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리조직학적 세포형태의 비교연구i - :: jksr · 2017. 4. 6. · 행하였다....

8
1995; 33(3) : 449-456 ; 700NU 700 NU rim) terminal duct lobular unit (TDLU) 2) . shadowing) , (1, 2, 7, 8) 227" - 449 -

Upload: others

Post on 29-Mar-2021

8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병리조직학적 세포형태의 비교연구I - :: JKSR · 2017. 4. 6. · 행하였다. 사용한 기종은 Senographe 500T(CGR, Fra nce) 및 Senographe DMR( GE Medical System,

대 한 방사 선 의 학회 지 1995; 33(3) : 449-456

유방섬유선종의 역동적 자기공명영상 및 병리조직학적 세포형태의 비교연구I

오기근·함진경·윤평호·정은기

목 적 ; 병리조직학적 세포유형별 유방섬유선종의 역동적 자기공명영상 소견을 분석하여 악성종양

과의 감별에 도움을주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입상소견, 유방촬영술 및 초음파 검사상 비징형적인 소견을 보여 수술로 확진된 19염

에서 22개 유방으126병소를 대상으로 하여 역동적 자기공명영상에서의 조영속도와 최대 조영증가치를

도식화하였고 조영증강후 5분 영상에서 병소의 모양 및 내부 신호강도형태를 분석하여 병리조직학적

세포유형과 비교분석하였다.

결 과:최대조영증가치와 조영증가 속도는 점액형, 경화형, 선증석형, 석회화형순으로 크고 빨랐으

며 점액형과 경화형에서는 최대조영증가치가 700NU 이상이었고 초기 1분 영상에서 점액형만이 700

NU 이상으로 악성병소와 유사한 소견을 보였다. 조영증강후 5분영상에서 섬유선종은 활면 (69%)의 주

위실질과 잘 경계지어지는 종괴로(88%) 내부의 균질한 신호강도를 보였다(65%). 종괴의 모앙, 경계

부 및 안전 띠 (safety rim) 등은 각 병리조직학적 유형별로 빈도치를 보이지 않았으나 종괴내부의 불

균등한 신호강도는 경화형에서만 유달리 높은 빈도(78%)를 보였다.

결 론 유방촬영술과 유방초음파술로 유방암과 감별이 어려웠던 영상을 가진 비특이성 유방섬유선

종에서 역동적 자기공명영상은 악성병소와의 감별에 매우 큰 도움을 주었고 섬유선종의 조직학적 분

류를 예측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서 론

유방섬유선종은 유방실질의 terminal duct lobular unit

(TDLU) 중 유소엽 Oobule) 에서 호발하는 양성종괴로 병

리조직상도관과간질세포의 증식을보이는데 40세 미만의

여성중 약 8%에서 발견되며 특히 10-20대에서 호발하며

대부분의 경우 2- 3 cm정도까지 자라지만 그 이후로는 대

체적으로 더 이상 커지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 , 2) .

