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다소비산업구조 14-09 심화요인 분석 및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120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에너지다소비산업구조 심화요인 분석 및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기본 연구 보고서 14-09 www.keei.re.kr 김태헌

Upload: others

Post on 05-Aug-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에너지다소비산업구조 심화요인 분석 및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기본연구 보고서

    14-09

    www.keei.re.kr

    김 태 헌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714.2114 ZIP I 681. 300

    2014

    기본

    14-09

    에너

    지다

    소비

    산업

    구조

    심화

    요인

    분석

    및 경

    제적

    파급

    효과

    분석

    14-09표지.indd 1 15. 1. 28. 오후 3:12

  • www.keei.re.kr기본

    연구 보고서

    14-09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김 태 헌

    에너지다소비산업구조심화요인 분석 및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참여연구진

    연구책임자 : 연 구 위 원 김태헌

    연구참여자 위촉연구원 임덕오:

    이화여자대학교 김윤경

  • 요약 i

    요 약

    연구의 배경 및 목적1.

    지난 몇 년간 우리나라 에너지소비 증가율이 경제성장률을 상회함

    에 따라 에너지수급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전력수요 급증과 발.

    전설비 부족으로 인해 발생한 전력예비력 부족은 여름철 국민들의 주

    요 관심사로 등장하기도 했다 국가 전체의 효율을 나타내는 에너지원.

    단위가 상승하여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 달성도 불확실성이 커지

    고 있다.

    년에서 년까지의 경제성장률은 연평균 인 반면 에너2000 2008 4.4%

    지소비 증가율은 연평균 로 경제성장률보다 크게 낮았다 그러나 2.8% .

    년에서 년까지는 에너지소비 증가율이 경제성장률을 상회한 2009 2011

    이후 다시 에너지소비 증가율이 경제성장률보다 낮은 모습을 보였다.

    이와 같이 에너지소비 증가세가 급등하고 급락하는 현상은 여러 요인

    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지만 무엇보다도 우리나라 산업구조와 관련이

    크다 산업부문은 현재 우리나라 최종에너지 소비의 이상을 차지. 60%

    하고 있으며 에너지소비 증가를 주도하고 있다 특히 에너지다소비 , . ,

    산업인 석유화학 철강 정유 산업의 설비와 생산량이 최근 빠르게 증, ,

    가해왔으며 생산과정에서 투입에너지도 크게 증가해왔다, .

    에너지다소비산업의 생산량 증가는 부가가치를 증가시키고 고용을

    창출하는 긍정적 측면과 생산과정에서 에너지소비와 온실가스 배출

    증가를 유발하는 부정적 측면이 동시에 존재한다 최근 에너지다소비.

  • ii

    산업의 생산 증가로 전체 산업 중에서 에너지다소비산업의 부가가치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하지만 생산과정에서 투입되는 에너지 .

    사용의 증가는 에너지다소비형 산업구조를 심화시키고 온실가스 배출

    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에너지수급과 에너지안보에도 부정적 영향

    을 미친다 따라서 에너지다소비 산업인 석유화학 철강 산업의 수출 . ,

    등 수요증가의 파급효과를 경제 에너지수급 환경 측면에서 분석할 , ,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최근 에너지다소비 산업구조 심화 요인과 경제적 파급효

    과를 분석하여 향후 관련 정책의 수립에 고려해야 할 정책적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석유화학 및 철강 산업의 생산량 증가의 . ,

    대내외적 요인을 분석하고 에너지다소비 산업구조 심화가 부가가치, ,

    고용 산업별 생산 에너지수급 이산화탄소 배출에 미치는 영향을 평, , ,

    가한다.

    주요 내용2.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조업의 성장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년 년 기간 중 , 2008 ~2011

    제조업의 에너지소비 탄성치는 로서 보다 낮았으나 제조업 에너0.77 1 ,

    지소비 증가율이 로 경제성장률 를 상회함에 따라 총에너지5.9% 3.4%

    원단위 총에너지소비 를 악화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였다 총에( /GDP) .

    너지소비의 이상을 차지하는 산업부문의 에너지소비가 급증함에 60%

    따라 총에너지소비가 증가하고 총에너지원단위도 악화된 것으로 나타

    났다.

    둘째 년에서 년까지의 에너지소비 급증의 원인은 석유화, 2008 2011

  • 요약 iii

    학산업 및 철강산업의 수출 및 내수 증가에 의해 유발되어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산업의 기초유분 생산 증가는 수출수요가 주도.

    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석유화학제품 대부문은 내수와 수출 모두 , 3

    년 년 기간 중 연평균 내외의 증가세를 보였다 철강산2006 ~2012 3% .

    업의 경우 수출이 년 대비 년에 약 천만 톤 증가하였고2006 2012 1.2 ,

    년 년 기간 중 연평균 로 크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국2006 ~2012 9.0% .

    내 철강재 수출의 증가가 년 년 기간 중 큰 폭의 철강재 생2006 ~2012

    산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되고 동 기간 중에 제철산업의 가동률 ,

    증가는 우리나라 에너지소비를 증가시킨 하나의 원인인 것으로 해석

    된다.

    셋째 제조업 에너지소비 증가의 원인은 산업 내 에너지효율 악화에 ,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소비 증가가 제조업 내 .

    산업구조 변화에 의한 것인지 에너지효율의 악화에 의한 것인지에 대,

    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와 이 제시한 . Ang·Lee(1994) Ang(2005)

    접근방법과 접근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LMDI AVE-PDM2 ,

    에너지소비 변화를 생산효과 산업구조효과 효율개선효과로 구분하였, ,

    다 분석결과 년 년 기간 중에 산업구조효과는 에너지소비 . 2008 ~2011

    하락 요인으로 작용한 반면 원단위효과는 에너지소비 증가 요인으로 ,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철강산업에서 조강 생산량과 석유화학. ,

    산업에서 기초유분의 생산량이 급증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넷째 산업연관분석을 통해 생산유발효과의 수준을 산업별로 비교,

    하면 기초석유화학은 비교대상 산업에 비해 다소 낮은 수준이나 석유,

    화학제품과 철강재는 비교대상 산업들과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석유.

    화학산업 중에서 기초석유화학은 최종수요 증가에 따라 년에 2005

  • iv

    배 년에 배로 생산유발액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1.553 , 2011 1.515

    다 석유화학제품의 경우도 생산유발액이 년에 배 년. 2005 1.853 , 2011

    에 배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철강재는 생산유발승수1.809 . ,

    가 2005년에 년에 으로 석유화학산업보다 다소 높1.967, 2011 2.040

    게 나타났다.

    다섯째 부가가치유발효과의 수준을 산업별로 비교하면 기초석유화, ,

    학은 비교대상 산업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이며 석유화학제품과 철강,

    재도 비교대상 산업들보다는 낮은 수준을 보였다 기초석유화학은 최.

    종수요 증가에 따라 년에 배 년에 배의 부가가치2005 0.254 , 2011 0.169

    유발액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의 경우는 부가가.

    치유발액이 년에 배 년에 배 발생하는 것으로 나2005 0.381 , 2011 0.308

    타났다 한편 철강재는 부가가치유발승수가 년에 년. , 2005 0.465, 2011

    에 로 석유화학산업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기초석유화학의 부0.381 .

    가가치유발효과는 석유화학제품이나 철강재보다 크게 낮은 것으로 나

    타났다.

    여섯째 고용유발효과를 산업별로 비교하면 기초석유화학은 비교대, ,

    상 산업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이며 석유화학제품과 철강재도 비교대,

    상 산업들보다는 낮은 수준을 보였다 기초석유화학은 최종수요 증가.

    에 따라 년에 개십억 원 년에 개십억 원의 고용유2005 2.21 / , 2011 1.41 /

    발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석유화학제품의 경우는 고용유발이 .

    년에 개십억 원 년에 개십억 원으로 기초석유화학2005 4.45 / , 2011 2.82 /

    의 약 배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철강재는 고용유발이 2 . , 2005

    년에 개십억 원 년에 개십억 원으로 석유화학산업과 4.12 / , 2011 2.84 /

    유사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 요약 v

    일곱째 에너지다소비산업의 최종수요 증가는 상대적으로 높은 에,

    너지소비 증가를 유발한다 기초석유화학의 최종수요가 증가하. 10%

    는 시나리오의 납사의 공급액은 년에 년에 증가2005 2.7%, 2011 3.1%

    한다 석유화학제품의 경우는 납사 공급액이 년에 년. 2005 2.2%, 2011

    에 증가하는데 이는 석유화학제품 수요증가는 기초화학의 생산 2.3% ,

    및 납사소비를 유발하기 때문이다 한편 철강재 최종수요가 증가하는 . ,

    시나리오의 경우에 공급액은 석탄이 년에 석탄제품이 2005 1.0%, 1.7%

    증가하고 년에는 석탄이 석탄제품이 증가한다 이는 , 2011 1.1%, 1.9% .

    철강재를 생산을 위해서는 조강이 필요하고 조강의 주요한 생산요소

    로 석탄을 이용하기 때문이다.

    여덟째 에너지다소비산업의 최종수요 증가는 상대적으로 높은 이,

    산화탄소 배출량 증가를 유발한다 석유화학산업 경우 최종수요 . 10%

    증가하면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년에 년에 증가2005 0.5%, 2010 0.6%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철강재산업의 경우 년에는 총배출량의 . 2005

    년에는 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년의 철강0.5%, 2010 1.0% , 2010

    재산업의 변화율이 년보다 배 상승한다 이는 년에는 철강2005 2 . 2010

    산업의 설비 증설에 따라 생산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동,

    일한 최종수요 증가에도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상의 연구내용을 종합하면 년에서 년까지의 에너지소비 , 2008 2011

    급증의 원인은 에너지다소비산업의 원료수요와 산업부문 전력수요에

    기인한다 석유화학산업 및 철강산업의 생산량 증가는 모두 수출 및 .

    내수 증가에 의해 유발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에너지다소.

    비산업의 최종수요 증가는 생산유발효과의 측면에서는 비교대상 산업

  • vi

    들과 유사하였으나 부가가치유발 고용유발 에너지수급 이산화탄소 , , , ,

    배출 측면에서는 비교대상 산업들에 비해 효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

    다 이는 과거 에너지다소비산업 위주의 성장은 다소 긍정적인 면이 .

