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디지털도서관 심포지엄ii 일정 · 2019. 6. 4. · 4.1 시카고 대학교(university...

108

Upload: others

Post on 02-Sep-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2013 디지털도서관 심포지엄II 일정

    행사 개요

    일 시 : 2013년 11월 1일(금) 14:00~17:30

    장 소 :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 대회의실(지하3층)

    주 제 : RDA, 새로운 도전 그리고 과제

    주 최 : 국립중앙도서관(디지털정보이용과)

    세부 일정

    시 간 내 용

    13:30~14:00(30' ) 등 록

    14:00~14:05(05' )개회 및

    발표자 소개∙노지현(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14:05~14:10(05' ) 인사말씀 ∙임원선(국립중앙도서관장)

    14:10~14:40(30' ) 주제발표 1∙RDA의 해외 도서관 적용 사례 - 이미화(공주대학교 문헌정보교육과 교수)

    14:40~15:10(30' ) 주제발표 2∙RDA 적용을 위한 국내 도서관계의 대응 방안 - 김정현(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15:10~15:40(30' ) 주제발표 3∙RDA를 통한 도서관 정보서비스 및 과제 - 이경호(대구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15:40~15:50(10' ) 휴 식(Coffee Break)

    15:50~16:50(60' ) 종합토론

    ∙주제발표자 3명 ∙이유정(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인문과학자료팀 차장) ∙정애숙(중앙대학교 중앙도서관 학술정보팀 과장)∙조수희(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정보지원팀 정리과장)

    16:50~17:30(40' ) 질 의 응 답

  • 목 차

    주제발표1

    RDA의 해외 도서관 적용 사례

    - 이미화(공주대학교 문헌정보교육과 교수)

    주제발표2

    RDA 적용을 위한 국내 도서관계의 대응 방안

    - 김정현(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주제발표3

    RDA를 통한 도서관 정보서비스 및 과제

    - 이경호(대구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 주제발표1

    RDA의 해외 도서관 적용 사례 - 이미화(공주대학교 문헌정보교육과 교수)

  • RDA의 해외 도서관 적용 사례 | 9

    RDA의 해외 도서관 적용 사례

    이미화 | 공주대학교 문헌정보교육과 교수

    목 차

    1. 서론

    1.1 연구목적

    1.2 연구방법

    2. FRBR, FRAD와 RDA

    3. RDA 적용 테스트

    3.1 배경

    3.2 테스트 수행방법

    3.3 RDA 레코드 작성 지침

    3.4 분석방법

    3.5 조사결과

    4. 국외도서관의 RDA 적용현황

    4.1 시카고 대학교(University of Chicago)

    4.2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NCSU)

    4.3 스탠포드 대학교(Standford University)

    5. 결론

    1. 서론

    1.1 연구목적

    RDA는 AACR2를 대체하는 새로운 목록규칙으로 국제목록원칙, FRBR, FRAD를

    준용한다. 오랜 기간의 작업을 거쳐 2010년 RDA Toolkit이 개발되고, RDA를

    MARC21에 적용하기 위해 태그 및 식별기호가 추가 개발되었다. 이와 같이 FRBR

    과 FRAD를 위한 새로운 목록규칙인 RDA가 개발되고, 입력 포맷인 MARC21이 수

    정되었지만, RDA 규칙을 모든 기관에서 즉시 적용하지 않았으며, RDA 규칙 적용

    과 관련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서지제어의 미래에 관한 워킹그룹(LC Working Group on the Future of

    Bibliographic Control)에서는 RDA의 약속된 혜택이 초안에 명확하지 않고, RDA

    로 작성된 메타데이터와 기존 메타데이터의 상호운영 방안이 명확하지 않으며,

    FRBR을 수용한 시스템 개발과 RDA 채택이 함께 진행되지 않았고, 결국 혜택은 비

    용보다 적다고 문제를 제기하면서, RDA 개발 및 실행 중지를 주장하였다. 이에 따

    라 3개의 국가도서관이 모여 RDA 실질적인 테스트를 통해 RDA 채택의 여부에 대

  • 10 | RDA, 새로운 도전 그리고 과제

    한 공동 결정을 결의하고, US RDA Test Coordinating Committee를 구성하였다.

    이 위원회에서는 국가적인 테스트로 RDA 채택의 기술적, 운영적, 재정적 가능성을

    평가할 것을 결정하였다. 26개 기관이 참가한 테스트에서 RDA로 목록하는 경우 작

    업 시간, RDA 실행 필요성에 대해 의견, 실질적인 목록 과정에서 RDA의 문제점

    등에 대한 대대적인 조사가 이루어졌다.

    국내 도서관에서는 서양서의 경우 대부분 AACR2와 MARC21을 사용하고 있는데

    앞으로 RDA가 활용되는 경우 RDA 규칙으로 작성한 데이터를 반입해야 하기 때문

    에 RDA 적용방안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특히, 국내 상황에 맞는

    RDA의 적용 방안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RDA를 올바르게

    적용하기 위해 RDA 테스트를 조사하고, 테스트에 참가한 도서관의 RDA 실질적인

    적용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규칙의 실질적인 적용을 위해서는 국가적인 테스트가 필수적이며, 이를 통해 규칙

    의 올바른 적용방안과 세부적인 문제점이 파악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외의 RDA 적용사례를 분석하여 국내에 적합한 적용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는 점

    에서 그 의의가 있다.

    1.2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 RDA 테스트와 테스트에 참가한 도서관의 실질적인 RDA 적용 방안

    을 살펴보기 위해 문헌연구와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특히, 사례조사 대상 기관을

    선정하기 위해 RDA 테스트를 진행한 도서관 중 국가도서관을 제외한 목록데이터를

    가장 많이 제공한 기관을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26개 기관 중 국가도서관 3개를 제

    외한 23개 기관 중 COS, CCS는 모두 동일하게 제출하였지만 EOS, ECS의 경우는

    도서관마다 제출건수의 차이가 매우 컸다. 이중 과 같이 많은 데이터를 입력

    한 3개 기관을 대상으로 RDA 테스트 및 적용 사례를 조사하였다.

    테스트 기관 COS CCS EOS, ECS

    NCSU 48 4 257

    Standford Univ. 89 - 464

    Univ. of Chicago 70 5 1,301

    RDA 테스트 기간 중 목록데이터 제출이 많은 상위 도서관

    ※출처 : US RDA Test Coordinating Committee 2011, 149-150 재구성

  • RDA의 해외 도서관 적용 사례 | 11

    2. FRBR, FRAD와 RDA

    FRBR과 FRAD는 각각‘서지레코드를 위한 기능적 요건’,‘전거데이터를 위한 기

    능적 요건’으로 서지데이터와 전거데이터를 위한 개념모델이다. FRBR에서는 저작,

    표현형, 구현형, 개별자료, 개인, 단체, 개념, 사물, 사건, 장소로 개체와 각 속성을

    정의하고, 각 개체간의 관계를 규정하고 있다. FRAD는 전거데이터에 관한 모델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는 도서관 영역을 넘어서 다른 분야에서도 참조할 수 있는 것으

    로 적용 분야가 확대되었다. FRBR에서 정의된 개체와 비교하여‘가족’이 추가되

    고, 이름, 식별자, 제어형접근점, 규칙, 기관이 추가되었다. 제어형접근점은 서지 데

    이터의 접근점으로 사용된 이름들을 담고 있는 데이터의 집합으로, 접근점의 전거형

    과 이형 모두를 포함하였다(IFLA 2009).

    FRBR과 FRAD 개념모델을 목록에 적용하기 위한 대표적인 목록규칙이 RDA이며,

    RDA에는 FRBR, FRAD의 개체와 속성의 개념과 구조가 상당부분 반영되어 있다.

    과 같이 RDA에서 저작의 핵심요소는 FRBR, FRAD의 저작 속성과 동일하

    다. 개념모델은 서지와 전거데이터의 구조를 명확하게 정의하고 있어, 목록 표준의

    개발과 개정의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이미화 2011).

    RDA 저작의 핵심 속성 ERD※출처 : Oliver(2010).

  • 12 | RDA, 새로운 도전 그리고 과제

    3. RDA 적용 테스트

    3.1 배경

    서지제어의 미래에 관한 워킹그룹에서 RDA 개정 작업 중지를 권고하자 2008년 3월

    LC, NAL, NLM에서 이를 논의하기 위한 회의를 개최하였다. 3개 국가도서관은 RDA

    의 작업 중단은 불가하며, 대신 RDA 실행을 바탕으로 한 평가를 수행하기로 결정하였

    다. 이에 따라 RDA테스트조정위원회(U.S. RDA Test Coordinating Committee)가

    2008년 6월에 구성되어, 국가적인 차원에서 RDA 테스트를 투명하게 진행하기로 결정

    하였다. 테스트 참가 도서관은 와 같이 총 26개 기관으로 3개의 국가도서관과

    23개 신청도서관이 참여하였다(Boehr, Reynolds & Shrader 2012, 125-126).

    유형 기관수 도서관명

    국가도서관 3Library of CongressNational Agricultural LibraryNational Library of Medicine

    신청도서관 23

    Backstage Library WorksBrigham Young UniversityCarnegie Library of Pittsburgh Clark Art Institute LibraryUniversity of ChicagoCollege Center for Library Automation (Florida) Columbia University Douglas County Libraries, Colorado Emory University GSLIS Group Minnesota Historical Society Morgan Library and Museum Music Library Association/Online Audiovisual Catalogers, Inc.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LibrariesUniversity of North Dakota North East Independent School District, San Antonio, Texas Northeastern University OCLC Metadata Contract Services Ohio State University Libraries State Library of Pennsylvania Quality Books Stanford University Libraries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참가기관 명단

    ※출처 : US RDA Test Coordinating Committee 2011, 149-150 재구성

  • RDA의 해외 도서관 적용 사례 | 13

    조정위원회는 테스트를 평가할 다양한 기준의 매트릭스를 개발하였고, 평가의 범

    주는 과 같이 일반개요, 기술적 실현가능성, 운영가능성, 재정적 가능성으로

    구분하였다.

    평가범주 세부내용

    일반개요

    ∙목록사서는 레코드를 생성하기 위해 RDA를 쉽게 이용할 수 있는가?∙벤더는 기존 시스템 내에서 생성된 RDA 레코드를 이용할 수 있는가?∙이용자는 제공된 데이터에 기반해 자신이 원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는가?∙도서관은 다양한 자원에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 RDA를 이용할 수 있는가?

    기술적 실현가능성

    ∙AACR2/MARC 서지와 전거레코드와 RDA를 이용해 생성된 레코드의 상호운용성∙MARC21이나 미래 메타데이터 스키마에 필요한 변화 요소 파악 ∙RDA Toolkit의 기능과 통합성을 목록자원과 도구와 함께 평가∙RDA 실행에 앞서 필요한 시스템 개발사항을 규명

    운영가능성∙최신 목록도구와 자원을 비교해 RDA Toolkit 이용의 영향력∙최종 이용자에 RDA 데이터의 영향력

    재정적 가능성

    ∙훈련 비용∙워크플로어 변경 비용∙목록 문서관리를 위해 페이퍼기반에서 웹기반 구독 지원시스템으로 이동 비용∙기존 데이터 변환 비용

    RDA 테스트의 평가 범주

    ※출처 : US RDA Test Coordinating Committee 2011, 26 재구성

    RDA로 목록 데이터 구축을 위한 교육이 필요하여 각 기관별로 1-2명이 교육프로

    그램에 참석하였고, 의사소통을 위한 사이트가 개설되었다. 실질적인 테스트는

    2010년 7월 1일에 시작되었다. 공식적인 테스트기간은 2010년 7월 1일부터 12월 31

    일까지였다. 처음 3개월은 RDA의 내용과 기능을 숙지하도록 하고, 다음 3개월은

    RDA를 이용해 레코드를 작성하였다. 테스트조정위원회는 2011년 1월부터 4월까지

    테스트 결과를 분석하고, 3개 국가도서관에 결과보고서와 권고사항을 준비하였다.

