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전도 검사시 기록전극의 위치에 - kjorl.org · korean j otolaryngol 40:3, march...

7
353 KISEP 한이인지: 한이인지: 한이인지: 한이인지:제 40 3 1997 신경전도 검사시 기록전극의 위치에 따른 의의 국립경찰병원 이비인후과 홍정훈·임주영·조영호·최혜진·조태권 Abstract The Significance of Recording Electrode Placement in ENoG Measurement Jong Hun Hong, M.D., Joo Young Lim, M.D., Young Ho Jo, M.D., Hye Jin Choi, M.D., Tai Kwon Cho, M.D.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National Police Hospital, Seoul, Korea ENoG is the objective electrophysiologic measurement of the muscle compound action potential( CAP) to assess the rate of degenerated nerve fibers. However, occasional discorrelation with clinical findings may diminish the utility of the ENoG. So, we studied the significance of recording electrode placement, which is considered to affect the result of the ENoG. We performed the interside variance in 20 healthy adults( 20 males) volunteers and retest was performed in 6 adults of 20 volunteers. The recording electrode was placed at 3 positions.( whole nasolabial fold( A) , 2 / 3 of the nasolabial fold( B) , 1 / 2 of the nasolabial fold( C)) And then we compared the results1In the first measurement, the mean CAP was 3.02± 0.98mV( A) , 2.80± 0.75mV( B) , 2.56± 0.57mV( C) on the right side, 2.70± 1.02mV( A) , 2.50± 0.90mV( B) , 2.33± 0.86mV( C) on the left sid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ight and left inter-side amplitude( p0.05) . 2In the first measurement, the mean interside variance( ISV) was 32.7%( 37.55± 16.32%( A) , 29.88± 17.15%( B) , and 30.67± 18.56( C))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m( A, B, C)( p0.05) . The minimal individual ISV was 20.35± 12.44%.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t and the other individual 3 positions( p< 0.05) . 3In the second measurement, the mean test-retest variability was 17.78%( A18.62± 3.70%, B18.50± 3.10%, C16.22± 4.95%) .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m( p0.05) . The minimal individual ISV was varied in each testing at 3 positions. And the value was 14.32± 2.69%.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t and other 3 postions( p0.05) . So we recommand that the recording electrode may be fixed at the bilateral same position of the nasolabial fold. But if there is any indication of facial nerve decompression, you must find the best recording electrode position to get the minimal ISV before operation. ( Korean J Otolaryngol 403, 1997) KEY WORDSENoG·Interside variance·Test-retest variability·Electrode position. 논문접수일:1996년 8월 28일 심사통과일:1997년 1월 8일

Upload: others

Post on 15-Oct-2019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신경전도 검사시 기록전극의 위치에 - kjorl.org · Korean J Otolaryngol 40:3, March 1997 - 357 - 위치는 각각의 검사마다 변이가 있었으며, 그 값들에

- 353 -

KISEP 한이인지:한이인지:한이인지:한이인지:제제제제 4 0권권권권 제제제제 3호호호호 1997

신경전도 검사시 기록전극의 위치에 따른 의의

국립경찰병원 이비인후과

홍정훈·임주영·조영호·최혜진·조태권

==== Abstract ====

The Significance of Recording Electrode Placement in ENoG Measurement

Jong Hun Hong, M.D., Joo Young Lim, M.D., Young Ho Jo, M.D., Hye Jin Choi, M.D., Tai Kwon Cho, M.D.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National Police Hospital, Seoul, Korea

ENoG is the objective electrophysiologic measurement of the muscle compound action potential(CAP) to assess the rate of degenerated nerve fibers. However, occasional discorrelation with clinical findings may diminish the utility of the ENoG. So, we studied the significance of recording electrode placement, which is considered to affect the result of the ENoG.

We performed the interside variance in 20 healthy adults(20 males) volunteers and retest was performed in 6 adults of 20 volunteers.

The recording electrode was placed at 3 positions.(whole nasolabial fold(A), 2 / 3 of the nasolabial fold(B), 1 / 2 of the nasolabial fold(C)) And then we compared the results:

1) In the first measurement, the mean CAP was 3.02±0.98mV(A), 2.80±0.75mV(B), 2.56±0.57mV(C) on the right side, 2.70±1.02mV(A), 2.50±0.90mV(B), 2.33±0.86mV(C) on the left sid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ight and left inter-side amplitude(p≥0.05).