    있지만 에너지저소비형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것

    을 유발효과 분석을 통해 발견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성장세가 과거에 비해 둔화되고 있고 고용이 우리,

    경제의 중심적인 문제로 인식되고 있는 시점에서 높은 부가가치를 창

    출하는 산업 많은 고용을 유발하는 산업이 성장하는 것은 국민경제에 ,

    미치는 긍정적 영향이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국내외적으로 온.

    실가스 감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시점에서 에너지저소비형 산업구

    조로의 개편을 위한 산업정책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 차례 i

    제목 차례

    제 장 서론1 ····················································································· 1

    제 장 년 년 에너지소비 급증 원인 분석2 2008 ~2011 ······················· 5

    에너지소비 추이1. ············································································· 5

    산업부문 에너지소비2. ····································································· 8

    에너지다소비 산업의 생산 증가 원인 분석3. ······························ 13

    가 석유화학산업. ··········································································· 13

    나 철강산업. ·················································································· 18

    다 석유정제산업. ··········································································· 23

    제 장 에너지소비 변화 요인분해3 ·················································· 29

    선행연구1. ························································································ 29

    분석방법 에너지소비 요인분해2. : (Decomposition Analysis) ······· 31

    가 가법적 방법. Log Mean Divisia Index(LMDI): ··················· 32

    나. Simple average parametric Divisia method 2 ····················· 33

    분석자료 및 대상3. ········································································· 35

    요인분해 결과4. ·············································································· 36

    가 최종에너지 소비 요인분해. ····················································· 36

    나 전력소비 요인분해. ·································································· 39

    다 연료소비 요인분해. ·································································· 41

  • ii

    제 장 산업연관분석4 ······································································ 43

    선행연구1. ························································································ 43

    분석대상2. ························································································ 46

    가 대상연도. ·················································································· 46

    나 대상산업. ·················································································· 51

    다 평균소비성향. ··········································································· 53

    라 시나리오 설정. ········································································· 53

    최종수요유발효과 분석3. ································································ 56

    시나리오별 생산유발효과 분석4. ··················································· 63

    시나리오별 부가가치유발효과 분석5. ··········································· 67

    시나리오별 고용유발효과 분석6. ··················································· 70

    시나리오별 피용자보수유발효과 분석7. ········································ 73

    제 장 에너지수급 및 이산화탄소 배출 파급 영향5 ························· 77

    시나리오별 에너지공급액 변화 추정1. ········································· 77

    시나리오별 에너지공급량 변화 추정2. ········································· 84

    시나리오별 이산화탄소 배출량 변화 추정3. ································ 87

    제 장 결론6 ··················································································· 91

    참고문헌 ······················································································· 95

  • 차례 iii

    표 차례

    표 주요 경제 및 에너지 소비지표 추이< 2-1> ·································· 6

    표 년 년 차에너지 소비 증가 원별 기여도< 2-2> 2008 ~2011 1 ··········· 7

    표 년 년 최종에너지 소비 증가 기여도< 2-3> 2008 ~2011 ·················· 7

    표 제조업 업종별 부가가치 추이< 2-4> ·············································· 8

    표 제조업 업종별 최종 에너지소비 추이< 2-5> ································· 9

    표 제조업 업종별 전력 에너지소비 추이< 2-6> ······························· 10

    표 제조업 업종별 최종 에너지원단위 추이< 2-7> ··························· 11

    표 제조업 업종별 전력 에너지원단위 추이< 2-8> ··························· 12

    표 국내 납사 소비량 추이< 2-9> ······················································· 13

    표 국내 기초유분 생산능력 추이< 2-10> ·········································· 14

    표 국내 석유화학 기초유분 수급 추이< 2-11> ································ 15

    표 국내 석유화학제품 대부문 수급 추이< 2-12> 3 ··························· 16

    표 중국 에틸렌 및 대부문 공급 추이< 2-13> 3 ································ 17

    표 국내 조강 생산량 추이< 2-14> ····················································· 18

    표 국내 철강재 수급 추이< 2-15> ····················································· 19

    표 철강재 수출 실적 추이< 2-16> ····················································· 20

    표 용도별 철강재 출하 실적 추이< 2-17> ········································ 20

    표 산업별 철강재 실수요가 출하량< 2-18> ······································ 21

    표 국내 자동차 수급 추이< 2-19> ····················································· 22

    표 국내 자동차 수출 추이< 2-20> ····················································· 22

  • iv

    표 국내 원유 수급 추이< 2-21> ························································ 23

    표 국내 석유제품 수급 추이< 2-22> ················································· 24

    표 국내 석유제품별 생산 추이< 2-23> ············································· 25

    표 국내 석유제품별 수출 추이< 2-24> ············································· 26

    표 국가별 석유제품 수출 추이< 2-25> ············································· 27

    표 국가별 휘발유 수출 추이< 2-26> ················································· 27

    표 국가별 경유 수출 추이< 2-27> ····················································· 28

    표 국가별 항공유 수출 추이< 2-28> ················································· 28

    표 를 이용한 제조업 에너지소비 증가 요인분해 < 3-1> LMDI

    결과 ······················································································ 37

    표 를 이용한 제조업 에너지소비 증가 요인분해 < 3-2> AVE-PDM2

    결과 ······················································································ 38

    표 를 이용한 전력 추정 결과< 3-3> LMDI ······································· 39

    표 를 이용한 전력 추정 결과< 3-4> AVE-PDM2 ····························· 40

    표 를 이용한 연료 추정 결과< 3-5> LMDI ······································· 41

    표 를 이용한 연료 추정 결과< 3-6> AVE-PDM2 ····························· 42

    표 년 산업연관표 실측표 기준 연도별 산업연관표와 < 4-1> 2005

    가격기준 ············································································· 47

    표 년 산업연관표 실측표 기준 연도별 산업연관표와 < 4-2> 2010

    가격기준 ············································································· 48

    표 산업분류표 비교< 4-3> ·································································· 49

    표 총수요 대비 최종수요 비중< 4-4> ··············································· 52

    표 분석대상산업< 4-5> ········································································ 52

    표 설정 시나리오< 4-6> ······································································ 54

  • 차례 v

    표 대상산업에 대한 최종수요 가정< 4-7> ········································ 55

    표 최종수요항목별 생산유발액< 4-8> ················································ 56

    표 최종수요항목별 생산유발액 비중< 4-9> ······································ 56

    표 < 4-10> 석유화학기초제품의 최종수요항목별 생산유발액 비중 ··· 58

    표 석유화학산업의 최종수요항목별 생산유발액 비중< 4-11> ········· 58

    표 철강재산업의 최종수요항목별 생산유발액 비중< 4-12> ············ 59

    표 반도체산업의 최종수요항목별 생산유발액 비중< 4-13> ············ 60

    표 영상 및 음향기기산업의 최종수요항목별 생산유발액 < 4-14>

    비중 ···················································································· 60

    표 통신 및 방송기기산업의 최종수요항목별 생산유발액 < 4-15>

    비중 ···················································································· 61

    표 가정용 전기기기산업의 최종수요 항목별 생산유발액 < 4-16>

    비중 ···················································································· 62

    표 자동차산업의 최종수요 항목별 생산유발액 비중< 4-17> ·········· 62

    표 시나리오별 생산유발효과 분석 < 4-18> ······································ 64

    표 시나리오별 생산유발승수 < 4-19> ··············································· 64

    표 시나리오별 부가가치유발효과 분석< 4-20> ································· 68

    표 시나리오별 부가가치유발승수 < 4-21> ········································ 68

    표 시나리오별 고용유발효과 분석 < 4-22> ······································ 70

    표 시나리오별 고용유발승수 < 4-23> ··············································· 71

    표 시나리오별 피용자보수유발효과 분석 < 4-24> ··························· 73

    표 시나리오별 피용자보수유발승수 < 4-25> ···································· 73

    표 년 시나리오별 에너지산업의 공급액 증가< 5-1> 2005

    생산공급액( ) ······································································· 78

  • vi

    표 년 시나리오별 에너지산업의 공급액 증가< 5-2> 2009

    공급유발액( ) ······································································· 78

    표 년 시나리오별 에너지산업의 공급액 증가< 5-3> 2010

    생산유발액( ) ········································································· 79

    표 년 시나리오별 에너지산업의 공급액 증가< 5-4> 2011

    공급유발액( ) ········································································· 79

    표 에너지산업의 연도별 총공급액< 5-5> ·········································· 80

    표 년 시나리오별 에너지원별 공급액 증가율< 5-6> 2005 ··············· 82

    표 년 시나리오별 에너지원별 공급액 증가율< 5-7> 2009 ··············· 82

    표 년 시나리오별 에너지원별 공급액 증가율< 5-8> 2010 ··············· 83

    표 년 시나리오별 에너지원별 공급액 증가율< 5-9> 2011 ··············· 83

    표 년 시나리오별 에너지산업의 투입물량 증가분< 5-10> 2005 ······ 84

    표 년 시나리오별 에너지산문의 연소물량 증가분< 5-11> 2005 ······ 85

    표 년 시나리오별 에너지산업의 투입물량 증가분< 5-12> 2010 ······ 86

    표 년 시나리오별 에너지산업의 연소물량 증가분< 5-13> 2010 ······ 86

    표 에너지원별 이산화탄소 배출 계수< 5-14> ·································· 87

    표 년 시나리오별 에너지원별 이산화탄소 배출 < 5-15> 2005

    증가분 ················································································· 87

    표 년 시나리오별 에너지원별 이산화탄소 배출량 < 5-16> 2010

    증가분 ················································································· 88

    표 시나리오별 이산화탄소 배출량 변화< 5-17> ······························· 88

  • 차례 vii

    그림 차례

    그림 총에너지소비 추이[ 2-1] ······························································ 5

    그림 를 이용한 최종에너지소비 요인분해[ 3-1] LMDI ····················· 38

    그림 를 이용한 전력소비 요인분해[ 3-2] LMDI ································ 40

    그림 를 이용한 연료소비 요인분해[ 3-3] LMDI ································ 42

    그림 시나리오별 생산유발승수[ 4-1] ················································· 65

    그림 시나리오별 부가가치유발승수[ 4-2] ·········································· 69

    그림 시나리오별 고용유발승수[ 4-3] ················································· 72

    그림 시나리오별 피용자보수유발승수 [ 4-4] ···································· 74

  • 제 장 서 론 1 1

    제 장 서 론1

    지난 몇 년간 에너지소비 증가율이 경제성장률을 상회함에 따라 에

    너지수급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전력수요 급증과 발전설비 부족.

