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dustry/1514946551803.pdf · 연결 관점에서 4g와...

25

Upload: others

Post on 24-Jan-2020

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CONTENTS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dustry/1514946551803.pdf · 연결 관점에서 4G와 5G의 차이점 [ 인간중심의네트워크시대] [ 사람과사물의초연결시대]
Page 2: CONTENTS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dustry/1514946551803.pdf · 연결 관점에서 4G와 5G의 차이점 [ 인간중심의네트워크시대] [ 사람과사물의초연결시대]

CONTENTS

이슈 점검 – 통신서비스/네트워크장비 5G 수혜주 찾기 2탄 2

1) 5G 4차 산업의 핵심으로 부상, 투자가들 충분히 5G에 열광할만한 상황 3

2) 5G는 LTE를 뛰어넘는 큰 변화를 추구, IoT를 지향하는 기술이라는 점에 주목 5

3) 5G는 초저지연/초연결/저전력을 추구, 사실상 IoT를 위한 네트워크 6

4) 28GHz 주파수 할당 확정/5G 조기 상용화 예정, 5G 기대감 커질 시기 9

5) 5G시대엔 안테나/스몰셀/백홀이 변화의 핵심, 관련주 주목해야 11

6) LTE 정도의 매출 성장만 나타나도 5G 시대 통신사 영업이익 60% 늘 수 있어 14

7) 2018년 하반기 5G CAPEX 본격화 예상, 네트워크장비 업종 주목해야 17

8) SKT/LGU+와 KMW/이노와이어/쏠리드/RFHIC/다산네트웍스 주목 19

Page 3: CONTENTS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dustry/1514946551803.pdf · 연결 관점에서 4G와 5G의 차이점 [ 인간중심의네트워크시대] [ 사람과사물의초연결시대]

통신서비스 Analyst 김홍식 02-3771-7505

2

5G 4차산업 핵심으로 부상 중, 관련주 주목해야

Issue Focus

Overweight

Top picks 및 관심종목

종목명 투자의견 TP(12M) CP(1월 2일)

SK텔레콤(017670) BUY 320,000원 265,500원

KT(030200) BUY 40,000원 30,050원

LG유플러스(032640) BUY 20,000원 14,050원

쏠리드(050890) BUY 7,500원 4,850원

다산네트웍스(039560) BUY 15,000원 6,970원

케이엠더블유(032500) BUY 35,000원 26,450원

이노와이어리스(073490) BUY 25,000원 22,400원

에이스테크(088800) BUY 7,000원 5,850원

알에프에이치아이씨(218410) BUY 3,200원

(액면병합으로 조정예정) 16,200원

코위버(056360) BUY 11,000원 8,380원

Analyst 김홍식

02-3771-7505

[email protected]

RA 최보원

02-3771-7637

[email protected]

5G는 사실상 IoT를 지향, 3G/4G와는 차원이 다른 서비스

한국/미국/일본/중국을 중심으로 전세계 각국이 5G를 4차산업의

핵심 인프라로 주목하면서 최근 5G 관련주에 대한 투자가들의 관

심이 높다. 특히 국내에선 4차산업 육성이 사실상 신정부 혁신성

장의 중심으로 부각되며 5G 관련주가 정책 수혜주로 부상하고 있

다. IoT, 자율주행자동차, VR, 로봇, 빅데이터가 모두 5G와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5G는 사실상 IoT를 지향하는

네트워크이다. 이에 따라 3G/4G보다 훨씬 더 큰 시장 파장이 예

상된다. 5G는 애초부터 엄청난 양의 디바이스 사용을 위해 주파수

확보가 용이한 초고주파수를 사용한다. 또한 5G는 단순한 속도 향

상이 아닌 초저지연/초연결/저전력 기술을 추구한다. 3G/4G와는

차원이 다른 혁신적인 서비스라고 볼 수 있다.

5G시대 도래 시 통신서비스/네트워크장비 업종 큰 수혜 예상

국내에선 5G 조기 활성화를 위해 2018년 6월 5G 주파수를

할당하고 2019년 1분기 상용 서비스에 돌입할 예정이다. 특히

향후 5G의 메인 주파수인 28GHz 대역도 경매에 포함됨에 따

라 조기에 네트워크상 큰 변화가 예상된다. 당초 예상보다 5G

가 조기 활성화됨에 따라 통신사/네트워크장비 업종의 큰 수혜

가 기대된다. 먼저 5G 성숙기에 진입할 2022년 통신 3사 영

업이익 합계는 2017년 대비 60% 이상 성장이 예상된다. 보수

적으로 과거 LTE 수준의 이동전화 서비스 매출액 성장과 큰

폭의 주파수관련비용/CAPEX 증가를 감안해도 그렇다. 안테나

/스몰셀/백홀 관련 업체 역시 큰 수혜가 예상된다. 특히 5G

비면허대역 조기 상용화는 적지 않은 수혜를 줄 것으로 보인

다. 현재 주파수경매 일정/5G 상용화 시기를 감안 시 2018년

3분기부터 네트워크 장비 업종이 큰 수혜를 입을 전망이다.

SKT/LGU+/KMW/이노와이어/RFHIC/쏠리드/다산네트웍 추천

하나금투에선 LTE 도입 당시와 마찬가지로 5G 시대를 맞이하여

통신 3사의 큰 폭 이익 성장과 주가 상승을 예상한다. 또한 전세계

주요 각국이 장기간에 걸쳐 5G 투자를 진행할 예정이어서 국내 네

트워크 업체들이 큰 수혜를 입을 것으로 판단한다. 국내 상장업체

중에서는 5G 수혜주로서 통신서비스 업체 중에선 SKT와 LGU+,

네트워크장비 업체 중에선 KMW, 다산네트웍스, 쏠리드, 이노와

이어리스, RFHIC를 추천한다.

2018년 1월 3일 I Equity Research

통신서비스/네트워크장비 5G 수혜주 찾기 2탄

Page 4: CONTENTS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dustry/1514946551803.pdf · 연결 관점에서 4G와 5G의 차이점 [ 인간중심의네트워크시대] [ 사람과사물의초연결시대]

통신서비스 Analyst 김홍식 02-3771-7505

3

1) 5G 4차 산업의 핵심으로 부상, 투자가들 충분히 5G에 열광할만한 상황

전세계적으로 5G 조기 상용화에

박차, 5G 관련주에 대한 투자가들의

관심 증대 양상

최근 5G 관련주에 대한 투자가들의 관심이 높다. 가장 큰 이유는 한국/미국/일본/중국을 중

심으로 전세계 각국이 5G를 4차산업의 핵심 인프라로 지목하면서 본격적인 육성책을 내놓

고 있고 투자를 독려함과 동시에 조기 도입에 앞장서고 있기 때문이다.

