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237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Upload: arte

Post on 21-Jul-2016

218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DESCRIPTION

 

TRANSCRIPT

Page 1: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Page 2: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발행인

주성혜

발행일

2015.01.

발행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

학교문화예술교육본부장 노준석

정책연구팀장 ��홍유진

정책연구팀� � � � � � � � � � � � � � 류윤호

등록

KACES-1440-R011

ISBN�

978-89-6748-137-7� 93300

문의

Tel.� (02)6209-5900

Fax.� (02)6209-1392

E-mail.� [email protected]

www.arte.or.kr

ⓒ본 보고서의 내용을 인용할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명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본 보고서의 저작권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 있습니다.

Page 3: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제출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장 귀하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최종보고서를 제출합니다.

연구진

연구책임자김상범 (주)월드리서치 연구본부 상무

공동연구자임수열 (주)월드리서치 연구3본부 본부장

박남희 과학문화전시디자인연구소 책임연구원

연구보조원황경하 (주)월드리서치 실사본부 실장

조민준 (주)월드리서치 자료처리팀 팀장

문병일 (주)월드리서치 연구3본부 선임연구원

㈜월드리서치본 연구의 내용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의견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age 4: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Page 5: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목차

Ⅰ. 서론 1

1. 조사의 필요성 3

2. 조사의 목적 3

3. 문화역량의 개념 4

3.1. 문화의 개념 5

3.2. 문화예술의 개념 6

3.3. 역량의 개념 6

3.4. 문화역량의 개념 7

4. 문화역량 지표체계 8

4.1. 문화역량 개념 모형 8

4.2. 문화역량 측정모형 및 지표체계 10

4.3.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에서 문화역량 지표의 활용 11

Ⅱ. 조사개요 13

1. 전체 조사 개요 15

2. 응답자 특성 16

3. 조사내용 18

4. 주요 분석 방법 20

4.1. 측정 정도 및 환산 방식 20

4.2. 세부 영역별 지표 산출 방법 20

4.3. 지표별 집단 구분 방법 21

Ⅲ. 조사결과 분석 23

1. 문화역량 지표체계 25

Page 6: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2. 세부 영역별 조사결과 27

2.1. 감수성 27

2.2. 상상력 36

2.3. 취향 43

2.4. 관심·지식 69

2.5. 이해 77

2.6. 참여 84

2.7. 표현력 106

2.8. 공감 114

2.9. 소통 123

2.10. 관용 134

3. 삶의 질 142

3.1. 어제의 행복도 142

3.2. 삶에 대한 만족도 143

3.3. 일에 대한 가치 부여도 144

3.4. 문화역량과 삶의 질 145

3.5. 문화예술활동 참여와 삶의 질 146

3.6. 문화 동호회 활동 참여와 삶의 질 147

4. 특성별 문화역량 148

4.1. 성별 148

4.2. 연령별 149

4.3. 최종학력별 152

Page 7: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목차 |iii

4.4. 자녀의 취학 상태 155

4.5.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경험에 따른 문화역량 158

Ⅳ. 결론 161

1. 문화역량 기초조사의 시사점 164

1.1. 문화역량 지표의 특징 164

1.2. 특성별 문화역량 분석 165

1.3. 문화예술활동 현황 166

1.4. 문화역량 지표와 삶의 질과의 관계 168

2. 문화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제언 169

3. 문화역량 지표 활용을 위한 제언 172

부록 173

조사 설문지 175

Page 8: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v|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표 목차

<표 1-1> 국내 법률상의 문화의 개념 5

<표 1-2> 인지적 측면과 비인지적 측면의 세부 요소 6

<표 1-3> 문화역량 개념에 대한 선행 연구 7

<표 1-4> 문화역량 구성 요소 및 개념 정의 9

<표 1-5> 문화역량 지표체계 10

<표 2-1> 전체 조사 개요 15

<표 2-2> 문화역량 구성 요소별 조사내용 18

<표 2-3> 기타 문항 조사내용 19

<표 2-4> 4점 척도 환산 방식 20

<표 2-5> 10점 척도 환산 방식 20

<표 2-6> 문화역량 수준 산출 문항 20

<표 2-7> 문화역량 지표별 집단 구분 21

<표3-1> 감수성 영역 문항1의 응답자 특성 31

<표3-2> 감수성 영역 문항2의 응답자 특성 32

<표3-3> 감수성 영역 문항3의 응답자 특성 33

<표3-4> 감수성 영역 문항4의 응답자 특성 34

<표3-5> 감수성 영역 문항5의 응답자 특성 35

<표3-6> 상상력 영역 문항1의 응답자 특성 40

<표3-7> 상상력 영역 문항2의 응답자 특성 41

<표3-8> 상상력 영역 문항3의 응답자 특성 42

<표3-9> 취향 영역 문항1의 응답자 특성 44

<표3-10> 취향 영역 문항2의 응답자 특성 45

<표3-11> 취향 영역 문항3의 응답자 특성 46

<표3-12> 취향 영역 문항4의 응답자 특성 47

<표3-13> 취향 영역 문항5의 응답자 특성 48

Page 9: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목차 |v

<표3-14> 여행 중 문화활동 참여 경험 지표 49

<표3-15> 응답자 특성별 여행 중 공연예술 관람 참여 정도 50

<표3-16> 응답자 특성별 여행 중 시각예술 관람 참여 정도 51

<표3-17> 응답자 특성별 음악 장르별 문화적 가치_전통음악 53

<표3-18> 응답자 특성별 음악 장르별 문화적 가치_트로트/뽕짝 54

<표3-19> 응답자 특성별 음악 장르별 문화적 가치_재즈/블루스 55

<표3-20> 응답자 특성별 음악 장르별 문화적 가치_발라드/포크/컨트리 56

<표3-21> 응답자 특성별 음악 장르별 문화적 가치_힙합/랩/댄스 57

<표3-22> 응답자 특성별 음악 장르별 문화적 가치_락/헤비메탈 58

<표3-23> 응답자 특성별 음악 장르별 문화적 가치_종교음악 59

<표3-24> 응답자 특성별 음악 장르별 문화적 가치_뮤지컬 60

<표3-25> 응답자 특성별 음악 장르별 문화적 가치_클래식 61

<표3-26> 응답자 특성별 음악 장르 선호도_전통음악 및 트로트/뽕짝 63

<표3-27> 응답자 특성별 음악 장르 선호도_재즈/블루스 및 발라드/포크/컨트리 64

<표3-28> 응답자 특성별 음악 장르 선호도_힙합/랩/댄스 및 락/헤비메탈 65

<표3-29> 응답자 특성별 음악 장르 선호도_종교음악 및 뮤지컬 66

<표3-30> 응답자 특성별 음악 장르 선호도_클래식 67

<표3-31> 관심·지식 영역 문항1의 응답자 특성 73

<표3-32> 관심·지식 영역 문항2의 응답자 특성 74

<표3-33> 관심·지식 영역 문항3의 응답자 특성 75

<표3-34> 관심·지식 영역 문항4의 응답자 특성 76

<표3-35> 이해 영역 문항1의 응답자 특성 81

<표3-36> 이해 영역 문항2의 응답자 특성 82

<표3-37> 이해 영역 문항3의 응답자 특성 83

<표3-38> 응답자 특성별 문화활동을 위한 동호회 참여 유무 85

<표3-39> 응답자 특성별 적극 참여 문화 동호회 86

<표3-40> 응답자 특성별 참여 문화 동호회 소속 87

Page 10: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vi|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표3-41> 응답자 특성별 문화예술 행사 관람 경험 89

<표3-42> 응답자 특성별 문화예술 행사 관람 의향 90

<표3-43> 응답자 특성별 문화예술 창작 또는 발표 경험 92

<표3-44> 응답자 특성별 문화예술 분야 자원봉사활동 참여 유무 94

<표3-45> 응답자 특성별 주로 활동한 자원봉사 분야 95

<표3-46> 응답자 특성별 월 평균 독서량 96

<표3-47> 문화예술교육 효과 비교 97

<표3-48> 응답자 특성별 정규교육과정의 문화예술교육 효과_관심도 98

<표3-49> 응답자 특성별 정규교육과정의 문화예술교육 효과_이해정도 99

<표3-50> 응답자 특성별 정규교육과정의 문화예술교육 효과_참여동기 100

<표3-51> 응답자 특성별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참여_음악 101

<표3-52> 응답자 특성별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참여_무용 102

<표3-53> 응답자 특성별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참여_미술 103

<표3-54> 응답자 특성별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참여_문학 104

<표3-55> 응답자 특성별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참여_연극ㆍ영화 105

<표3-56> 표현력 영역 문항1의 응답자 특성 110

<표3-57> 표현력 영역 문항2의 응답자 특성 111

<표3-58> 표현력 영역 문항3의 응답자 특성 112

<표3-59> 표현력 영역 문항4의 응답자 특성 113

<표3-60> 공감 영역 문항1의 응답자 특성 118

<표3-61> 공감 영역 문항2의 응답자 특성 119

<표3-62> 공감 영역 문항3의 응답자 특성 120

<표3-63> 공감 영역 문항4의 응답자 특성 121

<표3-64> 공감 영역 문항5의 응답자 특성 122

<표3-65> 소통 영역 문항1의 응답자 특성 128

<표3-66> 소통 영역 문항2의 응답자 특성 129

<표3-67> 소통 영역 문항3의 응답자 특성 130

Page 11: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목차 |vii

<표3-68> 소통 영역 문항4의 응답자 특성 131

<표3-69> 소통 영역 문항5의 응답자 특성 132

<표3-70> 소통 영역 문항6의 응답자 특성 133

<표3-71> 관용 영역 문항1의 응답자 특성 138

<표3-72> 관용 영역 문항2의 응답자 특성 139

<표3-73> 관용 영역 문항3의 응답자 특성 140

<표3-74> 관용 영역 문항4의 응답자 특성 141

<표3-75> 응답자 특성별 어제의 행복도 142

<표3-76> 응답자 특성별 삶에 대한 만족도 143

<표3-77> 응답자 특성별 일에 대한 가치 부여도 144

<표3-78> 문화역량과 삶의 질 145

<표3-79> 문화예술활동 참여와 삶의 질 146

<표3-80> 문화 동호회 활동 참여와 삶의 질 147

<표3-81> 성별 문화역량 지표 비교 148

<표3-82> 연령별 문화역량 지표 비교 149

<표3-83> 연령별 문화예술 행사 참여 횟수 150

<표3-84> 연령별 동호회 활동 참여율 151

<표3-85> 최종학력별 문화역량 지표 비교 152

<표3-86> 최종학력별 문화예술 행사 참여 횟수 153

<표3-87> 최종학력별 동호회 활동 참여율 154

<표3-88> 자녀의 취학 상태에 따른 문화역량 지표 비교 155

<표3-89> 자녀의 취학 상태에 따른 문화예술 행사 참여 횟수 156

<표3-90> 자녀의 취학 상태에 따른 동호회 활동 참여율 157

<표3-91>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경험에 따른 문화역량 비교 158

<표3-92>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경험에 따른 문화예술 활동 참여 159

<표3-93> 문화예술교육 경험에 따른 동호회 활동 참여율 160

Page 12: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viii|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그림 목차

<그림1-1>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의 흐름 4

<그림1-2> 문화역량의 개인적·사회적 차원의 순환구조 8

<그림1-3> 문화역량 측정모형 10

<그림3-1> 문화역량 측정모형 및 조사 결과 25

<그림3-2> 감수성 영역 종합 27

<그림3-3> 성·연령별 감수성 28

<그림3-4> 학력별·소득별 감수성 28

<그림3-5> 비정규 문화예술교육 및 자녀의 취학상태별 감수성 29

<그림3-6> 감수성과 삶의 질 29

<그림3-7> 감수성과 문화예술 행사 관람 30

<그림3-8> 세부 문항별 결과_상상력 영역 36

<그림3-9> 성·연령별 상상력 37

<그림3-10> 최종학력 및 월평균 가구소득별 상상력 37

<그림3-11> 비정규 문화예술교육 및 자녀의 취학상태별 상상력 38

<그림3-12> 상상력과 삶의 질 38

<그림3-13> 상상력과 문화예술 행사 관람 39

<그림3-14> 세부 문항별 결과_취향 영역 43

<그림3-15> 여행 중 문화활동 참여 경험 49

<그림3-16> 음악 장르별 문화적 가치 52

<그림3-17> 음악 장르별 선호여부 62

<그림3-18> 음악 장르별 문화적 가치와 선호도 bi-Plot 68

<그림3-19> 세부 문항별 결과_관심·지식 영역 69

<그림3-20> 성·연령별 관심·지식 70

<그림3-21> 최종학력 및 월평균 가구소득별 관심·지식 70

<그림3-22> 비정규 문화예술교육 및 자녀의 취학상태별 관심·지식 71

Page 13: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목차 |ix

<그림3-23> 관심·지식과 삶의 질 72

<그림3-24> 관심·지식과 문화예술 행사 관람 72

<그림3-25> 세부 문항별 결과_이해 영역 77

<그림3-26> 성·연령별 이해 78

<그림3-27> 최종학력 및 월평균 가구소득별 이해 78

<그림3-28> 비정규 문화예술교육 및 자녀의 취학상태별 이해 79

<그림3-29> 이해와 삶의 질 80

<그림3-30> 이해와 문화예술 행사 관람 80

<그림3-31> 문화활동을 위한 동호회 참여 84

<그림3-32> 문화예술 행사 관람 경험 88

<그림3-33> 문화예술 행사 관람 횟수 88

<그림3-34> 문화예술 행사 관람 의향 90

<그림3-35> 문화예술 행사 관람 경험 및 의향 bi-Plot 91

<그림3-36> 문화예술 창작 또는 발표 경험 92

<그림3-37> 문화예술 분야 자원봉사활동 참여 경험 93

<그림3-38> 월 평균 독서량 지표 96

<그림3-39> 정규교육과정의 문화예술교육 효과 97

<그림3-40>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참여_음악 101

<그림3-41>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참여_무용 102

<그림3-42>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참여_미술 103

<그림3-43>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참여_문학 104

<그림3-44>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참여_연극·영화 105

<그림3-45> 세부 문항별 결과_표현력 영역 106

<그림3-46> 성·연령별 표현력 107

<그림3-47> 최종학력 및 월평균 가구소득별 표현력 107

<그림3-48> 비정규 문화예술교육 및 자녀의 취학상태별 표현력 108

<그림3-49> 표현력과 삶의 질 108

Page 14: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그림3-50> 표현력과 문화예술 행사 관람 109

<그림3-51> 세부 문항별_공감 영역 114

<그림3-52> 성·연령별 공감 115

<그림3-53> 최종학력 및 월평균 가구소득별 공감 115

<그림3-54> 비정규 문화예술교육 및 자녀의 취학상태별 공감 116

<그림3-55> 공감과 삶의 질 117

<그림3-56> 공감과 문화예술 행사 관람 117

<그림3-57> 세부 문항별_의사소통능력 영역 123

<그림3-58> 세부 문항별_SNS 소통능력 영역 124

<그림3-59> 성·연령별 소통 125

<그림3-60> 최종학력 및 월평균 가구소득별 소통 125

<그림3-61> 비정규 문화예술교육 및 자녀의 취학상태별 소통 126

<그림3-62> 소통과 삶의 질 127

<그림3-63> 소통과 문화예술 행사 관람 127

<그림3-64> 세부 문항별_관용 영역 134

<그림3-65> 성·연령별 관용 135

<그림3-66> 최종학력 및 월평균 가구소득별 관용 135

<그림3-67> 비정규 문화예술교육 및 자녀의 취학상태별 관용 136

<그림3-68> 관용과 삶의 질 136

<그림3-69> 관용과 문화예술 행사 관람 137

<그림3-70> 어제의 행복도 142

<그림3-71> 삶에 대한 만족도 143

<그림3-72> 일에 대한 가치 부여도 144

<그림3-73> 문화예술교육의 효과 비교 163

Page 15: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요약 |i

요약

□ 조사의 필요성 및 목적

○ 2004년 이후 국내 문화예술교육의 정책적 목표는 국민의 문화역량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음. 특히 ‘문화융성’이라는 국가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국민들의 문화역량 강

화가 더욱 중요한 사안으로 떠오르고 있음

○ 국민들에게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기회 제공 차원을 넘어서, 각 분야에서 문화융성이라

는 과제가 실현될 수 있도록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성과와 한계

를 파악하기 위해 문화역량지표의 개발이 이루어짐

○ 이렇게 개발된 문화역량지표를 활용하여 국민들의 문화역량 수준을 진단하고 동시에,

문화예술교육의 현 상태와 문제점을 파악하여 문화정책과 문화예술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수립이 필요함

○ 본 연구는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를 통해 개발된 문화역량 지

표를 측정하여 국민들의 문화역량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함께 문화예술교육의 문제점

과 개선방안 발굴을 목적으로 기획·추진됨

□ 문화역량에 대한 이해

○ 본 연구는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와 연속성을 갖는 것으로 연구

에서 활용된 문화역량 세부 요소들의 개념 정의 및 측정 체계는 선행 연구에 바탕을 둠

1) 문화의 개념

○ ‘문화’는 예술을 포함한 집단 내에 형성된 생활식의 총체이자 제도, 언어, 종교, 사고체

계, 사회관계를 복합하는 개념으로 그 정의가 매우 광범위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법률에서 합의하고 있는 문화의 개념을 적용하여 문화의 개념을 구체화함

○ 현재 국내법에서 적용되는 문화와 관련된 법에서 문화의 개념을 찾아보면, 공통적으로

인간의 삶의 표현 전체를 아우르는 넓은 의미로 이해되고 동시에 예술과 밀접한 관련

을 맺는 개념으로 규정함

Page 16: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표1>� 국내 법률상의 문화의 개념

국내 법률 문화에 대한 정의

문화기본법

(법률 제 12134호,� 제3조)

“문화”란 문화예술,�생활양식,�공동체적 삶의 방식,�가치 체계,�전통 및 신념

등을 포함하는 사회나 사회 구성원의 고유한 정신적·물질적·지적·감성적 특성

의 총체를 말한다

지역문화진흥법

(법률 제 12354호,� 제1조)

1.� "지역문화"란 「지방자치법」에 따른 지방자치단체 행정구역 또는 공통의

역사적·문화적 정체성을 이루고 있는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유산,�문화

예술,�생활문화,�문화산업 및 이와 관련된 유형·무형의 문화적 활동을 말한다

2.� "생활문화"란 지역의 주민이 문화적 욕구 충족을 위하여 자발적이거나 일

상적으로 참여하여 행하는 유형·무형의 문화적 활동을 말한다

문화예술진흥법

(법률 제 12354호,� 제2조)

“문화예술”이란 문학,�미술(응용미술을 포함한다),�음악,�무용,�연극,�영화,�연

예(演藝),�국악,�사진,�건축,�어문(語⽂),�출판 및 만화를 말한다

문화예술교육지원법

(법률 제 12354호,� 제2조)

"문화예술교육"이라 함은 「문화예술진흥법」�제2조 제1항 제1호의 규정에 따

른 문화예술 및 「문화산업진흥 기본법」�제2조제1호의 규정에 따른 문화산업,�

「문화재보호법」�제2조제1항의 규정에 따른 문화재를 교육내용으로 하거나 교

육과정에 활용하는 교육을 말하며,�다음 각�목과 같이 세분한다

2) 문화예술의 개념

○ 예술은 문화의 한 영역으로서 예술 활동과 그 결과물 전체를 지칭하는 것으로 문화예

술은 예술을 문화적 맥락 속에서 파악하려는 시도임

○ 이러한 예술과 문화의 관계를 이해할 때, 문화예술교육은 궁극적으로 문화교육을 지향

하되, 그 구체적인 실천적 접근 방안으로 예술교육을 중심에 두는 교육으로서, 예술교

육을 통해 스스로의 생각, 경험 느낌을 생각하고 표현하고 이를 공유하며 자존감, 공동

체 형성을 통한 문화역량 향상을 목표로 진행되고 있음

3) 역량의 개념

○ 역량은 지적인 측면을 강조한 개념에서 출발하였으나 현재는 ‘인간이 삶을 성공적으로

살아가는데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능력’의 개념으로 확장되고 있음

○ 현재 논의되고 있는 역량에 대해 정리하면,

- 첫째, 역량은 개인적 차원의 역량(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것)과 사회적 차원의 역량

(다른 사람과 관계하면서 발휘되는 능력)으로 구분됨

Page 17: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요약 |iii

- 둘째, 인지적 측면과 비인지적 측면을 포괄하는 개념임. 즉 인지적 역량과 함께 비

인지적 역량(행위적 측면)이 동시에 강조되는 통합적인 개념임

- 셋째, 역량은 교육을 통해 개발 가능함

○ 논의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역량의 개념을 ‘현재와 미래 사회에서 시민으로서 성

공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갖추어야 하는 자질’로 정의함

4) 문화역량의 개념

○ <2014년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들의 문화역량 개념을

포괄하되, 생활양식보다는 문화예술, 물질보다는 정신, 지성보다는 감성에 보다 초점을

둔 문화역량 개념을 정의함

○ 또한 문화역량이 개인적, 사회적으로 개발될 수 있고, 교육을 통해 개발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문화역량과 문화예술교육과의 관련성에 초점을 둠

○ 이론적 논의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화역량 개념을 “현재와 미래 사회에서 문화

시민으로서 행복하게 살아가는데 필요한 문화의 생산과 향유의 바탕이 되며 사회적,

경제적 삶을 풍요롭고 조화롭게 하는데 기여하는 감성과 태도 및 취향과 지식”으로 정

의함

5) 문화역량 지표체계

○ 문화역량은 자신의 느낌과 감정, 상상을 어떻게 표현하고 다른 사람들의 감정적 표현이

나 문화적 산물을 수용해서 반응할 수 있는지 여부를 의미하는 개인적 수준과 개인들

간에 공감과 소통, 이해가 잘 이루어져서 기술적이고 도구적인 차원만이 아니라 의미

와 감성이 충만한 삶이 공유될 수 있는지 여부를 의미하는 사회적 수준으로 구분됨.

이러한 개인적 수준과 사회적 수준은 서로 단절된 것이 아니라 순환적 연결고리를 통

해서 연결되어 있음

○ 이러한 문화역량의 특징을 바탕으로「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를

통해 구축된 문화역량의 구성요소들의 개념을 정의하면 다음의 표와 같음

Page 18: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v|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표2>� 문화역량 구성 요소 및 개념 정의1)

대영역 소영역 개념 정의

개인적차원

내재적요소

감수성

sensibility

-� 인간 의식의 정서적 성향

-� 외부 세계의 자극을 받아들이고 느끼는 성질

-� 외적 자극에 대한 반응의 정도

상상력

imagination

-� 실제로 경험하지 않은 현상이나 사물에 대하여 마음속으로 그려 보는 힘

-� 직접 경험이 없이 이미지나 아이디어를 형성하는 능력

취향

taste

-� 하고 싶은 마음이 생기는 방향 또는 그런 경향

-� 대상의 미적 품질을 받아들이는 특별한 능력

-� 문화의 가치를 판단하는 능력

관심/지식

attention

orientation

interest

knowledge

-� 주의력이나 흥미가 특정한 사물로 향하고 있을 때의 심적 태도나 감정

� � (interest)

-� 특정 대상에 대한 지향성(orientation)

-� 어떤 것에 마음이 이끌려 주의를 기울임(attention)

-� 대상에 대한 경험적 인식(knowledge)

이해

understanding

-� 언어,� 기호,� 회화,� 조각,� 음악과 그 밖의 문화적 산물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

-� 상징의 의미나 의도를 파악하고 해석하는 능력

개인적차원

외향적요소

참여

participation-� 관심 대상에 끼어들어 관여하는 행위

표현력

expressiveness

-� 인간 안의 내적인 것을 밖으로 표출하는 능력

-� 생각과 느낌 등을 언어나 몸짓 같은 형상으로 나타내는 능력

-� 경험하거나 상상한 것을 상징을 활용하여 나타내는 것

사회적차원

공감

empathy

-� 다른 사람의 심리적 상태를 그 사람의 입장이 되어 느끼는 것을 통해서

지각하는 방식

-� 타인의 처지나 입장에서 느끼고 생각하는 능력

소통

communication

-� 막힘없이 잘 소통하는 것

-� 편견과 선입견 없이 경청하는 자세와 상대의 의사를 제대로 파악하려고

노력하는 자세에 기초하여 서로가 서로의 말뜻을 잘 알아들음

-� 다른 사람과 의미와 의견을 주고받으며 서로를 이해하는 것

관용

tolerance

-� 나와 다른 배경/정체성에 대해 거부하지 않는 것

-� (종교적·사회적)� 신념이 나와 달라도 기본권(대한민국에서 살 권리 등)을

인정하는 것

1)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p.51

Page 19: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요약 |v

6)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에서 문화역량 지표의 활용

○ 본 연구에서 정의한 문화역량 지표들은 개인의 삶과 사회, 문화에 대한 전인적 측면을

고려하여 구성되었음으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국민들의 문화역량 전반에 대한 연구가

가능함. 또한 문화예술에 대한 취향, 문화예술활동에 대한 참여 등의 문항을 바탕으로

국민들의 문화활동 실태에 대한 전방위적인 탐색이 가능함. 마지막으로 기초조사를 위

한 설문구성 과정에서 ‘어제의 행복도’, ‘삶의 만족도’, ‘일에 대한 가치부여 정도’ 등,

삶의 질을 측정하는 문항을 추가함으로서 문화역량과 삶의 질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확

인 가능하도록 하였음

○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는 문화역량 지표에 대한 조사결과와 문화예술활동 실태를 확인

한 후, 주요 변인별 문화역량 지표들의 특징을 살펴 사회인구학적 특성별 문화역량 수

준을 파악하고 및 계층별 문화예술활동 현황의 주요한 차이점 발굴에 주안점을 둠. 또

한, 문화역량과 행복도, 만족도의 관계를 살펴, 문화역량 강화를 통한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적 제언에 주안점을 둠

□ 문화역량 기초조사 조사 개요

1) 조사 설계

○ 전국 17개 광역시도(세종특별자치시 포함)의 만 15세 이상 일반국민 7,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패널을 활용한 CASI(Computer Assisted Self-Interview) 조사와 가구방문 면접

조사를 병행하여 추진함

- 만 15세 이상 59세 이하 : 온라인 패널을 활용한 CASI 조사

- 만 60세 이상 : 가구방문을 통한 일대일 개별면접조사

2) 조사 내용

○ 문화역량 세부 요소별 정의에 따른 세부 조사내용은 아래의 표와 같음

Page 20: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vi|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표3>� 문화역량 구성 요소별 조사내용

대영역 소영역 조사 내용

개인적차원

내재적요소

감수성

sensibility

▪ 나는 환경변화에 민감하게 느끼고 반응한다

▪ 나는 주변 사람들의 감정변화를 이해하고 배려한다

▪ 나는 감수성이 풍부하다

▪ 나는 다른 사람의 작은 스타일 변화라도 알아채는 편이다

▪ 나는 드라마나 영화를 보고나서 감동이 오래가는 편이다

상상력

imagination

▪ 나는 상상력이 풍부하다

▪ 나는 새로운 방식으로 생각하거나 행동하려고 한다

▪ 나는 현실의 벽에 부딪히면 가끔 비현실적인 것이라도 상상해 본다

▪ 나는 소설 등의 문학작품을 읽고 난 후 뒷이야기를 꾸며 생각해 본다

취향

taste

▪ 현대의 추상 미술작품은 아이들이 그린 그림과 차이를 모르겠다

▪ 대중예술 혹은 민속예술에서도 고급예술 못지않은 뛰어난 예술성을 발견할

수 있다

▪ 대중문화가 너무 발달하면 문화 전반의 질을 위협한다

▪ 뛰어난 예술과 그렇지 않은 예술을 구분하는 기준은 시간과 장소에 관계

없이 절대적이다

▪ 사회의 일부 사람들만 뛰어난 예술인지 아닌지 판가름할 수 있는 지식을

가졌다

▪ 여행시 문화활동별 참여 빈도

▪ 음악 장르별 가치판단 및 선호 여부

관심/지식

attention

orientation

interest

knowledge

▪ 나는 평소에 문화예술에 대한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탐색하고 배우려 한다

▪ 나는 대화할 때 문화예술과 관련된 내용의 비중이 높다

▪ 내가 좋아하는 예술에 대하여 사람들에게 2~3분 동안 소개할 수 있다

▪ 나는 서양 고전음악에 대해 많이 알고 있다

내재적요소

이해

understanding

▪ 나는 대화 중에 상대방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잘 이해한다

▪ 나는 책을 읽을 때 내용에 대해 잘 이해한다

▪ 내가 관심 있는 예술작품(음악,� 미술,� 조각 또는 기타 작품)의 의미를 잘

이해할 수 있다

외향적요소

참여

participation

▪ 문화예술 동호회 활동 참여 여부 및 활동 분야,� 소속

▪ 문화예술 행사별 관람 여부 및 빈도,� 관람 의향

▪ 문화예술 분야별 창작·발표 참여 여부

▪ 문화예술 분야 자원봉사활동 참여 경험 및 시간,� 분야

▪ 월 평균 독서량

▪ 정규수업·특별활동 시간의 문화예술교육 효과

▪ 학원·개인교습 등을 통한 문화예술교육 최초 수강 시점 및 기간,� 효과

표현력

expressiveness

▪ 내가 느끼는 감정이나 느낌을 적극적으로 표현한다

▪ 나는 평소에 내 생각이나 느낌을 새롭게 표현하는 편이다

▪ 경험한 생각이나 느낌을 글이나 사진 등으로 표현하는 것을 즐긴다

▪ 상대방에게 말을 할 때 표정이나 몸짓도 적극적으로 사용한다

Page 21: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요약 |vii

대영역 소영역 조사 내용

사회적차원

공감

empathy

▪ 누가 부당한 대접을 받는 것을 보면 화가 난다

▪ 친구가 자신의 고민을 이야기하면,�그 입장에서 같이 걱정해 줄 수 있다▪ 주변 사람이 우울하면 내 마음도 편하지 않다

▪ 남의 고통을 보면 마음이 아프다

▪ 문화예술 작품을 보게 되면 작가의 의도에 공감하게 된다

소통

communication

▪ 대화 상대방의 의도를 알기 위해 귀 기울여 듣는 편이다

▪ 얼굴표정이나 몸짓을 보고 상대방의 기분을 이해하고자 노력한다

▪ 다른 사람으로부터 질문을 받으면,�조리 있고 분명하게 나의 의견을 말한다▪ 사진 공유,� SNS� 등 글 게재,� SNS� 공감 표현에 대한 빈도

관용

tolerance

▪ 나와 다른 가치관을 가지고 있는 상대방의 주장도 귀담아 듣는다

▪ 나는 정치적·종교적 신념이 다르다고 해서 차별하지 않는다

▪ 나의 이웃으로 다른 인종의 외국인이 이사 온다면 마음이 불편할 것이다▪ 나는 외국인이나 낯선 문화를 접할 때 거부감 없이 대한다

○ 문화역량관련 문항 외, 어제의 행복도 및 삶에 대한 만족도, 일에 대한 가치 부여 등

삶의 질을 측정하는 문항이 포함됨

<표4>� 삶의 질 조사 내용

구분 조사 내용

삶의 질

행복도 ▪ 귀하는 어제 어느 정도 행복했다고 생각하십니까?

만족도 ▪ 귀하는 요즘 자신의 삶에 대해 전반적으로 얼마나 만족하고 있습니까?

일에 대한 가치 ▪ 귀하는 요즘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이 전반적으로 얼마나 가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3) 주요 분석 방법

① 측정 척도 및 환산 방식

○ 4점 척도의 환산 방식은 다음과 같음

<표5>� 4점 척도 환산 방식

척도 ① ② ③ ④

내용동의하지 않음(그렇지 않음) 동의(그렇다)�

환산 점수 1점 또는 4점 2점 또는 3점 3점 또는 2점 4점 또는 1점

Page 22: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viii|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 10점 척도의 환산 방식은 다음과 같음

<표6>� 10점 척도 환산 방식

척도 ◎ ① ② ③ ④ ⑤ ⑥ ⑦ ⑧ ⑨ ⑩

내용동의하지 않음(그렇지 않음) 보통 동의(그렇다)

환산 점수 0점 1점 2점 3점 4점 5점 6점 7점 8점 9점 10점

□ 문화역량 기초조사 조사 결과

1) 문화역량 지표체계

○ 문화역량 세부 지표 중 사회적 차원의 지표들이 개인적 차원의 지표보다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남. 특히 공감 지표와 관용 지표가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일상생활에서 다른

사람들에 대한 배려나 이해가 높고 다른 문화적 성향의 사람들에 대한 포용의지가 다

른 문화역량들에 비해 높다는 것을 의미함

- 내재적 요소 : ‘감수성’(2.82점), ‘이해’(2.78점), ‘상상력’(2.70점), ‘관심’(2.32점) 순

- 외재적 요소 : ‘표현력’(2.57점)

- 사회적 차원 : ‘공감’(3.07점), ‘관용’(2.92점), ‘소통’(2.70점) 순

○ 반면, 사회적 차원 중 소통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 특히 다른 사람들과의 의미를

공유하는 의사소통능력은 높게 나타나지만 현대사회에 중요한 문화적 매체로 자리 잡

은 SNS소통능력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며 연령에 따라 편차가 큰 것으로 조사됨

Page 23: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요약 |ix

<그림1>� 문화역량 측정모형 및 조사 결과

※ 하위영역의 점수는 각각 세부지표의 단순평균

※ ‘취향’과 ‘참여’는 실태 파악을 위한 문항으로 점수 산출에서 제외함

○ 개인적 차원의 지표들 중에서는 감수성, 이해, 상상력 등 개인들에게 잠재되어 있는 내

재적 요소들이 높게 나타남

- 특히, 일상생활에서의 정서적 경험을 느끼고 그에 따라 반응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감수성과 일상생활이나 문화예술활동을 통해 언어와 상징들을 파악하는 능력인 이해

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개개인이 외부로부터 받는 자극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역량은 높은 것으로 분석됨

○ 반면, 내재적 요소의 관심과 외재적 요소의 표현력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나

자신이 가지는 느낌이나 정서를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는 능력과 새로운 것을 정보와

지식을 얻으려는 노력은 부족한 수동적인 경향을 보임

Page 24: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x|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 상상력 : ‘실제로 경험하지 않은 현상이나 사물에 대하여 마음속으로 그려 보는 능력’

- 상상력 영역은 총 4개의 세부문항으로 구성

- 일반국민의 상상력 지표는 2.70점(세부지표의 단순평균)

○ 평균이 가장 높은 문항 : ‘나는 현실의 벽에 부딪히면 가끔 비현실적인 것이라도 상상해 본다’(2.79점)

○ 평균이 가장 낮은 문항 : ‘나는 소설 등의 문학작품을 읽고 난 후 뒷이야기를 꾸며 생각해 본다’(2.59점)

○ 응답자 특성별 분석

- 연령이 낮으며, 학력이 높을수록 상상력이 높은 것으로 조사됨

- 정규교과이외의 문화예술교육을 경험한 응답자의 상상력이 높게 나타나며, 취학 전

자녀가 있는 응답자의 상상력이 높게 나타남

2) 세부 영역별 조사 결과

① 감수성

○ 감수성 : ‘인간 의식의 정서적 성향 및 외부 세계의 자극을 받아들이고 느끼는 성질’

- 감수성 영역은 총 5개의 세부문항으로 구성

- 일반국민의 감수성 지표는 2.82점(세부지표의 단순평균)

○ 평균이 가장 높은 문항 : ‘나는 주변 사람들의 감정변화를 이해하고 배려한다’(3.01점)

○ 평균이 가장 낮은 문항 : ‘나는 다른 사람의 작은 스타일 변화라도 알아채는 편이다’(2.63점)

○ 응답자 특성별 분석

- 연령이 낮으며, 학력이 높을수록 감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 감수성이 높은 집단(평균이상)의 행복도와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며, 문화예술 행사

관람 횟수도 많은 것으로 조사됨

<표7>� 감수성 영역 종합

영역 영역평균

세부 문항 4점평균

감수성 2.82점

문1-1.�나는 환경변화에 민감하게느끼고 반응한다 2.75점

문1-2.�나는 주변 사람들의감정변화를 이해하고 배려한다 3.01점

문1-3.�나는 감수성이 풍부하다 2.87점

문1-4.�나는 다른 사람의작은 스타일 변화라도알아채는 편이다 2.63점

문1-5.�나는 드라마나 영화를보고 나서 감동이오래가는 편이다 2.81점

② 상상력

Page 25: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요약 |xi

- 상상력이 높은 집단(평균이상)의 행복도와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며, 문화예술 행사

관람 횟수도 많은 것으로 조사됨

<표8>� 상상력 영역 종합

영역영역평균 세부 문항

4점평균

상상력 2.70점

문2-1.�나는 상상력이 풍부하다 2.78점

문2-2.�나는 새로운 방식으로생각하거나 행동하려고 한다 2.65점

문2-3.�나는 현실의 벽에부딪히면 가끔 비현실적인것이라도 상상해 본다 2.79점

문2-4.�나는 소설 등의문학작품을 읽고 난후 뒷이야기를 꾸며생각해 본다 2.59점

③ 취향

○ 취향 : ‘하고 싶은 마음이 생기는 방향 및 대상의 미적 품질을 받아들이는 능력’

- 취향 영역은 총 5개의 세부문항으로 구성

○ 평균이 가장 높은 문항 : ‘대중예술 혹은 민속예술에서도 고급예술 못지않은 뛰어난

예술성을 발견할 수 있다’(2.87점)

○ 평균이 가장 낮은 문항 : ‘현대의 추상 미술작품은 아이들이 그린 그림과 차이를 모르겠다’(2.64점)

<표9>� 취향 영역 종합

영역 세부 문항 4점평균

취향

문3-1.� 현대의 추상 미술작품은 아이들이 그린 그림과 차이를 모르겠다 2.64점

문3-2.� 대중예술 혹은 민속예술에서도 고급예술 못지않은 뛰어난 예술성을 발견할

� � � � � � � 수 있다2.87점

문3-3.� 대중문화가 너무 발달하면 문화 전반의 질을 위협한다 2.68점

문3-4.� 뛰어난 예술과 그렇지 않은 예술을 구분하는 기준은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 � � � � � � 절대적이다2.66점

문3-5.� 사회의 일부 사람들만 뛰어난 예술인지 아닌지 판가름할 수 있는 지식을 가졌다 2.80점

Page 26: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xii|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 여행에서의 문화예술 활동

○ 여행기간 중 공연예술 관람(전통예술, 뮤지컬, 축제 등)

- 자주 한다 : 28.0%(매우 자주 한다 1.8% + 자주 한다 26.2%)

- 하지 않는다 : 55.4%(전혀하지 않는다 8.7% + 별로 하지 않는다 46.7%)

- 공연예술 관람을 자주하는 집단 : 여성, 20대, 중산층

○ 여행기간 중 시각예술 관람(박물관, 미술관, 전시회 등)

- 자주 한다 : 26.5%(매우 자주 한다 2.2% + 자주 한다 24.3%)

- 하지 않는다 : 56.9%(전혀 하지 않는다 12.3% + 별로 하지 않는다 44.6%)

- 시각예술 관람을 자주하는 집단 : 여성, 50대, 고소득층

㉯ 음악 장르별 선호도 및 문화적 가치

○ 음악 장르별 선호도

- 선호도가 높은 장르 : ‘발라드/포크/컨트리’(61.9%), ‘뮤지컬’(51.1%) 순

- 선호도가 낮은 장르 : ‘종교음악’(22.1%), ‘락/헤비메탈’(23.1%) 순

○ 음악 장르별 문화적 가치

▪ 문화적 가치가 높은 장르(평균 이상)

- ‘전통음악’(86.9%), ‘클래식’(76.0%), ‘뮤지컬’(74.4%), ‘발라드/포크/컨트리’(63.9%)

▪ 문화적 가치가 낮은 장르(평균 이하)

- ‘트로트/뽕짝’(56.8%), ‘재즈/블루스’(55.2%), ‘힙합/랩/댄스’(47.1%),

‘종교음악’(40.7%), ‘락/해비메탈’(40.1%)

<표10>� 음악 장르별 ‘문화적 가치’와 ‘선호도’

문화적 가치 선호도

문화적 가치가 높다¹(%) 순위 좋아한다²(%) 순위

전통음악 86.9 1 48.2 3

트로트/뽕짝 56.8 5 45.7 4

재즈/블루스 55.2 6 32.3 7

발라드/포크/컨트리 63.9 4 61.9 1

힙합/랩/댄스 47.1 7 36.7 6

록/헤비메탈 40.1 9 23.1 8

종교음악 40.7 8 22.1 9

뮤지컬 74.4 3 51.1 2

클래식 76.0 2 43.5 5

1. 문화적 가치가 높다 : 문5의 ‘① 매우 높음’ + ‘② 높음’의 합(%)

2. 선호도 : 문6의 ‘① 좋아한다’의 비율(%)

Page 27: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요약 |xiii

○ 관심·지식 : ‘문화에 대한 관심 정도 및 문화지식 수준’

- 관심·지식 영역은 총 4개의 세부문항으로 구성

- 일반국민의 관심·지식 지표는 2.32점(세부지표의 단순평균)

○ 평균이 가장 높은 문항 : ‘나는 평소에 문화예술에 대한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탐색

하고 배우려 한다’(2.58점)

○ 평균이 가장 낮은 문항 : ‘나는 서양 고전음악에 대해 많이 알고 있다’(2.05점)

▪ 음악 장르별 선호도를 X축, 문화적 가치를 Y축으로 하는 bI-Plot 분석을 통해 선호 장르와 문화적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는 장르를 비교 분석함

○ 선호도와 문화적 가치가 모두 평균 이상인 장르

- ‘전통음악’, ‘클래식’, ‘뮤지컬’, ‘발라드/포크/컨트리’

○ 선호도는 평균 이상이나, 문화적 가치가 평균 이하인 장르

- ‘트로트/뽕짝’

○ 선호도와 문화적 가치가 모두 평균 이하인 장르

- ‘재즈/블루스’, ‘힙합/랩/댄스’, ‘종교음악’, ‘락/헤비메탈’

<그림2>� 음악 장르별 선호도와 문화적 가치 bI-Plot

④ 관심·지식

Page 28: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xiv|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 응답자 특성별 분석

- 여자와 10대의 관심·지식이 높게 나타나고 정규교과이외의 문화예술교육을 경험한

응답자의 관심·지식이 높게 나타남

- 관심·지식이 높은 집단(평균이상)의 행복도와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고 문화예술

행사 참여 횟수가 많으며, 특히 전시회 참여 횟수가 상대적으로 높았음

<표11>� 관심·지식 영역 종합

영역영역평균 세부 문항

4점평균

관심·

지식2.32점

문4-1.� 나는 평소에 문화예술에 대한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 � � � � � � 탐색하고 배우려 한다2.58점

문4-2.� 나는 대화할 때 문화예술과 관련된 내용의 비중이 높다 2.29점

문4-3.� 내가 좋아하는 예술에 대하여 사람들에게 2~3분 동안 소개

� � � � � � � 할 수 있다2.34점

문4-4.� 나는 서양 고전음악에 대해 많이 알고 있다 2.05점

⑤ 이해

○ 이해 : ‘상징의 의미나 의도를 파악하고 해석하는 능력’

- 이해 영역은 총 3개의 세부문항으로 구성

- 일반국민의 이해는 2.78점(세부지표의 단순평균)

○ 평균이 가장 높은 문항 : ‘나는 대화 중에 상대방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잘 이해한다’(2.96점)

○ 평균이 가장 낮은 문항 : ‘내가 관심있는 예술작품(음악, 미술, 조각 또는 기타 작품)의 의미

를 잘 이해할 수 있다’(2.51점)

○ 응답자 특성별 분석

- 연령이 낮으며 학력이 높을수록 이해가 높게 나타남

- 자녀가 학생인 응답자의 이해가 높은 반면, 자녀가 없는 기혼자의 이해가 낮음

- 이해가 높은 집단(평균 이상)의 행복도와 만족도가 높게 나타남

<표12>� 이해 영역 종합

영역 영역평균

세부 문항 4점평균

이해 2.78점

문7-1.�나는 대화 중에상대방이 말하고자 하는바를 잘 이해한다 2.96점

문7-2.�나는 책을 읽을때 내용에 대해잘 이해한다 2.88점

문7-3.�내가관심있는예술작품(음악,�미술,�조각또는기타작품)의�의미를

� � � � � � �잘 이해할수 있다2.51점

Page 29: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요약 |xv

○ 가장 많이 참여하고 있는 문화 동호회 활동(복수응답)

- ‘영화 관람’(45.6%), ‘공연·전시 관람’(37.1%), ‘음악활동’(32.1%) 순

- ‘영화 관람’ 동호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는 응답자는 남자(47.9%), 30대

(53.1%),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나는 반면, ‘공연ㆍ전시 관람’은 여자

(38.8%), 20대(43.1%), 고졸(39.5%)에서 높게 나타나 응답자 특성별로 참여하는

문화 동호회 활동의 종류가 다름

○ 가장 많이 참여되어 있는 문화 동호회 소속(복수응답)

- ‘지역 사회’(44.4%), ‘온라인’(41.9%), ‘직장’(23.4%), ‘학교’(16.3%) 순

- 참여하고 있는 문화 동호회가 ‘지역사회’에 소속되어 있다는 응답은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여자(50.4%), 60세이상(94.4%), 학력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나고

‘온라인’에 소속되어 있다는 응답은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남자(46.5%), 30대

(59.2%),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남

◎ 지역, 성, 연령, 학력 등, 응답자의 특성별로 참여하고 있는 문화 동호회 활동과 문화

동호회 소속이 다름으로 문화예술 정책 지원 시 계충에 따른 적합한 지원이 효과적일

것으로 분석됨

⑥ 참여

㉮ 문화활동을 위한 동호회 활동 참여율

○ 문화활동을 위한 동호회 활동 참여율 : 13.1%

- 남성, 50대, 대졸이상, 화이트칼라, 고소득층에서 문화활동을 위한 동호회 참여율이

높게 나타남

㉯ 문화활동을 위한 동호회 활동 내용

㉰ 문화예술 행사 관람 의향 및 경험

○ 관람 의향이 있는 문화예술 행사 : ‘지역 문화예술 행사 축제’(84.0%)

- ‘영화 관람’(83.2%), ‘역사문화 유적지 탐방’(80.9%), ‘연극 공연’(78.2%) 순

○ 지난 1년간의 실제로 관람한 문화예술 행사 : ‘영화관람’(71.7%)

- ‘지역 문화예술 행사 축제(65.5%), ‘역사문화 유적지 탐방’(58.6%) 순

○ ‘무용 공연’, ‘전통예술 공연’, ‘연극 공연’은 관람 의향에 비해 실제 관람 경험이 상대적

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남

Page 30: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xvi|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표13>� 문화예술 행사 관람 경험 및 의향

(단위 :� %)

전통예술

공연

연극

공연

영화

관람

무용

공연

음악

공연전시회

문학

행사

지역문화

예술행사

역사문화

유적지

탐방

관람 의향(A) 66.0 78.2 83.2 49.1 73.5 68.2 55.5 84.0 80.9

관람 경험(B) 35.3 49.0 71.7 17.4 44.7 52.2 26.2 65.5 58.6

Gap(A-B) 30.7 29.2 11.5� 31.7 28.8� 16.0� 29.3� 18.5� 22.3�

㉱ 자녀의 취학 상태에 따른 문화예술 행사 관람 횟수

○ 문화예술 행사 관람 횟수 : ‘영화관람(영화관·자동차 극장 등에서)’(6.73회)

- ‘역사문화유적지 탐방’(2.30회), ‘지역문화예술 행사·축제’(2.22회) 순

○ 자녀의 유무에 따른 문화예술 행사 관람 경험

- 자녀가 있는 응답자의 문화예술 행사 관람 횟수가 전반적으로 높았음

- 반면, 자녀가 ‘취학 전’인 경우에는 관람 횟수가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남

<표14>� 자녀의 취학 상태에 따른 문화예술 행사 관람 횟수

(단위 :� 회)

사례수

전통

예술

공연

연극

공연

영화

관람

무용

공연

음악

공연전시회

문학

행사

지역문화

예술행사

축제

역사문화

유적지

탐방

전체(A) 7,500 1.63� 2.01� 6.73� 1.46� 1.86� 2.21� 1.73� 2.22� 2.30�

� 자녀 有 3,696 1.75 1.91 5.84 1.54 1.82 2.33 1.81 2.42 2.38

취학 전(B) 579 1.41 1.87 4.61 1.47 1.63 2.06 1.81 2.31 2.08

초등학생 498 1.72 1.92 6.67 1.47 1.73 2.42 1.70 2.62 2.36

중/고/대학생 1,196 1.80 2.01 6.81 1.56 1.83 2.36 1.75 2.37 2.40

학생아님 1,423 1.86 1.81 5.00 1.59 1.93 2.39 1.93 2.43 2.50

Gap(A-B) - ▽0.22� ▽0.14� ▽2.11� -� ▽0.24� ▽0.15� ▲0.08� ▲0.08� ▽0.23�

Page 31: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요약 |xvii

㉲ 문화예술 행사 관람 경험 및 의향

○ 현재 관람하는 문화예술 행사(X축)와 향후 관람의향이 있는 문화예술 행사(Y축)를 2차원

bi-Plot으로 도식화하여 비교함

○ ‘영화관람’, ‘역사문화유적지 탐방’, ‘연극공연’은 현재 관람이 활발하며, 향후에 관람의

향도 높은 “활성화 문화예술 행사”로 분류됨

○ ‘지역문화예술행사 축제’와 ‘음악공연’은 현재 관람 경험은 상대적으로 낮지만, 향후 관람

의향이 높은 문화예술 행사로 나타남

- ‘지역 문화예술행사 축제’에 대한 향후 관람 의향은 50대 남성, 3~40대 여성, 자녀가

있는 학부모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 ‘음악공연’에 대한 향후 관람 의향은 3~40대 남성, 1~20대 여성, 대졸이상, 고소득층,

취학 전 유아가 있는 학부모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그림3>� 문화예술 행사 관람 경험 및 의향 bi-Plot

Page 32: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xviii|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그림4>� 문화예술 창작 또는 발표 경험 추이

㉳ 문화예술 창작 또는 발표 경험

○ 지난 1년간 창작 또는 발표에 가장 많이 참여한 문화예술 : ‘음악공연’(13.6%)

- ‘사진 전시’(9.1%), ‘미술작품 창작, 전시회’(8.8%), ‘백일장, 서예 경연대회 참가’(8.3%) 순

○ 2012년 문화역량 실태조사와 비교해 보면,

- ‘음악공연’ 및 ‘연극, 영화, 연예프로그램 출연 및 제작’은 소폭 상승한 반면, 나머지

문화예술 분야는 창작 또는 발표 경험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 문화예술 분야 자원봉사활동 참여 경험

○ 지난 1년 동안 문화예술 분야 자원봉사활동(예술재능기부, 도슨트, 문화해설사 등)에

참여한 경험 : 4.8%

- 자원봉사활동 참여 시간(N=360) : 평균 20.8시간

- 자원봉사활동 분야(N=360) : ‘단체 및 교육활동을 위한 예술재능기부’(58.3%)

<표15>� 2012년-2014년 문화예술 분야 지원봉사 활동 참여 경험 비교(1년 기준)

구분2014년 문화역량 기초조사 2012년 문화역량 실태조사 Gap

(A-B)있다(A) 없다 있다(B) 없다

자원봉사 활동

참여 경험4.8% 95.2% 3.8% 96.2% 1.0%p▲

참여시간 20.8시간

Page 33: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요약 |xix

㉵ 문화예술교육의 효과 비교

○ ‘정규수업이나 특별활동 시간에 받은 문화예술교육’과 ‘학원, 개인교습 등을 통해 받은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비교해 보면, 비정규 문화예술교육의 효과가 평균 2.85점으로

정규 문화예술교육의 효과(2.55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남

<그림5>� 문화예술교육의 효과 비교

㉶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경험

- ‘음악’(65.3%), ‘미술’(59.0%), ‘문학’(50.0%), ‘연극·영화’(39.5%), ‘문학’(32.0%) 순

- 모든 문화예술에서 ‘초/중/고 재학 중’에 최초로 교육 받았다는 응답이 높음

○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 교육 기간

- 3년 이상 받았다는 응답은 ‘음악’(23.4%)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1년 이상에서

3년 미만 동안 교육을 받았다는 응답은 ‘미술’(32.4%)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표16>�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및 교육기간

(단위 :�%)

경험

없음

경험

있음

교육 기간

취학 전 초/중/고�재학 중

초/중/고�졸업 후 1년 미만 1년 ~3년 3년 이상

음악 34.7 65.3 9.7 48.5 7.1 44.8 31.7 23.4

무용 68.0 32.0 3.0 20.3 8.6 69.3 24.3 6.4

미술 41.0 59.0 7.3 44.6 7.1 51.4 32.4 16.1

문학 50.0 50.0 2.6 41.7 5.7 55.9 27.1 17.0

연극·영화 60.5 39.5 2.9 25.9 10.7 69.1 22.1 8.8

Page 34: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xx|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⑦ 표현력

○ 표현력 : ‘인간 안의 내적인 것을 밖으로 표출하여 생각과 느낌 등을 언어나 몸짓 같은

형상으로 나타내는 능력’

- 이해 표현력은 총 4개의 세부문항으로 구성

- 일반국민의 표현력 지표는 2.57점(세부지표의 단순평균)

○ 평균이 가장 높은 문항 : ‘내가 느끼는 감정이나 느낌을 적극적으로 표현한다’ 및 ‘상대방에게

말을 할 때 표정이나 몸짓도 적극적으로 사용한다’(각각 2.64점)

○ 평균이 가장 낮은 문항 : ‘경험한 생각이나 느낌을 글이나 사진 등으로 표현하는 것을 즐긴다’(2.46점)

○ 응답자 특성별

- 연령이 낮으며 학력이 높을수록 표현력이 높게 나타남

- 정규교과 이외 문화예술교육을 경험한 응답자의 표현력이 경험하지 않은 응답자 보다

높게 나타남

- 표현력이 높은 집단(평균 이상)의 문화예술 행사 참여 횟수가 많았음

<표17>� 표현력 영역 종합

영역영역평균 세부 문항

4점평균

표현력 2.57점

문23-1.�내가 느끼는감정이나 느낌을 적극적으로표현한다 2.64점

문23-2.�나는 평소에내 생각이나 느낌을새롭게 표현하는 편이다 2.56점

문23-3.�경험한 생각이나느낌을글이나사진등으로표현하는것을즐긴다 2.46점

문23-4.�상대방에게 말을할 때 표정이나몸짓도 적극적으로 사용한다 2.64점

Page 35: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요약 |xxi

⑧ 공감

○ 공감 : ‘다른 사람의 심리적 상태를 그 사람의 입장이 되어 느끼는 것을 통해서 지각하는 방식’

- 공감은 총 5개의 세부문항으로 구성

- 일반국민의 공감 지표는 3.07점(세부지표의 단순평균)

○ 평균이 가장 높은 문항 : ‘누가 부당한 대접을 받는 것을 보면 화가 난다’(3.18점)

○ 평균이 가장 낮은 문항 : ‘문화예술 작품을 보게 되면 작가의 의도에 공감하게 된다’(2.77점)

○ 응답자 특성별

- 공감은 50대에서 높게 나타나고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남

- 기혼자의 공감이 미혼자 보다 높았으며, 특히 자녀가 학생인 응답자의 공감이 가장 높게 나타남

- 공감이 높은 집단(평균이상)의 행복도와 만족도가 높게 나타남

<표18>� 공감 영역 종합

영역 영역평균

세부 문항 4점평균

공감 3.07점

문24-1.�누가 부당한대접을 받는 것을보면 화가 난다 3.18점

문24-2.�친구가 자신의고민을 이야기하면,�그 입장에서같이 걱정해

�� � � � � � �줄 수 있다3.17점

문24-3.�주변 사람이우울하면 내 마음도편하지 않다 3.11점

문24-4.�남의 고통을보면 마음이 아프다 3.15점

문24-5.�문화예술 작품을보게 되면 작가의의도에 공감하게 된다 2.77점

⑨ 소통

○ 소통 : ‘타인과 의미/의견을 주고받으며 서로를 이해하고 소통하는 능력’

- 소통은 의사소통능력과 SNS소통능력으로 구분됨

- 의사소통능력과 SNS소통능력은 각각 3개 문항으로 구성됨

- 일반국민의 소통 지표는 2.70점(세부지표의 단순평균)

○ 평균이 가장 높은 문항 : ‘대화 상대방의 의도를 알기 위해 귀 기울여 듣는 편이다’(3.14점)

Page 36: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xxii|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 평균이 가장 낮은 문항 : ‘귀하는 홈페이지, 블로그, SNS(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등)를 이용하여 여러 사람들이 읽을 수 있는 글을

