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claimer - s-space.snu.ac.krs-space.snu.ac.kr/bitstream/10371/152424/1/000000154805.pdf ·...

263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 ( Legal Code) 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Upload: others

Post on 07-Feb-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legalcode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사회학박사 학위논문

    한센인의 격리제도와

    낙인·차별에 관한 연구

    2019년 2월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김 재 형

  • - i -

    국문초록

    본 연구는 한센인에 대한 격리제도와 낙인 및 차별의 형성과 변화의 과정을 역

    사사회학적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한센인에 대한 다양한 차별은 2000년대 이후

    이들의 인권과 피해에 주목한 다양한 사회운동, 입법화 과정, 그리고 소송을 통

    하여 점차 공론화되었고, 일부는 국가로부터 인정받았으며, 또 일부는 피해에

    대한 보상금 또는 지원금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한센인 문제의

    해결 과정에서 한센인에 대한 격리 문제는 철저히 비가시화되었고, 오히려 격리

    는 한센병 치료라는 의료복지적 차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본

    연구는 한센인에 대한 낙인과 차별의 형성과 유지 그리고 강화에 있어 격리제

    도가 중심에 있으며, 이에 대한 비판적 평가가 부재할 경우 한센인 인권 문제를

    제대로 해결하기는 어렵다는 문제의식을 갖는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다

    음과 같은 연구질문에 대한 답을 제공하려 노력했다. 첫째, 한센인에 대한 격리

    가 형성되고 유지되는 데 어떠한 요인들이 개입했는가? 둘째, 격리제도는 한센

    인에 대한 다양한 낙인과 차별을 어떻게 생산하고 유지시키는가? 셋째, 강제격

    리, 낙인 그리고 차별은 어떠한 요인들에 의하여 정당화되었는가? 넷째, 의학의

    발전과 사회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격리는 어떻게 스스로를 변화시키면서 폐지

    되지 않고 유지되었는가?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센병환자에 대한 건강인의 대응은 기본적으로

    외모의 변형에 대한 심리적인 반응에 근거하는 것으로 인식되지만, 실제로는 의

    료지식, 정치 및 사회적 요인들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받으며 형성되었다. 근대

    한센병환자에 대한 국가 및 사회의 대응 중 가장 특징적인 것은 환자에 대한

    격리로, 이는 전근대사회와 확실히 구분되는 것이다. 19세기 말 한센병균의 발

    견에 근거한 세균설의 발전으로 한센병이 환자를 매개하여 전염된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질병의 확산을 막기 위하여 환자를 격리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한센인

    에 대한 격리 제도의 형성 과정에는 이러한 의학적 지식과 공중보건학적 요인

    만 개입한 것은 아니었고, 제국주의나 인종주의와 같은 정치·사회적인 요인도

    개입했다. 세균이라는 병인을 중심으로 형성된 근대 의학지식, 그리고 인구의

    관리를 목적으로 한 공중보건정책에 식민지와 피식민지인의 통치를 정당화하는

    제국주의나 인종주의는 한센병의 확산의 예방을 위한 유일한 방법으로 강제 격

    리 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다고 인식하고 폭력적인 방식으로 그것을 구현했다.

    19세기 유럽 국가들이 자국과 피식민지 지역에서 발전시킨 한센인에 대한 강제

    격리는 20세기 초 전세계적으로 확산되었고, 조선에는 일본을 통하여 들어왔다.

  • - ii -

    둘째, 그러나 모든 국가가 강제격리제도를 받아들인 것은 아니었고, 강제격리에

    비판적인 대안이 존재했다. 병인론에 따라 다른 대안도 존재했는데, 영국과 프

    랑스를 중심으로 한 의사들과 보건당국은 한센병이 세균에 의하여 발병하는 것

    은 맞지만 세균이 유일한 병인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무리라고 판단했다. 세균

    외에 사회경제적 요인을 동시에 고려해야만 하며, 더욱 중요한 것은 강제격리가

    한센병의 확산에 오히려 지장을 초래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반격리주의는 20

    세기 중반부터 국제 한센병 학계에서 격리주의를 압도하였고, 이후 세계보건기

    구(WHO)의 한센병 정책의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일본에 의하여 식민

    지 조선에 도입된 한센병환자에 대한 강제격리는 반격리주의자들의 주장처럼

    한센병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하기 보다는 오히려 질병을 더욱 확산시키는

    모양새를 보였다. 1916년 강제격리제도의 도입과 소록도자혜의원(이후 소록도갱

    생원)의 설립과 함께 식민지 조선에는 부랑한센병환자들이 급증하게 되었다. 한

    센병환자 격리시설은 예산 문제로 인하여 모든 환자를 수용할 수 없었으나, 환

    자에 대한 정책적 사회적 압력은 이들을 거리로 내몰았고, 부랑한센병환자의 급

    증은 결국 건강인들이 한센병에 걸릴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왔

    으며, 이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더욱 강화시켰다.

    셋째, 한센병환자에 대한 격리정책, 그리고 낙인과 차별의 강화의 주체는 일반

    적으로 생각하는 것처럼 일부 의료전문가나 보건당국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었

    다. 한센병환자에 대한 격리 정책과 낙인, 차별이 강화되는 과정에서 더욱 중요

    한 행위자는 일반사회였다. 일반사회는 한센병과 관련된 근대지식을 적극적으로

    수용했으며, 한센병환자를 격리시키는 것을 근대적인 사회로의 발전에 중요한

    요소로 생각했다. 이러한 인식에 근거해서 일반사회는 총독부나 한국 정부가 실

    현할 수 있는 수준보다 더욱 강력한 강제격리제도를 요구했다. 한센병환자에 대

    한 반감과 한센병에 자유로운 사회의 건설에 대한 일반사회의 욕망은 때때로

    통치의 의도보다 앞서나갔으며, 격리제도의 강화에 중요한 추동력을 제공했다.

    그리고 이렇게 형성된 일반사회의 한센병환자에 대한 낙인과 차별은 치료제의

    발전으로 인하여 한센병환자가 완치될 수 있게 된 이후에도 지속되었고, 격리제

    도가 유지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넷째, 격리제도는 치료제의 발전, 국제보건기구의 개입, 그리고 보건예산의 문제

    등의 요소들에 맞서 변화하고 다각화됐다. 효과적인 한센병 치료제인 디디에스

    제는 1940년대 후반 한국에 도입되었고 1950년대 말이 되면 한센병은 치료가

  • - iii -

    가능한 질병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다른 한편 강제격리제도가 가져온 다양한

    문제들 때문에 국제적으로도 반격리주의의 목소리가 점차 지배적이게 되었고,

    이러한 흐름은 WHO를 통해 한국에 강제격리 철폐의 요구로 이어졌다. 다른 한

    편 한국 정부에 있어서도 강제격리는 엄청난 보건 예산이 소모되는 제도였기

    때문에 모든 환자를 수용하는 격리제도는 유지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이러한 상

    황에서 효과적인 치료제의 도입으로 환자의 치료가 가능해지자 격리제도는 분

    화되기 시작했다. 1963년 전염병예방법에서 한센병환자의 강제격리 조항들이 삭

    제되어 음성환자들의 시설 바깥에서의 치료가 가능해졌지만, 양성환자, 음성이

    되었지만 장애를 갖게 된 환자, 그리고 다양한 이유에서 사회에서 정착이 힘든

    한센인들은 시설에서 퇴원할 수 없었다. 또한 퇴원한 음성환자의 상당수가 “음

    성나환자촌”또는 “정착촌”이라고 불리는 시설 외부에 있지만 일반사회와 분리된

    공간에 모여 살게 되었다. 한센인에 대한 강력한 사회의 낙인과 차별은 정착촌

    과 일반사회에 강력한 장벽을 만들었고 이로 인하여 정착촌은 또 다른 격리 공

    간의 성격을 갖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한센인에 대한 격리시설은 사회에 대한 위험 요소를 예방하기 위한

    목적 외에 한센병환자의 치료를 담당하는 의료복지적 성격을 갖는 것으로 보이

    지만, 실제 운영되는 방식을 보았을 때, 의료복지적 성격은 상대적으로 매우 약

    함을 알 수 있다. 격리시설의 운영은 매우 비용이 많이 드는 것이며, 정부와 사

    회에게 시설에 격리된 환자는 예산을 축내는 비생산적인 잉여 인구였다. 때문에

    격리시설의 운영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예산 절감에 있었고, 오랫동안 환자

    의 복지는 부차적인 것이었고, 예산 절감에 환자의 권리는 얼마든지 양보될 수

    있는 것이었다. 예산의 절감이라고 하는 목표는 시설 내부에서 환자의 복지뿐만

    아니라 기본권이 매우 쉽게 침해되는 이유가 되었다. 환자들은 자주 적절한 의

    식주를 공급받지 못했으며, 강제노동에 쉽게 동원되었고, 단종 및 낙태수술을

    당했다. 이는 정착촌에서도 마찬가지였는데, 정착촌의 한센인들은 한편으로는

    지속적으로 보건당국의 관리를 받아야 하는 존재가 되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정부의 도움을 더 이상 받지 않고 경제적으로 자립하는 주체가 되기를 요구받

    았다. 그러나 한센인을 건강하며 경제적으로 생산적인 주체로 만드는 과정은 세

    심히 설계되거나 충분한 예산이 고려되지 않았고, 폭력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졌

    다. 이러한 주체가 되었을 때만 한센인들은 국가로부터 인정받을 수 있었고 지

    원받을 수 있었다. 이러한 주체화 과정 속에서 한센인은 자신에 대한 사회의 낙

    인과 차별을 유지시키고 오히려 강화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 - iv -

    이상과 같이 이 논문은 한센인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격리를 중심으로 분석했

