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10. 3. (금) no. 365 · 2013. 10. 3. (금) no. 365 공지사항 [무역관 소식] 한국...

26
2013. 10. 3. (금) No. 365 공지사항 [무역관 소식] 한국 유망 프랜차이즈 기업 비즈니스 상담회 초청 [무역관 소식] 2013 베트남 투자진출한국기업 사회책임경영(CSR)시상 안내 [무역관 소식] 한베 청년인력 채용박람회 참가기업 모집 베트남 경제동향 o 국영기업 부채 급증으로 공공부문의 부채가 한계점에 달함 투자관련 주요이슈 o 거시경제 안정으로 외국인투자 증가 o 올해 과학기술 분야로 외국인직접투자액 증가 한국투자기업 관련 주요이슈 o C&N VINA, 중부 지방에 산업단지 조성 등 투자 확대 o 롯데마트, 두 개 쇼핑센터 추가 개설로 총 6개 판매점 보유 예정 금주의 FOCUS 무역구제에 눈 뜨는 베트남, 외국 투자기업이 활용의 주축- 호치민 무역관 최 혜정 전문가 칼럼 미납 자본금 상당액의 대출금 이자에 대한 손금 불산입 - Ed & Brown 함호근 회계사 주요경제지표 기타 안내 ◇ 해외진출기업의 현지 아동 인권 보호 안내 등 협조 요청 (한국 산업통상자원부) * 베트남 투자뉴스는 하노이/호치민 무역관 공동으로 작성되었습니다.

Upload: others

Post on 20-Jul-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2013. 10. 3. (금) No. 365 · 2013. 10. 3. (금) No. 365 공지사항 [무역관 소식] 한국 유망 프랜차이즈 기업 비즈니스 상담회 초청 [무역관 소식] 2013

2013. 10. 3. (금) No. 365

공지사항

◇ [무역관 소식] 한국 유망 프랜차이즈 기업 비즈니스 상담회 초청

◇ [무역관 소식] 2013 베트남 투자진출한국기업 사회책임경영(CSR)시상 안내

◇ [무역관 소식] 한․베 청년인력 채용박람회 참가기업 모집

베트남 경제동향

o 국영기업 부채 급증으로 공공부문의 부채가 한계점에 달함

투자관련 주요이슈

o 거시경제 안정으로 외국인투자 증가

o 올해 과학기술 분야로 외국인직접투자액 증가

한국투자기업 관련 주요이슈

o C&N VINA, 중부 지방에 산업단지 조성 등 투자 확대

o 롯데마트, 두 개 쇼핑센터 추가 개설로 총 6개 판매점 보유 예정

금주의 FOCUS

◇ 무역구제에 눈 뜨는 베트남, 외국 투자기업이 활용의 주축- 호치민 무역관 최 혜정

전문가 칼럼

◇ 미납 자본금 상당액의 대출금 이자에 대한 손금 불산입 - Ed & Brown 함호근 회계사

주요경제지표

기타 안내

◇ 해외진출기업의 현지 아동 인권 보호 안내 등 협조 요청 (한국 산업통상자원부)

* 베트남 투자뉴스는 하노이/호치민 무역관 공동으로 작성되었습니다.

Page 2: 2013. 10. 3. (금) No. 365 · 2013. 10. 3. (금) No. 365 공지사항 [무역관 소식] 한국 유망 프랜차이즈 기업 비즈니스 상담회 초청 [무역관 소식] 2013

2013. 10. 3. (금) No. 365

공지사항

한국 유망 프랜차이즈 기업 비즈니스 상담회 초청- 춘천닭갈비 등 국내 유명 브랜드 초청, 새로운 창업기회 마련 -

KOTRA는 오는 10.10(목) 유망 국내 프랜차이즈 아이템을 소개하는 행사를 개최합니다. 동

행사에는 점포수 100개 이상의 유망 한국 프랜차이즈 업체의 임원진이 참가하여 베트남 시

장에 공동으로 진출할 한인 파트너(가맹주, 가맹점 희망기업)와 비즈니스 미팅을 실시할 예

정입니다. 국산 유명 브랜드를 활용한 창업과 점포 오픈에 관심 있으신 한국 교민 여러분의

많은 참가신청을 부탁드립니다.

= 안 내 =

1. 행사 개요

◦ 일시: 2013.10.10(목요일), 08:30~18:00

◦ 장소: 베트남 사이공 뉴월드호텔 (www.saigon.newworldhotels.com, TEL:08-3822-8888)

◦ 행사내용

08:30~13:00 한국기업의 브랜드 소개 및 프랜차이즈 사업계획 발표(IR)

14:00~18:00 개별 비즈니스 미팅

2. 참가 예정기업

유망분야 세부 내용(국내 가맹점 수)

커피, 음료, 스무디▪ 할리스(300이상), 커핀그룬나루(120), 사과나무(176),

비스켓글로벌(1)

한식▪ 원할머니보쌈/박가부대(340), 춘천닭갈비(48), 위두 꽁돈 삼겹살

(13), 소공동 순두부(60), 만나닭강정(40), 금계찜닭(46)

스킨케어 ▪ 뷰피플(137), 아마로스(7) (뷰티, 스킨케어, 스파 등 미용관리샵)

3. 희망 사업파트너

◦ 마스터 프랜차이저, 공동 투자, 기술 제휴 등 ◦ 가맹점 가입

◦ 기타 한식당, 스킨케어샵, 커피전문점 오픈에 관심있는 분은 누구나

4. 참가업체 모집

◦ 모집기간 : 2013. 9.23(월) ~ 10.3(목) / 오후 비즈니스 미팅 필수 참가

◦ 참가비 : 무료

◦ 참고 : 선착순 20개사 마감하며, 미팅 여부는 국내 참가사의 1차 선별 후, 주선 여부

결정됨

5. 신청방법 : 하기 연락처로 문의, 신청서 작성 후 회신

◦ 문의처 : KOTRA 호치민 무역관, 이철호 인턴

- 전화 : 08-3822-3944(내선 149) / 이메일([email protected])

Page 3: 2013. 10. 3. (금) No. 365 · 2013. 10. 3. (금) No. 365 공지사항 [무역관 소식] 한국 유망 프랜차이즈 기업 비즈니스 상담회 초청 [무역관 소식] 2013

2013. 10. 3. (금) No. 365

공지사항

2013 베트남 투자진출한국기업 사회책임경영(CSR)시상 안내

KOTRA는 2011, 2012년에 이어 올해 제 3회 한국-베트남 사회책임경영 시상식을 준비

중에 있습니다. CSR 우수기업을 선정하여 아래와 같이 포상코자 하오니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