얼마나 자주 쓰십니까?’(2.26점)

○ 응답자 특성별

- 소통은 10대와 20대 여자에서 높게 나타나며, 학력이 높고 월평균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남

- 취학 전 자녀가 있는 응답자의 소통이 높게 나타난 반면, 자녀가 없는 기혼자의 소통이

가장 낮게 나타남

- 소통이 높은 집단(평균이상)의 행복도와 만족도가 높게 나타남

<표19>� 소통 영역 종합

영역영역평균 세부 문항

4점평균

소통 2.70점

문25-1.�대화 상대방의 의도를알기 위해 귀기울여 듣는 편이다 3.14점

문25-2.�얼굴표정이나 몸짓을 보고상대방의 기분을 이해하고자노력한다 3.11점

문25-3.�다른 사람으로부터 질문을받으면,�조리 있고 분명하게나의 의견을 말한다 2.87점

문26-1.�귀하는 디지털 카메라나휴대폰으로 촬영한 사진을가족,�친구,�동료

� � � � � � � �와 얼마나 자주공유하십니까?2.46점

문26-2.�귀하는홈페이지,�블로그,�SNS(카카오톡,�카카오스토리,�트위터,�페이스북,

� � � � � � � �밴드등)를이용하여여러사람들이�읽을 수 있는글을 얼마나 자주쓰십니까?2.26점

문26-3.�귀하는홈페이지,�블로그,�SNS(카카오톡,�카카오스토리,�트위터,�페이스북,�

� � � � � � � �밴드 등)에 있는 다른사람들의 글에 대하여얼마나 자주 공감을표하십니까?2.33점

⑩ 관용

○ 관용 : ‘나와 다른 배경/정체성/신념에 대해 거부하지 않고 기본권을 인정하는 것’

- 관용은 총 4개의 세부문항으로 구성

- 일반국민의 관용 지표는 2.92점(세부지표의 단순평균)

○ 평균이 가장 높은 문항 : ‘나와 다른 가치관을 가지고 있는 상대방의 주장도 귀담아 듣는다’(3.02점)

○ 평균이 가장 낮은 문항 : ‘나는 외국인이나 낯선 문화를 접할 때 거부감 없이 대한다’(2.77점)

○ 응답자 특성별

- 관용은 연령이 낮고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남

- 관용이 높은 집단(평균이상)의 행복도와 만족도가 높게 나타남

Page 37: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요약 |xxiii

<표20>� 관용 영역 종합

영역 영역평균

세부 문항 4점평균

관용 2.92점

문27-1.�나와 다른가치관을 가지고 있는상대방의 주장도 귀담아듣는다 3.02점

문27-2.�나는 정치적ㆍ종교적신념이 다르다고 해서차별하지 않는다 3.01점

문27-3.�나의이웃으로다른인종의외국인이이사온다면마음이 불편할것이다 2.88점

문27-4.�나는 외국인이나낯선 문화를 접할때 거부감 없이대한다 2.77점

3) 문화역량과 삶의 질

○ 모든 문화역량 세부 지표에서 점수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 행복도와 만족도의 차이

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남

- 행복도는 소통에서 집단 간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나고, 표현력, 관심·지식 및 이해의

순으로 차이가 크게 나타남

- 만족도는 표현력에서 집단 간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나고, 소통, 관심·지식 및 이해의

순으로 차이가 크게 나타남

◎ 문화역량 세부 지표 중 관심·지식, 이해, 표현력, 소통에 따른 집단 간 행복도와 만족도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나타남에 따라 문화역량 세부 지표별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확대가 필요함

○ 영화 관람을 제외한 모든 문화예술활동 참여 경험에 따른 삶의 질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남

- 행복도는 음악 공연 참여 경험에서 집단 간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나고, 만족도는

무용 공연 참여 경험에 따른 집단 간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남

○ 또한, 문화활동을 위한 동호회 참여에 따른 행복도와 만족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문화예술활동 참여에 따른 삶의 질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됨

◎ 문화예술활동 참여 경험과 문화활동을 위한 동호회 활동 참여에 따른 행복도와 만족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남에 따라 다양한 계층이 문화예술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확대가 요구됨

Page 38: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xxiv|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4) 특성별 문화역량

① 성별

㉮ 문화역량 지표

○ 성별에 따른 문화역량 세부 지표들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남

- 상상력(Gap 0.10점), 감수성(Gap 0.09점), 공감(Gap 0.06점)의 성별 차이가 상대적

으로 크게 나타남

- 반면, 관용(Gap 0.00점), 이해(Gap 0.02점)는 성별 편차가 상대적으로 작음

○ 상상력을 제외한 모든 지표에서 여자가 높게 나타남에 따라 여자의 문화역량이 남자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됨

㉯ 문화예술행사 참여

○ 성별에 따른 문화역량 세부 지표들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남

- 상상력(Gap 0.10점), 감수성(Gap 0.09점), 공감(Gap 0.06점)의 성별 차이가 상대적

으로 크게 나타남

- 반면, 관용(Gap 0.00점), 이해(Gap 0.02점)는 성별 편차가 상대적으로 작음

○ 상상력을 제외한 모든 지표에서 여자가 높게 나타남에 따라 여자의 문화역량이 남자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됨

② 연령별

㉮ 문화역량 지표

○ 연령에 따른 문화역량 세부 지표들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조사됨

- 상상력(Gap 0.76점), 소통(Gap 0.67점), 관심·지식(Gap 0.54점)의 연령별 차이가 상대적

으로 크게 나타남

- 반면, 공감(Gap 0.08점), 관용(Gap 0.30점)은 연령별 편차가 상대적으로 작음

○ 상상력은 ‘10대’(2.99점)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20대’(2.89점), ‘30대’(2.82점) 순으로

조사됨. 반면, 소통은 ‘50대’(2.87점)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30대’(2.82점), ‘10대’ 및

‘20대’(각각 2.81점) 순으로 나타남

◎ 이러한 개인적 차원의 차이가 큰 것은 연령이 낮을수록 다양한 것을 상상하고 새로운

것을 배우고 이해하려는 시도를 많다는 것을 의미함

Page 39: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요약 |xxv

㉯ 문화예술 행사 참여

○ 문화예술 행사 중 영화 관람(Gap 6.17회)의 연령별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고,

전시회(Gap 1.03회), 무용공연(Gap 1.00회)의 순으로 연령별 차이가 크게 나타남

- 영화공연 참여 횟수는 ‘20대’(8.99회)에서 참여 횟수가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60대

이상’(2.82회)로 가장 낮게 나타남

- 전시회 참여 횟수는 ‘60대이상’(2.81회)에서 참여 횟수가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10대’(1.78회)로 가장 낮게 나타남

○ 문화예술 행사 중 영화 관람과 연극 공연에 대한 참여정도는 20대와 30대에서 높게 나

타난 반면, 전시회, 문학행사, 전통예술 등의 문화예술 행사는 50대 이상의 노년층에서

높게 나타나 문화예술 행사에 따라 주요 향유층이 나누어지는 현상을 확인함

◎ 10대는 모든 문화예술 행사에서 참여 횟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청소년들의 문화예술

행사 참여를 위한 정책적 방안이 필요함

<표21>� 연령별 문화예술 행사 참여 횟수

(단위 :� 명,� 점)

사례수전통예술

연극공연

영화관람

무용공연

음악공연 전시회

문학행사

지역문화예술행사·축제

역사문화유적지탐방

전체 7,500 1.63 2.01 6.73 1.46 1.86 2.21 1.73 2.22 2.30

10대 584 1.40 1.68 6.69 1.28 1.89 1.78 1.64 1.92 1.88

20대 1,137 1.36 2.28 8.99 1.31 1.92 2.23 1.59 1.91 2.22

30대 1,354 1.46 2.24 7.14 1.49 1.77 2.03 1.68 2.32 2.18

40대 1,527 1.73 1.84 6.85 1.53 1.71 2.16 1.65 2.32 2.34

50대 1,384 1.82 1.92 5.50 1.42 2.00 2.48 1.94 2.42 2.48

60대이상 1,514 1.82 1.82 2.82 2.28 2.20 2.81 2.02 2.10 2.46

Gap(최대-최소)

- 0.46 0.60 6.17 1.00 0.49 1.03 0.43 0.51 0.6

T값 - 6.655 5.445 38.240 4.309 2.098 3.432 2.372 9.307 3.033

유의확률 - 0.000** 0.000** 0.000** 0.001** 0.063 0.004** 0.037 0.000** 0.010*

Page 40: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xxvi|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④ 최종학력별

㉮ 문화역량 지표

○ 모든 문화역량 세부 지표에서 학력이 높을수록 지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 특히, 소통(Gap 0.58점), 관심·지식(Gap 0.45점), 상상력(Gap 0.44점)의 최종학력별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남

- 반면, 공감(Gap 0.08점), 관용(Gap 0.17점)은 최종학력별 편차가 상대적으로 작음

㉯ 문화예술 행사 참여

○ 최종학력별로 영화공연, 전시회, 지역 문화예술 행사·축제 참여 횟수의 차이가 유의미

한 것으로 조사됨

- 영화공연(Gap 2.45회)가 최종학력별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고, 전시회(Gap

0.61회), 연극공연(Gap 0.50회)의 순으로 최종학력별 차이가 크게 나타남

- 모든 문화예술 행사에서 학력이 높을수록 문화예술 행사 참여 횟수가 높게 나타남

◎ 학력에 따른 문화역량의 불균형이 발견됨. 문화역량의 불균형은 문화향유에도 영향을

주는 악순환이 우려됨. 따라서 저학력층의 문화역량 증대 및 문화예술 활동 참여의 소

외를 줄이는 문화예술교육 정책이 필요함

� <표22>� 최종학력별 문화예술 행사 참여 횟수

(단위 :� 명,� 점)

사례수 전통예술 연극공연 영화공연 무용공연 음악공연 전시회 문학행사

지역문화예술행사·축제

역사문화유적지탐방

전체 7,500 1.63 2.01 6.73 1.46 1.86 2.21 1.73 2.22 2.30

중졸이하 1,324 1.59 1.61 4.67 1.34 2.06 1.76 1.58 1.98 2.13

고졸 2,291 1.56 1.88 6.46 1.52 1.83 1.91 1.69 2.10 2.14

대졸이상 3,885 1.67 2.11 7.12 1.46 1.86 2.37 1.76 2.34 2.41

Gap(최대-최소)

- 0.11 0.50 2.45 0.18 0.23 0.61 0.18 0.36 0.28

T값 - 1.059 6.560 18.348 .601 .808 8.867 .659 13.725 4.916

유의확률 - 0.347 0.001 0.000** 0.549 0.446 0.000** 0.518 0.000** 0.007

Page 41: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요약 |xxvii

⑤ 자녀의 취학상태별

㉮ 문화역량 지표

○ 자녀의 취학상태에 따른 문화역량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남

- 특히, 소통(Gap 0.55점), 상상력(Gap 0.49점), 관심·지식(Gap 0.37점)의 자녀의 취

학 상태에 따른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남

○ 소통은 자녀가 ‘취학 전’인 기혼자(2.86점)에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자녀가 ‘학생’인 기

혼자(2.85점), ‘미혼’(2.78점) 순으로 조사됨

- 반면, 상상력은 ‘미혼’(2.89점)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자녀가 ‘취학 전’인 기혼자

(2.82점), 자녀가 ‘학생’인 기혼자(2.75점) 순으로 나타남

◎ 전반적으로 자녀가 학생인 응답자의 문화역량이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자녀의 학업에

따라 부모의 문화예술 및 문화예술활동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그에 따른 이해가 증

가되는 것으로 보임

㉯ 문화예술 행사 참여

○ 자녀의 취학 상태에 따라 전통예술, 영화공연 및 지역 문화예술 행사·축제 참여 횟수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조사됨

- 영화 관람 횟수는 ‘미혼’(8.23회)에서 참여 횟수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지역 문화예

술 행사·축제 참여 횟수는 ‘학생아님’(2.51회)에서 참여 횟수가 가장 높게 나타남

� <표23>� 자녀의 취학 상태에 따른 문화예술 행사 참여 횟수

(단위 :� 명,� 점)

사례수전통예술

연극공연

영화관람

무용공연

음악공연 전시회

문학행사

지역문화예술행사·축제

역사문화유적지탐방

전체 7,500 1.63 2.01 6.73 1.46 1.86 2.21 1.73 2.22 2.30

미혼 2,435 1.43 2.15 8.23 1.34 1.93 2.04 1.65 1.96 2.19

자녀없음 1,369 1.56 2.02 5.79 1.49 1.85 2.18 1.49 2.03 2.24

취학전 823 1.59 1.88 5.04 1.47 1.70 2.31 1.81 2.46 2.13

학생 1,798 1.76 1.99 6.63 1.53 1.77 2.35 1.75 2.36 2.42

학생아님 1,075 1.88 1.72 4.71 1.64 2.09 2.30 1.96 2.51 2.51

Gap(최대-최소)

- 0.45 0.43 3.52 0.3 0.39 0.31 0.47 0.55 0.38

T값 - 6.780 2.901 36.060 1.500 2.509 1.569 2.120 17.421 2.583

유의확률 - 0.000** 0.021 0.000** 0.200 0.084 0.180 0.076 0.000** 0.035

Page 42: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⑥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경험별

㉮ 문화역량 지표

○ 모든 세부 지표에서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경험자의 지표가 높게 나타남

- 특히, 소통(Gap 0.50점), 관심·지식(Gap 0.47점), 상상력(Gap 0.46점)의 문화예술교

육 경험에 따른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남

㉯ 문화예술 행사 참여

○ 영화 관람(Gap 1.91회)이 문화예술교육 경험에 따른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

고, 전시회(Gap 0.48회), 연극공연(Gap 0.34회)의 순으로 문화예술교육 경험에 따른

차이가 크게 나타남

◎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 경험자의 문화역량 지표가 높게 나타나고, 문화예술 활동에

대한 참여 역시 높은 것으로 조사됨. 또한, 정규교과과정의 문화예술 교육의 효과에 비

해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 교육의 효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문화

예술교육의 확대가 문화역량 강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됨

◎ 따라서 “방과 후 학교”, “저소득층 무료 예술교육” 등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문

화예술 교육 지원 확대가 국민들의 문화역량 강화 및 문화융성을 위해 중요한 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됨

� <표24>� 문화예술교육 경험에 따른 문화예술 행사 참여 횟수

(단위 :� 명,� 점)

사례수 전통예술 연극공연 영화관람 무용공연 음악공연 전시회 문학행사

지역문화예술행사·축제

역사문화유적지탐방

전체 7,500 1.63 2.01 6.73 1.46 1.86 2.21 1.73 2.22 2.30

있음(A) 5,351 1.64 2.05 7.05 1.48 1.89 2.27 1.76 2.28 2.30

없음(B) 2,149 1.61 1.71 5.14 1.34 1.65 1.79 1.50 2.04 2.30

Gap(A-B) - 0.03 0.34 1.91 0.14 0.24 0.48 0.26 0.24 0.00

T값 - 0.267 2.566 6.466 0.909 1.907 2.936 2.038 3.792 0.001

유의확률 - 0.789 0.010* 0.000** 0.364 0.057 0.003** 0.042* 0.000** 0.999

Page 43: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요약 |xxix

□ 문화역량 기초조사의 시사점

1) 문화역량 지표의 특징

○ 문화역량의 세부 지표들은 2.50점 이상으로 국민들의 문화역량 수준은 보통 이상으로

분석됨. 세부 지표를 아우르는 지수 개발 단계 이전이고 새롭게 개발된 지표들을 활용

한 결과로 다른 조사와 비교하거나 일반화하기는 어렵지만 대부분의 지표들이 평균 이

상으로 나타남에 따라 국민들의 문화역량은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분석됨

○ 문화역량 세부 지표 중 사회적 차원의 지표들이 개인적 차원들보다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남. 특히 공감 지표와 관용 지표가 높게 나타나, 일상생활에서 다른 사람들에 대한

배려나 이해가 깊고 다른 문화적 배경의 사람들에 대한 포용의지가 높은 것으로 분석됨

○ 반면, 사회적 차원 중 소통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 특히 다른 사람들과의 의미를

공유하는 의사소통능력은 높게 나타나지만 현대사회에 중요한 문화적 매체로 자리 잡은

SNS소통능력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며 연령에 따라 편차가 큰 것으로 조사됨

≫ 특히, 60대 이상의 SNS소통능력이 낮게 나타남. 미래사회에서 SNS의 활용범위가 더욱 광

범위해지고 다양한 방법을 통한 소통이 개인의 문화적 풍요와 국민의 문화융성에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노년층에 대한 SNS를 활용한 문화활동 참여 방안 마련이 필요

○ 개인적 차원의 지표들 중에서는 감수성, 이해, 상상력 등 개인들에게 잠재되어 있는 내

재적 요소들이 높게 나타남

≫ 일상생활에서의 정서적 경험을 느끼고 반응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감수성과 일상생활이나

문화예술활동을 통해 언어와 상징들을 파악하는 능력인 이해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개

개인이 외부로부터 받는 자극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역량은 높은 것으로 분석됨

○ 반면, 내재적 요소의 관심과 외재적 요소의 표현력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나

자신이 가지는 느낌이나 정서를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는 능력과 새로운 것을 정보와

지식을 얻으려는 노력은 부족한 수동적인 경향을 보임

2) 특성별 문화역량 분석

○ 성별 문화역량 분석

- 상상력을 제외한 모든 문화역량 지표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남

- 감수성, 상상력, 이해와 같은 개인적 차원의 요소들의 남녀차이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는데 이러한 결과는 여자가 외부의 느낌을 수용하고 이해하는 능력이 남자보

다 높고 남자는 여자보다 창의적인 성향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임

Page 44: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xxx|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 연령별 문화역량 지표 분석

- 개인적 차원(감수성, 상상력, 관심·지식, 이해, 표현력)의 지표는 연령이 낮을수록 값

이 높게 나타남

≫ 전반적으로 10·20대, 30-50대, 60세 이상 세대별 3그룹으로 값의 차이가 발생하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음. 이러한 원인은 문화예술관련 호감도, 참여 경험, 적극적인 태도,

어려서부터의 교육환경, 미디어의 노출 여부 등과 같이 문화활동 및 소양을 갖출 수

있는 기회의 차이 때문인 것으로 분석됨

- 반면 사회적 차원(공감, 소통, 관용)의 지표들은 개인적 차원의 지표들에 비해 상대

적으로 값은 높으나, 세대별로 값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음

○ 최종학력별 문화역량 지표 분석

- 모든 문화역량 세부 지표들의 값은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높아짐

≫ 중졸이하와 고졸 학력집단은 모든 문화역량 세부 지표들이 평균값보다 작은 것으로

조사됨

- 특히, 소통, 관심·지식, 상상력 지표에 대해 최종학력별 차이가 크게 나타남

○ 자녀의 취학상태별 문화역량 지표 분석

- 문화역량 지표는 자녀의 취학 상태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자녀가 취학 전인 응답자는 감수성, 상상력, 이해, 소통이 높게 나타남

- 학생을 자녀로 둔 응답자는 감수성, 관심·지식, 이해, 표현력, 공감, 소통, 관용에 대한 지표가 높았음

≫ 전반적으로 자녀가 학생인 응답자의 문화역량 지표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자녀의 미래에 대한 투자 노력에 따라 부모의 문화역량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그에

따른 이해가 증가되는 것으로 보임

≫ 문화예술교육은 어려서부터 이루어지고 있고, 그 효과가 긍정적이라는 점에서 자녀를

둔 학부모와 동반으로 함께 문화역량을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한 것으로 보임.

따라서 자녀의 취학상태에 따른 문화예술교육은 매우 중요하며, 서로 다른 세대가 함께

문화영위(문화참여)를 할 수 있는 기회부여와 더불어 세대별 문화역량의 불균형이 사라

지는 계기가 될 것으로 분석됨

○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경험별 문화역량 지표 분석

-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 경험자의 문화역량 지표가 높게 나타남

- 소통, 관심·지식, 상상력, 표현력 순으로 비정규 과정에서 받은 문화예술교육 경험자의

문화역량이 높게 나타남

≫ 관심·지식, 상상력, 표현력 등은 교육의 효과가 직접적으로 나타나는 영역으로 분석

됨. 또한 이러한 개인적 차원의 영역들은 사회적 차원에 영향을 줄 수 있음으로 문

화예술교육 확대를 문화역량 선순환 고리를 만들 수 있는 정책적 대안이 필요함

Page 45: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요약 |xxxi

3) 문화예술활동 현황

○ 여행 중 해당지역의 문화예술활동 참여율은 평균 27.3%로 나타남

- 공연예술 관람률(전통예술, 뮤지컬, 축제 등) : 28.0%

- 시각예술 관람률(박물관, 미술과, 전시회 등) : 26.5%

※ 관람률 : 매우 자주 한다 + 자주 한다

≫ 특히, 여성들이 여행 중 해당지역의 문화예술 활동에 대한 참여가 높았고, 20대는

공연예술관람 경험이 높게 나타나고 50대는 시각예술관람이 높았음. 향후 모든 세대

가 함께 어울릴 수 있는 지역별 특성화된 문화예술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됨

○ 음악 장르별 선호도와 문화적 가치에 대한 순위는 성과 연령별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남

- 선호도가 높은 장르 : ‘발라드/포크/컨트리’(61.9%), ‘뮤지컬’(51.1%) 순

- 문화적 가치가 높은 장르 : ‘전통음악’(86.9%), ‘클래식’(76.0%) 순

- ‘전통음악’, ‘클래식’, ‘뮤지컬’, ‘발라드/포크/컨트리’는 선호도와 문화적 가치가 모두 높

게 나타남

- 반면, ‘재즈/블루스’, ‘힙합/랩/댄스’, ‘종교음악’, ‘락/헤비메탈’는 선호도와 문화적 가치가

모두 낮게 나타남

- ‘트로트/뽕짝’은 문화적 가치는 낮으나 선호도는 높은 장르로, 60대 이상 남녀의 선호도

가 매우 높게 나타남

○ 문화활동을 위한 동호회 활동 참여율은 13.1%로 소극적인 것으로 조사됨

- 문화동호회 활동 중 가장 많이 참여하고 분야는 있는 문화 동호회 활동은 ‘영화 관람’(45.6%)

이었으며, 주로 ‘지역사회’(44.4%)에 소속된 동호회의 활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 대도시, 50대이상, 화이트칼라, 고학력, 고소득층에서 참여율이 높았음

○ 지난 1년간 문화예술분야 자원봉사활동 참여율은 4.8%, 1년 참여한 활동시간은 총 평균

20.8시간인 것으로 조사됨

○ 문화예술 행사 중 관람 경험이 가장 높은 분야는 ‘영화관람’이었으며, 향후 관람희망

문화예술 행사로는 ‘지역 문화예술 행사 축제’, ‘영화관람’ 순이었음

- 지난 1년 간 실제로 관람한 문화예술 행사로 ‘영화관람’은 2달에 1번 정도는 관람경

험이 있었으나, 다른 영역의 문화예술행사 관람경험은 대부분이 1~3회 수준

≫ 현재 문화예술 행사에 대한 경험은 사람들이 접하기 쉽고 대중적인 영역에 한정되어

있다는 상황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이는 문화활동을 위한 동호회 활동율과도

비슷한 양상인 것으로 나타남

Page 46: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xxxii|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 특히, 자녀가 있는 응답자의 문화예술 행사 관람 횟수가 전반적으로 높았지만, 취학

전의 자녀가 있는 경우에는 관람 횟수가 낮게 나타남

- 그러나, 향후 ‘지역예술행사축제’에 대한 관람의향이 높은 것으로 보아, 지역별 특성

화된 문화예술 행사가 개발되고 홍보된다면, 일반국민들이 문화예술 행사를 바라보

는 시각과 참여율을 증가시킬 수 있음

- 또한 문화예술 행사별 참여하고자 하는 성향을 파악하여 이에 알맞은 특성화된 지역

예술 콘텐츠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보임

○ 정규수업이나 특별활동 시간에 받은 문화예술교육과 정규교육 이외 받은 문화예술교육과

의 효과를 살펴보면, 비정규 문화예술교육의 효과가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정규교과 이외 받은 문화예술교육 분야는 ‘음악’(65.3%), ‘미술’(59.0%) 순

≫ 정규교과 이외 문화예술교육은 주로 학력이 높고, 고소득층에서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향후 소외계층에게 다양한 문화예술교육을 참여할 수 있는 기회 및 지원이

필요함

≫ 또한 정규수업이나 특별활동 시간 또는 방과 후 활동 프로그램을 다양화 및 전문화

시켜 정규과정의 질적인 면은 보완할 필요가 있음

4) 문화역량 지표와 삶의 질과의 관계

○ 문화역량 지표와 삶의 만족도와의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문화역량

과 관련된 활동들이 일반국민들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볼 수 있음

○ 문화역량지표(10개) 모두 유의미한 관계가 있으며, 특히 표현력, 소통, 이해, 관심지표

에 대한 영향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남.

≫ 또한 문화예술 중 영화관람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삶의 만족도와 영향력이 존재

하는 것으로 보아 이미 대중화된 영화 관람 이외 다른 영역에 대한 참여가 삶의 질

을 향상시켜주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이에 대해 일반국민들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각 영역별 특성화된 콘텐츠 개발과 이를 뒷받침해줄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마련되어야 함

Page 47: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요약 |xxxiii

□ 문화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제언

1) 정책 제언 1

자치단체의 문화예술 관련 정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문화정책컨설팅 추진

- 시군구 단위까지의 문화역량 수준 파악 및 국제공동연구 추진 필요

○ 문화역량 기초조사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기초자치단체(시군구) 단위까지 문화역량

수준을 파악할 수 있도록 조사 범위를 확대해야 하며, 이를 통해 기초자치단체별 문화

역량 제고를 위한 정책적 접근이 이루어질 것임

○ 특히 재정자립도가 상대적으로 열악한 기초자치단체(시군구)의 경우, 문화활동 저변 확대

를 위한 문화관련 인프라 확대나 문화예술교육 다양화를 위한 지원 등이 충분치 못하다

는 점에서, 주어진 예산 범위 내에서 정책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문화정책컨설팅’의

역할이 크다고 할 수 있음

○ 이러한 ‘문화정책컨설팅’은 자치단체, 문화예술단체, 대학 등 지역 전문인력과 한국문화

예술교육진흥원 전문인력의 협업을 통해 추진할 필요가 있음. 다른 한편으로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간 문화역량 수준의 특성과 차이를 분석할 수 있는 국제공동조사 프로젝트를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우리나라 문화역량의 객관적 수준 진단과 정책 목표 설

정이 가능할 것임

2) 정책 제언 2

지역 내 문화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중장기 정책 기획, 정책효과성 파악, 이해관계자

소통 등을 지원하는 지역문화융성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개발

○ 시민 문화활동 수준이 지역사회 활성화와 밀접한 연관성을 지닌다는 점이 확인되면서,

지역문화 활성화의 정책적 중요성은 날로 높아지고 있고, 이를 위해 지역문화 활성화를

담당할 전문인력 양성이 선행되어야 함

○ 현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는 아르떼 아카데미 연수(ARTE Academy Programs)를 통

해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에 노력하고 있지만 대부분 ‘교육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문화예술교육 키움(Key-um) : 문화예술교육 매개자(학교·사회

예술강사, 교육기획인력) 및 협력자(교원, 공무원, 광역센터 담당자) 대상으로 한 단계별

교육과정으로 구성

○ 지역 내 문화정책 수립은 문화예술교육 ‘기획’뿐만 아니라 현장에 대한 이해, 투입 대비

정책효과성 측정, 지역내 이해관계자와의 소통 등 다양한 역할이 요구되는 바, 이를 반영

한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됨

Page 48: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xxxiv|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3) 정책 제언 3

지역별 문화역량 격차를 줄이기 위한 지역 문화기반의 강화 필요

- 지역내 문화예술회관, 사립 문화시설 등에 대한 활용도 제고

○ 이번 조사결과 역시 지역별 문화역량 지표 차이가 두드러지고 있으며, 특히 대도시나

중소도시에 비해 군읍면 지역의 문화역량 수준이 낮았음. 이처럼 문화 소외계층뿐만

아니라 소외지역에 대한 지역 문화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지역 문화 생태계를 복원하

고 활성화하는 노력이 시급함

○ 지역문화 생태계의 복원이나 활성화는 지역 내 문화시설(도서관·공연장·박물관·미술관

등)을 하나 더 늘리는 것보다, 지역 주민이 요구하고 참여하는 문화 기반을 중점 조성

해 나가야 한다는 의미임

○ 막대한 문화 인프라 투자와 비교해 볼 때, 기존 문화시설 활용도를 높이고 사립 문화

시설에 대한 지원을 늘리는 것이 경제적 효율성이 더 크며, 이를 통해 소외계층·소외지

역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및 문화역량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음

- 전국 지방자치단체에 설립된 문화예술회관은 214개, 평균 공연일수는 97일 정도

- 사립 박물관과 미술관은 각각 400여곳, 150여 곳에 달하지만 90% 이상이 재정난

4) 정책 제언 4

문화활동 저변 확대를 위한 세대별 차별화 전략 수립 및 실행

- 청년층, 경제활동중심층, 은퇴세대

○ 현재 문화역량지표 중 개인적 차원(감수성, 상상력, 관심·지식, 이해, 표현력)의 지표는

세대별 차이가 큰 반면, 사회적 차원(공감, 소통, 관용)의 지표는 세대별 차이가 상대적

으로 크지 않았음

○ 세대 그룹(10~20대, 30~50대, 60대 이상)간 지표 값 차이는 문화예술관련 호감도, 참여

경험 및 태도, 어려서부터의 교육환경, 미디어 노출 여부 등 문화활동 및 소양을 갖출 수

있는 기회의 차이 때문으로 분석됨

○ 따라서 문화활동 저변 확대를 위해, 청년층, 경제활동층, 은퇴세대 등 세대별 접근 전략이

차별화될 필요성이 있음

- 청년층(10~20대) : 공공기관 활용한 문화활동 공간 및 참여 프로그램 확대

- 경제활동층(30~50대) : 공단, 산단 등 근로자 대규모 밀집지를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근로자의 창의성, 소속감, 결속력 제고 목표)

- 은퇴세대(60대 이상) : 문화활동에 소극적인 만큼, 문화활동 참여를 위한 동기부여

프로그램 제공과 시민문화단체나 문화동호회 활용한 접근성 강화

Page 49: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요약 |xxxv

5) 정책 제언 5

비정규 문화예술교육과의 격차를 줄일 수 있도록 정규수업, 특별활동, 방과 후 활동 등

각 정규교육과정별로 특성화된 교육 프로그램 개발·보급

○ 정규교육(정규수업, 특별활동, 방과 후 활동)과 정규교육 이외에 받은 문화예술교육간의

효과를 살펴보면, 비정규 문화예술교육의 효과가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정규교육 이외 문화예술교육은 주로 고학력 및 고소득층에서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소외계층과의 문화역량 격차는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됨

○ 따라서 정규교육내 문화예술교육의 양적·질적 개선을 통해, 비정규 문화예술교육의 과도한

영향력을 줄이고, 소외계층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기회를 넓히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

특히 특별활동이나 방과후활동 프로그램을 다양화하고 전문화시킴으로써, 정규과정의 질

적인 면을 보완할 필요가 있음

6) 정책 제언 6

초등생 이하 자녀와 학부모로 대표되는 문화예술교육 실수요층을 대상으로 한 가족동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 문화예술교육은 영유아들이나 어린이들에게 표현력과 창의력 향상을 돕기 위해 많이

실행하고 있으며, 실수요층이라 할 수 있는 초등생 이하 자녀와 학부모의 경우, 참여에

적극적이며 교육효과에 대한 기대감이나 만족도가 크다는 특징을 지님

○ 따라서 영유아·어린이와 부모가 문화역량을 공유할 수 있는 ‘가족동반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됨. 특히 문화예술교육이 주로 자녀에게 집중된 반면, 동반

하는 학부모들은 단순 조력자나 참관자에 머무는 경우가 많아 ‘학부모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세대간 균형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함

○ ‘가족동반 교육 프로그램’은 서로 다른 세대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기회부여와 더불어

세대별 문화역량의 불균형이 사라지는 계기가 될 것임

Page 50: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xxxvi|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 문화역량 지표 활용을 위한 제언

○ 향후, 일반국민의 문화역량에 대해 세분화된 분석이 가능하여 지역 및 응답자 특성에

맞는 정책 마련에 활용

- 문화역량지표 분석을 통해 각 차원의 세분화된 영역별로 역량의 수준을 분석하여 좀

더 구체적인 문화예술 정책 방향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활용이 가능함

- 또한 지역, 연령, 학력, 소득수준별 문화역량 수준을 파악과 함께, 문화예술교육 경

험 유무, 자녀의 취학 상태별 등 추가적인 변인 개발을 통한 세분화된 분석을 진행

함으로 향후, 문화예술교육 정책 수립과정에서 정밀한 정책 수혜 대상자 설정이 가능함

○ 향후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활용

- 향후 문화예술교육의 방향과 중심이슈는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 제고를 넘어 공동체

내에서 참여와 표현의 활성화”와 이를 통한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

고려해야 함

- 개인적 문화역량은 유아교육 및 초중고 정규교육과정에서 문화예술교육 이수 여부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는 만큼 정규과정 내 문화예술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점

제시됨

- 60세 이상과 같은 특정계층과 지역에 따라 문화예술 참여에 소극적 태도와 무관심

이 두드러지는 만큼 특정지역·계층(공단 또는 농어촌) 대상으로의 문화예술교육 지원

강화가 필요함

○ 문화역량 요인과 삶의 질과의 분석을 통해 삶의 질이 향상될 수 있는 방안 강구

- 문화역량 세부 영역들과 ‘어제의 행복’, ‘삶의 만족’, ‘자신의 일에 대한 가치 부여’

등 개인의 삶에 대한 태도의 관계를 분석하여 개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 방

안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 개개인의 문화역량 요인 중 “인식하고 이해하는 능력”보다 상대적으로 “참여하고 표

현하는” 문화활동을 통한 발산 능력이 취약하여 이에 대한 정책방안 마련 및 적절한

지원 방안이 필요함

○ 문화역량지수 및 지표 보완을 위한 자료로써 활용

- 1차적으로 만들어진 문화역량지표들의 적합성과 타당성을 본 조사결과를 통해 분석

하여, 지표들 간의 역할 및 특징에 따른 가중치 개발 등의 단계를 통해, 향후 국민

들의 문화역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계층별 비교를 할 수 있는 문화역량지수 개발로

발전이 필요함

- 이러한 문화역량지수를 통해, 계층별 문화역량 및 계층 내 문화역량 분석 및 비교를

통해 보다 세분화된 정책 마련 및 문화예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로드맵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Page 51: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Page 52: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 서론

1. 조사의 필요성

2. 조사의 목적

3. 문화역량의 개념

4. 문화역량 지표체계

Page 53: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Page 54: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 서론 |3

I. 서론

1. 조사의 필요성

2004년 이후 국내 문화예술교육의 정책적 목표는 국민의 문화역량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음. 특히 ‘문화융성’이라는 국가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국민들의 문화역량 강

화가 더욱 중요한 사안으로 떠오르고 있음

국민들에게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기회 제공 차원을 넘어서, 각 분야에서 문화융성이라

는 과제가 실현될 수 있도록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성과와 한계

를 파악하기 위해 문화역량지표의 개발이 이루어짐

이렇게 개발된 문화역량지표를 활용하여 국민들의 문화역량 수준을 진단하고 동시에,

문화예술교육의 현 상태와 문제점을 파악하여 문화정책과 문화예술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수립이 필요함

2. 조사의 목적

본 연구는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를 통해 개발된 문화역량 지표를

측정하여 국민들의 문화역량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함께 문화예술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

안 발굴을 목적으로 기획·추진됨

Page 55: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4|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3. 문화역량의 개념

본 조사연구는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와 연속성을 갖는 것으로 연구

에서 활용된 문화역량 및 세부 요소들의 개념 정의 및 측정 체계는 선행 연구에 바탕을 둠

따라서 본 연구는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에서 <그림 1-1>의

절차를 통해 정의된 문화역량의 개념 및 요소들에 기반하여 기초조사 수행 및 결과분

석을 함

<그림 1-1>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의 흐름

� ※� 자료 :� 백령 외(2014),� P.9

Page 56: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 서론 |5

3.1. 문화의 개념

‘문화’의 개념은 예술을 포함한 집단 내에 형성된 생활식의 총체이자 제도, 언어, 종교,

사고체계, 사회관계를 복합하는 개념으로 그 정의가 매우 광범위함.(백령 외, 2014;2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법률에서 합의하고 있는 문화의 개념을 적용하여 문화의

개념을 구체화함

현재 국내법에서 적용되는 문화와 관련된 법에서 문화의 개념을 찾아보면, 공통적으로

인간의 삶의 표현 전체를 아우르는 넓은 의미로 이해되고 동시에 예술과 밀접한 관련

을 맺는 개념으로 규정함

<표1-1> 국내 법률상의 문화의 개념

국내 법률 문화에 대한 정의

문화기본법

(법률 제 12134호, 제3조)

“문화”란 문화예술, 생활양식, 공동체적 삶의 방식, 가치 체계, 전통 및 신념

등을 포함하는 사회나 사회 구성원의 고유한 정신적·물질적·지적·감성적 특성

의 총체를 말한다

지역문화진흥법

(법률 제 12354호, 제1조)

1. "지역문화"란 「지방자치법」에 따른 지방자치단체 행정구역 또는 공통의

역사적·문화적 정체성을 이루고 있는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유산, 문화

예술, 생활문화, 문화산업 및 이와 관련된 유형·무형의 문화적 활동을 말한다

2. "생활문화"란 지역의 주민이 문화적 욕구 충족을 위하여 자발적이거나 일

상적으로 참여하여 행하는 유형·무형의 문화적 활동을 말한다

문화예술진흥법

(법률 제 12354호, 제2조)

“문화예술”이란 문학, 미술(응용미술을 포함한다), 음악, 무용, 연극, 영화, 연

예(演藝), 국악, 사진, 건축, 어문(語文), 출판 및 만화를 말한다

문화예술교육지원법

(법률 제 12354호, 제2조)

"문화예술교육"이라 함은 「문화예술진흥법」 제2조 제1항 제1호의 규정에 따

른 문화예술 및 「문화산업진흥 기본법」 제2조제1호의 규정에 따른 문화산

업, 「문화재보호법」 제2조제1항의 규정에 따른 문화재를 교육내용으로 하

거나 교육과정에 활용하는 교육을 말하며, 다음 각 목과 같이 세분한다

국내 법률상의 규정된 문화에 대한 정의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화의 개념을 사회

를 구성하는 자본이자 사회구성원이 지향하는 가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문화

예술, 생활양식, 공동체적 삶의 방식, 가치 체계, 전통 및 신념 등을 포함하는 사회나 사

회구성원의 고유한 정신적·물질적·지적·감성적 총체”로 규정함

Page 57: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6|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3.2. 문화예술의 개념

예술은 문화의 한 영역으로서 예술 활동과 그 결과물 전체를 지칭하는 것으로 문화예술

은 예술을 문화적 맥락 속에서 파악하려는 시도임

이러한 예술과 문화의 관계를 이해할 때, 문화예술교육은 궁극적으로 문화교육을 지향

하되, 그 구체적인 실천적 접근 방안으로 예술교육을 중심에 두는 교육으로서(김정희,

2007), 예술교육을 통해 스스로의 생각, 경험 느낌을 생각하고 표현하고 이를 공유하

며 자존감, 공동체 형성을 통한 문화역량 향상을 목표로 진행되고 있음

3.3. 역량의 개념

역량은 지적인 측면을 강조한 개념에서 출발하였으나 현재는 ‘인간이 삶을 성공적으로

살아가는데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능력’의 개념으로 확장되고 있음

현재 논의되고 있는 역량에 대한 이해를 종합하면,

▪ 첫째, 역량은 개인적 차원의 역량(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것)과 사회적 차원의 역량

(다른 사람과 관계하면서 발휘되는 능력)으로 구분됨

▪ 둘째, 인지적 측면과 비인지적 측면을 포괄하는 개념임. 즉 인지적 역량과 함께 비

인지적 역량(행위적 측면)이 동시에 강조되는 통합적인 개념임

▪ 셋째, 역량은 교육을 통해 개발 가능함

이러한 논의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역량의 개념을 ‘현재와 미래 사회에서 시민으

로서 성공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갖추어야 하는 자질’로 정의함. 또한 이러한 역량은

인지적 측면의 역량과 비인지적 측면의 역량을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함(백령 외,

2014; 36)

<표1-2> 인지적 측면과 비인지적 측면의 세부 요소

역량 세부 요소

인지적 측면 역량 지식(knowledge), 문해(literacy), 사고(thinking), 학습(learning)

비인지적 측면 역량태도(attitude), 가치관(value), 감정(emotion), 동기(motive), 기술(skill),

행위(action)

Page 58: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 서론 |7

3.4. 문화역량의 개념

국내의 문화역량의 개념에 대한 연구는 2011년 <문화역량지수 개발 연구>와 2012년

<문화역량지수 조사 연구>에서 본격적으로 이루어짐. 각 연구에서 정의한 문화역량의

개념은 다음의 표와 같음

<표1-3> 문화역량 개념에 대한 선행 연구

연도 연구명 문화역량 개념 정의

2011년문화역량지수

개발 연구

“삶의 질을 고양시키는 문화적 인식, 기술, 태도로서 개인이 신체적,

정신적으로 활력이 넘치고 감정적으로 잘 조율되어, 지적활동을 합리적

으로 하며, 가치로운 삶을 추구함으로써 문화적으로 성숙한 태도를 드

러낼 수 있는 통합적 능력”

2012년문화역량지수

조사 연구

“개인 및 조직, 사회가 상상력, 놀이, 인공물을 통해 문화와 예술을 생

산, 축적, 공유, 이해 소통하며 차이와 다양성을 인정하고 창조적이고

비판적으로 느끼고 표현하며 행위하는 역량”

위에 표에서 볼 수 있듯이, 2011년 문화역량 개념은 기초적이며 근본적인 개인의 역량

을 강조하여 신체와 정신, 지성과 감성이 모두 포함되는 광범하고 포괄적인 개념정의가

이루어짐

반면, 2012년 연구에서 문화역량 개념은 적용범위를 조직과 사회로 확장하는 한편, 대상은

문화와 예술과 관련된 행위로 한정하고 차이와 다양성 인정, 창조적, 비판적 느낌과 표현

등 사회적으로 발휘되는 역량을 강조함(백령 외, 2014;38)

이러한 선행연구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2014년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에서는 선행 연구들의 문화역량 개념을 포괄하되, 생활양식보다는 문화예술, 물질보다는

정신, 지성보다는 감성에 보다 초점을 둔 문화역량 개념을 정의함

또한 문화역량이 개인적, 사회적으로 개발될 수 있고, 교육을 통해 개발되어야 한다는 관

점에서 문화역량과 문화예술교육과의 관련성에 초점을 둠

이러한 이론적 배경 속에서 본 연구에서는 문화역량 개념을 “현재와 미래 사회에서 문화시

민으로서 행복하게 살아가는데 필요한 문화의 생산과 향유의 바탕이 되며 사회적, 경제적

삶을 풍요롭고 조화롭게 하는데 기여하는 감성과 태도 및 취향과 지식”으로 정의함

Page 59: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8|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4. 문화역량 지표체계

4.1. 문화역량 개념 모형

문화역량을 직접적으로 측정하여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기 위해 문화역량의 요소를 바

탕으로 한 문화역량 개념 모형을 설정함

문화역량은 자신의 느낌과 감정, 상상을 어떻게 표현하고 다른 사람들의 감정적 표현

이나 문화적 산물을 수용해서 반응할 수 있는지 여부를 의미하는 개인적 수준과 개

인들 간에 공감과 소통, 이해가 잘 이루어져서 기술적이고 도구적인 차원만이 아니라

의미와 감성이 충만한 삶이 공유될 수 있는지 여부를 의미하는 사회적 수준으로 구

분됨. 이러한 개인적 수준과 사회적 수준은 서로 단절된 것이 아니라 <그림1-2>와

같은 순환적 연결고리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음

<그림1-2> 문화역량의 개인적·사회적 차원의 순환구조

※ 자료 : 백령 외(2014), P.46

이러한 순환구조는 개인의 역량이 발현되는 과정을 담고 있는 것으로,

▪ 체험과 상상을 통해 형성된 느낌이 표현되는 기초역량과

▪ 표현된 느낌이 관심(또는 지식)을 형성하고 이러한 관심(또는 지식)이 다른 문화적

행위의 참여를 불러일으켜 개인의 취향을 형성하는 실천역량과

▪ 표현된 느낌을 통해 이해, 소통, 공감을 형성하는 사회적 역량을 포괄하는 것임

이러한 순환구조를 통해 살펴본 문화역량의 요소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문화역

량을 크게 개인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으로 구분하고, 다시 개인적 차원은 내재적 요

소와 외향적 요소로 구분하여 이에 따른 세부 역량을 도출함

Page 60: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 서론 |9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를 통해 구축된 문화역량의 구성요소

들의 개념을 정의하면 다음의 표와 같음

<표1-4> 문화역량 구성 요소 및 개념 정의2)

대영역 소영역 개념정의

개인적차원

내재적요소

감수성sensibility

- 인간 의식의 정서적 성향- 외부 세계의 자극을 받아들이고 느끼는 성질- 외적 자극에 대한 반응의 정도

상상력imagination

- 실제로 경험하지 않은 현상이나 사물에 대하여 마음속으로 그려 보는 힘- 직접 경험이 없이 이미지나 아이디어를 형성하는 능력

취향taste

- 하고 싶은 마음이 생기는 방향 또는 그런 경향- 대상의 미적 품질을 받아들이는 특별한 능력- 문화의 가치를 판단하는 능력

관심/지식attention

orientationinterest

knowledge

- 주의력이나 흥미가 특정한 사물로 향하고 있을 때의 심적 태도나 감정 (interest)- 특정 대상에 대한 지향성(orientation)- 어떤 것에 마음이 이끌려 주의를 기울임(attention)- 대상에 대한 경험적 인식(knowledge)

이해understanding

- 언어, 기호, 회화, 조각, 음악과 그 밖의 문화적 산물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 상징의 의미나 의도를 파악하고 해석하는 능력

외향적요소

참여participation

- 관심 대상에 끼어들어 관여하는 행위

표현력expressiveness

- 인간 안의 내적인 것을 밖으로 표출하는 능력- 생각과 느낌 등을 언어나 몸짓 같은 형상으로 나타내는 능력 - 경험하거나 상상한 것을 상징을 활용하여 나타내는 것

사회적차원

공감empathy

- 다른 사람의 심리적 상태를 그 사람의 입장이 되어 느끼는 것을 통해서 지각하는 방식

- 타인의 처지나 입장에서 느끼고 생각하는 능력

소통communication

- 막힘없이 잘 소통하는 것- 편견과 선입견 없이 경청하는 자세와 상대의 의사를 제대로 파악하려고 노력

하는 자세에 기초하여 서로가 서로의 말뜻을 잘 알아들음- 다른 사람과 의미와 의견을 주고받으며 서로를 이해하는 것

관용tolerance

- 나와 다른 배경/정체성에 대해 거부하지 않는 것- (종교적·사회적) 신념이 나와 달라도 기본권(대한민국에서 살 권리 등)을 인정

하는 것

2)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p.51

Page 61: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10|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4.2. 문화역량 측정모형 및 지표체계

문화역량 개념모형에 기초하여 2개의 대영역과 10개의 소영역으로 구성된 문화역량

측정모형 및 문화역량 지표체계는 다음과 같음

<그림1-3> 문화역량 측정모형

※ 자료 : 백령 외(2014), P.46

<표1-5> 문화역량 지표체계3)

대영역 소영역 지표 기초조사 문항

개인적차원

내재적요소

감수성sensibility

▪ 감수성 문1

상상력imagination

▪ 상상력▪ 창의성

문2

취향taste

▪ 미적 품질 판단 능력▪ 문화적 가치 판단 능력

문3,4,5,6

관심/지식attention

orientationinterest

knowledge

▪ 문화에 대한 관심 정도▪ 문화지식 수준

문7

이해understanding

▪ 문화 이해 능력 문8

외향적요소

참여participation

▪ 문화 관람▪ 문화 창작발표 능력▪ 문화 동호회 활동▪ 문화 봉사 활동▪ 독서량▪ 문화예술교육 참여

문9~22

표현력expressiveness

▪ 표현력 문23

3)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p.53

Page 62: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 서론 |11

대영역 소영역 지표 기초조사 문항

사회적차원

공감empathy

▪ 공감 능력 문24

소통communication

▪ 의사소통능력▪ SNS소통능력

문25,26

관용tolerance

▪ 문화 개방성▪ 문화 포용성

문27

4.3.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에서 문화역량 지표의 활용

본 연구는「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를 통해 구성된 문화역량 지

표를 활용하여 국민들의 문화역량의 수준을 파악하고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문화역량

강화 및 문화융성을 위한 정책적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함

위에서 제시된 문화역량 지표들은 개인의 삶과 사회, 문화에 대한 전인적 측면을 고

려하여 구성되었음으로 지표에 대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국민들의 문화역량 전반에

대한 연구와 문화역량에 따른 삶의 질에 대한 연구가 가능함. 또한 문화예술에 대한

취향, 문화예술활동에 대한 참여 등의 문항들을 바탕으로 국민들의 문화활동 실태에

대한 전방위적인 탐색이 가능함. 마지막으로 기초조사를 위한 설문구성 과정에서 ‘어

제의 행복도’, ‘삶의 만족도’, ‘일에 대한 가치부여 정도’ 등의 삶의 질을 측정하는 문

항을 추가함으로서 문화역량과 삶의 질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였음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는 구성된 설문문항들에 대한 조사결과들을 제시한 후, 주요 변

인별 문화역량 지표들의 특징을 살펴 계층별 문화역량 및 문화예술활동 현황의 주요

한 차이점 발굴에 주안점을 둠. 또한, 문화역량과 행복도, 만족도의 관계를 살펴, 문

화역량 강화를 통한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정책적 제언에 주안점을 둠

이러한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 먼저 문화역량 기초조사에 대한 결과들을 제시한 후,

▪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문화역량 및 문화예술활동 참여 등의 특징을 살펴보고

▪ 문화역량과 삶의 질 간의 관계에 대해 개략적인 분석을 진행함

▪ 마지막으로 분석들을 통해 발굴된 시사점들을 바탕으로 문화예술교육 정책 및 문

화융성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함

마지막으로 국민들의 문화역량 진단 및 문화융성 기여라는 본래적인 목적달성을 위해

기초조사의 한계점 및 향후의 보완·발전 방안을 제시함

Page 63: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Page 64: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 조사개요

1. 전체 조사 개요

2. 응답자 특성

3. 조사내용

4. 주요 분석 방법

Page 65: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Page 66: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 조사개요 |15

II. 조사개요

1. 전체 조사 개요

전국 17개 광역시도(세종특별자치시 포함)의 만 15세 이상 일반국민 7,500명을 대상으

로 온라인 패널을 활용한 CASI(Computer Assisted Self-Interview) 조사와 가구방문

면접조사를 병행하여 추진함

<표2-1> 전체 조사 개요

구분 세부 조사 설계

조사지역 ■ 전국 17개 광역시도(세종특별자치시 포함)

조사대상 ■ 만 15세 이상 남녀

조사방법■ 만 15세 이상 59세 이하 : 온라인 패널을 활용한 CASI 조사

■ 만 60세 이상 : 가구방문을 통한 일대일 개별면접조사

유효표본 ■ 총 7,500명(95% 신뢰수준에서 최대표본오차 ±1.09%p)

표본추출

■ 다단계 층화추출 (Multi-Stage Stratified Sampling)

■ 기본통제변수 : 지역ㆍ성ㆍ연령별 인구크기 및 직업

※ 주부 및 자영업 등 특정 직업군 과다표집 제한

조사기간 ■ 2014년 11월 1일 ~ 12월 5일

조사기관 ■ ㈜월드리서치

Page 67: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16|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2. 응답자 특성

구 분 사례수(명) 구성비(%)

전 체 7,500 100.0

지역

서울 1,504 20.1부산 528 7.0대구 368 4.9인천 422 5.6광주 212 2.8대전 222 3.0울산 168 2.2경기 1,767 23.6강원 228 3.0충북 230 3.1충남 318 4.2전북 276 3.7전남 282 3.8경북 403 5.4경남 486 6.5제주 86 1.1

광역시도

서울 1,504 20.1인천/경기 2,189 29.2대전/세종/충청 770 10.3광주/전라 770 10.3대구/경북 771 10.3부산/울산/경남 1,182 15.8강원/제주 314 4.2

출신지역 크기대도시 3,424 45.7중소도시 3,436 45.8읍/면 640 8.5

성별남자 3,723 49.6여자 3,777 50.4

연령

15~19세 584 7.820~29세 1,137 15.230~39세 1,354 18.140~49세 1,527 20.450~59세 1,384 18.560세이상 1,514 20.2

Page 68: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 조사개요 |17

구 분 사례수(명) 구성비(%)

전 체 7,500 100.0

성별 by 연령

10대_남 305 4.120대_남 595 7.930대_남 688 9.240대_남 776 10.350대_남 696 9.360세이상_남 663 8.810대_여 279 3.720대_여 542 7.230대_여 666 8.940대_여 751 10.050대_여 688 9.260세이상_여 851 11.3

최종학력중졸이하 1,324 17.7고졸 2,291 30.5대졸이상 3,885 51.8

직업

전문기술관련관리자 921 12.3사무종사자 1,498 20.0서비스/판매종사자 932 12.4농/림/어업종사자 144 1.9기능/기계종사자 653 8.7주부 1,398 18.6학생 1,089 14.5무직/퇴직/기타 865 11.5

월평균 가구소득

199만원이하(하층) 1,723 23.0200-399만원(중하층) 2,722 36.3400-599만원(중상층) 1,988 26.5

600만원이상(상층) 1,067 14.2

혼인유무결혼경험없음 2,435 32.5결혼경험있음 5,065 67.5

자녀수

미혼 2,435 32.5자녀없음 1,369 18.31명 1,138 15.22명 2,157 28.83명이상 401 5.3

Page 69: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18|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3. 조사내용

문화역량 세부 요소별 정의에 따른 세부 조사내용은 아래의 표와 같음

<표2-2> 문화역량 구성 요소별 조사내용

대영역 소영역 조사 내용

개인적차원

내재적요소

감수성sensibility

▪ 나는 환경변화에 민감하게 느끼고 반응한다▪ 나는 주변 사람들의 감정변화를 이해하고 배려한다▪ 나는 감수성이 풍부하다▪ 나는 다른 사람의 작은 스타일 변화라도 알아채는 편이다▪ 나는 드라마나 영화를 보고나서 감동이 오래가는 편이다

상상력imagination

▪ 나는 상상력이 풍부하다▪ 나는 새로운 방식으로 생각하거나 행동하려고 한다▪ 나는 현실의 벽에 부딪히면 가끔 비현실적인 것이라도 상상해 본다▪ 나는 소설 등의 문학작품을 읽고 난 후 뒷이야기를 꾸며 생각해 본다

취향taste

▪ 현대의 추상 미술작품은 아이들이 그린 그림과 차이를 모르겠다▪ 대중예술 혹은 민속예술에서도 고급예술 못지않은 뛰어난 예술성을 발견할 수 있다▪ 대중문화가 너무 발달하면 문화 전반의 질을 위협한다▪ 뛰어난 예술과 그렇지 않은 예술을 구분하는 기준은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절대적이다▪ 사회의 일부 사람들만 뛰어난 예술인지 아닌지 판가름할 수 있는 지식을 가졌다▪ 여행시 문화활동별 참여 빈도▪ 음악 장르별 가치판단 및 선호 여부

관심/지식attention

orientationinterest

knowledge

▪ 나는 평소에 문화예술에 대한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탐색하고 배우려 한다▪ 나는 대화할 때 문화예술과 관련된 내용의 비중이 높다▪ 내가 좋아하는 예술에 대하여 사람들에게 2~3분 동안 소개할 수 있다▪ 나는 서양 고전음악에 대해 많이 알고 있다

이해understanding

▪ 나는 대화 중에 상대방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잘 이해한다▪ 나는 책을 읽을 때 내용에 대해 잘 이해한다▪ 내가 관심 있는 예술작품(음악, 미술, 조각 또는 기타 작품)의 의미를 잘 이해할 수 있다

외향적요소

참여participation

▪ 문화예술 동호회 활동 참여 여부 및 활동 분야, 소속▪ 문화예술 행사별 관람 여부 및 빈도, 관람 의향▪ 문화예술 분야별 창작·발표 참여 여부▪ 문화예술 분야 자원봉사활동 참여 경험 및 시간, 분야▪ 월 평균 독서량▪ 정규수업·특별활동 시간의 문화예술교육 효과▪ 학원·개인교습 등을 통한 문화예술교육 최초 수강 시점 및 기간, 효과

표현력expressiveness

▪ 내가 느끼는 감정이나 느낌을 적극적으로 표현한다▪ 나는 평소에 내 생각이나 느낌을 새롭게 표현하는 편이다▪ 경험한 생각이나 느낌을 글이나 사진 등으로 표현하는 것을 즐긴다▪ 상대방에게 말을 할 때 표정이나 몸짓도 적극적으로 사용한다

Page 70: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 조사개요 |19

대영역 소영역 조사 내용

사회적차원

공감empathy

▪ 누가 부당한 대접을 받는 것을 보면 화가 난다▪ 친구가 자신의 고민을 이야기하면, 그 입장에서 같이 걱정해 줄 수 있다▪ 주변 사람이 우울하면 내 마음도 편하지 않다▪ 남의 고통을 보면 마음이 아프다▪ 문화예술 작품을 보게 되면 작가의 의도에 공감하게 된다

소통communication

▪ 대화 상대방의 의도를 알기 위해 귀 기울여 듣는 편이다▪ 얼굴표정이나 몸짓을 보고 상대방의 기분을 이해하고자 노력한다▪ 다른 사람으로부터 질문을 받으면, 조리 있고 분명하게 나의 의견을 말한다▪ 사진 공유, SNS 등 글 게재, SNS 공감 표현에 대한 빈도

관용tolerance

▪ 나와 다른 가치관을 가지고 있는 상대방의 주장도 귀담아 듣는다▪ 나는 정치적·종교적 신념이 다르다고 해서 차별하지 않는다▪ 나의 이웃으로 다른 인종의 외국인이 이사 온다면 마음이 불편할 것이다▪ 나는 외국인이나 낯선 문화를 접할 때 거부감 없이 대한다

문화역량관련 문항 외, 어제의 행복도 및 삶에 대한 만족도, 일에 대한 가치 부여 등 삶의

질을 측정하는 문항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확인하는 문항이 포함됨

<표2-3> 기타 문항 조사 내용

구분 조사 내용

삶의 질

행복도 ▪ 귀하는 어제 어느 정도 행복했다고 생각하십니까?

