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56
-1- 송수신장치 기술개발에 관한 연구 DSC VHF 차년도 중간보고서 (1 ) 1995. 11. 주관기관: 삼영전자부설 전자통신 연구소 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

Upload: others

Post on 19-Feb-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1 -

송수신장치 기술개발에 관한 연구DSC VHF

차년도 중간보고서(1 )

1995 11

주관기관 삼영전자부설 전자통신 연구소

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통 상 산 업 부

- 2 -

제 출 문

통 상 산 업 부 장 관 귀 하

본 보고서를 송수신장치에 관한 기술개발 개발기간ldquoDSC VHF rdquo ( 1994 12 1 ~

과제의 중간보고서로 제출합니다1995 11 30)

1995 10 14

개발사업주관기관명 삼영전자부설 전자통신 연구소

개발사업총괄책임자 황 원

연 구 원 황 원

임 성 주

임 승 덕

최 운 경

김 헌 규

김 해 권

조 동 현

송 호 준

임 형 택

장 동 수

안 수 범

유 진 휴

구 희 석

- 3 -

목 차

제 장 제규정 연구1

제 절 연구의 목적1

제 절 연구의 필요성2

제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3

제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4

제 절 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5 GMDSS

제 장 기존 시스템 분석2

제 절 외국장비의 사양1

제 절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2 DSC VHF

제 절 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3 DSC VHF

제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3

제 절 송수신장치1 DSC VHF

제 절 차년도 개발범위2 1

제 장 제 차년도 개발 항목 보고4 1

제 장 제 차년도 개발계획5 2

참 고 문 헌

- 4 -

제 장 제 규 정 연구1

제 절 연구의 목적1

송 수신장치는 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의 하나일 뿐만 아니라 및DSC GMDSS ITUㆍ

에 규정된 의 필수장비로서 근거리 중거리 및 원거리 통신에서 초단파IMO GMDSS

대 중 단파대의 무선설비와 같이 조난 긴급 안전 통신용으로 무선전화 DSCㆍ ㆍ ㆍ

및 가 사용된다NBDP

이 통신장비는 조난통보 및 안전호출의 용 주파수의 전파로 자동적으로 송수신DSC

하는 것으로 특히 조난통신 또는 긴급통신을 수신할 때는 가청 및 가시의 경보를

발하고 그 내용이 인자되며 일반통신의 호출용으로 사용된다

이 설비는 탑재 장비 중 통신용으로 가장 기본이 되는 장비로써 새로운GMDSS

제도에 따라 신조선 및 기존선 과 사이의 기간동안 부터 의(lsquo9521) (rsquo9221 lsquo9921 )

무적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의 상황으로는 해역별 해상통신을 실행할 필요가 대두되고 있기 때문

에 이를 위한 의 국산화 기술확보 및 표준화 등이 시급하게 진행되어야 한다 DSC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의 기준설비인 용 및 통신장비를GMDSS DSC MFHF VHF

개발하는데 필수적인 의 의 협약을 중심으로 권고 규정ITU RR IMO SOLAS CCIR

의정서 기술기준 등 에 대한 국내기준과 국제기준 등을 비교 검토SOLAS GMDSS

하고 기본 요건부터 형식검정까지 분석 정리하여 장치를 설계하고 장비의 규 DSC

격 및 요건을 구현하는 표준자료가 되도록 한다

제 절 연구의 필요성2

해운계의 커다란 관심사였던 새로운 해상 통신제도에서의 주체인 GMDSS(Global

는 국제전기통신연합 국제해사기구Maritime Distress and Safety System) (ITU)

국제해사위성통신기구 국제수로기구 등의 기구에 의하여(IMO) (INMARSAT) (IHO)

국제협약으로 확정된 범세계적 해상조난 안전제도로서 현재 여러분야에서 이용되

고 있는 위성통신기술 및 디지탈 선택호출 방식을 선박의 안전통신업무에 도입한

시스템이다 는 인공위성의 중계 디지탈선택호출 무선탤렉스 등의 진보된 GMDSS

전자기술을 수용하여 신뢰성있는 통신수단을 확보함으로써 조난 및 안전시스템으

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해상통신의 종합화 및 선박운항의 자동화를 구축하는 신

해상통신제도인 것이다

- 5 -

이와 같이 는 해상통신제도에 관한 관련 국제협약의 개정에 의하여 통신기GMDSS

술과 운용방법 및 절차 등이 확정된 새로운 해상통신제도로서 년 월 일부 1992 2 1

터 국제항해에 취항하는 모든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선박에 대하여 이300

협약이 적용되고 있으며 각 국은 사정에 따라 년 월 일까지는 신구제도를 1999 1 31

병행하고 년 월 일 이후에는 를 전면적으로 시행하도록 하는 경과 1999 2 1 GMDSS

규정을 두고 있다 가 적용되는 선박들은 의무적으로 규정된 통신장비를 갖 GMDSS

추어야 하는데 의 의무비치 장비로는 위성GMDSS NAVTEX RECEIVER EPIRB

RADAR TRANSPONDER TWO-WAY RADIO TELEPHONE INMARSAT-C DSC

및 등의 장비가 권고되고 있다VHF DSC MFHF

우리나라의 조선산업이나 전자산업의 규모로 볼 때 와 관련된 의무탑재 장 GMDSS

비의 연구 및 국산화는 시급히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

한 제반 국제기구의 관련규정 기술기준 등의 정리가 미비하여 이 분야의 기술개발

연구에 영향을 초래하고 있기 때문에 이의 해결책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제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3

오늘날 기초과학의 발전 및 산업기반 기술확보는 전파이용의 증가와 더불어 정보통

신기기의 발전을 가져왔고 이에 따라 정보통신에 대한 관심이 제고되는 등 통신기

술 발전을 위한 여건이 조성되고 있다

그러나 육해상간의 무선통신분야에 있어서는 그 중요성을 인식하면서도 이를 위한

교육 및 정책은 배제하는 것 같은 경향을 보여 왔는데 해상 이동통신 분야에

라는 새로운 제도가 및 협약의 개정으로 통신설비의 성GMDSS ITC SOLAS STCW

능기준 지침서 작성 총회 결의안 등이 채택되어 각국에서는 이 제도의 실행에 대

비한 관계법의 개정 육 해상간의 통신기기 개발 및 시설보완이 마무리되어 가고 ㆍ

있다

국제적으로 보면 미국 프랑스 덴마아크는 년부터 새로운 정보통신기기를 개1991ㆍ ㆍ

발하여 탑재하고 있고 독일 일본 영국 등은 설비의 배치 기준 및 기술기준 등을 ㆍ ㆍ

마련하여 완전실행을 대비하여 부분적으로 개발하여 탑재하고 있다

신제도의 실행을 위해서는 관계법령의 개정 해역의 설정 통신시설의 정비 등에 대

한 구체적인 계획과 수립이 필요하다 즉 조난구조본부는 어느 부처에서 언제 어디

에 설치될 것인지 국내연안을 위한 방송은 어느 해안국에서 언제 실시할 NAVTEX

것인지 는 어떻게 구성하고 있는지 위성 나 트랜스폰 Safety NET EPIRB RADAR

더 등에 대한 국내조치가 가시화되어야 한다

- 6 -

국내에서는 전파진흥정책 도입에 대비한 일반적인 연구가 진행되었고 선 GMDSS

박용 항해통신장비의 국산화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몇몇 장비가 개발완료 되어 있으

나 아직은 미비한 상태이므로 완전 실행되는 년 월 일까지는 관련1999 2 1 GMDSS

장비들이 완전 개발되어야 만이 종래와 같이 외국제품을 수입 탑재하는 우를 범하

지 않을 것이며 이 분야에 대한 국제경쟁이 가능하다고 본다

그러므로 이 제도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정책수립과 동시에 국산화를 위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해상통신용 송수신장치의 개발 DSC

을 구현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범위와 내용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의 도입에 따른 지상계 통신의 주축이 되는 의 이론적 배경을 구lt gt GMDSS DSCⅡ

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루었다

해사위성통신의 개발약사를 분석하여 새로운 해상이동통신제도인lt -1gt GMDSSⅡ

의 도입 배경 및 개발 계획을 고찰하였다

도입에 따른 및 등 국제기구의 활동 상황과 의lt -2gt GMDSS ITU IMO IHO ITCⅡ

전파규칙 의 협약 등의 정비현황과 우리나라의 조치 상황을 분석(RR) IMO SOLAS

하였다

새로운 해상통신제도인 의 기본개념 도입일정과 통신시스템 및 설lt -3gt GMDSS Ⅱ

비의 기능을 분석하였다

관련 규정은 및 권고 협약 전파관계법 등으lt gt DSC ITC IMO RR CCIR SOLAS Ⅲ

로 규정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내용을 종합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루었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전파규칙 을 구명하여 조난 안전통신lt -1gt GMDSS (RR) Ⅲ ㆍ

및 선박국의 준수 조건등을 분석 하였다DSC NBDP

실제적으로 개발에 필요한 호출시스템 운용절차 품질에 대한 평가lt -2gt DSC Ⅲ

식별 코드 및 변환 등에 관한 권고를 총괄적으로 집약 분석하였다CCIR ㆍ

관련 협약 중 선박의 요건 해역 전원 성능 기준 및 보수요lt -3gt DSC SOLAS Ⅲ

건을 분석하였다

음성통신 및 를 할 수 있는 용 무선설비의 성능기준lt -4gt DSC MF MFHF VHFⅢ

에 대한 총회 결의 권고를 분석하였다IMO

장비를 구현하기 위하여 위의 장에서 분석된 제규정을 다음과 같이 집lt gt DSCⅣ Ⅲ

약 정리하여 실제적으로 개발에 필요한 핵심 규정을 제시하였다DSC ㆍ

디지틀 선택호출장치의 기술 설비 및 전파 등을 규정하고 개발에 필lt -1gt DSCⅣ

요한 기술기준을 집약하여 제시하였다

의 조건 및 선박국 해안국의 기술적 조건을 집약 제시하였다lt -2gt NBDP Ⅳ

위에서 연구된 제규정에 의하여 장비가 개발되었을 때 이를 실용화하기lt gt DSCⅤ

위하여 실행되는 형식검정에 대비하여 다음 사항을 고찰하였다

- 7 -

형식검정의 제도 개념과 대상기기 및 기술기준확인증명대상기기를 구분하lt -1gtⅤ

여 분석 정리하였다ㆍ

형식검정에 따른 신청 방법 구비서류 및 품질보증업무에 대하여 그 예를lt -2gt Ⅴ

들어 제시하여 제작자의 편의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기기의 종류별 구조 및 성능 조건을 분석하고 관련 장비의 형식검정에lt -3gt DSCⅤ

필요한 표준시험방법을 제시하여 개발에 따른 제조건을 만족하도록 형식검정의DSC

투명성을 확보하였다

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으로서 개발에 따른 제규정의 적lt gt GMDSS DSCⅥ

용문제에 대하여 행정당국과 제조업자 상호간의 선결문제를 제시하고 이를 위한 조

정 방안을 강구하였다

제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4

는 현행 시스템을 위성통신방식과 와 같은 새로운 기술을 종합GMDSS DSC NBDP

적으로 활용하여 통신의 자동화를 이룩한 제도이므로 이러한 제도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의 기준설비인 송수신장치의 개발을 위한 국제기구GMDSS DSC

의 권고 기술기준 및 관련규정의 연구가 이루어 질 때 만이 가능하며 이를 통하여

해운 선진국으로서 해상에서의 인명안전 확보라는 국제적 의무사항을 충실히 이행

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해상통신장비의 개발을 위한 지침자료가 될 것이며 다음과 같

은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전파관리의 합리화를 위한 방안 제시(1)

의 도입과 관련된 행정기관에서는 해역설정 설비의 장치 통신망(2) GMDSS SAR

및 방송 등에 관한 실질적인 방안을 강구NAVTEX NAVAREA

해상전파통신장비의 국내생산의 필요성 및 기술촉진을 통한 국산화를 제고(3)

개발을 위한 관련기술 사양 도출(4) DSC

관련 성능 평가기준 마련 및 성능 시험 기법 촉진(5)

형식검정을 위한 행정적인 처리 기준 확보(6)

- 8 -

제 절 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5 GMDSS

해상통신에 있어서 위성의 이용은 새로운 통신방식을 모색코저 노력한 해운계에 있

어서 획기적인 전환점이 되었다 또한 이를 통한 다수의 새로운 시스템 및 장비의

도입은 해상통신의 중요한 목적인 항행안전 뿐만 아니라 경제성 및 간편성에도 커

다란 발전을 가져왔으나 새로운 제도에 의한 해상통신은 그 가치가 이용의 확대와

시스템의 고도화가 필수요건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는 기존의 통신시스템을 위성통신방식과 와 같은 새로운GMDSS DSC NBDP

기술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자동화를 이룩한 제도이다 물론 가 의 부 DSC GMDSS

분 설비이기는 하지만 이러한 제도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조치

사항과 더불어 관련장비의 국산화가 필요하며 이를 통하여 해운선진국으로서 해상

에서의 인명 재산의 확보라는 국제적 의무사항을 충실히 이행하게 될 것이다ㆍ

년 월 일부터 드디어 의 도입이 시작되었다1992 2 1 GMDSS

에 관한 의 규정은 년 월 일부터 협약은 년 월 일GMDSS RR 1991 7 1 SOLAS 1992 2 1

부터 발효되어 는 도입 시행되고 있다GMDSS ㆍ

이 제도를 도입하기 위하여 국제기구 특히 의 와 의 무 ITU CCIR WARC IMO COM(

선통신소위원회 가 여년 동안의 연구기간이 소요되었다는 것은 그 내용이 얼마) 20

나 복잡하였던가를 말해주고 있다

새로운 제도의 실행을 위해서는 관계법령의 개정 해역의 설정 통신시설의 정비등

에 대한 구체적 계획과 수립이 필요하다 즉 조난구조본부는 어느 부처에서 언제

어디서 설치될 것인지 국내연안을 위한 방송은 어느 해안국에서 언제 실 NAVTEX

시 할 것인지 통신을 위한 해안국은 어디에 언제 설치할 것인지 는 DSC SafetyNET

어떻게 구성하고 있는지 위성 나 트랜스폰더 등에 대한 국내조치와 소 EPIRB RADAR

형 선박 특히 유효한 이들 구명설비의 탑재의무를 어선까지 확대하느냐의 여부 등

이 요구되고 있지만 아직 이러한 조치사항이 일반에게 가시화되어 있지 않다

또한 정보통신부와 항만청간의 소관업무조정 해상전자설비의 국산화지원 설비의

중화문제 등의 조속한 검토와 실행이 요망되고 있다 다만 전파관계법에서 해역2

등 관련용어의 정의 에서의 무선종사자의 자격 조작 및 종사범위GMDSS GMDSS

와 선박의 무선설비 성능조건 및 기술기준 및 전파 설비의 중화 육상정GMDSS ( ) 2

비 전파전자기능사 자격을 수용하는 제도만을 설정하여 공포 하고 있 (1992 6 30)

을 뿐 다른 대응은 아직 구체적으로 마련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행정조치사항을 제시하여 그 대응방안을 논하고자 한다

앞에서 도입에 따른 관련설비의 제규정은 구명 분석되었으나 이 분GMDSS DSC ㆍ

야의 발전여부는 오직 정부정책에 달려있기 때문에 구체적인 건의 사항으로서 이를

재정리하여 현실적인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 9 -

첫째 발전된 기술과 자동화를 이룩한 도입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그 GMDSS

동안 해상통신분야의 인식을 과감히 불식하고 관 산 학 협동을 통하여 이를 위 ㆍ ㆍ

한 현실적인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해상전자통신장비의 국산화를 위하여 관 산 학 연구소간의 협력체제를 강화하고ㆍ ㆍ

적극 지원해야 한다 현재 세계 유수의 해운국이자 조선국인 우리나라는 해상통신

장비분야에 대해서는 아직 후진성을 면치 못하고 주로 수입대치에 의존하는 현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둘째 관계당국은 도입에 따른 해역의 설정 설비의 정비 및 해안국 확정 GMDSS

통신망 및 방송 설비의 수급대책 등에 관한 문제를 계획하SAR NAVTEX NAVAREA

고 현실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정책당국은 정부 관련부처간의 업무를 조정하기 위하여 위원회를 구성

하고 전문가를 초빙하여 연구발표회 또는 간담회 같은 방법을 통하여 관계부처간의

조치 진행 상황을 일반인에게 가시화시켜 선박회사 전자기기 제조회사 조선소 및 ㆍ

종사자 등의 업무대비에 도움이 되도록 해야 한다

셋째 에 관한 국제규정에는 권고 포함 와 총회 결의 GMDSS RR(CCIR ) SOLAS(IMO

및 권고 포함 에 그 근거를 두고 있으나 그 주관청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부처간)

업무조정이 필요하다

협약 제 장 무선통신 의 대부분이 정보통신부 업무에 속하기 때문에 국내 도SOLAS 4 ( )

입의 원활을 기하고 국제적 의무를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정보통신부와 항만청

사이에 업무조정이 필요하다

즉 문서 발착사무는 항만청에서 하되 다음과 같은 업무를 조정해야 한다 IMO ㆍ

협약에서는 육상시설 등에 관한 정보를 에 통보하기로 되어 있고(1) SOLAS IMO

그 밖에 해역의 설정 통보 등 업무가 많으므로 이를 위한 업무의 체계화

정보통신부 소속사무에 속하는 각종 문서의 분류 배포 및 이에 대한 처리(2) IMO

넷째 관계 국제협약의 결의 권고 및 기술기준 등의 용어 및 규정의 정의를 통일시

켜야 한다

이는 각부처간 소관업무에 관한 제규정을 기준없이 비전문인이 원문을 해석하여 이

용자가 규정을 이해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관계전문인

이 참여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다섯째 형식검정을 위한 개선방향으로 대상기기의 정비 및 서류 간소화 민간에서

시험할 수 있는 대상기기의 지정확대 지정시험기관의 안배 확대지정 제조업체 자

체 시험 성적서를 인정하는 문제 등을 지적할 수 있다

물론 형식검정은 제도적으로 성능기준 기술기준 등이 마련되어 있으나 기기별 시

험방법 등이 구체화되어 있지 않고 당국의 자체 검정기준이 각 제조업체 수입자

및 일반인에게 공시화되지 못하여 가져오는 손실에 대하여 정책당국의 확인행정이

절히 요구되고 있다

- 10 -

또한 검정신청서 제출시 미비한 기재사항 하나로 신청서마저 접수되지 못하는 현실

하에서 발생되는 경제적 시간적인 손실등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ㆍ

이러한 본 연구의 노력이 도입에 따른 관련 장치를 설계하고 장비의GMDSS DSC

규격 및 요건을 구현하는 표준자료가 될 것이며 이를 통하여 정책의 개선과 기술

을 촉진하게 되고 나아가서 선진해운발전에 기여하게 될 것을 확신한다

- 11 -

제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2

제 절 외국장비의 사양1

1 Main Unit

가 General Specifications

Transmission 15550-15950

frequency range

Reception frequency 15550-15950 (simplex)

range 16060-16350 (duplex)

Channel capacity ITUUSA channels Up to 57 channels

Private channels Up to 99 channels

Weather channels 9 channels

(only reception)

Memory channels Up to 10 channels

Select channels Up to 10 channels

Channel spacing 25 10

Communication modes Simplex and duplex

(simplex and semi-duplex on privatechannels)

Type of emission G3E G2B(F3E F2B)

Frequency accuracy plusmn 10 x 10-6

Antenna impedance 50Ω unbalanced

Rated input power DC138V plusmn10(supplied

supply voltage fromNQD-1496 power supply unit)

Numbers of DSC file 15 for calling

20 for Distress

call receiving

5 for general

call receiving

Environmental test

conditions

- 12 -

Vibration 1 to 125 32 15min

125 to 25 076 15min

25 to 50 02 15min

Dry heat cycle +55 2hr

Dump heat cycle +40 93RH10hr

Low temp cycle -15 2hr (after maintaining at -25 for

10 hr)

Temperature 0 to +40

range for full

performane

Operating -15 to +55

temperature

range

Storage -25 to +65

temperature

range

Dimensions 290(H) times 240(W) times 145(D)

(excluding protrusions)

Weight Approximately 7

나 Transmitter Unit

Output power 25W

Reduced outpur power 01 to 1W

Oscillation method Frequency synthesizer

Modulation method Frequency modulation

Occupied bandwidth Within 16

Maximum plusmn5

frequency deviation

Microphone input 600Ω(balanced)

Standard

modulation input -53 m

Frequency

characteristics 6 oct +1-3

Overall distortion 10 or less

Signal-to-noise ratio 40 or more

- 13 -

Spurious emission 25 W or less120757DSC data rate 1200baud plusmn30 times 10-6

modulation method FSK

modulation index 2 plusmn10

Mark signal(Y) 1300 plusmn 10

Space signal(B) 2100 plusmn 10

다 Receiver Unit

Receiving system Double super heterodyne

Intermediate frequency 1st IF 214

2nd IF 455

Local oscillation method Frequency synthesizer

Sensitivity 2 V or less120757Sensitivity(DSC)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the input

level of 0 120757Squelch sensitivity 1 V or less120757Selectivity 12 or more at 6 bandwidth

within 25 with a selectivity of 70

Spurious response 80 or more

Spurious response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DSC)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73 120757

Blocking 90 or more

Blocking(DSC)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μ

level of 93 120757Intermodulation 70 or more

Intermodulation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DSC)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68 120757

Overall distortion 10 or less

Signal-to-noise ratio 40 or more

Rated audio output 2W(4Ω)

External speaker 0 m 600 Ω

output level

- 14 -

Frequency 6 oct +1 -3

characteristics

Radiation 1 nW or less

2 Power Supply Unit

Input voltage AC 100V to 120V (5060 ) or AC 200V to

240V (5060 ) and DC 24V (DC 216 to

312V)

Power consumption AC 100V 2A max(main unit)

AC 220V 1A max(main unit)

DC 24V 55A max(main unit)

Input switching Automatically switched to AC mode during

normal operation and to DC mode when AC

power failure

Output Voltage DC 138V plusmn10

Environmental Same as JHS-31 main unit

test conditions

Dimensions 300(H) times 240(W) times 145(D)

(excluding protrusions)

Weight Approximately 65

3 Remote Controller

Operating and Same as JHS-31 main unit

control items

Display items Same as JHS-31 main unit

Power supply DC 138V plusmn10 supplied from

NQD-1469 power supply unit

Environmental test Same as JHS-31 main unit

conditions

Dimensions 290(H) times 240(W) times 80(D)

excluding protrusions)

Weight Approximately 35

- 15 -

4 DSC Watchkeeping Receiver

가 General Specifications

Operation frequency 156525 (CH 70)

Reception mode G2BF2B

Antenna impedance 50Ω nominal unbalanced

DSC AF signal output 0 m plusmn10 (600 Ω balanced)

Self diagnostics Provided with receiver

overall testing functions

Dimmer 4-step control for dimming illuminations

incl extinction

Environmental test Same as JHS-31 main unit

conditions

Warm-up period 30 sec

Dimensions 145(H) times 140(W) times 145(D)

excluding protuberances

Weight approx 15

Power supply 138 VDC plusmn10

Power consumption 10 W or less

나 Receiver

Receiving system Double superheterodyne

Local OSC Crystal controlled

Frequency accuracy Within plusmn10 times 10

Intermediate frequency 1st IF 208

2nd IF 455

Sensitivity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the input

level of 0 μ

Selectivity 6 bandwidth 12 or more

70 bandwidth 25

Adjacent CH selectivity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μ

level of 73 120757(wanted signal frequency plusmn25 )

- 16 -

Spurious response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73 with application of unwanted120757signals in range of 9 to 2

Blocking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93 with application of unwanted120757signals apart plusmn1 to plusmn10 from the

wanted signal

Intermodulation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68 with application of two120757unwanted signals of plusmn25 and plusmn50

simultaneously

Co-channel rejection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ratio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μ

level of -5 120757De-emphasis -6 (+1 -3 ) octave

characteristic 300 +105 (+1 -3 )

3 -95 (+1 -3 )

at reference frequency of 1

Amplitude characteristic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receiver

of receiver limiter input level of 0 to 100 120757 120757Noise and hum -40 or better

Harmonic distortion -20 or better

Spurious emission 1nW of less

5 Guard Receiver

Receiving mode Simultaneous reception of any two channels

selected from ITUUSA channels

Receiving channels Up to 57 channels

Channel spacing 25

Mode of reeption G3E(F3E)

Frequency accuracy Wighin plusmn10 times 10-6

- 17 -

Receiving system Double super heterodyne

Intermediate frequency 1st IF 214

2nd IF 455

Local oscillation method Frequency synthesizer

Sensitivity 2 V or less120757Squelch sensitivity 1 V or less120757Selectivity 12 or more at 6 bandwidth

within 25 with a selectivity of 70

Spurious response 70 or more

Blocking 90 or more

Intermodulaltion 70 or more

Overall distortion 10 or less

Signal-to-noise ratio 40 or more

Rated audio output 2W(4 )Ω

Frequency

characteristics 6 oct +1 -3

Antenna input 50 unbalancedΩ

impedance

Temperature range 0 to +40

for full performance

Operating -15 to +55

temperature range

Storage -25 to +65

temperature range

Power supply voltage DC 138V plusmn10

(supplied from the NQD-1469 power supply

unit)

Dimensions 290(H) times 140(W) times 145(D)

Weight Approximately 25

- 18 -

제 절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2 DSC VHF

디지틀선택호출장치의 조건1

가 점검 및 보수를 쉽게 할수 있을것

나 전원공급후 분이내에 작동할 수 있을 것 1

다 의 주파수를 쉽게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 것 156525

라 초이내에 송신과 수신을 전환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 것 03

마 이상의 제어기를 갖는 경우에는 의 제어기에 우선권이 주어지는 동시에 다 2 1

른 제어기의 사용상태를 표시하는 기능이 있을 것

바 전원전압이 정격전압의 퍼센트이내에서 변동된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 (plusmn)10

할 수 있을것

사 통상 발생하는 온도 및 습도의 변화 진동 또는 충격이 있는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수있을것

선택호출장치의 선택호출신호의 조건2

가 마크주파수는 이고 스페이스주파수는 일것 이 경우 허용편차 1300 2100

는 각각 로 한다10

나 신호전송속도는 매초 비트일것 이 경우 허용편차는 만분의 으로 1200 100 30

한다

다 시간다이버시티의 시간간격은 초일것 003

송신장치의 조건3

가 공중선전력 와트 이상일 것 6

나 전파의 변조지수 허용편차는 로 한다 F2B 2( 02 )

다 감도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자 1

율이 퍼센트이하일 것1

라 실효선택도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1) 14

상태에서 중간 주파수로부터 희망파의 배의 주파수 희망파주파수의 이3 ( (plusmn)375

내의 주파수를 제외한다 까지 수신기입력전압 밀리 볼트의 무변조 방해파를 인) 447

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1

- 19 -

감도억압효과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2) 14

의 정현파에 의하여 주파수 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기입력전압400 3 44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인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이하일1

마 상호변조특성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 14

희망파 보다 떨어진 수신기 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와 희망파25 25

보다 떨어진 의 정현파에 의한 주파수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50 400 3

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25 1

디지틀선택호출전용수신기 의 조건4

가 통신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통신의 수신기능외에 통신의 내용을 볼 수있도록 하

는 기능이 있을것

나 조난통신 또는 긴급통신을 수신한 경우에는 수동으로만 정지시킬 수 있는 특별

경보기능이 있을것

다 수신한 조난통신의 내용을 즉시 인쇄하거나 개이상의 조난통신을 기억할 수 20

있어야 하되 기억한 내용을 일정시간 보존할 수 있을것

라 본체의 보이는 곳에 수신주파수를 표시할 것

마 전원공급후 분이내에 작동할 수 있을것 1

바 전원전압이 정격전압의 퍼센트이내에서 변동된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plusmn)10

수 있을 것

사 통상 발생하는 온도 및 습도의 변화 진동 또는 충격이 있는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수 있을것

아 감도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자율 1

이 퍼센트 이하일 것1

자 실효선택도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1) 14

상태에서 중간 주파수로부터 희망파의 배의 주파수 희망파주파수의 이내3 ( (plusmn)375

의 주파수를 제외한다 까지 수신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를 인접) 447

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1

- 20 -

감도억압효과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2) 14

의 정현파에 의하여 주파수 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기입력전압400 3 44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인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1

차 상호변조특성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 14

희망파 보다 떨어진 수신기 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와 희망파25 25

보다 떨어진 의 정현파에 의한 주파수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50 400 3

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25 1

- 21 -

제 절 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3 DSC VHF

일반적 조건1

가 취급이 용이한 것일 것

나 에서 까지의 숫자 입력판을 갖는 경우에는 그 숫자의 배열은 국제전신전화자 0 9

문위원회의 권고 에 의한 것일 것E161

공중선의 단선 또는 공중선 단자의 단락으로부터 보호수단을 가질 것

과전류 과전압 전원의 과도변동 및 전원극성의 우발적인 반전으로부터 보호수단이

있는 것일 것

노출된 금속부분은 접지하는 것이 가능할 것

전원단자는 접지되어 있지 않을 것

전원 볼트를 초가하는 전기 고주파의 것을 제외 를 통하는 도전부는 용이하게 노55 ( )

출이 되지 않도록 다음의 어느 조건에도 적합한 차폐체를 갖고 있는 것일 것

차폐체를 개방한 때는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되는 구조일 것(1)

차폐체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공구를 필요로 하는 구조이고 또는 고전압에 대한(2)

주의사항이 표시되어 있을 것

다 통상의 설치된 상태에서 제조자명 형식명 및 제조번호가 명확하게 판독 가능하

도록 외부에 표시되어 있을 것

라 장치의 일부를 가열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급전후 분이내에 일정온도에 달하 30

는 것일 것

다만 가열회로에 공급하는 전력은 다른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치단에 의해

절단되지 아니할 것

마 전원공급후 송신장치의 일정분에 전압의 공급을 지연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는 그 지연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것

디지틀선택호출장치의 조건2

선박의 위치 및 위치를 결정한 시각의 자동입력 기능을 갖는 경우에는 동기능의

고장이 장치의 다른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

가 선택호출 신호의 구성

조난경보등 조난경보 조난경보에 대한 응답 조난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1) (

중계에 대한 응답을 말한다 이하 같다 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및 무선설비의 기기 )

의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이하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이외의 선택( ldquo rdquo )

호출신호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1

- 22 -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2) 2

조난 경보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 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3) 3

일 것

조난 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 중계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4)

성을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4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5) 5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오류검정부호를 제외한다 에 사용하는 단위 부호는(6) (dot ) 10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6

나 선택호출신호의 송출조건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오류검정부호를 제외한다 의 송출은 최초의 송출과 반(1) (dot )

복송출과의 사이에 개의 코드가 놓아진 방식일 것4 Time Diversity

선택호출신호의 반복송출은 다음과 같은 것일 것(2)

가 조난경보를 연속하여 송출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조난 경보를 최후의 신호와( )

다음에 송출되는 조난경보의 신호와의 사이를 가격없이 송출가능한 것일 것dot

나 디지탈선택호출통신망을 위한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호출( )

또는 응답의 선택호출 신호의 경우는 별표 에 따라서 회를 초과하지 않는 회수를7 4

반복하여 송출가능할 것

다 가 및 나 이외의 경우는 반복하여 송출이 가능하지 않는 것일 것( ) ( ) ( )

다 선택호출신호의 수신조건

조별 의 장치는 제 호에 규정한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1) (class) A 2

읽어냄이 가능할 것

조별 의 장치는 다음의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표시하는(2) (class) B

것이 가능할 것

가 제 호에 규정하는 선택호출신호중 종별 의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것( ) 2 (class) B

나 포맷 신호가 해역호출인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것( ) (format)

다 제 가 수신되지 아니할 것( ) 1 Telecommand

해안국의 장치는 제 호에 규정하는 선택호출신호 해안국의 장치의 것을 제외(3) 2 (

한다 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읽어냄이 가능할 것)

- 23 -

별표 선택호출신호 조난경보등을 위한 것 및 시험을 위한 것은 제외한다 의[ 1] ( )

구성

dot신 호

동 기신 호

Format신 호

Address신 호

Category신 호

자국의식별신호

정 보신호1

정 보신호2

정 보신호3

종료신호

오류검정신호

주( 1) 주( 2) 주( 3) 주( 45및6)

주( 7) 주( 8) 주( 9) 주( 10) 주( 11) 주( 12) 주( 13)

주( )

중단파대 및 단파대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하는 장치의 선1

택호출신호 이하 중단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에 있어서 선박국을 호출하( ldquo rdquo )

기 위한 선박호출신호의 경우는 비트 선박국에서 해안국으로 호출 및 응답하기200

위한 선택호출신호 및 국제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 계기하는 주파수18

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 하는 장치의 선택호출신호 이하 대 선택( ldquoVHF

호출신호 라 한다 의 경우는 비트일 것rdquo ) 20

표 에 나타내는 코드번호를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하는 것일 것2 8 9

호출의 종류를 나타냄에 있어서 다음의 장치마다 별표 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3 8

류를 표시하는 개의 동일 코드번호일 것2

종별 의 장치 선박국의 장치에서 별표 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류를 사용(1) (class)A ( 8

가능한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

종별 의 장치 선박국의 장치에 있어서 동표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류 중(2) (class) B (

해역호출 및 공통관계를 갖는 선단의 호출을 제외한 것의 사용이 가능한 것을 말한

다 이하 같다 )

해안국의 장치 동표에 게기한 호출의 종류중 조난경보 및 개별국의 반자동 또(3) (

는 자동접속호출을 제외한 것의 사용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

신호가 조난경보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는 상대국 식별4 Format

신호로 하여 선박국식별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 구성되는[0]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신호가 조난경보 또는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선택호출에 있어서는 사용5 Format

하지 않을 것

신호가 해역호출의 경우 종별 의 장치는 제외한다 는 별표 에 따라서6 Format ( B ) 11

해역을 자리 의 숫자를 표시하고 별표 에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통보의 우선순위 또는 종류 신호가 모든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통상업무7 (Format

및 선박업무를 제외한다 를 별표 에 따라 개의 코드번호에 코드화한 것일 것 다) 8 1

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 선박업무를 제외한 것으로 하고 또한 신 (class) B Format

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통상업무를 제외한 것일 것

- 24 -

자국의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8 [0]

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제 및 제 의 정보로 하여 별표 에 따라서 각각 개의 코드번9 1 2 Telecommand 8 1

호에 코드화한 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제 (class) B 1

를 다음과 같이하고 제 코드번호가 일 것Telecommand 2 Telecommand [126]

중단파대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하는 장치의 선택호출신호 이하(1) (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는 신호가 개별국의 호출일때에는 코드번ldquo rdquo ) Format

호 또는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일[119] [111] [118] Format

때에는 코드번호 또는 일 것[109] [111] [111]

선택호출신호는 신호가 개별국의 호출일 때에는 코드번호(2) VHF Format [100]

또는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일 때에는 코드번호[101] Format

또는 일 것[100] [101] [105]

다음의 방식일 것10

호출에 이어 계속 통신에 사용하는 송신 및 수신을 위한 주파수 또는 채널을(1)

나타내는 선택호출신호는 송신파 및 수신파의 순으로 별표 에 코드화한 것일 것12

다만 주파수 또는 채널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송신파 또는 수신파마다에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126]

선박의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선택호출신호는 코드번호 및 다음에 의거 표(2) [55]

시되는 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 자리숫자를 별표 에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가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가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나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부터 제 번째까지의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표시한다

제 가 선박의 위치인 호출에 대한 응답 이하 선박위치응답 이라(3) 1 Telecommand ( ldquo rdquo

한다 을 위한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의 가 및 나 에 의해 표시하는 선박의) (2) ldquo rdquo ldquo rdquo

위치를 나타내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코드화한 것 및 그것에 계속코드번호10 10

일 것[126]

에서 이외의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4) (1) (3) 6 [126]

선박위치응답의 경우 종별 의 장치를 제외한다 및 신호가 개별11 ( (class)B ) Format

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에만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각각 다음의 방

식일 것

선박위치응답의 경우는 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 국제표준시로 한다 이하 같(1) (

다 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2 10

개의 코드번호로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는 개2 2

의 코드번호 일 것[88]

- 25 -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는 아날로그 전화용(2) Format

설비와 접속하기 위한 번호 이하 전화번호 라 한다 등의 네트워크번호를 표시하는( ldquo rdquo )

것으로 하고

네트워크번호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코드번호를 짝수의 경우는 코드번호[105]

과 네트워크를 별표 에 준하여 개부터 개까지의 수의 코드번호로 코드화[106] 10 2 9

한 것일 것

응답을 필요로 하는 호출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응답12 [117]

을 위한 선택 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및 이외의 경우는 코드번호[122] [127]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 다만 신호가 모13 Format

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 코드번호 일 것[127]

오류검정부호는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정보비트 및 제 번째에서 제13 1 7 8

번째까지의 검정비트로부터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생성되는 각 비트10

의 및 이 각각 별표 에 표시하는 및 에 대응하는 단위 부호로[0] [1] 6 [B] [Y] 10

하여서 송출되는 것일 것

정보비트의 각 비트는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동기신호를 제외한다 의 모든(1) (dot )

코드번호 신호 및 종료신호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로 한다 에 대응하(Format 1 )

는 부호의 비트 위치마다 최하위 비트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다만 를 를 B 0 Y 1

로해서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검정비트는 정보비트의 의 수를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B 2

별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해안국의 장치는 제외한다[ 2 ] (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자국 의식별신호

주( 4)

조난종류 의정보신호

주( 5)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

주( 6)

시각정보신호

주( 7)

Tele-command정보 신호

주( 8)

종료신호

주( 9)

오류검정신호

주( 10)

주( )

중단파 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는 비트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비1 200 VHF 20

트일 것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2]

자국의 선박국 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4 [0] 10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조난의 종류를 표시하는 것으로 하여 별표 에 따라 개의 코드번호로 코드화한5 8 1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 (class) B 1 107

- 26 -

조난선박에 위치를 다음과 같이 자리의 숫자로 표시 하는 것으로 별표 에6 10 10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조난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것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99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1)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는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2)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한다

조난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것7 2

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개의 코드번호에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 10 2

를 포함하지않는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88]

계속하여 행하는 통신의 형식을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통신장치가 무선전화 또8

는 협대역직접 인쇄전신장치인 제 를 별표 에 개의 코드번호로1 Telecommand 8 1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방식일 것 (class) B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 일 것(1) 1 [109] [111]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VHF 1 [100]

코드번호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하는 것일 것9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별표 조난경보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선박국의 장치를[ 3] (

제외 )

dot신호

주( 1)

동기신호

주( 2)

For-mat신호

주( 3)

Cate-gory신호

주( 4)

자국의식별신호

주( 5)

Telec-ommand정보신호

주( 6)

조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7)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 8)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 9)

시각정보신호

주( 10)

Tleco-mmand정보신호

주( 11)

종료신호

주( 12)

오 류검 정신 호

주( 13)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6]

별표 의 주 과 같은 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4 1 7 [112]

자국의 해안국 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숫자를5 [0] 10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6 1 [1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일 것7

- 27 -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종류의 정보신호일 것8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일 것9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시각정보신호일 것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정보신호일 것11 Telecommand

코드번호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2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3 1 13

별표 조난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 중계에 대한 응답을 위한[ 4]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dot신호

주(1)

동기신호

주(2)

For-mat신호

주(3)

Addr-ess신 호

주( 4및56)

Cate-gory신 호

주(7)

자국의식별신호

주(8)

Telec-ommand정보신호

주( 9)

조 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10)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11)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12)

시각정보신호

주(13)

Tleco-mmand정보신호

주( 14)

종료신호

주(15)

오류검정신호

주(16)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별표 의 주 과 같다 코드번호 이외의 것으로 한다3 1 3 ( [112] )

신호가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에는 상대국의 식별신호4 Format

로 하고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0] 10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5 Format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6

별표 의 주 과 같은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7 1 7 [112]

별표 이 주 과 같다8 1 8

개의 코드번호 일 것9 1 [112]

수신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 또는 수신한 조난경10

보의 중계의 조난선박국의 식별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종류의 정보11

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선박의 위치12

정보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시각정보일 것13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14 Telecommand

정보신호일 것으로 한다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것으로 하 (class) B

는 것이 가능할 것

- 28 -

중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1) 1 [109] [111]

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2) VHF 1 [100] [101]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코드번호 개별 해안국 앞15 Format [127]

으로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에는 코드번호 로서 별표[122]

의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3

별표 의 주 과 같다16 1 13

별표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대 선택호출신호를 제외한다[ 5] (VHF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Address신 호

주( 4)

Category신호

주( 5)

자국의식별신호

주( 6)

정 보신 호1

주( 7)

정 보신 호2

주( 8)

종 료신 호

주( 9)

오류검정신 호

주( 10)

주( )

비트일 것1 200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20]

상대국의 식별신호로서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이에 계속되는 으로서4 [0]

구성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1 [108]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8

각 개의 코드번호 및 일 것7 1 [118] [126]

개의 코드번호 일 것8 6 [126]

코드번호 또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9 [117] [122] 13

일 것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 29 -

별표 선택호출신호의 단위부호[ 6] 10

는 스페이스주파수 는 마크주파수로 대응하고 비트위치의 에서 송출된다B Y 1

협대역 일때MFHF B=1785 Y=1615

대역 일때VHF B=2100 Y=1300

- 30 -

별표 반복송출의 순서[ 7]

주 기호 는 선택호출신호의 종료신호를 표시하고 기호 는 에서 까( ) H DX RX0 RX7

지가 반복송출되는 선택호출신호의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31 -

별표 코드번호 의 용도[ 8] (100-127)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00 통상업무

화재 또는폭발

또는F3단신G3E

무선전화 이유없음 주( 3)

101 침수 또는F3복신G3E

무선전화 해사교환 센터의혼잡 주( 3)

102 해역호출

충돌 미확정주( 1)

통화중 주( 3)

103 좌초 Polling 대기행렬표시주( 3)

104 의RXO위치의동기신호

경사 및전복의위험

수입불가주( 2)

폐국 주( 3)

105 의RX1위치의동기신호

침몰 호출의 종료주( 4)

의 부재Operator주( 3)

106 의RX2위치의동기신호

선박업무주( 5)

조선불능으로 표류

데이터주( 6)

변복조장치

의Operator일시적 부재 주( 3)

107 의RX3위치의동기신호

기타의조난

미확정주( 1)

장치의 운용불가주( 3)

108 의RX4위치의동기신호

안전 선체의방치

미확정주( 1)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09 의RX5위치의동기신호

J3E 무선전화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10의RX6

위치의동기신호

긴급 조난경보에대한 응답

무력분쟁의당사국이 아닌것을 표시하는선박 및 항공기주( 7)

111 의RX7위치의동기신호

H3E 무선전화 위생수송체 주( 7)

112 조난경보

조난 조난자동통보설비(주 의9)시동

조난경보의중계

공중전화사무소주( 8)

- 32 -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13또는F1B방향오J2B(1

류정정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미확정 주( 1)

114

공통관계를 갖는선단의호출

미확정 주( 1) 미확정 주( 1)

115또는F1B자동재송J2B(

요구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데이터 주( 11)

116모든선박호출

또는F1B J2B수신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2)

11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18 시험 데이타 주( 14)

119또는F1B수신J2B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5)

120개별국의호출

A1A 테이프레코더

데이터 주( 16)

121 선박의 위치 데이타 주( 17)

122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3

개별국의반자동또는자동접속호출

A1A 전건 및핸드셋(Handset)

데이터 주( 18)

124또는F1CF2C

F3C팩시밀리장 데이터 주( 19)

125의DX

위치의동기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6 정보없음 정보없음 주( 20)

12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주( )

앞으로의 사용을 위하여 유보한다1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2 [100] [109] 2 Telecommand

코드번호 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3 [104] 1 Telecommand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 시스템에만 사용한다4

- 33 -

선박의 항해 운항 필수품에 관한 통신과 정부의 기상업무기관으로 보내는 기5

상 관측 통보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6 [115] [124] 2 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을 제외하고 제7 [104][105][106][110][112] [118] 1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의 제 와 조합하여8 [100][101][109][115] [124] 1 Telecommand

사용한다

수색구조용 레이다트랜스폰더를 제외한다9

무선설비규칙의 제 조의 에 정하는 것으로 한다10 69 4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1 (V21)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2 (V22)

앞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1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4 (V2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5 (V2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6 (V1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7 (V26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8 (V27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9 (V32)

코드번호 를 제외하고 제 와 조합하여 사20 [104][110][112] 1 Telecommand

용한다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 코드번호는 중단21 Format

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에서 까지 [102] [124] ([110][112][117]

및 를 제외한다[122] )

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및VHF [100][101][104][105][106][121]

일 것[124]

별표 동기신호의 송출순서[ 9]

주 기호 및 에서 까지가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DX] [RXO] [RX7]

- 34 -

별표 자리 숫자의 코드 변환표[ 10] 10

자리의 숫자10

십억D2

억D1

천만D2

백만D1

십만D2

만D1

천D2

백D1

십D2

일D1

코드5 코드4 코드3 코드2 코드1

주( )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1 1

및 은 자리 숫자의 자리 숫자 에서 까지를 표시하고 각 코드는2 D2 D1 10 2 00 99

그 자리의 십진수를 코드번호로 한다2

숫자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최상위 자리수의 숫자 앞에 을 포함할 것3 0

별표 해역의 표시방법[ 11]

해역의 표시는 다음과 같은 것

선정되는 지리상의 해역은 메르카토르 도법의 직사각형으로 표시할1 (Mercator)

직사각형의 북서를 해역의 기준점으로 할 것2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존재하는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3 1

으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0] [1] [2] [3]

할 것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위도를 표시할 것4 2 3

제 번째에서 제 번째가지의 숫자는 기준점의 경도를 표시할 것5 4 6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남북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6 7 8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동서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7 9 10

표에 표시하는 해역 및 의 표시의 예는 다음과 같을 것8 ab c

기준점이 북위 도 및 서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1) 10 25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20 35 a

1 1 0 0 2 5 2 0 3 5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2) 10 10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10 10 b

2 1 0 0 1 0 1 0 1 0

- 35 -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3) 12 12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4 7 C

2 1 2 0 1 2 0 4 0 7

별표 주파수 및 채널정보의 코드변환표[ 12]

주파수0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주파수를 의 배수로서 숫자의 십100

만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다 1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2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채 널

3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중단파대 또는 단파대의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 다

8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별도로 정한 채널로 한다

9 0 times times times times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18게기하는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천 백 십 및 일의 숫자로 표시한다

십만 만 천 백 십 일

코드3 코드2 코드1

주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 ) 1

- 36 -

별표 종료신호의 송출순서[ 13]

주 기호 가 종료신호를 표시한다( ) H

- 37 -

제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3

제 절 송수신장치1 DSC VHF

시스템 개요1

본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모든기능을 충족하는 일체형과 전화용 복신방식의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호출 및 수신제어장치 로구분된 독립형 으로 구분되며 DSC DSC

이는 외형상의 구분이며 그주요기능별 구성은 각각의 유니트로된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표시 및 제어장치 와 전원부 로 구분되며 이것들은 다시 하나의DSC

케비넷 또는 독립된장치로서 구성된다

시스템 구성2

장비의 개요 및 특징3

가 개요

본 송수신기는 항만내 또는 연안에서 해안국과 선박국 또는 선박국 상호간VHF FM

의 해상이동업무 통신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기로서 이내의 해상156 ~162

이동 무선통신업무용의 전 을 수용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전파관리법 및CHANNEL

등 국제규격에 적합하도록 설계 제작된 기기로서 전세계ITU SOLAS USA USCG

어느곳에서나 규정에알맞게 사용할 수 있는 국제항만 무선전화기용 무선 송수신기

를 제작한다

- 38 -

나 특징

소형 경량화로서 좁은 장소에 설치가 용의하게 되어 있어야 한다(1)

송신각 각 방식을 채용하였으며 국제 항만 무선전화(2) DIRECT SYNTHESIZER

인 를 수용해야 하며 그외 개의CHANNEL 55(114) CHANNEL 105(527) FREE

이 수용되어 있어야 한다CHANNEL(SIMPLEX)

주 국제 중 미국연안에서 단식방식으로 절환 사용되고 있는1 CHANNEL 55(114)

을 사용 할 수 있을것USA CHANNEL(SIMPLEX)

주 별도의 기상수신 을 수용하고 있어야 한다2 WEATHER CHANNEL( )

USA 3 CHANNELS

CANADIAN 1 CHANNEL

OTHERS 5 CHANNELS

원격조정 회로의 내장으로 본기기의 판넬스위치와는 상관없이(3) REMOTE ( ) HAND

만 으로도 판넬 스위치 조작에 필요한 모든기능을 할 수 있고SET CONTROL VHF

의 원근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어야 한다SET

기능이 첨부되어 있어 미국연안 경비대 의 의무 청취(4) DUAL WATCH USCG( )

인 과 의 개의 을 동시에 수신할 수CHANNEL CH 13 CH 16 2 CHANNEL SCANNING

있으며 과 사용자가 선택하는 임의의 을 동시에CHANNEL 16 CHANNEL SCANNING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에 경보신호 기능의 내장으로 비상시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5) CH 16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국제 개 및 을(6) SCAN CHANNEL 55 FREE CHANNEL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SCANNING

안전통신에 지정되어 있는 은 우선 사용할 수 있도록(7) CHANNEL16 1 STEP

로 되어 있어야 한다SWITCH

국제 해상 인명 안전조약 에 정한 규격으로 되어 있어 전세계 어느곳의(8) SOLAS( )

규정에도 적합하며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구 성4

본 기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가 송 수신기 본체 대 1

나 HAND SET 1 SET

다 WHIP ANTENNA 1 SET

라 벽걸이형 SPEAKER 1 SET

마 전원 공급기 1 SET

- 39 -

규 격5

주파수 및 규격은 현재의 통신방식이며 정보통신부의 고시가 발표되면 협대역(125

로 변경한다)

가 일반사항

사용주파수 범위(1)

송 신 156025 ~ 157425 수 신 (SIMPLEX) 156025 ~ 157425 수 신 (DUPLEX) 160625 ~ 162025 기상수신 (WEATHER) 161650 ~ 162550

사용(2) CHANNEL

A International 55 (114) CHANNELSB USA 25 CHANNELSC FREE 105 (527) CHANNELSD WEATHER 9 CHANNELS

USA 3 CHANNELSCANADIAN 1 CHANNELOTHERS 5 CHANNELS

통신 방식(3) SIMPLEX amp DUPLEX

전파의 형식 전화(4) 16KOF3E( G3E DSC F2BG2B)

주파수 편차(5) 0001 (10 PPM)

사용 온도범위 부터(6) -10 + 50

예열 시간 전원 접속후 즉시 사용가능(7)

공칭(8) ANTENNA IMPEDANCE 50 ohm ( )

공급 전원(9)

전 압 136V plusmn 10전 류 수신시 800

송신시 5A전원 공급기 별도( ) 단상AC115V AC220V 60

부터 까지DC 15V 35V

나 송 신 부

정격 출력(1) HIGH -25 W

LOW - 1W

주 공중선 전력 저하장치로 이하 저하기능 보유1 1WATT주 단 보호 인 및 가 아님 은 송신이2 CHANNEL 7576 1 ~9(01 ~09 )CHANNEL되지 않음 기상수신대의 사용법은 본문 참조 ( )

- 40 -

발진 방식(2) SYNTHESIZER CONTROL SYSTEM

변조 방식(3) FREQUENCY MODULATION

점유 주파수 대역폭(4) 16 (8)

최대 주파수 편의(5) 5 (25)

복사강도 이상(6) SPURIOUS 70

변조 주파수 특성(7) 6 (plusmn 3 ) OCTAVE PRE-EMPHASIS)

(300 ~ 3 )

변조시 이하(8) DISTORTION 1 70 -20

신호 대 잡음비 변조시 이상(9) 1 70 40

저역 여파기 특성 이상에서 이상 감쇄(10) 3 -40log f3( ) (f = )

다 수 신 부

수 신 방 식(1) DOUBLE SUPERHETERODYNE SYSTEM

감 도(2) 이하 신호 대 잡음비 에서 025 V ( 20 )μ

감도(3) SQUELCH 이하 02 Vμ

국부 발진 주파수(4) 1lsquost LOCAL FREQUENCY

RECEIVER FREQUENCY - 214

2nd LOCAL FREQUENCY 10945

중간 주파수(5) 1lsquost IF FREQUENCY 214

2nd IF FREQUENCY 455

선 택 도(6) 저하폭 이상 6 12 (6)

저하폭 이하 70 25 (125)

(7) SPURIOUS RESPONCE 이상 70

감도 억압 효과(8) 이상 80

상호 변조 특성(9) 이상 65 ( 20 40 )

주파수 특성(10) 6 (plusmn3 )OCTAVE DE-EMPHASIS)

( 300 ~ 3 )

신호 대 잡음비(11) 변조시 이상 1 60 40

(12) DISTORTION 변조시 이하 1 70 -20

저주파 출력(13) 이상 1 WATT (IMPEDANCE 8 ohm)

- 41 -

제 절 차년도 개발 범위2 1

제 차년도 개발범위는 기초자료조사와 규정의 연구에 따라 기초회로의 설계 후1

사용부품을 시험하고 각 의 제작 및 시험 연이은 성능미달 의 차 차PCB PCB 2 3

차 재제작 시험을 완료하고 시스템의 설계까지이며 그 세부적인 개발범위는 다음4

과 같다

송수신장치 개발을 위한 제규정 수집 연구1 DSC VHF

기초자료 조사2

가 장비에 대한 기능특성 수집 연구

나 사용자 및 선박통신사의 요구사항에 대한 자료 수집 연구

다 외국장비와 비교 분석

라 부품규격 시험 및 선정

3 HARD WARE

가 고주파 필터코일 재질분석 및 각종코일 설계

나 제작 PCB

송신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1) PCB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시험(2) PCB

수신부회로 제작 시험(3) PCB

신세사이즈 회로 제작 시험(4) PCB

제어장치 제작 시험(5) PCB

표시장치 제작 시험(6) PCB

원격제어기 제작 시험(7) PCB

전원공급부 제작 시험(8) PCB

제작 시험(9) HAND SET PCB

전용수신기 제작 시험(10) DSC PCB

- 42 -

제 장 제 차년도 개발 항목 보고4 1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본 장비를 개발함에 있어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및 부품선정이 개발의 핵심 과제

로 생각하였다

기초자료는 기존 시스템분석과 전파관련법령을 기초하였고 주변회로는 관련된 회

로집을 분석하였으며 부품선정은 폐품종 여부와 수급이 용이하면서 견고하고 증폭

도 및 성능이 우수한 품종으로 장시간 시험을 거쳐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송신부 제작시험2

