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근 관절 경비 인대 결합 손상 (ankle syndesmotic injury) · 2016-06-17 · 족근...

9
대한골절학회지 제 20 권, 제 3 호, 2007년 7월 Journal of the Korean Fractrure Society Vol. 20, No. 3, July, 2007 282 통신저자광주시 동구 학동 8번지 전남대학교병원 정형외과 Tel062-227-1640Fax062-225-7794 E-mail[email protected] Address reprint requests toKeun-Bae Lee, M.D.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 pital, 8, Hak-dong, Dong-gu, Gwangju 501-757, Korea Tel82-62-227-1640Fax82-62-225-7794 E-mail[email protected] 족근 관절 경비 인대 결합 손상 (Ankle Syndesmotic Injury)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Fig. 1. Ankle stabilizing structures are medial malleolus and deltoid ligament (1), lateral malleolus and lateral ligament complex (2), anterior syndesmosis and its bony attatchment (3) and posterior syndesmosis and its bony attatchment (4) (A- dapted from Tile M. The rationale of operative fracture care, 2nd ed. New York, Springer: 523-561, 2007.). 족근 관절 경비 인대 결합은 족근 관절 격자의 유지에 중 요한 구조물로써, 경비 인대 결합 손상에 의한 족근 관절 이 개 (diastasis)는 대부분 외회전력에 의해 발생하는 골절에 동 반되어 나타나지만, 발목 염좌로 내원하는 환자의 118%에 서도 경험할 수 있는 비교적 흔한 손상이다. 족근 관절 경비 인대 결합 손상으로 골절의 정복 및 정상 관절 격자의 유지 에 이상이 생길 경우 족근 관절의 불안정성으로 인한 만성적 인 통증 및 부종이 발생할 수 있고, 결국은 외상후성 관절염 으로 진행하는 중요한 원인이 되므로 정학한 진단 및 치료가 요구된다. 하지만 진단이 쉽지 않고 아직까지도 적절한 치료 법에 있어 논란이 있다 5,21) . 해부학 및 생역학 족근 관절 안정성에 미치는 인대의 영향에 대한 사체 실 험에서 가장 중요한 구조물은 삼각 인대이며, 족근 관절 경 비 인대 결합은 두 번째로 중요한 구조물임이 밝혀졌다 4) (Fig. 1). 족근 관절 경비 인대 결합 손상은 그 자체만으로 족 근 관절 불안정성에 큰 영향을 끼치지는 않으나, 내측 삼각 인대 손상과 동반될 때는 관절 불안정성이 크게 증가한다 31) . 경비 인대 결합은 비골의 볼록한 내측면과 이에 대응하는 경 골의 비골 구 (fibular notch) 및 이를 지지하는 전후 하 경비 인대 (anterior and posterior inferior tibiofibular ligament), 하 횡 인대 (inferior transverse ligament), 골간 인대 (intero- sseous ligament) 및 골간 막 (interosseous membrane)으로 구성되어 있다 18) (Fig. 2). 이 중 비골의 외측 전위에 대해 전 하 경비 인대는 35%, 후 하 경비 인대는 33%, 골간 인대는 22%, 하 횡 인대는 9% 씩의 안정성을 제공하며 28) , 이들 인대를 모두 절단했을 경우 는 족근 관절 격자가 2 mm 넓어지고, 심부 삼각인대까지 절 단한 경우엔 족관절 이개가 3.7 mm 증가한다 7) . 따라서 경비 인대 결합 손상이 의심되거나, 단독 비골 골 절 환자에서 내측 과의 골절이 없더라도 내측 과 주위의 압 통, 부종 및 피하 출혈 등의 임상 증상과 술 전 스트레스 사선 검사를 통해 삼각 인대의 기능을 평가하는 것이 수술적 치료 결정에 매우 중요하다 14,23) . 손상 기전 족근 관절 경비 인대 결합 손상은 대부분 외회전력에 의해

Upload: others

Post on 10-Jun-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대한골절학회지 제 20 권, 제 3 호, 2007년 7월 ■종 설■Jo u r n a l o f th e K o r e a n F r a c t r u r e S o c ie t yV o l . 2 0 , N o . 3 , Ju ly , 2 0 0 7

    282

    통신저자:이 근 배광주시 동구 학동 8번지전남대학교병원 정형외과Tel:062-227-1640․Fax:062-225-7794E-mail:[email protected]

    Address reprint requests to:Keun-Bae Lee, M.D.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8, Hak-dong, Dong-gu, Gwangju 501-757, Korea Tel:82-62-227-1640․Fax:82-62-225-7794E-mail:[email protected]

    족근 관절 경비 인대 결합 손상(Ankle Syndesmotic Injury)

    이 근 배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Fig. 1. Ankle stabilizing structures are medial malleolus and deltoid ligament (1), lateral malleolus and lateral ligament complex (2), anterior syndesmosis and its bony attatchment (3)and posterior syndesmosis and its bony attatchment (4) (A-dapted from Tile M. The rationale of operative fracture care, 2nd ed. New York, Springer: 523-561, 2007.).