    다. 그러나 한국사회에서 격리 그리고 시설화는 한센인뿐만 아니라 부랑인, 장

    애인, 전염병환자, 빈민 등 사회적 약자를 관리하는 제도로서 점차 보편화되었

    고, 현재는 정상적인 삶의 궤적 속에서 특정한 국면에 보편적인 제도로서 자리

    잡았다. 한국사회의 격리화라고 하는 역사적 흐름 속에서 한센인에 대한 격리제

    도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한센인에 대한 강제격리제도의 도입과 이에

    대한 조선사회의 엄청난 지지는 비정상적이라고 여겨진 집단을 사회에서 추방

    하고, 특정한 공간에 격리시키는 관리 방식을 한국사회에 익숙한 것으로 만들었

    으며, 더 나아가서는 유일한 방법으로 여기도록 만들었다. 그리고 이러한 격리

    화 과정은 근대적 의료 지식에 의하여 정당화되었다. 질병의 단일 병인론은 질

    병의 발생에 개입하는 다양한 사회경제적 요인들을 비가시화하면서, 환자들을

    세균의 매개체로 환원시켜 환자에 대한 격리를 정당화했다. 또한 제국주의, 인

    종주의뿐만 아니라 우생학과 같은 이데올로기 역시 환자에 대한 격리를 정당화

    했다. 이렇게 시설을 중심으로 격리된 환자들은 그 내부에서 폭력적인 방식으로

    대우받았다. 비생산적인 잉여인구에 대한 보건예산은 낭비로 여겨졌고, 예산의

    절감을 위하여 시설 내부의 환자는 시설에 부담이 되지 않는 주체, 그리고 시설

    에 공헌할 수 있는 주체가 되기를 요구받았다. 그리고 자주 이러한 요구는 환자

    의 치료나 복지보다 우선되었고, 이는 시설 내에서 이들에게 가해진 폭력의 원

    인이 되었다. 한센인 격리에 대한 본 연구의 분석은 추후 이러한 한국사회의 격

    리화 과정을 분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어 : 한센병(나병, 문둥병, 대풍병), 한센인, (강제)격리화, 낙인/차별, 의

    료지식, 치료제

    학 번 : 2015-30070

  • - v -

    목 차

    제 1 장 서론 ······································································································ 1

    제 1 절 연구목적 및 필요성 ····································································· 1

    제 2 절 선행연구검토 ················································································· 5

    1. 한센인에 대한 낙인과 차별에 관한 의학적 연구 ···················· 5

    2. 한센인 낙인과 차별에 대한 인권(법)적 논의 ··························· 6

    3. 제국주의 및 인종주의와 한센병의 관계 연구 ·························· 7

    제 3 절 이론적 배경 ················································································· 10

    1. 질병에 대한 지식의 사회적 구성 ················································ 10

    2. 질병낙인이론 ···················································································· 12

    3. 사회적 배제와 포섭으로서의 격리 ·············································· 16

    제 4 절 연구 자료와 방법 ········································································· 18

    제 5 절 한센병에 대한 설명과 한센병 용어 정리 ······························· 20

    1. 한센병의 특징 ·················································································· 20

    2. 질병과 환자에 대한 용어 ······························································ 21

    제 2 장 근대적 나병의 등장과 나환자 격리정책의 식민지 이식 ······ 26

    제 1 절 전근대 의학의 대풍(大風) 지식과 조선사회의 대응 ············ 26

    1. 한의학에서 대풍 지식의 발전 ······················································· 26

    2. 대풍(창)에 대한 두려움과 조선의 대응 ····································· 36

    제 2 절 근대 서양의 나병지식의 발전과 격리정책의 발전 ··············· 44

    1. 나병의 근대적 질병으로의 재구성과 강제격리의 형성 ·········· 44

    2. 과학과 인종주의에 근거한 강제격리정책의 국제적 승인 ······ 50

    3. 반강제격리주의 흐름과 발전 ························································ 55

    제 3 절 식민지 조선의 근대 나시설과 강제격리정책 도입 ··············· 60

    1. 서양나병원의 설립과 나환자 구료 ·············································· 60

    2. 소록도자혜의원의 설립과 부랑나환자 강제격리 ······················ 65

    제 4 절 부랑나환자의 급증과 나환자 강제격리정책의 강화 ··········· 71

    1. 부랑나환자의 사회문제화와 사회의 강제격리 요구 ················ 71

  • - vi -

    2. 완치불가능한 질병으로서 나병과 사라져야 할 나환자 ·········· 82

    3. 절대종생격리정책의 탄생과 시설에서의 인권탄압 ·················· 93

    제 3 장 광복 후 절대종생격리정책의 강화 ··············································106

    제 1 절 해방 공간에서 부랑나환자의 사회문제화 ·······························106

    1. 나환자의 탈시설과 부랑나환자의 급증 ·······································106

    2. 나환자촌의 난립 문제 ····································································109

    제 2 절 나환자 관리 정책의 강화 ···························································113

    1. 강제격리정책의 강화와 나시설의 전국화 ··································113

    2. 시설에서의 환자 관리 강화와 인권탄압 ····································119

    제 3 절 강제격리와 나환자에 대한 낙인의 강화 ·································126

    1. 국가와 사회의 부담으로서 나환자 ··············································126

    2. 나환자 학살사건 ··············································································130

    제 4 장 치료제의 등장과 나환자 격리정책의 다각화 ···························134

    제 1 절 화학제제 도입과 강제격리정책의 폐지 압력 ·························134

    1. 디디에스제의 도입과 “음전환” 환자의 증가 ·····························134

    2. 세계보건기구(WHO)의 원조와 강제격리 폐지 요구 ···············143

    제 2 절 “음성나환자”의 탄생과 격리의 다각화 ····································149

    1. 세균 검사 방법의 한계와 음성나환자의 탄생 ··························149

    2. 음성나환자 퇴원과 부랑·양성·장애환자의 격리 지속 ·············156

    3. 이중의 격리: 위반자, 범법자, 그리고 정신질환, 결핵 환자 ·· 169

    4. 환자자녀 격리 ··················································································174

    제 3 절 격리시설 외부에서의 격리 ·························································181

    1. 음성나환자촌이라는 격리 공간 ····················································181

    2. 음성나환자 낙인의 제도적 강화: 등록제도와 신환자

    발견사업 ···························································································189

    3. 음성나환자촌을 중심으로 한 나환자단체의 활동과 한계 ······ 196

    제 5 장 한센병 문제의 해결과 격리정책의 변화 ····································204

    제 1 절 WHO 복합화학요법 도입과 한센병 문제의 해결 ·················204

  • - vii -

    1. WHO의 복합화학요법 도입 ··························································204

    2. 한센병환자의 급감과 한센병 문제의 해결 ································215

    제 2 절 한센인 격리 공간의 성격 변화 ·················································222

    1. 전염병 관리 시설에서 노인복지시설로의 전환 ························222

    2. 정착촌의 변화와 해체 ····································································224

    제 3 절 한센인 인권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운동 ·······························228

    1. 식민지 한센병환자 강제격리에 대한 대일본 보상청구소송 ·· 228

    2. 한센인 피해사건 진상규명 및 피해자 생활지원 등에

    관한 법률 제정과 한계 ·································································230

    3. 한센인 강제 단종·낙태에 대한 국가배상청구 소송 ·················232

    제 4 절 한센병환자 격리의 재법제화 ·····················································234

    제 6 장 결론 ···································································································· 238

    참고문헌 ············································································································· 241

  • - viii -

    표 목 차

    [표 1] 서양나병원의 입원환자 수(1909-1934년) ······································· 63

    [표 2] 소록도병원 동거부부수, 정관절제수술수 및 출생아수 대조표

    (1949-1957년) ························································································ 123

    [표 3] 나병관리 보건사회부 예산(1948-1968년) ······································· 129

    [표 4] 소록도갱생원 세균검사성적표(1957-1960년) ································· 142

    [표 5] 1963년 전염병예방법 개정 내용 ······················································· 150

    [표 6] 소록도병원 퇴원자 유형별 추이(1960-1974년) ····························· 157

    [표 7] 1960년 소록도갱생원 환자 발병전 직업별표 ································· 159

    [표 8] 1960년 소록도 환자조무원배치상황 ················································· 160

    [표 9] 1968년 소록도병원 외과수술 현황 ··················································· 164

    [표 10] 1980년대 후반기 한성협동회의 ‘선도사업’ 실적 ························· 202

    [표 11] WHO MDT 권고 사항(1982년) ····················································· 209

    [표 12] 재가 및 시설환자 균동태표(1962-1966년 9월) ··························· 210

    [표 13] 소록도병원 주치약 소비현황(1974-1977년) ································· 212

    [표 14] 1978년 나관리세미나 채택 병용요법 ············································· 213

    [표 15] 소록도병원 연도별 변성자 동태 (1974-1994) ····························· 216

    [표 16] 치료종결과 구분관리(요치료→요관찰→요보호→퇴록)

    흐름도 ··································································································· 219

    [표 17] 한센병환자 격리 문제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 ····························· 189

    [표 18] 한센병 음성환자 사회복귀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 ····················· 190

    [표 19] 한센병 음성환자 자녀 공학문제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 ··········· 190

  • - ix -

    그 림 목 차

    [그림 1] 소록도자혜병원 수용정원 및 현원 수(1917-1932년) ··············· 69

    [그림 2] 식민지기 조선의 나환자 거주지별 분포(1929년) ······················ 70

    [그림 3] 소록도자혜의원/갱생원 치료·경쾌·사고퇴원 및

    사망자 수 변화(1917-1937년) ························································ 88

    [그림 4] 소록도갱생원의 수용정원 및 수용현원 변화(1917-1944년) ··· 99

    [그림 5] 1955년 경상남도 나환자촌(colony) 배치 지도 ··························111

    [그림 6] 1949년 나병관리체계표 ···································································112

