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관리역량 분류 및 간호관리역량별 행동지표 개발 · 간호관리역량...

15
© 2016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www.kan.or.kr ISSN (Print) 2005- 3673 ISSN (Online) 2093- 758X 간호관리역량 분류 및 간호관리역량별 행동지표 개김성열 1 · 김종경 2 1 단국대학교병원, 2 단국대학교 간호대학 J Korean Acad Nurs Vol.46 No.3, 375 - 389 대한간호학회지 제46권 제3호, 2016년 6월 http://dx.doi.org/10.4040/jkan.2016.46.3.375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Nursing Management Competencies and Development of related Behavioral Indicators in Hospitals Kim, Seong Yeol 1 · Kim, Jong Kyung 2 1 Dankook University Hospital, Cheonan 2 College of Nursing, Dankook University, Cheonan, Korea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nursing management competencies and develop behavioral indicators for nurse managers in hospitals. Also, level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based on developed criteria were to be identified and compared. Methods: Using ex- pert survey we classified nursing management competencies and behavioral indicators with data from 34 nurse managers and professors. Subsequently, data from a survey of 216 nurse managers in 7 cities was used to analyze the importance-performance comparison of the classified nursing management competencies and behavioral indicators. Results: Forty-two nursing management competencies were identi - fied together with 181 behavioral indicators. The mean score for importance of nursing management competency was higher than the mean score for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5 of the 42 nursing management competencies require further development: vision-building, analysis, change management,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self-management competency. Conclusion: The classification of nursing management competencies and behavioral indicators for nurse managers in hospitals provides ba- 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rograms designed to increase the competency of nurse managers in hospitals. Key words: Professional competence; Nurse administrators; Practice management; Classification; Hospitals 주요어: 전문직 역량, 간호관리자, 실무관리, 분류체계, 병원 * 이 논문은 제1저자 김성열의 박사학위논문의 축약본임. * This manuscript is a condensed form of the first author’s doctoral dissertation from Dankook University. Address reprint requests to : Kim, Jong Kyung College of Nursing, Dankook University, 119, Dandae-ro, Dongnam-gu, Cheonan-si, Chungnam 31116, Korea Tel: +82-41-550-3893 Fax: +82-41-559-7902 E-mail: [email protected] Received: July 13, 2015 Revised: December 7, 2015 Accepted: March 6, 2016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Derivs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d/4.0) If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nd retained without any modification or reproduction, it can be used and re-distributed in any format and medium. ORIGINAL ARTICLE 1. 연구의 필요성 병원은 21세기 의료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 예 방과 치료부분 외에도 고객의 의료서비스 요구와 수요를 파악하고 분석할 수 있는 경영능력과 실무능력을 갖춘 전문가를 요구하고 있 으며, 병원경영의 전문화는 물론 세분화, 차별화, 다각화 등 개혁을 필요로 하고 있다[1,2]. 간호사는 의료서비스의 질 향상에 크게 영 향을 주는 직종으로, 간호사가 변화하는 의료환경에 적극 대처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학습과 새로운 지식과 기술, 태도 등을 습득하도 록 요구받고 있다[3,4]. 간호관리자는 간호조직을 관리하는 사람을 말하며, 환자중심의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과 경영전략에 따른 비 용절감 노력 등은 간호사의 역량 개발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으

Upload: others

Post on 31-Oct-2019

6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간호관리역량 분류 및 간호관리역량별 행동지표 개발 · 간호관리역량 분류 및 간호관리역량별 행동지표 개발 1-1 단계: 1차 전문가 조사는

© 2016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www.kan.or.kr

ISSN (Print) 2005-3673ISSN (Online) 2093-758X

간호관리역량 분류 및 간호관리역량별 행동지표 개발

김성열1 · 김종경2

1단국대학교병원, 2단국대학교 간호대학

J Korean Acad Nurs Vol.46 No.3, 375-389

대한간호학회지 제46권 제3호, 2016년 6월 http://dx.doi.org/10.4040/jkan.2016.46.3.375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Nursing Management Competencies and Development of related Behavioral Indicators in Hospitals

Kim, Seong Yeol1 · Kim, Jong Kyung2 1Dankook University Hospital, Cheonan 2College of Nursing, Dankook University, Cheonan, Korea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nursing management competencies and develop behavioral indicators for nurse managers in

hospitals. Also, level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based on developed criteria were to be identified and compared. Methods: Using ex-

pert survey we classified nursing management competencies and behavioral indicators with data from 34 nurse managers and professors.

Subsequently, data from a survey of 216 nurse managers in 7 cities was used to analyze the importance-performance comparison of the

classified nursing management competencies and behavioral indicators. Results: Forty-two nursing management competencies were identi-

fied together with 181 behavioral indicators. The mean score for importance of nursing management competency was higher than the

mean score for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5 of the 42 nursing management competencies require

further development: vision-building, analysis, change management,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self-management competency.

Conclusion: The classification of nursing management competencies and behavioral indicators for nurse managers in hospitals provides ba-

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rograms designed to increase the competency of nurse managers in hospitals.

Key words: Professional competence; Nurse administrators; Practice management; Classification; Hospitals

주요어: 전문직 역량, 간호관리자, 실무관리, 분류체계, 병원

*이 논문은 제1저자 김성열의 박사학위논문의 축약본임.*This manuscript is a condensed form of the first author’s doctoral dissertation from Dankook University.

Address reprint requests to : Kim, Jong Kyung

College of Nursing, Dankook University, 119, Dandae-ro, Dongnam-gu, Cheonan-si, Chungnam 31116, Korea

Tel: +82-41-550-3893 Fax: +82-41-559-7902 E-mail: [email protected]

Received: July 13, 2015 Revised: December 7, 2015 Accepted: March 6, 2016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Derivs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d/4.0) If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nd retained without any modification or reproduction, it can be used and re-distributed in any format and medium.

ORIGINAL ARTICLE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병원은 21세기 의료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 예

방과 치료부분 외에도 고객의 의료서비스 요구와 수요를 파악하고

분석할 수 있는 경영능력과 실무능력을 갖춘 전문가를 요구하고 있

으며, 병원경영의 전문화는 물론 세분화, 차별화, 다각화 등 개혁을

필요로 하고 있다[1,2]. 간호사는 의료서비스의 질 향상에 크게 영

향을 주는 직종으로, 간호사가 변화하는 의료환경에 적극 대처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학습과 새로운 지식과 기술, 태도 등을 습득하도

록 요구받고 있다[3,4]. 간호관리자는 간호조직을 관리하는 사람을

말하며, 환자중심의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과 경영전략에 따른 비

용절감 노력 등은 간호사의 역량 개발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으

Page 2: 간호관리역량 분류 및 간호관리역량별 행동지표 개발 · 간호관리역량 분류 및 간호관리역량별 행동지표 개발 1-1 단계: 1차 전문가 조사는

376

http://dx.doi.org/10.4040/jkan.2016.46.3.375www.kan.or.kr

김성열 · 김종경

며, 간호사의 역량개발은 이들을 직접 지휘하고 관리하는 간호관리

자의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5]. 병원 간호관리자의 역할은 의료환

경과 경영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서, 간호조직의 경쟁력 강화와 생

산성 증대를 위하여 변화되면서 새롭게 개발되고 있으며[5,6], 최근

간호관리자는 병원의 경영관리에 요구되는 관리적 역량과 리더십 기

술을 갖추는 것에 도전을 받고 있다[7].

역량이란 특정한 상황이나 직무의 준거에 따른 효과적이고 우수한

성과의 요인이 되는 개인적 내재적 특성을 말하며, 내재된 특성은 여

러 상황에서 나타나는 장시간 지속되는 행동과 사고방식으로 동기,

특질, 자기개념, 지식과 기술이다[8,9]. 간호관리역량은 간호관리 상

황에서 간호관리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 감각역량 및 행위 등을 의미한다[10]. 역량에 따른 행동

지표는 고성과자의 일관된 행동 특성이나 사례를 찾아내고, 이를 일

반화하여 조직과 직무가 다른 사람들이 행동 기준으로 삼을 수 있도

록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정의한 것으로, 관찰과 측정이 가능한 일련

의 신체적 활동, 언어, 비언어적인 단서로 볼 수 있다[9]. 또한 간호관

리역량은 조직의 특성에 따라 다르나 비판적 사고, 의사소통, 사정,

간호기술과 자원관리가 중요하며[11], 이외에 리더십, 재무 예산, 경

영, 관리기술, 의사소통 기술, 인적자원 관리 및 노무관계, 협력 및

팀 기술, 임상기술과 지식, 변화관리, 관계형성, 사고능력, 성실, 정

보 기술 등이 중요하다[12-14]. 간호관리역량은 간호사의 직무만족

도, 동기부여, 이직, 환자간호의 질 등에 영향을 미친다[13]. 그러므

로 간호관리자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조직에 적합

한 간호관리역량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특히, 조직의 경쟁력 확보와

경영성과에 영향을 주는 간호관리자의 간호관리역량을 확인하고 직

무유형에 따른 차별적인 역량강화가 중요하다[15]. 병원 간호조직은

간호관리자들에게 학습, 성장 및 변화 기회를 제공하여 효과적인 직

무수행과 조직 운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간호관리자의 간호관리

역량 개발에 주력해야 한다[16]. 간호관리역량 개발에 대한 국외 연

구를 보면 간호관리자역량을 연구자마다 각기 기준과 결과를 다르게

보고하고 있으며, 시기적으로도 1990년대에 4개, 2010년 1개가 이루

어져 현 시점에서의 적용이 어려운 부분이 있다. Duffield [17]는 일선

관리자에게 필요한 간호관리영역을 재정적관리,직원관리, 환자간호관

리, 리더십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Dubnicki와 Sloan [18]은 병원 간호