    서 론

    족근 관절 경비 인대 결합은 족근 관절 격자의 유지에 중

    요한 구조물로써, 경비 인대 결합 손상에 의한 족근 관절 이

    개 (diastasis)는 대부분 외회전력에 의해 발생하는 골절에 동

    반되어 나타나지만, 발목 염좌로 내원하는 환자의 1~18%에

    서도 경험할 수 있는 비교적 흔한 손상이다. 족근 관절 경비

    인대 결합 손상으로 골절의 정복 및 정상 관절 격자의 유지

    에 이상이 생길 경우 족근 관절의 불안정성으로 인한 만성적

    인 통증 및 부종이 발생할 수 있고, 결국은 외상후성 관절염

    으로 진행하는 중요한 원인이 되므로 정학한 진단 및 치료가

    요구된다. 하지만 진단이 쉽지 않고 아직까지도 적절한 치료

    방법에 있어 논란이 있다5,21).

    해부학 및 생역학

    족근 관절 안정성에 미치는 인대의 영향에 대한 사체 실

    험에서 가장 중요한 구조물은 삼각 인대이며, 족근 관절 경

    비 인대 결합은 두 번째로 중요한 구조물임이 밝혀졌다4)

    (Fig. 1). 족근 관절 경비 인대 결합 손상은 그 자체만으로 족

    근 관절 불안정성에 큰 영향을 끼치지는 않으나, 내측 삼각

    인대 손상과 동반될 때는 관절 불안정성이 크게 증가한다31).

    경비 인대 결합은 비골의 볼록한 내측면과 이에 대응하는 경

    골의 비골 구 (fibular notch) 및 이를 지지하는 전후 하 경비

    인대 (anterior and posterior inferior tibiofibular ligament),

    하 횡 인대 (inferior transverse ligament), 골간 인대 (intero-

    sseous ligament) 및 골간 막 (interosseous membrane)으로

    구성되어 있다18) (Fig. 2).

    이 중 비골의 외측방 전위에 대해 전 하 경비 인대는 35%,

    후 하 경비 인대는 33%, 골간 인대는 22%, 하 횡 인대는 9%

    씩의 안정성을 제공하며28), 이들 인대를 모두 절단했을 경우

    는 족근 관절 격자가 2 mm 넓어지고, 심부 삼각인대까지 절

    단한 경우엔 족관절 이개가 3.7 mm 증가한다7).

    따라서 경비 인대 결합 손상이 의심되거나, 단독 비골 골

    절 환자에서 내측 과의 골절이 없더라도 내측 과 주위의 압

    통, 부종 및 피하 출혈 등의 임상 증상과 술 전 스트레스 방

    사선 검사를 통해 삼각 인대의 기능을 평가하는 것이 수술적

    치료 결정에 매우 중요하다14,23).

    손상 기전

    족근 관절 경비 인대 결합 손상은 대부분 외회전력에 의해

  • 족근 관절 경비 인대 결합 손상 283

    Fig. 2. Anterior, posterior, and lateral views of select ligaments of the distal tibiofibular syndesmosis: the anterior-inferior tibiofibular ligament (AITFL); the posterior-inferior tibiofibular ligament (PITFL), of which the inferior transverse ligament (ITL)is part; and the interosseous ligament (IOL), which represents the thickened distal part of the interosseous membrane. The arrowsindicate the respective location and point to the cross-sectional view (Adapted from Browner B, Jupiter J, Levine A, eds. Skeletaltrauma: fractures, dislocations, and ligamentous injuries, 2nd ed. Philadelphia: WB Saunders, 1997.).

    Fig. 3. Sqeeze test is performed by compressing fibula to tibiaabove midpoint of calf. Test is considered positive if proximalcompression produces distal pain in interosseous ligaments or supporting structures (Adapted from Coughlin MJ, Mann RA, Saltzman CL. Surgery of the foot and ankle, 8th ed. Philadelphia: Mosby Elsevier, 2007.).

    발생하며, 외회전력이 가해지면 전하 경비 인대가 파열된 후

    골간 인대가 파열되고 그 다음에 골 간막이 파열되는데 후하

    경비 인대까지 파열되는 경우는 드물다. 후하 경비 인대는

    비골이 회전하는 경첩으로써 작용하여 잘 끊어지지 않기 때

    문이다. 원위 경비 인대 파열은 모든 족근 관절 골절의 약

    80%에서 발견될 수 있으며, 부분 또는 완전 파열로 구분한

    다. 부분 파열은 회내-외회전, 회외-외회전, 또는 회내-외전형

    에서 관찰할 수 있으며, 완전 파열은 회외-외회전 형에서 발

    생한다17). 부분 파열에서 전하 경비 인대만 파열되고 골간

    인대가 정상일 때는 전위되었던 외측과를 고정하면 골간 인

    대의 탄력 때문에 자연 정복되나, 골간 인대까지 끊어지면

    외측과의 자연 정복은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비골 골절

    이 비골 하단부에서 7~8 cm 상방에 있는 회내-외회전 형의

    골절은 손상 기전상 족관절 이개를 필연적으로 동반함을 잊

    지 말아야 한다19).

