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리포트 취합중 20140819 [호환 모드] - bondweb · 2014. 8. 20. · i....

56

Upload: others

Post on 09-Feb-2021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I. 기후변화와 투자전략

    1) 기후변화의 개념과 대응 6

    2) 기후변화에 따른 투자전략 20

    II. 기후변화 관련 산업별 투자 아이디어

    1) 레저/엔터 기상 양극화로 실내외 여가 수요 증가 24

    2) 유통 기회와 위협의 상존 26

    3) 음식료 변화 속에서도 안정적인 기업 찾기 28

    4) 금융 위기를 새로운 비즈니스의 창출 기회로 30

    5) 건설 탄소 저감, 물부족 해소에 관심 증대 32

    6) 기계/상사 업종간 희비 교차, 발전소 건설은 호재 34

    7) IT 저전력 인프라 및 IT기술의 기후변화 대응에 활용 36

    8) 조선 에코쉽과 LNG생산설비 발주 증가 38

    9) 정유/화학 에너지 수요변화에서 새로운 기회 찾기 40

    10) 운송 선박의 과잉공급과 항공의 대응 비용 증가 42

    11) 자동차/부품 연비규제 강화에 대한 대응력 강화 44

    12) 철강 장기적으로 구조조정 촉진의 기회 요인 발생 46

    13) 유틸리티 전력 수요관리에 대한 관심 집중 48

    14) 지주회사 기후변화 방지를 위한 에코 에너지 50

    15) 스몰캡 기후변화의 예방과 대응 관련 종목 52

    - 본 자료에 게재된 내용들은 본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작성되었음을 확인합니다.

    - 발간일 현재 동 자료의 조사분석담당자는 조사 분석 대상 법인의 주식관련 금융투자상품 및 권리를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 본 자료는 기관투자자 및 제3자에게 사전 제공된 사실이 없습니다.

    - 당사는 2014년 8월 20일 현재 두산 종목의 자기주식 매매 거래 위탁증권사(2014년 5월 29일 ~ 2015년 5월 28일)임을 알려드립니다.

    - 본 자료는 투자자의 투자를 권유할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 아니라, 투자자의 투자판단에 참고가 되는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된참고 자료입니다.

    - 본 저작물은 KB투자증권㈜가 저작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저작권자의 허락 없이는 이를 무단전재, 재배포 또는 판매할 수 없습니다.

    [Compliance Notice]

    Contents

  • - 기후변화는 장기적이고, 지속적으로 산업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며, 영향력이 점진적으로 확대되고 있음

    - 산업계에서는 기후변화에 대한 적극적 대응을 통해 리스크를 줄이고, 새로운 Business 기회를 찾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음 (피해영역 à 순응 및 적응영역 à 대응 및 기회의 영역으로 패러다임 변화)

    - 본 보고서는 기후변화에 대한 산업별 (섹터) 영향과 투자 아이디어를 정리한 자료로 향후 투자자분들이 기후변화로 발생될 수 있는 투자 기회의 포착과 리스크 대응에 도움을 드리고자함

    취 지 기후변화에 따른 산업별 투자 아이디어를 제시

    기후변화 영향에 따른 투자 아이디어 Map

    자료: KB투자증권

    요 약 기후변화의 영향은 산업별로 리스크 요인과 신규 Business 기회가 공존함

    Executive summary

    영향도 (낮음)영향도 (높음)

    부정적 영향

    [레저] 여행/호텔시장확대, 복합리조트 증가(아열대 기후)

    [음식료] 음료/신선식품수요증가 (폭염)

    [자동차] 친환경자동차 확대(에너지 절감)

    [화학] 신재생에너지시장확대 (대체에너지 필요)

    [IT] 전력소모 낮은IT수요 증가(환경정책 변화)

    [건설] Eco 빌딩설계/시공사업 (에너지 절감)

    [유통] 홈쇼핑, 온라인 쇼핑복합몰 수요 증가(소비 패턴 변화)

    [금융] 재보험 수요 증가(대형 자연 재해)

    [음식료] 곡물가격 변동으로원가 상승 (기상 이변)

    [조선] 에코쉽/LNG선수요증가 (온실가스 감축)

    [건설] 수처리/해수담수화사업확대 (물부족 문제)

    [운송] 저지대 공항 침수(해수면 상승)

    [철강] 전기료 인상, 탄소배출권 구매 비용 증가(대응 비용 증가) [상사] 석탄광구

    수익성 악화(석탄 수요 감소)

    [유통] 의류업체 재고 증가(날씨 변동성 확대)

    [건설] 건설 프로젝트공기 지연 (기후 이변)

    [운송] 북극항로 이용시선박공급 과잉으로 운임하락(온난화로 빙산 녹음)

    [자동차] 소형차 수요 증가로마진율 하락(에너지 절감 정책)

    [IT] 날씨예보를 위한슈퍼컴퓨터, 빅테이터 활용(기상 이변 대응)

    긍정적 영향

    [건설] 항만공사, 해안선 공사 특수(해일, 홍수, 범람)

    [음식료] 음료업체 수질관련시장입지 증가 (수질변화)

    기후변화의 심화

    지구 온난화 영향

    - 폭염 / 한파

    - 홍수 / 가뭄

    - 해수면 상승

    산업계에 영향

    새로운 Business 기회

    대응 비용의 증가

    투자 아이디어

    새로운 Business 기회로

    활용하여 성장하는 기업

    기후변화로 발생 가능한

    리스크에 대한 적절한

    통제 가능 기업

    [유틸리티] 전력수요관리스마트그리드, ESM, ESS 시장확대 (전력 효율성)

    4

    [기계] 복합발전소/기자재납품증가 (전력부족)

    [철강] 중국 철강업체구조조정 촉진 (대응 비용 증가)

    KB리서치센터

  • I. 기후변화와 투자전략

    1) 폭염 (暴炎)과 마른 장마 등 이상기후 급증 6

    2) 이상기후, 전세계적인 문제점으로 부상 7

    3) 기후변화 (Climate Change)의 개념 8

    4) 이대로 간다면, 미래의 기후는? 9

    5) 한반도의 미래 기후 전망도 우려 상황 10

    6) 기후변화 대빈의 필요성 11

    7) 범지구적 차원의 기후변화 대응 12

    8) 국가별 기후변화 대응전략 13

    9) 지속 가능 성장을 위한 Green Economy 14

    10) Green Tech의 폭발적 성장 전망 15

    11) 우리의 미래 전략, 녹색성장 16

    12) 한반도의 감축과 적응, 그리고 성장 17

    13) 기후변화는 위협이자 기회 18

    14) 위협을 기회로 바꾸는 기업 사례 19

    15) 기후변화에 따른 투자전략 20

  • ‘폭염’- 더워도 너무 덥다

    - 금년 여름은 ‘마른 장마’가 지속, 7월 전국 강수량은 152.7mm로 평년 (289.7mm) 대비 53%에 불과

    - ‘마른 장마’ 원인은 북태평양 고기압이 엘니뇨로 약해졌기 때문. 금년 엘니뇨는 중 (中)급 전망 (Nino3.4 index

    5개월 평균 온도 +0.4℃ 내외)

    - 폭염과 마른 장마 영향으로 ‘제습기 판매 감소 vs. 에어컨 판매 증가’, 몰링 (malling) 증가, 백화점 세일 호조

    ‘마른 장마’- 평년보다 늦은 장마와 적은 강수량

    비가 오지 않는 여름, 마른 장마 엘니뇨 현상과 국내 일강수량 증감

    자료: 기상청, KB투자증권 자료: 기상청, KB투자증권

    6

    - 해마다 서울 등 주요 대도시의 열대야 및 폭염이 기승

    - 8월 1일, 소방방재청에서 금년 처음으로 폭염특보 발송, 동남부 지역에서 상류한 태풍 영향

    - 2013년 여름철 폭염일수와 열대야일수가 큰 폭으로 증가, 내륙지역뿐만 아니라 해안지역에서도 폭염과 열대야빈번

    - 마른 장마에도 높은 습도 때문에 불쾌지수도 상승

    8월 1일, 동남지역의 태풍과 서울지역의 폭염 2013년 여름철 지역별 폭염일수와 열대야일수

    자료: 기상청, KB투자증권 자료: 기상청, KB투자증권

    1) 폭염 (暴炎)과 마른 장마 등 이상기후 급증

    문정희 수석연구원 3777-8092

    26,996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984년 1989년 1994년 1999년 2004년 2009년 2014년

    전국 일강수량

    (mm)

    평균 57,862

    (1.5)

    (1.0)

    (0.5)

    0.0

    0.5

    1.0

    1.5

    2.0

    1973년 1981년 1989년 1997년 2005년 2013년

    (40,000)

    (30,000)

    (20,000)

    (10,000)

    0

    10,000

    20,000

    30,000

    전국 일강수량 증감 (평균 대비, 우)

    Nino3.4 index 연평균 온도 (좌)

    (℃) (역계열, mm)

  • 북미 지역은 ‘냉동고 한파’, 남미 지역은 ‘살인적 폭염’

    - 지구촌 이상기후의 주요 원인은 ‘제트기류의 남하’, 북극 찬 공기를 둘러싼 폴라 캡 (polar cap)의 약화

    - 1979년에 비해 2007년 북극 빙하는 20% 감소, 남쪽에서는 엘니뇨라는 따뜻한 공기가 북상

    - 북극 빙하 해동 현상과 엘니뇨 현상 등은 모두 지구 온난화가 근본적 원인

    지구 온난화로 북극 빙하 해동 ⇒ 제트기류의 남하, 엘니뇨의 북상

    7

    - 2014년 1월, 미국 북동부 지역은 100년 만에 ‘냉동고 한파’. 주요 대도시 기온이 섭씨 50도까지 하락

    - 북극 한파로 경제적 피해는 50억 달러 (미 GDP 0.2%) 추정, 1분기 GDP는 한파 영향으로 2.1% 감소

    - 같은 기간 남미 지역은 고온, 폭염. 브라질 남부 포르투시 기온은 37.5℃로 역사상 가장 높은 1월 기온 기록

    - 동 기간 영국은 폭풍과 홍수, 동남아 라오스와 필리핀은 이상 한파

    금년 1월 미국 북동부 지역의 ‘냉동고 한파’ 같은 기간 남미 지역은 ‘살인적 폭염’

    자료: Google, KB투자증권 자료: Google, KB투자증권

    2) 이상기후, 전세계적인 문제점으로 부상

    문정희 수석연구원 3777-8092

    지구촌 이상기후의 원인은 제트기류의 남하 1979년에 비해 20% 감소한 북극 빙하

    자료: Google, KB투자증권 자료: Google, KB투자증권

  • 과거 100년 동안 지구 온도 0.74℃ 상승

    - 지구 온난화로 북극 해빙의 감소, 1980년 이후 30여 년 동안 북극 해빙은 20% 감소

    - 북극 해빙의 감소와 강수량 편차 증가 등은 지구 해수면 높이 상승에 영향

    - 지구의 평균 온도가 0.4~0.6℃ 상승할 경우, 해수면 높이는 3.2 ± 0.5 mm/yr 상승

    북극 해빙의 감소로 해수면 높이 상승

    북극 해빙 범위 편차 지구의 평균 온도 상승으로 해수면 높이도 상승

    자료: IPCC, KB투자증권 자료: RealClimate, KB투자증권

    8

    - 기후변화의 정의, ‘일정한 지역에서 장기간에 걸쳐 진행되고 있는 기후의 변화’

