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 정치 경제 요인이 기업의 환경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the … · 특히,...

24
- 179 - 29) 외부 정치-경제 요인이 기업의 환경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xternal political-economic forces on firms' environmental management activities 윤 기 관** 성 봉 석*** < 목 차 >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설정 Ⅲ. 변수측정 및 자료수집 Ⅳ. 실증분석 및 결과해석 Ⅴ. 결론 및 시사점 Ⅰ. 오늘날 지구의 환경문제는 선택의 문제를 넘어섰다. , 경제성장과 환경보호의 조화 는 반드시 달성해야 하는 과제이다. 실제, 세계 각국은 자국의 환경 및 국민건강 등을 보 호하기 위해 제품, 기술 및 서비스 등의 국가간 이동시 환경친화성이 가미된 대상에 더 호의적인 대우를 해 주는 대외정책을 수행하고 있다. 이는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 능한 개발의 원칙 자체가 예외 없이 모든 경제경영활동에 적용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향후 기업이 지속가능한 경쟁우위의 확보를 위해서는 기업 성과와 환경보호 간 조화를 이루는 방향으로 경영활동이 지향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기업은 환경관 련 요인을 정확히 파악 또는 인지하고, 그에 대한 적절하고도 적극적인 환경관리활동을 수행해야만 한다. 환경규제에 대한 부합일변도의 사고로 대응하는 경우 기업의 성과와 환경관리활동 간 * 본 연구는 2006년도 산학협동재단의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음(관리번호: 2006-0384). 당초 논문 제목은 우리 나라 기업의 환경친화적 기업육성 전략이었으나 연구수행 과정에서 상기와 같 이 더 나은 제목으로 변경되었고, 연구내용은 변함이 없음. ** 충남대학교 경상대학 경제무역학부 교수, 2단계BK21 대덕R&D특구 복합무역전문인력사업단 단장(1저자, [email protected])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선임연구원(공동저자, [email protected]) 국제통상연구 제13권 제120085pp.179~202

Upload: others

Post on 08-Oct-2019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179 -

29)외부 정치-경제 요인이 기업의 환경 리활동에

미치는 향*

The Effects of external political-economic forces on

firms' environmental management activities

윤 기 **․성 석***

< 목 차 >

Ⅰ. 서 론

Ⅱ. 이론 배경 가설설정

Ⅲ. 변수측정 자료수집

Ⅳ. 실증분석 결과해석

Ⅴ. 결론 시사

Ⅰ. 서 론

오늘날 지구의 환경문제는 선택의 문제를 넘어섰다. 즉, 경제성장과 환경보호의 조화

는 반드시 달성해야 하는 과제이다. 실제, 세계 각국은 자국의 환경 국민건강 등을 보

호하기 해 제품, 기술 서비스 등의 국가간 이동시 환경친화성이 가미된 상에 더

호의 인 우를 해 주는 외정책을 수행하고 있다. 이는 ‘환경 으로 건 하고 지속가

능한 개발’의 원칙 자체가 외 없이 모든 경제․경 활동에 용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향후 기업이 ‘지속가능한 경쟁우 ’의 확보를 해서는 기업 성과와 환경보호 간

조화를 이루는 방향으로 경 활동이 지향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기업은 환경

련 요인을 정확히 악 는 인지하고, 그에 한 하고도 극 인 환경 리활동을

수행해야만 한다.

환경규제에 한 부합일변도의 사고로 응하는 경우 기업의 성과와 환경 리활동 간

* 본 연구는 2006년도 산학 동재단의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음( 리번호: 2006-0384). 당 논문

제목은 “우리 나라 기업의 환경친화 기업육성 략”이었으나 연구수행 과정에서 상기와 같

이 더 나은 제목으로 변경되었고, 연구내용은 변함이 없음.

** 충남 학교 경상 학 경제무역학부 교수, 2단계BK21 덕R&D특구 복합무역 문인력사업단

단장(제1 자, [email protected])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선임연구원(공동 자, [email protected])

국제통상연구 제13권 제1호

2008년 5월 pp.179~202

국제통상연구 제 13 권 제 1 호

- 180 -

에는 상충 계(trade-off)가 존재한다. 이는 기업의 략 행 를 가정하지 않는 정태

상황에서 양자 간 계를 악했기 때문이다. 그 지만, 동태 이고 불확실한 환경 속에

서 경 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기업은 다양한 정치․경제 환경압력에 략 으로 응

한다. 동태 이고 불확실한 환경에서 기업은 경쟁자, 소비자 규제 등에 한 각종 도

에 해 끊임없이 신 인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다. 기업에 한 자원 거

(resource-based view of the firm)에 의하면 이러한 자발 이고도 극 인 응, 즉 조

직 학습은 기업에 특유 조직능력을 창출시킴으로써 환경 략의 수행을 통한 성과제고

의 원천을 제공한다. 그 기 때문에, 기업의 성과와 환경 리활동 간에는 상생 계

(win-win)가 형성될 수 있다. 이미 세계 유수 기업( 를 들어, 다우 미컬, P&G, 듀폰

등)은 신 인 환경 리활동의 수행을 통해 기업 활동으로 인한 환경 부담을 최소화

시킴과 동시에 성과도 제고시킴으로써 ‘환경 으로 건 하고 지속가능한 개발’의 달성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이는 성장과 환경보호 간 상생 계를 보여주고 있는 표 인

일 것이다. 그런데 환경친화기업의 육성을 해서는 환경 리활동을 통해 성과를 제고

시킬 수 있는 기업의 행 에 향을 미치는 요인에 한 체계 이고도 실증 인 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연구로부터 정책 의미를 찾기는 어렵다.

기존의 연구가 향요인에 한 연구, 환경 략에 한 연구, 환경 략과 성과 간 계에

한 연구로 나뉘어 개별 으로 수행되어 온데 가장 큰 이유가 있다. 그 기 때문에, 기

업의 환경 리활동의 원인과 결과에 한 이론 ․실증 규명이 미흡하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연구는 개별 으로 수행되어 온 기존 연구를 통합 에서

고찰하고, 외부 정치․경제 요인-환경 리활동-성과 간 계를 실증분석하고 환경친화

기업의 육성을 한 효과 인 정책수단을 모색하고자 한다. 특히,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

을 수행함으로써 련 기업으로 하여 환경 리활동의 수행을 유도하여 성과를 제고시

킬 수 있는 향요인의 요성과 우선순 를 악한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Ⅱ장에서는 기존 문헌의 고찰을 통해 환경문제와 련된 외부 정치-경제 요인과 기업

의 환경 리활동 성과 간 계에 한 가설을 설정하고, 제Ⅲ장에서는 변수측정

자료수집 방법을 설명하고, 제Ⅳ장에서는 실증분석을 수행하고 결과를 해석한다. 제Ⅴ장

에서는 결론 시사 을 맺는다.

Ⅱ. 이론 배경 가설설정

1. 외부 정치 요인과 환경 리활동

제도 환경(institutional environment)에서 생되는 외부 정치 요인은 기업에 사회

법성 확보를 요구하는 외부 이해 계자로부터의 압력이다. 이해 계자의 요구를 결

정하는 필수 인 특징 하나로 간주되는 법성(Mitchell, Agle and Wood, 1997)은 사

외부 정치-경제 요인이 기업의 환경 리활동에 미치는 향

- 181 -

회 으로 구조화된 규범 가치 체계 내에서 특정 실체( , 기업)의 행 가 바람직하거

나 하다고 간주되는 일반화된 인식이다(Suchman, 1997). 즉, 제도 환경은 하

거나 법한 는 사회 으로 수용이 가능한 것으로 간주되는 조직 활동을 명기하고 있다.

그러므로 기업의 특정 활동과 사회 기 간 차이는 법성 상실을 통한 생존을 한다

(Sethi, 1979). 이해 계자이론에 의하면(Freeman, 1984), 기업은 기업에 의해 향을 받

거나 는 기업에게 향을 미치는 가능한 모든 이해 계자의 목 과 심에 반응해야 한

다. 환경문제와 련하여 이해 계자이론은 조직이 환경 규범과 신념에 따라 사 차

원에서 략조정을 해 환경 리활동을 채택하는 것을 가정한다(Céspedes-Lorente, de

Burgos-jiménez and Álvarez-Gil, 2003). 그 지만, 실제 기업은 략 으로 요하다고

고려하는 이해 계자의 심과 목 에만 반응한다. 기업의 환경 리활동을 제도 이론

에서 분석한 Delmas(2002), Delmas and Toffel(2004), Hoffman(2001), Jennings and

Zandbergen(1995), Marshall, Cordano and Silverman(2005)에 따르면, 기업의 환경 리

활동과 련된 주요 외부 정치 는 제도 행 자(political or institutional actors)는 정

부, 소비자, 환경단체, 산업 회이다.