표 1. 주요 국가 5G 도입 준비 현황

한국 5G 2019년 3월 전국망 예정,

미국/일본/중국도 2019~2020년

5G 상용서비스 예정

구분 최근 동향

한국

• 5G 마스터 전략(5G 조기 활성화, 표준화 공조, 스마트 신생태계 조성) 추진

• 2018년 2월 평창올림픽 시범서비스, 2019년 3월 전국망 구축 예정

• 2018년 6월 5G 주파수 경매 예정, 2020년 자율차 레벨4 상용화 예정

미국

• 2019년 5G 주파수 경매 예정, 버라이즌 2018년 내 5개 도시 5G 서비스 제공 예정

• AT&T는 2018년 말~2019년 초 5G 상용화 예정

• T모바일과 스프린트도 각각 2020년과 2019년 상용화 예정

일본

• 2020년 도쿄올림픽에서 5G 상용화 예정

• 5G용 주파수 할당 계획 수립 중(7개 대역)

• 총무성 2022년 일본 5G 가입자가 1천만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

유럽 • 침체된 이동통신시장의 재도약을 위해 FP7, METIS 2020, 5GPPP 프로젝트를 발표

• 2020년 5G 서비스 개시 목표

중국

• 공업정보화부 중심으로 IMT2020 5G 프로모션 그룹 발족, 기술/표준화/주파수 전략을 수립

• 표준화 주도 노력, 하웨이/ZTE/차이나모바일이 해외업체와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상황

• 차이나모바일에 이어 차이나텔레콤도 도입에 적극적

자료: 하나금융투자

5G가 4차 산업의 핵심 인프라로 부

각될 가능성 높음

현재 4차 산업으로 명명되는 IoT, 자율주행자동차, VR, 로봇, 빅데이터는 모두 5G와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1) 5G가 진보된 IoT의 핵심 인프라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되

고 있고, 2) 자율주행자동차의 차량용 통신 기술(V2X)에 5G가 적용될 것이 유력한 상황이

며, 3) 차세대 미디어로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는 VR(가상현실) 역시 5G가 핵심 인프라로 각

광받고 있고, 4) 자율주행자동차용 교통관제시스템 구축에 통신사 빅데이터 활용이 유력하

며, 5) 머신러닝 기능이 적용될 산업/가정용 로봇의 경우 자율주행자동차를 통해 상용화 확

산 계기를 맞는 동시에 5G와 연계될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그림 1. 5G가 4차 산업의 핵심이 될 수 밖에 없는 이유

5G

IoT 자율주행자동차 로봇 빅데이터VR

자료: 하나금융투자

Page 5: CONTENTS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dustry/1514946551803.pdf · 연결 관점에서 4G와 5G의 차이점 [ 인간중심의네트워크시대] [ 사람과사물의초연결시대]

통신서비스 Analyst 김홍식 02-3771-7505

4

4차산업 육성은 사실상 신정부

혁신성장의 중심,

5G 관련주 향후 정책 수혜주로

부각 예상

최근 문재인 정권은 소득주도 성장에 이어 혁신성장을 추진 중이다. 소득주도성장만으로는

성장에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현재 혁신성장 방안에는 중기/벤처/금융, 4차산업

혁명, 규제 개혁이 3대 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주식시장에서 4차 산업 수혜주

가 크게 부각되고 있는데 특히 5G 관련주에 대한 관심이 높은 상황이다. 국내의 경우 그나

마 통신 서비스/단말/반도체 산업이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

황 속에 문재인 정부도 4차산업 육성방안을 발표하면서 2019년 3월 5G 조기 상용화를 이

례적으로 언급해 투자가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는데 통신 및 네트워크 장비 산업이 4차

산업의 핵심 수혜주로 부각될 공산이 높다는 판단이다.

표 2. 문재인정부 혁신성장 방향

구분 내용

중기/벤처/금융

• 중기정책 콘트럴타워 확립

• 창업교육 통한 중기분야 인재확보

• 판교창조경제밸리 활성화 방안

• 하도급 공정화 종합 대책

• 벤처, 스타트업에 대한 모험적 투자 촉진

4차 산업 육성

• 융합기술 개발 및 전문가 양성

• 5G 시험망 구축

• IoT 전용망 조기 구축

• 네트워크형 산업 생태계 구축 대책

• 스마트시티 국가시범사업 기본 구상

규제 개혁

• 신산업분야 네거티브 규제 원칙 마련

• 서비스산업 혁신 전략

• 제조업 부흥 전략

• 해외투자기업의 국내 유턴을 위한 투자유치제도 개편 방안

자료: 언론사, 하나금융투자

Page 6: CONTENTS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dustry/1514946551803.pdf · 연결 관점에서 4G와 5G의 차이점 [ 인간중심의네트워크시대] [ 사람과사물의초연결시대]

통신서비스 Analyst 김홍식 02-3771-7505

5

2) 5G는 LTE를 뛰어넘는 큰 변화를 추구, IoT를 지향하는 기술이라는 점에 주목

5G는 IoT를 지향하는 네트워크,

3G/4G보다 훨씬 더 큰 시장

파장 예상

과거 이동전화는 세대별로 특별한 목적을 갖고 진화를 시도하였다. 2G가 디지털음성, 3G가

글로벌로밍, 4G가 무선인터넷이 주요 도입 목적이었다면 5G는 IoT(사물인터넷)라고 볼 수

있다. 기술적으로 볼 때 IoT에 특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림 2. 이동전화 세대별 진화 목적

2G

디지털 음성

3G

글로벌 로밍

4G

무선 인터넷

5G

IoT

자료: 하나금융투자

5G는 IoT 구현을 위해 초고주파수를

사용, 엄청난 양의 주파수를 확보하기

위한 수단인 셈

5G는 mmWave 광대역 통신, 차량간 직접 통신, 빔간 고속 핸드오버, Short TTI(Time

To Interact), Ultra Dense Network를 추구한다. 즉 엄청난 양의 주파수를 확보하기 위

해 비면허대역인 20GHz대역 이상의 초고주파수를 사용하고 외부 네트워크를 활용한 자율

자동차 구현이 가능하며 셀반경을 줄임으로써 전력 소모의 혁신을 가져올 수 있는 네트워

크라고 할 수 있다. 결국 5G는 단순한 속도 향상을 위한 차세대 네트워크가 아닌 IoT를

위한 네트워크라고 볼 수 있다. 빠른 데이터 전송속도를 구현하지만 데이터 속도보다는 응

답 속도가 빠른 것을 요구하며 Massive IoT를 지향하기 때문이다.

그림 3. 5G가 IoT를 위한 네트워크라고 판단할 수 있는 핵심 기술 정리

mmWave 광대역 통신

차량간 직접 통신

빔간 고속 핸드오버

Short TTI(Time To Interact)

Ultra Dense Network

자료: 하나금융투자

표 3. 5G의 IoT 관련 기술적 특징 및 적용 분야

구분 특징 적용 분야

Massive IoT 아주 낮은 네트워크 성능만을 요구, 센서 기능 수행

가끔 수집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

산업시설

웨어러블

Mission Critical Control 데이터 속도보다는 응답 속도가 빠른 것을 요구함 위험시설 원격제어

위험상황 감지

Enhanced Mobile Broadband 빠른 데이터 전송속도 비디오 원격 진료

드론 영상 실시간 전송

자료: 하나금융투자

Page 7: CONTENTS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dustry/1514946551803.pdf · 연결 관점에서 4G와 5G의 차이점 [ 인간중심의네트워크시대] [ 사람과사물의초연결시대]

통신서비스 Analyst 김홍식 02-3771-7505

6

3) 5G는 초저지연/초연결/저전력을 추구, 사실상 IoT를 위한 네트워크

5G의 핵심은 초저지연/초연결/저전력

기술이라는 점, 단순한 속도 향상이

아니라는 점에 주목

5G 네트워크의 특징은 빠른 전송 속도와 더불어 초연결/초저지연/저전력을 추구한다는 점

이다. 이러한 이유로 IoT를 지향한다고 볼 수 있다. IoT 서비스 확산을 위해선 다수의 단말

을 포용할 수 있어야 하고 응답 속도가 뛰어나야 하며 전력 소모가 크지 않아야 하기 때문이

다.

