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115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용역사업

Upload: others

Post on 06-Mar-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IP2007-053-2008(1)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용역사업

2008. 3.

한 국 지 질 자 원 연 구 원

동해지방해양수산청

Page 2: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제 출 문

동해지방해양수산청장 귀하

본 보고서를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

구 용역사업”과제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8. 3.

주관연구기관명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주관연구책임자 : 정 진 기

연 구 원 : 유 경 근

“ : 지 상 우

Page 3: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2

요 약 문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용역사업

은 주식회사 영풍의 물류비용 저감을 위한 동해항 내 황산저장시설건설에

반대하는 동해시민의 민원을 동해지방해양수산청이 받아들여 황산저장시설

의 안정성 및 유해성에 관한 조사를 위하여 수행되었다.

환경영향평가는 환경․교통․재해 등에 관한 영향평가법에 의거하여 수행하게

되어 있으나 본 조사사업의 대상인 황산저장시설은 면적이 작아 해당되지

않았으며, 국내 유사시설에 대한 조사에서 분쟁조정사례가 발견되지 않아 본

사업에서는 황산저장시설의 안정성 및 유해성 평가를 중심으로 진행하게 되

었다.

동해시민들과 면담하여 주민들의 반대 원인을 파악하였고, 그 중 본 용역

사업의 범위에 해당하는 황산저장시설의 안정성 및 유해성을 조사하기 위해

관련 사고사례를 조사한 결과, 최근 황산저장시설과 관련된 사고는 이송 등

을 위한 작업에서 관련자의 안전규칙 미준수, 부적절한 재료의 사용 등 관련

규정을 따르지 않음에 의하여 발생한 사고들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황산저장시설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동해시의 기후관련 자료를 조사한

결과, 평균적인 순간풍속, 최고․최저온도, 최다강수량, 최심적설은 해당 시설

에 큰 영향이 없으리라 판단되었으나 빈도가 낮을지라도 최심적설량 94㎝, 최대순간풍속이 40㎧를 넘는 경우가 발생한 적이 있고, 자연재해로서는 빈도

가 매우 낮으나 지진해일 또는 태풍․호우를 기록한 적이 있다.

상기에 조사된 사실과 황산의 특수성을 감안할 때 동해항 내 황산저장시설

의 건설과 운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조치가 요구된다고 판단된다.

Ÿ 황산저장시설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주식회사 영풍은 최심적

설량, 최대순간풍속, 지진, 지진해일, 태풍 등의 기간 기록을 고려하

고 관련 법규를 준수하여 황산저장시설을 설계․시공해야함

Ÿ 황산은 인체에 직접 접촉되거나 흡입될 때 극히 위험하므로 주식회

사 영풍은 관련 종사자에 대한 안전교육과 안전규정 준수를 철저히

Page 4: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3

관리․감독하고 관련 법규 규정을 검토하여 지침을 작성해야함

Ÿ 주식회사 영풍은 황산저장시설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유지․관리를

관련법규를 준수하여 철저히 시행하여야 함

Ÿ 주식회사 영풍은 황산과 관련된 사고사례를 검토․숙지하고 사고 대

응 체계를 확립하여 규범화 시키는 조치를 수행하여야 함

Ÿ 주식회사 영풍은 현재 공사가 진행되었던 기반시설의 안정성을 검

사하여 향후 건설할 황산저장시설의 안정성을 확보해야함

Ÿ 주식회사 영풍은 황산저장시설에 대한 동해시민들의 우려를 불식시

키기 위한 최대의 노력을 다해야함

Page 5: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4

목 차

제 1장 사업의 개요 ················································································ 11.1 사업의 배경 및 목적 ···························································································· 11.2 환경영향평가의 실시근거 여부 ·········································································· 11.3 사업의 추진경위 ···································································································· 2

1.3.1 관계 인․허가 사항 ····················································································· 21.3.2 관련 진행상황 ··························································································· 3

1.4 사업 내용 ················································································································ 3

제 2장 본 조사용역사업의 개요 및 범위 ········································ 62.1 연구사업의 개요 ···································································································· 6

2.1.1 연구사업의 목적 ······················································································· 62.1.2 사업 수행기간 ··························································································· 6

2.2 조사 대상의 범위 및 내용 ·················································································· 62.2.1 환경․교통․재해 등에 관한 영향 평가법 상의 조사범위 ···················· 62.2.2 본 조사사업의 범위 및 내용 ································································· 82.2.3 본 조사사업의 상세내용 ········································································· 92.2.4 조사 방법의 개요 ··················································································· 10

2.3 조사기관 설명 ······································································································ 10

제 3장 황산 저장시설 설치지역 개황 ············································ 133.1 동해시 개요 ········································································································ 133.2 토지이용현황 ········································································································ 143.3 환경오염물질 배출시설 ······················································································ 153.4 기타 시설물 ·········································································································· 153.5 동해시의 기후 ······································································································ 153.6 동해항의 위치 및 특징 ······················································································ 19

제 4장 황산의 특성 및 개요 ····························································· 224.1 황산의 화학적 특성 ···························································································· 234.2 황산의 산업동향 ·································································································· 24

Page 6: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5

제 5장 황산저장시설의 개요 ····························································· 285.1 목적 ························································································································ 285.2 적용범위 ················································································································ 285.3 용어의 정의 ·········································································································· 285.4 설계 ························································································································ 295.5 탱크 설계 ·············································································································· 315.6 제작 및 설치 ········································································································ 335.7 방유제 ···················································································································· 345.8 세안․세척 시설 및 보호구 비치 ········································································ 34

제 6장 자료 및 현장 조사 ································································· 376.1 기초 자료 조사 수행 ·························································································· 376.2 국내 황산저장시설 방문 ···················································································· 37

6.2.1 경북 봉화군 소재 영풍 제련소 방문 ················································· 376.2.2 울산시 온산공단 소재 온산항 방문 ··················································· 386.2.3 서울특별시 오류동 소재 경기화학 방문 ··········································· 38

6.3 관계자 방문 및 의견청취 ·················································································· 436.3.1 동해지방해양수산청 방문 ····································································· 436.3.2 황산저장시설 설치반대모임 시민단체 방문 ····································· 436.3.3 주식회사 영풍 본사 방문 ····································································· 446.3.4 기타 전문가 의견 청취 ········································································· 44

6.4 중간보고회 개최 ·································································································· 446.5 최종보고회 개최 ·································································································· 45

제 7장 황산저장시설 사고사례 및 대책 ········································ 547.1 황산저장시설의 사고사례 ·················································································· 54

7.1.1 『황산 및 아연정광석에 관한 포럼』에서 보고된 황산의 사고사

례 ························································································································· 547.1.2 시민단체에서 조사․취합한 사고사례 ··················································· 557.1.3 본 조사사업에서 취합된 사고사례 ····················································· 56

7.2 사고 발생원인 분석 ···························································································· 607.2.1 사고내용 분석 및 정리 ········································································· 607.2.2 한국산업안전공단 안전 제2005-11호 중대재해조사속보 내용 ······ 607.2.3 한국산업안전공단 안전 제2000-30호 중대재해조사속보 내용 ······ 61

Page 7: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6

7.3 누출사고에 대한 대책 ························································································ 637.3.1 황산저장시설 설치 부근 지역의 자연재해상황 ······························· 637.3.2 재해사항이 황산저장시설에 미칠 수 있는 영향 ····························· 72

제 8장 종합결론 ···················································································· 76

Page 8: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7

표 목 차

표 1 환경․교통․재해 등에 관한 영향평가법의 대상 ·············································· 2표 2 대기오염물질이 인체 및 식물에 미치는 영향 ············································· 7표 3 소음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 8표 4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정관 ··········································································· 11표 5 지목별 토지이용 현황 ····················································································· 14표 6 대기 및 수질오염 배출시설 수 ····································································· 15표 7 황산의 명칭과 농도 ························································································· 22표 8 황산농도별 합금강 재질 선택기준 ······························································· 30표 9 탄소강 재질의 부식여유 ················································································· 30표 10 시민단체 반대 사유 ······················································································· 43표 11 중간보고회 질의․응답 내용 1 ······································································· 46표 12 중간보고회 질의․응답 내용 2 ······································································· 47표 13 최종보고회 질의․응답 내용 ··········································································· 51표 14 진도에 따른 피해사항 및 대응 현상 ························································· 65표 15 강원도지역 지진발생현황(2000년 이후) ····················································· 66표 16 국내 지진해일 발생현황 ··············································································· 69표 17 우리나라 동해안에서 발생한 지진해일로 인한 피해 사례 ··················· 69표 18 최근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친 주요태풍 총괄 (1987~2006) ·················· 71표 19 pH의 영향 ········································································································ 73

Page 9: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8

그림 목차

그림 1 현장위치도 ······································································································· 4그림 2 황산저장시설 설치부지 (공사중, 도로쪽으로부터 촬영) ························ 5그림 3 황산저장시설 설치부지 (항구쪽으로부터 촬영) ······································· 5그림 4 연구방법의 개요도 ······················································································· 10그림 5 동해시의 연중최고기온 ··············································································· 16그림 6 동해시의 연중최저기온 ··············································································· 17그림 7 동해시의 일 최다강수량 ············································································· 17그림 8 동해시의 최심 적설량 ················································································· 18그림 9 동해시의 최대 순간 풍속 ··········································································· 18그림 10 동해항 전경 1 ····························································································· 20그림 11 동해항 전경 2 ····························································································· 20그림 12 동해항의 물동량, 단위 천톤 ···································································· 21그림 13 동해항의 선박 입출항 통계 ····································································· 21그림 14 황산의 제조공정 ························································································· 23그림 15 일반공업용 황산 수출동향 (단위: 톤) 자료: 한국무역협회 ·············· 27그림 16 반도체용 황산 수출동향 (단위: 톤) 자료: 한국무역협회 ·················· 27그림 17 상부인입노즐 ······························································································· 35그림 18 고정식 지붕탱크 ························································································· 35그림 19 고정식 지붕탱크측면 ················································································· 36그림 20 옆면 맨홀 ····································································································· 36그림 21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 (주)영풍의 황산저장시설 ····························· 39그림 22 황산저장시설 옆 방재기구함 및 주의사항 간판 ································· 39그림 23 경북 봉화군 (주)영풍의 황산저장시설 (기차 상차용 임시저장탱크)40그림 24 주식회사 영풍의 황산수송용 기차 차량 ··············································· 40그림 25 (주) 영풍 제련소에서 바라본 황산저장시설과 민가의 전경 ············· 41그림 26 울산광역시 온산항 소재 LS 니꼬 동제련의 황산저장시설 ··············· 41그림 27 울산광역시 온산항 소재 고려아연의 황산저장시설 ··························· 42그림 28 온산항 황산저장시설의 주의문구 ··························································· 42그림 29 중간보고회 개최 공문 ··············································································· 48그림 30 중간보고회를 준비하는 발표자 및 발표회장 내부 ····························· 49그림 31 중간보고회 전경 ························································································· 49

Page 10: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9

그림 32 인사말을 하는 동해지방해양수산청 권혁진 항무과장 ······················· 50그림 33 최종보고회 개최 공문 ··············································································· 52그림 34 최종발표회 전경 ························································································· 53그림 35 발표하는 정진기 연구원의 모습 ····························································· 53그림 36 아프리카에서 2006년 6월에 발생한 황산유출사고 기사 ··················· 58그림 37 카나다에서 2007년 3월에 발생한 황산유출사고 기사 ······················· 58그림 38 중국에서 2008년 1월에 발생한 황산공장 폭발사고 기사 ················· 59그림 39 한반도 계기관측 지진발생 분포도 (1978년 ~ 현재) ·························· 67그림 40 동해항 현황지도 ························································································· 75

Page 11: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1

제 1장 사업의 개요

1.1 사업의 배경 및 목적

¡ 본 사업은 경북 봉화군 석포면 소재 주식회사 영풍에서 부산물로 생산된

황산의 수출 부두를 온산항에서 동해항으로 변경하여 물류비용을 저감시

키기 위하여 황산저장시설을 설치하게 되었음

1.2 환경영향평가의 실시근거 여부

¡ 1999년 12월 31일 법률 제 6095호로 제정된 환경․교통․재해 등에 관한 영

향평가법은 환경․교통․재해 또는 인구에 미치는 영향이 큰 사업에 대한 계

획을 수립․시행할 때 그 사업이 미칠 영향을 미리 평가․검토해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개발이 되도록 함으로 쾌적하고 안전한 국민생활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함

¡ 영향평가 대상사업에는 도시 개발, 산업입지 및 산업단지 조성, 에너지

개발, 항만 건설, 도로 건설, 수자원 개발, 철도 건설, 공항 건설, 하천의

이용 및 개발, 개간 및 공유수면의 매립, 관광단지 개발, 산지 개발, 특정

지역 개발, 체육시설․폐기물처리시설 기타 대통령령이 정하는 시설 설치

등이 포함됨

¡ 사업자가 대상사업을 시행할 때는 주민의 의견을 수렴해 평가서를 작성

해야 하며, 사업자는 사업계획 등에 대한 승인 등을 얻어야 하는 경우 승

인기관의 장에게 평가서를 제출해야 함. 사업자는 대상사업을 착공 준공

하거나 3개월 이상 공사를 중지하고자 할 때는 평가서협의기관장 및 승

인기관의 장에게 그 내용을 통보해야함. ¡ 환경․교통․재해 등에 관한 영향평가법의 대상은 다음과 같이 분류가능함

¡ 환경․교통․재해 등에 관한 영향평가법의 대상

Ÿ 골프장 건설 등 사업 특성상 자연 환경 생태계를 훼손할 우려가 큰

사업

Ÿ 자연 공원 집단 시설 지구 등 환경적으로 민감한 지역에서 시행되

는 사업

Ÿ 매립 사업 댐 건설 등 환경영향이 장기적 복합적으로 발생하여 쉽

게 예측이 곤란한 사업

Page 12: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2

사업분야 세부 사업명 및 규모

도시개발 Ÿ 도시개발(25만m2 이상) 등 11개 사업

산업입지 Ÿ 국가 지방 농공단지(15만m2이상) 등 11개 사업

에너지개발 Ÿ 에너지 개발을 위한 해저광업 등 6개 사업

항만건설 Ÿ 항만(외곽시설) 등 4개 사업

도로건설 Ÿ 도로신설(4km이상) 도로확장(2차선 이상인 10km이상)

수자원개발 Ÿ 댐(면적 200만m2나 용량2000만m3이상) 등 2개 사업

철도(도시철도) Ÿ 철도(1km이상), 삭도 궤도(2km이상) 등 4개사업

공항건설 Ÿ 비행장, 활주로(500m이상), 기타시설(20만m2이상)

하천개발 Ÿ 하천공사(10km이상)

매립개간 Ÿ 매립(30만m2이상) 개간(100만m2이상) 등 2개사업

관광단지 Ÿ 온천개발(30만m2이상) 등 6개 사업

산지개발 Ÿ 초지조성(30만m2이상) 등 3개 사업

특정지역개발Ÿ 지역균형개발 및 지방중소기업육성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시행되는 도시개발분야 내지 산지개발분야의 사업들