정부는 강제 압력(coersive pressure)을 행사하는 가장 표 인 외부 정치 행 자이

다. 정부는 환경보호를 한 기 수 을 설정하고 이의 수를 기업에 강제한다. 환

경규제는 부분의 실증분석에서 기업의 환경 리활동에 한 가장 요한 요인으로 간

주된다(Pablo del Río González, 2005). 환경규제는 기업의 신유인과 환경지향에 한

압력으로 작용하여 결과 으로 환경 리활동을 통해 기업의 성과를 제고시키는데 있어

매제 역할을 한다(Porter and Van der Linde, 1995). 높은 수 의 환경규제는 기업의

환경 리활동에 한 압력을 부여함으로써 기업 내에서 자원 비효율 으로 이용되는 분

야와 신이 가능한 분야에 한 이해와 경각심을 일깨워 극 인 환경 리활동을 유도

한다는 것이다. 환경규제에 한 이러한 극 응은 제품의 가치 등을 향상시키는

신을 발시키고, 그러한 신을 통해 기업은 원자재에서부터 에 지, 인력에 이르기까

지 각종 투입요소를 보다 효율 으로 이용함으로써 환경개선에 따른 비용의 상쇄가 가능

하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환경규제가 지속 으로 강화되는 상황에서 기업은 성과제고를

해 정부의 규제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자체 환경수 을 설정하고 더 극 인 환경

친화활동을 수행할 것이다(Shrivastava, 1995). Delmas(2002), Fineman and

Clarke(1996), Henriques and Sadorsky(1996), Majumdar and Marcus(2001), Marshall,

Codano and Silverman(2005), Oliver(1997), Rugman and Verbeke(1998)는 환경규제가

기업의 환경 리활동에 정(+)의 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악함으로써 그러한 견해

를 뒷받침하고 있다. 이러한 내용에 기 하여 다음의 가설을 설정한다.

H1: 정부의 환경규제강도가 높을수록 기업은 환경 리활동을 극 으로 수행할 것이다.

국제통상연구 제 13 권 제 1 호

- 182 -

소비자의 가치와 요구는 기업의 행 에 요한 의미를 다. 환경문제와 련하여서도

소비자의 심은 기업의 환경 리활동에 요한 의미를 주고 있다(Day and Nedungadi,

1994; Marshall et al., 2005). 부분의 소비자는 제품의 환경 안 성 친화성을 고려한

다. 이는 일반 으로 환경친화 인 제품에 한 구매패턴으로 나타난다(Lampe, Gregory

and Gazda, 1995). 소비자의 환경민감성은 기업으로 하여 환경 리활동을 수행하도록

고무시키는 압력으로 정부규제에 한 보완역할을 한다(Baylis, Connell and Flynn,

1998). 기업으로 하여 환경 리활동을 수행하도록 유도하는 것은 기업 제품에 한

환경친화성을 가치 있게 여기는 소비자의 환경친화성으로부터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

다(Pablo del Río González, 2005). 간재를 매하는 기업보다 최종재를 매하는 기업

이 더 포 인 환경 리체제를 채택하고 있음을 밝힌 Khanna and Anton(2002)의 결과

는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결국, 소비자의 환경친화성 요구는 기업으로 하여

소비자의 요구 기 를 충족시켜야만 되는 거 을 제공함으로써 기업의 더 극 인

환경 리활동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내용에 기 하여 다음의 가설을 설정한다.

H2: 소비자의 환경민감성이 높을수록 기업은 환경 리활동을 극 으로 수행할 것이다.

환경단체 역시 기업의 환경 리활동을 유도하는 요한 원천이다. NGOs는 다양한 방

법을 통해 기업의 환경 리활동을 유도한다. 환경문제는 NGOs의 주요 심사 하나이

다. 특정 사안에 한 목표를 추구하는 실체로서 NGOs(Waygood and Wehrmeyer,

2003)는 기업의 환경 리활동에 해 극 인 감시를 한다. 이러한 감시활동은 사회 각

층의 범 한 호응을 받고 있어 환경과 련된 사회 책임을 다하지 않는 기업은 사회

지탄을 받을 수 있다. 그 기 때문에, NGOs의 압력 역시 기업의 환경 리활동을 유도

하는 요한 역할을 한다(Baron, 2003; Delmas and Toffel, 2004; Henriques and

Sadorsky, 1999; Hunt and Auster, 1990; Rondinelli and Vastag, 1996; Roome, 1992;

Pablo del Río González, 2005). 최근 들어 환경단체와 기업 간 기업의 환경 책임을 시

장목표에 통합하는 효과 인 략을 공동으로 모색하기 해 력 계를 맺는 경우도 있

다. 그 지만, 부분의 환경단체는 기업과 환경단체 간 제휴가 기업경 활동에 한 환

경단체의 감시를 악화시킨다는 이유로 환경감시자로서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NGOs

의 감시활동은 강한 권력과 법성을 확보(Doh and Teegen, 2002)함으로써 사회 각층의

범한 호응을 얻고 있다. 그 기 때문에, NGOs의 기업경 활동에 한 감시는 기업으

로 하여 환경친화성을 제고하도록 하는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내용에 기

하여 다음의 가설을 설정한다.

H3: 환경단체의 감시정도가 높을수록 기업은 환경 리활동을 극 으로 수행할 것이다.

외부 정치-경제 요인이 기업의 환경 리활동에 미치는 향

- 183 -

많은 산업 회는 환경 련 규제 동향에 한 정보를 수집하여 환경친화 인 경 활

동의 수행을 한 규정을 표 화하여 지침 헌장을 마련하고 있다. 게다가 ISO 14000과

같이 세계 으로 인정된 환경표 의 이행을 지지하고 있다. 이를 통해 산업 회는 공식

는 비공식 으로 그러한 규정 조건의 채택을 요구 는 권고함으로써 기업에게 명시

인 규범 압력(normative pressure)을 부과한다(Howard, Nash and Ehrenfeld, 1999).

이러한 산업 회의 권고 요구는 환경 으로 책임 있는 경 활동에 한 기업의 가치

신념에 직 인 향을 미침으로써 더 극 인 환경 리활동을 유도한다(Delmas

and Toffel, 2004; Sharfman, Ellington, and Meo, 1997; Pablo del Río González, 2005).

환경 리시스템 인증정도에 있어서 미국, 국 독일 기업 간 차이를 분석하고, 그 차이

가 지역 상공회의소, 공 자 규제당국에 더하여 산업 회로부터의 권고압력에 강하게

향을 받은 결과라는 것을 밝히고 있는 Kollman and Prakash(2002)의 연구는 산업 회

가 기업으로 하여 더 극 인 환경 리활동을 수행하도록 유도한다는 견해를 뒷받침

하고 있다. 이러한 내용에 기 하여 다음의 가설을 설정한다.

H4: 산업 회의 권고정도가 높을수록 기업은 환경 리활동을 극 으로 수행할 것이다.

2. 외부 경제 요인과 환경 리활동

과업환경(task environment)에서 생되는 외부 경제 요인은 기업의 경제 효율성을

제고시키는 환경압력, 즉 경제 압력을 포함한다. 조직에 한 정치-경제 근법에 기

할 때, 기업의 환경 리활동을 통한 경제 이익추구행 는 부분 외부 경제 환경을 구

성하는 산업구조 시장특성에 기인한다. 이들은 산업 내 환경 련 경쟁패턴을 결정짓

고, 기업에게 시장기회와 을 제공한다. 외부 경제요인은 동일 산업 내에서 차별화된

환경 략의 수행을 통해 경쟁우 를 확보하기 한 기업 간 경쟁의 강도와 시장 환경이

제공하는 환경 련 시장기회정도 는 시장매력도로 구성된다.