관리자를 대상으로 성취, 관리, 대인관계, 문제해결, 개별적 수행 등

의 범주로 분류하였으며, 타인지휘, 자기확신, 전략사용, 대인간계적

민감성, 주도권, 집단관리, 성취지향, 직접적 설득, 분석적 사고 등의

간호관리역량으로 분류하였다. Spencer와 Spencer [8]는 역량군별

역량을 영향력, 성취지향성, 팀원과 협력, 분석적 사고, 주도성, 타인

육성, 자기화, 지시/주도, 정보탐색, 팀리더십, 개념적 사고, 조직인식

과 관계형성, 전문성/지식 등으로 구분하였다. Chase [19]는 미국 간

호관리자협회 회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기술적 역량, 인간적 역

량, 개념적 역량, 리더십역량, 재무관리 역량 등의 간호관리역량으로

분류하였으며, 2010년에 재연구를 통하여 간호관리역량 중 분류체

계, 연구 및 근거기반 실무, 정책진행/지지, 질/과정 향상, 간호단위

업무/업무절차의 조직화, 운영자본 예산 등을 조정하였다[20]. 간호

관리자의 간호관리역량 개발에 대한 국내 연구로는 군병원과 노인요

양시설 간호관리역량에 대한 연구가 있다. Lee [21]는 군병원의 병동

선임간호장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개인차원, 집단차원, 조직차원

으로 나누었으며, 전문성 유지, 간호업무 수행, 인지/분석, 의사결정,

관계유지, 업무방해요소 제거, 상급자 보좌, 동기부여, 집단관리, 의

사소통, 계획역량, 조직, 통제/조정, 간호인력관리 및 육성, 정보/자

원/비용관리, 변화관리 역량으로 분류하였다. Kim [22]은 노인요양

시설 관리자를 대상으로 성취지향성, 주도성, 정보수집, 대인이해, 고

객지향성, 마케팅, 영향력, 조직인식, 관계형성, 직원육성, 자기주장,

팀원과 협력, 리더십, 분석적 사고, 개념적 사고, 전문성, 자기조절,

자기확신, 유연성, 조직혁신 역량 등의 역량을 개발하였다. 이외 병원

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은 이전 연구들에서 개발된 국·내외 간

호관리역량 도구를 이용한 연구들로 현시점에서 병원간호관리자 역량

부분의 적용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새로운 간호관리역량 연구가 필요

하다. 또한 최근 의료기관의 다양한 변화와 발전으로 인하여 간호관

리가 중요하게 부각되는 이 시점에서 간호관리자역량 연구는 필요하

다. 이에 본 연구는 병원 간호관리자의 간호관리역량을 분류하고, 이

에 대한 행동지표를 개발하여 병원 간호관리자의 간호관리역량 강화

및 역량평가에 기초를 제공하고 간호관리 발전에 기여하고자 시도되

었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 간호관리자의 간호관리역량을 분류하고,

분류된 간호관리역량에 대한 행동지표를 개발하며, 역량에 대한 중

요도, 수행도 조사와 분석을 통하여 앞으로 개발되어야 할 역량을

파악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간호관리자의 간호관리역량을 분류한다.

2) 간호관리자의 간호관리역량에 따른 행동지표를 개발한다.

3) 간호관리역량과 행동지표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를 비교한다.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전문가 조사 기법으로 병원 간호관리자의 간호관리역

Page 3: 간호관리역량 분류 및 간호관리역량별 행동지표 개발 · 간호관리역량 분류 및 간호관리역량별 행동지표 개발 1-1 단계: 1차 전문가 조사는

377

http://dx.doi.org/10.4040/jkan.2016.46.3.375 www.kan.or.kr

간호관리역량 분류 및 간호관리역량별 행동지표 개발

1-1 단계: 1차 전문가 조사는 병원 간호관리자의 역할과 이를 수

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간호관리역량과 행동지표에 대한 문헌고찰을

토대로 조사지를 제작하여 자문위원 5인의 적합성 검토 후 사용하였

다. 1차 전문가 조사결과에서 제시된 간호관리자의 간호관리역량과

행동지표에 대해 문헌고찰 내용을 종합하여 자문위원 5인과 유사항

목의 통합, 중복항목의 삭제, 언어구사 점검, 역량명 부여, 배열 순

서 및 형식 검토 등 간호관리자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적절하다고 판

단된 간호관리역량과 행동지표에 대한 예비항목을 도출하였다.

1-2 단계: 간호관리자의 간호관리역량 예비항목에 대한 범주화는

문헌고찰[7,24]을 통하여 기획, 조직, 인적자원관리, 지휘 및 통제

등 5 과정을 이용하여 분류하고 자문위원 5인과 적합성 여부를 검토

하였다.

량을 도출하여 간호관리과정별로 범주화하여 분류하고, 각 간호관

리역량에 따른 행동지표를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2. 연구 절차

본 연구는 4단계로 진행되었으며, Spencer와 Spencer [8]의 전문

가 패널을 이용하는 역량개발 모형방법(단축형 연구)을 변형하여 이

용하였다(Figure 1).

1단계는 간호관리자의 관리역량과 관련된 외국문헌과 국내문헌

[9,17~22]을 고찰하여 간호관리자의 역량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였

다. 이 후 간호관리전문가 34인의 패널을 구성하여 1차, 2차 전문가

조사를 실시하여 간호관리자의 간호관리역량을 분류하였다.

Figure 1. The process of the classification of the nursing management competency and the development of the behavioral indicators for nurse managers at hospital.

Step I.

The classification of the nursing management competency

1.1 Deriving a preliminary items for the nursing management competency and behavioral indicator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1st. expert survey

1.2 Categorizing the preliminary nursing management competency by management process with five advisory boards

1.3 Verification of the content validity of the nursing management competency through 2nd. expert survey

Step II.

The development of the behavioral indicators by nursing management competency

2.1 Verification of the content validity of the behavioral indicators through 3rd. expert survey

2.2 Final classification of the nursing management competency and the development of the behavioral indicators

Step III. Identification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nursing management competency and behavioral indicators

3. Survey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finalized nursing management competency and behavioral indicators

Step IV.

Identification of the concentrated nursing management competency and behavioral indicators

4. Identification of the concentrated nursing management competency and behavioral indication through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Page 4: 간호관리역량 분류 및 간호관리역량별 행동지표 개발 · 간호관리역량 분류 및 간호관리역량별 행동지표 개발 1-1 단계: 1차 전문가 조사는

378

http://dx.doi.org/10.4040/jkan.2016.46.3.375www.kan.or.kr

김성열 · 김종경

3. 연구 대상

1) 전문가 조사를 위한 간호전문가 패널

본 연구에서는 500병상 이상 상급종합병원 또는 종합병원 간호관

리자 경력 10년 이상의 간호관리자 30명, 교수 5명 총 35명을 선정

하였으나, 최종 34명의 간호전문가가 참여하였다. 간호전문가 패널

선정은 지인을 통하여 소개 받은 간호관리자와 교수, 간호전문가로

구성하였다. 연구자는 이들에게 직접면담과 전화로 연구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하고 참여의사 확인 및 서면동의를 받은 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지역적인 편차를 통제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 충남, 충

북, 대전, 부산 및 제주 지역의 병원 근무자로 하였다.

2) 연구 자문위원

본 연구의 자문위원은 총 5인으로 간호관리학 교수 2인, 현직 간

호관리자 경력 10년 이상의 박사학위 소지자 3인으로 구성되었다.

간호관리역량과 행동지표에 대한 1차에서 3차까지의 전문가 조사를

통해 얻어진 자료를 연구자와 같이 정리하였다. 정리내용에는 설문

지의 검토, 유사항목의 통합, 언어구사의 검토, 용어조정 및 적합성

검토 등이다.

3) 4차 조사대상의 간호관리자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간호관리역량과 행동지표의 중요도와 수행도

조사를 위해 500병상 이상의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에서 중간관

리자로 재직 중인 간호팀장 또는 간호과장과 수간호사 또는 간호단

위 관리자 220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최종 216명의 자료가 분

석되었다. 연구의 지역적인 편차를 통제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 충

남, 충북, 대전, 부산 및 제주 지역의 병원 근무자로 하였다.

4. 연구 도구와 자료 수집 방법

1) 1차 간호관리역량과 행동지표 조사 질문지

1차 조사 설문지는 병원에서 간호관리자로서의 역할과 이를 수행

하기 위해 요구되는 필요한 간호관리역량, 간호관리 현장에서 행동

으로 수행되는 간호관리역량별 행동지표에 대해 서술식으로 기입하

는 방식으로 작성되었으며, 설문지 조사 전에 자문위원 5인의 검토

를 받았다.

2) 2차 간호관리역량 예비항목에 대한 검토 및 내용타당도 조사 질문지

2차 조사 설문지는 1차 전문가 조사에서 도출한 45개의 간호관리

역량 예비항목을 정리하여 자문위원 5인에게 검토를 받았다. 이 설

문지는 예비로 개발된 간호관리역량 검토에 대한 의견을 적고, 타당

1-3 단계: 2차 전문가 조사는 간호관리과정별 간호관리자의 간호

관리역량에 대한 예비항목으로 구성된 구조화된 질문지로 각 항목

에 대해 4점 척도로 조사하였고, 그 결과로 각 간호관리역량별 내용

타당도 지수(Content Validity Index [CVI])를 산출하여 검증하였다

[25]. 전문가 패널이 3점 혹은 4점을 부여하여 80% 이상의 합의가

이루어진 경우 유의한 항목으로 선정하여 분류하였다. 2차 전문가

조사결과는 자문위원 5인과 검토 과정을 거쳐서 최종 간호관리역량

을 분류하였다.

2단계는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3차 전문가 조사를 실시하여 간

호관리역량별 행동지표를 개발하였다.

2-1 단계: 3차 전문가 조사는 1차 전문가 조사결과와 문헌고찰을

종합하여 간호관리자의 간호관리역량별 행동지표에 대한 예비항목

으로 구성된 구조화된 질문지를 제작하여 자문위원 5인의 적합성

검토 후 사용하였다. 각 항목에 대해 4점 척도로 조사하였고, 그 결

과로 각 간호관리역량별 각 행동지표에 대한 내용타당도 지수를 산

출하여 전문가 패널이 3점 혹은 4점을 부여하여 80% 이상의 합의

기준으로 검증하였다.

