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세기 과 扶南 山東의사르나트양식불상 -...

29
세기 6 사르나트 양식 불상 남방해로를 통한 도 불미술 - - ( ) 熺靜 西江大 서언 . . 푸난 불조각 동남아시아 불상 : 조성 첫 단 푸난 산동 사르나트 양식 . 불상 . 서언 . 불를 비롯한 도화 중 전래는 서역 중앙아시아를 통한 , 로가 기본적로 용되었지만 해상 통한 남방 루트 역시 매 중요 한 역할 했다 북방로가 호탄 투르판 등 서역 오아시스 가를 . , 거쳐야했듯 남방해로는 동남아시아를 하여 중로 연되었 남방해로는 기 전후에 발달하기 시하여 세기에 그 수요 . 6-7 가 점증했며 에 르면 그에 비례하여 와 련한 중 헌 唐代 기록 역시 비약적로 늘어난다 선박 용한 해상 역 로로 . 뤄졌던 역 수요를 점차 대체하게 되었다 는 선박 용한 . 역 로에 비하여 막대한 동량 동에 용했기 때에 역 필요에 정비례하여 발달하게 된 것다 해로를 통한 동 . 역시 적 류가 수반된다 찍 도로 법 길 떠난 . 많 승려들 따라 실크로드를 왕래했듯 선박 용한 상

Upload: others

Post on 27-Feb-2021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세기 과6 扶南의 사르나트 양식 불상山東남방해로를 통한 인도 불교미술의- -東傳

    ( )姜 熺 靜 西江大

    서 언.Ⅰ.Ⅱ 푸난의 불교조각 동남아시아 불상:조성의 첫 단계

    푸난과 산동의 사르나트 양식.Ⅲ불상

    결어.Ⅳ

    서 언.Ⅰ불교를 비롯한 인도문화의 중국 전래는 서역 중앙아시아를 통한 육,

    로가 기본적으로 이용되었지만 해상을 통한 남방 루트 역시 매우 중요

    한 역할을 했다 북방육로가 호탄 투르판 등의 서역 오아시스 국가를. ,거쳐야했듯이 남방해로는 동남아시아를 경유하여 중국으로 연결되었

    다 남방해로는 기원 전후에 발달하기 시작하여 세기경에 그 수요. 6-7가 점증했으며 에 이르면 그에 비례하여 이와 관련한 중국의 문헌唐代

    기록 역시 비약적으로 늘어난다 선박을 이용한 해상 교역은 육로로.이뤄졌던 교역의 수요를 점차 대체하게 되었다 이는 선박을 이용한.교역이 육로에 비하여 막대한 물동량의 이동에 용이했기 때문에 교역

    의 필요에 정비례하여 발달하게 된 것이다 해로를 통한 문물의 이동.역시 인적 자원의 교류가 수반된다 일찍이 인도로 구법의 길을 떠난.많은 승려들이 을 따라 실크로드를 왕래했듯이 선박을 이용한 상隊商

  • 67 (2010. 8)中國史硏究 第 輯30인들의 왕래에도 동반했다 인도로 갔던 유명한 구법승 이 중국으. 法顯로 귀국할 때 을 탔던 것은 잘 알려진 일이다.商船인도 혹은 중동 지역에서 중국이나 일본까지 이르는 해상 루트는,

    동남아시아를 거쳐갈 수밖에 없다 선박제조술이나 항해술이 발달하지.않았던 고대일수록 잦은 기항이 필요했고 이를 위해서는 동남아시아,각지의 항구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수밖에 없었다.1) 중국의 남북조시대에 해당하는 세기 무렵까지 동남아시아 여러 지역에서는 도시국6가 형태의 크고 작은 나라들이 난립했다.2) 그 가운데 가장 세력을 떨쳤던 나라가 오늘날의 캄보디아를 중심으로 영토를 확장했던 푸난(扶이다 동남아의 최초기 고대국가에 해당하는 푸난 은 세기에) . ( ) 1南 扶南

    서 세기에 이르기까지 인도와 중국을 연결하는 해상 네트워크의 중심6지 역할을 했다.3) 이로써 푸난은 인도와 서방 문물이 중국에 전해지는창구 역할을 했으며 점차 이들의 영향에서 벗어나 스스로의 독자적인,미술문화를 발전시켰다 현재까지 알려진 푸난의 미술은 다양한 교역.의 흔적을 보여주는데 그 중에서도 주목되는 것은 푸난의 종교미술이,다.4) 푸난의 고대 유적에서는 비슈누와 같은 힌두 과 이 발굴神像 佛像되거나 발견되었다 푸난의 영토에서 발견된 불상의 수가 많지는 않지.만 이들은 동남아에서 조성된 불교미술의 첫 번째 단계를 보여준다는,점에서 주목할 만하다.5)1) 이와 관련한 연구는 탄센 센 중국 인도간 해상 교류 인도 해안지대와 인도, - :「양에서 중국 해상 세력의 부상 실크로드의 교역과 상인 서울대학교 중앙( ,」유라시아연구소 제 회 국제학술회의 발표논문집2 , 2009), pp.116-118.

    2) 푸난의 고대사에 대한 간략한 개설은 우리말 개설서로 최병욱 동남아시아사,대한교과서주식회사 이 좋은 참고가 된다 영문 개설로는( , 2006), pp.42-48 .

    David P. Chandler, A History of Cambodia (Boulder and Oxford: Westview참조Press, 1992), pp.13-27 .

    3) 첸라에 의해 영토가 축소되기는 했지만 적어도 세기까지는 존속했다고 알려7졌다 최병욱 위의 책. , , p.48.

    4) 동남아시아의 고대 조각에 대한 연구는 부분적으로 있었지만 푸난의 불상을주로 다룬 연구는 드물다 최근의 연구로는 강희정 푸난 불교조각의 연. , ( )扶南「원과 전개 미술사와 시각문화( 8, 2009, pp.40-63).」

    5) 위의 글, , pp.55-56.姜熺靜

  • 세기 과 의 사르나트 양식 불상6 ( )扶南 山東 姜熺靜 31푸난에는 세기경 인도로부터 불교가 전래되었다고 이야기되지만3 ,

    불상은 훨씬 후대인 세기에나 비로소 제작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5다.6) 본고는 푸난의 불상 가운데 특히 중인도 사르나트의 영향을 받아만들어진 불상에 주목하여 이들이 중국 산동의 북제 조각과 친연성을

    가지고 있음을 밝히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남방 교류의 네트워크.가 역사적으로 어떻게 형성되었는가를 살피는데 일조함으로써 남방 루

    트의 역할과 영향력을 확인하는 단초를 마련할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푸난의 불교미술에 주목하여 실크로드 못지않게 중요한 역할을 했

    다고 생각되는 남방해로를 통한 문물 교류 연구의 첫 장을 파악하고자

    한다.

    푸난의 불교조각.Ⅱ동남아시아 불상 조성의 첫 단계:

    푸난에는 늦어도 세기경 불교가 전래된 것으로 보이지만 이 시기3에 해당하는 푸난의 불상은 알려지지 않았다 오늘날과 같은 국경선이.따로 정해져 있지는 않았지만 푸난이 강성했던 시기에는 동남아의 대

    륙부 거의 전체에 해당할 만큼 넓은 영토를 차지했던 것으로 보인다.7)인도에서 건너와 왕이 되었다고 전해지는 판시만 이 다스렸던( )范師蔓세기가 이에 해당하는 시기로 이 무렵의 푸난은 미얀마 인근의 태국3 ,북서부 지역에서부터 말레이 반도 일대 캄보디아 라오스 대부분 지역, ,

    6) 푸난의 불교사는 간략하지만 다음의 책을 참조할 수 있다 이와모도 유타카.동남아 불교사 상좌부 불교의 전개와 현황 홍사성 옮김 도서출판 반, - - ( ,外

    야샘 여기서는 소나와 웃타라라는 승려가 수바르나부미, 1987), pp.204-205.에 온 것이 최초의 불교전래 기록이라고 한다 수바르나부미로(Suvarnabhumi) .

    지칭한 곳은 오늘날의 태국과 미안마 접경의 수완나품이라고 부르는 곳이다.7) 최병욱 앞의 책 및, , pp.47-48 Michael Vickery, “Funan Reviewed:Deconstructing the Ancients” (Bulletin de l'École françaiseD'extrême-Orient 90-91, 2003/2004), pp.101-143.

