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行遠自邇 登高自卑”701feel.daup.co.kr/util/공드림-국어미리보기.pdf ·...

30

Upload: others

Post on 22-Jun-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行遠自邇 登高自卑”갈 행 ․ 멀 원 ․ 부터 자 ․ 가까울 이 ․ 오를 등 ․ 높을 고 ․ 스스로 자 ․ 낮을 비 먼 곳을 가려면 가까운데서 부터 시작해야 하고, 높은 곳에 오르려면 낮은 데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이 말은 중용(中庸)에 나오는 말로, 모든 일에는 순서가 있다는 것을 뜻한다. ‘欲速則不達(욕속즉부달)’이라는 말도 있다.

    빨리 하려고 하면 이를 수 없다는 말이다.

    누구나 국어 공부를 잘하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누구나 국어에서 고득점 하는 것은 아니다.

    국어에서 좋은 성적을 내지 못하는 사람들은 왜일까?

    그것은 급하기 때문이다.

    빨리 무엇인가를 이루려고 하기 때문인 것이다.

    그래서 국어의 중요한 기초인 ‘한문’과 ‘문법’을 소홀히 대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모든 일에는 순서가 있고, 거쳐야 할 과정이 있다.

    국어에서 고득점 하고 싶다면 반드시 한문과 문법을 잘해야 한다.

    한문과 문법이 안 되면, 독해도 잘 안 된다.

    그런데 한문은 어렵다고 아예 기피하고, 문법은 깊게 공부하지 않는다면 과연 어떻게

    되겠는가?

    그 결과는 불을 보듯 뻔하지 않겠는가?

  • 합격한 친구들이 선생님을 찾아와선 이렇게들 말하곤 한다.

    “국어 때문에 붙었어요~”

    “한문 때문에 붙었어요~”

    그렇다. 그들은 거쳐야 할 기초 과정을 마다하지 않고 따랐던 것이다.

    그 어렵다는 한문을 포기하지 않았고, 남들이 얇게 공부하는 문법을 결코 가볍게 보지

    않고, 최근 경향에 맞추어 깊게 공부했던 것이다.

    한문이 어렵다고 하는 사람들에게 묻고 싶다.

    “한문, 어디까지 해 봤니?”

    “도대체 어디까지 해봤길래 어렵다고 하니?”

    “아무리 바빠도 바늘 허리 매어 못 쓴다.”고 하지 않았던가?

    국어 공부를 잘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하라.

    첫째, 들뜨지 말 것! 다시 말해 마음을 차분히 가라앉힐 것! 물고기도 성질이 급한

    놈은 더 빨리 죽는다는 사실을 잊지 말 것!

    둘째, 한자부터 한 글자, 한 글자 익힐 것! “천릿길도 한 걸음부터”라는 속담을 잊지

    말 것!

    셋째, 확신을 가질 것! 잔꾀를 부리지 않고 차근차근 공부해 나간다면 반드시 합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잊지 않을 것!

    그럼 도전해 보라.

    생각보다 훨씬 빨리 합격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 씀

  • Chapter 01 겹받침 발음법 5

    Chapter 02 주제 찾기 10

    Chapter 03 한자어 쓰기 20

    Chapter 04 문맥적 의미 24

    Chapter 05 두음법칙(頭音法則) 31

    Chapter 06 수필(隨筆) 36

    Chapter 07 시조(時調) 45

    Chapter 08 의존명사 띄어쓰기 55

    Chapter 09 글의 내용 파악하기 62

    Chapter 10 글의 순서 바로잡기 69

    Chapter 11 현대시 독해 75

    Chapter 12 사잇소리 현상 81

    Chapter 13 한자성어(漢字成語) 90

    Chapter 14 표준어 97

    Chapter 15 접미사가 붙은 말 103

    Chapter 16 기미독립선언서 109

    Chapter 17 언어의 일반성 114

    Chapter 18 비음화와 설측음화 124

    Chapter 19 높임법 129

    Chapter 20 부정부사의 띄어쓰기 134

  • Memo

    Memo

    5Chapter 01 겹받침 발음법

    C h a p t e r

    겹받침 발음법01출제비중 거의 매년 출제

    해결방법 ① 이론 : 10회 이상 반복 암기하기② 사례 : 5회 이상 연습하기③ 문제 : 5문제 이상 적용하기

    핵심이론

    ❙겹받침 중, 뒤의 것으로 발음하는 경우① 밟 + 자음

    참 ‘밟’ 뒤에 자음이 오는 경우, ‘ㄼ’ 중 ‘ㅂ’으로 발음한다.

    ② 넓 + 둥글다 / 죽하다 / 적하다

    참 ‘넓’ 뒤에 ‘둥글다 / 죽하다 / 적하다’가 오는 경우, ‘ㄼ’ 중, ‘ㅂ’으로

    발음한다.

    ③ ㄺ / ㄻ / ㄿ + 자음 / (어말음)

    참 ‘ㄺ/ㄻ/ㄿ’ 뒤에 자음이 오거나, ‘ㄺ/ㄻ/ㄿ’이 어말음일 때에는 ‘ㄺ/

    ㄻ/ㄿ’ 중, ‘ㄱ/ㅁ/ㅍ(ㅂ)’으로 발음한다.

    참 (용언어간) ㄺ + ㄱ → 뒤의 것으로 발음

    용언어간이 ‘ㄺ’으로 끝나고 그 뒤에 ‘ㄱ’이 온다면 ‘ㄹ’로 발음한다.

    ★★★★★

  • 합격을 기원합니다!

    6 2019 공무원 입문서 - 국어

    ❙기초이론다음과 같은 기초를 알아두면 편리하다.

    ① 유성음 : ㅁ, ㄴ, ㅇ, ㄹ, 모음

    무성음 : 유성음이 아닌 것

    ② 형식형태소 : 조사, 어미, 접사

    실질형태소 : 조어접이 아닌 것

    ③ 된소리되기

    ㉠ 무+무

    ㉡ 유(실) + 무(형)

    ㉢ (어미) ㄹ + 무

    ④ 연음법칙

    ㉠ 홑 / 쌍 + 모음(형식 형태소)

    ㉡ 겹(A + B) + 모음(형식 형태소)

    ㉢ 7 + 모음

    다음 단어의 표준 발음은?

    ① 밟 + 고 → [ ] ② 넓 + 둥글다 → [ ]

    ③ 읊 + 다 → [ ] ④ 짧 + 게 → [ ]

    ⑤ 맑 + 게 → [ ]

    ① 밟 + 고 → [ 밥꼬 ]② 넓 + 둥글다 → [ 넙뚱글다 ]③ 읊 + 다 → [ 읍따 ]④ 짧 + 게 → [ 짤게 ]⑤ 맑 + 게 → [ 말께 ]

    예제

  • Memo

    7Chapter 01 겹받침 발음법

    실전문제

    01 단어의 표기와 발음이 어문 규정상 옳은 것은?① 여덟-[여덥]

    ② 밟지 마-[발찌 마]

    ③ 넓둥글다-[널뚱글다]

    ④ 입에 묾-[이베 뭄]

    표준발음법④는 겹받침 ‘ㄻ’ 뒤에 아무것도 없으므로 어말음이다. 따라서 [뭄]으로 잘 발음하였다.틀린 발음을 맞게 고치면 다음과 같다.① 여덟 → [여덜]② 밟지 마 → [밥찌 마]③ 넓둥글다 → [넙뚱글다] 정답 ④

    02 발음이 올바른 것은?① 붉다[불따] ② 밟고[밥 ː 꼬]

    ③ 읊지[을찌] ④ 밝지[발찌]

    표준발음법②는 일단 ‘밟’ 뒤에 ‘자음’이 왔으므로 [밥]으로 발음한다. 그 다음 된소리되기가 진행되어 [밥꼬]로 발음한다.틀린 발음을 맞게 고치면 다음과 같다.① 붉다 → [북따]③ 읊지 → [읍찌]④ 밝지 → [밥찌] 정답 ②

    03 다음 중 발음이 옳지 않은 것은?① 잔디를 밟지[밥 ː 찌] 마시오.

