社會福祉學科 社會福祉學 專攻 白 炅 城 · 2010-10-16 · 우리나라의...

133
社會福祉學 碩士學位 請求論文 우리나라의 高齡化 에 따른 老後 職業 에 관한 認識 調査硏究 An Empirical Study of Korean Perception of Jobs for the Aged in Anticipaption of the Coming Aging Society 2005 8 仁荷大學校 行政大學院 社會福祉學科 (社會福祉學 專攻) 白 炅 城

Upload: others

Post on 03-Mar-2020

4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社會福祉學 碩士學位 請求論文

    우리나라의 高齡化에 따른

    老後 職業에 관한 認識의 調査硏究

    An Empirical Study of Korean Perception of Jobs

    for the Aged in Anticipaption of the Coming

    Aging Society

    2005年 8月

    仁荷大學校 行政大學院

    社會福祉學科 (社會福祉學 專攻)

    白 炅 城

  • 社會福祉學 碩士學位 請求論文

    우리나라의 高齡化에 따른

    老後 職業에 관한 認識의 調査硏究

    An Empirical Study of Korean Perception of Jobs

    for the Aged in Anticipaption of the Coming

    Aging Society

    2005年 8月

    指導敎授 李 埈 炯

    이 論文을 社會福祉學 碩士學位 論文으로 提出함.

    仁荷大學校 行政大學院

    社會福祉學科 (社會福祉學 專攻)

    白 炅 城

  • - i -

    목 차

    표목차 ····························································································································ⅳ

    그림목차 ························································································································ⅵ

    국문초록 ··························································································································ⅶ

    感謝의 글 ························································································································ⅸ

    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문제의 제기 ····························································································1

    제 2 절 연구의 목적 ····························································································5

    제 3 절 연구의 방법 ····························································································7

    제 2 장 이론적 배경 ································································································8

    제 1 절 고령사회 및 노후 직업의 개념 ····························································8

    1. 고령사회의 개념 ···························································································8

    2. 노후 직업의 의의 ·······················································································10

    제 2 절 고령사회의 전망 ····················································································20

    1. 노동시장의 전망 ·····················································································20

    2. 고령자의 경제활동 참가 욕구 ·································································23

    3. 노인사회 참여(일자리)의 필요성 ····························································24

    제 3 절 노인 복지와 고령친화 산업 ································································27

    1. 노인복지의 개념 ·························································································27

    2. 고령친화산업 활성화 ·················································································29

  • - ii -

    제 4 절 고령사회의 노동 정책 ············································································32

    1. 노인 고용정책 변화 ·················································································32

    2. 고령화와 노동시장 정책 ···········································································37

    제 5 절 외국의 고령에 대한 노동정책 사례 ··················································41

    1. 일본 ···············································································································41

    2. 스웨덴 ···········································································································42

    3. 미국 ···············································································································45

    4. 영국 ···············································································································47

    5. 기타 ···············································································································50

    제 3 장 조사분석의 틀 ··························································································52

    제 1 절 조사개요 및 응답자의 특성 ································································52

    1. 조사대상 및 목적 ·······················································································52

    2. 조사도구 ·······································································································52

    3.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54

    제 2 절 분석의 목적과 방법 ············································································57

    제 3 절 변수(變數) ·································································································58

    1. 독립변수(獨立變數) ····················································································58

    2. 종속변수(從屬變數) ····················································································61

    제 4 절 가설(假說) ·································································································62

    제 4 장 조사결과와 해석 ······················································································67

    제 1 절 빈도분석 결과 ··························································································67

    1. 고령사회 대비 및 전략 ·············································································67

    2. 고령사회 및 노후와 관련하여 개인별 대처사항 ·································71

  • - iii -

    제 2 절 교차분석 결과 ························································································78

    1. 성별 ···············································································································78

    2. 연령계층 ·····································································································82

    3. 가족 ···············································································································84

    4. 결혼 ···············································································································87

    5. 학력 ···············································································································89

    6. 경제적 지위 ·································································································91

    7. 직업 ···············································································································93

    제 5 장 요약 및 결론 ····························································································95

    제 1 절 연구의 요약 ··························································································95

    1. 고령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대안 ·····························································95

    2. 노인의 경제적 역할 ·················································································98

    3. 노인의 사회참여 배려 ·············································································101

    제 2 절 결론 ····································································································103

    〈참고문헌〉 ················································································································105

    〈부록1〉 ····················································································································110

    〈부록2〉 ····················································································································120

  • - iv -

    표 목 차

    〈표 1- 1〉 평균수명 추이 ··························································································1

    〈표 1- 2〉 주요 국가의 인구 고령화 속도 추이 ··················································2

    〈표 1- 3〉 총인구 및 인구 성장률 추이 ································································2

    〈표 1- 4〉 연령계층별 생산가능인구 추이 ····························································3

    〈표 2- 1〉 일자리 유형 구분 ··················································································12

    〈표 2- 2〉 연령계층별 인구 및 구성비 추이 ······················································21

    〈표 2- 3〉 노인 인구의 증가 추이 ········································································21

    〈표 2- 4〉 연도별 60세 이상 노인의 경제활동 참가 욕구 ······························23

    〈표 2- 5〉 60세 이상 취업노인의 취업계속 사유 ··············································24

    〈표 2- 6〉 사회적 변화의 전망 ··············································································25

    〈표 2- 7〉 65세 이상 노인의 기능장애 정도 ······················································26

    〈표 2- 8〉 고령화가 근로자와 기업에 미치는 영향 ··········································27

    〈표 2- 9〉 고령 친화 8대 산업 ··············································································31

    〈표 2-10〉 소득별 및 연령별 노후대비를 위해 시급한 정부정책 ··················34

    〈표 2-11〉 소득별 및 임금피크제도에 대한 평가 ··············································36

    〈표 2-12〉 연도별․연령계층별 경제활동 참가인구 및 비율 ··························38

    〈표 2-13〉 새 연금제도에서의 은퇴 연령과 연금액 ··········································44

    〈표 2-14〉 영국 인구의 추계 ··················································································49

    〈표 3- 1〉 조사내용 및 세부항목··········································································53

    〈표 3- 2〉 일반적 특성 ····························································································54

    〈표 3- 3〉 직업관련 종사 현황 ··············································································56

    〈표 4- 1〉 국가의 고령사회 대비 실태 ································································67

  • - v -

    〈표 4- 2〉 고령화 문제 해결을 위한 정부의 우선 순위 ··································68

    〈표 4- 3〉 노인문제에서 가장 어려운 점 ····························································68

    〈표 4- 4〉 근로유인을 위한 정책적 고려사항 ····················································69

    〈표 4- 5〉 생산적 고령화 시스템 전략으로 근로현장의 문제점 ····················69

    〈표 4- 6〉 고령화시대를 대비한 정부의 역점 실천사항 ··································70

    〈표 4- 7〉 학력ㆍ직업을 감안 고령자 유망직종(적합한분야) ························71

    〈표 4- 8〉 노후대비 실태 ························································································72

    〈표 4- 9〉 직장에서 퇴직 또는 은퇴 후 일할 의향 ··········································72

    〈표 4-10〉 직업에서 은퇴이후 재취업기회 부여시 취업여부 ··························73

    〈표 4-11〉 노령 취업시 적합한 취업 형태 ··························································73

    〈표 4-12〉 임금피크제의 견해 ················································································74

    〈표 4-13〉 노후준비 여부 및 방법 ········································································75

    〈표 4-14〉 노인이 되는 시기 ··················································································75

    〈표 4-15〉 퇴직에 대한 견해 ··················································································76

    〈표 4-16〉 노년기의 근심과 걱정 ··········································································76

    〈표 4-17〉 노년기에 대한 견해 ··············································································77

    〈표 4-18〉 현재의 직업생활 상태 ··········································································78

    〈표 4-19〉 성별 교차분석 ························································································79

    〈표 4-20〉 성별*재취업을 원하는지 여부 교차분석 ·········································80

    〈표 4-21〉 연령 교차분석 ························································································82

    〈표 4-22〉 근로현장에서 문제점에 대해 장려되어야 할 사항 ························84

    〈표 4-23〉 가족수의 교차분석 ················································································85

    〈표 4-24〉 고령인력의 근로유인을 위한 정책적 고려 교차분석 ····················85

    〈표 4-25〉 결혼여부 교차분석 ················································································87

    〈표 4-26〉 결혼여부*노후준비 방법 교차분석 ···················································88

  • - vi -

    〈표 4-27〉 최종학력 교차분석 ················································································89

    〈표 4-28〉 최종학력*현재작업생활-직업 때문에 생기는 견해 ·······················90

    〈표 4-29〉 월 평균 소득액 교차분석 ····································································91

    〈표 4-30〉 근로현장에서 문제점에 대해 장려와 개선 사항 ····························92

    〈표 4-31〉 월평균소득*현직의 현재직업생활-나의상태와 근로소득 만족도 93

    〈표 4-32〉 직업 교차분석 ························································································94

    〈표 4-33〉 경제성장․생활수준 향상부문과 노령취업시 적합한 취업형태 ··94

    그 림 목 차

    〈그림 2- 1〉 연령계층별 인구 구성비 추이 ························································20

    〈그림 2- 2〉 주요국가별 노동력 인구 증가율 전망 ··········································22

    〈그림 2- 3〉 고령친화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단계적 추진 ······························30

    〈그림 2- 4〉 향후 50년간 한국 노동력 인구의 노령화 ····································33

  • - vii -

    국문초록

    고령화사회로 진입한 우리 나라는 세계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없을 정도로

    빠르게 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추세는 적지 않는 사회문제

    로 대두될 것이다. 고령화의 여파로 경제성장이 둔화 또는 침체되고 생산활동

    인구의 감소로 노동인력비중이 줄어들게 될 것이다.

