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사임당초충도 18세기회화문화의한양상1).pdf · 2015-11-03 ·...

14
127 신사임당 초충도18 세기 회화문화의 한 양상 고연희 I. 머리말 라는 그림은 , 한국회화사에서 16세기의 특기할 만한 회화작 품으로 인정되어 왔다 . ( 1504 ~ 1551 ) 16세기 전반기의 인물이기 때문이 . 일제 강점기의 조선회화사 서술이나 , 오늘날의 대표적인 한국회화사 저술에서 16세기 작 신사임당 초충도의 존재는 빠지지 않고 있다 . 신사임당의 초충도에 대한 연구는 근래에 들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최근의 연구들은 신사임당 진작의 발굴과 양식의 문제 혹은 신사임당 초충도의 명성이 가 지는 허구성 및 정치성의 개입에 이르기까지 , 새로운 관점으로 접근하고 있으며 , 자의 기존 논의도 이러한 연구기류 속에서 고민을 더해 왔다 . 1 , 논의의 진행에도 * 필자의 최근 논저: 동아시아 회화의 복제와 파생에 대한 일고찰: 휘종 매 그림 유행을 중심으로 」, 대동문화연구83 , 2013 . 9; : 원대 관료사회에서의 」, 『 33 , 2012. 10; 조선 후기 산수기행문예에 나타나는,‘ 의 추구 」, 『 49 , 2012. 6; 이 그린 의 의미와 기능 」, 『 대동문화연구76 , 2011 . 12. 1 대표적 선행연구로는, ,「 」, 『 51 ( 1993. 6), pp . 98- 147; 율곡 일가의 회화」, 『 신사임당가족의 』( 영동문화연구소, 2006 ), pp . 211 - 267 ; ,「 선 후기 지식인의 회화경험과 인식」, 『 이재난고( ) 로 보는 조선지식인의 생활사』( 한국학 중앙연구소, 2007 ), pp . 505-515; 」, 『 61 ( , 2001 ), pp . 75-98; 이숙인,「신사임당 담론의 계보학( 1 ), 근대이전 」, 『 106 ( 2008 ) ; 박지 ,「 화가에서 어머니로: 신사임당을 둘러싼 담론의 역사」『 25 ( 2007 ), pp . 141 - 167; ,「 : 과그 」, 『 · 』( : , 2011 ), pp . 15-30; 고연희,「 신사임당 초충도의 명성과 실상」, 한국미술사학회 발표 요지문( 2011 . DOI http://dx.doi.org/10.14380/AHF.2013.37.127 高蓮姬 서울大學校 奎章閣 硏究員 梨花女子大學校 美術史學科 博士 韓國繪畵史

Upload: others

Post on 14-Mar-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신사임당초충도 18세기회화문화의한양상1).pdf · 2015-11-03 · 은16세기문헌에기록된신사임당의그림이 ‘`lp/와 \ ÿ’였다는것을말해주

‘신사임당초충도’ 세기회화문화의한양상

고연희

I. 머리말

‘ ’라는그림은,한국회화사에서 세기의특기할만한회화작

품으로인정되어왔다. ( ~ )이 세기전반기의인물이기때문이

다.일제강점기의조선회화사서술이나,오늘날의대표적인한국회화사저술에서

세기작신사임당초충도의존재는빠지지않고있다.

신사임당의초충도에대한연구는근래에들어활발히진행되고있다.최근의

연구들은신사임당진작의발굴과양식의문제혹은신사임당초충도의명성이가

지는허구성및정치성의개입에이르기까지,새로운관점으로접근하고있으며,필

자의기존논의도이러한연구기류속에서고민을더해왔다. 단,논의의진행에도

필자의최근논저: 「동아시아회화의복제와파생에대한일고찰:휘종매그림유행을중심으로」,『대동문화연구』 , . ; 「 의 :원대관료사회에서의 」, 『 』 , .

; 「조선후기산수기행문예에나타나는, ‘ ’의추구」, 『 』 , . ; 「 이그린의의미와기능」, 『대동문화연구』 , . .

대표적선행연구로는, , 「 」, 『 』 ( . ), . - ;「율곡일가의회화」, 『신사임당가족의 』(영동문화연구소, ), . - ; , 「조

선후기지식인의회화경험과인식」, 『이재난고( )로보는조선지식인의생활사』(한국학

중앙연구소, ), . - ; 「 의 」, 『 』 ( ,

), . - ;이숙인, 「신사임당담론의계보학( ),근대이전」, 『 』 ( );박지현, 「화가에서어머니로:신사임당을둘러싼담론의역사」 『 』 ( ), . -

; , 「 의 : 의 과그 」, 『 · 』( : ,

), . - ;고연희, 「신사임당초충도의명성과실상」,한국미술사학회발표요지문( .

DOI http://dx.doi.org/10.14380/AHF.2013.37.127

高蓮姬

서울大學校 奎章閣 硏究員梨花女子大學校美術史學科 博士 韓國繪畵史

Page 2: 신사임당초충도 18세기회화문화의한양상1).pdf · 2015-11-03 · 은16세기문헌에기록된신사임당의그림이 ‘`lp/와 \ ÿ’였다는것을말해주

‘신사임당초충도’ 세기회화문화의한양상

전되어나갈정도로인정받고있었던사정을알려주고있다. 이 『 』

에서손에꼽을선비화가명단가운데여성으로드물게신씨부인을올렸으며,그녀의

산수와포도가 ‘ ’하고,산수는 ‘ (안견의버금)’으로평가된다고하였다.

세기문헌기록을보면,신사임당은생존시기부터그림을잘그리는여성으

로알려져있었고여성으로화명이거론된이례적존재였다.다만, 세기기록에서

신사임당의초충도는찾을수없고, ‘사임당’이라는호칭보다는 ‘신씨부인’, ‘신부인’

혹은 ‘동양신씨’등다소평이한어감의호칭으로불렸다.

세기문헌기록에나타나는신사임당그림에관련된내용은 <표 >와같다.

그녀의그림으로묵죽,산수,초충등다양하게거론된것이이시기의특징이다.

세기초반의기록은 세기의분위기를반영한다. , , 등은이이의

「선비행장」에서 『패관잡기』로이어진내용을보여준다.이이와친밀했던최립은동

양부인신씨의유적이세상에많이전한다고하였다. 한편 는 의말을

빌어신부인의묵죽그림에힘이부족하다는기록을남겼다.그러나 세기후반부

터는기록에커다란변화가나타난다.신사임당의그림평가에아들이이가획득한

대학자로서의위상이보태어져영향을끼치기시작한것이다.변화된내용은,첫째

신사임당이그린산수화를역사기록아래로가라앉히고,둘째신사임당의초충도류

회화를역사기록의수면으로떠올렸다.이변화를이끈인물은 이었다.