송신 출력회로 결정 회로설계 완료하여 각부 부품 구입 회 내구성 시험 및SPEC 30

구룹별 장시간 부품 부하 시험등 최종목표 성능을 확보하기위한 제반 기초 제작시

험을 완료 하였으며 주요 내용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의 발열상태등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의 높은 출력으로 증폭하는 송신전(VHF ) 25W

력 증폭기로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높은 고주파전력에 견딜수있어야 하고 열

에의해 발생되는 열잡음이 적으야하며 열에의한 부품의 열화 및 특성의 변화가 적

은 부품을 사용여야 하므로 온습도시험 과 과출력 시험을 통하여 사용될 부품을 시

험하였다

특히 고조파 필터회로 부품인 코일은 동선에 전도율이 좋은 재질로 도금하여 사용

하여야 하며 고조파필터회로 의 차폐용 재료도 동판에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도금

하여 사용 하여야 한다

나 송신 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PCB (PCB NO V-097)

개발과정에서의 설계변경 및 생산시스템의 전산화 에 적용 할수있도록 회로 설계는

물론 설계 회로기판 도안 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설계완료된 는PCB ( ) CAD DATA

회로기판 제작장치 외주 작업 및 부품삽입기 자사 작업 에 직접 컴퓨터용 디스켙( ) ( ) (

으로 입력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회로에 높은 고주파전류가 흐르므로인하여 빌진할 가능성 및 잡음발생의 우려PCB

가 많으므로 특히 부품배치에 유의하여 설계하였으며 송신신호 발생회로 또는 전원

회로 와의 배선은 관통형콘덴서등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였다

회로에 사용되는 코일은 각 코일간에 간섭을 줄이기위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설정하

였으며 전체를 차폐하고 또 고조파 필터회로를 구분하여 차폐하여 제작 하였PCB

- 43 -

또 안정된 출력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회로를 장치하여 설정된 출력 이상의ALC

출력을 제한한다

다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PCB (PCB NO V-096TX)

설계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이 는 미약한 고주파 신호를 발생 변PCB CAD PCB

환 증폭 하므로서 송신부 또는 외부로 부터의 잡음 유입과 내부잡음 발생에 유의

하여 설계되었으며 불요복사 억제에 유의하였다

라 성능시험

메칭상태 시험(1)

옴 파장 수직형 안테나 를 사용할수 있도록 시험하였으며 차적인 시험은 의50 12 1

사부하에 의해 시험하고 의사부하 안테나에 정상적인 메칭이 된 후 실제 사용 안테

나에 확인시험 하였다

이 시험에서 양질의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장치는 물론 안테나의 성능이 중

요하며 인접한 고전력 안테나 및 낙뢰로부터 안정성 등을 감안하여 안테나는 VHF

대역 이하의 주파수에 대하여 쇼트형 안테나가 바람직 하다

기존 시스템의 이상의 성능 확보(2) 90

송신부의 주기능으로서 양질의전파를 안테나로 공중에 발사하는 장치로서 주피수안

정도 고조파억압 불효전파억제 안정된전력 안정된 주파수편이 낮은 왜율 등의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시험결과는 기존의 제품의 특성에 가까운 성능을 확보

하였으나 안테나공용기 복신통신용 필터 특성의 개선및 송신부 관련부품의 배치를( )

개선하므로서 보다 좋은 성능을 확보 할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신부 제작시험3

수신부는 안테나입력회로 입력동조회로 단신통신 및 복신통신 각 주파수 대역 필 (

터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로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 1 1 2 2

로 대역필터회로 신호제한 리미터 회로 복조회로 무신호잡음 차단 회로 저주 ( ) FM

파 증폭회로 및 국부발진회로 로서 구성되나 국부발진회로는 잡음의 발생및 유입

주파수안정도 등을 감안하여 별도의 로서 제작하였으며 그외 수신부와 관련한PCB

내용은 다음과 같다

- 44 -

가 사용부품의 구입 및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증폭과 변환을 반복하여 요구되는 신호(VHF )

를 복조하여 기청음 또는 의 문자표시로 출력되게 하므로서 안정된 주파수 및DSC

증폭이 요구되므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당연히 고주파특성에 유의하여 주파수

차에의한 특성변화 열잡음 및 고주파잡음 능동소자등의 직선성 등이 교려되어야하

므로 항온항습시험과 과전류에의한 잡음발생의 시험 등 을 거처 엄선한 부품으로

설정사용 하였다

특히 회로의 선택도 코알의 값 를 높이기 위하여 가 높은 트랜스 재료를 사용하( Q ) Q

였다

다 수신부회로 제작 PCB (PCB NO V-096RX)

위 항에서의 시험에 의해 선택된 부품을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며 수신부의 특성31

상 잡음의 발생보다는 잡음의 유입에 유의하여 설계되었으며 안정된 증폭 특성 수(

신감도 을 얻기위하여 중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회로기판은 에폭시) 2

수지 양면인쇄동판을 사용하여 부품삽입면은 대부분 공통단자로 이용하여 부품간의

간섭을최소화 하였다

다 수신부 특성시험

수신부 특성상 수신감도 주파수안정도 왜율 통과대역폭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감도억압비 혼변조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신호대 잡음비 일 때의 수신감 20

도 성능이 확보되며 기타 여러 가지 특성도 최종목표 특성에 가까운 성능이05

확보 되었으나 까지 수신감도가 향상되도록 성능개선이 요구된다025 V 120757

신세사이즈부의 회로의 안정도로 인하여 국부발진 신호의 흔들림현상이 있어VCO

통과대역폭 및 잡음발생의 원인이되어 신세사이즈회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신세시이즈회로는 크게 수신국부발진 신호용과 송신신호용으로 구분되며 단신통신

과 복신통신방식일때 각각 동작할수있는 구성으로 설계되었으며 그 내용별로 구분

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전압제어발진기 에 사용되는 부품은 온도 및 전압변동에 특성의변화가 극히(VCO)

적어야하며 외부로부터 정전 및 자계영향이 크므로 회로를 별도로 정전 및 자VCO

계로부터 차폐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혼변조 및 잡음신호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파수선택 표준신호 등 시 수신( )

대역 및 송신대역에 영향이 없는 주파수로 하였으며 가능한 레벨을 제외한 신(TTL

호 파형의 왜율이 적은신호로서 각회로신호를 사용하여 결합하였다)

- 45 -

나 신세사이회로 제작 (PCB NO V-096PLL)

이회로 기판은 여러종류의 신호들이 발생 혼합 증폭 비교 되므로 각부품 간의 배

치에따라 잡음발생의 정도가 크게 좌우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였으며 회로는 외VCO

부영향에 민감하게 작동되므로 차폐 에 유의하여 부품의 배치 적절하게 하였으며

잡음발생을 유의하여 부품을 선정하였다

다 성능시험

이회로의 특성상 주파수안정도 주파수의 흔들림 위상비교기의 비교속도 등에 유의

하여 시험하였으며 여러가지 일반적인 특성은 최종목표사양에 만족될 수 있는 신호

원을 공급할수 있었어나 주파수의 흔들림 현상이 있어 회로의 부품 및 차폐에VCO

개선이 요구된다

제어장치 제작시험5 (PCB NO V-263)

이회로의 주요부품으로서 를 사용하여 당개발과제의 송수신 및 외부V25 CPU DSC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며 아울러 본체 전면표시기와 스윗치 입출력 기능도 한다

이회로의 주요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스 읽기전용 메모리 읽고CPU( ) ROM( ) RAM(

쓰기 메모리 직렬통신용 입출력 병렬통신 입출력 아날로그 디지) SIO( ) PIO( ) AD(

탈 변환기 스윗치입력 표시기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개발 내용은 다음과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에 사용되는 부품은 대부분 디지탈신호를 처리하여 회로로서 및TTL IC

로서 구성되며 저소비전력 및 고속처리능력이 요구되므로 주로 고속용C-MOS IC

중 형 를 사용 하였으며 장치의 초기설정 및 기능 설정의C-MOS(C-MOS IC HC )

변경등 의 목적으로 은 충전형 밧테리로서 메모리내용을 전원의 에 관RAM ONOFF

계없이 유지하도록 하였다

외부 제어기 등 와의 통신용 의 통신속도를 또는 등으로(DSC ) RS-232C 2400 4800

변경 설정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변환기 등을 이용하여 자기진단을 할수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장비의 유지및AD

보수에 많은 도움이된다

- 46 -

나 성능시험

운용시험(1)

이회로의 특성상 전기적 특성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특성 및 성능이 요구되므로 운

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이부분에 대한 시험은 개발자입

장이 아닌 운용자가 시험하여야 하는 관계로 선박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사용자에게

의뢰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로서는 기능면에서는 양호하나 사용상 복잡한 면이 있어 보다 조작 을 간편

히 할수있도록 개선할 필요가있는 것으로 본다

표시장치 시험(2) (PCB NO V-260)

본장치의 사용상 필요한 기능 및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내용과 기기 동작

상태의 일치성이 요구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온습도 및 장기시험 으

로서 확인하였으며 여러 가지 표시장치중 각각 중단점이 나타낮다

즉 액정 표시기 표시기는 저소비전력이며 주위가 밝은곳에서 사용이 가능 하LCD( )

나 반면 온도특성이 나쁘며 형광표시관 표시기는 온도특성은 양호하나 소비전 VFD( )

력이 대체로 높고 보다 낮고 보다 많음 수명이 낮다는 단점이있으며(FND LCD )

발광 다이오드 표시기는 모든면에서 대체로 양호 하나 잡음발생 이많으며 밝FND( )

은곳에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외 여러 가지의 장담점을 검토하여 차적인 결론은 표시기가 적합한 것으로1 LCD

본다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최소의 전기적신호 연결로서 최대의 기능제어및 속도가 요구되는 장치로서 저주파

신호의 입력 마이크 신호 및 출력 스피크 신호 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 제어는( FS ) ( )

직렬통신 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였으며 장거리 일반 공용통신망 을 이(RS-232C)

용할수도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요 구성은 중앙제어장치 스윗치입력 장치 표시장치 메모리장치 직렬통신장치

로 구성되며 그 상세한 개발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의 대부분이 디지탈신호의 처리회로로서 구성되므로 제어장치 의 사용 부품ldquo rdquo

시험 및 선정기준과 같으며 장거리운용상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신속도를

알맞게하며 장거리통신 선로에서 유기되는 잡음을 최소화 하기위한 필터회로 및

소프트웨어적인 오류정정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별도 설계 사용 하였다

- 47 -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V-170)

이장치는 사용상 편리하여야 하므로 소형 경량 으로 제작 하였으며 차적 기능 시 1

험을 목적으로 외형 보다는 성능을 우선하여 시험용으로 제작하였다 이장치의 시

험은 전용케이블 을 이용하여 시험하였고 또 일반 공용통신용 전화 선로를 통하여

원거리 시험을 하였으며 그결과로서 통신속도가 까지 양호하게 동작되나2400bps

그이상의 통신속도로서 운용 할려면 전용회선이 필요하게된다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가 결정 SPEC

각회로 에서 필요로하는 전압 및 전류에 알맞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반 성능

을 차적으로 설정 하였으며 최종목표 사양에 일치하기위하여서는 전원부의 장치에1

대하여 모든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최종 특성이 설정 되어야 한다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P-099)

이장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되나 반면에 안정성이 확고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안

정성을 첫째로 중요시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이회로는 많은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많은 전력이 열로서 손실되므로 방열에 특히 유의하여 제작되었으며 열발생이 많은

부품은 알미늄 방열판에 설치하고 이방열판은 본장치 외함의 바깥쪽에 설치하여 방

열효과를 최대화 하였다

이회로의 시험은 과입력전압 및 과소비전력 일때의 안정성에 중점 시험하였고 그시

험을 위하여 장시간 항온 항습기 를 이용하여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전원부의 안정

성 확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도 이회로를 특별히 개선하지 않고도 최

종목표 사양에 만족하리라 본다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PCB NO V-098)

마이크 회로 수화기 회로 송신 스윗치 회로 로서 구성되며 이장치는 사용 특성상

충격에 강하도록 설계제작 되어야 하며 무게는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재료선택이

중요하며 이러한점을 감안하여 사출금형에 의하여 성형 하였으며 성형 제료로서는

제료를 사용하고 사용 부품을 최소화 하여 제작 하였다ABS

이장치의 특성상 견고하며 방수효과가 최대이어야 하므로 충격 자연낙하 시험 및( )

방수시험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 성형제료 및 외형상의 문제는 없이나

송화기 및 수화기의 선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송화기는 콘텐서형

마이크가 좋으며 수화기로는 가변코일형으로서 떨림판이 평면으로된 수화기가 우수

한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선정하여 제작시험 하였다

- 48 -

전용 수신기9 DSC (PCB NO T-342)

전용수신 장치는 송수신장치중 송신부를 제외한 구조와 유사하므로 개발과정에서

송수신장치중 수신부회로에 복조장치 를 추가하여 별도 로 제작하여 시험DSC PCB

하였으며 개발내용중 전용수신기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DSC

가 기능 및 동작

변조되어 수신된 신호를 필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후 신호 처리용FM DSC DSC

마이크로프로세스 에 공급하여 소프트웨어로서 신호를 분석한후 표시장치 메(CPU)

모리장치 인쇄장치 등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전용 찬넬인 번 찬넬을 항상 DSC 70

수신상태로 동작하여 신호 도트신호 를 검출하고 신호가 있으면 이어서CALL ( ) CALL

수신되는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표시장치 및 경보장치에 출력한다

나 신호 신호 필터회로 와 신호 처리부 및 제어용회로부 DSC (FS ) DSC DSC

제작시험 (PCB NO T-325 T-326 T-327)

이 회로의 성능은 주로 필터 및 디지탈변환 회로에서 결정되며 소프트웨어의 성능

에 따라 안정성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점을 유의하여 설계제작 하여으며 성능 시험

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험용 정보를 송신장치로 통해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후 그

결과를 분석 시험 하였다

다 전용 수신기의 개발과정 에서의 학보된 기술 DSC

신호 및 의 신호 의 필터 및 디지털 변환 기술DSC (1300 2100 FS )

신호 검출 및 직렬신호의 병렬변환 소프트웨어DOT

기술 정보의 비교 및 인쇄출력 소프트웨어 기술

종합시험10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별 차 차 차 보완시험은 만족하며 앞으로 개발의 중점은 사용의 편리성과PCB 1 2 3

생산성에 중점 개발이 요하며 배치에 따라 야기될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 PCB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후 최종제품을 제작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49 -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1

가 전면판 사출금형

나 옆판 스피커 안테나 금형

다 노브 사출금형

라 윗면 및 밑면 프레스 금형

마 설치용 고정장치 사출 금형

바 설치대 프레스 금형

사 뒷면 작업용 프레스 금형

아 항온조용 열차단금형

자 필타 금형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2

가 송수신기 제어장치 프로그램

나 전용 수신기 제어용 프로그램 DSC

다 원격조정기 프로그램

라 송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마 수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3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2: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2 -

제 출 문

통 상 산 업 부 장 관 귀 하

본 보고서를 송수신장치에 관한 기술개발 개발기간ldquoDSC VHF rdquo ( 1994 12 1 ~

과제의 중간보고서로 제출합니다1995 11 30)

1995 10 14

개발사업주관기관명 삼영전자부설 전자통신 연구소

개발사업총괄책임자 황 원

연 구 원 황 원

임 성 주

임 승 덕

최 운 경

김 헌 규

김 해 권

조 동 현

송 호 준

임 형 택

장 동 수

안 수 범

유 진 휴

구 희 석

- 3 -

목 차

제 장 제규정 연구1

제 절 연구의 목적1

제 절 연구의 필요성2

제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3

제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4

제 절 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5 GMDSS

제 장 기존 시스템 분석2

제 절 외국장비의 사양1

제 절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2 DSC VHF

제 절 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3 DSC VHF

제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3

제 절 송수신장치1 DSC VHF

제 절 차년도 개발범위2 1

제 장 제 차년도 개발 항목 보고4 1

제 장 제 차년도 개발계획5 2

참 고 문 헌

- 4 -

제 장 제 규 정 연구1

제 절 연구의 목적1

송 수신장치는 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의 하나일 뿐만 아니라 및DSC GMDSS ITUㆍ

에 규정된 의 필수장비로서 근거리 중거리 및 원거리 통신에서 초단파IMO GMDSS

대 중 단파대의 무선설비와 같이 조난 긴급 안전 통신용으로 무선전화 DSCㆍ ㆍ ㆍ

및 가 사용된다NBDP

이 통신장비는 조난통보 및 안전호출의 용 주파수의 전파로 자동적으로 송수신DSC

하는 것으로 특히 조난통신 또는 긴급통신을 수신할 때는 가청 및 가시의 경보를

발하고 그 내용이 인자되며 일반통신의 호출용으로 사용된다

이 설비는 탑재 장비 중 통신용으로 가장 기본이 되는 장비로써 새로운GMDSS

제도에 따라 신조선 및 기존선 과 사이의 기간동안 부터 의(lsquo9521) (rsquo9221 lsquo9921 )

무적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의 상황으로는 해역별 해상통신을 실행할 필요가 대두되고 있기 때문

에 이를 위한 의 국산화 기술확보 및 표준화 등이 시급하게 진행되어야 한다 DSC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의 기준설비인 용 및 통신장비를GMDSS DSC MFHF VHF

개발하는데 필수적인 의 의 협약을 중심으로 권고 규정ITU RR IMO SOLAS CCIR

의정서 기술기준 등 에 대한 국내기준과 국제기준 등을 비교 검토SOLAS GMDSS

하고 기본 요건부터 형식검정까지 분석 정리하여 장치를 설계하고 장비의 규 DSC

격 및 요건을 구현하는 표준자료가 되도록 한다

제 절 연구의 필요성2

해운계의 커다란 관심사였던 새로운 해상 통신제도에서의 주체인 GMDSS(Global

는 국제전기통신연합 국제해사기구Maritime Distress and Safety System) (ITU)

국제해사위성통신기구 국제수로기구 등의 기구에 의하여(IMO) (INMARSAT) (IHO)

국제협약으로 확정된 범세계적 해상조난 안전제도로서 현재 여러분야에서 이용되

고 있는 위성통신기술 및 디지탈 선택호출 방식을 선박의 안전통신업무에 도입한

시스템이다 는 인공위성의 중계 디지탈선택호출 무선탤렉스 등의 진보된 GMDSS

전자기술을 수용하여 신뢰성있는 통신수단을 확보함으로써 조난 및 안전시스템으

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해상통신의 종합화 및 선박운항의 자동화를 구축하는 신

해상통신제도인 것이다

- 5 -

이와 같이 는 해상통신제도에 관한 관련 국제협약의 개정에 의하여 통신기GMDSS

술과 운용방법 및 절차 등이 확정된 새로운 해상통신제도로서 년 월 일부 1992 2 1

터 국제항해에 취항하는 모든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선박에 대하여 이300

협약이 적용되고 있으며 각 국은 사정에 따라 년 월 일까지는 신구제도를 1999 1 31

병행하고 년 월 일 이후에는 를 전면적으로 시행하도록 하는 경과 1999 2 1 GMDSS

규정을 두고 있다 가 적용되는 선박들은 의무적으로 규정된 통신장비를 갖 GMDSS

추어야 하는데 의 의무비치 장비로는 위성GMDSS NAVTEX RECEIVER EPIRB

RADAR TRANSPONDER TWO-WAY RADIO TELEPHONE INMARSAT-C DSC

및 등의 장비가 권고되고 있다VHF DSC MFHF

우리나라의 조선산업이나 전자산업의 규모로 볼 때 와 관련된 의무탑재 장 GMDSS

비의 연구 및 국산화는 시급히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

한 제반 국제기구의 관련규정 기술기준 등의 정리가 미비하여 이 분야의 기술개발

연구에 영향을 초래하고 있기 때문에 이의 해결책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제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3

오늘날 기초과학의 발전 및 산업기반 기술확보는 전파이용의 증가와 더불어 정보통

신기기의 발전을 가져왔고 이에 따라 정보통신에 대한 관심이 제고되는 등 통신기

술 발전을 위한 여건이 조성되고 있다

그러나 육해상간의 무선통신분야에 있어서는 그 중요성을 인식하면서도 이를 위한

교육 및 정책은 배제하는 것 같은 경향을 보여 왔는데 해상 이동통신 분야에

라는 새로운 제도가 및 협약의 개정으로 통신설비의 성GMDSS ITC SOLAS STCW

능기준 지침서 작성 총회 결의안 등이 채택되어 각국에서는 이 제도의 실행에 대

비한 관계법의 개정 육 해상간의 통신기기 개발 및 시설보완이 마무리되어 가고 ㆍ

있다

국제적으로 보면 미국 프랑스 덴마아크는 년부터 새로운 정보통신기기를 개1991ㆍ ㆍ

발하여 탑재하고 있고 독일 일본 영국 등은 설비의 배치 기준 및 기술기준 등을 ㆍ ㆍ

마련하여 완전실행을 대비하여 부분적으로 개발하여 탑재하고 있다

신제도의 실행을 위해서는 관계법령의 개정 해역의 설정 통신시설의 정비 등에 대

한 구체적인 계획과 수립이 필요하다 즉 조난구조본부는 어느 부처에서 언제 어디

에 설치될 것인지 국내연안을 위한 방송은 어느 해안국에서 언제 실시할 NAVTEX

것인지 는 어떻게 구성하고 있는지 위성 나 트랜스폰 Safety NET EPIRB RADAR

더 등에 대한 국내조치가 가시화되어야 한다

- 6 -

국내에서는 전파진흥정책 도입에 대비한 일반적인 연구가 진행되었고 선 GMDSS

박용 항해통신장비의 국산화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몇몇 장비가 개발완료 되어 있으

나 아직은 미비한 상태이므로 완전 실행되는 년 월 일까지는 관련1999 2 1 GMDSS

장비들이 완전 개발되어야 만이 종래와 같이 외국제품을 수입 탑재하는 우를 범하

지 않을 것이며 이 분야에 대한 국제경쟁이 가능하다고 본다

그러므로 이 제도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정책수립과 동시에 국산화를 위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해상통신용 송수신장치의 개발 DSC

을 구현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범위와 내용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의 도입에 따른 지상계 통신의 주축이 되는 의 이론적 배경을 구lt gt GMDSS DSCⅡ

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루었다

해사위성통신의 개발약사를 분석하여 새로운 해상이동통신제도인lt -1gt GMDSSⅡ

의 도입 배경 및 개발 계획을 고찰하였다

도입에 따른 및 등 국제기구의 활동 상황과 의lt -2gt GMDSS ITU IMO IHO ITCⅡ

전파규칙 의 협약 등의 정비현황과 우리나라의 조치 상황을 분석(RR) IMO SOLAS

하였다

새로운 해상통신제도인 의 기본개념 도입일정과 통신시스템 및 설lt -3gt GMDSS Ⅱ

비의 기능을 분석하였다

관련 규정은 및 권고 협약 전파관계법 등으lt gt DSC ITC IMO RR CCIR SOLAS Ⅲ

로 규정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내용을 종합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루었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전파규칙 을 구명하여 조난 안전통신lt -1gt GMDSS (RR) Ⅲ ㆍ

및 선박국의 준수 조건등을 분석 하였다DSC NBDP

실제적으로 개발에 필요한 호출시스템 운용절차 품질에 대한 평가lt -2gt DSC Ⅲ

식별 코드 및 변환 등에 관한 권고를 총괄적으로 집약 분석하였다CCIR ㆍ

관련 협약 중 선박의 요건 해역 전원 성능 기준 및 보수요lt -3gt DSC SOLAS Ⅲ

건을 분석하였다

음성통신 및 를 할 수 있는 용 무선설비의 성능기준lt -4gt DSC MF MFHF VHFⅢ

에 대한 총회 결의 권고를 분석하였다IMO

장비를 구현하기 위하여 위의 장에서 분석된 제규정을 다음과 같이 집lt gt DSCⅣ Ⅲ

약 정리하여 실제적으로 개발에 필요한 핵심 규정을 제시하였다DSC ㆍ

디지틀 선택호출장치의 기술 설비 및 전파 등을 규정하고 개발에 필lt -1gt DSCⅣ

요한 기술기준을 집약하여 제시하였다

의 조건 및 선박국 해안국의 기술적 조건을 집약 제시하였다lt -2gt NBDP Ⅳ

위에서 연구된 제규정에 의하여 장비가 개발되었을 때 이를 실용화하기lt gt DSCⅤ

위하여 실행되는 형식검정에 대비하여 다음 사항을 고찰하였다

- 7 -

형식검정의 제도 개념과 대상기기 및 기술기준확인증명대상기기를 구분하lt -1gtⅤ

여 분석 정리하였다ㆍ

형식검정에 따른 신청 방법 구비서류 및 품질보증업무에 대하여 그 예를lt -2gt Ⅴ

들어 제시하여 제작자의 편의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기기의 종류별 구조 및 성능 조건을 분석하고 관련 장비의 형식검정에lt -3gt DSCⅤ

필요한 표준시험방법을 제시하여 개발에 따른 제조건을 만족하도록 형식검정의DSC

투명성을 확보하였다

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으로서 개발에 따른 제규정의 적lt gt GMDSS DSCⅥ

용문제에 대하여 행정당국과 제조업자 상호간의 선결문제를 제시하고 이를 위한 조

정 방안을 강구하였다

제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4

는 현행 시스템을 위성통신방식과 와 같은 새로운 기술을 종합GMDSS DSC NBDP

적으로 활용하여 통신의 자동화를 이룩한 제도이므로 이러한 제도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의 기준설비인 송수신장치의 개발을 위한 국제기구GMDSS DSC

의 권고 기술기준 및 관련규정의 연구가 이루어 질 때 만이 가능하며 이를 통하여

해운 선진국으로서 해상에서의 인명안전 확보라는 국제적 의무사항을 충실히 이행

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해상통신장비의 개발을 위한 지침자료가 될 것이며 다음과 같

은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전파관리의 합리화를 위한 방안 제시(1)

의 도입과 관련된 행정기관에서는 해역설정 설비의 장치 통신망(2) GMDSS SAR

및 방송 등에 관한 실질적인 방안을 강구NAVTEX NAVAREA

해상전파통신장비의 국내생산의 필요성 및 기술촉진을 통한 국산화를 제고(3)

개발을 위한 관련기술 사양 도출(4) DSC

관련 성능 평가기준 마련 및 성능 시험 기법 촉진(5)

형식검정을 위한 행정적인 처리 기준 확보(6)

- 8 -

제 절 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5 GMDSS

해상통신에 있어서 위성의 이용은 새로운 통신방식을 모색코저 노력한 해운계에 있

어서 획기적인 전환점이 되었다 또한 이를 통한 다수의 새로운 시스템 및 장비의

도입은 해상통신의 중요한 목적인 항행안전 뿐만 아니라 경제성 및 간편성에도 커

다란 발전을 가져왔으나 새로운 제도에 의한 해상통신은 그 가치가 이용의 확대와

시스템의 고도화가 필수요건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는 기존의 통신시스템을 위성통신방식과 와 같은 새로운GMDSS DSC NBDP

기술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자동화를 이룩한 제도이다 물론 가 의 부 DSC GMDSS

분 설비이기는 하지만 이러한 제도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조치

사항과 더불어 관련장비의 국산화가 필요하며 이를 통하여 해운선진국으로서 해상

에서의 인명 재산의 확보라는 국제적 의무사항을 충실히 이행하게 될 것이다ㆍ

년 월 일부터 드디어 의 도입이 시작되었다1992 2 1 GMDSS

에 관한 의 규정은 년 월 일부터 협약은 년 월 일GMDSS RR 1991 7 1 SOLAS 1992 2 1

부터 발효되어 는 도입 시행되고 있다GMDSS ㆍ

이 제도를 도입하기 위하여 국제기구 특히 의 와 의 무 ITU CCIR WARC IMO COM(

선통신소위원회 가 여년 동안의 연구기간이 소요되었다는 것은 그 내용이 얼마) 20

나 복잡하였던가를 말해주고 있다

새로운 제도의 실행을 위해서는 관계법령의 개정 해역의 설정 통신시설의 정비등

에 대한 구체적 계획과 수립이 필요하다 즉 조난구조본부는 어느 부처에서 언제

어디서 설치될 것인지 국내연안을 위한 방송은 어느 해안국에서 언제 실 NAVTEX

시 할 것인지 통신을 위한 해안국은 어디에 언제 설치할 것인지 는 DSC SafetyNET

어떻게 구성하고 있는지 위성 나 트랜스폰더 등에 대한 국내조치와 소 EPIRB RADAR

형 선박 특히 유효한 이들 구명설비의 탑재의무를 어선까지 확대하느냐의 여부 등

이 요구되고 있지만 아직 이러한 조치사항이 일반에게 가시화되어 있지 않다

또한 정보통신부와 항만청간의 소관업무조정 해상전자설비의 국산화지원 설비의

중화문제 등의 조속한 검토와 실행이 요망되고 있다 다만 전파관계법에서 해역2

등 관련용어의 정의 에서의 무선종사자의 자격 조작 및 종사범위GMDSS GMDSS

와 선박의 무선설비 성능조건 및 기술기준 및 전파 설비의 중화 육상정GMDSS ( ) 2

비 전파전자기능사 자격을 수용하는 제도만을 설정하여 공포 하고 있 (1992 6 30)

을 뿐 다른 대응은 아직 구체적으로 마련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행정조치사항을 제시하여 그 대응방안을 논하고자 한다

앞에서 도입에 따른 관련설비의 제규정은 구명 분석되었으나 이 분GMDSS DSC ㆍ

야의 발전여부는 오직 정부정책에 달려있기 때문에 구체적인 건의 사항으로서 이를

재정리하여 현실적인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 9 -

첫째 발전된 기술과 자동화를 이룩한 도입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그 GMDSS

동안 해상통신분야의 인식을 과감히 불식하고 관 산 학 협동을 통하여 이를 위 ㆍ ㆍ

한 현실적인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해상전자통신장비의 국산화를 위하여 관 산 학 연구소간의 협력체제를 강화하고ㆍ ㆍ

적극 지원해야 한다 현재 세계 유수의 해운국이자 조선국인 우리나라는 해상통신

장비분야에 대해서는 아직 후진성을 면치 못하고 주로 수입대치에 의존하는 현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둘째 관계당국은 도입에 따른 해역의 설정 설비의 정비 및 해안국 확정 GMDSS

통신망 및 방송 설비의 수급대책 등에 관한 문제를 계획하SAR NAVTEX NAVAREA

고 현실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정책당국은 정부 관련부처간의 업무를 조정하기 위하여 위원회를 구성

하고 전문가를 초빙하여 연구발표회 또는 간담회 같은 방법을 통하여 관계부처간의

조치 진행 상황을 일반인에게 가시화시켜 선박회사 전자기기 제조회사 조선소 및 ㆍ

종사자 등의 업무대비에 도움이 되도록 해야 한다

셋째 에 관한 국제규정에는 권고 포함 와 총회 결의 GMDSS RR(CCIR ) SOLAS(IMO

및 권고 포함 에 그 근거를 두고 있으나 그 주관청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부처간)

업무조정이 필요하다

협약 제 장 무선통신 의 대부분이 정보통신부 업무에 속하기 때문에 국내 도SOLAS 4 ( )

입의 원활을 기하고 국제적 의무를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정보통신부와 항만청

사이에 업무조정이 필요하다

즉 문서 발착사무는 항만청에서 하되 다음과 같은 업무를 조정해야 한다 IMO ㆍ

협약에서는 육상시설 등에 관한 정보를 에 통보하기로 되어 있고(1) SOLAS IMO

그 밖에 해역의 설정 통보 등 업무가 많으므로 이를 위한 업무의 체계화

정보통신부 소속사무에 속하는 각종 문서의 분류 배포 및 이에 대한 처리(2) IMO

넷째 관계 국제협약의 결의 권고 및 기술기준 등의 용어 및 규정의 정의를 통일시

켜야 한다

이는 각부처간 소관업무에 관한 제규정을 기준없이 비전문인이 원문을 해석하여 이

용자가 규정을 이해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관계전문인

이 참여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다섯째 형식검정을 위한 개선방향으로 대상기기의 정비 및 서류 간소화 민간에서

시험할 수 있는 대상기기의 지정확대 지정시험기관의 안배 확대지정 제조업체 자

체 시험 성적서를 인정하는 문제 등을 지적할 수 있다

물론 형식검정은 제도적으로 성능기준 기술기준 등이 마련되어 있으나 기기별 시

험방법 등이 구체화되어 있지 않고 당국의 자체 검정기준이 각 제조업체 수입자

및 일반인에게 공시화되지 못하여 가져오는 손실에 대하여 정책당국의 확인행정이

절히 요구되고 있다

- 10 -

또한 검정신청서 제출시 미비한 기재사항 하나로 신청서마저 접수되지 못하는 현실

하에서 발생되는 경제적 시간적인 손실등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ㆍ

이러한 본 연구의 노력이 도입에 따른 관련 장치를 설계하고 장비의GMDSS DSC

규격 및 요건을 구현하는 표준자료가 될 것이며 이를 통하여 정책의 개선과 기술

을 촉진하게 되고 나아가서 선진해운발전에 기여하게 될 것을 확신한다

- 11 -

제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2

제 절 외국장비의 사양1

1 Main Unit

가 General Specifications

Transmission 15550-15950

frequency range

Reception frequency 15550-15950 (simplex)

range 16060-16350 (duplex)

Channel capacity ITUUSA channels Up to 57 channels

Private channels Up to 99 channels

Weather channels 9 channels

(only reception)

Memory channels Up to 10 channels

Select channels Up to 10 channels

Channel spacing 25 10

Communication modes Simplex and duplex

(simplex and semi-duplex on privatechannels)

Type of emission G3E G2B(F3E F2B)

Frequency accuracy plusmn 10 x 10-6

Antenna impedance 50Ω unbalanced

Rated input power DC138V plusmn10(supplied

supply voltage fromNQD-1496 power supply unit)

Numbers of DSC file 15 for calling

20 for Distress

call receiving

5 for general

call receiving

Environmental test

conditions

- 12 -

Vibration 1 to 125 32 15min

125 to 25 076 15min

25 to 50 02 15min

Dry heat cycle +55 2hr

Dump heat cycle +40 93RH10hr

Low temp cycle -15 2hr (after maintaining at -25 for

10 hr)

Temperature 0 to +40

range for full

performane

Operating -15 to +55

temperature

range

Storage -25 to +65

temperature

range

Dimensions 290(H) times 240(W) times 145(D)

(excluding protrusions)

Weight Approximately 7

나 Transmitter Unit

Output power 25W

Reduced outpur power 01 to 1W

Oscillation method Frequency synthesizer

Modulation method Frequency modulation

Occupied bandwidth Within 16

Maximum plusmn5

frequency deviation

Microphone input 600Ω(balanced)

Standard

modulation input -53 m

Frequency

characteristics 6 oct +1-3

Overall distortion 10 or less

Signal-to-noise ratio 40 or more

- 13 -

Spurious emission 25 W or less120757DSC data rate 1200baud plusmn30 times 10-6

modulation method FSK

modulation index 2 plusmn10

Mark signal(Y) 1300 plusmn 10

Space signal(B) 2100 plusmn 10

다 Receiver Unit

Receiving system Double super heterodyne

Intermediate frequency 1st IF 214

2nd IF 455

Local oscillation method Frequency synthesizer

Sensitivity 2 V or less120757Sensitivity(DSC)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the input

level of 0 120757Squelch sensitivity 1 V or less120757Selectivity 12 or more at 6 bandwidth

within 25 with a selectivity of 70

Spurious response 80 or more

Spurious response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DSC)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73 120757

Blocking 90 or more

Blocking(DSC)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μ

level of 93 120757Intermodulation 70 or more

Intermodulation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DSC)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68 120757

Overall distortion 10 or less

Signal-to-noise ratio 40 or more

Rated audio output 2W(4Ω)

External speaker 0 m 600 Ω

output level

- 14 -

Frequency 6 oct +1 -3

characteristics

Radiation 1 nW or less

2 Power Supply Unit

Input voltage AC 100V to 120V (5060 ) or AC 200V to

240V (5060 ) and DC 24V (DC 216 to

312V)

Power consumption AC 100V 2A max(main unit)

AC 220V 1A max(main unit)

DC 24V 55A max(main unit)

Input switching Automatically switched to AC mode during

normal operation and to DC mode when AC

power failure

Output Voltage DC 138V plusmn10

Environmental Same as JHS-31 main unit

test conditions

Dimensions 300(H) times 240(W) times 145(D)

(excluding protrusions)

Weight Approximately 65

3 Remote Controller

Operating and Same as JHS-31 main unit

control items

Display items Same as JHS-31 main unit

Power supply DC 138V plusmn10 supplied from

NQD-1469 power supply unit

Environmental test Same as JHS-31 main unit

conditions

Dimensions 290(H) times 240(W) times 80(D)

excluding protrusions)

Weight Approximately 35

- 15 -

4 DSC Watchkeeping Receiver

가 General Specifications

Operation frequency 156525 (CH 70)

Reception mode G2BF2B

Antenna impedance 50Ω nominal unbalanced

DSC AF signal output 0 m plusmn10 (600 Ω balanced)

Self diagnostics Provided with receiver

overall testing functions

Dimmer 4-step control for dimming illuminations

incl extinction

Environmental test Same as JHS-31 main unit

conditions

Warm-up period 30 sec

Dimensions 145(H) times 140(W) times 145(D)

excluding protuberances

Weight approx 15

Power supply 138 VDC plusmn10

Power consumption 10 W or less

나 Receiver

Receiving system Double superheterodyne

Local OSC Crystal controlled

Frequency accuracy Within plusmn10 times 10

Intermediate frequency 1st IF 208

2nd IF 455

Sensitivity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the input

level of 0 μ

Selectivity 6 bandwidth 12 or more

70 bandwidth 25

Adjacent CH selectivity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μ

level of 73 120757(wanted signal frequency plusmn25 )

- 16 -

Spurious response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73 with application of unwanted120757signals in range of 9 to 2

Blocking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93 with application of unwanted120757signals apart plusmn1 to plusmn10 from the

wanted signal

Intermodulation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68 with application of two120757unwanted signals of plusmn25 and plusmn50

simultaneously

Co-channel rejection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ratio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μ

level of -5 120757De-emphasis -6 (+1 -3 ) octave

characteristic 300 +105 (+1 -3 )

3 -95 (+1 -3 )

at reference frequency of 1

Amplitude characteristic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receiver

of receiver limiter input level of 0 to 100 120757 120757Noise and hum -40 or better

Harmonic distortion -20 or better

Spurious emission 1nW of less

5 Guard Receiver

Receiving mode Simultaneous reception of any two channels

selected from ITUUSA channels

Receiving channels Up to 57 channels

Channel spacing 25

Mode of reeption G3E(F3E)

Frequency accuracy Wighin plusmn10 times 10-6

- 17 -

Receiving system Double super heterodyne

Intermediate frequency 1st IF 214

2nd IF 455

Local oscillation method Frequency synthesizer

Sensitivity 2 V or less120757Squelch sensitivity 1 V or less120757Selectivity 12 or more at 6 bandwidth

within 25 with a selectivity of 70

Spurious response 70 or more

Blocking 90 or more

Intermodulaltion 70 or more

Overall distortion 10 or less

Signal-to-noise ratio 40 or more

Rated audio output 2W(4 )Ω

Frequency

characteristics 6 oct +1 -3

Antenna input 50 unbalancedΩ

impedance

Temperature range 0 to +40

for full performance

Operating -15 to +55

temperature range

Storage -25 to +65

temperature range

Power supply voltage DC 138V plusmn10

(supplied from the NQD-1469 power supply

unit)

Dimensions 290(H) times 140(W) times 145(D)

Weight Approximately 25

- 18 -

제 절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2 DSC VHF

디지틀선택호출장치의 조건1

가 점검 및 보수를 쉽게 할수 있을것

나 전원공급후 분이내에 작동할 수 있을 것 1

다 의 주파수를 쉽게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 것 156525

라 초이내에 송신과 수신을 전환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 것 03

마 이상의 제어기를 갖는 경우에는 의 제어기에 우선권이 주어지는 동시에 다 2 1

른 제어기의 사용상태를 표시하는 기능이 있을 것

바 전원전압이 정격전압의 퍼센트이내에서 변동된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 (plusmn)10

할 수 있을것

사 통상 발생하는 온도 및 습도의 변화 진동 또는 충격이 있는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수있을것

선택호출장치의 선택호출신호의 조건2

가 마크주파수는 이고 스페이스주파수는 일것 이 경우 허용편차 1300 2100

는 각각 로 한다10

나 신호전송속도는 매초 비트일것 이 경우 허용편차는 만분의 으로 1200 100 30

한다

다 시간다이버시티의 시간간격은 초일것 003

송신장치의 조건3

가 공중선전력 와트 이상일 것 6

나 전파의 변조지수 허용편차는 로 한다 F2B 2( 02 )

다 감도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자 1

율이 퍼센트이하일 것1

라 실효선택도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1) 14

상태에서 중간 주파수로부터 희망파의 배의 주파수 희망파주파수의 이3 ( (plusmn)375

내의 주파수를 제외한다 까지 수신기입력전압 밀리 볼트의 무변조 방해파를 인) 447

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1

- 19 -

감도억압효과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2) 14

의 정현파에 의하여 주파수 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기입력전압400 3 44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인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이하일1

마 상호변조특성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 14

희망파 보다 떨어진 수신기 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와 희망파25 25

보다 떨어진 의 정현파에 의한 주파수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50 400 3

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25 1

디지틀선택호출전용수신기 의 조건4

가 통신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통신의 수신기능외에 통신의 내용을 볼 수있도록 하

는 기능이 있을것

나 조난통신 또는 긴급통신을 수신한 경우에는 수동으로만 정지시킬 수 있는 특별

경보기능이 있을것

다 수신한 조난통신의 내용을 즉시 인쇄하거나 개이상의 조난통신을 기억할 수 20

있어야 하되 기억한 내용을 일정시간 보존할 수 있을것

라 본체의 보이는 곳에 수신주파수를 표시할 것

마 전원공급후 분이내에 작동할 수 있을것 1

바 전원전압이 정격전압의 퍼센트이내에서 변동된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plusmn)10

수 있을 것

사 통상 발생하는 온도 및 습도의 변화 진동 또는 충격이 있는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수 있을것

아 감도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자율 1

이 퍼센트 이하일 것1

자 실효선택도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1) 14

상태에서 중간 주파수로부터 희망파의 배의 주파수 희망파주파수의 이내3 ( (plusmn)375

의 주파수를 제외한다 까지 수신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를 인접) 447

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1

- 20 -

감도억압효과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2) 14

의 정현파에 의하여 주파수 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기입력전압400 3 44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인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1

차 상호변조특성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 14

희망파 보다 떨어진 수신기 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와 희망파25 25

보다 떨어진 의 정현파에 의한 주파수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50 400 3

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25 1

- 21 -

제 절 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3 DSC VHF

일반적 조건1

가 취급이 용이한 것일 것

나 에서 까지의 숫자 입력판을 갖는 경우에는 그 숫자의 배열은 국제전신전화자 0 9

문위원회의 권고 에 의한 것일 것E161

공중선의 단선 또는 공중선 단자의 단락으로부터 보호수단을 가질 것

과전류 과전압 전원의 과도변동 및 전원극성의 우발적인 반전으로부터 보호수단이

있는 것일 것

노출된 금속부분은 접지하는 것이 가능할 것

전원단자는 접지되어 있지 않을 것

전원 볼트를 초가하는 전기 고주파의 것을 제외 를 통하는 도전부는 용이하게 노55 ( )

출이 되지 않도록 다음의 어느 조건에도 적합한 차폐체를 갖고 있는 것일 것

차폐체를 개방한 때는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되는 구조일 것(1)

차폐체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공구를 필요로 하는 구조이고 또는 고전압에 대한(2)

주의사항이 표시되어 있을 것

다 통상의 설치된 상태에서 제조자명 형식명 및 제조번호가 명확하게 판독 가능하

도록 외부에 표시되어 있을 것

라 장치의 일부를 가열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급전후 분이내에 일정온도에 달하 30

는 것일 것

다만 가열회로에 공급하는 전력은 다른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치단에 의해

절단되지 아니할 것

마 전원공급후 송신장치의 일정분에 전압의 공급을 지연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는 그 지연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것

디지틀선택호출장치의 조건2

선박의 위치 및 위치를 결정한 시각의 자동입력 기능을 갖는 경우에는 동기능의

고장이 장치의 다른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

가 선택호출 신호의 구성

조난경보등 조난경보 조난경보에 대한 응답 조난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1) (

중계에 대한 응답을 말한다 이하 같다 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및 무선설비의 기기 )

의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이하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이외의 선택( ldquo rdquo )

호출신호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1

- 22 -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2) 2

조난 경보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 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3) 3

일 것

조난 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 중계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4)

성을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4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5) 5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오류검정부호를 제외한다 에 사용하는 단위 부호는(6) (dot ) 10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6

나 선택호출신호의 송출조건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오류검정부호를 제외한다 의 송출은 최초의 송출과 반(1) (dot )

복송출과의 사이에 개의 코드가 놓아진 방식일 것4 Time Diversity

선택호출신호의 반복송출은 다음과 같은 것일 것(2)

가 조난경보를 연속하여 송출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조난 경보를 최후의 신호와( )

다음에 송출되는 조난경보의 신호와의 사이를 가격없이 송출가능한 것일 것dot

나 디지탈선택호출통신망을 위한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호출( )

또는 응답의 선택호출 신호의 경우는 별표 에 따라서 회를 초과하지 않는 회수를7 4

반복하여 송출가능할 것

다 가 및 나 이외의 경우는 반복하여 송출이 가능하지 않는 것일 것( ) ( ) ( )

다 선택호출신호의 수신조건

조별 의 장치는 제 호에 규정한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1) (class) A 2

읽어냄이 가능할 것

조별 의 장치는 다음의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표시하는(2) (class) B

것이 가능할 것

가 제 호에 규정하는 선택호출신호중 종별 의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것( ) 2 (class) B

나 포맷 신호가 해역호출인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것( ) (format)

다 제 가 수신되지 아니할 것( ) 1 Telecommand

해안국의 장치는 제 호에 규정하는 선택호출신호 해안국의 장치의 것을 제외(3) 2 (

한다 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읽어냄이 가능할 것)

- 23 -

별표 선택호출신호 조난경보등을 위한 것 및 시험을 위한 것은 제외한다 의[ 1] ( )

구성

dot신 호

동 기신 호

Format신 호

Address신 호

Category신 호

자국의식별신호

정 보신호1

정 보신호2

정 보신호3

종료신호

오류검정신호

주( 1) 주( 2) 주( 3) 주( 45및6)

주( 7) 주( 8) 주( 9) 주( 10) 주( 11) 주( 12) 주( 13)

주( )

중단파대 및 단파대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하는 장치의 선1

택호출신호 이하 중단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에 있어서 선박국을 호출하( ldquo rdquo )

기 위한 선박호출신호의 경우는 비트 선박국에서 해안국으로 호출 및 응답하기200

위한 선택호출신호 및 국제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 계기하는 주파수18

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 하는 장치의 선택호출신호 이하 대 선택( ldquoVHF

호출신호 라 한다 의 경우는 비트일 것rdquo ) 20

표 에 나타내는 코드번호를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하는 것일 것2 8 9

호출의 종류를 나타냄에 있어서 다음의 장치마다 별표 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3 8

류를 표시하는 개의 동일 코드번호일 것2

종별 의 장치 선박국의 장치에서 별표 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류를 사용(1) (class)A ( 8

가능한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

종별 의 장치 선박국의 장치에 있어서 동표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류 중(2) (class) B (

해역호출 및 공통관계를 갖는 선단의 호출을 제외한 것의 사용이 가능한 것을 말한

다 이하 같다 )

해안국의 장치 동표에 게기한 호출의 종류중 조난경보 및 개별국의 반자동 또(3) (

는 자동접속호출을 제외한 것의 사용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

신호가 조난경보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는 상대국 식별4 Format

신호로 하여 선박국식별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 구성되는[0]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신호가 조난경보 또는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선택호출에 있어서는 사용5 Format

하지 않을 것

신호가 해역호출의 경우 종별 의 장치는 제외한다 는 별표 에 따라서6 Format ( B ) 11

해역을 자리 의 숫자를 표시하고 별표 에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통보의 우선순위 또는 종류 신호가 모든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통상업무7 (Format

및 선박업무를 제외한다 를 별표 에 따라 개의 코드번호에 코드화한 것일 것 다) 8 1

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 선박업무를 제외한 것으로 하고 또한 신 (class) B Format

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통상업무를 제외한 것일 것

- 24 -

자국의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8 [0]

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제 및 제 의 정보로 하여 별표 에 따라서 각각 개의 코드번9 1 2 Telecommand 8 1

호에 코드화한 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제 (class) B 1

를 다음과 같이하고 제 코드번호가 일 것Telecommand 2 Telecommand [126]

중단파대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하는 장치의 선택호출신호 이하(1) (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는 신호가 개별국의 호출일때에는 코드번ldquo rdquo ) Format

호 또는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일[119] [111] [118] Format

때에는 코드번호 또는 일 것[109] [111] [111]

선택호출신호는 신호가 개별국의 호출일 때에는 코드번호(2) VHF Format [100]

또는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일 때에는 코드번호[101] Format

또는 일 것[100] [101] [105]

다음의 방식일 것10

호출에 이어 계속 통신에 사용하는 송신 및 수신을 위한 주파수 또는 채널을(1)

나타내는 선택호출신호는 송신파 및 수신파의 순으로 별표 에 코드화한 것일 것12

다만 주파수 또는 채널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송신파 또는 수신파마다에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126]

선박의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선택호출신호는 코드번호 및 다음에 의거 표(2) [55]

시되는 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 자리숫자를 별표 에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가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가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나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부터 제 번째까지의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표시한다

제 가 선박의 위치인 호출에 대한 응답 이하 선박위치응답 이라(3) 1 Telecommand ( ldquo rdquo

한다 을 위한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의 가 및 나 에 의해 표시하는 선박의) (2) ldquo rdquo ldquo rdquo

위치를 나타내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코드화한 것 및 그것에 계속코드번호10 10

일 것[126]

에서 이외의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4) (1) (3) 6 [126]

선박위치응답의 경우 종별 의 장치를 제외한다 및 신호가 개별11 ( (class)B ) Format

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에만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각각 다음의 방

식일 것

선박위치응답의 경우는 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 국제표준시로 한다 이하 같(1) (

다 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2 10

개의 코드번호로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는 개2 2

의 코드번호 일 것[88]

- 25 -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는 아날로그 전화용(2) Format

설비와 접속하기 위한 번호 이하 전화번호 라 한다 등의 네트워크번호를 표시하는( ldquo rdquo )

것으로 하고

네트워크번호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코드번호를 짝수의 경우는 코드번호[105]

과 네트워크를 별표 에 준하여 개부터 개까지의 수의 코드번호로 코드화[106] 10 2 9

한 것일 것

응답을 필요로 하는 호출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응답12 [117]

을 위한 선택 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및 이외의 경우는 코드번호[122] [127]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 다만 신호가 모13 Format

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 코드번호 일 것[127]

오류검정부호는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정보비트 및 제 번째에서 제13 1 7 8

번째까지의 검정비트로부터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생성되는 각 비트10

의 및 이 각각 별표 에 표시하는 및 에 대응하는 단위 부호로[0] [1] 6 [B] [Y] 10

하여서 송출되는 것일 것

정보비트의 각 비트는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동기신호를 제외한다 의 모든(1) (dot )

코드번호 신호 및 종료신호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로 한다 에 대응하(Format 1 )

는 부호의 비트 위치마다 최하위 비트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다만 를 를 B 0 Y 1

로해서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검정비트는 정보비트의 의 수를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B 2

별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해안국의 장치는 제외한다[ 2 ] (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자국 의식별신호

주( 4)

조난종류 의정보신호

주( 5)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

주( 6)

시각정보신호

주( 7)

Tele-command정보 신호

주( 8)

종료신호

주( 9)

오류검정신호

주( 10)

주( )

중단파 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는 비트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비1 200 VHF 20

트일 것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2]

자국의 선박국 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4 [0] 10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조난의 종류를 표시하는 것으로 하여 별표 에 따라 개의 코드번호로 코드화한5 8 1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 (class) B 1 107

- 26 -

조난선박에 위치를 다음과 같이 자리의 숫자로 표시 하는 것으로 별표 에6 10 10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조난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것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99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1)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는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2)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한다

조난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것7 2

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개의 코드번호에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 10 2

를 포함하지않는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88]

계속하여 행하는 통신의 형식을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통신장치가 무선전화 또8

는 협대역직접 인쇄전신장치인 제 를 별표 에 개의 코드번호로1 Telecommand 8 1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방식일 것 (class) B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 일 것(1) 1 [109] [111]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VHF 1 [100]

코드번호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하는 것일 것9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별표 조난경보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선박국의 장치를[ 3] (

제외 )

dot신호

주( 1)

동기신호

주( 2)

For-mat신호

주( 3)

Cate-gory신호

주( 4)

자국의식별신호

주( 5)

Telec-ommand정보신호

주( 6)

조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7)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 8)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 9)

시각정보신호

주( 10)

Tleco-mmand정보신호

주( 11)

종료신호

주( 12)

오 류검 정신 호

주( 13)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6]

별표 의 주 과 같은 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4 1 7 [112]

자국의 해안국 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숫자를5 [0] 10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6 1 [1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일 것7

- 27 -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종류의 정보신호일 것8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일 것9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시각정보신호일 것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정보신호일 것11 Telecommand

코드번호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2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3 1 13

별표 조난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 중계에 대한 응답을 위한[ 4]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dot신호

주(1)

동기신호

주(2)

For-mat신호

주(3)

Addr-ess신 호

주( 4및56)

Cate-gory신 호

주(7)

자국의식별신호

주(8)

Telec-ommand정보신호

주( 9)

조 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10)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11)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12)

시각정보신호

주(13)

Tleco-mmand정보신호

주( 14)

종료신호

주(15)

오류검정신호

주(16)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별표 의 주 과 같다 코드번호 이외의 것으로 한다3 1 3 ( [112] )

신호가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에는 상대국의 식별신호4 Format

로 하고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0] 10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5 Format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6

별표 의 주 과 같은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7 1 7 [112]

별표 이 주 과 같다8 1 8

개의 코드번호 일 것9 1 [112]

수신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 또는 수신한 조난경10

보의 중계의 조난선박국의 식별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종류의 정보11

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선박의 위치12

정보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시각정보일 것13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14 Telecommand

정보신호일 것으로 한다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것으로 하 (class) B

는 것이 가능할 것

- 28 -

중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1) 1 [109] [111]

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2) VHF 1 [100] [101]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코드번호 개별 해안국 앞15 Format [127]