만족도 ▪ 귀하는 요즘 자신의 삶에 대해 전반적으로 얼마나 만족하고 있습니까?

일에 대한 가치 ▪ 귀하는 요즘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이 전반적으로 얼마나 가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인구통계학적 특성

가구원 수 ▪ 귀하를 포함해서 귀댁의 가구원은 모두 몇 명입니까?

가족 구성 ▪ 귀 댁의 가족 구성은 다음 중 어디에 해당하시나요?

직업 ▪ 귀하의 직업은 무엇입니까?

직장에서 직위 ▪ 귀하의 직장(일)에서의 지위는 무엇입니까?

최종학력▪ 귀하께서는 학교를 어디까지 마치셨습니까?▪ 귀하께서는 예능계 중학교 또는 고등학교를 다니신 적이 있습니까?

혼인상태

▪ 귀하의 혼인 상태는 어떠합니까?▪ 귀하의 자녀는 모두 몇 명이십니까?▪ 귀댁 자녀의 취학상태는 어떠한지 말씀해 주십시오▪ 귀댁은 맞벌이를 하고 계십니까?

월평균 소득 ▪ 귀댁의 가족 전체의 월평균 소득은 대략 어느 정도입니까?

거주형태 ▪ 현재 살고 계신 집은 귀하 소유입니까? 아니면 셋집입니까?

종교 ▪ 귀하는 어떤 종교를 가지고 계십니까?

부모의 학력 ▪ 귀하의 아버님(어머님)께서는 학교를 어디까지 마치셨습니까?

Page 71: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20|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4. 주요 분석 방법

4.1. 측정 척도 및 환산 방식

4점 척도의 환산 방식은 다음과 같음

<표2-4> 4점 척도 환산 방식

척도 ① ② ③ ④

내용동의하지 않음(그렇지 않음) 동의(그렇다)

환산 점수 1점 또는 4점 2점 또는 3점 3점 또는 2점 4점 또는 1점

10점 척도의 환산 방식은 다음과 같음

<표2-5> 10점 척도 환산 방식

척도 ◎ ① ② ③ ④ ⑤ ⑥ ⑦ ⑧ ⑨ ⑩

내용동의하지 않음(그렇지 않음) 보통 동의(그렇다)

환산 점수 0점 1점 2점 3점 4점 5점 6점 7점 8점 9점 10점

4.2. 세부 영역별 지표 산출 방법

하위영역의 지표는 각각 세부지표의 단순평균임 ‘취향’ 및 ‘참여’는 실태 파악을 위한 문항으로 지표 산출에서 제외함 지표산출 방법과 산출을 위해 사용된 문항은 다음과 같음

<표2-6> 문화역량 수준 산출 문항

대영역 소영역 문항 번호 세부 문항 수

개인적차원

내재적요소

감수성 문1 5개 문항

상상력 문2 4개 문항

취향 - -

관심/지식 문7 4개 문항

이해 문8 3개 문항

외향적요소

참여 - -

표현력 문23 4개 문항

사회적차원

공감 문24 5개 문항

소통 문25,문 26 6개 문항

관용 문27 4개 문항

Page 72: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 조사개요 |21

4.3. 지표별 집단 구분 방법

‘삶의 질’, ‘문화예술 활동 참여’와 문화역량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각 세부 영역별 지표의 평균을 바탕으로 영역별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을 구분하여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분석함

<표2-7> 문화역량 지표별 집단 구분

문화역량 세부 영역 하위 집단(명) 지표(평균) 상위 집단(명)

감수성 N=4,110 ◀◁◁ 2.82점 ▷▷▶ N=3,390

상상력 N=3,196 ◀◁◁ 2.70점 ▷▷▶ N=4,304

관심·지식 N=4,210 ◀◁◁ 2.32점 ▷▷▶ N=3,290

이해 N=3,953 ◀◁◁ 2.78점 ▷▷▶ N=3,547

표현력 N=3,962 ◀◁◁ 2.57점 ▷▷▶ N=3,538

공감 N=4,716 ◀◁◁ 3.07점 ▷▷▶ N=2,784

소통 N=4,041 ◀◁◁ 2.70점 ▷▷▶ N=3,459

관용 N=3,412 ◀◁◁ 2.92점 ▷▷▶ N=4,088

Page 73: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22|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Page 74: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1. 문화역량 지표체계

2. 세부 영역별 조사결과

3.삶의 질

4. 특성별 문화역량

Page 75: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Page 76: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25

III. 조사결과 분석

1. 문화역량 지표체계

문화역량은 “현재와 미래 사회에서 문화시민으로서 행복하게 살아가는데 필요한 문화

의 생산과 향유의 바탕이 되며 사회적, 경제적 삶을 풍요롭고 조화롭게 하는데 기여하

는 감성과 태도, 취향과 지식”과 같은 국민 개개인이 갖추고 있는 역량으로 크게 개인

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으로 구분됨

개인적 차원은 ‘개인의 내면에 있는 역량을 나타내는’ 내재적 요소와 ‘개인의 역량을

밖으로 표현하는 능력’인 외재적 요소로 구분함

▪ 내재적 요소는 감수성 및 상상력, 취향, 관심, 이해 5개의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며,

외재적 요소는 ‘참여’, ‘표현력’으로 구성됨

사회적 차원은 ‘표현된 것을 공감하고 이해하는 역량’을 의미하는 것으로 공감, 소통,

관용 3개의 하위 영역으로 구성됨

<그림3-1> 문화역량 측정모형 및 조사 결과

※ 하위영역의 해당하는 지표의 점수는 각각 세부지표의 단순평균 ※ ‘취향’과 ‘참여’는 실태 파악을 위한 문항으로 점수 산출에서 제외함

Page 77: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26|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 문화역량 지표의 조사결과

문화역량 기초조사 결과, 개인적 차원 중에서 ‘감수성’ 지표가 2.82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사회적 차원 중에서 ‘공감’ 지표가 3.07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남

▪ 개인적 차원(내재적 요소) : 감수성(2.82점), 이해(2.78점), 상상력(2.70점), 관심(2.32점) 순

▪ 개인적 차원(외재적 요소) : 표현력(2.57점)

▪ 사회적 차원 : 공감(3.07점), 관용(2.92점), 소통(2.70점) 순

문화역량 세부 지표 중 사회적 차원의 지표들이 개인적 차원의 지표보다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남. 특히 공감 지표와 관용 지표가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일상생활에서 다른

사람들에 대한 배려나 이해가 높고 다른 문화적 성향의 사람들에 대한 포용의지가 다

른 문화역량들에 비해 높다는 것을 의미함

반면, 사회적 차원 중 소통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 특히 다른 사람들과의 의미를

공유하는 의사소통능력은 높게 나타나지만 현대사회에 중요한 문화적 매체로 자리 잡

은 SNS소통능력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며 연령에 따라 편차가 큰 것으로 조사됨4)

개인적 차원의 지표들 중에서는 감수성, 이해, 상상력 등 개인들에게 잠재되어 있는 내

재적 요소들이 높게 나타남

▪ 특히, 일상생활에서의 정서적 경험을 느끼고 그에 따라 반응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감수

성과 일상생활이나 문화예술활동을 통해 언어와 상징들을 파악하는 능력인 이해가 상

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개개인이 외부로부터 받는 자극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역량은

높은 것으로 분석됨

반면, 내재적 요소의 관심과 외재적 요소의 표현력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나

자신이 가지는 느낌이나 정서를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는 능력과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얻으려는 노력은 부족한 수동적인 경향을 보임

4) p. 121~122 참고

Page 78: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27

2. 세부 영역별 조사 결과

2.1. 감수성

2.1.1. 감수성 영역 종합

‘인간 의식의 정서적 성향 및 외부 세계의 자극을 받아들이고 느끼는 성질’을 나타내는 감수성 지표는 2.82점으로 조사됨

▪ 감수성은 5개의 세부문항으로 구성되며, 감수성 지표는 각 문항의 4점 평균을 단순평균하여 산출함

세부 문항별로 살펴보면, “나는 주변 사람들의 감정변화를 이해하고 배려한다”가 3.01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남

▪ 다음으로 “나는 감수성이 풍부하다”(2.87점), “나는 드라마나 영화를 보고 나서 감동이 오래가는 편이다”(2.81점), “나는 환경변화에 민감하게 느끼고 반응한다”(2.75점) 순으로 조사됨

반면, “나는 다른 사람의 작은 스타일 변화라도 알아채는 편이다” 문항은 평균 2.63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남

<그림3-2> 감수성 영역 종합

Page 79: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28|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2.1.2. 응답자 특성별 감수성

◆ 성·연령별

감수성은 여자(2.86점)가 남자(2.77점)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됨 ▪ 전반적으로 연령이 낮을수록 감수성이 높게 나타남 ▪ 특히, 20대 여자의 감수성(3.00점)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다음으로 40대 여자

(2.96점)이 높았음

<그림3-3> 성·연령별 감수성

◆ 최종학력 및 월평균 가구소득별 감수성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감수성이 높게 나타남

<그림3-4> 학력별·소득별 감수성

Page 80: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29

◆ 비정규 문화예술교육 경험별 감수성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을 경험한 응답자의 감수성(2.92점)이 경험하지 않은

응답자(2.55점) 보다 높게 나타남

◆ 자녀의 취학상태별 감수성

감수성은 미혼자(2.92점)가 기혼자(2.77점)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남

기혼자들 중 ‘취학 전’ 자녀가 있는 응답자의 감수성(2.89점)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자녀가 없는’ 응답자의 감수성(2.54점)이 가장 낮게 나타남

<그림3-5> 비정규 문화예술교육 및 자녀의 취학상태별 감수성

◎ 감수성과 ‘삶의 질’ 및 ‘문화예술활동 현황’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감수성 지표를 기준으로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을 구분하여 분석에 포함함

- 감수성이 높은 집단(N=3,390) : 감수성 지표가 평균(2.82점)이상인 응답자 집단 - 감수성이 낮은 집단(N=4,110) : 감수성 지표가 평균(2.82점)이하인 응답자 집단

2.1.3. 감수성과 삶의 질

감수성과 삶의 질을 살펴보면, 감수성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행복도와 만족도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남

▪ 행복도 : 감수성이 높은 집단(6.56점) > 감수성이 낮은 집단(6.22점) ▪ 만족도 : 감수성이 높은 집단(6.14점) > 감수성이 낮은 집단(5.85점)

Page 81: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30|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그림3-6> 감수성과 삶의 질

2.1.4. 감수성과 문화예술 행사 관람

감수성에 따른 문화예술 행사 관람 횟수를 살펴보면, 감수성이 높은 집단이 모든 문화예술 행사에 대한 평균 관람 횟수가 많은 것으로 조사됨

▪ 영화관람 : 감수성이 높은 집단(7.32회) > 감수성이 낮은 집단(6.11회) ▪ 전시회 : 감수성이 높은 집단(2.41회) > 감수성이 낮은 집단(1.96회)

<그림3-7> 감수성과 문화예술 행사 관람

2.1.5. 문항별 응답자 특성

◎ 문1-1. 나는 환경변화에 민감하게 느끼고 반응한다

“나는 환경변화에 민감하게 느끼고 반응한다”는 의견에 대해 ‘그렇다’(매우 그렇다 + 그렇다)는 응답은 서울 및 전남(각각 72.3%),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여자(68.2%), 20~29세(73.7%),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조사됨

반면, ‘그렇지 않다’(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충남(44.3%),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남자(33.7%), 60세이상(48.8%), 학력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남

Page 82: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31

<표3-1> 감수성 영역 문항1의 응답자 특성

(단위 : 명, %, 점)  사례수

나는 환경변화에 민감하게 느끼고 반응한다매우

그렇다(A)

그렇다(B)

그렇지 않다(C)

전혀 그렇지 않다(D)

그렇다(A+B)

그렇지 않다(C+D)

전 체 7,500 9.3 57.9 31.3 1.5 67.2 32.8

지역

서울 1,504 11.5 60.8 26.5 1.3 72.3 27.7부산 528 11.7 57.2 29.4 1.7 68.9 31.1대구 368 10.6 59.0 29.6 0.8 69.6 30.4인천 422 10.7 52.1 35.1 2.1 62.8 37.2광주 212 5.7 57.5 36.3 0.5 63.2 36.8대전 222 8.6 62.6 27.0 1.8 71.2 28.8울산 168 8.3 63.1 26.2 2.4 71.4 28.6경기 1,767 9.3 58.7 31.2 0.7 68.1 31.9강원 228 10.1 57.5 32.0 0.4 67.5 32.5충북 230 7.8 49.6 41.3 1.3 57.4 42.6충남 318 5.0 50.6 39.0 5.3 55.7 44.3전북 276 4.7 54.3 35.9 5.1 59.1 40.9전남 282 8.9 63.5 27.7 0.0 72.3 27.7경북 403 7.2 50.6 39.2 3.0 57.8 42.2경남 486 7.0 59.9 32.7 0.4 66.9 33.1제주 86 12.8 65.1 20.9 1.2 77.9 22.1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10.6 59.0 28.9 1.4 69.6 30.4중소도시 3,436 8.4 58.6 31.7 1.3 67.0 33.0읍/면 640 7.0 48.4 41.6 3.0 55.5 44.5

성 남자 3,723 8.9 57.4 32.5 1.2 66.3 33.7여자 3,777 9.7 58.4 30.1 1.7 68.2 31.8

연령

15~19세 584 9.6 62.3 26.7 1.4 71.9 28.120~29세 1,137 12.0 61.7 25.5 0.8 73.7 26.330~39세 1,354 10.1 61.8 27.6 0.4 71.9 28.140~49세 1,527 9.8 59.7 30.0 0.6 69.4 30.650~59세 1,384 8.7 61.7 29.2 0.4 70.4 29.660세이상 1,514 6.5 44.7 43.9 4.9 51.2 48.8

최종학력중졸이하 1,324 7.1 46.7 41.4 4.8 53.8 46.2고졸 2,291 8.1 58.8 32.0 1.2 66.9 33.1대졸이상 3,885 10.8 61.2 27.5 0.5 72.0 28.0

Page 83: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32|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 문1-2. 나는 주변 사람들의 감정변화를 이해하고 배려한다

“나는 주변 사람들의 감정변화를 이해하고 배려한다”는 의견에 대해 ‘그렇다’(매우 그렇다 + 그렇다)는 응답은 대구(91.6%),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여자(88.4%), 50대(93.3%),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조사됨

반면, ‘그렇지 않다’(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충남(18.2%),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남자(13.7%), 60세이상(29.4%), 학력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2> 감수성 영역 문항2의 응답자 특성

(단위 : 명, %, 점)  사례수

나는 주변 사람들의 감정변화를 이해하고 배려한다매우

그렇다(A)

그렇다(B)

그렇지 않다(C)

전혀 그렇지 않다(D)

그렇다(A+B)

그렇지 않다(C+D)

전 체 7,500 15.4 71.9 11.3 1.4 87.3 12.7

지역

서울 1,504 18.9 71.8 8.8 0.5 90.7 9.3부산 528 15.9 67.2 15.7 1.1 83.1 16.9대구 368 16.8 74.7 7.3 1.1 91.6 8.4인천 422 15.6 69.4 14.5 0.5 85.1 14.9광주 212 19.8 69.8 7.5 2.8 89.6 10.4대전 222 17.1 69.8 13.1 0.0 86.9 13.1울산 168 14.9 72.6 10.7 1.8 87.5 12.5경기 1,767 14.6 73.4 11.0 1.0 88.0 12.0강원 228 16.2 72.8 10.5 0.4 89.0 11.0충북 230 12.6 70.9 10.9 5.7 83.5 16.5충남 318 11.9 69.8 14.5 3.8 81.8 18.2전북 276 11.2 71.0 13.4 4.3 82.2 17.8전남 282 12.4 73.8 12.8 1.1 86.2 13.8경북 403 10.9 73.2 12.9 3.0 84.1 15.9경남 486 14.2 73.9 11.1 0.8 88.1 11.9제주 86 16.3 70.9 12.8 0.0 87.2 12.8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17.6 70.9 10.7 0.8 88.5 11.5중소도시 3,436 14.3 73.4 10.9 1.3 87.7 12.3읍/면 640 9.8 69.4 16.4 4.4 79.2 20.8

성 남자 3,723 14.9 71.4 12.3 1.4 86.3 13.7여자 3,777 16.0 72.4 10.2 1.4 88.4 11.6

연령

15~19세 584 26.2 65.2 8.0 0.5 91.4 8.620~29세 1,137 21.0 68.9 9.5 0.6 89.9 10.130~39세 1,354 18.5 72.8 8.3 0.4 91.3 8.740~49세 1,527 13.7 77.9 7.8 0.6 91.6 8.450~59세 1,384 11.5 81.8 6.4 0.3 93.3 6.760세이상 1,514 9.6 61.0 24.4 5.0 70.6 29.4

최종학력

중졸이하 1,324 12.7 60.0 22.7 4.6 72.7 27.3고졸 2,291 15.1 72.1 11.6 1.2 87.2 12.8대졸이상 3,885 16.5 75.9 7.2 0.4 92.4 7.6

Page 84: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33

◎ 문1-3. 나는 감수성이 풍부하다

“나는 감수성이 풍부하다”는 의견에 대해 ‘그렇다’(매우 그렇다 + 그렇다)는 응답은 울산(78.0%),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여자(74.3%), 20대(81.5%),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조사됨

반면, ‘그렇지 않다’(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경북(36.5%),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남자(30.0%), 60세이상(53.9%), 학력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3> 감수성 영역 문항3의 응답자 특성

(단위 : 명, %, 점)  사례수

나는 감수성이 풍부하다매우

그렇다(A)

그렇다(B)

그렇지 않다(C)

전혀 그렇지 않다(D)

그렇다(A+B)

그렇지 않다(C+D)

전 체 7,500 18.1 54.1 24.8 3.1 72.2 27.8

지역

서울 1,504 20.8 55.2 21.5 2.5 76.0 24.0부산 528 19.3 51.9 26.3 2.5 71.2 28.8대구 368 19.0 54.1 23.9 3.0 73.1 26.9인천 422 19.0 55.5 24.4 1.2 74.4 25.6광주 212 17.0 57.1 22.2 3.8 74.1 25.9대전 222 19.8 52.7 27.5 0.0 72.5 27.5울산 168 22.6 55.4 19.6 2.4 78.0 22.0경기 1,767 17.5 55.5 24.4 2.5 73.0 27.0강원 228 21.1 53.5 23.7 1.8 74.6 25.4충북 230 15.7 50.9 28.3 5.2 66.5 33.5충남 318 16.4 47.8 29.2 6.6 64.2 35.8전북 276 14.1 54.7 24.6 6.5 68.8 31.2전남 282 14.2 51.8 31.9 2.1 66.0 34.0경북 403 16.6 46.9 28.8 7.7 63.5 36.5경남 486 13.2 56.2 28.0 2.7 69.3 30.7제주 86 19.8 67.4 11.6 1.2 87.2 12.8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19.9 54.6 23.2 2.3 74.5 25.5중소도시 3,436 17.1 54.7 25.1 3.1 71.8 28.2읍/면 640 13.4 48.3 31.6 6.7 61.7 38.3

성 남자 3,723 16.0 54.0 26.8 3.3 70.0 30.0여자 3,777 20.2 54.1 22.8 2.9 74.3 25.7

연령

15~19세 584 26.7 54.6 17.1 1.5 81.3 18.720~29세 1,137 28.5 53.0 17.2 1.3 81.5 18.530~39세 1,354 18.7 58.5 21.9 1.0 77.2 22.840~49세 1,527 18.9 60.2 20.1 0.8 79.1 20.950~59세 1,384 16.3 60.2 22.8 0.7 76.5 23.560세이상 1,514 7.2 38.9 42.6 11.3 46.1 53.9

최종학력중졸이하 1,324 11.4 40.0 38.1 10.5 51.4 48.6고졸 2,291 18.6 54.3 24.4 2.7 72.9 27.1대졸이상 3,885 20.1 58.7 20.5 0.7 78.8 21.2

Page 85: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34|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 문1-4. 나는 다른 사람의 작은 스타일 변화라도 알아채는 편이다

“나는 다른 사람의 작은 스타일 변화라도 알아채는 편이다”는 의견에 대해 ‘그렇다’(매우 그렇다 + 그렇다)는 응답은 광주(67.0%),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여자(63.9%), 50대(62.4%),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조사됨

반면, ‘그렇지 않다’(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충남(50.9%),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남자(47.7%), 60세이상(55.7%), 학력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4> 감수성 영역 문항4의 응답자 특성

(단위 : 명, %, 점)  사례수

나는 다른 사람의 작은 스타일 변화라도 알아채는 편이다매우

그렇다(A)

그렇다(B)

그렇지 않다(C)

전혀 그렇지 않다(D)

그렇다(A+B)

그렇지 않다(C+D)

전 체 7,500 9.5 48.7 37.6 4.3 58.2 41.8

지역

서울 1,504 11.5 52.1 32.4 4.0 63.6 36.4부산 528 11.4 48.1 35.6 4.9 59.5 40.5대구 368 10.3 45.7 41.0 3.0 56.0 44.0인천 422 8.8 49.1 39.1 3.1 57.8 42.2광주 212 9.4 57.5 30.7 2.4 67.0 33.0대전 222 8.6 45.5 42.3 3.6 54.1 45.9울산 168 7.1 50.6 40.5 1.8 57.7 42.3경기 1,767 10.0 48.0 38.7 3.3 58.1 41.9강원 228 9.2 52.6 36.0 2.2 61.8 38.2충북 230 6.1 43.9 42.6 7.4 50.0 50.0충남 318 6.9 42.1 43.7 7.2 49.1 50.9전북 276 5.8 45.3 41.3 7.6 51.1 48.9전남 282 8.5 51.8 35.1 4.6 60.3 39.7경북 403 7.4 42.9 41.9 7.7 50.4 49.6경남 486 8.8 48.6 37.2 5.3 57.4 42.6제주 86 7.0 52.3 39.5 1.2 59.3 40.7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10.5 50.3 35.6 3.7 60.7 39.3중소도시 3,436 8.9 48.1 39.0 4.0 57.0 43.0읍/면 640 7.2 43.1 40.6 9.1 50.3 49.7

성 남자 3,723 7.1 45.2 42.8 4.9 52.3 47.7여자 3,777 11.9 52.1 32.4 3.7 63.9 36.1

연령

15~19세 584 12.3 46.2 35.4 6.0 58.6 41.420~29세 1,137 12.1 49.4 34.7 3.7 61.6 38.430~39세 1,354 11.4 50.9 34.9 2.7 62.3 37.740~49세 1,527 10.2 51.5 36.7 1.6 61.7 38.350~59세 1,384 8.7 53.7 36.1 1.6 62.4 37.660세이상 1,514 4.7 39.6 45.0 10.6 44.3 55.7

최종학력

중졸이하 1,324 6.6 38.5 43.5 11.3 45.2 54.8고졸 2,291 8.9 49.6 37.9 3.7 58.4 41.6대졸이상 3,885 10.8 51.6 35.3 2.2 62.4 37.6

Page 86: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35

◎ 문1-5. 나는 드라마나 영화를 보고나서 감동이 오래가는 편이다

“나는 드라마나 영화를 보고나서 감동이 오래가는 편이다”는 의견에 대해 ‘그렇다’(매우 그렇다 + 그렇다)는 응답은 대구(73.6%),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여자(73.3%), 10대(78.9%),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조사됨

반면, ‘그렇지 않다’(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충남(40.6%),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남자(34.8%), 60세이상(57.9%), 학력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5> 감수성 영역 문항5의 응답자 특성

(단위 : 명, %, 점)  사례수

나는 드라마나 영화를 보고나서 감동이 오래가는 편이다매우

그렇다(A)

그렇다(B)

그렇지 않다(C)

전혀 그렇지 않다(D)

그렇다(A+B)

그렇지 않다(C+D)

전 체 7,500 14.9 54.4 27.1 3.6 69.3 30.7

지역

서울 1,504 16.8 55.5 24.7 3.0 72.3 27.7부산 528 15.5 49.1 29.7 5.7 64.6 35.4대구 368 13.0 60.6 23.9 2.4 73.6 26.4인천 422 16.1 55.2 27.0 1.7 71.3 28.7광주 212 15.1 53.8 29.7 1.4 68.9 31.1대전 222 14.9 51.4 32.9 0.9 66.2 33.8울산 168 17.9 54.8 24.4 3.0 72.6 27.4경기 1,767 15.3 55.5 26.7 2.5 70.7 29.3강원 228 13.2 58.3 25.4 3.1 71.5 28.5충북 230 10.4 53.0 27.8 8.7 63.5 36.5충남 318 13.2 46.2 33.3 7.2 59.4 40.6전북 276 11.6 49.6 33.0 5.8 61.2 38.8전남 282 15.2 56.0 26.2 2.5 71.3 28.7경북 403 13.4 51.4 28.3 6.9 64.8 35.2경남 486 12.1 55.3 28.6 3.9 67.5 32.5제주 86 16.3 69.8 12.8 1.2 86.0 14.0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15.9 54.6 26.5 2.9 70.6 29.4중소도시 3,436 14.4 55.4 26.9 3.3 69.8 30.2읍/면 640 11.6 48.4 32.0 8.0 60.0 40.0

성 남자 3,723 12.3 52.9 31.1 3.8 65.2 34.8여자 3,777 17.3 56.0 23.3 3.4 73.3 26.7

연령

15~19세 584 27.6 51.4 19.0 2.1 78.9 21.120~29세 1,137 22.9 54.9 20.0 2.3 77.7 22.330~39세 1,354 16.0 57.9 25.1 1.0 73.9 26.140~49세 1,527 15.4 60.9 22.9 0.9 76.3 23.750~59세 1,384 13.1 62.7 23.4 0.8 75.8 24.260세이상 1,514 4.0 38.1 45.2 12.6 42.1 57.9

최종학력

중졸이하 1,324 10.4 37.3 40.7 11.6 47.7 52.3고졸 2,291 14.3 55.0 27.5 3.3 69.3 30.7대졸이상 3,885 16.7 60.0 22.3 1.0 76.7 23.3

Page 87: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36|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2.2. 상상력

2.2.1. 상상력 영역 종합

‘실제로 경험하지 않은 현상이나 사물에 대하여 마음속으로 그려 보는 능력’을 나타내는 상상력 지표는 2.70점으로 조사됨

세부 문항별로 살펴보면, “나는 현실의 벽에 부딪히면 가끔 비현실적인 것이라도 상상해본다”가 2.79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다음으로 “나는 상상력이 풍부하다”(2.78점)의 순으로 나타남

반면, “나는 소설 등의 문학작품을 읽고 난 후 뒷이야기를 꾸며 생각해 본다” 문항은 평균 2.59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남

<그림3-8> 세부 문항별 결과_상상력 영역

Page 88: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37

2.2.2. 응답자 특성별 상상력

◆ 성·연령별

상상력은 남자(2.75점)가 여자(2.65점)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됨 ▪ 전반적으로 연령이 낮을수록 상상력이 높게 나타남 ▪ 특히, 10대 남자의 상상력(3.07점)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다음으로 20대 남자

(2.92점)가 높았음

<그림3-9> 성·연령별 상상력

◆ 최종학력 및 월평균 가구소득별 상상력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상상력이 높게 나타남

<그림3-10> 최 종 학 력 및 월 평 균 가 구 소 득 별 상 상 력

Page 89: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38|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 비정규 문화예술교육 경험별 상상력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을 경험한 응답자의 상상력(2.83점)이 경험하지 않은

응답자(2.37점) 보다 높게 나타남

◆ 자녀의 취학상태별 상상력

상상력은 미혼자(2.70점)가 기혼자(2.62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남

기혼자들 중 ‘취학 전’ 자녀가 있는 응답자의 상상력(2.82점)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자녀가 없는’ 응답자의 상상력(2.33점)이 가장 낮게 나타남

<그림3-11> 비정규 문화예술교육 및 자녀의 취학상태별 상상력

◎ 상상력과 ‘삶의 질’ 및 ‘문화예술활동 현황’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상상력 지표를 기준으로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을 구분하여 분석에 포함함

- 상상력이 높은 집단(N=4,304) : 상상력 지표가 평균(2.70점)이상인 응답자 집단 - 상상력이 낮은 집단(N=3,196) : 상상력 지표가 평균(2.70점)이하인 응답자 집단

2.2.3. 상상력과 삶의 질

상상력과 삶의 질을 살펴보면, 상상력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행복도와 만족도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남

▪ 행복도 : 상상력이 높은 집단(6.44점) > 상상력이 낮은 집단(6.28점) ▪ 만족도 : 상상력이 높은 집단(6.02점) > 상상력이 낮은 집단(5.92점)

Page 90: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39

<그림3-12> 상상력과 삶의 질

2.2.4. 상상력과 문화예술 행사 관람

상상력에 따른 문화예술 행사 관람 횟수를 살펴보면, 상상력이 높은 집단이 모든 문화예술 행사에 대한 평균 관람 횟수가 많은 것으로 조사됨

▪ 영화관람 : 상상력이 높은 집단(7.21회) > 상상력이 낮은 집단(5.83회) ▪ 역사문화유적지 탐방 : 상상력이 높은 집단(2.41회) > 상상력이 낮은 집단(2.11회)

<그림3-13> 상상력과 문화예술 행사 관람

Page 91: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40|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2.2.5. 세부 문항별 응답자 특성

◎ 문2-1. 나는 상상력이 풍부하다

“나는 상상력이 풍부하다”는 의견에 대해 ‘그렇다’(매우 그렇다 + 그렇다)는 응답은 서울(71.5%),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남자(70.4%),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조사됨

반면, ‘그렇지 않다’(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경북(46.7%),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여자(37.9%), 연령이 높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6> 상상력 영역 문항1의 응답자 특성

(단위 : 명, %, 점)  사례수

나는 상상력이 풍부하다매우

그렇다(A)

그렇다(B)

그렇지 않다(C)

전혀 그렇지 않다(D)

그렇다(A+B)

그렇지 않다(C+D)

전 체 7,500 14.3 52.0 31.5 2.3 66.2 33.8

지역

서울 1,504 17.4 54.1 27.4 1.1 71.5 28.5부산 528 15.7 50.9 31.1 2.3 66.7 33.3대구 368 13.0 55.4 29.3 2.2 68.5 31.5인천 422 14.2 53.8 30.3 1.7 68.0 32.0광주 212 16.5 50.9 32.5 0.0 67.5 32.5대전 222 11.7 55.0 31.1 2.3 66.7 33.3울산 168 17.3 53.0 27.4 2.4 70.2 29.8경기 1,767 14.4 52.2 31.4 1.9 66.7 33.3강원 228 13.2 56.6 28.5 1.8 69.7 30.3충북 230 10.0 44.8 41.3 3.9 54.8 45.2충남 318 12.3 41.8 38.1 7.9 54.1 45.9전북 276 12.0 53.6 31.9 2.5 65.6 34.4전남 282 11.7 51.4 34.8 2.1 63.1 36.9경북 403 10.7 42.7 41.2 5.5 53.3 46.7경남 486 12.3 53.5 32.3 1.9 65.8 34.2제주 86 12.8 60.5 25.6 1.2 73.3 26.7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15.9 53.5 29.1 1.5 69.4 30.6중소도시 3,436 13.5 51.7 32.6 2.3 65.1 34.9읍/면 640 10.0 45.3 38.6 6.1 55.3 44.7

성 남자 3,723 15.9 54.6 27.6 1.9 70.4 29.6여자 3,777 12.7 49.4 35.3 2.6 62.1 37.9

연령

15~19세 584 25.7 52.6 20.2 1.5 78.3 21.720~29세 1,137 20.9 54.7 22.5 1.8 75.6 24.430~39세 1,354 16.5 56.5 25.9 1.0 73.0 27.040~49세 1,527 14.6 54.7 30.0 0.7 69.4 30.650~59세 1,384 11.6 57.4 30.6 0.4 69.0 31.060세이상 1,514 5.0 37.8 50.0 7.2 42.8 57.2

최종학력중졸이하 1,324 10.6 38.1 44.3 7.1 48.6 51.4고졸 2,291 12.9 50.5 34.7 2.0 63.4 36.6대졸이상 3,885 16.3 57.6 25.3 0.8 73.9 26.1

Page 92: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41

◎ 문2-2. 나는 새로운 방식으로 생각하거나 행동하려고 한다

“나는 새로운 방식으로 생각하거나 행동하려고 한다”는 의견에 대해 ‘그렇다’(매우 그렇다 + 그렇다)는 응답은 울산(63.7%),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남자(63.1%), 10대(70.2%),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조사됨

반면, ‘그렇지 않다’(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충남(53.5%),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여자(46.7%), 60세이상(62.6%), 학력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7> 상상력 영역 문항2의 응답자 특성

(단위 : 명, %, 점)  사례수

나는 새로운 방식으로 생각하거나 행동하려고 한다매우

그렇다(A)

그렇다(B)

그렇지 않다(C)

전혀 그렇지 않다(D)

그렇다(A+B)

그렇지 않다(C+D)

전 체 7,500 9.8 48.3 38.4 3.4 58.2 41.8

지역

서울 1,504 12.2 50.1 35.0 2.8 62.2 37.8부산 528 12.7 49.1 34.1 4.2 61.7 38.3대구 368 8.4 47.3 40.8 3.5 55.7 44.3인천 422 9.5 44.3 45.5 0.7 53.8 46.2광주 212 9.4 52.4 36.3 1.9 61.8 38.2대전 222 9.5 53.6 36.0 0.9 63.1 36.9울산 168 6.0 57.7 33.9 2.4 63.7 36.3경기 1,767 10.5 48.0 38.6 2.9 58.5 41.5강원 228 8.3 49.6 38.2 3.9 57.9 42.1충북 230 9.6 49.6 36.5 4.3 59.1 40.9충남 318 7.2 39.3 43.7 9.7 46.5 53.5전북 276 8.3 46.7 39.5 5.4 55.1 44.9전남 282 7.8 52.1 36.5 3.5 59.9 40.1경북 403 6.5 40.9 47.1 5.5 47.4 52.6경남 486 8.0 49.4 39.7 2.9 57.4 42.6제주 86 5.8 52.3 38.4 3.5 58.1 41.9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10.9 49.6 36.9 2.6 60.5 39.5중소도시 3,436 9.4 48.0 39.1 3.5 57.4 42.6읍/면 640 6.3 43.4 43.3 7.0 49.7 50.3

성 남자 3,723 11.6 51.4 33.7 3.2 63.1 36.9여자 3,777 8.0 45.3 43.1 3.6 53.3 46.7

연령

15~19세 584 19.7 50.5 28.3 1.5 70.2 29.820~29세 1,137 14.4 49.5 33.8 2.3 63.9 36.130~39세 1,354 10.2 52.7 36.0 1.1 62.9 37.140~49세 1,527 9.4 53.9 35.8 0.9 63.3 36.750~59세 1,384 8.8 51.9 38.8 0.5 60.7 39.360세이상 1,514 3.5 33.9 50.4 12.2 37.4 62.6

최종학력

중졸이하 1,324 8.6 34.9 45.3 11.2 43.5 56.5고졸 2,291 8.8 46.8 41.2 3.1 55.7 44.3대졸이상 3,885 10.8 53.8 34.4 1.0 64.6 35.4

Page 93: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42|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 문2-3. 나는 현실의 벽에 부딪히면 가끔 비현실적인 것이라도 상상해 본다

“나는 현실의 벽에 부딪히면 가끔 비현실적인 것이라도 상상해 본다”는 의견에 대해 ‘그렇다’(매우 그렇다 + 그렇다)는 응답은 서울 및 경기(각각 73.3%),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남자(72.7%),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남

반면, “그렇지 않다”(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경북(40.7%),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여자(33.0%), 연령이 높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8> 상상력 영역 문항3의 응답자 특성

(단위 : 명, %, 점)  사례수

나는 현실의 벽에 부딪히면 가끔 비현실적인 것이라도 상상해 본다

매우그렇다

(A)그렇다

(B)

그렇지 않다(C)

전혀 그렇지 않다(D)

그렇다(A+B)

그렇지 않다(C+D)

전 체 7,500 12.9 56.9 26.0 4.2 69.8 30.2

지역

서울 1,504 14.8 58.5 23.2 3.5 73.3 26.7부산 528 11.9 57.0 26.1 4.9 68.9 31.1대구 368 12.8 57.9 25.5 3.8 70.7 29.3인천 422 14.7 53.6 30.1 1.7 68.2 31.8광주 212 15.6 53.8 27.4 3.3 69.3 30.7대전 222 14.0 57.2 27.5 1.4 71.2 28.8울산 168 13.1 59.5 23.2 4.2 72.6 27.4경기 1,767 13.1 60.2 24.2 2.5 73.3 26.7강원 228 8.8 55.3 32.0 3.9 64.0 36.0충북 230 10.9 58.3 23.5 7.4 69.1 30.9충남 318 12.3 55.3 22.3 10.1 67.6 32.4전북 276 8.3 52.9 32.6 6.2 61.2 38.8전남 282 11.7 53.2 31.6 3.5 64.9 35.1경북 403 10.7 48.6 31.8 8.9 59.3 40.7경남 486 11.3 56.4 26.5 5.8 67.7 32.3제주 86 20.9 48.8 26.7 3.5 69.8 30.2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14.0 57.3 25.3 3.4 71.3 28.7중소도시 3,436 12.6 57.7 26.1 3.6 70.3 29.7읍/면 640 8.8 50.6 29.5 11.1 59.4 40.6

성 남자 3,723 14.8 57.9 23.8 3.5 72.7 27.3여자 3,777 11.1 55.9 28.2 4.8 67.0 33.0

연령

15~19세 584 30.1 59.2 9.9 0.7 89.4 10.620~29세 1,137 23.0 60.3 15.2 1.5 83.3 16.730~39세 1,354 15.0 65.4 18.8 0.8 80.4 19.640~49세 1,527 11.2 64.2 23.8 0.8 75.4 24.650~59세 1,384 9.3 63.0 27.0 0.7 72.3 27.760세이상 1,514 1.9 32.8 48.2 17.0 34.7 65.3

최종학력

중졸이하 1,324 9.8 36.3 38.7 15.2 46.1 53.9고졸 2,291 13.0 56.6 27.2 3.2 69.6 30.4대졸이상 3,885 14.0 64.1 21.0 1.0 78.1 21.9

Page 94: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43

2.3. 취향

2.3.1. 취향 영역 종합

취향은 ‘하고 싶은 마음이 생기는 방향 및 대상의 미적 품질을 받아들이는 능력’을 의미함

▪ 취향은 고급문화와 대중문화에 대한 개인의 의식 성향을 확인하는 문항으로, 높고 낮음으로 구분할 수 없는 지표의 특성상 지표 산출에서 제외함

취향을 구성하는 세부 문항 중 “대중예술 혹은 민속예술에서도 고급예술 못지않은 뛰어난 예술성을 발견할 수 있다”가 2.87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다음으로 “사회의 일부 사람들만 뛰어난 예술인지 아닌지 판가름할 수 있는 지식을 가졌다(역척도 문항)”(2.80점)의 순으로 나타남

반면, “현대의 추상 미술작품은 아이들이 그린 그림과 차이를 모르겠다” 문항은 평균 2.64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남

<그림3-14> 세부 문항별 결과_취향 영역

Page 95: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44|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2.3.2. 세부 문항별 응답자 특성

◎ 문3-1. 현대의 추상 미술작품은 아이들이 그린 그림과 차이를 모르겠다

“현대의 추상 미술작품은 아이들이 그린 그림과 차이를 모르겠다”는 의견에 대해 ‘그렇다’(매우 그렇다 + 그렇다)는 응답은 경북(65.3%),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남자(60.7%), 60세이상(63.9%), 학력이 낮을수록 높게 조사됨.

반면, ‘그렇지 않다’(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충북(47.8%),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여자(43.9%), 10대(45.4%),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9> 취향 영역 문항1의 응답자 특성

(단위 : 명, %, 점)  사례수

현대의 추상 미술작품은 아이들이 그린 그림과 차이를 모르겠다

매우그렇다

(A)그렇다

(B)

그렇지 않다(C)

전혀 그렇지 않다(D)

그렇다(A+B)

그렇지 않다(C+D)

전 체 7,500 8.4 49.9 38.4 3.3 58.4 41.6

지역

서울 1,504 9.2 46.9 40.0 4.0 56.1 43.9부산 528 7.8 49.1 41.5 1.7 56.8 43.2대구 368 9.0 51.1 37.2 2.7 60.1 39.9인천 422 6.2 54.0 37.2 2.6 60.2 39.8광주 212 8.0 51.4 38.7 1.9 59.4 40.6대전 222 5.9 53.2 37.4 3.6 59.0 41.0울산 168 10.1 44.6 41.7 3.6 54.8 45.2경기 1,767 9.1 49.2 38.3 3.4 58.3 41.7강원 228 8.3 49.1 38.6 3.9 57.5 42.5충북 230 6.1 46.1 42.6 5.2 52.2 47.8충남 318 6.6 51.9 38.1 3.5 58.5 41.5전북 276 11.6 47.5 38.4 2.5 59.1 40.9전남 282 6.0 55.0 34.4 4.6 61.0 39.0경북 403 9.2 56.1 30.8 4.0 65.3 34.7경남 486 7.4 52.9 38.3 1.4 60.3 39.7제주 86 14.0 48.8 36.0 1.2 62.8 37.2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8.3 49.1 39.4 3.2 57.4 42.6중소도시 3,436 8.8 49.9 38.1 3.2 58.7 41.3읍/면 640 7.2 54.7 34.1 4.1 61.9 38.1

성 남자 3,723 10.2 50.6 36.5 2.8 60.7 39.3여자 3,777 6.8 49.3 40.2 3.7 56.1 43.9

연령

15~19세 584 11.3 43.3 42.5 2.9 54.6 45.420~29세 1,137 11.8 44.7 39.9 3.6 56.5 43.530~39세 1,354 8.4 49.9 39.8 1.9 58.3 41.740~49세 1,527 5.8 51.6 40.7 1.9 57.4 42.650~59세 1,384 3.4 53.3 41.2 2.2 56.6 43.460세이상 1,514 12.1 51.8 29.4 6.7 63.9 36.1

최종학력중졸이하 1,324 13.3 49.3 30.4 6.9 62.6 37.4고졸 2,291 8.3 50.9 38.4 2.4 59.2 40.8대졸이상 3,885 6.8 49.6 41.1 2.5 56.5 43.5

Page 96: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45

◎ 문3-2. 대중예술 혹은 민속예술에서도 고급예술 못지않은 뛰어난 예술성을 발견할 수 있다

“대중예술 혹은 민속예술에서도 고급예술 못지않은 뛰어난 예술성을 발견할 수 있다”는 의견에 대해 ‘그렇다’(매우 그렇다 + 그렇다)는 응답은 강원(82.9%), 중소도시(77.4%), 여자(76.5%), 40대(84.9%),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조사됨

반면, ‘그렇지 않다’(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충남(32.7%), 읍/면(35.3%), 남자(24.6%), 60세이상(54.8%), 학력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10> 취향 영역 문항2의 응답자 특성

(단위 : 명, %, 점)  사례수

대중예술 혹은 민속예술에서도 고급예술 못지않은 뛰어난 예술성을 발견할 수 있다

매우그렇다

(A)그렇다

(B)

그렇지 않다(C)

전혀 그렇지 않다(D)

그렇다(A+B)

그렇지 않다(C+D)

전 체 7,500 14.0 62.0 20.7 3.3 76.0 24.0

지역

서울 1,504 14.7 62.2 20.3 2.9 76.9 23.1부산 528 15.7 62.7 19.9 1.7 78.4 21.6대구 368 14.4 59.8 23.6 2.2 74.2 25.8인천 422 13.0 60.4 23.5 3.1 73.5 26.5광주 212 17.9 59.0 19.3 3.8 76.9 23.1대전 222 15.3 65.8 15.8 3.2 81.1 18.9울산 168 13.7 62.5 20.2 3.6 76.2 23.8경기 1,767 15.7 62.9 18.6 2.8 78.7 21.3강원 228 13.2 69.7 14.5 2.6 82.9 17.1충북 230 13.9 56.5 23.5 6.1 70.4 29.6충남 318 9.7 57.5 28.0 4.7 67.3 32.7전북 276 9.4 63.8 21.0 5.8 73.2 26.8전남 282 13.5 57.4 23.4 5.7 70.9 29.1경북 403 9.9 57.6 27.0 5.5 67.5 32.5경남 486 10.9 66.9 20.2 2.1 77.8 22.2제주 86 18.6 60.5 16.3 4.7 79.1 20.9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14.8 61.8 20.6 2.7 76.6 23.4중소도시 3,436 13.9 63.5 19.4 3.2 77.4 22.6읍/면 640 10.3 54.4 28.6 6.7 64.7 35.3

성 남자 3,723 15.3 60.2 21.4 3.1 75.4 24.6여자 3,777 12.8 63.7 20.1 3.4 76.5 23.5

연령

15~19세 584 21.7 60.6 15.9 1.7 82.4 17.620~29세 1,137 24.3 59.4 14.9 1.5 83.6 16.430~39세 1,354 16.8 66.5 15.1 1.6 83.3 16.740~49세 1,527 13.3 71.6 14.3 0.9 84.9 15.150~59세 1,384 11.8 71.9 15.6 0.7 83.7 16.360세이상 1,514 3.5 41.7 43.3 11.6 45.2 54.8

최종학력

중졸이하 1,324 7.1 43.5 37.7 11.7 50.6 49.4고졸 2,291 15.1 61.1 21.8 2.0 76.2 23.8대졸이상 3,885 15.7 68.8 14.3 1.2 84.5 15.5

Page 97: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46|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 문3-3. 대중문화가 너무 발달하면 문화 전반의 질을 위협한다

“대중문화가 너무 발달하면 문화 전반의 질을 위협한다”는 의견에 대해 ‘그렇다’(매우 그렇다 + 그렇다)는 응답은 울산(49.4%),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여자(36.9%), 10대(41.3%), 고졸(38.7%)에서 높게 조사됨

반면, ‘그렇지 않다’(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충북(71.7%),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남자(64.0%), 40대(66.3%), 대졸이상(65.5%)에서 높게 나타남

<표3-11> 취향 영역 문항3의 응답자 특성

(단위 : 명, %, 점)  사례수

대중문화가 너무 발달하면 문화 전반의 질을 위협한다매우

그렇다(A)

그렇다(B)

그렇지 않다(C)

전혀 그렇지 않다(D)

그렇다(A+B)

그렇지 않다(C+D)

전 체 7,500 4.3 32.1 54.6 9.0 36.5 63.5

지역

서울 1,504 5.1 32.9 53.1 8.9 38.0 62.0부산 528 6.4 33.7 52.7 7.2 40.2 59.8대구 368 4.6 37.2 50.5 7.6 41.8 58.2인천 422 3.3 29.1 58.5 9.0 32.5 67.5광주 212 6.6 35.8 49.1 8.5 42.5 57.5대전 222 3.6 34.2 52.3 9.9 37.8 62.2울산 168 5.4 44.0 44.0 6.5 49.4 50.6경기 1,767 3.8 32.0 55.2 8.9 35.9 64.1강원 228 6.1 27.2 58.8 7.9 33.3 66.7충북 230 2.6 25.7 60.4 11.3 28.3 71.7충남 318 2.2 28.9 59.1 9.7 31.1 68.9전북 276 5.4 24.6 56.9 13.0 30.1 69.9전남 282 2.1 30.1 54.6 13.1 32.3 67.7경북 403 2.5 29.3 58.6 9.7 31.8 68.2경남 486 4.1 35.2 53.7 7.0 39.3 60.7제주 86 7.0 33.7 53.5 5.8 40.7 59.3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5.1 33.8 52.7 8.4 38.9 61.1중소도시 3,436 3.8 30.8 56.4 9.0 34.6 65.4읍/면 640 3.3 30.0 55.3 11.4 33.3 66.7

성 남자 3,723 4.8 31.3 53.6 10.3 36.0 64.0여자 3,777 3.9 32.9 55.5 7.6 36.9 63.1

연령

15~19세 584 6.2 35.1 50.0 8.7 41.3 58.720~29세 1,137 6.2 28.6 53.9 11.3 34.7 65.330~39세 1,354 4.0 29.9 58.1 8.1 33.9 66.140~49세 1,527 4.4 29.3 58.5 7.7 33.7 66.350~59세 1,384 3.7 36.1 53.9 6.3 39.8 60.260세이상 1,514 3.1 34.7 50.4 11.8 37.8 62.2

최종학력

중졸이하 1,324 3.6 34.7 49.8 11.9 38.3 61.7고졸 2,291 4.7 34.0 52.5 8.8 38.7 61.3대졸이상 3,885 4.4 30.1 57.5 8.0 34.5 65.5

Page 98: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47

◎ 문3-4. 뛰어난 예술과 그렇지 않은 예술을 구분하는 기준은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절대적이다

“뛰어난 예술과 그렇지 않은 예술을 구분하는 기준은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절대적이다”는 의견에 대해 ‘그렇다’(매우 그렇다 + 그렇다)는 응답은 대구(44.8%),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여자(39.4%), 50대(46.7%), 고졸(43.2%)에서 높게 조사됨

반면, ‘그렇지 않다’(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충북(69.6%),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남자(60.8%), 20대(63.9%), 중졸이하(66.2%)에서 높음

<표3-12> 취향 영역 문항4의 응답자 특성

(단위 : 명, %, 점)  사례수

뛰어난 예술과 그렇지 않은 예술을 구분하는 기준은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절대적이다

매우그렇다

(A)그렇다

(B)

그렇지 않다(C)

전혀 그렇지 않다(D)

그렇다(A+B)

그렇지 않다(C+D)

전 체 7,500 4.5 34.8 51.0 9.7 39.3 60.7

지역

서울 1,504 6.5 35.5 48.9 9.0 42.0 58.0부산 528 4.9 39.2 46.6 9.3 44.1 55.9대구 368 4.1 40.8 48.6 6.5 44.8 55.2인천 422 3.1 32.5 55.7 8.8 35.5 64.5광주 212 5.7 36.8 50.5 7.1 42.5 57.5대전 222 4.1 34.7 52.3 9.0 38.7 61.3울산 168 4.8 36.9 46.4 11.9 41.7 58.3경기 1,767 4.2 35.1 50.8 9.8 39.3 60.7강원 228 6.1 33.8 53.1 7.0 39.9 60.1충북 230 2.2 28.3 53.5 16.1 30.4 69.6충남 318 3.8 27.7 60.1 8.5 31.4 68.6전북 276 3.3 34.4 49.6 12.7 37.7 62.3전남 282 3.5 28.7 52.8 14.9 32.3 67.7경북 403 2.7 31.0 54.3 11.9 33.7 66.3경남 486 4.1 35.6 52.9 7.4 39.7 60.3제주 86 2.3 45.3 39.5 12.8 47.7 52.3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5.3 36.4 49.6 8.8 41.6 58.4중소도시 3,436 3.8 34.3 51.8 10.1 38.1 61.9읍/면 640 4.1 28.9 54.7 12.3 33.0 67.0

성 남자 3,723 4.9 34.3 50.7 10.0 39.2 60.8여자 3,777 4.2 35.2 51.3 9.3 39.4 60.6

연령

15~19세 584 6.3 34.1 47.4 12.2 40.4 59.620~29세 1,137 5.5 30.5 49.5 14.4 36.1 63.930~39세 1,354 4.9 33.2 52.1 9.9 38.0 62.040~49세 1,527 4.4 33.7 54.7 7.1 38.1 61.950~59세 1,384 4.9 41.8 49.6 3.6 46.7 53.360세이상 1,514 2.5 34.3 50.1 13.1 36.8 63.2

최종학력중졸이하 1,324 3.3 30.5 51.6 14.6 33.8 66.2고졸 2,291 4.6 38.5 48.4 8.5 43.2 56.8대졸이상 3,885 4.9 34.0 52.4 8.8 38.9 61.1

Page 99: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48|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 문3-5. 사회의 일부 사람들만 뛰어난 예술인지 아닌지 판가름할 수 있는 지식을 가졌다

“사회의 일부 사람들만 뛰어난 예술인지 아닌지 판가름할 수 있는 지식을 가졌다”는 의견에 대해 ‘그렇다’(매우 그렇다 + 그렇다)는 응답은 대구(39.1%),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남자(34.0%), 50대(34.7%),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조사됨

반면, ‘그렇지 않다’(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전남(73.8%),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여자(70.1%), 20대(69.0%), 학력이 낮을수록 높음

<표3-13> 취향 영역 문항5의 응답자 특성

(단위 : 명, %, 점)  사례수

사회의 일부 사람들만 뛰어난 예술인지 아닌지 판가름할 수 있는 지식을 가졌다

매우그렇다

(A)그렇다

(B)

그렇지 않다(C)

전혀 그렇지 않다(D)

그렇다(A+B)

그렇지 않다(C+D)

전 체 7,500 3.4 28.5 52.4 15.7 31.9 68.1

지역

서울 1,504 4.9 31.9 49.3 13.9 36.8 63.2부산 528 5.1 29.7 47.5 17.6 34.8 65.2대구 368 3.0 36.1 50.3 10.6 39.1 60.9인천 422 1.7 29.9 54.0 14.5 31.5 68.5광주 212 5.2 26.4 52.4 16.0 31.6 68.4대전 222 3.6 28.8 52.7 14.9 32.4 67.6울산 168 1.8 29.2 56.0 13.1 31.0 69.0경기 1,767 3.2 26.2 53.6 17.0 29.4 70.6강원 228 4.4 29.8 54.8 11.0 34.2 65.8충북 230 2.6 27.0 46.5 23.9 29.6 70.4충남 318 1.6 25.5 58.8 14.2 27.0 73.0전북 276 2.2 24.3 59.4 14.1 26.4 73.6전남 282 2.8 23.4 52.1 21.6 26.2 73.8경북 403 2.7 23.8 55.1 18.4 26.6 73.4경남 486 2.5 28.6 54.9 14.0 31.1 68.9제주 86 1.2 36.0 43.0 19.8 37.2 62.8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4.1 31.1 50.5 14.3 35.2 64.8중소도시 3,436 3.0 26.4 53.9 16.7 29.4 70.6읍/면 640 2.0 26.1 54.7 17.2 28.1 71.9

성 남자 3,723 4.1 29.8 50.4 15.7 34.0 66.0여자 3,777 2.7 27.2 54.4 15.7 29.9 70.1

연령

15~19세 584 5.1 27.2 45.5 22.1 32.4 67.620~29세 1,137 4.5 26.5 48.4 20.7 31.0 69.030~39세 1,354 4.2 28.3 53.0 14.5 32.5 67.540~49세 1,527 3.1 28.7 55.9 12.3 31.8 68.250~59세 1,384 2.7 31.9 55.1 10.2 34.7 65.360세이상 1,514 2.2 27.4 51.6 18.8 29.6 70.4