2-2 단계: 문헌고찰과 3차 전문가 조사결과를 반영하여 도출한

간호관리자의 간호관리역량과 각 간호관리역량별 행동지표 예비항

목에 대한 내용타당도 검증결과에 따라 최종 간호관리역량을 분류

하고 각 간호관리역량별 행동지표를 개발하였다.

3단계는 최종 확정된 간호관리자의 간호관리역량과 각 간호관리

역량별 행동지표로 구성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500병상 이

상의 상급종합병원 또는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현직 간호관리자 216

명을 대상으로 각 항목별 중요도와 수행도를 조사하였다.

4단계는 3단계에서 조사한 결과를 가지고 간호관리역량과 행동지

표에 대한 중요도-수행도 분석(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IPA])을 실시하여 집중 개발을 요하는 간호관리자의 간호관리역량

과 행동지표를 확인하였다. 중요도-수행도 분석은 Martilla와

James [26]가 개발한 기법으로 경영전략이나 마케팅 전략 수립 등

에서 자주 이용되며, 주요 요인에 대해 중요도와 수행도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동시에 분석한다[26]. 분석결과는 중요도와 수행

도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사분면으로 나누어지며, 각 사분면의 위치

에 따라 현 작업의 유지 영역, 집중개발 할 영역, 우선순위가 낮은

영역, 과도하게 개발된 영역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Page 5: 간호관리역량 분류 및 간호관리역량별 행동지표 개발 · 간호관리역량 분류 및 간호관리역량별 행동지표 개발 1-1 단계: 1차 전문가 조사는

379

http://dx.doi.org/10.4040/jkan.2016.46.3.375 www.kan.or.kr

간호관리역량 분류 및 간호관리역량별 행동지표 개발

간호사가 응답하여 분석에서 각 제외하였다.

5. 연구 윤리

연구 윤리의 준수를 위해 자료 수집에 앞서 D병원 임상연구심의

위원회(IRB)로부터 4회의 IRB승인을 받고 연구를 실시하였다. 각

조사 단계별로 보면 연구계획서와 1차 전문가 조사지(IRB 2014-

03-019), 2차 전문가 조사지(IRB 2014-03-019-001), 3차 전문가

조사지(2014-03-019 -002), 4차 간호관리자 설문 조사지(IRB

2014-03-019-003) 등이다.

6. 자료 수집 방법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각 기관의 절차에 따라 직접방문 또는 전

화로 연구의 목적과 절차, 자료의 익명성과 기밀성 보장 등에 대해

설명을 한 후 서면동의서를 받은 대상자로 하였다. 연구 기간 중 연

구에 참여하는 것을 원하지 않을 경우 언제든지 자율적으로 중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불이익이 없음을 알렸다.

7. 자료 분석 방법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

여 분석하였고, 구체적인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일반

적 특성은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였다. 간호관리

역량과 행동지표의 내용타당도는 내용타당도 지수를 산출하여 검증

하였다. 간호관리자의 간호관리역량과 행동지표에 대한 중요도와 수

행도는 평균과 표준편차, 중요도와 수행도 비교는 independent t-

test를 이용하였다. 간호관리자의 집중개발을 요하는 간호관리역량

과 행동지표에 대한 확인은 중요도-수행도 분석(IPA)을 실시하였

다. 도구의 Cronbach’s α를 산출하여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의 전문가 조사를 위한 간호전문가 패널 34명의 일반적 특

성은 다음과 같다. 간호학과 교수가 5인, 관리자가 29명이었으며 경

력은 평균 17.50년이었다. 학력은 박사가 6명, 석사가 22명, 학사가

6명이었다. 간호전문가 패널의 업무 지역은 서울, 경기도, 대전, 충

남, 충북, 부산, 제주도로 총 7개 지역이었다. 다음으로 본 연구의 4

차 조사대상인 216명 간호관리자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간

도 조사를 위한 설문지로 구성하였다. 타당도 설문지는 4점 척도로

‘매우 타당함’ 4점, ‘대체로 타당함’ 3점, ‘대체로 타당하지 않음’ 2

점, ‘전혀 타당하지 않음’ 1점으로 구성하였다.

3) 3차 행동지표 예비항목에 대한 검토 및 내용타당도 조사 질문지

3차 조사 설문지는 1차 전문가 조사에서 도출한 181개의 간호관

리역량별 행동지표 예비항목을 정리하여 자문위원 5인에게 검토를

받았다. 이 설문지는 예비로 개발된 행동지표 검토에 대한 의견을

적고, 타당도 조사를 위한 설문지로 구성하였다. 타당도 설문지는 4

점 척도로 ‘매우 타당함’ 4점, ‘대체로 타당함’ 3점, ‘대체로 타당하

지 않음’ 2점, ‘전혀 타당하지 않음’ 1점으로 구성하였다.

4) 4차 조사 질문지-간호관리역량과 행동지표의 중요도와

수행도 조사 질문지

4차 조사 설문지는 확정된 간호관리역량과 행동지표의 중요도와

수행도 조사를 위한 설문지이다. 3차 전문가를 통해 정리된 42개 간

호관리역량과 181개의 행동지표가 포함되어 있으며, Likert 5점 척

도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간호관리역량별 행동지표의 중요도

의 Cronbach’s α=.99, 수행도의 Cronbach’s α=.98로 나타났다.

자료 수집 방법은 각 설문조사 시 본 연구자가 직접 방문하거나

우편으로 질문지를 제공하여 회수하였다.

1) 1차 전문가 조사는 2014년 4월 7일부터 5월 12일까지 5주간

개방형 질문지 35부를 배부, 34부(97.1%)를 회수하여 34부 모두 분

석자료로 이용하였다. 이 중 1인은 응답하지 않아 2차 전문가 조사

에서는 제외하였다.

2) 2차 전문가 조사는 2014년 7월 28일부터 8월 15일까지 3주간

우편으로 구조화된 질문지 34부 배부, 32부(94.1%)를 회수하여 32

부 모두 분석자료로 이용하였다. 이 중 2인은 응답하지 않아 3차 전

문가 조사에서는 제외하였다.

3) 3차 전문가 조사는 2014년 10월 1일부터 10월 16일까지 2주간

구조화된 질문지 32부를 배부, 31부(96.9%)를 회수하여 31부 모두

분석자료로 이용하였다.

4) 현직 병원 간호관리자 대상 중요도 ∙ 수행도 조사는 2014년 11

월 1일부터 11월 15일까지 2주간 구조화된 질문지 220부를 배부,

210부(95.5%)를 회수하여 응답이 불충분 4부를 제외한 206부

(98.1%)를 분석자료로 이용하였다. 불충분 4부 중 1부는 일반적인

특성만 기록하고 중요도와 수행도를 표기하지 않았으며, 2부는 중

요도는 표기하였으나 수행도는 표기하지 않았다. 이 외 1부는 일반

Page 6: 간호관리역량 분류 및 간호관리역량별 행동지표 개발 · 간호관리역량 분류 및 간호관리역량별 행동지표 개발 1-1 단계: 1차 전문가 조사는

380

http://dx.doi.org/10.4040/jkan.2016.46.3.375www.kan.or.kr

김성열 · 김종경

하였다.

3) 간호관리자의 간호관리역량 예비항목에 대한 내용타당성 검증

간호관리자의 간호관리역량 45개 예비항목에 대한 전문가 패널

대상의 2차 전문가 조사결과로 45개의 간호관리역량을 재검토하고,

내용타당도를 조사하였다. 내용타당도 지수는 0.98이었으며, 각 역

량의 내용타당도 지수는 0.94~1.00으로 나타났다. 2차 전문가 조사

에서 간호전문가 패널의 추가의견을 수합하여 자문위원 5인과 같이

검토 후 최종 42개의 간호관리역량을 정리하였다(Table 1). 통합되

거나 삭제된 역량은 다음과 같다. 유연성역량은 대인관계역량으로,

문제예측역량은 문제해결역량으로 통합되었으며, 의사결정역량은

기획역량과 지휘역량 두 군데로 정리되어서 이를 기획역량으로 포함

하고 지휘역량에서는 이를 삭제하였다.

3. 간호관리역량별 행동지표 개발

1) 간호관리역량 별 행동지표 예비항목 도출과 내용타당도 검증

간호관리역량 별 행동지표 예비항목은 1차 전문가 조사에서 505

개가 제시되었으며 문헌고찰[8,17~22]에서 도출한 191항목을 종합

한 결과 동일항목이 129문항으로 조사되어 이를 제외한 567 목록으

로 정리하였다. 1차 정리된 567개의 행동지표 목록을 42개 간호관

리역량별 행동지표로 분류하고 역량번호에 따른 행동지표 번호를 부

여한 후 엑셀을 이용하여 번호 순으로 정렬하였다. 자문위원과 같이

유사항목의 통합, 중복항목의 삭제, 용어의 조정, 언어구사 점검,

배열순서의 조정을 7회 반복 검토하여 예비항목 181개로 정리하였

다. 간호전문가 패널의 3차 전문가 조사를 통하여 행동지표 181개의

내용타당도를 조사한 결과 0.94~1.00 이었으며, 각 행동지표는

0.94 이상으로 나타났다. 정리하면 기획 과정에서는 32개, 조직 과

정에서는 14개, 인적자원관리 과정에서는 25개, 지휘 과정에서는

72개, 통제 과정에서는 38개의 행동지표로 정리되었다(Table 1).

2) 최종 간호관리역량 분류 및 행동지표 개발

간호전문가 34인의 패널을 통한 3차에 걸친 전문가 조사와 자문

위원 5인의 검토로 최종 간호관리자의 42개의 간호관리역량과 각

역량에 따른 181개의 행동지표가 개발되었다.

