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ffee brands tweet trends in korea 2010.12

4
TWEET TREND 국내 커피 전문점은 1999년 이화여대 앞 스타벅스 1호점 오픈 이후 테이크아웃(take-out) 문화를 확산시키며 커피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갖게 했다. 이는 인스턴트 커피 문화에 길들여 져 있던 대부분의 소비자에게 다양한 커피 맛을 경험하게 했 다. 최근 커피전문점은 만남 또는 휴식을 위한 이유뿐만 아니 라 함께 모여 공부를 하거나 직장인들의 업무 처리 장소로 활 용하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다. 이는 커피 전문점 내 무선 인터 넷의 공급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038 이러한 커피전문점은 국내외 기업형 브랜드 커피전문점이 주 를 이루고 있으며, 작년 기준 커피전문점 시장 규모는 7,000 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위치기반 서비스(LBS)가 제공되면서 실제 커피전문점 공간에서 체크인 (Check-in)을 활용한 마케팅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그렇다 면, 트위터에서는 어떤 커피전문점 브랜드가 자주 이야기되고 있을까? 최근 6개월(5월 ~ 10월)동안의 트위터 데이터를 통해 소셜네트워크 속 커피전문점 브랜드들의 전반적인 현황을 살 펴보고자 한다. 트위터 빅5 스타벅스, 탐앤탐스, 커피빈, 카페베네, 할리스 스타벅스, 커피빈 등 13개 대형 커피전문점을 중심으로 최근 6 개월 동안 트위터에서 언급된 건수를 분석해본 결과 전체 건 수 중 60.1%가 스타벅스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그 다음으로는 탐앤탐스, 커피빈, 카페베네, 할리스 순으로 나타 났다. 스타벅스의 경우 여러 이벤트에서 경품으로 많이 활용 돼 타 브랜드 대비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단위: 곳> STARBUCKS. TOM 트위터 내 커피 전문점 브랜드 노출 작년 기준 커피전문점 시장 규모는 7,0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 정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위치기반서비스(LBS)가 제공되면서 실제 커피 전문점 공간에서 체크인(Check-in)을 활용한 마케팅도 늘어나 있는 추세다. 그렇다면 트위터에서는 어떤 커피전문점 브랜드가 자주 이야기되고 있을까? 최근 6개월(5월 ~ 10월)동안의 트위터 데 이터를 통해 소셜네트워크 속 커피전문점 브랜드들의 전반적인 현황 을 살펴보고자 한다. 진행 | 월간 <IM> 편집부, 그루터 | 문태경 웹스미디어 전략사업부 본부장 [email protected] 2 커피전문점‘빅3’매장 현황 출처: 업계 종합 스타벅스 60.1% 커피전문점 브랜드의 전체 트윗 비율 100% 75% 50% 25% 0% 기타 파스쿠찌 투썸플레이스 이디야 엔젤리너스 할리스 카페베네 커피빈 탐앤탐스 400 300 200 100 0 스타벅스 엔젤리너스 카페베네 1999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7 2010.말 350~400 360 350 7월 론칭 12월. 상호변경 재론칭 2월. 가맹사업 시작 4월 론칭 3월. 한예슬 마케팅 시작 마케팅 에이전시 50개 기업 공채네이버카페 월간웹

Upload: gruter

Post on 10-May-2015

711 views

Category:

Economy & Finance


5 download

DESCRIPTION

커피 전문 브랜드의 트위터 노출 추이 201012. 월간 아이엠

TRANSCRIPT

Page 1: coffee brands tweet trends in korea 2010.12

TWEET TREND

국내커피전문점은1999년이화여 앞스타벅스1호점오픈

이후 테이크아웃(take-out) 문화를 확산시키며 커피에 한

새로운 인식을 갖게 했다. 이는 인스턴트 커피 문화에 길들여

져 있던 부분의 소비자에게 다양한 커피 맛을 경험하게 했

다. 최근 커피전문점은 만남 또는 휴식을 위한 이유뿐만 아니

라 함께 모여 공부를 하거나 직장인들의 업무 처리 장소로 활

용하는경우도늘어나고있다. 이는커피전문점내무선인터

넷의공급이증가했기때문이다.

038

이러한 커피전문점은 국내외 기업형 브랜드 커피전문점이 주

를 이루고 있으며, 작년 기준 커피전문점 시장 규모는 7,000

억원에달하는것으로추정되고있다. 또한, 다양한위치기반

서비스(LBS)가제공되면서실제커피전문점공간에서체크인

(Check-in)을활용한마케팅도늘어나고있는추세다. 그렇다

면, 트위터에서는어떤커피전문점브랜드가자주이야기되고

있을까? 최근6개월(5월~ 10월)동안의트위터데이터를통해

소셜네트워크 속 커피전문점 브랜드들의 전반적인 현황을 살

펴보고자한다.