최종학력

중졸이하 1,324 3.0 24.5 49.6 22.8 27.6 72.4고졸 2,291 3.2 29.5 52.1 15.2 32.7 67.3대졸이상 3,885 3.7 29.3 53.5 13.5 32.9 67.1

Page 100: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49

2.3.3. 여행 중 문화활동 참여

취향의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여행 중 문화예술 활동에 얼마나 참여하고 있는지를 확인해 본 결과. 여행 경험이 있는 응답자(N=6,253) 중 ‘공연예술 관람’은 28.0%, ‘시각예술 관람’은 26.5%로 나타남

여행 중 해당지역의 문화활동 참여 정도 ▪ 공연예술 관람(전통예술, 뮤지컬, 축제 등)을 자주 한다(매우 자주 한다 1.8% +

자주한다 26.2%)는 의견은 28.0%로 나타남 ▪ 시각예술 관람(전통예술, 뮤지컬, 축제 등)을 자주 한다(매우 자주한다 2.2% + 자

주한다 24.3%)는 의견은 26.5%로 조사됨

<그림3-15> 여행 중 문화활동 참여 경험

공연예술과 시각예술을 관람하는 응답자는 연령과 직업에 따라 차이가 나타남

<표3-14> 여행 중 문화활동 참여 경험 지표

여행 중 공연예술 관람을자주하는 집단

여행 중 시각예술 관람을자주하는 집단

지역 ■ 서울(34.3%) ■ 서울(32.2%)

출신지역 규모 ■ 대도시(29.6%) ■ 대도시(28.7%)

성 ■ 여성(31.0%) ■ 여성(27.5%)

연령 ■ 20대(38.0%) ■ 50대(36.0%)

직업 ■ 사무종사자(37.0%) ■ 관리자/전문가/관련 종사자(39.5%)

소득 ■ 600만원 이상(44.2%) ■ 600만원 이상(44.8%)

Page 101: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50|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여행 중 공연예술 관람 참여를 ‘자주 한다’는 서울(34.3%),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여자(31.0%), 20대(38.0%), 월평균소득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남

반면, ‘하지 않음’은 대전(64.0%), 중소도시(56.5%), 남자(59.1%), 40대(63.5%), 월평균소득 200-399만원(59.1%)에서 높게 나타남

<표3-15> 응답자 특성별 여행 중 공연예술 관람 참여 정도

(단위 : 명, %, 점)  사례수매우자주한다

자주한다

별로하지

않는다

전혀하지

않는다

여행경험없음

종합평가자주한다

하지 않음

여행경험없음

전 체 7,500 1.8 26.2 46.7 8.7 16.6 28.0 55.4 16.6

지역

서울 1,504 3.4 30.9 41.4 8.6 15.8 34.3 49.9 15.8부산 528 1.5 25.6 46.0 7.8 19.1 27.1 53.8 19.1대구 368 1.9 20.9 50.8 7.3 19.0 22.8 58.2 19.0인천 422 2.1 25.6 51.4 9.5 11.4 27.7 60.9 11.4광주 212 2.8 25.5 48.1 10.8 12.7 28.3 59.0 12.7대전 222 0.5 21.6 56.3 7.7 14.0 22.1 64.0 14.0울산 168 0.6 25.0 47.0 11.3 16.1 25.6 58.3 16.1경기 1,767 1.7 26.7 48.6 9.2 13.9 28.4 57.7 13.9강원 228 0.4 29.8 43.4 13.2 13.2 30.3 56.6 13.2충북 230 0.9 26.1 47.0 7.4 18.7 27.0 54.3 18.7충남 318 1.3 23.9 48.7 11.3 14.8 25.2 60.1 14.8전북 276 0.4 26.4 42.0 5.4 25.7 26.8 47.5 25.7전남 282 1.4 22.3 47.9 7.8 20.6 23.8 55.7 20.6경북 403 0.5 21.8 43.7 9.2 24.8 22.3 52.9 24.8경남 486 1.2 23.9 47.1 7.0 20.8 25.1 54.1 20.8제주 86 1.2 22.1 59.3 5.8 11.6 23.3 65.1 11.6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2.4 27.1 46.0 8.6 15.8 29.6 54.6 15.8중소도시 3,436 1.3 26.3 48.3 8.1 15.9 27.6 56.5 15.9읍/면 640 0.8 20.3 41.6 12.3 25.0 21.1 53.9 25.0

성 남자 3,723 1.6 23.3 49.8 9.3 16.0 24.9 59.1 16.0여자 3,777 2.0 29.0 43.7 8.1 17.2 31.0 51.8 17.2

연령

15~19세 584 3.4 21.9 49.8 8.2 16.6 25.3 58.0 16.620~29세 1,137 3.4 34.6 45.4 7.5 9.1 38.0 52.9 9.130~39세 1,354 1.9 31.0 53.6 6.9 6.5 32.9 60.6 6.540~49세 1,527 1.8 29.9 58.4 5.0 4.8 31.7 63.5 4.850~59세 1,384 0.9 31.8 56.5 5.8 5.1 32.7 62.3 5.160세이상 1,514 0.7 8.3 19.5 17.8 53.8 8.9 37.3 53.8

최종학력중졸이하 1,324 1.6 9.8 25.2 15.5 47.9 11.4 40.7 47.9고졸 2,291 1.4 22.3 47.6 10.5 18.2 23.7 58.1 18.2대졸이상 3,885 2.1 34.0 53.5 5.4 5.0 36.1 58.8 5.0

월평균 가구소득

199만원이하(하층) 1,723 1.2 12.5 33.1 16.2 37.0 13.7 49.3 37.0200-399만원(중하층) 2,722 1.4 24.4 51.1 8.0 15.1 25.8 59.1 15.1400-599만원(중상층) 1,988 1.7 32.9 51.7 5.4 8.2 34.6 57.1 8.2600만원이상(상층) 1,067 4.0 40.2 48.0 4.5 3.3 44.2 52.5 3.3

Page 102: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51

여행 중 시각예술 관람 참여를 ‘자주 한다’는 서울(32.2%),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여자(27.5%), 50대(36.0%),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소득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남

반면, ‘하지않음’는 충남(61.3%), 중소도시(56.9%), 남자(56.8%), 40대(62.3%), 고졸(58.2%), 월평균소득 400-599만원(60.6%)에서 높게 나타남

<표3-16> 응답자 특성별 여행 중 시각예술 관람 참여 정도

(단위 : 명, %, 점)  사례수매우자주한다

자주한다

별로하지

않는다

전혀하지

않는다

여행경험없음

종합평가자주한다

하지않음

여행경험없음

전 체 7,500 2.2 24.3 44.9 10.0 18.7 26.4 54.9 18.7

지역

서울 1,504 3.1 29.1 40.8 9.6 17.4 32.2 50.4 17.4부산 528 2.3 24.4 45.3 7.4 20.6 26.7 52.7 20.6대구 368 1.1 21.5 47.3 10.6 19.6 22.6 57.9 19.6인천 422 1.4 25.6 45.0 10.4 17.5 27.0 55.5 17.5광주 212 3.3 23.6 47.2 9.0 17.0 26.9 56.1 17.0대전 222 2.3 27.9 46.4 9.5 14.0 30.2 55.9 14.0울산 168 0.0 22.0 48.8 10.7 18.5 22.0 59.5 18.5경기 1,767 2.7 24.8 46.6 11.1 14.8 27.4 57.8 14.8강원 228 2.2 25.0 45.6 12.7 14.5 27.2 58.3 14.5충북 230 1.7 19.1 46.1 12.2 20.9 20.9 58.3 20.9충남 318 1.9 19.5 49.1 12.3 17.3 21.4 61.3 17.3전북 276 0.0 19.9 46.0 4.7 29.3 19.9 50.7 29.3전남 282 2.8 16.3 43.6 9.9 27.3 19.1 53.5 27.3경북 403 1.5 19.6 40.7 9.7 28.5 21.1 50.4 28.5경남 486 0.8 23.3 44.7 8.8 22.4 24.1 53.5 22.4제주 86 1.2 27.9 51.2 8.1 11.6 29.1 59.3 11.6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2.4 26.4 43.8 9.5 17.9 28.7 53.3 17.9중소도시 3,436 2.0 23.7 47.2 9.7 17.3 25.8 56.9 17.3읍/면 640 1.7 16.1 37.8 14.2 30.2 17.8 52.0 30.2

성 남자 3,723 1.9 23.4 46.3 10.5 17.9 25.3 56.8 17.9여자 3,777 2.4 25.1 43.5 9.5 19.5 27.5 52.9 19.5

연령

15~19세 584 2.9 16.6 49.1 10.4 20.9 19.5 59.6 20.920~29세 1,137 3.6 28.8 46.3 9.1 12.1 32.5 55.4 12.130~39세 1,354 2.9 27.6 52.4 8.4 8.6 30.5 60.9 8.640~49세 1,527 2.3 30.3 56.7 5.6 5.2 32.5 62.3 5.250~59세 1,384 1.9 34.1 52.5 5.8 5.7 36.0 58.3 5.760세이상 1,514 0.3 5.8 16.5 20.1 57.3 6.1 36.6 57.3

최종학력중졸이하 1,324 1.1 6.9 22.7 17.7 51.7 7.9 40.4 51.7고졸 2,291 1.7 19.2 46.3 12.0 20.9 20.9 58.2 20.9대졸이상 3,885 2.8 33.2 51.6 6.2 6.2 36.0 57.8 6.2

월평균 가구소득

199만원이하(하층) 1,723 1.0 11.8 29.4 16.9 40.9 12.9 46.3 40.9200-399만원(중하층) 2,722 1.9 23.1 48.0 9.7 17.2 25.1 57.7 17.2400-599만원(중상층) 1,988 2.3 27.9 53.2 7.3 9.2 30.2 60.6 9.2600만원이상(상층) 1,067 4.2 40.6 46.5 4.3 4.4 44.8 50.8 4.4

Page 103: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52|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2.3.4. 음악 장르별 문화적 가치

음악의 문화적 가치를 장르별로 평가했을 때, ‘전통 음악’이 3.18점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됨

▪ 전통음악은 ‘높음’이 86.9%(매우 높음 33.1% + 높음 53.7%)로 나타남

다음으로, ‘클래식’(2.91점), ‘뮤지컬’(2.84점), ‘발라드/포크/컨트리’(2.65점) 순으로 조사됨

반면, ‘종교음악’은 2.28점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남

<그림3-16> 음악 장르별 문화적 가치

전통음악의 문화적 가치가 ‘높다’는 응답은 경북(90.6%), 대도시 및 중소도시(각각 86.9%), 여자(88.0%), 20대(88.4%), 대졸이상(87.5%), 월평균소득 600만원이상(88.7%)에서 높게 나타남

반면, ‘낮다’는 응답은 울산(18.5%), 읍/면(13.4%), 남자(14.3%), 30대(15.7%), 고졸(14.4%), 월평균소득 200-399만원(14.1%)에서 높게 나타남

Page 104: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53

<표3-17> 응답자 특성별 음악 장르별 문화적 가치_전통음악

(단위 : 명, %, 점)  사례수 매우높음

높음 낮음 매우낮음

종합평가4점평균

높음 낮음

전 체 7,500 33.1 53.7 11.3 1.8 86.9 13.1 3.18

지역

서울 1,504 33.2 53.3 11.8 1.7 86.5 13.5 3.18부산 528 40.7 49.1 8.5 1.7 89.8 10.2 3.29대구 368 29.1 57.3 10.6 3.0 86.4 13.6 3.13인천 422 34.4 54.7 9.7 1.2 89.1 10.9 3.22광주 212 28.8 53.8 14.6 2.8 82.5 17.5 3.08대전 222 35.1 52.3 11.7 .9 87.4 12.6 3.22울산 168 32.7 48.8 16.1 2.4 81.5 18.5 3.12경기 1,767 36.9 49.9 11.8 1.5 86.8 13.2 3.22강원 228 29.4 60.1 9.2 1.3 89.5 10.5 3.18충북 230 27.8 57.4 13.5 1.3 85.2 14.8 3.12충남 318 23.6 58.2 14.5 3.8 81.8 18.2 3.02전북 276 33.7 53.6 8.3 4.3 87.3 12.7 3.17전남 282 28.0 56.7 12.8 2.5 84.8 15.2 3.10경북 403 32.0 58.6 8.4 1.0 90.6 9.4 3.22경남 486 28.4 58.4 11.5 1.6 86.8 13.2 3.14제주 86 33.7 59.3 7.0 .0.0 93.0 7.0 3.27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33.9 53.0 11.3 1.8 86.9 13.1 3.19중소도시 3,436 33.6 53.3 11.5 1.6 86.9 13.1 3.19읍/면 640 26.9 59.7 10.5 3.0 86.6 13.4 3.10

성 남자 3,723 30.9 54.9 12.0 2.3 85.7 14.3 3.14여자 3,777 35.4 52.6 10.6 1.4 88.0 12.0 3.22

연령

15~19세 584 44.5 43.3 9.2 2.9 87.8 12.2 3.2920~29세 1,137 40.5 47.9 8.7 2.9 88.4 11.6 3.2630~39세 1,354 33.2 51.0 13.5 2.2 84.3 15.7 3.1540~49세 1,527 31.0 56.7 11.4 .9 87.8 12.2 3.1850~59세 1,384 27.0 59.6 11.7 1.7 86.6 13.4 3.1260세이상 1,514 31.0 56.1 11.6 1.4 87.1 12.9 3.17

최종학력중졸이하 1,324 33.8 53.2 10.4 2.5 87.1 12.9 3.18고졸 2,291 34.7 51.0 12.4 2.0 85.6 14.4 3.18대졸이상 3,885 32.0 55.5 10.9 1.5 87.5 12.5 3.18

월평균 가구소득

199만원이하(하층) 1,723 33.0 53.5 11.2 2.3 86.5 13.5 3.17200-399만원(중하층) 2,722 32.8 53.0 12.2 1.9 85.9 14.1 3.17400-599만원(중상층) 1,988 33.5 54.2 10.9 1.5 87.6 12.4 3.20600만원이상(상층) 1,067 33.6 55.0 9.8 1.5 88.7 11.3 3.21

Page 105: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54|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트로트/뽕짝의 문화적 가치가 ‘높다’는 응답은 충북(64.3%),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여자(57.1%), 연령이 높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월평균소득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남

반면, ‘낮음’은 충남(48.4%),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남자(43.6%),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소득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18> 응답자 특성별 음악 장르별 문화적 가치_트로트/뽕짝

(단위 : 명, %, 점)  사례수 매우높음

높음 낮음 매우낮음

종합평가4점평균

높음 낮음

전 체 7,500 8.4 48.3 37.9 5.3 56.8 43.2 2.60

지역

서울 1,504 9.8 44.5 39.6 6.1 54.3 45.7 2.58부산 528 11.2 46.6 36.2 6.1 57.8 42.2 2.63대구 368 4.9 53.0 38.0 4.1 57.9 42.1 2.59인천 422 5.2 50.7 40.0 4.0 55.9 44.1 2.57광주 212 7.1 49.1 39.6 4.2 56.1 43.9 2.59대전 222 5.9 55.9 35.1 3.2 61.7 38.3 2.64울산 168 11.9 44.0 38.1 6.0 56.0 44.0 2.62경기 1,767 9.6 47.3 37.6 5.4 56.9 43.1 2.61강원 228 7.0 53.5 34.6 4.8 60.5 39.5 2.63충북 230 7.0 57.4 30.9 4.8 64.3 35.7 2.67충남 318 4.1 47.5 42.1 6.3 51.6 48.4 2.49전북 276 9.4 45.7 38.0 6.9 55.1 44.9 2.58전남 282 7.1 51.4 36.5 5.0 58.5 41.5 2.61경북 403 5.5 57.6 33.0 4.0 63.0 37.0 2.65경남 486 9.3 44.0 42.0 4.7 53.3 46.7 2.58제주 86 12.8 47.7 34.9 4.7 60.5 39.5 2.69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8.6 47.5 38.6 5.3 56.1 43.9 2.59중소도시 3,436 8.7 47.8 38.2 5.3 56.5 43.5 2.60읍/면 640 6.4 55.6 33.1 4.8 62.0 38.0 2.64

성 남자 3,723 8.5 47.9 37.6 5.9 56.4 43.6 2.59여자 3,777 8.3 48.8 38.3 4.6 57.1 42.9 2.61

연령

15~19세 584 4.5 43.8 44.0 7.7 48.3 51.7 2.4520~29세 1,137 4.7 46.1 42.7 6.5 50.7 49.3 2.4930~39세 1,354 4.5 46.7 41.4 7.4 51.2 48.8 2.4840~49세 1,527 2.9 49.2 42.5 5.4 52.1 47.9 2.5050~59세 1,384 5.1 49.1 41.5 4.3 54.2 45.8 2.5560세이상 1,514 25.0 51.6 21.0 2.4 76.6 23.4 2.99

최종학력중졸이하 1,324 20.0 49.8 26.1 4.1 69.9 30.1 2.86고졸 2,291 9.1 47.5 38.4 5.0 56.6 43.4 2.61대졸이상 3,885 4.1 48.3 41.7 5.9 52.4 47.6 2.51

월평균 가구소득

199만원이하(하층) 1,723 15.6 50.6 29.6 4.2 66.2 33.8 2.78200-399만원(중하층) 2,722 7.9 47.5 39.7 4.9 55.4 44.6 2.58400-599만원(중상층) 1,988 4.7 48.4 40.7 6.1 53.2 46.8 2.52600만원이상(상층) 1,067 5.2 46.6 41.7 6.6 51.7 48.3 2.50

Page 106: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55

재즈/블루스의 문화적 가치가 ‘높다’는 응답은 인천(61.1%),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여자(58.6%), 20대(67.7%),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소득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남

반면, ‘낮음’은 충남(56.6%),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남자(48.3%), 60세이상(58.7%), 학력이 낮을수록, 월평균소득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19> 응답자 특성별 음악 장르별 문화적 가치_재즈/블루스

(단위 : 명, %, 점)  사례수 매우높음 높음 낮음 매우

낮음종합평가

4점평균높음 낮음

전 체 7,500 5.6 49.7 37.6 7.2 55.2 44.8 2.54

지역

서울 1,504 5.8 52.3 36.5 5.5 58.0 42.0 2.58부산 528 8.7 51.9 35.0 4.4 60.6 39.4 2.65대구 368 4.3 53.8 35.9 6.0 58.2 41.8 2.57인천 422 5.9 55.2 36.0 2.8 61.1 38.9 2.64광주 212 6.1 39.6 47.6 6.6 45.8 54.2 2.45대전 222 6.8 43.7 42.8 6.8 50.5 49.5 2.50울산 168 6.5 39.9 42.9 10.7 46.4 53.6 2.42경기 1,767 7.0 50.3 36.3 6.5 57.2 42.8 2.58강원 228 3.1 50.0 37.7 9.2 53.1 46.9 2.47충북 230 3.5 43.9 32.2 20.4 47.4 52.6 2.30충남 318 3.5 39.9 41.2 15.4 43.4 56.6 2.31전북 276 4.0 47.5 40.6 8.0 51.4 48.6 2.47전남 282 2.8 41.8 44.0 11.3 44.7 55.3 2.36경북 403 2.7 51.1 33.5 12.7 53.8 46.2 2.44경남 486 4.1 51.0 41.8 3.1 55.1 44.9 2.56제주 86 5.8 60.5 32.6 1.2 66.3 33.7 2.71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6.2 50.8 37.6 5.4 57.0 43.0 2.58중소도시 3,436 5.3 49.4 37.0 8.3 54.7 45.3 2.52읍/면 640 3.4 44.8 41.4 10.3 48.3 51.7 2.41

성 남자 3,723 5.3 46.4 40.7 7.6 51.7 48.3 2.49여자 3,777 5.8 52.9 34.6 6.8 58.6 41.4 2.58

연령

15~19세 584 7.5 54.1 34.1 4.3 61.6 38.4 2.6520~29세 1,137 6.7 61.0 29.5 2.8 67.7 32.3 2.7230~39세 1,354 6.9 53.7 34.8 4.7 60.6 39.4 2.6340~49세 1,527 3.6 53.9 38.8 3.7 57.5 42.5 2.5750~59세 1,384 3.5 46.2 46.0 4.4 49.6 50.4 2.4960세이상 1,514 6.7 34.7 38.8 19.8 41.3 58.7 2.28

최종학력중졸이하 1,324 6.4 36.0 39.1 18.4 42.4 57.6 2.30고졸 2,291 6.0 48.4 39.0 6.6 54.4 45.6 2.54대졸이상 3,885 5.0 55.0 36.3 3.7 60.1 39.9 2.61

월평균 가구소득

199만원이하(하층) 1,723 5.6 41.1 38.6 14.6 46.8 53.2 2.38200-399만원(중하층) 2,722 5.6 50.6 37.3 6.5 56.1 43.9 2.55400-599만원(중상층) 1,988 4.9 52.9 38.1 4.0 57.8 42.2 2.59600만원이상(상층) 1,067 6.6 55.0 35.8 2.6 61.6 38.4 2.66

Page 107: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56|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발라드/포크/컨트리의 문화적 가치가 ‘높다’는 응답은 인천(72.0%),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여자(66.2%), 20대(75.7%),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소득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남

반면, ‘낮음’은 전남(50.7%),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남자(38.4%), 60세이상(64.8%), 학력이 낮을수록, 월평균소득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20> 응답자 특성별 음악 장르별 문화적 가치_발라드/포크/컨트리

(단위 : 명, %, 점)  사례수 매우높음

높음 낮음 매우낮음

종합평가4점평균

높음 낮음

전 체 7,500 6.9 57.0 30.0 6.1 63.9 36.1 2.65

지역

서울 1,504 6.8 58.2 29.9 5.0 65.1 34.9 2.67부산 528 11.0 56.4 29.5 3.0 67.4 32.6 2.75대구 368 4.9 62.0 29.3 3.8 66.8 33.2 2.68인천 422 7.8 64.2 27.3 .7 72.0 28.0 2.79광주 212 11.8 48.1 32.1 8.0 59.9 40.1 2.64대전 222 8.6 50.9 32.0 8.6 59.5 40.5 2.59울산 168 8.3 50.6 32.7 8.3 58.9 41.1 2.59경기 1,767 7.5 59.1 28.2 5.1 66.6 33.4 2.69강원 228 3.1 62.7 26.3 7.9 65.8 34.2 2.61충북 230 5.2 53.0 24.3 17.4 58.3 41.7 2.46충남 318 4.7 47.8 34.6 12.9 52.5 47.5 2.44전북 276 5.1 50.4 37.7 6.9 55.4 44.6 2.54전남 282 4.6 44.7 38.3 12.4 49.3 50.7 2.41경북 403 5.2 58.3 26.3 10.2 63.5 36.5 2.59경남 486 5.3 58.8 33.3 2.5 64.2 35.8 2.67제주 86 9.3 64.0 26.7 .0 73.3 26.7 2.83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7.9 57.6 29.9 4.6 65.5 34.5 2.69중소도시 3,436 6.5 57.7 29.3 6.6 64.1 35.9 2.64읍/면 640 4.1 50.3 34.5 11.1 54.4 45.6 2.47

성 남자 3,723 6.9 54.7 32.7 5.7 61.6 38.4 2.63여자 3,777 6.9 59.3 27.3 6.4 66.2 33.8 2.67

연령

15~19세 584 13.0 61.3 24.0 1.7 74.3 25.7 2.8620~29세 1,137 9.7 66.1 22.1 2.2 75.7 24.3 2.8330~39세 1,354 8.3 64.8 25.0 1.8 73.1 26.9 2.8040~49세 1,527 4.9 64.7 29.1 1.3 69.6 30.4 2.7350~59세 1,384 5.1 60.9 32.2 1.9 66.0 34.0 2.6960세이상 1,514 4.9 30.3 41.7 23.1 35.2 64.8 2.17

최종학력중졸이하 1,324 6.5 34.7 38.4 20.4 41.2 58.8 2.27고졸 2,291 8.0 56.4 30.2 5.4 64.4 35.6 2.67대졸이상 3,885 6.4 65.0 27.1 1.6 71.4 28.6 2.76

월평균 가구소득

199만원이하(하층) 1,723 6.7 42.6 36.2 14.6 49.3 50.7 2.41200-399만원(중하층) 2,722 6.9 58.3 29.5 5.3 65.2 34.8 2.67400-599만원(중상층) 1,988 6.8 63.4 27.8 2.1 70.2 29.8 2.75600만원이상(상층) 1,067 7.6 65.0 25.7 1.7 72.6 27.4 2.79

Page 108: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57

힙합/랩/댄스의 문화적 가치가 ‘높다’고 답한 응답자는 인천(54.7%),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여자(50.4%),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소득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남

반면, ‘낮음’은 전남(67.7%),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남자(56.3%), 연령이 높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월평균소득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21> 응답자 특성별 음악 장르별 문화적 가치_힙합/랩/댄스

(단위 : 명, %, 점)  사례수 매우높음

높음 낮음 매우낮음

종합평가4점평균

높음 낮음

전 체 7,500 5.7 41.3 40.7 12.2 47.1 52.9 2.41

지역

서울 1,504 6.5 42.2 40.6 10.7 48.7 51.3 2.44부산 528 8.3 40.3 43.4 8.0 48.7 51.3 2.49대구 368 5.4 44.6 40.2 9.8 50.0 50.0 2.46인천 422 6.6 48.1 38.9 6.4 54.7 45.3 2.55광주 212 8.5 36.8 38.7 16.0 45.3 54.7 2.38대전 222 5.9 40.5 37.8 15.8 46.4 53.6 2.36울산 168 8.3 37.5 42.3 11.9 45.8 54.2 2.42경기 1,767 5.8 42.8 41.0 10.4 48.6 51.4 2.44강원 228 4.4 39.9 41.2 14.5 44.3 55.7 2.34충북 230 4.3 40.9 28.7 26.1 45.2 54.8 2.23충남 318 4.4 36.5 36.8 22.3 40.9 59.1 2.23전북 276 4.7 37.0 47.5 10.9 41.7 58.3 2.36전남 282 5.0 27.3 47.2 20.6 32.3 67.7 2.17경북 403 3.0 44.9 34.7 17.4 47.9 52.1 2.33경남 486 3.5 41.4 45.1 10.1 44.9 55.1 2.38제주 86 4.7 43.0 47.7 4.7 47.7 52.3 2.48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6.9 42.2 40.6 10.4 49.1 50.9 2.46중소도시 3,436 4.9 41.6 40.3 13.2 46.5 53.5 2.38읍/면 640 4.1 35.5 44.2 16.3 39.5 60.5 2.27

성 남자 3,723 5.9 37.8 42.5 13.7 43.7 56.3 2.36여자 3,777 5.6 44.8 38.9 10.6 50.4 49.6 2.45

연령

15~19세 584 16.3 53.6 26.4 3.8 69.9 30.1 2.8220~29세 1,137 9.5 54.2 30.6 5.7 63.7 36.3 2.6730~39세 1,354 6.7 52.0 36.5 4.8 58.7 41.3 2.6140~49세 1,527 3.0 43.5 45.4 8.1 46.5 53.5 2.4150~59세 1,384 3.3 35.7 51.4 9.5 39.0 61.0 2.3360세이상 1,514 3.0 20.5 43.2 33.4 23.4 76.6 1.93

최종학력중졸이하 1,324 6.0 28.2 37.9 27.9 34.2 65.8 2.12고졸 2,291 6.9 40.8 41.1 11.2 47.7 52.3 2.43대졸이상 3,885 4.9 46.2 41.5 7.4 51.1 48.9 2.49

월평균 가구소득

199만원이하(하층) 1,723 5.0 32.7 39.6 22.6 37.7 62.3 2.20200-399만원(중하층) 2,722 5.8 42.1 41.5 10.7 47.9 52.1 2.43400-599만원(중상층) 1,988 5.7 45.7 40.7 7.9 51.4 48.6 2.49600만원이상(상층) 1,067 6.9 45.3 40.7 7.1 52.2 47.8 2.52

Page 109: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58|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락/헤비메탈의 문화적 가치가 ‘높다’고 답한 응답자는 인천(47.2%),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남자(40.5%),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소득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남

반면, ‘낮음’은 전남(68.8%),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여자(60.2%), 연령이 높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월평균소득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22> 응답자 특성별 음악 장르별 문화적 가치_락/헤비메탈

(단위 : 명, %, 점)  사례수 매우높음

높음 낮음 매우낮음

종합평가4점평균

높음 낮음

전 체 7,500 4.6 35.5 44.1 15.7 40.1 59.9 2.29

지역

서울 1,504 5.4 38.4 42.2 14.0 43.8 56.3 2.35부산 528 6.1 39.2 42.0 12.7 45.3 54.7 2.39대구 368 4.3 35.1 47.6 13.0 39.4 60.6 2.31인천 422 5.0 42.2 45.7 7.1 47.2 52.8 2.45광주 212 6.6 28.3 50.0 15.1 34.9 65.1 2.26대전 222 4.1 29.7 45.0 21.2 33.8 66.2 2.17울산 168 4.2 29.2 51.8 14.9 33.3 66.7 2.23경기 1,767 4.5 35.7 44.8 15.1 40.1 59.9 2.30강원 228 3.9 39.9 38.2 18.0 43.9 56.1 2.30충북 230 5.2 31.7 35.7 27.4 37.0 63.0 2.15충남 318 4.1 27.7 45.3 23.0 31.8 68.2 2.13전북 276 4.7 31.2 48.9 15.2 35.9 64.1 2.25전남 282 2.8 28.4 45.0 23.8 31.2 68.8 2.10경북 403 3.5 37.0 40.7 18.9 40.4 59.6 2.25경남 486 3.3 34.2 44.9 17.7 37.4 62.6 2.23제주 86 3.5 40.7 50.0 5.8 44.2 55.8 2.42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5.3 37.0 44.3 13.4 42.2 57.8 2.34중소도시 3,436 4.2 35.0 43.7 17.0 39.2 60.8 2.26읍/면 640 3.4 30.5 45.2 20.9 33.9 66.1 2.16

성 남자 3,723 5.6 34.9 43.5 16.0 40.5 59.5 2.30여자 3,777 3.7 36.1 44.8 15.4 39.8 60.2 2.28

연령

15~19세 584 11.0 42.6 38.0 8.4 53.6 46.4 2.5620~29세 1,137 6.9 45.8 37.6 9.6 52.8 47.2 2.5030~39세 1,354 5.4 44.7 41.8 8.1 50.1 49.9 2.4740~49세 1,527 3.7 38.8 47.2 10.3 42.5 57.5 2.3650~59세 1,384 2.8 30.9 53.6 12.7 33.7 66.3 2.2460세이상 1,514 2.4 17.8 41.7 38.1 20.1 79.9 1.84

최종학력중졸이하 1,324 4.7 23.6 39.4 32.3 28.3 71.7 2.01고졸 2,291 4.8 33.5 45.9 15.8 38.2 61.8 2.27대졸이상 3,885 4.5 40.8 44.7 10.0 45.3 54.7 2.40

월평균 가구소득

199만원이하(하층) 1,723 3.9 27.9 41.8 26.4 31.8 68.2 2.09200-399만원(중하층) 2,722 4.6 36.3 44.8 14.3 41.0 59.0 2.31400-599만원(중상층) 1,988 4.9 37.6 45.6 11.9 42.5 57.5 2.35600만원이상(상층) 1,067 5.3 41.8 43.6 9.3 47.1 52.9 2.43

Page 110: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59

종교음악의 문화적 가치가 ‘높다’고 답한 응답자는 인천(49.5%),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여자(43.9%), 60세이상(45.9%), 대졸이상(42.4%), 월평균소득 600만원이상(43.5%)에서 높게 나타남

반면, ‘낮음’은 충북(68.7%),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남자(62.6%), 20대(63.9%), 고졸(62.9%), 월평균소득 400-599만원(60.8%)에서 높게 나타남

<표3-23> 응답자 특성별 음악 장르별 문화적 가치_종교음악

(단위 : 명, %, 점)  사례수 매우높음

높음 낮음 매우낮음

종합평가4점평균

높음 낮음

전 체 7,500 7.0 33.7 40.1 19.2 40.7 59.3 2.28

지역

서울 1,504 7.4 35.0 40.2 17.4 42.4 57.6 2.32부산 528 10.2 31.8 43.9 14.0 42.0 58.0 2.38대구 368 7.1 34.5 37.8 20.7 41.6 58.4 2.28인천 422 6.9 42.7 37.9 12.6 49.5 50.5 2.44광주 212 6.1 26.4 41.0 26.4 32.5 67.5 2.12대전 222 6.8 29.3 42.3 21.6 36.0 64.0 2.21울산 168 4.8 30.4 41.1 23.8 35.1 64.9 2.16경기 1,767 7.4 33.2 40.7 18.7 40.6 59.4 2.29강원 228 13.6 31.6 33.3 21.5 45.2 54.8 2.37충북 230 3.9 27.4 33.0 35.7 31.3 68.7 2.00충남 318 4.7 29.2 40.3 25.8 34.0 66.0 2.13전북 276 6.5 32.2 44.2 17.0 38.8 61.2 2.28전남 282 3.5 29.4 43.6 23.4 33.0 67.0 2.13경북 403 6.7 36.2 36.2 20.8 42.9 57.1 2.29경남 486 4.9 36.4 42.4 16.3 41.4 58.6 2.30제주 86 2.3 50.0 30.2 17.4 52.3 47.7 2.37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7.5 34.3 40.4 17.8 41.8 58.2 2.31중소도시 3,436 6.4 33.6 39.8 20.3 40.0 60.0 2.26읍/면 640 7.3 31.1 40.2 21.4 38.4 61.6 2.24

성 남자 3,723 6.0 31.4 39.4 23.2 37.4 62.6 2.20여자 3,777 8.0 35.9 40.8 15.3 43.9 56.1 2.37

연령

15~19세 584 4.8 33.6 39.9 21.7 38.4 61.6 2.2120~29세 1,137 5.1 31.0 39.8 24.2 36.1 63.9 2.1730~39세 1,354 5.8 30.7 42.2 21.3 36.5 63.5 2.2140~49세 1,527 4.8 34.7 44.3 16.2 39.6 60.4 2.2850~59세 1,384 7.9 37.1 40.8 14.2 44.9 55.1 2.3960세이상 1,514 11.6 34.3 33.8 20.3 45.9 54.1 2.37

최종학력중졸이하 1,324 8.8 32.9 34.3 24.0 41.7 58.3 2.27고졸 2,291 6.9 30.2 41.6 21.3 37.1 62.9 2.23대졸이상 3,885 6.4 36.0 41.2 16.4 42.4 57.6 2.32

월평균 가구소득

199만원이하(하층) 1,723 9.6 32.8 36.8 20.8 42.4 57.6 2.31200-399만원(중하층) 2,722 6.7 32.8 40.2 20.3 39.5 60.5 2.26400-599만원(중상층) 1,988 5.5 33.7 43.1 17.7 39.2 60.8 2.27600만원이상(상층) 1,067 6.1 37.4 39.7 16.8 43.5 56.5 2.33

Page 111: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60|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뮤지컬의 문화적 가치가 ‘높다’고 답한 응답자는 인천(80.8%),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여자(78.7%), 20대(85.5%),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소득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남

반면, ‘낮음’은 전남(40.1%),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남자(30.0%), 60세이상(47.0%), 학력이 낮을수록, 월평균소득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24> 응답자 특성별 음악 장르별 문화적 가치_뮤지컬

(단위 : 명, %, 점)  사례수 매우높음 높음 낮음 매우

낮음종합평가

4점평균높음 낮음

전 체 7,500 15.3 59.1 19.5 6.1 74.4 25.6 2.84

지역

서울 1,504 14.4 60.6 20.5 4.5 75.0 25.0 2.85부산 528 18.2 61.6 17.2 3.0 79.7 20.3 2.95대구 368 14.7 60.6 20.7 4.1 75.3 24.7 2.86인천 422 16.4 64.5 17.3 1.9 80.8 19.2 2.95광주 212 15.1 53.8 24.5 6.6 68.9 31.1 2.77대전 222 17.6 52.7 24.8 5.0 70.3 29.7 2.83울산 168 14.3 56.0 23.8 6.0 70.2 29.8 2.79경기 1,767 16.2 60.5 18.7 4.6 76.7 23.3 2.88강원 228 14.0 59.2 17.5 9.2 73.2 26.8 2.78충북 230 9.1 54.8 15.2 20.9 63.9 36.1 2.52충남 318 14.2 50.9 19.5 15.4 65.1 34.9 2.64전북 276 12.0 61.6 19.6 6.9 73.6 26.4 2.79전남 282 18.1 41.8 27.0 13.1 59.9 40.1 2.65경북 403 12.7 58.6 18.6 10.2 71.2 28.8 2.74경남 486 16.9 61.7 17.5 3.9 78.6 21.4 2.92제주 86 15.1 69.8 14.0 1.2 84.9 15.1 2.99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15.5 60.0 20.3 4.1 75.6 24.4 2.87중소도시 3,436 15.3 59.3 18.3 7.1 74.6 25.4 2.83읍/면 640 13.8 52.8 22.0 11.4 66.6 33.4 2.69

성 남자 3,723 12.5 57.5 23.6 6.4 70.0 30.0 2.76여자 3,777 18.0 60.7 15.5 5.8 78.7 21.3 2.91

연령

15~19세 584 27.2 58.2 12.5 2.1 85.4 14.6 3.1120~29세 1,137 24.2 61.3 11.6 2.9 85.5 14.5 3.0730~39세 1,354 14.8 63.7 18.7 2.8 78.5 21.5 2.9140~49세 1,527 11.3 66.3 19.7 2.6 77.7 22.3 2.8650~59세 1,384 13.7 62.6 21.0 2.8 76.2 23.8 2.8760세이상 1,514 9.8 43.2 27.5 19.5 53.0 47.0 2.43

최종학력중졸이하 1,324 12.9 44.1 24.8 18.1 57.0 43.0 2.52고졸 2,291 17.0 57.1 20.3 5.6 74.1 25.9 2.86대졸이상 3,885 15.0 65.4 17.3 2.3 80.4 19.6 2.93

월평균 가구소득

199만원이하(하층) 1,723 12.9 48.6 24.4 14.0 61.6 38.4 2.61200-399만원(중하층) 2,722 14.8 60.0 19.8 5.4 74.8 25.2 2.84400-599만원(중상층) 1,988 16.2 64.1 17.1 2.6 80.3 19.7 2.94600만원이상(상층) 1,067 18.5 64.4 15.6 1.6 82.8 17.2 3.00

Page 112: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61

클래식의 문화적 가치가 ‘높다’고 답한 응답자는 인천(83.9%),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여자(78.8%),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소득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남

반면, ‘낮음’은 전남(38.7%),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남자(26.8%), 연령이 높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월평균소득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25> 응답자 특성별 음악 장르별 문화적 가치_클래식

(단위 : 명, %, 점)  사례수 매우높음

높음 낮음 매우낮음

종합평가4점평균

높음 낮음

전 체 7,500 20.4 55.6 18.4 5.6 76.0 24.0 2.91

지역

서울 1,504 21.5 57.4 17.0 4.0 79.0 21.0 2.97부산 528 26.1 55.1 17.0 1.7 81.3 18.8 3.06대구 368 17.4 61.1 17.7 3.8 78.5 21.5 2.92인천 422 21.8 62.1 14.5 1.7 83.9 16.1 3.04광주 212 19.8 51.4 22.2 6.6 71.2 28.8 2.84대전 222 18.5 48.6 26.6 6.3 67.1 32.9 2.79울산 168 21.4 51.2 23.2 4.2 72.6 27.4 2.90경기 1,767 21.7 56.3 17.8 4.2 78.0 22.0 2.95강원 228 19.3 51.8 21.5 7.5 71.1 28.9 2.83충북 230 13.0 50.9 14.3 21.7 63.9 36.1 2.55충남 318 17.3 47.8 21.4 13.5 65.1 34.9 2.69전북 276 15.9 59.4 18.5 6.2 75.4 24.6 2.85전남 282 21.3 40.1 27.0 11.7 61.3 38.7 2.71경북 403 14.1 56.1 19.9 9.9 70.2 29.8 2.74경남 486 21.0 58.2 17.9 2.9 79.2 20.8 2.97제주 86 22.1 68.6 5.8 3.5 90.7 9.3 3.09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21.5 56.8 18.0 3.7 78.3 21.7 2.96중소도시 3,436 20.1 55.5 17.7 6.7 75.6 24.4 2.89읍/면 640 16.3 49.7 24.4 9.7 65.9 34.1 2.73

성 남자 3,723 18.2 55.0 21.4 5.3 73.2 26.8 2.86여자 3,777 22.6 56.2 15.4 5.8 78.8 21.2 2.96

연령

15~19세 584 31.3 55.1 11.3 2.2 86.5 13.5 3.1620~29세 1,137 28.1 57.3 12.0 2.7 85.3 14.7 3.1130~39세 1,354 18.8 61.2 17.9 2.1 80.0 20.0 2.9740~49세 1,527 17.8 61.7 18.6 1.9 79.5 20.5 2.9550~59세 1,384 18.9 59.8 19.0 2.2 78.8 21.2 2.9560세이상 1,514 15.9 39.6 25.7 18.8 55.5 44.5 2.53

최종학력중졸이하 1,324 17.3 41.7 23.2 17.8 59.0 41.0 2.58고졸 2,291 20.6 54.7 19.8 4.9 75.3 24.7 2.91대졸이상 3,885 21.4 60.9 15.9 1.8 82.3 17.7 3.02

월평균 가구소득

199만원이하(하층) 1,723 16.8 46.3 23.5 13.3 63.1 36.9 2.67200-399만원(중하층) 2,722 20.3 55.9 18.9 4.9 76.2 23.8 2.92400-599만원(중상층) 1,988 21.0 61.2 15.6 2.2 82.2 17.8 3.01600만원이상(상층) 1,067 25.4 59.5 14.1 1.0 84.9 15.1 3.09

Page 113: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62|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2.3.5. 음악 장르별 선호도

음악 장르별 선호도를 살펴보면, ‘발라드/포크/컨트리’(좋아한다 61.9%)의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됨

다음으로 ‘뮤지컬’(좋아한다 51.1%), 전통음악(좋아한다 48.2%) 순으로 나타남

▪ 반면, ‘종교음악’를 좋아 한다는 응답은 22.1%로 선호도가 가장 낮게 조사됨

<그림3-17> 음악 장르별 선호여부

Page 114: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63

‘전통음악’을 좋아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전북(56.9%),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여자(49.5%), 60세이상(71.6%), 학력이 낮을수록, 월평균소득 199만원이하(59.0%)에서 높게 나타남

‘트로트/뽕짝’을 좋아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경북(55.1%),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남자(47.1%), 연령이 높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월평균소득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26> 응답자 특성별 음악 장르 선호도_전통음악 및 트로트/뽕짝

(단위 : 명, %, 점)  사례수전통음악 트로트/뽕짝

좋아한다 무관심 싫어

한다장르모름

좋아한다 무관심 싫어

한다장르모름

전 체 7,500 48.2 45.1 5.7 1.0 45.7 40.2 13.5 0.7

지역

서울 1,504 45.5 45.8 7.8 0.9 39.5 41.8 18.0 0.7부산 528 54.4 39.6 5.3 0.8 49.2 36.6 13.6 0.6대구 368 41.3 51.4 6.5 0.8 44.8 39.4 14.9 0.8인천 422 46.7 47.2 5.0 1.2 41.2 43.8 13.7 1.2광주 212 50.0 42.9 5.7 1.4 48.6 42.5 8.0 0.9대전 222 53.6 39.2 6.8 0.5 52.3 34.7 12.6 0.5울산 168 36.3 53.6 8.9 1.2 50.0 39.3 10.7 0.0경기 1,767 46.1 47.7 5.2 1.0 43.2 42.3 13.9 0.6강원 228 56.1 39.0 3.5 1.3 51.8 37.7 10.1 0.4충북 230 44.8 52.2 2.2 0.9 47.8 41.3 10.9 0.0충남 318 49.7 45.6 3.8 0.9 43.1 43.1 13.2 0.6전북 276 56.9 38.8 4.0 0.4 50.7 37.7 11.2 0.4전남 282 55.0 36.9 6.0 2.1 52.5 34.0 11.7 1.8경북 403 53.8 40.7 4.7 0.7 55.1 34.2 9.9 0.7경남 486 47.9 45.7 5.3 1.0 52.1 39.9 7.8 0.2제주 86 48.8 43.0 5.8 2.3 43.0 39.5 16.3 1.2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46.9 45.4 6.8 0.9 43.7 40.4 15.1 0.7중소도시 3,436 47.6 46.4 4.8 1.2 44.8 41.7 12.7 0.7읍/면 640 58.3 36.7 4.5 0.5 60.8 30.9 8.3 0.0

성 남자 3,723 46.8 46.1 5.8 1.2 47.1 40.0 12.2 0.8여자 3,777 49.5 44.1 5.6 0.8 44.3 40.5 14.7 0.6

연령

15~19세 584 36.1 55.1 7.2 1.5 18.7 57.9 21.9 1.520~29세 1,137 32.5 59.7 6.8 1.0 22.3 56.1 20.6 1.130~39세 1,354 34.4 58.1 6.6 0.9 29.1 53.5 16.7 0.740~49세 1,527 44.1 49.8 4.5 1.6 42.6 42.2 14.6 0.650~59세 1,384 58.4 35.3 5.2 1.1 55.6 33.1 10.9 0.460세이상 1,514 71.6 23.1 5.2 0.2 82.4 14.1 3.1 0.4

최종학력중졸이하 1,324 64.7 29.1 5.8 0.5 67.3 23.3 8.6 0.8고졸 2,291 46.6 45.9 6.0 1.5 47.1 39.4 12.5 0.9대졸이상 3,885 43.5 50.1 5.5 0.9 37.4 46.5 15.6 0.5

월평균 가구소득

199만원이하(하층) 1,723 59.0 34.6 5.5 0.9 61.1 29.0 9.2 0.8200-399만원(중하층) 2,722 43.1 50.3 5.6 1.0 42.6 43.3 13.4 0.7400-599만원(중상층) 1,988 45.0 48.2 5.8 1.0 40.0 44.3 14.9 0.8600만원이상(상층) 1,067 49.6 43.2 6.0 1.2 38.9 43.1 17.6 0.4

Page 115: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64|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재즈/블루스’을 좋아한다는 응답은 서울(37.8%),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여자(33.7%), 40대(40.4%),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소득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남

‘발라드/포크/컨트리’을 좋아한다는 응답은 경기(66.2%), 중소도시(64.2%), 여자(63.0%), 40대(78.5%),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소득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27> 응답자 특성별 음악 장르 선호도_재즈/블루스 및 발라드/포크/컨트리

(단위 : 명, %, 점)  사례수재즈/블루스 발라드/포크/컨트리

좋아한다 무관심 싫어

한다장르모름

좋아한다 무관심 싫어

한다장르모름

전 체 7,500 32.3 50.8 11.4 5.5 61.9 26.4 6.6 5.1

지역

서울 1,504 37.8 45.5 11.2 5.5 63.0 25.1 6.4 5.5부산 528 31.6 54.9 11.0 2.5 60.0 31.3 6.1 2.7대구 368 25.5 59.2 10.3 4.9 60.6 30.7 5.7 3.0인천 422 34.6 52.4 5.9 7.1 64.2 28.7 1.9 5.2광주 212 25.9 56.1 12.7 5.2 56.1 31.6 6.6 5.7대전 222 37.4 50.0 10.4 2.3 60.4 29.3 8.1 2.3울산 168 31.5 49.4 16.7 2.4 64.9 22.6 10.1 2.4경기 1,767 35.2 49.3 11.0 4.5 66.2 24.7 5.6 3.5강원 228 25.0 55.7 9.6 9.6 57.0 29.8 2.6 10.5충북 230 25.7 47.8 13.9 12.6 54.3 22.6 10.0 13.0충남 318 23.0 53.8 16.7 6.6 58.8 22.0 11.6 7.5전북 276 28.6 55.4 14.9 1.1 56.5 27.2 14.1 2.2전남 282 27.7 50.7 11.3 10.3 52.5 28.7 10.3 8.5경북 403 25.1 51.6 9.9 13.4 58.1 24.6 5.0 12.4경남 486 31.9 52.7 13.2 2.3 64.0 27.2 6.6 2.3제주 86 36.0 48.8 12.8 2.3 68.6 23.3 5.8 2.3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34.1 50.4 10.7 4.8 61.9 27.6 6.0 4.4중소도시 3,436 31.4 51.0 11.6 6.0 64.2 24.2 6.2 5.5읍/면 640 27.5 51.6 14.1 6.9 49.1 31.9 12.2 6.9

성 남자 3,723 30.9 52.7 11.9 4.5 60.7 28.1 7.0 4.2여자 3,777 33.7 48.9 11.0 6.5 63.0 24.7 6.3 6.0

연령

15~19세 584 25.3 58.6 10.8 5.3 62.3 30.5 4.5 2.720~29세 1,137 36.0 52.6 9.1 2.4 71.4 24.4 3.0 1.230~39세 1,354 37.8 52.7 8.1 1.3 76.7 19.6 2.7 0.940~49세 1,527 40.4 49.6 8.3 1.6 78.5 19.5 1.7 0.350~59세 1,384 39.5 51.0 8.0 1.5 73.0 23.0 2.9 1.160세이상 1,514 12.5 45.6 22.6 19.3 14.2 42.5 22.1 21.3

최종학력중졸이하 1,324 13.7 47.7 18.9 19.7 22.7 38.9 17.4 21.0고졸 2,291 28.5 54.6 12.5 4.5 59.7 29.6 7.2 3.5대졸이상 3,885 40.8 49.6 8.2 1.3 76.5 20.3 2.6 0.6

월평균 가구소득

199만원이하(하층) 1,723 20.5 48.4 17.1 14.0 36.2 34.9 14.1 14.9200-399만원(중하층) 2,722 31.0 53.5 11.2 4.3 63.7 26.9 5.8 3.5400-599만원(중상층) 1,988 37.0 52.1 8.8 2.1 73.1 22.5 3.2 1.2600만원이상(상층) 1,067 45.8 45.2 7.7 1.3 77.7 18.7 2.9 0.7

Page 116: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65

‘힙합/랩/댄스’를 좋아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대전(41.0%),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여자(38.4%),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소득 200-399만원 및 400-599만원(각각 41.1%)에서 높게 나타남

‘락/헤비메탈’을 좋아한다는 응답은 울산(28.0%),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남자(28.8%), 30대(33.2%),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소득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28> 응답자 특성별 음악 장르 선호도_힙합/랩/댄스 및 락/헤비메탈

(단위 : 명, %, 점)  사례수힙합/랩/댄스 락/헤비메탈

좋아한다 무관심 싫어

한다장르모름

좋아한다 무관심 싫어한

다장르모름

전 체 7,500 36.7 38.1 18.4 6.7 23.1 39.9 28.5 8.4

지역

서울 1,504 40.0 35.7 18.2 6.1 25.6 39.2 28.2 7.0부산 528 32.2 43.6 20.6 3.6 21.0 43.9 29.5 5.5대구 368 34.5 42.4 17.4 5.7 20.7 42.7 27.7 9.0인천 422 40.5 36.0 14.2 9.2 25.6 41.5 20.9 12.1광주 212 34.4 38.7 18.4 8.5 21.7 39.2 29.2 9.9대전 222 41.0 33.8 19.8 5.4 24.8 34.7 32.9 7.7울산 168 39.9 35.7 22.0 2.4 28.0 32.7 35.7 3.6경기 1,767 38.7 38.8 18.1 4.5 24.7 39.4 29.2 6.7강원 228 31.1 40.4 18.0 10.5 25.9 41.2 22.4 10.5충북 230 36.5 33.5 17.0 13.0 20.9 39.1 26.1 13.9충남 318 32.1 35.5 21.1 11.3 21.4 34.9 31.1 12.6전북 276 29.7 43.1 23.6 3.6 17.8 41.3 36.2 4.7전남 282 29.1 39.0 20.9 11.0 16.0 40.8 31.9 11.3경북 403 34.2 36.7 13.4 15.6 19.4 40.7 22.3 17.6경남 486 38.1 37.4 20.2 4.3 21.0 42.2 28.8 8.0제주 86 32.6 50.0 16.3 1.2 25.6 43.0 30.2 1.2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38.0 37.7 18.3 6.0 24.2 40.0 28.2 7.7중소도시 3,436 37.1 37.7 18.2 6.9 23.2 39.6 28.5 8.7읍/면 640 28.3 42.5 20.2 9.1 17.3 41.3 30.0 11.4

성 남자 3,723 35.0 39.4 20.3 5.3 28.8 38.7 25.8 6.7여자 3,777 38.4 36.9 16.6 8.0 17.5 41.2 31.2 10.1

연령

15~19세 584 68.5 23.6 6.8 1.0 32.7 39.4 26.7 1.220~29세 1,137 66.3 24.5 8.8 0.4 32.2 42.3 25.0 0.530~39세 1,354 57.2 33.9 8.3 0.6 33.2 42.6 23.3 1.040~49세 1,527 32.7 49.7 16.6 0.9 28.6 44.1 25.9 1.450~59세 1,384 19.9 53.3 25.4 1.4 18.9 47.0 31.6 2.560세이상 1,514 3.4 32.3 34.6 29.7 2.0 25.3 36.3 36.3

최종학력중졸이하 1,324 20.3 28.2 24.5 26.9 10.3 26.7 31.2 31.8고졸 2,291 39.1 37.2 19.0 4.7 21.1 41.6 30.6 6.7대졸이상 3,885 41.0 42.1 16.0 1.0 28.7 43.4 26.3 1.5

월평균 가구소득

199만원이하(하층) 1,723 24.0 33.6 23.2 19.2 14.0 33.0 29.4 23.6200-399만원(중하층) 2,722 41.1 37.7 16.9 4.4 24.8 41.0 28.5 5.6400-599만원(중상층) 1,988 41.1 41.0 15.9 2.0 26.0 42.9 28.0 3.1600만원이상(상층) 1,067 38.1 41.3 19.5 1.0 28.3 42.7 27.8 1.1

Page 117: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66|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종교음악’를 선호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서울(24.7%), 중소도시(22.4%), 여자(25.5%), 50대(33.2%),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소득 600만원이상(25.2%)에서 높게 나타남

‘뮤지컬’을 선호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서울(55.1%),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여자(60.3%), 20대(62.9%),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소득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29> 응답자 특성별 음악 장르 선호도_종교음악 및 뮤지컬

(단위 : 명, %, 점)  사례수종교음악 뮤지컬

좋아한다 무관심 싫어

한다장르모름

좋아한다 무관심 싫어

한다장르모름

전 체 7,500 22.1 38.9 33.5 5.5 51.1 36.5 7.7 4.6

지역

서울 1,504 24.7 37.8 33.0 4.5 55.1 33.3 7.7 3.9부산 528 22.0 43.9 31.8 2.3 50.2 42.2 6.6 0.9대구 368 16.3 41.3 35.9 6.5 48.1 40.5 6.5 4.9인천 422 21.3 35.1 32.2 11.4 53.1 34.8 3.1 9.0광주 212 17.0 39.6 36.3 7.1 46.7 40.1 8.5 4.7대전 222 20.3 39.6 37.4 2.7 55.0 33.3 10.8 0.9울산 168 19.6 35.1 41.7 3.6 46.4 40.5 13.1 0.0경기 1,767 23.2 39.1 34.1 3.6 54.7 35.2 7.1 3.0강원 228 23.7 37.7 31.1 7.5 51.8 32.0 7.0 9.2충북 230 19.1 33.0 35.7 12.2 42.2 37.8 3.9 16.1충남 318 20.1 36.2 34.3 9.4 43.1 36.5 12.6 7.9전북 276 22.1 39.5 33.0 5.4 47.1 39.5 10.9 2.5전남 282 21.6 38.3 31.2 8.9 43.6 34.4 13.1 8.9경북 403 24.3 39.5 29.0 7.2 45.2 38.0 6.7 10.2경남 486 20.6 42.2 33.3 3.9 51.4 40.7 6.8 1.0제주 86 19.8 46.5 27.9 5.8 46.5 45.3 5.8 2.3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22.0 38.9 34.0 5.2 52.4 36.4 7.4 3.9중소도시 3,436 22.4 39.0 33.4 5.2 52.0 36.0 6.9 5.0읍/면 640 21.6 39.1 31.3 8.1 40.0 40.0 13.3 6.7

성 남자 3,723 18.7 39.8 36.4 5.0 41.8 45.1 9.1 4.0여자 3,777 25.5 38.1 30.5 5.9 60.3 28.1 6.3 5.3

