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59
2016 핵심직무능력향상 지원사업 훈련과정 안내

Upload: others

Post on 06-Mar-2020

4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2016

핵심직무능력향상 지원사업

훈련과정 안내

Page 2: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http://www.ehredu.co.kr

인적자원관리 영역 (인사・노무・총무) 총 12개 훈련과정

3단계 고충처리 상담기법을 활용한 노사관계 개선 ▎2일 16시간

67개 테마로 설계하는 채용에서 퇴직까지 중소기업 인사관리 완전정복 ▎3일 24시간

6단계로 배워 실무에서 강해지는 인사평가 전문가 과정 ▎2일 16시간

경영성과 개선을 위한 중소기업형 임금설계 실습 과정 ▎2일 16시간

실무에 적용하기 쉬운 엑셀을 활용한 중소기업 임금관리 과정 ▎2일 16시간

실수는 줄이고 효율은 높이는 체크포인트 급여관리 과정 ▎3일 24시간

업무실행력을 높여주는 105가지 인사노무 실전 활용 가이드 ▎2일 16시간

우리 회사에 딱 맞는 중소기업형 보상시스템 설계 과정 ▎2일 16시간

중소기업을 위한 인사관리 A to Z, HR 마스터 과정 ▎2일 16시간

직무분석부터 평가활용까지, 직무관리 활용 과정 ▎2일 16시간

케이스와 동영상으로 배우는 채용에서 퇴직까지 중소기업 노무관리 완전정복 ▎2일 16시간

합법적 인력운용을 위한 33가지 인사규정 작성 실습 ▎2일 16시간

경력개발・리더십 영역 총 14개 훈련과정

가슴 뛰는 회사를 만드는 성과창출 비전 리더십 ▎2일 16시간

계획이 성과로 이어지는 팀워크의 원리, 성과지향 팀리더십 ▎2일 16시간

롤플레잉을 통한 현장문제 해결 솔루션, 상황별 리더십 훈련 ▎2일 16시간

목표를 현실로 만드는 성과관리 리더십 ▎2일 16시간

생산성 혁신을 위한 현장관리자의 실천전략, 현장 리더십 ▎2일 16시간

성과를 향상시키는 프로들의 소통법, 4단계 커뮤니케이션 훈련 ▎2일 16시간

2016 중소기업 핵심직무능력향상 지원사업

훈 련 과 정 안 내

Page 3: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실행력 강화를 위한 실천노하우, 액티브 리더십 ▎2일 16시간

조직 내 갈등해결의 실전 스킬, 승승의 릴레이션십 ▎2일 16시간

조직몰입도를 최고로 높이는 강점개발 리더십 ▎2일 16시간

조직을 변화시키는 긍정에너지, 에너자이징 리더십 ▎2일 16시간

조직의 핵심인재로 성장하기 위한 변화관리, 내비게이터십 ▎2일 16시간

중소기업 리더의 5가지 핵심역량 강화를 통한 명품리더 만들기 ▎2일 16시간

팀원의 발달단계에 따른 팀원관리 비법, 눈높이 리더십 ▎2일 16시간

행동원리를 이해하는 액션러닝, 5단계 실천 리더십 ▎2일 16시간

회계실무 영역 총 1개 훈련과정

지급유형별로 꼼꼼하게 짚어보는 원천징수 실무 ▎2일 16시간

✜훈련기간 : 2016년 01월부터 12월까지

✜훈련지역 : 서울, 부산, 대구, 청주 등 전국 주요 도시

✜교육대상 : 고용보험법시행령 제12조 규정의 의한 우선지원대상기업의 사업주 및 근로자

✜교육비용 : 100% 전액 정부 지원

(교재 및 중식, 간식 무료 제공, 교육시간의 80% 이상 이수 시 수료증 발급)

과정별 세부 훈련 일정 및 실시 지역은

홈페이지(http://smhrd.ehredu.co.kr) 참조

Page 4: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http://www.ehredu.co.kr

【인적자원관리】

3단계 고충처리 상담기법을 활용한 노사관계 개선

훈련 시간

“2일 16시간(09:00~18:00)”

훈련 대상

“우선지원대상기업의 사업주 및 관련 실무자”

업 종 산업 및 업종 구분 없음

(중소기업 전 산업)

부 서 노무, 인사, 총무,

경영관리(지원) 관련 부서

Program Structure

훈련 목적

“노사관계관리와 관련된 제반 활동들을 수행하고 각종 위법사항 관리, 조직구성원의 고충처리 및

노동조합의 활동에 대응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능력 함양”

✜노사관계 관련, 조직의 정책에 따라 조직 구성원들의 요구 파악 및 파악된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노사관계 개선계획을

수립⋅시행할 수 있다.

✜노동법에 준하여 근로계약, 취업규칙, 단체협약의 규정들의 법률 준수 여부를 검토하고, 노동법률 위반 사례 발생 시

정해진 절차에 따라 조치할 수 있다.

✜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에 따라 고충처리위원회를 구성 및 운영하고 직원의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훈련 특징

✜훈련생 스스로 소속사의 경영환경 및 노무노사관계의 특성을 반영한 노사관계 개선 계획을 학습활동서에 작성할 수

있도록 구성한 실무 중심형 훈련 과정

✜중소기업 현장에서 발굴된 실질적인 사례연구와 쉽게 적용점을 찾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공함으로써 효과적인

고충처리 상담이 가능하도록 과정을 구성

✜다양한 조직의 상황을 바탕으로 한 Best Practice를 통해 교육훈련생이 간접 경험을 할 수 있도록 과정을 구성

훈련 기대효과

✜실무담당자의 노무관리 및 노사관계 관리 역량 함양으로 스스로 주도적 업무처리

✜회사에 맞는 노사관계 개선 방안에 대한 검토를 할 수 있는 역량 향상

✜불만사항에 대한 원활한 고충처리로 인해 구성원의 만족도 향상 및 동기부여

✜고충처리기법에 대한 지식과 실무 경험 실습을 통한 자신감 제고

Page 5: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훈련 시간표

일차 모듈명 훈련목표 주요내용 시간

1일차

Module 1

노사관계 개선

노사관계 관련 조직의 정책에 따라

이와 관련한 조직 구성원들의 요구를

파악할 수 있다.

파악된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노사관계

개선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개선계획을 시행함으로써 조직 구성원

들에게 신뢰를 증진시킬 수 있다.

노사 간 신뢰 증진을 위하여 바람직한

노사 문화에 필요한 제도 개선과 환경

을 조성할 수 있다.

◦ 노사관계 개선 계획 수립 및 시행

- 노사관계 개선 계획 주요내용

- 계획추진 일정

- 노사관계 주요정책

◦ 노무관리진단

- 노무관리진단 개요

- 노무관리진단 내용

- 노무관리진단 시행절차

- 효과적인 노무관리진단 방법

- 노무관리진단 보고서 작성

◦ 노사관계개선 계획 수립

6H

Module 2

노동법 준수(Ⅰ)

노동법에 준하여 근로계약, 취업규칙,

단체협약의 규정들의 법률 준수 여부를

검토 할 수 있다.

◦ 노동법의 실효성 확보

◦ 노동법의 준수 및 해석원리

2H

2일차

Module 2

노동법 준수(Ⅱ)

부당노동행위 등 법률위반사례가 발생

할 경우 규정에 정해진 절차에 따라

조치할 수 있다.

위반행위의 예방과 처리를 위하여 유관

기관과 협력관계를 유지 할 수 있다.

부당노동행위 등 법률위반사례가 발생

되지 않도록 교육, 홍보를 통해 예방

활동을 할 수 있다.

◦ 근로계약서 작성 및 점검

◦ 취업규칙 작성 및 점검

◦ 단체협약 규정 검토

◦ 유형별 부당노동행위와 사례검토

◦ 부당노동행위 구제절차

- 노동위원회 구제신청

- 지방노동관서 신고(진정,고소)

- 민사절차

4H

Module 3

직원고충 처리

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에 따라 고충처리위원회를 운영할 수

있다.

조직 구성원의 고충사항을 효율적으로

청취할 수 있도록 청취경로를 다양하게

운영할 수 있다.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 고충처리제도의 설치 및 운영

- 고충처리제도 개요

- 고충의 발생원인

- 고충의 해결

- 사업내 상담자로서의 고충처리 역할

- 상담자로서 지녀야 할 기본자세와 역량

- 기업의 갈등해결 및 고충처리 운용절차

- 인사관리담당자의 고충처리 상담자로서의 역할 요구

◦ 3단계 고충처리 상담기법

- 1단계 : 고충대상자의 자아를 발견

- 2단계 : 대화와 교류를 통한 고충처리 상담

- 3단계 : 스스로 고충을 해결하도록 유도

4H

Page 6: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http://www.ehredu.co.kr

【인적자원관리】

67개 테마로 설계하는 채용에서 퇴직까지 중소기업 인사관리 완전정복

훈련 시간

“3일 24시간(09:00~18:00)”

훈련 대상

“우선지원대상기업의 사업주 및 관련 실무자”

업 종 산업 및 업종 구분 없음

(중소기업 전 산업)

부 서 인사, 총무, 경영관리(지원) 등

인사/조직 관련 부서

Program Structure

훈련 목적

“인적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 인사제도를 개선하고 설계하며 운영할 수 있는 인사관리 전문가 양성”

✜중소기업 인사운영에 필요한 인사 기능별(채용, 평가, 보상 등) 전문지식을 함양할 수 있다.

✜실무 인사시스템 운영 시 필요한 궁극적인 동기부여 이론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인사지식과 동기부여 이론의 연계를 통한 맞춤형 실무지식을 배양할 수 있다.

훈련 특징

✜강사의 풍부한 HR컨설팅 경험을 활용하여 주요 HR과제를 실습하는 컨설팅식 교육방법을 통하여, 실무지식과 스킬을

내재화함으로써 실질적인 HR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음

✜인사관리 업무에서 실무적으로 필요한 모든 내용들을 총망라하였으며 훈련내용의 실무에서의 활용을 높이기 위해 각

모듈별로 회사에서 활용 가능한 주제들을 실습할 수 있도록 구성함

✜인사의 전반적 주제를 사례공유 및 교육함으로써 단편적인 시각으로 이슈 사안에 대한 접근을 하기 보다는 폭넓은

시각으로 인사기능 간 연계성(형태론적 관점: configuration approach)을 고려하여 해결방안을 모색함

훈련 기대효과

✜실무담당자의 인사관리 능력 함양으로 스스로 주도적인 업무처리가 가능함

✜인사업무의 기능별 지식을 체계적으로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음

✜스스로 회사에 적합한 인사관리 제도에 대한 검토 및 설계할 수 있는 역량을 확보함

✜장기적 관점에서의 인사의 로드맵을 갖춤으로써 경쟁력 있는 조직관리 및 생산성 증대의 토대를 마련함

Page 7: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훈련 시간표

일차 모듈명 훈련목표 주요내용 시간

1일차

Module 1.

환경변화와 인사관리

조직의 비전과 중장기 사업전략에

따라 인사전략 환경을 분석할 수 있다.

인사전략 환경분석에 따라 중장기

인사전략의 방향성을 수립할 수 있다.

◦ <테마1>인사관리의 접근방법

◦ <테마2>인사관리의 체계

◦ <테마3>인사관리시스템의 발전과정

◦ <테마4>전략적 인적자원관리

◦ <테마5>외부환경변화와 우리나라 인사관리시스템의 변화

◦ <테마6>인사관리 패러다임의 변화

◦ <테마7>인사부서의 역할과 라인·스텝의 역할 분담

◦ <테마8>최근 인사관리 이슈

2H

Module 2.

직무관리

직무조사결과에 따라 조직에 적합한

직무분류체계를 설계할 수 있다.

개별직무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적합한 직무평가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개별직무의 가치를 공정하게 평가할

수 있다.

◦ <테마9>직무분석의 목적과 요건, 개선방향

◦ <테마10>직무분석의 절차

◦ <테마11>직무조사의 관점과 기법

◦ <테마12>NCS 인사관리 능력단위별 직무프로파일

◦ <테마13>직무평가의 목적, 절차, 성공적 수행요건

◦ <테마14>직무평가의 세부 방법론

◦ <테마15>직무설계

◦ <테마16>직무과정재설계(BPR)

3H

Module 3.

인력계획과 정원산정

부서별 필요인원, 생산성 및 인건비

등을 분석하여 연간 인원계획을 수립

할 수 있다.

충원인력의 규모, 시기, 요구역량에

따라 인력공급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조직의 퇴직·감원·이동·승진을 고려하여

조직 내부의 인력수요를 조정할 수

있다.

◦ <테마17>효율적인 인력계획의 수립

◦ <테마18>인력공급계획

◦ <테마19>인력수급조정계획(인력유연화)

3H

2일차

Module 4.

채용 및 선발

필요분야, 채용규모, 충원시기를

고려하여 모집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수립된 모집계획에 따라 효율적인

모집방법을 계획하고 효과성을 평가

할 수 있다.

◦ <테마20>모집관리

◦ <테마21>모집의 효과성 평가

◦ <테마22>선발관리

◦ <테마23>현실적 직무안내

(RJP:realistic job preview)

2H

Module 5.

역량관리 및 개발관리

조직의 전략적 인재양성 목적에 따라

조직이 필요로 하는 인재의 역량을

모델링 할 수 있다.

역량행동지표가 가지는 의미성을

이해하고 역량항목과 교육체계의

연계성을 확보할 수 있다.

◦ <테마24>역량모델링

◦ <테마25>역량개발센터

(DC:Development Center)

◦ <테마26>경력개발(CDP)의 실천적 기법

◦ <테마27>경력정체의 원인과 극복방안

◦ <테마28>합리적 승진기준

◦ <테마29>직급·직책·호칭 분리제

◦ <테마30>2014년도 승진·승급관련 실태 조사결과(경총)

◦ <테마31>핵심인재, 발탁인사제

◦ <테마32>현행 교육훈련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 <테마33>교류분석

◦ <테마34>학습조직 활성화 활동(CoP)

◦ <테마35>교육과정 설계 및 평가

3H

Page 8: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http://www.ehredu.co.kr

일차 모듈명 훈련목표 주요내용 시간

Module 6.

성과관리

공정한 평가를 위하여 기존 평가제도를

검토할 수 있다.

역량향상과 성과측정을 위한 공정한

평가제도를 수립할 수 있다.

평가결과의 수용성 제고를 위해 평가

제도, 평가일정, 프로세스 등 평가

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 <테마36>성과관리

◦ <테마37>MBO와 BSC

◦ <테마38>성과지표(KPI) 도출

◦ <테마39>인사부서 성과지표 도출

◦ <테마40>상대평가와 절대평가

◦ <테마41>팀평가와 개인평가의 연계

◦ <테마42>역량평가

◦ <테마43>평가센터(AC)법

◦ <테마44>다면평가

◦ <테마45>역량평가와 업적평가의 반영 및 활용

◦ <테마46>평가의 오류

◦ <테마47>부서별 평가점수의 조정

◦ <테마48>평가결과의 수용성 제고방안

◦ <테마49>저성과자 해고 가이드라인

3H

3일차

Module 7.

보상관리

현행 임금체계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조직성과 향상에 기여한 조직원의

동기부여를 위한 성과급제도를 설계

할 수 있다.

근로조건 개선 및 복지증진을 위한

복리후생제도를 설계할 수 있다.

◦ <테마50>보상관리

◦ <테마51>우리나라 임금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테마52>기본급 설계

◦ <테마53>호봉제 설계 및 분석

◦ <테마54>연봉제관련 가이드라인

◦ <테마55>연봉제 설계

◦ <테마56>성과급

◦ <테마57>임금피크제 설계 가이드라인

◦ <테마58>총보상

◦ <테마59>카페테리아식 후생복리제도

3H

Module 8.

유지 및 이직관리

인력이직관리 방안을 수립할 수 있고

관리방안에 따라 단계별 실천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조직의 경영환경에 업무특성에 부합하는

유연근로시간제를 설계할 수 있다.

업무경중과 비용효과 분석에 따라 아

웃소싱 대상업무와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 <테마60>유지관리

◦ <테마61>근로시간의 유연화

◦ <테마62>스마트워크제 시행 가이드라인

◦ <테마63>교대제 설계

◦ <테마64>노동조합의 조직형태

◦ <테마65>이직에 대한 관리방안

◦ <테마66>효율적 아웃소싱

(outsourcing) 설계 방안

3H

Module 9.

조직문화

조직문화의 방향성을 기준으로 현재

조직문화 수준의 차이를 진단할 수

있다.

조직문화 진단결과에 따라 중장기 비

전에 기여할 수 있는 개선점을 도출

할 수 있다.

◦ <테마67>조직진단 및 조직문화 개선전략 2H

Page 9: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인적자원관리】

6단계로 배워 실무에서 강해지는 인사평가 전문가 과정

훈련 시간

“2일 16시간(09:00~18:00)”

훈련 대상

“우선지원대상기업의 사업주 및 관련 실무자”

업 종 산업 및 업종 구분 없음

(중소기업 전 산업)

부 서 인사, 총무, 경영기획, 경영전략,

경영혁신 등 인사/조직 관련 부서

Program Structure

훈련 목적

“조직의 성과향상과 조직구성원의 능력을 재고하기 위하여 평가계획수립, 목표설정, 평가교육,

인사평가를 수행하는 능력 함양”

✜중소기업 인사평가에 필요한 평가기법 및 목표설정 방법, 평가교육 등의 전문지식을 설명할 수 있으며, 평가제도에 대한

내용을 타사와 비교⋅분석할 수 있다.

✜목표설정 및 인사평가운영 등의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수립하고, 평가오류 검토 및 평가결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자사

인사평가 시스템 운영 시 개선점을 찾아낼 수 있다.

✜현업에서 발생하는 고민과 인사평가 지식을 접목하여 스스로 이슈를 해결하는 역량을 배양한다.

훈련 특징

✜평가능력 함양을 위한 단계별 접근(1단계: 사례공유, 2단계: 평가지식 습득, 3단계: 핵심포인트 토론, 4단계: 과제해결

연습, 5단계: 제도설계 실습, 6단계: 개별회사 Q&A)을 통해 다양한 관점에서 평가제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힘으로써

실무자가 어떠한 새로운 평가이슈가 발생하더라도 스스로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역량 강화형 훈련과정으로 구성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 제시하는 인사평가 능력단위를 활용함과 더불어, 수요조사를 통해 도출된 ‘경쟁력 강화를

위한 평가방법 설계하기’ 모듈을 추가하여 현장에서의 실행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과정을 구성

훈련 기대효과

✜실무담당자의 평가능력 함양으로 스스로 주도적 업무처리가 가능해짐

✜자사에 맞는 평가제도에 대한 검토를 할 수 있는 역량 향상

✜공정성이 확보될 수 있는 인사평가제도의 설계를 통해 자사 경쟁력 확보

✜평가제도의 직원 수용성 제고로 구성원 만족도 향상

Page 10: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http://www.ehredu.co.kr

훈련 시간표

일차 모듈명 훈련목표 주요내용 시간

1일차

Module 1

체계적 운영을 위한

평가계획 수립

조직구성원에 대한 공정한 평가를 위하여

인사부서 내부에서 기존의 평가 제도를

검토할 수 있다.

내부에서 검토된 평가제도를 기준으로

조직구성원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다.

수렴된 의견을 검토하여 역량 향상과

성과 측정을 위한 평가 제도를 수립

할 수 있다.

수립된 평가제도를 기반으로 당해 연

도 평가계획을 작성할 수 있다.

STEP 1 평가계획 이슈 사례 공유

STEP 2 인사평가계획 개념 학습

- 인사평가의 방향

- 인사평가의 방법

- 인사평가의 요건

- 평가 프로세스 설정

- 평가 운영체계 수립

- 평가 결과의 활용

STEP 3 평가계획 심화 토론

STEP 4 사례과제 해결 연습

STEP 5 평가계획 작성 실습

STEP 6 평가계획 이슈 질의 응답

4H

Module 2

경쟁력 강화를 위한

평가방법 설계

조직의 성과를 달성하는 방법을 이해

하기 위하여 다양한 평가 종류를 검토

할 수 있다.

조직에 맞는 평가방법을 설계할 수

있다.

STEP 1 평가방법 설계 사례 공유

STEP 2 평가방법 개념 학습

- BSC에 따른 성과관리

- 역량모델링

- 다면평가

STEP 3 평가방법 심화 토론

STEP 4 사례과제 해결 연습

STEP 5 평가방법 작성 실습

STEP 6 평가방법 이슈 질의응답

4H

2일차

Module 3

성과달성을 위한

목표설정

설정된 부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조직구성원이 주요 성과지표를 이해

하도록 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조직구성원이 설정된 주요 성과지표에

따라 자신의 목표를 설정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조직구성원이 작성한 내용을 수집하여

개인별 최종 목표를 확정할 수 있다.