    [그림 7] 1955년 나병관리체계표 ···································································112

    [그림 8] 소록도 수용환자 사망자수와 사망률의 추이(1917-1960년) ··· 120

    [그림 9] 소록도병원 연도별 수용환자수 변화(1945-1962년) ·················121

    [그림 10] 문둥병전치약 신맥환 광고 ···························································136

    [그림 11] 지유사이드 광고, 유한양행 ··························································136

    [그림 12] 소록도병원 신경정신질환자 수 변화 추이(1976-2006년) ····· 173

    [그림 13] 1961년 나병관리체계표 ·································································182

    [그림 14] 등록나환자 거주지 비중 변화(1968-1982년) ···························197

    [그림 15] 보건사회부 나병관리체계(1984년) ··············································201

    [그림 16] 소록도병원 연도별 음전환율 및 재발율 추이(1974-1994년) 217

    [그림 17] 전체등록환자 대비 양성환자 비율(1975-1999년) ···················218

    [그림 18] 신규한센사업대상자 및 신규 활동성환자 수 변화

    (2005-2017년) ··················································································222

    [그림 19] 한센사업대상자 평균연령 및 70세 이상 대상자

    비율 변화(2005-2017년) ································································223

  • - x -

    사 진 목 차

    [사진 1] 헌인마을(서울특별시) 전경 ···························································· 226

    [사진 2] 삼애마을 전경 (2017년) ·································································· 227

    [사진 3] 덕촌마을 전경 (2017년) ·································································· 228

  • - 1 -

    제 1 장 서 론

    제 1 절 연구목적 및 필요성

    오늘날 한국에서 한센병은 이미 퇴치가 완료된 질병(eliminated disease)으

    로, 더 이상 중요한 공중보건학적 문제가 아니다(국립소록도병원, 2017a). 최근

    10년간(2008-17년) 한센병 신환자는 매년 평균 약 5명에 불과할 정도로 매우 낮

    으며, 이들 신환자 역시 진단 후 치료제를 복용하면 전염성이 바로 사라진다(질

    병관리본부, 2018). 수 세기에 걸쳐 한반도에서 풍토병으로 수많은 사람들에게

    신체적, 정신적, 그리고 사회적 고통을 안겨 주었던 한센병은 이제 역사의 뒤안

    길로 사라지고 있다.1) 한센병의 퇴치라고 하는 역사적 사건은 한센병을 치료하

    고 예방하기 위한 의학의 발달과 공중보건체계의 발전으로 가능한 것이었다. 그

    러나 의학과 공중보건제도는 질병을 퇴치한다는 그 자체의 목표는 달성했지만,

    그 질병을 경험한 사람들에게는 크나큰 사회적 고통을 안겨주었다. 과거에는 문

    둥이, 또는 나(병)환자라고 불렸고, 현재는 한센인(people affected by Hansen’s

    disease)이라고 불리는 이 집단은 오랫동안 사회적으로 낙인찍혀 차별받았으며,

    사회에서 배제되고 시설에 격리되어 살아왔다. 심지어 질병에서 치료된 이후에

    도 사회로 복귀하지 못하고 시설이나, 특정 장소에 고립되어 살아가거나 낙인과

    차별을 피하기 위하여 철저히 질병의 경험을 숨기며 살아야만 했다(국가인권위

    원회, 2015).

    한센인이 경험한 국가와 사회에 의한 다양한 인권침해는 오랫동안 묻혀 있

    다가 2000년대 들어와서야 공론화되었고, 이들의 피해에 대한 진상규명과 피해

    자에 대한 지원과 보상이 이루어졌다. 2005년도에는 국가인권위원회에서 『한센

    인 인권 실태조사』보고서를 발간했고, 이를 근거로 2006년에는 한센인 인권 개

    선을 위한 정책을 수립할 것을 정부에 권고했다. 이에 따라 「한센인피해사건의

    진상규명 및 피해자 생활지원 등에 관한 법률안(이하 한센피해자법)」이 2009년

    1) 일부 전문가들은 결핵의 유병율이 감소했다가 최근에 다시 증가하고 있는 현상을 근

    거로 한센병도 지속적인 관리를 하지 않을 시 다시 유행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최근에는 해외에서 유입되는 한센병을 경고하는 전문가들도 있다. 그러나 WHO는 전

    세계적으로 한센병은 이제 퇴치 단계에 들어선 질병으로 간주하고 있다.

  • - 2 -

    9월 20일 국회에서 통과되었고, 같은 해 10월 17일에 정부에 의해 공포되었다.

    또한 2011년 10월부터는 한센인 격리시설에서 자행되었던 정관절제수술이나 인

    공낙태수술의 피해자들이 국가를 상대로 일련의 배상청구소송을 제기하였고,

    2017년 2월 15일 대법원에서 첫 번째 원고 승소 판결을 받아냈다.

    이러한 다양한 공론화 과정 속에서 한센인에게 가해진 다양한 차별이 드러

    났다. 한센인은 위생과 치안의 관점에서도 혐오스럽고 위험하며 사회에 짐이 되

    는 집단으로 낙인 찍혔다. 이러한 낙인에 의하여 이들은 제도적으로는 시설에

    오랫동안 격리당했고, 시설에서 강제정관수술이나 인공낙태수술을 강제로 당했

    으며, 통제된 생활을 감내해야만 했다. 그리고 사회적으로는 이동과 직업의 자

    유를 제한받았으며, 교육의 기회를 박탈당하기도 했다. 공공장소에로 출입이 금

    지당하기도 했으며, 심지어 일반 병원의 이용도 거부당했다. 이들은 갖은 사회

    적 모욕에 시달렸으며, 종종 물리적 폭력을 당하기도 했고, 심지어는 한국전쟁

    을 전후하여 한센인 학살사건이 전국적으로 자행되기도 했다.

    한센인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은 당사자를 넘어 그들의 가족에까지 확대됐다.

    한센인의 자녀들은 질병으로부터 감염되는 것을 예방한다는 명목 아래 부모로

    부터 분리되어 별도의 시설에 수용되어 양육되었으며, 때때로 강제로 해외 입양

    보내지기도 했다. 또한 한센인들이 감내해야 했던 낙인과 차별을 그 자녀들이

    그대로 물려받기도 했다. 이들의 자녀는 일반 학교에서 등교가 거부되었고, 또

    래 집단으로부터 놀림이나 구타에 시달렸고 결혼이나 취업에 제한을 받기도 했

    다. 이러한 낙인과 차별의 경험은 한센인들의 정신에도 지울 수 없는 상처를 주

    었고, 그 영향을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국가인권위원회, 2005; 보건복지부,

    2011). 한센병이라는 만성감염병을 퇴치하기 위한 국가와 사회의 노력은 의학기

    술의 발전에 따라 점차 강화되고 정교해졌지만, 질병의 치료와 퇴치에도 불구하

    고 한센인에게 낙인과 차별은 형태를 달리하며 끈질기게 따라붙으며, 이들에 대

    한 격리 역시 분화되고 교묘해진 방식으로 지속됐다.

    그러나 사법 및 입법의 장에서 이루어진 한센인들이 겪었던 피해에 대한 논

    의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운동 속에서 격리제도는 상대적으로 비가시화됐다. 한

    센인의 격리가 인권 논의 속에서 사라진 이유는 첫째, 1996년까지 한센인에 대

    한 강제격리가 유지 되었던 일본과 달리 한국은 1963년 「전염병예방법」개정

    으로 강제격리제도가 폐지되었다는 인식 때문이었다. 식민지기에 도입된 한센병

    환자에 대한 강제격리 정책은 광복 이후에도 1954년 제정된 「전염병예방법」

    에 근거하여 지속되었다. 그러나 1963년 한센병에 대한 격리 조항이 삭제되면

  • - 3 -

    서, 음성으로 판정된 한센병환자는 시설에서 퇴원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여

    전히 양성 환자는 시설에 격리되었고, 음성환자들 역시 다양한 이유로 시설에

    수용되었다. 또한 시설에서 퇴원된 음성 환자 중 상당수는 정착촌이라는 일반

    사회와는 분리된 특수한 공간에 살아야만 했다. 그러나 2000년 이후 한센인 인

    권의 회복과 피해 보상을 위한 사회의 노력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지만 법의

    개정으로 한센인에 대한 격리가 폐지되었다는 인식은 더욱 다양하고 교묘해진

    격리를 시야에서 사라지도록 만들었다.

    비가시화의 두 번째 이유는 사회적으로 보호받아야 하거나 위험한 자들은

    이동의 자유 등 기본권을 얼마든지 제한할 수 있다는 것이 공리적으로 정당화

    된다는 사회적 신념 때문이었다. 한센병환자는 사회적으로 보호받아야할 약자이

    자 사회를 위험에 빠뜨릴 수 있는 위험한 존재로 여겨졌다. 그래서 이들을 격리

    하는 수용시설은 한편으로는 이들의 질병을 치료하고 돌보는 병원 또는 복지

    시설로 인식되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무서운 전염병을 전파할 수 있는 세균의

    “매개체”인 환자를 건강인과 분리시켜 사회를 보호하는 격리시설로 인식되었다.

    즉 한센인 수용시설은 복지와 예방이라는 이중의 인식 체계 속에 존재하면서

    서로의 정당성을 강화시켰다. 또한 격리정책과 사회적 편견 및 차별로 인하여

    부랑하게 된 한센병환자에 대한 사회의 불만 역시 한센인의 격리를 정당화했다.