  • 67 (2010. 8)中國史硏究 第 輯32과 베트남 남부에 이르는 광대한 영토를 그 지배 아래 두었다 물론.이 넓은 지역 전체를 총괄하는 행정적인 조직이 있었다고 생각되지는

    않는다 그보다는 그 안에서 발달된 거점 도시들간의 연합체 성격을.가졌다고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8) 세기 이후에도 푸난의 영토가 줄3어들었다고 볼만한 증거는 없다 판판 이나 랑카수카. ( ) ( )盤盤 狼牙修國같은 다른 동남아의 들도 나름대로 독자적인 영역을 확보하고 있小國

    었다고 볼 수는 있지만 푸난의 정치적 지배력으로부터 자유롭지는 않

    았을 것이다 말레이 반도에서 가장 좁은 지역은 오늘날의 크라. 地峽이다 이 곳은 해상 교통이 그다지 발달하지 못했던 고(Kra Isthmus) .

    대에 교통의 요지 역할을 했다 험난한 말레이 반도 남단을 돌아 계속.항해하는 위험을 택하지 않고 크라 지협에 가서 육로로 지협을 통과,한 다음 다시 배를 타는 번거로운 방법을 택했던 것이다 그러므로 크, .라 지협의 좁은 지대를 통제한 나라가 당시 해상 교역의 주도권을 잡

    을 수 있었다 견고한 선박과 강한 해군 이들의 효과적인 이용이 동남. ,아의 해상을 장악할 수 있는 방법이었고 당시로서는 푸난만이 가능한,일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오늘날의 태국 영역.에 속하는 말레이 반도 일대와 베트남 남부를 포함하는 지역에서 발견

    된 불상들은 모두 푸난의 불상으로 간주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 푸난.의 정치 권력과 영토를 거론하는 것은 이 시기에 해당하는 불교조각이

    많지 않기 때문에 어느 지역에서 발견된 조각까지를 푸난의 조각으로

    볼 것인가 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동남아시아에서 청동기를 포함한 선사 미술이 제작되기 시작한 이

    후 푸난에 불교와 힌두교로 대표되는 인도 문화가 전해짐으로써 본격,적인 미술활동이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9) 따라서 푸난의 불상은 동8) 이 점은 푸난을 계승한 첸라도 마찬가지였다 소국들이 하나의 이름 아래 존.재하는 것이라는 성격은 일찍이 챈들러에 의해 지적된 바 있다 앞. Chandler,의 책, p.26.

    9) 동남아에서 가장 이른 시기의 문명은 흔히 동 썬 문화로 대(Dong Son, )東山표되는 청동기 문화이다 세기 초에 처음 베트남 중북부 동 썬에서 발견된. 20로 인해 그 존재가 알려지기 시작했고 동고는 동남아 거의 전 지역에서,銅鼓

  • 세기 과 의 사르나트 양식 불상6 ( )扶南 山東 姜熺靜 33남아시아에서 최초로 불교미술이 조성되었음을 보여주는 예로서 그 역

    사적 미술사적 가치가 매우 높다 그렇기 때문에 바로 이 첫 번째 국, .면에서부터 정확한 편년이 이뤄져야 한다 본고에서 다루는 푸난의 조.각들은 기존 연구에서 막연하게 세기 내지 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6 7추정되었으며 푸난이 아니라 단지 동남아시아의 미술로 간주되었다, ‘ ’ .이러한 호칭은 푸난에서 제작되었다는 직접적인 증거가 없는 것도 한

    이유지만 오늘날 각기 다른 나라에서 발견된 조각들을 푸난의 이름 아

    래 그 미술로 규정하기가 쉽지 않았기 때문이기도 한다 그러나 여기, .에는 아무런 문헌 기록이나 명문은 물론 양식적 분석에 이르기까지 아

    무런 편년의 근거가 없었으며 막연한 추정에 의해 판단한 것이었다.불교미술의 편년이 부정확한 데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일단,푸난에서 발견된 불상에 대한 정확한 양식상의 원류에 대한 이해가 부

    족했던 것에도 주 원인이 있다 불교가 전해졌다고 추정되는 세기의. 3유물이 남아있지 않고 현재 거론되는 가장 이른 시기의 불상들도 대,개 세기 무렵으로 편년되었기 때문에 푸난의 불교조각은 거의 공백으7로 남아있는 상태였다 이 점에 대해 일부 학자들은 처음에 인도의 불.상을 본떠서 흙이나 나무처럼 만들기 쉬운 재료를 써서 조각을 만들었

    기 때문에 현재 남아있지 않은 것으로 추정했다.10) 그렇다면 수 백년이라는 상당히 오랜 기간 동안 부서지고 없어지기 쉬운 재료로, 佛像을 만든 셈이 된다 이들은 이와 같은 일종의 수련기를 거쳐서 청동이.나 단단한 석재 불상을 만들었다고 봄으로써 오늘날 남아있는 조각상

    들이 높은 완성도를 보여주는 것을 설명했다 재료가 다른 경우 조각. ,의 제작법과 기술도 다르기 때문에 조각이라는 것만으로 기술의 숙련

    이 이뤄졌다고 볼 수 있는지는 모르겠다.

    발견되는 대표적인 이 지역 청동기 문화로 자리하게 되었다 이에 대해서는. 肥, ‘ ’ ( 12 ,塚隆 東南 東南 化 世界美術大全集 第 卷 東南 東アジアと アジア アジア「 」: , 2001), pp.11-12.京 小學館

    10) , ( 12 ,肥塚隆 期 彫刻 世界美術大全集 第 卷 東南プレ アンコ ル の アジアㆍ「 ー 」: , 2001), p.87.東京 小學館

  • 67 (2010. 8)中國史硏究 第 輯34푸난의 불상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에 제작

    된 것으로 추정되는 조각이 베트남 남부 옥

    에오 유적에서 발굴되었다 옥 에오(Oc Eo) .일대의 습지에서 몇 구의 목조 불상이 발굴되

    었는데 그 중 일부는 부분적으로 썩지 않은

    채 거의 완벽한 상태로 남아있다 상태는 좋지.않으나 퐁 툭 고 탑 에(P'ong Tuk) (Go Thap)서 발굴된 목조불입상은 세기에 제작된 것으5로 추정되었다 도( 1).11) 의 외형은 표면木像곳곳에 갈라지거나 뒤틀어지고 휘어진 상태로,남아있어서 원래의 모습을 짐작하기가 매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남아시아사 연구.에 일획을 그은 학자 세데스는 이 불상을 아

    마라바티 양식으로 추정했다.12) 아마라바티양식이면 아마도 편단우견에 좁은 옷주름이

    새겨진 대의가 발목까지 내려오는 모습의 불

    상을 말하는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나 현재 남아있는 상태로는 대체적인

    신체 비례만 알 수 있을 뿐이며 아마라바티,양식의 불상이라고 단언하기는 어렵다 게다가.

    세데스는 이 불상이 인도 간다라 지방에서 수입되었다고 보았다.13) 간다라의 목조불상에 대해서는 전혀 알려진 바가 없고 간다라 양식과,아마라바티 양식은 전적으로 다른 것이기 때문에 불상의 외형이 잘 안

    보인다 해도 이 불상이 인도 수입품인지는 알 수 없다 이와 유사한.

    11) James C. Khoo, Art and Archeology of Funan (Singapore: Orchid Press,2006), p.25.

    12) George Coedès, translated by Susan B. Cowing, The Indianized States ofSoutheast Asia (Honolulu: East West Center Press, 1968), pp.16-20.

    13) 위의 책George Coedès, , pp.17-18.

    도 목조불입상 세기< 1> , 5 ,베트남 고 탑 출토,

  • 세기 과 의 사르나트 양식 불상6 ( )扶南 山東 姜熺靜 35형태의 목조 불상이 남부 베트남 다

    른 지역에서도 여러 점 발굴되었다.안 쟝 박물관 소장의 불상(An Giang)역시 머리와 발목 아래 부분은 명확

    하게 구분할 수 있지만 다른 특징은

    분명하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불상도 아마라바티 양식으로 간주된

    다.14) 그러나 앞의 불상과 마찬가지로 아마라바티 양식으로 판단할 수

    있을 정도로 표면의 조각이 남아있지

    도 않고 대의처리법을 알아보기는 더,더욱 어렵다.이보다 형체가 훨씬 잘 남아있는

    조각으로 베트남 빈 딘 의(Binh Dinh)리즈 평원에서 발견된 목조불(Reeds)상이 주목된다 도( 2).높이는 에 불과하지만 앞의1.35m

    불상들처럼 비교적 의 비례와 균長身

    형 잡힌 인체를 보여주고 있어서 아

    마라바티나 나가르주나 콘다의 불상을 연상시키는 부분이 있다 불상.은 통상 세기로 편년이 되지만 신체의 굴곡이 다소 딱딱하고 움직6-7 ,임이 없이 좌우대칭에 가까운 직립 자세를 하고 있다는 점에서 푸난

    말기인 세기초의 조각으로 생각된다 가 뾰족하게 보이지만 아마6 . 肉髻도 일부가 마모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대의는 옷자락의 선이 잘.螺髮보이지 않지만 오른쪽 신체의 선이 비스듬하게 그대로 드러난 것으로

    미루어 왼편 어깨에만 옷을 걸친 의 를 한 것으로 생각된偏袒右肩 着衣

    다 옷주름은 거의 남아있지 않으며 단지 왼팔에 걸친 대의 소맷자락.