으로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에는 코드번호 로서 별표[122]

의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3

별표 의 주 과 같다16 1 13

별표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대 선택호출신호를 제외한다[ 5] (VHF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Address신 호

주( 4)

Category신호

주( 5)

자국의식별신호

주( 6)

정 보신 호1

주( 7)

정 보신 호2

주( 8)

종 료신 호

주( 9)

오류검정신 호

주( 10)

주( )

비트일 것1 200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20]

상대국의 식별신호로서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이에 계속되는 으로서4 [0]

구성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1 [108]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8

각 개의 코드번호 및 일 것7 1 [118] [126]

개의 코드번호 일 것8 6 [126]

코드번호 또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9 [117] [122] 13

일 것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 29 -

별표 선택호출신호의 단위부호[ 6] 10

는 스페이스주파수 는 마크주파수로 대응하고 비트위치의 에서 송출된다B Y 1

협대역 일때MFHF B=1785 Y=1615

대역 일때VHF B=2100 Y=1300

- 30 -

별표 반복송출의 순서[ 7]

주 기호 는 선택호출신호의 종료신호를 표시하고 기호 는 에서 까( ) H DX RX0 RX7

지가 반복송출되는 선택호출신호의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31 -

별표 코드번호 의 용도[ 8] (100-127)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00 통상업무

화재 또는폭발

또는F3단신G3E

무선전화 이유없음 주( 3)

101 침수 또는F3복신G3E

무선전화 해사교환 센터의혼잡 주( 3)

102 해역호출

충돌 미확정주( 1)

통화중 주( 3)

103 좌초 Polling 대기행렬표시주( 3)

104 의RXO위치의동기신호

경사 및전복의위험

수입불가주( 2)

폐국 주( 3)

105 의RX1위치의동기신호

침몰 호출의 종료주( 4)

의 부재Operator주( 3)

106 의RX2위치의동기신호

선박업무주( 5)

조선불능으로 표류

데이터주( 6)

변복조장치

의Operator일시적 부재 주( 3)

107 의RX3위치의동기신호

기타의조난

미확정주( 1)

장치의 운용불가주( 3)

108 의RX4위치의동기신호

안전 선체의방치

미확정주( 1)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09 의RX5위치의동기신호

J3E 무선전화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10의RX6

위치의동기신호

긴급 조난경보에대한 응답

무력분쟁의당사국이 아닌것을 표시하는선박 및 항공기주( 7)

111 의RX7위치의동기신호

H3E 무선전화 위생수송체 주( 7)

112 조난경보

조난 조난자동통보설비(주 의9)시동

조난경보의중계

공중전화사무소주( 8)

- 32 -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13또는F1B방향오J2B(1

류정정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미확정 주( 1)

114

공통관계를 갖는선단의호출

미확정 주( 1) 미확정 주( 1)

115또는F1B자동재송J2B(

요구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데이터 주( 11)

116모든선박호출

또는F1B J2B수신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2)

11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18 시험 데이타 주( 14)

119또는F1B수신J2B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5)

120개별국의호출

A1A 테이프레코더

데이터 주( 16)

121 선박의 위치 데이타 주( 17)

122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3

개별국의반자동또는자동접속호출

A1A 전건 및핸드셋(Handset)

데이터 주( 18)

124또는F1CF2C

F3C팩시밀리장 데이터 주( 19)

125의DX

위치의동기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6 정보없음 정보없음 주( 20)

12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주( )

앞으로의 사용을 위하여 유보한다1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2 [100] [109] 2 Telecommand

코드번호 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3 [104] 1 Telecommand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 시스템에만 사용한다4

- 33 -

선박의 항해 운항 필수품에 관한 통신과 정부의 기상업무기관으로 보내는 기5

상 관측 통보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6 [115] [124] 2 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을 제외하고 제7 [104][105][106][110][112] [118] 1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의 제 와 조합하여8 [100][101][109][115] [124] 1 Telecommand

사용한다

수색구조용 레이다트랜스폰더를 제외한다9

무선설비규칙의 제 조의 에 정하는 것으로 한다10 69 4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1 (V21)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2 (V22)

앞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1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4 (V2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5 (V2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6 (V1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7 (V26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8 (V27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9 (V32)

코드번호 를 제외하고 제 와 조합하여 사20 [104][110][112] 1 Telecommand

용한다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 코드번호는 중단21 Format

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에서 까지 [102] [124] ([110][112][117]

및 를 제외한다[122] )

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및VHF [100][101][104][105][106][121]

일 것[124]

별표 동기신호의 송출순서[ 9]

주 기호 및 에서 까지가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DX] [RXO] [RX7]

- 34 -

별표 자리 숫자의 코드 변환표[ 10] 10

자리의 숫자10

십억D2

억D1

천만D2

백만D1

십만D2

만D1

천D2

백D1

십D2

일D1

코드5 코드4 코드3 코드2 코드1

주( )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1 1

및 은 자리 숫자의 자리 숫자 에서 까지를 표시하고 각 코드는2 D2 D1 10 2 00 99

그 자리의 십진수를 코드번호로 한다2

숫자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최상위 자리수의 숫자 앞에 을 포함할 것3 0

별표 해역의 표시방법[ 11]

해역의 표시는 다음과 같은 것

선정되는 지리상의 해역은 메르카토르 도법의 직사각형으로 표시할1 (Mercator)

직사각형의 북서를 해역의 기준점으로 할 것2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존재하는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3 1

으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0] [1] [2] [3]

할 것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위도를 표시할 것4 2 3

제 번째에서 제 번째가지의 숫자는 기준점의 경도를 표시할 것5 4 6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남북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6 7 8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동서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7 9 10

표에 표시하는 해역 및 의 표시의 예는 다음과 같을 것8 ab c

기준점이 북위 도 및 서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1) 10 25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20 35 a

1 1 0 0 2 5 2 0 3 5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2) 10 10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10 10 b

2 1 0 0 1 0 1 0 1 0

- 35 -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3) 12 12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4 7 C

2 1 2 0 1 2 0 4 0 7

별표 주파수 및 채널정보의 코드변환표[ 12]

주파수0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주파수를 의 배수로서 숫자의 십100

만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다 1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2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채 널

3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중단파대 또는 단파대의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 다

8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별도로 정한 채널로 한다

9 0 times times times times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18게기하는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천 백 십 및 일의 숫자로 표시한다

십만 만 천 백 십 일

코드3 코드2 코드1

주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 ) 1

- 36 -

별표 종료신호의 송출순서[ 13]

주 기호 가 종료신호를 표시한다( ) H

- 37 -

제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3

제 절 송수신장치1 DSC VHF

시스템 개요1

본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모든기능을 충족하는 일체형과 전화용 복신방식의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호출 및 수신제어장치 로구분된 독립형 으로 구분되며 DSC DSC

이는 외형상의 구분이며 그주요기능별 구성은 각각의 유니트로된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표시 및 제어장치 와 전원부 로 구분되며 이것들은 다시 하나의DSC

케비넷 또는 독립된장치로서 구성된다

시스템 구성2

장비의 개요 및 특징3

가 개요

본 송수신기는 항만내 또는 연안에서 해안국과 선박국 또는 선박국 상호간VHF FM

의 해상이동업무 통신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기로서 이내의 해상156 ~162

이동 무선통신업무용의 전 을 수용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전파관리법 및CHANNEL

등 국제규격에 적합하도록 설계 제작된 기기로서 전세계ITU SOLAS USA USCG

어느곳에서나 규정에알맞게 사용할 수 있는 국제항만 무선전화기용 무선 송수신기

를 제작한다

- 38 -

나 특징

소형 경량화로서 좁은 장소에 설치가 용의하게 되어 있어야 한다(1)

송신각 각 방식을 채용하였으며 국제 항만 무선전화(2) DIRECT SYNTHESIZER

인 를 수용해야 하며 그외 개의CHANNEL 55(114) CHANNEL 105(527) FREE

이 수용되어 있어야 한다CHANNEL(SIMPLEX)

주 국제 중 미국연안에서 단식방식으로 절환 사용되고 있는1 CHANNEL 55(114)

을 사용 할 수 있을것USA CHANNEL(SIMPLEX)

주 별도의 기상수신 을 수용하고 있어야 한다2 WEATHER CHANNEL( )

USA 3 CHANNELS

CANADIAN 1 CHANNEL

OTHERS 5 CHANNELS

원격조정 회로의 내장으로 본기기의 판넬스위치와는 상관없이(3) REMOTE ( ) HAND

만 으로도 판넬 스위치 조작에 필요한 모든기능을 할 수 있고SET CONTROL VHF

의 원근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어야 한다SET

기능이 첨부되어 있어 미국연안 경비대 의 의무 청취(4) DUAL WATCH USCG( )

인 과 의 개의 을 동시에 수신할 수CHANNEL CH 13 CH 16 2 CHANNEL SCANNING

있으며 과 사용자가 선택하는 임의의 을 동시에CHANNEL 16 CHANNEL SCANNING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에 경보신호 기능의 내장으로 비상시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5) CH 16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국제 개 및 을(6) SCAN CHANNEL 55 FREE CHANNEL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SCANNING

안전통신에 지정되어 있는 은 우선 사용할 수 있도록(7) CHANNEL16 1 STEP

로 되어 있어야 한다SWITCH

국제 해상 인명 안전조약 에 정한 규격으로 되어 있어 전세계 어느곳의(8) SOLAS( )

규정에도 적합하며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구 성4

본 기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가 송 수신기 본체 대 1

나 HAND SET 1 SET

다 WHIP ANTENNA 1 SET

라 벽걸이형 SPEAKER 1 SET

마 전원 공급기 1 SET

- 39 -

규 격5

주파수 및 규격은 현재의 통신방식이며 정보통신부의 고시가 발표되면 협대역(125

로 변경한다)

가 일반사항

사용주파수 범위(1)

송 신 156025 ~ 157425 수 신 (SIMPLEX) 156025 ~ 157425 수 신 (DUPLEX) 160625 ~ 162025 기상수신 (WEATHER) 161650 ~ 162550

사용(2) CHANNEL

A International 55 (114) CHANNELSB USA 25 CHANNELSC FREE 105 (527) CHANNELSD WEATHER 9 CHANNELS

USA 3 CHANNELSCANADIAN 1 CHANNELOTHERS 5 CHANNELS

통신 방식(3) SIMPLEX amp DUPLEX

전파의 형식 전화(4) 16KOF3E( G3E DSC F2BG2B)

주파수 편차(5) 0001 (10 PPM)

사용 온도범위 부터(6) -10 + 50

예열 시간 전원 접속후 즉시 사용가능(7)

공칭(8) ANTENNA IMPEDANCE 50 ohm ( )

공급 전원(9)

전 압 136V plusmn 10전 류 수신시 800

송신시 5A전원 공급기 별도( ) 단상AC115V AC220V 60

부터 까지DC 15V 35V

나 송 신 부

정격 출력(1) HIGH -25 W

LOW - 1W

주 공중선 전력 저하장치로 이하 저하기능 보유1 1WATT주 단 보호 인 및 가 아님 은 송신이2 CHANNEL 7576 1 ~9(01 ~09 )CHANNEL되지 않음 기상수신대의 사용법은 본문 참조 ( )

- 40 -

발진 방식(2) SYNTHESIZER CONTROL SYSTEM

변조 방식(3) FREQUENCY MODULATION

점유 주파수 대역폭(4) 16 (8)

최대 주파수 편의(5) 5 (25)

복사강도 이상(6) SPURIOUS 70

변조 주파수 특성(7) 6 (plusmn 3 ) OCTAVE PRE-EMPHASIS)

(300 ~ 3 )

변조시 이하(8) DISTORTION 1 70 -20

신호 대 잡음비 변조시 이상(9) 1 70 40

저역 여파기 특성 이상에서 이상 감쇄(10) 3 -40log f3( ) (f = )

다 수 신 부

수 신 방 식(1) DOUBLE SUPERHETERODYNE SYSTEM

감 도(2) 이하 신호 대 잡음비 에서 025 V ( 20 )μ

감도(3) SQUELCH 이하 02 Vμ

국부 발진 주파수(4) 1lsquost LOCAL FREQUENCY

RECEIVER FREQUENCY - 214

2nd LOCAL FREQUENCY 10945

중간 주파수(5) 1lsquost IF FREQUENCY 214

2nd IF FREQUENCY 455

선 택 도(6) 저하폭 이상 6 12 (6)

저하폭 이하 70 25 (125)

(7) SPURIOUS RESPONCE 이상 70

감도 억압 효과(8) 이상 80

상호 변조 특성(9) 이상 65 ( 20 40 )

주파수 특성(10) 6 (plusmn3 )OCTAVE DE-EMPHASIS)

( 300 ~ 3 )

신호 대 잡음비(11) 변조시 이상 1 60 40

(12) DISTORTION 변조시 이하 1 70 -20

저주파 출력(13) 이상 1 WATT (IMPEDANCE 8 ohm)

- 41 -

제 절 차년도 개발 범위2 1

제 차년도 개발범위는 기초자료조사와 규정의 연구에 따라 기초회로의 설계 후1

사용부품을 시험하고 각 의 제작 및 시험 연이은 성능미달 의 차 차PCB PCB 2 3

차 재제작 시험을 완료하고 시스템의 설계까지이며 그 세부적인 개발범위는 다음4

과 같다

송수신장치 개발을 위한 제규정 수집 연구1 DSC VHF

기초자료 조사2

가 장비에 대한 기능특성 수집 연구

나 사용자 및 선박통신사의 요구사항에 대한 자료 수집 연구

다 외국장비와 비교 분석

라 부품규격 시험 및 선정

3 HARD WARE

가 고주파 필터코일 재질분석 및 각종코일 설계

나 제작 PCB

송신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1) PCB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시험(2) PCB

수신부회로 제작 시험(3) PCB

신세사이즈 회로 제작 시험(4) PCB

제어장치 제작 시험(5) PCB

표시장치 제작 시험(6) PCB

원격제어기 제작 시험(7) PCB

전원공급부 제작 시험(8) PCB

제작 시험(9) HAND SET PCB

전용수신기 제작 시험(10) DSC PCB

- 42 -

제 장 제 차년도 개발 항목 보고4 1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본 장비를 개발함에 있어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및 부품선정이 개발의 핵심 과제

로 생각하였다

기초자료는 기존 시스템분석과 전파관련법령을 기초하였고 주변회로는 관련된 회

로집을 분석하였으며 부품선정은 폐품종 여부와 수급이 용이하면서 견고하고 증폭

도 및 성능이 우수한 품종으로 장시간 시험을 거쳐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송신부 제작시험2

송신 출력회로 결정 회로설계 완료하여 각부 부품 구입 회 내구성 시험 및SPEC 30

구룹별 장시간 부품 부하 시험등 최종목표 성능을 확보하기위한 제반 기초 제작시

험을 완료 하였으며 주요 내용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의 발열상태등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의 높은 출력으로 증폭하는 송신전(VHF ) 25W

력 증폭기로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높은 고주파전력에 견딜수있어야 하고 열

에의해 발생되는 열잡음이 적으야하며 열에의한 부품의 열화 및 특성의 변화가 적

은 부품을 사용여야 하므로 온습도시험 과 과출력 시험을 통하여 사용될 부품을 시

험하였다

특히 고조파 필터회로 부품인 코일은 동선에 전도율이 좋은 재질로 도금하여 사용

하여야 하며 고조파필터회로 의 차폐용 재료도 동판에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도금

하여 사용 하여야 한다

나 송신 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PCB (PCB NO V-097)

개발과정에서의 설계변경 및 생산시스템의 전산화 에 적용 할수있도록 회로 설계는

물론 설계 회로기판 도안 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설계완료된 는PCB ( ) CAD DATA

회로기판 제작장치 외주 작업 및 부품삽입기 자사 작업 에 직접 컴퓨터용 디스켙( ) ( ) (

으로 입력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회로에 높은 고주파전류가 흐르므로인하여 빌진할 가능성 및 잡음발생의 우려PCB

가 많으므로 특히 부품배치에 유의하여 설계하였으며 송신신호 발생회로 또는 전원

회로 와의 배선은 관통형콘덴서등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였다

회로에 사용되는 코일은 각 코일간에 간섭을 줄이기위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설정하

였으며 전체를 차폐하고 또 고조파 필터회로를 구분하여 차폐하여 제작 하였PCB

- 43 -

또 안정된 출력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회로를 장치하여 설정된 출력 이상의ALC

출력을 제한한다

다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PCB (PCB NO V-096TX)

설계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이 는 미약한 고주파 신호를 발생 변PCB CAD PCB

환 증폭 하므로서 송신부 또는 외부로 부터의 잡음 유입과 내부잡음 발생에 유의

하여 설계되었으며 불요복사 억제에 유의하였다

라 성능시험

메칭상태 시험(1)

옴 파장 수직형 안테나 를 사용할수 있도록 시험하였으며 차적인 시험은 의50 12 1

사부하에 의해 시험하고 의사부하 안테나에 정상적인 메칭이 된 후 실제 사용 안테

나에 확인시험 하였다

이 시험에서 양질의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장치는 물론 안테나의 성능이 중

요하며 인접한 고전력 안테나 및 낙뢰로부터 안정성 등을 감안하여 안테나는 VHF

대역 이하의 주파수에 대하여 쇼트형 안테나가 바람직 하다

기존 시스템의 이상의 성능 확보(2) 90

송신부의 주기능으로서 양질의전파를 안테나로 공중에 발사하는 장치로서 주피수안

정도 고조파억압 불효전파억제 안정된전력 안정된 주파수편이 낮은 왜율 등의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시험결과는 기존의 제품의 특성에 가까운 성능을 확보

하였으나 안테나공용기 복신통신용 필터 특성의 개선및 송신부 관련부품의 배치를( )

개선하므로서 보다 좋은 성능을 확보 할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신부 제작시험3

수신부는 안테나입력회로 입력동조회로 단신통신 및 복신통신 각 주파수 대역 필 (

터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로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 1 1 2 2

로 대역필터회로 신호제한 리미터 회로 복조회로 무신호잡음 차단 회로 저주 ( ) FM

파 증폭회로 및 국부발진회로 로서 구성되나 국부발진회로는 잡음의 발생및 유입

주파수안정도 등을 감안하여 별도의 로서 제작하였으며 그외 수신부와 관련한PCB

내용은 다음과 같다

- 44 -

가 사용부품의 구입 및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증폭과 변환을 반복하여 요구되는 신호(VHF )

를 복조하여 기청음 또는 의 문자표시로 출력되게 하므로서 안정된 주파수 및DSC

증폭이 요구되므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당연히 고주파특성에 유의하여 주파수

차에의한 특성변화 열잡음 및 고주파잡음 능동소자등의 직선성 등이 교려되어야하

므로 항온항습시험과 과전류에의한 잡음발생의 시험 등 을 거처 엄선한 부품으로

설정사용 하였다

특히 회로의 선택도 코알의 값 를 높이기 위하여 가 높은 트랜스 재료를 사용하( Q ) Q

였다

다 수신부회로 제작 PCB (PCB NO V-096RX)

위 항에서의 시험에 의해 선택된 부품을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며 수신부의 특성31

상 잡음의 발생보다는 잡음의 유입에 유의하여 설계되었으며 안정된 증폭 특성 수(

신감도 을 얻기위하여 중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회로기판은 에폭시) 2

수지 양면인쇄동판을 사용하여 부품삽입면은 대부분 공통단자로 이용하여 부품간의

간섭을최소화 하였다

다 수신부 특성시험

수신부 특성상 수신감도 주파수안정도 왜율 통과대역폭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감도억압비 혼변조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신호대 잡음비 일 때의 수신감 20

도 성능이 확보되며 기타 여러 가지 특성도 최종목표 특성에 가까운 성능이05

확보 되었으나 까지 수신감도가 향상되도록 성능개선이 요구된다025 V 120757

신세사이즈부의 회로의 안정도로 인하여 국부발진 신호의 흔들림현상이 있어VCO

통과대역폭 및 잡음발생의 원인이되어 신세사이즈회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신세시이즈회로는 크게 수신국부발진 신호용과 송신신호용으로 구분되며 단신통신

과 복신통신방식일때 각각 동작할수있는 구성으로 설계되었으며 그 내용별로 구분

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전압제어발진기 에 사용되는 부품은 온도 및 전압변동에 특성의변화가 극히(VCO)

적어야하며 외부로부터 정전 및 자계영향이 크므로 회로를 별도로 정전 및 자VCO

계로부터 차폐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혼변조 및 잡음신호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파수선택 표준신호 등 시 수신( )

대역 및 송신대역에 영향이 없는 주파수로 하였으며 가능한 레벨을 제외한 신(TTL

호 파형의 왜율이 적은신호로서 각회로신호를 사용하여 결합하였다)

- 45 -

나 신세사이회로 제작 (PCB NO V-096PLL)

이회로 기판은 여러종류의 신호들이 발생 혼합 증폭 비교 되므로 각부품 간의 배

치에따라 잡음발생의 정도가 크게 좌우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였으며 회로는 외VCO

부영향에 민감하게 작동되므로 차폐 에 유의하여 부품의 배치 적절하게 하였으며

잡음발생을 유의하여 부품을 선정하였다

다 성능시험

이회로의 특성상 주파수안정도 주파수의 흔들림 위상비교기의 비교속도 등에 유의

하여 시험하였으며 여러가지 일반적인 특성은 최종목표사양에 만족될 수 있는 신호

원을 공급할수 있었어나 주파수의 흔들림 현상이 있어 회로의 부품 및 차폐에VCO

개선이 요구된다

제어장치 제작시험5 (PCB NO V-263)

이회로의 주요부품으로서 를 사용하여 당개발과제의 송수신 및 외부V25 CPU DSC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며 아울러 본체 전면표시기와 스윗치 입출력 기능도 한다

이회로의 주요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스 읽기전용 메모리 읽고CPU( ) ROM( ) RAM(

쓰기 메모리 직렬통신용 입출력 병렬통신 입출력 아날로그 디지) SIO( ) PIO( ) AD(

탈 변환기 스윗치입력 표시기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개발 내용은 다음과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에 사용되는 부품은 대부분 디지탈신호를 처리하여 회로로서 및TTL IC

로서 구성되며 저소비전력 및 고속처리능력이 요구되므로 주로 고속용C-MOS IC

중 형 를 사용 하였으며 장치의 초기설정 및 기능 설정의C-MOS(C-MOS IC HC )

변경등 의 목적으로 은 충전형 밧테리로서 메모리내용을 전원의 에 관RAM ONOFF

계없이 유지하도록 하였다

외부 제어기 등 와의 통신용 의 통신속도를 또는 등으로(DSC ) RS-232C 2400 4800

변경 설정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변환기 등을 이용하여 자기진단을 할수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장비의 유지및AD

보수에 많은 도움이된다

- 46 -

나 성능시험

운용시험(1)

이회로의 특성상 전기적 특성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특성 및 성능이 요구되므로 운

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이부분에 대한 시험은 개발자입

장이 아닌 운용자가 시험하여야 하는 관계로 선박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사용자에게

의뢰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로서는 기능면에서는 양호하나 사용상 복잡한 면이 있어 보다 조작 을 간편

히 할수있도록 개선할 필요가있는 것으로 본다

표시장치 시험(2) (PCB NO V-260)

본장치의 사용상 필요한 기능 및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내용과 기기 동작

상태의 일치성이 요구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온습도 및 장기시험 으

로서 확인하였으며 여러 가지 표시장치중 각각 중단점이 나타낮다

즉 액정 표시기 표시기는 저소비전력이며 주위가 밝은곳에서 사용이 가능 하LCD( )

나 반면 온도특성이 나쁘며 형광표시관 표시기는 온도특성은 양호하나 소비전 VFD( )

력이 대체로 높고 보다 낮고 보다 많음 수명이 낮다는 단점이있으며(FND LCD )

발광 다이오드 표시기는 모든면에서 대체로 양호 하나 잡음발생 이많으며 밝FND( )

은곳에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외 여러 가지의 장담점을 검토하여 차적인 결론은 표시기가 적합한 것으로1 LCD

본다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최소의 전기적신호 연결로서 최대의 기능제어및 속도가 요구되는 장치로서 저주파

신호의 입력 마이크 신호 및 출력 스피크 신호 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 제어는( FS ) ( )

직렬통신 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였으며 장거리 일반 공용통신망 을 이(RS-232C)

용할수도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요 구성은 중앙제어장치 스윗치입력 장치 표시장치 메모리장치 직렬통신장치

로 구성되며 그 상세한 개발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의 대부분이 디지탈신호의 처리회로로서 구성되므로 제어장치 의 사용 부품ldquo rdquo

시험 및 선정기준과 같으며 장거리운용상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신속도를

알맞게하며 장거리통신 선로에서 유기되는 잡음을 최소화 하기위한 필터회로 및

소프트웨어적인 오류정정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별도 설계 사용 하였다

- 47 -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V-170)

이장치는 사용상 편리하여야 하므로 소형 경량 으로 제작 하였으며 차적 기능 시 1

험을 목적으로 외형 보다는 성능을 우선하여 시험용으로 제작하였다 이장치의 시

험은 전용케이블 을 이용하여 시험하였고 또 일반 공용통신용 전화 선로를 통하여

원거리 시험을 하였으며 그결과로서 통신속도가 까지 양호하게 동작되나2400bps

그이상의 통신속도로서 운용 할려면 전용회선이 필요하게된다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가 결정 SPEC

각회로 에서 필요로하는 전압 및 전류에 알맞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반 성능

을 차적으로 설정 하였으며 최종목표 사양에 일치하기위하여서는 전원부의 장치에1

대하여 모든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최종 특성이 설정 되어야 한다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P-099)

이장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되나 반면에 안정성이 확고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안

정성을 첫째로 중요시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이회로는 많은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많은 전력이 열로서 손실되므로 방열에 특히 유의하여 제작되었으며 열발생이 많은

부품은 알미늄 방열판에 설치하고 이방열판은 본장치 외함의 바깥쪽에 설치하여 방

열효과를 최대화 하였다

이회로의 시험은 과입력전압 및 과소비전력 일때의 안정성에 중점 시험하였고 그시

험을 위하여 장시간 항온 항습기 를 이용하여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전원부의 안정

성 확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도 이회로를 특별히 개선하지 않고도 최

종목표 사양에 만족하리라 본다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PCB NO V-098)

마이크 회로 수화기 회로 송신 스윗치 회로 로서 구성되며 이장치는 사용 특성상

충격에 강하도록 설계제작 되어야 하며 무게는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재료선택이

중요하며 이러한점을 감안하여 사출금형에 의하여 성형 하였으며 성형 제료로서는

제료를 사용하고 사용 부품을 최소화 하여 제작 하였다ABS

이장치의 특성상 견고하며 방수효과가 최대이어야 하므로 충격 자연낙하 시험 및( )

방수시험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 성형제료 및 외형상의 문제는 없이나

송화기 및 수화기의 선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송화기는 콘텐서형

마이크가 좋으며 수화기로는 가변코일형으로서 떨림판이 평면으로된 수화기가 우수

한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선정하여 제작시험 하였다

- 48 -

전용 수신기9 DSC (PCB NO T-342)

전용수신 장치는 송수신장치중 송신부를 제외한 구조와 유사하므로 개발과정에서

송수신장치중 수신부회로에 복조장치 를 추가하여 별도 로 제작하여 시험DSC PCB

하였으며 개발내용중 전용수신기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DSC

가 기능 및 동작

변조되어 수신된 신호를 필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후 신호 처리용FM DSC DSC

마이크로프로세스 에 공급하여 소프트웨어로서 신호를 분석한후 표시장치 메(CPU)

모리장치 인쇄장치 등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전용 찬넬인 번 찬넬을 항상 DSC 70

수신상태로 동작하여 신호 도트신호 를 검출하고 신호가 있으면 이어서CALL ( ) CALL

수신되는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표시장치 및 경보장치에 출력한다

나 신호 신호 필터회로 와 신호 처리부 및 제어용회로부 DSC (FS ) DSC DSC

제작시험 (PCB NO T-325 T-326 T-327)

이 회로의 성능은 주로 필터 및 디지탈변환 회로에서 결정되며 소프트웨어의 성능

에 따라 안정성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점을 유의하여 설계제작 하여으며 성능 시험

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험용 정보를 송신장치로 통해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후 그

결과를 분석 시험 하였다

다 전용 수신기의 개발과정 에서의 학보된 기술 DSC

신호 및 의 신호 의 필터 및 디지털 변환 기술DSC (1300 2100 FS )

신호 검출 및 직렬신호의 병렬변환 소프트웨어DOT

기술 정보의 비교 및 인쇄출력 소프트웨어 기술

종합시험10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별 차 차 차 보완시험은 만족하며 앞으로 개발의 중점은 사용의 편리성과PCB 1 2 3

생산성에 중점 개발이 요하며 배치에 따라 야기될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 PCB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후 최종제품을 제작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49 -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1

가 전면판 사출금형

나 옆판 스피커 안테나 금형

다 노브 사출금형

라 윗면 및 밑면 프레스 금형

마 설치용 고정장치 사출 금형

바 설치대 프레스 금형

사 뒷면 작업용 프레스 금형

아 항온조용 열차단금형

자 필타 금형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2

가 송수신기 제어장치 프로그램

나 전용 수신기 제어용 프로그램 DSC

다 원격조정기 프로그램

라 송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마 수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3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3: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3 -

목 차

제 장 제규정 연구1

제 절 연구의 목적1

제 절 연구의 필요성2

제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3

제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4

제 절 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5 GMDSS

제 장 기존 시스템 분석2

제 절 외국장비의 사양1

제 절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2 DSC VHF

제 절 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3 DSC VHF

제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3

제 절 송수신장치1 DSC VHF

제 절 차년도 개발범위2 1

제 장 제 차년도 개발 항목 보고4 1

제 장 제 차년도 개발계획5 2

참 고 문 헌

- 4 -

제 장 제 규 정 연구1

제 절 연구의 목적1

송 수신장치는 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의 하나일 뿐만 아니라 및DSC GMDSS ITUㆍ

에 규정된 의 필수장비로서 근거리 중거리 및 원거리 통신에서 초단파IMO GMDSS

대 중 단파대의 무선설비와 같이 조난 긴급 안전 통신용으로 무선전화 DSCㆍ ㆍ ㆍ

및 가 사용된다NBDP

이 통신장비는 조난통보 및 안전호출의 용 주파수의 전파로 자동적으로 송수신DSC

하는 것으로 특히 조난통신 또는 긴급통신을 수신할 때는 가청 및 가시의 경보를

발하고 그 내용이 인자되며 일반통신의 호출용으로 사용된다

이 설비는 탑재 장비 중 통신용으로 가장 기본이 되는 장비로써 새로운GMDSS

제도에 따라 신조선 및 기존선 과 사이의 기간동안 부터 의(lsquo9521) (rsquo9221 lsquo9921 )

무적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의 상황으로는 해역별 해상통신을 실행할 필요가 대두되고 있기 때문

에 이를 위한 의 국산화 기술확보 및 표준화 등이 시급하게 진행되어야 한다 DSC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의 기준설비인 용 및 통신장비를GMDSS DSC MFHF VHF

개발하는데 필수적인 의 의 협약을 중심으로 권고 규정ITU RR IMO SOLAS CCIR

의정서 기술기준 등 에 대한 국내기준과 국제기준 등을 비교 검토SOLAS GMDSS

하고 기본 요건부터 형식검정까지 분석 정리하여 장치를 설계하고 장비의 규 DSC

격 및 요건을 구현하는 표준자료가 되도록 한다

제 절 연구의 필요성2

해운계의 커다란 관심사였던 새로운 해상 통신제도에서의 주체인 GMDSS(Global

는 국제전기통신연합 국제해사기구Maritime Distress and Safety System) (ITU)

국제해사위성통신기구 국제수로기구 등의 기구에 의하여(IMO) (INMARSAT) (IHO)

국제협약으로 확정된 범세계적 해상조난 안전제도로서 현재 여러분야에서 이용되

고 있는 위성통신기술 및 디지탈 선택호출 방식을 선박의 안전통신업무에 도입한

시스템이다 는 인공위성의 중계 디지탈선택호출 무선탤렉스 등의 진보된 GMDSS

전자기술을 수용하여 신뢰성있는 통신수단을 확보함으로써 조난 및 안전시스템으

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해상통신의 종합화 및 선박운항의 자동화를 구축하는 신

해상통신제도인 것이다

- 5 -

이와 같이 는 해상통신제도에 관한 관련 국제협약의 개정에 의하여 통신기GMDSS

술과 운용방법 및 절차 등이 확정된 새로운 해상통신제도로서 년 월 일부 1992 2 1

터 국제항해에 취항하는 모든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선박에 대하여 이300

협약이 적용되고 있으며 각 국은 사정에 따라 년 월 일까지는 신구제도를 1999 1 31

병행하고 년 월 일 이후에는 를 전면적으로 시행하도록 하는 경과 1999 2 1 GMDSS

규정을 두고 있다 가 적용되는 선박들은 의무적으로 규정된 통신장비를 갖 GMDSS

추어야 하는데 의 의무비치 장비로는 위성GMDSS NAVTEX RECEIVER EPIRB

RADAR TRANSPONDER TWO-WAY RADIO TELEPHONE INMARSAT-C DSC

및 등의 장비가 권고되고 있다VHF DSC MFHF

우리나라의 조선산업이나 전자산업의 규모로 볼 때 와 관련된 의무탑재 장 GMDSS

비의 연구 및 국산화는 시급히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

한 제반 국제기구의 관련규정 기술기준 등의 정리가 미비하여 이 분야의 기술개발

연구에 영향을 초래하고 있기 때문에 이의 해결책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제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3

오늘날 기초과학의 발전 및 산업기반 기술확보는 전파이용의 증가와 더불어 정보통

신기기의 발전을 가져왔고 이에 따라 정보통신에 대한 관심이 제고되는 등 통신기

술 발전을 위한 여건이 조성되고 있다

그러나 육해상간의 무선통신분야에 있어서는 그 중요성을 인식하면서도 이를 위한

교육 및 정책은 배제하는 것 같은 경향을 보여 왔는데 해상 이동통신 분야에

라는 새로운 제도가 및 협약의 개정으로 통신설비의 성GMDSS ITC SOLAS STCW

능기준 지침서 작성 총회 결의안 등이 채택되어 각국에서는 이 제도의 실행에 대

비한 관계법의 개정 육 해상간의 통신기기 개발 및 시설보완이 마무리되어 가고 ㆍ

있다

국제적으로 보면 미국 프랑스 덴마아크는 년부터 새로운 정보통신기기를 개1991ㆍ ㆍ

발하여 탑재하고 있고 독일 일본 영국 등은 설비의 배치 기준 및 기술기준 등을 ㆍ ㆍ

마련하여 완전실행을 대비하여 부분적으로 개발하여 탑재하고 있다

신제도의 실행을 위해서는 관계법령의 개정 해역의 설정 통신시설의 정비 등에 대

한 구체적인 계획과 수립이 필요하다 즉 조난구조본부는 어느 부처에서 언제 어디

에 설치될 것인지 국내연안을 위한 방송은 어느 해안국에서 언제 실시할 NAVTEX

것인지 는 어떻게 구성하고 있는지 위성 나 트랜스폰 Safety NET EPIRB RADAR

더 등에 대한 국내조치가 가시화되어야 한다

- 6 -

국내에서는 전파진흥정책 도입에 대비한 일반적인 연구가 진행되었고 선 GMDSS

박용 항해통신장비의 국산화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몇몇 장비가 개발완료 되어 있으

나 아직은 미비한 상태이므로 완전 실행되는 년 월 일까지는 관련1999 2 1 GMDSS

장비들이 완전 개발되어야 만이 종래와 같이 외국제품을 수입 탑재하는 우를 범하

지 않을 것이며 이 분야에 대한 국제경쟁이 가능하다고 본다

그러므로 이 제도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정책수립과 동시에 국산화를 위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해상통신용 송수신장치의 개발 DSC

을 구현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범위와 내용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의 도입에 따른 지상계 통신의 주축이 되는 의 이론적 배경을 구lt gt GMDSS DSCⅡ

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루었다

해사위성통신의 개발약사를 분석하여 새로운 해상이동통신제도인lt -1gt GMDSSⅡ

의 도입 배경 및 개발 계획을 고찰하였다

도입에 따른 및 등 국제기구의 활동 상황과 의lt -2gt GMDSS ITU IMO IHO ITCⅡ

전파규칙 의 협약 등의 정비현황과 우리나라의 조치 상황을 분석(RR) IMO SOLAS

하였다

새로운 해상통신제도인 의 기본개념 도입일정과 통신시스템 및 설lt -3gt GMDSS Ⅱ

비의 기능을 분석하였다

관련 규정은 및 권고 협약 전파관계법 등으lt gt DSC ITC IMO RR CCIR SOLAS Ⅲ

로 규정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내용을 종합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루었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전파규칙 을 구명하여 조난 안전통신lt -1gt GMDSS (RR) Ⅲ ㆍ

및 선박국의 준수 조건등을 분석 하였다DSC NBDP

실제적으로 개발에 필요한 호출시스템 운용절차 품질에 대한 평가lt -2gt DSC Ⅲ

식별 코드 및 변환 등에 관한 권고를 총괄적으로 집약 분석하였다CCIR ㆍ

관련 협약 중 선박의 요건 해역 전원 성능 기준 및 보수요lt -3gt DSC SOLAS Ⅲ

건을 분석하였다

음성통신 및 를 할 수 있는 용 무선설비의 성능기준lt -4gt DSC MF MFHF VHFⅢ

에 대한 총회 결의 권고를 분석하였다IMO

장비를 구현하기 위하여 위의 장에서 분석된 제규정을 다음과 같이 집lt gt DSCⅣ Ⅲ

약 정리하여 실제적으로 개발에 필요한 핵심 규정을 제시하였다DSC ㆍ

디지틀 선택호출장치의 기술 설비 및 전파 등을 규정하고 개발에 필lt -1gt DSCⅣ

요한 기술기준을 집약하여 제시하였다

의 조건 및 선박국 해안국의 기술적 조건을 집약 제시하였다lt -2gt NBDP Ⅳ

위에서 연구된 제규정에 의하여 장비가 개발되었을 때 이를 실용화하기lt gt DSCⅤ

위하여 실행되는 형식검정에 대비하여 다음 사항을 고찰하였다

- 7 -

형식검정의 제도 개념과 대상기기 및 기술기준확인증명대상기기를 구분하lt -1gtⅤ

여 분석 정리하였다ㆍ

형식검정에 따른 신청 방법 구비서류 및 품질보증업무에 대하여 그 예를lt -2gt Ⅴ

들어 제시하여 제작자의 편의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기기의 종류별 구조 및 성능 조건을 분석하고 관련 장비의 형식검정에lt -3gt DSCⅤ

필요한 표준시험방법을 제시하여 개발에 따른 제조건을 만족하도록 형식검정의DSC

투명성을 확보하였다

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으로서 개발에 따른 제규정의 적lt gt GMDSS DSCⅥ

용문제에 대하여 행정당국과 제조업자 상호간의 선결문제를 제시하고 이를 위한 조

정 방안을 강구하였다

제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4

는 현행 시스템을 위성통신방식과 와 같은 새로운 기술을 종합GMDSS DSC NBDP

적으로 활용하여 통신의 자동화를 이룩한 제도이므로 이러한 제도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의 기준설비인 송수신장치의 개발을 위한 국제기구GMDSS DSC

의 권고 기술기준 및 관련규정의 연구가 이루어 질 때 만이 가능하며 이를 통하여

해운 선진국으로서 해상에서의 인명안전 확보라는 국제적 의무사항을 충실히 이행

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해상통신장비의 개발을 위한 지침자료가 될 것이며 다음과 같

은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전파관리의 합리화를 위한 방안 제시(1)

의 도입과 관련된 행정기관에서는 해역설정 설비의 장치 통신망(2) GMDSS SAR

및 방송 등에 관한 실질적인 방안을 강구NAVTEX NAVAREA

해상전파통신장비의 국내생산의 필요성 및 기술촉진을 통한 국산화를 제고(3)

개발을 위한 관련기술 사양 도출(4) DSC

관련 성능 평가기준 마련 및 성능 시험 기법 촉진(5)

형식검정을 위한 행정적인 처리 기준 확보(6)

- 8 -

제 절 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5 GMDSS

해상통신에 있어서 위성의 이용은 새로운 통신방식을 모색코저 노력한 해운계에 있

어서 획기적인 전환점이 되었다 또한 이를 통한 다수의 새로운 시스템 및 장비의

도입은 해상통신의 중요한 목적인 항행안전 뿐만 아니라 경제성 및 간편성에도 커

다란 발전을 가져왔으나 새로운 제도에 의한 해상통신은 그 가치가 이용의 확대와

시스템의 고도화가 필수요건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는 기존의 통신시스템을 위성통신방식과 와 같은 새로운GMDSS DSC NBDP

기술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자동화를 이룩한 제도이다 물론 가 의 부 DSC GMDSS

분 설비이기는 하지만 이러한 제도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조치

사항과 더불어 관련장비의 국산화가 필요하며 이를 통하여 해운선진국으로서 해상

에서의 인명 재산의 확보라는 국제적 의무사항을 충실히 이행하게 될 것이다ㆍ

년 월 일부터 드디어 의 도입이 시작되었다1992 2 1 GMDSS

에 관한 의 규정은 년 월 일부터 협약은 년 월 일GMDSS RR 1991 7 1 SOLAS 1992 2 1

부터 발효되어 는 도입 시행되고 있다GMDSS ㆍ

이 제도를 도입하기 위하여 국제기구 특히 의 와 의 무 ITU CCIR WARC IMO COM(

선통신소위원회 가 여년 동안의 연구기간이 소요되었다는 것은 그 내용이 얼마) 20

나 복잡하였던가를 말해주고 있다

새로운 제도의 실행을 위해서는 관계법령의 개정 해역의 설정 통신시설의 정비등

에 대한 구체적 계획과 수립이 필요하다 즉 조난구조본부는 어느 부처에서 언제

어디서 설치될 것인지 국내연안을 위한 방송은 어느 해안국에서 언제 실 NAVTEX

시 할 것인지 통신을 위한 해안국은 어디에 언제 설치할 것인지 는 DSC SafetyNET

어떻게 구성하고 있는지 위성 나 트랜스폰더 등에 대한 국내조치와 소 EPIRB RADAR

형 선박 특히 유효한 이들 구명설비의 탑재의무를 어선까지 확대하느냐의 여부 등

이 요구되고 있지만 아직 이러한 조치사항이 일반에게 가시화되어 있지 않다

또한 정보통신부와 항만청간의 소관업무조정 해상전자설비의 국산화지원 설비의

중화문제 등의 조속한 검토와 실행이 요망되고 있다 다만 전파관계법에서 해역2

등 관련용어의 정의 에서의 무선종사자의 자격 조작 및 종사범위GMDSS GMDSS

와 선박의 무선설비 성능조건 및 기술기준 및 전파 설비의 중화 육상정GMDSS ( ) 2

비 전파전자기능사 자격을 수용하는 제도만을 설정하여 공포 하고 있 (1992 6 30)

을 뿐 다른 대응은 아직 구체적으로 마련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행정조치사항을 제시하여 그 대응방안을 논하고자 한다

앞에서 도입에 따른 관련설비의 제규정은 구명 분석되었으나 이 분GMDSS DSC ㆍ

야의 발전여부는 오직 정부정책에 달려있기 때문에 구체적인 건의 사항으로서 이를

재정리하여 현실적인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 9 -

첫째 발전된 기술과 자동화를 이룩한 도입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그 GMDSS

동안 해상통신분야의 인식을 과감히 불식하고 관 산 학 협동을 통하여 이를 위 ㆍ ㆍ

한 현실적인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해상전자통신장비의 국산화를 위하여 관 산 학 연구소간의 협력체제를 강화하고ㆍ ㆍ

적극 지원해야 한다 현재 세계 유수의 해운국이자 조선국인 우리나라는 해상통신

장비분야에 대해서는 아직 후진성을 면치 못하고 주로 수입대치에 의존하는 현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둘째 관계당국은 도입에 따른 해역의 설정 설비의 정비 및 해안국 확정 GMDSS

통신망 및 방송 설비의 수급대책 등에 관한 문제를 계획하SAR NAVTEX NAVAREA

고 현실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정책당국은 정부 관련부처간의 업무를 조정하기 위하여 위원회를 구성

하고 전문가를 초빙하여 연구발표회 또는 간담회 같은 방법을 통하여 관계부처간의

조치 진행 상황을 일반인에게 가시화시켜 선박회사 전자기기 제조회사 조선소 및 ㆍ

종사자 등의 업무대비에 도움이 되도록 해야 한다

셋째 에 관한 국제규정에는 권고 포함 와 총회 결의 GMDSS RR(CCIR ) SOLAS(IMO

및 권고 포함 에 그 근거를 두고 있으나 그 주관청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부처간)

업무조정이 필요하다

협약 제 장 무선통신 의 대부분이 정보통신부 업무에 속하기 때문에 국내 도SOLAS 4 ( )

입의 원활을 기하고 국제적 의무를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정보통신부와 항만청

사이에 업무조정이 필요하다

즉 문서 발착사무는 항만청에서 하되 다음과 같은 업무를 조정해야 한다 IMO ㆍ

협약에서는 육상시설 등에 관한 정보를 에 통보하기로 되어 있고(1) SOLAS IMO

그 밖에 해역의 설정 통보 등 업무가 많으므로 이를 위한 업무의 체계화

정보통신부 소속사무에 속하는 각종 문서의 분류 배포 및 이에 대한 처리(2) IMO

넷째 관계 국제협약의 결의 권고 및 기술기준 등의 용어 및 규정의 정의를 통일시

켜야 한다

이는 각부처간 소관업무에 관한 제규정을 기준없이 비전문인이 원문을 해석하여 이

용자가 규정을 이해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관계전문인

이 참여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다섯째 형식검정을 위한 개선방향으로 대상기기의 정비 및 서류 간소화 민간에서

시험할 수 있는 대상기기의 지정확대 지정시험기관의 안배 확대지정 제조업체 자

체 시험 성적서를 인정하는 문제 등을 지적할 수 있다

물론 형식검정은 제도적으로 성능기준 기술기준 등이 마련되어 있으나 기기별 시

험방법 등이 구체화되어 있지 않고 당국의 자체 검정기준이 각 제조업체 수입자

및 일반인에게 공시화되지 못하여 가져오는 손실에 대하여 정책당국의 확인행정이

절히 요구되고 있다

- 10 -

또한 검정신청서 제출시 미비한 기재사항 하나로 신청서마저 접수되지 못하는 현실

하에서 발생되는 경제적 시간적인 손실등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ㆍ

이러한 본 연구의 노력이 도입에 따른 관련 장치를 설계하고 장비의GMDSS DSC

규격 및 요건을 구현하는 표준자료가 될 것이며 이를 통하여 정책의 개선과 기술

을 촉진하게 되고 나아가서 선진해운발전에 기여하게 될 것을 확신한다

- 11 -

제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2

제 절 외국장비의 사양1

1 Main Unit

가 General Specifications

Transmission 15550-15950

frequency range

Reception frequency 15550-15950 (simplex)

range 16060-16350 (duplex)

Channel capacity ITUUSA channels Up to 57 channels

Private channels Up to 99 channels

Weather channels 9 channels

(only reception)

Memory channels Up to 10 channels

Select channels Up to 10 channels

Channel spacing 25 10

Communication modes Simplex and duplex

(simplex and semi-duplex on privatechannels)

Type of emission G3E G2B(F3E F2B)

Frequency accuracy plusmn 10 x 10-6

Antenna impedance 50Ω unbalanced

Rated input power DC138V plusmn10(supplied

supply voltage fromNQD-1496 power supply unit)

Numbers of DSC file 15 for calling

20 for Distress

call receiving

5 for general

call receiving

Environmental test

conditions

- 12 -

Vibration 1 to 125 32 15min

125 to 25 076 15min

25 to 50 02 15min

Dry heat cycle +55 2hr

Dump heat cycle +40 93RH10hr

Low temp cycle -15 2hr (after maintaining at -25 for

10 hr)

Temperature 0 to +40

range for full

performane

Operating -15 to +55

temperature

range

Storage -25 to +65

temperature

range

Dimensions 290(H) times 240(W) times 145(D)

(excluding protrusions)

Weight Approximately 7

나 Transmitter Unit

Output power 25W

Reduced outpur power 01 to 1W

Oscillation method Frequency synthesizer

Modulation method Frequency modulation

Occupied bandwidth Within 16

Maximum plusmn5

frequency deviation

Microphone input 600Ω(balanced)

Standard

modulation input -53 m

Frequency

characteristics 6 oct +1-3

Overall distortion 10 or less

Signal-to-noise ratio 40 or more

- 13 -

Spurious emission 25 W or less120757DSC data rate 1200baud plusmn30 times 10-6

modulation method FSK

modulation index 2 plusmn10

Mark signal(Y) 1300 plusmn 10

Space signal(B) 2100 plusmn 10

다 Receiver Unit

Receiving system Double super heterodyne

Intermediate frequency 1st IF 214

2nd IF 455

Local oscillation method Frequency synthesizer

Sensitivity 2 V or less120757Sensitivity(DSC)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the input

level of 0 120757Squelch sensitivity 1 V or less120757Selectivity 12 or more at 6 bandwidth

within 25 with a selectivity of 70

Spurious response 80 or more

Spurious response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DSC)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73 120757

Blocking 90 or more

Blocking(DSC)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μ

level of 93 120757Intermodulation 70 or more

Intermodulation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DSC)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68 120757

Overall distortion 10 or less

Signal-to-noise ratio 40 or more

Rated audio output 2W(4Ω)

External speaker 0 m 600 Ω

output level

- 14 -

Frequency 6 oct +1 -3

characteristics

Radiation 1 nW or less

2 Power Supply Unit

Input voltage AC 100V to 120V (5060 ) or AC 200V to

240V (5060 ) and DC 24V (DC 216 to

312V)

Power consumption AC 100V 2A max(main unit)

AC 220V 1A max(main unit)

DC 24V 55A max(main unit)

Input switching Automatically switched to AC mode during

normal operation and to DC mode when AC

power failure

Output Voltage DC 138V plusmn10

Environmental Same as JHS-31 main unit

test conditions

Dimensions 300(H) times 240(W) times 145(D)

(excluding protrusions)

Weight Approximately 65

3 Remote Controller

Operating and Same as JHS-31 main unit

control items

Display items Same as JHS-31 main unit

Power supply DC 138V plusmn10 supplied from

NQD-1469 power supply unit

Environmental test Same as JHS-31 main unit

conditions

Dimensions 290(H) times 240(W) times 80(D)

excluding protrusions)

Weight Approximately 35

- 15 -

4 DSC Watchkeeping Receiver

가 General Specifications

Operation frequency 156525 (CH 70)

Reception mode G2BF2B

Antenna impedance 50Ω nominal unbalanced

DSC AF signal output 0 m plusmn10 (600 Ω balanced)

Self diagnostics Provided with receiver

overall testing functions

Dimmer 4-step control for dimming illuminations

incl extinction

Environmental test Same as JHS-31 main unit

conditions

Warm-up period 30 sec

Dimensions 145(H) times 140(W) times 145(D)

excluding protuberances

Weight approx 15

Power supply 138 VDC plusmn10

Power consumption 10 W or less

나 Receiver

Receiving system Double superheterodyne

Local OSC Crystal controlled

Frequency accuracy Within plusmn10 times 10

Intermediate frequency 1st IF 208

2nd IF 455

Sensitivity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the input

level of 0 μ

Selectivity 6 bandwidth 12 or more

70 bandwidth 25

Adjacent CH selectivity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μ

level of 73 120757(wanted signal frequency plusmn25 )

- 16 -

Spurious response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73 with application of unwanted120757signals in range of 9 to 2

Blocking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93 with application of unwanted120757signals apart plusmn1 to plusmn10 from the

wanted signal

Intermodulation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68 with application of two120757unwanted signals of plusmn25 and plusmn50

simultaneously

Co-channel rejection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ratio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μ

level of -5 120757De-emphasis -6 (+1 -3 ) octave

characteristic 300 +105 (+1 -3 )

3 -95 (+1 -3 )

at reference frequency of 1

Amplitude characteristic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receiver

of receiver limiter input level of 0 to 100 120757 120757Noise and hum -40 or better

Harmonic distortion -20 or better

Spurious emission 1nW of less

5 Guard Receiver

Receiving mode Simultaneous reception of any two channels

selected from ITUUSA channels

Receiving channels Up to 57 channels

Channel spacing 25

Mode of reeption G3E(F3E)

Frequency accuracy Wighin plusmn10 times 10-6

- 17 -

Receiving system Double super heterodyne

Intermediate frequency 1st IF 214

2nd IF 455

Local oscillation method Frequency synthesizer

Sensitivity 2 V or less120757Squelch sensitivity 1 V or less120757Selectivity 12 or more at 6 bandwidth

within 25 with a selectivity of 70

Spurious response 70 or more

Blocking 90 or more

Intermodulaltion 70 or more

Overall distortion 10 or less

Signal-to-noise ratio 40 or more

Rated audio output 2W(4 )Ω

Frequency

characteristics 6 oct +1 -3

Antenna input 50 unbalancedΩ

impedance

Temperature range 0 to +40

for full performance

Operating -15 to +55

temperature range

Storage -25 to +65

temperature range

Power supply voltage DC 138V plusmn10

(supplied from the NQD-1469 power supply

unit)

Dimensions 290(H) times 140(W) times 145(D)

Weight Approximately 25

- 18 -

제 절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2 DSC VHF

디지틀선택호출장치의 조건1

가 점검 및 보수를 쉽게 할수 있을것

나 전원공급후 분이내에 작동할 수 있을 것 1

다 의 주파수를 쉽게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 것 156525

라 초이내에 송신과 수신을 전환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 것 03

마 이상의 제어기를 갖는 경우에는 의 제어기에 우선권이 주어지는 동시에 다 2 1

른 제어기의 사용상태를 표시하는 기능이 있을 것

바 전원전압이 정격전압의 퍼센트이내에서 변동된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 (plusmn)10

할 수 있을것

사 통상 발생하는 온도 및 습도의 변화 진동 또는 충격이 있는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수있을것

선택호출장치의 선택호출신호의 조건2

가 마크주파수는 이고 스페이스주파수는 일것 이 경우 허용편차 1300 2100

는 각각 로 한다10

나 신호전송속도는 매초 비트일것 이 경우 허용편차는 만분의 으로 1200 100 30

한다

다 시간다이버시티의 시간간격은 초일것 003

송신장치의 조건3

가 공중선전력 와트 이상일 것 6

나 전파의 변조지수 허용편차는 로 한다 F2B 2( 02 )