    한센인에 대한 치료 및 복지라는 시설의 설립과 운영의 정당성은 인정되었

    지만, 장기간에 걸친 격리가 이들의 삶에 미쳤던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반성은

    거의 부재했다. 예를 들어 시설 등에 격리된 한센인에 대하여 단종과 낙태를 강

    제로 시행한 사건의 피해자들이 국가를 상대로 제기한 소송에서 재판부는 이들

    에 대한 단종과 낙태를 불법적인 것으로 판결내리면서도, 한센인 시설에 격리된

    한센인에 대하여 국가와 의료진은 “선의”를 가지고 보살핀 것 역시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즉 강제격리로 인하여 발생한 다양한 인권 침해에 대한 논의

    는 입법부와 사법부 그리고 운동의 영역에서 문제가 제기되었으나, 오히려 이러

    한 문제들을 발생시킨 격리에 대한 비판적 논의는 발전되지 못한 모순적인 상

    황이 발생한 것이다. 이것은 격리를 정당화하는 기제가 그만큼 우리 사회에 강

    력함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특히 한센인에 대한 격리를 정당화하는 논리는 한센인들에게도 내면화되었

    다. 환자인 자신과 사회의 건강 그리고 안전을 위하여 스스로 격리되어야 한다

    는 논리는 한센인 자신에게도 내면화되었기 때문에 모든 환자들이 당국에 의하

    여 강제로 끌려와 시설에 격리된 것은 아니었다. 상당수의 환자들은 자신의 의

  • - 4 -

    지로 시설에 입소했는데, 이러한 사실은 격리라고 하는 제도를 정당화하는 또

    하나의 근거가 되었다. 격리의 자발성과 격리가 사회를 보호하기 위한 예방적

    조치뿐만 아니라 환자의 치료 및 복지를 위한 기능을 했다는 사실은 격리를 단

    순히 다수를 위하여 소수를 희생시키는 폭력적인 기제로 볼 수 없게 만들며, 격

    리의 문제를 더욱 복잡한 구도 속에서 바라봐야만 하는 이유가 된다.

    이 연구는 한센인 대한 (강제)격리는 전통적인 차별과는 구분되는 매우 근대

    적인 양식의 차별 형태이며, 이는 의학이라는 과학지식과 근대국가의 인구 관리

    의 목적에 의하여 정당화되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한센인에 대한 (강제)격리

    는 한편으로 치료와 보호의 목적이 있었지만, 궁극적으로는 사회에서 위험한 집

    단을 비가시화하는 목적에 의한 것이었고, 그 결과는 이전보다 더욱 강력하고

    지속적인 한센인에 대한 낙인과 차별이었음을 보여줄 것이다. 그리고 한센인에

    대한 강력한 낙인과 차별은 의학지식과 치료기술의 발전으로 한센병환자의 완

    치가 가능한 이후에도 세분화되고 더욱 교묘해진 방식의 다양한 격리 형태를

    생산하고 유지시켰다. 한편 의료전문가나 국가만이 한센인에 대한 (강제)격리의

    형성과 다각화 그리고 지속의 주요 행위자가 아니었다. 익명의 다수의 행위자로

    구성된 사회라고 불리는 집단 역시 격리를 형성하고 유지시키는데 주요한 행위

    자로 역할을 다했다. 이들 행위자들은 각각의 공간에서 격리된 한센인들을 다양

    한 방식으로 차별했다.

    이러한 주장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질문에 대한 답이 필요하다.

    첫째, 한센인에 대한 (강제)격리가 형성되고 유지된 이유는 무엇인가? 둘째, (강

    제)격리는 한센인에 대한 다양한 낙인과 차별을 어떻게 생산하고 유지시키는

    가? 셋째, 의료전문가, 국가, 그리고 사회는 어떠한 근거에 의하여 (강제)격리와

    낙인과 차별을 정당화했는가? 마지막으로 의학의 발전과 사회의 변화에도 불구

    하고 (강제)격리는 어떻게 폐지되지 않고 유지할 수 있었는가? 본 연구는 이상

    과 같은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자 노력한 결과물이다. 이러한 질문에 답할 수

    있을 때 2000년대 이후 진행되었던 한센인 문제의 해결 노력의 결과들을 객관

    적으로 평가하고, 앞으로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 - 5 -

    제 2 절 선행연구 검토

    1) 한센인에 대한 낙인과 차별에 관한 의학적 연구

    한센병과 관련된 의학적 연구의 대부분은 시기에 따라 그 강조점이 변하지

    만, 주로 질병 자체(주로 병인론)에 관한 연구, 예방과 통제를 위한 공중보건학

    적 연구, 그리고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관한 연구로 구분된다. 그러나 한센병에

    관한 연구의 이 세 범주가 서로 구분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한센병의 여러 특

    성을 이해하기 위한 병리학, 세균학, 면역학, 유전학, 공중보건 등 다양한 분야

    의 연구성과들 속에서 관계를 맺으며 발전했다. 그리고 이렇게 발전된 의학지식

    은 공중보건학적 정책의 변화에도 영향을 주었고, 또한 한센병에 대한 사회의

    이해와 태도, 반응 역시 변화시켰다. 이들 연구들은 질병의 예방, 관리 그리고

    치료에 주된 관심을 갖고 있었으나, 그러한 관심이 오롯이 질병 그 자체에 한정

    된 것은 아니었다. 의학적 연구 역시 한센인들이 겪고 있는 낙인과 차별에 주목

    하였고, 이러한 현상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지에 관해서도 관심을 가졌다. 의학

    적 연구는 한센인이 받고 있는 낙인과 차별은 질병에서 비롯된 외모의 변형이

    주는 “혐오감”에서 비롯된 것으로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보편적인 현상이라고

    보았다(갈승철, 1960; editorials, 1998). 이러한 이유에서 질병과 질병에서 비롯

    된 외모의 변형을 치료함으로써만 낙인과 차별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

    았다. 그리하여 의학적 연구는 한센인에 대한 낙인과 차별의 극복을 위하여 조

    기발견 및 조기진단법, 빠른 질병의 치료, 그리고 외모의 변형을 감추기 위한

    “재건수술”, 그리고 환자의 경제적 독립과 안정적인 치료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정착촌(settlement village)의 형성에 집중하였다. 다시 말해 한센인에 대한 낙인

    과 차별의 이유를 그들이 갖고 있는 전염성과 외모의 변형, 또는 환자들의 부랑

    에 돌리고, 그러한 것에 대한 의료적, 또는 공중보건학적 개입을 통하여 극복하

    려 했던 것이다.

    그러나 이들 연구는 한센병에 관한 의학지식과 공중보건학적 정책이 발생시

    키거나 강화시키는 한센인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포착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갖

    고 있다. 한센병 전문가(leprologist)들은 한센인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질병과

    개인의 특성으로 돌렸으며, 질병에 대한 몰이해, 무지, 미신 등에 의하여 발생하

    는 것으로 생각했다. 그러나 질병에 대한 근대적 지식과 공중보건정책은 한센병

    의 “전염성(contagiousness)”를 지나치게 강조했고, 전염성을 강조하면 할수록

    사회의 한센인 혐오는 더욱 강화되고 정당화되었다. 전염병의 예방과 관리의 차

  • - 6 -

    원에서 한센인에 대한 격리가 권고되었고, 이들의 직업과 이동의 자유가 제한되

    었으며, 자녀를 가질 권리 역시 다양한 방법으로 박탈당했다. 한센인에 대한 낙

    인과 차별에 대한 의료계의 관심은 자신들이 형성시킨 지식과 정책에서 비롯된

    낙인과 차별을 포착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지닌다.

    2) 한센인 낙인과 차별에 대한 인권(법)적 논의

    한센인이 오랫동안 겪었던 차별의 경험은 2000년대에 들어와서야 인권법적

    관점에서 공론화되었고 사회문제화되었다.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당연히 누려

    야할 권리의 침해라는 측면에서 이들에게 가해졌던 차별과 편견이 인식되었고,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려는 제도적 노력이 시작되었다. 그리

    고 이러한 노력은 한센인 당사자와, 학자, 변호사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진행되었다. 한센인들이 겪은 인권침해를 해결하기 위한 초

    기 노력 중 중요한 것은 2002년의 “한센병력자 권익보호를 위한 관련 정책세미

    나”와 2003년에 열린 “한센병 관련 인권·복지·의료·환경 등 제반문제에 대한 연

    구발표” 세미나였다. 한센인들이 겪는 문제들에 대한 이러한 인권적 접근은 상

    당히 새로운 것이었다. 2000년대 이전까지 한센인들이 겪는 여러 문제들은 병이

    치유되면 또는 경제적으로 독립하면 해결될 수 있는 의료적이거나 경제적인 문

    제로 인식되었고, 해결방안도 이러한 인식에 근거해서 제시되었다(유준, 1960,

    1963; 정상권, 1994). 특히 196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된 한센인 정착촌 제도

    는 이러한 인식에 근거하여 추진되었고, 한센인들이 정착촌에서 경제활동에 힘

    쓰면 정신적인 재활이 이루어질 것이라 기대됐다(김영미, 최시룡, 1983; 최시룡,

    1986). 정착촌을 중심으로 한 의료적, 경제적 재활을 통해 편견과 차별을 극복

    하려고 했던 한센인들에게 인권적 언어로 자신들이 겪는 문제를 이야기하고 해

    결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상당히 새로운 것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센인 문제

    에 대한 역사적, 사회적, 의료적, 경제적, 그리고 인권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다

    룬 전국단위의 보고서인 『한센인권실태조사보고서』가 국가인권위원회에서

    2005년 발간되었다.