    14) 앞의 책James C. Khoo, , p.44.

    도 목조불입상 세기2) , 5 ,베트남 빈 딘 출토,

  • 67 (2010. 8)中國史硏究 第 輯36이 발목 아래까지 늘여뜨려진 것은 남인도의 굽타시대 불입상에서 보

    이는 것과 같다 인체의 볼륨감이 약하게 보이는 것은 남인도 조각과.차이가 있다 이는 재료의 차이에서 온 것이거나 동남아의 지역적 특.색이 반영됐기 때문일 것이다.통상적으로 알려진 동남아시아 대부분 지역의 불상은 오른쪽 어깨

    를 드러내고 왼쪽에만 법의를 걸친 편단우견의 차림새를 하고 있으며,이는 남인도와 스리랑카의 불상에 기원을 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편단우견의 불상 형식이 동남아에서 가장 오래된 유일한 조각은 아니,다 수량은 많지 않으나 동남아 각지에서 발견된 불상 중에는 통견의.대의를 입고 있는 조각들이 적지 않게 남아있다 그런데 통견 형식의.불입상은 주로 동남아 대륙부에서 발굴되거나 발견된 예들이며 양식,적으로 동남아의 토착적인 성격보다는 인도 조각의 특징이 강하게 보

    이기 때문에 동남아에 불교조각이 조성되기 시작한 첫 단계의 조각이

    라고 생각된다 이들은 당시 동남아의 상황으로 미뤄보건대 푸난에서. ,제작된 불교 조각으로 볼 수 있다 이 시기 동남아의 불상은 푸난이.도시국가 연합체로 통일된 권력 중심의 전제국가가 아니었기 때문에,특정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발견되는 것이 아니라 동남아 대륙부 각지

    에서 산발적으로 발견된다 불상들은 주로 베트남 남부 태국령 말레이. ,반도 일대 앙코르 보레이를 중심으로 하는 캄보디아 일부 지역에서,발견되었는데 이들 지역은 푸난의 전성기에 그 영토였던 곳으로 추정,된다 푸난이 첸라 에 의해 그 지배권이 축소된 세기 중엽 이후. ( ) 6 ,眞臘위의 지역에는 각기 다른 소국들이 했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6明滅세기 중엽 이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불상을 푸난의 불상으로 간

    주할 것이다.15)푸난의 초기 불상으로 주목된 조각들은 모두 그리스의 튜닉과 비슷

    하게 생긴 의 옷을 입고 있다 통견의 대의는 일반적으로 일찍.通肩形15) 푸난의 불상으로 추정되는 예들에 대해서는 푸난 불교조각의, ( )姜熺靜 扶南「연원과 전개 에서 일부 다뤘다 본고에서는 이 글에서 다루지 않았던 과. 木彫像」석상을 포함시켰다 근래 발굴되거나 알려진 새로운 예들을 추가한 것이다. .

  • 세기 과 의 사르나트 양식 불상6 ( )扶南 山東 姜熺靜 37이 그리스 로마 조각의 영향을 받은 간,다라의 쿠샨시대 불상에서 시작되어 3세기경에는 중인도의 마투라 조각에도

    영향을 준 이다.着衣法 16) 처음에 편단우견의 불상을 만들었던 마투라에서도

    굽타시대에 이르게 되면 통견의 불상을

    주로 만들게 되어 통견형의 불입상은

    중인도 전역에서 널리 유행하게 된다

    도 그런데 마투라에서 제작한 이러( 3).한 형태의 통견 법의에는 통상 자형‘U’의 옷주름이 반복되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다소 기계적으로 보일 만큼.일정한 간격의 도드라진 옷주름이 도식

    화된 것이 굽타시대 마투라의 통견형

    불상의 특징이다 그런데 푸난의 불상에.서는 법의에 옷주름이 전혀 표현되지 않은 채 옷깃과 옷자락 끝단만,묘사했다는 점에서 마투라의 통견형 불입상과 차이를 보인다 인도 대.륙에서 통견의 법의를 입은 불입상은 마투라에서 먼저 조각하여 주변

    지역으로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그렇다면 통견의 착의를 표현한 간다.라나 마투라의 불상과 차이가 있는 푸난 불상의 모델은 어디에 있었던

    것일까 푸난에서 불교가 발달했던 것은 등? , ,南齊書 梁書 南史의 기록을 통해 확인된다.17) 이들은 푸난의 상류층이 궁에서 산스크리트를 썼다는 것 인도의 승려가 푸난에 왔고 푸난에서 양으로 가기,도 했던 것 푸난 승려들이 양에서 경전을 한역했던 것을 알려준다, .18)16) 이 점에 대해서는 편단우견의 조각이 원래 보살의 형상을 나타낸 것이었고,이것이 점차 의 형상으로 받아들여지게 된 것으로 추정한 글에 대해서는 이佛

    주형 의 에서 로 미술사학연구, -‘ ’ ‘ ’ - ( 196, 1992), pp.39-69.佛像 起源 菩薩 佛「 」17) 이에 대한 간략한 정리는 앞의 글을 참조하기 바란다, .姜熺靜18) 을 설립해서 푸난에서 온 승려들을 머물게 하여 경전을 번역하거나扶南館 講

    하게 했던 것은 잘 알려졌다 또 푸난의 상류층은 산스크리트를 썼다는 기록.經

    도 사암제 불입상 세기3) , 5 ,인도 마투라,

  • 67 (2010. 8)中國史硏究 第 輯38그러나 인도 어느 지역과 교류를 했다거나 어느 지역의 승려들이 왔,다거나 하는 점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전해주지는 않는다 미술사적.접근은 소략한 문헌 정보로는 알 수 없는 부분들에 대해서 유용한 자

    료를 제공한다.동남아에서 발견된 가장 이른 시기의 불상 가운데 하나가 태국의

    수랏 타니 주 와트 위앙 사 에서 발견된(Surat Thani) (Wat Wiang Sa)사암제 불입상이며 현재 방콕국립박물관 소장이다 도 소형의 이 불( 4).상은 부분적으로 파손이 되긴 했지만 매우 얇은 법의 아래로 신체의

    섬세한 굴곡이 암시적으로 조각된 것이 두드러진 특징이다 통견의 법.의에는 자형의 옷주름이 반복적으로 흘러내린 마투라의 불상과 달‘U’리 전혀 옷주름이 묘사되지 않았다 와트 위앙 사의 불상을 년에. 473조성했다는 명문이 있는 사르나트의 불상과 비교하면 두 상의 얼굴과

    신체 표현 대의의 처리에서 상당한 유사성이 있다 도 두 불상 사이, ( 5).

    이 있어서 이로 미뤄볼 때 푸난 승려들의 번역은 다종다양하게 이뤄졌다고 생,각된다.

    도 불입상 태국 와트 위앙 사< 4> , 5C, ,출토

    도 불입상 인도< 5> , 473, ,사르나트 출토

  • 세기 과 의 사르나트 양식 불상6 ( )扶南 山東 姜熺靜 39의 유사성이 너무나 확실하기 때문에 와트 위앙 사의 조각은 사르나트

    불상이 조성된 세기 후반에서 그리 멀지 않은 시기에 만들어진 것으5로 추정된다 일반적으로 사르나트의 불입상들은 신체 표현에 있어 마.투라의 불입상보다 훨씬 볼륨감이 약하고 팔다리가 가늘고 길며 인체, ,의 굴곡이 유연하고 매끄럽다.19) 조각에 사용된 석재도 달라서 마투라의 조각은 붉은색 사암으로 제작되었지만 사르나트의 조각은 추나르

    사암이라 불리는 옅은 회갈색 사암으로 만들어졌으며 표면을 세심하,게 마연하여 광택을 준 것이 특징이다 일부 학자들은 와트 위앙 사의.불상이 여러 면에서 인도 조각의 특징을 지니고 있어서 인도에서 수입

    된 조각이라고 보기도 한다.20) 그러나 사르나트의 조각처럼 표면을 마연하여 광택을 주지 않고 표면을 거칠어 보이게 내버려둔 점이나 눈을

    아래로 내려깔아 명상하는 듯한 분위기를 주는 것과는 다르게 눈매가

    또렷하게 강조된 점으로 미루어 푸난에서 자체적으로 조각되었거나 인

    도에서 푸난으로 이주한 사람이 만들었을 것으로 생각된다.21) 태국의수랏 타니 지역은 말레이 반도 중부에 위치한 곳으로 통상 판판국이

    있었다고 알려졌다 세기 무렵 말레이 반도 시암만 일대의 해안가에. 3는 여개의 소국이 존재했다고 기록되었다 에 의하면 그 가운10 . 梁書데 가장 발달했던 속국이 툰 선 으로 세기까지 번영했(Tun sun, ) 5頓遜으며 크라 지협 일대를 다스린 것으로 추정된다.22) 그러나 앞에서 지

    19) 사르나트의 조각에 대해서는 사르나트의 불교유적과 구법승 미, (姜熺靜 「 」술사와 시각문화 3, 2004), pp.268-299.