체육시설 Ÿ 스키장(25만m2이상) 등 5개 사업

환경기초시설 Ÿ 분뇨처리시설(100kl/일 이상) 등 2개 사업

국방군사시설 Ÿ 국방․군사시설(33만m2이상) 등 3개 사업

토석 등 채취 Ÿ 산림내 토석 등 채취(10만m2이상) 등 4개 사업

표 1 환경․교통․재해 등에 관한 영향평가법의 대상

Ÿ 택지 공단 조성 등 대기 수질 오염 등 복합적 환경오염이 발생될

것으로 우려되는 사업

¡ 본 황산물류저장시설의 규모는 5,424m2이므로 환경․교통․재해 등에 관한

영향평가법의 대상에 포함되지 않음

1.3 사업의 추진경위

1.3.1 관계 인․허가 사항

Page 13: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3

¡ 2000.12.06. 비관리청항만공사 시행허가 (동해지방해양수산청)¡ 2000.11.09. 동해역 황산수송시설 설치 승인 (철도청)¡ 2002.08.17. 비관리청항만공사실시계획신고수리 (동해지방해양수산청)¡ 2002.09.12. 건축 및 공작물 축조 신고 요청 (동해시)¡ 2002.10.01. 건축 및 공작물 축조 신고에 대한 수리거부 (동해시)¡ 2002.10.15 춘천지방법원에 소장 접수(대 동해시장) (주식회사 영풍)¡ 2003.07.03 건축 및 공작물 축조 신고에 대한 수리거부 처분 등 취소

(춘천지방법원)¡ 2002.08.24. 위험물 저장취급소 설치허가 (동해소방서)¡ 2003.08.04. 건축 및 공작물 축조 신고 (동해시)¡ 2003.08.04. 대기배출시설설치 신고 (동해시)

1.3.2 관련 진행상황

¡ 2000.12.06. 비관리청항만공사 시행허가 (동해지방해양수산청)¡ 2005.08.18. 공사 일부 착공 (주식회사 영풍)¡ 2005.12.20. 국민고충처리위원회 공사중지 진정서 제출 (시민모임)¡ 2006.02.14. 국민고충처리위원회 적법진행 회답

¡ 2006.08.10. 황산저장시설을 반대하는 동해시민의 모임 발족

¡ 2006.12.12. 황산 및 아연정광석에 관한 포럼

¡ 2007.10.17. 황산저장시설 설치철회 촉구를 위한 건의안 제출(동해시의회)¡ 2007.12.06. 황산저장시설 안전성 및 유해성 조사 용역사업 시작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4 사업 내용

¡ 명 칭: 동해항내 황산물류시설 설치

¡ 위 치: 강원도 동해시

¡ 사업 시행자: (주) 영풍

¡ 승 인 기 관: 동해지방해양수산청, 철도청, 동해소방서

¡ 사 업 기 간: 착공일로부터 7개월

¡ 시 설 계 획: 황산저장탱크 (7,500톤급 2기, 직경 20m, 높이 14.75m) 및 부대시설

¡ 부 지 사 용: 동해항 서부두 끝단 배후부지 5,424m2 (1,641평)

Page 14: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4

그림 1 현장위치도

Page 15: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5

그림 2 황산저장시설 설치부지 (공사중, 도로쪽으로부터

촬영)

그림 3 황산저장시설 설치부지 (항구쪽으로부터 촬영)

Page 16: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6

제 2장 본 조사용역사업의 개요 및 범위

2.1 연구사업의 개요

2.1.1 연구사업의 목적

¡ 2.2 절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사업의 조사대상인 황산물류저장시설의

면적은 5,424m2이기 때문에 영향평가대상에 포함되지 않으나, 황산물류저

장시설에 대해 지역주민 등이 환경오염 및 유독성 문제를 이유로 집단민

원을 제기하여 현재 공사 진행이 중지됨에 따라

¡ 동 시설 설치와 화물 취급에 따른 항만과 그 주변지역 환경 및 안전에

미치는 영향 등 관련사항을 논리적으로 분석하여 사업재개 또는 허가 취

소여부를 검토하기 위함

2.1.2 사업 수행기간

¡ 본 사업 수행기간은 착수일로부터 90일로 하며, 발주청의 요구에 따라

과업종료전이라도 부분적으로 정리 작성하여 그 성과를 제출하여야 하며

수행 중에 제출된 자료라 하더라도 최종보고서에 포함 작성하여야 함

¡ 본 과업의 효율적인 성과를 거두기 위하여 안전 및 환경 유해 여부 중간

보고 및 최종보고를 2회 이상 가짐

2.2 조사 대상의 범위 및 내용

2.2.1 환경․교통․재해 등에 관한 영향 평가법 상의 조사범위

¡ 환경․교통․재해 등에 관한 영향 평가법의 조사대상 및 범위는 다음과 같음

¡ 동․식물상

Ÿ 해당 사업 시행으로 인한 동․식물 상에의 영향을 정성적으로 분석할

때 절․성토 등에 기인한 지형변화 등의 물리적 변화로 동․식물의 서

식지가 축소되고, 생활환경 변화요소인 비산먼지, 소음․진동의 증가

로 서식환경이 교란되어 동․식물상 일부가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

될 때 조사되는 항목

Ÿ 동․식물상에 영향을 가져오는 자연환경변화요소 및 대기질, 수질, 소음․진동 등 생활환경변화요소에 기인한 영향전역을 포함하게 됨

Page 17: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7

항 목 농도(ppm) 폭 로 시 간 피 해 영 향

TSP - -규폐증, 탄폐증 유발점막질환(기관지염), 알레르기(유기물 미립자에 의한 단백질과민증)반응

SO2

0.030.14

0.2~0.30.250.412

3~55

3.3~11.510~15

2050~100

100140~200

300400~500

연간평균치24시간 평균치

8시간1시간 평균치

7시간

10분10~15분1시간

8시간30분3일

환경기준환경기준소나무 영향 받음환경기준고사(알파파, 매밀, 보리, 크로바)처음인 자와 익숙한 자 모두 냄새 못 느낌10명중 1,2명이 다른 물질임을 느낌냄새로서 발생원의 확인 가능흡입한 자는 불쾌감을 느낌사람마다 코와 기도의 자극증상을 일으킴목구멍에서 점액을 배출현저함 자극감, 눈자극과 기침을 일으킴단시간에 견딜 수 없을 정도임기관지 및 폐조직의 장애흡입 시 재채기와 눈물 나옴흡입불가능단시간에도 생명이 위험

NO2

0.050.050.150.21~3513

10~4020~4050~100

100500

연간평균치24시간 평균치1시간 평균치

8시간

계속노출

6~8주3~5분3~5분

환경기준 환경기준 환경기준 우주여행 허용기준취각탐지산업안전 허용기준눈• 코의 자극, 폐기관 불쾌감, 중추신경 영향만성 폐섬유와 폐기종식물의 세포파괴로 염록색이 갈색이 됨만성폐쇄성 기관지 폐염인후의 뚜렷한 자극과 심한 기침기관지 폐염이 겹힌 급성 폐부종

CO

5820100200300500

2,000

20분1개월 평균치8시간 평균치

3시간5시간8시간4시간2시간

신경계 반사작용 변화환경기준 환경기준 체내 혈액 10% 기능 상실격렬한 두통시각, 정신기능의 장애시력장애, 허탈감, 탈력감, 토마토잎에 피해사 망

O3

0.060.10.20.3

0.5~11~39

8시간 평균치

1시간 평균치

1시간2시간

환경기준 마을냄새를 감지할 수 있음환경기준폐, 인후의 자극호흡량 감소허탈감, 탈력감폐수종, 폐출혈, 폐부종

표 2 대기오염물질이 인체 및 식물에 미치는 영향

Page 18: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8

소음도(dB(A))와발 생 원

영 향 비 고

30-벽시계 소리 •쾌 적 •침실내 소음기준

35-조용한 공원 •수면에 거의 영향 없음 (WTO) (수면깊이 3도내외, 열면)

40-냉장고 소리 •수면깊이 낮아짐

(35dB(A) 대비 수면시간 40%증가) 50-조용한 사무실 •호흡•맥박수 증가, 계산력 저하,수면깊이 저하

(35dB(A) 대비 수면시간 80% 증가)

60-백화점내 소음 •소음으로 인한 위생적(건강보전)한계 •산발적인 민원발생

65-보통 음성 •정신집중력, TV• 라디오• 전화 등의 청취 장애 (환경기준 설정)

70-전화벨 소리 • 말초현관 수축, 부신피질 호르몬 감소 •작업장내 소음기준

75-도로변 소음 • 청력손실이 일어나기 시작함

80-철도변 소음 • 양수막 초기파열 현상의 출현

90-방직공장 소음 • 소변량 증가, 난청이 발생함

100-자동차 경적음

표 3 소음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 대기질

Ÿ 해당 사업이 시행됨에 따른 대기질 영향은 절․성토 공사 등으로 인

한 비산먼지 증가가 주요소이므로, 일반적으로 TSP를 기준으로 영

향권을 설정함

Ÿ 일반적으로 대기오염물질이 인체 및 식물에 미치는 영향은 표 에

제시한 바와 같으며, 환경기준을 초과할 때 악영향이 나타남

¡ 소음․진동

Ÿ 해당 사업시행으로 인한 주요 소음 발생요소는 공사 중 장비가동에

따른 건설소음, 발표소음, 진동과 사업완료 후 운행차량에 따른 교

통소음으로 대별할 수 있음

Ÿ 인체가 장기간 소음에 노출되었을 때 나타나는 악영향은 표 에 제

시한 바와 같음

2.2.2 본 조사사업의 범위 및 내용

¡ 연구내용

Page 19: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9

Ÿ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와 취급에 따른 항만과 그 주변지역 환

경에 미치는 조사 및 분석

Ÿ 황산시설로 인해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사회적 영향 및 건강영향

의 조사 및 해결방안 제시

Ÿ 황산의 환경 유해성 여부 검토

Ÿ 황산의 안전관리를 위한 시설 설치 및 사고 발생시 대처 방안 검토

- 안전 관리를 위한 시설․장비 설치 및 저장․보관 관리방안

- 대기 유출시 피해 영향 조사 및 안전 대처방안 방법 조사․분석

Ÿ 황산저장시설 설치로 동해항과 그 주변지역 발전에 긍정적인 면과 부정

적인 면 검토

Ÿ 안전, 환경성 위해여부 등 관련사항 연구․분석으로 사업재개 또는 허

가 취소여부 검토

2.2.3 본 조사사업의 상세내용

¡ 민원의 개요파악

Ÿ 현장조사시 현지 주민의 현지면담 등을 통해 민원의 주요내용을 파

Ÿ 사업시행자인 (주)영풍과 주민간의 의견차이의 근본적인 원인과 해

결책 등을 조사

Ÿ 환경분쟁조정위원회내 황산저장시설 설치에 따른 조정사례 등 유사

사례를 조사

¡ 현황조사

Ÿ 항만내 황산 화물 취급에 따른 안전 및 환경 유해여부를 조사

Ÿ 황산저장탱크의 동해항 내 설치에 따른 항만 인근 지역 주민 안전

및 지역 발전 저해 여부를 황산탱크가 소재되어 있는 타 지역과 비

교 검토

Ÿ 황산 유출사고 발생시 지역 주민과 인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심

층적으로 조사․분석

Ÿ 동해항 내 황산 화물 취급에 따른 안전 및 환경 유해 여부를 타 항

만과 비교 조사

¡ 민원의 원인분석 및 영향검토

Page 20: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10

Ÿ 민원 현지조사, 사업자 의견, 분쟁조정사례 등 민원의 주요 원인을

분석

Ÿ 사고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고, 이에 대한 피해 영향 정도를 분석

Ÿ 조사시 민원인들이 주민 설명회 또는 공청회를 요구할 시 수급업체

는 이에 대한 설명자료를 작성

Ÿ 각각의 요인에 의한 주민 안전 및 환경영향을 검토 분석

Ÿ 검토․분석의 방법은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방법에 의해 실시

¡ 대책방안의 수립

Ÿ 각각의 안전, 환경영향에 대한 대책방안을 다각적으로 검토 제시한다.Ÿ 제시되는 대책방안은 실현 가능성이 있어야 한다.

2.2.4 조사 방법의 개요

민원개요파악

현황조사민원의

원인분석 및영향검토

대책방안수립

최종안제시

• 동해지방해양수산청 요청검토• 시민단체 민원파악• ㈜ 영풍 민원파악

• 황산의 유해성 조사• 유사사례 파악• 유사사고 방지안 검토

• 민원 상세분석• 시설의 영향평가• 환경영향평가

그림 4 연구방법의 개요도

2.3 조사기관 설명

¡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제련기술을 연구하는 국내 유일의 정부출연연구기

Page 21: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1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정관

제1장 총 칙

제1조(명칭) 이 법인은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하 “연구원”이라 한다)이라 칭한다. 제2조(목적) 연구원은 과학기술분야정부출연연구기관등의설립?운영및육성에관한법률(이하 “법”이라 한다) 제8조 제1항에 의거 설립되었으며, 국토와 주변해역 및 해외의 지질조사와 부존자원 관련 연구를 통하여 과학기술과 국가경제발전 및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제3조(소재지) 연구원은 주된 사무소를 대전광역시에 두며, 제6조에 의한 관할 연구회 이사회(이하 “이사회”라 한다)의 의결을 거쳐 필요한 곳에 부설기관, 분원, 해외사무소 등을 둘 수 있다. 제4조(사업) 연구원은 제2조의 규정에 의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 각호의 사업을 행한다. 1. 육상 및 해저 지질조사와 지질과학 연구 2. 부존자원의 탐사, 개발, 활용 및 폐자원의 재활용 연구 3. 지하수자원의 탐사, 개발 및 보전 연구 4. 지진을 포함한 지질재해 연구 5. 지질환경 보전 및 지하공간 연구 6. 지질과학과 부존자원 관련 자료의 정보화, 성과보급 및 정책연구 7. 지질과학과 자원에 관한 연구 및 시험, 설계, 시공, 감리를 포함하는 수탁연구사업 8. 지질․자원관련 시료에 관한 감정, 시험 및 분석 연구 9. 국내외 연구기관, 교육기관, 전문단체, 산업체와의 공동연구개발, 기술협력 10. 과학기술분야의 전문인력 양성 11. 기타 연구원의 목적달성을 위하여 필요한 사업 및 전 각호에 부대되는 사업

표 4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정관

관이며

¡ 제련기술 중 습식제련기술은 주로 황산, 염산, 질산, 과염소산 등의 다양

한 산을 이용하여 대상물질로부터 유가물을 침출 (유가물을 용액으로 녹

여내는 공정)시키는 기술이며

¡ 이에 따라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자원활용소재연구부는 고농도 강산의

취급시 주의사항 및 안전조치 사항에 대하여 숙지하고 있으며, 강산의 물

리적․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있어 취급 방법 및 보관에 대한 내용도 숙

지하고 있는 전문가 집단임

Page 22: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12

¡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정관에는 ‘지진을 포함한 지질재해 연구’ 및 ‘지질

