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wonkwang/...와이브로-에 볼루션...

Post on 13-Jun-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s

Preview:

Click to see full reader

TRANSCRIPT

목차

I. 서론

II. LTE기술동향

III.해외 LET 투자 동향

IV.LTE서비스의 제공과 이동통신 요금제의 변화

V.결론 및 시사점

I.서론

• 2013년 현재 전세계 무선 이동통신 시장의 관심은

새로운 이동통신 규격, LTE

•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등 모바일 기기의 보급이 증가하면서 폭발적으로 늘어난 데이터 전송양을 기존의 무선 이동통신 방식으로는

더 이상 감당할 수 없기 때문

• 최근 들어 자주 발생하는 스마트폰 통화 끊김 현상이나 무선 인터넷 접속 불가 현상 등이 이러한 데이터 폭증 때문

• 국내외 이동통신 시장에서는 이를 개선하면서

데이터 전송 속도도 향상된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규격으로 전환하기 위해 노력

II. LTE기술동향

LTE(LongTerm Evolution) : HSDPA보다 한층 진화된 휴대전화 고속 무선데이터 패킷통신 규격으로, HSDPA의 진화된 규격인 HSDPA+와 함께 3.9세대 무선통신규격

1G 2G 3G pre-4G / 4G

접속방식 아날로그 GSM CDMA

WCDMA CDMA2000 와이브로

LTE / LTE-Advanced 와이브로-에

볼루션 (와이맥스2)

전송속도 - 14.4 ~ 64kb

ps 144kbps ~

2Mbps 100Mbps ~

1Gbps

전송형태 음성 음성/문자 음성/문자/동

영상 등 음성/문자/동

영상 등

다운로드 속도 (800MB 동영상)

다운로드 불가

약 6시간 약 10분 약 85초~6초

(이론적)

II.LTE기술동향 – LTE 주파수의 파편화(fragmentation)

• LTE용 주파수 대역은 각국의 주파수 정책이나 이동통신 진화과정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되고, 파편화 됨

• LTE는 기존의 2G 혹은 3G 주파수 대역, 2.6GHz 대역이나, 디지털 디비던드(Digital Dividend) 대역(700 혹은 800MHz)과

같은 신규 주파수 대역을 사용 가능

• 미국 : 700MHz대역, AWS(1.7/2.1GHZ) 대역 사용 및 구축 • 유럽 및 아시아 : 지리적 커버리지 확장 및 실내 성능 개선을 위해 디지털 디비던드(Digital

Dividend)를 사용

III. 해외 LTE 투자 동향 – LTE도입 현황

LTE 상용화 추이

100만 명 이상의 LTE가입자를 모집한 사업자는 미국의 Verizon, 일본의 NTT DoCoMo, 한국의 SKT, KT, LG U+

총 6개 사업자

III. 해외 LTE 투자 동향 – LTE투자의 주요 동인

기술적 요인

• 미래에도 3G 시스템의 경쟁력 유지에 대한 의문 • 고속의 데이터 전송속도에 대한 이용자들의 수요에 부응

• 패킷교환에 최적화된 시스템 구축 • CAPEX와 OPEX 등의 비용 절감

• 덜 복잡한 시스템의 구축

경제적 요인

• LTE에 기반한 신규 수입 창출 • 기술 선도를 통한 브랜드 가치구축

• 기존의 망으로는 용량이 부족 • 최초로 무선데이터 시장에 진입

즉, LTE를 구축하는 사업자는 신규수입을 창출하는 새로운 브로드밴드 서비스의 제공으로 보는 한편, LTE를 데이터 요금제 전략을 강화하는

3G의 연장선상에서의 전략으로 판단

III. 해외 LTE 투자 동향 – 주요국 이통사의 LTE 투자 전략 및 계획

1)미국

• Verizon과 AT&T : LTE 구축에 필요한 주파수를 할당받고, 기존의 레가시 망을 결합하여 시장상황에 맞춘 LTE 전략 적극 추진

• 미국의 3위 이동통신사업자인 Sprint :

“2013년 말까지 4G LTE 서비스를 전국망 구축하여 2.5억명의 커버리지를 확보 목표”