    20) Steve Van Beek and Luca Invernizzi Tettoni, The Arts of Thailand (HongKong: Periplus Editions, 1999), pp.52-56.

    21) 동남아 미술사를 말하는 사람들은 이렇게 튀어나오도록 표현한 눈을 아몬드형이라고 한다 우리나라 삼국시대 불상에서 흔히 이라고 표현하는 것과. 杏仁形비교될 만하다.

    22) 툰 선은 일부에서 단 선으로 읽기도 한다 와 의 기록에 관해서. 梁書 南史는 다음의 책을 참고했다. Paul Wheatley, The Golden Khersonese (Kuala

    이 지역에 있었던 예술Lumpur: University of Malaya Press, 1961), pp.15-18.가들이 현재 남아있는 미술품들을 만드는 예술적 기초를 쌓았을 것으로 본 것

    은 앞의 책Steve Van Beek and Luca Invernizzi Tettoni, , pp.52-53.

  • 67 (2010. 8)中國史硏究 第 輯40적했듯이 이 일대에서는 세기 이후 중국에 사5신을 보낸 기록이 거의 없는 만큼 이 조각이

    조성된 세기에는 푸난의 지배 아래 있었을5-6것이다 그러므로 와트 위앙 사의 불상은 푸난.의 조각에 해당한다.역시 수랏 타니주 나콘 시 탐마랏(Nakhon

    의 와얀 사원에서 발Si Thammarat) (Wha-yan)견된 사암제 불입상도 두 팔과 무릎 아래가 파

    손되었고 두부도 남아있지 않지만 날렵한 신체

    표현과 옷주름이 없는 통견의 대의 처리에서

    사르나트 불상의 영향을 알 수 있다 도 군살( 6).이 없는 인체와 인체의 굴곡이 그대로 드러나

    도록 몸에 밀착된 얇은 법의 길어진 팔 다리, ·의 비례는 굽타시대 사르나트 불입상의 경우와

    매우 비슷하다 다만 인체의 양감이 거의 표현.되지 않고 다소 납작하게 보이는 점 허리에 표현된 내의의 띠가 형식,적으로 간략하게 처리된 점은 사르나트의 세기 불상과 차이를 보인5다. 이 불상을 타와라와디 양식으로 판단하기도 하지만 그(Dvaravati)에 선행하는 조각으로 생각된다.23) 크라 지협에 가까운 지역에서만 이와 같이 사르나트의 영향을 받은 불입상이 조성된 것은 아니다 해로.를 통해서만 인도의 문물이 유입된 것은 아니다 인도와 육로로도 연.결되는 태국의 롭 부리 에서 발견된 불입상도 사르나트의 조(Lopburi)각처럼 신체에 밀착된 얇은 통견 법의에 옷주름이 전혀 표현되지 않았

    다.24) 다만 나발이 상당히 굵고 커졌으며 두 손을 위로 들어 시무외인23) 는 통상 드바라바티로 발음하지만 태국어 발음을 따랐다 타와라와Dvaravati .디 양식으로 간주한 견해는 Office of Archeological and National Museums,Visitors Guide to the Nakhon Si Thammarat National Museum (Bangkok:Rung Slip Printing Co., 2000), p.51.

    24) Dvaravati Art: The Early Buddhist Art of Thailand (Bangkok: National참조Museum Bangkok, 2009), pl. 25 .

    도 불입상 태국< 6> , 6C, ,나콘 시 출토

  • 세기 과 의 사르나트 양식 불상6 ( )扶南 山東 姜熺靜 41처럼 했고 인체의 움직임이 전혀 없이,좌우대칭적으로 만든 것은 이 불상이

    푸난 전성기보다는 좀 더 뒤의 시기에

    제작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또 캄보디아의 가장 중요한 유적 가

    운데 하나인 프놈 다 에서(Phnom Da)가까운 앙코르 보레이 는(Angkor Borei)푸난의 중심지였으리라고 추정되는 곳

    이다 앙코르 보레이 따 께오. , (Ta Keo)의 와트 롬록 에서 발견된(Wat Romlok)불상도 이와 같은 양식적 특징을 보여

    주는 좋은 예이다 도( 7).25) 와트 위앙 사의 불상에 비하면 조각 수법과 기술이

    훨씬 발전되어 사르나트의 불상처럼 표

    면을 매끈하게 마연한 것도 잘 보인다 가늘고 긴 팔 다리 길어진 인. ,ㆍ체 비례와 왼쪽 다리를 살짝 굽힌 모습 허리띠의 곡선 처리도 사르나,트의 불상과 매우 비슷하다 균형 잡힌 신체 각부의 묘사와 옷주름이.없이 밀착된 얇은 대의 인체의 곡선을 강조한 자연스러운 표현, 動勢은 세기말의 사르나트 불상을 연상시키기에 부족함이 없다 다만 여5 .기서 차이가 나는 것은 사르나트 불상의 얼굴이 동그랗고 입체적인 편

    인데 비해 와트 롬록의 불상은 얼굴이 좀 더 갸름해졌고 대의의 목선

    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 점은 사르나트의 불상을 모방함으로써.시작된 불상 조성이 푸난 사람들의 미의식에 맞추어 변화되었음을 의

    미한다 갸름해진 얼굴은 캄보디아 앙코르 보레이에서 발굴된 불두와. ,비교해보면 인도와는 달리 당시 푸난 사람들이 선호했던 모습으로 조

    각되었음을 분명히 알 수 있다.이처럼 푸난 불교조각의 중요한 모델이 되었던 조각은 중인도 사르

    25) Helen Ibbitson Jessup, Art and Architecture of Cambodia (London:Thames & Hudson, 2004), pp.34-35.

    도 불입상 캄보디아 세기< 7> , , 6 ,와트 롬록 탐마랏 출토

  • 67 (2010. 8)中國史硏究 第 輯42나트에서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깨달음을 얻은 석가모니가 처음으로.자신을 따르던 명의 비구들에게 설법을 한 곳으로 알려진 사르나트는5중요한 불교 중의 하나로 한역 경전에는 이라고 알려진 곳聖地 鹿野園

    이다 석가모니의 생애에서 중요한 사건이 있었던 성지를 불교도들이.순례하는 것은 쿠샨시대 이후 성행한 것으로 알려졌고 사르나트는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대 성지 가운데 한 곳이 되었다4 .26) 쿠샨시대이래 불교조각의 중심지로 기능했던 마투라는 불교 성지는 아니었기

    때문에 마투라에서 사르나트로 불교조각의 중심이 옮겨간 것은 자연스

    러운 일이었다 사르나트의 불교조각은 세기 들어 빠른 속도로 발전. 5하여 독자적인 조각양식을 성립시켜 굽타시대 불교미술의 중심이 되었

    으며 그 전성기는 년대를 전후한 시기였다고 추정된다, 470 .27) 사르나트조각의 독창성은 신체에 밀착되어 몸매를 그대로 드러내는 얇은 법의

    와 아무런 표현도 없는 옷주름 처리 방식에 있다 마투라를 비롯한 굽.타시대 인도 다른 지역의 조각과는 구별되는 특징이기 때문에 이와 유

    사한 양식을 보여주는 동남아의 불상들은 사르나트 조각을 모델로 제

    작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추나르 사암의 표면을 매끈하게 다듬어.광택을 준 것도 사르나트 지역 조각의 독특한 성격인데 동남아에서,발견된 불상들에도 마연한 흔적들이 남아있다 사르나트 조각의 제작.시기를 염두에 둔다면 그와 유사한 양식을 보여주는 조각들도 사르나

    트의 불상이 조성된 때로부터 멀지 않은 시기에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

    정할 수 있다 사르나트는 갠지스강가에 위치한 바라나시에서 멀지 않.은 지역에 있어서 그 조각은 갠지스를 따라 쉽게 바다로 이동될 수 있

    었을 것이다 갠지스강 하구에서 벵골만으로 다시 말레이 반도의 크라. ,지협으로 옮겨짐으로써 푸난 불교미술의 이 될 수 있었을 것이며,範本이는 사르나트가 지리적으로 에 용이한 위치에 있었기 때문에 가水運

    능했다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사르나트의 불상과 매우 유사한 양식을.26) John Huntington, “Pilgrimage as Image: The Cult of the Aṣṭamahāprātihā-rya Part I” (Orientations 18-4, 1987), pp.55-56.