환경 보전 및 지하공간 연구’ 등의 연구사업을 진행하도록 명시되어 있음

¡ 2.2 절에 기술한 바와 같이 당 황산저장시설 건설에 대한 환경영향평가는

환경․교통․재해 등에 관한 영향평가법에 해당되지 않기 때문에 본 조사사

업은 3.2 절에 기술한 바와 같이 황산저장시설의 안전성 및 유해성에 초

점을 맞추어 진행하게 되었으므로 강산 취급의 전문가인 한국지질자원연

구원의 자원활용소재연구부가 조사사업을 진행하게 되었음

Page 23: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13

제 3장 황산 저장시설 설치지역 개황

¡ 황산 저장시설이 위치하는 동해시의 지역 개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동해

시, 동해기상대, 강원지방기상청, 동해지방해양수산청 등의 관계자에 접촉

하여 자료를 취합하고 이하와 같이 정리하였음

3.1 동해시 개요

¡ 동해시는 강원도의 영동 남부지역에 위치하여 동으로는 해안선을 경계로

하여 경도상으로 동경 129도 09분에 걸쳐 있으며, 서로는 백두대간의 등

허리인 태백산맥을 이어주는 백복령, 고적대, 청옥산, 두타산이 동경 128도 57분에 걸쳐 있음

¡ 동해시는 동서의 길이는 약 17.8km 남북은 약 19.8km에 달하며 동방은

20.7km의 해안에 연접하고, 서방은 정선군 임계면, 남방은 삼척시 교동, 도원동, 미로면, 하장면, 북방은 강릉시 옥계면과 접하여 3개 시군, 4개면, 2개동과 경계를 이루고 있음

¡ 육상교통로는 동해고속도로의 기점과 국도 7호선이 시내 중심부를 통과

하고 국도 38호선, 42호선의 기점이 되고 있으며, 철도로는 영동선, 해상

교통으로는 동해항과 묵호항 등 2개의 국제항을 보유하고 있음

¡ 태백산맥의 동쪽이 급경사인 관계로 강 유역이 짧아 범람은 없으나, 강물

의 유속이 빨라 갈수기에는 용수부족 현상이 간혹 있음

¡ 동해시 일대는 다양한 지층이 나타나고 있어서 고생대의 조선누층군의

중부와 평안누층군의 대부분, 이들에 관입한 편마상화강암과 신생대의 우

백질화강암을 주로하고, 이들을 부정합으로 덮고 있는 신생대 4기의 홍적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조선누계군에 포함되는 풍촌석회암이 묵호

항에서 북평까지 분포하며, 백색내지 회백색의 석회암으로 이 암층에 천

곡 동굴이 발달되어 있으며, 묵호항을 기점으로 남북으로는 평안누계층이

4km에 걸쳐 나타남

¡ 동해시 지역은 영동지역의 기후적 특성을 대변하고 있어서 해발 1,000m를 서쪽으로 상회하는 태백산맥의 준령을 병풍삼아 동해쪽에는 큐루시오

난류의 영향을 받는 연안해류의 직접적인 영향으로 연평균 기온은 12.5℃

내외, 1월 평균기온은 0℃, 8월 평균기온 24.1℃로 최저기온월과 최고기온

월의 온도차이가 35.1℃내외로 나타내고 있어서 동위도상의 다른 지역에

Page 24: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14

구 분동해시 송정동

면적(㎡) 구성비(%) 면적(㎡) 구성비(%)

과수원

목장용지

임야

대지

공장용지

학교용지

도로

철도용지

주유소용지

창고용지

10,303,8655,757,423

129,42326,908

137,150,8925,963,3733,630,434

619,2575,244,5241,016,127

62,79567,487

6.13.40.10.0

80.73.52.10.43.10.60.00.0

238,497489,325

--

42,770389,046285,22721,753

278,086209,373

8473,708

12.225.0

--

2.219.914.51.1

14.210.70.00.2

계 169,972,522 100 1,958,542 100

표 5 지목별 토지이용 현황

비하여 겨울은 3~4℃ 높아 온난한 겨울이 되고, 여름은 2~3℃로 낮은 시

원한 여름의 기후적 특성을 보이고, 청명한 날씨 100일, 흐린 날 91일, 비오는 날 106일, 눈 또는 기타 42일의 천기일수를 보임

¡ 강수량은 연평균 1,175.4mm로 우리나라 평균값 정도에 해당되고, 최다우

월은 10월로 615.5mm, 최소우월은 12월로 0mm이지만, 12월을 제외하고는

100mm 이상으로 비교적 월별강우분포가 고른 편이며, 우리나라의 대부분

의 지역에서 강수량의 극대값이 9․10월 2회 나타나듯이 동해시도 10월에

최대값이 나타나 장마기의 강수량보다 태풍, 열대성 저기압 등에 의한 강

수량이 많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음

3.2 토지이용현황

¡ 황산저장시설 설치사업부지가 위치한 송정동은 동해시 전체 면적의 약

1.2%를 차지하며, 송정동의 지목별 토지이용은 답, 대지, 공장용지, 도로

순으로 조사되었음

Page 25: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15

구분동해시 송정동

대기 수질 대기 수질

1종

2종 1

3종 4 2

4종 17 10 2 2

5종 40 130 8 26

계 61 141 12 28

표 6 대기 및 수질오염 배출시설 수

3.3 환경오염물질 배출시설

¡ 동해시 및 송정동의 환경오염물질 배출시설은 다음과 같음

¡ 상기의 환경오염 유발시설 이외에 소음 및 진동을 발생시키는 시설이 동

해시 전체에 56 개소, 이 중 송정동에는 1개소가 존재함

3.4 기타 시설물

¡ 일반적으로 환경영향평가에서는 상기의 시설물 이외에 주요보호대상 시

설물 (취수장 등), 천연기념물, 문화재 현황, 환경기초시설 등을 다루게 되

어있으나 본 조사사업의 대상이 되는 황산저장시설은 동해항의 야적장으

로 조성되었던 장소에 세워지게 되므로 건설에 따른 피해사항이 예측되

지 않아 본 조사에서는 다루지 않음

3.5 동해시의 기후

¡ 동해시는 태백산맥 동쪽해안에 위치하여 동해바다와 태백산맥의 영향을

받으며, 해양성기후의 특징이 나타남. ¡ 연평균기온은 12.5℃정도로 해풍의 영향을 받아 연교차가 적음. ¡ 여름철 최저기온은 강릉이나 삼척에 비하여 2℃정도 낮게 나타나고, 겨울

Page 26: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16

철 최저기온은 서해안의 인천이나 서울에 비하여 3℃정도 높음. ¡ 바람은 봄철에 서∼남서 계열의 바람이 불면 푄현상에 의하여 일시적으

로 높은 기온이 나타날 때도 있음. ¡ 봄, 가을에는 남남서∼서남서풍, 겨울에는 남서 또는 북풍 계열이 탁월함. ¡ 강수량은 1,200∼1,300㎜로 여름과 가을에 걸쳐 70∼80%가 집중적으로 내

리고 봄에는 10%정도로서 서풍의 건조한 바람과 함께 봄 가뭄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연중 폭우·폭설이 2∼3차례 나타나기도 함. ¡ 1971년부터 2007년까지 동해시의 연중 최고 온도는 1993년을 제외하면

35℃ 부근을 나타내고 있음

¡ 동해시의 연중 최저기온은 다양하게 나타나나 주로 -12도 부근이었으며

최근 최저기온이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음

¡ 동해시의 일 최다 강수량은 해마다 변동이 심한 편이나 많을 때는 300㎜

에 달할 때도 있었음

¡ 동해시의 최심적설량은 평균 30㎝ 정도를 나타내고 있으나 1978년에는

94㎝를 기록한 적도 있었음.¡ 동해시의 최심적설량은 1980년대 말부터 큰 변화가 없는 편임

¡ 동해시의 최대풍속은 평균 30 m/s 전후였으며 1071년 이후 관측결과에서

40 m/s를 넘는 경우도 2회 (1983년, 1997년) 나타났음

0

5

10

15

20

25

30

35

40

1971 1976 1981 1986 1991 1996 2001 2006

연도

온도

그림 5 동해시의 연중최고기온

Page 27: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17

-18

-16

-14

-12

-10

-8

-6

-4

-2

0

1971 1976 1981 1986 1991 1996 2001 2006

연도

온도

그림 6 동해시의 연중최저기온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1971 1976 1981 1986 1991 1996 2001 2006

연도

강수

량 (

mm

)

그림 7 동해시의 일 최다강수량

Page 28: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18

0

20

40

60

80

100

1971 1976 1981 1986 1991 1996 2001 2006

연도

최심

적설

량 (

cm

)

그림 8 동해시의 최심 적설량

0

10

20

30

40

50

1971 1976 1981 1986 1991 1996 2001 2006

연도

풍속

(m

/s)

그림 9 동해시의 최대 순간 풍속

Page 29: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19

3.6 동해항의 위치 및 특징

¡ 동해항은 옛 송정해수욕장을 1975년부터 개발하여 1979년 2월 8일 개항

한 항만으로서 주로 시멘트와 석회석을 국내외에 수송하여 오다가 1998년 11월 18일 금강산 관광선 취항으로 그 명성이 전 세계 관광업계에 널

리 알려지게 되었음

¡ 2001년 영동고속도로 4차선 확장공사 완료 등 배후여건이 조성되면서 현

재 주로 부산ㆍ인천항 중심의 컨테이너 등 화물수송이 동해항으로 분산

처리될 것으로 전망됨

¡ 앞으로 환동해시대의 요충지역에 있는 동해항은 남북교류 및 북방교역과

국제해상관광의 선도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

¡ 굴입항만으로 조석간만의 차가 적으며, 채화, 체선이 없어 항상 입출항이

가능함

¡ 동해항은 단일규모로 세계최대인 쌍용시멘트 공장과 국내최대 규모의 합

금철 생산공장인 동부한농화학과 환동해권 물류, 산업, 북방교역의 전진

기가 될 북평산업단지가 연결되어 있으며, 향후 한반도 종단철도(TKR)와

대륙횡단철도(TSR, TCR)의 연결로 철의 실크로드 시대가 도래, 동북아

물류중심기지의 중심축으로 부각될 전망. ¡ 특히 지경 학적으로 동해항이 환동해권 중심에 위치해 있으며 동해안 인

접 국가들의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남북교류증대, 러시아 연해주, 중국 동

북 3성, 일본 서해안지역 개발등 측면에서 볼 때, 대륙과 해양 경제권을

아우르는 국제물류 거점항구로 부상과 함께, 천혜의 관광자원과 유리한

입지여건 갖춘 곳임

¡ 동해항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음

Ÿ 5만톤급의 선박의 입출항 및 하역 가능한 수심확보, 수심 : 10~14mŸ 넓은 야적장

Ÿ 선박입출항 직전까지 선적가능

Ÿ 부두 배후에 광활한 부지 확보: 북평산업단지 783천평(2,587천㎡), 물류유통단지 12만평(396천㎡)

Ÿ 대북방 항로와 환동해권 중심에 위치해 컨테이너 수송항으로 최적

Ÿ 입출항 선박의 안전한 향해 유도를 위한 관제시설운영, Port-Mis 연계하여 항만 운영 정보 교환

Page 30: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20

그림 10 동해항 전경 1

그림 11 동해항 전경 2

Page 31: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21

16500

17000

17500

18000

18500

19000

19500

20000

20500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연도

물동

량 /

천톤

그림 12 동해항의 물동량, 단위 천톤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연도

선박

/ 척

그림 13 동해항의 선박 입출항 통계

Page 32: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22

명 칭 H SO %

연실산 62.18

탑산 77.67

oil of vitriol 93.19

98% H SO 98.00

황산 monohydrate 100.00

fuming sulfuric acid 20% 104.49

fuming sulfuric acid 20% 109.00

fuming sulfuric acid 20% 114.63

표 7 황산의 명칭과 농도

제 4장 황산의 특성 및 개요

¡ 황산은 화학기호로 H2SO4로 나타내며 영어 명칭 Sulfuric acid, 그리고 유

산으로도 불리움

¡ 황산의 물리적 상태는 투명 액체이나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서 무채색에

서 갈색을 나타내기도 함

¡ 황산은 흡습성이 강하며 냄새가 없고, 끓는점 340℃, 어는점 10℃로 알려

져 있음. 다만 끓는점과 어는점은 황산의 농도에 따라 변화함.¡ 황산은 3.8 g 정도를 섭취하였을 경우 치사량일 정도로 위험한 유독물이

어서 최근 소방법 상 위험물에서 제외되었으나 취급에 세심한 주의가 요

¡ 환경배출량․이동량 조사방법에 의하면 황산과 같이 휘발가능성이 거의 없

는(증기압 ≒ 10-7) 화학물질에 대해서는 대기배출량 계산이 불필요하다고

명시하고 있음

¡ 즉, 황산은 대기에 의한 확산에 우려는 증기압이 큰 물질에 비하여 크지

않다고 볼 수 있으나 액상으로 존재하므로 액체를 통한 확산에 주의할

필요가 있음

¡ 이하에 황산의 화학적 특징과 황산과 관련된 산업동향에 대하여 정리하

였음

Page 33: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23

그림 14 황산의 제조공정

4.1 황산의 화학적 특성

¡ 황산은 무색, 점도가 큰 액체이며 보통 진한 황산(농황산)은 95~98%이고, 비중은 1.84정도임

¡ 97.35%가 최고 비중 1.8415로 표시하나 100% H2SO4는 1.8385이다. 끓는점

은 98.3% H2SO4가 최고이고, 그 이상의 H2SO4는 상온에서도 SO3를 방출

하며 98.3%로 저하됨

¡ H SO 의 화학적 성질은 농도에 따라 차이가 있고, dil.-H2SO4(묽은 황산)

인 때는 2염기산으로 해리하여 HSO4- 또는 SO4

2-로 되어 산화력은 없으나

conc.-H2SO4(진한황산)인 때는 특히 고온에서는 SO3를 발생하고, 산화력을

나타냄

¡ conc.-H SO (진한황산)의 수증기압은 매우 낮으며 물과 혼합할 때는 발열

하고, 물과의 결합력이 크다. 따라서 conc.-H SO (진한 황산)는 건조제,탈

Page 34: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24

수제롤 사용됨

¡ dil.-H SO (묽은 황산)은 강산의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이온화경향이 수소

보다 큰 금속을 용해하고 수소가스를 발생하나 이온화경향이 작은 금속

은 용해시키지 못함

¡ 그러나 황산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산의 성질은 약해지고, 주로 산화제

로 작용

4.2 황산의 산업동향

¡ 국내 황산 생산능력은 남해화학이 연간 95만 톤, 동부한농화학 40만 톤, 진해화학 20만 톤으로 유황을 원료로 사용하는 비료회사들이 62.0%를 생

산하고 있으며, 제련업체인 LS니꼬동제련이 40만 톤, 고려아연과 영풍이

가가 40만 톤, 15만 톤으로 35.7%, 기타가 2.3%를 차지하고 있음

¡ 비료회사들은 대부분 자가소비용이기 때문에 국내 황산시장은 금속 제련

사들이 주도하고 있는 실정임

¡ 96년 말 기준 국내 황산 총 생산량은 228만6000 톤으로 생산형태별로 보

면 남해화학, 동부화학, 진해화학 등 비료업체 생산량이 145만 톤으로

63.4%를 차지했으며 LS니꼬동제련, 고려아연, 영풍 등 제련업체 총 생산

량은 83만6000 톤으로 36.6%를 차지함

¡ 공급현황을 보면, 남해화학이 87만 톤을 생산하고 27만 톤을 수입, 100만

톤을 자가소비하고 14만 톤을 내수 판매했으며 동부한농화학, 진해화학

등도 각각 41만 톤, 17만 톤을 생산했으나 전량 비료 생산용으로 자가 소

비하였음

¡ 또한 LS니꼬동제련은 33만 3000 톤을 생산하고 3만 톤을 수입해 내수 판

매했으며, 고려아연과 영풍은 50만3000 톤을 생산하고 1만 톤을 수입해

내수 판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려아연의 공장 트러블 및 임시보수를 비

롯한 3만 톤의 생산 감축과 더불어 각 기업들의 정기보수와 시설가동 차

질 등으로 97년 상반기에는 황산 공급부족이 예상됨

¡ 한편, 96년 국내 공업용 황산의 용도별 수요를 보면 95년과 비슷한 수준

인데, 총 83만 6000톤 중 황산반토용으로 25만800톤이 사용돼 30%를 차

지하고 있고, 화학용 20만9000톤 25%, 이산화티타늄 16만7200톤 20%, 발열황산 8만 3600톤 10%, 전분• 조미료용 5만160톤 6%, 수출 및 기타로 7만5240톤이 사용돼 9%의 구성비를 보임