    진 단

    1. 신체 검사

    경비 인대 결합의 손상이 있으면 족근 관절 전외측의 인

    대 결합부에 통증을 호소하고 압통이 저명하다. 경비 인대

    결합 손상을 진단하는 대표적인 신체 검사 방법으로는 Sqee-

    ze 검사법과 외회전 부하 검사법이 있다. Squeeze 검사는

    하퇴부의 중앙부에서 경골과 비골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압

    박하여 원위 경비 인대 결합부의 통증을 유발시키는 방법이

    다 (Fig. 3). 가장 신뢰도가 높은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는 외

    회전 부하 검사는 슬관절을 90도 굴곡하고 발을 외회전시켜

    손상된 인대 결합부에 통증을 유발시켜 진단하는 방법이다

    (Fig. 4).

    2. 방사선 검사

    족근 관절의 전후방 및 측면 방사선 사진, 양측 사면 사진,

    mortise 사진, stress 사진 및 경비골 전장 전후방 및 측면 사

  • 284 이근배

    Fig. 5. Normal syndesmotic relationships include a tibio-fibular clear space (distance A-B) <6 mm in both the anteroposterior and mortise views, as well as a tibiofibu-lar overlap (distance B-C) >6 mm or >42% of the width of the fibula on the anteroposterior view, or >1 mm on the mortise view. The overlap is measured 1 cm proximal to the plafond (A-dapted from Coughlin MJ, Mann RA, Saltzman CL. Sur-gery of the foot and ankle, 8th ed. Philadelphia: Mosby Elsevier, 2007.).

    Fig. 4. External rotation test is performed by applying externalrotation stress to involved foot and ankle while knee is held in 90 degrees of flexion and ankle is in neutral position. Positive test produces pain over anterior or posterior tibiofibular ligaments and over interosseous membrane (Adapted from Coughlin MJ, Mann RA, Saltzman CL. Surgery of the foot and ankle, 8th ed. Philadelphia: Mosby Elsevier, 2007.).

    진이 진단에 도움이 되며, 확진은 수술 시야에서 직접 확인

    함으로써 가능하다. 손상 및 정복의 정도와 결과의 평가를

    위한 방사선상 지표로는 내측 관절 간격 (medial clear

    space), 경골-비골 중복 (tibiofibular overlap), 경골-비골 간

    격 (tibiofibular clear space) 등이 이용된다2,30) (Fig. 5). 내

    측 관절 간격은 격자 상에서 내측 과의 외측 면과 거골의 내

    측 면 사이의 간격을 의미하는데 정상에서는 상방 관절 간격

    과 같거나 약간 적어야 하며, 간격이 4 mm 이상일 때는 거

    골의 비정상적인 외측 전위를 의미한다. 경골-비골 중복은

    전후면 상에서 비골과 겹치게 되는 경골의 전외측 부분을 말

    하며, 구체적으로 전 경골 결절의 외측면과 비골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이 된다. 이는 관절면 상방 10 mm에서 측정하

    며 전후면 상에서 6 mm 이상이거나 비골폭의 42% 이상일

    때, 또는 격자 상에서 1 mm 이상일 때 정상이다. 경골-비골

    간격은 전후면 상에서 후방 과의 외측면과 비골의 내측면 사

    이의 간격을 의미한다. 정상에서는 관절면 상방 10 mm에서

    전후면 상 및 격자 상 모두 6 mm 이하여야 한다. 특히 경골-

    비골 간격은 외회전 5도부터 내회전 25도까지의 범위 내에

    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므로 증가된 경골-비골 간격이 경비

    인대 결합 손상의 가장 믿을 만한 지표로 여겨지고 있다30).

    인대 손상의 유무를 좀 더 확실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외회전

    부하 검사를 시행하여 내측 관절 간격의 증가와 비골의 외측

    전이 또는 경골-비골 간격의 증가를 관찰하는 것이 도움이

    되며, 관절 내 국소 마취제 주사 후 시행하는 것이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11).

    3. 기타 검사

    족관절 조영술상 경골과 비골 사이에 조영제가 유출되어

    1 cm 이상 올라가면 족관절 이개로 진단할 수 있다35). 컴퓨

    터 단층 촬영은 일반 방사선 사진으로 구별되지 않는 2~3

    mm 정도의 원위 경비 인대 결합 손상의 진단에 이용될 수

    있으며10), 자기 공명 영상 촬영도 인대 결합 손상과 관절 이

    개를 진단하는 데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가져 점차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27).