STEP 1 목표설정 사례 공유

STEP 2 목표설정에 대한 개념 학습

- 성과지표의 도출

- 목표기준의 설정

STEP 3 목표설정 심화 토론

STEP 4 사례과제 해결 연습

STEP 5 목표설정 수립 작성 실습

STEP 6 목표설정 이슈 질의응답

4H

Module 4

수용성 확보를 위한

평가교육 운영

평가방법에 따라 조직과 개인의 목표

수준을 평가하는 가이드라인을 설정

할 수 있다.

평가자와 피 평가자의 합리적인 목표

배분, 평가 오류를 줄이기 위해 면담

기법에 대한 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평가자를 대상으로 평가제도, 평가오류

유형, 평가일정, 프로세스 등 평가교육

을 실시 할 수 있다.

피 평가자를 대상으로 평가제도, 평

가일정, 프로세스 등 평가교육을 실

시 할 수 있다.

STEP 1 평가교육 사례 공유

STEP 2 평가교육에 대한 개념 학습

- 평가제도 공유

- (1단계)목표설정 방법

- (2단계)중간 과정관리 방법

- (3단계)최종 평가방법

STEP 3 평가교육 심화 토론

STEP 4 평가교육 사례과제 해결연습

STEP 5 평가 중간 과정관리 실습

STEP 6 평가교육 이슈 질의응답

2H

Module 5

공정성을 높이는

인사평가 시행

평가 계획에 따라 평가 일정을 공지

하여 평가를 시행할 수 있다.

시행된 평가결과의 공정성 확보를 위하여

평가 오류를 검토할 수 있다.

평가 결과를 조직 구성원에게 공개하여

이의제기 절차를 거쳐 최종등급을 확정

할 수 있다.

평가 이력을 관리하기 위하여 확정된

결과를 평가관리시스템에 등록할 수 있다.

STEP 1 평가 시행 사례 공유

STEP 2 인사평가 시행 개념 학습

- 최종 등급 확정

- 평가결과 피드백

- 평가 전산시스템 등록

STEP 3 평가시행 심화 토론

STEP 4 사례과제 해결연습

STEP 5 평가등급 산정 실습

STEP 6 평가시행 이슈 질의응답

2H

Page 11: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인적자원관리】

경영성과 개선을 위한 중소기업형 임금설계 실습 과정

훈련 시간

“2일 16시간(09:00~18:00)”

훈련 대상

“우선지원대상기업의 사업주 및 관련 실무자”

업 종 산업 및 업종 구분 없음

(중소기업 전 산업)

부 서 인사, 총무,

경영관리(지원)관련 부서

Program Structure

훈련 목적

“조직성과 향상에 기여한 조직원의 처우를 개선할 목적으로 임금구조 및 임금인상 방식을 개선하고

설계할 수 있는 능력함양”

✜중소기업에 적합한 임금구조 및 임금체계를 설계 및 운영함에 따라 회사에게는 효율적인 보상제도를, 근로자에게는

보상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임금관리와 관련한 전문지식 함양

✜중소기업 임금체계가 적법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임금관리와 관련한 기본적인 법률사항과 최근 트렌드에

대한 이해도 향상

✜임금설계의 기초이론과 실제 사례의 연계를 통한 맞춤형 실무지식의 배양

훈련 특징

✜중소기업 인사관리자를 대상으로 임금구조 개선안 수립⟶타사 사례비교⟶임금구조 개선 실행 등 실제 컨설팅 수행

과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컨설팅 문제해결 방법론을 중심으로 구성됨

✜실습과제 해결과정에서 임금테이블 설계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엑셀 및 통계프로그램 활용

✜훈련참여생 개인의 임금체계 설계 및 운영관련 직무역량 진단과 소속 기업의 임금관리 수준 진단 등을 통해 개별

수준과 니즈를 파악하고 시너지효과를 낼 수 있도록 그룹을 구성

훈련 기대효과

✜적정 임금 수준 확보를 통한 우수인재 유지 및 확보

✜임금예산 예측에 의한 임금관리로 인건비 위험 감소

✜직원 동기부여로 인한 역량 집중으로 기업 성과 향상 기대

✜객관적 정보와 공정한 임금 관리체계로 인한 인사제도 신뢰성 제고

Page 12: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http://www.ehredu.co.kr

훈련 시간표

일차 모듈명 훈련목표 주요내용 시간

1일차

Module 1.

임금구조 개선안

수립하기

중소기업에서 회사의 경쟁력 제고와 직원의

동기부여를 위해 회사가 원하는 방향으로

임금구조를 변경할 수 있다.

임금 수당의 본질과 임금수준의 적정성을

분석하고 회사의 전략 방향에 맞게 수당

체계 및 임금수준을 조정 설계할 수 있다.

고정급과 변동급의 임금 비율을 분석하고

회사의 직급 및 직무에 맞게 임금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

임금구조 개선 실습을 통해 임금 예산

소요 예측과 회사에 맞는 적정 방안을

수립할 수 있다.

◦ 임금체계 개편 취지

- 임금체계 개편의 방향

- 임금체계 개편 주요 요소

- 기업규모별 체계 개편 방향

◦ 임금구조 개선

- 임금구조 분석 방법

- 중소기업 임금운영 문제점 분석

- 임금수당 분석 방법

- 임금체계의 세분화 및 임금체계 통합화

◦ 수행직무에 맞는 임금비율 결정

- 영업직/사무직/연구직/생산직에 맞는 임금체계 설계 방안

- 직군별/직급별 Pay Mix 차별화 방안

◦ 임금구조 개선 사례 분석

◦ 임금구조 개선 실습

- 고정상여의 변동급화

- 임금수당 체계분석

- 임금구조 개선

- 성과연계형 전환

- 임금비율분석

- 직군별 Pay Mix 차별화

5H

Module 2.

성과급(인센티브)

설계하기

회사 및 부서 목표 달성을 독려하기 위한

회사 및 부서의 성과급 및 인센티브 방안을

설계할 수 있다.

개인의 성과 달성시 적정한 성과급 및

인센티브 방안을 설계할 수 있다.

조직의 예산 범위 내에서 직원의 동기부여를

최대한 이끌어낼 수 있는 성과급(인센티

브)방안을 설계할 수 있다.

회사평가, 부서평가, 개인평가를 반영하여

당해 연도 구성원의 성과급 지급 방안을

수립할 수 있다.

◦ 성과급(인센티브) 설계 방안

- 목표인센티브 제도

- 경영성과급 제도

- 이익공유제도

- 부서성과급 제도

- 프로젝트 성과급 제도

- 개인성과급 지급 방안

◦ 성과급(인센티브) 설계 사례 분석

◦ 성과급(인센티브) 설계 실습

- 목표 인센티브를 기준으로 직원별 배분기준과 소요예산 시뮬레이션

- 경영성과급 적용 실습

- 부서성과급 적용 실습

- 타겟인센티브 제도를 도입하였을 경우 직원의 성과에 따른 성과급 지급율 계산

3H

2일차

Module 3.

임금피크제 설계하기

임금피크제 도입을 위한 경영/인력/임금

현황을 분석할 수 있다.

임금피크제 설계를 위한 대상자 직무,

임금굴절점, 임금 및 직무조정 방안을 설

계할 수 있다.

임금피크제 도입을 위한 노동조합 및 직

원과의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습득할 수

있다.

임금피크제 도입을 위한 법적 문제점을

없앨 수 있는 방법을 알 수 있다.

◦ 임금피크제 설계 방안

- 임금피크제 설계 프로세스

- 임금피크제 설계 방법

- 임금피크제 유형별 설계 방법

◦ 임금피크제 설계 사례 분석

◦ 임금피크제 설계 실습

- 적정한 연령별 임금 분포 설계

- 연령별 임금분포 현황을 설계하고 문제점 분석

- 적용 대상 직무를 설계하고 문제점 분석

- 임금 및 직무 조정 방안 설계

2H

Module 4.

호봉제 임금체계

개편하기

호봉제 운영 회사의 호봉제 임금체계를

회사의 경영전략에 맞게 변경할 수 있다.

호봉제 테이블를 분석하고 임금운영 현황의

개선점을 분석할 수 있다.

연공인상체계를 평가인상체계로 전환할

수 있다.

호봉제에서 임금피크제 임금체계를 수립

할 수 있다.

◦ 호봉제 임금체계 분석 방안

- 호봉제 임금구조 분석

- 호봉제 임금피치 분석

- 단일호봉제/직급별 호봉제 분석

◦ 호봉제 임금체계 개편 사례 분석

- 고과호봉제 구축 사례

- 호봉제의 임금피크제 적용 설계 사례

◦ 호봉제 임금체계 개편 실습

- 호봉Pitch와 Pitch률을 계산

- 호봉Pitch 곡선을 만들고 개선과제 도출

- 연봉제 전환 실습

2H

Module 5.

임금인상 방식 개선하기

현재 운영 중인 중소기업 회사별로 임금

인상 방식을 검토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질

수 있다.

매년 시행되는 임금 인상을 회사에 맞게

설계할 수 있다.

회사에 맞는 평가인상 및 승진인상 체계를

수립할 수 있다.

예산범위 내에서 적정한 임금 인상 기준을

시물레이션하고 적정 방안을 설계할 수

있다.

◦ 임금인상 분석 방법

- base up 분석 방법

- 연공인상 분석 방법

- 평가인상 분석 방법

- 승진인상 분석 방법

◦ 임금인상 방식 개선 방안

- 연공인상의 평가인상화 설계 방안

- pay band에 맞는 승진인상 적용

- 적정한 임금 인상율 결정방안

◦ 임금인상 개선 실습

- 평가등급별 임금인상 실습

- 직급간 임금범위를 고려한 평가인상 실습

- 승진가급제를 통한 승진자 임금결정 실습

- 상위직급과의 임금교차 범위 고려한 임금결정 실습

4H

Page 13: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인적자원관리】

실무에 적용하기 쉬운 엑셀을 활용한 중소기업 임금관리 과정

훈련 시간

“2일 16시간(09:00~18:00)”

훈련 대상

“우선지원대상기업의 사업주 및 관련 실무자”

업 종 산업 및 업종 구분 없음

(중소기업 전 산업)

부 서 인사, 총무,

경영관리(지원)관련 부서

Program Structure

훈련 목적

“조직성과 향상에 기여한 조직원의 처우를 개선할 목적으로 시장임금을 조사하고 임금 인상률을

확정하여 임금계약 체결을 수행하는 능력 함양”

✜현실적인 임금조정안 수립을 위하여 거시적⋅미시적 경제 관련 자료 및 현황을 조사하고 조직의 성과 추세와 전년도

성과를 바탕으로 당해연도 조직의 지불능력을 산정할 수 있다.

✜조직의 지불능력, 생계비, 동종업계 임금수준을 고려하여 직급별 임금인상률을 추정하고, 구성원의 인사평가를 바탕으로

개인별 임금 인상률 및 성과급 지급률을 산정할 수 있다.

✜산정된 직급별 임금인상률을 바탕으로 당해연도 직급별 임금표를 작성하고, 산출된 연봉을 토대로 조직구성원과

연봉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임금의 노동법 준수사항 점검 및 임금체계 변경에 필요한 취업규칙 등의 관련 규정을 변경하고, 시간외수당, 주휴수당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포괄임금계약을 설계할 수 있다.

훈련 특징

✜임금정보 수집, 활용 → 임금수준 및 체계 진단 → 적정임금수준 및 체계 결정 → 지불능력을 고려한 임금체결 등 실제

중소기업에서 설계한 사례를 바탕으로 한 단계별 Case Study 및 실습을 통해 현장적용성을 높임

✜임금관리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엑셀 및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현업에서의 활용도를 높임

✜임금관리 단계별 6개 영역의 훈련과정별로 총 19개의 실습과제를 제시하고 실습 결과를 검토해 봄으로써 현장 복귀 후

즉시 활용 가능하도록 과정을 구성

훈련 기대효과

✜동종경쟁업체의 임금 수준을 고려한 적정임금수준 확보를 통해 우수인재를 유지하고 확보할 수 있는 기반 체계 구축

✜대외적 임금정보를 활용한 임금정책 결정과 체계적인 임금관리시스템 운영으로 인사제도의 신뢰성을 확보함

✜효율적인 임금체계 운영을 통한 인건비 유연성 확보 및 임금예산 예측에 의한 인건비 위험 감소

Page 14: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http://www.ehredu.co.kr

훈련 시간표

일차 모듈명 훈련목표 주요내용 시간

1일차

Module 1.

임금조정안 수립

임금조정안의 객관성 확보를 위해 외부

전문기관에게 조직의 임금수준 경쟁

력을 검토하도록 할 수 있다

현실적인 임금 조정안을 수립하기 위

하여 미시적 관련 자료를 조사할 수

있다.

조직의 성과추세와 전년도 성과를 바탕

으로 당해연도 조직의 지불능력을 산정

할 수 있다.

임금조정안 수립을 위하여 거시적 경제

지표 현황을 조사할 수 있다.

◦ 임금 정보 수집 및 활용

- 임금분석 주요 포인트

- 임금 정보 수집 방안(통계,B/M, 전문기관 등)

- 임금정보 활용 방안

- 임금추세분석 방법

- 인건비 재무 분석

◦ 임금수준 및 체계 진단

- 대외적 임금 수준 진단

- 대내적 임금 수준 진단(직급별 수준 비교 분석)

- 임금체계 및 비율 진단

◦ 임금 예산 진단

- 임금 지불 범위 분석(매출액, 부가가치, 손익분기점, 원가구성, 생산성 분석

- 인건비 증감 요인 분석(입퇴사, 승진 등)

6H

Module 2.

임금조정안 확정(Ⅰ)

조직의 지불능력, 생계비, 동종업계

임금수준을 고려하여 직급별 임금인상

률을 추정할 수 있다.

◦ 임금 정책의 결정

- 적정 인상 수준 결정

- 직급별 임금 범위 결정

- 적정 임금수당체계 결정

◦ 임금 인상 구조 결정

- 평가임금 인상 결정

- 승진임금 인상 결정

- 예산 범위 내 임금 인상 결정(배분계수제)

2H

2일차

Module 2.

임금조정안 확정(Ⅱ)

개인별 임금인상금액의 총액이 가용

재원을 초과하지 않도록 인상률을 조정

할 수 있다.

조직 구성원의 인사평가를 바탕으로

개인별 임금 인상률을 산정할 수 있다.

회사평가, 부서평가, 개인평가를 반영

하여 당해 연도 구성원의 성과급 지급

률을 산정할 수 있다.

◦ 임금 체계 변경

- 성과 연봉제 설계

- 호봉제 임금체계 변경

- 직무급제/직능제 변경

- 직군별 임금비율 변경 방안

◦ 회사/부서 성과급 결정

- 회사성과급 지급 방안

- 부서성과급 지급 방안

- 타겟인센티브/이익배분제/성과배분제

4H

Module 3.

임금계약 체결

산정된 직급별 임금인상률을 바탕으로

당해 연도 직급별 임금 표를 작성할

수 있다.

산출된 연봉을 토대로 조직구성원과

연봉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급여정보를 관리하기 위하여 조직 구성

원의 연봉을 전자인사관리시스템에

등록할 수 있다.

◦ 임금계약 체결 운영

- 임금 변경시 검토 사항

◦ 임금테이블 관리

- 평가/승진/성과급 지급 후 임금표 설계

- 직급별 임금 테이블 설계 및 개선 이슈

- 호봉테이블 개선 방안

◦ 급여 정보 관리

- 급여시스템 관리 방안

- 급여체계 등록시 4대 보험 및 세금 관리

3H

Module 4.

임금조정 및

임금계약의

법적 안정성 확보

체결된 임금의 노동법 준수사항을 점검

하고 조정할 수 있다.

임금체계 변경에 필요한 취업규칙 등

관련규정을 변경할 수 있다.

시간외수당, 주휴수당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포괄임금계약을 설계

할 수 있다.

◦ 임금계약체결시 법적 이슈

◦ 임금 조정 법적 이슈

- 통상임금 및 평균임금

- 최저임금, 시간외수당, 퇴직금 등

◦ 임금체계 변경의 법적 필요 사항

- 불이익 변경시 취업규칙변경 졀차

- 임금조정시 관련 인사규정 변경

◦ 포괄임금제 설계 방안

- 시간외근로수당, 주휴수당, 소정근로시간

- 포괄임금제 설계 방안

1H

Page 15: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인적자원관리】

실수는 줄이고 효율은 높이는 체크포인트 급여관리 과정

훈련 시간

“3일 24시간(09:00~18:00)”

훈련 대상

“우선지원대상기업의 사업주 및 관련 실무자”

업 종 산업 및 업종 구분 없음

(중소기업 전 산업)

부 서 인사, 총무 등 급여관리 관련 부서

및 관리지원부서

Program Structure

훈련 목적

“채용, 이동배치, 승진, 퇴직 등 인력운영에 따른 급여책정, 계산, 공제, 지급 등을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는 능력 배양”

✜급여계산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필요한 급여관련 각종 개념과 법률문제 등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통해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급여관리가 가능하도록 역량을 배양한다.

✜사회보험 관리, 소득세 공제 등에 관한 개념과 법률문제 등에 대해 정확한 이해를 통해 급여계산, 급여공제, 사회보험,

퇴직금 계산 등 급여관리 전 과정에 대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임금체계 개선을 위한 방법론과 다양한 사례 학습을 통해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임금관리를 위한 제도개선 노하우를

습득하여 중소기업 스스로 급여 관련 제도를 개선할 수 있다.

훈련 특징

✜급여계산→공제→지급 등 급여관리 업무프로세스를 바탕으로 각 업무 단계 및 절차에 필요한 핵심 사항과 유의사항을

체크포인트로 설정하여 중점적으로 학습. 더불어 현업에서 실제 발생했거나 많이 접하게 되는 문제를 중심으로 이론→

사례→실습을 통해 완벽하게 소화할 수 있도록 과정을 구성

✜다양한 유형의 실습문제가 담긴 워크북을 활용한 개인별 실습, 조별 과제 수행 및 발표를 통한 조별 워크숍 등의 활동을

통해 확인학습 및 현업 적용력 파악이 가능하며, 훈련 참여자간의 노하우 공유와 피드백으로 업무네트워크 구축이 가능함

훈련 기대효과

✜급여관련 각종 개념과 법률문제 등에 대한 체계적 이해를 바탕으로 급여관리 운영을 주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수준으로 향상

✜자사 급여체계 및 임금시스템을 진단하고 적법한 절차에 따라 개선할 수 있는 수준으로 향상

✜다양한 인사제도 및 인력운영 환경을 이해하고 이를 실무에 접목할 수 있는 수준으로 향상

Page 16: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http://www.ehredu.co.kr

훈련 시간표

일차 모듈명 훈련목표 주요내용 시간

1일차

Module 1

급여관리 개요

급여관리 업무내용, 특성, 범위, 프로

세스를 이해하고 급여관리 규정을 작성

할 수 있다

◦ 중소기업 급여관리의 특성 / 급여관리 업무 내용 및 프로

세스 / 고정급 및 변동급, 인건비에 대한 이해와 활용

Check Point 급여관리 규정 제정

2H

Module 2

급여책정

급여책정 기준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통해 연봉계약서를작성할 수 있다

급여관리 체크리스틀 활용해 주요

근태에 따른 급여를 계산할 수 있다

◦ 급여수준 진단 및 관리 / 급여구조 및 항목 관리 / 급여

결정기준 및 보상체계 개선 / 다양한 급여유형(연봉제,

호봉제 등)에 대한 사례 학습

Check Point 근태관리

2H

Module 3

근로시간과

제수당의 산정

소정근로시간과 초과근로를 구분하여

수당 등을 계산할 수 있다

◦ 근로시간이란 무엇인가 / 법정근로시간과 소정근로시간

의의 및 주요이슈 / 가산임금 계산 방법

Check Point 초과근로수당 산정

2H

Module 4

휴일 및 휴가관리

휴일과 휴가를 구분하여 휴일근로수당

등을 포함한 급여를 계산할 수 있다

◦ 출근율 및 연차휴가 산정법 / 회계연도 기준과 입사일

기준 차이 / 연차수당 계산 및 퇴직금 반영 방법 / 휴일과

휴가시 급여계산

Check Point 연차개수 계산

2H

2일차

Module 5

기본급, 상여,

제수당 관리

기본급, 상여금 및 제수당 등 임금에

대한 여러 개념들을 정확하게 이해하여

급여계산에 반영할 수 있다

◦ 임금이란 무엇인가 / 통상임금의 의의와 이슈 / 평균임금

의 의의와 계산방법 / 최저임금 적용범위와 미달여부

판단방법 / 상여금의 의의와 유형별 지급 여부 / 일할계산

방법 / 제수당의 유형 및 설정 방법

Check Point 평균임금 계산

3H

Module 6

포괄산정 임금제도

포괄산정임금제도의 관련 법규 부합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포괄산정임금을

계산할 수 있다

◦ 포괄산정임금의 의의와 유형 / 포괄임금제 근로계약서

Check Point Excel(목표값)을 활용한 포괄임금 계산1H

Module 7

급여압류, 상계,

감급 등 처리

급여삭감 등 징계시 감급액을 적용한

급여지급액을 계산할 수 있고, 급여압류

금액별 압류금액을 산정할 수 있다

◦ 강제집행의 의의, 종류 및 요건 / 압류의 경합(이중압류)

및 압류유형별 처리방법

Check Point 급여압류 사례 학습

1H

Module 8

임금 및 퇴직금

계산 관련 실습

워크북을 활용한 16가지 급여관리

과제를 계산할 수 있다

◦ 월 소정근로시간, 시간당 통상임금, 1일 평균 임금 계산

/ 감급제재 적용 / 연차휴가 일수 산정 및 비교(입사일

기준과 회계연도 기준) / 단시간 근로자 주휴수당 산정

/ 일용직 근로자 시간급 산정 / 최저임금 적용을 통한

월 기본급 산정 / 휴일・연장・야간 근로수당 산정 / 출

산전후 휴가급여 산정 / 퇴직금 및 퇴직급여(DC형) 계산

/ 해고예고수당 산정 / 퇴직 시 연차수당 계산

3H

3일차

Module 9

사회보험 관리

사회보험의 관리절차를 이해하고 임금

지급 업무에 적용할 수 있다

◦ 국민연금, 건강보험, 활용장기요양보험에 대한 이해와

활용/ 산재보험 및 고용보험에 대한 이해와 활용

Check Point 외국인 사회보험 관리 유의사항

2H

Module 10.