    고령화의 몫은 국가․사회․개인 누구의 부담으로 지울 수 없는 공통 해결

    과제이다. 그 대안으로 부족한 근로인력과 사회의 노령부담을 완화(緩和)할 수

    있는 방안으로 노후직업을 통해 찾고자한 연구자료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고령자인 현재의 노인을 대상으로 직업을 논하는 현실 직시보다는 고

    령사회에 예측 가능한 제(諸)전제(前提)를 담고 지금부터 미래노인이 준비해

    가도록 하는 미래지향적인 논제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연구의 대상은 경제활동기에 있는 인천광역시 지역에서 무작위 표출된 303

    명의 성인 남․여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방법을 이용하여 노후 직업

    에 대한 의식 조사하여 그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첫째, 고령사회를 대비하기 위해서 국가의 대비와 전략은 사회의 동조적인

    참여와 관심을 일치시켜야 근로유인정책 등 추진역량이 강화되고 급속한 고령

    화 속도에 앞선 대응전략을 구사(驅使)할 수 있을 것이다.

    인천시민이 생각하는 국가의 고령사회 대비 체감률은 무려 72.2%로 ‘대비하

    고 있지 않다’고 보고 있어 정부정책 추진의 심각한 전략부재가 우려된다. 또,

    무엇보다도 고령화대비로 일자리창출이 시급한 과제 선정이며 노인문제는 사

    회적인 문제로 종합적으로 접근이 필요하여 장기적으로 대처하여야 한다.

    선진국의 경우 노인문제와 고령사회의 해법으로 ‘복지에서 노동으로’ 정책을

    구사하여 근로유인 시키는 전략을 택해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우리의 경우는

    고령자 적합 직종을 지정하여 정략적인 접근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 - viii -

    다. 고령자 근로유인 전략으로 기업은 상대적으로 부담을 낮게하고 기업, 정

    부, 고령근로자 모두 효과적인 실익을 나타낼 수 있는 제도로 직장에서 제공

    하는 고령 근로복지혜택을 확대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또, 평생직장 개념에서

    입사, 이동, 환직 등으로 자유롭게 제도를 보완하고, 고령자 고용의 걸림돌인

    연공서열을 폐지하고 채용․해고․승진․급여․배치․훈련 등을 확대하여야

    한다. 한편으로는 보다 더 오래 일하는 사회분위기를 조성하여 노후복지 지출

    시기를 조절하여야 한다.

    둘째, 노후의 사회활동 및 생산적 역할을 위하여 노인 사회참여의 배려가

    필요하다. 노후대비 실태조사에서 국민연금 등 공적인 노후대비 의존도가 커

    국가의 부담이 될 수 있다. 노후생활의 부담도 경제적인 문제가 크게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하겠다. 미래의 노인들은 노후에도 일할 기회가 주어진다면

    97.7%는 하겠다고 나타났다. 이는 노후준비는 92.6%가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노후취업형태는 경제적인 접근보다 사회참여형태를 원해 향후 고령

    사회를 대비하기에는 적합한 의식견해로 보인다.

    현재의 직업생활에 긍정적인 형태와 안정적임이라는 조사 결과에 염두에 둔

    다면 노후의 사회활동과 그들의 생산적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노령자의

    일은 소일거리 없이 무의미하거나 소모적인 노인기 보다 경제적 기대효과와

    소일거리와 주변과의 동화로 정신건강과 신체적인 건강 등에서 효과적일 것이

    다. 결국 노인은 사회의 짐이 아닌 나도 포함될 생산적 공생관계로 이제와는

    전혀 다른 노인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형성될 것이다.

    따라서 고령시기에 경제적․육체적․정신적 목적에 구애됨 없이 노인 또는

    고령자의 직업이나 여가활동 또는 소일거리가 있다면 노인의 소득보장, 일에

    대한 재미, 건강유지, 여가시간 문제해결로서 노인의 삶의 질에 보탬은 물론

    국가적으로 큰 이득이 얻게된다.

  • - ix -

    感謝의 글

    너무나도 홀가분한 기분입니다. 극구광음(隙駒光陰)속에 부족한 공간을 메우

    고자 시작했던 공부, 경제학에서 인문학으로 그리고 직장과 나와의 시간싸움

    이 꽤나 긴 여정으로 느껴집니다. 여러 가지 어려운 조건 속에 논문을 끝으로

    졸업의 영광을 안게 끔 도와주신 많은 분들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입학처장에서 사회과학대학장과 행정대학원장의 중책을 맡아 백망중(百忙

    中)에도 미흡한 논문을 완성할 수 있도록 열정으로 논문지도를 해주신 이준형

    교수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항상 애정과 관심으로 격려를 해주신

    김영민 교수님과 정일섭 교수님, 세심한 논문심사 감사 드립니다.

    전 행정대학원장 김천권 교수님과 행정대학원 모든 교수님, 학교생활에 도

    움을 주신 최남식 행정실장님, 김희영 조교, 송향순님, 원우회장을 맡으면서

    물심양면으로 도와주신 제30대 임원과 원우회원 여러분, 모두 진심으로 감사

    의 말씀을 드립니다.

    그리고 장기간 학업중임에도 배려하여 주신 황정석 조합장님, 한수모 상임

    이사님과 모든 임원님, 간부직원, 특히 같이 근무하면서 좋은 사업성과로 도와

    준 농협 학익지점, 용현지점 동료직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무엇보다 따뜻

    하게 격려 해주신 애농회원, 고객님, 조합원님의 응원과 배려에 감사드립니다.

    항상 새롭고 소중한 시간, 새로운 인연은 항상 우리와 함께 할 것입니다. 감

    사의 마음과 함께 축복이 항상 가득하시길 기원해 봅니다. 끝으로 학업에 전

    념할 수 있도록 정성껏 내조하여 준 모든 가족들, 아내, 아들 철민, 딸 지혜에

    게 감사와 더블어 기쁨을 나누고자 합니다. 그리고 여러분들께도 이런 기회가

    주어지길 희망합니다.

    2005년 8월

    壽鳳公園에서 白 炅 娍

  • - 1 -

    제 1 장 서 론

    제 1 절 문제의 제기

    우리나라는 2000년에 이미 고령화사회(高齡化社會)로 진입하였으며(7.2%),

    2018년에는 고령사회로(14.3%), 2026년(20.8%)에 가서는 본격적인 초(超)고령

    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통계청 장래인구 특별추계결과, 2005. p.42).

    고령화사회는 세계적인 추세로 저 출산과 평균수명의 연장이 주 요인이다. 그러나 선진국에 비해 우리나라는 매우 빠른 속도로 고령사회에 진입하

    여 적지 않은 사회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표 1-1〉 평균수명 추이( 단위 : 세 )

    구분 2000 2002 2005 2010 2015 2020 2030 2040 2050

    계 75.87 77.00 77.90 79.06 80.08 80.98 81.86 82.64 83.26

    남 자 72.06 73.38 78.84 76.17 77.23 78.22 79.18 80.02 80.67

    여 자 79.50 80.44 81.52 82.60 83.59 84.41 85.22 85.95 86.59

    차 이 7.44 7.06 6.68 6.43 6.36 6.19 6.04 5.93 5.92

    자료 : 통계청(2005),『장래인구 특별추계 결과』, p.49

    첫째, 노인세대의 비중 증대는 사회 전반적으로 소비를 위축시킨다. 안정적

    인 금융자산 보유 증가로 저축율이 떨어지고 투자를 감소시킴으로 인하여 경

    제의 역동성이 저하될 것이다. 또, 생산가능인구의 고령화로 인해 신지식과 신

    기술 흡수에 소극적일 가능성이 높아 성장이 둔화되고 디플레가 나타날 것이

    라고 예측된다.

    둘째, 경제활동인구의 감소 및 경제성장 둔화로 재정수입은 줄어들게 되는

    반면, 연금급여, 노인의료비, 노인복지서비스 등의 수요증가로 인해 재정지출

    은 급증하게 되어 재정수지가 악화될 것이다.