    - 지구 온난화, 1880년부터 2000년까지 지구 평균 온도는 0.74℃ 상승

    - 지구 온난화의 주요 원인은 온실가스 (GHG) 배출, 1980년부터 신흥국의 산업화와 도시화 등으로 급격히 증가

    - IPCC 3차 보고서 이후 인위적 영향은 평균 기온뿐만 아니라 해수면 상승, 저기압 경로, 극한 저온 및 고온 등다양한 요소로 나타남

    1880년부터 2000년까지 지구 온도 0.74℃ 상승 지구 온난화의 주요 원인은 이산화탄소 배출

    자료: IPCC, KB투자증권 자료: IEA, KB투자증권

    3) 기후변화 (Climate Change)의 개념

    문정희 수석연구원 3777-8092

  • 온실가스 배출 증감에 따라 지구 온도 2.0~5.8℃ 상승

    - 모든 시나리오에서 향후 20년간 ‘0.2℃/10년’의 온난화 불가피

    - 온난화로 변화게 될 2050년 지구에는 러시아 북부 지역의 사막화, 남부지역은 질병확산, 아시아 지역은 폭우, 홍수 등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

    - 2050년 미국, 남동부 지역은 해수면 상승 등으로 극심한 물 부족 전망

    - 지구 온도 1.5~2.5℃ 상승할 경우 생태계 20~30% 멸종 위기에 직면

    현재 수준이 지속된다면 (RCP 8.5), 온난화로 변화게 될 지구

    온난화로 변화게 될 2050년의 지구 2050년 미국, 남동부 지역의 극심한 물 부족 전망

    자료: 기상연구소, KB투자증권 자료: IPCC, KB투자증권

    9

    - RCP 8.5, 현재 추세 (저감 없이)로 온실가스가 배출되는 경우 ⇒ CO2 940ppm, 2100년 4.7~5.8℃

    - RCP 6.0, 온실가스 저감정책이 어느 정도 실현되는 경우 ⇒ CO2 680ppm, 2100년 3.2~3.9℃

    - RCP 4.5, 온실가스 저감정책이 상당히 실현되는 경우 ⇒ CO2 540ppm, 2100년 2.9~3.6℃

    - RCP 2.6, 인간 활동에 의한 영향을 지구 스스로 회복 가능한 경우 ⇒ CO2 420ppm, 2100년 2.0~2.5℃

    * RCP (대표농도경로), 온실 가스 등으로 에너지 평형을 변화시키는 영향력 정도

    RCP 2.6~8.5 시나리오별 CO2 농도 온실가스 배출 증감에 따른 지구 온도의 변화

    자료: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 KB투자증권 자료: UK Met Office’s Hadley Centre, KB투자증권

    4) 이대로 간다면, 미래의 기후는?

    문정희 수석연구원 3777-8092

  • 지구 온난화로 한반도의 기온 상승, 강수량 증가

    - 한반도의 온난화 확대로 농작물 피해, 4℃ 이상 상승 시 사과 등 과일 재배 소멸

    - 3℃가 상승할 경우 경작 피해 규모는 30%, 5℃ 상승할 경우 피해규모는 70% 상회

    - 기온 상승에 따른 질병확산, 물 부족, 기근 등에 취약

    농작물 피해, 물 부족, 곡물 생산량 감소 등

    한반도의 미래 기온 전망 한반도의 기온 상승에 따른 곡물 생산 감소 전망

    10

    - 온실가스 배출량에 따라 한반도의 2100년 기온은 현재보다 3.0~5.7℃ 상승

    - 기온 상승으로 인해 한반도의 평균 강수량도 현재보다 250mm 증가, 남부지역은 아열대 기후로 변화

    - 한반도의 기온 상승은 전 지구의 기온 상승보다 큰 폭이며, 아시아의 기후변화 취약성 등에 연동

    RCP 4.5와 RCP 8.5의 한반도 평균 기온 온도 한반도의 평균 강수량 전망

    자료: 국립기상연구소, KB투자증권 자료: 국립기상연구소, KB투자증권

    5) 한반도의 미래 기후 전망도 우려 상황

    문정희 수석연구원 3777-8092

    12.4

    13.414.0

    14.4

    16.7

    11.0

    12.5

    8

    10

    12

    14

    16

    18

    1981~2010 2011~2040 2041~2070 2071~2100

    RCP 4.5

    RCP 8.5

    (℃)

    1,308

    1,403

    1,443

    1,564

    1,308

    1,367

    1,5631,549

    1,200

    1,300

    1,400

    1,500

    1,600

    1981~2010 2011~2040 2041~2070 2071~2100

    RCP 4.5

    RCP 8.5

    (mm)

    자료: 국립환경과학원, KB투자증권 자료: 국립기상연구소, KB투자증권

  • 기후변화에 대한 사전 대응이 필요

    - 지구 생태계의 안정, 세계경제의 지속 성장 등을 위해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 (Responses) 마련이 필요

    - 대응은 기후변화의 원인인 ‘온실가스 감축 (Mitigation)’과 기후변화에 따른 ‘계획된 적응 (Adaption)’으로 구분

    - 감축은 기후변화 속도를 늦출 수 있으며, 적응은 기후변화로 인한 손실을 줄일 수 있음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 (Responses) = 온실가스 감축 (Mitigation) + 계획된 적응 (Adaption)

    기후변화 적응의 순서도

    자료: IPCC, KB투자증권

    11

    - 기후보호 행동 촉구, 시간이 지날수록 기후보호의 비용과 손실은 급격히 증가

    - 2005년과 2025년 기후보호 행동의 시뮬레이션 결과 20년 지연은 기후변화로 인한 손실이 무려 다섯 배 증가

    - 지구 온도가 3℃로 상승할 경우 세계 GDP는 연간 0.9% 손실, 4℃로 상승할 경우 연간 2.1% 손실 (영구적 손실)

    6) 기후변화 대비의 필요성

    문정희 수석연구원 3777-8092

    2005년과 2025년에 필요한 기후변화 비용과 손실 지구 온도 3℃와 4℃로 상승시 세계 GDP 손실분

    자료: DIW Berlin, KB투자증권 자료: 미국 경제자문위원회, KB투자증권

    431

    3,007

    478

    3,350

    1,322

    3,783

    15,368

    3,384

    0

    4,000

    8,000

    12,000

    16,000

    20,000

    2050 2100 2050 2100

    2005 2025

    기후보호 비용

    기후변화 손실

    (십억 달러)

    0.9

    2.1

    0.0

    0.5

    1.0

    1.5

    2.0

    2.5

    3℃ 상승 4℃ 상승

    World GDP

    (%)

    Climate Change(including variability)

    Impacts andAutonomous Adaption

    Responsesand Investments

    Planned AdaptionMitigation

    (reducing greenhousegas emission)

  • 지구 온난화 문제를 해결하려는 국제사회의 노력

    - 1997년 제3차 당사국총회에서 '교토의정서'채택,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최초의 구속력 있는 대응체제 마련

    - 2012년 교토의정서의 1차 공약기간 종료를 앞두고, 포스트 교토 기후체제에 대한 협상 본격화

    - 2009년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개최된 기후변화 협상회의 (COP15)는 선진국과 개도국 간의 첨예한 입장차로 인해구속력 있는 합의 도출에 실패

    - 2010년 제 16차 당사국총회에서 코펜하겐 합의문의 주요 내용을 구체화한 ‘칸쿤 합의문’이 도출·채택되면서 포스트교토 체제 협상 타결을 위한 초석 마련

    선진국과 개도국을 아우르는 기후변화체제 논의 본격화

    UN기후변화협상 주요 경과

    12

    - 지구 온난화가 전세계적인 문제로 부상함에 따라 국제사회는 1992년 이후 매년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를 개최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

    기후변화협상의 진행 과정

    자료: KB투자증권

    7) 범지구적 차원의 기후변화 대응

    최승혜 연구원 3777-8076

    회의명(개최시기) 성과 주요 내용

    리우 환경개발회의(1992년)

    기후변화협약(UNFCC)

    - 공동 차별화 원칙에 따라 협약 당사국을 Annex Ⅰ와 Annex Ⅱ, Non-Annex Ⅰ로 구분하여각기 다른 의무를 부담하도록 규정 (한국은 1993년 12월 47번째로 가입)

    UNFCC 제3차 당사국총회

    (1997년)

    교토 의정서(Kyoto Protocol)

    - 선진국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의무 명문화- 201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 1990년 수준의 평균 5.2% 감축

    제13차 당사국총회(2007년)

    발리 로드맵(Bali Roadmap) - 교토의정서 만료 이후 선진국과 개도국이 모두 참여하는 기후변화 대응 논의

    제15차 당사국총회(2009년)

    코펜하겐 합의문(Copenhagen Accords)

    - 2012년 이후 선진국 추가감축, 개도축 감축 참여, 선진국의 재정지원 등을 내용으로 하는기후변화체제 논의

    제16차 당사국총회(2010년)

    칸쿤 합의문(Cancun Agreements)

    - 개도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지원하기 위한 녹색기후기금 (Green Climate Fund) 설립 합의- 202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 90년 대비 25~40% 감축

    1992년 6월UNFCC 체결

    1997년 12월교토의정서 채택

    2007년 12월발리 로드맵 채택

    2009년 12월코펜하겐 합의문 도출

    2010년 12월칸쿤 합의문 채택

    2000~2014년1996~2000년1991~1995년

    자료: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KB투자증권

  • 선진국을 중심으로 국가별 기후변화 관련 법안 마련

    - 특정 부처를 중심으로 대응전략을 수립하는 한편, 기후변화 리스크를 평가하고 관리하는 국가적 차원의 프레임워크 구축

    - 영국: 환경식품농무부 (Defra)를 중심으로 식품농업 토지관리, 자연환경, 홍수, 해양, 폐기물 부문 적응방안 마련

    - 미국: ICCATF (Interagency Climate Change Adaptation Task Force) 중심의 수자원, 에너지, 수송, 농업, 생태시스템, 보건, 사회 등 7개 부문 적응전략 수립을 지원

    - 호주: 기후변화에너지부 (DCCEF)를 중심으로 수자원, 해안, 생물다양성, 농림수산업, 보건, 관광 및 사회기반 시설업, 재해 부문에 대한 전략 수립

    주요 선진국의 기후변화 적응전략

    영국의 기후변화 적응전략 수립 체계

    자료: 국가기후적응센터, KB투자증권

    13

    - 미국과 캐나다가 교토의정서를 탈퇴하는 등 전세계적인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는 가운데, 각국 정부는 온실가스감축 및 기후변화 관련 법안을 입법화하는 등 대응책 마련

    - 세계 1위 온실가스 배출국이라는 오명을 안고 있는 중국 역시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 감축정책 적극 추진

    - 한국은 온실가스 감축 의무국가는 아니지만,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기구를 설치하고 법제를 마련하는 등 기후변화에 대처하고 있음

    국가별 기후변화법안 주요 내용

    자료: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KB투자증권

    8) 국가별 기후변화 대응전략

    국가 대표 법안 구분 주요 내용

    EU기후 및 에너지

    패키지(2008년)