2) In the first measurement, the mean interside variance(ISV) was 32.7%(37.55±16.32%(A), 29.88±17.15%(B), and 30.67±18.56(C))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m(A, B, C)(p≥0.05). The minimal individual ISV was 20.35±12.44%.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t and the other individual 3 positions(p<0.05).

3) In the second measurement, the mean test-retest variability was 17.78%(A:18.62±3.70%, B:18.50±3.10%, C:16.22±4.9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m(p≥0.05). The minimal individual ISV was varied in each testing at 3 positions. And the value was 14.32±2.69%.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t and other 3 postions(p≥0.05).

So we recommand that the recording electrode may be fixed at the bilateral same position of the nasolabial fold. But if there is any indication of facial nerve decompression, you must find the best recording electrode position to get the minimal ISV before operation. ((((Korean J Otolaryngol 40::::3, 1997))))

KEY WORDS:ENoG·Interside variance·Test-retest variability·Electrode position.

논문접수일:1996년 8월 28일 심사통과일:1997년 1월 8일

Page 2: 신경전도 검사시 기록전극의 위치에 - kjorl.org · Korean J Otolaryngol 40:3, March 1997 - 357 - 위치는 각각의 검사마다 변이가 있었으며, 그 값들에

한이인지:제 4 0권 제 3호 1997

- 354 -

서 론

Electroneuronography(ENoG)는 안면신경의 기

능을 객관적,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전기생리적

측정 방법으로 안면신경의 두개외 주행 기시부에 전

기적 자극을 주면서, 이때 나타나는 안면근의 총합 활

동 전위(compound action potential)을 기록하는 방

법이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측정 방법을 포함한 여러 가지

인자들에 의해 ENoG의 결과가 임상 양상과 부합되지

않아, 이같은 점들이 ENoG의 유용성을 감소시키고

있다.

이에 본 저자들은 ENoG의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

는 인자로 알려진 기록전극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ENoG의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

여 본 실험을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과거력및 이학적 검사상 안면신경마비나 안면신경

손상이 없는 성인 남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연령 분

포는 20세에서 23세였다.

2. 연구 방법

일차 측정군과 이차 측정군을 대상으로 1991년 Tre-

veler express에서 제작한 Biologic Electrodiagnostic

System을 사용하여 시행하였다.

피검자를 아무런 전처치 및 투약을 안한 상태에서

앙와위로 눕히고 검사하고자 하는 쪽의 안면이 위로

향하도록 두위를 회전시켜 유지하였다.

전극을 부착하기 전에 피부와 전극간의 저항을 최

소로 줄이기 위하여 알콜솜으로 전극부착부위를 닦고

omniprepⓡ을 사용하여 표피를 abrasion시킨후 알콜

솜으로 다시 닦고, electrode paste를 사용하여 부착

한후 plaster로 고정시켰다. 고정한 후에 피부와 전극간

의 저항이 2 kohm 이하로 되었는지 확인하고 그 이상

인 경우는 앞서 기술한 과정을 반복하였다.

자극전극은 안면신경의 두개외 주행 기시부위인 경

유돌공에 기준하여 최대 전위가 나오는 부위에 부착

하였으며, 고정은 하지 않았다(Fig. 3). 기록전극은 비

순추벽을 따라 비순추벽의 하단(A), 비순추벽의 하단

에서 1/3 지점(B), 비순추벽의 중앙(C)에 오른쪽과

왼쪽에 부착하였으며 고정시켰다(Fig. 4). 접지전극은

이마의 정중앙에 부착하여 고정시켰다(Fig. 2).

환자는 안면근육의 긴장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눈을

Fig. 2. Placement of the recording, ground, andreference electrodes. A:recording electrode placed along the na-solabial fold. D:reference electrode placed on the initial point of the nasolabial fold. E:ground electrode placed on the midlineof the forehead.

Fig. 1. Electrodes used in this study. A:stimulating bip-olar electrode. B, C, D, E:ground, recording, and reference electrodes.