4. 간호관리역량과 행동지표의 중요도와 수행도 비교

본 연구에서 간호관리역량의 중요도 평균은 4.58±0.37, 수행도

평균은 4.01±0.45로 중요도 점수가 수행도 점수보다 유의하게

(t=14.03, p <.001) 높게 나타났다. 관리과정에서 간호관리역량의

호관리자의 평균 간호경력은 9.19년이었으며, 간호과장이 24명, 수

간호사가 182명으로 본 연구에서의 간호과장은 수간호사 업무를 하

는 관리자만을 포함하였다. 대상자의 학력은 석사 이상이 131명, 학

사가 75명이었으며, 간호업무 지역은 서울, 경기도, 대전, 충남, 충

북, 부산, 제주도로 총 7개 지역이었다.

2. 간호관리자의 간호관리역량 분류 결과

1) 간호관리역량 예비항목 도출

먼저 간호관리자 역량과 관련된 외국문헌과 국내문헌[8,17~22]을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병원 간호관리자의 간호관리역량 항목은 34

명의 간호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현재 병원에서의 간호관리자로서

의 역할과 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간호관리역량, 실제 간호현

장에서 행동으로 수행하게 되는 행동지표에 대해 1차 전문가 조사를

통하여 개방형질문으로 조사가 실시되었다. 1차 전문가 조사와 문헌

정리 한 것을 종합하여 먼저 130개의 간호관리역량 목록이 정리되었

다. 1차로 정리된 130개의 간호관리역량 목록을 엑셀로 가, 나, 다

순으로 정렬하고, 정렬된 자료를 토대로 자문위원 5인과 유사항목의

통합(윤리역량을 간호윤리역량으로 통합), 중복항목의 삭제(의사결

정역량을 기획역량으로 포함시킨 후 삭제), 문헌고찰과 역량사전 등

을 참고하여 역량 명칭을 조정하는(고객관리역량을 고객지향성 역

량으로, 업무조정역량을 조정역량으로 조정) 과정을 4차례 반복하

여 간호관리역량 45개의 예비항목을 정리하였다.

2) 간호관리역량 예비항목의 간호관리과정별 범주화

간호관리자의 간호관리역량 예비항목 45개를 관리과정의 기획,

조직, 인적자원관리, 지휘 및 통제 과정별로 자문위원 5인과 같이

범주화하였다. 기획 과정에는 비전수립 역량, 기획 역량, 분석 역

량, 비용관리 역량, 의사결정 역량, 경영마인드 역량, 마케팅 역량

및 창조성 역량 등 8개 역량으로, 조직 과정에는 조직관리 역량, 조

직혁신 역량 및 변화관리 역량 등 3개 역량으로, 인적자원 관리과

정에는 직원관리 역량, 인적자원개발 및 육성 역량, 직원교육 역량,

간호행정 역량 및 협상 역량 등 5개 역량으로, 지휘 과정에는 리더

십 역량, 전문성 역량, 연구수행 역량, 영향력 역량, 대인관계 역

량, 팀원과 협력 역량, 의사소통 역량, 유연성 역량, 공감 역량, 동

기부여 역량, 문제예측 역량, 문제해결 역량, 갈등관리 역량, 조정

역량, 의사결정 역량, 자기관리 및 개발 역량, 윤리 역량, 고객지향

성 역량 및 지역사회 관계역량 등 19개 역량으로, 통제 과정에는 질

향상 역량, 간호표준개발 역량, 환자간호관리 역량, 자원관리 역량,

환경관리 역량, 감염관리 역량, 안전관리 역량, 정보관리 역량, 의

료기관평가준비 역량 및 성과관리 역량 등 10개 역량으로 범주화

Page 7: 간호관리역량 분류 및 간호관리역량별 행동지표 개발 · 간호관리역량 분류 및 간호관리역량별 행동지표 개발 1-1 단계: 1차 전문가 조사는

381

http://dx.doi.org/10.4040/jkan.2016.46.3.375 www.kan.or.kr

간호관리역량 분류 및 간호관리역량별 행동지표 개발

Table 1. Results of the Nursing Management Competency and its Behavioral Indicators of Nurse Manager classified by Management Process

Management

process

Nursing

management

competencies

NO Behavioral indicators

Importance

rate

Performance

rate t (p)

M±SD M±SD

I. Planning

processVision-building 1

2

3

Suggest a vision for the organization

Build that vision in the nursing unit

Inform all nurses of the vision

4.68±0.52

4.61±0.52

4.62±0.54

3.91±0.71

3.89±0.67

3.85±0.68

12.57

11.69

12.53

(<.001)

(<.001)

(<.001)

Planning 4

5

6

7

8

9

Build a planning strategy for the nursing unit

Explain the purposes of the objectives

Present the purposes and policy to all nurses

Consider costs, resources, and all available information

Plan the nursing unit

Evaluate the results of the plan

4.75±0.44

4.72±0.48

4.68±0.51

4.50±0.51

4.67±0.49

4.66±0.49

4.38±0.66

4.24±0.74

4.17±0.71

3.84±0.76

4.22±0.69

4.12±0.77

6.77

7.74

8.39

9.46

7.66

8.53

(<.001)

(<.001)

(<.001)

(<.001)

(<.001)

(<.001)

Analysis 10

11

12

13

14

Gather the required specialized professional knowledge

and attain the ability to analyze these data

Identify all available internal and external resources

Use all available information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organization

Identify the causes of significant events, and predict the results

Classify activities by their overall importance; set priorities

4.55±0.53

4.52±0.55

4.45±0.61

4.47±0.67

4.66±0.55

3.93±0.69

3.88±0.71

3.68±0.74

3.78±0.73

4.10±0.71

11.86

10.38

11.63

10.06

8.84

(<.001)

(<.001)

(<.001)

(<.001)

(<.001)

Cost management 15

16

17

18

Manage finance; establish appropriate accounting procedures

Create a budget for the nursing unit

Procure equipment and all necessary disposable items

Ensure that management is cost–effective

4.03±0.74

4.19±0.77

4.52±0.63

4.15±0.75

3.19±0.73

3.49±0.88

4.08±0.79

3.42±0.88

11.69

8.71

6.34

9.06

(<.001)

(<.001)

(<.001)

(<.001)

Decision-making 19

20

21

22

23

Collect and review all relevant information before making any

important decision

Identify the needs of the staff of the nursing unit

Predict the impact of decisions

Ensure that decisions include the opinions of staff

Make decisions in a timely manner

4.63±0.56

4.67±0.56

4.49±0.60

4.62±0.55

4.54±0.61

4.12±0.68

4.20±0.65

3.97±0.77

4.09±0.69

3.95±0.70

8.26

7.79

7.73

8.57

9.16

(<.001)

(<.001)

(<.001)

(<.001)

(<.001)

Business model 24

25

26

Accept ownership of the program

Think in a business-oriented manner

Ensure profitability through cost–effectiveness

4.79±0.45

4.61±0.58

4.56±0.60

4.34±0.76

4.00±0.84

3.93±0.84

7.24

8.45

8.76

(<.001)

(<.001)

(<.001)

Marketing 27

28

29

Advertise the new facilities, equipment, and treatments available in

the hospital

Advertise the various ways in which the hospital operates

Enhance the image of the hospital by engaging in external

collaborations

4.36±0.70

4.31±0.70

4.21±0.76

3.65±0.85

3.51±0.80

3.41±0.90

9.30

10.82

9.76

(<.001)

(<.001)

(<.001)

Creativity 30

31

32

Think creatively and with a long-term perspective

Explore creative ideas from all perspectives

Apply new ideas (internal and external) in the nursing unit

4.44±0.65

4.40±0.65

4.35±0.67

3.64±0.76

3.49±0.76

3.45±0.81

11.52

13.10

12.33

(<.001)

(<.001)

(<.001)

II. Organizing

processOrganizational

management 33

34

35

36

37

38

Organize and systematize the job of the nursing team

Organize and run a nursing committee directed toward goal

achievement

Delegate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to staff

Ensure cohesion of the nursing team

Ensure excellence in both nursing care and management

Maintain staff morale

4.68±0.50

4.64±0.54

4.64±0.55

4.74±0.46

4.65±0.53

4.72±0.48

4.09±0.69

4.14±0.77

4.01±0.71

4.14±0.66

4.02±0.66

4.17±0.67

10.05

7.74

10.00

10.76

10.71

9.60

(<.001)

(<.001)

(<.001)

(<.001)

(<.001)

(<.001)

Innovation 39

40

41

42

Spend time challenging old ideas and searching for new ones

Try new ways of achieving the goals of the nursing unit

Suggest innovative work strategies

Support staff innovations

4.34±0.62

4.33±0.65

4.34±0.68

4.47±0.63

3.61±0.77

3.64±0.78

3.55±0.79

3.67±0.80

10.54

9.75

10.82

11.21

(<.001)

(<.001)

(<.001)

(<.001)

Change

management 43

44

45

46

Maintain an open attitude toward change

Create a climate that welcomes change and innovation

Accept change and cooperate in the implementation of change

Participate in and formally commit to change

4.60±0.59

4.52±0.62

4.56±0.60

4.44±0.68

3.95±0.75

3.82±0.80

3.84±0.75

3.66±0.81

9.78

10.01

10.70

10.61

(<.001)

(<.001)

(<.001)

(<.001)

Page 8: 간호관리역량 분류 및 간호관리역량별 행동지표 개발 · 간호관리역량 분류 및 간호관리역량별 행동지표 개발 1-1 단계: 1차 전문가 조사는

382

http://dx.doi.org/10.4040/jkan.2016.46.3.375www.kan.or.kr

김성열 · 김종경

Management

process

Nursing

management

competencies

NO Behavioral indicators

Importance

rate

Performance

rate t (p)