    온실가스 감축 - 2020년까지 20%, 2035년 50% 감축 (1990년 대비)

    탄소배출권 거래 - 에너지 과다소비 산업을 중심으로 2005년부터 배출권 거래제 (EU-ETS) 본격 시행

    탄소세 부과 - 1990년 핀란드를 시작으로 10여개국이 탄소세 도입

    미국청정에너지안보법안(2009년)

    온실가스 감축- 배출총량제한 및 배출권거래제 도입- 2020년까지 17%, 2050년까지 83% 감축 (2005년 대비)

    재생 에너지 - 전체 전력 발전량 중 재생 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을 2020년 12% 이상으로 확대

    탄소관세 부과 - 2020년부터 온실가스 감축조치를 취하지 않는 국가로부터 수입된 물품에 탄소관세 부과

    일본지구온난화대책

    기본법(2010년)

    지구온난화대책세 - 현행 석유석탄세에 CO2 배출량에 따라 세율 추가 부과

    온실가스 감축 - 2020년까지 25%, 2050년까지 80% 감축 (1990년 대비)

    재생 에너지- 2020년까지 에너지 총 공급량 대비 재생 에너지 비율 10%로 확대- 재생가능에너지 전량 고정 가격 매수제 도입

    호주의 기후변화 적응전략 수립 체계

    자료: 국가기후적응센터, KB투자증권

    최승혜 연구원 3777-8076

  • 녹색 성장 (Green Economy)

    - 녹색 성장을 위해 가계, 기업, 정부 등 모든 경제주체들의 Green Activities (녹색활동) 필요

    - 녹색활동의 세부 기여도, 에너지 효율 제고 (20%), 환경 보호 (11%) 외에도 친환경 건축 (9%), 친환경 제조업(12%), 폐기물 관리 및 감축 (12%), 재생에너지 (8%), 지속 가능한 운송 (13%) 등

    녹색 성장을 위해 필요한 행동들 (Green Activities)

    녹색 경제를 위한 활동별 기여도

    자료: UNEP, KB투자증권

    14

    - UNEP (유엔 환경 프로그램), ‘Green Economy Initiative (GEI)’ 제시 (2011년)

    - ‘지속 가능 성장 (Sustainable Economy)’을 위한 Green Economy로의 전환 필요

    - 오염물질 감축, 에너지 효율성 제고 등을 통해 인류의 지속 성장 추구

    9) 지속 가능 성장을 위한 Green Economy

    지속 가능 성장을 위한 Green Economy 개념도

    자료: UNEP, KB투자증권

    문정희 수석연구원 3777-8092

    친환경 제조업, 12%

    폐기물 감축, 12%

    재생에너지, 8%

    R&D, 7%

    농수산업, 4%운송 효율, 13%

    친환경 건축, 9%

    정부 규제, 3%

    환경 보호, 11%

    에너지 효율, 20%

  • 305343

    386436

    492

    78

    9

    11

    13

    0

    100

    200

    300

    400

    500

    600

    2012 2013 2014 2015 2016

    0

    3

    6

    9

    12

    15Green City 세계시장 규모 (좌)

    Green City 국내시장 규모 (우)

    (조원) (조원)

    CAGR 12.8%

    CAGR 16.3%

    2132

    17 13 10

    60

    87

    4431

    23

    126

    204

    9878

    70

    0

    50

    100

    150

    200

    250

    America Asia Europe MENA Africa

    2011 2012 2013

    2014 2015

    (십억달러)

    녹색 기술산업 (Green Tech Industry)의 폭발적 성장 전망

    - 그린 시티, U-City (홈네트워크기기), 그린카, 그린빌딩, 스마트그리드 연계 등을 포함한 신개념 도시 구조

    - 그린 시티의 세계 시장 규모는 2011년 305조원에서 2016년 492조원으로 증가 (연평균 12.8% 성장)

    - 국내 시장에서도 그린 시티 규모 역시 연평균 16.3% 증가할 전망

    - 지속 성장 산업은 U-City (홈네트워크기기), 폭발적 성장 산업은 스마트 그리드 산업 (연평균 세계 24%, 국내 55%)

    그린 시티 (Green City)의 연 두 자릿수 성장 지속 전망

    15

    - 녹색 기술 (Green Tech)산업은 2020년까지 지속 성장 전망, 재생에너지, 에너지효율, 지속 가능한 이동, 폐기물 관리 및 재활용, 지속 가능한 물 관리 등 (2005년 1,900억 유로에서 2020년 4,112억 유로)

    - 권역별 녹색 인프라 건설 시장 규모도 증가 전망, 특히 아시아의 경우 중국과 인도 등 주요 신흥국의 도시화 건설에 있어서 녹색 인프라 건설 수요가 급격히 증가할 전망 (2011년 평균 186억 달러에서 2015년 1,152 억 달러)

    10) Green Tech의 폭발적 성장 전망

    2020년 전 세계 녹색 기술산업 성장 전망 권역별 녹색 인프라 건설 시장규모 전망

    자료: WWF (2009), 건설산업연구원, KB투자증권 자료: 녹색 인프라 발전 방향 (동국대학교), KB투자증권주: 녹색 인프라 건설, 건물 건축과 토목공사 포함 추정

    문정희 수석연구원 3777-8092

    그린시티의 세계 시장 및 국내 시장 전망 스마트 그리드 (AMI) 세계 및 국내 시장 전망

    자료: Pike Research KB투자증권주: 그린시티- 홈네트워크 기기, 그린카, 그린빌딩, 스마트 그리드 포함

    자료: Pike Research, KB투자증권

    100

    450

    180

    30

    190280

    900

    350

    46

    480

    0

    200

    400

    600

    800

    1,000

    재생

    에너

    에너

    지효

    지속

    가능

    이동

    폐기

    물 재

    활용

    물관

    리시장규모 2005

    시장규모 2020

    (십억유로)

    13.516.8

    20.925.9

    32.1

    0.3

    0.6

    0.9

    1.4

    1.9

    0

    10

    20

    30

    40

    2012 2013 2014 2015 2016

    0.0

    0.5

    1.0

    1.5

    2.0스마트 그리드 세계시장 규모 (좌)

    스마트 그리드 국내시장 규모 (우)

    (조원) (조원)

    CAGR 24.2%

    CAGR 55.0%

  • ‘녹색성장 국가전략’과 ‘5개년 계획’

    - 1차 5개년 계획이 ‘제도적 기반 구축’이었다면, 2014년부터 시작될 2차 계획은 ‘실질적 성과 달성’이 목표

    - 정부주도에서 민간주도로 주체 이전, 강점이 있는 녹색기술산업에 대한 선택과 집중

    - 정책방향으로는 ‘효과적 온실가스 감축’, ‘지속가능한 에너지 체계 구축’, ‘녹색창조산업 육성’, ‘녹색사회 구현’, ‘글로벌 녹색협력 강화’ 등

    2014년 06월 제2차 녹색성장 5개년 계획 발표

    제1차 계획과 제2차 계획의 관계 제2차 5개년 계획의 정책방향과 중점과제

    자료: 녹색성장위원회, KB투자증권 자료: 녹색성장위원회, KB투자증권

    16

    - 수립근거: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국가전략을 위해 5년마다 5개년 계획을 수립

    - 2009년 7월 ‘녹색성장 국가전략’ (장기 전략), ‘녹색성장 5개년 계획’ (중기 전략) 마련

    - 녹색성장의 개념, 국제 기후변화에 적극 대응, 생활의 녹색혁명, 환경과 경제의 시너지 극대화 등

    - 2014년 6월, 2차 5개년 계획 수립. 1차 계획의 성과와 한계 보완

    저탄소 녹색성장 국가전략 수립 녹색성장의 개념

    자료: 녹색성장위원회, KB투자증권 자료: 녹색성장위원회, KB투자증권

    11) 우리의 미래 전략, 녹색성장

    신성장동력 확충녹색경제 전환녹색국토 조성

    녹색인프라 구현국가위상 강화

    (정부∙민간 협력&인식 공유)

    저탄소 녹생성장

    국가전략 수립

    기후변화 대응

    녹색산업 전환

    녹색 생활혁명

    세계 일류의녹색 선진국 녹색성장

    green

    growth

    환경-경제

    선순환

    삶의 질 개선

    생활 녹색혁명

    국제기대에

    부합하는

    국가위상 정립

    환경과 경제 양축의 시너지 극대화- 녹색기술 개발 및 녹색산업 육성→ 국민소득증대 및 일자리창출

    - 산업구조 녹색화 및 청정에너지 확대→ 기후변화대응 및 온실가스 감축

    ∙ 저탄소형 국토개발, 생태공간조성 확대

    ∙ 녹색교통 체계, 대중교통 활성화∙ 녹색소비를 통한 녹색시장 조정

    ∙ 국제 기후변화 논의에적극적 대응

    ∙ 녹색 가교국가로서글로벌 리더십 발휘

    제1차 계획(2009년~2013년)

    도입

    제도적기반구축

    포괄적

    개별기술/추격

    정부주도/시장창출

    경제-환경

    제2차 계획(2014년~2018년)

    정착

    실질적성과 달성

    선택과 집중

    융합기술/창조

    민간주도/시장확대

    경제-환경-사회

    정책방향

    중점

    과제

    효과적온실가스 감축

    지속 가능한에너지 체계

    ∙ 에너지 수요관리 강화

    ∙ 신재생에너지 보급확대

    ∙ 분산형 발전시스템 구축

    ∙ 에너지 시설안전성 확보

    녹색창조산업생태계 구축

    글로벌녹색협력 강화

    지속 가능한녹색사회 구현

    ∙ 온실가스감축 로드맵체계적 이행

    ∙ 배출권거래제 정착 및시장 활성화

    ∙ 장기 국가감축목표수립

    ∙ 탄소흡수원확충

    ∙ 첨단융합녹색기술개발

    ∙ 녹색창조산업의 육성

    ∙ 지원순환경제구조정착

    ∙ 규제합리화및 녹색인재양성

    ∙ 기후변화적응역량강화

    ∙ 친환경생활기반확대

    ∙ 녹색 국토공간 조성

    ∙ 녹색 복지및 거버넌스기반 확충

    ∙ 기후 협상효과적 대응

    ∙ 녹색성장지역협력확대 및국제적 확산

    ∙ 개도국 협력확대 및내실 제고

    ∙ GGGI/GCF와의 협력및 지원강화

    문정희 수석연구원 3777-8092

  •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2014년 1월) 체계적 이행

    - 정부 R&D 투자 중 녹색기술 R&D 투자 비중 확대 (2012년 17.1% 차지)

    - 에너지 수요관리, 고효율화 시장의 급속 성장, 스마트 그리드 등 IT 융합 에너지 효율 개선 시장 활성화

    - ‘고효율 가전, 자동차, 보일러’ ⇒ ‘하이브리드, 태양광, 바이오 에너지’ ⇒ ‘전기차, 연료전지, 에너지 신소재’ 보급

    - 선제적으로 녹색기술 제품을 정부 구매 확대, 중소기업 녹색경영 지원 확대, 기업 환경정보 공개 활용 추진

    녹색 창조산업 생태계 및 기반 조성

    청정기술 R&D 투자 포트폴리오 구상

    자료: 녹색성장위원회, KB투자증권

    17

    - 국가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수립 (2014.01), 2020년까지 30% 감축 목표