다 감도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자 1

율이 퍼센트이하일 것1

라 실효선택도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1) 14

상태에서 중간 주파수로부터 희망파의 배의 주파수 희망파주파수의 이3 ( (plusmn)375

내의 주파수를 제외한다 까지 수신기입력전압 밀리 볼트의 무변조 방해파를 인) 447

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1

- 19 -

감도억압효과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2) 14

의 정현파에 의하여 주파수 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기입력전압400 3 44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인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이하일1

마 상호변조특성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 14

희망파 보다 떨어진 수신기 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와 희망파25 25

보다 떨어진 의 정현파에 의한 주파수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50 400 3

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25 1

디지틀선택호출전용수신기 의 조건4

가 통신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통신의 수신기능외에 통신의 내용을 볼 수있도록 하

는 기능이 있을것

나 조난통신 또는 긴급통신을 수신한 경우에는 수동으로만 정지시킬 수 있는 특별

경보기능이 있을것

다 수신한 조난통신의 내용을 즉시 인쇄하거나 개이상의 조난통신을 기억할 수 20

있어야 하되 기억한 내용을 일정시간 보존할 수 있을것

라 본체의 보이는 곳에 수신주파수를 표시할 것

마 전원공급후 분이내에 작동할 수 있을것 1

바 전원전압이 정격전압의 퍼센트이내에서 변동된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plusmn)10

수 있을 것

사 통상 발생하는 온도 및 습도의 변화 진동 또는 충격이 있는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수 있을것

아 감도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자율 1

이 퍼센트 이하일 것1

자 실효선택도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1) 14

상태에서 중간 주파수로부터 희망파의 배의 주파수 희망파주파수의 이내3 ( (plusmn)375

의 주파수를 제외한다 까지 수신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를 인접) 447

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1

- 20 -

감도억압효과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2) 14

의 정현파에 의하여 주파수 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기입력전압400 3 44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인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1

차 상호변조특성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 14

희망파 보다 떨어진 수신기 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와 희망파25 25

보다 떨어진 의 정현파에 의한 주파수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50 400 3

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25 1

- 21 -

제 절 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3 DSC VHF

일반적 조건1

가 취급이 용이한 것일 것

나 에서 까지의 숫자 입력판을 갖는 경우에는 그 숫자의 배열은 국제전신전화자 0 9

문위원회의 권고 에 의한 것일 것E161

공중선의 단선 또는 공중선 단자의 단락으로부터 보호수단을 가질 것

과전류 과전압 전원의 과도변동 및 전원극성의 우발적인 반전으로부터 보호수단이

있는 것일 것

노출된 금속부분은 접지하는 것이 가능할 것

전원단자는 접지되어 있지 않을 것

전원 볼트를 초가하는 전기 고주파의 것을 제외 를 통하는 도전부는 용이하게 노55 ( )

출이 되지 않도록 다음의 어느 조건에도 적합한 차폐체를 갖고 있는 것일 것

차폐체를 개방한 때는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되는 구조일 것(1)

차폐체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공구를 필요로 하는 구조이고 또는 고전압에 대한(2)

주의사항이 표시되어 있을 것

다 통상의 설치된 상태에서 제조자명 형식명 및 제조번호가 명확하게 판독 가능하

도록 외부에 표시되어 있을 것

라 장치의 일부를 가열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급전후 분이내에 일정온도에 달하 30

는 것일 것

다만 가열회로에 공급하는 전력은 다른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치단에 의해

절단되지 아니할 것

마 전원공급후 송신장치의 일정분에 전압의 공급을 지연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는 그 지연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것

디지틀선택호출장치의 조건2

선박의 위치 및 위치를 결정한 시각의 자동입력 기능을 갖는 경우에는 동기능의

고장이 장치의 다른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

가 선택호출 신호의 구성

조난경보등 조난경보 조난경보에 대한 응답 조난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1) (

중계에 대한 응답을 말한다 이하 같다 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및 무선설비의 기기 )

의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이하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이외의 선택( ldquo rdquo )

호출신호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1

- 22 -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2) 2

조난 경보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 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3) 3

일 것

조난 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 중계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4)

성을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4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5) 5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오류검정부호를 제외한다 에 사용하는 단위 부호는(6) (dot ) 10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6

나 선택호출신호의 송출조건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오류검정부호를 제외한다 의 송출은 최초의 송출과 반(1) (dot )

복송출과의 사이에 개의 코드가 놓아진 방식일 것4 Time Diversity

선택호출신호의 반복송출은 다음과 같은 것일 것(2)

가 조난경보를 연속하여 송출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조난 경보를 최후의 신호와( )

다음에 송출되는 조난경보의 신호와의 사이를 가격없이 송출가능한 것일 것dot

나 디지탈선택호출통신망을 위한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호출( )

또는 응답의 선택호출 신호의 경우는 별표 에 따라서 회를 초과하지 않는 회수를7 4

반복하여 송출가능할 것

다 가 및 나 이외의 경우는 반복하여 송출이 가능하지 않는 것일 것( ) ( ) ( )

다 선택호출신호의 수신조건

조별 의 장치는 제 호에 규정한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1) (class) A 2

읽어냄이 가능할 것

조별 의 장치는 다음의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표시하는(2) (class) B

것이 가능할 것

가 제 호에 규정하는 선택호출신호중 종별 의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것( ) 2 (class) B

나 포맷 신호가 해역호출인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것( ) (format)

다 제 가 수신되지 아니할 것( ) 1 Telecommand

해안국의 장치는 제 호에 규정하는 선택호출신호 해안국의 장치의 것을 제외(3) 2 (

한다 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읽어냄이 가능할 것)

- 23 -

별표 선택호출신호 조난경보등을 위한 것 및 시험을 위한 것은 제외한다 의[ 1] ( )

구성

dot신 호

동 기신 호

Format신 호

Address신 호

Category신 호

자국의식별신호

정 보신호1

정 보신호2

정 보신호3

종료신호

오류검정신호

주( 1) 주( 2) 주( 3) 주( 45및6)

주( 7) 주( 8) 주( 9) 주( 10) 주( 11) 주( 12) 주( 13)

주( )

중단파대 및 단파대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하는 장치의 선1

택호출신호 이하 중단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에 있어서 선박국을 호출하( ldquo rdquo )

기 위한 선박호출신호의 경우는 비트 선박국에서 해안국으로 호출 및 응답하기200

위한 선택호출신호 및 국제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 계기하는 주파수18

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 하는 장치의 선택호출신호 이하 대 선택( ldquoVHF

호출신호 라 한다 의 경우는 비트일 것rdquo ) 20

표 에 나타내는 코드번호를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하는 것일 것2 8 9

호출의 종류를 나타냄에 있어서 다음의 장치마다 별표 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3 8

류를 표시하는 개의 동일 코드번호일 것2

종별 의 장치 선박국의 장치에서 별표 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류를 사용(1) (class)A ( 8

가능한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

종별 의 장치 선박국의 장치에 있어서 동표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류 중(2) (class) B (

해역호출 및 공통관계를 갖는 선단의 호출을 제외한 것의 사용이 가능한 것을 말한

다 이하 같다 )

해안국의 장치 동표에 게기한 호출의 종류중 조난경보 및 개별국의 반자동 또(3) (

는 자동접속호출을 제외한 것의 사용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

신호가 조난경보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는 상대국 식별4 Format

신호로 하여 선박국식별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 구성되는[0]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신호가 조난경보 또는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선택호출에 있어서는 사용5 Format

하지 않을 것

신호가 해역호출의 경우 종별 의 장치는 제외한다 는 별표 에 따라서6 Format ( B ) 11

해역을 자리 의 숫자를 표시하고 별표 에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통보의 우선순위 또는 종류 신호가 모든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통상업무7 (Format

및 선박업무를 제외한다 를 별표 에 따라 개의 코드번호에 코드화한 것일 것 다) 8 1

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 선박업무를 제외한 것으로 하고 또한 신 (class) B Format

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통상업무를 제외한 것일 것

- 24 -

자국의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8 [0]

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제 및 제 의 정보로 하여 별표 에 따라서 각각 개의 코드번9 1 2 Telecommand 8 1

호에 코드화한 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제 (class) B 1

를 다음과 같이하고 제 코드번호가 일 것Telecommand 2 Telecommand [126]

중단파대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하는 장치의 선택호출신호 이하(1) (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는 신호가 개별국의 호출일때에는 코드번ldquo rdquo ) Format

호 또는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일[119] [111] [118] Format

때에는 코드번호 또는 일 것[109] [111] [111]

선택호출신호는 신호가 개별국의 호출일 때에는 코드번호(2) VHF Format [100]

또는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일 때에는 코드번호[101] Format

또는 일 것[100] [101] [105]

다음의 방식일 것10

호출에 이어 계속 통신에 사용하는 송신 및 수신을 위한 주파수 또는 채널을(1)

나타내는 선택호출신호는 송신파 및 수신파의 순으로 별표 에 코드화한 것일 것12

다만 주파수 또는 채널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송신파 또는 수신파마다에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126]

선박의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선택호출신호는 코드번호 및 다음에 의거 표(2) [55]

시되는 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 자리숫자를 별표 에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가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가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나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부터 제 번째까지의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표시한다

제 가 선박의 위치인 호출에 대한 응답 이하 선박위치응답 이라(3) 1 Telecommand ( ldquo rdquo

한다 을 위한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의 가 및 나 에 의해 표시하는 선박의) (2) ldquo rdquo ldquo rdquo

위치를 나타내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코드화한 것 및 그것에 계속코드번호10 10

일 것[126]

에서 이외의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4) (1) (3) 6 [126]

선박위치응답의 경우 종별 의 장치를 제외한다 및 신호가 개별11 ( (class)B ) Format

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에만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각각 다음의 방

식일 것

선박위치응답의 경우는 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 국제표준시로 한다 이하 같(1) (

다 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2 10

개의 코드번호로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는 개2 2

의 코드번호 일 것[88]

- 25 -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는 아날로그 전화용(2) Format

설비와 접속하기 위한 번호 이하 전화번호 라 한다 등의 네트워크번호를 표시하는( ldquo rdquo )

것으로 하고

네트워크번호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코드번호를 짝수의 경우는 코드번호[105]

과 네트워크를 별표 에 준하여 개부터 개까지의 수의 코드번호로 코드화[106] 10 2 9

한 것일 것

응답을 필요로 하는 호출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응답12 [117]

을 위한 선택 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및 이외의 경우는 코드번호[122] [127]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 다만 신호가 모13 Format

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 코드번호 일 것[127]

오류검정부호는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정보비트 및 제 번째에서 제13 1 7 8

번째까지의 검정비트로부터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생성되는 각 비트10

의 및 이 각각 별표 에 표시하는 및 에 대응하는 단위 부호로[0] [1] 6 [B] [Y] 10

하여서 송출되는 것일 것

정보비트의 각 비트는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동기신호를 제외한다 의 모든(1) (dot )

코드번호 신호 및 종료신호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로 한다 에 대응하(Format 1 )

는 부호의 비트 위치마다 최하위 비트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다만 를 를 B 0 Y 1

로해서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검정비트는 정보비트의 의 수를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B 2

별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해안국의 장치는 제외한다[ 2 ] (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자국 의식별신호

주( 4)

조난종류 의정보신호

주( 5)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

주( 6)

시각정보신호

주( 7)

Tele-command정보 신호

주( 8)

종료신호

주( 9)

오류검정신호

주( 10)

주( )

중단파 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는 비트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비1 200 VHF 20

트일 것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2]

자국의 선박국 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4 [0] 10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조난의 종류를 표시하는 것으로 하여 별표 에 따라 개의 코드번호로 코드화한5 8 1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 (class) B 1 107

- 26 -

조난선박에 위치를 다음과 같이 자리의 숫자로 표시 하는 것으로 별표 에6 10 10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조난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것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99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1)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는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2)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한다

조난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것7 2

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개의 코드번호에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 10 2

를 포함하지않는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88]

계속하여 행하는 통신의 형식을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통신장치가 무선전화 또8

는 협대역직접 인쇄전신장치인 제 를 별표 에 개의 코드번호로1 Telecommand 8 1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방식일 것 (class) B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 일 것(1) 1 [109] [111]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VHF 1 [100]

코드번호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하는 것일 것9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별표 조난경보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선박국의 장치를[ 3] (

제외 )

dot신호

주( 1)

동기신호

주( 2)

For-mat신호

주( 3)

Cate-gory신호

주( 4)

자국의식별신호

주( 5)

Telec-ommand정보신호

주( 6)

조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7)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 8)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 9)

시각정보신호

주( 10)

Tleco-mmand정보신호

주( 11)

종료신호

주( 12)

오 류검 정신 호

주( 13)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6]

별표 의 주 과 같은 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4 1 7 [112]

자국의 해안국 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숫자를5 [0] 10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6 1 [1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일 것7

- 27 -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종류의 정보신호일 것8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일 것9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시각정보신호일 것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정보신호일 것11 Telecommand

코드번호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2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3 1 13

별표 조난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 중계에 대한 응답을 위한[ 4]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dot신호

주(1)

동기신호

주(2)

For-mat신호

주(3)

Addr-ess신 호

주( 4및56)

Cate-gory신 호

주(7)

자국의식별신호

주(8)

Telec-ommand정보신호

주( 9)

조 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10)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11)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12)

시각정보신호

주(13)

Tleco-mmand정보신호

주( 14)

종료신호

주(15)

오류검정신호

주(16)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별표 의 주 과 같다 코드번호 이외의 것으로 한다3 1 3 ( [112] )

신호가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에는 상대국의 식별신호4 Format

로 하고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0] 10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5 Format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6

별표 의 주 과 같은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7 1 7 [112]

별표 이 주 과 같다8 1 8

개의 코드번호 일 것9 1 [112]

수신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 또는 수신한 조난경10

보의 중계의 조난선박국의 식별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종류의 정보11

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선박의 위치12

정보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시각정보일 것13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14 Telecommand

정보신호일 것으로 한다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것으로 하 (class) B

는 것이 가능할 것

- 28 -

중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1) 1 [109] [111]

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2) VHF 1 [100] [101]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코드번호 개별 해안국 앞15 Format [127]

으로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에는 코드번호 로서 별표[122]

의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3

별표 의 주 과 같다16 1 13

별표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대 선택호출신호를 제외한다[ 5] (VHF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Address신 호

주( 4)

Category신호

주( 5)

자국의식별신호

주( 6)

정 보신 호1

주( 7)

정 보신 호2

주( 8)

종 료신 호

주( 9)

오류검정신 호

주( 10)

주( )

비트일 것1 200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20]

상대국의 식별신호로서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이에 계속되는 으로서4 [0]

구성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1 [108]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8

각 개의 코드번호 및 일 것7 1 [118] [126]

개의 코드번호 일 것8 6 [126]

코드번호 또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9 [117] [122] 13

일 것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 29 -

별표 선택호출신호의 단위부호[ 6] 10

는 스페이스주파수 는 마크주파수로 대응하고 비트위치의 에서 송출된다B Y 1

협대역 일때MFHF B=1785 Y=1615

대역 일때VHF B=2100 Y=1300

- 30 -

별표 반복송출의 순서[ 7]

주 기호 는 선택호출신호의 종료신호를 표시하고 기호 는 에서 까( ) H DX RX0 RX7

지가 반복송출되는 선택호출신호의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31 -

별표 코드번호 의 용도[ 8] (100-127)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00 통상업무

화재 또는폭발

또는F3단신G3E

무선전화 이유없음 주( 3)

101 침수 또는F3복신G3E

무선전화 해사교환 센터의혼잡 주( 3)

102 해역호출

충돌 미확정주( 1)

통화중 주( 3)

103 좌초 Polling 대기행렬표시주( 3)

104 의RXO위치의동기신호

경사 및전복의위험

수입불가주( 2)

폐국 주( 3)

105 의RX1위치의동기신호

침몰 호출의 종료주( 4)

의 부재Operator주( 3)

106 의RX2위치의동기신호

선박업무주( 5)

조선불능으로 표류

데이터주( 6)

변복조장치

의Operator일시적 부재 주( 3)

107 의RX3위치의동기신호

기타의조난

미확정주( 1)

장치의 운용불가주( 3)

108 의RX4위치의동기신호

안전 선체의방치

미확정주( 1)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09 의RX5위치의동기신호

J3E 무선전화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10의RX6

위치의동기신호

긴급 조난경보에대한 응답

무력분쟁의당사국이 아닌것을 표시하는선박 및 항공기주( 7)

111 의RX7위치의동기신호

H3E 무선전화 위생수송체 주( 7)

112 조난경보

조난 조난자동통보설비(주 의9)시동

조난경보의중계

공중전화사무소주( 8)

- 32 -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13또는F1B방향오J2B(1

류정정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미확정 주( 1)

114

공통관계를 갖는선단의호출

미확정 주( 1) 미확정 주( 1)

115또는F1B자동재송J2B(

요구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데이터 주( 11)

116모든선박호출

또는F1B J2B수신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2)

11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18 시험 데이타 주( 14)

119또는F1B수신J2B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5)

120개별국의호출

A1A 테이프레코더

데이터 주( 16)

121 선박의 위치 데이타 주( 17)

122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3

개별국의반자동또는자동접속호출

A1A 전건 및핸드셋(Handset)

데이터 주( 18)

124또는F1CF2C

F3C팩시밀리장 데이터 주( 19)

125의DX

위치의동기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6 정보없음 정보없음 주( 20)

12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주( )

앞으로의 사용을 위하여 유보한다1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2 [100] [109] 2 Telecommand

코드번호 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3 [104] 1 Telecommand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 시스템에만 사용한다4

- 33 -

선박의 항해 운항 필수품에 관한 통신과 정부의 기상업무기관으로 보내는 기5

상 관측 통보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6 [115] [124] 2 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을 제외하고 제7 [104][105][106][110][112] [118] 1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의 제 와 조합하여8 [100][101][109][115] [124] 1 Telecommand

사용한다

수색구조용 레이다트랜스폰더를 제외한다9

무선설비규칙의 제 조의 에 정하는 것으로 한다10 69 4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1 (V21)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2 (V22)

앞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1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4 (V2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5 (V2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6 (V1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7 (V26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8 (V27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9 (V32)

코드번호 를 제외하고 제 와 조합하여 사20 [104][110][112] 1 Telecommand

용한다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 코드번호는 중단21 Format

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에서 까지 [102] [124] ([110][112][117]

및 를 제외한다[122] )

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및VHF [100][101][104][105][106][121]

일 것[124]

별표 동기신호의 송출순서[ 9]

주 기호 및 에서 까지가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DX] [RXO] [RX7]

- 34 -

별표 자리 숫자의 코드 변환표[ 10] 10

자리의 숫자10

십억D2

억D1

천만D2

백만D1

십만D2

만D1

천D2

백D1

십D2

일D1

코드5 코드4 코드3 코드2 코드1

주( )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1 1

및 은 자리 숫자의 자리 숫자 에서 까지를 표시하고 각 코드는2 D2 D1 10 2 00 99

그 자리의 십진수를 코드번호로 한다2

숫자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최상위 자리수의 숫자 앞에 을 포함할 것3 0

별표 해역의 표시방법[ 11]

해역의 표시는 다음과 같은 것

선정되는 지리상의 해역은 메르카토르 도법의 직사각형으로 표시할1 (Mercator)

직사각형의 북서를 해역의 기준점으로 할 것2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존재하는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3 1

으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0] [1] [2] [3]

할 것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위도를 표시할 것4 2 3

제 번째에서 제 번째가지의 숫자는 기준점의 경도를 표시할 것5 4 6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남북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6 7 8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동서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7 9 10

표에 표시하는 해역 및 의 표시의 예는 다음과 같을 것8 ab c

기준점이 북위 도 및 서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1) 10 25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20 35 a

1 1 0 0 2 5 2 0 3 5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2) 10 10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10 10 b

2 1 0 0 1 0 1 0 1 0

- 35 -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3) 12 12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4 7 C

2 1 2 0 1 2 0 4 0 7

별표 주파수 및 채널정보의 코드변환표[ 12]

주파수0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주파수를 의 배수로서 숫자의 십100

만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다 1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2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채 널

3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중단파대 또는 단파대의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 다

8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별도로 정한 채널로 한다

9 0 times times times times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18게기하는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천 백 십 및 일의 숫자로 표시한다

십만 만 천 백 십 일

코드3 코드2 코드1

주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 ) 1

- 36 -

별표 종료신호의 송출순서[ 13]

주 기호 가 종료신호를 표시한다( ) H

- 37 -

제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3

제 절 송수신장치1 DSC VHF

시스템 개요1

본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모든기능을 충족하는 일체형과 전화용 복신방식의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호출 및 수신제어장치 로구분된 독립형 으로 구분되며 DSC DSC

이는 외형상의 구분이며 그주요기능별 구성은 각각의 유니트로된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표시 및 제어장치 와 전원부 로 구분되며 이것들은 다시 하나의DSC

케비넷 또는 독립된장치로서 구성된다

시스템 구성2

장비의 개요 및 특징3

가 개요

본 송수신기는 항만내 또는 연안에서 해안국과 선박국 또는 선박국 상호간VHF FM

의 해상이동업무 통신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기로서 이내의 해상156 ~162

이동 무선통신업무용의 전 을 수용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전파관리법 및CHANNEL

등 국제규격에 적합하도록 설계 제작된 기기로서 전세계ITU SOLAS USA USCG

어느곳에서나 규정에알맞게 사용할 수 있는 국제항만 무선전화기용 무선 송수신기

를 제작한다

- 38 -

나 특징

소형 경량화로서 좁은 장소에 설치가 용의하게 되어 있어야 한다(1)

송신각 각 방식을 채용하였으며 국제 항만 무선전화(2) DIRECT SYNTHESIZER

인 를 수용해야 하며 그외 개의CHANNEL 55(114) CHANNEL 105(527) FREE

이 수용되어 있어야 한다CHANNEL(SIMPLEX)

주 국제 중 미국연안에서 단식방식으로 절환 사용되고 있는1 CHANNEL 55(114)

을 사용 할 수 있을것USA CHANNEL(SIMPLEX)

주 별도의 기상수신 을 수용하고 있어야 한다2 WEATHER CHANNEL( )

USA 3 CHANNELS

CANADIAN 1 CHANNEL

OTHERS 5 CHANNELS

원격조정 회로의 내장으로 본기기의 판넬스위치와는 상관없이(3) REMOTE ( ) HAND

만 으로도 판넬 스위치 조작에 필요한 모든기능을 할 수 있고SET CONTROL VHF

의 원근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어야 한다SET

기능이 첨부되어 있어 미국연안 경비대 의 의무 청취(4) DUAL WATCH USCG( )

인 과 의 개의 을 동시에 수신할 수CHANNEL CH 13 CH 16 2 CHANNEL SCANNING

있으며 과 사용자가 선택하는 임의의 을 동시에CHANNEL 16 CHANNEL SCANNING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에 경보신호 기능의 내장으로 비상시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5) CH 16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국제 개 및 을(6) SCAN CHANNEL 55 FREE CHANNEL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SCANNING

안전통신에 지정되어 있는 은 우선 사용할 수 있도록(7) CHANNEL16 1 STEP

로 되어 있어야 한다SWITCH

국제 해상 인명 안전조약 에 정한 규격으로 되어 있어 전세계 어느곳의(8) SOLAS( )

규정에도 적합하며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구 성4

본 기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가 송 수신기 본체 대 1

나 HAND SET 1 SET

다 WHIP ANTENNA 1 SET

라 벽걸이형 SPEAKER 1 SET

마 전원 공급기 1 SET

- 39 -

규 격5

주파수 및 규격은 현재의 통신방식이며 정보통신부의 고시가 발표되면 협대역(125

로 변경한다)

가 일반사항

사용주파수 범위(1)

송 신 156025 ~ 157425 수 신 (SIMPLEX) 156025 ~ 157425 수 신 (DUPLEX) 160625 ~ 162025 기상수신 (WEATHER) 161650 ~ 162550

사용(2) CHANNEL

A International 55 (114) CHANNELSB USA 25 CHANNELSC FREE 105 (527) CHANNELSD WEATHER 9 CHANNELS

USA 3 CHANNELSCANADIAN 1 CHANNELOTHERS 5 CHANNELS

통신 방식(3) SIMPLEX amp DUPLEX

전파의 형식 전화(4) 16KOF3E( G3E DSC F2BG2B)

주파수 편차(5) 0001 (10 PPM)

사용 온도범위 부터(6) -10 + 50

예열 시간 전원 접속후 즉시 사용가능(7)

공칭(8) ANTENNA IMPEDANCE 50 ohm ( )

공급 전원(9)

전 압 136V plusmn 10전 류 수신시 800

송신시 5A전원 공급기 별도( ) 단상AC115V AC220V 60

부터 까지DC 15V 35V

나 송 신 부

정격 출력(1) HIGH -25 W

LOW - 1W

주 공중선 전력 저하장치로 이하 저하기능 보유1 1WATT주 단 보호 인 및 가 아님 은 송신이2 CHANNEL 7576 1 ~9(01 ~09 )CHANNEL되지 않음 기상수신대의 사용법은 본문 참조 ( )

- 40 -

발진 방식(2) SYNTHESIZER CONTROL SYSTEM

변조 방식(3) FREQUENCY MODULATION

점유 주파수 대역폭(4) 16 (8)

최대 주파수 편의(5) 5 (25)

복사강도 이상(6) SPURIOUS 70

변조 주파수 특성(7) 6 (plusmn 3 ) OCTAVE PRE-EMPHASIS)

(300 ~ 3 )

변조시 이하(8) DISTORTION 1 70 -20

신호 대 잡음비 변조시 이상(9) 1 70 40

저역 여파기 특성 이상에서 이상 감쇄(10) 3 -40log f3( ) (f = )

다 수 신 부

수 신 방 식(1) DOUBLE SUPERHETERODYNE SYSTEM

감 도(2) 이하 신호 대 잡음비 에서 025 V ( 20 )μ

감도(3) SQUELCH 이하 02 Vμ

국부 발진 주파수(4) 1lsquost LOCAL FREQUENCY

RECEIVER FREQUENCY - 214

2nd LOCAL FREQUENCY 10945

중간 주파수(5) 1lsquost IF FREQUENCY 214

2nd IF FREQUENCY 455

선 택 도(6) 저하폭 이상 6 12 (6)

저하폭 이하 70 25 (125)

(7) SPURIOUS RESPONCE 이상 70

감도 억압 효과(8) 이상 80

상호 변조 특성(9) 이상 65 ( 20 40 )

주파수 특성(10) 6 (plusmn3 )OCTAVE DE-EMPHASIS)

( 300 ~ 3 )

신호 대 잡음비(11) 변조시 이상 1 60 40

(12) DISTORTION 변조시 이하 1 70 -20

저주파 출력(13) 이상 1 WATT (IMPEDANCE 8 ohm)

- 41 -

제 절 차년도 개발 범위2 1

제 차년도 개발범위는 기초자료조사와 규정의 연구에 따라 기초회로의 설계 후1

사용부품을 시험하고 각 의 제작 및 시험 연이은 성능미달 의 차 차PCB PCB 2 3

차 재제작 시험을 완료하고 시스템의 설계까지이며 그 세부적인 개발범위는 다음4

과 같다

송수신장치 개발을 위한 제규정 수집 연구1 DSC VHF

기초자료 조사2

가 장비에 대한 기능특성 수집 연구

나 사용자 및 선박통신사의 요구사항에 대한 자료 수집 연구

다 외국장비와 비교 분석

라 부품규격 시험 및 선정

3 HARD WARE

가 고주파 필터코일 재질분석 및 각종코일 설계

나 제작 PCB

송신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1) PCB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시험(2) PCB

수신부회로 제작 시험(3) PCB

신세사이즈 회로 제작 시험(4) PCB

제어장치 제작 시험(5) PCB

표시장치 제작 시험(6) PCB

원격제어기 제작 시험(7) PCB

전원공급부 제작 시험(8) PCB

제작 시험(9) HAND SET PCB

전용수신기 제작 시험(10) DSC PCB

- 42 -

제 장 제 차년도 개발 항목 보고4 1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본 장비를 개발함에 있어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및 부품선정이 개발의 핵심 과제

로 생각하였다

기초자료는 기존 시스템분석과 전파관련법령을 기초하였고 주변회로는 관련된 회

로집을 분석하였으며 부품선정은 폐품종 여부와 수급이 용이하면서 견고하고 증폭

도 및 성능이 우수한 품종으로 장시간 시험을 거쳐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송신부 제작시험2

송신 출력회로 결정 회로설계 완료하여 각부 부품 구입 회 내구성 시험 및SPEC 30

구룹별 장시간 부품 부하 시험등 최종목표 성능을 확보하기위한 제반 기초 제작시

험을 완료 하였으며 주요 내용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의 발열상태등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의 높은 출력으로 증폭하는 송신전(VHF ) 25W

력 증폭기로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높은 고주파전력에 견딜수있어야 하고 열

에의해 발생되는 열잡음이 적으야하며 열에의한 부품의 열화 및 특성의 변화가 적

은 부품을 사용여야 하므로 온습도시험 과 과출력 시험을 통하여 사용될 부품을 시

험하였다

특히 고조파 필터회로 부품인 코일은 동선에 전도율이 좋은 재질로 도금하여 사용

하여야 하며 고조파필터회로 의 차폐용 재료도 동판에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도금

하여 사용 하여야 한다

나 송신 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PCB (PCB NO V-097)

개발과정에서의 설계변경 및 생산시스템의 전산화 에 적용 할수있도록 회로 설계는

물론 설계 회로기판 도안 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설계완료된 는PCB ( ) CAD DATA

회로기판 제작장치 외주 작업 및 부품삽입기 자사 작업 에 직접 컴퓨터용 디스켙( ) ( ) (

으로 입력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회로에 높은 고주파전류가 흐르므로인하여 빌진할 가능성 및 잡음발생의 우려PCB

가 많으므로 특히 부품배치에 유의하여 설계하였으며 송신신호 발생회로 또는 전원

회로 와의 배선은 관통형콘덴서등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였다

회로에 사용되는 코일은 각 코일간에 간섭을 줄이기위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설정하

였으며 전체를 차폐하고 또 고조파 필터회로를 구분하여 차폐하여 제작 하였PCB

- 43 -

또 안정된 출력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회로를 장치하여 설정된 출력 이상의ALC

출력을 제한한다

다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PCB (PCB NO V-096TX)

설계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이 는 미약한 고주파 신호를 발생 변PCB CAD PCB

환 증폭 하므로서 송신부 또는 외부로 부터의 잡음 유입과 내부잡음 발생에 유의

하여 설계되었으며 불요복사 억제에 유의하였다

라 성능시험

메칭상태 시험(1)

옴 파장 수직형 안테나 를 사용할수 있도록 시험하였으며 차적인 시험은 의50 12 1

사부하에 의해 시험하고 의사부하 안테나에 정상적인 메칭이 된 후 실제 사용 안테

나에 확인시험 하였다

이 시험에서 양질의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장치는 물론 안테나의 성능이 중

요하며 인접한 고전력 안테나 및 낙뢰로부터 안정성 등을 감안하여 안테나는 VHF

대역 이하의 주파수에 대하여 쇼트형 안테나가 바람직 하다

기존 시스템의 이상의 성능 확보(2) 90

송신부의 주기능으로서 양질의전파를 안테나로 공중에 발사하는 장치로서 주피수안

정도 고조파억압 불효전파억제 안정된전력 안정된 주파수편이 낮은 왜율 등의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시험결과는 기존의 제품의 특성에 가까운 성능을 확보

하였으나 안테나공용기 복신통신용 필터 특성의 개선및 송신부 관련부품의 배치를( )

개선하므로서 보다 좋은 성능을 확보 할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신부 제작시험3

수신부는 안테나입력회로 입력동조회로 단신통신 및 복신통신 각 주파수 대역 필 (

터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로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 1 1 2 2

로 대역필터회로 신호제한 리미터 회로 복조회로 무신호잡음 차단 회로 저주 ( ) FM

파 증폭회로 및 국부발진회로 로서 구성되나 국부발진회로는 잡음의 발생및 유입

주파수안정도 등을 감안하여 별도의 로서 제작하였으며 그외 수신부와 관련한PCB

내용은 다음과 같다

- 44 -

가 사용부품의 구입 및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증폭과 변환을 반복하여 요구되는 신호(VHF )

를 복조하여 기청음 또는 의 문자표시로 출력되게 하므로서 안정된 주파수 및DSC

증폭이 요구되므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당연히 고주파특성에 유의하여 주파수

차에의한 특성변화 열잡음 및 고주파잡음 능동소자등의 직선성 등이 교려되어야하

므로 항온항습시험과 과전류에의한 잡음발생의 시험 등 을 거처 엄선한 부품으로

설정사용 하였다

특히 회로의 선택도 코알의 값 를 높이기 위하여 가 높은 트랜스 재료를 사용하( Q ) Q

였다

다 수신부회로 제작 PCB (PCB NO V-096RX)

위 항에서의 시험에 의해 선택된 부품을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며 수신부의 특성31

상 잡음의 발생보다는 잡음의 유입에 유의하여 설계되었으며 안정된 증폭 특성 수(

신감도 을 얻기위하여 중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회로기판은 에폭시) 2

수지 양면인쇄동판을 사용하여 부품삽입면은 대부분 공통단자로 이용하여 부품간의

간섭을최소화 하였다

다 수신부 특성시험

수신부 특성상 수신감도 주파수안정도 왜율 통과대역폭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감도억압비 혼변조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신호대 잡음비 일 때의 수신감 20

도 성능이 확보되며 기타 여러 가지 특성도 최종목표 특성에 가까운 성능이05

확보 되었으나 까지 수신감도가 향상되도록 성능개선이 요구된다025 V 120757

신세사이즈부의 회로의 안정도로 인하여 국부발진 신호의 흔들림현상이 있어VCO

통과대역폭 및 잡음발생의 원인이되어 신세사이즈회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신세시이즈회로는 크게 수신국부발진 신호용과 송신신호용으로 구분되며 단신통신

과 복신통신방식일때 각각 동작할수있는 구성으로 설계되었으며 그 내용별로 구분

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전압제어발진기 에 사용되는 부품은 온도 및 전압변동에 특성의변화가 극히(VCO)

적어야하며 외부로부터 정전 및 자계영향이 크므로 회로를 별도로 정전 및 자VCO

계로부터 차폐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혼변조 및 잡음신호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파수선택 표준신호 등 시 수신( )

대역 및 송신대역에 영향이 없는 주파수로 하였으며 가능한 레벨을 제외한 신(TTL

호 파형의 왜율이 적은신호로서 각회로신호를 사용하여 결합하였다)

- 45 -

나 신세사이회로 제작 (PCB NO V-096PLL)

이회로 기판은 여러종류의 신호들이 발생 혼합 증폭 비교 되므로 각부품 간의 배

치에따라 잡음발생의 정도가 크게 좌우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였으며 회로는 외VCO

부영향에 민감하게 작동되므로 차폐 에 유의하여 부품의 배치 적절하게 하였으며

잡음발생을 유의하여 부품을 선정하였다

다 성능시험

이회로의 특성상 주파수안정도 주파수의 흔들림 위상비교기의 비교속도 등에 유의

하여 시험하였으며 여러가지 일반적인 특성은 최종목표사양에 만족될 수 있는 신호

원을 공급할수 있었어나 주파수의 흔들림 현상이 있어 회로의 부품 및 차폐에VCO

개선이 요구된다

제어장치 제작시험5 (PCB NO V-263)

이회로의 주요부품으로서 를 사용하여 당개발과제의 송수신 및 외부V25 CPU DSC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며 아울러 본체 전면표시기와 스윗치 입출력 기능도 한다

이회로의 주요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스 읽기전용 메모리 읽고CPU( ) ROM( ) RAM(

쓰기 메모리 직렬통신용 입출력 병렬통신 입출력 아날로그 디지) SIO( ) PIO( ) AD(

탈 변환기 스윗치입력 표시기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개발 내용은 다음과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에 사용되는 부품은 대부분 디지탈신호를 처리하여 회로로서 및TTL IC

로서 구성되며 저소비전력 및 고속처리능력이 요구되므로 주로 고속용C-MOS IC

중 형 를 사용 하였으며 장치의 초기설정 및 기능 설정의C-MOS(C-MOS IC HC )

변경등 의 목적으로 은 충전형 밧테리로서 메모리내용을 전원의 에 관RAM ONOFF

계없이 유지하도록 하였다

외부 제어기 등 와의 통신용 의 통신속도를 또는 등으로(DSC ) RS-232C 2400 4800

변경 설정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변환기 등을 이용하여 자기진단을 할수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장비의 유지및AD

보수에 많은 도움이된다

- 46 -

나 성능시험

운용시험(1)

이회로의 특성상 전기적 특성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특성 및 성능이 요구되므로 운

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이부분에 대한 시험은 개발자입

장이 아닌 운용자가 시험하여야 하는 관계로 선박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사용자에게

의뢰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로서는 기능면에서는 양호하나 사용상 복잡한 면이 있어 보다 조작 을 간편

히 할수있도록 개선할 필요가있는 것으로 본다

표시장치 시험(2) (PCB NO V-260)

본장치의 사용상 필요한 기능 및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내용과 기기 동작

상태의 일치성이 요구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온습도 및 장기시험 으

로서 확인하였으며 여러 가지 표시장치중 각각 중단점이 나타낮다

즉 액정 표시기 표시기는 저소비전력이며 주위가 밝은곳에서 사용이 가능 하LCD( )

나 반면 온도특성이 나쁘며 형광표시관 표시기는 온도특성은 양호하나 소비전 VFD( )

력이 대체로 높고 보다 낮고 보다 많음 수명이 낮다는 단점이있으며(FND LCD )

발광 다이오드 표시기는 모든면에서 대체로 양호 하나 잡음발생 이많으며 밝FND( )

은곳에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외 여러 가지의 장담점을 검토하여 차적인 결론은 표시기가 적합한 것으로1 LCD

본다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최소의 전기적신호 연결로서 최대의 기능제어및 속도가 요구되는 장치로서 저주파

신호의 입력 마이크 신호 및 출력 스피크 신호 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 제어는( FS ) ( )

직렬통신 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였으며 장거리 일반 공용통신망 을 이(RS-232C)

용할수도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요 구성은 중앙제어장치 스윗치입력 장치 표시장치 메모리장치 직렬통신장치

로 구성되며 그 상세한 개발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의 대부분이 디지탈신호의 처리회로로서 구성되므로 제어장치 의 사용 부품ldquo rdquo

시험 및 선정기준과 같으며 장거리운용상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신속도를

알맞게하며 장거리통신 선로에서 유기되는 잡음을 최소화 하기위한 필터회로 및

소프트웨어적인 오류정정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별도 설계 사용 하였다

- 47 -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V-170)

이장치는 사용상 편리하여야 하므로 소형 경량 으로 제작 하였으며 차적 기능 시 1

험을 목적으로 외형 보다는 성능을 우선하여 시험용으로 제작하였다 이장치의 시

험은 전용케이블 을 이용하여 시험하였고 또 일반 공용통신용 전화 선로를 통하여

원거리 시험을 하였으며 그결과로서 통신속도가 까지 양호하게 동작되나2400bps

그이상의 통신속도로서 운용 할려면 전용회선이 필요하게된다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가 결정 SPEC

각회로 에서 필요로하는 전압 및 전류에 알맞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반 성능

을 차적으로 설정 하였으며 최종목표 사양에 일치하기위하여서는 전원부의 장치에1

대하여 모든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최종 특성이 설정 되어야 한다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P-099)

이장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되나 반면에 안정성이 확고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안

정성을 첫째로 중요시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이회로는 많은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많은 전력이 열로서 손실되므로 방열에 특히 유의하여 제작되었으며 열발생이 많은

부품은 알미늄 방열판에 설치하고 이방열판은 본장치 외함의 바깥쪽에 설치하여 방

열효과를 최대화 하였다

이회로의 시험은 과입력전압 및 과소비전력 일때의 안정성에 중점 시험하였고 그시

험을 위하여 장시간 항온 항습기 를 이용하여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전원부의 안정

성 확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도 이회로를 특별히 개선하지 않고도 최

종목표 사양에 만족하리라 본다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PCB NO V-098)

마이크 회로 수화기 회로 송신 스윗치 회로 로서 구성되며 이장치는 사용 특성상

충격에 강하도록 설계제작 되어야 하며 무게는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재료선택이

중요하며 이러한점을 감안하여 사출금형에 의하여 성형 하였으며 성형 제료로서는

제료를 사용하고 사용 부품을 최소화 하여 제작 하였다ABS

이장치의 특성상 견고하며 방수효과가 최대이어야 하므로 충격 자연낙하 시험 및( )

방수시험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 성형제료 및 외형상의 문제는 없이나

송화기 및 수화기의 선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송화기는 콘텐서형

마이크가 좋으며 수화기로는 가변코일형으로서 떨림판이 평면으로된 수화기가 우수

한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선정하여 제작시험 하였다

- 48 -

전용 수신기9 DSC (PCB NO T-342)

전용수신 장치는 송수신장치중 송신부를 제외한 구조와 유사하므로 개발과정에서

송수신장치중 수신부회로에 복조장치 를 추가하여 별도 로 제작하여 시험DSC PCB

하였으며 개발내용중 전용수신기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DSC

가 기능 및 동작

변조되어 수신된 신호를 필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후 신호 처리용FM DSC DSC

마이크로프로세스 에 공급하여 소프트웨어로서 신호를 분석한후 표시장치 메(CPU)

모리장치 인쇄장치 등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전용 찬넬인 번 찬넬을 항상 DSC 70

수신상태로 동작하여 신호 도트신호 를 검출하고 신호가 있으면 이어서CALL ( ) CALL

수신되는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표시장치 및 경보장치에 출력한다

나 신호 신호 필터회로 와 신호 처리부 및 제어용회로부 DSC (FS ) DSC DSC

제작시험 (PCB NO T-325 T-326 T-327)

이 회로의 성능은 주로 필터 및 디지탈변환 회로에서 결정되며 소프트웨어의 성능

에 따라 안정성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점을 유의하여 설계제작 하여으며 성능 시험

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험용 정보를 송신장치로 통해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후 그

결과를 분석 시험 하였다

다 전용 수신기의 개발과정 에서의 학보된 기술 DSC

신호 및 의 신호 의 필터 및 디지털 변환 기술DSC (1300 2100 FS )

신호 검출 및 직렬신호의 병렬변환 소프트웨어DOT

기술 정보의 비교 및 인쇄출력 소프트웨어 기술

종합시험10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별 차 차 차 보완시험은 만족하며 앞으로 개발의 중점은 사용의 편리성과PCB 1 2 3

생산성에 중점 개발이 요하며 배치에 따라 야기될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 PCB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후 최종제품을 제작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49 -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1

가 전면판 사출금형

나 옆판 스피커 안테나 금형

다 노브 사출금형

라 윗면 및 밑면 프레스 금형

마 설치용 고정장치 사출 금형

바 설치대 프레스 금형

사 뒷면 작업용 프레스 금형

아 항온조용 열차단금형

자 필타 금형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2

가 송수신기 제어장치 프로그램

나 전용 수신기 제어용 프로그램 DSC

다 원격조정기 프로그램

라 송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마 수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3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4: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4 -

제 장 제 규 정 연구1

제 절 연구의 목적1

송 수신장치는 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의 하나일 뿐만 아니라 및DSC GMDSS ITUㆍ

에 규정된 의 필수장비로서 근거리 중거리 및 원거리 통신에서 초단파IMO GMDSS

대 중 단파대의 무선설비와 같이 조난 긴급 안전 통신용으로 무선전화 DSCㆍ ㆍ ㆍ

및 가 사용된다NBDP

이 통신장비는 조난통보 및 안전호출의 용 주파수의 전파로 자동적으로 송수신DSC

하는 것으로 특히 조난통신 또는 긴급통신을 수신할 때는 가청 및 가시의 경보를

발하고 그 내용이 인자되며 일반통신의 호출용으로 사용된다

이 설비는 탑재 장비 중 통신용으로 가장 기본이 되는 장비로써 새로운GMDSS

제도에 따라 신조선 및 기존선 과 사이의 기간동안 부터 의(lsquo9521) (rsquo9221 lsquo9921 )

무적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의 상황으로는 해역별 해상통신을 실행할 필요가 대두되고 있기 때문

에 이를 위한 의 국산화 기술확보 및 표준화 등이 시급하게 진행되어야 한다 DSC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의 기준설비인 용 및 통신장비를GMDSS DSC MFHF VHF

개발하는데 필수적인 의 의 협약을 중심으로 권고 규정ITU RR IMO SOLAS CCIR

의정서 기술기준 등 에 대한 국내기준과 국제기준 등을 비교 검토SOLAS GMDSS

하고 기본 요건부터 형식검정까지 분석 정리하여 장치를 설계하고 장비의 규 DSC

격 및 요건을 구현하는 표준자료가 되도록 한다

제 절 연구의 필요성2

해운계의 커다란 관심사였던 새로운 해상 통신제도에서의 주체인 GMDSS(Global

는 국제전기통신연합 국제해사기구Maritime Distress and Safety System) (ITU)

국제해사위성통신기구 국제수로기구 등의 기구에 의하여(IMO) (INMARSAT) (IHO)

국제협약으로 확정된 범세계적 해상조난 안전제도로서 현재 여러분야에서 이용되

고 있는 위성통신기술 및 디지탈 선택호출 방식을 선박의 안전통신업무에 도입한

시스템이다 는 인공위성의 중계 디지탈선택호출 무선탤렉스 등의 진보된 GMDSS

전자기술을 수용하여 신뢰성있는 통신수단을 확보함으로써 조난 및 안전시스템으

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해상통신의 종합화 및 선박운항의 자동화를 구축하는 신

해상통신제도인 것이다

- 5 -

이와 같이 는 해상통신제도에 관한 관련 국제협약의 개정에 의하여 통신기GMDSS

술과 운용방법 및 절차 등이 확정된 새로운 해상통신제도로서 년 월 일부 1992 2 1

터 국제항해에 취항하는 모든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선박에 대하여 이300

협약이 적용되고 있으며 각 국은 사정에 따라 년 월 일까지는 신구제도를 1999 1 31

병행하고 년 월 일 이후에는 를 전면적으로 시행하도록 하는 경과 1999 2 1 GMDSS

규정을 두고 있다 가 적용되는 선박들은 의무적으로 규정된 통신장비를 갖 GMDSS

추어야 하는데 의 의무비치 장비로는 위성GMDSS NAVTEX RECEIVER EPIRB

RADAR TRANSPONDER TWO-WAY RADIO TELEPHONE INMARSAT-C DSC

및 등의 장비가 권고되고 있다VHF DSC MFHF

우리나라의 조선산업이나 전자산업의 규모로 볼 때 와 관련된 의무탑재 장 GMDSS

비의 연구 및 국산화는 시급히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

한 제반 국제기구의 관련규정 기술기준 등의 정리가 미비하여 이 분야의 기술개발

연구에 영향을 초래하고 있기 때문에 이의 해결책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제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3

오늘날 기초과학의 발전 및 산업기반 기술확보는 전파이용의 증가와 더불어 정보통

신기기의 발전을 가져왔고 이에 따라 정보통신에 대한 관심이 제고되는 등 통신기

술 발전을 위한 여건이 조성되고 있다

그러나 육해상간의 무선통신분야에 있어서는 그 중요성을 인식하면서도 이를 위한

교육 및 정책은 배제하는 것 같은 경향을 보여 왔는데 해상 이동통신 분야에

라는 새로운 제도가 및 협약의 개정으로 통신설비의 성GMDSS ITC SOLAS STCW

능기준 지침서 작성 총회 결의안 등이 채택되어 각국에서는 이 제도의 실행에 대

비한 관계법의 개정 육 해상간의 통신기기 개발 및 시설보완이 마무리되어 가고 ㆍ

있다

국제적으로 보면 미국 프랑스 덴마아크는 년부터 새로운 정보통신기기를 개1991ㆍ ㆍ

발하여 탑재하고 있고 독일 일본 영국 등은 설비의 배치 기준 및 기술기준 등을 ㆍ ㆍ

마련하여 완전실행을 대비하여 부분적으로 개발하여 탑재하고 있다

신제도의 실행을 위해서는 관계법령의 개정 해역의 설정 통신시설의 정비 등에 대

한 구체적인 계획과 수립이 필요하다 즉 조난구조본부는 어느 부처에서 언제 어디

에 설치될 것인지 국내연안을 위한 방송은 어느 해안국에서 언제 실시할 NAVTEX

것인지 는 어떻게 구성하고 있는지 위성 나 트랜스폰 Safety NET EPIRB RADAR

더 등에 대한 국내조치가 가시화되어야 한다

- 6 -

국내에서는 전파진흥정책 도입에 대비한 일반적인 연구가 진행되었고 선 GMDSS

박용 항해통신장비의 국산화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몇몇 장비가 개발완료 되어 있으

나 아직은 미비한 상태이므로 완전 실행되는 년 월 일까지는 관련1999 2 1 GMDSS

장비들이 완전 개발되어야 만이 종래와 같이 외국제품을 수입 탑재하는 우를 범하

지 않을 것이며 이 분야에 대한 국제경쟁이 가능하다고 본다

그러므로 이 제도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정책수립과 동시에 국산화를 위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해상통신용 송수신장치의 개발 DSC

을 구현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범위와 내용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의 도입에 따른 지상계 통신의 주축이 되는 의 이론적 배경을 구lt gt GMDSS DSCⅡ

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루었다

해사위성통신의 개발약사를 분석하여 새로운 해상이동통신제도인lt -1gt GMDSSⅡ

의 도입 배경 및 개발 계획을 고찰하였다

도입에 따른 및 등 국제기구의 활동 상황과 의lt -2gt GMDSS ITU IMO IHO ITCⅡ

전파규칙 의 협약 등의 정비현황과 우리나라의 조치 상황을 분석(RR) IMO SOLAS

하였다

새로운 해상통신제도인 의 기본개념 도입일정과 통신시스템 및 설lt -3gt GMDSS Ⅱ

비의 기능을 분석하였다

관련 규정은 및 권고 협약 전파관계법 등으lt gt DSC ITC IMO RR CCIR SOLAS Ⅲ

로 규정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내용을 종합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루었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전파규칙 을 구명하여 조난 안전통신lt -1gt GMDSS (RR) Ⅲ ㆍ

및 선박국의 준수 조건등을 분석 하였다DSC NBDP

실제적으로 개발에 필요한 호출시스템 운용절차 품질에 대한 평가lt -2gt DSC Ⅲ

식별 코드 및 변환 등에 관한 권고를 총괄적으로 집약 분석하였다CCIR ㆍ

관련 협약 중 선박의 요건 해역 전원 성능 기준 및 보수요lt -3gt DSC SOLAS Ⅲ

건을 분석하였다

음성통신 및 를 할 수 있는 용 무선설비의 성능기준lt -4gt DSC MF MFHF VHFⅢ

에 대한 총회 결의 권고를 분석하였다IMO

장비를 구현하기 위하여 위의 장에서 분석된 제규정을 다음과 같이 집lt gt DSCⅣ Ⅲ

약 정리하여 실제적으로 개발에 필요한 핵심 규정을 제시하였다DSC ㆍ

디지틀 선택호출장치의 기술 설비 및 전파 등을 규정하고 개발에 필lt -1gt DSCⅣ

요한 기술기준을 집약하여 제시하였다

의 조건 및 선박국 해안국의 기술적 조건을 집약 제시하였다lt -2gt NBDP Ⅳ

위에서 연구된 제규정에 의하여 장비가 개발되었을 때 이를 실용화하기lt gt DSCⅤ

위하여 실행되는 형식검정에 대비하여 다음 사항을 고찰하였다

- 7 -

형식검정의 제도 개념과 대상기기 및 기술기준확인증명대상기기를 구분하lt -1gtⅤ

여 분석 정리하였다ㆍ

형식검정에 따른 신청 방법 구비서류 및 품질보증업무에 대하여 그 예를lt -2gt Ⅴ

들어 제시하여 제작자의 편의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기기의 종류별 구조 및 성능 조건을 분석하고 관련 장비의 형식검정에lt -3gt DSCⅤ

필요한 표준시험방법을 제시하여 개발에 따른 제조건을 만족하도록 형식검정의DSC

투명성을 확보하였다

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으로서 개발에 따른 제규정의 적lt gt GMDSS DSCⅥ

용문제에 대하여 행정당국과 제조업자 상호간의 선결문제를 제시하고 이를 위한 조

정 방안을 강구하였다

제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4

는 현행 시스템을 위성통신방식과 와 같은 새로운 기술을 종합GMDSS DSC NBDP

적으로 활용하여 통신의 자동화를 이룩한 제도이므로 이러한 제도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의 기준설비인 송수신장치의 개발을 위한 국제기구GMDSS DSC

의 권고 기술기준 및 관련규정의 연구가 이루어 질 때 만이 가능하며 이를 통하여

해운 선진국으로서 해상에서의 인명안전 확보라는 국제적 의무사항을 충실히 이행

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해상통신장비의 개발을 위한 지침자료가 될 것이며 다음과 같

은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전파관리의 합리화를 위한 방안 제시(1)

의 도입과 관련된 행정기관에서는 해역설정 설비의 장치 통신망(2) GMDSS SAR

및 방송 등에 관한 실질적인 방안을 강구NAVTEX NAVAREA

해상전파통신장비의 국내생산의 필요성 및 기술촉진을 통한 국산화를 제고(3)

개발을 위한 관련기술 사양 도출(4) DSC

관련 성능 평가기준 마련 및 성능 시험 기법 촉진(5)

형식검정을 위한 행정적인 처리 기준 확보(6)

- 8 -

제 절 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5 GMDSS

해상통신에 있어서 위성의 이용은 새로운 통신방식을 모색코저 노력한 해운계에 있

어서 획기적인 전환점이 되었다 또한 이를 통한 다수의 새로운 시스템 및 장비의

도입은 해상통신의 중요한 목적인 항행안전 뿐만 아니라 경제성 및 간편성에도 커

다란 발전을 가져왔으나 새로운 제도에 의한 해상통신은 그 가치가 이용의 확대와

시스템의 고도화가 필수요건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는 기존의 통신시스템을 위성통신방식과 와 같은 새로운GMDSS DSC NBDP

기술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자동화를 이룩한 제도이다 물론 가 의 부 DSC GMDSS