M±SD M±SD

III. Human

resources

management

process

Staffing

management47

48

49

50

51

52

53

Allocate staff only after analyzing the job that must be done

Tailor jobs to staff abilities and characteristics

Interview staff periodically, listen to them, and support them

Evaluate nursing staff performance

Monitor staff attendance

Seek to minimize staff turnover

Know staff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manage staff

accordingly

4.80±0.44

4.69±0.50

4.66±0.54

4.69±0.50

4.71±0.53

4.74±0.46

4.65±0.53

4.04±0.80

3.96±0.81

4.07±0.78

4.33±0.72

4.67±0.65

4.33±0.68

4.18±0.73

11.90

11.02

8.94

5.97

4.22

7.10

7.35

(<.001)

(<.001)

(<.001)

(<.001)

(<.001)

(<.001)

(<.001)

Human

resources

development

54

55

56

57

58

59

Plan staff training and development

Establish a committee and a research team to help staff develop

their abilities, competencies, and leadership skills

Offer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staff

Provide guidance to enable staff to fulfill their professional

potential throughout their nursing careers

Support staff learning and growth

Delegate work,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4.49±0.61

4.51±0.64

4.58±0.57

4.63±0.55

4.61±0.54

4.53±0.60

3.73±0.82

3.84±0.81

3.91±0.82

3.89±0.77

3.95±0.72

3.81±0.81

10.63

9.39

9.68

11.19

10.58

10.26

(<.001)

(<.001)

(<.001)

(<.001)

(<.001)

(<.001)

Staff education 60

61

62

63

64

65

Draft educational plans for nursing staff

Manage education in the nursing unit

Run conferences in the nursing unit

Educate nurses about new methods and nursing trends

Engage in humanities and liberal arts programs

Teach clinical practice to nursing students

4.61±0.52

4.53±0.57

4.53±0.57

4.50±0.60

4.14±0.80

4.41±0.65

4.33±0.64

4.26±0.70

4.56±0.61

3.84±0.86

3.29±1.02

4.13±0.94

4.83

4.32

-0.10

8.97

9.41

3.53

(<.001)

(<.001)

(.924)

(<.001)

(<.001)

(<.001)

Nursing

management66

67

68

Know management theory and how to document and manage

Prepare documentation for, and reports on the nursing unit

Prepare and manage administrative documents

4.40±0.65

4.48±0.64

4.42±0.68

3.85±0.76

4.14±0.75

4.00±0.79

7.92

13.29

5.58

(<.001)

(<.001)

(<.001)

Negotiation 69

70

71

Learn how to negotiate

Prepare and strategize before negotiation

Negotiate fairly to achieve mutual benefits

4.40±0.65

4.40±0.67

4.39±0.60

3.66±0.77

3.65±0.80

3.72±0.79

10.70

10.37

9.42

(<.001)

(<.001)

(<.001)

IV. Directing

process

Leadership 72

73

74

75

76

Adjust leadership to the situation

Apply leadership to maintain high levels of teamwork

Explain the vision of the organization to staff and respect it

personally

Exhibit professionalism, intelligent thinking, and exemplary

behavior

Be a role model for nursing excellence

4.79±0.42

4.82±0.40

4.75±0.48

4.71±0.48

4.72±0.47

4.14±0.64

4.16±0.65

4.09±0.69

3.98±0.70

4.15±0.67

12.16

12.38

11.32

12.38

10.25

(<.001)

(<.001)

(<.001)

(<.001)

(<.001)

Professionalism 77

78

79

80

81

Recognize the professional responsibility of each position

Adopt new trends in nursing theory, educational/learning

theories, health delivery systems, patient classification,

and nursing standards

Keep abreast of all legal, employment, ethical, and clinical issues

Apply new clinical nursing methods

Continue to develop in your area of expertise and obtain

professional qualifications

4.73±0.46

4.57±0.55

4.37±0.69

4.47±0.63

4.38±0.71

4.09±0.70

3.71±0.77

3.49±0.76

3.70±0.80

3.65±0.89

10.91

12.92

12.24

10.29

9.21

(<.001)

(<.001)

(<.001)

(<.001)

(<.001)

Nursing research 82

83

84

Conduct and teach clinical nursing research

Facilitate the transition of new nursing methods from the research

laboratory to practice

Understand and maintain research ethics

4.29±0.68

4.25±0.69

4.35±0.68

3.44±10.5

3.41±0.97

3.68±0.95

9.74

10.22

8023

(<.001)

(<.001)

(<.001)

Exert influence 85

86

87

88

Influence staff by showing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Build trust by exhibiting exemplary behavior and judgment

Help staff feel confident at work

Use a strategy appropriate to each situation

4.53±0.64

4.68±0.53

4.66±0.53

4.57±0.57

4.10±0.74

4.15±0.69

4.10±0.67

4.02±0.70

6.46

8.69

9.30

8.79

(<.001)

(<.001)

(<.001)

(<.001)

Interpersonal

relationships89

90

91

92

93

Asses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the nursing unit

Exchange personal opinions related to work

Serve as an intermediary among doctors, patients, and nursing

staff

Value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o facilitate smooth

workflow

Participate in departmental and hospital meetings

4.53±0.57

4.51±0.60

4.66±0.55

4.67±0.53

4.48±0.61

4.17±0.61

4.07±0.62

4.30±0.64

4.34±0.61

4.20±0.67

6.23

7.17

6.12

5.68

4.46

(<.001)

(<.001)

(<.001)

(<.001)

(<.001)

Page 9: 간호관리역량 분류 및 간호관리역량별 행동지표 개발 · 간호관리역량 분류 및 간호관리역량별 행동지표 개발 1-1 단계: 1차 전문가 조사는

383

http://dx.doi.org/10.4040/jkan.2016.46.3.375 www.kan.or.kr

간호관리역량 분류 및 간호관리역량별 행동지표 개발

Management

process

Nursing management

competencies NO Behavioral indicators

Importance

rate

Performance

rate t (p)

M±SD M±SD

IV. Directing

process

(continued)

Cooperation 94

95

96

97

98

Establish inter- and intra-departmental cooperation

Share information among staff to facilitate smooth cooperation

Create cooperation using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Motivate staff to cooperate; coordinate and integrate activities

Recognize and praise good staff performance

4.70±0.49

4.63±0.54

4.51±0.61

4.63±0.55

4.70±0.50

4.35±0.65

4.27±0.67

3.96±0.76

4.13±0.69

4.25±0.69

6.16

5.89

8.14

8.14

7.67

(<.001)

(<.001)

(<.001)

(<.001)

(<.001)

Communication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Respect the opinions of nursing staff

Inform superiors of staff opinions

Inform staff of rules, policies, and changes

Counsel effectively

Form logical opinions and communicate these to staff

Create an atmosphere of free communication

Communicate in a calm manner

Actively provide positive and constructive feedback

4.75±0.47

4.69±0.51

4.69±0.50

4.60±0.55

4.62±0.57

4.65±0.54

4.65±0.54

4.69±0.51

4.29±0.63

4.22±0.64

4.32±0.70

3.88±0.71

3.98±0.68

4.10±0.70

4.08±0.69

4.14±0.67

8.58

8.16

6.35

11.55

10.30

8.92

9.29

9.30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Empathy 107

108

119

Recognize the attitudes, interests, needs, and perspectives of

others

Show and encourage empathy both verbally and non-verbally

Actively seek to meet staff requests

4.57±0.56

4.62±0.53

4.72±0.48

4.18±0.61

4.25±0.64

4.42±0.60

6.71

6.43

6.14

(<.001)

(<.001)

(<.001)

Motivation 110

111

112

113

Identify how to motivate staff and follow through appropriately

Motivate staff with praise and rewards

Encourage the nursing staff to improve and achieve

Recognize and encourage staff potential

4.55±0.55

4.61±0.53

4.65±0.51

4.57±0.55

3.99±0.75

4.12±0.74

4.19±0.67

3.99±0.75

8.70

7.80

7.79

9.06

(<.001)

(<.001)

(<.001)

(<.001)

Problem-solving 114

115

116

117

Determine the causes of problems

Improve the situation by inviting staff cooperation when a

problem develops

Solve problems quickly and fairly

Manage recurring problems

4.71±0.46

4.71±0.47

4.76±0.45

4.79±0.43

4.30±0.67

4.28±0.64

4.35±0.65

4.34±0.66

7.33

7.89

7.39

8.26

(<.001)

(<.001)

(<.001)

(<.001)

Conflict management 118

119

120

121

Assess factors creating conflict in the nursing unit

Create a climate that reduces conflict

Manage conflict after listening to all opinions

Manage staff conflict

4.69±0.48

4.74±0.46

4.67±0.51

4.72±0.49

4.18±0.67

4.25±0.63

4.15±0.65

4.22±0.66

8.94

8.97

8.81

8.69

(<.001)

(<.001)

(<.001)

(<.001)

Mediation 122

123

124

Develop negotiation skills

Develop strategies to maintain a stable work environment

Establish workable agreements collaboratively

4.66±0.52

4.62±0.53

4.62±0.56

4.03±0.68

4.00±0.73

4.01±0.69

10.59

9.90

9.78

(<.001)

(<.001)

(<.001)

Nursing ethics 125

126

127

128

129

Always behave ethically

Make fair decisions

Define nurses’roles and responsibilities

Ensure nurses that deliver care responsibly

Identify any legal or ethical problems in nursing practice

and solve them

4.72±0.49

4.74±0.46

4.68±0.53

4.76±0.46

4.70±0.49

4.25±0.64

4.18±0.63

4.10±0.67

4.23±0.68

4.08±0.74

8.36

10.18

9.70

9.25

10.13

(<.001)

(<.001)

(<.001)

(<.001)

(<.001)

Customer orientation 130

131

132

133

134

Listen to customers and recognize their needs

Respect customers’ rights

Establish a policy addressing customers’ questions, suggestions,

and expressions of discontent

Solve customer problems as quickly as possible

Connect customers with appropriate community resources, if

necessary

4.75±0.48

4.72±0.49

4.71±0.49

4.76±0.45

4.52±0.63

4.34±0.66

4.28±0.69

4.28±0.67

4.33±0.65

3.87±0.87

7.40

7.49

7.51

7.72

8.63

(<.001)