원천징수 관리

근로소득세 및 지방소득세를 계산할

수 있다

◦ 근로소득간이세액표 개요 / 비과세 항목에 대한 이해 /

일용직 및 외국인 원천징수 / 중도퇴사자 연말정산 처리방법

Check Point 상여금이 있는 경우 원천징수 계산

1H

Module 11.

퇴직급여 및

소득처리

퇴직금 금품지급, 퇴직금 등을 계산

할 수 있다

◦ 퇴직급여제도의 종류 및 적용범위 / 퇴직금 중간정산

요건 / 퇴직연금 제도 및 관련 이슈 / 금품청산 관련

주의사항 / 퇴직소득 과세 체계 / 퇴직소득공제 및 근속연수

계산 / 연평균 과세표준 및 연평균 산출세액 계산방법

Check Point 임원의 퇴직소득 처리 퇴직금 계산

2H

Module 12.

원천징수 및 퇴직소득세

계산실습

워크북을 활용한 5가지 원천세 및

퇴직소득세 실습과제를 계산할 수 있다

◦ 상여금이 있는 경우 원천징수세액 계산 / 월급여 1000

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간이세약 계산 / 일용직 지급조서

계산 / 근속연수가 동일한 경우 / 근속연수가 다른 경우

2H

Module 13.

사회보험 징수 관련

실습 및 종합정리

워크북을 활용한 4가지 사회보험 실습

과제를 계산할 수 있다

◦ 이직확인서 작성 실습 / 산전후휴가 급여 대위신청 /

두군데 사업장에서 급여를 받는 경우 / 장애인 고용분담금

신고 및 납부 / 종합정리

1H

Page 17: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인적자원관리】

업무실행력을 높여주는 105가지 인사노무 실전 활용 가이드

훈련 시간

“2일 16시간(09:00~18:00)”

훈련 대상

“우선지원대상기업의 사업주 및 관련 실무자”

업 종 산업 및 업종 구분 없음

(중소기업 전 산업)

부 서 인사노무, 총무, 경영관리(지원)

관련 부서

Program Structure

훈련 목적

“인사노무관리의 실제 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105가지 업무활용 가이드를 통하여 자사에 적합한

인사노무 업무처리 및 적용능력 함양”

✜노동법 관련 기본 개념 및 근로계약, 휴일, 휴가, 임금, 퇴직 등과 관련된 법규정을 이해하고 업무에 활용할 수 있다.

✜자사의 다양한 인사노무관리상의 문제를 해결하고, 효율적인 대응책을 수립할 수 있다.

✜기업의 인사노무관리에 대하여 분야별로 자가진단을 수행하고, 기업의 특수성을 반영한 제도 도입을 할 수 있다.

훈련 특징

✜인사노무관리 영역을 8가지로 구분하고, 그에 따른 105개의 템플릿으로 과정을 구성함으로써 업무 역량 향상을 도모함

✜현업에서 실제 발생했거나 많이 접하게 되는 문제를 중심으로 이론→사례→실습을 통해 완벽하게 소화할 수 있도록 과정을 구성

✜훈련참여생 소속사의 인사제도 및 인력운영 환경을 고려한 다양한 유형의 실습문제를 제시하는 워크북(WorkBook)을

활용하여 현업 활용능력을 극대화한 훈련 프로그램

훈련 기대효과

✜인사노무관리에 대한 체계젹 이해를 바탕으로 인사노무관리를 주도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

✜자사의 인사노무관리 시스템을 진단하고 개선할 수 있음

✜다양한 인사제도 및 인력운영 환경을 이해하고 이를 실무에 접목할 수 있음

✜안정적인 인사노무관리와 빠른 문제해결로 인력운영 리스크를 최소화함

✜사업장 내 안정적인 인사노무관리 시스템 확보

Page 18: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http://www.ehredu.co.kr

훈련 시간표

일차 모듈명 훈련목표 주요내용 시간

1일차

Module 1

노동법의 적용방식과

원칙 파악하기

노동법의 적용 방식과 기본 원칙을

파악할 수 있다.

◦ 노동관계법의 적용범위, 확실히 파악하자 / 근로자, 정확한

개념을 파악하자 / 사용자, 누구를 지칭 하는지 정확히

알자 / 근로조건에 대한 차별대우 정확히 알자 / 근로계약서

등의 보존 등 회사 의무사항 / 노동관계 규범, 효력 적용에

원칙이 있다

1.5H

Module 2

근로계약

적합하게 작성하기

훈련기업에 맞는 근로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 근로계약 체결, 그 원칙을 파악하자 / 근로계약 금지 내용,

정확히 알아두자 / 근로계약기간, 이렇게 설정하면 된다

/ 근로계약과 연봉계약, 그 차이를 알자 / 수습제도, 이렇게

활용하면 효과적이다 /근로자의 경업금지의무, 제대로

파악하자 / 감시단속적 근로자, 제대로 운용하자

1.5H

Module 3

적법한 근로시간

운영전략 수립하기

장시간 근로를 개선 할 수 있고 사업장

특성에 맞는 근로시간 운영전략을 수립

할 수 있다.

◦ 근로시간, 정확한 의미를 알아두자 / 연장근로, 기준을

명확히 하고 대처하자 / 야간, 휴일근로, 개념을 명확히

알자 / 휴게시간, 근로기준법에서 보장하고 있다 / 주

40시간근무제, 주5일근무제와 다르다 / 유연근로시간제의

운영 방법을 알자 / 교대제 근로, 핵심은 바로 이것이다

/ 근로시간 특례 및 적용제외를 파악하자 / 근로시간의

단축, 이렇게 하자 / 교대제 근로의 근로시간 단축 방법

/ 근로시간 단축청구권이 인정되는 경우 / 근로자의 공

민원 행사 보장

3H

Module 4

효율적인 휴일 및

휴가관리 적용하기

휴일 및 휴가의 보장을 이해하고 효율

적인 관리 방안을 수립 할 수 있다.

◦ 주휴일, 실무에서 가장 많이 실수한다 / 기타휴일, 이렇게

처리하면 효율적이다 / 휴업과 휴직, 비슷하지만 다르다

/ 연차유급휴가, 흔히 범하는 실수 / 특수한 기간의 연차

휴가 산정 / 연차휴가의 운영 방법 / 연차휴가 사용촉진

제도, 정확히 이해하자 / 선택적 보상 휴가제 운영 방식

/ 모성보호 관련 제도의 이해

2H

2일차

Module 5

합리적인 임금관리

수행하기

임금관리 불확실성을 제거할 수 있고

직무와 성과에 연동하는 임금체계 개편을

실행할 수 있다.

◦ 임금, 그 개념부터 명확히 익히자 / 임금대장의 설계,

이렇게 하자 / 평균임금, 퇴직금 등의 기초자료가 된다

/ 특수한 기간의 평균임금, 이렇게 산정한다 / 통상임금의

개념 및 운용 방식 / 변화된 법원의 통상임금 해석 /

각종 수당의 법적 성격 / 상여금의 지급방식과 지급대상

/ 휴업, 휴직, 결근, 대기발령, 징계시 임금 / 미사용연차

휴가에 대한 보상 / 포괄산정임금계약, 개념이 중요하다

/ 임금지급의 4가지 원칙, 꼭 유념하자 / 임금채권, 소멸

시효는 3년이다 / 임금의 반납.삭감.동결, 이렇게 처리

하자 / 연봉제, 바로 알고 현실적으로 대처하자 / 임금

채권, 가장 우선적으로 보호된다 /최저임금제도, 근로자를

보호하는 장치다 / 퇴직금, 퇴직시 발생하는 후불적 임금

/퇴직금 중간정산, 사유가 제한된다 / 퇴직연금, 노후를

위한 중요한 수단이다

3H

Module 6

업무상 재해

올바르게 시행하기

산재발생 시 회사의 대처방안을 수립

할 수 있다

◦ 업무상재해, 인과관계가 있어야 한다 / 산업재해 발생

시, 이렇게 조치해야 한다 / 산재보험급여, 그 종류는

이렇다 / 산재보상, 다른 법률과의 관계 / 산재발생, 그에

따른 법률적 책임 / 산업안전관련 사업주의 의무

2H

Module 7

적합한 퇴직관리

사행하기

퇴직관리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자사에

적합한 퇴직관리 방안을 만들 수 있다.

◦ 정규직, 비정규직의 퇴직관리 방식 / 정년관리 방식 /

징계관리 / 해고의 제한과 절차를 이해하자 / 근로자 퇴직

후 회사의 의무사항

2H

Module 8

올바른 비정규직 관리

수행하기

효율적이고 적법한 비정규직 관리 방안

을 만들 수 있다.

◦ 기간제근로자의 관리 방식을 이해 / 단시간근로자의 관리

방식을 이해 / 파견근로 및 사내하도급 방식을 이해 /

차별시정 제도를 이해

1H

Page 19: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인적자원관리】

우리 회사에 딱 맞는 중소기업형 보상시스템 설계 과정

훈련 시간

“2일 16시간(09:00~18:00)”

훈련 대상

“우선지원대상기업의 사업주 및 관련 실무자”

업 종 산업 및 업종 구분 없음

(중소기업 전 산업)

부 서 인사, 총무, 경영관리(지원) 등

인사/조직 관련 부서

Program Structure

훈련 목적

“회사의 경쟁력은 향상시키고 직원의 만족도는 높이는 합리적인 보상시스템을 설계하고 적용할 수 있는

인사관리자 양성”

✜중소기업에 적합한 보상제도를 설계 및 운영함에 따라 회사에게는 효율적인 보상제도를, 근로자에게는 보상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보상제도와 관련한 전문지식을 함양할 수 있다.

✜중소기업 보상제도가 적법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상과 관련한 기본적인 법률사항과 최근 트렌드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보상제도의 이론과 실제 사례의 연계를 통한 맞춤형 실무지식을 배양할 수 있다.

훈련 특징

✜중소기업형 보상 관련 핵심 체크포인트 10가지에 대한 이론 내용 및 사례를 바탕으로 우리 기업에 맞는 보상제도를

직접 설계 할 수 있도록 단원을 구성함

✜핵심포인트→이론체계 정립→사례분석(벤치마킹)→개선방안을 통한 보상제도를 설계 및 개선할 수 있는 완성형 프로그램으로 구성함

✜참여기업의 실제 자료를 함께 분석해고, 공감하고, 문제점에 대하여 토론을 하고, 중소기업 자문 및 컨설팅 경험이

풍부한 전문강사의 방향제시 등을 통해 개선방안을 도출할 수 있는 문제해결형 프로그램으로 구성함

훈련 기대효과

✜중소기업에 특화된 보상제도 설계에 관한 개선방향을 수립할 수 있음

✜핵심포인트→이론→사례분석을 통해 문제를 정확히 확인하고 적법하고 효율적인 보상제도 운영이 가능하도록 함

✜조직 구성원들의 노사간의 신뢰를 기반으로 업무에 몰입하여 중소기업 전체의 생산성 증대

Page 20: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http://www.ehredu.co.kr

훈련 시간표

일차 모듈명 훈련목표 주요내용 시간

1일차

Module 1.

중소기업 보상시스템과

최신트렌드

중소기업의 특성에 맞는 임금 및 복리

후생 등 보상제도의 특수성을 파악할

수 있다.

임금체계, 임금수준, 임금형태 등

보상제도의 기본 개념과 보상제도의

유형을 이해하고 우리 회사의 보상

제도와 비교를 통해 개선점을 확인할

수 있다.

◦ 외부 경영환경과 내부여건의 변화

◦ 중소기업 보상관리의 현실과 특성

◦ 임금체계의 유형과 임금수준 결정방법

◦ 사례 분석을 통한 보상관리 최신 트렌드의 이해

◦ 우리 회사에 적합한 보상관리 조별 토론 및 스터디

2H

Module 2.

보상과 관련한 10가지

핵심포인트

적법한 보상이 되도록 보상 관련 핵심

체크포인트 10개에 대한 이론 내용

및 판례 및 사례를 근거로 적법한

보상 관리를 할 수 있다.

회사별로 지급하는 각종 금품의 적법

지급 여부에 대해 토론하고, 개별

기업의 임금과 관련한 규정 및 임금

대장을 기초로 핵심포인트 별로 컨설팅을

통해 문제점 분석 및 개선방안을 수

립할 수 있다.

◦ 임금 4대 원칙과 임금성이 문제되는 금품

◦ 통상임금 평균임금의 계산

◦ 근로기준법상 연장,야간,휴일근로의 정의와 수당 지급방법

◦ 유연근로시간제도의 설계와 보상

◦ 포괄임금제도의 개념 및 설계

◦ 연차휴가미사용수당의 산정

◦ 최저임금 준수

◦ 퇴직금 계산과 퇴직연금의 이해

◦ 모성보호와 보상

◦ 비정규직 차별금지와 보상

6H

2일차

Module 3.

합리적 보상을 위한

임금제도 설계하기

기본급과 변동급 등 구체적인 임금체계에

대한 세부 이론을 바탕으로 경영전략과

연계한 보상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내외부 환경 및 경영전략 등을 고려

하여 우리 회사에 적합한 임금제도를

설계할 수 있다.

◦ 합리적인 보상을 위한 보상전략의 이해

◦ 기본급 설계의 이해

◦ 변동급 설계의 이해

◦ 임금체계의 이해

◦ 정년 법제화와 임금피크제도 설계

◦ 우리 회사 임금제도의 검토 및 설계

5H

Module 4.

동기를 부여하는

복리후생제도 설계하기

우리 회사에 적합한 복리후생제도

개선방안을 수립할 수 있다.

경영전략 및 보상전략과 연계한 합리

적인 복리후생제도를 설계할 수 있다.

◦ 복리후생제도의 전략 수립 이해

◦ 복리후생제도 유형 및 세부 내용 이해

◦ 우리 회사 복리후생제도 개선 방안 도출

1H

Module 5.

보상제도 실무

기존의 근로계약서 및 임금대장을

검토하고 회사의 개선된 보상제도를

기반으로 근로계약서(연봉계약서)를

작성하고 임금대장을 작성할 수 있다.

기존의 보수규정 및 복리후생 규정을

검토하고, 개선사항을 반영한 보수규정

및 복리후생 규정을 작성할 수 있다.

◦ 근로기준법 및 기간제법 상 근로조건 서면 명시의무의 이해

◦ 근로계약서(연봉계약서) 서면명시사항의 준수 여부를 검토하고 개선 방안 도출 및 작성

◦ 임금대장의 필수 명시사항 준수 여부를 검토하고 개선 방안 도출 및 작성

◦ 기존 임금규정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반영한 임금규정을 작성

◦ 기존 복리후생규정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반영한 복리후생규정을 작성

2H

Page 21: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인적자원관리】

중소기업을 위한 인사관리 A to Z, HR 마스터 과정

훈련 시간

“2일 16시간(09:00~18:00)”

훈련 대상

“우선지원대상기업의 사업주 및 관련 실무자”

업 종 산업 및 업종 구분 없음

(중소기업 전 산업)

부 서 인사, 총무, 경영기획, 경영전략,

경영혁신 등 인사/조직 관련 부서

Program Structure

훈련 목적

“현업의 실무고민을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현장 실무형 인사관리자 양성”

✜중소기업 인사운영에 필요한 인사 기능별(채용, 평가, 보상 등) 전문지식 함양을 통해 현업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인사관리상의 이슈들을 해결할 수 있다.

✜경영환경과 중소기업 인사관리의 특수성을 파악하고, 전략적 사고를 통해 관리포인트를 도출해 낼 수 있다.

✜회사의 인사·조직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효율적 운영을 위한 조직 구조를 이해하여 우리회사에 맞는 인사시스템을

설계 할 수 있다.

훈련 특징

✜이슈에 대한 단계별 접근(1단계: 사례공유, 2단계: 기본지식 습득, 3단계: 핵심포인트 이해, 4단계: 이슈 해결)을

통하여 다양한 관점으로 사안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힘으로써 스스로 새로운 이슈가 발생해도 극복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게 됨

✜중소기업 인사담당자가 현업에서 업무수행 중 발생하는 다양한 기업 특유의 고민을 사례로 제시하여 맞춤화된 해결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합리적인 문제해결이 가능하도록 과정을 구성

✜인사의 기능 하나 하나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통합적 시각(형태론적 관점 configuration approach)에 맞추어 강의를

구성하여 업무시너지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함

훈련 기대효과

✜채용, 평가, 보상, 성과, 직무관리 등 인사기능별 전문지식을 체계적으로 학습함으로써 자사에 맞는 적합한 인사제도를 구축함

✜회사마다의 고유한 상황과 문화를 고려하여 합리적인 해결책을 이끌어 내고, 현실적인 대안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음

✜맞춤형 인사제도 설계 및 동기부여 관점의 인사제도 운영으로 경쟁력 있는 조직관리와 생산성 증대의 토대를 마련함

Page 22: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http://www.ehredu.co.kr

훈련 시간표

일차 모듈명 훈련목표 주요내용 시간

1일차

Module 1

중소기업

인사관리의 실제

경영환경과 중소기업 인사관리의 특수

성을 파악한다.

중소기업 인사담당자가 해야 할 역할과

업무상 한계를 살펴보고, 전략적 사고

를 통해서 인사관리의 체계적 시각을

어떻게 갖추고 무엇이 관리 포인트

인지를 명확히 인식한다.

◦ 경영환경과 중소기업 인사관리의 패러다임 변화 / 중소

기업의 사업전략과 HR전략의 연계성 확보 / 중소기업

인사담당자의 전략적 역할 필요성 / 채용에서부터 부딪

히는 인재확보의 한계 / 인재의 이동(이직)과 조직시스템

의 관계성 / 중소기업에서 구성원의 동기부여 방법

1H

Module 2

중소기업의 조직진단과

조직설계

회사의 인사/조직 문제점을 도출하는

방법을 체계적으로 이해한다.

조직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조직구조를

이해하고 우리회사에 맞는 조직설계를

할 수 있다.

◦ 참여기업의 사례공유를 통한 조직이슈 도출 / 조직진단

과 설계의 기본개념과 관련 이론 이해 / 핵심 포인트

이해를 통한 이슈 해결안 모색 / 우리 회사의 문제점을

어떻게 객관화 하는가 / 조직진단의 내용에는 어떤 것

이 포함되는가 / 조직설계 시 고려해야하는 구성요소 /

조직구조의 유형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 효율적인 중

소기업 조직구조 설계 방법 / 회사별 고민 중점 해결

2.5H

Module 3

우수인재를 확보하는

채용관리

인재를 모집하는 방법과 절차에 대하여

이해하고 현실적인 우리 회사의 모집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채용전형이 가지는 단계별 의미를 이해

하고, 우리 회사의 채용전형을 수립

할 수 있다.