  • - 2 -

    〈표 1-2〉 주요 국가의 인구 고령화 속도 추이( 단위 : 년도, 년수, % )

    고령인구 비율

    국가별

    도 달 년 도 증가소요년수 65세이상인구구성비7% 14% 20% 7%→14% 14%→20%

    일 본 1970 1994 2006 24 12 18.4

    프 랑 스 1864 1979 2019 115 40 16.3

    스 웨 덴 1887 1972 2011 85 39 17.2

    독 일 1932 1972 2010 40 38 17.3

    영 국 1929 1976 2020 47 44 15.9

    이탈리아 1927 1988 2008 61 20 18.6

    호 주 1939 2012 2030 73 18 12.7

    캐 나 다 1945 2010 2024 65 14 12.7

    미 국 1942 2014 2030 72 16 12.3

    한 국 2000 2018 2026 18 8 9.1

    ※ ‘65세이상 인구 구성비’는 2002년도 기준, 단 한국은 2005년도 임(‘02 7.9%)

    자료 : UN,「The Sex and Age Distribution of World Population」, 각년도

    日本 國立社會保障ㆍ人口問題硏究所, 「人口統計資料集」, 2003

    OECD, 「OECD Health Data」, 2004

    통계청(2005),『장래인구 특별추계 결과』 보도자료에서 인용

    셋째, 출산율1) 저하로〈표 1-3〉에서 알 수 있듯이 전체 인구가 줄어들게

    되어 〈표 1-4〉와 같이 생산가능인구비중이 감소하고 노동공급 감소가 심화

    될 소지가 있다.

    〈표 1-3〉 총인구 및 인구 성장률 추이( 단위 : 천명, % )

    1970 1980 1990 2000 2005 2010 2020 2030 2050

    총 인 구 32,241 38,124 42,869 47,008 48,294 49,220 49,956 49,329 42,348

    인구성장율1) 2.21 1.57 0.99 0.84 0.44 0.34 0.01 -0.28 -1.18

    주 : 1) 인구성장률은 전년대비 인구증가율임

    자료 : 통계청(2005),『장래인구 특별추계 결과』, p.41

    1) 연도별 합산출산율 추이

    년 도 별 1970 1980 1990 2000 2003 2010 2020 2030 2050

    합산출산율 4.53 2.83 1.59 1.47 1.19 1.21 1.24 1.28 1.30

    ※ 합산출산율 : 한 여자가 가임기간(15~49세) 동안 낳을 평균 출생아수

    통계청(2005),『장래인구 특별추계 결과』, p.4

  • - 3 -

    〈표 1-4〉 연령계층별 생산가능인구 추이( 단위 : 천명, % )

    1970 1980 1990 2000 2005 2010 2020 2030 2050

    생산가능인구

    15~64세

    (총인구대비)

    15~24세

    25~49세

    50~64세

    17,540

    (54.4)

    5,838

    9,179

    2,522

    23,717

    (62.2)

    8,613

    11,812

    3,292

    29,701

    (69.3)

    8,784

    16,148

    4,768

    33,702

    (71.7)

    7,697

    19,816

    6,189

    34,671

    (71.8)

    6,908

    20,661

    7,102

    35,852

    (72.8)

    6,468

    20,428

    8,956

    35,838

    (71.7)

    5,547

    18,395

    11,897

    31,892

    (64.7)

    4,266

    15,763

    11,863

    22,755

    (53.7)

    3,235

    10,295

    9,225

    구 성 비

    15~64세

    15~24세

    25~49세

    50~64세

    100.0

    33.3

    52.3

    14.4

    100.0

    36.3

    49.8

    13.9

    100.0

    29.6

    54.4

    16.0

    100.0

    22.8

    58.8

    18.4

    100.0

    19.9

    59.6

    20.5

    100.0

    18.0

    57.0

    25.0

    100.0

    15.5

    51.3

    33.2

    100.0

    13.4

    49.4

    37.2

    100.0

    14.2

    45.2

    40.5

    자료 : 통계청(2005),『장래인구 특별추계 결과』, p.43

    넷째, 청․장년 층의 노인부양 부담이 급증하게 되어 노인은 심각한 사회

    의 짐으로 전락할 우려가 짙다. 이런 상황이 전개될 개연성이 충분히 높음에

    도 불구하고 노후의 경제적 생활을 보장하는 노후대책은 빈약한 것이 현실이

    다. 우선 산업화, 도시화, 핵가족화 현상으로 자녀들이 노부모를 부양하기 어

    려운 구조로 사회가 변하고 있고, 노인부양 의식마저 점차 쇠퇴하고 있어 기

    대하기 힘들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산업화, 정보화와 함께 전개되는 도시화

    와 핵가족화 현상은 전통적 가족 부양체계 변화를 더욱 가속화할 것이다. 정

    책 제도적 지원시스템인 국민연금제도는 노후 소득보장 장치로서 취약성을

    내재하고 있고, 그로 인해 현재의 중․고령자 입장에서도 기대하기는 쉽지 않

    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인의 자구책인데 현실은 노후생활자금에 대한 개개인의 준비

    는 만족스럽지 못하면서 경제활동에서 퇴출되는 기현상까지 벌어지고 있어 충

    분한 대책이 될 수 없다. 그나마 중․고령자가 종사하고 있는 농업, 상업, 판

    매, 서비스업 등 개인사업 직종은 경제활동을 노후까지 지속할 수는 있으나

    그 생산성과 소득 능력이 취약하여 여유 있는 노후생활을 준비하는 데는 한계

  • - 4 -

    가 있을 것이다.

    이 모든 것을 고려해 본다면 현재는 물론 미래의 고령자에 대한 사회보장제

    도가 충분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고령기의 노인과 일을 접목시켜

    부족한 노동인력을 상호 보완할 수 있도록 노인 취업이나 일거리 마련을 위한

    사회 전 부문에서 수용과 정책 대전환이 무엇보다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더욱이 노인 또는 고령자의 취업 및 재취업은 노인의 소득보장, 일에 대한 재

    미, 건강유지, 여가시간 문제 해결을 위한 중요한 수단이 된다. 그러나 우리

    나라에서는 55세 정년퇴직이 일반화되어 있어2), 55세 이상의 고령자 특히 65

    세 이상의 노인이 취업 또는 재취업하는 데는 어려움이 대단히 크고, 취업이

    된다고 해도 취업분야나 임금 수준도 크게 제한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

    이다(최성재, 2004). 따라서 고령화 사회에 사는 우리는 앞으로 피할 수 없게

    될 고령사회로 진입하기 전에 충분히 준비를 해 놓지 않으면 안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들을 감안하여 청․장년층과 고령층의 입장에서 바라본

    2) KDI 분석

    한국인 54세에 퇴직14년간 자영업등 거쳐 68세에 일손 놔

    (중략) ‘인구구조 고령화의 경제․사회적 파급효과와 대응 과제’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근로자들은 기업의 평균

    (56세)을 채우지 못하고 이보다 1.9세 이른 54.1세에 퇴

    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후 평균 14년 동안 제2근로

    생애를 거쳐 68.1세에 최종적으로 노동시장에서 은퇴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직장에서 퇴직하는 연령을 보면 남자들

    은 54세 이전에 47.72%가 퇴직했으며, 55~59세에서도

    21.09%로 나타나 60세 이전에 70%가량이 퇴직했다.

    60~64세의 퇴직자 비율은 18.87%, 65~69세 7.77%,

    70~74세 2.59% 75세 이상은 1.97% 순으로 나타났다.

    고령자들의 취업형태를 보면 직장에서 퇴직한 뒤 14년

    동안 대부분 자영업에 종사했으며, 취업을 하더라도 임시

    직이나 일용직 등 불안정한 일자리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

    다. 따라서 우리나라 사람들은 55세 이전에 직장에서 조

    기에 퇴직을 당하지만 실질적인 은퇴시기인 68세까지는

    제대로 된 직장을 구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하 생략)

    연령대별 퇴직 현황

    50-54 47.72

    49.63

    55-59 21.09

    17.39

    60-64 18.87

    17.69

    65-69 7.77

    6.60

    70-74 2.59

    6.00

    75세이상

    1.97

    2.70

    남자

    여자 (단위=%)

    자료=KLPS(한국노동패널) 2003년 자료

    자료 : 매일경제(2004. 11. 29), A38면

  • - 5 -

    현재의 직업전망과 직종, 향후 고령사회의 기대 직업 전망과 직종의 전망 등

    을 조사하여 향후 고령기의 노동시장의 원활한 정착을 위한 정책대안을 제시

    하여 보고자 한다.