그림 4. 5G의 4가지 특성

1. 빠른 전송 속도 2. 초연결 4. 저전력3. 초저지연

자료: 하나금융투자

5G는 초연결을 추구,

진정한 IoT 시대를 열 것

먼저 5G는 엄청난 숫자의 디바이스 수용이 가능하다. 전체 500억개, 1제곱km당 100만개

이상을 목표로 하는데 결국 초연결 사회가 열린다는 의미이며 곧 IoT로의 진입을 뜻한다.

기존 이동통신은 철저하게 인간 중심의 네트워크였다. 데이터가 통화의 중심으로 변모하였

지만 여전히 사람과 사람간의 연결을 전제로 하였다. 하지만 5G부터는 사람과 사물의 초연

결이 시작될 것으로 보이며 막대한 단말의 수용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표 4. 5G Massive IoT의 기술적 요구 사항

구분 내용

디바이스 수의 증가 전체 500억개, 1제곱km당 100만개 이상이 목표

초저가 디바이스 5~10달러 수준의 저렴한 디바이스를 제공

초전력 디바이스에 배터리 장착으로 10년 이상 수명을 유지

향상된 커버리지 기존대비 20db 커버리지 향상

자료: ETRI, 하나금융투자

그림 5. 연결 관점에서 4G와 5G의 차이점

[ 인간 중심의 네트워크 시대 ] [ 사람과 사물의 초 연결시대 ]

5G4G

자료: 하나금융투자

Page 8: CONTENTS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dustry/1514946551803.pdf · 연결 관점에서 4G와 5G의 차이점 [ 인간중심의네트워크시대] [ 사람과사물의초연결시대]

통신서비스 Analyst 김홍식 02-3771-7505

7

5G에선 Short TTI가 가능해져

자율주행 및 AR/VR 서비스 구현이

가능

여기에 5G는 초저지연이라 불리는 Short TTI 기술을 갖고 있다. IoT(사물인터넷)에서 종단

간(end-to-end) 전달 시간이 매우 짧은 것을 의미하는 것인데 IoT가 발달하면서 부각되었

다. 5G에서는 종단 간 0.001초 수준의 초저지연을 목표로 하고 있다.

Short TTI 기술은 5G에서 IoT, 특히 자율주행자동차 서비스가 중요해지면서 더욱 조명을

받고 있다. 초저지연 기술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곧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LTE 기반 네트워크 환경에서 통신 지연시간은 0.03초에서 0.05초에 달한다. 이는 스마트폰

단말기에서 기지국, 서버를 거쳐 다시 스마트폰까지 되돌아오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하는

데 이 정도의 지연 시간으로는 더욱 빠른 응답속도를 원하는 진보된 형태의 IoT 서비스를

충족해주지 못한다. 운송형 IoT의 대표주자인 자동차 속도를 시간당 100km로 가정하면 차

가 멈추는데 대략 1m가 더 이동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실상 무지연 현상이 가능해지

려면 0.001초 수준의 초저지연이 구현되어야 한다. 그래야 자율주행 자동차가 정지하는데

필요한 지연거리가 몇 센티미터에 불과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국내 통신사에서 초저지연 기술에 있어 괄목할만한 성과가 나타나고 있고 고무

적이다. 2017년 9월 SKT는 노키아와 세계 최초로 LTE 단말-기지국 간 데이터 왕복 지연

시간을 0.025초에서 0.002초로 단축하는 데 성공했다. 5G 시대의 핵심 기술이 이미 구현된

셈이며 Short TTI가 가능해짐에 따라 5G 시대의 핵심 서비스인 자율주행은 물론 AR/VR

등 다양한 실시간 서비스 구현이 앞당겨질 전망이다.

그림 6. 5G 초저지연 기술 정의

MEC Server Mobile Core Internet

IoT GWApp

Applications, visualization, vertical specific analytics

자료: 하나금융투자

Page 9: CONTENTS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dustry/1514946551803.pdf · 연결 관점에서 4G와 5G의 차이점 [ 인간중심의네트워크시대] [ 사람과사물의초연결시대]

통신서비스 Analyst 김홍식 02-3771-7505

8

5G는 소형셀 위주로 망을 구성,

전력 소모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

마지막으로 5G는 저전력 구현이 가능하다는 기술적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5G

네트워크가 IoT에 최적화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5G는 기본적으로 셀의 소형화를 추구한

다. 셀의 소형화로 기지국이 촘촘히 박히고 CAPEX가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전력 소모

량을 줄일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존재한다. 셀반경이 줄어들면 Path Loss(전파 전송 손실)가

줄어들어 출력이 감소해도 동일한 성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10개의 소형 셀을 설

치하는 경우 전체 용량은 10배가 되며 전력은 1/10로 줄어드는 효과를 언들 수 있다. 또한

소형셀 구성을 통해 기지국간의 협력 전송 및 이를 통한 전략 최적화가 가능하며 사용자의

활성화 영역과 비활성화 영역을 인지하여 불필요한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그림 7. 마이크로셀과 스몰셀의 송신 전력 차이 비교

[ Macro cell ] [ Small cell ]

송신전력Pm

경계 수신 전력Pmdm

-4

송신전력Ps

경계 수신 전력Psds

-4

자료: KAIST, 하나금융투자

그림 8. 5G의 활성화/비활성화 영역 인지 기술 그림 9. 5G 소형셀간 협력 기술

[ 활성화, 비활성화 영역 인지 기술 ]

1000배 줄어든 전력 소모

사용자 인지

200 ㎼

거리 10~200m

비활성화영역

활성화영역

[ 소형셀 기지국들 간의 최적의 협력 ]

소형 셀 기지국

소형 셀 기지국들간협력 전송

매크로셀 기지국

자료: KAIST, 하나금융투자 자료: KAIST, 하나금융투자

Page 10: CONTENTS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dustry/1514946551803.pdf · 연결 관점에서 4G와 5G의 차이점 [ 인간중심의네트워크시대] [ 사람과사물의초연결시대]

통신서비스 Analyst 김홍식 02-3771-7505

9

4) 28GHz 주파수 할당 확정/5G 조기 상용화 예정, 5G 기대감 커질 시기

국내 2018년 6월 5G 주파수 할당

예정, 특히 28GHz 대역도 경매에

포함되었다는 점에 주목,

네트워크 조기에 큰 변화 예상

국내 5G 주파수 할당 일정이 확정되었다. 2018년 5월 주파수할당(경매) 공고가 나올 예정

이며 6월 경매를 진행하며 총 2회에 걸쳐 공청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흥미를 끄는 점은

3.5GHz와 더불어 28GHz 대역 폭이 경매로 나올 예정이라는 부분이다. 아직까지

26.5GHz~27.5GHz, 28.5GHz~29.5GHz 대역은 2018년에 경매를 진행할 지 다음에 실

시할 지 결정되지 않았지만 27.5GHz~28.5GHz 총 1GHz 폭은 경매 대상으로 확정되었으

며 저주파 대역인 3.5GHz 총 300MHz 역시 할당이 확정되었다. 현재 28GHz 대역의 경우

최대 블록당 400MHz씩 6개 블록, 총 2.4GHz가 경매에 나올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최근 투자가들의 5G 조기 상용화 및 관련업체들의 수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28GHz를 포함한 5G 주파수경매가 조기에 시행될 예정이며 정부 발표대로 2019년 3월 5G

전국망이 이루어지려면 2018년 9월부터는 국내 통신 3사가 5G CAPEX 투자에 들어가야

하기 때문이다.

