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4~307)170Ⅱ-4(1)ok 2011.11.25 4:38 am...

8
‘적벽가’는 중국의‘삼국지연의’를 바탕으로 창작된 판소리로, 원작‘삼국지연의’에 등장하는 인물과 사 건을 나름의 시각으로 재해석한 작품이다. 재창작 과정과 이유를 중심으로 외국 문학의 능동적 수용과 그 로 인한 창조적 성과에 주목하면서 작품을 감상해 보자.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 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 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 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 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 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 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 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 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 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 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 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 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 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 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 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 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 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 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 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 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 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 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 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 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 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 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 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 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 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 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 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 작품 선정 취지 ‘적벽가’는소설‘삼국지연의’의적벽대전이야기를판소리로재창조한것 으로, 원작을 새롭게 고치거나 없는 내용을 덧붙이기도 하였다. 따라서 역사 적으로 외국 문학의 유입이 이루어졌음과 함께 외국 문학이 능동적으로 수용 된 양상을 살펴보기에 적절한 작품이기에 이 단원의 제재로 선정하였다. 학생들은 이 작품의 학습을 통해 수용자의 가치관에 따른 문학의 능동적, 주체적 수용이 가능함과, 그에 따라 거둔 창조적 성과에 대해 이해하게 될 것 이다. 또한 이를 현실에서 바람직한 문학의 수용 태도를 갖추는 계기로 삼을 있을 것이다. 제시된 지문은‘적벽가’중 군사 설움 대목으로 전쟁에 강제 동원된 병사들의 신세타령을 통해 지배자의 야망 실현의 도구가 되어 희생당 하는 백성들의 한(恨)을 드러내고 지배 권력의 폭력성을 비판하고 있다. 작품 연구 •갈래: 판소리 사설 •성격: 해학적, 풍자적, 회화적 •제재: ‘삼국지연의’의적벽대전 •주제: 적벽 대전을 주도해 나간 영웅의 이야기. 주체적 세력인 민중의 의식 성장 •특징 - ‘삼국지연의’의적벽대전을바탕으로함. - 영웅보다는 평민을 내세워 전쟁을 부정적으로 평가함. - 외래 문화를 창조적으로 수용함. - 판소리 특유의 평민적 시각을 구현함. - 기성 권위와 폭력적 권력에 대한 비판 의식을 표출함. 핵심 정리 1. ‘삼국지연의’와‘적벽가’ 2. 군사 설움에 나타난 민중 의식 첫째 군사 부모 생각 둘째 군사 자식 생각 셋째 군사 아내 생각 ‘삼국지연의’ 소설 판소리 ‘적벽가’ 유비, 관우, 장비, 제갈공명 등을 중심으로 함. 무명의 하층 군사들을 중심 으로 함. 웅장한 전쟁 장면과 영웅 이 야기 민중 의식과 지배층에 대한 비판 의식 삼국의 흥망성쇠 중심 영웅적 비장미, 숭고미 희극적, 풍자적 희극미 적벽 대전 중심 갈래 등장인물 초점 중심 내용 조조의 모습 미의식 전쟁에 강제 동원된 병사들이 전장에서 겪는 설움과 고통 백성들의 고난과 전쟁의 참혹성 폭로

Upload: others

Post on 28-Jun-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284~307)170Ⅱ-4(1)OK 2011.11.25 4:38 AM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설리 ‘서러이’의 방언. 원통하 고슬프게. 장근(將近) ‘거의’의뜻을나타

‘적벽가’는 중국의‘삼국지연의’를 바탕으로 창작된 판소리로, 원작‘삼국지연의’에 등장하는 인물과 사

건을 나름의 시각으로 재해석한 작품이다. 재창작 과정과 이유를 중심으로 외국 문학의 능동적 수용과 그

로 인한 창조적 성과에 주목하면서 작품을 감상해 보자.

3 0 03 0 03 0 03 0 03 0 03 0 03 0 03 0 03 0 03 0 03 0 03 0 03 0 03 0 03 0 03 0 03 0 03 0 03 0 03 0 03 0 03 0 03 0 03 0 03 0 03 0 03 0 03 0 03 0 03 0 03 0 03 0 0 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

작품선정취지

‘적벽가’는 소설‘삼국지연의’의 적벽 대전 이야기를 판소리로 재창조한 것

으로, 원작을 새롭게 고치거나 없는 내용을 덧붙이기도 하였다. 따라서 역사

적으로 외국문학의 유입이 이루어졌음과 함께 외국문학이 능동적으로 수용

된양상을살펴보기에적절한작품이기에이단원의제재로선정하였다.

학생들은 이 작품의 학습을 통해 수용자의 가치관에 따른 문학의 능동적,

주체적 수용이가능함과, 그에 따라 거둔창조적성과에대해이해하게될것

이다. 또한 이를 현실에서 바람직한 문학의 수용 태도를 갖추는 계기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제시된 지문은‘적벽가’중 군사 설움 대목으로 전쟁에 강제

동원된 병사들의 신세타령을 통해 지배자의 야망 실현의 도구가 되어 희생당

하는백성들의한(恨)을 드러내고지배권력의폭력성을비판하고있다.