    - 산업, 2015년부터 배출권 거래제 시행, 산업연료 대체 및 폐열회수 설비 확대 추진

    - 수송에서는 ITS 구축, 대중교통 인프라 확충, 건물에서는 에너지 절감 유도 및 그린 리모델링 추진

    - 공공 목표관리제 선택, 폐기물 에너지화, 신재생에너지 보급, 수요 관리 등 유도로 온실가스 감축 지속

    12) 한반도의 감축과 적응, 그리고 성장

    국가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2015년 시행될 배출권 거래제 운영계획

    자료: 녹색성장위원회, KB투자증권 자료: 녹색성장위원회, KB투자증권

    500

    550

    600

    650

    700

    750

    800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배출전망치 (BAU) (백만톤)

    목표배출량 (백만톤)

    (백만톤)

    30%감축목표

    1기

    2015년-2017년

    거래제 안착

    유연한 운영

    100% 무상할당

    인프라∙경험축적

    2기

    2018년~2020년

    상당수준 감축

    적용범위 확대

    97% 무상할당

    할당방식 선진화

    3기

    2021년~2025년

    적극적 감축

    유상할당 확대

    유동성 확대

    할당방식 정착

    문정희 수석연구원 3777-8092

    에너지 효율에너지원 기술산업공정 수송 가정

  • 다각적인 측면에서 산업계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변화

    18

    -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는 기업에 예상치 못한 손실을 안겨주는 반면, 변화된 기후환경은 새로운 비즈니스를창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 UKCIP는 BACLIAT (Business Areas Climate Impacts Assessment Tool)를 통해 기후변화가 산업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시장, 실행계획, 처리공정, 인력, 부지, 재정'으로 구분, 여섯가지 경로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리스크는 물론 기회가 발생한다고 제시

    기후변화에 따른 산업계의 리스크와 기회

    13) 기후변화는 위협이자 기회

    자료: UKCIP,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KB투자증권

    - 기후변화가 기업 활동에 초래하는 위험은 특정 리스크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상호 연계되어 발생

    - 예상치 못한 손실을 방지하는데 그치지 않고, 적극적으로 리스크를 관리함으로써 리스크를 기회로 바꾸려는노력이 필요

    기후변화로 인한 리스크는 상호 연계되어 발생

    자연재해에 따른 기업 활동 리스크 예시

    자료: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KB투자증권

    최승혜 연구원 3777-8076

    태풍, 홍수 등자연재해 발생

    기계 등생산설비 파손 제품 생산 및 공급에

    차질이 빚어지면서기업 이미지 손상

    운송 시스템장애 발생으로원료 및 제품

    수송 중단 또는 지연

    운영 리스크

    물리적 리스크

    평판 리스크

  • 기후변화에 적극 대응하며,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하고 있는 대표적인 기업: GE

    -포브스가 매년 진행하는 ‘세계에서 가장 존경받는

    100대 기업’ 설문조사에서 2006년 78위를 비롯,

    2009년 50위, 2012년 66위, 2013년 56위, 2014년

    72위를 기록하는 등 꾸준히 이름을 올리고 있음

    -2007년 전세계 금융위기로 주가 하락을 경험하기도했으나, 에코매지네이션 전략을 바탕으로 장기적이고,지속적인 사회책임경영활동을 이어가고 있음

    환경경영전략을 통한 기업 가치 제고

    19

    - 환경 (Ecology) + 상상력 (Imagination) =에코매지네이션 (Ecomagination)

    - 'Green is green' 이라는 모토 아래 운영되는 GE의 환경경영전략

    - 청정기술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 확대 : 2005년 7억 달러 규모에서 2010년 15억 달러로 2배 이상 확대

    - 에코매지네이션 기준에 부합하는 제품 개발 및 2010년까지 판매 규모 200억 달러로 확대

    - 2012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 1% 감축, 2008년까지 매출액당 배출량 30% 감축, 2012년까지 에너지 효율 30% 향상

    - 관련 정보를 Global Impact 보고서를 통해 고객을 비롯한 이해관계자에 공개

    GE의 환경경영전략 성과 (2013년 기준 누적)

    자료: GE, KB투자증권

    14) 위협을 기회로 바꾸는 기업 사례

    에코매지네이션전략 도입

    사회책임경영활동을 통한 기업 가치 제고

    자료: 블룸버그, KB투자증권

    최승혜 연구원 3777-8076

    120억 달러-총 연구개발

    투자비

    32%-2013년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비율(2004년 대비)

    45%-2013년

    담수사용량감소 비율

    (2006년 대비)

    1,600억 달러-에코매지네이션

    제품을 통해창출한 수익

  • 15) 기후변화에 따른 투자전략 - ①

    기후변화에 따른 업종별 영향

    기후변화의 산업별 영향

    - 기후변화가 원자재 가격에도 큰 영향을 줄 수 있는데, 최근 원자재 가격은 안정세를 유지

    - 에너지 가격과 메탈 가격은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농수산물 가격은 급락세를 이어가고 있음

    - 최근 농수산물 가격하락은 기후변화가 크지 않은 상황에서 작황이 좋았기 때문. 그러나 농수산물 가격은 기후변화에 따라 큰 영향을 받을 수 있음

    - 국제유가는 셰일 가스/오일 생산 증가로 인해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됨

    원자재 가격에 따른 영향

    유가는 안정적, 농수산물 가격은 급락 유가는 안정세를 이어갈 전망

    20

    - 기후변화에 따른 산업별 영향력은 업종에 따라 다르게 발생할 전망

    - 이차전지, 자동차, Utilities 업종에는 긍정적인 영향이 우위인 반면에 철강업종에는 부정적인 영향이 우위인것으로 예상

    - 다른 업종들의 경우 산업별 긍정적인 기회 요인과 부정적 요인이 혼조될 것으로 전망

    Part. 1

    Part. 2

    김성노 이사 3777-8069

    자료: Bloomberg, KB투자증권 자료: Bloomberg, KB투자증권주: 2014~2017년은 Bloomberg consensus

    구분 업종 투자포인트

    긍정적 요인 우위태양광/이차전지자동차유틸리티

    태양광 산업, 전기차 상용화에 따른 이차전지 산업의 성장동력전기차, 수소차, 하이브리드 시장 확대로 인한 ASP 증가를 예상전기요금 인상과 유가 안정 등으로 인해 수혜가 기대

    긍정/부정적 요인혼조

    금융IT레저/엔터

    자연재해 증가로 인한 재보험 산업에 영향기후변화 예측 및 저전력 인프라 확대 과정에서 영향여가생활 증가에 따른 수혜가 예상

    건설지주회사조선

    Eco 빌딩과 담수 등에서 사업기회 발생연료전지, 태양광 사업에서의 투자기회 발생LNG 등 고부가가치 선종에 대한 투자기회 존재

    음식료유통기계/상사

    기후에 따른 원자재 가격변동성이 커질 전망계절상품에 대한 수요증가 및 기후변화 대응 시스템 비용의 발생 전망발전소 증설로 기계는 긍정적이나, 상사는 석탄의존도가 높아 제한적

    부정적 요인 우위 철강전기요금 인상으로 인한 비용증가가 예상됨중국 한계기업 퇴출, 구조조정 등이 진행될 경우 긍정적 효과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03년01월 05년12월 08년11월 11년10월 14년09월

    S&P GSCI Energy

    S&P GSCI Industrial Metal

    S&P GSCI Agriculture

    (03/01=100)

    0

    20

    40

    60

    80

    100

    120

    2003년 2005년 2007년 2009년 2011년 2013년 2015년 2017년

    WTI 평균가격

    (US$)

  • (40)

    (30)

    (20)

    (10)

    0

    2002 2004 2006 2008 2010 2012 2014

    미국 무역수지 (원유)

    (US$십억, SA)

    0

    -1.5

    1.9

    0

    2.1

    4.53.9 3.5

    9.4

    4.9

    9.4

    (4)

    (2)

    0

    2

    4

    6

    8

    10

    2003년 2005년 2007년 2009년 2011년 2013년

    전기요금 인상률

    (YoY %)

    0

    500

    1,000

    1,500

    2,000

    2,500

    2012 2018 2025

    수소연료전지차

    전기차

    하이브리드

    (만대)

    160

    960

    2,440

    미국 원유수입금액 감소 추세

    자료: 미 상무부, Bloomberg, KB투자증권

    자료: IEA, 네비건트, KB투자증권

    전기차, 수소차, 하이브리드 시장 성장국면

    - 미국 무역수지 적자가 줄어드는 추세인데, 이는 원유 수입 감소에 따른 영향

    - 미국 원유 무역수지는 2012년 월평균 US$260억에서2014년 상반기 US$211억으로 감소

    - 미국 원유수출은 증가하는 반면에 수입은 뚜렷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음. 셰일 가스/오일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나타나는 현상임

    - 미국 원유수입 감소로 인해 향후 WTI 가격은 하향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셰일 가스/오일 생산 증가가 미국 무역수지 개선 요인

    자료: 한국전력, KB투자증권주: 2011년과 2013년은 두 차례 전기요금 인상

    한국전력 요금인상 추세가 이어질 전망

    - 2012년 전세계 전기차, 수소차, 하이브리드 자동차는160만대에 머물렀으나, 2018년에는 960만대, 2025년에는 2,440만대로 빠른 성장세를 보일 전망

    - 2012~2025년 전기차, 수소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시장은 CAGR 23.3%의 성장세를 보일 전망

    - 하이브리드 시장 성장은 자동차 업종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 자동차 ASP 증가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

    - 전기차 시장확대로 인해 이차전지 시장도 빠른 성장세를 보일 전망. 삼성SDI, SK이노베이션 등에 대한 관심이커질 전망

    ▶ 전기차, 수소차, 하이브리드 시장 23.3% CAGR 성장

    - 온난화와 기후변화로 인해 전력사용량 증가가 불가피할전망. 전기차 시장확대도 전력사용량 증가요인으로 작용할 전망

    - 국제유가 안정이 예상되는 가운데, 네가와트 등 전력 감축 수요 증대로 유틸리티 업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것으로 전망

    - 또한 전력저장장치인 ESS 등에서의 사업기회가 발생할것으로 예상

    ▶ 유틸리티 업종에 긍정적으로 작용

    21

    자동차, 이차전지, Utilities에서의 투자기회를 제공할 전망

    - 셰일 가스/오일 생산이 본격화되면서 미국 원유 무역수지 개선이 진행. 향후 국제유가는 완만한 하락세를 예상- 전기차, 수소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시장은 매년 23.3% 고성장세를 이어갈 전망. 자동차와 이차전지 수혜 예상- 전력 사용량 증가, 국제유가 안정, 전기요금 인상 등이 한국전력에는 긍정적, 전력저장장치 시장도 성장 전망

