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라이드 1 - kocw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 · 강의자료:...

22
강좌제목: 고전문학강독 담당교수: 최원오 강좌연도: 2013년도 1학기 수강대상: 광주교육대학교 국어과 3학년 강의구성: 초등교사의 인문학적 자질함양을 목표로 그와 관련 된 한국고전문학(구비문학, 기록문학)의 주요 작품 을 소개하고 교육적 함의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 함. 강의방법: 교수 강의+ 퀴즈 강의자료: PPT자료와 동일한 내용을 한글파일로도 제공함. 일부 자료는 PPT자료를 보충하는 내용을 포함함.

Upload: others

Post on 23-Aug-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강좌제목: 고전문학강독 담당교수: 최원오 강좌연도: 2013년도 1학기 수강대상: 광주교육대학교 국어과 3학년 강의구성: 초등교사의 인문학적 자질함양을 목표로 그와 관련 된 한국고전문학(구비문학, 기록문학)의 주요 작품 을 소개하고 교육적 함의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 함. 강의방법: 교수 강의+ 퀴즈 강의자료: PPT자료와 동일한 내용을 한글파일로도 제공함. 일부 자료는 PPT자료를 보충하는 내용을 포함함.

  • 고전문학강독 9주차

    강의내용: 한국 고전서사문학에서의 용 강의목표: 1. 한국 고전서사문학에 나타난 용 이야기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2. 한국 고전서사문학에 나타난 용 이야기의 구조와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 용은 상상의 동물인가?

    용은 현실의 동물인가?

    용은 존재하지 않는 동물이면서

    존재하는 역설적 동물

    1-0 상상과 현실의 경계 동물, 용

  • 1-1 한국신화 속의 용: 천지 왕래의 교통수단

    주몽신화: 해모수와 오룡거(五龍車)

    천지 왕래의 교통수단 * 천제天帝의 아들인 해모수解慕漱는 지상에 내려올 때 다섯 마리 용이 끄는 수레, 즉 오룡거五龍車를 타고 지상에 내려오는 것으로, 그리고 죽어서는 용산龍山에 묻혔다거나, 또는 황룡(黃龍을 타고 승천했다는 식으로 묘사되어 있다. 신화를 전하고 있는 기록물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모두 해모수와 용과의 관계를 상호 밀접한 관계로 설정하고 있다.

  • 1-2 한국신화 속의 용: 신성 혈통의 근원

    박혁거세신화: 계룡(鷄龍)이 왼쪽 옆구리로 알영(閼英) 출산

    여자 쪽의 혈통을 신성화하는 방식 *『삼국유사三國遺事』의 기록에 의하면, 사량리沙梁里 알영정閼英井 가에 계룡鷄龍이 나타나 왼쪽 옆구리를 통해 어린 여자 아이 하나를 탄생하였는데, 그 아이가 바로 후에 박혁거세의 부인이 되는 알영이다. 이는 부인의 혈통을 신성하게 만드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 1-3 한국신화 속의 용: 신성혈통의 직접적 계보화

    고려사 고려세계(高麗世系)의 작제건: 용녀와 결혼하여 네 아들을 얻었는데, 장자가 용건

    이고, 용건의 아들이 왕건임.

    신성혈통의 직접적 계보화:

    작제건용건왕건

    * 왕건의 모계母系가 용의 혈통이라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그의 할아버지인 작제건이 용녀를 아내로 맞이한 사건을 설정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 1-4 한국신화 속의 용: 신성혈통의 간접적 계보화

    조선 왕조의 도조(度祖): 백룡의 구원 요청을 받고 흑룡을 퇴치.

    신성혈통의 간접적 계보화:

    후손 발흥 * 도조가 백룡이 구원해달라고 부탁한 날짜에 호수에 가서 활을 겨누어 흑룡을 쏘아 죽이자, 백룡이 도조 앞에 나타나 사례하고 자손이 크게 흥할 것이라고 예언했다.