    최근 보고되고 있는 관절경을 이용한 진단 및 치료 방법

    은 원위 경비 인대 결합 손상 및 내측 삼각인대 손상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며, 나사못 고정 시 경비 인대 결합의

    적절한 정복 정도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등의 장점이

  • 족근 관절 경비 인대 결합 손상 285

    Fig. 6. A 23-year-old man slipped and sustained a fracture of the ankle. (A) The initial mortise radiograph shows unstable supination-external rotation stage IV ankle fracture with the widening of medialclear space and increased tibiofibular clear space. (B) The photograph of a medial side of the ankle demonstrates ecchymosis and swelling. (C) Arthroscopic view of medial gutter of the ankle shows tear of the deltoid ligament as seen from the anteromedial portal. Arthroscopic debridement and shrinkage with radiofrequency were performed. (D) Arthroscopic view of the ankle syndesmosis shows diastasis which increased distal tibiofibular joint with arthroscopic shaver.(E) Arthroscopic view shows syndesmotic reduction as seen from the anterolateral portal. (F) Postoperative anteroposterior radiograph shows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fibula as well as syndesmotic stabilization with two 3.5 mm screws engaging four cortices.

    있으므로 관절경에 친숙한 술자에게는 많은 도움이 될 것이

    다33) (Fig. 6).

    치 료

    일반적으로 비골 골절이나 내측 과의 골절을 정확히 고정

    하면 경비 인대 결합은 대개 자연 정복되나, 수상 후 수일이

    지나거나 인대 결합의 광범위한 손상으로 비골의 불안정성

    이 심한 경우에는 인대 결합의 내고정이 필요하다. 인대 결

    합 손상에 대한 관통 나사 고정의 빈도는 예전에는 Weber C

    형의 비골 골절인 경우 80% 정도까지 고정을 적극적으로 시

    행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최근에는 비골 골절을 정확히 정복

    하면 거골이 격자 내에 위치하게 되고, 인대 결합도 안정성

    을 회복하게 됨이 밝혀짐으로써 점차 줄어드는 추세이다4).

    1. 족근 관절 경비 인대 결합 고정술의 적응증

    경비 인대 결합의 내고정은 그 적응증과 수술방법에 있어

    주의를 요한다. 경비 인대 결합 고정은 인대 결합이 치유되

    는 동안 일시적인 부목의 역할만 하므로 비골의 정확한 정복

    과 인대 결합에서 경-비골의 정상적인 관계를 회복시켜 주는

    것이 중요하다. 사체 실험과 임상적 관찰을 통해 연구된 바

  • 286 이근배

    Fig. 7. A 54-year-old wo-man sustained an inversion injury of ankle. (A) Anteroposterior radio-graph shows pronation-ab-duction stage III ankle frac-ture. (B) Lateral radiograph shows posterior malleolar fracture. (C) Postoperative anteropos-terior radiograph shows accu-rate anatomical reduction andfixation of fracture. Syndes-motic transfixation screws were unnecessary because in-traoperative evidence of syn-desmotic disastasis is absent after fixation.

    에 따르면, 잘 고정된 내측 과 골절에 동반된 안정 비골 골

    절이나, 삼각 인대 파열이 있지만 골간막의 파열이 비골 골

    절 부위에 한정되어 있는 관절면으로부터 3~4.5 cm 이내의

    안정 비골 골절은 족근 관절 경비 인대 결합의 고정술이 필

    요없다4,36). 그러므로 삼각 인대 파열의 정도뿐만 아니라 골

    간막의 파열 범위도 경비 인대 결합 고정술을 결정하는 중요

    한 요인이며, 이에 대한 연구로서 73명의 족근 관절 골절 환

    자를 대상으로 골간막의 상태를 자기 공명 영상으로 분석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73예 중 30예에서만 골간막의 파열을

    보였고, 30예 중 10예 (33%)는 비골 골절의 위치와 일치하지

    않았으며, 7예 (23%)에서는 골절 부위보다 근위부의 파열이

    관찰되었다26). 이는 Weber B형의 비골 골절에서도 경비 인

    대 결합 고정이 필요할 수 있음을 말해 준다32). 따라서 경비

    인대 결합 고정술의 여부는 수술 중 내측 과 및 비골 골절의

    고정 후에 경비 인대 결합의 안정성을 검사하여 결정하는 것

    이 매우 중요하다8). Cotton 검사는 수술 중 시행하는 경비

    인대 결합의 안정성 검사로서 비골 골절의 정복 후 갈고리로

    외측 과를 외측방으로 잡아당겨 전위가 3~4 mm 이상 발생

    하면 경비 인대 결합 손상으로 진단하고 내고정을 시행한다.

    또한 수술 중 외회전 스트레스 검사를 시행하여 내측 관절

    간격의 증가, 경골-비골 중복의 감소 및 경골-비골 간격의 증

    가를 보인 경우에도 내고정을 시행한다.