연령

15~19세 584 10.4 42.0 44.2 3.4 58.2 36.6 3.8 1.420~29세 1,137 16.4 35.3 45.8 2.5 62.9 32.2 4.0 0.930~39세 1,354 18.2 40.4 38.9 2.5 59.0 36.0 4.3 0.740~49세 1,527 22.9 43.5 31.0 2.5 58.4 36.3 4.6 0.750~59세 1,384 33.2 38.3 25.1 3.5 60.2 34.0 4.9 0.960세이상 1,514 23.6 35.1 25.2 16.0 17.0 42.8 20.5 19.7

최종학력중졸이하 1,324 18.8 36.1 30.0 15.1 23.6 40.4 17.4 18.6고졸 2,291 19.2 38.6 36.8 5.3 50.0 39.2 7.4 3.4대졸이상 3,885 25.0 40.1 32.6 2.3 61.2 33.7 4.5 0.6

월평균 가구소득

199만원이하(하층) 1,723 22.9 36.6 28.4 12.1 31.5 41.3 13.6 13.6200-399만원(중하층) 2,722 21.1 38.2 36.7 4.1 50.7 38.4 7.8 3.0400-599만원(중상층) 1,988 21.4 41.6 33.6 3.4 59.9 34.2 4.7 1.3600만원이상(상층) 1,067 25.2 39.6 33.2 2.1 67.9 28.5 3.3 0.4

Page 118: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67

음악 장르 중 ‘클래식’를 선호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서울(48.6%),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여자(47.8%), 50대(57.5%),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소득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30> 응답자 특성별 음악 장르 선호도_클래식

(단위 : 명, %, 점)  사례수 좋아한다 무관심 싫어한다 장르모름

전 체 7,500 43.5 42.9 8.9 4.7

지역

서울 1,504 48.6 38.7 8.6 4.1부산 528 42.2 49.8 7.0 0.9대구 368 37.2 48.9 7.9 6.0인천 422 45.0 43.8 2.8 8.3광주 212 40.6 44.3 10.4 4.7대전 222 46.8 41.0 11.3 0.9울산 168 39.9 45.2 14.3 0.6경기 1,767 45.2 43.0 8.8 3.1강원 228 45.2 36.0 9.6 9.2충북 230 31.3 46.5 8.3 13.9충남 318 37.4 41.2 13.5 7.9전북 276 43.8 41.7 12.3 2.2전남 282 35.8 40.4 15.2 8.5경북 403 40.2 40.7 8.2 10.9경남 486 44.0 46.7 7.4 1.9제주 86 40.7 52.3 5.8 1.2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44.9 43.0 8.1 4.0중소도시 3,436 43.9 42.5 8.4 5.2읍/면 640 34.1 44.1 15.8 6.1

성 남자 3,723 39.2 47.1 9.8 3.9여자 3,777 47.8 38.7 8.0 5.5

연령

15~19세 584 44.7 48.6 5.0 1.720~29세 1,137 49.2 43.4 6.0 1.530~39세 1,354 45.6 46.9 6.7 0.840~49세 1,527 50.5 42.8 5.7 1.050~59세 1,384 57.5 37.1 4.0 1.360세이상 1,514 17.1 41.9 22.3 18.6

최종학력중졸이하 1,324 19.6 43.1 19.3 17.9고졸 2,291 38.5 48.6 9.2 3.6대졸이상 3,885 54.6 39.4 5.2 0.8

월평균 가구소득

199만원이하(하층) 1,723 27.4 43.4 15.9 13.3200-399만원(중하층) 2,722 42.5 45.3 9.0 3.2400-599만원(중상층) 1,988 49.5 43.7 5.2 1.6600만원이상(상층) 1,067 60.9 34.2 4.4 0.5

Page 119: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68|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2.3.6. 음악 장르별 문화적 가치와 선호도의 관계

선호하는 음악 장르(X축)와 음악 장르별 문화적 가치(Y축)를 2차원 bi-Plot으로 도식

화하여 비교함

‘전통음악’, ‘클래식’, ‘뮤지컬’, ‘발라드/포크/컨트리’는 문화적 가치가 높다고 생각함과

동시에 선호도도 높은 음악장르로 나타남

반면, ‘재즈/블루스’, ‘힙합/랩/댄스’, ‘종교음악’, ‘락/해비메탈’은 문화적 가치가 낮다

고 생각함과 동시에 선호도도 낮은 음악 장르로 조사됨

‘트로트/뽕짝’은 문화적 가치는 낮다고 생각하지만 선호도는 높은 음악 장르임

▪ ‘트로트/뽕짝’은 60대 이상의 남녀에서 문화적 가치와 선호도가 높게 나타남

▪ 반면, 10대 남녀는 ‘트로트/뽕짝’의 문화적 가치가 상대적으로 낮다고 인식함

<그림3-18> 음악 장르별 문화적 가치와 선호도 bi-Plot

Page 120: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69

2.4. 관심·지식

2.4.1. 관심·지식 영역 종합

‘문화에 대한 관심 정도 및 문화지식 수준’을 나타내는 관심/지식 지표는 2.32점으로 조사됨

세부 문항별로 살펴보면, “나는 평소에 문화예술에 대한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탐색하고 배우려 한다”가 2.58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다음으로 “내가 좋아하는 예술에 대하여 사람들에게 2~3분 동안 소개할 수 있다”(2.34점)의 순으로 나타남

반면, “나는 서양 고전음악에 대해 많이 알고 있다” 문항은 평균 2.05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남

<그림3-19> 세부 문항별 결과_관심/지식 영역

Page 121: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70|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2.4.2. 응답자 특성별 관심/지식

◆ 성·연령별

관심/지식은 여자(2.33점)가 남자(2.30점)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됨 ▪ 전반적으로 연령이 낮을수록 관심/지식이 높게 나타남 ▪ 특히, 10대 여자의 관심/지식(2.49점)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다음으로 20대 여자

(2.47점)가 높았음

<그림3-20> 성·연령별 관심/지식

◆ 최종학력 및 월평균 가구소득별 관심·지식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관심·지식이 높게 나타남

<그림3-21> 최 종 학 력 및 월 평 균 가 구 소 득 별 관 심 ·지 식

Page 122: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71

◆ 비정규 문화예술교육 경험별 관심·지식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을 경험한 응답자의 관심/지식(2.45점)이 경험하지 않

은 응답자(1.98점)보다 높게 나타남

◆ 자녀의 취학상태별 관심·지식

관심/지식은 미혼자(2.45점)가 기혼자(2.25점)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남

기혼자들 중 ‘학생’ 자녀가 있는 응답자의 관심/지식(2.40점)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자녀가 없는’ 응답자의 관심/지식(2.03점)이 가장 낮게 나타남

<그림3-22> 비정규 문화예술교육 및 자녀의 취학상태별 관심·지식

◎ 관심·지식과 ‘삶의 질’ 및 ‘문화예술활동 현황’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관심·지식 지표를 기준으로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을 구분하여 분석에 포함함

- 관심·지식이 높은 집단(N=3,290) : 관심·지식 지표가 평균(2.32점)이상인 응답자 집단 - 관심·지식이 낮은 집단(N=4,210) : 관심·지식 지표가 평균(2.32점)이하인 응답자 집단

2.4.3. 관심·지식과 삶의 질

관심/지식과 삶의 질을 살펴보면, 관심·지식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행복도와 만족도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남

▪ 행복도 : 관심·지식이 높은 집단(6.65점) > 관심·지식이 낮은 집단(6.15점) ▪ 만족도 : 관심·지식이 높은 집단(6.28점) > 관심·지식이 낮은 집단(5.75점)

Page 123: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72|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그림3-23> 관심·지식과 삶의 질

2.4.4. 관심·지식과 문화예술 행사 관람

관심·지식에 따른 문화예술 행사 관람 횟수를 살펴보면, 관심·지식이 높은 집단이 모든 문화예술 행사에 대한 평균 관람 횟수가 많은 것으로 조사됨

▪ 영화관람 : 관심·지식이 높은 집단(7.19회) > 관심·지식이 낮은 집단(6.28회) ▪ 전시회 : 관심·지식이 높은 집단(2.57회) > 관심·지식이 낮은 집단(1.73회)

<그림3-24> 관심·지식과 문화예술 행사 관람

Page 124: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73

2.4.5. 세부 문항별 응답자 특성

◎ 문7-1. 나는 평소에 문화예술에 대한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탐색하고 배우려 한다

“나는 평소에 문화예술에 대한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탐색하고 배우려 한다”는 의견에 대해 ‘그렇다’(매우 그렇다 + 그렇다)는 응답은 대전(64.0%),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여자(56.3%), 20대(63.6%),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조사됨

반면, ‘그렇지 않다’(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울산(55.4%),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남자(46.8%), 60세이상(64.3%), 학력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31> 관심/지식 영역 문항1의 응답자 특성

(단위 : 명, %, 점)  사례수

나는 평소에 문화예술에 대한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탐색하고 배우려 한다

매우그렇다

(A)그렇다

(B)

그렇지 않다(C)

전혀 그렇지 않다(D)

그렇다(A+B)

그렇지 않다(C+D)

전 체 7,500 7.7 47.0 40.8 4.5 54.7 45.3

지역

서울 1,504 10.7 48.0 37.2 4.1 58.7 41.3부산 528 8.3 50.4 39.8 1.5 58.7 41.3대구 368 7.3 44.3 44.8 3.5 51.6 48.4인천 422 7.6 44.8 42.2 5.5 52.4 47.6광주 212 9.4 49.1 38.7 2.8 58.5 41.5대전 222 6.8 57.2 34.2 1.8 64.0 36.0울산 168 4.8 39.9 50.6 4.8 44.6 55.4경기 1,767 7.5 46.9 41.2 4.5 54.3 45.7강원 228 6.6 46.9 42.1 4.4 53.5 46.5충북 230 4.3 40.4 52.2 3.0 44.8 55.2충남 318 3.5 44.0 44.7 7.9 47.5 52.5전북 276 8.3 46.4 39.9 5.4 54.7 45.3전남 282 7.4 49.6 39.4 3.5 57.1 42.9경북 403 5.2 40.9 41.7 12.2 46.2 53.8경남 486 6.0 50.4 40.7 2.9 56.4 43.6제주 86 12.8 47.7 37.2 2.3 60.5 39.5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9.0 47.8 39.6 3.6 56.8 43.2중소도시 3,436 7.2 46.7 41.2 4.9 53.9 46.1읍/면 640 4.2 44.1 45.3 6.4 48.3 51.7

성 남자 3,723 7.1 46.0 42.8 4.0 53.2 46.8여자 3,777 8.3 48.0 38.8 4.9 56.3 43.7

연령

15~19세 584 10.6 50.9 36.6 1.9 61.5 38.520~29세 1,137 11.3 52.3 33.3 3.1 63.6 36.430~39세 1,354 8.9 49.4 40.1 1.6 58.3 41.740~49세 1,527 7.3 48.2 43.0 1.5 55.5 44.550~59세 1,384 7.9 53.3 37.6 1.2 61.2 38.860세이상 1,514 3.2 32.4 49.4 14.9 35.7 64.3

최종학력중졸이하 1,324 4.5 34.2 46.8 14.5 38.7 61.3고졸 2,291 6.5 45.0 44.4 4.1 51.5 48.5대졸이상 3,885 9.6 52.5 36.7 1.3 62.1 37.9

Page 125: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74|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 문7-2. 나는 대화할 때 문화예술과 관련된 내용의 비중이 높다

“나는 대화할 때 문화예술과 관련된 내용의 비중이 높다”는 의견에 대해 ‘그렇다’(매우 그렇다 + 그렇다)는 응답은 서울(39.4%),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여자(34.7%), 10대(43.5%),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조사됨

반면, ‘그렇지 않다’(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충남(75.8%),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남자(67.5%), 60세이상(79.7%), 학력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32> 관심/지식 영역 문항2의 응답자 특성

(단위 : 명, %, 점)  사례수

나는 대화할 때 문화예술과 관련된 내용의 비중이 높다매우

그렇다(A)

그렇다(B)

그렇지 않다(C)

전혀 그렇지 않다(D)

그렇다(A+B)

그렇지 않다(C+D)

전 체 7,500 5.5 28.1 56.7 9.7 33.6 66.4

지역

서울 1,504 7.6 31.8 52.4 8.2 39.4 60.6부산 528 7.6 28.2 58.3 5.9 35.8 64.2대구 368 4.6 28.0 60.6 6.8 32.6 67.4인천 422 5.0 25.8 57.8 11.4 30.8 69.2광주 212 8.5 25.0 59.4 7.1 33.5 66.5대전 222 4.1 29.7 61.3 5.0 33.8 66.2울산 168 1.8 25.6 63.1 9.5 27.4 72.6경기 1,767 5.4 28.6 55.5 10.5 34.0 66.0강원 228 3.5 26.8 58.8 11.0 30.3 69.7충북 230 3.0 26.1 57.4 13.5 29.1 70.9충남 318 3.5 20.8 62.3 13.5 24.2 75.8전북 276 5.4 28.3 53.3 13.0 33.7 66.3전남 282 3.5 25.5 59.6 11.3 29.1 70.9경북 403 4.5 24.8 55.8 14.9 29.3 70.7경남 486 4.5 27.8 58.4 9.3 32.3 67.7제주 86 7.0 31.4 57.0 4.7 38.4 61.6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6.5 29.3 56.4 7.9 35.7 64.3중소도시 3,436 5.1 27.6 56.7 10.6 32.7 67.3읍/면 640 2.8 24.2 57.8 15.2 27.0 73.0

성 남자 3,723 5.2 27.3 57.3 10.2 32.5 67.5여자 3,777 5.9 28.8 56.0 9.3 34.7 65.3

연령

15~19세 584 8.9 34.6 49.7 6.8 43.5 56.520~29세 1,137 8.3 33.6 50.7 7.4 41.9 58.130~39세 1,354 7.0 28.9 58.0 6.1 35.9 64.140~49세 1,527 4.8 27.3 63.5 4.4 32.1 67.950~59세 1,384 5.0 31.6 59.0 4.4 36.6 63.460세이상 1,514 2.0 18.2 53.6 26.2 20.3 79.7

최종학력

중졸이하 1,324 3.7 19.6 50.8 25.8 23.3 76.7고졸 2,291 4.6 26.3 59.8 9.3 30.9 69.1대졸이상 3,885 6.7 32.0 56.8 4.5 38.7 61.3

Page 126: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75

◎ 문7-3. 내가 좋아하는 예술에 대하여 사람들에게 2~3분 동안 소개할 수 있다

“내가 좋아하는 예술에 대하여 사람들에게 2~3분 동안 소개할 수 있다”는 의견에 대해 ‘그렇다’(매우 그렇다 + 그렇다)는 응답은 서울(47.3%),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여자(40.7%), 10대(49.3%),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조사됨

반면, ‘그렇지 않다’(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충북(69.1%),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남자(60.2%), 60세이상(82.0%), 학력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33> 관심/지식 영역 문항3의 응답자 특성

(단위 : 명, %, 점)  사례수

내가 좋아하는 예술에 대하여 사람들에게 2~3분 동안 소개할 수 있다

매우그렇다

(A)그렇다

(B)

그렇지 않다(C)

전혀 그렇지 않다(D)

그렇다(A+B)

그렇지 않다(C+D)

전 체 7,500 7.1 33.2 46.7 13.0 40.3 59.7

지역

서울 1,504 9.6 37.7 42.7 10.0 47.3 52.7부산 528 9.1 31.8 47.2 11.9 40.9 59.1대구 368 5.4 32.3 50.8 11.4 37.8 62.2인천 422 6.6 32.2 48.6 12.6 38.9 61.1광주 212 8.0 31.6 47.6 12.7 39.6 60.4대전 222 8.1 28.8 55.9 7.2 36.9 63.1울산 168 4.2 36.9 44.6 14.3 41.1 58.9경기 1,767 7.1 34.7 43.7 14.4 41.9 58.1강원 228 5.3 36.8 44.3 13.6 42.1 57.9충북 230 4.8 26.1 53.5 15.7 30.9 69.1충남 318 3.8 27.7 51.6 17.0 31.4 68.6전북 276 5.8 29.0 52.9 12.3 34.8 65.2전남 282 4.6 34.0 46.1 15.2 38.7 61.3경북 403 6.7 27.8 42.2 23.3 34.5 65.5경남 486 4.7 29.2 55.3 10.7 34.0 66.0제주 86 9.3 33.7 52.3 4.7 43.0 57.0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8.3 34.6 46.2 11.0 42.8 57.2중소도시 3,436 6.5 32.6 47.0 14.0 39.1 60.9읍/면 640 4.1 28.9 48.0 19.1 33.0 67.0

성 남자 3,723 6.8 33.0 46.6 13.5 39.8 60.2여자 3,777 7.3 33.4 46.8 12.5 40.7 59.3

연령

15~19세 584 12.5 36.8 42.5 8.2 49.3 50.720~29세 1,137 12.2 35.8 42.1 9.9 48.0 52.030~39세 1,354 7.5 36.7 47.3 8.6 44.2 55.840~49세 1,527 6.4 36.1 51.5 6.0 42.5 57.550~59세 1,384 6.0 42.1 46.2 5.7 48.0 52.060세이상 1,514 2.5 15.5 46.9 35.1 18.0 82.0

최종학력중졸이하 1,324 4.8 18.1 45.2 31.9 22.8 77.2고졸 2,291 6.3 30.5 48.7 14.4 36.8 63.2대졸이상 3,885 8.3 39.9 46.0 5.7 48.2 51.8

Page 127: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76|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 문7-4. 나는 서양 고전음악에 대해 많이 알고 있다

“나는 서양 고전음악에 대해 많이 알고 있다”는 의견에 대해 ‘그렇다’(매우 그렇다 + 그렇다)는 응답은 서울(26.4%),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남자(21.9%), 10대(29.1%),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조사됨

반면, ‘그렇지 않다’(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충북(85.2%),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여자(78.5%), 60세이상(89.0%), 학력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34> 관심/지식 영역 문항4의 응답자 특성

(단위 : 명, %, 점)  사례수

나는 서양 고전음악에 대해 많이 알고 있다

매우그렇다

(A)그렇다

(B)

그렇지 않다(C)

전혀 그렇지 않다(D)

그렇다(A+B)

그렇지 않다(C+D)

전 체 7,500 3.5 18.2 57.9 20.4 21.7 78.3

지역

서울 1,504 5.4 21.0 55.8 17.8 26.4 73.6부산 528 3.6 20.1 57.4 18.9 23.7 76.3대구 368 2.2 17.4 61.4 19.0 19.6 80.4인천 422 2.6 15.2 63.3 19.0 17.8 82.2광주 212 5.7 18.9 56.1 19.3 24.5 75.5대전 222 2.3 22.1 60.8 14.9 24.3 75.7울산 168 2.4 14.9 63.1 19.6 17.3 82.7경기 1,767 3.5 18.4 56.8 21.3 21.9 78.1강원 228 1.8 18.9 59.2 20.2 20.6 79.4충북 230 1.7 13.0 61.7 23.5 14.8 85.2충남 318 1.9 17.6 58.8 21.7 19.5 80.5전북 276 2.5 17.4 64.1 15.9 19.9 80.1전남 282 1.4 16.7 54.3 27.7 18.1 81.9경북 403 3.7 14.9 49.9 31.5 18.6 81.4경남 486 2.7 15.4 61.7 20.2 18.1 81.9제주 86 8.1 19.8 60.5 11.6 27.9 72.1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4.1 19.4 58.3 18.3 23.5 76.5중소도시 3,436 3.1 17.7 58.1 21.1 20.8 79.2읍/면 640 2.3 14.4 55.3 28.0 16.7 83.3

성 남자 3,723 3.4 18.5 57.0 21.1 21.9 78.1여자 3,777 3.6 17.9 58.8 19.6 21.5 78.5

연령

15~19세 584 5.8 23.3 54.6 16.3 29.1 70.920~29세 1,137 5.2 22.7 54.1 18.0 27.9 72.130~39세 1,354 3.8 19.8 60.3 16.1 23.6 76.440~49세 1,527 3.1 19.0 66.5 11.4 22.1 77.950~59세 1,384 4.0 18.9 64.9 12.2 22.9 77.160세이상 1,514 1.1 10.0 44.9 44.1 11.0 89.0

최종학력

중졸이하 1,324 2.4 11.9 45.4 40.3 14.3 85.7고졸 2,291 2.9 15.5 58.9 22.7 18.4 81.6대졸이상 3,885 4.2 22.0 61.6 12.2 26.2 73.8

Page 128: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77

2.5. 이해

2.5.1. 이해 영역 종합

‘상징의 의미나 의도를 파악하고 해석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이해 지표는 2.78점으로 조사됨

세부 문항별로 살펴보면, “나는 대화 중에 상대방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잘 이해한다”가 2.96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다음으로 “나는 책을 읽을 때 내용에 대해 잘 이해한다”(2.88점)의 순으로 나타남

반면, “내가 관심 있는 예술작품(음악, 미술, 조각 또는 기타 작품)의 의미를 잘 이해할 수 있다” 문항은 평균 2.51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남

<그림3-25> 세부 문항별 결과_이해 영역

Page 129: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78|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2.5.2. 응답자 특성별 이해

◆ 성·연령별

이해는 여자(2.79점)가 남자(2.77점)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됨 ▪ 전반적으로 연령이 낮을수록 이해가 높게 나타남 ▪ 특히, 10대 여자의 이해(2.90점)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다음으로 10~20대 남자

및 20대 여자(각각 2.88점)가 높았음

<그림3-26> 성·연령별 이해

◆ 최종학력 및 월평균 가구소득별 이해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이해가 높게 나타남

<그림3-27> 최종학력 및 월평균 가구소득별 이해

Page 130: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79

◆ 비정규 문화예술교육 경험별 이해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을 경험한 응답자의 이해(2.87점)가 경험하지 않은 응

답자(2.56점)보다 높게 나타남

◆ 자녀의 취학상태별 이해

이해는 미혼자(2.86점)가 기혼자(2.74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남

기혼자들 중 ‘학생’ 자녀가 있는 응답자의 이해(2.84점)가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자녀가 없는’ 응답자의 이해(2.58점)가 가장 낮게 나타남

<그림3-28> 비정규 문화예술교육 및 자녀의 취학상태별 이해

◎ 이해와 ‘삶의 질’ 및 ‘문화예술활동 현황’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이해 지표를 기준으로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을 구분하여 분석에 포함함

- 이해가 높은 집단(N=3,547) : 이해 지표가 평균(2.78점)이상인 응답자 집단 - 이해가 낮은 집단(N=3,953) : 이해 지표가 평균(2.78점)이하인 응답자 집단

2.5.3. 이해와 삶의 질

이해와 삶의 질을 살펴보면, 이해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행복도와 만족도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남

▪ 행복도 : 이해가 높은 집단(6.64점) > 이해가 낮은 집단(6.14점) ▪ 만족도 : 이해가 높은 집단(6.26점) > 이해가 낮은 집단(5.73점)

Page 131: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80|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그림3-29> 이해와 삶의 질

2.5.4. 이해와 문화예술 행사 관람

이해에 따른 문화예술 행사 관람 횟수를 살펴보면, 이해가 높은 집단이 모든 문화예술 행사에 대한 평균 관람 횟수가 많은 것으로 조사됨

▪ 영화관람 : 이해가 높은 집단(7.25회) > 이해가 낮은 집단(6.16회) ▪ 전시회 : 이해가 높은 집단(2.50회) > 이해가 낮은 집단(1.81회)

<그림3-30> 이해와 문화예술 행사 관람

Page 132: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81

2.5.5. 세부 문항별 응답자 특성

◎ 문8-1. 나는 대화 중에 상대방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잘 이해한다

“나는 대화 중에 상대방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잘 이해한다”는 의견에 대해 ‘그렇다’(매우 그렇다 + 그렇다)는 응답은 경남(88.5%),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여자(86.1%), 50대(89.2%),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조사됨

반면, ‘그렇지 않다’(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충남(20.8%),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남자(15.8%), 60세이상(22.5%), 학력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35> 이해 영역 문항1의 응답자 특성

(단위 : 명, %, 점)  사례수

나는 대화 중에 상대방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잘 이해한다매우

그렇다(A)

그렇다(B)

그렇지 않다(C)

전혀 그렇지 않다(D)

그렇다(A+B)

그렇지 않다(C+D)

전 체 7,500 11.7 73.5 13.9 0.9 85.2 14.8

지역

서울 1,504 13.7 74.5 11.4 0.5 88.2 11.8부산 528 16.1 72.3 11.6 0.0 88.4 11.6대구 368 7.6 76.6 15.8 0.0 84.2 15.8인천 422 9.0 70.4 19.4 1.2 79.4 20.6광주 212 10.4 73.6 14.2 1.9 84.0 16.0대전 222 13.5 72.1 14.0 0.5 85.6 14.4울산 168 11.3 74.4 14.3 0.0 85.7 14.3경기 1,767 12.5 72.6 14.4 0.6 85.1 14.9강원 228 9.6 77.2 11.8 1.3 86.8 13.2충북 230 9.1 72.6 17.8 0.4 81.7 18.3충남 318 8.2 71.1 16.0 4.7 79.2 20.8전북 276 13.4 70.3 16.3 0.0 83.7 16.3전남 282 10.3 72.0 15.6 2.1 82.3 17.7경북 403 9.2 72.5 14.1 4.2 81.6 18.4경남 486 9.7 78.8 11.1 0.4 88.5 11.5제주 86 11.6 74.4 14.0 0.0 86.0 14.0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12.5 73.7 13.3 0.5 86.2 13.8중소도시 3,436 11.3 73.4 14.0 1.3 84.6 15.4읍/면 640 9.8 72.8 16.1 1.3 82.7 17.3

성 남자 3,723 10.4 73.8 14.7 1.0 84.2 15.8여자 3,777 13.0 73.1 13.1 0.8 86.1 13.9

연령

15~19세 584 15.9 70.9 12.3 0.9 86.8 13.220~29세 1,137 14.8 70.2 14.4 0.6 85.0 15.030~39세 1,354 11.1 74.8 13.4 0.7 85.9 14.140~49세 1,527 10.5 77.5 12.0 0.1 88.0 12.050~59세 1,384 9.9 79.3 10.5 0.3 89.2 10.860세이상 1,514 11.2 66.2 19.6 3.0 77.5 22.5

최종학력중졸이하 1,324 12.9 65.3 18.9 2.9 78.2 21.8고졸 2,291 10.7 73.0 15.4 1.0 83.6 16.4대졸이상 3,885 11.9 76.5 11.3 0.2 88.4 11.6

Page 133: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82|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 문8-2. 나는 책을 읽을 때 내용에 대해 잘 이해한다

“나는 책을 읽을 때 내용에 대해 잘 이해한다”는 의견에 대해 ‘그렇다’(매우 그렇다 + 그렇다)는 응답은 서울(81.0%),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여자(78.6%), 50대(86.6%),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조사됨

반면, ‘그렇지 않다’(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충남(28.0%),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남자(22.0%), 60세이상(42.5%), 학력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36> 이해 영역 문항2의 응답자 특성

(단위 : 명, %, 점)  사례수

나는 책을 읽을 때 내용에 대해 잘 이해한다

매우그렇다

(A)그렇다

(B)

그렇지 않다(C)

전혀 그렇지 않다(D)

그렇다(A+B)

그렇지 않다(C+D)

전 체 7,500 11.6 66.7 19.4 2.4 78.3 21.7

지역

서울 1,504 13.7 67.3 17.3 1.7 81.0 19.0부산 528 17.2 63.6 18.6 0.6 80.9 19.1대구 368 7.9 69.3 22.0 0.8 77.2 22.8인천 422 10.4 66.6 21.3 1.7 77.0 23.0광주 212 11.3 65.1 22.2 1.4 76.4 23.6대전 222 12.6 64.0 23.0 0.5 76.6 23.4울산 168 10.7 69.0 19.6 0.6 79.8 20.2경기 1,767 11.9 68.0 17.6 2.5 79.9 20.1강원 228 12.3 64.9 19.7 3.1 77.2 22.8충북 230 9.1 63.0 26.1 1.7 72.2 27.8충남 318 6.9 65.1 21.7 6.3 72.0 28.0전북 276 10.5 67.4 19.6 2.5 77.9 22.1전남 282 11.3 61.3 22.0 5.3 72.7 27.3경북 403 8.4 64.5 20.8 6.2 73.0 27.0경남 486 9.7 69.1 19.3 1.9 78.8 21.2제주 86 8.1 74.4 15.1 2.3 82.6 17.4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12.9 66.6 19.3 1.3 79.4 20.6중소도시 3,436 10.9 67.2 18.8 3.2 78.1 21.9읍/면 640 8.9 64.4 23.0 3.8 73.3 26.7

성 남자 3,723 11.0 67.0 20.0 2.1 78.0 22.0여자 3,777 12.3 66.3 18.8 2.6 78.6 21.4

연령

15~19세 584 14.9 63.7 20.5 0.9 78.6 21.420~29세 1,137 16.0 66.3 17.2 0.5 82.3 17.730~39세 1,354 12.3 69.3 17.5 0.9 81.6 18.440~49세 1,527 11.3 73.9 14.6 0.2 85.2 14.850~59세 1,384 10.0 76.6 13.0 0.4 86.6 13.460세이상 1,514 8.1 49.4 32.8 9.6 57.5 42.5

최종학력

중졸이하 1,324 9.2 50.4 31.1 9.3 59.6 40.4고졸 2,291 10.7 65.7 21.8 1.7 76.5 23.5대졸이상 3,885 12.9 72.8 13.9 0.4 85.7 14.3

Page 134: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83

◎ 문8-3. 내가 관심 있는 예술작품(음악, 미술, 조각 또는 기타 작품)의 의미를 잘 이해

할 수 있다

“내가 관심 있는 예술작품(음악, 미술, 조각 또는 기타 작품)의 의미를 잘 이해할 수 있다”는 의견에 대해 ‘그렇다’(매우 그렇다 + 그렇다)는 응답은 서울(56.3%),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여자(50.6%),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높은 것으로 조사됨

반면, ‘그렇지 않다’(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충북(62.2%),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남자(50.8%), 60세이상(66.6%), 학력이 낮을수록 높았음

<표3-37> 이해 영역 문항3의 응답자 특성

(단위 : 명, %, 점)  사례수

내가 관심 있는 예술작품(음악, 미술, 조각 또는 기타 작품)의 의미를 잘 이해할 수 있다

매우그렇다

(A)그렇다

(B)

그렇지 않다(C)

전혀 그렇지 않다(D)

그렇다(A+B)

그렇지 않다(C+D)

전 체 7,500 6.5 43.4 44.2 5.8 49.9 50.1

지역

서울 1,504 8.4 47.8 39.1 4.7 56.3 43.8부산 528 8.0 43.9 43.6 4.5 51.9 48.1대구 368 4.1 43.2 49.7 3.0 47.3 52.7인천 422 6.2 44.5 45.3 4.0 50.7 49.3광주 212 6.1 45.8 42.9 5.2 51.9 48.1대전 222 8.1 43.2 46.4 2.3 51.4 48.6울산 168 6.5 40.5 47.6 5.4 47.0 53.0경기 1,767 7.2 41.9 44.1 6.8 49.1 50.9강원 228 5.7 45.6 38.6 10.1 51.3 48.7충북 230 3.0 34.8 53.5 8.7 37.8 62.2충남 318 4.7 39.6 47.2 8.5 44.3 55.7전북 276 5.4 44.2 46.4 4.0 49.6 50.4전남 282 4.3 44.0 45.7 6.0 48.2 51.8경북 403 4.5 36.7 45.9 12.9 41.2 58.8경남 486 4.5 41.8 49.6 4.1 46.3 53.7제주 86 7.0 58.1 33.7 1.2 65.1 34.9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7.4 45.5 42.8 4.3 52.9 47.1중소도시 3,436 6.2 41.8 45.1 7.0 47.9 52.1읍/면 640 3.6 41.1 47.3 8.0 44.7 55.3

성 남자 3,723 6.1 43.1 45.1 5.7 49.2 50.8여자 3,777 6.9 43.7 43.4 6.0 50.6 49.4

연령

15~19세 584 11.6 52.2 33.6 2.6 63.9 36.120~29세 1,137 10.0 50.3 36.4 3.3 60.3 39.730~39세 1,354 6.6 46.4 44.3 2.7 53.0 47.040~49세 1,527 5.5 43.8 49.2 1.4 49.3 50.750~59세 1,384 4.6 46.7 47.2 1.5 51.3 48.760세이상 1,514 4.6 28.8 46.4 20.2 33.4 66.6

최종학력중졸이하 1,324 6.4 31.5 44.5 17.6 37.9 62.1고졸 2,291 5.3 42.2 46.5 6.1 47.4 52.6대졸이상 3,885 7.2 48.2 42.8 1.7 55.5 44.5

Page 135: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84|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2.6. 참여

2.6.1 문화활동을 위한 동호회 참여

일반국민들의 문화활동을 위한 동호회 활동 참여율은 13.1%로 조사됨

▪ 참여하는 문화 동호회 활동 중 ‘영화관람’이 45.6%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다음으로 ‘공연·전시 관람’(37.1%), ‘음악활동’(32.1%)의 순으로 조사됨

▪ 동호회 활동에 참여 중인 사람의 44.4%는 ‘지역 사회’ 소속의 문화 동호회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그림3-31> 문화활동을 위한 동호회 참여

Page 136: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85

문화활동을 위한 동호회에 ‘참여하고 있다’는 응답자는 강원(18.0%),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남자(13.5%), 50대(18.3%),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남

반면, ‘그렇지 않다’는 울산(89.9%),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여자(87.2%), 60세이상(94.1%), 학력이 낮을수록, 월평균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높게 조사됨

<표3-38> 응답자 특성별 문화활동을 위한 동호회 참여 유무

(단위 : 명, %, 점)  사례수 참여하고 있다 그렇지 않다

전 체 7,500 13.1 86.9

지역

서울 1,504 15.7 84.3부산 528 12.7 87.3대구 368 11.4 88.6인천 422 13.3 86.7광주 212 10.8 89.2대전 222 12.6 87.4울산 168 10.1 89.9경기 1,767 12.2 87.8강원 228 18.0 82.0충북 230 12.2 87.8충남 318 11.9 88.1전북 276 12.3 87.7전남 282 11.3 88.7경북 403 11.4 88.6경남 486 12.6 87.4제주 86 24.4 75.6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13.7 86.3중소도시 3,436 13.1 86.9읍/면 640 10.5 89.5

성 남자 3,723 13.5 86.5여자 3,777 12.8 87.2

연령

15~19세 584 12.8 87.220~29세 1,137 14.1 85.930~39세 1,354 14.5 85.540~49세 1,527 13.9 86.150~59세 1,384 18.3 81.760세이상 1,514 5.9 94.1

최종학력중졸이하 1,324 6.9 93.1고졸 2,291 10.0 90.0대졸이상 3,885 17.1 82.9

월평균 가구소득

199만원이하(하층) 1,723 6.5 93.5200-399만원(중하층) 2,722 12.1 87.9400-599만원(중상층) 1,988 16.0 84.0600만원이상(상층) 1,067 21.1 78.9

Page 137: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86|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영화 관람’ 동호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는 응답자는 전북(61.8%), 남자(47.9%), 30대(53.1%),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남

‘공연ㆍ전시관람’은 울산(47.1%), 여자(38.8%), 20대(43.1%), 고졸(39.5%)에서 높게 조사됨

<표3-39> 응답자 특성별 적극 참여 문화 동호회

(단위 : 명, %, 점)  사례수 영화관람

공연전시 관람

음악활동

사진촬영

문학활동

미술 서예활동

무용활동

전 체  985 45.6 37.1 32.1 25.8 20.3 13.7 13.1

지역

서울 236 54.7 44.5 38.1 24.6 19.5 11.9 11.4부산 67 47.8 29.9 34.3 32.8 25.4 14.9 13.4대구 42 47.6 33.3 23.8 33.3 19.0 14.3 9.5인천 56 42.9 44.6 35.7 25.0 16.1 14.3 7.1광주 23 52.2 30.4 30.4 39.1 21.7 21.7 8.7대전 28 42.9 35.7 32.1 25.0 14.3 17.9 25.0울산 17 58.8 47.1 17.6 47.1 17.6 17.6 5.9경기 215 38.6 35.8 31.2 24.2 22.8 16.7 13.0강원 41 39.0 34.1 19.5 24.4 9.8 4.9 26.8충북 28 46.4 39.3 28.6 28.6 14.3 21.4 25.0충남 38 28.9 28.9 36.8 15.8 23.7 5.3 15.8전북 34 61.8 44.1 32.4 23.5 20.6 14.7 11.8전남 32 40.6 21.9 28.1 18.8 18.8 12.5 12.5경북 46 43.5 30.4 32.6 19.6 19.6 13.0 10.9경남 61 47.5 34.4 27.9 32.8 23.0 9.8 6.6제주 21 19.0 28.6 23.8 14.3 28.6 14.3 28.6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469 51.0 40.3 34.5 28.1 19.6 13.9 11.5중소도시 449 41.4 35.2 30.5 23.2 21.4 13.6 14.9읍/면 67 35.8 26.9 25.4 26.9 17.9 13.4 11.9

성 남자 503 47.9 35.4 33.6 30.4 16.7 10.9 8.0여자 482 43.2 38.8 30.5 21.0 24.1 16.6 18.5

연령

15~19세 75 52.0 40.0 45.3 20.0 18.7 16.0 6.720~29세 160 50.6 43.1 34.4 28.1 21.3 14.4 9.430~39세 196 53.1 39.8 33.7 31.6 18.4 9.2 12.840~49세 212 51.4 35.8 28.8 25.5 22.2 11.8 9.050~59세 253 41.5 39.5 30.8 29.6 26.5 17.8 8.360세이상 89 12.4 13.5 24.7 3.4 2.2 13.5 49.4

최종학력

중졸이하 91 36.3 27.5 35.2 13.2 12.1 12.1 31.9고졸 228 43.0 39.5 29.8 22.8 14.5 14.5 16.7대졸이상 666 47.7 37.5 32.4 28.5 23.4 13.7 9.3

월평균 가구소득

199만원이하(하층) 112 30.4 29.5 31.3 19.6 19.6 15.2 19.6200-399만원(중하층) 330 43.6 31.2 30.3 24.8 17.9 9.4 15.8400-599만원(중상층) 318 48.7 38.7 32.1 28.6 20.1 13.5 10.4600만원이상(상층) 225 51.6 47.1 35.1 26.2 24.4 19.6 9.8

Page 138: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87

참여하고 있는 문화 동호회가 ‘지역사회’에 소속되어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강원(68.3%),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여자(50.4%), 60세이상(94.4%), 학력이 낮을수록, 월평균소득 199만원이하(49.1%)에서 높게 나타남

‘온라인’은 서울(52.5%),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남자(46.5%), 30대(59.2%),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소득 200~399만원(45.8%)에서 높게 조사됨

<표3-40> 응답자 특성별 참여 문화 동호회 소속

(단위 : 명, %, 점)  사례수 지역사회 온라인 직장 학교 학교

단체종교단체

전 체  985 44.4 41.9 23.4 16.3 5.2 1.3

지역

서울 236 30.1 52.5 34.3 18.2 5.9 1.3부산 67 43.3 44.8 19.4 14.9 6.0 1.5대구 42 35.7 47.6 33.3 11.9 2.4 0.0인천 56 33.9 44.6 21.4 17.9 10.7 1.8광주 23 47.8 39.1 30.4 26.1 4.3 0.0대전 28 57.1 32.1 17.9 21.4 3.6 3.6울산 17 35.3 41.2 35.3 11.8 11.8 0.0경기 215 45.6 45.6 14.9 19.1 2.8 0.0강원 41 68.3 17.1 22.0 7.3 7.3 7.3충북 28 67.9 21.4 17.9 17.9 3.6 0.0충남 38 55.3 23.7 18.4 15.8 7.9 2.6전북 34 47.1 41.2 23.5 26.5 5.9 0.0전남 32 43.8 37.5 15.6 15.6 0.0 0.0경북 46 60.9 30.4 17.4 6.5 2.2 2.2경남 61 47.5 42.6 24.6 9.8 6.6 3.3제주 21 81.0 14.3 14.3 4.8 9.5 0.0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469 35.6 47.8 29.4 17.5 6.2 1.3중소도시 449 50.3 37.6 18.0 16.3 3.8 1.3읍/면 67 65.7 29.9 16.4 9.0 7.5 1.5

성 남자 503 38.6 46.5 29.6 16.3 4.8 1.4여자 482 50.4 37.1 16.8 16.4 5.6 1.2

연령

15~19세 75 21.3 41.3 2.7 64.0 5.3 2.720~29세 160 20.6 51.3 23.8 35.6 7.5 0.630~39세 196 23.0 59.2 36.2 13.3 5.1 1.040~49세 212 45.3 40.1 31.6 7.5 6.6 1.450~59세 253 64.4 37.2 20.2 5.5 3.6 0.860세이상 89 94.4 5.6 1.1 0.0 2.2 3.4

최종학력중졸이하 91 57.1 20.9 1.1 33.0 5.5 3.3고졸 228 44.7 38.2 12.7 27.6 3.5 1.3대졸이상 666 42.5 46.1 30.0 10.2 5.7 1.1

월평균 가구소득

199만원이하(하층) 112 49.1 33.9 7.1 18.8 2.7 4.5200-399만원(중하층) 330 40.3 45.8 13.9 16.4 6.1 1.5400-599만원(중상층) 318 46.2 40.3 30.2 15.4 4.1 0.6600만원이상(상층) 225 45.3 42.7 35.6 16.4 6.7 0.4

Page 139: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88|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2.6.2. 문화예술 행사 관람 경험

지난 1년 간 관람한 경험이 있는 문화예술 행사는 ‘영화 관람(영화관·자동차 극장 등

에서)’이 71.7%로 가장 높게 나타남

▪ 다음으로, ‘지역 문화예술 행사·축제’(65.5%), ‘역사문화 유적지 탐방’(58.6%), ‘전시회’(52.2%) 순으로 조사됨

<그림3-32> 문화예술 행사 관람 경험

문화예술 행사에 대한 관람 횟수는 ‘영화 관람(영화관·자동차 극장 등에서)’이 6.7회로

가장 많이 관람한 것으로 조사됨

▪ 다음으로, ‘역사문화 유적지 탐방’(2.3회), ‘지역 문화예술 행사 축제’ 및 ‘전시회’(각각 2.2회) 순으로 전반적으로 유사하게 나타남

<그림3-33> 문화예술 행사 관람 횟수

Page 140: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89

문화예술 행사 중 ‘영화관람’ 경험은 부산(7.49회),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여자(6.89회), 20대(8.99회), 월평균소득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남

‘역사문화 유적지 탐방’ 경험은 서울(2.51회), 대도시(2.38회), 남자(2.45회), 50대(2.48회), 월평균소득 600만원이상(2.53회)에서 높게 나타남

<표3-41> 응답자 특성별 문화예술 행사 관람 경험

(단위 : 명, %, 점)  사례수전통예술공연

연극공연

영화 관람

무용 공연

음악 공연 전시회 문학

행사

지역 문화예술 행사 축제

역사문화 유적지 탐방

전 체  7,500 1.63 2.01 6.73 1.46 1.86 2.21 1.73 2.22 2.30

지역

서울 1,504 1.62 2.40 7.20 1.63 2.14 2.44 1.80 2.03 2.51부산 528 1.65 1.76 7.49 1.41 1.77 2.65 1.90 2.17 2.40대구 368 1.57 1.78 6.06 1.22 1.67 1.96 1.45 1.87 2.21인천 422 1.34 2.01 7.39 1.25 1.69 1.91 1.86 2.21 2.27광주 212 1.67 1.61 6.29 1.19 1.84 2.04 1.64 2.23 2.38대전 222 1.75 1.60 5.43 1.67 1.48 1.96 1.61 2.34 2.12울산 168 1.55 1.89 5.57 1.29 1.95 2.16 1.68 2.50 2.39경기 1,767 1.55 2.08 6.59 1.39 1.87 2.12 1.75 2.05 2.20강원 228 1.91 1.58 6.62 1.30 1.59 2.11 1.64 2.84 1.91충북 230 1.60 1.71 6.37 1.41 1.57 2.10 1.71 2.29 2.14충남 318 1.64 2.13 6.77 1.83 1.88 1.89 1.63 2.10 2.42전북 276 1.80 1.80 7.28 1.20 1.97 2.05 1.56 2.34 2.07전남 282 1.58 1.44 6.05 1.46 1.63 2.00 1.51 2.75 2.40경북 403 1.76 1.70 6.83 1.49 1.81 2.74 1.98 2.54 2.41경남 486 1.58 1.87 6.36 1.36 1.62 1.97 1.50 2.31 2.26제주 86 3.00 2.40 5.27 2.26 2.29 2.74 2.15 3.18 2.50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1.60 2.09 6.90 1.49 1.92 2.29 1.76 2.12 2.38중소도시 3,436 1.62 1.96 6.70 1.45 1.79 2.14 1.71 2.27 2.23읍/면 640 1.87 1.78 5.70 1.33 1.91 2.16 1.68 2.44 2.32

성 남자 3,723 1.68 1.88 6.56 1.46 1.82 2.27 1.73 2.31 2.45여자 3,777 1.58 2.13 6.89 1.47 1.90 2.15 1.73 2.14 2.15

연령

15~19세 584 1.40 1.68 6.69 1.28 1.89 1.78 1.64 1.92 1.8820~29세 1,137 1.36 2.28 8.99 1.31 1.92 2.23 1.59 1.91 2.2230~39세 1,354 1.46 2.24 7.14 1.49 1.77 2.03 1.68 2.32 2.1840~49세 1,527 1.73 1.84 6.85 1.53 1.71 2.16 1.65 2.32 2.3450~59세 1,384 1.82 1.92 5.50 1.42 2.00 2.48 1.94 2.42 2.4860세이상 1,514 1.82 1.82 2.82 2.28 2.20 2.81 2.02 2.10 2.46

최종학력중졸이하 1,324 1.59 1.61 4.67 1.34 2.06 1.76 1.58 1.98 2.13고졸 2,291 1.56 1.88 6.46 1.52 1.83 1.91 1.69 2.10 2.14대졸이상 3,885 1.67 2.11 7.12 1.46 1.86 2.37 1.76 2.34 2.41

월평균 가구소득

199만원이하(하층) 1,723 1.54 2.07 5.66 1.40 1.86 1.91 1.57 1.98 2.41200-399만원(중하층) 2,722 1.48 1.89 6.59 1.41 1.76 2.09 1.66 2.17 2.12400-599만원(중상층) 1,988 1.68 2.06 6.88 1.59 1.82 2.15 1.70 2.31 2.34600만원이상(상층) 1,067 1.88 2.12 7.59 1.38 2.09 2.69 1.96 2.48 2.53

Page 141: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90|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2.6.3. 문화예술 행사 관람 의향

일반국민들의 문화예술 행사에 대한 관람의향은 ‘지역 문화예술 행사·축제’에 대한 관

람의향이 84.0%로 가장 높게 나타남

▪ 다음으로, ‘영화 관람’(83.2%), ‘역사문화 유적지 탐방’(80.9%), ‘연극 공연’(78.2%) 순으로 조사됨

<그림3-34> 문화예술 행사 관람 의향

문화예술 행사 중 ‘지역 문화예술 행사 축제’에 대한 관람의향이 있다는 응답은 전남(91.1%), 중소도시(85.9%), 여자(84.7%)에서 높게 나타남

‘영화관람’은 경기(86.1%), 대도시 및 중소도시(84.2%), 남자(83.5%)에서 높게 나타남

<표3-42> 응답자 특성별 문화예술 행사 관람 의향

(단위 : 명, %, 점)  사례수전통예술공연

연극공연

영화 관람

무용 공연

음악 공연 전시회 문학

행사지역

문화예술 행사축제

역사문화 유적지 탐방

전 체  7,500 66.0 78.2 83.2 49.1 73.5 68.2 55.5 84.0 80.9

성 남자 3,723 64.4 75.2 83.5 42.3 70.8 66.2 52.3 83.3 81.0

여자 3,777 67.6 81.3 82.9 55.8 76.1 70.2 58.6 84.7 80.8

연령

15~19세 584 54.6 80.8 90.8 49.7 81.7 68.8 54.5 72.3 60.6

20~29세 1,137 61.9 86.5 92.4 56.8 86.2 78.3 62.6 81.2 79.9

30~39세 1,354 65.1 89.2 92.2 54.7 85.5 80.3 63.7 87.4 86.3

40~49세 1,527 71.8 89.4 94.1 54.6 86.1 81.9 66.9 88.6 90.0

50~59세 1,384 77.6 85.3 89.2 57.9 81.9 82.2 67.3 88.4 88.3

60세이상 1,514 57.9 43.5 48.8 24.4 29.7 23.0 20.7 79.1 68.8

Page 142: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91

2.6.4. 문화예술 행사 관람 경험 및 의향

현재 관람하는 문화예술 행사(X축)와 향후 관람의향이 있는 문화예술 행사(Y축)를 2차원 bi-Plot으로 도식화하여 비교함

‘영화관람’, ‘역사문화유적지 탐방’, ‘연극공연’은 현재 관람이 활발하며, 향후에 관람의향도 높은 “활성화 문화예술 행사”로 분류됨

‘지역문화예술행사 축제’와 ‘음악공연’은 현재 관람 경험은 상대적으로 낮지만, 향후 관람 의향이 높은 문화예술 행사로 나타남

▪ ‘지역 문화예술행사 축제’에 대한 향후 관람 의향은 50대 남성, 3~40대 여성, 자녀가 있는 학부모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 ‘음악공연’에 대한 향후 관람 의향은 3~40대 남성, 1~20대 여성, 대졸이상, 고소득층, 취학 전 유아가 있는 부모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그림3-35> 문화예술 행사 관람 경험 및 의향 bi-Plot

Page 143: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92|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2.6.5. 문화예술 창작 또는 발표 경험

일반국민들의 지난 1년간 창작 또는 발표에 가장 많이 참여한 문화예술은 ‘악기 연주 또는 합창 등 음악공연’(13.6%)인 것으로 조사됨.