분 설비이기는 하지만 이러한 제도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조치

사항과 더불어 관련장비의 국산화가 필요하며 이를 통하여 해운선진국으로서 해상

에서의 인명 재산의 확보라는 국제적 의무사항을 충실히 이행하게 될 것이다ㆍ

년 월 일부터 드디어 의 도입이 시작되었다1992 2 1 GMDSS

에 관한 의 규정은 년 월 일부터 협약은 년 월 일GMDSS RR 1991 7 1 SOLAS 1992 2 1

부터 발효되어 는 도입 시행되고 있다GMDSS ㆍ

이 제도를 도입하기 위하여 국제기구 특히 의 와 의 무 ITU CCIR WARC IMO COM(

선통신소위원회 가 여년 동안의 연구기간이 소요되었다는 것은 그 내용이 얼마) 20

나 복잡하였던가를 말해주고 있다

새로운 제도의 실행을 위해서는 관계법령의 개정 해역의 설정 통신시설의 정비등

에 대한 구체적 계획과 수립이 필요하다 즉 조난구조본부는 어느 부처에서 언제

어디서 설치될 것인지 국내연안을 위한 방송은 어느 해안국에서 언제 실 NAVTEX

시 할 것인지 통신을 위한 해안국은 어디에 언제 설치할 것인지 는 DSC SafetyNET

어떻게 구성하고 있는지 위성 나 트랜스폰더 등에 대한 국내조치와 소 EPIRB RADAR

형 선박 특히 유효한 이들 구명설비의 탑재의무를 어선까지 확대하느냐의 여부 등

이 요구되고 있지만 아직 이러한 조치사항이 일반에게 가시화되어 있지 않다

또한 정보통신부와 항만청간의 소관업무조정 해상전자설비의 국산화지원 설비의

중화문제 등의 조속한 검토와 실행이 요망되고 있다 다만 전파관계법에서 해역2

등 관련용어의 정의 에서의 무선종사자의 자격 조작 및 종사범위GMDSS GMDSS

와 선박의 무선설비 성능조건 및 기술기준 및 전파 설비의 중화 육상정GMDSS ( ) 2

비 전파전자기능사 자격을 수용하는 제도만을 설정하여 공포 하고 있 (1992 6 30)

을 뿐 다른 대응은 아직 구체적으로 마련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행정조치사항을 제시하여 그 대응방안을 논하고자 한다

앞에서 도입에 따른 관련설비의 제규정은 구명 분석되었으나 이 분GMDSS DSC ㆍ

야의 발전여부는 오직 정부정책에 달려있기 때문에 구체적인 건의 사항으로서 이를

재정리하여 현실적인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 9 -

첫째 발전된 기술과 자동화를 이룩한 도입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그 GMDSS

동안 해상통신분야의 인식을 과감히 불식하고 관 산 학 협동을 통하여 이를 위 ㆍ ㆍ

한 현실적인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해상전자통신장비의 국산화를 위하여 관 산 학 연구소간의 협력체제를 강화하고ㆍ ㆍ

적극 지원해야 한다 현재 세계 유수의 해운국이자 조선국인 우리나라는 해상통신

장비분야에 대해서는 아직 후진성을 면치 못하고 주로 수입대치에 의존하는 현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둘째 관계당국은 도입에 따른 해역의 설정 설비의 정비 및 해안국 확정 GMDSS

통신망 및 방송 설비의 수급대책 등에 관한 문제를 계획하SAR NAVTEX NAVAREA

고 현실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정책당국은 정부 관련부처간의 업무를 조정하기 위하여 위원회를 구성

하고 전문가를 초빙하여 연구발표회 또는 간담회 같은 방법을 통하여 관계부처간의

조치 진행 상황을 일반인에게 가시화시켜 선박회사 전자기기 제조회사 조선소 및 ㆍ

종사자 등의 업무대비에 도움이 되도록 해야 한다

셋째 에 관한 국제규정에는 권고 포함 와 총회 결의 GMDSS RR(CCIR ) SOLAS(IMO

및 권고 포함 에 그 근거를 두고 있으나 그 주관청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부처간)

업무조정이 필요하다

협약 제 장 무선통신 의 대부분이 정보통신부 업무에 속하기 때문에 국내 도SOLAS 4 ( )

입의 원활을 기하고 국제적 의무를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정보통신부와 항만청

사이에 업무조정이 필요하다

즉 문서 발착사무는 항만청에서 하되 다음과 같은 업무를 조정해야 한다 IMO ㆍ

협약에서는 육상시설 등에 관한 정보를 에 통보하기로 되어 있고(1) SOLAS IMO

그 밖에 해역의 설정 통보 등 업무가 많으므로 이를 위한 업무의 체계화

정보통신부 소속사무에 속하는 각종 문서의 분류 배포 및 이에 대한 처리(2) IMO

넷째 관계 국제협약의 결의 권고 및 기술기준 등의 용어 및 규정의 정의를 통일시

켜야 한다

이는 각부처간 소관업무에 관한 제규정을 기준없이 비전문인이 원문을 해석하여 이

용자가 규정을 이해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관계전문인

이 참여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다섯째 형식검정을 위한 개선방향으로 대상기기의 정비 및 서류 간소화 민간에서

시험할 수 있는 대상기기의 지정확대 지정시험기관의 안배 확대지정 제조업체 자

체 시험 성적서를 인정하는 문제 등을 지적할 수 있다

물론 형식검정은 제도적으로 성능기준 기술기준 등이 마련되어 있으나 기기별 시

험방법 등이 구체화되어 있지 않고 당국의 자체 검정기준이 각 제조업체 수입자

및 일반인에게 공시화되지 못하여 가져오는 손실에 대하여 정책당국의 확인행정이

절히 요구되고 있다

- 10 -

또한 검정신청서 제출시 미비한 기재사항 하나로 신청서마저 접수되지 못하는 현실

하에서 발생되는 경제적 시간적인 손실등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ㆍ

이러한 본 연구의 노력이 도입에 따른 관련 장치를 설계하고 장비의GMDSS DSC

규격 및 요건을 구현하는 표준자료가 될 것이며 이를 통하여 정책의 개선과 기술

을 촉진하게 되고 나아가서 선진해운발전에 기여하게 될 것을 확신한다

- 11 -

제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2

제 절 외국장비의 사양1

1 Main Unit

가 General Specifications

Transmission 15550-15950

frequency range

Reception frequency 15550-15950 (simplex)

range 16060-16350 (duplex)

Channel capacity ITUUSA channels Up to 57 channels

Private channels Up to 99 channels

Weather channels 9 channels

(only reception)

Memory channels Up to 10 channels

Select channels Up to 10 channels

Channel spacing 25 10

Communication modes Simplex and duplex

(simplex and semi-duplex on privatechannels)

Type of emission G3E G2B(F3E F2B)

Frequency accuracy plusmn 10 x 10-6

Antenna impedance 50Ω unbalanced

Rated input power DC138V plusmn10(supplied

supply voltage fromNQD-1496 power supply unit)

Numbers of DSC file 15 for calling

20 for Distress

call receiving

5 for general

call receiving

Environmental test

conditions

- 12 -

Vibration 1 to 125 32 15min

125 to 25 076 15min

25 to 50 02 15min

Dry heat cycle +55 2hr

Dump heat cycle +40 93RH10hr

Low temp cycle -15 2hr (after maintaining at -25 for

10 hr)

Temperature 0 to +40

range for full

performane

Operating -15 to +55

temperature

range

Storage -25 to +65

temperature

range

Dimensions 290(H) times 240(W) times 145(D)

(excluding protrusions)

Weight Approximately 7

나 Transmitter Unit

Output power 25W

Reduced outpur power 01 to 1W

Oscillation method Frequency synthesizer

Modulation method Frequency modulation

Occupied bandwidth Within 16

Maximum plusmn5

frequency deviation

Microphone input 600Ω(balanced)

Standard

modulation input -53 m

Frequency

characteristics 6 oct +1-3

Overall distortion 10 or less

Signal-to-noise ratio 40 or more

- 13 -

Spurious emission 25 W or less120757DSC data rate 1200baud plusmn30 times 10-6

modulation method FSK

modulation index 2 plusmn10

Mark signal(Y) 1300 plusmn 10

Space signal(B) 2100 plusmn 10

다 Receiver Unit

Receiving system Double super heterodyne

Intermediate frequency 1st IF 214

2nd IF 455

Local oscillation method Frequency synthesizer

Sensitivity 2 V or less120757Sensitivity(DSC)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the input

level of 0 120757Squelch sensitivity 1 V or less120757Selectivity 12 or more at 6 bandwidth

within 25 with a selectivity of 70

Spurious response 80 or more

Spurious response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DSC)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73 120757

Blocking 90 or more

Blocking(DSC)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μ

level of 93 120757Intermodulation 70 or more

Intermodulation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DSC)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68 120757

Overall distortion 10 or less

Signal-to-noise ratio 40 or more

Rated audio output 2W(4Ω)

External speaker 0 m 600 Ω

output level

- 14 -

Frequency 6 oct +1 -3

characteristics

Radiation 1 nW or less

2 Power Supply Unit

Input voltage AC 100V to 120V (5060 ) or AC 200V to

240V (5060 ) and DC 24V (DC 216 to

312V)

Power consumption AC 100V 2A max(main unit)

AC 220V 1A max(main unit)

DC 24V 55A max(main unit)

Input switching Automatically switched to AC mode during

normal operation and to DC mode when AC

power failure

Output Voltage DC 138V plusmn10

Environmental Same as JHS-31 main unit

test conditions

Dimensions 300(H) times 240(W) times 145(D)

(excluding protrusions)

Weight Approximately 65

3 Remote Controller

Operating and Same as JHS-31 main unit

control items

Display items Same as JHS-31 main unit

Power supply DC 138V plusmn10 supplied from

NQD-1469 power supply unit

Environmental test Same as JHS-31 main unit

conditions

Dimensions 290(H) times 240(W) times 80(D)

excluding protrusions)

Weight Approximately 35

- 15 -

4 DSC Watchkeeping Receiver

가 General Specifications

Operation frequency 156525 (CH 70)

Reception mode G2BF2B

Antenna impedance 50Ω nominal unbalanced

DSC AF signal output 0 m plusmn10 (600 Ω balanced)

Self diagnostics Provided with receiver

overall testing functions

Dimmer 4-step control for dimming illuminations

incl extinction

Environmental test Same as JHS-31 main unit

conditions

Warm-up period 30 sec

Dimensions 145(H) times 140(W) times 145(D)

excluding protuberances

Weight approx 15

Power supply 138 VDC plusmn10

Power consumption 10 W or less

나 Receiver

Receiving system Double superheterodyne

Local OSC Crystal controlled

Frequency accuracy Within plusmn10 times 10

Intermediate frequency 1st IF 208

2nd IF 455

Sensitivity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the input

level of 0 μ

Selectivity 6 bandwidth 12 or more

70 bandwidth 25

Adjacent CH selectivity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μ

level of 73 120757(wanted signal frequency plusmn25 )

- 16 -

Spurious response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73 with application of unwanted120757signals in range of 9 to 2

Blocking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93 with application of unwanted120757signals apart plusmn1 to plusmn10 from the

wanted signal

Intermodulation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68 with application of two120757unwanted signals of plusmn25 and plusmn50

simultaneously

Co-channel rejection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ratio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μ

level of -5 120757De-emphasis -6 (+1 -3 ) octave

characteristic 300 +105 (+1 -3 )

3 -95 (+1 -3 )

at reference frequency of 1

Amplitude characteristic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receiver

of receiver limiter input level of 0 to 100 120757 120757Noise and hum -40 or better

Harmonic distortion -20 or better

Spurious emission 1nW of less

5 Guard Receiver

Receiving mode Simultaneous reception of any two channels

selected from ITUUSA channels

Receiving channels Up to 57 channels

Channel spacing 25

Mode of reeption G3E(F3E)

Frequency accuracy Wighin plusmn10 times 10-6

- 17 -

Receiving system Double super heterodyne

Intermediate frequency 1st IF 214

2nd IF 455

Local oscillation method Frequency synthesizer

Sensitivity 2 V or less120757Squelch sensitivity 1 V or less120757Selectivity 12 or more at 6 bandwidth

within 25 with a selectivity of 70

Spurious response 70 or more

Blocking 90 or more

Intermodulaltion 70 or more

Overall distortion 10 or less

Signal-to-noise ratio 40 or more

Rated audio output 2W(4 )Ω

Frequency

characteristics 6 oct +1 -3

Antenna input 50 unbalancedΩ

impedance

Temperature range 0 to +40

for full performance

Operating -15 to +55

temperature range

Storage -25 to +65

temperature range

Power supply voltage DC 138V plusmn10

(supplied from the NQD-1469 power supply

unit)

Dimensions 290(H) times 140(W) times 145(D)

Weight Approximately 25

- 18 -

제 절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2 DSC VHF

디지틀선택호출장치의 조건1

가 점검 및 보수를 쉽게 할수 있을것

나 전원공급후 분이내에 작동할 수 있을 것 1

다 의 주파수를 쉽게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 것 156525

라 초이내에 송신과 수신을 전환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 것 03

마 이상의 제어기를 갖는 경우에는 의 제어기에 우선권이 주어지는 동시에 다 2 1

른 제어기의 사용상태를 표시하는 기능이 있을 것

바 전원전압이 정격전압의 퍼센트이내에서 변동된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 (plusmn)10

할 수 있을것

사 통상 발생하는 온도 및 습도의 변화 진동 또는 충격이 있는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수있을것

선택호출장치의 선택호출신호의 조건2

가 마크주파수는 이고 스페이스주파수는 일것 이 경우 허용편차 1300 2100

는 각각 로 한다10

나 신호전송속도는 매초 비트일것 이 경우 허용편차는 만분의 으로 1200 100 30

한다

다 시간다이버시티의 시간간격은 초일것 003

송신장치의 조건3

가 공중선전력 와트 이상일 것 6

나 전파의 변조지수 허용편차는 로 한다 F2B 2( 02 )

다 감도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자 1

율이 퍼센트이하일 것1

라 실효선택도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1) 14

상태에서 중간 주파수로부터 희망파의 배의 주파수 희망파주파수의 이3 ( (plusmn)375

내의 주파수를 제외한다 까지 수신기입력전압 밀리 볼트의 무변조 방해파를 인) 447

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1

- 19 -

감도억압효과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2) 14

의 정현파에 의하여 주파수 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기입력전압400 3 44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인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이하일1

마 상호변조특성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 14

희망파 보다 떨어진 수신기 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와 희망파25 25

보다 떨어진 의 정현파에 의한 주파수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50 400 3

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25 1

디지틀선택호출전용수신기 의 조건4

가 통신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통신의 수신기능외에 통신의 내용을 볼 수있도록 하

는 기능이 있을것

나 조난통신 또는 긴급통신을 수신한 경우에는 수동으로만 정지시킬 수 있는 특별

경보기능이 있을것

다 수신한 조난통신의 내용을 즉시 인쇄하거나 개이상의 조난통신을 기억할 수 20

있어야 하되 기억한 내용을 일정시간 보존할 수 있을것

라 본체의 보이는 곳에 수신주파수를 표시할 것

마 전원공급후 분이내에 작동할 수 있을것 1

바 전원전압이 정격전압의 퍼센트이내에서 변동된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plusmn)10

수 있을 것

사 통상 발생하는 온도 및 습도의 변화 진동 또는 충격이 있는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수 있을것

아 감도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자율 1

이 퍼센트 이하일 것1

자 실효선택도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1) 14

상태에서 중간 주파수로부터 희망파의 배의 주파수 희망파주파수의 이내3 ( (plusmn)375

의 주파수를 제외한다 까지 수신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를 인접) 447

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1

- 20 -

감도억압효과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2) 14

의 정현파에 의하여 주파수 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기입력전압400 3 44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인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1

차 상호변조특성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 14

희망파 보다 떨어진 수신기 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와 희망파25 25

보다 떨어진 의 정현파에 의한 주파수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50 400 3

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25 1

- 21 -

제 절 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3 DSC VHF

일반적 조건1

가 취급이 용이한 것일 것

나 에서 까지의 숫자 입력판을 갖는 경우에는 그 숫자의 배열은 국제전신전화자 0 9

문위원회의 권고 에 의한 것일 것E161

공중선의 단선 또는 공중선 단자의 단락으로부터 보호수단을 가질 것

과전류 과전압 전원의 과도변동 및 전원극성의 우발적인 반전으로부터 보호수단이

있는 것일 것

노출된 금속부분은 접지하는 것이 가능할 것

전원단자는 접지되어 있지 않을 것

전원 볼트를 초가하는 전기 고주파의 것을 제외 를 통하는 도전부는 용이하게 노55 ( )

출이 되지 않도록 다음의 어느 조건에도 적합한 차폐체를 갖고 있는 것일 것

차폐체를 개방한 때는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되는 구조일 것(1)

차폐체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공구를 필요로 하는 구조이고 또는 고전압에 대한(2)

주의사항이 표시되어 있을 것

다 통상의 설치된 상태에서 제조자명 형식명 및 제조번호가 명확하게 판독 가능하

도록 외부에 표시되어 있을 것

라 장치의 일부를 가열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급전후 분이내에 일정온도에 달하 30

는 것일 것

다만 가열회로에 공급하는 전력은 다른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치단에 의해

절단되지 아니할 것

마 전원공급후 송신장치의 일정분에 전압의 공급을 지연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는 그 지연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것

디지틀선택호출장치의 조건2

선박의 위치 및 위치를 결정한 시각의 자동입력 기능을 갖는 경우에는 동기능의

고장이 장치의 다른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

가 선택호출 신호의 구성

조난경보등 조난경보 조난경보에 대한 응답 조난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1) (

중계에 대한 응답을 말한다 이하 같다 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및 무선설비의 기기 )

의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이하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이외의 선택( ldquo rdquo )

호출신호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1

- 22 -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2) 2

조난 경보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 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3) 3

일 것

조난 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 중계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4)

성을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4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5) 5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오류검정부호를 제외한다 에 사용하는 단위 부호는(6) (dot ) 10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6

나 선택호출신호의 송출조건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오류검정부호를 제외한다 의 송출은 최초의 송출과 반(1) (dot )

복송출과의 사이에 개의 코드가 놓아진 방식일 것4 Time Diversity

선택호출신호의 반복송출은 다음과 같은 것일 것(2)

가 조난경보를 연속하여 송출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조난 경보를 최후의 신호와( )

다음에 송출되는 조난경보의 신호와의 사이를 가격없이 송출가능한 것일 것dot

나 디지탈선택호출통신망을 위한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호출( )

또는 응답의 선택호출 신호의 경우는 별표 에 따라서 회를 초과하지 않는 회수를7 4

반복하여 송출가능할 것

다 가 및 나 이외의 경우는 반복하여 송출이 가능하지 않는 것일 것( ) ( ) ( )

다 선택호출신호의 수신조건

조별 의 장치는 제 호에 규정한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1) (class) A 2

읽어냄이 가능할 것

조별 의 장치는 다음의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표시하는(2) (class) B

것이 가능할 것

가 제 호에 규정하는 선택호출신호중 종별 의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것( ) 2 (class) B

나 포맷 신호가 해역호출인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것( ) (format)

다 제 가 수신되지 아니할 것( ) 1 Telecommand

해안국의 장치는 제 호에 규정하는 선택호출신호 해안국의 장치의 것을 제외(3) 2 (

한다 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읽어냄이 가능할 것)

- 23 -

별표 선택호출신호 조난경보등을 위한 것 및 시험을 위한 것은 제외한다 의[ 1] ( )

구성

dot신 호

동 기신 호

Format신 호

Address신 호

Category신 호

자국의식별신호

정 보신호1

정 보신호2

정 보신호3

종료신호

오류검정신호

주( 1) 주( 2) 주( 3) 주( 45및6)

주( 7) 주( 8) 주( 9) 주( 10) 주( 11) 주( 12) 주( 13)

주( )

중단파대 및 단파대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하는 장치의 선1

택호출신호 이하 중단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에 있어서 선박국을 호출하( ldquo rdquo )

기 위한 선박호출신호의 경우는 비트 선박국에서 해안국으로 호출 및 응답하기200

위한 선택호출신호 및 국제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 계기하는 주파수18

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 하는 장치의 선택호출신호 이하 대 선택( ldquoVHF

호출신호 라 한다 의 경우는 비트일 것rdquo ) 20

표 에 나타내는 코드번호를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하는 것일 것2 8 9

호출의 종류를 나타냄에 있어서 다음의 장치마다 별표 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3 8

류를 표시하는 개의 동일 코드번호일 것2

종별 의 장치 선박국의 장치에서 별표 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류를 사용(1) (class)A ( 8

가능한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

종별 의 장치 선박국의 장치에 있어서 동표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류 중(2) (class) B (

해역호출 및 공통관계를 갖는 선단의 호출을 제외한 것의 사용이 가능한 것을 말한

다 이하 같다 )

해안국의 장치 동표에 게기한 호출의 종류중 조난경보 및 개별국의 반자동 또(3) (

는 자동접속호출을 제외한 것의 사용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

신호가 조난경보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는 상대국 식별4 Format

신호로 하여 선박국식별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 구성되는[0]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신호가 조난경보 또는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선택호출에 있어서는 사용5 Format

하지 않을 것

신호가 해역호출의 경우 종별 의 장치는 제외한다 는 별표 에 따라서6 Format ( B ) 11

해역을 자리 의 숫자를 표시하고 별표 에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통보의 우선순위 또는 종류 신호가 모든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통상업무7 (Format

및 선박업무를 제외한다 를 별표 에 따라 개의 코드번호에 코드화한 것일 것 다) 8 1

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 선박업무를 제외한 것으로 하고 또한 신 (class) B Format

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통상업무를 제외한 것일 것

- 24 -

자국의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8 [0]

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제 및 제 의 정보로 하여 별표 에 따라서 각각 개의 코드번9 1 2 Telecommand 8 1

호에 코드화한 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제 (class) B 1

를 다음과 같이하고 제 코드번호가 일 것Telecommand 2 Telecommand [126]

중단파대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하는 장치의 선택호출신호 이하(1) (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는 신호가 개별국의 호출일때에는 코드번ldquo rdquo ) Format

호 또는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일[119] [111] [118] Format

때에는 코드번호 또는 일 것[109] [111] [111]

선택호출신호는 신호가 개별국의 호출일 때에는 코드번호(2) VHF Format [100]

또는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일 때에는 코드번호[101] Format

또는 일 것[100] [101] [105]

다음의 방식일 것10

호출에 이어 계속 통신에 사용하는 송신 및 수신을 위한 주파수 또는 채널을(1)

나타내는 선택호출신호는 송신파 및 수신파의 순으로 별표 에 코드화한 것일 것12

다만 주파수 또는 채널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송신파 또는 수신파마다에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126]

선박의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선택호출신호는 코드번호 및 다음에 의거 표(2) [55]

시되는 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 자리숫자를 별표 에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가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가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나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부터 제 번째까지의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표시한다

제 가 선박의 위치인 호출에 대한 응답 이하 선박위치응답 이라(3) 1 Telecommand ( ldquo rdquo

한다 을 위한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의 가 및 나 에 의해 표시하는 선박의) (2) ldquo rdquo ldquo rdquo

위치를 나타내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코드화한 것 및 그것에 계속코드번호10 10

일 것[126]

에서 이외의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4) (1) (3) 6 [126]

선박위치응답의 경우 종별 의 장치를 제외한다 및 신호가 개별11 ( (class)B ) Format

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에만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각각 다음의 방

식일 것

선박위치응답의 경우는 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 국제표준시로 한다 이하 같(1) (

다 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2 10

개의 코드번호로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는 개2 2

의 코드번호 일 것[88]

- 25 -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는 아날로그 전화용(2) Format

설비와 접속하기 위한 번호 이하 전화번호 라 한다 등의 네트워크번호를 표시하는( ldquo rdquo )

것으로 하고

네트워크번호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코드번호를 짝수의 경우는 코드번호[105]

과 네트워크를 별표 에 준하여 개부터 개까지의 수의 코드번호로 코드화[106] 10 2 9

한 것일 것

응답을 필요로 하는 호출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응답12 [117]

을 위한 선택 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및 이외의 경우는 코드번호[122] [127]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 다만 신호가 모13 Format

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 코드번호 일 것[127]

오류검정부호는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정보비트 및 제 번째에서 제13 1 7 8

번째까지의 검정비트로부터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생성되는 각 비트10

의 및 이 각각 별표 에 표시하는 및 에 대응하는 단위 부호로[0] [1] 6 [B] [Y] 10

하여서 송출되는 것일 것

정보비트의 각 비트는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동기신호를 제외한다 의 모든(1) (dot )

코드번호 신호 및 종료신호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로 한다 에 대응하(Format 1 )

는 부호의 비트 위치마다 최하위 비트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다만 를 를 B 0 Y 1

로해서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검정비트는 정보비트의 의 수를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B 2

별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해안국의 장치는 제외한다[ 2 ] (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자국 의식별신호

주( 4)

조난종류 의정보신호

주( 5)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

주( 6)

시각정보신호

주( 7)

Tele-command정보 신호

주( 8)

종료신호

주( 9)

오류검정신호

주( 10)

주( )

중단파 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는 비트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비1 200 VHF 20

트일 것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2]

자국의 선박국 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4 [0] 10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조난의 종류를 표시하는 것으로 하여 별표 에 따라 개의 코드번호로 코드화한5 8 1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 (class) B 1 107

- 26 -

조난선박에 위치를 다음과 같이 자리의 숫자로 표시 하는 것으로 별표 에6 10 10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조난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것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99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1)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는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2)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한다

조난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것7 2

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개의 코드번호에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 10 2

를 포함하지않는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88]

계속하여 행하는 통신의 형식을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통신장치가 무선전화 또8

는 협대역직접 인쇄전신장치인 제 를 별표 에 개의 코드번호로1 Telecommand 8 1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방식일 것 (class) B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 일 것(1) 1 [109] [111]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VHF 1 [100]

코드번호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하는 것일 것9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별표 조난경보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선박국의 장치를[ 3] (

제외 )

dot신호

주( 1)

동기신호

주( 2)

For-mat신호

주( 3)

Cate-gory신호

주( 4)

자국의식별신호

주( 5)

Telec-ommand정보신호

주( 6)

조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7)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 8)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 9)

시각정보신호

주( 10)

Tleco-mmand정보신호

주( 11)

종료신호

주( 12)

오 류검 정신 호

주( 13)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6]

별표 의 주 과 같은 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4 1 7 [112]

자국의 해안국 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숫자를5 [0] 10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6 1 [1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일 것7

- 27 -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종류의 정보신호일 것8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일 것9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시각정보신호일 것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정보신호일 것11 Telecommand

코드번호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2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3 1 13

별표 조난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 중계에 대한 응답을 위한[ 4]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dot신호

주(1)

동기신호

주(2)

For-mat신호

주(3)

Addr-ess신 호

주( 4및56)

Cate-gory신 호

주(7)

자국의식별신호

주(8)

Telec-ommand정보신호

주( 9)

조 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10)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11)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12)

시각정보신호

주(13)

Tleco-mmand정보신호

주( 14)

종료신호

주(15)

오류검정신호

주(16)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별표 의 주 과 같다 코드번호 이외의 것으로 한다3 1 3 ( [112] )

신호가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에는 상대국의 식별신호4 Format

로 하고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0] 10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5 Format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6

별표 의 주 과 같은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7 1 7 [112]

별표 이 주 과 같다8 1 8

개의 코드번호 일 것9 1 [112]

수신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 또는 수신한 조난경10

보의 중계의 조난선박국의 식별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종류의 정보11

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선박의 위치12

정보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시각정보일 것13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14 Telecommand

정보신호일 것으로 한다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것으로 하 (class) B

는 것이 가능할 것

- 28 -

중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1) 1 [109] [111]

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2) VHF 1 [100] [101]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코드번호 개별 해안국 앞15 Format [127]

으로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에는 코드번호 로서 별표[122]

의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3

별표 의 주 과 같다16 1 13

별표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대 선택호출신호를 제외한다[ 5] (VHF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Address신 호

주( 4)

Category신호

주( 5)

자국의식별신호

주( 6)

정 보신 호1

주( 7)

정 보신 호2

주( 8)

종 료신 호

주( 9)

오류검정신 호

주( 10)

주( )

비트일 것1 200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20]

상대국의 식별신호로서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이에 계속되는 으로서4 [0]

구성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1 [108]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8

각 개의 코드번호 및 일 것7 1 [118] [126]

개의 코드번호 일 것8 6 [126]

코드번호 또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9 [117] [122] 13

일 것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 29 -

별표 선택호출신호의 단위부호[ 6] 10

는 스페이스주파수 는 마크주파수로 대응하고 비트위치의 에서 송출된다B Y 1

협대역 일때MFHF B=1785 Y=1615

대역 일때VHF B=2100 Y=1300

- 30 -

별표 반복송출의 순서[ 7]

주 기호 는 선택호출신호의 종료신호를 표시하고 기호 는 에서 까( ) H DX RX0 RX7

지가 반복송출되는 선택호출신호의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31 -

별표 코드번호 의 용도[ 8] (100-127)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00 통상업무

화재 또는폭발

또는F3단신G3E

무선전화 이유없음 주( 3)

101 침수 또는F3복신G3E

무선전화 해사교환 센터의혼잡 주( 3)

102 해역호출

충돌 미확정주( 1)

통화중 주( 3)

103 좌초 Polling 대기행렬표시주( 3)

104 의RXO위치의동기신호

경사 및전복의위험

수입불가주( 2)

폐국 주( 3)

105 의RX1위치의동기신호

침몰 호출의 종료주( 4)

의 부재Operator주( 3)

106 의RX2위치의동기신호

선박업무주( 5)

조선불능으로 표류

데이터주( 6)

변복조장치

의Operator일시적 부재 주( 3)

107 의RX3위치의동기신호

기타의조난

미확정주( 1)

장치의 운용불가주( 3)

108 의RX4위치의동기신호

안전 선체의방치

미확정주( 1)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09 의RX5위치의동기신호

J3E 무선전화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10의RX6

위치의동기신호

긴급 조난경보에대한 응답

무력분쟁의당사국이 아닌것을 표시하는선박 및 항공기주( 7)

111 의RX7위치의동기신호

H3E 무선전화 위생수송체 주( 7)

112 조난경보

조난 조난자동통보설비(주 의9)시동

조난경보의중계

공중전화사무소주( 8)

- 32 -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13또는F1B방향오J2B(1

류정정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미확정 주( 1)

114

공통관계를 갖는선단의호출

미확정 주( 1) 미확정 주( 1)

115또는F1B자동재송J2B(

요구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데이터 주( 11)

116모든선박호출

또는F1B J2B수신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2)

11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18 시험 데이타 주( 14)

119또는F1B수신J2B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5)

120개별국의호출

A1A 테이프레코더

데이터 주( 16)

121 선박의 위치 데이타 주( 17)

122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3

개별국의반자동또는자동접속호출

A1A 전건 및핸드셋(Handset)

데이터 주( 18)

124또는F1CF2C

F3C팩시밀리장 데이터 주( 19)

125의DX

위치의동기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6 정보없음 정보없음 주( 20)

12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주( )

앞으로의 사용을 위하여 유보한다1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2 [100] [109] 2 Telecommand

코드번호 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3 [104] 1 Telecommand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 시스템에만 사용한다4

- 33 -

선박의 항해 운항 필수품에 관한 통신과 정부의 기상업무기관으로 보내는 기5

상 관측 통보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6 [115] [124] 2 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을 제외하고 제7 [104][105][106][110][112] [118] 1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의 제 와 조합하여8 [100][101][109][115] [124] 1 Telecommand

사용한다

수색구조용 레이다트랜스폰더를 제외한다9

무선설비규칙의 제 조의 에 정하는 것으로 한다10 69 4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1 (V21)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2 (V22)

앞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1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4 (V2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5 (V2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6 (V1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7 (V26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8 (V27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9 (V32)

코드번호 를 제외하고 제 와 조합하여 사20 [104][110][112] 1 Telecommand

용한다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 코드번호는 중단21 Format

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에서 까지 [102] [124] ([110][112][117]

및 를 제외한다[122] )

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및VHF [100][101][104][105][106][121]

일 것[124]

별표 동기신호의 송출순서[ 9]

주 기호 및 에서 까지가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DX] [RXO] [RX7]

- 34 -

별표 자리 숫자의 코드 변환표[ 10] 10

자리의 숫자10

십억D2

억D1

천만D2

백만D1

십만D2

만D1

천D2

백D1

십D2

일D1

코드5 코드4 코드3 코드2 코드1

주( )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1 1

및 은 자리 숫자의 자리 숫자 에서 까지를 표시하고 각 코드는2 D2 D1 10 2 00 99

그 자리의 십진수를 코드번호로 한다2

숫자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최상위 자리수의 숫자 앞에 을 포함할 것3 0

별표 해역의 표시방법[ 11]

해역의 표시는 다음과 같은 것

선정되는 지리상의 해역은 메르카토르 도법의 직사각형으로 표시할1 (Mercator)

직사각형의 북서를 해역의 기준점으로 할 것2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존재하는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3 1

으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0] [1] [2] [3]

할 것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위도를 표시할 것4 2 3

제 번째에서 제 번째가지의 숫자는 기준점의 경도를 표시할 것5 4 6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남북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6 7 8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동서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7 9 10

표에 표시하는 해역 및 의 표시의 예는 다음과 같을 것8 ab c

기준점이 북위 도 및 서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1) 10 25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20 35 a

1 1 0 0 2 5 2 0 3 5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2) 10 10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10 10 b

2 1 0 0 1 0 1 0 1 0

- 35 -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3) 12 12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4 7 C

2 1 2 0 1 2 0 4 0 7

별표 주파수 및 채널정보의 코드변환표[ 12]

주파수0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주파수를 의 배수로서 숫자의 십100

만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다 1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2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채 널

3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중단파대 또는 단파대의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 다

8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별도로 정한 채널로 한다

9 0 times times times times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18게기하는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천 백 십 및 일의 숫자로 표시한다

십만 만 천 백 십 일

코드3 코드2 코드1

주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 ) 1

- 36 -

별표 종료신호의 송출순서[ 13]

주 기호 가 종료신호를 표시한다( ) H

- 37 -

제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3

제 절 송수신장치1 DSC VHF

시스템 개요1

본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모든기능을 충족하는 일체형과 전화용 복신방식의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호출 및 수신제어장치 로구분된 독립형 으로 구분되며 DSC DSC

이는 외형상의 구분이며 그주요기능별 구성은 각각의 유니트로된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표시 및 제어장치 와 전원부 로 구분되며 이것들은 다시 하나의DSC

케비넷 또는 독립된장치로서 구성된다

시스템 구성2

장비의 개요 및 특징3

가 개요

본 송수신기는 항만내 또는 연안에서 해안국과 선박국 또는 선박국 상호간VHF FM

의 해상이동업무 통신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기로서 이내의 해상156 ~162

이동 무선통신업무용의 전 을 수용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전파관리법 및CHANNEL

등 국제규격에 적합하도록 설계 제작된 기기로서 전세계ITU SOLAS USA USCG

어느곳에서나 규정에알맞게 사용할 수 있는 국제항만 무선전화기용 무선 송수신기

를 제작한다

- 38 -

나 특징

소형 경량화로서 좁은 장소에 설치가 용의하게 되어 있어야 한다(1)

송신각 각 방식을 채용하였으며 국제 항만 무선전화(2) DIRECT SYNTHESIZER

인 를 수용해야 하며 그외 개의CHANNEL 55(114) CHANNEL 105(527) FREE

이 수용되어 있어야 한다CHANNEL(SIMPLEX)

주 국제 중 미국연안에서 단식방식으로 절환 사용되고 있는1 CHANNEL 55(114)

을 사용 할 수 있을것USA CHANNEL(SIMPLEX)

주 별도의 기상수신 을 수용하고 있어야 한다2 WEATHER CHANNEL( )

USA 3 CHANNELS

CANADIAN 1 CHANNEL

OTHERS 5 CHANNELS

원격조정 회로의 내장으로 본기기의 판넬스위치와는 상관없이(3) REMOTE ( ) HAND

만 으로도 판넬 스위치 조작에 필요한 모든기능을 할 수 있고SET CONTROL VHF

의 원근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어야 한다SET

기능이 첨부되어 있어 미국연안 경비대 의 의무 청취(4) DUAL WATCH USCG( )

인 과 의 개의 을 동시에 수신할 수CHANNEL CH 13 CH 16 2 CHANNEL SCANNING

있으며 과 사용자가 선택하는 임의의 을 동시에CHANNEL 16 CHANNEL SCANNING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에 경보신호 기능의 내장으로 비상시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5) CH 16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국제 개 및 을(6) SCAN CHANNEL 55 FREE CHANNEL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SCANNING

안전통신에 지정되어 있는 은 우선 사용할 수 있도록(7) CHANNEL16 1 STEP

로 되어 있어야 한다SWITCH

국제 해상 인명 안전조약 에 정한 규격으로 되어 있어 전세계 어느곳의(8) SOLAS( )

규정에도 적합하며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구 성4

본 기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가 송 수신기 본체 대 1

나 HAND SET 1 SET

다 WHIP ANTENNA 1 SET

라 벽걸이형 SPEAKER 1 SET

마 전원 공급기 1 SET

- 39 -

규 격5

주파수 및 규격은 현재의 통신방식이며 정보통신부의 고시가 발표되면 협대역(125

로 변경한다)

가 일반사항

사용주파수 범위(1)

송 신 156025 ~ 157425 수 신 (SIMPLEX) 156025 ~ 157425 수 신 (DUPLEX) 160625 ~ 162025 기상수신 (WEATHER) 161650 ~ 162550

사용(2) CHANNEL

A International 55 (114) CHANNELSB USA 25 CHANNELSC FREE 105 (527) CHANNELSD WEATHER 9 CHANNELS

USA 3 CHANNELSCANADIAN 1 CHANNELOTHERS 5 CHANNELS

통신 방식(3) SIMPLEX amp DUPLEX

전파의 형식 전화(4) 16KOF3E( G3E DSC F2BG2B)

주파수 편차(5) 0001 (10 PPM)

사용 온도범위 부터(6) -10 + 50

예열 시간 전원 접속후 즉시 사용가능(7)

공칭(8) ANTENNA IMPEDANCE 50 ohm ( )

공급 전원(9)

전 압 136V plusmn 10전 류 수신시 800

송신시 5A전원 공급기 별도( ) 단상AC115V AC220V 60

부터 까지DC 15V 35V

나 송 신 부

정격 출력(1) HIGH -25 W

LOW - 1W

주 공중선 전력 저하장치로 이하 저하기능 보유1 1WATT주 단 보호 인 및 가 아님 은 송신이2 CHANNEL 7576 1 ~9(01 ~09 )CHANNEL되지 않음 기상수신대의 사용법은 본문 참조 ( )

- 40 -

발진 방식(2) SYNTHESIZER CONTROL SYSTEM

변조 방식(3) FREQUENCY MODULATION

점유 주파수 대역폭(4) 16 (8)

최대 주파수 편의(5) 5 (25)

복사강도 이상(6) SPURIOUS 70

변조 주파수 특성(7) 6 (plusmn 3 ) OCTAVE PRE-EMPHASIS)

(300 ~ 3 )

변조시 이하(8) DISTORTION 1 70 -20

신호 대 잡음비 변조시 이상(9) 1 70 40

저역 여파기 특성 이상에서 이상 감쇄(10) 3 -40log f3( ) (f = )

다 수 신 부

수 신 방 식(1) DOUBLE SUPERHETERODYNE SYSTEM

감 도(2) 이하 신호 대 잡음비 에서 025 V ( 20 )μ

감도(3) SQUELCH 이하 02 Vμ

국부 발진 주파수(4) 1lsquost LOCAL FREQUENCY

RECEIVER FREQUENCY - 214

2nd LOCAL FREQUENCY 10945

중간 주파수(5) 1lsquost IF FREQUENCY 214

2nd IF FREQUENCY 455

선 택 도(6) 저하폭 이상 6 12 (6)

저하폭 이하 70 25 (125)

(7) SPURIOUS RESPONCE 이상 70

감도 억압 효과(8) 이상 80

상호 변조 특성(9) 이상 65 ( 20 40 )

주파수 특성(10) 6 (plusmn3 )OCTAVE DE-EMPHASIS)

( 300 ~ 3 )

신호 대 잡음비(11) 변조시 이상 1 60 40

(12) DISTORTION 변조시 이하 1 70 -20

저주파 출력(13) 이상 1 WATT (IMPEDANCE 8 ohm)

- 41 -

제 절 차년도 개발 범위2 1

제 차년도 개발범위는 기초자료조사와 규정의 연구에 따라 기초회로의 설계 후1

사용부품을 시험하고 각 의 제작 및 시험 연이은 성능미달 의 차 차PCB PCB 2 3

차 재제작 시험을 완료하고 시스템의 설계까지이며 그 세부적인 개발범위는 다음4

과 같다

송수신장치 개발을 위한 제규정 수집 연구1 DSC VHF

기초자료 조사2

가 장비에 대한 기능특성 수집 연구

나 사용자 및 선박통신사의 요구사항에 대한 자료 수집 연구

다 외국장비와 비교 분석

라 부품규격 시험 및 선정

3 HARD WARE

가 고주파 필터코일 재질분석 및 각종코일 설계

나 제작 PCB

송신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1) PCB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시험(2) PCB

수신부회로 제작 시험(3) PCB

신세사이즈 회로 제작 시험(4) PCB

제어장치 제작 시험(5) PCB

표시장치 제작 시험(6) PCB

원격제어기 제작 시험(7) PCB

전원공급부 제작 시험(8) PCB

제작 시험(9) HAND SET PCB

전용수신기 제작 시험(10) DSC PCB

- 42 -

제 장 제 차년도 개발 항목 보고4 1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본 장비를 개발함에 있어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및 부품선정이 개발의 핵심 과제

로 생각하였다

기초자료는 기존 시스템분석과 전파관련법령을 기초하였고 주변회로는 관련된 회

로집을 분석하였으며 부품선정은 폐품종 여부와 수급이 용이하면서 견고하고 증폭

도 및 성능이 우수한 품종으로 장시간 시험을 거쳐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송신부 제작시험2

송신 출력회로 결정 회로설계 완료하여 각부 부품 구입 회 내구성 시험 및SPEC 30

구룹별 장시간 부품 부하 시험등 최종목표 성능을 확보하기위한 제반 기초 제작시

험을 완료 하였으며 주요 내용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의 발열상태등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의 높은 출력으로 증폭하는 송신전(VHF ) 25W

력 증폭기로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높은 고주파전력에 견딜수있어야 하고 열

에의해 발생되는 열잡음이 적으야하며 열에의한 부품의 열화 및 특성의 변화가 적

은 부품을 사용여야 하므로 온습도시험 과 과출력 시험을 통하여 사용될 부품을 시

험하였다

특히 고조파 필터회로 부품인 코일은 동선에 전도율이 좋은 재질로 도금하여 사용

하여야 하며 고조파필터회로 의 차폐용 재료도 동판에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도금

하여 사용 하여야 한다

나 송신 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PCB (PCB NO V-097)

개발과정에서의 설계변경 및 생산시스템의 전산화 에 적용 할수있도록 회로 설계는

물론 설계 회로기판 도안 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설계완료된 는PCB ( ) CAD DATA

회로기판 제작장치 외주 작업 및 부품삽입기 자사 작업 에 직접 컴퓨터용 디스켙( ) ( ) (

으로 입력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회로에 높은 고주파전류가 흐르므로인하여 빌진할 가능성 및 잡음발생의 우려PCB

가 많으므로 특히 부품배치에 유의하여 설계하였으며 송신신호 발생회로 또는 전원

회로 와의 배선은 관통형콘덴서등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였다

회로에 사용되는 코일은 각 코일간에 간섭을 줄이기위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설정하

였으며 전체를 차폐하고 또 고조파 필터회로를 구분하여 차폐하여 제작 하였PCB

- 43 -

또 안정된 출력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회로를 장치하여 설정된 출력 이상의ALC

출력을 제한한다

다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PCB (PCB NO V-096TX)

설계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이 는 미약한 고주파 신호를 발생 변PCB CAD PCB

환 증폭 하므로서 송신부 또는 외부로 부터의 잡음 유입과 내부잡음 발생에 유의

하여 설계되었으며 불요복사 억제에 유의하였다

라 성능시험

메칭상태 시험(1)

옴 파장 수직형 안테나 를 사용할수 있도록 시험하였으며 차적인 시험은 의50 12 1

사부하에 의해 시험하고 의사부하 안테나에 정상적인 메칭이 된 후 실제 사용 안테

나에 확인시험 하였다

이 시험에서 양질의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장치는 물론 안테나의 성능이 중

요하며 인접한 고전력 안테나 및 낙뢰로부터 안정성 등을 감안하여 안테나는 VHF

대역 이하의 주파수에 대하여 쇼트형 안테나가 바람직 하다

기존 시스템의 이상의 성능 확보(2) 90

송신부의 주기능으로서 양질의전파를 안테나로 공중에 발사하는 장치로서 주피수안

정도 고조파억압 불효전파억제 안정된전력 안정된 주파수편이 낮은 왜율 등의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시험결과는 기존의 제품의 특성에 가까운 성능을 확보

하였으나 안테나공용기 복신통신용 필터 특성의 개선및 송신부 관련부품의 배치를( )

개선하므로서 보다 좋은 성능을 확보 할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신부 제작시험3

수신부는 안테나입력회로 입력동조회로 단신통신 및 복신통신 각 주파수 대역 필 (

터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로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 1 1 2 2

로 대역필터회로 신호제한 리미터 회로 복조회로 무신호잡음 차단 회로 저주 ( ) FM

파 증폭회로 및 국부발진회로 로서 구성되나 국부발진회로는 잡음의 발생및 유입

주파수안정도 등을 감안하여 별도의 로서 제작하였으며 그외 수신부와 관련한PCB

내용은 다음과 같다

- 44 -

가 사용부품의 구입 및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증폭과 변환을 반복하여 요구되는 신호(VHF )

를 복조하여 기청음 또는 의 문자표시로 출력되게 하므로서 안정된 주파수 및DSC

증폭이 요구되므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당연히 고주파특성에 유의하여 주파수

차에의한 특성변화 열잡음 및 고주파잡음 능동소자등의 직선성 등이 교려되어야하

므로 항온항습시험과 과전류에의한 잡음발생의 시험 등 을 거처 엄선한 부품으로

설정사용 하였다

특히 회로의 선택도 코알의 값 를 높이기 위하여 가 높은 트랜스 재료를 사용하( Q ) Q

였다

다 수신부회로 제작 PCB (PCB NO V-096RX)

위 항에서의 시험에 의해 선택된 부품을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며 수신부의 특성31

상 잡음의 발생보다는 잡음의 유입에 유의하여 설계되었으며 안정된 증폭 특성 수(

신감도 을 얻기위하여 중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회로기판은 에폭시) 2

수지 양면인쇄동판을 사용하여 부품삽입면은 대부분 공통단자로 이용하여 부품간의

간섭을최소화 하였다

다 수신부 특성시험

수신부 특성상 수신감도 주파수안정도 왜율 통과대역폭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감도억압비 혼변조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신호대 잡음비 일 때의 수신감 20

도 성능이 확보되며 기타 여러 가지 특성도 최종목표 특성에 가까운 성능이05

확보 되었으나 까지 수신감도가 향상되도록 성능개선이 요구된다025 V 120757

신세사이즈부의 회로의 안정도로 인하여 국부발진 신호의 흔들림현상이 있어VCO

통과대역폭 및 잡음발생의 원인이되어 신세사이즈회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신세시이즈회로는 크게 수신국부발진 신호용과 송신신호용으로 구분되며 단신통신

과 복신통신방식일때 각각 동작할수있는 구성으로 설계되었으며 그 내용별로 구분

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전압제어발진기 에 사용되는 부품은 온도 및 전압변동에 특성의변화가 극히(VCO)

적어야하며 외부로부터 정전 및 자계영향이 크므로 회로를 별도로 정전 및 자VCO

계로부터 차폐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혼변조 및 잡음신호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파수선택 표준신호 등 시 수신( )

대역 및 송신대역에 영향이 없는 주파수로 하였으며 가능한 레벨을 제외한 신(TTL

호 파형의 왜율이 적은신호로서 각회로신호를 사용하여 결합하였다)

- 45 -

나 신세사이회로 제작 (PCB NO V-096PLL)

이회로 기판은 여러종류의 신호들이 발생 혼합 증폭 비교 되므로 각부품 간의 배

치에따라 잡음발생의 정도가 크게 좌우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였으며 회로는 외VCO

부영향에 민감하게 작동되므로 차폐 에 유의하여 부품의 배치 적절하게 하였으며

잡음발생을 유의하여 부품을 선정하였다

다 성능시험

이회로의 특성상 주파수안정도 주파수의 흔들림 위상비교기의 비교속도 등에 유의

하여 시험하였으며 여러가지 일반적인 특성은 최종목표사양에 만족될 수 있는 신호

원을 공급할수 있었어나 주파수의 흔들림 현상이 있어 회로의 부품 및 차폐에VCO

개선이 요구된다

제어장치 제작시험5 (PCB NO V-263)

이회로의 주요부품으로서 를 사용하여 당개발과제의 송수신 및 외부V25 CPU DSC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며 아울러 본체 전면표시기와 스윗치 입출력 기능도 한다

이회로의 주요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스 읽기전용 메모리 읽고CPU( ) ROM( ) RAM(

쓰기 메모리 직렬통신용 입출력 병렬통신 입출력 아날로그 디지) SIO( ) PIO( ) AD(

탈 변환기 스윗치입력 표시기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개발 내용은 다음과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에 사용되는 부품은 대부분 디지탈신호를 처리하여 회로로서 및TTL IC

로서 구성되며 저소비전력 및 고속처리능력이 요구되므로 주로 고속용C-MOS IC

중 형 를 사용 하였으며 장치의 초기설정 및 기능 설정의C-MOS(C-MOS IC HC )

변경등 의 목적으로 은 충전형 밧테리로서 메모리내용을 전원의 에 관RAM ONOFF

계없이 유지하도록 하였다

외부 제어기 등 와의 통신용 의 통신속도를 또는 등으로(DSC ) RS-232C 2400 4800

변경 설정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변환기 등을 이용하여 자기진단을 할수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장비의 유지및AD

보수에 많은 도움이된다

- 46 -

나 성능시험

운용시험(1)

이회로의 특성상 전기적 특성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특성 및 성능이 요구되므로 운

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이부분에 대한 시험은 개발자입

장이 아닌 운용자가 시험하여야 하는 관계로 선박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사용자에게

의뢰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로서는 기능면에서는 양호하나 사용상 복잡한 면이 있어 보다 조작 을 간편

히 할수있도록 개선할 필요가있는 것으로 본다

표시장치 시험(2) (PCB NO V-260)

본장치의 사용상 필요한 기능 및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내용과 기기 동작

상태의 일치성이 요구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온습도 및 장기시험 으

로서 확인하였으며 여러 가지 표시장치중 각각 중단점이 나타낮다

즉 액정 표시기 표시기는 저소비전력이며 주위가 밝은곳에서 사용이 가능 하LCD( )

나 반면 온도특성이 나쁘며 형광표시관 표시기는 온도특성은 양호하나 소비전 VFD( )

력이 대체로 높고 보다 낮고 보다 많음 수명이 낮다는 단점이있으며(FND LCD )

발광 다이오드 표시기는 모든면에서 대체로 양호 하나 잡음발생 이많으며 밝FND( )

은곳에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외 여러 가지의 장담점을 검토하여 차적인 결론은 표시기가 적합한 것으로1 LCD

본다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최소의 전기적신호 연결로서 최대의 기능제어및 속도가 요구되는 장치로서 저주파

신호의 입력 마이크 신호 및 출력 스피크 신호 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 제어는( FS ) ( )

직렬통신 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였으며 장거리 일반 공용통신망 을 이(RS-232C)

용할수도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요 구성은 중앙제어장치 스윗치입력 장치 표시장치 메모리장치 직렬통신장치

로 구성되며 그 상세한 개발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의 대부분이 디지탈신호의 처리회로로서 구성되므로 제어장치 의 사용 부품ldquo rdquo

시험 및 선정기준과 같으며 장거리운용상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신속도를

알맞게하며 장거리통신 선로에서 유기되는 잡음을 최소화 하기위한 필터회로 및

소프트웨어적인 오류정정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별도 설계 사용 하였다

- 47 -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V-170)

이장치는 사용상 편리하여야 하므로 소형 경량 으로 제작 하였으며 차적 기능 시 1

험을 목적으로 외형 보다는 성능을 우선하여 시험용으로 제작하였다 이장치의 시

험은 전용케이블 을 이용하여 시험하였고 또 일반 공용통신용 전화 선로를 통하여

원거리 시험을 하였으며 그결과로서 통신속도가 까지 양호하게 동작되나2400bps

그이상의 통신속도로서 운용 할려면 전용회선이 필요하게된다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가 결정 SPEC

각회로 에서 필요로하는 전압 및 전류에 알맞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반 성능

을 차적으로 설정 하였으며 최종목표 사양에 일치하기위하여서는 전원부의 장치에1

대하여 모든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최종 특성이 설정 되어야 한다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P-099)

이장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되나 반면에 안정성이 확고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안

정성을 첫째로 중요시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이회로는 많은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많은 전력이 열로서 손실되므로 방열에 특히 유의하여 제작되었으며 열발생이 많은

부품은 알미늄 방열판에 설치하고 이방열판은 본장치 외함의 바깥쪽에 설치하여 방

열효과를 최대화 하였다

이회로의 시험은 과입력전압 및 과소비전력 일때의 안정성에 중점 시험하였고 그시

험을 위하여 장시간 항온 항습기 를 이용하여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전원부의 안정

성 확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도 이회로를 특별히 개선하지 않고도 최

종목표 사양에 만족하리라 본다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PCB NO V-098)

마이크 회로 수화기 회로 송신 스윗치 회로 로서 구성되며 이장치는 사용 특성상

충격에 강하도록 설계제작 되어야 하며 무게는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재료선택이

중요하며 이러한점을 감안하여 사출금형에 의하여 성형 하였으며 성형 제료로서는

제료를 사용하고 사용 부품을 최소화 하여 제작 하였다ABS

이장치의 특성상 견고하며 방수효과가 최대이어야 하므로 충격 자연낙하 시험 및( )

방수시험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 성형제료 및 외형상의 문제는 없이나

송화기 및 수화기의 선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송화기는 콘텐서형

마이크가 좋으며 수화기로는 가변코일형으로서 떨림판이 평면으로된 수화기가 우수

한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선정하여 제작시험 하였다

- 48 -

전용 수신기9 DSC (PCB NO T-342)

전용수신 장치는 송수신장치중 송신부를 제외한 구조와 유사하므로 개발과정에서

송수신장치중 수신부회로에 복조장치 를 추가하여 별도 로 제작하여 시험DSC PCB

하였으며 개발내용중 전용수신기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DSC

가 기능 및 동작

변조되어 수신된 신호를 필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후 신호 처리용FM DSC DSC

마이크로프로세스 에 공급하여 소프트웨어로서 신호를 분석한후 표시장치 메(CPU)

모리장치 인쇄장치 등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전용 찬넬인 번 찬넬을 항상 DSC 70

수신상태로 동작하여 신호 도트신호 를 검출하고 신호가 있으면 이어서CALL ( ) CALL

수신되는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표시장치 및 경보장치에 출력한다

나 신호 신호 필터회로 와 신호 처리부 및 제어용회로부 DSC (FS ) DSC DSC

제작시험 (PCB NO T-325 T-326 T-327)