    ② 오늘은 하늘이 맑게[말께] 갰네요.

    ③ 시간이 나면 책을 읽지[일찌] 그러니.

    ④ 넓고[널꼬] 넓은 바다가 기름으로 얼룩졌습니다.

    ★★☆

    ★★☆

    ★★☆

  • 합격을 기원합니다!

    8 2019 공무원 입문서 - 국어

    표준발음법③은 끝소리규칙과 된소리되기 규정이 차례대로 적용되므로, [익찌]로 읽는다.① 끝소리규칙과 된소리되기가 차례대로 적용된다.

    따라서 [밥찌]로 잘 발음하였다. ② 끝소리규칙과 된소리되기가 차례대로 적용된다.

    따라서 [말께]로 잘 발음하였다.④ 끝소리규칙과 된소리되기가 차례대로 적용된다.

    따라서 [널꼬]로 잘 발음하였다. 정답 ③

    04 밑줄 친 겹받침의 발음이 옳지 않은 것은? ① 가을 하늘은 참으로 맑다.[막따]

    ② 감이 익지 않아 대단히 떫다.[떨 ː 따]

    ③ 우리는 그 책을 읽고, 큰 감명을 받았다.[일꼬]

    ④ 그는 흥에 겨워 시를 읊고, 장구를 쳤다.[을꼬]

    표준발음법④ 겹받침 ‘ㄺ, ㄻ, ㄿ’ 뒤에 자음이 오는 경우는 뒤의 것으로 발음한다. 따라서 ‘읊고’는 [읍꼬]로 표기한다.① 맑다 → [막따]

    끝소리규칙과 된소리되기가 차례대로 적용된다.② 떫다 → [떨 ː 따]

    끝소리규칙과 된소리되기가 차례대로 적용된다.③ 읽고 → [일꼬]

    끝소리규칙과 된소리되기가 차례대로 적용된다. 정답 ④

    05 다음 단어들의 발음이 잘못된 것은?① 꿇고 → [꿀코] ② 밟다 → [발따]

    ③ 갉지 → [각찌] ④ 짧다 → [짤따]

    표준발음법②는 끝소리규칙(겹받침 발음법)과 된소리되기가 차례대로 적용되어, [밥따]로 발음한다.① 꿇고 → [꿀코]

    끝소리규칙과 자음축약이 동시에 적용될 조건일 때는 대체로 자음축약이 먼저 적용된다. 무엇이 우선 적용될 것인지는 발음을 해보면 알 수 있다. 발음이 더 자연스러운 것을 적용하면 된다. ‘꿇고’는 [꿀꼬]보다 [꿀코]가 더 자연스러우므로 [꿀코]를 표준발음으로 삼는 것이다.

    ③ 갉지 → [각찌]끝소리규칙과 된소리되기가 차례대로 적용된다.

    ④ 짧다 → [짤따]끝소리규칙과 된소리되기가 차례대로 적용된다. 정답 ②

    ★★☆

    ★★☆

  • Memo

    9Chapter 01 겹받침 발음법

    06 밑줄 친 표현의 발음이 옳지 않은 것은?① 통닭이[통달기] 맛있어 보입니다.

    ② 어느 새 하늘이 맑게[말께] 개었다.

    ③ 할아버지는 무릎을[무르플] 탁 치셨다.

    ④ 끝을[끄츨] 맞추어서 접어야 종이가 반듯하지.

    표준발음법④는 연음법칙에 따라 [끄틀]로 발음한다.① 통닭이 → [통달기]

    연음법칙 2번이 적용되므로 [통달기]로 잘 발음하였다.② 맑게 → [말께]

    끝소리규칙(겹받침 발음법)이 적용된 후, 다시 된소리되기가 적용된다.③ 무릎을 → [무르플]

    연음법칙 1번이 적용되므로 [통달기]로 잘 발음하였다. 정답 ④

    07 표준발음법에 맞는 것으로만 묶인 것은?① 닳지[달치], 밟게[밥 ː 께], 삯일[상닐]

    ② 떫다[떱 ː 따], 젊다[점 ː 따], 담요[담 ː 뇨]

    ③ 밟소[밥 ː 쏘], 흙과[흘꽈], 막일[마길]

    ④ 읊고[읍꼬], 여덟[여덥], 송별연[송 ː 벼련]

    표준발음법표준발음법에 모두 맞는 것은 ①이다.㉠ 닳 + 지 → [달치]

    자음축약이 우선 적용된다.㉡ 밟 + 게 → [밥께]

    끝소리규칙이 적용된 후 된소리되기가 적용된다.㉢ 삯 + 일 → [상닐]

    끝소리규칙이 적용된 후 → [삭 + 일]ㄴ이 첨가된 후 → [삭 + 닐]비음화가 적용된다. → [상닐]

    ② 떫다 → [떨 ː 따] : 끝소리규칙 → 된소리되기젊다 → [점 ː 따] : 끝소리규칙 → 된소리되기담요 → [담 ː 뇨] : ㄴ첨가

    ③ 밟소 → [밥 ː 쏘] : 끝소리규칙 → 된소리되기흙과 → [흑꽈] : 끝소리규칙 → 된소리되기막일 → [망닐] : ㄴ첨가 → 비음화

    ④ 읊고 → [읍꼬] : 끝소리규칙 → 된소리되기여덟 → [여덜] : 끝소리규칙송별연 → [송 ː 벼련] : 연음법칙 정답 ①

    ★★☆

    ★★☆

  • 합격을 기원합니다!

    합격을 기원합니다!

    10 2019 공무원 입문서 - 국어

    C h a p t e r

    주제 찾기02출제비중 거의 꼭 출제됨

    해결방법 ① 이론 : 주제 찾기 독해 원리 익히기② 연습 : 반드시 독해 원리를 이용하기③ 응용 : 원칙을 이용하여 3문제 정도 풀어보기

    핵심이론

    ❙단락 개수 확인하기① 단락이 여러 개면 끝 단락부터 본다.

    ② 끝 단락에서 내용이 파악되지 않으면 한 단락씩 위로 올라간다.

    ③ 단락이 하나이면 그 단락을 본다.

    ❙빠른 속도로 아래에서 위로 훑어 올라가며 써먹을 접속부사가 있는지 확인하기

    ① 전환, 역접, 인과, 환원 ․ 요약 관계의 접속부사가 있는지 확인한다.② 접속부사가 여럿이면 마지막 접속부사 뒤를 먼저 본다.

    ③ 내용이 파악되지 않으면 앞의 접속부사 뒤로 하나씩 올라간다.

    ❙‘화제 - 중심내용’을 파악한다.

    ★★★★☆

  • Memo

    11Chapter 02 주제 찾기

    01 다음 글의 제목으로 적절한 것은?