<표 >의후반부에나타나는 ‘산수’기록을먼저보면,이기록들은모두 세

기에이름이높았던신사임당의산수화한폭에관련된 이다.거론된산수화는

사임당은문헌에서 ‘ ’혹은 ‘ ’으로표기되는경우가많다.이는 『 』 ‘ ’조

에실린사임당의다양한한자표기와다르다. ‘ ’은 , 「 」, 『 』

에처음보인다.

“ ,…… .” , 「 」, 『 』 .

불구하고신사임당초충도에대한근본적인회화사적문제들은여전히남아있다.

신사임당의그림중초충도가유독그녀의대표화목으로자리잡게된이유는무엇

인지,현전하는신사임당전칭작들은언제제작된것인지,조선시대회화사에서어

떻게자리매김되어야하는지,오늘날우리는그것들을어떤의미로이해하여회화

사에투입시켜야하는가등의문제이다.

이러한문제를풀기위해,면밀한추적과해석이필요한시점이다.이글에서는

신사임당의생존기인 세기로부터 세기까지의약 여년에걸친조선시대문

헌자료들에서그녀의초충도가어떻게거론되고평가되었는지살펴정리하고,나아

가현전하는전칭작들의출처와양식을논함으로써신사임당초충도의전칭작‘들’에

대한회화사의좌표설정을시도하고자한다.

Ⅱ. 조선시대 문헌에 나타나는 ‘신사임당 초충도’

신사임당의그림에대한기록은, 세기전반기즉그녀생존기부터나타난다.

<표 >은 세기문헌에기록된신사임당의그림이 ‘ 와 ’였다는것을말해주

고있다. 세기에학문적명성이높았던관료학자 , 등이그녀의산

수화작품에칭송의시문이남겼다.소세양은신사임당생전에그녀의산수화를보

았고,두차례에걸쳐그녀의산수화에감상시를지었다.소세양의문집에실린제화

시두편은각각다른내용의산수화이다. <표 >에제시한소세양의두번째시마지

막구절의 “오묘한생각과뛰어난솜씨는다른사람이따라잡기어렵다(

)”는,소세양의신사임당산수화에대한평가가상당히높았던것을말해주고,

실제로그녀의산수화솜씨가좋았던것을제시한다.아들 가 「선비행장」에적

기를, “어머님께서생전에남기신서화가범상치않으시다.일곱살부터 의그림

을모방하여마침내산수화를그리신것이지극히묘하셨고,또한포도를그리셨으

니,모두세상에견줄만한이가없다.그리신바가병풍과족자로세상에많이전한

다”고하여신사임당의그림은그녀생전에병풍이나족자로장황되어세상으로유

)미간행; 「동아대학교박물관소장 <초충도수병>,그회화사적가치」, 『강원의위대한문화유산』

(국립춘천박물관, ), . - ;조규희, 「만들어진명작,신사임당과초충도」,미술사와시각문화학회발표문( . )미간행.

“ . , , , , , .

, .” , 「 」, 『 』 .

표1 16세기 문헌에 기록된 신사임당의 그림

기록자 /생몰년 출전 글제목 그림주제

, ~ 『 』 「 」

『 』 「 」

, ~ 『 』 「 」

, ~ 『 』 「 」 ,

, 세기전중기 『 』 ‘ ’조 ,

, - 『 』 「 」

Page 3: 신사임당초충도 18세기회화문화의한양상1).pdf · 2015-11-03 · 은16세기문헌에기록된신사임당의그림이 ‘`lp/와 \ ÿ’였다는것을말해주

‘신사임당초충도’ 세기회화문화의한양상

보한다고하여,그칭송의양상이 세기소세양과다른면모를보여준다. <표 >의

송시열글은동일한사임당산수화에대하여율곡모친작이아니라고일갈하여부

정했다.이유는,그림수준이전문적이고,소세양제발에스님이등장하고,남성이

여성그림에발을쓴상황등이모두가당치않음이다. 송시열은성리학자인율곡선

생의모친이라는점을중심에놓고그림을보았기에,오히려이산수화를용납할수

없었다.송시열의위작판정과그이유는사실상타당하지않다.이는 세기에한폭

산수화가그려지고제화시를적었던역사적사실일체에대한거부이며부정이기때

문이다.그러나송시열의발언은영향력을행사했다.송시열의견해가선포된후,필

자의과문인지몰라도,조선시대문헌기록에서사임당의산수화를높이칭송하는

글은만나볼수없다. 세기에높이평가되던신사임당산수화는 세기송시열의

입김아래역사의밑바닥으로깊숙이가라앉았다.

둘째,신사임당초충도의부상은송시열의글 「 」( )에서비롯

한다.의아스럽게도, 『송자대전』에실린 「사임당화난발」이 『근역서화징』에는 「

」의다른제목으로실렸다.같은글이 ‘난초( )’와 ‘가을화초와나비무리

( )’라는다른주제의그림에부친제발이된것이다.송시열의글이전혀다

른그림에붙여진복잡한사연이있었는지,그림속식물에대하여기록자가 ‘난’혹

은 ‘추초’라고물명을달리한단순한사연인지가늠하기어렵다. <표 >의 글

은 년강릉에서사임당의 ‘ ’화첩을보았다고한다. 이러한기록들이말해주는

사실은, 세기후반에신사임당의필적으로전하던화초류혹은초충을곁들인화초

그림이송시열의칭송과함께사람들의관심대상으로떠올랐다는점이다.문헌기록으

로나타나는사임당초충도는 세기송시열의글( )에서시작되었고,이글에서

송시열이베푼칭송은다음과같이지극했다. “이는돌아가신 ( )의

부인 가그린것이다.그손가락끝에서나온것이오히려 하게하늘이이루

.” ,「 」, 『 』 .

송시열이이러한사유를적어놓은편지글( 되며, 『송자대전』에실리지않았다)원문및해설은,

이은상, 『사임당의생애와예술』(성문각, ), . (이를재출간한율곡학회, 『시대를앞서간

여인신사임당』(율곡학회, ), . - 참조);박지현의앞의글( )은송시열의태도를

사회사적으로해석하였다.