    15) 기후변화에 따른 투자전략 - ②

    김성노 이사 3777-8069

  • 이 페이지는 편집상 빈페이지입니다

  • 1) 레저/엔터 기상 양극화로 실내외 여가 수요 증가 24

    2) 유통 기회와 위협의 상존 26

    3) 음식료 변화 속에서도 안정적인 기업 찾기 28

    4) 금융 위기를 새로운 비즈니스의 창출 기회로 30

    5) 건설 탄소 저감, 물부족 해소에 관심 증대 32

    6) 기계/상사 업종간 희비 교차, 발전소 건설은 호재 34

    7) IT 저전력 인프라 및 IT기술의 기후변화 대응에 활용 36

    8) 조선 에코쉽과 LNG생산설비 발주 증가 38

    9) 정유/화학 에너지 수요변화에서 새로운 기회 찾기 40

    10) 운송 선박의 과잉공급과 항공의 대응 비용 증가 42

    11) 자동차/부품 연비규제 강화에 대한 대응력 강화 44

    12) 철강 장기적으로 구조조정 촉진의 기회 요인 발생 46

    13) 유틸리티 전력 수요관리에 대한 관심 집중 48

    14) 지주회사 기후변화 방지를 위한 에코 에너지 50

    15) 스몰캡 기후변화의 예방과 대응 관련 종목 52

    II. 기후변화 관련 산업별 투자 아이디어

  • 1) 레저/엔터 - 기상 양극화로 실내외 여가수요 증가

    사계절 구분이 모호해지면서 여행 성수기와 비수기 격차 감소 및 국내 여행 수요 증가

    기후변화의 산업내 영향도 분석

    - 사계절의 구분이 모호해지면서 성수기에 집중되어 있던 여행 수요는 개별여행 위주로 비수기로 확산되고 있음

    - 여행 시기 및 여행 지역 선호도의 고객 변화 및 청정지역 여행 상품 다양화와 같은 공급 변화로 여행시장 규모확대 예상

    - 이상 기후 심화로 주말 여가 활동에 있어서는 야외보다는 실내 여가 선호 증가로 몰링 (Malling) 효과 강화

    - 영화관람과 같은 가벼운 여가 및 캠핑, 복합리조트와 같은 무게감 있는 여가 소비가 동시다발로 확대될 전망

    기후 변화 기반 Heavy & Light 여가 소비 확대

    기후 변화에 따른 여행 시장 수요와 공급 확대 이상 기후 심화로 실내 여가 및 복합리조트 확대

    24

    구분 영향구분 사업 기회 분석 발생 주기 영향 및 파급효과 강도

    지구 온난화로인한 사계절구분 모호 및아열대 기후확산

    (+) 매출 확대기회

    여행 및 호텔시장 확대

    중장기적발생 가능성

    [긍정적]- 해외 여행 매출 3~5%, 국내 여행 10%

    이상 증가 예상- 여행 성수기와 비수기 격차 감소로 P와 Q

    동시 증가- 국내 여행 수요 증가로 호텔 투숙률 증가

    높음

    폭염, 한파 등이상 기후현상 심화

    (+) 매출 확대기회

    실내 여가 및복합리조트수요 증가

    중장기적발생 가능성

    [긍정적]- 매출 5% 증가 예상- 복합몰 공급 증가로 영화관 수요는 지속적

    증가 가능할 듯- 복합리조트 경쟁력 강화

    중간

    - 지구 온난화로 인해 사계절 구분이 모호해지고, 아열대 기후가 확산되고 있음

    - 여행 성수기와 비수기 격차가 감소하면서 여행 수요가 연중 고르게 나타나고 있어 여행횟수 증가로 인한Q의 증가, 비수기 여행 가격 증가로 인한 P의 증가가 가능할 전망

    - 동남아 지역과 유사한 아열대 기후 확산으로 제주를 비롯한 국내 여행 수요가 해외 여행보다 가파르게 성장

    Part. 1

    Part. 2

    폭염, 한파 등이상 기후 현상 심화

    몰링(Malling)

    효과

    CJ CGV

    김민정 선임연구원 3777-8445

    복합리조트

    기상양극화

    실내 여가선호

    강원랜드

    ▶ 폭염, 한파 등 이상 기후 현상심화될 전망

    자료: KB투자증권 자료: KB투자증권

    지구온난화

    사계절구분모호

    여행 및호텔

    시장 확대

    아열대기후확산

    청정지역여행

    상품 증가

    연중 고른여행 수요

    제주 등국내여행수요 증가

    여행 상품다양화

    ▶ 실내 여가 수요가 증가하고있으며, 기상 양극화로 워터파크및 스키장을 보유한 복합리조트경쟁력은 더욱 강화될 전망

    ▶ 몰링효과 강화로 CJ CGV 모객효과 강화, 스키장 확보 및워터파크 개장을 앞둔 강원랜드유리

    여행선호도변화

  • 1) 레저/엔터 - 기후 트렌드 반영 여행상품, Eco리조트 등장

    - 여행 성수기와 비수기 격차가 감소하면서 여행시기 조율이 필요한 패키지보다는 개별항공권 수요가 빠른 속도로성장. 개별항공권 및 국내여행 경쟁력을 갖춘 인터파크INT 시장점유율 확대 기대

    - 이상기후 심화로 인해 몰링 (Malling) 효과는 더욱 강화되어 영화관 집객효과가 확대될 것으로 CJ CGV 외형성장은지속 가능할 전망

    - 기상 양극화로 여름엔 워터파크, 겨울엔 스키장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테마파크로 유입된 입장객을카지노로 유인할 수 있는 강원랜드의 경쟁력이 부각될 전망

    여행 성수기와 비수기 격차 감소 국내여행 시장규모 현황 및 전망

    자료: 한국관광공사, KB투자증권 정리 자료: 한국관광공사, KB투자증권 추정

    25

    - 하나투어는 기후변화 트렌드를 반영하여 알래스카 여행 패키지, 내몸냥 에코 여행 등 다양한 상품을 출시

    - Whistler Blackcomb의 친환경 스키 리조트 운영을 위한 다방면의 노력

    - MGM Resorts International은 자체 지속가능 플랫폼인 Green Advantage 구축

    Part. 3

    Part. 4

    기후변화에 따른 엔터/레저 관련 기업 대응 사례

    여행 업종 내에서는 인터파크INT, 여가 수요 트렌드 적합한 CJ CGV, 강원랜드 유리

    하나투어의기후변화 트렌드를

    반영한상품 출시

    Whistler Blackcomb의친환경 스키리조트 운영

    MGM Resorts International의

    지속가능플랫폼 구축

    - 알래스카 지역은 지구 온난화로 빙하가 녹으면서 지각이드러나 골프장이 건설되는 등 가용 면적이 확대되는 추세로알래스카 여행 패키지 상품 출시

    - 탄소배출 절감을 위해 전기 자동차를 빌려 자유롭게 여행할수 있는 친환경 제주 관광상품인 ‘내몸냥 에코 여행’을 출시

    - 기업 미션으로서 제로 폐기물, 제로 탄소, 제로 배기가스 제시

    - Fitzsimmons 재생가능에너지 프로젝트를 비롯하여 자연지역보호를 위해 150만 달러를 투자한 산림 정화 프로젝트 실시

    - 부서 내 환경 전담팀을 조직하여 환경 전문가 구성 및 친환

    경영 스키 리조트 정책 수립

    - 자체 플랫폼인 Green Advantage를 구축, 핵심 5가지 분야에걸쳐 지속가능 경영 활동 (에너지/물, 녹색 빌딩, 재활용/폐기물, 지속가능 SC, 환경 교육)

    - 매년 그린 리포트를 발간하여 세계 각지의 자사 리조트별 재활용률 현황 공시

    김민정 선임연구원 3777-8445

    5.2x8.2cm돋움 7pt

    0

    30

    60

    90

    120

    150

    성수기 비수기

    2008년 출국자 수(천명)

    65만

    0

    30

    60

    90

    120

    150

    성수기 비수기

    2012년 출국자 수(천명)

    31만

    100

    140

    180

    220

    260

    300

    2011 2012 2013 2014E 2015E

    국민 국내여행 횟수(백만회)

  • 2) 유통 - 기회와 위협요인 상존

    기후변화가 유통/의류업체들에게 미치는 영향

    기후변화의 산업내 영향도 분석

    - 긍정적 요인: 계절상품에 대한 수요 증가

    - 부정적 요인: 기후변화 대응 시스템 (수직계열화) 구축을 위한 비용 증가

    기후변화는 세부 유통 업태별 긍정적 요인과 부정적 요인이 상존함

    변화무쌍한 날씨에 따른 영향도 분석 온난화가 유통업체들에게 미치는 영향

    26

    구분 영향구분 사업 기회 분석 발생 주기 영향 및 파급효과 강도

    온난화(+) 매출 확대 기회(-) 매출감소

    음료 및 신선식품매출 증가

    겨울 의류 판매부진

    중장기적발생 가능

    [긍정적]- 폭염 증가에 따른 음료 및 신선식품 매출 증가로

    편의점의 수혜 가능, 쿨매트, 에어컨 판매증가로 가전양판점 및 홈쇼핑 수혜 예상

    [부정적]- 판매단가가 높은 겨울 의류 판매 부진은

    백화점/홈쇼핑 및 패션업체에게 부정적

    높음

    기후급변(+) 반사이익(-) 대응 비용 발생

    유통/의류업체들의재고관리

    시스템의 변화

    중장기적발생 가능

    [부정적]- 날씨의 변동성이 커짐에 따라 보다 유연

    하고, 타이트한 재고관리의 필요성 증가, 오프라인 유통업체들과 의류업체들의 재고관련비용 증가

    [긍정적]- 상품믹스의 유연한 대응이 가능한 홈쇼핑/

    온라인 쇼핑에게는 반사이익 수혜

    높음

    - 온난화 및 변화무쌍한 날씨는 백화점 등 오프라인 업체들과 패션업체들에게 부정적임

    - 음료 및 냉방관련 제품 성장으로 편의점, 가전양판점의 수혜가 예상되며, 날씨 변화에 따라 유연한 상품 믹스운영이 가능한 홈쇼핑, 온라인 유통업종에도 긍정적임

    Part. 1

    Part. 2

    지구 온난화

    겨울의류판매 부진

    백화점, 패션업체

    양지혜 선임연구원 3777-8484

    음료, 쿨매트 등매출 증가

    여름 폭염따뜻한

    겨울 증가

    편의점, 홈쇼핑,

    가전양판점

    ▶ 이상 고온현상

    ▶ 판매단가 높은 겨울의류매출 부진, 여름계절상품수요증가

    ▶겨울의류 판매 성과 중요한백화점/ 패션업체에게 불리하나,편의점의 여름 성수기수혜 예상

    자료: KB투자증권 자료: KB투자증권

    변화무쌍한 날씨기상 예측의 불확실성 증가

    유통/의류업체들의재고관리 시스템의 변화 요구

    상품믹스의 유연한 대응이 관건.유통업체들의 수직계열화 및

    온라인 채널 강화 전망

  • 2) 유통 - 온라인/모바일쇼핑 쇼핑 업체 수혜

    - 생산라인이 최적화된 SPA 브랜드 (유니클로, 자라, H&M 등)는 계절에 따라 급변하는 소비자의 수요에 적절하게대응 가능

    - 변덕스러운 기후변화에 따라 유통업체의 재고관리 필요성 증가. 유연한 상품믹스 관리가 용이한 온라인/모바일쇼핑 시장의 성장이 가시적이며, 홈쇼핑 기업 (CJ오쇼핑, 현대홈쇼핑, GS홈쇼핑)의 모바일 채널 확장이 지속될 전망