    ‘언어는 사고를 규정한다’고 주장하는 연구자들은 인간이 언어를

    통해 사물을 인지한다고 말한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 사람은 ‘벼’와

    ‘쌀’과 ‘밥’을 서로 다른 것으로 범주화하여 인식하는 반면, 에스키모

    인은 하늘에서 내리는 눈, 땅에 쌓인 눈, 얼음처럼 굳어서 이글루를

    지을 수 있는 눈을 서로 다른 것으로 범주화하여 파악한다. 이처럼

    언어는 사물을 자의적으로 범주화한다. 그래서 인간이 언어를 통해

    사물을 파악하는 방식도 다양할 수밖에 없다.

    ① 언어와 인지 ② 언어의 범주화

    ③ 언어의 다양성 ④ 한국어와 에스키모어

    글의 제목 파악㉠ 단락이 하나이다. : ㉡ 단계로 간다.㉡ 접속부사를 파악한다. : 마지막 문장 앞에 ‘그래서(인과)’라는 접속부사가 눈에

    띈다. 그 뒤를 본다.㉢ 언어를 통해 사물을 파악하는 방법(화제) - 다양(중심내용) : 즉, ‘언어를 통한

    사물의 인지’가 주제이다. 정답 ①

    ❙기초이론(접속부사)다음과 같이 접속부사에 대한 기초를 알아두면 더 좋다.

    유형 특징 사례

    전환 화제가 변함그런데, 그러면, 한편, 다음으로,

    여기에, 아무튼

    역접

    ㉠ 상반됨

    ㉡ 일치하지 않음

    ㉢ 더 강조함

    그러나, 그렇지만, 하지만, 그래도

    순접

    인과

    ㉠ 원인 - 결과

    ㉡ 근거 ․ 이유 - 귀결 ․ 결론㉢ 과정 - 결과

    그러므로, 그래서, 따라서,

    그렇기 때문에, 해서, 그러니,

    그러니까, 왜냐하면

    대등 ≒병렬그리고, 또, 또는, 및, 혹은,

    이와 함께

    첨가 = 보충, 부연그리고, 더구나, 게다가, 아울러,

    그뿐 아니라

    환언 내용은 같고, 표현만 바꿈 즉, 결국, 말하자면, 바꾸어 말하면

    요약 전술 내용의 요약즉, 결국, 말하자면, 바꾸어 말하면,

    요컨대

    예시 사례를 듦 예를 들면, 예컨대 등

    예제

  • 합격을 기원합니다!

    12 2019 공무원 입문서 - 국어

    02 다음 글의 제목으로 적절한 것은?

    우리는 비극을 즐긴다. 비극적인 희곡과 소설을 즐기고, 비극적인

    그림과 영화, 그리고 비극적인 음악과 유행가도 즐긴다. 슬픔, 애절,

    우수의 심연에 빠질 것을 알면서도 소포클레스의 ‘안티고네’, 셰익스

    피어의 ‘햄릿’을 찾고, 베토벤의 ‘운명’, 차이코프스키의 ‘비창’, 피카

    소의 ‘우는 연인’을 즐긴다. 아니면 텔레비전의 멜로드라마를 보고

    값싼 눈물이라도 흘린다. 이를 동정과 측은과 충격에 의한 ‘카타르시

    스’, 즉 마음의 세척으로 설명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장은 유명하다.

    그것은 마치 눈물로 스스로의 불안, 고민, 고통을 씻어내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니체의 견해는 좀 더 심각하다. 그는 “비극은 언제나 삶에 아주

    긴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비극은 사람들에게 그들을 싸고도는 생

    명 파멸의 비운을 똑바로 인식해야 할 부담을 덜어주고, 동시에 비극

    자체의 암울하고 음침한 원류에서 벗어나게 해서 그들의 삶의 흥취

    를 다시 돋우어 준다.”라고 하였다. 그런 비운을 전면으로 목격하는

    일, 더구나 직접 그것을 겪는 일은 너무나 끔찍하기에, 그것을 간접

    경험으로 희석한 비극을 봄으로써 ‘비운’이란 그런 것이라는 이해와

    측은지심을 갖게 되고, 동시에 실제 비극이 아닌 그 가상적인 환영

    (幻影) 속에서 비극에 대한 어떤 안도감도 맛보게 된다.

    ① 비극의 현대적 의의 ② 비극을 즐기는 이유

    ③ 비극의 기원과 역사 ④ 비극에 반영된 삶

    제목 정하기㉠ 두 개의 단락이다. : 둘째 단락부터 본다. 비극의 기능에 대한 내용이지만

    ①∼④에 없으므로, 위의 단락으로 올라간다.㉡ 접속부사를 발견할 수 없다. : 처음부터 독해한다.㉢ 우리(화제) - 비극을 즐김

    → 카타르시스를 획득(첫 단락) + 삶의 흥취(둘째 단락)(중심 내용) 정답 ②

    예제

  • Memo

    13Chapter 02 주제 찾기

    실전문제

    21세기 지식 문화 사회의 핵심 역량은 디지털 미디어에 기반한

    ‘커뮤니케이션 능력’이다. 디지털 기술이 하루가 다르게 진화하는 가

    운데, 삶의 질을 높이는 콘텐츠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바탕으로 창

    조 ․ 교환된다. 이른바 ‘문화 기술’이 지배하는 디지털 미디어 세상에서 우리는 새로운 정보 혁명의 중심에 서게 되었다. 20세기 중반만

    하더라도 산업화에 뒤져 있던 우리나라가 짧은 기간에 지식 사회의

    중심 국가로 성장한 힘의 원천은 무엇일까? 바로 한글이다.

    한글의 강점은 우선 ‘배우기 쉬운’ 문자 체계라는 점이다. 우리나라

    가 근대 산업 국가로 단기간에 진입할 수 있었던 것은 한글 보급,

    즉 문맹 퇴치에 따라 정보 대중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된 덕분이다.

    세종대왕이 훈민정음 창제 선언문에서 “모든 백성이 쉽게 배워 날마다

    쓰는 데 편안케 하고자 한다.”라고 밝힌 의도에 걸맞게, 한글은 정보

    대중화에 아주 적당한 배우기 쉬운 문자 체계이다. 유네스코가 문맹

    퇴치 공로상을 ‘세종대왕상’으로 정한 것은 우리나라의 비약적인 정보

    대중화가 한글에 크게 힘입었다는 것을 인정한 자연스러운 결과이다.

    ‘배우기 쉬운’ 문자라는 한글의 첫 번째 강점은 한글이 지니는 두

    번째 강점, 즉 ‘정보화에 유리한’ 문자 체계라는 점과 연결된다. 이는

    디지털 시대에 한글을 더욱 빛나게 하는 핵심 요인이다. 자국 언어를

    정보화하는 일의 중요성은 더 없이 크다. 한자와 가나를 혼용하는

    일본이 2차 세계 대전에서 미국에 패한 한 원인으로 타자기를 활용한

    알파벳과의 정보전에서 뒤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있을 정도다. 한글

    은 동아시아에서 유일하게 기계식 타자기에 입력이 용이한 음소 문자

    체계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나라가 쉽게 IT 강국으로 도약하는 기반

    을 이룰 수 있었던 배경이다. 중국어, 일본어와는 비교할 수 없는

    수준의 정보 대중화 능력을 태생적으로 갖추고 있는 것이다.

    한글 정보화의 과정에는 어려움도 있었다. 20세기 후반까지 한글

    기계화는 몇 가지 숙제를 안고 있었는데, ‘타자기 표준 자판 논쟁’(2벌식

    이냐, 4벌식이냐 등을 놓고 벌어짐)이나 ‘한글 풀어쓰기 논쟁’(초성 ․ 중성 ․ 종성을 나란히 늘어 쓰자는 것) 등이 이러한 어려움을 잘 대표한다. 그런데

    이 같은 타자기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생긴 문제들은 성능 좋은

    01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합격을 기원합니다!