  • 1-5 한국전설 속의 용: 실패한 건국주와 신성혈통의 부정

    후백제의 견훤전설과 백제의 무왕전설:

    지렁이의 자식 vs 지룡(池龍)의 자식 실패한 건국 vs 성공한 중흥

    * 견훤전설에서 야래자의 정체는 뱀, 지렁이, 빗자루 등 수생동물이거나 기다란 물건으로 제시되고 있다.

    * 범이 와서 자신의 젖을 먹였을 정도로 견훤은 초월적 세계와 관여되는 비범한 인물이었다. 그러나 견훤을 지렁이의 자식이라고 한 것은, 다분히 견훤을 폄하하기 위한 의도가 개입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 1-6 한국전설 속의 용: 나라를 지키는 용, 호국룡

    용=국가 권력의 수호자

    호국룡(護國龍)의 탄생: 문무왕

    * 신문왕(문무왕의 아들)이 감은사에 들렀을 때, 만파식적을 얻었는데, 이 피리를 불면 “적병이 물러가고 병이 낫고 가뭄에는 비가 오고 비올 때는 개이며 바람은 가라앉고 물결도 평정”하여졌다고 함. * 호국룡이 불교에서의 호법룡護法龍에 영향을 받았다고는 하여도, 여기에는 고래로부터 전승되어 왔던 왕통王統과 용신의 연관성, 그리고 그것이 표방하는 국가권력의 상징적 이미지에 대한 신화적 사고가 개입되어 있음을 부정할 수 없다.

  • 1-7 한국민담 속의 용

  • 1-8 한국민담 속의 용: 사람들의 염원의 대상

    * 깊은 산속에 짚동처럼 생긴 것이 대낮에도 사람을 잡아먹었다. 한 사람이 밤중에 그 산으로 들어가려고 했다. 그러자 사람들은 낮에 가도 사람이 죽는 곳이니 들어가서는 안 된다고 했다. 하지만 이 사람은 고집을 세우며 그 산으로 들어갔다.

    * 그러자 하늘에서 ‘우닥딱’ 소리가 나며 이 사람을 잡아먹으려고 했다. 이 사람은 짚동처럼 생긴 것 밑에 가서 용이 되어 올라가시라며 빌었다. 그러자 짚동 같은 것이 용

    이 되어 등천을 했다. 짚동은 사실 용이 되지 못한 강철이였는데, 사람들의 염원을 듣지 못해서 용이 되지 못했던 것이었다. 그 사람 덕분에 등천한 강철이는 그 사람에게 복을 많이 주었다.

  • 1-9 한국 문헌설화 속의 용: 불법佛法에 굴복하고 마는 용

    * 에 의하면, 보양은 이목[이무기]을 시켜 비를 내리게 한다. 그로 인해 온 지방이 순식간에 흡족해졌다. * 이 일로 천제天帝가 이목을 몰래 죽이려고 하자 이목은 두려워하며 보양에게 그 사실을 고한다.

    * 보양은 이목을 침상 밑에 숨겨준다. 천사天使가 찾아오자 보양은 배나무[梨木]를 가리키고, 천사는 배나무에 벼락을 치고 하늘로 올라간다. 이목이 부러진 배나무를 쓰다듬어 다시 살려낸다.

  • 1-10 한국 고전소설 속의 용: 주인공의 전신前身

    * 에서 홍 판서는 길동을 낳을 적에 뇌정벽력雷霆霹靂이 진동하며 청룡靑龍이 수염을 거스르고 공에게 향하여 달려드는 꿈을 꾼다.

    * 이렇게 해서 낳은 자식이 바로 홍길동이니, 홍길동의 전신은 청룡이었던 것이다.

  • 1-11 한국 고전소설 속에서 용: 주인공의 구원자, 원조자

    * 에서 장국진이 전쟁터에 참여했다가 위험한 상황에 처한다. 그러자 장국진의 두 부인인 유 부인과 이 부인이 남편을 구하기 위한 상의를 한 끝에 이 부인이 남

    편을 구하러 나서고, 유 부인은 이를 돕기로 한다. * 이때 유 부인이 이 부인에게 비늘 같은 것을 두 개 주면서 ‘가다가 동정호洞庭湖에 이르러 이것을 물에 던지면 그대를 청할 것’이라고 말한다. 여기서 비늘 같은 것은 바

    로 용의 용의 비늘을 가리킨다. 유 부인은 동정호에 사는 용왕의 딸이었던 것이다.