    27) 앞의 글, (2004), pp.282-284.姜熺靜

  • 세기 과 의 사르나트 양식 불상6 ( )扶南 山東 姜熺靜 43보여주는 푸난의 불상들 역시 늦어도 사르나트 조각의 조성 시기와 가

    까운 세기 초에는 조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르나트의 전성기6 .불상들이 명문에 의하여 세기 분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므로5 4/4푸난으로 사르나트의 조각이 유입되었을 만한 연대의 상한선은 년470대이고 적어도 년 전후에는 유입되었을 가능성을 상정할 수 있, 500다.28) 특히 유입 초기의 조각으로 보이는 와트 위앙 사의 조각은 푸난으로 유입된 인도 조각을 자체적으로 성숙시킬 시간적 여유가 없었던

    초기의 예이기 때문에 더욱 인도풍이 강하게 보인다고 생각된다 위에.서 언급한 다른 불상들 역시 양식적 특징만이 아니라 마연을 통한 광

    택을 주는 석조 조각 제작기법으로 보아도 사르나트 조각과의 유사성

    이 명확하기 때문에 세기경에는 조각되었다고 생각된다6 .사르나트 조각의 영향으로 푸난에서 최초로 불교조각이 제작되었던

    시기는 자야바르만의 치세이다 에 의하면 푸난은 양대에만. 10梁書차례 사절단을 보냈으며 자야바르만은 년 에2 (503)天監 安南將軍扶南에 봉해지기도 했다 년까지 푸난을 다스렸던 자야바르만은 인도. 514王승려였던 나가세나를 사신으로 보내 임읍을 평정해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 이 시기는 중국과의 교류가 활발했던 시기이며 푸난의 불교가.발달했던 때였다고 추측된다 이와 같이 중국의 문헌 자료를 통해볼.때 중국과 푸난과의 교류는 세기 후반에서 세기 전반에 집중되어, 5 6있으며 그 중에서도 승려의 왕래와 불교 문화의 교류가 핵심적이었다.

    푸난과 산동의 사르나트 양식 불상.Ⅲ년대 이후 중국의 산동성 일대에서는 다양한 불교조각이 다량1970 ,

    발굴되었는데 이들 조각들은 북위 후기부터 수 당대에 이르는 오랜, ㆍ28) 조안나 윌리암스는 사르나트 조각이 세기 분기에는 정점에 달한 것으로5 4/4판단했다. Joanna Williams, The Art of Gupta India (New Jersey: PrincetonUniversity Press, 1982), pp.76-82.

  • 67 (2010. 8)中國史硏究 第 輯44기간에 걸쳐 조성된 것들이다 산동은 지리적으로도 한반도와 가까워.서 삼국시대에 해상을 통한 교류가 산동을 통해 이뤄졌을 것으로 추정

    되기 때문에 일찍부터 산동의 불교조각이 연구자들의 관심을 끌었

    다.29)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이뤄진 연구들은 대개 산동의 불교미술 자체에 대한 연구라기보다는 우리나라 특히 삼국시대 불교조각과의 관,계에 초점을 맞춰 진행되었다 따라서 주로 산동성의 석굴사원이나 근.래 출토된 불상 가운데 우리나라의 삼존불이나 반가사유상과 비교하는

    연구가 중심이 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삼국시대 불교조각 연구를 진일.보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삼국시대 불교미술을 다양한 시각으

    로 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기도 했다.30) 그러나 이와 동시에 남북조시대인 세기 중엽부터 산동을 중심으로 중국 동부의 해안과 가까운6지역에서 나타난 새로운 불상 양식에 대해서는 또 다른 접근이 필요하

    다 중국의 다른 지역에서는 남북조시대 불교조각이 역사적인 전개를.충분히 짐작할 수 있을 정도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양식의 변화를 보

    여주는 데 비해 산동을 비롯한 일부 북제 영역에서는 이전과는 전혀

    다른 독특한 양식의 조각들이 만들어졌다 향당산 석굴과 천룡산 석굴.의 일부 조각들이 좋은 예로 이들 조각이 보여주는 새로운 요소에 대

    한 연구는 일찍부터 이뤄졌고 그 대부분은 인도와의 관련에 집중되었

    다.31) 북제 조각 양식의 돌연성에 대한 설명은 인도로부터 새로운 영29) 이와 관련한 논고로는 의 과, -郭東錫 金銅製一光三尊佛 系譜 韓國 中國 山東「

    을 으로 을 필두로 김춘실 중국 산동성 불- ( 51, 1993) ,地方 中心 美術資料」 「상과 삼국시대 불상 미술사논단( 19, 2004); ,梁銀景 中國 駝山石窟 佛敎彫」 「에 대한 중국 산동지역 불상과 한국 삼국( 2, 1995);刻 考察 佛敎美術硏究」 「시대 불상의 교류 관계 강좌 미술사( 26, 2006); ,大西修也 山東省靑州出土」 「

    ( ,石造半跏像 韓國半跏像 豪佛鄭永鎬敎授停年退任紀念論叢 韓國文化史學と 」고구려 금동불상과 중국 산동 금동불상 교류 문명대 외, 1999); , ( ,會 文明大 「 」

    고구려 불상과 중국 산동 불상 동북아역사재단 등을 들 수 있다, , 2007) .30) 양은경 중국 산동지역 불상과 한국 삼국시대 불상의 교류 관계 강좌 미, (「 」술사 김춘실 중국 산동성 불상과 삼국시대 불상 미술사논단26, 2006); , (「 」

    참조19, 2004) .31) 가장 먼저 이에 주목한 것은 Alexander C. Soper, Literary Evidence forEarly Buddhist Art in China (Artibus Asiae Supplementum 19, Ascona:

  • 세기 과 의 사르나트 양식 불상6 ( )扶南 山東 姜熺靜 45향이 들어온 데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밖에 없지만 굽타 시대 인도 조

    각과의 세밀한 비교를 통해 연구된 것은 아니다 더욱이 인도 어느 지.역에서 어떤 경로로 중국 동부까지 새로운 불상이 전해졌는가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남방 해로를 주목했으나 이것이 명확하게 밝

    혀졌는지도 의문이다 당시는 서역 실크로드를 통해 인도를 왕래하는.일이 어려웠기 때문에 남방 해로를 이용할 수밖에 없었고 해로는 동,남아시아를 경유해야만 했다 필자는 앞에서 살펴본 이 시기 동남아시.아의 불상이 산동을 포함한 중국의 동부 지역에 유입된 새로운 불상

    양식의 기원에 대한 실마리를 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중인도 사.르나트 조각이 동남아시아에서 일부 변형되어 산동 조각에 영향을 주

    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산동성 일대에서는 근래 북위부터 당에 이르는 시기에 조성된 금동

    상과 석상들이 다수 발굴되었다.32) 발굴된 유적들은 지역적으로도 다양해서 등 여러 곳에 분포한다, , , , , .靑州 諸城 博興 臨胊 臨淄 曲阜 33)이처럼 거의 산동 전역에서 수백 년 동안 조성되었던 조각들이 발견됨

    으써 일찍부터 불교문화가 발달했다고 추정되었다 산동에서 초기 불.교가 발전한 데는 인도에서 온 의 역할이 컸다고 이야기되고는 있僧朗

    지만 승랑이 활동했던 세기 중엽에 제작된 유물은 알려지지 않았4다.34) 유물은 대개 북위 후기부터 동위 북제 시대에 집중되었는데 남, ,북조시대 산동 불교조각의 양식적 특징은 인근의 하북 하남의 조각들,에 비해 보수적인 경향을 보이며 입체적인 부분과 평면적인 부분이,

    참조 정예경 중국 북제 북주 불상 연구 혜안Artibus Asiae, 1959) . , ( ,ㆍ1998).