Page 3: 신경전도 검사시 기록전극의 위치에 - kjorl.org · Korean J Otolaryngol 40:3, March 1997 - 357 - 위치는 각각의 검사마다 변이가 있었으며, 그 값들에

Korean J Otolaryngol 40:3, March 1997

- 355 -

감고 온몸의 긴장을 풀도록 했으며, 입을 힘없이 약간

벌리고 있도록 하여 삼차신경자극에 의한 저작근의

수축을 알 수 있도록 하였다. 자극강도는 0mA에서부

터 서서히 1mA씩 증가시키면서 안면근의 수축이 일

어나는 시점을 관찰하였다. 안면근의 수축이 시작되면

자극강도의 증가정도를 더욱 천천히 하여 환자로 하

여금 불편함을 최대로 적게 느끼도록 하였으며, 총합

활동전위의 급상승이 관찰될때에는 자극강도의 상승

을 멈추고 총합활동전위가 안정화 될때까지 기다렸다.

자극강도는 총합활동전위가 더이상 상승하지 않는 강

도에서 10∼20%의 자극을 더 주어 역치상자극(sup-

ramaximal stimulation)을 가하였으며, 이때 역치상

자극이 저작근의 수축을 유도할 때에는[치아가 부딛

히거나, ENoG의 총합활동전위 곡선이 이상(biphas-

ic)이 아닌 다상(multiphasic)으로 나올 경우] 자극강

도를 낮추었으며, 이때 총합활동전위가 낮아지면 다시

자극 강도를 올려 총합활동전위가 더이상 상승하지

않는 강도에서 기록하였다.

측정하기전 최소한 20회 정도의 자극을 주었는데,

이는 초발자극은 피부의 반응성 충혈(reactive hyp-

eremia)을 유도할 수 있으며, 또한 신경내의 firing

synchronization을 증진시켜 총합활동전위를 상승시키

기 때문이다.

이차 측정군에서는 6명중 1명은 검사도중 탈락하였

으며, 나머지 5명에서 검사-재검사변이를 구하기 위

하여 10일이내 5회에 걸쳐 A, B, C세 지점에서 좌우측

을 측정하였으며, 검사결과는 Interside Varience(ISV)

50% 미만의 것과 Smirnov의 지각 검정에 어긋나는 것

은 제외시켰다.

결 과

1) 일차 측정군에서, 평균총합활동전위(mean CAP)

는 우측 A지점이 3.02±0.98mV, B지점이 2.80±

0.75 mV, C지점이 2.56±0.57mV였고, 좌측 A지점

이 2.70±1.02mV, B지점이 2.50±0.90mV, C지점

이 2.33±0.86mV였으며, 좌측과 우측간에는 같은 지

점에서 전위간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0.05)(Table 1).

2) 일차 측정군에서, 전위는 A 지점에서 C 지점으

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여기에서는 A

지점과 C 지점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

었으나(p<0.05), A 지점과 B 지점, B 지점과 C 지점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Table 1).

3) 일차 측정군에서, 평균 ISV는 32.7%(A지점이

37.55±16.32%, B지점이 29.88±17.15%, C지점이

30.67±18.56%)로 이들 세 지점간에는 통계학적으

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Table 1).

4) 일차 측정군에서, 각각의 세지점중 최소 ISV들

의 평균값은 20.35±12.44%이고, 이값은 각각의 세

Fig. 3. The stimulating electrode was located at thestylomastoid foramen of the initial point of thefacial nerve. It should be located at the areashowing maximal amplitude.

Fig. 4. Recording electrode placement. A. was loca-ted at the whole nasolabial fold.B. was locatedat the 2/3 of the nasolabial fold. C. waslocated at the 1/2 of the nasolabial fold.

Page 4: 신경전도 검사시 기록전극의 위치에 - kjorl.org · Korean J Otolaryngol 40:3, March 1997 - 357 - 위치는 각각의 검사마다 변이가 있었으며, 그 값들에

한이인지:제 4 0권 제 3호 1997

- 356 -

지점들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5)(Table 1).