◦ 참여기업의 사례공유를 통한 채용이슈 도출 / 채용관리의

기본개념과 관련 이론 이해 / 핵심 포인트 이해를 통한 이

슈 해결 / 최고인재(Best People)와 최적인재(Right People)

중에 어떤 인재가 중요한가 / 인재확보방법과 전형과정

이 가지는 의미 / 중소기업 채용 시 중점적 평가 항목 /

행동중심의 역량면접 / 면접관 교육의 필요성과 교육 내용

/ 회사별 고민 해결

2H

Module 4

동기부여와 효율성을

강조하는 직무관리

직무관리의 다양한 활용도를 구체적

으로 이해하고 회사에 접목하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직무중심의 인사관리가 가지는 의미

성을 통해 우리 회사의 직무관리 방안

의 방향성을 도출한다.

◦ 참여기업의 사례 공유를 통한 직무관리 이슈 도출 / 직무

관리의 기본 개념과 관련 이론 이해 / 핵심 포인트 이해를

통한 이슈 해결 / 중소기업에서 직무관리를 꼭 해야 하

는가 / 직무중심의 인사관리 / 직무분석의 절차와 활용

방법 / 직무설계의 의미와 직무설계 방법 / 중소기업의

직무 프로파일 구조화 방법 / 회사별 고민 중점 해결.

2.5H

2일차

Module 5

직원육성의

기초가 되는 역량

모델링

역량의 기본 개념을 익히고, 우리 회사

에 맞는 역량항목의 도출 방법을 이해

한다.

역량행동지표가 가지는 의미성을 이해

하고 역량항목과 교육체계의 연계성을

확보할 수 있다.

◦ 참여기업의 사례 공유를 통한 역량관리 이슈 도출 / 역량의

기본개념과 관련 이론의 이해 / 핵심 포인트 이해를 통

한 이슈 해결 / 능력과 역량과의 구분방법 / 핵심가치,

리더십 역량, 직무역량 이해 / 중소기업에 맞는 역량행동

지표 도출 방법 / 역량항목과 교육과정설계의 연결 포인

트 / 역량의 활용방법. / 회사별 고민 중점 해결

2H

Module 6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중소기업 성과관리

성과관리의 전반적인 연계구조(목표

설정,과정관리,평가,보상)의 유기성을

이해한다.

성과관리의 본질적인 목표(성과향상)의

전사원 공유를 통한 자발적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 참여기업의 사례공유를 통한 성과관리 이슈 도출 / 성과

관리의 기본개념과 관련 이론 이해 / 핵심 포인트 이해

를 통한 이슈 해결 / MBO와 BSC는 어떤 관계가 있는

가 / 핵심성공요인(CSF)을 꼭 챙겨야 하는 이유 / 성과지

표(KPI)를 도출하는 몇 가지 방법 / 부서별로 연계되어

있는 업무의 성과지표 / 목표치의 타당성을 어떻게 확보

하는가 / 적정한 가중치를 산정하는 방법 / 연간 성과

관리과정은 어떻게 지속하는가 / 회사별 고민해결

2H

Module 7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는 평가관리

평가의 공정성 확보를 바탕으로 인사

의 다른 기능(보상, 교육 등)으로의

활용가치를 확보할 수 있다.

평가를 통한 구성원의 수용성을 확보

하는 방안을 수립할 수 있다.

◦ 참여기업의 사례공유를 통한 평가관리이슈 도출 / 평

가관리의 기본개념과 관련 이론이해 / 핵심 포인트 이

해를 통한 이슈 해결 / 성과평가와 역량평가의 반영방

법 /조직성과와 개인성과의 반영방법 / 우수 집단이 많

은 부서의 평가공정성 확보 / 관리부서 성과지표를 도

출하고 평가하는 법 / 평가점수의 조정은 꼭 해야 하는

가 / 상대평가와 절대평가의 방법 / 구성원의 평가결과

수용성을 높이는 방법 / 회사별 고민 중점 해결

2H

Module 8

경쟁력과 공정성을

유지하는 보상관리

보상이 인사관리에서 가지는 의미성

이해하고 보상구조를 명확히 이해한다.

우리 회사의 보상전략을 수립하고,

단계별 실천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 참여기업의 사례공유를 통한 보상관리이슈 도출 / 보

상관리의 기본개념과 관련 이론의 이해 / 핵심 포인트

이해를 통한 이슈 해결 / 중소기업의 보상전략을 설정

하는 방법 / 임금수준의 결정요인과 임금수준전략 /

Pay Band의 개념과 설계방법 / 평가(성과,역량)에 따른

차등 인상 방법 / 승진급의 반영 방법 / 변동급(PS,PI)의

지급방법 / 회사별 고민 중점 해결

2H

Page 23: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인적자원관리】

직무분석부터 평가활용까지,직무관리 활용 과정

훈련 시간

“2일 16시간(09:00~18:00)”

훈련 대상

“우선지원대상기업의 사업주 및 관련 실무자”

업 종 산업 및 업종 구분 없음

(중소기업 전 산업)

부 서 인사, 총무, 경영관리(지원) 등

인사/조직 관련 부서

Program Structure

훈련 목적

“직무를 기반으로 한 인력관리를 위해 직무를 분석하고, 직무평가를 실시하며, 필요시 기존 직무분류

체계를 유지보수하는 능력 함양”

✜외부자료에 기초하여 수립된 원칙에 따라 직무조사를 진행하고 조사결과에 따라 직무분류체계를 설계할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개별 직무기술서를 작성할 수 있다.

✜개별직무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직무평가방법을 선택하여 직무평가제도를 수립할 수 있다.

✜환경변화에 따른 직무변경 요구를 분석하여 직무변경 개선안을 도출하고 직무기술서에 반영할 수 있다.

✜직무중심의 성과평가에 대한 전반적 체계를 이해하고 평가운영방안을 설계할 수 있다.

훈련 특징

✜다양한 업종의 중소기업에서 경영환경의 필요에 따라서 도입하여 활용하는 실제사례를 케이스 스터디로 활용하여

현장에서 보다 쉽게 도입하고 활용할 수 있는 노하우를 전달

✜훈련참여자가 실제 자신의 소속사에 적합한 직무분석 및 성과보상제도 유형을 선택하고 설계할 수 있도록 이론과

실습을 병행함으로써 현장에서의 활용도를 높임

✜대기업 및 중소기업의 다양한 직무분류체계와 직무프로파일에 대해 학습하고 직무분류체계 도출, 직무프로파일 작성,

핵심성과지표 도출 등을 워크북을 통해 실습해 봄으로써 실무 적용능력을 극대화함

훈련 기대효과

✜조직성장 및 직원육성을 위한 직무분석 성과시스템의 효율적 시행과 운영능력 확보

✜업무전반에 걸친 직무프로파일 및 업무처리 절차개선으로 효율적 업무배분 및 인력운영으로 인한 낭비비용 제거

✜업무처리에 필요한 실무지식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구조를 바탕으로 문제해결의 절차를 스스로 설계할 수 있음

Page 24: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http://www.ehredu.co.kr

훈련 시간표

일차 모듈명 훈련목표 주요내용 시간

1일차

Module 1.

직무분석

내 외부자료에 기초하여 조직에 적합한

직무분류체계 원칙을 수립할 수 있다.

수립된 원칙에 따라 설문 및 인터뷰

등을 통해 직무조사를 진행할 수 있다.

직무조사결과에 따라 조직에 적합한

직무분류체계를 설계할 수 있다.

직무분류체계에 기초하여 개별 직무

단위 직무기술서를 작성할 수 있다.

◦ 효율적 직무분석의 전제조건

- 조직의 기본개념

- 기업조직 변화방향

- HR의 변화방향

- 제도도입 시 반드시 유의할 사항

◦ 직무분석의 개념 및 활용

- 직무중심 인사관리의 개념

- 직무분석의 개념 및 특징

- 직무분석결과의 인사제도 활용

◦ 직무프로파일의 작성 및 실습

- 직무분류체계 설계 및 실습

- 직무기술서 / 직무명세서 작성 및 실습

8H

2일차

Module 2.

직무평가

설계한 개별직무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적합한 직무평가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직무평가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

수집한 자료에 기초하여 개별직무의

가치를 공정하게 평가할 수 있다.

직무평가 결과에 따라 인사제도 기준을

수정할 수 있다.

◦ 직무평가의 개념

- 직무평가의 정의 및 목적 / 활용개념

◦ 직무평가의 방법

- 직무평가 방법의 분류 / 선택

- 일반적 직무평가 진행방법

- 간이 직무평가 진행방법

◦ 직무평가의 결과반영

- 직무평가결과의 등급결정 / 임금적용

3H

Module 3.

직무분류 유지보수

직무관련 내·외부 환경변화에 따른

직무변경 요구를 분석할 수 있다.

직무변경 요구를 고려하여 직무변경

개선안을 도출할 수 있다.

도출된 개선안에 따른 변경내용을

직무기술 서에 반영할 수 있다.

변경된 직무기술서를 반영하여 인사

제도를 수정할 수 있다.

◦ 직무유지관리의 개념

- 직무분석 유지관리

- 직무변경요구 분석 / - 직무변경사항 도출

◦ 직무변경사항의 제도반영

- 직무변경사항 확인

- 직무프로파일의 수정

- 직무변경에 따른 인사제도의 변경

1H

Module 4.

직무중심 성과평가

조직구성원이 역량향상과 성과측정을

위한 평가 제도를 이해할 수 있다.

조직구성원이 평가구성항목 및 운영

프로세스 등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업적평가 및 역량평가의 개념 및 구체적

적용방안에 대해 학습할 수 있다.

평가자를 대상으로 평가제도, 평가오류

유형, 평가일정, 프로세스 등 평가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 성과평가의 개념

- 성과평가의 정의 및 목적

- 성과평가 전체 Framework / Trend

◦ 성과평가의 방법

- 개인평가 Framework

- 개인 업적/역량평가의 개념 및 방법

- 핵심성과지표(KPI)의 개념 및 도출

- 개인평가 운영프로세스

◦ 평가면담 및 결과의 피드백

- 평가결과의 피드백

- 평가면담 및 피드백 요령

- 평가결과 이의제기 프로세스

- 평가Audit 및 평가만족도 조사

4H

Page 25: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인적자원관리】

케이스와 동영상으로 배우는 채용에서 퇴직까지 중소기업 노무관리 완전정복

훈련 시간

“2일 16시간(09:00~18:00)”

훈련 대상

“우선지원대상기업의 사업주 및 관련 실무자”

업 종 산업 및 업종 구분 없음

(중소기업 전 산업)

부 서 인사노무, 총무, 경영관리(지원)

관련 부서

Program Structure

훈련 목적

“중소기업에서 실제 발생할 수 있는 채용에서 퇴직까지의 노무관리 법률문제에 대한 명확한 해석을

통하여 자사에 적합한 인력운용 적용능력 함양”

✜인력의 채용에서 퇴직까지 노무관리 각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법률문제를 해석할 수 있는 전문적이고 실무적인 지식을

확보할 수 있다.

✜노동법에 대한 체계적 이해를 바탕으로 합법적이고 공정한 인사체계 및 인사정책을 수립하고 관리, 운영할 수 있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인적자원관리가 중요하다는 인식을 가지고 효율적인 인력운영관리를 통해 자사의 경쟁력 향상 및 성장을 유도할 수 있는

자세를 함양할 수 있다.

훈련 특징

✜중소기업의 채용부터 퇴직까지의 인력운영 프로세스를 바탕으로 모듈을 구성하고, 각 업무 단계별 운영상 주의점 등을

체크포인트 형식의 실습으로 추가하여 훈련 이후 현업 적용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과정을 구성

✜중소기업 경영현장에서 발생하고 있는 인사노무관리상의 애로사항들을 중심으로 과정의 주제를 선정하고 해당 내용을

구체적인 사례로 다루어 보다 현장감 있는 훈련과정이 될 수 있도록 유도한 과정

✜훈련참가자 스스로 소속사의 인사노무관리 현황과 문제점을 자가 진단해 봄으로써 훈련참여의 명확한 목적과 기대를

스스로 정립할 수 있도록 과정을 구성

훈련 기대효과

✜인력운영의 법률적 리스크에 대한 안정성 확보.

✜불합리한 업무처리 관행 개선으로 낭비요소 제거.

✜인력운영 단계별 인사노무관리 운영 프로세스 체계화로 업무처리 시간단축 및 업무상 발생 가능한 오류 감소.

✜공정하고 합법적인 인사노무관리 실현으로 조직운영의 효율성 제고.

Page 26: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http://www.ehredu.co.kr

훈련 시간표

일차 모듈명 훈련목표 주요내용 시간

1일차

Module 1

중소기업을 둘러싼

환경변화와

인사 트렌드

최근 인사관리 이슈 및 트렌드에 대한

이해

◦ 중소기업을 둘러싼 환경변화와 인사관리 트렌드

◦ 중소기업 환경에서의 인사관리 특수성1H

Module 2

근로계약·취업규칙과

인사이동 법률실무

근로계약·취업규칙·인사이동과 관련된

법률문제에 대한 이해와 활용 능력

함양

◦ 사전 진단 퀴즈

◦ 근로계약과 근로조건의 결정을 둘러싼 법률문제

◦ 취업규칙 작성 · 불이익 변경을 둘러싼 법률문제

◦ 인사이동을 둘러싼 법률문제

WorkBook 실습

① 근로형태별 근로계약서 작성

② 전적동의서 작성

2H

Module 3

근로시간·휴일·휴가

법률실무

근로시간·휴일·휴가와 관련된 법률문제에

대한 이해와 활용능력 함양

◦ 사전 진단 퀴즈

◦ 근로시간을 둘러싼 법률문제

◦ 휴일 · 휴가를 둘러싼 법률문제

WorkBook 실습

① 교대제 근로시간 관련 쟁점 사례

② 휴일대체의 적법성 관련 쟁점 사례

3H

Module 4

임금·퇴직금

법률실무

임금·퇴직금과 관련된 법률문제에 대한

이해와 활용능력 함양

◦ 사전 진단 퀴즈

◦ 통상임금과 평균임금을 둘러싼 법률문제

◦ 포괄산정임금제도를 둘러싼 법률문제

◦ 상여금을 둘러싼 법률문제

◦ 퇴직금 산정 및 퇴직연금을 둘러싼 법률문제

WorkBook 실습

① 연봉계약서, 연봉통지서 작성

② 포괄임금역산제 반영 및 적용 실습

2H

2

일차

Module 5

퇴직·해고·징계

법률실무

퇴직·해고·징계와 관련된 법률문제에

대한 이해와 활용능력 함양

◦ 사전 진단 퀴즈

◦ 퇴직을 둘러싼 법률문제

◦ 해고를 둘러싼 법률문제

WorkBook 실습

① 비밀 준수 서약서 작성

② 전직금지 서약서 작성

③ 사직서 작성

④ 중소기업 해고 / 징계 관련 분쟁사례

3H

Module 6

비정규직 근로자 및

외국인 근로자

법률실무

비정규직 근로자 및 외국인 근로자

노무관리와 관련된 법률문제에 대한

이해와 활용능력 함양

◦ 사전 진단 퀴즈

◦ 비정규직 근로자를 둘러싼 법률문제

WorkBook 실습

① 기간제 근로자의 계약 기간 관련 쟁점사례

② 불법파견·위장도급 관련 쟁점사례

3H

Module 7

고용·산재보험

법률실무

고용·산재보험과 관련된 법률문제에

대한 이해와 활용능력 함양

◦ 사전 진단 퀴즈

◦ 고용 · 산재의 징수 및 적용 실무

◦ 산재보험급여와 고용보험 지원제도

2H

Page 27: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인적자원관리】

합법적 인력운용을 위한 33가지 인사규정 작성 실습

훈련 시간

“2일 16시간(09:00~18:00)”

훈련 대상

“우선지원대상기업의 사업주 및 관련 실무자”

업 종 산업 및 업종 구분 없음

(중소기업 전 산업)

부 서 인사, 총무,

경영관리(지원)관련 부서

Program Structure

훈련 목적

“합법적이고 체계적인 인사노무 관련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운영기준에 맞는 인사노무 규정 작성 및

활용 능력 함양”

✜다양한 인사규정과 관련된 인사이론 및 노동법을 적용하여 인사노무관리 규정들을 작성하고 자사의 잘못된 규정들을

개선 및 정비할 수 있다.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인사노무관리 상황에 따른 합리적인 대응방안을 수립할 수 있다.

✜인사노무 관리자로서의 책임감을 인식하고, 자사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지속적인 변화를 주도하는 관리자로서의

역량을 향상 시킨다.

훈련 특징

✜훈련생 스스로 소속사의 경영환경 및 인력구조 특성을 반영한 인사관리 규정들을 작성한 33가지 인사노무관리 템플릿이

하나의 산출물로써 현장에서 바로 활용될 수 있도록 과정을 설계하였음

✜새로운 제도의 설계나 운영을 가르치기 보다는 기본 시스템을 마련하고 기존 제도를 개선하고 보완해 나갈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현업의 인사관리 및 인력운영의 판단기준과 근거를 마련하고 정비하기 위한 인사관리 규정을 훈련참여의

결과물로써 도출.

✜모듈별 현장 활용 여부 및 훈련시간의 적절성 평가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개선이 이뤄지는 훈련 프로그램.

훈련 기대효과

✜중소기업 인력운영의 기획, 실행 시 미래 발생될 수 있는 법률적 잠재 리스크를 관리.

✜다양한 인력운영 상황별로 관련 노동관계법을 이해하고 스스로 활용함으로써 적법한 인사노무관리 제도의 수립과 운영

능력 확보.

✜불합리한 업무처리 관행개선으로 인한 낭비요소 제거.

Page 28: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http://www.ehredu.co.kr

훈련 시간표

일차 모듈명 훈련목표 주요내용 시간

1일차

Module 1.

근로계약 규정작성

근로계약과 관련된 인사이론 및 노동법

을 적용하여 인사노무관리 규정들을

작성하고 잘못된 규정들을 개선하고 정비

할 수 있다

◦ 1년 미만 단기계약근로자 표준근로계약서

◦ 표준/개인별 근로자명부

◦ 임금대장

◦ 단시간 근로자용 표준근로계약서

◦ 시용기간 포함 근로계약서

◦ 시용근로자 업무적격평가서

◦ 비밀유지서약서

◦ 비밀유지(전직금지)서약서

◦ 연봉계약서

- 연봉계약서 별도/포함하는 경우

- 프로젝트 계약서

◦ 근로계약서(시급)

3H

Module 2.

취업규칙 규정작성

취업규칙과 관련된 인사이론 및 노동법

을 적용하여 인사노무관리 규정들을

작성하고 잘못된 규정들을 개선하고 정비

할 수 있다

◦ 표준취업규칙

◦ 징계출석통지서

◦ 서면진술서/징계의결서

◦ 징계처분사유서

◦ 직장내성희롱예방교육일지

◦ 취업규칙 변경 신고서

◦ 취업규칙 동의서

3H

Module 3.

근로시간과 휴가

규정작성

근로시간과 휴가와 관련된 인사이론 및

노동법을 적용하여 인사노무관리 규정

들을 작성하고 잘못된 규정들을 개선하고

정비할 수 있다

◦ 미사용연차휴가 계획서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근로조건 설계2H

2일차

Module 4.

임금 규정작성

임금과 관련된 인사이론 및 노동법을

적용하여 인사노무관리 규정들을 작성

하고 잘못된 규정들을 개선하고 정비할 수

있다

◦ 징계에 의한 임금삭감의 한도

◦ 휴업기간 중의 임금지급

◦ 평균임금 용도와 산정방법

◦ 통상임금의 개념과 특징

◦ 통상임금의 판단기준

◦ 통상임금관련 쟁점

◦ 통상임금 산정방법

3H

Module 5.

최저임금 및 상여금과

성과급 규정작성

최저임금 및 상여금과 성과급과 관련된

인사이론 및 노동법을 적용하여 인사

노무관리 규정들을 작성하고 잘못된 규정

들을 개선하고 정비할 수 있다

◦ 임금대장을 기초로 최저임금위반 산정

◦ 생산직 임금의 최저임금 산정

◦ 수습근로자의 최저임금 산정

◦ 이행강제금

◦ 감시단속 근로자의 시간급 임금환산

3H

Module 6.

근로관계 종료 및

노사협의회 운영

규정작성

근로관계종료 및 노사협의회 관련 인사

이론 및 노동법을 적용하여 인사노무관리

규정들을 작성하고 잘못된 규정들을

개선하고 정비할 수 있다

◦ 사직서

◦ 해고의 절차와 방법

◦ 정리해고와 부당해고

◦ 근로관계 종료 후 법률관계

◦ 노사협의회 규정

2H

Page 29: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경력개발·리더십】

가슴 뛰는 회사를 만드는 성과창출 비전 리더십

훈련 시간

“2일 16시간(09:00~18:00)”

훈련 대상

“우선지원대상기업의 사업주 및 관련 실무자”

업 종 산업 및 업종 구분 없음

(중소기업 전 산업)

부 서 부서 구분 없음

Program Structure

훈련 목적

“개인과 조직이 원하는 비전인식부터 비전성취까지의 구체적인 5단계 프로세스를 습득하여 현장

적용 시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리더십역량 함양”

✜중소기업의 경영환경에 따른 변화 트렌드를 분석하고 변화와 도전을 위한 명확한 비전을 정의할 수 있다.

