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_목회의직무와은사_예배공동체의목회자요약

3

Click here to load reader

Upload: dooil-kwak

Post on 29-Jul-2015

25 views

Category:

Documents


2 download

TRANSCRIPT

Page 1: 답_목회의직무와은사_예배공동체의목회자요약

그랜드 미션 신학대학원 목회 신학 (서형섭 교수님)

『목회신학』 토마스 오덴 저. 교재 요약 124~187page 정리: Daniel

목회의 직무- 목회의 직무와 은사

오순절 성령강림 / 베드로의 설교에 의한 3,000 명의 개종 / 유다의 빈 자리에 맛디아 선정

1. 맛디아를 선택한 전통

유다의 변절후 베드로는 그 빈자리를 채워야 한다고 생각하고, 120 명의 무리앞에 이 일을 고하고, 기도와 심사숙고의 과정을

거친 후 천거된 요셉과 맛디야중 제비뽑기를 통해 맛디야를 사도로 세운다 행 1:21-26

2. 목회의 직무 – 목회의 직무를 집사,장로,감독의 세가지로 보는 보편적 전통을 선택하여기술

A. 집사 diakonos 1- 일시적 요구와 봉사 담당

시초: 예수의 갈릴리 사역 당시 눅 8:1-3 (연대적으로 집사직무가 장로나 감독보다 앞섬)

사역: 처음엔 사도들이 기도하고 말씀을 섬기는 일에만 전념케 (행 6:4)하고자 성령과 지혜가 충만한 일곱 집사가

섬기기 위해 안수받았다. (행 6:3) 처음엔 빈민들에게 음식을 베푸다가 후에 신자들이 늘어나면서 집사의 기능과

권위가 늘어나게 된다. 하지만 핵심적인 개념은 섬김을 “받으러 온 것이 아니라 섬기러”(diakonesai, 막 10:45)오신

예수님에게서 찾을수 있다.

B. 장로 presbuteros 2- 특별히 가르치는 일, 교회를 안내하고 치리하는 일에 집중

장로의 기본적인 자격요건

① 흠잡을 데가 없는 성품

② 결혼 생활의 충실

③ 믿는 자녀들을 두는 것

④ 비방받지 않는 상황

사역: 양떼를 치는 목자 poimen-신자들을 돌봄-이자, 상담자 (행 20:28-37, 벧전 5:1-3)

C. 감독 episkopos3 - 넓은 시야에서 양떼들을 통과하고 지키는 일에 보다 더 관계

감독의 자격

① 좋은 평판

② 경건하고 자제력이 있을 것

③ 진실하고 말다툼을 하지 않을 것

④ 관대하고 온순한 성격

⑤ 공손하고 친절

⑥ 돈을 사랑치 않음

⑦ 옳고 바른 마음의 소유자

⑧ 가르칠 자질이 있는 사람

⑨ 새로 입교한 자가 아닐 것

사역: � 기독교 메시지를 왜곡하는 일로부터 기독교 공동체를 보호하는 일

‚ 주변 세계로부터의 도전에서 기독교 공동체를 보호하는 일

1 이� 말은� 라틴어로는� ministeium�(“감정� 교류가� 이루어지는� 개인적인� 봉사”)으로� 번역된다.� 이� 용어는� 히브리어� 동사� sha�rath,�“봉사하다”를� 번역하는데�

쓰임 2 헬라어� presbuteros 는� 사제,� 원로,� 통치자,� 장로,� 사회자와� 같이� 여러가지로� 번역된다.� 이� 말은� 유대교� 회당에서� 사회하는� 사람을� 일컫는� 헬라적인�

표현� 방법 3 보호,� 감시,� 감독을� 지칭하는� 헬라어� 어군(語群)에서� 파생된� 말

Page 2: 답_목회의직무와은사_예배공동체의목회자요약

그랜드 미션 신학대학원 목회 신학 (서형섭 교수님)

『목회신학』 토마스 오덴 저. 교재 요약 124~187page 정리: Daniel

3. 목회의 은사

로마서 12:6-8, 엡 4:12, 딤후 4:10 은 평신도들보다는 지도자로 부름받아 준비하고 임명된 여러 다양한 직무를 위하여 은사가

부여된 것으로 나타난다

A. 사도직 Apostoros 예수는 원 제자들의 핵심 그룹을 사도(눅 6:13)라 불렀고, 그들에게 그의 이름을 행할 것을 명하셨다.(눅

24:46-48) 이 사도들이 사라짐으로 인해 사도적 전통 안에서 계속되어지는 목회를 승계하게 되었다.