    14 2019 공무원 입문서 - 국어

    컴퓨터가 보급되면서 자연스럽게 해소되었다.

    한글 창제 당시부터 이미 표기 원리에 내재되어 있던 ‘한글 오토마

    타’(한글의 초성과 종성을 컴퓨터가 자동적으로 인식하는 규칙)의 원리 덕분에

    한글 컴퓨터 자판은 지금과 같은 2벌식으로 정착될 수 있었기 때문이

    다. 특히 ‘가획(加劃, ㄱ에서 획수를 더하면 ㅋ과 ㄲ이 됨)’이나 ‘천지인’과

    같은 한글 창제의 기본 원리는 현재 휴대폰의 자판 입력 방식으로

    그대로 계승되었다. 결과적으로 현재와 같은 디지털 환경에서 우리는

    일본어, 중국어는 말할 것도 없고, 영어 알파벳 자판보다 더 우수한

    원리를 바탕으로 편리하게 정보화 생활을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자음

    과 모음의 자판이 분리되어 심리적으로 접근하기 쉬울 뿐 아니라 10개

    의 자판만으로도 손쉽게 글자를 조합할 수 있는 한글의 장점은 휴대폰

    문자 메시지(SMS) 서비스에 기반한 시장 영역을 점점 키우는 데 일익

    을 담당하고 있다.

    현재 모바일 인터넷이나 DMB 기기를 통한 정보의 생산과 교환

    활동은 하루가 다르게 증가하고 있다. 게임이나 영상물과 같은 엔터

    테인먼트 상품을 통한 정보 교환도 혁신에 혁신을 거듭하고 있다.

    다중 접속 온라인 게임이나 VOD와 같은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형태

    가 그 예이다.

    앞으로는 사람과 거의 비슷한 의사소통 능력을 가진 인공지능 로봇

    의 등장도 예상된다. 이 모든 발전의 중심에는 언제나 ‘배우기 쉽고

    정보화에 유리한’ 한글의 강점이 빛나고 있을 것이다. 한글 창제 560

    돌을 맞는 오늘, 시대를 앞서 간 세종의 철학과 언어학적 비범함에

    절로 고개가 숙여진다.

    ① 디지털 시대에 빛나는 한글

    ② 이젠 한글 표기법 독립 운동할 때

    ③ 한글의 표기 능력 확충을 위해

    ④ 한글로 세계 문명을 바꾸자.

    글의 제목 붙이기단락이 모두 7개이므로 일곱째 단락을 먼저 본다.써먹을 만한 접속부사가 없으므로 첫 문장부터 본다.둘째 문장이 주제문이다.㉠ 화제 : 한글의 강점㉡ 중심내용 : 빛남이러한 내용을 가장 잘 담고 있는 것은 ①이다.

    마지막 단락을 분석해 보자.㉠ 앞으로는 사람과 거의 비슷한 의사소통 능력을 가진 인공지능 로봇의 등장도

    예상된다. → 이 문장은 미래에 대한 전망을 밝히고 있으므로 전제이다. 따라서 삭제한다.

  • Memo

    15Chapter 02 주제 찾기

    ㉡ 이 모든 발전의 중심에는 언제나 ‘배우기 쉽고 정보화에 유리한’→ 관형사형 어미 ‘ㄴ’으로 끝났으므로 관형어이다. 삭제한다.

    ㉢ 한글의 강점이 빛나고 있을 것이다.→ 주제문이다.

    ㉣ 한글 창제 560돌을 맞는 오늘, 시대를 앞서 간 세종의 철학과 언어학적 비범함에 절로 고개가 숙여진다.→ 한글에 대한 내용이 아니므로 부연이다. 삭제한다. 정답 ①

    02 다음 글에서 글쓴이가 민족주의를 주장하는 근거로 가장 타당한 것은?

    일찍이 어느 민족 내에서나 혹은 종교로, 혹은 학설로, 혹은 경제

    적 ․ 정치적 이해의 충돌로 하여 두 파, 세 파로 갈려서 피로써 싸운 일이 없는 민족이 없거니와, 지내 놓고 보면 그것은 바람과 같이 지

    나가는 일시적인 것이요, 민족은 필경 바람 잔 뒤에 초목 모양으로

    뿌리와 가지를 서로 걸고 한 수풀을 이루어 살고 있다. 오늘날 소위

    좌우익(左右翼)이란 것도 결국 영원한 혈통의 바다에 일어나는 일시

    적인 풍파(風波)에 불과하다는 것을 잊어서는 아니 된다.

    이 모양으로 모든 사상도 가고 신앙(信仰)도 변한다. 그러나 혈통적

    인 민족만은 영원히 흥망성쇠(興亡盛衰)의 공동 운명의 인연에 얽힌

    한 몸으로 이 땅 위에 사는 것이다. - 김구, 「내가 원하는 나라」

    ① 민족 이외의 모든 사상과 신앙은 반드시 변하므로

    ② 어떤 경우라도 민족은 함께 살아가야 할 인연이므로

    ③ 같은 민족끼리는 결코 대립하거나 경쟁할 수 없으므로

    ④ 민족주의를 통해 이상적인 낙원을 건설할 수 있으므로

    주장의 근거단락이 2개이므로 두 번째 단락을 본다.밑에서 위로 훑어 나가며 ‘그러나’라는 접속부사를 발견한다.‘그러나’ 뒷부분에서 주제를 파악한다.㉠ 화제 : 민족㉡ 중심내용 : 한 몸으로 사는 것이러한 내용을 잘 담고 있는 것은 ②임을 알 수 있다.

    둘째 단락을 분석해 보자.㉠ 이 모양으로 모든 사상도 가고 신앙(信仰)도 변한다.

    → ‘그러나’ 앞 부분이므로 삭제한다.㉡ 그러나 혈통적인 민족만은 영원히 흥망성쇠의 공동 운명의 인연에 얽힌 한 몸

    으로 이 땅 위에 사는 것이다.→ 주제문이다. 화제와 중심내용을 간추린다. 정답 ②

    ★★☆

  • 합격을 기원합니다!

    16 2019 공무원 입문서 - 국어

    03 다음 글의 필자가 말하고자 하는 취지에 가장 알맞은 것은?

    우리네 학교 교육은, 그러니까 시작하던 그 때부터 우리말과 우리

    삶을 떠나 있었습니다. 학교에 가서 교육을 받는다는 것은 언제나

    우리말과 우리 삶을 버리고 떠나는 것이었으므로, 교육을 많이 받으

    면 받을수록 우리말과 우리 얼로부터 멀어지고 육신마저 집과 고향을

    멀리 떠나게 마련이었습니다. 제 것을 버리고 무시하고 떠나게 만드

    는 것이야말로 우리 교육이 오래도록 걸어온 길이었기에, 학교 교육

    을 받은 시간의 길이와 내 것을 버리고 떠나간 마음과 공간의 거리가

    늘 비례했습니다. 높은 학교까지 가서 많이 배운 사람은 반드시 고향

    을 버리고 멀리 떠나가 살아야 마땅한 것으로 여기다 보니, 어쩌다가

    그런 사람이 고향으로 돌아와 살고자 하면 모두들 업신여겼습니다.

    쓸모없이 버려진 사람으로 보고 그의 공부가 헛되었다고 안타까워했

    습니다. 참으로 서글픈 교육의 역사입니다.

