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이야기/ 서편제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hanyang/hamchungbeom1… ·...

43
결혼이야기 / 서편제

Upload: others

Post on 29-Sep-2020

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결혼이야기 / 서편제

  • 1992년 7월 4일 개봉등급 청소년 관람 불가관객 수 53만명 동원1992년 한국 영화 흥행작 1위

    기획 신씨네각본 박헌수연출 김의석촬영 구중모

    출연 최민수 심혜진

  • 수상정보제31회 대종상 영화제 (1993)

    여우주연상(심혜진)신인감독상(김의석)남자인기상(최민수)

    제3회 이천춘사대상영화제 (1992)창작각본상(박헌수)

    의상상(이경희,심윤주)신인감독상(김의석)

    특별작품상(㈜익영영화)

    제13회 청룡영화상 (1992)각본상(박헌수)

    최다관객상(익영영화사)인기스타상(최민수,심혜진)

  • 줄거리라디오 방송국의 PD 김태규(최민수)와 신참 성우인최지혜(심혜진)는 주위의 반대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결혼식을 올린다. 서로에 대한 정열로 즐겁기만했던 신혼은 잠시이고, 사소한 일들로 갈등이 쌓이면서 그들의 결혼 생활은 삐걱대기 시작한다. 태규는 결혼 후 남성 우월주의적인 태도를 보이며 지혜의 일을 방해하고, 그들이 미혼 시절에 가졌던 성에관한 환상이 깨지면서 티격태격 싸운다. 더 나아가이들은 치약 짜는 일, 밥 짓고 설거지하는 일 등 사사건건 맞선다. 결국 둘은 심한 갈등 끝에 이혼한다. 한참 후 서로를 아프게 했던 상처와 기억이 아물어갈 때쯤, 태규는 한 번도 지혜를 사랑하지 않았던적이 없다며 다시 시작해보자고 한다. 그러나 지혜는 악몽을 되풀이하고 싶지 않다며 거절한다. 태규는 지혜가 진행하는 라디오에 엽서를 보내 자신의마음을 전한 뒤 전근을 자청하고 지방으로 간다. 지혜는 태규를 찾아 나서고, 둘은 연애 시절의 추억이있는 한 묘지에서 재회한다.

  • 영화적 의의

    가내수공업 공장제 기계 공업

  • 우리나라 첫 기획영화기획 신씨네 (대표 신철)마케팅 명기획 (대표 심재명)

  • 1993년 개봉관객 수 103만명 동원

    기획 이태원원작 이청준연출 임권택촬영 정일성

    출연 김명곤 오정해

  • 수상정보 제31회 대종상 영화제 (1993)최우수 작품상(태흥영화사)

    감독상(임권택)촬영상(정일성)

    녹음상(김범수,강대성)신인남우상(김규철)신인여우상(오정해)

    제30회 백상예술대상 (1994)영화부문 작품상(태흥영화)

    제4회 이천춘사대상영화제 (1993)최우수작품상(㈜태흥영화)

    감독상(임권택)여우주연상(오정해)

    기술상(미술)(김유준)새얼굴 남자연기상(김규철))

  • 줄거리 1960년대 초, 어느 산골 주막에 30대 남자가 도착한다. 그는 주막 여인의 판소리에 회상에 잠긴다. 어린시절 동네에 소리꾼인 유봉(김명곤)이 찾아온다. 동네 아낙인 동호(김규철)의 어머니는 유봉과 사랑에빠져 마을을 떠난다. 유봉의 딸 송화(오정해)와 넷이살던 중, 동호의 어머니는 아기를 낳다 죽는다. 유봉은 송화에게 소리를 가르치고, 동호에게는 북치는법을 가르친다. 그러다가 전쟁으로 인해 생활이 어려워지고, 소리를 가르치기 위해 쉴 틈 없이 다그치는 유봉을 이해하지 못하는 동호는 유봉과 싸우고떠나 버린다. 동호가 떠난 뒤 송화가 식음을 전폐하고 소리도 포기한 채 그를 기다리자, 유봉은 한이맺혀야 진정한 소리를 할 수 있다는 생각에 송화의눈을 멀게 만든다. 동호는 낙산거사(안병경)를 만나송화의 소식을 듣고 수소문 끝에 대폿집에서 송화와 재회한다. 둘은 어떤 말도 하지 않고 한 명은 소리를, 또 한 명은 북을 치면서 밤새 한을 풀어낸다. 아침이 되고 동호와 송화는 말없이 헤어진다. 송화는 한 소녀를 앞세우고 길을 떠난다.