□ 2013년 포상개요

ㅇ 주최/주관 : 산업통상자원부, 베트남 기획투자부 / KOTRA

ㅇ 시 상 식 : 2013.12. 4 / 베트남 호치민 뉴월드 사이공 호텔

ㅇ 포상훈격 : (한국) 산업통상자원부장관, KOTRA사장, 주베트남한국대사, (베트남) 기획투자부장관

ㅇ 포상내역 : 훈격별로 대기업, 중소기업 총 6점 수여

ㅇ 신청대상

- 베트남 투자진출기업으로 베트남 사업기간이 1년 이상의 기업

- 정부포상규정의 자격요건에 결격사유가 없는 자

※ 참가제한

- 2011, 2012년도 CSR 대상 수상기업

- 최근 2년간 산업통상자원부 (또는 지식경제부) 장관 표창 수상 기업(개인) 제외

- 각종 부조리, 도덕성 결여 등 사회적 지탄을 받거나 물의를 일으키는 등 CSR 시상에 합당치

않다고 판단되는 기업 및 단체에 속한 자

- 기타 상훈법령(정부포상업무지침 포함)에 의거 결격사유에 해당되는 자

* 시상 이후 위 사항이 밝혀지는 경우 시상을 회수함

□ 신청접수기간 : 2013.9.19 ~ 10.4

※ 서류심사 및 공적심사 : 10.7 ~ 11.1

□ 수상기업 지원 : 베트남 유력 매체에 수상 기업 홍보 등

□ 제출서류 및 문의처

ㅇ 제출서류 (하기 링크에서 다운 요망)

- 포상 응모신청서 : (한글) http://infomailer.kotra.or.kr/20130924/CSR_Application.hwp

(Word) http://infomailer.kotra.or.kr/20130924/CSR_Application.docx

(PDF) http://infomailer.kotra.or.kr/20130924/CSR_Application.pdf

- 사회책임경영(CSR) 심사 설문서 : (한글) http://infomailer.kotra.or.kr/20130924/CSR_Survey.hwp

(Word) http://infomailer.kotra.or.kr/20130924/CSR_Survery.docx

(PDF) http://infomailer.kotra.or.kr/20130924/CSR_Survey.pdf

=> 파일이 다운되지 않을 경우 주소를 복사하여 웹사이트 주소란에 입력 후 엔터

ㅇ 접수 및 문의처 (KOTRA)

- 본 사 : 디자인브랜드팀 송지영 과장 ([email protected], +82-2-3460-7272)

- 하노이무역관 : 김종현 차장 ([email protected], +84-4-3946-0511)

- 호치민무역관 : 박형돈 과장 ([email protected], +84-8-3822-3944)

Page 4: 2013. 10. 3. (금) No. 365 · 2013. 10. 3. (금) No. 365 공지사항 [무역관 소식] 한국 유망 프랜차이즈 기업 비즈니스 상담회 초청 [무역관 소식] 2013

2013. 10. 3. (금) No. 365

공지사항

한․베 청년인력 채용박람회 참가기업 모집

KOTRA 호치민무역관은 KOCHAM 과 공동으로 베트남 진출 한국기업의 우수 인

력 (한국인, 베트남인) 구인난 해소를 위하여 「한․베 청년인력 채용박람회」를 12

월 중에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우리 기업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랍니다.

- 아 래 -

1. 행사개요

□ 일 시 : 2013.12. 4.(수), 10:00~18:00

□ 장 소 : 호치민 뉴월드 사이공 호텔 1층 볼룸

□ 주 최 : KOTRA, KOCHAM

□ 참가인력

ㅇ 베트남인 : 인문사회대, 백과대학, 락홍대, 외국어정보대, 홍방대 등

유명대학교 3,4학년 학생 및 졸업자

ㅇ 한 국 인 : 한국외대, 부산외대, 영산대, 청운대 학생 중 현재 베트남 유학생

□ 참가기업 : 베트남 투자진출 한국기업 OO개사

2. 참가 희망기업 신청안내

(1) 주요기업 채용설명회 발표 신청

ㅇ 발표기업 수 : 총 5개사 내외로 선정 (다수 기업 신청시 채용규모 고려하여 선정)

ㅇ 발표내용 : 회사인재상, 복리후생, 채용규모 및 조건 등

ㅇ 발표시간 : 기업당 6분

(2) 현장면접 채용상담회 참가 신청

ㅇ 참가기업 혜택 : 참가기업별 상담테이블 제공

- 참가기업은 행사당일 인터뷰 담당자(2명이상) 및 회사 소개자료만 준비

(3) 화상면접 채용상담회 참가 희망기업

ㅇ 현장면접 채용상담회 참가기업도 참여 가능

ㅇ 진행방식 : 행사장 내에 화상면접실 마련, 시간대별로 참가기업 배정

- 사전에 KOTRA에서 한국 유학중인 베트남인 학생 리스트 제공

Page 5: 2013. 10. 3. (금) No. 365 · 2013. 10. 3. (금) No. 365 공지사항 [무역관 소식] 한국 유망 프랜차이즈 기업 비즈니스 상담회 초청 [무역관 소식] 2013

2013. 10. 3. (금) No. 365

3. 연락처

ㅇ KOTRA 호치민무역관 : +84-8-3822-3944

(1) 신청서 회신 : [email protected] (서수민 대리)

(2) 사업문의처

- 박형돈 과장 : [email protected] 090-252-7774

- 최혜정 과장 : [email protected], 090-966-0764

- 노동욱 대리 : [email protected] 090-898-7335

4. 신청양식 ( 2013. 10.18 신청마감 )

- 아래 양식을 채워서 KOTRA호치민무역관으로 회신요망

- 회신처 : [email protected] 발송

2013 한․베 청년인력 채용박람회 참가신청서 (마감기한 : 2013. 10. 18)

신청기업

정보

기업명 담당자명 (직함)

전화번호 핸드폰 번호 E-mail

참가

프로그램

(선택)

참가신청여부

채용분야현장면접

상담회( O / X )

채용설명회 ( O / X )한국인

채용 계획 (명)

화상면접

상담( O / X )

베트남인

채용 계획 (명)

5. 기타

□ 참가비용 없음 (무료지원으로, 10. 18(금)까지 참가신청 요망)

□ 상기에서 언급한 선정기준 및 조속히 회신한 기업을 위주로 참가기업 선정

□ 선정기준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참가가 불가하며, KOTRA에서는 이에 대한

해명의무가 없음을 양해하여 주시기 바람

Page 6: 2013. 10. 3. (금) No. 365 · 2013. 10. 3. (금) No. 365 공지사항 [무역관 소식] 한국 유망 프랜차이즈 기업 비즈니스 상담회 초청 [무역관 소식] 2013

2013. 10. 3. (금) No. 365

베트남 경제동향

국영기업 부채 급증으로 공공부문의 부채가 한계점에 달함

○ 국영기업들의 큰 손실로 베트남의 공공부문 부채가 한계점에 다다르고 있음.