    2. 골절의 동반 여부에 따른 경비 인대 결합 손상의

    치료

    경비 인대 결합 손상이 골절 없이도 족근 관절 염좌의 약

    1% 정도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13) 이는 이개 없는 염좌

    (sprain without diastasis), 잠재성 이개를 동반한 염좌

    (sprain with latent diastasis) 및 명백한 이개를 동반한 염좌

    (sprain with frank diastasis) 등 3가지로 분류된다11). 이개가

    동반되지 않은 경우 대부분 안정과 손상 부위의 압박, 얼음

    찜질 등으로 치료 가능하며 약 2~3주간의 비체중 부하 석

    고붕대고정 후 점진적인 체중부하를 시작하면 된다. 그리고

    명백한 이개를 동반한 염좌에 대하여 경비 나사못 고정을 시

    행하는데에는 큰 이견이 없으나, 스트레스 검사에서 진단되

    는 잠재성 이개를 보이는 염좌의 치료에 있어서 경비 나사못

    고정을 할 것인가, 4~6주간의 비체중 부하 석고붕대고정을

    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있으며, 저자는 경비 인

    대 결합 손상에 대해서는 보다 정확하고 적극적인 치료가 필

    요하다고 생각하여 경비 나사못 고정을 시행하고 있다6).

    골절을 동반한 경비 인대 결합 손상의 치료에 있어서는

    비골의 길이, 회전, 위치를 회복하여 원위 경-비골의 정상적

    인 관계를 유지시키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특히 비골

    길이의 정확한 회복은 경비 인대 결합의 자연 정복을 유도하

    여 족근 관절 격자를 유지함으로써 거골 아탈구를 방지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Fig. 7). 따라서 비골 골절의 정확한 정복

    및 안정된 고정이 필수적이며, 골절 고정 후에도 경비 인대

    결합 이개가 지속될 경우에는 경비 나사못 고정이 필요하다.

    비골의 정복에 있어서 주의할 점은 비골 골절 후 하방 골편

    이 상방 골편에 비해 외회전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골절 정

    복 시 하방 골편을 내회전 방향으로 정복해야 경골의 비골

    구에 비골이 정확히 위치하게 된다24).

  • 족근 관절 경비 인대 결합 손상 287

    Fig. 9. (A) Anteroposterior and lateral radiograph show the proximal fibula fracture (Maissonneuve) that was not stabilized. (B) Syndesmosis fixation withtwo 4.5 mm screws was performed (Adapted from Za-lavras C, Thordarson D: An-kle syndesmotic injury. J Am Acad Orthop Surg, 15:330- 339, 2007.).

    Fig. 8. (A) Anteroposterior radiograph demonstrates Weber type B supination-external rotation ankle fracture associated with disruption of the syndesmosis. (B) Syndesmosis fixation with a single 4.5 mm screw was performed (Adapted from Zalavras C, Thordarson D: Ankle syndesmotic injury. J Am Acad Orthop Surg, 15:330-339, 2007.).

    3. 경비 인대 결합 고정에 있어서 논란점

    경비 인대 결합 손상의 치료로써 관통 나사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방법은 Alldredge1)가 처음 소개한 이후로 수술 방

    법이 쉽고 원위 경비 관절의 안정성 유지에 효과가 인정되어

    널리 사용되어져 왔다4,24,29,36)

    . 그러나 관통 나사가 원위 경

    비 관절에 고정되어 있을 경우 비골의 운동을 제한하여 족관

    절의 정상적인 생역학을 방해하고 나사못 주위로 골용해 및

    병적 골절이 나타날 수 있으며 동통, 부종, 퇴행성 변화의 원

    인이 될 수 있다는 점 등이 문제점으로 제기되어 왔다19).

    관통 나사 고정 시 다음과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도 논란이 있다. 나사못의 수 (1개 혹은 2개)와 크기 (3.5