    제 2 절 연구의 목적

    노동의 질이 향상되고, 생산 공정의 자동화 및 전산화로 인해 육체적 노동

    력이 제한되게 되어 노인의 일터는 점차적으로 감소되어 왔다. 게다가 젊은

    세대와 노인세대간에 취업 및 작업 역할 수행에도 신체적․정신적 기능의 격

    차가 심해져 노인은 일터 자체에서 밀려나게 되었으며, 노동경쟁력도 약화되

    어 노인들의 소득이 현저히 줄게 되었다. 그 결과 노인들은 생계유지 전선에

    서 낙오자가 되고 소일거리가 없어지게 되었다. 또 우리 사회는 고령으로 퇴

    직하면 가정과 직장에서 역할을 상실하게 되고 사회로부터도 소외되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다.

    그러나 노인도 인간사회를 구성하는 주요한 부분이고, 그 부분을 수행하는

    역할자로서의 기능을 유지 또는 회복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사회보장 프로그램

    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외환위기 이후 조기퇴직 붐이 사

    회 전반에 불었고, 이의 여파로 적지 않은 중고령자들이 직업전선에서 퇴출자

    가 되었다. 그러나 퇴직자를 낙오자로 인식해서는 안되며 퇴직은 새로운 일자

    리를 자연스럽게 찾을 수 있을 때까지의 휴식기간으로 보는 인식이 필요하다.

    우리 사회는 이를 위해 정책적인 대안과 일을 원하는 근로 능력자나 희망자를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그렇다면 국가가 할 수 있는 정책 대안과 사회의 요구사항을 대응(對應)시

    켜 정부정책과 근로현장․지역사회가 융화되어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향으로의 정책적 전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 6 -

    또한 고령사회로 접어들면서 노동시장에서는 급격하게 노동력이 감소할 것

    이므로 외부변화에 대한 노동력의 적응력을 높일 수 있는 신규 노동력은 질적

    인 수준을 강화시키고 양적인 노동력은 기존 노동력으로 대체하는 방안과 우

    리 사회에 근로 희망자나 능력자를 찾고 우대해 주는 방향 전환을 모색하는

    것도 필요하다. 특히 고령자 취업이나 재취업과 관련된 문제점과 제도의 미비

    점으로 인해 기업이나 근로 희망자간에 발생한 문제점이나 사회 저변에 깔려

    있는 노인 직업에 대한 제약을 받고있는 고정관념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미취업자에게 근로의 기회를 제공하고 근로자는 은퇴의 시기를 늦출 수 있는

    제도는 가능한가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경제활동 및 사회참여가 동시에 이뤄질 수 있는 고령화 대책으로 조기은퇴

    를 방지하는 정책과 정년제의 의미를 노동시장의 퇴출이라기 보다는 경직된

    일자리의 유연성을 증대시키고 노동시장의 정보유통을 원활하게 하는 과정으

    로 인식을 전환시키는 방안에 대하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또, 근로 여건이 조

    성되어도 경제활동인구의 감소로 근로인력이 부족할 때 고령자나 실업자를 근

    로유인 시킬 수 있는 전략도 중요하다. 고령사회라는 큰 과제를 안고 있으면

    서 미래를 보지 못하고 현실에 안주한다면 경제고비를 넘기면서 일시적 실망

    실업3)이 발돋움할 여력을 상실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고령화의 경제적 영향과 근로유인책에 대한 연구로 인구구조 고령화

    에 대비한 중장기적 정책대응 방향 정립에 기여하며 고령화대비 근로여건조성

    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인구 고령화의 급속한 진전과 긴 노후는 피할 수 없는 숙명이다. 이에 대비

    하여 노인의 능력과 적성에 맞는 일자리를 창출하여야 한다. 또, 직업의 변천

    3) 일자리를 얻기 어려워 아예 포기한 경우이다. 경기침체로 취업가능성이 낮거나 조건이

    맞지 않아 일시적으로 구직활동을 포기하고 노동시장에서 퇴장한 노동력인 셈이다. 이

    들은 일정기간 지나면 구직 할동을 하지 않을 수 없고 실업자로 현재화할 가능성이 높

    다. 실망실업자는 정상적인 경기순환시에는 인력수급의 완충역할을 하기도 한다.

  • - 7 -

    에 따라 작업 능력이 현재의 기업상태와 근로능력 수행자에게 적절히 맞추기

    위해서 고려되거나 정부의 적절한 미래지향적인 대처도 필요할 것이다. 이를

    위해 노후를 가정하여 복지와 연관하여 어떠한 직업성향이 적절한 것인가와

    정책적인 고려사항에 대해 실증적 조사를 실시하여 노인직업에 대한 투사(投

    射, projection)4)를 시도해 보는 데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제 3 절 연구의 방법

    본 연구는 노인복지 및 노후 직업과 관련된 단행본 및 이론서, 국내․외 학

    술서적, 논문, 정부 및 정부관련 연구기관의 보고서와 연구서, 각 연구소의 정

    기간행물 및 연구서, 세미나 자료 그리고 일간지 등 문헌자료들을 참고하였다.

    실증적 연구 방법으로 인구 고령화에 따른 노후 직업에 관한 실태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다. 인천광역시 지역에서 무

    작위 표출된 303명의 성인 남․여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방법을 통

    해 이들의 노후 직업에 대한 의식을 조사하였다.

    조사도구인 설문지는 선행연구물과 문헌을 참조하여 선정한 항목을 중심으

    로 작성한 후, 관련 전문가의 의견을 통해 타당성을 검토하고 사전조사를 통

    하여 문항 및 설문내용을 수정․보완하였다.

    설문조사에 대한 분석은 SPSS 10.0 한글판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문항별

    로 빈도분석과 주요 변인(성, 연령, 현재 직업유무, 월 소득, 학력 등)별 교차

    분석을 실시하여 chi-square( χ 2)검증을 실시하였다.

    4) 자아방어 메커니즘을 일컫는 심리학․정신의학 용어. 투영(投影)이라고도 한다. 무의식

    작용으로 자신의 자질․욕구․감정 등을 인정받지 못하거나 인정하고 싶지 않을 때 그

    러한 감정이 자기 것이 아니라 타인이나 사물에 있는 듯이 느끼는 작용이다.

  • - 8 -

    제 2 장 이론적 배경

    제 1 절 고령사회 및 노후 직업의 개념

    1. 고령사회의 개념

    1) 고령화의 개념

    고령자 개념으로 고령이란 용어에 대한 정의는 일정하지 않다. 고령화의 개

    념이 분과 학문에 따라 상당히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의학과 심리학에서는

    인간의 본격적인 고령화가 40세가 넘으면 시작되는 것으로 보는 반면, 경제학

    에서는 보편적으로 65세 이상 인구를 고령 인구로 정의한다. 고령화 및 고령

    인구의 개념을 명확히 설정하는 것은 힘든 과제이나 고령화에 대한 분과 학문

    간의 인식의 차이를 염두에 두고, 연령대별로 연령의 증가에 따른 다양한 차

    원의 고령화 내용을 고려하여 포괄적으로 파악해야 할 것이다.

    경제적 의미에서의 고령인구가 65세 이상이라는 엄밀한 규정에서 탈피하여

    45세 이상의 미래 고령대상자까지를 포함하는 보다 넓은 의미의 고령화 개념

    에 입각하여 접근하여야 한다. 다만 우리나라의 고령자 고용촉진법시행령에서

    는 55세 이상을 고령자, 50~54세를 준고령자(제2조)로 규정해 놓고 있어 고령

    자취업알선센터 등에서도 이 기준에 맞춰 대상자를 모집하고 있다.

    UN은 65세 이상의 인구가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일 때 고령

    화사회라고 본다. 그 비율이 14% 이상이면 고령사회(aged society), 20% 이상

    을 후기고령사회(post-aged society) 혹은 초고령사회라고 한다.

    세계적으로 출산율이 감소하고 기대수명이 연장되어 전체 인구중 노인이 차

    지하는 비율이 높아 고령화사회로 되는 추세에 있으며 OECD 국가에서는 고

  • - 9 -

    령화사회를 넘어서 고령사회로 접어든 나라들도 많이 있다. 고령화사회로 접

    어들면서 새로운 인구 사회적 환경에 처하게 되어 이는 사회 전반에 많은 영

    향을 주고 있다. 노인인구의 급증으로 경제적으로는 경제 활동 인구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고 노인부양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또한 보건 의료적 측면

    에서 고령자 인구가 비대해짐에 따라 고령으로 인한 질환에 대해 개인, 가족

    및 국가의 재정적, 심리적 노인보호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

    2) 삶의 질과 관련된 고령화

    현실과 같이 경제활동인력을 근로현장에서 조기 퇴출시키고 다른 한편에서

    는 노인 사회일자리 창출이라는 모순된 사회 현실은 고령자의 삶의 질의 문제

    를 제기하고 있다. 삶의 질 개념은 지극히 복합적이고 다차원적이며, 측정방식

    에 따라 가변적이겠지만 적정한 접근을 위해서 고령 문제의 특성을 살펴볼 필

    요가 있다(한림대학교 노년학연구센터, 2003, pp.7-10).