작품연구

•갈래: 판소리사설

•성격: 해학적, 풍자적, 회화적

•제재: ‘삼국지연의’의적벽대전

•주제: 적벽 대전을 주도해 나간영웅의 이야기. 주체적 세력인 민중의 의식

성장

•특징

- ‘삼국지연의’의적벽대전을바탕으로함.

- 영웅보다는평민을내세워전쟁을부정적으로평가함.

- 외래 문화를창조적으로수용함.

- 판소리특유의평민적시각을구현함.

- 기성 권위와폭력적권력에대한비판의식을표출함.

핵심정리

1. ‘삼국지연의’와‘적벽가’

2. 군사설움에나타난민중의식

첫째군사+ +

부모생각

둘째군사

자식생각

셋째군사

아내생각

‘삼국지연의’

소설 판소리

‘적벽가’

유비, 관우, 장비, 제갈공명

등을중심으로함.

무명의 하층 군사들을 중심

으로함.

웅장한 전쟁 장면과 영웅 이

야기

민중 의식과 지배층에 대한

비판의식

삼국의흥망성쇠중심

영웅적

비장미, 숭고미

희극적, 풍자적

희극미

적벽대전중심

갈래

등장인물

초점

중심내용

조조의모습

미의식

전쟁에강제동원된병사들이전장에서겪는설움과고통

⇨⇨

백성들의고난과전쟁의참혹성폭로

(284~307)170Ⅱ-4(1)OK 2011.11.25 4:38 AM 페이지300 mac01 T

Page 2: (284~307)170Ⅱ-4(1)OK 2011.11.25 4:38 AM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설리 ‘서러이’의 방언. 원통하 고슬프게. 장근(將近) ‘거의’의뜻을나타

3 0 1[1]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의 관련 양상

전체 줄거리

제갈공명이 뛰어난 인재라는 말을 들은 유비는 삼고초려■끝에 그를 감동시켜 모사(謀士)로

맞아들인다. 한편 조조는 백만 대군을 이끌고 원정에 나선다. 제갈공명은 오나라로 가서 손권

과 주유의 마음을 움직여서 조조와 맞서 함께 싸우도록 유도한다. 드디어 적벽에서 싸움이 벌

어져 유비와 손권의 연합군이 승리하고, 조조는 많은 군사를 잃고 달아나게 된다. 겨우 위기에

서 벗어난 조조는 화용도에서 관우와 마주치게 되는데, 엎드려서 빌면서 구걸한 끝에 겨우 목

숨을 지키게 된다.

교과서에 수록한 부분은 조조 군사들이 적벽 대전■을 앞두고 잔치를 벌이다가 자신들의 신세

를 한탄하는 대목이다.

[아니리]

군사들이 승기(勝氣)■

내어 주육을 장식하고,

[중모리]

노래 불러 춤추는 놈, 서럽게 곡하는 놈, 이야기로 히히 하하 웃는 놈, 투전

(鬪 )■

하다 다투는 놈, 반취(半醉) 중에 욕하는 놈, 잠에 지쳐 서서 자다 창끝

에다가 턱 꿰인 놈, 처처(處處) 많은 군병 중에 병노직장위불행■

이라. 장하(帳

下)■

의 한 군사 전립■벗어 또루루루 말아 베고 누워 봇물 터진 듯이 울음을 운

다. 아이고 아이고 아이고 울음을 우니,

[아니리]

한 군사 내달으며,

“아나 이 애, 승상(丞相)은 지금 대군을 거나리고 천 리 전쟁을 나오시어 승

부를 미결(未決)하야 천하 대사를 바라는데, 이놈 요망스럽게 왜 울음을 우

느냐. 우지 말고 이리 오느라. 술이나 먹고 놀자.”

저 군사 연하여 왈,

“네 설움 제쳐 놓고 내 설움 들어 보아라.

■ 삼고초려(三顧草廬) 후한 말의

유비(劉備)가 제갈량(諸葛亮) 즉 제

갈공명(諸葛孔明)을 얻기 위해 세

번이나 직접 그의 집을 찾아간 일.

■ 적벽 대전(赤壁大戰) 중국의 삼

국 시대, 화북을 평정한 조조가 남

하하여 유비, 손권의 연합군과 양

쯔 강의 적벽에서 벌인 전투. 조조

가 이 싸움에서 패함으로써, 손권

과 유비는 근거지를 보존하였다.

‘삼국지연의’에서는 동남풍(東南風)

을 빌고 여러 가지 계책을 성공하

는 등 제갈량의 활약을 강조하여

서술하였다.

■ 승기(勝氣) 뛰어난 기상. 또는

지지 않고 이기려는 기개.

■ 투전(鬪 ) 여러 가지 문양·문

자가 표시된 패를 뽑아 승부를 겨

루는 놀이.

■ 병노직장위불행 이어지는 내용

을 고려하면, “병루즉장위불행(兵

淚則將爲不幸)”으로 해석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풀이하면, ‘병사가 눈

물을 흘리면 장차 불행한 일이 생

긴다.’는 뜻이다.

■ 장하(帳下) 장막 아래. 군막 아

래.

