렴

  • 38

    건수 부서 연 구 과 제 명연구

    책임자일시 장 소

    참여자명수주 요 내 용

    원내 원외

    119 농식품시설원예산업의 재도약 방안 - 생산, 수출부문 중심 -

    박현태 5.21(목) 4층 회의실 7 - 중간보고준비 관련 연구내용 검토

    120 농식품기후변화에 따른 농업부문 영향분석과 대응전략(2/2차년도)

    김창길 5.21(목)본관 2층 소회의실

    12 3기후변화대응포럼 전문가 초청 세미나

    121 농식품국립수의과학검역원 영남지원 시설 이전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조명기 5.21(목)연구동 4층

    회의실5 2 과제 관련 중간보고회 자료 검토

    122 농식품신선편이농산물 시장의 실태와 활성화 방안

    이용선 5.21(목)연구동 5층

    회의실7 3

    신선편이 농산물 관련 업체의 현황 파악 및 의견 교환

    123 글로벌식량안보체계 구축을 위한 해외농업개발과 자원확보 방안(1/3차년도)

    허 장 5.21(목) 농림수산식품부 5 192009년 국제협력사업 평가 및 2010년 사업 관리 관련 업무협의

    124농업농촌

    부산광역시 농업농촌 및 식품안전 발전 종합대책 수립

    박문호 5.21(목)부산광역시소회의실

    1 20 연구 진행 사항 검토

    125 관측 농업관측연구 김정호 5.21(목)본관 4층 회의실

    5 3 표본농가 재설계 착수 업무 협의

    126 농식품 쌀 관세화 전환과 쌀 직불제 개편 방안 박동규 5.22(금) 농림수산식품부 1 7쌀 관세 계산을 위한 자료 수집 및 방식 검토 회의

    127 농식품 쇠고기산업의 구조와 발전 방안 우병준 5.25(월)중회의실 및 4층 회의실

    12 1 중간보고 결과 업무 협의

    128 농식품농업분야 배출권거래제와 CDM사업의 적용방안 연구

    김창길 5.25(월)연구동 4층

    회의실7 3 과제 관련 원내 연구진 협의

    129 농식품국립수의과학검역원 영남지원 시설 이전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조명기 5.26(화) 대회의실 4 12 중간결과 검토 회의

    130 미래 식품제조업 부분균형모형(FISMO) 개발 김명환 5.26(화)한국식품공업협회 회의실

    5 8식품업계 현안 및 관심 사항 모형 반영

    131 농식품 양주시 농업·농촌 발전전략 및 방안 김연중 5.27(수)양주시

    농업기술센터2 15 지역지도자와 주민설명회 개최

    132 농식품 쌀 관세화 전환과 쌀 직불제 개편 방안 박동규 5.27(수)한국쌀가공식품협회 회의실

    1 6쌀 수입 업체별 수입량, 용도 등 논의 및 자료수집

    133 농식품한.뉴질랜드 FTA 체결이 사슴 산업에 미치는 파급 영향 분석

    우병준 5.27(수) 양록협회 2 6 사슴산업 과제 발주처 최종보고

  • 39

    건수 부서 연 구 과 제 명연구

    책임자일시 장 소

    참여자명수주 요 내 용

    원내 원외

    134 글로벌러시아 연해주 경남농장개발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김경덕 5.29(금)연구동 3층

    회의실13 3

    러시아 농장개발에 영향을 주는 경제·사회적 요인 및 대러시아 농업투자 방안 도출

    135 농식품한.뉴질랜드 FTA 체결이 사슴 산업에 미치는 파급 영향 분석

    우병준 5.29(금)평택시, 진천군 양록협회지회

    2 9 녹용산물 현지 업무협의

    136 농식품세계 김치연구소 설립 마스터플랜 수립계획

    최지현 5.29(금)농림수산식품부 4층 영상회의실

    3 17세계 김치연구소 설립 마스터플랜 수립 연구 발주처 중간보고

    137농업농촌

    간척지의 효율적인 활용방안 연구 박석두 6.2(화)농식품부 회의실

    4 6 중간보고 관련 논의

    138농업농촌

    장성 대단위 사과재배단지 조성 사전 타당성조사 및 개발사업 기본계획 수립

    최경환 6.2(화)전남대

    농업생명과학대학4 14

    사과재배단지 조성 관련 전문가 자문 및 토론

    139 글로벌임산물 FTA 협상 영향 분석; 메르코수르, 페루

    어명근 6.4(목) 연구동 205호 4 0 중간보고 자료 준비

    140농업농촌

    간척지의 효율적인 활용방안 연구 박석두 6.5(금)연구동 3층

    회의실4 2 연구 진행 검토

    141 농식품단감 수출전문단지 조성 및 조직화를 위한 기술 지원(1/5차년도)

    김경필 6.5(금) 농촌진흥청 2 7 수출단감 생산 및 유통 개선 방안

    142 농식품문경시 농산물 유통체계 종합개선계획 수립

    전창곤 6.5(금)문경시청 2층

    회의실3 17

    문경시 농산물 유통체계 종합개선 계획 수립 연구 발주처 중간보고

    143 농식품시설원예산업의 재도약 방안 - 생산, 수출부문 중심 -

    박현태 6.8(월)연구동 4층

    회의실10 - 농가 및 전문가 조사표 최종 검토

    144 농식품 지역 특산물 마케팅지원(2차년도) 황윤재 6.8(월)서울대학교

    호암교수회관1 16

    주관기관 및 참여기관의 사업 실정 발표 및 협의

    145농업농촌

    경제·생활권 광역화에 따른 농어촌경제 활성화방안

    이동필 6.9(화)연구동 3층

    회의실4 3

    유형화와 사레조사에 대한 협동연구진과의 협의

    146 농식품 양주시 농업·농촌 발전전략 및 방안 김연중 6.9(화)양주시

    농업기술센터3 27

    양주시 농촌관광/체험 관계자들과 농업농촌 발전방안 논의 및 설문조사 의뢰

    147 농식품(제1세부과제) 유기농업 실천농가의 경영실태 분석 - 유기농업 실천농가 경영 및 유통체계 개선방안 연구

    김창길 6.9(화)연구동 4층

    회의실8 -

    농진청 분기별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