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hug 혁신 추진계획 - khug.or.kr…„hug혁신추진계획.pdf · 혁신페스티벌 -...

37

Upload: others

Post on 07-Oct-2020

5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2019년 HUG 혁신 추진계획 - khug.or.kr…„HUG혁신추진계획.pdf · 혁신페스티벌 - (내부 혁신과제 발굴) 조직·인사·제도·서비스혁신 등 회사

2019201920192019201920192019201920192019201920192019201920192019201920192019년 년 년 년 년 년 년 년 년 년 년 년 년 년 년 년 년 년 년 HUG HUG HUG HUG HUG HUG HUG HUG HUG HUG HUG HUG HUG HUG HUG HUG HUG HUG HUG 혁신 혁신 혁신 혁신 혁신 혁신 혁신 혁신 혁신 혁신 혁신 혁신 혁신 혁신 혁신 혁신 혁신 혁신 혁신 추진계획추진계획추진계획추진계획추진계획추진계획추진계획추진계획추진계획추진계획추진계획추진계획추진계획추진계획추진계획추진계획추진계획추진계획추진계획2019년 HUG 혁신 추진계획

2019 7

- 1 -

목 차

Ⅰ 2018년도 HUG혁신 주요성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

Ⅱ 2019년도 HUG혁신 추진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

Ⅲ 2019년도 HUG혁신과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

Ⅳ 경평지적사항 개선 및 적극행정 확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4

Ⅴ 혁신 추진도구별 업무일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5

- 2 -

Ⅰ 2018년 HUG혁신 주요성과

「공공기관 혁신가이드라인」발표(`186월)에 따라 HUG 혁신계획을

수립하고(`187월) 전사적으로 38개 혁신과제를 추진

공공기관 혁신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한 3대 방향 7대 과제 중 기관업역

성과창출 역량집중 등을 고려하여 3대 중점과제 선정

①공공성 제고 ②일자리중심 경제선도 ③공정경제기반구축

【 2018년 주요 혁신과제 추진성과 】

3대중점과제 세부실행과제 `17 실적 `18목표 `18실적 비고

① 공공성제고

전세금보증 확대 44만세대 8만세대 89만세대 101

주택도시기금 대출 확대 - 15조원 229조원 152

임대주택 공급지원 확대 10748호 10000호 12827호 128

②일자리중심

경제선도

공공부문 일자리 창출 정원 602명 정원 622명 정원 746명 120

도시재생 창업융자지원(수요자중심) 261억원 470억원 969억원 206

공동기금조성지원 - 75억원 75억원 100

③공정경제기반구축

혁신도시 맞춤형 지역인재 채용 236 18 26 144

사회적 가치를 위한 사회공헌 29억원 29억원 31억원 107

하도급보증 확대 33조원 19조원 26조원 137

혁신목표 국민이 행복한 세상과 풍요로운 삶을 위한 혁신 리더

혁신방향 공익을 추구하는 HUG 더불어 성장하는 HUG 신뢰 받는 HUG

대내외 추진조직년

과제발굴middot실행

실적점검(내부)

의사결정기구 총괄조직 실행조직

혁신전략위원회 혁신성과처 혁신리더변화요원 등

국민참여(외부) HUG 시민참여혁신단 HUG 청년포럼 국민참여게시판

- 3 -

Ⅱ 2019년 HUG혁신 추진방향

추진 배경

2019년 「공공기관 혁신가이드라인」발표 (`196월 기획재정부)

- (추진목표) 공공기관 혁신을 통한 국민 삶의 질 제고

혁신의 지향점을 국민에 두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 촉진

- (추진방향) 2019년 정부혁신 기본방향과 공공기관 성격을 고려

추진방향을 ①사회적 가치 ②혁신적 포용 ③신뢰회복으로 설정

정부혁신 기본방향 혁신적 포용국가 뒷받침하는 포용행정 국민생활 속에

체감하는 혁신성과 창출 공직사회 변화 지속계기로서 정부혁신 추진

ㅇ「공공기관 혁신가이드라인」주요 변경사항 (밑줄 변경 사항)

- 3대 분야 7대 과제에서 8대 과제로 변경 및 정부정책 이행 강화

ㆍ(신규 추가과제) 생명middot안전 최우선 기관 운영 취약계층 서비스 사각

지대 해소 적극행정 확산 등 공공기관에 정부정책 적극 반영 요청

2018년(3대 분야 7대 과제) 2019년(3대 분야 8대 과제)

1 공공성

강화

①고유업무 공공성 제고 1 사회적

가치중심

기관운영

①고유업무 공공성 제고

② 대국민 서비스 조직

운영 혁신

②포용적 공공서비스

제공 강화

2 경제

패러다임

선도

③소득주도 일자리 선도

rArr2 혁신적

포용국가

선도

③경제활력 제고 및 일자리

중심 경제 지속 지원④혁신성장 뒷받침 ④혁신성장 지원

⑤공정경제 기반 구축 ⑤공정경제 기반 구축

3 국민신뢰

회복

⑥윤리경영 강화3 국민신뢰

회복

⑥적극행정 확산 등 조직

운영 혁신⑦투명 윤리경영 강화

⑦국민참여 협력 확대 ⑧국민의 참여 확대 및

지역사회 공헌

- 4 -

2019년 HUG혁신 추진방향

2018년도 우리 공사는 ①추진조직 구성 ②국민소통채널 구축 ③성과지표

신설 등 기관혁신 추진체계를 마련하여 성과창출을 위한 기반 조성

2019년은 국민이 체감하는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고자 정부가 제시한 8대

과제중 공공성 제고 경제활력 제고 공정경제 기반 구축 3대 과제를

중점과제로 선정하고

middot ①소통기반 혁신추진 ②혁신프로세스 체계화 ③혁신문화 촉진 ④혁신지표

개선 등 4대 혁신대상을 마련하여 더욱 체계적인 혁신활동을 전개하고 함

적극행정 등 신규과제 발굴 및 경평 지적사항 등 미비점 개선활동 병행

기관

혁신

목표국민이 행복한 세상과 풍요로운 삶을 위한 혁신 리더

정부

3대혁신

방향

사회적가치 중심

기관운영혁신적 포용국가 선도 국민신뢰 회복

3대

중점

과제

1 공공성제고

2 경제활력제고

3 공정경제기반 구축

「공공기관 혁신가이드라인」 8대 과제 중 공사는 3대 중점과제 선정middot추진

4대

혁신

대상

1 소통기반

혁신추진

2 혁신 프로세스

체계화

3 혁신문화

촉진

4 혁신지표

개선

혁신

추진

도구

1)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2) 국민소통강화

3) 혁신페스티벌

4) 유관기관 협업

5) 혁신채널 구축

6)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7) 제안제도정비

8) 혁신콘서트

9) 혁신교육middot워크숍

10) 혁신레터

11) 혁신마일리지

신설

12) 혁신BP 가점

제도 개선

lt2019년도 혁신 추진체계gt

- 5 -

3대3대

중점과제중점과제 공공성 제고 경제활력 제고

공정경제

기반 구축

주요혁신주요혁신

과제목표과제목표

(~(~ rsquorsquo23)23)

서민 전세금보호 확대

[73만호][73만호]

사업다각화 고용증대

[39 증원][39 증원]

혁신도시 지역인재 채용

[33][33]

임대주택 공급지원 확대

[68만호][68만호]

도시재생 창업융자지원

[7702억원][7702억원]

사회적가치 사회공헌

[457억원][457억원]

도시재생뉴딜사업 융자

[65조원][65조원]

IT분야 일자리 창출

[177명][177명]

하도급업자 보호강화

[지역하도급업체 계약률 60][지역하도급업체 계약률 60]

사회취약계층 등 기금지원

[39조원][39조원]

공공기관 공동기금 조성

[425억원][425억원]

중소기업 진입장벽 해소

[중소기업 계약률 82][중소기업 계약률 82]

2019년 혁신가이드라인에 따라 적극행정 등 신규분야 과제 추가

포용적 공공서비스 혁신성장 지원 적극행정 확산

고아원 연계 보호종료

아동 월세보증금 지원 등

카카오페이를 통한

전세금보증 판매확대 등

위임전결기준 개선

통한 업무처리 혁신 등

lt 3대 중점과제별 주요 혁신과제 gt

3대 중점과제별 주요 혁신과제 5개년 목표 설정 (rsquo19~rsquo23)

- 2019년도 정부가 제시한 8대 과제중 3대 중점과제의 계량목표 설정

8대 과제 ①공공성 제고 ② 포용적 공공서비스 ③ 경제활력 제고 ④ 혁신성장⑤ 공정경제 기반 구축 ⑥적극행정 ⑦ 투명middot윤리경영 ⑧ 국민참여

lt 주요 혁신과제 예상 계량실적 gt

중점과제

주요 실행과제 목표중장기 목표치

`19 `20 `21 `22 `23

공공성 제고

middot서민 전세금보호 확대 보증실적 10만호 12만호 14만호 17만호 20만호

middot임대주택 공급지원 확대 임대주택공급 10550호 12450호 13695호 15065호 16570호

middot도시재생뉴딜사업 융자 출융자실적 5877억 11227억 15014억 16178억 16494억

middot사회취약계층 등 기금지원 대출실적 78조원 78조원 78조원 78조원 78조원

경제활력 제고

middot사업다각화 고용증대 정원 766명 903명 995명 1033명 1062명

middot도시재생 창업융자지원 융자실적 1510억 1548억 1548억 1548억 1548억

middotIT분야 일자리 창출 일자리 113명 16명 16명 16명 16명

middot공공기관 공동기금 조성 기금조성 10억 10억 10억 125억 -

공정경제기반구축

middot혁신도시 지역인재 채용 지역채용 21 24 27 30 33

middot사회적가치 사회공헌 기부금액 86억 89억 91억 94억 97억

middot하도급업자 보호강화 지역하도급업체계약률 규정개정 30 40 50 60

middot중소기업 진입장벽 해소 중소기업계약률 779 79 80 81 82

- 6 -

4대 혁신대상별 추진도구

❶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국민소통 강화 등 소통기반 혁신추진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 (대국민 아이디어 공모) 국민의견을 적극 반영한 신규과제 추가

발굴을 위하여 대국민 아이디어 공모전 개최

2019년도 대국민 아이디어 공모를 통해 6개 혁신과제 발굴

국민소통 강화

- (소통채널) 국민의견 수렴을 위해 운영 중인 시민참여혁신단 및

청년포럼(Off-Line)과 홈페이지에 대국민참여게시판(On-Line) 활성화

소통채널 구 성 현 황

시민참여혁신단 ∙ 교수 고객 유관기관 시민단체 언론계의 분야별 전문가 6인으로 구성

청년포럼 ∙ 대학생 청년사업가 12인으로 구성

대국민참여게시판 ∙ 공사의 정책제안 국민제안 아이디어 공모 시 모든 국민참여

혁신페스티벌

- (내부 혁신과제 발굴) 조직middot인사middot제도middot서비스혁신 등 회사 전 분야의

경영혁신 달성을 위한 전사 혁신페스티벌 추진 (부서 및 개인제안 공모)

유관기관 협업

- (SOC공공기관 통합기술마켓) 중소기업 기술 및 판로지원을 위하여

국토부 산하 10개 공공기관이 통합기술마켓 공동구축 추진

HUG LH 감정원 도로공사 코레일 인천middot한국공항공사 LX 철도시설middot교통공단

- 7 -

❷ 혁신채널 구축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등 혁신 프로세스 체계화

혁신채널 구축

- (혁신광장) 혁신관련 종합계획 정부정책 및 추진체계 등을 공유

하고 조직원의 아이디어를 상시 발굴할 수 있는 혁신광장 개설

지식채널(KM)에 개설하여 혁신제안혁신심사혁신BP 등 게시 전사 공유

lt혁신광장 구축(안)gt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 (프로세스 체계성 강화) 직원 제안사항을 단순제안혁신제안으로 분류

하고 혁신제안은 Bottom-up 방식 단계별 심사 후 혁신과제로 선정

직원제안은 사내인트라넷 內 혁신광장을 통해 연간 상시접수

lt혁신제안 심사 및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gt

구분 예비심사 1차 심사 2차 심사 혁신과제 확정

주요내용

∙단순제안혁신제안심사배제 제안으로 분류

∙예비심사에서 채택된 혁신제안을 대상으로 심사

∙1차 심사에서채택된혁신제안을 대상으로 심사 ∙혁신과제 추진

여부 등 중요사항 의결

채택요건

∙심사위원 34이상 참여과반수 이상 시 단순제안및 혁신제안으로 채택

∙심사위원 34이상 참여기준 점수 이상 시 혁신제안으로 채택

∙심사위원 34이상 참여과반수 이상 시 혁신과제로 채택

주체혁신 변화요원

(팀원)혁신리더(팀장) 본사 부서장 혁신전략위원회

(사장 부사장 등)

제안제도 정비

- (규정개정) 혁신과제 선정절차 및 혁신 평가방식 개선 등을 위해

혁신제안 관련규정 정비

혁신제안제도 운영기준 및 혁신마일리지 운영기준

- 8 -

❸ 혁신콘서트 혁신레터 등 혁신문화 촉진 경평지적

지적사항 혁신역량 강화 교육 체계화 및 활성화 필요

혁신콘서트

- (혁신공감대) 혁신우수사례(BP) 및 혁신노하우를 발표middot공유하고

시상식 등을 개최하여 조직원의 공감대 형성 및 동기부여

- (전사 참여) 조직원 전체가 참여할 수 있도록 추진하되 단독 또는

한마음 단합대회 개최 시 관련부서와 협의하여 공동 추진 검토

혁신교육 및 워크숍 확대운영

- (혁신교육) 창의적 조직문화 학습을 위해 혁신 선도적 공공민간

기업의 우수사례를 주제로 전직원 대상 정기교육 실시

2018년도 조직문화 혁신교육 우아한형제들 - ①규율 속 자율 경영

②창의적 업무환경조성 ③일상적 소통경영 등

- (혁신워크숍) 혁신문화 촉진과 조직원의 수용력 제고를 위해 혁신

담당자 중심으로 혁신워크숍 실시

전사혁신리더및변화요원대상혁신관련정부정책middot평가방식공유 혁신추진공감대형성등

혁신레터

- (혁신메시지) 조직원의 혁신업무 이해도 제고를 통한 혁신 실행력

강화를 위해 혁신메시지 제도 시행

middot 혁신전략 혁신계획 혁신과제 등 혁신업무 전반에 대해 카드뉴스를

제작하여 전사 포털(Portal) 화면에 팝업창을 통해 게시

현재 전사포털 팝업창을 통해 윤리경영 자가점검 칭찬감사릴레이 등 시행중

- 9 -

❹ 혁신마일리지 신설 혁신BP 가점제도 개선 등 혁신지표 개선 경평지적

지적사항 혁신역량 강화 교육 체계화 및 활성화 필요

혁신마일리지 신설

- (혁신활동 평가강화) 혁신 과제선정middot이행 국민소통 혁신활동

등 혁신업무 전 영역에 마일리지를 부여하여 혁신평가의 변별력

제고 및 보상체계 강화

과제선정(최대10점) 과제이행(최대20점) 국민소통(최대20점) 등혁신마일리지차등부여

HUG 혁신마일리지 추진 체계

국 민업무혁신middot성과중심의 혁신마일리지 관리체계 구축 우수과제

선정 및

전파

제안등록 과제선정

(최대 10점) 과제이행

(최대 20점)

국민소통(최대 20점)

혁신활동(최대 10점)

마일리지

내평반영 및

포상 제안의

난이도에 따른

차등 점수

단순제안혁신

제안우수제안

이행

국민의견을

반영한

제안과제 이행

혁신콘서트

혁신특강 등

개인 역량강화H U G

혁신제안의 수준과 부서 및 직원의 혁신기여도에 따른 차등 마일리지 부여

혁신BP 가점제도 개선

- (가점확대) 혁신페스티벌 대국민아이디어 적극행정 혁신성장 등

BP경진대회를 통한 우수사례 발굴 및 내평(성과향상기여도) 가점 확대

[현행] 본사부서(최대 17점) 영업부서(최대 05점) rarr [개선] 본사(최대 2점) 영업(최대 1점)

- 10 -

Ⅲ 2019년 HUG혁신과제

2019년은 기존 중장기 35개 과제에 국민참여 6개 과제 기관 내부

발굴 10개 과제를 추가하여 총 51개 혁신과제를 추진할 예정임

HUG 혁신과제 (2018년) 38개 rArr (2019년) 51개

(중장기 과제) (lsquo18) 38개 과제 rarr 대내외 환경변화로 (lsquo19) 35개로 조정

(국민참여) 2019년 대국민아이디어 77건 중실현가능성등검토하여최종 6건선정

(내부발굴) 2019년 직원제안 236건 중 실현가능성 등 검토하여 최종 10건 선정

HUG 혁신과제 목록 (2019년 공공기관 혁신가이드라인 8대 과제별 분류)

연번 ① 고유업무 공공성 제고 비고

1 전세금보증 가입문턱을 낮추어 서민의 전세금 보호 강화 중장기

2 주택도시기금 지원확대로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역할강화 중장기

3 임대주택 공급지원 확대로 서민 주거복지 증대 중장기

4 주택도시기금 신규상품 개발을 통한 도시재생뉴딜 활성화 중장기

5 제도에서 전산까지 온오프라인 안심시스템 구축 중장기

6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전사 경영전략체계 구축 중장기

7 도시계정의 체계적 관리를 통한 도시재생 활성화 중장기

8 국민과 함께하는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 중장기

9 민관협력사업으로 주거취약지구 주거환경 개선 중장기

10 도시재생 맞춤형 스타트업 총괄지원 플랫폼 도입middot운영 국민

11 도시재생 생태계 조성을 위한 종합지원 플랫폼 구축 국민

12 분양이행사업장 수분양자 보호 내부

- ② 포용적 공공서비스 제공 강화 -

13 인터넷보증시스템 개선으로 전세금보증 이용편의성 제고 중장기

14 주택도시기금 대출절차 간소화를 통한 대국민 서비스 향상 중장기

15 고아원연계 보호종료아동 월세보증금 지원 제도 국민

16 HUG 이용고객 편의성 제고를 위한 플랫폼 구축 국민

- 11 -

17 전세금보증 인터넷가입에 필요한 데이터 자동화 구축 국민

18 사회임대주택 활성화를 위한 조직 혁신 내부

19 상담서비스 고도화를 통한 고객만족도 제고 내부

20 공공정보 연계 통한 서류제출 절차 간소화 내부

- ③ 경제활력 제고 및 일자리 중심 경제 지속 지원 -

21 사업다각화를 통한 고용증대 및 비정규직 ZERO화 중장기

22 주거복지 및 도시재생을 위한 창업공간 금융지원 중장기

23 IT선진화를 통한 민간일자리 창출 중장기

24 공공기관 공동기금 조성을 통한 지역 사회적경제 활성화 중장기

25 상가임차금 안심대출 상품개발 중장기

26 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중장기

- ④ 혁신성장 지원 -

27 비대면 전세금보증을 통한 혁신성장 기반 마련(카카오페이를 통한 가입확대 등) 중장기

28 국민 주거편의 제공을 위한 스마트시티 건설 지원 중장기

29 HUG 빅데이터 운영체계 구축으로 공공데이터 개방 기여 중장기

30 친환경middot신소재 활용으로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제로에너지 건축물 건설자금지원 등) 중장기

31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비대면 가입 활성화 중장기

32 전기자동차 도입을 통한 친환경 에너지 수요 창출 중장기

33 드론 활용을 통한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 중장기

34 드론활용 사업장 안전관리 및 점검체계 구축(시범단지운영) 중장기

35 블록체인을 활용한 안전하고 편리한 인터넷서비스 제공 중장기

36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사업 국민

- ⑤ 공정경제 기반 구축 -

37 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 진입장벽 해소 중장기

38 공정경제를 위한 지역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업자 보호강화 중장기

39 고용위기지역에 대한 금융지원 추진 중장기

- ⑥ 적극행정 확산 등 조직운영 혁신 -

40 근로여건 개선을 통한 휴식 있는 삶 지원 중장기

41위임전결기준 개선을 통한 업무처리 혁신(결재피로감 낮추고 책임ㆍ권한 공백없이 업무는 신속하게 )

내부

42 지출신청 시 영수증 증빙 제출제도 개선 내부

- 12 -

HUG 혁신과제 세부추진 내용

1 사회적 가치중심 기관 운영

(1대 과제) 고유 업무의 공공성 제고 중점

43 PF보증심사 시 월별예정 분양률 분포의 계량화 내부

44 논스톱 고분양가 심사 내부

45 임대리츠 통계 및 사후관리시스템 개선 내부

- ⑦ 투명middot윤리경영 강화 -

46 청렴도 향상을 위한 반부패 활동 강화 중장기

- ⑧ 국민의 참여 확대 및 지역사회 공헌 -

47 혁신도시 맞춤형 지역인재 육성 지원 및 인재채용 투명성 강화 중장기

48 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사회공헌사업 확대 추진 중장기

49 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중장기

50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국민이 참여하는 HUG사업평가단(가칭) 운영 중장기

51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과 협업하여 효율적인 전세금보증 이행 내부

실행과제

(1)전세금보증가입문턱을낮추어서민의전세금 보호 강화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서민의전세보증금을지켜주는최선의안전장치 lsquo전세금보증rsquo 활성화추진

(추진내용)

∙ 보증가입 편의성 제고 및 채널 확대를 통한 전세금보증 활성화

- 모바일 전세금보증 편의성 지속 개선middot확충

- 공인중개사 전세금보증 위탁판매 활성화 등

∙ 사회배려계층 맞춤형 보증제도 개선 등을 통한 공적역할 강화

- 보증가입기간 확대 등 임차인 보호를 위한 전세금보증 지원

- 보증서비스 품질 개선 등을 위한 전문가 의견수렴 등

추진목표

보증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0만호(21조원)

12만호(25조원)

14만호(30조원)

17만호(36조원)

20만호(43조원)

- 13 -

실행과제

(2)

주택도시기금 지원확대로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역할강화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무주택middot실수요 서민주거 안정지원을 위한 대출제도 개선 및 주거복지

로드맵 정책지원을 통한 맞춤형 주거지원으로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마련

(추진내용)

∙ 신혼부부middot청년층 기금대출 지원 확대

- 신혼희망타운 수익공유형 모기지대출 출시

- 신혼부부 기간 확대 (5년 rarr 7년)

- 청년층 청약 가입요건 완화 등 제도 개선 및 운영보완

- 고시원 주거급여 거주자 등에 대해 주거안정월세대출 대상자에 포함

∙ 자산기준 도입 서류간소화 등 기금대출 제도 개선

추진목표

사회취약계층 등 기금지원 (수요자 대출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78조원 78조원 78조원 78조원 78조원

`19~`23 목표는 매년초 국토부 최종안 확정안 국회승인을 거쳐 목표치 확정

실행과제

(3)임대주택 공급지원 확대로 서민 주거복지 증대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사회임대주택 공급 활성화

(목적) 주거약자를 위한 정부 사회임대주택 공급 활성화 정책 지원 및

공사의 공공성 역할 확대

(추진내용)

∙ 사회임대주택 보증 확대를 위한 제도개선 및 공급 활성화를 위한 금융 지원

∙ 사업관련 주체의 유기적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홈페이지 구축

∙ 공급활성화 여건 조성을 위한 사업자 육성 및 홍보 강화 및 유관기관 협업

임대리츠 관리체계 개선 및 공모를 통한 공급확대

(목적)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등 리츠를 통한 임대주택 공급 활성화를

통해 국민 주거복지 증진 도모

(추진내용)

∙ 서민 주거복지 강화를 위한 임대리츠 기금출자 제도 개선

∙ 민간임대사업자 참여 유도를 위한 공모사업 활성화

∙ 임대리츠 공공성 강화를 위한 심사관리 체계 개선 및 기금출자심사 실시

∙ 임대리츠 관련 정부정책 추진 지원을 위한 다각적 홍보 추진

∙ HUG形 민간제안 공모방식 확대로 임대주택 공급 강화

추진목표

사회임대주택 보증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50호 900호 990호 1089호 1197호

리츠를 통한 임대주택 공급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0500호 11550호 12705호 13976호 15373호

HUG 민간제안공모 공고 세대수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rsquo23년

8000세대 8500세대 9000세대 10000세대 10500세대

- 14 -

실행과제

(4)주택도시기금신규상품개발을통한도시재생뉴딜활성화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도시재생뉴딜 맞춤형 금융지원 확대 (목적) 도시재생 사업유형 확대에 대응한 맞춤형 기금지원 상품 개발운용 (추진내용)∙ 소규모 재생사업 및 주택정비 활성화를 위한 금융지원 확대∙ 도시재생 경제조직 활성화를 위한 금융지원 프로그램 도입 도시재생뉴딜 활성화를 위한 기금지원 운용체계 개선 (목적) 명확한 업무기준효율적 수행방안을 확립하여 도시계정 양적질적확대에 대응 및 뉴딜정책 활성화에 기여

(추진내용)∙ 도시재생 금융지원 접수middot심사체계 개편으로 국민불편 해소∙ 도시재생 금융지원 사후관리 체계 확립으로 안정적 기금운용 및 공공성 실현

추진목표

도시재생 금융지원 출융자 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5877억원 11227억원 15014억원 16178억원 16494억원

도시재생 금융지원 심사사업장관리 운용체계 개선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5건 5건 5건 5건 5건

실행과제(5)

제도에서 전산까지 온middot오프라인 안심시스템 구축 담당부서정보운영처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응하는 정보보안체계 구축

(목적) 4차 산업혁명시대 기술(IoT BigData AI 등) 변화에 맞는 선제적인 정보

보안 체계 수립과 능동적인 정보주체의 권리 보장

ㅇ (추진내용)

∙ 선진화 정보보안 체계 구축 컨설팅

주택건설사업장 사회안전망 플랫폼 구축

(목적) 주택관리사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으로 사고로 인한 분양계약자의

입주지연 및 보증사고 위험 등을 사전에 예방하여 국민의 편익 증진

(추진내용)

∙ 사업장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보증사업장 현장점검 규정 개정

- 사업장안전관리강화를위한안전점검업무신설및안전관리우수고객우대제도운영

∙ 드론을 활용한 보증사업장 동영상 촬영 및 제공으로 분양계약자 정보제공 강화

- 현재 앱을 통한 사업장 현장사진 제공을 드론을 이용한 동영상 제공으로 확대하여

분양계약자 정보제공 강화

추진목표

국정원 정보보안 관리실태 점수 행안부 개인정보보호 진단 점수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공공기관평균점수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 5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10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15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20

보증사업장 안전사고로 인한 공사 지연 건수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0건 0건 0건 0건 0건

- 15 -

실행과제(6)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전사 경영전략체계 구축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공공기관의 lsquo공적역할 강화rsquo 및 lsquo사회적 책임실현rsquo이라는 국정기조 변화에 부응

하기위한공사의新경영전략수립

(추진내용)

∙ 고유 업무의 공공성 제고를 위한 사업전략 재수립

- 사회통합형 주거복지 실현을 위한 공적금융 지원 전략 수립

- 소규모 도시재생사업 활성화를 위한 단계별 공사 역할방안 마련

∙ 사회적 가치 기반 전사 기능전략 및 중장기 경영목표 재수립

- 공적역할 확대 및 사회적 책임 구현을 위한 부문별 기능전략 수립

추진목표

사회적가치 기여도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최우수 최우수 최우수 최우수 최우수

청렴도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등급 1등급 1등급 1등급 1등급

실행과제(7)

도시계정의 체계적 관리를 통한 도시재생 활성화 담당부서기금정보처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목적) 노후주거지 주민과 사회적기업 등이 필요로 하는 자금을 적시에 원활히 지원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도시계정 관리 추진

(추진내용)

∙ 연체관리 프로세스 정립을 통한 기금손실예방

- 연체 단계별 업무처리 프로세스 마련을 통한 융자사고방지

- 도시계정 융자원리금 수납기준 마련

- 융자사고관리 방안 마련

∙ 고객신용관리 체계구축을 통한 사고예방 모니터링 확대

- 고객신용관리 모니터링 체계구축을 통한 사고예방관리

- 도시계정 신용정보집중 처리기준 프로세스 마련

- 도시계정 신용정보관리 전산시스템 구축 일반신용정보관리규약에 따른 도시계정 신용정보 파일전송 설계서(전문) 작성

공사 신용정보 집중 시스템과 병합 추진

∙ 도시계정 자금관리 체계정립을 통한 도시재생활성화지원

- 도시계정 예산확대 신규 금융기법적용 등 도시계정 특성을 반영한 회계middot결산

자금관리 업무기준 확립 정형화된 담보가 아닌 수요자사업자 특성을 고려한 맞춤 담보제공 자금투입 공공성 확보를

위한 엄격한 융자조건 부여

- 회계middot결산 자금관리 업무전산화를 통한 효율화 정책지원기능 확대

추진목표 (비계량) 2019년 융자사고예방을 위한 연체관리 자금관리기준 수립 및 개선

- 16 -

실행과제(8)

국민과 함꼐하는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 담당부서보증이행처

준법지원실

추진내용

(목적) 국민참여를 통한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의 수용성 제고 및 주거

복지 실현 위한 공동주택 하자 조기대응ㆍ감축방안 모색

(추진내용)

∙ 하자분쟁 해결체계 관련 국민 공유ㆍ소통 프로그램 운영

- 국민과 함께하는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 계획 수립

- lsquo공동주택 실무강좌rsquo 동행을 통한 하자관련 주요이슈 대국민 공유ㆍ소통- 국민참여 하자정보 공유 4회(서울 인천 수원 의정부) 및 하자실무 법률상담

∙ 국민 참여 확대를 통한 정책 개선 노력

- (lsquo1810) 대국민 의견수렴을 위한 하자분쟁 컨퍼런스 개최

middot 하자분쟁 예방을 위한 관계규정 검토 및 정책 논의

middot 행정청 학계 법조계 및 입주자대표회의 관련 다수 국민 참여

∙ 소규모사업장 청구 전 하자보수보증 사전안내제도(BS Before Service) 실시 검토

소규모사업장 150세대 미만 사업장 중 대위변제가 없는 2년차 하자보수보증 만료6개월 전 사업장

추진목표

대국민 참여도산출근거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참여횟수6회참여인원300명

참여횟수8회참여인원400명

참여만족도85점 이상

정책국민의사반영1회이상

정책국민의사반영1회이상

횟수당50명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점수(관리본부) 목표치산출근거구분 rsquo18년 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등급 A A A A A 목표 A등급 이상

실행과제(9)

민관협력사업으로 주거취약지구 주거환경 개선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목적) 공사의 사회적 가치경영 실행을 위해 새뜰마을(취약지역 개조사업) 주거

여건 개선을 지원하는 민관협업 사회공헌사업 추진

(추진내용)

∙ 중앙부처 공공기관 민간기업 등이 지역 주민과 함께 도시취약지역 내 노후주택에

대한 주거환경개선 열효율화 사업 추진

- 새뜰마을중고령화 노후화등으로사업추진이절실하고 지역사회참여정도등을 고려

하여성과가 가시화될수있는지역선정추진

∙ 주거취약지역 환경개선 관련 민관협업사업 MoU 체결 추진

- 국토교통부 HUG LH KCC AURI 해비타트 등 협약 체결을 통해 집수리 자재 및

전문인력 후원금 지원 추진

∙ 도시취약지역 지원 효과 분석 및 사업추진 매뉴얼 마련

- 지역기초조사 사업전후 효과분석 등 성과관리 새뜰마을 매뉴얼 제작보급

추진목표새뜰마을 지원대상 확대 건수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5건 5건 5건 5건 5건

- 17 -

실행과제(10)

도시재생 맞춤형 스타트업 총괄지원

플랫폼 도입middot운영담당부서

인사처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도시재생과 관련된 스타트업 및 소셜벤처에 대한 종합적 지원

(추진내용)

∙ HUG형 도시재생 뉴딜 창업 프로젝트 추진

- 사회적 경제조직 육성기관(함께일하는재단) 대중투자 전문기관(와디즈)과 협업

- 사회적 경제조직 컨설팅 지원

- 대중투자 연계 통한 일자리 창출 및 사회적 경제 활성화 지원

∙ 스타트업 및 소셜벤처에 대한 사회적 금융 지원

∙ HUG 창업 라운지(스타트업 기업에 공간 공유) 확대 운영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사회적금융지원금액 1억 1억 1억 1억 1억

공간지원스타트업수 6 8 10 12 14

멘토링middot창업캠프개최회수 5 5 5 5 5

실행과제(11)

도시재생 생태계 조성을 위한

종합지원 플랫폼 구축담당부서

기금정보처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종합적인 도시재생정보 공유체계 구축을 통해 기금 지원된 도시재생사

업에 대한 정량적 정보 및 사후지원 청년middot예비창업자 참여를 위한 HUG 정책

지원 정보를 기금포털 내 일괄 제공

(추진내용)

∙ 전국 기금이 활용된 도시재생 사업장 정보 제공(lsquo도시재생 기금지도rsquo 서비스)

- 지도 API 기반의 도시재생 기금지원 사업장 정보조회 서비스

- 전국 분포된 사업장의 위치부터 융자금액까지 상세정보를 편리하게 검색

- 실제 사례와 이용 상품 정보를 함께 제공하여 정보이용자 이해도 제고

∙ 기금 사업장 홍보 지원 및 청년창업 지원 정보 일괄 제공(전용 게시판 신설)

- 사업장 및 보유시설(코워킹시설 임대시설 등) 홍보 위한 전용공간 마련

- 기금지원 사업의 우수사례 정보공유를 통한 벤치마킹 및 정보이용자 관심유도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기금지도 서비스 개시 서비스구축middot개시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우수사례 발굴 건수 8 8 8 8 8

- 18 -

(2대 과제) 포용적 공공서비스 제공 강화

실행과제(12)

분양이행사업장 수분양자 보호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분양대금채권 지연손해금율 하향조정 등 분양계약자 부담완화를

통한 국민 주거안정 기여

(추진내용)

∙ 분양계약자 지연손해금 관련 주택분양보증약관 개정

- 분양계약자의 분양계약서상 지연손해금율이 시행사 구상채권 지연손해금율

보다 높은 사례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공사 내규와 분양계약서상 지연손해

금율 중 낮은 것을 적용하도록 약관 규정 개정 (시행사 동의서 징구)

추진목표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 점수(관리본부)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901 915 933 951 971

실행과제(13)

인터넷보증시스템개선으로전세금보증이용편의성제고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인터넷보증 시스템 개선을 통해 고객의 전세상품 보증서비스

편의성 및 접근성을 강화하여 서민 주거안정성 개선 지원

(추진내용)

∙ 인터넷 보증시스템 재구축 추진(lsquo20~lsquo21)

- (현행) 인터넷 익스플로러 이외의 웹브라우저 미지원

- (재구축) 구 운영체제 지원종료 대비 및 지원 플랫폼(구글 크롬 등) 확대를

위한 시스템 재구축 예정

∙ 모바일 보증시스템 구축 추진(lsquo19)

- (현행) PC 중심의 제한적인 보증가입 서비스 제공

- (비대면 서비스 강화) 모바일 보증시스템 구축 추진

추진목표

비대면 보증가입 점유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0 12 14 16 18

- 19 -

실행과제

(14)주택도시기금대출절차간소화를통한대국민서비스향상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서민실수요자 지원 강화 및 이용자 편의 제고 등을 위한 주택도시

기금 구입전세 대출의 자산심사 도입

(추진내용)

∙ 자산심사기준 도입을 통한 정책자금의 실수요자 집중 지원

∙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구축을 통한 대출절차 간소화

∙ 전담 수행조직 운영 및 수탁은행 역할 재정립 등을 통한 대국민 서비스 제고

추진목표

대출절차 혁신 시스템 운영 체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자산기준 마련기금법령 개정시스템 개발오픈수요자대출상품운영

수요자대출 全상품 시스템 안정화제도개선 및 모니터링

他 기금상품 (주택종합청약저축)도입 검토 및 적용

실행과제

(15)고아원연계 보호종료아동 월세보증금 지원 제도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고아원 보호기간이 종료됨에 따라 주거지원이 필요한 아동에게

주택임차자금 지원 및 보증상품 개발

(추진내용)

∙ 긴급 주거지원이 필요한 아동의 가정에 주택임차자금 지원∙ 고아원 보호종료 아동 대상 전세월세보증금보증 할인 상품 개발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택임차자금지원 세대 수

10 20 성과분석 후 확대 검토

고아원보호종료아동대상상품가입자수

상품개발추진 제도개선 추진

실행과제

(16)HUG 이용고객 편의성 제고를 위한 플랫폼 구축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객과의 소통채널 확대방안의 일환으로 24시간 고객상담 제공

(추진내용)

∙ 단순 문의 SMS 발송

- 위탁은행 신청서류 등 전세보증 관련 간단 정보 문자발송 ARS실시(완료 `195월)

- 업무시간 종료 후에도 단순문의에 대한 SMS문자안내 서비스 추진

∙ 콜센터와 지사 상담이력 공유

- 콜센터 상담시스템과 차세대 시스템을 연계 고객별 상담이력 조회화면 구축

∙ 보이는 ARS 서비스 도입

- 기존의 음성 서비스와 함께 스마트폰을 통해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바로

연결하고 직접 통화하지 않아도 간편문의를 처리할 수 있는 보이는 ARS 실시

추진목표 2019년 챗봇서비스 DB구축 검토 2020년 챗봇 서비스 도입 검토

- 20 -

실행과제

(17)전세금보증 인터넷가입에 필요한 데이터 자동화 구축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가입을 간편하게 하여 정보사각지대에 있는 고객의

보증 가입 편의성 강화

(추진내용)

∙ 주택가격정보middot등기부등본 데이터 자동입력 시스템 마련

- KB시세 한국감정원 국세청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와의 협약 통한 시스템 연계

- 직접협약 외에도 부동산 권리변동정보 제공기관을 통한 중계서비스 도입 검토

∙ 인터넷보증시스템 전세금보증 신청절차 개선

- 전자연계 가능한 서류의 데이터 자동입력 프로세스 개발

- 보증심사시 담당자가 전자 원본 서류를 확인할 수 있는 화면 개발

추진목표

데이터 입력시스템 구축 및 운용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연계방안검토

협약체결 전산연계 운영 및 보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18)

사회임대주택 활성화를 위한 조직 혁신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사회임대주택 금융지원제도 담당부서 일원화로 속도감 있는 제도개선 등

사회임대주택 활성화 지원

(추진내용)

∙ 기획조정실 사회임대주택 총괄부서 지정을 위한 조직개편 추진

- 현행 사회임대PF보증(금융기획실) 토지임대middot기금출융자(도시재생기획처 기금지원처)

- 개선 도시재생기획처로 일원화하여 사회임대주택 복합금융 지원업무 총괄

한 부서에서 기금 출middot융자 보증지원까지 원스톱 상담으로 고객 만족도 제고

추진목표 2019년 조직개편 완료

실행과제

(19)상담서비스 고도화를 통한 고객만족도 제고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객상담데이터 체계적 관리middot활용을 통한 대국민 서비스 질적 향상

(추진내용)

∙ 차세대(전산)업무시스템 및 콜센터 시스템을 연계하여 상담이력 공유- 콜센터 외에도 지사 직원의 고객상담이력을 저장할 수 있도록 차세대시스템 내화면 구축 콜센터의 상담이력 역시 차세대 시스템에 저장 및 관리

∙ 보이는 ARS서비스 실시 및 단순문의안내 SMS 발송 서비스 실시middot활성화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콜센터전산시스템연계

시스템구축

시스템개발완료및 운용

시스템운용

시스템운용

시스템운용

신규 서비스출시

보이는ARS검토

보이는ARS출시

보이는ARS운용

보이는ARS운용

보이는ARS운용

- 21 -

2 혁신적 포용국가 선도

(3대 과제) 경제활력 제고 및 일자리 중심 경제 선도 중점

실행과제

(20)공공정보 연계 통한 서류제출 절차 간소화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필요한 서류를 간소화함으로써 대국민서비스 질 제고 (추진내용)∙ 필요한 서류 등을 공사 전산으로 조회 가능한 시스템 구축∙ 기금대출절차 혁신 시스템과 연계

추진목표 ∙ (비계량) 필요서류 전산조회 시스템 구축

실행과제

(21)사업다각화를 통한 고용증대 및 비정규직 ZERO화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서민 주거복지 도시재생 활성화 지원 등을 위한 기관 자체의 적극적인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공기업 서비스 제고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증원 및 채용 확대- 신사업 발굴 및 자율정원제를 통한 적극적인 증원-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청년 및 지역 인재 채용∙ 사회 양극화 해소를 위한 비정규직 ZERO화- 노사 공감대에 기반한 정당한 절차를 통한 전환 추진 및 전환근로자 처우 개선 노력

추진목표정원 비정규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766명 0명 903명 0명 995명 0명 1033명 0명 1062명 0명

실행과제

(22)

주거복지 및 도시재생을 위한

도시재생 창업공간 금융지원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도시재생 금융상품을 통한 창업지원 (목적) 창업과 관련한 도시재생 금융상품을 통해 민간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창업 관련 수요자 중심형 기금융자 및 보증상품 개발 운용- 코워킹시설조성 상가리모델링 공공임대상가 등 기금융자 지원

도시재생뉴딜 금융지원을 위한 사회적 금융 연계 지원 (목적) 도시재생분야법인단체창업관련크라우드펀딩 및 창업지원 컨설팅 추진 (추진내용)∙ 도시재생분야에대중투자연계일자리창출및지역주도사회적경제활성화지원- 뉴딜로 도시재생 크라우드펀딩 대회 개최 등∙ 도시재생 창업단체에 대한 지원을 위해 HUG형 민간일자리 창출 프로젝트 추진- HUG와 함께하는 도시재생 뉴딜 창업프로젝트 추진 및 사회적 경제조직 활성화

추진목표창업지원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510억원 1548억 1548억 1548억 1548억

- 22 -

실행과제

(23)IT선진화를 통한 민간일자리 창출 담당부서

기금정보처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고유목적사업인 주택보증 주택도시기금 및 도시재생분야의 IT 시스템

구축 및 개선을 통한 민간 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 주택도시기금 정보시스템 통합 유지보수

- (추진기간) 유지보수 사업의 특성으로 매년 발생

- (일자리창출) 2019년(8명) 2020년 sim 2023년(매년 16명)

∙ 도시재생 금융지원 전산시스템 구축

- 도시재생융자등원활한도시계정업무를뒷받침하기위한온라인금융지원시스템구축

- 추진기간 2018년~2019년 투입금액 및 인력 51억원 41명

∙ 주택도시기금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구축

- 주택도시기금 대출절차 편의 제고 및 절차 간소화 시스템 구축

- 추진기간 2018년~2019년 투입금액및인력 컨설팅용역43억원 12명 전산용역74억원52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기금업무 운영 유지보수 8 16 16 16 16

도시재생 융자시스템 41 - - - -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64 - - - -

합 계 177

실행과제

(24)

공공기관 공동기금 조성을 통한

지역 사회적경제 활성화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이전지역 기관간 협업을 통한 사회적경제 활성화로 지속가능한 일자리

제공 지역경제 활성화 추진

(추진내용)

∙ 부산 사회적경제 지원기금(BEF) 지원을 통한 사회적기업 육성 및 지원

- Pilot Program (크라우드펀딩) 20개소 창업단계 재정지원 5개소 Start-up 재정지원

15개소 Scale-up(성정기 기업) 대출지원 5개소 BEF 경영컨설팅 50회 BEF

사회적기업 연구가 인재육성 실시 2회 BEF 판로지원 5개소 등

추진목표

기금지원 (자체 공동)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억원(10억원)

1억원(10억원)

1억원(10억원)

1억원(125억원)

-

- 23 -

(4대 과제) 혁신성장 지원

실행과제

(25)상가임차금 안심대출 상품개발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도시재생지역 내 상가임차인 보호를 위한 상가임차금안심대출 개발

(추진내용)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법령 개정 검토

-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등 관련 법령 개정안 검토

- 법령 개정안 정부 건의 (우선변제권 승계기관 포함)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시장분석 및 조사(`20)

- 상가임차보증금 시장분석 및 보증이용 수요조사

- 보증료율 검토 및 리스크 분석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출시(`21)

- 사규개정 및 법령개정 완료

추진목표

상가임차보증금 상품 출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내부검토 법령개정 시장분석 상품출시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26)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사고 위기사업장과 보증실적의 증가로 사전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및 정기 점검활동 강화 및 핵심업무 역량집중 강화

(추진내용)

∙ 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 현장점검 대상사업장을 파악하여 외주용역을 통한 점검 추진 검토

추진목표 ∙ 2019년도 현장점검 외주화

실행과제

(27)

비대면 전세금보증을 통한 혁신성장 기반 마련

(카카오페이를 통한 가입확대 등)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모바일 전세금보증

스마트폰을이용해언제 어디서든쉽게보증을신청할수있도록모바일가입채널마련

∙ (모바일 인터페이스) 인터넷 전세금보증 프로세스를 모바일웹에 최적화하여 로그인

부터 보증가입 승인까지 전 프로세스 지원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위탁은행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증가입 프로세스 개선

(현행) 임차인이 선순위 채권 등 보증가입정보를 입력

(개선) 임차인은개인정보및계약정보만입력하고세부심사에필요한정보는심사자가입력

모바일 안심대출보증

위탁은행 비대면 전세금 안심대출 상품 개발

추진목표 2019년 전세금보증의 완전한 모바일 가입체계 구축

- 24 -

실행과제

(28)국민 주거편의 제공을 위한 스마트시티 건설 지원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목적) 핵심 국정과제인 스마트시티 분야의 금융지원 플랫폼으로서 주택도시기금지원 기반 모색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검토 및 금융상품 초안 마련

(추진내용)

∙ 민간사업자 의견 수렴 및 스마트시티 기금 금융지원 상품 초안 마련 -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및 주요 요소기술산업 등 동향 파악- 민간사업자 의견수렴을 바탕으로 실질적 금융지원이 가능한 상품 개발 추진∙ 주택도시기금법 개정안 마련 및 정부 건의∙ 스마트시티 건설사업장에 대한 보증료 할인 또는 보증심사 가점부여∙ 스마트시티 건설 신공법 소개 및 성공사례 공유

추진목표금융지원 확대 건수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건 1건 2건 3건 3건

실행과제

(29)HUG 빅데이터운영체계구축으로공공데이터개방기여 담당부서

주택도시

금융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기관 내middot외부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주택middot도시middot금융 분야의 환경 변화를진단함으로서 4차산업 혁명시대 도래에 따른 선제적인 대응 체계 마련

(추진내용)

∙ (1단계) HUG 빅데이터 기반 주택시장 분석 인프라 설계 및 로드맵 수립∙ (2단계) HUG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구축 및 모델 개발∙ 수요자(국민middot정부middot공사)별 빅데이터 활용 영역 확대 및 분석 기능 고도화

추진목표공공데이터 외부개방(제공) 건수 (오픈API포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38건 42건 46건 51건 56건

실행과제

(30)

친환경middot신소재 활용으로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

(제로에너지 건축물 건설자금지원 등)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주택건설사업장에 친환경middot신소재 사용을 유도함으로써 환경 친화적 주택건설과 에너지신산업 판로지원

(추진내용)

∙ 친환경 제품 및 에너지 신소재 제품사용 주택건설사업장에 보증심사 가점부여(완료)- (`1812) 녹색건축물인증등급부여고객보증심사시초기예상분양율 5〜1점가점부여

∙ (추진) 신소재 적용 주택건설사업장 확대를 위해 보증심사시 가점부여

- SOC 공공기관 통합기술마켓과 연계한 보증우대 방안 마련 중소기업이 보유한 SOC 공공기관 관련 혁신기술의 공모middot연구개발 제안 및 검증을

통해 상품화 및 홍보middot판매를 지원하는 플랫폼

추진목표

친환경적 주택건설 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

- 25 -

실행과제

(31)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비대면 가입 활성화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9개 수탁은행에 온라인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 독려

연령 무주택세대주 소득증빙 등 가입 시 제출서류가 많아 비대면 시스템 구축 시

지점방문 없이 간편하게 가입 가능

신한은행 최초로 완전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821)

비대면 가입 주택도시기금포털에 안내 및 홍보

비대면 가입 시스템 기금포털 홍보 게시하여 수탁은행 시스템 개발 독려

추진목표 목표비대면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전체 가입의 6 전체 가입의 12

실행과제

(32)전기자동차 도입을 통한 친환경 에너지 수요 창출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업무용 차량의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ㅇ 2018년 임차기간 만료예정인 업무용 차량을 전기자동차로 대체

ㅇ 추후 본사 및 영업부서 업무용 차량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추진목표 2019년 중 전기자동차 1대 충전소 1개소 설치실행과제

(33)드론 활용을 통한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기술middot제품에 대한 선제적 구매 및 테스트와 고유사업에 활용

으로 민간 초기시장 조성을 견인

(추진내용)

∙ 보증이행사업장 드론 안전점검 시범실시

- (`1812) 예산 미편성으로 1개 사업장 드론촬영 시범실시 및 효용성 검토

∙ 보유중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에 드론 활용 확대

- (`196) 전문엔지니어링 업체 발굴로 일자리 창출 및 보유 사업장 전체(2개)에

드론 활용 안전점검 실시 rArr 위험요소 발굴로 관할센터에 사고예방을 위한

안전조치 권고문서 시행

추진목표

안전사고 발생비율(발생건수보유사업장)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0 0 0 0 0 안전사고발생 ZERO무사고 달성

실행과제

(34)드론활용사업장안전관리및점검체계구축(시범단지운영)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HUG형 혁신 사업장 안전관리 및 점검체계 구축

ㅇ 드론 활용 사업장 안전 및 점검체계 구축

ㅇ 시범단지 선정 및 운용 세부계획 검토

∙ 드론 등 기술혁신 도구관련 관련 업체 및 유관기관 협의

∙ 사업장-영업부서-본사부서 협업체계 및 활용방안(HUG-i 게시) 등

추진목표안전사고로 인한 분양보증사고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0 0 0 0 0

- 26 -

실행과제

(35)블록체인을 활용한 안전하고 편리한 인터넷서비스 제공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정부주도의 공인인증서 폐지정책(전자서명법 전부개정 예고)에 따라 전자

서명에 대한 인터넷 사용자 대체 인증수단 개발

(추진내용)

∙ 블록체인 기반의 본인인증 서비스 (카카오페이 인증 서비스) 도입

- 인터넷보증시스템에서보증료영수증및보증서출력시카카오인증을이용한전자문서

유통증명서비스제공

∙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대국민서비스 확대

- 전자서명법개정에따른블록체인기반의전자서명서비스도입

- 온라인 등기우편(연체정보 등 전자우편을 본인인증 후 열람) 일괄발송 발송내역 조회

및유통증명서발급시스템구축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블록체인기반본인인증서비스시범도입

블록체인기술을이용한

대국민서비스확대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실행과제

(36)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사업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환경보호라는 공공성을 위하여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건물

보증에 대해 유인책 마련 필요

(추진내용)

∙ 제로에너지 건축물에 대한 대출한도 상향 조정

∙ 건축 관련학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해 친환경 건축물에 대한 관심 제고

- HUG 오픈캠퍼스 추진 시 건축 관련학과(건축공학과 건축디자인과 등) 학생에게 교육

추진및공사인턴체험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제로에너지 건축물지원 제도

규정신설 -

HUG오픈캠퍼스 수료학생수 (건축 관련 학과 포함)

100 110 121 133 146

- 27 -

(5대 과제) 공정경제 기반 구축 중점

실행과제

(37)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 진입장벽 해소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물품구매 대금결제 등에 중소기업 창업기업 등에 대한 계약규제 완화를

통해 공정경제 기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함

(추진내용)

∙ 신규 창업middot중소기업에 대한 진입장벽 완화

- 소규모 물품middot용역 입찰(고시금액 21억원 미만) 참여시 상대적으로불리한신규창업 및

중소기업에대한실적제한폐지

- 다만 부득이용역의성격상실적평가가필요한경우창업기업실적인정기간연장

(현행 3년 rarr 7년)을 통한 부담 완화

∙ 지체상금 부담경감 (현행의 12수준) 을 통한 상생협력 강화

∙ 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에 대한 용역대금 선급금지급률 확대

추진목표

중소기업 등 협력업체 계약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779 790 80 81 -

실행과제

(38)

공정경제를 위한 지역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업자 보호강화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건설사업장 인근지역 중소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대금의 현금

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한 하도급업자 보호 강화

(추진내용)

∙ 지역 중소 건설업체들에게 동일한 기회제공 및 공정한 경쟁 유도

- 건설사업장에서 지역건설업체와 하도급계약 체결 시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 할인 추진

∙ 협력업체 하도금대금의 현금지급 확대

- 하도급대금을 현금으로 지급할 경우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를 할인

하여 협력업체 및 근로자들의 보호를 강화하고 시장에서의 우위 선점

추진목표

지역 하도급업체 계약체결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규정개정 30 40 50 60

하도급대금의 현금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해 하도급업자 보호

- 28 -

3 국민신뢰 회복

(6대 과제) 적극행정 확산 등 조직운영 혁신

실행과제

(39)고용위기지역에 대한 금융지원 추진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용위기지역에 대한 지원강화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추진내용)

∙ 고용위기지역 내 임대주택 건립시 보증료 할인 추진(완료)

- 고용위기지역및고용재난지역소재임대보증금보증사업장보증료 10인하( 1812)

∙ 고용위기지역 내 임차인이 전세금보증 이용시 보증료 할인 검토

- 전세보증금반환보증(전세금보장) 전세안심대출(전세금대출지원)

보증이용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임차주택으로 변경시 보증료 할인 검토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보유한 주택건설사업자가 입주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임차

주택으로변경하여전세금보증가입신청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추진목표

고용위기지역 금융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마련 및 운영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40)근로여건 개선을 통한 휴식 있는 삶 지원 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일ㆍ가정 양립에 대한 법적ㆍ사회적 요구 증대됨에 따라 장시간 근로문화를 타파하고 휴식 있는 삶을 지원하여 일ㆍ생활의 균형 실현

(추진내용)

∙ 장시간 근로문화 타파- 직원니즈를반영한공사맞춤형복무제도수립및운영- PC-OFF 강화 (주2회rarr매일)- 퇴근장려캠페인 (인사안하고퇴근하기 관리자솔선수범퇴근)∙ 휴식 있는 삶 지원- 가족친화제도지속개발 (일가양득프로그램운영)- 연차휴가및남성육아휴직이용률향상을위한제도개선- 시간단위연차사용을통한휴가사용활성화- 임신직원보호를위한모성보호절차도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인당 연차사용일 1426일 1497일 1572일 1651일 1733일남성육아휴직인원 331 348 365 383 402

- 29 -

실행과제

(41)

위임전결기준 개선을 통한 업무처리 혁신

(결재피로감 낮추고 책임middot권한 공백없이 업무는 신속하게)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결재절차를 단순화함으로써 신속한 업무처리 및 고객만족도 제고

(추진내용)

∙보증위탁업무전결권세분화

- 위임전결규정안마련및규정개정절차진행(5월)

보증업무 위탁外 융자수탁업무 관련 전결권 개정도 함께 추진

∙대외업무협약체결전결권세분화

- 사안의중요성및영향도등고려중장기적으로면밀한검토필요

추진목표

결재절차 단순화

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rsquo23년보증및융자수탁업무위임전결규정개정

제도 보완

실행과제

(42)지출신청 시 영수증 증빙 제출제도 개선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지출신청시 불필요한 원본구비 제도 개선을 통한 업무효율화 달성

(추진내용)

∙ 공사 지출의 42 비중을 차지하는 5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 원본 제출 제외

- 지출액 50만원 이하 법인카드 및 전자세금계산서 지출 건 원본구비 예외 조항 신설

- 확인이 필요한 간이계산서 등은 원본징구하여 지출사고 가능성 예방

- 제도 정착 전 3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에 대하여 원본 제출 제외(시범운영)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내부

규정개정 및시범운영

제도개선 지속 추진

실행과제(43)

PF보증심사 시 월별예정 분양률 분포의 계량화 담당부서금융기획실심사평가처주택도시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민간아파트 초기분양률 데이터를 활용한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

(추진내용)

∙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를 통한 심사 객관성 확보

- 월별예정분양률 관련 명확한 지침 산정으로 신청업체 및 심사자의 주관 배제

- 국가승인통계인 민간아파트초기분양률 동향 데이터를 활용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

∙ 초기분양률 동향 분석(주택도시금융연구원 협업 4월sim10월)

- 연구원과 협업을 통해 초기분양률 데이터 분석 및 관리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건의(11월)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관할 부서(금융기획실)로 세칙 개정 건의

추진목표2019년도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예상분양률 분포기준 마련 초기분양률 데이터 관리체계 구축

- 30 -

(7대 과제) 윤리경영 강화

실행과제

(46)청렴도 향상을 위한 반부패 활동 강화 담당부서 준법지원실

추진내용

윤리경영 추진조직 강화

기관장 주도의 윤리경영 고위직 협의체 구축 내부 자문기구「청렴자문위

원회」운영 강화 및 임원의 윤리자가진단 현황 정보공개

반부패middot청렴 대외 활동 활성화

부산 이전 공공기관 청렴 협의체「청렴 클러스터」활동 강화

「부산투명사회실천 민middot관 네트워크」가입middot활동 실시

「유엔글로벌콤팩트(UNGC)」활동으로 글로벌 윤리역량 강화

실행과제

(44)논스톱 고분양가 심사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공사 PF보증 사업장에 대한 고분양가 심사기준 개선을 통한 사업

안정성 제고 및 고객신뢰성 확보

(추진내용)

∙ 「고분양가사업장심사규정」개정 추진(5월~6월)

- 고분양가 관리지역 내에서 공사 PF보증 발급예정사업장의 고분양가 심사기준(비교

사업장 선정 및 분양가격 산출 등)의 적용을lsquoPF보증 본점 승인시점rsquo으로 명확히 함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고분양가심사규정개정

사업안정성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 추진

실행과제

(45)임대리츠 통계 및 사후관리시스템 개선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목적) 자리츠 사후관리 주관기관(모리츠 AMC인 LH) 및 감독관리기관

(HUG) 간의 업무분장에 따라 사후관리 데이터 품질 저하 등 발생

rArr 기관간 협업체계 개선 관련 시스템 개발 등을 통한 사후관리 관련 데이터품질 향상 및 대정부 정보전달 적시성 확보

(추진내용)

∙ 리츠 기금출자내용 변경시 임대리츠 이력관리 등이 가능하게 하는 통계시스템 개발

∙ 분기별 사후관리보고 제출기한 마련 검토

∙ 임대리츠 통계관리 업무체계 내실화를 위한 기관간 협업 수행

추진목표

임대리츠 사후관리 구조 개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전산시스템개발 및시스템 구축

임대리츠사후관리

체계개선 수행

시스템 운용및 개선사항도출

기관간 협업수행(데이터관

리)

임대리츠통합데이터관리 수행

- 31 -

(8대 과제) 국민의 참여협력 확대 및 지역사회 공헌

실행과제

(47)

혁신도시 맞춤형 지역인재 육성 지원 및

인재채용 투명성 강화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도시 지원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증대에 따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한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

(추진내용)

∙ 市-지역대학간 협업으로 지역인재 육성 교육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 외부 면접위원 확대 및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인사 절차의 공정성 강화

∙ 사회형평적 채용실시와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을 통한 불합리한 차별 해소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지역채용 21 24 27 30 33지역인재육성 총 교육시간(교육인원times교육시간 시간) 3000 4500 4500 4500 4500

지역인재육성교육만족도(점수) 944 949 954 959 964

실행과제

(48)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사회공헌사업 확대 추진 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정부의 lsquo사회적 가치 실현rsquo을 정책에 따라 사회적 경제 및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사회공헌 필요성 증가

(추진내용)

∙ 안전한 주거환경 제공

- 무주택 국가유공자 및 저소득층 임차자금 170세대 지원(~8월10억원)- HUG 셰어하우스 3호 신촌점 완공 청년 24명 입주 완료(~10월2억원)- 저소득층 노후주택 및 소규모 사회복지시설 127세대 개보수(~10월8억원)- HUG STREET 잘사는 골목길 등 환경개선사업 대상지 선정 완료(~10월1억1천만원)

∙ 지역사회와 상생

- 노후 슬레이트 지붕개량 및 태양광 지원 사업 4자 협약(~8월3억원) HUG-부산시-한국사회복지협의회-부산도시재생지원센터

- HOPE with HUG 10호 11호 완공(~9월1억5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지역건설사-지역건축전문가 협업을 통한 주거개선사업

- 부산 송상현 광장 내 도시놀이터 프로젝트 완료(~9월7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부산시설공단 협업을 통한 문화middot휴식공간 조성

청렴 모니터링 다각화

청렴의식 환기를 위한 「자가점검 프로그램」실시

「청렴 옴부즈만」운영

개선 아이디어 발굴을 위한 「신입사원 生生 모니터링」

추진목표

종합청렴도 결과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3등급 2등급 1등급 1등급 1둥급

- 32 -

∙ 균등한 기회와 사회통합

- 중학생 자유학기제 지원 프로그램 운영(9월~4천만원)- 저소득층 청소년 20명ndash대학생 20명 매칭 등(6월~5천만원)- lsquoKBS 동행rsquo에 출연하는 저소득 가정 50세대 지원(7월~1억원)- 발달장애 청년 재능개발 프로젝트lsquo눈부신하루rsquo추진(6월~3천만원)- 신입사원 봉사활동 등을 통한 지역사회 나눔활동(~10월7천2백만원)- 저소득층 난방연료 지원을 위한 주택도시업 캠페인(~12월5천만원)- 자매결연 마을 농수산물 구입기증(~12월4천만원)

추진목표

추진 목표는 해당연도 사회공헌 기부금 예산금액(이사회 의결금액)과 연계

기부금액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8620백만원 8879백만원 9145백만원 9419백만원 9702백만원 전년도예산금액103

실행과제

(49)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목적) 도시재생과 유사한 목표비전을 공유하는 사회적경제와 연계한 맞춤형

금융상품 운영 및 관련 지원조직과 다각적 협업 활동 추진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지역주민이 주도하는 도시재생 금융지원으로 국민의 삶의 질 개선

(목적) 주민지역공동체 주도의 마을단위 도시재생으로의 변화에 대응하여

사회적 경제주체 등 지원체계 개선으로 사회적 가치 실현에 기여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추진목표

수요자중심형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510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실행과제

(50)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국민이 참여하는

HUG사업평가단(가칭) 운영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보증업무 전반에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HUG

사업평가단 구성하여 주택품질 제고 및 안심입주 지향

(추진내용)

∙ 국민이 참여하는 보증솔루션팀 및 보증심사 리뷰단을 통해 제도 개선사항 도출

∙ 보증채권자 권익에 미치는 사항 등 국민의견 수렴을 통한 보증이행제도 개선

∙ 전세금보증 이행완료 고객 및 공인중개사 참여를 통한 제도개선 사항 발굴

추진목표 2019년 국민 의견수렴을 통한 전세금보증 제도 개선 등 검토

- 33 -

실행과제(51)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과 협업하여효율적인 전세금보증 이행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이행 업무의 효율성 제고

(추진내용)

∙ 지역사회단체 등과의 협업을 통한 임차인 퇴거확인 추진 검토

- 보증사고 발생 시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 구성원이 임차인 퇴거를

확인하여 담당직원 업무 공백 최소화 (직원 출장비 수준으로 비용 지급)

- 임차인 퇴거 확인 시 해당 주택가격 및 신규 임차인 확보 가능성 검토결과를

보고받아 채권보전조치를 위한 근거 확보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거보호 이행도(전세금보증 이행 15일초과건수전체이행건수)

50 45 41 37 34

- 34 -

Ⅳ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및 적극행정 확산

①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국민참여게시판을 lsquo국민제안(국민rarr기관)rsquo

및 lsquo정책제안(기관rarr국민)rsquo 게시판으로 세분화하여 국민과 기관간

상시 소통기반 마련 경평지적

지적사항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위한 개선방안 마련 필요

(혁신 네트워크 강화) 시민참여혁신단 보증채권권익위원회 전세금

보증 시민참여단 기금홍보협의회 운영 등 주요사업에 기반하여

다양한 대외 전문기관과 네트워크 활성화 경평지적

지적사항 보증 기금등주요사업역량강화를위한전문기관혁신네트워크강화필요

② 적극행정 확산

(적극행정 면책제도 활용) 감사계획 통보 시 적극행정 면책제도

middot사전컨설팅 제도 사전안내 및 면책신청 지원을 위한 상담창구

운영 등 (계획수립 完 감사실-2367호)

(기관장 책임강화) 혁신전략위원회(위원장 사장)를 통해 적극행정

혁신과제에 대한 추진독려 및 이행사항 점검 등 보완사항 지속

발굴 (혁신페스티벌 1middot2차 개최)

(적극행정 우수사례 발굴)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를 통해 조직내

적극행정 분위기 유도 (포상 및 내부성과평가 반영 등)

성과창출에 실패했더라도 기존관행 탈피 새로운 영역개척 국민접점에서

활력을 제고하는 등 lsquo착한실패rsquo lsquo건전한파격rsquo에 대해서도 포상추진 예정

(적극행정 인식확산) 적극행정 사이버교육(법제처 주관) 이수 등

적극행정 인식확산을 위한 교육참여 시 혁신마일리지 부여 (전사 교육 실시 예정)

- 35 -

Ⅴ 혁신 추진도구별 업무일정

구 분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1 2 3 4 5 6 7 8 9 10 11 12

1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2 국민소통 강화

3 혁신페스티벌

4 유관기관 협업

5 혁신채널 구축

6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7 제안제도 정비

8 혁신콘서트

9 혁신교육 및 혁신워크숍

10 혁신레터

11 혁신마일리지 신설

12 혁신BP 발굴 및 포상

피드백

(성과관리) 공공기관 혁신 및 기관 경영혁신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혁신과제 추진실적을 정기적으로 점검 및 피드백

(혁신전파) 조직원 전체의 혁신공감대 형성 및 참여도 제고를 위해

본사부서 및 영업부서 방문 등을 통해 혁신활동 및 우수사례 공유

(혁신내재화) 국민소통채널 혁신마일리지 혁신레터 등 혁신활동이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고 혁신업무에 대해

조직원이 공감하고 회사 모든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

Page 2: 2019년 HUG 혁신 추진계획 - khug.or.kr…„HUG혁신추진계획.pdf · 혁신페스티벌 - (내부 혁신과제 발굴) 조직·인사·제도·서비스혁신 등 회사

- 1 -

목 차

Ⅰ 2018년도 HUG혁신 주요성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

Ⅱ 2019년도 HUG혁신 추진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

Ⅲ 2019년도 HUG혁신과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

Ⅳ 경평지적사항 개선 및 적극행정 확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4

Ⅴ 혁신 추진도구별 업무일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5

- 2 -

Ⅰ 2018년 HUG혁신 주요성과

「공공기관 혁신가이드라인」발표(`186월)에 따라 HUG 혁신계획을

수립하고(`187월) 전사적으로 38개 혁신과제를 추진

공공기관 혁신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한 3대 방향 7대 과제 중 기관업역

성과창출 역량집중 등을 고려하여 3대 중점과제 선정

①공공성 제고 ②일자리중심 경제선도 ③공정경제기반구축

【 2018년 주요 혁신과제 추진성과 】

3대중점과제 세부실행과제 `17 실적 `18목표 `18실적 비고

① 공공성제고

전세금보증 확대 44만세대 8만세대 89만세대 101

주택도시기금 대출 확대 - 15조원 229조원 152

임대주택 공급지원 확대 10748호 10000호 12827호 128

②일자리중심

경제선도

공공부문 일자리 창출 정원 602명 정원 622명 정원 746명 120

도시재생 창업융자지원(수요자중심) 261억원 470억원 969억원 206

공동기금조성지원 - 75억원 75억원 100

③공정경제기반구축

혁신도시 맞춤형 지역인재 채용 236 18 26 144

사회적 가치를 위한 사회공헌 29억원 29억원 31억원 107

하도급보증 확대 33조원 19조원 26조원 137

혁신목표 국민이 행복한 세상과 풍요로운 삶을 위한 혁신 리더

혁신방향 공익을 추구하는 HUG 더불어 성장하는 HUG 신뢰 받는 HUG

대내외 추진조직년

과제발굴middot실행

실적점검(내부)

의사결정기구 총괄조직 실행조직

혁신전략위원회 혁신성과처 혁신리더변화요원 등

국민참여(외부) HUG 시민참여혁신단 HUG 청년포럼 국민참여게시판

- 3 -

Ⅱ 2019년 HUG혁신 추진방향

추진 배경

2019년 「공공기관 혁신가이드라인」발표 (`196월 기획재정부)

- (추진목표) 공공기관 혁신을 통한 국민 삶의 질 제고

혁신의 지향점을 국민에 두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 촉진

- (추진방향) 2019년 정부혁신 기본방향과 공공기관 성격을 고려

추진방향을 ①사회적 가치 ②혁신적 포용 ③신뢰회복으로 설정

정부혁신 기본방향 혁신적 포용국가 뒷받침하는 포용행정 국민생활 속에

체감하는 혁신성과 창출 공직사회 변화 지속계기로서 정부혁신 추진

ㅇ「공공기관 혁신가이드라인」주요 변경사항 (밑줄 변경 사항)

- 3대 분야 7대 과제에서 8대 과제로 변경 및 정부정책 이행 강화

ㆍ(신규 추가과제) 생명middot안전 최우선 기관 운영 취약계층 서비스 사각

지대 해소 적극행정 확산 등 공공기관에 정부정책 적극 반영 요청

2018년(3대 분야 7대 과제) 2019년(3대 분야 8대 과제)

1 공공성

강화

①고유업무 공공성 제고 1 사회적

가치중심

기관운영

①고유업무 공공성 제고

② 대국민 서비스 조직

운영 혁신

②포용적 공공서비스

제공 강화

2 경제

패러다임

선도

③소득주도 일자리 선도

rArr2 혁신적

포용국가

선도

③경제활력 제고 및 일자리

중심 경제 지속 지원④혁신성장 뒷받침 ④혁신성장 지원

⑤공정경제 기반 구축 ⑤공정경제 기반 구축

3 국민신뢰

회복

⑥윤리경영 강화3 국민신뢰

회복

⑥적극행정 확산 등 조직

운영 혁신⑦투명 윤리경영 강화

⑦국민참여 협력 확대 ⑧국민의 참여 확대 및

지역사회 공헌

- 4 -

2019년 HUG혁신 추진방향

2018년도 우리 공사는 ①추진조직 구성 ②국민소통채널 구축 ③성과지표

신설 등 기관혁신 추진체계를 마련하여 성과창출을 위한 기반 조성

2019년은 국민이 체감하는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고자 정부가 제시한 8대

과제중 공공성 제고 경제활력 제고 공정경제 기반 구축 3대 과제를

중점과제로 선정하고

middot ①소통기반 혁신추진 ②혁신프로세스 체계화 ③혁신문화 촉진 ④혁신지표

개선 등 4대 혁신대상을 마련하여 더욱 체계적인 혁신활동을 전개하고 함

적극행정 등 신규과제 발굴 및 경평 지적사항 등 미비점 개선활동 병행

기관

혁신

목표국민이 행복한 세상과 풍요로운 삶을 위한 혁신 리더

정부

3대혁신

방향

사회적가치 중심

기관운영혁신적 포용국가 선도 국민신뢰 회복

3대

중점

과제

1 공공성제고

2 경제활력제고

3 공정경제기반 구축

「공공기관 혁신가이드라인」 8대 과제 중 공사는 3대 중점과제 선정middot추진

4대

혁신

대상

1 소통기반

혁신추진

2 혁신 프로세스

체계화

3 혁신문화

촉진

4 혁신지표

개선

혁신

추진

도구

1)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2) 국민소통강화

3) 혁신페스티벌

4) 유관기관 협업

5) 혁신채널 구축

6)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7) 제안제도정비

8) 혁신콘서트

9) 혁신교육middot워크숍

10) 혁신레터

11) 혁신마일리지

신설

12) 혁신BP 가점

제도 개선

lt2019년도 혁신 추진체계gt

- 5 -

3대3대

중점과제중점과제 공공성 제고 경제활력 제고

공정경제

기반 구축

주요혁신주요혁신

과제목표과제목표

(~(~ rsquorsquo23)23)

서민 전세금보호 확대

[73만호][73만호]

사업다각화 고용증대

[39 증원][39 증원]

혁신도시 지역인재 채용

[33][33]

임대주택 공급지원 확대

[68만호][68만호]

도시재생 창업융자지원

[7702억원][7702억원]

사회적가치 사회공헌

[457억원][457억원]

도시재생뉴딜사업 융자

[65조원][65조원]

IT분야 일자리 창출

[177명][177명]

하도급업자 보호강화

[지역하도급업체 계약률 60][지역하도급업체 계약률 60]

사회취약계층 등 기금지원

[39조원][39조원]

공공기관 공동기금 조성

[425억원][425억원]

중소기업 진입장벽 해소

[중소기업 계약률 82][중소기업 계약률 82]

2019년 혁신가이드라인에 따라 적극행정 등 신규분야 과제 추가

포용적 공공서비스 혁신성장 지원 적극행정 확산

고아원 연계 보호종료

아동 월세보증금 지원 등

카카오페이를 통한

전세금보증 판매확대 등

위임전결기준 개선

통한 업무처리 혁신 등

lt 3대 중점과제별 주요 혁신과제 gt

3대 중점과제별 주요 혁신과제 5개년 목표 설정 (rsquo19~rsquo23)

- 2019년도 정부가 제시한 8대 과제중 3대 중점과제의 계량목표 설정

8대 과제 ①공공성 제고 ② 포용적 공공서비스 ③ 경제활력 제고 ④ 혁신성장⑤ 공정경제 기반 구축 ⑥적극행정 ⑦ 투명middot윤리경영 ⑧ 국민참여

lt 주요 혁신과제 예상 계량실적 gt

중점과제

주요 실행과제 목표중장기 목표치

`19 `20 `21 `22 `23

공공성 제고

middot서민 전세금보호 확대 보증실적 10만호 12만호 14만호 17만호 20만호

middot임대주택 공급지원 확대 임대주택공급 10550호 12450호 13695호 15065호 16570호

middot도시재생뉴딜사업 융자 출융자실적 5877억 11227억 15014억 16178억 16494억

middot사회취약계층 등 기금지원 대출실적 78조원 78조원 78조원 78조원 78조원

경제활력 제고

middot사업다각화 고용증대 정원 766명 903명 995명 1033명 1062명

middot도시재생 창업융자지원 융자실적 1510억 1548억 1548억 1548억 1548억

middotIT분야 일자리 창출 일자리 113명 16명 16명 16명 16명

middot공공기관 공동기금 조성 기금조성 10억 10억 10억 125억 -

공정경제기반구축

middot혁신도시 지역인재 채용 지역채용 21 24 27 30 33

middot사회적가치 사회공헌 기부금액 86억 89억 91억 94억 97억

middot하도급업자 보호강화 지역하도급업체계약률 규정개정 30 40 50 60

middot중소기업 진입장벽 해소 중소기업계약률 779 79 80 81 82

- 6 -

4대 혁신대상별 추진도구

❶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국민소통 강화 등 소통기반 혁신추진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 (대국민 아이디어 공모) 국민의견을 적극 반영한 신규과제 추가

발굴을 위하여 대국민 아이디어 공모전 개최

2019년도 대국민 아이디어 공모를 통해 6개 혁신과제 발굴

국민소통 강화

- (소통채널) 국민의견 수렴을 위해 운영 중인 시민참여혁신단 및

청년포럼(Off-Line)과 홈페이지에 대국민참여게시판(On-Line) 활성화

소통채널 구 성 현 황

시민참여혁신단 ∙ 교수 고객 유관기관 시민단체 언론계의 분야별 전문가 6인으로 구성

청년포럼 ∙ 대학생 청년사업가 12인으로 구성

대국민참여게시판 ∙ 공사의 정책제안 국민제안 아이디어 공모 시 모든 국민참여

혁신페스티벌

- (내부 혁신과제 발굴) 조직middot인사middot제도middot서비스혁신 등 회사 전 분야의

경영혁신 달성을 위한 전사 혁신페스티벌 추진 (부서 및 개인제안 공모)

유관기관 협업

- (SOC공공기관 통합기술마켓) 중소기업 기술 및 판로지원을 위하여

국토부 산하 10개 공공기관이 통합기술마켓 공동구축 추진

HUG LH 감정원 도로공사 코레일 인천middot한국공항공사 LX 철도시설middot교통공단

- 7 -

❷ 혁신채널 구축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등 혁신 프로세스 체계화

혁신채널 구축

- (혁신광장) 혁신관련 종합계획 정부정책 및 추진체계 등을 공유

하고 조직원의 아이디어를 상시 발굴할 수 있는 혁신광장 개설

지식채널(KM)에 개설하여 혁신제안혁신심사혁신BP 등 게시 전사 공유

lt혁신광장 구축(안)gt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 (프로세스 체계성 강화) 직원 제안사항을 단순제안혁신제안으로 분류

하고 혁신제안은 Bottom-up 방식 단계별 심사 후 혁신과제로 선정

직원제안은 사내인트라넷 內 혁신광장을 통해 연간 상시접수

lt혁신제안 심사 및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gt

구분 예비심사 1차 심사 2차 심사 혁신과제 확정

주요내용

∙단순제안혁신제안심사배제 제안으로 분류

∙예비심사에서 채택된 혁신제안을 대상으로 심사

∙1차 심사에서채택된혁신제안을 대상으로 심사 ∙혁신과제 추진

여부 등 중요사항 의결

채택요건

∙심사위원 34이상 참여과반수 이상 시 단순제안및 혁신제안으로 채택

∙심사위원 34이상 참여기준 점수 이상 시 혁신제안으로 채택

∙심사위원 34이상 참여과반수 이상 시 혁신과제로 채택

주체혁신 변화요원

(팀원)혁신리더(팀장) 본사 부서장 혁신전략위원회

(사장 부사장 등)

제안제도 정비

- (규정개정) 혁신과제 선정절차 및 혁신 평가방식 개선 등을 위해

혁신제안 관련규정 정비

혁신제안제도 운영기준 및 혁신마일리지 운영기준

- 8 -

❸ 혁신콘서트 혁신레터 등 혁신문화 촉진 경평지적

지적사항 혁신역량 강화 교육 체계화 및 활성화 필요

혁신콘서트

- (혁신공감대) 혁신우수사례(BP) 및 혁신노하우를 발표middot공유하고

시상식 등을 개최하여 조직원의 공감대 형성 및 동기부여

- (전사 참여) 조직원 전체가 참여할 수 있도록 추진하되 단독 또는

한마음 단합대회 개최 시 관련부서와 협의하여 공동 추진 검토

혁신교육 및 워크숍 확대운영

- (혁신교육) 창의적 조직문화 학습을 위해 혁신 선도적 공공민간

기업의 우수사례를 주제로 전직원 대상 정기교육 실시

2018년도 조직문화 혁신교육 우아한형제들 - ①규율 속 자율 경영

②창의적 업무환경조성 ③일상적 소통경영 등

- (혁신워크숍) 혁신문화 촉진과 조직원의 수용력 제고를 위해 혁신

담당자 중심으로 혁신워크숍 실시

전사혁신리더및변화요원대상혁신관련정부정책middot평가방식공유 혁신추진공감대형성등

혁신레터

- (혁신메시지) 조직원의 혁신업무 이해도 제고를 통한 혁신 실행력

강화를 위해 혁신메시지 제도 시행

middot 혁신전략 혁신계획 혁신과제 등 혁신업무 전반에 대해 카드뉴스를

제작하여 전사 포털(Portal) 화면에 팝업창을 통해 게시

현재 전사포털 팝업창을 통해 윤리경영 자가점검 칭찬감사릴레이 등 시행중

- 9 -

❹ 혁신마일리지 신설 혁신BP 가점제도 개선 등 혁신지표 개선 경평지적

지적사항 혁신역량 강화 교육 체계화 및 활성화 필요

혁신마일리지 신설

- (혁신활동 평가강화) 혁신 과제선정middot이행 국민소통 혁신활동

등 혁신업무 전 영역에 마일리지를 부여하여 혁신평가의 변별력

제고 및 보상체계 강화

과제선정(최대10점) 과제이행(최대20점) 국민소통(최대20점) 등혁신마일리지차등부여

HUG 혁신마일리지 추진 체계

국 민업무혁신middot성과중심의 혁신마일리지 관리체계 구축 우수과제

선정 및

전파

제안등록 과제선정

(최대 10점) 과제이행

(최대 20점)

국민소통(최대 20점)

혁신활동(최대 10점)

마일리지

내평반영 및

포상 제안의

난이도에 따른

차등 점수

단순제안혁신

제안우수제안

이행

국민의견을

반영한

제안과제 이행

혁신콘서트

혁신특강 등

개인 역량강화H U G

혁신제안의 수준과 부서 및 직원의 혁신기여도에 따른 차등 마일리지 부여

혁신BP 가점제도 개선

- (가점확대) 혁신페스티벌 대국민아이디어 적극행정 혁신성장 등

BP경진대회를 통한 우수사례 발굴 및 내평(성과향상기여도) 가점 확대

[현행] 본사부서(최대 17점) 영업부서(최대 05점) rarr [개선] 본사(최대 2점) 영업(최대 1점)

- 10 -

Ⅲ 2019년 HUG혁신과제

2019년은 기존 중장기 35개 과제에 국민참여 6개 과제 기관 내부

발굴 10개 과제를 추가하여 총 51개 혁신과제를 추진할 예정임

HUG 혁신과제 (2018년) 38개 rArr (2019년) 51개

(중장기 과제) (lsquo18) 38개 과제 rarr 대내외 환경변화로 (lsquo19) 35개로 조정

(국민참여) 2019년 대국민아이디어 77건 중실현가능성등검토하여최종 6건선정

(내부발굴) 2019년 직원제안 236건 중 실현가능성 등 검토하여 최종 10건 선정

HUG 혁신과제 목록 (2019년 공공기관 혁신가이드라인 8대 과제별 분류)

연번 ① 고유업무 공공성 제고 비고

1 전세금보증 가입문턱을 낮추어 서민의 전세금 보호 강화 중장기

2 주택도시기금 지원확대로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역할강화 중장기

3 임대주택 공급지원 확대로 서민 주거복지 증대 중장기

4 주택도시기금 신규상품 개발을 통한 도시재생뉴딜 활성화 중장기

5 제도에서 전산까지 온오프라인 안심시스템 구축 중장기

6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전사 경영전략체계 구축 중장기

7 도시계정의 체계적 관리를 통한 도시재생 활성화 중장기

8 국민과 함께하는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 중장기

9 민관협력사업으로 주거취약지구 주거환경 개선 중장기

10 도시재생 맞춤형 스타트업 총괄지원 플랫폼 도입middot운영 국민

11 도시재생 생태계 조성을 위한 종합지원 플랫폼 구축 국민

12 분양이행사업장 수분양자 보호 내부

- ② 포용적 공공서비스 제공 강화 -

13 인터넷보증시스템 개선으로 전세금보증 이용편의성 제고 중장기

14 주택도시기금 대출절차 간소화를 통한 대국민 서비스 향상 중장기

15 고아원연계 보호종료아동 월세보증금 지원 제도 국민

16 HUG 이용고객 편의성 제고를 위한 플랫폼 구축 국민

- 11 -

17 전세금보증 인터넷가입에 필요한 데이터 자동화 구축 국민

18 사회임대주택 활성화를 위한 조직 혁신 내부

19 상담서비스 고도화를 통한 고객만족도 제고 내부

20 공공정보 연계 통한 서류제출 절차 간소화 내부

- ③ 경제활력 제고 및 일자리 중심 경제 지속 지원 -

21 사업다각화를 통한 고용증대 및 비정규직 ZERO화 중장기

22 주거복지 및 도시재생을 위한 창업공간 금융지원 중장기

23 IT선진화를 통한 민간일자리 창출 중장기

24 공공기관 공동기금 조성을 통한 지역 사회적경제 활성화 중장기

25 상가임차금 안심대출 상품개발 중장기

26 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중장기

- ④ 혁신성장 지원 -

27 비대면 전세금보증을 통한 혁신성장 기반 마련(카카오페이를 통한 가입확대 등) 중장기

28 국민 주거편의 제공을 위한 스마트시티 건설 지원 중장기

29 HUG 빅데이터 운영체계 구축으로 공공데이터 개방 기여 중장기

30 친환경middot신소재 활용으로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제로에너지 건축물 건설자금지원 등) 중장기

31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비대면 가입 활성화 중장기

32 전기자동차 도입을 통한 친환경 에너지 수요 창출 중장기

33 드론 활용을 통한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 중장기

34 드론활용 사업장 안전관리 및 점검체계 구축(시범단지운영) 중장기

35 블록체인을 활용한 안전하고 편리한 인터넷서비스 제공 중장기

36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사업 국민

- ⑤ 공정경제 기반 구축 -

37 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 진입장벽 해소 중장기

38 공정경제를 위한 지역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업자 보호강화 중장기

39 고용위기지역에 대한 금융지원 추진 중장기

- ⑥ 적극행정 확산 등 조직운영 혁신 -

40 근로여건 개선을 통한 휴식 있는 삶 지원 중장기

41위임전결기준 개선을 통한 업무처리 혁신(결재피로감 낮추고 책임ㆍ권한 공백없이 업무는 신속하게 )

내부

42 지출신청 시 영수증 증빙 제출제도 개선 내부

- 12 -

HUG 혁신과제 세부추진 내용

1 사회적 가치중심 기관 운영

(1대 과제) 고유 업무의 공공성 제고 중점

43 PF보증심사 시 월별예정 분양률 분포의 계량화 내부

44 논스톱 고분양가 심사 내부

45 임대리츠 통계 및 사후관리시스템 개선 내부

- ⑦ 투명middot윤리경영 강화 -

46 청렴도 향상을 위한 반부패 활동 강화 중장기

- ⑧ 국민의 참여 확대 및 지역사회 공헌 -

47 혁신도시 맞춤형 지역인재 육성 지원 및 인재채용 투명성 강화 중장기

48 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사회공헌사업 확대 추진 중장기

49 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중장기

50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국민이 참여하는 HUG사업평가단(가칭) 운영 중장기

51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과 협업하여 효율적인 전세금보증 이행 내부

실행과제

(1)전세금보증가입문턱을낮추어서민의전세금 보호 강화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서민의전세보증금을지켜주는최선의안전장치 lsquo전세금보증rsquo 활성화추진

(추진내용)

∙ 보증가입 편의성 제고 및 채널 확대를 통한 전세금보증 활성화

- 모바일 전세금보증 편의성 지속 개선middot확충

- 공인중개사 전세금보증 위탁판매 활성화 등

∙ 사회배려계층 맞춤형 보증제도 개선 등을 통한 공적역할 강화

- 보증가입기간 확대 등 임차인 보호를 위한 전세금보증 지원

- 보증서비스 품질 개선 등을 위한 전문가 의견수렴 등

추진목표

보증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0만호(21조원)

12만호(25조원)

14만호(30조원)

17만호(36조원)

20만호(43조원)

- 13 -

실행과제

(2)

주택도시기금 지원확대로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역할강화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무주택middot실수요 서민주거 안정지원을 위한 대출제도 개선 및 주거복지

로드맵 정책지원을 통한 맞춤형 주거지원으로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마련

(추진내용)

∙ 신혼부부middot청년층 기금대출 지원 확대

- 신혼희망타운 수익공유형 모기지대출 출시

- 신혼부부 기간 확대 (5년 rarr 7년)

- 청년층 청약 가입요건 완화 등 제도 개선 및 운영보완

- 고시원 주거급여 거주자 등에 대해 주거안정월세대출 대상자에 포함

∙ 자산기준 도입 서류간소화 등 기금대출 제도 개선

추진목표

사회취약계층 등 기금지원 (수요자 대출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78조원 78조원 78조원 78조원 78조원

`19~`23 목표는 매년초 국토부 최종안 확정안 국회승인을 거쳐 목표치 확정

실행과제

(3)임대주택 공급지원 확대로 서민 주거복지 증대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사회임대주택 공급 활성화

(목적) 주거약자를 위한 정부 사회임대주택 공급 활성화 정책 지원 및

공사의 공공성 역할 확대

(추진내용)

∙ 사회임대주택 보증 확대를 위한 제도개선 및 공급 활성화를 위한 금융 지원

∙ 사업관련 주체의 유기적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홈페이지 구축

∙ 공급활성화 여건 조성을 위한 사업자 육성 및 홍보 강화 및 유관기관 협업

임대리츠 관리체계 개선 및 공모를 통한 공급확대

(목적)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등 리츠를 통한 임대주택 공급 활성화를

통해 국민 주거복지 증진 도모

(추진내용)

∙ 서민 주거복지 강화를 위한 임대리츠 기금출자 제도 개선

∙ 민간임대사업자 참여 유도를 위한 공모사업 활성화

∙ 임대리츠 공공성 강화를 위한 심사관리 체계 개선 및 기금출자심사 실시

∙ 임대리츠 관련 정부정책 추진 지원을 위한 다각적 홍보 추진

∙ HUG形 민간제안 공모방식 확대로 임대주택 공급 강화

추진목표

사회임대주택 보증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50호 900호 990호 1089호 1197호

리츠를 통한 임대주택 공급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0500호 11550호 12705호 13976호 15373호

HUG 민간제안공모 공고 세대수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rsquo23년

8000세대 8500세대 9000세대 10000세대 10500세대

- 14 -

실행과제

(4)주택도시기금신규상품개발을통한도시재생뉴딜활성화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도시재생뉴딜 맞춤형 금융지원 확대 (목적) 도시재생 사업유형 확대에 대응한 맞춤형 기금지원 상품 개발운용 (추진내용)∙ 소규모 재생사업 및 주택정비 활성화를 위한 금융지원 확대∙ 도시재생 경제조직 활성화를 위한 금융지원 프로그램 도입 도시재생뉴딜 활성화를 위한 기금지원 운용체계 개선 (목적) 명확한 업무기준효율적 수행방안을 확립하여 도시계정 양적질적확대에 대응 및 뉴딜정책 활성화에 기여

(추진내용)∙ 도시재생 금융지원 접수middot심사체계 개편으로 국민불편 해소∙ 도시재생 금융지원 사후관리 체계 확립으로 안정적 기금운용 및 공공성 실현

추진목표

도시재생 금융지원 출융자 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5877억원 11227억원 15014억원 16178억원 16494억원

도시재생 금융지원 심사사업장관리 운용체계 개선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5건 5건 5건 5건 5건

실행과제(5)

제도에서 전산까지 온middot오프라인 안심시스템 구축 담당부서정보운영처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응하는 정보보안체계 구축

(목적) 4차 산업혁명시대 기술(IoT BigData AI 등) 변화에 맞는 선제적인 정보

보안 체계 수립과 능동적인 정보주체의 권리 보장

ㅇ (추진내용)

∙ 선진화 정보보안 체계 구축 컨설팅

주택건설사업장 사회안전망 플랫폼 구축

(목적) 주택관리사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으로 사고로 인한 분양계약자의

입주지연 및 보증사고 위험 등을 사전에 예방하여 국민의 편익 증진

(추진내용)

∙ 사업장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보증사업장 현장점검 규정 개정

- 사업장안전관리강화를위한안전점검업무신설및안전관리우수고객우대제도운영

∙ 드론을 활용한 보증사업장 동영상 촬영 및 제공으로 분양계약자 정보제공 강화

- 현재 앱을 통한 사업장 현장사진 제공을 드론을 이용한 동영상 제공으로 확대하여

분양계약자 정보제공 강화

추진목표

국정원 정보보안 관리실태 점수 행안부 개인정보보호 진단 점수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공공기관평균점수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 5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10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15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20

보증사업장 안전사고로 인한 공사 지연 건수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0건 0건 0건 0건 0건

- 15 -

실행과제(6)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전사 경영전략체계 구축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공공기관의 lsquo공적역할 강화rsquo 및 lsquo사회적 책임실현rsquo이라는 국정기조 변화에 부응

하기위한공사의新경영전략수립

(추진내용)

∙ 고유 업무의 공공성 제고를 위한 사업전략 재수립

- 사회통합형 주거복지 실현을 위한 공적금융 지원 전략 수립

- 소규모 도시재생사업 활성화를 위한 단계별 공사 역할방안 마련

∙ 사회적 가치 기반 전사 기능전략 및 중장기 경영목표 재수립

- 공적역할 확대 및 사회적 책임 구현을 위한 부문별 기능전략 수립

추진목표

사회적가치 기여도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최우수 최우수 최우수 최우수 최우수

청렴도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등급 1등급 1등급 1등급 1등급

실행과제(7)

도시계정의 체계적 관리를 통한 도시재생 활성화 담당부서기금정보처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목적) 노후주거지 주민과 사회적기업 등이 필요로 하는 자금을 적시에 원활히 지원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도시계정 관리 추진

(추진내용)

∙ 연체관리 프로세스 정립을 통한 기금손실예방

- 연체 단계별 업무처리 프로세스 마련을 통한 융자사고방지

- 도시계정 융자원리금 수납기준 마련

- 융자사고관리 방안 마련

∙ 고객신용관리 체계구축을 통한 사고예방 모니터링 확대

- 고객신용관리 모니터링 체계구축을 통한 사고예방관리

- 도시계정 신용정보집중 처리기준 프로세스 마련

- 도시계정 신용정보관리 전산시스템 구축 일반신용정보관리규약에 따른 도시계정 신용정보 파일전송 설계서(전문) 작성

공사 신용정보 집중 시스템과 병합 추진

∙ 도시계정 자금관리 체계정립을 통한 도시재생활성화지원

- 도시계정 예산확대 신규 금융기법적용 등 도시계정 특성을 반영한 회계middot결산

자금관리 업무기준 확립 정형화된 담보가 아닌 수요자사업자 특성을 고려한 맞춤 담보제공 자금투입 공공성 확보를

위한 엄격한 융자조건 부여

- 회계middot결산 자금관리 업무전산화를 통한 효율화 정책지원기능 확대

추진목표 (비계량) 2019년 융자사고예방을 위한 연체관리 자금관리기준 수립 및 개선

- 16 -

실행과제(8)

국민과 함꼐하는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 담당부서보증이행처

준법지원실

추진내용

(목적) 국민참여를 통한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의 수용성 제고 및 주거

복지 실현 위한 공동주택 하자 조기대응ㆍ감축방안 모색

(추진내용)

∙ 하자분쟁 해결체계 관련 국민 공유ㆍ소통 프로그램 운영

- 국민과 함께하는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 계획 수립

- lsquo공동주택 실무강좌rsquo 동행을 통한 하자관련 주요이슈 대국민 공유ㆍ소통- 국민참여 하자정보 공유 4회(서울 인천 수원 의정부) 및 하자실무 법률상담

∙ 국민 참여 확대를 통한 정책 개선 노력

- (lsquo1810) 대국민 의견수렴을 위한 하자분쟁 컨퍼런스 개최

middot 하자분쟁 예방을 위한 관계규정 검토 및 정책 논의

middot 행정청 학계 법조계 및 입주자대표회의 관련 다수 국민 참여

∙ 소규모사업장 청구 전 하자보수보증 사전안내제도(BS Before Service) 실시 검토

소규모사업장 150세대 미만 사업장 중 대위변제가 없는 2년차 하자보수보증 만료6개월 전 사업장

추진목표

대국민 참여도산출근거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참여횟수6회참여인원300명

참여횟수8회참여인원400명

참여만족도85점 이상

정책국민의사반영1회이상

정책국민의사반영1회이상

횟수당50명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점수(관리본부) 목표치산출근거구분 rsquo18년 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등급 A A A A A 목표 A등급 이상

실행과제(9)

민관협력사업으로 주거취약지구 주거환경 개선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목적) 공사의 사회적 가치경영 실행을 위해 새뜰마을(취약지역 개조사업) 주거

여건 개선을 지원하는 민관협업 사회공헌사업 추진

(추진내용)

∙ 중앙부처 공공기관 민간기업 등이 지역 주민과 함께 도시취약지역 내 노후주택에

대한 주거환경개선 열효율화 사업 추진

- 새뜰마을중고령화 노후화등으로사업추진이절실하고 지역사회참여정도등을 고려

하여성과가 가시화될수있는지역선정추진

∙ 주거취약지역 환경개선 관련 민관협업사업 MoU 체결 추진

- 국토교통부 HUG LH KCC AURI 해비타트 등 협약 체결을 통해 집수리 자재 및

전문인력 후원금 지원 추진

∙ 도시취약지역 지원 효과 분석 및 사업추진 매뉴얼 마련

- 지역기초조사 사업전후 효과분석 등 성과관리 새뜰마을 매뉴얼 제작보급

추진목표새뜰마을 지원대상 확대 건수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5건 5건 5건 5건 5건

- 17 -

실행과제(10)

도시재생 맞춤형 스타트업 총괄지원

플랫폼 도입middot운영담당부서

인사처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도시재생과 관련된 스타트업 및 소셜벤처에 대한 종합적 지원

(추진내용)

∙ HUG형 도시재생 뉴딜 창업 프로젝트 추진

- 사회적 경제조직 육성기관(함께일하는재단) 대중투자 전문기관(와디즈)과 협업

- 사회적 경제조직 컨설팅 지원

- 대중투자 연계 통한 일자리 창출 및 사회적 경제 활성화 지원

∙ 스타트업 및 소셜벤처에 대한 사회적 금융 지원

∙ HUG 창업 라운지(스타트업 기업에 공간 공유) 확대 운영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사회적금융지원금액 1억 1억 1억 1억 1억

공간지원스타트업수 6 8 10 12 14

멘토링middot창업캠프개최회수 5 5 5 5 5

실행과제(11)

도시재생 생태계 조성을 위한

종합지원 플랫폼 구축담당부서

기금정보처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종합적인 도시재생정보 공유체계 구축을 통해 기금 지원된 도시재생사

업에 대한 정량적 정보 및 사후지원 청년middot예비창업자 참여를 위한 HUG 정책

지원 정보를 기금포털 내 일괄 제공

(추진내용)

∙ 전국 기금이 활용된 도시재생 사업장 정보 제공(lsquo도시재생 기금지도rsquo 서비스)

- 지도 API 기반의 도시재생 기금지원 사업장 정보조회 서비스

- 전국 분포된 사업장의 위치부터 융자금액까지 상세정보를 편리하게 검색

- 실제 사례와 이용 상품 정보를 함께 제공하여 정보이용자 이해도 제고

∙ 기금 사업장 홍보 지원 및 청년창업 지원 정보 일괄 제공(전용 게시판 신설)

- 사업장 및 보유시설(코워킹시설 임대시설 등) 홍보 위한 전용공간 마련

- 기금지원 사업의 우수사례 정보공유를 통한 벤치마킹 및 정보이용자 관심유도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기금지도 서비스 개시 서비스구축middot개시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우수사례 발굴 건수 8 8 8 8 8

- 18 -

(2대 과제) 포용적 공공서비스 제공 강화

실행과제(12)

분양이행사업장 수분양자 보호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분양대금채권 지연손해금율 하향조정 등 분양계약자 부담완화를

통한 국민 주거안정 기여

(추진내용)

∙ 분양계약자 지연손해금 관련 주택분양보증약관 개정

- 분양계약자의 분양계약서상 지연손해금율이 시행사 구상채권 지연손해금율

보다 높은 사례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공사 내규와 분양계약서상 지연손해

금율 중 낮은 것을 적용하도록 약관 규정 개정 (시행사 동의서 징구)

추진목표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 점수(관리본부)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901 915 933 951 971

실행과제(13)

인터넷보증시스템개선으로전세금보증이용편의성제고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인터넷보증 시스템 개선을 통해 고객의 전세상품 보증서비스

편의성 및 접근성을 강화하여 서민 주거안정성 개선 지원

(추진내용)

∙ 인터넷 보증시스템 재구축 추진(lsquo20~lsquo21)

- (현행) 인터넷 익스플로러 이외의 웹브라우저 미지원

- (재구축) 구 운영체제 지원종료 대비 및 지원 플랫폼(구글 크롬 등) 확대를

위한 시스템 재구축 예정

∙ 모바일 보증시스템 구축 추진(lsquo19)

- (현행) PC 중심의 제한적인 보증가입 서비스 제공

- (비대면 서비스 강화) 모바일 보증시스템 구축 추진

추진목표

비대면 보증가입 점유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0 12 14 16 18

- 19 -

실행과제

(14)주택도시기금대출절차간소화를통한대국민서비스향상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서민실수요자 지원 강화 및 이용자 편의 제고 등을 위한 주택도시

기금 구입전세 대출의 자산심사 도입

(추진내용)

∙ 자산심사기준 도입을 통한 정책자금의 실수요자 집중 지원

∙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구축을 통한 대출절차 간소화

∙ 전담 수행조직 운영 및 수탁은행 역할 재정립 등을 통한 대국민 서비스 제고

추진목표

대출절차 혁신 시스템 운영 체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자산기준 마련기금법령 개정시스템 개발오픈수요자대출상품운영

수요자대출 全상품 시스템 안정화제도개선 및 모니터링

他 기금상품 (주택종합청약저축)도입 검토 및 적용

실행과제

(15)고아원연계 보호종료아동 월세보증금 지원 제도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고아원 보호기간이 종료됨에 따라 주거지원이 필요한 아동에게

주택임차자금 지원 및 보증상품 개발

(추진내용)

∙ 긴급 주거지원이 필요한 아동의 가정에 주택임차자금 지원∙ 고아원 보호종료 아동 대상 전세월세보증금보증 할인 상품 개발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택임차자금지원 세대 수

10 20 성과분석 후 확대 검토

고아원보호종료아동대상상품가입자수

상품개발추진 제도개선 추진

실행과제

(16)HUG 이용고객 편의성 제고를 위한 플랫폼 구축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객과의 소통채널 확대방안의 일환으로 24시간 고객상담 제공

(추진내용)

∙ 단순 문의 SMS 발송

- 위탁은행 신청서류 등 전세보증 관련 간단 정보 문자발송 ARS실시(완료 `195월)

- 업무시간 종료 후에도 단순문의에 대한 SMS문자안내 서비스 추진

∙ 콜센터와 지사 상담이력 공유

- 콜센터 상담시스템과 차세대 시스템을 연계 고객별 상담이력 조회화면 구축

∙ 보이는 ARS 서비스 도입

- 기존의 음성 서비스와 함께 스마트폰을 통해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바로

연결하고 직접 통화하지 않아도 간편문의를 처리할 수 있는 보이는 ARS 실시

추진목표 2019년 챗봇서비스 DB구축 검토 2020년 챗봇 서비스 도입 검토

- 20 -

실행과제

(17)전세금보증 인터넷가입에 필요한 데이터 자동화 구축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가입을 간편하게 하여 정보사각지대에 있는 고객의

보증 가입 편의성 강화

(추진내용)

∙ 주택가격정보middot등기부등본 데이터 자동입력 시스템 마련

- KB시세 한국감정원 국세청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와의 협약 통한 시스템 연계

- 직접협약 외에도 부동산 권리변동정보 제공기관을 통한 중계서비스 도입 검토

∙ 인터넷보증시스템 전세금보증 신청절차 개선

- 전자연계 가능한 서류의 데이터 자동입력 프로세스 개발

- 보증심사시 담당자가 전자 원본 서류를 확인할 수 있는 화면 개발

추진목표

데이터 입력시스템 구축 및 운용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연계방안검토

협약체결 전산연계 운영 및 보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18)

사회임대주택 활성화를 위한 조직 혁신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사회임대주택 금융지원제도 담당부서 일원화로 속도감 있는 제도개선 등

사회임대주택 활성화 지원

(추진내용)

∙ 기획조정실 사회임대주택 총괄부서 지정을 위한 조직개편 추진

- 현행 사회임대PF보증(금융기획실) 토지임대middot기금출융자(도시재생기획처 기금지원처)

- 개선 도시재생기획처로 일원화하여 사회임대주택 복합금융 지원업무 총괄

한 부서에서 기금 출middot융자 보증지원까지 원스톱 상담으로 고객 만족도 제고

추진목표 2019년 조직개편 완료

실행과제

(19)상담서비스 고도화를 통한 고객만족도 제고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객상담데이터 체계적 관리middot활용을 통한 대국민 서비스 질적 향상

(추진내용)

∙ 차세대(전산)업무시스템 및 콜센터 시스템을 연계하여 상담이력 공유- 콜센터 외에도 지사 직원의 고객상담이력을 저장할 수 있도록 차세대시스템 내화면 구축 콜센터의 상담이력 역시 차세대 시스템에 저장 및 관리

∙ 보이는 ARS서비스 실시 및 단순문의안내 SMS 발송 서비스 실시middot활성화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콜센터전산시스템연계

시스템구축

시스템개발완료및 운용

시스템운용

시스템운용

시스템운용

신규 서비스출시

보이는ARS검토

보이는ARS출시

보이는ARS운용

보이는ARS운용

보이는ARS운용

- 21 -

2 혁신적 포용국가 선도

(3대 과제) 경제활력 제고 및 일자리 중심 경제 선도 중점

실행과제

(20)공공정보 연계 통한 서류제출 절차 간소화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필요한 서류를 간소화함으로써 대국민서비스 질 제고 (추진내용)∙ 필요한 서류 등을 공사 전산으로 조회 가능한 시스템 구축∙ 기금대출절차 혁신 시스템과 연계

추진목표 ∙ (비계량) 필요서류 전산조회 시스템 구축

실행과제

(21)사업다각화를 통한 고용증대 및 비정규직 ZERO화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서민 주거복지 도시재생 활성화 지원 등을 위한 기관 자체의 적극적인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공기업 서비스 제고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증원 및 채용 확대- 신사업 발굴 및 자율정원제를 통한 적극적인 증원-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청년 및 지역 인재 채용∙ 사회 양극화 해소를 위한 비정규직 ZERO화- 노사 공감대에 기반한 정당한 절차를 통한 전환 추진 및 전환근로자 처우 개선 노력

추진목표정원 비정규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766명 0명 903명 0명 995명 0명 1033명 0명 1062명 0명

실행과제

(22)

주거복지 및 도시재생을 위한

도시재생 창업공간 금융지원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도시재생 금융상품을 통한 창업지원 (목적) 창업과 관련한 도시재생 금융상품을 통해 민간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창업 관련 수요자 중심형 기금융자 및 보증상품 개발 운용- 코워킹시설조성 상가리모델링 공공임대상가 등 기금융자 지원

도시재생뉴딜 금융지원을 위한 사회적 금융 연계 지원 (목적) 도시재생분야법인단체창업관련크라우드펀딩 및 창업지원 컨설팅 추진 (추진내용)∙ 도시재생분야에대중투자연계일자리창출및지역주도사회적경제활성화지원- 뉴딜로 도시재생 크라우드펀딩 대회 개최 등∙ 도시재생 창업단체에 대한 지원을 위해 HUG형 민간일자리 창출 프로젝트 추진- HUG와 함께하는 도시재생 뉴딜 창업프로젝트 추진 및 사회적 경제조직 활성화

추진목표창업지원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510억원 1548억 1548억 1548억 1548억

- 22 -

실행과제

(23)IT선진화를 통한 민간일자리 창출 담당부서

기금정보처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고유목적사업인 주택보증 주택도시기금 및 도시재생분야의 IT 시스템

구축 및 개선을 통한 민간 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 주택도시기금 정보시스템 통합 유지보수

- (추진기간) 유지보수 사업의 특성으로 매년 발생

- (일자리창출) 2019년(8명) 2020년 sim 2023년(매년 16명)

∙ 도시재생 금융지원 전산시스템 구축

- 도시재생융자등원활한도시계정업무를뒷받침하기위한온라인금융지원시스템구축

- 추진기간 2018년~2019년 투입금액 및 인력 51억원 41명

∙ 주택도시기금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구축

- 주택도시기금 대출절차 편의 제고 및 절차 간소화 시스템 구축

- 추진기간 2018년~2019년 투입금액및인력 컨설팅용역43억원 12명 전산용역74억원52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기금업무 운영 유지보수 8 16 16 16 16

도시재생 융자시스템 41 - - - -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64 - - - -

합 계 177

실행과제

(24)

공공기관 공동기금 조성을 통한

지역 사회적경제 활성화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이전지역 기관간 협업을 통한 사회적경제 활성화로 지속가능한 일자리

제공 지역경제 활성화 추진

(추진내용)

∙ 부산 사회적경제 지원기금(BEF) 지원을 통한 사회적기업 육성 및 지원

- Pilot Program (크라우드펀딩) 20개소 창업단계 재정지원 5개소 Start-up 재정지원

15개소 Scale-up(성정기 기업) 대출지원 5개소 BEF 경영컨설팅 50회 BEF

사회적기업 연구가 인재육성 실시 2회 BEF 판로지원 5개소 등

추진목표

기금지원 (자체 공동)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억원(10억원)

1억원(10억원)

1억원(10억원)

1억원(125억원)

-

- 23 -

(4대 과제) 혁신성장 지원

실행과제

(25)상가임차금 안심대출 상품개발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도시재생지역 내 상가임차인 보호를 위한 상가임차금안심대출 개발

(추진내용)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법령 개정 검토

-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등 관련 법령 개정안 검토

- 법령 개정안 정부 건의 (우선변제권 승계기관 포함)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시장분석 및 조사(`20)

- 상가임차보증금 시장분석 및 보증이용 수요조사

- 보증료율 검토 및 리스크 분석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출시(`21)

- 사규개정 및 법령개정 완료

추진목표

상가임차보증금 상품 출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내부검토 법령개정 시장분석 상품출시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26)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사고 위기사업장과 보증실적의 증가로 사전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및 정기 점검활동 강화 및 핵심업무 역량집중 강화

(추진내용)

∙ 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 현장점검 대상사업장을 파악하여 외주용역을 통한 점검 추진 검토

추진목표 ∙ 2019년도 현장점검 외주화

실행과제

(27)

비대면 전세금보증을 통한 혁신성장 기반 마련

(카카오페이를 통한 가입확대 등)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모바일 전세금보증

스마트폰을이용해언제 어디서든쉽게보증을신청할수있도록모바일가입채널마련

∙ (모바일 인터페이스) 인터넷 전세금보증 프로세스를 모바일웹에 최적화하여 로그인

부터 보증가입 승인까지 전 프로세스 지원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위탁은행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증가입 프로세스 개선

(현행) 임차인이 선순위 채권 등 보증가입정보를 입력

(개선) 임차인은개인정보및계약정보만입력하고세부심사에필요한정보는심사자가입력

모바일 안심대출보증

위탁은행 비대면 전세금 안심대출 상품 개발

추진목표 2019년 전세금보증의 완전한 모바일 가입체계 구축

- 24 -

실행과제

(28)국민 주거편의 제공을 위한 스마트시티 건설 지원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목적) 핵심 국정과제인 스마트시티 분야의 금융지원 플랫폼으로서 주택도시기금지원 기반 모색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검토 및 금융상품 초안 마련

(추진내용)

∙ 민간사업자 의견 수렴 및 스마트시티 기금 금융지원 상품 초안 마련 -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및 주요 요소기술산업 등 동향 파악- 민간사업자 의견수렴을 바탕으로 실질적 금융지원이 가능한 상품 개발 추진∙ 주택도시기금법 개정안 마련 및 정부 건의∙ 스마트시티 건설사업장에 대한 보증료 할인 또는 보증심사 가점부여∙ 스마트시티 건설 신공법 소개 및 성공사례 공유

추진목표금융지원 확대 건수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건 1건 2건 3건 3건

실행과제

(29)HUG 빅데이터운영체계구축으로공공데이터개방기여 담당부서

주택도시

금융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기관 내middot외부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주택middot도시middot금융 분야의 환경 변화를진단함으로서 4차산업 혁명시대 도래에 따른 선제적인 대응 체계 마련

(추진내용)

∙ (1단계) HUG 빅데이터 기반 주택시장 분석 인프라 설계 및 로드맵 수립∙ (2단계) HUG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구축 및 모델 개발∙ 수요자(국민middot정부middot공사)별 빅데이터 활용 영역 확대 및 분석 기능 고도화

추진목표공공데이터 외부개방(제공) 건수 (오픈API포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38건 42건 46건 51건 56건

실행과제

(30)

친환경middot신소재 활용으로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

(제로에너지 건축물 건설자금지원 등)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주택건설사업장에 친환경middot신소재 사용을 유도함으로써 환경 친화적 주택건설과 에너지신산업 판로지원

(추진내용)

∙ 친환경 제품 및 에너지 신소재 제품사용 주택건설사업장에 보증심사 가점부여(완료)- (`1812) 녹색건축물인증등급부여고객보증심사시초기예상분양율 5〜1점가점부여

∙ (추진) 신소재 적용 주택건설사업장 확대를 위해 보증심사시 가점부여

- SOC 공공기관 통합기술마켓과 연계한 보증우대 방안 마련 중소기업이 보유한 SOC 공공기관 관련 혁신기술의 공모middot연구개발 제안 및 검증을

통해 상품화 및 홍보middot판매를 지원하는 플랫폼

추진목표

친환경적 주택건설 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

- 25 -

실행과제

(31)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비대면 가입 활성화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9개 수탁은행에 온라인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 독려

연령 무주택세대주 소득증빙 등 가입 시 제출서류가 많아 비대면 시스템 구축 시

지점방문 없이 간편하게 가입 가능

신한은행 최초로 완전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821)

비대면 가입 주택도시기금포털에 안내 및 홍보

비대면 가입 시스템 기금포털 홍보 게시하여 수탁은행 시스템 개발 독려

추진목표 목표비대면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전체 가입의 6 전체 가입의 12

실행과제

(32)전기자동차 도입을 통한 친환경 에너지 수요 창출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업무용 차량의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ㅇ 2018년 임차기간 만료예정인 업무용 차량을 전기자동차로 대체

ㅇ 추후 본사 및 영업부서 업무용 차량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추진목표 2019년 중 전기자동차 1대 충전소 1개소 설치실행과제

(33)드론 활용을 통한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기술middot제품에 대한 선제적 구매 및 테스트와 고유사업에 활용

으로 민간 초기시장 조성을 견인

(추진내용)

∙ 보증이행사업장 드론 안전점검 시범실시

- (`1812) 예산 미편성으로 1개 사업장 드론촬영 시범실시 및 효용성 검토

∙ 보유중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에 드론 활용 확대

- (`196) 전문엔지니어링 업체 발굴로 일자리 창출 및 보유 사업장 전체(2개)에

드론 활용 안전점검 실시 rArr 위험요소 발굴로 관할센터에 사고예방을 위한

안전조치 권고문서 시행

추진목표

안전사고 발생비율(발생건수보유사업장)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0 0 0 0 0 안전사고발생 ZERO무사고 달성

실행과제

(34)드론활용사업장안전관리및점검체계구축(시범단지운영)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HUG형 혁신 사업장 안전관리 및 점검체계 구축

ㅇ 드론 활용 사업장 안전 및 점검체계 구축

ㅇ 시범단지 선정 및 운용 세부계획 검토

∙ 드론 등 기술혁신 도구관련 관련 업체 및 유관기관 협의

∙ 사업장-영업부서-본사부서 협업체계 및 활용방안(HUG-i 게시) 등

추진목표안전사고로 인한 분양보증사고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0 0 0 0 0

- 26 -

실행과제

(35)블록체인을 활용한 안전하고 편리한 인터넷서비스 제공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정부주도의 공인인증서 폐지정책(전자서명법 전부개정 예고)에 따라 전자

서명에 대한 인터넷 사용자 대체 인증수단 개발

(추진내용)

∙ 블록체인 기반의 본인인증 서비스 (카카오페이 인증 서비스) 도입

- 인터넷보증시스템에서보증료영수증및보증서출력시카카오인증을이용한전자문서

유통증명서비스제공

∙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대국민서비스 확대

- 전자서명법개정에따른블록체인기반의전자서명서비스도입

- 온라인 등기우편(연체정보 등 전자우편을 본인인증 후 열람) 일괄발송 발송내역 조회

및유통증명서발급시스템구축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블록체인기반본인인증서비스시범도입

블록체인기술을이용한

대국민서비스확대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실행과제

(36)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사업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환경보호라는 공공성을 위하여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건물

보증에 대해 유인책 마련 필요

(추진내용)

∙ 제로에너지 건축물에 대한 대출한도 상향 조정

∙ 건축 관련학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해 친환경 건축물에 대한 관심 제고

- HUG 오픈캠퍼스 추진 시 건축 관련학과(건축공학과 건축디자인과 등) 학생에게 교육

추진및공사인턴체험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제로에너지 건축물지원 제도

규정신설 -

HUG오픈캠퍼스 수료학생수 (건축 관련 학과 포함)

100 110 121 133 146

- 27 -

(5대 과제) 공정경제 기반 구축 중점

실행과제

(37)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 진입장벽 해소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물품구매 대금결제 등에 중소기업 창업기업 등에 대한 계약규제 완화를

통해 공정경제 기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함

(추진내용)

∙ 신규 창업middot중소기업에 대한 진입장벽 완화

- 소규모 물품middot용역 입찰(고시금액 21억원 미만) 참여시 상대적으로불리한신규창업 및

중소기업에대한실적제한폐지

- 다만 부득이용역의성격상실적평가가필요한경우창업기업실적인정기간연장

(현행 3년 rarr 7년)을 통한 부담 완화

∙ 지체상금 부담경감 (현행의 12수준) 을 통한 상생협력 강화

∙ 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에 대한 용역대금 선급금지급률 확대

추진목표

중소기업 등 협력업체 계약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779 790 80 81 -

실행과제

(38)

공정경제를 위한 지역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업자 보호강화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건설사업장 인근지역 중소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대금의 현금

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한 하도급업자 보호 강화

(추진내용)

∙ 지역 중소 건설업체들에게 동일한 기회제공 및 공정한 경쟁 유도

- 건설사업장에서 지역건설업체와 하도급계약 체결 시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 할인 추진

∙ 협력업체 하도금대금의 현금지급 확대

- 하도급대금을 현금으로 지급할 경우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를 할인

하여 협력업체 및 근로자들의 보호를 강화하고 시장에서의 우위 선점

추진목표

지역 하도급업체 계약체결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규정개정 30 40 50 60

하도급대금의 현금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해 하도급업자 보호

- 28 -

3 국민신뢰 회복

(6대 과제) 적극행정 확산 등 조직운영 혁신

실행과제

(39)고용위기지역에 대한 금융지원 추진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용위기지역에 대한 지원강화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추진내용)

∙ 고용위기지역 내 임대주택 건립시 보증료 할인 추진(완료)

- 고용위기지역및고용재난지역소재임대보증금보증사업장보증료 10인하( 1812)

∙ 고용위기지역 내 임차인이 전세금보증 이용시 보증료 할인 검토

- 전세보증금반환보증(전세금보장) 전세안심대출(전세금대출지원)

보증이용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임차주택으로 변경시 보증료 할인 검토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보유한 주택건설사업자가 입주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임차

주택으로변경하여전세금보증가입신청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추진목표

고용위기지역 금융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마련 및 운영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40)근로여건 개선을 통한 휴식 있는 삶 지원 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일ㆍ가정 양립에 대한 법적ㆍ사회적 요구 증대됨에 따라 장시간 근로문화를 타파하고 휴식 있는 삶을 지원하여 일ㆍ생활의 균형 실현

(추진내용)

∙ 장시간 근로문화 타파- 직원니즈를반영한공사맞춤형복무제도수립및운영- PC-OFF 강화 (주2회rarr매일)- 퇴근장려캠페인 (인사안하고퇴근하기 관리자솔선수범퇴근)∙ 휴식 있는 삶 지원- 가족친화제도지속개발 (일가양득프로그램운영)- 연차휴가및남성육아휴직이용률향상을위한제도개선- 시간단위연차사용을통한휴가사용활성화- 임신직원보호를위한모성보호절차도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인당 연차사용일 1426일 1497일 1572일 1651일 1733일남성육아휴직인원 331 348 365 383 402

- 29 -

실행과제

(41)

위임전결기준 개선을 통한 업무처리 혁신

(결재피로감 낮추고 책임middot권한 공백없이 업무는 신속하게)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결재절차를 단순화함으로써 신속한 업무처리 및 고객만족도 제고

(추진내용)

∙보증위탁업무전결권세분화

- 위임전결규정안마련및규정개정절차진행(5월)

보증업무 위탁外 융자수탁업무 관련 전결권 개정도 함께 추진

∙대외업무협약체결전결권세분화

- 사안의중요성및영향도등고려중장기적으로면밀한검토필요

추진목표

결재절차 단순화

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rsquo23년보증및융자수탁업무위임전결규정개정

제도 보완

실행과제

(42)지출신청 시 영수증 증빙 제출제도 개선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지출신청시 불필요한 원본구비 제도 개선을 통한 업무효율화 달성

(추진내용)

∙ 공사 지출의 42 비중을 차지하는 5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 원본 제출 제외

- 지출액 50만원 이하 법인카드 및 전자세금계산서 지출 건 원본구비 예외 조항 신설

- 확인이 필요한 간이계산서 등은 원본징구하여 지출사고 가능성 예방

- 제도 정착 전 3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에 대하여 원본 제출 제외(시범운영)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내부

규정개정 및시범운영

제도개선 지속 추진

실행과제(43)

PF보증심사 시 월별예정 분양률 분포의 계량화 담당부서금융기획실심사평가처주택도시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민간아파트 초기분양률 데이터를 활용한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

(추진내용)

∙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를 통한 심사 객관성 확보

- 월별예정분양률 관련 명확한 지침 산정으로 신청업체 및 심사자의 주관 배제

- 국가승인통계인 민간아파트초기분양률 동향 데이터를 활용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

∙ 초기분양률 동향 분석(주택도시금융연구원 협업 4월sim10월)

- 연구원과 협업을 통해 초기분양률 데이터 분석 및 관리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건의(11월)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관할 부서(금융기획실)로 세칙 개정 건의

추진목표2019년도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예상분양률 분포기준 마련 초기분양률 데이터 관리체계 구축

- 30 -

(7대 과제) 윤리경영 강화

실행과제

(46)청렴도 향상을 위한 반부패 활동 강화 담당부서 준법지원실

추진내용

윤리경영 추진조직 강화

기관장 주도의 윤리경영 고위직 협의체 구축 내부 자문기구「청렴자문위

원회」운영 강화 및 임원의 윤리자가진단 현황 정보공개

반부패middot청렴 대외 활동 활성화

부산 이전 공공기관 청렴 협의체「청렴 클러스터」활동 강화

「부산투명사회실천 민middot관 네트워크」가입middot활동 실시

「유엔글로벌콤팩트(UNGC)」활동으로 글로벌 윤리역량 강화

실행과제

(44)논스톱 고분양가 심사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공사 PF보증 사업장에 대한 고분양가 심사기준 개선을 통한 사업

안정성 제고 및 고객신뢰성 확보

(추진내용)

∙ 「고분양가사업장심사규정」개정 추진(5월~6월)

- 고분양가 관리지역 내에서 공사 PF보증 발급예정사업장의 고분양가 심사기준(비교

사업장 선정 및 분양가격 산출 등)의 적용을lsquoPF보증 본점 승인시점rsquo으로 명확히 함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고분양가심사규정개정

사업안정성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 추진

실행과제

(45)임대리츠 통계 및 사후관리시스템 개선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목적) 자리츠 사후관리 주관기관(모리츠 AMC인 LH) 및 감독관리기관

(HUG) 간의 업무분장에 따라 사후관리 데이터 품질 저하 등 발생

rArr 기관간 협업체계 개선 관련 시스템 개발 등을 통한 사후관리 관련 데이터품질 향상 및 대정부 정보전달 적시성 확보

(추진내용)

∙ 리츠 기금출자내용 변경시 임대리츠 이력관리 등이 가능하게 하는 통계시스템 개발

∙ 분기별 사후관리보고 제출기한 마련 검토

∙ 임대리츠 통계관리 업무체계 내실화를 위한 기관간 협업 수행

추진목표

임대리츠 사후관리 구조 개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전산시스템개발 및시스템 구축

임대리츠사후관리

체계개선 수행

시스템 운용및 개선사항도출

기관간 협업수행(데이터관

리)

임대리츠통합데이터관리 수행

- 31 -

(8대 과제) 국민의 참여협력 확대 및 지역사회 공헌

실행과제

(47)

혁신도시 맞춤형 지역인재 육성 지원 및

인재채용 투명성 강화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도시 지원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증대에 따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한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

(추진내용)

∙ 市-지역대학간 협업으로 지역인재 육성 교육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 외부 면접위원 확대 및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인사 절차의 공정성 강화

∙ 사회형평적 채용실시와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을 통한 불합리한 차별 해소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지역채용 21 24 27 30 33지역인재육성 총 교육시간(교육인원times교육시간 시간) 3000 4500 4500 4500 4500

지역인재육성교육만족도(점수) 944 949 954 959 964

실행과제

(48)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사회공헌사업 확대 추진 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정부의 lsquo사회적 가치 실현rsquo을 정책에 따라 사회적 경제 및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사회공헌 필요성 증가

(추진내용)

∙ 안전한 주거환경 제공

- 무주택 국가유공자 및 저소득층 임차자금 170세대 지원(~8월10억원)- HUG 셰어하우스 3호 신촌점 완공 청년 24명 입주 완료(~10월2억원)- 저소득층 노후주택 및 소규모 사회복지시설 127세대 개보수(~10월8억원)- HUG STREET 잘사는 골목길 등 환경개선사업 대상지 선정 완료(~10월1억1천만원)

∙ 지역사회와 상생

- 노후 슬레이트 지붕개량 및 태양광 지원 사업 4자 협약(~8월3억원) HUG-부산시-한국사회복지협의회-부산도시재생지원센터

- HOPE with HUG 10호 11호 완공(~9월1억5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지역건설사-지역건축전문가 협업을 통한 주거개선사업

- 부산 송상현 광장 내 도시놀이터 프로젝트 완료(~9월7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부산시설공단 협업을 통한 문화middot휴식공간 조성

청렴 모니터링 다각화

청렴의식 환기를 위한 「자가점검 프로그램」실시

「청렴 옴부즈만」운영

개선 아이디어 발굴을 위한 「신입사원 生生 모니터링」

추진목표

종합청렴도 결과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3등급 2등급 1등급 1등급 1둥급

- 32 -

∙ 균등한 기회와 사회통합

- 중학생 자유학기제 지원 프로그램 운영(9월~4천만원)- 저소득층 청소년 20명ndash대학생 20명 매칭 등(6월~5천만원)- lsquoKBS 동행rsquo에 출연하는 저소득 가정 50세대 지원(7월~1억원)- 발달장애 청년 재능개발 프로젝트lsquo눈부신하루rsquo추진(6월~3천만원)- 신입사원 봉사활동 등을 통한 지역사회 나눔활동(~10월7천2백만원)- 저소득층 난방연료 지원을 위한 주택도시업 캠페인(~12월5천만원)- 자매결연 마을 농수산물 구입기증(~12월4천만원)

추진목표

추진 목표는 해당연도 사회공헌 기부금 예산금액(이사회 의결금액)과 연계

기부금액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8620백만원 8879백만원 9145백만원 9419백만원 9702백만원 전년도예산금액103

실행과제

(49)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목적) 도시재생과 유사한 목표비전을 공유하는 사회적경제와 연계한 맞춤형

금융상품 운영 및 관련 지원조직과 다각적 협업 활동 추진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지역주민이 주도하는 도시재생 금융지원으로 국민의 삶의 질 개선

(목적) 주민지역공동체 주도의 마을단위 도시재생으로의 변화에 대응하여

사회적 경제주체 등 지원체계 개선으로 사회적 가치 실현에 기여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추진목표

수요자중심형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510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실행과제

(50)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국민이 참여하는

HUG사업평가단(가칭) 운영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보증업무 전반에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HUG

사업평가단 구성하여 주택품질 제고 및 안심입주 지향

(추진내용)

∙ 국민이 참여하는 보증솔루션팀 및 보증심사 리뷰단을 통해 제도 개선사항 도출

∙ 보증채권자 권익에 미치는 사항 등 국민의견 수렴을 통한 보증이행제도 개선

∙ 전세금보증 이행완료 고객 및 공인중개사 참여를 통한 제도개선 사항 발굴

추진목표 2019년 국민 의견수렴을 통한 전세금보증 제도 개선 등 검토

- 33 -

실행과제(51)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과 협업하여효율적인 전세금보증 이행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이행 업무의 효율성 제고

(추진내용)

∙ 지역사회단체 등과의 협업을 통한 임차인 퇴거확인 추진 검토

- 보증사고 발생 시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 구성원이 임차인 퇴거를

확인하여 담당직원 업무 공백 최소화 (직원 출장비 수준으로 비용 지급)

- 임차인 퇴거 확인 시 해당 주택가격 및 신규 임차인 확보 가능성 검토결과를

보고받아 채권보전조치를 위한 근거 확보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거보호 이행도(전세금보증 이행 15일초과건수전체이행건수)

50 45 41 37 34

- 34 -

Ⅳ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및 적극행정 확산

①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국민참여게시판을 lsquo국민제안(국민rarr기관)rsquo

및 lsquo정책제안(기관rarr국민)rsquo 게시판으로 세분화하여 국민과 기관간

상시 소통기반 마련 경평지적

지적사항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위한 개선방안 마련 필요

(혁신 네트워크 강화) 시민참여혁신단 보증채권권익위원회 전세금

보증 시민참여단 기금홍보협의회 운영 등 주요사업에 기반하여

다양한 대외 전문기관과 네트워크 활성화 경평지적

지적사항 보증 기금등주요사업역량강화를위한전문기관혁신네트워크강화필요

② 적극행정 확산

(적극행정 면책제도 활용) 감사계획 통보 시 적극행정 면책제도

middot사전컨설팅 제도 사전안내 및 면책신청 지원을 위한 상담창구

운영 등 (계획수립 完 감사실-2367호)

(기관장 책임강화) 혁신전략위원회(위원장 사장)를 통해 적극행정

혁신과제에 대한 추진독려 및 이행사항 점검 등 보완사항 지속

발굴 (혁신페스티벌 1middot2차 개최)

(적극행정 우수사례 발굴)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를 통해 조직내

적극행정 분위기 유도 (포상 및 내부성과평가 반영 등)

성과창출에 실패했더라도 기존관행 탈피 새로운 영역개척 국민접점에서

활력을 제고하는 등 lsquo착한실패rsquo lsquo건전한파격rsquo에 대해서도 포상추진 예정

(적극행정 인식확산) 적극행정 사이버교육(법제처 주관) 이수 등

적극행정 인식확산을 위한 교육참여 시 혁신마일리지 부여 (전사 교육 실시 예정)

- 35 -

Ⅴ 혁신 추진도구별 업무일정

구 분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1 2 3 4 5 6 7 8 9 10 11 12

1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2 국민소통 강화

3 혁신페스티벌

4 유관기관 협업

5 혁신채널 구축

6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7 제안제도 정비

8 혁신콘서트

9 혁신교육 및 혁신워크숍

10 혁신레터

11 혁신마일리지 신설

12 혁신BP 발굴 및 포상

피드백

(성과관리) 공공기관 혁신 및 기관 경영혁신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혁신과제 추진실적을 정기적으로 점검 및 피드백

(혁신전파) 조직원 전체의 혁신공감대 형성 및 참여도 제고를 위해

본사부서 및 영업부서 방문 등을 통해 혁신활동 및 우수사례 공유

(혁신내재화) 국민소통채널 혁신마일리지 혁신레터 등 혁신활동이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고 혁신업무에 대해

조직원이 공감하고 회사 모든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

Page 3: 2019년 HUG 혁신 추진계획 - khug.or.kr…„HUG혁신추진계획.pdf · 혁신페스티벌 - (내부 혁신과제 발굴) 조직·인사·제도·서비스혁신 등 회사

- 2 -

Ⅰ 2018년 HUG혁신 주요성과

「공공기관 혁신가이드라인」발표(`186월)에 따라 HUG 혁신계획을

수립하고(`187월) 전사적으로 38개 혁신과제를 추진

공공기관 혁신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한 3대 방향 7대 과제 중 기관업역

성과창출 역량집중 등을 고려하여 3대 중점과제 선정

①공공성 제고 ②일자리중심 경제선도 ③공정경제기반구축

【 2018년 주요 혁신과제 추진성과 】

3대중점과제 세부실행과제 `17 실적 `18목표 `18실적 비고

① 공공성제고

전세금보증 확대 44만세대 8만세대 89만세대 101

주택도시기금 대출 확대 - 15조원 229조원 152

임대주택 공급지원 확대 10748호 10000호 12827호 128

②일자리중심

경제선도

공공부문 일자리 창출 정원 602명 정원 622명 정원 746명 120

도시재생 창업융자지원(수요자중심) 261억원 470억원 969억원 206

공동기금조성지원 - 75억원 75억원 100

③공정경제기반구축

혁신도시 맞춤형 지역인재 채용 236 18 26 144

사회적 가치를 위한 사회공헌 29억원 29억원 31억원 107

하도급보증 확대 33조원 19조원 26조원 137

혁신목표 국민이 행복한 세상과 풍요로운 삶을 위한 혁신 리더

혁신방향 공익을 추구하는 HUG 더불어 성장하는 HUG 신뢰 받는 HUG

대내외 추진조직년

과제발굴middot실행

실적점검(내부)

의사결정기구 총괄조직 실행조직

혁신전략위원회 혁신성과처 혁신리더변화요원 등

국민참여(외부) HUG 시민참여혁신단 HUG 청년포럼 국민참여게시판

- 3 -

Ⅱ 2019년 HUG혁신 추진방향

추진 배경

2019년 「공공기관 혁신가이드라인」발표 (`196월 기획재정부)

- (추진목표) 공공기관 혁신을 통한 국민 삶의 질 제고

혁신의 지향점을 국민에 두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 촉진

- (추진방향) 2019년 정부혁신 기본방향과 공공기관 성격을 고려

추진방향을 ①사회적 가치 ②혁신적 포용 ③신뢰회복으로 설정

정부혁신 기본방향 혁신적 포용국가 뒷받침하는 포용행정 국민생활 속에

체감하는 혁신성과 창출 공직사회 변화 지속계기로서 정부혁신 추진

ㅇ「공공기관 혁신가이드라인」주요 변경사항 (밑줄 변경 사항)

- 3대 분야 7대 과제에서 8대 과제로 변경 및 정부정책 이행 강화

ㆍ(신규 추가과제) 생명middot안전 최우선 기관 운영 취약계층 서비스 사각

지대 해소 적극행정 확산 등 공공기관에 정부정책 적극 반영 요청

2018년(3대 분야 7대 과제) 2019년(3대 분야 8대 과제)

1 공공성

강화

①고유업무 공공성 제고 1 사회적

가치중심

기관운영

①고유업무 공공성 제고

② 대국민 서비스 조직

운영 혁신

②포용적 공공서비스

제공 강화

2 경제

패러다임

선도

③소득주도 일자리 선도

rArr2 혁신적

포용국가

선도

③경제활력 제고 및 일자리

중심 경제 지속 지원④혁신성장 뒷받침 ④혁신성장 지원

⑤공정경제 기반 구축 ⑤공정경제 기반 구축

3 국민신뢰

회복

⑥윤리경영 강화3 국민신뢰

회복

⑥적극행정 확산 등 조직

운영 혁신⑦투명 윤리경영 강화

⑦국민참여 협력 확대 ⑧국민의 참여 확대 및

지역사회 공헌

- 4 -

2019년 HUG혁신 추진방향

2018년도 우리 공사는 ①추진조직 구성 ②국민소통채널 구축 ③성과지표

신설 등 기관혁신 추진체계를 마련하여 성과창출을 위한 기반 조성

2019년은 국민이 체감하는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고자 정부가 제시한 8대

과제중 공공성 제고 경제활력 제고 공정경제 기반 구축 3대 과제를

중점과제로 선정하고

middot ①소통기반 혁신추진 ②혁신프로세스 체계화 ③혁신문화 촉진 ④혁신지표

개선 등 4대 혁신대상을 마련하여 더욱 체계적인 혁신활동을 전개하고 함

적극행정 등 신규과제 발굴 및 경평 지적사항 등 미비점 개선활동 병행

기관

혁신

목표국민이 행복한 세상과 풍요로운 삶을 위한 혁신 리더

정부

3대혁신

방향

사회적가치 중심

기관운영혁신적 포용국가 선도 국민신뢰 회복

3대

중점

과제

1 공공성제고

2 경제활력제고

3 공정경제기반 구축

「공공기관 혁신가이드라인」 8대 과제 중 공사는 3대 중점과제 선정middot추진

4대

혁신

대상

1 소통기반

혁신추진

2 혁신 프로세스

체계화

3 혁신문화

촉진

4 혁신지표

개선

혁신

추진

도구

1)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2) 국민소통강화

3) 혁신페스티벌

4) 유관기관 협업

5) 혁신채널 구축

6)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7) 제안제도정비

8) 혁신콘서트

9) 혁신교육middot워크숍

10) 혁신레터

11) 혁신마일리지

신설

12) 혁신BP 가점

제도 개선

lt2019년도 혁신 추진체계gt

- 5 -

3대3대

중점과제중점과제 공공성 제고 경제활력 제고

공정경제

기반 구축

주요혁신주요혁신

과제목표과제목표

(~(~ rsquorsquo23)23)

서민 전세금보호 확대

[73만호][73만호]

사업다각화 고용증대

[39 증원][39 증원]

혁신도시 지역인재 채용

[33][33]

임대주택 공급지원 확대

[68만호][68만호]

도시재생 창업융자지원

[7702억원][7702억원]

사회적가치 사회공헌

[457억원][457억원]

도시재생뉴딜사업 융자

[65조원][65조원]

IT분야 일자리 창출

[177명][177명]

하도급업자 보호강화

[지역하도급업체 계약률 60][지역하도급업체 계약률 60]

사회취약계층 등 기금지원

[39조원][39조원]

공공기관 공동기금 조성

[425억원][425억원]

중소기업 진입장벽 해소

[중소기업 계약률 82][중소기업 계약률 82]

2019년 혁신가이드라인에 따라 적극행정 등 신규분야 과제 추가

포용적 공공서비스 혁신성장 지원 적극행정 확산

고아원 연계 보호종료

아동 월세보증금 지원 등

카카오페이를 통한

전세금보증 판매확대 등

위임전결기준 개선

통한 업무처리 혁신 등

lt 3대 중점과제별 주요 혁신과제 gt

3대 중점과제별 주요 혁신과제 5개년 목표 설정 (rsquo19~rsquo23)

- 2019년도 정부가 제시한 8대 과제중 3대 중점과제의 계량목표 설정

8대 과제 ①공공성 제고 ② 포용적 공공서비스 ③ 경제활력 제고 ④ 혁신성장⑤ 공정경제 기반 구축 ⑥적극행정 ⑦ 투명middot윤리경영 ⑧ 국민참여

lt 주요 혁신과제 예상 계량실적 gt

중점과제

주요 실행과제 목표중장기 목표치

`19 `20 `21 `22 `23

공공성 제고

middot서민 전세금보호 확대 보증실적 10만호 12만호 14만호 17만호 20만호

middot임대주택 공급지원 확대 임대주택공급 10550호 12450호 13695호 15065호 16570호

middot도시재생뉴딜사업 융자 출융자실적 5877억 11227억 15014억 16178억 16494억

middot사회취약계층 등 기금지원 대출실적 78조원 78조원 78조원 78조원 78조원

경제활력 제고

middot사업다각화 고용증대 정원 766명 903명 995명 1033명 1062명

middot도시재생 창업융자지원 융자실적 1510억 1548억 1548억 1548억 1548억

middotIT분야 일자리 창출 일자리 113명 16명 16명 16명 16명

middot공공기관 공동기금 조성 기금조성 10억 10억 10억 125억 -

공정경제기반구축

middot혁신도시 지역인재 채용 지역채용 21 24 27 30 33

middot사회적가치 사회공헌 기부금액 86억 89억 91억 94억 97억

middot하도급업자 보호강화 지역하도급업체계약률 규정개정 30 40 50 60

middot중소기업 진입장벽 해소 중소기업계약률 779 79 80 81 82

- 6 -

4대 혁신대상별 추진도구

❶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국민소통 강화 등 소통기반 혁신추진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 (대국민 아이디어 공모) 국민의견을 적극 반영한 신규과제 추가

발굴을 위하여 대국민 아이디어 공모전 개최

2019년도 대국민 아이디어 공모를 통해 6개 혁신과제 발굴

국민소통 강화

- (소통채널) 국민의견 수렴을 위해 운영 중인 시민참여혁신단 및

청년포럼(Off-Line)과 홈페이지에 대국민참여게시판(On-Line) 활성화

소통채널 구 성 현 황

시민참여혁신단 ∙ 교수 고객 유관기관 시민단체 언론계의 분야별 전문가 6인으로 구성

청년포럼 ∙ 대학생 청년사업가 12인으로 구성

대국민참여게시판 ∙ 공사의 정책제안 국민제안 아이디어 공모 시 모든 국민참여

혁신페스티벌

- (내부 혁신과제 발굴) 조직middot인사middot제도middot서비스혁신 등 회사 전 분야의

경영혁신 달성을 위한 전사 혁신페스티벌 추진 (부서 및 개인제안 공모)

유관기관 협업

- (SOC공공기관 통합기술마켓) 중소기업 기술 및 판로지원을 위하여

국토부 산하 10개 공공기관이 통합기술마켓 공동구축 추진

HUG LH 감정원 도로공사 코레일 인천middot한국공항공사 LX 철도시설middot교통공단

- 7 -

❷ 혁신채널 구축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등 혁신 프로세스 체계화

혁신채널 구축

- (혁신광장) 혁신관련 종합계획 정부정책 및 추진체계 등을 공유

하고 조직원의 아이디어를 상시 발굴할 수 있는 혁신광장 개설

지식채널(KM)에 개설하여 혁신제안혁신심사혁신BP 등 게시 전사 공유

lt혁신광장 구축(안)gt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 (프로세스 체계성 강화) 직원 제안사항을 단순제안혁신제안으로 분류

하고 혁신제안은 Bottom-up 방식 단계별 심사 후 혁신과제로 선정

직원제안은 사내인트라넷 內 혁신광장을 통해 연간 상시접수

lt혁신제안 심사 및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gt

구분 예비심사 1차 심사 2차 심사 혁신과제 확정

주요내용

∙단순제안혁신제안심사배제 제안으로 분류

∙예비심사에서 채택된 혁신제안을 대상으로 심사

∙1차 심사에서채택된혁신제안을 대상으로 심사 ∙혁신과제 추진

여부 등 중요사항 의결

채택요건

∙심사위원 34이상 참여과반수 이상 시 단순제안및 혁신제안으로 채택

∙심사위원 34이상 참여기준 점수 이상 시 혁신제안으로 채택

∙심사위원 34이상 참여과반수 이상 시 혁신과제로 채택

주체혁신 변화요원

(팀원)혁신리더(팀장) 본사 부서장 혁신전략위원회

(사장 부사장 등)

제안제도 정비

- (규정개정) 혁신과제 선정절차 및 혁신 평가방식 개선 등을 위해

혁신제안 관련규정 정비

혁신제안제도 운영기준 및 혁신마일리지 운영기준

- 8 -

❸ 혁신콘서트 혁신레터 등 혁신문화 촉진 경평지적

지적사항 혁신역량 강화 교육 체계화 및 활성화 필요

혁신콘서트

- (혁신공감대) 혁신우수사례(BP) 및 혁신노하우를 발표middot공유하고

시상식 등을 개최하여 조직원의 공감대 형성 및 동기부여

- (전사 참여) 조직원 전체가 참여할 수 있도록 추진하되 단독 또는

한마음 단합대회 개최 시 관련부서와 협의하여 공동 추진 검토

혁신교육 및 워크숍 확대운영

- (혁신교육) 창의적 조직문화 학습을 위해 혁신 선도적 공공민간

기업의 우수사례를 주제로 전직원 대상 정기교육 실시

2018년도 조직문화 혁신교육 우아한형제들 - ①규율 속 자율 경영

②창의적 업무환경조성 ③일상적 소통경영 등

- (혁신워크숍) 혁신문화 촉진과 조직원의 수용력 제고를 위해 혁신

담당자 중심으로 혁신워크숍 실시

전사혁신리더및변화요원대상혁신관련정부정책middot평가방식공유 혁신추진공감대형성등

혁신레터

- (혁신메시지) 조직원의 혁신업무 이해도 제고를 통한 혁신 실행력

강화를 위해 혁신메시지 제도 시행

middot 혁신전략 혁신계획 혁신과제 등 혁신업무 전반에 대해 카드뉴스를

제작하여 전사 포털(Portal) 화면에 팝업창을 통해 게시

현재 전사포털 팝업창을 통해 윤리경영 자가점검 칭찬감사릴레이 등 시행중

- 9 -

❹ 혁신마일리지 신설 혁신BP 가점제도 개선 등 혁신지표 개선 경평지적

지적사항 혁신역량 강화 교육 체계화 및 활성화 필요

혁신마일리지 신설

- (혁신활동 평가강화) 혁신 과제선정middot이행 국민소통 혁신활동

등 혁신업무 전 영역에 마일리지를 부여하여 혁신평가의 변별력

제고 및 보상체계 강화

과제선정(최대10점) 과제이행(최대20점) 국민소통(최대20점) 등혁신마일리지차등부여

HUG 혁신마일리지 추진 체계

국 민업무혁신middot성과중심의 혁신마일리지 관리체계 구축 우수과제

선정 및

전파

제안등록 과제선정

(최대 10점) 과제이행

(최대 20점)

국민소통(최대 20점)

혁신활동(최대 10점)

마일리지

내평반영 및

포상 제안의

난이도에 따른

차등 점수

단순제안혁신

제안우수제안

이행

국민의견을

반영한

제안과제 이행

혁신콘서트

혁신특강 등

개인 역량강화H U G

혁신제안의 수준과 부서 및 직원의 혁신기여도에 따른 차등 마일리지 부여

혁신BP 가점제도 개선

- (가점확대) 혁신페스티벌 대국민아이디어 적극행정 혁신성장 등

BP경진대회를 통한 우수사례 발굴 및 내평(성과향상기여도) 가점 확대

[현행] 본사부서(최대 17점) 영업부서(최대 05점) rarr [개선] 본사(최대 2점) 영업(최대 1점)

- 10 -

Ⅲ 2019년 HUG혁신과제

2019년은 기존 중장기 35개 과제에 국민참여 6개 과제 기관 내부

발굴 10개 과제를 추가하여 총 51개 혁신과제를 추진할 예정임

HUG 혁신과제 (2018년) 38개 rArr (2019년) 51개

(중장기 과제) (lsquo18) 38개 과제 rarr 대내외 환경변화로 (lsquo19) 35개로 조정

(국민참여) 2019년 대국민아이디어 77건 중실현가능성등검토하여최종 6건선정

(내부발굴) 2019년 직원제안 236건 중 실현가능성 등 검토하여 최종 10건 선정

HUG 혁신과제 목록 (2019년 공공기관 혁신가이드라인 8대 과제별 분류)

연번 ① 고유업무 공공성 제고 비고

1 전세금보증 가입문턱을 낮추어 서민의 전세금 보호 강화 중장기

2 주택도시기금 지원확대로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역할강화 중장기

3 임대주택 공급지원 확대로 서민 주거복지 증대 중장기

4 주택도시기금 신규상품 개발을 통한 도시재생뉴딜 활성화 중장기

5 제도에서 전산까지 온오프라인 안심시스템 구축 중장기

6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전사 경영전략체계 구축 중장기

7 도시계정의 체계적 관리를 통한 도시재생 활성화 중장기

8 국민과 함께하는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 중장기

9 민관협력사업으로 주거취약지구 주거환경 개선 중장기

10 도시재생 맞춤형 스타트업 총괄지원 플랫폼 도입middot운영 국민

11 도시재생 생태계 조성을 위한 종합지원 플랫폼 구축 국민

12 분양이행사업장 수분양자 보호 내부

- ② 포용적 공공서비스 제공 강화 -

13 인터넷보증시스템 개선으로 전세금보증 이용편의성 제고 중장기

14 주택도시기금 대출절차 간소화를 통한 대국민 서비스 향상 중장기

15 고아원연계 보호종료아동 월세보증금 지원 제도 국민

16 HUG 이용고객 편의성 제고를 위한 플랫폼 구축 국민

- 11 -

17 전세금보증 인터넷가입에 필요한 데이터 자동화 구축 국민

18 사회임대주택 활성화를 위한 조직 혁신 내부

19 상담서비스 고도화를 통한 고객만족도 제고 내부

20 공공정보 연계 통한 서류제출 절차 간소화 내부

- ③ 경제활력 제고 및 일자리 중심 경제 지속 지원 -

21 사업다각화를 통한 고용증대 및 비정규직 ZERO화 중장기

22 주거복지 및 도시재생을 위한 창업공간 금융지원 중장기

23 IT선진화를 통한 민간일자리 창출 중장기

24 공공기관 공동기금 조성을 통한 지역 사회적경제 활성화 중장기

25 상가임차금 안심대출 상품개발 중장기

26 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중장기

- ④ 혁신성장 지원 -

27 비대면 전세금보증을 통한 혁신성장 기반 마련(카카오페이를 통한 가입확대 등) 중장기

28 국민 주거편의 제공을 위한 스마트시티 건설 지원 중장기

29 HUG 빅데이터 운영체계 구축으로 공공데이터 개방 기여 중장기

30 친환경middot신소재 활용으로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제로에너지 건축물 건설자금지원 등) 중장기

31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비대면 가입 활성화 중장기

32 전기자동차 도입을 통한 친환경 에너지 수요 창출 중장기

33 드론 활용을 통한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 중장기

34 드론활용 사업장 안전관리 및 점검체계 구축(시범단지운영) 중장기

35 블록체인을 활용한 안전하고 편리한 인터넷서비스 제공 중장기

36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사업 국민

- ⑤ 공정경제 기반 구축 -

37 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 진입장벽 해소 중장기

38 공정경제를 위한 지역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업자 보호강화 중장기

39 고용위기지역에 대한 금융지원 추진 중장기

- ⑥ 적극행정 확산 등 조직운영 혁신 -

40 근로여건 개선을 통한 휴식 있는 삶 지원 중장기

41위임전결기준 개선을 통한 업무처리 혁신(결재피로감 낮추고 책임ㆍ권한 공백없이 업무는 신속하게 )

내부

42 지출신청 시 영수증 증빙 제출제도 개선 내부

- 12 -

HUG 혁신과제 세부추진 내용

1 사회적 가치중심 기관 운영

(1대 과제) 고유 업무의 공공성 제고 중점

43 PF보증심사 시 월별예정 분양률 분포의 계량화 내부

44 논스톱 고분양가 심사 내부

45 임대리츠 통계 및 사후관리시스템 개선 내부

- ⑦ 투명middot윤리경영 강화 -

46 청렴도 향상을 위한 반부패 활동 강화 중장기

- ⑧ 국민의 참여 확대 및 지역사회 공헌 -

47 혁신도시 맞춤형 지역인재 육성 지원 및 인재채용 투명성 강화 중장기

48 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사회공헌사업 확대 추진 중장기

49 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중장기

50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국민이 참여하는 HUG사업평가단(가칭) 운영 중장기

51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과 협업하여 효율적인 전세금보증 이행 내부

실행과제

(1)전세금보증가입문턱을낮추어서민의전세금 보호 강화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서민의전세보증금을지켜주는최선의안전장치 lsquo전세금보증rsquo 활성화추진

(추진내용)

∙ 보증가입 편의성 제고 및 채널 확대를 통한 전세금보증 활성화

- 모바일 전세금보증 편의성 지속 개선middot확충

- 공인중개사 전세금보증 위탁판매 활성화 등

∙ 사회배려계층 맞춤형 보증제도 개선 등을 통한 공적역할 강화

- 보증가입기간 확대 등 임차인 보호를 위한 전세금보증 지원

- 보증서비스 품질 개선 등을 위한 전문가 의견수렴 등

추진목표

보증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0만호(21조원)

12만호(25조원)

14만호(30조원)

17만호(36조원)

20만호(43조원)

- 13 -

실행과제

(2)

주택도시기금 지원확대로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역할강화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무주택middot실수요 서민주거 안정지원을 위한 대출제도 개선 및 주거복지

로드맵 정책지원을 통한 맞춤형 주거지원으로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마련

(추진내용)

∙ 신혼부부middot청년층 기금대출 지원 확대

- 신혼희망타운 수익공유형 모기지대출 출시

- 신혼부부 기간 확대 (5년 rarr 7년)

- 청년층 청약 가입요건 완화 등 제도 개선 및 운영보완

- 고시원 주거급여 거주자 등에 대해 주거안정월세대출 대상자에 포함

∙ 자산기준 도입 서류간소화 등 기금대출 제도 개선

추진목표

사회취약계층 등 기금지원 (수요자 대출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78조원 78조원 78조원 78조원 78조원

`19~`23 목표는 매년초 국토부 최종안 확정안 국회승인을 거쳐 목표치 확정

실행과제

(3)임대주택 공급지원 확대로 서민 주거복지 증대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사회임대주택 공급 활성화

(목적) 주거약자를 위한 정부 사회임대주택 공급 활성화 정책 지원 및

공사의 공공성 역할 확대

(추진내용)

∙ 사회임대주택 보증 확대를 위한 제도개선 및 공급 활성화를 위한 금융 지원

∙ 사업관련 주체의 유기적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홈페이지 구축

∙ 공급활성화 여건 조성을 위한 사업자 육성 및 홍보 강화 및 유관기관 협업

임대리츠 관리체계 개선 및 공모를 통한 공급확대

(목적)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등 리츠를 통한 임대주택 공급 활성화를

통해 국민 주거복지 증진 도모

(추진내용)

∙ 서민 주거복지 강화를 위한 임대리츠 기금출자 제도 개선

∙ 민간임대사업자 참여 유도를 위한 공모사업 활성화

∙ 임대리츠 공공성 강화를 위한 심사관리 체계 개선 및 기금출자심사 실시

∙ 임대리츠 관련 정부정책 추진 지원을 위한 다각적 홍보 추진

∙ HUG形 민간제안 공모방식 확대로 임대주택 공급 강화

추진목표

사회임대주택 보증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50호 900호 990호 1089호 1197호

리츠를 통한 임대주택 공급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0500호 11550호 12705호 13976호 15373호

HUG 민간제안공모 공고 세대수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rsquo23년

8000세대 8500세대 9000세대 10000세대 10500세대

- 14 -

실행과제

(4)주택도시기금신규상품개발을통한도시재생뉴딜활성화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도시재생뉴딜 맞춤형 금융지원 확대 (목적) 도시재생 사업유형 확대에 대응한 맞춤형 기금지원 상품 개발운용 (추진내용)∙ 소규모 재생사업 및 주택정비 활성화를 위한 금융지원 확대∙ 도시재생 경제조직 활성화를 위한 금융지원 프로그램 도입 도시재생뉴딜 활성화를 위한 기금지원 운용체계 개선 (목적) 명확한 업무기준효율적 수행방안을 확립하여 도시계정 양적질적확대에 대응 및 뉴딜정책 활성화에 기여