02 적벽가(赤壁歌) 작가미상

05

10

15

20

25

참고|‘적벽가’의형성과정

일반적인 판소리계 소설은‘근원 설화 → 판소리 → 판소리계 소설’의 과정을 거쳐 형성되는데, ‘적벽가’는 근원 설

화가 없으며, 판소리가 판소리계 소설로 정착된 것이 아니라 이미 존재하고 있는 소설‘삼국지연의’를 바탕으로 이루

어졌다. ‘적벽가’의 줄거리는 삼고초려, 장판교 싸움, 군사 설움 타령, 적벽강 싸움, 화용도 장면 등 다섯 단락으로 나

눌수있는데교과서에제시된부분은군사설움타령에해당한다.

참고|판소리장단

판소리의 장단이란 창자(唱者)가 창을 할 때 박자와 속도, 강약의 차이를

구별하여 연주하는 음악의 반주를 뜻하는 말이다. 판소리의 고수는 북으로

장단을 짚어 주는데 북이나 고수가 없을 때에는 창자가 스스로 무릎 장단

에 맞추어 소리를 하기도 한다. 판소리 장단을 느린 순서부터 말하면, 진양

조, 중모리, 중중모리, 잦은모리, 휘모리순이다.

참고|판소리

•구성 요소: 창, 아니리, 발림, 추

임새

•판소리 사설의 표현상 특징: 창

으로 부르는 부분은 운율을 살려

장면을 극대화하며, 상투적, 관용

적표현이많이나타남.

•주제의 양면성: 표면적 주제는

양반의 가치관을, 이면적 주제는

서민의 가치관을 나타내어 서민과

양반모두에게폭넓게수용됨.

참고|판소리용어

•광대: 창자(唱者). 노래 부르는사람

•고수: 북 장단을맞추는사람

•아니리: 광대가창을하면서사이사이에극적인줄거리를엮어나가는사설

•추임새: 고수 또는 청중이 내는 탄성으로 흥을 돋우는 소리. ‘얼씨구’, ‘좋다’,

‘그렇고말고’, ‘어허’등

•발림: 창하면서하는동작

•너름새: ‘발림’과같은의미이나가사, 소리, 몸짓이일체가되었을때를가리킴.

•더늠: 어떤 광대가창작하여삽입한마디를말함.

꾀를써서일이잘이루어지게하는사람

조조를소심하고비굴한인물로희화화함.

술에반쯤취해

곳곳에

군사설움대목

판소리에서창자(唱者)가 소리를하다가한대목에서다른대목으로넘어가기 전에 자유 리듬으로 사설을 엮어 나

가는행위

한 장단이 12박으로 되어 있으며, 3박짜리 4각으로 구성된 장단임. 어떤 사연을 담담히 서술하는

대목이나서정적인대목에서흔히쓰이는장단으로태연한맛과안정감을줌. ‘중몰이’라고도함.

조조

부모님에대한그리움

판소리적벽가(ppt) - 링크, ‘적벽가’의

‘삼국지’변용양상(정학성)(hwp) 활용

(284~307)170Ⅱ-4(1)OK 2011.11.25 4:38 AM 페이지301 mac01 T

Page 3: (284~307)170Ⅱ-4(1)OK 2011.11.25 4:38 AM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설리 ‘서러이’의 방언. 원통하 고슬프게. 장근(將近) ‘거의’의뜻을나타

3 0 2 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

[진양조]

고당상학발양친(高堂上鶴髮兩親)■

배별(拜別)■

한 지가 몇 날이나 되며 부혜(父

兮)여 생아(生我)하시고 모혜(母兮)여 육아(育我)하시니■

욕보지은덕(欲報之恩德)■

인데 호천망극(昊天罔極)■

이로구나. 화목하던 전대권당(全大眷黨)■

, 규중의 홍안

처자(紅顔妻子)■

천 리 전장 나를 보내고, 오늘이나 소식 올까 내일이나 기별이

올꺼나 기다리고 바라다가, 서산에 해는 기울어지니 출문망(出門望)■

이 몇 번이

며, 바람 불고 비 죽죽 오는데 의려지망(倚閭之望)■

이 몇 번이나 되며, 서중의

홍안거래(鴻雁去來)■

편지를 뉘 전하며, 상사곡(相思曲) 단장해(斷腸解)는 주야

수심에 맺혔구나. 조총(鳥銃), 환도(環刀) 둘러메고 육전, 수전을 섞어 헐 제

생사가 조석(朝夕)이로구나. 만일 객사를 하게 되면 게 뉘라서 엄토■

를 하며 골

폭사장(骨曝沙場)■

에 흩어져서 오연(烏鳶)■

의 밥이 된들, 뉘라 손뼉을 두다리며

후여쳐 날려 줄 이 있드란 말이냐. 일일사친 십이시■

로구나.”

[아니리]

이렇듯이 설리■

우니 여러 군사 하는 말이,

“부모 생각 너 설움이 충효지심 기특허다.”