아마도 현재 투자가들의 최대 관심사는 28GHz 주파수의 사용 시기일 것이다. 왜냐하면

28GHz 대역 폭 사용이 조기에 가시화되어야 5G를 통한 IoT 진화가 본격화될 수 있고 네트

워크장비 분야에서 큰 변화가 나타나며 5G 핵심 기술인 빔포밍, Massive IoT, 저전력, 스몰

셀이 조기에 가시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정부가 2018년 6월 주파수 경매에 28GHz

를 포함시킴에 따라 본격적인 5G 시대의 도래가 당초 예상보다 더 빨라질 전망이다.

일부에선 아직 28GHz용 장비 개발이 완료되지도 않은 상황에서 2018년 6월 28GHz 주파

수 경매가 다소 빠르지 않느냐는 지적을 할 수 있지만 그리 빠르지 않은 일정이라고 볼 수

있다. 2017년 12월 중으로 민간표준화기구인 3GPP가 NSA(Non-Standalone) 표준을 완

료할 예정이며 벌써 28GHz를 지원하는 5G 단말기 칩셋 및 네트워크 장비의 개발 성공 소

식이 들려오고 있기 때문이다. 어쨌든 정부 28GHz 주파수 경매가 2018년 6월 3.5GHz 경

매와 동시에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5G 관련주에 대한 투자가들의 관심이 한 층 더 높아질

전망이다.

비면허대역의 조기 주파수 활용이 진정한 5G로 가는 지름길이며 IoT로 나아가는 세상을 앞

당길 수 있는데 한국이 가장 먼저 시동을 걸고 나섰기 때문이다. 한국/미국/일본/중국간 4

차 산업의 핵심 인프라인 5G 주도권 쟁탈전이 심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세계 최초로 한국이

비면허대역(23/28GHz) 대역에서의 주파수 할당을 확정함에 따라 향후 세계 각국의 28GHz

대역 CAPEX 경쟁도 한층 뜨거워질 전망이다. 국내 통신 3사와 더불어 네트워크장비 업체

에 대한 적극 매수 관점에서의 접근이 필요해 보인다.

표 5. 국내 5G 주파수 할당 계획

구분 주파수 대역 주파수 폭 경매 시기

저주파 대역 3.5GHz 300MHz 2018년 6월

고주파 대역

27GHz 1GHz 논의 중

28GHz 1GHz 2018년 6월

29GHz 1GHz 논의 중

자료: 과기부, 언론매체, 하나금융투자

Page 11: CONTENTS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dustry/1514946551803.pdf · 연결 관점에서 4G와 5G의 차이점 [ 인간중심의네트워크시대] [ 사람과사물의초연결시대]

통신서비스 Analyst 김홍식 02-3771-7505

10

그림 10. 정부의 5G 주파수 할당 로드맵 발표가 5G 관련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하는 이유

5G 주파수 경매/상용화 일정 감안 시 2018년 하반기 5G CAPEX 집행 유력

28GHz가 주파수 경매에 포함, 네트워크 장비에 큰 변화 예상

빔포밍, Massive IoT, 저전력, 스몰셀 등 IoT 관련 기술 이슈 조기에 부각될 전망

1

2

3

자료: 하나금융투자

Page 12: CONTENTS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dustry/1514946551803.pdf · 연결 관점에서 4G와 5G의 차이점 [ 인간중심의네트워크시대] [ 사람과사물의초연결시대]

통신서비스 Analyst 김홍식 02-3771-7505

11

5) 5G시대엔 안테나/스몰셀/백홀이 변화의 핵심, 관련주 주목해야

특히 5G 비면허대역 조기 상용화 시

안테나/스몰셀/백홀 관련 업체

큰 수혜 예상

5G 시대가 조기에 도래하고 곧 네트워크장비 투자가 진행될 것임을 감안할 때 가장 주목해

야 할 업체들은 안테나/스몰셀/백홀 업체이다. 네트워크 진화에 따른 변화가 가장 두드러지

게 나타날 분야이기 때문이다.

그림 11. 5G 시대 도래 시 가장 주목해야 할 네트워크 장비 부문의 3가지 변화

고주파에서 Massive MIMO 기술이 적용, 안테나 시장 큰 폭 확대 전망

스몰셀의 활용 범위 확대, 특히 아웃도어 스몰셀 시장 개화 가능성

트래픽 폭증에 교체 시기 도래, 모바일 백홀 업그레이드 필수

1

2

3

자료: 하나금융투자

5G엔 Massive MIMO 기술 적용,

안테나 수요 폭증 예상,

기지국 안테나 업체인

KMW와 에이스테크에 주목

먼저 5G 시대를 맞이하여 가장 크게 변화하는 것은 안테나 분야이다. LTE부터

MIMO(Multi Input Multi Out) 기술이 적용되고 5G엔 궁극적으로 Massive MIMO 기술이

적용되기 때문이다. 즉 현재 기지국 안테나수가 최대 8개라면 향후엔 안테나수가 128개까지

갈 수 있다는 얘기라서 향후 5G 시대 도래 시 관련업체들의 적지 않은 수혜가 예상된다.

5G에서 MIMO는 핵심 기술이다. 안테나 수에 따라 전송용량, 전송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4G만해도 4개의 송신 안테나와 4개의 수신 안테나가 적용된 4 X 4 MIMO가 최

고였다. 하지만 5G에서 적용될 Massive MIMO는 100개 이상의 안테나 사용을 목표로 하

고 있다. 8 X 8 MIMO가 1Gbps의 전송속도를 보장한다고 알려져 있으니 현재 5G 목표인

10Gbps를 지원하지 위해선 이론적으로 80개 이상의 안테나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최근

5G에 64 X 64 MIMO 얘기가 등장하는 이유도 사실상 이러한 기술적 특성 때문이다.

Massive MIMO는 기지국에 수백개 이상의 안테나를 장착해 속도를 엄청나게 끌어 올리는

기술이다. 기지국에 장착된 수백개의 안테나들이 동시에 전파를 송수신하는 빔을 형성해 전

파 도달 범위 내 이용자에게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식인데 특정 사용자에게 전파를 집중시켜

초고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라고 볼 수 있다. 즉 빔포밍을 통해 네트워크 안정성 확보

와 동시에 속도 향성을 추구한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안테나 숫자만큼 5G 시대에 기지국 안테나 시장이 커진다고 보긴 어렵다. 당연히 경박

단소화가 진행될 것이고 이에 따라 개당 안테나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할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안테나 숫자가 현재보다 최소 10배 이상 커질 것으로 보여 이에 따른 시장 성장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Page 13: CONTENTS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dustry/1514946551803.pdf · 연결 관점에서 4G와 5G의 차이점 [ 인간중심의네트워크시대] [ 사람과사물의초연결시대]