    국가도서관 관리자는 이 보고서에 근거하여 2011년 6월 RDA에 관한 최종 결정을

    발표하였다(Boehr, Reynolds & Shrader 2012, 125-126).

    3.2 테스트 수행방법

    참가기관은 공통원목데이터(Common Original Set, 이하 COS), 공통카피데이터

  • 14 | RDA, 새로운 도전 그리고 과제

    (Common Copy Set, 이하 CCS), 추가원목데이터(Extra Original Set, 이하 EOS)

    의 3가지 테스트 레코드를 생성하여 제출하였다. 추가카피데이터(Extra Copy Set,

    이하 ECS) 레코드 제출은 선택사항이었다. 각 참가기관은 테스트 레코드를 이용자

    개개인에게 혹은 이용자 집단에게 보여주고 피드백을 받았으며, 목록사서에게서도

    피드백을 수집하였다(Boehr, Reynolds & Shrader 2012, 126).

    3.2.1 목록레코드 작성

    1) Common Original Set(COS)

    각 기관마다 25개 자료를 RDA와 AACR2 2가지로 각각 목록한다. 즉 한명의 사

    서는 AACR2로 다른 한명은 RDA로 각각 기술목록을 실시하며 주제목록은 적용하지

    않는다. 이는 레코드 작성시간, 데이터요소, 규칙 적용 패턴, 일관성과 이용가능성

    을 상호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COS 표제에는 10개의 단행본, 5개의 시청각자료, 5

    개의 연속간행물, 5 통합자료가 포함되어 있다.

    2) Common Copy Set(CCS)

    목록의 많은 부분이 카피목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5개의 표제를 대상으로 카

    피목록을 실시한다.

    3) Extra Original Set(EOS)

    일상적 목록 작성의 과정에서 25개 자료를 RDA 규칙을 적용하여 추가적으로 원

    목 작성하도록 한다. 이는 목록작성 테스트 내에 COS에서 제시하지 않은 가능한 다

    양한 포맷을 포함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각 도서관마다 자관의 일상적 목록 작성

    의 과정에서 RDA 레코드를 생성하도록 한다.

    4) Extra Copy Set(ECS)

    일상적인 과정의 일부로 카피목록을 하는 도서관이 카피목록한 레코드를 추가로

    제출한다.

    모든 테스트 레코드에 대해 도서관은 전거레코드를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전거를

    작성하지 않는 기관은 이를 제출하지 않는다. COS를 제외하고 도서관은 일상적인

    목록 작업 과정에서 목록을 생성한다(Boehr, Reynolds & Shrader 2012, 126-127).

  • RDA의 해외 도서관 적용 사례 | 15

    요소 RDA FRBR 해당시 세부기술방안 MARC

    구현형 및개별자료 식별

    본표제 (T) 2.3.2 * M 사용 245

    대등표제 (T) + 2.3.3 M 사용 245

    표제관련정보 (T) + 2.3.4 M 사용 245

    RDA 레코드 기술 지침

    3.2.2 설문조사

    1) 레코드 생성자 설문조사 : COS, CCS, EOS, ECS

    COS, CCS, EOS, ECS 레코드 작성자가 기술할 4개의 설문지가 준비되었으며,

    레코드 작성자는 테스트의 일부로 생성한 모든 레코드에 대해 설문지를 작성한다.

    설문조사는 레코드 유형, 레코드 생성 시간 등의 객관적 정보와 목록 포맷의 익숙

    함, 문제점, 규칙의 불명확성, RDA 툴킷 사용의 문제점 등과 같은 주관적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Boehr, Reynolds & Shrader 2012, 128).

    2) 추가 설문조사

    ∙ 레코드 작성자 프로파일 설문조사(Record Creator Profile Survey, 이하 RCP) : 각 레코드 생성자의 경험, RDA 교육 등과 같은 인구통계정보와 RDA 적용에

    관한 의견을 조사한다.

    ∙ 레코드 이용자 설문조사(Record User Survey, 이하 RU) : 레코드의 이용가능성과 이해가능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한다.

    ∙ 기관설문조사(Institutional Questionnaire, 이하 IQ) : 관리를 위한 것이며 RDA 적용에 관한 의견과 RDA 적용의 긍정 혹은 부정적인 영향을 조사한다.

    ∙ 비공식참가자 설문조사(Informal Tester 이하 IT) : 비공식적 RDA 테스터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는 여러 공식 설문조사 내용의 일부를 포함하여 작성되었다

    (Boehr, Reynolds & Shrader 2012, 128).

    3.3 RDA 레코드 작성 지침

    LC는 목록데이터 입력시 일관성을 위해 RDA 요소에 해당하는 FRBR 및 MARC

    태그를 제시하고 이를 적용하는 세부적인 지침을 와 같이 마련하였다.

  • 16 | RDA, 새로운 도전 그리고 과제

    이전표제 (T) + 2.3.7 M사용(통합자료에 해당하며 247에 기술한다. 연속간행물의 경우 246 필드를 사용함)

    247246

    이후표제 (T) + 2.3.8 M 사용(연속간행물과 다권단행자원에 적용) 246

    등록표제 (T) + 2.3.9 M 사용 ISSN 할당과 연계 222

    축약표제 (T) + 2.3.10 M 사용 ISSN과 연계된 축약 등록표제인 경우 210

    표제관련책임표시 (T) 2.4.2 M모든 자원에 사용(다수인 경우 처음 기재된 것을 기술함)

    245

    판표시 (T) 2.5.2 M 사용 250

    개정판표시 (T) 2.5.6 M 사용 250

    순서상 첫 번째 호나 파트의 숫자와 문자표시 (T)

    2.6.2* M 사용(첫 번째 것이나 순서대로) 362

    순서상 첫 번째 호나 파트의 연차표시 (T)

    2.6.3* M 사용(첫 번째 것이나 순서대로) 362

    순서상 마지막 호나 파트의 숫자나 문자표시 (T)

    2.6.4* M 사용(첫 번째 것이나 순서대로) 362

    순서상 마지막 호나 파트의 연차표시 (T)

    2.6.5* M 사용(첫 번째 것이나 순서대로) 362

    생산일자 (T) 2.7.6* M 사용(출판되지 않은 형식의 자원의 경우) 264

    발행지 (T) 2.8.2* M사용(다수가 있다면 기재된 첫 번째 것을 기술함). 다르다면 최신 장소를 기술

    264

    발행처명 (T) 2.8.4* M사용(다수가 있다면 기재된 첫 번째 것은 기술함). 다르다면 최신 발행처를 기술

    264

    발행일자 2.8.6* M 사용 264

    배포지 (T) 2.9.2* M발행된 자원으로 발행지를 알 수 없는 경우 ; 다수가 있으면 첫 번째 기재된 것을 기술함.

    264

    배포처명 (T) 2.9.4* M발행된 자원으로 발행처를 알 수 없는 경우 ; 다수가 있는 경우 첫 번째 기재된 것을 기술함.

    264

    배포일자 2.9.6* M 발행된 자원으로 발행일자가 없는 경우 264

    제작지 (T) 2.10.2* M발행된 자원으로 발행지나 배포지 불명인 경우 ; 여러 제작지가 있는 경우 첫 번째 기재된 것을 기술함.

    264

    제작처명 (T) 2.10.4* M발행된 자원으로 발행처나 배포처 불명인 경우 ; 여러 제작처가 있는 경우 첫 번째 기재된 것을 기술함.

    264

  • RDA의 해외 도서관 적용 사례 | 17

    제작일자 2.10.6* M발행된 자원으로 발행일자, 배포일자, 저작권일자 불명인 경우

    264

    저작권일자 2.11* M 발행일자나 배포일자 불명인 경우 단행본에 기술 264총서본표제 (T) 2.12.2* M 사용 490

    총서 ISSN + 2.12.8* M 사용 490

    총서내 권차 (T) 2.12.9* M 사용 490

    하위총서본표제 (T) 2.12.10* M 사용 490

    하위총서 ISSN + 2.12.16* M 사용 490

    하위총서 권차 (T) 2.12.17* 사용 490

    간행형태 + 2.13 M 사용Ldr BiblLvl

    간기 + 2.14 M 사용 310/321

    구현형식별자 2.15* M 사용

    020, 022, 024, 027, 028, 030, 074, 086

    표제주기 + 2.20.2* M적용가능시 표제의 정보원에 대해 사용(연속간행물에는 항상 적용가능)

    500, 588

    자원의 식별자 기초로 사용되는 호, 파트 주기 +

    2.20.13*

    M 적용가능시 사용(연속간행물에 항상 적용가능) 588

    용기기술

    매체유형 + 3.2 M 사용 337용기유형 3.3 M 사용 338

    수량 3.4* M자원이 완질을 갖추거나 전체 수량이 파악된 경우에만 모든 자원에 적용(종간된 연속간행물에는 적용가능)

    300

    크기 + 3.5* M 연속간행물과 온라인전자자원에는 사용하지 않음. 300

    레이아웃 + 3.11 M 지도자원에 사용 300, 500

    디지털파일특성 + 3.19 M 지도자원에 사용 352

    용기특성내 변경사항 주기 +

    3.22.6* M용기 특성이 다양하고 새로운 기술을 하지 않는 경우 사용

    500

  • 18 | RDA, 새로운 도전 그리고 과제

    수서와 접근정보 제공

    이용제한 + 4.5* 일반적이지 않은 컬렉션에 제한하여 사용

    URL + 4.6* 사용 856

    저작, 표현형 속성기술

    식별자상태 + 5.7 사용 A 008/33

    참조정보원 + 5.8 사용 A 670

    목록자주기 + 5.9 특수상황에만 사용 A 667

    저작, 표현형 식별

    저작의 채택표제 6.2.2* W 사용A 1XX; 130, 240, 7XX

    저작의 형식 6.3 W 식별을 위해 필요한 경우A 1XX; 130, 240, 7XX

    저작의 일자 6.4* W 식별을 위해 필요한 경우A 1XX; 130, 240, 7XX

    저작의 기원일자 6.5 W 식별을 위해 필요한 경우A 1XX; 130, 240, 7XX

    연주매체 6.15* W(1)표제가 구분되지 않으면 적용가능시 기술(2)표제가 구분되지 않아 구별이 필요한 경우 기술

    A 1XX; 240, 7XX

    음악저작의 수치 표시

    6.16* W(1)표제가 구분되지 않으면 적용가능시 기술(2)표제가 구분되지 않아 구별이 필요한 경우 기술

    A 1XX; 240, 7XX

    조(KEY) 6.17 W(1)표제가 구분되지 않으면 적용가능시 기술(2)표제가 구분되지 않아 구별이 필요한 경우 기술

    A 1XX; 240, 7XX

    조약 등의 서명국 6.22 W 상호 조약의 양쪽 서명국A 1XX; 240, 7XX

    저작의 기타 식별특성

    6.6 W 구별이 필요한 경우A 1XX; 130, 240, 7XX

    저작의 식별자 6.8 W 사용 A 010

    내용유형 6.9 E 사용Leader/06336; A 336

    표현형일자 6.10* E 음악 저작과 종교 저작의 표현형에 대해 적절한 경우A 1XX; 130, 240, 7XX

  • RDA의 해외 도서관 적용 사례 | 19

    표현형 언어 6.11* E

    사용, 008/35-37, 041/546. (1)번역에 대한 전거형 접근점(2)동일 저작의 다수의 표현형이 편집물인 경우 원본 표현형에 대한 분출 전거형 접근점