‘난’과 ‘추초군접’은완전히다른화제로보이지만,진품명품을가르는대중매체에소개된한폭그

림은,그림속식물에대한불충분한이해에서비롯했다는추정을가능케해준다.소개된한폭에

는송시열의글이발문으로적혀있고원추리와나비의그림이있다.원추리잎을난잎으로오인되어

송자대전편집에기록되었을가능성을보여주는그림이다.

“ , , . .” , 『 』 , 「 」

중 년음력 월 일기록.

‘ ’ 이소장한그림이자, <표 >에서제시한소세양제발의대상

그림이다.정리하여말하자면,신사임당이그린산수화에소세양이제발을썼고소

세양의제발이얹힌사임당산수화가종증손이동명의집으로유전되었으며,이동

명은이그림을 세기의저명한학자들에게보이고글을받고자하였다. <표 >의

글은사임당의산수화에대한지극한찬사이다.이경석은산수화속 “암자,초

가,절벽과다리들이가물가물한데그형상은털끝을가려내도록섬세”하다고솜씨

를칭송하고 “어찌배워서되었을까.하늘이내려얻은것이라.율곡선생을낳으심도

하늘이준것이니,천지의기운이쌓여진이를잉태한것이그이치다.어찌조화가

손안에만있다고하겠는가”라고하였다. 사임당의산수화가율곡의학문경지를담

“ , …… , , , . ,

, , , . . ,

표2 17세기 문헌에 기록된 신사임당의 그림

기록자 /생몰년 출전 글제목 그림주제

, ~ 『 』 「 」 그림(미지정)

, ~ 『 』 「 」 그림(미지정)

, ~ 『 』 「 」 그림(미지정)

, ~ 『 』 「 」 ( . ~

의발언기록)

, ~ 『 』 「 」( ) ( 소장,소세양

제발의산수화)

, ~ 『 』 「 」( ) ( 소장,소세양

제발의산수화)

『 』 「 」[ ] ( 소장,소세양

제발의산수화)

『 』 「 」 그림(미지정)

『 』 「 」[ ] 그림(미지정)

『 』 「 」( )

『 』

「 」

*「 」( )과

동일한글

, ~ 『 』 「 」( )

Page 4: 신사임당초충도 18세기회화문화의한양상1).pdf · 2015-11-03 · 은16세기문헌에기록된신사임당의그림이 ‘`lp/와 \ ÿ’였다는것을말해주

‘신사임당초충도’ 세기회화문화의한양상

어낸듯하여마치사람의힘이들지않은것같으니,하물며 의정수를얻고

의융화가모여서진정한 를이룸에랴.율곡선생을낳으심이마땅하도다.”

이후, 세기의기록에나타나는변화는괄목할만하다. <표 >에보이듯 세

기기록속의신사임당은초충도의대가로등장한다. 신사임당초충도에대한제

발과관심은 세기전반에 학자들에게서 으로이어졌고, 세기후반

에이르면사임당에관련된간단한언급여기저기(예컨대, <표 >의이종휘와이긍익

의글)서그녀의그림은 ‘초충’으로대표된다.

세기전반에학자들의관심이폭주된 ‘사임당초충도’는 <표 >에서보이듯

이 ‘ ’이었다.이것은 이양양에서고을살며강릉에거하는신사임당

의친척으로부터입수한초충 폭이다.정필동은 폭에 폭을더하여 폭으로장황

하였고,송시열의문인으로대제학을지낸두인물, 와 에게발문을구해

받아더해넣은 폭을채우고,또한시문에뛰어난 에게장편시를구하였다.

는이병풍을보면서어려서들은이야기라며,신사임당의초충한폭을닭

이쪼아손상시킨이야기를기록하였다. 신사임당의초충도에대한송상기의기억

기록이사실이라면,이전시기남성문인들의문헌기록에는실리지않은신사임당의

초충도솜씨가집안에서는 으로전하고있었던것을알려준다.

폭병으로장황된정필동본은이후 이감상하고시를남겼다.숙종의제

화시는김진규의발문에서말한 과 의기법을다시읊고있다.정필동이새

로장황한병풍에김진규의제발이얹혀있는것을숙종이감상한정황을말해준다.

숙종의제화시는또한궁정에서이를모사하여남긴사실도읊고있다.그러나 ‘정필

동본’은물론이요궁전의모사본도오늘날그행방을찾을수없다.

세기에기록된신사임당초충도가운데 ‘정필동본’과다른방식으로많이언

“ . , , .

, , . .” ,위의글.

필자가 년대초정선의진경산수화에관련된박사논문을준비할때, 세기노론계학자들의

문집만쌓아두고보았는데사임당초충도에대한글이자주등장하여목록을작성해두었다.이후

조선시대전체의기록을다시살피고나서야,이러한양상이 세기노론계학자들에게서만벌어졌

던특이한현상이라는사실을알게있었다.

“……죽천김공(김진규)과첨재김공(김유)은석담모부인초충도에발을썼는데미진하다고여겨

그주인으로하여금서암선생(신정하)에게장편시를구하게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표3 18세기 문헌에 기록된 신사임당의 그림

기록자 /생몰년 출전 글제목 그림주제

, ~『 』

송환기, 「동유일기」에언급됨「 」 , ( ), .

, ~ 『 』 「 」 (정필동본)

송환기, 「동유일기」에언급됨「 」 (송담서원본)

, ~ 『 』 「 」 (정필동본) * 기록

, ~ 『 』 「 」( ) (정필동본)

, ~ 『 』 「 」( ) (정필동본)

, ~ 『 』 * 「선비행장」인용

, ~ 『 』「

」( )(정필동본)

,재위 ~ 『 』「

」( )(정필동본)

, ~ 『 』 「 」 (정필동본)

, ~ 『 』「

」(정필동본)

, ~ 『 』 「 」 미지정(송담서원본)

, ~ 『 』 「 」 (송담서원본)

, ~ 『 』 「 」 (김연흥가본)

, ~ 『 』 「 」 (정필동본)

『 』 「 」(신경구입본)

(정필동본)

『 』 「 」폭(오죽헌소장)

장(오죽헌소장)

, ~ 『 』「

『 』 「 」

, ~『 』

,(송담서원본)

, ~ 「 」 , ,

, ~ 『 』 「 」 주머니자수그림

『 』 「 」* 와 의발문있음

, ~ 『 』 , , ,

, ~ 『 』 「 」

, ~ 『 』 「 」 편 ,

* 현전하는 전칭작들에 별도로 적혀있는 글을 모두 포함시키지 않고, 대체로 문헌기록에 한정하여 정리하였음을 밝힌다.