▪ 다음으로, ‘사진 전시’(9.1%), ‘미술작품 창작, 전시회’(8.8%), ‘백일장, 서예 경연대회 참가’(8.3%) 순으로 나타남

<그림3-36> 문화예술 창작 또는 발표 경험

‘악기연주 또는 합창 등 음악 공연’ 경험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남자(13.7%), 10대(22.3%)에서 높게 나타남

한편, ‘사진 전시’ 경험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남자(10.6%), 50대(13.6%)에서 높게 조사됨

<표3-43> 응답자 특성별 문화예술 창작 또는 발표 경험

(단위 : 명, %, 점)  사례수백일장, 서예

경연대회 참가

미술 작품 창작,

전시회사진 전시

연극, 영화, 연예 프로그램 출연 및

제작

악기 연주 또는 합창 등 음악

공연무용 공연 기타

전 체 7,500 8.3 8.8 9.1 8.0 13.6 5.4 0.3

성 남자 3,723 8.4 8.9 10.6 9.0 13.7 5.1 0.3여자 3,777 8.1 8.8 7.6 7.1 13.5 5.7 0.4

연령

15~19세 584 15.8 12.2 10.8 10.6 22.3 5.8 0.320~29세 1,137 11.6 12.0 10.6 12.9 18.7 8.7 1.030~39세 1,354 9.5 11.0 10.7 8.3 13.7 5.5 0.340~49세 1,527 8.4 10.0 9.4 8.6 13.6 5.8 0.350~59세 1,384 9.0 10.5 13.6 9.5 18.0 5.3 0.360세이상 1,514 0.9 0.7 1.2 1.1 2.3 2.3 0.0

Page 144: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93

2.6.6. 문화예술 분야 자원봉사활동 참여 경험

일반국민의 4.8%는 지난 1년 동안 문화예술 분야 자원봉사활동(예술재능기부, 도슨트, 문화해설사 등)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됨

자원봉사활동 참여 경험이 있는 응답자들의 자원봉사활동 참여 시간은 평균 20.8시간으로 조사됨

▪ 자원봉사활동 참가자들이 주로 활동한 분야로는 ‘단체 및 교육활동을 위한 예술재능기부(반주, 안무, 교습 등)’이 58.3%, ‘관람 안내를 위한 정보 제공(도슨트, 문화해설사 등)’이 41.1%로 나타남

<그림3-37> 문화예술 분야 자원봉사활동 참여 경험

Page 145: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94|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문화예술 분야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서울(6.2%),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여자(5.2%), 10대(7.0%),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소득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남

반면 ‘그렇지 않다’고 답한 응답자는 강원(96.9%),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남자(95.6%), 60세이상(98.5%), 학력이 낮을수록, 월평균소득이 낮을수록 높게 조사됨

<표3-44> 응답자 특성별 문화예술 분야 자원봉사활동 참여 유무

(단위 : 명, %, 시간)  사례수 그렇지 않다 참여하고 있다참여 시간

(평균 : 시간)

전 체  7,500 95.2 4.8 20.80

지역

서울 1,504 93.8 6.2 20.57부산 528 96.0 4.0 11.19대구 368 95.9 4.1 15.87인천 422 96.7 3.3 17.29광주 212 96.2 3.8 9.25대전 222 94.1 5.9 12.85울산 168 94.6 5.4 15.22경기 1,767 95.6 4.4 18.60강원 228 96.9 3.1 19.14충북 230 93.9 6.1 15.50충남 318 95.3 4.7 11.47전북 276 94.2 5.8 21.94전남 282 96.1 3.9 9.55경북 403 95.5 4.5 42.33경남 486 96.5 3.5 15.35제주 86 86.0 14.0 87.42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94.9 5.1 17.35중소도시 3,436 95.4 4.6 25.37읍/면 640 95.6 4.4 16.04

성 남자 3,723 95.6 4.4 20.86여자 3,777 94.8 5.2 20.75

연령

15~19세 584 93.0 7.0 10.1020~29세 1,137 93.7 6.3 17.9030~39세 1,354 95.1 4.9 17.6440~49세 1,527 94.8 5.2 18.5950~59세 1,384 94.3 5.7 24.0460세이상 1,514 98.5 1.5 56.05

최종학력중졸이하 1,324 97.0 3.0 10.15고졸 2,291 96.3 3.7 24.45대졸이상 3,885 93.9 6.1 21.31

월평균 가구소득

199만원이하(하층) 1,723 97.9 2.1 21.54200-399만원(중하층) 2,722 95.3 4.7 23.91400-599만원(중상층) 1,988 94.5 5.5 18.75600만원이상(상층) 1,067 91.8 8.2 18.55

Page 146: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95

주로 ‘단체 및 교육활동을 위한 예술재능기부’로 활동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울산(100.0%),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남자(60.6%), 20대(69.4%), 중졸이하(75.0%), 월평균소득 200-399만원(61.4%)에서 높게 조사됨

‘관람안내를 위한 정보 제공’은 전남(63.6%),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여자(43.1%), 50대(51.9%),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소득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45> 응답자 특성별 주로 활동한 자원봉사 분야

(단위 : 명, %, 점)  사례수단체 및 교육활동을 위한

예술재능기부(반주, 안무, 교습 등)

관람안내를 위한 정보 제공

(도슨트, 문화해설사 등)

전 체  360 58.3 41.1

지역

서울 93 61.3 38.7부산 21 66.7 33.3대구 15 53.3 40.0인천 14 71.4 28.6광주 8 37.5 62.5대전 13 38.5 61.5울산 9 100.0 0.0경기 77 57.1 42.9강원 7 85.7 14.3충북 14 64.3 35.7충남 15 60.0 40.0전북 16 50.0 50.0전남 11 27.3 63.6경북 18 44.4 55.6경남 17 52.9 47.1제주 12 66.7 33.3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173 61.3 38.2중소도시 159 57.9 42.1읍/면 28 42.9 53.6

성 남자 165 60.6 38.8여자 195 56.4 43.1

연령

15~19세 41 65.9 31.720~29세 72 69.4 30.630~39세 66 59.1 40.940~49세 79 54.4 45.650~59세 79 46.8 51.960세이상 23 60.9 39.1

최종학력중졸이하 40 75.0 22.5고졸 84 56.0 42.9대졸이상 236 56.4 43.6

월평균 가구소득

199만원이하(하층) 37 59.5 37.8200-399만원(중하층) 127 61.4 38.6400-599만원(중상층) 109 57.8 41.3600만원이상(상층) 87 54.0 46.0

Page 147: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96|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2.6.7. 월 평균 독서량

일반국민의 34.8%는 한달에 1권미만의 책을 읽는 것으로 조사됨

다음으로, ‘전혀읽지않음’(26.5%), ‘한달에 1권’(19.0%), ‘한달에 2권’(10.8%) 순 ▪ ‘한달에 3권이상’ 읽는 응답자는 8.9%로 가장 적게 나타남

<그림3-38> 월 평균 독서량 지표

독서량이 ‘한달에 1권미만’이라는 응답은 남자(35.4%), 50대(42.3%), 고졸(39.3%)에

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표3-46> 응답자 특성별 월 평균 독서량

(단위 : 명, %, 점)  사례수 전혀읽지않음

한달에 1권미만 한달에 1권 한달에 2권 한달에

3권 이상

전 체  7,500 26.5 34.8 19.0 10.8 8.9

성 남자 3,723 25.8 35.4 19.4 11.0 8.3여자 3,777 27.1 34.1 18.6 10.5 9.6

연령

15~19세 584 16.1 32.4 20.4 14.6 16.620~29세 1,137 12.3 35.8 26.3 14.7 10.930~39세 1,354 15.4 42.0 21.0 12.2 9.440~49세 1,527 11.9 41.3 22.4 13.2 11.250~59세 1,384 13.7 42.3 22.4 11.7 10.060세이상 1,514 77.5 15.0 4.8 1.8 0.9

최종학력

중졸이하 1,324 68.7 14.7 7.1 4.5 5.0고졸 2,291 27.1 39.3 17.5 8.8 7.2대졸이상 3,885 11.7 39.0 24.0 14.0 11.3

Page 148: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97

2.6.8. 정규교육과정의 문화예술교육 효과

정규교육과정의 문화예술교육 효과에 대해 세부 문항별로 살펴보면, “교육 받은 문화예술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됐다”가 2.63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다음으로 “교육 받은 문화예술 분야에 관심을 갖게 했다”(2.57점)의 순으로 나타남

▪ 반면, “교육 받은 문화예술 활동에 계속 참여할 동기를 부여했다” 문항은 평균 2.44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남

<그림3-39> 정규교육과정의 문화예술교육 효과

2.6.9. 문화예술교육의 효과 비교

‘정규수업이나 특별활동 시간에 받은 문화예술교육’과 ‘학원, 개인교습 등을 통해 받은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비교해 보면, 비정규 문화예술교육의 효과가 평균 2.85점으로 정규 문화예술교육의 효과(2.55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남

<표3-47> 문화예술교육 효과 비교

(단위 : 점)

구분 평균 관심도 이해정도 참여 동기

정규교육과정 효과(A)

2.55 2.57 2.63 2.44

비정규교육과정 효과(B)

2.85 2.87 2.92 2.75

Gap(A-B)

▽0.30 ▽0.30 ▽0.29 ▽0.31

Page 149: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98|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정규교육과정의 문화예술교육이 문화예술분야에 관심을 갖게 했다고 ‘동의’하는 응답자는 부산(64.0%), 대도시(61.2%), 여자(60.6%), 50대(70.6%),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남

‘비동의’는 충남(48.7%), 중소도시(43.2%), 남자(42.9%), 60세이상(58.3%), 학력이 낮을수록, 월평균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높게 조사됨

<표3-48> 응답자 특성별 정규교육과정의 문화예술교육 효과_관심도

(단위 : 명, %, 점)  사례수 매우동의 동의 동의안함 전혀동의안함

종합평가4점 평균

동의 비동의

전 체  7,500 6.5 52.4 32.3 8.8 58.9 41.1 2.57

지역

서울 1,504 7.4 55.1 29.3 8.2 62.5 37.5 2.62부산 528 9.3 54.7 29.4 6.6 64.0 36.0 2.67대구 368 6.5 53.3 32.3 7.9 59.8 40.2 2.58인천 422 5.5 51.9 27.3 15.4 57.3 42.7 2.47광주 212 5.7 51.9 34.9 7.5 57.5 42.5 2.56대전 222 7.2 53.2 35.1 4.5 60.4 39.6 2.63울산 168 3.6 55.4 33.9 7.1 58.9 41.1 2.55경기 1,767 5.9 50.7 35.6 7.8 56.6 43.4 2.55강원 228 5.7 57.0 27.2 10.1 62.7 37.3 2.58충북 230 10.4 50.0 32.6 7.0 60.4 39.6 2.64충남 318 4.1 47.2 36.2 12.6 51.3 48.7 2.43전북 276 5.8 49.3 35.1 9.8 55.1 44.9 2.51전남 282 8.2 49.6 32.3 9.9 57.8 42.2 2.56경북 403 5.7 49.9 30.3 14.1 55.6 44.4 2.47경남 486 5.3 53.9 32.9 7.8 59.3 40.7 2.57제주 86 3.5 52.3 37.2 7.0 55.8 44.2 2.52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7.1 54.1 30.3 8.5 61.2 38.8 2.60중소도시 3,436 5.9 50.9 34.2 9.0 56.8 43.2 2.54읍/면 640 6.6 50.9 32.7 9.8 57.5 42.5 2.54

성 남자 3,723 6.3 50.8 33.9 9.0 57.1 42.9 2.54여자 3,777 6.8 53.9 30.7 8.7 60.6 39.4 2.59

연령

15~19세 584 5.5 51.4 34.9 8.2 56.8 43.2 2.5420~29세 1,137 9.5 52.2 30.3 8.0 61.7 38.3 2.6330~39세 1,354 7.0 50.5 36.3 6.2 57.5 42.5 2.5840~49세 1,527 7.2 58.0 32.0 2.9 65.2 34.8 2.6950~59세 1,384 6.8 63.8 27.3 2.1 70.6 29.4 2.7560세이상 1,514 3.2 38.4 34.1 24.2 41.7 58.3 2.21

최종학력중졸이하 1,324 3.5 38.4 35.3 22.7 42.0 58.0 2.23고졸 2,291 5.6 51.6 34.4 8.5 57.2 42.8 2.54대졸이상 3,885 8.1 57.6 30.0 4.3 65.6 34.4 2.69

월평균 가구소득

199만원이하(하층) 1,723 4.2 42.0 34.7 19.2 46.1 53.9 2.31200-399만원(중하층) 2,722 5.8 53.5 33.3 7.3 59.3 40.7 2.58400-599만원(중상층) 1,988 7.1 56.1 32.3 4.5 63.2 36.8 2.66600만원이상(상층) 1,067 10.9 59.4 25.7 4.0 70.3 29.7 2.77

Page 150: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99

정규교육과정의 문화예술교육이 문화예술분야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동의’하는 응답자는 부산(68.9%), 출신지역 크기가 클수록, 여자(66.1%), 50대(79.0%),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남

‘비동의’는 충남(43.7%), 출신지역 크기가 작을수록, 남자(36.6%), 60세이상(56.5%), 학력이 낮을수록, 월평균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높게 조사됨

<표3-49> 응답자 특성별 정규교육과정의 문화예술교육 효과_이해정도

(단위 : 명, %, 점)  사례수 매우동의 동의 동의안함 전혀동의안함

종합평가4점 평균

동의 비동의

전 체  7,500 7.2 57.5 26.6 8.7 64.7 35.3 2.63

지역

서울 1,504 7.4 59.6 25.7 7.2 67.1 32.9 2.67부산 528 11.6 57.4 24.1 7.0 68.9 31.1 2.73대구 368 6.3 57.9 28.5 7.3 64.1 35.9 2.63인천 422 6.2 58.8 21.3 13.7 64.9 35.1 2.57광주 212 9.0 56.6 27.8 6.6 65.6 34.4 2.68대전 222 8.1 60.4 26.6 5.0 68.5 31.5 2.72울산 168 6.5 60.1 26.8 6.5 66.7 33.3 2.67경기 1,767 6.8 56.4 29.1 7.7 63.2 36.8 2.62강원 228 5.3 61.8 22.4 10.5 67.1 32.9 2.62충북 230 11.3 55.7 27.0 6.1 67.0 33.0 2.72충남 318 4.4 51.9 30.5 13.2 56.3 43.7 2.47전북 276 6.2 57.6 22.1 14.1 63.8 36.2 2.56전남 282 8.5 54.3 26.6 10.6 62.8 37.2 2.61경북 403 7.4 54.3 23.8 14.4 61.8 38.2 2.55경남 486 4.9 58.8 28.8 7.4 63.8 36.2 2.61제주 86 5.8 59.3 26.7 8.1 65.1 34.9 2.63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7.9 58.9 25.5 7.8 66.8 33.2 2.67중소도시 3,436 6.7 56.8 27.3 9.2 63.5 36.5 2.61읍/면 640 6.7 53.9 28.6 10.8 60.6 39.4 2.57

성 남자 3,723 7.1 56.3 27.5 9.1 63.4 36.6 2.61여자 3,777 7.3 58.7 25.7 8.3 66.1 33.9 2.65

연령

15~19세 584 7.2 55.8 30.7 6.3 63.0 37.0 2.6420~29세 1,137 10.0 54.3 28.8 6.9 64.3 35.7 2.6730~39세 1,354 7.8 56.4 30.1 5.8 64.2 35.8 2.6640~49세 1,527 8.1 66.4 22.9 2.7 74.5 25.5 2.8050~59세 1,384 7.3 71.7 18.9 2.2 79.0 21.0 2.8460세이상 1,514 3.7 39.8 31.0 25.6 43.5 56.5 2.22

최종학력중졸이하 1,324 4.2 39.7 32.6 23.6 43.9 56.1 2.24고졸 2,291 6.3 56.4 28.9 8.4 62.7 37.3 2.61대졸이상 3,885 8.8 64.2 23.1 3.8 73.1 26.9 2.78

월평균 가구소득

199만원이하(하층) 1,723 4.6 44.5 31.0 19.8 49.2 50.8 2.34200-399만원(중하층) 2,722 6.8 57.6 28.4 7.2 64.4 35.6 2.64400-599만원(중상층) 1,988 7.9 63.7 24.3 4.0 71.6 28.4 2.76600만원이상(상층) 1,067 11.2 66.7 18.9 3.2 77.9 22.1 2.86

Page 151: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100|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정규교육과정의 문화예술교육이 문화예술 활동에 계속 참여할 동기를 부여했다고 ‘동의’하는 응답자는 강원(55.3%), 대도시(50.8%), 여자(51.1%), 50대(62.4%),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남

‘비동의’는 충남(57.5%), 중소도시(51.9%), 남자(52.1%), 60세이상(66.9%), 학력이 낮을수록, 월평균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높게 조사됨

<표3-50> 응답자 특성별 정규교육과정의 문화예술교육 효과_참여동기

(단위 : 명, %, 점)  사례수 매우동의 동의 동의안함 전혀동의안함

종합평가4점 평균

동의 비동의

전 체  7,500 6.0 43.5 39.0 11.5 49.5 50.5 2.44

지역

서울 1,504 7.6 44.0 37.9 10.4 51.7 48.3 2.49부산 528 8.7 43.8 38.1 9.5 52.5 47.5 2.52대구 368 3.3 48.1 41.0 7.6 51.4 48.6 2.47인천 422 6.9 42.7 33.9 16.6 49.5 50.5 2.40광주 212 5.7 37.7 46.7 9.9 43.4 56.6 2.39대전 222 7.7 41.4 44.1 6.8 49.1 50.9 2.50울산 168 3.0 47.6 38.1 11.3 50.6 49.4 2.42경기 1,767 5.8 43.0 39.4 11.8 48.8 51.2 2.43강원 228 4.8 50.4 32.0 12.7 55.3 44.7 2.47충북 230 7.0 44.3 40.9 7.8 51.3 48.7 2.50충남 318 2.8 39.6 41.5 16.0 42.5 57.5 2.29전북 276 5.8 42.8 37.3 14.1 48.6 51.4 2.40전남 282 5.3 46.8 34.8 13.1 52.1 47.9 2.44경북 403 6.2 43.7 34.0 16.1 49.9 50.1 2.40경남 486 3.7 39.7 46.9 9.7 43.4 56.6 2.37제주 86 4.7 41.9 43.0 10.5 46.5 53.5 2.41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6.9 43.9 38.7 10.5 50.8 49.2 2.47중소도시 3,436 5.5 42.6 39.6 12.4 48.1 51.9 2.41읍/면 640 4.5 46.1 37.2 12.2 50.6 49.4 2.43

성 남자 3,723 5.3 42.5 40.2 11.9 47.9 52.1 2.41여자 3,777 6.7 44.4 37.8 11.1 51.1 48.9 2.47

연령

15~19세 584 6.2 40.2 44.0 9.6 46.4 53.6 2.4320~29세 1,137 8.2 41.8 39.7 10.4 50.0 50.0 2.4830~39세 1,354 6.2 41.9 44.5 7.5 48.1 51.9 2.4740~49세 1,527 6.9 49.3 39.2 4.6 56.2 43.8 2.5850~59세 1,384 5.6 56.8 34.1 3.5 62.4 37.6 2.6560세이상 1,514 3.8 29.3 35.9 31.0 33.1 66.9 2.06

최종학력중졸이하 1,324 4.3 29.7 38.1 27.9 34.0 66.0 2.10고졸 2,291 5.8 41.6 40.9 11.7 47.4 52.6 2.42대졸이상 3,885 6.8 49.2 38.1 5.8 56.0 44.0 2.57

월평균 가구소득

199만원이하(하층) 1,723 3.9 34.1 38.4 23.6 38.1 61.9 2.18200-399만원(중하층) 2,722 5.3 43.6 41.1 10.0 48.9 51.1 2.44400-599만원(중상층) 1,988 6.9 46.8 39.4 6.9 53.7 46.3 2.54600만원이상(상층) 1,067 9.7 52.1 33.8 4.4 61.8 38.2 2.67

Page 152: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101

2.6.10.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 음악 교육 참여 경험 및 기간

학원, 개인교습 등의 활동을 통해 ‘음악(악기, 성악, 합창, 창 판소리 등)’의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65.3%로 나타남

▪ 최초로 교육 받은 시점은 ‘초중고 재학 중’이 48.5%로 가장 높고, ‘취학 전’(9.7%), ‘초중고 졸업 이후’(7.1%) 순으로 조사됨

정규교과 이외의 ‘음악((악기, 성악, 합창, 창 판소리 등)’의 교육을 받은 기간은 ‘1년 미만’이 44.8% 가장 많고, 다음으로 ‘1년 이상~3년 미만’(31.7%), ‘3년 이상’(23.4%)의 순으로 나타남

<그림3-40>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참여_음악

정규교과 이외의 음악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연령이 낮을수록, 최종학력

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51> 응답자 특성별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참여_음악

(단위 : 명, %, 점) 사례수 경험있음

경험없음

최초 교육 시기 교육 기간

취학 전 초중고재학 중

초중고졸업 후

1년미만

1년~3년

3년이상

전 체  7,500 65.3 34.7 9.7 48.5 7.1 44.8 31.7 23.4

연령

15~19세 584 90.2 9.8 19.0 68.8 2.4 34.2 28.8 37.020~29세 1,137 88.6 11.4 24.5 59.3 4.7 33.2 36.2 30.630~39세 1,354 81.5 18.5 13.4 60.8 7.2 46.9 29.2 23.940~49세 1,527 75.6 24.4 6.9 59.7 9.0 53.5 30.3 16.250~59세 1,384 70.0 30.0 3.4 53.8 12.9 51.7 32.5 15.860세이상 1,514 8.9 91.1 0.2 5.4 3.3 33.6 36.6 29.9

최종학력

중졸이하 1,324 29.5 70.5 5.2 21.4 2.9 35.0 31.2 33.8고졸 2,291 61.4 38.6 9.6 45.5 6.3 45.8 32.0 22.2대졸이상 3,885 79.7 20.3 11.3 59.5 9.0 45.6 31.7 22.7

Page 153: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102|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 무용 교육 참여 경험 및 기간

학원, 개인교습 등의 활동을 통해 ‘무용(발레, 댄스스포츠 등)’의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32.0%로 나타남

▪ 최초로 교육 받은 시점은 ‘초중고 재학 중’이 20.3%로 가장 높고, ‘초중고 졸업 이후’(8.6%), ‘취학 전’(3.0%) 순으로 조사됨

정규교과 이외의 ‘무용(발레, 댄스스포츠 등)’의 교육을 받은 기간은 ‘1년 미만’이 69.3% 가장 높고, 다음으로 ‘1년 이상~3년 미만’(24.3%), ‘3년 이상’(6.4%)의 순으로 나타남

<그림3-41>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참여_무용

정규교과 이외의 무용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연령이 낮을수록, 최종학력

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52> 응답자 특성별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참여_무용

(단위 : 명, %, 점) 사례수 경험있음

경험없음

최초 교육 시기 교육 기간

취학 전 초중고재학 중

초중고졸업 후

1년미만

1년~3년

3년이상

전 체  7,500 32.0 68.0 3.0 20.3 8.6 69.3 24.3 6.4

연령

15~19세 584 48.6 51.4 10.1 35.4 3.1 66.5 30.3 3.220~29세 1,137 42.8 57.2 5.6 29.6 7.7 68.2 26.5 5.330~39세 1,354 39.2 60.8 3.5 24.1 11.6 73.3 21.3 5.540~49세 1,527 35.8 64.2 2.3 23.2 10.3 72.9 21.2 5.950~59세 1,384 33.3 66.7 1.3 19.6 12.4 70.9 21.7 7.460세이상 1,514 5.7 94.3 0.1 2.0 3.7 28.7 44.8 26.4

최종학력

중졸이하 1,324 16.7 83.3 2.7 10.2 3.8 58.4 35.7 5.9고졸 2,291 29.9 70.1 3.4 18.9 7.7 67.9 25.8 6.3대졸이상 3,885 38.4 61.6 2.9 24.6 10.9 71.5 21.9 6.5

Page 154: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103

◆ 미술 교육 참여 경험 및 기간

학원, 개인교습 등의 활동을 통해 ‘미술(서예, 공예, 디자인 등)’의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59.0%로 나타남

▪ 최초로 교육 받은 시점은 ‘초중고 재학 중’이 44.6%로 가장 높고, ‘취학 전’(7.3%), ‘초중고 졸업 이후’(7.1%) 순으로 조사됨

정규교과 이외의 ‘미술(서예, 공예, 디자인 등)’의 교육을 받은 기간은 ‘1년 미만’이 51.4% 가장 높고, 다음으로 ‘1년 이상~3년 미만’(32.4%), ‘3년 이상’(16.1%)의 순으로 나타남

<그림3-42>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참여_미술

정규교과 이외의 미술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연령이 낮을수록, 최종학력

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53> 응답자 특성별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참여_미술

(단위 : 명, %, 점) 사례수 경험있음

경험없음

최초 교육 시기 교육 기간

취학 전 초중고재학 중

초중고졸업 후

1년미만

1년~3년

3년이상

전 체  7,500 59.0 41.0 7.3 44.6 7.1 51.4 32.4 16.1

연령

15~19세 584 83.0 17.0 17.6 62.0 3.4 41.9 36.5 21.620~29세 1,137 81.9 18.1 19.9 57.6 4.4 42.2 38.6 19.230~39세 1,354 73.5 26.5 10.1 56.9 6.4 55.2 29.8 15.040~49세 1,527 68.3 31.7 4.0 54.5 9.8 58.4 29.5 12.150~59세 1,384 62.8 37.2 1.2 47.8 13.9 55.4 30.4 14.360세이상 1,514 6.6 93.4 .2 4.2 2.2 40.0 30.0 30.0

최종학력

중졸이하 1,324 24.8 75.2 4.5 18.5 1.9 42.2 33.7 24.0고졸 2,291 56.2 43.8 8.0 41.2 6.9 52.9 31.9 15.2대졸이상 3,885 72.3 27.7 7.8 55.4 9.0 51.8 32.6 15.6

Page 155: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104|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 문학 교육 참여 경험 및 기간

학원, 개인교습 등의 활동을 통해 ‘문학(소설, 시, 희곡 등)’의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50.0%로 나타남

▪ 최초로 교육 받은 시점은 ‘초중고 재학 중’이 41.7%로 가장 높고, ‘초중고 졸업 이후’(5.7%), ‘취학 전’(2.8%) 순으로 조사됨

정규교과 이외의 ‘문학(소설, 시, 희곡 등)’의 교육을 받은 기간은 ‘1년 미만’이 55.9% 가장 높고, 다음으로 ‘1년 이상~3년 미만’(27.1%), ‘3년 이상’(17.0%)의 순으로 나타남

<그림3-43>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참여_문학

정규교과 이외의 문학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연령이 낮을수록, 최종학력

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54> 응답자 특성별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참여_문학

(단위 : 명, %, 점) 사례수 경험있음

경험없음

최초 교육 시기 교육 기간

취학 전 초중고재학 중

초중고졸업 후

1년미만

1년~3년

3년이상

전 체  7,500 50.0 50.0 2.6 41.7 5.7 55.9 27.1 17.0

연령

15~19세 584 69.3 30.7 7.7 59.9 1.7 37.3 29.1 33.620~29세 1,137 67.7 32.3 5.9 56.6 5.2 47.9 29.4 22.730~39세 1,354 60.9 39.1 3.4 50.5 6.9 63.5 24.4 12.140~49세 1,527 58.8 41.2 2.0 49.0 7.9 62.6 25.5 11.950~59세 1,384 56.3 43.7 0.6 46.3 9.4 58.9 28.4 12.760세이상 1,514 4.8 95.2 0.0 3.8 0.9 43.1 29.2 27.8

최종학력

중졸이하 1,324 21.1 78.9 2.3 18.0 0.8 38.7 29.4 31.9고졸 2,291 47.7 52.3 2.4 40.2 5.0 54.8 25.8 19.4대졸이상 3,885 61.2 38.8 2.8 50.6 7.8 58.4 27.4 14.1

Page 156: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105

◆ 연극·영화 교육 참여 경험 및 기간

학원, 개인교습 등의 활동을 통해 ‘연극·영화’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39.5%로 나타남

▪ 최초로 교육 받은 시점은 ‘초중고 재학 중’이 25.9%로 가장 높고, ‘초중고 졸업 이후’(10.7%), ‘취학 전’(2.9%) 순으로 조사됨

정규교과 이외의 ‘연극·영화’ 교육을 받은 기간은 ‘1년 미만’이 69.1% 가장 높고, 다음으로 ‘1년 이상~3년 미만’(22.1%), ‘3년 이상’(8.8%)의 순으로 나타남

<그림3-44>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참여_연극·영화

정규교과 이외의 연극ㆍ영화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연령이 낮을수록, 최

종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55> 응답자 특성별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참여_연극ㆍ영화

(단위 : 명, %, 점) 사례수 경험있음

경험없음

최초 교육 시기 교육 기간

취학 전 초중고재학 중

초중고졸업 후

1년미만

1년~3년

3년이상

전 체  7,500 39.5 60.5 2.9 25.9 10.7 69.1 22.1 8.8

연령

15~19세 584 54.1 45.9 11.3 39.2 3.6 61.4 27.5 11.120~29세 1,137 54.0 46.0 6.3 37.7 9.9 62.9 24.1 13.030~39세 1,354 49.5 50.5 3.1 31.5 14.9 70.4 21.9 7.640~49세 1,527 48.9 51.1 1.8 31.0 16.0 72.7 21.2 6.250~59세 1,384 41.3 58.7 0.8 25.9 14.7 74.1 18.7 7.260세이상 1,514 2.8 97.2 0.1 1.6 1.1 61.9 19.0 19.0

최종학력

중졸이하 1,324 16.5 83.5 3.5 11.8 1.3 58.4 30.6 11.0고졸 2,291 35.6 64.4 3.4 24.0 8.2 71.8 19.9 8.3대졸이상 3,885 49.6 50.4 2.5 31.8 15.3 69.1 22.1 8.8

Page 157: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106|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2.7. 표현력

2.7.1. 표현력 영역 종합

‘인간 안의 내적인 것을 밖으로 표출하여 생각과 느낌 등을 언어나 몸짓 같은 형상으로 나타내는 능력’을 나타내는 표현력 지표는 2.57점으로 조사됨

세부 문항별로 살펴보면, “내가 느끼는 감정이나 느낌을 적극적으로 표현한다”와 “상대방에게 말을 할 때 표정이나 몸짓도 적극적으로 사용한다”가 각각 2.64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다음으로 “나는 평소에 내 생각이나 느낌을 새롭게 표현하는 편이다”(2.56점)의 순으로 나타남

반면, “경험한 생각이나 느낌을 글이나 사진 등으로 표현하는 것을 즐긴다” 문항은 평균 2.46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남

<그림3-45> 세부 문항별 결과_표현력 영역

Page 158: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107

2.7.2. 응답자 특성별 표현력

◆ 성·연령별

표현력은 여자(2.59점)가 남자(2.56점)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됨 ▪ 전반적으로 연령이 낮을수록 표현력이 높게 나타남 ▪ 특히, 20대 여자의 표현력(2.78점)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다음으로 10대 여자

(2.77점)가 높았음

<그림3-46> 성·연령별 표현력

◆ 최종학력 및 월평균 가구소득별 표현력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표현력이 높게 나타남

<그림3-47> 최종학력 및 월평균 가구소득별 표현력

Page 159: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108|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 비정규 문화예술교육 경험별 표현력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을 경험한 응답자의 표현력(2.70점)이 경험하지 않은

응답자(2.26점) 보다 높게 나타남

◆ 자녀의 취학상태별 표현력

표현력은 미혼자(2.69점)가 기혼자(2.52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남

기혼자들 중 ‘학생’ 자녀가 있는 응답자의 표현력(2.63점)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자녀가 없는’ 응답자의 표현력(2.32점)이 가장 낮게 나타남

<그림3-48> 비정규 문화예술교육 및 자녀의 취학상태별 표현력

◎ 표현력과 ‘삶의 질’ 및 ‘문화예술활동 현황’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표현력 지표를 기준으로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을 구분하여 분석에 포함함

- 표현력이 높은 집단(N=3,538) : 표현력 지표가 전체 평균(2.57점)이상인 응답자 집단 - 표현력이 낮은 집단(N=3,962) : 표현력 지표가 전체 평균(2.57점)이하인 응답자 집단

2.7.3. 표현력과 삶의 질

표현력과 삶의 질을 살펴보면, 표현력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행복도와 만족도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남

▪ 행복도 : 표현력이 높은 집단(6.73점) > 표현력이 낮은 집단(6.06점) ▪ 만족도 : 표현력이 높은 집단(6.37점) > 표현력이 낮은 집단(5.63점)

Page 160: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109

<그림3-49> 표현력과 삶의 질

2.7.4. 표현력과 문화예술 행사 관람

표현력에 따른 문화예술 행사 관람 횟수를 살펴보면, 표현력이 높은 집단이 모든 문화예술 행사에 대한 평균 관람 횟수가 많은 것으로 조사됨

▪ 영화관람 : 표현력이 높은 집단(7.23회) > 표현력이 낮은 집단(6.16회) ▪ 역사문화유적지 탐방 : 표현력이 높은 집단(2.46회) > 표현력이 낮은 집단(2.12회)

<그림3-50> 표현력과 문화예술 행사 관람

Page 161: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110|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2.7.5. 세부 문항별 응답자 특성

◎ 문23-1. 내가 느끼는 감정이나 느낌을 적극적으로 표현한다

“내가 느끼는 감정이나 느낌을 적극적으로 표현한다”는 의견에 대해 ‘그렇다’(매우 그렇다 + 그렇다)는 응답은 전남(64.2%),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여자(58.9%), 10대(63.2%),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조사됨

반면, ‘그렇지 않다’(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인천(47.9%),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남자(42.5%), 60세이상(47.6%), 학력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56> 표현력 영역 문항1의 응답자 특성

(단위 : 명, %, 점)  사례수

내가 느끼는 감정이나 느낌을 적극적으로 표현한다매우

그렇다(A)

그렇다(B)

그렇지 않다(C)

전혀 그렇지 않다(D)

그렇다(A+B)

그렇지 않다(C+D)

전 체 7,500 8.7 49.5 38.8 2.9 58.2 41.8

지역

서울 1,504 10.4 52.9 34.8 1.9 63.3 36.7부산 528 10.8 51.3 36.4 1.5 62.1 37.9대구 368 8.4 50.8 38.6 2.2 59.2 40.8인천 422 7.8 44.3 43.1 4.7 52.1 47.9광주 212 8.5 48.6 40.1 2.8 57.1 42.9대전 222 7.7 50.9 38.7 2.7 58.6 41.4울산 168 5.4 53.6 39.9 1.2 58.9 41.1경기 1,767 9.7 45.8 41.5 2.9 55.5 44.5강원 228 6.6 55.3 35.5 2.6 61.8 38.2충북 230 5.7 48.3 43.9 2.2 53.9 46.1충남 318 5.3 47.5 40.6 6.6 52.8 47.2전북 276 6.9 49.3 40.9 2.9 56.2 43.8전남 282 9.2 55.0 32.3 3.5 64.2 35.8경북 403 8.4 45.2 39.7 6.7 53.6 46.4경남 486 6.4 51.4 40.1 2.1 57.8 42.2제주 86 9.3 51.2 36.0 3.5 60.5 39.5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9.4 51.0 37.3 2.3 60.4 39.6중소도시 3,436 8.5 48.8 39.1 3.6 57.3 42.7읍/면 640 6.4 45.2 45.3 3.1 51.6 48.4

성 남자 3,723 7.8 49.7 39.2 3.3 57.5 42.5여자 3,777 9.7 49.2 38.5 2.6 58.9 41.1

연령

15~19세 584 12.2 51.0 31.8 5.0 63.2 36.820~29세 1,137 14.0 48.4 33.9 3.7 62.4 37.630~39세 1,354 8.9 50.7 38.0 2.4 59.6 40.440~49세 1,527 8.3 49.1 41.4 1.2 57.4 42.650~59세 1,384 7.1 51.7 39.6 1.7 58.7 41.360세이상 1,514 5.4 47.0 42.6 5.0 52.4 47.6

최종학력중졸이하 1,324 6.5 43.9 44.0 5.7 50.4 49.6고졸 2,291 8.3 49.0 38.9 3.7 57.4 42.6대졸이상 3,885 9.8 51.7 37.0 1.6 61.4 38.6

Page 162: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111

◎ 문23-2. 나는 평소에 내 생각이나 느낌을 새롭게 표현하는 편이다

“나는 평소에 내 생각이나 느낌을 새롭게 표현하는 편이다”는 의견에 대해 ‘그렇다’(매우 그렇다 + 그렇다)는 응답은 부산(56.8%),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남자(52.6%), 10대(61.6%),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조사됨

반면, ‘그렇지 않다’(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충남(60.4%),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여자(48.0%), 60세이상(59.6%), 학력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57> 표현력 영역 문항2의 응답자 특성

(단위 : 명, %, 점)  사례수

나는 평소에 내 생각이나 느낌을 새롭게 표현하는 편이다매우

그렇다(A)

그렇다(B)

그렇지 않다(C)

전혀 그렇지 않다(D)

그렇다(A+B)

그렇지 않다(C+D)

전 체 7,500 8.0 44.3 43.1 4.6 52.3 47.7

지역

서울 1,504 9.7 46.8 39.6 3.9 56.5 43.5부산 528 10.6 46.2 41.3 1.9 56.8 43.2대구 368 8.7 44.3 44.3 2.7 53.0 47.0인천 422 7.1 39.3 47.2 6.4 46.4 53.6광주 212 8.0 46.7 38.7 6.6 54.7 45.3대전 222 9.9 41.9 45.5 2.7 51.8 48.2울산 168 6.5 45.8 43.5 4.2 52.4 47.6경기 1,767 8.3 44.3 43.2 4.3 52.5 47.5강원 228 8.8 45.6 43.0 2.6 54.4 45.6충북 230 4.8 39.6 51.7 3.9 44.3 55.7충남 318 4.1 35.5 49.1 11.3 39.6 60.4전북 276 5.4 49.6 41.3 3.6 55.1 44.9전남 282 9.9 42.6 42.9 4.6 52.5 47.5경북 403 6.0 38.2 45.9 9.9 44.2 55.8경남 486 4.1 49.0 42.8 4.1 53.1 46.9제주 86 7.0 45.3 44.2 3.5 52.3 47.7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9.2 45.2 41.8 3.9 54.3 45.7중소도시 3,436 7.4 44.3 43.3 4.9 51.7 48.3읍/면 640 4.4 40.0 48.9 6.7 44.4 55.6

성 남자 3,723 7.0 45.6 42.9 4.5 52.6 47.4여자 3,777 8.9 43.1 43.3 4.7 52.0 48.0

연령

15~19세 584 13.5 48.1 33.4 5.0 61.6 38.420~29세 1,137 13.5 44.1 38.5 4.0 57.5 42.530~39세 1,354 8.0 44.8 44.6 2.6 52.8 47.240~49세 1,527 7.3 45.7 45.3 1.6 53.0 47.050~59세 1,384 5.1 50.6 43.1 1.2 55.7 44.360세이상 1,514 4.9 35.5 46.8 12.9 40.4 59.6

최종학력

중졸이하 1,324 6.7 34.7 44.9 13.6 41.5 58.5고졸 2,291 7.4 42.8 45.5 4.3 50.2 49.8대졸이상 3,885 8.7 48.5 41.1 1.7 57.2 42.8

Page 163: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112|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 문23-3. 경험한 생각이나 느낌을 글이나 사진 등으로 표현하는 것을 즐긴다

“경험한 생각이나 느낌을 글이나 사진 등으로 표현하는 것을 즐긴다”는 의견에 대해 ‘그렇다’(매우 그렇다 + 그렇다)는 응답은 서울(51.5%),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여자(48.8%), 10대(60.4%),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높게 조사됨

반면, ‘그렇지 않다’(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충남(60.7%),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남자(53.9%), 60세이상(76.5%), 학력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58> 표현력 영역 문항3의 응답자 특성

(단위 : 명, %, 점)  사례수

경험한 생각이나 느낌을 글이나 사진 등으로 표현하는 것을 즐긴다

매우그렇다

(A)그렇다

(B)

그렇지 않다(C)

전혀 그렇지 않다(D)

그렇다(A+B)

그렇지 않다(C+D)

전 체 7,500 8.6 38.8 42.5 10.1 47.4 52.6

지역

서울 1,504 10.8 40.7 39.4 9.2 51.5 48.5부산 528 10.0 38.1 41.5 10.4 48.1 51.9대구 368 7.9 39.4 46.5 6.3 47.3 52.7인천 422 9.0 38.4 44.3 8.3 47.4 52.6광주 212 10.8 39.6 42.0 7.5 50.5 49.5대전 222 10.8 34.2 50.5 4.5 45.0 55.0울산 168 8.3 39.9 43.5 8.3 48.2 51.8경기 1,767 9.3 38.1 40.7 11.8 47.5 52.5강원 228 7.0 42.5 39.0 11.4 49.6 50.4충북 230 6.1 34.3 48.3 11.3 40.4 59.6충남 318 4.7 34.6 45.9 14.8 39.3 60.7전북 276 5.4 40.2 46.7 7.6 45.7 54.3전남 282 7.4 39.0 44.7 8.9 46.5 53.5경북 403 7.2 34.2 42.4 16.1 41.4 58.6경남 486 5.3 42.2 44.4 8.0 47.5 52.5제주 86 4.7 44.2 45.3 5.8 48.8 51.2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10.0 39.3 42.1 8.5 49.4 50.6중소도시 3,436 8.0 38.9 42.1 11.0 46.9 53.1읍/면 640 4.7 35.3 46.6 13.4 40.0 60.0

성 남자 3,723 7.7 38.3 44.2 9.8 46.1 53.9여자 3,777 9.5 39.2 40.9 10.4 48.8 51.2

연령

15~19세 584 15.1 45.4 33.6 6.0 60.4 39.620~29세 1,137 15.3 43.5 34.6 6.6 58.8 41.230~39세 1,354 9.2 42.1 43.0 5.8 51.3 48.740~49세 1,527 8.0 41.1 47.1 3.9 49.1 50.950~59세 1,384 7.2 46.0 42.5 4.3 53.2 46.860세이상 1,514 2.7 20.8 47.0 29.5 23.5 76.5

최종학력

중졸이하 1,324 5.7 23.9 42.5 27.8 29.7 70.3고졸 2,291 8.1 37.7 44.0 10.3 45.7 54.3대졸이상 3,885 10.0 44.5 41.6 3.9 54.5 45.5

Page 164: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113

◎ 문23-4. 상대방에게 말을 할 때 표정이나 몸짓도 적극적으로 사용한다

“상대방에게 말을 할 때 표정이나 몸짓도 적극적으로 사용한다”는 의견에 대해 ‘그렇다’(매우 그렇다 + 그렇다)는 응답은 대구(64.4%),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여자(60.7%),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조사됨

반면, ‘그렇지 않다’(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충북(49.1%),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남자(41.8%), 연령이 높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59> 표현력 영역 문항4의 응답자 특성

(단위 : 명, %, 점)  사례수

상대방에게 말을 할 때 표정이나 몸짓도 적극적으로 사용한다매우

그렇다(A)

그렇다(B)

그렇지 않다(C)

전혀 그렇지 않다(D)

그렇다(A+B)

그렇지 않다(C+D)

전 체 7,500 9.6 49.8 35.1 5.5 59.5 40.5

지역

서울 1,504 11.9 50.9 32.5 4.7 62.8 37.2부산 528 10.0 51.9 34.7 3.4 61.9 38.1대구 368 9.5 54.9 33.4 2.2 64.4 35.6인천 422 9.7 44.1 38.4 7.8 53.8 46.2광주 212 9.4 43.4 42.5 4.7 52.8 47.2대전 222 10.8 51.4 36.0 1.8 62.2 37.8울산 168 7.7 52.4 35.7 4.2 60.1 39.9경기 1,767 11.0 50.1 32.4 6.5 61.1 38.9강원 228 9.6 49.6 35.1 5.7 59.2 40.8충북 230 8.3 42.6 41.7 7.4 50.9 49.1충남 318 5.7 47.2 35.8 11.3 52.8 47.2전북 276 4.7 48.9 40.6 5.8 53.6 46.4전남 282 7.4 46.8 39.4 6.4 54.3 45.7경북 403 8.7 45.7 37.2 8.4 54.3 45.7경남 486 5.8 54.1 38.5 1.6 59.9 40.1제주 86 8.1 62.8 24.4 4.7 70.9 29.1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10.7 50.3 34.7 4.4 61.0 39.0중소도시 3,436 9.5 50.4 33.9 6.2 59.9 40.1읍/면 640 4.8 44.4 43.4 7.3 49.2 50.8

성 남자 3,723 8.6 49.6 36.2 5.6 58.2 41.8여자 3,777 10.6 50.1 33.9 5.4 60.7 39.3

연령

15~19세 584 18.2 53.9 23.6 4.3 72.1 27.920~29세 1,137 18.6 52.2 25.9 3.3 70.8 29.230~39세 1,354 9.9 55.3 31.9 2.9 65.2 34.840~49세 1,527 8.6 55.7 33.7 2.0 64.3 35.750~59세 1,384 6.8 54.4 36.3 2.5 61.2 38.860세이상 1,514 3.0 31.4 49.5 16.1 34.4 65.6

최종학력

중졸이하 1,324 6.6 34.4 44.2 14.9 40.9 59.1고졸 2,291 9.3 48.4 36.9 5.5 57.7 42.3대졸이상 3,885 10.9 56.0 30.9 2.3 66.8 33.2

Page 165: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114|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2.8. 공감

2.8.1. 공감 영역 종합

‘다른 사람의 심리적 상태를 그 사람의 입장이 되어 느끼는 것을 통해서 지각하는 방식’을 나타하는 공감 지표는 3.07점으로 조사됨

세부 문항별로 살펴보면, “누가 부당한 대접을 받는 것을 보면 화가 난다” 문항이 3.18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다음으로 “친구가 자신의 고민을 이야기하면, 그 입장에서 같이 걱정해줄 수 있다”(3.17점)의 순으로 나타남

반면, “문화예술 작품을 보게 되면 작가의 의도에 공감하게 된다” 문항은 평균 2.77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남

<그림3-51> 세부 문항별_공감 영역

Page 166: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115

2.8.2. 응답자 특성별 공감

◆ 성·연령별

공감은 여자(3.10점)가 남자(3.04점)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됨 ▪ 전반적으로 40~50대의 공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 특히, 50대 여자의 공감(3.15점)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다음으로 20대 및 40대

여자(각각 3.13점)가 높았음

<그림3-52> 성·연령별 공감

◆ 최종학력 및 월평균 가구소득별 공감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공감이 높게 나타남

<그림3-53> 최종학력 및 월평균 가구소득별 공감

Page 167: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116|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 비정규 문화예술교육 경험별 공감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을 경험한 응답자의 공감(3.10점)이 경험하지 않은 응

답자(3.00점)보다 높게 나타남

◆ 자녀의 취학상태별 공감

공감은 기혼자(3.07점)가 미혼자(3.06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남

기혼자들 중 ‘학생’ 자녀가 있는 응답자의 공감(3.11점)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자녀가 없는’ 응답자의 공감(3.02점)이 가장 낮게 나타남

<그림3-54> 비정규 문화예술교육 및 자녀의 취학상태별 공감

◎ 공감과 ‘삶의 질’ 및 ‘문화예술활동 현황’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공감 지표를 기준으로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을 구분하여 분석에 포함함

- 공감이 높은 집단(N=2,784) : 공감 지표가 전체 평균(3.07점)이상인 응답자 집단 - 공감이 낮은 집단(N=4,716) : 공감 지표가 전체 평균(3.07점)이하인 응답자 집단

2.8.3. 공감과 삶의 질

공감과 삶의 질을 살펴보면, 공감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행복도와 만족도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남

▪ 행복도 : 공감이 높은 집단(6.66점) > 공감이 낮은 집단(6.21점) ▪ 만족도 : 공감이 높은 집단(6.22점) > 공감이 낮은 집단(5.84점)

Page 168: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117

<그림3-55> 공감과 삶의 질

2.8.4. 공감과 문화예술 행사 관람

공감에 따른 문화예술 행사 관람 횟수를 살펴보면, 공감이 높은 집단이 모든 문화예술 행사에 대한 평균 관람 횟수가 많은 것으로 조사됨

▪ 영화관람 : 공감이 높은 집단(7.24회) > 공감이 낮은 집단(6.41회) ▪ 역사문화유적지 탐방 : 공감이 높은 집단(2.54회) > 공감이 낮은 집단(2.14회)

<그림3-56> 공감과 문화예술 행사 관람

Page 169: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118|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2.8.5. 세부 문항별 응답자 특성

◎ 문24-1. 누가 부당한 대접을 받는 것을 보면 화가 난다

“누가 부당한 대접을 받는 것을 보면 화가 난다”는 의견에 대해 ‘그렇다’(매우 그렇다 + 그렇다)는 응답은 부산(96.4%),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여자(93.1%), 50대(96.5%),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조사됨

반면, ‘그렇지 않다’(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충남(15.7%),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남자(7.7%), 60세이상(12.5%), 학력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60> 공감 영역 문항1의 응답자 특성

(단위 : 명, %, 점)  사례수

누가 부당한 대접을 받는 것을 보면 화가 난다매우

그렇다(A)

그렇다(B)

그렇지 않다(C)

전혀 그렇지 않다(D)

그렇다(A+B)

그렇지 않다(C+D)

전 체 7,500 25.5 67.2 6.7 0.6 92.7 7.3

지역

서울 1,504 26.3 67.0 6.2 0.5 93.3 6.7부산 528 29.9 66.5 3.4 0.2 96.4 3.6대구 368 21.5 72.3 5.7 0.5 93.8 6.3인천 422 22.5 71.3 5.2 0.9 93.8 6.2광주 212 28.3 61.8 9.9 0.0 90.1 9.9대전 222 24.8 67.6 7.2 0.5 92.3 7.7울산 168 27.4 69.0 3.6 0.0 96.4 3.6경기 1,767 27.0 66.9 5.5 0.6 93.9 6.1강원 228 27.6 65.8 5.3 1.3 93.4 6.6충북 230 26.5 59.1 13.9 0.4 85.7 14.3충남 318 16.7 67.6 13.2 2.5 84.3 15.7전북 276 25.4 66.3 8.0 0.4 91.7 8.3전남 282 24.8 66.7 7.8 0.7 91.5 8.5경북 403 23.3 66.0 9.4 1.2 89.3 10.7경남 486 24.5 68.5 6.8 0.2 93.0 7.0제주 86 20.9 69.8 9.3 0.0 90.7 9.3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25.9 67.8 5.8 0.5 93.8 6.2중소도시 3,436 25.1 66.7 7.4 0.8 91.8 8.2읍/면 640 25.3 66.1 8.0 0.6 91.4 8.6

성 남자 3,723 26.1 66.2 7.0 0.8 92.3 7.7여자 3,777 24.9 68.1 6.5 0.5 93.1 6.9

연령

15~19세 584 30.3 61.5 6.8 1.4 91.8 8.220~29세 1,137 24.7 66.4 7.7 1.1 91.1 8.930~39세 1,354 23.4 69.0 7.1 0.5 92.4 7.640~49세 1,527 23.6 72.4 3.8 0.2 96.0 4.050~59세 1,384 27.9 68.6 3.3 0.2 96.5 3.560세이상 1,514 25.9 61.6 11.6 0.9 87.5 12.5

최종학력중졸이하 1,324 26.5 60.9 11.6 1.1 87.4 12.6고졸 2,291 25.1 66.7 7.4 0.9 91.8 8.2대졸이상 3,885 25.4 69.6 4.7 0.3 95.0 5.0

Page 170: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119

◎ 문24-2. 친구가 자신의 고민을 이야기하면, 그 입장에서 같이 걱정해 줄 수 있다

“친구가 자신의 고민을 이야기하면, 그 입장에서 같이 걱정해 줄 수 있다”는 의견에 대해 ‘그렇다’(매우 그렇다 + 그렇다)는 응답은 울산(97.0%),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여자(94.4%), 50대(96.1%),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조사됨

반면, ‘그렇지 않다’(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충북(12.2%),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남자(7.8%), 10대(10.1%), 학력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61> 공감 영역 문항2의 응답자 특성

(단위 : 명, %, 점)  사례수

친구가 자신의 고민을 이야기하면, 그 입장에서 같이 걱정해 줄 수 있다

매우그렇다

(A)그렇다

(B)

그렇지 않다(C)

전혀 그렇지 않다(D)

그렇다(A+B)

그렇지 않다(C+D)

전 체 7,500 24.2 69.1 5.9 0.7 93.3 6.7

지역

서울 1,504 24.9 68.1 6.4 0.6 93.0 7.0부산 528 28.6 66.5 4.9 0.0 95.1 4.9대구 368 24.2 67.9 7.3 0.5 92.1 7.9인천 422 26.5 67.5 5.2 0.7 94.1 5.9광주 212 26.9 65.1 6.6 1.4 92.0 8.0대전 222 22.1 73.4 4.5 0.0 95.5 4.5울산 168 24.4 72.6 3.0 0.0 97.0 3.0경기 1,767 25.4 70.2 3.7 0.7 95.5 4.5강원 228 25.0 70.2 3.9 0.9 95.2 4.8충북 230 22.6 65.2 11.7 0.4 87.8 12.2충남 318 18.9 71.1 7.2 2.8 89.9 10.1전북 276 19.6 74.6 5.8 0.0 94.2 5.8전남 282 30.1 60.6 8.2 1.1 90.8 9.2경북 403 18.6 71.2 7.7 2.5 89.8 10.2경남 486 19.5 72.0 8.2 0.2 91.6 8.4제주 86 17.4 70.9 11.6 0.0 88.4 11.6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25.5 68.1 5.9 0.5 93.6 6.4중소도시 3,436 23.6 69.6 5.9 1.0 93.2 6.8읍/면 640 20.3 72.0 6.7 0.9 92.3 7.7

성 남자 3,723 22.1 70.0 6.8 1.0 92.2 7.8여자 3,777 26.2 68.2 5.1 0.5 94.4 5.6

연령

15~19세 584 31.8 58.0 8.6 1.5 89.9 10.120~29세 1,137 28.9 61.0 9.1 1.0 90.0 10.030~39세 1,354 21.6 72.0 5.9 0.5 93.6 6.440~49세 1,527 22.1 73.3 4.3 0.3 95.4 4.650~59세 1,384 22.3 73.8 3.6 0.3 96.1 3.960세이상 1,514 23.8 68.4 6.4 1.4 92.2 7.8

최종학력

중졸이하 1,324 24.7 65.9 7.6 1.7 90.6 9.4고졸 2,291 25.6 66.9 6.8 0.7 92.4 7.6대졸이상 3,885 23.2 71.5 4.9 0.4 94.7 5.3

Page 171: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120|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 문24-3. 주변 사람이 우울하면 내 마음도 편하지 않다

“주변 사람이 우울하면 내 마음도 편하지 않다”는 의견에 대해 ‘그렇다’(매우 그렇다 + 그렇다)는 응답은 강원(94.7%),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여자(92.0%), 50대(93.5%),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조사됨

반면, ‘그렇지 않다’(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전남(15.6%),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남자(11.0%), 10대(12.7%), 학력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62> 공감 영역 문항3의 응답자 특성

(단위 : 명, %, 점)  사례수

주변 사람이 우울하면 내 마음도 편하지 않다매우

그렇다(A)

그렇다(B)

그렇지 않다(C)

전혀 그렇지 않다(D)

그렇다(A+B)

그렇지 않다(C+D)

전 체 7,500 21.1 69.4 8.5 1.0 90.5 9.5

지역

서울 1,504 22.2 68.7 8.3 0.8 90.9 9.1부산 528 22.0 69.3 7.8 0.9 91.3 8.7대구 368 22.3 68.8 8.4 0.5 91.0 9.0인천 422 18.0 74.2 7.1 0.7 92.2 7.8광주 212 18.4 72.2 7.5 1.9 90.6 9.4대전 222 18.9 68.5 12.6 0.0 87.4 12.6울산 168 22.0 72.0 5.4 0.6 94.0 6.0경기 1,767 24.5 67.5 7.4 0.6 92.0 8.0강원 228 18.4 76.3 3.1 2.2 94.7 5.3충북 230 19.6 67.4 13.0 0.0 87.0 13.0충남 318 12.6 74.5 10.7 2.2 87.1 12.9전북 276 18.1 71.0 10.9 0.0 89.1 10.9전남 282 22.7 61.7 14.2 1.4 84.4 15.6경북 403 17.1 68.2 10.4 4.2 85.4 14.6경남 486 20.0 71.4 8.2 0.4 91.4 8.6제주 86 18.6 72.1 9.3 0.0 90.7 9.3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21.2 69.8 8.2 0.8 91.0 9.0중소도시 3,436 21.2 69.6 8.1 1.2 90.7 9.3읍/면 640 20.2 65.9 13.1 0.8 86.1 13.9

성 남자 3,723 19.4 69.6 9.8 1.2 89.0 11.0여자 3,777 22.7 69.2 7.3 0.7 92.0 8.0

연령

15~19세 584 26.0 61.3 10.3 2.4 87.3 12.720~29세 1,137 23.8 64.8 10.3 1.1 88.7 11.330~39세 1,354 18.3 71.9 9.1 0.7 90.3 9.740~49세 1,527 17.2 75.6 6.7 0.4 92.9 7.150~59세 1,384 16.6 76.9 5.9 0.6 93.5 6.560세이상 1,514 27.6 60.5 10.3 1.6 88.1 11.9

최종학력

중졸이하 1,324 26.1 60.1 11.4 2.3 86.3 13.7고졸 2,291 21.8 68.3 8.8 1.1 90.1 9.9대졸이상 3,885 18.9 73.2 7.4 0.4 92.1 7.9

Page 172: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121

◎ 문24-4. 남의 고통을 보면 마음이 아프다

“남의 고통을 보면 마음이 아프다”는 의견에 대해 ‘그렇다’(매우 그렇다 + 그렇다)는 응답은 부산(95.1%),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여자(93.6%), 50대(97.3%),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조사됨

반면, ‘그렇지 않다’(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충남(13.8%),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남자(8.9%), 10대(13.0%), 학력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63> 공감 영역 문항4의 응답자 특성

(단위 : 명, %, 점)  사례수

남의 고통을 보면 마음이 아프다매우

그렇다(A)

그렇다(B)

그렇지 않다(C)

전혀 그렇지 않다(D)

그렇다(A+B)

그렇지 않다(C+D)

전 체 7,500 23.3 69.0 6.9 0.8 92.3 7.7

지역

서울 1,504 22.7 69.5 7.2 0.5 92.3 7.7부산 528 25.2 69.9 4.5 0.4 95.1 4.9대구 368 23.1 70.7 5.4 0.8 93.8 6.3인천 422 21.1 73.7 4.0 1.2 94.8 5.2광주 212 22.2 71.2 6.1 0.5 93.4 6.6대전 222 19.8 67.1 12.6 0.5 86.9 13.1울산 168 23.2 70.8 5.4 0.6 94.0 6.0경기 1,767 27.1 67.1 5.0 0.7 94.2 5.8강원 228 21.5 73.2 3.9 1.3 94.7 5.3충북 230 18.7 71.3 9.6 0.4 90.0 10.0충남 318 15.7 70.4 11.6 2.2 86.2 13.8전북 276 24.3 69.6 6.2 0.0 93.8 6.2전남 282 27.3 59.2 12.1 1.4 86.5 13.5경북 403 20.8 69.0 8.2 2.0 89.8 10.2경남 486 21.4 68.1 9.9 0.6 89.5 10.5제주 86 18.6 73.3 7.0 1.2 91.9 8.1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22.8 70.2 6.4 0.6 93.0 7.0중소도시 3,436 23.9 68.6 6.6 0.9 92.5 7.5읍/면 640 23.1 64.8 10.8 1.3 88.0 12.0

성 남자 3,723 21.7 69.4 7.9 1.0 91.1 8.9여자 3,777 24.9 68.7 5.9 0.6 93.6 6.4

연령

15~19세 584 25.3 61.6 10.6 2.4 87.0 13.020~29세 1,137 21.7 66.4 10.4 1.5 88.1 11.930~39세 1,354 17.9 75.2 6.4 0.5 93.1 6.940~49세 1,527 20.1 75.2 4.5 0.1 95.4 4.650~59세 1,384 24.4 72.8 2.4 0.4 97.3 2.760세이상 1,514 30.8 58.6 9.6 1.1 89.4 10.6

최종학력

중졸이하 1,324 28.1 59.7 10.6 1.6 87.8 12.2고졸 2,291 22.5 68.4 7.9 1.1 91.0 9.0대졸이상 3,885 22.1 72.5 4.9 0.4 94.7 5.3

Page 173: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122|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 문24-5. 문화예술 작품을 보게 되면 작가의 의도에 공감하게 된다

“문화예술 작품을 보게 되면 작가의 의도에 공감하게 된다”는 의견에 대해 ‘그렇다’(매우 그렇다 + 그렇다)는 응답은 대전(75.2%),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여자(72.9%), 50대(78.6%),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조사됨

반면, ‘그렇지 않다’(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충북(38.3%),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남자(33.4%), 60세이상(43.4%), 학력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64> 공감 영역 문항5의 응답자 특성

(단위 : 명, %, 점)  사례수

문화예술 작품을 보게 되면 작가의 의도에 공감하게 된다매우

그렇다(A)

그렇다(B)

그렇지 않다(C)

전혀 그렇지 않다(D)

그렇다(A+B)

그렇지 않다(C+D)

전 체 7,500 10.1 59.7 27.0 3.3 69.7 30.3

지역

서울 1,504 10.6 61.9 24.6 2.9 72.5 27.5부산 528 11.9 60.6 25.9 1.5 72.5 27.5대구 368 10.1 60.6 28.3 1.1 70.7 29.3인천 422 9.2 58.8 27.0 5.0 68.0 32.0광주 212 10.8 62.7 25.9 0.5 73.6 26.4대전 222 8.1 67.1 23.4 1.4 75.2 24.8울산 168 10.7 57.7 27.4 4.2 68.5 31.5경기 1,767 10.1 58.7 26.8 4.4 68.8 31.2강원 228 7.5 64.0 25.0 3.5 71.5 28.5충북 230 7.8 53.9 34.3 3.9 61.7 38.3충남 318 7.9 55.3 30.5 6.3 63.2 36.8전북 276 12.0 59.4 27.9 0.7 71.4 28.6전남 282 15.2 55.3 25.9 3.5 70.6 29.4경북 403 8.9 55.1 29.8 6.2 64.0 36.0경남 486 7.8 60.3 30.5 1.4 68.1 31.9제주 86 9.3 65.1 25.6 0.0 74.4 25.6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10.5 61.4 25.6 2.5 71.8 28.2중소도시 3,436 9.4 58.8 27.8 4.0 68.2 31.8읍/면 640 11.6 55.3 29.8 3.3 66.9 33.1

성 남자 3,723 9.1 57.4 29.6 3.8 66.6 33.4여자 3,777 11.0 61.9 24.4 2.7 72.9 27.1

연령

15~19세 584 14.4 56.2 25.9 3.6 70.5 29.520~29세 1,137 11.7 58.8 26.8 2.6 70.5 29.530~39세 1,354 8.5 60.7 29.1 1.7 69.2 30.840~49세 1,527 7.9 66.3 25.0 0.7 74.3 25.750~59세 1,384 9.7 68.9 20.4 0.9 78.6 21.460세이상 1,514 11.1 45.5 33.7 9.7 56.6 43.4