    SPA의 패션 산업 구조 모바일쇼핑 시장 규모

    자료: KB투자증권 자료: 온라인쇼핑협회, KB투자증권

    27

    - 국내 패션기업 LF (LG패션)의 반응생산 시스템 강화

    - 일본 이온의 오전 7시 개점

    - 일본 로손의 ‘쿨 푸드’ 상품 강화

    Part. 3

    Part. 4

    기후변화에 따른 유통업체들의 대응 전략

    기후변화에 유연한 대응이 가능한 SPA 브랜드, 온라인/모바일쇼핑 업체들의 수혜 전망

    LF (LG패션)의기후변화 대응위한 투자 사례

    이온의오전 7시 개점

    로손의‘쿨 푸드’ 상품

    강화

    - LG패션, 경기도 양주에 연구, 생산, 판매 위한 복합단지조성

    - 기후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반응생산 시스템 강화

    - 장기적으로 재고를 최소화시켜 정상가 판매율 향상 기대

    필요시 이미지 넣고없을시 제거

    - 서머타임제로 이른 시간 출근하는 직장인과 무더위를 피해아침에 장을 보는 시니어층 확보를 위한 전략

    - 오전 7~9시에 한해 일부 상품을 할인 판매하는 등 무더위를피해 움직이는 소비자들의 구매를 촉진

    - 지속되는 무더위에 ‘쿨 푸드’ 상품라인을 강화

    - 냉 팥빵, 냉 파스타 등을 새롭게 선보이며, ‘쿨 먹거리’ 강화에적극 나서고 있고, 냉 과자류를 작년 보다 20% 확대함

    양지혜 선임연구원 3777-8484

    10 300

    600

    1,700

    3,970

    7,600

    0

    1,500

    3,000

    4,500

    6,000

    7,500

    9,000

    2009 2010 2011 2012 2013E 2014E

    모바일쇼핑시장규모(십억원)섬유 생산업체: 천연섬유생산자, 합성섬유생산자

    직물 생산업체: 방적공장 (섬유 → 원사)

    판직물공장 (원사 → 직물)

    패션제조업체

    직물선택 →스타일결정 → 제조 →

    샘플 → 제작 → 생산 → 품질관리

    패션관련 유통업체

    백화점, 전문점, 할인점, 재래시장 등

    소비자

    1차 단계

    소재산업

    2차 단계

    제조산업

    3차 단계

    유통산업

    션의

    직계

    열화

  • 3) 음식료 - 변화 속에서도 안정적인 기업 찾기

    음식료산업과 기후변화 관계 –소폭의 확대는 긍정적이나, 큰폭의 변화는 부담

    기후변화의 산업내 영향도 분석

    - 기후변화와 음식료의 영향은 크게 원가영향 + 매출액 영향 (물량영향)으로 나눌 수 있음

    - 국제 원재료가격 변동시 국내 음식료 소재가격 변동, 이에 따라 가공식품 가격 변동 가능성

    - 평년대비 기후변동폭 확대 및 이상기후 발생시 방향성에 따라 기업간 출하량 변화 상이

    기후변화에 따른 음식료 영향 - 원가와 매출액으로 나누어 생각하기

    28

    구분 영향구분 사업 기회 분석 발생 주기 영향 및 파급 효과 강도

    평년대비기온 추가상승/하락

    (+) 매출 확대기회

    계절성 높은 제품에대한 출하량 증가, 간편식 등 HMR제품소비 증가

    시즌반복

    [긍정적]- 여름: 국내 빙과, 탄산음료, 유제품, 주류 (맥주) 수요

    증가, 야외 활동 증가시 담배 매출액 상승 경향 존재- 겨울: 호빵, 커피음료, 라면 등 식품 출하량 증가- 평년대비 기온상승/하락 심화시 식재료 및 조리 후 저장

    영향 가능성, 조리시간 및 저장성이 고려된 가정식사대용식 매출 증가

    높음

    이상기온발생

    (-) 매출 감소

    음식료제품의 판매 및재고관리에 영향, 이상기온 발생시 평년대비 매출규모축소

    시즌반복

    [부정적]- 경쟁사대비 기온변화 대처 능력에 따라 시장지배력 하락

    가능성- 계절성이 높은 음식료 제품의 경우 재고관리 문제 발생

    가능성

    높음

    이상기온발생

    (-) 대응 비용발생

    곡물가격 변동 가능, 에그플레이션 우려

    불시 발생

    [부정적]- 엘니뇨, 라니냐 등 전세계 기상이변 발생 시 발생지역 및

    영향력에 따라 가격 변동- 곡물가격 상승시 일반물가 동시에 상승하면서, 원가 상승에

    영향

    높음

    이상기온발생

    (+) 신규 사업기회

    대사이상 관련 질병에유의, 수질관련 중요성 대두 가능성

    장기적발생 가능

    [긍정적]- 알레르기 및 천식, 아토피 등 발생시 유기농제품, 특수제품

    등 특화된 제품에 대한 선호도 및 수요증가 가능- 음료관련 회사의 수질 프로젝트로 시장입지 지속, 생수시장

    확대

    낮음

    Part. 1

    Part. 2

    이경신 선임연구원 3777-8446

    기후변화와 국제 원재료관련 영향도 기후변화와 음식료 제품의 출하량관련 영향도

    자료: Furuya, Kobayashi and Meyer, KB투자증권 정리주: 기후변화 연계 세계식량모형 (IFPSIM)의 기본구조 응용

    자료: KB투자증권

    수확지역

    생산

    국내 음식료소재가격 변화

    국제원재료 가격

    관세

    수요

    인구

    GDP

    1년 후

    수확량

    강우량기온

    국내 음식료가공가격 변화

    공급

    재고량 변화

    순수입

    원가 영향

    CJ제일제당,대상

    국내 기온 평년대비 상승/하락

    롯데칠성, 빙그레, KT&G

    여름기온 추가상승

    빙과, 음료, 주류, 담배, 유음료

    + HMR

    겨울 기온 추가하락

    농심, 삼립식품오뚜기

    호빵, 라면, 커피+ HMR

    이상기후 발생

    재고관리영향

    시장지배력변동

    계절상품매출축소

  • 코카콜라'물 중립 (Water

    Neutrality)‘ 활동

    - 물부족 지역의 물관련 평판관리 중요성을 인식, 물보전 및 수질개선 사업에 적극 참여

    - 2006년 인도사업장에서 물낭비로 기업평판 하락, 사업장 폐쇄를 겪으면서 2007년 '물중립‘선언을 통해 난국타계. 원료 이외의 물사용 최소화 및 방류 수질관리를 통해 오염 최소화

    - 또한 적극적으로 물확보 및 수질개선 프로젝트 참여 (지하수개발 및 지역프로젝트 동참)

    10

    15

    20

    25

    30

    35

    300

    600

    900

    1,200

    1,500

    1,800

    2010 2011 2012 2013 2014

    소맥 (좌) 옥수수 (좌)대두 (좌) 원당 (우)

    (Cts/Bu) (Cts/Ib)

    3) 음식료 - 시장지배력, 사업포트폴리오 다변화의 기회

    - 기후변화로 곡물가격 변동폭 확대시 음식료 기업의 원가에 부정적 영향을 줄 가능성 존재

    - 단, 시장지배력이 있는 음식료 소재업체들의 경우 변동에 대응하기 위한 헷지 및 계약기간/물량 조절을 통해실적변동성 완화 가능

    - 기후변화폭 확대시 비즈니스 포트폴리오가 다변화되어 있는 업체에 관심을 가질 필요. 변동성이 사업부문 내에서일부 상쇄된다는 측면에서 긍정적

    기후변화가 야기하는 곡물가격 변동 사업포트폴리오 다변화 기업에 주목 – CJ제일제당

    자료: DataStream, KB투자증권 정리 자료: CJ제일제당, KB투자증권 추정

    29

    - 기후변화와 관련된 해외 음식료기업의 다양한 대응사례가 존재하며, 국내 기업과 비슷하게 진행 중

    - 최근 기업의 신사업은 기후변화에 따른 식생활 개선으로 변화예) HMR식품 확대, 라이신 등 축산관련 바이오부문 강화, 생수사업 확대 등

    Part. 3

    Part. 4

    기후변화 관련 해외기업 사례 및 동향 –국내기업과 같은 흐름으로 진행 중

    기후 변화에 따른 변동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기업 찾기 –시장지배력, 사업포트폴리오 다변화

    몬산토기후변화에

    덜 취약한 종자개발

    - 가뭄 저항성 유전자 기술을 통해 극한 가뭄에서도 수확량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옥수수 개발

    à 농수축산 후방산업 (종묘, 종자, 비료, 사료 등)의 R&D 범위는 유전자원 확보 및 평가부터

    동식물 공장형 생산까지 다양하게 진행 중이며, 기후변화에 대한 민감도를 낮추기 위해 노력

    스타벅스기후변화 연구

    및 투자

    - 이상기후에 따른 원재료의 높은 변동성 및 위험관리 비용이 기업의 고정비로 고착화

    - 2004년 부터 기후변화 정책 연구에 적극 투자

    - 전세계 커피 재배 지역의 부식 및 해충으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 강우량 및 수확패턴 연구

    진행, 다른 기업 및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

    à 한국 기업의 경우 수입하는 곡물가격 안정을 위해 헷지, 계약량 조절 등으로 변동성 완화

    이경신 선임연구원 3777-8446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2011 2012 2013 2014E 2015E

    식품부문 (가공+소재)

    생명공학부문 (제약+바이오)

    생물자원부문 (사료)

    대한통운 외

    (십억원)

  • 기후변화가 보험 산업에 미치는 영향

    기후변화의 산업내 영향도 분석

    - 대형 자연재해시 (수익 측면) 재해에 따른 피해 발생으로 보험 수요가 증가되며, 리스크 관리를 위한 보험료 인상과 보험금 지급조건 강화 전망, (비용 측면) 대규모의 보험금 비용 발생 가능성

    - 단기적으로는 보험금 지급에 따른 부정적 영향이 전망되나, 보험료 인상 및 지급조건 강화 등 관리가 뒤따르며,중장기적으로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

    - 기후 변동성 심화시 (개별 기업) 야외 사업 및 날씨와 연동된 사업을 영위하는 경우, 매출 변동성 확대

    (농림어업) 농산물, 어획량 등 피해 발생 가능성

    - 해당 리스크에 의한 피해를 보전할 수 있는 관련 보험에 대한 수요 증가 전망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 및 변동성 확대로 새로운 기회 창출

    대형 자연재해의 영향 기후 변동성의 영향

    30

    구분 영향구분 사업 기회 분석 발생 주기 영향 및 파급효과 강도

    쓰나미 등대형 자연재해

    (+) 신규 사업 기회(+) 매출 확대 기회(-) 대응 비용 발생

    보험·재보험에 대한수요 증대,발생손해액 증가가능성,대재해채권 발행활성화

    시즌 반복[부정적/긍정적]- 단기적으로 부정적이나, 리스크 관리가

    이루어질 경우 중장기적으로 긍정적높음

    기후 변동성확대

    (+) 신규 사업 기회날씨 보험, 농작물보험 등 신규 상품개발

    불시 발생[긍정적]- 신규 비즈니스 모델의 구성 확대로 인해

    긍정적높음

    - 기후변화에 의해 쓰나미, 대지진 등 대형 자연재해의 발생 빈도가 높아질 경우, 단기적으로는 보험금 증가가예상되나, 원활한 리스크 관리가 이루어지는 중장기적 관점에서는 보험 및 재보험 수요 증대로 긍정적일 전망