Page 5: 신사임당초충도 18세기회화문화의한양상1).pdf · 2015-11-03 · 은16세기문헌에기록된신사임당의그림이 ‘`lp/와 \ ÿ’였다는것을말해주

‘신사임당초충도’ 세기회화문화의한양상

진작임을강조하는어감이다소구차하다. 게다가이당시 ‘신경구입본’은오로지

구입자신경의기록만으로전하고있다.신경은자신이구입한 폭도를다른학자에

게보이지않았거나,다른학자들의특별한동의나칭송을받지못했던것으로보인

다.신경구입본은오늘날국립중앙박물관에소장되어전한다.

‘김연흥가본’은조귀명의글에기록되어있다. ‘ ’이소장한신사임당 ‘ ’

폭에조구명이쓴 “ ”이그것이다.의진은조귀명의종형제

인 ( ~ )의 조의진이다. 조귀명의글에따르면,의진이소장한

사임담 폭병은 의집에서나온것이니안작이아니라고주장한다.김연흥은

에봉해졌던 ( ~ )을가리킨다.이기록에따르자면,김제

남의집에서나온사임당의화초병풍 폭이 세기에풍양조씨집안에들어왔다는

말이다.이병풍은출처지가소장자보다흥미롭다는점에서 ‘김연흥가본’이라부르

고자한다.오늘날이그림의행방은알수없다.

세기문헌에등장하는신사임당의그림은 ‘초충’으로관심이모아졌고,이러

한관심과수요에부응하듯신사임당필적의 ‘초충도’ 폭시리즈들이 세기에폭

발하듯튀어나왔다. ‘정필동본’, ‘송담서원본’, ‘신경구입본’, ‘김연흥가본’등은그들

중대표적인것들인데,이들은모두 세기로부터전래되었다는출처가뚜렷하게기

록된그림들이며,또한 세기문헌에서처음등장한그림들이다. 세기기록의전

반을살핀필자의견해로볼때,신사임당초충도라는물건이 세기에날조된것으

로는결코보이지않는다. 세기에주목받지못하고거론되지않던여인의그림(혹

은자수도안)이 세기에주목받게된현상으로판단된다.

세기기록에서찾아볼수있는가장흥미로운점은,신사임당초충도의 ‘

’과 ‘ ’에대한언급이다. ‘모본’의제작은숙종의시에명시되었다.숙종은정필

동소장본을빌려와감상하고모본을만들어궁전에남겼노라고시를읊었다.이때

모본을제작한화가명은기록되지않았다.또한 세기세상에떠도는신사임당그

림들에대하여 ‘ ’(대개가안본)이라는의견이이미 세기기록으로전한

다. 의기록으로소개된 의판단이그것이다. 이선해는,신사임당자

손의그림들이사임당그림으로불리며 ‘안본’이횡행하는현상을설명했다. 세기

“ , , , ,

.” , 「 」, 『 』 .

, 「 」, 『 』 참조.

과 의기록에대하여는,강관식앞의글( )참조.

급된것이 ‘ ’이다.금강산을가는문사들이송담서원에들려이그림을감

상했다.송담서원에안치되어있었으니, ‘송담서원본’이라부르고자한다. <표 >의

, , , 등이모두송담서원본 폭초충도를언급하였다.송환

기는 년가을금강산유람을기록한 「 」에서,강릉에들려송담서원의신

사임당그림을보았는데권상하와정호의발문이적혀있었다고했다. <표 >의권

상하의 「 」와정호의 「 」은그들의문집에서는

찾아볼수없지만, 세기 ‘송담서원본’에적혀있었던것을알려준다.정호의글과관

련기록에의하면 ‘송담서원본’은 년에서원에안치되었다. <표 >에서보이는바

와같이정필동본이한양에서글을받은일이나숙종이모사한일등이대략

년에서 년에걸쳐져있음에견주어보면, 세기초한양에는 ‘정필동본’이강

릉에는 ‘송담서원본’이따로전하고있었던것을알수있다. ‘송담서원본’이 세기에

유명하였던점은 세기후반기 과 의대화가확인시켜준다.다만이

선해는 ‘송담서원본’이애당초신사임당진작이아닐가능성을제기했다.한편

이강릉의오죽헌에소장된신사임당산수도장자와초충도병풍을말하였는데,오

죽헌본을따로말한다른기록이없어오죽헌에초충 폭이따로있었는지여부는

단정하여말하기어렵다.오늘날강릉시오죽헌시립박물관에신사임당초충도병풍

이소장되어있는데,오죽헌박물관측은이를 세기로부터전래된 ‘송담서원본’이라

고주장하고있다.

이외에, 세기개인들이소장했던사임당 폭초충도들이기록에등장한다.

명시된것은두본이다.하나는 ‘ 구입 ’이고다른하나는 ‘ ’이다표

의 *표시참조. ‘신경구입본’은신정하의조카신경이구입한 폭본이다.신경은정필동

본,오죽헌에있는초충 폭본을감상한글을남겼고,또한스스로신사임당초충

폭을구입했다. <표 >의신경의글들은신사임당초충도에대한그의비상한관심을

보여준다.신경은그가새로구입한본과정필동본을비교하며, “이제이화첩과정

필동본은비록종이폭의크기에차이가있지만,그림의이름과물상이동일한규모

로다르지않으니,이것이부인의손에서나온것에의심할것이없다”고하였는데,

“사임당의그리신여러첩을받들어감상하였다.그점획이활발하여새로운것같으며혹은병풍

으로혹은두루마리로만들어져있었고,우리선조들이 ( )과 ( )에게쓰게하

신제문들이모두그가운데적혀있으니,절대보배라이를만하다( ,

, . , , ).” , 『

』 , 「 」, 년 (음력) 월 일기록

Page 6: 신사임당초충도 18세기회화문화의한양상1).pdf · 2015-11-03 · 은16세기문헌에기록된신사임당의그림이 ‘`lp/와 \ ÿ’였다는것을말해주

‘신사임당초충도’ 세기회화문화의한양상

Ⅲ. 전칭 사임당 초충도들, 회화사적 위치와 의미

오늘날전칭사임당초충도로불리는그림들은헤아릴수없이많다. 이가운

데중요한작품으로판단하는그림은동아대박물관소장자수병 폭( 폭병풍),오

죽헌시립박물관소장초충 폭(글두폭이더해진 폭병풍),그리고간송미술관소

장의초충 폭( 첩화첩),국립중앙박물관소장의초충 폭(글두폭이더해진

폭병풍)이다.이글에서는편의상이들을칭할때,소장처의이름을빌어각각 ‘동

아대수본’, ‘오죽헌시박본’, ‘간송본’그리고 ‘국박본’으로줄여부르겠다.이들은모두

신사임당진작이아니다.문제는,이들의회화사적위상과회화사적의미이다.이에

가지유형(‘동아대수본’, ‘오죽헌시박본’, ‘국박본’)으로나누어앞장에서살핀문헌

기록에견주어살펴보겠다.