5) 이차 측정군에서, 각각의 ISV는(mean±SD) 2

번의 경우는 A지점이 20.77±13.16, B지점이 20.23

±18.45, C지점이 21.08±6.81, 최소 ISV는 12.90±

9.74였고, 6번의 경우는 A지점이 22.41±14.92, B지

점이 26.42±14.08, C지점이 21.22±15.03, 최소 IS

V는 14.58±12.43였고, 10번의 경우는 A지점이 25.3

5±14.76, B지점이 19.18±13.65, C지점이 15.4 0±

11.69, 최소 ISV는 13.09±10.95였고, 12번의 경우는

A지점이 29.14±9.78, B지점이 21.53±14.70, C지점

이 18.98±15.70, 최소 ISV는 17.25±15.11였고, 13

번의 경우는 A지점이 31.28±16.32, B지점이 1 8.93

±11.94, C지점이 21.74±15.77, 최소 ISV는 15.11

±12.65였다(Table 2).

6) 이차 측정군에서, 평균 검사–재검사 변이는 17.7

8%(5명의 피검자에서, 5회에 걸쳐 세지점에서 측정하였

으며, A지점이 18.62±3.70%, B지점이 18.50±3.10%,

C지점이 16.22±4.95%)로 세지점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Table 3).

7) 이차 측정군에서, 각각의 세지점중 최소 ISV의

Table 1. The 1st measurement results of compound action potentials(N=20) (unit:mV)

A B C Min. ISV(%)

Right Left Right Left Right Left

Mean±SD 3.02±0.98 2.70±1.02 2.80±0.75 2.50±0.90 2.56±0.57 2.33±0.86

ISV(mean±SD) 37.55±16.32 29.88±17.15 30.67±18.56 20.35±12.44 ISV:Interside Varience

Table 2. The 2nd measurement results of compound action potentials(N=5)(unit:mV)

pt. No A B C Min. ISV(%)

Right Left Right Left Right Left

2 4.85±0.89 4.08±0.74 3.66±1.10 3.94±0.76 4.33±1.50 3.99±0.84 ISV(mean±SD) 20.77±13.16 20.23±18.45 21.08±6.81 12.90±9.74

6 3.35±1.15 3.42±0.77 3056±1.13 2.99±0.72 3.54±0.80 2.80±0.57 ISV 22.41±14.92 26.42±14.08 21.22±15.03 14.58±12.43

10 3.51±0.59 2.98±0.65 2.82±0.42 2.25±0.21 3.03±0.68 2.56±0.74 ISV 25.35±14.76 19.18±13.65 15.40±11.69 13.09±10.95

12 2.47±0.63 1.81±0.62 2.09±0.64 1.59±0.39 2.12±0.53 1.82±0.24 ISV 29.14±9.78 21.53±14.70 18.98±15.70 17.25±15.11

13 4.09±1.05 2.84±0.80 3.44±0.45 3.25±0.74 3.18±0.31 3.20±1.05 ISV 31.28±16.32 18.93±11.94 21.74±15.77 15.11±12.65

ISV:Interside Varience

Table 3. Test-retest results(rate)(N=5)

Pt. No.\ electrode position A B C Min. ISV

2 0.166 0.231 0.086 0.111 6 0.192 0.191 0.191 0.146 10 0.198 0.168 0.138 0.126 12 0.138 0.187 0.194 0.183 13 0.237 0.147 0.202 0.149

Mean 0.186 0.185 0.162 0.143

SD 0.037 0.031 0.050 0.027

Page 5: 신경전도 검사시 기록전극의 위치에 - kjorl.org · Korean J Otolaryngol 40:3, March 1997 - 357 - 위치는 각각의 검사마다 변이가 있었으며, 그 값들에

Korean J Otolaryngol 40:3, March 1997

- 357 -

위치는 각각의 검사마다 변이가 있었으며, 그 값들에 의

한 검사–재검사 변이는 14.32±2.69%로 각각의 세

지점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0.05)(Table 3).

고 찰

안면신경마비 환자의 정량적인 검사는 1944년 Wed-

dell부터 시작되었으나, 1977년 Fisch가 표면 전극을 사

용하여 유발근육총합활동전위(evoked muscle comp-

ound action potential;CAP)를 기록하고 이것을

ENoG라고 명명하면서부터 ENoG가 발전하기 시작하

였다1)7)8)10).