산업 내 경쟁이 높은 경우, 기업은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한 다양한 략 응

방안을 모색해야만 한다(Day and Nedungadi, 1994). 를 들어, 산업 내 경쟁강도가 높

은 경우 환경 리실제의 확산율이 높을 것이다. 동일 산업 내 경쟁기업의 환경경 실천

에 의해 기업들이 성장 생존에 한 압력을 받으며, 이는 곧 모방압력을 통한 경쟁압

력으로 작용하기(Sharfman et al., 1997) 때문이다. 게다가 경쟁이 높은 산업에서는 부품

의 재생, 그린마 환경 리 등과 같은 환경경 로그램이 시장가치가 있다고 생

각한다. 이 경우 동일 산업 내 다른 기업의 활동을 단순히 모방하거나 채택한다(Delmas

and Toffel, 2004). 모방 그 자체는 기업으로 하여 비용부담 없이 생존하는데 필요한

해법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모방 후 각 기업은 경쟁기업으로부터 자사를 차별하기 해

극 인 환경 리활동을 수행한다. 결국 산업 내 환경 련 경쟁강도가 높은 경우 각 기

국제통상연구 제 13 권 제 1 호

- 184 -

업은 환경친화제품의 개발 등을 포함하여 더 극 인 환경 리활동을 수행하려 할 것이

다. 이러한 내용에 기 하여 다음의 가설을 설정한다.

H5: 산업 내 환경 련 경쟁강도가 높을수록 기업은 환경 리활동을 극 으로 수행

할 것이다.

시장매력도는 환경이 제공하는 기회에 해 의사결정자들이 어떻게 인식하는가에 향

을 미친다. 일반 으로 제품시장의 매력도는 시장규모와 시장성장률의 함수로써 성장률이

높은 시장에서 기업들은 더욱 고객지향 인 활동을 통해 시장기회를 보다 극 으로 탐

색한다(Day and Nedungadi, 1994). 그 기 때문에, 성장률이 높은 시장에서는 새로운 경

쟁자의 진입에도 불구하고 높은 수익의 창출이 가능하다(Eliashberg and Chatterjee,

1985). 제품의 시장매력도는 련 제품의 기 시장규모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그 기

때문에, 기업이 특정한 사업에 투자하거나 시장에 진입하려는 경우 시장의 잠재수익, 즉

시장매력도는 고려해야 할 가장 요한 변수이다. 따라서 환경 련 시장의 성장률이 높

은 경우, 기업은 선 우 를 획득하기 해 환경 리활동에 자원과 노력을 기꺼이 투자

(Bonifant, Arnold, and Long, 1995)하거나 극 인 환경 리활동을 수행한다(Berchicci

and Bodewes, 2005; Dresden, 1999; Marshall et al., 2005; Menon and Menon, 1997;

Steger, 1993). 이러한 내용에 기 하여 다음의 가설을 설정한다.

H6: 환경 련 시장기회정도가 높을수록 기업은 환경 리활동을 극 으로 수행할 것이다.

3. 환경 리활동과 성과

오늘날처럼 동태 이고 불확실한 경 환경에서는 통 인 보다는 환경 리활동

과 성과 간 상생 계의 에서 환경문제를 바라보는 것이 타당하다. 실제, 상생 에

서 양자 간 계를 조명한 부분의 실증연구는 기업의 환경 리활동이 자산이익률

(Sharma, 1995; Russo and Fouts, 1997), 비용 감, 운 는 공정의 개선(Pablo del Río

González, 2005), 품질개선, 조직학습효과, 제품 신, 매출성장률, 시장 유율, 이익마진,

종업원사기, 기업이미지제고, 공 계개선(Sharma and Vredenburg, 1998)에 바람직한

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게다가 자산이익률, 매출액이익률, 자기자본이익률

(Hart and Ahuja, 1996), 수익성과 생산성(Oliver, 1997), 비용 감, 기업이미지, 배상책

임감소, 재무 성과(Shrivastava, 1995), 환경 리활동 비용 감, 선 효과, 미래의 기업

지 개선(Hastings, 1999), 기업이미지제고, 공 계개선, 폐기물감축, 경제 성과

(Maxwell, Rothenbery, Briscoe and Marcus, 1997) 등에도 바람직한 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기업이 극 인 환경 리활동의 수행을 통해 다양한 성

외부 정치-경제 요인이 기업의 환경 리활동에 미치는 향

- 185 -

과를 제고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더 극 인 환경 리활동의 수행

은 성과에 정(+)의 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내용에 기 하여 다음의

가설을 설정한다.

H7: 기업이 환경 리활동을 극 이고 신 으로 수행할수록 성과가 높을 것이다.

Ⅲ. 변수측정 자료수집

1. 변수측정

기업 부분은 이익증가, 매량증가, 비용 감 등의 경제 목표와 시장선 , 기업, 제

품이미지제고 등의 략 목표를 가지고 다양한 요인에 략 으로 반응한다(Cavusgil

and Zou, 1994). 그런데 기업이 환경 리활동을 통해 그러한 목표가 완 히 달성될 수도

있고 일부만 달성될 수도 있다. 본 연구는 성과를 환경 리활동의 수행을 통해 성취된

재무 성과와 략 성과의 정도로 정의한다.

Cavusgil and Zou(1994), Oliver(1997)의 재무 성과와 략 성과의 개념과 기존연

구의 성과측정항목에 기 하여 8가지 주 인 성과측정 문항인 매출액증가, 비용 감,

수익률향상, 략 성과의 측정문항은 기업이미지제고, 품질향상, 시장 유율확 , 시장

선 효과, 고객만족향상을 이용하 다.

(PER1) 매출액이 증가하 다.

(PER2) 비용(폐기물처리비, 원재료비, 에 지비용, 생산비 등)이 감되었다.

(PER3) 수익률이 향상되었다.

(PER4) 기업이미지가 제고되었다.

(PER5)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었다.

(PER6) 시장 유율이 확 되었다.

(PER7) 시장을 선 하게 되었다.

(PER8) 고객의 만족이 향상되었다.

본 연구는 다양한 환경압력에 반응하는 유형으로 기업의 환경 리활동을 정의한다.

Room(1992), Aragón-Correa(1999), Hunt and Auster(1990), Denton(1994), Rondinelli

and Vastag(1996), Henriques and Sadorsky(1999) 등의 연구에 기 하여 환경 리유형

국제통상연구 제 13 권 제 1 호

- 186 -

을 설정한다( 시된 내용 하나를 기업으로 하여 선택하게 하 다. 본 연구는 아래

내용을 순서 데로 소극형, 순응형, 응형, 신형으로 명명하고 사용하 다.).

∙특별한 환경 리를 하지 않는다. 환경 리 활동은 추가 인 비용으로서의 의미만

있고, 특별한 시장기회나 수익에 기여하지 않기 때문에, 우리는 환경 리활동을 하지 않

는다.

∙ 존 환경규제에 부합되는 사후 환경 리활동만 수행한다. 환경 리활동을 통한

특별한 시장기회나 수익성의 향상이 기 되지는 않지만, 경 활동을 해 규제에 순응하

는 것은 필수 인 요건이다. 따라서 우리는 행 환경규제 환경법령을 수하는데 필

요한 최소한의 사후 오염방지(수질, 공해 등)활동을 수행한다.

∙ 존 환경규제에 부응하고, 환경 으로 친화 이라는 인식을 얻기 한 사 인 차

원에서 일부 환경 리활동을 수행한다. 환경 리활동의 기본 목 은 기업 제품에

한 호의 인 인식구축과 기업명성을 얻는데 기여한다. 따라서 우리는 환경과 련된

사 활동을 통해 제품 기업에 한 인식을 확보하기 해 노력한다.

∙환경 리활동은 경쟁력 강화를 한 주요한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에 규제에 부응하

는 것을 넘어 극 이고 략 인 환경 리활동을 수행한다. 환경 리활동은 기업의 경

쟁력을 확보 는 유지하는데 있어 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우리는 극 이고 략

인 환경 리 을 기 로 새로운 환경 으로 친화 인 기술 제품을 개발함으로써

시장기회를 획득할 수 있는 환경 으로 친화 인 신 사 방활동에 을 두고

있다.