(추진내용)∙ 도시재생 금융지원 접수middot심사체계 개편으로 국민불편 해소∙ 도시재생 금융지원 사후관리 체계 확립으로 안정적 기금운용 및 공공성 실현

추진목표

도시재생 금융지원 출융자 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5877억원 11227억원 15014억원 16178억원 16494억원

도시재생 금융지원 심사사업장관리 운용체계 개선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5건 5건 5건 5건 5건

실행과제(5)

제도에서 전산까지 온middot오프라인 안심시스템 구축 담당부서정보운영처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응하는 정보보안체계 구축

(목적) 4차 산업혁명시대 기술(IoT BigData AI 등) 변화에 맞는 선제적인 정보

보안 체계 수립과 능동적인 정보주체의 권리 보장

ㅇ (추진내용)

∙ 선진화 정보보안 체계 구축 컨설팅

주택건설사업장 사회안전망 플랫폼 구축

(목적) 주택관리사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으로 사고로 인한 분양계약자의

입주지연 및 보증사고 위험 등을 사전에 예방하여 국민의 편익 증진

(추진내용)

∙ 사업장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보증사업장 현장점검 규정 개정

- 사업장안전관리강화를위한안전점검업무신설및안전관리우수고객우대제도운영

∙ 드론을 활용한 보증사업장 동영상 촬영 및 제공으로 분양계약자 정보제공 강화

- 현재 앱을 통한 사업장 현장사진 제공을 드론을 이용한 동영상 제공으로 확대하여

분양계약자 정보제공 강화

추진목표

국정원 정보보안 관리실태 점수 행안부 개인정보보호 진단 점수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공공기관평균점수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 5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10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15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20

보증사업장 안전사고로 인한 공사 지연 건수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0건 0건 0건 0건 0건

- 15 -

실행과제(6)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전사 경영전략체계 구축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공공기관의 lsquo공적역할 강화rsquo 및 lsquo사회적 책임실현rsquo이라는 국정기조 변화에 부응

하기위한공사의新경영전략수립

(추진내용)

∙ 고유 업무의 공공성 제고를 위한 사업전략 재수립

- 사회통합형 주거복지 실현을 위한 공적금융 지원 전략 수립

- 소규모 도시재생사업 활성화를 위한 단계별 공사 역할방안 마련

∙ 사회적 가치 기반 전사 기능전략 및 중장기 경영목표 재수립

- 공적역할 확대 및 사회적 책임 구현을 위한 부문별 기능전략 수립

추진목표

사회적가치 기여도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최우수 최우수 최우수 최우수 최우수

청렴도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등급 1등급 1등급 1등급 1등급

실행과제(7)

도시계정의 체계적 관리를 통한 도시재생 활성화 담당부서기금정보처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목적) 노후주거지 주민과 사회적기업 등이 필요로 하는 자금을 적시에 원활히 지원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도시계정 관리 추진

(추진내용)

∙ 연체관리 프로세스 정립을 통한 기금손실예방

- 연체 단계별 업무처리 프로세스 마련을 통한 융자사고방지

- 도시계정 융자원리금 수납기준 마련

- 융자사고관리 방안 마련

∙ 고객신용관리 체계구축을 통한 사고예방 모니터링 확대

- 고객신용관리 모니터링 체계구축을 통한 사고예방관리

- 도시계정 신용정보집중 처리기준 프로세스 마련

- 도시계정 신용정보관리 전산시스템 구축 일반신용정보관리규약에 따른 도시계정 신용정보 파일전송 설계서(전문) 작성

공사 신용정보 집중 시스템과 병합 추진

∙ 도시계정 자금관리 체계정립을 통한 도시재생활성화지원

- 도시계정 예산확대 신규 금융기법적용 등 도시계정 특성을 반영한 회계middot결산

자금관리 업무기준 확립 정형화된 담보가 아닌 수요자사업자 특성을 고려한 맞춤 담보제공 자금투입 공공성 확보를

위한 엄격한 융자조건 부여

- 회계middot결산 자금관리 업무전산화를 통한 효율화 정책지원기능 확대

추진목표 (비계량) 2019년 융자사고예방을 위한 연체관리 자금관리기준 수립 및 개선

- 16 -

실행과제(8)

국민과 함꼐하는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 담당부서보증이행처

준법지원실

추진내용

(목적) 국민참여를 통한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의 수용성 제고 및 주거

복지 실현 위한 공동주택 하자 조기대응ㆍ감축방안 모색

(추진내용)

∙ 하자분쟁 해결체계 관련 국민 공유ㆍ소통 프로그램 운영

- 국민과 함께하는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 계획 수립

- lsquo공동주택 실무강좌rsquo 동행을 통한 하자관련 주요이슈 대국민 공유ㆍ소통- 국민참여 하자정보 공유 4회(서울 인천 수원 의정부) 및 하자실무 법률상담

∙ 국민 참여 확대를 통한 정책 개선 노력

- (lsquo1810) 대국민 의견수렴을 위한 하자분쟁 컨퍼런스 개최

middot 하자분쟁 예방을 위한 관계규정 검토 및 정책 논의

middot 행정청 학계 법조계 및 입주자대표회의 관련 다수 국민 참여

∙ 소규모사업장 청구 전 하자보수보증 사전안내제도(BS Before Service) 실시 검토

소규모사업장 150세대 미만 사업장 중 대위변제가 없는 2년차 하자보수보증 만료6개월 전 사업장

추진목표

대국민 참여도산출근거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참여횟수6회참여인원300명

참여횟수8회참여인원400명

참여만족도85점 이상

정책국민의사반영1회이상

정책국민의사반영1회이상

횟수당50명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점수(관리본부) 목표치산출근거구분 rsquo18년 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등급 A A A A A 목표 A등급 이상

실행과제(9)

민관협력사업으로 주거취약지구 주거환경 개선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목적) 공사의 사회적 가치경영 실행을 위해 새뜰마을(취약지역 개조사업) 주거

여건 개선을 지원하는 민관협업 사회공헌사업 추진

(추진내용)

∙ 중앙부처 공공기관 민간기업 등이 지역 주민과 함께 도시취약지역 내 노후주택에

대한 주거환경개선 열효율화 사업 추진

- 새뜰마을중고령화 노후화등으로사업추진이절실하고 지역사회참여정도등을 고려

하여성과가 가시화될수있는지역선정추진

∙ 주거취약지역 환경개선 관련 민관협업사업 MoU 체결 추진

- 국토교통부 HUG LH KCC AURI 해비타트 등 협약 체결을 통해 집수리 자재 및

전문인력 후원금 지원 추진

∙ 도시취약지역 지원 효과 분석 및 사업추진 매뉴얼 마련

- 지역기초조사 사업전후 효과분석 등 성과관리 새뜰마을 매뉴얼 제작보급

추진목표새뜰마을 지원대상 확대 건수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5건 5건 5건 5건 5건

- 17 -

실행과제(10)

도시재생 맞춤형 스타트업 총괄지원

플랫폼 도입middot운영담당부서

인사처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도시재생과 관련된 스타트업 및 소셜벤처에 대한 종합적 지원

(추진내용)

∙ HUG형 도시재생 뉴딜 창업 프로젝트 추진

- 사회적 경제조직 육성기관(함께일하는재단) 대중투자 전문기관(와디즈)과 협업

- 사회적 경제조직 컨설팅 지원

- 대중투자 연계 통한 일자리 창출 및 사회적 경제 활성화 지원

∙ 스타트업 및 소셜벤처에 대한 사회적 금융 지원

∙ HUG 창업 라운지(스타트업 기업에 공간 공유) 확대 운영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사회적금융지원금액 1억 1억 1억 1억 1억

공간지원스타트업수 6 8 10 12 14

멘토링middot창업캠프개최회수 5 5 5 5 5

실행과제(11)

도시재생 생태계 조성을 위한

종합지원 플랫폼 구축담당부서

기금정보처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종합적인 도시재생정보 공유체계 구축을 통해 기금 지원된 도시재생사

업에 대한 정량적 정보 및 사후지원 청년middot예비창업자 참여를 위한 HUG 정책

지원 정보를 기금포털 내 일괄 제공

(추진내용)

∙ 전국 기금이 활용된 도시재생 사업장 정보 제공(lsquo도시재생 기금지도rsquo 서비스)

- 지도 API 기반의 도시재생 기금지원 사업장 정보조회 서비스

- 전국 분포된 사업장의 위치부터 융자금액까지 상세정보를 편리하게 검색

- 실제 사례와 이용 상품 정보를 함께 제공하여 정보이용자 이해도 제고

∙ 기금 사업장 홍보 지원 및 청년창업 지원 정보 일괄 제공(전용 게시판 신설)

- 사업장 및 보유시설(코워킹시설 임대시설 등) 홍보 위한 전용공간 마련

- 기금지원 사업의 우수사례 정보공유를 통한 벤치마킹 및 정보이용자 관심유도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기금지도 서비스 개시 서비스구축middot개시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우수사례 발굴 건수 8 8 8 8 8

- 18 -

(2대 과제) 포용적 공공서비스 제공 강화

실행과제(12)

분양이행사업장 수분양자 보호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분양대금채권 지연손해금율 하향조정 등 분양계약자 부담완화를

통한 국민 주거안정 기여

(추진내용)

∙ 분양계약자 지연손해금 관련 주택분양보증약관 개정

- 분양계약자의 분양계약서상 지연손해금율이 시행사 구상채권 지연손해금율

보다 높은 사례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공사 내규와 분양계약서상 지연손해

금율 중 낮은 것을 적용하도록 약관 규정 개정 (시행사 동의서 징구)

추진목표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 점수(관리본부)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901 915 933 951 971

실행과제(13)

인터넷보증시스템개선으로전세금보증이용편의성제고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인터넷보증 시스템 개선을 통해 고객의 전세상품 보증서비스

편의성 및 접근성을 강화하여 서민 주거안정성 개선 지원

(추진내용)

∙ 인터넷 보증시스템 재구축 추진(lsquo20~lsquo21)

- (현행) 인터넷 익스플로러 이외의 웹브라우저 미지원

- (재구축) 구 운영체제 지원종료 대비 및 지원 플랫폼(구글 크롬 등) 확대를

위한 시스템 재구축 예정

∙ 모바일 보증시스템 구축 추진(lsquo19)

- (현행) PC 중심의 제한적인 보증가입 서비스 제공

- (비대면 서비스 강화) 모바일 보증시스템 구축 추진

추진목표

비대면 보증가입 점유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0 12 14 16 18

- 19 -

실행과제

(14)주택도시기금대출절차간소화를통한대국민서비스향상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서민실수요자 지원 강화 및 이용자 편의 제고 등을 위한 주택도시

기금 구입전세 대출의 자산심사 도입

(추진내용)

∙ 자산심사기준 도입을 통한 정책자금의 실수요자 집중 지원

∙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구축을 통한 대출절차 간소화

∙ 전담 수행조직 운영 및 수탁은행 역할 재정립 등을 통한 대국민 서비스 제고

추진목표

대출절차 혁신 시스템 운영 체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자산기준 마련기금법령 개정시스템 개발오픈수요자대출상품운영

수요자대출 全상품 시스템 안정화제도개선 및 모니터링

他 기금상품 (주택종합청약저축)도입 검토 및 적용

실행과제

(15)고아원연계 보호종료아동 월세보증금 지원 제도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고아원 보호기간이 종료됨에 따라 주거지원이 필요한 아동에게

주택임차자금 지원 및 보증상품 개발

(추진내용)

∙ 긴급 주거지원이 필요한 아동의 가정에 주택임차자금 지원∙ 고아원 보호종료 아동 대상 전세월세보증금보증 할인 상품 개발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택임차자금지원 세대 수

10 20 성과분석 후 확대 검토

고아원보호종료아동대상상품가입자수

상품개발추진 제도개선 추진

실행과제

(16)HUG 이용고객 편의성 제고를 위한 플랫폼 구축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객과의 소통채널 확대방안의 일환으로 24시간 고객상담 제공

(추진내용)

∙ 단순 문의 SMS 발송

- 위탁은행 신청서류 등 전세보증 관련 간단 정보 문자발송 ARS실시(완료 `195월)

- 업무시간 종료 후에도 단순문의에 대한 SMS문자안내 서비스 추진

∙ 콜센터와 지사 상담이력 공유

- 콜센터 상담시스템과 차세대 시스템을 연계 고객별 상담이력 조회화면 구축

∙ 보이는 ARS 서비스 도입

- 기존의 음성 서비스와 함께 스마트폰을 통해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바로

연결하고 직접 통화하지 않아도 간편문의를 처리할 수 있는 보이는 ARS 실시

추진목표 2019년 챗봇서비스 DB구축 검토 2020년 챗봇 서비스 도입 검토

- 20 -

실행과제

(17)전세금보증 인터넷가입에 필요한 데이터 자동화 구축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가입을 간편하게 하여 정보사각지대에 있는 고객의

보증 가입 편의성 강화

(추진내용)

∙ 주택가격정보middot등기부등본 데이터 자동입력 시스템 마련

- KB시세 한국감정원 국세청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와의 협약 통한 시스템 연계

- 직접협약 외에도 부동산 권리변동정보 제공기관을 통한 중계서비스 도입 검토

∙ 인터넷보증시스템 전세금보증 신청절차 개선

- 전자연계 가능한 서류의 데이터 자동입력 프로세스 개발

- 보증심사시 담당자가 전자 원본 서류를 확인할 수 있는 화면 개발

추진목표

데이터 입력시스템 구축 및 운용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연계방안검토

협약체결 전산연계 운영 및 보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18)

사회임대주택 활성화를 위한 조직 혁신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사회임대주택 금융지원제도 담당부서 일원화로 속도감 있는 제도개선 등

사회임대주택 활성화 지원

(추진내용)

∙ 기획조정실 사회임대주택 총괄부서 지정을 위한 조직개편 추진

- 현행 사회임대PF보증(금융기획실) 토지임대middot기금출융자(도시재생기획처 기금지원처)

- 개선 도시재생기획처로 일원화하여 사회임대주택 복합금융 지원업무 총괄

한 부서에서 기금 출middot융자 보증지원까지 원스톱 상담으로 고객 만족도 제고

추진목표 2019년 조직개편 완료

실행과제

(19)상담서비스 고도화를 통한 고객만족도 제고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객상담데이터 체계적 관리middot활용을 통한 대국민 서비스 질적 향상

(추진내용)

∙ 차세대(전산)업무시스템 및 콜센터 시스템을 연계하여 상담이력 공유- 콜센터 외에도 지사 직원의 고객상담이력을 저장할 수 있도록 차세대시스템 내화면 구축 콜센터의 상담이력 역시 차세대 시스템에 저장 및 관리

∙ 보이는 ARS서비스 실시 및 단순문의안내 SMS 발송 서비스 실시middot활성화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콜센터전산시스템연계

시스템구축

시스템개발완료및 운용

시스템운용

시스템운용

시스템운용

신규 서비스출시

보이는ARS검토

보이는ARS출시

보이는ARS운용

보이는ARS운용

보이는ARS운용

- 21 -

2 혁신적 포용국가 선도

(3대 과제) 경제활력 제고 및 일자리 중심 경제 선도 중점

실행과제

(20)공공정보 연계 통한 서류제출 절차 간소화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필요한 서류를 간소화함으로써 대국민서비스 질 제고 (추진내용)∙ 필요한 서류 등을 공사 전산으로 조회 가능한 시스템 구축∙ 기금대출절차 혁신 시스템과 연계

추진목표 ∙ (비계량) 필요서류 전산조회 시스템 구축

실행과제

(21)사업다각화를 통한 고용증대 및 비정규직 ZERO화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서민 주거복지 도시재생 활성화 지원 등을 위한 기관 자체의 적극적인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공기업 서비스 제고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증원 및 채용 확대- 신사업 발굴 및 자율정원제를 통한 적극적인 증원-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청년 및 지역 인재 채용∙ 사회 양극화 해소를 위한 비정규직 ZERO화- 노사 공감대에 기반한 정당한 절차를 통한 전환 추진 및 전환근로자 처우 개선 노력

추진목표정원 비정규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766명 0명 903명 0명 995명 0명 1033명 0명 1062명 0명

실행과제

(22)

주거복지 및 도시재생을 위한

도시재생 창업공간 금융지원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도시재생 금융상품을 통한 창업지원 (목적) 창업과 관련한 도시재생 금융상품을 통해 민간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창업 관련 수요자 중심형 기금융자 및 보증상품 개발 운용- 코워킹시설조성 상가리모델링 공공임대상가 등 기금융자 지원

도시재생뉴딜 금융지원을 위한 사회적 금융 연계 지원 (목적) 도시재생분야법인단체창업관련크라우드펀딩 및 창업지원 컨설팅 추진 (추진내용)∙ 도시재생분야에대중투자연계일자리창출및지역주도사회적경제활성화지원- 뉴딜로 도시재생 크라우드펀딩 대회 개최 등∙ 도시재생 창업단체에 대한 지원을 위해 HUG형 민간일자리 창출 프로젝트 추진- HUG와 함께하는 도시재생 뉴딜 창업프로젝트 추진 및 사회적 경제조직 활성화

추진목표창업지원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510억원 1548억 1548억 1548억 1548억

- 22 -

실행과제

(23)IT선진화를 통한 민간일자리 창출 담당부서

기금정보처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고유목적사업인 주택보증 주택도시기금 및 도시재생분야의 IT 시스템

구축 및 개선을 통한 민간 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 주택도시기금 정보시스템 통합 유지보수

- (추진기간) 유지보수 사업의 특성으로 매년 발생

- (일자리창출) 2019년(8명) 2020년 sim 2023년(매년 16명)

∙ 도시재생 금융지원 전산시스템 구축

- 도시재생융자등원활한도시계정업무를뒷받침하기위한온라인금융지원시스템구축

- 추진기간 2018년~2019년 투입금액 및 인력 51억원 41명

∙ 주택도시기금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구축

- 주택도시기금 대출절차 편의 제고 및 절차 간소화 시스템 구축

- 추진기간 2018년~2019년 투입금액및인력 컨설팅용역43억원 12명 전산용역74억원52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기금업무 운영 유지보수 8 16 16 16 16

도시재생 융자시스템 41 - - - -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64 - - - -

합 계 177

실행과제

(24)

공공기관 공동기금 조성을 통한

지역 사회적경제 활성화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이전지역 기관간 협업을 통한 사회적경제 활성화로 지속가능한 일자리

제공 지역경제 활성화 추진

(추진내용)

∙ 부산 사회적경제 지원기금(BEF) 지원을 통한 사회적기업 육성 및 지원

- Pilot Program (크라우드펀딩) 20개소 창업단계 재정지원 5개소 Start-up 재정지원

15개소 Scale-up(성정기 기업) 대출지원 5개소 BEF 경영컨설팅 50회 BEF

사회적기업 연구가 인재육성 실시 2회 BEF 판로지원 5개소 등

추진목표

기금지원 (자체 공동)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억원(10억원)

1억원(10억원)

1억원(10억원)

1억원(125억원)

-

- 23 -

(4대 과제) 혁신성장 지원

실행과제

(25)상가임차금 안심대출 상품개발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도시재생지역 내 상가임차인 보호를 위한 상가임차금안심대출 개발

(추진내용)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법령 개정 검토

-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등 관련 법령 개정안 검토

- 법령 개정안 정부 건의 (우선변제권 승계기관 포함)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시장분석 및 조사(`20)

- 상가임차보증금 시장분석 및 보증이용 수요조사

- 보증료율 검토 및 리스크 분석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출시(`21)

- 사규개정 및 법령개정 완료

추진목표

상가임차보증금 상품 출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내부검토 법령개정 시장분석 상품출시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26)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사고 위기사업장과 보증실적의 증가로 사전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및 정기 점검활동 강화 및 핵심업무 역량집중 강화

(추진내용)

∙ 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 현장점검 대상사업장을 파악하여 외주용역을 통한 점검 추진 검토

추진목표 ∙ 2019년도 현장점검 외주화

실행과제

(27)

비대면 전세금보증을 통한 혁신성장 기반 마련

(카카오페이를 통한 가입확대 등)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모바일 전세금보증

스마트폰을이용해언제 어디서든쉽게보증을신청할수있도록모바일가입채널마련

∙ (모바일 인터페이스) 인터넷 전세금보증 프로세스를 모바일웹에 최적화하여 로그인

부터 보증가입 승인까지 전 프로세스 지원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위탁은행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증가입 프로세스 개선

(현행) 임차인이 선순위 채권 등 보증가입정보를 입력

(개선) 임차인은개인정보및계약정보만입력하고세부심사에필요한정보는심사자가입력

모바일 안심대출보증

위탁은행 비대면 전세금 안심대출 상품 개발

추진목표 2019년 전세금보증의 완전한 모바일 가입체계 구축

- 24 -

실행과제

(28)국민 주거편의 제공을 위한 스마트시티 건설 지원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목적) 핵심 국정과제인 스마트시티 분야의 금융지원 플랫폼으로서 주택도시기금지원 기반 모색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검토 및 금융상품 초안 마련

(추진내용)

∙ 민간사업자 의견 수렴 및 스마트시티 기금 금융지원 상품 초안 마련 -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및 주요 요소기술산업 등 동향 파악- 민간사업자 의견수렴을 바탕으로 실질적 금융지원이 가능한 상품 개발 추진∙ 주택도시기금법 개정안 마련 및 정부 건의∙ 스마트시티 건설사업장에 대한 보증료 할인 또는 보증심사 가점부여∙ 스마트시티 건설 신공법 소개 및 성공사례 공유

추진목표금융지원 확대 건수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건 1건 2건 3건 3건

실행과제

(29)HUG 빅데이터운영체계구축으로공공데이터개방기여 담당부서

주택도시

금융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기관 내middot외부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주택middot도시middot금융 분야의 환경 변화를진단함으로서 4차산업 혁명시대 도래에 따른 선제적인 대응 체계 마련

(추진내용)

∙ (1단계) HUG 빅데이터 기반 주택시장 분석 인프라 설계 및 로드맵 수립∙ (2단계) HUG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구축 및 모델 개발∙ 수요자(국민middot정부middot공사)별 빅데이터 활용 영역 확대 및 분석 기능 고도화

추진목표공공데이터 외부개방(제공) 건수 (오픈API포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38건 42건 46건 51건 56건

실행과제

(30)

친환경middot신소재 활용으로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

(제로에너지 건축물 건설자금지원 등)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주택건설사업장에 친환경middot신소재 사용을 유도함으로써 환경 친화적 주택건설과 에너지신산업 판로지원

(추진내용)

∙ 친환경 제품 및 에너지 신소재 제품사용 주택건설사업장에 보증심사 가점부여(완료)- (`1812) 녹색건축물인증등급부여고객보증심사시초기예상분양율 5〜1점가점부여

∙ (추진) 신소재 적용 주택건설사업장 확대를 위해 보증심사시 가점부여

- SOC 공공기관 통합기술마켓과 연계한 보증우대 방안 마련 중소기업이 보유한 SOC 공공기관 관련 혁신기술의 공모middot연구개발 제안 및 검증을

통해 상품화 및 홍보middot판매를 지원하는 플랫폼

추진목표

친환경적 주택건설 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

- 25 -

실행과제

(31)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비대면 가입 활성화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9개 수탁은행에 온라인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 독려

연령 무주택세대주 소득증빙 등 가입 시 제출서류가 많아 비대면 시스템 구축 시

지점방문 없이 간편하게 가입 가능

신한은행 최초로 완전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821)

비대면 가입 주택도시기금포털에 안내 및 홍보

비대면 가입 시스템 기금포털 홍보 게시하여 수탁은행 시스템 개발 독려

추진목표 목표비대면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전체 가입의 6 전체 가입의 12

실행과제

(32)전기자동차 도입을 통한 친환경 에너지 수요 창출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업무용 차량의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ㅇ 2018년 임차기간 만료예정인 업무용 차량을 전기자동차로 대체

ㅇ 추후 본사 및 영업부서 업무용 차량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추진목표 2019년 중 전기자동차 1대 충전소 1개소 설치실행과제

(33)드론 활용을 통한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기술middot제품에 대한 선제적 구매 및 테스트와 고유사업에 활용

으로 민간 초기시장 조성을 견인

(추진내용)

∙ 보증이행사업장 드론 안전점검 시범실시

- (`1812) 예산 미편성으로 1개 사업장 드론촬영 시범실시 및 효용성 검토

∙ 보유중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에 드론 활용 확대

- (`196) 전문엔지니어링 업체 발굴로 일자리 창출 및 보유 사업장 전체(2개)에

드론 활용 안전점검 실시 rArr 위험요소 발굴로 관할센터에 사고예방을 위한

안전조치 권고문서 시행

추진목표

안전사고 발생비율(발생건수보유사업장)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0 0 0 0 0 안전사고발생 ZERO무사고 달성

실행과제

(34)드론활용사업장안전관리및점검체계구축(시범단지운영)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HUG형 혁신 사업장 안전관리 및 점검체계 구축

ㅇ 드론 활용 사업장 안전 및 점검체계 구축

ㅇ 시범단지 선정 및 운용 세부계획 검토

∙ 드론 등 기술혁신 도구관련 관련 업체 및 유관기관 협의

∙ 사업장-영업부서-본사부서 협업체계 및 활용방안(HUG-i 게시) 등

추진목표안전사고로 인한 분양보증사고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0 0 0 0 0

- 26 -

실행과제

(35)블록체인을 활용한 안전하고 편리한 인터넷서비스 제공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정부주도의 공인인증서 폐지정책(전자서명법 전부개정 예고)에 따라 전자

서명에 대한 인터넷 사용자 대체 인증수단 개발

(추진내용)

∙ 블록체인 기반의 본인인증 서비스 (카카오페이 인증 서비스) 도입

- 인터넷보증시스템에서보증료영수증및보증서출력시카카오인증을이용한전자문서

유통증명서비스제공

∙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대국민서비스 확대

- 전자서명법개정에따른블록체인기반의전자서명서비스도입

- 온라인 등기우편(연체정보 등 전자우편을 본인인증 후 열람) 일괄발송 발송내역 조회

및유통증명서발급시스템구축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블록체인기반본인인증서비스시범도입

블록체인기술을이용한

대국민서비스확대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실행과제

(36)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사업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환경보호라는 공공성을 위하여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건물

보증에 대해 유인책 마련 필요

(추진내용)

∙ 제로에너지 건축물에 대한 대출한도 상향 조정

∙ 건축 관련학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해 친환경 건축물에 대한 관심 제고

- HUG 오픈캠퍼스 추진 시 건축 관련학과(건축공학과 건축디자인과 등) 학생에게 교육

추진및공사인턴체험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제로에너지 건축물지원 제도

규정신설 -

HUG오픈캠퍼스 수료학생수 (건축 관련 학과 포함)

100 110 121 133 146

- 27 -

(5대 과제) 공정경제 기반 구축 중점

실행과제

(37)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 진입장벽 해소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물품구매 대금결제 등에 중소기업 창업기업 등에 대한 계약규제 완화를

통해 공정경제 기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함

(추진내용)

∙ 신규 창업middot중소기업에 대한 진입장벽 완화

- 소규모 물품middot용역 입찰(고시금액 21억원 미만) 참여시 상대적으로불리한신규창업 및

중소기업에대한실적제한폐지

- 다만 부득이용역의성격상실적평가가필요한경우창업기업실적인정기간연장

(현행 3년 rarr 7년)을 통한 부담 완화

∙ 지체상금 부담경감 (현행의 12수준) 을 통한 상생협력 강화

∙ 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에 대한 용역대금 선급금지급률 확대

추진목표

중소기업 등 협력업체 계약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779 790 80 81 -

실행과제

(38)

공정경제를 위한 지역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업자 보호강화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건설사업장 인근지역 중소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대금의 현금

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한 하도급업자 보호 강화

(추진내용)

∙ 지역 중소 건설업체들에게 동일한 기회제공 및 공정한 경쟁 유도

- 건설사업장에서 지역건설업체와 하도급계약 체결 시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 할인 추진

∙ 협력업체 하도금대금의 현금지급 확대

- 하도급대금을 현금으로 지급할 경우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를 할인

하여 협력업체 및 근로자들의 보호를 강화하고 시장에서의 우위 선점

추진목표

지역 하도급업체 계약체결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규정개정 30 40 50 60

하도급대금의 현금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해 하도급업자 보호

- 28 -

3 국민신뢰 회복

(6대 과제) 적극행정 확산 등 조직운영 혁신

실행과제

(39)고용위기지역에 대한 금융지원 추진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용위기지역에 대한 지원강화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추진내용)

∙ 고용위기지역 내 임대주택 건립시 보증료 할인 추진(완료)

- 고용위기지역및고용재난지역소재임대보증금보증사업장보증료 10인하( 1812)

∙ 고용위기지역 내 임차인이 전세금보증 이용시 보증료 할인 검토

- 전세보증금반환보증(전세금보장) 전세안심대출(전세금대출지원)

보증이용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임차주택으로 변경시 보증료 할인 검토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보유한 주택건설사업자가 입주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임차

주택으로변경하여전세금보증가입신청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추진목표

고용위기지역 금융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마련 및 운영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40)근로여건 개선을 통한 휴식 있는 삶 지원 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일ㆍ가정 양립에 대한 법적ㆍ사회적 요구 증대됨에 따라 장시간 근로문화를 타파하고 휴식 있는 삶을 지원하여 일ㆍ생활의 균형 실현

(추진내용)

∙ 장시간 근로문화 타파- 직원니즈를반영한공사맞춤형복무제도수립및운영- PC-OFF 강화 (주2회rarr매일)- 퇴근장려캠페인 (인사안하고퇴근하기 관리자솔선수범퇴근)∙ 휴식 있는 삶 지원- 가족친화제도지속개발 (일가양득프로그램운영)- 연차휴가및남성육아휴직이용률향상을위한제도개선- 시간단위연차사용을통한휴가사용활성화- 임신직원보호를위한모성보호절차도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인당 연차사용일 1426일 1497일 1572일 1651일 1733일남성육아휴직인원 331 348 365 383 402

- 29 -

실행과제

(41)

위임전결기준 개선을 통한 업무처리 혁신

(결재피로감 낮추고 책임middot권한 공백없이 업무는 신속하게)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결재절차를 단순화함으로써 신속한 업무처리 및 고객만족도 제고

(추진내용)

∙보증위탁업무전결권세분화

- 위임전결규정안마련및규정개정절차진행(5월)

보증업무 위탁外 융자수탁업무 관련 전결권 개정도 함께 추진

∙대외업무협약체결전결권세분화

- 사안의중요성및영향도등고려중장기적으로면밀한검토필요

추진목표

결재절차 단순화

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rsquo23년보증및융자수탁업무위임전결규정개정

제도 보완

실행과제

(42)지출신청 시 영수증 증빙 제출제도 개선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지출신청시 불필요한 원본구비 제도 개선을 통한 업무효율화 달성

(추진내용)

∙ 공사 지출의 42 비중을 차지하는 5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 원본 제출 제외

- 지출액 50만원 이하 법인카드 및 전자세금계산서 지출 건 원본구비 예외 조항 신설

- 확인이 필요한 간이계산서 등은 원본징구하여 지출사고 가능성 예방

- 제도 정착 전 3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에 대하여 원본 제출 제외(시범운영)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내부

규정개정 및시범운영

제도개선 지속 추진

실행과제(43)

PF보증심사 시 월별예정 분양률 분포의 계량화 담당부서금융기획실심사평가처주택도시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민간아파트 초기분양률 데이터를 활용한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

(추진내용)

∙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를 통한 심사 객관성 확보

- 월별예정분양률 관련 명확한 지침 산정으로 신청업체 및 심사자의 주관 배제

- 국가승인통계인 민간아파트초기분양률 동향 데이터를 활용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

∙ 초기분양률 동향 분석(주택도시금융연구원 협업 4월sim10월)

- 연구원과 협업을 통해 초기분양률 데이터 분석 및 관리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건의(11월)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관할 부서(금융기획실)로 세칙 개정 건의

추진목표2019년도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예상분양률 분포기준 마련 초기분양률 데이터 관리체계 구축

- 30 -

(7대 과제) 윤리경영 강화

실행과제

(46)청렴도 향상을 위한 반부패 활동 강화 담당부서 준법지원실

추진내용

윤리경영 추진조직 강화

기관장 주도의 윤리경영 고위직 협의체 구축 내부 자문기구「청렴자문위

원회」운영 강화 및 임원의 윤리자가진단 현황 정보공개

반부패middot청렴 대외 활동 활성화

부산 이전 공공기관 청렴 협의체「청렴 클러스터」활동 강화

「부산투명사회실천 민middot관 네트워크」가입middot활동 실시

「유엔글로벌콤팩트(UNGC)」활동으로 글로벌 윤리역량 강화

실행과제

(44)논스톱 고분양가 심사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공사 PF보증 사업장에 대한 고분양가 심사기준 개선을 통한 사업

안정성 제고 및 고객신뢰성 확보

(추진내용)

∙ 「고분양가사업장심사규정」개정 추진(5월~6월)

- 고분양가 관리지역 내에서 공사 PF보증 발급예정사업장의 고분양가 심사기준(비교

사업장 선정 및 분양가격 산출 등)의 적용을lsquoPF보증 본점 승인시점rsquo으로 명확히 함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고분양가심사규정개정

사업안정성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 추진

실행과제

(45)임대리츠 통계 및 사후관리시스템 개선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목적) 자리츠 사후관리 주관기관(모리츠 AMC인 LH) 및 감독관리기관

(HUG) 간의 업무분장에 따라 사후관리 데이터 품질 저하 등 발생

rArr 기관간 협업체계 개선 관련 시스템 개발 등을 통한 사후관리 관련 데이터품질 향상 및 대정부 정보전달 적시성 확보

(추진내용)

∙ 리츠 기금출자내용 변경시 임대리츠 이력관리 등이 가능하게 하는 통계시스템 개발

∙ 분기별 사후관리보고 제출기한 마련 검토

∙ 임대리츠 통계관리 업무체계 내실화를 위한 기관간 협업 수행

추진목표

임대리츠 사후관리 구조 개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전산시스템개발 및시스템 구축

임대리츠사후관리

체계개선 수행

시스템 운용및 개선사항도출

기관간 협업수행(데이터관

리)

임대리츠통합데이터관리 수행

- 31 -

(8대 과제) 국민의 참여협력 확대 및 지역사회 공헌

실행과제

(47)

혁신도시 맞춤형 지역인재 육성 지원 및

인재채용 투명성 강화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도시 지원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증대에 따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한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

(추진내용)

∙ 市-지역대학간 협업으로 지역인재 육성 교육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 외부 면접위원 확대 및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인사 절차의 공정성 강화

∙ 사회형평적 채용실시와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을 통한 불합리한 차별 해소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지역채용 21 24 27 30 33지역인재육성 총 교육시간(교육인원times교육시간 시간) 3000 4500 4500 4500 4500

지역인재육성교육만족도(점수) 944 949 954 959 964

실행과제

(48)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사회공헌사업 확대 추진 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정부의 lsquo사회적 가치 실현rsquo을 정책에 따라 사회적 경제 및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사회공헌 필요성 증가

(추진내용)

∙ 안전한 주거환경 제공

- 무주택 국가유공자 및 저소득층 임차자금 170세대 지원(~8월10억원)- HUG 셰어하우스 3호 신촌점 완공 청년 24명 입주 완료(~10월2억원)- 저소득층 노후주택 및 소규모 사회복지시설 127세대 개보수(~10월8억원)- HUG STREET 잘사는 골목길 등 환경개선사업 대상지 선정 완료(~10월1억1천만원)

∙ 지역사회와 상생

- 노후 슬레이트 지붕개량 및 태양광 지원 사업 4자 협약(~8월3억원) HUG-부산시-한국사회복지협의회-부산도시재생지원센터

- HOPE with HUG 10호 11호 완공(~9월1억5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지역건설사-지역건축전문가 협업을 통한 주거개선사업

- 부산 송상현 광장 내 도시놀이터 프로젝트 완료(~9월7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부산시설공단 협업을 통한 문화middot휴식공간 조성

청렴 모니터링 다각화

청렴의식 환기를 위한 「자가점검 프로그램」실시

「청렴 옴부즈만」운영

개선 아이디어 발굴을 위한 「신입사원 生生 모니터링」

추진목표

종합청렴도 결과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3등급 2등급 1등급 1등급 1둥급

- 32 -

∙ 균등한 기회와 사회통합

- 중학생 자유학기제 지원 프로그램 운영(9월~4천만원)- 저소득층 청소년 20명ndash대학생 20명 매칭 등(6월~5천만원)- lsquoKBS 동행rsquo에 출연하는 저소득 가정 50세대 지원(7월~1억원)- 발달장애 청년 재능개발 프로젝트lsquo눈부신하루rsquo추진(6월~3천만원)- 신입사원 봉사활동 등을 통한 지역사회 나눔활동(~10월7천2백만원)- 저소득층 난방연료 지원을 위한 주택도시업 캠페인(~12월5천만원)- 자매결연 마을 농수산물 구입기증(~12월4천만원)

추진목표

추진 목표는 해당연도 사회공헌 기부금 예산금액(이사회 의결금액)과 연계

기부금액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8620백만원 8879백만원 9145백만원 9419백만원 9702백만원 전년도예산금액103

실행과제

(49)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목적) 도시재생과 유사한 목표비전을 공유하는 사회적경제와 연계한 맞춤형

금융상품 운영 및 관련 지원조직과 다각적 협업 활동 추진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지역주민이 주도하는 도시재생 금융지원으로 국민의 삶의 질 개선

(목적) 주민지역공동체 주도의 마을단위 도시재생으로의 변화에 대응하여

사회적 경제주체 등 지원체계 개선으로 사회적 가치 실현에 기여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추진목표

수요자중심형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510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실행과제

(50)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국민이 참여하는

HUG사업평가단(가칭) 운영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보증업무 전반에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HUG

사업평가단 구성하여 주택품질 제고 및 안심입주 지향

(추진내용)

∙ 국민이 참여하는 보증솔루션팀 및 보증심사 리뷰단을 통해 제도 개선사항 도출

∙ 보증채권자 권익에 미치는 사항 등 국민의견 수렴을 통한 보증이행제도 개선

∙ 전세금보증 이행완료 고객 및 공인중개사 참여를 통한 제도개선 사항 발굴

추진목표 2019년 국민 의견수렴을 통한 전세금보증 제도 개선 등 검토

- 33 -

실행과제(51)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과 협업하여효율적인 전세금보증 이행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이행 업무의 효율성 제고

(추진내용)

∙ 지역사회단체 등과의 협업을 통한 임차인 퇴거확인 추진 검토

- 보증사고 발생 시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 구성원이 임차인 퇴거를

확인하여 담당직원 업무 공백 최소화 (직원 출장비 수준으로 비용 지급)

- 임차인 퇴거 확인 시 해당 주택가격 및 신규 임차인 확보 가능성 검토결과를

보고받아 채권보전조치를 위한 근거 확보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거보호 이행도(전세금보증 이행 15일초과건수전체이행건수)

50 45 41 37 34

- 34 -

Ⅳ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및 적극행정 확산

①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국민참여게시판을 lsquo국민제안(국민rarr기관)rsquo

및 lsquo정책제안(기관rarr국민)rsquo 게시판으로 세분화하여 국민과 기관간

상시 소통기반 마련 경평지적

지적사항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위한 개선방안 마련 필요

(혁신 네트워크 강화) 시민참여혁신단 보증채권권익위원회 전세금

보증 시민참여단 기금홍보협의회 운영 등 주요사업에 기반하여

다양한 대외 전문기관과 네트워크 활성화 경평지적

지적사항 보증 기금등주요사업역량강화를위한전문기관혁신네트워크강화필요

② 적극행정 확산

(적극행정 면책제도 활용) 감사계획 통보 시 적극행정 면책제도

middot사전컨설팅 제도 사전안내 및 면책신청 지원을 위한 상담창구

운영 등 (계획수립 完 감사실-2367호)

(기관장 책임강화) 혁신전략위원회(위원장 사장)를 통해 적극행정

혁신과제에 대한 추진독려 및 이행사항 점검 등 보완사항 지속

발굴 (혁신페스티벌 1middot2차 개최)

(적극행정 우수사례 발굴)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를 통해 조직내

적극행정 분위기 유도 (포상 및 내부성과평가 반영 등)

성과창출에 실패했더라도 기존관행 탈피 새로운 영역개척 국민접점에서

활력을 제고하는 등 lsquo착한실패rsquo lsquo건전한파격rsquo에 대해서도 포상추진 예정

(적극행정 인식확산) 적극행정 사이버교육(법제처 주관) 이수 등

적극행정 인식확산을 위한 교육참여 시 혁신마일리지 부여 (전사 교육 실시 예정)

- 35 -

Ⅴ 혁신 추진도구별 업무일정

구 분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1 2 3 4 5 6 7 8 9 10 11 12

1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2 국민소통 강화

3 혁신페스티벌

4 유관기관 협업

5 혁신채널 구축

6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7 제안제도 정비

8 혁신콘서트

9 혁신교육 및 혁신워크숍

10 혁신레터

11 혁신마일리지 신설

12 혁신BP 발굴 및 포상

피드백

(성과관리) 공공기관 혁신 및 기관 경영혁신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혁신과제 추진실적을 정기적으로 점검 및 피드백

(혁신전파) 조직원 전체의 혁신공감대 형성 및 참여도 제고를 위해

본사부서 및 영업부서 방문 등을 통해 혁신활동 및 우수사례 공유

(혁신내재화) 국민소통채널 혁신마일리지 혁신레터 등 혁신활동이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고 혁신업무에 대해

조직원이 공감하고 회사 모든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

Page 4: 2019년 HUG 혁신 추진계획 - khug.or.kr…„HUG혁신추진계획.pdf · 혁신페스티벌 - (내부 혁신과제 발굴) 조직·인사·제도·서비스혁신 등 회사

- 3 -

Ⅱ 2019년 HUG혁신 추진방향

추진 배경

2019년 「공공기관 혁신가이드라인」발표 (`196월 기획재정부)

- (추진목표) 공공기관 혁신을 통한 국민 삶의 질 제고

혁신의 지향점을 국민에 두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 촉진

- (추진방향) 2019년 정부혁신 기본방향과 공공기관 성격을 고려

추진방향을 ①사회적 가치 ②혁신적 포용 ③신뢰회복으로 설정

정부혁신 기본방향 혁신적 포용국가 뒷받침하는 포용행정 국민생활 속에

체감하는 혁신성과 창출 공직사회 변화 지속계기로서 정부혁신 추진

ㅇ「공공기관 혁신가이드라인」주요 변경사항 (밑줄 변경 사항)

- 3대 분야 7대 과제에서 8대 과제로 변경 및 정부정책 이행 강화

ㆍ(신규 추가과제) 생명middot안전 최우선 기관 운영 취약계층 서비스 사각

지대 해소 적극행정 확산 등 공공기관에 정부정책 적극 반영 요청

2018년(3대 분야 7대 과제) 2019년(3대 분야 8대 과제)

1 공공성

강화

①고유업무 공공성 제고 1 사회적

가치중심

기관운영

①고유업무 공공성 제고

② 대국민 서비스 조직

운영 혁신

②포용적 공공서비스

제공 강화

2 경제

패러다임

선도

③소득주도 일자리 선도

rArr2 혁신적

포용국가

선도

③경제활력 제고 및 일자리

중심 경제 지속 지원④혁신성장 뒷받침 ④혁신성장 지원

⑤공정경제 기반 구축 ⑤공정경제 기반 구축

3 국민신뢰

회복

⑥윤리경영 강화3 국민신뢰

회복

⑥적극행정 확산 등 조직

운영 혁신⑦투명 윤리경영 강화

⑦국민참여 협력 확대 ⑧국민의 참여 확대 및

지역사회 공헌

- 4 -

2019년 HUG혁신 추진방향

2018년도 우리 공사는 ①추진조직 구성 ②국민소통채널 구축 ③성과지표

신설 등 기관혁신 추진체계를 마련하여 성과창출을 위한 기반 조성

2019년은 국민이 체감하는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고자 정부가 제시한 8대

과제중 공공성 제고 경제활력 제고 공정경제 기반 구축 3대 과제를

중점과제로 선정하고

middot ①소통기반 혁신추진 ②혁신프로세스 체계화 ③혁신문화 촉진 ④혁신지표

개선 등 4대 혁신대상을 마련하여 더욱 체계적인 혁신활동을 전개하고 함

적극행정 등 신규과제 발굴 및 경평 지적사항 등 미비점 개선활동 병행

기관

혁신

목표국민이 행복한 세상과 풍요로운 삶을 위한 혁신 리더

정부

3대혁신

방향

사회적가치 중심

기관운영혁신적 포용국가 선도 국민신뢰 회복

3대

중점

과제

1 공공성제고

2 경제활력제고

3 공정경제기반 구축

「공공기관 혁신가이드라인」 8대 과제 중 공사는 3대 중점과제 선정middot추진

4대

혁신

대상

1 소통기반

혁신추진

2 혁신 프로세스

체계화

3 혁신문화

촉진

4 혁신지표

개선

혁신

추진

도구

1)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2) 국민소통강화

3) 혁신페스티벌

4) 유관기관 협업

5) 혁신채널 구축

6)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7) 제안제도정비

8) 혁신콘서트

9) 혁신교육middot워크숍

10) 혁신레터

11) 혁신마일리지

신설

12) 혁신BP 가점

제도 개선

lt2019년도 혁신 추진체계gt

- 5 -

3대3대

중점과제중점과제 공공성 제고 경제활력 제고

공정경제

기반 구축

주요혁신주요혁신

과제목표과제목표

(~(~ rsquorsquo23)23)

서민 전세금보호 확대

[73만호][73만호]

사업다각화 고용증대

[39 증원][39 증원]

혁신도시 지역인재 채용

[33][33]

임대주택 공급지원 확대

[68만호][68만호]

도시재생 창업융자지원

[7702억원][7702억원]

사회적가치 사회공헌

[457억원][457억원]

도시재생뉴딜사업 융자

[65조원][65조원]

IT분야 일자리 창출

[177명][177명]

하도급업자 보호강화

[지역하도급업체 계약률 60][지역하도급업체 계약률 60]

사회취약계층 등 기금지원

[39조원][39조원]

공공기관 공동기금 조성

[425억원][425억원]

중소기업 진입장벽 해소

[중소기업 계약률 82][중소기업 계약률 82]

2019년 혁신가이드라인에 따라 적극행정 등 신규분야 과제 추가

포용적 공공서비스 혁신성장 지원 적극행정 확산

고아원 연계 보호종료

아동 월세보증금 지원 등

카카오페이를 통한

전세금보증 판매확대 등

위임전결기준 개선

통한 업무처리 혁신 등

lt 3대 중점과제별 주요 혁신과제 gt

3대 중점과제별 주요 혁신과제 5개년 목표 설정 (rsquo19~rsquo23)

- 2019년도 정부가 제시한 8대 과제중 3대 중점과제의 계량목표 설정

8대 과제 ①공공성 제고 ② 포용적 공공서비스 ③ 경제활력 제고 ④ 혁신성장⑤ 공정경제 기반 구축 ⑥적극행정 ⑦ 투명middot윤리경영 ⑧ 국민참여

lt 주요 혁신과제 예상 계량실적 gt

중점과제

주요 실행과제 목표중장기 목표치

`19 `20 `21 `22 `23

공공성 제고

middot서민 전세금보호 확대 보증실적 10만호 12만호 14만호 17만호 20만호

middot임대주택 공급지원 확대 임대주택공급 10550호 12450호 13695호 15065호 16570호

middot도시재생뉴딜사업 융자 출융자실적 5877억 11227억 15014억 16178억 16494억

middot사회취약계층 등 기금지원 대출실적 78조원 78조원 78조원 78조원 78조원

경제활력 제고

middot사업다각화 고용증대 정원 766명 903명 995명 1033명 1062명

middot도시재생 창업융자지원 융자실적 1510억 1548억 1548억 1548억 1548억

middotIT분야 일자리 창출 일자리 113명 16명 16명 16명 16명

middot공공기관 공동기금 조성 기금조성 10억 10억 10억 125억 -

공정경제기반구축

middot혁신도시 지역인재 채용 지역채용 21 24 27 30 33

middot사회적가치 사회공헌 기부금액 86억 89억 91억 94억 97억

middot하도급업자 보호강화 지역하도급업체계약률 규정개정 30 40 50 60

middot중소기업 진입장벽 해소 중소기업계약률 779 79 80 81 82

- 6 -

4대 혁신대상별 추진도구

❶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국민소통 강화 등 소통기반 혁신추진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 (대국민 아이디어 공모) 국민의견을 적극 반영한 신규과제 추가

발굴을 위하여 대국민 아이디어 공모전 개최

2019년도 대국민 아이디어 공모를 통해 6개 혁신과제 발굴

국민소통 강화

- (소통채널) 국민의견 수렴을 위해 운영 중인 시민참여혁신단 및

청년포럼(Off-Line)과 홈페이지에 대국민참여게시판(On-Line) 활성화

소통채널 구 성 현 황

시민참여혁신단 ∙ 교수 고객 유관기관 시민단체 언론계의 분야별 전문가 6인으로 구성

청년포럼 ∙ 대학생 청년사업가 12인으로 구성

대국민참여게시판 ∙ 공사의 정책제안 국민제안 아이디어 공모 시 모든 국민참여

혁신페스티벌

- (내부 혁신과제 발굴) 조직middot인사middot제도middot서비스혁신 등 회사 전 분야의

경영혁신 달성을 위한 전사 혁신페스티벌 추진 (부서 및 개인제안 공모)

유관기관 협업

- (SOC공공기관 통합기술마켓) 중소기업 기술 및 판로지원을 위하여

국토부 산하 10개 공공기관이 통합기술마켓 공동구축 추진

HUG LH 감정원 도로공사 코레일 인천middot한국공항공사 LX 철도시설middot교통공단

- 7 -

❷ 혁신채널 구축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등 혁신 프로세스 체계화

혁신채널 구축

- (혁신광장) 혁신관련 종합계획 정부정책 및 추진체계 등을 공유

하고 조직원의 아이디어를 상시 발굴할 수 있는 혁신광장 개설

지식채널(KM)에 개설하여 혁신제안혁신심사혁신BP 등 게시 전사 공유

lt혁신광장 구축(안)gt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 (프로세스 체계성 강화) 직원 제안사항을 단순제안혁신제안으로 분류

하고 혁신제안은 Bottom-up 방식 단계별 심사 후 혁신과제로 선정

직원제안은 사내인트라넷 內 혁신광장을 통해 연간 상시접수

lt혁신제안 심사 및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gt

구분 예비심사 1차 심사 2차 심사 혁신과제 확정

주요내용

∙단순제안혁신제안심사배제 제안으로 분류

∙예비심사에서 채택된 혁신제안을 대상으로 심사

∙1차 심사에서채택된혁신제안을 대상으로 심사 ∙혁신과제 추진

여부 등 중요사항 의결

채택요건

∙심사위원 34이상 참여과반수 이상 시 단순제안및 혁신제안으로 채택

∙심사위원 34이상 참여기준 점수 이상 시 혁신제안으로 채택

∙심사위원 34이상 참여과반수 이상 시 혁신과제로 채택

주체혁신 변화요원

(팀원)혁신리더(팀장) 본사 부서장 혁신전략위원회

(사장 부사장 등)

제안제도 정비

- (규정개정) 혁신과제 선정절차 및 혁신 평가방식 개선 등을 위해

혁신제안 관련규정 정비

혁신제안제도 운영기준 및 혁신마일리지 운영기준

- 8 -

❸ 혁신콘서트 혁신레터 등 혁신문화 촉진 경평지적

지적사항 혁신역량 강화 교육 체계화 및 활성화 필요

혁신콘서트

- (혁신공감대) 혁신우수사례(BP) 및 혁신노하우를 발표middot공유하고

시상식 등을 개최하여 조직원의 공감대 형성 및 동기부여

- (전사 참여) 조직원 전체가 참여할 수 있도록 추진하되 단독 또는

한마음 단합대회 개최 시 관련부서와 협의하여 공동 추진 검토

혁신교육 및 워크숍 확대운영

- (혁신교육) 창의적 조직문화 학습을 위해 혁신 선도적 공공민간

기업의 우수사례를 주제로 전직원 대상 정기교육 실시

2018년도 조직문화 혁신교육 우아한형제들 - ①규율 속 자율 경영

②창의적 업무환경조성 ③일상적 소통경영 등

- (혁신워크숍) 혁신문화 촉진과 조직원의 수용력 제고를 위해 혁신

담당자 중심으로 혁신워크숍 실시

전사혁신리더및변화요원대상혁신관련정부정책middot평가방식공유 혁신추진공감대형성등

혁신레터

- (혁신메시지) 조직원의 혁신업무 이해도 제고를 통한 혁신 실행력

강화를 위해 혁신메시지 제도 시행

middot 혁신전략 혁신계획 혁신과제 등 혁신업무 전반에 대해 카드뉴스를

제작하여 전사 포털(Portal) 화면에 팝업창을 통해 게시

현재 전사포털 팝업창을 통해 윤리경영 자가점검 칭찬감사릴레이 등 시행중

- 9 -

❹ 혁신마일리지 신설 혁신BP 가점제도 개선 등 혁신지표 개선 경평지적

지적사항 혁신역량 강화 교육 체계화 및 활성화 필요

혁신마일리지 신설

- (혁신활동 평가강화) 혁신 과제선정middot이행 국민소통 혁신활동

등 혁신업무 전 영역에 마일리지를 부여하여 혁신평가의 변별력

제고 및 보상체계 강화

과제선정(최대10점) 과제이행(최대20점) 국민소통(최대20점) 등혁신마일리지차등부여

HUG 혁신마일리지 추진 체계

국 민업무혁신middot성과중심의 혁신마일리지 관리체계 구축 우수과제

선정 및

전파

제안등록 과제선정

(최대 10점) 과제이행

(최대 20점)

국민소통(최대 20점)

혁신활동(최대 10점)

마일리지

내평반영 및

포상 제안의

난이도에 따른

차등 점수

단순제안혁신

제안우수제안

이행

국민의견을

반영한

제안과제 이행

혁신콘서트

혁신특강 등

개인 역량강화H U G

혁신제안의 수준과 부서 및 직원의 혁신기여도에 따른 차등 마일리지 부여

혁신BP 가점제도 개선

- (가점확대) 혁신페스티벌 대국민아이디어 적극행정 혁신성장 등

BP경진대회를 통한 우수사례 발굴 및 내평(성과향상기여도) 가점 확대

[현행] 본사부서(최대 17점) 영업부서(최대 05점) rarr [개선] 본사(최대 2점) 영업(최대 1점)

- 10 -

Ⅲ 2019년 HUG혁신과제

2019년은 기존 중장기 35개 과제에 국민참여 6개 과제 기관 내부

발굴 10개 과제를 추가하여 총 51개 혁신과제를 추진할 예정임

HUG 혁신과제 (2018년) 38개 rArr (2019년) 51개

(중장기 과제) (lsquo18) 38개 과제 rarr 대내외 환경변화로 (lsquo19) 35개로 조정

(국민참여) 2019년 대국민아이디어 77건 중실현가능성등검토하여최종 6건선정

(내부발굴) 2019년 직원제안 236건 중 실현가능성 등 검토하여 최종 10건 선정

HUG 혁신과제 목록 (2019년 공공기관 혁신가이드라인 8대 과제별 분류)

연번 ① 고유업무 공공성 제고 비고

1 전세금보증 가입문턱을 낮추어 서민의 전세금 보호 강화 중장기

2 주택도시기금 지원확대로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역할강화 중장기

3 임대주택 공급지원 확대로 서민 주거복지 증대 중장기

4 주택도시기금 신규상품 개발을 통한 도시재생뉴딜 활성화 중장기

5 제도에서 전산까지 온오프라인 안심시스템 구축 중장기

6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전사 경영전략체계 구축 중장기

7 도시계정의 체계적 관리를 통한 도시재생 활성화 중장기

8 국민과 함께하는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 중장기

9 민관협력사업으로 주거취약지구 주거환경 개선 중장기

10 도시재생 맞춤형 스타트업 총괄지원 플랫폼 도입middot운영 국민

11 도시재생 생태계 조성을 위한 종합지원 플랫폼 구축 국민

12 분양이행사업장 수분양자 보호 내부

- ② 포용적 공공서비스 제공 강화 -

13 인터넷보증시스템 개선으로 전세금보증 이용편의성 제고 중장기

14 주택도시기금 대출절차 간소화를 통한 대국민 서비스 향상 중장기

15 고아원연계 보호종료아동 월세보증금 지원 제도 국민

16 HUG 이용고객 편의성 제고를 위한 플랫폼 구축 국민

- 11 -

17 전세금보증 인터넷가입에 필요한 데이터 자동화 구축 국민

18 사회임대주택 활성화를 위한 조직 혁신 내부

19 상담서비스 고도화를 통한 고객만족도 제고 내부

20 공공정보 연계 통한 서류제출 절차 간소화 내부

- ③ 경제활력 제고 및 일자리 중심 경제 지속 지원 -

21 사업다각화를 통한 고용증대 및 비정규직 ZERO화 중장기

22 주거복지 및 도시재생을 위한 창업공간 금융지원 중장기

23 IT선진화를 통한 민간일자리 창출 중장기

24 공공기관 공동기금 조성을 통한 지역 사회적경제 활성화 중장기

25 상가임차금 안심대출 상품개발 중장기

26 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중장기

- ④ 혁신성장 지원 -

27 비대면 전세금보증을 통한 혁신성장 기반 마련(카카오페이를 통한 가입확대 등) 중장기

28 국민 주거편의 제공을 위한 스마트시티 건설 지원 중장기

29 HUG 빅데이터 운영체계 구축으로 공공데이터 개방 기여 중장기

30 친환경middot신소재 활용으로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제로에너지 건축물 건설자금지원 등) 중장기

31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비대면 가입 활성화 중장기

32 전기자동차 도입을 통한 친환경 에너지 수요 창출 중장기

33 드론 활용을 통한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 중장기

34 드론활용 사업장 안전관리 및 점검체계 구축(시범단지운영) 중장기

35 블록체인을 활용한 안전하고 편리한 인터넷서비스 제공 중장기

36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사업 국민

- ⑤ 공정경제 기반 구축 -

37 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 진입장벽 해소 중장기

38 공정경제를 위한 지역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업자 보호강화 중장기

39 고용위기지역에 대한 금융지원 추진 중장기

- ⑥ 적극행정 확산 등 조직운영 혁신 -

40 근로여건 개선을 통한 휴식 있는 삶 지원 중장기

41위임전결기준 개선을 통한 업무처리 혁신(결재피로감 낮추고 책임ㆍ권한 공백없이 업무는 신속하게 )

내부

42 지출신청 시 영수증 증빙 제출제도 개선 내부

- 12 -

HUG 혁신과제 세부추진 내용

1 사회적 가치중심 기관 운영

(1대 과제) 고유 업무의 공공성 제고 중점

43 PF보증심사 시 월별예정 분양률 분포의 계량화 내부

44 논스톱 고분양가 심사 내부

45 임대리츠 통계 및 사후관리시스템 개선 내부

- ⑦ 투명middot윤리경영 강화 -

46 청렴도 향상을 위한 반부패 활동 강화 중장기

- ⑧ 국민의 참여 확대 및 지역사회 공헌 -

47 혁신도시 맞춤형 지역인재 육성 지원 및 인재채용 투명성 강화 중장기

48 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사회공헌사업 확대 추진 중장기

49 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중장기

50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국민이 참여하는 HUG사업평가단(가칭) 운영 중장기

51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과 협업하여 효율적인 전세금보증 이행 내부

실행과제

(1)전세금보증가입문턱을낮추어서민의전세금 보호 강화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서민의전세보증금을지켜주는최선의안전장치 lsquo전세금보증rsquo 활성화추진

(추진내용)

∙ 보증가입 편의성 제고 및 채널 확대를 통한 전세금보증 활성화

- 모바일 전세금보증 편의성 지속 개선middot확충

- 공인중개사 전세금보증 위탁판매 활성화 등

∙ 사회배려계층 맞춤형 보증제도 개선 등을 통한 공적역할 강화

- 보증가입기간 확대 등 임차인 보호를 위한 전세금보증 지원

- 보증서비스 품질 개선 등을 위한 전문가 의견수렴 등

추진목표

보증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0만호(21조원)

12만호(25조원)

14만호(30조원)

17만호(36조원)

20만호(43조원)

- 13 -

실행과제

(2)

주택도시기금 지원확대로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역할강화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무주택middot실수요 서민주거 안정지원을 위한 대출제도 개선 및 주거복지

로드맵 정책지원을 통한 맞춤형 주거지원으로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마련

(추진내용)

∙ 신혼부부middot청년층 기금대출 지원 확대

- 신혼희망타운 수익공유형 모기지대출 출시

- 신혼부부 기간 확대 (5년 rarr 7년)

- 청년층 청약 가입요건 완화 등 제도 개선 및 운영보완

- 고시원 주거급여 거주자 등에 대해 주거안정월세대출 대상자에 포함

∙ 자산기준 도입 서류간소화 등 기금대출 제도 개선

추진목표

사회취약계층 등 기금지원 (수요자 대출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78조원 78조원 78조원 78조원 78조원

`19~`23 목표는 매년초 국토부 최종안 확정안 국회승인을 거쳐 목표치 확정

실행과제

(3)임대주택 공급지원 확대로 서민 주거복지 증대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사회임대주택 공급 활성화

(목적) 주거약자를 위한 정부 사회임대주택 공급 활성화 정책 지원 및

공사의 공공성 역할 확대

(추진내용)

∙ 사회임대주택 보증 확대를 위한 제도개선 및 공급 활성화를 위한 금융 지원

∙ 사업관련 주체의 유기적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홈페이지 구축

∙ 공급활성화 여건 조성을 위한 사업자 육성 및 홍보 강화 및 유관기관 협업

임대리츠 관리체계 개선 및 공모를 통한 공급확대

(목적)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등 리츠를 통한 임대주택 공급 활성화를

통해 국민 주거복지 증진 도모

(추진내용)

∙ 서민 주거복지 강화를 위한 임대리츠 기금출자 제도 개선

∙ 민간임대사업자 참여 유도를 위한 공모사업 활성화

∙ 임대리츠 공공성 강화를 위한 심사관리 체계 개선 및 기금출자심사 실시

∙ 임대리츠 관련 정부정책 추진 지원을 위한 다각적 홍보 추진

∙ HUG形 민간제안 공모방식 확대로 임대주택 공급 강화

추진목표

사회임대주택 보증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50호 900호 990호 1089호 1197호

리츠를 통한 임대주택 공급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0500호 11550호 12705호 13976호 15373호

HUG 민간제안공모 공고 세대수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rsquo23년

8000세대 8500세대 9000세대 10000세대 10500세대

- 14 -

실행과제

(4)주택도시기금신규상품개발을통한도시재생뉴딜활성화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도시재생뉴딜 맞춤형 금융지원 확대 (목적) 도시재생 사업유형 확대에 대응한 맞춤형 기금지원 상품 개발운용 (추진내용)∙ 소규모 재생사업 및 주택정비 활성화를 위한 금융지원 확대∙ 도시재생 경제조직 활성화를 위한 금융지원 프로그램 도입 도시재생뉴딜 활성화를 위한 기금지원 운용체계 개선 (목적) 명확한 업무기준효율적 수행방안을 확립하여 도시계정 양적질적확대에 대응 및 뉴딜정책 활성화에 기여

(추진내용)∙ 도시재생 금융지원 접수middot심사체계 개편으로 국민불편 해소∙ 도시재생 금융지원 사후관리 체계 확립으로 안정적 기금운용 및 공공성 실현

추진목표

도시재생 금융지원 출융자 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5877억원 11227억원 15014억원 16178억원 16494억원

도시재생 금융지원 심사사업장관리 운용체계 개선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5건 5건 5건 5건 5건

실행과제(5)

제도에서 전산까지 온middot오프라인 안심시스템 구축 담당부서정보운영처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응하는 정보보안체계 구축

(목적) 4차 산업혁명시대 기술(IoT BigData AI 등) 변화에 맞는 선제적인 정보

보안 체계 수립과 능동적인 정보주체의 권리 보장

ㅇ (추진내용)

∙ 선진화 정보보안 체계 구축 컨설팅

주택건설사업장 사회안전망 플랫폼 구축

(목적) 주택관리사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으로 사고로 인한 분양계약자의

입주지연 및 보증사고 위험 등을 사전에 예방하여 국민의 편익 증진

(추진내용)

∙ 사업장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보증사업장 현장점검 규정 개정

- 사업장안전관리강화를위한안전점검업무신설및안전관리우수고객우대제도운영

∙ 드론을 활용한 보증사업장 동영상 촬영 및 제공으로 분양계약자 정보제공 강화

- 현재 앱을 통한 사업장 현장사진 제공을 드론을 이용한 동영상 제공으로 확대하여

분양계약자 정보제공 강화

추진목표

국정원 정보보안 관리실태 점수 행안부 개인정보보호 진단 점수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공공기관평균점수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 5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10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15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20

보증사업장 안전사고로 인한 공사 지연 건수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0건 0건 0건 0건 0건

- 15 -

실행과제(6)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전사 경영전략체계 구축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공공기관의 lsquo공적역할 강화rsquo 및 lsquo사회적 책임실현rsquo이라는 국정기조 변화에 부응

하기위한공사의新경영전략수립

(추진내용)

∙ 고유 업무의 공공성 제고를 위한 사업전략 재수립

- 사회통합형 주거복지 실현을 위한 공적금융 지원 전략 수립

- 소규모 도시재생사업 활성화를 위한 단계별 공사 역할방안 마련

∙ 사회적 가치 기반 전사 기능전략 및 중장기 경영목표 재수립

- 공적역할 확대 및 사회적 책임 구현을 위한 부문별 기능전략 수립

추진목표

사회적가치 기여도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최우수 최우수 최우수 최우수 최우수

청렴도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등급 1등급 1등급 1등급 1등급

실행과제(7)

도시계정의 체계적 관리를 통한 도시재생 활성화 담당부서기금정보처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목적) 노후주거지 주민과 사회적기업 등이 필요로 하는 자금을 적시에 원활히 지원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도시계정 관리 추진

(추진내용)

∙ 연체관리 프로세스 정립을 통한 기금손실예방

- 연체 단계별 업무처리 프로세스 마련을 통한 융자사고방지

- 도시계정 융자원리금 수납기준 마련

- 융자사고관리 방안 마련

∙ 고객신용관리 체계구축을 통한 사고예방 모니터링 확대

- 고객신용관리 모니터링 체계구축을 통한 사고예방관리

- 도시계정 신용정보집중 처리기준 프로세스 마련

- 도시계정 신용정보관리 전산시스템 구축 일반신용정보관리규약에 따른 도시계정 신용정보 파일전송 설계서(전문) 작성

공사 신용정보 집중 시스템과 병합 추진

∙ 도시계정 자금관리 체계정립을 통한 도시재생활성화지원

- 도시계정 예산확대 신규 금융기법적용 등 도시계정 특성을 반영한 회계middot결산

자금관리 업무기준 확립 정형화된 담보가 아닌 수요자사업자 특성을 고려한 맞춤 담보제공 자금투입 공공성 확보를

위한 엄격한 융자조건 부여

- 회계middot결산 자금관리 업무전산화를 통한 효율화 정책지원기능 확대

추진목표 (비계량) 2019년 융자사고예방을 위한 연체관리 자금관리기준 수립 및 개선

- 16 -

실행과제(8)

국민과 함꼐하는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 담당부서보증이행처

준법지원실

추진내용

(목적) 국민참여를 통한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의 수용성 제고 및 주거

복지 실현 위한 공동주택 하자 조기대응ㆍ감축방안 모색

(추진내용)

∙ 하자분쟁 해결체계 관련 국민 공유ㆍ소통 프로그램 운영

- 국민과 함께하는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 계획 수립

- lsquo공동주택 실무강좌rsquo 동행을 통한 하자관련 주요이슈 대국민 공유ㆍ소통- 국민참여 하자정보 공유 4회(서울 인천 수원 의정부) 및 하자실무 법률상담

∙ 국민 참여 확대를 통한 정책 개선 노력

- (lsquo1810) 대국민 의견수렴을 위한 하자분쟁 컨퍼런스 개최

middot 하자분쟁 예방을 위한 관계규정 검토 및 정책 논의

middot 행정청 학계 법조계 및 입주자대표회의 관련 다수 국민 참여

∙ 소규모사업장 청구 전 하자보수보증 사전안내제도(BS Before Service) 실시 검토

소규모사업장 150세대 미만 사업장 중 대위변제가 없는 2년차 하자보수보증 만료6개월 전 사업장

추진목표

대국민 참여도산출근거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참여횟수6회참여인원300명

참여횟수8회참여인원400명

참여만족도85점 이상

정책국민의사반영1회이상

정책국민의사반영1회이상

횟수당50명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점수(관리본부) 목표치산출근거구분 rsquo18년 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등급 A A A A A 목표 A등급 이상

실행과제(9)

민관협력사업으로 주거취약지구 주거환경 개선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목적) 공사의 사회적 가치경영 실행을 위해 새뜰마을(취약지역 개조사업) 주거

여건 개선을 지원하는 민관협업 사회공헌사업 추진

(추진내용)

∙ 중앙부처 공공기관 민간기업 등이 지역 주민과 함께 도시취약지역 내 노후주택에

대한 주거환경개선 열효율화 사업 추진

- 새뜰마을중고령화 노후화등으로사업추진이절실하고 지역사회참여정도등을 고려

하여성과가 가시화될수있는지역선정추진

∙ 주거취약지역 환경개선 관련 민관협업사업 MoU 체결 추진

- 국토교통부 HUG LH KCC AURI 해비타트 등 협약 체결을 통해 집수리 자재 및

전문인력 후원금 지원 추진

∙ 도시취약지역 지원 효과 분석 및 사업추진 매뉴얼 마련

- 지역기초조사 사업전후 효과분석 등 성과관리 새뜰마을 매뉴얼 제작보급

추진목표새뜰마을 지원대상 확대 건수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5건 5건 5건 5건 5건

- 17 -

실행과제(10)

도시재생 맞춤형 스타트업 총괄지원

플랫폼 도입middot운영담당부서

인사처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도시재생과 관련된 스타트업 및 소셜벤처에 대한 종합적 지원

(추진내용)

∙ HUG형 도시재생 뉴딜 창업 프로젝트 추진

- 사회적 경제조직 육성기관(함께일하는재단) 대중투자 전문기관(와디즈)과 협업

- 사회적 경제조직 컨설팅 지원

- 대중투자 연계 통한 일자리 창출 및 사회적 경제 활성화 지원

∙ 스타트업 및 소셜벤처에 대한 사회적 금융 지원

∙ HUG 창업 라운지(스타트업 기업에 공간 공유) 확대 운영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사회적금융지원금액 1억 1억 1억 1억 1억

공간지원스타트업수 6 8 10 12 14

멘토링middot창업캠프개최회수 5 5 5 5 5

실행과제(11)

도시재생 생태계 조성을 위한

종합지원 플랫폼 구축담당부서

기금정보처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종합적인 도시재생정보 공유체계 구축을 통해 기금 지원된 도시재생사

업에 대한 정량적 정보 및 사후지원 청년middot예비창업자 참여를 위한 HUG 정책

지원 정보를 기금포털 내 일괄 제공

(추진내용)

∙ 전국 기금이 활용된 도시재생 사업장 정보 제공(lsquo도시재생 기금지도rsquo 서비스)

- 지도 API 기반의 도시재생 기금지원 사업장 정보조회 서비스

- 전국 분포된 사업장의 위치부터 융자금액까지 상세정보를 편리하게 검색

- 실제 사례와 이용 상품 정보를 함께 제공하여 정보이용자 이해도 제고

∙ 기금 사업장 홍보 지원 및 청년창업 지원 정보 일괄 제공(전용 게시판 신설)

- 사업장 및 보유시설(코워킹시설 임대시설 등) 홍보 위한 전용공간 마련

- 기금지원 사업의 우수사례 정보공유를 통한 벤치마킹 및 정보이용자 관심유도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기금지도 서비스 개시 서비스구축middot개시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우수사례 발굴 건수 8 8 8 8 8

- 18 -

(2대 과제) 포용적 공공서비스 제공 강화

실행과제(12)

분양이행사업장 수분양자 보호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분양대금채권 지연손해금율 하향조정 등 분양계약자 부담완화를

통한 국민 주거안정 기여

(추진내용)

∙ 분양계약자 지연손해금 관련 주택분양보증약관 개정

- 분양계약자의 분양계약서상 지연손해금율이 시행사 구상채권 지연손해금율

보다 높은 사례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공사 내규와 분양계약서상 지연손해

금율 중 낮은 것을 적용하도록 약관 규정 개정 (시행사 동의서 징구)

추진목표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 점수(관리본부)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901 915 933 951 971

실행과제(13)

인터넷보증시스템개선으로전세금보증이용편의성제고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인터넷보증 시스템 개선을 통해 고객의 전세상품 보증서비스

편의성 및 접근성을 강화하여 서민 주거안정성 개선 지원

(추진내용)

∙ 인터넷 보증시스템 재구축 추진(lsquo20~lsquo21)

- (현행) 인터넷 익스플로러 이외의 웹브라우저 미지원

- (재구축) 구 운영체제 지원종료 대비 및 지원 플랫폼(구글 크롬 등) 확대를

위한 시스템 재구축 예정

∙ 모바일 보증시스템 구축 추진(lsquo19)

- (현행) PC 중심의 제한적인 보증가입 서비스 제공

- (비대면 서비스 강화) 모바일 보증시스템 구축 추진

추진목표

비대면 보증가입 점유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0 12 14 16 18

- 19 -

실행과제

(14)주택도시기금대출절차간소화를통한대국민서비스향상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서민실수요자 지원 강화 및 이용자 편의 제고 등을 위한 주택도시

기금 구입전세 대출의 자산심사 도입

(추진내용)

∙ 자산심사기준 도입을 통한 정책자금의 실수요자 집중 지원

∙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구축을 통한 대출절차 간소화

∙ 전담 수행조직 운영 및 수탁은행 역할 재정립 등을 통한 대국민 서비스 제고

추진목표

대출절차 혁신 시스템 운영 체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자산기준 마련기금법령 개정시스템 개발오픈수요자대출상품운영

수요자대출 全상품 시스템 안정화제도개선 및 모니터링

他 기금상품 (주택종합청약저축)도입 검토 및 적용

실행과제

(15)고아원연계 보호종료아동 월세보증금 지원 제도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고아원 보호기간이 종료됨에 따라 주거지원이 필요한 아동에게

주택임차자금 지원 및 보증상품 개발

(추진내용)

∙ 긴급 주거지원이 필요한 아동의 가정에 주택임차자금 지원∙ 고아원 보호종료 아동 대상 전세월세보증금보증 할인 상품 개발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택임차자금지원 세대 수

10 20 성과분석 후 확대 검토

고아원보호종료아동대상상품가입자수

상품개발추진 제도개선 추진

실행과제

(16)HUG 이용고객 편의성 제고를 위한 플랫폼 구축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객과의 소통채널 확대방안의 일환으로 24시간 고객상담 제공

(추진내용)

∙ 단순 문의 SMS 발송

- 위탁은행 신청서류 등 전세보증 관련 간단 정보 문자발송 ARS실시(완료 `195월)

- 업무시간 종료 후에도 단순문의에 대한 SMS문자안내 서비스 추진

∙ 콜센터와 지사 상담이력 공유

- 콜센터 상담시스템과 차세대 시스템을 연계 고객별 상담이력 조회화면 구축

∙ 보이는 ARS 서비스 도입

- 기존의 음성 서비스와 함께 스마트폰을 통해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바로

연결하고 직접 통화하지 않아도 간편문의를 처리할 수 있는 보이는 ARS 실시

추진목표 2019년 챗봇서비스 DB구축 검토 2020년 챗봇 서비스 도입 검토

- 20 -

실행과제

(17)전세금보증 인터넷가입에 필요한 데이터 자동화 구축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가입을 간편하게 하여 정보사각지대에 있는 고객의

보증 가입 편의성 강화

(추진내용)

∙ 주택가격정보middot등기부등본 데이터 자동입력 시스템 마련

- KB시세 한국감정원 국세청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와의 협약 통한 시스템 연계

- 직접협약 외에도 부동산 권리변동정보 제공기관을 통한 중계서비스 도입 검토

∙ 인터넷보증시스템 전세금보증 신청절차 개선

- 전자연계 가능한 서류의 데이터 자동입력 프로세스 개발

- 보증심사시 담당자가 전자 원본 서류를 확인할 수 있는 화면 개발

추진목표

데이터 입력시스템 구축 및 운용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연계방안검토

협약체결 전산연계 운영 및 보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18)

사회임대주택 활성화를 위한 조직 혁신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사회임대주택 금융지원제도 담당부서 일원화로 속도감 있는 제도개선 등

사회임대주택 활성화 지원

(추진내용)

∙ 기획조정실 사회임대주택 총괄부서 지정을 위한 조직개편 추진

- 현행 사회임대PF보증(금융기획실) 토지임대middot기금출융자(도시재생기획처 기금지원처)

- 개선 도시재생기획처로 일원화하여 사회임대주택 복합금융 지원업무 총괄

한 부서에서 기금 출middot융자 보증지원까지 원스톱 상담으로 고객 만족도 제고

추진목표 2019년 조직개편 완료

실행과제

(19)상담서비스 고도화를 통한 고객만족도 제고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객상담데이터 체계적 관리middot활용을 통한 대국민 서비스 질적 향상

(추진내용)

∙ 차세대(전산)업무시스템 및 콜센터 시스템을 연계하여 상담이력 공유- 콜센터 외에도 지사 직원의 고객상담이력을 저장할 수 있도록 차세대시스템 내화면 구축 콜센터의 상담이력 역시 차세대 시스템에 저장 및 관리

∙ 보이는 ARS서비스 실시 및 단순문의안내 SMS 발송 서비스 실시middot활성화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콜센터전산시스템연계

시스템구축

시스템개발완료및 운용

시스템운용

시스템운용

시스템운용

신규 서비스출시

보이는ARS검토

보이는ARS출시

보이는ARS운용

보이는ARS운용

보이는ARS운용

- 21 -

2 혁신적 포용국가 선도

(3대 과제) 경제활력 제고 및 일자리 중심 경제 선도 중점

실행과제

(20)공공정보 연계 통한 서류제출 절차 간소화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필요한 서류를 간소화함으로써 대국민서비스 질 제고 (추진내용)∙ 필요한 서류 등을 공사 전산으로 조회 가능한 시스템 구축∙ 기금대출절차 혁신 시스템과 연계

추진목표 ∙ (비계량) 필요서류 전산조회 시스템 구축

실행과제

(21)사업다각화를 통한 고용증대 및 비정규직 ZERO화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서민 주거복지 도시재생 활성화 지원 등을 위한 기관 자체의 적극적인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공기업 서비스 제고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증원 및 채용 확대- 신사업 발굴 및 자율정원제를 통한 적극적인 증원-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청년 및 지역 인재 채용∙ 사회 양극화 해소를 위한 비정규직 ZERO화- 노사 공감대에 기반한 정당한 절차를 통한 전환 추진 및 전환근로자 처우 개선 노력

추진목표정원 비정규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766명 0명 903명 0명 995명 0명 1033명 0명 1062명 0명

실행과제

(22)

주거복지 및 도시재생을 위한

도시재생 창업공간 금융지원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도시재생 금융상품을 통한 창업지원 (목적) 창업과 관련한 도시재생 금융상품을 통해 민간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창업 관련 수요자 중심형 기금융자 및 보증상품 개발 운용- 코워킹시설조성 상가리모델링 공공임대상가 등 기금융자 지원

도시재생뉴딜 금융지원을 위한 사회적 금융 연계 지원 (목적) 도시재생분야법인단체창업관련크라우드펀딩 및 창업지원 컨설팅 추진 (추진내용)∙ 도시재생분야에대중투자연계일자리창출및지역주도사회적경제활성화지원- 뉴딜로 도시재생 크라우드펀딩 대회 개최 등∙ 도시재생 창업단체에 대한 지원을 위해 HUG형 민간일자리 창출 프로젝트 추진- HUG와 함께하는 도시재생 뉴딜 창업프로젝트 추진 및 사회적 경제조직 활성화

추진목표창업지원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510억원 1548억 1548억 1548억 1548억

- 22 -

실행과제

(23)IT선진화를 통한 민간일자리 창출 담당부서

기금정보처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고유목적사업인 주택보증 주택도시기금 및 도시재생분야의 IT 시스템

구축 및 개선을 통한 민간 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 주택도시기금 정보시스템 통합 유지보수

- (추진기간) 유지보수 사업의 특성으로 매년 발생

- (일자리창출) 2019년(8명) 2020년 sim 2023년(매년 16명)

∙ 도시재생 금융지원 전산시스템 구축

- 도시재생융자등원활한도시계정업무를뒷받침하기위한온라인금융지원시스템구축

- 추진기간 2018년~2019년 투입금액 및 인력 51억원 41명

∙ 주택도시기금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구축

- 주택도시기금 대출절차 편의 제고 및 절차 간소화 시스템 구축

- 추진기간 2018년~2019년 투입금액및인력 컨설팅용역43억원 12명 전산용역74억원52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기금업무 운영 유지보수 8 16 16 16 16

도시재생 융자시스템 41 - - - -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64 - - - -

합 계 177

실행과제

(24)

공공기관 공동기금 조성을 통한

지역 사회적경제 활성화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이전지역 기관간 협업을 통한 사회적경제 활성화로 지속가능한 일자리

제공 지역경제 활성화 추진

(추진내용)

∙ 부산 사회적경제 지원기금(BEF) 지원을 통한 사회적기업 육성 및 지원

- Pilot Program (크라우드펀딩) 20개소 창업단계 재정지원 5개소 Start-up 재정지원

15개소 Scale-up(성정기 기업) 대출지원 5개소 BEF 경영컨설팅 50회 BEF

사회적기업 연구가 인재육성 실시 2회 BEF 판로지원 5개소 등

추진목표

기금지원 (자체 공동)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억원(10억원)

1억원(10억원)

1억원(10억원)

1억원(125억원)

-

- 23 -

(4대 과제) 혁신성장 지원

실행과제

(25)상가임차금 안심대출 상품개발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도시재생지역 내 상가임차인 보호를 위한 상가임차금안심대출 개발

(추진내용)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법령 개정 검토

-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등 관련 법령 개정안 검토

- 법령 개정안 정부 건의 (우선변제권 승계기관 포함)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시장분석 및 조사(`20)

- 상가임차보증금 시장분석 및 보증이용 수요조사

- 보증료율 검토 및 리스크 분석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출시(`21)

- 사규개정 및 법령개정 완료

추진목표

상가임차보증금 상품 출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내부검토 법령개정 시장분석 상품출시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26)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사고 위기사업장과 보증실적의 증가로 사전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및 정기 점검활동 강화 및 핵심업무 역량집중 강화

(추진내용)

∙ 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 현장점검 대상사업장을 파악하여 외주용역을 통한 점검 추진 검토

추진목표 ∙ 2019년도 현장점검 외주화

실행과제

(27)

비대면 전세금보증을 통한 혁신성장 기반 마련

(카카오페이를 통한 가입확대 등)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모바일 전세금보증

스마트폰을이용해언제 어디서든쉽게보증을신청할수있도록모바일가입채널마련

∙ (모바일 인터페이스) 인터넷 전세금보증 프로세스를 모바일웹에 최적화하여 로그인

부터 보증가입 승인까지 전 프로세스 지원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위탁은행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증가입 프로세스 개선

(현행) 임차인이 선순위 채권 등 보증가입정보를 입력

(개선) 임차인은개인정보및계약정보만입력하고세부심사에필요한정보는심사자가입력

모바일 안심대출보증

위탁은행 비대면 전세금 안심대출 상품 개발

추진목표 2019년 전세금보증의 완전한 모바일 가입체계 구축

- 24 -

실행과제

(28)국민 주거편의 제공을 위한 스마트시티 건설 지원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목적) 핵심 국정과제인 스마트시티 분야의 금융지원 플랫폼으로서 주택도시기금지원 기반 모색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검토 및 금융상품 초안 마련

(추진내용)

∙ 민간사업자 의견 수렴 및 스마트시티 기금 금융지원 상품 초안 마련 -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및 주요 요소기술산업 등 동향 파악- 민간사업자 의견수렴을 바탕으로 실질적 금융지원이 가능한 상품 개발 추진∙ 주택도시기금법 개정안 마련 및 정부 건의∙ 스마트시티 건설사업장에 대한 보증료 할인 또는 보증심사 가점부여∙ 스마트시티 건설 신공법 소개 및 성공사례 공유

추진목표금융지원 확대 건수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건 1건 2건 3건 3건

실행과제

(29)HUG 빅데이터운영체계구축으로공공데이터개방기여 담당부서

주택도시

금융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기관 내middot외부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주택middot도시middot금융 분야의 환경 변화를진단함으로서 4차산업 혁명시대 도래에 따른 선제적인 대응 체계 마련

(추진내용)

∙ (1단계) HUG 빅데이터 기반 주택시장 분석 인프라 설계 및 로드맵 수립∙ (2단계) HUG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구축 및 모델 개발∙ 수요자(국민middot정부middot공사)별 빅데이터 활용 영역 확대 및 분석 기능 고도화

추진목표공공데이터 외부개방(제공) 건수 (오픈API포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38건 42건 46건 51건 56건

실행과제

(30)

친환경middot신소재 활용으로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

(제로에너지 건축물 건설자금지원 등)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주택건설사업장에 친환경middot신소재 사용을 유도함으로써 환경 친화적 주택건설과 에너지신산업 판로지원

(추진내용)

∙ 친환경 제품 및 에너지 신소재 제품사용 주택건설사업장에 보증심사 가점부여(완료)- (`1812) 녹색건축물인증등급부여고객보증심사시초기예상분양율 5〜1점가점부여

∙ (추진) 신소재 적용 주택건설사업장 확대를 위해 보증심사시 가점부여

- SOC 공공기관 통합기술마켓과 연계한 보증우대 방안 마련 중소기업이 보유한 SOC 공공기관 관련 혁신기술의 공모middot연구개발 제안 및 검증을

통해 상품화 및 홍보middot판매를 지원하는 플랫폼

추진목표

친환경적 주택건설 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

- 25 -

실행과제

(31)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비대면 가입 활성화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9개 수탁은행에 온라인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 독려

연령 무주택세대주 소득증빙 등 가입 시 제출서류가 많아 비대면 시스템 구축 시

지점방문 없이 간편하게 가입 가능

신한은행 최초로 완전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821)

비대면 가입 주택도시기금포털에 안내 및 홍보

비대면 가입 시스템 기금포털 홍보 게시하여 수탁은행 시스템 개발 독려

추진목표 목표비대면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전체 가입의 6 전체 가입의 12

실행과제

(32)전기자동차 도입을 통한 친환경 에너지 수요 창출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업무용 차량의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ㅇ 2018년 임차기간 만료예정인 업무용 차량을 전기자동차로 대체

ㅇ 추후 본사 및 영업부서 업무용 차량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추진목표 2019년 중 전기자동차 1대 충전소 1개소 설치실행과제

(33)드론 활용을 통한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기술middot제품에 대한 선제적 구매 및 테스트와 고유사업에 활용

으로 민간 초기시장 조성을 견인

(추진내용)

∙ 보증이행사업장 드론 안전점검 시범실시

- (`1812) 예산 미편성으로 1개 사업장 드론촬영 시범실시 및 효용성 검토

∙ 보유중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에 드론 활용 확대

- (`196) 전문엔지니어링 업체 발굴로 일자리 창출 및 보유 사업장 전체(2개)에

드론 활용 안전점검 실시 rArr 위험요소 발굴로 관할센터에 사고예방을 위한

안전조치 권고문서 시행

추진목표

안전사고 발생비율(발생건수보유사업장)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0 0 0 0 0 안전사고발생 ZERO무사고 달성

실행과제

(34)드론활용사업장안전관리및점검체계구축(시범단지운영)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HUG형 혁신 사업장 안전관리 및 점검체계 구축

ㅇ 드론 활용 사업장 안전 및 점검체계 구축

ㅇ 시범단지 선정 및 운용 세부계획 검토

∙ 드론 등 기술혁신 도구관련 관련 업체 및 유관기관 협의

∙ 사업장-영업부서-본사부서 협업체계 및 활용방안(HUG-i 게시) 등

추진목표안전사고로 인한 분양보증사고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0 0 0 0 0

- 26 -

실행과제

(35)블록체인을 활용한 안전하고 편리한 인터넷서비스 제공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정부주도의 공인인증서 폐지정책(전자서명법 전부개정 예고)에 따라 전자

서명에 대한 인터넷 사용자 대체 인증수단 개발

(추진내용)

∙ 블록체인 기반의 본인인증 서비스 (카카오페이 인증 서비스) 도입

- 인터넷보증시스템에서보증료영수증및보증서출력시카카오인증을이용한전자문서

유통증명서비스제공

∙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대국민서비스 확대

- 전자서명법개정에따른블록체인기반의전자서명서비스도입

- 온라인 등기우편(연체정보 등 전자우편을 본인인증 후 열람) 일괄발송 발송내역 조회

및유통증명서발급시스템구축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블록체인기반본인인증서비스시범도입

블록체인기술을이용한

대국민서비스확대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실행과제

(36)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사업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환경보호라는 공공성을 위하여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건물

보증에 대해 유인책 마련 필요

(추진내용)

∙ 제로에너지 건축물에 대한 대출한도 상향 조정

∙ 건축 관련학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해 친환경 건축물에 대한 관심 제고

- HUG 오픈캠퍼스 추진 시 건축 관련학과(건축공학과 건축디자인과 등) 학생에게 교육

추진및공사인턴체험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제로에너지 건축물지원 제도

규정신설 -

HUG오픈캠퍼스 수료학생수 (건축 관련 학과 포함)

100 110 121 133 146

- 27 -

(5대 과제) 공정경제 기반 구축 중점

실행과제

(37)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 진입장벽 해소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물품구매 대금결제 등에 중소기업 창업기업 등에 대한 계약규제 완화를

통해 공정경제 기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함

(추진내용)

∙ 신규 창업middot중소기업에 대한 진입장벽 완화

- 소규모 물품middot용역 입찰(고시금액 21억원 미만) 참여시 상대적으로불리한신규창업 및

중소기업에대한실적제한폐지

- 다만 부득이용역의성격상실적평가가필요한경우창업기업실적인정기간연장

(현행 3년 rarr 7년)을 통한 부담 완화

∙ 지체상금 부담경감 (현행의 12수준) 을 통한 상생협력 강화

∙ 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에 대한 용역대금 선급금지급률 확대

추진목표

중소기업 등 협력업체 계약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779 790 80 81 -

실행과제

(38)

공정경제를 위한 지역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업자 보호강화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건설사업장 인근지역 중소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대금의 현금

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한 하도급업자 보호 강화

(추진내용)

∙ 지역 중소 건설업체들에게 동일한 기회제공 및 공정한 경쟁 유도

- 건설사업장에서 지역건설업체와 하도급계약 체결 시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 할인 추진

∙ 협력업체 하도금대금의 현금지급 확대

- 하도급대금을 현금으로 지급할 경우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를 할인

하여 협력업체 및 근로자들의 보호를 강화하고 시장에서의 우위 선점

추진목표

지역 하도급업체 계약체결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규정개정 30 40 50 60

하도급대금의 현금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해 하도급업자 보호

- 28 -

3 국민신뢰 회복

(6대 과제) 적극행정 확산 등 조직운영 혁신

실행과제

(39)고용위기지역에 대한 금융지원 추진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용위기지역에 대한 지원강화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추진내용)

∙ 고용위기지역 내 임대주택 건립시 보증료 할인 추진(완료)

- 고용위기지역및고용재난지역소재임대보증금보증사업장보증료 10인하( 1812)

∙ 고용위기지역 내 임차인이 전세금보증 이용시 보증료 할인 검토

- 전세보증금반환보증(전세금보장) 전세안심대출(전세금대출지원)

보증이용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임차주택으로 변경시 보증료 할인 검토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보유한 주택건설사업자가 입주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임차

주택으로변경하여전세금보증가입신청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추진목표

고용위기지역 금융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마련 및 운영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40)근로여건 개선을 통한 휴식 있는 삶 지원 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일ㆍ가정 양립에 대한 법적ㆍ사회적 요구 증대됨에 따라 장시간 근로문화를 타파하고 휴식 있는 삶을 지원하여 일ㆍ생활의 균형 실현

(추진내용)

∙ 장시간 근로문화 타파- 직원니즈를반영한공사맞춤형복무제도수립및운영- PC-OFF 강화 (주2회rarr매일)- 퇴근장려캠페인 (인사안하고퇴근하기 관리자솔선수범퇴근)∙ 휴식 있는 삶 지원- 가족친화제도지속개발 (일가양득프로그램운영)- 연차휴가및남성육아휴직이용률향상을위한제도개선- 시간단위연차사용을통한휴가사용활성화- 임신직원보호를위한모성보호절차도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인당 연차사용일 1426일 1497일 1572일 1651일 1733일남성육아휴직인원 331 348 365 383 402

- 29 -

실행과제

(41)

위임전결기준 개선을 통한 업무처리 혁신

(결재피로감 낮추고 책임middot권한 공백없이 업무는 신속하게)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결재절차를 단순화함으로써 신속한 업무처리 및 고객만족도 제고

(추진내용)

∙보증위탁업무전결권세분화

- 위임전결규정안마련및규정개정절차진행(5월)

보증업무 위탁外 융자수탁업무 관련 전결권 개정도 함께 추진

∙대외업무협약체결전결권세분화

- 사안의중요성및영향도등고려중장기적으로면밀한검토필요

추진목표

결재절차 단순화

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rsquo23년보증및융자수탁업무위임전결규정개정

제도 보완

실행과제

(42)지출신청 시 영수증 증빙 제출제도 개선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지출신청시 불필요한 원본구비 제도 개선을 통한 업무효율화 달성

(추진내용)

∙ 공사 지출의 42 비중을 차지하는 5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 원본 제출 제외

- 지출액 50만원 이하 법인카드 및 전자세금계산서 지출 건 원본구비 예외 조항 신설

- 확인이 필요한 간이계산서 등은 원본징구하여 지출사고 가능성 예방

- 제도 정착 전 3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에 대하여 원본 제출 제외(시범운영)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내부

규정개정 및시범운영

제도개선 지속 추진

실행과제(43)

PF보증심사 시 월별예정 분양률 분포의 계량화 담당부서금융기획실심사평가처주택도시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민간아파트 초기분양률 데이터를 활용한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

(추진내용)

∙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를 통한 심사 객관성 확보

- 월별예정분양률 관련 명확한 지침 산정으로 신청업체 및 심사자의 주관 배제

- 국가승인통계인 민간아파트초기분양률 동향 데이터를 활용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

∙ 초기분양률 동향 분석(주택도시금융연구원 협업 4월sim10월)

- 연구원과 협업을 통해 초기분양률 데이터 분석 및 관리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건의(11월)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관할 부서(금융기획실)로 세칙 개정 건의

추진목표2019년도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예상분양률 분포기준 마련 초기분양률 데이터 관리체계 구축

- 30 -

(7대 과제) 윤리경영 강화

실행과제

(46)청렴도 향상을 위한 반부패 활동 강화 담당부서 준법지원실

추진내용

윤리경영 추진조직 강화

기관장 주도의 윤리경영 고위직 협의체 구축 내부 자문기구「청렴자문위

원회」운영 강화 및 임원의 윤리자가진단 현황 정보공개

반부패middot청렴 대외 활동 활성화

부산 이전 공공기관 청렴 협의체「청렴 클러스터」활동 강화

「부산투명사회실천 민middot관 네트워크」가입middot활동 실시

「유엔글로벌콤팩트(UNGC)」활동으로 글로벌 윤리역량 강화

실행과제

(44)논스톱 고분양가 심사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공사 PF보증 사업장에 대한 고분양가 심사기준 개선을 통한 사업

안정성 제고 및 고객신뢰성 확보

(추진내용)

∙ 「고분양가사업장심사규정」개정 추진(5월~6월)

- 고분양가 관리지역 내에서 공사 PF보증 발급예정사업장의 고분양가 심사기준(비교

사업장 선정 및 분양가격 산출 등)의 적용을lsquoPF보증 본점 승인시점rsquo으로 명확히 함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고분양가심사규정개정

사업안정성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 추진

실행과제

(45)임대리츠 통계 및 사후관리시스템 개선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목적) 자리츠 사후관리 주관기관(모리츠 AMC인 LH) 및 감독관리기관

(HUG) 간의 업무분장에 따라 사후관리 데이터 품질 저하 등 발생

rArr 기관간 협업체계 개선 관련 시스템 개발 등을 통한 사후관리 관련 데이터품질 향상 및 대정부 정보전달 적시성 확보

(추진내용)

∙ 리츠 기금출자내용 변경시 임대리츠 이력관리 등이 가능하게 하는 통계시스템 개발

∙ 분기별 사후관리보고 제출기한 마련 검토

∙ 임대리츠 통계관리 업무체계 내실화를 위한 기관간 협업 수행

추진목표

임대리츠 사후관리 구조 개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전산시스템개발 및시스템 구축

임대리츠사후관리

체계개선 수행

시스템 운용및 개선사항도출

기관간 협업수행(데이터관

리)

임대리츠통합데이터관리 수행

- 31 -

(8대 과제) 국민의 참여협력 확대 및 지역사회 공헌

실행과제

(47)

혁신도시 맞춤형 지역인재 육성 지원 및

인재채용 투명성 강화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도시 지원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증대에 따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한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

(추진내용)

∙ 市-지역대학간 협업으로 지역인재 육성 교육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 외부 면접위원 확대 및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인사 절차의 공정성 강화

∙ 사회형평적 채용실시와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을 통한 불합리한 차별 해소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지역채용 21 24 27 30 33지역인재육성 총 교육시간(교육인원times교육시간 시간) 3000 4500 4500 4500 4500

지역인재육성교육만족도(점수) 944 949 954 959 964

실행과제

(48)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사회공헌사업 확대 추진 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정부의 lsquo사회적 가치 실현rsquo을 정책에 따라 사회적 경제 및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사회공헌 필요성 증가

(추진내용)

∙ 안전한 주거환경 제공

- 무주택 국가유공자 및 저소득층 임차자금 170세대 지원(~8월10억원)- HUG 셰어하우스 3호 신촌점 완공 청년 24명 입주 완료(~10월2억원)- 저소득층 노후주택 및 소규모 사회복지시설 127세대 개보수(~10월8억원)- HUG STREET 잘사는 골목길 등 환경개선사업 대상지 선정 완료(~10월1억1천만원)

∙ 지역사회와 상생

- 노후 슬레이트 지붕개량 및 태양광 지원 사업 4자 협약(~8월3억원) HUG-부산시-한국사회복지협의회-부산도시재생지원센터

- HOPE with HUG 10호 11호 완공(~9월1억5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지역건설사-지역건축전문가 협업을 통한 주거개선사업

- 부산 송상현 광장 내 도시놀이터 프로젝트 완료(~9월7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부산시설공단 협업을 통한 문화middot휴식공간 조성

청렴 모니터링 다각화

청렴의식 환기를 위한 「자가점검 프로그램」실시

「청렴 옴부즈만」운영

개선 아이디어 발굴을 위한 「신입사원 生生 모니터링」

추진목표

종합청렴도 결과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3등급 2등급 1등급 1등급 1둥급

- 32 -

∙ 균등한 기회와 사회통합

- 중학생 자유학기제 지원 프로그램 운영(9월~4천만원)- 저소득층 청소년 20명ndash대학생 20명 매칭 등(6월~5천만원)- lsquoKBS 동행rsquo에 출연하는 저소득 가정 50세대 지원(7월~1억원)- 발달장애 청년 재능개발 프로젝트lsquo눈부신하루rsquo추진(6월~3천만원)- 신입사원 봉사활동 등을 통한 지역사회 나눔활동(~10월7천2백만원)- 저소득층 난방연료 지원을 위한 주택도시업 캠페인(~12월5천만원)- 자매결연 마을 농수산물 구입기증(~12월4천만원)

추진목표

추진 목표는 해당연도 사회공헌 기부금 예산금액(이사회 의결금액)과 연계

기부금액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8620백만원 8879백만원 9145백만원 9419백만원 9702백만원 전년도예산금액103

실행과제

(49)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목적) 도시재생과 유사한 목표비전을 공유하는 사회적경제와 연계한 맞춤형

금융상품 운영 및 관련 지원조직과 다각적 협업 활동 추진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지역주민이 주도하는 도시재생 금융지원으로 국민의 삶의 질 개선

(목적) 주민지역공동체 주도의 마을단위 도시재생으로의 변화에 대응하여

사회적 경제주체 등 지원체계 개선으로 사회적 가치 실현에 기여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추진목표

수요자중심형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510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실행과제

(50)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국민이 참여하는

HUG사업평가단(가칭) 운영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보증업무 전반에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HUG

사업평가단 구성하여 주택품질 제고 및 안심입주 지향

(추진내용)

∙ 국민이 참여하는 보증솔루션팀 및 보증심사 리뷰단을 통해 제도 개선사항 도출

∙ 보증채권자 권익에 미치는 사항 등 국민의견 수렴을 통한 보증이행제도 개선

∙ 전세금보증 이행완료 고객 및 공인중개사 참여를 통한 제도개선 사항 발굴

추진목표 2019년 국민 의견수렴을 통한 전세금보증 제도 개선 등 검토

- 33 -

실행과제(51)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과 협업하여효율적인 전세금보증 이행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이행 업무의 효율성 제고

(추진내용)

∙ 지역사회단체 등과의 협업을 통한 임차인 퇴거확인 추진 검토

- 보증사고 발생 시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 구성원이 임차인 퇴거를

확인하여 담당직원 업무 공백 최소화 (직원 출장비 수준으로 비용 지급)

- 임차인 퇴거 확인 시 해당 주택가격 및 신규 임차인 확보 가능성 검토결과를

보고받아 채권보전조치를 위한 근거 확보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거보호 이행도(전세금보증 이행 15일초과건수전체이행건수)

50 45 41 37 34

- 34 -

Ⅳ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및 적극행정 확산

①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국민참여게시판을 lsquo국민제안(국민rarr기관)rsquo

및 lsquo정책제안(기관rarr국민)rsquo 게시판으로 세분화하여 국민과 기관간

상시 소통기반 마련 경평지적

지적사항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위한 개선방안 마련 필요

(혁신 네트워크 강화) 시민참여혁신단 보증채권권익위원회 전세금

보증 시민참여단 기금홍보협의회 운영 등 주요사업에 기반하여

다양한 대외 전문기관과 네트워크 활성화 경평지적

지적사항 보증 기금등주요사업역량강화를위한전문기관혁신네트워크강화필요

② 적극행정 확산

(적극행정 면책제도 활용) 감사계획 통보 시 적극행정 면책제도

middot사전컨설팅 제도 사전안내 및 면책신청 지원을 위한 상담창구

운영 등 (계획수립 完 감사실-2367호)

(기관장 책임강화) 혁신전략위원회(위원장 사장)를 통해 적극행정

혁신과제에 대한 추진독려 및 이행사항 점검 등 보완사항 지속

발굴 (혁신페스티벌 1middot2차 개최)

(적극행정 우수사례 발굴)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를 통해 조직내

적극행정 분위기 유도 (포상 및 내부성과평가 반영 등)

성과창출에 실패했더라도 기존관행 탈피 새로운 영역개척 국민접점에서

활력을 제고하는 등 lsquo착한실패rsquo lsquo건전한파격rsquo에 대해서도 포상추진 예정

(적극행정 인식확산) 적극행정 사이버교육(법제처 주관) 이수 등

적극행정 인식확산을 위한 교육참여 시 혁신마일리지 부여 (전사 교육 실시 예정)

- 35 -

Ⅴ 혁신 추진도구별 업무일정

구 분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1 2 3 4 5 6 7 8 9 10 11 12

1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2 국민소통 강화

3 혁신페스티벌

4 유관기관 협업

5 혁신채널 구축

6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7 제안제도 정비

8 혁신콘서트

9 혁신교육 및 혁신워크숍

10 혁신레터

11 혁신마일리지 신설

12 혁신BP 발굴 및 포상

피드백

(성과관리) 공공기관 혁신 및 기관 경영혁신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혁신과제 추진실적을 정기적으로 점검 및 피드백

(혁신전파) 조직원 전체의 혁신공감대 형성 및 참여도 제고를 위해

본사부서 및 영업부서 방문 등을 통해 혁신활동 및 우수사례 공유

(혁신내재화) 국민소통채널 혁신마일리지 혁신레터 등 혁신활동이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고 혁신업무에 대해

조직원이 공감하고 회사 모든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

Page 5: 2019년 HUG 혁신 추진계획 - khug.or.kr…„HUG혁신추진계획.pdf · 혁신페스티벌 - (내부 혁신과제 발굴) 조직·인사·제도·서비스혁신 등 회사

- 4 -

2019년 HUG혁신 추진방향

2018년도 우리 공사는 ①추진조직 구성 ②국민소통채널 구축 ③성과지표

신설 등 기관혁신 추진체계를 마련하여 성과창출을 위한 기반 조성

2019년은 국민이 체감하는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고자 정부가 제시한 8대

과제중 공공성 제고 경제활력 제고 공정경제 기반 구축 3대 과제를

중점과제로 선정하고

middot ①소통기반 혁신추진 ②혁신프로세스 체계화 ③혁신문화 촉진 ④혁신지표

개선 등 4대 혁신대상을 마련하여 더욱 체계적인 혁신활동을 전개하고 함

적극행정 등 신규과제 발굴 및 경평 지적사항 등 미비점 개선활동 병행

기관

혁신

목표국민이 행복한 세상과 풍요로운 삶을 위한 혁신 리더

정부

3대혁신

방향

사회적가치 중심

기관운영혁신적 포용국가 선도 국민신뢰 회복

3대

중점

과제

1 공공성제고

2 경제활력제고

3 공정경제기반 구축

「공공기관 혁신가이드라인」 8대 과제 중 공사는 3대 중점과제 선정middot추진

4대

혁신

대상

1 소통기반

혁신추진

2 혁신 프로세스

체계화

3 혁신문화

촉진

4 혁신지표

개선

혁신

추진

도구

1)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2) 국민소통강화

3) 혁신페스티벌

4) 유관기관 협업

5) 혁신채널 구축

6)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7) 제안제도정비

8) 혁신콘서트

9) 혁신교육middot워크숍

10) 혁신레터

11) 혁신마일리지

신설

12) 혁신BP 가점

제도 개선

lt2019년도 혁신 추진체계gt

- 5 -

3대3대

중점과제중점과제 공공성 제고 경제활력 제고

공정경제

기반 구축

주요혁신주요혁신

과제목표과제목표

(~(~ rsquorsquo23)23)

서민 전세금보호 확대

[73만호][73만호]

사업다각화 고용증대

[39 증원][39 증원]

혁신도시 지역인재 채용

[33][33]

임대주택 공급지원 확대

[68만호][68만호]

도시재생 창업융자지원

[7702억원][7702억원]

사회적가치 사회공헌

[457억원][457억원]

도시재생뉴딜사업 융자

[65조원][65조원]

IT분야 일자리 창출

[177명][177명]

하도급업자 보호강화

[지역하도급업체 계약률 60][지역하도급업체 계약률 60]

사회취약계층 등 기금지원

[39조원][39조원]

공공기관 공동기금 조성

[425억원][425억원]

중소기업 진입장벽 해소

[중소기업 계약률 82][중소기업 계약률 82]

2019년 혁신가이드라인에 따라 적극행정 등 신규분야 과제 추가

포용적 공공서비스 혁신성장 지원 적극행정 확산

고아원 연계 보호종료

아동 월세보증금 지원 등

카카오페이를 통한

전세금보증 판매확대 등

위임전결기준 개선

통한 업무처리 혁신 등

lt 3대 중점과제별 주요 혁신과제 gt

3대 중점과제별 주요 혁신과제 5개년 목표 설정 (rsquo19~rsquo23)

- 2019년도 정부가 제시한 8대 과제중 3대 중점과제의 계량목표 설정

8대 과제 ①공공성 제고 ② 포용적 공공서비스 ③ 경제활력 제고 ④ 혁신성장⑤ 공정경제 기반 구축 ⑥적극행정 ⑦ 투명middot윤리경영 ⑧ 국민참여

lt 주요 혁신과제 예상 계량실적 gt

중점과제

주요 실행과제 목표중장기 목표치

`19 `20 `21 `22 `23

공공성 제고

middot서민 전세금보호 확대 보증실적 10만호 12만호 14만호 17만호 20만호

middot임대주택 공급지원 확대 임대주택공급 10550호 12450호 13695호 15065호 16570호

middot도시재생뉴딜사업 융자 출융자실적 5877억 11227억 15014억 16178억 16494억

middot사회취약계층 등 기금지원 대출실적 78조원 78조원 78조원 78조원 78조원

경제활력 제고

middot사업다각화 고용증대 정원 766명 903명 995명 1033명 1062명

middot도시재생 창업융자지원 융자실적 1510억 1548억 1548억 1548억 1548억

middotIT분야 일자리 창출 일자리 113명 16명 16명 16명 16명

middot공공기관 공동기금 조성 기금조성 10억 10억 10억 125억 -

공정경제기반구축

middot혁신도시 지역인재 채용 지역채용 21 24 27 30 33

middot사회적가치 사회공헌 기부금액 86억 89억 91억 94억 97억

middot하도급업자 보호강화 지역하도급업체계약률 규정개정 30 40 50 60

middot중소기업 진입장벽 해소 중소기업계약률 779 79 80 81 82

- 6 -

4대 혁신대상별 추진도구

❶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국민소통 강화 등 소통기반 혁신추진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 (대국민 아이디어 공모) 국민의견을 적극 반영한 신규과제 추가

발굴을 위하여 대국민 아이디어 공모전 개최

2019년도 대국민 아이디어 공모를 통해 6개 혁신과제 발굴

국민소통 강화

- (소통채널) 국민의견 수렴을 위해 운영 중인 시민참여혁신단 및

청년포럼(Off-Line)과 홈페이지에 대국민참여게시판(On-Line) 활성화

소통채널 구 성 현 황

시민참여혁신단 ∙ 교수 고객 유관기관 시민단체 언론계의 분야별 전문가 6인으로 구성

청년포럼 ∙ 대학생 청년사업가 12인으로 구성

대국민참여게시판 ∙ 공사의 정책제안 국민제안 아이디어 공모 시 모든 국민참여

혁신페스티벌

- (내부 혁신과제 발굴) 조직middot인사middot제도middot서비스혁신 등 회사 전 분야의

경영혁신 달성을 위한 전사 혁신페스티벌 추진 (부서 및 개인제안 공모)

유관기관 협업

- (SOC공공기관 통합기술마켓) 중소기업 기술 및 판로지원을 위하여

국토부 산하 10개 공공기관이 통합기술마켓 공동구축 추진

HUG LH 감정원 도로공사 코레일 인천middot한국공항공사 LX 철도시설middot교통공단

- 7 -

❷ 혁신채널 구축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등 혁신 프로세스 체계화

혁신채널 구축

- (혁신광장) 혁신관련 종합계획 정부정책 및 추진체계 등을 공유

하고 조직원의 아이디어를 상시 발굴할 수 있는 혁신광장 개설

지식채널(KM)에 개설하여 혁신제안혁신심사혁신BP 등 게시 전사 공유

lt혁신광장 구축(안)gt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 (프로세스 체계성 강화) 직원 제안사항을 단순제안혁신제안으로 분류

하고 혁신제안은 Bottom-up 방식 단계별 심사 후 혁신과제로 선정

직원제안은 사내인트라넷 內 혁신광장을 통해 연간 상시접수

lt혁신제안 심사 및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gt

구분 예비심사 1차 심사 2차 심사 혁신과제 확정

주요내용

∙단순제안혁신제안심사배제 제안으로 분류

∙예비심사에서 채택된 혁신제안을 대상으로 심사

∙1차 심사에서채택된혁신제안을 대상으로 심사 ∙혁신과제 추진

여부 등 중요사항 의결

채택요건

∙심사위원 34이상 참여과반수 이상 시 단순제안및 혁신제안으로 채택

∙심사위원 34이상 참여기준 점수 이상 시 혁신제안으로 채택

∙심사위원 34이상 참여과반수 이상 시 혁신과제로 채택

주체혁신 변화요원

(팀원)혁신리더(팀장) 본사 부서장 혁신전략위원회

(사장 부사장 등)

제안제도 정비

- (규정개정) 혁신과제 선정절차 및 혁신 평가방식 개선 등을 위해

혁신제안 관련규정 정비

혁신제안제도 운영기준 및 혁신마일리지 운영기준

- 8 -

❸ 혁신콘서트 혁신레터 등 혁신문화 촉진 경평지적

지적사항 혁신역량 강화 교육 체계화 및 활성화 필요

혁신콘서트

- (혁신공감대) 혁신우수사례(BP) 및 혁신노하우를 발표middot공유하고

시상식 등을 개최하여 조직원의 공감대 형성 및 동기부여

- (전사 참여) 조직원 전체가 참여할 수 있도록 추진하되 단독 또는

한마음 단합대회 개최 시 관련부서와 협의하여 공동 추진 검토

혁신교육 및 워크숍 확대운영

- (혁신교육) 창의적 조직문화 학습을 위해 혁신 선도적 공공민간

기업의 우수사례를 주제로 전직원 대상 정기교육 실시

2018년도 조직문화 혁신교육 우아한형제들 - ①규율 속 자율 경영

②창의적 업무환경조성 ③일상적 소통경영 등

- (혁신워크숍) 혁신문화 촉진과 조직원의 수용력 제고를 위해 혁신

담당자 중심으로 혁신워크숍 실시

전사혁신리더및변화요원대상혁신관련정부정책middot평가방식공유 혁신추진공감대형성등

혁신레터

- (혁신메시지) 조직원의 혁신업무 이해도 제고를 통한 혁신 실행력

강화를 위해 혁신메시지 제도 시행

middot 혁신전략 혁신계획 혁신과제 등 혁신업무 전반에 대해 카드뉴스를

제작하여 전사 포털(Portal) 화면에 팝업창을 통해 게시

현재 전사포털 팝업창을 통해 윤리경영 자가점검 칭찬감사릴레이 등 시행중

- 9 -

❹ 혁신마일리지 신설 혁신BP 가점제도 개선 등 혁신지표 개선 경평지적

지적사항 혁신역량 강화 교육 체계화 및 활성화 필요

혁신마일리지 신설

- (혁신활동 평가강화) 혁신 과제선정middot이행 국민소통 혁신활동

등 혁신업무 전 영역에 마일리지를 부여하여 혁신평가의 변별력

제고 및 보상체계 강화

과제선정(최대10점) 과제이행(최대20점) 국민소통(최대20점) 등혁신마일리지차등부여

HUG 혁신마일리지 추진 체계

국 민업무혁신middot성과중심의 혁신마일리지 관리체계 구축 우수과제

선정 및

전파

제안등록 과제선정

(최대 10점) 과제이행

(최대 20점)

국민소통(최대 20점)

혁신활동(최대 10점)

마일리지

내평반영 및

포상 제안의

난이도에 따른

차등 점수

단순제안혁신

제안우수제안

이행

국민의견을

반영한

제안과제 이행

혁신콘서트

혁신특강 등

개인 역량강화H U G

혁신제안의 수준과 부서 및 직원의 혁신기여도에 따른 차등 마일리지 부여

혁신BP 가점제도 개선

- (가점확대) 혁신페스티벌 대국민아이디어 적극행정 혁신성장 등

BP경진대회를 통한 우수사례 발굴 및 내평(성과향상기여도) 가점 확대

[현행] 본사부서(최대 17점) 영업부서(최대 05점) rarr [개선] 본사(최대 2점) 영업(최대 1점)

- 10 -

Ⅲ 2019년 HUG혁신과제

2019년은 기존 중장기 35개 과제에 국민참여 6개 과제 기관 내부

발굴 10개 과제를 추가하여 총 51개 혁신과제를 추진할 예정임

HUG 혁신과제 (2018년) 38개 rArr (2019년) 51개

(중장기 과제) (lsquo18) 38개 과제 rarr 대내외 환경변화로 (lsquo19) 35개로 조정

(국민참여) 2019년 대국민아이디어 77건 중실현가능성등검토하여최종 6건선정

(내부발굴) 2019년 직원제안 236건 중 실현가능성 등 검토하여 최종 10건 선정

HUG 혁신과제 목록 (2019년 공공기관 혁신가이드라인 8대 과제별 분류)

연번 ① 고유업무 공공성 제고 비고

1 전세금보증 가입문턱을 낮추어 서민의 전세금 보호 강화 중장기

2 주택도시기금 지원확대로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역할강화 중장기

3 임대주택 공급지원 확대로 서민 주거복지 증대 중장기

4 주택도시기금 신규상품 개발을 통한 도시재생뉴딜 활성화 중장기

5 제도에서 전산까지 온오프라인 안심시스템 구축 중장기

6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전사 경영전략체계 구축 중장기

7 도시계정의 체계적 관리를 통한 도시재생 활성화 중장기

8 국민과 함께하는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 중장기

9 민관협력사업으로 주거취약지구 주거환경 개선 중장기

10 도시재생 맞춤형 스타트업 총괄지원 플랫폼 도입middot운영 국민

11 도시재생 생태계 조성을 위한 종합지원 플랫폼 구축 국민

12 분양이행사업장 수분양자 보호 내부

- ② 포용적 공공서비스 제공 강화 -

13 인터넷보증시스템 개선으로 전세금보증 이용편의성 제고 중장기

14 주택도시기금 대출절차 간소화를 통한 대국민 서비스 향상 중장기

15 고아원연계 보호종료아동 월세보증금 지원 제도 국민

16 HUG 이용고객 편의성 제고를 위한 플랫폼 구축 국민

- 11 -

17 전세금보증 인터넷가입에 필요한 데이터 자동화 구축 국민

18 사회임대주택 활성화를 위한 조직 혁신 내부

19 상담서비스 고도화를 통한 고객만족도 제고 내부

20 공공정보 연계 통한 서류제출 절차 간소화 내부

- ③ 경제활력 제고 및 일자리 중심 경제 지속 지원 -

21 사업다각화를 통한 고용증대 및 비정규직 ZERO화 중장기

22 주거복지 및 도시재생을 위한 창업공간 금융지원 중장기

23 IT선진화를 통한 민간일자리 창출 중장기

24 공공기관 공동기금 조성을 통한 지역 사회적경제 활성화 중장기

25 상가임차금 안심대출 상품개발 중장기

26 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중장기

- ④ 혁신성장 지원 -

27 비대면 전세금보증을 통한 혁신성장 기반 마련(카카오페이를 통한 가입확대 등) 중장기

28 국민 주거편의 제공을 위한 스마트시티 건설 지원 중장기

29 HUG 빅데이터 운영체계 구축으로 공공데이터 개방 기여 중장기

30 친환경middot신소재 활용으로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제로에너지 건축물 건설자금지원 등) 중장기

31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비대면 가입 활성화 중장기

32 전기자동차 도입을 통한 친환경 에너지 수요 창출 중장기

33 드론 활용을 통한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 중장기

34 드론활용 사업장 안전관리 및 점검체계 구축(시범단지운영) 중장기

35 블록체인을 활용한 안전하고 편리한 인터넷서비스 제공 중장기

36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사업 국민

- ⑤ 공정경제 기반 구축 -

37 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 진입장벽 해소 중장기

38 공정경제를 위한 지역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업자 보호강화 중장기

39 고용위기지역에 대한 금융지원 추진 중장기

- ⑥ 적극행정 확산 등 조직운영 혁신 -

40 근로여건 개선을 통한 휴식 있는 삶 지원 중장기

41위임전결기준 개선을 통한 업무처리 혁신(결재피로감 낮추고 책임ㆍ권한 공백없이 업무는 신속하게 )

내부

42 지출신청 시 영수증 증빙 제출제도 개선 내부

- 12 -

HUG 혁신과제 세부추진 내용

1 사회적 가치중심 기관 운영

(1대 과제) 고유 업무의 공공성 제고 중점

43 PF보증심사 시 월별예정 분양률 분포의 계량화 내부

44 논스톱 고분양가 심사 내부

45 임대리츠 통계 및 사후관리시스템 개선 내부

- ⑦ 투명middot윤리경영 강화 -

46 청렴도 향상을 위한 반부패 활동 강화 중장기

- ⑧ 국민의 참여 확대 및 지역사회 공헌 -

47 혁신도시 맞춤형 지역인재 육성 지원 및 인재채용 투명성 강화 중장기

48 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사회공헌사업 확대 추진 중장기

49 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중장기

50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국민이 참여하는 HUG사업평가단(가칭) 운영 중장기

51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과 협업하여 효율적인 전세금보증 이행 내부

실행과제

(1)전세금보증가입문턱을낮추어서민의전세금 보호 강화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서민의전세보증금을지켜주는최선의안전장치 lsquo전세금보증rsquo 활성화추진

(추진내용)

∙ 보증가입 편의성 제고 및 채널 확대를 통한 전세금보증 활성화

- 모바일 전세금보증 편의성 지속 개선middot확충

- 공인중개사 전세금보증 위탁판매 활성화 등

∙ 사회배려계층 맞춤형 보증제도 개선 등을 통한 공적역할 강화

- 보증가입기간 확대 등 임차인 보호를 위한 전세금보증 지원

- 보증서비스 품질 개선 등을 위한 전문가 의견수렴 등

추진목표

보증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0만호(21조원)

12만호(25조원)

14만호(30조원)

17만호(36조원)

20만호(43조원)

- 13 -

실행과제

(2)

주택도시기금 지원확대로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역할강화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무주택middot실수요 서민주거 안정지원을 위한 대출제도 개선 및 주거복지

로드맵 정책지원을 통한 맞춤형 주거지원으로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마련

(추진내용)

∙ 신혼부부middot청년층 기금대출 지원 확대

- 신혼희망타운 수익공유형 모기지대출 출시

- 신혼부부 기간 확대 (5년 rarr 7년)

- 청년층 청약 가입요건 완화 등 제도 개선 및 운영보완

- 고시원 주거급여 거주자 등에 대해 주거안정월세대출 대상자에 포함

∙ 자산기준 도입 서류간소화 등 기금대출 제도 개선

추진목표

사회취약계층 등 기금지원 (수요자 대출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78조원 78조원 78조원 78조원 78조원

`19~`23 목표는 매년초 국토부 최종안 확정안 국회승인을 거쳐 목표치 확정

실행과제

(3)임대주택 공급지원 확대로 서민 주거복지 증대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사회임대주택 공급 활성화

(목적) 주거약자를 위한 정부 사회임대주택 공급 활성화 정책 지원 및

공사의 공공성 역할 확대

(추진내용)

∙ 사회임대주택 보증 확대를 위한 제도개선 및 공급 활성화를 위한 금융 지원

∙ 사업관련 주체의 유기적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홈페이지 구축

∙ 공급활성화 여건 조성을 위한 사업자 육성 및 홍보 강화 및 유관기관 협업

임대리츠 관리체계 개선 및 공모를 통한 공급확대

(목적)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등 리츠를 통한 임대주택 공급 활성화를

통해 국민 주거복지 증진 도모

(추진내용)

∙ 서민 주거복지 강화를 위한 임대리츠 기금출자 제도 개선

∙ 민간임대사업자 참여 유도를 위한 공모사업 활성화

∙ 임대리츠 공공성 강화를 위한 심사관리 체계 개선 및 기금출자심사 실시

∙ 임대리츠 관련 정부정책 추진 지원을 위한 다각적 홍보 추진

∙ HUG形 민간제안 공모방식 확대로 임대주택 공급 강화

추진목표

사회임대주택 보증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50호 900호 990호 1089호 1197호

리츠를 통한 임대주택 공급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0500호 11550호 12705호 13976호 15373호

HUG 민간제안공모 공고 세대수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rsquo23년

8000세대 8500세대 9000세대 10000세대 10500세대

- 14 -

실행과제

(4)주택도시기금신규상품개발을통한도시재생뉴딜활성화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도시재생뉴딜 맞춤형 금융지원 확대 (목적) 도시재생 사업유형 확대에 대응한 맞춤형 기금지원 상품 개발운용 (추진내용)∙ 소규모 재생사업 및 주택정비 활성화를 위한 금융지원 확대∙ 도시재생 경제조직 활성화를 위한 금융지원 프로그램 도입 도시재생뉴딜 활성화를 위한 기금지원 운용체계 개선 (목적) 명확한 업무기준효율적 수행방안을 확립하여 도시계정 양적질적확대에 대응 및 뉴딜정책 활성화에 기여

(추진내용)∙ 도시재생 금융지원 접수middot심사체계 개편으로 국민불편 해소∙ 도시재생 금융지원 사후관리 체계 확립으로 안정적 기금운용 및 공공성 실현

추진목표

도시재생 금융지원 출융자 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5877억원 11227억원 15014억원 16178억원 16494억원

도시재생 금융지원 심사사업장관리 운용체계 개선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5건 5건 5건 5건 5건

실행과제(5)

제도에서 전산까지 온middot오프라인 안심시스템 구축 담당부서정보운영처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응하는 정보보안체계 구축

(목적) 4차 산업혁명시대 기술(IoT BigData AI 등) 변화에 맞는 선제적인 정보

보안 체계 수립과 능동적인 정보주체의 권리 보장

ㅇ (추진내용)

∙ 선진화 정보보안 체계 구축 컨설팅

주택건설사업장 사회안전망 플랫폼 구축

(목적) 주택관리사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으로 사고로 인한 분양계약자의

입주지연 및 보증사고 위험 등을 사전에 예방하여 국민의 편익 증진

(추진내용)

∙ 사업장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보증사업장 현장점검 규정 개정

- 사업장안전관리강화를위한안전점검업무신설및안전관리우수고객우대제도운영

∙ 드론을 활용한 보증사업장 동영상 촬영 및 제공으로 분양계약자 정보제공 강화

- 현재 앱을 통한 사업장 현장사진 제공을 드론을 이용한 동영상 제공으로 확대하여

분양계약자 정보제공 강화

추진목표

국정원 정보보안 관리실태 점수 행안부 개인정보보호 진단 점수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공공기관평균점수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 5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10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15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20

보증사업장 안전사고로 인한 공사 지연 건수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0건 0건 0건 0건 0건

- 15 -

실행과제(6)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전사 경영전략체계 구축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공공기관의 lsquo공적역할 강화rsquo 및 lsquo사회적 책임실현rsquo이라는 국정기조 변화에 부응

하기위한공사의新경영전략수립

(추진내용)

∙ 고유 업무의 공공성 제고를 위한 사업전략 재수립

- 사회통합형 주거복지 실현을 위한 공적금융 지원 전략 수립

- 소규모 도시재생사업 활성화를 위한 단계별 공사 역할방안 마련

∙ 사회적 가치 기반 전사 기능전략 및 중장기 경영목표 재수립

- 공적역할 확대 및 사회적 책임 구현을 위한 부문별 기능전략 수립

추진목표

사회적가치 기여도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최우수 최우수 최우수 최우수 최우수

청렴도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등급 1등급 1등급 1등급 1등급

실행과제(7)

도시계정의 체계적 관리를 통한 도시재생 활성화 담당부서기금정보처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목적) 노후주거지 주민과 사회적기업 등이 필요로 하는 자금을 적시에 원활히 지원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도시계정 관리 추진

(추진내용)

∙ 연체관리 프로세스 정립을 통한 기금손실예방

- 연체 단계별 업무처리 프로세스 마련을 통한 융자사고방지

- 도시계정 융자원리금 수납기준 마련

- 융자사고관리 방안 마련

∙ 고객신용관리 체계구축을 통한 사고예방 모니터링 확대

- 고객신용관리 모니터링 체계구축을 통한 사고예방관리

- 도시계정 신용정보집중 처리기준 프로세스 마련

- 도시계정 신용정보관리 전산시스템 구축 일반신용정보관리규약에 따른 도시계정 신용정보 파일전송 설계서(전문) 작성

공사 신용정보 집중 시스템과 병합 추진

∙ 도시계정 자금관리 체계정립을 통한 도시재생활성화지원

- 도시계정 예산확대 신규 금융기법적용 등 도시계정 특성을 반영한 회계middot결산

자금관리 업무기준 확립 정형화된 담보가 아닌 수요자사업자 특성을 고려한 맞춤 담보제공 자금투입 공공성 확보를

위한 엄격한 융자조건 부여

- 회계middot결산 자금관리 업무전산화를 통한 효율화 정책지원기능 확대

추진목표 (비계량) 2019년 융자사고예방을 위한 연체관리 자금관리기준 수립 및 개선

- 16 -

실행과제(8)

국민과 함꼐하는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 담당부서보증이행처

준법지원실

추진내용

(목적) 국민참여를 통한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의 수용성 제고 및 주거

복지 실현 위한 공동주택 하자 조기대응ㆍ감축방안 모색

(추진내용)

∙ 하자분쟁 해결체계 관련 국민 공유ㆍ소통 프로그램 운영

- 국민과 함께하는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 계획 수립

- lsquo공동주택 실무강좌rsquo 동행을 통한 하자관련 주요이슈 대국민 공유ㆍ소통- 국민참여 하자정보 공유 4회(서울 인천 수원 의정부) 및 하자실무 법률상담

∙ 국민 참여 확대를 통한 정책 개선 노력

- (lsquo1810) 대국민 의견수렴을 위한 하자분쟁 컨퍼런스 개최

middot 하자분쟁 예방을 위한 관계규정 검토 및 정책 논의

middot 행정청 학계 법조계 및 입주자대표회의 관련 다수 국민 참여

∙ 소규모사업장 청구 전 하자보수보증 사전안내제도(BS Before Service) 실시 검토

소규모사업장 150세대 미만 사업장 중 대위변제가 없는 2년차 하자보수보증 만료6개월 전 사업장

추진목표

대국민 참여도산출근거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참여횟수6회참여인원300명

참여횟수8회참여인원400명

참여만족도85점 이상

정책국민의사반영1회이상

정책국민의사반영1회이상

횟수당50명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점수(관리본부) 목표치산출근거구분 rsquo18년 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등급 A A A A A 목표 A등급 이상

실행과제(9)

민관협력사업으로 주거취약지구 주거환경 개선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목적) 공사의 사회적 가치경영 실행을 위해 새뜰마을(취약지역 개조사업) 주거

여건 개선을 지원하는 민관협업 사회공헌사업 추진

(추진내용)

∙ 중앙부처 공공기관 민간기업 등이 지역 주민과 함께 도시취약지역 내 노후주택에

대한 주거환경개선 열효율화 사업 추진

- 새뜰마을중고령화 노후화등으로사업추진이절실하고 지역사회참여정도등을 고려

하여성과가 가시화될수있는지역선정추진

∙ 주거취약지역 환경개선 관련 민관협업사업 MoU 체결 추진

- 국토교통부 HUG LH KCC AURI 해비타트 등 협약 체결을 통해 집수리 자재 및

전문인력 후원금 지원 추진

∙ 도시취약지역 지원 효과 분석 및 사업추진 매뉴얼 마련

- 지역기초조사 사업전후 효과분석 등 성과관리 새뜰마을 매뉴얼 제작보급

추진목표새뜰마을 지원대상 확대 건수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5건 5건 5건 5건 5건

- 17 -

실행과제(10)

도시재생 맞춤형 스타트업 총괄지원

플랫폼 도입middot운영담당부서

인사처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도시재생과 관련된 스타트업 및 소셜벤처에 대한 종합적 지원

(추진내용)

∙ HUG형 도시재생 뉴딜 창업 프로젝트 추진

- 사회적 경제조직 육성기관(함께일하는재단) 대중투자 전문기관(와디즈)과 협업

- 사회적 경제조직 컨설팅 지원

- 대중투자 연계 통한 일자리 창출 및 사회적 경제 활성화 지원

∙ 스타트업 및 소셜벤처에 대한 사회적 금융 지원

∙ HUG 창업 라운지(스타트업 기업에 공간 공유) 확대 운영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사회적금융지원금액 1억 1억 1억 1억 1억

공간지원스타트업수 6 8 10 12 14

멘토링middot창업캠프개최회수 5 5 5 5 5

실행과제(11)

도시재생 생태계 조성을 위한

종합지원 플랫폼 구축담당부서

기금정보처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종합적인 도시재생정보 공유체계 구축을 통해 기금 지원된 도시재생사

업에 대한 정량적 정보 및 사후지원 청년middot예비창업자 참여를 위한 HUG 정책

지원 정보를 기금포털 내 일괄 제공

(추진내용)

∙ 전국 기금이 활용된 도시재생 사업장 정보 제공(lsquo도시재생 기금지도rsquo 서비스)

- 지도 API 기반의 도시재생 기금지원 사업장 정보조회 서비스

- 전국 분포된 사업장의 위치부터 융자금액까지 상세정보를 편리하게 검색

- 실제 사례와 이용 상품 정보를 함께 제공하여 정보이용자 이해도 제고

∙ 기금 사업장 홍보 지원 및 청년창업 지원 정보 일괄 제공(전용 게시판 신설)

- 사업장 및 보유시설(코워킹시설 임대시설 등) 홍보 위한 전용공간 마련

- 기금지원 사업의 우수사례 정보공유를 통한 벤치마킹 및 정보이용자 관심유도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기금지도 서비스 개시 서비스구축middot개시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우수사례 발굴 건수 8 8 8 8 8

- 18 -

(2대 과제) 포용적 공공서비스 제공 강화

실행과제(12)

분양이행사업장 수분양자 보호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분양대금채권 지연손해금율 하향조정 등 분양계약자 부담완화를

통한 국민 주거안정 기여

(추진내용)

∙ 분양계약자 지연손해금 관련 주택분양보증약관 개정

- 분양계약자의 분양계약서상 지연손해금율이 시행사 구상채권 지연손해금율

보다 높은 사례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공사 내규와 분양계약서상 지연손해

금율 중 낮은 것을 적용하도록 약관 규정 개정 (시행사 동의서 징구)

추진목표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 점수(관리본부)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901 915 933 951 971

실행과제(13)

인터넷보증시스템개선으로전세금보증이용편의성제고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인터넷보증 시스템 개선을 통해 고객의 전세상품 보증서비스

편의성 및 접근성을 강화하여 서민 주거안정성 개선 지원

(추진내용)

∙ 인터넷 보증시스템 재구축 추진(lsquo20~lsquo21)

- (현행) 인터넷 익스플로러 이외의 웹브라우저 미지원

- (재구축) 구 운영체제 지원종료 대비 및 지원 플랫폼(구글 크롬 등) 확대를

위한 시스템 재구축 예정

∙ 모바일 보증시스템 구축 추진(lsquo19)

- (현행) PC 중심의 제한적인 보증가입 서비스 제공

- (비대면 서비스 강화) 모바일 보증시스템 구축 추진

추진목표

비대면 보증가입 점유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0 12 14 16 18

- 19 -

실행과제

(14)주택도시기금대출절차간소화를통한대국민서비스향상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서민실수요자 지원 강화 및 이용자 편의 제고 등을 위한 주택도시

기금 구입전세 대출의 자산심사 도입

(추진내용)

∙ 자산심사기준 도입을 통한 정책자금의 실수요자 집중 지원

∙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구축을 통한 대출절차 간소화

∙ 전담 수행조직 운영 및 수탁은행 역할 재정립 등을 통한 대국민 서비스 제고

추진목표

대출절차 혁신 시스템 운영 체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자산기준 마련기금법령 개정시스템 개발오픈수요자대출상품운영

수요자대출 全상품 시스템 안정화제도개선 및 모니터링

他 기금상품 (주택종합청약저축)도입 검토 및 적용

실행과제

(15)고아원연계 보호종료아동 월세보증금 지원 제도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고아원 보호기간이 종료됨에 따라 주거지원이 필요한 아동에게

주택임차자금 지원 및 보증상품 개발

(추진내용)

∙ 긴급 주거지원이 필요한 아동의 가정에 주택임차자금 지원∙ 고아원 보호종료 아동 대상 전세월세보증금보증 할인 상품 개발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택임차자금지원 세대 수

10 20 성과분석 후 확대 검토

고아원보호종료아동대상상품가입자수

상품개발추진 제도개선 추진

실행과제

(16)HUG 이용고객 편의성 제고를 위한 플랫폼 구축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객과의 소통채널 확대방안의 일환으로 24시간 고객상담 제공

(추진내용)

∙ 단순 문의 SMS 발송

- 위탁은행 신청서류 등 전세보증 관련 간단 정보 문자발송 ARS실시(완료 `195월)

- 업무시간 종료 후에도 단순문의에 대한 SMS문자안내 서비스 추진

∙ 콜센터와 지사 상담이력 공유

- 콜센터 상담시스템과 차세대 시스템을 연계 고객별 상담이력 조회화면 구축

∙ 보이는 ARS 서비스 도입

- 기존의 음성 서비스와 함께 스마트폰을 통해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바로

연결하고 직접 통화하지 않아도 간편문의를 처리할 수 있는 보이는 ARS 실시

추진목표 2019년 챗봇서비스 DB구축 검토 2020년 챗봇 서비스 도입 검토

- 20 -

실행과제

(17)전세금보증 인터넷가입에 필요한 데이터 자동화 구축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가입을 간편하게 하여 정보사각지대에 있는 고객의

보증 가입 편의성 강화

(추진내용)

∙ 주택가격정보middot등기부등본 데이터 자동입력 시스템 마련

- KB시세 한국감정원 국세청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와의 협약 통한 시스템 연계

- 직접협약 외에도 부동산 권리변동정보 제공기관을 통한 중계서비스 도입 검토

∙ 인터넷보증시스템 전세금보증 신청절차 개선

- 전자연계 가능한 서류의 데이터 자동입력 프로세스 개발

- 보증심사시 담당자가 전자 원본 서류를 확인할 수 있는 화면 개발

추진목표

데이터 입력시스템 구축 및 운용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연계방안검토

협약체결 전산연계 운영 및 보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18)

사회임대주택 활성화를 위한 조직 혁신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사회임대주택 금융지원제도 담당부서 일원화로 속도감 있는 제도개선 등

사회임대주택 활성화 지원

(추진내용)

∙ 기획조정실 사회임대주택 총괄부서 지정을 위한 조직개편 추진

- 현행 사회임대PF보증(금융기획실) 토지임대middot기금출융자(도시재생기획처 기금지원처)

- 개선 도시재생기획처로 일원화하여 사회임대주택 복합금융 지원업무 총괄

한 부서에서 기금 출middot융자 보증지원까지 원스톱 상담으로 고객 만족도 제고

추진목표 2019년 조직개편 완료

실행과제

(19)상담서비스 고도화를 통한 고객만족도 제고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객상담데이터 체계적 관리middot활용을 통한 대국민 서비스 질적 향상

(추진내용)

∙ 차세대(전산)업무시스템 및 콜센터 시스템을 연계하여 상담이력 공유- 콜센터 외에도 지사 직원의 고객상담이력을 저장할 수 있도록 차세대시스템 내화면 구축 콜센터의 상담이력 역시 차세대 시스템에 저장 및 관리

∙ 보이는 ARS서비스 실시 및 단순문의안내 SMS 발송 서비스 실시middot활성화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콜센터전산시스템연계

시스템구축

시스템개발완료및 운용

시스템운용

시스템운용

시스템운용

신규 서비스출시

보이는ARS검토

보이는ARS출시

보이는ARS운용

보이는ARS운용

보이는ARS운용

- 21 -

2 혁신적 포용국가 선도

(3대 과제) 경제활력 제고 및 일자리 중심 경제 선도 중점

실행과제

(20)공공정보 연계 통한 서류제출 절차 간소화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필요한 서류를 간소화함으로써 대국민서비스 질 제고 (추진내용)∙ 필요한 서류 등을 공사 전산으로 조회 가능한 시스템 구축∙ 기금대출절차 혁신 시스템과 연계

추진목표 ∙ (비계량) 필요서류 전산조회 시스템 구축

실행과제

(21)사업다각화를 통한 고용증대 및 비정규직 ZERO화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서민 주거복지 도시재생 활성화 지원 등을 위한 기관 자체의 적극적인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공기업 서비스 제고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증원 및 채용 확대- 신사업 발굴 및 자율정원제를 통한 적극적인 증원-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청년 및 지역 인재 채용∙ 사회 양극화 해소를 위한 비정규직 ZERO화- 노사 공감대에 기반한 정당한 절차를 통한 전환 추진 및 전환근로자 처우 개선 노력

추진목표정원 비정규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766명 0명 903명 0명 995명 0명 1033명 0명 1062명 0명

실행과제

(22)

주거복지 및 도시재생을 위한

도시재생 창업공간 금융지원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도시재생 금융상품을 통한 창업지원 (목적) 창업과 관련한 도시재생 금융상품을 통해 민간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창업 관련 수요자 중심형 기금융자 및 보증상품 개발 운용- 코워킹시설조성 상가리모델링 공공임대상가 등 기금융자 지원

도시재생뉴딜 금융지원을 위한 사회적 금융 연계 지원 (목적) 도시재생분야법인단체창업관련크라우드펀딩 및 창업지원 컨설팅 추진 (추진내용)∙ 도시재생분야에대중투자연계일자리창출및지역주도사회적경제활성화지원- 뉴딜로 도시재생 크라우드펀딩 대회 개최 등∙ 도시재생 창업단체에 대한 지원을 위해 HUG형 민간일자리 창출 프로젝트 추진- HUG와 함께하는 도시재생 뉴딜 창업프로젝트 추진 및 사회적 경제조직 활성화

추진목표창업지원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510억원 1548억 1548억 1548억 1548억

- 22 -

실행과제

(23)IT선진화를 통한 민간일자리 창출 담당부서

기금정보처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고유목적사업인 주택보증 주택도시기금 및 도시재생분야의 IT 시스템

구축 및 개선을 통한 민간 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 주택도시기금 정보시스템 통합 유지보수

- (추진기간) 유지보수 사업의 특성으로 매년 발생

- (일자리창출) 2019년(8명) 2020년 sim 2023년(매년 16명)

∙ 도시재생 금융지원 전산시스템 구축

- 도시재생융자등원활한도시계정업무를뒷받침하기위한온라인금융지원시스템구축

- 추진기간 2018년~2019년 투입금액 및 인력 51억원 41명

∙ 주택도시기금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구축

- 주택도시기금 대출절차 편의 제고 및 절차 간소화 시스템 구축

- 추진기간 2018년~2019년 투입금액및인력 컨설팅용역43억원 12명 전산용역74억원52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기금업무 운영 유지보수 8 16 16 16 16

도시재생 융자시스템 41 - - - -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64 - - - -

합 계 177

실행과제

(24)

공공기관 공동기금 조성을 통한

지역 사회적경제 활성화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이전지역 기관간 협업을 통한 사회적경제 활성화로 지속가능한 일자리

제공 지역경제 활성화 추진

(추진내용)

∙ 부산 사회적경제 지원기금(BEF) 지원을 통한 사회적기업 육성 및 지원

- Pilot Program (크라우드펀딩) 20개소 창업단계 재정지원 5개소 Start-up 재정지원

15개소 Scale-up(성정기 기업) 대출지원 5개소 BEF 경영컨설팅 50회 BEF

사회적기업 연구가 인재육성 실시 2회 BEF 판로지원 5개소 등

추진목표

기금지원 (자체 공동)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억원(10억원)

1억원(10억원)

1억원(10억원)

1억원(125억원)

-

- 23 -

(4대 과제) 혁신성장 지원

실행과제

(25)상가임차금 안심대출 상품개발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도시재생지역 내 상가임차인 보호를 위한 상가임차금안심대출 개발

(추진내용)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법령 개정 검토

-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등 관련 법령 개정안 검토

- 법령 개정안 정부 건의 (우선변제권 승계기관 포함)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시장분석 및 조사(`20)

- 상가임차보증금 시장분석 및 보증이용 수요조사

- 보증료율 검토 및 리스크 분석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출시(`21)

- 사규개정 및 법령개정 완료

추진목표

상가임차보증금 상품 출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내부검토 법령개정 시장분석 상품출시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26)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사고 위기사업장과 보증실적의 증가로 사전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및 정기 점검활동 강화 및 핵심업무 역량집중 강화

(추진내용)

∙ 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 현장점검 대상사업장을 파악하여 외주용역을 통한 점검 추진 검토

추진목표 ∙ 2019년도 현장점검 외주화

실행과제

(27)

비대면 전세금보증을 통한 혁신성장 기반 마련

(카카오페이를 통한 가입확대 등)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모바일 전세금보증

스마트폰을이용해언제 어디서든쉽게보증을신청할수있도록모바일가입채널마련

∙ (모바일 인터페이스) 인터넷 전세금보증 프로세스를 모바일웹에 최적화하여 로그인

부터 보증가입 승인까지 전 프로세스 지원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위탁은행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증가입 프로세스 개선

(현행) 임차인이 선순위 채권 등 보증가입정보를 입력

(개선) 임차인은개인정보및계약정보만입력하고세부심사에필요한정보는심사자가입력

모바일 안심대출보증

위탁은행 비대면 전세금 안심대출 상품 개발

추진목표 2019년 전세금보증의 완전한 모바일 가입체계 구축

- 24 -

실행과제

(28)국민 주거편의 제공을 위한 스마트시티 건설 지원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목적) 핵심 국정과제인 스마트시티 분야의 금융지원 플랫폼으로서 주택도시기금지원 기반 모색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검토 및 금융상품 초안 마련

(추진내용)

∙ 민간사업자 의견 수렴 및 스마트시티 기금 금융지원 상품 초안 마련 -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및 주요 요소기술산업 등 동향 파악- 민간사업자 의견수렴을 바탕으로 실질적 금융지원이 가능한 상품 개발 추진∙ 주택도시기금법 개정안 마련 및 정부 건의∙ 스마트시티 건설사업장에 대한 보증료 할인 또는 보증심사 가점부여∙ 스마트시티 건설 신공법 소개 및 성공사례 공유

추진목표금융지원 확대 건수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건 1건 2건 3건 3건

실행과제

(29)HUG 빅데이터운영체계구축으로공공데이터개방기여 담당부서

주택도시

금융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기관 내middot외부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주택middot도시middot금융 분야의 환경 변화를진단함으로서 4차산업 혁명시대 도래에 따른 선제적인 대응 체계 마련

(추진내용)

∙ (1단계) HUG 빅데이터 기반 주택시장 분석 인프라 설계 및 로드맵 수립∙ (2단계) HUG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구축 및 모델 개발∙ 수요자(국민middot정부middot공사)별 빅데이터 활용 영역 확대 및 분석 기능 고도화

추진목표공공데이터 외부개방(제공) 건수 (오픈API포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38건 42건 46건 51건 56건

실행과제

(30)

친환경middot신소재 활용으로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

(제로에너지 건축물 건설자금지원 등)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주택건설사업장에 친환경middot신소재 사용을 유도함으로써 환경 친화적 주택건설과 에너지신산업 판로지원

(추진내용)

∙ 친환경 제품 및 에너지 신소재 제품사용 주택건설사업장에 보증심사 가점부여(완료)- (`1812) 녹색건축물인증등급부여고객보증심사시초기예상분양율 5〜1점가점부여

∙ (추진) 신소재 적용 주택건설사업장 확대를 위해 보증심사시 가점부여

- SOC 공공기관 통합기술마켓과 연계한 보증우대 방안 마련 중소기업이 보유한 SOC 공공기관 관련 혁신기술의 공모middot연구개발 제안 및 검증을

통해 상품화 및 홍보middot판매를 지원하는 플랫폼

추진목표

친환경적 주택건설 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

- 25 -

실행과제

(31)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비대면 가입 활성화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9개 수탁은행에 온라인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 독려

연령 무주택세대주 소득증빙 등 가입 시 제출서류가 많아 비대면 시스템 구축 시

지점방문 없이 간편하게 가입 가능

신한은행 최초로 완전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821)

비대면 가입 주택도시기금포털에 안내 및 홍보

비대면 가입 시스템 기금포털 홍보 게시하여 수탁은행 시스템 개발 독려

추진목표 목표비대면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전체 가입의 6 전체 가입의 12

실행과제

(32)전기자동차 도입을 통한 친환경 에너지 수요 창출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업무용 차량의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ㅇ 2018년 임차기간 만료예정인 업무용 차량을 전기자동차로 대체

ㅇ 추후 본사 및 영업부서 업무용 차량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추진목표 2019년 중 전기자동차 1대 충전소 1개소 설치실행과제

(33)드론 활용을 통한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기술middot제품에 대한 선제적 구매 및 테스트와 고유사업에 활용

으로 민간 초기시장 조성을 견인

(추진내용)

∙ 보증이행사업장 드론 안전점검 시범실시

- (`1812) 예산 미편성으로 1개 사업장 드론촬영 시범실시 및 효용성 검토

∙ 보유중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에 드론 활용 확대

- (`196) 전문엔지니어링 업체 발굴로 일자리 창출 및 보유 사업장 전체(2개)에

드론 활용 안전점검 실시 rArr 위험요소 발굴로 관할센터에 사고예방을 위한

안전조치 권고문서 시행

추진목표

안전사고 발생비율(발생건수보유사업장)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0 0 0 0 0 안전사고발생 ZERO무사고 달성

실행과제

(34)드론활용사업장안전관리및점검체계구축(시범단지운영)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HUG형 혁신 사업장 안전관리 및 점검체계 구축

ㅇ 드론 활용 사업장 안전 및 점검체계 구축

ㅇ 시범단지 선정 및 운용 세부계획 검토

∙ 드론 등 기술혁신 도구관련 관련 업체 및 유관기관 협의

∙ 사업장-영업부서-본사부서 협업체계 및 활용방안(HUG-i 게시) 등

추진목표안전사고로 인한 분양보증사고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0 0 0 0 0

- 26 -

실행과제

(35)블록체인을 활용한 안전하고 편리한 인터넷서비스 제공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정부주도의 공인인증서 폐지정책(전자서명법 전부개정 예고)에 따라 전자

서명에 대한 인터넷 사용자 대체 인증수단 개발

(추진내용)

∙ 블록체인 기반의 본인인증 서비스 (카카오페이 인증 서비스) 도입

- 인터넷보증시스템에서보증료영수증및보증서출력시카카오인증을이용한전자문서

유통증명서비스제공

∙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대국민서비스 확대

- 전자서명법개정에따른블록체인기반의전자서명서비스도입

- 온라인 등기우편(연체정보 등 전자우편을 본인인증 후 열람) 일괄발송 발송내역 조회

및유통증명서발급시스템구축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블록체인기반본인인증서비스시범도입

블록체인기술을이용한

대국민서비스확대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실행과제

(36)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사업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환경보호라는 공공성을 위하여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건물

보증에 대해 유인책 마련 필요

(추진내용)

∙ 제로에너지 건축물에 대한 대출한도 상향 조정

∙ 건축 관련학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해 친환경 건축물에 대한 관심 제고

- HUG 오픈캠퍼스 추진 시 건축 관련학과(건축공학과 건축디자인과 등) 학생에게 교육

추진및공사인턴체험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제로에너지 건축물지원 제도

규정신설 -

HUG오픈캠퍼스 수료학생수 (건축 관련 학과 포함)

100 110 121 133 146

- 27 -

(5대 과제) 공정경제 기반 구축 중점

실행과제

(37)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 진입장벽 해소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물품구매 대금결제 등에 중소기업 창업기업 등에 대한 계약규제 완화를

통해 공정경제 기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함

(추진내용)

∙ 신규 창업middot중소기업에 대한 진입장벽 완화

- 소규모 물품middot용역 입찰(고시금액 21억원 미만) 참여시 상대적으로불리한신규창업 및

중소기업에대한실적제한폐지

- 다만 부득이용역의성격상실적평가가필요한경우창업기업실적인정기간연장

(현행 3년 rarr 7년)을 통한 부담 완화

∙ 지체상금 부담경감 (현행의 12수준) 을 통한 상생협력 강화

∙ 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에 대한 용역대금 선급금지급률 확대

추진목표

중소기업 등 협력업체 계약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779 790 80 81 -

실행과제

(38)

공정경제를 위한 지역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업자 보호강화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건설사업장 인근지역 중소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대금의 현금

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한 하도급업자 보호 강화

(추진내용)

∙ 지역 중소 건설업체들에게 동일한 기회제공 및 공정한 경쟁 유도

- 건설사업장에서 지역건설업체와 하도급계약 체결 시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 할인 추진

∙ 협력업체 하도금대금의 현금지급 확대

- 하도급대금을 현금으로 지급할 경우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를 할인

하여 협력업체 및 근로자들의 보호를 강화하고 시장에서의 우위 선점

추진목표

지역 하도급업체 계약체결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규정개정 30 40 50 60

하도급대금의 현금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해 하도급업자 보호

- 28 -

3 국민신뢰 회복

(6대 과제) 적극행정 확산 등 조직운영 혁신

실행과제

(39)고용위기지역에 대한 금융지원 추진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용위기지역에 대한 지원강화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추진내용)

∙ 고용위기지역 내 임대주택 건립시 보증료 할인 추진(완료)

- 고용위기지역및고용재난지역소재임대보증금보증사업장보증료 10인하( 1812)

∙ 고용위기지역 내 임차인이 전세금보증 이용시 보증료 할인 검토

- 전세보증금반환보증(전세금보장) 전세안심대출(전세금대출지원)

보증이용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임차주택으로 변경시 보증료 할인 검토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보유한 주택건설사업자가 입주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임차

주택으로변경하여전세금보증가입신청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추진목표

고용위기지역 금융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마련 및 운영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40)근로여건 개선을 통한 휴식 있는 삶 지원 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일ㆍ가정 양립에 대한 법적ㆍ사회적 요구 증대됨에 따라 장시간 근로문화를 타파하고 휴식 있는 삶을 지원하여 일ㆍ생활의 균형 실현

(추진내용)

∙ 장시간 근로문화 타파- 직원니즈를반영한공사맞춤형복무제도수립및운영- PC-OFF 강화 (주2회rarr매일)- 퇴근장려캠페인 (인사안하고퇴근하기 관리자솔선수범퇴근)∙ 휴식 있는 삶 지원- 가족친화제도지속개발 (일가양득프로그램운영)- 연차휴가및남성육아휴직이용률향상을위한제도개선- 시간단위연차사용을통한휴가사용활성화- 임신직원보호를위한모성보호절차도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인당 연차사용일 1426일 1497일 1572일 1651일 1733일남성육아휴직인원 331 348 365 383 402

- 29 -

실행과제

(41)

위임전결기준 개선을 통한 업무처리 혁신

(결재피로감 낮추고 책임middot권한 공백없이 업무는 신속하게)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결재절차를 단순화함으로써 신속한 업무처리 및 고객만족도 제고

(추진내용)

∙보증위탁업무전결권세분화

- 위임전결규정안마련및규정개정절차진행(5월)