(<.001)

(<.001)

(<.001)

(<.001)

Self-management 135

136

137

138

139

140

Have the attitude, appearance, dress, and language appropriate

for a manager

Develop personally through reading and education

Participate in programs to develop competency

Seek to be a professional manager

Manage stress effectively

Do not lose your sense of humor

4.71±0.50

4.50±0.65

4.54±0.60

4.67±0.53

4.60±0.63

4.37±0.72

4.31±0.66

3.83±0.75

3.85±0.78

3.95±0.75

3.72±0.87

3.57±0.88

6.94

9.90

10.26

11.18

11.72

10.18

(<.001)

(<.001)

(<.001)

(<.001)

(<.001)

(<.001)

Community

relationships 141

142

143

Establish relationships with the community

Participate in community health promotion

Participate in community service

4.23±0.73

4.20±0.75

4.19±0.75

3.31±0.92

3.38±0.98

3.48±1.06

11.25

9.49

7.82

(<.001)

(<.001)

(<.001)

Page 10: 간호관리역량 분류 및 간호관리역량별 행동지표 개발 · 간호관리역량 분류 및 간호관리역량별 행동지표 개발 1-1 단계: 1차 전문가 조사는

384

http://dx.doi.org/10.4040/jkan.2016.46.3.375www.kan.or.kr

김성열 · 김종경

Management

process

Nursing

management

competencies

NO Behavioral indicators

Importance

rate

Performance

rate t (p)

M±SD M±SD

V. Control

process

Quality

improvement144

145

146

Learn how to apply quality improvements

Implement and teach quality improvement within the nursing unit

Apply and manage quality improvements in clinical areas

4.64±0.54

4.57±0.56

4.59±0.54

4.00±0.69

4.03±0.71

3.98±0.75

10.50

8.51

9.25

(<.001)

(<.001)

(<.001)

Development

of nursing

standards

147

148

149

Establish evidence-based clinical nursing standards

Standardize nursing tasks

Prepare nursing guidelines, educational materials, and

management plans

4.63±0.54

4.69±0.52

4.68±0.50

3.85±0.81

3.99±0.75

4.05±0.79

11.52

11.01

9.75

(<.001)

(<.001)

(<.001)

Nursing 150

151

152

153

154

155

156

Support the creation and introduction of a nursing plan

Establish 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s

Confer with medical teams on treatment plans

Check the condition of each patient and his/her needs via interview

and observation

Coordinate with medical teams if treatment-associated problems

develop

Educate the patient and his/her family

Advise all staff of available improvements in nursing care

4.56±0.57

4.60±0.54

4.59±0.55

4.68±0.49

4.67±0.50

4.53±0.56

4.61±0.55

3.93±0.74

3.84±0.74

3.91±0.85

4.13±0.78

4.18±0.73

4.02±0.83

4.04±0.83

9.73

11.85

9.73

8.54

7.92

7.35

8.1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Resource

management157

158

159

160

Create a budget for nursing unit assets

Manage all equipment and medications on the nursing unit

Write and disseminate guidelines on the use and management of

equipment, materials, and medications

Establish a reporting system for accidents related to equipment,

materials, and medications

4.50±0.58

4.59±0.55

4.59±0.53

4.74±0.46

3.96±0.85

4.24±0.81

4.25±0.83

4.58±0.63

7.50

5.14

5.03

2.94

(<.001)

(<.001)

(<.001)

(<.001)

Environmental

management161

162

163

Assess the environment of the nursing unit

Create a safe environment and manage it safety

Create and maintain a pleasant environment

4.62±0.51

4.70±0.47

4.63±0.54

4.33±0.65

4.33±0.63

4.27±0.65

5.24

6.73

6.19

(<.001)

(<.001)

(<.001)

Infection

management164

165

Assess infection management within the nursing unit

Ensure infection control and management

4.77±0.47

4.80±0.44

4.39±0.66

4.37±0.69

6.83

7.45

(<.001)

(<.001)

Patient safety

management166

167

168

Create an action plan ensuring nursing unit safety

Check and manage safety

Establish a reporting system for accidents

4.78±0.44

4.78±0.43

4.81±0.41

4.39±0.68

4.47±0.68

4.57±0.63

6.79

5.55

4.60

(<.001)

(<.001)

(<.001)

Information

management169

170

171

172

Identify the various information about health care environment,

legal, policy changes

Exchange information with external agencies or associations

Use and manage information efficiently

Protect and manage personal information

4.42±0.66

4.35±0.69

4.42±0.63

4.72±0.50

3.77±0.80

3.60±0.85

3.84±0.82

4.38±0.71

9.06

9.85

8.16

5.59

(<.001)

(<.001)

(<.001)

(<.001)

Preparing for the

medical center

accreditation

173

174

175

Prepare the accreditation application based on the published

criteria

Involve all staff during the process of accreditation

Check that every detail of the application is complete

4.82±0.46

4.80±0.48

4.80±0.47

4.51±0.69

4.46±0.75

4.38±0.70

5.25

5.74

6.83

(<.001)

(<.001)

(<.001)

Performance

management176

177

178

179

180

181

Define performance indicators for the nursing unit

Establish achievable short- and long-term goals

Identify and implement alternative resource management

procedures to improve cost–effectiveness

Manage the nursing unit to achieve high performance

Collect and analyze performance-related data

Continuously evaluate performance and provide feedback

4.62±0.55

4.63±0.53

4.54±0.58

4.58±0.55

4.53±0.58

4.59±0.54

4.11±0.83

4.03±0.82

3.85±0.82

4.03±0.77

3.91±0.85

4.02±0.78

7.36

8.79

9.95

8.34

8.69

8.59

(<.001)

(<.001)

(<.001)

(<.001)

(<.001)

(<.001)

Page 11: 간호관리역량 분류 및 간호관리역량별 행동지표 개발 · 간호관리역량 분류 및 간호관리역량별 행동지표 개발 1-1 단계: 1차 전문가 조사는

385

http://dx.doi.org/10.4040/jkan.2016.46.3.375 www.kan.or.kr

간호관리역량 분류 및 간호관리역량별 행동지표 개발

으로 높게 나타났다.

5. 집중개발을 요하는 간호관리역량과 행동지표의 확인

본 연구에서 중요도-수행도 분석을 실시하여 제 1면인 집중개발

요구부분에서 각 간호관리역량과 행동지표를 확인하였다. 집중개발

이 요구되는 간호관리역량은 총 42개 역량 중 5개(11.9%)로 나타났

다(Figure 3). 이에는 기획 과정의 비전수립 역량, 분석 역량, 조직

과정의 변화관리 역량, 인적자원관리 과정의 인적자원개발 역량, 지

휘 과정의 자기관리 역량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중개발을 요하는

간호관리역량의 행동지표는 총 181개 중 23개(12.7%)로 나타났다.

기획 과정에서 집중개발이 요구되는 행동지표는 32개 중 3개

(9.4%), 조직 과정에서는 14개 중 1개(7.1%), 인적자원관리 과정에

서는 25개 중 5개(20.0%), 지휘 과정에서는 72개 중 2개(2.8%), 통

제 과정에서는 38개 중 12개(31.6%)로 나타났다. 기획 과정에서 집

중개발이 요구되는 간호관리역량의 행동지표는 분석 역량의 ‘정보를

분석하여 조직의 영향요인을 도출한다’, ‘상황과 관련된 원인을 파악

하여 결과들을 예측한다’, 창조성 역량의 ‘창의적 사고와 미래지향

적 사고를 한다’로 나타났다. 조직 과정에서 집중개발이 요구되는 간

호관리역량의 행동지표는 변화관리 역량의 ‘변화를 수용하고 적응할

수 있도록 협조체계를 구축한다’로 나타났다. 인적자원관리 과정에

서 집중개발이 요구되는 간호관리역량의 행동지표는 인적자원개발

역량의 ‘직원에게 접합한 훈련 및 개발계획을 함께 세운다’, ‘간호단

위(팀) 위원회 및 간호연구 활동참여 권장 등 리더십 및 업무능력에

대한 역량 확장을 돕는다’, ‘간호사의 경력에 따라 전문직 역량을 갖

추도록 지도한다‘, ‘직원의 능력 향상을 위해 직무과제, 권한 및 책임

사항 등을 위임한다’, 직원교육 역량의 ‘새로운 간호방법 및 최근 간

호동향 등에 대해 교육한다’로 나타났다. 지휘 과정에서 집중 개발

중요도 평균은 통제 과정에서 4.64±0.3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

음으로 지휘 과정에서 4.61±0.39, 조직 과정에서 4.54±0.44, 인

적자원관리 과정에서 4.54±0.43, 기획 과정에서 4.51±0.40로 나

타났다. 관리과정에서 간호관리역량의 수행도 평균은 역시 통제과정

에서 4.14±0.5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지휘 과정에서

4.05±0.49, 인적자원관리 과정에서 3.99±0.53, 기획 과정에서

3.87±0.61, 조직 과정에서 3.87±0.55로 나타났다(Figure 2).