또 한 군사 나서며,

[중모리]

“여봐라 군사들아, 이내 설움을 들어라. 너 내 이 설움을 들어 봐라. 나는

남의 오대 독신으로 어려서 장가들어 근 오십이 장근(將近)■

토록 슬하에 일점

혈육이 없어, 매월 부부 한탄헐 제, 어따, 우리집 마누라가 온갖 공을 다 들

일 제, 명산대찰 성황신당, 고묘총사, 석불 보살 미륵 노구맞이 집짓기와 칠

성 불공, 나한 불공, 백일산제, 신중맞이, 가사 시주, 연등 시주, 다리 권선

길닦기며, 집에 들어 있는 날은 성조조왕, 당산 천룡, 중천군웅 지신제를 지

극 정성 드리니■

, 공든 탑이 무너지며 심든 남기가 꺾어지랴. 그달부터 태기

(胎氣)가 있어 석부정부좌(席不正不坐)하고 할부정불식(割不正不食)하고 이불

청음성(耳不聽淫聲), 목불시악색(目不視惡色)■

, 십 삭(十朔)이 절절 찬 연후에

하루는 해복 기미가 있던가 보더라. 아이고 배야, 아이고 허리야, 아이고 다

리야. 혼미(昏迷) 중 탄생하니 딸이라도 반가울데 아들을 낳었구나. 열 손에

05

10

15

20

25

■ 고당상학발양친(高堂上鶴髮兩

親) 학처럼 머리가 센 늙으신 부

모님. 고당(高堂)은 부모님이 계신

집을 이르는 말이다.

■ 배별(拜別) 절하고 작별한다는

뜻으로 존경하는 사람과의 작별을

높여 이르는 말.

■ 부혜(父兮)여 생아(生我)하시고

모혜(母兮)여 육아(育我)하시니 아

버님은 날 낳으시고 어머님은 날

기르시니.

■ 욕보지은덕(欲報之恩德) 그 은

혜와 덕을 다 갚고자 함.

■ 호천망극(昊天罔極) 어버이의

은혜가 하늘과 같이 다함이 없음을

이르는 말.

■전대권당(全大眷黨) 일가친척.

■ 홍안처자(紅顔妻子) 젊은 아내

와 어린 자식.

■ 출문망(出門望) 문밖에 나와 바

라봄.

■ 의려지망(倚閭之望) 문에 기대

서 자녀나 배우자가 돌아오기를 초

조하게 기다림.

■ 홍안거래(鴻雁去來) 오가는 기

러기. 기러기 발에 편지를 묶어 전

했다는 고사에서 온 말.

■ 엄토(掩土) 겨우 흙이나 덮어서

간신히 장사를 지냄.

■ 골폭사장(骨曝沙場) 모래밭에

뼈가 노출되어 있음.

■오연(烏鳶) 까마귀와 솔개.

■ 일일사친 십이시(一日思親十二

時) 하루에도 열두 번이나 부모

생각을 함.

■ 설리 ‘서러이’의 방언. 원통하

고 슬프게.

■ 장근(將近) ‘거의’의 뜻을 나타

내는 말.

■ 명산대찰 성황신당 ~ 지극 정

성 드리니 자식을 얻기 위해 정성

을 들여 기원한 것을 열거한 대목.

■ 석부정부좌(席不正不坐)하고 ~

목불시악색(目不視惡色) 태교를

하는 장면을 묘사한 대목임. 바르

지 않은 자리에는 앉지 않고, 바로

자르지 않은 음식은 먹지 않고, 음

란한 소리는 듣지 않고, 나쁜 모습

은 보지 않는다.

‘아니리’부분에서 드러나고

있는 가치관은 무엇인가?

?

판소리 장단 가운데서 가장 느린 것으로, 6박으로 이루어진 1각 넷을 얽어 24박 한 장단을 이룸.

사설의극적전개가느슨하고서정적인대목에서흔히쓰는구슬픈장단임.

예시답|충효를중시하는가치관

전쟁중이라생사를기약할수없음.

전쟁에쓰이는무기 육지에서벌이는전투 물위에서하는전투

자식에대한그리움

열달

승려가입는법의를짓는데드는비용을내는일

해산

자식을갖게됨.

읽기중활동예시답안(ppt) 활용

(284~307)170Ⅱ-4(1)OK 2011.11.25 4:38 AM 페이지302 mac01 T

Page 4: (284~307)170Ⅱ-4(1)OK 2011.11.25 4:38 AM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설리 ‘서러이’의 방언. 원통하 고슬프게. 장근(將近) ‘거의’의뜻을나타

3 0 3[1]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의 관련 양상

다 떠받들어 땅에 누일 날 전혀 없어 삼칠일(三七日)이 지나고 오륙 삭이 넘

어 발바닥에 살이 올라 터덕터덕 노는 모양, 방긋방긋 웃는 모양, 엄마 아빠

도리도리, 쥐암잘강 섬마둥둥, 내 아들 옷고름에 돈을 채여 감을 사 껍질 벗

겨 손에 주며 주야 사랑 애정한 게 자식밖에 또 있느냐. 뜻밖에 이 한 난리,

‘위국땅 백성들아, 적벽으로 싸움 가자 나오너라’외는 소리, 아니 올 수 없

더구나. 사당 문 열어 놓고 통곡재배 하즉한 후 간간한 어린 자식 유정한 가

족 얼굴 안고 누워 등치며, 부디 이 자식을 잘 길러 나의 후사(後嗣)를 전해

주오. 생이별 하직하고 전장에를 나왔으나 언제 내가 다시 돌아가 그립던

자식을 품에 안고‘아가 응아’업어 볼거나. 아이고 내 일이야.”

[아니리]

이렇듯이 설리 우니 여러 군사 꾸짖어 왈,

“어라 이놈 자식 두고 생각는 정 졸장부의 말이로

다. 전장에 너 죽어도 후사는 전하겠으니

네 설움은 가소롭다.”