보증업무 위탁外 융자수탁업무 관련 전결권 개정도 함께 추진

∙대외업무협약체결전결권세분화

- 사안의중요성및영향도등고려중장기적으로면밀한검토필요

추진목표

결재절차 단순화

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rsquo23년보증및융자수탁업무위임전결규정개정

제도 보완

실행과제

(42)지출신청 시 영수증 증빙 제출제도 개선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지출신청시 불필요한 원본구비 제도 개선을 통한 업무효율화 달성

(추진내용)

∙ 공사 지출의 42 비중을 차지하는 5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 원본 제출 제외

- 지출액 50만원 이하 법인카드 및 전자세금계산서 지출 건 원본구비 예외 조항 신설

- 확인이 필요한 간이계산서 등은 원본징구하여 지출사고 가능성 예방

- 제도 정착 전 3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에 대하여 원본 제출 제외(시범운영)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내부

규정개정 및시범운영

제도개선 지속 추진

실행과제(43)

PF보증심사 시 월별예정 분양률 분포의 계량화 담당부서금융기획실심사평가처주택도시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민간아파트 초기분양률 데이터를 활용한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

(추진내용)

∙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를 통한 심사 객관성 확보

- 월별예정분양률 관련 명확한 지침 산정으로 신청업체 및 심사자의 주관 배제

- 국가승인통계인 민간아파트초기분양률 동향 데이터를 활용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

∙ 초기분양률 동향 분석(주택도시금융연구원 협업 4월sim10월)

- 연구원과 협업을 통해 초기분양률 데이터 분석 및 관리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건의(11월)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관할 부서(금융기획실)로 세칙 개정 건의

추진목표2019년도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예상분양률 분포기준 마련 초기분양률 데이터 관리체계 구축

- 30 -

(7대 과제) 윤리경영 강화

실행과제

(46)청렴도 향상을 위한 반부패 활동 강화 담당부서 준법지원실

추진내용

윤리경영 추진조직 강화

기관장 주도의 윤리경영 고위직 협의체 구축 내부 자문기구「청렴자문위

원회」운영 강화 및 임원의 윤리자가진단 현황 정보공개

반부패middot청렴 대외 활동 활성화

부산 이전 공공기관 청렴 협의체「청렴 클러스터」활동 강화

「부산투명사회실천 민middot관 네트워크」가입middot활동 실시

「유엔글로벌콤팩트(UNGC)」활동으로 글로벌 윤리역량 강화

실행과제

(44)논스톱 고분양가 심사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공사 PF보증 사업장에 대한 고분양가 심사기준 개선을 통한 사업

안정성 제고 및 고객신뢰성 확보

(추진내용)

∙ 「고분양가사업장심사규정」개정 추진(5월~6월)

- 고분양가 관리지역 내에서 공사 PF보증 발급예정사업장의 고분양가 심사기준(비교

사업장 선정 및 분양가격 산출 등)의 적용을lsquoPF보증 본점 승인시점rsquo으로 명확히 함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고분양가심사규정개정

사업안정성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 추진

실행과제

(45)임대리츠 통계 및 사후관리시스템 개선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목적) 자리츠 사후관리 주관기관(모리츠 AMC인 LH) 및 감독관리기관

(HUG) 간의 업무분장에 따라 사후관리 데이터 품질 저하 등 발생

rArr 기관간 협업체계 개선 관련 시스템 개발 등을 통한 사후관리 관련 데이터품질 향상 및 대정부 정보전달 적시성 확보

(추진내용)

∙ 리츠 기금출자내용 변경시 임대리츠 이력관리 등이 가능하게 하는 통계시스템 개발

∙ 분기별 사후관리보고 제출기한 마련 검토

∙ 임대리츠 통계관리 업무체계 내실화를 위한 기관간 협업 수행

추진목표

임대리츠 사후관리 구조 개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전산시스템개발 및시스템 구축

임대리츠사후관리

체계개선 수행

시스템 운용및 개선사항도출

기관간 협업수행(데이터관

리)

임대리츠통합데이터관리 수행

- 31 -

(8대 과제) 국민의 참여협력 확대 및 지역사회 공헌

실행과제

(47)

혁신도시 맞춤형 지역인재 육성 지원 및

인재채용 투명성 강화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도시 지원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증대에 따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한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

(추진내용)

∙ 市-지역대학간 협업으로 지역인재 육성 교육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 외부 면접위원 확대 및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인사 절차의 공정성 강화

∙ 사회형평적 채용실시와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을 통한 불합리한 차별 해소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지역채용 21 24 27 30 33지역인재육성 총 교육시간(교육인원times교육시간 시간) 3000 4500 4500 4500 4500

지역인재육성교육만족도(점수) 944 949 954 959 964

실행과제

(48)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사회공헌사업 확대 추진 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정부의 lsquo사회적 가치 실현rsquo을 정책에 따라 사회적 경제 및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사회공헌 필요성 증가

(추진내용)

∙ 안전한 주거환경 제공

- 무주택 국가유공자 및 저소득층 임차자금 170세대 지원(~8월10억원)- HUG 셰어하우스 3호 신촌점 완공 청년 24명 입주 완료(~10월2억원)- 저소득층 노후주택 및 소규모 사회복지시설 127세대 개보수(~10월8억원)- HUG STREET 잘사는 골목길 등 환경개선사업 대상지 선정 완료(~10월1억1천만원)

∙ 지역사회와 상생

- 노후 슬레이트 지붕개량 및 태양광 지원 사업 4자 협약(~8월3억원) HUG-부산시-한국사회복지협의회-부산도시재생지원센터

- HOPE with HUG 10호 11호 완공(~9월1억5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지역건설사-지역건축전문가 협업을 통한 주거개선사업

- 부산 송상현 광장 내 도시놀이터 프로젝트 완료(~9월7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부산시설공단 협업을 통한 문화middot휴식공간 조성

청렴 모니터링 다각화

청렴의식 환기를 위한 「자가점검 프로그램」실시

「청렴 옴부즈만」운영

개선 아이디어 발굴을 위한 「신입사원 生生 모니터링」

추진목표

종합청렴도 결과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3등급 2등급 1등급 1등급 1둥급

- 32 -

∙ 균등한 기회와 사회통합

- 중학생 자유학기제 지원 프로그램 운영(9월~4천만원)- 저소득층 청소년 20명ndash대학생 20명 매칭 등(6월~5천만원)- lsquoKBS 동행rsquo에 출연하는 저소득 가정 50세대 지원(7월~1억원)- 발달장애 청년 재능개발 프로젝트lsquo눈부신하루rsquo추진(6월~3천만원)- 신입사원 봉사활동 등을 통한 지역사회 나눔활동(~10월7천2백만원)- 저소득층 난방연료 지원을 위한 주택도시업 캠페인(~12월5천만원)- 자매결연 마을 농수산물 구입기증(~12월4천만원)

추진목표

추진 목표는 해당연도 사회공헌 기부금 예산금액(이사회 의결금액)과 연계

기부금액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8620백만원 8879백만원 9145백만원 9419백만원 9702백만원 전년도예산금액103

실행과제

(49)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목적) 도시재생과 유사한 목표비전을 공유하는 사회적경제와 연계한 맞춤형

금융상품 운영 및 관련 지원조직과 다각적 협업 활동 추진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지역주민이 주도하는 도시재생 금융지원으로 국민의 삶의 질 개선

(목적) 주민지역공동체 주도의 마을단위 도시재생으로의 변화에 대응하여

사회적 경제주체 등 지원체계 개선으로 사회적 가치 실현에 기여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추진목표

수요자중심형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510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실행과제

(50)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국민이 참여하는

HUG사업평가단(가칭) 운영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보증업무 전반에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HUG

사업평가단 구성하여 주택품질 제고 및 안심입주 지향

(추진내용)

∙ 국민이 참여하는 보증솔루션팀 및 보증심사 리뷰단을 통해 제도 개선사항 도출

∙ 보증채권자 권익에 미치는 사항 등 국민의견 수렴을 통한 보증이행제도 개선

∙ 전세금보증 이행완료 고객 및 공인중개사 참여를 통한 제도개선 사항 발굴

추진목표 2019년 국민 의견수렴을 통한 전세금보증 제도 개선 등 검토

- 33 -

실행과제(51)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과 협업하여효율적인 전세금보증 이행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이행 업무의 효율성 제고

(추진내용)

∙ 지역사회단체 등과의 협업을 통한 임차인 퇴거확인 추진 검토

- 보증사고 발생 시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 구성원이 임차인 퇴거를

확인하여 담당직원 업무 공백 최소화 (직원 출장비 수준으로 비용 지급)

- 임차인 퇴거 확인 시 해당 주택가격 및 신규 임차인 확보 가능성 검토결과를

보고받아 채권보전조치를 위한 근거 확보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거보호 이행도(전세금보증 이행 15일초과건수전체이행건수)

50 45 41 37 34

- 34 -

Ⅳ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및 적극행정 확산

①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국민참여게시판을 lsquo국민제안(국민rarr기관)rsquo

및 lsquo정책제안(기관rarr국민)rsquo 게시판으로 세분화하여 국민과 기관간

상시 소통기반 마련 경평지적

지적사항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위한 개선방안 마련 필요

(혁신 네트워크 강화) 시민참여혁신단 보증채권권익위원회 전세금

보증 시민참여단 기금홍보협의회 운영 등 주요사업에 기반하여

다양한 대외 전문기관과 네트워크 활성화 경평지적

지적사항 보증 기금등주요사업역량강화를위한전문기관혁신네트워크강화필요

② 적극행정 확산

(적극행정 면책제도 활용) 감사계획 통보 시 적극행정 면책제도

middot사전컨설팅 제도 사전안내 및 면책신청 지원을 위한 상담창구

운영 등 (계획수립 完 감사실-2367호)

(기관장 책임강화) 혁신전략위원회(위원장 사장)를 통해 적극행정

혁신과제에 대한 추진독려 및 이행사항 점검 등 보완사항 지속

발굴 (혁신페스티벌 1middot2차 개최)

(적극행정 우수사례 발굴)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를 통해 조직내

적극행정 분위기 유도 (포상 및 내부성과평가 반영 등)

성과창출에 실패했더라도 기존관행 탈피 새로운 영역개척 국민접점에서

활력을 제고하는 등 lsquo착한실패rsquo lsquo건전한파격rsquo에 대해서도 포상추진 예정

(적극행정 인식확산) 적극행정 사이버교육(법제처 주관) 이수 등

적극행정 인식확산을 위한 교육참여 시 혁신마일리지 부여 (전사 교육 실시 예정)

- 35 -

Ⅴ 혁신 추진도구별 업무일정

구 분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1 2 3 4 5 6 7 8 9 10 11 12

1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2 국민소통 강화

3 혁신페스티벌

4 유관기관 협업

5 혁신채널 구축

6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7 제안제도 정비

8 혁신콘서트

9 혁신교육 및 혁신워크숍

10 혁신레터

11 혁신마일리지 신설

12 혁신BP 발굴 및 포상

피드백

(성과관리) 공공기관 혁신 및 기관 경영혁신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혁신과제 추진실적을 정기적으로 점검 및 피드백

(혁신전파) 조직원 전체의 혁신공감대 형성 및 참여도 제고를 위해

본사부서 및 영업부서 방문 등을 통해 혁신활동 및 우수사례 공유

(혁신내재화) 국민소통채널 혁신마일리지 혁신레터 등 혁신활동이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고 혁신업무에 대해

조직원이 공감하고 회사 모든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

Page 6: 2019년 HUG 혁신 추진계획 - khug.or.kr…„HUG혁신추진계획.pdf · 혁신페스티벌 - (내부 혁신과제 발굴) 조직·인사·제도·서비스혁신 등 회사

- 5 -

3대3대

중점과제중점과제 공공성 제고 경제활력 제고

공정경제

기반 구축

주요혁신주요혁신

과제목표과제목표

(~(~ rsquorsquo23)23)

서민 전세금보호 확대

[73만호][73만호]

사업다각화 고용증대

[39 증원][39 증원]

혁신도시 지역인재 채용

[33][33]

임대주택 공급지원 확대

[68만호][68만호]

도시재생 창업융자지원

[7702억원][7702억원]

사회적가치 사회공헌

[457억원][457억원]

도시재생뉴딜사업 융자

[65조원][65조원]

IT분야 일자리 창출

[177명][177명]

하도급업자 보호강화

[지역하도급업체 계약률 60][지역하도급업체 계약률 60]

사회취약계층 등 기금지원

[39조원][39조원]

공공기관 공동기금 조성

[425억원][425억원]

중소기업 진입장벽 해소

[중소기업 계약률 82][중소기업 계약률 82]

2019년 혁신가이드라인에 따라 적극행정 등 신규분야 과제 추가

포용적 공공서비스 혁신성장 지원 적극행정 확산

고아원 연계 보호종료

아동 월세보증금 지원 등

카카오페이를 통한

전세금보증 판매확대 등

위임전결기준 개선

통한 업무처리 혁신 등

lt 3대 중점과제별 주요 혁신과제 gt

3대 중점과제별 주요 혁신과제 5개년 목표 설정 (rsquo19~rsquo23)

- 2019년도 정부가 제시한 8대 과제중 3대 중점과제의 계량목표 설정

8대 과제 ①공공성 제고 ② 포용적 공공서비스 ③ 경제활력 제고 ④ 혁신성장⑤ 공정경제 기반 구축 ⑥적극행정 ⑦ 투명middot윤리경영 ⑧ 국민참여

lt 주요 혁신과제 예상 계량실적 gt

중점과제

주요 실행과제 목표중장기 목표치

`19 `20 `21 `22 `23

공공성 제고

middot서민 전세금보호 확대 보증실적 10만호 12만호 14만호 17만호 20만호

middot임대주택 공급지원 확대 임대주택공급 10550호 12450호 13695호 15065호 16570호

middot도시재생뉴딜사업 융자 출융자실적 5877억 11227억 15014억 16178억 16494억

middot사회취약계층 등 기금지원 대출실적 78조원 78조원 78조원 78조원 78조원

경제활력 제고

middot사업다각화 고용증대 정원 766명 903명 995명 1033명 1062명

middot도시재생 창업융자지원 융자실적 1510억 1548억 1548억 1548억 1548억

middotIT분야 일자리 창출 일자리 113명 16명 16명 16명 16명

middot공공기관 공동기금 조성 기금조성 10억 10억 10억 125억 -

공정경제기반구축

middot혁신도시 지역인재 채용 지역채용 21 24 27 30 33

middot사회적가치 사회공헌 기부금액 86억 89억 91억 94억 97억

middot하도급업자 보호강화 지역하도급업체계약률 규정개정 30 40 50 60

middot중소기업 진입장벽 해소 중소기업계약률 779 79 80 81 82

- 6 -

4대 혁신대상별 추진도구

❶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국민소통 강화 등 소통기반 혁신추진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 (대국민 아이디어 공모) 국민의견을 적극 반영한 신규과제 추가

발굴을 위하여 대국민 아이디어 공모전 개최

2019년도 대국민 아이디어 공모를 통해 6개 혁신과제 발굴

국민소통 강화

- (소통채널) 국민의견 수렴을 위해 운영 중인 시민참여혁신단 및

청년포럼(Off-Line)과 홈페이지에 대국민참여게시판(On-Line) 활성화

소통채널 구 성 현 황

시민참여혁신단 ∙ 교수 고객 유관기관 시민단체 언론계의 분야별 전문가 6인으로 구성

청년포럼 ∙ 대학생 청년사업가 12인으로 구성

대국민참여게시판 ∙ 공사의 정책제안 국민제안 아이디어 공모 시 모든 국민참여

혁신페스티벌

- (내부 혁신과제 발굴) 조직middot인사middot제도middot서비스혁신 등 회사 전 분야의

경영혁신 달성을 위한 전사 혁신페스티벌 추진 (부서 및 개인제안 공모)

유관기관 협업

- (SOC공공기관 통합기술마켓) 중소기업 기술 및 판로지원을 위하여

국토부 산하 10개 공공기관이 통합기술마켓 공동구축 추진

HUG LH 감정원 도로공사 코레일 인천middot한국공항공사 LX 철도시설middot교통공단

- 7 -

❷ 혁신채널 구축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등 혁신 프로세스 체계화

혁신채널 구축

- (혁신광장) 혁신관련 종합계획 정부정책 및 추진체계 등을 공유

하고 조직원의 아이디어를 상시 발굴할 수 있는 혁신광장 개설

지식채널(KM)에 개설하여 혁신제안혁신심사혁신BP 등 게시 전사 공유

lt혁신광장 구축(안)gt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 (프로세스 체계성 강화) 직원 제안사항을 단순제안혁신제안으로 분류

하고 혁신제안은 Bottom-up 방식 단계별 심사 후 혁신과제로 선정

직원제안은 사내인트라넷 內 혁신광장을 통해 연간 상시접수

lt혁신제안 심사 및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gt

구분 예비심사 1차 심사 2차 심사 혁신과제 확정

주요내용

∙단순제안혁신제안심사배제 제안으로 분류

∙예비심사에서 채택된 혁신제안을 대상으로 심사

∙1차 심사에서채택된혁신제안을 대상으로 심사 ∙혁신과제 추진

여부 등 중요사항 의결

채택요건

∙심사위원 34이상 참여과반수 이상 시 단순제안및 혁신제안으로 채택

∙심사위원 34이상 참여기준 점수 이상 시 혁신제안으로 채택

∙심사위원 34이상 참여과반수 이상 시 혁신과제로 채택

주체혁신 변화요원

(팀원)혁신리더(팀장) 본사 부서장 혁신전략위원회

(사장 부사장 등)

제안제도 정비

- (규정개정) 혁신과제 선정절차 및 혁신 평가방식 개선 등을 위해

혁신제안 관련규정 정비

혁신제안제도 운영기준 및 혁신마일리지 운영기준

- 8 -

❸ 혁신콘서트 혁신레터 등 혁신문화 촉진 경평지적

지적사항 혁신역량 강화 교육 체계화 및 활성화 필요

혁신콘서트

- (혁신공감대) 혁신우수사례(BP) 및 혁신노하우를 발표middot공유하고

시상식 등을 개최하여 조직원의 공감대 형성 및 동기부여

- (전사 참여) 조직원 전체가 참여할 수 있도록 추진하되 단독 또는

한마음 단합대회 개최 시 관련부서와 협의하여 공동 추진 검토

혁신교육 및 워크숍 확대운영

- (혁신교육) 창의적 조직문화 학습을 위해 혁신 선도적 공공민간

기업의 우수사례를 주제로 전직원 대상 정기교육 실시

2018년도 조직문화 혁신교육 우아한형제들 - ①규율 속 자율 경영

②창의적 업무환경조성 ③일상적 소통경영 등

- (혁신워크숍) 혁신문화 촉진과 조직원의 수용력 제고를 위해 혁신

담당자 중심으로 혁신워크숍 실시

전사혁신리더및변화요원대상혁신관련정부정책middot평가방식공유 혁신추진공감대형성등

혁신레터

- (혁신메시지) 조직원의 혁신업무 이해도 제고를 통한 혁신 실행력

강화를 위해 혁신메시지 제도 시행

middot 혁신전략 혁신계획 혁신과제 등 혁신업무 전반에 대해 카드뉴스를

제작하여 전사 포털(Portal) 화면에 팝업창을 통해 게시

현재 전사포털 팝업창을 통해 윤리경영 자가점검 칭찬감사릴레이 등 시행중

- 9 -

❹ 혁신마일리지 신설 혁신BP 가점제도 개선 등 혁신지표 개선 경평지적

지적사항 혁신역량 강화 교육 체계화 및 활성화 필요

혁신마일리지 신설

- (혁신활동 평가강화) 혁신 과제선정middot이행 국민소통 혁신활동

등 혁신업무 전 영역에 마일리지를 부여하여 혁신평가의 변별력

제고 및 보상체계 강화

과제선정(최대10점) 과제이행(최대20점) 국민소통(최대20점) 등혁신마일리지차등부여

HUG 혁신마일리지 추진 체계

국 민업무혁신middot성과중심의 혁신마일리지 관리체계 구축 우수과제

선정 및

전파

제안등록 과제선정

(최대 10점) 과제이행

(최대 20점)

국민소통(최대 20점)

혁신활동(최대 10점)

마일리지

내평반영 및

포상 제안의

난이도에 따른

차등 점수

단순제안혁신

제안우수제안

이행

국민의견을

반영한

제안과제 이행

혁신콘서트

혁신특강 등

개인 역량강화H U G

혁신제안의 수준과 부서 및 직원의 혁신기여도에 따른 차등 마일리지 부여

혁신BP 가점제도 개선

- (가점확대) 혁신페스티벌 대국민아이디어 적극행정 혁신성장 등

BP경진대회를 통한 우수사례 발굴 및 내평(성과향상기여도) 가점 확대

[현행] 본사부서(최대 17점) 영업부서(최대 05점) rarr [개선] 본사(최대 2점) 영업(최대 1점)

- 10 -

Ⅲ 2019년 HUG혁신과제

2019년은 기존 중장기 35개 과제에 국민참여 6개 과제 기관 내부

발굴 10개 과제를 추가하여 총 51개 혁신과제를 추진할 예정임

HUG 혁신과제 (2018년) 38개 rArr (2019년) 51개

(중장기 과제) (lsquo18) 38개 과제 rarr 대내외 환경변화로 (lsquo19) 35개로 조정

(국민참여) 2019년 대국민아이디어 77건 중실현가능성등검토하여최종 6건선정

(내부발굴) 2019년 직원제안 236건 중 실현가능성 등 검토하여 최종 10건 선정

HUG 혁신과제 목록 (2019년 공공기관 혁신가이드라인 8대 과제별 분류)

연번 ① 고유업무 공공성 제고 비고

1 전세금보증 가입문턱을 낮추어 서민의 전세금 보호 강화 중장기

2 주택도시기금 지원확대로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역할강화 중장기

3 임대주택 공급지원 확대로 서민 주거복지 증대 중장기

4 주택도시기금 신규상품 개발을 통한 도시재생뉴딜 활성화 중장기

5 제도에서 전산까지 온오프라인 안심시스템 구축 중장기

6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전사 경영전략체계 구축 중장기

7 도시계정의 체계적 관리를 통한 도시재생 활성화 중장기

8 국민과 함께하는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 중장기

9 민관협력사업으로 주거취약지구 주거환경 개선 중장기

10 도시재생 맞춤형 스타트업 총괄지원 플랫폼 도입middot운영 국민

11 도시재생 생태계 조성을 위한 종합지원 플랫폼 구축 국민

12 분양이행사업장 수분양자 보호 내부

- ② 포용적 공공서비스 제공 강화 -

13 인터넷보증시스템 개선으로 전세금보증 이용편의성 제고 중장기

14 주택도시기금 대출절차 간소화를 통한 대국민 서비스 향상 중장기

15 고아원연계 보호종료아동 월세보증금 지원 제도 국민

16 HUG 이용고객 편의성 제고를 위한 플랫폼 구축 국민

- 11 -

17 전세금보증 인터넷가입에 필요한 데이터 자동화 구축 국민

18 사회임대주택 활성화를 위한 조직 혁신 내부

19 상담서비스 고도화를 통한 고객만족도 제고 내부

20 공공정보 연계 통한 서류제출 절차 간소화 내부

- ③ 경제활력 제고 및 일자리 중심 경제 지속 지원 -

21 사업다각화를 통한 고용증대 및 비정규직 ZERO화 중장기

22 주거복지 및 도시재생을 위한 창업공간 금융지원 중장기

23 IT선진화를 통한 민간일자리 창출 중장기

24 공공기관 공동기금 조성을 통한 지역 사회적경제 활성화 중장기

25 상가임차금 안심대출 상품개발 중장기

26 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중장기

- ④ 혁신성장 지원 -

27 비대면 전세금보증을 통한 혁신성장 기반 마련(카카오페이를 통한 가입확대 등) 중장기

28 국민 주거편의 제공을 위한 스마트시티 건설 지원 중장기

29 HUG 빅데이터 운영체계 구축으로 공공데이터 개방 기여 중장기

30 친환경middot신소재 활용으로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제로에너지 건축물 건설자금지원 등) 중장기

31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비대면 가입 활성화 중장기

32 전기자동차 도입을 통한 친환경 에너지 수요 창출 중장기

33 드론 활용을 통한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 중장기

34 드론활용 사업장 안전관리 및 점검체계 구축(시범단지운영) 중장기

35 블록체인을 활용한 안전하고 편리한 인터넷서비스 제공 중장기

36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사업 국민

- ⑤ 공정경제 기반 구축 -

37 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 진입장벽 해소 중장기

38 공정경제를 위한 지역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업자 보호강화 중장기

39 고용위기지역에 대한 금융지원 추진 중장기

- ⑥ 적극행정 확산 등 조직운영 혁신 -

40 근로여건 개선을 통한 휴식 있는 삶 지원 중장기

41위임전결기준 개선을 통한 업무처리 혁신(결재피로감 낮추고 책임ㆍ권한 공백없이 업무는 신속하게 )

내부

42 지출신청 시 영수증 증빙 제출제도 개선 내부

- 12 -

HUG 혁신과제 세부추진 내용

1 사회적 가치중심 기관 운영

(1대 과제) 고유 업무의 공공성 제고 중점

43 PF보증심사 시 월별예정 분양률 분포의 계량화 내부

44 논스톱 고분양가 심사 내부

45 임대리츠 통계 및 사후관리시스템 개선 내부

- ⑦ 투명middot윤리경영 강화 -

46 청렴도 향상을 위한 반부패 활동 강화 중장기

- ⑧ 국민의 참여 확대 및 지역사회 공헌 -

47 혁신도시 맞춤형 지역인재 육성 지원 및 인재채용 투명성 강화 중장기

48 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사회공헌사업 확대 추진 중장기

49 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중장기

50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국민이 참여하는 HUG사업평가단(가칭) 운영 중장기

51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과 협업하여 효율적인 전세금보증 이행 내부

실행과제

(1)전세금보증가입문턱을낮추어서민의전세금 보호 강화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서민의전세보증금을지켜주는최선의안전장치 lsquo전세금보증rsquo 활성화추진

(추진내용)

∙ 보증가입 편의성 제고 및 채널 확대를 통한 전세금보증 활성화

- 모바일 전세금보증 편의성 지속 개선middot확충

- 공인중개사 전세금보증 위탁판매 활성화 등

∙ 사회배려계층 맞춤형 보증제도 개선 등을 통한 공적역할 강화

- 보증가입기간 확대 등 임차인 보호를 위한 전세금보증 지원

- 보증서비스 품질 개선 등을 위한 전문가 의견수렴 등

추진목표

보증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0만호(21조원)

12만호(25조원)

14만호(30조원)

17만호(36조원)

20만호(43조원)

- 13 -

실행과제

(2)

주택도시기금 지원확대로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역할강화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무주택middot실수요 서민주거 안정지원을 위한 대출제도 개선 및 주거복지

로드맵 정책지원을 통한 맞춤형 주거지원으로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마련

(추진내용)

∙ 신혼부부middot청년층 기금대출 지원 확대

- 신혼희망타운 수익공유형 모기지대출 출시

- 신혼부부 기간 확대 (5년 rarr 7년)

- 청년층 청약 가입요건 완화 등 제도 개선 및 운영보완

- 고시원 주거급여 거주자 등에 대해 주거안정월세대출 대상자에 포함

∙ 자산기준 도입 서류간소화 등 기금대출 제도 개선

추진목표

사회취약계층 등 기금지원 (수요자 대출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78조원 78조원 78조원 78조원 78조원

`19~`23 목표는 매년초 국토부 최종안 확정안 국회승인을 거쳐 목표치 확정

실행과제

(3)임대주택 공급지원 확대로 서민 주거복지 증대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사회임대주택 공급 활성화

(목적) 주거약자를 위한 정부 사회임대주택 공급 활성화 정책 지원 및

공사의 공공성 역할 확대

(추진내용)

∙ 사회임대주택 보증 확대를 위한 제도개선 및 공급 활성화를 위한 금융 지원

∙ 사업관련 주체의 유기적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홈페이지 구축

∙ 공급활성화 여건 조성을 위한 사업자 육성 및 홍보 강화 및 유관기관 협업

임대리츠 관리체계 개선 및 공모를 통한 공급확대

(목적)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등 리츠를 통한 임대주택 공급 활성화를

통해 국민 주거복지 증진 도모

(추진내용)

∙ 서민 주거복지 강화를 위한 임대리츠 기금출자 제도 개선

∙ 민간임대사업자 참여 유도를 위한 공모사업 활성화

∙ 임대리츠 공공성 강화를 위한 심사관리 체계 개선 및 기금출자심사 실시

∙ 임대리츠 관련 정부정책 추진 지원을 위한 다각적 홍보 추진

∙ HUG形 민간제안 공모방식 확대로 임대주택 공급 강화

추진목표

사회임대주택 보증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50호 900호 990호 1089호 1197호

리츠를 통한 임대주택 공급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0500호 11550호 12705호 13976호 15373호

HUG 민간제안공모 공고 세대수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rsquo23년

8000세대 8500세대 9000세대 10000세대 10500세대

- 14 -

실행과제

(4)주택도시기금신규상품개발을통한도시재생뉴딜활성화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도시재생뉴딜 맞춤형 금융지원 확대 (목적) 도시재생 사업유형 확대에 대응한 맞춤형 기금지원 상품 개발운용 (추진내용)∙ 소규모 재생사업 및 주택정비 활성화를 위한 금융지원 확대∙ 도시재생 경제조직 활성화를 위한 금융지원 프로그램 도입 도시재생뉴딜 활성화를 위한 기금지원 운용체계 개선 (목적) 명확한 업무기준효율적 수행방안을 확립하여 도시계정 양적질적확대에 대응 및 뉴딜정책 활성화에 기여

(추진내용)∙ 도시재생 금융지원 접수middot심사체계 개편으로 국민불편 해소∙ 도시재생 금융지원 사후관리 체계 확립으로 안정적 기금운용 및 공공성 실현

추진목표

도시재생 금융지원 출융자 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5877억원 11227억원 15014억원 16178억원 16494억원

도시재생 금융지원 심사사업장관리 운용체계 개선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5건 5건 5건 5건 5건

실행과제(5)

제도에서 전산까지 온middot오프라인 안심시스템 구축 담당부서정보운영처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응하는 정보보안체계 구축

(목적) 4차 산업혁명시대 기술(IoT BigData AI 등) 변화에 맞는 선제적인 정보

보안 체계 수립과 능동적인 정보주체의 권리 보장

ㅇ (추진내용)

∙ 선진화 정보보안 체계 구축 컨설팅

주택건설사업장 사회안전망 플랫폼 구축

(목적) 주택관리사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으로 사고로 인한 분양계약자의

입주지연 및 보증사고 위험 등을 사전에 예방하여 국민의 편익 증진

(추진내용)

∙ 사업장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보증사업장 현장점검 규정 개정

- 사업장안전관리강화를위한안전점검업무신설및안전관리우수고객우대제도운영

∙ 드론을 활용한 보증사업장 동영상 촬영 및 제공으로 분양계약자 정보제공 강화

- 현재 앱을 통한 사업장 현장사진 제공을 드론을 이용한 동영상 제공으로 확대하여

분양계약자 정보제공 강화

추진목표

국정원 정보보안 관리실태 점수 행안부 개인정보보호 진단 점수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공공기관평균점수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 5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10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15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20

보증사업장 안전사고로 인한 공사 지연 건수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0건 0건 0건 0건 0건

- 15 -

실행과제(6)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전사 경영전략체계 구축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공공기관의 lsquo공적역할 강화rsquo 및 lsquo사회적 책임실현rsquo이라는 국정기조 변화에 부응

하기위한공사의新경영전략수립

(추진내용)

∙ 고유 업무의 공공성 제고를 위한 사업전략 재수립

- 사회통합형 주거복지 실현을 위한 공적금융 지원 전략 수립

- 소규모 도시재생사업 활성화를 위한 단계별 공사 역할방안 마련

∙ 사회적 가치 기반 전사 기능전략 및 중장기 경영목표 재수립

- 공적역할 확대 및 사회적 책임 구현을 위한 부문별 기능전략 수립

추진목표

사회적가치 기여도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최우수 최우수 최우수 최우수 최우수

청렴도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등급 1등급 1등급 1등급 1등급

실행과제(7)

도시계정의 체계적 관리를 통한 도시재생 활성화 담당부서기금정보처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목적) 노후주거지 주민과 사회적기업 등이 필요로 하는 자금을 적시에 원활히 지원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도시계정 관리 추진

(추진내용)

∙ 연체관리 프로세스 정립을 통한 기금손실예방

- 연체 단계별 업무처리 프로세스 마련을 통한 융자사고방지

- 도시계정 융자원리금 수납기준 마련

- 융자사고관리 방안 마련

∙ 고객신용관리 체계구축을 통한 사고예방 모니터링 확대

- 고객신용관리 모니터링 체계구축을 통한 사고예방관리

- 도시계정 신용정보집중 처리기준 프로세스 마련

- 도시계정 신용정보관리 전산시스템 구축 일반신용정보관리규약에 따른 도시계정 신용정보 파일전송 설계서(전문) 작성

공사 신용정보 집중 시스템과 병합 추진

∙ 도시계정 자금관리 체계정립을 통한 도시재생활성화지원

- 도시계정 예산확대 신규 금융기법적용 등 도시계정 특성을 반영한 회계middot결산

자금관리 업무기준 확립 정형화된 담보가 아닌 수요자사업자 특성을 고려한 맞춤 담보제공 자금투입 공공성 확보를

위한 엄격한 융자조건 부여

- 회계middot결산 자금관리 업무전산화를 통한 효율화 정책지원기능 확대

추진목표 (비계량) 2019년 융자사고예방을 위한 연체관리 자금관리기준 수립 및 개선

- 16 -

실행과제(8)

국민과 함꼐하는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 담당부서보증이행처

준법지원실

추진내용

(목적) 국민참여를 통한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의 수용성 제고 및 주거

복지 실현 위한 공동주택 하자 조기대응ㆍ감축방안 모색

(추진내용)

∙ 하자분쟁 해결체계 관련 국민 공유ㆍ소통 프로그램 운영

- 국민과 함께하는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 계획 수립

- lsquo공동주택 실무강좌rsquo 동행을 통한 하자관련 주요이슈 대국민 공유ㆍ소통- 국민참여 하자정보 공유 4회(서울 인천 수원 의정부) 및 하자실무 법률상담

∙ 국민 참여 확대를 통한 정책 개선 노력

- (lsquo1810) 대국민 의견수렴을 위한 하자분쟁 컨퍼런스 개최

middot 하자분쟁 예방을 위한 관계규정 검토 및 정책 논의

middot 행정청 학계 법조계 및 입주자대표회의 관련 다수 국민 참여

∙ 소규모사업장 청구 전 하자보수보증 사전안내제도(BS Before Service) 실시 검토

소규모사업장 150세대 미만 사업장 중 대위변제가 없는 2년차 하자보수보증 만료6개월 전 사업장

추진목표

대국민 참여도산출근거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참여횟수6회참여인원300명

참여횟수8회참여인원400명

참여만족도85점 이상

정책국민의사반영1회이상

정책국민의사반영1회이상

횟수당50명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점수(관리본부) 목표치산출근거구분 rsquo18년 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등급 A A A A A 목표 A등급 이상

실행과제(9)

민관협력사업으로 주거취약지구 주거환경 개선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목적) 공사의 사회적 가치경영 실행을 위해 새뜰마을(취약지역 개조사업) 주거

여건 개선을 지원하는 민관협업 사회공헌사업 추진

(추진내용)

∙ 중앙부처 공공기관 민간기업 등이 지역 주민과 함께 도시취약지역 내 노후주택에

대한 주거환경개선 열효율화 사업 추진

- 새뜰마을중고령화 노후화등으로사업추진이절실하고 지역사회참여정도등을 고려

하여성과가 가시화될수있는지역선정추진

∙ 주거취약지역 환경개선 관련 민관협업사업 MoU 체결 추진

- 국토교통부 HUG LH KCC AURI 해비타트 등 협약 체결을 통해 집수리 자재 및

전문인력 후원금 지원 추진

∙ 도시취약지역 지원 효과 분석 및 사업추진 매뉴얼 마련

- 지역기초조사 사업전후 효과분석 등 성과관리 새뜰마을 매뉴얼 제작보급

추진목표새뜰마을 지원대상 확대 건수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5건 5건 5건 5건 5건

- 17 -

실행과제(10)

도시재생 맞춤형 스타트업 총괄지원

플랫폼 도입middot운영담당부서

인사처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도시재생과 관련된 스타트업 및 소셜벤처에 대한 종합적 지원

(추진내용)

∙ HUG형 도시재생 뉴딜 창업 프로젝트 추진

- 사회적 경제조직 육성기관(함께일하는재단) 대중투자 전문기관(와디즈)과 협업

- 사회적 경제조직 컨설팅 지원

- 대중투자 연계 통한 일자리 창출 및 사회적 경제 활성화 지원

∙ 스타트업 및 소셜벤처에 대한 사회적 금융 지원

∙ HUG 창업 라운지(스타트업 기업에 공간 공유) 확대 운영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사회적금융지원금액 1억 1억 1억 1억 1억

공간지원스타트업수 6 8 10 12 14

멘토링middot창업캠프개최회수 5 5 5 5 5

실행과제(11)

도시재생 생태계 조성을 위한

종합지원 플랫폼 구축담당부서

기금정보처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종합적인 도시재생정보 공유체계 구축을 통해 기금 지원된 도시재생사

업에 대한 정량적 정보 및 사후지원 청년middot예비창업자 참여를 위한 HUG 정책

지원 정보를 기금포털 내 일괄 제공

(추진내용)

∙ 전국 기금이 활용된 도시재생 사업장 정보 제공(lsquo도시재생 기금지도rsquo 서비스)

- 지도 API 기반의 도시재생 기금지원 사업장 정보조회 서비스

- 전국 분포된 사업장의 위치부터 융자금액까지 상세정보를 편리하게 검색

- 실제 사례와 이용 상품 정보를 함께 제공하여 정보이용자 이해도 제고

∙ 기금 사업장 홍보 지원 및 청년창업 지원 정보 일괄 제공(전용 게시판 신설)

- 사업장 및 보유시설(코워킹시설 임대시설 등) 홍보 위한 전용공간 마련

- 기금지원 사업의 우수사례 정보공유를 통한 벤치마킹 및 정보이용자 관심유도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기금지도 서비스 개시 서비스구축middot개시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우수사례 발굴 건수 8 8 8 8 8

- 18 -

(2대 과제) 포용적 공공서비스 제공 강화

실행과제(12)

분양이행사업장 수분양자 보호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분양대금채권 지연손해금율 하향조정 등 분양계약자 부담완화를

통한 국민 주거안정 기여

(추진내용)

∙ 분양계약자 지연손해금 관련 주택분양보증약관 개정

- 분양계약자의 분양계약서상 지연손해금율이 시행사 구상채권 지연손해금율

보다 높은 사례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공사 내규와 분양계약서상 지연손해

금율 중 낮은 것을 적용하도록 약관 규정 개정 (시행사 동의서 징구)

추진목표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 점수(관리본부)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901 915 933 951 971

실행과제(13)

인터넷보증시스템개선으로전세금보증이용편의성제고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인터넷보증 시스템 개선을 통해 고객의 전세상품 보증서비스

편의성 및 접근성을 강화하여 서민 주거안정성 개선 지원

(추진내용)

∙ 인터넷 보증시스템 재구축 추진(lsquo20~lsquo21)

- (현행) 인터넷 익스플로러 이외의 웹브라우저 미지원

- (재구축) 구 운영체제 지원종료 대비 및 지원 플랫폼(구글 크롬 등) 확대를

위한 시스템 재구축 예정

∙ 모바일 보증시스템 구축 추진(lsquo19)

- (현행) PC 중심의 제한적인 보증가입 서비스 제공

- (비대면 서비스 강화) 모바일 보증시스템 구축 추진

추진목표

비대면 보증가입 점유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0 12 14 16 18

- 19 -

실행과제

(14)주택도시기금대출절차간소화를통한대국민서비스향상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서민실수요자 지원 강화 및 이용자 편의 제고 등을 위한 주택도시

기금 구입전세 대출의 자산심사 도입

(추진내용)

∙ 자산심사기준 도입을 통한 정책자금의 실수요자 집중 지원

∙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구축을 통한 대출절차 간소화

∙ 전담 수행조직 운영 및 수탁은행 역할 재정립 등을 통한 대국민 서비스 제고

추진목표

대출절차 혁신 시스템 운영 체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자산기준 마련기금법령 개정시스템 개발오픈수요자대출상품운영

수요자대출 全상품 시스템 안정화제도개선 및 모니터링

他 기금상품 (주택종합청약저축)도입 검토 및 적용

실행과제

(15)고아원연계 보호종료아동 월세보증금 지원 제도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고아원 보호기간이 종료됨에 따라 주거지원이 필요한 아동에게

주택임차자금 지원 및 보증상품 개발

(추진내용)

∙ 긴급 주거지원이 필요한 아동의 가정에 주택임차자금 지원∙ 고아원 보호종료 아동 대상 전세월세보증금보증 할인 상품 개발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택임차자금지원 세대 수

10 20 성과분석 후 확대 검토

고아원보호종료아동대상상품가입자수

상품개발추진 제도개선 추진

실행과제

(16)HUG 이용고객 편의성 제고를 위한 플랫폼 구축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객과의 소통채널 확대방안의 일환으로 24시간 고객상담 제공

(추진내용)

∙ 단순 문의 SMS 발송

- 위탁은행 신청서류 등 전세보증 관련 간단 정보 문자발송 ARS실시(완료 `195월)

- 업무시간 종료 후에도 단순문의에 대한 SMS문자안내 서비스 추진

∙ 콜센터와 지사 상담이력 공유

- 콜센터 상담시스템과 차세대 시스템을 연계 고객별 상담이력 조회화면 구축

∙ 보이는 ARS 서비스 도입

- 기존의 음성 서비스와 함께 스마트폰을 통해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바로

연결하고 직접 통화하지 않아도 간편문의를 처리할 수 있는 보이는 ARS 실시

추진목표 2019년 챗봇서비스 DB구축 검토 2020년 챗봇 서비스 도입 검토

- 20 -

실행과제

(17)전세금보증 인터넷가입에 필요한 데이터 자동화 구축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가입을 간편하게 하여 정보사각지대에 있는 고객의

보증 가입 편의성 강화

(추진내용)

∙ 주택가격정보middot등기부등본 데이터 자동입력 시스템 마련

- KB시세 한국감정원 국세청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와의 협약 통한 시스템 연계

- 직접협약 외에도 부동산 권리변동정보 제공기관을 통한 중계서비스 도입 검토

∙ 인터넷보증시스템 전세금보증 신청절차 개선

- 전자연계 가능한 서류의 데이터 자동입력 프로세스 개발

- 보증심사시 담당자가 전자 원본 서류를 확인할 수 있는 화면 개발

추진목표

데이터 입력시스템 구축 및 운용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연계방안검토

협약체결 전산연계 운영 및 보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18)

사회임대주택 활성화를 위한 조직 혁신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사회임대주택 금융지원제도 담당부서 일원화로 속도감 있는 제도개선 등

사회임대주택 활성화 지원

(추진내용)

∙ 기획조정실 사회임대주택 총괄부서 지정을 위한 조직개편 추진

- 현행 사회임대PF보증(금융기획실) 토지임대middot기금출융자(도시재생기획처 기금지원처)

- 개선 도시재생기획처로 일원화하여 사회임대주택 복합금융 지원업무 총괄

한 부서에서 기금 출middot융자 보증지원까지 원스톱 상담으로 고객 만족도 제고

추진목표 2019년 조직개편 완료

실행과제

(19)상담서비스 고도화를 통한 고객만족도 제고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객상담데이터 체계적 관리middot활용을 통한 대국민 서비스 질적 향상

(추진내용)

∙ 차세대(전산)업무시스템 및 콜센터 시스템을 연계하여 상담이력 공유- 콜센터 외에도 지사 직원의 고객상담이력을 저장할 수 있도록 차세대시스템 내화면 구축 콜센터의 상담이력 역시 차세대 시스템에 저장 및 관리

∙ 보이는 ARS서비스 실시 및 단순문의안내 SMS 발송 서비스 실시middot활성화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콜센터전산시스템연계

시스템구축

시스템개발완료및 운용

시스템운용

시스템운용

시스템운용

신규 서비스출시

보이는ARS검토

보이는ARS출시

보이는ARS운용

보이는ARS운용

보이는ARS운용

- 21 -

2 혁신적 포용국가 선도

(3대 과제) 경제활력 제고 및 일자리 중심 경제 선도 중점

실행과제

(20)공공정보 연계 통한 서류제출 절차 간소화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필요한 서류를 간소화함으로써 대국민서비스 질 제고 (추진내용)∙ 필요한 서류 등을 공사 전산으로 조회 가능한 시스템 구축∙ 기금대출절차 혁신 시스템과 연계

추진목표 ∙ (비계량) 필요서류 전산조회 시스템 구축

실행과제

(21)사업다각화를 통한 고용증대 및 비정규직 ZERO화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서민 주거복지 도시재생 활성화 지원 등을 위한 기관 자체의 적극적인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공기업 서비스 제고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증원 및 채용 확대- 신사업 발굴 및 자율정원제를 통한 적극적인 증원-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청년 및 지역 인재 채용∙ 사회 양극화 해소를 위한 비정규직 ZERO화- 노사 공감대에 기반한 정당한 절차를 통한 전환 추진 및 전환근로자 처우 개선 노력

추진목표정원 비정규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766명 0명 903명 0명 995명 0명 1033명 0명 1062명 0명

실행과제

(22)

주거복지 및 도시재생을 위한

도시재생 창업공간 금융지원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도시재생 금융상품을 통한 창업지원 (목적) 창업과 관련한 도시재생 금융상품을 통해 민간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창업 관련 수요자 중심형 기금융자 및 보증상품 개발 운용- 코워킹시설조성 상가리모델링 공공임대상가 등 기금융자 지원

도시재생뉴딜 금융지원을 위한 사회적 금융 연계 지원 (목적) 도시재생분야법인단체창업관련크라우드펀딩 및 창업지원 컨설팅 추진 (추진내용)∙ 도시재생분야에대중투자연계일자리창출및지역주도사회적경제활성화지원- 뉴딜로 도시재생 크라우드펀딩 대회 개최 등∙ 도시재생 창업단체에 대한 지원을 위해 HUG형 민간일자리 창출 프로젝트 추진- HUG와 함께하는 도시재생 뉴딜 창업프로젝트 추진 및 사회적 경제조직 활성화

추진목표창업지원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510억원 1548억 1548억 1548억 1548억

- 22 -

실행과제

(23)IT선진화를 통한 민간일자리 창출 담당부서

기금정보처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고유목적사업인 주택보증 주택도시기금 및 도시재생분야의 IT 시스템

구축 및 개선을 통한 민간 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 주택도시기금 정보시스템 통합 유지보수

- (추진기간) 유지보수 사업의 특성으로 매년 발생

- (일자리창출) 2019년(8명) 2020년 sim 2023년(매년 16명)

∙ 도시재생 금융지원 전산시스템 구축

- 도시재생융자등원활한도시계정업무를뒷받침하기위한온라인금융지원시스템구축

- 추진기간 2018년~2019년 투입금액 및 인력 51억원 41명

∙ 주택도시기금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구축

- 주택도시기금 대출절차 편의 제고 및 절차 간소화 시스템 구축

- 추진기간 2018년~2019년 투입금액및인력 컨설팅용역43억원 12명 전산용역74억원52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기금업무 운영 유지보수 8 16 16 16 16

도시재생 융자시스템 41 - - - -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64 - - - -

합 계 177

실행과제

(24)

공공기관 공동기금 조성을 통한

지역 사회적경제 활성화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이전지역 기관간 협업을 통한 사회적경제 활성화로 지속가능한 일자리

제공 지역경제 활성화 추진

(추진내용)

∙ 부산 사회적경제 지원기금(BEF) 지원을 통한 사회적기업 육성 및 지원

- Pilot Program (크라우드펀딩) 20개소 창업단계 재정지원 5개소 Start-up 재정지원

15개소 Scale-up(성정기 기업) 대출지원 5개소 BEF 경영컨설팅 50회 BEF

사회적기업 연구가 인재육성 실시 2회 BEF 판로지원 5개소 등

추진목표

기금지원 (자체 공동)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억원(10억원)

1억원(10억원)

1억원(10억원)

1억원(125억원)

-

- 23 -

(4대 과제) 혁신성장 지원

실행과제

(25)상가임차금 안심대출 상품개발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도시재생지역 내 상가임차인 보호를 위한 상가임차금안심대출 개발

(추진내용)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법령 개정 검토

-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등 관련 법령 개정안 검토

- 법령 개정안 정부 건의 (우선변제권 승계기관 포함)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시장분석 및 조사(`20)

- 상가임차보증금 시장분석 및 보증이용 수요조사

- 보증료율 검토 및 리스크 분석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출시(`21)

- 사규개정 및 법령개정 완료

추진목표

상가임차보증금 상품 출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내부검토 법령개정 시장분석 상품출시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26)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사고 위기사업장과 보증실적의 증가로 사전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및 정기 점검활동 강화 및 핵심업무 역량집중 강화

(추진내용)

∙ 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 현장점검 대상사업장을 파악하여 외주용역을 통한 점검 추진 검토

추진목표 ∙ 2019년도 현장점검 외주화

실행과제

(27)

비대면 전세금보증을 통한 혁신성장 기반 마련

(카카오페이를 통한 가입확대 등)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모바일 전세금보증

스마트폰을이용해언제 어디서든쉽게보증을신청할수있도록모바일가입채널마련

∙ (모바일 인터페이스) 인터넷 전세금보증 프로세스를 모바일웹에 최적화하여 로그인

부터 보증가입 승인까지 전 프로세스 지원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위탁은행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증가입 프로세스 개선

(현행) 임차인이 선순위 채권 등 보증가입정보를 입력

(개선) 임차인은개인정보및계약정보만입력하고세부심사에필요한정보는심사자가입력

모바일 안심대출보증

위탁은행 비대면 전세금 안심대출 상품 개발

추진목표 2019년 전세금보증의 완전한 모바일 가입체계 구축

- 24 -

실행과제

(28)국민 주거편의 제공을 위한 스마트시티 건설 지원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목적) 핵심 국정과제인 스마트시티 분야의 금융지원 플랫폼으로서 주택도시기금지원 기반 모색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검토 및 금융상품 초안 마련

(추진내용)

∙ 민간사업자 의견 수렴 및 스마트시티 기금 금융지원 상품 초안 마련 -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및 주요 요소기술산업 등 동향 파악- 민간사업자 의견수렴을 바탕으로 실질적 금융지원이 가능한 상품 개발 추진∙ 주택도시기금법 개정안 마련 및 정부 건의∙ 스마트시티 건설사업장에 대한 보증료 할인 또는 보증심사 가점부여∙ 스마트시티 건설 신공법 소개 및 성공사례 공유

추진목표금융지원 확대 건수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건 1건 2건 3건 3건

실행과제

(29)HUG 빅데이터운영체계구축으로공공데이터개방기여 담당부서

주택도시

금융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기관 내middot외부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주택middot도시middot금융 분야의 환경 변화를진단함으로서 4차산업 혁명시대 도래에 따른 선제적인 대응 체계 마련

(추진내용)

∙ (1단계) HUG 빅데이터 기반 주택시장 분석 인프라 설계 및 로드맵 수립∙ (2단계) HUG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구축 및 모델 개발∙ 수요자(국민middot정부middot공사)별 빅데이터 활용 영역 확대 및 분석 기능 고도화

추진목표공공데이터 외부개방(제공) 건수 (오픈API포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38건 42건 46건 51건 56건

실행과제

(30)

친환경middot신소재 활용으로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

(제로에너지 건축물 건설자금지원 등)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주택건설사업장에 친환경middot신소재 사용을 유도함으로써 환경 친화적 주택건설과 에너지신산업 판로지원

(추진내용)

∙ 친환경 제품 및 에너지 신소재 제품사용 주택건설사업장에 보증심사 가점부여(완료)- (`1812) 녹색건축물인증등급부여고객보증심사시초기예상분양율 5〜1점가점부여

∙ (추진) 신소재 적용 주택건설사업장 확대를 위해 보증심사시 가점부여

- SOC 공공기관 통합기술마켓과 연계한 보증우대 방안 마련 중소기업이 보유한 SOC 공공기관 관련 혁신기술의 공모middot연구개발 제안 및 검증을

통해 상품화 및 홍보middot판매를 지원하는 플랫폼

추진목표

친환경적 주택건설 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

- 25 -

실행과제

(31)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비대면 가입 활성화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9개 수탁은행에 온라인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 독려

연령 무주택세대주 소득증빙 등 가입 시 제출서류가 많아 비대면 시스템 구축 시

지점방문 없이 간편하게 가입 가능

신한은행 최초로 완전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821)

비대면 가입 주택도시기금포털에 안내 및 홍보

비대면 가입 시스템 기금포털 홍보 게시하여 수탁은행 시스템 개발 독려

추진목표 목표비대면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전체 가입의 6 전체 가입의 12

실행과제

(32)전기자동차 도입을 통한 친환경 에너지 수요 창출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업무용 차량의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ㅇ 2018년 임차기간 만료예정인 업무용 차량을 전기자동차로 대체

ㅇ 추후 본사 및 영업부서 업무용 차량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추진목표 2019년 중 전기자동차 1대 충전소 1개소 설치실행과제

(33)드론 활용을 통한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기술middot제품에 대한 선제적 구매 및 테스트와 고유사업에 활용

으로 민간 초기시장 조성을 견인

(추진내용)

∙ 보증이행사업장 드론 안전점검 시범실시

- (`1812) 예산 미편성으로 1개 사업장 드론촬영 시범실시 및 효용성 검토

∙ 보유중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에 드론 활용 확대

- (`196) 전문엔지니어링 업체 발굴로 일자리 창출 및 보유 사업장 전체(2개)에

드론 활용 안전점검 실시 rArr 위험요소 발굴로 관할센터에 사고예방을 위한

안전조치 권고문서 시행

추진목표

안전사고 발생비율(발생건수보유사업장)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0 0 0 0 0 안전사고발생 ZERO무사고 달성

실행과제

(34)드론활용사업장안전관리및점검체계구축(시범단지운영)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HUG형 혁신 사업장 안전관리 및 점검체계 구축

ㅇ 드론 활용 사업장 안전 및 점검체계 구축

ㅇ 시범단지 선정 및 운용 세부계획 검토

∙ 드론 등 기술혁신 도구관련 관련 업체 및 유관기관 협의

∙ 사업장-영업부서-본사부서 협업체계 및 활용방안(HUG-i 게시) 등

추진목표안전사고로 인한 분양보증사고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0 0 0 0 0

- 26 -

실행과제

(35)블록체인을 활용한 안전하고 편리한 인터넷서비스 제공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정부주도의 공인인증서 폐지정책(전자서명법 전부개정 예고)에 따라 전자

서명에 대한 인터넷 사용자 대체 인증수단 개발

(추진내용)

∙ 블록체인 기반의 본인인증 서비스 (카카오페이 인증 서비스) 도입

- 인터넷보증시스템에서보증료영수증및보증서출력시카카오인증을이용한전자문서

유통증명서비스제공

∙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대국민서비스 확대

- 전자서명법개정에따른블록체인기반의전자서명서비스도입

- 온라인 등기우편(연체정보 등 전자우편을 본인인증 후 열람) 일괄발송 발송내역 조회

및유통증명서발급시스템구축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블록체인기반본인인증서비스시범도입

블록체인기술을이용한

대국민서비스확대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실행과제

(36)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사업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환경보호라는 공공성을 위하여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건물

보증에 대해 유인책 마련 필요

(추진내용)

∙ 제로에너지 건축물에 대한 대출한도 상향 조정

∙ 건축 관련학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해 친환경 건축물에 대한 관심 제고

- HUG 오픈캠퍼스 추진 시 건축 관련학과(건축공학과 건축디자인과 등) 학생에게 교육

추진및공사인턴체험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제로에너지 건축물지원 제도

규정신설 -

HUG오픈캠퍼스 수료학생수 (건축 관련 학과 포함)

100 110 121 133 146

- 27 -

(5대 과제) 공정경제 기반 구축 중점

실행과제

(37)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 진입장벽 해소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물품구매 대금결제 등에 중소기업 창업기업 등에 대한 계약규제 완화를

통해 공정경제 기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함

(추진내용)

∙ 신규 창업middot중소기업에 대한 진입장벽 완화

- 소규모 물품middot용역 입찰(고시금액 21억원 미만) 참여시 상대적으로불리한신규창업 및

중소기업에대한실적제한폐지

- 다만 부득이용역의성격상실적평가가필요한경우창업기업실적인정기간연장

(현행 3년 rarr 7년)을 통한 부담 완화

∙ 지체상금 부담경감 (현행의 12수준) 을 통한 상생협력 강화

∙ 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에 대한 용역대금 선급금지급률 확대

추진목표

중소기업 등 협력업체 계약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779 790 80 81 -

실행과제

(38)

공정경제를 위한 지역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업자 보호강화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건설사업장 인근지역 중소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대금의 현금

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한 하도급업자 보호 강화

(추진내용)

∙ 지역 중소 건설업체들에게 동일한 기회제공 및 공정한 경쟁 유도

- 건설사업장에서 지역건설업체와 하도급계약 체결 시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 할인 추진

∙ 협력업체 하도금대금의 현금지급 확대

- 하도급대금을 현금으로 지급할 경우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를 할인

하여 협력업체 및 근로자들의 보호를 강화하고 시장에서의 우위 선점

추진목표

지역 하도급업체 계약체결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규정개정 30 40 50 60

하도급대금의 현금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해 하도급업자 보호

- 28 -

3 국민신뢰 회복

(6대 과제) 적극행정 확산 등 조직운영 혁신

실행과제

(39)고용위기지역에 대한 금융지원 추진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용위기지역에 대한 지원강화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추진내용)

∙ 고용위기지역 내 임대주택 건립시 보증료 할인 추진(완료)

- 고용위기지역및고용재난지역소재임대보증금보증사업장보증료 10인하( 1812)

∙ 고용위기지역 내 임차인이 전세금보증 이용시 보증료 할인 검토

- 전세보증금반환보증(전세금보장) 전세안심대출(전세금대출지원)

보증이용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임차주택으로 변경시 보증료 할인 검토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보유한 주택건설사업자가 입주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임차

주택으로변경하여전세금보증가입신청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추진목표

고용위기지역 금융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마련 및 운영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40)근로여건 개선을 통한 휴식 있는 삶 지원 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일ㆍ가정 양립에 대한 법적ㆍ사회적 요구 증대됨에 따라 장시간 근로문화를 타파하고 휴식 있는 삶을 지원하여 일ㆍ생활의 균형 실현

(추진내용)

∙ 장시간 근로문화 타파- 직원니즈를반영한공사맞춤형복무제도수립및운영- PC-OFF 강화 (주2회rarr매일)- 퇴근장려캠페인 (인사안하고퇴근하기 관리자솔선수범퇴근)∙ 휴식 있는 삶 지원- 가족친화제도지속개발 (일가양득프로그램운영)- 연차휴가및남성육아휴직이용률향상을위한제도개선- 시간단위연차사용을통한휴가사용활성화- 임신직원보호를위한모성보호절차도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인당 연차사용일 1426일 1497일 1572일 1651일 1733일남성육아휴직인원 331 348 365 383 402

- 29 -

실행과제

(41)

위임전결기준 개선을 통한 업무처리 혁신

(결재피로감 낮추고 책임middot권한 공백없이 업무는 신속하게)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결재절차를 단순화함으로써 신속한 업무처리 및 고객만족도 제고

(추진내용)

∙보증위탁업무전결권세분화

- 위임전결규정안마련및규정개정절차진행(5월)

보증업무 위탁外 융자수탁업무 관련 전결권 개정도 함께 추진

∙대외업무협약체결전결권세분화

- 사안의중요성및영향도등고려중장기적으로면밀한검토필요

추진목표

결재절차 단순화

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rsquo23년보증및융자수탁업무위임전결규정개정

제도 보완

실행과제

(42)지출신청 시 영수증 증빙 제출제도 개선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지출신청시 불필요한 원본구비 제도 개선을 통한 업무효율화 달성

(추진내용)

∙ 공사 지출의 42 비중을 차지하는 5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 원본 제출 제외

- 지출액 50만원 이하 법인카드 및 전자세금계산서 지출 건 원본구비 예외 조항 신설

- 확인이 필요한 간이계산서 등은 원본징구하여 지출사고 가능성 예방

- 제도 정착 전 3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에 대하여 원본 제출 제외(시범운영)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내부

규정개정 및시범운영

제도개선 지속 추진

실행과제(43)

PF보증심사 시 월별예정 분양률 분포의 계량화 담당부서금융기획실심사평가처주택도시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민간아파트 초기분양률 데이터를 활용한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

(추진내용)

∙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를 통한 심사 객관성 확보

- 월별예정분양률 관련 명확한 지침 산정으로 신청업체 및 심사자의 주관 배제

- 국가승인통계인 민간아파트초기분양률 동향 데이터를 활용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

∙ 초기분양률 동향 분석(주택도시금융연구원 협업 4월sim10월)

- 연구원과 협업을 통해 초기분양률 데이터 분석 및 관리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건의(11월)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관할 부서(금융기획실)로 세칙 개정 건의

추진목표2019년도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예상분양률 분포기준 마련 초기분양률 데이터 관리체계 구축

- 30 -

(7대 과제) 윤리경영 강화

실행과제

(46)청렴도 향상을 위한 반부패 활동 강화 담당부서 준법지원실

추진내용

윤리경영 추진조직 강화

기관장 주도의 윤리경영 고위직 협의체 구축 내부 자문기구「청렴자문위

원회」운영 강화 및 임원의 윤리자가진단 현황 정보공개

반부패middot청렴 대외 활동 활성화

부산 이전 공공기관 청렴 협의체「청렴 클러스터」활동 강화

「부산투명사회실천 민middot관 네트워크」가입middot활동 실시

「유엔글로벌콤팩트(UNGC)」활동으로 글로벌 윤리역량 강화

실행과제

(44)논스톱 고분양가 심사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공사 PF보증 사업장에 대한 고분양가 심사기준 개선을 통한 사업

안정성 제고 및 고객신뢰성 확보

(추진내용)

∙ 「고분양가사업장심사규정」개정 추진(5월~6월)

- 고분양가 관리지역 내에서 공사 PF보증 발급예정사업장의 고분양가 심사기준(비교

사업장 선정 및 분양가격 산출 등)의 적용을lsquoPF보증 본점 승인시점rsquo으로 명확히 함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고분양가심사규정개정

사업안정성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 추진

실행과제

(45)임대리츠 통계 및 사후관리시스템 개선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목적) 자리츠 사후관리 주관기관(모리츠 AMC인 LH) 및 감독관리기관

(HUG) 간의 업무분장에 따라 사후관리 데이터 품질 저하 등 발생

rArr 기관간 협업체계 개선 관련 시스템 개발 등을 통한 사후관리 관련 데이터품질 향상 및 대정부 정보전달 적시성 확보

(추진내용)

∙ 리츠 기금출자내용 변경시 임대리츠 이력관리 등이 가능하게 하는 통계시스템 개발

∙ 분기별 사후관리보고 제출기한 마련 검토

∙ 임대리츠 통계관리 업무체계 내실화를 위한 기관간 협업 수행

추진목표

임대리츠 사후관리 구조 개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전산시스템개발 및시스템 구축

임대리츠사후관리

체계개선 수행

시스템 운용및 개선사항도출

기관간 협업수행(데이터관

리)

임대리츠통합데이터관리 수행

- 31 -

(8대 과제) 국민의 참여협력 확대 및 지역사회 공헌

실행과제

(47)

혁신도시 맞춤형 지역인재 육성 지원 및

인재채용 투명성 강화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도시 지원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증대에 따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한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

(추진내용)

∙ 市-지역대학간 협업으로 지역인재 육성 교육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 외부 면접위원 확대 및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인사 절차의 공정성 강화

∙ 사회형평적 채용실시와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을 통한 불합리한 차별 해소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지역채용 21 24 27 30 33지역인재육성 총 교육시간(교육인원times교육시간 시간) 3000 4500 4500 4500 4500

지역인재육성교육만족도(점수) 944 949 954 959 964

실행과제

(48)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사회공헌사업 확대 추진 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정부의 lsquo사회적 가치 실현rsquo을 정책에 따라 사회적 경제 및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사회공헌 필요성 증가

(추진내용)

∙ 안전한 주거환경 제공

- 무주택 국가유공자 및 저소득층 임차자금 170세대 지원(~8월10억원)- HUG 셰어하우스 3호 신촌점 완공 청년 24명 입주 완료(~10월2억원)- 저소득층 노후주택 및 소규모 사회복지시설 127세대 개보수(~10월8억원)- HUG STREET 잘사는 골목길 등 환경개선사업 대상지 선정 완료(~10월1억1천만원)

∙ 지역사회와 상생

- 노후 슬레이트 지붕개량 및 태양광 지원 사업 4자 협약(~8월3억원) HUG-부산시-한국사회복지협의회-부산도시재생지원센터

- HOPE with HUG 10호 11호 완공(~9월1억5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지역건설사-지역건축전문가 협업을 통한 주거개선사업

- 부산 송상현 광장 내 도시놀이터 프로젝트 완료(~9월7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부산시설공단 협업을 통한 문화middot휴식공간 조성

청렴 모니터링 다각화

청렴의식 환기를 위한 「자가점검 프로그램」실시

「청렴 옴부즈만」운영

개선 아이디어 발굴을 위한 「신입사원 生生 모니터링」

추진목표

종합청렴도 결과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3등급 2등급 1등급 1등급 1둥급

- 32 -

∙ 균등한 기회와 사회통합

- 중학생 자유학기제 지원 프로그램 운영(9월~4천만원)- 저소득층 청소년 20명ndash대학생 20명 매칭 등(6월~5천만원)- lsquoKBS 동행rsquo에 출연하는 저소득 가정 50세대 지원(7월~1억원)- 발달장애 청년 재능개발 프로젝트lsquo눈부신하루rsquo추진(6월~3천만원)- 신입사원 봉사활동 등을 통한 지역사회 나눔활동(~10월7천2백만원)- 저소득층 난방연료 지원을 위한 주택도시업 캠페인(~12월5천만원)- 자매결연 마을 농수산물 구입기증(~12월4천만원)

추진목표

추진 목표는 해당연도 사회공헌 기부금 예산금액(이사회 의결금액)과 연계

기부금액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8620백만원 8879백만원 9145백만원 9419백만원 9702백만원 전년도예산금액103

실행과제

(49)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목적) 도시재생과 유사한 목표비전을 공유하는 사회적경제와 연계한 맞춤형

금융상품 운영 및 관련 지원조직과 다각적 협업 활동 추진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지역주민이 주도하는 도시재생 금융지원으로 국민의 삶의 질 개선

(목적) 주민지역공동체 주도의 마을단위 도시재생으로의 변화에 대응하여

사회적 경제주체 등 지원체계 개선으로 사회적 가치 실현에 기여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추진목표

수요자중심형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510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실행과제

(50)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국민이 참여하는

HUG사업평가단(가칭) 운영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보증업무 전반에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HUG

사업평가단 구성하여 주택품질 제고 및 안심입주 지향

(추진내용)

∙ 국민이 참여하는 보증솔루션팀 및 보증심사 리뷰단을 통해 제도 개선사항 도출

∙ 보증채권자 권익에 미치는 사항 등 국민의견 수렴을 통한 보증이행제도 개선

∙ 전세금보증 이행완료 고객 및 공인중개사 참여를 통한 제도개선 사항 발굴

추진목표 2019년 국민 의견수렴을 통한 전세금보증 제도 개선 등 검토

- 33 -

실행과제(51)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과 협업하여효율적인 전세금보증 이행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이행 업무의 효율성 제고

(추진내용)

∙ 지역사회단체 등과의 협업을 통한 임차인 퇴거확인 추진 검토

- 보증사고 발생 시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 구성원이 임차인 퇴거를

확인하여 담당직원 업무 공백 최소화 (직원 출장비 수준으로 비용 지급)

- 임차인 퇴거 확인 시 해당 주택가격 및 신규 임차인 확보 가능성 검토결과를

보고받아 채권보전조치를 위한 근거 확보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거보호 이행도(전세금보증 이행 15일초과건수전체이행건수)

50 45 41 37 34

- 34 -

Ⅳ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및 적극행정 확산

①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국민참여게시판을 lsquo국민제안(국민rarr기관)rsquo

및 lsquo정책제안(기관rarr국민)rsquo 게시판으로 세분화하여 국민과 기관간

상시 소통기반 마련 경평지적

지적사항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위한 개선방안 마련 필요

(혁신 네트워크 강화) 시민참여혁신단 보증채권권익위원회 전세금

보증 시민참여단 기금홍보협의회 운영 등 주요사업에 기반하여

다양한 대외 전문기관과 네트워크 활성화 경평지적

지적사항 보증 기금등주요사업역량강화를위한전문기관혁신네트워크강화필요

② 적극행정 확산

(적극행정 면책제도 활용) 감사계획 통보 시 적극행정 면책제도

middot사전컨설팅 제도 사전안내 및 면책신청 지원을 위한 상담창구

운영 등 (계획수립 完 감사실-2367호)

(기관장 책임강화) 혁신전략위원회(위원장 사장)를 통해 적극행정

혁신과제에 대한 추진독려 및 이행사항 점검 등 보완사항 지속

발굴 (혁신페스티벌 1middot2차 개최)

(적극행정 우수사례 발굴)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를 통해 조직내

적극행정 분위기 유도 (포상 및 내부성과평가 반영 등)

성과창출에 실패했더라도 기존관행 탈피 새로운 영역개척 국민접점에서

활력을 제고하는 등 lsquo착한실패rsquo lsquo건전한파격rsquo에 대해서도 포상추진 예정

(적극행정 인식확산) 적극행정 사이버교육(법제처 주관) 이수 등

적극행정 인식확산을 위한 교육참여 시 혁신마일리지 부여 (전사 교육 실시 예정)

- 35 -

Ⅴ 혁신 추진도구별 업무일정

구 분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1 2 3 4 5 6 7 8 9 10 11 12

1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2 국민소통 강화

3 혁신페스티벌

4 유관기관 협업

5 혁신채널 구축

6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7 제안제도 정비

8 혁신콘서트

9 혁신교육 및 혁신워크숍

10 혁신레터

11 혁신마일리지 신설

12 혁신BP 발굴 및 포상

피드백

(성과관리) 공공기관 혁신 및 기관 경영혁신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혁신과제 추진실적을 정기적으로 점검 및 피드백

(혁신전파) 조직원 전체의 혁신공감대 형성 및 참여도 제고를 위해

본사부서 및 영업부서 방문 등을 통해 혁신활동 및 우수사례 공유

(혁신내재화) 국민소통채널 혁신마일리지 혁신레터 등 혁신활동이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고 혁신업무에 대해

조직원이 공감하고 회사 모든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

Page 7: 2019년 HUG 혁신 추진계획 - khug.or.kr…„HUG혁신추진계획.pdf · 혁신페스티벌 - (내부 혁신과제 발굴) 조직·인사·제도·서비스혁신 등 회사

- 6 -

4대 혁신대상별 추진도구

❶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국민소통 강화 등 소통기반 혁신추진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 (대국민 아이디어 공모) 국민의견을 적극 반영한 신규과제 추가

발굴을 위하여 대국민 아이디어 공모전 개최

2019년도 대국민 아이디어 공모를 통해 6개 혁신과제 발굴

국민소통 강화

- (소통채널) 국민의견 수렴을 위해 운영 중인 시민참여혁신단 및

청년포럼(Off-Line)과 홈페이지에 대국민참여게시판(On-Line) 활성화

소통채널 구 성 현 황

시민참여혁신단 ∙ 교수 고객 유관기관 시민단체 언론계의 분야별 전문가 6인으로 구성

청년포럼 ∙ 대학생 청년사업가 12인으로 구성

대국민참여게시판 ∙ 공사의 정책제안 국민제안 아이디어 공모 시 모든 국민참여

혁신페스티벌

- (내부 혁신과제 발굴) 조직middot인사middot제도middot서비스혁신 등 회사 전 분야의

경영혁신 달성을 위한 전사 혁신페스티벌 추진 (부서 및 개인제안 공모)

유관기관 협업

- (SOC공공기관 통합기술마켓) 중소기업 기술 및 판로지원을 위하여

국토부 산하 10개 공공기관이 통합기술마켓 공동구축 추진

HUG LH 감정원 도로공사 코레일 인천middot한국공항공사 LX 철도시설middot교통공단

- 7 -

❷ 혁신채널 구축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등 혁신 프로세스 체계화

혁신채널 구축

- (혁신광장) 혁신관련 종합계획 정부정책 및 추진체계 등을 공유

하고 조직원의 아이디어를 상시 발굴할 수 있는 혁신광장 개설

지식채널(KM)에 개설하여 혁신제안혁신심사혁신BP 등 게시 전사 공유

lt혁신광장 구축(안)gt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 (프로세스 체계성 강화) 직원 제안사항을 단순제안혁신제안으로 분류

하고 혁신제안은 Bottom-up 방식 단계별 심사 후 혁신과제로 선정

직원제안은 사내인트라넷 內 혁신광장을 통해 연간 상시접수

lt혁신제안 심사 및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gt

구분 예비심사 1차 심사 2차 심사 혁신과제 확정

주요내용

∙단순제안혁신제안심사배제 제안으로 분류

∙예비심사에서 채택된 혁신제안을 대상으로 심사

∙1차 심사에서채택된혁신제안을 대상으로 심사 ∙혁신과제 추진

여부 등 중요사항 의결

채택요건

∙심사위원 34이상 참여과반수 이상 시 단순제안및 혁신제안으로 채택

∙심사위원 34이상 참여기준 점수 이상 시 혁신제안으로 채택

∙심사위원 34이상 참여과반수 이상 시 혁신과제로 채택

주체혁신 변화요원

(팀원)혁신리더(팀장) 본사 부서장 혁신전략위원회

(사장 부사장 등)

제안제도 정비

- (규정개정) 혁신과제 선정절차 및 혁신 평가방식 개선 등을 위해

혁신제안 관련규정 정비

혁신제안제도 운영기준 및 혁신마일리지 운영기준

- 8 -

❸ 혁신콘서트 혁신레터 등 혁신문화 촉진 경평지적

지적사항 혁신역량 강화 교육 체계화 및 활성화 필요

혁신콘서트

- (혁신공감대) 혁신우수사례(BP) 및 혁신노하우를 발표middot공유하고

시상식 등을 개최하여 조직원의 공감대 형성 및 동기부여

- (전사 참여) 조직원 전체가 참여할 수 있도록 추진하되 단독 또는

한마음 단합대회 개최 시 관련부서와 협의하여 공동 추진 검토

혁신교육 및 워크숍 확대운영

- (혁신교육) 창의적 조직문화 학습을 위해 혁신 선도적 공공민간

기업의 우수사례를 주제로 전직원 대상 정기교육 실시

2018년도 조직문화 혁신교육 우아한형제들 - ①규율 속 자율 경영

②창의적 업무환경조성 ③일상적 소통경영 등

- (혁신워크숍) 혁신문화 촉진과 조직원의 수용력 제고를 위해 혁신

담당자 중심으로 혁신워크숍 실시

전사혁신리더및변화요원대상혁신관련정부정책middot평가방식공유 혁신추진공감대형성등

혁신레터

- (혁신메시지) 조직원의 혁신업무 이해도 제고를 통한 혁신 실행력

강화를 위해 혁신메시지 제도 시행

middot 혁신전략 혁신계획 혁신과제 등 혁신업무 전반에 대해 카드뉴스를

제작하여 전사 포털(Portal) 화면에 팝업창을 통해 게시

현재 전사포털 팝업창을 통해 윤리경영 자가점검 칭찬감사릴레이 등 시행중

- 9 -

❹ 혁신마일리지 신설 혁신BP 가점제도 개선 등 혁신지표 개선 경평지적

지적사항 혁신역량 강화 교육 체계화 및 활성화 필요

혁신마일리지 신설

- (혁신활동 평가강화) 혁신 과제선정middot이행 국민소통 혁신활동

등 혁신업무 전 영역에 마일리지를 부여하여 혁신평가의 변별력

제고 및 보상체계 강화

과제선정(최대10점) 과제이행(최대20점) 국민소통(최대20점) 등혁신마일리지차등부여

HUG 혁신마일리지 추진 체계

국 민업무혁신middot성과중심의 혁신마일리지 관리체계 구축 우수과제

선정 및

전파

제안등록 과제선정

(최대 10점) 과제이행

(최대 20점)

국민소통(최대 20점)

혁신활동(최대 10점)

마일리지

내평반영 및

포상 제안의

난이도에 따른

차등 점수

단순제안혁신

제안우수제안

이행

국민의견을

반영한

제안과제 이행

혁신콘서트

혁신특강 등

개인 역량강화H U G

혁신제안의 수준과 부서 및 직원의 혁신기여도에 따른 차등 마일리지 부여

혁신BP 가점제도 개선

- (가점확대) 혁신페스티벌 대국민아이디어 적극행정 혁신성장 등

BP경진대회를 통한 우수사례 발굴 및 내평(성과향상기여도) 가점 확대

[현행] 본사부서(최대 17점) 영업부서(최대 05점) rarr [개선] 본사(최대 2점) 영업(최대 1점)

- 10 -

Ⅲ 2019년 HUG혁신과제

2019년은 기존 중장기 35개 과제에 국민참여 6개 과제 기관 내부

발굴 10개 과제를 추가하여 총 51개 혁신과제를 추진할 예정임

HUG 혁신과제 (2018년) 38개 rArr (2019년) 51개

(중장기 과제) (lsquo18) 38개 과제 rarr 대내외 환경변화로 (lsquo19) 35개로 조정

(국민참여) 2019년 대국민아이디어 77건 중실현가능성등검토하여최종 6건선정

(내부발굴) 2019년 직원제안 236건 중 실현가능성 등 검토하여 최종 10건 선정

HUG 혁신과제 목록 (2019년 공공기관 혁신가이드라인 8대 과제별 분류)

연번 ① 고유업무 공공성 제고 비고

1 전세금보증 가입문턱을 낮추어 서민의 전세금 보호 강화 중장기

2 주택도시기금 지원확대로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역할강화 중장기

3 임대주택 공급지원 확대로 서민 주거복지 증대 중장기

4 주택도시기금 신규상품 개발을 통한 도시재생뉴딜 활성화 중장기

5 제도에서 전산까지 온오프라인 안심시스템 구축 중장기

6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전사 경영전략체계 구축 중장기

7 도시계정의 체계적 관리를 통한 도시재생 활성화 중장기

8 국민과 함께하는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 중장기

9 민관협력사업으로 주거취약지구 주거환경 개선 중장기

10 도시재생 맞춤형 스타트업 총괄지원 플랫폼 도입middot운영 국민

11 도시재생 생태계 조성을 위한 종합지원 플랫폼 구축 국민

12 분양이행사업장 수분양자 보호 내부

- ② 포용적 공공서비스 제공 강화 -

13 인터넷보증시스템 개선으로 전세금보증 이용편의성 제고 중장기

14 주택도시기금 대출절차 간소화를 통한 대국민 서비스 향상 중장기

15 고아원연계 보호종료아동 월세보증금 지원 제도 국민

16 HUG 이용고객 편의성 제고를 위한 플랫폼 구축 국민

- 11 -

17 전세금보증 인터넷가입에 필요한 데이터 자동화 구축 국민

18 사회임대주택 활성화를 위한 조직 혁신 내부

19 상담서비스 고도화를 통한 고객만족도 제고 내부

20 공공정보 연계 통한 서류제출 절차 간소화 내부

- ③ 경제활력 제고 및 일자리 중심 경제 지속 지원 -

21 사업다각화를 통한 고용증대 및 비정규직 ZERO화 중장기

22 주거복지 및 도시재생을 위한 창업공간 금융지원 중장기

23 IT선진화를 통한 민간일자리 창출 중장기

24 공공기관 공동기금 조성을 통한 지역 사회적경제 활성화 중장기

25 상가임차금 안심대출 상품개발 중장기

26 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중장기

- ④ 혁신성장 지원 -

27 비대면 전세금보증을 통한 혁신성장 기반 마련(카카오페이를 통한 가입확대 등) 중장기

28 국민 주거편의 제공을 위한 스마트시티 건설 지원 중장기

29 HUG 빅데이터 운영체계 구축으로 공공데이터 개방 기여 중장기

30 친환경middot신소재 활용으로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제로에너지 건축물 건설자금지원 등) 중장기

31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비대면 가입 활성화 중장기

32 전기자동차 도입을 통한 친환경 에너지 수요 창출 중장기

33 드론 활용을 통한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 중장기

34 드론활용 사업장 안전관리 및 점검체계 구축(시범단지운영) 중장기

35 블록체인을 활용한 안전하고 편리한 인터넷서비스 제공 중장기

36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사업 국민

- ⑤ 공정경제 기반 구축 -

37 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 진입장벽 해소 중장기

38 공정경제를 위한 지역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업자 보호강화 중장기

39 고용위기지역에 대한 금융지원 추진 중장기

- ⑥ 적극행정 확산 등 조직운영 혁신 -

40 근로여건 개선을 통한 휴식 있는 삶 지원 중장기

41위임전결기준 개선을 통한 업무처리 혁신(결재피로감 낮추고 책임ㆍ권한 공백없이 업무는 신속하게 )

내부

42 지출신청 시 영수증 증빙 제출제도 개선 내부

- 12 -

HUG 혁신과제 세부추진 내용

1 사회적 가치중심 기관 운영

(1대 과제) 고유 업무의 공공성 제고 중점

43 PF보증심사 시 월별예정 분양률 분포의 계량화 내부

44 논스톱 고분양가 심사 내부

45 임대리츠 통계 및 사후관리시스템 개선 내부

- ⑦ 투명middot윤리경영 강화 -

46 청렴도 향상을 위한 반부패 활동 강화 중장기

- ⑧ 국민의 참여 확대 및 지역사회 공헌 -

47 혁신도시 맞춤형 지역인재 육성 지원 및 인재채용 투명성 강화 중장기

48 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사회공헌사업 확대 추진 중장기

49 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중장기

50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국민이 참여하는 HUG사업평가단(가칭) 운영 중장기

51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과 협업하여 효율적인 전세금보증 이행 내부

실행과제

(1)전세금보증가입문턱을낮추어서민의전세금 보호 강화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서민의전세보증금을지켜주는최선의안전장치 lsquo전세금보증rsquo 활성화추진

(추진내용)

∙ 보증가입 편의성 제고 및 채널 확대를 통한 전세금보증 활성화

- 모바일 전세금보증 편의성 지속 개선middot확충

- 공인중개사 전세금보증 위탁판매 활성화 등

∙ 사회배려계층 맞춤형 보증제도 개선 등을 통한 공적역할 강화

- 보증가입기간 확대 등 임차인 보호를 위한 전세금보증 지원

- 보증서비스 품질 개선 등을 위한 전문가 의견수렴 등

추진목표

보증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0만호(21조원)

12만호(25조원)

14만호(30조원)

17만호(36조원)

20만호(43조원)

- 13 -

실행과제

(2)

주택도시기금 지원확대로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역할강화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무주택middot실수요 서민주거 안정지원을 위한 대출제도 개선 및 주거복지

로드맵 정책지원을 통한 맞춤형 주거지원으로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마련

(추진내용)

∙ 신혼부부middot청년층 기금대출 지원 확대

- 신혼희망타운 수익공유형 모기지대출 출시

- 신혼부부 기간 확대 (5년 rarr 7년)

- 청년층 청약 가입요건 완화 등 제도 개선 및 운영보완

- 고시원 주거급여 거주자 등에 대해 주거안정월세대출 대상자에 포함

∙ 자산기준 도입 서류간소화 등 기금대출 제도 개선

추진목표

사회취약계층 등 기금지원 (수요자 대출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78조원 78조원 78조원 78조원 78조원

`19~`23 목표는 매년초 국토부 최종안 확정안 국회승인을 거쳐 목표치 확정

실행과제

(3)임대주택 공급지원 확대로 서민 주거복지 증대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사회임대주택 공급 활성화

(목적) 주거약자를 위한 정부 사회임대주택 공급 활성화 정책 지원 및

공사의 공공성 역할 확대

(추진내용)

∙ 사회임대주택 보증 확대를 위한 제도개선 및 공급 활성화를 위한 금융 지원

∙ 사업관련 주체의 유기적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홈페이지 구축

∙ 공급활성화 여건 조성을 위한 사업자 육성 및 홍보 강화 및 유관기관 협업

임대리츠 관리체계 개선 및 공모를 통한 공급확대

(목적)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등 리츠를 통한 임대주택 공급 활성화를

통해 국민 주거복지 증진 도모

(추진내용)

∙ 서민 주거복지 강화를 위한 임대리츠 기금출자 제도 개선

∙ 민간임대사업자 참여 유도를 위한 공모사업 활성화

∙ 임대리츠 공공성 강화를 위한 심사관리 체계 개선 및 기금출자심사 실시

∙ 임대리츠 관련 정부정책 추진 지원을 위한 다각적 홍보 추진

∙ HUG形 민간제안 공모방식 확대로 임대주택 공급 강화

추진목표

사회임대주택 보증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50호 900호 990호 1089호 1197호

리츠를 통한 임대주택 공급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0500호 11550호 12705호 13976호 15373호

HUG 민간제안공모 공고 세대수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rsquo23년

8000세대 8500세대 9000세대 10000세대 10500세대

- 14 -

실행과제

(4)주택도시기금신규상품개발을통한도시재생뉴딜활성화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도시재생뉴딜 맞춤형 금융지원 확대 (목적) 도시재생 사업유형 확대에 대응한 맞춤형 기금지원 상품 개발운용 (추진내용)∙ 소규모 재생사업 및 주택정비 활성화를 위한 금융지원 확대∙ 도시재생 경제조직 활성화를 위한 금융지원 프로그램 도입 도시재생뉴딜 활성화를 위한 기금지원 운용체계 개선 (목적) 명확한 업무기준효율적 수행방안을 확립하여 도시계정 양적질적확대에 대응 및 뉴딜정책 활성화에 기여

(추진내용)∙ 도시재생 금융지원 접수middot심사체계 개편으로 국민불편 해소∙ 도시재생 금융지원 사후관리 체계 확립으로 안정적 기금운용 및 공공성 실현

추진목표

도시재생 금융지원 출융자 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5877억원 11227억원 15014억원 16178억원 16494억원

도시재생 금융지원 심사사업장관리 운용체계 개선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5건 5건 5건 5건 5건

실행과제(5)

제도에서 전산까지 온middot오프라인 안심시스템 구축 담당부서정보운영처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응하는 정보보안체계 구축

(목적) 4차 산업혁명시대 기술(IoT BigData AI 등) 변화에 맞는 선제적인 정보

보안 체계 수립과 능동적인 정보주체의 권리 보장

ㅇ (추진내용)

∙ 선진화 정보보안 체계 구축 컨설팅

주택건설사업장 사회안전망 플랫폼 구축

(목적) 주택관리사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으로 사고로 인한 분양계약자의

입주지연 및 보증사고 위험 등을 사전에 예방하여 국민의 편익 증진

(추진내용)

∙ 사업장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보증사업장 현장점검 규정 개정

- 사업장안전관리강화를위한안전점검업무신설및안전관리우수고객우대제도운영

∙ 드론을 활용한 보증사업장 동영상 촬영 및 제공으로 분양계약자 정보제공 강화

- 현재 앱을 통한 사업장 현장사진 제공을 드론을 이용한 동영상 제공으로 확대하여

분양계약자 정보제공 강화

추진목표

국정원 정보보안 관리실태 점수 행안부 개인정보보호 진단 점수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공공기관평균점수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 5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10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15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20

보증사업장 안전사고로 인한 공사 지연 건수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0건 0건 0건 0건 0건

- 15 -

실행과제(6)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전사 경영전략체계 구축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공공기관의 lsquo공적역할 강화rsquo 및 lsquo사회적 책임실현rsquo이라는 국정기조 변화에 부응

하기위한공사의新경영전략수립

(추진내용)

∙ 고유 업무의 공공성 제고를 위한 사업전략 재수립

- 사회통합형 주거복지 실현을 위한 공적금융 지원 전략 수립

- 소규모 도시재생사업 활성화를 위한 단계별 공사 역할방안 마련

∙ 사회적 가치 기반 전사 기능전략 및 중장기 경영목표 재수립

- 공적역할 확대 및 사회적 책임 구현을 위한 부문별 기능전략 수립

추진목표

사회적가치 기여도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최우수 최우수 최우수 최우수 최우수

청렴도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등급 1등급 1등급 1등급 1등급

실행과제(7)

도시계정의 체계적 관리를 통한 도시재생 활성화 담당부서기금정보처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목적) 노후주거지 주민과 사회적기업 등이 필요로 하는 자금을 적시에 원활히 지원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도시계정 관리 추진

(추진내용)

∙ 연체관리 프로세스 정립을 통한 기금손실예방

- 연체 단계별 업무처리 프로세스 마련을 통한 융자사고방지

- 도시계정 융자원리금 수납기준 마련

- 융자사고관리 방안 마련

∙ 고객신용관리 체계구축을 통한 사고예방 모니터링 확대

- 고객신용관리 모니터링 체계구축을 통한 사고예방관리

- 도시계정 신용정보집중 처리기준 프로세스 마련

- 도시계정 신용정보관리 전산시스템 구축 일반신용정보관리규약에 따른 도시계정 신용정보 파일전송 설계서(전문) 작성

공사 신용정보 집중 시스템과 병합 추진

∙ 도시계정 자금관리 체계정립을 통한 도시재생활성화지원

- 도시계정 예산확대 신규 금융기법적용 등 도시계정 특성을 반영한 회계middot결산

자금관리 업무기준 확립 정형화된 담보가 아닌 수요자사업자 특성을 고려한 맞춤 담보제공 자금투입 공공성 확보를

위한 엄격한 융자조건 부여

- 회계middot결산 자금관리 업무전산화를 통한 효율화 정책지원기능 확대

추진목표 (비계량) 2019년 융자사고예방을 위한 연체관리 자금관리기준 수립 및 개선

- 16 -

실행과제(8)

국민과 함꼐하는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 담당부서보증이행처

준법지원실

추진내용

(목적) 국민참여를 통한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의 수용성 제고 및 주거

복지 실현 위한 공동주택 하자 조기대응ㆍ감축방안 모색

(추진내용)

∙ 하자분쟁 해결체계 관련 국민 공유ㆍ소통 프로그램 운영

- 국민과 함께하는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 계획 수립

- lsquo공동주택 실무강좌rsquo 동행을 통한 하자관련 주요이슈 대국민 공유ㆍ소통- 국민참여 하자정보 공유 4회(서울 인천 수원 의정부) 및 하자실무 법률상담

∙ 국민 참여 확대를 통한 정책 개선 노력

- (lsquo1810) 대국민 의견수렴을 위한 하자분쟁 컨퍼런스 개최

middot 하자분쟁 예방을 위한 관계규정 검토 및 정책 논의

middot 행정청 학계 법조계 및 입주자대표회의 관련 다수 국민 참여

∙ 소규모사업장 청구 전 하자보수보증 사전안내제도(BS Before Service) 실시 검토

소규모사업장 150세대 미만 사업장 중 대위변제가 없는 2년차 하자보수보증 만료6개월 전 사업장

추진목표

대국민 참여도산출근거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참여횟수6회참여인원300명

참여횟수8회참여인원400명

참여만족도85점 이상

정책국민의사반영1회이상

정책국민의사반영1회이상

횟수당50명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점수(관리본부) 목표치산출근거구분 rsquo18년 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등급 A A A A A 목표 A등급 이상

실행과제(9)

민관협력사업으로 주거취약지구 주거환경 개선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목적) 공사의 사회적 가치경영 실행을 위해 새뜰마을(취약지역 개조사업) 주거

여건 개선을 지원하는 민관협업 사회공헌사업 추진

(추진내용)

∙ 중앙부처 공공기관 민간기업 등이 지역 주민과 함께 도시취약지역 내 노후주택에

대한 주거환경개선 열효율화 사업 추진

- 새뜰마을중고령화 노후화등으로사업추진이절실하고 지역사회참여정도등을 고려

하여성과가 가시화될수있는지역선정추진

∙ 주거취약지역 환경개선 관련 민관협업사업 MoU 체결 추진

- 국토교통부 HUG LH KCC AURI 해비타트 등 협약 체결을 통해 집수리 자재 및

전문인력 후원금 지원 추진

∙ 도시취약지역 지원 효과 분석 및 사업추진 매뉴얼 마련

- 지역기초조사 사업전후 효과분석 등 성과관리 새뜰마을 매뉴얼 제작보급

추진목표새뜰마을 지원대상 확대 건수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5건 5건 5건 5건 5건

- 17 -

실행과제(10)

도시재생 맞춤형 스타트업 총괄지원

플랫폼 도입middot운영담당부서

인사처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도시재생과 관련된 스타트업 및 소셜벤처에 대한 종합적 지원

(추진내용)

∙ HUG형 도시재생 뉴딜 창업 프로젝트 추진

- 사회적 경제조직 육성기관(함께일하는재단) 대중투자 전문기관(와디즈)과 협업

- 사회적 경제조직 컨설팅 지원

- 대중투자 연계 통한 일자리 창출 및 사회적 경제 활성화 지원

∙ 스타트업 및 소셜벤처에 대한 사회적 금융 지원

∙ HUG 창업 라운지(스타트업 기업에 공간 공유) 확대 운영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사회적금융지원금액 1억 1억 1억 1억 1억

공간지원스타트업수 6 8 10 12 14

멘토링middot창업캠프개최회수 5 5 5 5 5

실행과제(11)

도시재생 생태계 조성을 위한

종합지원 플랫폼 구축담당부서

기금정보처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종합적인 도시재생정보 공유체계 구축을 통해 기금 지원된 도시재생사

업에 대한 정량적 정보 및 사후지원 청년middot예비창업자 참여를 위한 HUG 정책

지원 정보를 기금포털 내 일괄 제공

(추진내용)

∙ 전국 기금이 활용된 도시재생 사업장 정보 제공(lsquo도시재생 기금지도rsquo 서비스)

- 지도 API 기반의 도시재생 기금지원 사업장 정보조회 서비스

- 전국 분포된 사업장의 위치부터 융자금액까지 상세정보를 편리하게 검색

- 실제 사례와 이용 상품 정보를 함께 제공하여 정보이용자 이해도 제고

∙ 기금 사업장 홍보 지원 및 청년창업 지원 정보 일괄 제공(전용 게시판 신설)

- 사업장 및 보유시설(코워킹시설 임대시설 등) 홍보 위한 전용공간 마련

- 기금지원 사업의 우수사례 정보공유를 통한 벤치마킹 및 정보이용자 관심유도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기금지도 서비스 개시 서비스구축middot개시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우수사례 발굴 건수 8 8 8 8 8

- 18 -

(2대 과제) 포용적 공공서비스 제공 강화

실행과제(12)

분양이행사업장 수분양자 보호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분양대금채권 지연손해금율 하향조정 등 분양계약자 부담완화를

통한 국민 주거안정 기여

(추진내용)

∙ 분양계약자 지연손해금 관련 주택분양보증약관 개정

- 분양계약자의 분양계약서상 지연손해금율이 시행사 구상채권 지연손해금율

보다 높은 사례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공사 내규와 분양계약서상 지연손해

금율 중 낮은 것을 적용하도록 약관 규정 개정 (시행사 동의서 징구)

추진목표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 점수(관리본부)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901 915 933 951 971

실행과제(13)

인터넷보증시스템개선으로전세금보증이용편의성제고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인터넷보증 시스템 개선을 통해 고객의 전세상품 보증서비스

편의성 및 접근성을 강화하여 서민 주거안정성 개선 지원

(추진내용)

∙ 인터넷 보증시스템 재구축 추진(lsquo20~lsquo21)

- (현행) 인터넷 익스플로러 이외의 웹브라우저 미지원

- (재구축) 구 운영체제 지원종료 대비 및 지원 플랫폼(구글 크롬 등) 확대를

위한 시스템 재구축 예정

∙ 모바일 보증시스템 구축 추진(lsquo19)

- (현행) PC 중심의 제한적인 보증가입 서비스 제공

- (비대면 서비스 강화) 모바일 보증시스템 구축 추진

추진목표

비대면 보증가입 점유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0 12 14 16 18

- 19 -

실행과제

(14)주택도시기금대출절차간소화를통한대국민서비스향상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서민실수요자 지원 강화 및 이용자 편의 제고 등을 위한 주택도시

기금 구입전세 대출의 자산심사 도입

(추진내용)

∙ 자산심사기준 도입을 통한 정책자금의 실수요자 집중 지원

∙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구축을 통한 대출절차 간소화

∙ 전담 수행조직 운영 및 수탁은행 역할 재정립 등을 통한 대국민 서비스 제고

추진목표

대출절차 혁신 시스템 운영 체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자산기준 마련기금법령 개정시스템 개발오픈수요자대출상품운영

수요자대출 全상품 시스템 안정화제도개선 및 모니터링

他 기금상품 (주택종합청약저축)도입 검토 및 적용

실행과제

(15)고아원연계 보호종료아동 월세보증금 지원 제도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고아원 보호기간이 종료됨에 따라 주거지원이 필요한 아동에게

주택임차자금 지원 및 보증상품 개발

(추진내용)

∙ 긴급 주거지원이 필요한 아동의 가정에 주택임차자금 지원∙ 고아원 보호종료 아동 대상 전세월세보증금보증 할인 상품 개발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택임차자금지원 세대 수

10 20 성과분석 후 확대 검토

고아원보호종료아동대상상품가입자수

상품개발추진 제도개선 추진

실행과제

(16)HUG 이용고객 편의성 제고를 위한 플랫폼 구축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객과의 소통채널 확대방안의 일환으로 24시간 고객상담 제공

(추진내용)

∙ 단순 문의 SMS 발송

- 위탁은행 신청서류 등 전세보증 관련 간단 정보 문자발송 ARS실시(완료 `195월)

- 업무시간 종료 후에도 단순문의에 대한 SMS문자안내 서비스 추진

∙ 콜센터와 지사 상담이력 공유

- 콜센터 상담시스템과 차세대 시스템을 연계 고객별 상담이력 조회화면 구축

∙ 보이는 ARS 서비스 도입

- 기존의 음성 서비스와 함께 스마트폰을 통해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바로

연결하고 직접 통화하지 않아도 간편문의를 처리할 수 있는 보이는 ARS 실시

추진목표 2019년 챗봇서비스 DB구축 검토 2020년 챗봇 서비스 도입 검토

- 20 -

실행과제

(17)전세금보증 인터넷가입에 필요한 데이터 자동화 구축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가입을 간편하게 하여 정보사각지대에 있는 고객의

보증 가입 편의성 강화

(추진내용)

∙ 주택가격정보middot등기부등본 데이터 자동입력 시스템 마련

- KB시세 한국감정원 국세청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와의 협약 통한 시스템 연계

- 직접협약 외에도 부동산 권리변동정보 제공기관을 통한 중계서비스 도입 검토

∙ 인터넷보증시스템 전세금보증 신청절차 개선

- 전자연계 가능한 서류의 데이터 자동입력 프로세스 개발

- 보증심사시 담당자가 전자 원본 서류를 확인할 수 있는 화면 개발

추진목표

데이터 입력시스템 구축 및 운용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연계방안검토

협약체결 전산연계 운영 및 보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18)

사회임대주택 활성화를 위한 조직 혁신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사회임대주택 금융지원제도 담당부서 일원화로 속도감 있는 제도개선 등

사회임대주택 활성화 지원

(추진내용)

∙ 기획조정실 사회임대주택 총괄부서 지정을 위한 조직개편 추진

- 현행 사회임대PF보증(금융기획실) 토지임대middot기금출융자(도시재생기획처 기금지원처)

- 개선 도시재생기획처로 일원화하여 사회임대주택 복합금융 지원업무 총괄

한 부서에서 기금 출middot융자 보증지원까지 원스톱 상담으로 고객 만족도 제고

추진목표 2019년 조직개편 완료

실행과제

(19)상담서비스 고도화를 통한 고객만족도 제고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객상담데이터 체계적 관리middot활용을 통한 대국민 서비스 질적 향상

(추진내용)

∙ 차세대(전산)업무시스템 및 콜센터 시스템을 연계하여 상담이력 공유- 콜센터 외에도 지사 직원의 고객상담이력을 저장할 수 있도록 차세대시스템 내화면 구축 콜센터의 상담이력 역시 차세대 시스템에 저장 및 관리

∙ 보이는 ARS서비스 실시 및 단순문의안내 SMS 발송 서비스 실시middot활성화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콜센터전산시스템연계

시스템구축

시스템개발완료및 운용

시스템운용

시스템운용

시스템운용

신규 서비스출시

보이는ARS검토

보이는ARS출시

보이는ARS운용

보이는ARS운용

보이는ARS운용

- 21 -

2 혁신적 포용국가 선도

(3대 과제) 경제활력 제고 및 일자리 중심 경제 선도 중점

실행과제

(20)공공정보 연계 통한 서류제출 절차 간소화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필요한 서류를 간소화함으로써 대국민서비스 질 제고 (추진내용)∙ 필요한 서류 등을 공사 전산으로 조회 가능한 시스템 구축∙ 기금대출절차 혁신 시스템과 연계

추진목표 ∙ (비계량) 필요서류 전산조회 시스템 구축

실행과제

(21)사업다각화를 통한 고용증대 및 비정규직 ZERO화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서민 주거복지 도시재생 활성화 지원 등을 위한 기관 자체의 적극적인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공기업 서비스 제고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증원 및 채용 확대- 신사업 발굴 및 자율정원제를 통한 적극적인 증원-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청년 및 지역 인재 채용∙ 사회 양극화 해소를 위한 비정규직 ZERO화- 노사 공감대에 기반한 정당한 절차를 통한 전환 추진 및 전환근로자 처우 개선 노력

추진목표정원 비정규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766명 0명 903명 0명 995명 0명 1033명 0명 1062명 0명

실행과제

(22)

주거복지 및 도시재생을 위한

도시재생 창업공간 금융지원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도시재생 금융상품을 통한 창업지원 (목적) 창업과 관련한 도시재생 금융상품을 통해 민간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창업 관련 수요자 중심형 기금융자 및 보증상품 개발 운용- 코워킹시설조성 상가리모델링 공공임대상가 등 기금융자 지원

도시재생뉴딜 금융지원을 위한 사회적 금융 연계 지원 (목적) 도시재생분야법인단체창업관련크라우드펀딩 및 창업지원 컨설팅 추진 (추진내용)∙ 도시재생분야에대중투자연계일자리창출및지역주도사회적경제활성화지원- 뉴딜로 도시재생 크라우드펀딩 대회 개최 등∙ 도시재생 창업단체에 대한 지원을 위해 HUG형 민간일자리 창출 프로젝트 추진- HUG와 함께하는 도시재생 뉴딜 창업프로젝트 추진 및 사회적 경제조직 활성화

추진목표창업지원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510억원 1548억 1548억 1548억 1548억

- 22 -

실행과제

(23)IT선진화를 통한 민간일자리 창출 담당부서

기금정보처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고유목적사업인 주택보증 주택도시기금 및 도시재생분야의 IT 시스템

구축 및 개선을 통한 민간 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 주택도시기금 정보시스템 통합 유지보수

- (추진기간) 유지보수 사업의 특성으로 매년 발생

- (일자리창출) 2019년(8명) 2020년 sim 2023년(매년 16명)

∙ 도시재생 금융지원 전산시스템 구축

- 도시재생융자등원활한도시계정업무를뒷받침하기위한온라인금융지원시스템구축

- 추진기간 2018년~2019년 투입금액 및 인력 51억원 41명

∙ 주택도시기금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구축

- 주택도시기금 대출절차 편의 제고 및 절차 간소화 시스템 구축

- 추진기간 2018년~2019년 투입금액및인력 컨설팅용역43억원 12명 전산용역74억원52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기금업무 운영 유지보수 8 16 16 16 16

도시재생 융자시스템 41 - - - -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64 - - - -

합 계 177

실행과제

(24)

공공기관 공동기금 조성을 통한

지역 사회적경제 활성화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이전지역 기관간 협업을 통한 사회적경제 활성화로 지속가능한 일자리

제공 지역경제 활성화 추진

(추진내용)

∙ 부산 사회적경제 지원기금(BEF) 지원을 통한 사회적기업 육성 및 지원

- Pilot Program (크라우드펀딩) 20개소 창업단계 재정지원 5개소 Start-up 재정지원

15개소 Scale-up(성정기 기업) 대출지원 5개소 BEF 경영컨설팅 50회 BEF

사회적기업 연구가 인재육성 실시 2회 BEF 판로지원 5개소 등

추진목표

기금지원 (자체 공동)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억원(10억원)

1억원(10억원)

1억원(10억원)

1억원(125억원)

-

- 23 -

(4대 과제) 혁신성장 지원

실행과제

(25)상가임차금 안심대출 상품개발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도시재생지역 내 상가임차인 보호를 위한 상가임차금안심대출 개발

(추진내용)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법령 개정 검토

-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등 관련 법령 개정안 검토

- 법령 개정안 정부 건의 (우선변제권 승계기관 포함)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시장분석 및 조사(`20)

- 상가임차보증금 시장분석 및 보증이용 수요조사

- 보증료율 검토 및 리스크 분석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출시(`21)

- 사규개정 및 법령개정 완료

추진목표

상가임차보증금 상품 출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내부검토 법령개정 시장분석 상품출시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26)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사고 위기사업장과 보증실적의 증가로 사전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및 정기 점검활동 강화 및 핵심업무 역량집중 강화

(추진내용)

∙ 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 현장점검 대상사업장을 파악하여 외주용역을 통한 점검 추진 검토

추진목표 ∙ 2019년도 현장점검 외주화

실행과제

(27)

비대면 전세금보증을 통한 혁신성장 기반 마련

(카카오페이를 통한 가입확대 등)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모바일 전세금보증

스마트폰을이용해언제 어디서든쉽게보증을신청할수있도록모바일가입채널마련

∙ (모바일 인터페이스) 인터넷 전세금보증 프로세스를 모바일웹에 최적화하여 로그인

부터 보증가입 승인까지 전 프로세스 지원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위탁은행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증가입 프로세스 개선

(현행) 임차인이 선순위 채권 등 보증가입정보를 입력

(개선) 임차인은개인정보및계약정보만입력하고세부심사에필요한정보는심사자가입력

모바일 안심대출보증

위탁은행 비대면 전세금 안심대출 상품 개발

추진목표 2019년 전세금보증의 완전한 모바일 가입체계 구축

- 24 -

실행과제

(28)국민 주거편의 제공을 위한 스마트시티 건설 지원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목적) 핵심 국정과제인 스마트시티 분야의 금융지원 플랫폼으로서 주택도시기금지원 기반 모색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검토 및 금융상품 초안 마련

(추진내용)

∙ 민간사업자 의견 수렴 및 스마트시티 기금 금융지원 상품 초안 마련 -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및 주요 요소기술산업 등 동향 파악- 민간사업자 의견수렴을 바탕으로 실질적 금융지원이 가능한 상품 개발 추진∙ 주택도시기금법 개정안 마련 및 정부 건의∙ 스마트시티 건설사업장에 대한 보증료 할인 또는 보증심사 가점부여∙ 스마트시티 건설 신공법 소개 및 성공사례 공유

추진목표금융지원 확대 건수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건 1건 2건 3건 3건

실행과제

(29)HUG 빅데이터운영체계구축으로공공데이터개방기여 담당부서

주택도시

금융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기관 내middot외부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주택middot도시middot금융 분야의 환경 변화를진단함으로서 4차산업 혁명시대 도래에 따른 선제적인 대응 체계 마련

(추진내용)

∙ (1단계) HUG 빅데이터 기반 주택시장 분석 인프라 설계 및 로드맵 수립∙ (2단계) HUG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구축 및 모델 개발∙ 수요자(국민middot정부middot공사)별 빅데이터 활용 영역 확대 및 분석 기능 고도화

추진목표공공데이터 외부개방(제공) 건수 (오픈API포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38건 42건 46건 51건 56건

실행과제

(30)

친환경middot신소재 활용으로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

(제로에너지 건축물 건설자금지원 등)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주택건설사업장에 친환경middot신소재 사용을 유도함으로써 환경 친화적 주택건설과 에너지신산업 판로지원

(추진내용)

∙ 친환경 제품 및 에너지 신소재 제품사용 주택건설사업장에 보증심사 가점부여(완료)- (`1812) 녹색건축물인증등급부여고객보증심사시초기예상분양율 5〜1점가점부여

∙ (추진) 신소재 적용 주택건설사업장 확대를 위해 보증심사시 가점부여

- SOC 공공기관 통합기술마켓과 연계한 보증우대 방안 마련 중소기업이 보유한 SOC 공공기관 관련 혁신기술의 공모middot연구개발 제안 및 검증을

통해 상품화 및 홍보middot판매를 지원하는 플랫폼

추진목표

친환경적 주택건설 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

- 25 -

실행과제

(31)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비대면 가입 활성화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9개 수탁은행에 온라인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 독려

연령 무주택세대주 소득증빙 등 가입 시 제출서류가 많아 비대면 시스템 구축 시

지점방문 없이 간편하게 가입 가능

신한은행 최초로 완전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821)

비대면 가입 주택도시기금포털에 안내 및 홍보

비대면 가입 시스템 기금포털 홍보 게시하여 수탁은행 시스템 개발 독려

추진목표 목표비대면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전체 가입의 6 전체 가입의 12

실행과제

(32)전기자동차 도입을 통한 친환경 에너지 수요 창출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업무용 차량의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ㅇ 2018년 임차기간 만료예정인 업무용 차량을 전기자동차로 대체

ㅇ 추후 본사 및 영업부서 업무용 차량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추진목표 2019년 중 전기자동차 1대 충전소 1개소 설치실행과제

(33)드론 활용을 통한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기술middot제품에 대한 선제적 구매 및 테스트와 고유사업에 활용

으로 민간 초기시장 조성을 견인

(추진내용)

∙ 보증이행사업장 드론 안전점검 시범실시

- (`1812) 예산 미편성으로 1개 사업장 드론촬영 시범실시 및 효용성 검토

∙ 보유중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에 드론 활용 확대

- (`196) 전문엔지니어링 업체 발굴로 일자리 창출 및 보유 사업장 전체(2개)에

드론 활용 안전점검 실시 rArr 위험요소 발굴로 관할센터에 사고예방을 위한

안전조치 권고문서 시행

추진목표

안전사고 발생비율(발생건수보유사업장)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0 0 0 0 0 안전사고발생 ZERO무사고 달성

실행과제

(34)드론활용사업장안전관리및점검체계구축(시범단지운영)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HUG형 혁신 사업장 안전관리 및 점검체계 구축

ㅇ 드론 활용 사업장 안전 및 점검체계 구축

ㅇ 시범단지 선정 및 운용 세부계획 검토

∙ 드론 등 기술혁신 도구관련 관련 업체 및 유관기관 협의

∙ 사업장-영업부서-본사부서 협업체계 및 활용방안(HUG-i 게시) 등

추진목표안전사고로 인한 분양보증사고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0 0 0 0 0

- 26 -

실행과제

(35)블록체인을 활용한 안전하고 편리한 인터넷서비스 제공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정부주도의 공인인증서 폐지정책(전자서명법 전부개정 예고)에 따라 전자

서명에 대한 인터넷 사용자 대체 인증수단 개발

(추진내용)

∙ 블록체인 기반의 본인인증 서비스 (카카오페이 인증 서비스) 도입

- 인터넷보증시스템에서보증료영수증및보증서출력시카카오인증을이용한전자문서

유통증명서비스제공

∙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대국민서비스 확대

- 전자서명법개정에따른블록체인기반의전자서명서비스도입

- 온라인 등기우편(연체정보 등 전자우편을 본인인증 후 열람) 일괄발송 발송내역 조회

및유통증명서발급시스템구축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블록체인기반본인인증서비스시범도입

블록체인기술을이용한

대국민서비스확대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실행과제

(36)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사업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환경보호라는 공공성을 위하여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건물

보증에 대해 유인책 마련 필요

(추진내용)

∙ 제로에너지 건축물에 대한 대출한도 상향 조정

∙ 건축 관련학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해 친환경 건축물에 대한 관심 제고

- HUG 오픈캠퍼스 추진 시 건축 관련학과(건축공학과 건축디자인과 등) 학생에게 교육

추진및공사인턴체험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제로에너지 건축물지원 제도

규정신설 -

HUG오픈캠퍼스 수료학생수 (건축 관련 학과 포함)

100 110 121 133 146

- 27 -

(5대 과제) 공정경제 기반 구축 중점

실행과제

(37)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 진입장벽 해소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물품구매 대금결제 등에 중소기업 창업기업 등에 대한 계약규제 완화를

통해 공정경제 기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함

(추진내용)

∙ 신규 창업middot중소기업에 대한 진입장벽 완화

- 소규모 물품middot용역 입찰(고시금액 21억원 미만) 참여시 상대적으로불리한신규창업 및

중소기업에대한실적제한폐지

- 다만 부득이용역의성격상실적평가가필요한경우창업기업실적인정기간연장

(현행 3년 rarr 7년)을 통한 부담 완화

∙ 지체상금 부담경감 (현행의 12수준) 을 통한 상생협력 강화

∙ 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에 대한 용역대금 선급금지급률 확대

추진목표

중소기업 등 협력업체 계약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779 790 80 81 -

실행과제

(38)

공정경제를 위한 지역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업자 보호강화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건설사업장 인근지역 중소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대금의 현금

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한 하도급업자 보호 강화

(추진내용)

∙ 지역 중소 건설업체들에게 동일한 기회제공 및 공정한 경쟁 유도

- 건설사업장에서 지역건설업체와 하도급계약 체결 시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 할인 추진

∙ 협력업체 하도금대금의 현금지급 확대

- 하도급대금을 현금으로 지급할 경우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를 할인

하여 협력업체 및 근로자들의 보호를 강화하고 시장에서의 우위 선점

추진목표

지역 하도급업체 계약체결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규정개정 30 40 50 60

하도급대금의 현금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해 하도급업자 보호

- 28 -

3 국민신뢰 회복

(6대 과제) 적극행정 확산 등 조직운영 혁신

실행과제

(39)고용위기지역에 대한 금융지원 추진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용위기지역에 대한 지원강화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추진내용)

∙ 고용위기지역 내 임대주택 건립시 보증료 할인 추진(완료)

- 고용위기지역및고용재난지역소재임대보증금보증사업장보증료 10인하( 1812)

∙ 고용위기지역 내 임차인이 전세금보증 이용시 보증료 할인 검토

- 전세보증금반환보증(전세금보장) 전세안심대출(전세금대출지원)

보증이용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임차주택으로 변경시 보증료 할인 검토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보유한 주택건설사업자가 입주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임차

주택으로변경하여전세금보증가입신청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추진목표

고용위기지역 금융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마련 및 운영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40)근로여건 개선을 통한 휴식 있는 삶 지원 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일ㆍ가정 양립에 대한 법적ㆍ사회적 요구 증대됨에 따라 장시간 근로문화를 타파하고 휴식 있는 삶을 지원하여 일ㆍ생활의 균형 실현

(추진내용)

∙ 장시간 근로문화 타파- 직원니즈를반영한공사맞춤형복무제도수립및운영- PC-OFF 강화 (주2회rarr매일)- 퇴근장려캠페인 (인사안하고퇴근하기 관리자솔선수범퇴근)∙ 휴식 있는 삶 지원- 가족친화제도지속개발 (일가양득프로그램운영)- 연차휴가및남성육아휴직이용률향상을위한제도개선- 시간단위연차사용을통한휴가사용활성화- 임신직원보호를위한모성보호절차도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인당 연차사용일 1426일 1497일 1572일 1651일 1733일남성육아휴직인원 331 348 365 383 402

- 29 -

실행과제

(41)

위임전결기준 개선을 통한 업무처리 혁신

(결재피로감 낮추고 책임middot권한 공백없이 업무는 신속하게)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결재절차를 단순화함으로써 신속한 업무처리 및 고객만족도 제고

(추진내용)

∙보증위탁업무전결권세분화

- 위임전결규정안마련및규정개정절차진행(5월)

보증업무 위탁外 융자수탁업무 관련 전결권 개정도 함께 추진

∙대외업무협약체결전결권세분화

- 사안의중요성및영향도등고려중장기적으로면밀한검토필요

추진목표

결재절차 단순화

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rsquo23년보증및융자수탁업무위임전결규정개정

제도 보완

실행과제

(42)지출신청 시 영수증 증빙 제출제도 개선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지출신청시 불필요한 원본구비 제도 개선을 통한 업무효율화 달성

(추진내용)

∙ 공사 지출의 42 비중을 차지하는 5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 원본 제출 제외

- 지출액 50만원 이하 법인카드 및 전자세금계산서 지출 건 원본구비 예외 조항 신설

- 확인이 필요한 간이계산서 등은 원본징구하여 지출사고 가능성 예방

- 제도 정착 전 3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에 대하여 원본 제출 제외(시범운영)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내부

규정개정 및시범운영

제도개선 지속 추진

실행과제(43)

PF보증심사 시 월별예정 분양률 분포의 계량화 담당부서금융기획실심사평가처주택도시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민간아파트 초기분양률 데이터를 활용한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

(추진내용)

∙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를 통한 심사 객관성 확보

- 월별예정분양률 관련 명확한 지침 산정으로 신청업체 및 심사자의 주관 배제

- 국가승인통계인 민간아파트초기분양률 동향 데이터를 활용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

∙ 초기분양률 동향 분석(주택도시금융연구원 협업 4월sim10월)

- 연구원과 협업을 통해 초기분양률 데이터 분석 및 관리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건의(11월)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관할 부서(금융기획실)로 세칙 개정 건의

추진목표2019년도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예상분양률 분포기준 마련 초기분양률 데이터 관리체계 구축

- 30 -

(7대 과제) 윤리경영 강화

실행과제

(46)청렴도 향상을 위한 반부패 활동 강화 담당부서 준법지원실

추진내용

윤리경영 추진조직 강화

기관장 주도의 윤리경영 고위직 협의체 구축 내부 자문기구「청렴자문위

원회」운영 강화 및 임원의 윤리자가진단 현황 정보공개

반부패middot청렴 대외 활동 활성화

부산 이전 공공기관 청렴 협의체「청렴 클러스터」활동 강화

「부산투명사회실천 민middot관 네트워크」가입middot활동 실시

「유엔글로벌콤팩트(UNGC)」활동으로 글로벌 윤리역량 강화

실행과제

(44)논스톱 고분양가 심사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공사 PF보증 사업장에 대한 고분양가 심사기준 개선을 통한 사업

안정성 제고 및 고객신뢰성 확보

(추진내용)

∙ 「고분양가사업장심사규정」개정 추진(5월~6월)

- 고분양가 관리지역 내에서 공사 PF보증 발급예정사업장의 고분양가 심사기준(비교

사업장 선정 및 분양가격 산출 등)의 적용을lsquoPF보증 본점 승인시점rsquo으로 명확히 함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고분양가심사규정개정

사업안정성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 추진

실행과제

(45)임대리츠 통계 및 사후관리시스템 개선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목적) 자리츠 사후관리 주관기관(모리츠 AMC인 LH) 및 감독관리기관

(HUG) 간의 업무분장에 따라 사후관리 데이터 품질 저하 등 발생

rArr 기관간 협업체계 개선 관련 시스템 개발 등을 통한 사후관리 관련 데이터품질 향상 및 대정부 정보전달 적시성 확보

(추진내용)

∙ 리츠 기금출자내용 변경시 임대리츠 이력관리 등이 가능하게 하는 통계시스템 개발

∙ 분기별 사후관리보고 제출기한 마련 검토

∙ 임대리츠 통계관리 업무체계 내실화를 위한 기관간 협업 수행

추진목표

임대리츠 사후관리 구조 개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전산시스템개발 및시스템 구축

임대리츠사후관리

체계개선 수행

시스템 운용및 개선사항도출

기관간 협업수행(데이터관

리)

임대리츠통합데이터관리 수행

- 31 -

(8대 과제) 국민의 참여협력 확대 및 지역사회 공헌

실행과제

(47)

혁신도시 맞춤형 지역인재 육성 지원 및

인재채용 투명성 강화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도시 지원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증대에 따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한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

(추진내용)

∙ 市-지역대학간 협업으로 지역인재 육성 교육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 외부 면접위원 확대 및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인사 절차의 공정성 강화

∙ 사회형평적 채용실시와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을 통한 불합리한 차별 해소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지역채용 21 24 27 30 33지역인재육성 총 교육시간(교육인원times교육시간 시간) 3000 4500 4500 4500 4500

지역인재육성교육만족도(점수) 944 949 954 959 964

실행과제

(48)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사회공헌사업 확대 추진 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정부의 lsquo사회적 가치 실현rsquo을 정책에 따라 사회적 경제 및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사회공헌 필요성 증가

(추진내용)

∙ 안전한 주거환경 제공

- 무주택 국가유공자 및 저소득층 임차자금 170세대 지원(~8월10억원)- HUG 셰어하우스 3호 신촌점 완공 청년 24명 입주 완료(~10월2억원)- 저소득층 노후주택 및 소규모 사회복지시설 127세대 개보수(~10월8억원)- HUG STREET 잘사는 골목길 등 환경개선사업 대상지 선정 완료(~10월1억1천만원)

∙ 지역사회와 상생

- 노후 슬레이트 지붕개량 및 태양광 지원 사업 4자 협약(~8월3억원) HUG-부산시-한국사회복지협의회-부산도시재생지원센터

- HOPE with HUG 10호 11호 완공(~9월1억5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지역건설사-지역건축전문가 협업을 통한 주거개선사업

- 부산 송상현 광장 내 도시놀이터 프로젝트 완료(~9월7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부산시설공단 협업을 통한 문화middot휴식공간 조성

청렴 모니터링 다각화

청렴의식 환기를 위한 「자가점검 프로그램」실시

「청렴 옴부즈만」운영

개선 아이디어 발굴을 위한 「신입사원 生生 모니터링」

추진목표

종합청렴도 결과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3등급 2등급 1등급 1등급 1둥급

- 32 -

∙ 균등한 기회와 사회통합

- 중학생 자유학기제 지원 프로그램 운영(9월~4천만원)- 저소득층 청소년 20명ndash대학생 20명 매칭 등(6월~5천만원)- lsquoKBS 동행rsquo에 출연하는 저소득 가정 50세대 지원(7월~1억원)- 발달장애 청년 재능개발 프로젝트lsquo눈부신하루rsquo추진(6월~3천만원)- 신입사원 봉사활동 등을 통한 지역사회 나눔활동(~10월7천2백만원)- 저소득층 난방연료 지원을 위한 주택도시업 캠페인(~12월5천만원)- 자매결연 마을 농수산물 구입기증(~12월4천만원)

추진목표

추진 목표는 해당연도 사회공헌 기부금 예산금액(이사회 의결금액)과 연계

기부금액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8620백만원 8879백만원 9145백만원 9419백만원 9702백만원 전년도예산금액103

실행과제

(49)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목적) 도시재생과 유사한 목표비전을 공유하는 사회적경제와 연계한 맞춤형

금융상품 운영 및 관련 지원조직과 다각적 협업 활동 추진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지역주민이 주도하는 도시재생 금융지원으로 국민의 삶의 질 개선

(목적) 주민지역공동체 주도의 마을단위 도시재생으로의 변화에 대응하여

사회적 경제주체 등 지원체계 개선으로 사회적 가치 실현에 기여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추진목표

수요자중심형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510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실행과제

(50)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국민이 참여하는

HUG사업평가단(가칭) 운영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보증업무 전반에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HUG

사업평가단 구성하여 주택품질 제고 및 안심입주 지향

(추진내용)

∙ 국민이 참여하는 보증솔루션팀 및 보증심사 리뷰단을 통해 제도 개선사항 도출

∙ 보증채권자 권익에 미치는 사항 등 국민의견 수렴을 통한 보증이행제도 개선

∙ 전세금보증 이행완료 고객 및 공인중개사 참여를 통한 제도개선 사항 발굴

추진목표 2019년 국민 의견수렴을 통한 전세금보증 제도 개선 등 검토

- 33 -

실행과제(51)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과 협업하여효율적인 전세금보증 이행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이행 업무의 효율성 제고

(추진내용)

∙ 지역사회단체 등과의 협업을 통한 임차인 퇴거확인 추진 검토

- 보증사고 발생 시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 구성원이 임차인 퇴거를

확인하여 담당직원 업무 공백 최소화 (직원 출장비 수준으로 비용 지급)

- 임차인 퇴거 확인 시 해당 주택가격 및 신규 임차인 확보 가능성 검토결과를

보고받아 채권보전조치를 위한 근거 확보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거보호 이행도(전세금보증 이행 15일초과건수전체이행건수)

50 45 41 37 34

- 34 -

Ⅳ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및 적극행정 확산

①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국민참여게시판을 lsquo국민제안(국민rarr기관)rsquo

및 lsquo정책제안(기관rarr국민)rsquo 게시판으로 세분화하여 국민과 기관간

상시 소통기반 마련 경평지적

지적사항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위한 개선방안 마련 필요

(혁신 네트워크 강화) 시민참여혁신단 보증채권권익위원회 전세금

보증 시민참여단 기금홍보협의회 운영 등 주요사업에 기반하여

다양한 대외 전문기관과 네트워크 활성화 경평지적

지적사항 보증 기금등주요사업역량강화를위한전문기관혁신네트워크강화필요

② 적극행정 확산

(적극행정 면책제도 활용) 감사계획 통보 시 적극행정 면책제도

middot사전컨설팅 제도 사전안내 및 면책신청 지원을 위한 상담창구

운영 등 (계획수립 完 감사실-2367호)

(기관장 책임강화) 혁신전략위원회(위원장 사장)를 통해 적극행정

혁신과제에 대한 추진독려 및 이행사항 점검 등 보완사항 지속

발굴 (혁신페스티벌 1middot2차 개최)

(적극행정 우수사례 발굴)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를 통해 조직내

적극행정 분위기 유도 (포상 및 내부성과평가 반영 등)

성과창출에 실패했더라도 기존관행 탈피 새로운 영역개척 국민접점에서

활력을 제고하는 등 lsquo착한실패rsquo lsquo건전한파격rsquo에 대해서도 포상추진 예정

(적극행정 인식확산) 적극행정 사이버교육(법제처 주관) 이수 등

적극행정 인식확산을 위한 교육참여 시 혁신마일리지 부여 (전사 교육 실시 예정)

- 35 -

Ⅴ 혁신 추진도구별 업무일정

구 분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1 2 3 4 5 6 7 8 9 10 11 12

1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2 국민소통 강화

3 혁신페스티벌

4 유관기관 협업

5 혁신채널 구축

6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7 제안제도 정비

8 혁신콘서트

9 혁신교육 및 혁신워크숍

10 혁신레터

11 혁신마일리지 신설

12 혁신BP 발굴 및 포상

피드백

(성과관리) 공공기관 혁신 및 기관 경영혁신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혁신과제 추진실적을 정기적으로 점검 및 피드백

(혁신전파) 조직원 전체의 혁신공감대 형성 및 참여도 제고를 위해

본사부서 및 영업부서 방문 등을 통해 혁신활동 및 우수사례 공유

(혁신내재화) 국민소통채널 혁신마일리지 혁신레터 등 혁신활동이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고 혁신업무에 대해

조직원이 공감하고 회사 모든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

Page 8: 2019년 HUG 혁신 추진계획 - khug.or.kr…„HUG혁신추진계획.pdf · 혁신페스티벌 - (내부 혁신과제 발굴) 조직·인사·제도·서비스혁신 등 회사

- 7 -

❷ 혁신채널 구축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등 혁신 프로세스 체계화

혁신채널 구축

- (혁신광장) 혁신관련 종합계획 정부정책 및 추진체계 등을 공유

하고 조직원의 아이디어를 상시 발굴할 수 있는 혁신광장 개설

지식채널(KM)에 개설하여 혁신제안혁신심사혁신BP 등 게시 전사 공유

lt혁신광장 구축(안)gt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 (프로세스 체계성 강화) 직원 제안사항을 단순제안혁신제안으로 분류

하고 혁신제안은 Bottom-up 방식 단계별 심사 후 혁신과제로 선정

직원제안은 사내인트라넷 內 혁신광장을 통해 연간 상시접수

lt혁신제안 심사 및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gt

구분 예비심사 1차 심사 2차 심사 혁신과제 확정

주요내용

∙단순제안혁신제안심사배제 제안으로 분류

∙예비심사에서 채택된 혁신제안을 대상으로 심사

∙1차 심사에서채택된혁신제안을 대상으로 심사 ∙혁신과제 추진

여부 등 중요사항 의결

채택요건

∙심사위원 34이상 참여과반수 이상 시 단순제안및 혁신제안으로 채택

∙심사위원 34이상 참여기준 점수 이상 시 혁신제안으로 채택

∙심사위원 34이상 참여과반수 이상 시 혁신과제로 채택

주체혁신 변화요원

(팀원)혁신리더(팀장) 본사 부서장 혁신전략위원회

(사장 부사장 등)

제안제도 정비

- (규정개정) 혁신과제 선정절차 및 혁신 평가방식 개선 등을 위해

혁신제안 관련규정 정비

혁신제안제도 운영기준 및 혁신마일리지 운영기준

- 8 -

❸ 혁신콘서트 혁신레터 등 혁신문화 촉진 경평지적

지적사항 혁신역량 강화 교육 체계화 및 활성화 필요

혁신콘서트

- (혁신공감대) 혁신우수사례(BP) 및 혁신노하우를 발표middot공유하고

시상식 등을 개최하여 조직원의 공감대 형성 및 동기부여

- (전사 참여) 조직원 전체가 참여할 수 있도록 추진하되 단독 또는

한마음 단합대회 개최 시 관련부서와 협의하여 공동 추진 검토

혁신교육 및 워크숍 확대운영

- (혁신교육) 창의적 조직문화 학습을 위해 혁신 선도적 공공민간

기업의 우수사례를 주제로 전직원 대상 정기교육 실시

2018년도 조직문화 혁신교육 우아한형제들 - ①규율 속 자율 경영

②창의적 업무환경조성 ③일상적 소통경영 등

- (혁신워크숍) 혁신문화 촉진과 조직원의 수용력 제고를 위해 혁신

담당자 중심으로 혁신워크숍 실시

전사혁신리더및변화요원대상혁신관련정부정책middot평가방식공유 혁신추진공감대형성등

혁신레터

- (혁신메시지) 조직원의 혁신업무 이해도 제고를 통한 혁신 실행력

강화를 위해 혁신메시지 제도 시행

middot 혁신전략 혁신계획 혁신과제 등 혁신업무 전반에 대해 카드뉴스를

제작하여 전사 포털(Portal) 화면에 팝업창을 통해 게시

현재 전사포털 팝업창을 통해 윤리경영 자가점검 칭찬감사릴레이 등 시행중

- 9 -

❹ 혁신마일리지 신설 혁신BP 가점제도 개선 등 혁신지표 개선 경평지적

지적사항 혁신역량 강화 교육 체계화 및 활성화 필요

혁신마일리지 신설

- (혁신활동 평가강화) 혁신 과제선정middot이행 국민소통 혁신활동

등 혁신업무 전 영역에 마일리지를 부여하여 혁신평가의 변별력

제고 및 보상체계 강화

과제선정(최대10점) 과제이행(최대20점) 국민소통(최대20점) 등혁신마일리지차등부여

HUG 혁신마일리지 추진 체계

국 민업무혁신middot성과중심의 혁신마일리지 관리체계 구축 우수과제

선정 및

전파

제안등록 과제선정

(최대 10점) 과제이행

(최대 20점)

국민소통(최대 20점)

혁신활동(최대 10점)

마일리지

내평반영 및

포상 제안의

난이도에 따른

차등 점수

단순제안혁신

제안우수제안

이행

국민의견을

반영한

제안과제 이행

혁신콘서트

혁신특강 등

개인 역량강화H U G

혁신제안의 수준과 부서 및 직원의 혁신기여도에 따른 차등 마일리지 부여

혁신BP 가점제도 개선

- (가점확대) 혁신페스티벌 대국민아이디어 적극행정 혁신성장 등

BP경진대회를 통한 우수사례 발굴 및 내평(성과향상기여도) 가점 확대

[현행] 본사부서(최대 17점) 영업부서(최대 05점) rarr [개선] 본사(최대 2점) 영업(최대 1점)

- 10 -

Ⅲ 2019년 HUG혁신과제

2019년은 기존 중장기 35개 과제에 국민참여 6개 과제 기관 내부

발굴 10개 과제를 추가하여 총 51개 혁신과제를 추진할 예정임

HUG 혁신과제 (2018년) 38개 rArr (2019년) 51개

(중장기 과제) (lsquo18) 38개 과제 rarr 대내외 환경변화로 (lsquo19) 35개로 조정

(국민참여) 2019년 대국민아이디어 77건 중실현가능성등검토하여최종 6건선정

(내부발굴) 2019년 직원제안 236건 중 실현가능성 등 검토하여 최종 10건 선정

HUG 혁신과제 목록 (2019년 공공기관 혁신가이드라인 8대 과제별 분류)

연번 ① 고유업무 공공성 제고 비고

1 전세금보증 가입문턱을 낮추어 서민의 전세금 보호 강화 중장기

2 주택도시기금 지원확대로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역할강화 중장기

3 임대주택 공급지원 확대로 서민 주거복지 증대 중장기

4 주택도시기금 신규상품 개발을 통한 도시재생뉴딜 활성화 중장기

5 제도에서 전산까지 온오프라인 안심시스템 구축 중장기

6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전사 경영전략체계 구축 중장기

7 도시계정의 체계적 관리를 통한 도시재생 활성화 중장기

8 국민과 함께하는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 중장기

9 민관협력사업으로 주거취약지구 주거환경 개선 중장기

10 도시재생 맞춤형 스타트업 총괄지원 플랫폼 도입middot운영 국민

11 도시재생 생태계 조성을 위한 종합지원 플랫폼 구축 국민

12 분양이행사업장 수분양자 보호 내부

- ② 포용적 공공서비스 제공 강화 -

13 인터넷보증시스템 개선으로 전세금보증 이용편의성 제고 중장기

14 주택도시기금 대출절차 간소화를 통한 대국민 서비스 향상 중장기

15 고아원연계 보호종료아동 월세보증금 지원 제도 국민

16 HUG 이용고객 편의성 제고를 위한 플랫폼 구축 국민

- 11 -

17 전세금보증 인터넷가입에 필요한 데이터 자동화 구축 국민

18 사회임대주택 활성화를 위한 조직 혁신 내부

19 상담서비스 고도화를 통한 고객만족도 제고 내부

20 공공정보 연계 통한 서류제출 절차 간소화 내부

- ③ 경제활력 제고 및 일자리 중심 경제 지속 지원 -

21 사업다각화를 통한 고용증대 및 비정규직 ZERO화 중장기

22 주거복지 및 도시재생을 위한 창업공간 금융지원 중장기

23 IT선진화를 통한 민간일자리 창출 중장기

24 공공기관 공동기금 조성을 통한 지역 사회적경제 활성화 중장기

25 상가임차금 안심대출 상품개발 중장기

26 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중장기

- ④ 혁신성장 지원 -

27 비대면 전세금보증을 통한 혁신성장 기반 마련(카카오페이를 통한 가입확대 등) 중장기

28 국민 주거편의 제공을 위한 스마트시티 건설 지원 중장기

29 HUG 빅데이터 운영체계 구축으로 공공데이터 개방 기여 중장기

30 친환경middot신소재 활용으로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제로에너지 건축물 건설자금지원 등) 중장기

31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비대면 가입 활성화 중장기

32 전기자동차 도입을 통한 친환경 에너지 수요 창출 중장기

33 드론 활용을 통한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 중장기

34 드론활용 사업장 안전관리 및 점검체계 구축(시범단지운영) 중장기

35 블록체인을 활용한 안전하고 편리한 인터넷서비스 제공 중장기

36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사업 국민

- ⑤ 공정경제 기반 구축 -

37 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 진입장벽 해소 중장기

38 공정경제를 위한 지역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업자 보호강화 중장기

39 고용위기지역에 대한 금융지원 추진 중장기

- ⑥ 적극행정 확산 등 조직운영 혁신 -

40 근로여건 개선을 통한 휴식 있는 삶 지원 중장기

41위임전결기준 개선을 통한 업무처리 혁신(결재피로감 낮추고 책임ㆍ권한 공백없이 업무는 신속하게 )

내부

42 지출신청 시 영수증 증빙 제출제도 개선 내부

- 12 -

HUG 혁신과제 세부추진 내용

1 사회적 가치중심 기관 운영

(1대 과제) 고유 업무의 공공성 제고 중점

43 PF보증심사 시 월별예정 분양률 분포의 계량화 내부

44 논스톱 고분양가 심사 내부

45 임대리츠 통계 및 사후관리시스템 개선 내부

- ⑦ 투명middot윤리경영 강화 -

46 청렴도 향상을 위한 반부패 활동 강화 중장기

- ⑧ 국민의 참여 확대 및 지역사회 공헌 -

47 혁신도시 맞춤형 지역인재 육성 지원 및 인재채용 투명성 강화 중장기

48 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사회공헌사업 확대 추진 중장기

49 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중장기

50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국민이 참여하는 HUG사업평가단(가칭) 운영 중장기

51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과 협업하여 효율적인 전세금보증 이행 내부

실행과제

(1)전세금보증가입문턱을낮추어서민의전세금 보호 강화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서민의전세보증금을지켜주는최선의안전장치 lsquo전세금보증rsquo 활성화추진

(추진내용)

∙ 보증가입 편의성 제고 및 채널 확대를 통한 전세금보증 활성화

- 모바일 전세금보증 편의성 지속 개선middot확충

- 공인중개사 전세금보증 위탁판매 활성화 등

∙ 사회배려계층 맞춤형 보증제도 개선 등을 통한 공적역할 강화

- 보증가입기간 확대 등 임차인 보호를 위한 전세금보증 지원

- 보증서비스 품질 개선 등을 위한 전문가 의견수렴 등

추진목표

보증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0만호(21조원)

12만호(25조원)

14만호(30조원)

17만호(36조원)

20만호(43조원)

- 13 -

실행과제

(2)

주택도시기금 지원확대로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역할강화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무주택middot실수요 서민주거 안정지원을 위한 대출제도 개선 및 주거복지

로드맵 정책지원을 통한 맞춤형 주거지원으로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마련

(추진내용)

∙ 신혼부부middot청년층 기금대출 지원 확대

- 신혼희망타운 수익공유형 모기지대출 출시

- 신혼부부 기간 확대 (5년 rarr 7년)

- 청년층 청약 가입요건 완화 등 제도 개선 및 운영보완

- 고시원 주거급여 거주자 등에 대해 주거안정월세대출 대상자에 포함

∙ 자산기준 도입 서류간소화 등 기금대출 제도 개선

추진목표

사회취약계층 등 기금지원 (수요자 대출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78조원 78조원 78조원 78조원 78조원

`19~`23 목표는 매년초 국토부 최종안 확정안 국회승인을 거쳐 목표치 확정

실행과제

(3)임대주택 공급지원 확대로 서민 주거복지 증대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사회임대주택 공급 활성화

(목적) 주거약자를 위한 정부 사회임대주택 공급 활성화 정책 지원 및

공사의 공공성 역할 확대

(추진내용)

∙ 사회임대주택 보증 확대를 위한 제도개선 및 공급 활성화를 위한 금융 지원

∙ 사업관련 주체의 유기적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홈페이지 구축

∙ 공급활성화 여건 조성을 위한 사업자 육성 및 홍보 강화 및 유관기관 협업

임대리츠 관리체계 개선 및 공모를 통한 공급확대

(목적)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등 리츠를 통한 임대주택 공급 활성화를

통해 국민 주거복지 증진 도모

(추진내용)

∙ 서민 주거복지 강화를 위한 임대리츠 기금출자 제도 개선

∙ 민간임대사업자 참여 유도를 위한 공모사업 활성화

∙ 임대리츠 공공성 강화를 위한 심사관리 체계 개선 및 기금출자심사 실시

∙ 임대리츠 관련 정부정책 추진 지원을 위한 다각적 홍보 추진

∙ HUG形 민간제안 공모방식 확대로 임대주택 공급 강화

추진목표

사회임대주택 보증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50호 900호 990호 1089호 1197호

리츠를 통한 임대주택 공급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0500호 11550호 12705호 13976호 15373호

HUG 민간제안공모 공고 세대수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rsquo23년

8000세대 8500세대 9000세대 10000세대 10500세대

- 14 -

실행과제

(4)주택도시기금신규상품개발을통한도시재생뉴딜활성화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도시재생뉴딜 맞춤형 금융지원 확대 (목적) 도시재생 사업유형 확대에 대응한 맞춤형 기금지원 상품 개발운용 (추진내용)∙ 소규모 재생사업 및 주택정비 활성화를 위한 금융지원 확대∙ 도시재생 경제조직 활성화를 위한 금융지원 프로그램 도입 도시재생뉴딜 활성화를 위한 기금지원 운용체계 개선 (목적) 명확한 업무기준효율적 수행방안을 확립하여 도시계정 양적질적확대에 대응 및 뉴딜정책 활성화에 기여

(추진내용)∙ 도시재생 금융지원 접수middot심사체계 개편으로 국민불편 해소∙ 도시재생 금융지원 사후관리 체계 확립으로 안정적 기금운용 및 공공성 실현

추진목표

도시재생 금융지원 출융자 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5877억원 11227억원 15014억원 16178억원 16494억원

도시재생 금융지원 심사사업장관리 운용체계 개선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5건 5건 5건 5건 5건

실행과제(5)

제도에서 전산까지 온middot오프라인 안심시스템 구축 담당부서정보운영처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응하는 정보보안체계 구축

(목적) 4차 산업혁명시대 기술(IoT BigData AI 등) 변화에 맞는 선제적인 정보

보안 체계 수립과 능동적인 정보주체의 권리 보장

ㅇ (추진내용)

∙ 선진화 정보보안 체계 구축 컨설팅

주택건설사업장 사회안전망 플랫폼 구축

(목적) 주택관리사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으로 사고로 인한 분양계약자의

입주지연 및 보증사고 위험 등을 사전에 예방하여 국민의 편익 증진

(추진내용)

∙ 사업장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보증사업장 현장점검 규정 개정

- 사업장안전관리강화를위한안전점검업무신설및안전관리우수고객우대제도운영

∙ 드론을 활용한 보증사업장 동영상 촬영 및 제공으로 분양계약자 정보제공 강화

- 현재 앱을 통한 사업장 현장사진 제공을 드론을 이용한 동영상 제공으로 확대하여

분양계약자 정보제공 강화

추진목표

국정원 정보보안 관리실태 점수 행안부 개인정보보호 진단 점수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공공기관평균점수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 5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10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15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20

보증사업장 안전사고로 인한 공사 지연 건수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0건 0건 0건 0건 0건

- 15 -

실행과제(6)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전사 경영전략체계 구축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공공기관의 lsquo공적역할 강화rsquo 및 lsquo사회적 책임실현rsquo이라는 국정기조 변화에 부응

하기위한공사의新경영전략수립

(추진내용)

∙ 고유 업무의 공공성 제고를 위한 사업전략 재수립

- 사회통합형 주거복지 실현을 위한 공적금융 지원 전략 수립

- 소규모 도시재생사업 활성화를 위한 단계별 공사 역할방안 마련

∙ 사회적 가치 기반 전사 기능전략 및 중장기 경영목표 재수립

- 공적역할 확대 및 사회적 책임 구현을 위한 부문별 기능전략 수립

추진목표

사회적가치 기여도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최우수 최우수 최우수 최우수 최우수

청렴도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등급 1등급 1등급 1등급 1등급

실행과제(7)

도시계정의 체계적 관리를 통한 도시재생 활성화 담당부서기금정보처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목적) 노후주거지 주민과 사회적기업 등이 필요로 하는 자금을 적시에 원활히 지원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도시계정 관리 추진

(추진내용)

∙ 연체관리 프로세스 정립을 통한 기금손실예방

- 연체 단계별 업무처리 프로세스 마련을 통한 융자사고방지

- 도시계정 융자원리금 수납기준 마련

- 융자사고관리 방안 마련

∙ 고객신용관리 체계구축을 통한 사고예방 모니터링 확대

- 고객신용관리 모니터링 체계구축을 통한 사고예방관리

- 도시계정 신용정보집중 처리기준 프로세스 마련

- 도시계정 신용정보관리 전산시스템 구축 일반신용정보관리규약에 따른 도시계정 신용정보 파일전송 설계서(전문) 작성

공사 신용정보 집중 시스템과 병합 추진

∙ 도시계정 자금관리 체계정립을 통한 도시재생활성화지원

- 도시계정 예산확대 신규 금융기법적용 등 도시계정 특성을 반영한 회계middot결산

자금관리 업무기준 확립 정형화된 담보가 아닌 수요자사업자 특성을 고려한 맞춤 담보제공 자금투입 공공성 확보를

위한 엄격한 융자조건 부여

- 회계middot결산 자금관리 업무전산화를 통한 효율화 정책지원기능 확대

추진목표 (비계량) 2019년 융자사고예방을 위한 연체관리 자금관리기준 수립 및 개선

- 16 -

실행과제(8)

국민과 함꼐하는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 담당부서보증이행처

준법지원실

추진내용

(목적) 국민참여를 통한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의 수용성 제고 및 주거

복지 실현 위한 공동주택 하자 조기대응ㆍ감축방안 모색

(추진내용)

∙ 하자분쟁 해결체계 관련 국민 공유ㆍ소통 프로그램 운영

- 국민과 함께하는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 계획 수립

- lsquo공동주택 실무강좌rsquo 동행을 통한 하자관련 주요이슈 대국민 공유ㆍ소통- 국민참여 하자정보 공유 4회(서울 인천 수원 의정부) 및 하자실무 법률상담

∙ 국민 참여 확대를 통한 정책 개선 노력

- (lsquo1810) 대국민 의견수렴을 위한 하자분쟁 컨퍼런스 개최

middot 하자분쟁 예방을 위한 관계규정 검토 및 정책 논의

middot 행정청 학계 법조계 및 입주자대표회의 관련 다수 국민 참여

∙ 소규모사업장 청구 전 하자보수보증 사전안내제도(BS Before Service) 실시 검토

소규모사업장 150세대 미만 사업장 중 대위변제가 없는 2년차 하자보수보증 만료6개월 전 사업장

추진목표

대국민 참여도산출근거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참여횟수6회참여인원300명

참여횟수8회참여인원400명

참여만족도85점 이상

정책국민의사반영1회이상

정책국민의사반영1회이상

횟수당50명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점수(관리본부) 목표치산출근거구분 rsquo18년 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등급 A A A A A 목표 A등급 이상

실행과제(9)

민관협력사업으로 주거취약지구 주거환경 개선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목적) 공사의 사회적 가치경영 실행을 위해 새뜰마을(취약지역 개조사업) 주거

여건 개선을 지원하는 민관협업 사회공헌사업 추진

(추진내용)

∙ 중앙부처 공공기관 민간기업 등이 지역 주민과 함께 도시취약지역 내 노후주택에

대한 주거환경개선 열효율화 사업 추진

- 새뜰마을중고령화 노후화등으로사업추진이절실하고 지역사회참여정도등을 고려

하여성과가 가시화될수있는지역선정추진

∙ 주거취약지역 환경개선 관련 민관협업사업 MoU 체결 추진

- 국토교통부 HUG LH KCC AURI 해비타트 등 협약 체결을 통해 집수리 자재 및

전문인력 후원금 지원 추진

∙ 도시취약지역 지원 효과 분석 및 사업추진 매뉴얼 마련

- 지역기초조사 사업전후 효과분석 등 성과관리 새뜰마을 매뉴얼 제작보급

추진목표새뜰마을 지원대상 확대 건수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5건 5건 5건 5건 5건

- 17 -

실행과제(10)

도시재생 맞춤형 스타트업 총괄지원

플랫폼 도입middot운영담당부서

인사처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도시재생과 관련된 스타트업 및 소셜벤처에 대한 종합적 지원

(추진내용)

∙ HUG형 도시재생 뉴딜 창업 프로젝트 추진

- 사회적 경제조직 육성기관(함께일하는재단) 대중투자 전문기관(와디즈)과 협업

- 사회적 경제조직 컨설팅 지원

- 대중투자 연계 통한 일자리 창출 및 사회적 경제 활성화 지원

∙ 스타트업 및 소셜벤처에 대한 사회적 금융 지원

∙ HUG 창업 라운지(스타트업 기업에 공간 공유) 확대 운영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사회적금융지원금액 1억 1억 1억 1억 1억

공간지원스타트업수 6 8 10 12 14

멘토링middot창업캠프개최회수 5 5 5 5 5

실행과제(11)

도시재생 생태계 조성을 위한

종합지원 플랫폼 구축담당부서

기금정보처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종합적인 도시재생정보 공유체계 구축을 통해 기금 지원된 도시재생사

업에 대한 정량적 정보 및 사후지원 청년middot예비창업자 참여를 위한 HUG 정책

지원 정보를 기금포털 내 일괄 제공

(추진내용)

∙ 전국 기금이 활용된 도시재생 사업장 정보 제공(lsquo도시재생 기금지도rsquo 서비스)

- 지도 API 기반의 도시재생 기금지원 사업장 정보조회 서비스

- 전국 분포된 사업장의 위치부터 융자금액까지 상세정보를 편리하게 검색

- 실제 사례와 이용 상품 정보를 함께 제공하여 정보이용자 이해도 제고

∙ 기금 사업장 홍보 지원 및 청년창업 지원 정보 일괄 제공(전용 게시판 신설)

- 사업장 및 보유시설(코워킹시설 임대시설 등) 홍보 위한 전용공간 마련

- 기금지원 사업의 우수사례 정보공유를 통한 벤치마킹 및 정보이용자 관심유도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기금지도 서비스 개시 서비스구축middot개시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우수사례 발굴 건수 8 8 8 8 8

- 18 -

(2대 과제) 포용적 공공서비스 제공 강화

실행과제(12)

분양이행사업장 수분양자 보호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분양대금채권 지연손해금율 하향조정 등 분양계약자 부담완화를

통한 국민 주거안정 기여

(추진내용)

∙ 분양계약자 지연손해금 관련 주택분양보증약관 개정

- 분양계약자의 분양계약서상 지연손해금율이 시행사 구상채권 지연손해금율

보다 높은 사례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공사 내규와 분양계약서상 지연손해

금율 중 낮은 것을 적용하도록 약관 규정 개정 (시행사 동의서 징구)

추진목표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 점수(관리본부)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901 915 933 951 971

실행과제(13)

인터넷보증시스템개선으로전세금보증이용편의성제고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인터넷보증 시스템 개선을 통해 고객의 전세상품 보증서비스

편의성 및 접근성을 강화하여 서민 주거안정성 개선 지원

(추진내용)

∙ 인터넷 보증시스템 재구축 추진(lsquo20~lsquo21)

- (현행) 인터넷 익스플로러 이외의 웹브라우저 미지원

- (재구축) 구 운영체제 지원종료 대비 및 지원 플랫폼(구글 크롬 등) 확대를

위한 시스템 재구축 예정

∙ 모바일 보증시스템 구축 추진(lsquo19)

- (현행) PC 중심의 제한적인 보증가입 서비스 제공

- (비대면 서비스 강화) 모바일 보증시스템 구축 추진

추진목표

비대면 보증가입 점유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0 12 14 16 18

- 19 -

실행과제

(14)주택도시기금대출절차간소화를통한대국민서비스향상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서민실수요자 지원 강화 및 이용자 편의 제고 등을 위한 주택도시

기금 구입전세 대출의 자산심사 도입

(추진내용)

∙ 자산심사기준 도입을 통한 정책자금의 실수요자 집중 지원

∙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구축을 통한 대출절차 간소화

∙ 전담 수행조직 운영 및 수탁은행 역할 재정립 등을 통한 대국민 서비스 제고

추진목표

대출절차 혁신 시스템 운영 체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자산기준 마련기금법령 개정시스템 개발오픈수요자대출상품운영

수요자대출 全상품 시스템 안정화제도개선 및 모니터링

他 기금상품 (주택종합청약저축)도입 검토 및 적용

실행과제

(15)고아원연계 보호종료아동 월세보증금 지원 제도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고아원 보호기간이 종료됨에 따라 주거지원이 필요한 아동에게

주택임차자금 지원 및 보증상품 개발

(추진내용)

∙ 긴급 주거지원이 필요한 아동의 가정에 주택임차자금 지원∙ 고아원 보호종료 아동 대상 전세월세보증금보증 할인 상품 개발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택임차자금지원 세대 수

10 20 성과분석 후 확대 검토

고아원보호종료아동대상상품가입자수

상품개발추진 제도개선 추진

실행과제

(16)HUG 이용고객 편의성 제고를 위한 플랫폼 구축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객과의 소통채널 확대방안의 일환으로 24시간 고객상담 제공

(추진내용)

∙ 단순 문의 SMS 발송

- 위탁은행 신청서류 등 전세보증 관련 간단 정보 문자발송 ARS실시(완료 `195월)

- 업무시간 종료 후에도 단순문의에 대한 SMS문자안내 서비스 추진

∙ 콜센터와 지사 상담이력 공유

- 콜센터 상담시스템과 차세대 시스템을 연계 고객별 상담이력 조회화면 구축

∙ 보이는 ARS 서비스 도입

- 기존의 음성 서비스와 함께 스마트폰을 통해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바로

연결하고 직접 통화하지 않아도 간편문의를 처리할 수 있는 보이는 ARS 실시

추진목표 2019년 챗봇서비스 DB구축 검토 2020년 챗봇 서비스 도입 검토

- 20 -

실행과제

(17)전세금보증 인터넷가입에 필요한 데이터 자동화 구축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가입을 간편하게 하여 정보사각지대에 있는 고객의

보증 가입 편의성 강화

(추진내용)

∙ 주택가격정보middot등기부등본 데이터 자동입력 시스템 마련

- KB시세 한국감정원 국세청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와의 협약 통한 시스템 연계

- 직접협약 외에도 부동산 권리변동정보 제공기관을 통한 중계서비스 도입 검토

∙ 인터넷보증시스템 전세금보증 신청절차 개선

- 전자연계 가능한 서류의 데이터 자동입력 프로세스 개발

- 보증심사시 담당자가 전자 원본 서류를 확인할 수 있는 화면 개발

추진목표

데이터 입력시스템 구축 및 운용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연계방안검토

협약체결 전산연계 운영 및 보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18)

사회임대주택 활성화를 위한 조직 혁신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사회임대주택 금융지원제도 담당부서 일원화로 속도감 있는 제도개선 등

사회임대주택 활성화 지원

(추진내용)

∙ 기획조정실 사회임대주택 총괄부서 지정을 위한 조직개편 추진

- 현행 사회임대PF보증(금융기획실) 토지임대middot기금출융자(도시재생기획처 기금지원처)