  • 영화적 의의

    판소리와 한이라는 소재를 통해한국 전통문화에 대한 소중함을 일깨워준 영화

    BUT 한국적인 것이 세계적인 것이다’를 내걸었던 당시 김영삼정부의 세계화 담론과 민족주의가 절묘하게 만난 가운데 탄생한 신드롬일 뿐이라는 평가도 동시에 존재

  • 박하사탕(1999), 쉬리(1999)

  • 01 박하사탕(2000)

  • 0101 소개

    • 이창동 감독의 두 번째 작품

    • 1999년 제작, 2000년 1월 1일 0시 개봉

    • 2000년 칸 영화제 감독주간 초청

    • 1999년 제4회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작

    • 역순행적 구성

    • 주인공 영호의 인생을 한국 현대사에 투영

    • 다양한 삶의 모티프 사용

  • 0101 인물 소개

    첫사랑 아내

  • 0101 줄거리

    고백1987년 봄

    전두환 군사정권말기,

    민주화 운동전성기

    악덕 형사

    기도1984년 가을

    전두환 군사 독재시대 전성기,

    대학생 중심 민주화 운동 전개 시기

    초보 형사

    소풍1987년 가을

    박정희 독재 정권반대 운동

    순수했던노동자

    야유회1999년 봄

    파산

    IMF 경제위기

    사진기사흘 전,

    1999년 봄

    파산하고 가정과 사회로부터

    소외 됨

    IMF 경제위기

    삶은 아름답다1999년 여름

    가구점 사장

    경제 호황기

    면회1980년 5월

    5.18 광주에투입된 군인

    광주민주항쟁

  • 0101 삶의 모티프 – 기차와 박하사탕

    기차 박하사탕

    � 폐쇄된 선로의 정해진 일방향: 시간의 일직선적인 흐름

    � 필름을 거꾸로 틀어 과거로 달리는기차가 등장: 시간대가 과거로 흘러감을 암시

    � 근대성의 상징

    � 순수함의 상징

    � 비상 출동으로 난장판이 된 내무반바닥에 내팽개쳐져 짓밟히는 박하사탕: 영호가 가지고 있던 순수함이 파괴

    될 것임을 암시

    � 하루에 1천 개의 박하사탕을 포장하는 순임: 여성 노동자의 반복 노동의 결과물

  • 02 쉬리(1999)

  • 0202 소개

    • 강제규 감독 작품

    • 1998년 제작, 1999년 2월 13일 개봉

    • 서울 기준 244만 명 동원

    • 제작비 약 31억 원(순 제작비 24억 원+홍보비 7억 원)

    • 장르 혼합: 멜로드라마+블록버스터(액션)+스릴러+버디무비

    • 상업 영화로서 성공했지만, 작품의 질과 수준에 대해 비판 받음

    • 국가 기관 협조, 로케이션 지원, PPL 활성화 등 외부적 시스템의변화를 불러옴

  • 0202 PPL

  • 0202 인물 소개&줄거리

    남한 측 북한 측vs

    연인

    동료동료

  • 0202 에서 보이는 이데올로기적 특징

    냉전 체제 선과 악

    � 오프닝 시퀀스의 북한군 훈련 장면: 북한군을 비정하고 잔인한 존재로

    생각하게 함

    � 먹을 것이 없어 썩은 음식을 먹어야 하는 북한 사람들 vs 풍요로운환경에서 세련된 문화를 즐기는 남한 사람들

    � 말도 안 되는 논리로 수 많은 사람들을 죽이려 하는 북한군 vs 그들로부터 사람들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는 남한군

    � 할리우드 영화에서 언제나 방어자는 선, 침략자는 악으로 묘사 되며결과는 선의 승리로 끝남.