대부분의 여l 에서는 무통성의 고무와 유사한 경도를 가지는

유동성 종괴로 촉지되어 다른 종괴와 비교적 쉽게 진단될

수 있다. 필름유방촬영상 경계가 잘지어지는 종괴로 도관

과 평행한 배열을 보이며 종괴경계부에 저밀도의 환양

(halo)를 보이는데 퇴행변화하면서 그내부에 석회화를동

반할 수 있다. 초음파상 경계가잘 지어지는균질한 저밀도

의 타원형 종괴로 앓은 경계부와 양측성 그럼자(lateral

shadowing) , 후방성 음영증가 등의 특징적 인 소견을 보일

때 임상적 특정과 고려하여 유방섬유선종을 진단할 수 있

j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진 단방사선과학교실

이 논문은 1994년 12월 28일 접수하여 1995년 8월 10일에 채택되었음

무며 확진이 되면 더 이상의 칩습적인 조직검사가 필요하

지 않은 경우가 많다(3-6) . 그러나 이러한 전형적인 초음

파 소견의 섬유선종은 약 16%에서만 나타난다고 보고하

고 있으며 (3) 약 15-20%에서는 엽상형의 불균질한 내부

에코,불분명한경계부,후방음영감쇄 등의 비전형적인 형

태를 초음파상에 보여 다른 악성 종괴 또는 섬유선종과 동

반된 악성병소와의 감별이 어렵다. 섬유선종의 약 20%에

서 양측성으로나타나며 수술을하더라도약 5%에서 재발

하는데 이는 인종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어

(1, 2, 7, 8) 섬유선종에 대한 정확한 방사선학적 진단이 있

다면 불필요한수술을피할 수 있다고 본다. 이에 저자들은

임상적 또는 방사션학적으로 비정형적인 소견을 보였던

섬유선종중 조영증강후 역동적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하였

던 증례들을 모아 유방암이 아닌 비정형적 섬유선종의 소

견을분석정리하였다.

대상및방법

수술로 확진된 19명 의 227" 유방의 26병 소를 대상으로

하였고 3명에서 양측성, 6명에서 다발성병소를 보였다. 모

두 여자환자로 이들의 연령분포는 22세에서 49세로 평균

- 449 -

Page 2: 병리조직학적 세포형태의 비교연구I - :: JKSR · 2017. 4. 6. · 행하였다. 사용한 기종은 Senographe 500T(CGR, Fra nce) 및 Senographe DMR( GE Medical System,

ence) technique (TR/TE=32- 35/ 10-12msec, Flip

angle = 30 degree)조영증강전 및 조영증강후 처음 5분동안

1분간격으로 3-4개의 5단계 역동척 axial image를 얻였

다. 촬영조건은 춧점거리 300mm, 3mm 절편두께, 0.lmm

절 편 간격 , matrix size 220-256 x 256으로 interleave

method로 하였다.

수술로서 얻어진 병리조직을후향적으로관찰하여 선증

식 형 (glandular type) , 경 화형 (sclerotic type) , 점 액 형

(myxoid type) , 석회화형 (calcified type)으로 나누었고

자기공명영상에 대한 분석은 5단계 역동영상을 얻어 Hey

wang의 방법에 따라(9) 각 영상에서 지방과 병변부위의

ROI(Region of interest)를 측정하여 병소와 횡션상에 놓

인 지방을 1500 normalized unit(NU)으로 기준상아 병변

의 ROI 값을교정한후조영증강후의 값에서 조영증강전

의 값을 뺀 값을 얻어 조영속도와 최대 조영값을 추출하였

고 조영증강후 5분영상에서 병소의 모양 및 내부 신호강도

형태를분석하여 병리조직학적 형태와비교분석하였다.

대 한 방사 선 의 학회 지 1995: 33(3) : 449-456

연령은 37.5세였다. 이들 중 12명이 35세 이상이었고 35세

미만이었던 7병 중에는 유방암의 가족력을 가진 2명을 포

함하였다.

전 예에서 유방촬영, 초음파, 역동적 자기공명영상을 시

행하였다. 사용한 기종은 Senographe 500T(CGR, Fra­

nce) 및 Senographe DMR( GE Medical System, Mil­

waukee, Wisconsin)이였고 초음파기기는 Acuson 128

(Acuson corp., Mountain view, CA, USA), Acuson 128

XP/ lO 빛 Acuson 128 XP / 3에서 5 또는 7.5 MHz linear

probe를 사용하였다. 자기 공명 영 상은 Siemens Magnetom

1.0T기기 42 SP (Er langen, Germany)로 double breast

coil을 사용하였고 Gadolinium -DTPA O.l6mmol/kg(Sc­

hering, Ber lin, Germany)를 bolus injection한 후 생리식

엽수를 일시 정주하여 FLASH(fast low angle shot sequ-

병리조직학적 형태별로 분류하였을때 점액형 9예, 경화

형 9예, 선증식성 2예, 석회화형 l예 순이었고 5예에서는

조직학적으로 섬유선종으로 확진되었으나 병리 표본 slide

분실로 그 형태를 분류하지 못하였다. 이 중 점액형 2예는

자기공명영상 보관자료의 분실로 병소의 신호강도치를 구

하지 못하고 단지 형태만을 분석하였다.