¡ 현재 세계 황산생산은 64%가량이 원소유황이 원료이고 파이라이트원료는

Page 35: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25

14%, 나머지 21%는 비철금속제련가스에서 생산됨

¡ 95년 세계 황산생산량은 1억4281만 톤으로 94년대비 6.1% 증가해 93년을

기점으로 2년 연속 증가함

¡ 세계 황산수요의 60%가 비료공업용인데 이 부문의 수요신장은 인광석자

원의 유무(有無)나 인구에 따라 다르다. 농업생산을 발전시켜야 하는 중국

과 브라질에서는 황산의 수요신장이 높지만 모로코 등에서는 인산비료수

출 증가가 둔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고 인산비료공업 쇠퇴가 지속되고

있는 서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유황수요가 정체 또는 마이너스 성장을 보

이임

¡ 95년 지역별 황산수요를 보면, 94년 평균 성장률은 5.9%였지만 비료공업

용의 신장률은 5.%로 평균을 밑돌았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을 알 수 없으

나 이전과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은 확실함

¡ 94년을 바탕으로 오는 2000년까지의 황산수요 예측을 보면, 비료공업용이

연평균 2.7%, 기타 공업용이 3.6%로 평균 3.0%의 신장률을 보여 일반 공

업용의 신장이 비료공업용을 웃돌 것으로 보임

¡ 그러나 오는 2000년에 비료공업용은 전체 수요의 59.5%를 자지해 최대

규모의 황산수요처가 될 것으로 생각됨

¡ 비료공업용의 경우, 중국은 5.8%, 아시아는 5.5%의 높은 성장이 예상되나

기타 지역은 1~3%의 저성자이 예상되고 향후 일반공업용에서 황산수요

신장이 전망됨

¡ 현재 황산무역량을 보면, 650만톤을 웃돌며, 지난 94년에는 658만톤을 나

타냄. 이중 EC역내에서 약230만톤, 캐나다와 미국에서 170만톤, 구소련과

동유럽지역에서 30만톤을 보여 전체 약 65%가량이 육상수송으로 무역이

이루어졌고 선박에 의한 해외수출은 일본의 무역량 107만톤을 포함해

250만톤에 이른 것으로 추산됨

¡ 한편, 반도체용 약품중 약 40%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고순도황산의 수요

가 장기적으로 감소 내지 정체될 것으로 예상됨

¡ 관련업계에서는 황산이 유독물이므로 환경관련 부대비용의 부담이 가중

되고 있어 암모니아수를 사용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대체

가 3~3년 내에 활발히 진행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 국내 고순도황산의 95년 시장규모는 1만 2000톤 정도를 보일 것으로 예

상되고 있으며, 향후에는 약 1만 5000톤 규모를 정점으로 정체 내지 감소

할 것으로 판단됨

¡ 국내 생산을 약 5000톤 규모로 국내 공급의 41.6% 정도를 차지하고 있음.

Page 36: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26

업체별 생산능력을 보면 동우반도체약품이 연간 1만 1000톤으로 95년에

66000톤이 증설됐으며, 고려아연이 47000톤, LS니꼬동제련이 5000톤 규모

를 보이고 있음 따라서

¡ 고려아연은 미국의 Ashland와 50:50의 지분으로 합작을 계획하고 있으며, 95년 12월내에 계약을 완료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짐. 사업형태는 Ashland의 제품을 수입해 package하는 수준으로 판매대행의 역할을 담당할 예정

이며, 주로 동남아 등으로 수출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짐.¡ 반도체 제조용 고순도 황산이 요구됨에 따라 동우반도체약품이 16MD램

용 고순도 황산을 생산중이고 고려아연과 LC금속은 MOS급 고순도황산

을 판매하고 있는데, 이들 기업의 생산능력은 1만2000톤으로 수입대체가

이루어지고 있음

¡ 국내 9개 생산기업의 총 생산능력은 271만5000톤이며 생산형태별 구성비

는 비료기업이 61%, 제련소가 38%, 기타 1%를 점유하고 있음

¡ 황산의 화학적 특성 및 산업동향 내용은 황산 및 아연정광석에 관한 포

럼에서 발표된 내용을 기초로 하고 기타 자료를 추가하여 작성되었음

Page 37: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27

0

200,000

400,000

600,000

800,000

1,000,000

1,200,000

1,400,000

중국

인도

호주

칠레

태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기타

2005

2006

그림 15 일반공업용 황산 수출동향 (단위: 톤) 자료:

한국무역협회

0

1,000

2,000

3,000

4,000

5,000

중국

싱가포르

대만

태국

일본

홍콩

말레이시아

기타

2005

2006

그림 16 반도체용 황산 수출동향 (단위: 톤) 자료:

한국무역협회

Page 38: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28

제 5장 황산저장시설의 개요

¡ 황산저장시설은 산업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제254조(위험물질 등의 제조

등 작업시의 조치) 및 제283조(부식방지)에 근거하여

¡ 2004년 10월 15일 공표된 ‘진한황산 및 발연황산 저장탱크의 공정설계지

침’에 의거하여 건설하도록 규정되어 있으며

¡ 본 장에서는 그 세부내용을 기술하고자 함

5.1 목적

¡ 이 지침은 산업안전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규칙"이라 한다) 제254조(위험물질 등의 제조 등 작업시의 조치) 및 제283조(부식방지)의 규정에

의하여 부식성물질인 진한황산 및 발연황산을 액체상태로 저장하는 상압

저장탱크의 공정설계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 황산저장탱크에서의 다양

한 형태의 부식으로 인한 폭발 및 부식성물질의 누출예방을 위한 기술지

침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5.2 적용범위

¡ 이 지침은 안전규칙 별표 1(위험물질의 종류) 제6호의 부식성물질중 온도

40℃ 이하의 진한황산 및 발연황산을 저장하는 금속재질로 제작된 상압

저장탱크에 적용하며 탱크 내 부를 라이닝(Lining) 처리한 경우에는 적용

하지 아니한다.

5.3 용어의 정의

¡ 이 지침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Ÿ "진한황산"이라 함은 농도 70 % 이상의 황산을 말한다.Ÿ "발연황산(Oleum)"이라 함은 무수황산에 삼산화황이 추가로 용해되

어 있는 황산을 말한다.Ÿ "수소취성"이라 함은 탄소강이 수소에 의하여 부풀음(Blistering) 또는

물러짐(Embrittlement)등의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Ÿ "킬드강(Killed carbon steel)"이라 함은 실리콘이나 알루미늄 등으로

산소를 완전히 제거(Deoxidation)시킨 탄소강을 말한다.

Page 39: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29

¡ 기타 이 지침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이 지침에서 특별히 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산업안전보건법, 동법 시행령, 안전규칙 및 고시에서

정하는 바에 따른다.

5.4 설계

¡ 설계기준

Ÿ 진한황산 및 발연황산 저장탱크의 설계압력 및 온도는 KOSHA Code D-31-1998 상압저장탱크의 공정설계 기술지침 에 따른다.

Ÿ 황산저장탱크의 옆판의 최소 두께를 계산할 때에는 황산의 비중을

2로 적용한다.

¡ 재질

Ÿ 황산저장탱크 및 그 부속설비의 재질로는, 가장 낮은 사용온도에서

충분한 노치 충격강도(Notch impact strength)를 갖고 있는 킬드강 이

상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만, 탄소강 재질은 농도 80∼88 % 및 99.5∼100.5 % 사이의 황산저장탱크재질로 적절하지 않으므로

<표 1>을 참고하여 합금강 재질을 선정하며, 재질번호에 따른 재질

의 명칭 및 그 조성은 <부록>과 같다.Ÿ 탄소강 또는 저합금강 재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소취성의 위험

이 있기 때문에 최대 인장강도가 620 ㎫(6326 ㎏f/㎠)을 초과하는 재

질을 사용하여서는 아니된다.Ÿ 탄소강 재질 또는 합금강 재질의 용접부위의 경도는 약 240 브리넬

경도 이하로 유지하여야 한다. 다만, 브리넬 경도가 24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용접부위를 후열 처리하여 용접부위 경도를 240 이하로

유지하여야 한다.Ÿ 발연황산과 회주철(Gray cast iron)이 접촉하게 되면 균열이 발생하므

로 발연황산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기기의 재질로 회주철을 사용하

여서는 아니된다.Ÿ 탄소강은 농도가 70% 이하인 황산과 접촉하면 심하게 부식되고 수

소가 발생되므로 진한황산저장탱크에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Ÿ 황산저장탱크 및 그 부속설비에서 철 성분에 의한 오염이 문제되는

Page 40: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30

일반명칭 (재질번호) 황산의 농도

합금강 254 SMO(S31254), 합금강 C 276(N10276),합금강

AL-6XN(N08367), 합금강 20 Mo-4(N08024), 합금강 20 Mo-6(N08026), 합금강 825(N08825), 합금강 28(N08028), 합금강 904L(N08904), 합금강 C-22(N06022), 합금강

G-30(N06030), 합금강 C-4(N06455), 합금강 1925 hMo(N08926), 합금강 625(N06625), 합금강 G-3(N06985), 합금강 20 Cb-3, 합금강 20(N08020), 합금강 925(N09925), 합금강 59(N06059)

70-100

SUS 316(S31600), SUS 316L(S31603) 90-100.5

SUS 304(S30400), SUS 304L(S30403) 90-100.5

표 8 황산농도별 합금강 재질 선택기준

황산분류 부식 여유(㎜)

진한황산

발연황산

6.03.0

표 9 탄소강 재질의 부식여유

경우에는 황산저장탱크 내부에 적절한 재질로 피복하여 사용한다.Ÿ 농도 93∼98 %의 황산저장탱크에는 양극부식을 적용하여 탄소강 재

질의 부식속도를 줄일 수 있다.Ÿ 가스킷 재질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또는 불소 성분

이 함유된 고무수지를 사용한다.

¡ 부식여유

Ÿ 탄소강 재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표 2>의 부식여유를 고려하여

제작하는 것이 좋다. 다만, 페놀수지 등 내피복을 한 경우는 그러지

아니한다.

¡ 내부부식

Ÿ 진한황산은 대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거나, 빗물이 탱크안으로 침투

하거나 탱크내부청소를 잘못하여 묽은황산으로 희석되면 탄소강 재

Page 41: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31

질의 부식을 촉진시킨다. 따라서 황산저장탱크의 통기설비 기능을

향상시켜 수분의 유입을 차단 되도록 한다.Ÿ 용접이 불량한 경우에는 용접 부위에서 부식이 발생하며, 이런 부식

부위를 통하여 황산과 습기가 접촉하여 내부 부식이 진행된다.Ÿ 철판의 밀 스케일(Mill scale)은 부식을 촉진시키므로 황산과 접촉하

기 전에 밀 스케일을 제거한다.Ÿ 지붕에 설치된 수평 맨홀 및 노즐, 탱크 상부, 탱크 내부의 기울어

진 면, 기울기가 있는 배관 등에서는 수소취성에 의한 부풀음 현상

이 발생할 수 있다.Ÿ 황산저장탱크의 인입 및 출구 측 부위에서는 침식 및 부식이 발생

할 수 있다.

¡ 외부부식

Ÿ 보온 처리된 황산저장탱크는 수분의 침투로 인하여 보온재 밑 부분

에서 부식이 발생한다.Ÿ 보온재 지지링, 노즐, 맨홀, 지붕과 옆판의 용접 부위, 지붕 및 옆판

의 부속물들은 보온재 밑 부분에서의 부식이 심하다.

5.5 탱크 설계

¡ 인입 노즐

Ÿ 황산저장탱크의 상부에 인입 노즐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림 1>과

같이 탱크 안으로 최소한 15 ㎝ 들어가도록 설치한다.Ÿ 황산저장탱크의 상부에 인입 노즐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지붕 중앙

가까이 설치하여 양 옆판의 부식을 최소화한다.Ÿ 황산저장탱크의 지붕 중앙 가까이 인입 노즐을 설치할 수 없는 경

우에는 인입 노즐을 가급적 옆판으로부터 멀리 설치하고 탱크 밑판

의 웨어 플레이트(Wear plate)로부터 60 cm 까지 인입 배관이 내려

오도록 하며 사이폰 방지를 위한 설비를 설치한다.

¡ 출구 노즐

Ÿ 황산저장탱크의 출구 노즐은 탱크의 옆판 또는 밑판에 설치한다.Ÿ 황산저장탱크의 출구 노즐에 연결된 출구 배관에는 탱크 가까이 출

구 밸브를 설치한다.

Page 42: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32

Ÿ 출구 밸브 전에 엘보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곡율 반경이 큰 것을

사용한다. 이 경우 엘보우의 두께는 출구 밸브 후단에 설치한 배관

의 두께보다 3㎜ 더 두꺼운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 통기 설비

Ÿ 황산저장탱크의 통기설비는 탱크의 최상부에 설치하여 수소가 탱크

내에 갇혀 있지 않도록 한다.Ÿ 통기설비는 수분의 유입이 최소화되도록 설계하여야 하며, 필요한

경우 황산저장탱크에 질소 봉입 시설을 설치하거나 또는 황산저장

탱크의 대기 벤트 배관에 탈습제 (데시칸트)를 설치한다.

¡ 맨홀 및 노즐

Ÿ 황산저장탱크에 접근이 용이하도록 맨홀을 설치한다.Ÿ 노즐이 옆판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소 부풀음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노즐의 도출 부위를 황산에 견딜 수 있는 재질(황산농도

별 합금강 재질 선택기준 참조)을 사용하여 상부 180 또는 360 돌아가면서 탱크 옆판 보다 25 ㎜ 탱크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내피복

하거나 또는 크래딩 재질을 사용한다.

¡ 웨어 플레이트

Ÿ 고정식지붕탱크인 경우, 인입 및 출구 배관 바로 밑 부분의 탱크밑

판에 웨어 플레이트를 밀폐(Seal) 용접한다

¡ 탱크의 지붕

Ÿ 황산저장탱크의 지붕은 자체적으로 지지될 수 있어야 하며 지붕의

지지 거더는 외부에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탱크의 지름이 큰 경우

에는 내부 지지대를 사용할 수 있다.Ÿ 황산저장탱크의 옆판과 지붕을 용접하는 경우에는 지붕이 이탈되기

쉽도록 완전하게 용접하지 않는다.