또 한 군사가 나서면서,

05

10

15

‘삼국지연의’는 비교적 이른 시기에 우리나라에 소개된 작품이다.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을 보면, 선조 2년(1569)에

기대승(奇大升)이 왕에게 건의한 글 가운데‘삼국지연의’에 대한 언급이 보인다. 기대승은 이 소설이“괴상하고 허탄한 일

과 근거 없는 말을 부연하여 만든 것”이라고 지적하였는데, 이는 적벽 대전에서 동남풍(東南風)을 빌었다는 일화처럼 역

사적 사실과 어긋난 서술이 있어서 독자가 역사적 사실을 잘못 알게 될 위험성이 있음을 근심한 것이다. 그렇지만 학자

나 관리들의 부정적인 평가에도 불구하고 조선 시대에 이 작품은 널리 향유되었으며, 단순한 수용을 넘어 사건이나 인물

을 나름의 관점에서 재평가한 작품으로 새롭게 창작되며 능동적으로 수용되었다. 판소리‘적벽가’나 이를 바탕으로 한 소

설‘화용도’가 이러한 적극적이고 주체적인 수용의 사례에 해당한다.

참고|‘삼국지연의’의 수용에 대하여

매우귀하게키움.

아이를어르는말

슬피울며두번절함.

도량이좁고졸렬한사내

참고|‘적벽가’에나타난민중의식

‘적벽가’는 전쟁을 주도해 나간 영웅의 이야기가 아니라, 평범한 군졸과 민중을 주인공으로 하여 이들이 전쟁에서

겪는고난과설움을주요내용으로한다. 이 작품은민중중심의사건전개와영웅적인물의희화화를통해지배계급

에대한비판의식을드러내고있다.

참고|‘삼국지연의’

‘삼국지’라 불리는‘삼국지통속

연의’또는‘삼국지연의’는 진수

(陳壽: 233~297)가 쓴 위, 촉, 오

삼국의 역사서인‘삼국지’의 이야

기들을 원과 명의 교체기 때의 사

람인 나 중(羅貫中)이 소설화한

것으로, 중국은물론전세계로널

리 퍼져 읽혀지고 있는 작품이다.

우리나라에도 모종강평본이 유행

하면서 본격적으로 번역되어 필

사, 방각, 구활자본 형태로 읽혀졌

다.

국내에 유입된‘삼국지연의’는

한문본 형태로 기록이 이루어졌으

며, 이후 번역되어 한글 필사본이

민간에 유통되었다. 그리고 방각

본의출현으로‘삼국지연의’중인

기 있는 부분만 따로 떼어 축약과

개작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축약

과 개작은 구활자로 이어지면서

새로운 형태의‘삼국지연의’가 탄

생되었다. 이렇게 개작, 복각, 필

사 그리고 방각, 구활자본 형태로

전해지는‘삼국지연의’는 현대 활

자 이전 이본만도 100개가 넘으

며, 군담, 영웅 소설뿐만 아니라

시조, 가사, 속담에 이르기까지 문

화전반에많

은 영향을 끼쳤

다.

이렇게 오랜 시간

많은 사람들에게 인기를

얻을 수 있었던 이유는 역

사와 소설이 혼재하는 연의

소설의 특성 때문이다. 연의 소

설의 이러한 양면성은 때론 역

사, 교화서로서의 역할을 하

는가 하면, 때론 취미, 오

락서로서의 역할을 하기

도했다.

- 이은봉, ‘‘삼국지

연의’의 수용 양

상연구’, 2007

노부모생각에는공감해주던군사들이자식생각에는타박을함.

(284~307)170Ⅱ-4(1)OK 2011.11.25 4:38 AM 페이지303 mac01 T

Page 5: (284~307)170Ⅱ-4(1)OK 2011.11.25 4:38 AM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설리 ‘서러이’의 방언. 원통하 고슬프게. 장근(將近) ‘거의’의뜻을나타

3 0 4 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

[중모리]

“이내 설움 들어 봐라. 나는 부모 일찍 조실(早失)하고 일가친척 바이■

없어

혈혈단신(孑孑單身)■

이내 몸이, 이성지합(二姓之合)■

우리 아내 얼굴도 어여

쁘고 행실도 조촐하야 종가대사(宗家大事) 탁신안정(托身安定)■

떠날 뜻이 바

이 없어 철 가는 줄 모를 적에, 불화병 외는 소리 위국 땅 백성들아 적벽으

로 싸움 가자 외는 소리 나를 끌어내니 아니 올 수 있든가. 군복 입고 전립

(戰笠)■

쓰고 창을 끌고 나올 적에, 우리 아내 내 거동을 보더니 버선발로 우

루루루 달려들어 나를 안고 엎더지며,‘날 죽이고 가오, 살려 두고는 못 가리

다. 이팔홍안 젊은 년을 나 혼자만 떼어 놓고 전장을 가랴시오.’내 마음이

어찌 되것느냐. 우리 마누라를 달래 제, ‘허허 마누라 우지 마오. 장부가

세상을 태어나서 전장출세(戰場出世)를 못하고 죽으면 장부 절개가 아니라고

하니 우지 말라면 우지 마오.’달래어도 아니 듣고 화를 내도 아니 듣더구

나. 잡았던 손길을 에후리쳐 떨치고 전장을 나왔으나, 일부일 전장 불식이

라.■

살아가기 꾀를 낸들 동서남북으로 수직(守直)을 허니, 함정에 든 범이

되고 그물에 걸린 내가 고기로구나. 어느 때나 고국을 갈지, 무주공산 해골

이 될지, 생사(生死)가 조석(朝夕)이라. 어서 수이 고향을 가서 그립던 마누

라 손길을 부여잡고 만단정회■

풀어 볼거나. 아이고 내 일이야.”

