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노동자 건강 , 안전한가

Post on 30-Dec-2015

7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s

Preview:

Click to see full reader

DESCRIPTION

병원노동자 건강 , 안전한가.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고대의료원지부. 병원노동자의 건강실태. 병원은 깨끗하고 안전한 곳 ? 의료인이니까 알아서 건강관리 한다 ? 병원노동자의 건강불감증 사용자의 안전보건 의식 미흡 -> 병원 노동안전보건이 뒤떨어진 원인. 병원은 노동안전보건 사각지대. ... 96.1% 의료기관 ( 전국 병원급이상 )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 총 3,225 건 적발 ) ( 노동부 , 2002 년 7 월 -10 월 492 개 병원 조사 ) 특수건강건강검진 : 59% 미실시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TRANSCRIPT

병원노동자 건강 , 안전한가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고대의료원지부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고대의료원지부

병원노동자의 건강실태

병원은 깨끗하고 안전한 곳 ? 의료인이니까 알아서 건강관리 한다 ? 병원노동자의 건강불감증 사용자의 안전보건 의식 미흡 -> 병원 노동안전보건이 뒤떨어진 원인

병원은 노동안전보건 사각지대

... 96.1% 의료기관 ( 전국 병원급이상 )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 총 3,225 건 적발 ) ( 노동부 , 2002 년 7 월 -10 월 492 개 병원 조사 )

특수건강건강검진 : 59% 미실시 안전보건교육 : 50% 미실시 작업환경 측정 : 35% 미실시

고대 구로병원 사업장 개요

3 차 의료기관 , 619 병상 1983 년 개원 직원 : 1120 명 ( 의사 , 비정규직 포

함 ) 조합원 : 555 명 (2002.4 월 기준 )

고대구로병원의 노동안전실태 파악을 위한 설문조사 결과 (2002 년 9 월 실시 . 249 명 응

답 )

일하는 부서에서 건강상의 문제를

느끼는가 ? 79% 가 예라고 답변

건강상의 문제를 느꼈다면 어떤 문제인가 ?

고대구로병원 조합원들이 느끼는건강상의 문제 유형감염성 질환 : 간염 (17.7%), 결핵 (17.3%), 독감 (12.9%), 에이즈 (7.2%)

위장 및 스트레스성 질환: 위장장애 ( 소화불량 , 식욕부진 , 설사 40.2%), 두통 (40.2%), 만성피로증 후군 (35.3%), 수면장애 (19.7%), 소화성 궤양 (19.7), 변비 (19.3%), 치질 (19.3%), 불안감 (15.7%), 과민성장증후군 (12%)

물리적 요인에 의한 부상: 주사바늘이나 메스 등에 의한 부상 (41.4%), 요통 (34.5%), 타박상 (24.5%), 관절통 (20.9%), 찰과상 (14.1%)

기타: 안구건조증 (11.2%), 피부질환 (10.8%), 습진 (10.4%), 정맥류 (9.6%) 파우더나 라텍스에 의한 알레르기 (8.4%)

최근 3 년간 조합원의 건강문제시 치료실태와 처리방법

99% 가 본인 휴가나 병가를 사용하였고 , 치료비는 모두 개인부담

치료 처리방법과 관련하여 불편한 점은 산재 보상에 대해 잘 모르는 문제 (52.2%), 절차

복잡 (30.4%) 으로 나타났다 .

2002 년도 병가 사용현황

급성 충수돌기염 , 기흉 , 신우신염 , 추간판 탈출증 , 좌측발바닥 열상 , 척추결핵 , 교통사고 , 담낭염 , 뇌출혈 , 추간판 탈출증 , 십자인대파열 , 조기진통 , 위암 , 갑상선 전절제술 , 교통사고

총 17 명

2002 년도 공상처리내역

주사침 자상 : 16 명 수막구균성수막염의 분비물과 접촉 : 5 명 파라티푸스감염노출에 대한예방 : 3 명 눈에 분비물 튐 : 3 명 조직검사중 피부손상 : 1 명 무릎 , 발가락 통증 : 1 명

직원들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시급히 개선해야 할 사항은 ?

0

2

4

6

8

10

12

14

16

퍼센트

적정인력 확보

충분한 휴식시 간 보장

감염대책 수립

환기시설 개선

전염환자 격리

작업환경측정

병원부서별 유해요인

- 문제점과 개선방안 -

영양과

위험요인 미끄러운 바닥 ( 안전사고 , 뇌진탕유발 ) 고열 배식카운반 , 물통교환 , 식판꺼낼때등

근골격계질환 호소 소음 고기톱 , 칼날 세척제에 의한 피부질환

영양과

영양과

서울대병원 급식과

서울대병원 급식과

경상대병원 급식과

영양과

개선방안 바닥재개선 , 안전화 착용 후드추가설치 및 점검 작업공간 및 통로확보 , 물 정수시스템 배식카 바퀴 정기점검 및 자동배식카 구입 식기세척제 소음 방지 ( 별도의 공간에 배치 ,

귀마개 사용 등 ) 새로운 기계 도입 시 교육 , 정기적인 안전교육

의무기록실

위험요인 종이분진 기록지 비치대 높이로 인한

근골격계질환 유발

의무기록실

의무기록실

서울대병원 의무기록실

의무기록실

개선방안 환기시설 개선 및 집진기 설치 기록지 비치대 높이 조절 , 안전한 발판

지급

병리과

위험요인 화학물질 ( 포르말린 , 자일렌 , 요오

드 , 염산등 ) 혈액 , 소변 , 검체 등으로부터

병원미생물

병리과

병리과

병리과

개선방안 국소배기장치 설치 및 전체 환기 개선 유해물질 별도 보관 보호구 ( 방독마스크 , 보안경 , 안면보호구 ,

보호의 등 )