과 결

Myxoid type

800

600

NU 1600

1400

1200

1000

400

200

Table 2. Border 01 Fibroadenoma in MRI

MR Findings

Histologic type

Myxoid (n=9)

Sclerotic (n=9)

Glandular (n=2)

Calcified (n =1)

* Undetermined (n=5)

III-defined

2

Well -delined

8

7

2

1

5

Total 26

*: histologic type undeteremined due to loss 01 pathologic

slides

4

Fig. 1. The speed and maximal amount 01 contrast enhance­

ment 01 libroadenoma

The speed and maximal amount 01 contrast enhancement 01

classical libroadenoma showed different leatures depending

。n the hist이。gic type 01 libroadenoma. AII 01 libroadenomas

besides myxoid type libroadenoma showed uner 700 NU at 1

minute after Gd-DTPA injection , therelore , it was the very im­

portant point to differentiate Irom carcinoma. The myxoid

libroadenoma, however , showed more than 700 NU at 1 minute

after Gd-DTPA administration and showed progressively in­

creasing amount 01 enhancement even after 5 minutes. The

enhancement showed plateau or decreased enhancement

curve at 5 minutes after Gd-DTPA i미 ection

a Min

3 2

Table 1. Speed 01 Contrast Enhancement 01 Fibroadenoma

5

(NU)

1522.2 1: 244.9

1188.0 1: 479.0

641.9 1: 64.4

237.9

4

(NU)

1522.9 1: 298.2

1061.0 1: 412.9

528.2 1: 54.1

110.6

3

(NU)

1459.2 :t 300.8

1186.8 :t 473.6

455.9 :t 20.9

182.2

2

(NU)

1319.0 :t 226.9

1070.2 :t 507.5

390.2 :t 24.2

132.5

(NU)

1111.9 :t 482.3

637.1 :t 525.7

271.2 :t 93.3

85.2

Minute

Histologic type

Myxoid (n=7)

Sclerotic (n=9)

Glandular (n=2)

Calcilied (n=1)

-450-

Total19

NU : Normalized Unit

Page 3: 병리조직학적 세포형태의 비교연구I - :: JKSR · 2017. 4. 6. · 행하였다. 사용한 기종은 Senographe 500T(CGR, Fra nce) 및 Senographe DMR( GE Medical System,

오기근 외 ‘유방섬유선종의 역동적 자기공명영상 및 병리조직학적 세포형태

섬유선종의 조영속도 및 최 대 조영치

조영속도는 첫 l분에서 점액형이 1,111.9 i: 482.3 NU으

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경 화형 이 637.1 i: 525.7, 션증 식성 형태가 271.2 i: 93.3, 석회화된 경우가 85.2NU순이었 고 최대조영값은 점액형과 경화형이 각각 1,522.9 i: 298.2

NU와 1,186.8 i: 473.6 NU으로 700NU이상의 값을 보였으

며 선증식성 형태가 641.9 i: 64.4 NU, 석회화된 경우가 237.9NU이었다(Fi g. 1)(Table 1).

조영증강 후 섬유선종의 모양 및 내부신호강도의 형태

26 병소중 23예 (88%)에서 주위 유방실질과 잘 경계지

어쳤으며 (Table 2,) 18예 (69%)에서 둥글거나 타원형의

활면 (smooth contour)을 보였고(Table 3) 18예 (69%)에

서 종괴 주변부에 신호강도의 소실 (signal void)을 보이는

안전띠를 보였는데 (Fig. 2)(Table 4) 이러한 소견은 각 병

리조직학적 형태별 빈도간에 큰 차이가 없었던 반면에 내

Table 3. Outer Margin 01 Fibroadenoma in MRI

MR Findings Smooth Lobulated

Round Ovoid Histologic type

Myxoid (n=9)

Sclerotic (n = 9)

Glandular (n=2)

Calcilied (n=1)

• Undetermined (n=5) 5

6

4

3

4

Total26

': histologic type undeteremined due to loss 01 pathologic

slides

a b d

c Fig . 2. Myxom atous type 01 libroadenoma, 46-year-old woman.

a. Medi이 ateral oblique view shows asymmetrically increased density in right upper outer portion (arrowheads).

b. 7.5MHz sonogram shows a heterogeneous hypoechoic mass with lobulated margin , bilateral shadowing , and multilocal pos­

terior shadowings

c. FLASH images 01 MRI belore, 1, 3, 5 minutes after bolus injection 01 0.16 mmollkg Gd-DTPA. Rapid and intense contrast en­

hancement is noted in lirst 1 minute image

d. Representative photomicrographs 01 histologic lindings. Abundant stroma with myxomatous change is present (Hematoxylin and Eosin , x100).