¡ 가열설비

Ÿ 농도에 따른 황산의 어는점을 고려하여 필요한 경우 적절한 가열설

비를 설치한다

Page 43: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33

¡ 액면계측장치

Ÿ 황산저장탱크에는 관형유리액면계(Tubular gage glasses)를 제외한 차

압 (Differential pressure)식 액면계, 초음파(Sonar)식 액면계, 방사선

(Radiation)식 액면계, 정전용량 (Capacitance)식 액면계 또는 부유

(Float)식 액면계를 설치한다.Ÿ 황산과 접촉하는 부위에는 316 스테인레스스틸, 합금강 20(Alloy 20)

또는 폴리테트 라플루오로에틸렌 내피복 재질의 액면계를 사용한다.

¡ 배관 및 밸브

Ÿ 황산배관 재질은 황산의 유속과 농도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상온에서 황산배관의 설계 유속 기준은 다음과 같다.(가) 탄소강 : 0.3∼0.9 ㎧

(나) 304 및 304L 스테인레스스틸 : 0∼1.8 ㎧

(다) 316 및 316L 스테인레스스틸 : 0∼2.4 ㎧

(라) 합금강(Alloy) 20 : 0∼6.0 ㎧

(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내피복배관 : 0∼15.0 ㎧

Ÿ 농도 70% 이상인 황산취급 배관에는 일반적으로 합금강 20(Alloy 20) 재질의 플러그(Plug) 밸브 또는 볼(Ball) 밸브를 사용한다.

5.6 제작 및 설치

¡ 탱크 밑판 두께

Ÿ 탄소강 재질의 탱크 밑판 최소 두께는 13 ㎜ 로 한다.

¡ 용접

Ÿ 모든 노즐 및 맨홀의 용접은 완전 용입 되도록 용접하여야 하며 탱

크의 내부 및 외부에서 양면 용접하여야 한다.Ÿ 모든 맞대기 용접은 철판의 두께에 따라 완전히 용입 되도록 하여

야 한다. 가능하면 이중 맞대기 용접을 한다.Ÿ 탱크의 밑판은 맞대기 용접을 한다. 겹치기 용접은 탱크 밑판의 제

작에 적용해서는 아니된다.Ÿ 탱크의 지붕은 맞대기 용접 또는 겹치기 용접을 한다.Ÿ 탱크의 밑판과 옆판은 완전 용입 되도록 용접하며 작은 보강판을

사용하여 양쪽에서 용접한다.

Page 44: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34

¡ 비파괴검사

Ÿ 모든 용접부위에 대하여 비파괴 검사를 실시한다.

5.7 방유제

Ÿ 황산저장탱크에는 KOSHA Code D-1-2001 방유제 설치에 관한 기

술지침 에 따라 방유제를 설치한다.Ÿ 방유제 내부는 내산 처리한다.Ÿ 펌프 주위에는 소량의 황산이 누출되더라도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

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산 처리된 확산 방지턱을 설치하고 그 내부

는 내산 처리한다.Ÿ 방유제 내에는 배수 펌프를 설치하여 방유제 내의 우수를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5.8 세안․세척 시설 및 보호구 비치

Ÿ 황산저장탱크 주위에는 세안 및 세척 시설을 설치한다.Ÿ 세안 및 세척에 사용된 물이 황산 저장탱크로 향하지 않도록 한다.Ÿ 황산저장탱크 주위에는 적절한 개인 보호구를 설치한다.

Page 45: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35

그림 17 상부인입노즐

그림 18 고정식 지붕탱크

Page 46: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36

그림 19 고정식 지붕탱크측면

그림 20 옆면 맨홀

Page 47: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37

제 6장 자료 및 현장 조사

¡ 황산저장시설의 안전성 및 유해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황산의 화학적 특

성 또는 ‘진한황산 및 발연황산 저장탱크의 공정설계지침’ 등의 기초 자

료 조사를 수행하고

¡ 기존 국내에 설치되어있는 황산저장시설들을 직접 방문하여 현장을 조사

하였으며

¡ 동해지방해양수산청, 주식회사 영풍, 설치반대모임 시민단체 방문하여 각

자의 사정을 청취하고, 중간보고회를 개최하여 질의․응답시간을 통하여 의

견을 청취하였음

¡ 본 장에서는 상기의 내용을 중심으로 조사사업 진행사항을 기술함

6.1 기초 자료 조사 수행

¡ 황산 및 황산저장시설에 관한 기초 자료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그 내용을

제 4장 ~ 제 5장에 서술하였음

6.2 국내 황산저장시설 방문

¡ 국내에는 현재 다수의 황산저장시설이 설치되어 있음

¡ 항구지역인 온산항에 총 5기로 고려아연의 3천톤과 2천톤급 저장시설 각

1기, 그리고 LS니꼬동제련의 5천톤, 3천톤 및 2천톤 각 1기가 설치되어있

¡ 기타 항구지역에는 인천항 한일탱크터미널 주식회사의 4,300톤 1기 그리

고 군산항에 남덕물산 주식회사의 4,600톤 1기가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음

¡ 도심지역으로는 서울 오류동에 경기화학 주식회사의 2천톤급 3기가 운영

되고 있음

¡ 기타 황산을 생산하는 고려아연, LS니꼬동제련, 영풍의 제련공장부지 및

비료공장 등 산업지역에 다수의 황산저장시설이 운영되고 있음

¡ 본 조사사업에서는 항구지역인 온산항, 도심지역인 오류동, 생산공장인

봉화군 영풍주식회사 제련소를 각각 방문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하였음

6.2.1 경북 봉화군 소재 영풍 제련소 방문

Page 48: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38

¡ 황산저장시설의 설치현황과 운영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경북 봉화군 소

재 주식회사 영풍 제련소를 2007년 12월 27일 방문하였음

¡ 제련공정에서 생성된 SO2 가스를 공장 외부로 배출하지 않기 위하여 부

산물로 생성되는 황산은 제련소 부지의 황산저장시설에 저장된 후, 기차

또는 트럭으로 이송됨

¡ 기차에 황산을 옮길 경우 지중의 관을 통하여 100 여톤 규모의 임시탱크

에 저장된 후 기차로 상차하게 됨

¡ 황산저장탱크는 공장 초기부터 가동되어온 것으로 20~30년 된 시설이 대

부분이나 정기적인 안전검사를 준수하고 있어 사용에 문제가 없다고 함

¡ 제련소의 황산저장탱크는 비교적 민가에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었음

6.2.2 울산시 온산공단 소재 온산항 방문

¡ 항구지역의 황산저장시설 설치현황과 운영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울산

광역시 온산항 소재 고려아연과 LS니꼬동제련의 황산저장시설을 2007년

12월 28일 방문하였음

¡ 온산항 황산저장시설에 저장되는 황산은 고려아연과 LS니꼬동제련의 제

련소 부산물로 생산되는 황산을 수출하기 전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시설

이며, 기술한 바와 같이 규모는 고려아연의 3천톤과 2천톤급 각 1기, 그리고 LS니꼬동제련의 5천톤, 3천톤 및 2천톤 각 1기임

¡ 수출을 위하여 배로 황산을 실을 때는 지중의 관을 통하여 임시 저장탱

크를 통하게 되며, 이후 다시 관을 통하여 배에 싣게 됨

¡ 이 과정은 사람이 직접 접촉하는 일이 거의 차단되어 있어 사고가 적은

편으로 알려져 있음

¡ 황산저장시설은 액체물 관리규정에 따라 엄격히 관리되고 있으며, 관리자

및 근무자가 안전규정을 준수하여 운영하도록 엄격한 교육이 실시되며

이행되고 있다고 함

6.2.3 서울특별시 오류동 소재 경기화학 방문

¡ 황산저장시설의 민가부근 설치지역으로 서울특별시 오류동 소재 경기화

학이 운영 중인 황산저장시설을 2008년 1월 18일 방문하였음

¡ 온산항 등의 시설을 포함하여 당 시설은 건설된 지 오래되어 주민들의

반발 등과 같은 평가는 현재의 동해항의 경우와 비교하기 곤란하였음

Page 49: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39

그림 21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 (주)영풍의 황산저장시설

그림 22 황산저장시설 옆 방재기구함 및 주의사항 간판

Page 50: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40

그림 23 경북 봉화군 (주)영풍의 황산저장시설 (기차 상차용

임시저장탱크)

그림 24 주식회사 영풍의 황산수송용 기차 차량

Page 51: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41

그림 25 (주) 영풍 제련소에서 바라본 황산저장시설과 민가의

전경

그림 26 울산광역시 온산항 소재 LS 니꼬 동제련의

황산저장시설

Page 52: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42

그림 27 울산광역시 온산항 소재 고려아연의 황산저장시설

그림 28 온산항 황산저장시설의 주의문구

Page 53: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43

시민단체 반대 사유

Ÿ 황산의 유독성

Ÿ 환경오염 발생우려

Ÿ 사고시 피해가 클 것임

Ÿ 지역개발 및 지역경제발전을 저해할 가능성

Ÿ 동해항의 효율적 이용 저해

Ÿ 북평공단의 조기분양 저해

Ÿ 지역경제 영향 미미

표 10 시민단체 반대 사유

6.3 관계자 방문 및 의견청취

6.3.1 동해지방해양수산청 방문

¡ 본 연구사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설치부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2007년 11월 7일과 12월 13일에 동해지방해양수산청을 방문 조사를 진행하였음

¡ 본 방문에 참석한 동해지방해양수산청 관계자는 권혁진 항무과장, 홍병

기, 이승욱 씨였음

¡ 동해항의 황산저장시설 설치 추진과 관련된 상황을 청취하였으며 본 조

사사업을 추진하게 된 경위와 동해지방해양 수산청 입장을 청취하였음

¡ 홍병기씨와 이승욱씨의 안내로 동해항 내 설치부지를 방문하여 사진촬영

및 현지조사

6.3.2 황산저장시설 설치반대모임 시민단체 방문

¡ 동해항 내 황산저장시설 설치를 반대하는 시민단체를 2007년 11월 7일과

2008년 1월 17일에 방문 조사를 진행하였음

¡ 시민단체로부터 황산저장시설 설치에 대한 우려 및 현재까지 진행상황, 반대이유를 청취하고 지금까지 수집한 시민단체의 자료를 받음

¡ 상기의 반대 사유 중 경제적인 부분은 본 조사사업의 연구대상이 되지

않으므로 조사하지 않았으며 황산의 유독성, 환경오염 발생우려 등의 문

제를 중심으로 검토 작업을 수행하였음

Page 54: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44

6.3.3 주식회사 영풍 본사 방문

¡ 본 동해항 내 황산저장시설 설치를 추진하고 있는 주식회사 영풍의 본사

(서울 논현동 소재)를 2007년 11월 14일에 방문하여 의견을 청취하고 관

련자료를 수집하였음

¡ 면담을 진행한 (주) 영풍 측 관계자는 맹윤호 사장, 조우종 부사장, 홍영

표 부장이 배석하였음

¡ (주) 영풍 관계자로부터 황산저장시설을 추진하게 된 경위, 관계인허가 등

진행상황 (재판내용 포함) 등 관련 상황을 청취하였음

¡ (주) 영풍으로부터 각종 공문 및 ‘황산 및 아연정광석에 관한 포럼 자료

집’ 등의 자료를 수집

6.3.4 기타 전문가 의견 청취

¡ 황산저장시설에 대한 안정성 및 유해성에 관한 의견을 청취하기 위하여

전문가 의견청취를 시도하였음

¡ 황산저장시설에 대한 안정성 및 유해성에 관한 용역사업계획서를 제출하

였던 환경운동연합(통화자 임지애 국장)은 ‘당초 2억여원의 사업계획서를

제출하였으나 거부되었고, 이로 인해 황산저장시설이 유해한지 무해한지

근거 없이 환경운동연합의 의견을 제시할 수 없음’이라고 얘기함

¡ 또한 관련 전공자 (교수 등)들을 대상으로 의견 청취를 시도(전화 등)하였

으나 본 조사사업에 대한 적극적인 의견 개진을 얻기 어려웠음

¡ 이와 같이 전문가들의 응답회피로 인하여 의견 청취가 불가능하였음

6.4 중간보고회 개최

¡ 환경․교통․재해 등에 관한 영향평가법에서 주민의견 청취를 위하여 공청회

등을 개최하게 되어있음

¡ 본 사업의 조사대상인 황산저장시설은 규모가 작아 당 법에 해당되지 않

으나 주민의 적극적인 의견청취 및 사업의 진행상황을 밝히기 위하여

2008년 1월 30일 오후 2시 동해지방해양수산청 청사 내에서 중간보고회

를 개최하였음

¡ 중간보고회에는 동해지방해양수산청 직원, 시민단체 관계자, 동해시의회

의원, 주식회사 영풍 관계자 20여명이 참가하였음

Page 55: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45

¡ 중간보고회는 조사사업이 시작된 이후 중간발표회 당시까지 조사된 내용

을 중심으로 발표되었고

¡ 이후 본 조사사업과 중간발표회에 대한 질문사항과 답변의 시간이 마련

되었음

¡ 중간보고회에서 최종보고회를 2008년 2월 28일 오후에 개최하기로 합의

하고 폐회하였음

¡ 이하의 표에 중간보고회 후 시간에 논의되었던 질의와 응답 내용을 요약

하여 정리하였음

6.5 최종보고회 개최

¡ 본 조사사업의 조사결과를 보고하기 위하여 2008년 2월 28일 오후 1시

30분 동해지방해양수산청 청사 내에서 최종보고회를 개최하였음

¡ 최종보고회에는 동해지방해양수산청 직원, 시민단체 관계자, 동해시의회

의원, 주식회사 영풍 관계자 50여명이 참가하였음

¡ 최종보고회는 조사사업이 시작된 이후 내용 및 중간발표회 때 제기되었

던 내용을 포함하여 조사 및 고찰된 내용을 보고하였음

¡ 이후 본 조사사업과 최종발표회에 대한 질문사항과 답변의 시간이 마련

되었음

¡ 이하의 표에 최종보고회 후 시간에 논의되었던 질의와 응답 내용을 요약

하여 정리하였음

Page 56: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46

질문 답변

Ÿ 동해항 경제성에 대한 영

향은?

Ÿ 본 조사 사업은 황산저장시설의 안정

성 및 유해성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사

항이므로 본 조사사업의 조사범위에

해당되지 않음

Ÿ 황산저장시설의 안정성 및

유해성을 조사하기에 조사

사업의 연구비가 2300만원

으로 너무 적지 아니한가? 주민 대면 의견 청취가 불

가능하지 않은가?

Ÿ 본 조사사업은 자료조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황산저장시설의 안정성 및

유해성을 중심으로 조사 사업을 진행

하고 있음.Ÿ 조사사업비가 크지 않으나 최선을 다

하여 황산저장시설의 안정성 및 유해

성을 조사할 것임

Ÿ 주민 대면 청취(동해시민 또는 (주) 영풍 인근 주민들에 대한 설문 등은 본

사업의 예산 상 불가능 함)

Ÿ 황산이 땅에 스며들게 되

면 어떤 현상이 벌어지는

가? 지질학적으로 어떤 영

향을 주게 되는가?

Ÿ 중간보고회 내용에서 밝힌 것처럼 황

산은 흡수성이 있고 강한 산성을 나타

냄. 이로 인하여 황산을 흡수한 지대는

흡수성에 의하여 생물체가 큰 피해를

입게 되고, 산성도가 강해지리라고 판

단됨

Ÿ 물과의 반응이 격렬하다고

하는데 위험성은? 치사량

은?