신경전도검사는 안면신경의 두개외주행 기시부위인

경유돌공에 전기적 자극을 가하여 이때 나타나는 총

합활동전위를 비순추벽의 근육군에서 측정을 하게 되

는데, 이때 관여하는 안면신경의 분지로는 협골 분지

와 관골 분지이다2)13)16). 따라서 이론적으로는 이 두

분지외의 다른 신경분지가 변성된다면 ENoG는 정상

으로 나와야 할 것이다. 그러나 실제적인 임상 양상에

서는 두개외주행 부위보다는 두개내주행 부위에서 손

상을 입거나 변성을 하는 경우가 많고, 또한 협골 분

지와 관골 분지가 지배하는 중위근육이 안면신경의

통합성을 나타내게 되므로 결과 해석에는 별 영향이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2).

신경전도검사는 안면신경마비 환자의 신경 손상에 관

한 정량적인 개념을 나타내어 객관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전기검사보다 우수하다 할 수 있

다1)3)11)12)17)21). 또한 안면신경마비 환자의 경과와 예

후를 평가하여9) 신경감압술에 관한 적응증을 정할 수

있으며8)15)18)22), 신경감압술시 사용되어 손상부위도 알

수 있다12).

그러나 실제 ENoG를 검사함에 있어서는 기계와 검

사자가 다른 것은 제외하고도, 검사상의 작은 차이나

변화가 결과에 영향을 미쳐, 실제 임상적인 양상과 검

사 결과가 맞지 않아 ENoG의 유용성을 낮출 수 있으

므로21), 검사자체의 기술적인 문제를 극복하는 것이

중요하다11).

이처럼 ENoG의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

로는, 피검자에 관한 문제, 기계적인 문제, 그리고 자

료 분석의 문제가 있다13)15). 피검자에 관한 문제로는

나이, 성별, 과거병력, 안면신경의 해부학적 요소, 통

증에 대한 역치, 피검자의 협조 등이 있으며, 기계적

인 문제로는 전극의 종류와 위치, 증폭기의 필터, 피

부저항, 자극의 강도와 기간 등이다. 자료 분석의 문

제는 전압의 측정, 잠복기의 측정, 기록시 artifact, 자

료의 해석 등이 있다.

본 검사에서는 기록 전극의 위치 변화에 따른 총합활

동전위의 변화를 알기 위해서 위의 변이들중 나이는

20∼23세의 비교적 좁은 범위의 지원자만을 사용하였

으며, 성별은 모두 남자로 하였고, 과거병력은 특이 소

견이 없는 사람들만을 사용하였다. 기계적인 문제에서

는 모든 피검자에게서 같은 전극을 같은 기계로 1인의

검사자가 모두 시행하였고, 피부저항은 2 kohm의 좁은

범위내에서만 허용하였다. 그 밖의 자극의 강도와 기간,

증폭기의 필터는 동일하게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의 문제에서는 전압만을 측정하였으며, 잠

복기는 고려치 않았다. 기록시 artifact가 들어가지 않

도록 환자에게 협조사항을 교육시켰으며, 피검자가 되

도록 편한 상태에서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자료 해석에서는 peak-to-peak amplitude를 검사

결과로 이용하였다.

실질적으로 ENoG는 피검자의 양측을 검사하여 총

합활동전위를 비교하여 신경손상정도를 나타내므로

피검자에 관한 문제중에서는 피검자의 협조 사항을

제외하고는 다른 인자들은 변화가 거의 없다. 피검자

의 협조를 높이기 위하여, 검사전 환자로 하여금 긴장

을 풀게 하고, 전기적 자극은 되도록 환자에게 불편함

을 적게 느끼고, 저작근의 수축을 방지하기 위해서 서

서히 올려야 한다. 그러나 이같은 방법이 모든 피검자

에게서 가능한 것은 아니다6)14).

전극의 종류에 대해서는 대개 60Hz noise를 감소

시키기 위하여 양극성 전극을 사용하여 자극하였으며

(Fig. 1) 일반적으로 전극의 크기는 전극의 중심이 검

사하고자 하는 신경이나 근육위에 놓여 있으면 유발

반응의 기록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15).