.전칭작들의회화사적위치

1) 현전하는 ‘동아대수본’, 그리고 18세기에 기록된 ‘정필동본’.

세기신사임당초충도를회화사의측면에서논하기위해서는, 세기초그

녀의진작으로등장하여공인된 ‘정필동본’에서이야기를출발해야할것이다.앞선

문헌고찰로보건대, ‘정필동본’은 세기에이미오래된그림으로즉한폭이누락되

고낡은상태로강릉에서유전되던그림이고,또한신사임당의그림솜씨가널리인

오죽헌시립박물관의 년특별전 《아름다운여성,신사임당》과 의 년기획전

《 》에출품된사임당초충도전칭작들외에도다수의전칭작이전하고있다.

사임당초충도에대한관심속에서 ‘모본’과 ‘안본’의신사임당초충도출현이 세기

에이미상당히진행되고있었던사실을알수있고,나아가 ‘모본’과 ‘안본’이이미

세기당시에신사임당초충도로불리고있던사실까지 세기기록에서읽을수있다.

세기문헌에나타나는사임당그림은 세기와다른양상이다. <표 >가보여

주듯, 세기학자들은신사임당의 그림을유난스럽게좋아했다.도대체신사

임당의매화그림이란것은그녀의생전이나사후수백년에걸쳐거의언급되지않

던화목이다. 세기노론계학자들이신사임당을높이칭송하며하필그녀의매화

그림을들어칭송한사실은여러측면에서해석을기다리는회화문화인데,이글에

서는다루지않는다. 세기기록을미루어추정할수있는사실은,신사임당초충

도라불리는전칭작들은대개 세기나 세기초에걸쳐제작되었을가능성이크다

는판단이다. 세기학자들의관심은매화로드러나고초충도로부터멀어지고있었

기때문이다.

세기로부터 세기로의 년동안신사임당이라는한인물의그림에대한

관심은시대에따라다르게나타났다.세기별로정리하면 <표 >로드러난다.이표는

‘사임당초충도’가 세기에집중적으로펼쳐졌던특이한회화문화였음을보여주면

서,아울러회화연구자들에게몇가지난제를던져준다. 세기에출현하여전칭되

는사임당초충도‘들’을회화사에서어떻게자리매김할것인가.기존회화사의방식

대로 세기회화사에이들을배치시켜둘일은아닌듯하다.만약이들을 세기

회화사에서논하자면사임당초충도가 세기회화사에서어떤의미로어떤역할을

담당했는가에대한문제를풀어야할것이다.

표5 세기별로 본, 신사임당 그림 기록의 양상

시기 그림주제(글편수)

세기 산수( ),포도( )

세기 산수( ),난( ),죽( ),초충( ),미지정( )

세기 초충( ),죽( ),산수( ),포도( )

세기 매화( ),난( ),초충( ),산수( )

*이 표는 신사임당 그림기록의 세기별 뚜렷한 차이를 보여주고자 한다. 글의 편수는 세는 방법이나 자료의 출입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표4 19세기 문헌에 기록된 신사임당의 그림

기록자 /생몰년 출전 글제목 그림주제

, ~ 『 』 「 」

,

~

「 」

( )

· ·

*송담서원혹은오죽헌소장

, ~? 『 』 「 」 ,

, ~『 』

(오죽헌시박소장)그림발문

*매화 첩 장에서

장만보관

, ~ 『 』 「 」

, ~ 『 』 「 」 그림(미지정)

* 이 외에, 이화여대박물관에 소장된 전칭 신사임당 매화도 8폭에도 申錫愚(1805~1865), 申應朝(1804~?) 등 19세기 문사들의 글이 적혀있다.

Page 7: 신사임당초충도 18세기회화문화의한양상1).pdf · 2015-11-03 · 은16세기문헌에기록된신사임당의그림이 ‘`lp/와 \ ÿ’였다는것을말해주

‘신사임당초충도’ 세기회화문화의한양상

액을하사받고 년에는 가세워졌다. 그러나이곳에 세기후반에이

미화재가일었고, 세기에다시화재가났고,고종대에는서원철폐의피해를입

었다.오늘날의송담서원은 세기에축조된것이다.앞에서소개한바, 세기의

‘송담서원본’이이미사임당집안에내려오던후손의필적일가능성이제시되었고,이

후서원의여러사건들속에서거듭모사가이루어졌을것으로보이며,현재의 ‘오죽

헌시박본’은적어도 세기후반에서 세기초반에걸쳐다시제작된모사본이라

판단된다.

그러나 ‘오죽헌시박본’의기본이미지와 폭구성의초충주제는 세기에널리

모사되던사임당초충도 폭의한전형을보여주고있다는점에서커다란가치가있

다.현전하는 ‘간송본’과의유사성이그증거이다도 , . <추규>화면은 ‘오죽헌시박본’

이크게잘못그려배추꽃처럼되었고, <봉선>화면은 ‘간송본’이크게잘못그려구

슬모양의꽃이되었으니,이런차이는이두본과유사한다른본들이여러본있었

다는사실을말해준다.

이에대한기존저서들의오류를수정해야할것이다.율곡학회,앞의책( ), . 에는

년으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에는 년으로기록되어있다.

그러나 , 『 』 , 「 」에의거하면,묘정비는현종이사액을내린지

년만인 ( )에세워졌다.

“ , , . , .”

, 『 』 , 「 」.기존연구에서는송담서원의화재가 세기발생했다고잘못

기록하고있다.

이원복,앞의글( )은 ‘간송본’과 ‘오죽헌시박본’의유사성을지적하고이들을묶어하나의

유형으로간주했고이유형에드는다른본들이있음을소개하여,본논의의전개에도움이된

다.아울러 ‘간송본’의 폭을정리하는데큰도움을주신백인산선생님께깊은감사를드린다.