    008/35-37; 041,546; 130, 240, 7XX; A 1XX; A 670

    표현형의 기타 식별 특성

    6.12 E 구별이 필요한 경우A 1XX; 130, 240, 7XX

    표현형 식별자 6.13 E 사용 A 010

    내용기술

    경도와 위도 + 7.4.2* W 사용 255

    대상이용자 + 7.7 W 어린이를 위한 자원에 사용적용가능시 008/22; 521

    학위논문정보 + 7.9* W 사용 502내용요약 + 7.10* E 어린이 소설에 사용 520

    언어 + 7.12* E 사용008/35-37,041, 546

    문자 + 7.13.2* E 일부 언어에 사용(LCPS 7.13.2.3참조) 546

    악보의 형식 + 7.13.3 E 사용 500, 546

    삽화내용 + 7.15 어린이를 위한 자원에 사용 300, 500

    보유내용 + 7.16* E 단행본내 색인과 서지에 사용 504

    악보 포맷 + 7.20 E 사용 500

    음악의 연주매체 + 7.21 E 사용 500

    시간 + 7.22 E 사용 300

    지도의 가로 축척 7.25.3 E 사용 255

    지도의 세로 축척 7.25.4 E 사용 255

    추가 축척 정보 + 7.25.5 E 사용 255

    지도의 도법 + 7.26* E 사용 255

    개인, 가족, 단체의 속성 기술

    식별 상태 + 8.10 사용 A 008/33

  • 20 | RDA, 새로운 도전 그리고 과제

    식별불가이름지시자 + 8.11 사용 A 008/32

    참고정보원 + 8.12 사용 A 670

    목록자 주기 + 8.13 특정 상황에서만 사용 A 667

    개인식별

    채택개인명 9.2.2* P 사용 A 100

    탄생일 9.3.2* P 사용 A 100

    사망일 9.3.3* P 사용 A 100

    활동기간 9.3.4* P 구별을 위해 필요한 경우 사용 A 100

    개인의 Title 9.4* P 사용 A 100

    완전명 9.5* P 사용 A 100

    개인과 관련된 기타 표시

    9.6 P 사용 A 100

    직업 9.16 P(1)개인의 이름이 개인을 나타내지 않는 구문으로 구성된 경우(2)구별을 위해 필요한 경우

    A 100

    개인식별자 9.18 P 사용 A 010

    가족식별

    채택가족명 10.2.2 F 사용 A 100

    가족의 유형 10.3 F 사용 A 100

    가족과 관련된 일자 10.4 F 사용 A 100

    가족과 관련된 장소 10.5 F 구별을 위해 필요한 경우 A 100

    가족의 중요 구성원 10.6 F 구별을 위해 필요한 경우 A 100

    가족식별자 10.9 F 사용 A 010

    단체식별

    채택단체명 11.2.2* C 사용 A 110

    회의장소 11.3.2 C 사용 A 111

    본부의 위치 11.3.3* C 구별을 위해 필요한 경우 A 110

    회의 일자 11.4.2 C 단행본으로 취급해 목록하는 회의자료에 사용 A 111

    시작일자 11.4.3 C 구별을 위해 필요한 경우 A 110

    종료일자 11.4.4 C 구별을 위해 필요한 경우 A 110

  • RDA의 해외 도서관 적용 사례 | 21

    관련기관 11.5 C

    (1) 기관의 이름이 로컬 장소명 보다 명확한 경우나 로컬장소명이 알려지지 않았거나 즉시 판단할 수 없는 회의자료

    (2)구별을 위해 필요한 경우

    A 11X

    회의 차수 11.6* C 사용 A 111

    단체와 관련된 기타 표시

    11.7* C(1)단행이름이 단체를 나타내지 않는 경우(2)구별을 위해 필요한 경우

    A 110

    단체 식별자 11.12 C 사용 A 010

    장소 식별

    채택장소명 + 16.2.2* PL RDA 11.2의 전후맥락에서 사용 A 110

    우선관계 기술

    구현된 저작17.8* M

    최신 실행 시나리오에서 17장을 적용하지 않음; MARC 서지레코드에 표현된 경우 이 핵심 요소는 저작의 전거형접근점에 포함된다. 자원이 편집물인 경우 이 요소에 관한 지침은26.1 참조

    구현된 표현형 17.10* M

    최신 실행 시나리오에서 17장을 적용하지 않음; MARC 서지레코드에 표현된 경우 이 핵심 요소는 표현형의 전거형접근점에 포함된다. 자원이 편집물인 경우 이 요소에 관한 지침은26.1 참조

    저작과 관련된 개인, 가족, 단체

    창작자 19.2* W

    사용(다수가 있는 경우 저작을 구현한 자원이나 참고정보원에 가장 먼저 기재된 주요 책임의 저자를 기술한다 ; 주요한 책임저자를 식별하지 못하는 경우 처음 기재된 저자만 기술한다.)

    RDA 핵심요건을 만족시킨 후에 목록자는 목록자의 판단에 따라 창작자의 추가 전거형접근점을제공할 수 있다.

    1XXA 1XX 7XX

    저작과 관련된 기타 개인, 가족, 단체

    19.3* W

    저작을 나타내는 전거형접근점을 구축하기 위해 개인, 가족, 단체를 나타내는 전거형접근점을 사용하는 경우

    RDA 핵심요건을 만족시킨 후에 목록자는 목록자의 판단에 따라 창작자의 추가 전거형접근점을제공할 수 있다.

    1XXA 1XX 7XX

    표현형과 관련된 개인, 가족, 단체

    기여자 + 20.2* E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자원의 삽화가에 대해 7XX

  • 22 | RDA, 새로운 도전 그리고 과제

    저작, 표현형, 구현형, 개별자료간의 관계 기술

    참조정보원 + 24.7 사용 A 670

    관련 저작

    관련 저작 + 25.1* W

    (1)내용주기 기술함(내용주기에 저작 수에 제한없음). 편집물에서 우세하거나 첫 번째 저작의 분석적 전거형접근점 기술 (2)순차적인 연속간행물 관계

    5XX;7XX

    관련 표현형

    관련 표현형 + 26.1* E

    (1)내용주기 기술함(내용주기에 표현형 수에 제한없음). 편집물에서 우세하거나 첫 번째 표현형의 분석적 전거형접근점 기술 (2)순차적인 연속간행물 관계

    5XX; 7XX

    관련 구현형

    관련 구현형 + 27.1* M 복제물의 경우5XX76X-787

    관련 개별자료

    관련개별자료 + 28.1* I 복제물, 제본, 희귀본5XX76X-787

    개인, 가족, 단체간의 관계 기술

    참조정보원 + 29.6* 사용 A 670

    관련 개인

    관련 개인 + 30.1* P, F, C 개체 식별을 위해 사용 A 500관련 단체

    관련 단체 + 32.1* P, F, C개체의 앞 뒤에 있는 단체명의 순차적 관계(종합표목에 대해 레코드에만 회의를 관계함)

    A 510※ 출처 : LC RDA Core Elements 2012

    (+) 핵심(core), 가능시 핵심(core if) 이외의 추가요소로 LC에서 선정되었으며 테스트를 위해 사용하는 요소

    (T) RDA 지침(take what you see)별 혹은 LC 정책이나 그 지침의 선택사항별로 기술된 요소

    (*) 단체의 핵심요소임을 지시하는 것 이외의 지침이나 지침과 관련된 선택사항에 대한 LCPS가 있음을 표시

    C=단체, M 구현형, E 표현형, P 개인 F 가족, PL 장소, I 개별자료, W 저작

    “A”는 전거포맷에 있는 태그임.

    별도의 MARC 인코딩 문서에 이 필드에 관한 정보가 있음을 표시

  • RDA의 해외 도서관 적용 사례 | 23

    3.4 분석방법

    3.4.1 레코드 분석

    RDA로 구축한 서지레코드는 10,570개, 전거레코드는 12,800개로 구축된 전체 서

    지와 전거레코드는 23,366건이었다.

    25개의 COS는 AACR2나 RDA로 목록한 동일 표제 간을 상호 비교할 수 있는 표

    제이다. 따라서 조정위원회는 COS 레코드를 깊이 있게 분석하였다.

    EOS, ECS의 추가 레코드를 기대 보다 많이 제출하였지만 레코드를 분석할 여력

    이 없었다. 따라서 EOS, ECS 레코드의 평가는 비도서자료를 RDA로 기술할 경우

    나타나는 변경사항에 중점을 두어 분석하였다. 추가 레코드와 관련된 설문조사에서

    레코드 생성의 전반적인 경험과 어려움에 관한 의견을 조사할 수 있었다. 설문조사

    에서 나타난 이러한 어려움이 레코드 생성의 정확성에 영향을 주는 지를 살펴보기

    위해 설문조사와 관련된 실질적인 레코드를 검색하여 확인하였다(US RDA

    Coordinating Committee 2011, 35).

    COS 레코드를 검토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만드는데 조정위원들은 AACR2와

    RDA 규칙 모두 과도한 선택사항이 있고, 목록자가 판단할 여지가 매우 많다는 것

    을 인식하였다. 표준화된 레코드는 일부 필드에서는 다수의 유효한 선택사항을 포함

    하였다. 생성된 COS 표제 레코드는 3개 국가도서관이 각각 평가를 하기 위해 나누

    었으며 조정위원회는 MARC 레코드의 필드별로 데이터를 코드화한 점수체계를 마련

    하였다. 즉 A(적용할만한 핵심 요소), M(핵심요소 미싱), AA(추가적으로 적용할만

    한 요소), RE(규칙에러 핵심요소), ARE(규칙에러 추가요소), ME(MARC 에러 핵심

    요소), AME(MARC에러 추가요소)이다. RDA를 MARC로 기술하는 것이 어렵다는

    의견 때문에 조정위원회는 MARC 에러와 규칙 에러를 구분하여 분석하였다(US

    RDA Coordinating Committee 2011, 36).

    3.4.2 설문조사 분석

    서베이몽키를 이용한 설문조사건수는 와 같이 8,509개였다. 조정위원회는

    설문조사 응답 분석에서 질적, 양적 데이터를 얻기를 원하였다. 분석을 위해 설문조

    사 데이터는 3개의 주된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즉 레코드 생성을 위해 필요한 시

    간과 같은 수치데이터, 여러 선택 응답 데이터, 자유기술방식의 데이터였다.