    으로 인해 발생한 전력예비력 부족은 여름철 국민들의 주요 관심사로

    등장하기도 했다 국가 전체의 효율을 나타내는 에너지원단위가 상승.

    하여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 달성도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년 이후 우리나라의 에너지소비는 비교적 안정적 증가세를 이2000

    어오고 있었다 에너지소비 증가율을 경제성장률과 비교해보면 . 2000

    년대 이후 년을 제외하고 년까지 에너지소비 증가율은 경제2003 2008

    성장률을 밑돌았다 년에서 년까지의 경제성장률은 연평균 . 2000 2008

    인 반면 에너지소비 증가율은 연평균 로 경제성장률보다 크4.4% 2.8%

    게 낮았다 그러나 년에서 년까지는 에너지소비 증가율이 경. 2009 2011

    제성장률을 상회한 이후 다시 에너지소비 증가율이 경제성장률보다

    낮은 모습을 보였다.

    이와 같이 에너지소비 증가세가 급등하고 급락하는 현상은 여러 요

    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지만 무엇보다도 우리나라 산업구조와 관련이

    크다 산업부문은 현재 우리나라 최종에너지 소비의 이상을 차지. 60%

    하고 있으며 에너지소비 증가를 주도하고 있다 특히 에너지다소비 , . ,

    산업인 석유화학 철강 정유 산업의 설비와 생산량이 최근 빠르게 증, ,

    가해왔으며 생산과정에서 투입에너지도 크게 증가해왔다 석유화학산, .

    업에서는 기초유분 생산량이 빠르게 증가함에 따라 투입 원료인 납사

  • 2

    소비도 급증하고 있다 철강산업에서는 전로조강 생산 설비의 증설로 .

    조강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투입 에너지인 제철용 유연탄 소비도 급증

    하고 있다 년 현대제철이 기의 고로를 가동하고 년에도 현. 2010 2 2013

    대제철 고로 과 포스코 광양 고로 파이넥스 고로 의 설비가 증설(3 ) ( 1 , 3 )

    됨에 따라 제철용 유연탄 소비는 크게 증가하고 있다.

    에너지다소비산업의 생산량 증가는 부가가치를 증가시키고 고용을

    창출하는 긍정적 측면과 생산과정에서 에너지소비와 온실가스 배출

    증가를 유발하는 부정적 측면이 동시에 존재한다 최근 에너지다소비.

    산업의 생산 증가로 전체 산업 중에서 에너지다소비산업의 부가가치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생산과정에서 투입되는 에너지 사용의 .

    증가는 에너지다소비형 산업구조를 심화시키고 온실가스 배출을 증가

    시킬 뿐만 아니라 에너지수급과 에너지안보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친

    다 따라서 에너지다소비 산업인 석유화학 철강 산업의 수출 등 수요. ,

    증가의 파급효과를 경제 에너지수급 환경 측면에서 분석할 필요가 , ,

    있다.

    본 연구는 최근 에너지다소비 산업구조 심화 요인과 경제적 파급효

    과를 분석하여 향후 관련 정책의 수립에 고려해야 할 정책적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석유화학 및 철강 산업의 생산량 증가의 . ,

    대내외적 요인을 분석하고 에너지다소비 산업구조 심화가 부가가치, ,

    고용 산업별 생산 에너지 수급 이산화탄소 배출에 미치는 영향을 평, , ,

    가한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 장에서는 년 년 기간 . 2 2008 ~2011

    동안의 국내 에너지경제 지표를 살펴보고 산업부문 에너지소비가 급,

    증한 원인을 찾는다 이를 위해 에너지다소비산업인 철강 석유화학. , ,

  • 제 장 서 론 1 3

    석유정제 산업의 수요 측면과 공급 측면을 분석한다.

    제 장에서는 제조업 에너지소비 증가가 제조업 내 산업구조 변화에 3

    의한 것인지 에너지효율의 악화에 의한 것인지에 대해 분석한다 이, .

    를 위해 와 이 제시한 접근방법과 Ang· Lee(1994) Ang(2005) LMDI

    접근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에너지소비 변화를 AVE-PDM2 ,

    생산효과 산업구조효과 효율개선효과로 구분한다, , .

    제 장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을 통해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4 , ,

    고용유발효과 피용자보수유발효과를 분석한다 분석대상 산업은 에너, .

    지다소비업종인 석유화학 및 철강 산업뿐만 아니라 비교를 위해 전기

    및 전자산업 자동차산업 등을 포함한다 각 산업별 최종수요가 , . 10%

    상승하는 시나리오를 통해 유발효과들을 비교 분석한다· .

    제 장에서는 에너지다소비산업의 최종수요 증가가 에너지수급과 이5

    산화탄소 배출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제 장은 결론으로서 연. 6

    구결과를 정리하고 시사점을 제시한다.

  • 제 장 년 년 에너지소비 급증원인 분석 2 2008 ~2011 5

    제 장 년 년 2 2008 ~2011 에너지소비 급증 원인 분석

    1. 에너지소비 추이

    년 년 기간 동안 우리나라 총에너지소비 증가율은 경제성2008 ~2011

    장률을 상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 기간 중에 철강 및 석유화학 .

    산업 설비 증설과 생산량 증가에 따라 원료 수요가 급증하고 산업부,

    문 전력소비도 빠르게 증가하였기 때문이다.1)

    2.9

    5.2

    3.1

    2.4

    3.8

    2.1

    1.3 1.8

    1.1

    8.4

    4.5

    0.7

    4.0

    7.2

    2.8

    4.6 4.0

    5.2 5.1

    2.3

    0.3

    6.3

    3.7

    2.0

    -

    1.0

    2.0

    3.0

    4.0

    5.0

    6.0

    7.0

    8.0

    9.0

    -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5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총에너지(백만 toe) 총에너지증가율(%) 경제성장률(%)

    그림 [ 2-1 총에너지소비 추이]

    자료 에너지경제연구원 중기에너지수요전망 제 권: ( , 14 )

    1) 에너지경제연구원 중기에너지수요전망 제 권 ( , 14 )

  • 6

    에너지 소비 관련 주요 지표를 살펴보면 국가 에너지효율 수준을 ,

    나타내는 에너지원단위 백만원 는 년 에서 년 (TOE/ ) 2000 0.278 2008

    으로 하락하여 동 기간 동안의 에너지원단위 연평균 개선율은 0.246

    에 달했으나 이후 년 연속으로 에너지원단위가 악화되었다1.5% , 3 .

    구분 2000 2008 2009 2010 2011 2012 연평균 증가율(%)’00~’12 ’07~’12

    조 원GDP( ) 695(8.8)978(2.3)

    982(0.3)

    1,044(6.3)

    1,082(3.7)

    1,104(2.0) 3.9 2.9

    총에너지 소비백만 ( TOE)

    192.9(6.4)

    240.8(1.8)

    243.3(1.1)

    263.8(8.4)

    275.7 (4.5)

    277.6(0.7) 3.1 3.3

    에너지 소비탄성치GDP 0.72 0.79 3.32 1.33 1.22

    0.34(1.01)* 0.78** 1.12

    에너지원단위백만원(TOE/ ) 0.278 0.246 0.248 0.253 0.255 0.251 -0.8 0.3

    주 는 전년 대비 증가율: 1) ( ) (%) 는 열량환산기준 통일 시 탄성치 는 연평균 총에너지 소비 증가율 연평2) * , ** ÷

    균 경제성장률자료 에너지경제연구원 중기에너지수요전망 권: ( , 14 )

    표 < 2-1 주요 경제 및 에너지 소비지표 추이>

    년대 중후반부터 에너지다소비 산업인 석유화학 철강 정유 산2000 , ,

    업의 설비와 생산량이 최근 빠르게 증가해왔으며 생산과정에서 투입,

    에너지도 크게 증가하였다 석유화학산업은 기초유분 생산량이 빠르.

    게 증가함에 따라 투입 원료인 납사 소비도 급증하였으며 철강산업에,

    서는 현대제철과 포스코의 고로설비가 증설됨에 따라 유연탄 소비도

    급증하였다 한편 낮은 전력요금으로 인한 전력수요 급증으로 발전용 . ,

    연료소비도 급증하였다.

    년 년 기간 동안 총에너지소비 증가의 에너지원별 기여도2008 ~2011

    를 살펴보면 발전용 석탄이 발전용 가 원료탄이 , 30.4%, LNG 17.2%,

  • 제 장 년 년 에너지소비 급증원인 분석 2 2008 ~2011 7

    납사가 를 차지해 총에너지소비 증가의 를 유발한 16.0%, 15.6% 80%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산업부문 원료용 에너지와 전력 소비증가가 전.

    체 에너지소비 증가를 주도하였음을 보여준다 표 참조(< 2-2> ).

    부문별로는 산업부문이 최종에너지소비 증가의 를 설명하고87.7% ,

    산업부문 원료와 전력이 에너지소비를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

    참조2-3> ).

    구분

    석탄 석유 LNG

    원료탄 발전용 납사 발전용가스제조

    차에너지1 49.0 16.0 30.4 13.9 15.6 29.6 17.2 10.0

    표 < 2-2 년 년 차에너지 소비 증가 원별 기여도> 2008 ~2011 1

    단위( : %)

    구분석탄 석유 도시

    가스전력

    최종에너지원료탄 납사

    산업 32.4 24.6 21.0 24.1 10.5 17.6 87.7

    제조업 24.4 24.6 20.0 24.1 10.5 16.6 74.9

    수송 0.0 0.0 2.3 0.0 1.7 0.0 4.6

    가정 -0.9 0.0 -1.9 0.0 2.2 2.0 2.1

    상업 0.0 0.0 -1.3 0.0 -0.3 5.0 3.6

    최종에너지 31.5 24.6 20.4 24.1 13.3 25.9

    표 < 2-3 년 년 최종에너지 소비 증가 기여도> 2008 ~2011

    단위( : %)

  • 8

    산업부문 에너지소비2.

    표 를 보면 년 년 기간 중 제조업 부가가치는 연평< 2-4> 2008 ~2011

    균 로 매우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조립금속산업은 동기간 7.5% .