본 연구에서 간호관리역량 별 행동지표에서의 중요도와 수행도는

다음과 같다. 기획 과정에서의 행동지표 중요도는 ‘주인의식을 갖는

다’, ‘간호단위의 사업계획을 수립한다’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수

행도는 ‘간호단위의 사업계획을 수립한다’, 경영마인드 역량의 ‘주인

의식을 갖는다’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조직 과정에서 행동지표 중요

도는 ‘간호단위의 결속력을 강화한다’, ‘조직 구성원들의 사기를 증진

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수행도는 ‘조직 구

성원들의 사기를 증진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간호단위의 결속력을

강화한다’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인적자원관리 과정에서 간호관리

역량의 행동지표 중요도는 ‘간호업무를 분석하여 간호인력을 배치한

다’, ‘직원의 이직률을 최소화 하도록 노력한다’, 순으로 높게 나타났

으며, 수행도는 ‘간호단위 직원의 근태관리를 한다’, ‘간호단위 집답

회를 실시한다’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지휘 과정에서 간호관리역량

의 행동지표 중요도는 ‘팀워크를 유지할 수 있는 통솔력을 발휘한

다’, ‘상황에 적합한 리더십을 발휘한다’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수

행도는 ‘도움 요청 시 적극적으로 도와준다’, ‘부서 내 또는 부서 간

에 협조적 관계를 유지한다’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통제 과정에서

간호관리역량의 행동지표 중요도는 ‘의료기관평가 기준에 맞추어 자

료준비를 한다’, ‘안전사고발생 시 보고체계에 따라 보고한다’ 순으

로 높게 나타났으며, 수행도는 ‘물품약품 관련 사고발생시 보고체계

에 따라 보고한다’, ‘안전사고 발생 시 보고체계에 따라 보고한다’ 순

HRM= Human Resource Management

4.51±0.40

5.00

4.00

3.00

3.87±0.61 3.87±0.553.99±0.53

4.05±0.494.14±0.51

4.54±0.44 4.54±0.434.61±0.39 4.64±0.38

Figure 2. Comparison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nursing management competency by management process.

Page 12: 간호관리역량 분류 및 간호관리역량별 행동지표 개발 · 간호관리역량 분류 및 간호관리역량별 행동지표 개발 1-1 단계: 1차 전문가 조사는

386

http://dx.doi.org/10.4040/jkan.2016.46.3.375www.kan.or.kr

김성열 · 김종경

논 의

본 연구는 병원 간호관리자의 간호관리역량을 분류하고, 간호관리

역량별 행동지표를 개발하여 병원 간호관리자의 간호관리역량 평가,

역량강화 교육 및 훈련 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

었다. 본 연구에서 총 42개의 간호관리자의 간호관리역량이 분류되

었으며, 각 간호관리역량에 따른 행동지표는 181개가 개발이되었다.

Duffield [17]의 연구 결과와 비교하면 범주화 영역 구분, 역량 수

및 명칭 등이 다른 결과를 보였으며, 이는 시기와 나라별 의료환경

의 차이로 사료된다. 그러나 노사관계, 인선유형 및 역할모델을 제

외한 12개의 하위영역의 간호관리역량은 본 연구 결과와 내용이 유

사하게 나타났다. Dubnicki와 Sloan [18]의 연구와 비교하면 범주

구분 방법과 개발 역량 수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 이 연구 결과에서

대인관계와 문제해결 범주는 본 연구에서는 각 대인관계와 문제해결

역량으로 분류되었으며, 9개의 하위 역량 중 직접적 설득 역량을 제

외하고는 연구과정에서 역량명이 일부 수정되었으나 내용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Spencer와 Spencer [8]의 연구와 비교하면 역량

을 요하는 간호관리역량의 행동지표는 전문성 역량의 ‘간호이론, 교

수/학습이론, 간호전달체계, 환자분류체계 및 간호표준 등 최신 간

호동향에 대한 전문지식을 지속적으로 습득한다’, 자기관리 역량의

‘효과적인 스트레스 관리를 한다’로 나타났다. 통제 과정에서 집중개

발이 요구되는 간호관리역량의 행동지표는 질 향상 역량의 ‘질향상

활동방법에 대한 지식을 갖춘다’, ‘간호단위(팀)의 질 향상 활동을

주관하고 지도한다’, ‘질 향상 활동 결과를 실무에 적용하고 관리한

다’, 간호표준개발 역량의 ‘근거기반의 간호실무 표준을 수립한다’,

‘간호업무를 표준화 한다’, ‘업무지침서 및 교육자료 등을 제작하고

관리한다’가 확인되었다. 또한 간호업무수행 역량의 ‘근거기반의 간

호를 제공하도록 관리한다’, ‘의료진과 치료계획을 협의한다’, ‘간호

사의 간호행위를 평가하여 개선할 점을 조언한다’, 성과관리 역량의

‘성취 가능한 장 단기 목표를 수립한다’, ‘간호단위(팀)의 성과달성을

할 수 있도록 관리한다’, ‘업무성과를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피드백

한다’로 나타났다.

The title of the No. of the nursing management competency

1. Vision-building2. Planning 3. Analysis 4. Cost management 5. Decision-making 6. Business model7. Marketing 8. Creativity9. Organizational management 10. Innovation11. Change management 12. Staffing management13. Human resources development14. Staff education

15. Nursing management16. Negotiation17. Leadership18. Professionalism19. Nursing research 20. Exert influence 21. Interpersonal relationship22. Cooperation23. Communication24. Empathy25. Motivation26. Problem-solving27. Conflict management28. Mediation

29. Nursing ethics30. Customer orientation31. Self management32. Community relationships 33. Quality improvement34. Development of nursing standards35. Nursing 36. Resource management37. Environmental management38. Infection management39. Patient safety management40. Information management41. Preparing for the medical center accreditation42. Performance management

Figure 3. Results of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nursing management competency.

Page 13: 간호관리역량 분류 및 간호관리역량별 행동지표 개발 · 간호관리역량 분류 및 간호관리역량별 행동지표 개발 1-1 단계: 1차 전문가 조사는

387

http://dx.doi.org/10.4040/jkan.2016.46.3.375 www.kan.or.kr

간호관리역량 분류 및 간호관리역량별 행동지표 개발

에서는 상급종합병원 평가기준이 537문항으로 더욱 강화되고, 특히,

직원안전과 정보보호 부분이 중요하게 제시되었다[27].

국내 다른 연구인 Kim [22]의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간호관리역량

을 개발하였으며, 그 결과 역량 20개, 행동지표 90개가 개발되었다.

본 연구와 비교하면 고객지향성, 마케팅, 영향력, 리더십, 전문성,

조직혁신 등 6개의 역량명은 동일하였고, 이외의 14개 역량은 명칭

은 다르나 내용은 유사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21개의 역량이 추가로 제시됨을 볼 수 있었다. 이는 의료기관인증제

가 필수적이며, 2014년 8월부터 개인정보보호법 시행 및 환자안전

법 제정 등 안전사고 예방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면서 이와 더불어

간호관리역량 변화에 큰 영향을 주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 간호관리역량의 전체 중요도가 수행도보다 높게 나

타나 현 간호관리자들이 간호관리역량에 대한 중요성 인식이 높으나

현실적으로는 수행이 어려운 여건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에 대

한 추가연구가 필요하며, 개발전략 또한 제시되어야 한다고 본다.

특히, 통제 과정과 지휘 과정에서의 간호관리역량의 중요도와 수행

도가 모두 상위 2순위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최근 임상현장에서

병원평가, 환자안전법, 적정성평가 등 국가 시책 관련 필수적으로

수행하여야 하는 역량들이 포함된 영향으로 사료된다. 지휘과정에

서의 간호관리역량 중 특히, 문제해결, 리더십, 간호윤리 역량 등은

각 4.70점 이상으로 내부고객과 외부고객의 요구도 증가에 따른 문

제해결과 갈등관리, 최근 중요하게 대두되는 간호윤리 영향과 간호

관리자로서 역할 수행에 필수적인 리더십 역량이 포함된 영향으로

사료된다. 선행 연구 결과에서 중요도 상위 10순위 내 간호관리역량

을 보면 Chase [18]의 연구 결과에서 문제해결하기, 갈등해결하기,

효과적으로 직원배치하기 등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고, Kim [23]의

연구 결과에서도 갈등관리하기, 간호인력 활용하기가 유사한 결과

를 보였다. 노인요양시설 관리자 대상의 Kim [22]의 연구 결과에서

도 고객지향성과 리더십역량이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간호관리자에게 집중개발이 요구되는 간호관리역량

은 비전수립, 분석, 변화관리, 인적자원개발, 자기관리역량 등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Kim [22]의 노인요양병원 간호관리자를 대상

으로 한 연구 결과와 비교하면 인적자원개발과 자기개발역량은 유

사한 결과를 보였다. 이는 인적자원개발과 자기개발역량이 간호관리

자에게 중요함을 나타내었으며, 이 두 개의 역량에 대한 강화 전략

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본 연구에서 집중 개발을 요하는 행동지표는 23개로 특히,

인적자원관리 과정과 통제 과정에서 집중적으로 개발해야 하는 행

동지표가 많았다. 이에 대한 원인분석과 개선전략 모색 등 간호관리

역량 강화 전략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의료기관에 따

라 집중개발을 요하는 간호관리역량과 행동지표에 대한 근본적인 원

개발 수에서 다른 결과를 보였다. 13개 역량 모두 본 연구과정에서

명칭은 일부 수정되었으나 내용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Spencer

와 Spencer [8]의 연구에서는 정보탐색과 팀리더십 역량이 새로이

개발되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정보탐색역량은 정보관리역량으로,

팀리더십역량은 리더십역량으로, 각 역량명을 포괄적인 용어로 조정

하였다. 여러 국외 간호관리역량 선행 연구[8,17,18]와 비교하면, 본

연구에서 규명되고 분류된 간호관리역량의 갯수가 많았으며, 역량

명도 다소 조정되었다. 이는 최근 의료기술의 발전과 의료환경과 의

료비 지불제도의 변화, 고객 요구도의 증가에 따른 영향으로 사료된

다. 또한 간호관리에서 성과관리와 간호조직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

해 다각적인 측면에서 간호관리 능력요구가 본 영향 요소로 사료된

다. Chase [19,20]는 기술적, 인간적, 개념적, 리더십, 재무관리역

량 등 53개의 간호관리역량을 개발하였으며, 이후 다시 간호관리역

량 관련 연구를 실시하여 기존의 역량에 추가로 6개의 역량을 재구

성 하였다. 그 결과 실무표준, 감염관리, 연구 및 근거기반, 윤리적

원칙, 질 향상역량 등이 새롭게 역량 목록에 추가되었다. Chase

[19,20]의 연구와 본 연구를 비교하면 범주화 구분은 유사하지 않았

고, 간호관리 역량이 53개로 본 연구보다 많은 결과를 보였다. 간호

관리역량의 명칭을 비교하면 의사결정, 갈등관리, 동기유발, 스트레

스 관리, 직원교육역량 등 5개는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48개는 의미

는 비슷하나 간호관리역량의 명칭은 유사하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Chase [19,20]의 간호관리역량 중 특히, 신기술, 사례관리, 규제기

관의 표준, 유머, 낙천성, 행정이론, 교수/학습 이론, 정책진행, 법

적이슈 역량 등은 각 나라의 의료환경과 문화가 반영되어 다른 결과

를 보였다고 사료된다. Chase [19,20]의 간호이론, 행정이론, 교수/

학습이론, 법적이슈역량은 본 연구에서는 전문성역량과 매칭이 되

며, 유머, 낙천성역량은 자기관리역량과 매칭이 된다.