  • 24 | RDA, 새로운 도전 그리고 과제

    설문조사명 약어 설문조사건수응답하지 않은

    기관

    기관설문 IQ 29 0

    레코드생성자프로파일 RCP 219 3

    레코드 이용설문조사 RU 163 4

    COS 설문 COS 1,200 0

    EOS 설문 EOS 5,908 1

    CCS 설문 CCS 111 7

    ECS 설문 ECS 801 7

    비공식테스터 설문 IT 80 해당없음

    설문조사명과 건수

    ※출처 : US RDA Coordinating Committee 2011, 37

    3.5 조사 결과

    3.5.1 레코드 생성

    1) 생성레코드 분석

    COS 레코드는 25개로 각각 AACR2와 RDA 규칙을 적용하여 목록하고, 이를 비

    교하였다. 에러 패턴은 목록규칙의 문제라기 보다 자원의 특성과 복잡성에 기인하였

    다. 특히 RDA와 AACR2의 목록 지침이 명확한 차이를 나타내는 요소에서 일관된

    에러 패턴을 나타냈다. 즉 발행지, 발행 및 저작권일자, 관계어표시 등이다. 특히

    대문자법에 대해 자관의 정책을 따르도록 한 RDA 선택규칙은 많은 논의를 불러일

    으켰다. 이 선택사항에 대한 LC 지침은 자료에 기재된 대로 기술하거나 RDA의 부

    록 A의 대문자법을 따르도록 하였다.

    과 같이 RDA의 경우 전체 입력 요소가 AACR2보다 많았으며, 각 규칙 당

    핵심요소의 생략, 규칙오류, MARC오류를 조사한 결과 RDA에서 핵심요소 누락이

    더 낮았고, 규칙 에러 및 MARC 에러는 비슷하였다.

  • RDA의 해외 도서관 적용 사례 | 25

    해당 요소 핵심요소 누락 규칙 에러 MARC 에러

    전체RDA 14.4 0.6 1.6 0.3

    AACR2 10.6 0.9 1.5 0.3

    도서RDA 15.4 0.6 1.5 0.3

    AACR2 13.8 0.8 1.4 0.3

    A/VRDA 15.5 0.9 2.0 0.1

    AACR2 11.7 0.6 1.7 0.1

    연속RDA 15.5 0.5 2.0 0.6

    AACR2 9.3 0.8 1.7 0.4

    계속자료RDA 11.9 0.4 1.2 0.2

    AACR2 8.9 1.4 1.1 0.4

    COS 레코드 분석

    ※출처 : US RDA Coordinating Committee 2011, 54, 55, 57, 58, 60 편집

    단행본 입력시 RDA의 레코드 에러 패턴은 레코드에 구현된 저작에 접근점 생략,

    발행정보에서 발행지 정보, 발행일자, 저작권일자에서 오류가 있었다. A/V 자료의

    경우 약어 사용의 혼동이 많았으며, 첫 번째 저작의 접근점을 생략한 것, 복잡한

    출판정보 기술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연속간행물의 경우 회의자료명에서 장소와

    일자를 생략한 것, 단체명의 우선접근점(1XX)에서 간행기관이나 스폰서기관의 관계

    표시어 포함, 부정확한 일자 정보를 기술한 것, 인쇄자원이 있는 전자저널을 복제

    물로 목록할 것인지에 관한 혼동 등이었다. 계속자원의 경우 RDA에서 표제의 정보

    원 생략, 정확하지 않은 날짜 정보 등이었다(US RDA Coordinating Committee

    2011, 55-61).

    2) 입력소요 시간

    (1) RDA와 AACR2 입력시간 비교

    COS를 RDA로 입력하는 데 있어 3개월의 연습기간으로 인한 경험 부족과

    Toolkit 사용의 어려움으로 목록시간을 길게 만들었다. 전체적으로 COS를 AACR2

    로 작성하는데 걸린 평균시간은 50분이며, RDA로 서지레코드를 작성하는데 소요된

    시간은 81분이었다.

  • 26 | RDA, 새로운 도전 그리고 과제

    EOS에 비해 COS를 AACR2와 RDA 서지레코드 작성에 걸린 시간이 모두 길었는

    데 이는 특정 테스트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RDA로 서지레코드를 작성하는 데 걸린

    시간은 AACR2로 서지레코드를 작성한 시간 보다 30분이 더 소요되었다(US RDA

    Coordinating Committee 2011, 63-65).

    (2) EOS의 RDA 입력시간

    EOS를 RDA 레코드로 생성하는데 걸린 시간은 평균 31분이었으며, 전문사서는

    32분, 준전문사서는 21분, 학생은 98분이 소요되었다. 이 시간에는 동료와의 상담

    시간이나 전거작업 시간이 포함되지 않는다. 처음 10개 레코드를 RDA로 목록하는

    데 걸린 평균시간이 53분이었으며, 익숙해지면서 20번째 레코드부터 목록시간은 26

    분으로 단축되었다.

    ECS로 카피목록하는 데에는 레코드당 평균 30분이 소요되었으며, 전문사서는 평

    균 25분, 준전문사서는 25분, 학생은 68분이 소요되었다(US RDA Coordinating

    Committee 2011, 45-48).

    3.5.2 이용자 조사

    RDA 레코드가 목록 이용에 얼마나 적합한지를 평가하기 위해 직원과 이용자의

    의견을 각 기관별로 조사하였다. RDA 레코드의 긍정적이고 부적적인 특성을 표시

    하도록 하고, AACR2와 장단점을 비교한 후 RDA 레코드의 이해도와 이용자 서지정

    보요구와 부합하는지에 관해 전반적으로 평가하였다.

    163개의 설문조사가 수집되었고, 일부는 집단 설문을 포함하고 있었다. 응답자는

    도서관 직원이거나 학생들이었다. 응답자는 전체적으로 RDA 레코드를 선호한다는

    의견을 보여주었다. 85%는 RDA 레코드는 대부분 혹은 완전하게 자신들의 목록레코

    드 요구에 부합한다고 응답하였으며, 15%는 RDA 레코드는 자신들의 목록요구에 일

    부 혹은 전혀 부합하지 않는다고 대답하였다.

    RDA레코드가 FRBR의 찾기, 식별, 선정, 획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85.2%

    가 답하였다. RDA 레코드는 AACR2에 비해 명확하고 완전하다고 생각하였다. 왜냐

    하면 과거에 약자화되었던 것이 완전형으로 풀어 기술되고, 라틴어 약자가 더 이상

    사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s.n.] 대신‘publisher not identified’를 기

    술한다. RDA 레코드는 출판물에 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한다고 답변하였다. 책임사

    항에 3인 이하 저자 기술 규칙(Rule of three)이 사용되지 않아 결과적으로 많은 저

    자가 기술될 수 있었다. 개인 이름에 저자와 기여자 관련 표시기호를 기술하고, 책임

  • RDA의 해외 도서관 적용 사례 | 27

    사항에 저자의 소속기관을 추가하는 것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그 외에도 GMD

    보다 내용, 용기, 매체 유형의 기술, 표제 및 책임표시사항에 기재되어 정보를 방해

    하는 GMD의 삭제, 발행처와 자원의 수량 기술에서 더 완전한 기술, 성경의 통일표

    제 형식에서 변화나 전거레코드의 상세 기술사항도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반면 부정적인 평가로는 내용, 매체, 용기 유형의 채택을 지지하면서도 GMD를

    기술하지 않는 것에 대해 부정적이었다. AACR2의 GMD는 이용자가 레코드에서는

    출판물의 유형을 즉시 판단할 수 있어 높게 평가되었다. GMD를 선호하는 이용자조

    차 RDA의 내용, 매체, 용기를 표현하는 용어가 명확하지 않고 혼동스럽다고 응답하

    였다. 예를 들어‘unmediated’라는 용어는 문제가 있는 것처럼 의미없이 반복적으

    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요소가 과연 이용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의문을

    가졌다. 뿐만 아니라 너무나 많은 불필요한 정보를 완전하게 풀어서 기술하고 있으

    며, 책임사항에 과도한 저자의 기술은 혼동을 줄 수 있었다(US RDA Coordinating

    Committee 2011, 67-70).

    3.5.3 RDA 내용

    1) 장점, 단점, 제안사항

    설문조사 중 RDA 내용 자체에 대한 조사에서 긍정적인 요소를 다음과 같이 제시

    하였다. 역할어 사용, 통제어휘 사용, 명확한 관계 기술, 33X필드 기술, 명확한 전

    사, 기술할 데이터 요소의 융통성, 자원유형의 패싯식 기술, 목록자 판단의 중요성,

    비디오와 전자자원의 완전한 기술이었다.

    단점은 사례가 충분하지 않은 것, 선택사항이 과도하게 많은 것, 규칙 참조가 과

    도하게 많은 것, 기술할 자원과 관련한 모든 규칙을 찾기가 용이하지 않은 것, 장과

    절이 세분화된 것, 복잡성 등이었다.

    제안사항으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제시되었다.

    ∙ 사례 추가가 필요함. ∙ RDA가 특정 스킴이나 포맷에 종속되지 않아야 한다는 사항은 이해할 수 있지만 현실적으로 RDA가 MARC으로 대부분 기술되기 때문에 MARC 맥락에서 사례를

    추가할 필요가 있음.

    ∙ 중복을 줄이기 위해 각 섹션의 소개 문장을 축약하는 것∙ AACR2와 RDA 레코드 간이 기술의 차이를 비교하는 섹션을 추가하는 것∙ FRBR 개체를 고려하지 않고 RDA 요소 셋의 관점에서 기술됨.∙ MARC 이후의 데이터 모델과 엔코딩 구조가 요구됨.

  • 28 | RDA, 새로운 도전 그리고 과제

    ∙ 관련 표시어 기술의 확장이 필요함. ∙ 접근점 특히 표현형 접근점에 관한 추가 지침이 필요함(US RDA Coordinating Committee 2011, 83-85).

    2) 내용의 어려움

    COS 목록자들 중 54.2%는 목록의 내용 혹은 지침에서 선택사항에서 적절한 규칙

    을 선정하는데 어려움을 나타났으며, 39.9%는 어려움을 나타내지 않았다. EOS 목

    록자들의 경우 어려움을 표현하지 않은 경우는 81.9%이고, 14.5%는 어려움을 표현

    하였다. EOS 보다 COS 목록자가 어려움을 표현한 것은 COS 레코드를 먼저 목록하

    여 규칙에 익숙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CCS 레코드 목록시 어려움을 느낀다고 답한 응답자는 19.8%이고, 41.5%는 어려

    움을 느끼지 않는다고 답하였다. ECS의 경우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다고 답한 경우

    가 67.3%이고 목록지침 내용 적용이나 목록지침 내 선택사항 선정 시 어려움을 느

    끼는 경우가 29.2%로 나타났다(US RDA Coordinating Committee 2011, 86-90).

    3) 자료유형에 따른 문제

    EOS에서 82%는 레코드를 완성할 때 문제점은 없다고 밝혔지만, 비도서포맷 작업

    에서는 더 많은 어려움을 제기하였다. 비도서자료와 관련된 문제로는 RDA가 텍스

    트 기반 전자자료에 집중하고 있어 다른 전자자료나 비도서에 관한 적절한 지침이

    부족하였다.