    32) 산동에서 발견된 불교조각과 석굴사원에 대해서 최근 간략하게 소개되었다.이에 대해서는 류펑쥔 산동지역 북조 수 당의 불상 문명대 외 고구려, , , ( ,「 」불상과 중국 산동 불상 동북아역사재단, , 2007), pp.152-199.

    33) 이들과 관련한 보고는 다음의 글을 참조할 수 있다. ,丁明夷 談山東省博興出土「( 1984 5 , 1984); ,的銅佛造像 文物 年 第 期 諸城市博物館 山東諸城發現北朝造像」 「

    ( 1990 8 , 1990); , ( 1996考古 年 第 期 趙正强 山東廣饒出土佛敎石造像 文物」 「 」12 , 1996).年 第 期

    34) 류펑쥔 앞의 글, , pp.153-158.

  • 67 (2010. 8)中國史硏究 第 輯46뚜렷하게 구분된다고 지적된 바 있다.35) 불 보살상의 조형은 온화하ㆍ고 정적이며 광배는 다른 지역의 조각에 비해 더욱 회화적인 평면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36)그런데 산동에서 발굴된 불입상 가운데 중인도 사르나트 불상 양식

    과 관련되는 조각들이 있어 주목된다 이들은 옷주름이 전혀 표현되지.않은 채 인체에 밀착된 얇은 대의를 입고 있는 모습으로 산동 대부분,지역에서 발견된 독립 석상들 중에 반드시 포함되어 있다 흥미로운.점은 이들이 대부분 의 형상이며 보살상 중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는佛

    점이다 우선 대표적인 남북조시대 산동의 불교 유적인. 靑州 龍興寺址에서 발굴된 불상 중에 이러한 유형을 살펴보겠다 오늘날 용흥사로.알려진 절은 의 명칭이며 북제대에는 라 불린 유서 깊은 사唐代 南陽寺

    원이었는데 언제 폐사가 되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년 청주시박. 1996물관 남측 건설현장의 구덩이에서 파괴된 채로 매장된 여 점의 불400교조각이 발견되었다.37) 불상들은 삼중으로 차곡차곡 쌓여 있었다고한다 이 곳에서 발굴된 조각들은 대부분 청주에서 산출되는 석회암으.로 만들어졌으며 일부 화강암으로 만든 상과 소조상이 있었다 이들의.조성 시기는 북위말부터 북제 에 이르며 세기 중엽의 조각이 다, , 6隋代수이다 명문이 있는 상은 많지 않으며 대개 북위 말기와 동위대에 집.중되어 있다 명문은 삼존불에 주로 있고 단독상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전체 유물 가운데 이른 시기의 조각은 삼존불이 많고 북제. , ,수 시대로 갈수록 단독의 독립상이 늘어난다 용흥사지 출토 불상은.다른 지역의 불상에 비해서 광배의 장식이 더욱 화려해졌으며 불상과,

    35) 최성은 고구려 불상과 산동 지역의 북위말 동위 불상 문명대 외 고구, ( ,~「 」려 불상과 중국 산동 불상 동북아역사재단, , 2007), pp.53-61.

    36) 최성은 위의 글 이 글에서는 산동의 금동불과 석불이 서로 다른, , pp.58-89.표현을 보이는 것에 대해 각기 다른 공방에서 조성했기 때문으로 추정하고 있

    다 재료의 성격이 워낙 다르기 때문에 이는 타당한 지적으로 생각된다. .37) 앞의 글 참조 매장 방식으로 미뤄볼 때 당대 이후 어느 때에, , . ,杜在忠 韓崗ㆍ갑작스럽게 매장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 처했던 것 같다 보고서에서는 매장.시기를 북송 말기로 추정하고 있다.

  • 세기 과 의 사르나트 양식 불상6 ( )扶南 山東 姜熺靜 47보살상을 이어주는 연화대좌 사이의 도 보편화되었다 이는 다른 지.龍역에서 찾아보기 힘든 지방양식으로 간주되었다.38) 용흥사지에서 출토된 불상들 중에는 옷주름을 대신하여 채색을 한 불상들이 있다 이들.불상은 양식적 특징으로 미루어 북제 대인 세기 중엽 이후의(550-577) 6조각으로 추정된다. 그 가운데 가장 보존상태가 좋고 높은 수준의 조각 솜씨를 보

    여주는 불상에 금박과 채색이 모두 잘 남

    아있어 주목된다 도 살짝 미소를 짓고( 8).있는 얼굴과 의 은與願印 施無畏印 手印ㆍ

    동위대의 불상과 비슷하다 신체에 밀착된.통견의 법의는 두 팔 아래로 자연스럽게

    떨어져 발목까지 그대로 내려오도록 만들

    었다 그런데 인체의 굴곡과 양감 등. , 動勢이 여전히 소극적으로 표현된 점으로 미루

    어 북제 초기의 조각으로 생각된다 동위.의 불상과 비교하면 신체 표현 방식과 대

    의 처리법이 모두 달라졌으며 무엇보다,옷이 상당히 얇아져서 인체를 자연스럽게

    드러낸다는 점이 두드러지게 변한 모습이

    다 대의에는 아무런 옷주름도 없고 승각. ,기나 허리띠 옷의 흐름을 암시하는 어떤,표현도 보이지 않는다 대신 옷 전체에 붉은 색을 칠하고 가사처럼. ,무늬를 그렸다 인체를 드러내는 조각적 진전과 대의 위에 채색을 한.회화적 접근이 절묘하게 조화를 이룬 조각이다 아마도 용흥사지에서.출토된 이 불상은 원래 얇은 법의만으로 인체 그 자체를 자연스럽게

    내보이는 조각을 모델로 제작되었을 것이다 역시 용흥사지에서 발견.38) 류펑쥔 앞의 글, , p.68; 양은경 고구려 금동불 광배와 중국 산동지역 불상, 「광배 문명대 외 고구려 불상과 중국 산동 불상 동북아역사재단, , ( , 2007),」 『 』

    이pp.122-124. 글에서는 용이 새겨진 것을 용왕 숭배와 연결시켰다.

    도 불입상 세기 중국< 8> , 6 ,산동 용흥사지출토

  • 67 (2010. 8)中國史硏究 第 輯48된 팔 다리가 파손된 불상도 이를 잘 보여

    준다 도 비록 파손이 심하지만 마치 현( 9).대조각을 보는 것처럼 얇은 법의 아래로 절

    제되었으면서도 감각적으로 인체가 묘사되

    었다.산동성 중남부에 위치한 제성은 항구인

    와 가까운 곳이며 일찍부터 교통의 요靑島

    충지로 발달된 지역이다 그런데 년 제. 1978성시 에서 금동불이 들어있는 항아리靑雲村

    가 발견된 것을 필두로 년 사이1988-1990에 제성시 남쪽의 사원지에서도 인위北朝

    적으로 파괴된 여구의 석조상이 발굴되300어 세인의 주목을 끌었다.39) 이때 발견된북위에서 수대에 이르는 다량의 조각 가운

    데 명문에 의해 제작연대를 알 수 있는 조

    각은 점에 불과했다 그 중 가장 이른 것4 .이 년 이고 의 기년이 있는 상도 구 있어3 (545) , 2東魏 武定 銘像 北齊서 불상들은 대개 세기 중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 제성6 .출토 석상에 대해서는 신체의 양감이 두드러지며 신체에 밀착된 옷으

    로 미루어 남인도 계통의 양식을 반영한다고 지적되었다.40) 이들 석

    39) 금동불이 들어있던 항아리를 중국에서는 이라 했으며 이를 필자가 임의陶罐로 항아리로 지칭했다 이들 금동상의 발견 경위와 상태 특징 등에 대해서는. ,

    참조 기타 석, ( 1986 11 , 1986) .韓崗 山東諸城出土北朝銅造像 文物 年 第 期「 」상에 대한 보고 형식의 글은 ,杜在忠 韓崗 山東省諸城出土 石佛像の についてㆍ 「(1) ( , 99, 1991); (2)康培仁 譯 古美術 山東省諸城出土 石佛像の について」 「 」( , 101, 1992); (3) (康培仁 譯 古美術 山東省諸城出土 石佛像 康培の について「 」

    , 102, 1992); (4) -仁 單亦平 譯 古美術 山東省諸城出土 石佛像 建の についてㆍ 「참조 근래에( , 103, 1992) .築遺物 石 造像 槪觀 康培仁 康銳 譯 古美術と の ㆍ仏 」

    우리나라 불상과의 관계를 규명한 책으로 문명대 외 고구려 불상과 중국 산,동 불상 동북아역사재단 을 참고할 수 있다, , 2007) .