○ 2013년 4월 국영 주택도시재개발회사(HUD)는 재무부에 국영 Song Thao 시멘트회

사를 지원하기 위해 외국인 파트너에 5백만 불을 보조해달라고 요구함. HUD는

Song Thao의 지분 91%를 보유하고 있음.

○ 2013년 2월 재무부는 Vinashin의 6억 2300만 불 규모의 해외 부채를 보증함.

Vinashin의 4년 전의 손실인 41억 1천만 불에 비교해서 매우 미약한 규모에 불과한

액수임.

○ Vinashin과 HUD가 대표적인 예이지만, 손실를 보고 있는 다른 수백개의 국영기업들

은 부채에 허덕이고 있고 해결을 위해 정부지원을 매우 필요로 함. 하노이 국립경제

대학(NEU) 학장 Tran Tho Dat은 지난주 하노이 NEU에서 열린 2011-2015 사회경제

개발 중간점검에서 이런 문제들이 베트남의 공공부채 증가를 야기했다고 함.

○ Dat은 회사채가 공공부채에 포함되면 실질부채가 GDP의 95%나 될 것이라고 함. 이

것은 세계은행이나 IM가 규정한 안전선인 60%를 훨씬 뛰어넘는 수준임.

○ 재무부는 베트남의 공공부채가 지난 해 GDP의 55.3%에 달했다고 함. 이 수치는

2015년까지 60%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 베트남에서 공공부채는 국채, 정부보증채, 지방채를 포함함. 베트남의 정부보증채는

정부가 규정한 국영기업으로의 채권만을 포함함.

○ Dat에 의하면 만약 정부가 국영기업 부채를 갚아야 한다면 예산 전망을 급격히 변

화시킬 것이라고 함.

○ NEU 통계치에서 국영기업 부채가 2006~2010년 사이 다섯 배 증가함. 작년 말일까

지는 71억 불이었음. 그 대부분은 발전, 항공, 석유가스, 시멘트, 종이가 차지함.

Page 7: 2013. 10. 3. (금) No. 365 · 2013. 10. 3. (금) No. 365 공지사항 [무역관 소식] 한국 유망 프랜차이즈 기업 비즈니스 상담회 초청 [무역관 소식] 2013

2013. 10. 3. (금) No. 365

○ 정부는 건축기계회사, 베트남산업건설 회사, Song Da 그룹, 베트남시멘트산업 회사

의 4개 거대 국영기업이 1억 9700만 불을 변제하는 것을 돕고 있음.

○ 공공부채가 증가하고 있지만, 많은 국영기업들은 아직 외국 파트너로부터의 대출에

대해 정부의 보증을 요구하고 있음.

○ Vinacomin은 새로운 광산을 위한 자본 마련을 위해 외국계 은행을 접촉한 바 있고,

EVN, Vinachem, Vietnam Paper Corporation도 요청서를 제출한 바 있음.

○ 하노이 은행 학교 교수 Pham Thuy Giang은 “이 대출이 어떻게 쓰일지는 확실치 않

지만, 베트남의 공공부채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는 것은 분명합니다.”라고 말함.

- 출처:Vietnam Investment Review, 9월 30일 -

Page 8: 2013. 10. 3. (금) No. 365 · 2013. 10. 3. (금) No. 365 공지사항 [무역관 소식] 한국 유망 프랜차이즈 기업 비즈니스 상담회 초청 [무역관 소식] 2013

2013. 10. 3. (금) No. 365

투자관련 주요이슈

거시경제 안정으로 외국인투자 증가

○ 국가금융감독위원회에 따르면 최근 투자자들의 베트남 경제에 대한 신뢰가 더욱 강

화됨.

○ 9월 28일까지 하노이에서 열린 월간 회의의 대 정부 리포트에서 위원회는 기업가들

의 베트남 경제에 대한 신뢰를 보여주기 위해 외국인직접투자 급등을 강조함.

○ 위원회 의장 Vu Viet Ngoan은 리포트에서 외국인직접투자의 유입 급증의 이유로

물가와 환율 안정과 같은 거시경제 지표를 언급함.

○ 이는 거시 경제를 안정시키려는 과거의 노력이 성과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Ngoan이

말함.

○ 1~9월 등록자본은 작년에 비해 150억 불로 36.1% 증가함. 신규 투자금은 92억 9천

만 불로 34.9%로 증가했고, 기존 프로젝트에 추가 투입된 자금은 57억 1천만 불로

37.9% 증가함.

○ 국제적 관점에서 베트남의 경쟁력지수는 75위에서 70위로 개선되었고, 거시 환경 지

수는 기존의 106위에서 87위로 19 계단 향상됨.

○ 따라서 Ngoan은 정부가 거시경제안정성을 유지하여 비즈니스 환경을 개선하고 투

자자 신뢰를 공고히 하도록 제안함.

○ 금융위원화는이 리포트에서 베트남 경제가 직면한 많은 문제에도 불구하고 성취를

언급함.

○ 베트남 GDP는 3분기에 2분기보다 높은 성장률을 기록함. 3분기에 5.54% 성장해 현

재까지 5.14% 성장률을 기록하며 작년 동기간의 5.1%보다 좋은 성과를 보임.

○ 연간 물가상승률이 7%로 예상됨에 따라 현재 크게 문제되지 아니함. 이로 인해 이

자율도 내려가고 자금조달비용도 기업들에 유리하게 낮아짐.

Page 9: 2013. 10. 3. (금) No. 365 · 2013. 10. 3. (금) No. 365 공지사항 [무역관 소식] 한국 유망 프랜차이즈 기업 비즈니스 상담회 초청 [무역관 소식] 2013

2013. 10. 3. (금) No. 365

○ 콜금리는 지난 9개월간 거의 3~4%에 머물렀지만 시장 이자율은 10%였음. 베트남

중앙은행에 따르면 9월 18일부로 자본유동화는 1년간 11.4% 증가함. 예금은 베트남

동은 11.3%, 외환은 12.43% 증가함. 그리고 은행의 총 미지급대출잔고는 5.83%만

증가함.

○ 올해 초 이래로 환율도 심리적, 계절적 영향으로 변동이 있었던 것을 빼고는 달러

당 VND 21,000으로 안정적이었음.

○ 하지만 국가금융감독위원회는 국가재정과 관련해 큰 문제가 있음을 강조함. 예산 수

입이 위축되어 세입세출의 불균형을 초래함에 따라 정부 지출을 어렵게 만들고 있

음.

○ 9월 19일 기준 누적 예산 수입은 VND 509조 7천억으로 목표의 62.5%에 불과하다

고 위원회는 발표함.

- 출처: Saigon Times Daily, 10월 1일 -

올해 과학기술 분야로 외국인직접투자액 증가

○ 1~9월 FDI 유치는 연간 목표를 초과해 150억 불에 이르렀고 많은 액수가 과학 기술

영역에 투자됨.