Ÿ 황산의 치사량은 3.8g이며 물과 반응할

때 온도가 상승하게 됨. 따라서 인체

접촉시 화상을 입게 될 가능성이 높음

표 11 중간보고회 질의․응답 내용 1

Page 57: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47

질문 답변

Ÿ 사고시 유출될 때는 어떻게

되나?

Ÿ 황산저장탱크에 누출로 인한 동해항

에 대한 피해 정도를 계산하여 보고

하겠음

Ÿ 지진이나 해일 등의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인데 위치가

적절하다고 평가되나?

Ÿ 질문의 내용을 검토하기 어려운 측

면이 있으나 결국 황산저장시설 누

출에 관한 문제이므로 피해정도를

계산할 결과로부터 검토하겠음

Ÿ 주식회사 영풍이 황산저장시

설을 동해항에 설치하는 목

적은 물류비용 저감이라고

하는데 과연 비용이 절감되

는가?

Ÿ 기본적으로 질문의 내용은 본 조사

사업의 범위를 벗어나는 내용으로서

영풍측이 답변해야할 사항이라고 판

단됨

Ÿ 주식회사 영풍 측에 문의해보겠음

(이후 조사에서 영풍 측은 장기적으

로 물류비용저감에 도움이 된다고

답변)

Ÿ 동해시에 황산저장시설이 들

어올 경우 쾌적함이 감소할

수 있고 시각적인 불쾌감이

올 수 있음

Ÿ 본 조사사업은 황산저장시설의 안정

성 및 유해성에 관한 부분을 조사하

는 사업으로서 본 질문은 사회학적

인 측면을 다뤄야 하므로 답변하기

에 적절하지 못함 그러나 시각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시뮬레이션을 통하

여 조사를 시도해보겠음

표 12 중간보고회 질의․응답 내용 2

Page 58: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48

그림 29 중간보고회 개최 공문

Page 59: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49

그림 30 중간보고회를 준비하는 발표자 및 발표회장 내부

그림 31 중간보고회 전경

Page 60: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50

그림 32 인사말을 하는 동해지방해양수산청 권혁진 항무과장

Page 61: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51

질문 답변

Ÿ 황산은 위험한가?Ÿ 황산은 직접 접촉할 시 위험하나 현재

소방법상 위험물에서 제외된 상태임

Ÿ 황산은 휘발되지 않는가?Ÿ 황산은 증기압이 매우 낮아 증발될 위

험은 적으나 물 등 타 물질이 섞일 경

우 성질이 변화할 수가 있음

Ÿ 아연정광석 등에 의한 피

해는? 등의 질문

Ÿ 아연정광석에 관한 사항은 본 사업의

조사사업 대상이 아님.Ÿ 영풍 기업 등에 관한 질문 등이 있었

으나 조사범위가 아님.

Ÿ 동해지방해양수산청 항무

과장에게 본 사업의 결론

이 사업실시 여부와 직접

적으로 관련되는가?

Ÿ 사업실시여부는 본 사업의 종료 후 시

민단체, 영풍과 협의할 수 있음

표 13 최종보고회 질의․응답 내용

Page 62: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52

그림 33 최종보고회 개최 결재 사본

Page 63: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53

그림 34 최종발표회 전경

그림 35 발표하는 정진기 연구원의 모습

Page 64: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54

제 7장 황산저장시설 사고사례 및 대책

¡ 본 장에서는 황산저장시설과 관련된 사고 및 우려 사항들을 정리하고 사

고 및 우려 원인을 분석하여 대책을 제시하고자 하였음

7.1 황산저장시설의 사고사례

7.1.1 『황산 및 아연정광석에 관한 포럼』에서 보고된 황산의 사고사례

¡ 황산 유출 사고

Ÿ 사건개요: 1991년 9월 18일에 경북 봉화군 소천면 국도 상에서 운수

회사소속 탱크로리 차량이 석포제련소에 황산을 싣고 대전으로 운

송 중 운전 부주의로 추락, 전복되어 황산 27톤이 유출됨

Ÿ 피해상황: 운전자 등 2명 부상, 사고지점(현동천) 하류 3㎞이내 물고

기 폐사

Ÿ 사후처리: 농업용수 및 식수로 사용치 말도록 방송계도, 임시반상회

개최 홍보, 중화작업 실시

Ÿ 문제점: 운전 부주의, 제6류 위험물로 안전관리자가 동승하지 않고

운송함

¡ 황산 저장탱크 파열

Ÿ 날짜: 2000년 8월Ÿ 기인물: 저장탱크

Ÿ 재해유형: 유해물질 접촉 질식

Ÿ 피해정도: 사망 1명, 부상 7명Ÿ 공정: 고장 펌프의 모터를 수리하던 중 2000년 8월 폐수처리장에서

농도 98%의 진한 황산을 탱크로리에서 황산 저장탱크에 주입하다가

탱크에서 황산증기 및 열이 발생하자 주입을 중단하고 탱크 주위에

서 고장난 펌프의 모터를 수리하던 중 PE 재질의 황산탱크가 파열

되면서 쏟아지는 황산에 접촉되어 화상을 입고 폐수 침전조에 빠져

사망하고, 이를 구하려던 주변 사업장의 근로자 7명이 황산에 접촉

되어 화상을 입은 사고임

¡ 뮤즈계곡사건(벨기에)Ÿ 1930년 12월 벨기에의 수도 Belgium에서 발생한 스모그 사건으로

Page 65: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55

100m의 뮤즈계곡에 위치한 금속, 유리, 아연, 제철의 공장에서 배출

되는 SO2, H2SO4 mist, 플루오르 화합물, CO, 미세입자 등이 계속 24㎞에 걸쳐서 무풍상태에 기온역전으로 연무 등과 같은 현상이 3일간 계속되었음

Ÿ 3일 동안 평상시 사망수의 10배인 약 60명이 사망했으며, 대부분 피

해는 심장이나 폐에 만성병을 가진 노인들이었고, 전 연령층에 호흡

기 자극성 질환자가 발생하여 대부분 기침과 호홉과 곤란하였음

Ÿ 그 외에도 가축, 새, 식물 등에 치사적 피해를 주었음

¡ 도노라사건(미국펜실베니아)Ÿ 1948년 10월 미국 펜실베니아주 피츠버그시의 남쪽 monogahel 강변

에 위치한 분지 내에 있는 공업도시인 도노라에서 발생한 사건임

Ÿ 이 도시에는 제철, 황산공장, 아연정련소에서 130m 계곡에 무풍상태

와 기온역전으로 공장배출가스인 SO2, H2SO4 mist 등의 정체현상으

로 연무를 발생하여 피해를 주었음

Ÿ 인구 14,000명 중 43% (중증 11%, 경증 15%, 중간증 17%)인 전 연

령에 자극 증상이 발생하여 이 중 18명이 사망했고, 약 6,000명의

환자가 발생했다. 특히 노인층에 만성심장질환, 기침, 호흡곤란, 흉부압박감 등의 증상을 나타내었음

7.1.2 시민단체에서 조사․취합한 사고사례

¡ 상기에 보고된 내용과 중복되는 사고사례는 생략함

¡ 황산유출사고

Ÿ 연도: 2007년 2월 9일Ÿ 장소: 충남 아산 우유공장

Ÿ 내용: 황산을 담아둔 탱크와 연결된 배관 밸브가 부식되면서 폐수희

석용 황산 1.8톤이 유출, 하수구를 통해 매곡천으로 흘러 들어갔음

Ÿ 피해상황: 물고기 수천마리 폐사(YTN)

¡ 황산 탱크 유출사건

Ÿ 연도: 1980년 4월 20일Ÿ 장소: 경부선 소상역 기점 1.5㎞지점

Page 66: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56

Ÿ 내용: 황산을 싣고 가던 열차가 경부선 소상역 기점 1.5㎞ 지점에

탈선 탱크로리가 파손되어 황산 28톤이 유출되었음

Ÿ 피해상황: 반경 2㎞까지 독가스가 번져 주민, 선로보수원 등 10명

호흡기 장애 및 화상을 입고 4명이 질식했으며 인근 마을 주민들

대피

¡ 황산 폭발 사고

Ÿ 연도: 2002년 5월 25일Ÿ 장소: 경북 봉화군 석포면 석포리 (주) Y제련소

Ÿ 내용: 폭발사고

Ÿ 피해상황: 근로자 등 3명 사망, 1명 중상

¡ 황산 유출 사고

Ÿ 연도: 1978년Ÿ 장소: 미국 볼티모아주

Ÿ 내용: 황산 저장탱크에서 황산 누출로 화상 및 호흡기 장애

Ÿ 피해상황: 근로자 100명 부상

¡ 무수황산 저장탱크 폭발

Ÿ 연도: 1986년 12월 17일Ÿ 장소: 전남 여천 석유 화학단지 내 (주) L사Ÿ 내용: SO2 저장탱크 내부온도가 상승하면서 탱크 허용 압력을 초과

저측부 이음면 부근에서 기계적인 폭발 및 2차 폭발

Ÿ 피해상황: 사망 1명, 중경상 23명 (인근주민)

7.1.3 본 조사사업에서 취합된 사고사례

¡ 상기에 보고된 내용과 중복되는 사고사례는 생략함

¡ 화학공장 황산 유출 (씨스켐 닷컴 2006년 5월 26일)Ÿ 연도: 2006년 5월Ÿ 내용: 2006년 5월 24일 전주시 여의동 폐수처리 중화제 생산업체인

K화학공장 저장고에서 황산 2t 가량이 유출되었음.Ÿ 원인: 저장고에 황산 10톤을 새로 주입하는 과정에서 기존 약품과

화학반응을 일으켜 균열이 발생하여 유출

Page 67: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57

¡ 황산이송탱크선박 사고 (Marine Pollution Bulletin Vol. 42, pp. 1114-1117, 2001)Ÿ 연도: 1998년 8월Ÿ 내용: 브라질에서 Chem Oil Company에 소속된 BAHAMAS의 탱크

12,000톤에 물이 유입되며 격렬한 발열반응이 일어나며 사고가 일어

¡ 트럭이송 중의 사고 (아프리카, allAfrica, 2006년 6월 22일)Ÿ 연도: 2006년 7월Ÿ 내용: 이송 중 3만리터의 황산이 유출되었으나 중화제로 처리됨. 운

전자는 가벼운 부상을 입었으나 곧 치료받음

¡ 열차이송 중의 사고 (카나다, CBCNEWS, 2007년 3월 31일)Ÿ 연도: 2007년 3월Ÿ 내용: 열차가 탈선되며 100톤의 황산이 유출됨. 강물을 음용수로 사

용하지 않도록 계도 조치

¡ 황산공장 폭발사고 (EBN 산업뉴스, 2008년 1월 14일)Ÿ 연도: 2008년 1월Ÿ 내용: 중국 원난성 성도인 쿤밍시에서 황산공장이 폭발, 5명이 사망

하고 32명이 부상을 당함.Ÿ 사고원인: 유황 하역과정에서 유황가루가 공기 중에 혼합된 가운데

고온의 불꽃이 발생하여 발생됨

¡ 황산 이송작업중 누출로 인한 화상 (7.2.1 절에 상세 내용 기술)Ÿ 연도: 2005년 6월Ÿ 내용: 공장내 황산출하장에서 황산저장탱크에서 로딩탱크로 황산을

이송작업을 하던 중 황산이 로딩탱크 상부로 흘러넘쳐 방유제 내부

로 누출되어 다음날 방유제 내부로 누출된 황산을 다시 로딩탱크로

이송하기 위해 이동용 펌프로 이송하던 중 호스연결부위에서 황산

이 비산되면서 화상을 입고 사망한 재해임.

Page 68: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58

그림 36 아프리카에서 2006년 6월에 발생한 황산유출사고 기사

그림 37 카나다에서 2007년 3월에 발생한 황산유출사고 기사

Page 69: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59

그림 38 중국에서 2008년 1월에 발생한 황산공장 폭발사고 기사

Page 70: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60

7.2 사고 발생원인 분석

7.2.1 사고내용 분석 및 정리

¡ 7.1절에서 총 15건의 사고를 기술하였으나, 이 중 뮤즈계곡사건, 도노라사

건, 무수황산 저장탱크 폭발사건은 황산이 아닌 SO2 가스에 의한 사건이

었음. SO2는 유해한 물질이기에 제련소에서 SO2를 처리하기 위한 공정에

서 생산되는 물질이 황산임.¡ 또한 황산공장 폭발사고도 황산이 아닌 황가루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본

절의 분석에서는 제외함

Ÿ 사고유형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음

Ÿ 황산 생산공정 중 부주의에 의한 사고

Ÿ 황산 이송을 위한 주입 등의 공정시 취급부주의 및 안전규칙 미수

행에 의한 사고

Ÿ 황산 이송 중 교통수단에 의한 유출 등 피해

¡ 황산 생산공정에서의 사고는 황산저장시설과 관련이 없으며, 황산 이송에

관한 사항도 황산저장시설 유해성 및 안정성의 범위에 벗어나기 때문에

다루지 않았음. ¡ 따라서 황산 이송을 위한 주입 등의 공정시 취급 부주의 및 안전규칙 미

수행에 의한 사고사항에 대하여 한국산업안전공단의 분석을 아래와 같이

기술하였음

¡ 이 분석에 의하면 황산저장에 부적절한 재질로 탱크를 만드는 등 기초적

인 사항도 지키지 않거나 공정 중 안전규칙을 무시하고 진행하여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보고되었음