정되고있었던만큼일정한수준을갖춘그림이었다. 세기학자들과국왕이모두

신사임당의진작으로인정한사실이나, “꽃과오이가가지가지정묘하고곤충과나

비가더욱좋아신품이며의태가생동하여붓으로그린것같지않으니,” “벌레,나

비,꽃,열매등이형상을꼭닮았을뿐아니라빼어나고총명한기운이산뜻하여살

아있는듯하여,속된화사가붓을 고먹을빨아서도달할수있는수준이아니로

다”는당시의평가가 헛된것은아닐것으로보인다.다만 ‘정필동본’과이를

한궁정모사본이남아있지않기에,양식문제를논하기는궁핍한상황이다.다행스럽

게 ‘정필동본’을구체적으로묘사한신정하의 가남아있어,시의내용에근접한화

면을추적하여볼수있다.추적의결과 ‘동아대수본’의이미지도 속에 ‘정필동본’이

반영되어있음을알수있다.정필동본의첫화면 <오이와개구리>가 ‘동아대수본’의

<오이와개구리>도 로남은경우는그좋은예이다.

2) 현전하는 ‘오죽헌시박본’과 ‘간송본’, 그리고 18세기에 기록된 ‘송담서원본’

세기에문인들이보았다는 ‘송담서원본’ 폭에대하여는상세한묘사기록이

없고그나마 세초에안치되었던작품은사라졌다.오늘날송담서원에는 ‘오죽헌시

박본’을모사한 폭병풍이실내를장식하고있다.송담서원은, 년현종에게편

“ , , , , , ,” , 「 」,

『 』 ; “ , , , , .”

, 「 」, 『 』 .

이에대한논의는,고연희앞의글( ).

《 》폭병풍

비단에자수

각폭 . × .동아대학교박물관

보물 호

Page 8: 신사임당초충도 18세기회화문화의한양상1).pdf · 2015-11-03 · 은16세기문헌에기록된신사임당의그림이 ‘`lp/와 \ ÿ’였다는것을말해주

‘신사임당초충도’ 세기회화문화의한양상

‘오죽헌시박본’은 세기말이전으로올려보기어렵다. <가지>화면에표현된가

지의삼단색처리는 ‘동아대수본’과유사한데,이는자수본혹은수본도안이회화로

옮겨진결과다도 , . 세기초 ‘정필동본’이서울에서글을받고 ‘송담서원본’이강릉

에안치되어감상될당시, ‘정필동본’은가지화면이없는 폭이었고, ‘송담서원본’은

가지화면이포함된 폭이었고,두본의양식적차이는오늘날 ‘동아대수병’의오이화

면과 ‘오죽헌시박본’의오이화면이보여주는차이의정도였으리라추정된다도 , .이

들은양식상큰차이를보이지않았고,신사임당이그렸음직한 세기초충도의내

용과양식을상당히보유하고있었을것으로판단한다.

3) 현전하는 ‘국박본’, 그리고 18세기에 기록된 ‘신경구입본’

현전하는국립박물관의초충도,이른바신경구입본으로전하는 ‘국박본’에서

<오이>장면을들어 ‘동아대수병’이나 ‘오죽헌시박본’과비교하면그화풍과양식이

상당히다르다도 , , .이러한차이는, 세기당시의 ‘정필동본’과 ‘신경구입본’의차

이를반영할것으로보인다.

‘국박본’도 은신경이구입한 세기의 ‘신경구입본’그대로이며,근대기새로표

구된상태로현재국립박물관에전하고있다고판단한다. 세기초 ‘신경구입본’은

신경이구매한물건이며신경외에다른누군가가그당시이그림에추가적글을부

쳐준일이없다.매우도안화된화면으로당시이름난정필동본이나송담서원본과

다른양상이었으니,이그림을구입한신경의글에서도신사임당의진작이라는설

명에서구차한어조가느껴진다. ‘국박본’은양식사적으로 세기후반즈음조선에

서제작된초충도로,회화작품이라기보다는대칭의구도로도안화된수본이었을가

능성이크다. <가지>화면의가지하나가흰색으로남아있는점은회화로완성된작

품이아니라는사실을암시하고,그림여기저기에녹색이나먹색이덧칠해진부분

을보면,이그림이 세기이후에다시만들어진모사본은아니라고판단된다. 조

선전기와중기, , , 등에의해화초,초충,과실그림이제작되고있

필자의 년 월한국미술사학회발표때, ‘국박본’의 에대한장진성교수의질의가있었

다.이질의로인해다시살필기회를가진점에감사드린다.필자의고찰과판단에따르면, ‘국박본’

은신경구입본그대로전달된것이다. ‘국박본’은신경이구입할당시의구차한기술과는달리,한

국회화사를저술한이동주에게전달되어현재 ‘국박본’의한폭에적혀져있는오세창의글을받아

세상에널리알려질수있었고,이원복앞의글( ),주 에소개된박물관유물카드내용 ‘

, . . ’이보여주는바당시현직대통령의기증이란화려한수

장경로로인하여근현대기오랜기간신사임당초충도의대표이미지로군림할수있었다.근현대기

사임당초충도의위상과담론에대한상세한내용은조규희,앞의글( )참조.

《 》폭병풍

종이에채색

각폭 . × .강릉시오죽헌시립박물관

《》

종이에채색

각폭 . × .간송미술관

‘봉선’

‘추규’

‘봉선’

‘추규’

Page 9: 신사임당초충도 18세기회화문화의한양상1).pdf · 2015-11-03 · 은16세기문헌에기록된신사임당의그림이 ‘`lp/와 \ ÿ’였다는것을말해주

‘신사임당초충도’ 세기회화문화의한양상

다. 에들면서초충도는화면의장식화와도식화로진행되었다.조선으

로명대초충도가유입되었고,조선전기문인들은 이나 등이그린초충도

를기록하고칭송하였는데표 ,각화초나곤충이지닌전통의상징으로내용을읊었

을뿐인간사회를풍자하는측면은보여주지않았다.신사임당의산수화에제화시

를쓴소세양도초충화훼도류의그림을보고제화시를남겼으나,철학적사유를담

지않았고화가이름을명시하지않았다. ~ 세기에초충이라는회화장르는그

자체로정신적경지가담보된비중있는회화작품으로인지되지않았고주요한회화

장르로처리되지않았다.이러한상황에서 세기의신사임당이회화든자수도안이

든초충도를그렸다하더라도그시절남성학자들이의미를두어기록하지않았을

것이다.

앞에서살핀바와같이, 세기이후로신사임당그림은아들이이의학문적

성과에힘입어칭송되었으며,송시열이신사임당 그림에부친시가 의그

림에도오르면서,신사임당초충도가관심대상이되었다. 세기에부상한사임당

초충도는, ‘성리학자인율곡선생모친이그린초충’이라는측면에서그의미가부여

에부쳐졌던제화시의내용으로알수있다.대표적예로 ( ~ ) 「

」, 『 』 ; ( ~ ), 「 」, 『 』 등이있

다.송원대초충도에부쳐진철학적의미에대하여필자는별도의원고를준비중이다.선행연구로

, ,

( - )( : , )가대영박

물관소장품 , 《 》( , )위의제화시내용을소개된바있다.그러나전반적

이해에이르기에미흡한상황이다.이와관련하여시간을내어필자의논의를도와주신위트필드

교수께감사드린다.