    먼저, 고령화의 사회적 맥락으로 고령화는 생리적, 심리적 차원에서 뿐 아니

    라 사회적 차원에서 나타나는 현상임이 분명하다. 인간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필요성은 그들의 생애 주기와 더불어 다양한 방식으로 변모하지만, 노인은 사

    회적 지지의 필요성을 더 절실하게 느끼면서도 이러한 지지가 가장 결핍된 사

    회적 집단이다. 이와 같은 사회적 지지는 가족, 친구, 이웃, 공동체 네트워크,

    경제적 지위, 일, 사회 참여, 주거, 여가 등 다양한 내용을 포함하며, 그러한

    요소들이 함께 모여 고령화의 사회적 맥락을 구성한다. 사회적 수준에서 노인

    들이 그들에 대한 부양과 지지의 기제를 얼마나 누릴 수 있는가의 문제는 그

    들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둘째, 고령화의 심리적 맥락으로 노화의 가장 중요한 현상의 하나는 지능,

    학습, 기억력 등 인간의 인지 능력이 저하되는 데 있다. 이러한 인지 능력의

    저하는 개인, 여가, 가족, 사회생활 등 인간의 거의 모든 활동 영역에서 큰 영

  • - 10 -

    향을 미친다. 노화라는 새로운 현실에 직면하면서 노인들은 새로운 정서적 적

    응의 문제에 직면하고, 이 과정에서 정신적 건강성을 어떻게 지킬 수 있는가

    의 문제가 중요한 과제로 등장하는 것이다. 고령화가 인간의 인지와 정서적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 자료, 특히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에 대해서는 아직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삶의 물리적 차원

    과 심리적 차원을 동시에 포함한다고 할 때 고령화의 심리적 맥락은 노인들의

    주체적 삶의 질 인식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고령화의 제도적 맥락으로 고령화․고령사회는 인류의 역사에서 겪어

    보지 못한 전혀 새로운 사회적 현실이다. 고령화, 고령 사회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사회 제도와 복지, 새로운 서비스, 직업 등을 요구한다. 노인에 대한 이

    미지, 이들에 대한 사회 정책, 건강 서비스 및 산업, 그리고 사회 제도 전반에

    걸쳐 새로운 제도적 기제를 만들어야 한다는 요구와 필요성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노인을 위한 사회 정책과 제도, 관련 서비스 및 산

    업의 네트워크는 노인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고령화는 생리학적 관점에서 볼 때 인간의 생애 주기에서 일어

    나는 정상적인 생리적 변화의 사이클로 이해될 수 있다. 이는 개인에 따라 큰

    편차를 보이며 신체와 그 구성 요소, 생리적 시스템에 나타나는 정상적인 변

    화로서 개인의 활동 능력이 저하되는 과정으로 정의될 수 있다. 고령화를 연

    구할 때 일차적으로 주목하는 고령화의 핵심적 차원은 나이를 먹으면서 일어

    나는 신체의 생리적 변화라 할 수 있다. 신체의 구성, 피부, 모발, 근육과 골

    격, 호흡기, 심혈관계, 비뇨기계, 성기능, 소화기, 신경계 등 신체의 거의 전 영

    역에 걸쳐 일어나는 변화는 노인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2. 노후 직업의 의의

  • - 11 -

    1) 일자리의 의미

    ‘일자리’는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김동배, 2004). 우선 전통적인 의미

    의 노동은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매일 매일 해야 하는 의무적인 활동’이다.

    따라서 이러한 의미의 일자리는 반드시 생계에 필요한 소득을 발생해야 한다.

    둘째, 노동은 ‘생산, 창조 또는 자기실현의 의미’로 사용되어진다. 이러한 의미

    의 일자리는 자신의 존재를 확인하고, 인격을 형성하며, 자아를 완성할 수 있

    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따라서 노동은 인간의 성장과 사회화의 수단이 된

    다. 셋째, 노동은 더 나은 삶의 조건과 규범을 정의하는데, 인간관계의 형성이

    나 의미의 창조와 같은 추상적인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일자리가 주는 의미

    는 노동의 의미를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다르다.

    「노인 일자리」란 노인들의 능력과 적성에 맞고, 시간적 연속성과 공간적

    실체를 갖는 활동으로서 단편적인 활동내용 중심의 ‘일자리’와 구분한다. 「사

    회적 일자리」란 사회발전이나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꼭 필요하나 수익

    성이 낮아 민간시장에서 배제된 일자리 중심으로 교육, 의료, 사회복지, 환경,

    지역사회개발 등에서 주로 비영리조직에 의해 창출되는 일자리이다.

    그러나 노인의 일자리 유형은 〈표 2-1〉에서와 같이 노인이기 때문에 후보

    자, 보조자, 약자 등 다소 미약하거나 열악한 내용을 담고 있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일자리는 조기 퇴출 및 인력구조 조정 등 급격한 사회변화와 취약

    계층이 마지못해 필요한 곳으로 급조된 일자리로 사회를 분리시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고령사회에서는 경제활동인구1)와 비경제활동인구2)가 사회를 함

    께 구성하는 공존하는 일자리가 필요하다 할 것이다.

    1) 경제활동인구(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 만14세 이상 인구 중 조사기간동안 재

    화나 용역을 생산하기 위해 노동을 제공할 의사와 능력이 있는 사람을 말한다. 여기서

    ‘14세 이상 인구’란 총인구 중에서 14세 이상 인구를 말하며 현역군인, 전투경찰, 기결수

    는 제외. 이를 다시 취업자(persons employed)와 실업자(persons unemployed)로 구분

    2) 비경제활동인구 : 만14세 이상 총인구중 취업자도 실업자도 아닌 사람. 일할 능력이 없

    는 사람(주부, 학생, 연로자와 장애인, 자선사업이나 종교단체 참여자)

  • - 12 -

  • - 13 -

    노인여가시설은 노인이 여가활동을 즐길 수 있는 모든 시설로서 일반인들이

    이용하는 시설(공원, 고궁, 능원, 박물관, 사찰, 영화관, 스포츠시설, 사설유흥장

    등)을 포함하여 경로당, 노인정, 노인교실, 노인학교 또는 노인대학, 노인복지

    회관, 노인휴양소 등을 들 수 있겠다.

    따라서 고령사회에서는 경제적으로 부족함이 없더라도 노후 삶과 질에 도움

    이 되는 여가 활동은 장려되어야 할 분야일 것이다. 이는 구성원으로서 큰 부

    분을 차지하는 노인의 보편적인 문제로 인간다운 생활과 건강한 사회를 갖추

    는 필수 조건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3) 직업관의 유형

    현대사회는 직업사회라고 불릴 만큼 개인은 누구나 직업을 가져야 한다. 국

    가나 사회는 그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재화나 용역의 생산을 위해서 반드시

    직업 활동을 보장하고 장려하여야 하며, 개인은 직업을 통하여 생계를 유지하

    고 사회발전에 기여하고 자아를 실현하게 된다.

    개인이나 사회가 직업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가치관이나 태도를 ‘직업관’이

    라 하며, 직업관은 특정한 개인이나 사회를 지배하는 가치체계가 직업에 직접

    반영되어 나타난 것이다(송병국, 1999). 직업관을 논의할 때에는 개인과 사회

    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아야 한다. 개인적 측면이란, 직업에 종사하는

    각 개인이 직업을 선택하고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어떤 의식이나 가치관을

    가지고 임하는가를 의미하는 것이다. 사회적 측면이란, 역사적으로 직업에 대

    한 의식이나 가치관이 사회의 발달에 따라 어떻게 변천되었는가를 의미하는

    것이다. 개인 또는 사회가 어떠한 직업관을 가지고 있는가 하는 것은, 개인의

    직업 결정 및 수행뿐만 아니라, 그 사회의 발전에도 커다란 영향을 끼친다.

    예를 들어, 건전한 직업관을 가지고 있는 개인들로 구성된 사회는 안정되고

    건강하게 발전하지만, 그렇지 못한 사회는 경제 구조가 변질되고 파괴되어 구

  • - 14 -

    조적인 실업 문제가 발생한다. 직업을 단지 생계 유지나 권력 획득의 수단으

    로만 생각하는 사회와, 직업을 사회 봉사 및 자아 실현의 수단, 그리고 사회

    생활에 필요한 재화나 용역을 생산하는 것으로 생각하는 사회간에는 개인들의

    직업 선택 성향에 있어서나 사회의 발전에 있어서 현저한 차이가 있음을 잊어

    서는 안 된다(권연옥, 1997).

    ⑴ 자기 본위 직업관

    직업을 생계 유지를 위한 활동과 출세를 위한 수단으로 보고 직업을 오로지

    개인의 의식주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이나 사회적 지위나 권력을 얻기 위한 수

    단으로만 생각하는 이기주의적 직업관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개인의 욕구

    충족을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사회에 기여한다는 의미를 찾아보기가 어렵다.