    자료유형 기술에서 GMD 대신 내용, 매체, 용기 유형을 기술하는 방식에 대해 의

    견이 다양하였으며, GMD의 손실은 OPAC 디스플레이에 명확한 영향을 줄 수 있어

    33X 필드와 관련된 많은 제안이 제시되었다. 즉 33X 용어는 공통된 이용을 반영해

    야 하며, 여러 집합의 자원이 있는 경우 관련된 요소가 연결될 수 있도록 집합단위

    로 처리되어야 한다. 또한 블루레이, wii게임과 같은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용어가

    추가되어야 한다.

    자료유형별로 살펴보면 먼저 지도의 경우 지도관련 규칙과 사례가 과도하게 많고

    불균형적이다.

    전자자원의 경우 게임과 같은 멀티미디어 자원에 해당하는 내용유형이 없고, 비디

    오게임과 컴퓨터 멀티미디어 게임을 구분하는 내용용어가 필요하다. 또한, DVD가

    비디오디스크의 역할과 컴퓨터 디스크의 역할을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사례와 같이

    혼합 매체용기의 용기유형에 대한 기술 방안도 필요하다. 전자자원에 해당하는 용어

  • RDA의 해외 도서관 적용 사례 | 29

    가 매우 제한적이고 명확하지 않다. 예를 들어, 컴퓨터란 용어는 적절하지 않으며,

    온라인이라는 용어는 데이터 연결이 필요하다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온라

    인자원이라는 용어도 적합하지 않다.

    동영상자원의 경우 가정용비디오와 같이 출판되지 않은 동영상자원에는 표제, 발

    행사항 등 핵심요소가 자료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동영상자료에는 출판이라는 용어

    대신 생산, 배포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 비디오자료에 발행지가 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생산국가가 중요한데 RDA에서는 이를 기술하지 않는다. RDA는 인터뷰

    일자와 같이 구현형의 생산과 관련되지 않은 기타 날짜를 기술하는 지침이 없다.

    RDA에서 더빙된 영화와 여러 언어의 사운드트랙을 가진 영화의 복수 표현형 처리

    에 관한 명확한 지침이 없다. 또한,‘2003년 재편집’과 같이 영화의 특정 표현형은

    혼란을 가중시킨다. 이러한 정보는 보통 위쪽에 기재되어 있거나 표시가 없기 때문

    에 더 큰 문제가 된다. 실질적으로 영화는 여러 표현형을 갖는데, 예를 들어, 배율

    에 따른 것과 감독컷(director's cut)과 같이 비공식적인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음악자원의 경우도 표현형 기술에 문제가 있고, 서양 고전음악에는 적합하지만 대

    중음악이나 전통음악 기술이 용이하지 않다. 첫째, 연주매체와 저작의 형식은 동일한

    이름을 가진 저작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연주매체는 이용자에게 명확한 접근방식

    이다. 그러나 RDA내 용어는 AACR2에서 채택한 것으로 이용시 적합하지 않고, 부분

    통제되며, 서양약기만을 다루고 있다. 둘째 규칙은 고전 서양음악에 중점을 두고 있

    으며, 대중음악과 전통음악에서 연주자는 연주한 저작의 주요 창작자이지만 RDA는

    이를 적용하지 못한다. 셋째, 완전한 앨범으로 혹은 개별 트랙별로 음악을 다운로드

    하여 구입한 경우 기술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다운로드한 것을 다른 구현형으로

    취급해야 하는가? 하나의 앨범 내에 하나만 다운로드한 경우나 여러 트랙을 구입한

    경우는 어떻게 취급해야 하는가?(US RDA Coordinating Committee 2011, 92-96).

    3.5.4 시스템, 메타데이터

    현행 시스템에서 RDA 레코드 생산은 기술적으로 가능하다. MARC21은 RDA의

    내용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당부분 변경되었다. 서지에서 336, 337, 338, 전거에서

    046, 37X, 38X가 새롭게 추가된 필드이다. 시스템 개발업체에서 이러한 필드를 수

    용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수정하면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기존 도서관시스템에서 RDA 기반 MARC 레코드를 반입하고 저장하는 것은 용이

    하지만 이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고 색인화하는 것은 상당한 수정이 필요하다. 즉 데

    이터를 필터링하고, FRBR화하여 제공하기 위해서는 전반적인 수정이 요구된다.

  • 30 | RDA, 새로운 도전 그리고 과제

    일부에서 RDA는 기존의 MARC 환경에서는 현실화되기 어렵다고 주장한다. RDA

    의 주요 목적에는 자원 관계를 명확하게 표현하는 것이지만, MARC으로 현행 시스

    템 내에서 이러한 관계를 쉽게 디스플레이하고, 이용시키기 어렵기 때문이다. 일부

    시스템 개발자와 벤더는 MARC 환경에서 RDA를 적용하는 것은 큰 혜택이 없을 것

    이라고 지적한다. 따라서 새로운 메타데이터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MARC 기반 구조에서 RDA의 잠재성을 볼 수 있지만 RDA의 혜택은 MARC의 대

    안 포맷이 개발될때 완전하게 실현될 것이다(US RDA Coordinating Committee

    2011, 100-102).

    3.5.5 자관에서 운영

    개별도서관의 운영은 RDA 실행으로 영향을 받을 것이고, 업무흐름의 변경으로

    새로운 업무 지침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답변하였다. 62.6%의 응답자는 RDA의

    실행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답변하였다. 왜냐하면, RDA 레코드 생성

    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RDA 실행을 위해 초기 비용도 많이 필요하다. RDA 실

    행으로 주로 영향을 받는 업무는 수서, 카피목록, 원목, 서지파일관리이다. 특히 서

    지파일 관리 문제에서 전거형접근점이 RDA하에서는 다른 형식이 될 것이라고 답변

    하였다. RDA를 채택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결정이 요구된다.

    1) 색인

    - 관계 표시어를 가진 전거형접근점을 목록에서 어떻게 디스플레이할 것인가?

    - 관계 표시어가 없는 유사한 전거형접근점을 어떻게 디스플레이할 것인가?

    2) 전거형접근점

    - 기존 전거형접근점을 RDA 형식으로 변경하는 경우 로컬 목록에 적합한가?

    - 로컬 목록에서 단체의 약어형식을 완전형식으로 보여줄 것인가?

    - 로컬도서관은 성경의 통일표제를 RDA 형식으로 보여줄 것인가?

    3) 카피목록

    - 도서관은 AACR2 카피목록을 받아들일 것인지 혹은 RDA로 편집할 것인가?

    - AACR2 카피레코드의 전거형접근점을 RDA 형식으로 변환할 것인가?

  • RDA의 해외 도서관 적용 사례 | 31

    4) 내용/매체/용기 유형에 관한 정보 디스플레이

    - 목록에서 내용, 매체, 용기 유형을 어떻게 디스플레이할 것인가?

    - 간략레코드와 완전 레코드 디스플레이를 할 것인가?

    - 정보의 표현은 이해가능한 방식으로 표현할 것인가?

    3.5.6 RDA 실행

    RDA의 채택에 관한 기관의 의견과 레코드 작성자의 의견을 살펴보았다. 기관의

    의견 중 34%는 RDA를 실행해야 한다고 답하였으며, 28%는 RDA를 실행해야 하지

    만 일부 수정이 필요하다고 답하였으며, 14%는 RDA를 실행할 필요가 없다고 답하

    였다. 레코드 작성자의 경우 25%는 RDA를 실행해야 한다고 답하였으며, 30%는 필

    요 없다고 답하였다. 45%는 RDA 실행이 필요하지만 수정이 필요하다고 답하였다.

    RDA 실행의 장점을 다음과 같이 응답하였다.

    - RDA는 이용자의 태스크에 중점을 두어 자원의 특성과 관계를 식별할 수 있다.

    - 서지메타데이터의 이용과 재이용에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고 있다.

    - RDA는 이러한 요소셋을 위한 새로운 스킴의 개발을 독려하고 자원의 발견을

    위한 새로운 시스템 개발을 장려한다.

    - RDA는 이용자 중심으로 FRBR, FRAD의 이용자 태스크를 구현한다.

    - 라틴어 약어 보다 이용자의 언어 사용, 더 많은 관계 제시, 책임사항에 많은

    내용 기술, 전거레코드 등에 데이터를 더 많이 기술하는 것 등이다.

    4. 국외도서관의 RDA 적용 현황

    4.1 시카고 대학교(University of Chicago)

    4.1.1 배경

    2010년 시카고 대학 RDA 테스트그룹은 단행본, 전자자원, 연속간행물을 RDA 레

    코드로 작성하기로 결정하였다. 테스트 레코드이지만 이는 RDA 요소를 가진 레코

    드로 시카고대학 목록시스템에 존재한다.

    시카고 대학 내 RDA 테스크그룹은 RDA 선택사항에 관한 자관 적용 지침을 만들

    기 위해 LC 정책성명을 검토하였다. 목록부서는 도서관의 선택 사항 적용에 대해

    OCLC Contract Cataloging과 협력하였다.

    도서관에서 교육을 위한 프리젠테이션에서는 RDA와 AACR2간의 차이점을 비교하

  • 32 | RDA, 새로운 도전 그리고 과제

    고, 디스플레이시 RDA가 출력되는 것을 보여주었다.

    RDA가 배포되고, 교육이 제공된 후 원목사서는 OCLC에서 RDA가 적용된 마스터

    레코드를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카피목록자는 OCLC에서 RDA 카피 레코드를 받아

    처리하였다. 이후 공식적인 테스트가 2010년 10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되었다. 최종

    적으로 시카고 대학은 RDA를 사용할 것을 결정하였다(University of Chicago

    Library Timeline for RDA Testing 2010).

    4.1.2 RDA MARC21 기술

    테스트 기간 동안 시카고대학은 LC의 정책성명에 따라 목록을 실시하며, LC의

    핵심요소(core element)와 해당시 핵심요소(core element if) 이외의 서지와 전거레

    코드에 포함될 요소를 분석하였다. 핵심요소로 열거되지 않은 요소는 목록자의 판단

    에 따라 기술하였다. 예를 들어, 표제관련정보, 저작권일자는 단행본에는 핵심요소

    이지만 연속간행물과 갱신자료에서는 목록자의 판단사항이다. 그 외에도 총서의

    ISSN, 하위총서의 ISSN, 매체유형, 참조정보원은 목록자의 판단사항이다. 대안, 선

    택적 생략, 선택적 추가에 대한 목록자의 판단을 적용한다. 세부적인 RDA MARC

    기술방식은 다음과 같다(University of Chicago's Policies & Decisions on

    Choices in RDA 2010).

    1) 책임표시 (100-110)

    ∙ 모든 관계지시어를 ▾e에 입력한다. ∙ 공동저작의 경우 핵심 책임저자가 없는 경우, 창작자로 첫 번째 기재된 저자를 기술한다(AACR2의 경우는 표제로 기재할 수 있음).

    ∙ 편집물의 경우 창작자로 첫 번째 저작의 저자를 기술하지 않는다.∙ 이름을 식별하는데 필요하지 않더라도 전거형접근점 내에 Jr., Sr., IV와 같은 것을 포함시킨다.