✜SWOT과 ERRC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개인과 조직의 현재 수준을 분석하고 나와 조직의 강약점을 설명할 수 있다.

✜변화와 비전 추진과정을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전파하기 위한 모니터닝 자세와 5단계 비전 리더십 계획을 구체적으로

현장에 실천할 수 있다는 적극적인 태도를 함양할 수 있다.

훈련 특징

✜중소기업형 DREAM 프로세스 모델 (프로세스 1 [D]: 당신은 지금 어느 위치에 있는가?, 프로세스 2 [R]: 당신은 무엇이

되고 싶은가?, 프로세스 3 [E]: 어떻게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가?, 프로세스 4 [A]: 어떻게 시작할 수 있는가?, 프로세스 5 [M]:

목적 수행 과정을 어떻게 평가할 수 있는가?)을 적용하여 현장에서의 실행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과정을 구성

✜개인의 경험 및 노하우를 실습활동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훈련참여자 간의 업무 노하우를 공유할 수 있도록 구성

훈련 기대효과

✜환경변화에 대한 주도적인 대응과 역할 확립

✜개인과 조직의 비전이 일치하여 한 방향 정렬로 의사소통이 원활함

✜개인과 조직의 성과목표가 일치하여 높은 성과가 창출됨

✜업무의 중요도에 따른 우선순위를 잘 설정하여 장기적인 관점에서 업무를 수행함

Page 30: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http://www.ehredu.co.kr

훈련 시간표

일차 모듈명 훈련목표 주요내용 시간

1일차

Module 1

개인과 조직의

변화와 역할 찾기

중소기업의 경영환경에 따른 변화 트

렌드를 분석할 수 있다.

중소기업 임직원에게 요구되는 새로

운 변화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 조직인으로서의 나와 개인으로서의 나

◦ 변화 성공과 실패 사례

◦ 중소기업의 환경변화와 리더의 역할

2H

Module 2

개인과 조직의 미래모습

시각화하기

변화와 도전을 위한 명확한 비전을

정의할 수 있다.

성공한 개인과 조직의 미래 모습을

구체적으로 시각화할 수 있다.

◦ 개인과 조직의 비전 목표 5단계 개요

◦ 조직과 개인의 비전 확인

◦ 내가 존재하는 이유(자성적 예언)

◦ 개인과 팀의 목표 및 비전 시각화 방법

3H

Module 3

개인과 조직의

현재 수준 진단하기

개인과 조직의 현재 수준을 분석할

수 있다.

강약점 분석을 통하여 현재 수준과

보완점을 설명할 수 있다.

◦ 개인과 조직의 변화 트렌드 분석

◦ 변화의 상징 찾기, 변천사

◦ 나와 조직의 현재 좌표 분석

◦ ERRC 특징과 조직의 강약점 분석

3H

2일차

Module 4

개인과 조직의

비전 설계하기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로드맵을 구상

해 보고 성과창출 비전을 위한 구체

적인 실천 계획 수립할 수 있다.

성과창출을 위한 개인과 조직의 비전

실행 시 발생할 수 있는 장애요인을

분석할 수 있다.

장애 상황별 극복 방안을 학습함으로

써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수립할

수 있다.

◦ 개인과 팀(조직)의 비전 수립하는 방법

◦ 개인과 팀(조직)의 비전 설정

◦ 결과목표와 과정목표 차트 작성

◦ 비전 실행의 장애물과 극복 방안

◦ 성과창출을 방해하는 장애물 극복과 자신감 찾는 프로

세스 및 방법

◦ 개인과 팀의 비전 사명서 작성과 개발 전략

3H

Module 5

개인과 조직의

비전 실행하기

성과창출 비전을 달성하기 위한 방안

을 설명할 수 있다

성과창출 비전 세부추진계획을 설명

할 수 있다.

◦ 개인과 조직의 비전을 구체화하는 방법

◦ 개인과 조직의 비전을 한 방향으로 정렬하는 방법

◦ 성과창출 우선순위 설정과 시간관리 설계

2H

Module 6

개인과 조직의

비전 모니터링 하기

성과창출을 위한 변화와 비전 추진과

정을 검토할 수 있다.

변화와 비전을 지속적으로 전파하기

위한 모니터닝 방법을 수립할 수 있다.

성과창출 비전을 종합적으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작성할 수

있다.

◦ 개인과 조직의 비전 프로그래밍 하기

◦ 지속적인 성과창출을 위한 설계와 모니터링 방법

◦ 개인 및 조직차원에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비전 내

용 작성

3H

Page 31: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경력개발·리더십】

계획이 성과로 이어지는 팀워크의 원리, 성과지향 팀 리더십

훈련 시간

“2일 16시간(09:00~18:00)”

훈련 대상

“우선지원대상기업의 대리급 중간관리자”

업 종 산업 및 업종 구분 없음

(중소기업 전 산업)

부 서 부서 구분 없음

Program Structure

훈련 목적

“팀 리더로서 필요한 역량과 팔로어십에 대하여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목표관리,

성과보상, 사람관리 능력을 함양

✜중소기업의 경영환경 패러다임 전환과 팀 리더의 역할과 역략 이해.

✜팀 리더의 역량을 정의하고 리더십과 팔로어십을 조화롭게 적용할 수 있는 기법 습득.

✜중소기업의 팀 리더로서 팀을 잘 리드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자세 확립

훈련 특징

✜중소기업 교육체계 구축 컨설팅, hrd진단 학습조직 평가 경험을 바탕으로 현장에 다양한 니즈에 대한 우선순위를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실제 사례분석 및 실습훈련을 통한 관리스킬 체득 및 현장적용 극대화

✜각 모듈별 교육과정의 구성을 핵심내용의 이해, 참여적인 교육훈련, 멀티미디어를 통한 교육, 실질적 사례 연습, 체득화

및 현장적용으로 체계화하여 완전학습 및 실천적 능력개발 향상에 역점을 둠

✜강의, 토의, 발표, 실습, 멀티미디어 활용 등 다양한 교육훈련 방법을 통해 활기차고 유익한 교육훈련이 되며, 학습자의

실패 및 성공 경험 공유를 통해 바람직한 리더십 포인트를 도출하고 이를 중소기업 현장에서 활용할수 있도록 유도.

훈련 기대효과

✜부서(팀) 리더로서 효율적인 목표관리와 성과보상, 사람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관리상의 문제에 대한 해결 역량을 높인다.

✜진취적인 리더십 마인드와 실행전략을 갖춘 리더를 통하여 생산적 조직문화 형성할 수 있다.

Page 32: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http://www.ehredu.co.kr

훈련 시간표

일차 모듈명 훈련목표 주요내용 시간

1일차

Module 1

팀 리더십과

Followership

팀 리더에게 필요한 리더십 요소를

제시하고 효과적인 Follower -ship

을 발휘할 수 있다

◦팀 리더의 역할과 필요 역량

◦팀 리더의 리더십 요소

◦팀 리더의 팔로어십

4H

Module 2

목표관리

목표관리의 진행과정 및 성공요건을

제시하고, 효과적인 부하직원 평가와

피드백을 수행할 수 있다.

◦목표관리의 의의 및 필요성

◦목표관리의 진행과정 및 성공요건

◦부하직원 평가 및 피드백

2H

Module 3

성과보상

부하직원의 성과에 대해 효과적인 금

전적 보상과 비금전적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인간의 욕구와 직원만족

◦효과적인 금전적 보상

◦인정, 칭찬, 기회 제공

2H

2일차

Module 4

사람관리

Frame Work

효과적인 사람관리 Framework를 이

해하고 부하직원을 관리하기 위한 효

과적인 방안을 설명할 수 있다.

◦사람관리 철학과 Paradigm

◦사람관리 Framework

◦효과적인 부하직원 관리 방법

2H

Module 5

사람관리

Communication

사람관리Communication Skill과 대

화모델을 실습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사용한다.

◦사람관리 Communication Skill

- 경청 Skill

- 질문 Skill

- 지지 Skill

- 교정 Skill 등

◦사람관리 대화모델

- GROW모델

- Goal

- Reality

- Options

- Will

◦현장 적용을 위한 사람관리 커뮤니케이션 활용 계

획 수립

6H

Page 33: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경력개발·리더십】

롤플레잉을 통한 현장문제 해결 솔루션, 상황별 리더십 훈련

훈련 시간

“2일 16시간(09:00~18:00)”

훈련 대상

“우선지원대상기업의 과장급 중간관리자”

업 종 산업 및 업종 구분 없음

(중소기업 전 산업)

부 서 부서 구분 없음

Program Structure

훈련 목적

“업무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에 맞춰 가장 적합한 리더십을 발휘함으로써 현장문제를 해

결하는 리더십 능력 함양”

✜리더십의 전통 이론인 리더십 유형 학습을 통해 과업지향적 행동과 관계지향적 행동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과 적용

원칙을 파악할 수 있다.

✜사례연구 및 롤플레잉 기법을 활용하여 리더십 전략과 행동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 훈련참여생 조직에서 적용할

수 있는 스킬을 찾아낼 수 있다.

✜리더십 발휘를 하는데 있어 고려해야 하는 현장 상황과 대상 변수의 특수성이 무엇인지 면밀하게 확인해 보고 적극적

으로 점검해 볼 수 있는 자세를 배양할 수 있다.

훈련 특징

✜사람, 사건, 직무 등 현장 상황 특성에 맞게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는 전통적이면서도 강력한 상황적 리더십에 기반을

둠으로써 적합한 리더십을 생생하게 학습할 수 있음

✜각 모듈별 액션 플랜 작성 시 다양한 참조자료를 제시함으로써 자사에 적합한 액션플랜을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으며, 해당

학습내용을 조직 내 적용할 수 있도록 필요 요령을 구체적으로 제시함

✜관리자의 위치에서 하급자를 향해서는 리더십을 발휘해야 하지만, 상급자를 향해서는 팔로우십을 발휘해야 하는 바,

해당 위치에서 종합적 시각을 가지고 접근함

훈련 기대효과

✜조직 내 발생하는 각종 상황을 구조화해서 바람직한 리더십 행동을 발휘할 수 있다.

✜나의 리더십을 자가 점검할 수 있는 구체적인 행동지표를 정의하여, 수시로 확인할 수 있다.

✜리더십 발휘 대상의 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방법으로 리더십 행동을 발휘함으로써 리더십 발휘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다.

Page 34: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http://www.ehredu.co.kr

훈련 시간표

일차 모듈명 훈련목표 주요내용 시간

1일차

Module 1

현장상황별 리더십 이슈

설정하기

리더십 발휘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상황 적합성 인식을 함양하고, 상황

별 리더십을 발휘하는데 필요한 상황

특성을 정의하여 필요한 리더십 행동

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 배양

◦ 우리에게 가장 리더십이 필요한 상황은?

◦ 우리 조직의 리더십이슈 제기(PREP기법)

◦ 역할 정의 및 과정

◦ 역할 관점:Role Maker와 Role Direction

◦ 우리에게 요구되는 관리자의 리더십 역량

◦ 영향력과 리더십

◦ 리더십 연구의 변천

◦ 상황별 리더십모델

◦ 리더십 유형 설문지

◦ 조직행동론의 주요 연구 관점

◦ 과업지향적활동과 관계지향적활동

◦ KJ기법의 활용 ◦MECE의 정의와 적용

2H

Module 2

현장상황별 리더십 사례

분석하기

업무현장의 다양한 상황 속에서 바람

직한 리더십 발휘 방법을 이해하고,

각 상황별 발휘할 수 있는 리더십

행동에 대한 최적의 대안을 모색함

◦ 완장촌을 통해 배우는 리더십 전략/

◦ 1대 완장: 지시형 리더십

◦ 현장상황: 팀구축, 자원 부족, 모호한 직무

◦ 지시형 리더십 행동 고찰

◦ 상황인식, 명확한 업무정의

◦ 대상특성별 적합한 업무분장

◦ 업무 수행의 우선순위 선정

◦ 성과에 따른 공정한 배분

◦ 불공정성을 감소시키는 방법

◦ 자원부족에 대한 불만 토로 구성원의 대응 요령

◦ 공평과 공정의 차이와 활용

◦ 리더십 영향력의 수용요소와 응용

◦ 2대 완장 : 지원형 리더십

◦ 현장상황: 팀 개발, 정체성 위기, 비전 부재

◦ 지원형 리더십 행동 고찰

◦ 조직성과 평가기준 및 보상체계 마련

◦ 구성원의 욕구별 지원형 리더십 발휘 방안

◦ 우리가 활용 가능한 동기부여 수단

◦ 조직에서의 지원형 리더십 발휘 수단 예제

◦ 지원형 리더십의 최적의 의사결정 시나리오

◦ 2대 완장의 지원형 리더십 역량 평가

◦ 3대완장: 참여/위임형 리더십

◦ 현장상황: 소통 실패, 갈등 발생, 직원 반발

◦ 참여/위임형 리더십 커뮤니케이션

◦ 경청을 잘 못하는 이유와 효과적인 경청 기술

◦ 완장촌 갈등원인과 해결방법

◦ 갈등사례 연구 시트

◦ 팀 경영프로세스와 필드리더십

◦ 각 상황별 효과적인 리더십행동 연구

6H

Page 35: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일차 모듈명 훈련목표 주요내용 시간

2일차

Module 3

현장상황별 리더십전략

수립하기

각자 처한 환경 속에서 리더십 발휘

를 하는데 대두되는 문제 점검 능력

을 배양하고, 자가점검을 통하여 현

장 리더로서 업무수행 과정에서 요구

되는 역량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발휘

하고 있는지 파악하고 개선방안 마련

◦ 상황별 리더십 모델의 세부 내용

◦ 현장환경, 리더십행동, 성과

◦ 우리조직의 리더십 이슈 (PREP기법)

◦ 현장 상황별 현장관리자 에게 요구되는 역할

◦ 요구역할에 따른 리더십 유형별 실천 행동

◦ 대상특성 분석과 리더십 전략

◦ 현장이슈 분석과 리더십 전략

◦ 직무특성 분석과 리더십 전략

◦ 상황특성별 리더십 전략 매트릭스

◦ 대상/현장/직무특성에 따른 지시형 리더십

◦ 대상/현장/직무특성에 따른 지원형 리더십

◦ 대상/현장/직무특성에 따른 참여형 리더십

◦ 대상/현장/직무특성에 따른 위임형 리더십

4H

Module 4

현장상황별 리더십

발휘하기

각자 처한 환경 속에서 발휘해야할

리더십 행위가 무엇인지 리더십 역량

모델링 기법을 토대로 과업지향적 리

더십과 관계지향적 리더십 도출 능력

배양.

◦ 리더십 실천계획 수립 프로세스

◦ 현장이슈 점검→필요 역할 정의→핵심 역량 정의→리더십 유형

선정→행동 사례 발굴→행위 지표 개발→리더십 실천 계획

◦ 리더십 유형별 맞춤형 필드리더십 개발역량 정의

◦ 긍정적 행동사례와 부정적 행동사례 발굴

◦ 개별상황별 리더십 행동지표 개발

◦ 맞춤형 리더십 개발 및 발휘계획 수립

◦ 상호 공유 및 최우수작 선정

◦ 최우수작 시상 및 총평

4H

Page 36: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http://www.ehredu.co.kr

【경력개발·리더십】

목표를 현실로 만드는 성과관리 리더십

훈련 시간

“2일 16시간(09:00~18:00)”

훈련 대상

“우선지원대상기업의 사업주 및 관련 실무자”

업 종 산업 및 업종 구분 없음

(중소기업 전 산업)

부 서 부서 구분 없음

Program Structure

훈련 목적

“개인과 조직의 효율적인 목표 달성을 위하여 성과창출의 요소들과 공정한 성과관리 프로세스를

파악하고, 차별화된 성과관리 스킬 능력 함양”

✜성과관리 리더십의 핵심이론과 자발적 성과몰입을 위한 동기부여와 이를 방해하는 요인 및 해결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설명할 수 있다.

✜조직구성원의 현재 상태를 파악함으로서, 현재 업무의 개선점이 무엇인지를 찾아낼 수 있다.

✜성과창출과 성과관리에 장애가 되는 요소들을 주도적이고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대처할 수 있는 자세를 가질 수 있다.

훈련 특징

✜업무의 계획→실행→평가의 프로세스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단계에 따른 핵심역량을 학습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업무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과정을 구성

✜훈련 참가자 소속기업의 조직운영 조건을 고려하여 다양한 사례 중심의 워크북(실습교재) 설계

✜조별 과제 수행 및 발표, 개인별 실습, 집단토의 등을 통한 업무 애로사항 및 노하우 공유, 피드백 등을 훈련 참여자간의

업무 노하우를 공유할 수 있도록 과정을 구성

훈련 기대효과

✜최근 성과관리 이슈와 트렌드에 대한 정보 확보와 방법을 습득하여 효과적이고 주도적인 성과관리의 방향을 수립함

✜직무몰입을 방해하는 내/외적인 요소들을 제거하고 재동기부여 할 수 있는 적절한 방법을 개선할 수 있는 수준

✜성과창출에 필요한 다양한 요소들의 복합계획으로 실무성과와 자신의 경력관리를 조합할 수 있는 수준

Page 37: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훈련 시간표

일차 모듈명 훈련목표 주요내용 시간

1일차

Module 1

성과관리

리더십의 철학과 기본

환경변화에 따른 리더십의 이해와 성

과관리의 방향성을 확립한다.

◦ 세계관, 자연관, 가치관, 인간관

- 가장 중요한 시점, 사람, 공간, 직무

- 이성과 감성의 조화

- 환경변화에 따른 가치관 탐색

◦ 조직과 개인의 성공

- 조직의 성공공식

- 여섯 가지 거시적 트렌드

- 조직 컨셉

- 조직 활성화 구조

- 지속성장경영의 프로세스

◦ 리더십 패러다임

- 리더십의 정의

- 리더의 역할 이동

- 리더의 임무

3H

Module 2

성과관리의

개념과 이유

성과관리 수행시 나타나는 리더의 고

민과 해결책을 찾아낸다.

◦ 성과관리의 개념

- 조직의 성과구조

- 성과관리의 정리

◦ 성과관리의 기대효과

- 리더의 고민과 해결

◦ 성공적인 성과관리 3원칙

- 참여, 소통, 역량증진

◦ 성과관리의 기준

- 목표와 업무조정

- 문제의 도출과 해결

- 지속적 피드백과 동기부여

5H

2일차

Module 3성과관리의

과정

성과관리 프로세스별로 핵심역량과

스킬을 활용할 수 있다.

◦ 공유된 목적과 목표

- 목표설정을 위한 정보수립

- 성과관리의 필요성 공유

- 성과계획수립 및 공유

◦ 인정과 조절

- 인정과 조정의 효과 검토

- 공식적인 방법

- 인정과 조정의 대인관계기술

◦ 성과평가 면담

- 성공적인 성과평가 면담의 조건

- 성과평가 면담의 과정

◦ 코칭과 육성

- 성과관리 코칭과 육성의 과정

- 유형 진단

- 유형의 특성

- 유형별 코칭과 육성의 효과적 방안

◦ 지속적인 지원

- 성과관리단계 숙지

- 종합사례

- 관계론과 존재론

4H

Module 4성과창출의

차별화

외부에 주도적으로 대응하는 성과창출

의 전략과 대응책을 찾아낼 수 있다.

◦ 창조적 성과를 위한 전략적 사고

- 경영전략이란?

- 우리에게 필요한 전략적 사고

- 성과향상계획의 기초

◦ 3가지 전략

- 성공적 성과창출 리더십

- 집중화, 확정화, 지속화 전략

◦ 새로운 기회를 찾기 위한 미션 해결

- 나의 핵심고객은 누구인가?

- 고객의 숨어있는 니즈는?

- 고객이 보는 나의 모습은?

- 고객을 위한 새로운 과제는?

3H

Module 5성공리더와리더의 길

성공 리더로 가기 위한 방향, 역량,

행동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 성공하는 리더의 자신감

- 부정적 과거와 긍정적 미래

- 현재의 자신감

◦ 최고 리더의 길

- 끊임없는 자기계발과 솔선수범

1H

Page 38: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http://www.ehredu.co.kr

【경력개발·리더십】

생산성 혁신을 위한 현장관리자의 실천전략, 현장 리더십

훈련 시간

“2일 16시간(09:00~18:00)”

훈련 대상

“우선지원대상기업의 사업주 및 관련 실무자”

업 종 산업 및 업종 구분 없음

(중소기업 전 산업)

부 서 생산, 품질, 제조지원 관련 부서

Program Structure

훈련 목적

“현장의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자사의 경쟁력 요소와 자신의 리더십 역량을 파악하고, 생산성

향상을 촉진시키는 기술을 현장에서 발휘하는 능력 함양”

✜강소기업의 경쟁요소를 찾아내고, 현재 자신의 리더십 수준을 설명할 수 있다.