Page 6: 신경전도 검사시 기록전극의 위치에 - kjorl.org · Korean J Otolaryngol 40:3, March 1997 - 357 - 위치는 각각의 검사마다 변이가 있었으며, 그 값들에

한이인지:제 4 0권 제 3호 1997

- 358 -

전극의 위치에 대해서는 Hughes등13)은 일정한 위치

에 전극을 고정하는 standardized lead placement(이

하 SLP로 약함) 법과 Esslen의 가장 이상적인 자극

전극과 기록 전극을 찾는 optimized lead placem-

ent(이하 OLP로 약함) 법이 있다15). 명확하게 정립되

어 있지는 않으나 이 두가지 방법중 OLP 법이 좀더 낮

은 ISV와 낮은 검사–재검사 변이가 나오는 것으로 보

고되고 있다5)19). 이에 대해 Kartush등15)은 안면신경

마비 환자의 ISV를 검사할때, SLP 법보다는 OLP 법이

안면신경의 변성정도가 낮게 나온다고 보고했으며, 이

는 안면신경내의 손상받지 않은 신경섬유들을 최대한

자극하여 적절한 위치에서 전위를 기록하기 때문일 것

으로18) 사료된다.

검사–재검사 변이에서는 측정 전극의 위치외에 측정

일자에 의한 변이도 있다고 한다2). Hughes등13)은 같

은 날에 재검사를 시행하여 11.4%의 검사–재검사 변

이를 얻었고, 다른 날에 시행하여 2%의 낮은 변이를

얻었다고 보고하였다.

본 검사에서는 하루에 일회만의 검사를 했으며 기

록전극의 위치를 비순추벽의 비율에 따라 변화시키면

서 자극전극은 총합활동전위가 가장 높게 나오는 지

점을 찾는 방법을 사용하였고, 분석 방법은 각 지점에

서 얻어진 측정값들간의 비교분석과 ISV의 최소값과

각 측정값을 비교분석하는 방법을 모두 사용했다.

실제 수치상에서는 ISV는 32.7%(A지점이 37.55±

16.32%, B지점이 29.88±17.15%, C지점이 30.67±

18.56%)와 최소 ISV에서의 수치는 20.35±12.44%

로 Esslen10)의 3%, Hughes등13)의 11.4%, May등18)

의 20%보다 높으나, May등18)이 발표한 것처럼 정상

군에서 최대 ISV가 50%까지 나온 것을 감안한다면

유의한 차이는 아닐 것으로 사료된다.

검사–재검사 변이에서는 17.78%(A지점이 18.62

±3.70%, B지점이 18.50±3.10%, C지점이 16.22±

4.95%)와 최소 ISV에서의 수치는 14.32±2.69%로

Hughes등13)의 11.2%, Fisch등7)의 10%, Hughes등14)의 6.2%, May등18)의 20%, Gavilan등10)의 25%,

Adour4)의 16%와 비교할때 유의한 차이는 아닐 것

으로 사료되나 좀 더 많은 자료가 모아져야 할 것이다.

이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측정값에서, 본 저자들은

비순추벽의 각 위치간에는 ISV와 검사–재검사 변이

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최소값과 각 측정값간의

비교 분석에서는 ISV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검사–재검사 변이상에서는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

었다.

따라서 안면신경마비 환자의 신경전도검사를 시행함

에 있어, 기록전극을 양측의 같은 위치에 고정시키고,

자극전극은 최대 전위가 나오는 위치를 찾는 일반적인

방법을 사용해도 무방하나, 이같은 검사상 안면신경 감

압술의 적응증이 되는 90%7) 또는 95%15) 변성이 관

찰될 때에는 기록전극도 양측을 비순추벽을 따라 같이

이동시키면서 최소 ISV를 구하여야 한다.

결 론

저자들은 20명의 정상인을 대상으로 기록전극의 위

치를 각각 세지점으로 잡아 ISV와 검사–재검사 변이

를 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ISV에서는 기록전극의 각 지점간에는 유의한 차

이가 없었으나, 각 개개인의 최소 ISV의 평균값과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검사–재검사 변이에서는 기록전극의 각 지점간

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각 개개인의 최소 ISV에

의한 검사–재검사 변이도 각 지점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따라서 안면신경마비 환자의 ENoG를 시행함에