[아니리]

이렇듯이 설리 우니, 또 한 군사 나오난디, 그중에 키 작고 머리 크고 작도

만 한 칼을 내두르며 만군중이 송신하게 말을 허겄다.

[중중모리]

“이놈 저놈, 말 듣거라. 너희 울 제 좀놈일따. 위국자(爲國者)는 불고가(不顧

家)라■

옛글에도 일러 있고, 남아하필연처자(男兒何必戀妻子)오.■

우리 몸이 군

사 되야 전장 나와 공명도 못 이루고 속절없이 돌아가면 부끄럽지 아니허

냐. 이내 심사 평생 한이 요하(腰下) 삼척(三尺) 드는 칼로 오·한(吳漢) 양진

(兩陣) 장수 머리를 번뜻 뎅기렁 베어 들고 창 끝에 높이 달아 개가성(凱歌

聲) 부르면서 승전고(勝戰鼓) 쿵쿵 울리면서 본국으로 돌아갈 제, 부모 처자

친구 벗님 펄쩍 뛰어나오며‘다녀온나 다녀와, 전장 갔던 벗님이 살어를 오

05

10

15

20

25

군사들의 신세 타령에서 느껴

지는 정서는 무엇인지 말해 보자.

?

■바이 전혀.

■ 혈혈단신(孑孑單身) 의지할 곳

이 없는 외로운 홀몸.

■ 이성지합(二姓之合) 다른 두 성

이 합하였다는 말로, 남녀의 혼인

을 이르는 말.

■ 탁신안정(托身安定) 몸을 붙여

편안히 머무르다.

■ 전립(戰笠) 조선 시대에, 무관

이 쓰던 모자의 하나.

■ 일부일(日復日) 전장 불식이

라. 날이 지나고 지나도 싸움이

그치지 않는구나.

■ 만단정회(萬端情懷) 온갖 정과

회포.

■ 위국자(爲國者)는 불고가(不顧

家)라. 나라를 위하는 사람은 집

안을 돌아보지 않는다.

■ 남아하필연처자(男兒何必戀妻子)

오. 남자가 하필 처자를 그리워하

리오.

예시 답|서러움, 안타까움, 그리

움등

중모리와 마찬가지로 12박으로 한 장단을 이루지만 중모리보다 빠름. 중모리 장단을 12/4 박자와

같다고 한다면 중중모리 장단은 12/8 박자와 흡사하다고 할 수 있음. 춤추는 대목, 활보하는 대목,

통곡하는대목에서흔히쓰이는장단으로흥취를돋우게함. ‘중중몰이’라고도함.

아내에대한그리움

세월

슬픔, 안타까움

임자가없는빈산(山)

강제로전쟁에참여하게됨.

참고|‘적벽가’의독창성

‘적벽가’가‘삼국지연의’의영향을벗어나새로운모습을보여준것은군사들을정면인물로등장시킨것이다. 최하

층군사들을조조와대립되게등장시킴으로써‘삼국지연의’와는다른새로운주제를부각하고있다.

‘삼국지연의’는 한 세기를 걸쳐 삼국의 흥망성쇠를 다루면서 웅장한 전쟁 장면과 무수한 영웅 인물들을 등장시키고

주로 그들을 중심으로 묘사하고 있다. 하층 군사들은 소외되었고, 전쟁에서는 희생품으로밖에 취급되지 않는다. ‘적벽

가’에서는최하층군사들에게필을돌려그들의존재에대해쓰고있으며그들이전쟁에서겪는고난과역할및전쟁의

잔혹성을폭로하고있다. 한편군사들의염전(厭戰) 정서, 귀향정서, 평화롭게살아가려는심정을강하게표출하고있다.

하루하루가계속반복된다는뜻으로, ‘날마다’를이르는말

많은군중이들을만큼크게

허리춤

싸움에이겼을때울리는북

적에 좀스러운사람

길이가석자정도되는긴칼

이기거나큰성과가있을때내는소리

(284~307)170Ⅱ-4(1)OK 2011.11.25 4:38 AM 페이지304 mac01 T

Page 6: (284~307)170Ⅱ-4(1)OK 2011.11.25 4:38 AM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설리 ‘서러이’의 방언. 원통하 고슬프게. 장근(將近) ‘거의’의뜻을나타

3 0 5[1]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의 관련 양상

니 반갑네. 이리 오서 이리 오라면 이리 와.’울며 반겨헐 제, 원근당(遠近

黨) 기쁨을 보이면 그 아니 좋더란 말이냐. 우지 말라면 우지 마라.”