꺼 엉

Page 4: 병리조직학적 세포형태의 비교연구I - :: JKSR · 2017. 4. 6. · 행하였다. 사용한 기종은 Senographe 500T(CGR, Fra nce) 및 Senographe DMR( GE Medical System,

대 한 방 사 선 의 학 회 지 1995 ; 33(3) : 449-456

부신호강도는 17예 (65% )에서 균질한 형태를 보였는데 특

히 경화형의 섬유선종은 78%(7/9)에서 불균절한 형태를

보여 다른 병리조직학적 형태에 비해 높은 빈도를 보였다

(0 -22%) (Fig. 3, 4) (Table 5).

고 찰

유방섬유선종은 10-20대에서 가장 흔히 발견되는 양성

병소로 이 시기의 유방촬영상의 형태는 Wolfe분류중 P2

또는 DY 형태로 주위 유방실질에 의해 병소의 발견이 매

우 어렵다. 그러나 초음파를 시행할 경우 종괴의 모양, 내

Kobayashi 등(12)과 권 등(13)은 섬유선종을 병리조직학

적 으로 분류하여 도관중심 형 (glandular dominant type)

과 기질중심형 (stromal dominant type) 및 혼합형 (mixed

Table 4. Safety Rim of Fibroadenoma in MRI

MR Findings

Histoloqic type

Myxoid (n=9)

Sclerotic (n=9)

Glandular (n=2)

Calcified (n = 1)

Present Absent

6

6

3

3

부 에코, 주위 변화로 섬유선종의 진단이 용이하지만 다른 * Undetermined (n = 5) 5

악성종괴에서도 이와 유사한 형태를 보일 수 있으며(10, Total 26

11) 섬유선종의 15-20%에서 비정형적 인 초음파 소견을 *: histologic type undeteremined due to loss of pathologic

보여 (3, 5, 6) 악성질환과의 감별진단이 어려울 수 있다 slides

a b d

c Fig. 3. Sclerotic type of fibroadenoma present clustered microcalcification , confusing with a malignancy, 32-year-old woman

a. Medi이 ateral oblique view shows asymmetrically increased density with clustered microcalcification in right upper portion

(arrowheads)

b. 7.5MHz sonogram shows a heterogeneous hypoechoic mass with lobulated margin , bilateral shadowing , microcalcification

with partial posterior shadowing

c. FLASH images of MRI before, 1, 3, 5 minutes after bolus injection of 0.16 mmol/kg Gd-DTPA. Moderate degree contrast en­

hancement of mass is noted in first 1 minute image and slowly progressive contrast enhancement in sequential images

d. Representative photomicrographs of histologic findings. Abundant stroma with fibromatous change is present (Hematoxylin

and Eosin , x100) ‘

… x

Page 5: 병리조직학적 세포형태의 비교연구I - :: JKSR · 2017. 4. 6. · 행하였다. 사용한 기종은 Senographe 500T(CGR, Fra nce) 및 Senographe DMR( GE Medical System,

오기근오1 : 유방섬유선종의 역동적 자기공명영상 및 병리조직학적 세포형태

Fig. 4. Sclerotic type 01 libroadenoma,

47-year-old woman.

a. Craniocaudal oblique view shows asy­

mmetric increased density in right upper

。uter (arrow) without evidence 01 calcili­

cation or radiolucent hal 。

b. 7.5MHz sonogram shows a ill-delined

heterogeneous hypoechoic mass with po­

sterior shadowing , mimicking malignancy

c. FLASH images belore and 5 minutes

after bolus injection 01 O.16mmol/kg Gd­

DTPA. The mass shows well-delined bor­

der, lobulated margin , absent salety rim , and heterogeneous internal signal inten-

S ’ty.

b a

소 및 양성병소의 감별에 매우 유용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

다(15-20). 특히 spin-echo technique보다 gradient-echo

sequence를 이 용한 fast imaging technique은 신호강도의

contrast • to-noise( CNR)가 높아 0.1 mmol/kg정도의 적

은 양의 조영제만으로도 주위 유방실질과의 구분이 용이하

여 특히 좋은 역동적 자기공명영상을 얻을수 있다는점에

서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21 , 22) 최근에 H eywang 등(23)