✜테크노리더로서 중요한 공감수용 화법과 대화기술을 수행하고, 참여를 촉진시키는 지도상담 스킬을 수행할 수 있다.

✜조직단위 리더로서의 역할과 책임을 수용하는 태도를 함양하고, 자신의 현장관리 수준을 파악하여 적극적으로 개선점을

찾는 자세를 배양할 수 있다.

훈련 특징

✜국내 중소 제조업의 직무 환경에 특화된 교육 내용과 중소기업과 글로벌 중소기업의 경쟁 요소 사례를 비교하여 보다

현실감 있는 중소기업형 프로그램이 될 수 있도록 과정을 구성

✜생산성 영역, 조직문화, 현장개선활동 등 제조업 현장에 실질적으로 적용 가능한 사례를 연구 주제로 구성

✜NCS 미개발 분야이지만 일(직무)과 연계된 훈련목표, 수준(대상), 다원명 등 세부내용을 개발함으로써 중소기업 현장의

성광에 명확하고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훈련과정을 구성

훈련 기대효과

✜실천적인 중소 제조현장의 안정적인 관리기반 형성으로 생산성을 증대할 수 있다.

✜중소기업의 이직 관리를 위한 사람다루기, 건전한 노사문화의 형성기반 조성 등 적극적인 관리 형태에 의하여 중소기업의

조직 내 갈등을 해소할 수 있다.

✜업무범위가 넓고 업무수준이 낮은 중소기업 관리감독자에게 필요한 지식, 스킬, 능력 등을 학습하여 중소기업 리더로서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

Page 39: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훈련 시간표

일차 모듈명 훈련목표 주요내용 시간

1일차

Module 1

현장관리 개선점

파악하기

변화의 흐름과 필요성을 확인하고,

우수 중소기업의 경쟁요소를 찾아냄

으로써 자신의 현장관리 수준과 개선

점을 파악할 수 있다.

◦ 제조현장 관리자로서의 자기 인신

- 대내외 환경변화와 키워드

- 진단을 통한 자신의 현재역량 확인

◦ 우리의 중소제조업 현실

◦ 강소기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

- 강소기업 사례(국내외)

- 국내중소기업의 경쟁력 원천 : 현장개선, 조직안정, 동기

부여

4H

Module 2

현장 리더의 역할과

적용방안 수립하기

현장 리더로서의 역할과 책임을 설정

하고, 자기의 리더십 강점을 통해 현

장 리더십의 원칙과 현업적용 과제를

작성할 수 있다.

◦ 현장 리더의 활동

- 과업활동 / 관계활동

◦ 현장 리더의 역할과 책임

- 현장을 개선하고 지도하는 리더 되기

- 사람을 다루는 리더 되기

- 제조현장 문화를 만드는 리더 되기

◦ 나만의 리더십 찾기

- 컬러로 인식하는 테크노 리더십

◦ 리더십의 구성요소와 효과성

- 조직상황, 부하, 상사

◦ 리더십 구성요소별 현장적용방안 수립

- 상황게임

4H

2

일차

Module 3

생산성 촉진의 테크닉

익히기

제조현장에서 자주 발생하는 문제영

역을 분석하고, 작업자 참여를 촉진

하는 대화기법을 파악하여 역할연기

를 통해 높은 수준의 참여가 되도록

응용할 수 있다

◦ 현장에서의 발생하는 문제 해결 방안

- 자주 발생하는 현장 문제와 해결방안 토의 및 공유

◦ 구성원에 적합한 현장 리더십 파악

- 구성원 성숙도 파악

- 구성원 성격, 성숙도, 동기부여형 파악(사례연구_

◦ 생산성과 리더십과의 관계

◦ 현장 리더에게 필수적인 리더십 스킬

- 지도상담/동기부여/응집력개발/과업수행 역량

◦ 현장 생산성 향상의 기본과 현장리더 고려사항

- 제도, 규범/능력, 실력/사기, 의욕, 분위기

◦ 소통 촉진 기술과 자발적 태도 변화(역할연기)

- 상담스킬, 지도스킬, 리더십스킬

◦ 생산성 향상을 위한 촉진 기술

- 원가관리, 납기준수, 품질관리

◦ 자기혁신 계획서와 자기관리표 작성

8H

Page 40: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http://www.ehredu.co.kr

【경력개발·리더십】

성과를 향상시키는 프로들의 소통법, 4단계 커뮤니케이션 훈련

훈련 시간

“2일 16시간(09:00~18:00)”

훈련 대상

“우선지원대상기업의 대리급 중간관리자”

업 종 산업 및 업종 구분 없음

(중소기업 전 산업)

부 서 부서 구분 없음

Program Structure

훈련 목적

“일과 역할에 대한 자기 정체성을 확립하고, 업무상황과 대상에 적합한 4단계 커뮤니케이션 스킬

능력 함양

✜훈련참여생이 종사하고 있는 업(業)에 대한 긍정적인 이해와 자발적으로 몰입하는 원리를 파악할 수 있다.

✜자발적 몰입의 스킬을 업무에 적용할 수 있다.

✜자신의 역할과 업무의 본질을 파악함으로써 일에 대한 자긍심을 함양할 수 있다.

훈련 특징

✜가정, 직장, 사화에서의 자신의 이미지와 역할에 대하여 스스로 그릇된 신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이미자와 역할을

만들 수 있는 능력을 함영하며, 교육게임으로 동일한 업무를 좀 더 재미있고, 자발적으로 몰입하는 방법을 체험하도록 구성

✜습관화된 말과 행동을 실습을 통하여 개선하고, 사람과 상황에 대한 소통스킬이 아닌 나와 상대방의 상황과 성격에

따라 달리 적용할 수 있는 맞춤형 소통스킬을 실습위주로 현장에서 즉시 사용할 수 있게 중점적으로 구성

✜중소기업 여건상 교육기회가 부족한 직원들에게 전달교육이 가능하도록 설문지 및 주요 교육사례를 공유하며, 주요사례에

대한 반복 학습을 실시하고 중간관리자로서 부하직원들에게 전달교육을 쉽게 할 수 있는 여건 마련

훈련 기대효과

✜조직 내 원활한 소통을 위한 다양한 스킬들을 현장에서 적용하여 체계적인 조직관리 강화

✜중소기업 관리자의 다양한 역할에 맞게 소통스킬을 발휘함으로써 스트레스와 갈등상황 감소

✜자신의 업무에 대한 자긍심이 향상되어 업무몰입을 통한 생산성 향상과 직장만족도 증대

Page 41: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훈련 시간표

일차 모듈명 훈련목표 주요내용 시간

1일차

Module 1

업무몰입을 위한 일과

소통하기

일에 대한 자신의 역할을 재발견하

고, 자발적으로 몰입하는 능력 함양

◦ 자신의 역할 재정의

◦ 자아성취와 업무몰입의 방법(게임)

◦ 일에 대한 자기정의와 성과와의 연관성

◦ 업무 수행 시 더 즐겁고 더 높은 성과를 달성하는 몰입의

방법

◦ 자신의 일에 대한 정체성(의미와 가치) 선포

◦ 조직현장에서의 갈등상황 대처

4H

Module 2

자긍심 함양을 위한

자신과 소통하기

자신의 습관적인 성향을 진단하여,

부정적이고 비관적인 생각, 말, 행동

등을 긍정적이고 낙관적으로 바꾸어

습관화 될 수 있도록 하는 실행능력

함양

◦ 자신의 습관적인 성향 진단하기(낙관성 진단)

◦ 신념의 구성과 영향

◦ 생각. 말, 행동을 긍정적으로 표현하기

◦ 비관적인 습관을 낙관적으로 바꾸는 낙관성 훈련

◦ Action Plan 21일간 의도적으로 실행하기

4H

2일차

Module 3

상황에 맞게 소통하기

중소기업 중간관리자로서 필요한 소

통의 원칙을 알고 현장에 적용할 수

있으며, 나와 상대방의 상황에 적합

한 대화스킬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

함양

◦ 대인관계의 지혜

◦ 소통의 핵심

◦ 소통의 장애요소와 자기중심적 행동

◦ 소통을 잘하는 사람들의 특징

◦ 대화주체의 상황에 따른 4가지 소통의 방법

◦ 중간관리자로서 곤란한 상황에서의 소통

4H

Module 4

개인별 성격특성에 맞게

소통하기

나와 상대방의 성격유형을 진단할 수

있으며, 성격유형별로 습관화 된 의

사소통 패러다임을 알고, 현장에서

상사나 부하등 상대방의 특성에 맞게

소통하는 중간관리자 리더십역량 함

◦ 성격유형진단 및 워크숍

◦ 성격유형별 습관화 된 소통의 방법과 개선방안

◦ 성격유형별 특성 및 소통의 패러다임

◦ 성격유형별 의사소통의 자기개발 포인트

◦ 성격유형별 효과적인 소통의 스킬

◦ 성격유형에 바람직한 리더십 개발

4H

Page 42: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http://www.ehredu.co.kr

【경력개발·리더십】

실행력 강화를 위한 실천 노하우, 액티브 리더십

훈련 시간

“2일 16시간(09:00~18:00)”

훈련 대상

“우선지원대상기업의 대리급 중간관리자”

업 종 산업 및 업종 구분 없음

(중소기업 전 산업)

부 서 부서 구분 없음

Program Structure

훈련 목적

“능동적으로 환경을 파악하고 도전과 협력을 통하여 상황을 돌파하는 진취적 리더십 실행능력 함양”

✜경영환경에서의 불확실성이 내포한 긍정적 의미를 이해하고, 진취적 리더십을 실천하기 위한 원칙을 수립할 수 있다.

✜조직의 방향설정을 위한 목표를 설계하고, 리더로서 진취적 도전을 완성하기 위한 행동방법을 표한할 수 있다.

✜자발적으로 상황을 리드하고, 지속적인 목표 달성을 위한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조직구성원간의 협력적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훈련 특징

✜중소기업 직원들의 조직 차원, 개인 차원의 환경과 부합하는 상징 부여와 설명으로 보다 현실적이고 몰입이 증진되는 내용을

제시할 수 있도록 과정을 구성

✜조직과 개인의 삶에서 쉽게 실천할 수 있는 5가지 상황 돌파 리더십 전략을 제공하고 현업에서의 교육효과 지속을 위한

리더십 CARD를 제공함으로써 현장 활용도를 높임

✜적절하고 차별적인 메시지에 부합하는 Activity의 제공으로 교육의 이해와 흥미를 강화함

훈련 기대효과

✜조직 내 다양한 상황을 극복하고 위한 구체적인 리더십 실행 전략을 제공함으로써 중소기업의 관리자 역량 강화

✜현장 리더로서 갖춰야 할 리더십 원칙의 틀(Leadership Frame) 학습을 통해 리더십에 대한 불안감 해소 및 역량 강화

✜진취적인 리더십 마인드와 실행전략을 갖춘 리더를 통하여 생산적 조직문화 형성

Page 43: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훈련 시간표

일차 모듈명 훈련목표 주요내용 시간

1일차

Module 1

절대 긍정하기

불확실성에 대한 긍정적 가치인식을

통하여 환경을 긍정하고 극복하려는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기대에 대한 방향성 조정을 통하여

바람직한 방향을 확보할 수 있다. 환

경 긍정의 자기 선언수립을 통하여

환경에 능동성으로 대비할 수 있다.

◦ 진취성(active) 리더십 수준 진단

◦ 현장에서 느끼는 경영환경의 불확실성과 리더십의 니즈

◦ 경영과 리더십의 가장 큰 자원인 불확실성

◦ 불편, 불확실에 대한 원칙(럭비 사례)

◦ 기대(EXPECT)가 미치는 영향과 올바른 질서의 방향

(알버트 앨리스 박사)

◦ 불확실한 조직 환경 분석 및 리더십 행동전략 수립

◦ 리더로서의 긍정적 상황인식 내면화하기(멘토링 훈련)

3H

Module 2

절대 목표 확보하기

조직차원의 비전과 목표 공유의 중요

성을 파악하고, 조직의 비전과 목표

를 설명할 수 있다. 개인차원의 비전

과 목표설계원칙을 통해 자신의 비전

과 목표를 확보할 수 있다. 조직차원

의 자신의 역할인식의 중요성을 파악

하고, 자신의 역할을 설계할 수 있다.

◦ 불확실한 경영환경하의 전략적 원칙

◦ 불확실한 환경하의 전략적 사고와 실행의 중요성(명량해

전)

◦ 비전과 목표의 설정원칙 및 개인별 비전과 목표 수립

◦ 조직차원에서 전략적 행동을 수행하기 위한 역할의 중요

성과 자신의 역할을 스스로 정립하기.

◦ 공동의 방향성확보의 중요성(액티비티 활동)

◦ 한방향의 전략인식의 중요성을 내면화하기(멘토링)

3H

Module 3

절대 협력과 헌신하기

헌신의 중요성을 통하여 구체적인 솔

선수범실천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고객마인드 차원에서 헌신 마인드를

이해하여 고객에 대한 헌신 실행전략

을 수립할 수 있다. 상호 협력과 소

통의 중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 불확실한 경영환경하의 헌신의 사례(럭비)

◦ 참다운 리더의 희생과 솔선수범의 의미(임진왜란 사례)

◦ 개별로 조직생활에서 경험한 헌신과 솔선수범의 사례 발

굴과 공유

◦ 고객 마인드 차원에서 헌신의 의미와 고객에 대한 실천전

략 수립

◦ 상호 협력과 소통의 의미(모자이크 벽화 만들기)

◦ 헌신과 솔선수범의 중요성 내면화하기(멘토링)

2H

2일차

Module 4

절대 존중하기

집단 스포츠 철학상의 상호존중원칙

을 통하여 동료애의 중요성을 파악할

수 있다. 주변 동료와 고객에 대한

존중과 신뢰 방법을 계획할 수 있다

◦ 상호존중과 신뢰의 NO SIDE(럭비 사례)

◦ 조직이 한 방향으로 융합하고 승리하기 위한 신뢰의 중요

성(이순신장군 사례)

◦ 조직에 신뢰가 미치는 3가지 차원의 영향

◦ 조직 내에서 직간접으로 경험한 왕따의 사례 발굴과 공유

◦ 자신을 중심으로 연결된 관계망을 최대한 발굴하여 관계

의 감사 체인 만들기(thank you chain).

◦ 조직 내 신뢰구축을 위한 실천전략을 수립 및 공유

◦ 조직 내 상호신뢰 구축을 위한 상호존중과 신뢰의 중요성

을 내면화하기(멘토링)

4H

Module 5

절대 도전하기

도전과 창조의 역사적 의미를 파악하

여 상황 돌파의 도전적 동기를 확보

할 수 있다. 구체적인 도전계획 수립

을 통하여 자신만의 도전적 목표를

확보할 수 있다. 도전 공약발표회를

통하여 진취적인 도전의지를 표현할

수 있다.

◦ 도전의 가치실행을 통한 성과 창출 사례 학습

(럭비의 TRY마인드, 이순신 장군의 지속적 도전과 창조)

◦ 역사적 사례 비교를 통한 도전과 정체가 빚는 결과 파악

◦ 도전의 속성인 지속성과 창조성

◦ 도전의 마인드를 내면화하기(멘토링)

4H

Page 44: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http://www.ehredu.co.kr

【경력개발·리더십】

조직 내 갈등해결의 실전 스킬, 승승의 릴레이션십

훈련 시간

“2일 16시간(09:00~18:00)”

훈련 대상

“우선지원대상기업의 대리급 중간관리자”

업 종 산업 및 업종 구분 없음

(중소기업 전 산업)

부 서 부서 구분 없음

Program Structure

훈련 목적

“긍정적·협조적인 업무수행 및 고성과 팀 창출을 위한 팀 내 갈등해결 능력 함양”

✜중소기업 업무 환경 속 대인관계의 특수성과 갈등증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관계 개선에 필요한 효과적인 갈등해소

이론 및 기술을 습득할 수 있다.

✜눈높이 리더십을 발휘하기 위해 리더의 4가지 리더십 스타일에 대한 역량 및 지식 함양

✜실습과 Role Playing, 실천계획 수립 등으로 학습내용을 현장에서 실천할 수 있는 자신감을 고취하고, 팀 내 긍정에너지

발산을 위한 적극적인 자세와 태도를 기를 수 있다.

✜학습 후에도 강사와 학습자 간 멘토 관계를 형성해 지속적 실천의지를 다질 수 있다.

훈련 특징

✜중소기업 직원들의 근무환경 속 다양한 갈등과 인간관계 이슈를 훈련자 개개인의 Case소개, Role Play, 해결책 공동 도출

등 참여형 훈련으로 진행해 이론을 넘어 실행지식으로 체득할 수 있게 함.

✜ABCD대화법, PCS대화법 등 국내 최초로 소개되는 하버드 대학의 갈등관리 Skill을 중소기업 현장에 사용할 수 있도록

보완, 적용함.

훈련 기대효과

✜갈등 상황에서의 효과적인 대응 스킬과 우호적 관계 증진의 역량을 갖춰 관계가 악화되기 전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관계증진을 통한 직장 만족도 증대 및 업무 추진에 몰입할 수 있다.

✜갈등해소를 통해 소모적 대립을 줄이고 인력운영 전반에 걸친 장애요소들을 감소시켜 구성원 간 협조 강화와 조직활성화로

업무처리 시간 단축, 창의적 업무처리를 가능하게 해 업무성과의 획기적 증대가 가능하다.

✜직장 동료, 상사와 부하 등, 서로의 차이점을 존중함으로써 조직문화의 개선과 조직 전체 수준의 심리적 안정감이 증대해

생산성 증가를 도모할 수 있다.

Page 45: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훈련 시간표

일정 단원명 단원 목표 훈 련 내 용 시간

1일차

Module 1.

대인관계가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확인하기

중소기업 직원들의 갈등

과 관계의 특수성을 파악

하여 실제사례를 통해 현

장 실행력을 확장할 수

있다.

◦ 대인관계가 직원의 사기에 미치는 영향 파악

◦ 조직 내 고성과자와 저성과자의 인간관계 차이점 분석

◦ 중소기업 직원들의 관계 갈등으로 인한 어려움과 심층 원인 이해

◦ 중소기업 현장의 갈등에 대한 실제사례 연구 및 실천사항 도출

2H

Module 2.

갈등 없는

중소기업 현장

만들기

대인관계 증진을 위한 핵

심기법을 파악하여 실천

적 Tool을 시행할 수 있

다.

◦ 직장 내 대인관계의 파급효과에 대한 Gallup의 발표 내용과 시사점

◦ 우호적 인간관계와 근무 의욕의 상관관계 및 실천방안(실습)

◦ 다름을 활력으로 이끄는 행동특성(ROAD©분석)(실습)

◦ 상대방의 행동특성별 협조적 대응방법(역할연기)

◦ 갈등의 원인분석 (PIVER©피버)과 승/승의 해결방안(실습)

◦ 갈등의 자기중심적 해석(Self-Serving Bias)현상과 현장 실천방안 도출

3H

Module 3.

갈등예방과

관계증진의

대화기법 시행하기

갈등을 승/승으로 이끄는

효과적 대화법(중소기업

현장용 ABCD 대화와

PCS 대화)을 현장에 시행

할 수 있다.

◦ 승/승의 인간관계를 받치는 4가지 감성역량 학습

◦ 나의 감성역량 알아보기(실습)

◦ 결정적 순간의 침착한 대화법 체득

◦ 너-표현과 나-표현법의 효과 이해

◦ 비폭력적 대화와 관찰 가능한 용어 사용의 원리

◦ Harvard대학의 ABCD대화법과 실천적 방법(실습)

◦ 반대의견을 우호적으로 말하는“장염제(PCS)”대화법(역할연기)

3H

2일차

Module 4.

승/승의 관계

확보하기

갈등상황 예방을 위한 바

탕강화의 원리를 설명하

고 효과적인 지지/격려의

대화 실천기법을 시행할

한다.

◦ 중소기업 현장에서 타인과 신뢰를 증진하는 SACEM(사귐)의 커뮤니케이션

전략(실습)

◦ 감정 파악과 반사(Mirroring)의 갈등대화 원리와 스킬(실습)

◦ POBS©(팝스) 기법에 의한 지지 격려의 역량(역할연기)

◦ ‘중소기업 현장에서 내가 겪는 어려움’의 실제사례 분석

◦ 상사, 동료, 부하 등 전 방위 대인관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관계증진의 도구

를 체득

3H

Module 5.