    중 연평균 로 빠른 성장세를 보였고 에너지다소비업종의 비중10.1% ,

    은 점차 낮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구분 1990 1997 2008 2011연평균 증가율(%)

    ’90~’97 ’97~’08 ’08~’11

    음식담배8.4 10.7 12.8 12.5 3.5 1.7 -0.8

    (10.2) (7.8) (4.5) (3.6)

    섬유의복14.2 10.8 12.4 12.4 -3.8 1.3 -0.2

    (17.2) (7.9) (4.4) (3.5)

    목재인쇄5.4 7.6 8.8 9.9 5.1 1.4 3.8

    (6.5) (5.5) (3.1) (2.8)

    석유화학12.6 25.8 44.7 48.7 10.8 5.1 2.9

    (15.2) (18.9) (15.8) (13.8)비금속광물

    4.8 7.1 9.3 10.2 5.7 2.5 3.0(5.9) (5.2) (3.3) (2.9)

    차금속1 8.7 16.3 24.8 31.7 9.5 3.8 8.6(10.5) (12.0) (8.8) (9.0)

    조립금속24.3 54.2 165.7 221.1 12.1 10.7 10.1

    (29.4) (39.8) (58.6) (62.9)

    기타제조4.3 3.7 4.2 5.1 -2.0 1.3 5.7

    (5.2) (2.7) (1.5) (1.4)

    다소비업26.1 49.3 78.7 90.6 9.5 4.3 4.8

    (31.5) (36.2) (27.8) (25.8)

    제조업계 82.7 136.3 282.8 351.6 7.4 6.9 7.5

    표 < 2-4 제조업 업종별 부가가치 추이>

    단위 조 원( : )

    주 다소비업종은 석유화학 비금속광물 차금속업을 의미 : , , 1 .은 업종별 부가가치 비중 ( )

    자료 통계청 :

  • 제 장 년 년 에너지소비 급증원인 분석 2 2008 ~2011 9

    표 에서 제조업의 최종에너지 소비는 년 년 기간 중 < 2-5> 2008 ~2011

    연평균 증가하여 년 년 기간보다 증가율이 크게 상승5.9% , 1997 ~2008

    하였다 또한 에너지다소비업종의 에너지소비 증가율은 연평균 . 6.3%

    로 년 년 기간 증가율 보다 크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1997 ~2008 (3.0%)

    다 이러한 에너지다소비업종의 에너지소비 비중은 점차 상승하고 있.

    는 추세이며 조립금속산업의 에너지소비도 연평균 로 빠른 증가, 7.9%

    세를 나타냈다.

    구분 1990 1997 2008 2011연평균 증가율(%)

    90~97 97~08 08~11

    음식담배1.4 1.8 1.6 1.7 4.0 -1.3 2.6

    (4.2) (2.6) (1.7) (1.5)

    섬유의복2.5 2.9 2.1 2.1 2.0 -2.9 -0.1

    (7.7) (4.0) (2.2) (1.9)

    목재인쇄1.4 2.3 1.8 1.7 8.1 -2.2 -1.9

    (4.2) (3.3) (2.0) (1.6)

    석유화학10.0 32.8 49.2 57.4 18.6 3.8 5.3

    (30.6) (45.9) (52.8) (51.9)

    비금속광물4.4 6.8 5.6 5.5 6.4 -1.8 -0.4

    (13.6) (9.6) (6.0) (5.0)

    차금속19.8 15.4 21.4 28.5 6.7 3.0 10.1

    (30.6) (21.6) (22.9) (25.8)

    조립금속1.9 4.5 7.7 9.7 12.9 5.1 7.9

    (5.9) (6.3) (8.3) (8.8)

    기타제조1.2 4.9 3.8 4.0 21.7 -2.2 1.4

    (3.8) (6.9) (4.1) (3.6)

    다소비업24.2 55.0 76.2 91.4 12.5 3.0 6.3

    (74.2) (77.0) (81.7) (82.6)제조업계 32.5 71.4 93.2 110.7 11.9 2.5 5.9

    표 < 2-5 제조업 업종별 최종 에너지소비 추이>

    단위 백만( : TOE)

    주 다소비업종은 석유화학 비금속광물 차금속업을 의미 : , , 1 .은 업종별 에너지소비 비중 ( )

    자료 에너지통계연보 :

  • 10

    제조업 전력소비는 년 년 기간 중 연평균 증가하여2008 ~2011 7.5% ,

    년 년 기간보다 증가율이 크게 상승하였고 전력소비 증가1997 ~2008 ,

    율은 에너지소비 증가율 을 상회하였다 특히 조립금속산업의 (5.9%) . ,

    전력소비가 연평균 로 빠른 증가세를 보였다 에너지다소비업종8.9% .

    의 전력소비 증가율은 연평균 로 년 년 기간 증가율8.0% 1997 ~2008

    보다 크게 높았고 에너지다소비업종의 에너지소비 비중은 점(4.1%) ,

    차 상승하는 추세이다.

    구분 1990 1997 2008 2011연평균 증가율(%)

    90~97 97~08 08~11

    음식담배0.3 0.5 0.7 0.8 7.1 2.9 6.0

    (6.2) (5.1) (4.2) (4.0)

    섬유의복0.8 1.1 1.0 1.1 4.9 -1.2 2.9

    (16.7) (12.0) (6.3) (5.6)

    목재인쇄0.4 0.8 1.0 1.0 10.3 2.2 2.0

    (7.9) (8.1) (6.2) (5.3)

    석유화학0.9 2.0 3.4 4.1 11.4 4.8 7.3

    (19.2) (20.9) (21.1) (21.0)

    비금속광물0.5 0.9 1.0 1.0 8.4 1.3 1.2

    (9.9) (8.9) (6.2) (5.1)

    차금속10.9 1.8 2.9 4.0 11.0 4.5 11.0

    (17.7) (18.8) (18.3) (20.1)

    조립금속1.0 2.4 5.8 7.5 12.6 8.4 8.9

    (21.3) (25.0) (36.5) (37.8)

    기타제조0.0 0.1 0.2 0.2 14.8 4.8 2.5

    (0.9) (1.2) (1.2) (1.1)

    다소비업2.3 4.7 7.2 9.1 10.7 4.1 8.0

    (46.9) (48.6) (45.6) (46.2)제조업계 4.9 9.6 15.9 19.8 10.1 4.7 7.5

    표 < 2-6 제조업 업종별 전력 에너지소비 추이>

    단위 백만( : TOE)

    주 다소비업종은 석유화학 비금속광물 차금속업을 의미 : , , 1 .은 업종별 에너지소비 비중( ) ,

    자료 에너지통계연보 :

  • 제 장 년 년 에너지소비 급증원인 분석 2 2008 ~2011 11

    표 에서 제조업 에너지원단위는 년 년 기간 중 연평< 2-7> 2008 ~2011

    균 하락하였고 이는 과거 년에 비해 원단위개선율이 하락한 1.5% , 10

    것이다 특히 차금속 석유화학은 원단위가 악화되었고 조립금속산. 1 , ,

    업도 원단위개선율이 둔화되었다.

    구분 1990 1997 2008 2011연평균 증가율(%)

    90~97 97~08 08~11

    음식담배 0.16 0.17 0.12 0.14 0.5 -2.9 3.4

    섬유의복 0.18 0.27 0.17 0.17 6.1 -4.1 0.1

    목재인쇄 0.25 0.31 0.21 0.18 2.8 -3.5 -5.5

    석유화학 0.79 1.27 1.10 1.18 7.0 -1.3 2.3

    비금속광물 0.91 0.96 0.60 0.54 0.7 -4.2 -3.3

    차금속1 1.13 0.94 0.86 0.90 -2.6 -0.8 1.3

    조립금속 0.08 0.08 0.05 0.04 0.7 -5.0 -2.0

    기타제조 0.29 1.32 0.89 0.79 24.2 -3.5 -4.1

    제조업계 0.39 0.52 0.33 0.31 4.2 -4.1 -1.5

    표 < 2-7 제조업 업종별 최종 에너지원단위 추이>

    단위 백만원( : TOE/ )

    표 을 보면 제조업 전력원단위는 년 년 기간 중 변< 2-8> 2008 ~2011

    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과거 년에 비해 원단위개선율이 . 10

    하락한 것이다 또한 에너지원단위와 마찬가지로 차금속 석유화학은 . 1 ,

    원단위가 악화되었다 조립금속산업도 원단위개선율이 둔화된 것으로 .

    나타났다.

  • 12

    구분 1990 1997 2008 2011연평균 증가율(%)

    90~97 97~08 08~11

    음식담배 0.04 0.05 0.05 0.06 3.4 1.2 6.8

    섬유의복 0.06 0.11 0.08 0.09 9.1 -2.4 3.1

    목재인쇄 0.07 0.10 0.11 0.11 4.9 0.8 -1.7

    석유화학 0.07 0.08 0.08 0.09 0.5 -0.3 4.3

    비금속광물 0.10 0.12 0.11 0.10 2.6 -1.2 -1.7

    차금속1 0.10 0.11 0.12 0.13 1.4 0.6 2.2

    조립금속 0.04 0.04 0.03 0.03 0.4 -2.1 -1.1

    기타제조 0.01 0.03 0.05 0.04 17.1 3.5 -3.0

    제조업계 0.06 0.07 0.06 0.06 2.5 -2.0 0.0

    표 < 2-8 제조업 업종별 전력 에너지원단위 추이>

    단위 백만원( : TOE/ )

  • 제 장 년 년 에너지소비 급증원인 분석 2 2008 ~2011 13

    에너지다소비 산업의 생산 증가 원인 분석3.

    가 석유화학산업.

    석유화학산업은 섬유 타이어 자동차 전자 정밀화학 신발 등에 기초· · · · ·

    원료를 공급하는 소재산업으로 주원료는 납사이다 국내 석유화학산.

    업의 기술이 발달하면서 납사를 원료로 하는 다양한 제품들이 생산되

    고 이에 따라 납사 소비량은 년 년 년에 크게 증가하2007 , 2011 , 2012

    여 년 년 기간 중 연평균 증가하였다2006 ~2012 5% .

    구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연평균증가율

    납사 287 317 311 323 332 355 385 5.0

    증가율   10.4 -1.7 3.6 2.9 7.0 8.3 자료 한국석유공사: ((http://www.petronet.co.kr/main2.jsp 제품별 소비, ). 2014.07.09

    표 < 2-9 국내 납사 소비량 추이>

    단위 백( : Bbl, %)

    납사를 분해하여 생산된 기초유분의 생산능력은 년 년 기2006 ~2012

    간 중 연평균 증가하였다 기초유분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3.9% .

    하는 에틸렌은 동 기간 중 연평균 증가하였고 프로필렌은 4.3% , 6.5%

    증가하여 기초유분 중에서 가장 큰 증가세를 나타냈다.