이 회로의 성능은 주로 필터 및 디지탈변환 회로에서 결정되며 소프트웨어의 성능

에 따라 안정성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점을 유의하여 설계제작 하여으며 성능 시험

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험용 정보를 송신장치로 통해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후 그

결과를 분석 시험 하였다

다 전용 수신기의 개발과정 에서의 학보된 기술 DSC

신호 및 의 신호 의 필터 및 디지털 변환 기술DSC (1300 2100 FS )

신호 검출 및 직렬신호의 병렬변환 소프트웨어DOT

기술 정보의 비교 및 인쇄출력 소프트웨어 기술

종합시험10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별 차 차 차 보완시험은 만족하며 앞으로 개발의 중점은 사용의 편리성과PCB 1 2 3

생산성에 중점 개발이 요하며 배치에 따라 야기될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 PCB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후 최종제품을 제작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49 -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1

가 전면판 사출금형

나 옆판 스피커 안테나 금형

다 노브 사출금형

라 윗면 및 밑면 프레스 금형

마 설치용 고정장치 사출 금형

바 설치대 프레스 금형

사 뒷면 작업용 프레스 금형

아 항온조용 열차단금형

자 필타 금형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2

가 송수신기 제어장치 프로그램

나 전용 수신기 제어용 프로그램 DSC

다 원격조정기 프로그램

라 송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마 수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3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5: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5 -

이와 같이 는 해상통신제도에 관한 관련 국제협약의 개정에 의하여 통신기GMDSS

술과 운용방법 및 절차 등이 확정된 새로운 해상통신제도로서 년 월 일부 1992 2 1

터 국제항해에 취항하는 모든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선박에 대하여 이300

협약이 적용되고 있으며 각 국은 사정에 따라 년 월 일까지는 신구제도를 1999 1 31

병행하고 년 월 일 이후에는 를 전면적으로 시행하도록 하는 경과 1999 2 1 GMDSS

규정을 두고 있다 가 적용되는 선박들은 의무적으로 규정된 통신장비를 갖 GMDSS

추어야 하는데 의 의무비치 장비로는 위성GMDSS NAVTEX RECEIVER EPIRB

RADAR TRANSPONDER TWO-WAY RADIO TELEPHONE INMARSAT-C DSC

및 등의 장비가 권고되고 있다VHF DSC MFHF

우리나라의 조선산업이나 전자산업의 규모로 볼 때 와 관련된 의무탑재 장 GMDSS

비의 연구 및 국산화는 시급히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

한 제반 국제기구의 관련규정 기술기준 등의 정리가 미비하여 이 분야의 기술개발

연구에 영향을 초래하고 있기 때문에 이의 해결책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제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3

오늘날 기초과학의 발전 및 산업기반 기술확보는 전파이용의 증가와 더불어 정보통

신기기의 발전을 가져왔고 이에 따라 정보통신에 대한 관심이 제고되는 등 통신기

술 발전을 위한 여건이 조성되고 있다

그러나 육해상간의 무선통신분야에 있어서는 그 중요성을 인식하면서도 이를 위한

교육 및 정책은 배제하는 것 같은 경향을 보여 왔는데 해상 이동통신 분야에

라는 새로운 제도가 및 협약의 개정으로 통신설비의 성GMDSS ITC SOLAS STCW

능기준 지침서 작성 총회 결의안 등이 채택되어 각국에서는 이 제도의 실행에 대

비한 관계법의 개정 육 해상간의 통신기기 개발 및 시설보완이 마무리되어 가고 ㆍ

있다

국제적으로 보면 미국 프랑스 덴마아크는 년부터 새로운 정보통신기기를 개1991ㆍ ㆍ

발하여 탑재하고 있고 독일 일본 영국 등은 설비의 배치 기준 및 기술기준 등을 ㆍ ㆍ

마련하여 완전실행을 대비하여 부분적으로 개발하여 탑재하고 있다

신제도의 실행을 위해서는 관계법령의 개정 해역의 설정 통신시설의 정비 등에 대

한 구체적인 계획과 수립이 필요하다 즉 조난구조본부는 어느 부처에서 언제 어디

에 설치될 것인지 국내연안을 위한 방송은 어느 해안국에서 언제 실시할 NAVTEX

것인지 는 어떻게 구성하고 있는지 위성 나 트랜스폰 Safety NET EPIRB RADAR

더 등에 대한 국내조치가 가시화되어야 한다

- 6 -

국내에서는 전파진흥정책 도입에 대비한 일반적인 연구가 진행되었고 선 GMDSS

박용 항해통신장비의 국산화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몇몇 장비가 개발완료 되어 있으

나 아직은 미비한 상태이므로 완전 실행되는 년 월 일까지는 관련1999 2 1 GMDSS

장비들이 완전 개발되어야 만이 종래와 같이 외국제품을 수입 탑재하는 우를 범하

지 않을 것이며 이 분야에 대한 국제경쟁이 가능하다고 본다

그러므로 이 제도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정책수립과 동시에 국산화를 위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해상통신용 송수신장치의 개발 DSC

을 구현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범위와 내용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의 도입에 따른 지상계 통신의 주축이 되는 의 이론적 배경을 구lt gt GMDSS DSCⅡ

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루었다

해사위성통신의 개발약사를 분석하여 새로운 해상이동통신제도인lt -1gt GMDSSⅡ

의 도입 배경 및 개발 계획을 고찰하였다

도입에 따른 및 등 국제기구의 활동 상황과 의lt -2gt GMDSS ITU IMO IHO ITCⅡ

전파규칙 의 협약 등의 정비현황과 우리나라의 조치 상황을 분석(RR) IMO SOLAS

하였다

새로운 해상통신제도인 의 기본개념 도입일정과 통신시스템 및 설lt -3gt GMDSS Ⅱ

비의 기능을 분석하였다

관련 규정은 및 권고 협약 전파관계법 등으lt gt DSC ITC IMO RR CCIR SOLAS Ⅲ

로 규정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내용을 종합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루었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전파규칙 을 구명하여 조난 안전통신lt -1gt GMDSS (RR) Ⅲ ㆍ

및 선박국의 준수 조건등을 분석 하였다DSC NBDP

실제적으로 개발에 필요한 호출시스템 운용절차 품질에 대한 평가lt -2gt DSC Ⅲ

식별 코드 및 변환 등에 관한 권고를 총괄적으로 집약 분석하였다CCIR ㆍ

관련 협약 중 선박의 요건 해역 전원 성능 기준 및 보수요lt -3gt DSC SOLAS Ⅲ

건을 분석하였다

음성통신 및 를 할 수 있는 용 무선설비의 성능기준lt -4gt DSC MF MFHF VHFⅢ

에 대한 총회 결의 권고를 분석하였다IMO

장비를 구현하기 위하여 위의 장에서 분석된 제규정을 다음과 같이 집lt gt DSCⅣ Ⅲ

약 정리하여 실제적으로 개발에 필요한 핵심 규정을 제시하였다DSC ㆍ

디지틀 선택호출장치의 기술 설비 및 전파 등을 규정하고 개발에 필lt -1gt DSCⅣ

요한 기술기준을 집약하여 제시하였다

의 조건 및 선박국 해안국의 기술적 조건을 집약 제시하였다lt -2gt NBDP Ⅳ

위에서 연구된 제규정에 의하여 장비가 개발되었을 때 이를 실용화하기lt gt DSCⅤ

위하여 실행되는 형식검정에 대비하여 다음 사항을 고찰하였다

- 7 -

형식검정의 제도 개념과 대상기기 및 기술기준확인증명대상기기를 구분하lt -1gtⅤ

여 분석 정리하였다ㆍ

형식검정에 따른 신청 방법 구비서류 및 품질보증업무에 대하여 그 예를lt -2gt Ⅴ

들어 제시하여 제작자의 편의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기기의 종류별 구조 및 성능 조건을 분석하고 관련 장비의 형식검정에lt -3gt DSCⅤ

필요한 표준시험방법을 제시하여 개발에 따른 제조건을 만족하도록 형식검정의DSC

투명성을 확보하였다

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으로서 개발에 따른 제규정의 적lt gt GMDSS DSCⅥ

용문제에 대하여 행정당국과 제조업자 상호간의 선결문제를 제시하고 이를 위한 조

정 방안을 강구하였다

제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4

는 현행 시스템을 위성통신방식과 와 같은 새로운 기술을 종합GMDSS DSC NBDP

적으로 활용하여 통신의 자동화를 이룩한 제도이므로 이러한 제도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의 기준설비인 송수신장치의 개발을 위한 국제기구GMDSS DSC

의 권고 기술기준 및 관련규정의 연구가 이루어 질 때 만이 가능하며 이를 통하여

해운 선진국으로서 해상에서의 인명안전 확보라는 국제적 의무사항을 충실히 이행

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해상통신장비의 개발을 위한 지침자료가 될 것이며 다음과 같

은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전파관리의 합리화를 위한 방안 제시(1)

의 도입과 관련된 행정기관에서는 해역설정 설비의 장치 통신망(2) GMDSS SAR

및 방송 등에 관한 실질적인 방안을 강구NAVTEX NAVAREA

해상전파통신장비의 국내생산의 필요성 및 기술촉진을 통한 국산화를 제고(3)

개발을 위한 관련기술 사양 도출(4) DSC

관련 성능 평가기준 마련 및 성능 시험 기법 촉진(5)

형식검정을 위한 행정적인 처리 기준 확보(6)

- 8 -

제 절 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5 GMDSS

해상통신에 있어서 위성의 이용은 새로운 통신방식을 모색코저 노력한 해운계에 있

어서 획기적인 전환점이 되었다 또한 이를 통한 다수의 새로운 시스템 및 장비의

도입은 해상통신의 중요한 목적인 항행안전 뿐만 아니라 경제성 및 간편성에도 커

다란 발전을 가져왔으나 새로운 제도에 의한 해상통신은 그 가치가 이용의 확대와

시스템의 고도화가 필수요건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는 기존의 통신시스템을 위성통신방식과 와 같은 새로운GMDSS DSC NBDP

기술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자동화를 이룩한 제도이다 물론 가 의 부 DSC GMDSS

분 설비이기는 하지만 이러한 제도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조치

사항과 더불어 관련장비의 국산화가 필요하며 이를 통하여 해운선진국으로서 해상

에서의 인명 재산의 확보라는 국제적 의무사항을 충실히 이행하게 될 것이다ㆍ

년 월 일부터 드디어 의 도입이 시작되었다1992 2 1 GMDSS

에 관한 의 규정은 년 월 일부터 협약은 년 월 일GMDSS RR 1991 7 1 SOLAS 1992 2 1

부터 발효되어 는 도입 시행되고 있다GMDSS ㆍ

이 제도를 도입하기 위하여 국제기구 특히 의 와 의 무 ITU CCIR WARC IMO COM(

선통신소위원회 가 여년 동안의 연구기간이 소요되었다는 것은 그 내용이 얼마) 20

나 복잡하였던가를 말해주고 있다

새로운 제도의 실행을 위해서는 관계법령의 개정 해역의 설정 통신시설의 정비등

에 대한 구체적 계획과 수립이 필요하다 즉 조난구조본부는 어느 부처에서 언제

어디서 설치될 것인지 국내연안을 위한 방송은 어느 해안국에서 언제 실 NAVTEX

시 할 것인지 통신을 위한 해안국은 어디에 언제 설치할 것인지 는 DSC SafetyNET

어떻게 구성하고 있는지 위성 나 트랜스폰더 등에 대한 국내조치와 소 EPIRB RADAR

형 선박 특히 유효한 이들 구명설비의 탑재의무를 어선까지 확대하느냐의 여부 등

이 요구되고 있지만 아직 이러한 조치사항이 일반에게 가시화되어 있지 않다

또한 정보통신부와 항만청간의 소관업무조정 해상전자설비의 국산화지원 설비의

중화문제 등의 조속한 검토와 실행이 요망되고 있다 다만 전파관계법에서 해역2

등 관련용어의 정의 에서의 무선종사자의 자격 조작 및 종사범위GMDSS GMDSS

와 선박의 무선설비 성능조건 및 기술기준 및 전파 설비의 중화 육상정GMDSS ( ) 2

비 전파전자기능사 자격을 수용하는 제도만을 설정하여 공포 하고 있 (1992 6 30)

을 뿐 다른 대응은 아직 구체적으로 마련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행정조치사항을 제시하여 그 대응방안을 논하고자 한다

앞에서 도입에 따른 관련설비의 제규정은 구명 분석되었으나 이 분GMDSS DSC ㆍ

야의 발전여부는 오직 정부정책에 달려있기 때문에 구체적인 건의 사항으로서 이를

재정리하여 현실적인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 9 -

첫째 발전된 기술과 자동화를 이룩한 도입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그 GMDSS

동안 해상통신분야의 인식을 과감히 불식하고 관 산 학 협동을 통하여 이를 위 ㆍ ㆍ

한 현실적인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해상전자통신장비의 국산화를 위하여 관 산 학 연구소간의 협력체제를 강화하고ㆍ ㆍ

적극 지원해야 한다 현재 세계 유수의 해운국이자 조선국인 우리나라는 해상통신

장비분야에 대해서는 아직 후진성을 면치 못하고 주로 수입대치에 의존하는 현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둘째 관계당국은 도입에 따른 해역의 설정 설비의 정비 및 해안국 확정 GMDSS

통신망 및 방송 설비의 수급대책 등에 관한 문제를 계획하SAR NAVTEX NAVAREA

고 현실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정책당국은 정부 관련부처간의 업무를 조정하기 위하여 위원회를 구성

하고 전문가를 초빙하여 연구발표회 또는 간담회 같은 방법을 통하여 관계부처간의

조치 진행 상황을 일반인에게 가시화시켜 선박회사 전자기기 제조회사 조선소 및 ㆍ

종사자 등의 업무대비에 도움이 되도록 해야 한다

셋째 에 관한 국제규정에는 권고 포함 와 총회 결의 GMDSS RR(CCIR ) SOLAS(IMO

및 권고 포함 에 그 근거를 두고 있으나 그 주관청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부처간)

업무조정이 필요하다

협약 제 장 무선통신 의 대부분이 정보통신부 업무에 속하기 때문에 국내 도SOLAS 4 ( )

입의 원활을 기하고 국제적 의무를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정보통신부와 항만청

사이에 업무조정이 필요하다

즉 문서 발착사무는 항만청에서 하되 다음과 같은 업무를 조정해야 한다 IMO ㆍ

협약에서는 육상시설 등에 관한 정보를 에 통보하기로 되어 있고(1) SOLAS IMO

그 밖에 해역의 설정 통보 등 업무가 많으므로 이를 위한 업무의 체계화

정보통신부 소속사무에 속하는 각종 문서의 분류 배포 및 이에 대한 처리(2) IMO

넷째 관계 국제협약의 결의 권고 및 기술기준 등의 용어 및 규정의 정의를 통일시

켜야 한다

이는 각부처간 소관업무에 관한 제규정을 기준없이 비전문인이 원문을 해석하여 이

용자가 규정을 이해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관계전문인

이 참여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다섯째 형식검정을 위한 개선방향으로 대상기기의 정비 및 서류 간소화 민간에서

시험할 수 있는 대상기기의 지정확대 지정시험기관의 안배 확대지정 제조업체 자

체 시험 성적서를 인정하는 문제 등을 지적할 수 있다

물론 형식검정은 제도적으로 성능기준 기술기준 등이 마련되어 있으나 기기별 시

험방법 등이 구체화되어 있지 않고 당국의 자체 검정기준이 각 제조업체 수입자

및 일반인에게 공시화되지 못하여 가져오는 손실에 대하여 정책당국의 확인행정이

절히 요구되고 있다

- 10 -

또한 검정신청서 제출시 미비한 기재사항 하나로 신청서마저 접수되지 못하는 현실

하에서 발생되는 경제적 시간적인 손실등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ㆍ

이러한 본 연구의 노력이 도입에 따른 관련 장치를 설계하고 장비의GMDSS DSC

규격 및 요건을 구현하는 표준자료가 될 것이며 이를 통하여 정책의 개선과 기술

을 촉진하게 되고 나아가서 선진해운발전에 기여하게 될 것을 확신한다

- 11 -

제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2

제 절 외국장비의 사양1

1 Main Unit

가 General Specifications

Transmission 15550-15950

frequency range

Reception frequency 15550-15950 (simplex)

range 16060-16350 (duplex)

Channel capacity ITUUSA channels Up to 57 channels

Private channels Up to 99 channels

Weather channels 9 channels

(only reception)

Memory channels Up to 10 channels

Select channels Up to 10 channels

Channel spacing 25 10

Communication modes Simplex and duplex

(simplex and semi-duplex on privatechannels)

Type of emission G3E G2B(F3E F2B)

Frequency accuracy plusmn 10 x 10-6

Antenna impedance 50Ω unbalanced

Rated input power DC138V plusmn10(supplied

supply voltage fromNQD-1496 power supply unit)

Numbers of DSC file 15 for calling

20 for Distress

call receiving

5 for general

call receiving

Environmental test

conditions

- 12 -

Vibration 1 to 125 32 15min

125 to 25 076 15min

25 to 50 02 15min

Dry heat cycle +55 2hr

Dump heat cycle +40 93RH10hr

Low temp cycle -15 2hr (after maintaining at -25 for

10 hr)

Temperature 0 to +40

range for full

performane

Operating -15 to +55

temperature

range

Storage -25 to +65

temperature

range

Dimensions 290(H) times 240(W) times 145(D)

(excluding protrusions)

Weight Approximately 7

나 Transmitter Unit

Output power 25W

Reduced outpur power 01 to 1W

Oscillation method Frequency synthesizer

Modulation method Frequency modulation

Occupied bandwidth Within 16

Maximum plusmn5

frequency deviation

Microphone input 600Ω(balanced)

Standard

modulation input -53 m

Frequency

characteristics 6 oct +1-3

Overall distortion 10 or less

Signal-to-noise ratio 40 or more

- 13 -

Spurious emission 25 W or less120757DSC data rate 1200baud plusmn30 times 10-6

modulation method FSK

modulation index 2 plusmn10

Mark signal(Y) 1300 plusmn 10

Space signal(B) 2100 plusmn 10

다 Receiver Unit

Receiving system Double super heterodyne

Intermediate frequency 1st IF 214

2nd IF 455

Local oscillation method Frequency synthesizer

Sensitivity 2 V or less120757Sensitivity(DSC)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the input

level of 0 120757Squelch sensitivity 1 V or less120757Selectivity 12 or more at 6 bandwidth

within 25 with a selectivity of 70

Spurious response 80 or more

Spurious response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DSC)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73 120757

Blocking 90 or more

Blocking(DSC)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μ

level of 93 120757Intermodulation 70 or more

Intermodulation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DSC)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68 120757

Overall distortion 10 or less

Signal-to-noise ratio 40 or more

Rated audio output 2W(4Ω)

External speaker 0 m 600 Ω

output level

- 14 -

Frequency 6 oct +1 -3

characteristics

Radiation 1 nW or less

2 Power Supply Unit

Input voltage AC 100V to 120V (5060 ) or AC 200V to

240V (5060 ) and DC 24V (DC 216 to

312V)

Power consumption AC 100V 2A max(main unit)

AC 220V 1A max(main unit)

DC 24V 55A max(main unit)

Input switching Automatically switched to AC mode during

normal operation and to DC mode when AC

power failure

Output Voltage DC 138V plusmn10

Environmental Same as JHS-31 main unit

test conditions

Dimensions 300(H) times 240(W) times 145(D)

(excluding protrusions)

Weight Approximately 65

3 Remote Controller

Operating and Same as JHS-31 main unit

control items

Display items Same as JHS-31 main unit

Power supply DC 138V plusmn10 supplied from

NQD-1469 power supply unit

Environmental test Same as JHS-31 main unit

conditions

Dimensions 290(H) times 240(W) times 80(D)

excluding protrusions)

Weight Approximately 35

- 15 -

4 DSC Watchkeeping Receiver

가 General Specifications

Operation frequency 156525 (CH 70)

Reception mode G2BF2B

Antenna impedance 50Ω nominal unbalanced

DSC AF signal output 0 m plusmn10 (600 Ω balanced)

Self diagnostics Provided with receiver

overall testing functions

Dimmer 4-step control for dimming illuminations

incl extinction

Environmental test Same as JHS-31 main unit

conditions

Warm-up period 30 sec

Dimensions 145(H) times 140(W) times 145(D)

excluding protuberances

Weight approx 15

Power supply 138 VDC plusmn10

Power consumption 10 W or less

나 Receiver

Receiving system Double superheterodyne

Local OSC Crystal controlled

Frequency accuracy Within plusmn10 times 10

Intermediate frequency 1st IF 208

2nd IF 455

Sensitivity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the input

level of 0 μ

Selectivity 6 bandwidth 12 or more

70 bandwidth 25

Adjacent CH selectivity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μ

level of 73 120757(wanted signal frequency plusmn25 )

- 16 -

Spurious response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73 with application of unwanted120757signals in range of 9 to 2

Blocking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93 with application of unwanted120757signals apart plusmn1 to plusmn10 from the

wanted signal

Intermodulation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68 with application of two120757unwanted signals of plusmn25 and plusmn50

simultaneously

Co-channel rejection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ratio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μ

level of -5 120757De-emphasis -6 (+1 -3 ) octave

characteristic 300 +105 (+1 -3 )

3 -95 (+1 -3 )

at reference frequency of 1

Amplitude characteristic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receiver

of receiver limiter input level of 0 to 100 120757 120757Noise and hum -40 or better

Harmonic distortion -20 or better

Spurious emission 1nW of less

5 Guard Receiver

Receiving mode Simultaneous reception of any two channels

selected from ITUUSA channels

Receiving channels Up to 57 channels

Channel spacing 25

Mode of reeption G3E(F3E)

Frequency accuracy Wighin plusmn10 times 10-6

- 17 -

Receiving system Double super heterodyne

Intermediate frequency 1st IF 214

2nd IF 455

Local oscillation method Frequency synthesizer

Sensitivity 2 V or less120757Squelch sensitivity 1 V or less120757Selectivity 12 or more at 6 bandwidth

within 25 with a selectivity of 70

Spurious response 70 or more

Blocking 90 or more

Intermodulaltion 70 or more

Overall distortion 10 or less

Signal-to-noise ratio 40 or more

Rated audio output 2W(4 )Ω

Frequency

characteristics 6 oct +1 -3

Antenna input 50 unbalancedΩ

impedance

Temperature range 0 to +40

for full performance

Operating -15 to +55

temperature range

Storage -25 to +65

temperature range

Power supply voltage DC 138V plusmn10

(supplied from the NQD-1469 power supply

unit)

Dimensions 290(H) times 140(W) times 145(D)

Weight Approximately 25

- 18 -

제 절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2 DSC VHF

디지틀선택호출장치의 조건1

가 점검 및 보수를 쉽게 할수 있을것

나 전원공급후 분이내에 작동할 수 있을 것 1

다 의 주파수를 쉽게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 것 156525

라 초이내에 송신과 수신을 전환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 것 03

마 이상의 제어기를 갖는 경우에는 의 제어기에 우선권이 주어지는 동시에 다 2 1

른 제어기의 사용상태를 표시하는 기능이 있을 것

바 전원전압이 정격전압의 퍼센트이내에서 변동된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 (plusmn)10

할 수 있을것

사 통상 발생하는 온도 및 습도의 변화 진동 또는 충격이 있는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수있을것

선택호출장치의 선택호출신호의 조건2

가 마크주파수는 이고 스페이스주파수는 일것 이 경우 허용편차 1300 2100

는 각각 로 한다10

나 신호전송속도는 매초 비트일것 이 경우 허용편차는 만분의 으로 1200 100 30

한다

다 시간다이버시티의 시간간격은 초일것 003

송신장치의 조건3

가 공중선전력 와트 이상일 것 6

나 전파의 변조지수 허용편차는 로 한다 F2B 2( 02 )

다 감도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자 1

율이 퍼센트이하일 것1

라 실효선택도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1) 14

상태에서 중간 주파수로부터 희망파의 배의 주파수 희망파주파수의 이3 ( (plusmn)375

내의 주파수를 제외한다 까지 수신기입력전압 밀리 볼트의 무변조 방해파를 인) 447

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1

- 19 -

감도억압효과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2) 14

의 정현파에 의하여 주파수 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기입력전압400 3 44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인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이하일1

마 상호변조특성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 14

희망파 보다 떨어진 수신기 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와 희망파25 25

보다 떨어진 의 정현파에 의한 주파수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50 400 3

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25 1

디지틀선택호출전용수신기 의 조건4

가 통신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통신의 수신기능외에 통신의 내용을 볼 수있도록 하

는 기능이 있을것

나 조난통신 또는 긴급통신을 수신한 경우에는 수동으로만 정지시킬 수 있는 특별

경보기능이 있을것

다 수신한 조난통신의 내용을 즉시 인쇄하거나 개이상의 조난통신을 기억할 수 20

있어야 하되 기억한 내용을 일정시간 보존할 수 있을것

라 본체의 보이는 곳에 수신주파수를 표시할 것

마 전원공급후 분이내에 작동할 수 있을것 1

바 전원전압이 정격전압의 퍼센트이내에서 변동된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plusmn)10

수 있을 것

사 통상 발생하는 온도 및 습도의 변화 진동 또는 충격이 있는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수 있을것

아 감도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자율 1

이 퍼센트 이하일 것1

자 실효선택도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1) 14

상태에서 중간 주파수로부터 희망파의 배의 주파수 희망파주파수의 이내3 ( (plusmn)375

의 주파수를 제외한다 까지 수신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를 인접) 447

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1

- 20 -

감도억압효과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2) 14

의 정현파에 의하여 주파수 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기입력전압400 3 44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인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1

차 상호변조특성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 14

희망파 보다 떨어진 수신기 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와 희망파25 25

보다 떨어진 의 정현파에 의한 주파수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50 400 3

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25 1

- 21 -

제 절 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3 DSC VHF

일반적 조건1

가 취급이 용이한 것일 것

나 에서 까지의 숫자 입력판을 갖는 경우에는 그 숫자의 배열은 국제전신전화자 0 9

문위원회의 권고 에 의한 것일 것E161

공중선의 단선 또는 공중선 단자의 단락으로부터 보호수단을 가질 것

과전류 과전압 전원의 과도변동 및 전원극성의 우발적인 반전으로부터 보호수단이

있는 것일 것

노출된 금속부분은 접지하는 것이 가능할 것

전원단자는 접지되어 있지 않을 것

전원 볼트를 초가하는 전기 고주파의 것을 제외 를 통하는 도전부는 용이하게 노55 ( )

출이 되지 않도록 다음의 어느 조건에도 적합한 차폐체를 갖고 있는 것일 것

차폐체를 개방한 때는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되는 구조일 것(1)

차폐체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공구를 필요로 하는 구조이고 또는 고전압에 대한(2)

주의사항이 표시되어 있을 것

다 통상의 설치된 상태에서 제조자명 형식명 및 제조번호가 명확하게 판독 가능하

도록 외부에 표시되어 있을 것

라 장치의 일부를 가열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급전후 분이내에 일정온도에 달하 30

는 것일 것

다만 가열회로에 공급하는 전력은 다른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치단에 의해

절단되지 아니할 것

마 전원공급후 송신장치의 일정분에 전압의 공급을 지연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는 그 지연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것

디지틀선택호출장치의 조건2

선박의 위치 및 위치를 결정한 시각의 자동입력 기능을 갖는 경우에는 동기능의

고장이 장치의 다른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

가 선택호출 신호의 구성

조난경보등 조난경보 조난경보에 대한 응답 조난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1) (

중계에 대한 응답을 말한다 이하 같다 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및 무선설비의 기기 )

의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이하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이외의 선택( ldquo rdquo )

호출신호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1

- 22 -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2) 2

조난 경보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 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3) 3

일 것

조난 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 중계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4)

성을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4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5) 5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오류검정부호를 제외한다 에 사용하는 단위 부호는(6) (dot ) 10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6

나 선택호출신호의 송출조건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오류검정부호를 제외한다 의 송출은 최초의 송출과 반(1) (dot )

복송출과의 사이에 개의 코드가 놓아진 방식일 것4 Time Diversity

선택호출신호의 반복송출은 다음과 같은 것일 것(2)

가 조난경보를 연속하여 송출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조난 경보를 최후의 신호와( )

다음에 송출되는 조난경보의 신호와의 사이를 가격없이 송출가능한 것일 것dot

나 디지탈선택호출통신망을 위한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호출( )

또는 응답의 선택호출 신호의 경우는 별표 에 따라서 회를 초과하지 않는 회수를7 4

반복하여 송출가능할 것

다 가 및 나 이외의 경우는 반복하여 송출이 가능하지 않는 것일 것( ) ( ) ( )

다 선택호출신호의 수신조건

조별 의 장치는 제 호에 규정한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1) (class) A 2

읽어냄이 가능할 것

조별 의 장치는 다음의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표시하는(2) (class) B

것이 가능할 것

가 제 호에 규정하는 선택호출신호중 종별 의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것( ) 2 (class) B

나 포맷 신호가 해역호출인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것( ) (format)

다 제 가 수신되지 아니할 것( ) 1 Telecommand

해안국의 장치는 제 호에 규정하는 선택호출신호 해안국의 장치의 것을 제외(3) 2 (

한다 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읽어냄이 가능할 것)

- 23 -

별표 선택호출신호 조난경보등을 위한 것 및 시험을 위한 것은 제외한다 의[ 1] ( )

구성

dot신 호

동 기신 호

Format신 호

Address신 호

Category신 호

자국의식별신호

정 보신호1

정 보신호2

정 보신호3

종료신호

오류검정신호

주( 1) 주( 2) 주( 3) 주( 45및6)

주( 7) 주( 8) 주( 9) 주( 10) 주( 11) 주( 12) 주( 13)

주( )

중단파대 및 단파대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하는 장치의 선1

택호출신호 이하 중단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에 있어서 선박국을 호출하( ldquo rdquo )

기 위한 선박호출신호의 경우는 비트 선박국에서 해안국으로 호출 및 응답하기200

위한 선택호출신호 및 국제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 계기하는 주파수18

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 하는 장치의 선택호출신호 이하 대 선택( ldquoVHF

호출신호 라 한다 의 경우는 비트일 것rdquo ) 20

표 에 나타내는 코드번호를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하는 것일 것2 8 9

호출의 종류를 나타냄에 있어서 다음의 장치마다 별표 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3 8

류를 표시하는 개의 동일 코드번호일 것2

종별 의 장치 선박국의 장치에서 별표 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류를 사용(1) (class)A ( 8

가능한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

종별 의 장치 선박국의 장치에 있어서 동표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류 중(2) (class) B (

해역호출 및 공통관계를 갖는 선단의 호출을 제외한 것의 사용이 가능한 것을 말한

다 이하 같다 )

해안국의 장치 동표에 게기한 호출의 종류중 조난경보 및 개별국의 반자동 또(3) (

는 자동접속호출을 제외한 것의 사용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

신호가 조난경보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는 상대국 식별4 Format

신호로 하여 선박국식별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 구성되는[0]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신호가 조난경보 또는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선택호출에 있어서는 사용5 Format

하지 않을 것

신호가 해역호출의 경우 종별 의 장치는 제외한다 는 별표 에 따라서6 Format ( B ) 11

해역을 자리 의 숫자를 표시하고 별표 에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통보의 우선순위 또는 종류 신호가 모든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통상업무7 (Format

및 선박업무를 제외한다 를 별표 에 따라 개의 코드번호에 코드화한 것일 것 다) 8 1

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 선박업무를 제외한 것으로 하고 또한 신 (class) B Format

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통상업무를 제외한 것일 것

- 24 -

자국의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8 [0]

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제 및 제 의 정보로 하여 별표 에 따라서 각각 개의 코드번9 1 2 Telecommand 8 1

호에 코드화한 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제 (class) B 1

를 다음과 같이하고 제 코드번호가 일 것Telecommand 2 Telecommand [126]

중단파대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하는 장치의 선택호출신호 이하(1) (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는 신호가 개별국의 호출일때에는 코드번ldquo rdquo ) Format

호 또는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일[119] [111] [118] Format

때에는 코드번호 또는 일 것[109] [111] [111]

선택호출신호는 신호가 개별국의 호출일 때에는 코드번호(2) VHF Format [100]

또는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일 때에는 코드번호[101] Format

또는 일 것[100] [101] [105]

다음의 방식일 것10

호출에 이어 계속 통신에 사용하는 송신 및 수신을 위한 주파수 또는 채널을(1)

나타내는 선택호출신호는 송신파 및 수신파의 순으로 별표 에 코드화한 것일 것12

다만 주파수 또는 채널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송신파 또는 수신파마다에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126]

선박의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선택호출신호는 코드번호 및 다음에 의거 표(2) [55]

시되는 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 자리숫자를 별표 에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가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가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나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부터 제 번째까지의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표시한다

제 가 선박의 위치인 호출에 대한 응답 이하 선박위치응답 이라(3) 1 Telecommand ( ldquo rdquo

한다 을 위한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의 가 및 나 에 의해 표시하는 선박의) (2) ldquo rdquo ldquo rdquo

위치를 나타내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코드화한 것 및 그것에 계속코드번호10 10

일 것[126]

에서 이외의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4) (1) (3) 6 [126]

선박위치응답의 경우 종별 의 장치를 제외한다 및 신호가 개별11 ( (class)B ) Format

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에만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각각 다음의 방

식일 것

선박위치응답의 경우는 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 국제표준시로 한다 이하 같(1) (

다 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2 10

개의 코드번호로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는 개2 2

의 코드번호 일 것[88]

- 25 -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는 아날로그 전화용(2) Format

설비와 접속하기 위한 번호 이하 전화번호 라 한다 등의 네트워크번호를 표시하는( ldquo rdquo )

것으로 하고

네트워크번호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코드번호를 짝수의 경우는 코드번호[105]

과 네트워크를 별표 에 준하여 개부터 개까지의 수의 코드번호로 코드화[106] 10 2 9

한 것일 것

응답을 필요로 하는 호출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응답12 [117]

을 위한 선택 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및 이외의 경우는 코드번호[122] [127]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 다만 신호가 모13 Format

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 코드번호 일 것[127]

오류검정부호는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정보비트 및 제 번째에서 제13 1 7 8

번째까지의 검정비트로부터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생성되는 각 비트10

의 및 이 각각 별표 에 표시하는 및 에 대응하는 단위 부호로[0] [1] 6 [B] [Y] 10

하여서 송출되는 것일 것

정보비트의 각 비트는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동기신호를 제외한다 의 모든(1) (dot )

코드번호 신호 및 종료신호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로 한다 에 대응하(Format 1 )

는 부호의 비트 위치마다 최하위 비트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다만 를 를 B 0 Y 1

로해서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검정비트는 정보비트의 의 수를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B 2

별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해안국의 장치는 제외한다[ 2 ] (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자국 의식별신호

주( 4)

조난종류 의정보신호

주( 5)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

주( 6)

시각정보신호

주( 7)

Tele-command정보 신호

주( 8)

종료신호

주( 9)

오류검정신호

주( 10)

주( )

중단파 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는 비트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비1 200 VHF 20

트일 것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2]

자국의 선박국 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4 [0] 10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조난의 종류를 표시하는 것으로 하여 별표 에 따라 개의 코드번호로 코드화한5 8 1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 (class) B 1 107

- 26 -

조난선박에 위치를 다음과 같이 자리의 숫자로 표시 하는 것으로 별표 에6 10 10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조난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것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99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1)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는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2)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한다

조난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것7 2

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개의 코드번호에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 10 2

를 포함하지않는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88]

계속하여 행하는 통신의 형식을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통신장치가 무선전화 또8

는 협대역직접 인쇄전신장치인 제 를 별표 에 개의 코드번호로1 Telecommand 8 1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방식일 것 (class) B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 일 것(1) 1 [109] [111]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VHF 1 [100]

코드번호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하는 것일 것9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별표 조난경보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선박국의 장치를[ 3] (

제외 )

dot신호

주( 1)

동기신호

주( 2)

For-mat신호

주( 3)

Cate-gory신호

주( 4)

자국의식별신호

주( 5)

Telec-ommand정보신호

주( 6)

조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7)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 8)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 9)

시각정보신호

주( 10)

Tleco-mmand정보신호

주( 11)

종료신호

주( 12)

오 류검 정신 호

주( 13)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6]

별표 의 주 과 같은 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4 1 7 [112]

자국의 해안국 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숫자를5 [0] 10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6 1 [1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일 것7

- 27 -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종류의 정보신호일 것8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일 것9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시각정보신호일 것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정보신호일 것11 Telecommand

코드번호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2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3 1 13

별표 조난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 중계에 대한 응답을 위한[ 4]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dot신호

주(1)

동기신호

주(2)

For-mat신호

주(3)

Addr-ess신 호

주( 4및56)

Cate-gory신 호

주(7)

자국의식별신호

주(8)

Telec-ommand정보신호

주( 9)

조 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10)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11)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12)

시각정보신호

주(13)

Tleco-mmand정보신호

주( 14)

종료신호

주(15)

오류검정신호

주(16)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별표 의 주 과 같다 코드번호 이외의 것으로 한다3 1 3 ( [112] )

신호가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에는 상대국의 식별신호4 Format

로 하고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0] 10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5 Format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6

별표 의 주 과 같은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7 1 7 [112]

별표 이 주 과 같다8 1 8

개의 코드번호 일 것9 1 [112]

수신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 또는 수신한 조난경10

보의 중계의 조난선박국의 식별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종류의 정보11

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선박의 위치12

정보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시각정보일 것13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14 Telecommand

정보신호일 것으로 한다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것으로 하 (class) B

는 것이 가능할 것

- 28 -

중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1) 1 [109] [111]

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2) VHF 1 [100] [101]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코드번호 개별 해안국 앞15 Format [127]

으로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에는 코드번호 로서 별표[122]

의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3

별표 의 주 과 같다16 1 13

별표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대 선택호출신호를 제외한다[ 5] (VHF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Address신 호

주( 4)

Category신호

주( 5)

자국의식별신호

주( 6)

정 보신 호1

주( 7)

정 보신 호2

주( 8)

종 료신 호

주( 9)

오류검정신 호

주( 10)

주( )

비트일 것1 200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20]

상대국의 식별신호로서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이에 계속되는 으로서4 [0]

구성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1 [108]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8

각 개의 코드번호 및 일 것7 1 [118] [126]

개의 코드번호 일 것8 6 [126]

코드번호 또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9 [117] [122] 13

일 것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 29 -

별표 선택호출신호의 단위부호[ 6] 10

는 스페이스주파수 는 마크주파수로 대응하고 비트위치의 에서 송출된다B Y 1

협대역 일때MFHF B=1785 Y=1615

대역 일때VHF B=2100 Y=1300

- 30 -

별표 반복송출의 순서[ 7]

주 기호 는 선택호출신호의 종료신호를 표시하고 기호 는 에서 까( ) H DX RX0 RX7

지가 반복송출되는 선택호출신호의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31 -

별표 코드번호 의 용도[ 8] (100-127)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00 통상업무

화재 또는폭발

또는F3단신G3E

무선전화 이유없음 주( 3)

101 침수 또는F3복신G3E

무선전화 해사교환 센터의혼잡 주( 3)

102 해역호출

충돌 미확정주( 1)

통화중 주( 3)

103 좌초 Polling 대기행렬표시주( 3)

104 의RXO위치의동기신호

경사 및전복의위험

수입불가주( 2)

폐국 주( 3)

105 의RX1위치의동기신호

침몰 호출의 종료주( 4)

의 부재Operator주( 3)

106 의RX2위치의동기신호

선박업무주( 5)

조선불능으로 표류

데이터주( 6)

변복조장치

의Operator일시적 부재 주( 3)

107 의RX3위치의동기신호

기타의조난

미확정주( 1)

장치의 운용불가주( 3)

108 의RX4위치의동기신호

안전 선체의방치

미확정주( 1)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09 의RX5위치의동기신호

J3E 무선전화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10의RX6

위치의동기신호

긴급 조난경보에대한 응답

무력분쟁의당사국이 아닌것을 표시하는선박 및 항공기주( 7)

111 의RX7위치의동기신호

H3E 무선전화 위생수송체 주( 7)

112 조난경보

조난 조난자동통보설비(주 의9)시동

조난경보의중계

공중전화사무소주( 8)

- 32 -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13또는F1B방향오J2B(1

류정정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미확정 주( 1)

114

공통관계를 갖는선단의호출

미확정 주( 1) 미확정 주( 1)

115또는F1B자동재송J2B(

요구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데이터 주( 11)

116모든선박호출

또는F1B J2B수신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2)

11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18 시험 데이타 주( 14)

119또는F1B수신J2B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5)

120개별국의호출

A1A 테이프레코더

데이터 주( 16)

121 선박의 위치 데이타 주( 17)

122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3

개별국의반자동또는자동접속호출

A1A 전건 및핸드셋(Handset)

데이터 주( 18)

124또는F1CF2C

F3C팩시밀리장 데이터 주( 19)

125의DX

위치의동기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6 정보없음 정보없음 주( 20)

12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주( )

앞으로의 사용을 위하여 유보한다1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2 [100] [109] 2 Telecommand

코드번호 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3 [104] 1 Telecommand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 시스템에만 사용한다4

- 33 -

선박의 항해 운항 필수품에 관한 통신과 정부의 기상업무기관으로 보내는 기5

상 관측 통보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6 [115] [124] 2 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을 제외하고 제7 [104][105][106][110][112] [118] 1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의 제 와 조합하여8 [100][101][109][115] [124] 1 Telecommand

사용한다

수색구조용 레이다트랜스폰더를 제외한다9

무선설비규칙의 제 조의 에 정하는 것으로 한다10 69 4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1 (V21)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2 (V22)

앞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1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4 (V2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5 (V2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6 (V1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7 (V26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8 (V27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9 (V32)

코드번호 를 제외하고 제 와 조합하여 사20 [104][110][112] 1 Telecommand

용한다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 코드번호는 중단21 Format

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에서 까지 [102] [124] ([110][112][117]

및 를 제외한다[122] )

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및VHF [100][101][104][105][106][121]

일 것[124]

별표 동기신호의 송출순서[ 9]

주 기호 및 에서 까지가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DX] [RXO] [RX7]

- 34 -

별표 자리 숫자의 코드 변환표[ 10] 10

자리의 숫자10

십억D2

억D1

천만D2

백만D1

십만D2

만D1

천D2

백D1

십D2

일D1

코드5 코드4 코드3 코드2 코드1

주( )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1 1

및 은 자리 숫자의 자리 숫자 에서 까지를 표시하고 각 코드는2 D2 D1 10 2 00 99

그 자리의 십진수를 코드번호로 한다2

숫자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최상위 자리수의 숫자 앞에 을 포함할 것3 0

별표 해역의 표시방법[ 11]

해역의 표시는 다음과 같은 것

선정되는 지리상의 해역은 메르카토르 도법의 직사각형으로 표시할1 (Mercator)

직사각형의 북서를 해역의 기준점으로 할 것2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존재하는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3 1

으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0] [1] [2] [3]

할 것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위도를 표시할 것4 2 3

제 번째에서 제 번째가지의 숫자는 기준점의 경도를 표시할 것5 4 6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남북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6 7 8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동서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7 9 10

표에 표시하는 해역 및 의 표시의 예는 다음과 같을 것8 ab c

기준점이 북위 도 및 서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1) 10 25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20 35 a

1 1 0 0 2 5 2 0 3 5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2) 10 10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10 10 b

2 1 0 0 1 0 1 0 1 0

- 35 -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3) 12 12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4 7 C

2 1 2 0 1 2 0 4 0 7

별표 주파수 및 채널정보의 코드변환표[ 12]

주파수0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주파수를 의 배수로서 숫자의 십100

만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다 1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2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채 널

3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중단파대 또는 단파대의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 다

8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별도로 정한 채널로 한다

9 0 times times times times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18게기하는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천 백 십 및 일의 숫자로 표시한다

십만 만 천 백 십 일

코드3 코드2 코드1

주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 ) 1

- 36 -

별표 종료신호의 송출순서[ 13]

주 기호 가 종료신호를 표시한다( ) H

- 37 -

제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3

제 절 송수신장치1 DSC VHF

시스템 개요1

본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모든기능을 충족하는 일체형과 전화용 복신방식의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호출 및 수신제어장치 로구분된 독립형 으로 구분되며 DSC DSC

이는 외형상의 구분이며 그주요기능별 구성은 각각의 유니트로된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표시 및 제어장치 와 전원부 로 구분되며 이것들은 다시 하나의DSC

케비넷 또는 독립된장치로서 구성된다

시스템 구성2

장비의 개요 및 특징3

가 개요

본 송수신기는 항만내 또는 연안에서 해안국과 선박국 또는 선박국 상호간VHF FM

의 해상이동업무 통신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기로서 이내의 해상156 ~162

이동 무선통신업무용의 전 을 수용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전파관리법 및CHANNEL

등 국제규격에 적합하도록 설계 제작된 기기로서 전세계ITU SOLAS USA USCG

어느곳에서나 규정에알맞게 사용할 수 있는 국제항만 무선전화기용 무선 송수신기

를 제작한다

- 38 -

나 특징

소형 경량화로서 좁은 장소에 설치가 용의하게 되어 있어야 한다(1)

송신각 각 방식을 채용하였으며 국제 항만 무선전화(2) DIRECT SYNTHESIZER

인 를 수용해야 하며 그외 개의CHANNEL 55(114) CHANNEL 105(527) FREE

이 수용되어 있어야 한다CHANNEL(SIMPLEX)

주 국제 중 미국연안에서 단식방식으로 절환 사용되고 있는1 CHANNEL 55(114)

을 사용 할 수 있을것USA CHANNEL(SIMPLEX)

주 별도의 기상수신 을 수용하고 있어야 한다2 WEATHER CHANNEL( )

USA 3 CHANNELS

CANADIAN 1 CHANNEL

OTHERS 5 CHANNELS

원격조정 회로의 내장으로 본기기의 판넬스위치와는 상관없이(3) REMOTE ( ) HAND

만 으로도 판넬 스위치 조작에 필요한 모든기능을 할 수 있고SET CONTROL VHF

의 원근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어야 한다SET

기능이 첨부되어 있어 미국연안 경비대 의 의무 청취(4) DUAL WATCH USCG( )

인 과 의 개의 을 동시에 수신할 수CHANNEL CH 13 CH 16 2 CHANNEL SCANNING

있으며 과 사용자가 선택하는 임의의 을 동시에CHANNEL 16 CHANNEL SCANNING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에 경보신호 기능의 내장으로 비상시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5) CH 16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국제 개 및 을(6) SCAN CHANNEL 55 FREE CHANNEL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SCANNING

안전통신에 지정되어 있는 은 우선 사용할 수 있도록(7) CHANNEL16 1 STEP

로 되어 있어야 한다SWITCH

국제 해상 인명 안전조약 에 정한 규격으로 되어 있어 전세계 어느곳의(8) SOLAS( )

규정에도 적합하며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구 성4

본 기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가 송 수신기 본체 대 1

나 HAND SET 1 SET

다 WHIP ANTENNA 1 SET

라 벽걸이형 SPEAKER 1 SET

마 전원 공급기 1 SET

- 39 -

규 격5

주파수 및 규격은 현재의 통신방식이며 정보통신부의 고시가 발표되면 협대역(125

로 변경한다)

가 일반사항

사용주파수 범위(1)

송 신 156025 ~ 157425 수 신 (SIMPLEX) 156025 ~ 157425 수 신 (DUPLEX) 160625 ~ 162025 기상수신 (WEATHER) 161650 ~ 162550

사용(2) CHANNEL

A International 55 (114) CHANNELSB USA 25 CHANNELSC FREE 105 (527) CHANNELSD WEATHER 9 CHANNELS

USA 3 CHANNELSCANADIAN 1 CHANNELOTHERS 5 CHANNELS

통신 방식(3) SIMPLEX amp DUPLEX

전파의 형식 전화(4) 16KOF3E( G3E DSC F2BG2B)

주파수 편차(5) 0001 (10 PPM)

사용 온도범위 부터(6) -10 + 50

예열 시간 전원 접속후 즉시 사용가능(7)

공칭(8) ANTENNA IMPEDANCE 50 ohm ( )

공급 전원(9)

전 압 136V plusmn 10전 류 수신시 800

송신시 5A전원 공급기 별도( ) 단상AC115V AC220V 60

부터 까지DC 15V 35V

나 송 신 부

정격 출력(1) HIGH -25 W

LOW - 1W

주 공중선 전력 저하장치로 이하 저하기능 보유1 1WATT주 단 보호 인 및 가 아님 은 송신이2 CHANNEL 7576 1 ~9(01 ~09 )CHANNEL되지 않음 기상수신대의 사용법은 본문 참조 ( )

- 40 -

발진 방식(2) SYNTHESIZER CONTROL SYSTEM

변조 방식(3) FREQUENCY MODULATION

점유 주파수 대역폭(4) 16 (8)

최대 주파수 편의(5) 5 (25)

복사강도 이상(6) SPURIOUS 70

변조 주파수 특성(7) 6 (plusmn 3 ) OCTAVE PRE-EMPHASIS)

(300 ~ 3 )

변조시 이하(8) DISTORTION 1 70 -20

신호 대 잡음비 변조시 이상(9) 1 70 40

저역 여파기 특성 이상에서 이상 감쇄(10) 3 -40log f3( ) (f = )

다 수 신 부

수 신 방 식(1) DOUBLE SUPERHETERODYNE SYSTEM

감 도(2) 이하 신호 대 잡음비 에서 025 V ( 20 )μ

감도(3) SQUELCH 이하 02 Vμ

국부 발진 주파수(4) 1lsquost LOCAL FREQUENCY

RECEIVER FREQUENCY - 214

2nd LOCAL FREQUENCY 10945

중간 주파수(5) 1lsquost IF FREQUENCY 214

2nd IF FREQUENCY 455

선 택 도(6) 저하폭 이상 6 12 (6)

저하폭 이하 70 25 (125)

(7) SPURIOUS RESPONCE 이상 70

감도 억압 효과(8) 이상 80

상호 변조 특성(9) 이상 65 ( 20 40 )

주파수 특성(10) 6 (plusmn3 )OCTAVE DE-EMPHASIS)

( 300 ~ 3 )

신호 대 잡음비(11) 변조시 이상 1 60 40

(12) DISTORTION 변조시 이하 1 70 -20

저주파 출력(13) 이상 1 WATT (IMPEDANCE 8 ohm)

- 41 -

제 절 차년도 개발 범위2 1

제 차년도 개발범위는 기초자료조사와 규정의 연구에 따라 기초회로의 설계 후1

사용부품을 시험하고 각 의 제작 및 시험 연이은 성능미달 의 차 차PCB PCB 2 3

차 재제작 시험을 완료하고 시스템의 설계까지이며 그 세부적인 개발범위는 다음4

과 같다

송수신장치 개발을 위한 제규정 수집 연구1 DSC VHF

기초자료 조사2

가 장비에 대한 기능특성 수집 연구

나 사용자 및 선박통신사의 요구사항에 대한 자료 수집 연구

다 외국장비와 비교 분석

라 부품규격 시험 및 선정

3 HARD WARE

가 고주파 필터코일 재질분석 및 각종코일 설계

나 제작 PCB

송신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1) PCB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시험(2) PCB

수신부회로 제작 시험(3) PCB

신세사이즈 회로 제작 시험(4) PCB

제어장치 제작 시험(5) PCB

표시장치 제작 시험(6) PCB

원격제어기 제작 시험(7) PCB

전원공급부 제작 시험(8) PCB

제작 시험(9) HAND SET PCB

전용수신기 제작 시험(10) DSC PCB

- 42 -

제 장 제 차년도 개발 항목 보고4 1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본 장비를 개발함에 있어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및 부품선정이 개발의 핵심 과제

로 생각하였다

기초자료는 기존 시스템분석과 전파관련법령을 기초하였고 주변회로는 관련된 회

로집을 분석하였으며 부품선정은 폐품종 여부와 수급이 용이하면서 견고하고 증폭

도 및 성능이 우수한 품종으로 장시간 시험을 거쳐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송신부 제작시험2

송신 출력회로 결정 회로설계 완료하여 각부 부품 구입 회 내구성 시험 및SPEC 30

구룹별 장시간 부품 부하 시험등 최종목표 성능을 확보하기위한 제반 기초 제작시

험을 완료 하였으며 주요 내용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의 발열상태등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의 높은 출력으로 증폭하는 송신전(VHF ) 25W

력 증폭기로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높은 고주파전력에 견딜수있어야 하고 열

에의해 발생되는 열잡음이 적으야하며 열에의한 부품의 열화 및 특성의 변화가 적

은 부품을 사용여야 하므로 온습도시험 과 과출력 시험을 통하여 사용될 부품을 시

험하였다

특히 고조파 필터회로 부품인 코일은 동선에 전도율이 좋은 재질로 도금하여 사용

하여야 하며 고조파필터회로 의 차폐용 재료도 동판에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도금

하여 사용 하여야 한다

나 송신 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PCB (PCB NO V-097)

개발과정에서의 설계변경 및 생산시스템의 전산화 에 적용 할수있도록 회로 설계는

물론 설계 회로기판 도안 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설계완료된 는PCB ( ) CAD DATA

회로기판 제작장치 외주 작업 및 부품삽입기 자사 작업 에 직접 컴퓨터용 디스켙( ) ( ) (

으로 입력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회로에 높은 고주파전류가 흐르므로인하여 빌진할 가능성 및 잡음발생의 우려PCB

가 많으므로 특히 부품배치에 유의하여 설계하였으며 송신신호 발생회로 또는 전원

회로 와의 배선은 관통형콘덴서등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였다

회로에 사용되는 코일은 각 코일간에 간섭을 줄이기위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설정하

였으며 전체를 차폐하고 또 고조파 필터회로를 구분하여 차폐하여 제작 하였PCB

- 43 -

또 안정된 출력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회로를 장치하여 설정된 출력 이상의ALC

출력을 제한한다

다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PCB (PCB NO V-096TX)

설계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이 는 미약한 고주파 신호를 발생 변PCB CAD PCB

환 증폭 하므로서 송신부 또는 외부로 부터의 잡음 유입과 내부잡음 발생에 유의

하여 설계되었으며 불요복사 억제에 유의하였다

라 성능시험

메칭상태 시험(1)