- 개선 도시재생기획처로 일원화하여 사회임대주택 복합금융 지원업무 총괄

한 부서에서 기금 출middot융자 보증지원까지 원스톱 상담으로 고객 만족도 제고

추진목표 2019년 조직개편 완료

실행과제

(19)상담서비스 고도화를 통한 고객만족도 제고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객상담데이터 체계적 관리middot활용을 통한 대국민 서비스 질적 향상

(추진내용)

∙ 차세대(전산)업무시스템 및 콜센터 시스템을 연계하여 상담이력 공유- 콜센터 외에도 지사 직원의 고객상담이력을 저장할 수 있도록 차세대시스템 내화면 구축 콜센터의 상담이력 역시 차세대 시스템에 저장 및 관리

∙ 보이는 ARS서비스 실시 및 단순문의안내 SMS 발송 서비스 실시middot활성화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콜센터전산시스템연계

시스템구축

시스템개발완료및 운용

시스템운용

시스템운용

시스템운용

신규 서비스출시

보이는ARS검토

보이는ARS출시

보이는ARS운용

보이는ARS운용

보이는ARS운용

- 21 -

2 혁신적 포용국가 선도

(3대 과제) 경제활력 제고 및 일자리 중심 경제 선도 중점

실행과제

(20)공공정보 연계 통한 서류제출 절차 간소화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필요한 서류를 간소화함으로써 대국민서비스 질 제고 (추진내용)∙ 필요한 서류 등을 공사 전산으로 조회 가능한 시스템 구축∙ 기금대출절차 혁신 시스템과 연계

추진목표 ∙ (비계량) 필요서류 전산조회 시스템 구축

실행과제

(21)사업다각화를 통한 고용증대 및 비정규직 ZERO화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서민 주거복지 도시재생 활성화 지원 등을 위한 기관 자체의 적극적인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공기업 서비스 제고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증원 및 채용 확대- 신사업 발굴 및 자율정원제를 통한 적극적인 증원-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청년 및 지역 인재 채용∙ 사회 양극화 해소를 위한 비정규직 ZERO화- 노사 공감대에 기반한 정당한 절차를 통한 전환 추진 및 전환근로자 처우 개선 노력

추진목표정원 비정규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766명 0명 903명 0명 995명 0명 1033명 0명 1062명 0명

실행과제

(22)

주거복지 및 도시재생을 위한

도시재생 창업공간 금융지원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도시재생 금융상품을 통한 창업지원 (목적) 창업과 관련한 도시재생 금융상품을 통해 민간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창업 관련 수요자 중심형 기금융자 및 보증상품 개발 운용- 코워킹시설조성 상가리모델링 공공임대상가 등 기금융자 지원

도시재생뉴딜 금융지원을 위한 사회적 금융 연계 지원 (목적) 도시재생분야법인단체창업관련크라우드펀딩 및 창업지원 컨설팅 추진 (추진내용)∙ 도시재생분야에대중투자연계일자리창출및지역주도사회적경제활성화지원- 뉴딜로 도시재생 크라우드펀딩 대회 개최 등∙ 도시재생 창업단체에 대한 지원을 위해 HUG형 민간일자리 창출 프로젝트 추진- HUG와 함께하는 도시재생 뉴딜 창업프로젝트 추진 및 사회적 경제조직 활성화

추진목표창업지원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510억원 1548억 1548억 1548억 1548억

- 22 -

실행과제

(23)IT선진화를 통한 민간일자리 창출 담당부서

기금정보처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고유목적사업인 주택보증 주택도시기금 및 도시재생분야의 IT 시스템

구축 및 개선을 통한 민간 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 주택도시기금 정보시스템 통합 유지보수

- (추진기간) 유지보수 사업의 특성으로 매년 발생

- (일자리창출) 2019년(8명) 2020년 sim 2023년(매년 16명)

∙ 도시재생 금융지원 전산시스템 구축

- 도시재생융자등원활한도시계정업무를뒷받침하기위한온라인금융지원시스템구축

- 추진기간 2018년~2019년 투입금액 및 인력 51억원 41명

∙ 주택도시기금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구축

- 주택도시기금 대출절차 편의 제고 및 절차 간소화 시스템 구축

- 추진기간 2018년~2019년 투입금액및인력 컨설팅용역43억원 12명 전산용역74억원52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기금업무 운영 유지보수 8 16 16 16 16

도시재생 융자시스템 41 - - - -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64 - - - -

합 계 177

실행과제

(24)

공공기관 공동기금 조성을 통한

지역 사회적경제 활성화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이전지역 기관간 협업을 통한 사회적경제 활성화로 지속가능한 일자리

제공 지역경제 활성화 추진

(추진내용)

∙ 부산 사회적경제 지원기금(BEF) 지원을 통한 사회적기업 육성 및 지원

- Pilot Program (크라우드펀딩) 20개소 창업단계 재정지원 5개소 Start-up 재정지원

15개소 Scale-up(성정기 기업) 대출지원 5개소 BEF 경영컨설팅 50회 BEF

사회적기업 연구가 인재육성 실시 2회 BEF 판로지원 5개소 등

추진목표

기금지원 (자체 공동)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억원(10억원)

1억원(10억원)

1억원(10억원)

1억원(125억원)

-

- 23 -

(4대 과제) 혁신성장 지원

실행과제

(25)상가임차금 안심대출 상품개발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도시재생지역 내 상가임차인 보호를 위한 상가임차금안심대출 개발

(추진내용)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법령 개정 검토

-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등 관련 법령 개정안 검토

- 법령 개정안 정부 건의 (우선변제권 승계기관 포함)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시장분석 및 조사(`20)

- 상가임차보증금 시장분석 및 보증이용 수요조사

- 보증료율 검토 및 리스크 분석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출시(`21)

- 사규개정 및 법령개정 완료

추진목표

상가임차보증금 상품 출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내부검토 법령개정 시장분석 상품출시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26)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사고 위기사업장과 보증실적의 증가로 사전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및 정기 점검활동 강화 및 핵심업무 역량집중 강화

(추진내용)

∙ 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 현장점검 대상사업장을 파악하여 외주용역을 통한 점검 추진 검토

추진목표 ∙ 2019년도 현장점검 외주화

실행과제

(27)

비대면 전세금보증을 통한 혁신성장 기반 마련

(카카오페이를 통한 가입확대 등)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모바일 전세금보증

스마트폰을이용해언제 어디서든쉽게보증을신청할수있도록모바일가입채널마련

∙ (모바일 인터페이스) 인터넷 전세금보증 프로세스를 모바일웹에 최적화하여 로그인

부터 보증가입 승인까지 전 프로세스 지원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위탁은행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증가입 프로세스 개선

(현행) 임차인이 선순위 채권 등 보증가입정보를 입력

(개선) 임차인은개인정보및계약정보만입력하고세부심사에필요한정보는심사자가입력

모바일 안심대출보증

위탁은행 비대면 전세금 안심대출 상품 개발

추진목표 2019년 전세금보증의 완전한 모바일 가입체계 구축

- 24 -

실행과제

(28)국민 주거편의 제공을 위한 스마트시티 건설 지원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목적) 핵심 국정과제인 스마트시티 분야의 금융지원 플랫폼으로서 주택도시기금지원 기반 모색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검토 및 금융상품 초안 마련

(추진내용)

∙ 민간사업자 의견 수렴 및 스마트시티 기금 금융지원 상품 초안 마련 -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및 주요 요소기술산업 등 동향 파악- 민간사업자 의견수렴을 바탕으로 실질적 금융지원이 가능한 상품 개발 추진∙ 주택도시기금법 개정안 마련 및 정부 건의∙ 스마트시티 건설사업장에 대한 보증료 할인 또는 보증심사 가점부여∙ 스마트시티 건설 신공법 소개 및 성공사례 공유

추진목표금융지원 확대 건수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건 1건 2건 3건 3건

실행과제

(29)HUG 빅데이터운영체계구축으로공공데이터개방기여 담당부서

주택도시

금융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기관 내middot외부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주택middot도시middot금융 분야의 환경 변화를진단함으로서 4차산업 혁명시대 도래에 따른 선제적인 대응 체계 마련

(추진내용)

∙ (1단계) HUG 빅데이터 기반 주택시장 분석 인프라 설계 및 로드맵 수립∙ (2단계) HUG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구축 및 모델 개발∙ 수요자(국민middot정부middot공사)별 빅데이터 활용 영역 확대 및 분석 기능 고도화

추진목표공공데이터 외부개방(제공) 건수 (오픈API포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38건 42건 46건 51건 56건

실행과제

(30)

친환경middot신소재 활용으로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

(제로에너지 건축물 건설자금지원 등)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주택건설사업장에 친환경middot신소재 사용을 유도함으로써 환경 친화적 주택건설과 에너지신산업 판로지원

(추진내용)

∙ 친환경 제품 및 에너지 신소재 제품사용 주택건설사업장에 보증심사 가점부여(완료)- (`1812) 녹색건축물인증등급부여고객보증심사시초기예상분양율 5〜1점가점부여

∙ (추진) 신소재 적용 주택건설사업장 확대를 위해 보증심사시 가점부여

- SOC 공공기관 통합기술마켓과 연계한 보증우대 방안 마련 중소기업이 보유한 SOC 공공기관 관련 혁신기술의 공모middot연구개발 제안 및 검증을

통해 상품화 및 홍보middot판매를 지원하는 플랫폼

추진목표

친환경적 주택건설 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

- 25 -

실행과제

(31)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비대면 가입 활성화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9개 수탁은행에 온라인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 독려

연령 무주택세대주 소득증빙 등 가입 시 제출서류가 많아 비대면 시스템 구축 시

지점방문 없이 간편하게 가입 가능

신한은행 최초로 완전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821)

비대면 가입 주택도시기금포털에 안내 및 홍보

비대면 가입 시스템 기금포털 홍보 게시하여 수탁은행 시스템 개발 독려

추진목표 목표비대면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전체 가입의 6 전체 가입의 12

실행과제

(32)전기자동차 도입을 통한 친환경 에너지 수요 창출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업무용 차량의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ㅇ 2018년 임차기간 만료예정인 업무용 차량을 전기자동차로 대체

ㅇ 추후 본사 및 영업부서 업무용 차량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추진목표 2019년 중 전기자동차 1대 충전소 1개소 설치실행과제

(33)드론 활용을 통한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기술middot제품에 대한 선제적 구매 및 테스트와 고유사업에 활용

으로 민간 초기시장 조성을 견인

(추진내용)

∙ 보증이행사업장 드론 안전점검 시범실시

- (`1812) 예산 미편성으로 1개 사업장 드론촬영 시범실시 및 효용성 검토

∙ 보유중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에 드론 활용 확대

- (`196) 전문엔지니어링 업체 발굴로 일자리 창출 및 보유 사업장 전체(2개)에

드론 활용 안전점검 실시 rArr 위험요소 발굴로 관할센터에 사고예방을 위한

안전조치 권고문서 시행

추진목표

안전사고 발생비율(발생건수보유사업장)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0 0 0 0 0 안전사고발생 ZERO무사고 달성

실행과제

(34)드론활용사업장안전관리및점검체계구축(시범단지운영)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HUG형 혁신 사업장 안전관리 및 점검체계 구축

ㅇ 드론 활용 사업장 안전 및 점검체계 구축

ㅇ 시범단지 선정 및 운용 세부계획 검토

∙ 드론 등 기술혁신 도구관련 관련 업체 및 유관기관 협의

∙ 사업장-영업부서-본사부서 협업체계 및 활용방안(HUG-i 게시) 등

추진목표안전사고로 인한 분양보증사고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0 0 0 0 0

- 26 -

실행과제

(35)블록체인을 활용한 안전하고 편리한 인터넷서비스 제공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정부주도의 공인인증서 폐지정책(전자서명법 전부개정 예고)에 따라 전자

서명에 대한 인터넷 사용자 대체 인증수단 개발

(추진내용)

∙ 블록체인 기반의 본인인증 서비스 (카카오페이 인증 서비스) 도입

- 인터넷보증시스템에서보증료영수증및보증서출력시카카오인증을이용한전자문서

유통증명서비스제공

∙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대국민서비스 확대

- 전자서명법개정에따른블록체인기반의전자서명서비스도입

- 온라인 등기우편(연체정보 등 전자우편을 본인인증 후 열람) 일괄발송 발송내역 조회

및유통증명서발급시스템구축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블록체인기반본인인증서비스시범도입

블록체인기술을이용한

대국민서비스확대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실행과제

(36)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사업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환경보호라는 공공성을 위하여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건물

보증에 대해 유인책 마련 필요

(추진내용)

∙ 제로에너지 건축물에 대한 대출한도 상향 조정

∙ 건축 관련학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해 친환경 건축물에 대한 관심 제고

- HUG 오픈캠퍼스 추진 시 건축 관련학과(건축공학과 건축디자인과 등) 학생에게 교육

추진및공사인턴체험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제로에너지 건축물지원 제도

규정신설 -

HUG오픈캠퍼스 수료학생수 (건축 관련 학과 포함)

100 110 121 133 146

- 27 -

(5대 과제) 공정경제 기반 구축 중점

실행과제

(37)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 진입장벽 해소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물품구매 대금결제 등에 중소기업 창업기업 등에 대한 계약규제 완화를

통해 공정경제 기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함

(추진내용)

∙ 신규 창업middot중소기업에 대한 진입장벽 완화

- 소규모 물품middot용역 입찰(고시금액 21억원 미만) 참여시 상대적으로불리한신규창업 및

중소기업에대한실적제한폐지

- 다만 부득이용역의성격상실적평가가필요한경우창업기업실적인정기간연장

(현행 3년 rarr 7년)을 통한 부담 완화

∙ 지체상금 부담경감 (현행의 12수준) 을 통한 상생협력 강화

∙ 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에 대한 용역대금 선급금지급률 확대

추진목표

중소기업 등 협력업체 계약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779 790 80 81 -

실행과제

(38)

공정경제를 위한 지역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업자 보호강화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건설사업장 인근지역 중소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대금의 현금

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한 하도급업자 보호 강화

(추진내용)

∙ 지역 중소 건설업체들에게 동일한 기회제공 및 공정한 경쟁 유도

- 건설사업장에서 지역건설업체와 하도급계약 체결 시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 할인 추진

∙ 협력업체 하도금대금의 현금지급 확대

- 하도급대금을 현금으로 지급할 경우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를 할인

하여 협력업체 및 근로자들의 보호를 강화하고 시장에서의 우위 선점

추진목표

지역 하도급업체 계약체결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규정개정 30 40 50 60

하도급대금의 현금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해 하도급업자 보호

- 28 -

3 국민신뢰 회복

(6대 과제) 적극행정 확산 등 조직운영 혁신

실행과제

(39)고용위기지역에 대한 금융지원 추진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용위기지역에 대한 지원강화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추진내용)

∙ 고용위기지역 내 임대주택 건립시 보증료 할인 추진(완료)

- 고용위기지역및고용재난지역소재임대보증금보증사업장보증료 10인하( 1812)

∙ 고용위기지역 내 임차인이 전세금보증 이용시 보증료 할인 검토

- 전세보증금반환보증(전세금보장) 전세안심대출(전세금대출지원)

보증이용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임차주택으로 변경시 보증료 할인 검토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보유한 주택건설사업자가 입주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임차

주택으로변경하여전세금보증가입신청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추진목표

고용위기지역 금융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마련 및 운영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40)근로여건 개선을 통한 휴식 있는 삶 지원 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일ㆍ가정 양립에 대한 법적ㆍ사회적 요구 증대됨에 따라 장시간 근로문화를 타파하고 휴식 있는 삶을 지원하여 일ㆍ생활의 균형 실현

(추진내용)

∙ 장시간 근로문화 타파- 직원니즈를반영한공사맞춤형복무제도수립및운영- PC-OFF 강화 (주2회rarr매일)- 퇴근장려캠페인 (인사안하고퇴근하기 관리자솔선수범퇴근)∙ 휴식 있는 삶 지원- 가족친화제도지속개발 (일가양득프로그램운영)- 연차휴가및남성육아휴직이용률향상을위한제도개선- 시간단위연차사용을통한휴가사용활성화- 임신직원보호를위한모성보호절차도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인당 연차사용일 1426일 1497일 1572일 1651일 1733일남성육아휴직인원 331 348 365 383 402

- 29 -

실행과제

(41)

위임전결기준 개선을 통한 업무처리 혁신

(결재피로감 낮추고 책임middot권한 공백없이 업무는 신속하게)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결재절차를 단순화함으로써 신속한 업무처리 및 고객만족도 제고

(추진내용)

∙보증위탁업무전결권세분화

- 위임전결규정안마련및규정개정절차진행(5월)

보증업무 위탁外 융자수탁업무 관련 전결권 개정도 함께 추진

∙대외업무협약체결전결권세분화

- 사안의중요성및영향도등고려중장기적으로면밀한검토필요

추진목표

결재절차 단순화

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rsquo23년보증및융자수탁업무위임전결규정개정

제도 보완

실행과제

(42)지출신청 시 영수증 증빙 제출제도 개선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지출신청시 불필요한 원본구비 제도 개선을 통한 업무효율화 달성

(추진내용)

∙ 공사 지출의 42 비중을 차지하는 5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 원본 제출 제외

- 지출액 50만원 이하 법인카드 및 전자세금계산서 지출 건 원본구비 예외 조항 신설

- 확인이 필요한 간이계산서 등은 원본징구하여 지출사고 가능성 예방

- 제도 정착 전 3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에 대하여 원본 제출 제외(시범운영)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내부

규정개정 및시범운영

제도개선 지속 추진

실행과제(43)

PF보증심사 시 월별예정 분양률 분포의 계량화 담당부서금융기획실심사평가처주택도시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민간아파트 초기분양률 데이터를 활용한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

(추진내용)

∙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를 통한 심사 객관성 확보

- 월별예정분양률 관련 명확한 지침 산정으로 신청업체 및 심사자의 주관 배제

- 국가승인통계인 민간아파트초기분양률 동향 데이터를 활용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

∙ 초기분양률 동향 분석(주택도시금융연구원 협업 4월sim10월)

- 연구원과 협업을 통해 초기분양률 데이터 분석 및 관리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건의(11월)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관할 부서(금융기획실)로 세칙 개정 건의

추진목표2019년도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예상분양률 분포기준 마련 초기분양률 데이터 관리체계 구축

- 30 -

(7대 과제) 윤리경영 강화

실행과제

(46)청렴도 향상을 위한 반부패 활동 강화 담당부서 준법지원실

추진내용

윤리경영 추진조직 강화

기관장 주도의 윤리경영 고위직 협의체 구축 내부 자문기구「청렴자문위

원회」운영 강화 및 임원의 윤리자가진단 현황 정보공개

반부패middot청렴 대외 활동 활성화

부산 이전 공공기관 청렴 협의체「청렴 클러스터」활동 강화

「부산투명사회실천 민middot관 네트워크」가입middot활동 실시

「유엔글로벌콤팩트(UNGC)」활동으로 글로벌 윤리역량 강화

실행과제

(44)논스톱 고분양가 심사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공사 PF보증 사업장에 대한 고분양가 심사기준 개선을 통한 사업

안정성 제고 및 고객신뢰성 확보

(추진내용)

∙ 「고분양가사업장심사규정」개정 추진(5월~6월)

- 고분양가 관리지역 내에서 공사 PF보증 발급예정사업장의 고분양가 심사기준(비교

사업장 선정 및 분양가격 산출 등)의 적용을lsquoPF보증 본점 승인시점rsquo으로 명확히 함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고분양가심사규정개정

사업안정성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 추진

실행과제

(45)임대리츠 통계 및 사후관리시스템 개선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목적) 자리츠 사후관리 주관기관(모리츠 AMC인 LH) 및 감독관리기관

(HUG) 간의 업무분장에 따라 사후관리 데이터 품질 저하 등 발생

rArr 기관간 협업체계 개선 관련 시스템 개발 등을 통한 사후관리 관련 데이터품질 향상 및 대정부 정보전달 적시성 확보

(추진내용)

∙ 리츠 기금출자내용 변경시 임대리츠 이력관리 등이 가능하게 하는 통계시스템 개발

∙ 분기별 사후관리보고 제출기한 마련 검토

∙ 임대리츠 통계관리 업무체계 내실화를 위한 기관간 협업 수행

추진목표

임대리츠 사후관리 구조 개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전산시스템개발 및시스템 구축

임대리츠사후관리

체계개선 수행

시스템 운용및 개선사항도출

기관간 협업수행(데이터관

리)

임대리츠통합데이터관리 수행

- 31 -

(8대 과제) 국민의 참여협력 확대 및 지역사회 공헌

실행과제

(47)

혁신도시 맞춤형 지역인재 육성 지원 및

인재채용 투명성 강화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도시 지원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증대에 따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한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

(추진내용)

∙ 市-지역대학간 협업으로 지역인재 육성 교육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 외부 면접위원 확대 및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인사 절차의 공정성 강화

∙ 사회형평적 채용실시와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을 통한 불합리한 차별 해소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지역채용 21 24 27 30 33지역인재육성 총 교육시간(교육인원times교육시간 시간) 3000 4500 4500 4500 4500

지역인재육성교육만족도(점수) 944 949 954 959 964

실행과제

(48)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사회공헌사업 확대 추진 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정부의 lsquo사회적 가치 실현rsquo을 정책에 따라 사회적 경제 및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사회공헌 필요성 증가

(추진내용)

∙ 안전한 주거환경 제공

- 무주택 국가유공자 및 저소득층 임차자금 170세대 지원(~8월10억원)- HUG 셰어하우스 3호 신촌점 완공 청년 24명 입주 완료(~10월2억원)- 저소득층 노후주택 및 소규모 사회복지시설 127세대 개보수(~10월8억원)- HUG STREET 잘사는 골목길 등 환경개선사업 대상지 선정 완료(~10월1억1천만원)

∙ 지역사회와 상생

- 노후 슬레이트 지붕개량 및 태양광 지원 사업 4자 협약(~8월3억원) HUG-부산시-한국사회복지협의회-부산도시재생지원센터

- HOPE with HUG 10호 11호 완공(~9월1억5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지역건설사-지역건축전문가 협업을 통한 주거개선사업

- 부산 송상현 광장 내 도시놀이터 프로젝트 완료(~9월7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부산시설공단 협업을 통한 문화middot휴식공간 조성

청렴 모니터링 다각화

청렴의식 환기를 위한 「자가점검 프로그램」실시

「청렴 옴부즈만」운영

개선 아이디어 발굴을 위한 「신입사원 生生 모니터링」

추진목표

종합청렴도 결과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3등급 2등급 1등급 1등급 1둥급

- 32 -

∙ 균등한 기회와 사회통합

- 중학생 자유학기제 지원 프로그램 운영(9월~4천만원)- 저소득층 청소년 20명ndash대학생 20명 매칭 등(6월~5천만원)- lsquoKBS 동행rsquo에 출연하는 저소득 가정 50세대 지원(7월~1억원)- 발달장애 청년 재능개발 프로젝트lsquo눈부신하루rsquo추진(6월~3천만원)- 신입사원 봉사활동 등을 통한 지역사회 나눔활동(~10월7천2백만원)- 저소득층 난방연료 지원을 위한 주택도시업 캠페인(~12월5천만원)- 자매결연 마을 농수산물 구입기증(~12월4천만원)

추진목표

추진 목표는 해당연도 사회공헌 기부금 예산금액(이사회 의결금액)과 연계

기부금액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8620백만원 8879백만원 9145백만원 9419백만원 9702백만원 전년도예산금액103

실행과제

(49)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목적) 도시재생과 유사한 목표비전을 공유하는 사회적경제와 연계한 맞춤형

금융상품 운영 및 관련 지원조직과 다각적 협업 활동 추진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지역주민이 주도하는 도시재생 금융지원으로 국민의 삶의 질 개선

(목적) 주민지역공동체 주도의 마을단위 도시재생으로의 변화에 대응하여

사회적 경제주체 등 지원체계 개선으로 사회적 가치 실현에 기여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추진목표

수요자중심형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510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실행과제

(50)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국민이 참여하는

HUG사업평가단(가칭) 운영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보증업무 전반에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HUG

사업평가단 구성하여 주택품질 제고 및 안심입주 지향

(추진내용)

∙ 국민이 참여하는 보증솔루션팀 및 보증심사 리뷰단을 통해 제도 개선사항 도출

∙ 보증채권자 권익에 미치는 사항 등 국민의견 수렴을 통한 보증이행제도 개선

∙ 전세금보증 이행완료 고객 및 공인중개사 참여를 통한 제도개선 사항 발굴

추진목표 2019년 국민 의견수렴을 통한 전세금보증 제도 개선 등 검토

- 33 -

실행과제(51)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과 협업하여효율적인 전세금보증 이행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이행 업무의 효율성 제고

(추진내용)

∙ 지역사회단체 등과의 협업을 통한 임차인 퇴거확인 추진 검토

- 보증사고 발생 시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 구성원이 임차인 퇴거를

확인하여 담당직원 업무 공백 최소화 (직원 출장비 수준으로 비용 지급)

- 임차인 퇴거 확인 시 해당 주택가격 및 신규 임차인 확보 가능성 검토결과를

보고받아 채권보전조치를 위한 근거 확보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거보호 이행도(전세금보증 이행 15일초과건수전체이행건수)

50 45 41 37 34

- 34 -

Ⅳ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및 적극행정 확산

①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국민참여게시판을 lsquo국민제안(국민rarr기관)rsquo

및 lsquo정책제안(기관rarr국민)rsquo 게시판으로 세분화하여 국민과 기관간

상시 소통기반 마련 경평지적

지적사항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위한 개선방안 마련 필요

(혁신 네트워크 강화) 시민참여혁신단 보증채권권익위원회 전세금

보증 시민참여단 기금홍보협의회 운영 등 주요사업에 기반하여

다양한 대외 전문기관과 네트워크 활성화 경평지적

지적사항 보증 기금등주요사업역량강화를위한전문기관혁신네트워크강화필요

② 적극행정 확산

(적극행정 면책제도 활용) 감사계획 통보 시 적극행정 면책제도

middot사전컨설팅 제도 사전안내 및 면책신청 지원을 위한 상담창구

운영 등 (계획수립 完 감사실-2367호)

(기관장 책임강화) 혁신전략위원회(위원장 사장)를 통해 적극행정

혁신과제에 대한 추진독려 및 이행사항 점검 등 보완사항 지속

발굴 (혁신페스티벌 1middot2차 개최)

(적극행정 우수사례 발굴)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를 통해 조직내

적극행정 분위기 유도 (포상 및 내부성과평가 반영 등)

성과창출에 실패했더라도 기존관행 탈피 새로운 영역개척 국민접점에서

활력을 제고하는 등 lsquo착한실패rsquo lsquo건전한파격rsquo에 대해서도 포상추진 예정

(적극행정 인식확산) 적극행정 사이버교육(법제처 주관) 이수 등

적극행정 인식확산을 위한 교육참여 시 혁신마일리지 부여 (전사 교육 실시 예정)

- 35 -

Ⅴ 혁신 추진도구별 업무일정

구 분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1 2 3 4 5 6 7 8 9 10 11 12

1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2 국민소통 강화

3 혁신페스티벌

4 유관기관 협업

5 혁신채널 구축

6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7 제안제도 정비

8 혁신콘서트

9 혁신교육 및 혁신워크숍

10 혁신레터

11 혁신마일리지 신설

12 혁신BP 발굴 및 포상

피드백

(성과관리) 공공기관 혁신 및 기관 경영혁신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혁신과제 추진실적을 정기적으로 점검 및 피드백

(혁신전파) 조직원 전체의 혁신공감대 형성 및 참여도 제고를 위해

본사부서 및 영업부서 방문 등을 통해 혁신활동 및 우수사례 공유

(혁신내재화) 국민소통채널 혁신마일리지 혁신레터 등 혁신활동이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고 혁신업무에 대해

조직원이 공감하고 회사 모든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

Page 9: 2019년 HUG 혁신 추진계획 - khug.or.kr…„HUG혁신추진계획.pdf · 혁신페스티벌 - (내부 혁신과제 발굴) 조직·인사·제도·서비스혁신 등 회사

- 8 -

❸ 혁신콘서트 혁신레터 등 혁신문화 촉진 경평지적

지적사항 혁신역량 강화 교육 체계화 및 활성화 필요

혁신콘서트

- (혁신공감대) 혁신우수사례(BP) 및 혁신노하우를 발표middot공유하고

시상식 등을 개최하여 조직원의 공감대 형성 및 동기부여

- (전사 참여) 조직원 전체가 참여할 수 있도록 추진하되 단독 또는

한마음 단합대회 개최 시 관련부서와 협의하여 공동 추진 검토

혁신교육 및 워크숍 확대운영

- (혁신교육) 창의적 조직문화 학습을 위해 혁신 선도적 공공민간

기업의 우수사례를 주제로 전직원 대상 정기교육 실시

2018년도 조직문화 혁신교육 우아한형제들 - ①규율 속 자율 경영

②창의적 업무환경조성 ③일상적 소통경영 등

- (혁신워크숍) 혁신문화 촉진과 조직원의 수용력 제고를 위해 혁신

담당자 중심으로 혁신워크숍 실시

전사혁신리더및변화요원대상혁신관련정부정책middot평가방식공유 혁신추진공감대형성등

혁신레터

- (혁신메시지) 조직원의 혁신업무 이해도 제고를 통한 혁신 실행력

강화를 위해 혁신메시지 제도 시행

middot 혁신전략 혁신계획 혁신과제 등 혁신업무 전반에 대해 카드뉴스를

제작하여 전사 포털(Portal) 화면에 팝업창을 통해 게시

현재 전사포털 팝업창을 통해 윤리경영 자가점검 칭찬감사릴레이 등 시행중

- 9 -

❹ 혁신마일리지 신설 혁신BP 가점제도 개선 등 혁신지표 개선 경평지적

지적사항 혁신역량 강화 교육 체계화 및 활성화 필요

혁신마일리지 신설

- (혁신활동 평가강화) 혁신 과제선정middot이행 국민소통 혁신활동

등 혁신업무 전 영역에 마일리지를 부여하여 혁신평가의 변별력

제고 및 보상체계 강화

과제선정(최대10점) 과제이행(최대20점) 국민소통(최대20점) 등혁신마일리지차등부여

HUG 혁신마일리지 추진 체계

국 민업무혁신middot성과중심의 혁신마일리지 관리체계 구축 우수과제

선정 및

전파

제안등록 과제선정

(최대 10점) 과제이행

(최대 20점)

국민소통(최대 20점)

혁신활동(최대 10점)

마일리지

내평반영 및

포상 제안의

난이도에 따른

차등 점수

단순제안혁신

제안우수제안

이행

국민의견을

반영한

제안과제 이행

혁신콘서트

혁신특강 등

개인 역량강화H U G

혁신제안의 수준과 부서 및 직원의 혁신기여도에 따른 차등 마일리지 부여

혁신BP 가점제도 개선

- (가점확대) 혁신페스티벌 대국민아이디어 적극행정 혁신성장 등

BP경진대회를 통한 우수사례 발굴 및 내평(성과향상기여도) 가점 확대

[현행] 본사부서(최대 17점) 영업부서(최대 05점) rarr [개선] 본사(최대 2점) 영업(최대 1점)

- 10 -

Ⅲ 2019년 HUG혁신과제

2019년은 기존 중장기 35개 과제에 국민참여 6개 과제 기관 내부

발굴 10개 과제를 추가하여 총 51개 혁신과제를 추진할 예정임

HUG 혁신과제 (2018년) 38개 rArr (2019년) 51개

(중장기 과제) (lsquo18) 38개 과제 rarr 대내외 환경변화로 (lsquo19) 35개로 조정

(국민참여) 2019년 대국민아이디어 77건 중실현가능성등검토하여최종 6건선정

(내부발굴) 2019년 직원제안 236건 중 실현가능성 등 검토하여 최종 10건 선정

HUG 혁신과제 목록 (2019년 공공기관 혁신가이드라인 8대 과제별 분류)

연번 ① 고유업무 공공성 제고 비고

1 전세금보증 가입문턱을 낮추어 서민의 전세금 보호 강화 중장기

2 주택도시기금 지원확대로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역할강화 중장기

3 임대주택 공급지원 확대로 서민 주거복지 증대 중장기

4 주택도시기금 신규상품 개발을 통한 도시재생뉴딜 활성화 중장기

5 제도에서 전산까지 온오프라인 안심시스템 구축 중장기

6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전사 경영전략체계 구축 중장기

7 도시계정의 체계적 관리를 통한 도시재생 활성화 중장기

8 국민과 함께하는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 중장기

9 민관협력사업으로 주거취약지구 주거환경 개선 중장기

10 도시재생 맞춤형 스타트업 총괄지원 플랫폼 도입middot운영 국민

11 도시재생 생태계 조성을 위한 종합지원 플랫폼 구축 국민

12 분양이행사업장 수분양자 보호 내부

- ② 포용적 공공서비스 제공 강화 -

13 인터넷보증시스템 개선으로 전세금보증 이용편의성 제고 중장기

14 주택도시기금 대출절차 간소화를 통한 대국민 서비스 향상 중장기

15 고아원연계 보호종료아동 월세보증금 지원 제도 국민

16 HUG 이용고객 편의성 제고를 위한 플랫폼 구축 국민

- 11 -

17 전세금보증 인터넷가입에 필요한 데이터 자동화 구축 국민

18 사회임대주택 활성화를 위한 조직 혁신 내부

19 상담서비스 고도화를 통한 고객만족도 제고 내부

20 공공정보 연계 통한 서류제출 절차 간소화 내부

- ③ 경제활력 제고 및 일자리 중심 경제 지속 지원 -

21 사업다각화를 통한 고용증대 및 비정규직 ZERO화 중장기

22 주거복지 및 도시재생을 위한 창업공간 금융지원 중장기

23 IT선진화를 통한 민간일자리 창출 중장기

24 공공기관 공동기금 조성을 통한 지역 사회적경제 활성화 중장기

25 상가임차금 안심대출 상품개발 중장기

26 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중장기

- ④ 혁신성장 지원 -

27 비대면 전세금보증을 통한 혁신성장 기반 마련(카카오페이를 통한 가입확대 등) 중장기

28 국민 주거편의 제공을 위한 스마트시티 건설 지원 중장기

29 HUG 빅데이터 운영체계 구축으로 공공데이터 개방 기여 중장기

30 친환경middot신소재 활용으로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제로에너지 건축물 건설자금지원 등) 중장기

31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비대면 가입 활성화 중장기

32 전기자동차 도입을 통한 친환경 에너지 수요 창출 중장기

33 드론 활용을 통한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 중장기

34 드론활용 사업장 안전관리 및 점검체계 구축(시범단지운영) 중장기

35 블록체인을 활용한 안전하고 편리한 인터넷서비스 제공 중장기

36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사업 국민

- ⑤ 공정경제 기반 구축 -

37 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 진입장벽 해소 중장기

38 공정경제를 위한 지역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업자 보호강화 중장기

39 고용위기지역에 대한 금융지원 추진 중장기

- ⑥ 적극행정 확산 등 조직운영 혁신 -

40 근로여건 개선을 통한 휴식 있는 삶 지원 중장기

41위임전결기준 개선을 통한 업무처리 혁신(결재피로감 낮추고 책임ㆍ권한 공백없이 업무는 신속하게 )

내부

42 지출신청 시 영수증 증빙 제출제도 개선 내부

- 12 -

HUG 혁신과제 세부추진 내용

1 사회적 가치중심 기관 운영

(1대 과제) 고유 업무의 공공성 제고 중점

43 PF보증심사 시 월별예정 분양률 분포의 계량화 내부

44 논스톱 고분양가 심사 내부

45 임대리츠 통계 및 사후관리시스템 개선 내부

- ⑦ 투명middot윤리경영 강화 -

46 청렴도 향상을 위한 반부패 활동 강화 중장기

- ⑧ 국민의 참여 확대 및 지역사회 공헌 -

47 혁신도시 맞춤형 지역인재 육성 지원 및 인재채용 투명성 강화 중장기

48 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사회공헌사업 확대 추진 중장기

49 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중장기

50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국민이 참여하는 HUG사업평가단(가칭) 운영 중장기

51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과 협업하여 효율적인 전세금보증 이행 내부

실행과제

(1)전세금보증가입문턱을낮추어서민의전세금 보호 강화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서민의전세보증금을지켜주는최선의안전장치 lsquo전세금보증rsquo 활성화추진

(추진내용)

∙ 보증가입 편의성 제고 및 채널 확대를 통한 전세금보증 활성화

- 모바일 전세금보증 편의성 지속 개선middot확충

- 공인중개사 전세금보증 위탁판매 활성화 등

∙ 사회배려계층 맞춤형 보증제도 개선 등을 통한 공적역할 강화

- 보증가입기간 확대 등 임차인 보호를 위한 전세금보증 지원

- 보증서비스 품질 개선 등을 위한 전문가 의견수렴 등

추진목표

보증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0만호(21조원)

12만호(25조원)

14만호(30조원)

17만호(36조원)

20만호(43조원)

- 13 -

실행과제

(2)

주택도시기금 지원확대로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역할강화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무주택middot실수요 서민주거 안정지원을 위한 대출제도 개선 및 주거복지

로드맵 정책지원을 통한 맞춤형 주거지원으로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마련

(추진내용)

∙ 신혼부부middot청년층 기금대출 지원 확대

- 신혼희망타운 수익공유형 모기지대출 출시

- 신혼부부 기간 확대 (5년 rarr 7년)

- 청년층 청약 가입요건 완화 등 제도 개선 및 운영보완

- 고시원 주거급여 거주자 등에 대해 주거안정월세대출 대상자에 포함

∙ 자산기준 도입 서류간소화 등 기금대출 제도 개선

추진목표

사회취약계층 등 기금지원 (수요자 대출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78조원 78조원 78조원 78조원 78조원

`19~`23 목표는 매년초 국토부 최종안 확정안 국회승인을 거쳐 목표치 확정

실행과제

(3)임대주택 공급지원 확대로 서민 주거복지 증대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사회임대주택 공급 활성화

(목적) 주거약자를 위한 정부 사회임대주택 공급 활성화 정책 지원 및

공사의 공공성 역할 확대

(추진내용)

∙ 사회임대주택 보증 확대를 위한 제도개선 및 공급 활성화를 위한 금융 지원

∙ 사업관련 주체의 유기적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홈페이지 구축

∙ 공급활성화 여건 조성을 위한 사업자 육성 및 홍보 강화 및 유관기관 협업

임대리츠 관리체계 개선 및 공모를 통한 공급확대

(목적)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등 리츠를 통한 임대주택 공급 활성화를

통해 국민 주거복지 증진 도모

(추진내용)

∙ 서민 주거복지 강화를 위한 임대리츠 기금출자 제도 개선

∙ 민간임대사업자 참여 유도를 위한 공모사업 활성화

∙ 임대리츠 공공성 강화를 위한 심사관리 체계 개선 및 기금출자심사 실시

∙ 임대리츠 관련 정부정책 추진 지원을 위한 다각적 홍보 추진

∙ HUG形 민간제안 공모방식 확대로 임대주택 공급 강화

추진목표

사회임대주택 보증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50호 900호 990호 1089호 1197호

리츠를 통한 임대주택 공급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0500호 11550호 12705호 13976호 15373호

HUG 민간제안공모 공고 세대수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rsquo23년

8000세대 8500세대 9000세대 10000세대 10500세대

- 14 -

실행과제

(4)주택도시기금신규상품개발을통한도시재생뉴딜활성화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도시재생뉴딜 맞춤형 금융지원 확대 (목적) 도시재생 사업유형 확대에 대응한 맞춤형 기금지원 상품 개발운용 (추진내용)∙ 소규모 재생사업 및 주택정비 활성화를 위한 금융지원 확대∙ 도시재생 경제조직 활성화를 위한 금융지원 프로그램 도입 도시재생뉴딜 활성화를 위한 기금지원 운용체계 개선 (목적) 명확한 업무기준효율적 수행방안을 확립하여 도시계정 양적질적확대에 대응 및 뉴딜정책 활성화에 기여

(추진내용)∙ 도시재생 금융지원 접수middot심사체계 개편으로 국민불편 해소∙ 도시재생 금융지원 사후관리 체계 확립으로 안정적 기금운용 및 공공성 실현

추진목표

도시재생 금융지원 출융자 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5877억원 11227억원 15014억원 16178억원 16494억원

도시재생 금융지원 심사사업장관리 운용체계 개선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5건 5건 5건 5건 5건

실행과제(5)

제도에서 전산까지 온middot오프라인 안심시스템 구축 담당부서정보운영처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응하는 정보보안체계 구축

(목적) 4차 산업혁명시대 기술(IoT BigData AI 등) 변화에 맞는 선제적인 정보

보안 체계 수립과 능동적인 정보주체의 권리 보장

ㅇ (추진내용)

∙ 선진화 정보보안 체계 구축 컨설팅

주택건설사업장 사회안전망 플랫폼 구축

(목적) 주택관리사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으로 사고로 인한 분양계약자의

입주지연 및 보증사고 위험 등을 사전에 예방하여 국민의 편익 증진

(추진내용)

∙ 사업장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보증사업장 현장점검 규정 개정

- 사업장안전관리강화를위한안전점검업무신설및안전관리우수고객우대제도운영

∙ 드론을 활용한 보증사업장 동영상 촬영 및 제공으로 분양계약자 정보제공 강화

- 현재 앱을 통한 사업장 현장사진 제공을 드론을 이용한 동영상 제공으로 확대하여

분양계약자 정보제공 강화

추진목표

국정원 정보보안 관리실태 점수 행안부 개인정보보호 진단 점수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공공기관평균점수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 5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10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15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20

보증사업장 안전사고로 인한 공사 지연 건수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0건 0건 0건 0건 0건

- 15 -

실행과제(6)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전사 경영전략체계 구축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공공기관의 lsquo공적역할 강화rsquo 및 lsquo사회적 책임실현rsquo이라는 국정기조 변화에 부응

하기위한공사의新경영전략수립

(추진내용)

∙ 고유 업무의 공공성 제고를 위한 사업전략 재수립

- 사회통합형 주거복지 실현을 위한 공적금융 지원 전략 수립

- 소규모 도시재생사업 활성화를 위한 단계별 공사 역할방안 마련

∙ 사회적 가치 기반 전사 기능전략 및 중장기 경영목표 재수립

- 공적역할 확대 및 사회적 책임 구현을 위한 부문별 기능전략 수립

추진목표

사회적가치 기여도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최우수 최우수 최우수 최우수 최우수

청렴도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등급 1등급 1등급 1등급 1등급

실행과제(7)

도시계정의 체계적 관리를 통한 도시재생 활성화 담당부서기금정보처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목적) 노후주거지 주민과 사회적기업 등이 필요로 하는 자금을 적시에 원활히 지원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도시계정 관리 추진

(추진내용)

∙ 연체관리 프로세스 정립을 통한 기금손실예방

- 연체 단계별 업무처리 프로세스 마련을 통한 융자사고방지

- 도시계정 융자원리금 수납기준 마련

- 융자사고관리 방안 마련

∙ 고객신용관리 체계구축을 통한 사고예방 모니터링 확대

- 고객신용관리 모니터링 체계구축을 통한 사고예방관리

- 도시계정 신용정보집중 처리기준 프로세스 마련

- 도시계정 신용정보관리 전산시스템 구축 일반신용정보관리규약에 따른 도시계정 신용정보 파일전송 설계서(전문) 작성

공사 신용정보 집중 시스템과 병합 추진

∙ 도시계정 자금관리 체계정립을 통한 도시재생활성화지원

- 도시계정 예산확대 신규 금융기법적용 등 도시계정 특성을 반영한 회계middot결산

자금관리 업무기준 확립 정형화된 담보가 아닌 수요자사업자 특성을 고려한 맞춤 담보제공 자금투입 공공성 확보를

위한 엄격한 융자조건 부여

- 회계middot결산 자금관리 업무전산화를 통한 효율화 정책지원기능 확대

추진목표 (비계량) 2019년 융자사고예방을 위한 연체관리 자금관리기준 수립 및 개선

- 16 -

실행과제(8)

국민과 함꼐하는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 담당부서보증이행처

준법지원실

추진내용

(목적) 국민참여를 통한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의 수용성 제고 및 주거

복지 실현 위한 공동주택 하자 조기대응ㆍ감축방안 모색

(추진내용)

∙ 하자분쟁 해결체계 관련 국민 공유ㆍ소통 프로그램 운영

- 국민과 함께하는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 계획 수립

- lsquo공동주택 실무강좌rsquo 동행을 통한 하자관련 주요이슈 대국민 공유ㆍ소통- 국민참여 하자정보 공유 4회(서울 인천 수원 의정부) 및 하자실무 법률상담

∙ 국민 참여 확대를 통한 정책 개선 노력

- (lsquo1810) 대국민 의견수렴을 위한 하자분쟁 컨퍼런스 개최

middot 하자분쟁 예방을 위한 관계규정 검토 및 정책 논의

middot 행정청 학계 법조계 및 입주자대표회의 관련 다수 국민 참여

∙ 소규모사업장 청구 전 하자보수보증 사전안내제도(BS Before Service) 실시 검토

소규모사업장 150세대 미만 사업장 중 대위변제가 없는 2년차 하자보수보증 만료6개월 전 사업장

추진목표

대국민 참여도산출근거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참여횟수6회참여인원300명

참여횟수8회참여인원400명

참여만족도85점 이상

정책국민의사반영1회이상

정책국민의사반영1회이상

횟수당50명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점수(관리본부) 목표치산출근거구분 rsquo18년 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등급 A A A A A 목표 A등급 이상

실행과제(9)

민관협력사업으로 주거취약지구 주거환경 개선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목적) 공사의 사회적 가치경영 실행을 위해 새뜰마을(취약지역 개조사업) 주거

여건 개선을 지원하는 민관협업 사회공헌사업 추진

(추진내용)

∙ 중앙부처 공공기관 민간기업 등이 지역 주민과 함께 도시취약지역 내 노후주택에

대한 주거환경개선 열효율화 사업 추진

- 새뜰마을중고령화 노후화등으로사업추진이절실하고 지역사회참여정도등을 고려

하여성과가 가시화될수있는지역선정추진

∙ 주거취약지역 환경개선 관련 민관협업사업 MoU 체결 추진

- 국토교통부 HUG LH KCC AURI 해비타트 등 협약 체결을 통해 집수리 자재 및

전문인력 후원금 지원 추진

∙ 도시취약지역 지원 효과 분석 및 사업추진 매뉴얼 마련

- 지역기초조사 사업전후 효과분석 등 성과관리 새뜰마을 매뉴얼 제작보급

추진목표새뜰마을 지원대상 확대 건수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5건 5건 5건 5건 5건

- 17 -

실행과제(10)

도시재생 맞춤형 스타트업 총괄지원

플랫폼 도입middot운영담당부서

인사처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도시재생과 관련된 스타트업 및 소셜벤처에 대한 종합적 지원

(추진내용)

∙ HUG형 도시재생 뉴딜 창업 프로젝트 추진

- 사회적 경제조직 육성기관(함께일하는재단) 대중투자 전문기관(와디즈)과 협업

- 사회적 경제조직 컨설팅 지원

- 대중투자 연계 통한 일자리 창출 및 사회적 경제 활성화 지원

∙ 스타트업 및 소셜벤처에 대한 사회적 금융 지원

∙ HUG 창업 라운지(스타트업 기업에 공간 공유) 확대 운영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사회적금융지원금액 1억 1억 1억 1억 1억

공간지원스타트업수 6 8 10 12 14

멘토링middot창업캠프개최회수 5 5 5 5 5

실행과제(11)

도시재생 생태계 조성을 위한

종합지원 플랫폼 구축담당부서

기금정보처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종합적인 도시재생정보 공유체계 구축을 통해 기금 지원된 도시재생사

업에 대한 정량적 정보 및 사후지원 청년middot예비창업자 참여를 위한 HUG 정책

지원 정보를 기금포털 내 일괄 제공

(추진내용)

∙ 전국 기금이 활용된 도시재생 사업장 정보 제공(lsquo도시재생 기금지도rsquo 서비스)

- 지도 API 기반의 도시재생 기금지원 사업장 정보조회 서비스

- 전국 분포된 사업장의 위치부터 융자금액까지 상세정보를 편리하게 검색

- 실제 사례와 이용 상품 정보를 함께 제공하여 정보이용자 이해도 제고

∙ 기금 사업장 홍보 지원 및 청년창업 지원 정보 일괄 제공(전용 게시판 신설)

- 사업장 및 보유시설(코워킹시설 임대시설 등) 홍보 위한 전용공간 마련

- 기금지원 사업의 우수사례 정보공유를 통한 벤치마킹 및 정보이용자 관심유도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기금지도 서비스 개시 서비스구축middot개시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우수사례 발굴 건수 8 8 8 8 8

- 18 -

(2대 과제) 포용적 공공서비스 제공 강화

실행과제(12)

분양이행사업장 수분양자 보호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분양대금채권 지연손해금율 하향조정 등 분양계약자 부담완화를

통한 국민 주거안정 기여

(추진내용)

∙ 분양계약자 지연손해금 관련 주택분양보증약관 개정

- 분양계약자의 분양계약서상 지연손해금율이 시행사 구상채권 지연손해금율

보다 높은 사례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공사 내규와 분양계약서상 지연손해

금율 중 낮은 것을 적용하도록 약관 규정 개정 (시행사 동의서 징구)

추진목표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 점수(관리본부)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901 915 933 951 971

실행과제(13)

인터넷보증시스템개선으로전세금보증이용편의성제고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인터넷보증 시스템 개선을 통해 고객의 전세상품 보증서비스

편의성 및 접근성을 강화하여 서민 주거안정성 개선 지원

(추진내용)

∙ 인터넷 보증시스템 재구축 추진(lsquo20~lsquo21)

- (현행) 인터넷 익스플로러 이외의 웹브라우저 미지원

- (재구축) 구 운영체제 지원종료 대비 및 지원 플랫폼(구글 크롬 등) 확대를

위한 시스템 재구축 예정

∙ 모바일 보증시스템 구축 추진(lsquo19)

- (현행) PC 중심의 제한적인 보증가입 서비스 제공

- (비대면 서비스 강화) 모바일 보증시스템 구축 추진

추진목표

비대면 보증가입 점유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0 12 14 16 18

- 19 -

실행과제

(14)주택도시기금대출절차간소화를통한대국민서비스향상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서민실수요자 지원 강화 및 이용자 편의 제고 등을 위한 주택도시

기금 구입전세 대출의 자산심사 도입

(추진내용)

∙ 자산심사기준 도입을 통한 정책자금의 실수요자 집중 지원

∙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구축을 통한 대출절차 간소화

∙ 전담 수행조직 운영 및 수탁은행 역할 재정립 등을 통한 대국민 서비스 제고

추진목표

대출절차 혁신 시스템 운영 체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자산기준 마련기금법령 개정시스템 개발오픈수요자대출상품운영

수요자대출 全상품 시스템 안정화제도개선 및 모니터링

他 기금상품 (주택종합청약저축)도입 검토 및 적용

실행과제

(15)고아원연계 보호종료아동 월세보증금 지원 제도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고아원 보호기간이 종료됨에 따라 주거지원이 필요한 아동에게

주택임차자금 지원 및 보증상품 개발

(추진내용)

∙ 긴급 주거지원이 필요한 아동의 가정에 주택임차자금 지원∙ 고아원 보호종료 아동 대상 전세월세보증금보증 할인 상품 개발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택임차자금지원 세대 수

10 20 성과분석 후 확대 검토

고아원보호종료아동대상상품가입자수

상품개발추진 제도개선 추진

실행과제

(16)HUG 이용고객 편의성 제고를 위한 플랫폼 구축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객과의 소통채널 확대방안의 일환으로 24시간 고객상담 제공

(추진내용)

∙ 단순 문의 SMS 발송

- 위탁은행 신청서류 등 전세보증 관련 간단 정보 문자발송 ARS실시(완료 `195월)

- 업무시간 종료 후에도 단순문의에 대한 SMS문자안내 서비스 추진

∙ 콜센터와 지사 상담이력 공유

- 콜센터 상담시스템과 차세대 시스템을 연계 고객별 상담이력 조회화면 구축

∙ 보이는 ARS 서비스 도입

- 기존의 음성 서비스와 함께 스마트폰을 통해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바로

연결하고 직접 통화하지 않아도 간편문의를 처리할 수 있는 보이는 ARS 실시

추진목표 2019년 챗봇서비스 DB구축 검토 2020년 챗봇 서비스 도입 검토

- 20 -

실행과제

(17)전세금보증 인터넷가입에 필요한 데이터 자동화 구축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가입을 간편하게 하여 정보사각지대에 있는 고객의

보증 가입 편의성 강화

(추진내용)

∙ 주택가격정보middot등기부등본 데이터 자동입력 시스템 마련

- KB시세 한국감정원 국세청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와의 협약 통한 시스템 연계

- 직접협약 외에도 부동산 권리변동정보 제공기관을 통한 중계서비스 도입 검토

∙ 인터넷보증시스템 전세금보증 신청절차 개선

- 전자연계 가능한 서류의 데이터 자동입력 프로세스 개발

- 보증심사시 담당자가 전자 원본 서류를 확인할 수 있는 화면 개발

추진목표

데이터 입력시스템 구축 및 운용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연계방안검토

협약체결 전산연계 운영 및 보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18)

사회임대주택 활성화를 위한 조직 혁신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사회임대주택 금융지원제도 담당부서 일원화로 속도감 있는 제도개선 등

사회임대주택 활성화 지원

(추진내용)

∙ 기획조정실 사회임대주택 총괄부서 지정을 위한 조직개편 추진

- 현행 사회임대PF보증(금융기획실) 토지임대middot기금출융자(도시재생기획처 기금지원처)

- 개선 도시재생기획처로 일원화하여 사회임대주택 복합금융 지원업무 총괄

한 부서에서 기금 출middot융자 보증지원까지 원스톱 상담으로 고객 만족도 제고

추진목표 2019년 조직개편 완료

실행과제

(19)상담서비스 고도화를 통한 고객만족도 제고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객상담데이터 체계적 관리middot활용을 통한 대국민 서비스 질적 향상

(추진내용)

∙ 차세대(전산)업무시스템 및 콜센터 시스템을 연계하여 상담이력 공유- 콜센터 외에도 지사 직원의 고객상담이력을 저장할 수 있도록 차세대시스템 내화면 구축 콜센터의 상담이력 역시 차세대 시스템에 저장 및 관리

∙ 보이는 ARS서비스 실시 및 단순문의안내 SMS 발송 서비스 실시middot활성화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콜센터전산시스템연계

시스템구축

시스템개발완료및 운용

시스템운용

시스템운용

시스템운용

신규 서비스출시

보이는ARS검토

보이는ARS출시

보이는ARS운용

보이는ARS운용

보이는ARS운용

- 21 -

2 혁신적 포용국가 선도

(3대 과제) 경제활력 제고 및 일자리 중심 경제 선도 중점

실행과제

(20)공공정보 연계 통한 서류제출 절차 간소화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필요한 서류를 간소화함으로써 대국민서비스 질 제고 (추진내용)∙ 필요한 서류 등을 공사 전산으로 조회 가능한 시스템 구축∙ 기금대출절차 혁신 시스템과 연계

추진목표 ∙ (비계량) 필요서류 전산조회 시스템 구축

실행과제

(21)사업다각화를 통한 고용증대 및 비정규직 ZERO화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서민 주거복지 도시재생 활성화 지원 등을 위한 기관 자체의 적극적인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공기업 서비스 제고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증원 및 채용 확대- 신사업 발굴 및 자율정원제를 통한 적극적인 증원-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청년 및 지역 인재 채용∙ 사회 양극화 해소를 위한 비정규직 ZERO화- 노사 공감대에 기반한 정당한 절차를 통한 전환 추진 및 전환근로자 처우 개선 노력

추진목표정원 비정규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766명 0명 903명 0명 995명 0명 1033명 0명 1062명 0명

실행과제

(22)

주거복지 및 도시재생을 위한

도시재생 창업공간 금융지원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도시재생 금융상품을 통한 창업지원 (목적) 창업과 관련한 도시재생 금융상품을 통해 민간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창업 관련 수요자 중심형 기금융자 및 보증상품 개발 운용- 코워킹시설조성 상가리모델링 공공임대상가 등 기금융자 지원

도시재생뉴딜 금융지원을 위한 사회적 금융 연계 지원 (목적) 도시재생분야법인단체창업관련크라우드펀딩 및 창업지원 컨설팅 추진 (추진내용)∙ 도시재생분야에대중투자연계일자리창출및지역주도사회적경제활성화지원- 뉴딜로 도시재생 크라우드펀딩 대회 개최 등∙ 도시재생 창업단체에 대한 지원을 위해 HUG형 민간일자리 창출 프로젝트 추진- HUG와 함께하는 도시재생 뉴딜 창업프로젝트 추진 및 사회적 경제조직 활성화

추진목표창업지원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510억원 1548억 1548억 1548억 1548억

- 22 -

실행과제

(23)IT선진화를 통한 민간일자리 창출 담당부서

기금정보처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고유목적사업인 주택보증 주택도시기금 및 도시재생분야의 IT 시스템

구축 및 개선을 통한 민간 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 주택도시기금 정보시스템 통합 유지보수

- (추진기간) 유지보수 사업의 특성으로 매년 발생

- (일자리창출) 2019년(8명) 2020년 sim 2023년(매년 16명)

∙ 도시재생 금융지원 전산시스템 구축

- 도시재생융자등원활한도시계정업무를뒷받침하기위한온라인금융지원시스템구축

- 추진기간 2018년~2019년 투입금액 및 인력 51억원 41명

∙ 주택도시기금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구축

- 주택도시기금 대출절차 편의 제고 및 절차 간소화 시스템 구축

- 추진기간 2018년~2019년 투입금액및인력 컨설팅용역43억원 12명 전산용역74억원52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기금업무 운영 유지보수 8 16 16 16 16

도시재생 융자시스템 41 - - - -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64 - - - -

합 계 177

실행과제

(24)

공공기관 공동기금 조성을 통한

지역 사회적경제 활성화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이전지역 기관간 협업을 통한 사회적경제 활성화로 지속가능한 일자리

제공 지역경제 활성화 추진

(추진내용)

∙ 부산 사회적경제 지원기금(BEF) 지원을 통한 사회적기업 육성 및 지원

- Pilot Program (크라우드펀딩) 20개소 창업단계 재정지원 5개소 Start-up 재정지원

15개소 Scale-up(성정기 기업) 대출지원 5개소 BEF 경영컨설팅 50회 BEF

사회적기업 연구가 인재육성 실시 2회 BEF 판로지원 5개소 등

추진목표

기금지원 (자체 공동)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억원(10억원)

1억원(10억원)

1억원(10억원)

1억원(125억원)

-

- 23 -

(4대 과제) 혁신성장 지원

실행과제

(25)상가임차금 안심대출 상품개발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도시재생지역 내 상가임차인 보호를 위한 상가임차금안심대출 개발

(추진내용)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법령 개정 검토

-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등 관련 법령 개정안 검토

- 법령 개정안 정부 건의 (우선변제권 승계기관 포함)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시장분석 및 조사(`20)

- 상가임차보증금 시장분석 및 보증이용 수요조사

- 보증료율 검토 및 리스크 분석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출시(`21)

- 사규개정 및 법령개정 완료

추진목표

상가임차보증금 상품 출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내부검토 법령개정 시장분석 상품출시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26)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사고 위기사업장과 보증실적의 증가로 사전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및 정기 점검활동 강화 및 핵심업무 역량집중 강화

(추진내용)

∙ 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 현장점검 대상사업장을 파악하여 외주용역을 통한 점검 추진 검토

추진목표 ∙ 2019년도 현장점검 외주화

실행과제

(27)

비대면 전세금보증을 통한 혁신성장 기반 마련

(카카오페이를 통한 가입확대 등)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모바일 전세금보증

스마트폰을이용해언제 어디서든쉽게보증을신청할수있도록모바일가입채널마련

∙ (모바일 인터페이스) 인터넷 전세금보증 프로세스를 모바일웹에 최적화하여 로그인

부터 보증가입 승인까지 전 프로세스 지원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위탁은행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증가입 프로세스 개선

(현행) 임차인이 선순위 채권 등 보증가입정보를 입력

(개선) 임차인은개인정보및계약정보만입력하고세부심사에필요한정보는심사자가입력

모바일 안심대출보증

위탁은행 비대면 전세금 안심대출 상품 개발

추진목표 2019년 전세금보증의 완전한 모바일 가입체계 구축

- 24 -

실행과제

(28)국민 주거편의 제공을 위한 스마트시티 건설 지원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목적) 핵심 국정과제인 스마트시티 분야의 금융지원 플랫폼으로서 주택도시기금지원 기반 모색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검토 및 금융상품 초안 마련

(추진내용)

∙ 민간사업자 의견 수렴 및 스마트시티 기금 금융지원 상품 초안 마련 -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및 주요 요소기술산업 등 동향 파악- 민간사업자 의견수렴을 바탕으로 실질적 금융지원이 가능한 상품 개발 추진∙ 주택도시기금법 개정안 마련 및 정부 건의∙ 스마트시티 건설사업장에 대한 보증료 할인 또는 보증심사 가점부여∙ 스마트시티 건설 신공법 소개 및 성공사례 공유

추진목표금융지원 확대 건수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건 1건 2건 3건 3건

실행과제

(29)HUG 빅데이터운영체계구축으로공공데이터개방기여 담당부서

주택도시

금융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기관 내middot외부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주택middot도시middot금융 분야의 환경 변화를진단함으로서 4차산업 혁명시대 도래에 따른 선제적인 대응 체계 마련

(추진내용)

∙ (1단계) HUG 빅데이터 기반 주택시장 분석 인프라 설계 및 로드맵 수립∙ (2단계) HUG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구축 및 모델 개발∙ 수요자(국민middot정부middot공사)별 빅데이터 활용 영역 확대 및 분석 기능 고도화

추진목표공공데이터 외부개방(제공) 건수 (오픈API포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38건 42건 46건 51건 56건

실행과제

(30)

친환경middot신소재 활용으로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

(제로에너지 건축물 건설자금지원 등)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주택건설사업장에 친환경middot신소재 사용을 유도함으로써 환경 친화적 주택건설과 에너지신산업 판로지원

(추진내용)

∙ 친환경 제품 및 에너지 신소재 제품사용 주택건설사업장에 보증심사 가점부여(완료)- (`1812) 녹색건축물인증등급부여고객보증심사시초기예상분양율 5〜1점가점부여

∙ (추진) 신소재 적용 주택건설사업장 확대를 위해 보증심사시 가점부여

- SOC 공공기관 통합기술마켓과 연계한 보증우대 방안 마련 중소기업이 보유한 SOC 공공기관 관련 혁신기술의 공모middot연구개발 제안 및 검증을

통해 상품화 및 홍보middot판매를 지원하는 플랫폼

추진목표

친환경적 주택건설 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

- 25 -

실행과제

(31)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비대면 가입 활성화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9개 수탁은행에 온라인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 독려

연령 무주택세대주 소득증빙 등 가입 시 제출서류가 많아 비대면 시스템 구축 시

지점방문 없이 간편하게 가입 가능

신한은행 최초로 완전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821)

비대면 가입 주택도시기금포털에 안내 및 홍보

비대면 가입 시스템 기금포털 홍보 게시하여 수탁은행 시스템 개발 독려

추진목표 목표비대면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전체 가입의 6 전체 가입의 12

실행과제

(32)전기자동차 도입을 통한 친환경 에너지 수요 창출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업무용 차량의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ㅇ 2018년 임차기간 만료예정인 업무용 차량을 전기자동차로 대체

ㅇ 추후 본사 및 영업부서 업무용 차량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추진목표 2019년 중 전기자동차 1대 충전소 1개소 설치실행과제

(33)드론 활용을 통한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기술middot제품에 대한 선제적 구매 및 테스트와 고유사업에 활용

으로 민간 초기시장 조성을 견인

(추진내용)

∙ 보증이행사업장 드론 안전점검 시범실시

- (`1812) 예산 미편성으로 1개 사업장 드론촬영 시범실시 및 효용성 검토

∙ 보유중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에 드론 활용 확대

- (`196) 전문엔지니어링 업체 발굴로 일자리 창출 및 보유 사업장 전체(2개)에

드론 활용 안전점검 실시 rArr 위험요소 발굴로 관할센터에 사고예방을 위한

안전조치 권고문서 시행

추진목표

안전사고 발생비율(발생건수보유사업장)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0 0 0 0 0 안전사고발생 ZERO무사고 달성

실행과제

(34)드론활용사업장안전관리및점검체계구축(시범단지운영)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HUG형 혁신 사업장 안전관리 및 점검체계 구축

ㅇ 드론 활용 사업장 안전 및 점검체계 구축

ㅇ 시범단지 선정 및 운용 세부계획 검토

∙ 드론 등 기술혁신 도구관련 관련 업체 및 유관기관 협의

∙ 사업장-영업부서-본사부서 협업체계 및 활용방안(HUG-i 게시) 등

추진목표안전사고로 인한 분양보증사고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0 0 0 0 0

- 26 -

실행과제

(35)블록체인을 활용한 안전하고 편리한 인터넷서비스 제공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정부주도의 공인인증서 폐지정책(전자서명법 전부개정 예고)에 따라 전자

서명에 대한 인터넷 사용자 대체 인증수단 개발

(추진내용)

∙ 블록체인 기반의 본인인증 서비스 (카카오페이 인증 서비스) 도입

- 인터넷보증시스템에서보증료영수증및보증서출력시카카오인증을이용한전자문서

유통증명서비스제공

∙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대국민서비스 확대

- 전자서명법개정에따른블록체인기반의전자서명서비스도입

- 온라인 등기우편(연체정보 등 전자우편을 본인인증 후 열람) 일괄발송 발송내역 조회

및유통증명서발급시스템구축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블록체인기반본인인증서비스시범도입

블록체인기술을이용한

대국민서비스확대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실행과제

(36)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사업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환경보호라는 공공성을 위하여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건물

보증에 대해 유인책 마련 필요

(추진내용)

∙ 제로에너지 건축물에 대한 대출한도 상향 조정

∙ 건축 관련학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해 친환경 건축물에 대한 관심 제고

- HUG 오픈캠퍼스 추진 시 건축 관련학과(건축공학과 건축디자인과 등) 학생에게 교육

추진및공사인턴체험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제로에너지 건축물지원 제도

규정신설 -

HUG오픈캠퍼스 수료학생수 (건축 관련 학과 포함)

100 110 121 133 146

- 27 -

(5대 과제) 공정경제 기반 구축 중점

실행과제

(37)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 진입장벽 해소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물품구매 대금결제 등에 중소기업 창업기업 등에 대한 계약규제 완화를

통해 공정경제 기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함

(추진내용)

∙ 신규 창업middot중소기업에 대한 진입장벽 완화

- 소규모 물품middot용역 입찰(고시금액 21억원 미만) 참여시 상대적으로불리한신규창업 및

중소기업에대한실적제한폐지

- 다만 부득이용역의성격상실적평가가필요한경우창업기업실적인정기간연장

(현행 3년 rarr 7년)을 통한 부담 완화

∙ 지체상금 부담경감 (현행의 12수준) 을 통한 상생협력 강화

∙ 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에 대한 용역대금 선급금지급률 확대

추진목표

중소기업 등 협력업체 계약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779 790 80 81 -

실행과제

(38)

공정경제를 위한 지역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업자 보호강화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건설사업장 인근지역 중소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대금의 현금

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한 하도급업자 보호 강화

(추진내용)

∙ 지역 중소 건설업체들에게 동일한 기회제공 및 공정한 경쟁 유도

- 건설사업장에서 지역건설업체와 하도급계약 체결 시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 할인 추진

∙ 협력업체 하도금대금의 현금지급 확대

- 하도급대금을 현금으로 지급할 경우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를 할인

하여 협력업체 및 근로자들의 보호를 강화하고 시장에서의 우위 선점

추진목표

지역 하도급업체 계약체결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규정개정 30 40 50 60

하도급대금의 현금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해 하도급업자 보호

- 28 -

3 국민신뢰 회복

(6대 과제) 적극행정 확산 등 조직운영 혁신

실행과제

(39)고용위기지역에 대한 금융지원 추진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용위기지역에 대한 지원강화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추진내용)

∙ 고용위기지역 내 임대주택 건립시 보증료 할인 추진(완료)

- 고용위기지역및고용재난지역소재임대보증금보증사업장보증료 10인하( 1812)

∙ 고용위기지역 내 임차인이 전세금보증 이용시 보증료 할인 검토

- 전세보증금반환보증(전세금보장) 전세안심대출(전세금대출지원)

보증이용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임차주택으로 변경시 보증료 할인 검토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보유한 주택건설사업자가 입주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임차

주택으로변경하여전세금보증가입신청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추진목표

고용위기지역 금융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마련 및 운영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40)근로여건 개선을 통한 휴식 있는 삶 지원 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일ㆍ가정 양립에 대한 법적ㆍ사회적 요구 증대됨에 따라 장시간 근로문화를 타파하고 휴식 있는 삶을 지원하여 일ㆍ생활의 균형 실현

(추진내용)

∙ 장시간 근로문화 타파- 직원니즈를반영한공사맞춤형복무제도수립및운영- PC-OFF 강화 (주2회rarr매일)- 퇴근장려캠페인 (인사안하고퇴근하기 관리자솔선수범퇴근)∙ 휴식 있는 삶 지원- 가족친화제도지속개발 (일가양득프로그램운영)- 연차휴가및남성육아휴직이용률향상을위한제도개선- 시간단위연차사용을통한휴가사용활성화- 임신직원보호를위한모성보호절차도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인당 연차사용일 1426일 1497일 1572일 1651일 1733일남성육아휴직인원 331 348 365 383 402

- 29 -

실행과제

(41)

위임전결기준 개선을 통한 업무처리 혁신

(결재피로감 낮추고 책임middot권한 공백없이 업무는 신속하게)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결재절차를 단순화함으로써 신속한 업무처리 및 고객만족도 제고

(추진내용)

∙보증위탁업무전결권세분화

- 위임전결규정안마련및규정개정절차진행(5월)

보증업무 위탁外 융자수탁업무 관련 전결권 개정도 함께 추진

∙대외업무협약체결전결권세분화

- 사안의중요성및영향도등고려중장기적으로면밀한검토필요

추진목표

결재절차 단순화

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rsquo23년보증및융자수탁업무위임전결규정개정

제도 보완

실행과제

(42)지출신청 시 영수증 증빙 제출제도 개선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지출신청시 불필요한 원본구비 제도 개선을 통한 업무효율화 달성

(추진내용)

∙ 공사 지출의 42 비중을 차지하는 5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 원본 제출 제외

- 지출액 50만원 이하 법인카드 및 전자세금계산서 지출 건 원본구비 예외 조항 신설

- 확인이 필요한 간이계산서 등은 원본징구하여 지출사고 가능성 예방

- 제도 정착 전 3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에 대하여 원본 제출 제외(시범운영)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내부

규정개정 및시범운영

제도개선 지속 추진

실행과제(43)

PF보증심사 시 월별예정 분양률 분포의 계량화 담당부서금융기획실심사평가처주택도시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민간아파트 초기분양률 데이터를 활용한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

(추진내용)

∙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를 통한 심사 객관성 확보

- 월별예정분양률 관련 명확한 지침 산정으로 신청업체 및 심사자의 주관 배제

- 국가승인통계인 민간아파트초기분양률 동향 데이터를 활용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

∙ 초기분양률 동향 분석(주택도시금융연구원 협업 4월sim10월)

- 연구원과 협업을 통해 초기분양률 데이터 분석 및 관리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건의(11월)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관할 부서(금융기획실)로 세칙 개정 건의

추진목표2019년도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예상분양률 분포기준 마련 초기분양률 데이터 관리체계 구축

- 30 -

(7대 과제) 윤리경영 강화

실행과제

(46)청렴도 향상을 위한 반부패 활동 강화 담당부서 준법지원실

추진내용

윤리경영 추진조직 강화

기관장 주도의 윤리경영 고위직 협의체 구축 내부 자문기구「청렴자문위

원회」운영 강화 및 임원의 윤리자가진단 현황 정보공개

반부패middot청렴 대외 활동 활성화

부산 이전 공공기관 청렴 협의체「청렴 클러스터」활동 강화

「부산투명사회실천 민middot관 네트워크」가입middot활동 실시

「유엔글로벌콤팩트(UNGC)」활동으로 글로벌 윤리역량 강화

실행과제

(44)논스톱 고분양가 심사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공사 PF보증 사업장에 대한 고분양가 심사기준 개선을 통한 사업

안정성 제고 및 고객신뢰성 확보

(추진내용)

∙ 「고분양가사업장심사규정」개정 추진(5월~6월)

- 고분양가 관리지역 내에서 공사 PF보증 발급예정사업장의 고분양가 심사기준(비교

사업장 선정 및 분양가격 산출 등)의 적용을lsquoPF보증 본점 승인시점rsquo으로 명확히 함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고분양가심사규정개정

사업안정성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 추진

실행과제

(45)임대리츠 통계 및 사후관리시스템 개선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목적) 자리츠 사후관리 주관기관(모리츠 AMC인 LH) 및 감독관리기관

(HUG) 간의 업무분장에 따라 사후관리 데이터 품질 저하 등 발생

rArr 기관간 협업체계 개선 관련 시스템 개발 등을 통한 사후관리 관련 데이터품질 향상 및 대정부 정보전달 적시성 확보

(추진내용)

∙ 리츠 기금출자내용 변경시 임대리츠 이력관리 등이 가능하게 하는 통계시스템 개발

∙ 분기별 사후관리보고 제출기한 마련 검토

∙ 임대리츠 통계관리 업무체계 내실화를 위한 기관간 협업 수행

추진목표

임대리츠 사후관리 구조 개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전산시스템개발 및시스템 구축

임대리츠사후관리

체계개선 수행

시스템 운용및 개선사항도출

기관간 협업수행(데이터관

리)

임대리츠통합데이터관리 수행

- 31 -

(8대 과제) 국민의 참여협력 확대 및 지역사회 공헌

실행과제

(47)

혁신도시 맞춤형 지역인재 육성 지원 및

인재채용 투명성 강화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도시 지원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증대에 따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한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

(추진내용)

∙ 市-지역대학간 협업으로 지역인재 육성 교육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 외부 면접위원 확대 및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인사 절차의 공정성 강화

∙ 사회형평적 채용실시와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을 통한 불합리한 차별 해소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지역채용 21 24 27 30 33지역인재육성 총 교육시간(교육인원times교육시간 시간) 3000 4500 4500 4500 4500

지역인재육성교육만족도(점수) 944 949 954 959 964

실행과제

(48)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사회공헌사업 확대 추진 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정부의 lsquo사회적 가치 실현rsquo을 정책에 따라 사회적 경제 및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사회공헌 필요성 증가

(추진내용)

∙ 안전한 주거환경 제공

- 무주택 국가유공자 및 저소득층 임차자금 170세대 지원(~8월10억원)- HUG 셰어하우스 3호 신촌점 완공 청년 24명 입주 완료(~10월2억원)- 저소득층 노후주택 및 소규모 사회복지시설 127세대 개보수(~10월8억원)- HUG STREET 잘사는 골목길 등 환경개선사업 대상지 선정 완료(~10월1억1천만원)

∙ 지역사회와 상생

- 노후 슬레이트 지붕개량 및 태양광 지원 사업 4자 협약(~8월3억원) HUG-부산시-한국사회복지협의회-부산도시재생지원센터

- HOPE with HUG 10호 11호 완공(~9월1억5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지역건설사-지역건축전문가 협업을 통한 주거개선사업

- 부산 송상현 광장 내 도시놀이터 프로젝트 완료(~9월7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부산시설공단 협업을 통한 문화middot휴식공간 조성

청렴 모니터링 다각화

청렴의식 환기를 위한 「자가점검 프로그램」실시

「청렴 옴부즈만」운영

개선 아이디어 발굴을 위한 「신입사원 生生 모니터링」

추진목표

종합청렴도 결과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3등급 2등급 1등급 1등급 1둥급

- 32 -

∙ 균등한 기회와 사회통합

- 중학생 자유학기제 지원 프로그램 운영(9월~4천만원)- 저소득층 청소년 20명ndash대학생 20명 매칭 등(6월~5천만원)- lsquoKBS 동행rsquo에 출연하는 저소득 가정 50세대 지원(7월~1억원)- 발달장애 청년 재능개발 프로젝트lsquo눈부신하루rsquo추진(6월~3천만원)- 신입사원 봉사활동 등을 통한 지역사회 나눔활동(~10월7천2백만원)- 저소득층 난방연료 지원을 위한 주택도시업 캠페인(~12월5천만원)- 자매결연 마을 농수산물 구입기증(~12월4천만원)

추진목표

추진 목표는 해당연도 사회공헌 기부금 예산금액(이사회 의결금액)과 연계

기부금액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8620백만원 8879백만원 9145백만원 9419백만원 9702백만원 전년도예산금액103

실행과제

(49)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목적) 도시재생과 유사한 목표비전을 공유하는 사회적경제와 연계한 맞춤형

금융상품 운영 및 관련 지원조직과 다각적 협업 활동 추진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지역주민이 주도하는 도시재생 금융지원으로 국민의 삶의 질 개선

(목적) 주민지역공동체 주도의 마을단위 도시재생으로의 변화에 대응하여

사회적 경제주체 등 지원체계 개선으로 사회적 가치 실현에 기여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추진목표

수요자중심형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510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실행과제

(50)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국민이 참여하는

HUG사업평가단(가칭) 운영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보증업무 전반에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HUG

사업평가단 구성하여 주택품질 제고 및 안심입주 지향

(추진내용)

∙ 국민이 참여하는 보증솔루션팀 및 보증심사 리뷰단을 통해 제도 개선사항 도출

∙ 보증채권자 권익에 미치는 사항 등 국민의견 수렴을 통한 보증이행제도 개선

∙ 전세금보증 이행완료 고객 및 공인중개사 참여를 통한 제도개선 사항 발굴

추진목표 2019년 국민 의견수렴을 통한 전세금보증 제도 개선 등 검토

- 33 -

실행과제(51)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과 협업하여효율적인 전세금보증 이행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이행 업무의 효율성 제고

(추진내용)

∙ 지역사회단체 등과의 협업을 통한 임차인 퇴거확인 추진 검토

- 보증사고 발생 시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 구성원이 임차인 퇴거를

확인하여 담당직원 업무 공백 최소화 (직원 출장비 수준으로 비용 지급)

- 임차인 퇴거 확인 시 해당 주택가격 및 신규 임차인 확보 가능성 검토결과를

보고받아 채권보전조치를 위한 근거 확보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거보호 이행도(전세금보증 이행 15일초과건수전체이행건수)

50 45 41 37 34

- 34 -

Ⅳ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및 적극행정 확산

①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국민참여게시판을 lsquo국민제안(국민rarr기관)rsquo

및 lsquo정책제안(기관rarr국민)rsquo 게시판으로 세분화하여 국민과 기관간

상시 소통기반 마련 경평지적

지적사항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위한 개선방안 마련 필요

(혁신 네트워크 강화) 시민참여혁신단 보증채권권익위원회 전세금

보증 시민참여단 기금홍보협의회 운영 등 주요사업에 기반하여

다양한 대외 전문기관과 네트워크 활성화 경평지적

지적사항 보증 기금등주요사업역량강화를위한전문기관혁신네트워크강화필요

② 적극행정 확산

(적극행정 면책제도 활용) 감사계획 통보 시 적극행정 면책제도

middot사전컨설팅 제도 사전안내 및 면책신청 지원을 위한 상담창구

운영 등 (계획수립 完 감사실-2367호)

(기관장 책임강화) 혁신전략위원회(위원장 사장)를 통해 적극행정

혁신과제에 대한 추진독려 및 이행사항 점검 등 보완사항 지속

발굴 (혁신페스티벌 1middot2차 개최)

(적극행정 우수사례 발굴)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를 통해 조직내

적극행정 분위기 유도 (포상 및 내부성과평가 반영 등)

성과창출에 실패했더라도 기존관행 탈피 새로운 영역개척 국민접점에서

활력을 제고하는 등 lsquo착한실패rsquo lsquo건전한파격rsquo에 대해서도 포상추진 예정

(적극행정 인식확산) 적극행정 사이버교육(법제처 주관) 이수 등

적극행정 인식확산을 위한 교육참여 시 혁신마일리지 부여 (전사 교육 실시 예정)

- 35 -

Ⅴ 혁신 추진도구별 업무일정

구 분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1 2 3 4 5 6 7 8 9 10 11 12

1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2 국민소통 강화

3 혁신페스티벌

4 유관기관 협업

5 혁신채널 구축

6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7 제안제도 정비

8 혁신콘서트

9 혁신교육 및 혁신워크숍

10 혁신레터

11 혁신마일리지 신설

12 혁신BP 발굴 및 포상

피드백

(성과관리) 공공기관 혁신 및 기관 경영혁신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혁신과제 추진실적을 정기적으로 점검 및 피드백

(혁신전파) 조직원 전체의 혁신공감대 형성 및 참여도 제고를 위해

본사부서 및 영업부서 방문 등을 통해 혁신활동 및 우수사례 공유

(혁신내재화) 국민소통채널 혁신마일리지 혁신레터 등 혁신활동이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고 혁신업무에 대해

조직원이 공감하고 회사 모든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

Page 10: 2019년 HUG 혁신 추진계획 - khug.or.kr…„HUG혁신추진계획.pdf · 혁신페스티벌 - (내부 혁신과제 발굴) 조직·인사·제도·서비스혁신 등 회사

- 9 -

❹ 혁신마일리지 신설 혁신BP 가점제도 개선 등 혁신지표 개선 경평지적

지적사항 혁신역량 강화 교육 체계화 및 활성화 필요

혁신마일리지 신설

- (혁신활동 평가강화) 혁신 과제선정middot이행 국민소통 혁신활동

등 혁신업무 전 영역에 마일리지를 부여하여 혁신평가의 변별력

제고 및 보상체계 강화

과제선정(최대10점) 과제이행(최대20점) 국민소통(최대20점) 등혁신마일리지차등부여

HUG 혁신마일리지 추진 체계

국 민업무혁신middot성과중심의 혁신마일리지 관리체계 구축 우수과제

선정 및

전파

제안등록 과제선정

(최대 10점) 과제이행

(최대 20점)

국민소통(최대 20점)

혁신활동(최대 10점)

마일리지

내평반영 및

포상 제안의

난이도에 따른

차등 점수

단순제안혁신

제안우수제안

이행

국민의견을

반영한

제안과제 이행

혁신콘서트

혁신특강 등

개인 역량강화H U G

혁신제안의 수준과 부서 및 직원의 혁신기여도에 따른 차등 마일리지 부여

혁신BP 가점제도 개선

- (가점확대) 혁신페스티벌 대국민아이디어 적극행정 혁신성장 등

BP경진대회를 통한 우수사례 발굴 및 내평(성과향상기여도) 가점 확대

[현행] 본사부서(최대 17점) 영업부서(최대 05점) rarr [개선] 본사(최대 2점) 영업(최대 1점)

- 10 -

Ⅲ 2019년 HUG혁신과제

2019년은 기존 중장기 35개 과제에 국민참여 6개 과제 기관 내부

발굴 10개 과제를 추가하여 총 51개 혁신과제를 추진할 예정임

HUG 혁신과제 (2018년) 38개 rArr (2019년) 51개

(중장기 과제) (lsquo18) 38개 과제 rarr 대내외 환경변화로 (lsquo19) 35개로 조정

(국민참여) 2019년 대국민아이디어 77건 중실현가능성등검토하여최종 6건선정

(내부발굴) 2019년 직원제안 236건 중 실현가능성 등 검토하여 최종 10건 선정

HUG 혁신과제 목록 (2019년 공공기관 혁신가이드라인 8대 과제별 분류)

연번 ① 고유업무 공공성 제고 비고

1 전세금보증 가입문턱을 낮추어 서민의 전세금 보호 강화 중장기

2 주택도시기금 지원확대로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역할강화 중장기

3 임대주택 공급지원 확대로 서민 주거복지 증대 중장기

4 주택도시기금 신규상품 개발을 통한 도시재생뉴딜 활성화 중장기

5 제도에서 전산까지 온오프라인 안심시스템 구축 중장기

6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전사 경영전략체계 구축 중장기

7 도시계정의 체계적 관리를 통한 도시재생 활성화 중장기

8 국민과 함께하는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 중장기

9 민관협력사업으로 주거취약지구 주거환경 개선 중장기

10 도시재생 맞춤형 스타트업 총괄지원 플랫폼 도입middot운영 국민

11 도시재생 생태계 조성을 위한 종합지원 플랫폼 구축 국민

12 분양이행사업장 수분양자 보호 내부

- ② 포용적 공공서비스 제공 강화 -

13 인터넷보증시스템 개선으로 전세금보증 이용편의성 제고 중장기

14 주택도시기금 대출절차 간소화를 통한 대국민 서비스 향상 중장기

15 고아원연계 보호종료아동 월세보증금 지원 제도 국민

16 HUG 이용고객 편의성 제고를 위한 플랫폼 구축 국민

- 11 -

17 전세금보증 인터넷가입에 필요한 데이터 자동화 구축 국민

18 사회임대주택 활성화를 위한 조직 혁신 내부

19 상담서비스 고도화를 통한 고객만족도 제고 내부

20 공공정보 연계 통한 서류제출 절차 간소화 내부

- ③ 경제활력 제고 및 일자리 중심 경제 지속 지원 -

21 사업다각화를 통한 고용증대 및 비정규직 ZERO화 중장기

22 주거복지 및 도시재생을 위한 창업공간 금융지원 중장기

23 IT선진화를 통한 민간일자리 창출 중장기

24 공공기관 공동기금 조성을 통한 지역 사회적경제 활성화 중장기

25 상가임차금 안심대출 상품개발 중장기

26 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중장기

- ④ 혁신성장 지원 -

27 비대면 전세금보증을 통한 혁신성장 기반 마련(카카오페이를 통한 가입확대 등) 중장기

28 국민 주거편의 제공을 위한 스마트시티 건설 지원 중장기

29 HUG 빅데이터 운영체계 구축으로 공공데이터 개방 기여 중장기

30 친환경middot신소재 활용으로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제로에너지 건축물 건설자금지원 등) 중장기

31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비대면 가입 활성화 중장기

32 전기자동차 도입을 통한 친환경 에너지 수요 창출 중장기

33 드론 활용을 통한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 중장기

34 드론활용 사업장 안전관리 및 점검체계 구축(시범단지운영) 중장기

35 블록체인을 활용한 안전하고 편리한 인터넷서비스 제공 중장기

36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사업 국민

- ⑤ 공정경제 기반 구축 -

37 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 진입장벽 해소 중장기

38 공정경제를 위한 지역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업자 보호강화 중장기

39 고용위기지역에 대한 금융지원 추진 중장기

- ⑥ 적극행정 확산 등 조직운영 혁신 -

40 근로여건 개선을 통한 휴식 있는 삶 지원 중장기

41위임전결기준 개선을 통한 업무처리 혁신(결재피로감 낮추고 책임ㆍ권한 공백없이 업무는 신속하게 )

내부

42 지출신청 시 영수증 증빙 제출제도 개선 내부

- 12 -

HUG 혁신과제 세부추진 내용

1 사회적 가치중심 기관 운영

(1대 과제) 고유 업무의 공공성 제고 중점

43 PF보증심사 시 월별예정 분양률 분포의 계량화 내부

44 논스톱 고분양가 심사 내부

45 임대리츠 통계 및 사후관리시스템 개선 내부

- ⑦ 투명middot윤리경영 강화 -

46 청렴도 향상을 위한 반부패 활동 강화 중장기

- ⑧ 국민의 참여 확대 및 지역사회 공헌 -

47 혁신도시 맞춤형 지역인재 육성 지원 및 인재채용 투명성 강화 중장기

48 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사회공헌사업 확대 추진 중장기

49 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중장기

50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국민이 참여하는 HUG사업평가단(가칭) 운영 중장기

51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과 협업하여 효율적인 전세금보증 이행 내부

실행과제

(1)전세금보증가입문턱을낮추어서민의전세금 보호 강화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서민의전세보증금을지켜주는최선의안전장치 lsquo전세금보증rsquo 활성화추진

(추진내용)

∙ 보증가입 편의성 제고 및 채널 확대를 통한 전세금보증 활성화

- 모바일 전세금보증 편의성 지속 개선middot확충

- 공인중개사 전세금보증 위탁판매 활성화 등

∙ 사회배려계층 맞춤형 보증제도 개선 등을 통한 공적역할 강화

- 보증가입기간 확대 등 임차인 보호를 위한 전세금보증 지원

- 보증서비스 품질 개선 등을 위한 전문가 의견수렴 등

추진목표

보증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0만호(21조원)

12만호(25조원)

14만호(30조원)

17만호(36조원)

20만호(43조원)

- 13 -

실행과제

(2)

주택도시기금 지원확대로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역할강화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무주택middot실수요 서민주거 안정지원을 위한 대출제도 개선 및 주거복지

로드맵 정책지원을 통한 맞춤형 주거지원으로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마련

(추진내용)

∙ 신혼부부middot청년층 기금대출 지원 확대

- 신혼희망타운 수익공유형 모기지대출 출시

- 신혼부부 기간 확대 (5년 rarr 7년)

- 청년층 청약 가입요건 완화 등 제도 개선 및 운영보완

- 고시원 주거급여 거주자 등에 대해 주거안정월세대출 대상자에 포함

∙ 자산기준 도입 서류간소화 등 기금대출 제도 개선

추진목표

사회취약계층 등 기금지원 (수요자 대출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78조원 78조원 78조원 78조원 78조원

`19~`23 목표는 매년초 국토부 최종안 확정안 국회승인을 거쳐 목표치 확정

실행과제

(3)임대주택 공급지원 확대로 서민 주거복지 증대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사회임대주택 공급 활성화

(목적) 주거약자를 위한 정부 사회임대주택 공급 활성화 정책 지원 및

공사의 공공성 역할 확대

(추진내용)

∙ 사회임대주택 보증 확대를 위한 제도개선 및 공급 활성화를 위한 금융 지원

∙ 사업관련 주체의 유기적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홈페이지 구축

∙ 공급활성화 여건 조성을 위한 사업자 육성 및 홍보 강화 및 유관기관 협업

임대리츠 관리체계 개선 및 공모를 통한 공급확대

(목적)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등 리츠를 통한 임대주택 공급 활성화를

통해 국민 주거복지 증진 도모

(추진내용)

∙ 서민 주거복지 강화를 위한 임대리츠 기금출자 제도 개선

∙ 민간임대사업자 참여 유도를 위한 공모사업 활성화

∙ 임대리츠 공공성 강화를 위한 심사관리 체계 개선 및 기금출자심사 실시

∙ 임대리츠 관련 정부정책 추진 지원을 위한 다각적 홍보 추진

∙ HUG形 민간제안 공모방식 확대로 임대주택 공급 강화

추진목표

사회임대주택 보증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50호 900호 990호 1089호 1197호

리츠를 통한 임대주택 공급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0500호 11550호 12705호 13976호 15373호

HUG 민간제안공모 공고 세대수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rsquo23년

8000세대 8500세대 9000세대 10000세대 10500세대

- 14 -

실행과제

(4)주택도시기금신규상품개발을통한도시재생뉴딜활성화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도시재생뉴딜 맞춤형 금융지원 확대 (목적) 도시재생 사업유형 확대에 대응한 맞춤형 기금지원 상품 개발운용 (추진내용)∙ 소규모 재생사업 및 주택정비 활성화를 위한 금융지원 확대∙ 도시재생 경제조직 활성화를 위한 금융지원 프로그램 도입 도시재생뉴딜 활성화를 위한 기금지원 운용체계 개선 (목적) 명확한 업무기준효율적 수행방안을 확립하여 도시계정 양적질적확대에 대응 및 뉴딜정책 활성화에 기여

(추진내용)∙ 도시재생 금융지원 접수middot심사체계 개편으로 국민불편 해소∙ 도시재생 금융지원 사후관리 체계 확립으로 안정적 기금운용 및 공공성 실현

추진목표

도시재생 금융지원 출융자 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5877억원 11227억원 15014억원 16178억원 16494억원

도시재생 금융지원 심사사업장관리 운용체계 개선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5건 5건 5건 5건 5건

실행과제(5)

제도에서 전산까지 온middot오프라인 안심시스템 구축 담당부서정보운영처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응하는 정보보안체계 구축

(목적) 4차 산업혁명시대 기술(IoT BigData AI 등) 변화에 맞는 선제적인 정보

보안 체계 수립과 능동적인 정보주체의 권리 보장

ㅇ (추진내용)

∙ 선진화 정보보안 체계 구축 컨설팅

주택건설사업장 사회안전망 플랫폼 구축

(목적) 주택관리사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으로 사고로 인한 분양계약자의

입주지연 및 보증사고 위험 등을 사전에 예방하여 국민의 편익 증진

(추진내용)

∙ 사업장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보증사업장 현장점검 규정 개정

- 사업장안전관리강화를위한안전점검업무신설및안전관리우수고객우대제도운영

∙ 드론을 활용한 보증사업장 동영상 촬영 및 제공으로 분양계약자 정보제공 강화

- 현재 앱을 통한 사업장 현장사진 제공을 드론을 이용한 동영상 제공으로 확대하여

분양계약자 정보제공 강화

추진목표

국정원 정보보안 관리실태 점수 행안부 개인정보보호 진단 점수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공공기관평균점수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 5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10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15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20

보증사업장 안전사고로 인한 공사 지연 건수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0건 0건 0건 0건 0건

- 15 -

실행과제(6)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전사 경영전략체계 구축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공공기관의 lsquo공적역할 강화rsquo 및 lsquo사회적 책임실현rsquo이라는 국정기조 변화에 부응

하기위한공사의新경영전략수립

(추진내용)

∙ 고유 업무의 공공성 제고를 위한 사업전략 재수립

- 사회통합형 주거복지 실현을 위한 공적금융 지원 전략 수립

- 소규모 도시재생사업 활성화를 위한 단계별 공사 역할방안 마련

∙ 사회적 가치 기반 전사 기능전략 및 중장기 경영목표 재수립

- 공적역할 확대 및 사회적 책임 구현을 위한 부문별 기능전략 수립

추진목표

사회적가치 기여도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최우수 최우수 최우수 최우수 최우수

청렴도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등급 1등급 1등급 1등급 1등급

실행과제(7)

도시계정의 체계적 관리를 통한 도시재생 활성화 담당부서기금정보처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목적) 노후주거지 주민과 사회적기업 등이 필요로 하는 자금을 적시에 원활히 지원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도시계정 관리 추진

(추진내용)

∙ 연체관리 프로세스 정립을 통한 기금손실예방

- 연체 단계별 업무처리 프로세스 마련을 통한 융자사고방지

- 도시계정 융자원리금 수납기준 마련

- 융자사고관리 방안 마련

∙ 고객신용관리 체계구축을 통한 사고예방 모니터링 확대

- 고객신용관리 모니터링 체계구축을 통한 사고예방관리

- 도시계정 신용정보집중 처리기준 프로세스 마련

- 도시계정 신용정보관리 전산시스템 구축 일반신용정보관리규약에 따른 도시계정 신용정보 파일전송 설계서(전문) 작성

공사 신용정보 집중 시스템과 병합 추진

∙ 도시계정 자금관리 체계정립을 통한 도시재생활성화지원

- 도시계정 예산확대 신규 금융기법적용 등 도시계정 특성을 반영한 회계middot결산

자금관리 업무기준 확립 정형화된 담보가 아닌 수요자사업자 특성을 고려한 맞춤 담보제공 자금투입 공공성 확보를

위한 엄격한 융자조건 부여

- 회계middot결산 자금관리 업무전산화를 통한 효율화 정책지원기능 확대

추진목표 (비계량) 2019년 융자사고예방을 위한 연체관리 자금관리기준 수립 및 개선

- 16 -

실행과제(8)

국민과 함꼐하는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 담당부서보증이행처

준법지원실

추진내용

(목적) 국민참여를 통한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의 수용성 제고 및 주거

복지 실현 위한 공동주택 하자 조기대응ㆍ감축방안 모색

(추진내용)

∙ 하자분쟁 해결체계 관련 국민 공유ㆍ소통 프로그램 운영

- 국민과 함께하는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 계획 수립

- lsquo공동주택 실무강좌rsquo 동행을 통한 하자관련 주요이슈 대국민 공유ㆍ소통- 국민참여 하자정보 공유 4회(서울 인천 수원 의정부) 및 하자실무 법률상담

∙ 국민 참여 확대를 통한 정책 개선 노력

- (lsquo1810) 대국민 의견수렴을 위한 하자분쟁 컨퍼런스 개최

middot 하자분쟁 예방을 위한 관계규정 검토 및 정책 논의

middot 행정청 학계 법조계 및 입주자대표회의 관련 다수 국민 참여

∙ 소규모사업장 청구 전 하자보수보증 사전안내제도(BS Before Service) 실시 검토

소규모사업장 150세대 미만 사업장 중 대위변제가 없는 2년차 하자보수보증 만료6개월 전 사업장

추진목표

대국민 참여도산출근거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참여횟수6회참여인원300명

참여횟수8회참여인원400명

참여만족도85점 이상

정책국민의사반영1회이상

정책국민의사반영1회이상

횟수당50명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점수(관리본부) 목표치산출근거구분 rsquo18년 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등급 A A A A A 목표 A등급 이상

실행과제(9)

민관협력사업으로 주거취약지구 주거환경 개선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목적) 공사의 사회적 가치경영 실행을 위해 새뜰마을(취약지역 개조사업) 주거

여건 개선을 지원하는 민관협업 사회공헌사업 추진

(추진내용)

∙ 중앙부처 공공기관 민간기업 등이 지역 주민과 함께 도시취약지역 내 노후주택에

대한 주거환경개선 열효율화 사업 추진

- 새뜰마을중고령화 노후화등으로사업추진이절실하고 지역사회참여정도등을 고려

하여성과가 가시화될수있는지역선정추진

∙ 주거취약지역 환경개선 관련 민관협업사업 MoU 체결 추진

- 국토교통부 HUG LH KCC AURI 해비타트 등 협약 체결을 통해 집수리 자재 및

전문인력 후원금 지원 추진

∙ 도시취약지역 지원 효과 분석 및 사업추진 매뉴얼 마련

- 지역기초조사 사업전후 효과분석 등 성과관리 새뜰마을 매뉴얼 제작보급

추진목표새뜰마을 지원대상 확대 건수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5건 5건 5건 5건 5건

- 17 -

실행과제(10)

도시재생 맞춤형 스타트업 총괄지원

플랫폼 도입middot운영담당부서

인사처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도시재생과 관련된 스타트업 및 소셜벤처에 대한 종합적 지원

(추진내용)

∙ HUG형 도시재생 뉴딜 창업 프로젝트 추진

- 사회적 경제조직 육성기관(함께일하는재단) 대중투자 전문기관(와디즈)과 협업

- 사회적 경제조직 컨설팅 지원

- 대중투자 연계 통한 일자리 창출 및 사회적 경제 활성화 지원

∙ 스타트업 및 소셜벤처에 대한 사회적 금융 지원

∙ HUG 창업 라운지(스타트업 기업에 공간 공유) 확대 운영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사회적금융지원금액 1억 1억 1억 1억 1억

공간지원스타트업수 6 8 10 12 14

멘토링middot창업캠프개최회수 5 5 5 5 5

실행과제(11)

도시재생 생태계 조성을 위한

종합지원 플랫폼 구축담당부서

기금정보처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종합적인 도시재생정보 공유체계 구축을 통해 기금 지원된 도시재생사

업에 대한 정량적 정보 및 사후지원 청년middot예비창업자 참여를 위한 HUG 정책

지원 정보를 기금포털 내 일괄 제공

(추진내용)

∙ 전국 기금이 활용된 도시재생 사업장 정보 제공(lsquo도시재생 기금지도rsquo 서비스)

- 지도 API 기반의 도시재생 기금지원 사업장 정보조회 서비스

- 전국 분포된 사업장의 위치부터 융자금액까지 상세정보를 편리하게 검색

- 실제 사례와 이용 상품 정보를 함께 제공하여 정보이용자 이해도 제고

∙ 기금 사업장 홍보 지원 및 청년창업 지원 정보 일괄 제공(전용 게시판 신설)

- 사업장 및 보유시설(코워킹시설 임대시설 등) 홍보 위한 전용공간 마련

- 기금지원 사업의 우수사례 정보공유를 통한 벤치마킹 및 정보이용자 관심유도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기금지도 서비스 개시 서비스구축middot개시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우수사례 발굴 건수 8 8 8 8 8

- 18 -

(2대 과제) 포용적 공공서비스 제공 강화

실행과제(12)

분양이행사업장 수분양자 보호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분양대금채권 지연손해금율 하향조정 등 분양계약자 부담완화를

통한 국민 주거안정 기여

(추진내용)

∙ 분양계약자 지연손해금 관련 주택분양보증약관 개정

- 분양계약자의 분양계약서상 지연손해금율이 시행사 구상채권 지연손해금율

보다 높은 사례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공사 내규와 분양계약서상 지연손해

금율 중 낮은 것을 적용하도록 약관 규정 개정 (시행사 동의서 징구)

추진목표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 점수(관리본부)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901 915 933 951 971

실행과제(13)

인터넷보증시스템개선으로전세금보증이용편의성제고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인터넷보증 시스템 개선을 통해 고객의 전세상품 보증서비스

편의성 및 접근성을 강화하여 서민 주거안정성 개선 지원

(추진내용)

∙ 인터넷 보증시스템 재구축 추진(lsquo20~lsquo21)

- (현행) 인터넷 익스플로러 이외의 웹브라우저 미지원

- (재구축) 구 운영체제 지원종료 대비 및 지원 플랫폼(구글 크롬 등) 확대를

위한 시스템 재구축 예정

∙ 모바일 보증시스템 구축 추진(lsquo19)

- (현행) PC 중심의 제한적인 보증가입 서비스 제공

- (비대면 서비스 강화) 모바일 보증시스템 구축 추진

추진목표

비대면 보증가입 점유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0 12 14 16 18

- 19 -

실행과제

(14)주택도시기금대출절차간소화를통한대국민서비스향상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서민실수요자 지원 강화 및 이용자 편의 제고 등을 위한 주택도시

기금 구입전세 대출의 자산심사 도입

(추진내용)

∙ 자산심사기준 도입을 통한 정책자금의 실수요자 집중 지원

∙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구축을 통한 대출절차 간소화

∙ 전담 수행조직 운영 및 수탁은행 역할 재정립 등을 통한 대국민 서비스 제고

추진목표

대출절차 혁신 시스템 운영 체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자산기준 마련기금법령 개정시스템 개발오픈수요자대출상품운영

수요자대출 全상품 시스템 안정화제도개선 및 모니터링

他 기금상품 (주택종합청약저축)도입 검토 및 적용

실행과제

(15)고아원연계 보호종료아동 월세보증금 지원 제도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고아원 보호기간이 종료됨에 따라 주거지원이 필요한 아동에게

주택임차자금 지원 및 보증상품 개발

(추진내용)

∙ 긴급 주거지원이 필요한 아동의 가정에 주택임차자금 지원∙ 고아원 보호종료 아동 대상 전세월세보증금보증 할인 상품 개발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택임차자금지원 세대 수

10 20 성과분석 후 확대 검토

고아원보호종료아동대상상품가입자수

상품개발추진 제도개선 추진

실행과제

(16)HUG 이용고객 편의성 제고를 위한 플랫폼 구축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객과의 소통채널 확대방안의 일환으로 24시간 고객상담 제공

(추진내용)

∙ 단순 문의 SMS 발송

- 위탁은행 신청서류 등 전세보증 관련 간단 정보 문자발송 ARS실시(완료 `195월)

- 업무시간 종료 후에도 단순문의에 대한 SMS문자안내 서비스 추진

∙ 콜센터와 지사 상담이력 공유

- 콜센터 상담시스템과 차세대 시스템을 연계 고객별 상담이력 조회화면 구축

∙ 보이는 ARS 서비스 도입

- 기존의 음성 서비스와 함께 스마트폰을 통해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바로

연결하고 직접 통화하지 않아도 간편문의를 처리할 수 있는 보이는 ARS 실시

추진목표 2019년 챗봇서비스 DB구축 검토 2020년 챗봇 서비스 도입 검토

- 20 -

실행과제

(17)전세금보증 인터넷가입에 필요한 데이터 자동화 구축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가입을 간편하게 하여 정보사각지대에 있는 고객의

보증 가입 편의성 강화

(추진내용)

∙ 주택가격정보middot등기부등본 데이터 자동입력 시스템 마련

- KB시세 한국감정원 국세청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와의 협약 통한 시스템 연계

- 직접협약 외에도 부동산 권리변동정보 제공기관을 통한 중계서비스 도입 검토

∙ 인터넷보증시스템 전세금보증 신청절차 개선

- 전자연계 가능한 서류의 데이터 자동입력 프로세스 개발

- 보증심사시 담당자가 전자 원본 서류를 확인할 수 있는 화면 개발

추진목표

데이터 입력시스템 구축 및 운용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연계방안검토

협약체결 전산연계 운영 및 보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18)

사회임대주택 활성화를 위한 조직 혁신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사회임대주택 금융지원제도 담당부서 일원화로 속도감 있는 제도개선 등

사회임대주택 활성화 지원

(추진내용)

∙ 기획조정실 사회임대주택 총괄부서 지정을 위한 조직개편 추진

- 현행 사회임대PF보증(금융기획실) 토지임대middot기금출융자(도시재생기획처 기금지원처)

- 개선 도시재생기획처로 일원화하여 사회임대주택 복합금융 지원업무 총괄

한 부서에서 기금 출middot융자 보증지원까지 원스톱 상담으로 고객 만족도 제고

추진목표 2019년 조직개편 완료

실행과제

(19)상담서비스 고도화를 통한 고객만족도 제고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객상담데이터 체계적 관리middot활용을 통한 대국민 서비스 질적 향상

(추진내용)

∙ 차세대(전산)업무시스템 및 콜센터 시스템을 연계하여 상담이력 공유- 콜센터 외에도 지사 직원의 고객상담이력을 저장할 수 있도록 차세대시스템 내화면 구축 콜센터의 상담이력 역시 차세대 시스템에 저장 및 관리

∙ 보이는 ARS서비스 실시 및 단순문의안내 SMS 발송 서비스 실시middot활성화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콜센터전산시스템연계

시스템구축

시스템개발완료및 운용

시스템운용

시스템운용

시스템운용

신규 서비스출시

보이는ARS검토

보이는ARS출시

보이는ARS운용

보이는ARS운용

보이는ARS운용

- 21 -

2 혁신적 포용국가 선도

(3대 과제) 경제활력 제고 및 일자리 중심 경제 선도 중점

실행과제

(20)공공정보 연계 통한 서류제출 절차 간소화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필요한 서류를 간소화함으로써 대국민서비스 질 제고 (추진내용)∙ 필요한 서류 등을 공사 전산으로 조회 가능한 시스템 구축∙ 기금대출절차 혁신 시스템과 연계

추진목표 ∙ (비계량) 필요서류 전산조회 시스템 구축

실행과제

(21)사업다각화를 통한 고용증대 및 비정규직 ZERO화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서민 주거복지 도시재생 활성화 지원 등을 위한 기관 자체의 적극적인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공기업 서비스 제고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증원 및 채용 확대- 신사업 발굴 및 자율정원제를 통한 적극적인 증원-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청년 및 지역 인재 채용∙ 사회 양극화 해소를 위한 비정규직 ZERO화- 노사 공감대에 기반한 정당한 절차를 통한 전환 추진 및 전환근로자 처우 개선 노력

추진목표정원 비정규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766명 0명 903명 0명 995명 0명 1033명 0명 1062명 0명

실행과제

(22)

주거복지 및 도시재생을 위한

도시재생 창업공간 금융지원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도시재생 금융상품을 통한 창업지원 (목적) 창업과 관련한 도시재생 금융상품을 통해 민간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창업 관련 수요자 중심형 기금융자 및 보증상품 개발 운용- 코워킹시설조성 상가리모델링 공공임대상가 등 기금융자 지원

도시재생뉴딜 금융지원을 위한 사회적 금융 연계 지원 (목적) 도시재생분야법인단체창업관련크라우드펀딩 및 창업지원 컨설팅 추진 (추진내용)∙ 도시재생분야에대중투자연계일자리창출및지역주도사회적경제활성화지원- 뉴딜로 도시재생 크라우드펀딩 대회 개최 등∙ 도시재생 창업단체에 대한 지원을 위해 HUG형 민간일자리 창출 프로젝트 추진- HUG와 함께하는 도시재생 뉴딜 창업프로젝트 추진 및 사회적 경제조직 활성화

추진목표창업지원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510억원 1548억 1548억 1548억 1548억

- 22 -

실행과제

(23)IT선진화를 통한 민간일자리 창출 담당부서

기금정보처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고유목적사업인 주택보증 주택도시기금 및 도시재생분야의 IT 시스템

구축 및 개선을 통한 민간 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 주택도시기금 정보시스템 통합 유지보수

- (추진기간) 유지보수 사업의 특성으로 매년 발생

- (일자리창출) 2019년(8명) 2020년 sim 2023년(매년 16명)

∙ 도시재생 금융지원 전산시스템 구축

- 도시재생융자등원활한도시계정업무를뒷받침하기위한온라인금융지원시스템구축

- 추진기간 2018년~2019년 투입금액 및 인력 51억원 41명

∙ 주택도시기금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구축

- 주택도시기금 대출절차 편의 제고 및 절차 간소화 시스템 구축

- 추진기간 2018년~2019년 투입금액및인력 컨설팅용역43억원 12명 전산용역74억원52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기금업무 운영 유지보수 8 16 16 16 16

도시재생 융자시스템 41 - - - -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64 - - - -

합 계 177

실행과제

(24)

공공기관 공동기금 조성을 통한

지역 사회적경제 활성화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이전지역 기관간 협업을 통한 사회적경제 활성화로 지속가능한 일자리

제공 지역경제 활성화 추진

(추진내용)

∙ 부산 사회적경제 지원기금(BEF) 지원을 통한 사회적기업 육성 및 지원

- Pilot Program (크라우드펀딩) 20개소 창업단계 재정지원 5개소 Start-up 재정지원

15개소 Scale-up(성정기 기업) 대출지원 5개소 BEF 경영컨설팅 50회 BEF

사회적기업 연구가 인재육성 실시 2회 BEF 판로지원 5개소 등

추진목표

기금지원 (자체 공동)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억원(10억원)

1억원(10억원)

1억원(10억원)

1억원(125억원)

-

- 23 -

(4대 과제) 혁신성장 지원

실행과제

(25)상가임차금 안심대출 상품개발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도시재생지역 내 상가임차인 보호를 위한 상가임차금안심대출 개발

(추진내용)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법령 개정 검토

-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등 관련 법령 개정안 검토

- 법령 개정안 정부 건의 (우선변제권 승계기관 포함)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시장분석 및 조사(`20)

- 상가임차보증금 시장분석 및 보증이용 수요조사

- 보증료율 검토 및 리스크 분석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출시(`21)

- 사규개정 및 법령개정 완료

추진목표

상가임차보증금 상품 출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내부검토 법령개정 시장분석 상품출시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26)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사고 위기사업장과 보증실적의 증가로 사전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및 정기 점검활동 강화 및 핵심업무 역량집중 강화

(추진내용)

∙ 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 현장점검 대상사업장을 파악하여 외주용역을 통한 점검 추진 검토

추진목표 ∙ 2019년도 현장점검 외주화

실행과제

(27)

비대면 전세금보증을 통한 혁신성장 기반 마련

(카카오페이를 통한 가입확대 등)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모바일 전세금보증

스마트폰을이용해언제 어디서든쉽게보증을신청할수있도록모바일가입채널마련

∙ (모바일 인터페이스) 인터넷 전세금보증 프로세스를 모바일웹에 최적화하여 로그인

부터 보증가입 승인까지 전 프로세스 지원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위탁은행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증가입 프로세스 개선

(현행) 임차인이 선순위 채권 등 보증가입정보를 입력

(개선) 임차인은개인정보및계약정보만입력하고세부심사에필요한정보는심사자가입력

모바일 안심대출보증

위탁은행 비대면 전세금 안심대출 상품 개발

추진목표 2019년 전세금보증의 완전한 모바일 가입체계 구축

- 24 -

실행과제

(28)국민 주거편의 제공을 위한 스마트시티 건설 지원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목적) 핵심 국정과제인 스마트시티 분야의 금융지원 플랫폼으로서 주택도시기금지원 기반 모색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검토 및 금융상품 초안 마련

(추진내용)

∙ 민간사업자 의견 수렴 및 스마트시티 기금 금융지원 상품 초안 마련 -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및 주요 요소기술산업 등 동향 파악- 민간사업자 의견수렴을 바탕으로 실질적 금융지원이 가능한 상품 개발 추진∙ 주택도시기금법 개정안 마련 및 정부 건의∙ 스마트시티 건설사업장에 대한 보증료 할인 또는 보증심사 가점부여∙ 스마트시티 건설 신공법 소개 및 성공사례 공유

추진목표금융지원 확대 건수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건 1건 2건 3건 3건

실행과제

(29)HUG 빅데이터운영체계구축으로공공데이터개방기여 담당부서

주택도시

금융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기관 내middot외부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주택middot도시middot금융 분야의 환경 변화를진단함으로서 4차산업 혁명시대 도래에 따른 선제적인 대응 체계 마련

(추진내용)

∙ (1단계) HUG 빅데이터 기반 주택시장 분석 인프라 설계 및 로드맵 수립∙ (2단계) HUG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구축 및 모델 개발∙ 수요자(국민middot정부middot공사)별 빅데이터 활용 영역 확대 및 분석 기능 고도화

추진목표공공데이터 외부개방(제공) 건수 (오픈API포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38건 42건 46건 51건 56건

실행과제

(30)

친환경middot신소재 활용으로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

(제로에너지 건축물 건설자금지원 등)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주택건설사업장에 친환경middot신소재 사용을 유도함으로써 환경 친화적 주택건설과 에너지신산업 판로지원

(추진내용)

∙ 친환경 제품 및 에너지 신소재 제품사용 주택건설사업장에 보증심사 가점부여(완료)- (`1812) 녹색건축물인증등급부여고객보증심사시초기예상분양율 5〜1점가점부여

∙ (추진) 신소재 적용 주택건설사업장 확대를 위해 보증심사시 가점부여

- SOC 공공기관 통합기술마켓과 연계한 보증우대 방안 마련 중소기업이 보유한 SOC 공공기관 관련 혁신기술의 공모middot연구개발 제안 및 검증을

통해 상품화 및 홍보middot판매를 지원하는 플랫폼

추진목표

친환경적 주택건설 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

- 25 -

실행과제

(31)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비대면 가입 활성화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9개 수탁은행에 온라인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 독려

연령 무주택세대주 소득증빙 등 가입 시 제출서류가 많아 비대면 시스템 구축 시

지점방문 없이 간편하게 가입 가능

신한은행 최초로 완전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821)

비대면 가입 주택도시기금포털에 안내 및 홍보

비대면 가입 시스템 기금포털 홍보 게시하여 수탁은행 시스템 개발 독려

추진목표 목표비대면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전체 가입의 6 전체 가입의 12

실행과제

(32)전기자동차 도입을 통한 친환경 에너지 수요 창출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업무용 차량의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ㅇ 2018년 임차기간 만료예정인 업무용 차량을 전기자동차로 대체

ㅇ 추후 본사 및 영업부서 업무용 차량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추진목표 2019년 중 전기자동차 1대 충전소 1개소 설치실행과제

(33)드론 활용을 통한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기술middot제품에 대한 선제적 구매 및 테스트와 고유사업에 활용

으로 민간 초기시장 조성을 견인

(추진내용)

∙ 보증이행사업장 드론 안전점검 시범실시

- (`1812) 예산 미편성으로 1개 사업장 드론촬영 시범실시 및 효용성 검토

∙ 보유중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에 드론 활용 확대

- (`196) 전문엔지니어링 업체 발굴로 일자리 창출 및 보유 사업장 전체(2개)에

드론 활용 안전점검 실시 rArr 위험요소 발굴로 관할센터에 사고예방을 위한

안전조치 권고문서 시행

추진목표

안전사고 발생비율(발생건수보유사업장)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0 0 0 0 0 안전사고발생 ZERO무사고 달성

실행과제

(34)드론활용사업장안전관리및점검체계구축(시범단지운영)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HUG형 혁신 사업장 안전관리 및 점검체계 구축

ㅇ 드론 활용 사업장 안전 및 점검체계 구축

ㅇ 시범단지 선정 및 운용 세부계획 검토

∙ 드론 등 기술혁신 도구관련 관련 업체 및 유관기관 협의

∙ 사업장-영업부서-본사부서 협업체계 및 활용방안(HUG-i 게시) 등

추진목표안전사고로 인한 분양보증사고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0 0 0 0 0

- 26 -

실행과제

(35)블록체인을 활용한 안전하고 편리한 인터넷서비스 제공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정부주도의 공인인증서 폐지정책(전자서명법 전부개정 예고)에 따라 전자

서명에 대한 인터넷 사용자 대체 인증수단 개발

(추진내용)

∙ 블록체인 기반의 본인인증 서비스 (카카오페이 인증 서비스) 도입

- 인터넷보증시스템에서보증료영수증및보증서출력시카카오인증을이용한전자문서

유통증명서비스제공

∙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대국민서비스 확대

- 전자서명법개정에따른블록체인기반의전자서명서비스도입

- 온라인 등기우편(연체정보 등 전자우편을 본인인증 후 열람) 일괄발송 발송내역 조회

및유통증명서발급시스템구축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블록체인기반본인인증서비스시범도입

블록체인기술을이용한

대국민서비스확대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실행과제

(36)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사업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환경보호라는 공공성을 위하여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건물

보증에 대해 유인책 마련 필요

(추진내용)

∙ 제로에너지 건축물에 대한 대출한도 상향 조정

∙ 건축 관련학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해 친환경 건축물에 대한 관심 제고

- HUG 오픈캠퍼스 추진 시 건축 관련학과(건축공학과 건축디자인과 등) 학생에게 교육

추진및공사인턴체험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제로에너지 건축물지원 제도

규정신설 -

HUG오픈캠퍼스 수료학생수 (건축 관련 학과 포함)

100 110 121 133 146

- 27 -

(5대 과제) 공정경제 기반 구축 중점

실행과제

(37)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 진입장벽 해소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물품구매 대금결제 등에 중소기업 창업기업 등에 대한 계약규제 완화를

통해 공정경제 기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함

(추진내용)

∙ 신규 창업middot중소기업에 대한 진입장벽 완화

- 소규모 물품middot용역 입찰(고시금액 21억원 미만) 참여시 상대적으로불리한신규창업 및

중소기업에대한실적제한폐지

- 다만 부득이용역의성격상실적평가가필요한경우창업기업실적인정기간연장

(현행 3년 rarr 7년)을 통한 부담 완화

∙ 지체상금 부담경감 (현행의 12수준) 을 통한 상생협력 강화

∙ 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에 대한 용역대금 선급금지급률 확대

추진목표

중소기업 등 협력업체 계약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779 790 80 81 -

실행과제

(38)

공정경제를 위한 지역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업자 보호강화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건설사업장 인근지역 중소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대금의 현금

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한 하도급업자 보호 강화

(추진내용)

∙ 지역 중소 건설업체들에게 동일한 기회제공 및 공정한 경쟁 유도

- 건설사업장에서 지역건설업체와 하도급계약 체결 시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 할인 추진

∙ 협력업체 하도금대금의 현금지급 확대

- 하도급대금을 현금으로 지급할 경우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를 할인

하여 협력업체 및 근로자들의 보호를 강화하고 시장에서의 우위 선점

추진목표

지역 하도급업체 계약체결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규정개정 30 40 50 60

하도급대금의 현금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해 하도급업자 보호

- 28 -

3 국민신뢰 회복

(6대 과제) 적극행정 확산 등 조직운영 혁신

실행과제

(39)고용위기지역에 대한 금융지원 추진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용위기지역에 대한 지원강화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추진내용)

∙ 고용위기지역 내 임대주택 건립시 보증료 할인 추진(완료)

- 고용위기지역및고용재난지역소재임대보증금보증사업장보증료 10인하( 1812)

∙ 고용위기지역 내 임차인이 전세금보증 이용시 보증료 할인 검토

- 전세보증금반환보증(전세금보장) 전세안심대출(전세금대출지원)

보증이용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임차주택으로 변경시 보증료 할인 검토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보유한 주택건설사업자가 입주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임차

주택으로변경하여전세금보증가입신청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추진목표

고용위기지역 금융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마련 및 운영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40)근로여건 개선을 통한 휴식 있는 삶 지원 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일ㆍ가정 양립에 대한 법적ㆍ사회적 요구 증대됨에 따라 장시간 근로문화를 타파하고 휴식 있는 삶을 지원하여 일ㆍ생활의 균형 실현

(추진내용)

∙ 장시간 근로문화 타파- 직원니즈를반영한공사맞춤형복무제도수립및운영- PC-OFF 강화 (주2회rarr매일)- 퇴근장려캠페인 (인사안하고퇴근하기 관리자솔선수범퇴근)∙ 휴식 있는 삶 지원- 가족친화제도지속개발 (일가양득프로그램운영)- 연차휴가및남성육아휴직이용률향상을위한제도개선- 시간단위연차사용을통한휴가사용활성화- 임신직원보호를위한모성보호절차도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인당 연차사용일 1426일 1497일 1572일 1651일 1733일남성육아휴직인원 331 348 365 383 402

- 29 -

실행과제

(41)

위임전결기준 개선을 통한 업무처리 혁신

(결재피로감 낮추고 책임middot권한 공백없이 업무는 신속하게)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결재절차를 단순화함으로써 신속한 업무처리 및 고객만족도 제고

(추진내용)

∙보증위탁업무전결권세분화

- 위임전결규정안마련및규정개정절차진행(5월)

보증업무 위탁外 융자수탁업무 관련 전결권 개정도 함께 추진

∙대외업무협약체결전결권세분화

- 사안의중요성및영향도등고려중장기적으로면밀한검토필요

추진목표

결재절차 단순화

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rsquo23년보증및융자수탁업무위임전결규정개정

제도 보완

실행과제

(42)지출신청 시 영수증 증빙 제출제도 개선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지출신청시 불필요한 원본구비 제도 개선을 통한 업무효율화 달성

(추진내용)

∙ 공사 지출의 42 비중을 차지하는 5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 원본 제출 제외

- 지출액 50만원 이하 법인카드 및 전자세금계산서 지출 건 원본구비 예외 조항 신설

- 확인이 필요한 간이계산서 등은 원본징구하여 지출사고 가능성 예방

- 제도 정착 전 3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에 대하여 원본 제출 제외(시범운영)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내부

규정개정 및시범운영

제도개선 지속 추진

실행과제(43)

PF보증심사 시 월별예정 분양률 분포의 계량화 담당부서금융기획실심사평가처주택도시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민간아파트 초기분양률 데이터를 활용한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

(추진내용)

∙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를 통한 심사 객관성 확보

- 월별예정분양률 관련 명확한 지침 산정으로 신청업체 및 심사자의 주관 배제

- 국가승인통계인 민간아파트초기분양률 동향 데이터를 활용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

∙ 초기분양률 동향 분석(주택도시금융연구원 협업 4월sim10월)

- 연구원과 협업을 통해 초기분양률 데이터 분석 및 관리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건의(11월)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관할 부서(금융기획실)로 세칙 개정 건의

추진목표2019년도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예상분양률 분포기준 마련 초기분양률 데이터 관리체계 구축

- 30 -

(7대 과제) 윤리경영 강화

실행과제

(46)청렴도 향상을 위한 반부패 활동 강화 담당부서 준법지원실

추진내용

윤리경영 추진조직 강화

기관장 주도의 윤리경영 고위직 협의체 구축 내부 자문기구「청렴자문위

원회」운영 강화 및 임원의 윤리자가진단 현황 정보공개

반부패middot청렴 대외 활동 활성화

부산 이전 공공기관 청렴 협의체「청렴 클러스터」활동 강화

「부산투명사회실천 민middot관 네트워크」가입middot활동 실시

「유엔글로벌콤팩트(UNGC)」활동으로 글로벌 윤리역량 강화

실행과제

(44)논스톱 고분양가 심사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공사 PF보증 사업장에 대한 고분양가 심사기준 개선을 통한 사업

안정성 제고 및 고객신뢰성 확보

(추진내용)

∙ 「고분양가사업장심사규정」개정 추진(5월~6월)

- 고분양가 관리지역 내에서 공사 PF보증 발급예정사업장의 고분양가 심사기준(비교

사업장 선정 및 분양가격 산출 등)의 적용을lsquoPF보증 본점 승인시점rsquo으로 명확히 함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고분양가심사규정개정

사업안정성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 추진

실행과제

(45)임대리츠 통계 및 사후관리시스템 개선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목적) 자리츠 사후관리 주관기관(모리츠 AMC인 LH) 및 감독관리기관

(HUG) 간의 업무분장에 따라 사후관리 데이터 품질 저하 등 발생

rArr 기관간 협업체계 개선 관련 시스템 개발 등을 통한 사후관리 관련 데이터품질 향상 및 대정부 정보전달 적시성 확보

(추진내용)

∙ 리츠 기금출자내용 변경시 임대리츠 이력관리 등이 가능하게 하는 통계시스템 개발

∙ 분기별 사후관리보고 제출기한 마련 검토

∙ 임대리츠 통계관리 업무체계 내실화를 위한 기관간 협업 수행

추진목표

임대리츠 사후관리 구조 개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전산시스템개발 및시스템 구축

임대리츠사후관리

체계개선 수행

시스템 운용및 개선사항도출

기관간 협업수행(데이터관

리)

임대리츠통합데이터관리 수행

- 31 -

(8대 과제) 국민의 참여협력 확대 및 지역사회 공헌

실행과제

(47)

혁신도시 맞춤형 지역인재 육성 지원 및

인재채용 투명성 강화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도시 지원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증대에 따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한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

(추진내용)

∙ 市-지역대학간 협업으로 지역인재 육성 교육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 외부 면접위원 확대 및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인사 절차의 공정성 강화

∙ 사회형평적 채용실시와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을 통한 불합리한 차별 해소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지역채용 21 24 27 30 33지역인재육성 총 교육시간(교육인원times교육시간 시간) 3000 4500 4500 4500 4500

지역인재육성교육만족도(점수) 944 949 954 959 964

실행과제

(48)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사회공헌사업 확대 추진 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정부의 lsquo사회적 가치 실현rsquo을 정책에 따라 사회적 경제 및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사회공헌 필요성 증가

(추진내용)

∙ 안전한 주거환경 제공

- 무주택 국가유공자 및 저소득층 임차자금 170세대 지원(~8월10억원)- HUG 셰어하우스 3호 신촌점 완공 청년 24명 입주 완료(~10월2억원)- 저소득층 노후주택 및 소규모 사회복지시설 127세대 개보수(~10월8억원)- HUG STREET 잘사는 골목길 등 환경개선사업 대상지 선정 완료(~10월1억1천만원)

∙ 지역사회와 상생

- 노후 슬레이트 지붕개량 및 태양광 지원 사업 4자 협약(~8월3억원) HUG-부산시-한국사회복지협의회-부산도시재생지원센터

- HOPE with HUG 10호 11호 완공(~9월1억5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지역건설사-지역건축전문가 협업을 통한 주거개선사업

- 부산 송상현 광장 내 도시놀이터 프로젝트 완료(~9월7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부산시설공단 협업을 통한 문화middot휴식공간 조성

청렴 모니터링 다각화

청렴의식 환기를 위한 「자가점검 프로그램」실시

「청렴 옴부즈만」운영

개선 아이디어 발굴을 위한 「신입사원 生生 모니터링」

추진목표

종합청렴도 결과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3등급 2등급 1등급 1등급 1둥급

- 32 -

∙ 균등한 기회와 사회통합

- 중학생 자유학기제 지원 프로그램 운영(9월~4천만원)- 저소득층 청소년 20명ndash대학생 20명 매칭 등(6월~5천만원)- lsquoKBS 동행rsquo에 출연하는 저소득 가정 50세대 지원(7월~1억원)- 발달장애 청년 재능개발 프로젝트lsquo눈부신하루rsquo추진(6월~3천만원)- 신입사원 봉사활동 등을 통한 지역사회 나눔활동(~10월7천2백만원)- 저소득층 난방연료 지원을 위한 주택도시업 캠페인(~12월5천만원)- 자매결연 마을 농수산물 구입기증(~12월4천만원)

추진목표

추진 목표는 해당연도 사회공헌 기부금 예산금액(이사회 의결금액)과 연계

기부금액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8620백만원 8879백만원 9145백만원 9419백만원 9702백만원 전년도예산금액103

실행과제

(49)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목적) 도시재생과 유사한 목표비전을 공유하는 사회적경제와 연계한 맞춤형

금융상품 운영 및 관련 지원조직과 다각적 협업 활동 추진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지역주민이 주도하는 도시재생 금융지원으로 국민의 삶의 질 개선

(목적) 주민지역공동체 주도의 마을단위 도시재생으로의 변화에 대응하여

사회적 경제주체 등 지원체계 개선으로 사회적 가치 실현에 기여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추진목표

수요자중심형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510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실행과제

(50)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국민이 참여하는

HUG사업평가단(가칭) 운영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보증업무 전반에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HUG

사업평가단 구성하여 주택품질 제고 및 안심입주 지향

(추진내용)

∙ 국민이 참여하는 보증솔루션팀 및 보증심사 리뷰단을 통해 제도 개선사항 도출

∙ 보증채권자 권익에 미치는 사항 등 국민의견 수렴을 통한 보증이행제도 개선

∙ 전세금보증 이행완료 고객 및 공인중개사 참여를 통한 제도개선 사항 발굴

추진목표 2019년 국민 의견수렴을 통한 전세금보증 제도 개선 등 검토

- 33 -

실행과제(51)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과 협업하여효율적인 전세금보증 이행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이행 업무의 효율성 제고

(추진내용)

∙ 지역사회단체 등과의 협업을 통한 임차인 퇴거확인 추진 검토

- 보증사고 발생 시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 구성원이 임차인 퇴거를

확인하여 담당직원 업무 공백 최소화 (직원 출장비 수준으로 비용 지급)

- 임차인 퇴거 확인 시 해당 주택가격 및 신규 임차인 확보 가능성 검토결과를

보고받아 채권보전조치를 위한 근거 확보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거보호 이행도(전세금보증 이행 15일초과건수전체이행건수)

50 45 41 37 34

- 34 -

Ⅳ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및 적극행정 확산

①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국민참여게시판을 lsquo국민제안(국민rarr기관)rsquo

및 lsquo정책제안(기관rarr국민)rsquo 게시판으로 세분화하여 국민과 기관간

상시 소통기반 마련 경평지적

지적사항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위한 개선방안 마련 필요

(혁신 네트워크 강화) 시민참여혁신단 보증채권권익위원회 전세금

보증 시민참여단 기금홍보협의회 운영 등 주요사업에 기반하여

다양한 대외 전문기관과 네트워크 활성화 경평지적

지적사항 보증 기금등주요사업역량강화를위한전문기관혁신네트워크강화필요

② 적극행정 확산

(적극행정 면책제도 활용) 감사계획 통보 시 적극행정 면책제도

middot사전컨설팅 제도 사전안내 및 면책신청 지원을 위한 상담창구

운영 등 (계획수립 完 감사실-2367호)

(기관장 책임강화) 혁신전략위원회(위원장 사장)를 통해 적극행정

혁신과제에 대한 추진독려 및 이행사항 점검 등 보완사항 지속

발굴 (혁신페스티벌 1middot2차 개최)

(적극행정 우수사례 발굴)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를 통해 조직내

적극행정 분위기 유도 (포상 및 내부성과평가 반영 등)

성과창출에 실패했더라도 기존관행 탈피 새로운 영역개척 국민접점에서

활력을 제고하는 등 lsquo착한실패rsquo lsquo건전한파격rsquo에 대해서도 포상추진 예정

(적극행정 인식확산) 적극행정 사이버교육(법제처 주관) 이수 등

적극행정 인식확산을 위한 교육참여 시 혁신마일리지 부여 (전사 교육 실시 예정)

- 35 -

Ⅴ 혁신 추진도구별 업무일정

구 분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1 2 3 4 5 6 7 8 9 10 11 12

1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2 국민소통 강화

3 혁신페스티벌

4 유관기관 협업

5 혁신채널 구축

6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7 제안제도 정비

8 혁신콘서트

9 혁신교육 및 혁신워크숍

10 혁신레터

11 혁신마일리지 신설

12 혁신BP 발굴 및 포상

피드백

(성과관리) 공공기관 혁신 및 기관 경영혁신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혁신과제 추진실적을 정기적으로 점검 및 피드백

(혁신전파) 조직원 전체의 혁신공감대 형성 및 참여도 제고를 위해

본사부서 및 영업부서 방문 등을 통해 혁신활동 및 우수사례 공유

(혁신내재화) 국민소통채널 혁신마일리지 혁신레터 등 혁신활동이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고 혁신업무에 대해

조직원이 공감하고 회사 모든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

Page 11: 2019년 HUG 혁신 추진계획 - khug.or.kr…„HUG혁신추진계획.pdf · 혁신페스티벌 - (내부 혁신과제 발굴) 조직·인사·제도·서비스혁신 등 회사

- 10 -

Ⅲ 2019년 HUG혁신과제

2019년은 기존 중장기 35개 과제에 국민참여 6개 과제 기관 내부

발굴 10개 과제를 추가하여 총 51개 혁신과제를 추진할 예정임

HUG 혁신과제 (2018년) 38개 rArr (2019년) 51개

(중장기 과제) (lsquo18) 38개 과제 rarr 대내외 환경변화로 (lsquo19) 35개로 조정

(국민참여) 2019년 대국민아이디어 77건 중실현가능성등검토하여최종 6건선정

(내부발굴) 2019년 직원제안 236건 중 실현가능성 등 검토하여 최종 10건 선정

HUG 혁신과제 목록 (2019년 공공기관 혁신가이드라인 8대 과제별 분류)

연번 ① 고유업무 공공성 제고 비고

1 전세금보증 가입문턱을 낮추어 서민의 전세금 보호 강화 중장기

2 주택도시기금 지원확대로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역할강화 중장기

3 임대주택 공급지원 확대로 서민 주거복지 증대 중장기

4 주택도시기금 신규상품 개발을 통한 도시재생뉴딜 활성화 중장기

5 제도에서 전산까지 온오프라인 안심시스템 구축 중장기

6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전사 경영전략체계 구축 중장기

7 도시계정의 체계적 관리를 통한 도시재생 활성화 중장기

8 국민과 함께하는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 중장기

9 민관협력사업으로 주거취약지구 주거환경 개선 중장기

10 도시재생 맞춤형 스타트업 총괄지원 플랫폼 도입middot운영 국민

11 도시재생 생태계 조성을 위한 종합지원 플랫폼 구축 국민

12 분양이행사업장 수분양자 보호 내부

- ② 포용적 공공서비스 제공 강화 -

13 인터넷보증시스템 개선으로 전세금보증 이용편의성 제고 중장기

14 주택도시기금 대출절차 간소화를 통한 대국민 서비스 향상 중장기

15 고아원연계 보호종료아동 월세보증금 지원 제도 국민

16 HUG 이용고객 편의성 제고를 위한 플랫폼 구축 국민

- 11 -

17 전세금보증 인터넷가입에 필요한 데이터 자동화 구축 국민

18 사회임대주택 활성화를 위한 조직 혁신 내부

19 상담서비스 고도화를 통한 고객만족도 제고 내부

20 공공정보 연계 통한 서류제출 절차 간소화 내부

- ③ 경제활력 제고 및 일자리 중심 경제 지속 지원 -

21 사업다각화를 통한 고용증대 및 비정규직 ZERO화 중장기

22 주거복지 및 도시재생을 위한 창업공간 금융지원 중장기

23 IT선진화를 통한 민간일자리 창출 중장기

24 공공기관 공동기금 조성을 통한 지역 사회적경제 활성화 중장기

25 상가임차금 안심대출 상품개발 중장기

26 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중장기

- ④ 혁신성장 지원 -

27 비대면 전세금보증을 통한 혁신성장 기반 마련(카카오페이를 통한 가입확대 등) 중장기

28 국민 주거편의 제공을 위한 스마트시티 건설 지원 중장기

29 HUG 빅데이터 운영체계 구축으로 공공데이터 개방 기여 중장기

30 친환경middot신소재 활용으로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제로에너지 건축물 건설자금지원 등) 중장기

31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비대면 가입 활성화 중장기

32 전기자동차 도입을 통한 친환경 에너지 수요 창출 중장기

33 드론 활용을 통한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 중장기

34 드론활용 사업장 안전관리 및 점검체계 구축(시범단지운영) 중장기

35 블록체인을 활용한 안전하고 편리한 인터넷서비스 제공 중장기

36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사업 국민

- ⑤ 공정경제 기반 구축 -

37 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 진입장벽 해소 중장기

38 공정경제를 위한 지역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업자 보호강화 중장기

39 고용위기지역에 대한 금융지원 추진 중장기

- ⑥ 적극행정 확산 등 조직운영 혁신 -

40 근로여건 개선을 통한 휴식 있는 삶 지원 중장기

41위임전결기준 개선을 통한 업무처리 혁신(결재피로감 낮추고 책임ㆍ권한 공백없이 업무는 신속하게 )

내부

42 지출신청 시 영수증 증빙 제출제도 개선 내부

- 12 -

HUG 혁신과제 세부추진 내용

1 사회적 가치중심 기관 운영

(1대 과제) 고유 업무의 공공성 제고 중점

43 PF보증심사 시 월별예정 분양률 분포의 계량화 내부

44 논스톱 고분양가 심사 내부

45 임대리츠 통계 및 사후관리시스템 개선 내부

- ⑦ 투명middot윤리경영 강화 -

46 청렴도 향상을 위한 반부패 활동 강화 중장기

- ⑧ 국민의 참여 확대 및 지역사회 공헌 -

47 혁신도시 맞춤형 지역인재 육성 지원 및 인재채용 투명성 강화 중장기

48 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사회공헌사업 확대 추진 중장기

49 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중장기

50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국민이 참여하는 HUG사업평가단(가칭) 운영 중장기

51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과 협업하여 효율적인 전세금보증 이행 내부

실행과제

(1)전세금보증가입문턱을낮추어서민의전세금 보호 강화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서민의전세보증금을지켜주는최선의안전장치 lsquo전세금보증rsquo 활성화추진

(추진내용)

∙ 보증가입 편의성 제고 및 채널 확대를 통한 전세금보증 활성화

- 모바일 전세금보증 편의성 지속 개선middot확충

- 공인중개사 전세금보증 위탁판매 활성화 등

∙ 사회배려계층 맞춤형 보증제도 개선 등을 통한 공적역할 강화

- 보증가입기간 확대 등 임차인 보호를 위한 전세금보증 지원

- 보증서비스 품질 개선 등을 위한 전문가 의견수렴 등

추진목표

보증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0만호(21조원)

12만호(25조원)

14만호(30조원)

17만호(36조원)

20만호(43조원)

- 13 -

실행과제

(2)

주택도시기금 지원확대로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역할강화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무주택middot실수요 서민주거 안정지원을 위한 대출제도 개선 및 주거복지

로드맵 정책지원을 통한 맞춤형 주거지원으로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마련

(추진내용)

∙ 신혼부부middot청년층 기금대출 지원 확대

- 신혼희망타운 수익공유형 모기지대출 출시

- 신혼부부 기간 확대 (5년 rarr 7년)

- 청년층 청약 가입요건 완화 등 제도 개선 및 운영보완

- 고시원 주거급여 거주자 등에 대해 주거안정월세대출 대상자에 포함

∙ 자산기준 도입 서류간소화 등 기금대출 제도 개선

추진목표

사회취약계층 등 기금지원 (수요자 대출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78조원 78조원 78조원 78조원 78조원

`19~`23 목표는 매년초 국토부 최종안 확정안 국회승인을 거쳐 목표치 확정

실행과제

(3)임대주택 공급지원 확대로 서민 주거복지 증대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사회임대주택 공급 활성화

(목적) 주거약자를 위한 정부 사회임대주택 공급 활성화 정책 지원 및

공사의 공공성 역할 확대

(추진내용)

∙ 사회임대주택 보증 확대를 위한 제도개선 및 공급 활성화를 위한 금융 지원

∙ 사업관련 주체의 유기적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홈페이지 구축

∙ 공급활성화 여건 조성을 위한 사업자 육성 및 홍보 강화 및 유관기관 협업

임대리츠 관리체계 개선 및 공모를 통한 공급확대

(목적)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등 리츠를 통한 임대주택 공급 활성화를

통해 국민 주거복지 증진 도모

(추진내용)

∙ 서민 주거복지 강화를 위한 임대리츠 기금출자 제도 개선

∙ 민간임대사업자 참여 유도를 위한 공모사업 활성화

∙ 임대리츠 공공성 강화를 위한 심사관리 체계 개선 및 기금출자심사 실시

∙ 임대리츠 관련 정부정책 추진 지원을 위한 다각적 홍보 추진

∙ HUG形 민간제안 공모방식 확대로 임대주택 공급 강화

추진목표

사회임대주택 보증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50호 900호 990호 1089호 1197호

리츠를 통한 임대주택 공급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0500호 11550호 12705호 13976호 15373호

HUG 민간제안공모 공고 세대수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rsquo23년

8000세대 8500세대 9000세대 10000세대 10500세대

- 14 -

실행과제

(4)주택도시기금신규상품개발을통한도시재생뉴딜활성화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도시재생뉴딜 맞춤형 금융지원 확대 (목적) 도시재생 사업유형 확대에 대응한 맞춤형 기금지원 상품 개발운용 (추진내용)∙ 소규모 재생사업 및 주택정비 활성화를 위한 금융지원 확대∙ 도시재생 경제조직 활성화를 위한 금융지원 프로그램 도입 도시재생뉴딜 활성화를 위한 기금지원 운용체계 개선 (목적) 명확한 업무기준효율적 수행방안을 확립하여 도시계정 양적질적확대에 대응 및 뉴딜정책 활성화에 기여

(추진내용)∙ 도시재생 금융지원 접수middot심사체계 개편으로 국민불편 해소∙ 도시재생 금융지원 사후관리 체계 확립으로 안정적 기금운용 및 공공성 실현

추진목표

도시재생 금융지원 출융자 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5877억원 11227억원 15014억원 16178억원 16494억원

도시재생 금융지원 심사사업장관리 운용체계 개선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5건 5건 5건 5건 5건

실행과제(5)

제도에서 전산까지 온middot오프라인 안심시스템 구축 담당부서정보운영처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응하는 정보보안체계 구축

(목적) 4차 산업혁명시대 기술(IoT BigData AI 등) 변화에 맞는 선제적인 정보

보안 체계 수립과 능동적인 정보주체의 권리 보장

ㅇ (추진내용)

∙ 선진화 정보보안 체계 구축 컨설팅

주택건설사업장 사회안전망 플랫폼 구축

(목적) 주택관리사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으로 사고로 인한 분양계약자의

입주지연 및 보증사고 위험 등을 사전에 예방하여 국민의 편익 증진

(추진내용)

∙ 사업장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보증사업장 현장점검 규정 개정

- 사업장안전관리강화를위한안전점검업무신설및안전관리우수고객우대제도운영

∙ 드론을 활용한 보증사업장 동영상 촬영 및 제공으로 분양계약자 정보제공 강화

- 현재 앱을 통한 사업장 현장사진 제공을 드론을 이용한 동영상 제공으로 확대하여

분양계약자 정보제공 강화

추진목표

국정원 정보보안 관리실태 점수 행안부 개인정보보호 진단 점수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공공기관평균점수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 5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10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15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20

보증사업장 안전사고로 인한 공사 지연 건수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0건 0건 0건 0건 0건

- 15 -

실행과제(6)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전사 경영전략체계 구축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공공기관의 lsquo공적역할 강화rsquo 및 lsquo사회적 책임실현rsquo이라는 국정기조 변화에 부응

하기위한공사의新경영전략수립

(추진내용)

∙ 고유 업무의 공공성 제고를 위한 사업전략 재수립

- 사회통합형 주거복지 실현을 위한 공적금융 지원 전략 수립

- 소규모 도시재생사업 활성화를 위한 단계별 공사 역할방안 마련

∙ 사회적 가치 기반 전사 기능전략 및 중장기 경영목표 재수립

- 공적역할 확대 및 사회적 책임 구현을 위한 부문별 기능전략 수립

추진목표

사회적가치 기여도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최우수 최우수 최우수 최우수 최우수

청렴도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등급 1등급 1등급 1등급 1등급

실행과제(7)

도시계정의 체계적 관리를 통한 도시재생 활성화 담당부서기금정보처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목적) 노후주거지 주민과 사회적기업 등이 필요로 하는 자금을 적시에 원활히 지원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도시계정 관리 추진

(추진내용)

∙ 연체관리 프로세스 정립을 통한 기금손실예방

- 연체 단계별 업무처리 프로세스 마련을 통한 융자사고방지

- 도시계정 융자원리금 수납기준 마련

- 융자사고관리 방안 마련

∙ 고객신용관리 체계구축을 통한 사고예방 모니터링 확대

- 고객신용관리 모니터링 체계구축을 통한 사고예방관리

- 도시계정 신용정보집중 처리기준 프로세스 마련

- 도시계정 신용정보관리 전산시스템 구축 일반신용정보관리규약에 따른 도시계정 신용정보 파일전송 설계서(전문) 작성

공사 신용정보 집중 시스템과 병합 추진

∙ 도시계정 자금관리 체계정립을 통한 도시재생활성화지원

- 도시계정 예산확대 신규 금융기법적용 등 도시계정 특성을 반영한 회계middot결산

자금관리 업무기준 확립 정형화된 담보가 아닌 수요자사업자 특성을 고려한 맞춤 담보제공 자금투입 공공성 확보를

위한 엄격한 융자조건 부여

- 회계middot결산 자금관리 업무전산화를 통한 효율화 정책지원기능 확대

추진목표 (비계량) 2019년 융자사고예방을 위한 연체관리 자금관리기준 수립 및 개선

- 16 -

실행과제(8)

국민과 함꼐하는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 담당부서보증이행처

준법지원실

추진내용

(목적) 국민참여를 통한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의 수용성 제고 및 주거

복지 실현 위한 공동주택 하자 조기대응ㆍ감축방안 모색

(추진내용)

∙ 하자분쟁 해결체계 관련 국민 공유ㆍ소통 프로그램 운영

- 국민과 함께하는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 계획 수립

- lsquo공동주택 실무강좌rsquo 동행을 통한 하자관련 주요이슈 대국민 공유ㆍ소통- 국민참여 하자정보 공유 4회(서울 인천 수원 의정부) 및 하자실무 법률상담

∙ 국민 참여 확대를 통한 정책 개선 노력

- (lsquo1810) 대국민 의견수렴을 위한 하자분쟁 컨퍼런스 개최

middot 하자분쟁 예방을 위한 관계규정 검토 및 정책 논의

middot 행정청 학계 법조계 및 입주자대표회의 관련 다수 국민 참여

∙ 소규모사업장 청구 전 하자보수보증 사전안내제도(BS Before Service) 실시 검토

소규모사업장 150세대 미만 사업장 중 대위변제가 없는 2년차 하자보수보증 만료6개월 전 사업장

추진목표

대국민 참여도산출근거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참여횟수6회참여인원300명

참여횟수8회참여인원400명

참여만족도85점 이상

정책국민의사반영1회이상

정책국민의사반영1회이상

횟수당50명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점수(관리본부) 목표치산출근거구분 rsquo18년 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등급 A A A A A 목표 A등급 이상

실행과제(9)

민관협력사업으로 주거취약지구 주거환경 개선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목적) 공사의 사회적 가치경영 실행을 위해 새뜰마을(취약지역 개조사업) 주거

여건 개선을 지원하는 민관협업 사회공헌사업 추진

(추진내용)

∙ 중앙부처 공공기관 민간기업 등이 지역 주민과 함께 도시취약지역 내 노후주택에

대한 주거환경개선 열효율화 사업 추진

- 새뜰마을중고령화 노후화등으로사업추진이절실하고 지역사회참여정도등을 고려

하여성과가 가시화될수있는지역선정추진

∙ 주거취약지역 환경개선 관련 민관협업사업 MoU 체결 추진

- 국토교통부 HUG LH KCC AURI 해비타트 등 협약 체결을 통해 집수리 자재 및

전문인력 후원금 지원 추진

∙ 도시취약지역 지원 효과 분석 및 사업추진 매뉴얼 마련

- 지역기초조사 사업전후 효과분석 등 성과관리 새뜰마을 매뉴얼 제작보급

추진목표새뜰마을 지원대상 확대 건수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5건 5건 5건 5건 5건

- 17 -

실행과제(10)

도시재생 맞춤형 스타트업 총괄지원

플랫폼 도입middot운영담당부서

인사처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도시재생과 관련된 스타트업 및 소셜벤처에 대한 종합적 지원

(추진내용)

∙ HUG형 도시재생 뉴딜 창업 프로젝트 추진

- 사회적 경제조직 육성기관(함께일하는재단) 대중투자 전문기관(와디즈)과 협업

- 사회적 경제조직 컨설팅 지원

- 대중투자 연계 통한 일자리 창출 및 사회적 경제 활성화 지원

∙ 스타트업 및 소셜벤처에 대한 사회적 금융 지원

∙ HUG 창업 라운지(스타트업 기업에 공간 공유) 확대 운영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사회적금융지원금액 1억 1억 1억 1억 1억

공간지원스타트업수 6 8 10 12 14

멘토링middot창업캠프개최회수 5 5 5 5 5

실행과제(11)

도시재생 생태계 조성을 위한

종합지원 플랫폼 구축담당부서

기금정보처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종합적인 도시재생정보 공유체계 구축을 통해 기금 지원된 도시재생사

업에 대한 정량적 정보 및 사후지원 청년middot예비창업자 참여를 위한 HUG 정책

지원 정보를 기금포털 내 일괄 제공

(추진내용)

∙ 전국 기금이 활용된 도시재생 사업장 정보 제공(lsquo도시재생 기금지도rsquo 서비스)

- 지도 API 기반의 도시재생 기금지원 사업장 정보조회 서비스

- 전국 분포된 사업장의 위치부터 융자금액까지 상세정보를 편리하게 검색

- 실제 사례와 이용 상품 정보를 함께 제공하여 정보이용자 이해도 제고

∙ 기금 사업장 홍보 지원 및 청년창업 지원 정보 일괄 제공(전용 게시판 신설)

- 사업장 및 보유시설(코워킹시설 임대시설 등) 홍보 위한 전용공간 마련

- 기금지원 사업의 우수사례 정보공유를 통한 벤치마킹 및 정보이용자 관심유도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기금지도 서비스 개시 서비스구축middot개시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우수사례 발굴 건수 8 8 8 8 8

- 18 -

(2대 과제) 포용적 공공서비스 제공 강화

실행과제(12)

분양이행사업장 수분양자 보호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분양대금채권 지연손해금율 하향조정 등 분양계약자 부담완화를

통한 국민 주거안정 기여

(추진내용)

∙ 분양계약자 지연손해금 관련 주택분양보증약관 개정

- 분양계약자의 분양계약서상 지연손해금율이 시행사 구상채권 지연손해금율

보다 높은 사례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공사 내규와 분양계약서상 지연손해

금율 중 낮은 것을 적용하도록 약관 규정 개정 (시행사 동의서 징구)

추진목표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 점수(관리본부)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901 915 933 951 971

실행과제(13)

인터넷보증시스템개선으로전세금보증이용편의성제고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인터넷보증 시스템 개선을 통해 고객의 전세상품 보증서비스

편의성 및 접근성을 강화하여 서민 주거안정성 개선 지원

(추진내용)

∙ 인터넷 보증시스템 재구축 추진(lsquo20~lsquo21)

- (현행) 인터넷 익스플로러 이외의 웹브라우저 미지원

- (재구축) 구 운영체제 지원종료 대비 및 지원 플랫폼(구글 크롬 등) 확대를

위한 시스템 재구축 예정

∙ 모바일 보증시스템 구축 추진(lsquo19)

- (현행) PC 중심의 제한적인 보증가입 서비스 제공

- (비대면 서비스 강화) 모바일 보증시스템 구축 추진

추진목표

비대면 보증가입 점유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0 12 14 16 18

- 19 -

실행과제

(14)주택도시기금대출절차간소화를통한대국민서비스향상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서민실수요자 지원 강화 및 이용자 편의 제고 등을 위한 주택도시

기금 구입전세 대출의 자산심사 도입

(추진내용)

∙ 자산심사기준 도입을 통한 정책자금의 실수요자 집중 지원

∙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구축을 통한 대출절차 간소화

∙ 전담 수행조직 운영 및 수탁은행 역할 재정립 등을 통한 대국민 서비스 제고

추진목표

대출절차 혁신 시스템 운영 체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자산기준 마련기금법령 개정시스템 개발오픈수요자대출상품운영

수요자대출 全상품 시스템 안정화제도개선 및 모니터링

他 기금상품 (주택종합청약저축)도입 검토 및 적용

실행과제

(15)고아원연계 보호종료아동 월세보증금 지원 제도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고아원 보호기간이 종료됨에 따라 주거지원이 필요한 아동에게

주택임차자금 지원 및 보증상품 개발

(추진내용)

∙ 긴급 주거지원이 필요한 아동의 가정에 주택임차자금 지원∙ 고아원 보호종료 아동 대상 전세월세보증금보증 할인 상품 개발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택임차자금지원 세대 수

10 20 성과분석 후 확대 검토

고아원보호종료아동대상상품가입자수

상품개발추진 제도개선 추진

실행과제

(16)HUG 이용고객 편의성 제고를 위한 플랫폼 구축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객과의 소통채널 확대방안의 일환으로 24시간 고객상담 제공

(추진내용)

∙ 단순 문의 SMS 발송

- 위탁은행 신청서류 등 전세보증 관련 간단 정보 문자발송 ARS실시(완료 `195월)

- 업무시간 종료 후에도 단순문의에 대한 SMS문자안내 서비스 추진

∙ 콜센터와 지사 상담이력 공유

- 콜센터 상담시스템과 차세대 시스템을 연계 고객별 상담이력 조회화면 구축

∙ 보이는 ARS 서비스 도입

- 기존의 음성 서비스와 함께 스마트폰을 통해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바로

연결하고 직접 통화하지 않아도 간편문의를 처리할 수 있는 보이는 ARS 실시

추진목표 2019년 챗봇서비스 DB구축 검토 2020년 챗봇 서비스 도입 검토

- 20 -

실행과제

(17)전세금보증 인터넷가입에 필요한 데이터 자동화 구축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가입을 간편하게 하여 정보사각지대에 있는 고객의