2)일본

• 일본의 1위 이동통신사업자 NTT DoCoMo : 얼리어답터들과 기업고객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LTE에 적극적으로 투자 ▶ 가입자 수의 급속한 증가

• 3G서비스를 조기에 출범시키면서 얻은 경험 및 바탕 일본 국내시장에서 선발자의 우위를 차지하려는 전략 구사

III. 해외 LTE 투자 동향 – 주요국 이통사의 LTE 투자 전략 및 계획

3)한국

• 2011년 7월 SK텔레콤, LG U+가 서울, 광역시, 수도권에서 상용 서비스 개시 2012년 1월 KT가 PCS 2G 서비스 종료를 기점으로 LTE서비스 개시

초기에는 LTE 네트워크 커버리지 협소 및 LTE 단말기 부족 등으로 서비스 확산 부진

• 2011년 10월에 LTE용 스마트폰 출시 된 이후 가파른 상승세

국내 사업자들의 실적이 세계에서 가장 빠름을 알 수 있다.

III. 해외 LTE 투자 동향 – 주요국 이통사의 LTE 투자 전략 및 계획

• 국내 이동통신사업자들의 LTE 전국망 구축은 2012년 상반기에 주요 읍면지역까지

모두 완료

• 전국 주요 도서지역 및 해상으로까지 LTE커버리지를 넓혀가고 있음

IV. LTE 서비스의 제공과 이동통신 요금제의 변화

1)미국

• 현재의 요금 체계는 개인이 사용하는 음성통화와 데이터 서비스 통화료가 별도 부과되는 방식

• 가족 내의 누구는 음성이 모자라고,

누구는 데이터가 모자라는 현상이 발생하는 구조 • 가족 통합 요금제를 실시하면 가족 단위의 음성 및 데이터 요금제에 가입하고

이를 가족 구성원들이 나눠 쓰게 되는 방식

• 음성통화량이 많은 부모와 상대적으로 데이터 통화량이 많은 자녀가 함께 가족들의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 제공량을 나눠 쓰는 방식

美 버라이즌, 가족요금제 고민중

IV. LTE 서비스의 제공과 이동통신 요금제의 변화

2)일본

• 일본의 경우 두 요금제 데이터 속도는 동일

• Xi 데이터 플랜 2년 같은 경우에는 2년 계약을 기본

• 조기 해약하는 경우 위약금 발생

IV. LTE 서비스의 제공과 이동통신 요금제의 변화

3)유럽

대체적으로 우리나라보다 저렴한 데이터 요금제

IV. LTE 서비스의 제공과 이동통신 요금제의 변화

4)한국

SK텔레콤 ‘T끼리 요금제 SKT T끼리 무제한 요금제 무료제공 내역 및 할인금액

V. 결론 및 시사점

1. 더욱 약화된 WiMAX(WiBro)

• LTE의 전 세계적인 보급 확대는 WiMAX(WiBro)의 입지를 좁아짐 • 주요국의 사업자들이 WiMAX(WiBro)가 아닌,

LTE를 4G 이동통신 표준으로 선택

• 단말기 다양성 확보가 여의치 않은 와이브로(WiBro)보다

LTE가 현실적 대안

• LTE가 와이브로보다 2.7조원 더 높은 생산유발효과

V. 결론 및 시사점

2.주파수 파편화에 따른 문제

• 전 세계의 이동통신사업자들은 자신들에게 유리한 LTE주파수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

• 주파수 파편화는 단말기 생산의 규모의 경제, 글로벌 로밍과 단말기 개발과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전 세계적으로 단말기 생산에 있어서의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기 위해

LTE주파수 대역을 조율하려는 움직임 예상

• 국가별, 사업자별 이해관계가 너무 복잡하게 얽혀 있어서 그 방향이나 정도를 예측 불가

V. 결론 및 시사점

3.데이터 무제한 요금제 축소?

• 한국 같은 경우 LTE 또한 데이터 무제한 상품 출시 • 기준 데이터 초과시 기존 LTE속도로 무제한 이용할 수있음

• 하루 3GB 초과시 속도를 제한

감사합니다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