B. 예언 Prophetes 특별한 영감의 특수한 목회로서 이미 계시된 사건의 의미를 분별하거나 어떤 경우에 있어서는 장차 계시된

사건의 의미를 밝혀주는 특수한 목회

C. 복음 전하는 은사 Euaggelistes 누구나 다 복음 전도자이지만, 어떤 사람은 놀라운 효과를 내기도 한다.

D. 이적 Dunameis 이적이 사도시대에 끝났는가, 현대에도 계속되는가는 논란중. 이적이 그리스도교 목회를 자동적으로

정당화시켜주는 핵심이라고 초점을 맞추는 일은 현명하지 못하며, 목회를 전적으로 이 은사로 정의하는 것도 현명하지 못함

E. 병고침 Iama 예수는 모든 질병은 특별한 죄의 직접적인 결과(요 9:2)라는 편협된 율법주의적인 견해는 배격했으나 죄와 질병

사이에 서로 연결된 비밀을 부인하지는 않았다. 병고치는 것은 사도들의 은사(고전 12)다. 모든 목회자들은 육신의 불편을

제거하여 영적 성장의 가능성을 증진시키도록 부름받았을뿐만 아니라 육신에 영향을 끼치도록 영혼을 치유하도록 부름받았다.

F. 방언 Glossolalia 많은 사람들이 이 은사를 받았으나 이 은사가 그리스도인의 생활의 표준이라거나 명백하게 규정적인

것이라고 생각되어지는 일은 거의 없다. 방언이 개인에게 유익하다 할지라도 교회의 덕을 세우는데, 즉 가르치는 일과 꺠우치는

일의 맥락과 이해될 수 있는 말의 범위 안에서 살펴야 한다고 알려준다.(고전 14:8-19)

G. 가르침 Didaskalia 양떼를 영적으로 양육하기 위해 목회자는 필연적으로 가르치는 사람이어야 한다.

H. 관리하는 은사 Oikonomia 모든 그리스도인들이 청지기이지만 목회자는 “하나님의 비밀을 맡은 자(oikonomous musterion

theou” 고전 4:1)로서 특별한 종류의 청지기로 불리우며 그들에게는 하나님께서 계시하시는 깊은 비밀이 맡겨져 있다.

4. 왜 목회가 필요한가?

1. 정당하게 세워진 기독교 목회는 하나님 자신의 의도와 계획에 따라서 존재한다

2. 예수 자신이 사도들을 불렀고 그 전통 위에 사명을 주어 후대의 목회가 사도적 전통에 합당하도록 마련하셨다.

3. 예수 자신이 예수 자신의 방법을 제공하려고 목회의 직무를 세우셨다.

4. 평신도들이 이 세상에서 헌신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하여 그들을 대신해 특별한 사람들을 “하나님께서

세우셨으니”(고전 12:28) 혹은 사도로, 혹은 예언자로, 혹은 복음 전하는 자로, 혹은 목사와 교사로(엡 4:11)주었다.

하나님께서 자신을 낮추시어 부족하고 유한한 인간존재를, 한정된 소망과 왜곡된 지식을 가진 부적격한 사람들, 편협된 도덕적

감수성을 가지고 특정한 시대와 특정한 사회적 체계 안에 태어난 인간들에게 그리스도 자신의 목회를 계승하도록 부르시고,

준비시키시며, 안수하시는 사실은 하나님의 전능성으로 비추어 볼 때 놀라운 일이다. 안수목회는 하나님의 은총이 인간의 한없이

부족한 것을 통하여 역사한다는 살아있는 증거이다.