보증 가입 편의성 강화

(추진내용)

∙ 주택가격정보middot등기부등본 데이터 자동입력 시스템 마련

- KB시세 한국감정원 국세청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와의 협약 통한 시스템 연계

- 직접협약 외에도 부동산 권리변동정보 제공기관을 통한 중계서비스 도입 검토

∙ 인터넷보증시스템 전세금보증 신청절차 개선

- 전자연계 가능한 서류의 데이터 자동입력 프로세스 개발

- 보증심사시 담당자가 전자 원본 서류를 확인할 수 있는 화면 개발

추진목표

데이터 입력시스템 구축 및 운용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연계방안검토

협약체결 전산연계 운영 및 보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18)

사회임대주택 활성화를 위한 조직 혁신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사회임대주택 금융지원제도 담당부서 일원화로 속도감 있는 제도개선 등

사회임대주택 활성화 지원

(추진내용)

∙ 기획조정실 사회임대주택 총괄부서 지정을 위한 조직개편 추진

- 현행 사회임대PF보증(금융기획실) 토지임대middot기금출융자(도시재생기획처 기금지원처)

- 개선 도시재생기획처로 일원화하여 사회임대주택 복합금융 지원업무 총괄

한 부서에서 기금 출middot융자 보증지원까지 원스톱 상담으로 고객 만족도 제고

추진목표 2019년 조직개편 완료

실행과제

(19)상담서비스 고도화를 통한 고객만족도 제고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객상담데이터 체계적 관리middot활용을 통한 대국민 서비스 질적 향상

(추진내용)

∙ 차세대(전산)업무시스템 및 콜센터 시스템을 연계하여 상담이력 공유- 콜센터 외에도 지사 직원의 고객상담이력을 저장할 수 있도록 차세대시스템 내화면 구축 콜센터의 상담이력 역시 차세대 시스템에 저장 및 관리

∙ 보이는 ARS서비스 실시 및 단순문의안내 SMS 발송 서비스 실시middot활성화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콜센터전산시스템연계

시스템구축

시스템개발완료및 운용

시스템운용

시스템운용

시스템운용

신규 서비스출시

보이는ARS검토

보이는ARS출시

보이는ARS운용

보이는ARS운용

보이는ARS운용

- 21 -

2 혁신적 포용국가 선도

(3대 과제) 경제활력 제고 및 일자리 중심 경제 선도 중점

실행과제

(20)공공정보 연계 통한 서류제출 절차 간소화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필요한 서류를 간소화함으로써 대국민서비스 질 제고 (추진내용)∙ 필요한 서류 등을 공사 전산으로 조회 가능한 시스템 구축∙ 기금대출절차 혁신 시스템과 연계

추진목표 ∙ (비계량) 필요서류 전산조회 시스템 구축

실행과제

(21)사업다각화를 통한 고용증대 및 비정규직 ZERO화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서민 주거복지 도시재생 활성화 지원 등을 위한 기관 자체의 적극적인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공기업 서비스 제고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증원 및 채용 확대- 신사업 발굴 및 자율정원제를 통한 적극적인 증원-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청년 및 지역 인재 채용∙ 사회 양극화 해소를 위한 비정규직 ZERO화- 노사 공감대에 기반한 정당한 절차를 통한 전환 추진 및 전환근로자 처우 개선 노력

추진목표정원 비정규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766명 0명 903명 0명 995명 0명 1033명 0명 1062명 0명

실행과제

(22)

주거복지 및 도시재생을 위한

도시재생 창업공간 금융지원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도시재생 금융상품을 통한 창업지원 (목적) 창업과 관련한 도시재생 금융상품을 통해 민간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창업 관련 수요자 중심형 기금융자 및 보증상품 개발 운용- 코워킹시설조성 상가리모델링 공공임대상가 등 기금융자 지원

도시재생뉴딜 금융지원을 위한 사회적 금융 연계 지원 (목적) 도시재생분야법인단체창업관련크라우드펀딩 및 창업지원 컨설팅 추진 (추진내용)∙ 도시재생분야에대중투자연계일자리창출및지역주도사회적경제활성화지원- 뉴딜로 도시재생 크라우드펀딩 대회 개최 등∙ 도시재생 창업단체에 대한 지원을 위해 HUG형 민간일자리 창출 프로젝트 추진- HUG와 함께하는 도시재생 뉴딜 창업프로젝트 추진 및 사회적 경제조직 활성화

추진목표창업지원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510억원 1548억 1548억 1548억 1548억

- 22 -

실행과제

(23)IT선진화를 통한 민간일자리 창출 담당부서

기금정보처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고유목적사업인 주택보증 주택도시기금 및 도시재생분야의 IT 시스템

구축 및 개선을 통한 민간 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 주택도시기금 정보시스템 통합 유지보수

- (추진기간) 유지보수 사업의 특성으로 매년 발생

- (일자리창출) 2019년(8명) 2020년 sim 2023년(매년 16명)

∙ 도시재생 금융지원 전산시스템 구축

- 도시재생융자등원활한도시계정업무를뒷받침하기위한온라인금융지원시스템구축

- 추진기간 2018년~2019년 투입금액 및 인력 51억원 41명

∙ 주택도시기금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구축

- 주택도시기금 대출절차 편의 제고 및 절차 간소화 시스템 구축

- 추진기간 2018년~2019년 투입금액및인력 컨설팅용역43억원 12명 전산용역74억원52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기금업무 운영 유지보수 8 16 16 16 16

도시재생 융자시스템 41 - - - -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64 - - - -

합 계 177

실행과제

(24)

공공기관 공동기금 조성을 통한

지역 사회적경제 활성화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이전지역 기관간 협업을 통한 사회적경제 활성화로 지속가능한 일자리

제공 지역경제 활성화 추진

(추진내용)

∙ 부산 사회적경제 지원기금(BEF) 지원을 통한 사회적기업 육성 및 지원

- Pilot Program (크라우드펀딩) 20개소 창업단계 재정지원 5개소 Start-up 재정지원

15개소 Scale-up(성정기 기업) 대출지원 5개소 BEF 경영컨설팅 50회 BEF

사회적기업 연구가 인재육성 실시 2회 BEF 판로지원 5개소 등

추진목표

기금지원 (자체 공동)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억원(10억원)

1억원(10억원)

1억원(10억원)

1억원(125억원)

-

- 23 -

(4대 과제) 혁신성장 지원

실행과제

(25)상가임차금 안심대출 상품개발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도시재생지역 내 상가임차인 보호를 위한 상가임차금안심대출 개발

(추진내용)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법령 개정 검토

-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등 관련 법령 개정안 검토

- 법령 개정안 정부 건의 (우선변제권 승계기관 포함)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시장분석 및 조사(`20)

- 상가임차보증금 시장분석 및 보증이용 수요조사

- 보증료율 검토 및 리스크 분석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출시(`21)

- 사규개정 및 법령개정 완료

추진목표

상가임차보증금 상품 출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내부검토 법령개정 시장분석 상품출시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26)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사고 위기사업장과 보증실적의 증가로 사전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및 정기 점검활동 강화 및 핵심업무 역량집중 강화

(추진내용)

∙ 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 현장점검 대상사업장을 파악하여 외주용역을 통한 점검 추진 검토

추진목표 ∙ 2019년도 현장점검 외주화

실행과제

(27)

비대면 전세금보증을 통한 혁신성장 기반 마련

(카카오페이를 통한 가입확대 등)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모바일 전세금보증

스마트폰을이용해언제 어디서든쉽게보증을신청할수있도록모바일가입채널마련

∙ (모바일 인터페이스) 인터넷 전세금보증 프로세스를 모바일웹에 최적화하여 로그인

부터 보증가입 승인까지 전 프로세스 지원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위탁은행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증가입 프로세스 개선

(현행) 임차인이 선순위 채권 등 보증가입정보를 입력

(개선) 임차인은개인정보및계약정보만입력하고세부심사에필요한정보는심사자가입력

모바일 안심대출보증

위탁은행 비대면 전세금 안심대출 상품 개발

추진목표 2019년 전세금보증의 완전한 모바일 가입체계 구축

- 24 -

실행과제

(28)국민 주거편의 제공을 위한 스마트시티 건설 지원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목적) 핵심 국정과제인 스마트시티 분야의 금융지원 플랫폼으로서 주택도시기금지원 기반 모색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검토 및 금융상품 초안 마련

(추진내용)

∙ 민간사업자 의견 수렴 및 스마트시티 기금 금융지원 상품 초안 마련 -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및 주요 요소기술산업 등 동향 파악- 민간사업자 의견수렴을 바탕으로 실질적 금융지원이 가능한 상품 개발 추진∙ 주택도시기금법 개정안 마련 및 정부 건의∙ 스마트시티 건설사업장에 대한 보증료 할인 또는 보증심사 가점부여∙ 스마트시티 건설 신공법 소개 및 성공사례 공유

추진목표금융지원 확대 건수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건 1건 2건 3건 3건

실행과제

(29)HUG 빅데이터운영체계구축으로공공데이터개방기여 담당부서

주택도시

금융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기관 내middot외부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주택middot도시middot금융 분야의 환경 변화를진단함으로서 4차산업 혁명시대 도래에 따른 선제적인 대응 체계 마련

(추진내용)

∙ (1단계) HUG 빅데이터 기반 주택시장 분석 인프라 설계 및 로드맵 수립∙ (2단계) HUG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구축 및 모델 개발∙ 수요자(국민middot정부middot공사)별 빅데이터 활용 영역 확대 및 분석 기능 고도화

추진목표공공데이터 외부개방(제공) 건수 (오픈API포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38건 42건 46건 51건 56건

실행과제

(30)

친환경middot신소재 활용으로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

(제로에너지 건축물 건설자금지원 등)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주택건설사업장에 친환경middot신소재 사용을 유도함으로써 환경 친화적 주택건설과 에너지신산업 판로지원

(추진내용)

∙ 친환경 제품 및 에너지 신소재 제품사용 주택건설사업장에 보증심사 가점부여(완료)- (`1812) 녹색건축물인증등급부여고객보증심사시초기예상분양율 5〜1점가점부여

∙ (추진) 신소재 적용 주택건설사업장 확대를 위해 보증심사시 가점부여

- SOC 공공기관 통합기술마켓과 연계한 보증우대 방안 마련 중소기업이 보유한 SOC 공공기관 관련 혁신기술의 공모middot연구개발 제안 및 검증을

통해 상품화 및 홍보middot판매를 지원하는 플랫폼

추진목표

친환경적 주택건설 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

- 25 -

실행과제

(31)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비대면 가입 활성화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9개 수탁은행에 온라인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 독려

연령 무주택세대주 소득증빙 등 가입 시 제출서류가 많아 비대면 시스템 구축 시

지점방문 없이 간편하게 가입 가능

신한은행 최초로 완전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821)

비대면 가입 주택도시기금포털에 안내 및 홍보

비대면 가입 시스템 기금포털 홍보 게시하여 수탁은행 시스템 개발 독려

추진목표 목표비대면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전체 가입의 6 전체 가입의 12

실행과제

(32)전기자동차 도입을 통한 친환경 에너지 수요 창출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업무용 차량의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ㅇ 2018년 임차기간 만료예정인 업무용 차량을 전기자동차로 대체

ㅇ 추후 본사 및 영업부서 업무용 차량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추진목표 2019년 중 전기자동차 1대 충전소 1개소 설치실행과제

(33)드론 활용을 통한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기술middot제품에 대한 선제적 구매 및 테스트와 고유사업에 활용

으로 민간 초기시장 조성을 견인

(추진내용)

∙ 보증이행사업장 드론 안전점검 시범실시

- (`1812) 예산 미편성으로 1개 사업장 드론촬영 시범실시 및 효용성 검토

∙ 보유중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에 드론 활용 확대

- (`196) 전문엔지니어링 업체 발굴로 일자리 창출 및 보유 사업장 전체(2개)에

드론 활용 안전점검 실시 rArr 위험요소 발굴로 관할센터에 사고예방을 위한

안전조치 권고문서 시행

추진목표

안전사고 발생비율(발생건수보유사업장)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0 0 0 0 0 안전사고발생 ZERO무사고 달성

실행과제

(34)드론활용사업장안전관리및점검체계구축(시범단지운영)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HUG형 혁신 사업장 안전관리 및 점검체계 구축

ㅇ 드론 활용 사업장 안전 및 점검체계 구축

ㅇ 시범단지 선정 및 운용 세부계획 검토

∙ 드론 등 기술혁신 도구관련 관련 업체 및 유관기관 협의

∙ 사업장-영업부서-본사부서 협업체계 및 활용방안(HUG-i 게시) 등

추진목표안전사고로 인한 분양보증사고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0 0 0 0 0

- 26 -

실행과제

(35)블록체인을 활용한 안전하고 편리한 인터넷서비스 제공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정부주도의 공인인증서 폐지정책(전자서명법 전부개정 예고)에 따라 전자

서명에 대한 인터넷 사용자 대체 인증수단 개발

(추진내용)

∙ 블록체인 기반의 본인인증 서비스 (카카오페이 인증 서비스) 도입

- 인터넷보증시스템에서보증료영수증및보증서출력시카카오인증을이용한전자문서

유통증명서비스제공

∙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대국민서비스 확대

- 전자서명법개정에따른블록체인기반의전자서명서비스도입

- 온라인 등기우편(연체정보 등 전자우편을 본인인증 후 열람) 일괄발송 발송내역 조회

및유통증명서발급시스템구축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블록체인기반본인인증서비스시범도입

블록체인기술을이용한

대국민서비스확대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실행과제

(36)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사업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환경보호라는 공공성을 위하여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건물

보증에 대해 유인책 마련 필요

(추진내용)

∙ 제로에너지 건축물에 대한 대출한도 상향 조정

∙ 건축 관련학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해 친환경 건축물에 대한 관심 제고

- HUG 오픈캠퍼스 추진 시 건축 관련학과(건축공학과 건축디자인과 등) 학생에게 교육

추진및공사인턴체험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제로에너지 건축물지원 제도

규정신설 -

HUG오픈캠퍼스 수료학생수 (건축 관련 학과 포함)

100 110 121 133 146

- 27 -

(5대 과제) 공정경제 기반 구축 중점

실행과제

(37)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 진입장벽 해소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물품구매 대금결제 등에 중소기업 창업기업 등에 대한 계약규제 완화를

통해 공정경제 기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함

(추진내용)

∙ 신규 창업middot중소기업에 대한 진입장벽 완화

- 소규모 물품middot용역 입찰(고시금액 21억원 미만) 참여시 상대적으로불리한신규창업 및

중소기업에대한실적제한폐지

- 다만 부득이용역의성격상실적평가가필요한경우창업기업실적인정기간연장

(현행 3년 rarr 7년)을 통한 부담 완화

∙ 지체상금 부담경감 (현행의 12수준) 을 통한 상생협력 강화

∙ 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에 대한 용역대금 선급금지급률 확대

추진목표

중소기업 등 협력업체 계약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779 790 80 81 -

실행과제

(38)

공정경제를 위한 지역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업자 보호강화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건설사업장 인근지역 중소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대금의 현금

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한 하도급업자 보호 강화

(추진내용)

∙ 지역 중소 건설업체들에게 동일한 기회제공 및 공정한 경쟁 유도

- 건설사업장에서 지역건설업체와 하도급계약 체결 시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 할인 추진

∙ 협력업체 하도금대금의 현금지급 확대

- 하도급대금을 현금으로 지급할 경우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를 할인

하여 협력업체 및 근로자들의 보호를 강화하고 시장에서의 우위 선점

추진목표

지역 하도급업체 계약체결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규정개정 30 40 50 60

하도급대금의 현금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해 하도급업자 보호

- 28 -

3 국민신뢰 회복

(6대 과제) 적극행정 확산 등 조직운영 혁신

실행과제

(39)고용위기지역에 대한 금융지원 추진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용위기지역에 대한 지원강화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추진내용)

∙ 고용위기지역 내 임대주택 건립시 보증료 할인 추진(완료)

- 고용위기지역및고용재난지역소재임대보증금보증사업장보증료 10인하( 1812)

∙ 고용위기지역 내 임차인이 전세금보증 이용시 보증료 할인 검토

- 전세보증금반환보증(전세금보장) 전세안심대출(전세금대출지원)

보증이용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임차주택으로 변경시 보증료 할인 검토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보유한 주택건설사업자가 입주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임차

주택으로변경하여전세금보증가입신청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추진목표

고용위기지역 금융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마련 및 운영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40)근로여건 개선을 통한 휴식 있는 삶 지원 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일ㆍ가정 양립에 대한 법적ㆍ사회적 요구 증대됨에 따라 장시간 근로문화를 타파하고 휴식 있는 삶을 지원하여 일ㆍ생활의 균형 실현

(추진내용)

∙ 장시간 근로문화 타파- 직원니즈를반영한공사맞춤형복무제도수립및운영- PC-OFF 강화 (주2회rarr매일)- 퇴근장려캠페인 (인사안하고퇴근하기 관리자솔선수범퇴근)∙ 휴식 있는 삶 지원- 가족친화제도지속개발 (일가양득프로그램운영)- 연차휴가및남성육아휴직이용률향상을위한제도개선- 시간단위연차사용을통한휴가사용활성화- 임신직원보호를위한모성보호절차도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인당 연차사용일 1426일 1497일 1572일 1651일 1733일남성육아휴직인원 331 348 365 383 402

- 29 -

실행과제

(41)

위임전결기준 개선을 통한 업무처리 혁신

(결재피로감 낮추고 책임middot권한 공백없이 업무는 신속하게)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결재절차를 단순화함으로써 신속한 업무처리 및 고객만족도 제고

(추진내용)

∙보증위탁업무전결권세분화

- 위임전결규정안마련및규정개정절차진행(5월)

보증업무 위탁外 융자수탁업무 관련 전결권 개정도 함께 추진

∙대외업무협약체결전결권세분화

- 사안의중요성및영향도등고려중장기적으로면밀한검토필요

추진목표

결재절차 단순화

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rsquo23년보증및융자수탁업무위임전결규정개정

제도 보완

실행과제

(42)지출신청 시 영수증 증빙 제출제도 개선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지출신청시 불필요한 원본구비 제도 개선을 통한 업무효율화 달성

(추진내용)

∙ 공사 지출의 42 비중을 차지하는 5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 원본 제출 제외

- 지출액 50만원 이하 법인카드 및 전자세금계산서 지출 건 원본구비 예외 조항 신설

- 확인이 필요한 간이계산서 등은 원본징구하여 지출사고 가능성 예방

- 제도 정착 전 3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에 대하여 원본 제출 제외(시범운영)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내부

규정개정 및시범운영

제도개선 지속 추진

실행과제(43)

PF보증심사 시 월별예정 분양률 분포의 계량화 담당부서금융기획실심사평가처주택도시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민간아파트 초기분양률 데이터를 활용한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

(추진내용)

∙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를 통한 심사 객관성 확보

- 월별예정분양률 관련 명확한 지침 산정으로 신청업체 및 심사자의 주관 배제

- 국가승인통계인 민간아파트초기분양률 동향 데이터를 활용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

∙ 초기분양률 동향 분석(주택도시금융연구원 협업 4월sim10월)

- 연구원과 협업을 통해 초기분양률 데이터 분석 및 관리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건의(11월)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관할 부서(금융기획실)로 세칙 개정 건의

추진목표2019년도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예상분양률 분포기준 마련 초기분양률 데이터 관리체계 구축

- 30 -

(7대 과제) 윤리경영 강화

실행과제

(46)청렴도 향상을 위한 반부패 활동 강화 담당부서 준법지원실

추진내용

윤리경영 추진조직 강화

기관장 주도의 윤리경영 고위직 협의체 구축 내부 자문기구「청렴자문위

원회」운영 강화 및 임원의 윤리자가진단 현황 정보공개

반부패middot청렴 대외 활동 활성화

부산 이전 공공기관 청렴 협의체「청렴 클러스터」활동 강화

「부산투명사회실천 민middot관 네트워크」가입middot활동 실시

「유엔글로벌콤팩트(UNGC)」활동으로 글로벌 윤리역량 강화

실행과제

(44)논스톱 고분양가 심사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공사 PF보증 사업장에 대한 고분양가 심사기준 개선을 통한 사업

안정성 제고 및 고객신뢰성 확보

(추진내용)

∙ 「고분양가사업장심사규정」개정 추진(5월~6월)

- 고분양가 관리지역 내에서 공사 PF보증 발급예정사업장의 고분양가 심사기준(비교

사업장 선정 및 분양가격 산출 등)의 적용을lsquoPF보증 본점 승인시점rsquo으로 명확히 함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고분양가심사규정개정

사업안정성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 추진

실행과제

(45)임대리츠 통계 및 사후관리시스템 개선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목적) 자리츠 사후관리 주관기관(모리츠 AMC인 LH) 및 감독관리기관

(HUG) 간의 업무분장에 따라 사후관리 데이터 품질 저하 등 발생

rArr 기관간 협업체계 개선 관련 시스템 개발 등을 통한 사후관리 관련 데이터품질 향상 및 대정부 정보전달 적시성 확보

(추진내용)

∙ 리츠 기금출자내용 변경시 임대리츠 이력관리 등이 가능하게 하는 통계시스템 개발

∙ 분기별 사후관리보고 제출기한 마련 검토

∙ 임대리츠 통계관리 업무체계 내실화를 위한 기관간 협업 수행

추진목표

임대리츠 사후관리 구조 개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전산시스템개발 및시스템 구축

임대리츠사후관리

체계개선 수행

시스템 운용및 개선사항도출

기관간 협업수행(데이터관

리)

임대리츠통합데이터관리 수행

- 31 -

(8대 과제) 국민의 참여협력 확대 및 지역사회 공헌

실행과제

(47)

혁신도시 맞춤형 지역인재 육성 지원 및

인재채용 투명성 강화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도시 지원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증대에 따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한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

(추진내용)

∙ 市-지역대학간 협업으로 지역인재 육성 교육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 외부 면접위원 확대 및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인사 절차의 공정성 강화

∙ 사회형평적 채용실시와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을 통한 불합리한 차별 해소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지역채용 21 24 27 30 33지역인재육성 총 교육시간(교육인원times교육시간 시간) 3000 4500 4500 4500 4500

지역인재육성교육만족도(점수) 944 949 954 959 964

실행과제

(48)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사회공헌사업 확대 추진 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정부의 lsquo사회적 가치 실현rsquo을 정책에 따라 사회적 경제 및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사회공헌 필요성 증가

(추진내용)

∙ 안전한 주거환경 제공

- 무주택 국가유공자 및 저소득층 임차자금 170세대 지원(~8월10억원)- HUG 셰어하우스 3호 신촌점 완공 청년 24명 입주 완료(~10월2억원)- 저소득층 노후주택 및 소규모 사회복지시설 127세대 개보수(~10월8억원)- HUG STREET 잘사는 골목길 등 환경개선사업 대상지 선정 완료(~10월1억1천만원)

∙ 지역사회와 상생

- 노후 슬레이트 지붕개량 및 태양광 지원 사업 4자 협약(~8월3억원) HUG-부산시-한국사회복지협의회-부산도시재생지원센터

- HOPE with HUG 10호 11호 완공(~9월1억5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지역건설사-지역건축전문가 협업을 통한 주거개선사업

- 부산 송상현 광장 내 도시놀이터 프로젝트 완료(~9월7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부산시설공단 협업을 통한 문화middot휴식공간 조성

청렴 모니터링 다각화

청렴의식 환기를 위한 「자가점검 프로그램」실시

「청렴 옴부즈만」운영

개선 아이디어 발굴을 위한 「신입사원 生生 모니터링」

추진목표

종합청렴도 결과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3등급 2등급 1등급 1등급 1둥급

- 32 -

∙ 균등한 기회와 사회통합

- 중학생 자유학기제 지원 프로그램 운영(9월~4천만원)- 저소득층 청소년 20명ndash대학생 20명 매칭 등(6월~5천만원)- lsquoKBS 동행rsquo에 출연하는 저소득 가정 50세대 지원(7월~1억원)- 발달장애 청년 재능개발 프로젝트lsquo눈부신하루rsquo추진(6월~3천만원)- 신입사원 봉사활동 등을 통한 지역사회 나눔활동(~10월7천2백만원)- 저소득층 난방연료 지원을 위한 주택도시업 캠페인(~12월5천만원)- 자매결연 마을 농수산물 구입기증(~12월4천만원)

추진목표

추진 목표는 해당연도 사회공헌 기부금 예산금액(이사회 의결금액)과 연계

기부금액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8620백만원 8879백만원 9145백만원 9419백만원 9702백만원 전년도예산금액103

실행과제

(49)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목적) 도시재생과 유사한 목표비전을 공유하는 사회적경제와 연계한 맞춤형

금융상품 운영 및 관련 지원조직과 다각적 협업 활동 추진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지역주민이 주도하는 도시재생 금융지원으로 국민의 삶의 질 개선

(목적) 주민지역공동체 주도의 마을단위 도시재생으로의 변화에 대응하여

사회적 경제주체 등 지원체계 개선으로 사회적 가치 실현에 기여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추진목표

수요자중심형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510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실행과제

(50)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국민이 참여하는

HUG사업평가단(가칭) 운영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보증업무 전반에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HUG

사업평가단 구성하여 주택품질 제고 및 안심입주 지향

(추진내용)

∙ 국민이 참여하는 보증솔루션팀 및 보증심사 리뷰단을 통해 제도 개선사항 도출

∙ 보증채권자 권익에 미치는 사항 등 국민의견 수렴을 통한 보증이행제도 개선

∙ 전세금보증 이행완료 고객 및 공인중개사 참여를 통한 제도개선 사항 발굴

추진목표 2019년 국민 의견수렴을 통한 전세금보증 제도 개선 등 검토

- 33 -

실행과제(51)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과 협업하여효율적인 전세금보증 이행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이행 업무의 효율성 제고

(추진내용)

∙ 지역사회단체 등과의 협업을 통한 임차인 퇴거확인 추진 검토

- 보증사고 발생 시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 구성원이 임차인 퇴거를

확인하여 담당직원 업무 공백 최소화 (직원 출장비 수준으로 비용 지급)

- 임차인 퇴거 확인 시 해당 주택가격 및 신규 임차인 확보 가능성 검토결과를

보고받아 채권보전조치를 위한 근거 확보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거보호 이행도(전세금보증 이행 15일초과건수전체이행건수)

50 45 41 37 34

- 34 -

Ⅳ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및 적극행정 확산

①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국민참여게시판을 lsquo국민제안(국민rarr기관)rsquo

및 lsquo정책제안(기관rarr국민)rsquo 게시판으로 세분화하여 국민과 기관간

상시 소통기반 마련 경평지적

지적사항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위한 개선방안 마련 필요

(혁신 네트워크 강화) 시민참여혁신단 보증채권권익위원회 전세금

보증 시민참여단 기금홍보협의회 운영 등 주요사업에 기반하여

다양한 대외 전문기관과 네트워크 활성화 경평지적

지적사항 보증 기금등주요사업역량강화를위한전문기관혁신네트워크강화필요

② 적극행정 확산

(적극행정 면책제도 활용) 감사계획 통보 시 적극행정 면책제도

middot사전컨설팅 제도 사전안내 및 면책신청 지원을 위한 상담창구

운영 등 (계획수립 完 감사실-2367호)

(기관장 책임강화) 혁신전략위원회(위원장 사장)를 통해 적극행정

혁신과제에 대한 추진독려 및 이행사항 점검 등 보완사항 지속

발굴 (혁신페스티벌 1middot2차 개최)

(적극행정 우수사례 발굴)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를 통해 조직내

적극행정 분위기 유도 (포상 및 내부성과평가 반영 등)

성과창출에 실패했더라도 기존관행 탈피 새로운 영역개척 국민접점에서

활력을 제고하는 등 lsquo착한실패rsquo lsquo건전한파격rsquo에 대해서도 포상추진 예정

(적극행정 인식확산) 적극행정 사이버교육(법제처 주관) 이수 등

적극행정 인식확산을 위한 교육참여 시 혁신마일리지 부여 (전사 교육 실시 예정)

- 35 -

Ⅴ 혁신 추진도구별 업무일정

구 분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1 2 3 4 5 6 7 8 9 10 11 12

1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2 국민소통 강화

3 혁신페스티벌

4 유관기관 협업

5 혁신채널 구축

6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7 제안제도 정비

8 혁신콘서트

9 혁신교육 및 혁신워크숍

10 혁신레터

11 혁신마일리지 신설

12 혁신BP 발굴 및 포상

피드백

(성과관리) 공공기관 혁신 및 기관 경영혁신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혁신과제 추진실적을 정기적으로 점검 및 피드백

(혁신전파) 조직원 전체의 혁신공감대 형성 및 참여도 제고를 위해

본사부서 및 영업부서 방문 등을 통해 혁신활동 및 우수사례 공유

(혁신내재화) 국민소통채널 혁신마일리지 혁신레터 등 혁신활동이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고 혁신업무에 대해

조직원이 공감하고 회사 모든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

Page 12: 2019년 HUG 혁신 추진계획 - khug.or.kr…„HUG혁신추진계획.pdf · 혁신페스티벌 - (내부 혁신과제 발굴) 조직·인사·제도·서비스혁신 등 회사

- 11 -

17 전세금보증 인터넷가입에 필요한 데이터 자동화 구축 국민

18 사회임대주택 활성화를 위한 조직 혁신 내부

19 상담서비스 고도화를 통한 고객만족도 제고 내부

20 공공정보 연계 통한 서류제출 절차 간소화 내부

- ③ 경제활력 제고 및 일자리 중심 경제 지속 지원 -

21 사업다각화를 통한 고용증대 및 비정규직 ZERO화 중장기

22 주거복지 및 도시재생을 위한 창업공간 금융지원 중장기

23 IT선진화를 통한 민간일자리 창출 중장기

24 공공기관 공동기금 조성을 통한 지역 사회적경제 활성화 중장기

25 상가임차금 안심대출 상품개발 중장기

26 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중장기

- ④ 혁신성장 지원 -

27 비대면 전세금보증을 통한 혁신성장 기반 마련(카카오페이를 통한 가입확대 등) 중장기

28 국민 주거편의 제공을 위한 스마트시티 건설 지원 중장기

29 HUG 빅데이터 운영체계 구축으로 공공데이터 개방 기여 중장기

30 친환경middot신소재 활용으로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제로에너지 건축물 건설자금지원 등) 중장기

31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비대면 가입 활성화 중장기

32 전기자동차 도입을 통한 친환경 에너지 수요 창출 중장기

33 드론 활용을 통한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 중장기

34 드론활용 사업장 안전관리 및 점검체계 구축(시범단지운영) 중장기

35 블록체인을 활용한 안전하고 편리한 인터넷서비스 제공 중장기

36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사업 국민

- ⑤ 공정경제 기반 구축 -

37 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 진입장벽 해소 중장기

38 공정경제를 위한 지역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업자 보호강화 중장기

39 고용위기지역에 대한 금융지원 추진 중장기

- ⑥ 적극행정 확산 등 조직운영 혁신 -

40 근로여건 개선을 통한 휴식 있는 삶 지원 중장기

41위임전결기준 개선을 통한 업무처리 혁신(결재피로감 낮추고 책임ㆍ권한 공백없이 업무는 신속하게 )

내부

42 지출신청 시 영수증 증빙 제출제도 개선 내부

- 12 -

HUG 혁신과제 세부추진 내용

1 사회적 가치중심 기관 운영

(1대 과제) 고유 업무의 공공성 제고 중점

43 PF보증심사 시 월별예정 분양률 분포의 계량화 내부

44 논스톱 고분양가 심사 내부

45 임대리츠 통계 및 사후관리시스템 개선 내부

- ⑦ 투명middot윤리경영 강화 -

46 청렴도 향상을 위한 반부패 활동 강화 중장기

- ⑧ 국민의 참여 확대 및 지역사회 공헌 -

47 혁신도시 맞춤형 지역인재 육성 지원 및 인재채용 투명성 강화 중장기

48 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사회공헌사업 확대 추진 중장기

49 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중장기

50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국민이 참여하는 HUG사업평가단(가칭) 운영 중장기

51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과 협업하여 효율적인 전세금보증 이행 내부

실행과제

(1)전세금보증가입문턱을낮추어서민의전세금 보호 강화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서민의전세보증금을지켜주는최선의안전장치 lsquo전세금보증rsquo 활성화추진

(추진내용)

∙ 보증가입 편의성 제고 및 채널 확대를 통한 전세금보증 활성화

- 모바일 전세금보증 편의성 지속 개선middot확충

- 공인중개사 전세금보증 위탁판매 활성화 등

∙ 사회배려계층 맞춤형 보증제도 개선 등을 통한 공적역할 강화

- 보증가입기간 확대 등 임차인 보호를 위한 전세금보증 지원

- 보증서비스 품질 개선 등을 위한 전문가 의견수렴 등

추진목표

보증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0만호(21조원)

12만호(25조원)

14만호(30조원)

17만호(36조원)

20만호(43조원)

- 13 -

실행과제

(2)

주택도시기금 지원확대로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역할강화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무주택middot실수요 서민주거 안정지원을 위한 대출제도 개선 및 주거복지

로드맵 정책지원을 통한 맞춤형 주거지원으로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마련

(추진내용)

∙ 신혼부부middot청년층 기금대출 지원 확대

- 신혼희망타운 수익공유형 모기지대출 출시

- 신혼부부 기간 확대 (5년 rarr 7년)

- 청년층 청약 가입요건 완화 등 제도 개선 및 운영보완

- 고시원 주거급여 거주자 등에 대해 주거안정월세대출 대상자에 포함

∙ 자산기준 도입 서류간소화 등 기금대출 제도 개선

추진목표

사회취약계층 등 기금지원 (수요자 대출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78조원 78조원 78조원 78조원 78조원

`19~`23 목표는 매년초 국토부 최종안 확정안 국회승인을 거쳐 목표치 확정

실행과제

(3)임대주택 공급지원 확대로 서민 주거복지 증대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사회임대주택 공급 활성화

(목적) 주거약자를 위한 정부 사회임대주택 공급 활성화 정책 지원 및

공사의 공공성 역할 확대

(추진내용)

∙ 사회임대주택 보증 확대를 위한 제도개선 및 공급 활성화를 위한 금융 지원

∙ 사업관련 주체의 유기적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홈페이지 구축

∙ 공급활성화 여건 조성을 위한 사업자 육성 및 홍보 강화 및 유관기관 협업

임대리츠 관리체계 개선 및 공모를 통한 공급확대

(목적)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등 리츠를 통한 임대주택 공급 활성화를

통해 국민 주거복지 증진 도모

(추진내용)

∙ 서민 주거복지 강화를 위한 임대리츠 기금출자 제도 개선

∙ 민간임대사업자 참여 유도를 위한 공모사업 활성화

∙ 임대리츠 공공성 강화를 위한 심사관리 체계 개선 및 기금출자심사 실시

∙ 임대리츠 관련 정부정책 추진 지원을 위한 다각적 홍보 추진

∙ HUG形 민간제안 공모방식 확대로 임대주택 공급 강화

추진목표

사회임대주택 보증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50호 900호 990호 1089호 1197호

리츠를 통한 임대주택 공급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0500호 11550호 12705호 13976호 15373호

HUG 민간제안공모 공고 세대수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rsquo23년

8000세대 8500세대 9000세대 10000세대 10500세대

- 14 -

실행과제

(4)주택도시기금신규상품개발을통한도시재생뉴딜활성화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도시재생뉴딜 맞춤형 금융지원 확대 (목적) 도시재생 사업유형 확대에 대응한 맞춤형 기금지원 상품 개발운용 (추진내용)∙ 소규모 재생사업 및 주택정비 활성화를 위한 금융지원 확대∙ 도시재생 경제조직 활성화를 위한 금융지원 프로그램 도입 도시재생뉴딜 활성화를 위한 기금지원 운용체계 개선 (목적) 명확한 업무기준효율적 수행방안을 확립하여 도시계정 양적질적확대에 대응 및 뉴딜정책 활성화에 기여

(추진내용)∙ 도시재생 금융지원 접수middot심사체계 개편으로 국민불편 해소∙ 도시재생 금융지원 사후관리 체계 확립으로 안정적 기금운용 및 공공성 실현

추진목표

도시재생 금융지원 출융자 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5877억원 11227억원 15014억원 16178억원 16494억원

도시재생 금융지원 심사사업장관리 운용체계 개선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5건 5건 5건 5건 5건

실행과제(5)

제도에서 전산까지 온middot오프라인 안심시스템 구축 담당부서정보운영처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응하는 정보보안체계 구축

(목적) 4차 산업혁명시대 기술(IoT BigData AI 등) 변화에 맞는 선제적인 정보

보안 체계 수립과 능동적인 정보주체의 권리 보장

ㅇ (추진내용)

∙ 선진화 정보보안 체계 구축 컨설팅

주택건설사업장 사회안전망 플랫폼 구축

(목적) 주택관리사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으로 사고로 인한 분양계약자의

입주지연 및 보증사고 위험 등을 사전에 예방하여 국민의 편익 증진

(추진내용)

∙ 사업장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보증사업장 현장점검 규정 개정

- 사업장안전관리강화를위한안전점검업무신설및안전관리우수고객우대제도운영

∙ 드론을 활용한 보증사업장 동영상 촬영 및 제공으로 분양계약자 정보제공 강화

- 현재 앱을 통한 사업장 현장사진 제공을 드론을 이용한 동영상 제공으로 확대하여

분양계약자 정보제공 강화

추진목표

국정원 정보보안 관리실태 점수 행안부 개인정보보호 진단 점수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공공기관평균점수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 5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10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15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20

보증사업장 안전사고로 인한 공사 지연 건수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0건 0건 0건 0건 0건

- 15 -

실행과제(6)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전사 경영전략체계 구축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공공기관의 lsquo공적역할 강화rsquo 및 lsquo사회적 책임실현rsquo이라는 국정기조 변화에 부응

하기위한공사의新경영전략수립

(추진내용)

∙ 고유 업무의 공공성 제고를 위한 사업전략 재수립

- 사회통합형 주거복지 실현을 위한 공적금융 지원 전략 수립

- 소규모 도시재생사업 활성화를 위한 단계별 공사 역할방안 마련

∙ 사회적 가치 기반 전사 기능전략 및 중장기 경영목표 재수립

- 공적역할 확대 및 사회적 책임 구현을 위한 부문별 기능전략 수립

추진목표

사회적가치 기여도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최우수 최우수 최우수 최우수 최우수

청렴도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등급 1등급 1등급 1등급 1등급

실행과제(7)

도시계정의 체계적 관리를 통한 도시재생 활성화 담당부서기금정보처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목적) 노후주거지 주민과 사회적기업 등이 필요로 하는 자금을 적시에 원활히 지원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도시계정 관리 추진

(추진내용)

∙ 연체관리 프로세스 정립을 통한 기금손실예방

- 연체 단계별 업무처리 프로세스 마련을 통한 융자사고방지

- 도시계정 융자원리금 수납기준 마련

- 융자사고관리 방안 마련

∙ 고객신용관리 체계구축을 통한 사고예방 모니터링 확대

- 고객신용관리 모니터링 체계구축을 통한 사고예방관리

- 도시계정 신용정보집중 처리기준 프로세스 마련

- 도시계정 신용정보관리 전산시스템 구축 일반신용정보관리규약에 따른 도시계정 신용정보 파일전송 설계서(전문) 작성

공사 신용정보 집중 시스템과 병합 추진

∙ 도시계정 자금관리 체계정립을 통한 도시재생활성화지원

- 도시계정 예산확대 신규 금융기법적용 등 도시계정 특성을 반영한 회계middot결산

자금관리 업무기준 확립 정형화된 담보가 아닌 수요자사업자 특성을 고려한 맞춤 담보제공 자금투입 공공성 확보를

위한 엄격한 융자조건 부여

- 회계middot결산 자금관리 업무전산화를 통한 효율화 정책지원기능 확대

추진목표 (비계량) 2019년 융자사고예방을 위한 연체관리 자금관리기준 수립 및 개선

- 16 -

실행과제(8)

국민과 함꼐하는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 담당부서보증이행처

준법지원실

추진내용

(목적) 국민참여를 통한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의 수용성 제고 및 주거

복지 실현 위한 공동주택 하자 조기대응ㆍ감축방안 모색

(추진내용)

∙ 하자분쟁 해결체계 관련 국민 공유ㆍ소통 프로그램 운영

- 국민과 함께하는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 계획 수립

- lsquo공동주택 실무강좌rsquo 동행을 통한 하자관련 주요이슈 대국민 공유ㆍ소통- 국민참여 하자정보 공유 4회(서울 인천 수원 의정부) 및 하자실무 법률상담

∙ 국민 참여 확대를 통한 정책 개선 노력

- (lsquo1810) 대국민 의견수렴을 위한 하자분쟁 컨퍼런스 개최

middot 하자분쟁 예방을 위한 관계규정 검토 및 정책 논의

middot 행정청 학계 법조계 및 입주자대표회의 관련 다수 국민 참여

∙ 소규모사업장 청구 전 하자보수보증 사전안내제도(BS Before Service) 실시 검토

소규모사업장 150세대 미만 사업장 중 대위변제가 없는 2년차 하자보수보증 만료6개월 전 사업장

추진목표

대국민 참여도산출근거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참여횟수6회참여인원300명

참여횟수8회참여인원400명

참여만족도85점 이상

정책국민의사반영1회이상

정책국민의사반영1회이상

횟수당50명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점수(관리본부) 목표치산출근거구분 rsquo18년 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등급 A A A A A 목표 A등급 이상

실행과제(9)

민관협력사업으로 주거취약지구 주거환경 개선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목적) 공사의 사회적 가치경영 실행을 위해 새뜰마을(취약지역 개조사업) 주거

여건 개선을 지원하는 민관협업 사회공헌사업 추진

(추진내용)

∙ 중앙부처 공공기관 민간기업 등이 지역 주민과 함께 도시취약지역 내 노후주택에

대한 주거환경개선 열효율화 사업 추진

- 새뜰마을중고령화 노후화등으로사업추진이절실하고 지역사회참여정도등을 고려

하여성과가 가시화될수있는지역선정추진

∙ 주거취약지역 환경개선 관련 민관협업사업 MoU 체결 추진

- 국토교통부 HUG LH KCC AURI 해비타트 등 협약 체결을 통해 집수리 자재 및

전문인력 후원금 지원 추진

∙ 도시취약지역 지원 효과 분석 및 사업추진 매뉴얼 마련

- 지역기초조사 사업전후 효과분석 등 성과관리 새뜰마을 매뉴얼 제작보급

추진목표새뜰마을 지원대상 확대 건수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5건 5건 5건 5건 5건

- 17 -

실행과제(10)

도시재생 맞춤형 스타트업 총괄지원

플랫폼 도입middot운영담당부서

인사처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도시재생과 관련된 스타트업 및 소셜벤처에 대한 종합적 지원

(추진내용)

∙ HUG형 도시재생 뉴딜 창업 프로젝트 추진

- 사회적 경제조직 육성기관(함께일하는재단) 대중투자 전문기관(와디즈)과 협업

- 사회적 경제조직 컨설팅 지원

- 대중투자 연계 통한 일자리 창출 및 사회적 경제 활성화 지원

∙ 스타트업 및 소셜벤처에 대한 사회적 금융 지원

∙ HUG 창업 라운지(스타트업 기업에 공간 공유) 확대 운영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사회적금융지원금액 1억 1억 1억 1억 1억

공간지원스타트업수 6 8 10 12 14

멘토링middot창업캠프개최회수 5 5 5 5 5

실행과제(11)

도시재생 생태계 조성을 위한

종합지원 플랫폼 구축담당부서

기금정보처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종합적인 도시재생정보 공유체계 구축을 통해 기금 지원된 도시재생사

업에 대한 정량적 정보 및 사후지원 청년middot예비창업자 참여를 위한 HUG 정책

지원 정보를 기금포털 내 일괄 제공

(추진내용)

∙ 전국 기금이 활용된 도시재생 사업장 정보 제공(lsquo도시재생 기금지도rsquo 서비스)

- 지도 API 기반의 도시재생 기금지원 사업장 정보조회 서비스

- 전국 분포된 사업장의 위치부터 융자금액까지 상세정보를 편리하게 검색

- 실제 사례와 이용 상품 정보를 함께 제공하여 정보이용자 이해도 제고

∙ 기금 사업장 홍보 지원 및 청년창업 지원 정보 일괄 제공(전용 게시판 신설)

- 사업장 및 보유시설(코워킹시설 임대시설 등) 홍보 위한 전용공간 마련

- 기금지원 사업의 우수사례 정보공유를 통한 벤치마킹 및 정보이용자 관심유도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기금지도 서비스 개시 서비스구축middot개시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우수사례 발굴 건수 8 8 8 8 8

- 18 -

(2대 과제) 포용적 공공서비스 제공 강화

실행과제(12)

분양이행사업장 수분양자 보호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분양대금채권 지연손해금율 하향조정 등 분양계약자 부담완화를

통한 국민 주거안정 기여

(추진내용)

∙ 분양계약자 지연손해금 관련 주택분양보증약관 개정

- 분양계약자의 분양계약서상 지연손해금율이 시행사 구상채권 지연손해금율

보다 높은 사례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공사 내규와 분양계약서상 지연손해

금율 중 낮은 것을 적용하도록 약관 규정 개정 (시행사 동의서 징구)

추진목표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 점수(관리본부)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901 915 933 951 971

실행과제(13)

인터넷보증시스템개선으로전세금보증이용편의성제고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인터넷보증 시스템 개선을 통해 고객의 전세상품 보증서비스

편의성 및 접근성을 강화하여 서민 주거안정성 개선 지원

(추진내용)

∙ 인터넷 보증시스템 재구축 추진(lsquo20~lsquo21)

- (현행) 인터넷 익스플로러 이외의 웹브라우저 미지원

- (재구축) 구 운영체제 지원종료 대비 및 지원 플랫폼(구글 크롬 등) 확대를

위한 시스템 재구축 예정

∙ 모바일 보증시스템 구축 추진(lsquo19)

- (현행) PC 중심의 제한적인 보증가입 서비스 제공

- (비대면 서비스 강화) 모바일 보증시스템 구축 추진

추진목표

비대면 보증가입 점유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0 12 14 16 18

- 19 -

실행과제

(14)주택도시기금대출절차간소화를통한대국민서비스향상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서민실수요자 지원 강화 및 이용자 편의 제고 등을 위한 주택도시

기금 구입전세 대출의 자산심사 도입

(추진내용)

∙ 자산심사기준 도입을 통한 정책자금의 실수요자 집중 지원

∙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구축을 통한 대출절차 간소화

∙ 전담 수행조직 운영 및 수탁은행 역할 재정립 등을 통한 대국민 서비스 제고

추진목표

대출절차 혁신 시스템 운영 체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자산기준 마련기금법령 개정시스템 개발오픈수요자대출상품운영

수요자대출 全상품 시스템 안정화제도개선 및 모니터링

他 기금상품 (주택종합청약저축)도입 검토 및 적용

실행과제

(15)고아원연계 보호종료아동 월세보증금 지원 제도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고아원 보호기간이 종료됨에 따라 주거지원이 필요한 아동에게

주택임차자금 지원 및 보증상품 개발

(추진내용)

∙ 긴급 주거지원이 필요한 아동의 가정에 주택임차자금 지원∙ 고아원 보호종료 아동 대상 전세월세보증금보증 할인 상품 개발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택임차자금지원 세대 수

10 20 성과분석 후 확대 검토

고아원보호종료아동대상상품가입자수

상품개발추진 제도개선 추진

실행과제

(16)HUG 이용고객 편의성 제고를 위한 플랫폼 구축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객과의 소통채널 확대방안의 일환으로 24시간 고객상담 제공

(추진내용)

∙ 단순 문의 SMS 발송

- 위탁은행 신청서류 등 전세보증 관련 간단 정보 문자발송 ARS실시(완료 `195월)

- 업무시간 종료 후에도 단순문의에 대한 SMS문자안내 서비스 추진

∙ 콜센터와 지사 상담이력 공유

- 콜센터 상담시스템과 차세대 시스템을 연계 고객별 상담이력 조회화면 구축

∙ 보이는 ARS 서비스 도입

- 기존의 음성 서비스와 함께 스마트폰을 통해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바로

연결하고 직접 통화하지 않아도 간편문의를 처리할 수 있는 보이는 ARS 실시

추진목표 2019년 챗봇서비스 DB구축 검토 2020년 챗봇 서비스 도입 검토

- 20 -

실행과제

(17)전세금보증 인터넷가입에 필요한 데이터 자동화 구축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가입을 간편하게 하여 정보사각지대에 있는 고객의

보증 가입 편의성 강화

(추진내용)

∙ 주택가격정보middot등기부등본 데이터 자동입력 시스템 마련

- KB시세 한국감정원 국세청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와의 협약 통한 시스템 연계

- 직접협약 외에도 부동산 권리변동정보 제공기관을 통한 중계서비스 도입 검토

∙ 인터넷보증시스템 전세금보증 신청절차 개선

- 전자연계 가능한 서류의 데이터 자동입력 프로세스 개발

- 보증심사시 담당자가 전자 원본 서류를 확인할 수 있는 화면 개발

추진목표

데이터 입력시스템 구축 및 운용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연계방안검토

협약체결 전산연계 운영 및 보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18)

사회임대주택 활성화를 위한 조직 혁신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사회임대주택 금융지원제도 담당부서 일원화로 속도감 있는 제도개선 등

사회임대주택 활성화 지원

(추진내용)

∙ 기획조정실 사회임대주택 총괄부서 지정을 위한 조직개편 추진

- 현행 사회임대PF보증(금융기획실) 토지임대middot기금출융자(도시재생기획처 기금지원처)

- 개선 도시재생기획처로 일원화하여 사회임대주택 복합금융 지원업무 총괄

한 부서에서 기금 출middot융자 보증지원까지 원스톱 상담으로 고객 만족도 제고

추진목표 2019년 조직개편 완료

실행과제

(19)상담서비스 고도화를 통한 고객만족도 제고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객상담데이터 체계적 관리middot활용을 통한 대국민 서비스 질적 향상

(추진내용)

∙ 차세대(전산)업무시스템 및 콜센터 시스템을 연계하여 상담이력 공유- 콜센터 외에도 지사 직원의 고객상담이력을 저장할 수 있도록 차세대시스템 내화면 구축 콜센터의 상담이력 역시 차세대 시스템에 저장 및 관리

∙ 보이는 ARS서비스 실시 및 단순문의안내 SMS 발송 서비스 실시middot활성화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콜센터전산시스템연계

시스템구축

시스템개발완료및 운용

시스템운용

시스템운용

시스템운용

신규 서비스출시

보이는ARS검토

보이는ARS출시

보이는ARS운용

보이는ARS운용

보이는ARS운용

- 21 -

2 혁신적 포용국가 선도

(3대 과제) 경제활력 제고 및 일자리 중심 경제 선도 중점

실행과제

(20)공공정보 연계 통한 서류제출 절차 간소화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필요한 서류를 간소화함으로써 대국민서비스 질 제고 (추진내용)∙ 필요한 서류 등을 공사 전산으로 조회 가능한 시스템 구축∙ 기금대출절차 혁신 시스템과 연계

추진목표 ∙ (비계량) 필요서류 전산조회 시스템 구축

실행과제

(21)사업다각화를 통한 고용증대 및 비정규직 ZERO화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서민 주거복지 도시재생 활성화 지원 등을 위한 기관 자체의 적극적인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공기업 서비스 제고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증원 및 채용 확대- 신사업 발굴 및 자율정원제를 통한 적극적인 증원-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청년 및 지역 인재 채용∙ 사회 양극화 해소를 위한 비정규직 ZERO화- 노사 공감대에 기반한 정당한 절차를 통한 전환 추진 및 전환근로자 처우 개선 노력

추진목표정원 비정규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766명 0명 903명 0명 995명 0명 1033명 0명 1062명 0명

실행과제

(22)

주거복지 및 도시재생을 위한

도시재생 창업공간 금융지원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도시재생 금융상품을 통한 창업지원 (목적) 창업과 관련한 도시재생 금융상품을 통해 민간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창업 관련 수요자 중심형 기금융자 및 보증상품 개발 운용- 코워킹시설조성 상가리모델링 공공임대상가 등 기금융자 지원

도시재생뉴딜 금융지원을 위한 사회적 금융 연계 지원 (목적) 도시재생분야법인단체창업관련크라우드펀딩 및 창업지원 컨설팅 추진 (추진내용)∙ 도시재생분야에대중투자연계일자리창출및지역주도사회적경제활성화지원- 뉴딜로 도시재생 크라우드펀딩 대회 개최 등∙ 도시재생 창업단체에 대한 지원을 위해 HUG형 민간일자리 창출 프로젝트 추진- HUG와 함께하는 도시재생 뉴딜 창업프로젝트 추진 및 사회적 경제조직 활성화

추진목표창업지원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510억원 1548억 1548억 1548억 1548억

- 22 -

실행과제

(23)IT선진화를 통한 민간일자리 창출 담당부서

기금정보처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고유목적사업인 주택보증 주택도시기금 및 도시재생분야의 IT 시스템

구축 및 개선을 통한 민간 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 주택도시기금 정보시스템 통합 유지보수

- (추진기간) 유지보수 사업의 특성으로 매년 발생

- (일자리창출) 2019년(8명) 2020년 sim 2023년(매년 16명)

∙ 도시재생 금융지원 전산시스템 구축

- 도시재생융자등원활한도시계정업무를뒷받침하기위한온라인금융지원시스템구축

- 추진기간 2018년~2019년 투입금액 및 인력 51억원 41명

∙ 주택도시기금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구축

- 주택도시기금 대출절차 편의 제고 및 절차 간소화 시스템 구축

- 추진기간 2018년~2019년 투입금액및인력 컨설팅용역43억원 12명 전산용역74억원52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기금업무 운영 유지보수 8 16 16 16 16

도시재생 융자시스템 41 - - - -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64 - - - -

합 계 177

실행과제

(24)

공공기관 공동기금 조성을 통한

지역 사회적경제 활성화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이전지역 기관간 협업을 통한 사회적경제 활성화로 지속가능한 일자리

제공 지역경제 활성화 추진

(추진내용)

∙ 부산 사회적경제 지원기금(BEF) 지원을 통한 사회적기업 육성 및 지원

- Pilot Program (크라우드펀딩) 20개소 창업단계 재정지원 5개소 Start-up 재정지원

15개소 Scale-up(성정기 기업) 대출지원 5개소 BEF 경영컨설팅 50회 BEF

사회적기업 연구가 인재육성 실시 2회 BEF 판로지원 5개소 등

추진목표

기금지원 (자체 공동)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억원(10억원)

1억원(10억원)

1억원(10억원)

1억원(125억원)

-

- 23 -

(4대 과제) 혁신성장 지원

실행과제

(25)상가임차금 안심대출 상품개발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도시재생지역 내 상가임차인 보호를 위한 상가임차금안심대출 개발

(추진내용)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법령 개정 검토

-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등 관련 법령 개정안 검토

- 법령 개정안 정부 건의 (우선변제권 승계기관 포함)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시장분석 및 조사(`20)

- 상가임차보증금 시장분석 및 보증이용 수요조사

- 보증료율 검토 및 리스크 분석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출시(`21)

- 사규개정 및 법령개정 완료

추진목표

상가임차보증금 상품 출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내부검토 법령개정 시장분석 상품출시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26)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사고 위기사업장과 보증실적의 증가로 사전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및 정기 점검활동 강화 및 핵심업무 역량집중 강화

(추진내용)

∙ 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 현장점검 대상사업장을 파악하여 외주용역을 통한 점검 추진 검토

추진목표 ∙ 2019년도 현장점검 외주화

실행과제

(27)

비대면 전세금보증을 통한 혁신성장 기반 마련

(카카오페이를 통한 가입확대 등)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모바일 전세금보증

스마트폰을이용해언제 어디서든쉽게보증을신청할수있도록모바일가입채널마련

∙ (모바일 인터페이스) 인터넷 전세금보증 프로세스를 모바일웹에 최적화하여 로그인

부터 보증가입 승인까지 전 프로세스 지원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위탁은행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증가입 프로세스 개선

(현행) 임차인이 선순위 채권 등 보증가입정보를 입력

(개선) 임차인은개인정보및계약정보만입력하고세부심사에필요한정보는심사자가입력

모바일 안심대출보증

위탁은행 비대면 전세금 안심대출 상품 개발

추진목표 2019년 전세금보증의 완전한 모바일 가입체계 구축

- 24 -

실행과제

(28)국민 주거편의 제공을 위한 스마트시티 건설 지원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목적) 핵심 국정과제인 스마트시티 분야의 금융지원 플랫폼으로서 주택도시기금지원 기반 모색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검토 및 금융상품 초안 마련

(추진내용)

∙ 민간사업자 의견 수렴 및 스마트시티 기금 금융지원 상품 초안 마련 -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및 주요 요소기술산업 등 동향 파악- 민간사업자 의견수렴을 바탕으로 실질적 금융지원이 가능한 상품 개발 추진∙ 주택도시기금법 개정안 마련 및 정부 건의∙ 스마트시티 건설사업장에 대한 보증료 할인 또는 보증심사 가점부여∙ 스마트시티 건설 신공법 소개 및 성공사례 공유

추진목표금융지원 확대 건수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건 1건 2건 3건 3건

실행과제

(29)HUG 빅데이터운영체계구축으로공공데이터개방기여 담당부서

주택도시

금융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기관 내middot외부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주택middot도시middot금융 분야의 환경 변화를진단함으로서 4차산업 혁명시대 도래에 따른 선제적인 대응 체계 마련

(추진내용)

∙ (1단계) HUG 빅데이터 기반 주택시장 분석 인프라 설계 및 로드맵 수립∙ (2단계) HUG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구축 및 모델 개발∙ 수요자(국민middot정부middot공사)별 빅데이터 활용 영역 확대 및 분석 기능 고도화

추진목표공공데이터 외부개방(제공) 건수 (오픈API포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38건 42건 46건 51건 56건

실행과제

(30)

친환경middot신소재 활용으로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

(제로에너지 건축물 건설자금지원 등)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주택건설사업장에 친환경middot신소재 사용을 유도함으로써 환경 친화적 주택건설과 에너지신산업 판로지원

(추진내용)

∙ 친환경 제품 및 에너지 신소재 제품사용 주택건설사업장에 보증심사 가점부여(완료)- (`1812) 녹색건축물인증등급부여고객보증심사시초기예상분양율 5〜1점가점부여

∙ (추진) 신소재 적용 주택건설사업장 확대를 위해 보증심사시 가점부여

- SOC 공공기관 통합기술마켓과 연계한 보증우대 방안 마련 중소기업이 보유한 SOC 공공기관 관련 혁신기술의 공모middot연구개발 제안 및 검증을

통해 상품화 및 홍보middot판매를 지원하는 플랫폼

추진목표

친환경적 주택건설 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

- 25 -

실행과제

(31)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비대면 가입 활성화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9개 수탁은행에 온라인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 독려

연령 무주택세대주 소득증빙 등 가입 시 제출서류가 많아 비대면 시스템 구축 시

지점방문 없이 간편하게 가입 가능

신한은행 최초로 완전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821)

비대면 가입 주택도시기금포털에 안내 및 홍보

비대면 가입 시스템 기금포털 홍보 게시하여 수탁은행 시스템 개발 독려

추진목표 목표비대면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전체 가입의 6 전체 가입의 12

실행과제

(32)전기자동차 도입을 통한 친환경 에너지 수요 창출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업무용 차량의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ㅇ 2018년 임차기간 만료예정인 업무용 차량을 전기자동차로 대체

ㅇ 추후 본사 및 영업부서 업무용 차량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추진목표 2019년 중 전기자동차 1대 충전소 1개소 설치실행과제

(33)드론 활용을 통한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기술middot제품에 대한 선제적 구매 및 테스트와 고유사업에 활용

으로 민간 초기시장 조성을 견인

(추진내용)

∙ 보증이행사업장 드론 안전점검 시범실시

- (`1812) 예산 미편성으로 1개 사업장 드론촬영 시범실시 및 효용성 검토

∙ 보유중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에 드론 활용 확대

- (`196) 전문엔지니어링 업체 발굴로 일자리 창출 및 보유 사업장 전체(2개)에

드론 활용 안전점검 실시 rArr 위험요소 발굴로 관할센터에 사고예방을 위한

안전조치 권고문서 시행

추진목표

안전사고 발생비율(발생건수보유사업장)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0 0 0 0 0 안전사고발생 ZERO무사고 달성

실행과제

(34)드론활용사업장안전관리및점검체계구축(시범단지운영)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HUG형 혁신 사업장 안전관리 및 점검체계 구축

ㅇ 드론 활용 사업장 안전 및 점검체계 구축

ㅇ 시범단지 선정 및 운용 세부계획 검토

∙ 드론 등 기술혁신 도구관련 관련 업체 및 유관기관 협의

∙ 사업장-영업부서-본사부서 협업체계 및 활용방안(HUG-i 게시) 등

추진목표안전사고로 인한 분양보증사고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0 0 0 0 0

- 26 -

실행과제

(35)블록체인을 활용한 안전하고 편리한 인터넷서비스 제공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정부주도의 공인인증서 폐지정책(전자서명법 전부개정 예고)에 따라 전자

서명에 대한 인터넷 사용자 대체 인증수단 개발

(추진내용)

∙ 블록체인 기반의 본인인증 서비스 (카카오페이 인증 서비스) 도입

- 인터넷보증시스템에서보증료영수증및보증서출력시카카오인증을이용한전자문서

유통증명서비스제공

∙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대국민서비스 확대

- 전자서명법개정에따른블록체인기반의전자서명서비스도입

- 온라인 등기우편(연체정보 등 전자우편을 본인인증 후 열람) 일괄발송 발송내역 조회

및유통증명서발급시스템구축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블록체인기반본인인증서비스시범도입

블록체인기술을이용한

대국민서비스확대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실행과제

(36)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사업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환경보호라는 공공성을 위하여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건물

보증에 대해 유인책 마련 필요

(추진내용)

∙ 제로에너지 건축물에 대한 대출한도 상향 조정

∙ 건축 관련학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해 친환경 건축물에 대한 관심 제고

- HUG 오픈캠퍼스 추진 시 건축 관련학과(건축공학과 건축디자인과 등) 학생에게 교육

추진및공사인턴체험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제로에너지 건축물지원 제도

규정신설 -

HUG오픈캠퍼스 수료학생수 (건축 관련 학과 포함)

100 110 121 133 146

- 27 -

(5대 과제) 공정경제 기반 구축 중점

실행과제

(37)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 진입장벽 해소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물품구매 대금결제 등에 중소기업 창업기업 등에 대한 계약규제 완화를

통해 공정경제 기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함

(추진내용)

∙ 신규 창업middot중소기업에 대한 진입장벽 완화

- 소규모 물품middot용역 입찰(고시금액 21억원 미만) 참여시 상대적으로불리한신규창업 및

중소기업에대한실적제한폐지

- 다만 부득이용역의성격상실적평가가필요한경우창업기업실적인정기간연장

(현행 3년 rarr 7년)을 통한 부담 완화

∙ 지체상금 부담경감 (현행의 12수준) 을 통한 상생협력 강화

∙ 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에 대한 용역대금 선급금지급률 확대

추진목표

중소기업 등 협력업체 계약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779 790 80 81 -

실행과제

(38)

공정경제를 위한 지역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업자 보호강화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건설사업장 인근지역 중소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대금의 현금

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한 하도급업자 보호 강화

(추진내용)

∙ 지역 중소 건설업체들에게 동일한 기회제공 및 공정한 경쟁 유도

- 건설사업장에서 지역건설업체와 하도급계약 체결 시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 할인 추진

∙ 협력업체 하도금대금의 현금지급 확대

- 하도급대금을 현금으로 지급할 경우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를 할인

하여 협력업체 및 근로자들의 보호를 강화하고 시장에서의 우위 선점

추진목표

지역 하도급업체 계약체결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규정개정 30 40 50 60

하도급대금의 현금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해 하도급업자 보호

- 28 -

3 국민신뢰 회복

(6대 과제) 적극행정 확산 등 조직운영 혁신

실행과제

(39)고용위기지역에 대한 금융지원 추진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용위기지역에 대한 지원강화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추진내용)

∙ 고용위기지역 내 임대주택 건립시 보증료 할인 추진(완료)

- 고용위기지역및고용재난지역소재임대보증금보증사업장보증료 10인하( 1812)

∙ 고용위기지역 내 임차인이 전세금보증 이용시 보증료 할인 검토

- 전세보증금반환보증(전세금보장) 전세안심대출(전세금대출지원)

보증이용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임차주택으로 변경시 보증료 할인 검토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보유한 주택건설사업자가 입주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임차

주택으로변경하여전세금보증가입신청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추진목표

고용위기지역 금융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마련 및 운영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40)근로여건 개선을 통한 휴식 있는 삶 지원 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일ㆍ가정 양립에 대한 법적ㆍ사회적 요구 증대됨에 따라 장시간 근로문화를 타파하고 휴식 있는 삶을 지원하여 일ㆍ생활의 균형 실현

(추진내용)

∙ 장시간 근로문화 타파- 직원니즈를반영한공사맞춤형복무제도수립및운영- PC-OFF 강화 (주2회rarr매일)- 퇴근장려캠페인 (인사안하고퇴근하기 관리자솔선수범퇴근)∙ 휴식 있는 삶 지원- 가족친화제도지속개발 (일가양득프로그램운영)- 연차휴가및남성육아휴직이용률향상을위한제도개선- 시간단위연차사용을통한휴가사용활성화- 임신직원보호를위한모성보호절차도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인당 연차사용일 1426일 1497일 1572일 1651일 1733일남성육아휴직인원 331 348 365 383 402

- 29 -

실행과제

(41)

위임전결기준 개선을 통한 업무처리 혁신

(결재피로감 낮추고 책임middot권한 공백없이 업무는 신속하게)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결재절차를 단순화함으로써 신속한 업무처리 및 고객만족도 제고

(추진내용)

∙보증위탁업무전결권세분화

- 위임전결규정안마련및규정개정절차진행(5월)

보증업무 위탁外 융자수탁업무 관련 전결권 개정도 함께 추진

∙대외업무협약체결전결권세분화

- 사안의중요성및영향도등고려중장기적으로면밀한검토필요

추진목표

결재절차 단순화

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rsquo23년보증및융자수탁업무위임전결규정개정

제도 보완

실행과제

(42)지출신청 시 영수증 증빙 제출제도 개선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지출신청시 불필요한 원본구비 제도 개선을 통한 업무효율화 달성

(추진내용)

∙ 공사 지출의 42 비중을 차지하는 5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 원본 제출 제외

- 지출액 50만원 이하 법인카드 및 전자세금계산서 지출 건 원본구비 예외 조항 신설

- 확인이 필요한 간이계산서 등은 원본징구하여 지출사고 가능성 예방

- 제도 정착 전 3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에 대하여 원본 제출 제외(시범운영)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내부

규정개정 및시범운영

제도개선 지속 추진

실행과제(43)

PF보증심사 시 월별예정 분양률 분포의 계량화 담당부서금융기획실심사평가처주택도시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민간아파트 초기분양률 데이터를 활용한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

(추진내용)

∙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를 통한 심사 객관성 확보

- 월별예정분양률 관련 명확한 지침 산정으로 신청업체 및 심사자의 주관 배제

- 국가승인통계인 민간아파트초기분양률 동향 데이터를 활용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

∙ 초기분양률 동향 분석(주택도시금융연구원 협업 4월sim10월)

- 연구원과 협업을 통해 초기분양률 데이터 분석 및 관리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건의(11월)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관할 부서(금융기획실)로 세칙 개정 건의

추진목표2019년도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예상분양률 분포기준 마련 초기분양률 데이터 관리체계 구축

- 30 -

(7대 과제) 윤리경영 강화

실행과제

(46)청렴도 향상을 위한 반부패 활동 강화 담당부서 준법지원실

추진내용

윤리경영 추진조직 강화

기관장 주도의 윤리경영 고위직 협의체 구축 내부 자문기구「청렴자문위

원회」운영 강화 및 임원의 윤리자가진단 현황 정보공개

반부패middot청렴 대외 활동 활성화

부산 이전 공공기관 청렴 협의체「청렴 클러스터」활동 강화

「부산투명사회실천 민middot관 네트워크」가입middot활동 실시

「유엔글로벌콤팩트(UNGC)」활동으로 글로벌 윤리역량 강화

실행과제

(44)논스톱 고분양가 심사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공사 PF보증 사업장에 대한 고분양가 심사기준 개선을 통한 사업

안정성 제고 및 고객신뢰성 확보

(추진내용)

∙ 「고분양가사업장심사규정」개정 추진(5월~6월)

- 고분양가 관리지역 내에서 공사 PF보증 발급예정사업장의 고분양가 심사기준(비교

사업장 선정 및 분양가격 산출 등)의 적용을lsquoPF보증 본점 승인시점rsquo으로 명확히 함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고분양가심사규정개정

사업안정성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 추진

실행과제

(45)임대리츠 통계 및 사후관리시스템 개선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목적) 자리츠 사후관리 주관기관(모리츠 AMC인 LH) 및 감독관리기관

(HUG) 간의 업무분장에 따라 사후관리 데이터 품질 저하 등 발생

rArr 기관간 협업체계 개선 관련 시스템 개발 등을 통한 사후관리 관련 데이터품질 향상 및 대정부 정보전달 적시성 확보

(추진내용)

∙ 리츠 기금출자내용 변경시 임대리츠 이력관리 등이 가능하게 하는 통계시스템 개발

∙ 분기별 사후관리보고 제출기한 마련 검토

∙ 임대리츠 통계관리 업무체계 내실화를 위한 기관간 협업 수행

추진목표

임대리츠 사후관리 구조 개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전산시스템개발 및시스템 구축

임대리츠사후관리

체계개선 수행

시스템 운용및 개선사항도출

기관간 협업수행(데이터관

리)

임대리츠통합데이터관리 수행

- 31 -

(8대 과제) 국민의 참여협력 확대 및 지역사회 공헌

실행과제

(47)

혁신도시 맞춤형 지역인재 육성 지원 및

인재채용 투명성 강화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도시 지원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증대에 따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한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

(추진내용)

∙ 市-지역대학간 협업으로 지역인재 육성 교육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 외부 면접위원 확대 및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인사 절차의 공정성 강화

∙ 사회형평적 채용실시와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을 통한 불합리한 차별 해소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지역채용 21 24 27 30 33지역인재육성 총 교육시간(교육인원times교육시간 시간) 3000 4500 4500 4500 4500

지역인재육성교육만족도(점수) 944 949 954 959 964

실행과제

(48)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사회공헌사업 확대 추진 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정부의 lsquo사회적 가치 실현rsquo을 정책에 따라 사회적 경제 및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사회공헌 필요성 증가

(추진내용)

∙ 안전한 주거환경 제공

- 무주택 국가유공자 및 저소득층 임차자금 170세대 지원(~8월10억원)- HUG 셰어하우스 3호 신촌점 완공 청년 24명 입주 완료(~10월2억원)- 저소득층 노후주택 및 소규모 사회복지시설 127세대 개보수(~10월8억원)- HUG STREET 잘사는 골목길 등 환경개선사업 대상지 선정 완료(~10월1억1천만원)

∙ 지역사회와 상생

- 노후 슬레이트 지붕개량 및 태양광 지원 사업 4자 협약(~8월3억원) HUG-부산시-한국사회복지협의회-부산도시재생지원센터

- HOPE with HUG 10호 11호 완공(~9월1억5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지역건설사-지역건축전문가 협업을 통한 주거개선사업

- 부산 송상현 광장 내 도시놀이터 프로젝트 완료(~9월7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부산시설공단 협업을 통한 문화middot휴식공간 조성

청렴 모니터링 다각화

청렴의식 환기를 위한 「자가점검 프로그램」실시

「청렴 옴부즈만」운영

개선 아이디어 발굴을 위한 「신입사원 生生 모니터링」

추진목표

종합청렴도 결과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3등급 2등급 1등급 1등급 1둥급

- 32 -

∙ 균등한 기회와 사회통합

- 중학생 자유학기제 지원 프로그램 운영(9월~4천만원)- 저소득층 청소년 20명ndash대학생 20명 매칭 등(6월~5천만원)- lsquoKBS 동행rsquo에 출연하는 저소득 가정 50세대 지원(7월~1억원)- 발달장애 청년 재능개발 프로젝트lsquo눈부신하루rsquo추진(6월~3천만원)- 신입사원 봉사활동 등을 통한 지역사회 나눔활동(~10월7천2백만원)- 저소득층 난방연료 지원을 위한 주택도시업 캠페인(~12월5천만원)- 자매결연 마을 농수산물 구입기증(~12월4천만원)

추진목표

추진 목표는 해당연도 사회공헌 기부금 예산금액(이사회 의결금액)과 연계

기부금액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8620백만원 8879백만원 9145백만원 9419백만원 9702백만원 전년도예산금액103

실행과제

(49)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목적) 도시재생과 유사한 목표비전을 공유하는 사회적경제와 연계한 맞춤형

금융상품 운영 및 관련 지원조직과 다각적 협업 활동 추진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지역주민이 주도하는 도시재생 금융지원으로 국민의 삶의 질 개선

(목적) 주민지역공동체 주도의 마을단위 도시재생으로의 변화에 대응하여

사회적 경제주체 등 지원체계 개선으로 사회적 가치 실현에 기여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추진목표

수요자중심형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510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실행과제

(50)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국민이 참여하는

HUG사업평가단(가칭) 운영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보증업무 전반에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HUG

사업평가단 구성하여 주택품질 제고 및 안심입주 지향

(추진내용)

∙ 국민이 참여하는 보증솔루션팀 및 보증심사 리뷰단을 통해 제도 개선사항 도출

∙ 보증채권자 권익에 미치는 사항 등 국민의견 수렴을 통한 보증이행제도 개선

∙ 전세금보증 이행완료 고객 및 공인중개사 참여를 통한 제도개선 사항 발굴

추진목표 2019년 국민 의견수렴을 통한 전세금보증 제도 개선 등 검토

- 33 -

실행과제(51)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과 협업하여효율적인 전세금보증 이행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이행 업무의 효율성 제고

(추진내용)

∙ 지역사회단체 등과의 협업을 통한 임차인 퇴거확인 추진 검토

- 보증사고 발생 시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 구성원이 임차인 퇴거를

확인하여 담당직원 업무 공백 최소화 (직원 출장비 수준으로 비용 지급)

- 임차인 퇴거 확인 시 해당 주택가격 및 신규 임차인 확보 가능성 검토결과를

보고받아 채권보전조치를 위한 근거 확보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거보호 이행도(전세금보증 이행 15일초과건수전체이행건수)

50 45 41 37 34

- 34 -

Ⅳ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및 적극행정 확산

①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국민참여게시판을 lsquo국민제안(국민rarr기관)rsquo

및 lsquo정책제안(기관rarr국민)rsquo 게시판으로 세분화하여 국민과 기관간

상시 소통기반 마련 경평지적

지적사항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위한 개선방안 마련 필요

(혁신 네트워크 강화) 시민참여혁신단 보증채권권익위원회 전세금

보증 시민참여단 기금홍보협의회 운영 등 주요사업에 기반하여

다양한 대외 전문기관과 네트워크 활성화 경평지적

지적사항 보증 기금등주요사업역량강화를위한전문기관혁신네트워크강화필요

② 적극행정 확산

(적극행정 면책제도 활용) 감사계획 통보 시 적극행정 면책제도

middot사전컨설팅 제도 사전안내 및 면책신청 지원을 위한 상담창구

운영 등 (계획수립 完 감사실-2367호)

(기관장 책임강화) 혁신전략위원회(위원장 사장)를 통해 적극행정

혁신과제에 대한 추진독려 및 이행사항 점검 등 보완사항 지속

발굴 (혁신페스티벌 1middot2차 개최)

(적극행정 우수사례 발굴)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를 통해 조직내

적극행정 분위기 유도 (포상 및 내부성과평가 반영 등)

성과창출에 실패했더라도 기존관행 탈피 새로운 영역개척 국민접점에서

활력을 제고하는 등 lsquo착한실패rsquo lsquo건전한파격rsquo에 대해서도 포상추진 예정

(적극행정 인식확산) 적극행정 사이버교육(법제처 주관) 이수 등

적극행정 인식확산을 위한 교육참여 시 혁신마일리지 부여 (전사 교육 실시 예정)

- 35 -

Ⅴ 혁신 추진도구별 업무일정

구 분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1 2 3 4 5 6 7 8 9 10 11 12

1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2 국민소통 강화

3 혁신페스티벌

4 유관기관 협업

5 혁신채널 구축

6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7 제안제도 정비

8 혁신콘서트

9 혁신교육 및 혁신워크숍

10 혁신레터

11 혁신마일리지 신설

12 혁신BP 발굴 및 포상

피드백

(성과관리) 공공기관 혁신 및 기관 경영혁신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혁신과제 추진실적을 정기적으로 점검 및 피드백

(혁신전파) 조직원 전체의 혁신공감대 형성 및 참여도 제고를 위해

본사부서 및 영업부서 방문 등을 통해 혁신활동 및 우수사례 공유

(혁신내재화) 국민소통채널 혁신마일리지 혁신레터 등 혁신활동이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고 혁신업무에 대해

조직원이 공감하고 회사 모든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

Page 13: 2019년 HUG 혁신 추진계획 - khug.or.kr…„HUG혁신추진계획.pdf · 혁신페스티벌 - (내부 혁신과제 발굴) 조직·인사·제도·서비스혁신 등 회사

- 12 -

HUG 혁신과제 세부추진 내용

1 사회적 가치중심 기관 운영

(1대 과제) 고유 업무의 공공성 제고 중점

43 PF보증심사 시 월별예정 분양률 분포의 계량화 내부

44 논스톱 고분양가 심사 내부

45 임대리츠 통계 및 사후관리시스템 개선 내부

- ⑦ 투명middot윤리경영 강화 -

46 청렴도 향상을 위한 반부패 활동 강화 중장기

- ⑧ 국민의 참여 확대 및 지역사회 공헌 -

47 혁신도시 맞춤형 지역인재 육성 지원 및 인재채용 투명성 강화 중장기

48 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사회공헌사업 확대 추진 중장기

49 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중장기

50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국민이 참여하는 HUG사업평가단(가칭) 운영 중장기

51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과 협업하여 효율적인 전세금보증 이행 내부

실행과제

(1)전세금보증가입문턱을낮추어서민의전세금 보호 강화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서민의전세보증금을지켜주는최선의안전장치 lsquo전세금보증rsquo 활성화추진

(추진내용)

∙ 보증가입 편의성 제고 및 채널 확대를 통한 전세금보증 활성화

- 모바일 전세금보증 편의성 지속 개선middot확충

- 공인중개사 전세금보증 위탁판매 활성화 등

∙ 사회배려계층 맞춤형 보증제도 개선 등을 통한 공적역할 강화

- 보증가입기간 확대 등 임차인 보호를 위한 전세금보증 지원

- 보증서비스 품질 개선 등을 위한 전문가 의견수렴 등

추진목표

보증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0만호(21조원)

12만호(25조원)

14만호(30조원)

17만호(36조원)

20만호(43조원)

- 13 -

실행과제

(2)

주택도시기금 지원확대로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역할강화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무주택middot실수요 서민주거 안정지원을 위한 대출제도 개선 및 주거복지

로드맵 정책지원을 통한 맞춤형 주거지원으로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마련

(추진내용)

∙ 신혼부부middot청년층 기금대출 지원 확대

- 신혼희망타운 수익공유형 모기지대출 출시

- 신혼부부 기간 확대 (5년 rarr 7년)

- 청년층 청약 가입요건 완화 등 제도 개선 및 운영보완

- 고시원 주거급여 거주자 등에 대해 주거안정월세대출 대상자에 포함

∙ 자산기준 도입 서류간소화 등 기금대출 제도 개선

추진목표

사회취약계층 등 기금지원 (수요자 대출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78조원 78조원 78조원 78조원 78조원

`19~`23 목표는 매년초 국토부 최종안 확정안 국회승인을 거쳐 목표치 확정

실행과제

(3)임대주택 공급지원 확대로 서민 주거복지 증대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사회임대주택 공급 활성화

(목적) 주거약자를 위한 정부 사회임대주택 공급 활성화 정책 지원 및

공사의 공공성 역할 확대

(추진내용)

∙ 사회임대주택 보증 확대를 위한 제도개선 및 공급 활성화를 위한 금융 지원

∙ 사업관련 주체의 유기적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홈페이지 구축

∙ 공급활성화 여건 조성을 위한 사업자 육성 및 홍보 강화 및 유관기관 협업

임대리츠 관리체계 개선 및 공모를 통한 공급확대

(목적)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등 리츠를 통한 임대주택 공급 활성화를

통해 국민 주거복지 증진 도모

(추진내용)

∙ 서민 주거복지 강화를 위한 임대리츠 기금출자 제도 개선

∙ 민간임대사업자 참여 유도를 위한 공모사업 활성화

∙ 임대리츠 공공성 강화를 위한 심사관리 체계 개선 및 기금출자심사 실시

∙ 임대리츠 관련 정부정책 추진 지원을 위한 다각적 홍보 추진

∙ HUG形 민간제안 공모방식 확대로 임대주택 공급 강화

추진목표

사회임대주택 보증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50호 900호 990호 1089호 1197호

리츠를 통한 임대주택 공급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0500호 11550호 12705호 13976호 15373호

HUG 민간제안공모 공고 세대수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rsquo23년

8000세대 8500세대 9000세대 10000세대 10500세대

- 14 -

실행과제

(4)주택도시기금신규상품개발을통한도시재생뉴딜활성화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도시재생뉴딜 맞춤형 금융지원 확대 (목적) 도시재생 사업유형 확대에 대응한 맞춤형 기금지원 상품 개발운용 (추진내용)∙ 소규모 재생사업 및 주택정비 활성화를 위한 금융지원 확대∙ 도시재생 경제조직 활성화를 위한 금융지원 프로그램 도입 도시재생뉴딜 활성화를 위한 기금지원 운용체계 개선 (목적) 명확한 업무기준효율적 수행방안을 확립하여 도시계정 양적질적확대에 대응 및 뉴딜정책 활성화에 기여

(추진내용)∙ 도시재생 금융지원 접수middot심사체계 개편으로 국민불편 해소∙ 도시재생 금융지원 사후관리 체계 확립으로 안정적 기금운용 및 공공성 실현

추진목표

도시재생 금융지원 출융자 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5877억원 11227억원 15014억원 16178억원 16494억원

도시재생 금융지원 심사사업장관리 운용체계 개선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5건 5건 5건 5건 5건

실행과제(5)

제도에서 전산까지 온middot오프라인 안심시스템 구축 담당부서정보운영처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응하는 정보보안체계 구축

(목적) 4차 산업혁명시대 기술(IoT BigData AI 등) 변화에 맞는 선제적인 정보

보안 체계 수립과 능동적인 정보주체의 권리 보장

ㅇ (추진내용)

∙ 선진화 정보보안 체계 구축 컨설팅

주택건설사업장 사회안전망 플랫폼 구축

(목적) 주택관리사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으로 사고로 인한 분양계약자의

입주지연 및 보증사고 위험 등을 사전에 예방하여 국민의 편익 증진

(추진내용)

∙ 사업장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보증사업장 현장점검 규정 개정

- 사업장안전관리강화를위한안전점검업무신설및안전관리우수고객우대제도운영

∙ 드론을 활용한 보증사업장 동영상 촬영 및 제공으로 분양계약자 정보제공 강화

- 현재 앱을 통한 사업장 현장사진 제공을 드론을 이용한 동영상 제공으로 확대하여

분양계약자 정보제공 강화

추진목표

국정원 정보보안 관리실태 점수 행안부 개인정보보호 진단 점수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공공기관평균점수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 5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10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15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20

보증사업장 안전사고로 인한 공사 지연 건수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0건 0건 0건 0건 0건

- 15 -

실행과제(6)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전사 경영전략체계 구축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공공기관의 lsquo공적역할 강화rsquo 및 lsquo사회적 책임실현rsquo이라는 국정기조 변화에 부응

하기위한공사의新경영전략수립

(추진내용)

∙ 고유 업무의 공공성 제고를 위한 사업전략 재수립

- 사회통합형 주거복지 실현을 위한 공적금융 지원 전략 수립

- 소규모 도시재생사업 활성화를 위한 단계별 공사 역할방안 마련

∙ 사회적 가치 기반 전사 기능전략 및 중장기 경영목표 재수립

- 공적역할 확대 및 사회적 책임 구현을 위한 부문별 기능전략 수립

추진목표

사회적가치 기여도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최우수 최우수 최우수 최우수 최우수

청렴도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등급 1등급 1등급 1등급 1등급

실행과제(7)

도시계정의 체계적 관리를 통한 도시재생 활성화 담당부서기금정보처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목적) 노후주거지 주민과 사회적기업 등이 필요로 하는 자금을 적시에 원활히 지원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도시계정 관리 추진

(추진내용)

∙ 연체관리 프로세스 정립을 통한 기금손실예방

- 연체 단계별 업무처리 프로세스 마련을 통한 융자사고방지

- 도시계정 융자원리금 수납기준 마련

- 융자사고관리 방안 마련

∙ 고객신용관리 체계구축을 통한 사고예방 모니터링 확대

- 고객신용관리 모니터링 체계구축을 통한 사고예방관리

- 도시계정 신용정보집중 처리기준 프로세스 마련

- 도시계정 신용정보관리 전산시스템 구축 일반신용정보관리규약에 따른 도시계정 신용정보 파일전송 설계서(전문) 작성

공사 신용정보 집중 시스템과 병합 추진

∙ 도시계정 자금관리 체계정립을 통한 도시재생활성화지원

- 도시계정 예산확대 신규 금융기법적용 등 도시계정 특성을 반영한 회계middot결산

자금관리 업무기준 확립 정형화된 담보가 아닌 수요자사업자 특성을 고려한 맞춤 담보제공 자금투입 공공성 확보를

위한 엄격한 융자조건 부여

- 회계middot결산 자금관리 업무전산화를 통한 효율화 정책지원기능 확대

추진목표 (비계량) 2019년 융자사고예방을 위한 연체관리 자금관리기준 수립 및 개선

- 16 -

실행과제(8)

국민과 함꼐하는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 담당부서보증이행처

준법지원실

추진내용

(목적) 국민참여를 통한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의 수용성 제고 및 주거

복지 실현 위한 공동주택 하자 조기대응ㆍ감축방안 모색

(추진내용)

∙ 하자분쟁 해결체계 관련 국민 공유ㆍ소통 프로그램 운영

- 국민과 함께하는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 계획 수립

- lsquo공동주택 실무강좌rsquo 동행을 통한 하자관련 주요이슈 대국민 공유ㆍ소통- 국민참여 하자정보 공유 4회(서울 인천 수원 의정부) 및 하자실무 법률상담

∙ 국민 참여 확대를 통한 정책 개선 노력

- (lsquo1810) 대국민 의견수렴을 위한 하자분쟁 컨퍼런스 개최

middot 하자분쟁 예방을 위한 관계규정 검토 및 정책 논의

middot 행정청 학계 법조계 및 입주자대표회의 관련 다수 국민 참여

∙ 소규모사업장 청구 전 하자보수보증 사전안내제도(BS Before Service) 실시 검토

소규모사업장 150세대 미만 사업장 중 대위변제가 없는 2년차 하자보수보증 만료6개월 전 사업장

추진목표

대국민 참여도산출근거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참여횟수6회참여인원300명

참여횟수8회참여인원400명

참여만족도85점 이상

정책국민의사반영1회이상

정책국민의사반영1회이상

횟수당50명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점수(관리본부) 목표치산출근거구분 rsquo18년 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등급 A A A A A 목표 A등급 이상

실행과제(9)

민관협력사업으로 주거취약지구 주거환경 개선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목적) 공사의 사회적 가치경영 실행을 위해 새뜰마을(취약지역 개조사업) 주거

여건 개선을 지원하는 민관협업 사회공헌사업 추진

(추진내용)

∙ 중앙부처 공공기관 민간기업 등이 지역 주민과 함께 도시취약지역 내 노후주택에

대한 주거환경개선 열효율화 사업 추진

- 새뜰마을중고령화 노후화등으로사업추진이절실하고 지역사회참여정도등을 고려

하여성과가 가시화될수있는지역선정추진

∙ 주거취약지역 환경개선 관련 민관협업사업 MoU 체결 추진

- 국토교통부 HUG LH KCC AURI 해비타트 등 협약 체결을 통해 집수리 자재 및

전문인력 후원금 지원 추진

∙ 도시취약지역 지원 효과 분석 및 사업추진 매뉴얼 마련

- 지역기초조사 사업전후 효과분석 등 성과관리 새뜰마을 매뉴얼 제작보급

추진목표새뜰마을 지원대상 확대 건수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5건 5건 5건 5건 5건

- 17 -

실행과제(10)

도시재생 맞춤형 스타트업 총괄지원

플랫폼 도입middot운영담당부서

인사처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도시재생과 관련된 스타트업 및 소셜벤처에 대한 종합적 지원

(추진내용)

∙ HUG형 도시재생 뉴딜 창업 프로젝트 추진

- 사회적 경제조직 육성기관(함께일하는재단) 대중투자 전문기관(와디즈)과 협업

- 사회적 경제조직 컨설팅 지원

- 대중투자 연계 통한 일자리 창출 및 사회적 경제 활성화 지원

∙ 스타트업 및 소셜벤처에 대한 사회적 금융 지원

∙ HUG 창업 라운지(스타트업 기업에 공간 공유) 확대 운영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사회적금융지원금액 1억 1억 1억 1억 1억

공간지원스타트업수 6 8 10 12 14

멘토링middot창업캠프개최회수 5 5 5 5 5

실행과제(11)

도시재생 생태계 조성을 위한

종합지원 플랫폼 구축담당부서

기금정보처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종합적인 도시재생정보 공유체계 구축을 통해 기금 지원된 도시재생사

업에 대한 정량적 정보 및 사후지원 청년middot예비창업자 참여를 위한 HUG 정책

지원 정보를 기금포털 내 일괄 제공

(추진내용)

∙ 전국 기금이 활용된 도시재생 사업장 정보 제공(lsquo도시재생 기금지도rsquo 서비스)

- 지도 API 기반의 도시재생 기금지원 사업장 정보조회 서비스

- 전국 분포된 사업장의 위치부터 융자금액까지 상세정보를 편리하게 검색

- 실제 사례와 이용 상품 정보를 함께 제공하여 정보이용자 이해도 제고

∙ 기금 사업장 홍보 지원 및 청년창업 지원 정보 일괄 제공(전용 게시판 신설)

- 사업장 및 보유시설(코워킹시설 임대시설 등) 홍보 위한 전용공간 마련

- 기금지원 사업의 우수사례 정보공유를 통한 벤치마킹 및 정보이용자 관심유도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기금지도 서비스 개시 서비스구축middot개시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우수사례 발굴 건수 8 8 8 8 8

- 18 -

(2대 과제) 포용적 공공서비스 제공 강화

실행과제(12)

분양이행사업장 수분양자 보호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분양대금채권 지연손해금율 하향조정 등 분양계약자 부담완화를

통한 국민 주거안정 기여

(추진내용)

∙ 분양계약자 지연손해금 관련 주택분양보증약관 개정

- 분양계약자의 분양계약서상 지연손해금율이 시행사 구상채권 지연손해금율

보다 높은 사례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공사 내규와 분양계약서상 지연손해

금율 중 낮은 것을 적용하도록 약관 규정 개정 (시행사 동의서 징구)

추진목표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 점수(관리본부)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901 915 933 951 971

실행과제(13)

인터넷보증시스템개선으로전세금보증이용편의성제고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인터넷보증 시스템 개선을 통해 고객의 전세상품 보증서비스

편의성 및 접근성을 강화하여 서민 주거안정성 개선 지원

(추진내용)

∙ 인터넷 보증시스템 재구축 추진(lsquo20~lsquo21)

- (현행) 인터넷 익스플로러 이외의 웹브라우저 미지원

- (재구축) 구 운영체제 지원종료 대비 및 지원 플랫폼(구글 크롬 등) 확대를

위한 시스템 재구축 예정

∙ 모바일 보증시스템 구축 추진(lsquo19)

- (현행) PC 중심의 제한적인 보증가입 서비스 제공

- (비대면 서비스 강화) 모바일 보증시스템 구축 추진

추진목표

비대면 보증가입 점유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0 12 14 16 18

- 19 -

실행과제

(14)주택도시기금대출절차간소화를통한대국민서비스향상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서민실수요자 지원 강화 및 이용자 편의 제고 등을 위한 주택도시

기금 구입전세 대출의 자산심사 도입

(추진내용)

∙ 자산심사기준 도입을 통한 정책자금의 실수요자 집중 지원

∙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구축을 통한 대출절차 간소화

∙ 전담 수행조직 운영 및 수탁은행 역할 재정립 등을 통한 대국민 서비스 제고

추진목표

대출절차 혁신 시스템 운영 체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자산기준 마련기금법령 개정시스템 개발오픈수요자대출상품운영

수요자대출 全상품 시스템 안정화제도개선 및 모니터링

他 기금상품 (주택종합청약저축)도입 검토 및 적용

실행과제

(15)고아원연계 보호종료아동 월세보증금 지원 제도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고아원 보호기간이 종료됨에 따라 주거지원이 필요한 아동에게

주택임차자금 지원 및 보증상품 개발

(추진내용)

∙ 긴급 주거지원이 필요한 아동의 가정에 주택임차자금 지원∙ 고아원 보호종료 아동 대상 전세월세보증금보증 할인 상품 개발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택임차자금지원 세대 수

10 20 성과분석 후 확대 검토

고아원보호종료아동대상상품가입자수

상품개발추진 제도개선 추진

실행과제

(16)HUG 이용고객 편의성 제고를 위한 플랫폼 구축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객과의 소통채널 확대방안의 일환으로 24시간 고객상담 제공

(추진내용)

∙ 단순 문의 SMS 발송

- 위탁은행 신청서류 등 전세보증 관련 간단 정보 문자발송 ARS실시(완료 `195월)

- 업무시간 종료 후에도 단순문의에 대한 SMS문자안내 서비스 추진

∙ 콜센터와 지사 상담이력 공유

- 콜센터 상담시스템과 차세대 시스템을 연계 고객별 상담이력 조회화면 구축

∙ 보이는 ARS 서비스 도입

- 기존의 음성 서비스와 함께 스마트폰을 통해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바로

연결하고 직접 통화하지 않아도 간편문의를 처리할 수 있는 보이는 ARS 실시

추진목표 2019년 챗봇서비스 DB구축 검토 2020년 챗봇 서비스 도입 검토

- 20 -

실행과제

(17)전세금보증 인터넷가입에 필요한 데이터 자동화 구축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가입을 간편하게 하여 정보사각지대에 있는 고객의

보증 가입 편의성 강화

(추진내용)

∙ 주택가격정보middot등기부등본 데이터 자동입력 시스템 마련

- KB시세 한국감정원 국세청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와의 협약 통한 시스템 연계

- 직접협약 외에도 부동산 권리변동정보 제공기관을 통한 중계서비스 도입 검토

∙ 인터넷보증시스템 전세금보증 신청절차 개선

- 전자연계 가능한 서류의 데이터 자동입력 프로세스 개발

- 보증심사시 담당자가 전자 원본 서류를 확인할 수 있는 화면 개발

추진목표

데이터 입력시스템 구축 및 운용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연계방안검토

협약체결 전산연계 운영 및 보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18)

사회임대주택 활성화를 위한 조직 혁신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사회임대주택 금융지원제도 담당부서 일원화로 속도감 있는 제도개선 등

사회임대주택 활성화 지원

(추진내용)

∙ 기획조정실 사회임대주택 총괄부서 지정을 위한 조직개편 추진

- 현행 사회임대PF보증(금융기획실) 토지임대middot기금출융자(도시재생기획처 기금지원처)

- 개선 도시재생기획처로 일원화하여 사회임대주택 복합금융 지원업무 총괄

한 부서에서 기금 출middot융자 보증지원까지 원스톱 상담으로 고객 만족도 제고

추진목표 2019년 조직개편 완료

실행과제

(19)상담서비스 고도화를 통한 고객만족도 제고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객상담데이터 체계적 관리middot활용을 통한 대국민 서비스 질적 향상

(추진내용)

∙ 차세대(전산)업무시스템 및 콜센터 시스템을 연계하여 상담이력 공유- 콜센터 외에도 지사 직원의 고객상담이력을 저장할 수 있도록 차세대시스템 내화면 구축 콜센터의 상담이력 역시 차세대 시스템에 저장 및 관리

∙ 보이는 ARS서비스 실시 및 단순문의안내 SMS 발송 서비스 실시middot활성화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콜센터전산시스템연계

시스템구축

시스템개발완료및 운용

시스템운용

시스템운용

시스템운용

신규 서비스출시

보이는ARS검토

보이는ARS출시

보이는ARS운용

보이는ARS운용

보이는ARS운용

- 21 -

2 혁신적 포용국가 선도

(3대 과제) 경제활력 제고 및 일자리 중심 경제 선도 중점

실행과제

(20)공공정보 연계 통한 서류제출 절차 간소화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필요한 서류를 간소화함으로써 대국민서비스 질 제고 (추진내용)∙ 필요한 서류 등을 공사 전산으로 조회 가능한 시스템 구축∙ 기금대출절차 혁신 시스템과 연계

추진목표 ∙ (비계량) 필요서류 전산조회 시스템 구축

실행과제

(21)사업다각화를 통한 고용증대 및 비정규직 ZERO화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서민 주거복지 도시재생 활성화 지원 등을 위한 기관 자체의 적극적인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공기업 서비스 제고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증원 및 채용 확대- 신사업 발굴 및 자율정원제를 통한 적극적인 증원-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청년 및 지역 인재 채용∙ 사회 양극화 해소를 위한 비정규직 ZERO화- 노사 공감대에 기반한 정당한 절차를 통한 전환 추진 및 전환근로자 처우 개선 노력

추진목표정원 비정규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766명 0명 903명 0명 995명 0명 1033명 0명 1062명 0명

실행과제

(22)

주거복지 및 도시재생을 위한

도시재생 창업공간 금융지원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도시재생 금융상품을 통한 창업지원 (목적) 창업과 관련한 도시재생 금융상품을 통해 민간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창업 관련 수요자 중심형 기금융자 및 보증상품 개발 운용- 코워킹시설조성 상가리모델링 공공임대상가 등 기금융자 지원

도시재생뉴딜 금융지원을 위한 사회적 금융 연계 지원 (목적) 도시재생분야법인단체창업관련크라우드펀딩 및 창업지원 컨설팅 추진 (추진내용)∙ 도시재생분야에대중투자연계일자리창출및지역주도사회적경제활성화지원- 뉴딜로 도시재생 크라우드펀딩 대회 개최 등∙ 도시재생 창업단체에 대한 지원을 위해 HUG형 민간일자리 창출 프로젝트 추진- HUG와 함께하는 도시재생 뉴딜 창업프로젝트 추진 및 사회적 경제조직 활성화

추진목표창업지원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510억원 1548억 1548억 1548억 1548억

- 22 -

실행과제

(23)IT선진화를 통한 민간일자리 창출 담당부서

기금정보처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고유목적사업인 주택보증 주택도시기금 및 도시재생분야의 IT 시스템

구축 및 개선을 통한 민간 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 주택도시기금 정보시스템 통합 유지보수

- (추진기간) 유지보수 사업의 특성으로 매년 발생

- (일자리창출) 2019년(8명) 2020년 sim 2023년(매년 16명)

∙ 도시재생 금융지원 전산시스템 구축

- 도시재생융자등원활한도시계정업무를뒷받침하기위한온라인금융지원시스템구축

- 추진기간 2018년~2019년 투입금액 및 인력 51억원 41명

∙ 주택도시기금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구축

- 주택도시기금 대출절차 편의 제고 및 절차 간소화 시스템 구축

- 추진기간 2018년~2019년 투입금액및인력 컨설팅용역43억원 12명 전산용역74억원52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기금업무 운영 유지보수 8 16 16 16 16

도시재생 융자시스템 41 - - - -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64 - - - -

합 계 177

실행과제

(24)

공공기관 공동기금 조성을 통한

지역 사회적경제 활성화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이전지역 기관간 협업을 통한 사회적경제 활성화로 지속가능한 일자리

제공 지역경제 활성화 추진

(추진내용)

∙ 부산 사회적경제 지원기금(BEF) 지원을 통한 사회적기업 육성 및 지원

- Pilot Program (크라우드펀딩) 20개소 창업단계 재정지원 5개소 Start-up 재정지원

15개소 Scale-up(성정기 기업) 대출지원 5개소 BEF 경영컨설팅 50회 BEF

사회적기업 연구가 인재육성 실시 2회 BEF 판로지원 5개소 등

추진목표

기금지원 (자체 공동)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억원(10억원)

1억원(10억원)

1억원(10억원)

1억원(125억원)

-

- 23 -

(4대 과제) 혁신성장 지원

실행과제

(25)상가임차금 안심대출 상품개발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도시재생지역 내 상가임차인 보호를 위한 상가임차금안심대출 개발

(추진내용)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법령 개정 검토

-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등 관련 법령 개정안 검토

- 법령 개정안 정부 건의 (우선변제권 승계기관 포함)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시장분석 및 조사(`20)

- 상가임차보증금 시장분석 및 보증이용 수요조사

- 보증료율 검토 및 리스크 분석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출시(`21)

- 사규개정 및 법령개정 완료

추진목표

상가임차보증금 상품 출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내부검토 법령개정 시장분석 상품출시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26)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사고 위기사업장과 보증실적의 증가로 사전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및 정기 점검활동 강화 및 핵심업무 역량집중 강화

(추진내용)

∙ 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 현장점검 대상사업장을 파악하여 외주용역을 통한 점검 추진 검토

추진목표 ∙ 2019년도 현장점검 외주화

실행과제

(27)

비대면 전세금보증을 통한 혁신성장 기반 마련

(카카오페이를 통한 가입확대 등)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모바일 전세금보증

스마트폰을이용해언제 어디서든쉽게보증을신청할수있도록모바일가입채널마련

∙ (모바일 인터페이스) 인터넷 전세금보증 프로세스를 모바일웹에 최적화하여 로그인

부터 보증가입 승인까지 전 프로세스 지원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위탁은행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증가입 프로세스 개선

(현행) 임차인이 선순위 채권 등 보증가입정보를 입력

(개선) 임차인은개인정보및계약정보만입력하고세부심사에필요한정보는심사자가입력

모바일 안심대출보증

위탁은행 비대면 전세금 안심대출 상품 개발

추진목표 2019년 전세금보증의 완전한 모바일 가입체계 구축

- 24 -

실행과제

(28)국민 주거편의 제공을 위한 스마트시티 건설 지원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목적) 핵심 국정과제인 스마트시티 분야의 금융지원 플랫폼으로서 주택도시기금지원 기반 모색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검토 및 금융상품 초안 마련

(추진내용)

∙ 민간사업자 의견 수렴 및 스마트시티 기금 금융지원 상품 초안 마련 -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및 주요 요소기술산업 등 동향 파악- 민간사업자 의견수렴을 바탕으로 실질적 금융지원이 가능한 상품 개발 추진∙ 주택도시기금법 개정안 마련 및 정부 건의∙ 스마트시티 건설사업장에 대한 보증료 할인 또는 보증심사 가점부여∙ 스마트시티 건설 신공법 소개 및 성공사례 공유

추진목표금융지원 확대 건수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건 1건 2건 3건 3건

실행과제

(29)HUG 빅데이터운영체계구축으로공공데이터개방기여 담당부서

주택도시

금융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기관 내middot외부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주택middot도시middot금융 분야의 환경 변화를진단함으로서 4차산업 혁명시대 도래에 따른 선제적인 대응 체계 마련

(추진내용)

∙ (1단계) HUG 빅데이터 기반 주택시장 분석 인프라 설계 및 로드맵 수립∙ (2단계) HUG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구축 및 모델 개발∙ 수요자(국민middot정부middot공사)별 빅데이터 활용 영역 확대 및 분석 기능 고도화

추진목표공공데이터 외부개방(제공) 건수 (오픈API포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38건 42건 46건 51건 56건

실행과제

(30)

친환경middot신소재 활용으로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

(제로에너지 건축물 건설자금지원 등)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주택건설사업장에 친환경middot신소재 사용을 유도함으로써 환경 친화적 주택건설과 에너지신산업 판로지원

(추진내용)

∙ 친환경 제품 및 에너지 신소재 제품사용 주택건설사업장에 보증심사 가점부여(완료)- (`1812) 녹색건축물인증등급부여고객보증심사시초기예상분양율 5〜1점가점부여

∙ (추진) 신소재 적용 주택건설사업장 확대를 위해 보증심사시 가점부여

- SOC 공공기관 통합기술마켓과 연계한 보증우대 방안 마련 중소기업이 보유한 SOC 공공기관 관련 혁신기술의 공모middot연구개발 제안 및 검증을

통해 상품화 및 홍보middot판매를 지원하는 플랫폼

추진목표

친환경적 주택건설 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

- 25 -

실행과제

(31)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비대면 가입 활성화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9개 수탁은행에 온라인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 독려

연령 무주택세대주 소득증빙 등 가입 시 제출서류가 많아 비대면 시스템 구축 시

지점방문 없이 간편하게 가입 가능

신한은행 최초로 완전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821)

비대면 가입 주택도시기금포털에 안내 및 홍보

비대면 가입 시스템 기금포털 홍보 게시하여 수탁은행 시스템 개발 독려

추진목표 목표비대면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전체 가입의 6 전체 가입의 12

실행과제

(32)전기자동차 도입을 통한 친환경 에너지 수요 창출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업무용 차량의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ㅇ 2018년 임차기간 만료예정인 업무용 차량을 전기자동차로 대체

ㅇ 추후 본사 및 영업부서 업무용 차량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추진목표 2019년 중 전기자동차 1대 충전소 1개소 설치실행과제

(33)드론 활용을 통한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기술middot제품에 대한 선제적 구매 및 테스트와 고유사업에 활용

으로 민간 초기시장 조성을 견인

(추진내용)

∙ 보증이행사업장 드론 안전점검 시범실시

- (`1812) 예산 미편성으로 1개 사업장 드론촬영 시범실시 및 효용성 검토

∙ 보유중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에 드론 활용 확대

- (`196) 전문엔지니어링 업체 발굴로 일자리 창출 및 보유 사업장 전체(2개)에

드론 활용 안전점검 실시 rArr 위험요소 발굴로 관할센터에 사고예방을 위한

안전조치 권고문서 시행

추진목표

안전사고 발생비율(발생건수보유사업장)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0 0 0 0 0 안전사고발생 ZERO무사고 달성

실행과제

(34)드론활용사업장안전관리및점검체계구축(시범단지운영)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HUG형 혁신 사업장 안전관리 및 점검체계 구축

ㅇ 드론 활용 사업장 안전 및 점검체계 구축

ㅇ 시범단지 선정 및 운용 세부계획 검토

∙ 드론 등 기술혁신 도구관련 관련 업체 및 유관기관 협의

∙ 사업장-영업부서-본사부서 협업체계 및 활용방안(HUG-i 게시) 등

추진목표안전사고로 인한 분양보증사고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0 0 0 0 0

- 26 -

실행과제

(35)블록체인을 활용한 안전하고 편리한 인터넷서비스 제공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정부주도의 공인인증서 폐지정책(전자서명법 전부개정 예고)에 따라 전자

서명에 대한 인터넷 사용자 대체 인증수단 개발

(추진내용)

∙ 블록체인 기반의 본인인증 서비스 (카카오페이 인증 서비스) 도입

- 인터넷보증시스템에서보증료영수증및보증서출력시카카오인증을이용한전자문서

유통증명서비스제공

∙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대국민서비스 확대

- 전자서명법개정에따른블록체인기반의전자서명서비스도입

- 온라인 등기우편(연체정보 등 전자우편을 본인인증 후 열람) 일괄발송 발송내역 조회

및유통증명서발급시스템구축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블록체인기반본인인증서비스시범도입

블록체인기술을이용한

대국민서비스확대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실행과제

(36)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사업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환경보호라는 공공성을 위하여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건물

보증에 대해 유인책 마련 필요

(추진내용)

∙ 제로에너지 건축물에 대한 대출한도 상향 조정

∙ 건축 관련학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해 친환경 건축물에 대한 관심 제고

- HUG 오픈캠퍼스 추진 시 건축 관련학과(건축공학과 건축디자인과 등) 학생에게 교육

추진및공사인턴체험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제로에너지 건축물지원 제도

규정신설 -

HUG오픈캠퍼스 수료학생수 (건축 관련 학과 포함)

100 110 121 133 146

- 27 -

(5대 과제) 공정경제 기반 구축 중점

실행과제

(37)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 진입장벽 해소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물품구매 대금결제 등에 중소기업 창업기업 등에 대한 계약규제 완화를

통해 공정경제 기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함

(추진내용)

∙ 신규 창업middot중소기업에 대한 진입장벽 완화

- 소규모 물품middot용역 입찰(고시금액 21억원 미만) 참여시 상대적으로불리한신규창업 및

중소기업에대한실적제한폐지

- 다만 부득이용역의성격상실적평가가필요한경우창업기업실적인정기간연장

(현행 3년 rarr 7년)을 통한 부담 완화

∙ 지체상금 부담경감 (현행의 12수준) 을 통한 상생협력 강화

∙ 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에 대한 용역대금 선급금지급률 확대

추진목표

중소기업 등 협력업체 계약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779 790 80 81 -

실행과제

(38)

공정경제를 위한 지역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업자 보호강화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건설사업장 인근지역 중소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대금의 현금

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한 하도급업자 보호 강화

(추진내용)

∙ 지역 중소 건설업체들에게 동일한 기회제공 및 공정한 경쟁 유도

- 건설사업장에서 지역건설업체와 하도급계약 체결 시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 할인 추진

∙ 협력업체 하도금대금의 현금지급 확대

- 하도급대금을 현금으로 지급할 경우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를 할인

하여 협력업체 및 근로자들의 보호를 강화하고 시장에서의 우위 선점

추진목표

지역 하도급업체 계약체결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규정개정 30 40 50 60

하도급대금의 현금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해 하도급업자 보호

- 28 -

3 국민신뢰 회복

(6대 과제) 적극행정 확산 등 조직운영 혁신

실행과제

(39)고용위기지역에 대한 금융지원 추진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용위기지역에 대한 지원강화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추진내용)

∙ 고용위기지역 내 임대주택 건립시 보증료 할인 추진(완료)

- 고용위기지역및고용재난지역소재임대보증금보증사업장보증료 10인하( 1812)

∙ 고용위기지역 내 임차인이 전세금보증 이용시 보증료 할인 검토

- 전세보증금반환보증(전세금보장) 전세안심대출(전세금대출지원)

보증이용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임차주택으로 변경시 보증료 할인 검토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보유한 주택건설사업자가 입주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임차

주택으로변경하여전세금보증가입신청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추진목표

고용위기지역 금융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마련 및 운영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40)근로여건 개선을 통한 휴식 있는 삶 지원 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일ㆍ가정 양립에 대한 법적ㆍ사회적 요구 증대됨에 따라 장시간 근로문화를 타파하고 휴식 있는 삶을 지원하여 일ㆍ생활의 균형 실현

(추진내용)

∙ 장시간 근로문화 타파- 직원니즈를반영한공사맞춤형복무제도수립및운영- PC-OFF 강화 (주2회rarr매일)- 퇴근장려캠페인 (인사안하고퇴근하기 관리자솔선수범퇴근)∙ 휴식 있는 삶 지원- 가족친화제도지속개발 (일가양득프로그램운영)- 연차휴가및남성육아휴직이용률향상을위한제도개선- 시간단위연차사용을통한휴가사용활성화- 임신직원보호를위한모성보호절차도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인당 연차사용일 1426일 1497일 1572일 1651일 1733일남성육아휴직인원 331 348 365 383 402

- 29 -

실행과제

(41)

위임전결기준 개선을 통한 업무처리 혁신

(결재피로감 낮추고 책임middot권한 공백없이 업무는 신속하게)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결재절차를 단순화함으로써 신속한 업무처리 및 고객만족도 제고

(추진내용)

∙보증위탁업무전결권세분화

- 위임전결규정안마련및규정개정절차진행(5월)

보증업무 위탁外 융자수탁업무 관련 전결권 개정도 함께 추진

∙대외업무협약체결전결권세분화

- 사안의중요성및영향도등고려중장기적으로면밀한검토필요

추진목표

결재절차 단순화

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rsquo23년보증및융자수탁업무위임전결규정개정

제도 보완

실행과제

(42)지출신청 시 영수증 증빙 제출제도 개선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지출신청시 불필요한 원본구비 제도 개선을 통한 업무효율화 달성

(추진내용)

∙ 공사 지출의 42 비중을 차지하는 5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 원본 제출 제외

- 지출액 50만원 이하 법인카드 및 전자세금계산서 지출 건 원본구비 예외 조항 신설

- 확인이 필요한 간이계산서 등은 원본징구하여 지출사고 가능성 예방

- 제도 정착 전 3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에 대하여 원본 제출 제외(시범운영)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내부

규정개정 및시범운영

제도개선 지속 추진

실행과제(43)

PF보증심사 시 월별예정 분양률 분포의 계량화 담당부서금융기획실심사평가처주택도시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민간아파트 초기분양률 데이터를 활용한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

(추진내용)

∙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를 통한 심사 객관성 확보

- 월별예정분양률 관련 명확한 지침 산정으로 신청업체 및 심사자의 주관 배제

- 국가승인통계인 민간아파트초기분양률 동향 데이터를 활용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

∙ 초기분양률 동향 분석(주택도시금융연구원 협업 4월sim10월)

- 연구원과 협업을 통해 초기분양률 데이터 분석 및 관리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건의(11월)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관할 부서(금융기획실)로 세칙 개정 건의

추진목표2019년도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예상분양률 분포기준 마련 초기분양률 데이터 관리체계 구축

- 30 -

(7대 과제) 윤리경영 강화

실행과제

(46)청렴도 향상을 위한 반부패 활동 강화 담당부서 준법지원실

추진내용

윤리경영 추진조직 강화

기관장 주도의 윤리경영 고위직 협의체 구축 내부 자문기구「청렴자문위

원회」운영 강화 및 임원의 윤리자가진단 현황 정보공개

반부패middot청렴 대외 활동 활성화

부산 이전 공공기관 청렴 협의체「청렴 클러스터」활동 강화

「부산투명사회실천 민middot관 네트워크」가입middot활동 실시

「유엔글로벌콤팩트(UNGC)」활동으로 글로벌 윤리역량 강화

실행과제

(44)논스톱 고분양가 심사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공사 PF보증 사업장에 대한 고분양가 심사기준 개선을 통한 사업

안정성 제고 및 고객신뢰성 확보

(추진내용)

∙ 「고분양가사업장심사규정」개정 추진(5월~6월)

- 고분양가 관리지역 내에서 공사 PF보증 발급예정사업장의 고분양가 심사기준(비교

사업장 선정 및 분양가격 산출 등)의 적용을lsquoPF보증 본점 승인시점rsquo으로 명확히 함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고분양가심사규정개정

사업안정성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 추진

실행과제

(45)임대리츠 통계 및 사후관리시스템 개선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목적) 자리츠 사후관리 주관기관(모리츠 AMC인 LH) 및 감독관리기관

(HUG) 간의 업무분장에 따라 사후관리 데이터 품질 저하 등 발생

rArr 기관간 협업체계 개선 관련 시스템 개발 등을 통한 사후관리 관련 데이터품질 향상 및 대정부 정보전달 적시성 확보

(추진내용)

∙ 리츠 기금출자내용 변경시 임대리츠 이력관리 등이 가능하게 하는 통계시스템 개발

∙ 분기별 사후관리보고 제출기한 마련 검토

∙ 임대리츠 통계관리 업무체계 내실화를 위한 기관간 협업 수행

추진목표

임대리츠 사후관리 구조 개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전산시스템개발 및시스템 구축

임대리츠사후관리

체계개선 수행

시스템 운용및 개선사항도출

기관간 협업수행(데이터관

리)

임대리츠통합데이터관리 수행

- 31 -

(8대 과제) 국민의 참여협력 확대 및 지역사회 공헌

실행과제

(47)

혁신도시 맞춤형 지역인재 육성 지원 및

인재채용 투명성 강화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도시 지원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증대에 따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한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

(추진내용)

∙ 市-지역대학간 협업으로 지역인재 육성 교육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 외부 면접위원 확대 및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인사 절차의 공정성 강화

∙ 사회형평적 채용실시와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을 통한 불합리한 차별 해소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지역채용 21 24 27 30 33지역인재육성 총 교육시간(교육인원times교육시간 시간) 3000 4500 4500 4500 4500

지역인재육성교육만족도(점수) 944 949 954 959 964

실행과제

(48)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사회공헌사업 확대 추진 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정부의 lsquo사회적 가치 실현rsquo을 정책에 따라 사회적 경제 및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사회공헌 필요성 증가

(추진내용)

∙ 안전한 주거환경 제공

- 무주택 국가유공자 및 저소득층 임차자금 170세대 지원(~8월10억원)- HUG 셰어하우스 3호 신촌점 완공 청년 24명 입주 완료(~10월2억원)- 저소득층 노후주택 및 소규모 사회복지시설 127세대 개보수(~10월8억원)- HUG STREET 잘사는 골목길 등 환경개선사업 대상지 선정 완료(~10월1억1천만원)

∙ 지역사회와 상생

- 노후 슬레이트 지붕개량 및 태양광 지원 사업 4자 협약(~8월3억원) HUG-부산시-한국사회복지협의회-부산도시재생지원센터

- HOPE with HUG 10호 11호 완공(~9월1억5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지역건설사-지역건축전문가 협업을 통한 주거개선사업

- 부산 송상현 광장 내 도시놀이터 프로젝트 완료(~9월7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부산시설공단 협업을 통한 문화middot휴식공간 조성

청렴 모니터링 다각화

청렴의식 환기를 위한 「자가점검 프로그램」실시

「청렴 옴부즈만」운영

개선 아이디어 발굴을 위한 「신입사원 生生 모니터링」

추진목표

종합청렴도 결과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3등급 2등급 1등급 1등급 1둥급

- 32 -

∙ 균등한 기회와 사회통합

- 중학생 자유학기제 지원 프로그램 운영(9월~4천만원)- 저소득층 청소년 20명ndash대학생 20명 매칭 등(6월~5천만원)- lsquoKBS 동행rsquo에 출연하는 저소득 가정 50세대 지원(7월~1억원)- 발달장애 청년 재능개발 프로젝트lsquo눈부신하루rsquo추진(6월~3천만원)- 신입사원 봉사활동 등을 통한 지역사회 나눔활동(~10월7천2백만원)- 저소득층 난방연료 지원을 위한 주택도시업 캠페인(~12월5천만원)- 자매결연 마을 농수산물 구입기증(~12월4천만원)

추진목표

추진 목표는 해당연도 사회공헌 기부금 예산금액(이사회 의결금액)과 연계

기부금액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8620백만원 8879백만원 9145백만원 9419백만원 9702백만원 전년도예산금액103

실행과제

(49)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목적) 도시재생과 유사한 목표비전을 공유하는 사회적경제와 연계한 맞춤형

금융상품 운영 및 관련 지원조직과 다각적 협업 활동 추진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지역주민이 주도하는 도시재생 금융지원으로 국민의 삶의 질 개선

(목적) 주민지역공동체 주도의 마을단위 도시재생으로의 변화에 대응하여

사회적 경제주체 등 지원체계 개선으로 사회적 가치 실현에 기여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추진목표

수요자중심형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510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실행과제

(50)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국민이 참여하는

HUG사업평가단(가칭) 운영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보증업무 전반에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HUG

사업평가단 구성하여 주택품질 제고 및 안심입주 지향

(추진내용)

∙ 국민이 참여하는 보증솔루션팀 및 보증심사 리뷰단을 통해 제도 개선사항 도출

∙ 보증채권자 권익에 미치는 사항 등 국민의견 수렴을 통한 보증이행제도 개선

∙ 전세금보증 이행완료 고객 및 공인중개사 참여를 통한 제도개선 사항 발굴

추진목표 2019년 국민 의견수렴을 통한 전세금보증 제도 개선 등 검토

- 33 -

실행과제(51)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과 협업하여효율적인 전세금보증 이행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이행 업무의 효율성 제고

(추진내용)

∙ 지역사회단체 등과의 협업을 통한 임차인 퇴거확인 추진 검토

- 보증사고 발생 시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 구성원이 임차인 퇴거를

확인하여 담당직원 업무 공백 최소화 (직원 출장비 수준으로 비용 지급)

- 임차인 퇴거 확인 시 해당 주택가격 및 신규 임차인 확보 가능성 검토결과를

보고받아 채권보전조치를 위한 근거 확보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거보호 이행도(전세금보증 이행 15일초과건수전체이행건수)

50 45 41 37 34

- 34 -

Ⅳ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및 적극행정 확산

①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국민참여게시판을 lsquo국민제안(국민rarr기관)rsquo

및 lsquo정책제안(기관rarr국민)rsquo 게시판으로 세분화하여 국민과 기관간

상시 소통기반 마련 경평지적

지적사항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위한 개선방안 마련 필요

(혁신 네트워크 강화) 시민참여혁신단 보증채권권익위원회 전세금

보증 시민참여단 기금홍보협의회 운영 등 주요사업에 기반하여

다양한 대외 전문기관과 네트워크 활성화 경평지적

지적사항 보증 기금등주요사업역량강화를위한전문기관혁신네트워크강화필요

② 적극행정 확산

(적극행정 면책제도 활용) 감사계획 통보 시 적극행정 면책제도

middot사전컨설팅 제도 사전안내 및 면책신청 지원을 위한 상담창구

운영 등 (계획수립 完 감사실-2367호)

(기관장 책임강화) 혁신전략위원회(위원장 사장)를 통해 적극행정

혁신과제에 대한 추진독려 및 이행사항 점검 등 보완사항 지속

발굴 (혁신페스티벌 1middot2차 개최)

(적극행정 우수사례 발굴)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를 통해 조직내

적극행정 분위기 유도 (포상 및 내부성과평가 반영 등)

성과창출에 실패했더라도 기존관행 탈피 새로운 영역개척 국민접점에서

활력을 제고하는 등 lsquo착한실패rsquo lsquo건전한파격rsquo에 대해서도 포상추진 예정

(적극행정 인식확산) 적극행정 사이버교육(법제처 주관) 이수 등

적극행정 인식확산을 위한 교육참여 시 혁신마일리지 부여 (전사 교육 실시 예정)

- 35 -

Ⅴ 혁신 추진도구별 업무일정

구 분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1 2 3 4 5 6 7 8 9 10 11 12

1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2 국민소통 강화

3 혁신페스티벌

4 유관기관 협업

5 혁신채널 구축

6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7 제안제도 정비

8 혁신콘서트

9 혁신교육 및 혁신워크숍

10 혁신레터

11 혁신마일리지 신설

12 혁신BP 발굴 및 포상

피드백

(성과관리) 공공기관 혁신 및 기관 경영혁신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혁신과제 추진실적을 정기적으로 점검 및 피드백

(혁신전파) 조직원 전체의 혁신공감대 형성 및 참여도 제고를 위해

본사부서 및 영업부서 방문 등을 통해 혁신활동 및 우수사례 공유

(혁신내재화) 국민소통채널 혁신마일리지 혁신레터 등 혁신활동이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고 혁신업무에 대해

조직원이 공감하고 회사 모든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

Page 14: 2019년 HUG 혁신 추진계획 - khug.or.kr…„HUG혁신추진계획.pdf · 혁신페스티벌 - (내부 혁신과제 발굴) 조직·인사·제도·서비스혁신 등 회사

- 13 -

실행과제

(2)

주택도시기금 지원확대로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역할강화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무주택middot실수요 서민주거 안정지원을 위한 대출제도 개선 및 주거복지

로드맵 정책지원을 통한 맞춤형 주거지원으로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마련

(추진내용)

∙ 신혼부부middot청년층 기금대출 지원 확대

- 신혼희망타운 수익공유형 모기지대출 출시

- 신혼부부 기간 확대 (5년 rarr 7년)

- 청년층 청약 가입요건 완화 등 제도 개선 및 운영보완

- 고시원 주거급여 거주자 등에 대해 주거안정월세대출 대상자에 포함

∙ 자산기준 도입 서류간소화 등 기금대출 제도 개선

추진목표

사회취약계층 등 기금지원 (수요자 대출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78조원 78조원 78조원 78조원 78조원

`19~`23 목표는 매년초 국토부 최종안 확정안 국회승인을 거쳐 목표치 확정

실행과제

(3)임대주택 공급지원 확대로 서민 주거복지 증대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사회임대주택 공급 활성화

(목적) 주거약자를 위한 정부 사회임대주택 공급 활성화 정책 지원 및

공사의 공공성 역할 확대

(추진내용)

∙ 사회임대주택 보증 확대를 위한 제도개선 및 공급 활성화를 위한 금융 지원

∙ 사업관련 주체의 유기적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홈페이지 구축

∙ 공급활성화 여건 조성을 위한 사업자 육성 및 홍보 강화 및 유관기관 협업

임대리츠 관리체계 개선 및 공모를 통한 공급확대

(목적)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등 리츠를 통한 임대주택 공급 활성화를

통해 국민 주거복지 증진 도모

(추진내용)

∙ 서민 주거복지 강화를 위한 임대리츠 기금출자 제도 개선

∙ 민간임대사업자 참여 유도를 위한 공모사업 활성화

∙ 임대리츠 공공성 강화를 위한 심사관리 체계 개선 및 기금출자심사 실시

∙ 임대리츠 관련 정부정책 추진 지원을 위한 다각적 홍보 추진

∙ HUG形 민간제안 공모방식 확대로 임대주택 공급 강화

추진목표

사회임대주택 보증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50호 900호 990호 1089호 1197호

리츠를 통한 임대주택 공급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0500호 11550호 12705호 13976호 15373호

HUG 민간제안공모 공고 세대수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rsquo23년

8000세대 8500세대 9000세대 10000세대 10500세대

- 14 -

실행과제

(4)주택도시기금신규상품개발을통한도시재생뉴딜활성화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도시재생뉴딜 맞춤형 금융지원 확대 (목적) 도시재생 사업유형 확대에 대응한 맞춤형 기금지원 상품 개발운용 (추진내용)∙ 소규모 재생사업 및 주택정비 활성화를 위한 금융지원 확대∙ 도시재생 경제조직 활성화를 위한 금융지원 프로그램 도입 도시재생뉴딜 활성화를 위한 기금지원 운용체계 개선 (목적) 명확한 업무기준효율적 수행방안을 확립하여 도시계정 양적질적확대에 대응 및 뉴딜정책 활성화에 기여

(추진내용)∙ 도시재생 금융지원 접수middot심사체계 개편으로 국민불편 해소∙ 도시재생 금융지원 사후관리 체계 확립으로 안정적 기금운용 및 공공성 실현

추진목표

도시재생 금융지원 출융자 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5877억원 11227억원 15014억원 16178억원 16494억원

도시재생 금융지원 심사사업장관리 운용체계 개선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5건 5건 5건 5건 5건

실행과제(5)

제도에서 전산까지 온middot오프라인 안심시스템 구축 담당부서정보운영처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응하는 정보보안체계 구축

(목적) 4차 산업혁명시대 기술(IoT BigData AI 등) 변화에 맞는 선제적인 정보

보안 체계 수립과 능동적인 정보주체의 권리 보장

ㅇ (추진내용)

∙ 선진화 정보보안 체계 구축 컨설팅

주택건설사업장 사회안전망 플랫폼 구축

(목적) 주택관리사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으로 사고로 인한 분양계약자의

입주지연 및 보증사고 위험 등을 사전에 예방하여 국민의 편익 증진

(추진내용)

∙ 사업장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보증사업장 현장점검 규정 개정

- 사업장안전관리강화를위한안전점검업무신설및안전관리우수고객우대제도운영

∙ 드론을 활용한 보증사업장 동영상 촬영 및 제공으로 분양계약자 정보제공 강화

- 현재 앱을 통한 사업장 현장사진 제공을 드론을 이용한 동영상 제공으로 확대하여

분양계약자 정보제공 강화

추진목표

국정원 정보보안 관리실태 점수 행안부 개인정보보호 진단 점수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공공기관평균점수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 5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10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15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20

보증사업장 안전사고로 인한 공사 지연 건수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0건 0건 0건 0건 0건

- 15 -

실행과제(6)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전사 경영전략체계 구축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공공기관의 lsquo공적역할 강화rsquo 및 lsquo사회적 책임실현rsquo이라는 국정기조 변화에 부응

하기위한공사의新경영전략수립

(추진내용)

∙ 고유 업무의 공공성 제고를 위한 사업전략 재수립

- 사회통합형 주거복지 실현을 위한 공적금융 지원 전략 수립

- 소규모 도시재생사업 활성화를 위한 단계별 공사 역할방안 마련

∙ 사회적 가치 기반 전사 기능전략 및 중장기 경영목표 재수립

- 공적역할 확대 및 사회적 책임 구현을 위한 부문별 기능전략 수립

추진목표

사회적가치 기여도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최우수 최우수 최우수 최우수 최우수

청렴도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등급 1등급 1등급 1등급 1등급

실행과제(7)

도시계정의 체계적 관리를 통한 도시재생 활성화 담당부서기금정보처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목적) 노후주거지 주민과 사회적기업 등이 필요로 하는 자금을 적시에 원활히 지원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도시계정 관리 추진

(추진내용)

∙ 연체관리 프로세스 정립을 통한 기금손실예방

- 연체 단계별 업무처리 프로세스 마련을 통한 융자사고방지

- 도시계정 융자원리금 수납기준 마련

- 융자사고관리 방안 마련

∙ 고객신용관리 체계구축을 통한 사고예방 모니터링 확대

- 고객신용관리 모니터링 체계구축을 통한 사고예방관리

- 도시계정 신용정보집중 처리기준 프로세스 마련

- 도시계정 신용정보관리 전산시스템 구축 일반신용정보관리규약에 따른 도시계정 신용정보 파일전송 설계서(전문) 작성

공사 신용정보 집중 시스템과 병합 추진

∙ 도시계정 자금관리 체계정립을 통한 도시재생활성화지원

- 도시계정 예산확대 신규 금융기법적용 등 도시계정 특성을 반영한 회계middot결산

자금관리 업무기준 확립 정형화된 담보가 아닌 수요자사업자 특성을 고려한 맞춤 담보제공 자금투입 공공성 확보를

위한 엄격한 융자조건 부여

- 회계middot결산 자금관리 업무전산화를 통한 효율화 정책지원기능 확대

추진목표 (비계량) 2019년 융자사고예방을 위한 연체관리 자금관리기준 수립 및 개선

- 16 -

실행과제(8)

국민과 함꼐하는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 담당부서보증이행처

준법지원실

추진내용

(목적) 국민참여를 통한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의 수용성 제고 및 주거

복지 실현 위한 공동주택 하자 조기대응ㆍ감축방안 모색

(추진내용)

∙ 하자분쟁 해결체계 관련 국민 공유ㆍ소통 프로그램 운영

- 국민과 함께하는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 계획 수립

- lsquo공동주택 실무강좌rsquo 동행을 통한 하자관련 주요이슈 대국민 공유ㆍ소통- 국민참여 하자정보 공유 4회(서울 인천 수원 의정부) 및 하자실무 법률상담

∙ 국민 참여 확대를 통한 정책 개선 노력

- (lsquo1810) 대국민 의견수렴을 위한 하자분쟁 컨퍼런스 개최

middot 하자분쟁 예방을 위한 관계규정 검토 및 정책 논의

middot 행정청 학계 법조계 및 입주자대표회의 관련 다수 국민 참여

∙ 소규모사업장 청구 전 하자보수보증 사전안내제도(BS Before Service) 실시 검토

소규모사업장 150세대 미만 사업장 중 대위변제가 없는 2년차 하자보수보증 만료6개월 전 사업장

추진목표

대국민 참여도산출근거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참여횟수6회참여인원300명

참여횟수8회참여인원400명

참여만족도85점 이상

정책국민의사반영1회이상

정책국민의사반영1회이상

횟수당50명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점수(관리본부) 목표치산출근거구분 rsquo18년 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등급 A A A A A 목표 A등급 이상

실행과제(9)

민관협력사업으로 주거취약지구 주거환경 개선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목적) 공사의 사회적 가치경영 실행을 위해 새뜰마을(취약지역 개조사업) 주거

여건 개선을 지원하는 민관협업 사회공헌사업 추진

(추진내용)

∙ 중앙부처 공공기관 민간기업 등이 지역 주민과 함께 도시취약지역 내 노후주택에

대한 주거환경개선 열효율화 사업 추진

- 새뜰마을중고령화 노후화등으로사업추진이절실하고 지역사회참여정도등을 고려

하여성과가 가시화될수있는지역선정추진

∙ 주거취약지역 환경개선 관련 민관협업사업 MoU 체결 추진

- 국토교통부 HUG LH KCC AURI 해비타트 등 협약 체결을 통해 집수리 자재 및

전문인력 후원금 지원 추진

∙ 도시취약지역 지원 효과 분석 및 사업추진 매뉴얼 마련

- 지역기초조사 사업전후 효과분석 등 성과관리 새뜰마을 매뉴얼 제작보급

추진목표새뜰마을 지원대상 확대 건수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5건 5건 5건 5건 5건

- 17 -

실행과제(10)

도시재생 맞춤형 스타트업 총괄지원

플랫폼 도입middot운영담당부서

인사처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도시재생과 관련된 스타트업 및 소셜벤처에 대한 종합적 지원

(추진내용)

∙ HUG형 도시재생 뉴딜 창업 프로젝트 추진

- 사회적 경제조직 육성기관(함께일하는재단) 대중투자 전문기관(와디즈)과 협업

- 사회적 경제조직 컨설팅 지원

- 대중투자 연계 통한 일자리 창출 및 사회적 경제 활성화 지원

∙ 스타트업 및 소셜벤처에 대한 사회적 금융 지원

∙ HUG 창업 라운지(스타트업 기업에 공간 공유) 확대 운영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사회적금융지원금액 1억 1억 1억 1억 1억

공간지원스타트업수 6 8 10 12 14

멘토링middot창업캠프개최회수 5 5 5 5 5

실행과제(11)

도시재생 생태계 조성을 위한

종합지원 플랫폼 구축담당부서

기금정보처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종합적인 도시재생정보 공유체계 구축을 통해 기금 지원된 도시재생사

업에 대한 정량적 정보 및 사후지원 청년middot예비창업자 참여를 위한 HUG 정책

지원 정보를 기금포털 내 일괄 제공

(추진내용)

∙ 전국 기금이 활용된 도시재생 사업장 정보 제공(lsquo도시재생 기금지도rsquo 서비스)

- 지도 API 기반의 도시재생 기금지원 사업장 정보조회 서비스

- 전국 분포된 사업장의 위치부터 융자금액까지 상세정보를 편리하게 검색

- 실제 사례와 이용 상품 정보를 함께 제공하여 정보이용자 이해도 제고

∙ 기금 사업장 홍보 지원 및 청년창업 지원 정보 일괄 제공(전용 게시판 신설)

- 사업장 및 보유시설(코워킹시설 임대시설 등) 홍보 위한 전용공간 마련

- 기금지원 사업의 우수사례 정보공유를 통한 벤치마킹 및 정보이용자 관심유도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기금지도 서비스 개시 서비스구축middot개시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우수사례 발굴 건수 8 8 8 8 8

- 18 -

(2대 과제) 포용적 공공서비스 제공 강화

실행과제(12)

분양이행사업장 수분양자 보호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분양대금채권 지연손해금율 하향조정 등 분양계약자 부담완화를

통한 국민 주거안정 기여

(추진내용)

∙ 분양계약자 지연손해금 관련 주택분양보증약관 개정

- 분양계약자의 분양계약서상 지연손해금율이 시행사 구상채권 지연손해금율

보다 높은 사례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공사 내규와 분양계약서상 지연손해

금율 중 낮은 것을 적용하도록 약관 규정 개정 (시행사 동의서 징구)

추진목표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 점수(관리본부)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901 915 933 951 971

실행과제(13)

인터넷보증시스템개선으로전세금보증이용편의성제고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인터넷보증 시스템 개선을 통해 고객의 전세상품 보증서비스

편의성 및 접근성을 강화하여 서민 주거안정성 개선 지원

(추진내용)

∙ 인터넷 보증시스템 재구축 추진(lsquo20~lsquo21)

- (현행) 인터넷 익스플로러 이외의 웹브라우저 미지원

- (재구축) 구 운영체제 지원종료 대비 및 지원 플랫폼(구글 크롬 등) 확대를

위한 시스템 재구축 예정

∙ 모바일 보증시스템 구축 추진(lsquo19)

- (현행) PC 중심의 제한적인 보증가입 서비스 제공

- (비대면 서비스 강화) 모바일 보증시스템 구축 추진

추진목표

비대면 보증가입 점유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0 12 14 16 18

- 19 -

실행과제

(14)주택도시기금대출절차간소화를통한대국민서비스향상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서민실수요자 지원 강화 및 이용자 편의 제고 등을 위한 주택도시

기금 구입전세 대출의 자산심사 도입

(추진내용)

∙ 자산심사기준 도입을 통한 정책자금의 실수요자 집중 지원

∙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구축을 통한 대출절차 간소화

∙ 전담 수행조직 운영 및 수탁은행 역할 재정립 등을 통한 대국민 서비스 제고

추진목표

대출절차 혁신 시스템 운영 체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자산기준 마련기금법령 개정시스템 개발오픈수요자대출상품운영

수요자대출 全상품 시스템 안정화제도개선 및 모니터링

他 기금상품 (주택종합청약저축)도입 검토 및 적용

실행과제

(15)고아원연계 보호종료아동 월세보증금 지원 제도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고아원 보호기간이 종료됨에 따라 주거지원이 필요한 아동에게

주택임차자금 지원 및 보증상품 개발

(추진내용)

∙ 긴급 주거지원이 필요한 아동의 가정에 주택임차자금 지원∙ 고아원 보호종료 아동 대상 전세월세보증금보증 할인 상품 개발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택임차자금지원 세대 수

10 20 성과분석 후 확대 검토

고아원보호종료아동대상상품가입자수

상품개발추진 제도개선 추진

실행과제

(16)HUG 이용고객 편의성 제고를 위한 플랫폼 구축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객과의 소통채널 확대방안의 일환으로 24시간 고객상담 제공

(추진내용)

∙ 단순 문의 SMS 발송

- 위탁은행 신청서류 등 전세보증 관련 간단 정보 문자발송 ARS실시(완료 `195월)

- 업무시간 종료 후에도 단순문의에 대한 SMS문자안내 서비스 추진

∙ 콜센터와 지사 상담이력 공유

- 콜센터 상담시스템과 차세대 시스템을 연계 고객별 상담이력 조회화면 구축

∙ 보이는 ARS 서비스 도입

- 기존의 음성 서비스와 함께 스마트폰을 통해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바로

연결하고 직접 통화하지 않아도 간편문의를 처리할 수 있는 보이는 ARS 실시

추진목표 2019년 챗봇서비스 DB구축 검토 2020년 챗봇 서비스 도입 검토

- 20 -

실행과제

(17)전세금보증 인터넷가입에 필요한 데이터 자동화 구축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가입을 간편하게 하여 정보사각지대에 있는 고객의

보증 가입 편의성 강화

(추진내용)

∙ 주택가격정보middot등기부등본 데이터 자동입력 시스템 마련

- KB시세 한국감정원 국세청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와의 협약 통한 시스템 연계

- 직접협약 외에도 부동산 권리변동정보 제공기관을 통한 중계서비스 도입 검토

∙ 인터넷보증시스템 전세금보증 신청절차 개선

- 전자연계 가능한 서류의 데이터 자동입력 프로세스 개발

- 보증심사시 담당자가 전자 원본 서류를 확인할 수 있는 화면 개발

추진목표

데이터 입력시스템 구축 및 운용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연계방안검토

협약체결 전산연계 운영 및 보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18)

사회임대주택 활성화를 위한 조직 혁신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사회임대주택 금융지원제도 담당부서 일원화로 속도감 있는 제도개선 등

사회임대주택 활성화 지원

(추진내용)

∙ 기획조정실 사회임대주택 총괄부서 지정을 위한 조직개편 추진

- 현행 사회임대PF보증(금융기획실) 토지임대middot기금출융자(도시재생기획처 기금지원처)

- 개선 도시재생기획처로 일원화하여 사회임대주택 복합금융 지원업무 총괄

한 부서에서 기금 출middot융자 보증지원까지 원스톱 상담으로 고객 만족도 제고

추진목표 2019년 조직개편 완료

실행과제

(19)상담서비스 고도화를 통한 고객만족도 제고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객상담데이터 체계적 관리middot활용을 통한 대국민 서비스 질적 향상

(추진내용)

∙ 차세대(전산)업무시스템 및 콜센터 시스템을 연계하여 상담이력 공유- 콜센터 외에도 지사 직원의 고객상담이력을 저장할 수 있도록 차세대시스템 내화면 구축 콜센터의 상담이력 역시 차세대 시스템에 저장 및 관리

∙ 보이는 ARS서비스 실시 및 단순문의안내 SMS 발송 서비스 실시middot활성화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콜센터전산시스템연계

시스템구축

시스템개발완료및 운용

시스템운용

시스템운용

시스템운용

신규 서비스출시

보이는ARS검토

보이는ARS출시

보이는ARS운용

보이는ARS운용

보이는ARS운용

- 21 -

2 혁신적 포용국가 선도

(3대 과제) 경제활력 제고 및 일자리 중심 경제 선도 중점

실행과제

(20)공공정보 연계 통한 서류제출 절차 간소화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필요한 서류를 간소화함으로써 대국민서비스 질 제고 (추진내용)∙ 필요한 서류 등을 공사 전산으로 조회 가능한 시스템 구축∙ 기금대출절차 혁신 시스템과 연계

추진목표 ∙ (비계량) 필요서류 전산조회 시스템 구축

실행과제

(21)사업다각화를 통한 고용증대 및 비정규직 ZERO화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서민 주거복지 도시재생 활성화 지원 등을 위한 기관 자체의 적극적인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공기업 서비스 제고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증원 및 채용 확대- 신사업 발굴 및 자율정원제를 통한 적극적인 증원-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청년 및 지역 인재 채용∙ 사회 양극화 해소를 위한 비정규직 ZERO화- 노사 공감대에 기반한 정당한 절차를 통한 전환 추진 및 전환근로자 처우 개선 노력

추진목표정원 비정규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766명 0명 903명 0명 995명 0명 1033명 0명 1062명 0명

실행과제

(22)

주거복지 및 도시재생을 위한

도시재생 창업공간 금융지원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도시재생 금융상품을 통한 창업지원 (목적) 창업과 관련한 도시재생 금융상품을 통해 민간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창업 관련 수요자 중심형 기금융자 및 보증상품 개발 운용- 코워킹시설조성 상가리모델링 공공임대상가 등 기금융자 지원

도시재생뉴딜 금융지원을 위한 사회적 금융 연계 지원 (목적) 도시재생분야법인단체창업관련크라우드펀딩 및 창업지원 컨설팅 추진 (추진내용)∙ 도시재생분야에대중투자연계일자리창출및지역주도사회적경제활성화지원- 뉴딜로 도시재생 크라우드펀딩 대회 개최 등∙ 도시재생 창업단체에 대한 지원을 위해 HUG형 민간일자리 창출 프로젝트 추진- HUG와 함께하는 도시재생 뉴딜 창업프로젝트 추진 및 사회적 경제조직 활성화

추진목표창업지원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510억원 1548억 1548억 1548억 1548억

- 22 -

실행과제

(23)IT선진화를 통한 민간일자리 창출 담당부서

기금정보처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고유목적사업인 주택보증 주택도시기금 및 도시재생분야의 IT 시스템

구축 및 개선을 통한 민간 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 주택도시기금 정보시스템 통합 유지보수

- (추진기간) 유지보수 사업의 특성으로 매년 발생

- (일자리창출) 2019년(8명) 2020년 sim 2023년(매년 16명)

∙ 도시재생 금융지원 전산시스템 구축

- 도시재생융자등원활한도시계정업무를뒷받침하기위한온라인금융지원시스템구축

- 추진기간 2018년~2019년 투입금액 및 인력 51억원 41명

∙ 주택도시기금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구축

- 주택도시기금 대출절차 편의 제고 및 절차 간소화 시스템 구축

- 추진기간 2018년~2019년 투입금액및인력 컨설팅용역43억원 12명 전산용역74억원52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기금업무 운영 유지보수 8 16 16 16 16

도시재생 융자시스템 41 - - - -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64 - - - -

합 계 177

실행과제

(24)

공공기관 공동기금 조성을 통한

지역 사회적경제 활성화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이전지역 기관간 협업을 통한 사회적경제 활성화로 지속가능한 일자리

제공 지역경제 활성화 추진

(추진내용)

∙ 부산 사회적경제 지원기금(BEF) 지원을 통한 사회적기업 육성 및 지원

- Pilot Program (크라우드펀딩) 20개소 창업단계 재정지원 5개소 Start-up 재정지원

15개소 Scale-up(성정기 기업) 대출지원 5개소 BEF 경영컨설팅 50회 BEF

사회적기업 연구가 인재육성 실시 2회 BEF 판로지원 5개소 등

추진목표

기금지원 (자체 공동)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억원(10억원)

1억원(10억원)

1억원(10억원)

1억원(125억원)

-

- 23 -

(4대 과제) 혁신성장 지원

실행과제

(25)상가임차금 안심대출 상품개발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도시재생지역 내 상가임차인 보호를 위한 상가임차금안심대출 개발

(추진내용)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법령 개정 검토

-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등 관련 법령 개정안 검토

- 법령 개정안 정부 건의 (우선변제권 승계기관 포함)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시장분석 및 조사(`20)

- 상가임차보증금 시장분석 및 보증이용 수요조사

- 보증료율 검토 및 리스크 분석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출시(`21)

- 사규개정 및 법령개정 완료

추진목표

상가임차보증금 상품 출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내부검토 법령개정 시장분석 상품출시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26)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사고 위기사업장과 보증실적의 증가로 사전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및 정기 점검활동 강화 및 핵심업무 역량집중 강화

(추진내용)

∙ 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 현장점검 대상사업장을 파악하여 외주용역을 통한 점검 추진 검토

추진목표 ∙ 2019년도 현장점검 외주화

실행과제

(27)

비대면 전세금보증을 통한 혁신성장 기반 마련

(카카오페이를 통한 가입확대 등)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모바일 전세금보증

스마트폰을이용해언제 어디서든쉽게보증을신청할수있도록모바일가입채널마련

∙ (모바일 인터페이스) 인터넷 전세금보증 프로세스를 모바일웹에 최적화하여 로그인

부터 보증가입 승인까지 전 프로세스 지원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위탁은행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증가입 프로세스 개선

(현행) 임차인이 선순위 채권 등 보증가입정보를 입력

(개선) 임차인은개인정보및계약정보만입력하고세부심사에필요한정보는심사자가입력

모바일 안심대출보증

위탁은행 비대면 전세금 안심대출 상품 개발

추진목표 2019년 전세금보증의 완전한 모바일 가입체계 구축

- 24 -

실행과제

(28)국민 주거편의 제공을 위한 스마트시티 건설 지원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목적) 핵심 국정과제인 스마트시티 분야의 금융지원 플랫폼으로서 주택도시기금지원 기반 모색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검토 및 금융상품 초안 마련

(추진내용)

∙ 민간사업자 의견 수렴 및 스마트시티 기금 금융지원 상품 초안 마련 -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및 주요 요소기술산업 등 동향 파악- 민간사업자 의견수렴을 바탕으로 실질적 금융지원이 가능한 상품 개발 추진∙ 주택도시기금법 개정안 마련 및 정부 건의∙ 스마트시티 건설사업장에 대한 보증료 할인 또는 보증심사 가점부여∙ 스마트시티 건설 신공법 소개 및 성공사례 공유

추진목표금융지원 확대 건수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건 1건 2건 3건 3건

실행과제

(29)HUG 빅데이터운영체계구축으로공공데이터개방기여 담당부서

주택도시

금융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기관 내middot외부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주택middot도시middot금융 분야의 환경 변화를진단함으로서 4차산업 혁명시대 도래에 따른 선제적인 대응 체계 마련

(추진내용)

∙ (1단계) HUG 빅데이터 기반 주택시장 분석 인프라 설계 및 로드맵 수립∙ (2단계) HUG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구축 및 모델 개발∙ 수요자(국민middot정부middot공사)별 빅데이터 활용 영역 확대 및 분석 기능 고도화

추진목표공공데이터 외부개방(제공) 건수 (오픈API포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38건 42건 46건 51건 56건

실행과제

(30)

친환경middot신소재 활용으로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

(제로에너지 건축물 건설자금지원 등)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주택건설사업장에 친환경middot신소재 사용을 유도함으로써 환경 친화적 주택건설과 에너지신산업 판로지원

(추진내용)

∙ 친환경 제품 및 에너지 신소재 제품사용 주택건설사업장에 보증심사 가점부여(완료)- (`1812) 녹색건축물인증등급부여고객보증심사시초기예상분양율 5〜1점가점부여

∙ (추진) 신소재 적용 주택건설사업장 확대를 위해 보증심사시 가점부여

- SOC 공공기관 통합기술마켓과 연계한 보증우대 방안 마련 중소기업이 보유한 SOC 공공기관 관련 혁신기술의 공모middot연구개발 제안 및 검증을

통해 상품화 및 홍보middot판매를 지원하는 플랫폼

추진목표

친환경적 주택건설 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

- 25 -

실행과제

(31)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비대면 가입 활성화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9개 수탁은행에 온라인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 독려

연령 무주택세대주 소득증빙 등 가입 시 제출서류가 많아 비대면 시스템 구축 시

지점방문 없이 간편하게 가입 가능

신한은행 최초로 완전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821)

비대면 가입 주택도시기금포털에 안내 및 홍보

비대면 가입 시스템 기금포털 홍보 게시하여 수탁은행 시스템 개발 독려

추진목표 목표비대면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전체 가입의 6 전체 가입의 12

실행과제

(32)전기자동차 도입을 통한 친환경 에너지 수요 창출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업무용 차량의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ㅇ 2018년 임차기간 만료예정인 업무용 차량을 전기자동차로 대체

ㅇ 추후 본사 및 영업부서 업무용 차량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추진목표 2019년 중 전기자동차 1대 충전소 1개소 설치실행과제

(33)드론 활용을 통한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기술middot제품에 대한 선제적 구매 및 테스트와 고유사업에 활용

으로 민간 초기시장 조성을 견인

(추진내용)

∙ 보증이행사업장 드론 안전점검 시범실시

- (`1812) 예산 미편성으로 1개 사업장 드론촬영 시범실시 및 효용성 검토

∙ 보유중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에 드론 활용 확대

- (`196) 전문엔지니어링 업체 발굴로 일자리 창출 및 보유 사업장 전체(2개)에

드론 활용 안전점검 실시 rArr 위험요소 발굴로 관할센터에 사고예방을 위한

안전조치 권고문서 시행

추진목표

안전사고 발생비율(발생건수보유사업장)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0 0 0 0 0 안전사고발생 ZERO무사고 달성

실행과제

(34)드론활용사업장안전관리및점검체계구축(시범단지운영)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HUG형 혁신 사업장 안전관리 및 점검체계 구축

ㅇ 드론 활용 사업장 안전 및 점검체계 구축

ㅇ 시범단지 선정 및 운용 세부계획 검토

∙ 드론 등 기술혁신 도구관련 관련 업체 및 유관기관 협의

∙ 사업장-영업부서-본사부서 협업체계 및 활용방안(HUG-i 게시) 등

추진목표안전사고로 인한 분양보증사고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0 0 0 0 0

- 26 -

실행과제

(35)블록체인을 활용한 안전하고 편리한 인터넷서비스 제공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정부주도의 공인인증서 폐지정책(전자서명법 전부개정 예고)에 따라 전자

서명에 대한 인터넷 사용자 대체 인증수단 개발

(추진내용)

∙ 블록체인 기반의 본인인증 서비스 (카카오페이 인증 서비스) 도입

- 인터넷보증시스템에서보증료영수증및보증서출력시카카오인증을이용한전자문서

유통증명서비스제공

∙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대국민서비스 확대

- 전자서명법개정에따른블록체인기반의전자서명서비스도입

- 온라인 등기우편(연체정보 등 전자우편을 본인인증 후 열람) 일괄발송 발송내역 조회

및유통증명서발급시스템구축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블록체인기반본인인증서비스시범도입

블록체인기술을이용한

대국민서비스확대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실행과제

(36)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사업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환경보호라는 공공성을 위하여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건물

보증에 대해 유인책 마련 필요

(추진내용)

∙ 제로에너지 건축물에 대한 대출한도 상향 조정

∙ 건축 관련학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해 친환경 건축물에 대한 관심 제고

- HUG 오픈캠퍼스 추진 시 건축 관련학과(건축공학과 건축디자인과 등) 학생에게 교육

추진및공사인턴체험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제로에너지 건축물지원 제도

규정신설 -

HUG오픈캠퍼스 수료학생수 (건축 관련 학과 포함)

100 110 121 133 146

- 27 -

(5대 과제) 공정경제 기반 구축 중점

실행과제

(37)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 진입장벽 해소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물품구매 대금결제 등에 중소기업 창업기업 등에 대한 계약규제 완화를

통해 공정경제 기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함

(추진내용)

∙ 신규 창업middot중소기업에 대한 진입장벽 완화

- 소규모 물품middot용역 입찰(고시금액 21억원 미만) 참여시 상대적으로불리한신규창업 및

중소기업에대한실적제한폐지

- 다만 부득이용역의성격상실적평가가필요한경우창업기업실적인정기간연장

(현행 3년 rarr 7년)을 통한 부담 완화

∙ 지체상금 부담경감 (현행의 12수준) 을 통한 상생협력 강화

∙ 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에 대한 용역대금 선급금지급률 확대

추진목표

중소기업 등 협력업체 계약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779 790 80 81 -

실행과제

(38)

공정경제를 위한 지역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업자 보호강화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건설사업장 인근지역 중소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대금의 현금

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한 하도급업자 보호 강화

(추진내용)

∙ 지역 중소 건설업체들에게 동일한 기회제공 및 공정한 경쟁 유도

- 건설사업장에서 지역건설업체와 하도급계약 체결 시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 할인 추진

∙ 협력업체 하도금대금의 현금지급 확대

- 하도급대금을 현금으로 지급할 경우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를 할인

하여 협력업체 및 근로자들의 보호를 강화하고 시장에서의 우위 선점

추진목표

지역 하도급업체 계약체결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규정개정 30 40 50 60

하도급대금의 현금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해 하도급업자 보호

- 28 -

3 국민신뢰 회복

(6대 과제) 적극행정 확산 등 조직운영 혁신

실행과제

(39)고용위기지역에 대한 금융지원 추진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용위기지역에 대한 지원강화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추진내용)