국내연구인 Lee [21]는 군병원의 간호장교 대상으로 연구하였으

며, 연구 결과 16개 범주, 81개 간호관리역량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

결과와 비교 시 분류방법과 개발 역량 수, 일부 역량명 등에서 다른

결과를 보였다. 간호관리역량 명칭에서는 간호업무수행, 의사결정,

동기부여, 의사소통, 변화관리역량 등 5개 역량 명이 동일하였고, 전

문성 유지, 인지/분석, 관계유지, 집단관리, 계획, 조직, 통제/조정,

간호인력관리 및 육성, 정보/자원/비용관리, 문제해결 및 조정, 업무

방해요소 제거 등 10개 역량명은 다르나 그 내용은 유사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병원의 특성과 의료의 변화가 반영되어서 이러한

결과를 보였다고 사료된다. 특히, 최근 의료기관평가, 안전관리, 감

염관리가 강조 된 점이 반영되었다고 본다. 2007년부터 의료기관평

가가 시작되면서 평가기준에 따라 감염관리와 안전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하였으며, 2010년에는 의료기관평가가 의료기관인증

제로 변경되면서 평가기준이 강화되고, 2014년 2주기 의료기관인증

Page 14: 간호관리역량 분류 및 간호관리역량별 행동지표 개발 · 간호관리역량 분류 및 간호관리역량별 행동지표 개발 1-1 단계: 1차 전문가 조사는

388

http://dx.doi.org/10.4040/jkan.2016.46.3.375www.kan.or.kr

김성열 · 김종경

REFERENCES

1.Lee HM, Kim JI. Core competency and manpower: A model de-

velopment of intellectual core competency and competency evalua-

tion. Seoul: Korea Management Association; 2003.

2.Lim JY, Noh W, Oh SE, Kim OG. Financial ratio analysis for de-

veloping nursing management strategies in university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19

(1):7-16. http://dx.doi.org/10.11111/jkana.2013.19.1.7

3.Hall LM, Waddell J, Donner G, Wheeler MM. Outcomes of a ca-

reer planning and development program for registered nurses.

Nursing Economic$. 2004;22(5):231-238.

4.Tørstad S, Bjørk IT. Nurse leaders’ views on clinical ladders as a

strategy in professional development. Journal of Nursing Manage-

ment. 2007;15(8):817-824.

http://dx.doi.org/10.1111/j.1365-2934.2007.00769.x

5.Byeon HS, Jnag KS. A study on the nursing managerial compe-

tency of head nurses in the general hospitals. Chonnam Journal of

Nursing Sciences. 2000;5(1):135-150.

6.Sung YH, Jeong JH. Defining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nurses

in a tertiary hospital and comparing different units based on their

respective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6;12(1):76-93.

7.Kim IS, Jang KS, Lee MH, Ha NS, Hong YM, Lee T, et al.

Nursing management. 3rd ed. Seoul: Hyunmoon; 2009.

8.Spencer LM, Spencer SM.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

rior performance. New York, NY: Wiley; 1993.

9.Lee HM. Competency modeling & competency evaluation. Seoul:

Read & Lead; 2009.

10.Schneider HL. Evaluation of nursing competence. New York, NY:

Little, Brown; 1979.

11.Drenkard K, Cohen E. Clinical nurse leader: Moving toward the

future.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4;34(6):257-

260. http://dx.doi.org/10.1097/00005110-200406000-00001

12.Scoble KB, Russell G. Vision 2020, part I: Profile of the future nurse

leader.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3;33(6):324-

330. http://dx.doi.org/10.1097/00005110-200306000-00005

13.Sullivan J, Bretschneider J, McCausland MP. Designing a leadership

development program for nurse managers: An evidence-driven ap-

proach.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3;33(10):544-

549. http://dx.doi.org/10.1097/00005110-200310000-00010

14.Mathena KA. Nursing manager leadership skills.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2;32(3):136-142.

http://dx.doi.org/10.1097/00005110-200203000-00006

15.Kim HS. Analysis of the factors, the differential of performance

and the awareness of significance in the competency cluster of the

middle manager in general hospital [master’s thesis]. Seoul: Yon-

sei University; 2011. p. 1-106.

16.Kim YS, Eo YS, Lee NY. Effects of head nurses’ managerial compe-

tencies and professional nurse autonomy in nursing performance. Jour-

인분석과 개선전략을 포함한 간호관리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통하여 간호관리역량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28-30]. 본 연

구의 제한점으로는 연구의 조사대상이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으

로 제한하여 편의표집 하였으므로 병원의 규모가 다른 병원에서 본

연구 결과를 적용하기에는 제한이 있을 수 있다.

결 론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에서의 간호관리자의 간호관

리역량을 분류하고, 이에 대한 행동지표를 개발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 대상은 34인의 간호전문가패널, 5인의 자문위원, 261명의 간호

관리자를 대상이었으며, 조사기간은 2014년 4월부터 11월까지이었

다. 최종 간호관리역량 42개가 분류되었으며 각 역량에 대한 행동지

표 181개가 개발이되었다.

최근 의료의 변화가 빠르고 성과중심의 의료경영이 강조되는 시점

에서 본 연구는 간호와 간호관리 영역에서 의의가 있는 연구이다.

현재 병원에 재직 중인 간호관리자들은 효율적인 간호단위 운영은

물론 병원차원의 경영목표에 따른 전략수행, 국가차원의 감염관리

강화, 환자안전법 제정, 의료기관 인증평가, 진료적정성 평가 등 다

양한 역할 수행을 통해 실제적인 성과를 창출해야 하는 의료환경의

중심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 결과는 현 의료환경을

반영하여 병원 간호관리자의 효과적인 업무수행에 필요한 간호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되어 효율적인 경영성과를 창출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본다. 또한 본 연구 결과 집중적으로

개발해야 할 간호관리역량과 행동지표에 대한 프로그램, 개발워크

숍을 통해 간호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겠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을 제언한다. 병원 간호관리자들에

게 적용하여 평가하는 반복적인 연구를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병

원 간호관리자의 간호관리역량과 행동지표에 대한 중요도가 모든 항

목에서 수행도 보다 낮게 나타났는데 이에 대한 분석 연구를 제언한

다. 병원 간호관리자의 간호관리역량과 행동지표에 대한 수행도를

높일 수 있는 역량강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제언한다. 본 연

구는 500병상 이상의 상급종합병원 및 종합병원급의 간호관리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향후 본 연구 결과를 참조하여 병원규모에 적

합한 간호관리자의 역량 개발이 필요하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d no conflict of interest.

Page 15: 간호관리역량 분류 및 간호관리역량별 행동지표 개발 · 간호관리역량 분류 및 간호관리역량별 행동지표 개발 1-1 단계: 1차 전문가 조사는

389

http://dx.doi.org/10.4040/jkan.2016.46.3.375 www.kan.or.kr

간호관리역량 분류 및 간호관리역량별 행동지표 개발

24.Gillies DA. Nursing management: A systems approach. 3rd ed.

Philadelphia, PA: Saunders; 1994.

25.Lynn MR.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1986;35(6):382-385.

http://dx.doi.org/10.1097/00006199-198611000-00017

26.Martilla JA, James JC.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1977;41(1):77-79. http://dx.doi.org/10.2307/1250495

27.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KOIHA evaluation

criteria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Tertiary general hospital (Ver

2.0).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14.

28.Cherry B, Jacob SR. Contemporary nursing: Issues, trends, &

management. 6th ed. Philadelphia, PA: Mosby; 2014.

29.Linton MJ, Prasun MA. Evidence-based practice: Collaboration

between education and nursing management.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3;21(1):5-16.

http://dx.doi.org/10.1111/j.1365-2834.2012.01440.x

30.Gantz NR, Sherman R, Jasper M, Choo CG, Herrin-Griffith D, Har-

ris K. Global nurse leader perspectives on health systems and work-

force challenge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2;20(4):433-

443. http://dx.doi.org/10.1111/j.1365-2834.2012.01393.x

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4;20(4):437-

445.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4.437

17.Duffield C. The competencies expected of first-line nursing managers-

an Australian context.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89;14(12):997-

1001. http://dx.doi.org/10.1111/j.1365-2648.1989.tb01509.x

18.Dubnicki C, Sloan S. Excellence in nursing management: Compe-

tency-based selection and development.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1991;21(6):40-45.

19.Chase LK. Nurse manager competencies.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1994;24(4 Suppl):56-64.

20.Chase LK. Nurse manager competencies [dissertation]. Iowa City,

IA: The University of Iowa; 2010. p. 1-168.

21.Lee SM. An analysis of nursing managerial competencies: Military

hospital head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

ministration. 1997;3(1):37-50.

22.Kim JS. Development of competency and behavioral indicator of an

administrator in long-term care facility. Journal of Korean Acad-

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8;14(4):477-487.

23.Kim SH. A study on competency of first-line nursing manager in

hospital setting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

sity; 2000. p. 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