    ① 올바른 교육은 언제나 우리 삶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해야 한다.

    ② 올바른 교육은 제 것보다 남의 것을 받아들이는 것을 중시해야 한다.

    ③ 올바른 교육을 받은 사람은 누구나 고향에 돌아와 봉사해야 한다.

    ④ 올바른 교육은 모름지기 자기 것에 바탕을 두어야 한다.

    필자의 취지 파악단락이 하나이므로 이 단락을 그냥 본다.써먹을 만한 접속어가 없으므로 첫째 문장부터 본다.㉠ 화제 : 학교 교육㉡ 중심내용 : 우리말, 우리 삶과 유리됨따라서 이와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은 ④임을 알 수 있다.

    주어진 지문을 분석해 보자.㉠ 우리네 학교 교육은, 그러니까 시작하던 그 때부터 우리말과 우리 삶을 떠나 있었

    습니다.→ 끝까지 읽어봐도 문제점만 지적하고 있으므로, 첫째 문장의 내용을 간추린다.

    ㉡ 학교에 가서 교육을 받는다는 것은 언제나 우리말과 우리 삶을 버리고 떠나는 것이었으므로, 교육을 많이 받으면 받을수록 우리말과 우리 얼로부터 멀어지고 육신마저 집과 고향을 멀리 떠나게 마련이었습니다.제 것을 버리고 무시하고 떠나게 만드는 것이야말로 우리 교육이 오래도록 걸어온 길이었기에, 학교 교육을 받은 시간의 길이와 내 것을 버리고 떠나간 마음과 공간의 거리가 늘 비례했습니다.높은 학교까지 가서 많이 배운 사람은 반드시 고향을 버리고 멀리 떠나가 살아야 마땅한 것으로 여기다 보니 어쩌다가 그런 사람이 고향으로 돌아와 살고자 하면 모두들 업신여겼습니다.쓸모없이 버려진 사람으로 보고 그의 공부가 헛되었다고 안타까워했습니다.→ ㉠과 동일하거나 관련되는 내용이므로 삭제한다.

    ㉢ 참으로 서글픈 교육의 역사입니다. → ㉠에 대한 부정적 평가이다.이를 바탕으로 ㉠에 대한 대책이 주제이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정답 ④

    ★★☆

  • Memo

    17Chapter 02 주제 찾기

    04 다음에서 글쓴이가 궁극적으로 주장하는 것은?

    이 지구상에는 약 6,700여 가지 언어가 있다. 현재 인류가 사용하

    고 있는 문자는 한글을 비롯하여,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등을 적는

    로마자, 러시아어와 몽골어를 적는 키릴 문자, 인도의 힌디어를 적는

    데바나가리 문자, 아랍어를 적는 아랍 문자, 일본어를 적는 가나 문

    자, 그리고 그리스 문자, 히브리 문자, 태국 문자 등 크게 30여 가지

    다. 문자 없이 언어 생활을 하는 종족들은 자신들의 역사나 문화를

    문자로 기록하지 못하기 때문에 문명 세계로 나오지 못하고 있다.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과 인간 발성(發聲)의 원리를 바탕으로 만든

    한글은 지금까지 존재한 세계 여러 문자 가운데서도 가장 체계적이고

    과학적이며, 음성 자질이 문자 형태에 반영된 오묘하고도 신비스러운

    문자다. 옆으로 풀어쓰기도 가능하고, 자음과 모음을 서로 조화롭게

    결합시켜 음절 단위로 묶는 모아쓰기도 가능하며, 가로쓰기와 세로쓰

    기가 모두 가능하다. 한글의 기본 모음과 자음에 가획과 결합 원리를

    적용하면 수많은 소리를 적을 수 있는 새로운 문자들을 다시 만들어

    낼 수 있어 인간 음성의 대부분을 기록할 수 있다. 한글은 참으로

    배우기 쉽고 쓰기 간편해서 누구나 편리하게 익혀 읽고 쓸 수 있고,

    인간의 어떤 언어라도 거의 다 원음에 가깝게 표기할 수 있다는 장점

    을 가지고 있다.

    21세기 정보 통신 시대를 맞이하여 이제 우리는 한글이 전 세계인

    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문자가 되도록 여러 가지 노력을 기울여야 한

    다. 문자 없는 소수 종족의 언어들을 기록하게 도와주는 것을 비롯하

    여, 현재 배우기도 어렵고 정보화에도 장애가 많은 문자를 쓰는 중국

    어나 힌디어, 태국어, 아랍어 등을 포함한 세계의 여러 언어들을 간편

    한 한글로 표기하도록 세계 문자로서 한글의 위상을 세워 가야 한다.

    한글 세계화로 이제 우리는 선진 문화 강국의 초석을 다지면서 온

    세계 인류의 복지와 문명을 발전시키는 데 앞장서야 한다.

    ① 한국어는 세계 모든 언어 중에서 가장 훌륭하다.

    ② 지구상의 많은 언어들은 한국어로 통일되어야 한다.

    ③ 우수한 문자로서 한글의 세계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④ 한글은 매우 독창적이고 과학적으로 창제되었다.

    ★★☆지방직 9급 기출

  • 합격을 기원합니다!

    18 2019 공무원 입문서 - 국어

    글쓴이의 궁극적 주장단락이 3개이므로 셋째 단락을 본다.써먹을 만한 접속어가 없으므로 첫째 문장을 본다.㉠ 화제 : 우리㉡ 중심내용 : 한글을 세계 공용어가 되도록 노력하여야 함이와 같은 내용을 가장 잘 담고 있는 것은 ③이다.

    셋째 단락을 분석해 보자.㉠ 21세기 정보 통신 시대를 맞이하여 이제 우리는 한글이 전 세계인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문자가 되도록 여러 가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당위성 보조용언 ‘∼해야 한다’가 사용되었으므로 주제문이다. 화제와 중심

    내용을 간추린다.㉡ 문자 없는 소수 종족의 언어들을 기록하게 도와주는 것을 비롯하여, 현재 배우

    기도 어렵고 정보화에도 장애가 많은 문자를 쓰는 중국어나 힌디어, 태국어, 아랍어 등을 포함한 세계의 여러 언어들을 간편한 한글로 표기하도록 세계 문자로서 한글의 위상을 세워 가야 한다.한글 세계화로 이제 우리는 선진 문화 강국의 초석을 다지면서 온 세계 인류의 복지와 문명을 발전시키는 데 앞장서야 한다.→ 이상의 두 문장은 ㉠이 주제이므로 삭제한다. 정답 ③

    05 다음 글을 읽고 난 후의 반응으로 적절한 것은?

    텔레비전은 어른이나 아이 모두 함께 보는 매체이다. 더구나 텔레

    비전을 보고 이해하는 데는 인쇄 문화처럼 어려운 문제 해득력이나

    추상력이 필요 없다. 그래서 아이들은 어른에게서보다 텔레비전이나

    컴퓨터에서 더 많은 것을 배운다. 이 때문에 오늘날의 어린이나 젊은

    이들에게서 어른에 대한 외포나 존경을 찾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전통적인 역할과 행동을 기대하는 어른들이 어린이나 젊은이의 불손,

    거만, 경망, 무분별한 ‘반사회적’ 행동에 대해 불평하게 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① 전자미디어가 정보 사회를 선도해 나가는군.

    ② 전자미디어가 인간을 쓸데없는 노동에서 해방시켜 주는군.

    ③ 전자미디어는 사회 체제에 크고 작은 변화를 유발하는군.