“박봉술 창본”(1998)

이 작품은 중국에서 인기를 끌었던 소설‘삼국지연의’의 적벽 대전 부분의 이야기를 재구성한 판소리이다. 유비, 조조,

손권의 세 영웅이 천하를 다루는 원작의 이야기 골격을 유지하면서도, 삼고초려와 적벽 대전 등의 사건에 집중하여 이야

기를 전개하였다. 특히 전쟁에 참여한 병사들의 시각을 작품 전면에 등장시켜 인물과 사건을 나름의 시각으로 재해석함

으로써 원작과는 전혀 다른 주제 의식을 표현하였다.

삼국지연의도(三國志演義圖) 중‘적벽 대전’. 채용신

설움을한탄하는군사들에대한질책과위로

참고|서민예술로서의‘적벽가’

판소리 자체가 가지는 문학성과 음악성, 그리고 서민적인 재담은 탁월하다. 예를 들면, 중국의 소설을 주제로 해서

그다지 토속적이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쉬운‘적벽가’는 오히려 가장 서민적이고 가장 토속적이다. 판소리‘적벽

가’는 원래‘삼국지’의 가장 긴 소설 중에서 삼고초려부터 적벽 대전에서 패한 조조가 화용도로 들어가는 대목까지만

을 떼서 판소리로 만든 것이다. 하지만 소설 원전과는 상당히 다르게 내용이 짜여졌고, 우리 민족의 애환을 담아내면

서 원작‘삼국지’에는 없는 많은 내용이 삽입되었다. 특히‘적벽가’후반부에는 이렇게 삽입된 내용이 많은데, 유명한

군사 설움 타령, 새타령, 장승 타령, 군사 점고 대목 등이 그런 것이다. 군사 설움 타령은 영웅의 무용담 속에 묻히기

쉬운이름없는군사의아픔과가족에대한그리움을진지하게그리고있고, 새타령역시적벽대전에서패한이름없

는 조조 진영 군사의 원한을 함께하고 있으며, 군사 점고 대목에서는 허무적이, 골내종이, 전동달이나 박덜렝이, 구먹

쇠, 목움출이, 등덩바리, 덜렁쇠, 북통쇠, 웅돌쇠(제에 따라 이름은 조금씩 다르다.) 등과 같은 우리 서민의 이름을 가

진 군사가 승상 조조를 이웃집 아저씨 대하듯이 놀리면서 이야기의 재미를 더한다. 삼고초려 대목이나 장판교 싸움

등과 같이 소설 원전에 있는 내용보다는 이렇게 새로 삽입된 내용이 오히려‘적벽가’의 핵심적인 소리를 이루고 있고,

또 이런 부분은 대개 전쟁터에 끌려간 이름 없는 병사들의 애환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서민 예술로서의 판소리의 면

목을 잘 드러내는 대목이다. 그래서‘적벽가’는 나관중의 소설을 받아들인 것이면서도, 오히려 다른 바탕에 비해 가장

토속적, 서민적인 예술 형태를 보이는데, 바로 이런 점 때문에 판소리는 사랑을 받고 있다.<중략> 적벽가도 역시 마찬

가지이다. 이름 없는 군사의아픔 속에서우리는 권력과 부에서 소외된 소박한인물의 아픔과 애환을 보게되고, 그것

은 곧 우리 자신의 모습이다. 부모와 처자를 두고 전쟁터에 끌려나온 군사의 모습은 곧 권력과 사회적 부조리로 인해

억압받고피해를입고있는우리의모습이며, ‘춘향가’못지않은현실적인내용을보여주는것이다.

- 전지영, “갇힌존재의예술, 열린 예술”(북코리아, 2004)

‘적벽가’에서 군사들은 의논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최고의 권위자인 조조와 대담히 맞서고 있으며 풍자까지 하면

서 감히 조조를 비웃고 심지어 질책까지 하고 있다. 군사들과 조조의 정면 대결은 사실상 불가능한 일이지만 과장 수

법과풍자적인필치로군사들을감히조조와맞서게하고있으며정면인물로부각시키고있다. 이러한것을통해‘적

벽가’에서 군사들이 조조와는 대립되는 인물로 생생하게 형상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적벽가’에서 군사들의 죽은

모습을상세하게묘사한것도‘삼국지연의’에서볼수없는독창적인부분이라고할수있다.

- 장연호, ‘‘적벽가’와‘삼국지연의’의비교연구’(한국문학논총제26집, 2006)

(284~307)170Ⅱ-4(1)OK 2011.11.25 4:38 AM 페이지305 mac01 T

Page 7: (284~307)170Ⅱ-4(1)OK 2011.11.25 4:38 AM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설리 ‘서러이’의 방언. 원통하 고슬프게. 장근(將近) ‘거의’의뜻을나타

3 0 6 4.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

2 ‘적벽가’가‘삼국지연의’를 수용한 방식에 대해 알아보자.

(1) 다음은 원작‘삼국지연의’의 일부분이다. 이 글을 읽고 판소리‘적벽가’와 비교해

보고분위기가어떻게다른지말해보자.

깊게이해하기

1 ‘적벽가’를 읽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1) 큰 전쟁에 끌려 나온 조조의 군사들이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는 내용을 다음과 같

이요약해보자.

(2)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는 세 군사들이 공통적으로 소망하는 것은 무엇인지 말해

보자.

다가서기

한탄의 내용인물

첫째 군사:“네 설움 제쳐 놓고`

내 설움 들어 보아라.”

둘째 군사:“여봐라 군사들아,

이내 설움을 들어라.”