    더구나 고도의 산업 사회로 대부분이 자아실현이 어렵고 고도의 기계화는

    개인의 사회 역할의 분담이라는 측면도 점차 의미를 잃어 한계에 도달하고,

    인간소외라는 심각한 사회문제화로 직업은 생업을 위한 수단으로만 해석하는

    자기 본위의 직업관이 재등장하게 된 것이다(권연옥, 1997).

    직업에 종사하는 목적을 의식주의 문제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만 본다면 우

    리는 직업에서 보람과 삶의 기쁨을 느끼지 못할 것이며, 그저 고통스러운 노

    역밖에 되지 못한다. 만약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직업을 단지 생계수단으

    로만 보고, 종사하는 기관이나 기업체의 발전을 외면하고 사회나 국가에 봉사

    한다든지 또는 삶의 이상과 목적을 실현한다든지 하는 것을 느끼지 못한다면

    그 일의 능률이 오르지 않고 생산되는 제품은 불량품이 되고 말 것이다.

    ⑵ 사회 본위 직업관

    전체주의적 직업관이라고 하며 직업을 단순히 자기 자신이나 가족의 이익을

    위하는 것으로 생각하지 않고 사회나 국가를 위하여 봉사하는 것으로 생각하

  • - 15 -

    는 직업관이다. 이는 직업을 사회적 역할 분담의 측면에서 본 것으로 봉사 지

    향적 직업관 이라고도 한다. 즉, 직업의 사회성을 강조한 직업관이다. 어떤 의

    미에서 직업이란 사회의 유지 및 발전을 위해 필요한 기능의 개인적 분담이라

    볼 수 있기 때문에 개인의 직업 생활은 항상 전체 사회의 발전을 염두에 두고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는 입장을 말한다.

    그러나 사회 전체의 건전한 발전은 구성원 개개인 모두가 행복을 추구하는

    바탕 위에서만 가능한 것이므로 개인의 희생만을 강조할 수도 없는 것이다.

    직업 생활을 통하여 사회전체의 유지 및 발전에 순기능적 역할을 수행하고,

    동시에 생활에 필요한 개인적 이익을 얻을 때 행복한 개인, 발전하는 사회가

    될 수 있다.

    ⑶ 일 본위 직업관

    ‘자아 실현적 직업관’이라고 하며 직업은 자신의 생계나 출세를 위한 것도

    아니고 남을 위한 것도 아닌, 일 자체를 위한 것이다. 직업이 무엇을 얻기 위

    한 수단으로 평가하지 않고 일을 통한 자아실현의 과정으로 간주되는 것이다.

    자기가 가지고 있는 재능은 일을 통하여 마음껏 발휘하고 그 자체를 즐기기

    위하여 직업을 선택하는 경우이다.

    일 본위의 직업관은 직업을 수단이나 도구화하지 않고 그 자체를 목적으로

    본다는 점에서 본질적인 직업관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모든 사

    람은 직업을 통하여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직업을 통하여 삶에 필요한 재

    화나 용역을 얻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에 일 본위의 직업관이란 하나의 이상적

    인 직업관에 불과할 수 있다.

    4) 직업의 의미

    직업의 개념은 경제적 소득을 얻거나 사회적 가치를 이루기 위해 참여하는

  • - 16 -

    계속적인 활동이다. 넓은 개념으로 커리어 좁은 의미로 오큐페이션, 잡으로 본

    다(서울특별시 교육연구원, 1999).3) 따라서 직업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다(정은재, 2002).

    첫째, 생계적 의미로서 관련지어서 생각해 볼 수 있는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직업을 가진다. 직업은 경제적인 보상을 통해서 우리로

    하여금 우리가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도록 해 준다. 사람들이 직업을 가지는

    가장 일반적인 이유는 바로 생계 유지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현대 사회

    에서는 직업을 가지고 일을 하지 않으면 생활 자체가 불가능하다. 직업은 생

    계에 필요한 소득의 가장 중요한 원천이 된다.

    둘째, 사회적 역할분담 의미로써, 인간은 집단을 형성해서 집단의 구성원으

    로 살아가기 때문에 개인이 가지는 직업은 사회에 기여하는 사회적 역할 분담

    의 의미를 가진다. 각 개인이 하는 모든 일은 소속된 집단과 연관되어 있으며,

    집단이나 사회가 유지되고 발전해나가기 위해서는, 각 구성원들이 각자 나름

    대로 역할 분담을 해서 맡은 일을 잘 수행해 나가야 한다. 이러한 역할 분담

    이 바로 직업인 것이다. 따라서 사회적 역할 분담 또는 사회에 대한 기여라는

    측면에서 직업의 의미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직업은 단순히 보수를 받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고, 직업을 통해서 사회에 공헌하는 능동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다. 사회적 역할 분담으로서의 직업은 그 자체가 사회봉사의 기능을 가진다.

    현대 사회가 복잡해지고 다양해짐에 따라 사람들은 수많은 직업에 종사하게

    되고, 이러한 일들은 각 구성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존재한다.

    따라서, 모든 직업은 나름대로의 가치와 의미가 있고 존재 의의가 있는 것

    이다. 오늘날 대부분의 사람들은 직업을 가지고 직장생활을 하고 있다. 이는

    현대인의 생활 대부분이 직장과 관련된 활동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사람들은

    3) 커리어(career) : 모든 일 즉 보수나 시간에 관계없이 한인간이 평생동안 하는 일의 총

    체, 일생의 직업. 오큐페이션(occupation) : 반드시 보수가 지불 됨, 직업(vocation), 잡 :

    (job)직업의 최소단위, 일

  • - 17 -

    직업을 통해서 사회와 여러 가지 형태의 관계를 형성한다. 따라서 직업이 사

    회 생활의 중요한 수단인 동시에 중요한 삶의 터전이 되는 것이다.

    셋째, 개성의 발휘 및 자아 실현의 의미를 생각할 수 있다. 자기가 속한 사

    회에서 일정한 역할을 담당할 때 모든 사람들이 다 같은 일을 할 수는 없다.

    사람마다 능력과 흥미, 또 개성이 다르기 때문에, 각자 자신의 특성에 맞는 직

    업을 선택하게 된다. 이런 경우에 직업은 단순한 생계의 수단이나 사회적 역

    할 분담의 차원을 벗어나서 개인의 개성 발휘 내지는 자아 실현의 의미를 가

    지게 되는 것이다. 즉, 직업은 사람들에게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여 자아를 실

    현하고 나아가 사회적 발전을 추구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인간은 직업을 통해

    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포부와 꿈을 실현하게 된다.

    사람은 돈을 벌기 위해서만 직업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욕구를 충

    족시키기 위해서 일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개인에게 가장 큰 의미와 보람을

    가지게 하는 것은, 일을 통해서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는 것이다. 이

    러한 자아 실현 욕구의 충족이 직업을 가지는 가장 궁극적인 목표라고 할 수

    있다. 직업을 통해서 자아 실현을 이루는 것은, 직업을 단순히 돈을 벌거나 출

    세를 위한 수단으로 여기는 것이 아니고, 일 자체를 목적으로 하고 그 일을

    통해서 삶의 의미를 찾고 즐거움과 보람을 찾는 일인 것이다.

    물질이나 명예를 통해서 얻는 행복은 일시적인 것에 지나지 않는 반면, 자

    신이 최선을 다해서 자신의 잠재력을 발휘할 때 진정한 행복감을 맛보게 된

    다. 다가올 고령사회의 모습에서 우리 주변에 노인들이 월등히 많을 때를 보

    자. 소일거리조차 없는 상황이 재현될 때와 준비된 고령사회의 경제활동인구

    속에 내가 포함되었을 자신을 돌아보면 결국 인간은 자아실현을 통해서 진정

    한 행복을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삶이 바로 행복한 삶이 될 것이다.

    5) 미래 사회의 직업

  • - 18 -

    산업 사회 그 자체에도 질적 변화가 오고 있다. 이른바 후기 산업사회가 다

    가오면서 산업 구조에 중대한 변화, 즉 미국의 미래학자 토플러가 말하는 제3

    의 물결이 밀려오고 있다.4) 지식기반사회는 산업사회와 전혀 다른 새로운 직

    업 세계의 변화를 가져오고 일과 직업에 대한 전통적인 가치관마저 변모시키

    고 있다. 디지털 혁명으로 불리는 정보통신기술과 생명공학 등 첨단과학기술

    의 발전으로 산업 및 직업세계가 급변하고 쇠퇴하는 직종이 많아지면서 신종

    직업이 탄생하고 지식이나 정보 위주의 신산업의 비중은 증가하고 있다.