    한센인들은 인권담론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였고, 이전까지 의료적, 경제적 담

    론에서 벗어나 자신이 겪는 어려움을 인권침해라고 인식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관점에서 한센인인 정상권(2006)은 국내 유일의 한센병 학회지인 『대한나학회

    지』에 “(특별기고)한센병력자 인간성 회복에 관한 보고”라는 글에서 인권적 관

    점에서의 인간성 회복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이전과 다른 이러한 움직임을 애

    링턴(Arrington, 2016)은 1990년대 후반 이후 한국과 일본에서 일어난 한센인들

  • - 7 -

    의 이러한 움직임을 정부의 책임을 묻기 위한 집단행동으로 보고, 목표를 달성

    하기 위하여 한센인 집단은 스스로를 피해자화(victimization)하였다고 보았다.

    그러나 한센인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인권(법)적으로 규명하는 것은 법적 기

    준에 의하여 해결할 수 있는 건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하여 한정된 운동자원

    의 선택과 집중이라는 측면에서 장점을 가졌지만, 법적으로 문제화하기 어려운

    모호한 사회의 한센인혐오(leprophobia)를 논의에서 사라지게 만드는 역효과를

    가져왔다. 법적으로 인정받는 피해사건에 대한 집중은 사회전반적인 한센인혐오

    를 포착하는데 한계를 갖고 있었으며, 그러한 한센인혐오가 어디에서 비롯된 것

    인지에 대한 문제의식이 충분히 성숙되지 못했다. 또한 한센병에 관한 지식과

    공중보건학적 정책이 형성하고 강화시킨 한센인에 대한 낙인과 차별의 문제 역

    시 충분히 깊게 파고들지 못했다.

    3) 제국주의 및 인종주의와 한센병의 관계 연구

    2000년대 들어와 한센병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제국주의/인종주의와 결합한

    근대성(modernity)이라는 차원에서 설명하려는 연구들이 급증했다. 이러한 연구

    흐름은 한센인에 대한 낙인, 차별, 배제가 근대라는 시대에 매우 보편적인 현상

    이었음을 보여주며, 낙인과 차별이 근대성의 한 부분임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

    러한 현상은 전근대 시기의 그것과 형태와 질의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 푸코

    (1991)가 자신의 저서 『광기의 역사』 첫 머리에 유럽의 중세 나요양소에서 한

    센병환자가 사라지고 광인으로 대체되는 과정을 묘사하며, 서구에서 이성의 탄

    생과 비이성적인 것의 배제를 설명하는 것과 반대로, 식민지 지역에서는 한센병

    환자에 대한 격리와 근대의 탄생의 시기가 겹친다. 정근식(1997a)은 조선 시대

    한센병환자에 대한 사회의 반응은 그렇게 적대적이지 않았으며, 오히려 익숙한

    질병이었으며, “천형”이라는 한센병의 이미지는 서구 선교사들에 의해 도입되었

    으며, 일제에 의하여 확대 강화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구쏘(Gussow, 1989) 역시

    미국에서의 한센병 연구를 통하여 중세 사라졌던 한센병이 제국주의 시대에 인

    종주의와 결합하여 재발견되었음을 보여주었다. 그는 미국에서의 흑인노예와 중

    국인 노동자의 몸에 대한 이미지를 그 예로 들어, 한센병이 어떻게 비문명화된

    유색인종의 몸을 상징하고 있는지 묘사했다.

    한편 최근의 국외 연구들(Arnold, 1993; Bashford & hooker, 2001;

    Buckingham, 2002; Obregón, 2002; Alison & Carolyn, 2005; Edmond, 2006;

    Moran, 2007; Leung, 2009; Loh, 2008, 2009; Inglis, 2013, Snelders, 2013)은 구

    쏘의 한센병에 대한 근대의 인종주의적, 제국주의적 시각에 대한 비판적 주제의

  • - 8 -

    식을 다양한 지역의 사례 연구를 통하여 발전시켰다. 이들 연구들은 유럽에서

    사라진 것으로 믿어졌던 한센병이 제국주의 국가들이 식민지에서의 식민화 과

    정 중에 그곳에 살던 현지인들 그리고 플렌테이션 농업을 위하여 새롭게 유입

    된 흑인, 아시아인 노동자들의 신체를 통하여 재발견되었음을 지적하고 있다.

    아시아, 아프리카 등지에서 풍토병으로 현지인들에게 친숙한 질병이었던 한센병

    은 그곳에 정착한 백인들에게 다른 열대병들과 마찬가지로 식민지와 그곳의 식

    민화된 몸들의 비문명적 열등함을 상징하는 것으로 이해됐다. 즉 한센병은 비문

    명성, 그리고 유색인종 신체의 열등함을 의미하는 제국주의적 그리고 인종주의

    적 상징이었던 것이다. 한센병에 대한 이러한 제국주의/인종주의적 시선은 아시

    아, 남미 그리고 아프리카의 식민지 엘리트들에게 그대로 혹은 강화되어 받아들

    여졌다. 정근식은 한국, 렁(Leung)은 중국, 성(Seong)은 말레이시아와 싱가폴,

    그리고 Snelders는 수리남(Surinam)의 사례에서 제국주의/인종주의적 한센병

    이미지가 어떻게 식민지/민족주의 엘리트들에게 이식되었는가를 보여주었다(정

    근식, 1997a, 1997b, 2002a; Leung, 2009; Loh, 2008, 2009; Snelders, 2013). 한편

    후발 제국주의 국가였던 일본 역시 한센병에 대한 제국주의/인종주의적 시각을

    적극적으로 그리고 강화해서 받아들였다(藤野, 1998, 2001, 2010). 즉 아시아 및

    아프리카 지역에의 풍토병으로 그래서 그 지역 사람들과 더불어 살아갔던 한센

    병은, 물론 간헐적으로 비극적인 사건들이 벌어지기도 했지만, 제국주의 국가들

    에 의하여 재발견되어 인종적 열등함의 상징으로 재구성되어 가는 과정은 19세

    기 중반부터 20세기 중반까지 근 100년 동안 전세계적으로 발생한 보편적인 현

    상이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한센병에 대한 우리 사회의 인식과 태도, 반응은 서구 백인

    의 제국주의/인종주의와 결합한 근대성과 관련된 것이지만, 한국 사례에 대한

    연구들은 인종주의보다는 주로 제국주의 의학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즉 식민지

    조선에서는 그러한 이미지가 서구선교사들에 의하여 먼저 수입되었지만, 이후에

    제국주의 일본에서 강화된 이미지가 수입되어 한센병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훨

    씬 더 강화시켰기 때문이다(최정기, 1994; 정근식, 1997a, 1997b; 조형근, 1997,

    서기재, 2017). 일본의 식민지 조선에서 한센병에 대한 관심은 먼저 이 지역의

    전염병과 조선사회의 위생과 관련된 것이었다. 일본은 식민지의 일본인들과 일

    본군의 건강을 위하고, 조선인구의 관리 측면에서 전염병을 통제할 필요가 있었

    고, 이를 위하여 법적, 제도적 체계를 만들고 경찰력 및 행정력을 동원해 이를

    실행에 나갔다(신동원, 1986, 1997; 김옥주, 1993; 藤野, 1993; 박윤재, 2005,

    2012). 특히 한센병환자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는 미디어를 통해 우생학적 사고

    와 결합되어 대중에게 퍼져나갔고, 그 결과 대중은 한센병의 방치는 사회질서의

  • - 9 -

    위협이라고 받아들이게 된 것이다(김재형·오하나, 2016; 서기재, 2017).

    이상과 같은 국내외의 한센병에 대한 낙인 및 차별, 배제에 대한 역사사회학

    적 연구들의 성과를 종합해 본다면 우리 사회의 이 질병에 대한 태도 및 실천

    은 제국주의/인종주의적인 한센병과 한센병환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식민지

    적 근대성”이라는 형태로 만들어져 우리 사회에 이식됐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

    다. 그러나 식민지에 만들어진 이러한 인식과 태도 실천이 지금 우리 사회에 존

    재하고 있는 한센병환자에 대한 낙인과 차별, 배제에 여전히 직접적으로 연결되

    어 있다고 말할 수 있을까? 이러한 질문은 우리 사회가 현재 당면하고 있는 문

    제의 근원을 일정부분 일제강점기에 형성된 “식민지적 근대성”에서 찾으려는

    일련의 시도들과 관련된 것이다(김진균·정근식, 1997).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

    기 위해서는 먼저 광복 이후, 식민지 시기 만들어진 한센병과 관련된 인식, 태

    도, 실천을 지속과 변화라는 측면에서 살펴봐야 한다. 우선 김(Kim, 2010, 2012)

    은 미군정 시기 소록도에서의 환자 자치제의 탄생과 강화라는 측면에서 미군정

    이 민주주의 모델을 소록도에 형성하려고 했다고 주장했다. 즉 그녀는 일본과

    미군정의 한센병환자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부각시키고, 환자를 억압했던 일본

    과 달리 미군정이 환자의 정치적 권리를 인정해주었다고 주장한다. 한편 최병택

    (2011)은 서양선교사들의 한센병 치료 및 이들에 대한 기독교화 작업 덕분에 광

    복 이후에 한센인 집단이 성공적인 경제적 독립을 이루어 내었다고 주장하면서,

    서양선교사들의 활동과 그 영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한편 정근식(2002)은

    태평양전쟁 이후 일본과 한국에서의 한센병정책의 차이를 부각시키면서도, 한국

    에서는 여전히 식민지 시기의 영향이 남아 있다고 주장하였다. 김재형·오하나

    (2016)는 1990년대 초반까지 한센인 수용시설에서 자행된 단종수술의 사례를 통

    해 1920년대 말부터 조선사회에 받아들여진 “우생학”적 사고가 광복 이후에도

    지속되었으며, 그로 인하여 불법적 단종수술이 1990년대 초반까지 한센인수용시

    설에서 자행될 수 있었다고 주장했다. 즉 한국 사회의 한센인에 대한 차별과 배

    제는 식민지시기에 형성된 한센병 환자에 대한 우생학적 태도가 한국인과 한센

    병 제도에 내면화되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한 국외 연구들은 식민지 경험을

    갖고 있는 국가들이 독립 이후 새로운 근대국민국가 형성 과정 중에 한센병환

    자의 신체에 다시 주목하고 있는 현상에 묘사하였다(Loh, 2008, 2009; Leung,

    2009; Buckingham, 2002). 이들 연구는 식민지 경험을 갖고 있는 지역에서 근대

    국민국가 만들기 프로젝트에 있어 새로운 국민의 건강한 신체, 즉 인구라는 종

    의 측면에서 건강한 인구 만들기가 중요했다는 점을 지적하고, 이 과정에서 한

    센병과 한센병환자의 신체가 주목을 받았음을 보여준다.