○ 9개월간 제조 가공 산업에 비해 과학기술 투자는 훨씬 적었음. 하지만 계획투자부

산하 외국인투저청에 의하면 투자 유치와 과학기술부문 신규프로젝트가 증가하고 있

음.

○ 과학기술부문은 2012년 9900만 불의 등록자본액을 기록했음. 이에 비해 2013년 9월

까지 116개 신규 프로젝트에서 3억 8000만 불을 유치해 외국인직접투자유치에서 3

위를 차지했음.

Page 10: 2013. 10. 3. (금) No. 365 · 2013. 10. 3. (금) No. 365 공지사항 [무역관 소식] 한국 유망 프랜차이즈 기업 비즈니스 상담회 초청 [무역관 소식] 2013

2013. 10. 3. (금) No. 365

○ 이 기간 과학기술 영역으로 유입된 외국인직접투자액은 25년간 약정된 총 투자액인

11억 불의 1/3이나 됨.

○ 외국인 투자청에 의하면 제조가공은 76억 불의 신규 등록자본과 53억 7천만 불의

추가 투자자본액을 기록해 FDI 유치에서 1위를 차지함. 2위는 5억 8천 7백만 불을

유치한 부동산 부문임.

○ 베트남은 9월에 8월의 총 등록 및 추가투자자본의 3배인 23억 불을 유치함. FDI 유

치는 몇 개의 대규모 프로젝트가 계획 중인 만큼 계속 증가할 전망임.

○ 삼성 전기가 삼성Thai Nguyen 하이테크 단지에 12억 불 규모의 전자 부품공장 허

가를 기다리고 있음. 이 프로젝트는 핸드폰, 스마트폰, 태블릿이 생산되는 첨단공장

에 부품을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함.

○ 1~9월 실행된 FDI는 작년 보다 6.4% 증가한 86억 2천만 불에 달해 목표인

105~110억 불이 달성 가능할 것으로 보임.

- 출처: Saigon Times Daily, 9월 26일 -

Page 11: 2013. 10. 3. (금) No. 365 · 2013. 10. 3. (금) No. 365 공지사항 [무역관 소식] 한국 유망 프랜차이즈 기업 비즈니스 상담회 초청 [무역관 소식] 2013

2013. 10. 3. (금) No. 365

한국투자기업 관련 주요이슈

C&N VINA, 중부 지방에 산업단지 조성 등 투자 확대

○ 한국의 C&N VINA는 지난 10년간 산업공단 인프라 투자에서 매우 성공을 거둠.

C&N VINA 이충근 회장의 Vietnam Investment Review와의 인터뷰 내용은 아래와

같음.

○ 왜 C&N VINA는 베트남 산업공단에 투자하기로 결정하였는가?

○ 최근 베트남 경제가 건실한 발전을 거듭하여 전 세계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투자처

가 되었음. 한국 기업들은 베트남을 매우 매력적인 투자처로 생각하고 현재 한국은

베트남 투자를 리드하고 있음. 베트남에 밀려든 한국 기업들의 투자로 C&N VINA

는 베트남에서 산업단지를 개발 결정을 하게 됨. C&N VINA의 목적은 한국 기업들

이 선호하는 맞춤형 산업단지를 설립하는 것임.

○ 지난 10년간 베트남에서 C&N VINA는 어떤 성공을 거두었는지?

○ C&N VINA는 첫 번째 프로젝트를 위해서 베트남 남부 Binh Phuoc성을 선택했음.

2004년 192헥타르의 Minh Hung-South Korea 산업공단을 Chon Thanh 구에 건설

했음. 현재, 56개 입주업체 중 34개 사가 한국. 중국, 대만 업체임. 지금까지 이 산

업단지는 39개 외국 투자자들로부터 총 1억5500만 달러의 등록 투자금을 유치함.

○ 이 회사는 Minh Hung-South Korea 산업공단의 4,000여명의 노동자에게 가장 좋은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 추가적으로 260만 달러를 투자해 10헥타르 규모의 숙박시

설 건설을 추진하려 함. 그와 동시에 15헥타르를 서비스, 식당, 학교, 의료서비스를

위해 마련해 둠.

○ C&N VINA는 20 메가와트 발전소를 Chon Thanh 구에 건설할 계획을 가지고 있음.

발전소는 한국 기술을 이용할 예정이며 목재 가공 산업에서 나오는 나무껍질, 잔가

지, 톱밥 등의 폐자재를 클린 에너지와 산업단지의 의류공장 생산라인에 필요한 증

Page 12: 2013. 10. 3. (금) No. 365 · 2013. 10. 3. (금) No. 365 공지사항 [무역관 소식] 한국 유망 프랜차이즈 기업 비즈니스 상담회 초청 [무역관 소식] 2013

2013. 10. 3. (금) No. 365

기로 변환시킬 예정임. 발전소는 5천만~7천만 달러의 총 투자자금을 필요로 하며

한국 국토교통부의 해외인프라투자기금으로 조달될 예정임.

○ 베트남에 투자하면서 C&N VINA가 직면한 어려움들은 무엇인가?

○ Binh Phuoc에 투자할 때 호치민과 같은 경제 허브나 항구와 연결을 위한 기반시설

이 열악해서 투자 유치에 어려움을 겪었음. 게다가 현지 인력이 불충분하고 자격도

갖추지 못하고 있음. 토지, 건설, 환경과 관련된 행정절차 또한 여전히 장애물로 남

아있음.

○ C&N VINA의 향후 개발 전략과 사업 우선순위는 무엇인가?

○ 이 회사는 베트남에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투자하기로 결심했음. 현재 회사는 중

부지방 Thien-Hue성에 Phong Dien 산업단지, Quang Nam 성의 Chu Lai 경제특구

에 Tam An-South Korea 산업단지를 추가적으로 건설하고 있음. C&N VINA는 위의

두 개 프로젝트를 위한 투자자 모집을 내년에 시작할 예정임.

○ 이 회사는 Min Hung-South Korea 산업단지 지역을 확대시킬 의향이 있고 발전소도

건설 할 것임. 또한 우리는 의류 산업을 위한 첨단 염직 구역건설을 계획 중임. 미

국, 영국, 프랑스, 한국의 의류 협회 파트너 들이 이 구역에 투자할 것으로 기대됨.

베트남에서 계속되는 성공과 더 큰 기회를 맞이하길 기대함.

- 출처: Vietnam Investment Review, 9월 30일 -

롯데마트, 두 개 쇼핑센터 추가 개설로 총 6개 판매점 보유 예정

○ 롯데마트는 두 개의 새로운 쇼핑센터를 중남부의 Binh Thuan과 Binh Duong에 연말

에 설립할 예정임. 이로써 롯데마트의 베트남 판매점이 6개로 늘어남.