  • 9주: 한국 고전서사문학에서의 용

    참고문헌

    김화경(1985), 「백제 문화와 야래자 설화의 연구」, 『백제논총 1, 백제문화개발연구원.

    박현국(1992), 「설화의 신화적 구조와 상징 연구」, 중앙대 박사논문. 이동철(2005), 『한국 용설화의 역사적 전개』, 민속원. 조동일․임재해(1980), 『한국구비문학대계』 7-2, 한국정신문화연구

    원. 정병헌(1994), 「백제 용신 설화의 성격과 전개 양상」, 『구비문학연

    구』 제1집, 한국구비문학회. 정상박․유종목(1980), 『한국구비문학대계』 8-1, 한국정신문화연구

    원.

  • 내용정리

    1. 용은 한국의 전통문학 및 전통문화에서 존재하면서도 존재하지 않는, 역설적인 동물로 제시되어 있다.

    2. 한국신화에서 용은 천지왕래의 교통수단(주몽신화), 신

    성한 혈통의 근원(박혁거세신화), 신성혈통의 직간접적 계보화(고려 건국신화, 조선 건국신화) 등과 관련하여 제시되고 있다.

    9주: 한국 고전서사문학에서의 용

  • 내용정리

    3. 한국전설에서 실패한 건국주(후백제의 견훤)에게는 신성혈통으로서의 용을 개입시키지 않고 있다. 이는 백제 지역의 또 다른 문헌전설인 무왕전설과는 대비되는 측면이다. 한편, 문무왕전설에서 볼 수 있듯이, 용은 호국룡(護國龍)으로도 변용되어 제시되고 있다. 이는 용의 이미지와 국가 권력의 수호자의 이미지가 오버랩되면서 생겨난, 통치 이데올로기적 모습이다.

    9주: 한국 고전서사문학에서의 용

  • 내용정리

    4. 한국민담에서 용은 사람들의 소원들을 들어주는 염원의 대상이다. 즉 용은 사람들의 염원을 들어야 승천할 수 있는 대상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는 용과 인간의 관계를 일방적으로 보기보다는 상호수수 관계로 보려는 인식의 소산이다. 사람들이 이무기를 용이라고 호명함으로써 이무기는 용이 되어 승천하게 되고, 그 보답으로 용은 사람들에게 농사를 지을 수 있는 들판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9주: 한국 고전서사문학에서의 용

  • 내용정리

    5. 한국 문헌설화, 특히 불교적 요소가 농후한 문헌설화에서 용은 불법(佛法)에 굴복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는 재래신격인 용이 외래종교의 신격인 부처에 복속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불교는 우리 고유의 전통신앙 및 신격을 받아들이면서 이 땅에 뿌리를 내린 종교였던 것이다.

    6. 한국 고전소설에서 용은 주인공의 전신(前身)이거나[홍

    길동전], 주인공의 구원자, 원조자로 등장[장국진전]하고 있다.

    9주: 한국 고전서사문학에서의 용

  • 퀴즈

    1. 한국신화에 등장하는 용의 이미지를 설명하여 보라. 2. 문무왕전설에 등장하는 용의 이미지는 무엇인가?

    9주: 한국 고전서사문학에서의 용

  • 퀴즈정답

    1. 한국신화에서 용은 천지왕래의 교통수단(주몽신화), 신성한 혈통의 근원(박혁거세신화), 신성혈통의 직간접적 계보화(고려 건국신화, 조선 건국신화) 등과 관련하여 제시되고 있다. 2. 호국룡

    9주: 한국 고전서사문학에서의 용

  • 차시예고

    한국 고전서사문학에서의 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