DiMaggio and Powell(1983), Sharfman et al(1997)에 따르면, 정부는 기업으로 하여

규제요건에 순응하도록 하는 강제 압력을 부과한다. 정부의 환경규제는 기업에 비용부

담을 다(Fineman and Clake, 1996; Oliver, 1997). 규제압력은 규제당국이 기업의 운

과 활동을 하거나 는 실제 으로 방해하는 범 를 나타낸다(Delmas and Toffel,

2004). 본 연구는 정부압력을 기업활동을 제약하는 범 인 규제환경강도 견지에서 정의

하고, Ashford(1993), Fineman and Clarke(1996), Delmas and Toffel(2004), Kassinis

and Vafeas(2002)에 기 하여 규제의 반 엄격성(RS1), 환경규제의 수를 한 비

용부담가능성 정도(RS2), 환경규제의 수에 따른 수익창출 제약성 정도(RS3) 환경

규제의 수에 따른 경 활동수행의 제약성(RS4), 환경규제의 다양성 정도(RS5, 2002)

를 이용하여 측정하 다.

(RS1) 정부의 환경규제가 반 으로 엄격하다.

(RS2) 정부의 환경규제를 수하기 해서는 많은 비용이 지출된다.

(RS3) 정부의 환경규제가 우리의 수익성 있는 활동을 제약한다.

(RS4) 환경규제요건을 수하지 못하면, 우리의 경 활동에 치명 이다.

외부 정치-경제 요인이 기업의 환경 리활동에 미치는 향

- 187 -

(RS5) 정부는 우리가 속한 산업에 다양한 환경규제를 가하고 있다.

소비자의 환경민감성은 Ottman(1992), Dresden(1999)에 기 하여 소비자가 제품의

환경 친화성과 안 성을 추구하는 성향으로 정의하고, Ottman(1992), Winsemius and

Guntram(1992), Fuchs and Mazmanian(1998), Dresden(1999)에 기 하여 소비자의 환

경 친화성 안 성 속성에 한 요도(CA1), 환경친화제품에 한 가격상승 인정

정도(CA2), 환경친화제품에 한 요구 기 (CA3), 환경친화제품에 한 신뢰도

(CA4)를 이용하 다.

(CA1) 소비자는 제품구매 시 차 환경 친화성과 안 성을 요시하고 있다.

(CA2) 소비자는 그린제품으로 인한 가격상승을 차 인정하고 있다.

(CA3) 소비자는 진정한 그린제품을 바라고 있다.

(CA4) 소비자의 그린제품에 한 신뢰감이 차 높아져간다.

산업 회의 권고정도는 산업 회가 회원기업에게 환경활동을 한 표 는 지침의

수행 채택을 권장하는 정도(Boiral and Sala, 1997; Sharfman et al., 1997)로 정의하

고, Boiral and Sala(1998), Oliver(1997), Sharfman et al.(1997), Howard et al.(1999)에

기 하여 산업 회가 기업으로 하여 환경표 의 이행 채택을 권장하는 정도(TR1),

세계 인 환경표 의 이행을 지지하는 정도(TR2), 권고에 따라 주요 경쟁자들이 환경표

을 채택하고 있는 정도(TR3), 그러한 환경표 을 통해 극 인 환경 리활동을 수행

하고 있는 정도(TR4)로 측정하 다.

(TR1) 산업 회는 환경활동에 한 산업표 의 이행 채택을 극 권장하고 있다.

(TR2) 산업 회는 세계 인 환경표 (ISO 14000 등)의 이행을 지지하고 있다.

(TR3) 우리의 주요 경쟁자들이 환경표 을 채택하고 있다.

(TR4) 우리의 주요 경쟁자들은 환경표 에 따른 극 인 환경 리활동을 하고 있다.

환경단체의 감시정도는 환경단체가 기업의 환경 리활동의 수행여부를 모니터, 즉 감

시하는 정도로 정의하고, Fineman and Clarke(1996), Florida(1996), Stafford and

Hartman(1996), Hartman and Stafford(1998), Henriques and Sadorsky(1999)에 기 하

여 NGOs의 감시활동 강도(NG1), 감시활동빈도(NG2), 감시활동 조직화 정도(NG3), 감

시활동이 사회 호응을 얻는 정도(NG4)를 이용하여 측정하 다.

(NG1) 기업에 한 환경단체의 환경감시활동이 더욱 강화되고 있다.

(NG2) 기업에 한 환경단체의 환경감시활동을 수시로 한다.

(NG3) 기업에 한 환경단체의 환경감시체제가 더욱 조직화되고 있다.

(NG4) 환경단체의 기업에 한 감시활동이 사회 으로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동종 산업 내에서 특정 활동을 한 기업 간 경쟁은 시장기회 획득을 통한 성장과 생

존을 보장받기 해서이다. 동종 산업 내에서의 기업 간 경쟁강도는 주변 기업에 성장

생존을 한 압력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경쟁은 경쟁기업의 활동과 련이 있다(Cui,

Griffith and Cavusgil, 2005). 본 연구는 Cui, Griffith and Cavusgil(2005), Sharfman et

국제통상연구 제 13 권 제 1 호

- 188 -

al.(1997), Delmas and Toffel(2004)에 기 하여 동종 산업 내 경쟁기업의 행 견지에서

환경친화제품개발에 있어서 극성 정도(IC1), 산업 내 환경친화제품수(IC2), 환경 리

활동을 통한 차별화 경쟁정도(IC3), 반 인 환경 련 경쟁정도(IC4), 환경친화제품에

한 경쟁 신규투자 정도(IC5)를 이용하여 측정하 다.

(IC1) 우리가 속한 산업 내에서 기업들은 그린제품의 개발에 극 이다.

(IC2) 최근 산업 내에서 그린제품의 수가 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IC3) 산업 내에서 환경 리활동을 통한 기업차별화 경쟁이 치열하다.

(IC4) 우리가 속한 산업에서는 반 으로 환경과 련한 경쟁이 치열하다.

(IC5) 우리가 속한 산업 내에서 기업들은 그린제품에 한 투자에 극 이다.

환경 련 시장기회는 시장규모와 시장성장률의 함수(Menon and Menon, 1997)로 이

는 더 높은 경제 이익을 보장한다(Day and Dedungadi, 1994). 본 연구는 Berchicci and

Bodewes(2005), Menon and Menon(1997)에 기 하여 환경친화제품의 시장규모, 시장

성장률 수익성의 견지에서 기업이 인지하는 재 환경친화제품시장의 규모(MO1),

환경친화제품시장의 성장정도(MO2), 향후 환경친화제품시장규모의 증가정도(MO3),

향후 환경친화제품을 원하는 소비자의 증가정도(MO4), 향후 환경친화제품의 잠재 수

익정도(MO5), 환경친화제품의 출시를 통해 획득할 수 있는 경쟁 이 정도(MO6)를

이용하여 측정하 다.

(MO1) 재 그린제품의 시장규모는 매우 크다.

(MO2) 그린제품시장이 속하게 성장하고 있다.

(MO3) 향후 그린제품시장의 규모는 속히 증가할 것이다.

(MO4) 그린제품을 원하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다.

(MO5) 그린제품을 출시하면 높은 수익을 획득할 수 있다.

(MO6) 그린제품을 출시하면 기업에 경쟁 이 을 얻을 수 있다.

2. 자료수집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제조 산업을 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연구모형의 검증에 이

용될 자료를 수집하 다. 설문에 포함된 측정항목은 기업으로 하여 직 선택하게 한

환경 리내용을 제외하고는 모두 리커트 5 척도(1= 그 지 않다. 2=매우 그

다.)를 이용하 다. 표본기업은 ‘2006 국기업체총람’에 속한 700개 기업을 상으로 선

정하 다. 설문조사는 2007년 1월 10일부터 1월 30일까지 실시되었다. 선정된 700개의 기

업에 한 설문은 e-mail로 발송되었다. 발송된 설문지 회수된 것은 118부로써 16.8%

의 회수율을 보 다. 회수된 설문 가운데 응답내용이 부실한 8부를 제외한 110부가 최종

으로 분석에 이용되었다.

<표 4-1>에는 표본의 업종별 분포가 제시되어 있다. 표본의 업종별 분포는 기기계

외부 정치-경제 요인이 기업의 환경 리활동에 미치는 향

- 189 -

기변환장치업과 기계 장비업이 각각 11건, 10%씩으로 가장 많은 비 을 차지하

고, 다음으로 상, 음향 통신장비업, 음식료업과 가구 기타(각각 10건, 9.1%씩),

화합물 화학제품업과 조립 속업(각각 8건, 7.3%씩), 기타 운송장비업과 섬유업(각각

7건, 6.4%씩), 의료, 정 , 학기기 시계업과 펄 ․종이업(각각 4건 4%씩) 등의 순

으로 나타났다.