○ Lotte Vietnam Shopping의 마케팅 담당자 Pham Huu Nghi는 지난주 Lotte

Vietnam Shopping이 11월 21을 Binh Duong점의 전격 개장일로, 12월 5일을 Binh

Thuan의 수도인 Phan Thiet점의 개장일로 발표했다고 말함.

Page 13: 2013. 10. 3. (금) No. 365 · 2013. 10. 3. (금) No. 365 공지사항 [무역관 소식] 한국 유망 프랜차이즈 기업 비즈니스 상담회 초청 [무역관 소식] 2013

2013. 10. 3. (금) No. 365

○ Nghi는 Binh Duong과 Binh Thuan 모두 생활수준의 향상과 쇼핑 수요의 증가로 전

략적 시장이라고 말함.

○ 2012년 8월 롯데마트는 Binh Duong점을 Thuan An구 The Seasons 지역에 3천만

불을 투자하여 쇼핑센터를 개장하도록 투자허가를 받음.

○ 쇼핑몰은 쇼핑 및 오락 공간의 4개층과 지하로 이루어질 것임.

○ Phu Thuy 지역에 세워지는 Phan Thiet 프로젝트의 경우 등록자본은 3천만 불이고

소매점, 푸드 코트, 오락 센터, 당구장, 영화관 등이 7층에 걸쳐 지어질 것임.

○ 지난달 Binh Duong 프로젝트는 건설현장이 부분적으로 무너지는 불상사를 겪음. 건

설부와 지역 경찰이 피해를 조사하는 동안 프로젝트가 중지됨. 다친 노동자는 없지

만 붕괴 피해액이 2만 5천불 가량 됨. 투자자들은 문제를 빠르게 해결하고 건설이

재개되었음. 스케줄에 맞출 수 있을 것으로 보임.

○ 롯데마트는 베트남에 2008년 진입했음. 호치민시에 두 개, 남부 동나이와 중부 다낭

에 각각 한 점포씩, 그리고 Binh Duong과 Phan Thiet 프로젝트를 더하면 총 점포수

는 여섯 개가 될 것임.

○ 2개월 전 롯데마트는 하노이 Mipec Tower의 4개 층을 임대해 내년 제1분기에 개장

예정인 초대형 슈퍼마켓을 준비하고 있음.

○ 2012년 10월 롯데마트는 Minh Van을 인수해 100% 외국인 투자 기업이 됨. 롯데마

트는 2020년까지 60개의 쇼핑센터와 슈퍼마켓을 여는 것을 목표로 함.

○ Lotte Vietnam Shopping은 올해 1~8월 간 7850만 불의 매출과 1090만 불의 이윤

을 냈음.

○ 롯데마트는 한국에서 1998년 설립됨. 한국과 중국, 인도네시아, 베트남에 243개의

점포를 가지고 있음.

- 출처: Vietnam Investment Review, 9월 30일 -

Page 14: 2013. 10. 3. (금) No. 365 · 2013. 10. 3. (금) No. 365 공지사항 [무역관 소식] 한국 유망 프랜차이즈 기업 비즈니스 상담회 초청 [무역관 소식] 2013

2013. 10. 3. (금) No. 365

금주의 FOCUS

무역구제에 눈 뜨는 베트남, 외국 투자기업이 활용의 주축

- 베트남 정부, 무역구제방안 점차 인식하기 시작 -

- 외투기업인 POSCO VST의첫 반덤핑 제소, 주요 사례로 남아 -

□ 베트남 산업보호를 위한 무역구제 현황

○ 베트남의 무역구제 법안은 반덤핑관세, 상계관세, 세이프가드 등 세 영역으로 법률이

제정돼 있음.

○ 2007년 초 베트남은 WTO 회원국으로 가입한 이래 자국시장 개방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외제품 수입을 증가해 왔음. 이는 필연적으로 자국제품과 외국제품의

치열한 시장점유 각축전을 초래함.

○ 베트남의 대외무역 적자폭이 커지고 1차 산업 종사자와 현지 제조사가 타격을

입음에도 베트남 정부는 자국제품 보호를 위한 무역구제방안을 거의 시행하지

않았음.

○ 주요 원인에는 불공정 사례를 뒷받침하는 충분한 정보 및 통계치의 부족, 덤핑가격

및 외국의 상계관세 제도에 대한 무지, 정확한 자료를 얻기 위해 소요되는 높은 비용,

제소(소송) 경험이 부족한 베트남 현지 회사, 복잡한 제소 절차, 자국산업 피해

정도를 파악할 수 없는 베트남의 열악한 정보 구축 인프라, 무역구제 법안에 대한

변호사 및 당국 인력 부족 등이 있음.

○ 베트남의 무역구제조치를 시행하는 중심기관은 산업무역부 산하의 VCAD(Vietnam

Competition Administradtion Department)임. 이제까지 베트남은 시장개방 이후 단

3건(세이프 가드 2건, 반덤핑관세 1건)의 무역구제조치를 시행한 바 있음.

Page 15: 2013. 10. 3. (금) No. 365 · 2013. 10. 3. (금) No. 365 공지사항 [무역관 소식] 한국 유망 프랜차이즈 기업 비즈니스 상담회 초청 [무역관 소식] 2013

2013. 10. 3. (금) No. 365

○ WTO 데이터에 따르면 최근 7년간(1995~2012년) 인도 미국 등 상위 10개국이 전체

반덤핑 제소의 75%를 차지하고 한국은 반덤핑 제소건수 11위를 차지함. 2012년까지

베트남에서 발생한 반덤핑 제소는 1건도 없었으며 2013년 7월 베트남 법인 POSCO

VST가 처음으로 공식적으로 반덤핑 제소를 함.

1995~2012년 WTO 회원국 반덤핑 제소 및 조치 건수

(단위: 건)

□ 해외 대베트남산 제품 무역구제 제소 사례

○ 현재 베트남산 제품은 해외에서 발생하는 많은 무역구제 신청건으로 고전함.

○ VCAD의 2012년 보고서와 베트남 상공회의소 산하의 무역구제의원회(TRC)에 따르면

2013년 6월 현재 베트남은 16개국에서 66건의 무역구제 제소에 연루돼 있으며, 이

중 반덤핑 제소건수는 50건으로 전체의 75%를 차지함.

Page 16: 2013. 10. 3. (금) No. 365 · 2013. 10. 3. (금) No. 365 공지사항 [무역관 소식] 한국 유망 프랜차이즈 기업 비즈니스 상담회 초청 [무역관 소식] 2013

2013. 10. 3. (금) No. 365

○ 베트남산에 무역구제를 신청한 국가는 반덤핑제소 상위 10개국에 해당하는 미국, EU,

터키, 브라질, 인도임.