    ∙ 월을 날짜에 포함시키는 경우 축약하지 않는다. ∙ 날짜가 2년 중 하나인 경우 두 번째 날짜도 4 digit로 기술한다. (1742 or 1743)∙ 세기, 대략적인 날짜, 왕성하게 활동한 날짜도 축약하지 않는다. ∙ 이름이 개인을 식별하기 어렵거나 다른 이름과 식별할 필요가 있는 경우 활동이나 직업 분야를 추가한다.

    ∙ 다른 사람과 구별하기 위해 직분의 표제, 학위, 조직내 회원을 나타내는 문구를 추가하지 않는다.

  • RDA의 해외 도서관 적용 사례 | 33

    ∙ 가족명은 추가할 수 있다. 다른 가족명과 구별하기 위해 괄호 안에 가족의 유형을 포함하고, 날짜, 장소 등을 포함시킨다.

    2) 채택표제 (통일표제)

    ∙ 신약과 구약을 축약하여 기술하지 않는다. (예) Bible. Old Testament

    Bible. New Testament

    ∙ 성경이 개별 도서나 도서의 집합인 경우 Bible 다음에 Testament라는 이름을 포함시키지 않는다.

    ∙ Here Beginneth와 같은 소개 구문을 생략하지 않는다. ∙‘Selection’만 사용하지 않고,‘Work. Selections’로 기술한다. ∙ 여러 표제를 가진 동일한 저작의 동시출판물의 경우 먼저 입수된 자원의 표제를 사용한다. home country에 따른 자원의 표제를 채택하지 않는다.

    ∙ 저작을 구분하기 위해 포맷, 날짜, 장소, 연주매체, 음악저작의 숫자표시, 조, 기타 특성과 같은 요소를 추가한다.

    ∙ 동일 저작의 표현형 간을 식별하기 위해 언어, 날짜, 기타 특성과 같은 요소를 추가한다.

    3) 본표제

    자원에 있는 대로 오류가 있더라도 그대로 기술한다. 단 연속간행물과 통합자원은

    예외이다. GMD를 기술했던 ▾h를 기술하지 않는다. 편집물의 첫 번째 저작의 표제를 사용하지 않는다. 종합표제가 없는 경우 양쪽 표

    제를 기술한다. 대안으로 본표제를 고안한다.

    4) 책임표시

    모든 책임표시를 기술한다. 선택적으로 첫 번째 저자만을 기술하고 각괄호에 축약

    되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지만 LC는 테스트에서 이 선택사항을 적용하지 않는 것

    으로 결정하였다.

    기재된 대로 기술한다. 축약한다는 선택사항을 따르지 않는 한, 귀족의 칭호, 호

    칭, 명예칭호, 학회의 이니셜, 설립일자, 모토 등과 같은 사항을 생략하지 않는다.

    책임사항의 모든 이름에 대해 부출할 것인지 혹은 목록자의 판단에 따를 것인지

    혹은 부출을 하고 일부는 하지 않은 후 관련시간을 비교할 것인지를 판단해야 한다.

  • 34 | RDA, 새로운 도전 그리고 과제

    5) 판사항

    자료에 기재된 대로 기술한다. 약어화하지 않거나 숫자로 변환하지 않는다. 음악의

    표현 표시(presentation statement)는 254필드에 기술하지 않고 판표시에 기술한다.

    6) 발행사항

    발행처는 여러 발행처가 있는 경우 첫 번째 것만은 반드시 기술한다. 이름의 형태

    를 축약하지 않지만 단체명에서 상위 계층은 생략할 수 있다. 자원에 발행처가 없는

    경우 [s.n.]대신 [publisher not identified]로 기술한다.

    발행지는 올바르지 않은 정보를 수정하지 않고, 이에 대한 설명을 주기한다. 여러

    발행지가 있는 경우 첫 번째 것은 필수적으로 기술하고, home country의 원칙이

    더 이상 중요하지 않다. 자원에 발행지가 없는 경우 가능한 개연성있는 발행지를 기

    술하되 국가명이라도 기술한다. 개연성있는 발행지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 [S.l.]대

    신 [Place of publication not identified]로 기술한다. 세부적인 장소의 상위 관할

    구역명을 기술하지 않는다.

    발행일자는 260 ▾c를 사용하며, 출판되지 않은 자원의 경우 가능한 대략적인 날짜를 기술한다. 대략적인 일자 기술시“ca”를 사용하지 않고, [2010], [2009 or

    2010], [2010?] 혹은 [between 2008 and 2010], [between 2008 and 2010?],

    [not before ... ], [not after ... ]를 사용할 수 있다.

    배포지는 발행처명 다음 260 ▾a에 기술한다. 발행지를 파악할 수 없고 배포지 정보만 자원에 있는 경우 이를 반드시 기술한다. 가능한 개연성있는 장소를 기술한다.

    개연성있는 장소가 없는 경우 [Place of distribution not identified]로 기술한다.

    배포자명은 260 ▾b를 반복하여 사용한다. 발행처를 파악할 수 없고 배포 정보만 자원에 기재된 경우에 필수적으로 기술한다. [distributor]와 같은 역할어를 추가한다.

    배포정보가 자원에 없는 경우 [distributor not identified]를 기술할 필요가 없다.

    배포일자는 발행일자를 파악할 수 없고, 배포정보가 자원에 기재된 경우에 필수적

    으로 기술한다. [date of publication not identified] 다음에 260 ▾c를 추가한다. 배포정보가 자원에 없는 경우 [date of distribution not identified]를 기술할 필요

    가 없다.

    7) 크기

    불완전한 경우 연속간행물에는 기술하지 않지만, 다권 단행자원과 통합자원의 경

    우에는 기술한다. 약어화하지 않고, pages와 volumes를 사용한다.

  • RDA의 해외 도서관 적용 사례 | 35

    ‘ca’대신‘approximately’를 기술하고‘i.e.’대신‘that is’를 기술한다.

    각괄호에 숫자를 기술하기보다‘unmumbered’를 기술한다.

    close score나 miniature score 대신 study score를 사용한다.

    컴퓨터디스크와 컴퓨터광디스크에 대해 computer disc를 사용한다.

    8) 내용유형 (336)

    내용이 표현되고 인간의 감각으로 인식되는 커뮤니케이션의 기본 형식을 반영하

    는 것으로 RDA의 용어리스트에서 채기한다. 복수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대안으

    로 우세하거나 가장 근본적인 내용을 기술한다.

    336 ▾2에 rdaconent를 기술한다. 자원의 일부분이 내용유형인 경우 이를 나타내기 위해 ▾3을 사용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a나 필드자체를 반복한다.

    9) 매체유형(337)

    자원을 시청하고, 작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중개 장치의 일반 유형을 반영하는 것

    으로 RDA의 용어리스트에서 채기하며, 핵심요소는 아니다.

    337 ▾2에 rdamedia를 기술한다. 자원의 일부분이 매체유형인 경우 이를 지시하기 위해 ▾3을 사용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a나 필드자체를 반복한다.

    10) 용기유형(338)

    자원을 이용하는데 필요한 저장매체의 포맷과 중개 장치의 유형을 반영하는 것으

    로 RDA의 용어리스트에서 채기한다.

    338 ▾2에 rdacarrier를 기술한다. 자원의 일부분이 용기유형인 경우 이를 지시하기 위해 ▾3을 사용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a나 필드자체를 반복한다.

    11) 연속간행물의 권호(362)

    자원에 기재된 대로 권호차 용어와 연월차 표시를 기술한다. 기관의 정책에 따라

    숫자를 기술하지만, LC에서는 테스트를 위해서 자원에 기재된 대로 기술하도록 권

    고하였다.

    12) 총서표시(490)

    440을 490/830으로 변경하여 기술한다. 490 필드의 경우 표제 기술과 동일한 규

    칙에 따라 부정확한 것을 수정하지 않고 기술한다. 490 필드에 권호의 경우 연속간

  • 36 | RDA, 새로운 도전 그리고 과제

    행물 권호와 동일한 규칙에 따라 자원에 있는 대로 용어와 월을 기술하고, 기관의

    정책에 따라 숫자를 기술한다. 단, LC의 경우는 테스트를 위해 자원에 있는 대로

    기술한다.

    13) 학위논문 주기(502)

    ▾b(학위유형), ▾c(학위수여기관명), ▾d(학위수여연도), ▾g(기타 정보), ▾o(논문식별자)를 사용한다.

    14) 전거형접근점 - 개인, 가족, 단체와 자원간의 관계 (700-710)

    ▾e에 관계 표시어를 추가한다. 이름을 식별하는데 필요하지 않더라도 전거형접근점에 Jr., Sr., IV와 같은 표제를 포함시킨다. 월을 날짜에 포함시키는 경우 축약

    하지 않는다. 날짜가 2년 중 하나인 경우 두 번째 날짜도 4 digit로 기술한다(1742

    or 1743). 세기, 대략적인 날짜, 왕성하게 활동한 날짜도 축약하지 않는다. 이름이

    개인을 식별하기 어렵거나 다른 이름과 식별할 필요가 있는 경우 활동이나 직업 분

    야를 추가한다. 다른 사람과 구별하기 위해 직분의 표제, 학위, 조직내 회원을 나타

    내는 문구를 추가하지 않는다. 가족명은 추가할 수 있다. 다른 가족명과 구별하기

    위해 괄호 안에 가족의 유형을 포함하고, 날짜, 장소 등을 포함시킨다.

    15) 전거형접근점 - 자원간의 관계 (700-711 ▾t 혹은 730-740)RDA에서는 불필요하지만 LC는 테스트를 위해 이를 추가하였다. 필드가 시작할

    때 ▾i에 관계표시자를 추가한다. 부록 J에 있는 용어를 사용하는 경우 괄호 안에 FRBR 개체를 기술한다.

    16) 자원간의 관계 기술 - 비구조적 (765-787)

    RDA에서는 불필요하지만 LC는 테스트를 위해 이를 추가하였다(Davis 2010).

    4.1.3 화면 출력

    저자의 역할어를 기술하고 이를 화면 출력에서 제시하고 있다. 번역저작을 집중시

    키기 위해 통일표제를 기술한다. 자원유형은 기술하지만 실재 RDA 자료 디스플레

    에서는 자원유형이 생략되어 있다. 형태기술시‘pages’를 그대로 기술한다.

  • RDA의 해외 도서관 적용 사례 | 37

    Univ. of Chicago RDA 기반 MARC21 입력 사례

    ※출처 : http://libcat.uchicago.edu

  • 38 | RDA, 새로운 도전 그리고 과제

    Univ. of Chicago 화면 출력

    ※출처 : http://libcat.uchicago.edu

    4.2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NCSU)

    4.2.1 RDA MARC21 기술

    1) 현행 목록정책

    모든 단행본의 원목은 RDA를 이용하여 기술한다. 카피목록을 하는 경우 RDA 레

    코드인 경우는 그대로 반입하고, AACR2로 작성된 경우는 이를 RDA로 변환한다.

    RDA 레코드에서는 245 ▾h에 데이터를 기술하지 않고 336-338을 기술한다.

    2) 336-338

    33X필드는 RDA의 내용, 매체, 용기 유형을 기술하는 것으로 NCSU에서는 이 필드

    를 모두 입력한다. 아직까지 33X로 디스플레이하는 장점을 찾기 어렵다(UCSU 2013).