    40) 김춘실 앞의 글, , p.19.

    도 불입상 세기 중국< 9> , 6 ,산동용흥사지출토

  • 세기 과 의 사르나트 양식 불상6 ( )扶南 山東 姜熺靜 49상들은 발굴 당시 이미 파손되어 있어 보존 상태는 좋지 않다 특이한.점은 이들 불상 중에 역시 옷주름이 전혀 표현되지 않은 통견의 대의

    를 입은 상들이 눈에 띈다는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옷을 암시하는.아무런 표현도 하지 않은 조각에 옷주름을 대신하여 표면에 채색을 해

    서 처럼 보이게 만든 불상도 있다 채색은 통상 붉은 바탕에 금칠.袈裟을 하거나 여러 가지 그림을 그려 넣기도 했지만 기본적으로 옷주름이

    없는 통견의 대의를 입은 모습으로 조각되었다는 점은 인 의前代 東魏

    불상과 구별되는 특징이다 그러나 실제 이들 불상이 언제 파손되어.묻혔는지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채색이나 금칠이 처음 제작되었을

    때 행해진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제성에서 발굴된 불상들은 대개.파손된 예가 많은데 비교적 신체의 파손이 덜 된 상 가운데 주목되는

    예가 있다 도 명문이 없어 정확한 제작시기를 알 수는 없지만 인( 10).체를 적극적으로 표현하려 한 것에서 세기 중엽 경의 조각으로 추정6된다 얼굴과 두 손은 파손되었으나 신체와 다리는. 잘 남아있으며 역,

    도 불입상 세기 중국 산동< 10> , 6 , ,제성 출토

    도 불입상 세기 중국 산동< 11> , 6 , ,

  • 67 (2010. 8)中國史硏究 第 輯50시 얇은 대의가 인체의 굴곡을 적나라하게 드러낸다는 점이 흥미롭다.와 팔 다리가 파괴된 다른 불상도 이와 비슷하다 도 다만 앞( 11).頭部

    의 불상과 달리 용흥사지 출토 불상처럼 대의 전체에 붉은 색으로 채

    색을 하고 금채를 했다 채색된 대의 아래 인체의 굴곡이 잘 드러난다.는 점은 이 두 불상이 같은 양식에 기반을 두었음을 시사한다 양감이.강하게 표현된 인도나 동남아의 불상에 비하면 인체의 굴곡이 약하며,신체 비례도 다르게 처리되었지만 기본적으로 인체를 과감하게 드러내

    는 방식으로 대의를 처리했고 옷주름이 표현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역

    시 제성의 불상과 인도 동남아의 불상은 동일한 양식에서 비롯된 조ㆍ

    각이라고 볼 수 있다.같은 산동성 청주시 현에서 발견된 석상들도 대개 동위에서 북臨胊

    제에 이르는 시기에 조성된 예들이 중심을 이루고 있어서 이 시기에

    불상 조성이 집중되었음을 알려준다 청주 임구 일대는 예로부터. , 膠萊평원으로 불리는 비옥한 곳으로 라는 하천 주위에 발달한 평원河 彌河

    지대이다 이 지역은 발해만을 통해 다른 지역은 물론 과의 교류. 異國가 수월했던 곳으로 고대에는 주로 에서 를 통해 임구,登州 靑州府 濟를 거쳐 중국 내륙으로 향하는 육로가 발달했다 그러므로 이 지.南府

    역은 바다와 강에 모두 인접해 있어서 해상을 통한 문물의 유입이 쉬

    웠고 내륙에 비해서 이국적인 요소가 가미된 문화를 발달시킬 수 있,었던 곳이다 임구에서 발견된 석상 중에 비교적 상태가 양호한 불상.도 같은 양식 계열로 생각되는 상이다 도 이 상은 얼굴이 갸름하( 12).고 나지막한 에 굵은 나발이 표현되었고 좁고 둥근 어깨와 장신,肉髻의 비례를 가지고 있어서 전형적인 북제 불상 양식을 보여준다. 그런데 여기에서도 통견의 대의는 얇고 신체에 밀착되었으며 옷주름은 전,혀 표현되지 않았다 이전 시기의 동위식 불상 복제에서 보이는 것과.같은 두터운 옷과 깊은 옷주름은 보이지 않는다 목 부분에 옷깃이 살.짝 표현된 것을 제외하면 신체 어디에도 옷을 암시하는 묘사가 보이지

    않는다.에서도 수 차례에 걸쳐 다양한 불상들이 발견되었다 년에. 1976博興

  • 세기 과 의 사르나트 양식 불상6 ( )扶南 山東 姜熺靜 51박흥 에서 발견된 석조 및龍華寺址

    소조상들 년 에서 출토, 1983 崇德村된 금동불 등이 좋은 예이다 금동상.은 본고에서 다루고자 하는 인도적

    요소가 그다지 보이지 않으므로 본

    고에서는 석상이 발견된 용화사지

    출토품을 중심으로 살펴보겠다 용화.사지에서 발견된 석상들은 동위에서

    북제시대에 이르는 시기에 집중되어

    있다.41) 동위대의 삼존불은 많지 않고 북제대의 단독상 수량이 더 많아,서 북제대에 융성했던 사원으로 보

    인다 단독상의 경우 신체에 밀착된. ,얇은 편단우견의 대의를 착용한 모

    습으로 만들어진 예들이 제법 있어

    서 남인도 내지 동남아의 계통의 양식을 보여준다고 말해진다.42) 얼굴이 파괴되어 목 아래 부분만 남아있는 박흥 출토 불입상 역시 전형

    적인 사르나트 양식 계열의 조각이다 도 위로 들어올린 왼손 엄지( 13).와 중지 손가락으로 옷자락을 살짝 잡은 흔적이 있으나 손가락이 모두

    잘렸다 아래로 내린 오른손은 다리 옆으로 흘러내린 대의에 손을 대.고 있다 어깨가 좁고 가슴의 양감도 적어서 사르나트의 조각과는 약.간 다르다 그러나 어깨와 두 다리의 둥근 모델링과 팔의 섬세한 곡선.적 처리는 분명 이전의 중국조각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새로운 특징이

    다 양감이 적극적으로 표현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오히려 박흥 출토의.

    41) , ( 1984 5 , 1984);李少南 山東博興出土百餘件北魏至隋代銅造像 文物 年 第 期「 」( 1986 9山東省博興縣文物管理所 山東博興龍華寺遺址調査簡報 考古 年 第, 「 」

    , 1986); , ( 1997期 博興縣文物管理所 山東博興縣出土北朝造像佛敎遺物 考古「 」참조7 , 1997) .年 第 期

    42) 김춘실 앞의 글, , p.16.

    도 불입상 세기 중국 산동< 12> , 6 , ,임구 출토

    도 불입상 세기 중국< 13> , 6 , ,산동 박흥 출토

  • 67 (2010. 8)中國史硏究 第 輯52이 불입상은 앞에서 언급한 와얀 사원지에서 발견된 불입상 도 을( 6)연상시키는 부분이 있다 또한 인체를 그대로 드러내는 것에 대한 거.부감 때문인지 청주나 제성에서 발견된 불상들처럼 표면에 붉은 칠을

    하고 무늬를 그려 가사처럼 꾸몄던 흔적이 남아있다.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산동 전역에서 근래 발견되거나 발굴된

    석상 중에는 중인도 사르나트의 조각에 연원을 둔 불입상이 여러 점

    포함되어 있다 이들은 인체를 드러내는 얇은 대의에 옷주름을 전혀.표현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사르나트 불상의 영향이 동남아를 거쳐 산

    동에 유입되었음을 암시한다 이와 같은 양식의 조각이 산동에서 발견.된 예가 절대적으로 많지는 않으며 이미 상당히 중국적으로 변용되었

    다고 볼 수 있다 동위 대까지 보이지 않았던 특징적인 불상. (534-550)의 대의 처리법에 대해 일찍부터 동남아시아를 경유한 남인도 미술의

    영향으로 해석하는 견해가 제기된 바 있다 산동성 하북성을 비롯하여. ,중국의 동부 지방을 중심으로 새롭게 나타난 조각 양식은 실크로드를

    통해 유입된 서역 미술의 영향으로 설명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자연히

    해로를 통해 전해진 것으로 추측되었고 이는 거의 정설이 되었다 그, .러나 이 가설은 남인도나 동남아시아의 불상과 구체적으로 비교되지

    않은 채 인도풍이라는 식으로 막연하게 불렸다 이들 불상은 기본적으, .로 신체에 밀착된 얇은 통견의 대의를 입고 옷주름이 묘사되지 않았,으며 좌우 옷자락이 아무런 과장 없이 인체를 따라 그대로 흘러내렸,다는 점에서 사르나트 불상에 양식적 기원을 두었다고 생각된다 산동.에서 발굴된 사르나트 양식의 불상은 북방 실크로드를 통해 전해진 것