2000~2013년 해외 대베트남산 무역구제 제소 신청 건수

자료원: VCAD, TRC

□ 최근 무역구제 진행 사례

○ 베트남은 3건의 무역구제 제소건(세이프가드 조치 2건, 반덤핑제소 1건)을 접수했으며

이 중 단 1건(2012년 11월, 말레이시아 등 아시아산 vegetable oil(HS

code:1511.90.91) 대상)의 세이프가드 제소 요청이 최종적으로 5%의 추가 관세를

징수함으로써 완결됨. 다른 제소건(2009년 5월, 동남아산 판유리제품(HS

Page 17: 2013. 10. 3. (금) No. 365 · 2013. 10. 3. (금) No. 365 공지사항 [무역관 소식] 한국 유망 프랜차이즈 기업 비즈니스 상담회 초청 [무역관 소식] 2013

2013. 10. 3. (금) No. 365

code:7005.29.90)은 자국 산업의 피해 규모를 제대로 산출해 내지 못해 어떠한

조치도 취해지지 않은 채 종결됨. (관련 GW 자료: 2011.09.22. 게시물 참고)

○ 위 3건의 무역제소 중 2건이 소송 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 자금력과 제소 법률 및

정보 수집력이 뛰어난 외국인 투자기업(포스코 및 일본합작기업 VFG)에 의해

이루어짐. 현재 베트남 기업은 무역구제 제소를 신청할 만큼의 경험 및 소송을 위한

자금력 등 총체적인 역량이 부족한 것으로 보여짐.

○ 베트남 정부는 향후 자국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무역구제책을 증대하고자 노력하고

이에 대한 일환으로 VCAD 및 TRC는 자국 회사를 대상으로 무역구제 신청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는 등 자구책을 마련 중임.

베트남 정부의 무역구제 제재 조치 내역

자료원: VCAD, 뉴스 취합

Page 18: 2013. 10. 3. (금) No. 365 · 2013. 10. 3. (금) No. 365 공지사항 [무역관 소식] 한국 유망 프랜차이즈 기업 비즈니스 상담회 초청 [무역관 소식] 2013

2013. 10. 3. (금) No. 365

□ 시사점

○ 포스코 VST는 해외기업임에도 베트남의 현지 회사인 화빈이녹스(HoaBinhInox)와 첫

반덤핑 제소 사례를 일구어냄. 이 건은 자체 제소 경험이 없는 베트남 정부 및 현지

회사에 많은 시사점을 던진 사례임.

○ 향후 베트남 정부는 무역구제신청을 독려해 자국기업을 보호하려는 경향이 지속

강화될 예정으로 한국 진출 기업 생산품 및 대베트남 수출품 역시 무역구제 대상이

될 수 있음. 따라서 베트남의 무역구제 신청 및 그 제재를 눈여겨봐야 함.

자료원: WTO, VCAD, TRC, 코트라 호치민 무역관 자료 종합

Page 19: 2013. 10. 3. (금) No. 365 · 2013. 10. 3. (금) No. 365 공지사항 [무역관 소식] 한국 유망 프랜차이즈 기업 비즈니스 상담회 초청 [무역관 소식] 2013

2013. 10. 3. (금) No. 365

전문가 칼럼 / Q&A

미납 자본금 상당액의 대출금 이자에 대한 손금 불산입

Ed & Brown

함호근 회계사

Q. 베트남에서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외국인 투자 업체입니다. 투자 허가

서 상의 정관 자본금은 3백만 달러인데 2백 5십만 달러만 납입하였고, 사

업 자금이 부족하여 현지 은행에서 1백만 달러의 대출을 받을 예정입니

다. 세무 회계 상 주의할 점은 무엇인지요?

A. 베트남에서 외국인 투자 기업은 투자허가서 상의 정관 자본금을 정해진 기한 내에 완납하여

야 합니다. 그렇지 못할 경우, 기본적인 영업을 영위하는 데에는 문제가 없으나, 투자허가서

상의 내용 변경 (법인장 교체, 투자자 변경, 자본금 증자 등)을 못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

다.

아울러, 현지 금융 기관으로부터 대출을 받을 경우, 미납된 자본금액 상당액의 대출금에 대

한 이자를 세무상 비용으로 인정받지 못합니다(손금불산입).

즉 위의 회사의 경우, 5십만 달러의 미납액이 있는 가운데 1백만 달러를 차입하려는데, 이

중 5십만 달러(자본금 미납금액에 상당하는 금액)에 대한 이자는 비용으로 인정받지 못해

법인세 부담이 늘어납니다.

위의 예와는 별도로, 베트남 중앙은행 고시 이자의 1.5배를 초과하는 비금융기관

(Non-Economic and Non-credit Organizations)으로부터의 차입금 이자, 정관 자본금 5배를

초과하는 차입금에 대한 이자는 역시 세무상 비용으로 인정받지 못하니 유의하시기 바랍니

다.

Page 20: 2013. 10. 3. (금) No. 365 · 2013. 10. 3. (금) No. 365 공지사항 [무역관 소식] 한국 유망 프랜차이즈 기업 비즈니스 상담회 초청 [무역관 소식] 2013

2013. 10. 3. (금) No. 365

구분 1988. 1. 1~2013. 9.20 기준 누계 2013. 1. 1~ 9.20

국가명 건수 투자금액 실행금액 신규건수 신규투자금액 증자금액

일 본 2,047 33,426 10,827 210 1,123 3,612

싱가포르 1,186 28,840 7,505 72 2,695 1,255

대 만 2,262 27,493 11,204 41 287 95

한 국 3,431 27,382 8,922 247 2,237 399

버진아일랜드(영) 512 15,303 5,229 7 29 30

홍 콩 743 12,525 3,988 41 584 68

미 국 665 10,592 2,536 24 49 50

말레이시아 444 10,221 3,600 14 22 12

태 국 317 6,396 2,775 22 316 21

네덜란드 190 5,980 2,544 14 39 41

케이만 아일랜드 54 5,770 1,415 2 264  

전체 합계 15,298 223,040 76,891 872 9,294 5,711

구분 2013. 9.20 기준 누계 2013. 1. 1~ 9.20

연번 산업 건수 투자금액 실행금액 신규건수 신규투자금액 증자금액

1 제조, 가공 8,422 118,876 42,956 400 7,599 5,370

2 부동산경영 400 48,230 12,335 15 461 127

3 호텔, 외식서비스 340 10,623 2,768 14 114  

4 건설 992 9,811 3,616 64 134 12

5 전력,가스,용수제조 공급 89 7,501 1,688 2 2 0.1

6 정보통신 889 4,040 2,247 68 88 12

7 예술 오락 141 3,664 1,075 6 3 35

8 물류운수 369 3,522 1,076 18 20 10

9 농,임,수산 499 3,306 1,722 8 50 -4

10 도소매,유지보수 1,030 3,279 1,720 139 309 71

11 채광 79 3,197 2,591 1 15  

12 기술과학전문 1,446 1,476 874 116 340 40

13 금융, 은행, 보험 77 1,322 1,173 1 0.3 1

14 의료와 사회복지 87 1,309 324 6 85 1

15 용수공급, 폐기물처리 31 1,285 316 3 51  

16 기타서비스 124 741 156 4 8 0.3

17 교육, 양성 167 663 152 4 14 36

18 행정, 지원 서비스 116 194 101 3 0.4  

합계 15,298 223,040 76,891 872 9,294 5,711

주요경제지표 대 베트남 국별 외국인투자

(단위 : US$백만)* 실행금액은 정관자본금(Legal capital)액수임

자료원 : 베트남 기획투자부 (MPI : Ministry of Planning & Investment)