있어 기록전극을 양측의 같은 위치에 고정시키고, 자

극전극은 최대 전위가 나오는 위치를 찾는 일반적인

방법이 무방하나, 이와 같은 검사에 의한 안면신경 갑

압술의 적응시에는 최소 ISV가 나오는 기록전극의 위

치를 찾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References 1) 강일태·김권선·한현인 등:안면신경 Electrone-

uronography의 임상적 적용에 관한 연구. 한이인

지 31(1):28-36, 1988 2) 김영호·이원상·박홍준 등:Electroneuronogra-

Page 7: 신경전도 검사시 기록전극의 위치에 - kjorl.org · Korean J Otolaryngol 40:3, March 1997 - 357 - 위치는 각각의 검사마다 변이가 있었으며, 그 값들에

Korean J Otolaryngol 40:3, March 1997

- 359 -

phy의 임상적 응용. 한이인지 30:209-217, 1987 3) 노관택·김희국·김종선 등:가토의 안면신경 손

상후에 나타나는 Electroneuronography 및 조직

소견의 변황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이인지 32(1):124-131, 1989

4) Adour KK, Sheldon MI, Kahn ZM:Maximal nerve excitability testing versus Neuromyography :Prognostic value in patients with facial paralysis. Laryngoscope 90:1540-1547, 1980

5) Coker NJ:Facial electroneurography:Analysis of te-chniques and correlation with degenerating mo-toneurons. Laryngoscope 102:747-759, 1992

6) Coker NJ, Salzer TA:The use of masseter electr-omyography with in the evaluation of facial paral-ysis. Otolaryngol Head Neck Surg 103:391-395, 1990

7) Fisch U:Maximal nerve excitability testing vs ele-ctroneurography. Arch Otolaryngol 106:352-367, 1980

8) Fisch U:Surgery for Bell’s palsy. Arch Otolaryn-gol 107:1-11, 1981

9) Fisch U:Prognostic value of electrical tests in acute facial paralysis. Am J Otol 5(6):494-498, 1984

10) Gavilan J, Gavilan C, Sarria MJ:Facial electroneu rography:Results on normal humans. The Jour-nal of Laryngology and Otology 99:1085-1088, 1985

11) Gantz BJ, Gmuer AA, Holliday M, et al:Electro-neuronographic evaluation of the facial nerve:Method and Technical problems. Ann Otol Rh-inol Laryngol 93:394-398, 1984

12) Gantz BJ, Gmuer AA, Fisch U: Intraoperative evoked electromyography in Bell’s palsy. Am J Otolaryngol 3:273-278, 1982

13) Hughes GB, Glasscock ME, Jackson CG, et al:

Clinical electroneuronography:Statistical analy-sis of controlled measurements in twenty-two norm-al subjects. Laryngoscope 91:1834-1846, 1981

14) Hughes GB, Nodar RH, Williams GW:Analysis of test-retest variability in facial electroneuronogr-aphy. Otolaryngol Head Neck Surg 91:290-293, 1983

15) Kartush JM, Lilly DJ, Kemink JL:Facial electrone-urography:Clinical and experimental investiga-tions. Otolaryngol Head Neck Surg 93:516-523, 1985

16) May M:Anatomy of the facial nerve(spatial ori-entation of fibers in the temporal bone). Laryng-oscope 83:1311-1329, 1973

17) May M, Blumenthal F, Klein SR:Acute Bell’s palsy:Prognostic value of evoked electromyogr-aphy, maximal stimulation, and other electrical tests. Am J Otol 5(1):1-7, 1983

18) May M, Klein SR, Blumenthal F:Evoked electro-myography and idiopathic facial paralysis. Otola-ryngol Head Neck Surg 91:678-685, 1983

19) Raslan WF, Wiet R, Zealear DL:A statistical study of ENoG test error. Laryngoscope 98:891-893, 1988

20) Redhead J, Mugliston T:Facial electroneurograp-hy:Action potential amplitude and latency stu-dies in 50 normal subjects. J Laryngol Otol 99:369-372, 1985

21) Smith IM, Murray JAM, Prescott RJ, et al:Facial electroneurography:Standardization of Electr-ode Position.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114:322-325, 1988

22) Thomander L, Stalberg E:Electroneurography in the prognostication of Bel’s palsy. Acta Otolar-yngol(Stockh) 92:221-237, 1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