    불확실한 미래와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지식과 인적자원이 경쟁력의 원천인

    만큼 개인은 인적자원의 역량과 학습능력을 높이고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여야

    하고 국가나 사회는 평생학습 등을 통하여 인적자원 관리에 적극성을 가져야

    할 것이다. 미래 사회에서는 공산품을 대신하여 정보와 지식이 주요 상품의

    자리를 차지하게 될 것이다. 즉 단순 노동이나 숙련된 기술 노동과 같은 육체

    노동보다는 정보를 생산하고 관리하는 정신 노동의 비중이 커질 전망이다.

    이러한 변화는 직업 활동의 방식에도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5) 예컨대, 산

    업 사회에서의 대량 생산 방식보다는 창의성을 발휘한 특색 있는 상품을 개발

    하는 편이 유리할 것이며, 중앙집권 형태의 대기업이 도리어 불리할 경우도

    생길 것이다. 따라서 이제까지 각광을 받았던 집중화․대형화․표준화의 경영

    철학은 퇴조하고, 반대로 분산화․다원화․소규모화의 전략이 득세할 것이라

    는 예견도 가능하다. 개인의 차원에서 본다면, 그저 조직에 순응하고 표준화에

    적응하기에 급급한 수동적 직장인보다는 창의성과 개성이 강한 능동적 직장인

    이 환영받을 것이다. 항상 머리를 써가며 진지하게 노력하는 사람들이 직업인

    4) 1980년에 출판된 대표작 《제3의 물결 The Third Waves》은 고도 정보화사회에 대한 시나리

    오로 돌출적인 사회현상을 신문 잡지식으로 다루어, 그 저류(底流)가 되는 사회의 변혁방향을

    교묘하고도 날카롭게 지적하였다. 그는 미래사회를 정보화사회가 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제1의

    물결인 농업혁명은 수천 년에 걸쳐 진행되었지만, 제2의 물결인 산업혁명은 300년밖에 걸리지

    않았으며, 제3의 물결인 정보화혁명은 20~30년 내에 이루어질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처음으로

    재택근무․전자정보화 가정 등의 새로운 용어가 사용되었다.(양성모, 1998, pp.23-106)

    5) 교육인적자원부 외 2,『미래의 직업세계 2005 (직업편)』, 범신사, 2004, pp.30-39

  • - 19 -

    으로 성공하게 될 것이다.

    직업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새로운 패러다임이 기존 패러다임을 대체하

    고 있으며, 새로운 직업세계는 더욱 확대되어 나타날 것이다. 이는 회사가 자

    신의 일자리를 언제까지나 보존해 줄 것이라는 생각이 과거의 사고라면, 자신

    의 직업 능력을 갈고 닦아서 그 분야의 전문가로서 성장하여 자신이 원하는

    기간만큼 자신의 일을 하겠다는 사고가 평생직업의 개념이다. 점차 평생 직장

    의 개념이 사라지면서 직업 선택과 직장선택이 자유로워져 갈 것이고 이러한

    변화는 더욱 가속될 것이다.

    미래의 직업세계는 지식이 주도하는 정보화사회, 직장개념의 변화인 재택근

    무(teleworking), 국적과 소득을 불문한 직업세계의 근본적 변화인 유목적 일

    추구(job nomad)6), 소수의 인력만을 채용하는 낚시형 공채방식이, 자신의 경

    력개발에 적극적으로 바뀔 것이다. 미래의 대표적인 유망직업은 정보화, 세계

    화, 사업서비스, 첨단과학, 문화산업, 노인 및 의료, 웰빙 등이 지배적이다.

    우리나라는 최근 고등학교 졸업생의 80% 가량이 전문대학, 대학교에 진학하

    는 등 고등교육이 보편화 단계에 있다. 정보화와 세계화의 진전 등 사회․경

    제적 변화에 따라 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산업의 비중이 빠른 속도

    로 높아지면서 제조업과 서비스산업이 결합되고 있다.7) 앞으로도 국내산업의

    구조에서 서비스산업의 비중은 크게 높아지는 반면, 농림어업의 비중은 지속

    적으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여태까지 경제성장 위주의 진로와 학습 방법

    을 이제는 고령사회에 접할 우리의 미래사회에 맞추어 진로와 학습을 연결시

    켜야 한다.

    6) 직업(job)을 따라 유랑하는 유목민(nomad)이란 뜻의 신조어로 과거의 직업세계에 등을 돌린

    사람들을 일컫는다. 그들은 평생 한 직장, 한 지역 그리고 한가지 업종에 매여 살지 않는다.

    승진 경쟁에 뛰어들지도 않고, 회사를 위해 목숨 바쳐 일하지도 않는다. 직업세계에 새로 등

    장한 이 신종 부류는 자신의 가치를 정확히 분석하고 자신을 위해 그것을 이용하는 현대화

    를 실천하는 주인공이다. 김종래, 『CEO 징기스칸(유목민에게 배우는 21세기 경영전략)』,

    삼성경제연구소, 2002, p.151

    7) 교육인적자원부․한국직업능력개발원,『미래의 직업세계 2005 (학과편)』, 범신사, 2004

  • - 20 -

    제 2 절 고령 사회의 전망

    1. 노동시장의 전망

    2005년(1월) 통계청이 발표한「장래인구 특별추계 결과」에서 ‘연령계층별

    인구 및 구성비 추이’를 나타내는 〈그림 2-1〉,〈표 2-2〉에서와 같이 향후

    총인구는 2020년에 49,956천명을 정점(Peak)으로 감소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

    하고, 15~64세 생산가능인구는 2005년 현재 총인구 중 71.8% 수준에서 2016

    년 73.2%을 고비로 점차 감소하여 2050년 53.7% 수준으로 계속 낮아질 전망

    이다.

    연령계층별 인구 구성비 추이

    42.5

    11.2

    19.1

    64.7

    54.4

    71.8

    24.1

    3.19.1

    0.0

    20.0

    40.0

    60.0

    80.0

    1970 1980 1990 2000 2005 2018 2026 2030

    구성비(%)

    15∼64세(생산가능인구)

    0∼14세(유년층인구)

    65세이상(노년층인구)

    자료 : 통계청(2004), 『고령자통계』. 통계청 사회통계과 p3. 단, 2005년부터는 2005년도

    「장래인구 특별추계 결과」를 반영하였음

  • - 21 -

    연령계층별 인구 및 구성비 추이(단위 : 천명, %)

    년도별구분 1980 1990 2000 2004 2005 2010 2020 2030

    총인구 38,124 42,869 47,008 48,199 48,294 49,220 49,956 49,329

    0~14세 12,951 10,974 9,911 9,633 9,240 8,013 6,297 5,538

    15~64세 23,717 29,701 33,702 34,396 34,671 35,852 35,838 31,892

    65세이상 1,456 2,195 3,395 4,171 4,383 5,354 7,821 11,899

    0~14세 34.0 25.6 21.1 20.0 19.1 16.3 12.6 11.2

    15~64세 62.2 69.3 71.7 71.4 71.8 72.8 71.7 64.7

    65세이상 3.8 5.1 7.2 8.7 9.1 10.9 15.7 24.1

    자료 : 통계청(2004), 『고령자통계』P3. 단, 2004년 이후는 2005년도 「장래인구 특별추

    계 결과」를 반영하였음. 통계청 사회통계과, 통계청(2005),『인구증가율, 인구구조, 부

    양비, 노령화지수, 중위연령, 평균연령(전국) 』

    〈표 2-3〉에서와 같이 노인 인구의 폭발적인 증가는 근로 인구에게 엄청난

    경제적 부담을 안겨줄 것이다. 노인 부양에 드는 사회 비용을 따지는 가장 일

    반적인 지표는 생산 활동 인구(15~64세)와 노인의 구성비인 ‘노인인구 부양지

    수(aged dependency ratio)'인데 이것은 은퇴한 피부양자 한 명을 책임지는 임

    금 생활자 또는 부양자의 수를 알려준다.

    노인 인구의 증가 추이

    (단위 : 천명, %)

    연 도 별 2005 2010 2015 2018 2020 2030 2030

    전체인구 48,294 49,220 49,803 49,934 49,956 49,329 42,348

    65세이상인구

    (구성비)

    4,383

    (9.1)

    5,354

    (10.9)

    6,445

    (12.9)

    7,162

    (14.3)

    7,821

    (15.7)

    11,899

    (24.1)

    15,793

    (37.3)

    총부양비

    유년부양비

    노인부양비1)

    노령화지수2)

    39.3

    26.7

    12.6

    47.4

    37.3

    22.3

    14.9

    66.8

    36.7

    19.0

    17.7

    93.2

    37.6

    17.9

    19.7

    110.3

    39.4

    17.6

    21.8

    124.2

    54.7

    17.4

    37.3

    214.8

    86.1

    16.7

    69.4

    415.7

    ※ 1) 노인부양비 (aged dependency ratio)=65 세 이상인구 / 15-64 세 인구× 100(%)

    2) 노령화지수 (ageing index) = 65 세 이상인구 / 0~14세 인구× 100(%)

    자료 : 통계청(2005),『장래인구 특별추계 결과』

  • - 22 -

    고령화로 인한 구조조정의 압력으로 대기업은 중소기업에 비해 내부노동시

    장이 강하게 형성되었으나, 외환위기를 전후로 고령화에 취약한 구조로 전환

    되었을 뿐만 아니라 과거 호황기에 대규모로 채용한 인력들이 점차 고령화되

    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선순환적 인력구조가 형성되지 못하고 재직근로자의

    고령화와 인력부족 사태는 기업의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로

    인하여 기업들은 절대인력의 감소와 중고령 인력 비중의 증가 등에 따른 생산

    성 위기에 직면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그림 2-2〉에서와 같이 세계적으로 경제력이 있는 나라를 비교해 보

    면 가장 빠르게 노동력 인구의 부족 현상을 초래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대내

    외 연구자료에서도 2025년 이후 우리나라의 (취업)고령근로자 비중은 OECD

    회원국 중 가장 클 것으로 전망8)된다는 것이다(박래정, 2005).