최종학력

중졸이하 1,324 11.7 45.0 33.5 9.8 56.7 43.3고졸 2,291 9.6 58.0 29.2 3.2 67.6 32.4대졸이상 3,885 9.8 65.6 23.5 1.1 75.4 24.6

Page 174: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123

2.9. 소통

2.9.1. 의사소통능력 종합

‘타인과 의미/의견을 주고받으며 서로를 이해하고 소통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소통 지표는 2.70점으로 조사됨

세부 문항별로 살펴보면, “대화 상대방의 의도를 알기 위해 귀 기울여 듣는 편이다” 문항이 3.14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다음으로 “얼굴표정이나 몸짓을 보고 상대방의 기분을 이해하고자 노력한다”(3.11점)의 순으로 나타남

반면, “다른 사람으로부터 질문을 받으면, 조리 있고 분명하게 나의 의견을 말한다” 문항은 평균 2.87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남

<그림3-57> 세부 문항별_의사소통능력 영역

Page 175: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124|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2.9.2. SNS소통능력 종합

SNS 소통능력 중 “귀하는 디지털 카메라나 휴대폰으로 촬영한 사진을 가족, 친구, 동료와 얼마나 자주 공유하십니까?” 문항이 2.46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다음으로 “귀하는 홈페이지, 블로그, SNS(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등)에 있는 다른 사람들의 글에 대하여 얼마나 자주 공감을 표하십니까?”(2.33점)의 순으로 나타남

반면, “귀하는 홈페이지, 블로그, SNS(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등)를 이용하여 여러 사람들이 읽을 수 있는 글을 얼마나 자주 쓰십니까?” 문항은 평균 2.26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남

<그림3-58> 세부 문항별_SNS 소통능력 영역

Page 176: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125

2.9.3. 응답자 특성별 소통

◆ 성·연령별

소통은 여자(2.71점)가 남자(2.68점)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됨 ▪ 60대의 소통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현저하게 낮게 나타남 ▪ 10대 여자의 소통(2.89점)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다음으로 20대 여자(2.88점)가

높았음

<그림3-59> 성·연령별 소통

◆ 최종학력 및 월평균 가구소득별 소통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소통이 높게 나타남

<그림3-60> 최종학력 및 월평균 가구소득별 소통

Page 177: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126|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 비정규 문화예술교육 경험별 소통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을 경험한 응답자의 소통(2.84점)이 경험하지 않은 응

답자(2.34점)보다 높게 나타남

◆ 자녀의 취학상태별 소통

소통은 미혼자(2.78점)가 기혼자(2.66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남

기혼자들 중 ‘취학 전’ 자녀가 있는 응답자의 소통(2.86점)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자녀가 없는’ 응답자의 소통(2.31점)이 가장 낮게 나타남

<그림3-61> 비정규 문화예술교육 및 자녀의 취학상태별 소통

◎ 소통과 ‘삶의 질’ 및 ‘문화예술활동 현황’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소통 지표를 기준으로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을 구분하여 분석에 포함함

- 소통이 높은 집단(N=3,459) : 소통 지표가 전체 평균(2.70점)이상인 응답자 집단 - 소통이 낮은 집단(N=4,041) : 소통 지표가 전체 평균(2.70점)이하인 응답자 집단

2.9.4. 소통과 삶의 질

소통과 삶의 질을 살펴보면, 소통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행복도와 만족도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남

▪ 행복도 : 소통이 높은 집단(6.74점) > 소통이 낮은 집단(6.06점) ▪ 만족도 : 소통이 높은 집단(6.32점) > 소통이 낮은 집단(5.68점)

Page 178: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127

<그림3-62> 소통과 삶의 질

2.9.5. 소통과 문화예술 행사 관람

소통에 따른 문화예술 행사 관람 횟수를 살펴보면, 소통이 높은 집단이 모든 문화예술 행사에 대한 평균 관람 횟수가 많은 것으로 조사됨

▪ 영화관람 : 소통이 높은 집단(7.23회) > 소통이 낮은 집단(6.12회) ▪ 역사문화유적지 탐방 : 소통이 높은 집단(2.44회) > 소통이 낮은 집단(2.13회)

<그림3-63> 소통과 문화예술 행사 관람

Page 179: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128|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2.9.6. 세부 문항별 응답자 특성

◎ 문25-1. 대화 상대방의 의도를 알기 위해 귀 기울여 듣는 편이다

“대화 상대방의 의도를 알기 위해 귀 기울여 듣는 편이다”는 의견에 대해 ‘그렇다’(매우 그렇다 + 그렇다)는 응답은 대전(96.8%),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50대(97.1%),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조사됨

반면, ‘그렇지 않다’(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충남 및 전남(11.0%),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60세이상(12.8%), 학력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65> 소통 영역 문항1의 응답자 특성

(단위 : 명, %, 점)  사례수

대화 상대방의 의도를 알기 위해 귀 기울여 듣는 편이다매우

그렇다(A)

그렇다(B)

그렇지 않다(C)

전혀 그렇지 않다(D)

그렇다(A+B)

그렇지 않다(C+D)

전 체 7,500 21.2 72.4 5.8 0.5 93.6 6.4

지역

서울 1,504 23.1 72.2 4.3 0.4 95.3 4.7부산 528 25.0 70.1 4.9 0.0 95.1 4.9대구 368 19.8 73.4 5.7 1.1 93.2 6.8인천 422 20.9 69.4 9.2 0.5 90.3 9.7광주 212 17.9 74.5 7.5 0.0 92.5 7.5대전 222 20.7 76.1 3.2 0.0 96.8 3.2울산 168 25.6 68.5 6.0 0.0 94.0 6.0경기 1,767 21.9 72.8 5.0 0.3 94.7 5.3강원 228 21.9 73.7 3.5 0.9 95.6 4.4충북 230 18.7 71.7 9.1 0.4 90.4 9.6충남 318 20.1 68.9 8.2 2.8 89.0 11.0전북 276 18.1 77.9 4.0 0.0 96.0 4.0전남 282 19.1 69.9 9.6 1.4 89.0 11.0경북 403 18.9 74.4 5.7 1.0 93.3 6.7경남 486 17.7 72.2 9.7 0.4 89.9 10.1제주 86 18.6 79.1 2.3 0.0 97.7 2.3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22.4 71.9 5.4 0.4 94.3 5.7중소도시 3,436 20.6 73.0 5.8 0.6 93.6 6.4읍/면 640 18.4 72.0 8.6 0.9 90.5 9.5

연령

15~19세 584 29.6 63.7 5.8 0.9 93.3 6.720~29세 1,137 26.8 66.7 5.9 0.6 93.5 6.530~39세 1,354 20.6 74.2 4.9 0.4 94.8 5.240~49세 1,527 20.4 75.7 3.7 0.1 96.1 3.950~59세 1,384 21.7 75.4 2.8 0.1 97.1 2.960세이상 1,514 14.7 72.5 11.5 1.3 87.2 12.8

최종학력중졸이하 1,324 18.1 69.0 11.6 1.3 87.1 12.9고졸 2,291 20.8 72.5 6.2 0.6 93.2 6.8대졸이상 3,885 22.6 73.5 3.7 0.2 96.1 3.9

Page 180: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129

◎ 문25-2. 얼굴표정이나 몸짓을 보고 상대방의 기분을 이해하고자 노력한다

“얼굴표정이나 몸짓을 보고 상대방의 기분을 이해하고자 노력한다”는 의견에 대해 ‘그렇다’(매우 그렇다 + 그렇다)는 응답은 경기(93.9%), 중소도시(92.3%), 여자(93.3%), 50대(95.6%),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조사됨

반면, ‘그렇지 않다’(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충남(13.5%), 읍/면(11.9%), 남자(9.6%), 60세이상(17.5%), 학력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66> 소통 영역 문항2의 응답자 특성

(단위 : 명, %, 점)  사례수

얼굴표정이나 몸짓을 보고 상대방의 기분을 이해하고자 노력한다

매우그렇다

(A)그렇다

(B)

그렇지 않다(C)

전혀 그렇지 않다(D)

그렇다(A+B)

그렇지 않다(C+D)

전 체 7,500 20.0 71.9 7.4 0.8 91.9 8.1

지역

서울 1,504 20.8 72.2 6.6 0.4 93.0 7.0부산 528 23.3 69.7 6.8 0.2 93.0 7.0대구 368 17.7 74.5 6.8 1.1 92.1 7.9인천 422 22.5 66.1 10.7 0.7 88.6 11.4광주 212 19.8 69.3 10.4 0.5 89.2 10.8대전 222 16.7 75.2 8.1 0.0 91.9 8.1울산 168 19.0 74.4 6.0 0.6 93.5 6.5경기 1,767 21.8 72.0 5.5 0.6 93.9 6.1강원 228 18.4 75.0 5.7 0.9 93.4 6.6충북 230 14.8 74.3 9.6 1.3 89.1 10.9충남 318 17.3 69.2 10.4 3.1 86.5 13.5전북 276 16.7 74.3 8.7 0.4 90.9 9.1전남 282 19.5 71.3 8.2 1.1 90.8 9.2경북 403 17.1 71.7 8.7 2.5 88.8 11.2경남 486 18.3 71.8 9.7 0.2 90.1 9.9제주 86 17.4 76.7 4.7 1.2 94.2 5.8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20.6 71.4 7.4 0.5 92.1 7.9중소도시 3,436 20.2 72.1 6.7 1.0 92.3 7.7읍/면 640 15.0 73.1 10.9 0.9 88.1 11.9

성 남자 3,723 18.1 72.2 8.6 1.0 90.4 9.6여자 3,777 21.8 71.5 6.1 0.5 93.3 6.7

연령

15~19세 584 30.7 60.1 8.0 1.2 90.8 9.220~29세 1,137 28.5 65.2 5.5 0.9 93.7 6.330~39세 1,354 18.8 74.6 6.1 0.5 93.4 6.640~49세 1,527 19.4 76.1 4.3 0.2 95.5 4.550~59세 1,384 18.1 77.5 4.4 0.0 95.6 4.460세이상 1,514 12.8 69.7 15.5 2.0 82.5 17.5

최종학력중졸이하 1,324 17.2 65.3 15.3 2.1 82.6 17.4고졸 2,291 19.6 72.1 7.6 0.7 91.6 8.4대졸이상 3,885 21.2 74.0 4.5 0.3 95.2 4.8

Page 181: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130|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 문25-3. 다른 사람으로부터 질문을 받으면, 조리 있고 분명하게 나의 의견을 말한다

“다른 사람으로부터 질문을 받으면, 조리 있고 분명하게 나의 의견을 말한다”는 의견에 대해 ‘그렇다’(매우 그렇다 + 그렇다)는 응답은 부산(79.7%),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남자(75.4%), 50대(83.4%),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조사됨

반면, ‘그렇지 않다’(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충북(32.2%),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여자(26.1%), 60세이상(37.9%), 학력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67> 소통 영역 문항3의 응답자 특성

(단위 : 명, %, 점)  사례수

다른 사람으로부터 질문을 받으면, 조리 있고 분명하게 나의 의견을 말한다

매우그렇다

(A)그렇다

(B)

그렇지 않다(C)

전혀 그렇지 않다(D)

그렇다(A+B)

그렇지 않다(C+D)

전 체 7,500 14.1 60.6 23.9 1.5 74.6 25.4

지역

서울 1,504 15.6 62.4 20.5 1.5 78.0 22.0부산 528 19.5 60.2 20.1 0.2 79.7 20.3대구 368 12.0 66.8 19.8 1.4 78.8 21.2인천 422 14.5 59.0 25.6 0.9 73.5 26.5광주 212 14.2 60.8 24.1 0.9 75.0 25.0대전 222 14.4 62.2 22.5 0.9 76.6 23.4울산 168 14.3 60.1 23.8 1.8 74.4 25.6경기 1,767 15.3 57.7 25.6 1.4 73.1 26.9강원 228 10.1 64.0 23.2 2.6 74.1 25.9충북 230 13.5 54.3 30.4 1.7 67.8 32.2충남 318 9.7 58.2 28.6 3.5 67.9 32.1전북 276 10.1 63.8 26.1 0.0 73.9 26.1전남 282 11.0 64.2 23.4 1.4 75.2 24.8경북 403 11.9 58.8 26.1 3.2 70.7 29.3경남 486 11.3 60.3 26.7 1.6 71.6 28.4제주 86 10.5 68.6 19.8 1.2 79.1 20.9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15.4 61.9 21.5 1.2 77.3 22.7중소도시 3,436 13.6 59.3 25.3 1.7 73.0 27.0읍/면 640 9.1 59.8 29.1 2.0 68.9 31.1

성 남자 3,723 14.4 61.0 23.0 1.6 75.4 24.6여자 3,777 13.7 60.2 24.8 1.3 73.9 26.1

연령

15~19세 584 18.2 55.0 24.8 2.1 73.1 26.920~29세 1,137 16.3 56.5 25.9 1.4 72.7 27.330~39세 1,354 13.7 62.6 22.7 1.0 76.3 23.740~49세 1,527 14.4 65.2 20.0 0.4 79.6 20.450~59세 1,384 14.7 68.6 16.1 0.5 83.4 16.660세이상 1,514 10.2 51.9 34.1 3.8 62.1 37.9

최종학력

중졸이하 1,324 11.1 50.2 35.0 3.8 61.3 38.7고졸 2,291 12.6 59.8 25.8 1.8 72.4 27.6대졸이상 3,885 15.9 64.6 19.0 0.5 80.5 19.5

Page 182: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131

◎ 문26-1. 귀하는 디지털 카메라나 휴대폰으로 촬영한 사진을 가족, 친구, 동료와 얼마

나 자주 공유하십니까?

“귀하는 디지털 카메라나 휴대폰으로 촬영한 사진을 가족, 친구, 동료와 얼마나 자주 공유하십니까?”는 의견에 대해 ‘자주한다’(매우 자주한다 + 자주한다)는 응답은 전북(57.2%),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50대(62.8%),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조사됨

반면, ‘하지 않는다’(별로 하지 않는다 + 전혀 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전남(58.2%),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60세이상(79.4%), 학력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68> 소통 영역 문항4의 응답자 특성

(단위 : 명, %, 점)  사례수

귀하는 디지털 카메라나 휴대폰으로 촬영한 사진을 가족, 친구, 동료와 얼마나 자주 공유하십니까?

매우 자주한다

(A)

자주한다(B)

별로 하지않는

다(C)

전혀 하지않는

다(D)

자주한다(A+B)

하지 않는다(C+D)

전 체 7,500 9.9 40.2 35.3 14.6 50.2 49.8

지역

서울 1,504 11.6 40.0 34.8 13.6 51.6 48.4부산 528 8.0 45.5 29.7 16.9 53.4 46.6대구 368 9.5 37.8 41.0 11.7 47.3 52.7인천 422 9.7 42.2 31.3 16.8 51.9 48.1광주 212 9.4 42.5 38.7 9.4 51.9 48.1대전 222 9.0 45.0 41.9 4.1 54.1 45.9울산 168 10.7 38.7 31.5 19.0 49.4 50.6경기 1,767 11.1 39.3 37.6 11.9 50.4 49.6강원 228 8.8 43.9 26.3 21.1 52.6 47.4충북 230 8.7 38.3 34.3 18.7 47.0 53.0충남 318 7.9 38.4 35.5 18.2 46.2 53.8전북 276 13.4 43.8 34.8 8.0 57.2 42.8전남 282 6.4 35.5 36.5 21.6 41.8 58.2경북 403 9.7 34.2 31.5 24.6 43.9 56.1경남 486 7.6 42.2 34.8 15.4 49.8 50.2제주 86 3.5 40.7 47.7 8.1 44.2 55.8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10.3 41.3 34.8 13.7 51.5 48.5중소도시 3,436 10.3 40.8 35.7 13.2 51.1 48.9읍/면 640 6.4 31.7 35.3 26.6 38.1 61.9

연령

15~19세 584 13.9 37.5 40.1 8.6 51.4 48.620~29세 1,137 15.7 41.1 37.1 6.1 56.8 43.230~39세 1,354 11.7 48.3 37.1 3.0 60.0 40.040~49세 1,527 9.0 44.9 42.5 3.5 54.0 46.050~59세 1,384 11.3 51.4 34.7 2.5 62.8 37.260세이상 1,514 2.2 18.4 23.6 55.7 20.6 79.4

최종학력

중졸이하 1,324 4.9 16.0 25.2 53.9 20.9 79.1고졸 2,291 10.0 41.6 37.5 11.0 51.5 48.5대졸이상 3,885 11.7 47.7 37.4 3.2 59.4 40.6

Page 183: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132|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 문26-2. 귀하는 홈페이지, 블로그, SNS(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트위터, 페이스북, 밴

드 등)를 이용하여 여러 사람들이 읽을 수 있는 글을 얼마나 자주 쓰십니까?

“귀하는 홈페이지, 블로그, SNS(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등)를 이용하여 여러 사람들이 읽을 수 있는 글을 얼마나 자주 쓰십니까?”는 의견에 대해 ‘자주한다’(매우 자주한다 + 자주한다)는 응답은 울산(44.0%),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50대(51.7%),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조사됨

반면, ‘하지 않는다’(별로 하지 않는다 + 전혀 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충북(67.4%),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60세이상(88.2%), 학력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69> 소통 영역 문항5의 응답자 특성

(단위 : 명, %, 점)  사례수

귀하는 홈페이지, 블로그, SNS(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등)를 이용하여 여러 사람들이 읽을

수 있는 글을 얼마나 자주 쓰십니까?

매우 자주한다

(A)

자주한다(B)

별로 하지않는

다(C)

전혀 하지않는

다(D)

자주한다(A+B)

하지 않는다(C+D)

전 체 7,500 9.2 29.7 39.1 22.0 38.9 61.1

지역

서울 1,504 10.0 31.3 37.2 21.4 41.4 58.6부산 528 9.5 30.3 36.9 23.3 39.8 60.2대구 368 6.5 33.7 40.2 19.6 40.2 59.8인천 422 8.3 28.2 41.5 22.0 36.5 63.5광주 212 6.6 35.8 42.9 14.6 42.5 57.5대전 222 8.6 33.8 46.4 11.3 42.3 57.7울산 168 13.7 30.4 32.1 23.8 44.0 56.0경기 1,767 10.2 28.1 41.3 20.3 38.4 61.6강원 228 8.3 30.7 36.0 25.0 39.0 61.0충북 230 9.1 23.5 37.4 30.0 32.6 67.4충남 318 7.9 29.9 34.9 27.4 37.7 62.3전북 276 6.2 34.1 38.0 21.7 40.2 59.8전남 282 6.7 26.6 39.7 27.0 33.3 66.7경북 403 9.4 25.8 35.2 29.5 35.2 64.8경남 486 9.7 28.2 40.7 21.4 37.9 62.1제주 86 4.7 32.6 45.3 17.4 37.2 62.8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9.2 31.4 38.7 20.6 40.7 59.3중소도시 3,436 9.9 28.7 40.2 21.2 38.6 61.4읍/면 640 4.8 26.1 34.8 34.2 30.9 69.1

연령

15~19세 584 15.6 26.2 41.1 17.1 41.8 58.220~29세 1,137 12.0 29.2 44.5 14.2 41.2 58.830~39세 1,354 11.6 35.5 44.5 8.4 47.0 53.040~49세 1,527 9.2 34.8 46.8 9.2 44.0 56.050~59세 1,384 10.0 41.7 41.2 7.1 51.7 48.360세이상 1,514 1.5 10.3 19.6 68.6 11.8 88.2

최종학력중졸이하 1,324 4.8 10.9 20.6 63.7 15.7 84.3고졸 2,291 9.1 28.5 42.3 20.1 37.6 62.4대졸이상 3,885 10.7 36.9 43.5 9.0 47.5 52.5

Page 184: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133

◎ 문26-3. 귀하는 홈페이지, 블로그, SNS(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트위터, 페이스북, 밴

드 등)에 있는 다른 사람들의 글에 대하여 얼마나 자주 공감을 표하십니까?

“귀하는 홈페이지, 블로그, SNS(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등)에 있는 다른 사람들의 글에 대하여 얼마나 자주 공감을 표하십니까?”는 의견에 대해 ‘자주한다’(매우 자주한다 + 자주한다)는 응답은 광주(49.5%),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50대(58.1%),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조사됨

반면, ‘하지 않는다’(별로 하지 않는다 + 전혀 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충북(64.3%),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60세이상(87.8%), 학력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70> 소통 영역 문항6의 응답자 특성

(단위 : 명, %, 점)  사례수

귀하는 홈페이지, 블로그, SNS(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등)에 있는 다른 사람들의 글에

대하여 얼마나 자주 공감을 표하십니까?

매우 자주한다

(A)

자주한다(B)

별로 하지않는

다(C)

전혀 하지않는

다(D)

자주한다(A+B)

하지 않는다(C+D)

전 체 7,500 9.1 36.1 34.0 20.9 45.2 54.8

지역

서울 1,504 10.4 36.8 33.4 19.3 47.3 52.7부산 528 6.4 39.6 32.2 21.8 46.0 54.0대구 368 8.2 37.2 36.1 18.5 45.4 54.6인천 422 9.2 37.0 32.7 21.1 46.2 53.8광주 212 7.1 42.5 33.0 17.5 49.5 50.5대전 222 7.2 36.5 44.6 11.7 43.7 56.3울산 168 13.1 32.1 31.5 23.2 45.2 54.8경기 1,767 10.2 36.4 35.1 18.3 46.6 53.4강원 228 7.0 37.3 31.1 24.6 44.3 55.7충북 230 7.4 28.3 37.0 27.4 35.7 64.3충남 318 8.2 34.9 31.1 25.8 43.1 56.9전북 276 7.2 37.0 32.6 23.2 44.2 55.8전남 282 7.1 33.7 32.6 26.6 40.8 59.2경북 403 8.9 30.3 30.3 30.5 39.2 60.8경남 486 8.8 36.6 33.1 21.4 45.5 54.5제주 86 9.3 31.4 48.8 10.5 40.7 59.3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9.1 37.4 34.0 19.4 46.6 53.4중소도시 3,436 9.7 36.2 34.7 19.4 45.9 54.1읍/면 640 5.0 28.9 30.0 36.1 33.9 66.1

연령

15~19세 584 15.6 39.6 32.2 12.7 55.1 44.920~29세 1,137 12.7 39.5 36.1 11.7 52.2 47.830~39세 1,354 10.5 42.1 39.5 7.9 52.6 47.440~49세 1,527 8.7 41.9 42.4 7.0 50.6 49.450~59세 1,384 10.4 47.7 36.2 5.7 58.1 41.960세이상 1,514 1.7 10.5 17.6 70.3 12.2 87.8

최종학력중졸이하 1,324 4.5 14.3 17.6 63.6 18.8 81.2고졸 2,291 9.8 35.5 35.9 18.8 45.3 54.7대졸이상 3,885 10.2 43.9 38.4 7.5 54.1 45.9

Page 185: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134|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2.10. 관용

2.10.1. 관용 영역 종합

‘나와 다른 배경/정체성/신념에 대해 거부하지 않고 기본권을 인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관용 지표는 2.92점으로 조사됨

세부 문항별로 살펴보면, “나와 다른 가치관을 가지고 있는 상대방의 주장도 귀담아 듣는다” 문항이 3.02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다음으로 “나는 정치적ㆍ종교적 신념이 다르다고 해서 차별하지 않는다”(3.01점)의 순으로 나타남

반면, “나는 외국인이나 낯선 문화를 접할 때 거부감 없이 대한다” 문항은 평균 2.77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남

<그림3-64> 세부 문항별_관용 영역

Page 186: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135

2.10.2. 응답자 특성별 관용

◆ 성·연령별

관용은 여자와 남자(각각 2.92점)가 같은 것으로 조사됨 ▪ 전반적으로 연령이 낮을수록 관용이 높게 나타남 ▪ 특히, 10대 여자의 관용(3.08점)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다음으로 20대 여자(3.01

점)가 높았음

<그림3-65> 성·연령별 관용

◆ 최종학력 및 월평균 가구소득별 관용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관용이 높게 나타남

<그림3-66> 최종학력 및 월평균 가구소득별 관용

Page 187: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136|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 비정규 문화예술교육 경험별 관용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을 경험한 응답자의 관용(2.97점)이 경험하지 않은 응

답자(2.78점) 보다 높게 나타남

◆ 자녀의 취학상태별 관용

관용은 미혼자(2.99점)가 기혼자(2.88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남

기혼자들 중 ‘학생’자녀가 있는 응답자의 관용(2.94점)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자녀가 없는’ 응답자의 관용(2.78점)이 가장 낮게 나타남

<그림3-67> 비정규 문화예술교육 및 자녀의 취학상태별 관용

◎ 관용과 ‘삶의 질’ 및 ‘문화예술활동 현황’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관용 지표를 기준으로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을 구분하여 분석에 포함함

- 관용이 높은 집단(N=4,088) : 관용 지표가 전체 평균(2.92점)이상인 응답자 집단 - 관용이 낮은 집단(N=3,412) : 관용 지표가 전체 평균(2.92점)이하인 응답자 집단

2.10.3. 관용과 삶의 질

관용과 삶의 질을 살펴보면, 관용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행복도와 만족도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남

▪ 행복도 : 관용이 높은 집단(6.53점) > 관용이 낮은 집단(6.18점) ▪ 만족도 : 관용이 높은 집단(6.10점) > 관용이 낮은 집단(5.83점)

Page 188: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137

<그림3-68> 관용과 삶의 질

2.10.4. 관용과 문화예술 행사 관람

관용에 따른 문화예술 행사 관람 횟수를 살펴보면, 관용이 높은 집단이 음악공연을 제외한 모든 문화예술 행사에 대한 평균 관람 횟수가 많은 것으로 조사됨

▪ 영화관람 : 관용이 높은 집단(7.16회) > 관용이 낮은 집단(6.10회) ▪ 역사문화유적지 탐방 : 관용이 높은 집단(2.40회) > 관용이 낮은 집단(2.16회)

<그림3-69> 관용과 문화예술 행사 관람

Page 189: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138|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2.10.5. 세부 문항별 응답자 특성

◎ 문27-1. 나와 다른 가치관을 가지고 있는 상대방의 주장도 귀담아 듣는다

“나와 다른 가치관을 가지고 있는 상대방의 주장도 귀담아 듣는다”는 의견에 대해 ‘그렇다’(매우 그렇다 + 그렇다)는 응답은 대전(92.8%),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여자(89.5%), 40대(91.4%),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조사됨.

반면, ‘그렇지 않다’(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전남(19.9%),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남자(11.6%), 60세이상(16.8%), 학력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71> 관용 영역 문항1의 응답자 특성

(단위 : 명, %, 점)  사례수

나와 다른 가치관을 가지고 있는 상대방의 주장도 귀담아 듣는다매우

그렇다(A)

그렇다(B)

그렇지 않다(C)

전혀 그렇지 않다(D)

그렇다(A+B)

그렇지 않다(C+D)

전 체 7,500 13.5 75.4 10.2 0.9 88.9 11.1

지역

서울 1,504 15.6 75.4 8.2 0.8 91.0 9.0부산 528 15.9 73.7 10.0 0.4 89.6 10.4대구 368 13.0 75.3 11.4 0.3 88.3 11.7인천 422 14.2 75.4 10.0 0.5 89.6 10.4광주 212 15.1 70.8 13.2 0.9 85.8 14.2대전 222 11.3 81.5 6.3 0.9 92.8 7.2울산 168 16.1 75.0 8.9 0.0 91.1 8.9경기 1,767 12.8 77.3 9.6 0.3 90.1 9.9강원 228 8.8 82.5 6.1 2.6 91.2 8.8충북 230 12.6 71.7 15.2 0.4 84.3 15.7충남 318 11.6 68.6 15.1 4.7 80.2 19.8전북 276 15.9 75.4 8.0 0.7 91.3 8.7전남 282 11.7 68.4 17.7 2.1 80.1 19.9경북 403 9.9 78.4 9.7 2.0 88.3 11.7경남 486 13.4 75.1 11.1 0.4 88.5 11.5제주 86 10.5 74.4 15.1 0.0 84.9 15.1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14.9 75.2 9.3 0.6 90.1 9.9중소도시 3,436 12.7 76.5 9.9 1.0 89.1 10.9읍/면 640 10.6 71.3 16.4 1.7 81.9 18.1

성 남자 3,723 14.2 74.2 10.6 1.0 88.4 11.6여자 3,777 12.9 76.6 9.7 0.8 89.5 10.5

연령

15~19세 584 21.4 68.7 8.7 1.2 90.1 9.920~29세 1,137 17.2 73.1 9.1 0.7 90.2 9.830~39세 1,354 14.4 74.9 10.2 0.5 89.3 10.740~49세 1,527 11.6 79.8 8.4 0.2 91.4 8.650~59세 1,384 11.3 79.4 8.8 0.4 90.8 9.260세이상 1,514 10.8 72.3 14.5 2.4 83.2 16.8

최종학력중졸이하 1,324 13.3 69.5 15.0 2.2 82.8 17.2고졸 2,291 13.4 74.5 11.0 1.1 87.9 12.1대졸이상 3,885 13.7 78.0 8.0 0.3 91.7 8.3

Page 190: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139

◎ 문27-2. 나는 정치적ㆍ종교적 신념이 다르다고 해서 차별하지 않는다

“나는 정치적ㆍ종교적 신념이 다르다고 해서 차별하지 않는다”는 의견에 대해 ‘그렇다’(매우 그렇다 + 그렇다)는 응답은 부산 및 인천(각각 88.6%),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여자(86.1%), 50대(87.8%),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남

반면, ‘그렇지 않다’(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충북(21.7%),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남자(14.7%), 60세이상(18.2%), 학력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72> 관용 영역 문항2의 응답자 특성

(단위 : 명, %, 점)  사례수

나는 정치적ㆍ종교적 신념이 다르다고 해서 차별하지 않는다매우

그렇다(A)

그렇다(B)

그렇지 않다(C)

전혀 그렇지 않다(D)

그렇다(A+B)

그렇지 않다(C+D)

전 체 7,500 16.6 69.1 13.0 1.3 85.7 14.3

지역

서울 1,504 17.4 69.4 12.4 0.7 86.8 13.2부산 528 20.8 67.8 11.2 0.2 88.6 11.4대구 368 14.1 70.7 14.7 0.5 84.8 15.2인천 422 16.4 72.3 10.9 0.5 88.6 11.4광주 212 16.0 69.3 11.3 3.3 85.4 14.6대전 222 15.3 72.1 11.7 0.9 87.4 12.6울산 168 16.7 69.0 13.1 1.2 85.7 14.3경기 1,767 18.0 68.5 12.5 1.0 86.5 13.5강원 228 12.3 74.1 11.4 2.2 86.4 13.6충북 230 15.2 63.0 19.6 2.2 78.3 21.7충남 318 18.9 63.8 13.2 4.1 82.7 17.3전북 276 14.5 68.5 15.9 1.1 83.0 17.0전남 282 13.5 67.7 14.9 3.9 81.2 18.8경북 403 16.9 67.7 13.2 2.2 84.6 15.4경남 486 11.9 72.8 14.4 0.8 84.8 15.2제주 86 9.3 68.6 17.4 4.7 77.9 22.1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17.2 69.8 12.2 0.8 87.0 13.0중소도시 3,436 16.4 69.0 13.2 1.5 85.3 14.7읍/면 640 14.2 66.3 16.3 3.3 80.5 19.5

성 남자 3,723 17.6 67.6 13.3 1.5 85.3 14.7여자 3,777 15.5 70.6 12.7 1.2 86.1 13.9

연령

15~19세 584 25.7 59.2 13.4 1.7 84.9 15.120~29세 1,137 22.7 63.1 13.0 1.1 85.8 14.230~39세 1,354 17.0 68.8 13.4 0.8 85.8 14.240~49세 1,527 13.8 73.9 11.9 0.4 87.7 12.350~59세 1,384 14.2 73.6 11.6 0.7 87.8 12.260세이상 1,514 13.0 68.8 15.0 3.2 81.8 18.2

최종학력

중졸이하 1,324 15.6 66.5 14.7 3.2 82.2 17.8고졸 2,291 16.8 67.3 14.4 1.5 84.1 15.9대졸이상 3,885 16.7 71.1 11.6 0.5 87.8 12.2

Page 191: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140|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 문27-3. 나의 이웃으로 다른 인종의 외국인이 이사 온다면 마음이 불편할 것이다

“나의 이웃으로 다른 인종의 외국인이 이사 온다면 마음이 불편할 것이다”는 의견에 대해 ‘그렇다’(매우 그렇다 + 그렇다)는 응답은 부산(31.1%), 중소도시(27.7%), 남자(28.0%), 60세이상(36.7%), 학력이 낮을수록 높게 조사됨

반면, ‘그렇지 않다’(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울산(78.6%), 읍/면(75.6%), 여자(73.5%), 50대(79.0%),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73> 관용 영역 문항3의 응답자 특성

(단위 : 명, %, 점)  사례수

나의 이웃으로 다른 인종의 외국인이 이사 온다면 마음이 불편할 것이다매우

그렇다(A)

그렇다(B)

그렇지 않다(C)

전혀 그렇지 않다(D)

그렇다(A+B)

그렇지 않다(C+D)

전 체 7,500 4.1 23.2 53.4 19.3 27.3 72.7

지역

서울 1,504 5.0 23.3 52.1 19.7 28.3 71.7부산 528 5.7 25.4 50.8 18.2 31.1 68.9대구 368 2.7 22.0 56.8 18.5 24.7 75.3인천 422 5.0 18.5 59.0 17.5 23.5 76.5광주 212 4.2 22.2 55.7 17.9 26.4 73.6대전 222 3.2 27.0 52.7 17.1 30.2 69.8울산 168 1.8 19.6 58.9 19.6 21.4 78.6경기 1,767 3.6 23.9 50.1 22.4 27.5 72.5강원 228 3.1 25.0 55.7 16.2 28.1 71.9충북 230 1.3 21.3 55.2 22.2 22.6 77.4충남 318 2.5 20.8 56.9 19.8 23.3 76.7전북 276 2.2 25.0 53.3 19.6 27.2 72.8전남 282 2.8 20.6 58.9 17.7 23.4 76.6경북 403 7.4 25.3 51.4 15.9 32.8 67.2경남 486 4.9 22.2 55.8 17.1 27.2 72.8제주 86 2.3 27.9 57.0 12.8 30.2 69.8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4.5 22.9 53.8 18.8 27.4 72.6중소도시 3,436 3.8 23.8 51.7 20.6 27.7 72.3읍/면 640 3.1 21.3 59.8 15.8 24.4 75.6

성 남자 3,723 4.0 24.0 53.3 18.7 28.0 72.0여자 3,777 4.2 22.3 53.5 20.0 26.5 73.5

연령

15~19세 584 4.5 21.7 39.9 33.9 26.2 73.820~29세 1,137 6.2 18.1 46.1 29.6 24.3 75.730~39세 1,354 3.5 25.2 52.1 19.3 28.7 71.340~49세 1,527 3.6 21.4 58.9 16.1 25.0 75.050~59세 1,384 2.2 18.7 62.4 16.6 21.0 79.060세이상 1,514 5.2 31.6 51.5 11.8 36.7 63.3

최종학력

중졸이하 1,324 5.4 29.3 46.8 18.4 34.7 65.3고졸 2,291 3.9 23.0 53.5 19.6 26.9 73.1대졸이상 3,885 3.7 21.2 55.5 19.5 24.9 75.1

Page 192: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141

◎ 문27-4. 나는 외국인이나 낯선 문화를 접할 때 거부감 없이 대한다

“나는 외국인이나 낯선 문화를 접할 때 거부감 없이 대한다”는 의견에 대해 ‘그렇다’(매우 그렇다 + 그렇다)는 응답은 대구(73.1%), 출신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남자(69.8%), 10대(78.3%),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조사됨

반면, ‘그렇지 않다’(그렇지 않다 + 전혀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전남(40.4%), 출신지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여자(32.6%), 60세이상(51.5%), 학력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남

<표3-74> 관용 영역 문항4의 응답자 특성

(단위 : 명, %, 점)  사례수

나는 외국인이나 낯선 문화를 접할 때 거부감 없이 대한다매우

그렇다(A)

그렇다(B)

그렇지 않다(C)

전혀 그렇지 않다(D)

그렇다(A+B)

그렇지 않다(C+D)

전 체 7,500 11.2 57.4 28.3 3.1 68.6 31.4

지역

서울 1,504 13.7 58.5 25.7 2.1 72.2 27.8부산 528 12.5 56.1 28.2 3.2 68.6 31.4대구 368 10.6 62.5 26.1 .8 73.1 26.9인천 422 10.2 53.3 33.4 3.1 63.5 36.5광주 212 10.4 59.4 28.3 1.9 69.8 30.2대전 222 10.8 59.5 28.4 1.4 70.3 29.7울산 168 11.3 56.0 29.2 3.6 67.3 32.7경기 1,767 11.5 58.6 27.6 2.3 70.1 29.9강원 228 8.3 59.6 28.1 3.9 68.0 32.0충북 230 10.4 50.9 36.5 2.2 61.3 38.7충남 318 8.8 55.7 28.6 6.9 64.5 35.5전북 276 11.2 51.8 30.1 6.9 63.0 37.0전남 282 11.0 48.6 35.8 4.6 59.6 40.4경북 403 9.9 60.8 25.6 3.7 70.7 29.3경남 486 8.4 56.8 28.6 6.2 65.2 34.8제주 86 8.1 62.8 26.7 2.3 70.9 29.1

출신지역크기

대도시 3,424 12.2 57.9 27.6 2.2 70.2 29.8중소도시 3,436 10.7 57.9 27.9 3.5 68.6 31.4읍/면 640 8.6 51.7 34.2 5.5 60.3 39.7

성 남자 3,723 11.5 58.3 26.9 3.3 69.8 30.2여자 3,777 10.9 56.5 29.6 2.9 67.4 32.6

연령

15~19세 584 17.1 61.1 19.7 2.1 78.3 21.720~29세 1,137 17.1 55.1 25.6 2.2 72.2 27.830~39세 1,354 12.2 58.2 27.9 1.7 70.4 29.640~49세 1,527 10.3 63.5 24.9 1.4 73.7 26.350~59세 1,384 11.4 64.8 22.3 1.4 76.2 23.860세이상 1,514 4.6 43.9 42.8 8.7 48.5 51.5

최종학력

중졸이하 1,324 8.0 45.8 38.6 7.6 53.9 46.1고졸 2,291 10.7 55.6 30.4 3.3 66.3 33.7대졸이상 3,885 12.6 62.4 23.5 1.5 75.0 25.0

Page 193: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142|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3. 삶의 질

3.1. 어제의 행복도

일반국민의 어제의 행복도는 평균 6.37점으로 보통 수준으로 나타남

▪ 행복도는 11점 척도를 10점 만점으로 환산함

‘어제 행복했다’는 응답은 53.2%로 가장 높게 나타남

‘보통’이었다는 응답은 37.7%, ‘행복하지 않았다’는 9.1%로 조사됨

<그림3-70> 어제의 행복도

어제의 행복도에 대해 ‘행복했다’라는 응답은 여자(54.8%), 60세이상(61.8%), 중졸이하(57.3%)에서 높게 나타남

‘행복하지 않음’이라는 응답은 남자(8.9%), 20대(12.7%), 고졸(11.4%)에서 높았음

<표3-75> 응답자 특성별 어제의 행복도

(단위 : 명, %, 점)  사례수종합평가

행복하지 않음 보통 행복했다

전 체 7,500 9.1 37.7 53.2

성 남자 3,723 8.9 39.5 51.6

여자 3,777 8.2 36.0 54.8

연령

15~19세 584 11.5 36.8 51.7

20~29세 1,137 12.7 38.7 48.6

30~39세 1,354 10.9 38.0 51.1

40~49세 1,527 10.6 37.5 51.9

50~59세 1,384 8.1 40.3 51.6

60세이상 1,514 3.1 35.1 61.8

최종학력

중졸이하 1,324 5.8 36.9 57.3

고졸 2,291 11.4 39.4 49.2

대졸이상 3,885 8.8 37.1 54.2

Page 194: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143

3.2. 삶에 대한 만족도

일반국민의 삶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5.98점으로 보통 수준으로 나타남

▪ 만족도는 11점 척도를 10점 만점으로 환산함

‘만족한다’는 응답은 45.2%로 가장 높게 나타남

‘보통’이었다는 응답은 42.0%, ‘만족하지 않음’은 12.8%로 조사됨

<그림3-71> 삶에 대한 만족도

삶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 ‘만족한다’라는 응답은 여자(47.7%), 60세이상(54.2%), 중졸이하(48.1%)에서 높게 나타남

반면, ‘만족하지 않음’은 남자(13.2%), 20대(18.7%), 고졸(15.5%)에서 높게 조사됨

<표3-76> 응답자 특성별 삶에 대한 만족도

(단위 : 명, %, 점)  사례수

종합평가

만족하지 않음 보통 만족한다

전 체 7,500 12.8 42.0 45.2

성 남자 3,723 13.2 44.2 42.6

여자 3,777 12.4 39.8 47.7

연령

15~19세 584 16.8 41.6 41.6

20~29세 1,137 18.7 42.7 38.6

30~39세 1,354 15.2 42.3 42.5

40~49세 1,527 15.0 40.5 44.5

50~59세 1,384 11.8 42.6 45.7

60세이상 1,514 3.5 42.3 54.2

최종학력

중졸이하 1,324 7.2 44.7 48.1

고졸 2,291 15.5 42.7 41.8

대졸이상 3,885 13.2 40.6 46.2

Page 195: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144|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3.3. 일에 대한 가치 부여도

일반국민의 일에 대한 가치 부여도는 평균 6.21점으로 보통 수준으로 나타남

▪ 부여도는 11점 척도를 10점 만점으로 환산함

‘가치있다’는 응답은 48.0%로 가장 높게 나타남

‘보통’이었다는 응답은 42.1%, ‘가치없다’는 9.9%로 조사됨

<그림3-72> 일에 대한 가치 부여도

일에 대한 가치 부여도에 대해 ‘가치있다’는 응답은 여자(48.8%), 60세이상(53.5%), 대졸이상(50.6%)에서 높게 나타남

반면, ‘가치없다’는 응답은 남자(10.1%), 20대(15.8%), 고졸(12.5%)에서 높게 조사됨

<표3-77> 응답자 특성별 일에 대한 가치 부여도

(단위 : 명, %, 점)  사례수

종합평가

가치없다 보통 가치있다

전 체 7,500 9.9 42.1 48.0

성 남자 3,723 10.1 42.7 47.2

여자 3,777 9.6 41.6 48.8

연령

15~19세 584 15.6 42.6 41.8

20~29세 1,137 15.8 42.6 41.6

30~39세 1,354 11.4 42.6 46.0

40~49세 1,527 10.1 40.9 49.0

50~59세 1,384 8.2 41.0 50.9

60세이상 1,514 3.2 43.3 53.5

최종학력

중졸이하 1,324 6.2 46.8 47.0

고졸 2,291 12.5 43.2 44.3

대졸이상 3,885 9.6 39.9 50.6

Page 196: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145

3.4. 문화역량과 삶의 질

모든 문화역량 세부 지표에서 점수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 행복도와 만족도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남

▪ 행복도는 소통에서 집단 간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나고, 표현력, 관심·지식 및 이해의 순으로 차이가 크게 나타남

▪ 만족도는 표현력에서 집단 간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나고, 소통, 관심·지식 및 이해의 순으로 차이가 크게 나타남

<표 3-78> 문화역량과 삶의 질

행복도 만족도

평균 Gap t값 유의확률 평균 Gap t값 유의확률

감수성

높은 집단(N=3,990)

6.56점0.34점 7.448 0.000**

6.14점0.29점 5.890 0.000**

낮은 집단(N=4,110)

6.22점 5.85점

상상력

높은 집단(N=4.304)

6.44점0.16점 3.387 0.001**

6.02점0.10점 2.090 0.037*

낮은 집단(N=3,196)

6.28점 5.92점

관심·지식

높은 집단(N=3,290)

6.65점0.50점 10.727 0.000**

6.28점0.53점 11.016 0.000**

낮은 집단(N=4,210)

6.15점 5.75점

이해

높은 집단(N=3,547)

6.64점0.50점 10.754 0.000**

6.26점0.53점 10.997 0.000**

낮은 집단(N=3,953)

6.14점 5.73점

표현력

높은 집단(N=3,538)

6.73점0.67점 14.481 0.000**

6.37점0.74점 15.422 0.000**

낮은 집단(N=3,962)

6.06점 5.63점

공감

높은 집단(N=2,784)

6.66점0.45점 9.461 0.000**

6.22점0.38점 7.795 0.000**

낮은 집단(N=4,716)

6.21점 5.84점

소통

높은 집단(N=3,459)

6.74점0.68점 14.820 0.000**

6.32점0.67점 13.369 0.000**

낮은 집단(N=4,041)

6.06점 5.68점

관용

높은 집단(N=4,088)

6.53점0.35점 7.575 0.000**

6.10점0.27점 5.646 0.000**

낮은 집단(N=3,412)

6.18점 5.83점

Page 197: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146|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3.5. 문화예술활동 참여와 삶의 질

영화 관람을 제외한 모든 문화예술활동 참여 경험에 따른 삶의 질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남

▪ 행복도는 음악 공연 참여 경험에서 집단 간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나고, 만족도는 무용 공연 참여 경험에 따른 집단 간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남

<표 3-79> 문화예술활동 참여와 삶의 질

행복도 만족도

평균 Gap t값 유의확률 평균 Gap t값 유의확률

전통예술공연

경험있음(N=2,644)

6.66점0.44점 9.254 0.000**

6.32점0.53점 10.545 0.000**

경험없음(N=4,856)

6.22점 5.79점

연극 공연

경험있음(N=3,676)

6.53점0.30점 6.410 0.000**

6.14점0.32점 6.710 0.000*

경험없음(N=3,824)

6.23점 5.82점

영화 관람

경험있음(N=5,376)

6.39점0.06점 1.113 0.266

5.98점- 0.121 0.903

경험없음(N=2,124)

6.33점 5.98점

무용 공연

경험있음(N=1,308)

6.78점0.49점 8.013 0.000**

6.45점0.57점 8.949 0.000**

경험없음(N=6,192)

6.29점 5.88점

음악 공연

경험있음(N=3,354)

6.54점0.70점 6.483 0.000**

6.15점0.31점 6.504 0.000**

경험없음(N=4,146)

6.24점 5.84점

전시회

경험있음(N=3,917)

6.47점0.21점 4.556 0.000**

6.06점0.17점 3.411 0.001**

경험없음(N=3,583)

6.26점 5.89점

문학 행사

경험있음(N=1,966)

6.69점0.43점 8.239 0.000**

6.34점0.49점 9.070 0.000**

경험없음(N=5,534)

6.26점 5.85점

지역 문화예술 행사·축제

경험있음(N=4,914)

6.54점0.47점 9.658 0.000**

6.13점0.44점 8.691 0.000**

경험없음(N=2,586)

6.07점 5.69점

문학 행사

경험있음(N=4,394)

6.55점0.42점 8.975 0.000**

6.15점0.41점 8.455 0.000**

경험없음(N=3,106)

6.13점 5.74점

Page 198: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147

3.6. 문화 동호회 활동 참여와 삶의 질

문화활동을 위한 동호회 참여에 따른 행복도와 만족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남 ▪ 문화 동호회 활동 참여하는 응답자가 참여하지 않는 응답자의 보다 행복도가 0.61

점 높게 나타나고, 만족도가 0.63점 높았음

<표 3-80> 문화 동호회 활동 참여와 삶의 질

행복도 만족도

평균 Gap t값 유의확률 평균 Gap t값 유의확률

동호회 활동

참여(N=985)

6.90점

0.61점 8.834 0.000**

6.53점

0.63점 8.990 0.000**비참여

(N=6,515)6.29점 5.90점

◎ 총평

- 문화역량 세부 지표 중 관심·지식, 이해, 표현력, 소통에 따른 집단 간 행복도와 만

족도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남에 따라 문화역량 세부 지표별 우선 순위를

설정하고 삶의 질에 영향력이 강한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우선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함

- 또한, 문화예술활동 참여 경험과 문화활동을 위한 동호회 활동 참여에 따른 행복도

와 만족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남에 따라 다양한 계층이 참여할 수 있는 문화예

술 활동 확대를 통해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됨

Page 199: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148|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4. 특성별 문화역량

4.1. 성별

4.1.1. 성별에 따른 문화역량 비교

성별에 따른 문화역량 세부 지표들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남

상상력(Gap 0.10점), 감수성(Gap 0.09점), 공감(Gap 0.06점)의 성별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남

▪ 반면, 관용(Gap 0.00점), 이해(Gap 0.02점)는 성별 편차가 상대적으로 작음

상상력은 ‘남자’가 2.75점, ‘여자’가 2.65점으로 나타남

감수성은 ‘남자’가 2.77점, ‘여자’가 2.86점으로 조사됨

<표 3-81> 성별 문화역량 지표 비교

(단위 : 명, 점)

사례수 감수성 상상력 관심·지식 이해 표현력 공감 소통 관용

전체 7,500 2.82 2.70 2.32 2.78 2.57 3.07 2.70 2.92

남(A) 3,723 2.77 2.75 2.30 2.77 2.56 3.04 2.68 2.92

여(B) 3,777 2.86 2.65 2.33 2.79 2.59 3.10 2.71 2.92

Gap(A-B) - -0.09 0.10 -0.03 -0.02 -0.03 -0.06 -0.03 0.00

T값 - 8.019 7.579 1.915 2.196 2.548 5.835 2.051 0.270

유의확률 - 0.000** 0.000** 0.056 0.028* 0.011 0.000** 0.040* 0.787

◎ 총평

- 문화역량 세부 지표 중 감수성, 상상력, 이해, 공감, 소통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남

- 상상력을 제외한 모든 지표에서 여자가 높게 나타남에 따라 여자의 문화역량이 남자

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됨

- 특히, 문화역량 세부 영역 중 개인적 차원에 해당하는 감수성, 상상력 영역의 성별

데 따른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남

Page 200: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149

4.2. 연령별

4.2.1. 연령별 문화역량 비교

연령에 따른 문화역량 세부 지표들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조사됨

상상력(Gap 0.76점), 소통(Gap 0.67점), 관심·지식(Gap 0.54점)의 연령별 차이가 상

대적으로 크게 나타남

▪ 반면, 공감(Gap 0.08점), 관용(Gap 0.30점)은 연령별 편차가 상대적으로 작음

상상력은 ‘10대’(2.99점)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20대’(2.89점), ‘30대’(2.82점) 순으로

조사됨

소통은 ‘50대’(2.87점)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30대’(2.82점), ‘10대’ 및 ‘20대’(각각

2.81점) 순으로 나타남

관심·지식은 ‘10대’(2.47점)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20대’(2.45점), ‘50대’(2.42점) 순

으로 나타남

<표 3-82> 연령별 문화역량 지표 비교

(단위 : 명, 점)

사례수 감수성 상상력 관심·지식 이해 표현력 공감 소통 관용

전체 7,500 2.82 2.70 2.32 2.78 2.57 3.07 2.70 2.92

10대 584 2.95 2.99 2.47 2.89 2.74 3.09 2.81 3.04

20대 1,137 2.94 2.89 2.45 2.88 2.73 3.06 2.81 3.00

30대 1,354 2.89 2.82 2.39 2.82 2.63 3.05 2.82 2.93

40대 1,527 2.88 2.77 2.38 2.83 2.62 3.09 2.80 2.93

50대 1,384 2.87 2.74 2.42 2.83 2.61 3.12 2.87 2.96

60대이상 1,514 2.48 2.23 1.93 2.53 2.26 3.04 2.20 2.74

Gap(최대-최소) - 0.47 0.76 0.54 0.36 0.48 0.08 0.67 0.30

T값 - 197.371 360.520 168.305 101.981 129.203 6.941 445.344 82.016

유의확률 -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Page 201: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150|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4.2.2. 연령별 문화예술 활동 참여

◆ 연령별 문화예술 행사 참여 횟수

연령별로 음악공연 및 문학행사를 제외한 모든 분야의 문화예술 행사 참여 횟수의 차

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조사됨

영화 관람(Gap 6.17회)의 연령별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고, 전시회(Gap

1.03회), 무용공연(Gap 1.00회)의 순으로 연령별 차이가 크게 나타남

▪ 영화공연 참여 횟수는 ‘20대’(8.99회)에서 참여 횟수가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60대이상’(2.82회)로 가장 낮게 나타남

▪ 전시회 참여 횟수는 ‘60대이상’(2.81회)에서 참여 횟수가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10대’(1.78회)로 가장 낮게 나타남

▪ 무용공연 참여 횟수는 ‘60대이상’(2.28회)에서 참여 횟수가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10대’(1.28회)로 가장 낮게 나타남

<표 3-83> 연령별 문화예술 행사 참여 횟수

(단위 : 명, 점)

사례수 전통예술 연극공연 영화관람 무용공연 음악공연 전시회 문학행사

지역 문화예술

행사·축제

역사문화유적지 탐방

전체 7,500 1.63 2.01 6.73 1.46 1.86 2.21 1.73 2.22 2.30

10대 584 1.40 1.68 6.69 1.28 1.89 1.78 1.64 1.92 1.88

20대 1,137 1.36 2.28 8.99 1.31 1.92 2.23 1.59 1.91 2.22

30대 1,354 1.46 2.24 7.14 1.49 1.77 2.03 1.68 2.32 2.18

40대 1,527 1.73 1.84 6.85 1.53 1.71 2.16 1.65 2.32 2.34

50대 1,384 1.82 1.92 5.50 1.42 2.00 2.48 1.94 2.42 2.48

60대이상 1,514 1.82 1.82 2.82 2.28 2.20 2.81 2.02 2.10 2.46

Gap(최대-최소) - 0.46 0.60 6.17 1.00 0.49 1.03 0.43 0.51 0.6

T값 - 6.655 5.445 38.240 4.309 2.098 3.432 2.372 9.307 3.033

유의확률 - 0.000** 0.000** 0.000** 0.001** 0.063 0.004** 0.037 0.000** 0.010*

Page 202: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151

◆ 연령별 문화활동을 위한 동호회 참여율

연령별로 문화활동을 위한 동호회 참여율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조사됨

문화활동을 위한 동호외 참여율은 ‘50대’(18.3%)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고, 다음으로

‘30대’(14.5%), ‘20대’(14.1%)의 순으로 높게 나타남

▪ 반면, ‘60대이상’(5.9%), ‘10대’(12.8%), ‘40대’(13.9%)은 상대적으로 참여율이 낮음

<표 3-84> 연령별 동호회 활동 참여율

(단위 : 명, %)

사례수 참여율 T값 유의확률

전체 7,500 - -

10대 584 12.8

21.445 0.000**

20대 1,137 14.1

30대 1,354 14.5

40대 1,527 13.9

50대 1,384 18.3

60대이상 1,514 5.9

Gap(최대-최소) - 12.4 - -

◎ 총평

- 문화역량 세부 지표 및 문화예술 활동 참여에서 연령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남

- 연령별로 가장 차이가 큰 문화역량 지표는 개인적 차원인 상상력과 관심·지식으로

나타남. 이러한 개인적 차원의 차이가 큰 것은 연령이 낮을수록 다양한 것을 상상하

고 새로운 것을 배우고 이해하려는 시도를 많이 한다는 것을 의미함

- 문화역량 세부 영역 중 개인적 차원에 해당하는 상상력과 관심·지식 지표는 10대에

서 높게 나타난 반면, 사회적 차원에 해당하는 소통은 50대에서 높게 나타남

- 문화예술 행사 중 영화공연과 연극 공연에 대한 참여정도는 20대와 30대에서 높게

나타난 반면, 전시회, 문학행사, 전통예술 등의 문화예술 행사는 50대 이상의 노년층

에서 높게 나타나 문화예술 행사에 따른 주요 향유층이 구분되는 것으로 분석됨

- 또한 10대는 모든 문화예술 행사에서 참여 횟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청소년들의

문화예술 행사 참여를 유도하는 정책적 지원 방안이 필요함

Page 203: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152|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4.3. 최종학력별

4.3.1. 최종학력별 문화역량 비교

최종학력별로 모든 문화역량 세부 지표들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조사됨

▪ 모든 세부 지표에서 학력이 높을수록 지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특히, 소통(Gap 0.58점), 관심·지식(Gap 0.45점), 상상력(Gap 0.44점)의 최종학력별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남

▪ 반면, 공감(Gap 0.08점), 관용(Gap 0.17점)은 최종학력별 편차가 상대적으로 작음

<표 3-85> 최종학력별 문화역량 지표 비교

(단위 : 명, 점)