  • 14

    구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연평균증가율

    에틸렌 6.5 7.0 7.4 7.4 7.6 7.9 8.4 4.3프로필렌 4.5 5.0 5.6 6.5 5.7 6.3 6.6 6.6부타디엔 1.0 1.0 1.1 1.1 1.1 1.3 1.3 5.1벤젠  3.6 3.9 4.1 4.2 4.2 4.9 4.9 5.2톨루엔 2.3 2.3 2.4 2.4 2.4 2.7 2.2 -1.4자일렌  3.2 3.2 3.3 3.3 3.3 4.3 3.3 0.4기초유분 합계

    21.2 22.5 23.8 25.0 24.3 27.3 26.6 3.9

    자료 한국석유화학협회:

    표 국내 기초유분 생산능력 추이< 2-10>

    단위 백만톤( : , %)

    표 은 국내 석유화학 기초유분 수급에 관한 자료이다 공급 < 2-11> .

    측면을 살펴보면 기초유분 생산은 년 년 기간 중 연평균 2006 ~2012

    증가하였으며 수입은 연평균 증가하였지만 수입량은 총5.3% , 4.2%

    공급의 년 기준 미만으로 나타났다 수요 측면을 살펴보면 5%(2012 ) .

    내수는 연평균 증가하였고 수출은 로 크게 증가하였지만 3.5% , 23.5%

    수출이 총수요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년 기준 로 기초유15%(2012 )

    분 수요의 대부분은 내수이다 기초유분의 수출비중이 적은 이유는 우.

    리나라의 경우 주로 기초유분에서 생산되는 대부문 합성수지 합섬원료3 ( , ,

    합성고무 을 고부가가치화하여 수출하기 때문이다 기초유분의 주요 수) .

    출국은 중국으로 년 기준으로 전체 수출량의 를 차지한다2012 85% .

    표 은 국내 석유화학제품 대부문 합성수지 합섬원료 합성< 2-12> 3 ( , ,

    고무 의 수급에 관한 자료이다 대부문 생산량은 년 년 기) . 3 2006 ~2012

    간 중 연평균 증가하였으며 수입량은 공급의 년 기준2.9% , 5%(2012 )

    미만이다 대부문의 경우 수출이 내수보다 총수요에서 차지하는 비. 3

  • 제 장 년 년 에너지소비 급증원인 분석 2 2008 ~2011 15

    중이 다소 높으며 년 년 기간 중 내수는 연평균 증가, 2006 ~2012 2.2% ,

    수출은 증가하였다 주요 수출국은 중국으로 년 기준으로 3.3% . 2012

    전체 수출량의 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으로의 수출은 년58% . 2006 ~

    년 기간 중 중국의 강력한 내수부양 정책으로 인해 연평균 2009 9.4%

    급증한 이후 감소세를 유지하였다.

    구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연평균 증가율

    공급

    생 산 11.3 12.7 13.2 14.1 14.2 14.1 15.5 5.3에틸렌 6.2 6.9 7.1 7.4 7.4 7.5 8.0 4.5프로필렌 4.3 4.8 5.0 5.6 5.7 5.5 6.1 5.9부타디엔 0.8 1.0 1.1 1.1 1.1 1.2 1.3 7.9수 입 0.6 0.5 0.5 0.7 0.8 0.8 0.7 4.2에틸렌 0.2 0.1 0.1 0.2 0.2 0.1 0.1 -5.4프로필렌 0.3 0.2 0.2 0.3 0.3 0.3 0.2 -2.0부타디엔 0.1 0.1 0.2 0.3 0.3 0.4 0.4 20.7

    수요

    내 수 11.2 11.7 12.2 13.2 13.6 13.0 13.9 3.6에틸렌 6.1 6.2 6.4 6.9 7.0 6.9 7.1 2.6프로필렌 4.3 4.6 4.7 5.2 5.4 4.8 5.3 3.7부타디엔 0.9 1.0 1.1 1.2 1.2 1.3 1.4 8.4

    수 출0.7 1.4 1.5 1.5 1.3 1.9 2.5 23.5

    (99.5) (5.9) (2.6) (-13.0) (38.3) (35.4)  중국

    0.3 0.8 0.9 1.2 1.1 1.5 2.1 42.0(224.9) (8.2) (27.6) (-9.9) (42.0) (42.5)  

    기타0.5 0.6 0.6 0.4 0.3 0.4 0.4 -2.7

    (27.0) (2.6) (-36.3) (-22.4) (24.8) (5.8)  주 은 증가율을 의미: ( )자료: 한국석유화학협회(http://www.kpia.or.kr/index_jungbo.php 석유화학수급 ). 2014.07.10

    표 국내 석유화학 기초유분 수급 추이< 2-11>

    단위 백만톤( : , %)

  • 16

    구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연평균 증가율

    공급

    생 산 18.1 18.7 19.2 21.0 21.3 21.3 21.4 2.9합성수지 10.4 10.7 10.6 11.8 11.8 11.6 12.0 2.5합섬원료 7.2 7.3 7.8 8.4 8.6 8.7 8.4 2.7합성고무 0.5 0.7 0.8 0.8 0.9 1.0 1.0 10.7수 입 0.9 0.8 0.7 0.8 0.9 0.9 1.0 1.7

    합성수지 0.2 0.1 0.1 0.1 0.2 0.3 0.3 11.6합섬원료 0.7 0.7 0.5 0.6 0.6 0.6 0.6 -2.0합성고무 0.0 0.0 0.1 0.1 0.1 0.1 0.1 7.5

    수요

    내 수 9.4 9.5 9.5 9.7 10.2 10.6 10.7 2.2합성수지 4.6 4.8 4.7 4.7 5.0 5.1 5.1 1.8합섬원료 4.5 4.4 4.4 4.6 4.9 5.1 5.1 2.1합성고무 0.3 0.3 0.3 0.4 0.4 0.4 0.4 9.5

    수 출9.7 10.0 10.5 12.1 11.8 11.6 11.8 3.3

    (3.7) (4.5) (15.6) (-2.4)  (-1.5)  (1.0)    중국 6.2 6.6 7.1 8.1 7.5 7.1 6.8 1.7

    (6.9) (7.3) (14.2) (-7.6)  (-5.9)  (-2.2)    기타 3.5 3.4 3.4 4.0 4.3 4.6 4.9 6.0

    (-1.9) (-0.8) (18.5) (8.2) (5.9) (7.3)  주 은 증가율을 의미: ( )자료 한국석유화학협회: (http://www.kpia.or.kr/index_jungbo.php 석유화학수급 ).

    2014.07.10

    표 국내 석유화학제품 대부문 수급 추이< 2-12> 3

    단위 백만톤( : , %)

    표 은 중국의 에틸렌과 대부문의 공급에 관한 자료이다 중< 2-13> 3 .

    국의 경우 대부문 합성수지 합섬원료 합성고무 수입량의 3 ( , , ) 20.4%

    년 기준 을 우리나라에서 수입하며 그 양이 년(2012 ) , 2006 ~ 년 기2009

    간 중 연평균 급격히 증가한 이후 감소세를 유지하였다9.5% .

  • 제 장 년 년 에너지소비 급증원인 분석 2 2008 ~2011 17

    구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연평균 증가율

    에틸렌

    생산 9.3 10.3 9.9 10.7 14.2 15.3 15.0 8.9

    수입 0.1 0.5 0.7 1.0 0.8 1.1 1.4 76.8

      한국 0.1 0.4 0.5 0.5 0.4 0.6 0.9 61.4비중 99.2 86.9 73.5 50.3 54.0 58.0 62.7  

    합성수지

    생산 25.9 28.9 27.7 32.9 36.6 39.5 43.0 9.0

    수입 13.5 13.4 12.4 18.4 17.6 17.2 17.8 6.2

      한국 2.9 3.1 3.1 4.0 3.6 3.3 3.3 3.0비중 21.3 22.7 25.2 21.9 20.7 19.3 18.4  

    합섬원료

    생산 8.1 12.7 12.8 14.9 17.7 19.6 23.0 20.2

    수입 11.8 12.7 11.9 13.1 14.4 15.0 14.6 3.8

      한국 3.3 3.4 3.9 3.9 3.7 3.5 3.3 0.7비중 27.5 26.9 32.5 29.4 25.9 23.5 22.9  

    합성고무

    생산 2.0 2.2 2.5 2.8 3.1 3.5 3.8 12.0

    수입 1.3 1.4 1.2 1.5 1.6 1.4 1.4 2.3

      한국 0.1 0.2 0.1 0.2 0.2 0.2 0.3 44.2비중 4.4 11.1 10.4 15.9 13.5 15.1 19.6  

    대부문3합계

    생산 36.0 43.9 43.0 50.6 57.3 62.7 69.9 12.0

    수입 26.6 27.5 25.5 33.0 33.6 33.6 33.8 4.6

      한국 6.2 6.6 7.1 8.1 7.5 7.1 6.9 2.1비중 23.3 24.1 27.9 24.6 22.3 21.0 20.4  

    자료: 한국석유화학협회(http://www.kpia.or.kr/index_jungbo.php 수출입 ). 2014.07.10. 씨스켐 (http://www.cischem.com/ 중국수출입실적 ). 2014.07.10.

    표 중국 에틸렌 및 대부문 공급 추이< 2-13> 3

    단위 백만톤( : , %)

  • 18

    나 철강산업.

    우리나라 주요 에너지다소비 산업인 철강산업의 조강 생산량은

    년 년 기간 중 연평균 증가하였고 그 중 전로강 생산2006 ~2012 6.1% ,

    은 전기로강 생산은 증가하였다 특히 년에 현대제8.6%, 2.7% . , 2010

    철의 당진 고로 신설과 포스코의 광양 제강공장 신설로 인해 조강 생

    산량이 년 대비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년 세계 2009 21.1% . 2008

    금융위기 이후 세계적으로 경제가 빠르게 회복되면서 총수요에서 차

    지하는 수출 비중이 년 에서 년에 로 증가하였2006 27.0% 2012 36.0%

    고 이것이 우리나라 조강 생산량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단위 백만톤( : , %)

    구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연평균증가율

    조강 48.5 51.5 53.6 48.6 58.9 68.5 69.1 6.1전로강 26.3 27.6 30.2 27.7 34.1 42.1 43.1 8.6

    보통강 24.6 24.7 27.5 26.2 31.9 40.1 41.2 8.9특수강 1.7 2.9 2.7 1.5 2.3 2.1 2.0 2.7

    전기로강 22.2 24.0 23.4 20.9 24.8 26.4 26.0 2.7보통강 17.5 19.0 18.7 17.1 20.0 21.0 20.8 3.0특수강 4.7 4.9 4.7 3.8 4.8 5.3 5.1 1.4

    자료 한국철강협회: (http://steeldata.kosa.or.kr/index.html 테마별통계# ). 2014.07.11

    표 국내 조강 생산량 추이< 2-14>

    표 은 국내 철강재 수급에 관한 자료이다 공급 측면에서 철< 2-15> .