셋째군사:“이내 설움 들어 봐

라. 나는 부모 일찍 조실하

고…….”

황개가 칼을 번쩍 들어 휘두르니 앞 배들은 일제히 불을 질러 화염을 뿜으며 조조

의 진으로 쏜살같이 달려든다. 황개의 이십 척 화선(火船)은 전부 섶단을 산더미같이

쌓아올리고 생선 기름을 부어 놓은 배들이다. 더구나 동남풍은 강하게 불었다. 화염

은 창천(漲天)■

하면서 이십 척 기름배는 그대로 시뻘건 불덩이가 되어 조조의 수채로

들이닥친다. 조조의 전함들은 모두 다 연환계(連環計)를 써서 오십 척, 삼십 척씩 쇠

사슬로 연달아 묶어 놓은 배다. 황개가 거느린 불배들이 들이닥치니 한 배에 불이 붙

자 삼십 척, 오십 척 배는 그대로 연소가 되어 불이 붙는다. 사슬을 끊으려 하나 불더

미 속으로 뛰어들 수도 없다. 도망을 치려 했으나 도망갈 도리도 없다.

- 나관중, ‘삼국지연의’(박종화 옮김)

■창천(漲天) 하늘로 치솟음.

예시답|

태어난어린자식을두고전장에끌려나와다시돌아갈기약을하기어

려운신세를한탄하고있다.

부모, 처자를 이별하고 전장에 와서 기별조차 하기 어려운 신세를 한탄

하고있다.

부모도 없는 처지로 아내와 이별하고 오랫동안 전장에 나와 있는 신세

를한탄하고있다.

이끌기|1-(1) 군사들의

설움 대목 다음에 나오는

아니리에 설움의 내용이

요약적으로 제시되어 있

음에유의한다.

이끌기|1-(2) 세 군사들

이 소망하는 것은 부모,

자식, 아내와의 재회임에

유의하도록한다.

예시 답|‘삼국지연의’는 사건을 중심으로 하여 전쟁의 상황을 생동감 있게 묘사하고 있어 비장함과 숭고함이 느껴

지지만, ‘적벽가’는 전쟁에 참여하는 이름 없는 병사들을 중심으로 하여 그들의 고통과 설움을 해학적으로 전달하는

데주력하고있어희극적인분위기가흐르고있다.

예시답|전쟁을끝내고집으로돌아가가족들과함께일상적인삶을살고자한다.

이끌기|2-(1) ‘적벽가’가

영웅 중심의 사건 전개가

중심을 이루는‘삼국지연

의’를 주체적으로 수용하

였음을 이해하도록 지도

한다.

작품정리(ppt), 학습 활동예시답안(ppt) 활용

(284~307)170Ⅱ-4(1)OK 2011.11.25 4:38 AM 페이지306 mac01 T

Page 8: (284~307)170Ⅱ-4(1)OK 2011.11.25 4:38 AM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설리 ‘서러이’의 방언. 원통하 고슬프게. 장근(將近) ‘거의’의뜻을나타

3 자신이 읽은 외국 작품의 주제, 소재, 모티프 등을 활용하여, 다음의 조건에 따라 자

신의 주제 의식을 반영한 새로운 이야기로 만드는 계획을 세워 보자.

넓게생각하기

3 0 7[1]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의 관련 양상

(2) 판소리에서는 골계와 해학을 중시한다. 이를 바탕으로 판소리‘적벽가’에서 이러

한특징이어떻게드러나고있는지구체적으로설명해보자.

(3)‘적벽가’에서는‘삼국지연의’에서 주목하지 않았던‘군사들’의 시각을 부각함으로

써원작을변용하고있다. 이러한변용에작용한가치관은무엇일지말해보자.

•대상 작품:

•바꾸고 싶은 내용:

•새로 만들 이야기의 줄거리:

조건 •외국 문학 작품을 능동적으로 재해석할 것.

•자신의 새로운 생각이 담기도록 할 것.

예시답|이름없는군사들의고통과한을우스꽝스럽게묘사함으로써웃음을유발하고있다.

예시답|생략

예시 답|‘적벽가’중 특히 군사 설움 타령은‘적벽가’의 원전인‘삼국지연의’에는 없는 것으로 판소리 창자들이 독

창적으로 만들어 넣은 것이다. 이 독창적인 변용에서 핵심적인 내용은 민중들의 고난이다. ‘삼국지연의’와는 다르게

영웅의 무용담 속에 묻히기 쉬운 이름 없는 군사들의 애환, 아픔과 가족에 대한 그리움, 설움 등을 진지하게 그리고

있다는점, 현실적인내용을담고있다는점에서서민예술로서판소리의면목을잘드러내고있다. 이러한점은‘삼

국지연의’를 소설로 개작한 데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변이로, 판소리가 소설보다 한결 저층의 문학으로 자라났던 과

정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용은 하층민의 사회적 역할과 위상의 상승, 하층민의 인식의 각성, 발전 및

문화예술의창작과수용에의참여에서비롯된것이다.

이끌기|2-(2) 골계와 해

학이 대상을 희화화하여

웃음을 유발하는 방식임

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

로 하여 답을 찾도록 한

다.

문제은행(쪽지시험, 형성평가) 활용

(284~307)170Ⅱ-4(1)OK 2011.11.25 4:38 AM 페이지307 mac01 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