∙ 고용위기지역 내 임대주택 건립시 보증료 할인 추진(완료)

- 고용위기지역및고용재난지역소재임대보증금보증사업장보증료 10인하( 1812)

∙ 고용위기지역 내 임차인이 전세금보증 이용시 보증료 할인 검토

- 전세보증금반환보증(전세금보장) 전세안심대출(전세금대출지원)

보증이용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임차주택으로 변경시 보증료 할인 검토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보유한 주택건설사업자가 입주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임차

주택으로변경하여전세금보증가입신청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추진목표

고용위기지역 금융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마련 및 운영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40)근로여건 개선을 통한 휴식 있는 삶 지원 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일ㆍ가정 양립에 대한 법적ㆍ사회적 요구 증대됨에 따라 장시간 근로문화를 타파하고 휴식 있는 삶을 지원하여 일ㆍ생활의 균형 실현

(추진내용)

∙ 장시간 근로문화 타파- 직원니즈를반영한공사맞춤형복무제도수립및운영- PC-OFF 강화 (주2회rarr매일)- 퇴근장려캠페인 (인사안하고퇴근하기 관리자솔선수범퇴근)∙ 휴식 있는 삶 지원- 가족친화제도지속개발 (일가양득프로그램운영)- 연차휴가및남성육아휴직이용률향상을위한제도개선- 시간단위연차사용을통한휴가사용활성화- 임신직원보호를위한모성보호절차도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인당 연차사용일 1426일 1497일 1572일 1651일 1733일남성육아휴직인원 331 348 365 383 402

- 29 -

실행과제

(41)

위임전결기준 개선을 통한 업무처리 혁신

(결재피로감 낮추고 책임middot권한 공백없이 업무는 신속하게)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결재절차를 단순화함으로써 신속한 업무처리 및 고객만족도 제고

(추진내용)

∙보증위탁업무전결권세분화

- 위임전결규정안마련및규정개정절차진행(5월)

보증업무 위탁外 융자수탁업무 관련 전결권 개정도 함께 추진

∙대외업무협약체결전결권세분화

- 사안의중요성및영향도등고려중장기적으로면밀한검토필요

추진목표

결재절차 단순화

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rsquo23년보증및융자수탁업무위임전결규정개정

제도 보완

실행과제

(42)지출신청 시 영수증 증빙 제출제도 개선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지출신청시 불필요한 원본구비 제도 개선을 통한 업무효율화 달성

(추진내용)

∙ 공사 지출의 42 비중을 차지하는 5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 원본 제출 제외

- 지출액 50만원 이하 법인카드 및 전자세금계산서 지출 건 원본구비 예외 조항 신설

- 확인이 필요한 간이계산서 등은 원본징구하여 지출사고 가능성 예방

- 제도 정착 전 3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에 대하여 원본 제출 제외(시범운영)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내부

규정개정 및시범운영

제도개선 지속 추진

실행과제(43)

PF보증심사 시 월별예정 분양률 분포의 계량화 담당부서금융기획실심사평가처주택도시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민간아파트 초기분양률 데이터를 활용한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

(추진내용)

∙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를 통한 심사 객관성 확보

- 월별예정분양률 관련 명확한 지침 산정으로 신청업체 및 심사자의 주관 배제

- 국가승인통계인 민간아파트초기분양률 동향 데이터를 활용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

∙ 초기분양률 동향 분석(주택도시금융연구원 협업 4월sim10월)

- 연구원과 협업을 통해 초기분양률 데이터 분석 및 관리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건의(11월)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관할 부서(금융기획실)로 세칙 개정 건의

추진목표2019년도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예상분양률 분포기준 마련 초기분양률 데이터 관리체계 구축

- 30 -

(7대 과제) 윤리경영 강화

실행과제

(46)청렴도 향상을 위한 반부패 활동 강화 담당부서 준법지원실

추진내용

윤리경영 추진조직 강화

기관장 주도의 윤리경영 고위직 협의체 구축 내부 자문기구「청렴자문위

원회」운영 강화 및 임원의 윤리자가진단 현황 정보공개

반부패middot청렴 대외 활동 활성화

부산 이전 공공기관 청렴 협의체「청렴 클러스터」활동 강화

「부산투명사회실천 민middot관 네트워크」가입middot활동 실시

「유엔글로벌콤팩트(UNGC)」활동으로 글로벌 윤리역량 강화

실행과제

(44)논스톱 고분양가 심사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공사 PF보증 사업장에 대한 고분양가 심사기준 개선을 통한 사업

안정성 제고 및 고객신뢰성 확보

(추진내용)

∙ 「고분양가사업장심사규정」개정 추진(5월~6월)

- 고분양가 관리지역 내에서 공사 PF보증 발급예정사업장의 고분양가 심사기준(비교

사업장 선정 및 분양가격 산출 등)의 적용을lsquoPF보증 본점 승인시점rsquo으로 명확히 함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고분양가심사규정개정

사업안정성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 추진

실행과제

(45)임대리츠 통계 및 사후관리시스템 개선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목적) 자리츠 사후관리 주관기관(모리츠 AMC인 LH) 및 감독관리기관

(HUG) 간의 업무분장에 따라 사후관리 데이터 품질 저하 등 발생

rArr 기관간 협업체계 개선 관련 시스템 개발 등을 통한 사후관리 관련 데이터품질 향상 및 대정부 정보전달 적시성 확보

(추진내용)

∙ 리츠 기금출자내용 변경시 임대리츠 이력관리 등이 가능하게 하는 통계시스템 개발

∙ 분기별 사후관리보고 제출기한 마련 검토

∙ 임대리츠 통계관리 업무체계 내실화를 위한 기관간 협업 수행

추진목표

임대리츠 사후관리 구조 개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전산시스템개발 및시스템 구축

임대리츠사후관리

체계개선 수행

시스템 운용및 개선사항도출

기관간 협업수행(데이터관

리)

임대리츠통합데이터관리 수행

- 31 -

(8대 과제) 국민의 참여협력 확대 및 지역사회 공헌

실행과제

(47)

혁신도시 맞춤형 지역인재 육성 지원 및

인재채용 투명성 강화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도시 지원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증대에 따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한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

(추진내용)

∙ 市-지역대학간 협업으로 지역인재 육성 교육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 외부 면접위원 확대 및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인사 절차의 공정성 강화

∙ 사회형평적 채용실시와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을 통한 불합리한 차별 해소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지역채용 21 24 27 30 33지역인재육성 총 교육시간(교육인원times교육시간 시간) 3000 4500 4500 4500 4500

지역인재육성교육만족도(점수) 944 949 954 959 964

실행과제

(48)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사회공헌사업 확대 추진 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정부의 lsquo사회적 가치 실현rsquo을 정책에 따라 사회적 경제 및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사회공헌 필요성 증가

(추진내용)

∙ 안전한 주거환경 제공

- 무주택 국가유공자 및 저소득층 임차자금 170세대 지원(~8월10억원)- HUG 셰어하우스 3호 신촌점 완공 청년 24명 입주 완료(~10월2억원)- 저소득층 노후주택 및 소규모 사회복지시설 127세대 개보수(~10월8억원)- HUG STREET 잘사는 골목길 등 환경개선사업 대상지 선정 완료(~10월1억1천만원)

∙ 지역사회와 상생

- 노후 슬레이트 지붕개량 및 태양광 지원 사업 4자 협약(~8월3억원) HUG-부산시-한국사회복지협의회-부산도시재생지원센터

- HOPE with HUG 10호 11호 완공(~9월1억5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지역건설사-지역건축전문가 협업을 통한 주거개선사업

- 부산 송상현 광장 내 도시놀이터 프로젝트 완료(~9월7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부산시설공단 협업을 통한 문화middot휴식공간 조성

청렴 모니터링 다각화

청렴의식 환기를 위한 「자가점검 프로그램」실시

「청렴 옴부즈만」운영

개선 아이디어 발굴을 위한 「신입사원 生生 모니터링」

추진목표

종합청렴도 결과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3등급 2등급 1등급 1등급 1둥급

- 32 -

∙ 균등한 기회와 사회통합

- 중학생 자유학기제 지원 프로그램 운영(9월~4천만원)- 저소득층 청소년 20명ndash대학생 20명 매칭 등(6월~5천만원)- lsquoKBS 동행rsquo에 출연하는 저소득 가정 50세대 지원(7월~1억원)- 발달장애 청년 재능개발 프로젝트lsquo눈부신하루rsquo추진(6월~3천만원)- 신입사원 봉사활동 등을 통한 지역사회 나눔활동(~10월7천2백만원)- 저소득층 난방연료 지원을 위한 주택도시업 캠페인(~12월5천만원)- 자매결연 마을 농수산물 구입기증(~12월4천만원)

추진목표

추진 목표는 해당연도 사회공헌 기부금 예산금액(이사회 의결금액)과 연계

기부금액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8620백만원 8879백만원 9145백만원 9419백만원 9702백만원 전년도예산금액103

실행과제

(49)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목적) 도시재생과 유사한 목표비전을 공유하는 사회적경제와 연계한 맞춤형

금융상품 운영 및 관련 지원조직과 다각적 협업 활동 추진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지역주민이 주도하는 도시재생 금융지원으로 국민의 삶의 질 개선

(목적) 주민지역공동체 주도의 마을단위 도시재생으로의 변화에 대응하여

사회적 경제주체 등 지원체계 개선으로 사회적 가치 실현에 기여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추진목표

수요자중심형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510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실행과제

(50)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국민이 참여하는

HUG사업평가단(가칭) 운영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보증업무 전반에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HUG

사업평가단 구성하여 주택품질 제고 및 안심입주 지향

(추진내용)

∙ 국민이 참여하는 보증솔루션팀 및 보증심사 리뷰단을 통해 제도 개선사항 도출

∙ 보증채권자 권익에 미치는 사항 등 국민의견 수렴을 통한 보증이행제도 개선

∙ 전세금보증 이행완료 고객 및 공인중개사 참여를 통한 제도개선 사항 발굴

추진목표 2019년 국민 의견수렴을 통한 전세금보증 제도 개선 등 검토

- 33 -

실행과제(51)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과 협업하여효율적인 전세금보증 이행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이행 업무의 효율성 제고

(추진내용)

∙ 지역사회단체 등과의 협업을 통한 임차인 퇴거확인 추진 검토

- 보증사고 발생 시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 구성원이 임차인 퇴거를

확인하여 담당직원 업무 공백 최소화 (직원 출장비 수준으로 비용 지급)

- 임차인 퇴거 확인 시 해당 주택가격 및 신규 임차인 확보 가능성 검토결과를

보고받아 채권보전조치를 위한 근거 확보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거보호 이행도(전세금보증 이행 15일초과건수전체이행건수)

50 45 41 37 34

- 34 -

Ⅳ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및 적극행정 확산

①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국민참여게시판을 lsquo국민제안(국민rarr기관)rsquo

및 lsquo정책제안(기관rarr국민)rsquo 게시판으로 세분화하여 국민과 기관간

상시 소통기반 마련 경평지적

지적사항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위한 개선방안 마련 필요

(혁신 네트워크 강화) 시민참여혁신단 보증채권권익위원회 전세금

보증 시민참여단 기금홍보협의회 운영 등 주요사업에 기반하여

다양한 대외 전문기관과 네트워크 활성화 경평지적

지적사항 보증 기금등주요사업역량강화를위한전문기관혁신네트워크강화필요

② 적극행정 확산

(적극행정 면책제도 활용) 감사계획 통보 시 적극행정 면책제도

middot사전컨설팅 제도 사전안내 및 면책신청 지원을 위한 상담창구

운영 등 (계획수립 完 감사실-2367호)

(기관장 책임강화) 혁신전략위원회(위원장 사장)를 통해 적극행정

혁신과제에 대한 추진독려 및 이행사항 점검 등 보완사항 지속

발굴 (혁신페스티벌 1middot2차 개최)

(적극행정 우수사례 발굴)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를 통해 조직내

적극행정 분위기 유도 (포상 및 내부성과평가 반영 등)

성과창출에 실패했더라도 기존관행 탈피 새로운 영역개척 국민접점에서

활력을 제고하는 등 lsquo착한실패rsquo lsquo건전한파격rsquo에 대해서도 포상추진 예정

(적극행정 인식확산) 적극행정 사이버교육(법제처 주관) 이수 등

적극행정 인식확산을 위한 교육참여 시 혁신마일리지 부여 (전사 교육 실시 예정)

- 35 -

Ⅴ 혁신 추진도구별 업무일정

구 분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1 2 3 4 5 6 7 8 9 10 11 12

1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2 국민소통 강화

3 혁신페스티벌

4 유관기관 협업

5 혁신채널 구축

6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7 제안제도 정비

8 혁신콘서트

9 혁신교육 및 혁신워크숍

10 혁신레터

11 혁신마일리지 신설

12 혁신BP 발굴 및 포상

피드백

(성과관리) 공공기관 혁신 및 기관 경영혁신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혁신과제 추진실적을 정기적으로 점검 및 피드백

(혁신전파) 조직원 전체의 혁신공감대 형성 및 참여도 제고를 위해

본사부서 및 영업부서 방문 등을 통해 혁신활동 및 우수사례 공유

(혁신내재화) 국민소통채널 혁신마일리지 혁신레터 등 혁신활동이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고 혁신업무에 대해

조직원이 공감하고 회사 모든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

Page 15: 2019년 HUG 혁신 추진계획 - khug.or.kr…„HUG혁신추진계획.pdf · 혁신페스티벌 - (내부 혁신과제 발굴) 조직·인사·제도·서비스혁신 등 회사

- 14 -

실행과제

(4)주택도시기금신규상품개발을통한도시재생뉴딜활성화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도시재생뉴딜 맞춤형 금융지원 확대 (목적) 도시재생 사업유형 확대에 대응한 맞춤형 기금지원 상품 개발운용 (추진내용)∙ 소규모 재생사업 및 주택정비 활성화를 위한 금융지원 확대∙ 도시재생 경제조직 활성화를 위한 금융지원 프로그램 도입 도시재생뉴딜 활성화를 위한 기금지원 운용체계 개선 (목적) 명확한 업무기준효율적 수행방안을 확립하여 도시계정 양적질적확대에 대응 및 뉴딜정책 활성화에 기여

(추진내용)∙ 도시재생 금융지원 접수middot심사체계 개편으로 국민불편 해소∙ 도시재생 금융지원 사후관리 체계 확립으로 안정적 기금운용 및 공공성 실현

추진목표

도시재생 금융지원 출융자 실적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5877억원 11227억원 15014억원 16178억원 16494억원

도시재생 금융지원 심사사업장관리 운용체계 개선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5건 5건 5건 5건 5건

실행과제(5)

제도에서 전산까지 온middot오프라인 안심시스템 구축 담당부서정보운영처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응하는 정보보안체계 구축

(목적) 4차 산업혁명시대 기술(IoT BigData AI 등) 변화에 맞는 선제적인 정보

보안 체계 수립과 능동적인 정보주체의 권리 보장

ㅇ (추진내용)

∙ 선진화 정보보안 체계 구축 컨설팅

주택건설사업장 사회안전망 플랫폼 구축

(목적) 주택관리사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으로 사고로 인한 분양계약자의

입주지연 및 보증사고 위험 등을 사전에 예방하여 국민의 편익 증진

(추진내용)

∙ 사업장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보증사업장 현장점검 규정 개정

- 사업장안전관리강화를위한안전점검업무신설및안전관리우수고객우대제도운영

∙ 드론을 활용한 보증사업장 동영상 촬영 및 제공으로 분양계약자 정보제공 강화

- 현재 앱을 통한 사업장 현장사진 제공을 드론을 이용한 동영상 제공으로 확대하여

분양계약자 정보제공 강화

추진목표

국정원 정보보안 관리실태 점수 행안부 개인정보보호 진단 점수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공공기관평균점수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 5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10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15

평균점수+(100-평균점수)times20

보증사업장 안전사고로 인한 공사 지연 건수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0건 0건 0건 0건 0건

- 15 -

실행과제(6)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전사 경영전략체계 구축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공공기관의 lsquo공적역할 강화rsquo 및 lsquo사회적 책임실현rsquo이라는 국정기조 변화에 부응

하기위한공사의新경영전략수립

(추진내용)

∙ 고유 업무의 공공성 제고를 위한 사업전략 재수립

- 사회통합형 주거복지 실현을 위한 공적금융 지원 전략 수립

- 소규모 도시재생사업 활성화를 위한 단계별 공사 역할방안 마련

∙ 사회적 가치 기반 전사 기능전략 및 중장기 경영목표 재수립

- 공적역할 확대 및 사회적 책임 구현을 위한 부문별 기능전략 수립

추진목표

사회적가치 기여도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최우수 최우수 최우수 최우수 최우수

청렴도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등급 1등급 1등급 1등급 1등급

실행과제(7)

도시계정의 체계적 관리를 통한 도시재생 활성화 담당부서기금정보처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목적) 노후주거지 주민과 사회적기업 등이 필요로 하는 자금을 적시에 원활히 지원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도시계정 관리 추진

(추진내용)

∙ 연체관리 프로세스 정립을 통한 기금손실예방

- 연체 단계별 업무처리 프로세스 마련을 통한 융자사고방지

- 도시계정 융자원리금 수납기준 마련

- 융자사고관리 방안 마련

∙ 고객신용관리 체계구축을 통한 사고예방 모니터링 확대

- 고객신용관리 모니터링 체계구축을 통한 사고예방관리

- 도시계정 신용정보집중 처리기준 프로세스 마련

- 도시계정 신용정보관리 전산시스템 구축 일반신용정보관리규약에 따른 도시계정 신용정보 파일전송 설계서(전문) 작성

공사 신용정보 집중 시스템과 병합 추진

∙ 도시계정 자금관리 체계정립을 통한 도시재생활성화지원

- 도시계정 예산확대 신규 금융기법적용 등 도시계정 특성을 반영한 회계middot결산

자금관리 업무기준 확립 정형화된 담보가 아닌 수요자사업자 특성을 고려한 맞춤 담보제공 자금투입 공공성 확보를

위한 엄격한 융자조건 부여

- 회계middot결산 자금관리 업무전산화를 통한 효율화 정책지원기능 확대

추진목표 (비계량) 2019년 융자사고예방을 위한 연체관리 자금관리기준 수립 및 개선

- 16 -

실행과제(8)

국민과 함꼐하는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 담당부서보증이행처

준법지원실

추진내용

(목적) 국민참여를 통한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의 수용성 제고 및 주거

복지 실현 위한 공동주택 하자 조기대응ㆍ감축방안 모색

(추진내용)

∙ 하자분쟁 해결체계 관련 국민 공유ㆍ소통 프로그램 운영

- 국민과 함께하는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 계획 수립

- lsquo공동주택 실무강좌rsquo 동행을 통한 하자관련 주요이슈 대국민 공유ㆍ소통- 국민참여 하자정보 공유 4회(서울 인천 수원 의정부) 및 하자실무 법률상담

∙ 국민 참여 확대를 통한 정책 개선 노력

- (lsquo1810) 대국민 의견수렴을 위한 하자분쟁 컨퍼런스 개최

middot 하자분쟁 예방을 위한 관계규정 검토 및 정책 논의

middot 행정청 학계 법조계 및 입주자대표회의 관련 다수 국민 참여

∙ 소규모사업장 청구 전 하자보수보증 사전안내제도(BS Before Service) 실시 검토

소규모사업장 150세대 미만 사업장 중 대위변제가 없는 2년차 하자보수보증 만료6개월 전 사업장

추진목표

대국민 참여도산출근거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참여횟수6회참여인원300명

참여횟수8회참여인원400명

참여만족도85점 이상

정책국민의사반영1회이상

정책국민의사반영1회이상

횟수당50명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점수(관리본부) 목표치산출근거구분 rsquo18년 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등급 A A A A A 목표 A등급 이상

실행과제(9)

민관협력사업으로 주거취약지구 주거환경 개선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목적) 공사의 사회적 가치경영 실행을 위해 새뜰마을(취약지역 개조사업) 주거

여건 개선을 지원하는 민관협업 사회공헌사업 추진

(추진내용)

∙ 중앙부처 공공기관 민간기업 등이 지역 주민과 함께 도시취약지역 내 노후주택에

대한 주거환경개선 열효율화 사업 추진

- 새뜰마을중고령화 노후화등으로사업추진이절실하고 지역사회참여정도등을 고려

하여성과가 가시화될수있는지역선정추진

∙ 주거취약지역 환경개선 관련 민관협업사업 MoU 체결 추진

- 국토교통부 HUG LH KCC AURI 해비타트 등 협약 체결을 통해 집수리 자재 및

전문인력 후원금 지원 추진

∙ 도시취약지역 지원 효과 분석 및 사업추진 매뉴얼 마련

- 지역기초조사 사업전후 효과분석 등 성과관리 새뜰마을 매뉴얼 제작보급

추진목표새뜰마을 지원대상 확대 건수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5건 5건 5건 5건 5건

- 17 -

실행과제(10)

도시재생 맞춤형 스타트업 총괄지원

플랫폼 도입middot운영담당부서

인사처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도시재생과 관련된 스타트업 및 소셜벤처에 대한 종합적 지원

(추진내용)

∙ HUG형 도시재생 뉴딜 창업 프로젝트 추진

- 사회적 경제조직 육성기관(함께일하는재단) 대중투자 전문기관(와디즈)과 협업

- 사회적 경제조직 컨설팅 지원

- 대중투자 연계 통한 일자리 창출 및 사회적 경제 활성화 지원

∙ 스타트업 및 소셜벤처에 대한 사회적 금융 지원

∙ HUG 창업 라운지(스타트업 기업에 공간 공유) 확대 운영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사회적금융지원금액 1억 1억 1억 1억 1억

공간지원스타트업수 6 8 10 12 14

멘토링middot창업캠프개최회수 5 5 5 5 5

실행과제(11)

도시재생 생태계 조성을 위한

종합지원 플랫폼 구축담당부서

기금정보처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종합적인 도시재생정보 공유체계 구축을 통해 기금 지원된 도시재생사

업에 대한 정량적 정보 및 사후지원 청년middot예비창업자 참여를 위한 HUG 정책

지원 정보를 기금포털 내 일괄 제공

(추진내용)

∙ 전국 기금이 활용된 도시재생 사업장 정보 제공(lsquo도시재생 기금지도rsquo 서비스)

- 지도 API 기반의 도시재생 기금지원 사업장 정보조회 서비스

- 전국 분포된 사업장의 위치부터 융자금액까지 상세정보를 편리하게 검색

- 실제 사례와 이용 상품 정보를 함께 제공하여 정보이용자 이해도 제고

∙ 기금 사업장 홍보 지원 및 청년창업 지원 정보 일괄 제공(전용 게시판 신설)

- 사업장 및 보유시설(코워킹시설 임대시설 등) 홍보 위한 전용공간 마련

- 기금지원 사업의 우수사례 정보공유를 통한 벤치마킹 및 정보이용자 관심유도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기금지도 서비스 개시 서비스구축middot개시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우수사례 발굴 건수 8 8 8 8 8

- 18 -

(2대 과제) 포용적 공공서비스 제공 강화

실행과제(12)

분양이행사업장 수분양자 보호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분양대금채권 지연손해금율 하향조정 등 분양계약자 부담완화를

통한 국민 주거안정 기여

(추진내용)

∙ 분양계약자 지연손해금 관련 주택분양보증약관 개정

- 분양계약자의 분양계약서상 지연손해금율이 시행사 구상채권 지연손해금율

보다 높은 사례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공사 내규와 분양계약서상 지연손해

금율 중 낮은 것을 적용하도록 약관 규정 개정 (시행사 동의서 징구)

추진목표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 점수(관리본부)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901 915 933 951 971

실행과제(13)

인터넷보증시스템개선으로전세금보증이용편의성제고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인터넷보증 시스템 개선을 통해 고객의 전세상품 보증서비스

편의성 및 접근성을 강화하여 서민 주거안정성 개선 지원

(추진내용)

∙ 인터넷 보증시스템 재구축 추진(lsquo20~lsquo21)

- (현행) 인터넷 익스플로러 이외의 웹브라우저 미지원

- (재구축) 구 운영체제 지원종료 대비 및 지원 플랫폼(구글 크롬 등) 확대를

위한 시스템 재구축 예정

∙ 모바일 보증시스템 구축 추진(lsquo19)

- (현행) PC 중심의 제한적인 보증가입 서비스 제공

- (비대면 서비스 강화) 모바일 보증시스템 구축 추진

추진목표

비대면 보증가입 점유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0 12 14 16 18

- 19 -

실행과제

(14)주택도시기금대출절차간소화를통한대국민서비스향상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서민실수요자 지원 강화 및 이용자 편의 제고 등을 위한 주택도시

기금 구입전세 대출의 자산심사 도입

(추진내용)

∙ 자산심사기준 도입을 통한 정책자금의 실수요자 집중 지원

∙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구축을 통한 대출절차 간소화

∙ 전담 수행조직 운영 및 수탁은행 역할 재정립 등을 통한 대국민 서비스 제고

추진목표

대출절차 혁신 시스템 운영 체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자산기준 마련기금법령 개정시스템 개발오픈수요자대출상품운영

수요자대출 全상품 시스템 안정화제도개선 및 모니터링

他 기금상품 (주택종합청약저축)도입 검토 및 적용

실행과제

(15)고아원연계 보호종료아동 월세보증금 지원 제도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고아원 보호기간이 종료됨에 따라 주거지원이 필요한 아동에게

주택임차자금 지원 및 보증상품 개발

(추진내용)

∙ 긴급 주거지원이 필요한 아동의 가정에 주택임차자금 지원∙ 고아원 보호종료 아동 대상 전세월세보증금보증 할인 상품 개발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택임차자금지원 세대 수

10 20 성과분석 후 확대 검토

고아원보호종료아동대상상품가입자수

상품개발추진 제도개선 추진

실행과제

(16)HUG 이용고객 편의성 제고를 위한 플랫폼 구축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객과의 소통채널 확대방안의 일환으로 24시간 고객상담 제공

(추진내용)

∙ 단순 문의 SMS 발송

- 위탁은행 신청서류 등 전세보증 관련 간단 정보 문자발송 ARS실시(완료 `195월)

- 업무시간 종료 후에도 단순문의에 대한 SMS문자안내 서비스 추진

∙ 콜센터와 지사 상담이력 공유

- 콜센터 상담시스템과 차세대 시스템을 연계 고객별 상담이력 조회화면 구축

∙ 보이는 ARS 서비스 도입

- 기존의 음성 서비스와 함께 스마트폰을 통해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바로

연결하고 직접 통화하지 않아도 간편문의를 처리할 수 있는 보이는 ARS 실시

추진목표 2019년 챗봇서비스 DB구축 검토 2020년 챗봇 서비스 도입 검토

- 20 -

실행과제

(17)전세금보증 인터넷가입에 필요한 데이터 자동화 구축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가입을 간편하게 하여 정보사각지대에 있는 고객의

보증 가입 편의성 강화

(추진내용)

∙ 주택가격정보middot등기부등본 데이터 자동입력 시스템 마련

- KB시세 한국감정원 국세청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와의 협약 통한 시스템 연계

- 직접협약 외에도 부동산 권리변동정보 제공기관을 통한 중계서비스 도입 검토

∙ 인터넷보증시스템 전세금보증 신청절차 개선

- 전자연계 가능한 서류의 데이터 자동입력 프로세스 개발

- 보증심사시 담당자가 전자 원본 서류를 확인할 수 있는 화면 개발

추진목표

데이터 입력시스템 구축 및 운용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연계방안검토

협약체결 전산연계 운영 및 보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18)

사회임대주택 활성화를 위한 조직 혁신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사회임대주택 금융지원제도 담당부서 일원화로 속도감 있는 제도개선 등

사회임대주택 활성화 지원

(추진내용)

∙ 기획조정실 사회임대주택 총괄부서 지정을 위한 조직개편 추진

- 현행 사회임대PF보증(금융기획실) 토지임대middot기금출융자(도시재생기획처 기금지원처)

- 개선 도시재생기획처로 일원화하여 사회임대주택 복합금융 지원업무 총괄

한 부서에서 기금 출middot융자 보증지원까지 원스톱 상담으로 고객 만족도 제고

추진목표 2019년 조직개편 완료

실행과제

(19)상담서비스 고도화를 통한 고객만족도 제고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객상담데이터 체계적 관리middot활용을 통한 대국민 서비스 질적 향상

(추진내용)

∙ 차세대(전산)업무시스템 및 콜센터 시스템을 연계하여 상담이력 공유- 콜센터 외에도 지사 직원의 고객상담이력을 저장할 수 있도록 차세대시스템 내화면 구축 콜센터의 상담이력 역시 차세대 시스템에 저장 및 관리

∙ 보이는 ARS서비스 실시 및 단순문의안내 SMS 발송 서비스 실시middot활성화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콜센터전산시스템연계

시스템구축

시스템개발완료및 운용

시스템운용

시스템운용

시스템운용

신규 서비스출시

보이는ARS검토

보이는ARS출시

보이는ARS운용

보이는ARS운용

보이는ARS운용

- 21 -

2 혁신적 포용국가 선도

(3대 과제) 경제활력 제고 및 일자리 중심 경제 선도 중점

실행과제

(20)공공정보 연계 통한 서류제출 절차 간소화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필요한 서류를 간소화함으로써 대국민서비스 질 제고 (추진내용)∙ 필요한 서류 등을 공사 전산으로 조회 가능한 시스템 구축∙ 기금대출절차 혁신 시스템과 연계

추진목표 ∙ (비계량) 필요서류 전산조회 시스템 구축

실행과제

(21)사업다각화를 통한 고용증대 및 비정규직 ZERO화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서민 주거복지 도시재생 활성화 지원 등을 위한 기관 자체의 적극적인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공기업 서비스 제고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증원 및 채용 확대- 신사업 발굴 및 자율정원제를 통한 적극적인 증원-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청년 및 지역 인재 채용∙ 사회 양극화 해소를 위한 비정규직 ZERO화- 노사 공감대에 기반한 정당한 절차를 통한 전환 추진 및 전환근로자 처우 개선 노력

추진목표정원 비정규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766명 0명 903명 0명 995명 0명 1033명 0명 1062명 0명

실행과제

(22)

주거복지 및 도시재생을 위한

도시재생 창업공간 금융지원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도시재생 금융상품을 통한 창업지원 (목적) 창업과 관련한 도시재생 금융상품을 통해 민간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창업 관련 수요자 중심형 기금융자 및 보증상품 개발 운용- 코워킹시설조성 상가리모델링 공공임대상가 등 기금융자 지원

도시재생뉴딜 금융지원을 위한 사회적 금융 연계 지원 (목적) 도시재생분야법인단체창업관련크라우드펀딩 및 창업지원 컨설팅 추진 (추진내용)∙ 도시재생분야에대중투자연계일자리창출및지역주도사회적경제활성화지원- 뉴딜로 도시재생 크라우드펀딩 대회 개최 등∙ 도시재생 창업단체에 대한 지원을 위해 HUG형 민간일자리 창출 프로젝트 추진- HUG와 함께하는 도시재생 뉴딜 창업프로젝트 추진 및 사회적 경제조직 활성화

추진목표창업지원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510억원 1548억 1548억 1548억 1548억

- 22 -

실행과제

(23)IT선진화를 통한 민간일자리 창출 담당부서

기금정보처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고유목적사업인 주택보증 주택도시기금 및 도시재생분야의 IT 시스템

구축 및 개선을 통한 민간 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 주택도시기금 정보시스템 통합 유지보수

- (추진기간) 유지보수 사업의 특성으로 매년 발생

- (일자리창출) 2019년(8명) 2020년 sim 2023년(매년 16명)

∙ 도시재생 금융지원 전산시스템 구축

- 도시재생융자등원활한도시계정업무를뒷받침하기위한온라인금융지원시스템구축

- 추진기간 2018년~2019년 투입금액 및 인력 51억원 41명

∙ 주택도시기금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구축

- 주택도시기금 대출절차 편의 제고 및 절차 간소화 시스템 구축

- 추진기간 2018년~2019년 투입금액및인력 컨설팅용역43억원 12명 전산용역74억원52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기금업무 운영 유지보수 8 16 16 16 16

도시재생 융자시스템 41 - - - -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64 - - - -

합 계 177

실행과제

(24)

공공기관 공동기금 조성을 통한

지역 사회적경제 활성화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이전지역 기관간 협업을 통한 사회적경제 활성화로 지속가능한 일자리

제공 지역경제 활성화 추진

(추진내용)

∙ 부산 사회적경제 지원기금(BEF) 지원을 통한 사회적기업 육성 및 지원

- Pilot Program (크라우드펀딩) 20개소 창업단계 재정지원 5개소 Start-up 재정지원

15개소 Scale-up(성정기 기업) 대출지원 5개소 BEF 경영컨설팅 50회 BEF

사회적기업 연구가 인재육성 실시 2회 BEF 판로지원 5개소 등

추진목표

기금지원 (자체 공동)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억원(10억원)

1억원(10억원)

1억원(10억원)

1억원(125억원)

-

- 23 -

(4대 과제) 혁신성장 지원

실행과제

(25)상가임차금 안심대출 상품개발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도시재생지역 내 상가임차인 보호를 위한 상가임차금안심대출 개발

(추진내용)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법령 개정 검토

-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등 관련 법령 개정안 검토

- 법령 개정안 정부 건의 (우선변제권 승계기관 포함)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시장분석 및 조사(`20)

- 상가임차보증금 시장분석 및 보증이용 수요조사

- 보증료율 검토 및 리스크 분석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출시(`21)

- 사규개정 및 법령개정 완료

추진목표

상가임차보증금 상품 출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내부검토 법령개정 시장분석 상품출시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26)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사고 위기사업장과 보증실적의 증가로 사전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및 정기 점검활동 강화 및 핵심업무 역량집중 강화

(추진내용)

∙ 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 현장점검 대상사업장을 파악하여 외주용역을 통한 점검 추진 검토

추진목표 ∙ 2019년도 현장점검 외주화

실행과제

(27)

비대면 전세금보증을 통한 혁신성장 기반 마련

(카카오페이를 통한 가입확대 등)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모바일 전세금보증

스마트폰을이용해언제 어디서든쉽게보증을신청할수있도록모바일가입채널마련

∙ (모바일 인터페이스) 인터넷 전세금보증 프로세스를 모바일웹에 최적화하여 로그인

부터 보증가입 승인까지 전 프로세스 지원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위탁은행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증가입 프로세스 개선

(현행) 임차인이 선순위 채권 등 보증가입정보를 입력

(개선) 임차인은개인정보및계약정보만입력하고세부심사에필요한정보는심사자가입력

모바일 안심대출보증

위탁은행 비대면 전세금 안심대출 상품 개발

추진목표 2019년 전세금보증의 완전한 모바일 가입체계 구축

- 24 -

실행과제

(28)국민 주거편의 제공을 위한 스마트시티 건설 지원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목적) 핵심 국정과제인 스마트시티 분야의 금융지원 플랫폼으로서 주택도시기금지원 기반 모색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검토 및 금융상품 초안 마련

(추진내용)

∙ 민간사업자 의견 수렴 및 스마트시티 기금 금융지원 상품 초안 마련 -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및 주요 요소기술산업 등 동향 파악- 민간사업자 의견수렴을 바탕으로 실질적 금융지원이 가능한 상품 개발 추진∙ 주택도시기금법 개정안 마련 및 정부 건의∙ 스마트시티 건설사업장에 대한 보증료 할인 또는 보증심사 가점부여∙ 스마트시티 건설 신공법 소개 및 성공사례 공유

추진목표금융지원 확대 건수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건 1건 2건 3건 3건

실행과제

(29)HUG 빅데이터운영체계구축으로공공데이터개방기여 담당부서

주택도시

금융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기관 내middot외부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주택middot도시middot금융 분야의 환경 변화를진단함으로서 4차산업 혁명시대 도래에 따른 선제적인 대응 체계 마련

(추진내용)

∙ (1단계) HUG 빅데이터 기반 주택시장 분석 인프라 설계 및 로드맵 수립∙ (2단계) HUG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구축 및 모델 개발∙ 수요자(국민middot정부middot공사)별 빅데이터 활용 영역 확대 및 분석 기능 고도화

추진목표공공데이터 외부개방(제공) 건수 (오픈API포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38건 42건 46건 51건 56건

실행과제

(30)

친환경middot신소재 활용으로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

(제로에너지 건축물 건설자금지원 등)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주택건설사업장에 친환경middot신소재 사용을 유도함으로써 환경 친화적 주택건설과 에너지신산업 판로지원

(추진내용)

∙ 친환경 제품 및 에너지 신소재 제품사용 주택건설사업장에 보증심사 가점부여(완료)- (`1812) 녹색건축물인증등급부여고객보증심사시초기예상분양율 5〜1점가점부여

∙ (추진) 신소재 적용 주택건설사업장 확대를 위해 보증심사시 가점부여

- SOC 공공기관 통합기술마켓과 연계한 보증우대 방안 마련 중소기업이 보유한 SOC 공공기관 관련 혁신기술의 공모middot연구개발 제안 및 검증을

통해 상품화 및 홍보middot판매를 지원하는 플랫폼

추진목표

친환경적 주택건설 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

- 25 -

실행과제

(31)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비대면 가입 활성화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9개 수탁은행에 온라인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 독려

연령 무주택세대주 소득증빙 등 가입 시 제출서류가 많아 비대면 시스템 구축 시

지점방문 없이 간편하게 가입 가능

신한은행 최초로 완전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821)

비대면 가입 주택도시기금포털에 안내 및 홍보

비대면 가입 시스템 기금포털 홍보 게시하여 수탁은행 시스템 개발 독려

추진목표 목표비대면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전체 가입의 6 전체 가입의 12

실행과제

(32)전기자동차 도입을 통한 친환경 에너지 수요 창출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업무용 차량의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ㅇ 2018년 임차기간 만료예정인 업무용 차량을 전기자동차로 대체

ㅇ 추후 본사 및 영업부서 업무용 차량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추진목표 2019년 중 전기자동차 1대 충전소 1개소 설치실행과제

(33)드론 활용을 통한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기술middot제품에 대한 선제적 구매 및 테스트와 고유사업에 활용

으로 민간 초기시장 조성을 견인

(추진내용)

∙ 보증이행사업장 드론 안전점검 시범실시

- (`1812) 예산 미편성으로 1개 사업장 드론촬영 시범실시 및 효용성 검토

∙ 보유중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에 드론 활용 확대

- (`196) 전문엔지니어링 업체 발굴로 일자리 창출 및 보유 사업장 전체(2개)에

드론 활용 안전점검 실시 rArr 위험요소 발굴로 관할센터에 사고예방을 위한

안전조치 권고문서 시행

추진목표

안전사고 발생비율(발생건수보유사업장)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0 0 0 0 0 안전사고발생 ZERO무사고 달성

실행과제

(34)드론활용사업장안전관리및점검체계구축(시범단지운영)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HUG형 혁신 사업장 안전관리 및 점검체계 구축

ㅇ 드론 활용 사업장 안전 및 점검체계 구축

ㅇ 시범단지 선정 및 운용 세부계획 검토

∙ 드론 등 기술혁신 도구관련 관련 업체 및 유관기관 협의

∙ 사업장-영업부서-본사부서 협업체계 및 활용방안(HUG-i 게시) 등

추진목표안전사고로 인한 분양보증사고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0 0 0 0 0

- 26 -

실행과제

(35)블록체인을 활용한 안전하고 편리한 인터넷서비스 제공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정부주도의 공인인증서 폐지정책(전자서명법 전부개정 예고)에 따라 전자

서명에 대한 인터넷 사용자 대체 인증수단 개발

(추진내용)

∙ 블록체인 기반의 본인인증 서비스 (카카오페이 인증 서비스) 도입

- 인터넷보증시스템에서보증료영수증및보증서출력시카카오인증을이용한전자문서

유통증명서비스제공

∙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대국민서비스 확대

- 전자서명법개정에따른블록체인기반의전자서명서비스도입

- 온라인 등기우편(연체정보 등 전자우편을 본인인증 후 열람) 일괄발송 발송내역 조회

및유통증명서발급시스템구축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블록체인기반본인인증서비스시범도입

블록체인기술을이용한

대국민서비스확대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실행과제

(36)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사업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환경보호라는 공공성을 위하여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건물

보증에 대해 유인책 마련 필요

(추진내용)

∙ 제로에너지 건축물에 대한 대출한도 상향 조정

∙ 건축 관련학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해 친환경 건축물에 대한 관심 제고

- HUG 오픈캠퍼스 추진 시 건축 관련학과(건축공학과 건축디자인과 등) 학생에게 교육

추진및공사인턴체험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제로에너지 건축물지원 제도

규정신설 -

HUG오픈캠퍼스 수료학생수 (건축 관련 학과 포함)

100 110 121 133 146

- 27 -

(5대 과제) 공정경제 기반 구축 중점

실행과제

(37)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 진입장벽 해소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물품구매 대금결제 등에 중소기업 창업기업 등에 대한 계약규제 완화를

통해 공정경제 기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함

(추진내용)

∙ 신규 창업middot중소기업에 대한 진입장벽 완화

- 소규모 물품middot용역 입찰(고시금액 21억원 미만) 참여시 상대적으로불리한신규창업 및

중소기업에대한실적제한폐지

- 다만 부득이용역의성격상실적평가가필요한경우창업기업실적인정기간연장

(현행 3년 rarr 7년)을 통한 부담 완화

∙ 지체상금 부담경감 (현행의 12수준) 을 통한 상생협력 강화

∙ 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에 대한 용역대금 선급금지급률 확대

추진목표

중소기업 등 협력업체 계약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779 790 80 81 -

실행과제

(38)

공정경제를 위한 지역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업자 보호강화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건설사업장 인근지역 중소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대금의 현금

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한 하도급업자 보호 강화

(추진내용)

∙ 지역 중소 건설업체들에게 동일한 기회제공 및 공정한 경쟁 유도

- 건설사업장에서 지역건설업체와 하도급계약 체결 시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 할인 추진

∙ 협력업체 하도금대금의 현금지급 확대

- 하도급대금을 현금으로 지급할 경우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를 할인

하여 협력업체 및 근로자들의 보호를 강화하고 시장에서의 우위 선점

추진목표

지역 하도급업체 계약체결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규정개정 30 40 50 60

하도급대금의 현금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해 하도급업자 보호

- 28 -

3 국민신뢰 회복

(6대 과제) 적극행정 확산 등 조직운영 혁신

실행과제

(39)고용위기지역에 대한 금융지원 추진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용위기지역에 대한 지원강화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추진내용)

∙ 고용위기지역 내 임대주택 건립시 보증료 할인 추진(완료)

- 고용위기지역및고용재난지역소재임대보증금보증사업장보증료 10인하( 1812)

∙ 고용위기지역 내 임차인이 전세금보증 이용시 보증료 할인 검토

- 전세보증금반환보증(전세금보장) 전세안심대출(전세금대출지원)

보증이용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임차주택으로 변경시 보증료 할인 검토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보유한 주택건설사업자가 입주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임차

주택으로변경하여전세금보증가입신청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추진목표

고용위기지역 금융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마련 및 운영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40)근로여건 개선을 통한 휴식 있는 삶 지원 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일ㆍ가정 양립에 대한 법적ㆍ사회적 요구 증대됨에 따라 장시간 근로문화를 타파하고 휴식 있는 삶을 지원하여 일ㆍ생활의 균형 실현

(추진내용)

∙ 장시간 근로문화 타파- 직원니즈를반영한공사맞춤형복무제도수립및운영- PC-OFF 강화 (주2회rarr매일)- 퇴근장려캠페인 (인사안하고퇴근하기 관리자솔선수범퇴근)∙ 휴식 있는 삶 지원- 가족친화제도지속개발 (일가양득프로그램운영)- 연차휴가및남성육아휴직이용률향상을위한제도개선- 시간단위연차사용을통한휴가사용활성화- 임신직원보호를위한모성보호절차도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인당 연차사용일 1426일 1497일 1572일 1651일 1733일남성육아휴직인원 331 348 365 383 402

- 29 -

실행과제

(41)

위임전결기준 개선을 통한 업무처리 혁신

(결재피로감 낮추고 책임middot권한 공백없이 업무는 신속하게)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결재절차를 단순화함으로써 신속한 업무처리 및 고객만족도 제고

(추진내용)

∙보증위탁업무전결권세분화

- 위임전결규정안마련및규정개정절차진행(5월)

보증업무 위탁外 융자수탁업무 관련 전결권 개정도 함께 추진

∙대외업무협약체결전결권세분화

- 사안의중요성및영향도등고려중장기적으로면밀한검토필요

추진목표

결재절차 단순화

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rsquo23년보증및융자수탁업무위임전결규정개정

제도 보완

실행과제

(42)지출신청 시 영수증 증빙 제출제도 개선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지출신청시 불필요한 원본구비 제도 개선을 통한 업무효율화 달성

(추진내용)

∙ 공사 지출의 42 비중을 차지하는 5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 원본 제출 제외

- 지출액 50만원 이하 법인카드 및 전자세금계산서 지출 건 원본구비 예외 조항 신설

- 확인이 필요한 간이계산서 등은 원본징구하여 지출사고 가능성 예방

- 제도 정착 전 3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에 대하여 원본 제출 제외(시범운영)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내부

규정개정 및시범운영

제도개선 지속 추진

실행과제(43)

PF보증심사 시 월별예정 분양률 분포의 계량화 담당부서금융기획실심사평가처주택도시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민간아파트 초기분양률 데이터를 활용한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

(추진내용)

∙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를 통한 심사 객관성 확보

- 월별예정분양률 관련 명확한 지침 산정으로 신청업체 및 심사자의 주관 배제

- 국가승인통계인 민간아파트초기분양률 동향 데이터를 활용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

∙ 초기분양률 동향 분석(주택도시금융연구원 협업 4월sim10월)

- 연구원과 협업을 통해 초기분양률 데이터 분석 및 관리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건의(11월)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관할 부서(금융기획실)로 세칙 개정 건의

추진목표2019년도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예상분양률 분포기준 마련 초기분양률 데이터 관리체계 구축

- 30 -

(7대 과제) 윤리경영 강화

실행과제

(46)청렴도 향상을 위한 반부패 활동 강화 담당부서 준법지원실

추진내용

윤리경영 추진조직 강화

기관장 주도의 윤리경영 고위직 협의체 구축 내부 자문기구「청렴자문위

원회」운영 강화 및 임원의 윤리자가진단 현황 정보공개

반부패middot청렴 대외 활동 활성화

부산 이전 공공기관 청렴 협의체「청렴 클러스터」활동 강화

「부산투명사회실천 민middot관 네트워크」가입middot활동 실시

「유엔글로벌콤팩트(UNGC)」활동으로 글로벌 윤리역량 강화

실행과제

(44)논스톱 고분양가 심사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공사 PF보증 사업장에 대한 고분양가 심사기준 개선을 통한 사업

안정성 제고 및 고객신뢰성 확보

(추진내용)

∙ 「고분양가사업장심사규정」개정 추진(5월~6월)

- 고분양가 관리지역 내에서 공사 PF보증 발급예정사업장의 고분양가 심사기준(비교

사업장 선정 및 분양가격 산출 등)의 적용을lsquoPF보증 본점 승인시점rsquo으로 명확히 함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고분양가심사규정개정

사업안정성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 추진

실행과제

(45)임대리츠 통계 및 사후관리시스템 개선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목적) 자리츠 사후관리 주관기관(모리츠 AMC인 LH) 및 감독관리기관

(HUG) 간의 업무분장에 따라 사후관리 데이터 품질 저하 등 발생

rArr 기관간 협업체계 개선 관련 시스템 개발 등을 통한 사후관리 관련 데이터품질 향상 및 대정부 정보전달 적시성 확보

(추진내용)

∙ 리츠 기금출자내용 변경시 임대리츠 이력관리 등이 가능하게 하는 통계시스템 개발

∙ 분기별 사후관리보고 제출기한 마련 검토

∙ 임대리츠 통계관리 업무체계 내실화를 위한 기관간 협업 수행

추진목표

임대리츠 사후관리 구조 개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전산시스템개발 및시스템 구축

임대리츠사후관리

체계개선 수행

시스템 운용및 개선사항도출

기관간 협업수행(데이터관

리)

임대리츠통합데이터관리 수행

- 31 -

(8대 과제) 국민의 참여협력 확대 및 지역사회 공헌

실행과제

(47)

혁신도시 맞춤형 지역인재 육성 지원 및

인재채용 투명성 강화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도시 지원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증대에 따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한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

(추진내용)

∙ 市-지역대학간 협업으로 지역인재 육성 교육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 외부 면접위원 확대 및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인사 절차의 공정성 강화

∙ 사회형평적 채용실시와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을 통한 불합리한 차별 해소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지역채용 21 24 27 30 33지역인재육성 총 교육시간(교육인원times교육시간 시간) 3000 4500 4500 4500 4500

지역인재육성교육만족도(점수) 944 949 954 959 964

실행과제

(48)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사회공헌사업 확대 추진 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정부의 lsquo사회적 가치 실현rsquo을 정책에 따라 사회적 경제 및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사회공헌 필요성 증가

(추진내용)

∙ 안전한 주거환경 제공

- 무주택 국가유공자 및 저소득층 임차자금 170세대 지원(~8월10억원)- HUG 셰어하우스 3호 신촌점 완공 청년 24명 입주 완료(~10월2억원)- 저소득층 노후주택 및 소규모 사회복지시설 127세대 개보수(~10월8억원)- HUG STREET 잘사는 골목길 등 환경개선사업 대상지 선정 완료(~10월1억1천만원)

∙ 지역사회와 상생

- 노후 슬레이트 지붕개량 및 태양광 지원 사업 4자 협약(~8월3억원) HUG-부산시-한국사회복지협의회-부산도시재생지원센터

- HOPE with HUG 10호 11호 완공(~9월1억5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지역건설사-지역건축전문가 협업을 통한 주거개선사업

- 부산 송상현 광장 내 도시놀이터 프로젝트 완료(~9월7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부산시설공단 협업을 통한 문화middot휴식공간 조성

청렴 모니터링 다각화

청렴의식 환기를 위한 「자가점검 프로그램」실시

「청렴 옴부즈만」운영

개선 아이디어 발굴을 위한 「신입사원 生生 모니터링」

추진목표

종합청렴도 결과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3등급 2등급 1등급 1등급 1둥급

- 32 -

∙ 균등한 기회와 사회통합

- 중학생 자유학기제 지원 프로그램 운영(9월~4천만원)- 저소득층 청소년 20명ndash대학생 20명 매칭 등(6월~5천만원)- lsquoKBS 동행rsquo에 출연하는 저소득 가정 50세대 지원(7월~1억원)- 발달장애 청년 재능개발 프로젝트lsquo눈부신하루rsquo추진(6월~3천만원)- 신입사원 봉사활동 등을 통한 지역사회 나눔활동(~10월7천2백만원)- 저소득층 난방연료 지원을 위한 주택도시업 캠페인(~12월5천만원)- 자매결연 마을 농수산물 구입기증(~12월4천만원)

추진목표

추진 목표는 해당연도 사회공헌 기부금 예산금액(이사회 의결금액)과 연계

기부금액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8620백만원 8879백만원 9145백만원 9419백만원 9702백만원 전년도예산금액103

실행과제

(49)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목적) 도시재생과 유사한 목표비전을 공유하는 사회적경제와 연계한 맞춤형

금융상품 운영 및 관련 지원조직과 다각적 협업 활동 추진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지역주민이 주도하는 도시재생 금융지원으로 국민의 삶의 질 개선

(목적) 주민지역공동체 주도의 마을단위 도시재생으로의 변화에 대응하여

사회적 경제주체 등 지원체계 개선으로 사회적 가치 실현에 기여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추진목표

수요자중심형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510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실행과제

(50)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국민이 참여하는

HUG사업평가단(가칭) 운영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보증업무 전반에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HUG

사업평가단 구성하여 주택품질 제고 및 안심입주 지향

(추진내용)

∙ 국민이 참여하는 보증솔루션팀 및 보증심사 리뷰단을 통해 제도 개선사항 도출

∙ 보증채권자 권익에 미치는 사항 등 국민의견 수렴을 통한 보증이행제도 개선

∙ 전세금보증 이행완료 고객 및 공인중개사 참여를 통한 제도개선 사항 발굴

추진목표 2019년 국민 의견수렴을 통한 전세금보증 제도 개선 등 검토

- 33 -

실행과제(51)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과 협업하여효율적인 전세금보증 이행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이행 업무의 효율성 제고

(추진내용)

∙ 지역사회단체 등과의 협업을 통한 임차인 퇴거확인 추진 검토

- 보증사고 발생 시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 구성원이 임차인 퇴거를

확인하여 담당직원 업무 공백 최소화 (직원 출장비 수준으로 비용 지급)

- 임차인 퇴거 확인 시 해당 주택가격 및 신규 임차인 확보 가능성 검토결과를

보고받아 채권보전조치를 위한 근거 확보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거보호 이행도(전세금보증 이행 15일초과건수전체이행건수)

50 45 41 37 34

- 34 -

Ⅳ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및 적극행정 확산

①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국민참여게시판을 lsquo국민제안(국민rarr기관)rsquo

및 lsquo정책제안(기관rarr국민)rsquo 게시판으로 세분화하여 국민과 기관간

상시 소통기반 마련 경평지적

지적사항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위한 개선방안 마련 필요

(혁신 네트워크 강화) 시민참여혁신단 보증채권권익위원회 전세금

보증 시민참여단 기금홍보협의회 운영 등 주요사업에 기반하여

다양한 대외 전문기관과 네트워크 활성화 경평지적

지적사항 보증 기금등주요사업역량강화를위한전문기관혁신네트워크강화필요

② 적극행정 확산

(적극행정 면책제도 활용) 감사계획 통보 시 적극행정 면책제도

middot사전컨설팅 제도 사전안내 및 면책신청 지원을 위한 상담창구

운영 등 (계획수립 完 감사실-2367호)

(기관장 책임강화) 혁신전략위원회(위원장 사장)를 통해 적극행정

혁신과제에 대한 추진독려 및 이행사항 점검 등 보완사항 지속

발굴 (혁신페스티벌 1middot2차 개최)

(적극행정 우수사례 발굴)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를 통해 조직내

적극행정 분위기 유도 (포상 및 내부성과평가 반영 등)

성과창출에 실패했더라도 기존관행 탈피 새로운 영역개척 국민접점에서

활력을 제고하는 등 lsquo착한실패rsquo lsquo건전한파격rsquo에 대해서도 포상추진 예정

(적극행정 인식확산) 적극행정 사이버교육(법제처 주관) 이수 등

적극행정 인식확산을 위한 교육참여 시 혁신마일리지 부여 (전사 교육 실시 예정)

- 35 -

Ⅴ 혁신 추진도구별 업무일정

구 분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1 2 3 4 5 6 7 8 9 10 11 12

1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2 국민소통 강화

3 혁신페스티벌

4 유관기관 협업

5 혁신채널 구축

6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7 제안제도 정비

8 혁신콘서트

9 혁신교육 및 혁신워크숍

10 혁신레터

11 혁신마일리지 신설

12 혁신BP 발굴 및 포상

피드백

(성과관리) 공공기관 혁신 및 기관 경영혁신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혁신과제 추진실적을 정기적으로 점검 및 피드백

(혁신전파) 조직원 전체의 혁신공감대 형성 및 참여도 제고를 위해

본사부서 및 영업부서 방문 등을 통해 혁신활동 및 우수사례 공유

(혁신내재화) 국민소통채널 혁신마일리지 혁신레터 등 혁신활동이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고 혁신업무에 대해

조직원이 공감하고 회사 모든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

Page 16: 2019년 HUG 혁신 추진계획 - khug.or.kr…„HUG혁신추진계획.pdf · 혁신페스티벌 - (내부 혁신과제 발굴) 조직·인사·제도·서비스혁신 등 회사

- 15 -

실행과제(6)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전사 경영전략체계 구축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공공기관의 lsquo공적역할 강화rsquo 및 lsquo사회적 책임실현rsquo이라는 국정기조 변화에 부응

하기위한공사의新경영전략수립

(추진내용)

∙ 고유 업무의 공공성 제고를 위한 사업전략 재수립

- 사회통합형 주거복지 실현을 위한 공적금융 지원 전략 수립

- 소규모 도시재생사업 활성화를 위한 단계별 공사 역할방안 마련

∙ 사회적 가치 기반 전사 기능전략 및 중장기 경영목표 재수립

- 공적역할 확대 및 사회적 책임 구현을 위한 부문별 기능전략 수립

추진목표

사회적가치 기여도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최우수 최우수 최우수 최우수 최우수

청렴도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등급 1등급 1등급 1등급 1등급

실행과제(7)

도시계정의 체계적 관리를 통한 도시재생 활성화 담당부서기금정보처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목적) 노후주거지 주민과 사회적기업 등이 필요로 하는 자금을 적시에 원활히 지원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도시계정 관리 추진

(추진내용)

∙ 연체관리 프로세스 정립을 통한 기금손실예방

- 연체 단계별 업무처리 프로세스 마련을 통한 융자사고방지

- 도시계정 융자원리금 수납기준 마련

- 융자사고관리 방안 마련

∙ 고객신용관리 체계구축을 통한 사고예방 모니터링 확대

- 고객신용관리 모니터링 체계구축을 통한 사고예방관리

- 도시계정 신용정보집중 처리기준 프로세스 마련

- 도시계정 신용정보관리 전산시스템 구축 일반신용정보관리규약에 따른 도시계정 신용정보 파일전송 설계서(전문) 작성

공사 신용정보 집중 시스템과 병합 추진

∙ 도시계정 자금관리 체계정립을 통한 도시재생활성화지원

- 도시계정 예산확대 신규 금융기법적용 등 도시계정 특성을 반영한 회계middot결산

자금관리 업무기준 확립 정형화된 담보가 아닌 수요자사업자 특성을 고려한 맞춤 담보제공 자금투입 공공성 확보를

위한 엄격한 융자조건 부여

- 회계middot결산 자금관리 업무전산화를 통한 효율화 정책지원기능 확대

추진목표 (비계량) 2019년 융자사고예방을 위한 연체관리 자금관리기준 수립 및 개선

- 16 -

실행과제(8)

국민과 함꼐하는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 담당부서보증이행처

준법지원실

추진내용

(목적) 국민참여를 통한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의 수용성 제고 및 주거

복지 실현 위한 공동주택 하자 조기대응ㆍ감축방안 모색

(추진내용)

∙ 하자분쟁 해결체계 관련 국민 공유ㆍ소통 프로그램 운영

- 국민과 함께하는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 계획 수립

- lsquo공동주택 실무강좌rsquo 동행을 통한 하자관련 주요이슈 대국민 공유ㆍ소통- 국민참여 하자정보 공유 4회(서울 인천 수원 의정부) 및 하자실무 법률상담

∙ 국민 참여 확대를 통한 정책 개선 노력

- (lsquo1810) 대국민 의견수렴을 위한 하자분쟁 컨퍼런스 개최

middot 하자분쟁 예방을 위한 관계규정 검토 및 정책 논의

middot 행정청 학계 법조계 및 입주자대표회의 관련 다수 국민 참여

∙ 소규모사업장 청구 전 하자보수보증 사전안내제도(BS Before Service) 실시 검토

소규모사업장 150세대 미만 사업장 중 대위변제가 없는 2년차 하자보수보증 만료6개월 전 사업장

추진목표

대국민 참여도산출근거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참여횟수6회참여인원300명

참여횟수8회참여인원400명

참여만족도85점 이상

정책국민의사반영1회이상

정책국민의사반영1회이상

횟수당50명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점수(관리본부) 목표치산출근거구분 rsquo18년 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등급 A A A A A 목표 A등급 이상

실행과제(9)

민관협력사업으로 주거취약지구 주거환경 개선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목적) 공사의 사회적 가치경영 실행을 위해 새뜰마을(취약지역 개조사업) 주거

여건 개선을 지원하는 민관협업 사회공헌사업 추진

(추진내용)

∙ 중앙부처 공공기관 민간기업 등이 지역 주민과 함께 도시취약지역 내 노후주택에

대한 주거환경개선 열효율화 사업 추진

- 새뜰마을중고령화 노후화등으로사업추진이절실하고 지역사회참여정도등을 고려

하여성과가 가시화될수있는지역선정추진

∙ 주거취약지역 환경개선 관련 민관협업사업 MoU 체결 추진

- 국토교통부 HUG LH KCC AURI 해비타트 등 협약 체결을 통해 집수리 자재 및

전문인력 후원금 지원 추진

∙ 도시취약지역 지원 효과 분석 및 사업추진 매뉴얼 마련

- 지역기초조사 사업전후 효과분석 등 성과관리 새뜰마을 매뉴얼 제작보급

추진목표새뜰마을 지원대상 확대 건수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5건 5건 5건 5건 5건

- 17 -

실행과제(10)

도시재생 맞춤형 스타트업 총괄지원

플랫폼 도입middot운영담당부서

인사처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도시재생과 관련된 스타트업 및 소셜벤처에 대한 종합적 지원

(추진내용)

∙ HUG형 도시재생 뉴딜 창업 프로젝트 추진

- 사회적 경제조직 육성기관(함께일하는재단) 대중투자 전문기관(와디즈)과 협업

- 사회적 경제조직 컨설팅 지원

- 대중투자 연계 통한 일자리 창출 및 사회적 경제 활성화 지원

∙ 스타트업 및 소셜벤처에 대한 사회적 금융 지원

∙ HUG 창업 라운지(스타트업 기업에 공간 공유) 확대 운영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사회적금융지원금액 1억 1억 1억 1억 1억

공간지원스타트업수 6 8 10 12 14

멘토링middot창업캠프개최회수 5 5 5 5 5

실행과제(11)

도시재생 생태계 조성을 위한

종합지원 플랫폼 구축담당부서

기금정보처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종합적인 도시재생정보 공유체계 구축을 통해 기금 지원된 도시재생사

업에 대한 정량적 정보 및 사후지원 청년middot예비창업자 참여를 위한 HUG 정책

지원 정보를 기금포털 내 일괄 제공

(추진내용)

∙ 전국 기금이 활용된 도시재생 사업장 정보 제공(lsquo도시재생 기금지도rsquo 서비스)

- 지도 API 기반의 도시재생 기금지원 사업장 정보조회 서비스

- 전국 분포된 사업장의 위치부터 융자금액까지 상세정보를 편리하게 검색

- 실제 사례와 이용 상품 정보를 함께 제공하여 정보이용자 이해도 제고

∙ 기금 사업장 홍보 지원 및 청년창업 지원 정보 일괄 제공(전용 게시판 신설)

- 사업장 및 보유시설(코워킹시설 임대시설 등) 홍보 위한 전용공간 마련

- 기금지원 사업의 우수사례 정보공유를 통한 벤치마킹 및 정보이용자 관심유도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기금지도 서비스 개시 서비스구축middot개시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우수사례 발굴 건수 8 8 8 8 8

- 18 -

(2대 과제) 포용적 공공서비스 제공 강화

실행과제(12)

분양이행사업장 수분양자 보호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분양대금채권 지연손해금율 하향조정 등 분양계약자 부담완화를

통한 국민 주거안정 기여

(추진내용)

∙ 분양계약자 지연손해금 관련 주택분양보증약관 개정

- 분양계약자의 분양계약서상 지연손해금율이 시행사 구상채권 지연손해금율

보다 높은 사례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공사 내규와 분양계약서상 지연손해

금율 중 낮은 것을 적용하도록 약관 규정 개정 (시행사 동의서 징구)

추진목표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 점수(관리본부)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901 915 933 951 971

실행과제(13)

인터넷보증시스템개선으로전세금보증이용편의성제고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인터넷보증 시스템 개선을 통해 고객의 전세상품 보증서비스

편의성 및 접근성을 강화하여 서민 주거안정성 개선 지원

(추진내용)

∙ 인터넷 보증시스템 재구축 추진(lsquo20~lsquo21)

- (현행) 인터넷 익스플로러 이외의 웹브라우저 미지원

- (재구축) 구 운영체제 지원종료 대비 및 지원 플랫폼(구글 크롬 등) 확대를

위한 시스템 재구축 예정

∙ 모바일 보증시스템 구축 추진(lsquo19)

- (현행) PC 중심의 제한적인 보증가입 서비스 제공

- (비대면 서비스 강화) 모바일 보증시스템 구축 추진

추진목표

비대면 보증가입 점유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0 12 14 16 18

- 19 -

실행과제

(14)주택도시기금대출절차간소화를통한대국민서비스향상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서민실수요자 지원 강화 및 이용자 편의 제고 등을 위한 주택도시

기금 구입전세 대출의 자산심사 도입

(추진내용)

∙ 자산심사기준 도입을 통한 정책자금의 실수요자 집중 지원

∙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구축을 통한 대출절차 간소화

∙ 전담 수행조직 운영 및 수탁은행 역할 재정립 등을 통한 대국민 서비스 제고

추진목표

대출절차 혁신 시스템 운영 체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자산기준 마련기금법령 개정시스템 개발오픈수요자대출상품운영

수요자대출 全상품 시스템 안정화제도개선 및 모니터링

他 기금상품 (주택종합청약저축)도입 검토 및 적용

실행과제

(15)고아원연계 보호종료아동 월세보증금 지원 제도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고아원 보호기간이 종료됨에 따라 주거지원이 필요한 아동에게

주택임차자금 지원 및 보증상품 개발

(추진내용)

∙ 긴급 주거지원이 필요한 아동의 가정에 주택임차자금 지원∙ 고아원 보호종료 아동 대상 전세월세보증금보증 할인 상품 개발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택임차자금지원 세대 수

10 20 성과분석 후 확대 검토

고아원보호종료아동대상상품가입자수

상품개발추진 제도개선 추진

실행과제

(16)HUG 이용고객 편의성 제고를 위한 플랫폼 구축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객과의 소통채널 확대방안의 일환으로 24시간 고객상담 제공

(추진내용)

∙ 단순 문의 SMS 발송

- 위탁은행 신청서류 등 전세보증 관련 간단 정보 문자발송 ARS실시(완료 `195월)

- 업무시간 종료 후에도 단순문의에 대한 SMS문자안내 서비스 추진

∙ 콜센터와 지사 상담이력 공유

- 콜센터 상담시스템과 차세대 시스템을 연계 고객별 상담이력 조회화면 구축

∙ 보이는 ARS 서비스 도입

- 기존의 음성 서비스와 함께 스마트폰을 통해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바로

연결하고 직접 통화하지 않아도 간편문의를 처리할 수 있는 보이는 ARS 실시

추진목표 2019년 챗봇서비스 DB구축 검토 2020년 챗봇 서비스 도입 검토

- 20 -

실행과제

(17)전세금보증 인터넷가입에 필요한 데이터 자동화 구축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가입을 간편하게 하여 정보사각지대에 있는 고객의

보증 가입 편의성 강화

(추진내용)

∙ 주택가격정보middot등기부등본 데이터 자동입력 시스템 마련

- KB시세 한국감정원 국세청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와의 협약 통한 시스템 연계

- 직접협약 외에도 부동산 권리변동정보 제공기관을 통한 중계서비스 도입 검토

∙ 인터넷보증시스템 전세금보증 신청절차 개선

- 전자연계 가능한 서류의 데이터 자동입력 프로세스 개발

- 보증심사시 담당자가 전자 원본 서류를 확인할 수 있는 화면 개발

추진목표

데이터 입력시스템 구축 및 운용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연계방안검토

협약체결 전산연계 운영 및 보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18)

사회임대주택 활성화를 위한 조직 혁신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사회임대주택 금융지원제도 담당부서 일원화로 속도감 있는 제도개선 등

사회임대주택 활성화 지원

(추진내용)

∙ 기획조정실 사회임대주택 총괄부서 지정을 위한 조직개편 추진

- 현행 사회임대PF보증(금융기획실) 토지임대middot기금출융자(도시재생기획처 기금지원처)

- 개선 도시재생기획처로 일원화하여 사회임대주택 복합금융 지원업무 총괄

한 부서에서 기금 출middot융자 보증지원까지 원스톱 상담으로 고객 만족도 제고

추진목표 2019년 조직개편 완료

실행과제

(19)상담서비스 고도화를 통한 고객만족도 제고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객상담데이터 체계적 관리middot활용을 통한 대국민 서비스 질적 향상

(추진내용)

∙ 차세대(전산)업무시스템 및 콜센터 시스템을 연계하여 상담이력 공유- 콜센터 외에도 지사 직원의 고객상담이력을 저장할 수 있도록 차세대시스템 내화면 구축 콜센터의 상담이력 역시 차세대 시스템에 저장 및 관리

∙ 보이는 ARS서비스 실시 및 단순문의안내 SMS 발송 서비스 실시middot활성화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콜센터전산시스템연계

시스템구축

시스템개발완료및 운용

시스템운용

시스템운용

시스템운용

신규 서비스출시

보이는ARS검토

보이는ARS출시

보이는ARS운용

보이는ARS운용

보이는ARS운용

- 21 -

2 혁신적 포용국가 선도

(3대 과제) 경제활력 제고 및 일자리 중심 경제 선도 중점

실행과제

(20)공공정보 연계 통한 서류제출 절차 간소화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필요한 서류를 간소화함으로써 대국민서비스 질 제고 (추진내용)∙ 필요한 서류 등을 공사 전산으로 조회 가능한 시스템 구축∙ 기금대출절차 혁신 시스템과 연계

추진목표 ∙ (비계량) 필요서류 전산조회 시스템 구축

실행과제

(21)사업다각화를 통한 고용증대 및 비정규직 ZERO화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서민 주거복지 도시재생 활성화 지원 등을 위한 기관 자체의 적극적인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공기업 서비스 제고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증원 및 채용 확대- 신사업 발굴 및 자율정원제를 통한 적극적인 증원-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청년 및 지역 인재 채용∙ 사회 양극화 해소를 위한 비정규직 ZERO화- 노사 공감대에 기반한 정당한 절차를 통한 전환 추진 및 전환근로자 처우 개선 노력

추진목표정원 비정규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766명 0명 903명 0명 995명 0명 1033명 0명 1062명 0명

실행과제

(22)

주거복지 및 도시재생을 위한

도시재생 창업공간 금융지원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도시재생 금융상품을 통한 창업지원 (목적) 창업과 관련한 도시재생 금융상품을 통해 민간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창업 관련 수요자 중심형 기금융자 및 보증상품 개발 운용- 코워킹시설조성 상가리모델링 공공임대상가 등 기금융자 지원

도시재생뉴딜 금융지원을 위한 사회적 금융 연계 지원 (목적) 도시재생분야법인단체창업관련크라우드펀딩 및 창업지원 컨설팅 추진 (추진내용)∙ 도시재생분야에대중투자연계일자리창출및지역주도사회적경제활성화지원- 뉴딜로 도시재생 크라우드펀딩 대회 개최 등∙ 도시재생 창업단체에 대한 지원을 위해 HUG형 민간일자리 창출 프로젝트 추진- HUG와 함께하는 도시재생 뉴딜 창업프로젝트 추진 및 사회적 경제조직 활성화

추진목표창업지원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510억원 1548억 1548억 1548억 1548억

- 22 -

실행과제

(23)IT선진화를 통한 민간일자리 창출 담당부서

기금정보처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고유목적사업인 주택보증 주택도시기금 및 도시재생분야의 IT 시스템

구축 및 개선을 통한 민간 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 주택도시기금 정보시스템 통합 유지보수

- (추진기간) 유지보수 사업의 특성으로 매년 발생

- (일자리창출) 2019년(8명) 2020년 sim 2023년(매년 16명)

∙ 도시재생 금융지원 전산시스템 구축

- 도시재생융자등원활한도시계정업무를뒷받침하기위한온라인금융지원시스템구축

- 추진기간 2018년~2019년 투입금액 및 인력 51억원 41명

∙ 주택도시기금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구축

- 주택도시기금 대출절차 편의 제고 및 절차 간소화 시스템 구축

- 추진기간 2018년~2019년 투입금액및인력 컨설팅용역43억원 12명 전산용역74억원52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기금업무 운영 유지보수 8 16 16 16 16

도시재생 융자시스템 41 - - - -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64 - - - -

합 계 177

실행과제

(24)

공공기관 공동기금 조성을 통한

지역 사회적경제 활성화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이전지역 기관간 협업을 통한 사회적경제 활성화로 지속가능한 일자리

제공 지역경제 활성화 추진

(추진내용)

∙ 부산 사회적경제 지원기금(BEF) 지원을 통한 사회적기업 육성 및 지원

- Pilot Program (크라우드펀딩) 20개소 창업단계 재정지원 5개소 Start-up 재정지원

15개소 Scale-up(성정기 기업) 대출지원 5개소 BEF 경영컨설팅 50회 BEF

사회적기업 연구가 인재육성 실시 2회 BEF 판로지원 5개소 등

추진목표

기금지원 (자체 공동)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억원(10억원)

1억원(10억원)

1억원(10억원)

1억원(125억원)

-

- 23 -

(4대 과제) 혁신성장 지원

실행과제

(25)상가임차금 안심대출 상품개발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도시재생지역 내 상가임차인 보호를 위한 상가임차금안심대출 개발

(추진내용)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법령 개정 검토

-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등 관련 법령 개정안 검토

- 법령 개정안 정부 건의 (우선변제권 승계기관 포함)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시장분석 및 조사(`20)

- 상가임차보증금 시장분석 및 보증이용 수요조사

- 보증료율 검토 및 리스크 분석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출시(`21)

- 사규개정 및 법령개정 완료

추진목표

상가임차보증금 상품 출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내부검토 법령개정 시장분석 상품출시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26)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사고 위기사업장과 보증실적의 증가로 사전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및 정기 점검활동 강화 및 핵심업무 역량집중 강화

(추진내용)

∙ 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 현장점검 대상사업장을 파악하여 외주용역을 통한 점검 추진 검토

추진목표 ∙ 2019년도 현장점검 외주화

실행과제

(27)

비대면 전세금보증을 통한 혁신성장 기반 마련

(카카오페이를 통한 가입확대 등)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모바일 전세금보증

스마트폰을이용해언제 어디서든쉽게보증을신청할수있도록모바일가입채널마련

∙ (모바일 인터페이스) 인터넷 전세금보증 프로세스를 모바일웹에 최적화하여 로그인

부터 보증가입 승인까지 전 프로세스 지원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위탁은행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증가입 프로세스 개선

(현행) 임차인이 선순위 채권 등 보증가입정보를 입력

(개선) 임차인은개인정보및계약정보만입력하고세부심사에필요한정보는심사자가입력

모바일 안심대출보증

위탁은행 비대면 전세금 안심대출 상품 개발

추진목표 2019년 전세금보증의 완전한 모바일 가입체계 구축

- 24 -

실행과제

(28)국민 주거편의 제공을 위한 스마트시티 건설 지원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목적) 핵심 국정과제인 스마트시티 분야의 금융지원 플랫폼으로서 주택도시기금지원 기반 모색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검토 및 금융상품 초안 마련

(추진내용)

∙ 민간사업자 의견 수렴 및 스마트시티 기금 금융지원 상품 초안 마련 -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및 주요 요소기술산업 등 동향 파악- 민간사업자 의견수렴을 바탕으로 실질적 금융지원이 가능한 상품 개발 추진∙ 주택도시기금법 개정안 마련 및 정부 건의∙ 스마트시티 건설사업장에 대한 보증료 할인 또는 보증심사 가점부여∙ 스마트시티 건설 신공법 소개 및 성공사례 공유

추진목표금융지원 확대 건수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건 1건 2건 3건 3건

실행과제

(29)HUG 빅데이터운영체계구축으로공공데이터개방기여 담당부서

주택도시

금융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기관 내middot외부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주택middot도시middot금융 분야의 환경 변화를진단함으로서 4차산업 혁명시대 도래에 따른 선제적인 대응 체계 마련

(추진내용)

∙ (1단계) HUG 빅데이터 기반 주택시장 분석 인프라 설계 및 로드맵 수립∙ (2단계) HUG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구축 및 모델 개발∙ 수요자(국민middot정부middot공사)별 빅데이터 활용 영역 확대 및 분석 기능 고도화

추진목표공공데이터 외부개방(제공) 건수 (오픈API포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38건 42건 46건 51건 56건

실행과제

(30)

친환경middot신소재 활용으로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

(제로에너지 건축물 건설자금지원 등)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주택건설사업장에 친환경middot신소재 사용을 유도함으로써 환경 친화적 주택건설과 에너지신산업 판로지원

(추진내용)

∙ 친환경 제품 및 에너지 신소재 제품사용 주택건설사업장에 보증심사 가점부여(완료)- (`1812) 녹색건축물인증등급부여고객보증심사시초기예상분양율 5〜1점가점부여

∙ (추진) 신소재 적용 주택건설사업장 확대를 위해 보증심사시 가점부여

- SOC 공공기관 통합기술마켓과 연계한 보증우대 방안 마련 중소기업이 보유한 SOC 공공기관 관련 혁신기술의 공모middot연구개발 제안 및 검증을

통해 상품화 및 홍보middot판매를 지원하는 플랫폼

추진목표

친환경적 주택건설 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

- 25 -

실행과제

(31)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비대면 가입 활성화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9개 수탁은행에 온라인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 독려

연령 무주택세대주 소득증빙 등 가입 시 제출서류가 많아 비대면 시스템 구축 시

지점방문 없이 간편하게 가입 가능

신한은행 최초로 완전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821)

비대면 가입 주택도시기금포털에 안내 및 홍보

비대면 가입 시스템 기금포털 홍보 게시하여 수탁은행 시스템 개발 독려

추진목표 목표비대면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전체 가입의 6 전체 가입의 12

실행과제

(32)전기자동차 도입을 통한 친환경 에너지 수요 창출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업무용 차량의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ㅇ 2018년 임차기간 만료예정인 업무용 차량을 전기자동차로 대체

ㅇ 추후 본사 및 영업부서 업무용 차량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추진목표 2019년 중 전기자동차 1대 충전소 1개소 설치실행과제

(33)드론 활용을 통한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기술middot제품에 대한 선제적 구매 및 테스트와 고유사업에 활용

으로 민간 초기시장 조성을 견인

(추진내용)

∙ 보증이행사업장 드론 안전점검 시범실시

- (`1812) 예산 미편성으로 1개 사업장 드론촬영 시범실시 및 효용성 검토

∙ 보유중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에 드론 활용 확대

- (`196) 전문엔지니어링 업체 발굴로 일자리 창출 및 보유 사업장 전체(2개)에

드론 활용 안전점검 실시 rArr 위험요소 발굴로 관할센터에 사고예방을 위한

안전조치 권고문서 시행

추진목표

안전사고 발생비율(발생건수보유사업장)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0 0 0 0 0 안전사고발생 ZERO무사고 달성

실행과제

(34)드론활용사업장안전관리및점검체계구축(시범단지운영)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HUG형 혁신 사업장 안전관리 및 점검체계 구축

ㅇ 드론 활용 사업장 안전 및 점검체계 구축

ㅇ 시범단지 선정 및 운용 세부계획 검토

∙ 드론 등 기술혁신 도구관련 관련 업체 및 유관기관 협의

∙ 사업장-영업부서-본사부서 협업체계 및 활용방안(HUG-i 게시) 등

추진목표안전사고로 인한 분양보증사고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0 0 0 0 0

- 26 -

실행과제

(35)블록체인을 활용한 안전하고 편리한 인터넷서비스 제공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정부주도의 공인인증서 폐지정책(전자서명법 전부개정 예고)에 따라 전자

서명에 대한 인터넷 사용자 대체 인증수단 개발

(추진내용)

∙ 블록체인 기반의 본인인증 서비스 (카카오페이 인증 서비스) 도입

- 인터넷보증시스템에서보증료영수증및보증서출력시카카오인증을이용한전자문서

유통증명서비스제공

∙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대국민서비스 확대

- 전자서명법개정에따른블록체인기반의전자서명서비스도입

- 온라인 등기우편(연체정보 등 전자우편을 본인인증 후 열람) 일괄발송 발송내역 조회

및유통증명서발급시스템구축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블록체인기반본인인증서비스시범도입

블록체인기술을이용한

대국민서비스확대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실행과제

(36)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사업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환경보호라는 공공성을 위하여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건물

보증에 대해 유인책 마련 필요

(추진내용)

∙ 제로에너지 건축물에 대한 대출한도 상향 조정

∙ 건축 관련학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해 친환경 건축물에 대한 관심 제고

- HUG 오픈캠퍼스 추진 시 건축 관련학과(건축공학과 건축디자인과 등) 학생에게 교육

추진및공사인턴체험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제로에너지 건축물지원 제도

규정신설 -

HUG오픈캠퍼스 수료학생수 (건축 관련 학과 포함)

100 110 121 133 146

- 27 -

(5대 과제) 공정경제 기반 구축 중점

실행과제

(37)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 진입장벽 해소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물품구매 대금결제 등에 중소기업 창업기업 등에 대한 계약규제 완화를

통해 공정경제 기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함

(추진내용)

∙ 신규 창업middot중소기업에 대한 진입장벽 완화

- 소규모 물품middot용역 입찰(고시금액 21억원 미만) 참여시 상대적으로불리한신규창업 및

중소기업에대한실적제한폐지

- 다만 부득이용역의성격상실적평가가필요한경우창업기업실적인정기간연장

(현행 3년 rarr 7년)을 통한 부담 완화

∙ 지체상금 부담경감 (현행의 12수준) 을 통한 상생협력 강화

∙ 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에 대한 용역대금 선급금지급률 확대

추진목표

중소기업 등 협력업체 계약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779 790 80 81 -

실행과제

(38)

공정경제를 위한 지역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업자 보호강화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건설사업장 인근지역 중소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대금의 현금

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한 하도급업자 보호 강화

(추진내용)

∙ 지역 중소 건설업체들에게 동일한 기회제공 및 공정한 경쟁 유도

- 건설사업장에서 지역건설업체와 하도급계약 체결 시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 할인 추진

∙ 협력업체 하도금대금의 현금지급 확대

- 하도급대금을 현금으로 지급할 경우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를 할인

하여 협력업체 및 근로자들의 보호를 강화하고 시장에서의 우위 선점

추진목표

지역 하도급업체 계약체결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규정개정 30 40 50 60

하도급대금의 현금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해 하도급업자 보호

- 28 -

3 국민신뢰 회복

(6대 과제) 적극행정 확산 등 조직운영 혁신

실행과제

(39)고용위기지역에 대한 금융지원 추진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용위기지역에 대한 지원강화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추진내용)

∙ 고용위기지역 내 임대주택 건립시 보증료 할인 추진(완료)

- 고용위기지역및고용재난지역소재임대보증금보증사업장보증료 10인하( 1812)

∙ 고용위기지역 내 임차인이 전세금보증 이용시 보증료 할인 검토

- 전세보증금반환보증(전세금보장) 전세안심대출(전세금대출지원)

보증이용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임차주택으로 변경시 보증료 할인 검토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보유한 주택건설사업자가 입주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임차

주택으로변경하여전세금보증가입신청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추진목표

고용위기지역 금융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마련 및 운영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40)근로여건 개선을 통한 휴식 있는 삶 지원 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일ㆍ가정 양립에 대한 법적ㆍ사회적 요구 증대됨에 따라 장시간 근로문화를 타파하고 휴식 있는 삶을 지원하여 일ㆍ생활의 균형 실현

(추진내용)

∙ 장시간 근로문화 타파- 직원니즈를반영한공사맞춤형복무제도수립및운영- PC-OFF 강화 (주2회rarr매일)- 퇴근장려캠페인 (인사안하고퇴근하기 관리자솔선수범퇴근)∙ 휴식 있는 삶 지원- 가족친화제도지속개발 (일가양득프로그램운영)- 연차휴가및남성육아휴직이용률향상을위한제도개선- 시간단위연차사용을통한휴가사용활성화- 임신직원보호를위한모성보호절차도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인당 연차사용일 1426일 1497일 1572일 1651일 1733일남성육아휴직인원 331 348 365 383 402

- 29 -

실행과제

(41)

위임전결기준 개선을 통한 업무처리 혁신

(결재피로감 낮추고 책임middot권한 공백없이 업무는 신속하게)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결재절차를 단순화함으로써 신속한 업무처리 및 고객만족도 제고

(추진내용)

∙보증위탁업무전결권세분화

- 위임전결규정안마련및규정개정절차진행(5월)

보증업무 위탁外 융자수탁업무 관련 전결권 개정도 함께 추진

∙대외업무협약체결전결권세분화

- 사안의중요성및영향도등고려중장기적으로면밀한검토필요

추진목표

결재절차 단순화

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rsquo23년보증및융자수탁업무위임전결규정개정

제도 보완

실행과제

(42)지출신청 시 영수증 증빙 제출제도 개선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지출신청시 불필요한 원본구비 제도 개선을 통한 업무효율화 달성

(추진내용)

∙ 공사 지출의 42 비중을 차지하는 5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 원본 제출 제외

- 지출액 50만원 이하 법인카드 및 전자세금계산서 지출 건 원본구비 예외 조항 신설

- 확인이 필요한 간이계산서 등은 원본징구하여 지출사고 가능성 예방

- 제도 정착 전 3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에 대하여 원본 제출 제외(시범운영)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내부

규정개정 및시범운영

제도개선 지속 추진

실행과제(43)

PF보증심사 시 월별예정 분양률 분포의 계량화 담당부서금융기획실심사평가처주택도시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민간아파트 초기분양률 데이터를 활용한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

(추진내용)

∙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를 통한 심사 객관성 확보

- 월별예정분양률 관련 명확한 지침 산정으로 신청업체 및 심사자의 주관 배제

- 국가승인통계인 민간아파트초기분양률 동향 데이터를 활용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

∙ 초기분양률 동향 분석(주택도시금융연구원 협업 4월sim10월)

- 연구원과 협업을 통해 초기분양률 데이터 분석 및 관리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건의(11월)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관할 부서(금융기획실)로 세칙 개정 건의

추진목표2019년도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예상분양률 분포기준 마련 초기분양률 데이터 관리체계 구축

- 30 -

(7대 과제) 윤리경영 강화

실행과제

(46)청렴도 향상을 위한 반부패 활동 강화 담당부서 준법지원실

추진내용

윤리경영 추진조직 강화

기관장 주도의 윤리경영 고위직 협의체 구축 내부 자문기구「청렴자문위

원회」운영 강화 및 임원의 윤리자가진단 현황 정보공개

반부패middot청렴 대외 활동 활성화

부산 이전 공공기관 청렴 협의체「청렴 클러스터」활동 강화

「부산투명사회실천 민middot관 네트워크」가입middot활동 실시

「유엔글로벌콤팩트(UNGC)」활동으로 글로벌 윤리역량 강화

실행과제

(44)논스톱 고분양가 심사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공사 PF보증 사업장에 대한 고분양가 심사기준 개선을 통한 사업

안정성 제고 및 고객신뢰성 확보

(추진내용)

∙ 「고분양가사업장심사규정」개정 추진(5월~6월)

- 고분양가 관리지역 내에서 공사 PF보증 발급예정사업장의 고분양가 심사기준(비교

사업장 선정 및 분양가격 산출 등)의 적용을lsquoPF보증 본점 승인시점rsquo으로 명확히 함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고분양가심사규정개정

사업안정성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 추진

실행과제

(45)임대리츠 통계 및 사후관리시스템 개선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목적) 자리츠 사후관리 주관기관(모리츠 AMC인 LH) 및 감독관리기관

(HUG) 간의 업무분장에 따라 사후관리 데이터 품질 저하 등 발생

rArr 기관간 협업체계 개선 관련 시스템 개발 등을 통한 사후관리 관련 데이터품질 향상 및 대정부 정보전달 적시성 확보

(추진내용)

∙ 리츠 기금출자내용 변경시 임대리츠 이력관리 등이 가능하게 하는 통계시스템 개발

∙ 분기별 사후관리보고 제출기한 마련 검토

∙ 임대리츠 통계관리 업무체계 내실화를 위한 기관간 협업 수행

추진목표

임대리츠 사후관리 구조 개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전산시스템개발 및시스템 구축

임대리츠사후관리

체계개선 수행

시스템 운용및 개선사항도출

기관간 협업수행(데이터관

리)

임대리츠통합데이터관리 수행

- 31 -

(8대 과제) 국민의 참여협력 확대 및 지역사회 공헌

실행과제

(47)

혁신도시 맞춤형 지역인재 육성 지원 및

인재채용 투명성 강화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도시 지원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증대에 따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한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

(추진내용)

∙ 市-지역대학간 협업으로 지역인재 육성 교육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 외부 면접위원 확대 및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인사 절차의 공정성 강화

∙ 사회형평적 채용실시와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을 통한 불합리한 차별 해소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지역채용 21 24 27 30 33지역인재육성 총 교육시간(교육인원times교육시간 시간) 3000 4500 4500 4500 4500

지역인재육성교육만족도(점수) 944 949 954 959 964

실행과제

(48)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사회공헌사업 확대 추진 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정부의 lsquo사회적 가치 실현rsquo을 정책에 따라 사회적 경제 및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사회공헌 필요성 증가

(추진내용)

∙ 안전한 주거환경 제공

- 무주택 국가유공자 및 저소득층 임차자금 170세대 지원(~8월10억원)- HUG 셰어하우스 3호 신촌점 완공 청년 24명 입주 완료(~10월2억원)- 저소득층 노후주택 및 소규모 사회복지시설 127세대 개보수(~10월8억원)- HUG STREET 잘사는 골목길 등 환경개선사업 대상지 선정 완료(~10월1억1천만원)

∙ 지역사회와 상생

- 노후 슬레이트 지붕개량 및 태양광 지원 사업 4자 협약(~8월3억원) HUG-부산시-한국사회복지협의회-부산도시재생지원센터

- HOPE with HUG 10호 11호 완공(~9월1억5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지역건설사-지역건축전문가 협업을 통한 주거개선사업

- 부산 송상현 광장 내 도시놀이터 프로젝트 완료(~9월7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부산시설공단 협업을 통한 문화middot휴식공간 조성

청렴 모니터링 다각화

청렴의식 환기를 위한 「자가점검 프로그램」실시

「청렴 옴부즈만」운영

개선 아이디어 발굴을 위한 「신입사원 生生 모니터링」

추진목표

종합청렴도 결과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3등급 2등급 1등급 1등급 1둥급

- 32 -

∙ 균등한 기회와 사회통합

- 중학생 자유학기제 지원 프로그램 운영(9월~4천만원)- 저소득층 청소년 20명ndash대학생 20명 매칭 등(6월~5천만원)- lsquoKBS 동행rsquo에 출연하는 저소득 가정 50세대 지원(7월~1억원)- 발달장애 청년 재능개발 프로젝트lsquo눈부신하루rsquo추진(6월~3천만원)- 신입사원 봉사활동 등을 통한 지역사회 나눔활동(~10월7천2백만원)- 저소득층 난방연료 지원을 위한 주택도시업 캠페인(~12월5천만원)- 자매결연 마을 농수산물 구입기증(~12월4천만원)

추진목표

추진 목표는 해당연도 사회공헌 기부금 예산금액(이사회 의결금액)과 연계

기부금액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8620백만원 8879백만원 9145백만원 9419백만원 9702백만원 전년도예산금액103

실행과제

(49)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목적) 도시재생과 유사한 목표비전을 공유하는 사회적경제와 연계한 맞춤형

금융상품 운영 및 관련 지원조직과 다각적 협업 활동 추진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지역주민이 주도하는 도시재생 금융지원으로 국민의 삶의 질 개선

(목적) 주민지역공동체 주도의 마을단위 도시재생으로의 변화에 대응하여

사회적 경제주체 등 지원체계 개선으로 사회적 가치 실현에 기여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추진목표

수요자중심형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510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실행과제

(50)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국민이 참여하는

HUG사업평가단(가칭) 운영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보증업무 전반에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HUG

사업평가단 구성하여 주택품질 제고 및 안심입주 지향

(추진내용)

∙ 국민이 참여하는 보증솔루션팀 및 보증심사 리뷰단을 통해 제도 개선사항 도출

∙ 보증채권자 권익에 미치는 사항 등 국민의견 수렴을 통한 보증이행제도 개선

∙ 전세금보증 이행완료 고객 및 공인중개사 참여를 통한 제도개선 사항 발굴

추진목표 2019년 국민 의견수렴을 통한 전세금보증 제도 개선 등 검토

- 33 -

실행과제(51)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과 협업하여효율적인 전세금보증 이행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이행 업무의 효율성 제고

(추진내용)

∙ 지역사회단체 등과의 협업을 통한 임차인 퇴거확인 추진 검토

- 보증사고 발생 시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 구성원이 임차인 퇴거를

확인하여 담당직원 업무 공백 최소화 (직원 출장비 수준으로 비용 지급)

- 임차인 퇴거 확인 시 해당 주택가격 및 신규 임차인 확보 가능성 검토결과를

보고받아 채권보전조치를 위한 근거 확보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거보호 이행도(전세금보증 이행 15일초과건수전체이행건수)

50 45 41 37 34

- 34 -

Ⅳ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및 적극행정 확산

①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국민참여게시판을 lsquo국민제안(국민rarr기관)rsquo

및 lsquo정책제안(기관rarr국민)rsquo 게시판으로 세분화하여 국민과 기관간

상시 소통기반 마련 경평지적

지적사항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위한 개선방안 마련 필요

(혁신 네트워크 강화) 시민참여혁신단 보증채권권익위원회 전세금

보증 시민참여단 기금홍보협의회 운영 등 주요사업에 기반하여

다양한 대외 전문기관과 네트워크 활성화 경평지적

지적사항 보증 기금등주요사업역량강화를위한전문기관혁신네트워크강화필요

② 적극행정 확산

(적극행정 면책제도 활용) 감사계획 통보 시 적극행정 면책제도

middot사전컨설팅 제도 사전안내 및 면책신청 지원을 위한 상담창구

운영 등 (계획수립 完 감사실-2367호)

(기관장 책임강화) 혁신전략위원회(위원장 사장)를 통해 적극행정

혁신과제에 대한 추진독려 및 이행사항 점검 등 보완사항 지속

발굴 (혁신페스티벌 1middot2차 개최)

(적극행정 우수사례 발굴)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를 통해 조직내

적극행정 분위기 유도 (포상 및 내부성과평가 반영 등)

성과창출에 실패했더라도 기존관행 탈피 새로운 영역개척 국민접점에서

활력을 제고하는 등 lsquo착한실패rsquo lsquo건전한파격rsquo에 대해서도 포상추진 예정

(적극행정 인식확산) 적극행정 사이버교육(법제처 주관) 이수 등

적극행정 인식확산을 위한 교육참여 시 혁신마일리지 부여 (전사 교육 실시 예정)

- 35 -

Ⅴ 혁신 추진도구별 업무일정

구 분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1 2 3 4 5 6 7 8 9 10 11 12

1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2 국민소통 강화

3 혁신페스티벌

4 유관기관 협업

5 혁신채널 구축

6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7 제안제도 정비

8 혁신콘서트

9 혁신교육 및 혁신워크숍

10 혁신레터

11 혁신마일리지 신설

12 혁신BP 발굴 및 포상

피드백

(성과관리) 공공기관 혁신 및 기관 경영혁신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혁신과제 추진실적을 정기적으로 점검 및 피드백

(혁신전파) 조직원 전체의 혁신공감대 형성 및 참여도 제고를 위해

본사부서 및 영업부서 방문 등을 통해 혁신활동 및 우수사례 공유

(혁신내재화) 국민소통채널 혁신마일리지 혁신레터 등 혁신활동이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고 혁신업무에 대해

조직원이 공감하고 회사 모든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

Page 17: 2019년 HUG 혁신 추진계획 - khug.or.kr…„HUG혁신추진계획.pdf · 혁신페스티벌 - (내부 혁신과제 발굴) 조직·인사·제도·서비스혁신 등 회사

- 16 -

실행과제(8)

국민과 함꼐하는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 담당부서보증이행처

준법지원실

추진내용

(목적) 국민참여를 통한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의 수용성 제고 및 주거

복지 실현 위한 공동주택 하자 조기대응ㆍ감축방안 모색

(추진내용)

∙ 하자분쟁 해결체계 관련 국민 공유ㆍ소통 프로그램 운영

- 국민과 함께하는 하자분쟁 해결체계 개선 계획 수립

- lsquo공동주택 실무강좌rsquo 동행을 통한 하자관련 주요이슈 대국민 공유ㆍ소통- 국민참여 하자정보 공유 4회(서울 인천 수원 의정부) 및 하자실무 법률상담

∙ 국민 참여 확대를 통한 정책 개선 노력

- (lsquo1810) 대국민 의견수렴을 위한 하자분쟁 컨퍼런스 개최

middot 하자분쟁 예방을 위한 관계규정 검토 및 정책 논의

middot 행정청 학계 법조계 및 입주자대표회의 관련 다수 국민 참여

∙ 소규모사업장 청구 전 하자보수보증 사전안내제도(BS Before Service) 실시 검토

소규모사업장 150세대 미만 사업장 중 대위변제가 없는 2년차 하자보수보증 만료6개월 전 사업장

추진목표

대국민 참여도산출근거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참여횟수6회참여인원300명

참여횟수8회참여인원400명

참여만족도85점 이상

정책국민의사반영1회이상

정책국민의사반영1회이상

횟수당50명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점수(관리본부) 목표치산출근거구분 rsquo18년 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등급 A A A A A 목표 A등급 이상

실행과제(9)

민관협력사업으로 주거취약지구 주거환경 개선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목적) 공사의 사회적 가치경영 실행을 위해 새뜰마을(취약지역 개조사업) 주거

여건 개선을 지원하는 민관협업 사회공헌사업 추진

(추진내용)

∙ 중앙부처 공공기관 민간기업 등이 지역 주민과 함께 도시취약지역 내 노후주택에

대한 주거환경개선 열효율화 사업 추진

- 새뜰마을중고령화 노후화등으로사업추진이절실하고 지역사회참여정도등을 고려

하여성과가 가시화될수있는지역선정추진

∙ 주거취약지역 환경개선 관련 민관협업사업 MoU 체결 추진

- 국토교통부 HUG LH KCC AURI 해비타트 등 협약 체결을 통해 집수리 자재 및

전문인력 후원금 지원 추진

∙ 도시취약지역 지원 효과 분석 및 사업추진 매뉴얼 마련

- 지역기초조사 사업전후 효과분석 등 성과관리 새뜰마을 매뉴얼 제작보급

추진목표새뜰마을 지원대상 확대 건수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5건 5건 5건 5건 5건

- 17 -

실행과제(10)

도시재생 맞춤형 스타트업 총괄지원

플랫폼 도입middot운영담당부서

인사처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도시재생과 관련된 스타트업 및 소셜벤처에 대한 종합적 지원

(추진내용)

∙ HUG형 도시재생 뉴딜 창업 프로젝트 추진

- 사회적 경제조직 육성기관(함께일하는재단) 대중투자 전문기관(와디즈)과 협업

- 사회적 경제조직 컨설팅 지원

- 대중투자 연계 통한 일자리 창출 및 사회적 경제 활성화 지원

∙ 스타트업 및 소셜벤처에 대한 사회적 금융 지원

∙ HUG 창업 라운지(스타트업 기업에 공간 공유) 확대 운영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사회적금융지원금액 1억 1억 1억 1억 1억

공간지원스타트업수 6 8 10 12 14

멘토링middot창업캠프개최회수 5 5 5 5 5

실행과제(11)

도시재생 생태계 조성을 위한

종합지원 플랫폼 구축담당부서

기금정보처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종합적인 도시재생정보 공유체계 구축을 통해 기금 지원된 도시재생사

업에 대한 정량적 정보 및 사후지원 청년middot예비창업자 참여를 위한 HUG 정책

지원 정보를 기금포털 내 일괄 제공

(추진내용)

∙ 전국 기금이 활용된 도시재생 사업장 정보 제공(lsquo도시재생 기금지도rsquo 서비스)

- 지도 API 기반의 도시재생 기금지원 사업장 정보조회 서비스

- 전국 분포된 사업장의 위치부터 융자금액까지 상세정보를 편리하게 검색

- 실제 사례와 이용 상품 정보를 함께 제공하여 정보이용자 이해도 제고

∙ 기금 사업장 홍보 지원 및 청년창업 지원 정보 일괄 제공(전용 게시판 신설)

- 사업장 및 보유시설(코워킹시설 임대시설 등) 홍보 위한 전용공간 마련

- 기금지원 사업의 우수사례 정보공유를 통한 벤치마킹 및 정보이용자 관심유도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기금지도 서비스 개시 서비스구축middot개시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우수사례 발굴 건수 8 8 8 8 8

- 18 -

(2대 과제) 포용적 공공서비스 제공 강화

실행과제(12)

분양이행사업장 수분양자 보호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분양대금채권 지연손해금율 하향조정 등 분양계약자 부담완화를

통한 국민 주거안정 기여

(추진내용)

∙ 분양계약자 지연손해금 관련 주택분양보증약관 개정

- 분양계약자의 분양계약서상 지연손해금율이 시행사 구상채권 지연손해금율

보다 높은 사례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공사 내규와 분양계약서상 지연손해

금율 중 낮은 것을 적용하도록 약관 규정 개정 (시행사 동의서 징구)

추진목표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 점수(관리본부)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901 915 933 951 971

실행과제(13)

인터넷보증시스템개선으로전세금보증이용편의성제고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인터넷보증 시스템 개선을 통해 고객의 전세상품 보증서비스

편의성 및 접근성을 강화하여 서민 주거안정성 개선 지원

(추진내용)

∙ 인터넷 보증시스템 재구축 추진(lsquo20~lsquo21)

- (현행) 인터넷 익스플로러 이외의 웹브라우저 미지원

- (재구축) 구 운영체제 지원종료 대비 및 지원 플랫폼(구글 크롬 등) 확대를

위한 시스템 재구축 예정

∙ 모바일 보증시스템 구축 추진(lsquo19)

- (현행) PC 중심의 제한적인 보증가입 서비스 제공

- (비대면 서비스 강화) 모바일 보증시스템 구축 추진

추진목표

비대면 보증가입 점유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0 12 14 16 18

- 19 -

실행과제

(14)주택도시기금대출절차간소화를통한대국민서비스향상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서민실수요자 지원 강화 및 이용자 편의 제고 등을 위한 주택도시

기금 구입전세 대출의 자산심사 도입

(추진내용)

∙ 자산심사기준 도입을 통한 정책자금의 실수요자 집중 지원

∙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구축을 통한 대출절차 간소화

∙ 전담 수행조직 운영 및 수탁은행 역할 재정립 등을 통한 대국민 서비스 제고

추진목표

대출절차 혁신 시스템 운영 체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자산기준 마련기금법령 개정시스템 개발오픈수요자대출상품운영

수요자대출 全상품 시스템 안정화제도개선 및 모니터링

他 기금상품 (주택종합청약저축)도입 검토 및 적용

실행과제

(15)고아원연계 보호종료아동 월세보증금 지원 제도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고아원 보호기간이 종료됨에 따라 주거지원이 필요한 아동에게

주택임차자금 지원 및 보증상품 개발

(추진내용)

∙ 긴급 주거지원이 필요한 아동의 가정에 주택임차자금 지원∙ 고아원 보호종료 아동 대상 전세월세보증금보증 할인 상품 개발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택임차자금지원 세대 수

10 20 성과분석 후 확대 검토

고아원보호종료아동대상상품가입자수

상품개발추진 제도개선 추진

실행과제

(16)HUG 이용고객 편의성 제고를 위한 플랫폼 구축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객과의 소통채널 확대방안의 일환으로 24시간 고객상담 제공

(추진내용)

∙ 단순 문의 SMS 발송

- 위탁은행 신청서류 등 전세보증 관련 간단 정보 문자발송 ARS실시(완료 `195월)

- 업무시간 종료 후에도 단순문의에 대한 SMS문자안내 서비스 추진

∙ 콜센터와 지사 상담이력 공유

- 콜센터 상담시스템과 차세대 시스템을 연계 고객별 상담이력 조회화면 구축

∙ 보이는 ARS 서비스 도입

- 기존의 음성 서비스와 함께 스마트폰을 통해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바로

연결하고 직접 통화하지 않아도 간편문의를 처리할 수 있는 보이는 ARS 실시

추진목표 2019년 챗봇서비스 DB구축 검토 2020년 챗봇 서비스 도입 검토

- 20 -

실행과제

(17)전세금보증 인터넷가입에 필요한 데이터 자동화 구축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가입을 간편하게 하여 정보사각지대에 있는 고객의

보증 가입 편의성 강화

(추진내용)

∙ 주택가격정보middot등기부등본 데이터 자동입력 시스템 마련

- KB시세 한국감정원 국세청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와의 협약 통한 시스템 연계

- 직접협약 외에도 부동산 권리변동정보 제공기관을 통한 중계서비스 도입 검토

∙ 인터넷보증시스템 전세금보증 신청절차 개선

- 전자연계 가능한 서류의 데이터 자동입력 프로세스 개발

- 보증심사시 담당자가 전자 원본 서류를 확인할 수 있는 화면 개발

추진목표

데이터 입력시스템 구축 및 운용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연계방안검토

협약체결 전산연계 운영 및 보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18)

사회임대주택 활성화를 위한 조직 혁신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사회임대주택 금융지원제도 담당부서 일원화로 속도감 있는 제도개선 등

사회임대주택 활성화 지원

(추진내용)

∙ 기획조정실 사회임대주택 총괄부서 지정을 위한 조직개편 추진

- 현행 사회임대PF보증(금융기획실) 토지임대middot기금출융자(도시재생기획처 기금지원처)

- 개선 도시재생기획처로 일원화하여 사회임대주택 복합금융 지원업무 총괄

한 부서에서 기금 출middot융자 보증지원까지 원스톱 상담으로 고객 만족도 제고

추진목표 2019년 조직개편 완료

실행과제

(19)상담서비스 고도화를 통한 고객만족도 제고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객상담데이터 체계적 관리middot활용을 통한 대국민 서비스 질적 향상

(추진내용)

∙ 차세대(전산)업무시스템 및 콜센터 시스템을 연계하여 상담이력 공유- 콜센터 외에도 지사 직원의 고객상담이력을 저장할 수 있도록 차세대시스템 내화면 구축 콜센터의 상담이력 역시 차세대 시스템에 저장 및 관리

∙ 보이는 ARS서비스 실시 및 단순문의안내 SMS 발송 서비스 실시middot활성화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콜센터전산시스템연계

시스템구축

시스템개발완료및 운용

시스템운용

시스템운용

시스템운용

신규 서비스출시

보이는ARS검토

보이는ARS출시

보이는ARS운용

보이는ARS운용

보이는ARS운용

- 21 -

2 혁신적 포용국가 선도

(3대 과제) 경제활력 제고 및 일자리 중심 경제 선도 중점

실행과제

(20)공공정보 연계 통한 서류제출 절차 간소화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필요한 서류를 간소화함으로써 대국민서비스 질 제고 (추진내용)∙ 필요한 서류 등을 공사 전산으로 조회 가능한 시스템 구축∙ 기금대출절차 혁신 시스템과 연계

추진목표 ∙ (비계량) 필요서류 전산조회 시스템 구축

실행과제

(21)사업다각화를 통한 고용증대 및 비정규직 ZERO화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서민 주거복지 도시재생 활성화 지원 등을 위한 기관 자체의 적극적인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공기업 서비스 제고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증원 및 채용 확대- 신사업 발굴 및 자율정원제를 통한 적극적인 증원-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청년 및 지역 인재 채용∙ 사회 양극화 해소를 위한 비정규직 ZERO화- 노사 공감대에 기반한 정당한 절차를 통한 전환 추진 및 전환근로자 처우 개선 노력

추진목표정원 비정규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766명 0명 903명 0명 995명 0명 1033명 0명 1062명 0명

실행과제

(22)

주거복지 및 도시재생을 위한

도시재생 창업공간 금융지원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도시재생 금융상품을 통한 창업지원 (목적) 창업과 관련한 도시재생 금융상품을 통해 민간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창업 관련 수요자 중심형 기금융자 및 보증상품 개발 운용- 코워킹시설조성 상가리모델링 공공임대상가 등 기금융자 지원

도시재생뉴딜 금융지원을 위한 사회적 금융 연계 지원 (목적) 도시재생분야법인단체창업관련크라우드펀딩 및 창업지원 컨설팅 추진 (추진내용)∙ 도시재생분야에대중투자연계일자리창출및지역주도사회적경제활성화지원- 뉴딜로 도시재생 크라우드펀딩 대회 개최 등∙ 도시재생 창업단체에 대한 지원을 위해 HUG형 민간일자리 창출 프로젝트 추진- HUG와 함께하는 도시재생 뉴딜 창업프로젝트 추진 및 사회적 경제조직 활성화

추진목표창업지원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510억원 1548억 1548억 1548억 1548억

- 22 -

실행과제

(23)IT선진화를 통한 민간일자리 창출 담당부서

기금정보처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고유목적사업인 주택보증 주택도시기금 및 도시재생분야의 IT 시스템

구축 및 개선을 통한 민간 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 주택도시기금 정보시스템 통합 유지보수

- (추진기간) 유지보수 사업의 특성으로 매년 발생

- (일자리창출) 2019년(8명) 2020년 sim 2023년(매년 16명)

∙ 도시재생 금융지원 전산시스템 구축

- 도시재생융자등원활한도시계정업무를뒷받침하기위한온라인금융지원시스템구축

- 추진기간 2018년~2019년 투입금액 및 인력 51억원 41명

∙ 주택도시기금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구축

- 주택도시기금 대출절차 편의 제고 및 절차 간소화 시스템 구축

- 추진기간 2018년~2019년 투입금액및인력 컨설팅용역43억원 12명 전산용역74억원52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기금업무 운영 유지보수 8 16 16 16 16

도시재생 융자시스템 41 - - - -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64 - - - -

합 계 177

실행과제

(24)

공공기관 공동기금 조성을 통한

지역 사회적경제 활성화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이전지역 기관간 협업을 통한 사회적경제 활성화로 지속가능한 일자리

제공 지역경제 활성화 추진

(추진내용)

∙ 부산 사회적경제 지원기금(BEF) 지원을 통한 사회적기업 육성 및 지원

- Pilot Program (크라우드펀딩) 20개소 창업단계 재정지원 5개소 Start-up 재정지원

15개소 Scale-up(성정기 기업) 대출지원 5개소 BEF 경영컨설팅 50회 BEF

사회적기업 연구가 인재육성 실시 2회 BEF 판로지원 5개소 등

추진목표

기금지원 (자체 공동)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억원(10억원)

1억원(10억원)

1억원(10억원)

1억원(125억원)

-

- 23 -

(4대 과제) 혁신성장 지원

실행과제

(25)상가임차금 안심대출 상품개발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도시재생지역 내 상가임차인 보호를 위한 상가임차금안심대출 개발

(추진내용)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법령 개정 검토

-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등 관련 법령 개정안 검토

- 법령 개정안 정부 건의 (우선변제권 승계기관 포함)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시장분석 및 조사(`20)

- 상가임차보증금 시장분석 및 보증이용 수요조사

- 보증료율 검토 및 리스크 분석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출시(`21)

- 사규개정 및 법령개정 완료

추진목표

상가임차보증금 상품 출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내부검토 법령개정 시장분석 상품출시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26)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사고 위기사업장과 보증실적의 증가로 사전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및 정기 점검활동 강화 및 핵심업무 역량집중 강화

(추진내용)

∙ 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 현장점검 대상사업장을 파악하여 외주용역을 통한 점검 추진 검토

추진목표 ∙ 2019년도 현장점검 외주화

실행과제

(27)

비대면 전세금보증을 통한 혁신성장 기반 마련

(카카오페이를 통한 가입확대 등)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모바일 전세금보증

스마트폰을이용해언제 어디서든쉽게보증을신청할수있도록모바일가입채널마련

∙ (모바일 인터페이스) 인터넷 전세금보증 프로세스를 모바일웹에 최적화하여 로그인

부터 보증가입 승인까지 전 프로세스 지원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위탁은행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증가입 프로세스 개선

(현행) 임차인이 선순위 채권 등 보증가입정보를 입력

(개선) 임차인은개인정보및계약정보만입력하고세부심사에필요한정보는심사자가입력

모바일 안심대출보증

위탁은행 비대면 전세금 안심대출 상품 개발

추진목표 2019년 전세금보증의 완전한 모바일 가입체계 구축

- 24 -

실행과제

(28)국민 주거편의 제공을 위한 스마트시티 건설 지원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목적) 핵심 국정과제인 스마트시티 분야의 금융지원 플랫폼으로서 주택도시기금지원 기반 모색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검토 및 금융상품 초안 마련

(추진내용)

∙ 민간사업자 의견 수렴 및 스마트시티 기금 금융지원 상품 초안 마련 -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및 주요 요소기술산업 등 동향 파악- 민간사업자 의견수렴을 바탕으로 실질적 금융지원이 가능한 상품 개발 추진∙ 주택도시기금법 개정안 마련 및 정부 건의∙ 스마트시티 건설사업장에 대한 보증료 할인 또는 보증심사 가점부여∙ 스마트시티 건설 신공법 소개 및 성공사례 공유

추진목표금융지원 확대 건수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건 1건 2건 3건 3건

실행과제

(29)HUG 빅데이터운영체계구축으로공공데이터개방기여 담당부서

주택도시

금융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기관 내middot외부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주택middot도시middot금융 분야의 환경 변화를진단함으로서 4차산업 혁명시대 도래에 따른 선제적인 대응 체계 마련

(추진내용)

∙ (1단계) HUG 빅데이터 기반 주택시장 분석 인프라 설계 및 로드맵 수립∙ (2단계) HUG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구축 및 모델 개발∙ 수요자(국민middot정부middot공사)별 빅데이터 활용 영역 확대 및 분석 기능 고도화

추진목표공공데이터 외부개방(제공) 건수 (오픈API포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38건 42건 46건 51건 56건

실행과제

(30)

친환경middot신소재 활용으로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

(제로에너지 건축물 건설자금지원 등)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주택건설사업장에 친환경middot신소재 사용을 유도함으로써 환경 친화적 주택건설과 에너지신산업 판로지원

(추진내용)

∙ 친환경 제품 및 에너지 신소재 제품사용 주택건설사업장에 보증심사 가점부여(완료)- (`1812) 녹색건축물인증등급부여고객보증심사시초기예상분양율 5〜1점가점부여

∙ (추진) 신소재 적용 주택건설사업장 확대를 위해 보증심사시 가점부여

- SOC 공공기관 통합기술마켓과 연계한 보증우대 방안 마련 중소기업이 보유한 SOC 공공기관 관련 혁신기술의 공모middot연구개발 제안 및 검증을

통해 상품화 및 홍보middot판매를 지원하는 플랫폼

추진목표

친환경적 주택건설 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

- 25 -

실행과제

(31)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비대면 가입 활성화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9개 수탁은행에 온라인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 독려

연령 무주택세대주 소득증빙 등 가입 시 제출서류가 많아 비대면 시스템 구축 시

지점방문 없이 간편하게 가입 가능

신한은행 최초로 완전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821)

비대면 가입 주택도시기금포털에 안내 및 홍보

비대면 가입 시스템 기금포털 홍보 게시하여 수탁은행 시스템 개발 독려

추진목표 목표비대면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전체 가입의 6 전체 가입의 12

실행과제

(32)전기자동차 도입을 통한 친환경 에너지 수요 창출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업무용 차량의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ㅇ 2018년 임차기간 만료예정인 업무용 차량을 전기자동차로 대체

ㅇ 추후 본사 및 영업부서 업무용 차량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추진목표 2019년 중 전기자동차 1대 충전소 1개소 설치실행과제

(33)드론 활용을 통한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기술middot제품에 대한 선제적 구매 및 테스트와 고유사업에 활용

으로 민간 초기시장 조성을 견인

(추진내용)

∙ 보증이행사업장 드론 안전점검 시범실시

- (`1812) 예산 미편성으로 1개 사업장 드론촬영 시범실시 및 효용성 검토

∙ 보유중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에 드론 활용 확대

- (`196) 전문엔지니어링 업체 발굴로 일자리 창출 및 보유 사업장 전체(2개)에

드론 활용 안전점검 실시 rArr 위험요소 발굴로 관할센터에 사고예방을 위한

안전조치 권고문서 시행

추진목표

안전사고 발생비율(발생건수보유사업장)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0 0 0 0 0 안전사고발생 ZERO무사고 달성

실행과제

(34)드론활용사업장안전관리및점검체계구축(시범단지운영)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HUG형 혁신 사업장 안전관리 및 점검체계 구축

ㅇ 드론 활용 사업장 안전 및 점검체계 구축

ㅇ 시범단지 선정 및 운용 세부계획 검토

∙ 드론 등 기술혁신 도구관련 관련 업체 및 유관기관 협의

∙ 사업장-영업부서-본사부서 협업체계 및 활용방안(HUG-i 게시) 등

추진목표안전사고로 인한 분양보증사고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0 0 0 0 0

- 26 -

실행과제

(35)블록체인을 활용한 안전하고 편리한 인터넷서비스 제공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정부주도의 공인인증서 폐지정책(전자서명법 전부개정 예고)에 따라 전자

서명에 대한 인터넷 사용자 대체 인증수단 개발

(추진내용)

∙ 블록체인 기반의 본인인증 서비스 (카카오페이 인증 서비스) 도입

- 인터넷보증시스템에서보증료영수증및보증서출력시카카오인증을이용한전자문서

유통증명서비스제공

∙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대국민서비스 확대

- 전자서명법개정에따른블록체인기반의전자서명서비스도입

- 온라인 등기우편(연체정보 등 전자우편을 본인인증 후 열람) 일괄발송 발송내역 조회

및유통증명서발급시스템구축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블록체인기반본인인증서비스시범도입

블록체인기술을이용한

대국민서비스확대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실행과제

(36)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사업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환경보호라는 공공성을 위하여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건물

보증에 대해 유인책 마련 필요

(추진내용)

∙ 제로에너지 건축물에 대한 대출한도 상향 조정

∙ 건축 관련학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해 친환경 건축물에 대한 관심 제고

- HUG 오픈캠퍼스 추진 시 건축 관련학과(건축공학과 건축디자인과 등) 학생에게 교육

추진및공사인턴체험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제로에너지 건축물지원 제도

규정신설 -

HUG오픈캠퍼스 수료학생수 (건축 관련 학과 포함)

100 110 121 133 146

- 27 -

(5대 과제) 공정경제 기반 구축 중점

실행과제

(37)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 진입장벽 해소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물품구매 대금결제 등에 중소기업 창업기업 등에 대한 계약규제 완화를

통해 공정경제 기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함

(추진내용)

∙ 신규 창업middot중소기업에 대한 진입장벽 완화

- 소규모 물품middot용역 입찰(고시금액 21억원 미만) 참여시 상대적으로불리한신규창업 및

중소기업에대한실적제한폐지

- 다만 부득이용역의성격상실적평가가필요한경우창업기업실적인정기간연장

(현행 3년 rarr 7년)을 통한 부담 완화

∙ 지체상금 부담경감 (현행의 12수준) 을 통한 상생협력 강화

∙ 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에 대한 용역대금 선급금지급률 확대

추진목표

중소기업 등 협력업체 계약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779 790 80 81 -

실행과제

(38)

공정경제를 위한 지역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업자 보호강화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건설사업장 인근지역 중소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대금의 현금

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한 하도급업자 보호 강화

(추진내용)

∙ 지역 중소 건설업체들에게 동일한 기회제공 및 공정한 경쟁 유도

- 건설사업장에서 지역건설업체와 하도급계약 체결 시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 할인 추진

∙ 협력업체 하도금대금의 현금지급 확대

- 하도급대금을 현금으로 지급할 경우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를 할인

하여 협력업체 및 근로자들의 보호를 강화하고 시장에서의 우위 선점

추진목표

지역 하도급업체 계약체결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규정개정 30 40 50 60

하도급대금의 현금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해 하도급업자 보호

- 28 -

3 국민신뢰 회복

(6대 과제) 적극행정 확산 등 조직운영 혁신

실행과제

(39)고용위기지역에 대한 금융지원 추진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용위기지역에 대한 지원강화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추진내용)

∙ 고용위기지역 내 임대주택 건립시 보증료 할인 추진(완료)

- 고용위기지역및고용재난지역소재임대보증금보증사업장보증료 10인하( 1812)

∙ 고용위기지역 내 임차인이 전세금보증 이용시 보증료 할인 검토

- 전세보증금반환보증(전세금보장) 전세안심대출(전세금대출지원)

보증이용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임차주택으로 변경시 보증료 할인 검토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보유한 주택건설사업자가 입주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임차

주택으로변경하여전세금보증가입신청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추진목표

고용위기지역 금융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마련 및 운영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40)근로여건 개선을 통한 휴식 있는 삶 지원 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일ㆍ가정 양립에 대한 법적ㆍ사회적 요구 증대됨에 따라 장시간 근로문화를 타파하고 휴식 있는 삶을 지원하여 일ㆍ생활의 균형 실현

(추진내용)

∙ 장시간 근로문화 타파- 직원니즈를반영한공사맞춤형복무제도수립및운영- PC-OFF 강화 (주2회rarr매일)- 퇴근장려캠페인 (인사안하고퇴근하기 관리자솔선수범퇴근)∙ 휴식 있는 삶 지원- 가족친화제도지속개발 (일가양득프로그램운영)- 연차휴가및남성육아휴직이용률향상을위한제도개선- 시간단위연차사용을통한휴가사용활성화- 임신직원보호를위한모성보호절차도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인당 연차사용일 1426일 1497일 1572일 1651일 1733일남성육아휴직인원 331 348 365 383 402

- 29 -

실행과제

(41)

위임전결기준 개선을 통한 업무처리 혁신

(결재피로감 낮추고 책임middot권한 공백없이 업무는 신속하게)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결재절차를 단순화함으로써 신속한 업무처리 및 고객만족도 제고

(추진내용)

∙보증위탁업무전결권세분화

- 위임전결규정안마련및규정개정절차진행(5월)

보증업무 위탁外 융자수탁업무 관련 전결권 개정도 함께 추진

∙대외업무협약체결전결권세분화

- 사안의중요성및영향도등고려중장기적으로면밀한검토필요

추진목표

결재절차 단순화

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rsquo23년보증및융자수탁업무위임전결규정개정

제도 보완

실행과제

(42)지출신청 시 영수증 증빙 제출제도 개선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지출신청시 불필요한 원본구비 제도 개선을 통한 업무효율화 달성

(추진내용)

∙ 공사 지출의 42 비중을 차지하는 5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 원본 제출 제외

- 지출액 50만원 이하 법인카드 및 전자세금계산서 지출 건 원본구비 예외 조항 신설

- 확인이 필요한 간이계산서 등은 원본징구하여 지출사고 가능성 예방

- 제도 정착 전 3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에 대하여 원본 제출 제외(시범운영)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내부

규정개정 및시범운영

제도개선 지속 추진

실행과제(43)

PF보증심사 시 월별예정 분양률 분포의 계량화 담당부서금융기획실심사평가처주택도시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민간아파트 초기분양률 데이터를 활용한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

(추진내용)

∙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를 통한 심사 객관성 확보

- 월별예정분양률 관련 명확한 지침 산정으로 신청업체 및 심사자의 주관 배제

- 국가승인통계인 민간아파트초기분양률 동향 데이터를 활용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

∙ 초기분양률 동향 분석(주택도시금융연구원 협업 4월sim10월)

- 연구원과 협업을 통해 초기분양률 데이터 분석 및 관리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건의(11월)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관할 부서(금융기획실)로 세칙 개정 건의

추진목표2019년도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예상분양률 분포기준 마련 초기분양률 데이터 관리체계 구축

- 30 -

(7대 과제) 윤리경영 강화

실행과제

(46)청렴도 향상을 위한 반부패 활동 강화 담당부서 준법지원실

추진내용

윤리경영 추진조직 강화

기관장 주도의 윤리경영 고위직 협의체 구축 내부 자문기구「청렴자문위

원회」운영 강화 및 임원의 윤리자가진단 현황 정보공개

반부패middot청렴 대외 활동 활성화

부산 이전 공공기관 청렴 협의체「청렴 클러스터」활동 강화

「부산투명사회실천 민middot관 네트워크」가입middot활동 실시

「유엔글로벌콤팩트(UNGC)」활동으로 글로벌 윤리역량 강화

실행과제

(44)논스톱 고분양가 심사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공사 PF보증 사업장에 대한 고분양가 심사기준 개선을 통한 사업

안정성 제고 및 고객신뢰성 확보

(추진내용)

∙ 「고분양가사업장심사규정」개정 추진(5월~6월)

- 고분양가 관리지역 내에서 공사 PF보증 발급예정사업장의 고분양가 심사기준(비교

사업장 선정 및 분양가격 산출 등)의 적용을lsquoPF보증 본점 승인시점rsquo으로 명확히 함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고분양가심사규정개정

사업안정성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 추진

실행과제

(45)임대리츠 통계 및 사후관리시스템 개선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목적) 자리츠 사후관리 주관기관(모리츠 AMC인 LH) 및 감독관리기관

(HUG) 간의 업무분장에 따라 사후관리 데이터 품질 저하 등 발생

rArr 기관간 협업체계 개선 관련 시스템 개발 등을 통한 사후관리 관련 데이터품질 향상 및 대정부 정보전달 적시성 확보

(추진내용)

∙ 리츠 기금출자내용 변경시 임대리츠 이력관리 등이 가능하게 하는 통계시스템 개발

∙ 분기별 사후관리보고 제출기한 마련 검토

∙ 임대리츠 통계관리 업무체계 내실화를 위한 기관간 협업 수행

추진목표

임대리츠 사후관리 구조 개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전산시스템개발 및시스템 구축

임대리츠사후관리

체계개선 수행

시스템 운용및 개선사항도출

기관간 협업수행(데이터관

리)

임대리츠통합데이터관리 수행

- 31 -

(8대 과제) 국민의 참여협력 확대 및 지역사회 공헌

실행과제

(47)

혁신도시 맞춤형 지역인재 육성 지원 및

인재채용 투명성 강화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도시 지원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증대에 따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한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

(추진내용)

∙ 市-지역대학간 협업으로 지역인재 육성 교육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 외부 면접위원 확대 및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인사 절차의 공정성 강화

∙ 사회형평적 채용실시와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을 통한 불합리한 차별 해소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지역채용 21 24 27 30 33지역인재육성 총 교육시간(교육인원times교육시간 시간) 3000 4500 4500 4500 4500

지역인재육성교육만족도(점수) 944 949 954 959 964

실행과제

(48)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사회공헌사업 확대 추진 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정부의 lsquo사회적 가치 실현rsquo을 정책에 따라 사회적 경제 및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사회공헌 필요성 증가

(추진내용)

∙ 안전한 주거환경 제공

- 무주택 국가유공자 및 저소득층 임차자금 170세대 지원(~8월10억원)- HUG 셰어하우스 3호 신촌점 완공 청년 24명 입주 완료(~10월2억원)- 저소득층 노후주택 및 소규모 사회복지시설 127세대 개보수(~10월8억원)- HUG STREET 잘사는 골목길 등 환경개선사업 대상지 선정 완료(~10월1억1천만원)

∙ 지역사회와 상생

- 노후 슬레이트 지붕개량 및 태양광 지원 사업 4자 협약(~8월3억원) HUG-부산시-한국사회복지협의회-부산도시재생지원센터

- HOPE with HUG 10호 11호 완공(~9월1억5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지역건설사-지역건축전문가 협업을 통한 주거개선사업

- 부산 송상현 광장 내 도시놀이터 프로젝트 완료(~9월7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부산시설공단 협업을 통한 문화middot휴식공간 조성

청렴 모니터링 다각화

청렴의식 환기를 위한 「자가점검 프로그램」실시

「청렴 옴부즈만」운영

개선 아이디어 발굴을 위한 「신입사원 生生 모니터링」

추진목표

종합청렴도 결과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3등급 2등급 1등급 1등급 1둥급

- 32 -

∙ 균등한 기회와 사회통합

- 중학생 자유학기제 지원 프로그램 운영(9월~4천만원)- 저소득층 청소년 20명ndash대학생 20명 매칭 등(6월~5천만원)- lsquoKBS 동행rsquo에 출연하는 저소득 가정 50세대 지원(7월~1억원)- 발달장애 청년 재능개발 프로젝트lsquo눈부신하루rsquo추진(6월~3천만원)- 신입사원 봉사활동 등을 통한 지역사회 나눔활동(~10월7천2백만원)- 저소득층 난방연료 지원을 위한 주택도시업 캠페인(~12월5천만원)- 자매결연 마을 농수산물 구입기증(~12월4천만원)

추진목표

추진 목표는 해당연도 사회공헌 기부금 예산금액(이사회 의결금액)과 연계

기부금액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8620백만원 8879백만원 9145백만원 9419백만원 9702백만원 전년도예산금액103

실행과제

(49)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목적) 도시재생과 유사한 목표비전을 공유하는 사회적경제와 연계한 맞춤형

금융상품 운영 및 관련 지원조직과 다각적 협업 활동 추진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지역주민이 주도하는 도시재생 금융지원으로 국민의 삶의 질 개선

(목적) 주민지역공동체 주도의 마을단위 도시재생으로의 변화에 대응하여

사회적 경제주체 등 지원체계 개선으로 사회적 가치 실현에 기여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추진목표

수요자중심형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510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실행과제

(50)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국민이 참여하는

HUG사업평가단(가칭) 운영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보증업무 전반에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HUG

사업평가단 구성하여 주택품질 제고 및 안심입주 지향

(추진내용)

∙ 국민이 참여하는 보증솔루션팀 및 보증심사 리뷰단을 통해 제도 개선사항 도출

∙ 보증채권자 권익에 미치는 사항 등 국민의견 수렴을 통한 보증이행제도 개선

∙ 전세금보증 이행완료 고객 및 공인중개사 참여를 통한 제도개선 사항 발굴

추진목표 2019년 국민 의견수렴을 통한 전세금보증 제도 개선 등 검토

- 33 -

실행과제(51)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과 협업하여효율적인 전세금보증 이행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이행 업무의 효율성 제고

(추진내용)

∙ 지역사회단체 등과의 협업을 통한 임차인 퇴거확인 추진 검토

- 보증사고 발생 시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 구성원이 임차인 퇴거를

확인하여 담당직원 업무 공백 최소화 (직원 출장비 수준으로 비용 지급)

- 임차인 퇴거 확인 시 해당 주택가격 및 신규 임차인 확보 가능성 검토결과를

보고받아 채권보전조치를 위한 근거 확보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거보호 이행도(전세금보증 이행 15일초과건수전체이행건수)

50 45 41 37 34

- 34 -

Ⅳ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및 적극행정 확산

①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국민참여게시판을 lsquo국민제안(국민rarr기관)rsquo

및 lsquo정책제안(기관rarr국민)rsquo 게시판으로 세분화하여 국민과 기관간

상시 소통기반 마련 경평지적

지적사항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위한 개선방안 마련 필요

(혁신 네트워크 강화) 시민참여혁신단 보증채권권익위원회 전세금

보증 시민참여단 기금홍보협의회 운영 등 주요사업에 기반하여

다양한 대외 전문기관과 네트워크 활성화 경평지적

지적사항 보증 기금등주요사업역량강화를위한전문기관혁신네트워크강화필요

② 적극행정 확산

(적극행정 면책제도 활용) 감사계획 통보 시 적극행정 면책제도

middot사전컨설팅 제도 사전안내 및 면책신청 지원을 위한 상담창구

운영 등 (계획수립 完 감사실-2367호)

(기관장 책임강화) 혁신전략위원회(위원장 사장)를 통해 적극행정

혁신과제에 대한 추진독려 및 이행사항 점검 등 보완사항 지속

발굴 (혁신페스티벌 1middot2차 개최)

(적극행정 우수사례 발굴)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를 통해 조직내

적극행정 분위기 유도 (포상 및 내부성과평가 반영 등)

성과창출에 실패했더라도 기존관행 탈피 새로운 영역개척 국민접점에서

활력을 제고하는 등 lsquo착한실패rsquo lsquo건전한파격rsquo에 대해서도 포상추진 예정

(적극행정 인식확산) 적극행정 사이버교육(법제처 주관) 이수 등

적극행정 인식확산을 위한 교육참여 시 혁신마일리지 부여 (전사 교육 실시 예정)

- 35 -

Ⅴ 혁신 추진도구별 업무일정

구 분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1 2 3 4 5 6 7 8 9 10 11 12

1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2 국민소통 강화

3 혁신페스티벌

4 유관기관 협업

5 혁신채널 구축

6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7 제안제도 정비

8 혁신콘서트

9 혁신교육 및 혁신워크숍

10 혁신레터

11 혁신마일리지 신설

12 혁신BP 발굴 및 포상

피드백

(성과관리) 공공기관 혁신 및 기관 경영혁신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혁신과제 추진실적을 정기적으로 점검 및 피드백

(혁신전파) 조직원 전체의 혁신공감대 형성 및 참여도 제고를 위해

본사부서 및 영업부서 방문 등을 통해 혁신활동 및 우수사례 공유

(혁신내재화) 국민소통채널 혁신마일리지 혁신레터 등 혁신활동이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고 혁신업무에 대해

조직원이 공감하고 회사 모든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

Page 18: 2019년 HUG 혁신 추진계획 - khug.or.kr…„HUG혁신추진계획.pdf · 혁신페스티벌 - (내부 혁신과제 발굴) 조직·인사·제도·서비스혁신 등 회사

- 17 -

실행과제(10)

도시재생 맞춤형 스타트업 총괄지원

플랫폼 도입middot운영담당부서

인사처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도시재생과 관련된 스타트업 및 소셜벤처에 대한 종합적 지원

(추진내용)

∙ HUG형 도시재생 뉴딜 창업 프로젝트 추진

- 사회적 경제조직 육성기관(함께일하는재단) 대중투자 전문기관(와디즈)과 협업

- 사회적 경제조직 컨설팅 지원

- 대중투자 연계 통한 일자리 창출 및 사회적 경제 활성화 지원

∙ 스타트업 및 소셜벤처에 대한 사회적 금융 지원

∙ HUG 창업 라운지(스타트업 기업에 공간 공유) 확대 운영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사회적금융지원금액 1억 1억 1억 1억 1억

공간지원스타트업수 6 8 10 12 14

멘토링middot창업캠프개최회수 5 5 5 5 5

실행과제(11)

도시재생 생태계 조성을 위한

종합지원 플랫폼 구축담당부서

기금정보처

도시재생기획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종합적인 도시재생정보 공유체계 구축을 통해 기금 지원된 도시재생사

업에 대한 정량적 정보 및 사후지원 청년middot예비창업자 참여를 위한 HUG 정책

지원 정보를 기금포털 내 일괄 제공

(추진내용)

∙ 전국 기금이 활용된 도시재생 사업장 정보 제공(lsquo도시재생 기금지도rsquo 서비스)

- 지도 API 기반의 도시재생 기금지원 사업장 정보조회 서비스

- 전국 분포된 사업장의 위치부터 융자금액까지 상세정보를 편리하게 검색

- 실제 사례와 이용 상품 정보를 함께 제공하여 정보이용자 이해도 제고

∙ 기금 사업장 홍보 지원 및 청년창업 지원 정보 일괄 제공(전용 게시판 신설)

- 사업장 및 보유시설(코워킹시설 임대시설 등) 홍보 위한 전용공간 마련

- 기금지원 사업의 우수사례 정보공유를 통한 벤치마킹 및 정보이용자 관심유도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기금지도 서비스 개시 서비스구축middot개시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서비스개선

우수사례 발굴 건수 8 8 8 8 8

- 18 -

(2대 과제) 포용적 공공서비스 제공 강화

실행과제(12)

분양이행사업장 수분양자 보호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분양대금채권 지연손해금율 하향조정 등 분양계약자 부담완화를

통한 국민 주거안정 기여

(추진내용)

∙ 분양계약자 지연손해금 관련 주택분양보증약관 개정

- 분양계약자의 분양계약서상 지연손해금율이 시행사 구상채권 지연손해금율

보다 높은 사례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공사 내규와 분양계약서상 지연손해

금율 중 낮은 것을 적용하도록 약관 규정 개정 (시행사 동의서 징구)

추진목표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 점수(관리본부)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901 915 933 951 971

실행과제(13)

인터넷보증시스템개선으로전세금보증이용편의성제고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인터넷보증 시스템 개선을 통해 고객의 전세상품 보증서비스

편의성 및 접근성을 강화하여 서민 주거안정성 개선 지원

(추진내용)

∙ 인터넷 보증시스템 재구축 추진(lsquo20~lsquo21)

- (현행) 인터넷 익스플로러 이외의 웹브라우저 미지원

- (재구축) 구 운영체제 지원종료 대비 및 지원 플랫폼(구글 크롬 등) 확대를

위한 시스템 재구축 예정

∙ 모바일 보증시스템 구축 추진(lsquo19)

- (현행) PC 중심의 제한적인 보증가입 서비스 제공

- (비대면 서비스 강화) 모바일 보증시스템 구축 추진

추진목표

비대면 보증가입 점유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0 12 14 16 18

- 19 -

실행과제

(14)주택도시기금대출절차간소화를통한대국민서비스향상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서민실수요자 지원 강화 및 이용자 편의 제고 등을 위한 주택도시

기금 구입전세 대출의 자산심사 도입

(추진내용)

∙ 자산심사기준 도입을 통한 정책자금의 실수요자 집중 지원

∙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구축을 통한 대출절차 간소화

∙ 전담 수행조직 운영 및 수탁은행 역할 재정립 등을 통한 대국민 서비스 제고

추진목표

대출절차 혁신 시스템 운영 체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자산기준 마련기금법령 개정시스템 개발오픈수요자대출상품운영

수요자대출 全상품 시스템 안정화제도개선 및 모니터링

他 기금상품 (주택종합청약저축)도입 검토 및 적용

실행과제

(15)고아원연계 보호종료아동 월세보증금 지원 제도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고아원 보호기간이 종료됨에 따라 주거지원이 필요한 아동에게

주택임차자금 지원 및 보증상품 개발

(추진내용)

∙ 긴급 주거지원이 필요한 아동의 가정에 주택임차자금 지원∙ 고아원 보호종료 아동 대상 전세월세보증금보증 할인 상품 개발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택임차자금지원 세대 수

10 20 성과분석 후 확대 검토

고아원보호종료아동대상상품가입자수

상품개발추진 제도개선 추진

실행과제

(16)HUG 이용고객 편의성 제고를 위한 플랫폼 구축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객과의 소통채널 확대방안의 일환으로 24시간 고객상담 제공

(추진내용)

∙ 단순 문의 SMS 발송

- 위탁은행 신청서류 등 전세보증 관련 간단 정보 문자발송 ARS실시(완료 `195월)

- 업무시간 종료 후에도 단순문의에 대한 SMS문자안내 서비스 추진

∙ 콜센터와 지사 상담이력 공유

- 콜센터 상담시스템과 차세대 시스템을 연계 고객별 상담이력 조회화면 구축

∙ 보이는 ARS 서비스 도입

- 기존의 음성 서비스와 함께 스마트폰을 통해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바로

연결하고 직접 통화하지 않아도 간편문의를 처리할 수 있는 보이는 ARS 실시

추진목표 2019년 챗봇서비스 DB구축 검토 2020년 챗봇 서비스 도입 검토

- 20 -

실행과제

(17)전세금보증 인터넷가입에 필요한 데이터 자동화 구축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가입을 간편하게 하여 정보사각지대에 있는 고객의

보증 가입 편의성 강화

(추진내용)

∙ 주택가격정보middot등기부등본 데이터 자동입력 시스템 마련

- KB시세 한국감정원 국세청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와의 협약 통한 시스템 연계

- 직접협약 외에도 부동산 권리변동정보 제공기관을 통한 중계서비스 도입 검토

∙ 인터넷보증시스템 전세금보증 신청절차 개선

- 전자연계 가능한 서류의 데이터 자동입력 프로세스 개발

- 보증심사시 담당자가 전자 원본 서류를 확인할 수 있는 화면 개발

추진목표

데이터 입력시스템 구축 및 운용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연계방안검토

협약체결 전산연계 운영 및 보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18)

사회임대주택 활성화를 위한 조직 혁신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사회임대주택 금융지원제도 담당부서 일원화로 속도감 있는 제도개선 등

사회임대주택 활성화 지원

(추진내용)

∙ 기획조정실 사회임대주택 총괄부서 지정을 위한 조직개편 추진

- 현행 사회임대PF보증(금융기획실) 토지임대middot기금출융자(도시재생기획처 기금지원처)

- 개선 도시재생기획처로 일원화하여 사회임대주택 복합금융 지원업무 총괄

한 부서에서 기금 출middot융자 보증지원까지 원스톱 상담으로 고객 만족도 제고

추진목표 2019년 조직개편 완료

실행과제

(19)상담서비스 고도화를 통한 고객만족도 제고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객상담데이터 체계적 관리middot활용을 통한 대국민 서비스 질적 향상

(추진내용)

∙ 차세대(전산)업무시스템 및 콜센터 시스템을 연계하여 상담이력 공유- 콜센터 외에도 지사 직원의 고객상담이력을 저장할 수 있도록 차세대시스템 내화면 구축 콜센터의 상담이력 역시 차세대 시스템에 저장 및 관리

∙ 보이는 ARS서비스 실시 및 단순문의안내 SMS 발송 서비스 실시middot활성화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콜센터전산시스템연계

시스템구축

시스템개발완료및 운용

시스템운용

시스템운용

시스템운용

신규 서비스출시

보이는ARS검토

보이는ARS출시

보이는ARS운용

보이는ARS운용

보이는ARS운용

- 21 -

2 혁신적 포용국가 선도

(3대 과제) 경제활력 제고 및 일자리 중심 경제 선도 중점

실행과제

(20)공공정보 연계 통한 서류제출 절차 간소화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필요한 서류를 간소화함으로써 대국민서비스 질 제고 (추진내용)∙ 필요한 서류 등을 공사 전산으로 조회 가능한 시스템 구축∙ 기금대출절차 혁신 시스템과 연계

추진목표 ∙ (비계량) 필요서류 전산조회 시스템 구축

실행과제

(21)사업다각화를 통한 고용증대 및 비정규직 ZERO화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서민 주거복지 도시재생 활성화 지원 등을 위한 기관 자체의 적극적인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공기업 서비스 제고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증원 및 채용 확대- 신사업 발굴 및 자율정원제를 통한 적극적인 증원-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청년 및 지역 인재 채용∙ 사회 양극화 해소를 위한 비정규직 ZERO화- 노사 공감대에 기반한 정당한 절차를 통한 전환 추진 및 전환근로자 처우 개선 노력

추진목표정원 비정규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766명 0명 903명 0명 995명 0명 1033명 0명 1062명 0명

실행과제

(22)

주거복지 및 도시재생을 위한

도시재생 창업공간 금융지원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도시재생 금융상품을 통한 창업지원 (목적) 창업과 관련한 도시재생 금융상품을 통해 민간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창업 관련 수요자 중심형 기금융자 및 보증상품 개발 운용- 코워킹시설조성 상가리모델링 공공임대상가 등 기금융자 지원

도시재생뉴딜 금융지원을 위한 사회적 금융 연계 지원 (목적) 도시재생분야법인단체창업관련크라우드펀딩 및 창업지원 컨설팅 추진 (추진내용)∙ 도시재생분야에대중투자연계일자리창출및지역주도사회적경제활성화지원- 뉴딜로 도시재생 크라우드펀딩 대회 개최 등∙ 도시재생 창업단체에 대한 지원을 위해 HUG형 민간일자리 창출 프로젝트 추진- HUG와 함께하는 도시재생 뉴딜 창업프로젝트 추진 및 사회적 경제조직 활성화

추진목표창업지원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510억원 1548억 1548억 1548억 1548억

- 22 -

실행과제

(23)IT선진화를 통한 민간일자리 창출 담당부서

기금정보처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고유목적사업인 주택보증 주택도시기금 및 도시재생분야의 IT 시스템

구축 및 개선을 통한 민간 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 주택도시기금 정보시스템 통합 유지보수

- (추진기간) 유지보수 사업의 특성으로 매년 발생

- (일자리창출) 2019년(8명) 2020년 sim 2023년(매년 16명)

∙ 도시재생 금융지원 전산시스템 구축

- 도시재생융자등원활한도시계정업무를뒷받침하기위한온라인금융지원시스템구축

- 추진기간 2018년~2019년 투입금액 및 인력 51억원 41명

∙ 주택도시기금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구축

- 주택도시기금 대출절차 편의 제고 및 절차 간소화 시스템 구축

- 추진기간 2018년~2019년 투입금액및인력 컨설팅용역43억원 12명 전산용역74억원52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기금업무 운영 유지보수 8 16 16 16 16

도시재생 융자시스템 41 - - - -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64 - - - -

합 계 177

실행과제

(24)

공공기관 공동기금 조성을 통한

지역 사회적경제 활성화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이전지역 기관간 협업을 통한 사회적경제 활성화로 지속가능한 일자리

제공 지역경제 활성화 추진

(추진내용)

∙ 부산 사회적경제 지원기금(BEF) 지원을 통한 사회적기업 육성 및 지원

- Pilot Program (크라우드펀딩) 20개소 창업단계 재정지원 5개소 Start-up 재정지원

15개소 Scale-up(성정기 기업) 대출지원 5개소 BEF 경영컨설팅 50회 BEF

사회적기업 연구가 인재육성 실시 2회 BEF 판로지원 5개소 등

추진목표

기금지원 (자체 공동)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억원(10억원)

1억원(10억원)

1억원(10억원)

1억원(125억원)

-

- 23 -

(4대 과제) 혁신성장 지원

실행과제

(25)상가임차금 안심대출 상품개발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도시재생지역 내 상가임차인 보호를 위한 상가임차금안심대출 개발

(추진내용)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법령 개정 검토

-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등 관련 법령 개정안 검토

- 법령 개정안 정부 건의 (우선변제권 승계기관 포함)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시장분석 및 조사(`20)

- 상가임차보증금 시장분석 및 보증이용 수요조사

- 보증료율 검토 및 리스크 분석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출시(`21)

- 사규개정 및 법령개정 완료

추진목표

상가임차보증금 상품 출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내부검토 법령개정 시장분석 상품출시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26)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사고 위기사업장과 보증실적의 증가로 사전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및 정기 점검활동 강화 및 핵심업무 역량집중 강화

(추진내용)

∙ 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 현장점검 대상사업장을 파악하여 외주용역을 통한 점검 추진 검토

추진목표 ∙ 2019년도 현장점검 외주화

실행과제

(27)

비대면 전세금보증을 통한 혁신성장 기반 마련

(카카오페이를 통한 가입확대 등)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모바일 전세금보증

스마트폰을이용해언제 어디서든쉽게보증을신청할수있도록모바일가입채널마련

∙ (모바일 인터페이스) 인터넷 전세금보증 프로세스를 모바일웹에 최적화하여 로그인

부터 보증가입 승인까지 전 프로세스 지원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위탁은행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증가입 프로세스 개선

(현행) 임차인이 선순위 채권 등 보증가입정보를 입력

(개선) 임차인은개인정보및계약정보만입력하고세부심사에필요한정보는심사자가입력

모바일 안심대출보증

위탁은행 비대면 전세금 안심대출 상품 개발

추진목표 2019년 전세금보증의 완전한 모바일 가입체계 구축

- 24 -

실행과제

(28)국민 주거편의 제공을 위한 스마트시티 건설 지원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목적) 핵심 국정과제인 스마트시티 분야의 금융지원 플랫폼으로서 주택도시기금지원 기반 모색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검토 및 금융상품 초안 마련

(추진내용)

∙ 민간사업자 의견 수렴 및 스마트시티 기금 금융지원 상품 초안 마련 -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및 주요 요소기술산업 등 동향 파악- 민간사업자 의견수렴을 바탕으로 실질적 금융지원이 가능한 상품 개발 추진∙ 주택도시기금법 개정안 마련 및 정부 건의∙ 스마트시티 건설사업장에 대한 보증료 할인 또는 보증심사 가점부여∙ 스마트시티 건설 신공법 소개 및 성공사례 공유

추진목표금융지원 확대 건수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건 1건 2건 3건 3건

실행과제

(29)HUG 빅데이터운영체계구축으로공공데이터개방기여 담당부서

주택도시

금융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기관 내middot외부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주택middot도시middot금융 분야의 환경 변화를진단함으로서 4차산업 혁명시대 도래에 따른 선제적인 대응 체계 마련

(추진내용)

∙ (1단계) HUG 빅데이터 기반 주택시장 분석 인프라 설계 및 로드맵 수립∙ (2단계) HUG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구축 및 모델 개발∙ 수요자(국민middot정부middot공사)별 빅데이터 활용 영역 확대 및 분석 기능 고도화

추진목표공공데이터 외부개방(제공) 건수 (오픈API포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38건 42건 46건 51건 56건

실행과제

(30)

친환경middot신소재 활용으로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

(제로에너지 건축물 건설자금지원 등)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주택건설사업장에 친환경middot신소재 사용을 유도함으로써 환경 친화적 주택건설과 에너지신산업 판로지원

(추진내용)

∙ 친환경 제품 및 에너지 신소재 제품사용 주택건설사업장에 보증심사 가점부여(완료)- (`1812) 녹색건축물인증등급부여고객보증심사시초기예상분양율 5〜1점가점부여

∙ (추진) 신소재 적용 주택건설사업장 확대를 위해 보증심사시 가점부여

- SOC 공공기관 통합기술마켓과 연계한 보증우대 방안 마련 중소기업이 보유한 SOC 공공기관 관련 혁신기술의 공모middot연구개발 제안 및 검증을

통해 상품화 및 홍보middot판매를 지원하는 플랫폼

추진목표

친환경적 주택건설 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

- 25 -

실행과제

(31)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비대면 가입 활성화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9개 수탁은행에 온라인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 독려

연령 무주택세대주 소득증빙 등 가입 시 제출서류가 많아 비대면 시스템 구축 시

지점방문 없이 간편하게 가입 가능

신한은행 최초로 완전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821)

비대면 가입 주택도시기금포털에 안내 및 홍보

비대면 가입 시스템 기금포털 홍보 게시하여 수탁은행 시스템 개발 독려

추진목표 목표비대면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전체 가입의 6 전체 가입의 12

실행과제

(32)전기자동차 도입을 통한 친환경 에너지 수요 창출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업무용 차량의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ㅇ 2018년 임차기간 만료예정인 업무용 차량을 전기자동차로 대체

ㅇ 추후 본사 및 영업부서 업무용 차량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추진목표 2019년 중 전기자동차 1대 충전소 1개소 설치실행과제

(33)드론 활용을 통한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기술middot제품에 대한 선제적 구매 및 테스트와 고유사업에 활용

으로 민간 초기시장 조성을 견인

(추진내용)

∙ 보증이행사업장 드론 안전점검 시범실시

- (`1812) 예산 미편성으로 1개 사업장 드론촬영 시범실시 및 효용성 검토

∙ 보유중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에 드론 활용 확대

- (`196) 전문엔지니어링 업체 발굴로 일자리 창출 및 보유 사업장 전체(2개)에

드론 활용 안전점검 실시 rArr 위험요소 발굴로 관할센터에 사고예방을 위한

안전조치 권고문서 시행

추진목표

안전사고 발생비율(발생건수보유사업장)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0 0 0 0 0 안전사고발생 ZERO무사고 달성

실행과제

(34)드론활용사업장안전관리및점검체계구축(시범단지운영)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HUG형 혁신 사업장 안전관리 및 점검체계 구축

ㅇ 드론 활용 사업장 안전 및 점검체계 구축

ㅇ 시범단지 선정 및 운용 세부계획 검토

∙ 드론 등 기술혁신 도구관련 관련 업체 및 유관기관 협의

∙ 사업장-영업부서-본사부서 협업체계 및 활용방안(HUG-i 게시) 등

추진목표안전사고로 인한 분양보증사고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0 0 0 0 0

- 26 -

실행과제

(35)블록체인을 활용한 안전하고 편리한 인터넷서비스 제공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정부주도의 공인인증서 폐지정책(전자서명법 전부개정 예고)에 따라 전자

서명에 대한 인터넷 사용자 대체 인증수단 개발

(추진내용)

∙ 블록체인 기반의 본인인증 서비스 (카카오페이 인증 서비스) 도입

- 인터넷보증시스템에서보증료영수증및보증서출력시카카오인증을이용한전자문서

유통증명서비스제공

∙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대국민서비스 확대

- 전자서명법개정에따른블록체인기반의전자서명서비스도입

- 온라인 등기우편(연체정보 등 전자우편을 본인인증 후 열람) 일괄발송 발송내역 조회

및유통증명서발급시스템구축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블록체인기반본인인증서비스시범도입

블록체인기술을이용한

대국민서비스확대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실행과제

(36)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사업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환경보호라는 공공성을 위하여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건물

보증에 대해 유인책 마련 필요

(추진내용)

∙ 제로에너지 건축물에 대한 대출한도 상향 조정

∙ 건축 관련학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해 친환경 건축물에 대한 관심 제고

- HUG 오픈캠퍼스 추진 시 건축 관련학과(건축공학과 건축디자인과 등) 학생에게 교육

추진및공사인턴체험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제로에너지 건축물지원 제도

규정신설 -

HUG오픈캠퍼스 수료학생수 (건축 관련 학과 포함)

100 110 121 133 146

- 27 -

(5대 과제) 공정경제 기반 구축 중점

실행과제

(37)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 진입장벽 해소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물품구매 대금결제 등에 중소기업 창업기업 등에 대한 계약규제 완화를

통해 공정경제 기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함

(추진내용)

∙ 신규 창업middot중소기업에 대한 진입장벽 완화

- 소규모 물품middot용역 입찰(고시금액 21억원 미만) 참여시 상대적으로불리한신규창업 및

중소기업에대한실적제한폐지

- 다만 부득이용역의성격상실적평가가필요한경우창업기업실적인정기간연장

(현행 3년 rarr 7년)을 통한 부담 완화

∙ 지체상금 부담경감 (현행의 12수준) 을 통한 상생협력 강화

∙ 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에 대한 용역대금 선급금지급률 확대

추진목표

중소기업 등 협력업체 계약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779 790 80 81 -

실행과제

(38)

공정경제를 위한 지역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업자 보호강화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건설사업장 인근지역 중소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대금의 현금

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한 하도급업자 보호 강화

(추진내용)

∙ 지역 중소 건설업체들에게 동일한 기회제공 및 공정한 경쟁 유도

- 건설사업장에서 지역건설업체와 하도급계약 체결 시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 할인 추진

∙ 협력업체 하도금대금의 현금지급 확대

- 하도급대금을 현금으로 지급할 경우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를 할인

하여 협력업체 및 근로자들의 보호를 강화하고 시장에서의 우위 선점

추진목표

지역 하도급업체 계약체결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규정개정 30 40 50 60

하도급대금의 현금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해 하도급업자 보호

- 28 -

3 국민신뢰 회복

(6대 과제) 적극행정 확산 등 조직운영 혁신

실행과제

(39)고용위기지역에 대한 금융지원 추진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용위기지역에 대한 지원강화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추진내용)