은 체중 1 kg당 0.16mmol의 조영제를 정주하여 시행한 경

우가 소량(0.1 mmoI)을 정주하는 것보다 병소의 조영증강

이 더 선명하여 병소의 진단률이 높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유방의 악성종양과 섬유선종악성종양은 공통적으로 T1강

조영상에서는 저신호강도, T2강조영상에서는 그 성분에

따라서 다양한 신호강도를 보이지만 악성종양에서는 불규

칙한 침상형의 종괴로 보이는 경우가 많은 반면 섬유선종

은 경계가 잘 지어지는 종괴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24).

Heywang 등( 17-19)은 조영 증강 정 도를 비교해 볼 때 유

방이형성증(Mammary dysplasia)은 중등도로 조영증강

되는 반면에, 악성종양, 유두종, 섬유선종은 지방의 신호강

도를 1,500NU로 정한 후 조영증강후 병소의 신호강도를

측정하였을때 500 NU 이상의 값을 보였다고 보고하였다.

Kaiser등( 21)은 조영증강의 정도를 백분률로 구하여 1, 2,

8분간격으로 측정하였을 때에 악성병소에서는 첫 1분이내

c

Table 5. Pattern 01 Signal Intensity within the Tumor after

Contrast Enhancement

Heterogeneous

2

7

Homogeneous

7

2

2

1

5

MR Findings

Histologic type

Myxoid (n=9)

Sclerotic (n=9)

Glandular (n=2)

Calcilied (n =1)

* Undetermined (n=5)

Total26

*: histologic type undeteremined due to loss 01 pathologic

slides

type)으로 나누어 각 유형 별로 유방필름 및 초음파 소견을

분석하여 도관세포가주종을이루는형태에서 좀더 정형적

인 방사선학적 소견을 나타낸다고 하였으나 서로 이견이

있어 아직 정립되지 않은 실정이다. 섬유선종의 0.1 -1%에

서는악성병소가통반되기도하나 악성병소의 특정적 인 미

세석회화 또는 주위 유방실질의 왜콕 등이 동반되지 않는

한 진단이 어렵다(14) . 최근에 최근에 자기공명영상이 유

방병소의 진단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Gd-DTPA

정주후의 역통적 자기공명영상이 특히 수술전후의 악성명

- 453-

Page 6: 병리조직학적 세포형태의 비교연구I - :: JKSR · 2017. 4. 6. · 행하였다. 사용한 기종은 Senographe 500T(CGR, Fra nce) 및 Senographe DMR( GE Medical System,

대 한 방사선 의 학회 지 1995 ; 33(3) : 449-456

에 100%이상의 급격한 조영증강을 보였던 반면에 섬유선

종이나 증식성 유방질환에서는 약 50%정도의 중등도의

조영증강을 보여 감별할 수 있었다고 하였으나 Gille 등

(22)은 섬유선종에서도 악성종괴와 유사한 정도의 조영증

강소견을 나타내였다고 보고하였고 저자들은 이에 동의하

는 한편 지연되어 최대조영증강되는 유방암과의 감멸에

대한 주 춧점은 조영증강되는 섬유선종의 조영양상에 대

한소견이 절대적으로도움을주어서 감별이 된다고본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증례에서는 섬유선종의 병리조직학

적 유형별 최대조영증가치와 조영증가속도는 그 크기가

점액형, 경화형, 선증식형, 석회화형 순이었으며 이 중 점

액형과 경화형에서는 최대조영증강 값이 1,000NU 이상으

로 악성병소와 감별이 어려우나 l분 영상에서 경화형은

700NU이하로 조영증강되기 때문에 악성병소와의 감별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점액형의 섬유선종은 최대

조영증강의 정도 및 속도만으로는 악성병소와의 감별이

어려울지라도 종괴가 주위 실질과 잘 경계지어지며 내부

의 균질한 신호강도를 보여 악성종괴와의 감별에 자기공

명영상이 매우 큰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종괴의 형

태, 경계부 및 안전 띠 등은 각 병리조직학적 분류별로 빈

도차를 보이지 않았으나 종괴내부의 신호강도는 경화행에

서만 유달리 높은 빈도로 나타나 이러한 여러 소견을 종합

하여 볼때에 역동척 자기공명영상은 악성병소와의 감별에

매우 큰 도움을 줄 뿐 아니라 더 나아가 조직학적 분류를

예측하는데 많은도움을줄것으로생각된다.