    - 기후 변동성의 확대로 날씨 보험, 농작물 보험 등의 신사업영역 확대 전망

    Part. 1

    Part. 2

    장마·가뭄·폭설 등기상이변 현상 심화

    매출변동성확대

    날씨보험수요 증가

    유승창 수석연구원 3777-8057

    수확물피해증가

    농림어업개별 기업

    농작물보험수요 증가

    매출/수확량 감소 보전 필요

    자료: KB투자증권 자료: KB투자증권

    4) 금융 - 위기를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 기회로

    대형자연재해

    발생

    보험 수요 증가

    단기: 부정적중장기: 긍정적

    보험금 비용 발생

    보험료 인상

    보험금지급조건 강화

    수익 측면

    비용 측면

  • - 전세계 자연재해 평균 피해액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음. 평균 피해액 증가는 보험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 적절한 리스크 관리가 동반될 경우, 보험사의 경우 신규상품 및 매출확대 기회가 될 전망

    - 또한 대재해채권 발행 규모도 증가하고 있어 이와 관련된 채권 발행 및 리스크분산도 지속적으로 부각될 전망

    전세계 대재해채권 발행 규모 전세계 자연재해 평균 피해액

    자료: Swiss Re, KB투자증권 자료: CRED, KB투자증권

    31

    - 태국 홍수로 인한 손실 이후 리스크 관리를 강화한 코리안리

    - 날씨보험시장에 대한 철저한 대응과 대지진 이후 리스크 관리 강화에 노력하는 손보재팬

    Part. 3

    Part. 4

    재해에 리스크 관리 강화로 대처하는 보험사 사례

    전세계적인 자연재해 피해 규모의 증가로 인해 보험 수요 확대될 전망

    코리안리

    Somph JapanInsurance Inc.

    - 2011년 태국 홍수 발생으로 코리안리, 삼성화재 등 보험사의손실 발생

    - 특히, 재보험사인 코리안리 경우 1,900억원 수준의 손실 발생. 여타 해외재보험사의 경우 심각한 경영난 초래

    - 태국 홍수 이후 코리안리는 보험료 인상 및 보상조건 강화, XL한도 상향 등을 통한 리스크 관리 실시

    필요시 이미지 넣고없을시 제거

    필요시 이미지 넣고없을시 제거

    - 태국, 필리핀 등 농촌의 날씨 민감도가 높은 지역에 대해다년 간의 현지 조사를 거쳐 날씨파생보험 출시

    - 동북부 대지진 이후, 언더라이팅 강화 및 지진보험료 인상등으로 재해보험 관리 강화

    유승창 수석연구원 3777-8057

    4) 금융 - 자연재해 피해 규모 증가로 보험 수요 확대 기대

    ($bn)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960 1970 1980 1990 2000 2010

    0

    120

    240

    360

    480

    600전세계 자연재해 건당 피해액

    전세계 자연재해 건당 피해액 (5년 이동평균)

    (십억달러) (백만달러, 5MA)

  • 5) 건설 - 탄소 저감, 물부족 해소에 관심 증대

    탄소 배출 저감, 물 부족 해소에 대한 관심 증가로 기반시설 변화에 대한 욕구 발생

    기후변화의 산업 내 영향도 분석

    - 탄소 저감에 대한 사회적 욕구 증대, 건축물 노화에 따른 재개발, 재건축 수요 증대에 따라 향후 Eco friendly한

    빌딩 설계 및 시공에 대한 능력이 요구됨. 특히, 탄소 배출권 거래제에 따라 Eco 빌딩 시공으로 인해 저감되는

    탄소량의 일정부분이 건설사 마진 증가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긍정적임

    - 물 부족 현상 심화로 인해 수처리 시설 및 해수 담수화 플랜트 공종에 강점을 보이는 회사에 집중할 필요성

    - 기후이변에 따른 공기 지연에 따라, 향후 건설사 수주 원가율 고려 시에 기후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전망

    기후 변화에 따라 건설업 사업부문 패러다임의 변화가 예상됨

    기후이변으로 Eco 빌딩 수요 증가, 시공 리스크 증가 물부족 심화에 따른 수처리, 담수플랜트 중요성 증대

    32

    구분 영향구분 사업 기회 분석 발생 주기 영향 및 파급효과 강도

    탄소 저감 및물부족 해소

    (+) 신규사업기회

    (+) 매출확대기회

    Eco빌딩 설계, 시공사업의 신규기회 발생,수처리 및 해수담수화 플랜트 부문매출액 증가 예상

    중기적발생 가능

    [매우 긍정적]- 매출의 10% 이상 영향- 건축물 패러다임 변화로 인해 Eco빌딩

    설계 및 시공 기술에 신사업 진출 가능- 수처리 및 해수 담수화 플랜트 사업에

    강점이 있는 회사의 성장세 기대

    높음

    극단적, 국지적기후이변

    (-) 대응 비용발생

    (+) 향후 신규사업 기회

    기후 이변에 따른일부 지역 공사지연 리스크 발생및 방제 공사신규 수요 증가

    불시 발생

    [부정적]- 매출의 0% 이하~-10% 미만 정도의 영향- 예측 불가능한 기후 이변에 따른 프로젝트

    공기 지연 가능성이 발생할 수 있음

    [긍정적]- 해일, 홍수, 범람에 대한 항만공사, 해안선

    공사 등 특수 기대

    낮음/긍정적이슈로연동

    - 탄소 배출권 이슈에 따라, 단순 시공을 넘어선 Eco-friendly한 빌딩 설계 및 건축에 대한 욕구 증대

    - 물 부족 현상에 따른 수자원 관리 필요성 증대로 인해 수처리 시설 집중 및 해수담수화 플랜트 증설에 관심 확대

    - 극단적이고, 국지적인 기후이변의 증가로 인해 건설업 전반의 시공 리스크가 증가할 가능성

    Part. 1

    Part. 2

    엘리뇨 현상, 인구 증가로물 부족 현상 심화

    상하수 및수처리시설

    대우건설태영건설

    기후 이변탄소배출권

    거래제

    허문욱 센터장 3777-8096

    해수담수화플랜트

    고온, 가뭄장마

    삼성엔지니어링

    ▶ 인구 증가와 이상기온에 따라국지적인 장마 및 일부지역의고온, 가뭄의 지속으로 인해물부족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

    ▶ 수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위해 상하수, 수처리 시설 및해수 담수화 플랜트 필요성 증대

    ▶ 상하수, 수처리 시설과담수플랜트에 강점이 있는삼성엔지니어링, 대우건설,태영건설 주목

    자료: KB투자증권 자료: KB투자증권

    탄소 배출량 규제

    Eco 빌딩수요 증가

    에너지 다소비 업종중심 감축비용 증가

    국지적, 극단적기후변화

    시공 리스크증가

    건축물 노화에 따른재개발, 재건축 수요

    삼성물산에 유리

  • 2,092 3,880

    8,148 1,618

    3,550

    7,100

    529

    1,220

    2,814

    0

    4,000

    8,000

    12,000

    16,000

    20,000

    2011 2015E 2030E

    수처리·해수담수

    하수도

    상수도

    (억달러)

    CAGR 10.1%

    5) 건설 - Eco 빌딩, Water Business에 주목

    - 국토교통부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제로에너지 빌딩 활성화 계획’을 제시. 향후 제로에너지 빌딩 시범사업추진과 함께 Eco 빌딩에 대한 시장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 따라서 빌딩 에너지 효율화에 강점이 있는삼성물산에 주목할 필요. 스마트 그리드의 도입으로 Eco 빌딩의 선구자로서 자리매김할 것으로 전망

    - Global Water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했을 때, 해수담수화에 강점이 있는 삼성엔지니어링, 상하수도건설에 강점이 있는 태영건설, 대우건설에 주목할 필요. 해수담수화 시장 선진적 진입이라는 강점과상하수처리장 시공 능력을 기반으로 멤브레인 활용을 통한 정수 및 상하수처리시설 운용분야까지 진출 가능할전망

    제로에너지 빌딩 시범사업 추진계획 Global 상하수 및 수처리 시장 규모 및 전망

    자료: 국토교통부, KB투자증권 정리 자료: Global Water Intelligence, KB투자증권주: 2030년은 KB투자증권 추정

    33

    - 삼성물산의 가디언 빌딩, 몽고메리 빌딩 에너지 효율화

    - GE의 선구적인 에코매지네이션 (Ecomagination) 개념 구축

    - Siemens의 공급자들과의 협력

    Part. 3

    Part. 4

    기후변화에 따른 각국 건설사의 대응 현황 –삼성물산, GE, Siemens

    Eco 빌딩에 강점이 있는 삼성물산, Water Business에 강점이 있는 대우건설, 삼성엔지니어링

    삼성물산의빌딩 에너지

    효율화

    GE의Ecomagination

    Siemens의공급자들과

    협력

    - 미국 디트로이트 가디언빌딩, 시카고 몽고메리빌딩 에너지효율화 사업을 진행함

    - 에너지 모니터링 및 지능형 전력 수요관리 시스템을 적용하여 건물의 에너지 사용량을 기존 건물 대비 5~10% 수준으로 절감함

    - GE만의 환경전략인 Eco + Imagination 개념 구축, 4개의구체적인 목표를 설정

    - 청정기술에 대한 R&D 비용 확대, Ecomagination에 부합하는제품매출 확대, 온실가스 배출 감축, 관련 정보를 Global Impact 보고서를 통해 이해관계자에게 공개

    - 국제 규제에 대응하고자 ‘공급자들과 협력’이라는 환경 목표를 설정

    - Siemens 사업장뿐만 아니라 모든 협력사까지 에너지 효율달성을 위한 동일한 기준 적용

    허문욱 센터장 3777-8096

    민간부문 공공부문 선정

    저층형 주거 (가로주택정비사업·신축)

    세종시 등신도시를

    대상으로 선정

    2014년

    비주거 (소규모 업무시설 등)

    고층형 주거 (재건축, 재개발, 신축) 2015년

    비주거 (업무시설 등)