통신서비스 Analyst 김홍식 02-3771-7505

12

표 6. MIMO 핵심 기술

MIMO 기술은 공간다중화와

빔포밍을 지향,

전송속도 향상과

간섭 방지에 효율적

구분 내용

공간다중화

(Spatial Multiplexing) • 다수의 송신안테나를 통해 여러 개의 정보를 전송, 전송속도를 향상시키는 기술

공간디어버시티

(Spatial Diversity) • 다수의 송신 안테나로 똑 같은 정보를 여러 번 전송, 오류를 제거하는 기술

빔포밍

(Beamforming) • 원하는 방향으로 전파를 쏴서 간섭을 줄이는 기술

자료: 하나금융투자

그림 12. Massive MIMO를 이용한 3D 빔포밍 기술

특히 고주파수 대역에선

빔포밍 기술 필수,

안테나 수요 폭증 예상

자료: 하나금융투자

5G시대에는 스몰셀 시장이 확대되는

첫 사례가 될 가능성이 높음,

국지적 트래픽 관리에 효과적이고

아웃도어 스몰셀 사용 예상되기 때문,

이노와이어리스 주목해야

스몰셀 역시 5G를 통해 크게 이슈화될 전망이다. 특히 5G 시대엔 스몰셀의 활용 범위 확

대, 특히 아웃도어 스몰셀 시장 개화 가능성 시대에 주목해야 한다. 트래픽 분산 효과가 뛰

어나 국지적인 트래픽 관리에 효과적이며, 5G 시대에는 28GHz를 메인 주파수로 사용할 공

산이 큰데 커버리지가 협소해지는 관계로 셀룰러 방식 대신 스몰셀을 사용하는 권역이 늘어

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특히 인구 밀도가 낮은 미국/중국 등엔 스몰셀 활용도 증가가

예상된다. 따라서 스몰셀 시장은 5G 시대에 본격 개화의 시기를 맞을 가능성이 높다.

스몰셀 시장은 LTE에서 큰 기회를 맞지 못했다. 통신사들이 다소 모험적인 스몰셀보다는 보

다 검증된 중계기를 선호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이제 국내 KT, SKT를 비롯하여 미국, 중

국 등에서 스몰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상황이며 일부 통신사들이 시험적인 구매에 나사

고 있어 시장 확장이 기대되고 있다. 특히 스몰셀은 5G를 통해 개화되는 기회를 맞이할 가

능성이 높다. LTE에서는 소량 매출에 그쳤지만 5G에서는 통신업체들의 스몰셀 채택이 증가

할 가능성이 높다. 여전히 통신사들이 중계기를 더 선호할 가능성이 높지만 트래픽 분산에

탁월한 특성을 가지고 있고 5G에선 활용도 증가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스몰셀에서

이종 네트워크(와이파이+LTE)를 동시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추세

이어서 통신사들의 관심이 더 높아지고 있다. 여기에 버라이즌과 같은 해외 통신사들의 경우

아웃도어 스몰셀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시작하고 있다. 망 구축 비용 절감이 가능하기 때문

이다. 5G에선 스몰셀 관련 업체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Page 14: CONTENTS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dustry/1514946551803.pdf · 연결 관점에서 4G와 5G의 차이점 [ 인간중심의네트워크시대] [ 사람과사물의초연결시대]

통신서비스 Analyst 김홍식 02-3771-7505

13

그림 13. 스몰셀 네트워크 개념도

자료: 하나금융투자

모바일백홀 교체 주기 임박한 데다가

5G 수요까지 겹쳐 2018년 말 이후

백홀 투자 폭증 예상,

다산네트웍스와 유비쿼스를 주목해야

모바일백홀 역시 5G 시대를 맞이하여 관심을 높여야 할 종목군이다. 유선망이긴 하지만 현

실적으로 모바일트래픽에 비례하여 투자가 진행되는 곳이 모바일백홀 구간이기 때문이다.

모바일백홀은 기지국 등 액세스단의 데이터를 모아 백본망으로 전송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스마트폰이 대중화되고 이동통신에서 패킷 비중이 점차 늘어나면서 스마트폰 도입 이후 모

바일백홀이 전세계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다. 기존의 음성위주 백홀 시스템이 진화해야 할 필

요성이 컸기 때문이다.

실제로 많은 전세계 통신사들은 스마트폰 보급 이후 대대적인 모바일백홀 보완 투자에 나섰

으며 LTE 도입 이후엔 대다수 통신사들이 모바일 백홀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모바일 트래

픽이 폭증하였기 때문이다. 5G 시대엔 스마트폰 도입 당시 못지않은 모바일백홀 투자 증가

가 예상된다. 그 이유는 1) UHD, VR로의 컨텐츠 고도화에 따른 모바일 트래픽 폭증이 예

상되고, 2)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디바이스가 증가하고 IoT 서비스가 진화하면서 스마트폰 도

입 당시를 능가하는 트래픽 증가가 나타날 수 있으며, 3) 스마트폰 도입으로 모바일백홀 투

자가 본격화되었던 시기가 전세계적으로 2010~2011년이라고 보면 2018년 5G 시대 도래

와 함께 모바일 백홀 교체 수요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림 14. 모바일백홀 네트워크 개념도

BSC

RNC

MPLS LER

MPLS LER

MPLSCloud

MPLS LSR

V5848GGPON OLT (MPLS LER)

Splitter

2G Mobile

H645TGPON TDM ONT

BTS

Splitter

H645SGPON ATM ONT

Node-B

3G Mobile

GigaPONTXTDN/ATM

DASAN Networks,Inc.

2G Network

3G Network

자료: 하나금융투자

Page 15: CONTENTS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dustry/1514946551803.pdf · 연결 관점에서 4G와 5G의 차이점 [ 인간중심의네트워크시대] [ 사람과사물의초연결시대]

통신서비스 Analyst 김홍식 02-3771-7505

14

6) LTE 정도의 매출 성장만 나타나도 5G 시대 통신사 영업이익 60% 늘 수 있어

과거 LTE 정도의 이동전화 서비스

매출액 정도만 나타나도 5G 시대

통신사 영업이익 60% 이상 성장 전망

통신사들의 경우엔 LTE 도입 당시와 마찬가지로 5G 시대를 맞이하여 큰 폭의 이익 성장이

예상된다. 당연한 얘기지만 매출 성장이 크게 나타날 것이기 때문이다. 아직 5G 시대에서의

통신사 매출액을 전망하긴 쉽지 않다. 요금제가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단 5G 시대에

최소 20% 이상의 이동전화매출액 성장을 기록할 것이라고는 얘기할 수 있다. 2012~2017

년 LTE 보급 6년 동안 실제 통신산업 이동전화 매출액 성장률(이동전화매출액 성장률+선택

약정요금할인 폭 확대로 인한 매출액 감소율)을 감안할 시 그렇다.

5G 시대에서도 통신사 매출 성장 전략은 LTE 도입 당시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보인

다. 1) 트래픽을 올리기 위해 UHD/VR 컨텐츠 확장에 나설 전망이고, 2) 단위당 데이터 요

금을 내리는 대신에 주력 요금제를 LTE대비 상향 조정할 것으로 보이며, 3)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를 5G 초기엔 적용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그래야 가입자 1명당 매출 성장을 이룩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림 15. 통신3사 이동전화매출액 변화 비교 그림 16. 세대 진화에 따른 주력 요금제 변화 예상

21,000

22,000

23,000

24,000

25,000

12년 16년

(십억원)이동전화매출액

56,100원

66,000원 (?)