    ④ 전자미디어는 인간이 자신의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발명하

    였군.

    ★☆☆지방직 9급 기출

  • Memo

    19Chapter 02 주제 찾기

    독자의 반응 추리단락이 하나이므로 이 단락을 그냥 본다.셋째 문장에 나오는 접속어 ‘그래서’ 뒷부분을 본다.㉠ 화제 : 아이들㉡ 중심내용 : 어른에 대한 외포나 존경을 갖지 않음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독자의 반응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③이다. 즉 전자미디어는 사회적 위계질서에 영향을 끼쳤던 것이다.

    ‘그래서’ 뒷부분을 분석해 보자.㉠ 그래서 아이들은 어른에게서보다 텔레비전이나 컴퓨터에서 더 많은 것을 배운다.

    → ‘이 때문에’라는 문구 앞의 문장이므로, 문제의 원인에 해당한다. 전제에 해당하므로 삭제한다.

    ㉡ 이 때문에 오늘날의 어린이나 젊은이들에게서 어른에 대한 외포나 존경을 찾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의 결과이다. 뒷부분에 해결책이 없으므로, 이 문장을 중심문장으로 놓고

    화제와 중심내용을 파악한다.㉢ 전통적인 역할과 행동을 기대하는 어른들이 어린이나 젊은이의 불손, 거만, 경

    망, 무분별한 ‘반사회적’ 행동에 대해 불평하게 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과 동일한 내용이므로 삭제한다. 정답 ③

  • 합격을 기원합니다!

    합격을 기원합니다!

    20 2019 공무원 입문서 - 국어

    C h a p t e r

    한자어 쓰기03출제비중 ① 매우 자주 출제됨

    ② 이 문제 유형이 합격과 불합격을 가를 수 있음

    해결방법 ① 기초 : 한자를 익힌다.② 이론 : (실용문 독해를 하듯이) 한자어가 들어 있는 문장의 문맥 파악하기③ 연습 : 이러한 문제 유형 매일 5개 이상 연습하기④ 응용 : 기출문제에서 10문제 이상 풀어보기

    만약 잘 풀리지 않거나 틀리는 문제가 많다면 한자를 많이 익히지 못한

    것이니, 한자를 더 많이 익힐 것

    핵심이론

    ① 주어진 문장의 문맥 파악

    ② 주어진 한자가 그 문맥과 호응하는지 여부 파악

    ❙기초이론① 기본한자

    ㉠ 情 : 마음 정話 : 말 화

    ㉡ 贖 : 물어줄 속罪 : 죄지을 죄

    ㉢ 死 : 죽을 사滅 : 사라질 멸

    ㉣ 避 : 피할 피動 : 움직일 동

    ㉤ 盛 : 성할 성衰 : 쇠할 쇠

    ★★★★★

  • Memo

    21Chapter 03 한자어 쓰기

    ② 심화한자

    ㉠ 粱 : 차조 량洋 : 바다 양梁 : 들보 량陽 : 언덕에 비친 빛 양

    ㉡ 顧 : 돌아볼 고拷 : 때릴 고問 : 물을 문文 : 글월 문

    ㉢ 根 : 뿌리 근近 : 가까울 근據 : 의거할 거去 : 갈 거

    ㉣ 啓 : 열 계開 : 열 개制 : 마를 제製 : 만들 제

    ㉤ 龜 : 거북 귀 ․ 갈라질 균裂 : 찢어질 렬均 : 고를 균烈 : 세찰 렬

    밑줄 친 한자의 표기가 맞으면 ◦, 틀리면 × 하라.

    ① 폐수로 더러워진 강물이 情話되었다.( )

    ② 일본은 과거의 만행을 반성하고 贖罪해야 한다.( )

    ③ 인간의 육신은 일정한 기간에 이르면 死滅한다.( )

    ④ 避動적 생활 태도에서 벗어나 능동적으로 살아 봐라.( )

    ⑤ 학문은 문화의 盛衰에 관건이 된다.( )

    정답 ① × ② 〇 ③ 〇 ④ × ⑤ 〇

    예제

  • 합격을 기원합니다!

    22 2019 공무원 입문서 - 국어

    실전문제

    01 한자성어 ‘양상군자’를 바르게 표기한 것은?① 粱上君子 ② 洋上君子 ③ 梁上君子 ④ 陽上君子

    문맥에 어울리는 한자어‘양상군자’는 ‘들보 위의 군자’라는 뜻으로, 도둑을 완곡하게 이르는 말이다. 따라서 ③의 ‘들보 량’이 문맥에 어울린다.① 粱 : 차조 량② 洋 : 큰 바다 양④ 陽 : 언덕에 비친 빛 양 정답 ③

    02 다음을 한자로 바르게 쓴 것은?

    靈惡한 後世들이 將軍을 배기가스 속에 세워 놓고 고문했다.

    ① 顧問 ② 顧文 ③ 拷問 ④ 拷文

    문맥에 어울리는 한자어‘고문’은 숨기고 있는 사실을 강제로 알아내기 위하여 육체적 ․ 정신적 고통을 주며 신문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③처럼 ‘때릴 고’와 ‘물을 문’을 쓰는 것이 적절하다.① 顧 : 돌아볼 고② 文 : 글월 문 정답 ③

    03 밑줄 친 단어의 한자 표기가 옳은 것은?

    도대체(都大體) 당신(當身)은 무슨 근거로 그렇게 주장(主張)하는 겁

    니까?

    ① 根據 ② 近去 ③ 根去 ④ 近據

    문맥에 어울리는 한자어‘근거’는 어떤 일이나 의논 ․ 의견에 그 근본이 됨, 또는 그런 까닭을 말한다. 따라서 ①처럼 ‘뿌리 ․ 근본 근’과 ‘의거할 거’가 문맥에 어울리다.② 近 : 가까울 근, 去 : 갈 거 정답 ①

    ★★☆

    ★★★

    ★★★

    서울시 9급 기출 응용

    서울시 7급 기출 응용

    지방직 7급 기출 응용

  • Memo

    23Chapter 03 한자어 쓰기

    04 괄호 안에 들어갈 한자를 순서대로 바르게 짝지은 것은?

    중국은 현재 표준화된 DVD를 좀 더 발전시켜 EVD라고 불리는

    디스크를 (가)( ㉠ 開發 ㉡ 啓發 )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를

    위해 올해만 해도 약 13억 달러 정도의 투자 지원 계획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중국은 자신들이 (나)( ㉢ 製作 ㉣ 制作 )한 디스크에

    자체적으로 개발한 플레이어 음악과 영화를 감상하길 원한다.

    ① ㉠, ㉢ ② ㉠, ㉣

    ③ ㉡, ㉢ ④ ㉡, ㉣

    문맥에 어울리는 한자어‘㉠ 토지나 천연자원 따위를 유용하게 만듦. ㉡ 지식이나 재능 따위를 발달하게 함. ㉢ 산업이나 경제 따위를 발전하게 함. ㉣ 새로운 물건을 만들거나 새로운 생각을 내어놓음’을 뜻할 때는 ‘開發(개발)’을 쓴다. 여기서는 ㉣의 뜻으로 쓰였다.또 ‘재료를 가지고 기능과 내용을 가진 새로운 물건이나 예술 작품을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은 ‘製作(제작)’으로 쓴다.

    ㉡ 啓發(계발) : 슬기나 재능, 사상 따위를 일깨워 주는 것㉣ 制作(제작) : 규정이나 법식 따위를 생각하여 정함 정답 ①

    05 밑줄 친 단어의 한자 표기가 옳은 것은?