    타운형 스마트 에너지제로타운 (신규 R&D와 연계) 2016년

    연간 건축허가면적의 10%를제로에너지 빌딩으로 할 경우

    온실가스 감축량: 67만TCO2eq에너지 절감량: 18만TOE

    추가 사업비: 4.5조고용 유발: 5만명

    기존 건축물 대비 온실가스 70~80% 감축

  • 6) 기계/상사 - 업종간 희비 교차, 발전소 건설은 호재

    발전소 건설 증가로 두산중공업에 긍정적. 석탄 수요 둔화는 LG상사에 부담

    기후변화의 산업내 영향도 분석

    - 기후변화로 인해 폭염, 혹한 등 기온 변화가 심하고, 이는 냉난방 수요 증가 → 전력 소비 증가로 연결됨

    - 이에 대비하기 위한 발전소 증설은 필수이며, 이 과정에서 발전업 비중이 높은 두산중공업에 수혜 기대

    - 반면, CO2 배출이 많은 ‘석탄화력발전 비중 축소 → 석탄 Demand 및 가격 하락’은 LG상사에 부담이 될 듯

    CO2 배출이 적은 친환경 발전소 증설이 주를 이루게 될 전망

    기후 온난화의 경제적 파생 효과 기후 온난화 파생 효과의 양면성 점검

    34

    구분 영향구분 사업 기회 분석 발생 주기 영향 및 파급효과 강도

    발전소 건설증가

    (+) 매출 확대 기회

    발전소에 기자재납품 기회 증가, EPC 및 담수 수주Pool 확대

    장기적발생 가능

    [긍정적]- 전력난에 대응하기 위한 발전소 건설 확대- 원전 외에도 EPC, 기자재 납품을 수행하는

    두산중공업에 기회 요인- 원전이 ‘필요악’으로 평가 받으면서도 비용

    효율성으로 사업 확대될 경우 긍정적

    높음

    석탄 수요감소

    (-) 매출 감소석탄 광구 수익성악화

    단기적발생 가능

    [부정적]- CO2 감축의 일환으로 탄소세 부과되는

    분위기. 석탄발전 위축 및 수요 둔화로 석탄가격 하락이 장기화될 우려 있음

    - LG상사는 국내에서 석탄 의존도가 높은 기업(2015년 신규 석탄광구 생산 예정)

    높음

    - 원전, EPC, 담수 등 발전 전부문에 걸쳐 사업을 진행하는 두산중공업 입장에서는 긍정적

    - 가장 좋은 것은 수익성 높은 원전 사업이 확대되는 것. 물 부족으로 담수 발전이 늘어날 가능성도 긍정적 요인

    - 반면 석탄 Exposure가 상대적으로 높은 LG상사에는 부담 요소

    Part. 1

    Part. 2

    온난화로 전력소비 증가CO2 감축 필요성 증가

    발전소증설 필요

    발전 관련업수혜

    김현태 선임연구원 3777-8128

    석탄발전 비중 축소

    CO2 감축전력소비 증가

    석탄수요및 가격 하락

    ▶ 온난화 파생 효과는양면성을 갖고 있음

    ▶ 긍정적: 발전소 증설부정적: 석탄비중 축소

    ▶ 발전 관련업 수혜석탄 관련업 피해

    자료: KB투자증권 자료: KB투자증권

    기후온난화

    폭염, 혹한 증가

    발전소건설

    냉난방수요 증가

    CO2 배출 규제

    석탄가격 하락

    전력사용량 증가

    전력예비율 하락

    석탄 발전의존도 축소

    석탄 Demand 둔화

  • 6) 기계/상사 - 신재생 등 발전설비 증설은 기회요인

    - 전세계 발전용량은 2020년까지 38.2% 증가 (2010년 대비) 전망. CAGR +3.3% 성장률 전망

    - 발전 Type별 CAGR은 신재생이 +12.3%로 가장 높고, 석탄/오일은 +1.7%로 가장 낮은 수준

    - 탄소배출이 많은 화석연료 발전 비중이 낮아지고, 석탄 Demand와 가격에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

    전세계 발전용량 전망 발전 Type별 성장률 전망

    자료: 두산중공업, WEO 자료: 두산중공업, WEO

    35

    - 두산중공업은 담수화 공법 3가지 기술을 모두 갖추고 있어 글로벌 물 부족에 대비할 경쟁력 보유

    - 일본 미쓰비시는 환경사업본부를 조직해 관련 사업에 적극적 대응. 인도네시아에 조림 사업 진행

    - 스미토모 상사는 바이오매스, 지열, 풍력, 태양광 등 신재생 발전 사업으로 기업 범위 확장

    Part. 3

    Part. 4

    관련 기업 사례 및 동향

    신재생 등 친환경 발전설비의 증설이 두드러질 전망

    두산중공업

    Mitsubishi Corporation

    - 원전, EPC 등 발전 사업은 물론 담수화 사업도 적극 추진

    - 담수화 공법 3가지 (MSF, MED, RO) 기술을 모두 갖춰중동, 유럽 등에서 수주 경쟁력 확보

    - 발전소, 담수 플랜트 양 부문에서 기후변화 수혜 가능

    필요시 이미지 넣고없을시 제거

    - 환경사업본부 아래 신재생 에너지, 탄소배출권, 환경, 물 등부문별 조직을 설치

    - 탄소배출권 확보를 위해 2011년 인도네시아에서 소규모REDD (산림전용방지 및 산림경영) 프로젝트를 진행

    - 재생에너지 개발, 친환경 도시개발사업 등을 진행

    김현태 선임연구원 3777-8128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7,000

    8,000

    2010 2020E

    (GW) 수력 신재생

    원자력 가스

    석탄/오일

    5,202

    7,190

    +38.2%

    Sumitomo Corporation

    - 바이오매스 발전, 지열, 풍력 발전, 태양광 발전 등 저탄소사업으로 기업의 범위 확장

    - ‘풍력 및 인프라 사업본부’를 설립, 글로벌 풍력 발전사업을개발. 미국과 중국을 메인으로 신흥시장까지 진출

    - 터키 지열 발전소 건설현장에 증기터빈과 플랜트 납품

    (GW, %) 2010 2020E 증가율 CAGR

    수력 1,033 1,348 30.5 2.7

    신재생 321 1,022 218.4 12.3

    원자력 413 502 21.5 2.0

    가스 1,351 1,845 36.6 3.2

    석탄/오일 2,084 2,473 18.7 1.7

    합계 5,202 7,190 38.2 3.3

  • 7) IT- 저전력 인프라 및 IT기술의 기후변화 대응에 활용

    친환경 제품에 우호적인 정책 변화, 기상 이변 속출에 따른 대응력 제고 노력이 지속될 전망

    기후변화의 산업 내 영향도 분석

    - 기후 변화를 막기 위한 친환경 정책 강화가 기대되는 가운데, IT 부문에서는 저전력 인프라 확산이 화두로 부각될전망

    - 기상 변화에 대한 예측 능력 확보를 위해 빅데이터를 활용한 날씨 예보 시스템이 보편화될 전망

    - 아울러 국지적 기상 이변에 대응하기 위해서 IoT를 활용한 인프라 구축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

    기후 변화에 따른 관련 IT 인프라 활용도 제고 전망

    저전력 인프라 수요 증가 기상 변화에 대한 예측 및 대응 능력 확보

    36

    구분 영향구분 사업 기회 분석 발생 주기 영향 및 파급효과 강도

    환경 관련정책 변화

    (+) 신규사업 기회친환경 제품 수요확대 속 저전력제품 수요 증가 전망

    중기적발생 가능

    [긍정적]- 사회 전반에 걸쳐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되는 가운데, 저전력 인프라구축에 관심 고조

    - 이 과정에서 전력 소모가 낮은 반도체 수요확대가 필연

    - 기존의 전력망에 정보기술을 접목한 지능형전력망 (스마트그리드) 확산

    높음

    기상 이변(-) 대응비용 발생(+) 신규사업 기회

    날씨예보의 정확성및 대응력 제고 필요

    슈퍼컴퓨터, 빅데이터 등의 활용 확대

    단기적발생 가능

    [부정적]- 국지성 기상 이변이 속출하면서 기상 예보의

    세밀함, 그리고 대응 능력 확보 중요

    [긍정적]- 빅데이터 관련 시스템, 반도체 센서 등의 수요

    증가 예상

    낮음

    - 친환경 제품 수요 확대 속에 저전력, 에너지 효율화 인프라 구축의 필요성 증가 à 저전력 반도체, 스마트 그리드

    - 국지적인 기상 이변 증가로 날씨 예보의 정밀함이 요구됨 à 빅데이터, 슈퍼컴퓨터

    - 아울러 국지적 기후 변화 발생 시 실시간 대응 능력의 제고가 필요 à IoT의 활용

    Part. 1

    Part. 2

    국지적 기상 이변

    빅데이터

    데이터센터, 서버

    IoT

    대응예측

    센서, 네트워크

    ▶ 국지적 기상 이변이 지속증가할 경우 기상 예측 및대응 능력에 대한 투자 확산기대

    ▶ 예측 능력 강화를 위해서는빅데이터 활용이 필요하며,대응 능력 확대를 위해서는IoT 활용

    ▶ 이와 관련, 데이터센터 확충, 슈퍼컴퓨터 수요 확대, 센서시장 확대 및 네트워크 장비수요 증가 기대

    자료: KB투자증권자료: KB투자증권

    기후 변화에 따른친환경 정책 강화

    Low power,DDR4, SSD,미세공정전환

    스마트 그리드

    저전력 인프라 수요의 확대▶ 사회 전반적으로 저전력

    인프라 수요가 증가

    ▶ 저전력 솔루션 제공을위해 저전력 반도체 확산

    ▶ 전력망의 에너지 효율을최적화하는 스마트 그리드보급 가속화

    ▶ IT 부문에서는 전력 소모감소가 화두

    변한준 선임연구원 3777-8053

  • - 삼성전자의 그린 메모리 솔루션은 속도 및 성능 개선을 추구하면서 동시에 비용과 환경 훼손을 최소화할 것으로기대. SSD, low power DRAM 등이 대표적인 솔루션

    - 빅데이터의 활용도가 높아질수록 전력 소모 완화를 위한 투자와 노력이 병행될 것이며, 삼성전자 솔루션 각광받을 것

    - 에너지 효율 최적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력공급자와 소비자가 양방향으로 실시간 정보를 교환해 전력공급량을 탄력적으로 적용하는 스마트그리드가 확산될 것으로 기대

    삼성전자 그린 메모리 성능 분석 스마트그리드 확산 기대

    자료: 삼성전자 자료: 한국스마트그리드사업단

    37

    - 삼성전자는 친환경, 저전력 인프라 제공을 위한 다양한 솔루션을 구축한 글로벌 기업

    - 바이살라는 기상 관측 장비 1위 기업. 장비, 시스템, 서비스 등 토탈 솔루션 제공

    - 웰비안시스템은 초고층 건물 또는 타워크레인에 설치해 실시간 기상 관측을 가능케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제공

    Part. 3

    Part. 4

    기후 변화, 그에 따른 친환경 정책적 대응 –삼성전자, 바이살라, 웰비안시스템

    저전력 인프라 제공을 위한 솔루션의 수요 확대 기대

    삼성전자

    바이살라

    웰비안시스템

    - 그린 메모리 솔루션을 통해 성능은 높이고, 전력 소모는 감소시키는 노력 지속 중

    - 특히, 데이터센터, 기업향 서버 등 전력 소모가 높은 응용처를 타겟으로 하는 SSD

    시장에서 독보적 위상 구축

    - 기상 관측 장비 세계 1위인 핀란드 기업. 장비뿐 아니라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 라디오존데, 기압계, 이산화탄소/이슬점/습도 측정기 등의 장비 생산. 관련 수요 증가는

    메모리반도체 및 반도체센서 수요 증가로 이어질 것

    - 초고층 건물 또는 타워 크레인에 기상 관측 센서를 설치, 실시간으로 기상 정보를 관측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 보유

    - 향후 차량 등으로 적용 범위 확대 가능

    - 반도체 센서 수요 증가를 견인할 전망

    7) IT- 대표적 솔루션 제공 선두업체를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