<표 1> 표본의 업종별 분포

구분

기기계

기변환

장치

비 속

1차

조립

기계

장비

상,

음향

통신

장비

의료,

정 ,

학기기

시계

종이

화합물

화학

제품

자동차

트 일러

표본수

(비율)

11

(10.0)

2

(1.8)

3

(2.7)

8

(7.3)

11

(10.0)

10

(9.1)

4

(3.6)

4

(3.6)

8

(7.3)

4

(3.6)

110구분기타

운송장비음식료 섬유

의복

포피

가죽,

가방,

마구류

신발

목재

나무

제품

출 ,

인쇄

기록매체

복제

고무

스틱

재생

재료

가공

가구

기타

표본수

(비율)

7

(6.4)

10

(9.1)

7

(6.4)

2

(1.8)

1

(0.9)

1

(0.9)

2

(1.8)

2

(1.8)

3

(2.7)

10

(9.1)

Ⅳ. 실증분석 결과해석

본 장에서는 제Ⅲ장에서 설정한 가설을 검정한다. 우선 본 연구에서 검정하고자 하는

개념변수의 측정상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토한다. 다음으로 외부 정치-경제 요인군 내 변

수들이 기업의 환경 리활동(4개의 범주변수로 정의)에 미치는 향, 환경 리활동이 성

과에 미치는 향을 검정한다.

1. 변수의 신뢰성 타당성

외부 정치-경제 요인에 한 신뢰성 검정을 해 크론바 알 (cronbach alpha)계수를

사용하 다. 신뢰성이 확보된 모든 외부 정치-경제 요인의 측정변수에 한 타당성을 검

정하 다. 타당성 검정은 요인분석을 이용하 으며, 요인추출방법으로는 주성분 분해법

을 이용하 으며, 요인회 은 각 요인간의 독립성을 유지하고 추가분석에 요인 수를 이

용하기 해 직각회 방식이 용되었다. 외부 정치-경제 요인에 한 신뢰성 타당성

분석 결과는 <표 2>에 제시되어 있다.

국제통상연구 제 13 권 제 1 호

- 190 -

측정항목 공유치 요인 1 요인 2 요인 3 요인 4 요인 5 요인 6

MO4 .824 .830 .216 .002 .017 .067 .289

MO3 .745 .824 .156 -.040 .055 .170 .093

MO2 .726 .777 .262 .096 -.010 .169 .123

MO6 .742 .756 .318 .112 .043 .133 .194

MO5 .699 .748 .175 .097 .051 .148 .273

IC5 .783 .171 .837 .210 .085 .180 .144

IC4 .834 .237 .774 .105 .119 .284 .150

IC3 .761 .323 .769 .176 .078 .122 .117

IC1 .830 .261 .768 .100 .138 .322 .198

IC2 .715 .290 .718 .082 .068 .299 .122

NG1 .797 .054 .092 .860 .153 .148 .019

NG2 .826 .107 .103 .854 .154 .118 .056

NG3 .855 .063 .129 .838 .135 .310 .132

NG4 .772 -.007 .215 .834 .037 -.028 .168

RS2 .710 .098 .023 .090 .830 .048 -.010

RS5 .704 .090 .062 .138 .812 .105 .041

RS4 .622 .012 .211 .080 .745 .116 -.048

RS3 .575 -.189 .041 -.007 .726 -.103 .006

RS1 .620 .129 .032 .154 .724 .233 -.007

TR3 .774 .137 .370 .165 .142 .749 .100

TR4 .788 .108 .427 .217 .132 .714 .140

TR2 .747 .223 .333 .257 .105 .713 .036

TR1 .787 .373 .208 .207 .147 .708 .199

CA2 .684 .064 .245 .154 .050 -.038 .770

CA3 .789 .435 .153 .042 -.069 .103 .748

CA1 .729 .395 .099 .133 .019 .075 .734

CA4 .740 .223 .092 .060 -.070 .376 .729

아이겐 값 10.09 3.54 2.27 1.86 1.27 1.12

설명된 분산 37.3% 13.1% 8.4% 6.8% 4.7% 4.1%

KMO 측도 .829

Barlett의 구성형

검정치1960.21

신뢰성분석(타당성

이 검증된 측정항목)

크론바하 알 ( ).911 .930 .913 .845 .900 .845

<표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외부 정치․경제요인군내 각 변수의 측정항목들이 환경

련 시장기회정도의 측정항목 1개(MO1)을 제외하고는 상데로 독립된 6개(정치 요인

4개, 경제 요인 2개)의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요인 재량 순으로 환경 련 시장기회정도

<표 2> 외부 정치-경제 요인에 한 신뢰성 타당성 분석 결과

외부 정치-경제 요인이 기업의 환경 리활동에 미치는 향

- 191 -

는 MO4, MO3, MO2, MO6, MO5가 재되었고, 산업 내 환경 련 경쟁강도는 IC5, IC4,

IC3, IC1, IC2가 재되었으며, 환경단체의 감시정도는 NG1, NG2, NG3, NG4가 재되

었으며, 정부의 환경규제강도는 RS2, RS5, RS4, RS3, RS1이 재되었고, 산업 회의 권

고정도는 TR3, TR4, TR2, TR1가 재되었다. 마지막으로 소비자의 환경민감성은 CA2,

CA3, CA1, CA4가 재되었다. 6개의 요인 환경 련 시장기회정도가 10.09의 아이겐

값을 보이고, 체분산 37.3%를 차지함으로써 설명력이 가장 높은 요인으로 나타났

다. 다음으로 산업 내 환경 련 경쟁강도, 환경단체의 감시정도, 정부의 환경규제강도, 산

업 회의 권고정도, 소비자의 환경민감성이 각각 3.54, 2.27, 1.86 1.27, 1.12의 아이겐값을

보이고, 체분산 설명력 역시 각각 13.1%, 8.4%, 6.8%, 4.7%, 4.1%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 측정항목의 요인 재량값도 모두 0.5를 상회하고 있고 다른 요인

에 재된 값도 작기 때문에 집 타당성과 별타당성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6개 요

인을 합친 체의 분산설명력도 74.7%로 양호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외부 정치․경제요

인을 표하는 타당성이 인정되었기 때문에, 각 요인은 독립된 요인으로 추후 분석에 이

용할 수 있다.

성과변수에 한 신뢰성 분석에서 각 변수의 측정을 해 개발한 측정문항 모두 측정

상 신뢰성이 지지되었기 때문에 최 개발된 모든 측정항목에 한 타당성 분석을 수행

했다. <표 3>은 성과변수에 한 요인분석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성과변수에 한 요인분

석결과 1개의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6.07의 아이겐값을 보이고 체분산 75.9%를 차

지하고 있다.

<표 3> 성과에 한 신뢰성 타당성 분석 결과

측정항목 공유치 요인 1

PER1 .766 .875

PER2 .600 .775

PER3 .844 .919

PER4 .743 .862

PER5 .791 .890

PER6 .858 .926

PER7 .774 .879

PER8 .695 .834

아이겐 값 6.07

설명된 분산 75.9%

KMO 측도 .920

Barlett의 구성형 검정치 935.38

신뢰성분석(타당성이 검증된 측정항목)

크론바하 알 ( ) .954

국제통상연구 제 13 권 제 1 호

- 192 -

2. 가설검정

본 연구는 설문결과 4개의 범주(소극형, 20개 기업; 순응형, 37개 기업; 응형, 34개

기업; 신형, 13개 기업)로 정의된 기업의 환경 리활동유형에 한 외부 정치-경제 요

인의 향을 분석하는데 있어 다음과 같은 다항로지스틱회귀모델을 이용하 다. 신뢰성

타당성 분석결과로부터 도출된 외부 정치-경제 요인에 한 요인 수(factor score)인

독립변수가 기업의 환경 리활동유형(종속변수)에 미치는 향을 추정하 다. 로짓 모

형의 추정결과는 <표 5>에 제시되어 있다.

log [P( i)