    강재 생산량은 년에 약 천만 톤으로 년 대비 천만 톤 2012 7.2 2006 1.5

    증가하였고 년 년 기간 중 연평균 증가하였다 하지만 , 2006 ~2012 4.1% .

    년에 수입량은 약 천만 톤이며 년 대비 백만 톤 감소한 2012 2 2006 1.5

  • 제 장 년 년 에너지소비 급증원인 분석 2 2008 ~2011 19

    결과이다 년 현대제철의 연산 만 톤 급 고로 기 완공 이후 . 2010 400 2

    국내 철강재 생산량이 급격히 증가하였고 이것이 국내 철강재 수입량,

    의 일정 부분을 대체한 것으로 추정된다.

    수요 측면에서 내수는 년 대비 년에 백만 톤 증가하였고2006 2012 5 ,

    동 기간 중 연평균 증가하였다 한편 수출은 년 대비 1.7% . , 2006 2012

    년에 약 천만 톤 증가하였고 년 년 기간 중 연평균 1.2 , 2006 ~2012 9.0%

    로 크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국내 철강재 수출의 증가가 년. 2006 ~2012

    년 기간 중 큰 폭의 철강재 생산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되고 동,

    기간 중 제철산업의 생산량 증가는 우리나라 에너지소비를 증가시킨

    하나의 원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주요 수출국은 중국 일본 미국 인. , , ,

    도 태국으로 주요 대국 수출 비중이 전체 수출량의 약 를 차지, 5 50%

    한다 년 기준(2012 ).

    단위 백만톤( : , %)

    구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연평균증가율

    수요 67.2 74.3 79.4 66.0 77.3 85.5 84.6 3.9

    내수 48.9 55.2 58.6 45.4 52.4 56.4 54.1 1.7

    수출 18.2 19.1 20.8 20.5 24.9 29.1 30.5 9.0

    공급 78.9 88.2 93.3 77.5 91.0 95.4 92.8 2.8

    생산 56.6 61.7 64.4 56.9 65.9 72.3 72.1 4.1

    수입 22.3 26.5 28.9 20.6 25.1 23.1 20.7 -1.2

    자료: 한국철강협회(http://steeldata.kosa.or.kr/index.html 조사통계#, ). 2014.07.11

    표 국내 철강재 수급 추이< 2-15>

  • 20

    단위 백만톤( : , %)

    구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연평균증가율

    철강재 18.2 19.1 20.8 20.5 24.9 29.1 30.5 9.0주요 대국 계5 10.5 10.5 10.8 10.2 12.1 14.5 15.2 6.3

    중국 4.0 3.8 3.7 5.1 4.5 4.7 4.2 1.0일본 2.6 2.9 2.7 1.9 2.8 3.7 3.8 6.4미국 2.5 2.0 2.3 1.2 2.1 2.9 3.6 6.0인디아 0.7 1.0 1.1 1.4 1.7 1.7 1.9 17.4태국 0.7 0.8 1.0 0.7 1.1 1.6 1.7 16.6기타 7.7 8.7 10.0 10.3 12.7 14.6 15.3 12.2

    자료 한국철강협회: (http://steeldata.kosa.or.kr/index.html 무역통계# ). 2014.07.11

    표 철강재 수출 실적 추이< 2-16>

    국내 철강재 내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용도별 철강재 출하 실적

    에서 확인할 수 있다 표 은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철강재의 . < 2-17>

    용도별 출하 실적을 나타내는 자료이다 국내 철강재의 전체 출하량은 .

    년 대비 년에 약 백만 톤 증가하였고 그 중에서 제조업2006 2012 6.6 ,

    에 출하된 실수요가 출하량이 약 백만 톤 증가함으로써 국내 천체 4.7

    철강재 생산량 증가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단위 백만톤( : , %)

    구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연평균증가율

    국내 출하 48.3 51.9 51.8 45.8 51.6 56.1 54.9 2.2

    유통용 15.7 17.6 15.5 13.4 14.0 15.1 16.3 0.7

    차공정용 9.9 9.1 10.3 8.8 10.5 11.2 11.9 3.1

    실수요가 출하 22.6 25.2 26.0 23.6 27.2 29.8 26.8 2.9

    자료 한국철강협회 철강보 권 호 권 호 년도 수요산업별 철강재 출하: ( 34 9 , 36 5 , 2013구조 보고서 조사통상실_ )

    표 < 2-17 용도별 철강재 출하 실적 추이>

  • 제 장 년 년 에너지소비 급증원인 분석 2 2008 ~2011 21

    표 의 산업별 철강재 실수요가 출하량을 보면 년< 2-18> 2006 ~2012

    년 기간 중 제조업에 출하된 철강재는 연평균 증가한 반면에 건4.8%

    설업의 경우 국내 건설경기 침체로 연평균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1%

    다.

    제조업 중에서 가장 많은 철강재를 소비한 산업은 자동차산업으로

    년에 백만 톤을 소비하였다 이것은 년 대비 백만 톤 2012 6.7 . 2006 1.3

    증가한 소비량이며 특히 년에 현대제철 고로가 신설됨에 따라 , 2010

    전년대비 약 백만 톤 증가한 철강재가 제철산업에서 자동차산업으1.1

    로 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백만톤( : , %)

    구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연평균증가율

    실수요가 출하 22.6 25.2 26.0 23.6 27.2 29.8 26.8 2.9제조업 14.6 16.9 17.5 16.5 19.7 22.0 19.3 4.8

    조선 4.5 5.0 6.0 6.0 6.8 7.1 5.6 3.8 자동차 5.4 6.1 5.8 5.0 6.1 7.1 6.7 3.7 전기전자 1.6 1.7 1.8 1.6 2.3 2.1 1.9 2.9 조립금속 1.1 1.3 1.4 1.2 1.2 1.1 1.1 0.2 일반기계 0.9 0.9 1.0 0.9 0.9 1.2 1.1 4.8 기타 1.2 1.9 1.5 1.8 2.5 3.4 2.8 15.5

    건설업 8.0 8.3 8.4 7.2 7.4 7.8 7.5 -1.1

    자료 한국철강협회 철강보 권 호 권 호 년도 수요산업별 철강재 출: ( 34 9 , 36 5 , 2013하구조 보고서 조사통상실_ )

    표 < 2-18 산업별 철강재 실수요가 출하량>

    표 은 우리나라 자동차 수급에 관한 자료이다 자동차의 생< 2-19> .

    산은 년 년 기간 중에 연평균 증가하였고 동기간 중 2006 ~2012 2.9% ,

    수출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자동차 산업의 기술 발달이 3% .

  • 22

    수출량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고 이로 인해 국내 자동차 산,

    업의 철강재 소비량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된다 주요 수출국은 북미. ,

    중동 중남미로 년 년 기간 중 각각 연평균 , 2006 ~2012 1%, 15%, 13%

    증가하며 전체 자동차 수출량을 증가시킨 것으로 확인된다.

    단위 천대( : , %)

    구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연평균증가율

    생산 3,840 4,086 3,827 3,513 4,272 4,657 4,562 2.9 내수 1,164 1,219 1,154 1,394 1,465 1,475 1,411 3.3 수출 2,648 2,847 2,684 2,149 2,772 3,152 3,171 3.1 수입 41 53 62 61 91 105 131 21.6

    자료 한국자동차산업협회: (https://www.kama.or.kr/stats/Chart?key=stats_product&type=2)

    표 < 2-19 국내 자동차 수급 추이>

    단위 천대( : , %)

    구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연평균증가율

    EU 773 635 412 302 299 427 399 -10.4 유럽기타 211 357 395 93 233 258 271 4.2 아프리카 145 177 181 174 172 180 197 5.3 아시아 83 90 104 115 170 225 179 13.7 중동 272 329 419 420 587 626 614 14.6 대양주 102 118 104 148 180 161 161 7.8 북미 851 835 767 609 678 771 905 1.0 중남미 209 301 291 284 447 495 433 13.0 합계 2,646 2,842 2,672 2,144 2,764 3,143 3,159 3.0

    자료 한국자동차협회: (https://www.kama.or.kr/stats/Chart?key=stats_viewExport)

    표 < 2-20 국내 자동차 수출 추이>

  • 제 장 년 년 에너지소비 급증원인 분석 2 2008 ~2011 23

    다 석유정제산업.

    석유정제산업은 년대 경제개발계획 이후 급격히 발전하였고1970 ,

    현재 우리나라 에너지다소비 산업으로 원유를 정제하는 과정에서 많

    은 양의 에너지를 소비한다.

    표 는 년 년 사이의 국내 원유 수입 및 정제투입량< 2-21> 2006 ~2012

    을 나타낸다 년 세계 금융위기로 인한 경제침체로 원유 수입이 . 2008

    감소하여 년 년 기간 중 연평균 감소를 보였지만 이후 2006 ~2008 1.4%

    빠른 경제회복으로 인해 수급 상황이 증가하는 추세로 전환하여 2009

    년 년 기간 중 연평균 원유 수입량과 정제투입량이 각각 ~2012 4.3%,

    증가하였다 원유 수입은 년 이후 한 로 유럽산 원4.1% . 2010 ·EU FTA

    유 수입이 크게 증가하였고 정제투입량은 년 이후 정제설비 증, 2010

    설 및 국내 소비 및 중국 수출 증가에 의해 석유제품 수요가 늘어나

    증가하였다.

    단위 백만( : Bbl, %)

    구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연평균 증가율

    수입 889 873 865 835 872 927 947 1.1정제투입 878 882 866 838 872 924 945 1.2

    자료: 한국석유공사(http://www.petronet.co.kr/main2.jsp 석유수급총괄, ). 2014.07.09

    표 < 2-21 국내 원유 수급 추이>

    표 은 원유를 정제하여 만든 국내 석유제품 수급에 대한 자< 2-22>

    료이다 생산 및 내수는 년 년 기간 중 연평균 대 증가율. 2006 ~2012 1%

    을 보였지만 수입 및 수출은 크게 증가하여 각각 연평균 8.3%, 7.3%

    증가하였다 생산과 내수는 년 세계 금융위기까지 감소세를 보이. 2008

  • 24

    다 이후 빠른 경제 회복으로 인해 증가세로 전환하였다 석유제품 수.