Page 3: 답_목회의직무와은사_예배공동체의목회자요약

그랜드 미션 신학대학원 목회 신학 (서형섭 교수님)

『목회신학』 토마스 오덴 저. 교재 요약 124~187page 정리: Daniel

목회자의 활동과 그 동기- 예배 공동체의 목회자

1. 제사장의 직무란 무엇인가? 예언자와 제사장의 차이점- 예언자는 하나님 편에 서서 사람들에게 말씀을 전해주며, 제사장은 사람들 편에 서서

하나님에게 간구한다.

지금은 인간들을 위한 제사장적인 기도와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예언자적인 증거가 통합되는 통일된 목회 교리를 회복하도록

노력해야 할 때

2. 제사장과 일반 사람들의 차이점

Q. 모든 성도들이 목회적 봉사를 할수 있다/ 없다? 그렇다면 그 이유는?

A. 평신도들은 준비되고 여건을 갖춘 목회를 통해서 전승되어 온 사도적 전통의 안내를 받을 때 가장 효과적으로

기도할수 있다.

Q. 안수목회와 충실한 평신도 사이의 경계는 있다/ 없다? 그렇다면 그 이유는?

A. 목회자는 안수식을 통해서 영적 은사를 받게 되고, 은사 받은 사람은 설교하고 성례전을 집행하며, 전체

교회의 이름을 대신하여 활동하며 또한 사도적 전통의 권위를 가지고 사역하도록 부여받았기 때문이다.

은총의 진정한 통로는 이러한 지정된 은총의 수단- 결국 목회를 통해 은총이 내려온다. (Thomas Aquinas)

3. 때에 따라 알맞은 기도 목회자의 기도를 통해 평신도들은 심령에 충족을 받고 이런 봉사를 받고자 교회에

나온다.

4. 대표적 집례자이지 유일한 인도자는 아니다 하지만, 대표적 예배인도자는 잘 훈련된 준비와, 회개한

마음, 선한 의도, 변치 않는 마음을 가지고 그 임무를 감당할 것을 회중은 기대하고 있다.

5. 집례자 예배의 형식은 중요하다. 설교는 현대 이전의 상징과 의미를 신선한 언어로 표현하여 현대적 감정과

감각에 연결시켜야 한다.

6. 전례 인도의 원칙 ① 우리가 경배하는 대상은 하나님이다 ② 예배는 외적인 체계를 필요로 한다. ③ 순서가

고정적이라해도 예배의식 자체는 항상 새롭게 찬양하는 행위여야 한다. ④ 기독교 예배는 공동체가 필요하다. ⑤

기독교 예배는 침묵이 없어서도 안 되지만, 말이 없어서도 안된다. ⑥ 오직 음악만이 예배 가운데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를 표현할수 있다.

7. 목회 기도의 개선 기도가 설교에 알맞도록 하며, 설교하는 기도가 되지 않도록 하라

8. 기도에 있어서 어려운 문제들

A. 기도는 단순히 자기 기만이 아닌가?

B. 기도는 밑바닥 인생에게나 쓸모있는 것 아닌가?

C. 하나님이 전능하신데 왜 또 기도로 아뢰야 하나?

D. 기도는 과학적으로 볼 때 자연법칙에 위배되는 것 아닌가?

E. 기도는 때로 개인의 이익을 위해서 간구하는 것 아닌가? 그럼 불공평하지 않나?

F. 글로 쓴 기도는 성령의 역할을 방해하는 것 아닌가?

9. 삼위의 하나님과 기도의 모형 세가지 위격 가운데 유일하신 한 분이신 삼위의 하나님은 다양한 기도가 통일되는 가운데 똑같이 임재하고 계신다.

예배의 순서

A. 경외/기원/찬미/감사- 예배 행위의 시작 단계

B. 고백/회개/탄원/신앙의 확인/간증- 예배 행위의 중심 단계

C. 감사의 화답/봉헌/성찬/그리스도교적 삶에 대한 서원-공중기도의 결론 단계

기도란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이신 하나님의 실재를 향해 나아가고 또한 응답받는 규정된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