대 베트남 산업별 외국인투자(단위 : US$백만)

자료원 : Vietnam Investment Review, MPI (Oct, 2013)

Page 21: 2013. 10. 3. (금) No. 365 · 2013. 10. 3. (금) No. 365 공지사항 [무역관 소식] 한국 유망 프랜차이즈 기업 비즈니스 상담회 초청 [무역관 소식] 2013

2013. 10. 3. (금) No. 365

구 분 2010 2011 2012 2013.9월(*)

수 출 721.9 969.1 1,145.7 964.6

수 입 848.0 1,067.5 1,137.9 965.9

무역수지 -126.1 -98.4 7.8 -1.3

품 목 명 2010 2011 2012 2013.9월(*)

각종 전화기 및 부품 - 6,886 12,717 15,144

섬유/직물제품 11,210 14,043 15,093 13,154

전기제품 3,590 4,670 7,838 7,775

신발류 5,122 6,549 7,262 6,072

원유 4,958 7,241 8,229 5,499

수산물 5,016 6,112 6,093 4,701

기계/플랜트 및 부품 3,057 4,160 5,537 4,385

수송수단 및 부품 1,578 2,354 4,580 3,867

목제품 3,436 3,955 4,666 3,830

쌀 3,248 3,657 3,673 2,411

기 타 30,977 37,279 38,885 29,625

합 계 72,192 96,906 114,573 96,463

품 목 명 2010 2011 2012 2013.9월(*)

기계/플랜트 및 부품 13,691 15,342 16,037 13,169

전자제품 및 컴퓨터 5,209 7,974 13,111 13,046

의류(원단) 5,362 6,730 7,040 6,081

각종 전화기 및 부품 - - 5,042 5,163(**)

유류제품 6,078 9,878 8,959 5,255

철강제품 6,155 6,434 5,967 5,025

플라스틱 원료 3,776 4,760 4,804 4,173

직물 및 의류 원부자재 2,621 2,948 3,160 2,743

사료 및 원료 2,173 2,373 2,456 2,420

기타금속 2,523 2,697 2,632 2,157

기 타 24,604 37,770 45,365 37,355(*)

합 계 84,801 106,750 113,792 96,587

베트남 대외교역 동향(단위 : US$억)

자료원 : General Department of Customs, 주*) 추정치

베트남 주요품목별 수출현황(단위 : US$백만)

자료원 : General Statistics Office, 주*) 추정치

베트남 주요품목별 수입현황(단위 : US$백만)

자료원 : General Statistics Office, 주*) 추정치 / **)8월 통계

Page 22: 2013. 10. 3. (금) No. 365 · 2013. 10. 3. (금) No. 365 공지사항 [무역관 소식] 한국 유망 프랜차이즈 기업 비즈니스 상담회 초청 [무역관 소식] 2013

2013. 10. 3. (금) No. 365

순번 국가명 2010 2011 2012 2013.8월

1 미 국 14,238 16,928 19,668 15,142

2 일 본 7,728 10,781 13,060 8,798

3 중 국 7,309 11,125 12,388 8,446

4 한 국 3,092 4,715 5,580 4,187

5 말레이시아 2,093 2,832 4,496 3,316

6 독 일 2,373 3,367 4,095 3,147

7 UAE 508 922 2,078 2,710

8 영 국 1,681 2,398 3,034 2,480

9 홍 콩 1,464 2,206 3,706 2,290

10 캄보디아 1,146 1,551 2,407 2,101

기 타 30,560 40,081 44,061 32,546

합 계 72,192 96,906 114,573 85,163

순번 국가명 2010 2011 2012 2013.8월

1 중 국 20,019 24,594 28,786 23,369

2 한 국 9,761 13,176 15,536 13,221

3 일 본 9,016 10,400 11,603 7,464

4 대 만 6,977 8,557 8,534 6,043

6 태 국 5,602 6,384 5,792 4,025

5 싱가포르 4,101 6,391 6,690 3,987

7 미 국 3,767 4,529 4,827 3,460

8 말레이시아 3,413 3,920 3,412 2,609

9 독 일 1,742 2,199 2,377 1,925

10 인 도 1,762 2,346 2,161 1,904

기 타 18,641 24,254 24,074 16,980

합 계 84,801 106,750 113,792 84,987

베트남 주요국별 수출현황(단위 : US$백만)

자료원 : General Statistics Office

베트남 주요국별 수입현황(단위 : US$백만)

자료원 : General Statistics Office

Page 23: 2013. 10. 3. (금) No. 365 · 2013. 10. 3. (금) No. 365 공지사항 [무역관 소식] 한국 유망 프랜차이즈 기업 비즈니스 상담회 초청 [무역관 소식] 2013

2013. 10. 3. (금) No. 365

구 분 2010 2011 2012 2013.8월

수 출 9,652(35.0) 13,551(40.4) 15,946(18.4) 13,489(32.3)

수 입 3,330(40.5) 5,084(52.6) 5,718(12.5) 4,396(26.7)

무역수지 6,322 8,467 10,236 9,093

품 목 명 2010 2011 2012 2013.8월

전자부품 275(127.5) 1,345(389.0) 3,626(169.6) 3,419(49.0)

산업용전자제품 878(134.8) 1,553(77.0) 1,282(-17.4) 1,615(144.3)

직물 1,144(18.4) 1,424(24.4) 1,505(5.8) 1,166(18.7)

석유화학제품 962(42.1) 1,219(26.7) 1,294(6.1) 1,003(17.5)

철강제품 1,431(80.3) 1,763(23.2) 1,468(-16.7) 976(-4.0)

중전기기 117(80.8) 307(161.6) 569(85.1) 647(105.4)

비철금속제품 367(59.7) 487(32.7) 553(13.6) 469(46.2)

수송기계 944(-15.6) 1,063(12.6) 704(-33.7) 440(-6.3)

산업기계 443(43.3) 422(-4.8) 426(1.0) 398(34.0)

정밀화학제품 382(30.1) 465(21.9) 503(8.0) 359(12.4)