긍정의 에너지

확보하기

어려운 중소기업 현실에

서도 긍정의 태도를 유지

할 방안에 대한 구체적

Tool을 시행하여 긍정에

너지를 확보할 수 있다..

◦ 우호적 인간관계의 3가지 기둥

◦ 스트레스가 환경에서 내적동기 강화의 중요성과 추진 방안

◦ 긍정적 마음과 업무성과의 관계에 대한 코넬대학교의 실험

◦ 긍정적 말의 위력

◦ 생산적 자기대화 (Constructive Self-Talk)

◦ 자신에게 활용하는 실천계획 수립

3H

Module 6.

업무가치 발견과

활기찬 업무

수행하기

업무가치를 재발견하고

스스로 동기부여 되어 활

기차게 근무할 수 있는

자기관리 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

◦ 소속 회사와 담당 업무에서 활기찬 업무수행의 내적 동기의 발견

◦ 자신의 가치에 대한 균형감각의 효과와 방법

◦ 자신이 잊고 있는 가치 재발견 및 긍정 에너지 강화

◦ 나의 강점과 감사할 사항 정리(신체적, 정신적, 영적, 가정적, 사회적 측면)

◦ 환경을 바라보는 자신의 태도 진단(Locus Of Control) 실시

◦ 중소기업 현장에서 긍정의 비전과 목표의 강화 방안

◦ 현재 업무의 숨겨진 가치발견“백지와의 대화” 및 실천계획 수립

2H

Page 46: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http://www.ehredu.co.kr

【경력개발·리더십】

조직몰입도를 최고로 높이는 강점개발 리더십

훈련 시간

“2일 16시간(09:00~18:00)”

훈련 대상

“우선지원대상기업의 대리급 중간관리자”

업 종 산업 및 업종 구분 없음

(중소기업 전 산업)

부 서 부서 구분 없음

Program Structure

훈련 목적

“강점과 잠재력을 극대화시키는 성취몰입을 통한 업무가치 재발견과 고성과 창출능력 함양”

✜중소기업 리더로서 자신의 강점을 활용하여 조직 경쟁력으로 활용하는 이론과 원친을 수립할 수 있다.

✜자신의 강점과 잠재력을 발견하여 고성과 창출을 위한 실천방안을 수립·적용할 수 있는 스킬을 수행할 수 있다.

✜조직의 구성원으로서 개인과 조직의 목표 달성을 위해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자세를 확보 할 수 있다.

훈련 특징

✜중소기업 관리자들이 스스로 강점과 잠재력을 확인하여 강점을 강화하고 잠재력은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시하며, 현업 적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직원들의 업무 현장에서의 성과를 토대로 구체이고 실제적인 목표

설정과 추진 과정에 대한 설계 방법을 다룸

✜다중지능 이론(하워드 가드너), 몰입(칙센트 마하이), 성취심리(브라이언 트레이시) 등 저명 학자들이 연구하고 검증된

이론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중소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상황등을 적용시켜 훈련 수용성을 높임

✜조직과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여 일의 가치를 파악하고 직무의 즐거움을 구체적으로 느낄 수 있는 방법을 학습하고 자신이

직접 작성한 목표 설계도를 완성하여 직무수행에 활용할 수 있음

훈련 기대효과

✜성취몰입 리더로서의 변화와 조직의 성과창출

✜실제 현장에서 성취몰입에 가능한 사례연구와 워크시트 실습을 통한 현업재고도 제고

✜중소기업 리더로서의 오너십 함양과 프로의식 개발

Page 47: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훈련 시간표

일차 모듈명 훈련목표 주요내용 시간

1일차

Module 1

나의 강점 발견하기

다중 지능 진단지를 통해서 자신의

강점을 발견하고 강점 지능의 잠재력을

점검하여 개발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자신의 강점 지능을 업무 수행에

활용할 수 있다.

◦ 나에 관한 진실

◦ 나의 강점 찾기

◦ 성공의 열쇠: 삼위일체의 법칙

◦ 하워드 가드너 박사의 다중 지능

◦ 자기성찰 지능을 높이기 위한 활동

◦ 다중 지능 자가 진단

◦ 상황별 주요 필요 지능

: 직업 vs 직종

◦ 강점지능 활용 키워드 및 적용 활동

4H

Module 2

조직을 통한 비상하기

조직을 통해서 자질발견, 시너지 창출,

몰입의 경험을 할 수 있음과 어떤

조직관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조직

성과와 자기 계발 효과가 달라짐을

파악할 수 있으며, 자신의 조직을

소중히 여기고 조직 속에서의 경험이

자신의 역량을 극대화 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우리가 활동하는 기업에 대한 이해

◦ 기업을 통해 창출할 수 있는 가치

◦ 조직의 이해관계자와 기업의 창출 가치

◦ 히든챔피언 : 강소기업

◦ 살아가는 자와 살아지는 자

◦ 조직과의 화려한 만남

◦ 성공인물 탐구 : 싸이

◦ 성공의 조건

4H

2일차

Module 3

직무 몰입하기

업무 수행활동을 통해서 성취의 즐거

움을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고, 성취

몰입을 경험한 사람을 통해서 어떻게

몰입할 수 있는지 시사점을 확인함으

로써 자신의 성취몰입 목표를 개발하여

실천할 수 있는 플랜을 수립할 수

있다.

◦ 몰입, 최고의 나를 만나다

◦ 몰입을 경험하는 사람들의 특징

◦ 몰입에 대한 기억 / 몰입의 종류

◦ 몰입 활동의 확장 / 몰입역량 진단과 평가이유

◦ 몰입의 주요 이슈 / 몰입 강도의 영향요소와 이점

◦ 몰입 설계 단계 / 일상 감정상태의 변화

◦ 몰입능력 향상 전략 작성 / 몰입환경 사례연구

◦ 내가 몰입해 보고 싶은 것

◦ 목표 수립 프로세스와 좋은 목표의 조건

◦ 몰입 목표의 계량화 / 성취몰입 개발 계획서

4H

Module 4

성취 소통하기

상호 격려와 피드백을 통해서 같이

성장할 수 있음을 파악하고, 조직성

과를 높이기 위해 성취 소통에 필

요한 지식과 스킬을 수행하여 나와 조

직원의 강점 역량을 최대한 이끌어 낼

수 있는 코칭 스킬을 응용할 수 있다.

◦ 사례연구 :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

◦ 성취소통의 이슈 / 피드백의 원칙

◦ 피드백의 종류 /나의 피드백 경험

◦ 성취소통으로써 칭찬의 효과

◦ 성취소통 전략 관점 / 성취소통 전략 4가지 요건

◦ 성취소통의 주요 대상 /최적 피드백의 요건

◦ 성취소통 예비 단계 / 성취소통 언어

◦ 성취소통 코칭 실습 /조직 내 성취소통의 활용

◦ 성취소통 코치의 3가지 단계

◦ 성취소통 코칭시트 작성/성취소통 행동유형 진단

◦ 성취소통 코칭계획서 작성 / 성취소통 코칭 실습

4H

Page 48: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http://www.ehredu.co.kr

【경력개발∙리더십】

조직을 변화시키는 긍정에너지, 에너자이징 리더십

훈련 시간

“2일 16시간(09:00~18:00)”

훈련 대상

“우선지원대상기업의 대리급 중간관리자”

업 종 산업 및 업종 구분 없음

(중소기업 전 산업)

부 서 부서 구분 없음

Program Structure

훈련 목적

“업무성과 향상과 직원 성장을 위하여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는 업무촉진 능력과

조직 활력을 증진시키는 스킬 함양”

✜에너자이징 리더십의 바탕 이론을 파악하고, 에너자이징 리더의 행동 특성에 관한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현장 직원들의 근무 의욕을 증진시키는 심리적 보상 방법을 시행할 수 있다.

✜열악한 근무환경에서도 직원들의 잠재적 강점을 발견하고 활용하려는 적극적 자세를 함양할 수 있다.

훈련 특징

✜중소기업 현장 관리자들이 긍정 리더십을 바탕으로 조직에 활력을 불어넣는 에너자이징 리더십을 발휘함으로써 직원

들의 자발적 헌신을 이끌어 내고 조직의 성과를 획기적으로 증진시키는 해결책을 구체적으로 제시함

✜현장의 실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행 기법을 제시하고, 중소기업 실제 case를 통한 실습과 role play를 진행하여

체득하고, 학습자가 경험한 현장 case를 활용하기에 학습효과가 제고함

✜에너자이징 리더십의 실행 방법을 확산시켜 중소기업의 조직 분위기를 활력과 창의성이 넘치는 조직으로 혁신할 수

있으며 직장의 메마른 근무 분위기를 활성화하는 불쏘시개의 역할을 할 것임

훈련 기대효과

✜열정적·창의적인 업무무생으로 업무성과 증대

✜현재의 환경에서 긍정의 업무가치를 발견

✜근무의욕이 증대하고 자기 주도성이 증대

✜긍정적인 조직문화가 확산되고 직원들의 직장 만족도 향상

Page 49: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훈련 시간표

일차 모듈명 훈련목표 주요내용 시간

1일차

Module 1.

리더의 부하를 보는

2가지 시각 분석하기

업무성과를 높이고 직원들의 성장을

돕는 에너자이징 리더십의 바탕 이론

을 수립할 수 있고, 실습을 통해 현장

직원들의 근무의욕을 증진시키는 심

리적 보상의 파워를 확인할 수 있다.

◦ 에너자이징 리더의 부하를 보는 시각

◦ 실패하는 리더의 부정적 기대와 실패운명 Syndrome

◦ 보상에 대한 관리자와 직원의 생각

◦ 불만요인과 동기요인을 구별하여 터치하라

◦ 미국 갤럽의 직장인 근무의욕에 관한 연구와 시사점

◦ 중소기업 현장 사례 실습

3H

Module 2.

중소기업 현장의

활력 증진

바탕 원리

파악하기

에너자이징 리더의 행동 특성에 관한

원리를 파악하고, 현장의 업무 특성

과 거꾸로 행동하는 리더들의 부작용

을 분석할 수 있다.

◦ 직장 내 인간관계의 파급효과에 대한 미국 Gallup의 발표

내용과 시사점

◦ 우호적 인간관계와 근무 의욕과의 상관관계

◦ 자기실현적 예언 메카니즘

◦ 긍정적 피드백의 사기진작 효과

◦ 현장 리더들의 거꾸로 가는 행동(사례)

◦ 중소기업 현장 사례 실습

◦ 선순환의 자성예언(Self- Fulfilling Prophecy) 실행 방안

3H

Module 3.

에너자이징 리더의 행동

원리 시행하기

부하를 고 성과자로 변화시키는 핵심

원리와 강점의 활용능력을 배양하고,

열악한 근무환경에서도 직원들의 잠

재 강점을 발견하고 활용하는 실천력

을 갖추게 한다

◦ 평범한 리더와 에너자이징 리더의 핵심적 차이점 도출

◦ 약점을 고치기보다 잠재 강점을 찾아내라

◦ 강점 중심 부하 리딩의 성과(중소기업 현장사례)

◦ 숨겨진 강점의 발견과 부하의 에너지를 올려주는 구체적

기법

◦ 중소기업 현장 사례 실습

2H

2일차

Module 4.

중소기업 업무환경에서

에너지 증대방안

수립하기

중소기업의 경영환경의 어려움 속에서

도 에너지의 원천인 긍정성품을 유지

하게 하고, 긍정적 자기대화와 ACE기

법 등 실천적 기법을 습득한다.

◦ 직장 활력 개발의 3가지 주춧돌

◦ 어려운 환경 속에서 열정을 유지하는 방안

◦ 중소기업 현장 사례와 장애극복 및 성공 원리

◦ 생각과 에너지의 밀접한 관련과 시사점

◦ 사용 언어와 긍정적 자기 대화의 Power

◦ 영향력의 원에 집중하는 ACE 기법 체득

3H

Module 5.

열정적 비전 개발과

활기찬 업무 수행하기

중소기업의 어려운 근무환경에서 긍

정 에너지를 만들어 내는 기법을 시

행할 수 있고, 긍정 에너지를 유지할

방안에 대한 구체적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 메마른 직장환경에도 비전을 키울 수 있다

◦ 쾌락적응(Hedonic-Adaptation)을 경계하라

◦ 열정적 비전 수립과“3가지 원의 교집합”방법

◦ “백지와의 대화”기법과 현재 일의 가치발견

◦ 현재 회사와 업무에서 내적 동기의 발견

◦ 중소기업 현장 사례 실습

3H

Module 6.

자신과 조직을 활력으로

혁신하기

업무가치를 재발견하고 비전을 이루

어가는 자신감과 실행능력을 배양하

며, 학습한 내용을 현장에 복귀한 후

지속적으로 추진하게 할 계획을 수립

한다.

◦ 자신이 잊은 가치 재발견 및 내적에너지 강화

◦ 나의 강점과 감사할 사항

◦ 환경을 바라보는 자신의 태도 진단

(Locus Of Control) 실시

◦ 나침반을 따르는 계획수립과 시간관리 원리

◦ 맡은 일에 프로 되기

◦ 매일 성장하는“작은 승리(Small Win)" 기법

◦ 중소기업 현장 사례 실습

◦ 중소기업에서 에너자이징 리더로 행동하기

2H

Page 50: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http://www.ehredu.co.kr

【경력개발·리더십】

조직의 핵심인재로 성장하기 위한 변화관리, 내비게이터십

훈련 시간

“2일 16시간(09:00~18:00)”

훈련 대상

“우선지원대상기업의 사업주 및 관련 실무자”

업 종 산업 및 업종 구분 없음

(중소기업 전 산업)

부 서 부서 구분 없음

Program Structure

훈련 목적

“개인과 조직의 변화를 주도하고 구성원의 성공과 조직 성과를 통합할 수 있는 변화관리 능력 함양”

✜개인과 조직의 행복한 미래를 만들어가기 위한 자기창조경영 역량 개발

✜전인적인 자기계발과 성공적인 업무수행을 위한 전략과 실천방법 습득

✜개인의 비전과 조직 목표의 통합을 통한 핵심역량 강화 방법 습득

✜일과 삶의 균형 추구와 창의성 발휘 및 팀워크를 통한 혁신적 성과 창출 도모

✜NQ(Navigatorship Quotient)를 통한 자신의 역량파악과 셀프 리더십 배양

훈련 특징

✜업무 현장을 바탕으로 고안된 인재육성 프로그램으로써 진단 및 학습 Worksheet 사용으로 활용도 제고

✜구성원 개인의 삶의 균형과 조직의 임파워먼트를 이끌어 내어 행복한 삶과 조직의 성과창출을 이끄는 통섭 프로그램

✜개인의 꿈과 비전 실현을 도와주는 것을 기본 바탕으로 한 탄력적 프로그램 및 참가자의 수준과 필요에 맞는 과정 운영

✜조직의 니즈 및 참가자의 직위, 직급, 업무 특성에 맞춘 인성 함양 및 실천력 배양 프로그램

훈련 기대효과

✜중소기업 핵심인재로서 명확한 비전과 목표뿐 아니라 자신의 현 수준(강점과 약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실천계획 수립

✜Work-Life Balance를 통해 참가자 개인과 가정, 조직이 모두 행복할 수 있는 일터 문화조성

✜중소기업의 현실을 감안한 사례 및 우수 기업의 사례, 개인의 변화와 업무혁신 방법, 동종업계의 베스트 프렉티스

사례 학습 등을 통한 자사 적용 아이디어 발굴

✜조직 구성원들의 효율적인 업무진행과 자기관리를 통해 중소기업 전체의 생산성 향상 도모

Page 51: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훈련 시간표

일차 모듈명 훈련목표 주요내용 시간

1일차

Module 1.

변화의 필요성과

성공 핵심요소

환경 변화 파악을 통하여 자기혁신의

필요성과 성공에 필요한 핵심요소를

확인할 수 있다.

Navigatorship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그 활용방안을 수립할 수 있다.

◦ 변화의 필요성 이해

- 글로벌 경영환경 변화에 대한 이슈와 쟁점

◦ 인생항해의 출발지와 목적지

◦ 행복과 성공의 핵심 요소

◦ Navigatorship의 역할

- 개인의 성공과 조직의 성과 통합 지원

1H

Module 2.

현재 위치 파악과

개발 포인트 설계

자신의 강·약점 도출을 통한 역량개발

핵심 과제를 명확하게 수립할 수 있다.

강점과 약점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통해 개발 포인트를 설계할 수 있다.

◦ 자기진단을 통한 자신의 현재 위치 파악

- Navigatorship Quotient 진단을 통한 자기의수준과 역량 파악

◦ 강점과 약점에 대한 명확한 이해

◦ 개발포인트 파악 및 설계

- 강⋅약점 도출을 통한 역량개발 핵심 과제

2H

Module 3.

Vision & Goal

개인의 성공과 조직의 성과창출을 위한

비전 및 목표를 수립할 수 있다.

개인과 조직의 목표공유를 통해 동반

성장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다.

◦ 미래사회의 변화와 인생 항해의 목적지

- 미래학자들이 말하는 미래변화 예측

- 비전이 있는 조직과 없는 조직의 차이

◦ 개인의 비전과 목표 설정

- Dream List, 장기 경력 목표, 단기 목표

- SMART 목표 수립

◦ 조직의 비전과 목표설정 전략, 핵심역량

◦ 개인과 조직의 통합을 통한 한 방향 정렬

3H

Module 4.

Communication &

Network

Human Network의 중요성과 실천

방법을 수립할 수 있다.

조직 내 원활한 소통전략을 수립하고

실천방법을 시행할 수 있다.

Win-Win전략 실천 방안을 시행할

수 있다

◦ Human Network의 즁요성과 실천 방법

- 동반자적 인식과 경쟁적 협조관계 유지

◦ 조직내 원활한 소통 전략 수립 및 실천 방법

◦ Win-Win 전략 실천방안과 개인과 조직의 통합

- 신뢰확보를 위한 핵심 요소와 업무 적용 아이디어

2H

2일차

Module 5.

Change &

Self-Leadership

변화 실천을 위한 도전 과제를 수립

할 수 있다.

Change & Self-Leadership을 위한

개인별 역량 개발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변화 실천을 위한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실천의지를 발표할 수 있다.

◦ 변화실천을 위한 도전과제 선정

- 일과 삶의 균형을 위한 자기관리의 필요성과 실천 방법

◦ Change & Self-Leadership을 위한 개인별 역량개발 계획

◦ 변화실천을 위한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실천의지

- 체계적 성취행동 프로세스

3H

Module 6.

Basic Competency

비전과 목표달성을 위한 기본적인

역량을 파악할 수 있다.

성공과 성과창출을 위한 준비와 열정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실천방안을 수립

할 수 있다.

개인과 조직의 통합 및 통섭적 역량

개발방안을 설계할 수 있다.

◦ 개인적인 삶과 조직생활에서의 기본기

◦ Team Player

◦ Preparation

◦ Passion

◦ Consilience

4H

Module 7.

NEW START를 위한

Navigatorship

실천계획 수립

개인의 성공과 조직의 성과창출을 위한

Navigatorship 실천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지속적인 자기계발 및 실천의지를

발표할 수 있다.

◦ 회복탄력성

-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람들의 공통점과 적용 방법

◦ 우회 축적의 법칙(자기희생적 투자와 열정의 필요성)

◦ Navigatorship House 작성 및 발표

- 슬로건, 사명, 가치관, 비전, 목표, 실행계획

◦ 일상생활과 업무 적용을 위한 실천 방안

- 인생자서전 작성, 발표

1H

Page 52: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http://www.ehredu.co.kr

【경력개발·리더십】

중소기업 리더의 5가지 핵심역량 강화를 통한 명품리더 만들기

훈련 시간

“2일 16시간(09:00~18:00)”

훈련 대상

“우선지원대상기업의 사업주 및 관련 실무자”

업 종 산업 및 업종 구분 없음

(중소기업 전 산업)

부 서 부서 구분 없음

Program Structure

훈련 목적

“조직혁신을 통한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리더로서 갖추어야 할 기대사항과 역할을 파악하고,

실무에 바로 적용 가능한 5가지 리더십 핵심스킬 함양”

✜조직 내에서 리더에 대한 기대사항과 역할 및 리더십의 본질과 종류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상사를 보좌할 수 있는 스킬 습득을 통하여 상사와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소통 스킬 습득을 통하여 리더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노하우를 적용할 수 있다.

✜리더로서 자기관리에 필요한 품성의 주요성을 발견하고 목표를 세울 수 있다.