    mm 혹은 4.5 mm), 고정되는 피질골의 수 (3 혹은 4 피질

    골), 나사못의 재료 (금속 혹은 생체흡수성), 나사못 고정 시

    발목의 위치 (중립 혹은 최대 족배 굴곡), 술 후 체중 부하

    시기, 나사못의 제거의 필요성과 그 시기 등이다. 사체 연구

    에 따르면 4.5 mm 나사못으로 4개 피질골을 고정할 때 족근

    관절의 외회전이 감소되었으며25), 3개 피질골을 고정할 때는

    좀 더 생리적인 운동이 허용되었으나 많은 빈도의 골용해 소

    견이 관찰되었다20). 또 다른 연구로서 2개의 3.5 mm 나사못

    으로 3개 피질골을 고정한 군과 1개의 4.5 mm 나사못으로

    4개 피질골을 고정한 군의 비교에서는 술 후 1년까지 유의한

    임상적 차이는 없었다12). 하지만 나사못 파손 시에는 4개 피

    질골을 고정한 경우에서 더 제거가 쉽다. 경비 나사못 고정

    으로 경비 인대가 치유된 후 인대 결합부의 정상 운동을 회

    복하기 위해서는 나사못을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 때문에 생

    체흡수성 나사못이 사용되고 있으나 금속 나사못에 비해 강

    도가 떨어지고, 골용해 반응, 염증 반응, 나사못의 파괴 등이

    더 많이 나타날 수 있다는 단점이 보고되었다3). 하지만 사체

    연구 및 임상적 관찰에서 금속 나사못과 생체흡수성 나사못

    의 사용에 있어서 결과 차이는 없었다는 보고도 있다9,15). 나

    사못 고정 시 발목의 위치에 대해서는 거골의 앞부분이 뒷부

    분보다 2.5 cm 더 넓은 사다리꼴 모양이기 때문에 술 후 발

    생할 수 있는 족배 운동의 제한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목을

    최대 배굴시켜 족관절 격자가 가장 넓어진 상태에서 고정할

    것을 권유하여 왔다25). 하지만 사체 연구를 통하여 족저 굴

    곡 상태에서 고정하여도 족배 굴곡 운동에 제한이 없고, 오

    히려 최대 족배 굴곡 상태에서 고정하면 거골에 의해 외회전

    력이 발생하므로 경비 인대 결합의 정복을 방해한다는 보고

    도 있으므로34) 족근 관절은 중립위에서 고정하는 것이 바람

    직하다고 생각한다.

    종합해 볼 때, 가장 바람직하다고 생각되는 경비 인대 결

  • 288 이근배

    Fig. 11. Proper placement of a syndesmotic screw. (A) Incorrect angle for inser-tion of syndesmotic transfi-xation screw. (B) In the transverse plane, the screw should follow a 30 degrees oblique direction fromposterolateral to anterome-dial. (C) The fibula should be held reduced during screw placement. The screw may be inserted through a fibular plate or outside of the plate (From Heim U, Pfeiffer KM: Small fragment set manual: Technique recommended by the ASIF group, 2nd ed. Ber-lin, Springer-Verlag, 1975.).

    Fig. 10. A 48-year-old man slipped and sustained a fracture of the ankle. (A) Anteroposterior radio-graph shows unstable pro-nation-external rotation stage IV ankle fracture with widen-ing of medial clear space and increased tibiofibular clear space. (B) Lateral radiograph de-monstrates posterior malleo-lar fracture. (C) Postoperative anteropos-terior radiograph shows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fibula as well as syn-desmotic stabilization with two 3.5 mm screws.

    합 고정 방법은 비골 골절을 고정한 경우에는 1개의 금속 나

    사못만을 사용해도 안정적 고정이 가능하며, 고정하지 않는

    근위부나 중간부위의 비골 골절이 있는 경우에는 2개의 금속

    나사못을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37). 예를 들어, 회외-외회전

    손상에서는 비골 골절을 금속판으로 고정하고 1개의 3.5

    mm 또는 4.5 mm 나사못으로 3개 피질골을 고정하고, 회내-

    외회전 손상에 의한 Maisonneuve 골절에서는 비골 골절은

    고정하지 않고, 2개의 3.5 mm 혹은 4.5 mm 나사못으로 4개

    피질골을 고정한다. 하지만 환자에 따라 여러 상황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경비 인대 결합의 불안정 정도와 비골의 크기에

    따라 고정하는 피질골의 수와 나사못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

    이 필요하다 (Fig. 8-10).

  • 족근 관절 경비 인대 결합 손상 289

    4. 수술 방법

    관통 나사 고정 시 나사못의 높이와 방향에 대해서는 대

    부분의 저자들이 일치된 의견을 가지고 있다22). 나사못의 높

    이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관절면 상방의 2.0~5.0 cm에 위

    치할 것을 권유하고 있으며, 사체 연구에 의하면, 족근 관절

    3.5 cm 상방보다는 2 cm에서 고정한 경우에서 경비 관절을

    더 잘 유지할 수 있다고 하였으나22), 임상적 연구에서는 차

    이가 없었다16). 나사못의 방향은 관상면상에서 족근 관절에

    평행하게 삽입해야 하며, 평행하지 않은 경우 비골의 단축이

    나 연장을 일으켜 관절 격자에 영향을 준다. 단면상에서 비

    골이 경골의 뒤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나사못은 후외측 방향

    에서 전내측 방향으로 삽입해야 하며 (Fig. 11), 나사못을 삽

    입하는 동안 드릴 구멍의 위치가 변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겸자를 이용하여 경비 관절을 정복한 상태에서 고정하는 것

    이 좋다.

    5. 술 후 처치

    손상된 경비 인대 결합 구조물이 치유되는 데는 최소 12주

    가 필요하므로 관통 나사는 술 후 12주 이후에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사못을 제거하기 전에 체중 부하를 허용할 경

    우 나사못의 이완이나 파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관통 나사

    제거 전에는 철저히 체중 부하를 삼가해야 함을 환자에게 설

    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술 후 12주 이전의 조기에 나사못을

    제거할 경우 경비 인대 결합 이개의 재발이 발생할 수 있다10).