옴 파장 수직형 안테나 를 사용할수 있도록 시험하였으며 차적인 시험은 의50 12 1

사부하에 의해 시험하고 의사부하 안테나에 정상적인 메칭이 된 후 실제 사용 안테

나에 확인시험 하였다

이 시험에서 양질의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장치는 물론 안테나의 성능이 중

요하며 인접한 고전력 안테나 및 낙뢰로부터 안정성 등을 감안하여 안테나는 VHF

대역 이하의 주파수에 대하여 쇼트형 안테나가 바람직 하다

기존 시스템의 이상의 성능 확보(2) 90

송신부의 주기능으로서 양질의전파를 안테나로 공중에 발사하는 장치로서 주피수안

정도 고조파억압 불효전파억제 안정된전력 안정된 주파수편이 낮은 왜율 등의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시험결과는 기존의 제품의 특성에 가까운 성능을 확보

하였으나 안테나공용기 복신통신용 필터 특성의 개선및 송신부 관련부품의 배치를( )

개선하므로서 보다 좋은 성능을 확보 할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신부 제작시험3

수신부는 안테나입력회로 입력동조회로 단신통신 및 복신통신 각 주파수 대역 필 (

터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로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 1 1 2 2

로 대역필터회로 신호제한 리미터 회로 복조회로 무신호잡음 차단 회로 저주 ( ) FM

파 증폭회로 및 국부발진회로 로서 구성되나 국부발진회로는 잡음의 발생및 유입

주파수안정도 등을 감안하여 별도의 로서 제작하였으며 그외 수신부와 관련한PCB

내용은 다음과 같다

- 44 -

가 사용부품의 구입 및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증폭과 변환을 반복하여 요구되는 신호(VHF )

를 복조하여 기청음 또는 의 문자표시로 출력되게 하므로서 안정된 주파수 및DSC

증폭이 요구되므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당연히 고주파특성에 유의하여 주파수

차에의한 특성변화 열잡음 및 고주파잡음 능동소자등의 직선성 등이 교려되어야하

므로 항온항습시험과 과전류에의한 잡음발생의 시험 등 을 거처 엄선한 부품으로

설정사용 하였다

특히 회로의 선택도 코알의 값 를 높이기 위하여 가 높은 트랜스 재료를 사용하( Q ) Q

였다

다 수신부회로 제작 PCB (PCB NO V-096RX)

위 항에서의 시험에 의해 선택된 부품을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며 수신부의 특성31

상 잡음의 발생보다는 잡음의 유입에 유의하여 설계되었으며 안정된 증폭 특성 수(

신감도 을 얻기위하여 중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회로기판은 에폭시) 2

수지 양면인쇄동판을 사용하여 부품삽입면은 대부분 공통단자로 이용하여 부품간의

간섭을최소화 하였다

다 수신부 특성시험

수신부 특성상 수신감도 주파수안정도 왜율 통과대역폭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감도억압비 혼변조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신호대 잡음비 일 때의 수신감 20

도 성능이 확보되며 기타 여러 가지 특성도 최종목표 특성에 가까운 성능이05

확보 되었으나 까지 수신감도가 향상되도록 성능개선이 요구된다025 V 120757

신세사이즈부의 회로의 안정도로 인하여 국부발진 신호의 흔들림현상이 있어VCO

통과대역폭 및 잡음발생의 원인이되어 신세사이즈회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신세시이즈회로는 크게 수신국부발진 신호용과 송신신호용으로 구분되며 단신통신

과 복신통신방식일때 각각 동작할수있는 구성으로 설계되었으며 그 내용별로 구분

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전압제어발진기 에 사용되는 부품은 온도 및 전압변동에 특성의변화가 극히(VCO)

적어야하며 외부로부터 정전 및 자계영향이 크므로 회로를 별도로 정전 및 자VCO

계로부터 차폐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혼변조 및 잡음신호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파수선택 표준신호 등 시 수신( )

대역 및 송신대역에 영향이 없는 주파수로 하였으며 가능한 레벨을 제외한 신(TTL

호 파형의 왜율이 적은신호로서 각회로신호를 사용하여 결합하였다)

- 45 -

나 신세사이회로 제작 (PCB NO V-096PLL)

이회로 기판은 여러종류의 신호들이 발생 혼합 증폭 비교 되므로 각부품 간의 배

치에따라 잡음발생의 정도가 크게 좌우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였으며 회로는 외VCO

부영향에 민감하게 작동되므로 차폐 에 유의하여 부품의 배치 적절하게 하였으며

잡음발생을 유의하여 부품을 선정하였다

다 성능시험

이회로의 특성상 주파수안정도 주파수의 흔들림 위상비교기의 비교속도 등에 유의

하여 시험하였으며 여러가지 일반적인 특성은 최종목표사양에 만족될 수 있는 신호

원을 공급할수 있었어나 주파수의 흔들림 현상이 있어 회로의 부품 및 차폐에VCO

개선이 요구된다

제어장치 제작시험5 (PCB NO V-263)

이회로의 주요부품으로서 를 사용하여 당개발과제의 송수신 및 외부V25 CPU DSC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며 아울러 본체 전면표시기와 스윗치 입출력 기능도 한다

이회로의 주요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스 읽기전용 메모리 읽고CPU( ) ROM( ) RAM(

쓰기 메모리 직렬통신용 입출력 병렬통신 입출력 아날로그 디지) SIO( ) PIO( ) AD(

탈 변환기 스윗치입력 표시기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개발 내용은 다음과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에 사용되는 부품은 대부분 디지탈신호를 처리하여 회로로서 및TTL IC

로서 구성되며 저소비전력 및 고속처리능력이 요구되므로 주로 고속용C-MOS IC

중 형 를 사용 하였으며 장치의 초기설정 및 기능 설정의C-MOS(C-MOS IC HC )

변경등 의 목적으로 은 충전형 밧테리로서 메모리내용을 전원의 에 관RAM ONOFF

계없이 유지하도록 하였다

외부 제어기 등 와의 통신용 의 통신속도를 또는 등으로(DSC ) RS-232C 2400 4800

변경 설정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변환기 등을 이용하여 자기진단을 할수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장비의 유지및AD

보수에 많은 도움이된다

- 46 -

나 성능시험

운용시험(1)

이회로의 특성상 전기적 특성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특성 및 성능이 요구되므로 운

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이부분에 대한 시험은 개발자입

장이 아닌 운용자가 시험하여야 하는 관계로 선박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사용자에게

의뢰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로서는 기능면에서는 양호하나 사용상 복잡한 면이 있어 보다 조작 을 간편

히 할수있도록 개선할 필요가있는 것으로 본다

표시장치 시험(2) (PCB NO V-260)

본장치의 사용상 필요한 기능 및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내용과 기기 동작

상태의 일치성이 요구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온습도 및 장기시험 으

로서 확인하였으며 여러 가지 표시장치중 각각 중단점이 나타낮다

즉 액정 표시기 표시기는 저소비전력이며 주위가 밝은곳에서 사용이 가능 하LCD( )

나 반면 온도특성이 나쁘며 형광표시관 표시기는 온도특성은 양호하나 소비전 VFD( )

력이 대체로 높고 보다 낮고 보다 많음 수명이 낮다는 단점이있으며(FND LCD )

발광 다이오드 표시기는 모든면에서 대체로 양호 하나 잡음발생 이많으며 밝FND( )

은곳에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외 여러 가지의 장담점을 검토하여 차적인 결론은 표시기가 적합한 것으로1 LCD

본다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최소의 전기적신호 연결로서 최대의 기능제어및 속도가 요구되는 장치로서 저주파

신호의 입력 마이크 신호 및 출력 스피크 신호 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 제어는( FS ) ( )

직렬통신 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였으며 장거리 일반 공용통신망 을 이(RS-232C)

용할수도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요 구성은 중앙제어장치 스윗치입력 장치 표시장치 메모리장치 직렬통신장치

로 구성되며 그 상세한 개발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의 대부분이 디지탈신호의 처리회로로서 구성되므로 제어장치 의 사용 부품ldquo rdquo

시험 및 선정기준과 같으며 장거리운용상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신속도를

알맞게하며 장거리통신 선로에서 유기되는 잡음을 최소화 하기위한 필터회로 및

소프트웨어적인 오류정정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별도 설계 사용 하였다

- 47 -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V-170)

이장치는 사용상 편리하여야 하므로 소형 경량 으로 제작 하였으며 차적 기능 시 1

험을 목적으로 외형 보다는 성능을 우선하여 시험용으로 제작하였다 이장치의 시

험은 전용케이블 을 이용하여 시험하였고 또 일반 공용통신용 전화 선로를 통하여

원거리 시험을 하였으며 그결과로서 통신속도가 까지 양호하게 동작되나2400bps

그이상의 통신속도로서 운용 할려면 전용회선이 필요하게된다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가 결정 SPEC

각회로 에서 필요로하는 전압 및 전류에 알맞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반 성능

을 차적으로 설정 하였으며 최종목표 사양에 일치하기위하여서는 전원부의 장치에1

대하여 모든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최종 특성이 설정 되어야 한다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P-099)

이장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되나 반면에 안정성이 확고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안

정성을 첫째로 중요시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이회로는 많은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많은 전력이 열로서 손실되므로 방열에 특히 유의하여 제작되었으며 열발생이 많은

부품은 알미늄 방열판에 설치하고 이방열판은 본장치 외함의 바깥쪽에 설치하여 방

열효과를 최대화 하였다

이회로의 시험은 과입력전압 및 과소비전력 일때의 안정성에 중점 시험하였고 그시

험을 위하여 장시간 항온 항습기 를 이용하여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전원부의 안정

성 확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도 이회로를 특별히 개선하지 않고도 최

종목표 사양에 만족하리라 본다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PCB NO V-098)

마이크 회로 수화기 회로 송신 스윗치 회로 로서 구성되며 이장치는 사용 특성상

충격에 강하도록 설계제작 되어야 하며 무게는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재료선택이

중요하며 이러한점을 감안하여 사출금형에 의하여 성형 하였으며 성형 제료로서는

제료를 사용하고 사용 부품을 최소화 하여 제작 하였다ABS

이장치의 특성상 견고하며 방수효과가 최대이어야 하므로 충격 자연낙하 시험 및( )

방수시험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 성형제료 및 외형상의 문제는 없이나

송화기 및 수화기의 선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송화기는 콘텐서형

마이크가 좋으며 수화기로는 가변코일형으로서 떨림판이 평면으로된 수화기가 우수

한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선정하여 제작시험 하였다

- 48 -

전용 수신기9 DSC (PCB NO T-342)

전용수신 장치는 송수신장치중 송신부를 제외한 구조와 유사하므로 개발과정에서

송수신장치중 수신부회로에 복조장치 를 추가하여 별도 로 제작하여 시험DSC PCB

하였으며 개발내용중 전용수신기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DSC

가 기능 및 동작

변조되어 수신된 신호를 필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후 신호 처리용FM DSC DSC

마이크로프로세스 에 공급하여 소프트웨어로서 신호를 분석한후 표시장치 메(CPU)

모리장치 인쇄장치 등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전용 찬넬인 번 찬넬을 항상 DSC 70

수신상태로 동작하여 신호 도트신호 를 검출하고 신호가 있으면 이어서CALL ( ) CALL

수신되는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표시장치 및 경보장치에 출력한다

나 신호 신호 필터회로 와 신호 처리부 및 제어용회로부 DSC (FS ) DSC DSC

제작시험 (PCB NO T-325 T-326 T-327)

이 회로의 성능은 주로 필터 및 디지탈변환 회로에서 결정되며 소프트웨어의 성능

에 따라 안정성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점을 유의하여 설계제작 하여으며 성능 시험

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험용 정보를 송신장치로 통해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후 그

결과를 분석 시험 하였다

다 전용 수신기의 개발과정 에서의 학보된 기술 DSC

신호 및 의 신호 의 필터 및 디지털 변환 기술DSC (1300 2100 FS )

신호 검출 및 직렬신호의 병렬변환 소프트웨어DOT

기술 정보의 비교 및 인쇄출력 소프트웨어 기술

종합시험10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별 차 차 차 보완시험은 만족하며 앞으로 개발의 중점은 사용의 편리성과PCB 1 2 3

생산성에 중점 개발이 요하며 배치에 따라 야기될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 PCB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후 최종제품을 제작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49 -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1

가 전면판 사출금형

나 옆판 스피커 안테나 금형

다 노브 사출금형

라 윗면 및 밑면 프레스 금형

마 설치용 고정장치 사출 금형

바 설치대 프레스 금형

사 뒷면 작업용 프레스 금형

아 항온조용 열차단금형

자 필타 금형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2

가 송수신기 제어장치 프로그램

나 전용 수신기 제어용 프로그램 DSC

다 원격조정기 프로그램

라 송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마 수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3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6: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6 -

국내에서는 전파진흥정책 도입에 대비한 일반적인 연구가 진행되었고 선 GMDSS

박용 항해통신장비의 국산화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몇몇 장비가 개발완료 되어 있으

나 아직은 미비한 상태이므로 완전 실행되는 년 월 일까지는 관련1999 2 1 GMDSS

장비들이 완전 개발되어야 만이 종래와 같이 외국제품을 수입 탑재하는 우를 범하

지 않을 것이며 이 분야에 대한 국제경쟁이 가능하다고 본다

그러므로 이 제도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정책수립과 동시에 국산화를 위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해상통신용 송수신장치의 개발 DSC

을 구현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범위와 내용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의 도입에 따른 지상계 통신의 주축이 되는 의 이론적 배경을 구lt gt GMDSS DSCⅡ

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루었다

해사위성통신의 개발약사를 분석하여 새로운 해상이동통신제도인lt -1gt GMDSSⅡ

의 도입 배경 및 개발 계획을 고찰하였다

도입에 따른 및 등 국제기구의 활동 상황과 의lt -2gt GMDSS ITU IMO IHO ITCⅡ

전파규칙 의 협약 등의 정비현황과 우리나라의 조치 상황을 분석(RR) IMO SOLAS

하였다

새로운 해상통신제도인 의 기본개념 도입일정과 통신시스템 및 설lt -3gt GMDSS Ⅱ

비의 기능을 분석하였다

관련 규정은 및 권고 협약 전파관계법 등으lt gt DSC ITC IMO RR CCIR SOLAS Ⅲ

로 규정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내용을 종합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루었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전파규칙 을 구명하여 조난 안전통신lt -1gt GMDSS (RR) Ⅲ ㆍ

및 선박국의 준수 조건등을 분석 하였다DSC NBDP

실제적으로 개발에 필요한 호출시스템 운용절차 품질에 대한 평가lt -2gt DSC Ⅲ

식별 코드 및 변환 등에 관한 권고를 총괄적으로 집약 분석하였다CCIR ㆍ

관련 협약 중 선박의 요건 해역 전원 성능 기준 및 보수요lt -3gt DSC SOLAS Ⅲ

건을 분석하였다

음성통신 및 를 할 수 있는 용 무선설비의 성능기준lt -4gt DSC MF MFHF VHFⅢ

에 대한 총회 결의 권고를 분석하였다IMO

장비를 구현하기 위하여 위의 장에서 분석된 제규정을 다음과 같이 집lt gt DSCⅣ Ⅲ

약 정리하여 실제적으로 개발에 필요한 핵심 규정을 제시하였다DSC ㆍ

디지틀 선택호출장치의 기술 설비 및 전파 등을 규정하고 개발에 필lt -1gt DSCⅣ

요한 기술기준을 집약하여 제시하였다

의 조건 및 선박국 해안국의 기술적 조건을 집약 제시하였다lt -2gt NBDP Ⅳ

위에서 연구된 제규정에 의하여 장비가 개발되었을 때 이를 실용화하기lt gt DSCⅤ

위하여 실행되는 형식검정에 대비하여 다음 사항을 고찰하였다

- 7 -

형식검정의 제도 개념과 대상기기 및 기술기준확인증명대상기기를 구분하lt -1gtⅤ

여 분석 정리하였다ㆍ

형식검정에 따른 신청 방법 구비서류 및 품질보증업무에 대하여 그 예를lt -2gt Ⅴ

들어 제시하여 제작자의 편의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기기의 종류별 구조 및 성능 조건을 분석하고 관련 장비의 형식검정에lt -3gt DSCⅤ

필요한 표준시험방법을 제시하여 개발에 따른 제조건을 만족하도록 형식검정의DSC

투명성을 확보하였다

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으로서 개발에 따른 제규정의 적lt gt GMDSS DSCⅥ

용문제에 대하여 행정당국과 제조업자 상호간의 선결문제를 제시하고 이를 위한 조

정 방안을 강구하였다

제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4

는 현행 시스템을 위성통신방식과 와 같은 새로운 기술을 종합GMDSS DSC NBDP

적으로 활용하여 통신의 자동화를 이룩한 제도이므로 이러한 제도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의 기준설비인 송수신장치의 개발을 위한 국제기구GMDSS DSC

의 권고 기술기준 및 관련규정의 연구가 이루어 질 때 만이 가능하며 이를 통하여

해운 선진국으로서 해상에서의 인명안전 확보라는 국제적 의무사항을 충실히 이행

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해상통신장비의 개발을 위한 지침자료가 될 것이며 다음과 같

은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전파관리의 합리화를 위한 방안 제시(1)

의 도입과 관련된 행정기관에서는 해역설정 설비의 장치 통신망(2) GMDSS SAR

및 방송 등에 관한 실질적인 방안을 강구NAVTEX NAVAREA

해상전파통신장비의 국내생산의 필요성 및 기술촉진을 통한 국산화를 제고(3)

개발을 위한 관련기술 사양 도출(4) DSC

관련 성능 평가기준 마련 및 성능 시험 기법 촉진(5)

형식검정을 위한 행정적인 처리 기준 확보(6)

- 8 -

제 절 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5 GMDSS

해상통신에 있어서 위성의 이용은 새로운 통신방식을 모색코저 노력한 해운계에 있

어서 획기적인 전환점이 되었다 또한 이를 통한 다수의 새로운 시스템 및 장비의

도입은 해상통신의 중요한 목적인 항행안전 뿐만 아니라 경제성 및 간편성에도 커

다란 발전을 가져왔으나 새로운 제도에 의한 해상통신은 그 가치가 이용의 확대와

시스템의 고도화가 필수요건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는 기존의 통신시스템을 위성통신방식과 와 같은 새로운GMDSS DSC NBDP

기술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자동화를 이룩한 제도이다 물론 가 의 부 DSC GMDSS

분 설비이기는 하지만 이러한 제도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조치

사항과 더불어 관련장비의 국산화가 필요하며 이를 통하여 해운선진국으로서 해상

에서의 인명 재산의 확보라는 국제적 의무사항을 충실히 이행하게 될 것이다ㆍ

년 월 일부터 드디어 의 도입이 시작되었다1992 2 1 GMDSS

에 관한 의 규정은 년 월 일부터 협약은 년 월 일GMDSS RR 1991 7 1 SOLAS 1992 2 1

부터 발효되어 는 도입 시행되고 있다GMDSS ㆍ

이 제도를 도입하기 위하여 국제기구 특히 의 와 의 무 ITU CCIR WARC IMO COM(

선통신소위원회 가 여년 동안의 연구기간이 소요되었다는 것은 그 내용이 얼마) 20

나 복잡하였던가를 말해주고 있다

새로운 제도의 실행을 위해서는 관계법령의 개정 해역의 설정 통신시설의 정비등

에 대한 구체적 계획과 수립이 필요하다 즉 조난구조본부는 어느 부처에서 언제

어디서 설치될 것인지 국내연안을 위한 방송은 어느 해안국에서 언제 실 NAVTEX

시 할 것인지 통신을 위한 해안국은 어디에 언제 설치할 것인지 는 DSC SafetyNET

어떻게 구성하고 있는지 위성 나 트랜스폰더 등에 대한 국내조치와 소 EPIRB RADAR

형 선박 특히 유효한 이들 구명설비의 탑재의무를 어선까지 확대하느냐의 여부 등

이 요구되고 있지만 아직 이러한 조치사항이 일반에게 가시화되어 있지 않다

또한 정보통신부와 항만청간의 소관업무조정 해상전자설비의 국산화지원 설비의

중화문제 등의 조속한 검토와 실행이 요망되고 있다 다만 전파관계법에서 해역2

등 관련용어의 정의 에서의 무선종사자의 자격 조작 및 종사범위GMDSS GMDSS

와 선박의 무선설비 성능조건 및 기술기준 및 전파 설비의 중화 육상정GMDSS ( ) 2

비 전파전자기능사 자격을 수용하는 제도만을 설정하여 공포 하고 있 (1992 6 30)

을 뿐 다른 대응은 아직 구체적으로 마련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행정조치사항을 제시하여 그 대응방안을 논하고자 한다

앞에서 도입에 따른 관련설비의 제규정은 구명 분석되었으나 이 분GMDSS DSC ㆍ

야의 발전여부는 오직 정부정책에 달려있기 때문에 구체적인 건의 사항으로서 이를

재정리하여 현실적인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 9 -

첫째 발전된 기술과 자동화를 이룩한 도입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그 GMDSS

동안 해상통신분야의 인식을 과감히 불식하고 관 산 학 협동을 통하여 이를 위 ㆍ ㆍ

한 현실적인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해상전자통신장비의 국산화를 위하여 관 산 학 연구소간의 협력체제를 강화하고ㆍ ㆍ

적극 지원해야 한다 현재 세계 유수의 해운국이자 조선국인 우리나라는 해상통신

장비분야에 대해서는 아직 후진성을 면치 못하고 주로 수입대치에 의존하는 현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둘째 관계당국은 도입에 따른 해역의 설정 설비의 정비 및 해안국 확정 GMDSS

통신망 및 방송 설비의 수급대책 등에 관한 문제를 계획하SAR NAVTEX NAVAREA

고 현실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정책당국은 정부 관련부처간의 업무를 조정하기 위하여 위원회를 구성

하고 전문가를 초빙하여 연구발표회 또는 간담회 같은 방법을 통하여 관계부처간의

조치 진행 상황을 일반인에게 가시화시켜 선박회사 전자기기 제조회사 조선소 및 ㆍ

종사자 등의 업무대비에 도움이 되도록 해야 한다

셋째 에 관한 국제규정에는 권고 포함 와 총회 결의 GMDSS RR(CCIR ) SOLAS(IMO

및 권고 포함 에 그 근거를 두고 있으나 그 주관청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부처간)

업무조정이 필요하다

협약 제 장 무선통신 의 대부분이 정보통신부 업무에 속하기 때문에 국내 도SOLAS 4 ( )

입의 원활을 기하고 국제적 의무를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정보통신부와 항만청

사이에 업무조정이 필요하다

즉 문서 발착사무는 항만청에서 하되 다음과 같은 업무를 조정해야 한다 IMO ㆍ

협약에서는 육상시설 등에 관한 정보를 에 통보하기로 되어 있고(1) SOLAS IMO

그 밖에 해역의 설정 통보 등 업무가 많으므로 이를 위한 업무의 체계화

정보통신부 소속사무에 속하는 각종 문서의 분류 배포 및 이에 대한 처리(2) IMO

넷째 관계 국제협약의 결의 권고 및 기술기준 등의 용어 및 규정의 정의를 통일시

켜야 한다

이는 각부처간 소관업무에 관한 제규정을 기준없이 비전문인이 원문을 해석하여 이

용자가 규정을 이해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관계전문인

이 참여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다섯째 형식검정을 위한 개선방향으로 대상기기의 정비 및 서류 간소화 민간에서

시험할 수 있는 대상기기의 지정확대 지정시험기관의 안배 확대지정 제조업체 자

체 시험 성적서를 인정하는 문제 등을 지적할 수 있다

물론 형식검정은 제도적으로 성능기준 기술기준 등이 마련되어 있으나 기기별 시

험방법 등이 구체화되어 있지 않고 당국의 자체 검정기준이 각 제조업체 수입자

및 일반인에게 공시화되지 못하여 가져오는 손실에 대하여 정책당국의 확인행정이

절히 요구되고 있다

- 10 -

또한 검정신청서 제출시 미비한 기재사항 하나로 신청서마저 접수되지 못하는 현실

하에서 발생되는 경제적 시간적인 손실등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ㆍ

이러한 본 연구의 노력이 도입에 따른 관련 장치를 설계하고 장비의GMDSS DSC

규격 및 요건을 구현하는 표준자료가 될 것이며 이를 통하여 정책의 개선과 기술

을 촉진하게 되고 나아가서 선진해운발전에 기여하게 될 것을 확신한다

- 11 -

제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2

제 절 외국장비의 사양1

1 Main Unit

가 General Specifications

Transmission 15550-15950

frequency range

Reception frequency 15550-15950 (simplex)

range 16060-16350 (duplex)

Channel capacity ITUUSA channels Up to 57 channels

Private channels Up to 99 channels

Weather channels 9 channels

(only reception)

Memory channels Up to 10 channels

Select channels Up to 10 channels

Channel spacing 25 10

Communication modes Simplex and duplex

(simplex and semi-duplex on privatechannels)

Type of emission G3E G2B(F3E F2B)

Frequency accuracy plusmn 10 x 10-6

Antenna impedance 50Ω unbalanced

Rated input power DC138V plusmn10(supplied

supply voltage fromNQD-1496 power supply unit)

Numbers of DSC file 15 for calling

20 for Distress

call receiving

5 for general

call receiving

Environmental test

conditions

- 12 -

Vibration 1 to 125 32 15min

125 to 25 076 15min

25 to 50 02 15min

Dry heat cycle +55 2hr

Dump heat cycle +40 93RH10hr

Low temp cycle -15 2hr (after maintaining at -25 for

10 hr)

Temperature 0 to +40

range for full

performane

Operating -15 to +55

temperature

range

Storage -25 to +65

temperature

range

Dimensions 290(H) times 240(W) times 145(D)

(excluding protrusions)

Weight Approximately 7

나 Transmitter Unit

Output power 25W

Reduced outpur power 01 to 1W

Oscillation method Frequency synthesizer

Modulation method Frequency modulation

Occupied bandwidth Within 16

Maximum plusmn5

frequency deviation

Microphone input 600Ω(balanced)

Standard

modulation input -53 m

Frequency

characteristics 6 oct +1-3

Overall distortion 10 or less

Signal-to-noise ratio 40 or more

- 13 -

Spurious emission 25 W or less120757DSC data rate 1200baud plusmn30 times 10-6

modulation method FSK

modulation index 2 plusmn10

Mark signal(Y) 1300 plusmn 10

Space signal(B) 2100 plusmn 10

다 Receiver Unit

Receiving system Double super heterodyne

Intermediate frequency 1st IF 214

2nd IF 455

Local oscillation method Frequency synthesizer

Sensitivity 2 V or less120757Sensitivity(DSC)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the input

level of 0 120757Squelch sensitivity 1 V or less120757Selectivity 12 or more at 6 bandwidth

within 25 with a selectivity of 70

Spurious response 80 or more

Spurious response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DSC)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73 120757

Blocking 90 or more

Blocking(DSC)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μ

level of 93 120757Intermodulation 70 or more

Intermodulation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DSC)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68 120757

Overall distortion 10 or less

Signal-to-noise ratio 40 or more

Rated audio output 2W(4Ω)

External speaker 0 m 600 Ω

output level

- 14 -

Frequency 6 oct +1 -3

characteristics

Radiation 1 nW or less

2 Power Supply Unit

Input voltage AC 100V to 120V (5060 ) or AC 200V to

240V (5060 ) and DC 24V (DC 216 to

312V)

Power consumption AC 100V 2A max(main unit)

AC 220V 1A max(main unit)

DC 24V 55A max(main unit)

Input switching Automatically switched to AC mode during

normal operation and to DC mode when AC

power failure

Output Voltage DC 138V plusmn10

Environmental Same as JHS-31 main unit

test conditions

Dimensions 300(H) times 240(W) times 145(D)

(excluding protrusions)

Weight Approximately 65

3 Remote Controller

Operating and Same as JHS-31 main unit

control items

Display items Same as JHS-31 main unit

Power supply DC 138V plusmn10 supplied from

NQD-1469 power supply unit

Environmental test Same as JHS-31 main unit

conditions

Dimensions 290(H) times 240(W) times 80(D)

excluding protrusions)

Weight Approximately 35

- 15 -

4 DSC Watchkeeping Receiver

가 General Specifications

Operation frequency 156525 (CH 70)

Reception mode G2BF2B

Antenna impedance 50Ω nominal unbalanced

DSC AF signal output 0 m plusmn10 (600 Ω balanced)

Self diagnostics Provided with receiver

overall testing functions

Dimmer 4-step control for dimming illuminations

incl extinction

Environmental test Same as JHS-31 main unit

conditions

Warm-up period 30 sec

Dimensions 145(H) times 140(W) times 145(D)

excluding protuberances

Weight approx 15

Power supply 138 VDC plusmn10

Power consumption 10 W or less

나 Receiver

Receiving system Double superheterodyne

Local OSC Crystal controlled

Frequency accuracy Within plusmn10 times 10

Intermediate frequency 1st IF 208

2nd IF 455

Sensitivity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the input

level of 0 μ

Selectivity 6 bandwidth 12 or more

70 bandwidth 25

Adjacent CH selectivity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μ

level of 73 120757(wanted signal frequency plusmn25 )

- 16 -

Spurious response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73 with application of unwanted120757signals in range of 9 to 2

Blocking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93 with application of unwanted120757signals apart plusmn1 to plusmn10 from the

wanted signal

Intermodulation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68 with application of two120757unwanted signals of plusmn25 and plusmn50

simultaneously

Co-channel rejection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ratio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μ

level of -5 120757De-emphasis -6 (+1 -3 ) octave

characteristic 300 +105 (+1 -3 )

3 -95 (+1 -3 )

at reference frequency of 1

Amplitude characteristic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receiver

of receiver limiter input level of 0 to 100 120757 120757Noise and hum -40 or better

Harmonic distortion -20 or better

Spurious emission 1nW of less

5 Guard Receiver

Receiving mode Simultaneous reception of any two channels

selected from ITUUSA channels

Receiving channels Up to 57 channels

Channel spacing 25

Mode of reeption G3E(F3E)

Frequency accuracy Wighin plusmn10 times 10-6

- 17 -

Receiving system Double super heterodyne

Intermediate frequency 1st IF 214

2nd IF 455

Local oscillation method Frequency synthesizer

Sensitivity 2 V or less120757Squelch sensitivity 1 V or less120757Selectivity 12 or more at 6 bandwidth

within 25 with a selectivity of 70

Spurious response 70 or more

Blocking 90 or more

Intermodulaltion 70 or more

Overall distortion 10 or less

Signal-to-noise ratio 40 or more

Rated audio output 2W(4 )Ω

Frequency

characteristics 6 oct +1 -3

Antenna input 50 unbalancedΩ

impedance

Temperature range 0 to +40

for full performance

Operating -15 to +55

temperature range

Storage -25 to +65

temperature range

Power supply voltage DC 138V plusmn10

(supplied from the NQD-1469 power supply

unit)

Dimensions 290(H) times 140(W) times 145(D)

Weight Approximately 25

- 18 -

제 절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2 DSC VHF

디지틀선택호출장치의 조건1

가 점검 및 보수를 쉽게 할수 있을것

나 전원공급후 분이내에 작동할 수 있을 것 1

다 의 주파수를 쉽게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 것 156525

라 초이내에 송신과 수신을 전환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 것 03

마 이상의 제어기를 갖는 경우에는 의 제어기에 우선권이 주어지는 동시에 다 2 1

른 제어기의 사용상태를 표시하는 기능이 있을 것

바 전원전압이 정격전압의 퍼센트이내에서 변동된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 (plusmn)10

할 수 있을것

사 통상 발생하는 온도 및 습도의 변화 진동 또는 충격이 있는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수있을것

선택호출장치의 선택호출신호의 조건2

가 마크주파수는 이고 스페이스주파수는 일것 이 경우 허용편차 1300 2100

는 각각 로 한다10

나 신호전송속도는 매초 비트일것 이 경우 허용편차는 만분의 으로 1200 100 30

한다

다 시간다이버시티의 시간간격은 초일것 003

송신장치의 조건3

가 공중선전력 와트 이상일 것 6

나 전파의 변조지수 허용편차는 로 한다 F2B 2( 02 )

다 감도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자 1

율이 퍼센트이하일 것1

라 실효선택도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1) 14

상태에서 중간 주파수로부터 희망파의 배의 주파수 희망파주파수의 이3 ( (plusmn)375

내의 주파수를 제외한다 까지 수신기입력전압 밀리 볼트의 무변조 방해파를 인) 447

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1

- 19 -

감도억압효과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2) 14

의 정현파에 의하여 주파수 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기입력전압400 3 44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인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이하일1

마 상호변조특성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 14

희망파 보다 떨어진 수신기 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와 희망파25 25

보다 떨어진 의 정현파에 의한 주파수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50 400 3

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25 1

디지틀선택호출전용수신기 의 조건4

가 통신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통신의 수신기능외에 통신의 내용을 볼 수있도록 하

는 기능이 있을것

나 조난통신 또는 긴급통신을 수신한 경우에는 수동으로만 정지시킬 수 있는 특별

경보기능이 있을것

다 수신한 조난통신의 내용을 즉시 인쇄하거나 개이상의 조난통신을 기억할 수 20

있어야 하되 기억한 내용을 일정시간 보존할 수 있을것

라 본체의 보이는 곳에 수신주파수를 표시할 것

마 전원공급후 분이내에 작동할 수 있을것 1

바 전원전압이 정격전압의 퍼센트이내에서 변동된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plusmn)10

수 있을 것

사 통상 발생하는 온도 및 습도의 변화 진동 또는 충격이 있는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수 있을것

아 감도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자율 1

이 퍼센트 이하일 것1

자 실효선택도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1) 14

상태에서 중간 주파수로부터 희망파의 배의 주파수 희망파주파수의 이내3 ( (plusmn)375

의 주파수를 제외한다 까지 수신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를 인접) 447

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1

- 20 -

감도억압효과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2) 14

의 정현파에 의하여 주파수 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기입력전압400 3 44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인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1

차 상호변조특성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 14

희망파 보다 떨어진 수신기 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와 희망파25 25

보다 떨어진 의 정현파에 의한 주파수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50 400 3

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25 1

- 21 -

제 절 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3 DSC VHF

일반적 조건1

가 취급이 용이한 것일 것

나 에서 까지의 숫자 입력판을 갖는 경우에는 그 숫자의 배열은 국제전신전화자 0 9

문위원회의 권고 에 의한 것일 것E161

공중선의 단선 또는 공중선 단자의 단락으로부터 보호수단을 가질 것

과전류 과전압 전원의 과도변동 및 전원극성의 우발적인 반전으로부터 보호수단이

있는 것일 것

노출된 금속부분은 접지하는 것이 가능할 것

전원단자는 접지되어 있지 않을 것

전원 볼트를 초가하는 전기 고주파의 것을 제외 를 통하는 도전부는 용이하게 노55 ( )

출이 되지 않도록 다음의 어느 조건에도 적합한 차폐체를 갖고 있는 것일 것

차폐체를 개방한 때는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되는 구조일 것(1)

차폐체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공구를 필요로 하는 구조이고 또는 고전압에 대한(2)

주의사항이 표시되어 있을 것

다 통상의 설치된 상태에서 제조자명 형식명 및 제조번호가 명확하게 판독 가능하

도록 외부에 표시되어 있을 것

라 장치의 일부를 가열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급전후 분이내에 일정온도에 달하 30

는 것일 것

다만 가열회로에 공급하는 전력은 다른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치단에 의해

절단되지 아니할 것

마 전원공급후 송신장치의 일정분에 전압의 공급을 지연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는 그 지연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것

디지틀선택호출장치의 조건2

선박의 위치 및 위치를 결정한 시각의 자동입력 기능을 갖는 경우에는 동기능의

고장이 장치의 다른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

가 선택호출 신호의 구성

조난경보등 조난경보 조난경보에 대한 응답 조난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1) (

중계에 대한 응답을 말한다 이하 같다 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및 무선설비의 기기 )

의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이하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이외의 선택( ldquo rdquo )

호출신호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1

- 22 -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2) 2

조난 경보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 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3) 3

일 것

조난 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 중계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4)

성을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4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5) 5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오류검정부호를 제외한다 에 사용하는 단위 부호는(6) (dot ) 10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6

나 선택호출신호의 송출조건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오류검정부호를 제외한다 의 송출은 최초의 송출과 반(1) (dot )

복송출과의 사이에 개의 코드가 놓아진 방식일 것4 Time Diversity

선택호출신호의 반복송출은 다음과 같은 것일 것(2)

가 조난경보를 연속하여 송출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조난 경보를 최후의 신호와( )

다음에 송출되는 조난경보의 신호와의 사이를 가격없이 송출가능한 것일 것dot

나 디지탈선택호출통신망을 위한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호출( )

또는 응답의 선택호출 신호의 경우는 별표 에 따라서 회를 초과하지 않는 회수를7 4

반복하여 송출가능할 것

다 가 및 나 이외의 경우는 반복하여 송출이 가능하지 않는 것일 것( ) ( ) ( )

다 선택호출신호의 수신조건

조별 의 장치는 제 호에 규정한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1) (class) A 2

읽어냄이 가능할 것

조별 의 장치는 다음의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표시하는(2) (class) B

것이 가능할 것

가 제 호에 규정하는 선택호출신호중 종별 의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것( ) 2 (class) B

나 포맷 신호가 해역호출인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것( ) (format)

다 제 가 수신되지 아니할 것( ) 1 Telecommand

해안국의 장치는 제 호에 규정하는 선택호출신호 해안국의 장치의 것을 제외(3) 2 (

한다 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읽어냄이 가능할 것)

- 23 -

별표 선택호출신호 조난경보등을 위한 것 및 시험을 위한 것은 제외한다 의[ 1] ( )

구성

dot신 호

동 기신 호

Format신 호

Address신 호

Category신 호

자국의식별신호

정 보신호1

정 보신호2

정 보신호3

종료신호

오류검정신호

주( 1) 주( 2) 주( 3) 주( 45및6)

주( 7) 주( 8) 주( 9) 주( 10) 주( 11) 주( 12) 주( 13)

주( )

중단파대 및 단파대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하는 장치의 선1

택호출신호 이하 중단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에 있어서 선박국을 호출하( ldquo rdquo )

기 위한 선박호출신호의 경우는 비트 선박국에서 해안국으로 호출 및 응답하기200

위한 선택호출신호 및 국제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 계기하는 주파수18

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 하는 장치의 선택호출신호 이하 대 선택( ldquoVHF

호출신호 라 한다 의 경우는 비트일 것rdquo ) 20

표 에 나타내는 코드번호를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하는 것일 것2 8 9

호출의 종류를 나타냄에 있어서 다음의 장치마다 별표 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3 8

류를 표시하는 개의 동일 코드번호일 것2

종별 의 장치 선박국의 장치에서 별표 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류를 사용(1) (class)A ( 8

가능한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

종별 의 장치 선박국의 장치에 있어서 동표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류 중(2) (class) B (

해역호출 및 공통관계를 갖는 선단의 호출을 제외한 것의 사용이 가능한 것을 말한

다 이하 같다 )

해안국의 장치 동표에 게기한 호출의 종류중 조난경보 및 개별국의 반자동 또(3) (

는 자동접속호출을 제외한 것의 사용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

신호가 조난경보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는 상대국 식별4 Format

신호로 하여 선박국식별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 구성되는[0]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신호가 조난경보 또는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선택호출에 있어서는 사용5 Format

하지 않을 것

신호가 해역호출의 경우 종별 의 장치는 제외한다 는 별표 에 따라서6 Format ( B ) 11

해역을 자리 의 숫자를 표시하고 별표 에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통보의 우선순위 또는 종류 신호가 모든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통상업무7 (Format

및 선박업무를 제외한다 를 별표 에 따라 개의 코드번호에 코드화한 것일 것 다) 8 1

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 선박업무를 제외한 것으로 하고 또한 신 (class) B Format

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통상업무를 제외한 것일 것

- 24 -

자국의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8 [0]

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제 및 제 의 정보로 하여 별표 에 따라서 각각 개의 코드번9 1 2 Telecommand 8 1

호에 코드화한 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제 (class) B 1

를 다음과 같이하고 제 코드번호가 일 것Telecommand 2 Telecommand [126]

중단파대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하는 장치의 선택호출신호 이하(1) (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는 신호가 개별국의 호출일때에는 코드번ldquo rdquo ) Format

호 또는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일[119] [111] [118] Format

때에는 코드번호 또는 일 것[109] [111] [111]

선택호출신호는 신호가 개별국의 호출일 때에는 코드번호(2) VHF Format [100]

또는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일 때에는 코드번호[101] Format

또는 일 것[100] [101] [105]

다음의 방식일 것10

호출에 이어 계속 통신에 사용하는 송신 및 수신을 위한 주파수 또는 채널을(1)

나타내는 선택호출신호는 송신파 및 수신파의 순으로 별표 에 코드화한 것일 것12

다만 주파수 또는 채널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송신파 또는 수신파마다에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126]

선박의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선택호출신호는 코드번호 및 다음에 의거 표(2) [55]

시되는 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 자리숫자를 별표 에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가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가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나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부터 제 번째까지의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표시한다

제 가 선박의 위치인 호출에 대한 응답 이하 선박위치응답 이라(3) 1 Telecommand ( ldquo rdquo

한다 을 위한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의 가 및 나 에 의해 표시하는 선박의) (2) ldquo rdquo ldquo rdquo

위치를 나타내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코드화한 것 및 그것에 계속코드번호10 10

일 것[126]

에서 이외의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4) (1) (3) 6 [126]

선박위치응답의 경우 종별 의 장치를 제외한다 및 신호가 개별11 ( (class)B ) Format

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에만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각각 다음의 방

식일 것

선박위치응답의 경우는 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 국제표준시로 한다 이하 같(1) (

다 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2 10

개의 코드번호로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는 개2 2

의 코드번호 일 것[88]

- 25 -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는 아날로그 전화용(2) Format

설비와 접속하기 위한 번호 이하 전화번호 라 한다 등의 네트워크번호를 표시하는( ldquo rdquo )

것으로 하고

네트워크번호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코드번호를 짝수의 경우는 코드번호[105]

과 네트워크를 별표 에 준하여 개부터 개까지의 수의 코드번호로 코드화[106] 10 2 9

한 것일 것

응답을 필요로 하는 호출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응답12 [117]

을 위한 선택 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및 이외의 경우는 코드번호[122] [127]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 다만 신호가 모13 Format

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 코드번호 일 것[127]

오류검정부호는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정보비트 및 제 번째에서 제13 1 7 8

번째까지의 검정비트로부터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생성되는 각 비트10

의 및 이 각각 별표 에 표시하는 및 에 대응하는 단위 부호로[0] [1] 6 [B] [Y] 10

하여서 송출되는 것일 것

정보비트의 각 비트는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동기신호를 제외한다 의 모든(1) (dot )

코드번호 신호 및 종료신호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로 한다 에 대응하(Format 1 )

는 부호의 비트 위치마다 최하위 비트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다만 를 를 B 0 Y 1

로해서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검정비트는 정보비트의 의 수를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B 2

별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해안국의 장치는 제외한다[ 2 ] (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자국 의식별신호

주( 4)

조난종류 의정보신호

주( 5)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

주( 6)

시각정보신호

주( 7)

Tele-command정보 신호

주( 8)

종료신호

주( 9)

오류검정신호

주( 10)

주( )

중단파 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는 비트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비1 200 VHF 20

트일 것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2]

자국의 선박국 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4 [0] 10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조난의 종류를 표시하는 것으로 하여 별표 에 따라 개의 코드번호로 코드화한5 8 1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 (class) B 1 107

- 26 -

조난선박에 위치를 다음과 같이 자리의 숫자로 표시 하는 것으로 별표 에6 10 10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조난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것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99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1)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는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2)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한다

조난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것7 2

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개의 코드번호에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 10 2

를 포함하지않는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88]

계속하여 행하는 통신의 형식을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통신장치가 무선전화 또8

는 협대역직접 인쇄전신장치인 제 를 별표 에 개의 코드번호로1 Telecommand 8 1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방식일 것 (class) B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 일 것(1) 1 [109] [111]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VHF 1 [100]

코드번호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하는 것일 것9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별표 조난경보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선박국의 장치를[ 3] (

제외 )

dot신호

주( 1)

동기신호

주( 2)

For-mat신호

주( 3)

Cate-gory신호

주( 4)

자국의식별신호

주( 5)

Telec-ommand정보신호

주( 6)

조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7)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 8)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 9)

시각정보신호

주( 10)

Tleco-mmand정보신호

주( 11)

종료신호

주( 12)

오 류검 정신 호

주( 13)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6]

별표 의 주 과 같은 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4 1 7 [112]

자국의 해안국 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숫자를5 [0] 10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6 1 [1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일 것7

- 27 -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종류의 정보신호일 것8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일 것9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시각정보신호일 것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정보신호일 것11 Telecommand

코드번호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2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3 1 13

별표 조난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 중계에 대한 응답을 위한[ 4]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dot신호

주(1)

동기신호

주(2)

For-mat신호

주(3)

Addr-ess신 호

주( 4및56)

Cate-gory신 호

주(7)

자국의식별신호

주(8)

Telec-ommand정보신호

주( 9)

조 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10)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11)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12)

시각정보신호

주(13)

Tleco-mmand정보신호

주( 14)

종료신호

주(15)

오류검정신호

주(16)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별표 의 주 과 같다 코드번호 이외의 것으로 한다3 1 3 ( [112] )

신호가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에는 상대국의 식별신호4 Format

로 하고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0] 10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5 Format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6

별표 의 주 과 같은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7 1 7 [112]

별표 이 주 과 같다8 1 8

개의 코드번호 일 것9 1 [112]

수신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 또는 수신한 조난경10

보의 중계의 조난선박국의 식별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종류의 정보11

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선박의 위치12

정보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시각정보일 것13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14 Telecommand

정보신호일 것으로 한다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것으로 하 (class) B

는 것이 가능할 것

- 28 -

중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1) 1 [109] [111]

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2) VHF 1 [100] [101]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코드번호 개별 해안국 앞15 Format [127]

으로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에는 코드번호 로서 별표[122]

의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3

별표 의 주 과 같다16 1 13

별표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대 선택호출신호를 제외한다[ 5] (VHF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Address신 호

주( 4)

Category신호

주( 5)

자국의식별신호

주( 6)

정 보신 호1

주( 7)

정 보신 호2

주( 8)

종 료신 호

주( 9)

오류검정신 호

주( 10)

주( )

비트일 것1 200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20]

상대국의 식별신호로서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이에 계속되는 으로서4 [0]

구성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1 [108]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8

각 개의 코드번호 및 일 것7 1 [118] [126]

개의 코드번호 일 것8 6 [126]

코드번호 또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9 [117] [122] 13

일 것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 29 -

별표 선택호출신호의 단위부호[ 6] 10

는 스페이스주파수 는 마크주파수로 대응하고 비트위치의 에서 송출된다B Y 1

협대역 일때MFHF B=1785 Y=1615

대역 일때VHF B=2100 Y=1300

- 30 -

별표 반복송출의 순서[ 7]

주 기호 는 선택호출신호의 종료신호를 표시하고 기호 는 에서 까( ) H DX RX0 RX7

지가 반복송출되는 선택호출신호의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31 -

별표 코드번호 의 용도[ 8] (100-127)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00 통상업무

화재 또는폭발

또는F3단신G3E

무선전화 이유없음 주( 3)

101 침수 또는F3복신G3E

무선전화 해사교환 센터의혼잡 주( 3)

102 해역호출

충돌 미확정주( 1)

통화중 주( 3)

103 좌초 Polling 대기행렬표시주( 3)

104 의RXO위치의동기신호

경사 및전복의위험

수입불가주( 2)

폐국 주( 3)

105 의RX1위치의동기신호

침몰 호출의 종료주( 4)

의 부재Operator주( 3)

106 의RX2위치의동기신호

선박업무주( 5)

조선불능으로 표류

데이터주( 6)

변복조장치

의Operator일시적 부재 주( 3)

107 의RX3위치의동기신호

기타의조난

미확정주( 1)

장치의 운용불가주( 3)

108 의RX4위치의동기신호

안전 선체의방치

미확정주( 1)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09 의RX5위치의동기신호

J3E 무선전화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10의RX6

위치의동기신호

긴급 조난경보에대한 응답

무력분쟁의당사국이 아닌것을 표시하는선박 및 항공기주( 7)

111 의RX7위치의동기신호

H3E 무선전화 위생수송체 주( 7)

112 조난경보

조난 조난자동통보설비(주 의9)시동

조난경보의중계

공중전화사무소주( 8)

- 32 -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13또는F1B방향오J2B(1

류정정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미확정 주( 1)

114

공통관계를 갖는선단의호출

미확정 주( 1) 미확정 주( 1)

115또는F1B자동재송J2B(

요구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데이터 주( 11)

116모든선박호출

또는F1B J2B수신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2)

11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18 시험 데이타 주( 14)

119또는F1B수신J2B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5)

120개별국의호출

A1A 테이프레코더

데이터 주( 16)

121 선박의 위치 데이타 주( 17)

122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3

개별국의반자동또는자동접속호출

A1A 전건 및핸드셋(Handset)

데이터 주( 18)

124또는F1CF2C

F3C팩시밀리장 데이터 주( 19)

125의DX

위치의동기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6 정보없음 정보없음 주( 20)

12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주( )

앞으로의 사용을 위하여 유보한다1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2 [100] [109] 2 Telecommand

코드번호 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3 [104] 1 Telecommand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 시스템에만 사용한다4

- 33 -

선박의 항해 운항 필수품에 관한 통신과 정부의 기상업무기관으로 보내는 기5

상 관측 통보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6 [115] [124] 2 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을 제외하고 제7 [104][105][106][110][112] [118] 1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의 제 와 조합하여8 [100][101][109][115] [124] 1 Telecommand

사용한다

수색구조용 레이다트랜스폰더를 제외한다9

무선설비규칙의 제 조의 에 정하는 것으로 한다10 69 4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1 (V21)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2 (V22)

앞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1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4 (V2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5 (V2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6 (V1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7 (V26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8 (V27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9 (V32)

코드번호 를 제외하고 제 와 조합하여 사20 [104][110][112] 1 Telecommand

용한다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 코드번호는 중단21 Format

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에서 까지 [102] [124] ([110][112][117]

및 를 제외한다[122] )

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및VHF [100][101][104][105][106][121]

일 것[124]

별표 동기신호의 송출순서[ 9]

주 기호 및 에서 까지가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DX] [RXO] [RX7]

- 34 -

별표 자리 숫자의 코드 변환표[ 10] 10

자리의 숫자10

십억D2

억D1

천만D2

백만D1

십만D2

만D1

천D2

백D1

십D2

일D1

코드5 코드4 코드3 코드2 코드1

주( )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1 1

및 은 자리 숫자의 자리 숫자 에서 까지를 표시하고 각 코드는2 D2 D1 10 2 00 99

그 자리의 십진수를 코드번호로 한다2

숫자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최상위 자리수의 숫자 앞에 을 포함할 것3 0

별표 해역의 표시방법[ 11]

해역의 표시는 다음과 같은 것

선정되는 지리상의 해역은 메르카토르 도법의 직사각형으로 표시할1 (Mercator)

직사각형의 북서를 해역의 기준점으로 할 것2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존재하는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3 1

으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0] [1] [2] [3]

할 것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위도를 표시할 것4 2 3

제 번째에서 제 번째가지의 숫자는 기준점의 경도를 표시할 것5 4 6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남북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6 7 8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동서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7 9 10

표에 표시하는 해역 및 의 표시의 예는 다음과 같을 것8 ab c

기준점이 북위 도 및 서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1) 10 25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20 35 a

1 1 0 0 2 5 2 0 3 5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2) 10 10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10 10 b

2 1 0 0 1 0 1 0 1 0

- 35 -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3) 12 12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4 7 C

2 1 2 0 1 2 0 4 0 7

별표 주파수 및 채널정보의 코드변환표[ 12]

주파수0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주파수를 의 배수로서 숫자의 십100

만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다 1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2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채 널

3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중단파대 또는 단파대의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 다

8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별도로 정한 채널로 한다

9 0 times times times times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18게기하는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천 백 십 및 일의 숫자로 표시한다

십만 만 천 백 십 일

코드3 코드2 코드1

주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 ) 1

- 36 -

별표 종료신호의 송출순서[ 13]

주 기호 가 종료신호를 표시한다( ) H

- 37 -

제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3

제 절 송수신장치1 DSC VHF

시스템 개요1

본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모든기능을 충족하는 일체형과 전화용 복신방식의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호출 및 수신제어장치 로구분된 독립형 으로 구분되며 DSC DSC

이는 외형상의 구분이며 그주요기능별 구성은 각각의 유니트로된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표시 및 제어장치 와 전원부 로 구분되며 이것들은 다시 하나의DSC

케비넷 또는 독립된장치로서 구성된다

시스템 구성2

장비의 개요 및 특징3

가 개요

본 송수신기는 항만내 또는 연안에서 해안국과 선박국 또는 선박국 상호간VHF FM

의 해상이동업무 통신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기로서 이내의 해상156 ~162

이동 무선통신업무용의 전 을 수용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전파관리법 및CHANNEL

등 국제규격에 적합하도록 설계 제작된 기기로서 전세계ITU SOLAS USA USCG

어느곳에서나 규정에알맞게 사용할 수 있는 국제항만 무선전화기용 무선 송수신기

를 제작한다

- 38 -

나 특징

소형 경량화로서 좁은 장소에 설치가 용의하게 되어 있어야 한다(1)

송신각 각 방식을 채용하였으며 국제 항만 무선전화(2) DIRECT SYNTHESIZER

인 를 수용해야 하며 그외 개의CHANNEL 55(114) CHANNEL 105(527) FREE

이 수용되어 있어야 한다CHANNEL(SIMPLEX)

주 국제 중 미국연안에서 단식방식으로 절환 사용되고 있는1 CHANNEL 55(114)

을 사용 할 수 있을것USA CHANNEL(SIMPLEX)

주 별도의 기상수신 을 수용하고 있어야 한다2 WEATHER CHANNEL( )

USA 3 CHANNELS

CANADIAN 1 CHANNEL

OTHERS 5 CHANNELS

원격조정 회로의 내장으로 본기기의 판넬스위치와는 상관없이(3) REMOTE ( ) HAND

만 으로도 판넬 스위치 조작에 필요한 모든기능을 할 수 있고SET CONTROL VHF

의 원근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어야 한다SET

기능이 첨부되어 있어 미국연안 경비대 의 의무 청취(4) DUAL WATCH USCG( )

인 과 의 개의 을 동시에 수신할 수CHANNEL CH 13 CH 16 2 CHANNEL SCANNING

있으며 과 사용자가 선택하는 임의의 을 동시에CHANNEL 16 CHANNEL SCANNING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에 경보신호 기능의 내장으로 비상시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5) CH 16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국제 개 및 을(6) SCAN CHANNEL 55 FREE CHANNEL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SCANNING

안전통신에 지정되어 있는 은 우선 사용할 수 있도록(7) CHANNEL16 1 STEP

로 되어 있어야 한다SWITCH

국제 해상 인명 안전조약 에 정한 규격으로 되어 있어 전세계 어느곳의(8) SOLAS( )