48,000

52,000

56,000

60,000

64,000

68,000

LTE 6.5G 5G 16G

(원)

자료: 각사, 하나금융투자 자료: 각사, 하나금융투자

영업비용 증가 폭 역시 크겠지만 매출

증가에 따른 영업이익 증가 폭 훨씬

크게 나타날 전망

영업비용도 크게 증가하지 않겠냐는 생각을 할 수 있는데 주파수관련 비용 증가, 유형자산상

각비 증가, 마케팅비용 증가를 고려해도 매출액 증가 폭의 절반 수준에 불과할 것으로 보인

다. 현재 5G 주파수 최저 할당가격은 총 1.3GHz(3.5GHz 300MHz, 28GHz 1GHz) 폭 기

준으로 2~3조원, 2.7GHz(3.5GHz 300MHz, 28GHz 2.4GHz) 기준으로 4조원에 달할 것

으로 예상되고 있다. 단위당 주파수 할당 가격이 이전대비 크게 하락한 것인데 가장 큰 이유

는 전파 특성 계수가 좋지 않고 5G 예상 매출액을 보수적으로 산정한 데 따른 것으로 해석

된다. 즉 28GHz 주파수 대역이 전파 도달거리가 짧아 LTE에 비해 설비 투자가 많이 든다

는 점과 최근 국회/소비자 단체의 높은 주파수 가격의 문제점을 정부가 인식한 것으로 풀이

된다. 10년 상각임을 감안 시 연간 통신사 주파수관련 비용 증가분은 4천억원 수준이 될 전

망이다.

Page 16: CONTENTS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dustry/1514946551803.pdf · 연결 관점에서 4G와 5G의 차이점 [ 인간중심의네트워크시대] [ 사람과사물의초연결시대]

통신서비스 Analyst 김홍식 02-3771-7505

15

그림 17. 통신 3사 주파수 관련 비용 전망 그림 18. 10MHZ당 주파수 할당 가격 추이 및 전망

0.0

0.5

1.0

1.5

2.0

17F 18F 19F 20F

(조원)주파수 관련 비용

0

50

100

150

200

250

300

13 16 18F(?)

(십억원)10MHz당 주파수 할당 가격

자료: 각사, 하나금융투자 자료: 각사, 하나금융투자

그림 19. 주파수 할당 대가 산정 방식

2. 실제 매출액을 기준으로 부과하는 납부금

개별 사업자의 연간 실제 매출액

시장 특성 고려한 정부 고시율

1. 예상 매출액을 기준으로 부과하는 납부금

주파수 이용 기간의 시장 전체 예상 매출액

주파수 할당 대가

시장 특성 고려한 정부 고시율

전파 특성 계수

주파수 할당율

자료: 하나금융투자

Page 17: CONTENTS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dustry/1514946551803.pdf · 연결 관점에서 4G와 5G의 차이점 [ 인간중심의네트워크시대] [ 사람과사물의초연결시대]

통신서비스 Analyst 김홍식 02-3771-7505

16

주파수관련비용/CAPEX 증가 감안해도

2022년 통신 3사 영업이익 합계

6.5조원에 달할 전망

CAPEX는 2018년부터 증가, 2011년까지 증가한다고 가정하고 다만 연간 통신 3사

CAPEX 합계가 LTE 투자 고점인 2012년을 넘어서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하면 대략 통신 3

사 유형자산상각비 증가액은 6천억원 수준이 될 전망이다. 마케팅비용 증가 폭은 향후 유통

구조 개편을 앞두고 있어 대단히 예측하기 어렵지만 ARPU 상승 시 일반적으로 마케팅비용

이 연동하여 올라간다는 점을 감안해 대략 20% 증가를 예상하면 1.5조원 증가가 예상된다.

하지만 통신사 이동전화매출액이 연간 25조원이어서 이동전화매출액이 20%만 증가해도 서

비스매출액이 5조원 증가할 수 있다는 점을 생각할 필요가 있다. 굳이 IoT 산업 성장에 따

른 Q의 성장을 고민하지 않고 LTE 수준의 ARPU 성장만 나타난다고 해도 20% 서비스매출

액 성장이 무난히 달성 가능할 것이기 때문이다. 통신사 영업비용 증가분이 총 2.5조원에 달

다고 해도 2017년 통신산업 예상 영업이익이 4조원 수준임을 감안할 때 통신산업 영업이익

이 63% 증가할 수 있다. 5G 시대에서 통신사 영업이익 증가 폭은 보수적으로 판단해도 높

게 나타날 전망이다.

그림 20. 국내 통신 3사 유형자산감가상각비 합계 전망 그림 21. 세대 진화에 따른 통신산업 영업이익 변화 예측

6,600

6,900

7,200

7,500

7,800

16 17F 18F 19F 20F 21F 22F

(십억원)통신 3사 유형자산감가상각비 합계

0

2

4

6

8

17F 22F

(조원)영업이익

자료: 각사, 하나금융투자 자료: 각사, 하나금융투자

Page 18: CONTENTS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dustry/1514946551803.pdf · 연결 관점에서 4G와 5G의 차이점 [ 인간중심의네트워크시대] [ 사람과사물의초연결시대]

통신서비스 Analyst 김홍식 02-3771-7505

17

7) 2018년 하반기 5G CAPEX 본격화 예상, 네트워크장비 업종 주목해야

현재 주파수 경매 일정,

5G 상용화 시기 감안 시

2018년 3분기부터 네트워크 장비

업종 큰 수혜 입을 전망

네트워크장비 업종 역시 5G 시대 도래를 맞이하여 적극 관심을 높일 필요가 있다. 5G 주파

수 경매 및 상용화 일정을 감안할 때 국내의 경우 2018년 하반기부터 통신사 5G CAPEX가

집행될 것으로 보이고 미국/일본/중국 역시 빠르면 2018년부터 5G 투자에 나설 전망이기

때문이다.

특히 LTE 투자 당시와는 달리 전세계 주요 통신사들의 5G CAPEX 집행 예정 시기가 큰 차

이가 없어 2018년 말부터 전세계 통신사 CAPEX가 집중될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은 긍정적

이다. 2018년부터 한국/일본/미국이 5G 투자 경쟁에 본격적으로 나서는 가운데 중국이 머

지않아 투자에 가세할 것으로 보여 당초 예상보다 조기에 5G 장비 시장 형성이 예상된다.

여기에 LTE와 달리 CAPEX 투자 시기가 길 것이란 점도 긍정적이다. 과거 전세계 LTE 투

자가 2년 안에 이루어졌다면 향후 5G는 5년에 걸쳐 단계적 투자가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된

다. 초기엔 저주파수 위주의 투자가 예상되며 점차 고주파수로의 이동이 나타날 전망이다.

5G 네트워크 투자는 대략적으로 2018년 하반기부터 시작되어 2022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장기간 투자로 인해 국내의 경우 연간 CAPEX 규모가 LTE 투자 피크였던 2011

년을 상회할 가능성은 낮다. 하지만 총 투자 규모는 LTE를 크게 앞지를 것으로 판단된다.

대략 초기 전국망 구축비용이 LTE의 1.5배 수준이 될 전망이다. 5G의 경우 사용 주파수 대

역 폭이 넓고 고주파수를 이용함에 따라 장비 시장에서의 큰 변화가 예상되고 투자 규모가

많아질 수 바에 없기 때문이다. 기지국 셀반경이 줄어들고 Massive IoT를 구현하며 응답속

도의 혁신이 이루어진다는 점을 생각해 보면 당연한 얘기일 수도 있겠다.