었다.그내용은 <표 >으로볼수있다.이

로보아 ‘정필동본’의내용은 세기제작

이가능한내용이다.한편 ‘신경구입본’은

초충도의도안화된후대양상이며 세기

에는유사한양식의초충도들이유전하고

있었을것으로보인다.일본에전하는 <양

귀비>와 <화훼도>의여뀌와나팔꽃과비

교해볼수있다도 , , , . ‘동아대수병’

의 <가지>는 ‘국박본’의가지와화면구성에

서유사하며, <원추리>에매미가붙은장면

도그러하다. ‘동아대수병’은 ‘정필동본’의

모사본을밑그림으로하면서도당시에유

통되던수본도안도조합하였기때문이다. ‘동아대수본’은자수작품이기에당시의자

수본도안을참조하였을가능성이높다.

요컨대, ‘오죽헌시박본’과 ‘간송본’은 세기의초충내용과양식을일정량보유

하고있는 세기후반의모사본들이며, ‘국박본’은 세기에매매되던 ‘신경구입본’

으로 세기즈음의도안화된초충도양식을보여주는그림이다. ‘동아대수병’은

세기후반즈음제작된자수병인데사라진 ‘정필동본’의밑그림과당시유전하던자

수도안을조합하여제작된것으로판단된다.유의할점은 ‘오죽헌시박본’ ‘간송본’

‘동아대수병’이모두거듭모사된결과의모사본들로,이들이 세기의조형이미지

를어느정도보유한다하더라도, 세기에인지되고의미화된신사임당초충도로

정착된이미지들이라는점이다. ‘신경구입본’은신사임당명성의부상에힘입어이름

을얻은것이며사실상신사임당의유적과가장관련이적은그림이될터지만 세

기사임당전칭작제작에일정한기여를하면서 세기초충도회화사로편입된그림

이다.따라서이그림들은모두 세기회화문화속에서그위상과의미를부여받을

수있다.

. 세기‘초충’의화제,그의미

중국에서일찍이 에조충 폭이나 폭으로곤충과화초가널리그려

질때,이들곤충그림의의미는인간과사회를풍자하고비유하는심각한내용이었

<가지>도 《 》의세부

<가지>도 《 》의세부

<오이>도 《 》의부분

<오이>도 《 》의부분

<오이>도 《 》의부분

Page 10: 신사임당초충도 18세기회화문화의한양상1).pdf · 2015-11-03 · 은16세기문헌에기록된신사임당의그림이 ‘`lp/와 \ ÿ’였다는것을말해주

‘신사임당초충도’ 세기회화문화의한양상

되기시작했다.

세기노론학자들에게있어서의율곡이가지는학파적위상은여기서따로

논할필요가없기에, 세기성리학에서 ‘ ’의의미가어떻게정립되었는지살

피고자한다.송시열의글을보면,초목을만물의 의근본으로보고그의미를

말하는부분이종종있는데,다음구절은그가정리한성리학적초충의의미를가

장잘보여준다. “무릇 의 는 로부모를삼는것이라,무릇평생에 에

송시열을중심으로한학통의정치적문화구조의양상은,조규희, 조선유학의 ‘ ’의식과

, 역사와경계 ( )참조.

간것이라면, ‘ ’까지나와더불어모두나의사랑하는것속에둘지라.” 성

리학자들이 을살펴우주의이치를밝히는데,초충은만물중 이며,미물

의말단이다.율곡의모친이초충을그린것은성리학의사유체제속으로자연스럽

게받아들여졌다. 세기문헌기록에서송시열이산수화를부정하고초충화훼류를

추켜세운이유에대하여기존의연구는산수와초충의대결구조로파악하는경우

가대부분인데,사실상송시열이부정한것은 가아니라그림속 의요소였

다.성리학자송시열이 를부정할이유는없다.스님이그려진산수화를율곡모

친의그림으로인정할수없었던까닭이다.반면 의주제는성리학의사유

에서적극적으로수용하고부각시킬만한주제였다.

김진규는 ‘정필동본’을보고 『시경』의 ‘초충’노래로그 의미를부여하여,

“「 」과 「 」는 의어머니 이지은바요, 「 」, 「 」, 「 」에서는

덕화가이루어져, ‘ ’이라노래되는 「 」에이르렀으니,이가곧이그림의

내용이다”라하였다. 이글에서 을말한것은 ‘ (혹은 )’의 ‘ ’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세기전반

종이에채색

각폭 . × .국립중앙박물관

표6 조선시대 ‘초충도’ 감상의 양상 (15세기 후반~17세기 전반)

화가명 기록자 /글제목/출전 그림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미상( 세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미상, 세기전반( ~ )

「 」 『 』,

미상, 세기전반「 」 『 』

,

미상, 세기( ~ )

「 」 『 』, , ,

미상, 세기~ 세기( - )

「 」 『 』( ) , ,

이암

이징( )

-?

( ~ )

「 」 『 』

‘ ’이징의초충은이암보

다핍진하지않다( ...

, )

( ~ )

「 」 『 』

‘ ’이징이법도를얻었다

( , )

Page 11: 신사임당초충도 18세기회화문화의한양상1).pdf · 2015-11-03 · 은16세기문헌에기록된신사임당의그림이 ‘`lp/와 \ ÿ’였다는것을말해주

‘신사임당초충도’ 세기회화문화의한양상

곧 ‘ ’임을연상시킨다. 「 」, 「 」,

「 」은모두시경의편명이며, 「 」편

은시경국풍 의노래로 “찍찍벌레소

리와펄쩍펄쩍뛰는소리,군자를못보아

근심이가득가득 ( , ,

, )”이란노래이다.가을

벌레울음속에서지아비를그리고가족

을염려하는여인의마음으로해석된다.

혹은신사임당의초충그림에서그녀의

을찾은학자들도있다.