트위터빅5 스타벅스, 탐앤탐스, 커피빈, 카페베네, 할리스

스타벅스, 커피빈등13개 형커피전문점을중심으로최근6

개월 동안 트위터에서 언급된 건수를 분석해본 결과 전체 건

수 중 60.1%가 스타벅스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그

다음으로는 탐앤탐스, 커피빈, 카페베네, 할리스 순으로 나타

났다. 스타벅스의 경우 여러 이벤트에서 경품으로 많이 활용

돼타브랜드 비큰차이를보이는것으로확인됐다.

<단위: 곳>

STARBUCKS. TOM트위터 내 커피 전문점 브랜드 노출

작년 기준 커피전문점 시장 규모는 7,0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

정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위치기반서비스(LBS)가 제공되면서 실제

커피 전문점 공간에서 체크인(Check-in)을 활용한 마케팅도 늘어나

고 있는 추세다. 그렇다면 트위터에서는 어떤 커피전문점 브랜드가

자주 이야기되고 있을까? 최근 6개월(5월 ~ 10월)동안의 트위터 데

이터를 통해 소셜네트워크 속 커피전문점 브랜드들의 전반적인 현황

을살펴보고자한다.

진행 | 월간 <IM> 편집부, 그루터

| 문태경 웹스미디어 전략사업부 본부장 [email protected]

2

커피전문점‘빅3’매장 현황 출처: 업계 종합

스타벅스60.1%

커피전문점 브랜드의 전체 트윗 비율

100%

75%

50%

25%

0%

기타

파스쿠찌

투썸플레이스

이디야

엔젤리너스

할리스

카페베네

커피빈

탐앤탐스

400

300

200

100

0

스타벅스 엔젤리너스 카페베네

1999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7 2010.말

350~400360350

7월 론칭12월.

상호변경 재론칭

2월. 가맹사업 시작

4월 론칭

3월. 한예슬 마케팅 시작

마케팅 에이전시 50개 기업 공채★네이버카페 월간웹 ▼

Page 2: coffee brands tweet trends in korea 2010.12

201012 IM039

스타벅스가 언급된 트윗을 제외한 나머지만 놓고 비교했을

때, 탐앤탐스 28.1%, 커피빈 25.5%, 카페베네 17.7%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중이 1.0% 이하로 나타난 세븐몽키즈, 빈

스앤베리즈, 까페띠아모 등은 매장수에서도 타 브랜드 비

적은 것으로 확인돼 트윗 비중과 매장수 간의 연관 관계가 있

어보 으나, 엔젤리너스의경우매장수기준빅3에해당하는

브랜드로 매장수가 직접적인 향을 주는 것은 아닌 것으로

파악됐다.

또한, 트위터 사용자를 기준으로 분석했을 때 TOP 5는 동일

했으나커피빈(14.6%)이탐앤탐스(14.0%)보다좀더높게나타

나순위의변동이있었다.

RT도스타벅스가단연선두

전체트윗의93% 수준을차지하고있는5개브랜드를중점적

으로 살펴보면, 스타벅스(61.7%)를 제외한 모든 브랜드의 RT

비율이Reply비율보다낮게나타나고있다. 이를통해스타벅

스가 많은 이벤트에 활용되고 있음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

었으며, 다른 브랜드 역시 RT 중 부분은 이벤트 경품으로

소개돼 확산된 것으로 파악됐다. 물론 스타벅스는 전체 트윗

의건수가상 적으로많기때문에Reply 비율은낮게표시되

고 있지만 건수 기준으로 확인할 경우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인

다.

전반적인 Reply 비율은 탐앤탐스(50.9%)와 카페베네(40.7%)

가 높게 나타난 편이며, 커피빈(38.5%)과 할리스(37.7%)도 유

사한수준을유지하고있다. RT 건수가이벤트와직접적인연

관성을가지고있다면, Reply의경우브랜드를포함한사용자

간의 화(conversation)가많았던것으로해석돼지난6개월

동안스타벅스를제외한커피브랜드중탐앤탐스를포함한

화가가장활발한것으로보인다.

스타벅스와친한커피빈

전체 트윗에서 부분이 해당 브랜드만을 언급하는 순수

(Pure) 트윗으로나타나서로다른브랜드를함께언급하는경

M N TOMS. COFFEE BEAN

70%

60%

50%

40%

30%

20%

10%

0%

스타벅스 탐앤탐스 커피빈 카페베네 할리스

트윗 TOP5 브랜드의 RT 및 Reply 비율

스타벅스

커피빈

탐앤탐스

카페베네

커피전문점 브랜드의 전체 트윗 사용자 비율

할리스

엔젤리너스

기타

이디야

RT Reply

크리에이티브 바이럴마케팅 www.adcompany.kr

Page 3: coffee brands tweet trends in korea 2010.12

TWEET TREND 040

우가 적은 것으로 확인됐으며,

이 부분도 경품 이벤트 전파를

위한 각 브랜드들의 수많은 RT

가 향을미쳤다고판단된다.

커피전문점브랜드의경우각브

랜드 제품에 한 비교 및 경험

을 이야기하면서 교차되는 경우

가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스타벅스는 커피빈과 함께 교차

되는 비중이 높게 나타났으며,

탐앤탐스의 경우 스타벅스와 커피빈 모두 유사하게 언급되고

있었다. 교차비율이높은스타벅스와커피빈을제외한나머지

브랜드들은 부분 형 브랜드(TOP 3)를 함께 언급하거나

해당브랜드만을이야기하는경우가많았다.