    입은 국내 석유화학산업의 원료 납사 소비량 증가 전력수요 증가에 ( ) ,

    따른 화력발전 연료 유 사용량 증가 석유제품 현물전자상거래용 (BC ) ,

    경유 수입량 증가 등에 의해 년 이후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였2006

    다.2) 수출은 중국 인도 등 아세안 국가들의 높은 경제성장률에 따른 ,

    수요 증가로 년 년 기간 중 연평균 증가하였다2006 ~2012 7.3% .3)

    단위 백만( : Bbl, %)

    구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연평균 증가율

    공급생산 950 956 939 913 939 1,002 1035 1.4수입 192 209 225 268 277 279 310 8.3

    수요

    내수 766 795 761 778 794 802 828 1.3수출 289 292 334 331 342 408 441 7.3벙커링 54 51 51 45 49 49 49 -1.5

    자료 한국석유공사: (http://www.petronet.co.kr/main2.jsp 석유수급총괄, ). 2014.07.09

    표 < 2-22 국내 석유제품 수급 추이>

    석유제품 생산량은 고도화설비 확충에 따른 휘발유 등 경질 석유제

    품 생산 증가에 따라 연평균 증가하였다 석유제품별로 보면 경1.4% .

    질원유의 정제 투입량 증가와 고도화설비 확충에 따라 휘발유와 경유

    생산량이 년 년 기간 중 각각 연평균 로 크게 증2006 ~2012 9.5%, 4.5%

    가하였고 석유화학의 주원료인 납사 생산량이 석유화학설비 증설과 ,

    국내 소비 증가에 따라 동기간 중 연평균 증가하였다2.1% .

    2) 한국석유공사 년 국내석유수급 동향 및 년 전망 , 2012 2013 , p73) 한국석유공사 년 국내석유수급 동향 및 년 전망 , 2012 2013 , p8

  • 제 장 년 년 에너지소비 급증원인 분석 2 2008 ~2011 25

    단위 백만( : Bbl, %)

    구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연평균 증가율

    휘발유 80 78 93 109 112 124 137 9.5등유 40 28 31 33 39 35 27 -6.7경유 238 253 264 262 268 292 310 4.5

    유B-C 203 180 147 121 123 121 100 -11.2납사 183 197 174 159 170 195 207 2.1항공유 95 106 108 103 106 118 131 5.4LPG 36 34 35 35 33 18 17 -11.5

    기타제품 74 79 87 92 89 99 106 6.2합계 950 956 939 913 939 1,002 1,035 1.4

    자료: 한국석유공사(http://www.petronet.co.kr/main2.jsp 석유제품생산, ). 2014.07.09

    표 < 2-23 국내 석유제품별 생산 추이>

    앞서 언급하였듯이 석유제품 수출은 중국 인도 등 아시아 신흥국의 ,

    높은 경제성장률에 의한 수요 증가로 년 년 기간 중 연평균 2006 ~2012

    증가하였다 석유제품별로 보면 국내 정유사의 고도화시설 증설7.3% .

    에 따른 경질 석유제품의 생산 증가로 휘발유 및 경유제품의 수출량

    이 각각 동 기간 중 연평균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두 21.3%, 11.6%

    제품을 합한 비중이 전체 수출량의 를 차지하였다50% .4)

    석유제품은 중국 일본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등 개 나라에 수출 , , , 48

    하며 특히 아시아 신흥국인 싱가포르와 인도네시아가 높은 경제성장,

    으로 인해 각각 연평균 로 크게 증가하였다 수출 비중22.7%, 17.3% .

    은 중국 싱가포르 일본 인도네시아 순으로 크지만 년 기준 중, , , (2012 )

    국의 경우 자급률 증가 및 중동 국가에서 수입하는 석유제품이 증가

    하여 국내 수출은 년 년 기간 중 연평균 감소하였다2006 ~2012 0.4% .

    4) 한국석유공사 년 국내석유수급 동향 및 년 전망 , 2011 2012 , p8

  • 26

    석유제품별 수출은 휘발유 경유 항공유가 각각 연평균 , , 21.3%,

    증가세를 보였다 휘발유의 경우 일본과 인도네시아로 11.6%, 6.6% .

    수출이 연평균 와 로 크게 증가하였고 석유제품에서 가29.3% 33.5% ,

    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경유의 경우 싱가포르와 인도네시아로 수출

    이 연평균 증가하였다 항공유는 전체 수출량에서 차지26.3%, 13% .

    하는 비중이 중국이 가장 크지만 연평균 증가율은 로 전체 증가4.1%

    율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증가세를 보였다6.6% .

    단위 백만( : Bbl, %)

    구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연평균 증가율

    휘발유 19.9 15.3 30.9 40.2 39.3 53.5 63.5 21.3

    등유 4.8 1.3 2.4 5.4 6.5 9.0 7.6 8.1

    경유 91.5 103.0 130.9 125.5 130.8 159.2 176.5 11.6

    유B-C 58.3 42.7 35.2 25.4 25.6 34.2 28.1 -11.5

    납사 28.0 29.4 22.9 26.6 32.1 35.4 33.3 2.9

    항공유 62.4 72.4 76.9 69.8 71.4 81.2 91.5 6.6

    LPG 0.8 0.5 0.4 0.1 0.9 0.9 1.8 15.2

    기타제품 23.4 27.5 34.2 37.9 35.2 35.0 38.7 8.7

    합계 289.1 292.1 333.8 330.9 341.8 408.3 440.9 7.3

    자료 한국석유공사: (http://www.petronet.co.kr/main2.jsp 수출입정보, . 2014.07.09

    표 < 2-24 국내 석유제품별 수출 추이>

  • 제 장 년 년 에너지소비 급증원인 분석 2 2008 ~2011 27

    단위 백만( : Bbl, %)

    구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연평균 증가율

    중국 86 75 72 67 77 92 84 -0.4

    일본 58 45 36 30 41 65 64 1.6

    미국 37 44 15 24 37 16 21 -9.1

    싱가폴 20 40 91 66 41 61 69 22.7

    인도네시아 17 14 17 17 37 51 45 17.3

    홍콩 중( ) 14 14 23 23 19 26 29 12.8

    칠레 7 21 12 9 12 1 1 -24.6

    네덜란드 5 2 8 33 13 10 14 21.0

    기타 45 37 60 61 65 85 114 16.6

    합계 289 292 334 331 342 408 441 7.3

    자료 한국석유공사: (http://www.petronet.co.kr/main2.jsp 수출입정보, ). 2014.07.09

    표 < 2-25 국가별 석유제품 수출 추이>

    단위 백만( : Bbl, %)

    구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연평균증가율

    일본 3.5 2.2 2.0 2.2 5.2 14.2 16.2 29.3

    인도네시아 2.5 2.0 2.3 7.0 11.0 13.4 14.3 33.6

    싱가폴 2.5 1.8 13.5 17.5 2.5 8.6 9.9 26.04

    필리핀 2.0 1.8 3.5 3.1 3.6 4.4 6.1 20.2

    베트남 0.3 - 1.1 2.8 2.9 4.2 4.1 59.6

    기타 9.2 7.4 8.6 7.6 14.1 8.8 12.8 5.7

    합계 19.9 15.3 30.9 40.2 39.3 53.5 63.5 21.3

    자료 한국석유공사: (http://www.petronet.co.kr/main2.jsp 수출입정보, ). 2014.07.09

    표 < 2-26 국가별 휘발유 수출 추이>

  • 28

    단위 백만( : Bbl, %)

    구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연평균증가율

    일본 7 7 3 4 4 7 6 -1.0

    인도네시아 14 11 15 10 26 37 30 13.0

    싱가폴 12 16 43 22 26 34 47 26.4

    중국 3 7 7 3 4 10 6 13.2

    홍콩 10 8 9 13 7 14 11 1.8

    기타 45 54 54 74 64 57 75 8.8

    합계 92 103 131 125 131 159 176 11.6

    자료 한국석유공사: (http://www.petronet.co.kr/main2.jsp 수출입정보, ). 2014.07.09

    표 < 2-27 국가별 경유 수출 추이>

    단위 백만( : Bbl, %)

    구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연평균증가율

    일본 12 6 1 4 4 5 9 -4.2

    미국 22 32 7 17 27 13 15 -5.5

    싱가폴 2 9 25 16 3 12 5 15.7

    중국 21 17 18 18 22 28 27 4.1

    홍콩 2 4 12 7 10 9 12 32.1

    기타 3 4 14 7 5 15 22 37.5

    합계 62 72 77 70 71 81 92 6.6

    자료 한국석유공사: (http://www.petronet.co.kr/main2.jsp 수출입정보, ). 2014.07.09

    표 < 2-28 국가별 항공유 수출 추이>

  • 제 장 에너지소비 변화 요인분해 3 29

    제 장 에너지소비 변화 요인분해3

    선행연구1.

    본 절에서는 에너지소비의 요인분해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정리한다.

    은 산업부문 에너지소비에 대한 분해 방법론을 다섯 가Ang·Lee(1994)

    지를 제시하였고 그 중에서 , Simple Average Parametric Divisia

    이 가장 정확한 추정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고 Method 2(AVE-PDM2)

    주장하였다 이후 은 다양한 지수분해 분석 방법을 비교하. Ang(2004)

    였고 잔차가 없는 방법을 요인분해 , Log Mean Divisia Index(LMDI)

    분석을 하는데 가장 적합한 방법으로 제안하였다.

    과 의 요인분해 방법론을 이용한 우리나라 Ang·Lee(1994) Ang(2004)

    산업 및 제조업의 에너지소비에 대한 요인분해 분석과 온실가스 배출

    에 대한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여러 연구가 있다.

    김수이 김현석 은 방법론으로 국내 제조업을 대상으로 · (2011) LMDI

    하여 년 년 기간 중 에너지소비 증가요인을 분석하였다 연1991 ~2007 .

    구 결과 국내 에너지소비 증가는 대부분 생산효과에 의한 것이고 감,

    소요인은 년 이후로 구조효과와 년 이후 집약도 효과가 작2000 2005

    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조업종별 에너지소비 요인을 분해한 결.

    과 에너지소비 감소요인으로 작용한 산업은 차금속 비철금속 조립금1 · ,

    속 비금속 섬유의복 등으로 나타났다, , .