    비자반은 그 균열의 성질 여하에 따라서는 일급품 바둑판이 목침

    (木枕)감으로 전락해 버릴 수도 있다.

    ① 龜烈 ② 均裂

    ③ 龜裂 ④ 均烈

    문맥에 어울리는 한자어‘거북의 등에 있는 무늬처럼 갈라져 터지는 것’을 나타내는 말은 ‘龜裂(균열)’로 적는다.∙ 龜 : 거북 귀, 갈라질 균∙ 裂 : 찢어질 열(렬)∙ 均 : 고를 균∙ 烈 : 세찰 렬 정답 ③

    ★★☆

    ★★☆

    지방직 7급 기출

    지방직 9급 기출

  • 합격을 기원합니다!

    합격을 기원합니다!

    24 2019 공무원 입문서 - 국어

    C h a p t e r

    문맥적 의미04출제비중 3∼7문항씩 반드시 출제됨

    해결방법 ① ㉠ 유형과 해결 방법을 확실히 숙지할 것㉡ 반드시 원리로 풀겠다고 다짐, 다짐, 다짐 또 다짐할 것

    ② 연습 : 기출문제 3문제 정도 연습③ 응용 : 실전문제 5문제 이상 풀기

    핵심이론

    ❙유형___________, ( )

    ❙해결앞뒤 문맥 파악 → ‘화제 - 중심내용’ 찾기

    ❙도움이 될 수 있는 것들① 구

    ⓐ 수 + 피

    ⓑ 수 + 수 + 수 + 피

    ⓒ 수 + 피

    ⓓ 수 + 수 + 수 + 피

    ★★★★★

  • Memo

    25Chapter 04 문맥적 의미

    01 밑줄 친 ‘그러한 예’가 뜻하는 것은?

    그러므로 어느 의미에서는 고정불변의 신비로운 전통이라는 것이

    존재한다기보다 오히려 우리 자신이 전통을 찾아내고 창조한다고 할

    수가 있다. 따라서 과거에는 훌륭한 문화적 전통의 소산으로 생각되던

    것이, 후대에는 버림을 받게 되는 예도 허다하다. 과거에는 돌보아지

    지 않던 것이 후대에 높이 평가되는 일도 한두 가지가 아니다.

    연암의 문학은 바로 그러한 예이다.

    ① 당대보다 후대에 높이 평가받음

    ② 당대에는 인정받았지만 후대에 인정받지 못함

    ③ 당대와 후대에 모두 인정받음

    ④ 시대에 국한되어 인정받음

    어휘의 의미-문맥적 의미지시어는 거리 개념과 전술 언급의 기능이 있다. ‘그러한 예’에서 ‘그러하다’는 지시 형용사이다. 따라서 지시 대상은 ‘그러한’의 앞에 나오는 ‘과거에는 돌보아지지 않던 것이 후대에 높이 평가되는 일’이다. 정답 ①

    02 다음 중, ㉠과 같은 행위에 대해 비판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는 것은?

    송충이가 밀림을 이루는 소나무의 잎을 먹어서 해를 주어도 공해

    라고는 하지 않는다. 그러나 인간송충이들이 지능적으로 산의 나무

    들을 남벌할 경우에는 산을 헐벗게 하고, 가물면 수원의 고갈, 장마

    가 지면 산사태에 홍수를 불러온다. 이리하여 우리 인간에게 직접,

    간접으로 막심한 해를 끼친다. 이와 같이, ㉠ 인위적으로 자연 환경

    을 파괴함으로써 인간의 생명을 직접, 간접으로 위협하는 것을 공해

    라고 한다.

    ① 푸른 하늘에 닿을 듯이

    세월에 불타고 우뚝 남아서서

    차라리 봄도 꽃피진 말아라. - 이육사, ‘교목(橋木)’

    ② 문장 : S + O / C / ad + P

    ③ 인과 : 인 + 과 ④ 유추 : 원 + 보

    예제

  • 합격을 기원합니다!

    26 2019 공무원 입문서 - 국어

    ② 아름다운 나무의 꽃이 시듦을 보시고

    열매를 맺게 하신 당신은

    나의 웃음을 만드신 후에

    새로이 나의 눈물 지어 주시다. -김현승, ‘눈물’

    ③ 성북동 산에 번지가 생기면서

    본래 살던 성북동 비둘기만이 번지가 없어졌다.

    새벽부터 돌 깨는 살울림에 떨다가

    가슴에 금이 갔다. -김광섭, ‘성북동 비둘기’

    ④ 오렌지에 아무도 손을 댈 순 없다.

    오렌지는 여기 있는 이대로의 오렌지다.

    더도 덜도 할 수 없는 오렌지다.

    내가 보는 오렌지가 나를 보고 있다. -신동집, ‘오렌지’

    어휘의 의미-문맥적 의미③ 김광섭의 ‘성북동 비둘기’는 현대 물질문명으로 인한 자연 파괴와 인간성 상실

    을 비판적으로 형상화한 시이다.① 부정적 현실에 저항하는 단호한 의지② 순수한 삶에의 소망④ 존재의 진정한 의미 추구 정답 ③

    03 다음 글에서 ( ) 안에 차례대로 들어갈 말로 적절한 것은?

    우리는 ‘미디어가 곧 메시지’라는 맥루한의 유명한 말을 기억한다.

    즉, 의사소통에 어떤 ( )을/를 쓰느냐가 의사소통의 ( )을/

    를 크게 좌우한다는 것이다. 이것을 연장해 보면, 의사 전달이 의사의

    내용을 각색하고, 그런 환경 속에서 각자의 역할이 이전과 달리 각색된

    다는 생각에 이르게 된다.

    ① 내용, 수단 ② 수단, 내용

    ③ 방법, 의미 ④ 의미, 방법

    어휘의 의미-문맥적 의미‘미디어’는 수단, ‘메시지’는 내용을 말한다. 즉, 수단이 내용을 결정한다는 뜻이다.

    정답 ②

  • Memo

    27Chapter 04 문맥적 의미

    실전문제

    01 밑줄 친 부분의 궁극적 의미는?

    인간이 이 세상에서 귀하다고 하는 것은 정성 때문이니, 전혀 속임

    이 있어서는 안 된다. 하늘을 속이면 제일 나쁜 일이고, 임금이나

    어버이를 속이거나 농부가 같은 농부를 속이고 상인이 동업자를 속이

    면 모두 죄를 짓게 되는 것이다. 단 한 가지 속일 수 있는 일이 있다면

    그건 자기의 입과 입술이다. 아무리 맛없는 음식도 맛있게 생각하여

    입과 입술을 속여서 잠깐만 지내고 보면 배고픔은 가셔서 주림을 면

    할 수 있을 것이니, 이러해야만 가난을 이기는 방법이 된다.

    금년 여름에 내가 다산(茶山)에서 지내며 상추로 밥을 싸서 덩이를

    삼키고 있을 때 구경하던 옆 사람이 “상추로 싸먹는 것과 김치 담가

    먹는 것은 차이가 있는 겁니까?”라고 물었다. 그래서 나는 거기에

    답해 “그건 사람이 자기 입을 속여 먹는 방법입니다.”라고 말하여

    적은 음식을 배부르게 먹는 방법에 대하여 이야기해 준 적이 있다.