    요 약

    족근 관절 골절이나 염좌에 흔히 동반되어 발생할 수 있

    는 경비 인대 결합 손상은 초기에 정확한 진단 및 치료가 이

    루어지지 않을 경우 정상 관절 격자의 유지에 이상을 일으켜

    족근 관절의 불안정성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외상후성 관

    절염으로 진행하는 중요한 원인이 되므로 정확한 진단과 적

    절한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종종 그 진단이 간과되

    어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족근 관

    절의 골절이나 염좌의 치료 시 족근 관절 경비 인대 결합 손

    상이 동반될 수 있음을 항상 염두에 두고 치료에 임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1) Alldredge RH: Diastasis of the distal tibiofibular joint and associated lesions. JAMA, 115: 2136, 1940.

    2) Beumer A, van Hemert WL, Niesing R, et al: Radiographic measurement of the distal tibiofibular syndesmosis has limited use. Clin Orthop Relat Res, 423: 227-234, 2004.

    3) Blasier RD, Bucholz R, Cole W, Johnson LL, Mäkelä EA: Bioresorbable implants: applications in orthopaedic surgery. Instr Course Lect, 46: 531-546, 1997.

    4) Boden SD, Labropoulos PA, McCowin P, Lestini WF, Hurwitz SR: Mechanical considerations for the syndesmosis screw. A cadaver study. J Bone Joint Surg Am, 71: 1548- 1555, 1989.

    5) Burwell HN, Charnley AD: The treatment of displaced frac-tures at the ankle by rigid internal fixation and early joint movement. J Bone Joint Surg Br, 47: 634-660, 1965.

    6) Clanton TO, Paul P: Syndesmosis injuries in athletes. Foot Ankle Clin, 7: 529-549, 2002.

    7) Close JR: Some applications of the functional anatomy of the ankle joint. J Bone Joint Surg Am, 38: 761-781, 1956.

    8) Cotton F: The ankle and foot. In: Dislocations and joint fractures. Philadelphia, PA, WB Saunders: 535-588, 1910.

    9) Cox S, Mukherjee DP, Ogden AL, et al: Distal tibiofibular syndesmosis fixation: a cadaveric, simulated fracture stabiliza-tion study comparing bioabsorbable and metallic single screw fixation. J Foot Ankle Surg, 44: 144-151, 2005.

    10) Ebraheim NA, Lu J, Yang H, Mekhail AO, Yeasting RA: Radiographic and CT evaluation of tibiofibular syndesmotic diastasis: a cadaver study. Foot Ankle Int, 18: 693-698, 1997.

    11) Edwards GS, DeLee JC: Ankle diastasis without fracture. Foot Ankle, 4: 305-312, 1984.

    12) Hoiness P, Stromsoe K: Tricortical versus quadricortical syn-desmosis fixation in ankle fractures: a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comparing two methods of syndesmosis fixation. J Orthop Trauma, 18: 331-337, 2004.

    13) Hopkinson WJ, St Pierre P, Ryan JB, Wheeler JH: Syndes-mosis sprains of the ankle. Foot Ankle, 10: 325-330, 1990.

    14) Jenkinson RJ, Sanders DW, Macleod MD, Domonkos A, Lydestadt J: Intraoperative diagnosis of syndesmosis injuries in external rotation ankle fractures. J Orthop Trauma, 19: 604- 609, 2005.

    15) Kaukonen JP, Lamberg T, Korkala O, Pajarinen J: Fixa-tion of syndesmotic ruptures in 38 patients with a malleolar fracture: a randomized study comparing a metallic and a bio-absorbable screw. J Orthop Trauma, 19: 392-395, 2005.

    16) Kukreti S, Faraj A, Miles JN: Does position of syndesmotic screw affect functional and radiological outcome in ankle fractures? Injury, 36: 1121-1124, 2005.

  • 290 이근배

    17) Lauge-Hansen N: Fractures of the ankle. III. Genetic roent-genologic diagnosis of fractures of the ankle. Am J Roentgenol Radium Ther Nucl Med, 71: 456-471, 1954.

    18) Leeds HC, Ehrlich MG: Instability of the distal tibiofibular syndesmosis after bimalleolar and trimalleolar ankle fractures. J Bone Joint Surg Am, 66: 490-503, 1984.

    19) Lund-Kristensen J, Greiff J, Riegels-Nielsen P: Malleolar fractures treated with rigid internal fixation and immediate mobilization. Injury, 13: 191-195, 1981.

    20) Marsh JL, Saltzman DL: Ankle fractures. In: Bucholz RW, Heckman JD eds. Rockwood and Green's fractures in adults. 6th ed. Philadelphia, PA, Lin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2147-2247, 2006.

