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장 물적 유통 관리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seowon/chokyuho/9.pdf ·...

Post on 20-Jan-2020

4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s

Preview:

Click to see full reader

TRANSCRIPT

제9장 물적 유통 관리

교과목명 : 유통물류관리

1. 물적 유통의 개념과 중요성 이해

2. 물적 유통의 영역과 기능 이해

3. 물적 유통 관리와 최근 추세

학습목표

학습목표

학습목차

9.1 물적 유통의 개념

9.2 물적 유통의 중요성

9.3 물적 유통의 영역과 기능

9.4 물류관리의 최근 추세

9.5 물적 유통 관리과정

● 물적유통의 정의 · 물적유통의 범위 - 협의의 관점 : 생산지점으로부터 소비 또는 이용지점까지 재화의 이동을 관리하는 것 - 광의의 관점 : 원재료나 부품의 공급자 단계에서 생산단계를 거쳐 최종 최종소비자에게까지 물리적 재화가 전달되는 과정을 관리 하는 것

● 물적유통의 영역 - 조달물류 - 생산물류 - 판매물류

9.1 물적유통의 개념과 영역

< 그림 9-2 > 물적유통의 영역

9.2 물적유통의 영역과 기능

• 물적유통의 기능 -수송(transportation) -보관(storage) -재고관리(inventory control) -주문처리(order processing) -정보처리(시스템)

<그림 9-3> 물적유통시스템의 기능

9.2 물적유통의 영역과 기능

● 통합물류시스템의 도입 - 유통 총공급망 관리(Supply Chain Management: SCM) → 상품의 유통과정에 관여하는 모든 업체들이 공동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상품흐름에 관한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제반 물류비용의 절감에 의한 가격인하와 고가치 물류서비스를 달성하려는 전략 →의류산업의 QRS(Quick Response System)

→식품잡화산업의 ECR(Efficient Consumer Response)

9.3 물류관리의 최근 추세

고객서비스 향상 ● 물적유통관리의 목표 물류비용의 최소화

• 고객서비스 목표 - 재고이용 가능성(inventory availability)의 향상 →재고부족률(out of stock percentage), 재고이용률(instock percentage)의 측정 → 주문충족률(order-fill rate)의 측정 → 주문완전이행률(orders shipped complete)의 측정 - 서비스 제공능력(service capability)의 향상

→ 주문처리 업무의 속도, 일관성, 유연성의 향상 → 주문주기의 효율적 관리를 통해 고객서비스의 속도, 주문주기의 일관성, 서비스의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노력이 요구됨

9.4 물적유통 관리과정

[그림 9-5] 주문주기 구성요소

서비스 질(service quality)의 향상 : → 주문관련 작업들을 오류없이 수행할 수 있는 능력 비용 최소화 목표(총 물류비용 최소화) : → 수송관련비용과 재고관련 비용을 합한 총 물류비용의 최소화

9.4 물적유통 관리과정

[그림 9-7] 물류비용 항목

9.4 물적유통 관리과정

[그림 9-8] 총 물류비용 분석

물류비용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창고의수

총물류비용

재고비

수송비

9.4 물적유통 관리과정

●개별 물류활동의 관리

․ 재고결정

- 예상 고객수용에 맞추어 최소의 재고비용으로 적정량의 재고 유지 - 재고비용 = 재고유지비용 + 재고주문비용 + 재고부족비용

9.4 물적유통 관리과정

[그림 9-9] 주요 재고비용 항목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9.4 물적유통 관리과정

- 최적주문량의 결정 : 재고 유지비, 주문비, 재고부족비를 합한 총 주문비용이 최소가 되는 주문량

[그림 9-10] 최적주문량의 결정

Q* (최적주문량)

재고유지비

주문비

재고부족비

총주문비(재고유지비+주문비+재고부족비)

9.4 물적유통 관리과정

※경제적 주문량 공식

Q*=재주문량 D=연간수요량 S=주문비 I=평균재고유지비(C의 백분율로 표시됨) C=재고품의 단위당 가치(가격)

- 재주문시점의 결정 : 주문의 리더타임, 재고량에 대한 점검기간, 안전재고량등을 고려하여 결정 - 안전재고량 유지 : 고객의 재고부족에 대한 신속한 대응을 위한 여분의 안전재고 유지

9.4 물적유통 관리과정

․수송결정

- 수송수단의 유형 : 철도, 트럭, 해상운송, 파이프라인, 항공 * 피기백(piggy back) : 철도와 트럭을 함께 사용하는 수송방식

버디백(birdy back) : 트럭과 항공운송을 결합한 수송방식

[표 9-1] 수송수단별 이용현황

9.4 물적유통 관리과정

[표 9-2] 수송수단의 상대적 특성

9.4 물적유통 관리과정

수송의 효율적 관리 → 물량단위의 대형화

예) 복화수송시스템 : 기업이 물류센터나 거래처에 제품을 공급한 후 근접지역에 위치한 협력업체나 자사의 생산공장의 제품을 싣고 돌아오는 시스템

<CJ의 복화수송시스템>

9.4 물적유통 관리과정

→공동배송제의 확대 →계획수송․배송

→복합일괄수송 · 주문처리 결정 : 신속한 주문처리를 위한 주문처리 정보시스템의 도입 예) GE Direct Connect

· 포장 및 하역에 대한 결정

- 포장에 대한 결정

→ 포장의 기능 : 내용물 보호, 하역 및 보관의 용이성, 내용물의 식별 → 포장비의 절감, 효율적인 하역․보관․운반을 위한 포장의 규격화 및 표준화

9.4 물적유통 관리과정

<CJ의 포장 module화>

9.4 물적유통 관리과정

- 하역에 대한 결정 → 하역비의 절감을 위한 유니트로드 시스템의 도입

* 유니트로드(unit load) 시스템 : 화물을 일정한 중량이나 크기로 단위화 시켜 기계화된 하역작업과 일괄된 수송방식으로 물류의 여러 과정들을 표준화시키는 것

- 효과적 하역작업을 위해서는 포장규격, 팰리트규격 (KS규격: 가로 1,100mm, 세로 1,100mm), 컨테이너 규격의 통일화 및 하역장비(지게차 등)의 통일화가 요구됨

9.4 물적유통 관리과정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