P( J) ]= i0+ i1x 1+ i2x 2+........+ ipx p

분석결과(<표 4> 참조), 모델- 가 53.10(-2 Log Likelihood=234.063)로 상수와 모든

독립변수가 포함된 모델이 1% 수 에서 통계 으로 유의하여 추정모델이 합한 것으

로 나타났다. 한, Cox and Snell- Nagelkerke- 가 각각 0.383, 0.413로서 모형

의 설명력이 양호하 다. 체 모형에서 외부 정치․경제 요인(=독립변수) K의 모든 계

수 가 기업의 환경 리활동유형에 미치는 반 효과의 유의성

에 한 우도비 검정(Likelihood ratio test) 결과, 산업 내 환경 련 경쟁강도, 환경단체의

감시정도, 산업 회의 권고정도가 1% 는 5% 수 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4> 환경 리활동에 한 외부 정치․경제요인의 향분석

우비도

검정

Wald 검정

Wald값Exp

( )Wald값

Exp

( )Wald값

Exp

( )

상수 23.37*** -.034 .003*** 1.204 6.502*** 1.375 8.777***

MO 3.03*** .560 1.475*** 1.751 .301 .792*** 1.352 .480 2.561*** 1.616

IC 20.65*** 1.751 10.560*** 5.762 1.763 13.219*** 5.830 1.081 6.393*** 2.947

NG 7.99*** .757 2.938*** 2.132 .636 2.831*** 1.889 .887 6.844*** 2.428

RS 0.63*** .084 .040*** 1.087 .245 .507*** 1.277 .131 .179*** 1.140

TR 26.39*** 1.946 13.156*** 6.997 1.638 13.180*** 5.144 .682 3.027*** 1.979

CA 4.98*** .935 4.304*** 2.546 .580 2.840*** 1.785 .441 1.934*** 1.555

주) *: p<0.10, **: p<0.05, ***: p<0.01

로짓 내 특정 독립변수의 효과(회귀계수)는 다른 변수가 일정한 경우 특정 독립변수

가 1단 변화함에 따른 log odds의 변화로써 해석된다. 를 들어, ‘순응형/소극형’ 로짓

에서 산업 내 환경 련 경쟁강도의 회귀계수 (1.081)는 다른 독립변수가 일정한 경우

산업 내 환경 련 경쟁강도의 1단 증가에 따라 ‘소극형’ 집단에 비해 ‘순응형’ 집단에

속할 log odds가 1.081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외부 정치-경제 요인이 기업의 환경 리활동에 미치는 향

- 193 -

그러나 에서 는

에 향을 미친다. 이는 로 표 된다. 그

기 때문에, 추정치를 해석함에 있어 log odds보다는 odds를 고려하는 것이 더 용

이하다. 를 들어, 산업 내 환경 련 경쟁강도의 경우 Exp( )-2.947(= )-가

의 모수추정치가 된다. 이는 산업 내 환경 련 경쟁강도가 1단

변화함에 따라 ‘순응형’ 집단에 속할 odds가 2.947(= )배 증가한다는 것을 의

미한다. 다른 독립변수 역시 동일한 해석이 용된다. 통계 유의 수 1%, 5%

10% 수 에서 기업의 환경 리활동유형에 한 외부 정치-경제 요인의 향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업 내 환경 련 경쟁강도가 1단 변화함에 따라 ‘소극형’ 집단에 있는 기업이 ‘순응

형’ 집단에 속할 odds가 2.947(= )배, ‘ 응형’ 집단에 속할 odds가 5.830(= )배, ‘ 신

형’ 집단에 속할 odds가 5.762(= )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경단체의 감시정

도가 1단 변화함에 따라 ‘소극형’ 집단에 있는 기업이 ‘순응형’ 집단에 속할 odds가 2.428(=

)배, ‘ 응형’ 집단에 속할 odds가 1.889(= )배, ‘ 신형’ 집단에 속할 odds가 2.132(=

)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산업 회의 권고정도가 1단 변화함에 따라 ‘소극

형’ 집단에 있는 기업이 ‘순응형’ 집단에 속할 odds가 1.979(= )배, ‘ 응형’ 집단에 속할

odds가 5.144(= )배, ‘ 신형’ 집단에 속할 odds가 6.997(= )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넷째, 소비자의 환경민감성이 1단 변화함에 따라 ‘소극형’ 집단에 있는 기업이 ‘ 응형’

집단에 속할 odds가 1.785(= )배, ‘ 신형’ 집단에 속할 odds가 2.546(= )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환경 리활동유형과 성과

기업의 극 이고 신 인 환경 리활동(유형으로 정의된)이 성과에 향을 미치는

지의 여부를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과 던칸의 다범 검정(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통해 검정하 다. 이러한 차를 거쳐 도출된 결과는 <표 5>와 같다.

국제통상연구 제 13 권 제 1 호

- 194 -

<표 5> 환경 리활동유형과 성과 간 계분석

환경 리활동

유형

성과

평균

략유형간 성과차이 분석

(Duncan Test)F값 p값

1집단과

2집단

1집단과

3집단

1집단과

4집단

2집단과

3집단

2집단과

4집단

3집단과

4집단

소극형

(1집단, n=23)2.590

* * * * * n.s. 13.730 0.000

순응형

(2집단, n=39)3.109

응형

(3집단, n=35)3.530

신형

(4집단, n=13)3.692

주) *(집단 간 차이가 있음).

<표 5>에 제시된 바와 같이 ‘ 신형’ 집단이 가장 높은 성과를 나타내고 있고, 다음으로

‘ 응형’ 집단, ‘순응형’ 집단, ‘소극형’ 집단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이 극 인 환

경 리활동을 수행함으로써 성과를 제고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체 으로 F값이

13.730, p값이 0.000으로 나타나 환경 리활동유형에 따라 집단 간 성과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제까지 수행된 가설검정 결과를 요약하면 <표 6>과 같다.

<표 6> 가설검정 결과의 요약

가설

로짓에서의 통계 유의성 여부채택

여부

H1 정부의 환경규제강도 → 환경 리활동 없음 없음 없음 기각

H2 소비자의 환경민감성 → 환경 리활동 없음 있음 있음 부분채택

H3 환경단체의 감시정도 → 환경 리활동 있음 있음 있음 채택

H4 산업 회의 권고정도 → 환경 리활동 있음 있음 있음 채택

H5 산업 내 환경 련 경쟁강도 → 환경 리활동 있음 있음 있음 채택

H6 환경시장기회정도 → 환경 리활동 없음 없음 없음 기각

H7 극 환경 리활동 → 성과 있음 채택

외부 정치-경제 요인이 기업의 환경 리활동에 미치는 향

- 195 -

Ⅴ. 결론 시사

본 연구는 한국의 환경친화기업육성을 한 효과 인 정책수단을 제공할 목 으로 제

조기업을 상으로 환경 리활동에 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환경 리활동과 성과 간

계를 실증 으로 분석했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표 7> 참조)가 제공하는 정책 시사

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의 환경규제강도와 환경 련 시장기회정도는 ‘소극형’ 략을 취하는 기업

을 ‘순응형’, ‘ 응형’, 는 ‘ 신형’ 략을 수행하도록 유도하는데 기여하지 못하고 있

다. 이는 환경 련 시장기회와 정부의 환경규제가 기업의 사 이고 신 인 환경 리

활동을 유도하는데 향을 미치지 않고 있다는 의미를 포 하고 있다. 환경 련 시장기

회의 경우 기업으로 하여 환경 리활동을 유도하도록 유인을 제공할 만큼 미엄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고 볼 수 있다. 그 기 때문에, 정부는 제품시장에서 환경친화성 측면

에서의 미엄이 설정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게다가 환경규제가 기업의 사 이

고 신 인 환경 리활동에 유의한 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것은 정부가 환경규제에

한 기업의 극 이고도 자발 응을 통해 신의 가능성을 최 한 창출시키는 방향으

로 기업을 유도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환경규제가 기업

의 신 인 환경 리활동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수립하고 수행해야 할 것이다.

둘째, 환경단체의 감시정도와 산업 회의 권고정도는 환경 리활동에 있어 소극 인

기업을 더 극 이고 신 인 기업으로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부가 산업

회를 통한 세계, 지역 는 국가차원의 규범 수 독려, 산업 자체 표 의 제정과 시행

등에 있어 극 인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아울러 정부는

환경단체의 환경모니터링 활동에 한 극 인 지원도 병행해야 할 것이다.