¡ 즉 황산 저장시설의 안전한 운전을 위하여 안전규칙 준수 등에 관한 안

전교육 등의 철저한 관리․감독이 요구됨

7.2.2 한국산업안전공단 안전 제2005-11호 중대재해조사속보 내용

¡ 7.1.3절에 기술된 사건 내용임

¡ 재해개요

Ÿ 2005년 6월 ○일 08:00분경 경북 봉화군 소재 ○○제련소 공장내 황

산출하장에서 황산저장탱크(7,500톤)에서 로딩탱크로 황산을 이송작업

을 하던중 황산이 로딩탱크 상부로 흘러넘쳐 방유제 내부로 누출되어

Page 71: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61

다음날 방유제 내부로 누출된 황산을 다시 로딩탱크로 이송하기 위해

이동용 펌프로 이송하던 중 호스연결부위에서 황산이 비산되면서 화상

을 입고 사망한 재해임

¡ 재해발생 과정

Ÿ 공장내 황산출하장에서 황산저장탱크(7,500톤)에서 로딩탱크(80톤)로 황

산을 이송작업을 하던 중 황산이 로딩탱크 상부로 흘러넘쳐 방유제 내

부로 누출되어 유입밸브를 잠그고 탱크상부 및 탱크주변을 물로 세척

한 후

Ÿ 다음날 방유제 내부로 누출된 황산을 로딩탱크로 이송하기 위해 이동

용 펌프 설치 후 펌프를 작동시키고 이송작업을 하던중 호스연결부위

가 빠질 것 같아 재해자가 호스연결부위를 잡고 있던중 연결부위에서

황산이 비산되면서 화상을 입고 사망한 재해임

¡ 재해발생 원인

Ÿ 출하작업 부적절: 황산출하시 로딩탱크의 차단밸브가 경보음에 의해 수

동으로 조작되는 구조로 조작자의 실수로 위험물질이 누출될 위험이 있

었음

Ÿ 호스연결방법 불량: 호스 또는 배관등을 이용하여 탱크 등에 주입작업

시 결합부를 확실히 체결하고 누출이 없는 것을 확인하고 작업을 하여

야 하나 위험물질이 흐르는 방향에 작은 직경의 호스를 삽입하고 고무

밴드로 묶은 후 작업을 실시하여 토출압력에 의해 누출의 위험이 있었

Ÿ 근로자 안전보호구 미착용: 유해․위험물질 취급작업시 보안경, 보안면, 보호의 등의 보호구를 착용하고 작업을 실시하여야 하나 미착용하였음

¡ 동종재해 예방대책

Ÿ 출하작업시 안전조치 철저

Ÿ 긴급차단장치 설치

Ÿ 위험물질 주입시 호스 및 배관연결 철저 Ÿ 근로자 안전보호구 착용

7.2.3 한국산업안전공단 안전 제2000-30호 중대재해조사속보 내용

¡ 7.1.1절에 기술된 사건 내용임

¡ 재해개요

Ÿ 2000년 8월 ○일 12:55분경 경기 소재 ○○실업 내 폐수처리장에서

농도 98%의 농황산을 탱크로리에서 황산 저장탱크에 주입하다가 탱

Page 72: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62

크에서 황산 증기 및 열이 발생하자 주입을 중단하고 탱크 주위에

서 고장난 펌프의 모터를 수리하던 중 PE 재질의 황산탱크가 파열

되면서 쏟아지는 황산에 접촉되어 화상을 입고 폐수 침전조에 빠져

사망하고, 이를 구하려던 주변 사업장의 근로자 7명이 황산에 접촉

되어 화상을 입은 사고임

¡ 재해 발생 상황

Ÿ 농도 98%의 농황산을 적재한 10톤 용량의 탱크로리 차량이 폐수처

리장에 도착하여, 탱크로리 기사가 차량에서 약 10m 떨어진 폐수처

리장 내의 저장탱크에 주입하던 중 탱크에서 증기와 열이 발생하여

탱크로리 기사가 폐수처리장 관리용역업체 소속의 작업자에게 이

사실을 알림 ※황산탱크 : 용량 5.0㎥, 재질 PEŸ 탱크의 열이 식으면 다시 주입하기 위하여, 탱크로리에서 탱크로 공

급되는 라인의 밸브를 차단하고 공급 호스를 철거함.(당시 탱크에

총용량의 1/3 정도가 채워진 상태임)Ÿ 이후 재해자는 저장탱크 앞 약 2m 지점에 앉아 황산 저장탱크에서

보조 탱크로 황산을 공급하는 펌프의 모터를 수리하던 중 황산 저

장탱크가 갑자기 파열되면서 황산에 접촉되어 화상을 입고, 황산에

쓸려 폐수 침전조에 빠져 사망하였으며 이를 구하려던 주변 사업장

작업자 7명이 재해자를 구출하려다 황산에 접촉되어 화상을 입음

¡ 재해발생 원인

Ÿ 부적절한 저장탱크 사용: 물탱크용으로 제작된 PE용기에 비중이

1.84인 농황산을 저장함으로써 이물질과의 접촉에 의한 이상 반응열

및 황산의 자중을 견디지 못하고 저장탱크가 파열되면서 다량의 황

산이 누출됨.Ÿ 위험물질 보관 장소 부적절: 작업장내에 소형황산탱크(1㎥) 이외에

대형 저장탱크(5㎥)를 설치하여 저장탱크 파열되어 작업장내로 다량

의 황산이 유출되어 재해를 유발함

Ÿ MSDS 미게시: 황산은 부식성 물질로 물리화학적 성질, 인체에 미치

는 영향, 신체 접촉시 응급조치 요령, 누출시 긴급방재 요령 등을

포함한 MSDS를 현장에 비치하고, 취급 근로자에 대하여 교육을 실

시하여 황산의 위험성을 인식시켜야 하나 이러한 조치를 하지 않아

누출시에 체계적인 방재 활동이 이루어지지 않아 인명 피해가 증가

되었음.¡ 동종재해 예방대책

Page 73: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63

Ÿ 안전한 황산 저장탱크 사용

Ÿ 방유제 설치

Ÿ 황산 저장탱크 이전

Ÿ MSDS 게시 및 교육실시

7.3 누출사고에 대한 대책

¡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황산저장시설은 관련규정과 안전규칙을 준수할

경우 특별한 사고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 판단됨

¡ 그러나 중간보고회에서 질의된 바와 같이 자연재해에 의한 위험 등을 고

려할 필요가 있어 본 절에서 이에 대해 기술함

¡ 본 절에 기술된 자료는 강원지방기상청에 요청하여 획득한 자료를 발췌

한 것임

7.3.1 황산저장시설 설치 부근 지역의 자연재해상황

¡ 지진

Ÿ 지진이란 지구적인 힘에 의하여 땅속의 거대한 암반이 갑자기 갈라

지면서 그 충격으로 땅이 흔들리는 현상을 이름

Ÿ 지진은 지구내부 어딘가에서 급격한 지각변동이 생겨 그 충격으로

생긴 파동, 즉 지진파가 지표면까지 전해져 지반을 진동시키는 것임

Ÿ 일반적으로 지진은 넓은 지역에서 거의 동시에 느껴지게 됨

Ÿ 이 때 각 지역의 흔들림의 정도, 즉 진도를 조사해 보면 갈라짐이

발생한 땅속 바로 위의 지표, 즉 진앙에서 흔들림이 가장 세고 그곳

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약하게 되어 어느 한계점을 지나면 느끼지 못

하게 됨

Ÿ 이것으로부터 흔들림이 가장 큰 장소 부근의 땅속에서 어떤 급격한

변동이 발생하여 그것에 의한 진동이 사방으로 전해져 여러 지역을

흔드는 것이라 볼 수 있음

Ÿ 이것은 마치 종을 쳤을 때 사방으로 울려 퍼지는 음파와 같은 성질

을 갖고 있음

Ÿ 대지진은 강한 지진동과 현저한 지각운동에 의해 자연계 및 인간사

회에 큰 영향을 미침

Page 74: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64

Ÿ 지진동에 의한 건조물의 파괴는 거주자의 사상으로 이어지기도 하

고 부상을 면했다 해도 집을 잃거나 직장을 잃기도 함

Ÿ 2000년부터 2006년까지 강원도에서 발생한 지진은 대부분 3이하를

나타내며 이는 ‘극소수의 사람만이 느낄 수 있는 정도’의 지진임

Ÿ 2002년에 진도 3.8을 기록하기도 하였으나 이는 ‘실내에서 특히 건

물 위층에 있는 사람들이 뚜렷하게 느끼고 정지하고 있는 차가 약

간 흔들리며 트럭이 지나가는 듯 한 진동’ 정도여서 건물에 위해를

가할 정도는 아니였음

Ÿ 1978년 이후로 관찰된 지진기록을 살펴보면 진도 4~4.9 사이의 지진

이 동해시 근처에서 한차례 발생한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거의

모든 사람이 느끼며, 많은 사람이 잠에서 깨고, 그릇과 창문이 깨어

지기도 하며 고정 안된 물체는 넘어지기도 하는’ 정도이나 역시 건

축물에 손상을 줄 정도의 지진은 아니었다고 판단됨

Page 75: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65

규모 진도 현상설명1.0~2.9 Ⅰ Ⅰ 특별히 좋은 상태에서 극소수의 사람만이 느낌

3.0~3.9 Ⅱ~Ⅲ

Ⅱ 건물의 위층에 있는 소수의 사람만이 느낌

Ⅲ실내에서 특히 건물 위층에 있는 사람들이 뚜렷하게 느낌. 정지하고 있는 차가 약간 흔들리며 트럭이 지나가는 듯한 진동, 지속시간이 산출됨

4.0~4.9 Ⅳ~Ⅴ

실내에서는 많은 사람이 느끼나 야외에서는 거의 느끼지 못함. 밤에는 일부 사람이 잠을 깸.그릇, 창문, 문 등이 흔들리며 벽이 갈라지는 듯한 소리를 냄.대형 트럭이 건물에 부딪치는 듯한 느낌을 줌정지한 차가 뚜렷하게 흔들림

거의 모든 사람이 느낌많은 사람이 잠에서 깸그릇과 창문이 깨어지기도 하며, 고정 안된 물체는 넘어지기도 함

5.0~5.9 Ⅵ~Ⅶ

모든 사람이 느낌.많은 사람이 놀라 대피함.무거운 가구가 움직이기도 하며, 건물 벽에 균열이 생기기도 함.

모든 사람이 놀라 뛰쳐나옴.설계와 건축이 잘 된 건축물에서는 피해를 무시할 수 있으나, 보통 건축물은 약간의 피해 발생.부실건축물은 상당한 피해 발생.굴뚝이 무너지기도 하며, 운전자도 지진동을 느낄 수 있음.

6.0~6.9 Ⅷ~Ⅸ

특수 설계된 건축물에 약간의 피해 발생.일반 건축물에도 부분적인 붕괴 등 상당한 피해 발생.부실 건축물은 극심한 피해 발생.상품, 굴뚝, 기둥, 기념비, 벽돌이 무너짐.

특수 설계된 건축물에도 상당한 피해발생.견고한 건축물에 부분적 붕괴발생.지표면에 균열발생.지하 송수관 파손.

7.0이상Ⅹ~Ⅻ

Ⅹ대부분의 건축물이 기초와 함께 부서짐.지표면에 심한 균열이 생김.철로가 휘고 산사태가 발생함.

Ⅺ남아있는 건축물이 거의 없으며 지표면에 광범위한 균열이 생김.지표면이 침하하고 철로가 심하게 휨.

Ⅻ전면적인 파괴 상황.지표면에 파동이 보임.수평면이 뒤틀리며 물건이 하늘로 던져짐.

표 14 진도에 따른 피해사항 및 대응 현상

Page 76: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66

년도 월일 시각 규모(M) 비고

2000

01-18 15:08:49 3.0 강원 고성 서쪽 약 35km 지역

05-11 15:01:08 2.9 강원 회양 남동쪽 약 20km 지역

05-11 16:00:34 2.8 강원 회양 남동쪽 약 20km 지역

07-24 07:00:00 3.0 강원 회양 남동쪽 약 30km 지역

10-08 07:46:37 2.6 강원 정선 남동쪽 약 15km 지역

200102-08 16:59:52 2.3 강원 양구 북쪽 약 30km 지역

02-19 08:27:09 2.0 강원 평창 지역

200204-01 07:46:01 2.5 강원 원주 남동쪽 약 15km 지역

12-10 07:42:50 3.8 강원 철원 북쪽 약 60km 지역(북한)

2003 03-04 12:44:25 2.9 강원도 속초 북쪽 약 10km 해역

2004 06-11 16:25:40 2.1 강원 정선 남쪽 약 10km 지역

2005 11-15 09:10:49 3.0 강원 영월군 동쪽 19km 지역

2006

01-19 12:35:34 3.2 강원 영월군 동쪽 20km 지역

01-19 22:53:30 2.0 강원 정선군 동남동쪽 14km 지역

03-23 07:42:55 2.5 강원 철원군 북쪽 12km 지역

08-26 07:44:16 2.2 강원 태백시 서쪽 20km 지역

표 15 강원도지역 지진발생현황(2000년 이후)

Page 77: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67

그림 39 한반도 계기관측 지진발생 분포도 (1978년 ~ 현재)

Page 78: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68

¡ 지진해일

Ÿ 해저지진이나 해저화산분화, 산사태, 해저핵실험 등 기상 이외의 요

인에 의해 해저가 융기하거나 침강하여 해수면이 변화하면서 발생

한 파를 지진해일이라 함

Ÿ 바다에서의 파는 주기가 1초 이하의 것에서부터 24시간 이상의 것

까지 여러 종류의 파군이 있으나 지진해일은 그 중 수분에서 1∼2시간에 걸친 파를 이름

Ÿ 일반적으로 지진에 의한 지진해일의 경우 규모 6.3이상으로 진원깊

이 80km이하의 얕은 곳에서 수직 단층운동에 의한 지진일 경우 발

생 가능성 높음

Ÿ 현재의 과학기술로 지진발생을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먼 거리에서

발생한 지진해일에 대해서는 그 도착 시각을 예측할 수 있음

Ÿ 가령 지진이 동해 북동부 해역(일본 북서근해)에서 발생할 경우 이

로 인한 지진해일은 1시간에서 1시간 30분 후에 동해안에 도달하므

로 적절한 경보 발표로 30분에서 1시간정도 대비시간을 가질 수 있

Ÿ 지진발생 후 지진해일이 발생할 것인가에 대한 확실한 증거를 찾는

데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여 해상에서

일정한 규모 이상의 얕은 지진이 발생할 경우 "주의보" 또는 "경보"를 발표하는 것이 국제적인 관례임

Ÿ 기상청 자료에 의하면 역사 이래 우리나라의 지진해일은 모두 여덟

차례 정도로 추정된다고 함

Ÿ 이 중 다섯 건의 지진해일이 일본의 지진으로 인하여 발생하여 최

다를 차지하고 있음

Ÿ 동해안에서 발생한 지진해일에 의한 피해로는 1983년과 1993년에

발생한 피해가 있으며 묵호항에 3m 이상의 높이로 일어나 선박이나

건물시설에 피해를 준 사례가 있음

Page 79: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69

발 생 일 자 지진발생지역 및 규모 원인지진해일발생지역

1643. 7. 24 경상도 동쪽 해역 지진 경상도

1668. 7. 25 중국 산뚱성 지진 평안도

1681. 6. 26 강원도 동쪽 해역 지진 강원도

1741. 8. 29 일본 홋카이도 남서해역 화산 동해안

1940. 8. 02 일본 홋카이도 서쪽해역(규모 : 7.5) 지진 경상도

1964. 6. 16 일본 니이가따 서쪽해역(규모 : 7.5) 지진 동해안

1983. 5. 26 일본 아끼다 서쪽해역(규모 : 7.7) 지진 동해안

1993. 7. 12 일본 홋카이도 남서해역(규모 : 7.8) 지진 동해안

표 16 국내 지진해일 발생현황

발생시기 1983.5.26~27 1993.7.12~13

지진

진원 5월 26일 11시 59분 7월 12일 22시 17분

진앙일본 혼슈북부 아끼다현 서쪽 근해

일본 홋카이도 오쿠시리섬 북서쪽근해

규모 7.7 7.8

지진해일

제1파 도착시각(해일 시작시각)

- 울릉도 : 13시 17분- 묵 호 : 13시 35분- 속 초 : 13시 43분- 포 항 : 13시 52분

- 울릉도 : 23시 47분- 속 초 : 00시 00분- 동 해 : 00시 09분- 포 항 : 01시 18분

최대파고 (총수위변동 폭/평균수면상 높이) 단위: cm

- 울릉도 : 126/80- 묵 호 : 200이상/150이상- 속 초 : 156/123 - 포 항 : 62/52

- 울릉도 : 119/89- 속 초 : 203/130- 묵 호 : 276/213- 포 항 : 92/76

평균주기 8~12분 8~10분지속시간

(큰수위변동/전체)