그림 22. 국내 이동통신 3사 CAPEX 추이 및 전망

기존의 3G/4G 때와는 달리

5G는 4~5년에 걸친 장기적인

CAPEX 집행 이루어질 전망,

장기 실적 개선 예상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F 18F 19F 20F 21F 22F

(십억원)3사 CAPEX 합계

3G

4G5G

자료: 하나금융투자

Page 19: CONTENTS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dustry/1514946551803.pdf · 연결 관점에서 4G와 5G의 차이점 [ 인간중심의네트워크시대] [ 사람과사물의초연결시대]

통신서비스 Analyst 김홍식 02-3771-7505

18

전세계 각국 5G 조기 투자 예상,

특히한/미/중/일 동시 투자로

국내 네트워크장비 업체 수혜 집중될

전망

한편 분산 투자로 인해 연간 CAPEX 규모가 크게 늘지 않아 네트워크 장비 업종 수혜가 크

지 않을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는데 그렇진 않다. 네트워크 투자 규모가 크고 국내 네트워크

장비 업체 수출 비중이 높은 미국/중국/일본 통신사들의 5G 투자가 2018~2022년에 집중

될 전망이기 때문이다. 즉 내수만 보면 2012년대비 투자규모가 줄 수 있지만 수츌까지 합치

면 시장이 훨씬 더 커진다고 볼 수 있겠다.

최근 전세계 각국이 자율주행자동차/VR 등 4차산업의 패권 쟁취를 위해 5G에 조기 투자에

열을 올리고 있다. 5G 도입에 뒤처지면 4차산업 경쟁에서 뒤처짐과 동시에 자동차/IT 산업

의 붕괴를 맞이할 수도 있다는 절박감이 있기 때문이다. 5G 투자가 예상보다 빨리 전개될

것으로 보여 네트워크 장비 업종 투자 매력도를 한층 높여주고 있다는 판단이다.

그림 23. 2018~2022년에 걸쳐 전세계적으로 5G 투자가 집중될 것으로 예상하는 이유

5G 투자는 전세계 주요 각국이

장기간에 걸쳐 진행할 예정이어서

국내 네트워크 업체 큰 수혜 예상 전세계적으로 자율주행/VR 패권 쟁취 위해 5G 조기 투자 경쟁 예상

LTE 투자 시기는 전세계적으로 큰 차이 보임, 하지만 LTE 투자는 동일 시기에 집중 예상

5G CAPEX 부담 큰 상황, 4~5년에 걸쳐 단계적 커버리지 확대 전망

1

2

3

특히 CAPEX 규모 큰 미국/중국/일본 5G 투자 2018~2022년에집중 예상4

자료: 하나금융투자

Page 20: CONTENTS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dustry/1514946551803.pdf · 연결 관점에서 4G와 5G의 차이점 [ 인간중심의네트워크시대] [ 사람과사물의초연결시대]

통신서비스 Analyst 김홍식 02-3771-7505

19

8) SKT/LGU+와 KMW/이노와이어/쏠리드/RFHIC/다산네트웍스 주목

하나금투에선 5G 수혜주로

SKT, LGU+, KMW, 다산네트웍스,

쏠리드, 이노와이어리스, RFHIC를

추천

투자가들의 관심이 높은 5G 조기 도입 수혜주로는 SKT, KT, LGU+, KMW, 에이스테크,

다산네트웍스, 유비쿼스, 쏠리드, 이노와이어리스, 코위버, RFHIC 등을 꼽을 수 있다.

먼저 통신서비스 업체 중에선 SKT와 LGU+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동전화서비스 매출액

증가에 따른 영업이익 증가 폭이 상대적으로 큰 편이기 때문이다. SKT의 경우 이동전화매

출액 비중이 통신 3사 중 가장 높고 LGU+의 경우엔 영업이익 규모가 상대적으로 적은 관

계로 매출액 증감에 따른 영업이익 변동 폭이 상대적으로 크다. 따라서 이동전화 매출액 증

가 시엔 SKT와 LGU+의 이익 증가 폭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난다는 장점이 있다.

그림 24. 통신 3사 이동전화매출액 비중 비교(2016년 기준) 그림 25. 이동전화매출액 10% 증가에 따른 영업이익 증가율 비교

0

20

40

60

80

SKT KT LGU+

(%)

0

20

40

60

80

SKT KT LGU+

(%)영업이익 증가율

자료: 각사, 하나금융투자 자료: 각사, 하나금융투자

통신서비스업체 중에선 장기적으로

5G 수혜주로 SKT와 LGU+를 추천

네트워크 장비 업체 중에서는 특히 안테나/스몰셀/백홀/중계기/기지국 TR 부품업체에 관심

을 가질 것을 권한다. 단순한 트래픽 증가에 따른 수혜가 아닌 5G로의 진화에 따른 직접적

인 수혜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먼저 기지국 장비 업체 중에선 KMW에 관심을 높일 필요가 있다. 5G는 고주파수대역 사용

으로 인해 Massive MIMO가 적용될 가능성이 높아 안테나/필터 시장 급성장이 예상되는 데

다가 KMW의 경우엔 5G 투자가 집중될 한국/미국/일본/중국에 모두 매출처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LED 사업부문 실적 개선 양상이 본격화되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이다.

스몰셀 업체 역시 5G 시대에선 놓치지 말아야 될 유망주이다. LTE에서는 소량 구매에 그쳤

지만 5G에서는 통신업체들의 스몰셀 채택이 큰 폭 증가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특히 최

근 기지국 셀반경 축소로 아웃도어 스몰셀의 활용 범위가 넓어질 수 있다는 점은 흥미로운

이슈거리이다. LTE 시절 국내 상장사 중 유일하게 KT에 매출을 일으킨 경험을 갖고 있는

이노와이어리스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모바일백홀 업체 중에서는 다산네트웍스를 추천한다. 5G 트래픽 증가로 백홀 교체가 본격화

될 것으로 보이며 5G 핵심인 초저지연 기술을 시현하기 위해서는 초저지연 스위치 적용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유선장비 업체이지만 무선장비 업체 못지않은 수혜가 예상된다.

Page 21: CONTENTS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dustry/1514946551803.pdf · 연결 관점에서 4G와 5G의 차이점 [ 인간중심의네트워크시대] [ 사람과사물의초연결시대]

통신서비스 Analyst 김홍식 02-3771-7505

20

네트워크장비 업체 중에선 KMW,

이노와이어리스, 다산네트웍스,

쏠리드, RFHIC를 추천

중계기 업체인 쏠리드 역시 5G 수혜주로서 관심을 높일 필요가 있다. 팬택이라는 투자의 걸

림돌이 제거되었고 현재와 같은 비수기에도 미국, 일본에서의 수출 성과를 바탕으로 별도 기

준으로는 여전히 우수한 수익성을 자랑하고 있기 때문이다. 스몰셀과 본격적인 경쟁 관계에

직면하게 되겠지만 5G 시장에서도 여전히 중계기 시장은 인빌딩 투자의 한 축을 담당할 전

망이며 심각한 업계 구조조정으로 사실상 국내에선 쏠리드 외 2~3개 정도의 중계기 업체만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쏠리드에 5G 인빌딩 수혜가 집중될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핵심 부품업체에선 TR업체인 RFHIC를 추천한다. 단기 공급 물량 증가가 쉽지

않은 관계로 중국(차이나모바일/차이나텔레콤) 기지국 수요 증가 시 공급 물량 부족 현상이

발생될 소지가 크며 그 경우 Multiple 확장이 크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고주파

수에서 강점이 있는 GAN 트랜지스터 부문에서 높은 제품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는 점도

5G 조기 활성화와 더불어 주가 상승 기대감을 높여줄 것으로 판단된다.