    박정욱 김수이 은 동일한 방법론을 활용하여 년 년 · (2013) 1990 ~2009

    기간 동안 우리나라와 일본의 산업부문 에너지소비의 변화요인에 대

  • 30

    한 비교연구를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두 나라 모두 대부분 생산효과.

    에 의해 에너지소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구조효과와 집약도효,

    과로 인해 에너지소비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재규 김종익 은 방법론을 이용하여 년 년 · (2014) LMDI 1990 ~2011

    기간 중 산업부문 및 제조업의 전력과 에너지소비의 변화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에 의하면 제조업의 경우 에너지소비 증가의 요인으. ,

    로 생산효과 이외에도 집약도 효과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구조,

    효과는 에너지소비를 하락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전력소비의 증가요인도 에너지소비와 같이 생산효과와 집약도

    효과가 전력소비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구조효과는 전력소

    비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상현 황인창 은 요인분해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 (2009a) LMDI

    년 년 기간 동안에 우리나라 개 지방자치단체의 에너지소1990 ~2006 16

    비 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선행연구와는 달리 에너지소비 요인을 에.

    너지원단위효과 인당 생산효과 인구효과로 분해하여 분석하였다, 1 , .

    연구 결과 광역시의 경우 외환위기 이전에는 생산효과에 의해 에너지

    소비가 증가하는 반면 외환위기 이후에는 에너지원단위효과가 커지면

    서 생산 증가로 인한 에너지소비를 일정부분 상쇄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 지역의 경우 외환위기 이전에는 에너지원단위효과가 생산효과 만

    큼 에너지소비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 반면 이후에는 에너지,

    소비 증가를 소폭 상쇄하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과 달리 년과 년 사이의 우리나2008 2011

    라 에너지원단위 악화의 원인을 도출하기 위해 분석대상 기간에 이를

    포함하여 분석한다.

  • 제 장 에너지소비 변화 요인분해 3 31

    분석방법 에너지소비 요인분해2. : (Decomposition Analysis)

    에너지소비 변화에 대한 요인분해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형태의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일반적인 분석방법은 . Laspeyres Index

    방법과 방법이 있다 방법은 년대 Divisia Index . Laspeyres Index 1980

    초기까지 주로 사용하였고 어떠한 요인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다른 ,

    요인들은 기준 연도에 고정한다 방법은 현재 에너지소. Divisia Index

    비에 대한 요인분해 분석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두 시점 ,

    간의 에너지소비 변화량을 분해하는 가법적 요인분해와 서로 다른 시

    점의 에너지소비 변화율을 분해하는 승법적 요인분해가 있다.

    방법 중에는 산술평균을 이용한 Divisia Index Arithmatic Mean

    가 있지만 위 방법론은 요인분해에서 잔차가 크Divisia Index(AMDI) ,

    게 나타난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의 한계점을 보완하. AMDI

    고 요인분해 시 설명되지 않은 잔차가 분석결과에 나타나지 않는다는 ,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방법론을 사용Log Mean Divisia Index(LMDI)

    한다 방법은 에 의해 제안되었고 김수이 김현석. LMDI Ang(1998) , ·

    임재규 김종익 등이 방법을 이용하여 국내 산업(2011), · (2014) LMDI

    의 에너지소비 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에 의해 기초적 이론이 확립된 방Ang(2005) LMDI

    법의 가법적 요인분해 방법뿐만 아니라 요인분해 분석 초기에

    이 제안한 Ang(1994) Simple average parametric Divisia method 2

    방법을 사용하여 에너지소비의 변화에 대한 요인분해(AVE-PDM2)

    를 추가적으로 분석 및 비교하였다.

  • 32

    가 가법적 방법. Log Mean Divisia Index(LMDI):

    (1)

    ln ln

    (2)

    ln ln

    (3)

    ln ln

    (4)

    여기서, 제조업의에너지소비량 산업의에너지소비량 제조업생산액 산업의제조업총생산에서차지하는비중 산업의에너지원단위

    위의 구조식은 에서 제시한 의 가법적 요인분해 분Ang(2005) LMDI

    석 방법이다 위 식은 기준년도 기 에서 비교년도 기 까지 전체 에. (0 ) (T )

    너지소비( 를 생산효과) ( 구조효과), ( 에너지원단위),

    효과( 로 분해한 것이다 정의상 생산효과는 특정 기간 동안의 ) .

    생산활동이 에너지소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구조효과.

    는 산업정책 소비자기호 등에 따라 산업구조 변동이 에너지소비의 변,

    화에 미치는 영향을 의미한다 에너지원단위효과는 기술진보 에너지. ,

    가격 연료간 대체 에너지절약정책 등이 에너지소비 변화에 미치는 , ,

    영향을 나타낸다 그러나 에너지원단위효과는 분석대상 산업의 제품.

    구조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에너지기술은 진보하기 .

    때문에 에너지소비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분석대.

  • 제 장 에너지소비 변화 요인분해 3 33

    상 산업분류상 동일 업종이라도 생산되는 제품의 구조가 변화하면 요

    구되는 에너지소비량이 달라진다 따라서 에너지원단위효과는 이러한 .

    제품구조의 변화 기술진보 등을 포함하는 지표라고 할 수 있다, .

    나. Simple average parametric Divisia method 2(AVE-PDM2)

    에 따르면 일정기간 동안의 Ang·Lee(1994) Energy Coefficient5)는

    경제성장률에 대한 에너지소비 증가율의 비율로 나타낸다 이를 수식으.

    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5)

    위 식은 기에서 기까지 에너지 탄성치를 나타낸 것이고 에너지소비0 T ,

    접근법에 의해 다음과 같이 분리될 수 있다.

    (6)

    여기서 오른쪽편의 개항은 각각 생산효과 구조효과 업종별 에너4 , ,

    지원단위효과 잔차와 관련된 에너지소비의 변화를 나타낸다 식 를 , . (6)

    식 로 대체하면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한다(5) .

    (7)

    5) 통상 에너지탄성치 라고 함 ‘ ’ .

  • 34

    (8)

    (9)

    (10)

    (11)

    위 식에서 은 정의상 혹은 에 가까우며 일반적으로 과 Cact 1 1 , Cstr

    는 시간흐름에 따른 변화가 크지 않고 이들 변화가 에너지에 주는 Cint

    영향이 전체 산업의 성장과 얼마나 관련이 있는가를 설명해준다.

    식 에서 요인분해된 추정치는 식 의 (8)~(11) Energy Coefficient (6) △

    를 분해하는데 사용되는 방법에 달려있으며 다음과 같은 방법이 Etot ,

    있다.

    (12)

    (13)

    (14)

    위 식에 따라 는 다음과 같이 재정리할 수 있다Energy Coefficient .

    (15)

  • 제 장 에너지소비 변화 요인분해 3 35

    분석자료 및 대상3.

    본 연구에서 초점을 두는 것은 총에너지 소비가 경제성장률을 상회

    했던 년부터 년까지 제조업의 에너지소비 변화요인을 분석2008 2011

    하는 것이다 또한 총에너지소비 변화뿐만 아니라 전력소비와 연료소.

    비 변화의 요인분해 분석결과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분석 자료는 에너지경제연구원의 에너지밸런스

    제조업의 각 업종별 최종에너지 전력소비 연료소(Energy Balance) , ,

    비량과 산업연구원에서 제공하는 각 업종별 실질부가가치 년 기(2005

    준 자료) 6)를 활용한다 제조업의 업종분류는 음식담배 섬유의복 목. , ,

    재나무 화학 비금속 차금속 조립금속 기타 제조업으로 구성하였, , , 1 , ,

    다.

    분석 대상기간은 기간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년과 3 . 2008

    년 사이의 우리나라 에너지원단위 악화의 원인 분석이 주요 목적2011

    이므로 이를 고려하여 분석대상 기간을 설정하였다 년 이후 외. 1990

    환위기가 발생한 년까지의 기간 년부터 금융위기가 방생한 1997 , 1998

    년까지의 기간 에너지소비가 급증한 년부터 년까지 기2008 , 2008 2011

    간으로 나누어 분석한다.

    6) 산업연구원 내부자료

  • 36

    요인분해 결과4.

    가 최종에너지 소비 요인분해.

    접근방법과 접근방법을 이용하여 년LMDI AVE-PDM2 1990 ~2011

    년 기간 동안 제조업의 최종에너지 소비 요인분해 결과 두 방법이 유,

    사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요인별로는 생산효과는 정의상 분석기간 동.

    안 내외로 비교적 안정적인 증가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구조효과1 ,

    의 경우 년 년까지의 구조효과는 부호가 양 으로서 산업1990 ~1997 (+)

    구조가 에너지효율이 악화되는 방향으로 전환되었음을 보여준다 이.

    후 년 년까지 구조효과의 부호가 음 으로서 산업구조가 에1997 ~2008 (-)

    너지 효율적인 방향으로 전환되었으며 년 년 기간에도 부, 2008 ~2011

    호가 음 으로서 제조업내의 산업구조가 지속적으로 에너지효율적인 (-)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구조효과의 계수값을 비교해보.

    면 년 년 기간보다 년 년 계수값의 크기도 다소 , 1997 ~2008 2008 ~2011

    증가하였다 이는 년 년 기간에 제조업내의 산업구조가 이. 2008 ~2011

    전 기간보다 더 에너지효율적인 구조로 전환되었다고 볼 수 있다.

    원단위효과는 년 년까지 부호가 양 으로서 에너지소비1990 ~1997 (+)

    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 기간 중에 철강 .

    및 석유화학 등 에너지다소비 산업의 대규모 설비 증설로 인한 생산

    량 증가로 제품 생산구조가 에너지비효율적인 방향으로 작용하였기

    때문이다 년 년 기간에는 원단위효과의 부호가 음 으로서 . 1997 ~2008 (-)

    에너지소비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였으나 년 년 기, 2008 ~2011

    간에는 부호가 다시 양 으로 전환되어 에너지소비를 증가시키는 방(+)

    향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년 년 기간에는 제조업부. 1997 ~2008

  • 제 장 에너지소비 변화 요인분해 3 37

    문의 에너지효율 향상 기술개발 및 에너지절약 등의 기반으로 에너지,

    원단위가 개선되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으며 년 이후 원단위, 2008

    효과는 제조업부문에서 에너지효율이나 생산되는 제품구조가 악화되

    었기 때문이다.

    전체적으로 볼 때 외환위기 이전인 년 년 기간 중에는 구1990 ~1997

    조효과 원단위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