    이들 역사사회학적 연구들은 한센병에 대한 우리 사회의 차별적 인식이 제

  • - 10 -

    국주의/인종주의 그리고 우생학적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역사사회학적 연구 결과에 크게 의존하면서도 이들 연구가 주목

    하지 못한 공백, 낙인과 차별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형성되었고 변화했는가, 그

    리고 그러한 형성과 변화에 어떠한 요인이 개입했는가, 또한 낙인과 차별의 결

    과 어떠한 정체성이 형성되고 변화했는가에 대하여 본 연구가 살펴볼 것이다.

    제 3 절 이론적 자원

    1) 질병에 대한 지식의 사회적 구성

    근대 생의학(biomedicine)에서 질병은 생물학적 실재(biological reality)이라

    는 기본적인 가정에 근거하고 있다. 조금 더 정확히 말하면 질병에 대한 지식은

    사회적이거나 심리적인 요인이 개입되지 않고, 생물학적 실재에 근거한 과학적

    방법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즉 질병에 대한 지식은 생물학적 실재에 대한

    연구를 통한 발견(discovery)들이 축적되면서 만들어지는 것으로 이해됐다. 그

    러나 1970년대 발전한 사회구성주의(social constructionism)는 전통적으로 객관

    적이며 중립적인 것으로 인식되는 질병에 대한 의학지식은 사실은 그 형성과정

    중에 다양한 사회적 요인들이 개입한다는 것을 밝혀내는데 기여했다(Bury,

    1986; Jordanova, 1995). 이러한 사회구성주의의 영향은 과학사회학과 의료사회

    학에도 영향을 끼쳤다. 전통적으로 미국의 과학사회학과 의료사회학은 과학과

    의료를 합리적인 규범이 지배하는 전문가 사회의 합리적인 산물로 인식했다

    (Merton, 1973, Parsons, 1951). 머튼은 특히 과학사회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보

    편주의(universalism), 공유주의(communism), 조직화된 회의주의(organised

    scepticism), 불편부당성(disinterestedness)과 같은 규범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구조기능주의적 시각에서 과학이나 의료에 대한 연구는 사회적으로 유용하며,

    중요한 객관적인 지식이 어떠한 조건, 어떠한 규범들에 의하여 형성되는지에 대

    하여 초점을 맞추었다(이영희, 2000).

    그러나 196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과학과 의학 지식의 객관성과 합리성에

    비판을 가하는 움직임이 사회에서 점차 강화되었다(Bury, 1986). 과학계에서는

    과학기술이 군사적 목적으로 개발되고 사용되거나 자본에 종속되는 것 등에 반

    발하는 급진과학운동이 발전되면서 과학지식의 객관성에 대한 회의감이 발전되

  • - 11 -

    었다(워스키, 2014). 반면 의료계에서는 의료비와 의료사고의 급증, 과잉진료, 의

    료기술의 사유화 및 급진성, 의료의 효율성과 효능에 대한 비판 등 다양한 사회

    적 요인에 의하여 의료에 대한 회의감이 발전했다(Starr, 1982). 특히 1970년대

    영국 에든버러 대학의 스트롱 프로그램은 체계적으로 과학/의학 지식이 다양한

    사회적 이해관계 속에서 만들어지는 사회적 산물이라는 것을 다양한 연구를 통

    해서 보여주었다. 예를 들어 스티븐 샤핀(Steven Shapin, 1975)은 골상학에 대

    한 지식이 19세기 에든버러 중산층의 사회문제를 해결하려는 중간 계급의 관심

    과 이해에 잘 맞아서 당시 사회의 주류적 과학지식이 되었음을 보여주었다. 특

    히 사회구성주의적 연구는 역사적 연구를 통하여 지식이 사회적 요인의 영향을

    받으면서 형성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강한 사회구성주의적 태도

    가 극단으로 치닫게 되면 실재란 존재하지 않는다는 반실재주의, 모든 지식은

    상대적이라는 지식 상대주의적 태도로 발전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의료지식 역

    시 다양한 사회적 관심과 이해에 영향을 받으며 구성된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성주의가 간과한 점은 사회와 과학 또는 의학이 근대에 들

    어와 깊은 관계를 맺고 있으며 상호적으로 구성된다는 것이다. 단순하게 말하자

    면 사회적 요인이 지식의 형성에 영향을 준다는 사회구성주의적 시각은 그러한

    사회적 요인이 과학과 의학 지식에 이미 상당부분 영향을 받고 있다는 사실과

    그렇기 때문에 이 둘을 구분하기 어렵다는 것을 간과한다. 사회와 의학지식의

    밀접한 관계가 의료사회학의 의료화(medicalization) 이론이 발전되면서 점차 분

    명히 드러나고 있다. 의료화란 전통적으로 비의학적 문제들이 질병과 장애의 용

    어로 의학적 문제로 정의되고 치료되는 과정이라고 정의한다(Conrad, 1992). 의

    료화 연구의 대상은 1960년대에는 주로 일탈(devinace)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

    다. 예를 들어 성적 취향에 불과한 동성애는 의학에 포착되면서 질병으로 인식

    되고 의학 내에서 해결되어야 할 문제가 되었다. 반면 1970년대에는 불안, 기분,

    출산, 노화, 죽음 등 삶의 정상적인 과정들이 의료적 문제가 되는 현상이 의료

    화 연구의 대상이 되었다. 한편 의료화의 주체 역시 처음에는 의료전문가에서

    나중에는 사회운동, 환자집단 등 다양한 주체들이 개입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Clarke et al. 2000, 2003).

    의료화 논의가 이전의 사회구성주의와 다른 점은 사회적 요인이 의학지식의

    형성에 개입한다는 이해를 뛰어 넘어 의료가 사회적 문제를 의료문제로 포섭함

    과 동시에 더 나아가면 사회가 사회문제를 의료적으로 해석하고 의료적으로 대

    응하는 새로운 규범을 형성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한 것이다. 이러한 관점은 푸

    코의 연구(Madness and Insanity, 1960; The Birth of the Clinic, 1960)에 많은

    영향을 받은 것이었다. 푸코는 생명권력(bio-power)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근

  • - 12 -

    대의학이 통치기술로서 인구에 대한 지식의 생산을 요구하는 근대국민국가와의

    관계 속에서 발전했다는 것을 보여줌과 동시에, 그러한 의학지식이 권력으로서

    작동하면서 새로운 주체를 형성시켜 세상을 그러한 시선으로 바라보고 이해하

    도록 만들었다는 것을 포착하여 제시했다. 예를 들어 콘라드(Conrad, 1992)는

    질병으로 인정되지 않던 성인 ADHD 환자들이 자신의 상태를 의료적으로 설명

    하면서 의료적 대응을 적극적으로 요구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즉 의료화 논의

    는 이전의 사회구성주의에서 제시한 원인으로서 사회적요인과 결과로서 의학지

    식이라는 단순한 메커니즘에서 벗어나, 사회적 요인이 의학지식을 생산하고, 그

    러한 의학지식이 사회를 변화시키며, 다시 그러한 사회가 의학지식의 형성에 영

    향을 주는 순환론적 메커니즘을 제시한 것이다.

    최근 생의료화(biomedicalization) 논의는 이러한 의료화 논의를 더욱 발전시

    켰다(Clarke et al, 2003). 최근의 급격한 생명과학과 기술의 발전은 인간의 몸과

    삶 자체(life itself)에 대한 인식과 대응 방식을 급격히 변화시켰다. 급격한 기술

    의 발전은 20세기 전반 세포에 머물러 있던 인간의 몸과 사회에 대한 지식과

    인식을 유전자에 근거한 지식과 인식으로 변화시켰다. 이 논문은 질병에 대한

    지식이 사회적으로 구성되며, 그리고 이렇게 구성된 지식이 사회에 영향을 미치

    고, 이렇게 변화한 사회가 다시 지식에 영향을 준다는 메커니즘을 받아들여 한

    센인에 대한 강제격리와 낙인·차별을 분석하고자 한다.