3~5시간/24시간 이상 2~4시간/24시간 이상

피해사항

- 인명: 사망 1, 실종 2, 부상 2- 선박(소형) : 81척- 건물·시설 : 100여 건

- 인명 : 피해없음- 선박(소형) : 35척- 어망·어구 : 3,000여 통

총 피해액 (당시 금액) 3억 7천만원 3억 9천만원

표 17 우리나라 동해안에서 발생한 지진해일로 인한 피해 사례

Page 80: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70

¡ 태풍

Ÿ 북서태평양의 서부에서 발생하는 열대성 저기압 중에서 중심 최대

풍속이 초속 17m 이상의 폭풍우를 동반하는 것을 태풍이라 정의

Ÿ 태풍은 적도 부근이 극지방보다 태양열을 더 많이 받기 때문에 생

기는 열적 불균형을 없애기 위해, 저위도 지방의 따뜻한 공기가 바

다로부터 수증기를 공급받으면서 강한 바람과 많은 비를 동반하며

고위도로 이동하는 기상 현상 중의 하나임

Ÿ 세계기상기구는 열대저기압 중에서 중심 부근의 최대풍속이 33 m/s 이상인 것을 태풍(TY), 25∼32 m/s인 것을 강한 열대폭풍(STS), 17∼

24 m/s인 것을 열대폭풍(TS), 그리고 17 m/s 미만인 것을 열대저압

부(TD)로 구분함

Ÿ 지구상에서 연간 발생하는 열대성저기압은 평균 80개 정도이며 이

를 발생 해역별로 서로 다르게 부르고 있다. 즉, 북태평양 남서해상

에서 발생하는 것을 태풍(Typhoon: 30개), 북대서양, 카리브해, 멕시

코만 그리고 동부태평양에서 발생하는 것을 허리케인(Hurricane: 23개), 인도양과 호주부근 남태평양 해역에서 발생하는 것을 사이클론

(Cyclone: 27개)이라 호칭함

Ÿ 태풍의 크기는 풍속 15 ㎧ 이상이 미치는 영역에 따라 소형, 중형, 대형, 초대형으로 분류함

Ÿ 태풍의 강도는 중심기압보다 중심최대풍속을 기준으로 약, 중, 강, 매우 강으로 분류함

Ÿ 공기가 따뜻하고, 수증기가 많으며, 매우 불안정한 상태에서 기압이

낮아지면 덥고 습한 공기는 한곳으로 모이는데 이 과정에서 이들

공기를 흡수하는 홀이 발생함

Ÿ 이 홀을 태풍의 눈이라고 하는데 습하고 따뜻한 공기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이 홀의 흡입력은 커지게 됨

Ÿ 이 커진 공기덩어리가 서로 뭉쳐지며 충돌을 하는데 그 힘에 의해

회전을 하며 고기압 쪽으로 전진하고 이 때문에 태풍이 발생함

Ÿ 1987년부터 2006년까지 우리나라에 피해를 준 주요한 태풍은 19개고 1년에 약 한 개의 태풍이 큰 피해를 일으키는 것을 알 수 있음

Ÿ 태풍의 피해는 주로 호우와 바람에 의하여 발생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대비가 요구됨

Page 81: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71

태풍명 중심기압(hPa) 발생기간 인명피해

(명)이재민

(명)재산피해(백만원) 비 고

THELMA(셀마) 955 1987.7. 178 99156 391,298 남부,

영동지방

DINAH(다이너) 962 1978.8. 73 12486 110,603 남부지방

JUDY(쥬디) 975 1989.7. 20 22103 119,193 영호남,

중부지방

ABE(에이브) 995 1990.9. 8 46 1,256 전국

CAITLIN(캐틀린) 970 1991.7. 2 154 8,006

부산, 영호남, 제주

GLADYS(글래디스) 975 1991.8. 103 20757 235,722 영남지방

TED(테드) 985 1992.9. - 433 5,245 강원, 전남,

경북

ROBYN(로빈) 955 1993.8. 6 2500 87,839 전국

FAYE(페이) 950 1995.7. 42 4524 91,896 영호남지방

JANIS(제니스) 992 1995.8. 65 24146 456,252 전국

OLIWA(올리와) 915 1997.9. 11 368 5,369 영호남지방,

제주

YANNI(예니) 965 1998.9. 57 6086 274,872 영호남,

중부지방

OLGA(올가) 970 199.7. 67 25327 1,049,049 전국

PRAPIROON(프라피룬) 965 2000.8. 28 1927 252,050 전국

SAOMAI(사오마이) 925 2000.9. 2 990 146,249 전국

RUSA(루사) 950 2002.8. 246 63085 5,147,917 전국

SOUDELOR(소델로) 955 2003.6. 2 - 10,905 부산, 울산,

경북, 경남

MAEMI(매미) 910 2003.9. 131 61844 4,222,486 전국

MEGI(메기) 970 2004.8. 7 4712 250,812

강원, 전북, 전남, 경북,

경남

표 18 최근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친 주요태풍 총괄 (1987~2006)

Page 82: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72

7.3.2 재해사항이 황산저장시설에 미칠 수 있는 영향

¡ 기술한 바와 같이 지진, 지진해일, 태풍 등의 발생상황을 고찰한 결과

¡ 지진의 경우, 건축물의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진도의 지진은 발생

한 경우가 없으며

¡ 지진해일과 태풍의 경우 영향을 줄 수 있는 큰 규모의 재해발생빈도 굉

장히 낮아 시설에 대한 영향이 높지 않을 것이라 판단됨

¡ 다만, 예상치 못한 재해 또는 사고에 의해 황산이 유출될 경우를 다음과

같이 상정하여 보았음(바닷물 pH 7로 가정)Ÿ 동해항 현황지도에 따르면 동해항계내 수면적은 13,542,000 ㎡이며

수심은 9~13 m로서 평균 11m로 가정할 수 있음

Ÿ 즉, 항계내의 물 무게는 150,000,000톤이고, 부피는 150,000,000,000ℓ

로 계산될 수 있음

Ÿ 황산의 총양은 15,000톤이며 비중이 1.84g/㎤이기 때문에 황산

15,000톤은 부피로 계산했을 때 8,152,173ℓ로 환산됨

Ÿ 황산의 분자량은 1몰≒100g이며 15,000톤은 약 150,000,000몰로 계산

될 수 있음

Ÿ 황산은 두 개의 수소이온을 내놓을 수 있기 때문에 산성도는 다음

과 같이 계산될 수 있음

Ÿ 즉 수소이온농도는 0.002M이며 이를 pH로 환산하면 약 2.7로 3에

가까운 값을 나타냄

Ÿ pH 3 정도의 물은 침엽수에의 영향, 생물종의 감소 (토양의 산성화

등), 농작물에 가시적 피해, 인체에 영향이 나타날 수 있는 정도임

Ÿ pH (산성도)는 물에 양이 많아질수록, 즉 묽게 희석될수록 pH가 높

아지게 되는 특성을 갖고 있음. 즉 pH에 의한 악영향이 감소하게

Ÿ 즉 지진해일 또는 태풍과 동반되는 집중호우 등에 의하여 물의 범

람에 의해 누출사고가 발생한다면 이는 바닷물양의 증가에 의한 것

Page 83: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73

이며 따라서 pH의 값은 3부근에서 증가하여 생명체 등에 대한 영향

이 감소하게 될 것이라 사료됨.

pH 피해사례

5.6 Ÿ 불가시적 피해, 광합성 작용의 저해

5

Ÿ 어류의 부화에 영향

Ÿ 생태계에의 영향

Ÿ 플랑크톤이나 수생생물에 영향

Ÿ 꽃의 탈색

4Ÿ 고감수성 식물에의 가시적 피해

Ÿ 가시적 피해 - 농작물의 수량감소

Ÿ 식물의 생육저해

3

Ÿ 침엽수에의 영향

Ÿ 생물종의 감소 - 토양의 산성화

Ÿ 농작물에 가시적 피해

Ÿ 인체에 영향

2Ÿ 무생물화 진행

Ÿ 동식물에의 격심한 피해

표 19 pH의 영향

Ÿ 즉 지진해일 또는 태풍과 동반되는 집중호우 등에 의하여 물의 범

람에 의해 누출사고가 발생한다면 이는 바닷물양의 증가에 의한 것

이며 따라서 pH의 값은 3부근에서 증가하여 생명체 등에 대한 영향

이 감소하게 될 것이라 사료됨.

Ÿ 강한 산성은 다음과 같이 알카리성을 공급하는 석회석(CaCO3, Calcium carbonate, 탄산칼슘), 소석회(Ca(OH)2, Calcium hydroxide, 수산화칼슘), 생석회(CaO, Calcium oxide, 산화칼슘) 등에 의하여 중화

될 수 있으며 화학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음

Page 84: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74

Ÿ 상기의 식에서 알 수 있듯이 석회석, 생석회, 소석회 등에 의하여

황산이 중화되고, 석고와 탄산 또는 물이 생성됨

Ÿ 여기서 중화라 함은 산성 (pH이 낮은 영역, 일반적으로 pH 5이하) 또는 염기성 (pH가 높은 영역, 일반적으로 pH 9 이상)의 대상물을

pH 7로 하는 작용을 이름

Ÿ 따라서 황산에 의하여 pH가 낮아질 위험성은 중화제에 의하여 상당

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주식회사 영풍은 저장탱크 내의 황산양을

상정한 대응책을 고려할 수 있음

¡ 시민단체에 의하여 이송 중의 사고에 대한 지적이 많았으나, 현재 연구범

위에서 벗어나는 사항이고 황산저장시설의 주체가 되는 주식회사 영풍이

직접적인 관여를 하지 않아 본 조사사업에서 언급하는 것이 부적절하다

고 판단됨

¡ 그러나 운송 중에 사고가 보고된 적이 있으며 유출시 피해가 우려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책임과 권한의 규명, 안전교육과 안전규칙 및

관련규정의 준수가 필요하다고 판단됨

Page 85: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75

그림 40 동해항 현황지도

Page 86: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76

제 8장 종합결론

¡ 본 조사사업은 주식회사 영풍이 물류비용 저감을 위하여 동해항내에 설

치하는 7,500톤급 황산저장시설 2기의 안정성 및 유해성에 초점을 맞추어

자료조사와 의견청취를 주요한 방법으로 수행된 과제임.

¡ 환경영향평가는 환경․교통․재해 등에 관한 영향평가법에 의거하여 수행하

게 되어 있으나 본 조사사업의 대상인 황산저장시설은 해당되지 않아 황

산저장시설의 안정성 및 유해성 평가를 중심으로 진행하게 되었음

¡ 즉, 환경․교통․재해 등에 관한 영향평가법에서 조사하게 되어있는 동․식물, 취수장 등 주요보호대상 시설물, 천연기념물, 문화재, 환경기초시설 등에

대해서 본 조사사업의 대상인 황산저장시설의 규모가 작고 녹지 등을 개

발하여 시행되는 사업이 아니라 이미 조성된 부지에 진행되는 사업이므

로 상기의 시설 또는 동․식물과 천연기념물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

으로 판단되었음

¡ 황산은 흡습성이 강한 산성용액으로서 인체에 직접 흡입되거나 접촉되면

인체에 치명적인 위해를 가할 수 있는 물질이나, 증기압이 낮으며 공기보

다 무거워 대기를 통한 확산 등은 없으며, 사고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최

근 황산저장시설과 관련된 사고는 이송 등을 위한 작업에서 관련자의 안

전규칙 미준수, 부적절한 재료의 사용 등 관련규정을 따르지 않음에 의하

여 발생한 사고들이었음

¡ 즉, 관련사고사례를 볼 때, 황산 생산공장 또는 제련소 등이 아닌 황산

저장만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에서는 폭발 등 대규모 유출사례가 조사되

지 않았으며 인명피해가 관련자로 한정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음

¡ 동해시는 강원도 영동 남부지역에 위치하여 동으로 해안선을 경계로 동

경 129도 09분, 동경 128도 57분에 걸쳐 존재하고 있음

¡ 황산저장시설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동해시의 기후관련 자료를 조사한 결

과, 평균적인 순간풍속, 최고․최저온도, 최다강수량, 최심적설은 해당 시설

에 큰 영향이 없으리라 판단됨. 그러나 빈도가 낮을 지라도 각 항목의 최

대치, 즉, 1978년 94㎝에 달했던 최심적설량과 1983년과 1997년에 기록되

었던 순간풍속 41m/s가 넘는 수치는 관련저장시설 건설시 고려되어야 할

Page 87: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77

사항임

¡ 자연재해로서, 현재까지 측정된 지진기록으로는 저장시설에 심각한 위협

을 가할 정도의 지진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지진해일은 그 빈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음.¡ 그러나 지진해일과 태풍을 물의 범람 측면에서 고려하여, 15,000톤이 전

부 유출되는 최악의 상황을 현재 동해항계내 물의 양을 고려하여 계산한

결과 동해항계내 산성도가 강해져 피해를 일으킬 수도 있음. 그러나 사고

가 발생할 우려가 범람 등에 의한 것이므로 물의 양이 증가하는 것을 고

려할 때 물범람에 의한 산성도는 계산된 산성도보다 약화된 영향이 나타

날 수 있다고 생각됨

¡ 국내에 설치되어 있는 황산저장시설을 방문한 결과, 각 지역은 안전규정

을 준수하여 운행할 때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던 것으로 파악되고, 설치된 기간이 오래되어 지역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지 않음. 이런 차이로

인하여 본 사안과 관련하여 참고할만한 황산저장시설 설치에 따른 조정

사례는 없는 것으로 파악됨

¡ 상기에 조사된 사실과 황산의 특수성을 감안할 때 동해항 내 황산저장시

설의 건설과 운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보완조치가 요구된다고 판단됨

Ÿ 황산저장시설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주식회사 영풍은 최심적

설량, 최대순간풍속, 지진, 지진해일, 태풍 등의 기간 기록을 고려하

고 관련 법규를 준수하여 황산저장시설을 설계․시공해야함

Ÿ 황산은 인체에 직접 접촉되거나 흡입될 때 극히 위험하므로 주식회

사 영풍은 관련 종사자에 대한 안전교육과 안전규정 준수를 철저히

관리․감독하고 관련 법규 규정을 검토하여 지침을 작성해야함

Ÿ 주식회사 영풍은 황산저장시설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유지․관리를

관련법규를 준수하여 철저히 시행하여야 함

Ÿ 주식회사 영풍은 황산과 관련된 사고사례를 검토․숙지하고 사고 대

응 체계를 확립하여 규범화 시키는 조치를 수행하여야 함

Ÿ 주식회사 영풍은 현재 공사가 진행되었던 기반시설의 안정성을 검

사하여 향후 건설할 황산저장시설의 안정성을 확보해야함

Ÿ 주식회사 영풍은 황산저장시설에 대한 동해시민들의 우려를 불식시

키기 위한 최대의 노력을 다해야함

Ÿ

Page 88: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Page 89: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Page 90: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Page 91: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Page 92: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Page 93: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Page 94: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Page 95: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Page 96: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Page 97: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Page 98: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Page 99: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Page 100: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Page 101: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Page 102: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Page 103: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Page 104: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Page 105: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Page 106: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Page 107: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Page 108: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Page 109: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Page 110: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Page 111: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Page 112: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Page 113: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Page 114: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
Page 115: 동해항내 황산저장시설 설치관련 안전 및 환경성 유해여부 연구 ...library.kigam.re.kr/report/2008/동해항내황산저장... · 2014-02-18 · 제 출 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