표 7. 5G 수혜 종목 점검

구분 수혜 업체(국내 상장 업체)

통신서비스 SKT, KT, LGU+

무선장비

기지국 장비 KMW, 에이스테크

인빌딩 중계기 쏠리드

계측기(시험장비) 이노와이어리스

스몰셀 이노와이어리스

유선장비 모바일백홀 다산네트웍스, 유비쿼스

백본 코위버, 쏠리드

기지국/중계기 부품 TR RFHIC

자료: 하나금융투자

그림 26. 하나금융투자가 선정한 5G 최대 수혜주

통신서비스 – SKT/LGU+

안테나 – KMW

스몰셀 – 이노와이어리스

모바일 백홀 – 다산네트웍스

인빌딩 중계기 – 쏠리드

기지국 핵심 부품 - RFHIC

자료: 하나금융투자

Page 22: CONTENTS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dustry/1514946551803.pdf · 연결 관점에서 4G와 5G의 차이점 [ 인간중심의네트워크시대] [ 사람과사물의초연결시대]

통신서비스 Analyst 김홍식 02-3771-7505

21

투자의견 변동 내역 및 목표주가 괴리율

SK텔레콤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16.1 16.5 16.9 17.1 17.5 17.9 18.1

SK텔레콤 수정TP(원)

날짜 투자의견 목표주가 괴리율

평균 최고/최저

17.7.3 BUY 320,000

16.10.28 BUY 280,000 -15.47% -5.00%

16.4.28 BUY 260,000 -15.79% -10.77%

16.1.5 BUY 320,000 -34.20% -27.03%

15.4.27 BUY 340,000 -27.10% -13.68%

KT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35,000

40,000

45,000

16.1 16.5 16.9 17.1 17.5 17.9 18.1

KT 수정TP(원)

날짜 투자의견 목표주가 괴리율

평균 최고/최저

17.1.6 1 년 경과

16.1.5 BUY 40,000 -23.97% -16.88%

LG유플러스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16.1 16.5 16.9 17.1 17.5 17.9 18.1

LG유플러스 수정TP(원)

날짜 투자의견 목표주가 괴리율

평균 최고/최저

17.6.15 BUY 20,000

17.3.20 BUY 18,000 -17.97% -6.67%

16.11.1 BUY 15,000 -18.75% -1.67%

16.1.5 BUY 14,000 -22.34% -13.21%

Page 23: CONTENTS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dustry/1514946551803.pdf · 연결 관점에서 4G와 5G의 차이점 [ 인간중심의네트워크시대] [ 사람과사물의초연결시대]

통신서비스 Analyst 김홍식 02-3771-7505

22

쏠리드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7,000

8,000

16.1 16.5 16.9 17.1 17.5 17.9 18.1

쏠리드 수정TP(원)

날짜 투자의견 목표주가 괴리율

평균 최고/최저

17.12.15 BUY 7,500

17.8.20 1 년 경과 -66.41% -45.66%

16.8.20 1 년 경과 -66.31% -48.53%

15.8.19 BUY 8,024 -40.52% -26.11%

17.12.15 BUY 7,500

다산네트웍스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6.1 16.5 16.9 17.1 17.5 17.9 18.1

다산네트웍스 수정TP(원)

날짜 투자의견 목표주가 괴리율

평균 최고/최저

16.8.18 BUY 15,000

16.1.13 BUY 12,000 -42.56% -34.25%

케이엠더블유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35,000

40,000

16.1 16.5 16.9 17.1 17.5 17.9 18.1

케이엠더블유 수정TP(원)

날짜 투자의견 목표주가 괴리율

평균 최고/최저

18.1.3 BUY 35,000

17.9.27 BUY 20,000 -8.05% 31.50%

17.4.11 BUY 17,000 -14.54% 5.88%

Page 24: CONTENTS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dustry/1514946551803.pdf · 연결 관점에서 4G와 5G의 차이점 [ 인간중심의네트워크시대] [ 사람과사물의초연결시대]

통신서비스 Analyst 김홍식 02-3771-7505

23

이노와이어리스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16.1 16.5 16.9 17.1 17.5 17.9 18.1

이노와이어리스 수정TP(원)

날짜 투자의견 목표주가 괴리율

평균 최고/최저

17.12.6 BUY 25,000

17.6.9 1 년 경과 -16.13% 12.67%

16.6.8 BUY 15,000 -32.04% -17.67%

에이스테크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7,000

8,000

16.1 16.5 16.9 17.1 17.5 17.9 18.1

에이스테크 수정TP(원)

날짜 투자의견 목표주가 괴리율

평균 최고/최저

17.6.12 BUY 7,000

알에프에이치아이씨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8,000

20,000

16.1 16.5 16.9 17.1 17.5 17.9 18.1

알에프에이치아이씨 수정TP(원)

날짜 투자의견 목표주가 괴리율

평균 최고/최저

17.11.22 BUY 3,200

(액면병합으로 조정예정)

코위버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6.1 16.5 16.9 17.1 17.5 17.9 18.1

코위버 수정TP(원)

날짜 투자의견 목표주가 괴리율

평균 최고/최저

17.12.4 BUY 11,000

Page 25: CONTENTS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dustry/1514946551803.pdf · 연결 관점에서 4G와 5G의 차이점 [ 인간중심의네트워크시대] [ 사람과사물의초연결시대]

통신서비스 Analyst 김홍식 02-3771-7505

24

투자등급 관련사항 및 투자의견 비율공시

투자의견의 유효기간은 추천일 이후 12개월을 기준으로 적용

기업의 분류

BUY(매수)_목표주가가 현주가 대비 15% 이상 상승 여력 Neutral(중립)_목표주가가 현주가 대비 -15%~15% 등락 Reduce(매도)_목표주가가 현주가 대비 -15% 이상 하락 가능

산업의 분류

Overweight(비중확대)_업종지수가 현재지수 대비 15% 이상 상승 여력 Neutral(중립)_업종지수가 현재지수 대비 -15%~15% 등락 Underweight(비중축소)_업종지수가 현재지수 대비 -15% 이상 하락 가능

투자등급 BUY(매수) Neutral(중립) Reduce(매도) 합계

금융투자상품의 비율 91.7% 7.6% 0.7% 100.0%

* 기준일: 2018년 1월 1일

Compliance Notice

본 자료를 작성한 애널리스트(김홍식)는 자료의 작성과 관련하여 외부의 압력이나 부당한 간섭을 받지 않았으며, 본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여 신의성실 하게 작성하였습니다

본 자료는 기관투자가 등 제 3자에게 사전 제공한 사실이 없습니다. 당사는 2018년 1월 3일 현재 해당회사의 지분을 1%이상 보유 하고 있지 않습니다

본 자료를 작성한 애널리스트(김홍식)는 2018년 1월 3일 현재 해당 회사의 유가증권을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본 조사자료는 고객의 투자에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무단 복제 및 배포 될 수 없습니다. 또한 본 자료에 수록된 내용은 당사가 신뢰할 만한 자료 및 정보로 얻어진 것이나,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투자자 자신의 판단과 책임하에 최종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고객의 주식투자의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