    2) 질병낙인이론

    구조기능주의적 전통에서 질병은 그 자체로 정상적인 사회질서(social order)

    에 장애가 되는 “일탈(deviance)”이다(Parsons, 1951). 파슨스는 19세기 후반 20

    세기 초반의 생물학적 개념에 근거한 병인론의 관점에서 모든 질병은 심리학적

    이고 생물학적 수준으로 환원될 수 있으나, 사회학적 관점에서는 질병은 한 사

    람의 개인적이고 사회적 적응과 생물학적 체계로서의 유기체의 상태를 모두 포

    함하는 총체적 인간 개인의 정상적 기능을 방해하는 상태라고 정의했다(1951:

    431). 이러한 관점에서 서구의 근대 의료라고 하는 체계 속에서 환자와 의사의

    역할은 일탈로서의 질병을 억제함으로써 그대 서구사회의 합리성의 가치를 강

    화하고 근대적 사회 체계에 적절한 위계질서를 유지시키는 데 있다(전게서:

    429). 한편 프라이드슨(Freidson, 1992)은 이러한 파슨스의 생각을 발전시켜 질

    병 그 자체가 사회적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했다(Scambler, 1993: 187).

    구조기능주의 전통에서 일탈로서의 질병에 대한 관심은 상징적상호주의적 전

  • - 13 -

    통으로 옮겨 오면서 관심의 초점이 낙인으로 변화한다. 파슨스에게 일탈로서 질

    병은 사회질서에 장애를 가져오는 것이지만, 그것은 우연적인 것이기 때문에 도

    덕적으로 비난할만한 것은 아니다. 오히려 비난은 환자역할을 이용해 꾀병으로

    이익을 취하려는 행위에 가해진다. 그러나 고프만(Goffman, 1990)은 일탈로서의

    질병에 있던 관심의 초점을, 특정한 질병이나 신체적 특징을 가지고 있는 사회

    의 구성원들이 어떻게 낙인화(stigmatization)되는지 그리고 그러한 낙인화의 경

    험이 어떠한 정체성을 구성해 내는지에 대한 관심으로 이동시켰다. 특히 고프만

    의 업적은 낙인을 구성하는 사회의 정상성이 낙인찍힌 소외된 사람들에게 내면

    화되는 과정 속에서 이들이 경험하는 심리적 고통과 왜곡되는 자아, 그리고 거

    기서 발생되는 다양한 전략들을 구체적으로 묘사했다는 데 있다. 하지만 그는

    그러한 낙인이 어떠한 제도와 사회적 구조 속에서 또는 어떠한 권력 관계 속에

    서 발생하는지 정교한 분석을 발전시키지 못했다(Scambler, 1993: 192).

    낙인 또는 오점이라고 번역되는 stigma는 사회의 정상적인 구성원에게 기대

    되는 것과 반대의 바람직하지 못한 속성, 즉 개인의 유형이 어떠해야 한다는 우

    리의 고정관념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속성으로 정의된다. 그리고 그러한 속성

    을 소유하여 낙인찍힌 개인은 낙인에 오염되어 도덕적으로 비난받으며 사회적

    으로 무가치화된다(Goffman, 1990: 3). 고프만 이후 낙인이라는 개념은 다양하

    게 사용되는데 스태포드와 스콧(Stafford & Scott, 1986: 80)은 특정한 순간에

    특정한 방식으로 행위해야 한다는 공유된 믿음으로 정의되는 규범(norm)과 반

    대되는 개인의 특성으로, 크로커 등(Crocker et al, 1998: 505)은 평가절하된 사

    회적 정체성을 운반하는 특성으로 정의했다. 이러한 낙인에 대한 정의는 존스

    (Jones et al: 1984)가 명확히 했는데 그는 낙인을 개인이나 어떠한 집단의 속성

    과 스테레오타입 사이의 관계로 정의했다. 이러한 낙인에 대한 연구는 고프만의

    전통에서 주로 개인의 경험을 통해서 드러내고자 했다. 어떠한 특성을 갖고 있

    는 개인이나 집단이 정상인과의 만남을 통해서 경험을 통해서 낙인을 보려는

    연구는 정상인의 차별(discrimination)에 대한 관심을 부족하게 만들었다(Oliver,

    1992; Fiske, 1998; Sayce, 1998). 즉 낙인이론의 전통에서 “차별”이라고 하는 것

    은 어떠한 속성을 가지고 있는 개인 또는 집단을 부정적인 범주에 위치 지으면

    서, 동시에 그를 폄하하거나 비난하고 공동체에서 배제시키는 실천 행위를 말한

    다.

    이러한 관점에서 링크와 펠란(Link & Phelan, 2001)은 이론적으로 낙인은 몇

    가지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고 보았다. 이 요소들은 첫째, 개인이나 사회의 차이

  • - 14 -

    를 구분하고 꼬리표를 붙이는 행위, 둘째, 이 꼬리표에 부정적인 스테레오타입

    을 연결시키는 행위, 셋째, 부정적인 스테레오타입의 꼬리표가 붙은 사람들을

    집단의 다수와 구분되는 범주에 위치시키는 행위, 넷째, 이를 근거로 꼬리표 붙

    은 사람들의 지위를 상실시키고 차별하는 행위, 또는 역으로 이들이 차별을 경

    험하는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낙인은 차이를 구분하는 인식적 행위에서 실제

    차별 행위까지의 어떠한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여전히 부족한 것이 있

    는데 이러한 낙인화 과정이 어떻게 가능하느냐에 대한 문제이다. 그리고 낙인의

    근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마지막 요소인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권력을 살펴

    봐야 한다(전게서: 375). 즉 낙인은 차이의 라벨링, 스테레오타이핑, 집단의 분

    리, 지위상실의 행위 또는 경험, 그리고 권력관계의 5가지 요소로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전게서: 378). 그래서 낙인에 대한 연구는 이 5가지 요소를 모두 살

    펴봐야 한다.

    한편 스켐블러(Scambler, 1998: 1054)는 4번째 요소인 특정 집단의 지위를 상

    실하게 만드는 행위인 차별과 그것의 경험을 그러한 차별에 대한 공포와 분리

    시켜서 살펴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전자를 발생한 낙인(enacted stigma),

    후자를 감각된 낙인(felt stigma)이라고 이름 붙였다. 낙인을 발생시키는 사회구

    조는 실제 차별을 불러 일으키기도 하지만 그러한 실제 차별이 발생하기 이전

    에 그러한 과정을 알고 있는 개인은 그러한 차별이 발생하기 전에 공포를 느낀

    다. 그 결과 개인은 자신의 단점을 숨기는 전략을 선택한다. 스켐블러는 이러한

    감각된 낙인은 질병 치료를 어렵게 한다고 지적했다.

    최근에는 낙인과 권력과의 관계에 주목하는 연구들이 등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와일루(Wailoo, 2006)는 20세기 초 인종주의가 어떻게 특정한 전염병과 흑

    인 사이를 연결시키고 그 질병과 흑인을 낙인화 했는지를 보여주었다. 즉 인종

    주의 영향 하에서 십이지장충(Hookworm)은 게으름의 균(germ of laziness)로

    지목되었고, 이 질병은 아프리카에서 미대륙으로 건너온 것으로 간주하고 이 균

    을 가져온 흑인을 비난했다. 특정 질병과 특정 인종을 결부시켜 비난하는 사례

    는 다양하다(Sander, 2000). 콜레라는 유럽과 미국에 침투하는 아시아적 질병이

    다. 그래서 아시아와 관련된 것은 원시지역에서 온 문명을 공격하는 것으로 낙

    인찍혔다. 19세기에는 유대인은 결핵에 걸리지 않는 것으로 여겨졌는데, 유대인

    의 결핵 면역력이 낙인화됐다. 이 때문에 유대인은 결핵균의 매개체로 비난받았

    다. 질병에 대한 낙인은 우생학을 통해서 더욱 많아졌다. 나치 독일과 미국에서

    는 흡연은 암과 관련되어 있는 것이었고, 나치는 암은 아리아 민족을 위협하는

  • - 15 -

    것으로 여겼다. 최근의 AIDS/HIV는 동성애자 남성에 대한 낙인을 낳았다.

    이러한 낙인의 역사성이나 구조적인 것에 대한 연구가 많아짐에도 불구하고

    낙인의 사회심학적 요인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중요하다. 또는 이러한 심리학적

    특성과 역사적 구조를 연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질병과 관련하여 질병의 원

    인, 증상, 그리고 그것의 후유증과 관련된 사회의 규범과 그것에 근거한 사람들

    의 이해는 낙인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외모의 변형은 그것을 바라보는 개

    인의 혐오감을 발생시키는데, 그러한 혐오감이 본능적일 수 있지만 그러한 혐오

    감의 수준을 결정하거나 특정한 방식으로 실천되는 것은 권력의 문제이다. 예를

    들어 선천적 기형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강력한 차별과 낙인화를 불러일으켰

    으나(Miles, 1995), 선천적 기형을 가진 자들을 살해하는 것은 고대 로마에서나

    (Garland, 1995), 나치독일에서 뿐이었다(Meyer, 1988). 이러한 권력의 문제에도

    불구하고 미시적 차원에서 환자나 장애인 그리고 그들 주변인이 증상, 장애 등

    의 특성을 둘러싸고 경험하는 것들은 여전히 문제적이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부모들은 완벽하고 건강한 아이를 갖기를 원하는데, 기형을 갖고 있는 아이가

    태어났을 때 부모는 비탄, 슬픔, 사랑 등 다양한 감정을 갖게 되고, 아이는 자신

    의 기형을 부모의 그러한 복합적인 감정을 통해 경험하게 된다(Garth, 1985;

    Ludder Jackson, 1985; Cheetham, 1987; Lynch, 1989; Taylor, 1992; Hall and

    Hill, 1996).