  • RDA의 해외 도서관 적용 사례 | 39

    3) 전거형접근점과 관계표시어

    전거형접근점을 서지레코드에 생성한다. 전거형접근점에서 관계표시어 기술할 때

    목록자의 판단에 따른다. 일반적으로 1xx, 7xx내에 관계표시어를 기술한다. 테스트

    기간 중에 UCSU는 전거형접근점 내에 관계표시어를 입력하였으며 100 ▾e author로 입력하였다. 만일 적절한 관계 표시어가 없는 경우 가능한 명확하게 관계를 나타

    내는 용어를 사용한다.

    4) 책임표시기술

    책임표시사항 기술에서 해당하는 책임사항 전체를 기술하며, 선택적 생략을 적용

    하지 않는다. 책임표시를 축약하지 않고, 책임표시의 이름을 생략하지 않는다. 245

    ▾c에 여러 저자가 기술된 경우, 우선적인 책임사항을 갖는 저자나 먼저 기재된 저자를 1xx에 기술하고 나머지 저자는 7xx에 기술한다. 245 ▾c에 4명의 저자가 기술된 경우 과거 AACR2에서는 표제기본기입을 기술한 반면 RDA에서는 주요 저자를

    1xx에 기술한다.

    5) 발행년 기술

    가능한 발행년을 기술하되, 필요하다면 저작권일자를 기술할 수 있다. 저작권일자

    는 RDA 규칙에 있는 대로 적용한다. 즉 발행일자와 배포일자가 없는 경우 저작권

    일자를 기술한다. 목록자가 판단하기에 저작권일자가 너무 명확하다고 판단되는 경

    우 발행, 배포, 제작일자 뿐만 아니라 저작권일자를 기술한다(NCSU 2013).

    4.2.2 화면 출력

    336-338을 입력하지만 NCSU 시스템에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개별자

    료의 유형에 다른 포맷기반 아이콘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NCSU 2013).

  • 40 | RDA, 새로운 도전 그리고 과제

    NCSU RDA 기반 MARC21 입력화면

    ※출처 : http://catalog.lib.ncsu.edu/

  • RDA의 해외 도서관 적용 사례 | 41

    NCSU 화면 출력

    ※출처 : http://catalog.lib.ncsu.edu/

    4.3 스탠포드 대학교(Standford University)

    4.3.1 배경

    RDA는 새로운 웹기반 목록 규칙으로 RDA 테스트에 참석하였다. 이를 위해 메타

    데이터 부서내 14명의 목록자가 참여하였다. 스탠포드내 자체 교육프로그램이 제공

    되었고, 공식적인 RDA 테스트가 2010년 12월 31일 시작되었다. AACR2와 RDA 모

    두로 목록하는 COS, RDA로만 레코드를 작성하는 EOS 레코드를 생성하였다. 목록

    담당자는 온라인 설문조사에 응답하였다. 스탠포드는 새로운 규칙으로 목록 변환에

    근본적인 시간과 노력을 들여 RDA로 목록을 계속할 것을 결정하였다(Stanford

    University 2010).

    4.3.2 RDA MARC21 입력

    스탠포드는 LC의 입력지침인 LC RDA core elements for the RDA Test 핵심요

    소와 해당시 핵심요소 및 추가요소를 입력한다. 하지만 예외적으로 열거되지 않은

    요소는 목록자의 판단에 따라 기술한다.

  • 42 | RDA, 새로운 도전 그리고 과제

    1) 구현형과 개별자료

    배포지, 배포처, 배포일자는 발행지, 발행처, 발행일자를 기술할 수 없는 경우에

    만 기술한다.

    2) 수서와 접근정보

    URL 기술은 목록자의 판단에 따른다.

    3) 내용기술

    대상 이용자와 내용 요약은 기술하지 않으며, 음악 악보의 형식, 악보 포맷, 음악

    의 연주매체는 목록자의 판단에 따라 기술한다.

    4) 저작과 관련된 개인, 가족, 단체

    모든 창작자에 대해 전거형접근점을 제공한다. 기여자는 목록자의 판단에 따른다

    (Stanford University 2010).

    4.3.3 화면 출력

    발행일자, 저작권일자가 모두 제시되고, 자료의 언어, 저자의 역할어가 기술된다.

    336-338의 자원유형은 화면 출력되지 않는다.

    Standford 화면 출력

    ※출처 : http://library.stanford.edu/

  • RDA의 해외 도서관 적용 사례 | 43

    Standford 화면 출력

    ※출처 : http://library.stanford.edu/

    5. 결론

    지금까지 RDA 적용사례를 살펴보기 위해 2011년 진행된 RDA 테스트 분석과

    RDA 테스트에 참가한 도서관 중 데이터 기여가 많았던 3개 도서관을 선정하여 이

    들 도서관의 RDA 목록규칙 적용방식과 온라인목록 화면출력을 살펴보았다.

    RDA 테스트 분석결과 미국에서 RDA를 수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RDA 테스트를 위해 2010년 RDA 입력지침이 만들어졌으며, 테스트에 참가한 도서

    관의 상당수가 RDA를 적용하여 목록 레코드를 작성하였고, 이후 RDA를 적용하거

    나 적용할 예정이다. 물론 소급입력까지는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현행 자료는 RDA

    로 기술되는 경우가 많았다.

    반면 국내에서는 서양서의 경우 해외 도서관의 목록데이터를 반입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RDA에 대한 적용방안이 명확히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국내

    에서는 RDA에 따른 목록기술을 준비해야 할 것이며, RDA에 대한 이해가 필요할

    것이다. 특히 목록측면에서는 다양한 선택사항이 제시되어 있는 RDA 규칙을 어떻

    게 적용할 것인지를 고려해야 한다. 또한 RDA는 목록을 중심으로 연구되고 있는데

    이용자 측면에서 RDA의 화면출력 방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사례로 살펴본 3

    개 도서관의 화면출력방식은 내용은 비슷하지만 일관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용자가

  • 44 | RDA, 새로운 도전 그리고 과제

    보다 편리한 방식으로 화면출력에 대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이미화. 2011. AACR2에서 RDA로 목록규칙 변화에 따른 KCR4의 고려사항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정보관리학회지』, 28(1): 23-42.

    Boehr, D., R. R. Reynolds & T. Shrader. 2012. The U.S. RDA test process.

    Serials Librarian, 62: 125-139.

    Davis, R. 2010. Changing AACR2 records to RDA records

    IFLA. 2009. Functional Requirements for Authority Data. NY: Saur.

    Oliver, C. 2010. Introducing RDA : a guide to the basics. 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University of Chicago Library Timeline for RDA Testing. 2010.

    University of Chicago's Policies & Decisions on Choices in RDA. 2010.

    LC RDA Core Elements. 2012.

    NCSU. 2013. RDA

    Stanford University. 2010. RDA Test Stanford vs. LC decisions

  • 주제발표2

    RDA 적용을 위한 국내 도서관계의 대응 방안- 김정현(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 RDA 적용을 위한 국내 도서관계의 대응 방안 | 47

    RDA 적용을 위한 국내 도서관계의 대응 방안

    김정현 | 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목 차

    1. 서언

    2. 국제목록규칙의 동향과 RDA

    2.1 국제목록규칙의 동향

    2.2 RDA의 구조와 특성

    3. RDA 적용을 위한 전망과 국내 도서관계의 대응

    3.1 RDA 적용을 위한 전망

    3.2 국내 도서관계의 RDA 적용 필요성과 과제

    4. 결언

    1. 서언

    미국의회도서관의 B.B. Tillett은“만약 도서관을 계속 존속시켜야 한다면, 우리

    는 도서관을 이용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것으로 해야 한다. 점점 더 많은 서비스가

    웹에 존재하게 되고, 정보자원에 관하여 필요한 것은 모두 웹에 있다고 많은 사람이

    기대하고 있다”라고 하면서 오늘날 도서관의 어려운 환경을 대변하고 있다.

    도서관은 웹상에서의 존재감을 얻기 위해 큰 진전을 이루었지만, 오래된 카드목록

    의 전자 버전을 제공하고 있는 것에 불과한 도서관도 많다. 소장 자료를 열거하고

    선형적으로 단순하게 나타내고 있는 목록 접근은 기술된 자원의 디지털 버전에 대

    한 링크를 포함하는 경우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른 관계 자원이나 그것을 뛰어넘

    어 기계처리가 가능한 연결은 제외하고 있다. 기술사항의 단순 나열을 하고 있는 목

    록 방법에서 컴퓨터 시스템이 이해할 수 있는 식별 특성과 개인, 가족, 단체 및 다

    른 자원과 관계 표시에 의한 자원 기술로 확장할 필요가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이

    용자는 필요한 정보를 빨리 얻기 위하여 링크된 대체 자원의 내용을 검색할 수 있

    다. 그것은 또한 목록 작업을 쉽게 하기 위해 더 나은 시스템에 이르게도 된다.

    1990년대 이후 목록과 관련하여 이러한 문제들을 제기하면서 AACR2가 21 세기

    에는 더 이상 유용 한 규칙이 아니라는 우려를 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위기의식을 바탕으로 JSC(Joint Steering Committee for Development of RDA)는 그동안 수많

  • 48 | RDA, 새로운 도전 그리고 과제

    은 노력과 시행착오를 거듭하면서 Panizzi, Cutter, Lubetzky 등의 선각자로부터

    파리원칙과 국제목록원칙규범, FRBR 및 FRAD에 이르기까지 전통을 계승하여 마침

    내 RDA라는 새로운 규칙을 제정하였다.

    RDA가 제정되자마자 2013년 3월부터 LC와 OCLC를 비롯한 많은 도서관들이

    RDA를 적용하기 시작하였으며, 조만간 이들의 서지레코드가 국내에도 반입될 것이

    다. 또한 일본의 경우 2010년부터 RDA를 반영하여 목록규칙을 전면 개편하기 시작

    하였다. 이 연구는 국제목록규칙의 동향과 RDA의 특성, RDA의 적용을 위한 전망

    과 국내 도서관계의 대응 방안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2. 국제목록규칙의 동향과 RDA

    2.1 국제목록규칙의 동향

    목록의 기원은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목록을 대표하는 Ashurbanipal 도

    서관 및 Alexandria 도서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당시의 목록은 문헌을 검

    색하기 위한 수단이라기보다는 단순한 증거기록을 위한 수단 즉, 재산목록의 수단으

    로 단순히 서지정보를 기술한 것이며, 오늘날의 목록개념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

    오늘날의 목록법이 확립되기까지 많은 노력과 시행착오를 거듭하며 발전하여 왔

    다. 파리원칙(Paris Principles) 이전의 대표적인 목록이론이라고 할 수 있는 1841

    년 Panizzi의 대영박물관 목록규칙, 1876년 Cutter의 사전체목록규칙, 그리고 1953

    년 Lubetzky의 Cataloging Rules and Principles에서는 들 수 있다. 이들 규칙에

    는 1998년 IFLA의 FRBR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이용자 요구’와‘저작’이라는 아

    이디어가 이러한 규칙에 이미 함축되어 있었다.

    국제수준에서 서지정보의 유통과 교환을 위한 원칙이 1961년 10월 파리에서 개최

    된 국제목록원칙회의에서 승인되었으며, 이것이 오늘날 파리원칙으로 알려져 있다.