그러므로 섬유선종의 유방촬영소견상 분엽양의 경계를

가진 종괴, 때로 군집성 미세 석회화 소견만 보이는 종괴이

거나종괴주위에 특정적인 환양소견이 보이지않고증식성

유방병변이 동반되어 섬유선종의 가능성보다 잘 국한된

유방암의 소견을 보이는 경우로서 35세이상 연령 여성의

종괴는 유방초음파검사나 유방자기공명영상검사가 필수

적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비정형적 형태의 섬유선종에서 유방초

음파검사를 행할 경우에도 종괴가 점액상이나 분엽상 섬

유선종은 여러개의 선상 종괴중심부 음파차단(middle ac­

oustic shadowing) 이 보이 고, 종괴 의 후면 음영 증강소견

이 보이며 유방자기공명검사로는분엽양이라도높은최대

조영 증강치를 보이고 종괴가 균등하고 조영되는 조영양

상과 중심부를 향해서 계곡양의 신호음 감소소견이 보이

며, 그 주위에 안전환(safety rim)을 나타낸다.

유방초음파 검사상 잘 경계지워지고 앓은 벽을 가진 경

화성 섬유선종에서는 유방자기공명영상 검사에서 유방암

과는 탈리 조영증강 속도가 늦고 최대조영치가 낮으므로

감별이 용이한 편이다. 선증식성 섬유선종은 유방초음파

검사상 균등하고 난원형의 종괴의 소견을 보이며 후면음

영의 증가와 양측성 음영차단의 소견이 나타나고 유방자

기공명영상 검사상에서 점진적으로 계속해서 균등하게 조

영증강된다(21) .

석회화가 심한 섬유선종에서는 유방초음파 검사상 종괴의

변연이 불규칙하고 후연의 음영차단이 심하여 유방암과의

감별이 어려우나 유방자기공명검사상 조영증강이 전혀 되

지않아 유방암을 배재할 수있다(9). 한편 유방자기공명검

사에서 모든 섬유선종은 안전환(safety rim)의 신호거부

(signal void) 영상이 보여서 진단이 용이하다. 그러므로

유방촬영술과 초음파검사로써 유방암과의 감별이 어려운

섬유선종에서는 유방자기공명검사가 진단에 도움을 주며

섬유선종의 조직학적 성분분류를 예측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비정형섬유선종의 감별진단으로는 잘 국한되고 부드럽

거나 엽상의 고형종괴로서 수질성암(medullary carcino

ma)과 점액성 유방암(colloid carcinoma) , 그리고 엽성냥

성육종(phyllodes tumor)등이 있다. 수질성유방암에는 조

직학적으로 정형수질성암, 비정형 수질성암 그리고 비수

질성암의 세가지 군으로 나누는데 (25) , 이중 정형수질성

암이 자기공병영상검사에서 섬유선종과 감별이 요구되는

형태로 나타나며 비정형수질성암은 종괴내부의 괴사소견

이 보이고 비수질성암은 내부괴사와 함께 주위 유방조직

내로 침윤성 소견이 동반되므로 섬유선종과의 감별대상이

되지 못한다(26). 점액성 섬유선종은 유방자기공명영상검

사상에서 초기 에 빠른 속도로 조영증강되어, 최대 조영 증

강치가 2-3분내에 의미있게 조영되나 지연자기공명영상

검사에서도 계속적언 조영증강이 되는 소견이 보이고, 종

괴주위에는 안전환(signal void safety rim)을 나타내는

것이 점액성 유방암과 다른 점이다(21). 수질성암은 Gd­

DTPA 조영역동검사에서 비교적 조기에 조영증강되더라

도 그 조영증강치는 점액성 유방암이나 유도관 상피세포

증보다는 낮으며 주사후 5분이내 에는 조영 치가 plateau를

보이거나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안전환(safetry rim)은

없다(9, 21). 점액성 유방암의 자기공명염상검사에서 Gd ­

DTPA를주사한후초기에 조영되는조영치는주사후 1-

2분에 최대조영치를 보이고 5분후에는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안전환이 없으며 (21) , 엽상냥성육종은

Gd-DTPA주사후 1-2분 내에 최고로 조영되며 종괴 내

부에 괴사로 언하여 신호음이 감소되고, 안전환이 거의 없

는 것이 특정이다( 9, 21). 그러므로 유방의 비전형 점액성

섬유선종의 특정은 종괴주위에 안전환이 있고 지연유방자

기공명검사에서도 계속적으로 조영증강되는 소견, 그리고

종괴내의 괴사소견동반이 없기 때문에 진단이 가능하다.