    - 정약용,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① 가난한 생활 처지를 극복하는 방법

    ② 맛없는 것을 맛있게 먹는 방법

    ③ 음식을 배부르게 먹는 방법

    ④ 정성을 들여 음식을 먹는 방법

    문맥적 의미이 글의 첫째 단락에서 필자는 “아무리 맛없는 음식도 맛있게 생각하여 입과 입술을 속여서 잠깐만 지내고 보면 배고픔은 가셔서 주림을 면할 수 있을 것이니, 이러해야만 가난을 이기는 방법이 된다.”라고 말하고 있다. 따라서 밑줄 친 부분의 의미는 한 마디로 ‘가난을 이기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화제 : 그건(맛없는 것을 맛있게 먹는 방법)㉡ 중심내용 : 자기 입을 속여 먹는 방법(상추로 밥을 싸서 먹는 방법)

    밑줄 친 부분의 앞뒤 문맥을 봐서는 답을 낼 수 없다. 이렇게 앞뒤 문맥으로 그 의미를 파악하기 어려울 때는 더욱 풍부하게 읽어 보아야 한다. 이 글은 첫째 단락까지 읽어 보아야만 밑줄 친 부분의 의미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다.

    정답 ①

    ★☆☆국가직 7급 기출

  • 합격을 기원합니다!

    28 2019 공무원 입문서 - 국어

    02 밑줄 친 ㉠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간디는 절대로 몽상가는 아니다. 그가 말한 것은 폭력을 통해서는

    인도의 해방도, 보편적인 인간 해방도 없다는 것이었다. 민족 해방은

    단지 외국 지배자의 퇴각을 의미하는 것일 수는 없다. 참다운 해방은

    지배와 착취와 억압의 구조를 타파하고 그 구조에 길들여져 온 심리

    적 습관과 욕망을 뿌리로부터 변화시키는 일 ― 다시 말하여 일체의

    ㉠ ‘칼의 교의(敎義)’로부터의 초월을 실현하는 것이다.

    ① 자연과 인간은 동등한 가치를 지닌 대상이다.

    ② 가까운 거리도 걷지 않고 자동차를 타고 간다.

    ③ 물질적인 생활수준이 높은 삶이 가치가 있다.

    ④ 유행에 따라 새롭게 등장하는 상품을 사고 싶다.

    어휘의 의미-문맥적 의미①처럼 자연과 인간을 동등하게 보는 것은 ㉠ ‘칼의 교의’와 무관한 가치관이다.㉠ ‘칼의 교의’는 문맥적 뜻에 따르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둘째 문장) 폭력∙ (넷째 문장) 지배와 착취와 억압의 구조∙ (넷째 문장) 지배와 착취와 억압의 구조에 길들여져 온 심리적 습관과 욕망

    정답 ①

    03 ㉠의 문맥적 의미로 가장 알맞은 것은?

    국악에 느린 곡이 많다는 것은 우리 민족이 하나하나의 음을 서양

    사람들보다 깊이 있게 음미했기 때문이다. 빠른 음악에서는 여러 음

    이 모여 어떤 모양을 이루느냐가 중요하지만 느린 음악에서는 한 음

    의 모습과 가치가 중요해지는 것이다. 그래서 양악에서는 음들이 일

    정한 규격의 벽돌처럼 취급되어 여러 음으로 구축물을 쌓아 올리는

    방법을 사용하는 데 반하여, 국악에서는 음들이 각기 특이한 형태의

    자연석처럼 존재하기 때문에 이러한 ㉠ 자연석으로 정원을 꾸미는

    식으로 음악을 만드는 것이다. 국악의 참맛은 느린 음악에 있다.

    ① 일정한 틀에 구속되지 않는 방식

    ② 연주자의 개성을 살리는 방식

    ③ 음 하나하나가 조화를 이루는 방식

    ④ 음 하나하나의 가치가 최대한 발휘되는 방식

    ★☆☆

    ★☆☆

  • Memo

    29Chapter 04 문맥적 의미

    어휘의 의미-문맥적 의미이 글은 마지막 문장이 주제문이다.국악의 참맛이 느린 음악에 있는 근거로 필자는 첫째, 음을 깊이 있게 음미했기 때문이며, 둘째, 음들이 각기 특이한 형태의 자연석처럼 존재하기 때문임을 들었다.따라서 밑줄 친 부분의 문맥적 의미는 음 하나하나의 가치가 최대한 발휘되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① 지나치게 막연한 표현이다.② 연주자의 개성을 살리는 것이 아니고, 각각의 음들의 개성을 살리는 것이다.③ 서양음악의 특징이다. 서양 음악을 설명하고 있는 둘째 문장의 “여러 음이 모여

    어떤 모양을 이루느냐가 중요”에서 알 수 있다. 정답 ④

    04 ㉠과 ㉡에 각각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사람이 온갖 편견을 극복하고 객관적인 결론을 이끌어 내는 일은

    생각보다 훨씬 어렵다. 올바른 과학 방법으로 객관적인 결론을 내리

    려고 노력하는 경우에도 그 결론이 잘못될 수 있는 것이 과학의 한계

    이다. 그러나 많은 경우에는 과학자의 그릇된 태도로 인해 잘못된

    결론이 나오기도 한다. 결론을 내리기에 충분한 자료를 구하지 않고

    성급하게 결론을 내리는 것은 과학자의 ㉠ 이 만들어 내는

    오류이고, 자신이 예상했던 결론에 어긋나는 실험 결과를 고의로 누

    락시키는 것은 과학자의 ㉡ 이 만들어 내는 오류이다. 그런가

    하면 연구 대상의 한계 때문에, 잘 계획되고 통제된 실험을 하지 않고

    얻어진 결론을 마치 엄격한 검증을 거친 것처럼 발표하는 것도 과학

    하는 사람들이 쉽게 저지르는 오류 중의 하나이다.

    ㉠ ㉡ ㉠ ㉡

    ① 불성실 부도덕 ② 게으름 안이함

    ③ 선입견 명예욕 ④ 비윤리 비양심

    어휘의 의미-문맥적 의미충분한 자료를 구하지 않고 성급하게 결론을 내리는 것은 과학자가 성실하지 못하기 때문이고, 자신이 예상했던 결론에 어긋나는 실험 결과를 고의로 누락시키는 것은 과학자의 도덕성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충분한 자료를 구하지 않고’와 ‘고의로 누락시키는 것’에서 힌트를 얻을 수 있다.

    ② ‘게으름’은 ㉠과 관련된다고 볼 수 있으나, ‘안이함’은 ㉡과 관련되지 않는다.③ ‘선입견’과 ‘명예욕’ 둘 다 각각 ㉠, ㉡과 거리가 멀다.④ ‘비윤리’는 ㉠과 관련이 없으나, ‘비양심’은 ㉡과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정답 ①

    ★☆☆

  • 합격을 기원합니다!

    30 2019 공무원 입문서 - 국어

    05 밑줄 친 ‘문제’와 그 의미가 같은 것은?

    미래 사회에는 과학만능주의의 부작용이 문제가 될 것이다.

    ① 이 책이 바로 그 문제의 소설이다.

    ② 그는 늘 문제를 일으키는 학생이다.

    ③ 최근 국내외적으로 실업 문제가 심각하다.

    ④ 학벌이 문제가 아니라 사람됨이 문제지.

    어휘의 의미 관계-다의어지문에 제시된 ‘문제’의 문맥적 의미는 ‘해결하기 어렵거나 난처한 대상, 또는 그런 일’을 뜻한다. 이와 같은 의미로 쓰인 예는 ③이다.

    ①, ④ ‘논쟁, 논의, 연구 따위의 대상이 되는 것’② 귀찮은 일이나 말썽을 뜻한다. 정답 ③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