    한편 질병의 낙인과 관련하여 또 하나 고려해야 할 점은 의학지식과 치료기

    술의 발전이다. 예를 들어 낙인의 대상이 되는 다운신드롬의 외모적 특징을 없

    애는 성형수술은 개인과 그의 부모의 사회적 기능을 강화시키고, 부정적 특성을

    숨기기 위한 몇 가지 전략이 가능하도록 도와준다(Lewandowicz and

    Kruk-Jeromin, 1995). 이 외에도 선천적 문제를 갖고 있는 아이들을 위한 다양

    한 수술들을 둘러싼 정치들이 존재한다(Cunnigham et al., 1991; Kravetz et al.,

    1992). 지식과 기술의 발전과 질병에 대한 인식과 태도의 변화는 의료화

    (medicalization) 연구에 주요 태마이다. 예를 들어 콘라드(Conrad, 2007)는 의료

    화에 있어서 기술의 발전 등이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보여주었다. 더 나아가

    클락(Clarke, et al, 2010)은 생의료화(biomedicalization)에서 최근의 생명공학과

    기술의 발전은 사회가 개인의 몸과 질병, 그리고 사회 자체를 바라보는 인식틀

    자체를 변화시켰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관점에서 지식과 기술의 발전 역시 낙인

    을 형성하고 변화시키는 데 중요한 요소로 볼 수 있다.

    때문에 본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낙인 이론의 5가지 요소에 마지막으로 의학

  • - 16 -

    지식과 의료기술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한센병을 이해하고

    치료하기 위한 의료지식과 기술의 발전, 둘째, 한센병을 가치 없는 것, 수치스러

    운 것 등의 부정적인 스테레오타입과 연결시키는 권력, 셋째, 한센인을 사회적

    타자로 위치짓고 차별하는 행위와 차별의 경험, 그리고 그러한 차별 구조에 미

    리 공포를 느끼는 감정, 마지막으로 이러한 차별의 구조와 차별의 행위 속에서

    형성되는 한센인의 정체성을 간략하게 분석하고자 한다.

    3) 사회적 배제와 포섭으로서의 격리

    전술한 바와 같이 비정상성을 가진 것으로 인식되는 집단에 대한 낙인과 차

    별은 모든 사회에 보편적인 현상이지만, 각 사회마다 자신의 특정한 역사적 과

    정을 통해서 특정한 형태의 낙인과 차별의 모습을 보인다. 메리 더글라스(Mary

    Douglas, 1966)는 자신의 저서 『순수와 위험(Purity and Danger)』에서 사회의

    질서를 무너트리는 것으로 간주되는 어떠한 특성을 갖거나 행위를 하는 자는

    도덕적인 비난을 받고 심지어는 공동체로부터 추방당하는 것은 오래전부터 보

    편적인 현상이라고 지적했다. 이러한 낙인화된 집단에 대한 사회적 배제(social

    exclusion)는 오래전부터 보편적인 현상이지만 근대에 들어오면서 격리

    (segregation)이라는 독특한 형태의 사회적 배제가 등장한다. 배제는 일반적으로

    불평등이나 빈곤의 문제를 다루는 연구에서 발전한 개념으로, 사회적 배제란 사

    회의 경제 등 다양한 자원으로의 접근이 박탈되며 동시에 사회와의 연대감이

    약화되는 경제적이면서도 사회문화적인 상태를 의미한다(Silver, 1994). 사회적

    배제에 대한 연구는 근대사회의 불평등과 빈곤의 문제를 분석하는 개념으로 사

    용되었지만, 배제라고 하는 상태는 배제시키는 자와 배제된 자의 사회적 관계의

    문제라는 점에서 근대 이전에도 존재해왔다. 한편 스티커(Stiker, 2005)는 사회

    적 배제에 대한 연구를 비판하면서 근대사회에서는 특정한 집단에 대한 배제와

    포섭이 동시에 존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사회적으로 배제당하는 집

    단의 경우 사회가 요구하는 특정한 역할을 수행할 때 배제당하면서 동시에 사

    회에 통합될 수 있다.

    건강과 질병의 문제와 관련하여 이러한 배제와 통합의 정치를 설명하는 데

    있어 생물학적 시민권(biological citizenship)은 매우 유용한 개념이다. 페트리나

    (Petryna, 2002)는 체르노빌의 희생자들은 오염되고 병든 신체들로서 사회적으

    로 배제 당했으나, 사회가 요구하는 특정한 피해자의 역할을 수행할 때만 사회

    로부터 통합 당하면서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되는 현상을 보여주었다. 생물학적

  • - 17 -

    시민권은 이러한 배제와 통합의 정치학 중심에 몸이 있음을 보여준다. 로즈

    (Rose, 2007)는 생물학적 시민권의 개념을 통하여 자신들의 건강과 행복을 보호

    하고 증진시키기 위한 시민들이 자신의 몸을 중심으로 권리를 형성해 왔다고

    주장했다. 생물학적 시민권의 대표적인 사례는 건강보험을 둘러싼 생명정치라고

    할 수 있다(Clarke, 2003). 예를 들어 콘라드(2007)가 묘사한 바와 같이 성인

    ADHD 환자는, 비정상적인 행동으로 사회적으로 배제당하지만, 스스로를 환자

    로 규정하고, 그것을 사회에서 인정받아 환자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면 건강보험

    의 혜택을 받게 된다. 건강보험의 혜택은 이들에 대한 물질적 지원뿐만 아니라

    이들이 환자라는 것을 공식화해주는 근거가 된다.

    이러한 근대 사회에서의 사회적 배제와 포섭이 동시에 극단적으로 나타나는

    장소가 격리의 공간이다(Bashford & Strange, 2005). 배쉬포드와 스트레인지는

    재소자의 유배(transportation)로부터 정신질환자의 도덕적 치료까지 배제를 위

    한 관행, 기술, 근거, 목표, 장소들을 포함한 사회적 격리라고 하는 것이 19세기

    와 20세기에 전세계적으로 확산되었다고 주장했다(Bashford & Strange, 2005).

    이들은 근대 시기의 강제 격리의 세 가지 주요 특징으로 첫째, 처벌, 보호, 예방

    사이를 매끄럽게 이동하는 격리의 근거의 유연성, 둘째, 격리의 건축학적이고

    공간적 차원에 대한 주의 깊은 고려, 셋째, 격리를 통해서 특정한 자아를 양성

    하기 위한 격리된 사람의 종속화(subjectification)를 꼽았다. 첫째, 격리의 근거

    의 형성과 유연성과 관련하여 근대국가의 정책입안자들과 전문가들은 격리를

    위한 신뢰할만한 설명들을 제공하는 것을 자신의 의무라고 생각했다(Mehta,

    2005). 보호, 처벌, 예방, 치료, 교정, 복원들은 사회가 격리의 발명과 실천에 동

    의하는 근거가 되었다. 식민통치에 있어서 부랑아동은 표면상 보호를 목적으로

    공간적으로 구금당하거나 격리당했다. 동시에 부랑아동, 정신병자, 인종적으로

    열등한자, 성적 타자들은 보호되어야 할 대상이자, 사회의 안정을 위하여 예방

    적 수단으로서 격리당해야할 대상이 되었다(Castel, 2005). 그리고 이러한 보호

    와 예방에 있어 의학적 지식은 좋은 수단이 되었다(Goffman, 1961). 고프만은

    자신의 저서 『수용소(Asylum)』에서 정신질환자를 총체적 기관인 수용소에 격

    리시키고 통제하는 데 있어, 의학지식, 의학용어가 이를 정당화하는 근거가 되

    었다고 주장했다. 한편 푸코(Foucault)는 『사회를 보호해야한다』에서 격리의

    역사를 인구관리라는 생명정치적인 것과 연결시킨다. 즉 인구관리라고 하는 근

    대복지국가의 목표를 위하여 열등한 신체는 격리시설에 구금당함과 동시에 같

    은 공간에서 유용한 신체로 회복된다.

    둘째, 격리의 건축학적이고 공간적 차원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격리를 위

    한 근대적 장소들로 수용소, 요양소, 난민수용소, 교화소, 보호구역과 같은 공간

  • - 18 -

    들이 발명되었다. 이러한 다양한 공간이 필요한 이유는 사회적으로 배제당해야

    할 집단들이 세분화되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환자는 요양소로, 인종적으로

    열등한 자나 훈육이 필요한 자는 수용소로, 그리고 원주민들은 보호구역으로 가

    야 한다(Bashford & Strange, 2005). 이러한 격리 공간들은 격리된 자들을 사회

    와 단절시킴으로써 자유를 통제하고 외부와의 네트워크를 차단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시설들은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

    고 격리되어 있는 무인도, 황무지와 같은 곳에 위치한다거나, 높은 담장과 튼튼

    한 벽으로 만들어져 있다. 이러한 격리의 장소는 외부와 철저히 차단되어 있지

    만 동시에, 실질적으로 또는 상징적으로 눈에 잘띄어야 한다. 왜냐하면 격리시

    설은 격리된 자와 격리되지 않는 자들 사이를 가르는 질서, 규범을 시설 바깥의

    사람에게 가시화하고 지속적으로 일깨워 주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격리된 자들의 종속화와 관련한 고려가 필요하다. 전근대 사회에

    서 격리의 공간들은 주로 가두기 위한 공간이었다면, 근대적 형태는 배제된 사

    람들을 새롭고 개량된 종류의 인간으로 재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공

    간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푸코가 말하는 규율기술(disciplinary technique)

    가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정근식(1997a)은 식민지시기 소록도에 있는 나환자들

    에게 환자가 지켜야할 규칙인 ‘환자심득’을 외우도록 강요했음을 보여주었다. 하

    지만 이러한 목표가 항상 성공하는 것은 아니었고, 대부분은 실패한다

    (Goffman,1961). 또한 이러한 격리의 장소 속에서 비슷한 집단적 정체성들이 형

    성되기도 하며, 이러한 정체성들에 근거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