    주요국가별 노동력 인구 증가율 전망

    2.5

    2.0

    1.5

    1.0

    0.5

    0

    -0.5

    -1.0

    -1.5

    2.12 1980~2000년1.52 2000~2020년

    1.13 2020~2050년

    0.79 0.910.57 0.58

    0.37

    0.64

    -0.04 -0.07-0.42 -0.46

    -0.91 -0.92

    한국 일본 미국 OECD EU

    자료 : 박동석외(2004),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2001) ※연평균 증가율. 2000~2050년 기간의

    노동력 인구 증가율 추정시 5년 단위 연령 그룹별, 성별 경제활동 참가율이 2000년도 수준으

    로 일정하게 유지될 것으로 가정

    따라서 인구고령사회에서는 절대적으로 노동력을 필요로 하므로 현재의 가

    용 부분을 보충하여야 한다. 그중 여성과 고령인력의 활성화는 중장기적으로

    8) 고령근로자비중(55세이상/15세이상 근로자×100)이 2000(16.1%), ‘25(28.6%) ’50(31.1%)

    OECD, Coping with Aging(2003)

  • - 23 -

    고령사회에 대비하는 최상의 전략 중의 하나일 것이다. 2003년 현재 우리나라

    15~64세의 여성 경제활동참가율은 터키, 멕시코, 이탈리아, 그리스를 제외하

    고는 가장 낮은 수준이다(OECD, 2004). 중장기적으로 여성과 고령인력이 경

    제활동 참여를 제고할 시점에서는 이제까지의 경제성장이 주로 자원의 양적

    투입에 의존하였다면 향후 자원의 양적 투입이 한계에 부딪치게 되는 고령화

    사회에서는 생산성의 증가가 경제성장을 주도할 것이다.

    2. 고령자의 경제활동 참가 욕구

    고령자가 취업을 원하는 정도는 고용상태와 연령에 따라 크게 다른 것으로

    보인다. 〈표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현재 취업하고 있는 60세 이상 노인

    은 대부분 일을 계속하기를 원하고 있으며, 현재 미취업 상태에 있는 60세 이

    상 노인의 경우는 취업을 희망하는 비율이 크게 떨어지고 있다.

    연도별 60세 이상 노인의 경제활동 참가 욕구

    연 도현 취업자 중

    계속취업 희망자율(%)

    현 미취업자 중

    취업 희망자 비율(%)

    1981 ①

    1988 ②

    1990 ③

    1994 ④

    1998 ⑤

    69.2

    77.2

    65.6

    79.9

    79.3

    34.4

    41.8

    38.3

    10.2

    12.5

    ※ 1994년과 1998년의 조사자료는 65세 이상에 대한 것임

    자료 : ① 한국갤럽조사연구소(1984),『한국 노인의 생활과 의식구조』.

    ② 한국갤럽조사연구소(1990),『한국 노인의 생활과 의식구조』.

    ③ 總務廳長官官房老人對策室(1991),『老人の生活と 意識』

    ④ 이가옥 외(1994),「노인생활실태분석 및 정책과제」.

    ⑤ 정경희 외(1998),「전국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최성재ㆍ장인협(2004),『 노인복지학』. 서울대학교출판부에서 인용

    취업노인으로서 계속 취업을 원하는 이유는, 1998년의 전국 표본조사(정경희

    외, 1998) 결과를 분석한〈표 2-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입을 얻기 위한 것

  • - 24 -

    이 압도적으로 가장 많고(66%), 그 다음이 건강유지를 위한 것(7%), 일을 좋

    아서하는 것(8%)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최성재, 2004 pp.485-492).

    고령사회에서 경제활동인구의 감소와 부양자 증가에 따른 대응 전략으로도

    고령자 취업 또는 그 인력을 사회적으로 활용하는 제도가 절실할 것이기 때문

    에 고령자의 경제활동 참가욕구는 반드시 장려되어야 하고 정책적으로 충족시

    켜 주어야 한다.

    60세 이상 취업노인의 취업계속 사유 (%)

    취업계속 사유 전체성 별 연 령

    남 여 65~69세 70~74세 75세 이상

    일이 좋아서

    돈이 필요해서

    건강유지를 위해

    사람과의 교재를 위해

    시간을 보내기 위해

    능력을 느끼고 싶어서

    사회적 지위ㆍ명예를 위해

    일손이 모자라서

    기타

    8.2

    66.1

    7.2

    0.7

    5.9

    4.2

    0.2

    6.9

    0.6

    11.4

    62.7

    9.5

    1.1

    4.1

    6.5

    0.4

    3.9

    0.4

    5.0

    69.5

    4.9

    0.4

    7.7

    1.9

    0.0

    9.8

    0.9

    7.1

    70.9

    6.1

    1.4

    3.9

    4.8

    0.3

    5.6

    0.0

    9.9

    60.7

    10.3

    0.0

    6.1

    4.8

    0.0

    7.6

    0.6

    9.1

    60.3

    5.7

    0.0

    11.4

    1.7

    0.0

    9.4

    2.5

    자료 : 정경희 외(1998),『전국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최성재ㆍ장인협(2004),『 노인복지학』. 서울대학교출판부에서 인용

    3. 노인사회 참여(일자리)의 필요성

    고령사회와 더불어 사회적 변화()는 우리 사회의 노인복지 접근에

    있어서 중요하다. 퇴직 이후의 보다 많은 시간적 여유는 할 일 없이 지루한

    시간을 보내야하고 경제적으로 무의미한 삶이 될 수 있지만, 한편 새로운 활

    동을 통해 활력 있는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기회로 활용할 수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고령사회에서는 우리 나라 직장인은 평균 55세에 퇴직하는

    데 평균적으로 30세에 경제활동에 진입하였다면 25년간 노동시장에서 일하고

  • - 25 -

    약 80세까지 퇴직 이후 25년간의 시간을 보내야 한다. 〈표 1-1〉평균수명 추

    이에서 수명이 계속 연장한다고 보면 오히려 노동시장의 기간보다도 긴 시간

    을 보내야 한다는 계산이다. 따라서 이 시기의 소득보장과 여가, 건강생활을

    어떻게 할 것인가가 중요할 것이다.

    사회적 변화의 전망

    연도2005

    (고령화사회)

    2010

    (고령화사회)

    2018(고령사회)

    2026(초고령사회)

    △ 노인의 복지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변화

    노인인구의 양적 증가 4,383 5,354 7,162 10,357

    (구성비) ( 9.1) (10.9) (14.3) (20.8)

    교육수준의 향상무학노인의

    감소(18.0%)

    고졸이상

    노인인구 증가

    (40% 이상)

    고등교육학력

    의 보편화

    (50% 이상이

    고졸 이상)

    정보ㆍ지식 습득 능력의 향상 ← 지속적인 증대 →

    문화여가 활동의 보편화 ← 지속적인 증대 →

    △ 가족 부양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화

    출산력의 저하 1.19 1.21 1.23 1.26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의 증가 ← 지속적인 증대 →

    가족부양의지 저하 ← 부양의무는 인지하나 독립성에 대한 욕구 및 공적 서비스욕구 증대 →

    △ 사회경제적 변화

    산업구조의 변화 ← 농림수산업자의 비중 급감 및 서비스 산업의 증가 →

    공적부양의 보편화(공적 연금 수급자 비율)

    20.5% 40.8% 51.6% 60.9%

    자료: 정경희, 『고령화 사회의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Working Paper, 2002.을

    인용하여 2005년 통계청 ‘장래인구특별추계’결과를 반영하였음

    고령사회에서는 지속적으로 노인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건강한 노인의 인구

    도 증가하게 될 것이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전국 노인 장기요양

    보호서비스 욕구조사에 의하면 전체 노인인구의 57.7%는 독립생활이 가능하

    며 근로능력이 있는 건강한 노인으로 파악되었다.

  • - 26 -

    은 더 한층 노년의 시간을 건강하고 보람있게 보내고자 하는 다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