∙ 고용위기지역 내 임대주택 건립시 보증료 할인 추진(완료)

- 고용위기지역및고용재난지역소재임대보증금보증사업장보증료 10인하( 1812)

∙ 고용위기지역 내 임차인이 전세금보증 이용시 보증료 할인 검토

- 전세보증금반환보증(전세금보장) 전세안심대출(전세금대출지원)

보증이용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임차주택으로 변경시 보증료 할인 검토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보유한 주택건설사업자가 입주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임차

주택으로변경하여전세금보증가입신청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추진목표

고용위기지역 금융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마련 및 운영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40)근로여건 개선을 통한 휴식 있는 삶 지원 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일ㆍ가정 양립에 대한 법적ㆍ사회적 요구 증대됨에 따라 장시간 근로문화를 타파하고 휴식 있는 삶을 지원하여 일ㆍ생활의 균형 실현

(추진내용)

∙ 장시간 근로문화 타파- 직원니즈를반영한공사맞춤형복무제도수립및운영- PC-OFF 강화 (주2회rarr매일)- 퇴근장려캠페인 (인사안하고퇴근하기 관리자솔선수범퇴근)∙ 휴식 있는 삶 지원- 가족친화제도지속개발 (일가양득프로그램운영)- 연차휴가및남성육아휴직이용률향상을위한제도개선- 시간단위연차사용을통한휴가사용활성화- 임신직원보호를위한모성보호절차도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인당 연차사용일 1426일 1497일 1572일 1651일 1733일남성육아휴직인원 331 348 365 383 402

- 29 -

실행과제

(41)

위임전결기준 개선을 통한 업무처리 혁신

(결재피로감 낮추고 책임middot권한 공백없이 업무는 신속하게)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결재절차를 단순화함으로써 신속한 업무처리 및 고객만족도 제고

(추진내용)

∙보증위탁업무전결권세분화

- 위임전결규정안마련및규정개정절차진행(5월)

보증업무 위탁外 융자수탁업무 관련 전결권 개정도 함께 추진

∙대외업무협약체결전결권세분화

- 사안의중요성및영향도등고려중장기적으로면밀한검토필요

추진목표

결재절차 단순화

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rsquo23년보증및융자수탁업무위임전결규정개정

제도 보완

실행과제

(42)지출신청 시 영수증 증빙 제출제도 개선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지출신청시 불필요한 원본구비 제도 개선을 통한 업무효율화 달성

(추진내용)

∙ 공사 지출의 42 비중을 차지하는 5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 원본 제출 제외

- 지출액 50만원 이하 법인카드 및 전자세금계산서 지출 건 원본구비 예외 조항 신설

- 확인이 필요한 간이계산서 등은 원본징구하여 지출사고 가능성 예방

- 제도 정착 전 3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에 대하여 원본 제출 제외(시범운영)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내부

규정개정 및시범운영

제도개선 지속 추진

실행과제(43)

PF보증심사 시 월별예정 분양률 분포의 계량화 담당부서금융기획실심사평가처주택도시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민간아파트 초기분양률 데이터를 활용한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

(추진내용)

∙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를 통한 심사 객관성 확보

- 월별예정분양률 관련 명확한 지침 산정으로 신청업체 및 심사자의 주관 배제

- 국가승인통계인 민간아파트초기분양률 동향 데이터를 활용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

∙ 초기분양률 동향 분석(주택도시금융연구원 협업 4월sim10월)

- 연구원과 협업을 통해 초기분양률 데이터 분석 및 관리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건의(11월)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관할 부서(금융기획실)로 세칙 개정 건의

추진목표2019년도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예상분양률 분포기준 마련 초기분양률 데이터 관리체계 구축

- 30 -

(7대 과제) 윤리경영 강화

실행과제

(46)청렴도 향상을 위한 반부패 활동 강화 담당부서 준법지원실

추진내용

윤리경영 추진조직 강화

기관장 주도의 윤리경영 고위직 협의체 구축 내부 자문기구「청렴자문위

원회」운영 강화 및 임원의 윤리자가진단 현황 정보공개

반부패middot청렴 대외 활동 활성화

부산 이전 공공기관 청렴 협의체「청렴 클러스터」활동 강화

「부산투명사회실천 민middot관 네트워크」가입middot활동 실시

「유엔글로벌콤팩트(UNGC)」활동으로 글로벌 윤리역량 강화

실행과제

(44)논스톱 고분양가 심사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공사 PF보증 사업장에 대한 고분양가 심사기준 개선을 통한 사업

안정성 제고 및 고객신뢰성 확보

(추진내용)

∙ 「고분양가사업장심사규정」개정 추진(5월~6월)

- 고분양가 관리지역 내에서 공사 PF보증 발급예정사업장의 고분양가 심사기준(비교

사업장 선정 및 분양가격 산출 등)의 적용을lsquoPF보증 본점 승인시점rsquo으로 명확히 함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고분양가심사규정개정

사업안정성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 추진

실행과제

(45)임대리츠 통계 및 사후관리시스템 개선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목적) 자리츠 사후관리 주관기관(모리츠 AMC인 LH) 및 감독관리기관

(HUG) 간의 업무분장에 따라 사후관리 데이터 품질 저하 등 발생

rArr 기관간 협업체계 개선 관련 시스템 개발 등을 통한 사후관리 관련 데이터품질 향상 및 대정부 정보전달 적시성 확보

(추진내용)

∙ 리츠 기금출자내용 변경시 임대리츠 이력관리 등이 가능하게 하는 통계시스템 개발

∙ 분기별 사후관리보고 제출기한 마련 검토

∙ 임대리츠 통계관리 업무체계 내실화를 위한 기관간 협업 수행

추진목표

임대리츠 사후관리 구조 개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전산시스템개발 및시스템 구축

임대리츠사후관리

체계개선 수행

시스템 운용및 개선사항도출

기관간 협업수행(데이터관

리)

임대리츠통합데이터관리 수행

- 31 -

(8대 과제) 국민의 참여협력 확대 및 지역사회 공헌

실행과제

(47)

혁신도시 맞춤형 지역인재 육성 지원 및

인재채용 투명성 강화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도시 지원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증대에 따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한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

(추진내용)

∙ 市-지역대학간 협업으로 지역인재 육성 교육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 외부 면접위원 확대 및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인사 절차의 공정성 강화

∙ 사회형평적 채용실시와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을 통한 불합리한 차별 해소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지역채용 21 24 27 30 33지역인재육성 총 교육시간(교육인원times교육시간 시간) 3000 4500 4500 4500 4500

지역인재육성교육만족도(점수) 944 949 954 959 964

실행과제

(48)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사회공헌사업 확대 추진 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정부의 lsquo사회적 가치 실현rsquo을 정책에 따라 사회적 경제 및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사회공헌 필요성 증가

(추진내용)

∙ 안전한 주거환경 제공

- 무주택 국가유공자 및 저소득층 임차자금 170세대 지원(~8월10억원)- HUG 셰어하우스 3호 신촌점 완공 청년 24명 입주 완료(~10월2억원)- 저소득층 노후주택 및 소규모 사회복지시설 127세대 개보수(~10월8억원)- HUG STREET 잘사는 골목길 등 환경개선사업 대상지 선정 완료(~10월1억1천만원)

∙ 지역사회와 상생

- 노후 슬레이트 지붕개량 및 태양광 지원 사업 4자 협약(~8월3억원) HUG-부산시-한국사회복지협의회-부산도시재생지원센터

- HOPE with HUG 10호 11호 완공(~9월1억5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지역건설사-지역건축전문가 협업을 통한 주거개선사업

- 부산 송상현 광장 내 도시놀이터 프로젝트 완료(~9월7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부산시설공단 협업을 통한 문화middot휴식공간 조성

청렴 모니터링 다각화

청렴의식 환기를 위한 「자가점검 프로그램」실시

「청렴 옴부즈만」운영

개선 아이디어 발굴을 위한 「신입사원 生生 모니터링」

추진목표

종합청렴도 결과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3등급 2등급 1등급 1등급 1둥급

- 32 -

∙ 균등한 기회와 사회통합

- 중학생 자유학기제 지원 프로그램 운영(9월~4천만원)- 저소득층 청소년 20명ndash대학생 20명 매칭 등(6월~5천만원)- lsquoKBS 동행rsquo에 출연하는 저소득 가정 50세대 지원(7월~1억원)- 발달장애 청년 재능개발 프로젝트lsquo눈부신하루rsquo추진(6월~3천만원)- 신입사원 봉사활동 등을 통한 지역사회 나눔활동(~10월7천2백만원)- 저소득층 난방연료 지원을 위한 주택도시업 캠페인(~12월5천만원)- 자매결연 마을 농수산물 구입기증(~12월4천만원)

추진목표

추진 목표는 해당연도 사회공헌 기부금 예산금액(이사회 의결금액)과 연계

기부금액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8620백만원 8879백만원 9145백만원 9419백만원 9702백만원 전년도예산금액103

실행과제

(49)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목적) 도시재생과 유사한 목표비전을 공유하는 사회적경제와 연계한 맞춤형

금융상품 운영 및 관련 지원조직과 다각적 협업 활동 추진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지역주민이 주도하는 도시재생 금융지원으로 국민의 삶의 질 개선

(목적) 주민지역공동체 주도의 마을단위 도시재생으로의 변화에 대응하여

사회적 경제주체 등 지원체계 개선으로 사회적 가치 실현에 기여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추진목표

수요자중심형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510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실행과제

(50)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국민이 참여하는

HUG사업평가단(가칭) 운영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보증업무 전반에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HUG

사업평가단 구성하여 주택품질 제고 및 안심입주 지향

(추진내용)

∙ 국민이 참여하는 보증솔루션팀 및 보증심사 리뷰단을 통해 제도 개선사항 도출

∙ 보증채권자 권익에 미치는 사항 등 국민의견 수렴을 통한 보증이행제도 개선

∙ 전세금보증 이행완료 고객 및 공인중개사 참여를 통한 제도개선 사항 발굴

추진목표 2019년 국민 의견수렴을 통한 전세금보증 제도 개선 등 검토

- 33 -

실행과제(51)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과 협업하여효율적인 전세금보증 이행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이행 업무의 효율성 제고

(추진내용)

∙ 지역사회단체 등과의 협업을 통한 임차인 퇴거확인 추진 검토

- 보증사고 발생 시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 구성원이 임차인 퇴거를

확인하여 담당직원 업무 공백 최소화 (직원 출장비 수준으로 비용 지급)

- 임차인 퇴거 확인 시 해당 주택가격 및 신규 임차인 확보 가능성 검토결과를

보고받아 채권보전조치를 위한 근거 확보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거보호 이행도(전세금보증 이행 15일초과건수전체이행건수)

50 45 41 37 34

- 34 -

Ⅳ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및 적극행정 확산

①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국민참여게시판을 lsquo국민제안(국민rarr기관)rsquo

및 lsquo정책제안(기관rarr국민)rsquo 게시판으로 세분화하여 국민과 기관간

상시 소통기반 마련 경평지적

지적사항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위한 개선방안 마련 필요

(혁신 네트워크 강화) 시민참여혁신단 보증채권권익위원회 전세금

보증 시민참여단 기금홍보협의회 운영 등 주요사업에 기반하여

다양한 대외 전문기관과 네트워크 활성화 경평지적

지적사항 보증 기금등주요사업역량강화를위한전문기관혁신네트워크강화필요

② 적극행정 확산

(적극행정 면책제도 활용) 감사계획 통보 시 적극행정 면책제도

middot사전컨설팅 제도 사전안내 및 면책신청 지원을 위한 상담창구

운영 등 (계획수립 完 감사실-2367호)

(기관장 책임강화) 혁신전략위원회(위원장 사장)를 통해 적극행정

혁신과제에 대한 추진독려 및 이행사항 점검 등 보완사항 지속

발굴 (혁신페스티벌 1middot2차 개최)

(적극행정 우수사례 발굴)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를 통해 조직내

적극행정 분위기 유도 (포상 및 내부성과평가 반영 등)

성과창출에 실패했더라도 기존관행 탈피 새로운 영역개척 국민접점에서

활력을 제고하는 등 lsquo착한실패rsquo lsquo건전한파격rsquo에 대해서도 포상추진 예정

(적극행정 인식확산) 적극행정 사이버교육(법제처 주관) 이수 등

적극행정 인식확산을 위한 교육참여 시 혁신마일리지 부여 (전사 교육 실시 예정)

- 35 -

Ⅴ 혁신 추진도구별 업무일정

구 분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1 2 3 4 5 6 7 8 9 10 11 12

1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2 국민소통 강화

3 혁신페스티벌

4 유관기관 협업

5 혁신채널 구축

6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7 제안제도 정비

8 혁신콘서트

9 혁신교육 및 혁신워크숍

10 혁신레터

11 혁신마일리지 신설

12 혁신BP 발굴 및 포상

피드백

(성과관리) 공공기관 혁신 및 기관 경영혁신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혁신과제 추진실적을 정기적으로 점검 및 피드백

(혁신전파) 조직원 전체의 혁신공감대 형성 및 참여도 제고를 위해

본사부서 및 영업부서 방문 등을 통해 혁신활동 및 우수사례 공유

(혁신내재화) 국민소통채널 혁신마일리지 혁신레터 등 혁신활동이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고 혁신업무에 대해

조직원이 공감하고 회사 모든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

Page 19: 2019년 HUG 혁신 추진계획 - khug.or.kr…„HUG혁신추진계획.pdf · 혁신페스티벌 - (내부 혁신과제 발굴) 조직·인사·제도·서비스혁신 등 회사

- 18 -

(2대 과제) 포용적 공공서비스 제공 강화

실행과제(12)

분양이행사업장 수분양자 보호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분양대금채권 지연손해금율 하향조정 등 분양계약자 부담완화를

통한 국민 주거안정 기여

(추진내용)

∙ 분양계약자 지연손해금 관련 주택분양보증약관 개정

- 분양계약자의 분양계약서상 지연손해금율이 시행사 구상채권 지연손해금율

보다 높은 사례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공사 내규와 분양계약서상 지연손해

금율 중 낮은 것을 적용하도록 약관 규정 개정 (시행사 동의서 징구)

추진목표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 점수(관리본부)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901 915 933 951 971

실행과제(13)

인터넷보증시스템개선으로전세금보증이용편의성제고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인터넷보증 시스템 개선을 통해 고객의 전세상품 보증서비스

편의성 및 접근성을 강화하여 서민 주거안정성 개선 지원

(추진내용)

∙ 인터넷 보증시스템 재구축 추진(lsquo20~lsquo21)

- (현행) 인터넷 익스플로러 이외의 웹브라우저 미지원

- (재구축) 구 운영체제 지원종료 대비 및 지원 플랫폼(구글 크롬 등) 확대를

위한 시스템 재구축 예정

∙ 모바일 보증시스템 구축 추진(lsquo19)

- (현행) PC 중심의 제한적인 보증가입 서비스 제공

- (비대면 서비스 강화) 모바일 보증시스템 구축 추진

추진목표

비대면 보증가입 점유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0 12 14 16 18

- 19 -

실행과제

(14)주택도시기금대출절차간소화를통한대국민서비스향상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서민실수요자 지원 강화 및 이용자 편의 제고 등을 위한 주택도시

기금 구입전세 대출의 자산심사 도입

(추진내용)

∙ 자산심사기준 도입을 통한 정책자금의 실수요자 집중 지원

∙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구축을 통한 대출절차 간소화

∙ 전담 수행조직 운영 및 수탁은행 역할 재정립 등을 통한 대국민 서비스 제고

추진목표

대출절차 혁신 시스템 운영 체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자산기준 마련기금법령 개정시스템 개발오픈수요자대출상품운영

수요자대출 全상품 시스템 안정화제도개선 및 모니터링

他 기금상품 (주택종합청약저축)도입 검토 및 적용

실행과제

(15)고아원연계 보호종료아동 월세보증금 지원 제도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고아원 보호기간이 종료됨에 따라 주거지원이 필요한 아동에게

주택임차자금 지원 및 보증상품 개발

(추진내용)

∙ 긴급 주거지원이 필요한 아동의 가정에 주택임차자금 지원∙ 고아원 보호종료 아동 대상 전세월세보증금보증 할인 상품 개발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택임차자금지원 세대 수

10 20 성과분석 후 확대 검토

고아원보호종료아동대상상품가입자수

상품개발추진 제도개선 추진

실행과제

(16)HUG 이용고객 편의성 제고를 위한 플랫폼 구축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객과의 소통채널 확대방안의 일환으로 24시간 고객상담 제공

(추진내용)

∙ 단순 문의 SMS 발송

- 위탁은행 신청서류 등 전세보증 관련 간단 정보 문자발송 ARS실시(완료 `195월)

- 업무시간 종료 후에도 단순문의에 대한 SMS문자안내 서비스 추진

∙ 콜센터와 지사 상담이력 공유

- 콜센터 상담시스템과 차세대 시스템을 연계 고객별 상담이력 조회화면 구축

∙ 보이는 ARS 서비스 도입

- 기존의 음성 서비스와 함께 스마트폰을 통해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바로

연결하고 직접 통화하지 않아도 간편문의를 처리할 수 있는 보이는 ARS 실시

추진목표 2019년 챗봇서비스 DB구축 검토 2020년 챗봇 서비스 도입 검토

- 20 -

실행과제

(17)전세금보증 인터넷가입에 필요한 데이터 자동화 구축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가입을 간편하게 하여 정보사각지대에 있는 고객의

보증 가입 편의성 강화

(추진내용)

∙ 주택가격정보middot등기부등본 데이터 자동입력 시스템 마련

- KB시세 한국감정원 국세청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와의 협약 통한 시스템 연계

- 직접협약 외에도 부동산 권리변동정보 제공기관을 통한 중계서비스 도입 검토

∙ 인터넷보증시스템 전세금보증 신청절차 개선

- 전자연계 가능한 서류의 데이터 자동입력 프로세스 개발

- 보증심사시 담당자가 전자 원본 서류를 확인할 수 있는 화면 개발

추진목표

데이터 입력시스템 구축 및 운용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연계방안검토

협약체결 전산연계 운영 및 보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18)

사회임대주택 활성화를 위한 조직 혁신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사회임대주택 금융지원제도 담당부서 일원화로 속도감 있는 제도개선 등

사회임대주택 활성화 지원

(추진내용)

∙ 기획조정실 사회임대주택 총괄부서 지정을 위한 조직개편 추진

- 현행 사회임대PF보증(금융기획실) 토지임대middot기금출융자(도시재생기획처 기금지원처)

- 개선 도시재생기획처로 일원화하여 사회임대주택 복합금융 지원업무 총괄

한 부서에서 기금 출middot융자 보증지원까지 원스톱 상담으로 고객 만족도 제고

추진목표 2019년 조직개편 완료

실행과제

(19)상담서비스 고도화를 통한 고객만족도 제고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객상담데이터 체계적 관리middot활용을 통한 대국민 서비스 질적 향상

(추진내용)

∙ 차세대(전산)업무시스템 및 콜센터 시스템을 연계하여 상담이력 공유- 콜센터 외에도 지사 직원의 고객상담이력을 저장할 수 있도록 차세대시스템 내화면 구축 콜센터의 상담이력 역시 차세대 시스템에 저장 및 관리

∙ 보이는 ARS서비스 실시 및 단순문의안내 SMS 발송 서비스 실시middot활성화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콜센터전산시스템연계

시스템구축

시스템개발완료및 운용

시스템운용

시스템운용

시스템운용

신규 서비스출시

보이는ARS검토

보이는ARS출시

보이는ARS운용

보이는ARS운용

보이는ARS운용

- 21 -

2 혁신적 포용국가 선도

(3대 과제) 경제활력 제고 및 일자리 중심 경제 선도 중점

실행과제

(20)공공정보 연계 통한 서류제출 절차 간소화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필요한 서류를 간소화함으로써 대국민서비스 질 제고 (추진내용)∙ 필요한 서류 등을 공사 전산으로 조회 가능한 시스템 구축∙ 기금대출절차 혁신 시스템과 연계

추진목표 ∙ (비계량) 필요서류 전산조회 시스템 구축

실행과제

(21)사업다각화를 통한 고용증대 및 비정규직 ZERO화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서민 주거복지 도시재생 활성화 지원 등을 위한 기관 자체의 적극적인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공기업 서비스 제고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증원 및 채용 확대- 신사업 발굴 및 자율정원제를 통한 적극적인 증원-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청년 및 지역 인재 채용∙ 사회 양극화 해소를 위한 비정규직 ZERO화- 노사 공감대에 기반한 정당한 절차를 통한 전환 추진 및 전환근로자 처우 개선 노력

추진목표정원 비정규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766명 0명 903명 0명 995명 0명 1033명 0명 1062명 0명

실행과제

(22)

주거복지 및 도시재생을 위한

도시재생 창업공간 금융지원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도시재생 금융상품을 통한 창업지원 (목적) 창업과 관련한 도시재생 금융상품을 통해 민간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창업 관련 수요자 중심형 기금융자 및 보증상품 개발 운용- 코워킹시설조성 상가리모델링 공공임대상가 등 기금융자 지원

도시재생뉴딜 금융지원을 위한 사회적 금융 연계 지원 (목적) 도시재생분야법인단체창업관련크라우드펀딩 및 창업지원 컨설팅 추진 (추진내용)∙ 도시재생분야에대중투자연계일자리창출및지역주도사회적경제활성화지원- 뉴딜로 도시재생 크라우드펀딩 대회 개최 등∙ 도시재생 창업단체에 대한 지원을 위해 HUG형 민간일자리 창출 프로젝트 추진- HUG와 함께하는 도시재생 뉴딜 창업프로젝트 추진 및 사회적 경제조직 활성화

추진목표창업지원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510억원 1548억 1548억 1548억 1548억

- 22 -

실행과제

(23)IT선진화를 통한 민간일자리 창출 담당부서

기금정보처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고유목적사업인 주택보증 주택도시기금 및 도시재생분야의 IT 시스템

구축 및 개선을 통한 민간 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 주택도시기금 정보시스템 통합 유지보수

- (추진기간) 유지보수 사업의 특성으로 매년 발생

- (일자리창출) 2019년(8명) 2020년 sim 2023년(매년 16명)

∙ 도시재생 금융지원 전산시스템 구축

- 도시재생융자등원활한도시계정업무를뒷받침하기위한온라인금융지원시스템구축

- 추진기간 2018년~2019년 투입금액 및 인력 51억원 41명

∙ 주택도시기금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구축

- 주택도시기금 대출절차 편의 제고 및 절차 간소화 시스템 구축

- 추진기간 2018년~2019년 투입금액및인력 컨설팅용역43억원 12명 전산용역74억원52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기금업무 운영 유지보수 8 16 16 16 16

도시재생 융자시스템 41 - - - -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64 - - - -

합 계 177

실행과제

(24)

공공기관 공동기금 조성을 통한

지역 사회적경제 활성화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이전지역 기관간 협업을 통한 사회적경제 활성화로 지속가능한 일자리

제공 지역경제 활성화 추진

(추진내용)

∙ 부산 사회적경제 지원기금(BEF) 지원을 통한 사회적기업 육성 및 지원

- Pilot Program (크라우드펀딩) 20개소 창업단계 재정지원 5개소 Start-up 재정지원

15개소 Scale-up(성정기 기업) 대출지원 5개소 BEF 경영컨설팅 50회 BEF

사회적기업 연구가 인재육성 실시 2회 BEF 판로지원 5개소 등

추진목표

기금지원 (자체 공동)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억원(10억원)

1억원(10억원)

1억원(10억원)

1억원(125억원)

-

- 23 -

(4대 과제) 혁신성장 지원

실행과제

(25)상가임차금 안심대출 상품개발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도시재생지역 내 상가임차인 보호를 위한 상가임차금안심대출 개발

(추진내용)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법령 개정 검토

-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등 관련 법령 개정안 검토

- 법령 개정안 정부 건의 (우선변제권 승계기관 포함)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시장분석 및 조사(`20)

- 상가임차보증금 시장분석 및 보증이용 수요조사

- 보증료율 검토 및 리스크 분석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출시(`21)

- 사규개정 및 법령개정 완료

추진목표

상가임차보증금 상품 출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내부검토 법령개정 시장분석 상품출시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26)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사고 위기사업장과 보증실적의 증가로 사전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및 정기 점검활동 강화 및 핵심업무 역량집중 강화

(추진내용)

∙ 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 현장점검 대상사업장을 파악하여 외주용역을 통한 점검 추진 검토

추진목표 ∙ 2019년도 현장점검 외주화

실행과제

(27)

비대면 전세금보증을 통한 혁신성장 기반 마련

(카카오페이를 통한 가입확대 등)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모바일 전세금보증

스마트폰을이용해언제 어디서든쉽게보증을신청할수있도록모바일가입채널마련

∙ (모바일 인터페이스) 인터넷 전세금보증 프로세스를 모바일웹에 최적화하여 로그인

부터 보증가입 승인까지 전 프로세스 지원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위탁은행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증가입 프로세스 개선

(현행) 임차인이 선순위 채권 등 보증가입정보를 입력

(개선) 임차인은개인정보및계약정보만입력하고세부심사에필요한정보는심사자가입력

모바일 안심대출보증

위탁은행 비대면 전세금 안심대출 상품 개발

추진목표 2019년 전세금보증의 완전한 모바일 가입체계 구축

- 24 -

실행과제

(28)국민 주거편의 제공을 위한 스마트시티 건설 지원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목적) 핵심 국정과제인 스마트시티 분야의 금융지원 플랫폼으로서 주택도시기금지원 기반 모색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검토 및 금융상품 초안 마련

(추진내용)

∙ 민간사업자 의견 수렴 및 스마트시티 기금 금융지원 상품 초안 마련 -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및 주요 요소기술산업 등 동향 파악- 민간사업자 의견수렴을 바탕으로 실질적 금융지원이 가능한 상품 개발 추진∙ 주택도시기금법 개정안 마련 및 정부 건의∙ 스마트시티 건설사업장에 대한 보증료 할인 또는 보증심사 가점부여∙ 스마트시티 건설 신공법 소개 및 성공사례 공유

추진목표금융지원 확대 건수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건 1건 2건 3건 3건

실행과제

(29)HUG 빅데이터운영체계구축으로공공데이터개방기여 담당부서

주택도시

금융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기관 내middot외부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주택middot도시middot금융 분야의 환경 변화를진단함으로서 4차산업 혁명시대 도래에 따른 선제적인 대응 체계 마련

(추진내용)

∙ (1단계) HUG 빅데이터 기반 주택시장 분석 인프라 설계 및 로드맵 수립∙ (2단계) HUG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구축 및 모델 개발∙ 수요자(국민middot정부middot공사)별 빅데이터 활용 영역 확대 및 분석 기능 고도화

추진목표공공데이터 외부개방(제공) 건수 (오픈API포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38건 42건 46건 51건 56건

실행과제

(30)

친환경middot신소재 활용으로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

(제로에너지 건축물 건설자금지원 등)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주택건설사업장에 친환경middot신소재 사용을 유도함으로써 환경 친화적 주택건설과 에너지신산업 판로지원

(추진내용)

∙ 친환경 제품 및 에너지 신소재 제품사용 주택건설사업장에 보증심사 가점부여(완료)- (`1812) 녹색건축물인증등급부여고객보증심사시초기예상분양율 5〜1점가점부여

∙ (추진) 신소재 적용 주택건설사업장 확대를 위해 보증심사시 가점부여

- SOC 공공기관 통합기술마켓과 연계한 보증우대 방안 마련 중소기업이 보유한 SOC 공공기관 관련 혁신기술의 공모middot연구개발 제안 및 검증을

통해 상품화 및 홍보middot판매를 지원하는 플랫폼

추진목표

친환경적 주택건설 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

- 25 -

실행과제

(31)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비대면 가입 활성화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9개 수탁은행에 온라인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 독려

연령 무주택세대주 소득증빙 등 가입 시 제출서류가 많아 비대면 시스템 구축 시

지점방문 없이 간편하게 가입 가능

신한은행 최초로 완전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821)

비대면 가입 주택도시기금포털에 안내 및 홍보

비대면 가입 시스템 기금포털 홍보 게시하여 수탁은행 시스템 개발 독려

추진목표 목표비대면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전체 가입의 6 전체 가입의 12

실행과제

(32)전기자동차 도입을 통한 친환경 에너지 수요 창출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업무용 차량의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ㅇ 2018년 임차기간 만료예정인 업무용 차량을 전기자동차로 대체

ㅇ 추후 본사 및 영업부서 업무용 차량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추진목표 2019년 중 전기자동차 1대 충전소 1개소 설치실행과제

(33)드론 활용을 통한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기술middot제품에 대한 선제적 구매 및 테스트와 고유사업에 활용

으로 민간 초기시장 조성을 견인

(추진내용)

∙ 보증이행사업장 드론 안전점검 시범실시

- (`1812) 예산 미편성으로 1개 사업장 드론촬영 시범실시 및 효용성 검토

∙ 보유중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에 드론 활용 확대

- (`196) 전문엔지니어링 업체 발굴로 일자리 창출 및 보유 사업장 전체(2개)에

드론 활용 안전점검 실시 rArr 위험요소 발굴로 관할센터에 사고예방을 위한

안전조치 권고문서 시행

추진목표

안전사고 발생비율(발생건수보유사업장)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0 0 0 0 0 안전사고발생 ZERO무사고 달성

실행과제

(34)드론활용사업장안전관리및점검체계구축(시범단지운영)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HUG형 혁신 사업장 안전관리 및 점검체계 구축

ㅇ 드론 활용 사업장 안전 및 점검체계 구축

ㅇ 시범단지 선정 및 운용 세부계획 검토

∙ 드론 등 기술혁신 도구관련 관련 업체 및 유관기관 협의

∙ 사업장-영업부서-본사부서 협업체계 및 활용방안(HUG-i 게시) 등

추진목표안전사고로 인한 분양보증사고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0 0 0 0 0

- 26 -

실행과제

(35)블록체인을 활용한 안전하고 편리한 인터넷서비스 제공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정부주도의 공인인증서 폐지정책(전자서명법 전부개정 예고)에 따라 전자

서명에 대한 인터넷 사용자 대체 인증수단 개발

(추진내용)

∙ 블록체인 기반의 본인인증 서비스 (카카오페이 인증 서비스) 도입

- 인터넷보증시스템에서보증료영수증및보증서출력시카카오인증을이용한전자문서

유통증명서비스제공

∙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대국민서비스 확대

- 전자서명법개정에따른블록체인기반의전자서명서비스도입

- 온라인 등기우편(연체정보 등 전자우편을 본인인증 후 열람) 일괄발송 발송내역 조회

및유통증명서발급시스템구축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블록체인기반본인인증서비스시범도입

블록체인기술을이용한

대국민서비스확대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실행과제

(36)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사업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환경보호라는 공공성을 위하여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건물

보증에 대해 유인책 마련 필요

(추진내용)

∙ 제로에너지 건축물에 대한 대출한도 상향 조정

∙ 건축 관련학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해 친환경 건축물에 대한 관심 제고

- HUG 오픈캠퍼스 추진 시 건축 관련학과(건축공학과 건축디자인과 등) 학생에게 교육

추진및공사인턴체험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제로에너지 건축물지원 제도

규정신설 -

HUG오픈캠퍼스 수료학생수 (건축 관련 학과 포함)

100 110 121 133 146

- 27 -

(5대 과제) 공정경제 기반 구축 중점

실행과제

(37)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 진입장벽 해소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물품구매 대금결제 등에 중소기업 창업기업 등에 대한 계약규제 완화를

통해 공정경제 기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함

(추진내용)

∙ 신규 창업middot중소기업에 대한 진입장벽 완화

- 소규모 물품middot용역 입찰(고시금액 21억원 미만) 참여시 상대적으로불리한신규창업 및

중소기업에대한실적제한폐지

- 다만 부득이용역의성격상실적평가가필요한경우창업기업실적인정기간연장

(현행 3년 rarr 7년)을 통한 부담 완화

∙ 지체상금 부담경감 (현행의 12수준) 을 통한 상생협력 강화

∙ 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에 대한 용역대금 선급금지급률 확대

추진목표

중소기업 등 협력업체 계약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779 790 80 81 -

실행과제

(38)

공정경제를 위한 지역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업자 보호강화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건설사업장 인근지역 중소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대금의 현금

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한 하도급업자 보호 강화

(추진내용)

∙ 지역 중소 건설업체들에게 동일한 기회제공 및 공정한 경쟁 유도

- 건설사업장에서 지역건설업체와 하도급계약 체결 시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 할인 추진

∙ 협력업체 하도금대금의 현금지급 확대

- 하도급대금을 현금으로 지급할 경우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를 할인

하여 협력업체 및 근로자들의 보호를 강화하고 시장에서의 우위 선점

추진목표

지역 하도급업체 계약체결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규정개정 30 40 50 60

하도급대금의 현금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해 하도급업자 보호

- 28 -

3 국민신뢰 회복

(6대 과제) 적극행정 확산 등 조직운영 혁신

실행과제

(39)고용위기지역에 대한 금융지원 추진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용위기지역에 대한 지원강화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추진내용)

∙ 고용위기지역 내 임대주택 건립시 보증료 할인 추진(완료)

- 고용위기지역및고용재난지역소재임대보증금보증사업장보증료 10인하( 1812)

∙ 고용위기지역 내 임차인이 전세금보증 이용시 보증료 할인 검토

- 전세보증금반환보증(전세금보장) 전세안심대출(전세금대출지원)

보증이용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임차주택으로 변경시 보증료 할인 검토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보유한 주택건설사업자가 입주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임차

주택으로변경하여전세금보증가입신청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추진목표

고용위기지역 금융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마련 및 운영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40)근로여건 개선을 통한 휴식 있는 삶 지원 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일ㆍ가정 양립에 대한 법적ㆍ사회적 요구 증대됨에 따라 장시간 근로문화를 타파하고 휴식 있는 삶을 지원하여 일ㆍ생활의 균형 실현

(추진내용)

∙ 장시간 근로문화 타파- 직원니즈를반영한공사맞춤형복무제도수립및운영- PC-OFF 강화 (주2회rarr매일)- 퇴근장려캠페인 (인사안하고퇴근하기 관리자솔선수범퇴근)∙ 휴식 있는 삶 지원- 가족친화제도지속개발 (일가양득프로그램운영)- 연차휴가및남성육아휴직이용률향상을위한제도개선- 시간단위연차사용을통한휴가사용활성화- 임신직원보호를위한모성보호절차도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인당 연차사용일 1426일 1497일 1572일 1651일 1733일남성육아휴직인원 331 348 365 383 402

- 29 -

실행과제

(41)

위임전결기준 개선을 통한 업무처리 혁신

(결재피로감 낮추고 책임middot권한 공백없이 업무는 신속하게)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결재절차를 단순화함으로써 신속한 업무처리 및 고객만족도 제고

(추진내용)

∙보증위탁업무전결권세분화

- 위임전결규정안마련및규정개정절차진행(5월)

보증업무 위탁外 융자수탁업무 관련 전결권 개정도 함께 추진

∙대외업무협약체결전결권세분화

- 사안의중요성및영향도등고려중장기적으로면밀한검토필요

추진목표

결재절차 단순화

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rsquo23년보증및융자수탁업무위임전결규정개정

제도 보완

실행과제

(42)지출신청 시 영수증 증빙 제출제도 개선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지출신청시 불필요한 원본구비 제도 개선을 통한 업무효율화 달성

(추진내용)

∙ 공사 지출의 42 비중을 차지하는 5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 원본 제출 제외

- 지출액 50만원 이하 법인카드 및 전자세금계산서 지출 건 원본구비 예외 조항 신설

- 확인이 필요한 간이계산서 등은 원본징구하여 지출사고 가능성 예방

- 제도 정착 전 3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에 대하여 원본 제출 제외(시범운영)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내부

규정개정 및시범운영

제도개선 지속 추진

실행과제(43)

PF보증심사 시 월별예정 분양률 분포의 계량화 담당부서금융기획실심사평가처주택도시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민간아파트 초기분양률 데이터를 활용한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

(추진내용)

∙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를 통한 심사 객관성 확보

- 월별예정분양률 관련 명확한 지침 산정으로 신청업체 및 심사자의 주관 배제

- 국가승인통계인 민간아파트초기분양률 동향 데이터를 활용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

∙ 초기분양률 동향 분석(주택도시금융연구원 협업 4월sim10월)

- 연구원과 협업을 통해 초기분양률 데이터 분석 및 관리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건의(11월)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관할 부서(금융기획실)로 세칙 개정 건의

추진목표2019년도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예상분양률 분포기준 마련 초기분양률 데이터 관리체계 구축

- 30 -

(7대 과제) 윤리경영 강화

실행과제

(46)청렴도 향상을 위한 반부패 활동 강화 담당부서 준법지원실

추진내용

윤리경영 추진조직 강화

기관장 주도의 윤리경영 고위직 협의체 구축 내부 자문기구「청렴자문위

원회」운영 강화 및 임원의 윤리자가진단 현황 정보공개

반부패middot청렴 대외 활동 활성화

부산 이전 공공기관 청렴 협의체「청렴 클러스터」활동 강화

「부산투명사회실천 민middot관 네트워크」가입middot활동 실시

「유엔글로벌콤팩트(UNGC)」활동으로 글로벌 윤리역량 강화

실행과제

(44)논스톱 고분양가 심사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공사 PF보증 사업장에 대한 고분양가 심사기준 개선을 통한 사업

안정성 제고 및 고객신뢰성 확보

(추진내용)

∙ 「고분양가사업장심사규정」개정 추진(5월~6월)

- 고분양가 관리지역 내에서 공사 PF보증 발급예정사업장의 고분양가 심사기준(비교

사업장 선정 및 분양가격 산출 등)의 적용을lsquoPF보증 본점 승인시점rsquo으로 명확히 함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고분양가심사규정개정

사업안정성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 추진

실행과제

(45)임대리츠 통계 및 사후관리시스템 개선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목적) 자리츠 사후관리 주관기관(모리츠 AMC인 LH) 및 감독관리기관

(HUG) 간의 업무분장에 따라 사후관리 데이터 품질 저하 등 발생

rArr 기관간 협업체계 개선 관련 시스템 개발 등을 통한 사후관리 관련 데이터품질 향상 및 대정부 정보전달 적시성 확보

(추진내용)

∙ 리츠 기금출자내용 변경시 임대리츠 이력관리 등이 가능하게 하는 통계시스템 개발

∙ 분기별 사후관리보고 제출기한 마련 검토

∙ 임대리츠 통계관리 업무체계 내실화를 위한 기관간 협업 수행

추진목표

임대리츠 사후관리 구조 개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전산시스템개발 및시스템 구축

임대리츠사후관리

체계개선 수행

시스템 운용및 개선사항도출

기관간 협업수행(데이터관

리)

임대리츠통합데이터관리 수행

- 31 -

(8대 과제) 국민의 참여협력 확대 및 지역사회 공헌

실행과제

(47)

혁신도시 맞춤형 지역인재 육성 지원 및

인재채용 투명성 강화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도시 지원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증대에 따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한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

(추진내용)

∙ 市-지역대학간 협업으로 지역인재 육성 교육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 외부 면접위원 확대 및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인사 절차의 공정성 강화

∙ 사회형평적 채용실시와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을 통한 불합리한 차별 해소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지역채용 21 24 27 30 33지역인재육성 총 교육시간(교육인원times교육시간 시간) 3000 4500 4500 4500 4500

지역인재육성교육만족도(점수) 944 949 954 959 964

실행과제

(48)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사회공헌사업 확대 추진 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정부의 lsquo사회적 가치 실현rsquo을 정책에 따라 사회적 경제 및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사회공헌 필요성 증가

(추진내용)

∙ 안전한 주거환경 제공

- 무주택 국가유공자 및 저소득층 임차자금 170세대 지원(~8월10억원)- HUG 셰어하우스 3호 신촌점 완공 청년 24명 입주 완료(~10월2억원)- 저소득층 노후주택 및 소규모 사회복지시설 127세대 개보수(~10월8억원)- HUG STREET 잘사는 골목길 등 환경개선사업 대상지 선정 완료(~10월1억1천만원)

∙ 지역사회와 상생

- 노후 슬레이트 지붕개량 및 태양광 지원 사업 4자 협약(~8월3억원) HUG-부산시-한국사회복지협의회-부산도시재생지원센터

- HOPE with HUG 10호 11호 완공(~9월1억5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지역건설사-지역건축전문가 협업을 통한 주거개선사업

- 부산 송상현 광장 내 도시놀이터 프로젝트 완료(~9월7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부산시설공단 협업을 통한 문화middot휴식공간 조성

청렴 모니터링 다각화

청렴의식 환기를 위한 「자가점검 프로그램」실시

「청렴 옴부즈만」운영

개선 아이디어 발굴을 위한 「신입사원 生生 모니터링」

추진목표

종합청렴도 결과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3등급 2등급 1등급 1등급 1둥급

- 32 -

∙ 균등한 기회와 사회통합

- 중학생 자유학기제 지원 프로그램 운영(9월~4천만원)- 저소득층 청소년 20명ndash대학생 20명 매칭 등(6월~5천만원)- lsquoKBS 동행rsquo에 출연하는 저소득 가정 50세대 지원(7월~1억원)- 발달장애 청년 재능개발 프로젝트lsquo눈부신하루rsquo추진(6월~3천만원)- 신입사원 봉사활동 등을 통한 지역사회 나눔활동(~10월7천2백만원)- 저소득층 난방연료 지원을 위한 주택도시업 캠페인(~12월5천만원)- 자매결연 마을 농수산물 구입기증(~12월4천만원)

추진목표

추진 목표는 해당연도 사회공헌 기부금 예산금액(이사회 의결금액)과 연계

기부금액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8620백만원 8879백만원 9145백만원 9419백만원 9702백만원 전년도예산금액103

실행과제

(49)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목적) 도시재생과 유사한 목표비전을 공유하는 사회적경제와 연계한 맞춤형

금융상품 운영 및 관련 지원조직과 다각적 협업 활동 추진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지역주민이 주도하는 도시재생 금융지원으로 국민의 삶의 질 개선

(목적) 주민지역공동체 주도의 마을단위 도시재생으로의 변화에 대응하여

사회적 경제주체 등 지원체계 개선으로 사회적 가치 실현에 기여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추진목표

수요자중심형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510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실행과제

(50)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국민이 참여하는

HUG사업평가단(가칭) 운영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보증업무 전반에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HUG

사업평가단 구성하여 주택품질 제고 및 안심입주 지향

(추진내용)

∙ 국민이 참여하는 보증솔루션팀 및 보증심사 리뷰단을 통해 제도 개선사항 도출

∙ 보증채권자 권익에 미치는 사항 등 국민의견 수렴을 통한 보증이행제도 개선

∙ 전세금보증 이행완료 고객 및 공인중개사 참여를 통한 제도개선 사항 발굴

추진목표 2019년 국민 의견수렴을 통한 전세금보증 제도 개선 등 검토

- 33 -

실행과제(51)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과 협업하여효율적인 전세금보증 이행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이행 업무의 효율성 제고

(추진내용)

∙ 지역사회단체 등과의 협업을 통한 임차인 퇴거확인 추진 검토

- 보증사고 발생 시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 구성원이 임차인 퇴거를

확인하여 담당직원 업무 공백 최소화 (직원 출장비 수준으로 비용 지급)

- 임차인 퇴거 확인 시 해당 주택가격 및 신규 임차인 확보 가능성 검토결과를

보고받아 채권보전조치를 위한 근거 확보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거보호 이행도(전세금보증 이행 15일초과건수전체이행건수)

50 45 41 37 34

- 34 -

Ⅳ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및 적극행정 확산

①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국민참여게시판을 lsquo국민제안(국민rarr기관)rsquo

및 lsquo정책제안(기관rarr국민)rsquo 게시판으로 세분화하여 국민과 기관간

상시 소통기반 마련 경평지적

지적사항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위한 개선방안 마련 필요

(혁신 네트워크 강화) 시민참여혁신단 보증채권권익위원회 전세금

보증 시민참여단 기금홍보협의회 운영 등 주요사업에 기반하여

다양한 대외 전문기관과 네트워크 활성화 경평지적

지적사항 보증 기금등주요사업역량강화를위한전문기관혁신네트워크강화필요

② 적극행정 확산

(적극행정 면책제도 활용) 감사계획 통보 시 적극행정 면책제도

middot사전컨설팅 제도 사전안내 및 면책신청 지원을 위한 상담창구

운영 등 (계획수립 完 감사실-2367호)

(기관장 책임강화) 혁신전략위원회(위원장 사장)를 통해 적극행정

혁신과제에 대한 추진독려 및 이행사항 점검 등 보완사항 지속

발굴 (혁신페스티벌 1middot2차 개최)

(적극행정 우수사례 발굴)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를 통해 조직내

적극행정 분위기 유도 (포상 및 내부성과평가 반영 등)

성과창출에 실패했더라도 기존관행 탈피 새로운 영역개척 국민접점에서

활력을 제고하는 등 lsquo착한실패rsquo lsquo건전한파격rsquo에 대해서도 포상추진 예정

(적극행정 인식확산) 적극행정 사이버교육(법제처 주관) 이수 등

적극행정 인식확산을 위한 교육참여 시 혁신마일리지 부여 (전사 교육 실시 예정)

- 35 -

Ⅴ 혁신 추진도구별 업무일정

구 분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1 2 3 4 5 6 7 8 9 10 11 12

1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2 국민소통 강화

3 혁신페스티벌

4 유관기관 협업

5 혁신채널 구축

6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7 제안제도 정비

8 혁신콘서트

9 혁신교육 및 혁신워크숍

10 혁신레터

11 혁신마일리지 신설

12 혁신BP 발굴 및 포상

피드백

(성과관리) 공공기관 혁신 및 기관 경영혁신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혁신과제 추진실적을 정기적으로 점검 및 피드백

(혁신전파) 조직원 전체의 혁신공감대 형성 및 참여도 제고를 위해

본사부서 및 영업부서 방문 등을 통해 혁신활동 및 우수사례 공유

(혁신내재화) 국민소통채널 혁신마일리지 혁신레터 등 혁신활동이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고 혁신업무에 대해

조직원이 공감하고 회사 모든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

Page 20: 2019년 HUG 혁신 추진계획 - khug.or.kr…„HUG혁신추진계획.pdf · 혁신페스티벌 - (내부 혁신과제 발굴) 조직·인사·제도·서비스혁신 등 회사

- 19 -

실행과제

(14)주택도시기금대출절차간소화를통한대국민서비스향상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서민실수요자 지원 강화 및 이용자 편의 제고 등을 위한 주택도시

기금 구입전세 대출의 자산심사 도입

(추진내용)

∙ 자산심사기준 도입을 통한 정책자금의 실수요자 집중 지원

∙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구축을 통한 대출절차 간소화

∙ 전담 수행조직 운영 및 수탁은행 역할 재정립 등을 통한 대국민 서비스 제고

추진목표

대출절차 혁신 시스템 운영 체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자산기준 마련기금법령 개정시스템 개발오픈수요자대출상품운영

수요자대출 全상품 시스템 안정화제도개선 및 모니터링

他 기금상품 (주택종합청약저축)도입 검토 및 적용

실행과제

(15)고아원연계 보호종료아동 월세보증금 지원 제도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고아원 보호기간이 종료됨에 따라 주거지원이 필요한 아동에게

주택임차자금 지원 및 보증상품 개발

(추진내용)

∙ 긴급 주거지원이 필요한 아동의 가정에 주택임차자금 지원∙ 고아원 보호종료 아동 대상 전세월세보증금보증 할인 상품 개발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택임차자금지원 세대 수

10 20 성과분석 후 확대 검토

고아원보호종료아동대상상품가입자수

상품개발추진 제도개선 추진

실행과제

(16)HUG 이용고객 편의성 제고를 위한 플랫폼 구축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객과의 소통채널 확대방안의 일환으로 24시간 고객상담 제공

(추진내용)

∙ 단순 문의 SMS 발송

- 위탁은행 신청서류 등 전세보증 관련 간단 정보 문자발송 ARS실시(완료 `195월)

- 업무시간 종료 후에도 단순문의에 대한 SMS문자안내 서비스 추진

∙ 콜센터와 지사 상담이력 공유

- 콜센터 상담시스템과 차세대 시스템을 연계 고객별 상담이력 조회화면 구축

∙ 보이는 ARS 서비스 도입

- 기존의 음성 서비스와 함께 스마트폰을 통해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바로

연결하고 직접 통화하지 않아도 간편문의를 처리할 수 있는 보이는 ARS 실시

추진목표 2019년 챗봇서비스 DB구축 검토 2020년 챗봇 서비스 도입 검토

- 20 -

실행과제

(17)전세금보증 인터넷가입에 필요한 데이터 자동화 구축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가입을 간편하게 하여 정보사각지대에 있는 고객의

보증 가입 편의성 강화

(추진내용)

∙ 주택가격정보middot등기부등본 데이터 자동입력 시스템 마련

- KB시세 한국감정원 국세청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와의 협약 통한 시스템 연계

- 직접협약 외에도 부동산 권리변동정보 제공기관을 통한 중계서비스 도입 검토

∙ 인터넷보증시스템 전세금보증 신청절차 개선

- 전자연계 가능한 서류의 데이터 자동입력 프로세스 개발

- 보증심사시 담당자가 전자 원본 서류를 확인할 수 있는 화면 개발

추진목표

데이터 입력시스템 구축 및 운용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연계방안검토

협약체결 전산연계 운영 및 보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18)

사회임대주택 활성화를 위한 조직 혁신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사회임대주택 금융지원제도 담당부서 일원화로 속도감 있는 제도개선 등

사회임대주택 활성화 지원

(추진내용)

∙ 기획조정실 사회임대주택 총괄부서 지정을 위한 조직개편 추진

- 현행 사회임대PF보증(금융기획실) 토지임대middot기금출융자(도시재생기획처 기금지원처)

- 개선 도시재생기획처로 일원화하여 사회임대주택 복합금융 지원업무 총괄

한 부서에서 기금 출middot융자 보증지원까지 원스톱 상담으로 고객 만족도 제고

추진목표 2019년 조직개편 완료

실행과제

(19)상담서비스 고도화를 통한 고객만족도 제고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객상담데이터 체계적 관리middot활용을 통한 대국민 서비스 질적 향상

(추진내용)

∙ 차세대(전산)업무시스템 및 콜센터 시스템을 연계하여 상담이력 공유- 콜센터 외에도 지사 직원의 고객상담이력을 저장할 수 있도록 차세대시스템 내화면 구축 콜센터의 상담이력 역시 차세대 시스템에 저장 및 관리

∙ 보이는 ARS서비스 실시 및 단순문의안내 SMS 발송 서비스 실시middot활성화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콜센터전산시스템연계

시스템구축

시스템개발완료및 운용

시스템운용

시스템운용

시스템운용

신규 서비스출시

보이는ARS검토

보이는ARS출시

보이는ARS운용

보이는ARS운용

보이는ARS운용

- 21 -

2 혁신적 포용국가 선도

(3대 과제) 경제활력 제고 및 일자리 중심 경제 선도 중점

실행과제

(20)공공정보 연계 통한 서류제출 절차 간소화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필요한 서류를 간소화함으로써 대국민서비스 질 제고 (추진내용)∙ 필요한 서류 등을 공사 전산으로 조회 가능한 시스템 구축∙ 기금대출절차 혁신 시스템과 연계

추진목표 ∙ (비계량) 필요서류 전산조회 시스템 구축

실행과제

(21)사업다각화를 통한 고용증대 및 비정규직 ZERO화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서민 주거복지 도시재생 활성화 지원 등을 위한 기관 자체의 적극적인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공기업 서비스 제고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증원 및 채용 확대- 신사업 발굴 및 자율정원제를 통한 적극적인 증원-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청년 및 지역 인재 채용∙ 사회 양극화 해소를 위한 비정규직 ZERO화- 노사 공감대에 기반한 정당한 절차를 통한 전환 추진 및 전환근로자 처우 개선 노력

추진목표정원 비정규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766명 0명 903명 0명 995명 0명 1033명 0명 1062명 0명

실행과제

(22)

주거복지 및 도시재생을 위한

도시재생 창업공간 금융지원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도시재생 금융상품을 통한 창업지원 (목적) 창업과 관련한 도시재생 금융상품을 통해 민간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창업 관련 수요자 중심형 기금융자 및 보증상품 개발 운용- 코워킹시설조성 상가리모델링 공공임대상가 등 기금융자 지원

도시재생뉴딜 금융지원을 위한 사회적 금융 연계 지원 (목적) 도시재생분야법인단체창업관련크라우드펀딩 및 창업지원 컨설팅 추진 (추진내용)∙ 도시재생분야에대중투자연계일자리창출및지역주도사회적경제활성화지원- 뉴딜로 도시재생 크라우드펀딩 대회 개최 등∙ 도시재생 창업단체에 대한 지원을 위해 HUG형 민간일자리 창출 프로젝트 추진- HUG와 함께하는 도시재생 뉴딜 창업프로젝트 추진 및 사회적 경제조직 활성화

추진목표창업지원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510억원 1548억 1548억 1548억 1548억

- 22 -

실행과제

(23)IT선진화를 통한 민간일자리 창출 담당부서

기금정보처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고유목적사업인 주택보증 주택도시기금 및 도시재생분야의 IT 시스템

구축 및 개선을 통한 민간 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 주택도시기금 정보시스템 통합 유지보수

- (추진기간) 유지보수 사업의 특성으로 매년 발생

- (일자리창출) 2019년(8명) 2020년 sim 2023년(매년 16명)

∙ 도시재생 금융지원 전산시스템 구축

- 도시재생융자등원활한도시계정업무를뒷받침하기위한온라인금융지원시스템구축

- 추진기간 2018년~2019년 투입금액 및 인력 51억원 41명

∙ 주택도시기금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구축

- 주택도시기금 대출절차 편의 제고 및 절차 간소화 시스템 구축

- 추진기간 2018년~2019년 투입금액및인력 컨설팅용역43억원 12명 전산용역74억원52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기금업무 운영 유지보수 8 16 16 16 16

도시재생 융자시스템 41 - - - -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64 - - - -

합 계 177

실행과제

(24)

공공기관 공동기금 조성을 통한

지역 사회적경제 활성화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이전지역 기관간 협업을 통한 사회적경제 활성화로 지속가능한 일자리

제공 지역경제 활성화 추진

(추진내용)

∙ 부산 사회적경제 지원기금(BEF) 지원을 통한 사회적기업 육성 및 지원

- Pilot Program (크라우드펀딩) 20개소 창업단계 재정지원 5개소 Start-up 재정지원

15개소 Scale-up(성정기 기업) 대출지원 5개소 BEF 경영컨설팅 50회 BEF

사회적기업 연구가 인재육성 실시 2회 BEF 판로지원 5개소 등

추진목표

기금지원 (자체 공동)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억원(10억원)

1억원(10억원)

1억원(10억원)

1억원(125억원)

-

- 23 -

(4대 과제) 혁신성장 지원

실행과제

(25)상가임차금 안심대출 상품개발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도시재생지역 내 상가임차인 보호를 위한 상가임차금안심대출 개발

(추진내용)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법령 개정 검토

-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등 관련 법령 개정안 검토

- 법령 개정안 정부 건의 (우선변제권 승계기관 포함)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시장분석 및 조사(`20)

- 상가임차보증금 시장분석 및 보증이용 수요조사

- 보증료율 검토 및 리스크 분석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출시(`21)

- 사규개정 및 법령개정 완료

추진목표

상가임차보증금 상품 출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내부검토 법령개정 시장분석 상품출시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26)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사고 위기사업장과 보증실적의 증가로 사전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및 정기 점검활동 강화 및 핵심업무 역량집중 강화

(추진내용)

∙ 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 현장점검 대상사업장을 파악하여 외주용역을 통한 점검 추진 검토

추진목표 ∙ 2019년도 현장점검 외주화

실행과제

(27)

비대면 전세금보증을 통한 혁신성장 기반 마련

(카카오페이를 통한 가입확대 등)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모바일 전세금보증

스마트폰을이용해언제 어디서든쉽게보증을신청할수있도록모바일가입채널마련

∙ (모바일 인터페이스) 인터넷 전세금보증 프로세스를 모바일웹에 최적화하여 로그인

부터 보증가입 승인까지 전 프로세스 지원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위탁은행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증가입 프로세스 개선

(현행) 임차인이 선순위 채권 등 보증가입정보를 입력

(개선) 임차인은개인정보및계약정보만입력하고세부심사에필요한정보는심사자가입력

모바일 안심대출보증

위탁은행 비대면 전세금 안심대출 상품 개발

추진목표 2019년 전세금보증의 완전한 모바일 가입체계 구축

- 24 -

실행과제

(28)국민 주거편의 제공을 위한 스마트시티 건설 지원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목적) 핵심 국정과제인 스마트시티 분야의 금융지원 플랫폼으로서 주택도시기금지원 기반 모색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검토 및 금융상품 초안 마련

(추진내용)

∙ 민간사업자 의견 수렴 및 스마트시티 기금 금융지원 상품 초안 마련 -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및 주요 요소기술산업 등 동향 파악- 민간사업자 의견수렴을 바탕으로 실질적 금융지원이 가능한 상품 개발 추진∙ 주택도시기금법 개정안 마련 및 정부 건의∙ 스마트시티 건설사업장에 대한 보증료 할인 또는 보증심사 가점부여∙ 스마트시티 건설 신공법 소개 및 성공사례 공유

추진목표금융지원 확대 건수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건 1건 2건 3건 3건

실행과제

(29)HUG 빅데이터운영체계구축으로공공데이터개방기여 담당부서

주택도시

금융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기관 내middot외부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주택middot도시middot금융 분야의 환경 변화를진단함으로서 4차산업 혁명시대 도래에 따른 선제적인 대응 체계 마련

(추진내용)

∙ (1단계) HUG 빅데이터 기반 주택시장 분석 인프라 설계 및 로드맵 수립∙ (2단계) HUG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구축 및 모델 개발∙ 수요자(국민middot정부middot공사)별 빅데이터 활용 영역 확대 및 분석 기능 고도화

추진목표공공데이터 외부개방(제공) 건수 (오픈API포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38건 42건 46건 51건 56건

실행과제

(30)

친환경middot신소재 활용으로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

(제로에너지 건축물 건설자금지원 등)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주택건설사업장에 친환경middot신소재 사용을 유도함으로써 환경 친화적 주택건설과 에너지신산업 판로지원

(추진내용)

∙ 친환경 제품 및 에너지 신소재 제품사용 주택건설사업장에 보증심사 가점부여(완료)- (`1812) 녹색건축물인증등급부여고객보증심사시초기예상분양율 5〜1점가점부여

∙ (추진) 신소재 적용 주택건설사업장 확대를 위해 보증심사시 가점부여

- SOC 공공기관 통합기술마켓과 연계한 보증우대 방안 마련 중소기업이 보유한 SOC 공공기관 관련 혁신기술의 공모middot연구개발 제안 및 검증을

통해 상품화 및 홍보middot판매를 지원하는 플랫폼

추진목표

친환경적 주택건설 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

- 25 -

실행과제

(31)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비대면 가입 활성화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9개 수탁은행에 온라인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 독려

연령 무주택세대주 소득증빙 등 가입 시 제출서류가 많아 비대면 시스템 구축 시

지점방문 없이 간편하게 가입 가능

신한은행 최초로 완전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821)

비대면 가입 주택도시기금포털에 안내 및 홍보

비대면 가입 시스템 기금포털 홍보 게시하여 수탁은행 시스템 개발 독려

추진목표 목표비대면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전체 가입의 6 전체 가입의 12

실행과제

(32)전기자동차 도입을 통한 친환경 에너지 수요 창출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업무용 차량의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ㅇ 2018년 임차기간 만료예정인 업무용 차량을 전기자동차로 대체

ㅇ 추후 본사 및 영업부서 업무용 차량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추진목표 2019년 중 전기자동차 1대 충전소 1개소 설치실행과제

(33)드론 활용을 통한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기술middot제품에 대한 선제적 구매 및 테스트와 고유사업에 활용

으로 민간 초기시장 조성을 견인

(추진내용)

∙ 보증이행사업장 드론 안전점검 시범실시

- (`1812) 예산 미편성으로 1개 사업장 드론촬영 시범실시 및 효용성 검토

∙ 보유중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에 드론 활용 확대

- (`196) 전문엔지니어링 업체 발굴로 일자리 창출 및 보유 사업장 전체(2개)에

드론 활용 안전점검 실시 rArr 위험요소 발굴로 관할센터에 사고예방을 위한

안전조치 권고문서 시행

추진목표

안전사고 발생비율(발생건수보유사업장)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0 0 0 0 0 안전사고발생 ZERO무사고 달성

실행과제

(34)드론활용사업장안전관리및점검체계구축(시범단지운영)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HUG형 혁신 사업장 안전관리 및 점검체계 구축

ㅇ 드론 활용 사업장 안전 및 점검체계 구축

ㅇ 시범단지 선정 및 운용 세부계획 검토

∙ 드론 등 기술혁신 도구관련 관련 업체 및 유관기관 협의

∙ 사업장-영업부서-본사부서 협업체계 및 활용방안(HUG-i 게시) 등

추진목표안전사고로 인한 분양보증사고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0 0 0 0 0

- 26 -

실행과제

(35)블록체인을 활용한 안전하고 편리한 인터넷서비스 제공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정부주도의 공인인증서 폐지정책(전자서명법 전부개정 예고)에 따라 전자

서명에 대한 인터넷 사용자 대체 인증수단 개발

(추진내용)

∙ 블록체인 기반의 본인인증 서비스 (카카오페이 인증 서비스) 도입

- 인터넷보증시스템에서보증료영수증및보증서출력시카카오인증을이용한전자문서

유통증명서비스제공

∙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대국민서비스 확대

- 전자서명법개정에따른블록체인기반의전자서명서비스도입

- 온라인 등기우편(연체정보 등 전자우편을 본인인증 후 열람) 일괄발송 발송내역 조회

및유통증명서발급시스템구축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블록체인기반본인인증서비스시범도입

블록체인기술을이용한

대국민서비스확대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실행과제

(36)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사업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환경보호라는 공공성을 위하여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건물

보증에 대해 유인책 마련 필요

(추진내용)

∙ 제로에너지 건축물에 대한 대출한도 상향 조정

∙ 건축 관련학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해 친환경 건축물에 대한 관심 제고

- HUG 오픈캠퍼스 추진 시 건축 관련학과(건축공학과 건축디자인과 등) 학생에게 교육

추진및공사인턴체험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제로에너지 건축물지원 제도

규정신설 -

HUG오픈캠퍼스 수료학생수 (건축 관련 학과 포함)

100 110 121 133 146

- 27 -

(5대 과제) 공정경제 기반 구축 중점

실행과제

(37)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 진입장벽 해소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물품구매 대금결제 등에 중소기업 창업기업 등에 대한 계약규제 완화를

통해 공정경제 기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함

(추진내용)

∙ 신규 창업middot중소기업에 대한 진입장벽 완화

- 소규모 물품middot용역 입찰(고시금액 21억원 미만) 참여시 상대적으로불리한신규창업 및

중소기업에대한실적제한폐지

- 다만 부득이용역의성격상실적평가가필요한경우창업기업실적인정기간연장

(현행 3년 rarr 7년)을 통한 부담 완화

∙ 지체상금 부담경감 (현행의 12수준) 을 통한 상생협력 강화

∙ 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에 대한 용역대금 선급금지급률 확대

추진목표

중소기업 등 협력업체 계약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779 790 80 81 -

실행과제

(38)

공정경제를 위한 지역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업자 보호강화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건설사업장 인근지역 중소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대금의 현금

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한 하도급업자 보호 강화

(추진내용)

∙ 지역 중소 건설업체들에게 동일한 기회제공 및 공정한 경쟁 유도

- 건설사업장에서 지역건설업체와 하도급계약 체결 시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 할인 추진

∙ 협력업체 하도금대금의 현금지급 확대

- 하도급대금을 현금으로 지급할 경우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를 할인

하여 협력업체 및 근로자들의 보호를 강화하고 시장에서의 우위 선점

추진목표

지역 하도급업체 계약체결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규정개정 30 40 50 60

하도급대금의 현금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해 하도급업자 보호

- 28 -

3 국민신뢰 회복

(6대 과제) 적극행정 확산 등 조직운영 혁신

실행과제

(39)고용위기지역에 대한 금융지원 추진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용위기지역에 대한 지원강화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추진내용)

∙ 고용위기지역 내 임대주택 건립시 보증료 할인 추진(완료)

- 고용위기지역및고용재난지역소재임대보증금보증사업장보증료 10인하( 1812)

∙ 고용위기지역 내 임차인이 전세금보증 이용시 보증료 할인 검토

- 전세보증금반환보증(전세금보장) 전세안심대출(전세금대출지원)

보증이용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임차주택으로 변경시 보증료 할인 검토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보유한 주택건설사업자가 입주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임차

주택으로변경하여전세금보증가입신청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추진목표

고용위기지역 금융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마련 및 운영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40)근로여건 개선을 통한 휴식 있는 삶 지원 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일ㆍ가정 양립에 대한 법적ㆍ사회적 요구 증대됨에 따라 장시간 근로문화를 타파하고 휴식 있는 삶을 지원하여 일ㆍ생활의 균형 실현

(추진내용)

∙ 장시간 근로문화 타파- 직원니즈를반영한공사맞춤형복무제도수립및운영- PC-OFF 강화 (주2회rarr매일)- 퇴근장려캠페인 (인사안하고퇴근하기 관리자솔선수범퇴근)∙ 휴식 있는 삶 지원- 가족친화제도지속개발 (일가양득프로그램운영)- 연차휴가및남성육아휴직이용률향상을위한제도개선- 시간단위연차사용을통한휴가사용활성화- 임신직원보호를위한모성보호절차도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인당 연차사용일 1426일 1497일 1572일 1651일 1733일남성육아휴직인원 331 348 365 383 402

- 29 -

실행과제

(41)

위임전결기준 개선을 통한 업무처리 혁신

(결재피로감 낮추고 책임middot권한 공백없이 업무는 신속하게)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결재절차를 단순화함으로써 신속한 업무처리 및 고객만족도 제고

(추진내용)

∙보증위탁업무전결권세분화

- 위임전결규정안마련및규정개정절차진행(5월)

보증업무 위탁外 융자수탁업무 관련 전결권 개정도 함께 추진

∙대외업무협약체결전결권세분화

- 사안의중요성및영향도등고려중장기적으로면밀한검토필요

추진목표

결재절차 단순화

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rsquo23년보증및융자수탁업무위임전결규정개정

제도 보완

실행과제

(42)지출신청 시 영수증 증빙 제출제도 개선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지출신청시 불필요한 원본구비 제도 개선을 통한 업무효율화 달성

(추진내용)

∙ 공사 지출의 42 비중을 차지하는 5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 원본 제출 제외

- 지출액 50만원 이하 법인카드 및 전자세금계산서 지출 건 원본구비 예외 조항 신설

- 확인이 필요한 간이계산서 등은 원본징구하여 지출사고 가능성 예방

- 제도 정착 전 3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에 대하여 원본 제출 제외(시범운영)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내부

규정개정 및시범운영

제도개선 지속 추진

실행과제(43)

PF보증심사 시 월별예정 분양률 분포의 계량화 담당부서금융기획실심사평가처주택도시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민간아파트 초기분양률 데이터를 활용한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

(추진내용)

∙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를 통한 심사 객관성 확보

- 월별예정분양률 관련 명확한 지침 산정으로 신청업체 및 심사자의 주관 배제

- 국가승인통계인 민간아파트초기분양률 동향 데이터를 활용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

∙ 초기분양률 동향 분석(주택도시금융연구원 협업 4월sim10월)

- 연구원과 협업을 통해 초기분양률 데이터 분석 및 관리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건의(11월)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관할 부서(금융기획실)로 세칙 개정 건의

추진목표2019년도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예상분양률 분포기준 마련 초기분양률 데이터 관리체계 구축

- 30 -

(7대 과제) 윤리경영 강화

실행과제

(46)청렴도 향상을 위한 반부패 활동 강화 담당부서 준법지원실

추진내용

윤리경영 추진조직 강화

기관장 주도의 윤리경영 고위직 협의체 구축 내부 자문기구「청렴자문위

원회」운영 강화 및 임원의 윤리자가진단 현황 정보공개

반부패middot청렴 대외 활동 활성화

부산 이전 공공기관 청렴 협의체「청렴 클러스터」활동 강화

「부산투명사회실천 민middot관 네트워크」가입middot활동 실시

「유엔글로벌콤팩트(UNGC)」활동으로 글로벌 윤리역량 강화

실행과제

(44)논스톱 고분양가 심사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공사 PF보증 사업장에 대한 고분양가 심사기준 개선을 통한 사업

안정성 제고 및 고객신뢰성 확보

(추진내용)

∙ 「고분양가사업장심사규정」개정 추진(5월~6월)

- 고분양가 관리지역 내에서 공사 PF보증 발급예정사업장의 고분양가 심사기준(비교

사업장 선정 및 분양가격 산출 등)의 적용을lsquoPF보증 본점 승인시점rsquo으로 명확히 함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고분양가심사규정개정

사업안정성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 추진

실행과제

(45)임대리츠 통계 및 사후관리시스템 개선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목적) 자리츠 사후관리 주관기관(모리츠 AMC인 LH) 및 감독관리기관

(HUG) 간의 업무분장에 따라 사후관리 데이터 품질 저하 등 발생

rArr 기관간 협업체계 개선 관련 시스템 개발 등을 통한 사후관리 관련 데이터품질 향상 및 대정부 정보전달 적시성 확보

(추진내용)

∙ 리츠 기금출자내용 변경시 임대리츠 이력관리 등이 가능하게 하는 통계시스템 개발

∙ 분기별 사후관리보고 제출기한 마련 검토

∙ 임대리츠 통계관리 업무체계 내실화를 위한 기관간 협업 수행

추진목표

임대리츠 사후관리 구조 개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전산시스템개발 및시스템 구축

임대리츠사후관리

체계개선 수행

시스템 운용및 개선사항도출

기관간 협업수행(데이터관

리)

임대리츠통합데이터관리 수행

- 31 -

(8대 과제) 국민의 참여협력 확대 및 지역사회 공헌

실행과제

(47)

혁신도시 맞춤형 지역인재 육성 지원 및

인재채용 투명성 강화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도시 지원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증대에 따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한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

(추진내용)

∙ 市-지역대학간 협업으로 지역인재 육성 교육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 외부 면접위원 확대 및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인사 절차의 공정성 강화

∙ 사회형평적 채용실시와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을 통한 불합리한 차별 해소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지역채용 21 24 27 30 33지역인재육성 총 교육시간(교육인원times교육시간 시간) 3000 4500 4500 4500 4500

지역인재육성교육만족도(점수) 944 949 954 959 964

실행과제

(48)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사회공헌사업 확대 추진 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정부의 lsquo사회적 가치 실현rsquo을 정책에 따라 사회적 경제 및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사회공헌 필요성 증가

(추진내용)

∙ 안전한 주거환경 제공

- 무주택 국가유공자 및 저소득층 임차자금 170세대 지원(~8월10억원)- HUG 셰어하우스 3호 신촌점 완공 청년 24명 입주 완료(~10월2억원)- 저소득층 노후주택 및 소규모 사회복지시설 127세대 개보수(~10월8억원)- HUG STREET 잘사는 골목길 등 환경개선사업 대상지 선정 완료(~10월1억1천만원)

∙ 지역사회와 상생

- 노후 슬레이트 지붕개량 및 태양광 지원 사업 4자 협약(~8월3억원) HUG-부산시-한국사회복지협의회-부산도시재생지원센터

- HOPE with HUG 10호 11호 완공(~9월1억5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지역건설사-지역건축전문가 협업을 통한 주거개선사업

- 부산 송상현 광장 내 도시놀이터 프로젝트 완료(~9월7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부산시설공단 협업을 통한 문화middot휴식공간 조성

청렴 모니터링 다각화

청렴의식 환기를 위한 「자가점검 프로그램」실시

「청렴 옴부즈만」운영

개선 아이디어 발굴을 위한 「신입사원 生生 모니터링」

추진목표

종합청렴도 결과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3등급 2등급 1등급 1등급 1둥급

- 32 -

∙ 균등한 기회와 사회통합

- 중학생 자유학기제 지원 프로그램 운영(9월~4천만원)- 저소득층 청소년 20명ndash대학생 20명 매칭 등(6월~5천만원)- lsquoKBS 동행rsquo에 출연하는 저소득 가정 50세대 지원(7월~1억원)- 발달장애 청년 재능개발 프로젝트lsquo눈부신하루rsquo추진(6월~3천만원)- 신입사원 봉사활동 등을 통한 지역사회 나눔활동(~10월7천2백만원)- 저소득층 난방연료 지원을 위한 주택도시업 캠페인(~12월5천만원)- 자매결연 마을 농수산물 구입기증(~12월4천만원)

추진목표

추진 목표는 해당연도 사회공헌 기부금 예산금액(이사회 의결금액)과 연계

기부금액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8620백만원 8879백만원 9145백만원 9419백만원 9702백만원 전년도예산금액103

실행과제

(49)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목적) 도시재생과 유사한 목표비전을 공유하는 사회적경제와 연계한 맞춤형

금융상품 운영 및 관련 지원조직과 다각적 협업 활동 추진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지역주민이 주도하는 도시재생 금융지원으로 국민의 삶의 질 개선

(목적) 주민지역공동체 주도의 마을단위 도시재생으로의 변화에 대응하여

사회적 경제주체 등 지원체계 개선으로 사회적 가치 실현에 기여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추진목표

수요자중심형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510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실행과제

(50)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국민이 참여하는

HUG사업평가단(가칭) 운영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보증업무 전반에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HUG

사업평가단 구성하여 주택품질 제고 및 안심입주 지향

(추진내용)

∙ 국민이 참여하는 보증솔루션팀 및 보증심사 리뷰단을 통해 제도 개선사항 도출

∙ 보증채권자 권익에 미치는 사항 등 국민의견 수렴을 통한 보증이행제도 개선

∙ 전세금보증 이행완료 고객 및 공인중개사 참여를 통한 제도개선 사항 발굴

추진목표 2019년 국민 의견수렴을 통한 전세금보증 제도 개선 등 검토

- 33 -

실행과제(51)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과 협업하여효율적인 전세금보증 이행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이행 업무의 효율성 제고

(추진내용)

∙ 지역사회단체 등과의 협업을 통한 임차인 퇴거확인 추진 검토

- 보증사고 발생 시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 구성원이 임차인 퇴거를

확인하여 담당직원 업무 공백 최소화 (직원 출장비 수준으로 비용 지급)

- 임차인 퇴거 확인 시 해당 주택가격 및 신규 임차인 확보 가능성 검토결과를

보고받아 채권보전조치를 위한 근거 확보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거보호 이행도(전세금보증 이행 15일초과건수전체이행건수)

50 45 41 37 34

- 34 -

Ⅳ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및 적극행정 확산

①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국민참여게시판을 lsquo국민제안(국민rarr기관)rsquo

및 lsquo정책제안(기관rarr국민)rsquo 게시판으로 세분화하여 국민과 기관간

상시 소통기반 마련 경평지적

지적사항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위한 개선방안 마련 필요

(혁신 네트워크 강화) 시민참여혁신단 보증채권권익위원회 전세금

보증 시민참여단 기금홍보협의회 운영 등 주요사업에 기반하여

다양한 대외 전문기관과 네트워크 활성화 경평지적

지적사항 보증 기금등주요사업역량강화를위한전문기관혁신네트워크강화필요

② 적극행정 확산

(적극행정 면책제도 활용) 감사계획 통보 시 적극행정 면책제도

middot사전컨설팅 제도 사전안내 및 면책신청 지원을 위한 상담창구

운영 등 (계획수립 完 감사실-2367호)

(기관장 책임강화) 혁신전략위원회(위원장 사장)를 통해 적극행정

혁신과제에 대한 추진독려 및 이행사항 점검 등 보완사항 지속

발굴 (혁신페스티벌 1middot2차 개최)

(적극행정 우수사례 발굴)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를 통해 조직내

적극행정 분위기 유도 (포상 및 내부성과평가 반영 등)

성과창출에 실패했더라도 기존관행 탈피 새로운 영역개척 국민접점에서

활력을 제고하는 등 lsquo착한실패rsquo lsquo건전한파격rsquo에 대해서도 포상추진 예정

(적극행정 인식확산) 적극행정 사이버교육(법제처 주관) 이수 등

적극행정 인식확산을 위한 교육참여 시 혁신마일리지 부여 (전사 교육 실시 예정)

- 35 -

Ⅴ 혁신 추진도구별 업무일정

구 분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1 2 3 4 5 6 7 8 9 10 11 12

1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2 국민소통 강화

3 혁신페스티벌

4 유관기관 협업

5 혁신채널 구축

6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7 제안제도 정비

8 혁신콘서트

9 혁신교육 및 혁신워크숍

10 혁신레터

11 혁신마일리지 신설

12 혁신BP 발굴 및 포상

피드백

(성과관리) 공공기관 혁신 및 기관 경영혁신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혁신과제 추진실적을 정기적으로 점검 및 피드백

(혁신전파) 조직원 전체의 혁신공감대 형성 및 참여도 제고를 위해

본사부서 및 영업부서 방문 등을 통해 혁신활동 및 우수사례 공유

(혁신내재화) 국민소통채널 혁신마일리지 혁신레터 등 혁신활동이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고 혁신업무에 대해

조직원이 공감하고 회사 모든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

Page 21: 2019년 HUG 혁신 추진계획 - khug.or.kr…„HUG혁신추진계획.pdf · 혁신페스티벌 - (내부 혁신과제 발굴) 조직·인사·제도·서비스혁신 등 회사

- 20 -

실행과제

(17)전세금보증 인터넷가입에 필요한 데이터 자동화 구축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가입을 간편하게 하여 정보사각지대에 있는 고객의

보증 가입 편의성 강화

(추진내용)

∙ 주택가격정보middot등기부등본 데이터 자동입력 시스템 마련

- KB시세 한국감정원 국세청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와의 협약 통한 시스템 연계

- 직접협약 외에도 부동산 권리변동정보 제공기관을 통한 중계서비스 도입 검토

∙ 인터넷보증시스템 전세금보증 신청절차 개선

- 전자연계 가능한 서류의 데이터 자동입력 프로세스 개발

- 보증심사시 담당자가 전자 원본 서류를 확인할 수 있는 화면 개발

추진목표

데이터 입력시스템 구축 및 운용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연계방안검토

협약체결 전산연계 운영 및 보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18)

사회임대주택 활성화를 위한 조직 혁신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사회임대주택 금융지원제도 담당부서 일원화로 속도감 있는 제도개선 등

사회임대주택 활성화 지원

(추진내용)

∙ 기획조정실 사회임대주택 총괄부서 지정을 위한 조직개편 추진

- 현행 사회임대PF보증(금융기획실) 토지임대middot기금출융자(도시재생기획처 기금지원처)

- 개선 도시재생기획처로 일원화하여 사회임대주택 복합금융 지원업무 총괄

한 부서에서 기금 출middot융자 보증지원까지 원스톱 상담으로 고객 만족도 제고

추진목표 2019년 조직개편 완료

실행과제

(19)상담서비스 고도화를 통한 고객만족도 제고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객상담데이터 체계적 관리middot활용을 통한 대국민 서비스 질적 향상

(추진내용)

∙ 차세대(전산)업무시스템 및 콜센터 시스템을 연계하여 상담이력 공유- 콜센터 외에도 지사 직원의 고객상담이력을 저장할 수 있도록 차세대시스템 내화면 구축 콜센터의 상담이력 역시 차세대 시스템에 저장 및 관리

∙ 보이는 ARS서비스 실시 및 단순문의안내 SMS 발송 서비스 실시middot활성화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콜센터전산시스템연계

시스템구축

시스템개발완료및 운용

시스템운용

시스템운용

시스템운용

신규 서비스출시

보이는ARS검토

보이는ARS출시

보이는ARS운용

보이는ARS운용

보이는ARS운용

- 21 -

2 혁신적 포용국가 선도

(3대 과제) 경제활력 제고 및 일자리 중심 경제 선도 중점

실행과제

(20)공공정보 연계 통한 서류제출 절차 간소화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필요한 서류를 간소화함으로써 대국민서비스 질 제고 (추진내용)∙ 필요한 서류 등을 공사 전산으로 조회 가능한 시스템 구축∙ 기금대출절차 혁신 시스템과 연계

추진목표 ∙ (비계량) 필요서류 전산조회 시스템 구축

실행과제

(21)사업다각화를 통한 고용증대 및 비정규직 ZERO화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서민 주거복지 도시재생 활성화 지원 등을 위한 기관 자체의 적극적인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공기업 서비스 제고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증원 및 채용 확대- 신사업 발굴 및 자율정원제를 통한 적극적인 증원-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청년 및 지역 인재 채용∙ 사회 양극화 해소를 위한 비정규직 ZERO화- 노사 공감대에 기반한 정당한 절차를 통한 전환 추진 및 전환근로자 처우 개선 노력

추진목표정원 비정규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766명 0명 903명 0명 995명 0명 1033명 0명 1062명 0명

실행과제

(22)

주거복지 및 도시재생을 위한

도시재생 창업공간 금융지원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도시재생 금융상품을 통한 창업지원 (목적) 창업과 관련한 도시재생 금융상품을 통해 민간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창업 관련 수요자 중심형 기금융자 및 보증상품 개발 운용- 코워킹시설조성 상가리모델링 공공임대상가 등 기금융자 지원

도시재생뉴딜 금융지원을 위한 사회적 금융 연계 지원 (목적) 도시재생분야법인단체창업관련크라우드펀딩 및 창업지원 컨설팅 추진 (추진내용)∙ 도시재생분야에대중투자연계일자리창출및지역주도사회적경제활성화지원- 뉴딜로 도시재생 크라우드펀딩 대회 개최 등∙ 도시재생 창업단체에 대한 지원을 위해 HUG형 민간일자리 창출 프로젝트 추진- HUG와 함께하는 도시재생 뉴딜 창업프로젝트 추진 및 사회적 경제조직 활성화

추진목표창업지원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510억원 1548억 1548억 1548억 1548억

- 22 -

실행과제

(23)IT선진화를 통한 민간일자리 창출 담당부서

기금정보처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고유목적사업인 주택보증 주택도시기금 및 도시재생분야의 IT 시스템

구축 및 개선을 통한 민간 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 주택도시기금 정보시스템 통합 유지보수

- (추진기간) 유지보수 사업의 특성으로 매년 발생

- (일자리창출) 2019년(8명) 2020년 sim 2023년(매년 16명)

∙ 도시재생 금융지원 전산시스템 구축

- 도시재생융자등원활한도시계정업무를뒷받침하기위한온라인금융지원시스템구축

- 추진기간 2018년~2019년 투입금액 및 인력 51억원 41명

∙ 주택도시기금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구축

- 주택도시기금 대출절차 편의 제고 및 절차 간소화 시스템 구축

- 추진기간 2018년~2019년 투입금액및인력 컨설팅용역43억원 12명 전산용역74억원52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기금업무 운영 유지보수 8 16 16 16 16

도시재생 융자시스템 41 - - - -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64 - - - -

합 계 177

실행과제

(24)

공공기관 공동기금 조성을 통한

지역 사회적경제 활성화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이전지역 기관간 협업을 통한 사회적경제 활성화로 지속가능한 일자리

제공 지역경제 활성화 추진

(추진내용)

∙ 부산 사회적경제 지원기금(BEF) 지원을 통한 사회적기업 육성 및 지원

- Pilot Program (크라우드펀딩) 20개소 창업단계 재정지원 5개소 Start-up 재정지원

15개소 Scale-up(성정기 기업) 대출지원 5개소 BEF 경영컨설팅 50회 BEF

사회적기업 연구가 인재육성 실시 2회 BEF 판로지원 5개소 등

추진목표

기금지원 (자체 공동)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억원(10억원)

1억원(10억원)

1억원(10억원)

1억원(125억원)

-

- 23 -

(4대 과제) 혁신성장 지원

실행과제

(25)상가임차금 안심대출 상품개발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도시재생지역 내 상가임차인 보호를 위한 상가임차금안심대출 개발

(추진내용)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법령 개정 검토

-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등 관련 법령 개정안 검토

- 법령 개정안 정부 건의 (우선변제권 승계기관 포함)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시장분석 및 조사(`20)

- 상가임차보증금 시장분석 및 보증이용 수요조사

- 보증료율 검토 및 리스크 분석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출시(`21)

- 사규개정 및 법령개정 완료

추진목표

상가임차보증금 상품 출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내부검토 법령개정 시장분석 상품출시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26)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사고 위기사업장과 보증실적의 증가로 사전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및 정기 점검활동 강화 및 핵심업무 역량집중 강화

(추진내용)

∙ 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 현장점검 대상사업장을 파악하여 외주용역을 통한 점검 추진 검토

추진목표 ∙ 2019년도 현장점검 외주화

실행과제

(27)

비대면 전세금보증을 통한 혁신성장 기반 마련

(카카오페이를 통한 가입확대 등)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모바일 전세금보증

스마트폰을이용해언제 어디서든쉽게보증을신청할수있도록모바일가입채널마련

∙ (모바일 인터페이스) 인터넷 전세금보증 프로세스를 모바일웹에 최적화하여 로그인

부터 보증가입 승인까지 전 프로세스 지원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위탁은행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증가입 프로세스 개선

(현행) 임차인이 선순위 채권 등 보증가입정보를 입력

(개선) 임차인은개인정보및계약정보만입력하고세부심사에필요한정보는심사자가입력

모바일 안심대출보증

위탁은행 비대면 전세금 안심대출 상품 개발

추진목표 2019년 전세금보증의 완전한 모바일 가입체계 구축

- 24 -

실행과제

(28)국민 주거편의 제공을 위한 스마트시티 건설 지원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목적) 핵심 국정과제인 스마트시티 분야의 금융지원 플랫폼으로서 주택도시기금지원 기반 모색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검토 및 금융상품 초안 마련

(추진내용)

∙ 민간사업자 의견 수렴 및 스마트시티 기금 금융지원 상품 초안 마련 -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및 주요 요소기술산업 등 동향 파악- 민간사업자 의견수렴을 바탕으로 실질적 금융지원이 가능한 상품 개발 추진∙ 주택도시기금법 개정안 마련 및 정부 건의∙ 스마트시티 건설사업장에 대한 보증료 할인 또는 보증심사 가점부여∙ 스마트시티 건설 신공법 소개 및 성공사례 공유

추진목표금융지원 확대 건수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건 1건 2건 3건 3건

실행과제

(29)HUG 빅데이터운영체계구축으로공공데이터개방기여 담당부서

주택도시

금융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기관 내middot외부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주택middot도시middot금융 분야의 환경 변화를진단함으로서 4차산업 혁명시대 도래에 따른 선제적인 대응 체계 마련

(추진내용)

∙ (1단계) HUG 빅데이터 기반 주택시장 분석 인프라 설계 및 로드맵 수립∙ (2단계) HUG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구축 및 모델 개발∙ 수요자(국민middot정부middot공사)별 빅데이터 활용 영역 확대 및 분석 기능 고도화

추진목표공공데이터 외부개방(제공) 건수 (오픈API포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38건 42건 46건 51건 56건

실행과제

(30)

친환경middot신소재 활용으로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

(제로에너지 건축물 건설자금지원 등)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주택건설사업장에 친환경middot신소재 사용을 유도함으로써 환경 친화적 주택건설과 에너지신산업 판로지원

(추진내용)

∙ 친환경 제품 및 에너지 신소재 제품사용 주택건설사업장에 보증심사 가점부여(완료)- (`1812) 녹색건축물인증등급부여고객보증심사시초기예상분양율 5〜1점가점부여

∙ (추진) 신소재 적용 주택건설사업장 확대를 위해 보증심사시 가점부여

- SOC 공공기관 통합기술마켓과 연계한 보증우대 방안 마련 중소기업이 보유한 SOC 공공기관 관련 혁신기술의 공모middot연구개발 제안 및 검증을

통해 상품화 및 홍보middot판매를 지원하는 플랫폼

추진목표

친환경적 주택건설 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

- 25 -

실행과제

(31)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비대면 가입 활성화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9개 수탁은행에 온라인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 독려

연령 무주택세대주 소득증빙 등 가입 시 제출서류가 많아 비대면 시스템 구축 시

지점방문 없이 간편하게 가입 가능

신한은행 최초로 완전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821)

비대면 가입 주택도시기금포털에 안내 및 홍보

비대면 가입 시스템 기금포털 홍보 게시하여 수탁은행 시스템 개발 독려

추진목표 목표비대면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전체 가입의 6 전체 가입의 12

실행과제

(32)전기자동차 도입을 통한 친환경 에너지 수요 창출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업무용 차량의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ㅇ 2018년 임차기간 만료예정인 업무용 차량을 전기자동차로 대체

ㅇ 추후 본사 및 영업부서 업무용 차량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추진목표 2019년 중 전기자동차 1대 충전소 1개소 설치실행과제

(33)드론 활용을 통한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기술middot제품에 대한 선제적 구매 및 테스트와 고유사업에 활용

으로 민간 초기시장 조성을 견인

(추진내용)

∙ 보증이행사업장 드론 안전점검 시범실시

- (`1812) 예산 미편성으로 1개 사업장 드론촬영 시범실시 및 효용성 검토

∙ 보유중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에 드론 활용 확대

- (`196) 전문엔지니어링 업체 발굴로 일자리 창출 및 보유 사업장 전체(2개)에

드론 활용 안전점검 실시 rArr 위험요소 발굴로 관할센터에 사고예방을 위한

안전조치 권고문서 시행

추진목표

안전사고 발생비율(발생건수보유사업장)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0 0 0 0 0 안전사고발생 ZERO무사고 달성

실행과제

(34)드론활용사업장안전관리및점검체계구축(시범단지운영)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HUG형 혁신 사업장 안전관리 및 점검체계 구축

ㅇ 드론 활용 사업장 안전 및 점검체계 구축

ㅇ 시범단지 선정 및 운용 세부계획 검토

∙ 드론 등 기술혁신 도구관련 관련 업체 및 유관기관 협의

∙ 사업장-영업부서-본사부서 협업체계 및 활용방안(HUG-i 게시) 등

추진목표안전사고로 인한 분양보증사고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0 0 0 0 0

- 26 -

실행과제

(35)블록체인을 활용한 안전하고 편리한 인터넷서비스 제공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정부주도의 공인인증서 폐지정책(전자서명법 전부개정 예고)에 따라 전자

서명에 대한 인터넷 사용자 대체 인증수단 개발

(추진내용)

∙ 블록체인 기반의 본인인증 서비스 (카카오페이 인증 서비스) 도입

- 인터넷보증시스템에서보증료영수증및보증서출력시카카오인증을이용한전자문서

유통증명서비스제공

∙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대국민서비스 확대

- 전자서명법개정에따른블록체인기반의전자서명서비스도입

- 온라인 등기우편(연체정보 등 전자우편을 본인인증 후 열람) 일괄발송 발송내역 조회

및유통증명서발급시스템구축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블록체인기반본인인증서비스시범도입

블록체인기술을이용한

대국민서비스확대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실행과제

(36)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사업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환경보호라는 공공성을 위하여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건물

보증에 대해 유인책 마련 필요

(추진내용)

∙ 제로에너지 건축물에 대한 대출한도 상향 조정

∙ 건축 관련학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해 친환경 건축물에 대한 관심 제고

- HUG 오픈캠퍼스 추진 시 건축 관련학과(건축공학과 건축디자인과 등) 학생에게 교육

추진및공사인턴체험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제로에너지 건축물지원 제도

규정신설 -

HUG오픈캠퍼스 수료학생수 (건축 관련 학과 포함)

100 110 121 133 146

- 27 -

(5대 과제) 공정경제 기반 구축 중점

실행과제

(37)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 진입장벽 해소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물품구매 대금결제 등에 중소기업 창업기업 등에 대한 계약규제 완화를

통해 공정경제 기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함

(추진내용)

∙ 신규 창업middot중소기업에 대한 진입장벽 완화

- 소규모 물품middot용역 입찰(고시금액 21억원 미만) 참여시 상대적으로불리한신규창업 및

중소기업에대한실적제한폐지

- 다만 부득이용역의성격상실적평가가필요한경우창업기업실적인정기간연장

(현행 3년 rarr 7년)을 통한 부담 완화

∙ 지체상금 부담경감 (현행의 12수준) 을 통한 상생협력 강화

∙ 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에 대한 용역대금 선급금지급률 확대

추진목표

중소기업 등 협력업체 계약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779 790 80 81 -

실행과제

(38)

공정경제를 위한 지역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업자 보호강화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건설사업장 인근지역 중소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대금의 현금

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한 하도급업자 보호 강화

(추진내용)

∙ 지역 중소 건설업체들에게 동일한 기회제공 및 공정한 경쟁 유도

- 건설사업장에서 지역건설업체와 하도급계약 체결 시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 할인 추진

∙ 협력업체 하도금대금의 현금지급 확대

- 하도급대금을 현금으로 지급할 경우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를 할인

하여 협력업체 및 근로자들의 보호를 강화하고 시장에서의 우위 선점

추진목표

지역 하도급업체 계약체결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규정개정 30 40 50 60

하도급대금의 현금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해 하도급업자 보호

- 28 -

3 국민신뢰 회복

(6대 과제) 적극행정 확산 등 조직운영 혁신

실행과제

(39)고용위기지역에 대한 금융지원 추진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용위기지역에 대한 지원강화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추진내용)

∙ 고용위기지역 내 임대주택 건립시 보증료 할인 추진(완료)

- 고용위기지역및고용재난지역소재임대보증금보증사업장보증료 10인하( 1812)

∙ 고용위기지역 내 임차인이 전세금보증 이용시 보증료 할인 검토

- 전세보증금반환보증(전세금보장) 전세안심대출(전세금대출지원)

보증이용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임차주택으로 변경시 보증료 할인 검토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보유한 주택건설사업자가 입주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임차

주택으로변경하여전세금보증가입신청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추진목표

고용위기지역 금융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마련 및 운영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40)근로여건 개선을 통한 휴식 있는 삶 지원 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일ㆍ가정 양립에 대한 법적ㆍ사회적 요구 증대됨에 따라 장시간 근로문화를 타파하고 휴식 있는 삶을 지원하여 일ㆍ생활의 균형 실현

(추진내용)

∙ 장시간 근로문화 타파- 직원니즈를반영한공사맞춤형복무제도수립및운영- PC-OFF 강화 (주2회rarr매일)- 퇴근장려캠페인 (인사안하고퇴근하기 관리자솔선수범퇴근)∙ 휴식 있는 삶 지원- 가족친화제도지속개발 (일가양득프로그램운영)- 연차휴가및남성육아휴직이용률향상을위한제도개선- 시간단위연차사용을통한휴가사용활성화- 임신직원보호를위한모성보호절차도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인당 연차사용일 1426일 1497일 1572일 1651일 1733일남성육아휴직인원 331 348 365 383 402

- 29 -

실행과제

(41)

위임전결기준 개선을 통한 업무처리 혁신

(결재피로감 낮추고 책임middot권한 공백없이 업무는 신속하게)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결재절차를 단순화함으로써 신속한 업무처리 및 고객만족도 제고

(추진내용)

∙보증위탁업무전결권세분화

- 위임전결규정안마련및규정개정절차진행(5월)

보증업무 위탁外 융자수탁업무 관련 전결권 개정도 함께 추진

∙대외업무협약체결전결권세분화

- 사안의중요성및영향도등고려중장기적으로면밀한검토필요

추진목표

결재절차 단순화

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rsquo23년보증및융자수탁업무위임전결규정개정

제도 보완

실행과제

(42)지출신청 시 영수증 증빙 제출제도 개선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지출신청시 불필요한 원본구비 제도 개선을 통한 업무효율화 달성

(추진내용)

∙ 공사 지출의 42 비중을 차지하는 5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 원본 제출 제외

- 지출액 50만원 이하 법인카드 및 전자세금계산서 지출 건 원본구비 예외 조항 신설

- 확인이 필요한 간이계산서 등은 원본징구하여 지출사고 가능성 예방

- 제도 정착 전 3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에 대하여 원본 제출 제외(시범운영)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내부

규정개정 및시범운영

제도개선 지속 추진

실행과제(43)

PF보증심사 시 월별예정 분양률 분포의 계량화 담당부서금융기획실심사평가처주택도시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민간아파트 초기분양률 데이터를 활용한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

(추진내용)

∙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를 통한 심사 객관성 확보

- 월별예정분양률 관련 명확한 지침 산정으로 신청업체 및 심사자의 주관 배제

- 국가승인통계인 민간아파트초기분양률 동향 데이터를 활용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

∙ 초기분양률 동향 분석(주택도시금융연구원 협업 4월sim10월)

- 연구원과 협업을 통해 초기분양률 데이터 분석 및 관리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건의(11월)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관할 부서(금융기획실)로 세칙 개정 건의

추진목표2019년도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예상분양률 분포기준 마련 초기분양률 데이터 관리체계 구축

- 30 -

(7대 과제) 윤리경영 강화

실행과제

(46)청렴도 향상을 위한 반부패 활동 강화 담당부서 준법지원실

추진내용

윤리경영 추진조직 강화

기관장 주도의 윤리경영 고위직 협의체 구축 내부 자문기구「청렴자문위

원회」운영 강화 및 임원의 윤리자가진단 현황 정보공개

반부패middot청렴 대외 활동 활성화

부산 이전 공공기관 청렴 협의체「청렴 클러스터」활동 강화

「부산투명사회실천 민middot관 네트워크」가입middot활동 실시

「유엔글로벌콤팩트(UNGC)」활동으로 글로벌 윤리역량 강화

실행과제

(44)논스톱 고분양가 심사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공사 PF보증 사업장에 대한 고분양가 심사기준 개선을 통한 사업

안정성 제고 및 고객신뢰성 확보

(추진내용)

∙ 「고분양가사업장심사규정」개정 추진(5월~6월)

- 고분양가 관리지역 내에서 공사 PF보증 발급예정사업장의 고분양가 심사기준(비교

사업장 선정 및 분양가격 산출 등)의 적용을lsquoPF보증 본점 승인시점rsquo으로 명확히 함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고분양가심사규정개정

사업안정성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 추진

실행과제

(45)임대리츠 통계 및 사후관리시스템 개선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목적) 자리츠 사후관리 주관기관(모리츠 AMC인 LH) 및 감독관리기관

(HUG) 간의 업무분장에 따라 사후관리 데이터 품질 저하 등 발생

rArr 기관간 협업체계 개선 관련 시스템 개발 등을 통한 사후관리 관련 데이터품질 향상 및 대정부 정보전달 적시성 확보

(추진내용)

∙ 리츠 기금출자내용 변경시 임대리츠 이력관리 등이 가능하게 하는 통계시스템 개발

∙ 분기별 사후관리보고 제출기한 마련 검토

∙ 임대리츠 통계관리 업무체계 내실화를 위한 기관간 협업 수행

추진목표

임대리츠 사후관리 구조 개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전산시스템개발 및시스템 구축

임대리츠사후관리

체계개선 수행

시스템 운용및 개선사항도출

기관간 협업수행(데이터관

리)

임대리츠통합데이터관리 수행

- 31 -

(8대 과제) 국민의 참여협력 확대 및 지역사회 공헌

실행과제

(47)

혁신도시 맞춤형 지역인재 육성 지원 및

인재채용 투명성 강화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도시 지원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증대에 따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한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

(추진내용)

∙ 市-지역대학간 협업으로 지역인재 육성 교육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 외부 면접위원 확대 및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인사 절차의 공정성 강화

∙ 사회형평적 채용실시와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을 통한 불합리한 차별 해소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지역채용 21 24 27 30 33지역인재육성 총 교육시간(교육인원times교육시간 시간) 3000 4500 4500 4500 4500

지역인재육성교육만족도(점수) 944 949 954 959 964

실행과제

(48)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사회공헌사업 확대 추진 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정부의 lsquo사회적 가치 실현rsquo을 정책에 따라 사회적 경제 및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사회공헌 필요성 증가

(추진내용)

∙ 안전한 주거환경 제공

- 무주택 국가유공자 및 저소득층 임차자금 170세대 지원(~8월10억원)- HUG 셰어하우스 3호 신촌점 완공 청년 24명 입주 완료(~10월2억원)- 저소득층 노후주택 및 소규모 사회복지시설 127세대 개보수(~10월8억원)- HUG STREET 잘사는 골목길 등 환경개선사업 대상지 선정 완료(~10월1억1천만원)

∙ 지역사회와 상생

- 노후 슬레이트 지붕개량 및 태양광 지원 사업 4자 협약(~8월3억원) HUG-부산시-한국사회복지협의회-부산도시재생지원센터

- HOPE with HUG 10호 11호 완공(~9월1억5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지역건설사-지역건축전문가 협업을 통한 주거개선사업

- 부산 송상현 광장 내 도시놀이터 프로젝트 완료(~9월7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부산시설공단 협업을 통한 문화middot휴식공간 조성

청렴 모니터링 다각화

청렴의식 환기를 위한 「자가점검 프로그램」실시

「청렴 옴부즈만」운영

개선 아이디어 발굴을 위한 「신입사원 生生 모니터링」

추진목표

종합청렴도 결과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3등급 2등급 1등급 1등급 1둥급

- 32 -

∙ 균등한 기회와 사회통합

- 중학생 자유학기제 지원 프로그램 운영(9월~4천만원)- 저소득층 청소년 20명ndash대학생 20명 매칭 등(6월~5천만원)- lsquoKBS 동행rsquo에 출연하는 저소득 가정 50세대 지원(7월~1억원)- 발달장애 청년 재능개발 프로젝트lsquo눈부신하루rsquo추진(6월~3천만원)- 신입사원 봉사활동 등을 통한 지역사회 나눔활동(~10월7천2백만원)- 저소득층 난방연료 지원을 위한 주택도시업 캠페인(~12월5천만원)- 자매결연 마을 농수산물 구입기증(~12월4천만원)

추진목표

추진 목표는 해당연도 사회공헌 기부금 예산금액(이사회 의결금액)과 연계

기부금액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8620백만원 8879백만원 9145백만원 9419백만원 9702백만원 전년도예산금액103

실행과제

(49)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목적) 도시재생과 유사한 목표비전을 공유하는 사회적경제와 연계한 맞춤형

금융상품 운영 및 관련 지원조직과 다각적 협업 활동 추진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지역주민이 주도하는 도시재생 금융지원으로 국민의 삶의 질 개선

(목적) 주민지역공동체 주도의 마을단위 도시재생으로의 변화에 대응하여

사회적 경제주체 등 지원체계 개선으로 사회적 가치 실현에 기여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추진목표

수요자중심형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510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실행과제

(50)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국민이 참여하는

HUG사업평가단(가칭) 운영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보증업무 전반에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HUG

사업평가단 구성하여 주택품질 제고 및 안심입주 지향

(추진내용)

∙ 국민이 참여하는 보증솔루션팀 및 보증심사 리뷰단을 통해 제도 개선사항 도출

∙ 보증채권자 권익에 미치는 사항 등 국민의견 수렴을 통한 보증이행제도 개선

∙ 전세금보증 이행완료 고객 및 공인중개사 참여를 통한 제도개선 사항 발굴

추진목표 2019년 국민 의견수렴을 통한 전세금보증 제도 개선 등 검토

- 33 -

실행과제(51)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과 협업하여효율적인 전세금보증 이행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이행 업무의 효율성 제고

(추진내용)

∙ 지역사회단체 등과의 협업을 통한 임차인 퇴거확인 추진 검토

- 보증사고 발생 시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 구성원이 임차인 퇴거를

확인하여 담당직원 업무 공백 최소화 (직원 출장비 수준으로 비용 지급)

- 임차인 퇴거 확인 시 해당 주택가격 및 신규 임차인 확보 가능성 검토결과를

보고받아 채권보전조치를 위한 근거 확보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거보호 이행도(전세금보증 이행 15일초과건수전체이행건수)

50 45 41 37 34

- 34 -

Ⅳ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및 적극행정 확산

①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국민참여게시판을 lsquo국민제안(국민rarr기관)rsquo

및 lsquo정책제안(기관rarr국민)rsquo 게시판으로 세분화하여 국민과 기관간

상시 소통기반 마련 경평지적

지적사항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위한 개선방안 마련 필요

(혁신 네트워크 강화) 시민참여혁신단 보증채권권익위원회 전세금

보증 시민참여단 기금홍보협의회 운영 등 주요사업에 기반하여

다양한 대외 전문기관과 네트워크 활성화 경평지적

지적사항 보증 기금등주요사업역량강화를위한전문기관혁신네트워크강화필요

② 적극행정 확산

(적극행정 면책제도 활용) 감사계획 통보 시 적극행정 면책제도

middot사전컨설팅 제도 사전안내 및 면책신청 지원을 위한 상담창구

운영 등 (계획수립 完 감사실-2367호)

(기관장 책임강화) 혁신전략위원회(위원장 사장)를 통해 적극행정

혁신과제에 대한 추진독려 및 이행사항 점검 등 보완사항 지속

발굴 (혁신페스티벌 1middot2차 개최)

(적극행정 우수사례 발굴)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를 통해 조직내

적극행정 분위기 유도 (포상 및 내부성과평가 반영 등)

성과창출에 실패했더라도 기존관행 탈피 새로운 영역개척 국민접점에서

활력을 제고하는 등 lsquo착한실패rsquo lsquo건전한파격rsquo에 대해서도 포상추진 예정

(적극행정 인식확산) 적극행정 사이버교육(법제처 주관) 이수 등

적극행정 인식확산을 위한 교육참여 시 혁신마일리지 부여 (전사 교육 실시 예정)

- 35 -

Ⅴ 혁신 추진도구별 업무일정

구 분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1 2 3 4 5 6 7 8 9 10 11 12

1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2 국민소통 강화

3 혁신페스티벌

4 유관기관 협업

5 혁신채널 구축

6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7 제안제도 정비

8 혁신콘서트

9 혁신교육 및 혁신워크숍

10 혁신레터

11 혁신마일리지 신설

12 혁신BP 발굴 및 포상

피드백

(성과관리) 공공기관 혁신 및 기관 경영혁신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혁신과제 추진실적을 정기적으로 점검 및 피드백

(혁신전파) 조직원 전체의 혁신공감대 형성 및 참여도 제고를 위해

본사부서 및 영업부서 방문 등을 통해 혁신활동 및 우수사례 공유

(혁신내재화) 국민소통채널 혁신마일리지 혁신레터 등 혁신활동이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고 혁신업무에 대해

조직원이 공감하고 회사 모든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

Page 22: 2019년 HUG 혁신 추진계획 - khug.or.kr…„HUG혁신추진계획.pdf · 혁신페스티벌 - (내부 혁신과제 발굴) 조직·인사·제도·서비스혁신 등 회사

- 21 -

2 혁신적 포용국가 선도

(3대 과제) 경제활력 제고 및 일자리 중심 경제 선도 중점

실행과제

(20)공공정보 연계 통한 서류제출 절차 간소화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필요한 서류를 간소화함으로써 대국민서비스 질 제고 (추진내용)∙ 필요한 서류 등을 공사 전산으로 조회 가능한 시스템 구축∙ 기금대출절차 혁신 시스템과 연계

추진목표 ∙ (비계량) 필요서류 전산조회 시스템 구축

실행과제

(21)사업다각화를 통한 고용증대 및 비정규직 ZERO화 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서민 주거복지 도시재생 활성화 지원 등을 위한 기관 자체의 적극적인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공기업 서비스 제고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증원 및 채용 확대- 신사업 발굴 및 자율정원제를 통한 적극적인 증원-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청년 및 지역 인재 채용∙ 사회 양극화 해소를 위한 비정규직 ZERO화- 노사 공감대에 기반한 정당한 절차를 통한 전환 추진 및 전환근로자 처우 개선 노력

추진목표정원 비정규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766명 0명 903명 0명 995명 0명 1033명 0명 1062명 0명

실행과제

(22)

주거복지 및 도시재생을 위한

도시재생 창업공간 금융지원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도시재생 금융상품을 통한 창업지원 (목적) 창업과 관련한 도시재생 금융상품을 통해 민간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창업 관련 수요자 중심형 기금융자 및 보증상품 개발 운용- 코워킹시설조성 상가리모델링 공공임대상가 등 기금융자 지원

도시재생뉴딜 금융지원을 위한 사회적 금융 연계 지원 (목적) 도시재생분야법인단체창업관련크라우드펀딩 및 창업지원 컨설팅 추진 (추진내용)∙ 도시재생분야에대중투자연계일자리창출및지역주도사회적경제활성화지원- 뉴딜로 도시재생 크라우드펀딩 대회 개최 등∙ 도시재생 창업단체에 대한 지원을 위해 HUG형 민간일자리 창출 프로젝트 추진- HUG와 함께하는 도시재생 뉴딜 창업프로젝트 추진 및 사회적 경제조직 활성화

추진목표창업지원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510억원 1548억 1548억 1548억 1548억

- 22 -

실행과제

(23)IT선진화를 통한 민간일자리 창출 담당부서

기금정보처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고유목적사업인 주택보증 주택도시기금 및 도시재생분야의 IT 시스템

구축 및 개선을 통한 민간 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 주택도시기금 정보시스템 통합 유지보수

- (추진기간) 유지보수 사업의 특성으로 매년 발생

- (일자리창출) 2019년(8명) 2020년 sim 2023년(매년 16명)

∙ 도시재생 금융지원 전산시스템 구축

- 도시재생융자등원활한도시계정업무를뒷받침하기위한온라인금융지원시스템구축

- 추진기간 2018년~2019년 투입금액 및 인력 51억원 41명

∙ 주택도시기금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구축

- 주택도시기금 대출절차 편의 제고 및 절차 간소화 시스템 구축

- 추진기간 2018년~2019년 투입금액및인력 컨설팅용역43억원 12명 전산용역74억원52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기금업무 운영 유지보수 8 16 16 16 16

도시재생 융자시스템 41 - - - -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64 - - - -

합 계 177

실행과제

(24)

공공기관 공동기금 조성을 통한

지역 사회적경제 활성화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이전지역 기관간 협업을 통한 사회적경제 활성화로 지속가능한 일자리

제공 지역경제 활성화 추진

(추진내용)

∙ 부산 사회적경제 지원기금(BEF) 지원을 통한 사회적기업 육성 및 지원

- Pilot Program (크라우드펀딩) 20개소 창업단계 재정지원 5개소 Start-up 재정지원

15개소 Scale-up(성정기 기업) 대출지원 5개소 BEF 경영컨설팅 50회 BEF

사회적기업 연구가 인재육성 실시 2회 BEF 판로지원 5개소 등

추진목표

기금지원 (자체 공동)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억원(10억원)

1억원(10억원)

1억원(10억원)

1억원(125억원)

-

- 23 -

(4대 과제) 혁신성장 지원

실행과제

(25)상가임차금 안심대출 상품개발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도시재생지역 내 상가임차인 보호를 위한 상가임차금안심대출 개발

(추진내용)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법령 개정 검토

-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등 관련 법령 개정안 검토

- 법령 개정안 정부 건의 (우선변제권 승계기관 포함)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시장분석 및 조사(`20)

- 상가임차보증금 시장분석 및 보증이용 수요조사

- 보증료율 검토 및 리스크 분석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출시(`21)

- 사규개정 및 법령개정 완료

추진목표

상가임차보증금 상품 출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내부검토 법령개정 시장분석 상품출시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26)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사고 위기사업장과 보증실적의 증가로 사전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및 정기 점검활동 강화 및 핵심업무 역량집중 강화

(추진내용)

∙ 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 현장점검 대상사업장을 파악하여 외주용역을 통한 점검 추진 검토

추진목표 ∙ 2019년도 현장점검 외주화

실행과제

(27)

비대면 전세금보증을 통한 혁신성장 기반 마련

(카카오페이를 통한 가입확대 등)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모바일 전세금보증

스마트폰을이용해언제 어디서든쉽게보증을신청할수있도록모바일가입채널마련

∙ (모바일 인터페이스) 인터넷 전세금보증 프로세스를 모바일웹에 최적화하여 로그인

부터 보증가입 승인까지 전 프로세스 지원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위탁은행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증가입 프로세스 개선

(현행) 임차인이 선순위 채권 등 보증가입정보를 입력

(개선) 임차인은개인정보및계약정보만입력하고세부심사에필요한정보는심사자가입력

모바일 안심대출보증

위탁은행 비대면 전세금 안심대출 상품 개발

추진목표 2019년 전세금보증의 완전한 모바일 가입체계 구축

- 24 -

실행과제

(28)국민 주거편의 제공을 위한 스마트시티 건설 지원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목적) 핵심 국정과제인 스마트시티 분야의 금융지원 플랫폼으로서 주택도시기금지원 기반 모색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검토 및 금융상품 초안 마련

(추진내용)

∙ 민간사업자 의견 수렴 및 스마트시티 기금 금융지원 상품 초안 마련 -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및 주요 요소기술산업 등 동향 파악- 민간사업자 의견수렴을 바탕으로 실질적 금융지원이 가능한 상품 개발 추진∙ 주택도시기금법 개정안 마련 및 정부 건의∙ 스마트시티 건설사업장에 대한 보증료 할인 또는 보증심사 가점부여∙ 스마트시티 건설 신공법 소개 및 성공사례 공유

추진목표금융지원 확대 건수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건 1건 2건 3건 3건

실행과제

(29)HUG 빅데이터운영체계구축으로공공데이터개방기여 담당부서

주택도시

금융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기관 내middot외부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주택middot도시middot금융 분야의 환경 변화를진단함으로서 4차산업 혁명시대 도래에 따른 선제적인 대응 체계 마련

(추진내용)

∙ (1단계) HUG 빅데이터 기반 주택시장 분석 인프라 설계 및 로드맵 수립∙ (2단계) HUG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구축 및 모델 개발∙ 수요자(국민middot정부middot공사)별 빅데이터 활용 영역 확대 및 분석 기능 고도화

추진목표공공데이터 외부개방(제공) 건수 (오픈API포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38건 42건 46건 51건 56건

실행과제

(30)

친환경middot신소재 활용으로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

(제로에너지 건축물 건설자금지원 등)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주택건설사업장에 친환경middot신소재 사용을 유도함으로써 환경 친화적 주택건설과 에너지신산업 판로지원

(추진내용)

∙ 친환경 제품 및 에너지 신소재 제품사용 주택건설사업장에 보증심사 가점부여(완료)- (`1812) 녹색건축물인증등급부여고객보증심사시초기예상분양율 5〜1점가점부여

∙ (추진) 신소재 적용 주택건설사업장 확대를 위해 보증심사시 가점부여

- SOC 공공기관 통합기술마켓과 연계한 보증우대 방안 마련 중소기업이 보유한 SOC 공공기관 관련 혁신기술의 공모middot연구개발 제안 및 검증을

통해 상품화 및 홍보middot판매를 지원하는 플랫폼

추진목표

친환경적 주택건설 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

- 25 -

실행과제

(31)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비대면 가입 활성화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9개 수탁은행에 온라인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 독려

연령 무주택세대주 소득증빙 등 가입 시 제출서류가 많아 비대면 시스템 구축 시

지점방문 없이 간편하게 가입 가능

신한은행 최초로 완전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821)

비대면 가입 주택도시기금포털에 안내 및 홍보

비대면 가입 시스템 기금포털 홍보 게시하여 수탁은행 시스템 개발 독려

추진목표 목표비대면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전체 가입의 6 전체 가입의 12

실행과제

(32)전기자동차 도입을 통한 친환경 에너지 수요 창출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업무용 차량의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ㅇ 2018년 임차기간 만료예정인 업무용 차량을 전기자동차로 대체

ㅇ 추후 본사 및 영업부서 업무용 차량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추진목표 2019년 중 전기자동차 1대 충전소 1개소 설치실행과제

(33)드론 활용을 통한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기술middot제품에 대한 선제적 구매 및 테스트와 고유사업에 활용

으로 민간 초기시장 조성을 견인

(추진내용)

∙ 보증이행사업장 드론 안전점검 시범실시

- (`1812) 예산 미편성으로 1개 사업장 드론촬영 시범실시 및 효용성 검토

∙ 보유중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에 드론 활용 확대

- (`196) 전문엔지니어링 업체 발굴로 일자리 창출 및 보유 사업장 전체(2개)에

드론 활용 안전점검 실시 rArr 위험요소 발굴로 관할센터에 사고예방을 위한

안전조치 권고문서 시행

추진목표

안전사고 발생비율(발생건수보유사업장)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0 0 0 0 0 안전사고발생 ZERO무사고 달성

실행과제

(34)드론활용사업장안전관리및점검체계구축(시범단지운영)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HUG형 혁신 사업장 안전관리 및 점검체계 구축

ㅇ 드론 활용 사업장 안전 및 점검체계 구축

ㅇ 시범단지 선정 및 운용 세부계획 검토

∙ 드론 등 기술혁신 도구관련 관련 업체 및 유관기관 협의

∙ 사업장-영업부서-본사부서 협업체계 및 활용방안(HUG-i 게시) 등

추진목표안전사고로 인한 분양보증사고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0 0 0 0 0

- 26 -

실행과제

(35)블록체인을 활용한 안전하고 편리한 인터넷서비스 제공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정부주도의 공인인증서 폐지정책(전자서명법 전부개정 예고)에 따라 전자

서명에 대한 인터넷 사용자 대체 인증수단 개발

(추진내용)

∙ 블록체인 기반의 본인인증 서비스 (카카오페이 인증 서비스) 도입

- 인터넷보증시스템에서보증료영수증및보증서출력시카카오인증을이용한전자문서

유통증명서비스제공

∙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대국민서비스 확대

- 전자서명법개정에따른블록체인기반의전자서명서비스도입

- 온라인 등기우편(연체정보 등 전자우편을 본인인증 후 열람) 일괄발송 발송내역 조회

및유통증명서발급시스템구축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블록체인기반본인인증서비스시범도입

블록체인기술을이용한

대국민서비스확대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실행과제

(36)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사업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환경보호라는 공공성을 위하여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건물

보증에 대해 유인책 마련 필요

(추진내용)

∙ 제로에너지 건축물에 대한 대출한도 상향 조정

∙ 건축 관련학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해 친환경 건축물에 대한 관심 제고

- HUG 오픈캠퍼스 추진 시 건축 관련학과(건축공학과 건축디자인과 등) 학생에게 교육

추진및공사인턴체험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제로에너지 건축물지원 제도

규정신설 -

HUG오픈캠퍼스 수료학생수 (건축 관련 학과 포함)

100 110 121 133 146

- 27 -

(5대 과제) 공정경제 기반 구축 중점

실행과제

(37)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 진입장벽 해소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물품구매 대금결제 등에 중소기업 창업기업 등에 대한 계약규제 완화를

통해 공정경제 기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함

(추진내용)

∙ 신규 창업middot중소기업에 대한 진입장벽 완화

- 소규모 물품middot용역 입찰(고시금액 21억원 미만) 참여시 상대적으로불리한신규창업 및

중소기업에대한실적제한폐지

- 다만 부득이용역의성격상실적평가가필요한경우창업기업실적인정기간연장

(현행 3년 rarr 7년)을 통한 부담 완화

∙ 지체상금 부담경감 (현행의 12수준) 을 통한 상생협력 강화

∙ 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에 대한 용역대금 선급금지급률 확대

추진목표

중소기업 등 협력업체 계약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779 790 80 81 -

실행과제

(38)

공정경제를 위한 지역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업자 보호강화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건설사업장 인근지역 중소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대금의 현금

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한 하도급업자 보호 강화

(추진내용)

∙ 지역 중소 건설업체들에게 동일한 기회제공 및 공정한 경쟁 유도

- 건설사업장에서 지역건설업체와 하도급계약 체결 시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 할인 추진

∙ 협력업체 하도금대금의 현금지급 확대

- 하도급대금을 현금으로 지급할 경우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를 할인

하여 협력업체 및 근로자들의 보호를 강화하고 시장에서의 우위 선점

추진목표

지역 하도급업체 계약체결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규정개정 30 40 50 60

하도급대금의 현금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해 하도급업자 보호

- 28 -

3 국민신뢰 회복

(6대 과제) 적극행정 확산 등 조직운영 혁신

실행과제

(39)고용위기지역에 대한 금융지원 추진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용위기지역에 대한 지원강화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추진내용)

∙ 고용위기지역 내 임대주택 건립시 보증료 할인 추진(완료)

- 고용위기지역및고용재난지역소재임대보증금보증사업장보증료 10인하( 1812)

∙ 고용위기지역 내 임차인이 전세금보증 이용시 보증료 할인 검토

- 전세보증금반환보증(전세금보장) 전세안심대출(전세금대출지원)

보증이용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임차주택으로 변경시 보증료 할인 검토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보유한 주택건설사업자가 입주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임차

주택으로변경하여전세금보증가입신청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추진목표

고용위기지역 금융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마련 및 운영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40)근로여건 개선을 통한 휴식 있는 삶 지원 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일ㆍ가정 양립에 대한 법적ㆍ사회적 요구 증대됨에 따라 장시간 근로문화를 타파하고 휴식 있는 삶을 지원하여 일ㆍ생활의 균형 실현

(추진내용)

∙ 장시간 근로문화 타파- 직원니즈를반영한공사맞춤형복무제도수립및운영- PC-OFF 강화 (주2회rarr매일)- 퇴근장려캠페인 (인사안하고퇴근하기 관리자솔선수범퇴근)∙ 휴식 있는 삶 지원- 가족친화제도지속개발 (일가양득프로그램운영)- 연차휴가및남성육아휴직이용률향상을위한제도개선- 시간단위연차사용을통한휴가사용활성화- 임신직원보호를위한모성보호절차도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인당 연차사용일 1426일 1497일 1572일 1651일 1733일남성육아휴직인원 331 348 365 383 402

- 29 -

실행과제

(41)

위임전결기준 개선을 통한 업무처리 혁신

(결재피로감 낮추고 책임middot권한 공백없이 업무는 신속하게)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결재절차를 단순화함으로써 신속한 업무처리 및 고객만족도 제고

(추진내용)

∙보증위탁업무전결권세분화

- 위임전결규정안마련및규정개정절차진행(5월)

보증업무 위탁外 융자수탁업무 관련 전결권 개정도 함께 추진

∙대외업무협약체결전결권세분화

- 사안의중요성및영향도등고려중장기적으로면밀한검토필요

추진목표

결재절차 단순화

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rsquo23년보증및융자수탁업무위임전결규정개정

제도 보완

실행과제

(42)지출신청 시 영수증 증빙 제출제도 개선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지출신청시 불필요한 원본구비 제도 개선을 통한 업무효율화 달성

(추진내용)

∙ 공사 지출의 42 비중을 차지하는 5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 원본 제출 제외

- 지출액 50만원 이하 법인카드 및 전자세금계산서 지출 건 원본구비 예외 조항 신설

- 확인이 필요한 간이계산서 등은 원본징구하여 지출사고 가능성 예방

- 제도 정착 전 3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에 대하여 원본 제출 제외(시범운영)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내부

규정개정 및시범운영

제도개선 지속 추진

실행과제(43)

PF보증심사 시 월별예정 분양률 분포의 계량화 담당부서금융기획실심사평가처주택도시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민간아파트 초기분양률 데이터를 활용한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

(추진내용)

∙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를 통한 심사 객관성 확보

- 월별예정분양률 관련 명확한 지침 산정으로 신청업체 및 심사자의 주관 배제

- 국가승인통계인 민간아파트초기분양률 동향 데이터를 활용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

∙ 초기분양률 동향 분석(주택도시금융연구원 협업 4월sim10월)

- 연구원과 협업을 통해 초기분양률 데이터 분석 및 관리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건의(11월)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관할 부서(금융기획실)로 세칙 개정 건의

추진목표2019년도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예상분양률 분포기준 마련 초기분양률 데이터 관리체계 구축

- 30 -

(7대 과제) 윤리경영 강화

실행과제

(46)청렴도 향상을 위한 반부패 활동 강화 담당부서 준법지원실

추진내용

윤리경영 추진조직 강화

기관장 주도의 윤리경영 고위직 협의체 구축 내부 자문기구「청렴자문위

원회」운영 강화 및 임원의 윤리자가진단 현황 정보공개

반부패middot청렴 대외 활동 활성화

부산 이전 공공기관 청렴 협의체「청렴 클러스터」활동 강화

「부산투명사회실천 민middot관 네트워크」가입middot활동 실시

「유엔글로벌콤팩트(UNGC)」활동으로 글로벌 윤리역량 강화

실행과제

(44)논스톱 고분양가 심사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공사 PF보증 사업장에 대한 고분양가 심사기준 개선을 통한 사업

안정성 제고 및 고객신뢰성 확보

(추진내용)

∙ 「고분양가사업장심사규정」개정 추진(5월~6월)

- 고분양가 관리지역 내에서 공사 PF보증 발급예정사업장의 고분양가 심사기준(비교

사업장 선정 및 분양가격 산출 등)의 적용을lsquoPF보증 본점 승인시점rsquo으로 명확히 함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고분양가심사규정개정

사업안정성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 추진

실행과제

(45)임대리츠 통계 및 사후관리시스템 개선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목적) 자리츠 사후관리 주관기관(모리츠 AMC인 LH) 및 감독관리기관

(HUG) 간의 업무분장에 따라 사후관리 데이터 품질 저하 등 발생

rArr 기관간 협업체계 개선 관련 시스템 개발 등을 통한 사후관리 관련 데이터품질 향상 및 대정부 정보전달 적시성 확보

(추진내용)

∙ 리츠 기금출자내용 변경시 임대리츠 이력관리 등이 가능하게 하는 통계시스템 개발

∙ 분기별 사후관리보고 제출기한 마련 검토

∙ 임대리츠 통계관리 업무체계 내실화를 위한 기관간 협업 수행

추진목표

임대리츠 사후관리 구조 개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전산시스템개발 및시스템 구축

임대리츠사후관리

체계개선 수행

시스템 운용및 개선사항도출

기관간 협업수행(데이터관

리)

임대리츠통합데이터관리 수행

- 31 -

(8대 과제) 국민의 참여협력 확대 및 지역사회 공헌

실행과제

(47)

혁신도시 맞춤형 지역인재 육성 지원 및

인재채용 투명성 강화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도시 지원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증대에 따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한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

(추진내용)

∙ 市-지역대학간 협업으로 지역인재 육성 교육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 외부 면접위원 확대 및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인사 절차의 공정성 강화

∙ 사회형평적 채용실시와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을 통한 불합리한 차별 해소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지역채용 21 24 27 30 33지역인재육성 총 교육시간(교육인원times교육시간 시간) 3000 4500 4500 4500 4500

지역인재육성교육만족도(점수) 944 949 954 959 964

실행과제

(48)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사회공헌사업 확대 추진 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정부의 lsquo사회적 가치 실현rsquo을 정책에 따라 사회적 경제 및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사회공헌 필요성 증가

(추진내용)

∙ 안전한 주거환경 제공

- 무주택 국가유공자 및 저소득층 임차자금 170세대 지원(~8월10억원)- HUG 셰어하우스 3호 신촌점 완공 청년 24명 입주 완료(~10월2억원)- 저소득층 노후주택 및 소규모 사회복지시설 127세대 개보수(~10월8억원)- HUG STREET 잘사는 골목길 등 환경개선사업 대상지 선정 완료(~10월1억1천만원)

∙ 지역사회와 상생

- 노후 슬레이트 지붕개량 및 태양광 지원 사업 4자 협약(~8월3억원) HUG-부산시-한국사회복지협의회-부산도시재생지원센터

- HOPE with HUG 10호 11호 완공(~9월1억5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지역건설사-지역건축전문가 협업을 통한 주거개선사업

- 부산 송상현 광장 내 도시놀이터 프로젝트 완료(~9월7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부산시설공단 협업을 통한 문화middot휴식공간 조성

청렴 모니터링 다각화

청렴의식 환기를 위한 「자가점검 프로그램」실시

「청렴 옴부즈만」운영

개선 아이디어 발굴을 위한 「신입사원 生生 모니터링」

추진목표

종합청렴도 결과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3등급 2등급 1등급 1등급 1둥급

- 32 -

∙ 균등한 기회와 사회통합

- 중학생 자유학기제 지원 프로그램 운영(9월~4천만원)- 저소득층 청소년 20명ndash대학생 20명 매칭 등(6월~5천만원)- lsquoKBS 동행rsquo에 출연하는 저소득 가정 50세대 지원(7월~1억원)- 발달장애 청년 재능개발 프로젝트lsquo눈부신하루rsquo추진(6월~3천만원)- 신입사원 봉사활동 등을 통한 지역사회 나눔활동(~10월7천2백만원)- 저소득층 난방연료 지원을 위한 주택도시업 캠페인(~12월5천만원)- 자매결연 마을 농수산물 구입기증(~12월4천만원)

추진목표

추진 목표는 해당연도 사회공헌 기부금 예산금액(이사회 의결금액)과 연계

기부금액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8620백만원 8879백만원 9145백만원 9419백만원 9702백만원 전년도예산금액103

실행과제

(49)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목적) 도시재생과 유사한 목표비전을 공유하는 사회적경제와 연계한 맞춤형

금융상품 운영 및 관련 지원조직과 다각적 협업 활동 추진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지역주민이 주도하는 도시재생 금융지원으로 국민의 삶의 질 개선

(목적) 주민지역공동체 주도의 마을단위 도시재생으로의 변화에 대응하여

사회적 경제주체 등 지원체계 개선으로 사회적 가치 실현에 기여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추진목표

수요자중심형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510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실행과제

(50)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국민이 참여하는

HUG사업평가단(가칭) 운영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보증업무 전반에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HUG

사업평가단 구성하여 주택품질 제고 및 안심입주 지향

(추진내용)

∙ 국민이 참여하는 보증솔루션팀 및 보증심사 리뷰단을 통해 제도 개선사항 도출

∙ 보증채권자 권익에 미치는 사항 등 국민의견 수렴을 통한 보증이행제도 개선

∙ 전세금보증 이행완료 고객 및 공인중개사 참여를 통한 제도개선 사항 발굴

추진목표 2019년 국민 의견수렴을 통한 전세금보증 제도 개선 등 검토

- 33 -

실행과제(51)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과 협업하여효율적인 전세금보증 이행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이행 업무의 효율성 제고

(추진내용)

∙ 지역사회단체 등과의 협업을 통한 임차인 퇴거확인 추진 검토

- 보증사고 발생 시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 구성원이 임차인 퇴거를

확인하여 담당직원 업무 공백 최소화 (직원 출장비 수준으로 비용 지급)

- 임차인 퇴거 확인 시 해당 주택가격 및 신규 임차인 확보 가능성 검토결과를

보고받아 채권보전조치를 위한 근거 확보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거보호 이행도(전세금보증 이행 15일초과건수전체이행건수)

50 45 41 37 34

- 34 -

Ⅳ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및 적극행정 확산

①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국민참여게시판을 lsquo국민제안(국민rarr기관)rsquo

및 lsquo정책제안(기관rarr국민)rsquo 게시판으로 세분화하여 국민과 기관간

상시 소통기반 마련 경평지적

지적사항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위한 개선방안 마련 필요

(혁신 네트워크 강화) 시민참여혁신단 보증채권권익위원회 전세금

보증 시민참여단 기금홍보협의회 운영 등 주요사업에 기반하여

다양한 대외 전문기관과 네트워크 활성화 경평지적

지적사항 보증 기금등주요사업역량강화를위한전문기관혁신네트워크강화필요

② 적극행정 확산

(적극행정 면책제도 활용) 감사계획 통보 시 적극행정 면책제도

middot사전컨설팅 제도 사전안내 및 면책신청 지원을 위한 상담창구

운영 등 (계획수립 完 감사실-2367호)

(기관장 책임강화) 혁신전략위원회(위원장 사장)를 통해 적극행정

혁신과제에 대한 추진독려 및 이행사항 점검 등 보완사항 지속

발굴 (혁신페스티벌 1middot2차 개최)

(적극행정 우수사례 발굴)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를 통해 조직내

적극행정 분위기 유도 (포상 및 내부성과평가 반영 등)

성과창출에 실패했더라도 기존관행 탈피 새로운 영역개척 국민접점에서

활력을 제고하는 등 lsquo착한실패rsquo lsquo건전한파격rsquo에 대해서도 포상추진 예정

(적극행정 인식확산) 적극행정 사이버교육(법제처 주관) 이수 등

적극행정 인식확산을 위한 교육참여 시 혁신마일리지 부여 (전사 교육 실시 예정)

- 35 -

Ⅴ 혁신 추진도구별 업무일정

구 분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1 2 3 4 5 6 7 8 9 10 11 12

1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2 국민소통 강화

3 혁신페스티벌

4 유관기관 협업

5 혁신채널 구축

6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7 제안제도 정비

8 혁신콘서트

9 혁신교육 및 혁신워크숍

10 혁신레터

11 혁신마일리지 신설

12 혁신BP 발굴 및 포상

피드백

(성과관리) 공공기관 혁신 및 기관 경영혁신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혁신과제 추진실적을 정기적으로 점검 및 피드백

(혁신전파) 조직원 전체의 혁신공감대 형성 및 참여도 제고를 위해

본사부서 및 영업부서 방문 등을 통해 혁신활동 및 우수사례 공유

(혁신내재화) 국민소통채널 혁신마일리지 혁신레터 등 혁신활동이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고 혁신업무에 대해

조직원이 공감하고 회사 모든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

Page 23: 2019년 HUG 혁신 추진계획 - khug.or.kr…„HUG혁신추진계획.pdf · 혁신페스티벌 - (내부 혁신과제 발굴) 조직·인사·제도·서비스혁신 등 회사

- 22 -

실행과제

(23)IT선진화를 통한 민간일자리 창출 담당부서

기금정보처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목적) 고유목적사업인 주택보증 주택도시기금 및 도시재생분야의 IT 시스템

구축 및 개선을 통한 민간 일자리 창출

(추진내용)

∙ 주택도시기금 정보시스템 통합 유지보수

- (추진기간) 유지보수 사업의 특성으로 매년 발생

- (일자리창출) 2019년(8명) 2020년 sim 2023년(매년 16명)

∙ 도시재생 금융지원 전산시스템 구축

- 도시재생융자등원활한도시계정업무를뒷받침하기위한온라인금융지원시스템구축

- 추진기간 2018년~2019년 투입금액 및 인력 51억원 41명

∙ 주택도시기금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구축

- 주택도시기금 대출절차 편의 제고 및 절차 간소화 시스템 구축

- 추진기간 2018년~2019년 투입금액및인력 컨설팅용역43억원 12명 전산용역74억원52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기금업무 운영 유지보수 8 16 16 16 16

도시재생 융자시스템 41 - - - -

대출심사 통합시스템 64 - - - -

합 계 177

실행과제

(24)

공공기관 공동기금 조성을 통한

지역 사회적경제 활성화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이전지역 기관간 협업을 통한 사회적경제 활성화로 지속가능한 일자리

제공 지역경제 활성화 추진

(추진내용)

∙ 부산 사회적경제 지원기금(BEF) 지원을 통한 사회적기업 육성 및 지원

- Pilot Program (크라우드펀딩) 20개소 창업단계 재정지원 5개소 Start-up 재정지원

15개소 Scale-up(성정기 기업) 대출지원 5개소 BEF 경영컨설팅 50회 BEF

사회적기업 연구가 인재육성 실시 2회 BEF 판로지원 5개소 등

추진목표

기금지원 (자체 공동)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억원(10억원)

1억원(10억원)

1억원(10억원)

1억원(125억원)

-

- 23 -

(4대 과제) 혁신성장 지원

실행과제

(25)상가임차금 안심대출 상품개발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도시재생지역 내 상가임차인 보호를 위한 상가임차금안심대출 개발

(추진내용)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법령 개정 검토

-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등 관련 법령 개정안 검토

- 법령 개정안 정부 건의 (우선변제권 승계기관 포함)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시장분석 및 조사(`20)

- 상가임차보증금 시장분석 및 보증이용 수요조사

- 보증료율 검토 및 리스크 분석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출시(`21)

- 사규개정 및 법령개정 완료

추진목표

상가임차보증금 상품 출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내부검토 법령개정 시장분석 상품출시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26)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사고 위기사업장과 보증실적의 증가로 사전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및 정기 점검활동 강화 및 핵심업무 역량집중 강화

(추진내용)

∙ 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 현장점검 대상사업장을 파악하여 외주용역을 통한 점검 추진 검토

추진목표 ∙ 2019년도 현장점검 외주화

실행과제

(27)

비대면 전세금보증을 통한 혁신성장 기반 마련

(카카오페이를 통한 가입확대 등)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모바일 전세금보증

스마트폰을이용해언제 어디서든쉽게보증을신청할수있도록모바일가입채널마련

∙ (모바일 인터페이스) 인터넷 전세금보증 프로세스를 모바일웹에 최적화하여 로그인

부터 보증가입 승인까지 전 프로세스 지원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위탁은행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증가입 프로세스 개선

(현행) 임차인이 선순위 채권 등 보증가입정보를 입력

(개선) 임차인은개인정보및계약정보만입력하고세부심사에필요한정보는심사자가입력

모바일 안심대출보증

위탁은행 비대면 전세금 안심대출 상품 개발

추진목표 2019년 전세금보증의 완전한 모바일 가입체계 구축

- 24 -

실행과제

(28)국민 주거편의 제공을 위한 스마트시티 건설 지원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목적) 핵심 국정과제인 스마트시티 분야의 금융지원 플랫폼으로서 주택도시기금지원 기반 모색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검토 및 금융상품 초안 마련

(추진내용)

∙ 민간사업자 의견 수렴 및 스마트시티 기금 금융지원 상품 초안 마련 -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및 주요 요소기술산업 등 동향 파악- 민간사업자 의견수렴을 바탕으로 실질적 금융지원이 가능한 상품 개발 추진∙ 주택도시기금법 개정안 마련 및 정부 건의∙ 스마트시티 건설사업장에 대한 보증료 할인 또는 보증심사 가점부여∙ 스마트시티 건설 신공법 소개 및 성공사례 공유

추진목표금융지원 확대 건수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건 1건 2건 3건 3건

실행과제

(29)HUG 빅데이터운영체계구축으로공공데이터개방기여 담당부서

주택도시

금융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기관 내middot외부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주택middot도시middot금융 분야의 환경 변화를진단함으로서 4차산업 혁명시대 도래에 따른 선제적인 대응 체계 마련

(추진내용)

∙ (1단계) HUG 빅데이터 기반 주택시장 분석 인프라 설계 및 로드맵 수립∙ (2단계) HUG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구축 및 모델 개발∙ 수요자(국민middot정부middot공사)별 빅데이터 활용 영역 확대 및 분석 기능 고도화

추진목표공공데이터 외부개방(제공) 건수 (오픈API포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38건 42건 46건 51건 56건

실행과제

(30)

친환경middot신소재 활용으로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

(제로에너지 건축물 건설자금지원 등)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주택건설사업장에 친환경middot신소재 사용을 유도함으로써 환경 친화적 주택건설과 에너지신산업 판로지원

(추진내용)

∙ 친환경 제품 및 에너지 신소재 제품사용 주택건설사업장에 보증심사 가점부여(완료)- (`1812) 녹색건축물인증등급부여고객보증심사시초기예상분양율 5〜1점가점부여

∙ (추진) 신소재 적용 주택건설사업장 확대를 위해 보증심사시 가점부여

- SOC 공공기관 통합기술마켓과 연계한 보증우대 방안 마련 중소기업이 보유한 SOC 공공기관 관련 혁신기술의 공모middot연구개발 제안 및 검증을

통해 상품화 및 홍보middot판매를 지원하는 플랫폼

추진목표

친환경적 주택건설 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

- 25 -

실행과제

(31)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비대면 가입 활성화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9개 수탁은행에 온라인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 독려

연령 무주택세대주 소득증빙 등 가입 시 제출서류가 많아 비대면 시스템 구축 시

지점방문 없이 간편하게 가입 가능

신한은행 최초로 완전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821)

비대면 가입 주택도시기금포털에 안내 및 홍보

비대면 가입 시스템 기금포털 홍보 게시하여 수탁은행 시스템 개발 독려

추진목표 목표비대면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전체 가입의 6 전체 가입의 12

실행과제

(32)전기자동차 도입을 통한 친환경 에너지 수요 창출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업무용 차량의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ㅇ 2018년 임차기간 만료예정인 업무용 차량을 전기자동차로 대체

ㅇ 추후 본사 및 영업부서 업무용 차량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추진목표 2019년 중 전기자동차 1대 충전소 1개소 설치실행과제

(33)드론 활용을 통한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기술middot제품에 대한 선제적 구매 및 테스트와 고유사업에 활용

으로 민간 초기시장 조성을 견인

(추진내용)

∙ 보증이행사업장 드론 안전점검 시범실시

- (`1812) 예산 미편성으로 1개 사업장 드론촬영 시범실시 및 효용성 검토

∙ 보유중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에 드론 활용 확대

- (`196) 전문엔지니어링 업체 발굴로 일자리 창출 및 보유 사업장 전체(2개)에

드론 활용 안전점검 실시 rArr 위험요소 발굴로 관할센터에 사고예방을 위한

안전조치 권고문서 시행

추진목표

안전사고 발생비율(발생건수보유사업장)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0 0 0 0 0 안전사고발생 ZERO무사고 달성

실행과제

(34)드론활용사업장안전관리및점검체계구축(시범단지운영)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HUG형 혁신 사업장 안전관리 및 점검체계 구축

ㅇ 드론 활용 사업장 안전 및 점검체계 구축

ㅇ 시범단지 선정 및 운용 세부계획 검토

∙ 드론 등 기술혁신 도구관련 관련 업체 및 유관기관 협의

∙ 사업장-영업부서-본사부서 협업체계 및 활용방안(HUG-i 게시) 등

추진목표안전사고로 인한 분양보증사고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0 0 0 0 0

- 26 -

실행과제

(35)블록체인을 활용한 안전하고 편리한 인터넷서비스 제공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정부주도의 공인인증서 폐지정책(전자서명법 전부개정 예고)에 따라 전자

서명에 대한 인터넷 사용자 대체 인증수단 개발

(추진내용)

∙ 블록체인 기반의 본인인증 서비스 (카카오페이 인증 서비스) 도입

- 인터넷보증시스템에서보증료영수증및보증서출력시카카오인증을이용한전자문서

유통증명서비스제공

∙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대국민서비스 확대

- 전자서명법개정에따른블록체인기반의전자서명서비스도입

- 온라인 등기우편(연체정보 등 전자우편을 본인인증 후 열람) 일괄발송 발송내역 조회

및유통증명서발급시스템구축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블록체인기반본인인증서비스시범도입

블록체인기술을이용한

대국민서비스확대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실행과제

(36)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사업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환경보호라는 공공성을 위하여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건물

보증에 대해 유인책 마련 필요

(추진내용)

∙ 제로에너지 건축물에 대한 대출한도 상향 조정

∙ 건축 관련학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해 친환경 건축물에 대한 관심 제고

- HUG 오픈캠퍼스 추진 시 건축 관련학과(건축공학과 건축디자인과 등) 학생에게 교육

추진및공사인턴체험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제로에너지 건축물지원 제도

규정신설 -

HUG오픈캠퍼스 수료학생수 (건축 관련 학과 포함)

100 110 121 133 146

- 27 -

(5대 과제) 공정경제 기반 구축 중점

실행과제

(37)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 진입장벽 해소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물품구매 대금결제 등에 중소기업 창업기업 등에 대한 계약규제 완화를

통해 공정경제 기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함

(추진내용)

∙ 신규 창업middot중소기업에 대한 진입장벽 완화

- 소규모 물품middot용역 입찰(고시금액 21억원 미만) 참여시 상대적으로불리한신규창업 및

중소기업에대한실적제한폐지

- 다만 부득이용역의성격상실적평가가필요한경우창업기업실적인정기간연장

(현행 3년 rarr 7년)을 통한 부담 완화

∙ 지체상금 부담경감 (현행의 12수준) 을 통한 상생협력 강화

∙ 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에 대한 용역대금 선급금지급률 확대

추진목표

중소기업 등 협력업체 계약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779 790 80 81 -

실행과제

(38)

공정경제를 위한 지역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업자 보호강화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건설사업장 인근지역 중소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대금의 현금

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한 하도급업자 보호 강화

(추진내용)

∙ 지역 중소 건설업체들에게 동일한 기회제공 및 공정한 경쟁 유도

- 건설사업장에서 지역건설업체와 하도급계약 체결 시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 할인 추진

∙ 협력업체 하도금대금의 현금지급 확대

- 하도급대금을 현금으로 지급할 경우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를 할인

하여 협력업체 및 근로자들의 보호를 강화하고 시장에서의 우위 선점

추진목표

지역 하도급업체 계약체결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규정개정 30 40 50 60

하도급대금의 현금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해 하도급업자 보호

- 28 -

3 국민신뢰 회복

(6대 과제) 적극행정 확산 등 조직운영 혁신

실행과제

(39)고용위기지역에 대한 금융지원 추진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용위기지역에 대한 지원강화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추진내용)

∙ 고용위기지역 내 임대주택 건립시 보증료 할인 추진(완료)

- 고용위기지역및고용재난지역소재임대보증금보증사업장보증료 10인하( 1812)

∙ 고용위기지역 내 임차인이 전세금보증 이용시 보증료 할인 검토

- 전세보증금반환보증(전세금보장) 전세안심대출(전세금대출지원)

보증이용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임차주택으로 변경시 보증료 할인 검토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보유한 주택건설사업자가 입주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임차

주택으로변경하여전세금보증가입신청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추진목표

고용위기지역 금융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마련 및 운영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40)근로여건 개선을 통한 휴식 있는 삶 지원 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일ㆍ가정 양립에 대한 법적ㆍ사회적 요구 증대됨에 따라 장시간 근로문화를 타파하고 휴식 있는 삶을 지원하여 일ㆍ생활의 균형 실현

(추진내용)

∙ 장시간 근로문화 타파- 직원니즈를반영한공사맞춤형복무제도수립및운영- PC-OFF 강화 (주2회rarr매일)- 퇴근장려캠페인 (인사안하고퇴근하기 관리자솔선수범퇴근)∙ 휴식 있는 삶 지원- 가족친화제도지속개발 (일가양득프로그램운영)- 연차휴가및남성육아휴직이용률향상을위한제도개선- 시간단위연차사용을통한휴가사용활성화- 임신직원보호를위한모성보호절차도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인당 연차사용일 1426일 1497일 1572일 1651일 1733일남성육아휴직인원 331 348 365 383 402

- 29 -

실행과제

(41)

위임전결기준 개선을 통한 업무처리 혁신

(결재피로감 낮추고 책임middot권한 공백없이 업무는 신속하게)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결재절차를 단순화함으로써 신속한 업무처리 및 고객만족도 제고

(추진내용)

∙보증위탁업무전결권세분화

- 위임전결규정안마련및규정개정절차진행(5월)

보증업무 위탁外 융자수탁업무 관련 전결권 개정도 함께 추진

∙대외업무협약체결전결권세분화

- 사안의중요성및영향도등고려중장기적으로면밀한검토필요

추진목표

결재절차 단순화

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rsquo23년보증및융자수탁업무위임전결규정개정

제도 보완

실행과제

(42)지출신청 시 영수증 증빙 제출제도 개선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지출신청시 불필요한 원본구비 제도 개선을 통한 업무효율화 달성

(추진내용)

∙ 공사 지출의 42 비중을 차지하는 5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 원본 제출 제외

- 지출액 50만원 이하 법인카드 및 전자세금계산서 지출 건 원본구비 예외 조항 신설

- 확인이 필요한 간이계산서 등은 원본징구하여 지출사고 가능성 예방

- 제도 정착 전 3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에 대하여 원본 제출 제외(시범운영)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내부

규정개정 및시범운영

제도개선 지속 추진

실행과제(43)

PF보증심사 시 월별예정 분양률 분포의 계량화 담당부서금융기획실심사평가처주택도시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민간아파트 초기분양률 데이터를 활용한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

(추진내용)

∙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를 통한 심사 객관성 확보

- 월별예정분양률 관련 명확한 지침 산정으로 신청업체 및 심사자의 주관 배제

- 국가승인통계인 민간아파트초기분양률 동향 데이터를 활용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

∙ 초기분양률 동향 분석(주택도시금융연구원 협업 4월sim10월)

- 연구원과 협업을 통해 초기분양률 데이터 분석 및 관리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건의(11월)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관할 부서(금융기획실)로 세칙 개정 건의

추진목표2019년도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예상분양률 분포기준 마련 초기분양률 데이터 관리체계 구축

- 30 -

(7대 과제) 윤리경영 강화

실행과제

(46)청렴도 향상을 위한 반부패 활동 강화 담당부서 준법지원실

추진내용

윤리경영 추진조직 강화

기관장 주도의 윤리경영 고위직 협의체 구축 내부 자문기구「청렴자문위

원회」운영 강화 및 임원의 윤리자가진단 현황 정보공개

반부패middot청렴 대외 활동 활성화

부산 이전 공공기관 청렴 협의체「청렴 클러스터」활동 강화

「부산투명사회실천 민middot관 네트워크」가입middot활동 실시

「유엔글로벌콤팩트(UNGC)」활동으로 글로벌 윤리역량 강화

실행과제

(44)논스톱 고분양가 심사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공사 PF보증 사업장에 대한 고분양가 심사기준 개선을 통한 사업

안정성 제고 및 고객신뢰성 확보

(추진내용)

∙ 「고분양가사업장심사규정」개정 추진(5월~6월)

- 고분양가 관리지역 내에서 공사 PF보증 발급예정사업장의 고분양가 심사기준(비교

사업장 선정 및 분양가격 산출 등)의 적용을lsquoPF보증 본점 승인시점rsquo으로 명확히 함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고분양가심사규정개정

사업안정성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 추진

실행과제

(45)임대리츠 통계 및 사후관리시스템 개선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목적) 자리츠 사후관리 주관기관(모리츠 AMC인 LH) 및 감독관리기관

(HUG) 간의 업무분장에 따라 사후관리 데이터 품질 저하 등 발생

rArr 기관간 협업체계 개선 관련 시스템 개발 등을 통한 사후관리 관련 데이터품질 향상 및 대정부 정보전달 적시성 확보

(추진내용)

∙ 리츠 기금출자내용 변경시 임대리츠 이력관리 등이 가능하게 하는 통계시스템 개발

∙ 분기별 사후관리보고 제출기한 마련 검토

∙ 임대리츠 통계관리 업무체계 내실화를 위한 기관간 협업 수행

추진목표

임대리츠 사후관리 구조 개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전산시스템개발 및시스템 구축

임대리츠사후관리

체계개선 수행

시스템 운용및 개선사항도출

기관간 협업수행(데이터관

리)

임대리츠통합데이터관리 수행

- 31 -

(8대 과제) 국민의 참여협력 확대 및 지역사회 공헌

실행과제

(47)

혁신도시 맞춤형 지역인재 육성 지원 및

인재채용 투명성 강화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도시 지원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증대에 따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한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

(추진내용)

∙ 市-지역대학간 협업으로 지역인재 육성 교육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 외부 면접위원 확대 및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인사 절차의 공정성 강화

∙ 사회형평적 채용실시와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을 통한 불합리한 차별 해소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지역채용 21 24 27 30 33지역인재육성 총 교육시간(교육인원times교육시간 시간) 3000 4500 4500 4500 4500

지역인재육성교육만족도(점수) 944 949 954 959 964

실행과제

(48)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사회공헌사업 확대 추진 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정부의 lsquo사회적 가치 실현rsquo을 정책에 따라 사회적 경제 및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사회공헌 필요성 증가

(추진내용)

∙ 안전한 주거환경 제공

- 무주택 국가유공자 및 저소득층 임차자금 170세대 지원(~8월10억원)- HUG 셰어하우스 3호 신촌점 완공 청년 24명 입주 완료(~10월2억원)- 저소득층 노후주택 및 소규모 사회복지시설 127세대 개보수(~10월8억원)- HUG STREET 잘사는 골목길 등 환경개선사업 대상지 선정 완료(~10월1억1천만원)

∙ 지역사회와 상생

- 노후 슬레이트 지붕개량 및 태양광 지원 사업 4자 협약(~8월3억원) HUG-부산시-한국사회복지협의회-부산도시재생지원센터

- HOPE with HUG 10호 11호 완공(~9월1억5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지역건설사-지역건축전문가 협업을 통한 주거개선사업

- 부산 송상현 광장 내 도시놀이터 프로젝트 완료(~9월7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부산시설공단 협업을 통한 문화middot휴식공간 조성

청렴 모니터링 다각화

청렴의식 환기를 위한 「자가점검 프로그램」실시

「청렴 옴부즈만」운영

개선 아이디어 발굴을 위한 「신입사원 生生 모니터링」

추진목표

종합청렴도 결과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3등급 2등급 1등급 1등급 1둥급

- 32 -

∙ 균등한 기회와 사회통합

- 중학생 자유학기제 지원 프로그램 운영(9월~4천만원)- 저소득층 청소년 20명ndash대학생 20명 매칭 등(6월~5천만원)- lsquoKBS 동행rsquo에 출연하는 저소득 가정 50세대 지원(7월~1억원)- 발달장애 청년 재능개발 프로젝트lsquo눈부신하루rsquo추진(6월~3천만원)- 신입사원 봉사활동 등을 통한 지역사회 나눔활동(~10월7천2백만원)- 저소득층 난방연료 지원을 위한 주택도시업 캠페인(~12월5천만원)- 자매결연 마을 농수산물 구입기증(~12월4천만원)

추진목표

추진 목표는 해당연도 사회공헌 기부금 예산금액(이사회 의결금액)과 연계

기부금액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8620백만원 8879백만원 9145백만원 9419백만원 9702백만원 전년도예산금액103

실행과제

(49)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목적) 도시재생과 유사한 목표비전을 공유하는 사회적경제와 연계한 맞춤형

금융상품 운영 및 관련 지원조직과 다각적 협업 활동 추진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지역주민이 주도하는 도시재생 금융지원으로 국민의 삶의 질 개선

(목적) 주민지역공동체 주도의 마을단위 도시재생으로의 변화에 대응하여

사회적 경제주체 등 지원체계 개선으로 사회적 가치 실현에 기여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추진목표

수요자중심형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510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실행과제

(50)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국민이 참여하는

HUG사업평가단(가칭) 운영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보증업무 전반에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HUG

사업평가단 구성하여 주택품질 제고 및 안심입주 지향

(추진내용)

∙ 국민이 참여하는 보증솔루션팀 및 보증심사 리뷰단을 통해 제도 개선사항 도출

∙ 보증채권자 권익에 미치는 사항 등 국민의견 수렴을 통한 보증이행제도 개선

∙ 전세금보증 이행완료 고객 및 공인중개사 참여를 통한 제도개선 사항 발굴

추진목표 2019년 국민 의견수렴을 통한 전세금보증 제도 개선 등 검토

- 33 -

실행과제(51)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과 협업하여효율적인 전세금보증 이행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이행 업무의 효율성 제고

(추진내용)