셋째, 산업 내 환경 련 경쟁정도는 기업으로 하여 사 이고 신 인 환경 리활

동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통계 으로 유의한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

이 활동하고 있는 제품시장에서 환경친화성 진과 조성을 통한 환경 련 에서의 기

업 간 경쟁 환경의 조성이 기업으로 하여 더 극 인 형태의 환경 리활동을 수행

하도록 유도하는데 매우 효과 임을 시사한다. 따라서 정부는 환경친화 조달 구매

정책 등의 수행, 환경친화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에 한 경제 는 비경제 포상과 인

센티 제공 등을 한 다양한 환경친화정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넷째, 환경 리활동을 통한 기업의 성과에 있어 “ 신형”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

며, 다음으로 “ 응형”, “순응형” “소극형” 집단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환경 리활

동을 통해 비용부담 보다는 오히려 성과를 제고시킬 수 있다는 의미를 던져주고 있다.

성과 측면과 동시에 기업 차원에서 환경 리활동을 진시키기 한 정부의 환경친화기

업 육성을 한 방안의 마련과 수행은 환경 련 외부 정치․경제 요인에 한 이해와 확

인을 필요로 한다. 향후 환경친화성이 제공하는 산업 시장에 있어서의 기회와 잠재

국제통상연구 제 13 권 제 1 호

- 196 -

수익은 상당할 것이다. 특히, 각국의 환경친화성을 근간으로 하는 시장 근 허용 등에 비

추어 볼 때, 향후 환경 리활동은 기업의 성장 성장에 있어 핵심이 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환경친화기업육성을 한 정부의 정책 입안과 수행은 환경 련 외부 정치․경

제요인에 한 명확한 이해와 확인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결과,

환경친화기업육성을 한 효과 인 정책의 입안과 수행을 해 정부가 고려해야 할 순으

로 산업 회의 권고정도, 산업 내 환경 련 경쟁강도, 환경단체의 감시정도, 소비자의 환

경민감성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부가 환경친화기업육성을 한 정책수행의 경우 산업

회활동에 한 다양한 정책 지원을 통해 기업의 환경 리활동을 유도하는 것을 최우선

으로 고려해야 하며, 그 다음으로 환경친화활동에 있어서 기업 간 경쟁유발을 유도할 수

있는 정책수단과 환경단체 활동에 다양한 정책지원을 수행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본 연구는 환경 련 외부 정치․경제요인이 기업의 환경 리활동유형에 미치는 향

과 환경 리활동유형과 성과간 계를 분석하여 환경친화기업육성을 한 정책 시사

을 제시하고 있다. 그 지만, 표본이 충분하지 못해 개별 세분 산업특성이 반 된 산업

별 정책 시사 을 제공하지 못했다. 향후 환경친화기업육성을 한 세분 산업별 의미

를 악할 수 있는 충분한 표본의 확보와 이의 종단분석이 요구된다. 특히, 기업의 환경

리활동에 한 외부 정치-경제 요인의 향정도는 산업별로 상이할 수 있는 소지가 충

분히 있기 때문에, 정기 인 충분한 표본의 확보를 통한 세분산업별 종단분석과 이에

한 의미 악의 필요성은 더욱 크다. 아울러 기업규모별( 기업, 소기업)로도 련 요

인이 미치는 정도가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한 차별성도 같이 고려되어야 할 것

이다. 한 정치-경제 요인에서 성과로 이어지는 과정 변화, 즉 외부 정치-경제 요인이

기업의 환경 리활동을 어떻게 진시키고, 그로 인해 조직 특유 능력이 어떻게 창출되

며, 이것이 어떻게 성과로 이어지게 하는가에 한 과정 맥락에서의 향정도와 방향

에 한 정확하고 실증 인 분석이 이루어지는 경우 환경친화기업육성을 한 더 세 하

고 구체 인 정책수단과 정부정책의 효과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가능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Aragón-Correa, J. A.(1999), “Strategic proactivity and firm approach to the Natural

environment”, Academy of Managememt Journal, Vol. 42, No. 5, 556-567.

Ashford, N. A.(1993), “Understanding technological responses of industrial firms to

environmental problems: implication for government policy”, in Fischer, K., and J.

Schot(eds.), Environmental Strategies for Industry: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Research Needs and Policy Implications, Washington, D.C., Island Press, 277-307.

Baron, D. P.(2003), “Private politics”, Journal of Economics and Management Strategy, 12, 31-66.

외부 정치-경제 요인이 기업의 환경 리활동에 미치는 향

- 197 -

Baylis, R., L. Connell, and A. Flynn(1998), “Sector Variation and ecological modernization:

towards an analysis at the level of the firm”, Business Strategy and the

Environment, Vol. 7, No. 3, 150-161.

Berchicci, L., and W. Bodewes(2005), “Briding environmental issues with new product

development”, Business Strategy and the Environment, 14, 272-285.

Boiral, O., and Jean-Marie Sala(1998), “Environmetal management: should industry adopt

ISO 14001?”, Business Horizons, January-February, 57-64.

Bonifant, B. C., M. B. Arnold, and F. J. Long(1995), “Gaining competitive advantage

through environmental investments”, Business Horizons, July-August, 37-47.

Cavusgil, S. T., and S. Zou(1994), “Marketing strategy-performance relationship: an investigation

of the empirical link in export market ventures”, Journal of Marketing, Vol. 58, 322-342.

Céspedes-Lorente, J., J. de Burgos-jiménez, and M. J. Álvarez-Gil(2003), “Stakeholders'

environmental influence. An empirical analysis in the Spanish hotel industry”,

Scandinavian Journal of Management, 19, 333-358.

Cui, A. S., Griffith, D., Cavusgil, S. T.(2005), “The influence of competitive intensity and

market dynamism on knowledge management capabilities of multinational corporation

subsidiaries”, Journal of International Marketing, Vol. 13, No. 3, 32-53.

Day, G. S., and P. Nedungadi(1994), “Managerial representations of competitive advantage”,

Journal of Marketing, Vol. 58, 31-44.

Delmas, M.(2002), “The diffusion of environmental management standards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an institutional perspective", Policy Sciences, 35, 91-119.

Delmas, M., and M. W. Toffel(2004), “Stakeholders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practives:

an institutional framework”, Business Strategy and the Environment, 13, 209-222.

Denton, D. K.(1994), Enviro-Management, Prentice-Hall Inc.

DiMaggio, P. J., and W. W. Powell(1983), “The iron cage revisited: institutional isomorphism

and collective rationality in organizational field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8,

147-160.

Doh, J. P., and H. Teegen(2002),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as institutional actors in

international business: theory and implications”, International Business Review, 11,

667.

Dresden, C. E.(1999), “The drive towar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 grounded-theory

study of the impact of environmental activities on supplier relationships in the U.S.

and German automotive industrie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Eliashberg, J., and R. Chatterjee(1985), “Analytical models of competition and implications for

marketing: issues findings and outlook”,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23, No.

3, 237-261.

Fineman, S., and K. Clarke(1996), “Green stakeholders: industry interpretations and

response”,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Vol. 33, No. 6, 715-730.

Florida, R.(1996), “Lean and Green: The move to environmentally conscious nanufacturing”,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Vol. 39, No. 1, 80-105.

Freeman, R. E.(1984), Strategic management: a stakehloder approach, Boston: Pitman.

국제통상연구 제 13 권 제 1 호

- 198 -

Fuchs, D. A., and D. A.(1998). Mazmanian, “The green of industry: needs of the field”,

Business Strategy and the Environment, Vol. 7, No. 4, 193-203.

Hart, S. L., and G. Ahuja(1996), “Does it pay to be green?: an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mission reduction and firm performance”, Business Strategy

and the Environment, Vol. 5, No. 1, 30-37.

Hartman, C. L., and E. R. Stafford(1998), “Crafting ‘enviropreneurial’ value chain strategies

through green alliances”, Business Horizons, March-April, 62-72.

Hastings, M.(1999), “A new operational paradigm for oil operations in sensitive

environments: an analysis of social pressure, corporate capabilities and competitive

advantage”, Business Strategy and the Environment, Vol. 8, No. 5, 267-280.

Henriques, I., and P. Sadorsky(1996), “The determinants of an environemtal responsive firm:

an empirical approach”,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Vol.

30, No. 3, 381-395.

Hettige, H., M. Huq, S. Pargal, and D(1996). Wheeler, “Determinants of pollution abatement in

developing countries: evidence from South and Southeast Asia”, World Development,

Vol, 24, No. 12, 1891-1904.

Hoffman, A. J.(2001), “Linking organizational and field-level analyses-the diffusion of

corporate environmental practice”, Organization and Environment, 14, 133-156.