참 고 C그

τr 허」 1. Rosai J. Breast. In: Ackerman ’s surgical pathology. 8th ed

St. Louis:Mosby company , 1989 :1193-1268 2. Fechner RE. Fibroadenoma and related lesions. In: page DL ,

Anderson T J. Diagnostic histology 01 the breast. London ‘

Churchill Livingston. 1987 : 72-85 3. Jackson VP , Rothschild PA , Kreipke DL , Mail JT, Holden RW

The spectrum 01 sonographic lindings 01 libroadenoma 01 the breast. Invest Radiol 1986; 21 : 34-40

- 454 -

Page 7: 병리조직학적 세포형태의 비교연구I - :: JKSR · 2017. 4. 6. · 행하였다. 사용한 기종은 Senographe 500T(CGR, Fra nce) 및 Senographe DMR( GE Medical System,

오기근 외 .유방섬유선종의 역동적 자기공명영상 및 병리조직학적 세포형태

4. Cole-Beuglet C, Soriano RZ , Kurtz AB , Goldberg BB. Fibr­

。adenoma of the breast: Sonomammography correlated with

pathology in 122 patients. AJR 1983 ; 140: 369-375

5. Fornage BD, Lorigan JG, Andry E. Fibroadenoma of the bre­

ast: sonographic appearance. Radiology 1989; 172 : 671-675

6 윤춘식, 김미혜 , 안창수, 오기근 유방 섬유선종의 초음파소견 ‘종괴

으11차소견을중심으로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4 ; 30: 193-196 7. Oberman HA. Breast lesions in the adolescent female. Pathol

Ann 1979 ; 14: 175-201

8. Farrow JH , Ashikari H. Breast lesions in young girls. Surg

Clin North Am 1969; 49: 261-269

9. Heywang SH. Contrast enhanced MRI of the breast. Medi­

coscientific book series of Schering. Karger , Germanry. 1990 10. Cole-Beuglet C, Soriano R, Kurtz AB , Meyer JE, Kopans DB ,

Goldberg BB. Ultrasound, X-ray mammography, and histo­

pathology of cystosarcoma phylloides. Radiology 1983 ; 146 481-486

11. Meyer JE, Amin E, Li nfors KK , Li pman JC , Stomper PC , Ge­

nest D. Medullary carcinoma of the breast: mammographic

and US appearance. Radiology 1989; 170: 79-82

12. Kobayashi T, Nagata F, Shinoda A et al. Ultrasonic diagnosis

。f early breast cancer. Jap J Clin Oncol 1977 ; 7: 55-66

13 권태흐1, 오기근, 서정호 유방섬유선종의 방사선 영상 및 병리조직

학적 세포형태의 비교연구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86 ; 22 : 57-68

14. Baker KS, Monsees BS, Diaz NM, Destouet JM , McDivitt RW

Carcinoma within fibroadenoma : mammographic features

Radiology 1990; 176 : 371-374

15. Bohm-Velez M, Mendelson EB. Computed tomography, du­

plex doppler ultrasound,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evaluating the breast. Sem in US , CT, and MRI 1989;10