    21) Marti RK, Raaymakers EL, Nolte PA: Malunited ankle fractures. The late results of reconstruction. J Bone Joint Surg Br, 72: 709-713, 1990.

    22) McBryde A, Chiasson B, Wilhelm A, Donovan F, Ray T, Bacilla P: Syndesmotic screw placement: a biomechanical analysis. Foot Ankle Int, 18: 262-266, 1997.

    23) McConnell T, Creevy W, Tornetta P: Stress examination of supination external rotation-type fibular fractures. J Bone Joint Surg Am, 86: 2171-2178, 2004.

    24) Michelson JD, Magid D, Ney DR, Fishman EK: Examina-tion of the pathologic anatomy of ankle fractures. J Trauma, 32: 65-70, 1992.

    25) Needleman RL, Skrade DA, Stiehl JB: Effect of the syn-desmotic screw on ankle motion. Foot Ankle, 10: 17-24, 1989.

    26) Nielson JH, Sallis JG, Potter HG, Helfet DL, Lorich DG: Correlation of interosseous membrane tears to the level of the fibular fracture. J Orthop Trauma, 18: 68-74, 2004.

    27) Oae K, Takao M, Naito K, et al: Injury of the tibiofibular syndesmosis: value of MR imaging for diagnosis. Radiology,

    227: 155-161, 2003.28) Ogilvie-Harris DJ, Reed SC, Hedman TP: Disruption of the

    ankle syndesmosis: biomechanical study of the ligamentous restraints. Arthroscopy, 10: 558-560, 1994.

    29) Pettrone FA, Gail M, Pee D, Fitzpatrick T, Van Herpe LB: Quantitative criteria for prediction of the results after displaced fracture of the ankle. J Bone Joint Surg Am, 65: 667-677, 1983.

    30) Pneumaticos SG, Noble PC, Chatziioannou SN, Trevino SG: The effects of rotation on radiographic evaluation of the tibiofibular syndesmosis. Foot Ankle Int, 23: 107-111, 2002.

    31) Rasmussen O, Tovborg-Jensen I, Boe S: Distal tibiofibular ligaments. Analysis of function. Acta Orthop Scand, 53: 681- 686, 1982.

    32) Snedden MH, Shea JP: Diastasis with low distal fibula frac-tures: an anatomic rationale. Clin Orthop Relat Res, 382: 197- 205, 2001.

    33) Takao M, Ochi M, Naito K, et al: Arthroscopic diagnosis of tibiofibular syndesmosis disruption. Arthroscopy, 17: 836-843, 2001.

    34) Tornetta P, Spoo JE, Reynolds FA, Lee C: Overtightening of the ankle syndesmosis: is it really possible? J Bone Joint Surg Am, 83: 489-492, 2001.

    35) Wrazidlo W, Karl EL, Koch K: Arthrographic diagnosis of rupture of the anterior syndesmosis of the upper ankle joint. Rofo, 148: 492-497, 1988.

    36) Yamaguchi K, Martin CH, Boden SD, Labropoulos PA: Operative treatment of syndesmotic disruptions without use of a syndesmotic screw: a prospective clinical study. Foot Ankle Int, 15: 407-414, 1994.

    37) Zalavras C, Thordarson D: Ankle syndesmotic injury. J Am Acad Orthop Surg, 15: 330-339, 2007.

    /ColorImageDict > /JPEG2000ColorACSImageDict > /JPEG2000ColorImageDict > /AntiAliasGrayImages false /DownsampleGrayImages true /GrayImageDownsampleType /Bicubic /GrayImageResolution 300 /GrayImageDepth -1 /GrayImageDownsampleThreshold 1.50000 /EncodeGrayImages true /GrayImageFilter /DCTEncode /AutoFilterGrayImages true /GrayImageAutoFilterStrategy /JPEG /GrayACSImageDict > /GrayImageDict > /JPEG2000GrayACSImageDict > /JPEG2000GrayImageDict > /AntiAliasMonoImages false /DownsampleMonoImages true /MonoImageDownsampleType /Bicubic /MonoImageResolution 1200 /MonoImageDepth -1 /MonoImageDownsampleThreshold 1.50000 /EncodeMonoImages true /MonoImageFilter /CCITTFaxEncode /MonoImageDict > /AllowPSXObjects false /PDFX1aCheck false /PDFX3Check false /PDFXCompliantPDFOnly false /PDFXNoTrimBoxError true /PDFXTrimBoxToMediaBoxOffset [ 0.00000 0.00000 0.00000 0.00000 ] /PDFXSetBleedBoxToMediaBox true /PDFXBleedBoxToTrimBoxOffset [ 0.00000 0.00000 0.00000 0.00000 ] /PDFXOutputIntentProfile () /PDFXOutputCondition () /PDFXRegistryName (http://www.color.org) /PDFXTrapped /Unknown

    /Description >>> setdistillerparams> setpage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