    이 아니라 동남아시아를 거쳐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어느 정도.시간이 걸려 동남아시아에서 변형된 채로 전해졌기 때문에 사르나트

    양식과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앞에서 살펴본.대로 푸난에서 독자적으로 소화되고 변형된 사르나트 양식의 불상으로

    부터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남북조시대에 서역과의 교류가 원활하지 못했던 중국의 남부 동부,

    지역은 임읍 교주를 통한 육로와 중국의 해안선을 따라 북상하여-

  • 세기 과 의 사르나트 양식 불상6 ( )扶南 山東 姜熺靜 53산동에까지 이르는 해로를 통해 인도 및 서방과 교역을 했다 일찍부.터 항구가 발달한 산동은 해로를 통한 교류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구법승 이 인도에서 배를 이용하여 귀국하던 길에 풍랑을. 法顯만나 기착한 곳도 산동이었음을 생각하면 해로를 통한 인도 및 동남아

    시아와의 교역에서 최북단에 위치한 곳은 발해만에 가까운 산동 지역

    이었을 것이다.43) 그런데 법현 등이 인도에서 중국으로 돌아오는, 義淨귀로에서 반드시 동남아시아 여러 지역에 머물렀던 경우를 생각해보면

    사르나트의 불상이 산동으로 직접 전해졌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보다.는 동남아시아에서 한 번 소화된 형태로 산동에 전해졌다고 볼 수 있

    다 특히 사르나트의 불상에서 목 아래 옷깃이 표현된 것과 달리 아무.표시도 없이 바로 밑단으로 연결되는 대의 처리는 푸난의 불상에서 보

    이는 특징이라는 것도 이를 뒷받침해준다 더욱이 세기 전반에 푸난. 6에서 백단상과 산호 불상을 보냈다는 것과 양에서 부남관을 설립해서

    푸난 승려를 초빙하여 경전들을 한역하게 했다는 문헌기록을 보면 이

    무렵에 중국 남조로 전해진 푸난의 사르나트 양식 불상이 산동 불상의

    모델이 되었으리라고 생각된다 승려들의 왕래를 통해 푸난의 불교조.각이 중국으로 유입되어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

    으면 새로운 불상 양식의 기원을 설명할 수 없다 승려들의 왕래는 두.가지 루트를 통해 이뤄졌다 해로와 육로를 통해 교주를 거쳐 광주 방.면의 내륙으로 이동하는 루트와 중국 연안을 따라 산동까지 항해하는

    루트이다 중국의 다른 지역에서 이와 유사한 새로운 요소가 혼합된.조각이 발견되지 않은 것으로 미루어 산동에 전해진 동남아시아 불상

    은 해로를 통해 유입되었다고 보아야 한다.

    43) 법현의 행로와 산동에 기착했을 때의 상황은 을 참조하기 바(T2085)法顯傳란다 또한 이주형 책임편집 인도 불교유적과 동아시아의 구법승 사회평론. , ( ,

    도 좋은 참고가 된다2009) .

  • 67 (2010. 8)中國史硏究 第 輯54

    결 어.Ⅳ세기 중엽 중국에 새롭게 등장하는 불상 양식은 이전의 양식과 전6

    혀 다른 특징을 보여주는 것으로 남인도에서 동남아시아를 거쳐 유입

    된 것이라고 추정되었다 그 가운데 주목되는 것은 산동에서 근래 발.견된 일군의 석조 불상이다 청주 제성 박흥 등 산동 지역에서 출토. , ,된 불상 중에는 신체에 밀착된 얇은 옷을 아무런 옷주름 표현 없이 通

    으로 걸친 양식의 불상들이 있다 통견의 불상은 북위 및 동위 시.肩形대에 한족의 복식을 본떠서 만들었다고 알려진 쌍령하수식 혹은 포의,박대식 불상을 빠른 속도로 대체하면서 제작되었다 이러한 불상 양식.은 이미 남인도 동남아시아로 이어지는 해상루트를 통해 유입되었다ㅡ

    는 추정이 있었지만 본고는 이를 좀 더 면밀하게 고찰한 것이다.남북조시대 조각에서 인도 혹은 동남아의 영향이라고 이야기됐던,

    요소는 크게 인체 묘사와 대의처리의 두 가지이다 여기서는 이 시기.산동의 불상 가운데 옷주름이 전혀 표현되지 않은 채 인체의 굴곡을,그대로 드러낸 조각을 사르나트 불상양식 계열로 판단했다 이들 불상.의 모델은 태국 캄보디아 베트남 등지 동남아 대륙부 일대에서 발견, ,된 푸난의 불상과 비교함으로써 중인도에서 해상을 통해 전해졌을 가

    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사르나트가 갠지스강에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 그 유물은 강을 따라 바다로 이동하기 쉬운 지리적 여건을 갖추

    고 있었기 때문에 다른 지역의 조각보다 일찍 동남아시아에 전해졌을

    것이다 명문에 의해 세기 후반으로 편년되는 사르나트 불상과 비교. 5하면 이들은 양식적으로도 상당한 유사성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이와,같은 형태의 불상이 년대 전반에 푸난으로 전해져 여기서 발전된500불교조각이 세기 분기 산동의 북제 조각에 영향을 주었으리라고6 3/4추정할 수 있다 이는 갠지스에서 벵골만으로 다시 남중국해를 거쳐. ,산동까지 북상하는 해로를 통해 남인도가 아니라 중인도의 미술이 중

    국에 전해졌음을 의미한다 불상의 특징으로 미뤄볼 때 푸난에서 인도. ,

  • 세기 과 의 사르나트 양식 불상6 ( )扶南 山東 姜熺靜 55미술을 독자적으로 흡수 발전시켜 다시 중국으로 전해주었을 것으로,판단된다 그러므로 푸난의 불교조각은 이 시기 중인도와 산동의 미술.을 연결해주는 잃어버린 고리이며 동남아시아 불교미술 조성의 첫 단‘ ’계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가치가 높다 또한 그간 막연하게 남인도의.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되었던 산동의 불상 중 일부는 중인도 사르나

    트 조각의 영향을 간접적으로 받았음을 알 수 있다 이로써 서역을 통.한 간다라와 마투라 미술의 영향 만이 아니라 해상을 통한 중인도 사

    르나트 미술도 산동을 중심으로 한 북제 지역의 조각이 풍부한 발전을

    하는데 의미 있는 역할을 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67 (2010. 8)中國史硏究 第 輯56(Abstract)

    Buddha Images of Sarnath Style from Funanand Shandong in the 6th Century

    Kang, Hee Jung

    The Buddhist sculptures of Funan deserves a special attention asit presents the initial stage of Buddhist art in South East Asia. Thesculptures from Funan were made from the Sarnath prototype.These early sculptures of Funan strongly exhibit similaritiesespecially to those from Sarnath from the late fifth century.The Buddha images from Funan stylistically followed the Sarnath

    prototype. The clinging garment and elongated proportion of thoseare characteristics of the Gupta Sarnath workmanship. SeveralBuddha images recently excavated from Shandong, China, havesame stylistic similarity with those pieces from Funan. Theinfluence of the visual arts from Sarnath of this period spreadbeyond the confines of India. It extended to Sri Lanka, SoutheastAsia and ultimately to the Far East. Sarnath and Funan sculptures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transmission of this style ofBuddhist art to China. The Buddha images newly discovered fromShandong area exactly show this point.The Sarnath style of art most likely transmitted to Funan and

    Shandong via maritime route of Ganges River and the Bay ofBengal. The traders from India probably have taken the maritime

  • 세기 과 의 사르나트 양식 불상6 ( )扶南 山東 姜熺靜 57route from the central India, along the coastal area to the KraIsthmus. We can say Funan was a center of maritime trade of theintellectual and material resources during those days. The Buddhistsculptures of Funan and Shandong demonstrate the diffusion ofCentral Indian Buddhist art into South East Asia and China throughthe channel of maritime route.

    주제어 푸난 산동 사르나트 통견 편단우견 남방해로: , , , , ,: , , , , ,關鍵詞 扶南 山東 鹿野園 通肩 偏袒右肩 南方海路

    Keywords: Funan, Shandong, Sarnath, Sea-Route,원고접수 년 월 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월 일 수정원고접수( : 2010 6 23 , : 8 9 , :월 일 게재확정 월 일8 10 , : 8 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