물질안전보건자료 비치 및 교육 특수건강검진 실시

방사선과

위험요인 방사선노출 위험성

현상액 정착액 등의 유해물질

소아환자나 의식저하환자의 카세트 삽입시나 납가운 장시간 착용시 근골격계질환 호소

방사선과

개선방안 방사선노출시간최소화 임부는 배치전환 현상액 작업시 보호장구 착용 적절한 휴식

핵의학과

과학기술처 관할 , 원자력법에 적용

방사성 동위원소의 관리 및 사용시 교육

재활의학과 위험요인 환자치료과정에서 작업자가 근골격계 질환에 노출

근전도검사 후 주사바늘 상해

좁은 통로로 인한 타박상 (휠체어 , 목발 , 침대카 )

병실 감염환자 치료 시 무방비

재활의학과

개선방안 근골격계질환 예방교육 : 운동 ,

휴식 정리정돈 감염환자시 병실간호사가 통보하고 ,

병실에서 치료 , 격리지침 준수

치과

위험요인 아말감작업시 수은 보철 연마작업시 분진 개선방안 배기설비의 주기적 필터 점검과

작업시 방진마스크 착용

이송반 위험요인 환자이송에 관련된 근골격계 질환

업무하중 -야간근무시 이틀에 한번 1 인근무

파행적 근무형태

- 저녁 번표 (E) 후 다음날 낮 번표 (D)

- 오전 8 시 출근 ~ 오후 10 시 퇴근

이송반

개선방안 인력충원 및 근무시간조정 적절한 휴식 근골격계 예방교육 및 이송 시

주의사항 교육

중환자실

위험요인환자의 감염물로 인한 호흡기질환 노출환자체위 변경시 , 시트교환시 근골격계

질환 타박상 - 침대사이의 좁은 통로로 인해주사바늘 상해환자와 보호자들의 폭력에 노출이동방사선 (Portable) 에 대한 노출

중환자실

중환자실

중환자실

시설과 유해요인 전기 , 열 , 기계 등에 의한 안전사고

작업시 소음과 분진

인력부족으로 1 인 작업시 낙상위험

세척제 , 페인트 , 접착제 등의 유기용제 노출

납땜 , 용접흄

시설과

개선방안 안전교육 유기용제는 밀페보관함에 별도보관 보호구 ( 방독마스크 , 방진마스크 , 청력보호구 ) 착용 및 개인위생관리

인력보충

병동 위험요인 주사바늘 상해

항암제 조제작업

환자 감염물로 인한 호흡기 질환

의료기기 사용중 감전사고 우려

환자처치시 허리통증 유발

포르말린 , 수은 (온도계 )

3 교대 근무로 인한 수면장애와 위장장애

병동

병동

병동

서울대병원 병동

병동 개선방안 주사바늘 수거함 설치 및 주사침자상 예방교육

병동내 항암조제 금지

정리정돈 및 요통예방운동

포르말린 보관 금지 및 취급시 주의사항 교육

행정직 유해요인 컴퓨터 장시간 사용에 따른 VDT 증후군 개선방안 올바른 자세 , 작업시간 조절

중앙공급실

유해요인 EO 가스 열소독 시 화상 면분진

중앙공급실

개선방안 물질안전보건자료비치 및 교육 보호구 ( 보호장갑 , 방진마스크 ) 환기시설 개선

수술실

유해요인 포르말린

라텍스 알러지

EO 가스

마취가스

수술기구 운반시 , 납가운 장시간착용시 , 장시간 수술시 근골격계 질환 유발

수술실

수술실

수술실 개선방안 포르말린 별도밀폐보관함 설치 및 유해성 교육

저단백 장갑 사용

이동성 EO 소독기 폐쇄 및 중앙시스템화

수술기구 운반용차

적절한 휴식

약제과

유해요인 약가루에 의한 분진 항암제 Mix 포르말린 , 이소프로필알콜 과중한 중량물 ( 수액박스 )

약제과

약제과

약제과

개선방안 집진기 추가설치 및 필터 정기점검

항암조제시 적절한 보호구 착용 (방진복 , 방진마스크 ) 및 순환근무

유기용제 별도 보관 및 교육

중량물 취급교육

응급실 , 경비실 , 정신과병동

유해요인 폭행 , 폭언에 무방비로 노출( 보건의료노조 , 2003 년 4 월 조합원설문지결과 :

폭언폭행경험자가 39.8%)

방지책 교양교육

대형병원의 의료종사자들의 질환 종류 미국 노동통계국 자료 (1996)

독성질환12%

기타2%

감염성 질환15%

사고성 재해34%

근골격계질환37%

병원노동자 근골격계 질환

병원노동자(61.4%) 가 금속노동자 (54%)

보다 높다 (2002 년

노동환경건강연구소 )

50

52

54

56

58

60

62

퍼센트

병원금속

근골격계질환 예방조치 의무화

산업안전보건법 개정 2003.7.1. 시행더 이상 미룰 수도 외면할수도 없는 실정병원사업장에 맞는 메뉴얼과 연구필요

고생하셨습니다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