훈련 특징

✜이해관계자별 리더의 기대사항 및 역할인식→상사보좌전략→부하직원 Leading→소통 채널 등을 바탕으로 각 이해관계자별

역할에 필요한 핵심스킬을 중점적으로 학습하는 실무형 훈련프로그램으로 구성

✜조별 과제 수행 및 발표, 개인별 실습, 집단토의 등을 통한 업무 애로사항 및 노하우 공유, 피드백을 통해 훈련 참여자간의

업무네트워크를 구축함

훈련 기대효과

✜리더십에 관한 체계적 학습으로 조직을 리드하여 변화와 혁신을 주도할 수 있는 수준

✜이해관계자들의 기대사항을 파악하고 업무에 반영하여 효율적, 효과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수준

✜상사와 부하의 가교역할 및 유형별 이해 관계자들의 업무스타일을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는 수준

✜중간관리자에게 요구되는 다양한 역할 인식을 통해 이를 실무에 접목할 수 있는 수준

Page 53: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훈련 시간표

일차 모듈명 훈련목표 주요내용 시간

1일차

Module 1

명품리더에 대한

기대사항과 역할

명품리더에 대한 조직 이해관계자들

의 기대사항을 파악하여 올바른 리더

의 역할을 설정할 수 있다.

◦ 명품리더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

◦ 목민심서의 부임육조

◦ 못난 리더 70인, 그들은 누구인가?

◦ 상사, 부하들은 리더에게 무엇을 기대하는가?

◦ 내가 생각하는 명품 리더란?

2H

Module 2

명품리더는 상사를

만족시켜야한다

상사의 유형 및 기대사항을 파악하

고, 자신의 역할이해를 통하여 상사

를 성공적으로 보좌할 수 있는 전략

을 수립할 수 있다.

◦ 상사와의 관계는 왜 어려울까?

◦ 상사를 움직이지 못하면 부하도 움직일 수 없다

◦ 유능한 참모의 조건

◦ 유형별 상사 보좌전략

◦ 부하가 상사를 대하는 유형

◦ 상사에게 직언하는 방법

◦ 상사보좌 스타일 진단

3H

Module 3

명품리더는 부하직원을

이끌어야한다

부하직원들을 이끌어 조직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리더의 5가지 스킬

을 발휘할 수 있다.

◦ 직원들의 신뢰를 얻어야 한다.

◦ 조직을 장악해야 한다.

◦ 팀 문화를 정립해야 한다.

◦ 제대로 된 동기부여가 필요하다

◦ 올바른 권한위임이 필요하다

3H

2일차

Module 4

명품리더는

부하직원들을

도와주어야한다

부하육성의 중요성과 부하육성을 효

과적으로 하기위한 방법을 설계할 수

있다.

◦ 부하육성으로 신세 갚기

◦ 부하육성 3대 키워드

◦ 부하육성 역량진단

◦ 유형별 부하지도 방법

◦ 팀워크 구축

◦ 효과적인 팀의 구성요소

◦ 팀워크 구축 시 체크리스트

◦ 팀워크 구축 역량진단

◦ 팀워크 구축 계획 수립

3H

Module 5

명품리더는

부하직원들의 성과를

관리해야한다

부하직원들의 성과관리를 위해 리더

가 해야 할 역할에 대하여 확인할

수 있다.

◦ 성과관리

◦ 성과창출 능력 3대 키워드

◦ 목표설정 시 고려사항

◦ 업무추진 방법

◦ 목표달성을 위해 알아야 할 사항

◦ 성과평가

◦ 직원평가 시 주의할 점

◦ 성과창출 역량진다

◦ 성과관리 계획수립

3H

Module 6

명품리더는 소통의

달인이 되어야한다

부하직원들과의 원활한 소통에 필요

한 소통의 장애요인 제거와 기본스킬

을 적용할 수 있다

◦ 소통의 근본적인 장애요인 파악하기

◦ 차이를 인정하자

◦ 고정관념을 버리자

◦ 신뢰를 구축하다

◦ 소통의 기본적인 스킬

◦ 경청의 기술

◦ 비판의 기술

◦ 질문의 기술

◦ 설득의 기슬

2H

Page 54: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http://www.ehredu.co.kr

【경력개발·리더십】

팀원의 발달단계에 따른 팀원관리 비법, 눈높이 리더십

훈련 시간

“2일 16시간(09:00~18:00)”

훈련 대상

“우선지원대상기업의 사업주 및 관련 실무자”

업 종 산업 및 업종 구분 없음

(중소기업 전 산업)

부 서 부서 구분 없음

Program Structure

훈련 목적

“팀원의 발달수준을 파악하고 발달단계에 따른 팀원별 역량개발과 동기부여를 위하여 컨설팅형 리더십을

발휘하는 능력 함양”

✜팀원의 성장 수준을 파악하고 성장단계에 따른 눈높이 리더십을 발휘하는 맞춤형 리더 양성

✜눈높이 리더십을 발휘하기 위해 리더의 4가지 리더십 스타일에 대한 역량 및 지식 함양

✜팀원의 수준과 리더십 스타일을 조화(matching)하는 역량 및 지식 함양

✜중소기업의 리더로서 팀원에게 신뢰와 존경을 받을 수 있는 자세 확립과, 팀원의 고충과 의견을 경청할 수 있는 능력 체득

훈련 특징

✜현업의 중소기업 팀 리더들이 조직 성과향상 방안 및 조직 관리에 대해 문의하고 논의한 주제를 바탕으로 중소기업의

환경과 여건에 맞는 사례분석과 대안을 마련.

✜각 모듈별 교육과정을 5단계(객관적 자기분석→참여적인 교육훈련→멀티미디어를 통한 교육→실질적 사례→체득화 및

현장적용)로 순환하여 완전학습 및 실천적 능력개발 향상에 중점을 둠

✜조별발표, 개인별 실습, 집단토의, 게임 등을 통한 노하우 공유 및 피드백을 통한 다중문제해결

훈련 기대효과

✜업무나 관계적인 측면에서 보다 유연해지고, 근무상황과 직원 개개인의 특성에 따라 효율적으로 육성할 수 있는 리더십 발휘

✜성취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방법을 터득하여 팀원을 의욕적이고 긍정적으로 일 할 수 있게 함

✜중소기업 구성원들의 개인적인 삶과 직장생활간의 균형을 통해 바람직한 직장 및 산업문화를 창출하며, 적극적인 관리

형태에 의한 중소기업의 이직 및 조직 내 갈등 해소가 가능해 활력 있는 중소기업의 조직문화를 형성함

Page 55: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훈련 시간표

일차 모듈명 훈련목표 주요내용 시간

1일차

Module 1.

컨설팅형 리더의 역할

급변하는 중소기업 환경 및 조직의

다양성 변화에 대한 리더의 역할과

전환된 패러다임 3-4개 정도를 설명

할 수 있다.

◦ 학습목표 설정 및 팀 구성

◦ 미래의 리더십

◦ 강에서 배우는 리더십 교훈

◦ 중소기업 경영환경 변화와 리더의 역할

◦ 컨설팅형 리더의 4가지 변수

◦ 눈높이 리더십 진단 및 개발계획

2H

Module 2.

눈높이 리더십의 3가지

기술과 4가지 기능 작성

중소기업 리더로서 눈높이 리더십

모델의 철학과 비전 그리고 눈높이

리더의 3가지 기술을 설명할 수 있다.

◦ 성공적인 리더십과 효과적인 리더십

◦ 팀원에 대한 비전과 가치

◦ 컨설팅형 리더의 3가지 기술

◦ 눈높이 리더십의 4가지 기능

2H

Module 3.

팀원의 발달단계 분석

중소기업 리더로서 팀원에 대한 이해와

성장단계를 진단하고 개발하는 능력

방법을 2개 이상 설명할 수 있다.

◦ 눈높이 리더십의 상황변수 분석

◦ 팀원의 발달단계 진단

◦ 팀원의 발달단계별 요구

◦ 팀원의 좌절의 원인

◦ 진단 : 역량과 의욕 수준 진단

4H

2일차

Module 4.

눈높이 리더십

스타일 수행

중소기업 리더로서 4가지 스타일을

각 스타일별 행동으로 분석하고,

유연성을 진단하여 활용 기술을 작성

할 수 있다

◦ 두 가지 차원의 눈높이 리더십 모델

◦ 지시적인 행동과 지원적인 행동 분석

◦ 4가지 눈높이 리더십 스타일 분석

◦ 의사결정 스타일 분석

◦ 커뮤니케이션 스타일 분석

◦ 컨설팅형 리더의 리더십 행동분석(LBA)

◦ 유연성 분석

4H

Module 5.

효과적인

눈높이 리더십 적용

중소기업의 리더로서 팀원 성장 단계와

눈높이 리더십 스타일 조화 방법을

3개 이상 기술할 수 있다.

◦ 팀원의 발달단계와 눈높이 리더십 스타일 조화

◦ 눈높이 리더십 효과성 분석

◦ 부적합한 리더십 스타일 분석

◦ 사례연구: 효과성

◦ 사례연구: 과잉리더십과 소홀리더십

◦ 종합 역할연기-조화(Matching)

2H

Module 6.

구체적인

눈높이 리더십 적용

중소기업의 컨설팅형 리더로서 실제

조직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3개 이상의

다양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 합의에 의한 눈높이 리더십 스타일 선택

(파트너십 형성)

◦ 스타일 4가지의 일치 / 불일치 실습

◦ 팀원 발달단계와의 일치 / 불일치 실습

◦ 효과적인 팀원 지도와 육성방법

◦ 발달 싸이클과 퇴행 싸이클

◦ 성과관리 프로세스

◦ 성과지향 파트너십 및 리더십 스타일 합의 절차

◦ One-On-One 주간회의 실제

◦ 사례연구 I, II, III

◦ 현장 적용 실천계획 작성

2H

Page 56: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http://www.ehredu.co.kr

【경력개발·리더십】

행동원리를 이해하는 액션러닝, 5단계 실천 리더십

훈련 시간

“2일 16시간(09:00~18:00)”

훈련 대상

“우선지원대상기업의 사업주 및 관련 실무자”

업 종 산업 및 업종 구분 없음

(중소기업 전 산업)

부 서 부서 구분 없음

Program Structure

훈련 목적

“조직 목표 및 가치에 공헌할 수 있는 업무수행을 할 수 있도록 조직 구성원의 행동원리를 파악하

여, 행동을 수정·강화시키는 5단계 핵심역량 함양”

✜조직 구성원들이 업무수행 중에 나타나는 행동원리에 대하여 설명하고 대인 영향력을 높이기 위해 개인별 성향에

따른 소통 전략을 계획할 수 있다.

✜조직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는 개인목표를 설정하도록 유도하는 면담 기술을 실행할 수 있다.

✜조직 구성원의 역량과 몰입상태를 제고하기 위해 수정하거나 강화해야할 행동들을 파악하여 5단계 방법으로 실행

할 수 있다.

훈련 특징

✜중소기업 리더의 주요 업무인 조직 및 성과 관리 상황, 핵심역량별 요구되는 스킬의 핵심 포인트를 선별 반영하고

구성원의 행동양식과 5단계 핵심 역량에 초점을 맞추어 업무시너지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함

✜대인 소통을 통해 긍정적 행동을 이끌어 내기 위해 인간의 행동성향에 대한 이해를 유도(이론→ 사례→자기 진단→상황

적용)하여 합리적인 문제해결이 가능하도록 과정을 구성

✜인간의 행동을 유도하는 소통 Precess와 Frame을 자공하고 필수 항목에 대해서는 계속적으로 반복학습이 이루어지도록

과정을 구성

훈련 기대효과

✜조직의 사명과 비전을 공유하는 과정을 통하여 구성원들이 조직 규범에 동화되고 이직 의도 없이 지속적으로 근무하려는

의도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

✜리더-팔로워 간 상호작용을 통해 팔로워의 정서적, 인지적 태도에 대한 리더의 반응 능력을 활성화함으로써 조직 구조상

상하 간의 응집력을 높일 수 있음

Page 57: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훈련 시간표

일차 모듈명 훈련목표 주요내용 시간

1일차

Module 1.

미래의식 고취하기

조직과 리더가 지향하는 목표 및 가

치의 수용성을 높이는 요소들을 설명

할 수 있다.

인간의 욕구위계를 고려하여 조직 목

표와 가치를 기술할 수 있다.

조직 목표와 가치를 구현하는 전략의

선정 절차를 시행할 수 있다.

◦ 리더의 역할

◦ 조직 자긍심 및 일 가치감

◦ 공식 목표의 이해

◦ CSF, KPI 및 목표 설정

◦ 공식 목표의 공유

2H

Module 2.

목표지향성 제고하기

목표설정의 효과와 설정 방법을 설명

할 수 있다.

조직 목표와 가치에 공헌할 수 있는

영역 및 개별 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

목표 및 성과 면담 시 효과적인 소

통 프로세스를 시행할 수 있다.

◦ 운영 목표의 이해

◦ 목표 기능과 목표설정 방법

◦ 성과 면담 기법

◦ 과업(과제) 부여

◦ 상황, 목적, 조건의 기능

3H

Module 3.

상호작용

촉진하기

대인 영향력을 높이는 기본적인 소통

기술을 수행할 수 있다.

개인들의 행동성향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개별 행동성향에 따른 소통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 대인 상호작용의 기능

◦ 신뢰의 구성요소

◦ 소통의 기본 전략

◦ 대인 지각

◦ 인간의 행동 성향

◦ 대인 사고

3H

2일차

Module 4.

개별 역량

강화하기

코칭에 효과적인 상황과 장애요소를

제시할 수 있다.

코칭 프로세스별 핵심 포인트를 설명

할 수 있다.

코칭 Frame에 따라 상황별 코칭을

시행할 수 있다.

◦ 코칭의 이해

◦ 코칭의 중요성과 효과

◦ 코칭 상황과 장애요소

◦ 코칭 프로세스 및 기본코칭 모형

◦ A.E.I.O.U 질문 기법

◦ GROW와 등대 코칭 모형

◦ 상황별 고칭 Frame

4H

Module 5.

구성원 성장

지원하기

개별 구성원에 대한 영향력을 높여주

는 강화요소를 설명할 수 있다.

역량 강화 측면에서 조직 구성원들의

행동을 수정, 강화할 수 있다.

조직 구성원의 역량을 키우는 위임

전략을 수립하여 시행할 수 있다.

◦ 평가의 이해

◦ 평가의 개념과 기능

◦ 평가 오류와 영향 요소

◦ 평점 기준설정 및 결과분석

◦ 수정 및 강화 행동 선택

◦ 행동 수정 기법

◦ 행동 수정 및 강화 계획수립

◦ 권한 위임

4H

Page 58: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http://www.ehredu.co.kr

【회계실무】

지급유형별로 꼼꼼하게 짚어보는 원천징수 실무

훈련 시간

“2일 16시간(09:00~18:00)”

훈련 대상

“우선지원대상기업의 사업주 및 관련 실무자”

업 종 산업 및 업종 구분 없음

(중소기업 전 산업)

부 서 총무 및 회계, 재무 등 관련

부서 및 관리지원부서

Program Structure

훈련 목적

“정확한 개념이해를 통해 소득의 지급유형별로 효율적으로 원천징수 할 수 있는 업무처리 능력함양”

✜소득의 귀속자별로 소득의 구분과 근로소득, 기타소득, 사업소득의 원천징수 방법을 이해할 수 있다.

✜근로소득, 기타소득, 사업소득의 과세체계 이해를 통한 세무회계시스템 활용능력을 습득할 수 있다.

✜인건비 귀속자별 원천징수 방법을 전반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훈련 특징

✜인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현실에서 세무회계 전반에 대한 포괄적 접근보다는 회계업무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원천징수관리에 한정하여 이론은 가급적 줄이고, 실무중심으로 과정을 구성

✜교육훈련생 원천징수 관리에 대한 직무역량 진단과 소속 기업의 원천징수관리 수준 진단 등을 통해 개별 수준과 니즈를

파악하고 시너지효과를 낼 수 있도록 사전진단을 통해 훈련참여자의 수준을 파악

✜교육훈련생 소속사의 경리업무 매뉴얼 및 운영 환경을 고려하여 다양한 유형의 실습문제를 중심으로 워크북(WorkBook) 설계

훈련 기대효과

✜세법의 개정이 가져올 정확한 효과가 무엇인지 앎으로써 근로자들의 절세를 도울 수 있을 것

✜개정된 세법규정과 인적 네트워크의 형성으로 훈련 후에도 업무에서 발생할 수 있는 loss를 줄일 수 있음

✜개정된 내용을 어떻게 언제 적용해야 할지 능동적으로 결정 가능

✜소득의 귀속자별로 소득을 구분하여 정확한 원천징수 방법 습득

✜각종 원천징수 소득에 대한 정확한 비과세 범위의 이해를 통한 절세 전략

Page 59: 훈련과정 안내 - 중앙경제HR교육원edu.elabor.co.kr/data/edu/2016_curri(0).pdf · 고충처리 규정에 따라 청취된 고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충처리제도의

훈련 시간표

일차 모듈명 훈련목표 주요내용 시간

1일차

Module 1

원천징수 제도의 이해

원천징수제도를 이해한다.

원천징수세액의 신고와 납부를 이해

한다.

◦ 원천징수 제도의 이해

- 원천징수제도의 의의와 유형

- 원천징수 의무자 및 납세자, 원천징수 대상 소독

◦ 원천징수 세액의 신고와 납부 이해

- 지급명세서의 제출 및 원천징수이해상황 신고서의 이해

2H

Module 2

지급유형별 원천징수

소득의 구분

근로소득, 사업소득, 기타소득의 개

념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구분할 수

있다.

세법에 따라 지급유형별로 구분하여

각 소득별 세액을 정확하게 공제할

수 있다.

◦ 근로소득, 사업소득, 기타소득의 개념

◦ 근로소득, 사업소득, 기타소득의 사무 및 노무상 문제

- 각 소득별 세무(원천 징수 세율 및 정산절차 등) 및

노무사 문제

2H

Module 3

사업소득의 원천징수

세법에 의한 원천징수세율에 따라 산

출된 사업소득에 대한 원천징수세액

을 공제 후 지급할 수 있다.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를 작성 및

신고 후 세액을 납부할 수 있다.

◦ 사업소득의 원천징수 제도

- 사업소득의 의의 및 원천징수세액의 계산, 원천징수 의무자

◦ 사업소득의 원천징수 대상소득 및 납부 방법

- 원천징수 대상 사업 소득의 종류

- 원천징수 세율 및 신고 납부 방법 및 원천징수영수증

2H

Module 4

기타소득의 원천징수

세법에 의한 원천징수세율에 따라 산

출된 기타소득에 대한 원천징수세액

을 공제 후 지급할 수 있다.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를 작성 및

신고 후 세액을 납부할 수 있다.

◦ 기타소득의 원천징수 제도

- 기타소득의 필요경비 계산

◦ 기타소득의 원천징수세액의 납부 및 환급

- 세율, 신고 및 납부

- 원천징수영수증의 교부

2H

2일차

Module 5

근로소득의 원천징수 및

연말정산

세법에 의한 원천징수세율에 따라 산

출된 근로소득에 대한 원천징수세액

을 공제 후 지급할 수 있다.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를 작성 및

신고 후 세액을 납부할 수 있다.

근로자의 연말정산 처리절차를 이해

하고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를 작성

및 신고할 수 있다.

◦ 근로소득의 원천징수 제도

- 매월 급여 제급사의 원천징수 방법

- 근로소득 간이세액표의 적용 요령

- 상여금 지급시의 원천징수

- 일용근로자의 원천징수

- 매월 원천세 신고 및 납부방법 및 원천징수이행상황

신고서의 이해

◦ 근로소득의 연말정산 절차

2H

Module 6

비과세 근로소득

세법에 따라 급여액에 대한 근로소득

금액을 과세 근로소득과 비과세 근로

소득으로 구분하여 계산할 수 있다.

◦ 비과세 근로소득

- 실비변상적성질의 급여, 식대, 보육수당, 국외근무수당 등

◦ 유형별 소득의 종류

- 명절 상여 및 주식매수선택권 등

2H

Module 7

퇴직소득의 원천징수

인적공제 사항을 소득세법에 따라 처

리할 수 있다.

특별소득공제 및 특별세액공제를 이

해하고 소득세법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 인적공제 제도

- 기본공제, 추가공제

◦ 특별소득공제 및 특별세액공제

- 주택자금공제, 자녀세액공제, 보험료세액공제, 의료비

세액공제, 교육비세액공제, 기부금 세액공제

2H

Module 8

중소기업의 고용지원

조세특례제도

세법에 따른 퇴직소득과 근로소득을

구분하여 퇴직소득금액을 계산할 수

있다.

세법에 의한 원천징수세율에 따라 산

출된 퇴직금에 대한 원천징수세액을

공제 후 지급할 수 있다.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를 작성 및

신고 후 세액을 납부할 수 있다.

◦ 퇴직소득의 범위와 비과세퇴직소득을 파악

◦ 근로소득과의 구분

◦ 현실적인 퇴직의 처리 업무

2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