    파리원칙을 기반으로 ISBD와 AACR이 제정되어 있으며, 2009년 국제목록원칙규범이

    제시되기까지 각국의 목록기반이 되어 왔다. 국제목록원칙규범은 파리원칙 시대의

    이러한 목록이론을‘세계의 위대한 목록법의 전통’으로 그 계승을 강조하고 있을 뿐

    만 아니라, 여기에 더해 국제목록원칙규범에는 개념모형인 FRBR이 존재한다. 국제

    목록원칙규범은 이 FRBR과 함께 FRAD에 나타난 개념모형을 전제로 작성되어 있다.

    한편 2010년 제정된 RDA는 바로 FRBR의 탄생과 그 맥을 같이 한다고 할 수 있

    다. 디지털세계를 위해 설계된 새로운 표준이 RDA이다.1) 즉, 이는 전통적인 도서관

  • RDA 적용을 위한 국내 도서관계의 대응 방안 | 49

    목록이 아니라 웹 기반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모든 매체에 대한 서지기술과

    접근점을 제공하기 위한 다국적 내용의 표준을 지향하고 있다. 지금까지 국제표준서

    지기술의 역할을 수행하여온 ISBD가 있지만, 최근의 흐름을 보면 RDA가 표준을 선

    도하고 있는 양상이다.

    ISBD도 2011년 통합판을 발간하면서 FRBR에 부합할 수 있도록 개정되었다. LC

    에서는 2012년 RDA를 반영하여 MARC 21을 개정하였으며, 특히 RDA의 부록에 리

    스트로 제시된 각종 관계어를 MAR 21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구조화하였다.

    2.2 RDA의 구조와 특성

    2.2.1 RDA의 구조

    RDA의 내용목차는 구성에 있어 과 같이 AACR2R과 크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RDA에서 사용하고 있는 용어와 개념, 카테고리는 어디에서 유래

    한 것인지 바로 확인할 수 있는데 이러한 개념들은 바로 FRBR과 FRAD에서 사용하

    는 것들이다. 따라서 RDA의 기본 철학은 FRBR과 FRAD의 개념모형이다. 그리고

    RDA는 FRBR과 FRAD의 개념모형에 근거하여 여러 부(section)로 나누고, 각 부는

    FRBR의 서지개체에 따라 구분하고 있다. 처음 4개의 부는 RDA의 서지개체 속성기

    록에 관한 내용이고, 나머지 제5부∼제10부까지는 개체들 사이의 관계 기록에 관한

    것이다. 개체가운데 주제에 해당되는 부분인 FRSAD는 RDA 구조에는 포함되어 있

    지만 현재는 대부분 빠져있는 상태이며, 향후 개발될 예정에 있다.

    1) Alan Danskin. RDA : Resource Description and Access. A Prospectus, 5JSC/RDA/ Prospectus/ Rev/7 (1 July 2009), [cited 2013. 10. 5].

  • 50 | RDA, 새로운 도전 그리고 과제

    AACR2R과 RDA의 목차 구성

    AACR2R RDA

    기술(description) 제1장 기술의 일반총칙 제2장 단행본, 팜프렛 제3장 지도자료 … 제12장 계속자료

    속성(attributes) 제1부 구현형과 개별자료의 속성 기록 제2부 저작과 표현형의 속성 기록 제3부 개인, 가족, 단체의 속성 기록 제4부 개념, 대상, 사건, 장소의 속성 기록

    표목, 통일표제, 참조(headings, uniform title, references) 제21장 표목선정 제22장 개인표목 제23장 지역명 제24장 단체표목 제25장 통일표목 제26장 참조

    관계(relationships) 제5부 저작, 표현형, 구현형, 개별자료 간의 주요 관계 기록 제6부 자원과 관련된 개인, 가족, 단체와의 관계 기록 제7부 개념, 대상, 사건, 장소와의 관계 기록 제8부 저작, 표현형, 구현형, 개별자료간의 관계 기록 제9부 개인, 가족, 단체간의 관계 기록 제10부 개념, 대상, 사건, 장소간의 관계 기록

    2.2.2 RDA의 특성

    1) FRBR 및 FRAD를 기반으로 함

    RDA의 가장 큰 특징은 무엇보다 전체적인 이론적 기반을 FRBR과 FRAD에 두고

    있다는 점이다. 즉, RDA는 기본적으로 기술요소를 FRBR과 FRAD에서 제시하고 있

    는 속성과 관계로 구분하여 각 개체간의 특성을 정의하고 있다.

    FRBR은 IFLA에서 제안한 서지레코드의 개념모형이다. 목록의 대상이 되는 서지

    적 세계를 개체, 속성, 관계의 3가지로 구분하여 모형화한 다음 서지레코드에 필요

    한 데이터 요소를 제시한 것이다.

    여기서 개체는 이용자의 관심 대상을 모형화 한 것으로 크게 3개 집단으로 구분

    하고 있다. 제1집단은 지적 예술적 창작물 그 자체를 나타내는 개체 즉, 저작을 의

    미하며, 저작의 개념을 저작, 표현형, 구현형, 개별자료의 4가지로 구분하여 정의하

    고 있다. 제2집단은 지적 예술적 창작물에 책임을 지고 있는 개체 즉, 개인, 가족,

    단체의 3개로 구분하고 있다. 제3집단은 지적 예술적 창작물의 주제를 나타내는 개

    체 즉, 개념, 대상, 사건, 장소의 4개 개체로 구분하고 있다.

    속성은 각 개체가 지니고 있는 성질이나 특성이며, 개체 고유의 속성(저작의 표제,

    저자명, 발행자 등)과 외적으로 부여된 속성(표준번호, 분류기호 등)이 있다. 이용자

    는 자신이 찾기 원하는 개체가운데 하나 이상의 속성을 사용하여 탐색을 하게 된다.

  • RDA 적용을 위한 국내 도서관계의 대응 방안 | 51

    관계는 개체와 개체간의 관련을 나타낸 것으로 어떤 개체와 다른 개체간의 연결

    을 말하며, 목록이나 서지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이용자 내비게이션을 지원하는 역할

    을 한다.

    FRAD는 FRBR에서 정의한 서지개체를 출발점으로 하여 지금은 개인, 가족, 단체

    로 정의하고 있다. 제3집단의 개체는 제1집단의 개체인 저작의 주제를 표현하기 위

    한 개체이다. 여기에는 개념, 대상, 사건, 장소와 같이 4개의 개체를 포함하고 있

    다. 또한 여기에는 제1집단과 제2집단의 개체도 저작의 주제가 될 수 있다. 즉, 경

    우에 따라서는 한 저작이 다른 저작의 주제가 될 수도 있고, 개인이나 단체가 주제

    로 취급되는 경우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RDA는 처음부터 끝까지 FRBR 및 FRAD의 사상과 내용을 근간으로

    그 내용이 전개되고 있으며, 특히 이러한 논리성과 철학성이 기존의 AACR2R과 같

    은 목록규칙과 차별화 되는 점이다.

    2) 자원의 물리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을 구분

    RDA의 특징 가운데 하나가 자원유형을 전반적으로 자료의 물리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기술하고 있다. 앞서 에서와 같이 AACR2R과 RDA의 목

    차를 비교해 보면 AACR2R에서는 자원유형별로 장이 구성되어 있지만, RDA에서는

    기술요소별로 되어 있다.

    그동안 목록규칙에서 구분하고 있는 자료유형을 분석해 보면 AACR2R을 비롯한

    기존의 구분 방법이 편의적이며, 비논리적임을 알 수 있다. 즉, 구분의 기준이 내용

    유형, 매체유형, 수록매체유형, 발행유형 등의 개념으로 혼재되어 있다. 예를 들면,

    지도자료는‘지도’라는 내용이 수록된 자료이다. 지도를 전자형태의 내비게이션으로

    제작하면 지도자료와 전자자료의 2가지 개념이 포함되어 있다. 그래서 RDA에서는

    지금까지의 자원유형표시를 기재하지 않고 대신에 물리적 측면인 매체유형과 수록

    매체유형, 내용적 측면인 내용유형으로 구분하여 기술하고 있다. 그런데‘연속간행

    지도자료’라고 하면‘연속간행물’이라는 발행형태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보다 엄

    밀히 말하면 자원의 유형에는 발행유형2)도 추가되어야 한다.

    3) 기술과 접근을 분리하지 않음

    AACR2R에서는 자료의 식별을 위한‘기술부’와 자료검색의 수단 또는 문헌집중

    2) RDA 1.1.3에는 자원의 유형을 발행유형(mode of issuance)에 따라 다권본 단행자료, 연속간행물, 통합자원의 3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 52 | RDA, 새로운 도전 그리고 과제

    을 위한‘표목부’(접근점)라는 구조로 규칙이 구성되어 있었지만 RDA에서는 목록기

    능에 있어 기술과 접근을 분리하지 않고 있다.3)

    RDA 구조의 근간이 되고 있는 FRBR은 서지레코드가 완수해야 할 기능과 데이터

    요소를 이용자 요구와 연결시켜 정의하여 구조화하고 있다. 즉, 이용자의 관심 대상

    인 개체의 속성 및 관계가 있고, 이용자는 그 속성 및 관계를 통해 자원을 탐색, 발

    견, 식별, 선택 및 입수한다. RDA는 이러한 이용자 과업을 지원할 데이터 구축을

    위해 포괄적인 지침으로 자리잡고 있지만 이것은 소위 종래의 목록기능을 재구축한

    것이나 다름없다. AACR2R의 기술(제1부)과 표목(제2부)라는 규칙 구조를 통해 그동

    안 수행하여왔던‘자료의 식별’과‘자료의 검색’이라는 기능분담은 제거되고, RDA

    에서는 구현형과 개별자료 속성을 기록하는 것으로 자원의 탐색, 발견, 식별, 선택,

    입수 기능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또 저작과 표현형 속성을 기술하여 문헌집중 기능

    이 높아지고 관련있는 자원(異版) 파악과 식별, 나아가 이용자 요구에 보다 적합한

    자원선택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리고 개체간의 관계를 기술하여 이용자 목록이나 서

    지데이터베이스의 내비게이트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RDA에서는 목록기능

    에 있어 기술과 접근의 분리를 하지 않고 있다.

    4) 접근점이라는 용어사용과 기본기입 개념의 유지

    AACR2R에서 가장 문제가 되었던 용어는‘기본기입(main entry)’과‘통일표제

    (uniform title)’라고 할 수 있다. RDA에는‘기본기입’이라는 용어는 나타나 있지

    않으며, 또한‘표목(heading)’이라는 용어를 대신하여‘접근점(access point)’이라

    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4) 그러나 AACR2R의 서두에 기술되어 있는“기술대상 자

    료에 대해 하나의 기본기입을 작성하고, 여기에 부출기입(added entry)을 한다”고

    하는 종래의 목록법 전제가 되고 있는 방식을 RDA에서 완전히 제거했다고 볼 수는

    없다. 그리고 RDA에는‘통일표제’라는 용어는 나타나 있지 않으며,‘저작의 채택표

    제(preferred title for the work)’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5) 저작자명과 함께

    저작의 채택표제를 링크하는 경우, 저작에 대한 전거형 접근점이 된다. 즉, RDA에

    서는 종래의 통일표목에 해당하는‘전거형 접근점(authorized assess point)’과 참

    조에 해당하는‘이형 접근점(variant access point)’에 의해 기본기입의 개념이 유

    지되고 있다.

    3) 松井純子. “RDA改訂に見るFRBRの具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