∙ 지역사회단체 등과의 협업을 통한 임차인 퇴거확인 추진 검토

- 보증사고 발생 시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 구성원이 임차인 퇴거를

확인하여 담당직원 업무 공백 최소화 (직원 출장비 수준으로 비용 지급)

- 임차인 퇴거 확인 시 해당 주택가격 및 신규 임차인 확보 가능성 검토결과를

보고받아 채권보전조치를 위한 근거 확보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거보호 이행도(전세금보증 이행 15일초과건수전체이행건수)

50 45 41 37 34

- 34 -

Ⅳ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및 적극행정 확산

①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국민참여게시판을 lsquo국민제안(국민rarr기관)rsquo

및 lsquo정책제안(기관rarr국민)rsquo 게시판으로 세분화하여 국민과 기관간

상시 소통기반 마련 경평지적

지적사항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위한 개선방안 마련 필요

(혁신 네트워크 강화) 시민참여혁신단 보증채권권익위원회 전세금

보증 시민참여단 기금홍보협의회 운영 등 주요사업에 기반하여

다양한 대외 전문기관과 네트워크 활성화 경평지적

지적사항 보증 기금등주요사업역량강화를위한전문기관혁신네트워크강화필요

② 적극행정 확산

(적극행정 면책제도 활용) 감사계획 통보 시 적극행정 면책제도

middot사전컨설팅 제도 사전안내 및 면책신청 지원을 위한 상담창구

운영 등 (계획수립 完 감사실-2367호)

(기관장 책임강화) 혁신전략위원회(위원장 사장)를 통해 적극행정

혁신과제에 대한 추진독려 및 이행사항 점검 등 보완사항 지속

발굴 (혁신페스티벌 1middot2차 개최)

(적극행정 우수사례 발굴)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를 통해 조직내

적극행정 분위기 유도 (포상 및 내부성과평가 반영 등)

성과창출에 실패했더라도 기존관행 탈피 새로운 영역개척 국민접점에서

활력을 제고하는 등 lsquo착한실패rsquo lsquo건전한파격rsquo에 대해서도 포상추진 예정

(적극행정 인식확산) 적극행정 사이버교육(법제처 주관) 이수 등

적극행정 인식확산을 위한 교육참여 시 혁신마일리지 부여 (전사 교육 실시 예정)

- 35 -

Ⅴ 혁신 추진도구별 업무일정

구 분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1 2 3 4 5 6 7 8 9 10 11 12

1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2 국민소통 강화

3 혁신페스티벌

4 유관기관 협업

5 혁신채널 구축

6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7 제안제도 정비

8 혁신콘서트

9 혁신교육 및 혁신워크숍

10 혁신레터

11 혁신마일리지 신설

12 혁신BP 발굴 및 포상

피드백

(성과관리) 공공기관 혁신 및 기관 경영혁신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혁신과제 추진실적을 정기적으로 점검 및 피드백

(혁신전파) 조직원 전체의 혁신공감대 형성 및 참여도 제고를 위해

본사부서 및 영업부서 방문 등을 통해 혁신활동 및 우수사례 공유

(혁신내재화) 국민소통채널 혁신마일리지 혁신레터 등 혁신활동이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고 혁신업무에 대해

조직원이 공감하고 회사 모든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

Page 24: 2019년 HUG 혁신 추진계획 - khug.or.kr…„HUG혁신추진계획.pdf · 혁신페스티벌 - (내부 혁신과제 발굴) 조직·인사·제도·서비스혁신 등 회사

- 23 -

(4대 과제) 혁신성장 지원

실행과제

(25)상가임차금 안심대출 상품개발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도시재생지역 내 상가임차인 보호를 위한 상가임차금안심대출 개발

(추진내용)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법령 개정 검토

-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등 관련 법령 개정안 검토

- 법령 개정안 정부 건의 (우선변제권 승계기관 포함)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시장분석 및 조사(`20)

- 상가임차보증금 시장분석 및 보증이용 수요조사

- 보증료율 검토 및 리스크 분석

∙ 상가임차금안심대출 상품 출시(`21)

- 사규개정 및 법령개정 완료

추진목표

상가임차보증금 상품 출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내부검토 법령개정 시장분석 상품출시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26)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사고 위기사업장과 보증실적의 증가로 사전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및 정기 점검활동 강화 및 핵심업무 역량집중 강화

(추진내용)

∙ 보증관리사업장 현장점검 외주용역 추진

- 현장점검 대상사업장을 파악하여 외주용역을 통한 점검 추진 검토

추진목표 ∙ 2019년도 현장점검 외주화

실행과제

(27)

비대면 전세금보증을 통한 혁신성장 기반 마련

(카카오페이를 통한 가입확대 등)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모바일 전세금보증

스마트폰을이용해언제 어디서든쉽게보증을신청할수있도록모바일가입채널마련

∙ (모바일 인터페이스) 인터넷 전세금보증 프로세스를 모바일웹에 최적화하여 로그인

부터 보증가입 승인까지 전 프로세스 지원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위탁은행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증가입 프로세스 개선

(현행) 임차인이 선순위 채권 등 보증가입정보를 입력

(개선) 임차인은개인정보및계약정보만입력하고세부심사에필요한정보는심사자가입력

모바일 안심대출보증

위탁은행 비대면 전세금 안심대출 상품 개발

추진목표 2019년 전세금보증의 완전한 모바일 가입체계 구축

- 24 -

실행과제

(28)국민 주거편의 제공을 위한 스마트시티 건설 지원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목적) 핵심 국정과제인 스마트시티 분야의 금융지원 플랫폼으로서 주택도시기금지원 기반 모색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검토 및 금융상품 초안 마련

(추진내용)

∙ 민간사업자 의견 수렴 및 스마트시티 기금 금융지원 상품 초안 마련 -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및 주요 요소기술산업 등 동향 파악- 민간사업자 의견수렴을 바탕으로 실질적 금융지원이 가능한 상품 개발 추진∙ 주택도시기금법 개정안 마련 및 정부 건의∙ 스마트시티 건설사업장에 대한 보증료 할인 또는 보증심사 가점부여∙ 스마트시티 건설 신공법 소개 및 성공사례 공유

추진목표금융지원 확대 건수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건 1건 2건 3건 3건

실행과제

(29)HUG 빅데이터운영체계구축으로공공데이터개방기여 담당부서

주택도시

금융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기관 내middot외부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주택middot도시middot금융 분야의 환경 변화를진단함으로서 4차산업 혁명시대 도래에 따른 선제적인 대응 체계 마련

(추진내용)

∙ (1단계) HUG 빅데이터 기반 주택시장 분석 인프라 설계 및 로드맵 수립∙ (2단계) HUG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구축 및 모델 개발∙ 수요자(국민middot정부middot공사)별 빅데이터 활용 영역 확대 및 분석 기능 고도화

추진목표공공데이터 외부개방(제공) 건수 (오픈API포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38건 42건 46건 51건 56건

실행과제

(30)

친환경middot신소재 활용으로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

(제로에너지 건축물 건설자금지원 등)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주택건설사업장에 친환경middot신소재 사용을 유도함으로써 환경 친화적 주택건설과 에너지신산업 판로지원

(추진내용)

∙ 친환경 제품 및 에너지 신소재 제품사용 주택건설사업장에 보증심사 가점부여(완료)- (`1812) 녹색건축물인증등급부여고객보증심사시초기예상분양율 5〜1점가점부여

∙ (추진) 신소재 적용 주택건설사업장 확대를 위해 보증심사시 가점부여

- SOC 공공기관 통합기술마켓과 연계한 보증우대 방안 마련 중소기업이 보유한 SOC 공공기관 관련 혁신기술의 공모middot연구개발 제안 및 검증을

통해 상품화 및 홍보middot판매를 지원하는 플랫폼

추진목표

친환경적 주택건설 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

- 25 -

실행과제

(31)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비대면 가입 활성화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9개 수탁은행에 온라인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 독려

연령 무주택세대주 소득증빙 등 가입 시 제출서류가 많아 비대면 시스템 구축 시

지점방문 없이 간편하게 가입 가능

신한은행 최초로 완전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821)

비대면 가입 주택도시기금포털에 안내 및 홍보

비대면 가입 시스템 기금포털 홍보 게시하여 수탁은행 시스템 개발 독려

추진목표 목표비대면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전체 가입의 6 전체 가입의 12

실행과제

(32)전기자동차 도입을 통한 친환경 에너지 수요 창출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업무용 차량의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ㅇ 2018년 임차기간 만료예정인 업무용 차량을 전기자동차로 대체

ㅇ 추후 본사 및 영업부서 업무용 차량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추진목표 2019년 중 전기자동차 1대 충전소 1개소 설치실행과제

(33)드론 활용을 통한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기술middot제품에 대한 선제적 구매 및 테스트와 고유사업에 활용

으로 민간 초기시장 조성을 견인

(추진내용)

∙ 보증이행사업장 드론 안전점검 시범실시

- (`1812) 예산 미편성으로 1개 사업장 드론촬영 시범실시 및 효용성 검토

∙ 보유중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에 드론 활용 확대

- (`196) 전문엔지니어링 업체 발굴로 일자리 창출 및 보유 사업장 전체(2개)에

드론 활용 안전점검 실시 rArr 위험요소 발굴로 관할센터에 사고예방을 위한

안전조치 권고문서 시행

추진목표

안전사고 발생비율(발생건수보유사업장)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0 0 0 0 0 안전사고발생 ZERO무사고 달성

실행과제

(34)드론활용사업장안전관리및점검체계구축(시범단지운영)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HUG형 혁신 사업장 안전관리 및 점검체계 구축

ㅇ 드론 활용 사업장 안전 및 점검체계 구축

ㅇ 시범단지 선정 및 운용 세부계획 검토

∙ 드론 등 기술혁신 도구관련 관련 업체 및 유관기관 협의

∙ 사업장-영업부서-본사부서 협업체계 및 활용방안(HUG-i 게시) 등

추진목표안전사고로 인한 분양보증사고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0 0 0 0 0

- 26 -

실행과제

(35)블록체인을 활용한 안전하고 편리한 인터넷서비스 제공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정부주도의 공인인증서 폐지정책(전자서명법 전부개정 예고)에 따라 전자

서명에 대한 인터넷 사용자 대체 인증수단 개발

(추진내용)

∙ 블록체인 기반의 본인인증 서비스 (카카오페이 인증 서비스) 도입

- 인터넷보증시스템에서보증료영수증및보증서출력시카카오인증을이용한전자문서

유통증명서비스제공

∙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대국민서비스 확대

- 전자서명법개정에따른블록체인기반의전자서명서비스도입

- 온라인 등기우편(연체정보 등 전자우편을 본인인증 후 열람) 일괄발송 발송내역 조회

및유통증명서발급시스템구축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블록체인기반본인인증서비스시범도입

블록체인기술을이용한

대국민서비스확대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실행과제

(36)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사업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환경보호라는 공공성을 위하여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건물

보증에 대해 유인책 마련 필요

(추진내용)

∙ 제로에너지 건축물에 대한 대출한도 상향 조정

∙ 건축 관련학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해 친환경 건축물에 대한 관심 제고

- HUG 오픈캠퍼스 추진 시 건축 관련학과(건축공학과 건축디자인과 등) 학생에게 교육

추진및공사인턴체험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제로에너지 건축물지원 제도

규정신설 -

HUG오픈캠퍼스 수료학생수 (건축 관련 학과 포함)

100 110 121 133 146

- 27 -

(5대 과제) 공정경제 기반 구축 중점

실행과제

(37)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 진입장벽 해소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물품구매 대금결제 등에 중소기업 창업기업 등에 대한 계약규제 완화를

통해 공정경제 기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함

(추진내용)

∙ 신규 창업middot중소기업에 대한 진입장벽 완화

- 소규모 물품middot용역 입찰(고시금액 21억원 미만) 참여시 상대적으로불리한신규창업 및

중소기업에대한실적제한폐지

- 다만 부득이용역의성격상실적평가가필요한경우창업기업실적인정기간연장

(현행 3년 rarr 7년)을 통한 부담 완화

∙ 지체상금 부담경감 (현행의 12수준) 을 통한 상생협력 강화

∙ 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에 대한 용역대금 선급금지급률 확대

추진목표

중소기업 등 협력업체 계약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779 790 80 81 -

실행과제

(38)

공정경제를 위한 지역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업자 보호강화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건설사업장 인근지역 중소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대금의 현금

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한 하도급업자 보호 강화

(추진내용)

∙ 지역 중소 건설업체들에게 동일한 기회제공 및 공정한 경쟁 유도

- 건설사업장에서 지역건설업체와 하도급계약 체결 시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 할인 추진

∙ 협력업체 하도금대금의 현금지급 확대

- 하도급대금을 현금으로 지급할 경우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를 할인

하여 협력업체 및 근로자들의 보호를 강화하고 시장에서의 우위 선점

추진목표

지역 하도급업체 계약체결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규정개정 30 40 50 60

하도급대금의 현금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해 하도급업자 보호

- 28 -

3 국민신뢰 회복

(6대 과제) 적극행정 확산 등 조직운영 혁신

실행과제

(39)고용위기지역에 대한 금융지원 추진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용위기지역에 대한 지원강화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추진내용)

∙ 고용위기지역 내 임대주택 건립시 보증료 할인 추진(완료)

- 고용위기지역및고용재난지역소재임대보증금보증사업장보증료 10인하( 1812)

∙ 고용위기지역 내 임차인이 전세금보증 이용시 보증료 할인 검토

- 전세보증금반환보증(전세금보장) 전세안심대출(전세금대출지원)

보증이용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임차주택으로 변경시 보증료 할인 검토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보유한 주택건설사업자가 입주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임차

주택으로변경하여전세금보증가입신청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추진목표

고용위기지역 금융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마련 및 운영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40)근로여건 개선을 통한 휴식 있는 삶 지원 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일ㆍ가정 양립에 대한 법적ㆍ사회적 요구 증대됨에 따라 장시간 근로문화를 타파하고 휴식 있는 삶을 지원하여 일ㆍ생활의 균형 실현

(추진내용)

∙ 장시간 근로문화 타파- 직원니즈를반영한공사맞춤형복무제도수립및운영- PC-OFF 강화 (주2회rarr매일)- 퇴근장려캠페인 (인사안하고퇴근하기 관리자솔선수범퇴근)∙ 휴식 있는 삶 지원- 가족친화제도지속개발 (일가양득프로그램운영)- 연차휴가및남성육아휴직이용률향상을위한제도개선- 시간단위연차사용을통한휴가사용활성화- 임신직원보호를위한모성보호절차도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인당 연차사용일 1426일 1497일 1572일 1651일 1733일남성육아휴직인원 331 348 365 383 402

- 29 -

실행과제

(41)

위임전결기준 개선을 통한 업무처리 혁신

(결재피로감 낮추고 책임middot권한 공백없이 업무는 신속하게)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결재절차를 단순화함으로써 신속한 업무처리 및 고객만족도 제고

(추진내용)

∙보증위탁업무전결권세분화

- 위임전결규정안마련및규정개정절차진행(5월)

보증업무 위탁外 융자수탁업무 관련 전결권 개정도 함께 추진

∙대외업무협약체결전결권세분화

- 사안의중요성및영향도등고려중장기적으로면밀한검토필요

추진목표

결재절차 단순화

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rsquo23년보증및융자수탁업무위임전결규정개정

제도 보완

실행과제

(42)지출신청 시 영수증 증빙 제출제도 개선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지출신청시 불필요한 원본구비 제도 개선을 통한 업무효율화 달성

(추진내용)

∙ 공사 지출의 42 비중을 차지하는 5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 원본 제출 제외

- 지출액 50만원 이하 법인카드 및 전자세금계산서 지출 건 원본구비 예외 조항 신설

- 확인이 필요한 간이계산서 등은 원본징구하여 지출사고 가능성 예방

- 제도 정착 전 3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에 대하여 원본 제출 제외(시범운영)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내부

규정개정 및시범운영

제도개선 지속 추진

실행과제(43)

PF보증심사 시 월별예정 분양률 분포의 계량화 담당부서금융기획실심사평가처주택도시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민간아파트 초기분양률 데이터를 활용한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

(추진내용)

∙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를 통한 심사 객관성 확보

- 월별예정분양률 관련 명확한 지침 산정으로 신청업체 및 심사자의 주관 배제

- 국가승인통계인 민간아파트초기분양률 동향 데이터를 활용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

∙ 초기분양률 동향 분석(주택도시금융연구원 협업 4월sim10월)

- 연구원과 협업을 통해 초기분양률 데이터 분석 및 관리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건의(11월)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관할 부서(금융기획실)로 세칙 개정 건의

추진목표2019년도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예상분양률 분포기준 마련 초기분양률 데이터 관리체계 구축

- 30 -

(7대 과제) 윤리경영 강화

실행과제

(46)청렴도 향상을 위한 반부패 활동 강화 담당부서 준법지원실

추진내용

윤리경영 추진조직 강화

기관장 주도의 윤리경영 고위직 협의체 구축 내부 자문기구「청렴자문위

원회」운영 강화 및 임원의 윤리자가진단 현황 정보공개

반부패middot청렴 대외 활동 활성화

부산 이전 공공기관 청렴 협의체「청렴 클러스터」활동 강화

「부산투명사회실천 민middot관 네트워크」가입middot활동 실시

「유엔글로벌콤팩트(UNGC)」활동으로 글로벌 윤리역량 강화

실행과제

(44)논스톱 고분양가 심사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공사 PF보증 사업장에 대한 고분양가 심사기준 개선을 통한 사업

안정성 제고 및 고객신뢰성 확보

(추진내용)

∙ 「고분양가사업장심사규정」개정 추진(5월~6월)

- 고분양가 관리지역 내에서 공사 PF보증 발급예정사업장의 고분양가 심사기준(비교

사업장 선정 및 분양가격 산출 등)의 적용을lsquoPF보증 본점 승인시점rsquo으로 명확히 함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고분양가심사규정개정

사업안정성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 추진

실행과제

(45)임대리츠 통계 및 사후관리시스템 개선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목적) 자리츠 사후관리 주관기관(모리츠 AMC인 LH) 및 감독관리기관

(HUG) 간의 업무분장에 따라 사후관리 데이터 품질 저하 등 발생

rArr 기관간 협업체계 개선 관련 시스템 개발 등을 통한 사후관리 관련 데이터품질 향상 및 대정부 정보전달 적시성 확보

(추진내용)

∙ 리츠 기금출자내용 변경시 임대리츠 이력관리 등이 가능하게 하는 통계시스템 개발

∙ 분기별 사후관리보고 제출기한 마련 검토

∙ 임대리츠 통계관리 업무체계 내실화를 위한 기관간 협업 수행

추진목표

임대리츠 사후관리 구조 개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전산시스템개발 및시스템 구축

임대리츠사후관리

체계개선 수행

시스템 운용및 개선사항도출

기관간 협업수행(데이터관

리)

임대리츠통합데이터관리 수행

- 31 -

(8대 과제) 국민의 참여협력 확대 및 지역사회 공헌

실행과제

(47)

혁신도시 맞춤형 지역인재 육성 지원 및

인재채용 투명성 강화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도시 지원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증대에 따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한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

(추진내용)

∙ 市-지역대학간 협업으로 지역인재 육성 교육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 외부 면접위원 확대 및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인사 절차의 공정성 강화

∙ 사회형평적 채용실시와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을 통한 불합리한 차별 해소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지역채용 21 24 27 30 33지역인재육성 총 교육시간(교육인원times교육시간 시간) 3000 4500 4500 4500 4500

지역인재육성교육만족도(점수) 944 949 954 959 964

실행과제

(48)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사회공헌사업 확대 추진 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정부의 lsquo사회적 가치 실현rsquo을 정책에 따라 사회적 경제 및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사회공헌 필요성 증가

(추진내용)

∙ 안전한 주거환경 제공

- 무주택 국가유공자 및 저소득층 임차자금 170세대 지원(~8월10억원)- HUG 셰어하우스 3호 신촌점 완공 청년 24명 입주 완료(~10월2억원)- 저소득층 노후주택 및 소규모 사회복지시설 127세대 개보수(~10월8억원)- HUG STREET 잘사는 골목길 등 환경개선사업 대상지 선정 완료(~10월1억1천만원)

∙ 지역사회와 상생

- 노후 슬레이트 지붕개량 및 태양광 지원 사업 4자 협약(~8월3억원) HUG-부산시-한국사회복지협의회-부산도시재생지원센터

- HOPE with HUG 10호 11호 완공(~9월1억5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지역건설사-지역건축전문가 협업을 통한 주거개선사업

- 부산 송상현 광장 내 도시놀이터 프로젝트 완료(~9월7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부산시설공단 협업을 통한 문화middot휴식공간 조성

청렴 모니터링 다각화

청렴의식 환기를 위한 「자가점검 프로그램」실시

「청렴 옴부즈만」운영

개선 아이디어 발굴을 위한 「신입사원 生生 모니터링」

추진목표

종합청렴도 결과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3등급 2등급 1등급 1등급 1둥급

- 32 -

∙ 균등한 기회와 사회통합

- 중학생 자유학기제 지원 프로그램 운영(9월~4천만원)- 저소득층 청소년 20명ndash대학생 20명 매칭 등(6월~5천만원)- lsquoKBS 동행rsquo에 출연하는 저소득 가정 50세대 지원(7월~1억원)- 발달장애 청년 재능개발 프로젝트lsquo눈부신하루rsquo추진(6월~3천만원)- 신입사원 봉사활동 등을 통한 지역사회 나눔활동(~10월7천2백만원)- 저소득층 난방연료 지원을 위한 주택도시업 캠페인(~12월5천만원)- 자매결연 마을 농수산물 구입기증(~12월4천만원)

추진목표

추진 목표는 해당연도 사회공헌 기부금 예산금액(이사회 의결금액)과 연계

기부금액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8620백만원 8879백만원 9145백만원 9419백만원 9702백만원 전년도예산금액103

실행과제

(49)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목적) 도시재생과 유사한 목표비전을 공유하는 사회적경제와 연계한 맞춤형

금융상품 운영 및 관련 지원조직과 다각적 협업 활동 추진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지역주민이 주도하는 도시재생 금융지원으로 국민의 삶의 질 개선

(목적) 주민지역공동체 주도의 마을단위 도시재생으로의 변화에 대응하여

사회적 경제주체 등 지원체계 개선으로 사회적 가치 실현에 기여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추진목표

수요자중심형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510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실행과제

(50)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국민이 참여하는

HUG사업평가단(가칭) 운영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보증업무 전반에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HUG

사업평가단 구성하여 주택품질 제고 및 안심입주 지향

(추진내용)

∙ 국민이 참여하는 보증솔루션팀 및 보증심사 리뷰단을 통해 제도 개선사항 도출

∙ 보증채권자 권익에 미치는 사항 등 국민의견 수렴을 통한 보증이행제도 개선

∙ 전세금보증 이행완료 고객 및 공인중개사 참여를 통한 제도개선 사항 발굴

추진목표 2019년 국민 의견수렴을 통한 전세금보증 제도 개선 등 검토

- 33 -

실행과제(51)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과 협업하여효율적인 전세금보증 이행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이행 업무의 효율성 제고

(추진내용)

∙ 지역사회단체 등과의 협업을 통한 임차인 퇴거확인 추진 검토

- 보증사고 발생 시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 구성원이 임차인 퇴거를

확인하여 담당직원 업무 공백 최소화 (직원 출장비 수준으로 비용 지급)

- 임차인 퇴거 확인 시 해당 주택가격 및 신규 임차인 확보 가능성 검토결과를

보고받아 채권보전조치를 위한 근거 확보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거보호 이행도(전세금보증 이행 15일초과건수전체이행건수)

50 45 41 37 34

- 34 -

Ⅳ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및 적극행정 확산

①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국민참여게시판을 lsquo국민제안(국민rarr기관)rsquo

및 lsquo정책제안(기관rarr국민)rsquo 게시판으로 세분화하여 국민과 기관간

상시 소통기반 마련 경평지적

지적사항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위한 개선방안 마련 필요

(혁신 네트워크 강화) 시민참여혁신단 보증채권권익위원회 전세금

보증 시민참여단 기금홍보협의회 운영 등 주요사업에 기반하여

다양한 대외 전문기관과 네트워크 활성화 경평지적

지적사항 보증 기금등주요사업역량강화를위한전문기관혁신네트워크강화필요

② 적극행정 확산

(적극행정 면책제도 활용) 감사계획 통보 시 적극행정 면책제도

middot사전컨설팅 제도 사전안내 및 면책신청 지원을 위한 상담창구

운영 등 (계획수립 完 감사실-2367호)

(기관장 책임강화) 혁신전략위원회(위원장 사장)를 통해 적극행정

혁신과제에 대한 추진독려 및 이행사항 점검 등 보완사항 지속

발굴 (혁신페스티벌 1middot2차 개최)

(적극행정 우수사례 발굴)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를 통해 조직내

적극행정 분위기 유도 (포상 및 내부성과평가 반영 등)

성과창출에 실패했더라도 기존관행 탈피 새로운 영역개척 국민접점에서

활력을 제고하는 등 lsquo착한실패rsquo lsquo건전한파격rsquo에 대해서도 포상추진 예정

(적극행정 인식확산) 적극행정 사이버교육(법제처 주관) 이수 등

적극행정 인식확산을 위한 교육참여 시 혁신마일리지 부여 (전사 교육 실시 예정)

- 35 -

Ⅴ 혁신 추진도구별 업무일정

구 분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1 2 3 4 5 6 7 8 9 10 11 12

1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2 국민소통 강화

3 혁신페스티벌

4 유관기관 협업

5 혁신채널 구축

6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7 제안제도 정비

8 혁신콘서트

9 혁신교육 및 혁신워크숍

10 혁신레터

11 혁신마일리지 신설

12 혁신BP 발굴 및 포상

피드백

(성과관리) 공공기관 혁신 및 기관 경영혁신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혁신과제 추진실적을 정기적으로 점검 및 피드백

(혁신전파) 조직원 전체의 혁신공감대 형성 및 참여도 제고를 위해

본사부서 및 영업부서 방문 등을 통해 혁신활동 및 우수사례 공유

(혁신내재화) 국민소통채널 혁신마일리지 혁신레터 등 혁신활동이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고 혁신업무에 대해

조직원이 공감하고 회사 모든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

Page 25: 2019년 HUG 혁신 추진계획 - khug.or.kr…„HUG혁신추진계획.pdf · 혁신페스티벌 - (내부 혁신과제 발굴) 조직·인사·제도·서비스혁신 등 회사

- 24 -

실행과제

(28)국민 주거편의 제공을 위한 스마트시티 건설 지원 담당부서 도시재생기획처

추진내용

(목적) 핵심 국정과제인 스마트시티 분야의 금융지원 플랫폼으로서 주택도시기금지원 기반 모색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검토 및 금융상품 초안 마련

(추진내용)

∙ 민간사업자 의견 수렴 및 스마트시티 기금 금융지원 상품 초안 마련 -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및 주요 요소기술산업 등 동향 파악- 민간사업자 의견수렴을 바탕으로 실질적 금융지원이 가능한 상품 개발 추진∙ 주택도시기금법 개정안 마련 및 정부 건의∙ 스마트시티 건설사업장에 대한 보증료 할인 또는 보증심사 가점부여∙ 스마트시티 건설 신공법 소개 및 성공사례 공유

추진목표금융지원 확대 건수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건 1건 2건 3건 3건

실행과제

(29)HUG 빅데이터운영체계구축으로공공데이터개방기여 담당부서

주택도시

금융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기관 내middot외부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주택middot도시middot금융 분야의 환경 변화를진단함으로서 4차산업 혁명시대 도래에 따른 선제적인 대응 체계 마련

(추진내용)

∙ (1단계) HUG 빅데이터 기반 주택시장 분석 인프라 설계 및 로드맵 수립∙ (2단계) HUG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구축 및 모델 개발∙ 수요자(국민middot정부middot공사)별 빅데이터 활용 영역 확대 및 분석 기능 고도화

추진목표공공데이터 외부개방(제공) 건수 (오픈API포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38건 42건 46건 51건 56건

실행과제

(30)

친환경middot신소재 활용으로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

(제로에너지 건축물 건설자금지원 등)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주택건설사업장에 친환경middot신소재 사용을 유도함으로써 환경 친화적 주택건설과 에너지신산업 판로지원

(추진내용)

∙ 친환경 제품 및 에너지 신소재 제품사용 주택건설사업장에 보증심사 가점부여(완료)- (`1812) 녹색건축물인증등급부여고객보증심사시초기예상분양율 5〜1점가점부여

∙ (추진) 신소재 적용 주택건설사업장 확대를 위해 보증심사시 가점부여

- SOC 공공기관 통합기술마켓과 연계한 보증우대 방안 마련 중소기업이 보유한 SOC 공공기관 관련 혁신기술의 공모middot연구개발 제안 및 검증을

통해 상품화 및 홍보middot판매를 지원하는 플랫폼

추진목표

친환경적 주택건설 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

- 25 -

실행과제

(31)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비대면 가입 활성화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9개 수탁은행에 온라인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 독려

연령 무주택세대주 소득증빙 등 가입 시 제출서류가 많아 비대면 시스템 구축 시

지점방문 없이 간편하게 가입 가능

신한은행 최초로 완전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821)

비대면 가입 주택도시기금포털에 안내 및 홍보

비대면 가입 시스템 기금포털 홍보 게시하여 수탁은행 시스템 개발 독려

추진목표 목표비대면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전체 가입의 6 전체 가입의 12

실행과제

(32)전기자동차 도입을 통한 친환경 에너지 수요 창출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업무용 차량의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ㅇ 2018년 임차기간 만료예정인 업무용 차량을 전기자동차로 대체

ㅇ 추후 본사 및 영업부서 업무용 차량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추진목표 2019년 중 전기자동차 1대 충전소 1개소 설치실행과제

(33)드론 활용을 통한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기술middot제품에 대한 선제적 구매 및 테스트와 고유사업에 활용

으로 민간 초기시장 조성을 견인

(추진내용)

∙ 보증이행사업장 드론 안전점검 시범실시

- (`1812) 예산 미편성으로 1개 사업장 드론촬영 시범실시 및 효용성 검토

∙ 보유중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에 드론 활용 확대

- (`196) 전문엔지니어링 업체 발굴로 일자리 창출 및 보유 사업장 전체(2개)에

드론 활용 안전점검 실시 rArr 위험요소 발굴로 관할센터에 사고예방을 위한

안전조치 권고문서 시행

추진목표

안전사고 발생비율(발생건수보유사업장)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0 0 0 0 0 안전사고발생 ZERO무사고 달성

실행과제

(34)드론활용사업장안전관리및점검체계구축(시범단지운영)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HUG형 혁신 사업장 안전관리 및 점검체계 구축

ㅇ 드론 활용 사업장 안전 및 점검체계 구축

ㅇ 시범단지 선정 및 운용 세부계획 검토

∙ 드론 등 기술혁신 도구관련 관련 업체 및 유관기관 협의

∙ 사업장-영업부서-본사부서 협업체계 및 활용방안(HUG-i 게시) 등

추진목표안전사고로 인한 분양보증사고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0 0 0 0 0

- 26 -

실행과제

(35)블록체인을 활용한 안전하고 편리한 인터넷서비스 제공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정부주도의 공인인증서 폐지정책(전자서명법 전부개정 예고)에 따라 전자

서명에 대한 인터넷 사용자 대체 인증수단 개발

(추진내용)

∙ 블록체인 기반의 본인인증 서비스 (카카오페이 인증 서비스) 도입

- 인터넷보증시스템에서보증료영수증및보증서출력시카카오인증을이용한전자문서

유통증명서비스제공

∙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대국민서비스 확대

- 전자서명법개정에따른블록체인기반의전자서명서비스도입

- 온라인 등기우편(연체정보 등 전자우편을 본인인증 후 열람) 일괄발송 발송내역 조회

및유통증명서발급시스템구축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블록체인기반본인인증서비스시범도입

블록체인기술을이용한

대국민서비스확대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실행과제

(36)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사업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환경보호라는 공공성을 위하여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건물

보증에 대해 유인책 마련 필요

(추진내용)

∙ 제로에너지 건축물에 대한 대출한도 상향 조정

∙ 건축 관련학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해 친환경 건축물에 대한 관심 제고

- HUG 오픈캠퍼스 추진 시 건축 관련학과(건축공학과 건축디자인과 등) 학생에게 교육

추진및공사인턴체험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제로에너지 건축물지원 제도

규정신설 -

HUG오픈캠퍼스 수료학생수 (건축 관련 학과 포함)

100 110 121 133 146

- 27 -

(5대 과제) 공정경제 기반 구축 중점

실행과제

(37)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 진입장벽 해소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물품구매 대금결제 등에 중소기업 창업기업 등에 대한 계약규제 완화를

통해 공정경제 기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함

(추진내용)

∙ 신규 창업middot중소기업에 대한 진입장벽 완화

- 소규모 물품middot용역 입찰(고시금액 21억원 미만) 참여시 상대적으로불리한신규창업 및

중소기업에대한실적제한폐지

- 다만 부득이용역의성격상실적평가가필요한경우창업기업실적인정기간연장

(현행 3년 rarr 7년)을 통한 부담 완화

∙ 지체상금 부담경감 (현행의 12수준) 을 통한 상생협력 강화

∙ 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에 대한 용역대금 선급금지급률 확대

추진목표

중소기업 등 협력업체 계약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779 790 80 81 -

실행과제

(38)

공정경제를 위한 지역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업자 보호강화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건설사업장 인근지역 중소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대금의 현금

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한 하도급업자 보호 강화

(추진내용)

∙ 지역 중소 건설업체들에게 동일한 기회제공 및 공정한 경쟁 유도

- 건설사업장에서 지역건설업체와 하도급계약 체결 시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 할인 추진

∙ 협력업체 하도금대금의 현금지급 확대

- 하도급대금을 현금으로 지급할 경우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를 할인

하여 협력업체 및 근로자들의 보호를 강화하고 시장에서의 우위 선점

추진목표

지역 하도급업체 계약체결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규정개정 30 40 50 60

하도급대금의 현금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해 하도급업자 보호

- 28 -

3 국민신뢰 회복

(6대 과제) 적극행정 확산 등 조직운영 혁신

실행과제

(39)고용위기지역에 대한 금융지원 추진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용위기지역에 대한 지원강화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추진내용)

∙ 고용위기지역 내 임대주택 건립시 보증료 할인 추진(완료)

- 고용위기지역및고용재난지역소재임대보증금보증사업장보증료 10인하( 1812)

∙ 고용위기지역 내 임차인이 전세금보증 이용시 보증료 할인 검토

- 전세보증금반환보증(전세금보장) 전세안심대출(전세금대출지원)

보증이용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임차주택으로 변경시 보증료 할인 검토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보유한 주택건설사업자가 입주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임차

주택으로변경하여전세금보증가입신청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추진목표

고용위기지역 금융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마련 및 운영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40)근로여건 개선을 통한 휴식 있는 삶 지원 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일ㆍ가정 양립에 대한 법적ㆍ사회적 요구 증대됨에 따라 장시간 근로문화를 타파하고 휴식 있는 삶을 지원하여 일ㆍ생활의 균형 실현

(추진내용)

∙ 장시간 근로문화 타파- 직원니즈를반영한공사맞춤형복무제도수립및운영- PC-OFF 강화 (주2회rarr매일)- 퇴근장려캠페인 (인사안하고퇴근하기 관리자솔선수범퇴근)∙ 휴식 있는 삶 지원- 가족친화제도지속개발 (일가양득프로그램운영)- 연차휴가및남성육아휴직이용률향상을위한제도개선- 시간단위연차사용을통한휴가사용활성화- 임신직원보호를위한모성보호절차도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인당 연차사용일 1426일 1497일 1572일 1651일 1733일남성육아휴직인원 331 348 365 383 402

- 29 -

실행과제

(41)

위임전결기준 개선을 통한 업무처리 혁신

(결재피로감 낮추고 책임middot권한 공백없이 업무는 신속하게)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결재절차를 단순화함으로써 신속한 업무처리 및 고객만족도 제고

(추진내용)

∙보증위탁업무전결권세분화

- 위임전결규정안마련및규정개정절차진행(5월)

보증업무 위탁外 융자수탁업무 관련 전결권 개정도 함께 추진

∙대외업무협약체결전결권세분화

- 사안의중요성및영향도등고려중장기적으로면밀한검토필요

추진목표

결재절차 단순화

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rsquo23년보증및융자수탁업무위임전결규정개정

제도 보완

실행과제

(42)지출신청 시 영수증 증빙 제출제도 개선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지출신청시 불필요한 원본구비 제도 개선을 통한 업무효율화 달성

(추진내용)

∙ 공사 지출의 42 비중을 차지하는 5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 원본 제출 제외

- 지출액 50만원 이하 법인카드 및 전자세금계산서 지출 건 원본구비 예외 조항 신설

- 확인이 필요한 간이계산서 등은 원본징구하여 지출사고 가능성 예방

- 제도 정착 전 3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에 대하여 원본 제출 제외(시범운영)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내부

규정개정 및시범운영

제도개선 지속 추진

실행과제(43)

PF보증심사 시 월별예정 분양률 분포의 계량화 담당부서금융기획실심사평가처주택도시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민간아파트 초기분양률 데이터를 활용한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

(추진내용)

∙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를 통한 심사 객관성 확보

- 월별예정분양률 관련 명확한 지침 산정으로 신청업체 및 심사자의 주관 배제

- 국가승인통계인 민간아파트초기분양률 동향 데이터를 활용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

∙ 초기분양률 동향 분석(주택도시금융연구원 협업 4월sim10월)

- 연구원과 협업을 통해 초기분양률 데이터 분석 및 관리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건의(11월)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관할 부서(금융기획실)로 세칙 개정 건의

추진목표2019년도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예상분양률 분포기준 마련 초기분양률 데이터 관리체계 구축

- 30 -

(7대 과제) 윤리경영 강화

실행과제

(46)청렴도 향상을 위한 반부패 활동 강화 담당부서 준법지원실

추진내용

윤리경영 추진조직 강화

기관장 주도의 윤리경영 고위직 협의체 구축 내부 자문기구「청렴자문위

원회」운영 강화 및 임원의 윤리자가진단 현황 정보공개

반부패middot청렴 대외 활동 활성화

부산 이전 공공기관 청렴 협의체「청렴 클러스터」활동 강화

「부산투명사회실천 민middot관 네트워크」가입middot활동 실시

「유엔글로벌콤팩트(UNGC)」활동으로 글로벌 윤리역량 강화

실행과제

(44)논스톱 고분양가 심사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공사 PF보증 사업장에 대한 고분양가 심사기준 개선을 통한 사업

안정성 제고 및 고객신뢰성 확보

(추진내용)

∙ 「고분양가사업장심사규정」개정 추진(5월~6월)

- 고분양가 관리지역 내에서 공사 PF보증 발급예정사업장의 고분양가 심사기준(비교

사업장 선정 및 분양가격 산출 등)의 적용을lsquoPF보증 본점 승인시점rsquo으로 명확히 함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고분양가심사규정개정

사업안정성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 추진

실행과제

(45)임대리츠 통계 및 사후관리시스템 개선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목적) 자리츠 사후관리 주관기관(모리츠 AMC인 LH) 및 감독관리기관

(HUG) 간의 업무분장에 따라 사후관리 데이터 품질 저하 등 발생

rArr 기관간 협업체계 개선 관련 시스템 개발 등을 통한 사후관리 관련 데이터품질 향상 및 대정부 정보전달 적시성 확보

(추진내용)

∙ 리츠 기금출자내용 변경시 임대리츠 이력관리 등이 가능하게 하는 통계시스템 개발

∙ 분기별 사후관리보고 제출기한 마련 검토

∙ 임대리츠 통계관리 업무체계 내실화를 위한 기관간 협업 수행

추진목표

임대리츠 사후관리 구조 개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전산시스템개발 및시스템 구축

임대리츠사후관리

체계개선 수행

시스템 운용및 개선사항도출

기관간 협업수행(데이터관

리)

임대리츠통합데이터관리 수행

- 31 -

(8대 과제) 국민의 참여협력 확대 및 지역사회 공헌

실행과제

(47)

혁신도시 맞춤형 지역인재 육성 지원 및

인재채용 투명성 강화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도시 지원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증대에 따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한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

(추진내용)

∙ 市-지역대학간 협업으로 지역인재 육성 교육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 외부 면접위원 확대 및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인사 절차의 공정성 강화

∙ 사회형평적 채용실시와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을 통한 불합리한 차별 해소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지역채용 21 24 27 30 33지역인재육성 총 교육시간(교육인원times교육시간 시간) 3000 4500 4500 4500 4500

지역인재육성교육만족도(점수) 944 949 954 959 964

실행과제

(48)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사회공헌사업 확대 추진 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정부의 lsquo사회적 가치 실현rsquo을 정책에 따라 사회적 경제 및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사회공헌 필요성 증가

(추진내용)

∙ 안전한 주거환경 제공

- 무주택 국가유공자 및 저소득층 임차자금 170세대 지원(~8월10억원)- HUG 셰어하우스 3호 신촌점 완공 청년 24명 입주 완료(~10월2억원)- 저소득층 노후주택 및 소규모 사회복지시설 127세대 개보수(~10월8억원)- HUG STREET 잘사는 골목길 등 환경개선사업 대상지 선정 완료(~10월1억1천만원)

∙ 지역사회와 상생

- 노후 슬레이트 지붕개량 및 태양광 지원 사업 4자 협약(~8월3억원) HUG-부산시-한국사회복지협의회-부산도시재생지원센터

- HOPE with HUG 10호 11호 완공(~9월1억5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지역건설사-지역건축전문가 협업을 통한 주거개선사업

- 부산 송상현 광장 내 도시놀이터 프로젝트 완료(~9월7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부산시설공단 협업을 통한 문화middot휴식공간 조성

청렴 모니터링 다각화

청렴의식 환기를 위한 「자가점검 프로그램」실시

「청렴 옴부즈만」운영

개선 아이디어 발굴을 위한 「신입사원 生生 모니터링」

추진목표

종합청렴도 결과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3등급 2등급 1등급 1등급 1둥급

- 32 -

∙ 균등한 기회와 사회통합

- 중학생 자유학기제 지원 프로그램 운영(9월~4천만원)- 저소득층 청소년 20명ndash대학생 20명 매칭 등(6월~5천만원)- lsquoKBS 동행rsquo에 출연하는 저소득 가정 50세대 지원(7월~1억원)- 발달장애 청년 재능개발 프로젝트lsquo눈부신하루rsquo추진(6월~3천만원)- 신입사원 봉사활동 등을 통한 지역사회 나눔활동(~10월7천2백만원)- 저소득층 난방연료 지원을 위한 주택도시업 캠페인(~12월5천만원)- 자매결연 마을 농수산물 구입기증(~12월4천만원)

추진목표

추진 목표는 해당연도 사회공헌 기부금 예산금액(이사회 의결금액)과 연계

기부금액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8620백만원 8879백만원 9145백만원 9419백만원 9702백만원 전년도예산금액103

실행과제

(49)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목적) 도시재생과 유사한 목표비전을 공유하는 사회적경제와 연계한 맞춤형

금융상품 운영 및 관련 지원조직과 다각적 협업 활동 추진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지역주민이 주도하는 도시재생 금융지원으로 국민의 삶의 질 개선

(목적) 주민지역공동체 주도의 마을단위 도시재생으로의 변화에 대응하여

사회적 경제주체 등 지원체계 개선으로 사회적 가치 실현에 기여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추진목표

수요자중심형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510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실행과제

(50)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국민이 참여하는

HUG사업평가단(가칭) 운영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보증업무 전반에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HUG

사업평가단 구성하여 주택품질 제고 및 안심입주 지향

(추진내용)

∙ 국민이 참여하는 보증솔루션팀 및 보증심사 리뷰단을 통해 제도 개선사항 도출

∙ 보증채권자 권익에 미치는 사항 등 국민의견 수렴을 통한 보증이행제도 개선

∙ 전세금보증 이행완료 고객 및 공인중개사 참여를 통한 제도개선 사항 발굴

추진목표 2019년 국민 의견수렴을 통한 전세금보증 제도 개선 등 검토

- 33 -

실행과제(51)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과 협업하여효율적인 전세금보증 이행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이행 업무의 효율성 제고

(추진내용)

∙ 지역사회단체 등과의 협업을 통한 임차인 퇴거확인 추진 검토

- 보증사고 발생 시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 구성원이 임차인 퇴거를

확인하여 담당직원 업무 공백 최소화 (직원 출장비 수준으로 비용 지급)

- 임차인 퇴거 확인 시 해당 주택가격 및 신규 임차인 확보 가능성 검토결과를

보고받아 채권보전조치를 위한 근거 확보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거보호 이행도(전세금보증 이행 15일초과건수전체이행건수)

50 45 41 37 34

- 34 -

Ⅳ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및 적극행정 확산

①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국민참여게시판을 lsquo국민제안(국민rarr기관)rsquo

및 lsquo정책제안(기관rarr국민)rsquo 게시판으로 세분화하여 국민과 기관간

상시 소통기반 마련 경평지적

지적사항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위한 개선방안 마련 필요

(혁신 네트워크 강화) 시민참여혁신단 보증채권권익위원회 전세금

보증 시민참여단 기금홍보협의회 운영 등 주요사업에 기반하여

다양한 대외 전문기관과 네트워크 활성화 경평지적

지적사항 보증 기금등주요사업역량강화를위한전문기관혁신네트워크강화필요

② 적극행정 확산

(적극행정 면책제도 활용) 감사계획 통보 시 적극행정 면책제도

middot사전컨설팅 제도 사전안내 및 면책신청 지원을 위한 상담창구

운영 등 (계획수립 完 감사실-2367호)

(기관장 책임강화) 혁신전략위원회(위원장 사장)를 통해 적극행정

혁신과제에 대한 추진독려 및 이행사항 점검 등 보완사항 지속

발굴 (혁신페스티벌 1middot2차 개최)

(적극행정 우수사례 발굴)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를 통해 조직내

적극행정 분위기 유도 (포상 및 내부성과평가 반영 등)

성과창출에 실패했더라도 기존관행 탈피 새로운 영역개척 국민접점에서

활력을 제고하는 등 lsquo착한실패rsquo lsquo건전한파격rsquo에 대해서도 포상추진 예정

(적극행정 인식확산) 적극행정 사이버교육(법제처 주관) 이수 등

적극행정 인식확산을 위한 교육참여 시 혁신마일리지 부여 (전사 교육 실시 예정)

- 35 -

Ⅴ 혁신 추진도구별 업무일정

구 분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1 2 3 4 5 6 7 8 9 10 11 12

1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2 국민소통 강화

3 혁신페스티벌

4 유관기관 협업

5 혁신채널 구축

6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7 제안제도 정비

8 혁신콘서트

9 혁신교육 및 혁신워크숍

10 혁신레터

11 혁신마일리지 신설

12 혁신BP 발굴 및 포상

피드백

(성과관리) 공공기관 혁신 및 기관 경영혁신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혁신과제 추진실적을 정기적으로 점검 및 피드백

(혁신전파) 조직원 전체의 혁신공감대 형성 및 참여도 제고를 위해

본사부서 및 영업부서 방문 등을 통해 혁신활동 및 우수사례 공유

(혁신내재화) 국민소통채널 혁신마일리지 혁신레터 등 혁신활동이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고 혁신업무에 대해

조직원이 공감하고 회사 모든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

Page 26: 2019년 HUG 혁신 추진계획 - khug.or.kr…„HUG혁신추진계획.pdf · 혁신페스티벌 - (내부 혁신과제 발굴) 조직·인사·제도·서비스혁신 등 회사

- 25 -

실행과제

(31)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비대면 가입 활성화 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추진내용

9개 수탁은행에 온라인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 독려

연령 무주택세대주 소득증빙 등 가입 시 제출서류가 많아 비대면 시스템 구축 시

지점방문 없이 간편하게 가입 가능

신한은행 최초로 완전 비대면 가입시스템 구축(821)

비대면 가입 주택도시기금포털에 안내 및 홍보

비대면 가입 시스템 기금포털 홍보 게시하여 수탁은행 시스템 개발 독려

추진목표 목표비대면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전체 가입의 6 전체 가입의 12

실행과제

(32)전기자동차 도입을 통한 친환경 에너지 수요 창출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업무용 차량의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ㅇ 2018년 임차기간 만료예정인 업무용 차량을 전기자동차로 대체

ㅇ 추후 본사 및 영업부서 업무용 차량 전기자동차 비중 확대

추진목표 2019년 중 전기자동차 1대 충전소 1개소 설치실행과제

(33)드론 활용을 통한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기술middot제품에 대한 선제적 구매 및 테스트와 고유사업에 활용

으로 민간 초기시장 조성을 견인

(추진내용)

∙ 보증이행사업장 드론 안전점검 시범실시

- (`1812) 예산 미편성으로 1개 사업장 드론촬영 시범실시 및 효용성 검토

∙ 보유중 보증이행사업장 안전점검에 드론 활용 확대

- (`196) 전문엔지니어링 업체 발굴로 일자리 창출 및 보유 사업장 전체(2개)에

드론 활용 안전점검 실시 rArr 위험요소 발굴로 관할센터에 사고예방을 위한

안전조치 권고문서 시행

추진목표

안전사고 발생비율(발생건수보유사업장)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0 0 0 0 0 안전사고발생 ZERO무사고 달성

실행과제

(34)드론활용사업장안전관리및점검체계구축(시범단지운영) 담당부서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HUG형 혁신 사업장 안전관리 및 점검체계 구축

ㅇ 드론 활용 사업장 안전 및 점검체계 구축

ㅇ 시범단지 선정 및 운용 세부계획 검토

∙ 드론 등 기술혁신 도구관련 관련 업체 및 유관기관 협의

∙ 사업장-영업부서-본사부서 협업체계 및 활용방안(HUG-i 게시) 등

추진목표안전사고로 인한 분양보증사고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0 0 0 0 0

- 26 -

실행과제

(35)블록체인을 활용한 안전하고 편리한 인터넷서비스 제공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정부주도의 공인인증서 폐지정책(전자서명법 전부개정 예고)에 따라 전자

서명에 대한 인터넷 사용자 대체 인증수단 개발

(추진내용)

∙ 블록체인 기반의 본인인증 서비스 (카카오페이 인증 서비스) 도입

- 인터넷보증시스템에서보증료영수증및보증서출력시카카오인증을이용한전자문서

유통증명서비스제공

∙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대국민서비스 확대

- 전자서명법개정에따른블록체인기반의전자서명서비스도입

- 온라인 등기우편(연체정보 등 전자우편을 본인인증 후 열람) 일괄발송 발송내역 조회

및유통증명서발급시스템구축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블록체인기반본인인증서비스시범도입

블록체인기술을이용한

대국민서비스확대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실행과제

(36)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사업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환경보호라는 공공성을 위하여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건물

보증에 대해 유인책 마련 필요

(추진내용)

∙ 제로에너지 건축물에 대한 대출한도 상향 조정

∙ 건축 관련학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해 친환경 건축물에 대한 관심 제고

- HUG 오픈캠퍼스 추진 시 건축 관련학과(건축공학과 건축디자인과 등) 학생에게 교육

추진및공사인턴체험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제로에너지 건축물지원 제도

규정신설 -

HUG오픈캠퍼스 수료학생수 (건축 관련 학과 포함)

100 110 121 133 146

- 27 -

(5대 과제) 공정경제 기반 구축 중점

실행과제

(37)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 진입장벽 해소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물품구매 대금결제 등에 중소기업 창업기업 등에 대한 계약규제 완화를

통해 공정경제 기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함

(추진내용)

∙ 신규 창업middot중소기업에 대한 진입장벽 완화

- 소규모 물품middot용역 입찰(고시금액 21억원 미만) 참여시 상대적으로불리한신규창업 및

중소기업에대한실적제한폐지

- 다만 부득이용역의성격상실적평가가필요한경우창업기업실적인정기간연장

(현행 3년 rarr 7년)을 통한 부담 완화

∙ 지체상금 부담경감 (현행의 12수준) 을 통한 상생협력 강화

∙ 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에 대한 용역대금 선급금지급률 확대

추진목표

중소기업 등 협력업체 계약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779 790 80 81 -

실행과제

(38)

공정경제를 위한 지역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업자 보호강화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건설사업장 인근지역 중소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대금의 현금

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한 하도급업자 보호 강화

(추진내용)

∙ 지역 중소 건설업체들에게 동일한 기회제공 및 공정한 경쟁 유도

- 건설사업장에서 지역건설업체와 하도급계약 체결 시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 할인 추진

∙ 협력업체 하도금대금의 현금지급 확대

- 하도급대금을 현금으로 지급할 경우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를 할인

하여 협력업체 및 근로자들의 보호를 강화하고 시장에서의 우위 선점

추진목표

지역 하도급업체 계약체결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규정개정 30 40 50 60

하도급대금의 현금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해 하도급업자 보호

- 28 -

3 국민신뢰 회복

(6대 과제) 적극행정 확산 등 조직운영 혁신

실행과제

(39)고용위기지역에 대한 금융지원 추진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용위기지역에 대한 지원강화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추진내용)

∙ 고용위기지역 내 임대주택 건립시 보증료 할인 추진(완료)

- 고용위기지역및고용재난지역소재임대보증금보증사업장보증료 10인하( 1812)

∙ 고용위기지역 내 임차인이 전세금보증 이용시 보증료 할인 검토

- 전세보증금반환보증(전세금보장) 전세안심대출(전세금대출지원)

보증이용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임차주택으로 변경시 보증료 할인 검토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보유한 주택건설사업자가 입주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임차

주택으로변경하여전세금보증가입신청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추진목표

고용위기지역 금융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마련 및 운영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40)근로여건 개선을 통한 휴식 있는 삶 지원 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일ㆍ가정 양립에 대한 법적ㆍ사회적 요구 증대됨에 따라 장시간 근로문화를 타파하고 휴식 있는 삶을 지원하여 일ㆍ생활의 균형 실현

(추진내용)

∙ 장시간 근로문화 타파- 직원니즈를반영한공사맞춤형복무제도수립및운영- PC-OFF 강화 (주2회rarr매일)- 퇴근장려캠페인 (인사안하고퇴근하기 관리자솔선수범퇴근)∙ 휴식 있는 삶 지원- 가족친화제도지속개발 (일가양득프로그램운영)- 연차휴가및남성육아휴직이용률향상을위한제도개선- 시간단위연차사용을통한휴가사용활성화- 임신직원보호를위한모성보호절차도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인당 연차사용일 1426일 1497일 1572일 1651일 1733일남성육아휴직인원 331 348 365 383 402

- 29 -

실행과제

(41)

위임전결기준 개선을 통한 업무처리 혁신

(결재피로감 낮추고 책임middot권한 공백없이 업무는 신속하게)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결재절차를 단순화함으로써 신속한 업무처리 및 고객만족도 제고

(추진내용)

∙보증위탁업무전결권세분화

- 위임전결규정안마련및규정개정절차진행(5월)

보증업무 위탁外 융자수탁업무 관련 전결권 개정도 함께 추진

∙대외업무협약체결전결권세분화

- 사안의중요성및영향도등고려중장기적으로면밀한검토필요

추진목표

결재절차 단순화

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rsquo23년보증및융자수탁업무위임전결규정개정

제도 보완

실행과제

(42)지출신청 시 영수증 증빙 제출제도 개선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지출신청시 불필요한 원본구비 제도 개선을 통한 업무효율화 달성

(추진내용)

∙ 공사 지출의 42 비중을 차지하는 5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 원본 제출 제외

- 지출액 50만원 이하 법인카드 및 전자세금계산서 지출 건 원본구비 예외 조항 신설

- 확인이 필요한 간이계산서 등은 원본징구하여 지출사고 가능성 예방

- 제도 정착 전 3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에 대하여 원본 제출 제외(시범운영)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내부

규정개정 및시범운영

제도개선 지속 추진

실행과제(43)

PF보증심사 시 월별예정 분양률 분포의 계량화 담당부서금융기획실심사평가처주택도시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민간아파트 초기분양률 데이터를 활용한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

(추진내용)

∙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를 통한 심사 객관성 확보

- 월별예정분양률 관련 명확한 지침 산정으로 신청업체 및 심사자의 주관 배제

- 국가승인통계인 민간아파트초기분양률 동향 데이터를 활용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

∙ 초기분양률 동향 분석(주택도시금융연구원 협업 4월sim10월)

- 연구원과 협업을 통해 초기분양률 데이터 분석 및 관리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건의(11월)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관할 부서(금융기획실)로 세칙 개정 건의

추진목표2019년도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예상분양률 분포기준 마련 초기분양률 데이터 관리체계 구축

- 30 -

(7대 과제) 윤리경영 강화

실행과제

(46)청렴도 향상을 위한 반부패 활동 강화 담당부서 준법지원실

추진내용

윤리경영 추진조직 강화

기관장 주도의 윤리경영 고위직 협의체 구축 내부 자문기구「청렴자문위

원회」운영 강화 및 임원의 윤리자가진단 현황 정보공개

반부패middot청렴 대외 활동 활성화

부산 이전 공공기관 청렴 협의체「청렴 클러스터」활동 강화

「부산투명사회실천 민middot관 네트워크」가입middot활동 실시

「유엔글로벌콤팩트(UNGC)」활동으로 글로벌 윤리역량 강화

실행과제

(44)논스톱 고분양가 심사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공사 PF보증 사업장에 대한 고분양가 심사기준 개선을 통한 사업

안정성 제고 및 고객신뢰성 확보

(추진내용)

∙ 「고분양가사업장심사규정」개정 추진(5월~6월)

- 고분양가 관리지역 내에서 공사 PF보증 발급예정사업장의 고분양가 심사기준(비교

사업장 선정 및 분양가격 산출 등)의 적용을lsquoPF보증 본점 승인시점rsquo으로 명확히 함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고분양가심사규정개정

사업안정성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 추진

실행과제

(45)임대리츠 통계 및 사후관리시스템 개선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목적) 자리츠 사후관리 주관기관(모리츠 AMC인 LH) 및 감독관리기관

(HUG) 간의 업무분장에 따라 사후관리 데이터 품질 저하 등 발생

rArr 기관간 협업체계 개선 관련 시스템 개발 등을 통한 사후관리 관련 데이터품질 향상 및 대정부 정보전달 적시성 확보

(추진내용)

∙ 리츠 기금출자내용 변경시 임대리츠 이력관리 등이 가능하게 하는 통계시스템 개발

∙ 분기별 사후관리보고 제출기한 마련 검토

∙ 임대리츠 통계관리 업무체계 내실화를 위한 기관간 협업 수행

추진목표

임대리츠 사후관리 구조 개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전산시스템개발 및시스템 구축

임대리츠사후관리

체계개선 수행

시스템 운용및 개선사항도출

기관간 협업수행(데이터관

리)

임대리츠통합데이터관리 수행

- 31 -

(8대 과제) 국민의 참여협력 확대 및 지역사회 공헌

실행과제

(47)

혁신도시 맞춤형 지역인재 육성 지원 및

인재채용 투명성 강화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도시 지원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증대에 따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한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

(추진내용)

∙ 市-지역대학간 협업으로 지역인재 육성 교육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 외부 면접위원 확대 및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인사 절차의 공정성 강화

∙ 사회형평적 채용실시와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을 통한 불합리한 차별 해소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지역채용 21 24 27 30 33지역인재육성 총 교육시간(교육인원times교육시간 시간) 3000 4500 4500 4500 4500

지역인재육성교육만족도(점수) 944 949 954 959 964

실행과제

(48)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사회공헌사업 확대 추진 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정부의 lsquo사회적 가치 실현rsquo을 정책에 따라 사회적 경제 및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사회공헌 필요성 증가

(추진내용)

∙ 안전한 주거환경 제공

- 무주택 국가유공자 및 저소득층 임차자금 170세대 지원(~8월10억원)- HUG 셰어하우스 3호 신촌점 완공 청년 24명 입주 완료(~10월2억원)- 저소득층 노후주택 및 소규모 사회복지시설 127세대 개보수(~10월8억원)- HUG STREET 잘사는 골목길 등 환경개선사업 대상지 선정 완료(~10월1억1천만원)

∙ 지역사회와 상생

- 노후 슬레이트 지붕개량 및 태양광 지원 사업 4자 협약(~8월3억원) HUG-부산시-한국사회복지협의회-부산도시재생지원센터

- HOPE with HUG 10호 11호 완공(~9월1억5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지역건설사-지역건축전문가 협업을 통한 주거개선사업

- 부산 송상현 광장 내 도시놀이터 프로젝트 완료(~9월7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부산시설공단 협업을 통한 문화middot휴식공간 조성

청렴 모니터링 다각화

청렴의식 환기를 위한 「자가점검 프로그램」실시

「청렴 옴부즈만」운영

개선 아이디어 발굴을 위한 「신입사원 生生 모니터링」

추진목표

종합청렴도 결과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3등급 2등급 1등급 1등급 1둥급

- 32 -

∙ 균등한 기회와 사회통합

- 중학생 자유학기제 지원 프로그램 운영(9월~4천만원)- 저소득층 청소년 20명ndash대학생 20명 매칭 등(6월~5천만원)- lsquoKBS 동행rsquo에 출연하는 저소득 가정 50세대 지원(7월~1억원)- 발달장애 청년 재능개발 프로젝트lsquo눈부신하루rsquo추진(6월~3천만원)- 신입사원 봉사활동 등을 통한 지역사회 나눔활동(~10월7천2백만원)- 저소득층 난방연료 지원을 위한 주택도시업 캠페인(~12월5천만원)- 자매결연 마을 농수산물 구입기증(~12월4천만원)

추진목표

추진 목표는 해당연도 사회공헌 기부금 예산금액(이사회 의결금액)과 연계

기부금액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8620백만원 8879백만원 9145백만원 9419백만원 9702백만원 전년도예산금액103

실행과제

(49)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목적) 도시재생과 유사한 목표비전을 공유하는 사회적경제와 연계한 맞춤형

금융상품 운영 및 관련 지원조직과 다각적 협업 활동 추진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지역주민이 주도하는 도시재생 금융지원으로 국민의 삶의 질 개선

(목적) 주민지역공동체 주도의 마을단위 도시재생으로의 변화에 대응하여

사회적 경제주체 등 지원체계 개선으로 사회적 가치 실현에 기여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추진목표

수요자중심형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510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실행과제

(50)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국민이 참여하는

HUG사업평가단(가칭) 운영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보증업무 전반에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HUG

사업평가단 구성하여 주택품질 제고 및 안심입주 지향

(추진내용)

∙ 국민이 참여하는 보증솔루션팀 및 보증심사 리뷰단을 통해 제도 개선사항 도출

∙ 보증채권자 권익에 미치는 사항 등 국민의견 수렴을 통한 보증이행제도 개선

∙ 전세금보증 이행완료 고객 및 공인중개사 참여를 통한 제도개선 사항 발굴

추진목표 2019년 국민 의견수렴을 통한 전세금보증 제도 개선 등 검토

- 33 -

실행과제(51)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과 협업하여효율적인 전세금보증 이행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이행 업무의 효율성 제고

(추진내용)

∙ 지역사회단체 등과의 협업을 통한 임차인 퇴거확인 추진 검토

- 보증사고 발생 시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 구성원이 임차인 퇴거를

확인하여 담당직원 업무 공백 최소화 (직원 출장비 수준으로 비용 지급)

- 임차인 퇴거 확인 시 해당 주택가격 및 신규 임차인 확보 가능성 검토결과를

보고받아 채권보전조치를 위한 근거 확보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거보호 이행도(전세금보증 이행 15일초과건수전체이행건수)

50 45 41 37 34

- 34 -

Ⅳ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및 적극행정 확산

①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국민참여게시판을 lsquo국민제안(국민rarr기관)rsquo

및 lsquo정책제안(기관rarr국민)rsquo 게시판으로 세분화하여 국민과 기관간

상시 소통기반 마련 경평지적

지적사항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위한 개선방안 마련 필요

(혁신 네트워크 강화) 시민참여혁신단 보증채권권익위원회 전세금

보증 시민참여단 기금홍보협의회 운영 등 주요사업에 기반하여

다양한 대외 전문기관과 네트워크 활성화 경평지적

지적사항 보증 기금등주요사업역량강화를위한전문기관혁신네트워크강화필요

② 적극행정 확산

(적극행정 면책제도 활용) 감사계획 통보 시 적극행정 면책제도

middot사전컨설팅 제도 사전안내 및 면책신청 지원을 위한 상담창구

운영 등 (계획수립 完 감사실-2367호)

(기관장 책임강화) 혁신전략위원회(위원장 사장)를 통해 적극행정

혁신과제에 대한 추진독려 및 이행사항 점검 등 보완사항 지속

발굴 (혁신페스티벌 1middot2차 개최)

(적극행정 우수사례 발굴)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를 통해 조직내

적극행정 분위기 유도 (포상 및 내부성과평가 반영 등)

성과창출에 실패했더라도 기존관행 탈피 새로운 영역개척 국민접점에서

활력을 제고하는 등 lsquo착한실패rsquo lsquo건전한파격rsquo에 대해서도 포상추진 예정

(적극행정 인식확산) 적극행정 사이버교육(법제처 주관) 이수 등

적극행정 인식확산을 위한 교육참여 시 혁신마일리지 부여 (전사 교육 실시 예정)

- 35 -

Ⅴ 혁신 추진도구별 업무일정

구 분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1 2 3 4 5 6 7 8 9 10 11 12

1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2 국민소통 강화

3 혁신페스티벌

4 유관기관 협업

5 혁신채널 구축

6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7 제안제도 정비

8 혁신콘서트

9 혁신교육 및 혁신워크숍

10 혁신레터

11 혁신마일리지 신설

12 혁신BP 발굴 및 포상

피드백

(성과관리) 공공기관 혁신 및 기관 경영혁신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혁신과제 추진실적을 정기적으로 점검 및 피드백

(혁신전파) 조직원 전체의 혁신공감대 형성 및 참여도 제고를 위해

본사부서 및 영업부서 방문 등을 통해 혁신활동 및 우수사례 공유

(혁신내재화) 국민소통채널 혁신마일리지 혁신레터 등 혁신활동이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고 혁신업무에 대해

조직원이 공감하고 회사 모든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

Page 27: 2019년 HUG 혁신 추진계획 - khug.or.kr…„HUG혁신추진계획.pdf · 혁신페스티벌 - (내부 혁신과제 발굴) 조직·인사·제도·서비스혁신 등 회사

- 26 -

실행과제

(35)블록체인을 활용한 안전하고 편리한 인터넷서비스 제공 담당부서 정보운영처

추진내용

(목적) 정부주도의 공인인증서 폐지정책(전자서명법 전부개정 예고)에 따라 전자

서명에 대한 인터넷 사용자 대체 인증수단 개발

(추진내용)

∙ 블록체인 기반의 본인인증 서비스 (카카오페이 인증 서비스) 도입

- 인터넷보증시스템에서보증료영수증및보증서출력시카카오인증을이용한전자문서

유통증명서비스제공

∙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대국민서비스 확대

- 전자서명법개정에따른블록체인기반의전자서명서비스도입

- 온라인 등기우편(연체정보 등 전자우편을 본인인증 후 열람) 일괄발송 발송내역 조회

및유통증명서발급시스템구축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블록체인기반본인인증서비스시범도입

블록체인기술을이용한

대국민서비스확대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안정화및블록체인기술확대방안검토

실행과제

(36)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환경친화적 주택건설 지원사업담당부서

기금지원처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환경보호라는 공공성을 위하여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는 건물

보증에 대해 유인책 마련 필요

(추진내용)

∙ 제로에너지 건축물에 대한 대출한도 상향 조정

∙ 건축 관련학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해 친환경 건축물에 대한 관심 제고

- HUG 오픈캠퍼스 추진 시 건축 관련학과(건축공학과 건축디자인과 등) 학생에게 교육

추진및공사인턴체험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제로에너지 건축물지원 제도

규정신설 -

HUG오픈캠퍼스 수료학생수 (건축 관련 학과 포함)

100 110 121 133 146

- 27 -

(5대 과제) 공정경제 기반 구축 중점

실행과제

(37)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 진입장벽 해소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물품구매 대금결제 등에 중소기업 창업기업 등에 대한 계약규제 완화를

통해 공정경제 기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함

(추진내용)

∙ 신규 창업middot중소기업에 대한 진입장벽 완화

- 소규모 물품middot용역 입찰(고시금액 21억원 미만) 참여시 상대적으로불리한신규창업 및

중소기업에대한실적제한폐지

- 다만 부득이용역의성격상실적평가가필요한경우창업기업실적인정기간연장

(현행 3년 rarr 7년)을 통한 부담 완화

∙ 지체상금 부담경감 (현행의 12수준) 을 통한 상생협력 강화

∙ 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에 대한 용역대금 선급금지급률 확대

추진목표

중소기업 등 협력업체 계약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779 790 80 81 -

실행과제

(38)

공정경제를 위한 지역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업자 보호강화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건설사업장 인근지역 중소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대금의 현금

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한 하도급업자 보호 강화

(추진내용)

∙ 지역 중소 건설업체들에게 동일한 기회제공 및 공정한 경쟁 유도

- 건설사업장에서 지역건설업체와 하도급계약 체결 시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 할인 추진

∙ 협력업체 하도금대금의 현금지급 확대

- 하도급대금을 현금으로 지급할 경우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를 할인

하여 협력업체 및 근로자들의 보호를 강화하고 시장에서의 우위 선점

추진목표

지역 하도급업체 계약체결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규정개정 30 40 50 60

하도급대금의 현금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해 하도급업자 보호

- 28 -

3 국민신뢰 회복

(6대 과제) 적극행정 확산 등 조직운영 혁신

실행과제

(39)고용위기지역에 대한 금융지원 추진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용위기지역에 대한 지원강화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추진내용)

∙ 고용위기지역 내 임대주택 건립시 보증료 할인 추진(완료)

- 고용위기지역및고용재난지역소재임대보증금보증사업장보증료 10인하( 1812)

∙ 고용위기지역 내 임차인이 전세금보증 이용시 보증료 할인 검토

- 전세보증금반환보증(전세금보장) 전세안심대출(전세금대출지원)

보증이용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임차주택으로 변경시 보증료 할인 검토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보유한 주택건설사업자가 입주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임차

주택으로변경하여전세금보증가입신청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추진목표

고용위기지역 금융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마련 및 운영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40)근로여건 개선을 통한 휴식 있는 삶 지원 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일ㆍ가정 양립에 대한 법적ㆍ사회적 요구 증대됨에 따라 장시간 근로문화를 타파하고 휴식 있는 삶을 지원하여 일ㆍ생활의 균형 실현

(추진내용)

∙ 장시간 근로문화 타파- 직원니즈를반영한공사맞춤형복무제도수립및운영- PC-OFF 강화 (주2회rarr매일)- 퇴근장려캠페인 (인사안하고퇴근하기 관리자솔선수범퇴근)∙ 휴식 있는 삶 지원- 가족친화제도지속개발 (일가양득프로그램운영)- 연차휴가및남성육아휴직이용률향상을위한제도개선- 시간단위연차사용을통한휴가사용활성화- 임신직원보호를위한모성보호절차도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인당 연차사용일 1426일 1497일 1572일 1651일 1733일남성육아휴직인원 331 348 365 383 402

- 29 -

실행과제

(41)

위임전결기준 개선을 통한 업무처리 혁신

(결재피로감 낮추고 책임middot권한 공백없이 업무는 신속하게)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결재절차를 단순화함으로써 신속한 업무처리 및 고객만족도 제고

(추진내용)

∙보증위탁업무전결권세분화

- 위임전결규정안마련및규정개정절차진행(5월)

보증업무 위탁外 융자수탁업무 관련 전결권 개정도 함께 추진

∙대외업무협약체결전결권세분화

- 사안의중요성및영향도등고려중장기적으로면밀한검토필요

추진목표

결재절차 단순화

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rsquo23년보증및융자수탁업무위임전결규정개정

제도 보완

실행과제

(42)지출신청 시 영수증 증빙 제출제도 개선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지출신청시 불필요한 원본구비 제도 개선을 통한 업무효율화 달성

(추진내용)

∙ 공사 지출의 42 비중을 차지하는 5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 원본 제출 제외

- 지출액 50만원 이하 법인카드 및 전자세금계산서 지출 건 원본구비 예외 조항 신설

- 확인이 필요한 간이계산서 등은 원본징구하여 지출사고 가능성 예방

- 제도 정착 전 3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에 대하여 원본 제출 제외(시범운영)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내부

규정개정 및시범운영

제도개선 지속 추진

실행과제(43)

PF보증심사 시 월별예정 분양률 분포의 계량화 담당부서금융기획실심사평가처주택도시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민간아파트 초기분양률 데이터를 활용한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

(추진내용)

∙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를 통한 심사 객관성 확보

- 월별예정분양률 관련 명확한 지침 산정으로 신청업체 및 심사자의 주관 배제

- 국가승인통계인 민간아파트초기분양률 동향 데이터를 활용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

∙ 초기분양률 동향 분석(주택도시금융연구원 협업 4월sim10월)

- 연구원과 협업을 통해 초기분양률 데이터 분석 및 관리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건의(11월)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관할 부서(금융기획실)로 세칙 개정 건의

추진목표2019년도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예상분양률 분포기준 마련 초기분양률 데이터 관리체계 구축

- 30 -

(7대 과제) 윤리경영 강화

실행과제

(46)청렴도 향상을 위한 반부패 활동 강화 담당부서 준법지원실

추진내용

윤리경영 추진조직 강화

기관장 주도의 윤리경영 고위직 협의체 구축 내부 자문기구「청렴자문위

원회」운영 강화 및 임원의 윤리자가진단 현황 정보공개

반부패middot청렴 대외 활동 활성화

부산 이전 공공기관 청렴 협의체「청렴 클러스터」활동 강화

「부산투명사회실천 민middot관 네트워크」가입middot활동 실시

「유엔글로벌콤팩트(UNGC)」활동으로 글로벌 윤리역량 강화

실행과제

(44)논스톱 고분양가 심사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공사 PF보증 사업장에 대한 고분양가 심사기준 개선을 통한 사업

안정성 제고 및 고객신뢰성 확보

(추진내용)

∙ 「고분양가사업장심사규정」개정 추진(5월~6월)

- 고분양가 관리지역 내에서 공사 PF보증 발급예정사업장의 고분양가 심사기준(비교

사업장 선정 및 분양가격 산출 등)의 적용을lsquoPF보증 본점 승인시점rsquo으로 명확히 함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고분양가심사규정개정

사업안정성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 추진

실행과제

(45)임대리츠 통계 및 사후관리시스템 개선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목적) 자리츠 사후관리 주관기관(모리츠 AMC인 LH) 및 감독관리기관

(HUG) 간의 업무분장에 따라 사후관리 데이터 품질 저하 등 발생

rArr 기관간 협업체계 개선 관련 시스템 개발 등을 통한 사후관리 관련 데이터품질 향상 및 대정부 정보전달 적시성 확보

(추진내용)

∙ 리츠 기금출자내용 변경시 임대리츠 이력관리 등이 가능하게 하는 통계시스템 개발

∙ 분기별 사후관리보고 제출기한 마련 검토

∙ 임대리츠 통계관리 업무체계 내실화를 위한 기관간 협업 수행

추진목표

임대리츠 사후관리 구조 개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전산시스템개발 및시스템 구축

임대리츠사후관리

체계개선 수행

시스템 운용및 개선사항도출

기관간 협업수행(데이터관

리)

임대리츠통합데이터관리 수행

- 31 -

(8대 과제) 국민의 참여협력 확대 및 지역사회 공헌

실행과제

(47)

혁신도시 맞춤형 지역인재 육성 지원 및

인재채용 투명성 강화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도시 지원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증대에 따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한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

(추진내용)

∙ 市-지역대학간 협업으로 지역인재 육성 교육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 외부 면접위원 확대 및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인사 절차의 공정성 강화

∙ 사회형평적 채용실시와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을 통한 불합리한 차별 해소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지역채용 21 24 27 30 33지역인재육성 총 교육시간(교육인원times교육시간 시간) 3000 4500 4500 4500 4500

지역인재육성교육만족도(점수) 944 949 954 959 964

실행과제

(48)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사회공헌사업 확대 추진 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정부의 lsquo사회적 가치 실현rsquo을 정책에 따라 사회적 경제 및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사회공헌 필요성 증가

(추진내용)

∙ 안전한 주거환경 제공

- 무주택 국가유공자 및 저소득층 임차자금 170세대 지원(~8월10억원)- HUG 셰어하우스 3호 신촌점 완공 청년 24명 입주 완료(~10월2억원)- 저소득층 노후주택 및 소규모 사회복지시설 127세대 개보수(~10월8억원)- HUG STREET 잘사는 골목길 등 환경개선사업 대상지 선정 완료(~10월1억1천만원)

∙ 지역사회와 상생

- 노후 슬레이트 지붕개량 및 태양광 지원 사업 4자 협약(~8월3억원) HUG-부산시-한국사회복지협의회-부산도시재생지원센터

- HOPE with HUG 10호 11호 완공(~9월1억5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지역건설사-지역건축전문가 협업을 통한 주거개선사업

- 부산 송상현 광장 내 도시놀이터 프로젝트 완료(~9월7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부산시설공단 협업을 통한 문화middot휴식공간 조성

청렴 모니터링 다각화

청렴의식 환기를 위한 「자가점검 프로그램」실시

「청렴 옴부즈만」운영

개선 아이디어 발굴을 위한 「신입사원 生生 모니터링」

추진목표

종합청렴도 결과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3등급 2등급 1등급 1등급 1둥급

- 32 -

∙ 균등한 기회와 사회통합

- 중학생 자유학기제 지원 프로그램 운영(9월~4천만원)- 저소득층 청소년 20명ndash대학생 20명 매칭 등(6월~5천만원)- lsquoKBS 동행rsquo에 출연하는 저소득 가정 50세대 지원(7월~1억원)- 발달장애 청년 재능개발 프로젝트lsquo눈부신하루rsquo추진(6월~3천만원)- 신입사원 봉사활동 등을 통한 지역사회 나눔활동(~10월7천2백만원)- 저소득층 난방연료 지원을 위한 주택도시업 캠페인(~12월5천만원)- 자매결연 마을 농수산물 구입기증(~12월4천만원)

추진목표

추진 목표는 해당연도 사회공헌 기부금 예산금액(이사회 의결금액)과 연계

기부금액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8620백만원 8879백만원 9145백만원 9419백만원 9702백만원 전년도예산금액103

실행과제

(49)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목적) 도시재생과 유사한 목표비전을 공유하는 사회적경제와 연계한 맞춤형

금융상품 운영 및 관련 지원조직과 다각적 협업 활동 추진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지역주민이 주도하는 도시재생 금융지원으로 국민의 삶의 질 개선

(목적) 주민지역공동체 주도의 마을단위 도시재생으로의 변화에 대응하여

사회적 경제주체 등 지원체계 개선으로 사회적 가치 실현에 기여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추진목표

수요자중심형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510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실행과제

(50)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국민이 참여하는

HUG사업평가단(가칭) 운영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보증업무 전반에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HUG

사업평가단 구성하여 주택품질 제고 및 안심입주 지향

(추진내용)

∙ 국민이 참여하는 보증솔루션팀 및 보증심사 리뷰단을 통해 제도 개선사항 도출

∙ 보증채권자 권익에 미치는 사항 등 국민의견 수렴을 통한 보증이행제도 개선

∙ 전세금보증 이행완료 고객 및 공인중개사 참여를 통한 제도개선 사항 발굴

추진목표 2019년 국민 의견수렴을 통한 전세금보증 제도 개선 등 검토

- 33 -

실행과제(51)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과 협업하여효율적인 전세금보증 이행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이행 업무의 효율성 제고

(추진내용)

∙ 지역사회단체 등과의 협업을 통한 임차인 퇴거확인 추진 검토

- 보증사고 발생 시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 구성원이 임차인 퇴거를

확인하여 담당직원 업무 공백 최소화 (직원 출장비 수준으로 비용 지급)

- 임차인 퇴거 확인 시 해당 주택가격 및 신규 임차인 확보 가능성 검토결과를

보고받아 채권보전조치를 위한 근거 확보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거보호 이행도(전세금보증 이행 15일초과건수전체이행건수)

50 45 41 37 34

- 34 -

Ⅳ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및 적극행정 확산

①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국민참여게시판을 lsquo국민제안(국민rarr기관)rsquo

및 lsquo정책제안(기관rarr국민)rsquo 게시판으로 세분화하여 국민과 기관간

상시 소통기반 마련 경평지적

지적사항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위한 개선방안 마련 필요

(혁신 네트워크 강화) 시민참여혁신단 보증채권권익위원회 전세금

보증 시민참여단 기금홍보협의회 운영 등 주요사업에 기반하여

다양한 대외 전문기관과 네트워크 활성화 경평지적

지적사항 보증 기금등주요사업역량강화를위한전문기관혁신네트워크강화필요

② 적극행정 확산

(적극행정 면책제도 활용) 감사계획 통보 시 적극행정 면책제도

middot사전컨설팅 제도 사전안내 및 면책신청 지원을 위한 상담창구

운영 등 (계획수립 完 감사실-2367호)

(기관장 책임강화) 혁신전략위원회(위원장 사장)를 통해 적극행정

혁신과제에 대한 추진독려 및 이행사항 점검 등 보완사항 지속

발굴 (혁신페스티벌 1middot2차 개최)

(적극행정 우수사례 발굴)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를 통해 조직내

적극행정 분위기 유도 (포상 및 내부성과평가 반영 등)

성과창출에 실패했더라도 기존관행 탈피 새로운 영역개척 국민접점에서

활력을 제고하는 등 lsquo착한실패rsquo lsquo건전한파격rsquo에 대해서도 포상추진 예정

(적극행정 인식확산) 적극행정 사이버교육(법제처 주관) 이수 등

적극행정 인식확산을 위한 교육참여 시 혁신마일리지 부여 (전사 교육 실시 예정)

- 35 -

Ⅴ 혁신 추진도구별 업무일정

구 분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1 2 3 4 5 6 7 8 9 10 11 12

1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2 국민소통 강화

3 혁신페스티벌

4 유관기관 협업

5 혁신채널 구축

6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7 제안제도 정비

8 혁신콘서트

9 혁신교육 및 혁신워크숍

10 혁신레터

11 혁신마일리지 신설

12 혁신BP 발굴 및 포상

피드백

(성과관리) 공공기관 혁신 및 기관 경영혁신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혁신과제 추진실적을 정기적으로 점검 및 피드백

(혁신전파) 조직원 전체의 혁신공감대 형성 및 참여도 제고를 위해

본사부서 및 영업부서 방문 등을 통해 혁신활동 및 우수사례 공유

(혁신내재화) 국민소통채널 혁신마일리지 혁신레터 등 혁신활동이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고 혁신업무에 대해

조직원이 공감하고 회사 모든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

Page 28: 2019년 HUG 혁신 추진계획 - khug.or.kr…„HUG혁신추진계획.pdf · 혁신페스티벌 - (내부 혁신과제 발굴) 조직·인사·제도·서비스혁신 등 회사

- 27 -

(5대 과제) 공정경제 기반 구축 중점

실행과제

(37)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 진입장벽 해소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물품구매 대금결제 등에 중소기업 창업기업 등에 대한 계약규제 완화를

통해 공정경제 기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함

(추진내용)

∙ 신규 창업middot중소기업에 대한 진입장벽 완화

- 소규모 물품middot용역 입찰(고시금액 21억원 미만) 참여시 상대적으로불리한신규창업 및

중소기업에대한실적제한폐지

- 다만 부득이용역의성격상실적평가가필요한경우창업기업실적인정기간연장

(현행 3년 rarr 7년)을 통한 부담 완화

∙ 지체상금 부담경감 (현행의 12수준) 을 통한 상생협력 강화

∙ 중소기업 및 사회적 기업에 대한 용역대금 선급금지급률 확대

추진목표

중소기업 등 협력업체 계약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779 790 80 81 -

실행과제

(38)

공정경제를 위한 지역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업자 보호강화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건설사업장 인근지역 중소건설업체 활성화 및 하도급대금의 현금

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한 하도급업자 보호 강화

(추진내용)

∙ 지역 중소 건설업체들에게 동일한 기회제공 및 공정한 경쟁 유도

- 건설사업장에서 지역건설업체와 하도급계약 체결 시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 할인 추진

∙ 협력업체 하도금대금의 현금지급 확대

- 하도급대금을 현금으로 지급할 경우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의 보증료를 할인

하여 협력업체 및 근로자들의 보호를 강화하고 시장에서의 우위 선점

추진목표

지역 하도급업체 계약체결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규정개정 30 40 50 60

하도급대금의 현금지급으로 원활한 대금 회수를 통해 하도급업자 보호

- 28 -

3 국민신뢰 회복

(6대 과제) 적극행정 확산 등 조직운영 혁신

실행과제

(39)고용위기지역에 대한 금융지원 추진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용위기지역에 대한 지원강화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추진내용)

∙ 고용위기지역 내 임대주택 건립시 보증료 할인 추진(완료)

- 고용위기지역및고용재난지역소재임대보증금보증사업장보증료 10인하( 1812)

∙ 고용위기지역 내 임차인이 전세금보증 이용시 보증료 할인 검토

- 전세보증금반환보증(전세금보장) 전세안심대출(전세금대출지원)

보증이용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임차주택으로 변경시 보증료 할인 검토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보유한 주택건설사업자가 입주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임차

주택으로변경하여전세금보증가입신청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추진목표

고용위기지역 금융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마련 및 운영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40)근로여건 개선을 통한 휴식 있는 삶 지원 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일ㆍ가정 양립에 대한 법적ㆍ사회적 요구 증대됨에 따라 장시간 근로문화를 타파하고 휴식 있는 삶을 지원하여 일ㆍ생활의 균형 실현

(추진내용)

∙ 장시간 근로문화 타파- 직원니즈를반영한공사맞춤형복무제도수립및운영- PC-OFF 강화 (주2회rarr매일)- 퇴근장려캠페인 (인사안하고퇴근하기 관리자솔선수범퇴근)∙ 휴식 있는 삶 지원- 가족친화제도지속개발 (일가양득프로그램운영)- 연차휴가및남성육아휴직이용률향상을위한제도개선- 시간단위연차사용을통한휴가사용활성화- 임신직원보호를위한모성보호절차도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인당 연차사용일 1426일 1497일 1572일 1651일 1733일남성육아휴직인원 331 348 365 383 402

- 29 -

실행과제

(41)

위임전결기준 개선을 통한 업무처리 혁신

(결재피로감 낮추고 책임middot권한 공백없이 업무는 신속하게)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결재절차를 단순화함으로써 신속한 업무처리 및 고객만족도 제고

(추진내용)

∙보증위탁업무전결권세분화

- 위임전결규정안마련및규정개정절차진행(5월)

보증업무 위탁外 융자수탁업무 관련 전결권 개정도 함께 추진

∙대외업무협약체결전결권세분화

- 사안의중요성및영향도등고려중장기적으로면밀한검토필요

추진목표

결재절차 단순화

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rsquo23년보증및융자수탁업무위임전결규정개정

제도 보완

실행과제

(42)지출신청 시 영수증 증빙 제출제도 개선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지출신청시 불필요한 원본구비 제도 개선을 통한 업무효율화 달성

(추진내용)

∙ 공사 지출의 42 비중을 차지하는 5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 원본 제출 제외

- 지출액 50만원 이하 법인카드 및 전자세금계산서 지출 건 원본구비 예외 조항 신설

- 확인이 필요한 간이계산서 등은 원본징구하여 지출사고 가능성 예방

- 제도 정착 전 3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에 대하여 원본 제출 제외(시범운영)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내부

규정개정 및시범운영

제도개선 지속 추진

실행과제(43)

PF보증심사 시 월별예정 분양률 분포의 계량화 담당부서금융기획실심사평가처주택도시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민간아파트 초기분양률 데이터를 활용한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

(추진내용)

∙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를 통한 심사 객관성 확보

- 월별예정분양률 관련 명확한 지침 산정으로 신청업체 및 심사자의 주관 배제

- 국가승인통계인 민간아파트초기분양률 동향 데이터를 활용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

∙ 초기분양률 동향 분석(주택도시금융연구원 협업 4월sim10월)

- 연구원과 협업을 통해 초기분양률 데이터 분석 및 관리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건의(11월)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관할 부서(금융기획실)로 세칙 개정 건의

추진목표2019년도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예상분양률 분포기준 마련 초기분양률 데이터 관리체계 구축

- 30 -

(7대 과제) 윤리경영 강화

실행과제

(46)청렴도 향상을 위한 반부패 활동 강화 담당부서 준법지원실

추진내용

윤리경영 추진조직 강화

기관장 주도의 윤리경영 고위직 협의체 구축 내부 자문기구「청렴자문위

원회」운영 강화 및 임원의 윤리자가진단 현황 정보공개

반부패middot청렴 대외 활동 활성화

부산 이전 공공기관 청렴 협의체「청렴 클러스터」활동 강화

「부산투명사회실천 민middot관 네트워크」가입middot활동 실시

「유엔글로벌콤팩트(UNGC)」활동으로 글로벌 윤리역량 강화

실행과제

(44)논스톱 고분양가 심사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공사 PF보증 사업장에 대한 고분양가 심사기준 개선을 통한 사업

안정성 제고 및 고객신뢰성 확보

(추진내용)

∙ 「고분양가사업장심사규정」개정 추진(5월~6월)

- 고분양가 관리지역 내에서 공사 PF보증 발급예정사업장의 고분양가 심사기준(비교

사업장 선정 및 분양가격 산출 등)의 적용을lsquoPF보증 본점 승인시점rsquo으로 명확히 함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고분양가심사규정개정

사업안정성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 추진

실행과제

(45)임대리츠 통계 및 사후관리시스템 개선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목적) 자리츠 사후관리 주관기관(모리츠 AMC인 LH) 및 감독관리기관

(HUG) 간의 업무분장에 따라 사후관리 데이터 품질 저하 등 발생

rArr 기관간 협업체계 개선 관련 시스템 개발 등을 통한 사후관리 관련 데이터품질 향상 및 대정부 정보전달 적시성 확보

(추진내용)

∙ 리츠 기금출자내용 변경시 임대리츠 이력관리 등이 가능하게 하는 통계시스템 개발

∙ 분기별 사후관리보고 제출기한 마련 검토

∙ 임대리츠 통계관리 업무체계 내실화를 위한 기관간 협업 수행

추진목표

임대리츠 사후관리 구조 개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전산시스템개발 및시스템 구축

임대리츠사후관리

체계개선 수행

시스템 운용및 개선사항도출

기관간 협업수행(데이터관

리)

임대리츠통합데이터관리 수행

- 31 -

(8대 과제) 국민의 참여협력 확대 및 지역사회 공헌

실행과제

(47)

혁신도시 맞춤형 지역인재 육성 지원 및

인재채용 투명성 강화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도시 지원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증대에 따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한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

(추진내용)

∙ 市-지역대학간 협업으로 지역인재 육성 교육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 외부 면접위원 확대 및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인사 절차의 공정성 강화

∙ 사회형평적 채용실시와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을 통한 불합리한 차별 해소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지역채용 21 24 27 30 33지역인재육성 총 교육시간(교육인원times교육시간 시간) 3000 4500 4500 4500 4500

지역인재육성교육만족도(점수) 944 949 954 959 964

실행과제

(48)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사회공헌사업 확대 추진 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정부의 lsquo사회적 가치 실현rsquo을 정책에 따라 사회적 경제 및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사회공헌 필요성 증가

(추진내용)

∙ 안전한 주거환경 제공

- 무주택 국가유공자 및 저소득층 임차자금 170세대 지원(~8월10억원)- HUG 셰어하우스 3호 신촌점 완공 청년 24명 입주 완료(~10월2억원)- 저소득층 노후주택 및 소규모 사회복지시설 127세대 개보수(~10월8억원)- HUG STREET 잘사는 골목길 등 환경개선사업 대상지 선정 완료(~10월1억1천만원)

∙ 지역사회와 상생

- 노후 슬레이트 지붕개량 및 태양광 지원 사업 4자 협약(~8월3억원) HUG-부산시-한국사회복지협의회-부산도시재생지원센터

- HOPE with HUG 10호 11호 완공(~9월1억5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지역건설사-지역건축전문가 협업을 통한 주거개선사업

- 부산 송상현 광장 내 도시놀이터 프로젝트 완료(~9월7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부산시설공단 협업을 통한 문화middot휴식공간 조성

청렴 모니터링 다각화

청렴의식 환기를 위한 「자가점검 프로그램」실시

「청렴 옴부즈만」운영

개선 아이디어 발굴을 위한 「신입사원 生生 모니터링」

추진목표

종합청렴도 결과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3등급 2등급 1등급 1등급 1둥급

- 32 -

∙ 균등한 기회와 사회통합

- 중학생 자유학기제 지원 프로그램 운영(9월~4천만원)- 저소득층 청소년 20명ndash대학생 20명 매칭 등(6월~5천만원)- lsquoKBS 동행rsquo에 출연하는 저소득 가정 50세대 지원(7월~1억원)- 발달장애 청년 재능개발 프로젝트lsquo눈부신하루rsquo추진(6월~3천만원)- 신입사원 봉사활동 등을 통한 지역사회 나눔활동(~10월7천2백만원)- 저소득층 난방연료 지원을 위한 주택도시업 캠페인(~12월5천만원)- 자매결연 마을 농수산물 구입기증(~12월4천만원)

추진목표

추진 목표는 해당연도 사회공헌 기부금 예산금액(이사회 의결금액)과 연계

기부금액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8620백만원 8879백만원 9145백만원 9419백만원 9702백만원 전년도예산금액103

실행과제

(49)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목적) 도시재생과 유사한 목표비전을 공유하는 사회적경제와 연계한 맞춤형

금융상품 운영 및 관련 지원조직과 다각적 협업 활동 추진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지역주민이 주도하는 도시재생 금융지원으로 국민의 삶의 질 개선

(목적) 주민지역공동체 주도의 마을단위 도시재생으로의 변화에 대응하여

사회적 경제주체 등 지원체계 개선으로 사회적 가치 실현에 기여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추진목표

수요자중심형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510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실행과제

(50)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국민이 참여하는

HUG사업평가단(가칭) 운영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보증업무 전반에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HUG

사업평가단 구성하여 주택품질 제고 및 안심입주 지향

(추진내용)

∙ 국민이 참여하는 보증솔루션팀 및 보증심사 리뷰단을 통해 제도 개선사항 도출

∙ 보증채권자 권익에 미치는 사항 등 국민의견 수렴을 통한 보증이행제도 개선

∙ 전세금보증 이행완료 고객 및 공인중개사 참여를 통한 제도개선 사항 발굴

추진목표 2019년 국민 의견수렴을 통한 전세금보증 제도 개선 등 검토

- 33 -

실행과제(51)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과 협업하여효율적인 전세금보증 이행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이행 업무의 효율성 제고

(추진내용)

∙ 지역사회단체 등과의 협업을 통한 임차인 퇴거확인 추진 검토

- 보증사고 발생 시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 구성원이 임차인 퇴거를

확인하여 담당직원 업무 공백 최소화 (직원 출장비 수준으로 비용 지급)

- 임차인 퇴거 확인 시 해당 주택가격 및 신규 임차인 확보 가능성 검토결과를

보고받아 채권보전조치를 위한 근거 확보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거보호 이행도(전세금보증 이행 15일초과건수전체이행건수)

50 45 41 37 34

- 34 -

Ⅳ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및 적극행정 확산

①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국민참여게시판을 lsquo국민제안(국민rarr기관)rsquo

및 lsquo정책제안(기관rarr국민)rsquo 게시판으로 세분화하여 국민과 기관간

상시 소통기반 마련 경평지적

지적사항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위한 개선방안 마련 필요

(혁신 네트워크 강화) 시민참여혁신단 보증채권권익위원회 전세금

보증 시민참여단 기금홍보협의회 운영 등 주요사업에 기반하여

다양한 대외 전문기관과 네트워크 활성화 경평지적

지적사항 보증 기금등주요사업역량강화를위한전문기관혁신네트워크강화필요

② 적극행정 확산

(적극행정 면책제도 활용) 감사계획 통보 시 적극행정 면책제도

middot사전컨설팅 제도 사전안내 및 면책신청 지원을 위한 상담창구

운영 등 (계획수립 完 감사실-2367호)

(기관장 책임강화) 혁신전략위원회(위원장 사장)를 통해 적극행정

혁신과제에 대한 추진독려 및 이행사항 점검 등 보완사항 지속

발굴 (혁신페스티벌 1middot2차 개최)

(적극행정 우수사례 발굴)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를 통해 조직내

적극행정 분위기 유도 (포상 및 내부성과평가 반영 등)

성과창출에 실패했더라도 기존관행 탈피 새로운 영역개척 국민접점에서

활력을 제고하는 등 lsquo착한실패rsquo lsquo건전한파격rsquo에 대해서도 포상추진 예정

(적극행정 인식확산) 적극행정 사이버교육(법제처 주관) 이수 등

적극행정 인식확산을 위한 교육참여 시 혁신마일리지 부여 (전사 교육 실시 예정)

- 35 -

Ⅴ 혁신 추진도구별 업무일정

구 분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1 2 3 4 5 6 7 8 9 10 11 12

1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2 국민소통 강화

3 혁신페스티벌

4 유관기관 협업

5 혁신채널 구축

6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7 제안제도 정비

8 혁신콘서트

9 혁신교육 및 혁신워크숍

10 혁신레터

11 혁신마일리지 신설

12 혁신BP 발굴 및 포상

피드백

(성과관리) 공공기관 혁신 및 기관 경영혁신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혁신과제 추진실적을 정기적으로 점검 및 피드백

(혁신전파) 조직원 전체의 혁신공감대 형성 및 참여도 제고를 위해

본사부서 및 영업부서 방문 등을 통해 혁신활동 및 우수사례 공유

(혁신내재화) 국민소통채널 혁신마일리지 혁신레터 등 혁신활동이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고 혁신업무에 대해

조직원이 공감하고 회사 모든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

Page 29: 2019년 HUG 혁신 추진계획 - khug.or.kr…„HUG혁신추진계획.pdf · 혁신페스티벌 - (내부 혁신과제 발굴) 조직·인사·제도·서비스혁신 등 회사

- 28 -

3 국민신뢰 회복

(6대 과제) 적극행정 확산 등 조직운영 혁신

실행과제

(39)고용위기지역에 대한 금융지원 추진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추진내용

(목적) 고용위기지역에 대한 지원강화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추진내용)

∙ 고용위기지역 내 임대주택 건립시 보증료 할인 추진(완료)

- 고용위기지역및고용재난지역소재임대보증금보증사업장보증료 10인하( 1812)

∙ 고용위기지역 내 임차인이 전세금보증 이용시 보증료 할인 검토

- 전세보증금반환보증(전세금보장) 전세안심대출(전세금대출지원)

보증이용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임차주택으로 변경시 보증료 할인 검토

- 고용위기지역 내 미분양주택을 보유한 주택건설사업자가 입주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임차

주택으로변경하여전세금보증가입신청시보증료최대 50까지할인혜택지원

추진목표

고용위기지역 금융지원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지원제도

마련 및 운영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지원제도

운영 및 보완

실행과제

(40)근로여건 개선을 통한 휴식 있는 삶 지원 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일ㆍ가정 양립에 대한 법적ㆍ사회적 요구 증대됨에 따라 장시간 근로문화를 타파하고 휴식 있는 삶을 지원하여 일ㆍ생활의 균형 실현

(추진내용)

∙ 장시간 근로문화 타파- 직원니즈를반영한공사맞춤형복무제도수립및운영- PC-OFF 강화 (주2회rarr매일)- 퇴근장려캠페인 (인사안하고퇴근하기 관리자솔선수범퇴근)∙ 휴식 있는 삶 지원- 가족친화제도지속개발 (일가양득프로그램운영)- 연차휴가및남성육아휴직이용률향상을위한제도개선- 시간단위연차사용을통한휴가사용활성화- 임신직원보호를위한모성보호절차도입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인당 연차사용일 1426일 1497일 1572일 1651일 1733일남성육아휴직인원 331 348 365 383 402

- 29 -

실행과제

(41)

위임전결기준 개선을 통한 업무처리 혁신

(결재피로감 낮추고 책임middot권한 공백없이 업무는 신속하게)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결재절차를 단순화함으로써 신속한 업무처리 및 고객만족도 제고

(추진내용)

∙보증위탁업무전결권세분화

- 위임전결규정안마련및규정개정절차진행(5월)

보증업무 위탁外 융자수탁업무 관련 전결권 개정도 함께 추진

∙대외업무협약체결전결권세분화

- 사안의중요성및영향도등고려중장기적으로면밀한검토필요

추진목표

결재절차 단순화

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rsquo23년보증및융자수탁업무위임전결규정개정

제도 보완

실행과제

(42)지출신청 시 영수증 증빙 제출제도 개선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지출신청시 불필요한 원본구비 제도 개선을 통한 업무효율화 달성

(추진내용)

∙ 공사 지출의 42 비중을 차지하는 5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 원본 제출 제외

- 지출액 50만원 이하 법인카드 및 전자세금계산서 지출 건 원본구비 예외 조항 신설

- 확인이 필요한 간이계산서 등은 원본징구하여 지출사고 가능성 예방

- 제도 정착 전 3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에 대하여 원본 제출 제외(시범운영)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내부

규정개정 및시범운영

제도개선 지속 추진

실행과제(43)

PF보증심사 시 월별예정 분양률 분포의 계량화 담당부서금융기획실심사평가처주택도시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민간아파트 초기분양률 데이터를 활용한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

(추진내용)

∙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를 통한 심사 객관성 확보

- 월별예정분양률 관련 명확한 지침 산정으로 신청업체 및 심사자의 주관 배제

- 국가승인통계인 민간아파트초기분양률 동향 데이터를 활용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

∙ 초기분양률 동향 분석(주택도시금융연구원 협업 4월sim10월)

- 연구원과 협업을 통해 초기분양률 데이터 분석 및 관리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건의(11월)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관할 부서(금융기획실)로 세칙 개정 건의

추진목표2019년도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예상분양률 분포기준 마련 초기분양률 데이터 관리체계 구축

- 30 -

(7대 과제) 윤리경영 강화

실행과제

(46)청렴도 향상을 위한 반부패 활동 강화 담당부서 준법지원실

추진내용

윤리경영 추진조직 강화

기관장 주도의 윤리경영 고위직 협의체 구축 내부 자문기구「청렴자문위

원회」운영 강화 및 임원의 윤리자가진단 현황 정보공개

반부패middot청렴 대외 활동 활성화

부산 이전 공공기관 청렴 협의체「청렴 클러스터」활동 강화

「부산투명사회실천 민middot관 네트워크」가입middot활동 실시

「유엔글로벌콤팩트(UNGC)」활동으로 글로벌 윤리역량 강화

실행과제

(44)논스톱 고분양가 심사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공사 PF보증 사업장에 대한 고분양가 심사기준 개선을 통한 사업

안정성 제고 및 고객신뢰성 확보

(추진내용)

∙ 「고분양가사업장심사규정」개정 추진(5월~6월)

- 고분양가 관리지역 내에서 공사 PF보증 발급예정사업장의 고분양가 심사기준(비교

사업장 선정 및 분양가격 산출 등)의 적용을lsquoPF보증 본점 승인시점rsquo으로 명확히 함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고분양가심사규정개정

사업안정성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 추진

실행과제

(45)임대리츠 통계 및 사후관리시스템 개선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목적) 자리츠 사후관리 주관기관(모리츠 AMC인 LH) 및 감독관리기관

(HUG) 간의 업무분장에 따라 사후관리 데이터 품질 저하 등 발생

rArr 기관간 협업체계 개선 관련 시스템 개발 등을 통한 사후관리 관련 데이터품질 향상 및 대정부 정보전달 적시성 확보

(추진내용)

∙ 리츠 기금출자내용 변경시 임대리츠 이력관리 등이 가능하게 하는 통계시스템 개발

∙ 분기별 사후관리보고 제출기한 마련 검토

∙ 임대리츠 통계관리 업무체계 내실화를 위한 기관간 협업 수행

추진목표

임대리츠 사후관리 구조 개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전산시스템개발 및시스템 구축

임대리츠사후관리

체계개선 수행

시스템 운용및 개선사항도출

기관간 협업수행(데이터관

리)

임대리츠통합데이터관리 수행

- 31 -

(8대 과제) 국민의 참여협력 확대 및 지역사회 공헌

실행과제

(47)

혁신도시 맞춤형 지역인재 육성 지원 및

인재채용 투명성 강화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도시 지원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증대에 따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한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

(추진내용)

∙ 市-지역대학간 협업으로 지역인재 육성 교육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 외부 면접위원 확대 및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인사 절차의 공정성 강화

∙ 사회형평적 채용실시와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을 통한 불합리한 차별 해소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지역채용 21 24 27 30 33지역인재육성 총 교육시간(교육인원times교육시간 시간) 3000 4500 4500 4500 4500

지역인재육성교육만족도(점수) 944 949 954 959 964

실행과제

(48)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사회공헌사업 확대 추진 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정부의 lsquo사회적 가치 실현rsquo을 정책에 따라 사회적 경제 및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사회공헌 필요성 증가

(추진내용)

∙ 안전한 주거환경 제공

- 무주택 국가유공자 및 저소득층 임차자금 170세대 지원(~8월10억원)- HUG 셰어하우스 3호 신촌점 완공 청년 24명 입주 완료(~10월2억원)- 저소득층 노후주택 및 소규모 사회복지시설 127세대 개보수(~10월8억원)- HUG STREET 잘사는 골목길 등 환경개선사업 대상지 선정 완료(~10월1억1천만원)

∙ 지역사회와 상생

- 노후 슬레이트 지붕개량 및 태양광 지원 사업 4자 협약(~8월3억원) HUG-부산시-한국사회복지협의회-부산도시재생지원센터

- HOPE with HUG 10호 11호 완공(~9월1억5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지역건설사-지역건축전문가 협업을 통한 주거개선사업

- 부산 송상현 광장 내 도시놀이터 프로젝트 완료(~9월7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부산시설공단 협업을 통한 문화middot휴식공간 조성

청렴 모니터링 다각화

청렴의식 환기를 위한 「자가점검 프로그램」실시

「청렴 옴부즈만」운영

개선 아이디어 발굴을 위한 「신입사원 生生 모니터링」

추진목표

종합청렴도 결과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3등급 2등급 1등급 1등급 1둥급

- 32 -

∙ 균등한 기회와 사회통합

- 중학생 자유학기제 지원 프로그램 운영(9월~4천만원)- 저소득층 청소년 20명ndash대학생 20명 매칭 등(6월~5천만원)- lsquoKBS 동행rsquo에 출연하는 저소득 가정 50세대 지원(7월~1억원)- 발달장애 청년 재능개발 프로젝트lsquo눈부신하루rsquo추진(6월~3천만원)- 신입사원 봉사활동 등을 통한 지역사회 나눔활동(~10월7천2백만원)- 저소득층 난방연료 지원을 위한 주택도시업 캠페인(~12월5천만원)- 자매결연 마을 농수산물 구입기증(~12월4천만원)

추진목표

추진 목표는 해당연도 사회공헌 기부금 예산금액(이사회 의결금액)과 연계

기부금액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8620백만원 8879백만원 9145백만원 9419백만원 9702백만원 전년도예산금액103

실행과제

(49)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목적) 도시재생과 유사한 목표비전을 공유하는 사회적경제와 연계한 맞춤형

금융상품 운영 및 관련 지원조직과 다각적 협업 활동 추진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지역주민이 주도하는 도시재생 금융지원으로 국민의 삶의 질 개선

(목적) 주민지역공동체 주도의 마을단위 도시재생으로의 변화에 대응하여

사회적 경제주체 등 지원체계 개선으로 사회적 가치 실현에 기여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추진목표

수요자중심형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510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실행과제

(50)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국민이 참여하는

HUG사업평가단(가칭) 운영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보증업무 전반에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HUG

사업평가단 구성하여 주택품질 제고 및 안심입주 지향

(추진내용)

∙ 국민이 참여하는 보증솔루션팀 및 보증심사 리뷰단을 통해 제도 개선사항 도출

∙ 보증채권자 권익에 미치는 사항 등 국민의견 수렴을 통한 보증이행제도 개선

∙ 전세금보증 이행완료 고객 및 공인중개사 참여를 통한 제도개선 사항 발굴

추진목표 2019년 국민 의견수렴을 통한 전세금보증 제도 개선 등 검토

- 33 -

실행과제(51)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과 협업하여효율적인 전세금보증 이행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이행 업무의 효율성 제고

(추진내용)

∙ 지역사회단체 등과의 협업을 통한 임차인 퇴거확인 추진 검토

- 보증사고 발생 시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 구성원이 임차인 퇴거를

확인하여 담당직원 업무 공백 최소화 (직원 출장비 수준으로 비용 지급)

- 임차인 퇴거 확인 시 해당 주택가격 및 신규 임차인 확보 가능성 검토결과를

보고받아 채권보전조치를 위한 근거 확보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거보호 이행도(전세금보증 이행 15일초과건수전체이행건수)

50 45 41 37 34

- 34 -

Ⅳ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및 적극행정 확산

①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국민참여게시판을 lsquo국민제안(국민rarr기관)rsquo

및 lsquo정책제안(기관rarr국민)rsquo 게시판으로 세분화하여 국민과 기관간

상시 소통기반 마련 경평지적

지적사항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위한 개선방안 마련 필요

(혁신 네트워크 강화) 시민참여혁신단 보증채권권익위원회 전세금

보증 시민참여단 기금홍보협의회 운영 등 주요사업에 기반하여

다양한 대외 전문기관과 네트워크 활성화 경평지적

지적사항 보증 기금등주요사업역량강화를위한전문기관혁신네트워크강화필요

② 적극행정 확산

(적극행정 면책제도 활용) 감사계획 통보 시 적극행정 면책제도

middot사전컨설팅 제도 사전안내 및 면책신청 지원을 위한 상담창구

운영 등 (계획수립 完 감사실-2367호)

(기관장 책임강화) 혁신전략위원회(위원장 사장)를 통해 적극행정

혁신과제에 대한 추진독려 및 이행사항 점검 등 보완사항 지속

발굴 (혁신페스티벌 1middot2차 개최)

(적극행정 우수사례 발굴)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를 통해 조직내

적극행정 분위기 유도 (포상 및 내부성과평가 반영 등)

성과창출에 실패했더라도 기존관행 탈피 새로운 영역개척 국민접점에서

활력을 제고하는 등 lsquo착한실패rsquo lsquo건전한파격rsquo에 대해서도 포상추진 예정

(적극행정 인식확산) 적극행정 사이버교육(법제처 주관) 이수 등

적극행정 인식확산을 위한 교육참여 시 혁신마일리지 부여 (전사 교육 실시 예정)

- 35 -

Ⅴ 혁신 추진도구별 업무일정

구 분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1 2 3 4 5 6 7 8 9 10 11 12

1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2 국민소통 강화

3 혁신페스티벌

4 유관기관 협업

5 혁신채널 구축

6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7 제안제도 정비

8 혁신콘서트

9 혁신교육 및 혁신워크숍

10 혁신레터

11 혁신마일리지 신설

12 혁신BP 발굴 및 포상

피드백

(성과관리) 공공기관 혁신 및 기관 경영혁신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혁신과제 추진실적을 정기적으로 점검 및 피드백

(혁신전파) 조직원 전체의 혁신공감대 형성 및 참여도 제고를 위해

본사부서 및 영업부서 방문 등을 통해 혁신활동 및 우수사례 공유

(혁신내재화) 국민소통채널 혁신마일리지 혁신레터 등 혁신활동이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고 혁신업무에 대해

조직원이 공감하고 회사 모든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

Page 30: 2019년 HUG 혁신 추진계획 - khug.or.kr…„HUG혁신추진계획.pdf · 혁신페스티벌 - (내부 혁신과제 발굴) 조직·인사·제도·서비스혁신 등 회사

- 29 -

실행과제

(41)

위임전결기준 개선을 통한 업무처리 혁신

(결재피로감 낮추고 책임middot권한 공백없이 업무는 신속하게)담당부서 기획조정실

추진내용

(목적) 결재절차를 단순화함으로써 신속한 업무처리 및 고객만족도 제고

(추진내용)

∙보증위탁업무전결권세분화

- 위임전결규정안마련및규정개정절차진행(5월)

보증업무 위탁外 융자수탁업무 관련 전결권 개정도 함께 추진

∙대외업무협약체결전결권세분화

- 사안의중요성및영향도등고려중장기적으로면밀한검토필요

추진목표

결재절차 단순화

rsquo19년 rsquo20년 rsquo21년 rsquo22년 rsquo23년보증및융자수탁업무위임전결규정개정

제도 보완

실행과제

(42)지출신청 시 영수증 증빙 제출제도 개선 담당부서 경영관리처

추진내용

(목적) 지출신청시 불필요한 원본구비 제도 개선을 통한 업무효율화 달성

(추진내용)

∙ 공사 지출의 42 비중을 차지하는 5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 원본 제출 제외

- 지출액 50만원 이하 법인카드 및 전자세금계산서 지출 건 원본구비 예외 조항 신설

- 확인이 필요한 간이계산서 등은 원본징구하여 지출사고 가능성 예방

- 제도 정착 전 30만원 이하 소액 지출 건에 대하여 원본 제출 제외(시범운영)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내부

규정개정 및시범운영

제도개선 지속 추진

실행과제(43)

PF보증심사 시 월별예정 분양률 분포의 계량화 담당부서금융기획실심사평가처주택도시연구원

추진내용

(목적) 민간아파트 초기분양률 데이터를 활용한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

(추진내용)

∙ 월별예정분양률 분포 계량화를 통한 심사 객관성 확보

- 월별예정분양률 관련 명확한 지침 산정으로 신청업체 및 심사자의 주관 배제

- 국가승인통계인 민간아파트초기분양률 동향 데이터를 활용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

∙ 초기분양률 동향 분석(주택도시금융연구원 협업 4월sim10월)

- 연구원과 협업을 통해 초기분양률 데이터 분석 및 관리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건의(11월)

-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관할 부서(금융기획실)로 세칙 개정 건의

추진목표2019년도 주택사업금융보증규정 시행세칙 개정

예상분양률 분포기준 마련 초기분양률 데이터 관리체계 구축

- 30 -

(7대 과제) 윤리경영 강화

실행과제

(46)청렴도 향상을 위한 반부패 활동 강화 담당부서 준법지원실

추진내용

윤리경영 추진조직 강화

기관장 주도의 윤리경영 고위직 협의체 구축 내부 자문기구「청렴자문위

원회」운영 강화 및 임원의 윤리자가진단 현황 정보공개

반부패middot청렴 대외 활동 활성화

부산 이전 공공기관 청렴 협의체「청렴 클러스터」활동 강화

「부산투명사회실천 민middot관 네트워크」가입middot활동 실시

「유엔글로벌콤팩트(UNGC)」활동으로 글로벌 윤리역량 강화

실행과제

(44)논스톱 고분양가 심사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공사 PF보증 사업장에 대한 고분양가 심사기준 개선을 통한 사업

안정성 제고 및 고객신뢰성 확보

(추진내용)

∙ 「고분양가사업장심사규정」개정 추진(5월~6월)

- 고분양가 관리지역 내에서 공사 PF보증 발급예정사업장의 고분양가 심사기준(비교

사업장 선정 및 분양가격 산출 등)의 적용을lsquoPF보증 본점 승인시점rsquo으로 명확히 함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고분양가심사규정개정

사업안정성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 추진

실행과제

(45)임대리츠 통계 및 사후관리시스템 개선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목적) 자리츠 사후관리 주관기관(모리츠 AMC인 LH) 및 감독관리기관

(HUG) 간의 업무분장에 따라 사후관리 데이터 품질 저하 등 발생

rArr 기관간 협업체계 개선 관련 시스템 개발 등을 통한 사후관리 관련 데이터품질 향상 및 대정부 정보전달 적시성 확보

(추진내용)

∙ 리츠 기금출자내용 변경시 임대리츠 이력관리 등이 가능하게 하는 통계시스템 개발

∙ 분기별 사후관리보고 제출기한 마련 검토

∙ 임대리츠 통계관리 업무체계 내실화를 위한 기관간 협업 수행

추진목표

임대리츠 사후관리 구조 개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전산시스템개발 및시스템 구축

임대리츠사후관리

체계개선 수행

시스템 운용및 개선사항도출

기관간 협업수행(데이터관

리)

임대리츠통합데이터관리 수행

- 31 -

(8대 과제) 국민의 참여협력 확대 및 지역사회 공헌

실행과제

(47)

혁신도시 맞춤형 지역인재 육성 지원 및

인재채용 투명성 강화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도시 지원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증대에 따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한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

(추진내용)

∙ 市-지역대학간 협업으로 지역인재 육성 교육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 외부 면접위원 확대 및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인사 절차의 공정성 강화

∙ 사회형평적 채용실시와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을 통한 불합리한 차별 해소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지역채용 21 24 27 30 33지역인재육성 총 교육시간(교육인원times교육시간 시간) 3000 4500 4500 4500 4500

지역인재육성교육만족도(점수) 944 949 954 959 964

실행과제

(48)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사회공헌사업 확대 추진 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정부의 lsquo사회적 가치 실현rsquo을 정책에 따라 사회적 경제 및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사회공헌 필요성 증가

(추진내용)

∙ 안전한 주거환경 제공

- 무주택 국가유공자 및 저소득층 임차자금 170세대 지원(~8월10억원)- HUG 셰어하우스 3호 신촌점 완공 청년 24명 입주 완료(~10월2억원)- 저소득층 노후주택 및 소규모 사회복지시설 127세대 개보수(~10월8억원)- HUG STREET 잘사는 골목길 등 환경개선사업 대상지 선정 완료(~10월1억1천만원)

∙ 지역사회와 상생

- 노후 슬레이트 지붕개량 및 태양광 지원 사업 4자 협약(~8월3억원) HUG-부산시-한국사회복지협의회-부산도시재생지원센터

- HOPE with HUG 10호 11호 완공(~9월1억5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지역건설사-지역건축전문가 협업을 통한 주거개선사업

- 부산 송상현 광장 내 도시놀이터 프로젝트 완료(~9월7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부산시설공단 협업을 통한 문화middot휴식공간 조성

청렴 모니터링 다각화

청렴의식 환기를 위한 「자가점검 프로그램」실시

「청렴 옴부즈만」운영

개선 아이디어 발굴을 위한 「신입사원 生生 모니터링」

추진목표

종합청렴도 결과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3등급 2등급 1등급 1등급 1둥급

- 32 -

∙ 균등한 기회와 사회통합

- 중학생 자유학기제 지원 프로그램 운영(9월~4천만원)- 저소득층 청소년 20명ndash대학생 20명 매칭 등(6월~5천만원)- lsquoKBS 동행rsquo에 출연하는 저소득 가정 50세대 지원(7월~1억원)- 발달장애 청년 재능개발 프로젝트lsquo눈부신하루rsquo추진(6월~3천만원)- 신입사원 봉사활동 등을 통한 지역사회 나눔활동(~10월7천2백만원)- 저소득층 난방연료 지원을 위한 주택도시업 캠페인(~12월5천만원)- 자매결연 마을 농수산물 구입기증(~12월4천만원)

추진목표

추진 목표는 해당연도 사회공헌 기부금 예산금액(이사회 의결금액)과 연계

기부금액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8620백만원 8879백만원 9145백만원 9419백만원 9702백만원 전년도예산금액103

실행과제

(49)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목적) 도시재생과 유사한 목표비전을 공유하는 사회적경제와 연계한 맞춤형

금융상품 운영 및 관련 지원조직과 다각적 협업 활동 추진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지역주민이 주도하는 도시재생 금융지원으로 국민의 삶의 질 개선

(목적) 주민지역공동체 주도의 마을단위 도시재생으로의 변화에 대응하여

사회적 경제주체 등 지원체계 개선으로 사회적 가치 실현에 기여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추진목표

수요자중심형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510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실행과제

(50)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국민이 참여하는

HUG사업평가단(가칭) 운영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보증업무 전반에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HUG

사업평가단 구성하여 주택품질 제고 및 안심입주 지향

(추진내용)

∙ 국민이 참여하는 보증솔루션팀 및 보증심사 리뷰단을 통해 제도 개선사항 도출

∙ 보증채권자 권익에 미치는 사항 등 국민의견 수렴을 통한 보증이행제도 개선

∙ 전세금보증 이행완료 고객 및 공인중개사 참여를 통한 제도개선 사항 발굴

추진목표 2019년 국민 의견수렴을 통한 전세금보증 제도 개선 등 검토

- 33 -

실행과제(51)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과 협업하여효율적인 전세금보증 이행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이행 업무의 효율성 제고

(추진내용)

∙ 지역사회단체 등과의 협업을 통한 임차인 퇴거확인 추진 검토

- 보증사고 발생 시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 구성원이 임차인 퇴거를

확인하여 담당직원 업무 공백 최소화 (직원 출장비 수준으로 비용 지급)

- 임차인 퇴거 확인 시 해당 주택가격 및 신규 임차인 확보 가능성 검토결과를

보고받아 채권보전조치를 위한 근거 확보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거보호 이행도(전세금보증 이행 15일초과건수전체이행건수)

50 45 41 37 34

- 34 -

Ⅳ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및 적극행정 확산

①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국민참여게시판을 lsquo국민제안(국민rarr기관)rsquo

및 lsquo정책제안(기관rarr국민)rsquo 게시판으로 세분화하여 국민과 기관간

상시 소통기반 마련 경평지적

지적사항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위한 개선방안 마련 필요

(혁신 네트워크 강화) 시민참여혁신단 보증채권권익위원회 전세금

보증 시민참여단 기금홍보협의회 운영 등 주요사업에 기반하여

다양한 대외 전문기관과 네트워크 활성화 경평지적

지적사항 보증 기금등주요사업역량강화를위한전문기관혁신네트워크강화필요

② 적극행정 확산

(적극행정 면책제도 활용) 감사계획 통보 시 적극행정 면책제도

middot사전컨설팅 제도 사전안내 및 면책신청 지원을 위한 상담창구

운영 등 (계획수립 完 감사실-2367호)

(기관장 책임강화) 혁신전략위원회(위원장 사장)를 통해 적극행정

혁신과제에 대한 추진독려 및 이행사항 점검 등 보완사항 지속

발굴 (혁신페스티벌 1middot2차 개최)

(적극행정 우수사례 발굴)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를 통해 조직내

적극행정 분위기 유도 (포상 및 내부성과평가 반영 등)

성과창출에 실패했더라도 기존관행 탈피 새로운 영역개척 국민접점에서

활력을 제고하는 등 lsquo착한실패rsquo lsquo건전한파격rsquo에 대해서도 포상추진 예정

(적극행정 인식확산) 적극행정 사이버교육(법제처 주관) 이수 등

적극행정 인식확산을 위한 교육참여 시 혁신마일리지 부여 (전사 교육 실시 예정)

- 35 -

Ⅴ 혁신 추진도구별 업무일정

구 분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1 2 3 4 5 6 7 8 9 10 11 12

1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2 국민소통 강화

3 혁신페스티벌

4 유관기관 협업

5 혁신채널 구축

6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7 제안제도 정비

8 혁신콘서트

9 혁신교육 및 혁신워크숍

10 혁신레터

11 혁신마일리지 신설

12 혁신BP 발굴 및 포상

피드백

(성과관리) 공공기관 혁신 및 기관 경영혁신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혁신과제 추진실적을 정기적으로 점검 및 피드백

(혁신전파) 조직원 전체의 혁신공감대 형성 및 참여도 제고를 위해

본사부서 및 영업부서 방문 등을 통해 혁신활동 및 우수사례 공유

(혁신내재화) 국민소통채널 혁신마일리지 혁신레터 등 혁신활동이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고 혁신업무에 대해

조직원이 공감하고 회사 모든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

Page 31: 2019년 HUG 혁신 추진계획 - khug.or.kr…„HUG혁신추진계획.pdf · 혁신페스티벌 - (내부 혁신과제 발굴) 조직·인사·제도·서비스혁신 등 회사

- 30 -

(7대 과제) 윤리경영 강화

실행과제

(46)청렴도 향상을 위한 반부패 활동 강화 담당부서 준법지원실

추진내용

윤리경영 추진조직 강화

기관장 주도의 윤리경영 고위직 협의체 구축 내부 자문기구「청렴자문위

원회」운영 강화 및 임원의 윤리자가진단 현황 정보공개

반부패middot청렴 대외 활동 활성화

부산 이전 공공기관 청렴 협의체「청렴 클러스터」활동 강화

「부산투명사회실천 민middot관 네트워크」가입middot활동 실시

「유엔글로벌콤팩트(UNGC)」활동으로 글로벌 윤리역량 강화

실행과제

(44)논스톱 고분양가 심사 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추진내용

(목적) 공사 PF보증 사업장에 대한 고분양가 심사기준 개선을 통한 사업

안정성 제고 및 고객신뢰성 확보

(추진내용)

∙ 「고분양가사업장심사규정」개정 추진(5월~6월)

- 고분양가 관리지역 내에서 공사 PF보증 발급예정사업장의 고분양가 심사기준(비교

사업장 선정 및 분양가격 산출 등)의 적용을lsquoPF보증 본점 승인시점rsquo으로 명확히 함

추진목표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고분양가심사규정개정

사업안정성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 추진

실행과제

(45)임대리츠 통계 및 사후관리시스템 개선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추진내용

(목적) 자리츠 사후관리 주관기관(모리츠 AMC인 LH) 및 감독관리기관

(HUG) 간의 업무분장에 따라 사후관리 데이터 품질 저하 등 발생

rArr 기관간 협업체계 개선 관련 시스템 개발 등을 통한 사후관리 관련 데이터품질 향상 및 대정부 정보전달 적시성 확보

(추진내용)

∙ 리츠 기금출자내용 변경시 임대리츠 이력관리 등이 가능하게 하는 통계시스템 개발

∙ 분기별 사후관리보고 제출기한 마련 검토

∙ 임대리츠 통계관리 업무체계 내실화를 위한 기관간 협업 수행

추진목표

임대리츠 사후관리 구조 개선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전산시스템개발 및시스템 구축

임대리츠사후관리

체계개선 수행

시스템 운용및 개선사항도출

기관간 협업수행(데이터관

리)

임대리츠통합데이터관리 수행

- 31 -

(8대 과제) 국민의 참여협력 확대 및 지역사회 공헌

실행과제

(47)

혁신도시 맞춤형 지역인재 육성 지원 및

인재채용 투명성 강화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도시 지원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증대에 따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한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

(추진내용)

∙ 市-지역대학간 협업으로 지역인재 육성 교육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 외부 면접위원 확대 및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인사 절차의 공정성 강화

∙ 사회형평적 채용실시와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을 통한 불합리한 차별 해소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지역채용 21 24 27 30 33지역인재육성 총 교육시간(교육인원times교육시간 시간) 3000 4500 4500 4500 4500

지역인재육성교육만족도(점수) 944 949 954 959 964

실행과제

(48)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사회공헌사업 확대 추진 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정부의 lsquo사회적 가치 실현rsquo을 정책에 따라 사회적 경제 및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사회공헌 필요성 증가

(추진내용)

∙ 안전한 주거환경 제공

- 무주택 국가유공자 및 저소득층 임차자금 170세대 지원(~8월10억원)- HUG 셰어하우스 3호 신촌점 완공 청년 24명 입주 완료(~10월2억원)- 저소득층 노후주택 및 소규모 사회복지시설 127세대 개보수(~10월8억원)- HUG STREET 잘사는 골목길 등 환경개선사업 대상지 선정 완료(~10월1억1천만원)

∙ 지역사회와 상생

- 노후 슬레이트 지붕개량 및 태양광 지원 사업 4자 협약(~8월3억원) HUG-부산시-한국사회복지협의회-부산도시재생지원센터

- HOPE with HUG 10호 11호 완공(~9월1억5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지역건설사-지역건축전문가 협업을 통한 주거개선사업

- 부산 송상현 광장 내 도시놀이터 프로젝트 완료(~9월7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부산시설공단 협업을 통한 문화middot휴식공간 조성

청렴 모니터링 다각화

청렴의식 환기를 위한 「자가점검 프로그램」실시

「청렴 옴부즈만」운영

개선 아이디어 발굴을 위한 「신입사원 生生 모니터링」

추진목표

종합청렴도 결과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3등급 2등급 1등급 1등급 1둥급

- 32 -

∙ 균등한 기회와 사회통합

- 중학생 자유학기제 지원 프로그램 운영(9월~4천만원)- 저소득층 청소년 20명ndash대학생 20명 매칭 등(6월~5천만원)- lsquoKBS 동행rsquo에 출연하는 저소득 가정 50세대 지원(7월~1억원)- 발달장애 청년 재능개발 프로젝트lsquo눈부신하루rsquo추진(6월~3천만원)- 신입사원 봉사활동 등을 통한 지역사회 나눔활동(~10월7천2백만원)- 저소득층 난방연료 지원을 위한 주택도시업 캠페인(~12월5천만원)- 자매결연 마을 농수산물 구입기증(~12월4천만원)

추진목표

추진 목표는 해당연도 사회공헌 기부금 예산금액(이사회 의결금액)과 연계

기부금액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8620백만원 8879백만원 9145백만원 9419백만원 9702백만원 전년도예산금액103

실행과제

(49)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목적) 도시재생과 유사한 목표비전을 공유하는 사회적경제와 연계한 맞춤형

금융상품 운영 및 관련 지원조직과 다각적 협업 활동 추진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지역주민이 주도하는 도시재생 금융지원으로 국민의 삶의 질 개선

(목적) 주민지역공동체 주도의 마을단위 도시재생으로의 변화에 대응하여

사회적 경제주체 등 지원체계 개선으로 사회적 가치 실현에 기여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추진목표

수요자중심형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510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실행과제

(50)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국민이 참여하는

HUG사업평가단(가칭) 운영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보증업무 전반에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HUG

사업평가단 구성하여 주택품질 제고 및 안심입주 지향

(추진내용)

∙ 국민이 참여하는 보증솔루션팀 및 보증심사 리뷰단을 통해 제도 개선사항 도출

∙ 보증채권자 권익에 미치는 사항 등 국민의견 수렴을 통한 보증이행제도 개선

∙ 전세금보증 이행완료 고객 및 공인중개사 참여를 통한 제도개선 사항 발굴

추진목표 2019년 국민 의견수렴을 통한 전세금보증 제도 개선 등 검토

- 33 -

실행과제(51)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과 협업하여효율적인 전세금보증 이행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이행 업무의 효율성 제고

(추진내용)

∙ 지역사회단체 등과의 협업을 통한 임차인 퇴거확인 추진 검토

- 보증사고 발생 시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 구성원이 임차인 퇴거를

확인하여 담당직원 업무 공백 최소화 (직원 출장비 수준으로 비용 지급)

- 임차인 퇴거 확인 시 해당 주택가격 및 신규 임차인 확보 가능성 검토결과를

보고받아 채권보전조치를 위한 근거 확보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거보호 이행도(전세금보증 이행 15일초과건수전체이행건수)

50 45 41 37 34

- 34 -

Ⅳ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및 적극행정 확산

①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국민참여게시판을 lsquo국민제안(국민rarr기관)rsquo

및 lsquo정책제안(기관rarr국민)rsquo 게시판으로 세분화하여 국민과 기관간

상시 소통기반 마련 경평지적

지적사항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위한 개선방안 마련 필요

(혁신 네트워크 강화) 시민참여혁신단 보증채권권익위원회 전세금

보증 시민참여단 기금홍보협의회 운영 등 주요사업에 기반하여

다양한 대외 전문기관과 네트워크 활성화 경평지적

지적사항 보증 기금등주요사업역량강화를위한전문기관혁신네트워크강화필요

② 적극행정 확산

(적극행정 면책제도 활용) 감사계획 통보 시 적극행정 면책제도

middot사전컨설팅 제도 사전안내 및 면책신청 지원을 위한 상담창구

운영 등 (계획수립 完 감사실-2367호)

(기관장 책임강화) 혁신전략위원회(위원장 사장)를 통해 적극행정

혁신과제에 대한 추진독려 및 이행사항 점검 등 보완사항 지속

발굴 (혁신페스티벌 1middot2차 개최)

(적극행정 우수사례 발굴)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를 통해 조직내

적극행정 분위기 유도 (포상 및 내부성과평가 반영 등)

성과창출에 실패했더라도 기존관행 탈피 새로운 영역개척 국민접점에서

활력을 제고하는 등 lsquo착한실패rsquo lsquo건전한파격rsquo에 대해서도 포상추진 예정

(적극행정 인식확산) 적극행정 사이버교육(법제처 주관) 이수 등

적극행정 인식확산을 위한 교육참여 시 혁신마일리지 부여 (전사 교육 실시 예정)

- 35 -

Ⅴ 혁신 추진도구별 업무일정

구 분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1 2 3 4 5 6 7 8 9 10 11 12

1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2 국민소통 강화

3 혁신페스티벌

4 유관기관 협업

5 혁신채널 구축

6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7 제안제도 정비

8 혁신콘서트

9 혁신교육 및 혁신워크숍

10 혁신레터

11 혁신마일리지 신설

12 혁신BP 발굴 및 포상

피드백

(성과관리) 공공기관 혁신 및 기관 경영혁신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혁신과제 추진실적을 정기적으로 점검 및 피드백

(혁신전파) 조직원 전체의 혁신공감대 형성 및 참여도 제고를 위해

본사부서 및 영업부서 방문 등을 통해 혁신활동 및 우수사례 공유

(혁신내재화) 국민소통채널 혁신마일리지 혁신레터 등 혁신활동이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고 혁신업무에 대해

조직원이 공감하고 회사 모든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

Page 32: 2019년 HUG 혁신 추진계획 - khug.or.kr…„HUG혁신추진계획.pdf · 혁신페스티벌 - (내부 혁신과제 발굴) 조직·인사·제도·서비스혁신 등 회사

- 31 -

(8대 과제) 국민의 참여협력 확대 및 지역사회 공헌

실행과제

(47)

혁신도시 맞춤형 지역인재 육성 지원 및

인재채용 투명성 강화담당부서 인사처

추진내용

(목적) 혁신도시 지원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증대에 따라 지역인재 육성을 통한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

(추진내용)

∙ 市-지역대학간 협업으로 지역인재 육성 교육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 외부 면접위원 확대 및 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인사 절차의 공정성 강화

∙ 사회형평적 채용실시와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을 통한 불합리한 차별 해소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지역채용 21 24 27 30 33지역인재육성 총 교육시간(교육인원times교육시간 시간) 3000 4500 4500 4500 4500

지역인재육성교육만족도(점수) 944 949 954 959 964

실행과제

(48)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사회공헌사업 확대 추진 담당부서 홍보비서실

추진내용

(목적) 정부의 lsquo사회적 가치 실현rsquo을 정책에 따라 사회적 경제 및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사회공헌 필요성 증가

(추진내용)

∙ 안전한 주거환경 제공

- 무주택 국가유공자 및 저소득층 임차자금 170세대 지원(~8월10억원)- HUG 셰어하우스 3호 신촌점 완공 청년 24명 입주 완료(~10월2억원)- 저소득층 노후주택 및 소규모 사회복지시설 127세대 개보수(~10월8억원)- HUG STREET 잘사는 골목길 등 환경개선사업 대상지 선정 완료(~10월1억1천만원)

∙ 지역사회와 상생

- 노후 슬레이트 지붕개량 및 태양광 지원 사업 4자 협약(~8월3억원) HUG-부산시-한국사회복지협의회-부산도시재생지원센터

- HOPE with HUG 10호 11호 완공(~9월1억5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지역건설사-지역건축전문가 협업을 통한 주거개선사업

- 부산 송상현 광장 내 도시놀이터 프로젝트 완료(~9월7천만원) HUG-부산시-부산건축제-부산시설공단 협업을 통한 문화middot휴식공간 조성

청렴 모니터링 다각화

청렴의식 환기를 위한 「자가점검 프로그램」실시

「청렴 옴부즈만」운영

개선 아이디어 발굴을 위한 「신입사원 生生 모니터링」

추진목표

종합청렴도 결과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3등급 2등급 1등급 1등급 1둥급

- 32 -

∙ 균등한 기회와 사회통합

- 중학생 자유학기제 지원 프로그램 운영(9월~4천만원)- 저소득층 청소년 20명ndash대학생 20명 매칭 등(6월~5천만원)- lsquoKBS 동행rsquo에 출연하는 저소득 가정 50세대 지원(7월~1억원)- 발달장애 청년 재능개발 프로젝트lsquo눈부신하루rsquo추진(6월~3천만원)- 신입사원 봉사활동 등을 통한 지역사회 나눔활동(~10월7천2백만원)- 저소득층 난방연료 지원을 위한 주택도시업 캠페인(~12월5천만원)- 자매결연 마을 농수산물 구입기증(~12월4천만원)

추진목표

추진 목표는 해당연도 사회공헌 기부금 예산금액(이사회 의결금액)과 연계

기부금액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8620백만원 8879백만원 9145백만원 9419백만원 9702백만원 전년도예산금액103

실행과제

(49)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목적) 도시재생과 유사한 목표비전을 공유하는 사회적경제와 연계한 맞춤형

금융상품 운영 및 관련 지원조직과 다각적 협업 활동 추진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지역주민이 주도하는 도시재생 금융지원으로 국민의 삶의 질 개선

(목적) 주민지역공동체 주도의 마을단위 도시재생으로의 변화에 대응하여

사회적 경제주체 등 지원체계 개선으로 사회적 가치 실현에 기여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추진목표

수요자중심형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510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실행과제

(50)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국민이 참여하는

HUG사업평가단(가칭) 운영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보증업무 전반에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HUG

사업평가단 구성하여 주택품질 제고 및 안심입주 지향

(추진내용)

∙ 국민이 참여하는 보증솔루션팀 및 보증심사 리뷰단을 통해 제도 개선사항 도출

∙ 보증채권자 권익에 미치는 사항 등 국민의견 수렴을 통한 보증이행제도 개선

∙ 전세금보증 이행완료 고객 및 공인중개사 참여를 통한 제도개선 사항 발굴

추진목표 2019년 국민 의견수렴을 통한 전세금보증 제도 개선 등 검토

- 33 -

실행과제(51)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과 협업하여효율적인 전세금보증 이행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이행 업무의 효율성 제고

(추진내용)

∙ 지역사회단체 등과의 협업을 통한 임차인 퇴거확인 추진 검토

- 보증사고 발생 시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 구성원이 임차인 퇴거를

확인하여 담당직원 업무 공백 최소화 (직원 출장비 수준으로 비용 지급)

- 임차인 퇴거 확인 시 해당 주택가격 및 신규 임차인 확보 가능성 검토결과를

보고받아 채권보전조치를 위한 근거 확보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거보호 이행도(전세금보증 이행 15일초과건수전체이행건수)

50 45 41 37 34

- 34 -

Ⅳ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및 적극행정 확산

①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국민참여게시판을 lsquo국민제안(국민rarr기관)rsquo

및 lsquo정책제안(기관rarr국민)rsquo 게시판으로 세분화하여 국민과 기관간

상시 소통기반 마련 경평지적

지적사항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위한 개선방안 마련 필요

(혁신 네트워크 강화) 시민참여혁신단 보증채권권익위원회 전세금

보증 시민참여단 기금홍보협의회 운영 등 주요사업에 기반하여

다양한 대외 전문기관과 네트워크 활성화 경평지적

지적사항 보증 기금등주요사업역량강화를위한전문기관혁신네트워크강화필요

② 적극행정 확산

(적극행정 면책제도 활용) 감사계획 통보 시 적극행정 면책제도

middot사전컨설팅 제도 사전안내 및 면책신청 지원을 위한 상담창구

운영 등 (계획수립 完 감사실-2367호)

(기관장 책임강화) 혁신전략위원회(위원장 사장)를 통해 적극행정

혁신과제에 대한 추진독려 및 이행사항 점검 등 보완사항 지속

발굴 (혁신페스티벌 1middot2차 개최)

(적극행정 우수사례 발굴)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를 통해 조직내

적극행정 분위기 유도 (포상 및 내부성과평가 반영 등)

성과창출에 실패했더라도 기존관행 탈피 새로운 영역개척 국민접점에서

활력을 제고하는 등 lsquo착한실패rsquo lsquo건전한파격rsquo에 대해서도 포상추진 예정

(적극행정 인식확산) 적극행정 사이버교육(법제처 주관) 이수 등

적극행정 인식확산을 위한 교육참여 시 혁신마일리지 부여 (전사 교육 실시 예정)

- 35 -

Ⅴ 혁신 추진도구별 업무일정

구 분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1 2 3 4 5 6 7 8 9 10 11 12

1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2 국민소통 강화

3 혁신페스티벌

4 유관기관 협업

5 혁신채널 구축

6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7 제안제도 정비

8 혁신콘서트

9 혁신교육 및 혁신워크숍

10 혁신레터

11 혁신마일리지 신설

12 혁신BP 발굴 및 포상

피드백

(성과관리) 공공기관 혁신 및 기관 경영혁신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혁신과제 추진실적을 정기적으로 점검 및 피드백

(혁신전파) 조직원 전체의 혁신공감대 형성 및 참여도 제고를 위해

본사부서 및 영업부서 방문 등을 통해 혁신활동 및 우수사례 공유

(혁신내재화) 국민소통채널 혁신마일리지 혁신레터 등 혁신활동이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고 혁신업무에 대해

조직원이 공감하고 회사 모든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

Page 33: 2019년 HUG 혁신 추진계획 - khug.or.kr…„HUG혁신추진계획.pdf · 혁신페스티벌 - (내부 혁신과제 발굴) 조직·인사·제도·서비스혁신 등 회사

- 32 -

∙ 균등한 기회와 사회통합

- 중학생 자유학기제 지원 프로그램 운영(9월~4천만원)- 저소득층 청소년 20명ndash대학생 20명 매칭 등(6월~5천만원)- lsquoKBS 동행rsquo에 출연하는 저소득 가정 50세대 지원(7월~1억원)- 발달장애 청년 재능개발 프로젝트lsquo눈부신하루rsquo추진(6월~3천만원)- 신입사원 봉사활동 등을 통한 지역사회 나눔활동(~10월7천2백만원)- 저소득층 난방연료 지원을 위한 주택도시업 캠페인(~12월5천만원)- 자매결연 마을 농수산물 구입기증(~12월4천만원)

추진목표

추진 목표는 해당연도 사회공헌 기부금 예산금액(이사회 의결금액)과 연계

기부금액 목표치산출근거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8620백만원 8879백만원 9145백만원 9419백만원 9702백만원 전년도예산금액103

실행과제

(49)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담당부서

도시재생운용처

도시재생지원처

추진내용

지역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금융지원 활성화

(목적) 도시재생과 유사한 목표비전을 공유하는 사회적경제와 연계한 맞춤형

금융상품 운영 및 관련 지원조직과 다각적 협업 활동 추진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지역주민이 주도하는 도시재생 금융지원으로 국민의 삶의 질 개선

(목적) 주민지역공동체 주도의 마을단위 도시재생으로의 변화에 대응하여

사회적 경제주체 등 지원체계 개선으로 사회적 가치 실현에 기여

(추진내용)

∙ 도시재생 Customer Service 확대를 통한 금융지원 활성화

∙ 사회적 경제주체 지원을 통한 지역중심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실현

추진목표

수요자중심형 융자실적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510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1548억원

실행과제

(50)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국민이 참여하는

HUG사업평가단(가칭) 운영담당부서

금융기획실

심사평가처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보증심사에서 이행까지 보증업무 전반에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HUG

사업평가단 구성하여 주택품질 제고 및 안심입주 지향

(추진내용)

∙ 국민이 참여하는 보증솔루션팀 및 보증심사 리뷰단을 통해 제도 개선사항 도출

∙ 보증채권자 권익에 미치는 사항 등 국민의견 수렴을 통한 보증이행제도 개선

∙ 전세금보증 이행완료 고객 및 공인중개사 참여를 통한 제도개선 사항 발굴

추진목표 2019년 국민 의견수렴을 통한 전세금보증 제도 개선 등 검토

- 33 -

실행과제(51)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과 협업하여효율적인 전세금보증 이행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이행 업무의 효율성 제고

(추진내용)

∙ 지역사회단체 등과의 협업을 통한 임차인 퇴거확인 추진 검토

- 보증사고 발생 시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 구성원이 임차인 퇴거를

확인하여 담당직원 업무 공백 최소화 (직원 출장비 수준으로 비용 지급)

- 임차인 퇴거 확인 시 해당 주택가격 및 신규 임차인 확보 가능성 검토결과를

보고받아 채권보전조치를 위한 근거 확보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거보호 이행도(전세금보증 이행 15일초과건수전체이행건수)

50 45 41 37 34

- 34 -

Ⅳ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및 적극행정 확산

①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국민참여게시판을 lsquo국민제안(국민rarr기관)rsquo

및 lsquo정책제안(기관rarr국민)rsquo 게시판으로 세분화하여 국민과 기관간

상시 소통기반 마련 경평지적

지적사항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위한 개선방안 마련 필요

(혁신 네트워크 강화) 시민참여혁신단 보증채권권익위원회 전세금

보증 시민참여단 기금홍보협의회 운영 등 주요사업에 기반하여

다양한 대외 전문기관과 네트워크 활성화 경평지적

지적사항 보증 기금등주요사업역량강화를위한전문기관혁신네트워크강화필요

② 적극행정 확산

(적극행정 면책제도 활용) 감사계획 통보 시 적극행정 면책제도

middot사전컨설팅 제도 사전안내 및 면책신청 지원을 위한 상담창구

운영 등 (계획수립 完 감사실-2367호)

(기관장 책임강화) 혁신전략위원회(위원장 사장)를 통해 적극행정

혁신과제에 대한 추진독려 및 이행사항 점검 등 보완사항 지속

발굴 (혁신페스티벌 1middot2차 개최)

(적극행정 우수사례 발굴)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를 통해 조직내

적극행정 분위기 유도 (포상 및 내부성과평가 반영 등)

성과창출에 실패했더라도 기존관행 탈피 새로운 영역개척 국민접점에서

활력을 제고하는 등 lsquo착한실패rsquo lsquo건전한파격rsquo에 대해서도 포상추진 예정

(적극행정 인식확산) 적극행정 사이버교육(법제처 주관) 이수 등

적극행정 인식확산을 위한 교육참여 시 혁신마일리지 부여 (전사 교육 실시 예정)

- 35 -

Ⅴ 혁신 추진도구별 업무일정

구 분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1 2 3 4 5 6 7 8 9 10 11 12

1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2 국민소통 강화

3 혁신페스티벌

4 유관기관 협업

5 혁신채널 구축

6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7 제안제도 정비

8 혁신콘서트

9 혁신교육 및 혁신워크숍

10 혁신레터

11 혁신마일리지 신설

12 혁신BP 발굴 및 포상

피드백

(성과관리) 공공기관 혁신 및 기관 경영혁신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혁신과제 추진실적을 정기적으로 점검 및 피드백

(혁신전파) 조직원 전체의 혁신공감대 형성 및 참여도 제고를 위해

본사부서 및 영업부서 방문 등을 통해 혁신활동 및 우수사례 공유

(혁신내재화) 국민소통채널 혁신마일리지 혁신레터 등 혁신활동이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고 혁신업무에 대해

조직원이 공감하고 회사 모든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

Page 34: 2019년 HUG 혁신 추진계획 - khug.or.kr…„HUG혁신추진계획.pdf · 혁신페스티벌 - (내부 혁신과제 발굴) 조직·인사·제도·서비스혁신 등 회사

- 33 -

실행과제(51)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과 협업하여효율적인 전세금보증 이행

담당부서 보증이행처

추진내용

(목적) 전세금보증 이행 업무의 효율성 제고

(추진내용)

∙ 지역사회단체 등과의 협업을 통한 임차인 퇴거확인 추진 검토

- 보증사고 발생 시 지역 사회단체(시니어클럽 등) 구성원이 임차인 퇴거를

확인하여 담당직원 업무 공백 최소화 (직원 출장비 수준으로 비용 지급)

- 임차인 퇴거 확인 시 해당 주택가격 및 신규 임차인 확보 가능성 검토결과를

보고받아 채권보전조치를 위한 근거 확보

추진목표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주거보호 이행도(전세금보증 이행 15일초과건수전체이행건수)

50 45 41 37 34

- 34 -

Ⅳ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및 적극행정 확산

①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국민참여게시판을 lsquo국민제안(국민rarr기관)rsquo

및 lsquo정책제안(기관rarr국민)rsquo 게시판으로 세분화하여 국민과 기관간

상시 소통기반 마련 경평지적

지적사항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위한 개선방안 마련 필요

(혁신 네트워크 강화) 시민참여혁신단 보증채권권익위원회 전세금

보증 시민참여단 기금홍보협의회 운영 등 주요사업에 기반하여

다양한 대외 전문기관과 네트워크 활성화 경평지적

지적사항 보증 기금등주요사업역량강화를위한전문기관혁신네트워크강화필요

② 적극행정 확산

(적극행정 면책제도 활용) 감사계획 통보 시 적극행정 면책제도

middot사전컨설팅 제도 사전안내 및 면책신청 지원을 위한 상담창구

운영 등 (계획수립 完 감사실-2367호)

(기관장 책임강화) 혁신전략위원회(위원장 사장)를 통해 적극행정

혁신과제에 대한 추진독려 및 이행사항 점검 등 보완사항 지속

발굴 (혁신페스티벌 1middot2차 개최)

(적극행정 우수사례 발굴)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를 통해 조직내

적극행정 분위기 유도 (포상 및 내부성과평가 반영 등)

성과창출에 실패했더라도 기존관행 탈피 새로운 영역개척 국민접점에서

활력을 제고하는 등 lsquo착한실패rsquo lsquo건전한파격rsquo에 대해서도 포상추진 예정

(적극행정 인식확산) 적극행정 사이버교육(법제처 주관) 이수 등

적극행정 인식확산을 위한 교육참여 시 혁신마일리지 부여 (전사 교육 실시 예정)

- 35 -

Ⅴ 혁신 추진도구별 업무일정

구 분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1 2 3 4 5 6 7 8 9 10 11 12

1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2 국민소통 강화

3 혁신페스티벌

4 유관기관 협업

5 혁신채널 구축

6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7 제안제도 정비

8 혁신콘서트

9 혁신교육 및 혁신워크숍

10 혁신레터

11 혁신마일리지 신설

12 혁신BP 발굴 및 포상

피드백

(성과관리) 공공기관 혁신 및 기관 경영혁신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혁신과제 추진실적을 정기적으로 점검 및 피드백

(혁신전파) 조직원 전체의 혁신공감대 형성 및 참여도 제고를 위해

본사부서 및 영업부서 방문 등을 통해 혁신활동 및 우수사례 공유

(혁신내재화) 국민소통채널 혁신마일리지 혁신레터 등 혁신활동이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고 혁신업무에 대해

조직원이 공감하고 회사 모든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

Page 35: 2019년 HUG 혁신 추진계획 - khug.or.kr…„HUG혁신추진계획.pdf · 혁신페스티벌 - (내부 혁신과제 발굴) 조직·인사·제도·서비스혁신 등 회사

- 34 -

Ⅳ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및 적극행정 확산

① 경영평가 지적사항 개선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국민참여게시판을 lsquo국민제안(국민rarr기관)rsquo

및 lsquo정책제안(기관rarr국민)rsquo 게시판으로 세분화하여 국민과 기관간

상시 소통기반 마련 경평지적

지적사항 국민참여게시판 활성화 위한 개선방안 마련 필요

(혁신 네트워크 강화) 시민참여혁신단 보증채권권익위원회 전세금

보증 시민참여단 기금홍보협의회 운영 등 주요사업에 기반하여

다양한 대외 전문기관과 네트워크 활성화 경평지적

지적사항 보증 기금등주요사업역량강화를위한전문기관혁신네트워크강화필요

② 적극행정 확산

(적극행정 면책제도 활용) 감사계획 통보 시 적극행정 면책제도

middot사전컨설팅 제도 사전안내 및 면책신청 지원을 위한 상담창구

운영 등 (계획수립 完 감사실-2367호)

(기관장 책임강화) 혁신전략위원회(위원장 사장)를 통해 적극행정

혁신과제에 대한 추진독려 및 이행사항 점검 등 보완사항 지속

발굴 (혁신페스티벌 1middot2차 개최)

(적극행정 우수사례 발굴)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를 통해 조직내

적극행정 분위기 유도 (포상 및 내부성과평가 반영 등)

성과창출에 실패했더라도 기존관행 탈피 새로운 영역개척 국민접점에서

활력을 제고하는 등 lsquo착한실패rsquo lsquo건전한파격rsquo에 대해서도 포상추진 예정

(적극행정 인식확산) 적극행정 사이버교육(법제처 주관) 이수 등

적극행정 인식확산을 위한 교육참여 시 혁신마일리지 부여 (전사 교육 실시 예정)

- 35 -

Ⅴ 혁신 추진도구별 업무일정

구 분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1 2 3 4 5 6 7 8 9 10 11 12

1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2 국민소통 강화

3 혁신페스티벌

4 유관기관 협업

5 혁신채널 구축

6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7 제안제도 정비

8 혁신콘서트

9 혁신교육 및 혁신워크숍

10 혁신레터

11 혁신마일리지 신설

12 혁신BP 발굴 및 포상

피드백

(성과관리) 공공기관 혁신 및 기관 경영혁신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혁신과제 추진실적을 정기적으로 점검 및 피드백

(혁신전파) 조직원 전체의 혁신공감대 형성 및 참여도 제고를 위해

본사부서 및 영업부서 방문 등을 통해 혁신활동 및 우수사례 공유

(혁신내재화) 국민소통채널 혁신마일리지 혁신레터 등 혁신활동이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고 혁신업무에 대해

조직원이 공감하고 회사 모든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

Page 36: 2019년 HUG 혁신 추진계획 - khug.or.kr…„HUG혁신추진계획.pdf · 혁신페스티벌 - (내부 혁신과제 발굴) 조직·인사·제도·서비스혁신 등 회사

- 35 -

Ⅴ 혁신 추진도구별 업무일정

구 분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1 2 3 4 5 6 7 8 9 10 11 12

1 국민참여형 혁신과제 발굴

2 국민소통 강화

3 혁신페스티벌

4 유관기관 협업

5 혁신채널 구축

6 혁신과제 선정 프로세스 마련

7 제안제도 정비

8 혁신콘서트

9 혁신교육 및 혁신워크숍

10 혁신레터

11 혁신마일리지 신설

12 혁신BP 발굴 및 포상

피드백

(성과관리) 공공기관 혁신 및 기관 경영혁신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혁신과제 추진실적을 정기적으로 점검 및 피드백

(혁신전파) 조직원 전체의 혁신공감대 형성 및 참여도 제고를 위해

본사부서 및 영업부서 방문 등을 통해 혁신활동 및 우수사례 공유

(혁신내재화) 국민소통채널 혁신마일리지 혁신레터 등 혁신활동이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고 혁신업무에 대해

조직원이 공감하고 회사 모든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