171-176 16. Revel D, Brasch RC , Paajanen H, et al. Gd-DTPA contrast en­

hancement and tissue differentiation in MR imaging of exper-

imental breast carcinoma. Radiology 1986 ;158:319-323

17. Heywang SH , Hilbertz T, Beck R, Bauer WM , Eiermann W,

Permanetter W. Gd-DTPA enhanced MR imaging of the breast

in patients with postoperative scarr ing and silicon implants. J

Comput Assist Tomogr 1990 ; 14 : 348-356

18. Heywang SH, Hahn D, Schmidt H, et al. MR imaging of the

breast using Gd-DTPA. J Comput Assist Tomogr 1986 ; 10

199-204 19. Heywang SH , Wolf A, Pruss E, Hilbertz T, Eiermann W, Per­

manetter W. MR imaging of the breast with Gd-DTPA : use

and limitations. Radiology 1989 ; 171 ‘ 95-103 20. Dash N, Lupetin AR , Daffner RH , Deeb ZL, Sefczek RJ , Sc­

hapiro RL.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the diagnosis of

breast disease. AJR 1986; 146 : 119-125 21 . Kaiser WA, Zeitler E. MR imaging of the breast: fast imaging

sequences with and without Gd-DTPA. Radiology 1989; 170:

681-686 22. Gilles R, Guinebretiere JM , Lucidarme 0 , et al. Nonpalpable

breast tumors : diagnosis with contrast-enhanced. subtraction

dynamic MR imaging. Radiology 1994; 191 : 625-631 23. Heywang-Koebrunner SH, Haustein J, Oigk C, et al. Contr­

ast-enhanced MR imaging of the breast : comparison of tw。

different doses of Gadopentetate Dimeglumine‘ Radiology

1994 ; 191 : 639-646

24. Stelling CB , Powell DE, Mattingly SS. Fibroadenomas : his­

topathologic and MR imaging features. Radiology 1987; 162

399-407 25. Ridolfi RL , Rosen PP , Port A, Kinne D, Mike V. Medullary car­

cinoma of the breast: a clinicopathologic study with 10 year

follow up. Cancer 1977;40:1365-1385

26 안창수, 오기근, 윤준식 , 정우희, 이용희 유방의 수질성암의 조직학

적 분류에 의한 영상소견 대한방사선학회지 1993. ; 29(5) : 1071 -

1079

m

Page 8: 병리조직학적 세포형태의 비교연구I - :: JKSR · 2017. 4. 6. · 행하였다. 사용한 기종은 Senographe 500T(CGR, Fra nce) 및 Senographe DMR( GE Medical System,

대 한 방사선 의 학회 지 1995; 33(3) : 449-456

Journal of the Korean Radiological Society 1995; 33(3 ) : 449-456

Dynamic MRI of Breast Fibroadenoma: Pathologic Correlation1

Ki-Keun Oh, M .D. , Jin-Kyeung Hahm, M.D. , Pyong-Ho Yoon, M.D., Eun-Kee Jeong, M.D.

1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Yonsei University , College of Medicine

Purpose: To analyze the dynamic MR imaging of breast fibroadenoma according to the histologic type for

differentiation from breast carcinoma.

Materials and Methods: Dynamic MR images of 26 lesions Irom 22 breasts in 19 patients showing atypical

clinical leatures or film mammogram and ultrasound manifestations were performed. We analyzed the speed

and the maximal amount 01 contrast enhancement and the patterns, such as shape , border, and internal signal

intensity , among the histologic types during five minutes after contrast injection.

Results: The speed and maximal amount of contrast enhancement of fibroadenoma were in descending or­

der 01 myx이d , sclerotic , glandular, and calcified types. Among these , the value of maximal amount of contrast

enhancement of myxoid and sclerotic type were more than 700 NU, but only myxoid type was enhanced more

than 700 NU within the first 1 minute after contrast injection , similar to the findings of carcinoma. In general ,

fibroadenoma showed the tendency of smooth surface(69%) , well-defined border(88%) with safety rim , and

internal homogeneous signal intensity(65%). However, sclerotic type of fibroadenoma had relatively high inci­

dence of heterogeneous internal signal intensity(78%) after Gd-DTPA i 미 ection .

Conclusion : Dynamic MR imaging of atypical breast fibroadenoma mimicking breast malignancy was very

useful in differentiation it from carcinoma and had the benefit of classifying fibroadenoma according to its

histologic types.

Index Words: Breast neoplasms, MR

Breast neoplasms, US

Magnetic resonance(MR) , contrast enhancement

Address r eprint requests to : Ki -Keun Oh, M.D.,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Y 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Yongdong Severenace Hospital. # 146-92, Dogok -<long, Kagnam-ku, Seoul, 135 -270 Korea. Tel. 82-2-3450-3511 Fax. 82-2-562-5472

- 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