    � 악 – 박무영을 비롯한 북한의 강경파들

    � 선 – 유중원과 이장길을 포함한 침략자를 막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남한 군인들

  • 투캅스 / 넘버3

  • 한국영화사2

    투캅스

    넘버3

  • 투캅스(Two Cops) – 1993

    • 감독 : 강우석• 제작 배급 : 강우석 프로덕션• 기획 : 권영락, 전양준• 출연 : 안성기, 박중훈, 지수연• 수상 : 제32회 대종상 영화제(1994) – 남우주연상 (박중훈, 안성기)

    제30회 백상예술대상(1994) – 작품상, 연기상, 감독상제15회 청룡영화상(1994) – 최다관객상(강우석 프로덕션)

  • 투캅스 – 줄거리

  • 투캅스 – 줄거리

  • 투캅스 – 줄거리

  • 투캅스 – 줄거리

  • 투캅스 – 줄거리

  • 투캅스(Two Cops) – 1993

    • 한국 최초의 기획 영화 - 결혼이야기(1992)이후 흥행을 노린 기획자가 등장.

  • 투캅스(Two Cops) : 흥행을 위한 영화

    • 흥행을 위한 영화요소 삽입.

    코믹, 액션, 섹슈얼리티

    • 흥행의, 흥행을 위한 영화라고 정리할 수 있음.

  • 넘버3(Number Three) – 1997

    • 감독 : 송능한• 제작 : 프리시네마• 배급 : 시네마 서비스• 출연 : 한석규, 최민식, 이미연, 송강호• 수상 : 제35회 대종상 영화제(1997) – 신인남우상(송강호)

    제34회 백상예술대상(1998)제18회 청룡영화상(1997) – 남우조연상(송강호), 각본상,

    신인감독상 (송능한)

  • 넘버3 - 줄거리

  • 넘버3 - 줄거리

  • 넘버3 - 줄거리

  • 넘버3 : 작품성과 흥행을 동시에 잡은 영화.• 흥행을 위한 영화요소 삽입.

    코믹, 액션, 섹슈얼리티• 막 구성• 과감한 몽타주 기법, 한국사회에 대한 신랄한 풍자, 기존의 직업에 대한 편견을 깨버리는 캐릭터 구성.

  • 투캅스와 넘버3를 넘어 : 공통점

    • 흥행을 위한 영화요소 삽입.

    코믹, 액션, 섹슈얼리티• 남성 중심의 내러티브.• 풍자의 대상으로 삼기 어려웠던 계층을 풍자함. – 이는 군부정권 이후 문민정부를 거치면서 자유롭게 비판할 수 있었던 당시대한민국의 사회상을 반영.

  • 투캅스와 넘버3를 넘어 : 차이점

    • 막 구성 등 대중적인 내러티브는 아님.• 대안적 카메라 앵글을 사용함 : 시점 샷, 인물이 카메라 정면을 쳐다보는 샷• 검사, 시인 등 다양한 계층을풍자하며 풍자의 강도를 투캅스 보다는 강하게 가져감. –대사를 직접적으로 이용한 풍자.• 18세 이상 이용가.

    • 흥행을 위한 단순한 내러티브구조.• 안정적인 카메라 앵글, 편집• 풍자의 대상이 단순히 경찰 정도며 그 강도도 약했다는 한계가 있음.• 15세 이상 이용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