세기신사임당초충도에대한의

미부여와존중은, 세기회화사에서초

충도의풍성한제작과감상을견인했고나

아가 세기백자의문양에유례없는초

충문시문을이끌었다. 산수화가 이

남긴초충도류그림은신사임당초충도의

의미와인기에서비롯되었다. 정선의 <오

이와개구리>는동아대수본외의여타신사임당전칭작에서찾아볼수없는 ‘정필

동본’의 “첫 폭,오이넝쿨둑에뻗고그아래두꺼비가오르려하네(

, )”를그리고있고도 ,정선의 <여뀌와두꺼비>(국립중앙박물관)

에는 ‘정필동본’의 “제 폭,붉은여뀌이리저리꽃은무겁고가지는가늘어하늘하

늘수그러져( , )”가그려져있는양여뀌가휘어져

내리는모습이그려져있다. 궁중에서모사될때 ‘정필동본’은 의소유였고,

모사후김주신에게돌려졌으며,김주신은늘그막까지 과친밀하게지냈다.

정선이노론학자들의요구속에서신사임당초충도의화풍을정성스럽게제작하여

제공하였던상황은그추정이어렵지않다.조선시대 세기문헌기록에서,정선의

초충도에대한기록은찾아보기어렵다.정선이그린초충도의존재의미는율곡모

가타야마 마리코, 「조선미술에 있어서의 초충도의 전개」, 『 』( , ),

. - .

의초충도와신사임당초충도의연관성문제는, ,앞의글( ), . - 에서거론

된바있다.

‘정필동본’각폭묘사는, , 「 」 <표 >의내용이다.

친의초충주제에있었기에,정선이란화가작품임을내세워

글을쓸필요는없었을것이다.정선이남긴어여쁜초충도

들은율곡모친의초충주제선호와의미속에서기능한그

림들이었다.

Ⅳ. 맺음말

문헌기록과사실현상을함께볼때역사적실상과시

대적의미를함께읽어낼수있다.문헌으로보자면 세기

정선은초충을그리지않았다.문헌기록정리에서 세기

신사임당이초충을그리지않았던점을이와함께생각해

보아야할것이다.문헌기록은,사실을입체적으로혹은종

합적으로반영하지않지만,그시대의문화현상및문화코

드의의미에대하여는사실보다정확한것을보여준다.

세기에신사임당초충도가집중적으로기록된문화현상은

이점을고려하여설명되어야한다.

‘신사임당초충도’에대한 세기학자들의관심속에서, 세기에는거론된

바없는 ‘신사임당초충도’가 세기에대거기록되었다. 세기의기록세계속에서,

신사임당의작품이세상에소개되었고신사임당작품이아닌것이신사임당작품으

로이름을바꾸었으며신사임당작이모사되어또다른신사임당작으로남았다.이

러한기록속현상은사실의일부지만,이현상들이합하여져 ‘ 세기신사임당초

충도’라는회화문화를만들었다.

‘ 세기신사임당초충도’는성리학자율곡선생모친의정신과기운으로의미

를부여받았다.그림속초충의의미는만물을살피는인자한마음이요세상을염려

하고가족을생각하는여성의마음이요,대학자율곡을태생시킨정신과기운의응

집이었다.이러한의미부여속에서관심밖에머물던 세기의초충도양식이 세

기로불려나와부활되고유행되었다.신사임당초충도라는주제의의미와초충도

의활성화는 세기동아시아회화사에서조선에서만특이하게나타났던문화현상

이었다.송시열을중심으로했던성리학파학자들이합심하여진행시킨이문화현상

은,정선으로하여금신사임당양식의초충도를그리도록하였고도자기에도초충

문양이다양하게시문되는영향력을발휘했다.조선시대 세기에펼쳐진초충이미

<양귀비>도 《 》의부분

< >세기비단에수묵

. × .일본개인

(고려미술관,『화훼초충』도 )

<여뀌와나팔꽃>도 《 》의부분

《 》부분세기추정비단에채색

.× .일본개인

<오이와두꺼비()>

비단에채색 . × .간송미술관

Page 12: 신사임당초충도 18세기회화문화의한양상1).pdf · 2015-11-03 · 은16세기문헌에기록된신사임당의그림이 ‘`lp/와 \ ÿ’였다는것을말해주

‘신사임당초충도’ 세기회화문화의한양상

지의세계는,조선시대성리학사막장에서펼쳐진이미지세계였고,그이미지는학

문적의미가지나치게각별한방법으로부여된것이었다.

요컨대,한국회화사에서 ‘신사임당초충도’는 세기문화사및지성사의이해

속에서그위상과의미를차지하는그림문화이고,그회화양식은고전양식이조합

된 세기양식이다.따라서 ‘신사임당초충도’및전칭사임당초충도 ‘들’은조선시

대 세기회화문화의한양상으로자리매김되어야할것이다.

논저

, , 「조선 후기 지식인의 회화경험과 인식: 『이재난고』를 통

해본황윤석의회화경험과인식을중심으로 ’ x

:

( )」, 『이재난고로 보는 조선 지식인

의 생활사

( )』 , :

, .

, , 「 의 ,

」, 『 』

, :

, .

, , 「동아대학교박물관소장 <초충도수병>,그회화사적가치

-

」, 『강원의위대한

문화유산 』 ,

: , .

박지현 , , 「화가에서어머니로:신사임당을둘러싼담론의역사

: (

)」, 『

』 , .

, , 「 」 , 『

( )』 , .

이숙인 , , 「신사임당담론의계보학( ):근대이전

: - 」, 『

』 , .

, , 「조선시대

」 , 『 의 ,

, , 』, 중앙일보사

: , .

, , 『(완성판) 사임당의 생애와 예술

』,성문각 : , .

주제어 keywords

申師任堂 Shin Saimdang, 草蟲圖 Painting of Plants and Insects, 宋時烈 , 朝鮮 Joseon, 模寫 copyof painting

투고일 2013년 8월 19일 | 심사일 2013년 9월 16일 | 게재확정일 2013년 9월 30일

참고문헌

Page 13: 신사임당초충도 18세기회화문화의한양상1).pdf · 2015-11-03 · 은16세기문헌에기록된신사임당의그림이 ‘`lp/와 \ ÿ’였다는것을말해주

‘신사임당초충도’ 세기회화문화의한양상

Kho, Youenhee

“ ’ ”

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타쿠라마사아키( ) , 「동아시아적관점에서본조선왕

조 초충도의 역사적 위치

」, 『 ·

』, :

: , .

가타야마마리코( ) , 「조선미술에있어서의초충도의

전개 」, 『

· 』, :

: , .

, ,

( - ), :

, .

ABSTRACT

Page 14: 신사임당초충도 18세기회화문화의한양상1).pdf · 2015-11-03 · 은16세기문헌에기록된신사임당의그림이 ‘`lp/와 \ ÿ’였다는것을말해주

‘신사임당초충도’ 세기회화문화의한양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