기 타 2,709 3,503 4,026 2,997

합 계 9,652(35.0) 13,551(40.4) 15,956(18.4) 13,489(32.3)

품 목 명 2010 2011 2012 2013.8월

섬유제품 491(64.0) 977(99.1) 1,255(28.5) 969(44.2)

광물성연료 767(33.2) 1,124(46.6) 987(-12.2) 746(33.8)

신변잡화 173(38.9) 267(54.3) 330(23.6) 286(29.1)

수산물 376(23.3) 481(27.9) 506(5.2) 277(-11.5)

전자부품 51(198.1) 122(139.9) 259(111.9) 261(111.9)

농산물 124(-11.8) 246(99.1) 346(40.6) 229(-2.2)

임산물 189(104.5) 268(41.6) 277(3.3) 204(16.7)

산업용전자제품 119(33.5) 166(39.5) 219(32.4) 172(24.0)

섬유사 270(43.8) 316(17.0) 233(-26.2) 164(7.3)

비철금속제품 52(85.5) 92(78.0) 136(47.7) 158(102.4)

기 타 719 1,025 1,171 930

합 계 3,331(40.5) 5,084(52.6) 5,719(12.5) 4,396(26.7)

한-베트남 교역동향(단위 : US$백만, 증감률%)

자료원 : 한국무역협회 통계(KOTIS)

한국의 대베트남 품목별 수출현황(단위 : US$백만, 증감률%)

자료원 : 무역협회 KOTIS(MTI 2단위 기준)

한국의 대베트남 품목별 수입현황(단위 : US$백만, 증감률%)

자료원 : 무역협회 KOTIS(MTI 2단위 기준)

Page 24: 2013. 10. 3. (금) No. 365 · 2013. 10. 3. (금) No. 365 공지사항 [무역관 소식] 한국 유망 프랜차이즈 기업 비즈니스 상담회 초청 [무역관 소식] 2013

2013. 10. 3. (금) No. 365

기타안내

해외진출기업의 현지국 아동 인권 보호 안내 등 협조요청

- 한국 산업통상자원부 -

“2012~2016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NAP)"('12.3.30확정)에 따라 정부 각 관계

부처는 그 이행결과를 국가인권정책협의회에 제출토록 정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동 계획 시행의 일환으로 한국 산업통상자원부에서는 해외진출

기업에 대한 아동 권리 교육(해외진출기업이 해외진출시 진출국의 아동 권리

보호를 위한 관련법을 준수하도록 하고 유엔의 아동권리협약 내용을 안내)을

담당하고 있는 바,

아래와 같이 유엔아동권리협약 전문(한글판)을 제공하오니 우리 기업들의 많은

관심과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 아 래 -

# 첨 부

- http://infomailer.kotra.or.kr/20130826/UN Childs Right.hwp

- http://infomailer.kotra.or.kr/20130826/UN%20Childs%20Right.hwp

Page 25: 2013. 10. 3. (금) No. 365 · 2013. 10. 3. (금) No. 365 공지사항 [무역관 소식] 한국 유망 프랜차이즈 기업 비즈니스 상담회 초청 [무역관 소식] 2013

2013. 10. 3. (금) No. 365

한국투자기업지원센터

KOTRA 하노이무역관 고문변호사/회계사 현황

구분 성명 현지법인명 Tel Email 특기사항

고문변호사 박영수법무법인 JP/

변호사84-4-3724-5201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법률

고문회계사 엄진용이정 회계법인/

회계사84-4-3556-0470 [email protected] 회계

KOTRA 호치민무역관 고문변호사 현황

구분 성명 현지법인명/직위 Tel Email 특기사항

고문변호사 정대근법무법인 로고스

/미국변호사84-8-3822-7161 [email protected]

투자 ·

지적재산권

고문변호사 고인선법무법인 JP

/변호사84-8-3910-0619 [email protected] 노동법규

◎ 고문변호사 무료 상담

- 하노이: 월 2회(매월 2주, 4주차 금요일) 사전 예약, 고문변호사 대면 상담

▪ 담당자 : 김경돈 대리([email protected])

- 호치민: 월 1회(매월 2주차 금요일) 사전 예약, 고문변호사 대면 상담

▪ 사전 예약시에는 아래의 담당자에게 질문 내용에 대해 사전 송부 요망

▪ 담당자 : 노동욱 대리([email protected])

◎ 호치민 IP-DESK 상표· 디자인 출원 지원

- 지원내용 : 베트남 진출 우리기업의 지재권 애로사항 해결을 위한 상표· 디자인 출원

비용 지원

- 신청자격 : 한국에 사업자 등록이 되어 있는 기업으로 베트남에서 사업을 운영(예정)

중인 중소· 중견 기업

- 문의처: KOTRA 호치민무역관 류은정 대리 ([email protected]), (T) 84-8-

3822-3944)

◎ 베트남 투자 한국기업 현지경영 애로사항 접수 (베트남 총리실 공동추진)

=> 김경돈 대리, (T)84-4-3946-0511, (F)84-4-3946-0519, [email protected]

◎ 베트남 진출 한국기업 전용 구인구직 웹사이트 운영(무료)

www.workwithkorea.com (www.workwithkorea.com.vn)

◎ 코트라 한-베 취업 카페

http://cafe.naver.com/kotrahochiminh

Page 26: 2013. 10. 3. (금) No. 365 · 2013. 10. 3. (금) No. 365 공지사항 [무역관 소식] 한국 유망 프랜차이즈 기업 비즈니스 상담회 초청 [무역관 소식] 2013

2013. 10. 3. (금) No. 365

해외진출 통합정보시스템 OIS 안내

해외투자진출 정보만을 모아 놓은 대한민국 해외 투자진출 정보

포털은『OIS』 밖에 없습니다!!

정부 및 유관기관의 해외투자진출 정보를 One-Stop 서비스합니다.

지식경제부, 외교통상부, KOTRA, 수출입은행, KIEP, KIET 등 31개 유

관기관이 제공하는 해외진출정보를 한 곳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가 기본정보에서 지역별 Q&A까지

국가 기본정보에서 심층보고서, 동영상자료까지 해외진출에 필요한 단

계별, 국가별 정보를 한꺼번에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해외투자진출관련 궁금한 사항을 상담해 드립니다.

해외투자에 필요한 국내절차는 물론 국가별 투자환경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 드립니다. 궁금하신 사항은 ‘상담실> 해외투자Q&A’에 올려 주세

요.

---------------------------------------------------

OIS(www.ois.go.kr)는 국내기업의 해외진출이 확대됨에 따라 여러 기

관에 흩어진 투자진출 관련정보를 한 곳에 모아 One-Stop 서비스하기

위해 2007년 범정부 차원으로 구축하여 운영 중인 대한민국 정부의

해외진출정보포털 사이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