Howard, J., J. Nash, and J. Ehrenfeld(1999), “Industry codes as agents of change:

responsible card adoption by US chemical companies”, Business Strategy and the

Environment, Vol. 8, No. 5, 281-295.

Hunt, C., and E. Auster(1990), “Proactive environmental management: avoiding the toxic

trap”, Sloan Management Review, Vol. 31, No. 2, 7-18.

Jennings, P. D., and P. A. Zandbergen(1995), “Ecologically sustainable organizations: an

institutional approach”, Academyof Management Review, 20, 1015-1052.

Kassinis, G., and N. Vafeas(2002), “Corporate boards and outside stakeholders as

determinants of environmental litigation”,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3, 399-415.

Khanna, M., and W. Q. Anton(2002), “Corporate environmental management: regulatory and

market-based pressures”, Land Economics, 78, 539-558.

Kollman, K., and A. Prakash(2002), “EMS-based environmental regimes as club goods:

examining variations in firm-level adoption of ISO 14001 and EMAS in U.K., U.S.

and Germany”, Policy Sciences, 35, 257-275.

Lampe, M, and G. M. Gazda(1995), “Green marketing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an

Evolving Business and Society Interface”, International Business Review, Vol. 4, No.

3, 295-312.

Majumdar, S. K., and A. A. Marcus(2001), “Rules versus discretion: the productivity

consequences of flexible regul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 44, 170-179.

Marshall, R. S., M. Cordano, and M. Silverman(2005), “Exploring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drivers of proactive environmentalism in the US wine industry”, Business Strategy

and the Environment, 14, 92-109.

Maxwell, J., S. Rothenbery, F. Briscoe, and A. Marcus(1997), “Green schemes: corporation

environmental strategies and their implementation”,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외부 정치-경제 요인이 기업의 환경 리활동에 미치는 향

- 199 -

Vol. 39, No. 3, 118-134.

Menon, A., and A. Menon(1997), “Enviropreneurial marketing strategy: the emergence of

corporate environmentalism as market strategy”, Journal of Marketing, Vol. 61, 51-67.

Mitchell, R. K., B. R. Agle and D. J. Wood(1997), “Toward a theory of stakeholder

identification and salience: defining the principles of who and what really count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2, 853-886.

Oliver, C.(1997), “The Influence of institutional and task environment relationship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Canadian construction industry”,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Vol. 34, No. 1, 99-124.

Ottman, J. A.(1992), “Industry’s response to green consumerism”, Journal of Business

Strategy, Vol. 3, No. 4, 3-10.

Pablo del Río González(2005), “Analysing the factors influencing clean technology adoption:

a study of the spanish pulp and paper industry”, Business Strategy and the

Environment, Vol. 14, 20-37.

Porter, M. E., and C. van der Linde(1995), “Toward a new conception of the

environment-competitiveness relationship”, The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Vol.

9, No. 4, 97-118.

Rondinelli, D. A., and G. Vastag(1996), “International environmental standards and corporate

policies: an integrative framework”,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Vo. 39, No. 1,

106-122.

Roome, N.(1992), “Developing environmental management strategies: linking quality and the

environment”, Business Strategy and the Environment, Vol. 1, No. 1, 11-24.

Rugman, A. M., and A. Verbeke(1998), “Corporate strategies and environmental regulations:

an organizing framework”,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 19, 363-375.

Russo, M. V., and P. A. Fouts(1997), “A Resource-based perspective on corporate

environmental perfomance and profitailit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

40, No. 3, 534-559.

Sethi, S. P.(1979), “A Conceptual framework for environmental analysis of social issues and

evaluation of business response pattern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4,

No. 1, 63-74.

Sharfman, M., R. T. Ellington, and M. Meo(1997), “The next step in becoming ‘Green’:

life-cycle oriented environmental management”, Business Horizons, May-June, 13-22.

Sharma, S.(1995), “Corporate environmental responsiveness strategies and competitiveness in

the North American oil and gas industry”,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gary, Alberta.

Sharma, S., and H. Vredenburg(1998), “Proactive corporate environmental strategy and the

development of competitively valuable organizational capabilitie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 19, 729-753.

Shrivastava, P.(1995), “Environmental technologies and competitive advantage”,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 16, Special Issue, Summer, 183-200.

Stafford, E. R., and C. L. Hartman(1996), “Green alliances: strategic relatons between

businesses and environmental groups”, Business Horizons, March-April, 50-59.

국제통상연구 제 13 권 제 1 호

- 200 -

Steger, U.(1993), “The Greening of the Board Room : How German companies are dealing

with environmental issues”, in Fischer, K., and J. Schot(eds.), Environmental

Strategies for Industry: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Research Needs and Policy

Implications, Washington, D.C., Island Press, 147-166.

Suchman, M. C.(1995), “Managing legitimacy: strategic institutional approache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0, 571-610.

Waygood, S., and W. Wehrmeyer(2003), “A critical assessment of how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use the capital markets to achieve their aims: a UK study”, Business

Strategy and the Environment, 12, 372.

Winsemius, P., and U. Guntram(1992), Responding to the environmental challenge”,

Business Horizons, March-April, 12-20.

외부 정치-경제 요인이 기업의 환경 리활동에 미치는 향

- 201 -

The Effects of External Political-economic Forces

on Firms' Environmental Management Activities

Ki-Kwan Yoon․Bong-Suk Sung

Abstract

This article provides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 of the effects of external

political-economic forces on firms' environmental management activities, and performs

a ANOVA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firms' environmental management

activities and performances.

The results show that monitoring of environmental groups, recommendations of

industry associations and competitive intensity have positive influences on firms'

environmental management activities defined as a pattern, and firms' performances are

different among patterns of firms' environmental management activities. A firm gets

a high performance, when it is more active in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activities.

The implications of this article's result are followings.

One significant implication is that on the basis of the log odds,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listed in order of decreasing importance, are recommendations of industry

associations, competitive intensity and monitoring of environmental groups. Hence, in

Korea, to promote environmentally friendly companies which can improve the

performance throughout performing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activities, policy

measures directed towards supporting industry associations' activities relating to

enactment and implementation of environmental norms on the production and the

releasing of environmentally friendly goods and services should get the highest priority.

And these should be followed by policies that support environmental groups' activities

and induce inter-firm competition relating to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activities.

The second implication is that environmental management activity is not a burden but

a opportunity can promote the performance to firms.

This article's limitation is the sample size, 110 firms, which limits our ability to draw

implications for each industry. In the light of some existing studies, the effect of

external political-economic forces on firms' environmental management activities is

different for each industry. For this reason, further research needs to investigate such

effect in the context of individual industries.

Key Words: external political-economic forces, environmental management activity,

performance

국제통상연구 제 13 권 제 1 호

- 202 -

외부 정치-경제 요인이 기업의 환경 리활동에

미치는 향

윤 기 ․성 석

국 문 록

본 연구는 기업의 환경 리활동에 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환경 리활동과 성과 간

계를 분석함으로써 환경친화기업육성을 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 으로 한다. 이

에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외부 정치-경제 요인이 기업의 환경 리활동에 미치는

향과 환경 리활동을 통한 성과에 한 연구모형을 개발하고, 실증분석을 수행하 다.

기업의 환경 리활동에 한 외부 정치-경제 요인의 향에 한 다항로지스틱 회귀분

석결과, 외부 정치-경제 요인 환경단체의 감시, 산업 회 권고와 산업내 경쟁정도만이

기업의 환경 리활동에 통계 으로 유의한 정(+)의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

다가 기업의 환경 리활동유형과 성과간 계에 한 분산분석결과, 더 극 인 형태의

환경 리활동을 수행하는 경우 성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분석결과는 기업

으로 하여 극 인 환경 리활동을 수행 함으로서 지속 인 경쟁우 를 제고시킬

수 있는 환경친화기업육성을 해서는 정책 ․ 략 요인으로 산업 회 권고, 산업내

경쟁 환경단체 감시를 활용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따라서 정부는 산업 회

를 통한 환경 련 규범 수 독려, 산업 자체 표 의 제정과 시행, 환경단체의 모니터링

활동에 한 극 인 지원과 환경 으로 친화 인 구매정책 등을 포함하는 환경시장에

서 경쟁유발 등을 효과 인 환경친화기업육성을 한 정책수단으로 활용하여야 할 것이

다.

핵심주제어 : 외부 정치-경제 요인, 환경 리활동, 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