사례수 감수성 상상력 관심·지식 이해 표현력 공감 소통 관용

전체 7,500 2.82 2.70 2.32 2.78 2.57 3.07 2.70 2.92

중졸이하 1,324 2.55 2.38 2.00 2.58 2.32 3.02 2.26 2.80

고졸 2,291 2.82 2.68 2.27 2.75 2.55 3.06 2.70 2.91

대졸이상 3,885 2.90 2.82 2.45 2.86 2.67 3.10 2.84 2.97

Gap(최대-최소) - 0.35 0.44 0.45 0.28 0.35 0.08 0.58 0.17

T값 - 268.434 328.911 293.535 168.647 196.552 17.609 699.319 80.927

유의확률 -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Page 204: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153

4.3.2. 최종학력별 문화예술 활동 참여

◆ 최종학력별 문화예술 행사 참여 횟수

최종학력별로 영화공연, 전시회 및 지역 문화예술 행사·축제 참여 횟수의 차이가 유의

미한 것으로 조사됨

영화공연(Gap 2.45회)가 최종학력별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고, 전시회(Gap

0.61회), 연극공연(Gap 0.50회)의 순으로 최종학력별 차이가 크게 나타남

▪ 모든 문화예술 행사에서 학력이 높을수록 문화예술 행사 참여 횟수가 높게 나타남

<표 3-86> 최종학력별 문화예술 행사 참여 횟수

(단위 : 명, 점)

사례수 전통예술 연극공연 영화공연 무용공연 음악공연 전시회 문학행사

지역 문화예술

행사·축제

역사문화유적지 탐방

전체 7,500 1.63 2.01 6.73 1.46 1.86 2.21 1.73 2.22 2.30

중졸이하 1,324 1.59 1.61 4.67 1.34 2.06 1.76 1.58 1.98 2.13

고졸 2,291 1.56 1.88 6.46 1.52 1.83 1.91 1.69 2.10 2.14

대졸이상 3,885 1.67 2.11 7.12 1.46 1.86 2.37 1.76 2.34 2.41

Gap(최대-최소) - 0.11 0.50 2.45 0.18 0.23 0.61 0.18 0.36 0.28

T값 - 1.059 6.560 18.348 .601 .808 8.867 .659 13.725 4.916

유의확률 - 0.347 0.001 0.000** 0.549 0.446 0.000** 0.518 0.000** 0.007

Page 205: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154|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 최종학력별 문화활동을 위한 동호회 참여율

최종학력별로 문화활동을 위한 동호회 참여율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조사됨

문화활동을 위한 동호회 참여율은 ‘대졸이상’(17.1%)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고, 다음으

로 ‘고졸’(10.0%), ‘중졸이하’(6.9%)의 순으로 나타남

<표 3-87> 최종학력별 동호회 활동 참여율

(단위 : 명, %)

사례수 참여율 T값 유의확률

전체 7,500 13.1 - -

중졸이하 1,324 6.9

61.236 0.000**고졸 2,291 10.0

대졸이상 3,885 17.1

Gap(최대-최소) - 10.2 - -

◎ 총평

- 모든 문화역량 세부 지표에서 최종학력별 지표들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고 모든

문화역량 지표가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남

- 특히, 소통, 관심·지식, 상상력의 최종학력별 차이가 크게 나타남

- 이러한 결과는 학력이 높을수록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는 것을 좋아하고 새로운 것을

배우고 이해하려는 시도를 많이 한다는 것을 의미함

- 학력에 따른 문화역량의 불균형이 발견됨. 문화역량의 불균형은 문화향유에도 영향

을 주는 악순환이 우려됨. 따라서 저학력층의 문화역량 증대 및 문화예술 활동 참여

의 소외를 줄이는 문화예술교육 정책이 필요함

Page 206: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155

4.4. 자녀의 취학 상태

4.4.1. 자녀의 취학 상태에 따른 문화역량 비교

모든 문화역량 세부 지표에서 자녀의 취학상태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남

소통(Gap 0.55점), 상상력(Gap 0.49점), 관심·지식(Gap 0.37점)의 자녀의 취학 상태

에 따른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남

▪ 반면, 공감(Gap 0.09점), 관용(Gap 0.16점)은 자녀의 취학 상태에 따른 편차가 상

대적으로 작음

소통은 자녀가 ‘취학 전’인 기혼자(2.86점)에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자녀가 ‘학생’인

기혼자(2.85점), ‘미혼’(2.78점) 순으로 조사됨

상상력은 ‘미혼’(2.89점)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자녀가 ‘취학 전’인 기혼자(2.82점),

자녀가 ‘학생’인 기혼자(2.75점) 순으로 나타남

<표 3-88> 자녀의 취학 상태에 따른 문화역량 지표 비교

(단위 : 명, 점)

사례수 감수성 상상력 관심·지식 이해 표현력 공감 소통 관용

전체 7,500 2.82 2.70 2.32 2.78 2.57 3.07 2.70 2.92

미혼 2,435 2.92 2.89 2.45 2.86 2.69 3.06 2.78 2.99

자녀없음 1,369 2.54 2.33 2.03 2.58 2.32 3.02 2.31 2.78

취학 전 823 2.89 2.82 2.37 2.82 2.62 3.06 2.86 2.91

학생 1,798 2.88 2.75 2.40 2.84 2.63 3.11 2.85 2.94

학생아님 1,075 2.78 2.56 2.21 2.72 2.50 3.10 2.62 2.90

Gap(최대-최소) - 0.35 0.49 0.37 0.26 0.31 0.09 0.55 0.16

T값 - 158.427 296.412 128.922 86.866 101.474 9.984 307.411 63.914

유의확률 -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Page 207: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156|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4.4.2. 자녀의 취학 상태에 따른 문화예술 활동 참여

◆ 자녀의 취학 상태에 따른 문화예술 행사 참여 횟수

자녀의 취학 상태에 따라 전통예술, 영화공연 및 지역 문화예술 행사·축제 참여 횟수

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조사됨

영화공연(Gap 3.52회)가 자녀의 취학 상태에 따른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고,

지역 문화예술 행사·축제(Gap 0.55회), 문학행사(Gap 0.47회)의 순으로 자녀의 취학

상태에 따른 차이가 크게 나타남

▪ 영화 관람 횟수는 ‘미혼’(8.23회)에서 참여 횟수가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학생아

님’(4.71회)로 가장 낮게 나타남

▪ 지역 문화예술 행사·축제 참여 횟수는 ‘학생아님’(2.51회)에서 참여 횟수가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미혼’(1.96회)로 가장 낮게 나타남

▪ 문학행사 참여 횟수는 ‘학생아님’(1.96회)에서 참여 횟수가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자녀없음’(1.49회)로 가장 낮게 나타남

<표 3-89> 자녀의 취학 상태에 따른 문화예술 행사 참여 횟수

(단위 : 명, 점)

사례수 전통예술 연극공연 영화관람 무용공연 음악공연 전시회 문학행사

지역 문화예술

행사·축제

역사문화유적지 탐방

전체 7,500 1.63 2.01 6.73 1.46 1.86 2.21 1.73 2.22 2.30

미혼 2,435 1.43 2.15 8.23 1.34 1.93 2.04 1.65 1.96 2.19

자녀없음 1,369 1.56 2.02 5.79 1.49 1.85 2.18 1.49 2.03 2.24

취학전 823 1.59 1.88 5.04 1.47 1.70 2.31 1.81 2.46 2.13

학생 1,798 1.76 1.99 6.63 1.53 1.77 2.35 1.75 2.36 2.42

학생아님 1,075 1.88 1.72 4.71 1.64 2.09 2.30 1.96 2.51 2.51

Gap(최대-최소) - 0.45 0.43 3.52 0.3 0.39 0.31 0.47 0.55 0.38

T값 - 6.780 2.901 36.060 1.500 2.509 1.569 2.120 17.421 2.583

유의확률 - 0.000** 0.021 0.000** 0.200 0.084 0.180 0.076 0.000** 0.035

Page 208: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157

◆ 자녀의 취학 상태에 따른 문화활동을 위한 동호회 참여율

자녀의 취학 상태에 따른 문화활동을 위한 동호회 참여율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조사됨

문화활동을 위한 동호회 참여율은 ‘취학’(16.1%)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고, 다음으로

‘취학전’(15.2%), ‘미혼’ 및 ‘학생아님’(각각 13.8%)의 순으로 높게 나타남

<표 3-90> 자녀의 취학 상태에 따른 동호회 활동 참여율

(단위 : 명, %)

사례수 참여율 T값 유의확률

전체 7,500 13.1 - -

미혼 2,435 13.8

19.225 0.000**

자녀없음 1,369 6.2

취학전 823 15.2

취학 1,798 16.1

학생아님 1,075 13.8

Gap(최대-최소) - 9.9 - -

◎ 총평

- 모든 문화역량 세부 지표에서 자녀의 취학 상태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남

- 특히, 소통과 상상력에서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고 기혼자 중 자녀가 ‘취한

전’인 응답자는 사회적 차원인 소통이 높고 미혼자는 개인적 차원인 상상력에서 높

게 나타남

- 전반적으로 자녀가 학생인 응답자의 문화역량이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자녀의 학업

에 따라 부모의 문화예술 및 문화예술활동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그에 따른 이해

가 증가되는 것으로 보임

- 문화예술 행사 중 전통예술과 영화관람, 지역 문화예술 행사·축제에서 자녀의 취학

상태에 따른 참여정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고 전통예술 및 지역 문화예술 행

사·축제는 자녀가 학생 아닌 응답자에서 참여 횟수가 많고 영화 관람은 미혼자에서

높게 나타남

Page 209: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158|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4.5.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경험에 따른 문화역량

4.5.1.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경험에 따른 문화역량 비교

모든 문화역량 세부 지표에서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경험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조사됨

▪ 모든 세부 지표에서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경험자의 지표가 높게 나타남

소통(Gap 0.50점), 관심·지식(Gap 0.47점), 상상력(Gap 0.46점)의 문화예술교육 경험에 따른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남

▪ 반면, 공감(Gap 0.10점), 관용(Gap 0.19점)은 문화예술교육 경험에 따른 편차가 상대적으로 작음

<표 3-91>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경험에 따른 문화역량 지표 비교

(단위 : 명, 점)

사례수 감수성 상상력 관심·지식 이해 표현력 공감 소통 관용

전체 7,500 2.82 2.70 2.32 2.78 2.57 3.07 2.70 2.92

있음(A) 5,351 2.92 2.83 2.45 2.87 2.70 3.10 2.84 2.97

없음(B) 2,149 2.55 2.37 1.98 2.56 2.26 3.00 2.34 2.78

Gap(A-B) - 0.37 0.46 0.47 0.31 0.44 0.10 0.50 0.19

T값 - 949.094 1249.697 1020.495 602.046 976.264 92.349 1625.373 352.093

유의확률 -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Page 210: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II.� 조사결과 분석 |159

4.5.2.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경험에 따른 문화예술 활동 참여

◆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경험에 따른 문화예술 행사 참여 횟수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경험에 따른 연극공연, 영화공연, 전시회, 문학행사 및 지역 문화예술 행사·축제에 대한 참여 횟수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조사됨

영화 관람(Gap 1.91회)이 문화예술교육 경험에 따른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고, 전시회(Gap 0.48회), 연극공연(Gap 0.34회)의 순으로 문화예술교육 경험에 따른 차이가 크게 나타남

▪ 모든 문화예술 행사에서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경험자의 참여 빈도가 높게 나타남

<표 3-92> 정규교과 이외 문화예술교육 경험에 따른 문화예술 행사 참여 횟수

(단위 : 명, 점)

사례수 전통예술 연극공연 영화공연 무용공연 음악공연 전시회 문학행사

지역 문화예술

행사·축제

역사문화유적지 탐방

전체 7,500 1.63 2.01 6.73 1.46 1.86 2.21 1.73 2.22 2.30

있음(A) 5,351 1.64 2.05 7.05 1.48 1.89 2.27 1.76 2.28 2.30

없음(B) 2,149 1.61 1.71 5.14 1.34 1.65 1.79 1.50 2.04 2.30

Gap(A-B) - 0.03 0.34 1.91 0.14 0.24 0.48 0.26 0.24 0.00

T값 - 0.267 2.566 6.466 0.909 1.907 2.936 2.038 3.792 0.001

유의확률 - 0.789 0.010* 0.000** 0.364 0.057 0.003** 0.042* 0.000** 0.999

◆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경험에 따른 문화활동을 위한 동호회 참여율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경험에 따른 문화활동을 위한 동호회 참여율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조사됨

▪ 문화활동을 위한 동호회 참여율은 교육받은 경험자에서 높게 나타남

<표 3-93> 문화예술교육 경험에 따른 동호회 활동 참여율

(단위 : 명, %)

사례수 참여율 T값 유의확률

전체 7,500 13.1 - -

있음(A) 5,351 16.714.506 0.000*

없음(B) 2,149 4.3

Gap(A-B) - 12.4 - -

Page 211: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160|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 참고. 문화예술교육에 따른 효과 비교

‘정규교육과정의 문화예술교육’과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비교해 보

면,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의 효과가 평균 2.85점으로 정규 문화예술교육의

효과(2.55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남

<그림3-73> 문화예술교육의 효과 비교

◎ 총평

-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 경험자의 문화역량 지표가 높게 나타나고, 문화예술 활동

에 대한 참여 역시 높은 것으로 조사됨

- 또한, 정규교과과정의 문화예술 교육의 효과에 비해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 교육

의 효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문화예술교육의 확대가 문화역량 강

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됨

- 따라서 “방과 후 학교”, “저소득층 무료 예술교육” 등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문화예술 교육 지원 확대가 국민들의 문화역량 강화 및 문화융성을 위해 중요한 요

인이 될 것으로 예상됨

Page 212: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IV. 결론

1. 문화역량 기초조사의 시사점

2. 문화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제언

3. 문화역량지표 활용을 위한 제언

Page 213: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Page 214: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Ⅳ.� 결론 |163

IV. 결론

1. 문화역량 기초조사의 시사점

1.1. 문화역량 지표의 특징

문화역량의 세부 지표들은 2.50점 이상으로 국민들의 문화역량 수준은 보통 이상으

로 분석됨. 세부 지표를 아우르는 지수 개발 단계 이전이고 새롭게 개발된 지표들을

활용한 결과이기 때문에 다른 조사와 비교하거나 일반화하기는 어렵지만 대부분의

지표들이 평균 이상으로 나타남에 따라 국민들의 문화역량은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분석됨

문화역량 세부 지표 중 사회적 차원의 지표들이 개인적 차원들보다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남. 특히 공감 지표와 관용 지표가 높게 나타나, 일상생활에서 다른 사람들에 대

한 배려나 이해가 높고 다른 문화적 배경의 사람들에 대한 포용의지가 높은 것으로

분석됨

반면, 사회적 차원 중 소통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 특히 다른 사람들과의 의미를

공유하는 의사소통능력은 높게 나타나지만 현대사회에 중요한 문화적 매체로 자리

잡은 SNS소통능력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며 연령에 따라 편차가 큰 것으로 조사됨

≫ 특히, 60대 이상의 SNS소통능력이 낮게 나타남. 미래사회에서 SNS의 활용범위가

더욱 광범위해지고 다양한 방법을 통한 소통이 개인의 문화적 풍요와 국민의 문

화융성에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노년층에 대한 SNS를 활용한 다양한

문화활동 참여에 대한 교육 및 정책 확대가 필요함

개인적 차원의 지표들 중에서는 감수성, 이해, 상상력 등 개인들에게 잠재되어 있는

내재적 요소들이 높게 나타남.

≫ 일상생활에서의 정서적 경험을 느끼고 반응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감수성과 일상생

활이나 문화에술활동을 통해 언어와 상징들을 파악하는 능력인 이해가 상대적으

로 높게 나타나 개개인이 외부로부터 받는 자극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역량은

높은 것으로 분석됨

반면, 내재적 요소의 관심과 외재적 요소의 표현력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나

자신이 가지는 느낌이나 정서를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는 능력과 새로운 것을 정보와

지식을 얻으려는 노력은 부족한 수동적인 경향을 보임

Page 215: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164|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1.2. 특성별 문화역량 분석

성별 문화역량 분석

▪ 상상력을 제외한 모든 문화역량 지표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남

- 상상력 지표는 10대와 20대에서 높게 나타남

▪ 감수성, 상상력, 이해와 같은 개인적 차원의 요소들의 남녀차이가 상대적으로 크

게 나타나는데 이러한 결과는 여자가 외부의 느낌을 수용하고 이해하는 능력이

남자보다 높고 남자는 여자보다 창의적인 성향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임

연령별 문화역량 지표 분석

▪ 개인적 차원(감수성, 상상력, 관심·지식, 이해, 표현력)의 지표는 연령이 낮을수록

값이 높게 나타남

≫ 전반적으로 10·20대, 30-50대, 60세이상 세대별 3그룹으로 값의 차이가 발생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이러한 원인은 문화예술관련 호감도, 참여 경험, 적극

적인 태도, 어려서부터의 교육환경, 미디어의 노출 여부 등과 같이 문화활동 및

소양을 갖출 수 있는 기회의 차이 때문인 것으로 분석됨

▪ 반면 사회적 차원(공감, 소통, 관용)의 지표들은 개인적 차원의 지표들에 비해 상

대적으로 값은 높으나, 세대별로 값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음

최종학력별 문화역량 지표 분석

▪ 모든 문화역량 세부 지표들의 값은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높아짐

≫ 중졸이하와 고졸 학력집단은 모든 문화역량 세부 지표들이 평균값보다 작은 것

으로 조사됨

▪ 특히, 소통, 관심·지식, 상상력 지표에 대해 최종학력별 차이가 크게 나타남

자녀의 취학상태별 문화역량 지표 분석

▪ 문화역량 지표는 자녀의 취학 상태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자녀가 취학 전인 응답자는 감수성, 상상력, 이해, 소통이 높게 나타남

- 학생을 자녀로 둔 응답자는 감수성, 관심·지식, 이해, 표현력, 공감, 소통, 관용에

대한 지표가 높았음

≫ 전반적으로 자녀가 학생인 응답자의 문화역량 지표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는

데, 이는 자녀의 미래에 대한 투자 노력에 따라 부모의 문화역량에 대한 관심

이 증가하고 그에 따른 이해가 증가되는 것으로 보임

≫ 문화예술교육은 어려서부터 이루어지고 있고, 그 효과가 긍정적이라는 점에서

자녀를 둔 학부모와 동반으로 함께 문화역량을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

한 것으로 보임. 따라서 자녀의 취학상태에 따른 문화예술교육은 매우 중요하

며, 서로 다른 세대가 함께 문화영위(문화참여)를 할 수 있는 기회부여와 더불

어 세대별 문화역량의 불균형이 사라지는 계기가 될 것으로 분석됨

Page 216: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Ⅳ.� 결론 |165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경험별 문화역량 지표 분석

▪ 정규교과 이외의 문화예술 경험자의 문화역량 지표가 높게 나타남

≫ 소통, 관심·지식, 상상력, 표현력 순으로 비정규 과정에서 받은 문화예술교육

경험자의 문화역량이 높게 나타남

≫ 관심·지식, 상상력, 표현력 등은 교육의 효과가 직접적으로 나타나는 영역으로

분석됨. 또한 이러한 개인적 차원의 영역들은 사회적 차원에 영향을 줄 수 있

음으로 문화예술교육 확대를 문화역량 선순환 고리를 만들 수 있는 정책적 대

안이 필요함

1.3. 문화예술활동 현황

여행 중 해당지역의 문화예술활동 참여율은 평균 27.3%로 나타남

▪ 공연예술 관람률(전통예술, 뮤지컬, 축제 등) : 28.0%

▪ 시각예술 관람률(박물관, 미술과, 전시회 등) : 26.5%

※ 관람률 : 매우 자주 한다 + 자주 한다

≫ 특히, 여성들이 여행 중 해당지역의 문화예술활동에 참여가 높았고, 20대는 공

연예술관람 경험이 높게 나타나고 50대는 시각예술관람이 높았음. 향후 모든

세대가 함께 어울릴 수 있는 지역별 특성화된 문화예술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

음악 장르별 선호도와 문화적 가치에 대한 순위는 성과 연령별에 따라 차이가 발생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선호도가 높은 장르 : ‘발라드/포크/컨트리’(61.9%), ‘뮤지컬’(51.1%) 순

▪ 문화적 가치가 높은 장르 : ‘전통음악’(86.9%), ‘클래식’(76.0%) 순

▪ ‘전통음악’, ‘클래식’, ‘뮤지컬’, ‘발라드/포크/컨트리’는 선호도와 문화적 가치가 모

두 높게 나타남

▪ 반면, ‘재즈/블루스’, ‘힙합/랩/댄스’, ‘종교음악’, ‘락/헤비메탈’는 선호도와 문화적

가치가 모두 낮게 나타남

▪ ‘트로트/뽕짝’은 문화적 가치는 낮으나 선호도는 높은 장르로, 60대 이상 남녀의

선호도가 매우 높게 나타남

문화활동을 위한 동호회 활동 참여율은 13.1%로 소극적인 것으로 조사됨

▪ 문화동호회 활동 중 가장 많이 참여하고 분야는 있는 문화 동호회 활동은 ‘영화

관람’(45.6%)이었으며, 주로 ‘지역사회’(44.4%)에 소속된 동호회의 활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 대도시, 50대이상, 화이트칼라, 고학력, 고소득층에서 참여율이 높았음

Page 217: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166|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지난 1년간 문화예술분야 자원봉사활동 참여율은 4.8%, 1년 참여한 활동시간은 총

평균 20.8시간인 것으로 조사됨

문화예술 행사 중 관람 경험이 가장 높은 분야는 ‘영화관람’이었으며, 향후 관람희망

문화예술 행사로는 ‘지역 문화예술 행사 축제’, ‘영화관람’ 순이었음

≫ 지난 1년 간 실제로 관람한 문화예술 행사로 ‘영화관람’은 2달에 1번정도는 관

람경험이 있었으나, 다른 영역의 문화예술행사 관람경험은 대부분이 1~3회 수

준이었음

≫ 현재 문화예술 행사에 대한 경험은 사람들이 접하기 쉽고 대중적인 영역에 한

정되어 있다는 상황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이는 문화활동을 위한 동

호회 활동율과도 비슷한 양상인 것으로 나타남

≫ 특히, 자녀가 있는 응답자의 문화예술 행사 관람 횟수가 전반적으로 높았지만,

취학 전의 자녀가 있는 경우에는 관람 횟수가 낮게 나타남

≫ 그러나, 향후 ‘지역예술행사축제’에 대한 관람의향이 높은 것으로 보아, 지역별

특성화된 문화예술 행사가 개발되고 홍보된다면, 일반국민들이 문화예술 행사

를 바라보는 시각과 참여율을 증가시킬 수 있음

≫ 또한 문화예술 행사별 참여하고자 하는 성향을 파악하여 이에 알맞은 특성화

된 지역예술 콘텐츠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보임

정규수업이나 특별활동 시간에 받은 문화예술교육과 정규교육 이외 받은 문화예술교

육과의 효과를 살펴보면, 비정규 문화예술교육의 효과가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정규교과 이외 받은 문화예술교육 분야는 ‘음악’(65.3%), ‘미술’(59.0%) 순

≫ 정규교과 이외 문화예술교육은 주로 학력이 높고, 고소득층에서 받고 있는 것

으로 조사되어 향후 소외계층에게 다양한 문화예술교육을 참여할 수 있는 기

회 및 지원이 필요함

≫ 또한 정규수업이나 특별활동 시간 또는 방과 후 활동 프로그램을 다양화 및

전문화시켜 정규과정의 질적인 면은 보완할 필요가 있음

Page 218: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Ⅳ.� 결론 |167

1.4. 문화역량 지표와 삶의 질과의 관계

문화역량지표와 삶의 만족도와의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이는 문화역량과 관련된 활동들이 특정계층이 아니라 일반국민들 삶의 질을 향상시

킬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볼 수 있음

문화역량지표(10개) 모두 유의미한 관계가 있으며, 특히 표현력, 소통, 이해, 관심지표에

대한 영향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남.

≫ 문화예술 중 영화관람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삶의 만족도와 영향력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이미 대중화된 영화관람 이외 다른 영역에 대한 참여가 삶의 질을

향상시켜주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이에 대해 일반국민들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각 영역별 특성화된 콘텐츠 개발과 이를 뒷받침해줄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됨

Page 219: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168|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2. 문화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제언

자치단체의 문화예술 관련 정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문화정책컨설팅 추진 - 시군구 단위까지의 문화역량 수준 파악 및 국제공동연구 추진 필요

문화역량 기초조사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기초자치단체(시군구) 단위까지

문화역량 수준을 파악할 수 있도록 조사 범위를 확대해야 하며, 이를 통해

기초자치단체별 문화역량 제고를 위한 정책적 접근이 이루어질 것임

특히 재정자립도가 상대적으로 열악한 기초자치단체(시군구)의 경우, 문화활동

저변 확대를 위한 문화관련 인프라 확대나 문화예술교육 다양화를 위한 지원

등이 충분치 못하다는 점에서, 주어진 예산 범위내에서 정책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문화정책컨설팅’의 역할이 크다고 할 수 있음

이러한 ‘문화정책컨설팅’은 자치단체, 문화예술단체, 대학 등 지역 전문인력과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전문인력의 협업을 통해 추진할 필요가 있음

다른 한편으로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간 문화역량 수준의 특성과 차이를 분석

할 수 있는 국제공동조사 프로젝트를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우리

나라 문화역량의 객관적 수준 진단과 정책 목표 설정이 가능할 것임

지역내 문화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중장기 정책 기획, 정책효과성 파악, 이해관계자 소통 등을 지원하는 지역문화융성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개발

시민 문화활동 수준이 지역사회 활성화와 밀접한 연관성을 지닌다는 점이 확

인되면서, 지역문화 활성화의 정책적 중요성은 날로 높아지고 있고, 이를 위

해 지역문화 활성화를 담당할 전문인력 양성이 선행되어야 함.

현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는 아르떼 아카데미 연수(ARTE Academy

Programs)를 통해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에 노력하고 있지만 대부분 ‘교

육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문화예술교육 키움(Key-um) :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학교·사회 예술강사, 교육기획인력) 및 협력자(교원, 공무원, 광역센터 담당자)

대상으로 한 단계별 교육과정으로 구성

지역내 문화정책 수립은 문화예술교육 ‘기획’뿐만 아니라 현장에 대한 이해,

투입 대비 정책효과성 측정, 지역내 이해관계자와의 소통 등 다양한 역할이

요구되는 바, 이를 반영한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됨

Page 220: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Ⅳ.� 결론 |169

지역별 문화역량 격차를 줄이기 위한 지역 문화기반의 강화 필요 - 지역내 문화예술회관, 사립 문화시설 등에 대한 활용도 제고

이번 조사결과 역시 지역별 문화역량 지표 차이가 두드러지고 있으며, 특히

대도시나 중소도시에 비해 군읍면 지역의 문화역량 수준이 낮았음

이처럼 문화 소외계층뿐만 아니라 소외지역에 대한 지역 문화 기반을 강화하

기 위해, 지역 문화 생태계를 복원하고 활성화하는 노력이 시급함

지역 문화 생태계의 복원이나 활성화는 지역내 문화시설(도서관·공연장·박물

관·미술관 등)을 하나 더 늘리는 것보다, 지역 주민이 요구하고 참여하는 문

화 기반을 중점 조성해 나가야 한다는 의미임

막대한 문화 인프라 투자와 비교해 볼 때, 기존 문화시설 활용도를 높이고 사

립 문화시설에 대한 지원을 늘리는 것이 경제적 효율성이 더 크며, 이를 통해

소외계층・소외지역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및 문화역량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음

▪ 전국 지방자치단체에 설립된 문화예술회관은 214개, 평균 공연일수는 97일 정도

▪ 사립 박물관과 미술관은 각각 400여곳, 150여 곳에 달하지만 90% 이상이 재정난

문화활동 저변 확대를 위한 세대별 차별화 전략 수립 및 실행 - 청년층, 경제활동중심층, 은퇴세대

현재 문화역량지표 중 개인적 차원(감수성, 상상력, 관심·지식, 이해, 표현력)

의 지표는 세대별 차이가 큰 반면, 사회적 차원(공감, 소통, 관용)의 지표는

세대별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지 않았음

세대 그룹(10~20대, 30~50대, 60대 이상)간 지표 값 차이는 문화예술관련 호

감도, 참여 경험 및 태도, 어려서부터의 교육환경, 미디어 노출 여부 등 문화

활동 및 소양을 갖출 수 있는 기회의 차이 때문으로 분석됨

따라서 문화활동 저변 확대를 위해, 청년층, 경제활동층, 은퇴세대 등 세대별

접근 전략이 차별화될 필요성이 있음

▪ 청년층(10~20대) : 공공기관 활용한 문화활동 공간 및 참여 프로그램 확대

▪ 경제활동층(30~50대) : 공단, 산단 등 근로자 대규모 밀집지를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근로자의 창의성, 소속감, 결속력 제고 목표)

▪ 은퇴세대(60대 이상) : 문화활동에 소극적인 만큼, 문화활동 참여를 위한 동

기부여 프로그램 제공과 시민문화단체나 문화동호회 활용한 접근성 강화

Page 221: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170|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비정규 문화예술교육과의 격차를 줄일 수 있도록 정규수업, 특별활동, 방과 후 활동 등 각 정규교육과정별로 특성화된 교육 프로그램 개발・보급

정규교육(정규수업, 특별활동, 방과 후 활동)과 정규교육 이외에 받은 문화예

술교육간의 효과를 살펴보면, 비정규 문화예술교육의 효과가 다소 높은 것으

로 나타남

정규교육 이외 문화예술교육은 주로 고학력 및 고소득층에서 받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소외계층과의 문화역량 격차는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

따라서 정규교육내 문화예술교육의 양적・질적 개선을 통해, 비정규 문화예술

교육의 과도한 영향력을 줄이고, 소외계층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기회를 넓히

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

특히 특별활동이나 방과후 활동 프로그램을 다양화하고 전문화시킴으로써, 정

규과정의 질적인 면을 보완할 필요가 있음

초등생 이하 자녀와 학부모로 대표되는 문화예술교육 실수요층을 대상으로 한 가족동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문화예술교육은 영유아들이나 어린이들에게 표현력과 창의력 향상을 돕기 위

해 많이 실행하고 있으며, 실수요층이라 할 수 있는 초등생 이하 자녀와 학

부모의 경우, 참여에 적극적이며 교육효과에 대한 기대감이나 만족도가 크다

는 특징을 지님

따라서 영유아・어린이와 부모가 문화역량을 공유할 수 있는 ‘가족동반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됨. 특히 문화예술교육이 주로 자녀에게

집중된 반면, 동반하는 학부모들은 단순 조력자나 참관자에 머무는 경우가 많

아 ‘학부모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세대간 균형을 이루도록 하

는 것이 바람직함

‘가족동반 교육 프로그램’은 서로 다른 세대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기회부여

와 더불어 세대별 문화역량의 불균형이 사라지는 계기가 될 것임

Page 222: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Ⅳ.� 결론 |171

3. 문화역량 지표 활용을 위한 제언

향후, 일반국민의 문화역량에 대해 세분화된 분석이 가능하여 지역 및 응답자 특성에

맞는 정책 마련에 활용

▪ 문화역량지표 분석을 통해 각 차원의 세분화된 영역별로 역량의 수준을 분석하여

좀 더 구체적인 문화예술 정책 방향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활용이 가능함

▪ 또한 지역, 연령, 학력, 소득수준별 문화역량 수준을 파악과 함께, 문화예술교육

경험 유무, 자녀의 취학 상태별 등 추가적인 변인 개발을 통한 세분화된 분석을

진행함으로 문화예술교육 정책 수립과정에서 정밀한 정책 수혜 대상자 설정이 가능함

향후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활용

▪ 향후 문화예술교육의 방향과 중심이슈는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 제고를 넘어 공

동체 내에서 참여와 표현의 활성화”와 이를 통한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는 점 고려해야 함

▪ 개인적 문화역량은 유아교육 및 초중고 정규교육과정에서 문화예술교육 이수 여

부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는 만큼 정규과정 내 문화예술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

다는 점 제시됨

▪ 60세 이상과 같은 특정계층과 지역에 따라 문화예술 참여에 소극적 태도와 무관

심이 두드러지는 만큼 특정지역·계층(공단 또는 농어촌) 대상으로의 문화예술교육

지원 강화가 필요함

문화역량 요인과 삶의 질과의 분석을 통해 삶의 질이 향상될 수 있는 방안 강구

▪ 문화역량 세부 영역들과 ‘어제의 행복’, ‘삶의 만족’, ‘자신의 일에 대한 가치 부

여’ 등 개인의 삶에 대한 태도의 관계를 분석하여 개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 개개인의 문화역량 요인 중 “인식하고 이해하는 능력”보다 상대적으로 “참여하고

표현하는” 문화활동을 통한 발산 능력이 취약하여 이에 대한 정책방안 마련 및

적절한 지원 방안이 필요함

문화역량지수 및 지표 보완을 위한 자료로써 활용

▪ 1차적으로 만들어진 문화역량지표들의 적합성과 타당성을 본 조사결과를 통해 분

석하여, 지표들 간의 역할 및 특징에 따른 가중치 개발 등의 단계를 통해, 향후

국민들의 문화역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계층별 비교를 할 수 있는 문화역량지수

개발로 발전이 필요함

▪ 이러한 문화역량지수를 통해, 계층별 문화역량 및 계층 내 문화역량 분석 및 비교

를 통해 보다 세분화된 정책 마련 및 문화예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로드맵 구축

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 마지막으로 문화역량지수의 지속적인 측정을 통한 정책의 실효성을 평가하고 새

로운 정책을 발굴·적용할 수 있는 체계구축 필요함

Page 223: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Page 224: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부록

Page 225: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Page 226: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 부록-조사 설문지|175

부록. 조사 설문지

2014년 문화역량 기초조사

통계법 제33조 (비밀의 보호 등)- 통계작성 과정에서 알려진 사항으로서 개인 또는 법인이나

단체의 비밀에 속하는 사항은 보호되어야 한다.

안녕하십니까? 귀하 및 귀댁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저희는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월드리서치입니다.

이번에 저희 회사에서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의뢰를 받아 문화예술교육 정책 수립의 기

초자료로 활용될 ‘문화역량 실태조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귀하의 의견은 향후 문화예술교육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데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입니다.

본 조사는 통계법 제33조에 의거하여 실시⋅관리되므로, 설문 내용 및 응답자에 대한 모든 비밀

은 철저하게 보장됩니다. 또한 이 조사의 내용은 통계목적 이외에는 절대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귀하의 소중한 응답은 문화예술교육의 발전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오니, 잠시 시간을 내어 본

설문에 참여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014년 10월-11월

주관기관 수행기관

SQ1. 거주지역

① 서울 ② 부산 ③ 대구 ④ 인천 ⑤ 광주 ⑥ 대전 ⑦ 울산 ⑧ 세종 ⑨ 경기 ⑩ 강원 ⑪ 충북 ⑫ 충남 ⑬ 전북 ⑭ 전남 ⑮ 경북 ⑯ 경남 ⑰ 제주

SQ2. 거주지역 크기 ① 대도시 ② 중・소도시 ③ 읍/면

SQ3. 성별(※ 면접원 기재) ① 남성 ② 여성

SQ4. 올해 귀하의 연세는 만으로 어떻게 되십니까? 만 세 ◀만 15세 미만 면접 중단

Page 227: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176|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우선 문화예술분야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이나 성향에 관해 질문 드리겠습니다.

문1. 귀하는 다음의 각 설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세부 문항매우

그렇다그렇다

그렇지 않다

전혀그렇지 않다

1) 나는 환경변화에 민감하게 느끼고 반응한다 1 2 3 4

2) 나는 주변 사람들의 감정변화를 이해하고 배려한다 1 2 3 4

3) 나는 감수성이 풍부하다 1 2 3 4

4) 나는 다른 사람의 작은 스타일 변화라도 알아채는 편이다 1 2 3 4

5) 나는 드라마나 영화를 보고나서 감동이 오래가는 편이다 1 2 3 4

문2. 귀하는 다음의 각 설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세부 문항매우

그렇다그렇다

그렇지 않다

전혀그렇지 않다

1) 나는 상상력이 풍부하다 1 2 3 4

2) 나는 새로운 방식으로 생각하거나 행동하려고 한다 1 2 3 4

3) 나는 현실의 벽에 부딪히면 가끔 비현실적인 것이라도 상상해 본다

1 2 3 4

4) 나는 소설 등의 문학작품을 읽고 난 후 뒷이야기를 꾸며 생각해 본다

1 2 3 4

문3. 귀하는 문화예술에 대한 다음의 각 의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세부 문항매우 동의

동의동의 안함

전혀동의 안함

1) 현대의 추상 미술작품은 아이들이 그린 그림과 차이를 모르겠다 1 2 3 4

2) 대중예술 혹은 민속예술에서도 고급예술 못지않은 뛰어난 예술성을 발견할 수 있다.

1 2 3 4

3) 대중문화가 너무 발달하면 문화 전반의 질을 위협한다 1 2 3 4

4) 뛰어난 예술과 그렇지 않은 예술을 구분하는 기준은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절대적이다

1 2 3 4

5) 사회의 일부 사람들만 뛰어난 예술인지 아닌지 판가름할 수 있는 지식을 가졌다.

1 2 3 4

Page 228: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 부록-조사 설문지|177

문4. 귀하는 지난 1년 동안(2013.11.01 ~ 2014.10.31) 갔던 여행(당일 여행 포함)

중에 해당지역의 문화활동에 얼마나 참여하셨습니까?

세부 문항매우

자주 한다자주 한다

별로하지 않는다

전혀

하지 않는다

(해당기간 중)

여행경험 없음

1) 공연예술 관람 (전통예술, 뮤지컬, 축제 등) 1 2 3 4 5

2) 시각예술 관람 (박물관, 미술관, 전시회 등) 1 2 3 4 5

문5. 다음의 음악 장르별로 문화적 가치가 얼마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세부 문항 매우 높음 높음 낮음 매우 낮음

1)전통음악 (국악/민요/사물놀이 등) 1 2 3 4

2)트로트/뽕짝 1 2 3 4

3)재즈/블루스 1 2 3 4

4)발라드/포크/컨트리 1 2 3 4

5)힙합/랩/댄스 1 2 3 4

6)락/헤비메탈 1 2 3 4

7)종교음악 1 2 3 4

8)뮤지컬 1 2 3 4

9)클래식(오페라/합창/가곡 등) 1 2 3 4

문6. 다음의 음악 장르별로 선호여부를 응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세부 문항 좋아한다 무관심 싫어한다 장르 모름

1) 전통음악 (국악/민요/사물놀이 등) 1 2 3 4

2) 트로트/뽕짝 1 2 3 4

3) 재즈/블루스 1 2 3 4

4) 발라드/포크/컨트리 1 2 3 4

5) 힙합/랩/댄스 1 2 3 4

6) 락/헤비메탈 1 2 3 4

7) 종교음악 1 2 3 4

8) 뮤지컬 1 2 3 4

9) 클래식(오페라/합창/가곡 등) 1 2 3 4

Page 229: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178|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문7. 귀하는 다음의 각 설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세부 문항매우

그렇다그렇다

그렇지 않다

전혀그렇지 않다

1) 나는 평소에 문화예술에 대한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탐색하고 배우려 한다

1 2 3 4

2) 나는 대화할 때 문화예술과 관련된 내용의 비중이 높다 1 2 3 4

3) 내가 좋아하는 예술에 대하여 사람들에게 2~3분 동안 소개할 수 있다 1 2 3 4

4) 나는 서양 고전음악에 대해 많이 알고 있다 1 2 3 4

문8. 귀하는 다음의 각 설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세부 문항매우

그렇다그렇다

그렇지 않다

전혀그렇지 않다

1) 나는 대화 중에 상대방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잘 이해한다 1 2 3 4

2) 나는 책을 읽을 때 내용에 대해 잘 이해한다 1 2 3 4

3) 내가 관심 있는 예술작품(음악, 미술, 조각 또는 기타 작품)의 의미를 잘 이해할 수 있다

1 2 3 4

다음은 문화예술 행사관람이나 관련된 활동에 관한 질문입니다

문9. 귀하는 현재 (2014.11.01 기준) 문화활동을 위해 동호회 활동에 참여하고 있습니까?

① 참여하고 있다(☞ 문10번으로 이동)

② 그렇지 않다 (☞ 문12번으로 이동)

문10. [※ 문9의 ① 응답자]

귀하께서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문화 동호회는 주로 어떤 활동을 하고 있습니까?

참여하고 있는 활동을 모두 응답해 주세요.

① 공연·전시 관람 ② 영화 관람

③ 음악 활동(합창단, 악기 연주 등) ④ 사진 촬영

⑤ 무용 활동 (방송·재즈·사교댄스, 발레, 에어로빅 등)

⑥ 문학 활동 (독서토론, 문예창작 등)

⑦ 미술 및 서예 활동(그림, 공예, 디자인, 서예 등)

⑧ 기타 (무엇: _______________)

문11. [※ 문9의 ① 응답자]

귀하께서 적극적으로 참여하시는 문화 동호회는 어디에 소속되어 있습니까?

소속이 다를 경우, 모두 응답해 주세요.

① 직장 ② 학교 ③ 온라인 (인터넷, 카페, 클럽, SNS 등)④ 지역 사회 ⑤ 학교 단체 ⑥ 기타 (무엇: ____________________)

Page 230: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 부록-조사 설문지|179

문12. 귀하는 지난 1년 간 (2013.11.01 ~ 2014.10.31) 다음의 문화예술 행사를 실제로

관람한 적이 있습니까? 관람 경험이 있는 경우, 지난 1년 동안의 관람 횟수를 구체

적으로 적어 주세요.

세부 문항 있 다 없 다

1) 전 통 예 술 공 연 (국 악 /민 속 극 등 ) ① 빈 도 회 ②

2) 연 극 공 연 (뮤 지 컬 , 난 타 등 ) ① 빈 도 회 ②

3) (영 화 관 ·자 동 차 극 장 등 에 서 ) 영 화 관 람 ① 빈 도 회 ②

4) 무 용 공 연 (서 양 /한 국 /현 대 무 용 등 ) ① 빈 도 회 ②

5) 음 악 공 연 (클 래 식 음 악 /오 페 라 /콘 서 트 등 ) ① 빈 도 회 ②

6) 전 시 회 (미 술 /사 진 /서 예 /건 축 /디 자 인 /공 예 전 등 ) ① 빈 도 회 ②

7) 문 학 행 사 (시 화 전 /도 서 전 시 회 /작 가 와 의 대 화 등 ) ① 빈 도 회 ②

8) 지 역 문 화 예 술 행 사 ·축 제 ① 빈 도 회 ②

9) 역 사 문 화 유 적 지 탐 방 ① 빈 도 회 ②

문13. 귀하는 다음의 문화예술 행사를 관람할 의향이 있습니까?

세부 문항 있 다 없 다

1) 전 통 예 술 공 연 (국 악 /민 속 극 등 ) ① ②

2) 연 극 공 연 (뮤 지 컬 , 난 타 등 ) ① ②

3) (영 화 관 ·자 동 차 극 장 등 에 서 ) 영 화 관 람 ① ②

4) 무 용 공 연 (서 양 /한 국 /현 대 무 용 등 ) ① ②

5) 음 악 공 연 (클 래 식 음 악 /오 페 라 /콘 서 트 등 ) ① ②

6) 전 시 회 (미 술 /사 진 /서 예 /건 축 /디 자 인 /공 예 전 등 ) ① ②

7) 문 학 행 사 (시 화 전 /도 서 전 시 회 /작 가 와 의 대 화 등 ) ① ②

8) 지 역 문 화 예 술 행 사 ·축 제 ① ②

9) 역 사 문 화 유 적 지 탐 방 ① ②

Page 231: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180|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문14. 귀하는 지난 1년 간(2013.11.01~2014.10.31) 아래의 문화예술 창작 또는 발표에

참여한 적이 있습니까? 단, 학교 정규 교과과정이나 학원에서 입시 목적에 의한 것

은 제외합니다.

세부 문항 있 다 없 다

1) 백일장, 서예 경연대회 참가 ① ②

2) 미술작품(그림, 조소 등) 창작, 전시회 ① ②

3) 사진 전시 ① ②

4) 연극, 영화, 연예 프로그램 출연 및 제작 ① ②

5) 악기 연주 또는 합창 등 음악 공연 ① ②

6) 무용 공연 ① ②

7) 기타(무엇: ___________________) ① ②

문15. 귀하는 지난 1년 동안(2013.11.01 ~ 2014.10.31) 문화예술 분야 자원봉사활동

(예술재능기부, 도슨트, 문화해설사 등)에 참여하신 경험이 있습니까?

※ 도슨트란 미술관 등에서 전시회를 해설해 주는 사람을 말합니다. ① 있다(☞ 문16번으로 이동) ② 없다(☞ 문18번으로 이동)

문16. [※ 문15의 ① 응답자] 1년 참여한 문화예술분야 자원봉사활동 시간은 모두 얼마입니까?

총 시간

문17. [※ 문15의 ① 응답자]

주로 활동한 문화예술 자원봉사분야는 무엇입니까?

① 단체 및 교육활동을 위한 예술재능기부 (반주, 안무, 교습 등)② 관람 안내를 위한 정보 제공 (도슨트, 문화해설사 등)③ 기타 (무엇:____________________)

문18. 귀하는 월 평균 몇 권의 책(종이책 기준)을 읽습니까? 단, 온라인 서적(e-book 포함),

잡지, 만화책, 수업교재를 제외하고 말씀해 주세요.

① 전혀 읽지 않음 ② 한 달에 1권 미만 ③ 한 달에 1권④ 한 달에 2권 ⑤ 한 달에 3권 이상

다음은 문화예술교육과 그 효과에 관한 질문입니다

문19. 귀하는 초등, 중등, 고등학교의 정규수업이나 특별활동 시간에 받은 음악(국악 포함),

무용(댄스스포츠 포함), 미술(서예, 공예 포함), 문학 분야(소설, 시, 희곡 포함),

연극·영화의 문화예술교육 효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다음의 각 의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예능계학교도 포함해서 말씀해주세요.

세부 문항 매우 동의 동의 동의 안함전혀

동의안함

1) 교육 받은 문화예술 분야에 관심을 갖게 했다 1 2 3 4

2) 교육 받은 문화예술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됐다 1 2 3 4

3) 교육 받은 문화예술 활동에 계속 참여할 동기를 부여했다 1 2 3 4

Page 232: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 부록-조사 설문지|181

문20. 학원, 개인교습 등의 활동을 통해 다음 각 문화예술교육을 최초로 언제 받으셨습니까?

단, 정규학교 예체능 시간이나 특별활동 시간에 받은 교육은 제외하고 말씀해

주십시오.

세부 문항취학 전에

초/중/고등학교재학 중에

초/중/고등학교졸업 이후

교육받은경험 없음

(☞ 문21번으로 이동) ☞ 문23번으로 이동

1) 음악(악기, 성악, 합창, 창, 판소리 등) ① ② ③ ④

2) 무용(발레, 댄스스포츠, 등) ① ② ③ ④

3) 미술(서예, 공예, 디자인 등) ① ② ③ ④

4) 문학(소설, 시, 희곡 등) ① ② ③ ④

5) 연극·영화 ① ② ③ ④

문21. [※ 문20의 ① ~ ③ 응답자] 위의 문화예술교육을 얼마 동안 받으셨습니까?

세부 문항 1년 미만 1년 이상~3년 미만 3년 이상

1) 음악(악기, 성악, 합창, 창, 판소리 등) ① ② ③

2) 무용(발레, 댄스스포츠 등) ① ② ③

3) 미술(서예, 공예, 디자인 등) ① ② ③

4) 문학(소설, 시, 희곡 등) ① ② ③

5) 연극·영화 ① ② ③

문22. [※ 문20의 ① ~ ③ 응답자]

위의 문화예술교육 효과에 대한 다음의 각 의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세부 문항매우 동의

동의동의 안함

전혀동의안함

1) 교육 받은 문화예술 분야에 관심을 갖게 했다 1 2 3 4

2) 교육 받은 문화예술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됐다 1 2 3 4

3) 교육 받은 문화예술 활동에 계속 참여할 동기를 부여했다 1 2 3 4

Page 233: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182|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귀하의 일상생활에서의 경험에 관한 질문입니다

문23. 귀하는 스스로를 생각할 때, 아래의 각 항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세부 문항매우

그렇다그렇다

그렇지 않다

전혀그렇지 않다

1) 내가 느끼는 감정이나 느낌을 적극적으로 표현한다 1 2 3 4

2) 나는 평소에 내 생각이나 느낌을 새롭게 표현하는 편이다 1 2 3 4

3) 경험한 생각이나 느낌을 글이나 사진 등으로 표현하는 것을 즐긴다 1 2 3 4

4) 상대방에게 말을 할 때 표정이나 몸짓도 적극적으로 사용한다 1 2 3 4

문24. 귀하는 다음의 각 설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세부 문항매우

그렇다그렇다

그렇지 않다

전혀그렇지 않다

1) 누가 부당한 대접을 받는 것을 보면 화가 난다 1 2 3 4

2) 친구가 자신의 고민을 이야기하면, 그 입장에서 같이 걱정해 줄 수 있다

1 2 3 4

3) 주변 사람이 우울하면 내 마음도 편하지 않다 1 2 3 4

4) 남의 고통을 보면 마음이 아프다 1 2 3 4

5) 문화예술 작품을 보게 되면 작가의 의도에 공감하게 된다 1 2 3 4

문25. 귀하는 다음의 각 설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세부 문항매우

그렇다그렇다

그렇지 않다

전혀그렇지 않다

1) 대화 상대방의 의도를 알기 위해 귀 기울여 듣는 편이다 1 2 3 4

2) 얼굴표정이나 몸짓을 보고 상대방의 기분을 이해하고자 노력한다 1 2 3 4

3) 다른 사람으로부터 질문을 받으면, 조리 있고 분명하게 나의 의견을 말한다

1 2 3 4

Page 234: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 부록-조사 설문지|183

문26. 귀하는 다음의 각 질문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세부 문항매우자주한다

자주한다

별로하지

않는다

전혀하지

않는다

1) 귀하는 디지털 카메라나 휴대폰으로 촬영한 사진을 가족, 친구, 동료와 얼마나 자주 공유하십니까?

1 2 3 4

2) 귀하는 홈페이지, 블로그, SNS(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등)를 이용하여 여러 사람들이 읽을 수 있는 글을 얼마나 자주 쓰십니까?

1 2 3 4

3) 귀하는 홈페이지, 블로그, SNS(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등)에 있는 다른 사람들의 글에 대하여 얼마나 자주 공감을 표하십니까?

1 2 3 4

문27. 귀하는 다음의 각 설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세부 문항매우

그렇다그렇다

그렇지 않다

전혀그렇지 않다

1) 나와 다른 가치관을 가지고 있는 상대방의 주장도 귀담아 듣는다

1 2 3 4

2) 나는 정치적·종교적 신념이 다르다고 해서 차별하지 않는다 1 2 3 4

3) 나의 이웃으로 다른 인종의 외국인이 이사 온다면 마음이 불편할 것이다

1 2 3 4

4) 나는 외국인이나 낯선 문화를 접할 때 거부감 없이 대한다 1 2 3 4

문28. 귀하는 어제 어느 정도 행복했다고 생각하십니까?

0 1 2 3 4 5 6 7 8 9 10

전혀 행복하지 않았다 ← 보통 → 매우 행복했다

문29. 귀하는 요즘 자신의 삶에 대해 전반적으로 얼마나 만족하고 있습니까?

0 1 2 3 4 5 6 7 8 9 10

전혀 만족하지 않는다 ← 보통 → 매우 만족한다

문30. 귀하는 요즘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이 전반적으로 얼마나 가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0 1 2 3 4 5 6 7 8 9 10

전혀 가치 없다 ← 보통 → 매우 가치 있다

Page 235: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184|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지금까지 조사에 협조해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마지막으로 조사 자료의 분류를 위해 몇 가지만 더 여쭙겠습니다.

DQ1. 귀하를 포함해서 귀댁의 가구원은 모두 몇 명입니까?

▪가구원이란? 1인 또는 2인 이상이 모여서 생계를 같이 하는 사람으로, 현재 같이 살고 있는 친척, 군대 간 자녀, 유학 간 자녀 등은 포함하고, 결혼하여 따로 살고 있는 자녀는 포함하지 않습니다.

DQ2. 귀 댁의 가족 구성은 다음 중 어디에 해당하시나요?

① 1인 가구 ② 부부 가구 ③ 부부 + 자녀④ 노부모 + 부부 + (손)자녀 ⑤ 기타

DQ3. 귀하의 직업은 무엇입니까?

01) 관리자 02)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03) 사무 종사자 04) 서비스 종사자05) 판매 종사자 06)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07)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08) 장치·기계 조작 및 조립 종사자09) 단순노무 종사자 10) 군인101) 주부 102) 중학생103) 고등학생 104) 대학생105) 대학원생 106) 무직107) 퇴직 108) 기타 ( ________________ )

DQ4. 귀하의 직장(일)에서의 지위는 무엇입니까?

임금근로자

① 상용근로자 → 계약기간 1년 이상

② 임시근로자 → 계약기간 1개월 이상~1년 미만

③ 일용근로자 → 계약기간 1개월 미만

비임금근로자

④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사업주)

⑤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⑥ 무급가족종사자(가족 일을 돕되 임금이 없는)

DQ5. 귀하께서는 학교를 어디까지 마치셨습니까? 단, 중퇴는 졸업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① 초등학교 졸업 이하② 중학교 재학(중학생) ③ 중학교 졸업④ 고등학교 재학(고등학생) ⑤ 고등학교 졸업⑥ 대학교 재학(대학생) ⑦ 대학교 졸업⑧ 대학원 재학(대학원생) ⑨ 대학원 졸업

DQ5-1. 귀하께서는 예능계 중학교 또는 고등학교를 다닌 적이 있습니까?

① 있다 ② 없다

Page 236: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 부록-조사 설문지|185

DQ6. 귀하의 혼인 상태는 어떠합니까?

① 미혼 ② 기혼 ③ 이혼 ④ 별거 ⑤ 사별

DQ6-1. (DQ6의 ②, ③, ④, ⑤ 응답자만) 귀하의 자녀는 모두 몇 명이십니까? 명

DQ6-2. (DQ6-1에서 자녀가 1명 이상이라는 응답자만)

귀댁 자녀의 취학상태는 어떠한지 말씀해 주십시오.

순위 취학 전 초등학생 중고대생 학생 아님

첫째 ① ② ③ ④둘째 ① ② ③ ④

셋째 ① ② ③ ④넷째 ① ② ③ ④

DQ6-3. (DQ6의 ② 기혼 응답자만) 귀댁은 맞벌이를 하고 계십니까?

① 맞벌이 ② 외벌이

DQ7. 귀댁의 가족 전체의 월평균 소득은 대략 어느 정도입니까?

① 99만원 이하 ② 100∼149만원 ③ 150∼199만원 ④ 200∼249만원⑤ 250∼299만원 ⑥ 300∼349만원 ⑦ 350∼399만원 ⑧ 400∼449만원⑨ 450∼499만원 ⑩ 500∼549만원 ⑪ 550∼599만원 ⑫ 600~649만원⑬ 650~699만원 ⑭ 700만원 이상

DQ8. 현재 살고 계신 집은 귀하 소유입니까? 아니면 셋집입니까?

① 자기 집② 전세③ 월세, 반전세(보증부 월세), 사글세(일정금액을 맡기고 월세로 대체하는 방식)④ 무상주택(임대료를 지불하지 않고 사는 주택)이나 사택

DQ9. 귀하는 어떤 종교를 가지고 계십니까?

① 종교 없음② 개신교 ③ 불교 ④ 천주교 ⑤ 기타( )

DQ10. 귀하의 아버님께서는 학교를 어디까지 마치셨습니까? 단, 중퇴는 졸업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① 초등학교 졸업 이하② 중학교 재학(중학생) ③ 중학교 졸업④ 고등학교 재학(고등학생) ⑤ 고등학교 졸업⑥ 대학교 재학(대학생) ⑦ 대학교 졸업⑧ 대학원 재학(대학원생) ⑨ 대학원 졸업

Page 237: 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186|2014� 문화역량 기초조사

DQ11. 귀하의 어머님께서는 학교를 어디까지 마치셨습니까?

단, 중퇴는 졸업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① 초등학교 졸업 이하② 중학교 재학(중학생) ③ 중학교 졸업④ 고등학교 재학(고등학생) ⑤ 고등학교 졸업⑥ 대학교 재학(대학생) ⑦ 대학교 졸업⑧ 대학원 재학(대학원생) ⑨ 대학원 졸업

응답자 성명

응답자 주소 시(군/구) 동(읍/면)

응답자 전화번호

조사 일시 월 일 _______시 _______분 ~ _______시 _______분 까 지

면접원 성명 면접원 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