커피전문점인기메뉴는아메리카노와카페라떼

더불어 트위터를 통해 이야기되는 커피전문점의 표적인 메

뉴들은 무엇인지 살펴봤는데 아메리카노와 카페라떼에 한

언급이 80% 수준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용자

들이트위터를통해주로이야기하는 표적메뉴임을의미하

기도하지만, 개별브랜드별경품이벤트로가장많이활용된

메뉴 다고판단된다.

각 커피전문점 브랜드 별로 확인해보면 그 차이를 알 수 있는

다른 커피전문점 브랜드를 언급한 트윗 예

75%

50%

25%

0%

스타벅스 탐앤탐스 커피빈

트윗 건수 TOP 3의 브랜드 교차(Brand cross) 비율

스타벅스

탐앤탐스

커피빈

카페베네

할리스

엔젤리너스

파스쿠찌

이디야

투썸플레이스

Brand Pure tweet

스타벅스 97.6%

탐앤탐스 95.6%

커피빈 88.1%

카페베네 94.1%

할리스 92.7%

엔젤리너스 91.8%

이디야 96.2%

투썸플레이스 97.3%

파스쿠찌 90.0%

세븐몽키즈 92.4%

빈스앤베리즈 99.0%

카페띠아모 97.6%

다빈치커피 95.3%

아메리카노

카페라떼

에스프레소

카페모카

커피전문점 메뉴 별 트윗 비율

카라멜마키아또

바닐라라떼

기타

커피전문점 메뉴와 함께 언급되는 트윗 예

75%

50%

25%

0%

카푸치노

바닐라라떼

카라멜마키야또

카페모카

에스프레소

카페라떼

아메리카노

스타벅스 탐앤탐스 커피빈 카페베네 할리스

커피전문점 별 언급 메뉴 분포

커피전문점 메뉴를 활용한 이벤트 트윗 예

마케팅 에이전시 50개 기업 공채★네이버카페 월간웹 ▼

Page 4: coffee brands tweet trends in korea 2010.12

201012 IM041

데, 스타벅스의 경우 카페라떼 메뉴에 한 언급이, 할리스의

경우 카페모카 메뉴에 한 언급이 타 브랜드에 비해 높게 나

타났다. 이는 기업들의 이벤트 확산으로 인한 향으로 파악

된다.

체크인(check-in) No.1은스타벅스광화문점

사람들은 어느 곳의 커피전문점을 가장 많이 방문할까? 정답

은 아니겠지만, 스마트폰의 위치기반서비스(LBS)를 통해 체

크인을 가장 많이 한 커피전문점이 어느 곳인지 살펴봤다. 그

결과 스타벅스(41.7%)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탐앤탐스

(16.4%), 카페베네(11.6%) 순서로 나타났다. 이는 실제 방문을

통한결과로앞에서이야기된트윗의비율보다현실적인결과

라하겠다.

한편, 실제 위치를 확인해 보면 스타벅스 종로 광화문점과 강

남 삼성타운점, 그리고 탐앤탐스 포항점이 가장 체크인이 많

았던것으로확인돼TOP 10 중50% 이상이강남지역의스타

벅스를 방문한 것으로 나타났다. 체크인 상으로 가장 유동인

구가 많았던 곳의 고객 방문율 증가는 곧 매출 증가를 의미하

는커피전문점브랜드로서참고할만한결과라할수있다.

추후 이러한 위치기반서비스(LBS)와 연계된 SNS 데이터 분

석을 통해 공간을 활용한 다양한 마케팅 활동의 측정이 가능

하도록 지표를 개발하고 고객 방문을 유도, 증진시키는 효율

적인SNS마케팅이가능하도록해야할것이다.

그루터는 주요 사업분야로 검색, 클라우드 데이터

스토리지 시스템, 소셜네트워크정보분석(SNA), 콘

텐츠 매칭 광고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며, SNS 검

색 및 분석 사이트 서커스(www.searcus.com)를

오픈할 예정이다.

스타벅스41.7%

탐앤탐스16.4%

카페베네11.6%

커피빈10.1%

커피전문점 별 체크인 비율

할리스 7.7%

엔젤리너스 3.1%

파스쿠찌 2.4%

기타 2.2%

투썸플레이스 4.7%

순위 Brand 지점

01 스타벅스 서울 종로구 광화문점

02 스타벅스 서울 서초구 강남삼성타운점

03 탐앤탐스 포항점

04 스타벅스 성남시 정자역점

05 스타벅스 서울시 강남구 강남점

06 탐앤탐스 서울시 강남구 가로수길점

07 스타벅스 성남시 정자상떼뷰

08 스타벅스 서울시 강남구 가로수길점

09 투썸플레이스 서울시 마포구 상암점

10 스타벅스 서울시 강남구 삼성점

크리에이티브 바이럴마케팅 www.adcompany.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