규정에도 적합하며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구 성4

본 기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가 송 수신기 본체 대 1

나 HAND SET 1 SET

다 WHIP ANTENNA 1 SET

라 벽걸이형 SPEAKER 1 SET

마 전원 공급기 1 SET

- 39 -

규 격5

주파수 및 규격은 현재의 통신방식이며 정보통신부의 고시가 발표되면 협대역(125

로 변경한다)

가 일반사항

사용주파수 범위(1)

송 신 156025 ~ 157425 수 신 (SIMPLEX) 156025 ~ 157425 수 신 (DUPLEX) 160625 ~ 162025 기상수신 (WEATHER) 161650 ~ 162550

사용(2) CHANNEL

A International 55 (114) CHANNELSB USA 25 CHANNELSC FREE 105 (527) CHANNELSD WEATHER 9 CHANNELS

USA 3 CHANNELSCANADIAN 1 CHANNELOTHERS 5 CHANNELS

통신 방식(3) SIMPLEX amp DUPLEX

전파의 형식 전화(4) 16KOF3E( G3E DSC F2BG2B)

주파수 편차(5) 0001 (10 PPM)

사용 온도범위 부터(6) -10 + 50

예열 시간 전원 접속후 즉시 사용가능(7)

공칭(8) ANTENNA IMPEDANCE 50 ohm ( )

공급 전원(9)

전 압 136V plusmn 10전 류 수신시 800

송신시 5A전원 공급기 별도( ) 단상AC115V AC220V 60

부터 까지DC 15V 35V

나 송 신 부

정격 출력(1) HIGH -25 W

LOW - 1W

주 공중선 전력 저하장치로 이하 저하기능 보유1 1WATT주 단 보호 인 및 가 아님 은 송신이2 CHANNEL 7576 1 ~9(01 ~09 )CHANNEL되지 않음 기상수신대의 사용법은 본문 참조 ( )

- 40 -

발진 방식(2) SYNTHESIZER CONTROL SYSTEM

변조 방식(3) FREQUENCY MODULATION

점유 주파수 대역폭(4) 16 (8)

최대 주파수 편의(5) 5 (25)

복사강도 이상(6) SPURIOUS 70

변조 주파수 특성(7) 6 (plusmn 3 ) OCTAVE PRE-EMPHASIS)

(300 ~ 3 )

변조시 이하(8) DISTORTION 1 70 -20

신호 대 잡음비 변조시 이상(9) 1 70 40

저역 여파기 특성 이상에서 이상 감쇄(10) 3 -40log f3( ) (f = )

다 수 신 부

수 신 방 식(1) DOUBLE SUPERHETERODYNE SYSTEM

감 도(2) 이하 신호 대 잡음비 에서 025 V ( 20 )μ

감도(3) SQUELCH 이하 02 Vμ

국부 발진 주파수(4) 1lsquost LOCAL FREQUENCY

RECEIVER FREQUENCY - 214

2nd LOCAL FREQUENCY 10945

중간 주파수(5) 1lsquost IF FREQUENCY 214

2nd IF FREQUENCY 455

선 택 도(6) 저하폭 이상 6 12 (6)

저하폭 이하 70 25 (125)

(7) SPURIOUS RESPONCE 이상 70

감도 억압 효과(8) 이상 80

상호 변조 특성(9) 이상 65 ( 20 40 )

주파수 특성(10) 6 (plusmn3 )OCTAVE DE-EMPHASIS)

( 300 ~ 3 )

신호 대 잡음비(11) 변조시 이상 1 60 40

(12) DISTORTION 변조시 이하 1 70 -20

저주파 출력(13) 이상 1 WATT (IMPEDANCE 8 ohm)

- 41 -

제 절 차년도 개발 범위2 1

제 차년도 개발범위는 기초자료조사와 규정의 연구에 따라 기초회로의 설계 후1

사용부품을 시험하고 각 의 제작 및 시험 연이은 성능미달 의 차 차PCB PCB 2 3

차 재제작 시험을 완료하고 시스템의 설계까지이며 그 세부적인 개발범위는 다음4

과 같다

송수신장치 개발을 위한 제규정 수집 연구1 DSC VHF

기초자료 조사2

가 장비에 대한 기능특성 수집 연구

나 사용자 및 선박통신사의 요구사항에 대한 자료 수집 연구

다 외국장비와 비교 분석

라 부품규격 시험 및 선정

3 HARD WARE

가 고주파 필터코일 재질분석 및 각종코일 설계

나 제작 PCB

송신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1) PCB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시험(2) PCB

수신부회로 제작 시험(3) PCB

신세사이즈 회로 제작 시험(4) PCB

제어장치 제작 시험(5) PCB

표시장치 제작 시험(6) PCB

원격제어기 제작 시험(7) PCB

전원공급부 제작 시험(8) PCB

제작 시험(9) HAND SET PCB

전용수신기 제작 시험(10) DSC PCB

- 42 -

제 장 제 차년도 개발 항목 보고4 1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본 장비를 개발함에 있어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및 부품선정이 개발의 핵심 과제

로 생각하였다

기초자료는 기존 시스템분석과 전파관련법령을 기초하였고 주변회로는 관련된 회

로집을 분석하였으며 부품선정은 폐품종 여부와 수급이 용이하면서 견고하고 증폭

도 및 성능이 우수한 품종으로 장시간 시험을 거쳐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송신부 제작시험2

송신 출력회로 결정 회로설계 완료하여 각부 부품 구입 회 내구성 시험 및SPEC 30

구룹별 장시간 부품 부하 시험등 최종목표 성능을 확보하기위한 제반 기초 제작시

험을 완료 하였으며 주요 내용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의 발열상태등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의 높은 출력으로 증폭하는 송신전(VHF ) 25W

력 증폭기로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높은 고주파전력에 견딜수있어야 하고 열

에의해 발생되는 열잡음이 적으야하며 열에의한 부품의 열화 및 특성의 변화가 적

은 부품을 사용여야 하므로 온습도시험 과 과출력 시험을 통하여 사용될 부품을 시

험하였다

특히 고조파 필터회로 부품인 코일은 동선에 전도율이 좋은 재질로 도금하여 사용

하여야 하며 고조파필터회로 의 차폐용 재료도 동판에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도금

하여 사용 하여야 한다

나 송신 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PCB (PCB NO V-097)

개발과정에서의 설계변경 및 생산시스템의 전산화 에 적용 할수있도록 회로 설계는

물론 설계 회로기판 도안 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설계완료된 는PCB ( ) CAD DATA

회로기판 제작장치 외주 작업 및 부품삽입기 자사 작업 에 직접 컴퓨터용 디스켙( ) ( ) (

으로 입력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회로에 높은 고주파전류가 흐르므로인하여 빌진할 가능성 및 잡음발생의 우려PCB

가 많으므로 특히 부품배치에 유의하여 설계하였으며 송신신호 발생회로 또는 전원

회로 와의 배선은 관통형콘덴서등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였다

회로에 사용되는 코일은 각 코일간에 간섭을 줄이기위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설정하

였으며 전체를 차폐하고 또 고조파 필터회로를 구분하여 차폐하여 제작 하였PCB

- 43 -

또 안정된 출력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회로를 장치하여 설정된 출력 이상의ALC

출력을 제한한다

다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PCB (PCB NO V-096TX)

설계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이 는 미약한 고주파 신호를 발생 변PCB CAD PCB

환 증폭 하므로서 송신부 또는 외부로 부터의 잡음 유입과 내부잡음 발생에 유의

하여 설계되었으며 불요복사 억제에 유의하였다

라 성능시험

메칭상태 시험(1)

옴 파장 수직형 안테나 를 사용할수 있도록 시험하였으며 차적인 시험은 의50 12 1

사부하에 의해 시험하고 의사부하 안테나에 정상적인 메칭이 된 후 실제 사용 안테

나에 확인시험 하였다

이 시험에서 양질의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장치는 물론 안테나의 성능이 중

요하며 인접한 고전력 안테나 및 낙뢰로부터 안정성 등을 감안하여 안테나는 VHF

대역 이하의 주파수에 대하여 쇼트형 안테나가 바람직 하다

기존 시스템의 이상의 성능 확보(2) 90

송신부의 주기능으로서 양질의전파를 안테나로 공중에 발사하는 장치로서 주피수안

정도 고조파억압 불효전파억제 안정된전력 안정된 주파수편이 낮은 왜율 등의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시험결과는 기존의 제품의 특성에 가까운 성능을 확보

하였으나 안테나공용기 복신통신용 필터 특성의 개선및 송신부 관련부품의 배치를( )

개선하므로서 보다 좋은 성능을 확보 할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신부 제작시험3

수신부는 안테나입력회로 입력동조회로 단신통신 및 복신통신 각 주파수 대역 필 (

터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로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 1 1 2 2

로 대역필터회로 신호제한 리미터 회로 복조회로 무신호잡음 차단 회로 저주 ( ) FM

파 증폭회로 및 국부발진회로 로서 구성되나 국부발진회로는 잡음의 발생및 유입

주파수안정도 등을 감안하여 별도의 로서 제작하였으며 그외 수신부와 관련한PCB

내용은 다음과 같다

- 44 -

가 사용부품의 구입 및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증폭과 변환을 반복하여 요구되는 신호(VHF )

를 복조하여 기청음 또는 의 문자표시로 출력되게 하므로서 안정된 주파수 및DSC

증폭이 요구되므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당연히 고주파특성에 유의하여 주파수

차에의한 특성변화 열잡음 및 고주파잡음 능동소자등의 직선성 등이 교려되어야하

므로 항온항습시험과 과전류에의한 잡음발생의 시험 등 을 거처 엄선한 부품으로

설정사용 하였다

특히 회로의 선택도 코알의 값 를 높이기 위하여 가 높은 트랜스 재료를 사용하( Q ) Q

였다

다 수신부회로 제작 PCB (PCB NO V-096RX)

위 항에서의 시험에 의해 선택된 부품을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며 수신부의 특성31

상 잡음의 발생보다는 잡음의 유입에 유의하여 설계되었으며 안정된 증폭 특성 수(

신감도 을 얻기위하여 중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회로기판은 에폭시) 2

수지 양면인쇄동판을 사용하여 부품삽입면은 대부분 공통단자로 이용하여 부품간의

간섭을최소화 하였다

다 수신부 특성시험

수신부 특성상 수신감도 주파수안정도 왜율 통과대역폭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감도억압비 혼변조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신호대 잡음비 일 때의 수신감 20

도 성능이 확보되며 기타 여러 가지 특성도 최종목표 특성에 가까운 성능이05

확보 되었으나 까지 수신감도가 향상되도록 성능개선이 요구된다025 V 120757

신세사이즈부의 회로의 안정도로 인하여 국부발진 신호의 흔들림현상이 있어VCO

통과대역폭 및 잡음발생의 원인이되어 신세사이즈회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신세시이즈회로는 크게 수신국부발진 신호용과 송신신호용으로 구분되며 단신통신

과 복신통신방식일때 각각 동작할수있는 구성으로 설계되었으며 그 내용별로 구분

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전압제어발진기 에 사용되는 부품은 온도 및 전압변동에 특성의변화가 극히(VCO)

적어야하며 외부로부터 정전 및 자계영향이 크므로 회로를 별도로 정전 및 자VCO

계로부터 차폐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혼변조 및 잡음신호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파수선택 표준신호 등 시 수신( )

대역 및 송신대역에 영향이 없는 주파수로 하였으며 가능한 레벨을 제외한 신(TTL

호 파형의 왜율이 적은신호로서 각회로신호를 사용하여 결합하였다)

- 45 -

나 신세사이회로 제작 (PCB NO V-096PLL)

이회로 기판은 여러종류의 신호들이 발생 혼합 증폭 비교 되므로 각부품 간의 배

치에따라 잡음발생의 정도가 크게 좌우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였으며 회로는 외VCO

부영향에 민감하게 작동되므로 차폐 에 유의하여 부품의 배치 적절하게 하였으며

잡음발생을 유의하여 부품을 선정하였다

다 성능시험

이회로의 특성상 주파수안정도 주파수의 흔들림 위상비교기의 비교속도 등에 유의

하여 시험하였으며 여러가지 일반적인 특성은 최종목표사양에 만족될 수 있는 신호

원을 공급할수 있었어나 주파수의 흔들림 현상이 있어 회로의 부품 및 차폐에VCO

개선이 요구된다

제어장치 제작시험5 (PCB NO V-263)

이회로의 주요부품으로서 를 사용하여 당개발과제의 송수신 및 외부V25 CPU DSC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며 아울러 본체 전면표시기와 스윗치 입출력 기능도 한다

이회로의 주요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스 읽기전용 메모리 읽고CPU( ) ROM( ) RAM(

쓰기 메모리 직렬통신용 입출력 병렬통신 입출력 아날로그 디지) SIO( ) PIO( ) AD(

탈 변환기 스윗치입력 표시기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개발 내용은 다음과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에 사용되는 부품은 대부분 디지탈신호를 처리하여 회로로서 및TTL IC

로서 구성되며 저소비전력 및 고속처리능력이 요구되므로 주로 고속용C-MOS IC

중 형 를 사용 하였으며 장치의 초기설정 및 기능 설정의C-MOS(C-MOS IC HC )

변경등 의 목적으로 은 충전형 밧테리로서 메모리내용을 전원의 에 관RAM ONOFF

계없이 유지하도록 하였다

외부 제어기 등 와의 통신용 의 통신속도를 또는 등으로(DSC ) RS-232C 2400 4800

변경 설정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변환기 등을 이용하여 자기진단을 할수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장비의 유지및AD

보수에 많은 도움이된다

- 46 -

나 성능시험

운용시험(1)

이회로의 특성상 전기적 특성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특성 및 성능이 요구되므로 운

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이부분에 대한 시험은 개발자입

장이 아닌 운용자가 시험하여야 하는 관계로 선박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사용자에게

의뢰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로서는 기능면에서는 양호하나 사용상 복잡한 면이 있어 보다 조작 을 간편

히 할수있도록 개선할 필요가있는 것으로 본다

표시장치 시험(2) (PCB NO V-260)

본장치의 사용상 필요한 기능 및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내용과 기기 동작

상태의 일치성이 요구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온습도 및 장기시험 으

로서 확인하였으며 여러 가지 표시장치중 각각 중단점이 나타낮다

즉 액정 표시기 표시기는 저소비전력이며 주위가 밝은곳에서 사용이 가능 하LCD( )

나 반면 온도특성이 나쁘며 형광표시관 표시기는 온도특성은 양호하나 소비전 VFD( )

력이 대체로 높고 보다 낮고 보다 많음 수명이 낮다는 단점이있으며(FND LCD )

발광 다이오드 표시기는 모든면에서 대체로 양호 하나 잡음발생 이많으며 밝FND( )

은곳에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외 여러 가지의 장담점을 검토하여 차적인 결론은 표시기가 적합한 것으로1 LCD

본다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최소의 전기적신호 연결로서 최대의 기능제어및 속도가 요구되는 장치로서 저주파

신호의 입력 마이크 신호 및 출력 스피크 신호 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 제어는( FS ) ( )

직렬통신 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였으며 장거리 일반 공용통신망 을 이(RS-232C)

용할수도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요 구성은 중앙제어장치 스윗치입력 장치 표시장치 메모리장치 직렬통신장치

로 구성되며 그 상세한 개발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의 대부분이 디지탈신호의 처리회로로서 구성되므로 제어장치 의 사용 부품ldquo rdquo

시험 및 선정기준과 같으며 장거리운용상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신속도를

알맞게하며 장거리통신 선로에서 유기되는 잡음을 최소화 하기위한 필터회로 및

소프트웨어적인 오류정정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별도 설계 사용 하였다

- 47 -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V-170)

이장치는 사용상 편리하여야 하므로 소형 경량 으로 제작 하였으며 차적 기능 시 1

험을 목적으로 외형 보다는 성능을 우선하여 시험용으로 제작하였다 이장치의 시

험은 전용케이블 을 이용하여 시험하였고 또 일반 공용통신용 전화 선로를 통하여

원거리 시험을 하였으며 그결과로서 통신속도가 까지 양호하게 동작되나2400bps

그이상의 통신속도로서 운용 할려면 전용회선이 필요하게된다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가 결정 SPEC

각회로 에서 필요로하는 전압 및 전류에 알맞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반 성능

을 차적으로 설정 하였으며 최종목표 사양에 일치하기위하여서는 전원부의 장치에1

대하여 모든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최종 특성이 설정 되어야 한다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P-099)

이장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되나 반면에 안정성이 확고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안

정성을 첫째로 중요시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이회로는 많은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많은 전력이 열로서 손실되므로 방열에 특히 유의하여 제작되었으며 열발생이 많은

부품은 알미늄 방열판에 설치하고 이방열판은 본장치 외함의 바깥쪽에 설치하여 방

열효과를 최대화 하였다

이회로의 시험은 과입력전압 및 과소비전력 일때의 안정성에 중점 시험하였고 그시

험을 위하여 장시간 항온 항습기 를 이용하여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전원부의 안정

성 확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도 이회로를 특별히 개선하지 않고도 최

종목표 사양에 만족하리라 본다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PCB NO V-098)

마이크 회로 수화기 회로 송신 스윗치 회로 로서 구성되며 이장치는 사용 특성상

충격에 강하도록 설계제작 되어야 하며 무게는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재료선택이

중요하며 이러한점을 감안하여 사출금형에 의하여 성형 하였으며 성형 제료로서는

제료를 사용하고 사용 부품을 최소화 하여 제작 하였다ABS

이장치의 특성상 견고하며 방수효과가 최대이어야 하므로 충격 자연낙하 시험 및( )

방수시험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 성형제료 및 외형상의 문제는 없이나

송화기 및 수화기의 선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송화기는 콘텐서형

마이크가 좋으며 수화기로는 가변코일형으로서 떨림판이 평면으로된 수화기가 우수

한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선정하여 제작시험 하였다

- 48 -

전용 수신기9 DSC (PCB NO T-342)

전용수신 장치는 송수신장치중 송신부를 제외한 구조와 유사하므로 개발과정에서

송수신장치중 수신부회로에 복조장치 를 추가하여 별도 로 제작하여 시험DSC PCB

하였으며 개발내용중 전용수신기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DSC

가 기능 및 동작

변조되어 수신된 신호를 필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후 신호 처리용FM DSC DSC

마이크로프로세스 에 공급하여 소프트웨어로서 신호를 분석한후 표시장치 메(CPU)

모리장치 인쇄장치 등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전용 찬넬인 번 찬넬을 항상 DSC 70

수신상태로 동작하여 신호 도트신호 를 검출하고 신호가 있으면 이어서CALL ( ) CALL

수신되는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표시장치 및 경보장치에 출력한다

나 신호 신호 필터회로 와 신호 처리부 및 제어용회로부 DSC (FS ) DSC DSC

제작시험 (PCB NO T-325 T-326 T-327)

이 회로의 성능은 주로 필터 및 디지탈변환 회로에서 결정되며 소프트웨어의 성능

에 따라 안정성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점을 유의하여 설계제작 하여으며 성능 시험

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험용 정보를 송신장치로 통해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후 그

결과를 분석 시험 하였다

다 전용 수신기의 개발과정 에서의 학보된 기술 DSC

신호 및 의 신호 의 필터 및 디지털 변환 기술DSC (1300 2100 FS )

신호 검출 및 직렬신호의 병렬변환 소프트웨어DOT

기술 정보의 비교 및 인쇄출력 소프트웨어 기술

종합시험10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별 차 차 차 보완시험은 만족하며 앞으로 개발의 중점은 사용의 편리성과PCB 1 2 3

생산성에 중점 개발이 요하며 배치에 따라 야기될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 PCB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후 최종제품을 제작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49 -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1

가 전면판 사출금형

나 옆판 스피커 안테나 금형

다 노브 사출금형

라 윗면 및 밑면 프레스 금형

마 설치용 고정장치 사출 금형

바 설치대 프레스 금형

사 뒷면 작업용 프레스 금형

아 항온조용 열차단금형

자 필타 금형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2

가 송수신기 제어장치 프로그램

나 전용 수신기 제어용 프로그램 DSC

다 원격조정기 프로그램

라 송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마 수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3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7: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7 -

형식검정의 제도 개념과 대상기기 및 기술기준확인증명대상기기를 구분하lt -1gtⅤ

여 분석 정리하였다ㆍ

형식검정에 따른 신청 방법 구비서류 및 품질보증업무에 대하여 그 예를lt -2gt Ⅴ

들어 제시하여 제작자의 편의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기기의 종류별 구조 및 성능 조건을 분석하고 관련 장비의 형식검정에lt -3gt DSCⅤ

필요한 표준시험방법을 제시하여 개발에 따른 제조건을 만족하도록 형식검정의DSC

투명성을 확보하였다

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으로서 개발에 따른 제규정의 적lt gt GMDSS DSCⅥ

용문제에 대하여 행정당국과 제조업자 상호간의 선결문제를 제시하고 이를 위한 조

정 방안을 강구하였다

제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4

는 현행 시스템을 위성통신방식과 와 같은 새로운 기술을 종합GMDSS DSC NBDP

적으로 활용하여 통신의 자동화를 이룩한 제도이므로 이러한 제도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의 기준설비인 송수신장치의 개발을 위한 국제기구GMDSS DSC

의 권고 기술기준 및 관련규정의 연구가 이루어 질 때 만이 가능하며 이를 통하여

해운 선진국으로서 해상에서의 인명안전 확보라는 국제적 의무사항을 충실히 이행

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해상통신장비의 개발을 위한 지침자료가 될 것이며 다음과 같

은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전파관리의 합리화를 위한 방안 제시(1)

의 도입과 관련된 행정기관에서는 해역설정 설비의 장치 통신망(2) GMDSS SAR

및 방송 등에 관한 실질적인 방안을 강구NAVTEX NAVAREA

해상전파통신장비의 국내생산의 필요성 및 기술촉진을 통한 국산화를 제고(3)

개발을 위한 관련기술 사양 도출(4) DSC

관련 성능 평가기준 마련 및 성능 시험 기법 촉진(5)

형식검정을 위한 행정적인 처리 기준 확보(6)

- 8 -

제 절 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5 GMDSS

해상통신에 있어서 위성의 이용은 새로운 통신방식을 모색코저 노력한 해운계에 있

어서 획기적인 전환점이 되었다 또한 이를 통한 다수의 새로운 시스템 및 장비의

도입은 해상통신의 중요한 목적인 항행안전 뿐만 아니라 경제성 및 간편성에도 커

다란 발전을 가져왔으나 새로운 제도에 의한 해상통신은 그 가치가 이용의 확대와

시스템의 고도화가 필수요건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는 기존의 통신시스템을 위성통신방식과 와 같은 새로운GMDSS DSC NBDP

기술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자동화를 이룩한 제도이다 물론 가 의 부 DSC GMDSS

분 설비이기는 하지만 이러한 제도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조치

사항과 더불어 관련장비의 국산화가 필요하며 이를 통하여 해운선진국으로서 해상

에서의 인명 재산의 확보라는 국제적 의무사항을 충실히 이행하게 될 것이다ㆍ

년 월 일부터 드디어 의 도입이 시작되었다1992 2 1 GMDSS

에 관한 의 규정은 년 월 일부터 협약은 년 월 일GMDSS RR 1991 7 1 SOLAS 1992 2 1

부터 발효되어 는 도입 시행되고 있다GMDSS ㆍ

이 제도를 도입하기 위하여 국제기구 특히 의 와 의 무 ITU CCIR WARC IMO COM(

선통신소위원회 가 여년 동안의 연구기간이 소요되었다는 것은 그 내용이 얼마) 20

나 복잡하였던가를 말해주고 있다

새로운 제도의 실행을 위해서는 관계법령의 개정 해역의 설정 통신시설의 정비등

에 대한 구체적 계획과 수립이 필요하다 즉 조난구조본부는 어느 부처에서 언제

어디서 설치될 것인지 국내연안을 위한 방송은 어느 해안국에서 언제 실 NAVTEX

시 할 것인지 통신을 위한 해안국은 어디에 언제 설치할 것인지 는 DSC SafetyNET

어떻게 구성하고 있는지 위성 나 트랜스폰더 등에 대한 국내조치와 소 EPIRB RADAR

형 선박 특히 유효한 이들 구명설비의 탑재의무를 어선까지 확대하느냐의 여부 등

이 요구되고 있지만 아직 이러한 조치사항이 일반에게 가시화되어 있지 않다

또한 정보통신부와 항만청간의 소관업무조정 해상전자설비의 국산화지원 설비의

중화문제 등의 조속한 검토와 실행이 요망되고 있다 다만 전파관계법에서 해역2

등 관련용어의 정의 에서의 무선종사자의 자격 조작 및 종사범위GMDSS GMDSS

와 선박의 무선설비 성능조건 및 기술기준 및 전파 설비의 중화 육상정GMDSS ( ) 2

비 전파전자기능사 자격을 수용하는 제도만을 설정하여 공포 하고 있 (1992 6 30)

을 뿐 다른 대응은 아직 구체적으로 마련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행정조치사항을 제시하여 그 대응방안을 논하고자 한다

앞에서 도입에 따른 관련설비의 제규정은 구명 분석되었으나 이 분GMDSS DSC ㆍ

야의 발전여부는 오직 정부정책에 달려있기 때문에 구체적인 건의 사항으로서 이를

재정리하여 현실적인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 9 -

첫째 발전된 기술과 자동화를 이룩한 도입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그 GMDSS

동안 해상통신분야의 인식을 과감히 불식하고 관 산 학 협동을 통하여 이를 위 ㆍ ㆍ

한 현실적인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해상전자통신장비의 국산화를 위하여 관 산 학 연구소간의 협력체제를 강화하고ㆍ ㆍ

적극 지원해야 한다 현재 세계 유수의 해운국이자 조선국인 우리나라는 해상통신

장비분야에 대해서는 아직 후진성을 면치 못하고 주로 수입대치에 의존하는 현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둘째 관계당국은 도입에 따른 해역의 설정 설비의 정비 및 해안국 확정 GMDSS

통신망 및 방송 설비의 수급대책 등에 관한 문제를 계획하SAR NAVTEX NAVAREA

고 현실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정책당국은 정부 관련부처간의 업무를 조정하기 위하여 위원회를 구성

하고 전문가를 초빙하여 연구발표회 또는 간담회 같은 방법을 통하여 관계부처간의

조치 진행 상황을 일반인에게 가시화시켜 선박회사 전자기기 제조회사 조선소 및 ㆍ

종사자 등의 업무대비에 도움이 되도록 해야 한다

셋째 에 관한 국제규정에는 권고 포함 와 총회 결의 GMDSS RR(CCIR ) SOLAS(IMO

및 권고 포함 에 그 근거를 두고 있으나 그 주관청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부처간)

업무조정이 필요하다

협약 제 장 무선통신 의 대부분이 정보통신부 업무에 속하기 때문에 국내 도SOLAS 4 ( )

입의 원활을 기하고 국제적 의무를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정보통신부와 항만청

사이에 업무조정이 필요하다

즉 문서 발착사무는 항만청에서 하되 다음과 같은 업무를 조정해야 한다 IMO ㆍ

협약에서는 육상시설 등에 관한 정보를 에 통보하기로 되어 있고(1) SOLAS IMO

그 밖에 해역의 설정 통보 등 업무가 많으므로 이를 위한 업무의 체계화

정보통신부 소속사무에 속하는 각종 문서의 분류 배포 및 이에 대한 처리(2) IMO

넷째 관계 국제협약의 결의 권고 및 기술기준 등의 용어 및 규정의 정의를 통일시

켜야 한다

이는 각부처간 소관업무에 관한 제규정을 기준없이 비전문인이 원문을 해석하여 이

용자가 규정을 이해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관계전문인

이 참여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다섯째 형식검정을 위한 개선방향으로 대상기기의 정비 및 서류 간소화 민간에서

시험할 수 있는 대상기기의 지정확대 지정시험기관의 안배 확대지정 제조업체 자

체 시험 성적서를 인정하는 문제 등을 지적할 수 있다

물론 형식검정은 제도적으로 성능기준 기술기준 등이 마련되어 있으나 기기별 시

험방법 등이 구체화되어 있지 않고 당국의 자체 검정기준이 각 제조업체 수입자

및 일반인에게 공시화되지 못하여 가져오는 손실에 대하여 정책당국의 확인행정이

절히 요구되고 있다

- 10 -

또한 검정신청서 제출시 미비한 기재사항 하나로 신청서마저 접수되지 못하는 현실

하에서 발생되는 경제적 시간적인 손실등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ㆍ

이러한 본 연구의 노력이 도입에 따른 관련 장치를 설계하고 장비의GMDSS DSC

규격 및 요건을 구현하는 표준자료가 될 것이며 이를 통하여 정책의 개선과 기술

을 촉진하게 되고 나아가서 선진해운발전에 기여하게 될 것을 확신한다

- 11 -

제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2

제 절 외국장비의 사양1

1 Main Unit

가 General Specifications

Transmission 15550-15950

frequency range

Reception frequency 15550-15950 (simplex)

range 16060-16350 (duplex)

Channel capacity ITUUSA channels Up to 57 channels

Private channels Up to 99 channels

Weather channels 9 channels

(only reception)

Memory channels Up to 10 channels

Select channels Up to 10 channels

Channel spacing 25 10

Communication modes Simplex and duplex

(simplex and semi-duplex on privatechannels)

Type of emission G3E G2B(F3E F2B)

Frequency accuracy plusmn 10 x 10-6

Antenna impedance 50Ω unbalanced

Rated input power DC138V plusmn10(supplied

supply voltage fromNQD-1496 power supply unit)

Numbers of DSC file 15 for calling

20 for Distress

call receiving

5 for general

call receiving

Environmental test

conditions

- 12 -

Vibration 1 to 125 32 15min

125 to 25 076 15min

25 to 50 02 15min

Dry heat cycle +55 2hr

Dump heat cycle +40 93RH10hr

Low temp cycle -15 2hr (after maintaining at -25 for

10 hr)

Temperature 0 to +40

range for full

performane

Operating -15 to +55

temperature

range

Storage -25 to +65

temperature

range

Dimensions 290(H) times 240(W) times 145(D)

(excluding protrusions)

Weight Approximately 7

나 Transmitter Unit

Output power 25W

Reduced outpur power 01 to 1W

Oscillation method Frequency synthesizer

Modulation method Frequency modulation

Occupied bandwidth Within 16

Maximum plusmn5

frequency deviation

Microphone input 600Ω(balanced)

Standard

modulation input -53 m

Frequency

characteristics 6 oct +1-3

Overall distortion 10 or less

Signal-to-noise ratio 40 or more

- 13 -

Spurious emission 25 W or less120757DSC data rate 1200baud plusmn30 times 10-6

modulation method FSK

modulation index 2 plusmn10

Mark signal(Y) 1300 plusmn 10

Space signal(B) 2100 plusmn 10

다 Receiver Unit

Receiving system Double super heterodyne

Intermediate frequency 1st IF 214

2nd IF 455

Local oscillation method Frequency synthesizer

Sensitivity 2 V or less120757Sensitivity(DSC)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the input

level of 0 120757Squelch sensitivity 1 V or less120757Selectivity 12 or more at 6 bandwidth

within 25 with a selectivity of 70

Spurious response 80 or more

Spurious response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DSC)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73 120757

Blocking 90 or more

Blocking(DSC)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μ

level of 93 120757Intermodulation 70 or more

Intermodulation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DSC)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68 120757

Overall distortion 10 or less

Signal-to-noise ratio 40 or more

Rated audio output 2W(4Ω)

External speaker 0 m 600 Ω

output level

- 14 -

Frequency 6 oct +1 -3

characteristics

Radiation 1 nW or less

2 Power Supply Unit

Input voltage AC 100V to 120V (5060 ) or AC 200V to

240V (5060 ) and DC 24V (DC 216 to

312V)

Power consumption AC 100V 2A max(main unit)

AC 220V 1A max(main unit)

DC 24V 55A max(main unit)

Input switching Automatically switched to AC mode during

normal operation and to DC mode when AC

power failure

Output Voltage DC 138V plusmn10

Environmental Same as JHS-31 main unit

test conditions

Dimensions 300(H) times 240(W) times 145(D)

(excluding protrusions)

Weight Approximately 65

3 Remote Controller

Operating and Same as JHS-31 main unit

control items

Display items Same as JHS-31 main unit

Power supply DC 138V plusmn10 supplied from

NQD-1469 power supply unit

Environmental test Same as JHS-31 main unit

conditions

Dimensions 290(H) times 240(W) times 80(D)

excluding protrusions)

Weight Approximately 35

- 15 -

4 DSC Watchkeeping Receiver

가 General Specifications

Operation frequency 156525 (CH 70)

Reception mode G2BF2B

Antenna impedance 50Ω nominal unbalanced

DSC AF signal output 0 m plusmn10 (600 Ω balanced)

Self diagnostics Provided with receiver

overall testing functions

Dimmer 4-step control for dimming illuminations

incl extinction

Environmental test Same as JHS-31 main unit

conditions

Warm-up period 30 sec

Dimensions 145(H) times 140(W) times 145(D)

excluding protuberances

Weight approx 15

Power supply 138 VDC plusmn10

Power consumption 10 W or less

나 Receiver

Receiving system Double superheterodyne

Local OSC Crystal controlled

Frequency accuracy Within plusmn10 times 10

Intermediate frequency 1st IF 208

2nd IF 455

Sensitivity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the input

level of 0 μ

Selectivity 6 bandwidth 12 or more

70 bandwidth 25

Adjacent CH selectivity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μ

level of 73 120757(wanted signal frequency plusmn25 )

- 16 -

Spurious response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73 with application of unwanted120757signals in range of 9 to 2

Blocking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93 with application of unwanted120757signals apart plusmn1 to plusmn10 from the

wanted signal

Intermodulation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68 with application of two120757unwanted signals of plusmn25 and plusmn50

simultaneously

Co-channel rejection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ratio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μ

level of -5 120757De-emphasis -6 (+1 -3 ) octave

characteristic 300 +105 (+1 -3 )

3 -95 (+1 -3 )

at reference frequency of 1

Amplitude characteristic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receiver

of receiver limiter input level of 0 to 100 120757 120757Noise and hum -40 or better

Harmonic distortion -20 or better

Spurious emission 1nW of less

5 Guard Receiver

Receiving mode Simultaneous reception of any two channels

selected from ITUUSA channels

Receiving channels Up to 57 channels

Channel spacing 25

Mode of reeption G3E(F3E)

Frequency accuracy Wighin plusmn10 times 10-6

- 17 -

Receiving system Double super heterodyne

Intermediate frequency 1st IF 214

2nd IF 455

Local oscillation method Frequency synthesizer

Sensitivity 2 V or less120757Squelch sensitivity 1 V or less120757Selectivity 12 or more at 6 bandwidth

within 25 with a selectivity of 70

Spurious response 70 or more

Blocking 90 or more

Intermodulaltion 70 or more

Overall distortion 10 or less

Signal-to-noise ratio 40 or more

Rated audio output 2W(4 )Ω

Frequency

characteristics 6 oct +1 -3

Antenna input 50 unbalancedΩ

impedance

Temperature range 0 to +40

for full performance

Operating -15 to +55

temperature range

Storage -25 to +65

temperature range

Power supply voltage DC 138V plusmn10

(supplied from the NQD-1469 power supply

unit)

Dimensions 290(H) times 140(W) times 145(D)

Weight Approximately 25

- 18 -

제 절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2 DSC VHF

디지틀선택호출장치의 조건1

가 점검 및 보수를 쉽게 할수 있을것

나 전원공급후 분이내에 작동할 수 있을 것 1

다 의 주파수를 쉽게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 것 156525

라 초이내에 송신과 수신을 전환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 것 03

마 이상의 제어기를 갖는 경우에는 의 제어기에 우선권이 주어지는 동시에 다 2 1

른 제어기의 사용상태를 표시하는 기능이 있을 것

바 전원전압이 정격전압의 퍼센트이내에서 변동된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 (plusmn)10

할 수 있을것

사 통상 발생하는 온도 및 습도의 변화 진동 또는 충격이 있는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수있을것

선택호출장치의 선택호출신호의 조건2

가 마크주파수는 이고 스페이스주파수는 일것 이 경우 허용편차 1300 2100

는 각각 로 한다10

나 신호전송속도는 매초 비트일것 이 경우 허용편차는 만분의 으로 1200 100 30

한다

다 시간다이버시티의 시간간격은 초일것 003

송신장치의 조건3

가 공중선전력 와트 이상일 것 6

나 전파의 변조지수 허용편차는 로 한다 F2B 2( 02 )

다 감도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자 1

율이 퍼센트이하일 것1

라 실효선택도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1) 14

상태에서 중간 주파수로부터 희망파의 배의 주파수 희망파주파수의 이3 ( (plusmn)375

내의 주파수를 제외한다 까지 수신기입력전압 밀리 볼트의 무변조 방해파를 인) 447

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1

- 19 -

감도억압효과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2) 14

의 정현파에 의하여 주파수 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기입력전압400 3 44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인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이하일1

마 상호변조특성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 14

희망파 보다 떨어진 수신기 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와 희망파25 25

보다 떨어진 의 정현파에 의한 주파수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50 400 3

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25 1

디지틀선택호출전용수신기 의 조건4

가 통신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통신의 수신기능외에 통신의 내용을 볼 수있도록 하

는 기능이 있을것

나 조난통신 또는 긴급통신을 수신한 경우에는 수동으로만 정지시킬 수 있는 특별

경보기능이 있을것

다 수신한 조난통신의 내용을 즉시 인쇄하거나 개이상의 조난통신을 기억할 수 20

있어야 하되 기억한 내용을 일정시간 보존할 수 있을것

라 본체의 보이는 곳에 수신주파수를 표시할 것

마 전원공급후 분이내에 작동할 수 있을것 1

바 전원전압이 정격전압의 퍼센트이내에서 변동된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plusmn)10

수 있을 것

사 통상 발생하는 온도 및 습도의 변화 진동 또는 충격이 있는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수 있을것

아 감도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자율 1

이 퍼센트 이하일 것1

자 실효선택도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1) 14

상태에서 중간 주파수로부터 희망파의 배의 주파수 희망파주파수의 이내3 ( (plusmn)375

의 주파수를 제외한다 까지 수신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를 인접) 447

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1

- 20 -

감도억압효과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2) 14

의 정현파에 의하여 주파수 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기입력전압400 3 44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인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1

차 상호변조특성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 14

희망파 보다 떨어진 수신기 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와 희망파25 25

보다 떨어진 의 정현파에 의한 주파수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50 400 3

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25 1

- 21 -

제 절 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3 DSC VHF

일반적 조건1

가 취급이 용이한 것일 것

나 에서 까지의 숫자 입력판을 갖는 경우에는 그 숫자의 배열은 국제전신전화자 0 9

문위원회의 권고 에 의한 것일 것E161

공중선의 단선 또는 공중선 단자의 단락으로부터 보호수단을 가질 것

과전류 과전압 전원의 과도변동 및 전원극성의 우발적인 반전으로부터 보호수단이

있는 것일 것

노출된 금속부분은 접지하는 것이 가능할 것

전원단자는 접지되어 있지 않을 것

전원 볼트를 초가하는 전기 고주파의 것을 제외 를 통하는 도전부는 용이하게 노55 ( )

출이 되지 않도록 다음의 어느 조건에도 적합한 차폐체를 갖고 있는 것일 것

차폐체를 개방한 때는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되는 구조일 것(1)

차폐체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공구를 필요로 하는 구조이고 또는 고전압에 대한(2)

주의사항이 표시되어 있을 것

다 통상의 설치된 상태에서 제조자명 형식명 및 제조번호가 명확하게 판독 가능하

도록 외부에 표시되어 있을 것

라 장치의 일부를 가열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급전후 분이내에 일정온도에 달하 30

는 것일 것

다만 가열회로에 공급하는 전력은 다른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치단에 의해

절단되지 아니할 것

마 전원공급후 송신장치의 일정분에 전압의 공급을 지연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는 그 지연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것

디지틀선택호출장치의 조건2

선박의 위치 및 위치를 결정한 시각의 자동입력 기능을 갖는 경우에는 동기능의

고장이 장치의 다른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

가 선택호출 신호의 구성

조난경보등 조난경보 조난경보에 대한 응답 조난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1) (

중계에 대한 응답을 말한다 이하 같다 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및 무선설비의 기기 )

의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이하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이외의 선택( ldquo rdquo )

호출신호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1

- 22 -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2) 2

조난 경보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 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3) 3

일 것

조난 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 중계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4)

성을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4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5) 5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오류검정부호를 제외한다 에 사용하는 단위 부호는(6) (dot ) 10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6

나 선택호출신호의 송출조건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오류검정부호를 제외한다 의 송출은 최초의 송출과 반(1) (dot )

복송출과의 사이에 개의 코드가 놓아진 방식일 것4 Time Diversity

선택호출신호의 반복송출은 다음과 같은 것일 것(2)

가 조난경보를 연속하여 송출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조난 경보를 최후의 신호와( )

다음에 송출되는 조난경보의 신호와의 사이를 가격없이 송출가능한 것일 것dot

나 디지탈선택호출통신망을 위한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호출( )

또는 응답의 선택호출 신호의 경우는 별표 에 따라서 회를 초과하지 않는 회수를7 4

반복하여 송출가능할 것

다 가 및 나 이외의 경우는 반복하여 송출이 가능하지 않는 것일 것( ) ( ) ( )

다 선택호출신호의 수신조건

조별 의 장치는 제 호에 규정한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1) (class) A 2

읽어냄이 가능할 것

조별 의 장치는 다음의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표시하는(2) (class) B

것이 가능할 것

가 제 호에 규정하는 선택호출신호중 종별 의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것( ) 2 (class) B

나 포맷 신호가 해역호출인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것( ) (format)

다 제 가 수신되지 아니할 것( ) 1 Telecommand

해안국의 장치는 제 호에 규정하는 선택호출신호 해안국의 장치의 것을 제외(3) 2 (

한다 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읽어냄이 가능할 것)

- 23 -

별표 선택호출신호 조난경보등을 위한 것 및 시험을 위한 것은 제외한다 의[ 1] ( )

구성

dot신 호

동 기신 호

Format신 호

Address신 호

Category신 호

자국의식별신호

정 보신호1

정 보신호2

정 보신호3

종료신호

오류검정신호

주( 1) 주( 2) 주( 3) 주( 45및6)

주( 7) 주( 8) 주( 9) 주( 10) 주( 11) 주( 12) 주( 13)

주( )

중단파대 및 단파대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하는 장치의 선1

택호출신호 이하 중단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에 있어서 선박국을 호출하( ldquo rdquo )

기 위한 선박호출신호의 경우는 비트 선박국에서 해안국으로 호출 및 응답하기200

위한 선택호출신호 및 국제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 계기하는 주파수18

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 하는 장치의 선택호출신호 이하 대 선택( ldquoVHF

호출신호 라 한다 의 경우는 비트일 것rdquo ) 20

표 에 나타내는 코드번호를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하는 것일 것2 8 9

호출의 종류를 나타냄에 있어서 다음의 장치마다 별표 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3 8

류를 표시하는 개의 동일 코드번호일 것2

종별 의 장치 선박국의 장치에서 별표 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류를 사용(1) (class)A ( 8

가능한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

종별 의 장치 선박국의 장치에 있어서 동표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류 중(2) (class) B (

해역호출 및 공통관계를 갖는 선단의 호출을 제외한 것의 사용이 가능한 것을 말한

다 이하 같다 )

해안국의 장치 동표에 게기한 호출의 종류중 조난경보 및 개별국의 반자동 또(3) (

는 자동접속호출을 제외한 것의 사용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

신호가 조난경보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는 상대국 식별4 Format

신호로 하여 선박국식별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 구성되는[0]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신호가 조난경보 또는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선택호출에 있어서는 사용5 Format

하지 않을 것

신호가 해역호출의 경우 종별 의 장치는 제외한다 는 별표 에 따라서6 Format ( B ) 11

해역을 자리 의 숫자를 표시하고 별표 에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통보의 우선순위 또는 종류 신호가 모든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통상업무7 (Format

및 선박업무를 제외한다 를 별표 에 따라 개의 코드번호에 코드화한 것일 것 다) 8 1

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 선박업무를 제외한 것으로 하고 또한 신 (class) B Format

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통상업무를 제외한 것일 것

- 24 -

자국의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8 [0]

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제 및 제 의 정보로 하여 별표 에 따라서 각각 개의 코드번9 1 2 Telecommand 8 1

호에 코드화한 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제 (class) B 1

를 다음과 같이하고 제 코드번호가 일 것Telecommand 2 Telecommand [126]

중단파대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하는 장치의 선택호출신호 이하(1) (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는 신호가 개별국의 호출일때에는 코드번ldquo rdquo ) Format

호 또는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일[119] [111] [118] Format

때에는 코드번호 또는 일 것[109] [111] [111]

선택호출신호는 신호가 개별국의 호출일 때에는 코드번호(2) VHF Format [100]

또는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일 때에는 코드번호[101] Format

또는 일 것[100] [101] [105]

다음의 방식일 것10

호출에 이어 계속 통신에 사용하는 송신 및 수신을 위한 주파수 또는 채널을(1)

나타내는 선택호출신호는 송신파 및 수신파의 순으로 별표 에 코드화한 것일 것12

다만 주파수 또는 채널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송신파 또는 수신파마다에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126]

선박의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선택호출신호는 코드번호 및 다음에 의거 표(2) [55]

시되는 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 자리숫자를 별표 에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가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가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나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부터 제 번째까지의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표시한다

제 가 선박의 위치인 호출에 대한 응답 이하 선박위치응답 이라(3) 1 Telecommand ( ldquo rdquo

한다 을 위한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의 가 및 나 에 의해 표시하는 선박의) (2) ldquo rdquo ldquo rdquo

위치를 나타내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코드화한 것 및 그것에 계속코드번호10 10

일 것[126]

에서 이외의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4) (1) (3) 6 [126]

선박위치응답의 경우 종별 의 장치를 제외한다 및 신호가 개별11 ( (class)B ) Format

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에만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각각 다음의 방

식일 것

선박위치응답의 경우는 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 국제표준시로 한다 이하 같(1) (

다 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2 10

개의 코드번호로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는 개2 2

의 코드번호 일 것[88]

- 25 -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는 아날로그 전화용(2) Format

설비와 접속하기 위한 번호 이하 전화번호 라 한다 등의 네트워크번호를 표시하는( ldquo rdquo )

것으로 하고

네트워크번호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코드번호를 짝수의 경우는 코드번호[105]

과 네트워크를 별표 에 준하여 개부터 개까지의 수의 코드번호로 코드화[106] 10 2 9

한 것일 것

응답을 필요로 하는 호출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응답12 [117]

을 위한 선택 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및 이외의 경우는 코드번호[122] [127]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 다만 신호가 모13 Format

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 코드번호 일 것[127]

오류검정부호는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정보비트 및 제 번째에서 제13 1 7 8

번째까지의 검정비트로부터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생성되는 각 비트10

의 및 이 각각 별표 에 표시하는 및 에 대응하는 단위 부호로[0] [1] 6 [B] [Y] 10

하여서 송출되는 것일 것

정보비트의 각 비트는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동기신호를 제외한다 의 모든(1) (dot )

코드번호 신호 및 종료신호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로 한다 에 대응하(Format 1 )

는 부호의 비트 위치마다 최하위 비트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다만 를 를 B 0 Y 1

로해서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검정비트는 정보비트의 의 수를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B 2

별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해안국의 장치는 제외한다[ 2 ] (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자국 의식별신호

주( 4)

조난종류 의정보신호

주( 5)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

주( 6)

시각정보신호

주( 7)

Tele-command정보 신호

주( 8)

종료신호

주( 9)

오류검정신호

주( 10)

주( )

중단파 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는 비트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비1 200 VHF 20

트일 것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2]

자국의 선박국 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4 [0] 10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조난의 종류를 표시하는 것으로 하여 별표 에 따라 개의 코드번호로 코드화한5 8 1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 (class) B 1 107

- 26 -

조난선박에 위치를 다음과 같이 자리의 숫자로 표시 하는 것으로 별표 에6 10 10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조난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것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99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1)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는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2)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한다

조난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것7 2

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개의 코드번호에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 10 2

를 포함하지않는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88]

계속하여 행하는 통신의 형식을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통신장치가 무선전화 또8

는 협대역직접 인쇄전신장치인 제 를 별표 에 개의 코드번호로1 Telecommand 8 1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방식일 것 (class) B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 일 것(1) 1 [109] [111]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VHF 1 [100]

코드번호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하는 것일 것9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별표 조난경보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선박국의 장치를[ 3] (

제외 )

dot신호

주( 1)

동기신호

주( 2)

For-mat신호

주( 3)

Cate-gory신호

주( 4)

자국의식별신호

주( 5)

Telec-ommand정보신호

주( 6)

조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7)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 8)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 9)

시각정보신호

주( 10)

Tleco-mmand정보신호

주( 11)

종료신호

주( 12)

오 류검 정신 호

주( 13)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6]

별표 의 주 과 같은 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4 1 7 [112]

자국의 해안국 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숫자를5 [0] 10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6 1 [1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일 것7

- 27 -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종류의 정보신호일 것8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일 것9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시각정보신호일 것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정보신호일 것11 Telecommand

코드번호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2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3 1 13

별표 조난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 중계에 대한 응답을 위한[ 4]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dot신호

주(1)

동기신호

주(2)

For-mat신호

주(3)

Addr-ess신 호

주( 4및56)

Cate-gory신 호

주(7)

자국의식별신호

주(8)

Telec-ommand정보신호

주( 9)

조 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10)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11)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12)

시각정보신호

주(13)

Tleco-mmand정보신호

주( 14)

종료신호

주(15)

오류검정신호

주(16)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별표 의 주 과 같다 코드번호 이외의 것으로 한다3 1 3 ( [112] )

신호가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에는 상대국의 식별신호4 Format

로 하고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0] 10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5 Format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6

별표 의 주 과 같은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7 1 7 [112]

별표 이 주 과 같다8 1 8

개의 코드번호 일 것9 1 [112]

수신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 또는 수신한 조난경10

보의 중계의 조난선박국의 식별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종류의 정보11

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선박의 위치12

정보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시각정보일 것13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14 Telecommand

정보신호일 것으로 한다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것으로 하 (class) B

는 것이 가능할 것

- 28 -

중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1) 1 [109] [111]

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2) VHF 1 [100] [101]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코드번호 개별 해안국 앞15 Format [127]

으로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에는 코드번호 로서 별표[122]

의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3

별표 의 주 과 같다16 1 13

별표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대 선택호출신호를 제외한다[ 5] (VHF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Address신 호

주( 4)

Category신호

주( 5)

자국의식별신호

주( 6)

정 보신 호1

주( 7)

정 보신 호2

주( 8)

종 료신 호

주( 9)

오류검정신 호

주( 10)

주( )

비트일 것1 200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20]

상대국의 식별신호로서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이에 계속되는 으로서4 [0]

구성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1 [108]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8

각 개의 코드번호 및 일 것7 1 [118] [126]

개의 코드번호 일 것8 6 [126]

코드번호 또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9 [117] [122] 13

일 것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 29 -

별표 선택호출신호의 단위부호[ 6] 10

는 스페이스주파수 는 마크주파수로 대응하고 비트위치의 에서 송출된다B Y 1

협대역 일때MFHF B=1785 Y=1615

대역 일때VHF B=2100 Y=1300

- 30 -

별표 반복송출의 순서[ 7]

주 기호 는 선택호출신호의 종료신호를 표시하고 기호 는 에서 까( ) H DX RX0 RX7

지가 반복송출되는 선택호출신호의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31 -

별표 코드번호 의 용도[ 8] (100-127)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00 통상업무

화재 또는폭발

또는F3단신G3E

무선전화 이유없음 주( 3)

101 침수 또는F3복신G3E

무선전화 해사교환 센터의혼잡 주( 3)

102 해역호출

충돌 미확정주( 1)

통화중 주( 3)

103 좌초 Polling 대기행렬표시주( 3)

104 의RXO위치의동기신호

경사 및전복의위험

수입불가주( 2)

폐국 주( 3)

105 의RX1위치의동기신호

침몰 호출의 종료주( 4)

의 부재Operator주( 3)

106 의RX2위치의동기신호

선박업무주( 5)

조선불능으로 표류

데이터주( 6)

변복조장치

의Operator일시적 부재 주( 3)

107 의RX3위치의동기신호

기타의조난

미확정주( 1)

장치의 운용불가주( 3)

108 의RX4위치의동기신호

안전 선체의방치

미확정주( 1)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09 의RX5위치의동기신호

J3E 무선전화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10의RX6

위치의동기신호

긴급 조난경보에대한 응답

무력분쟁의당사국이 아닌것을 표시하는선박 및 항공기주( 7)

111 의RX7위치의동기신호

H3E 무선전화 위생수송체 주( 7)

112 조난경보

조난 조난자동통보설비(주 의9)시동

조난경보의중계

공중전화사무소주( 8)

- 32 -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13또는F1B방향오J2B(1

류정정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미확정 주( 1)

114

공통관계를 갖는선단의호출

미확정 주( 1) 미확정 주( 1)

115또는F1B자동재송J2B(

요구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데이터 주( 11)

116모든선박호출

또는F1B J2B수신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2)

11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18 시험 데이타 주( 14)

119또는F1B수신J2B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5)

120개별국의호출

A1A 테이프레코더

데이터 주( 16)

121 선박의 위치 데이타 주( 17)

122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3

개별국의반자동또는자동접속호출

A1A 전건 및핸드셋(Handset)

데이터 주( 18)

124또는F1CF2C

F3C팩시밀리장 데이터 주( 19)

125의DX

위치의동기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6 정보없음 정보없음 주( 20)

12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주( )

앞으로의 사용을 위하여 유보한다1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2 [100] [109] 2 Telecommand

코드번호 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3 [104] 1 Telecommand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 시스템에만 사용한다4

- 33 -

선박의 항해 운항 필수품에 관한 통신과 정부의 기상업무기관으로 보내는 기5

상 관측 통보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6 [115] [124] 2 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을 제외하고 제7 [104][105][106][110][112] [118] 1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의 제 와 조합하여8 [100][101][109][115] [124] 1 Telecommand

사용한다

수색구조용 레이다트랜스폰더를 제외한다9

무선설비규칙의 제 조의 에 정하는 것으로 한다10 69 4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1 (V21)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2 (V22)

앞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1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4 (V2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5 (V2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6 (V1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7 (V26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8 (V27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9 (V32)

코드번호 를 제외하고 제 와 조합하여 사20 [104][110][112] 1 Telecommand

용한다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 코드번호는 중단21 Format

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에서 까지 [102] [124] ([110][112][117]

및 를 제외한다[122] )

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및VHF [100][101][104][105][106][121]

일 것[124]

별표 동기신호의 송출순서[ 9]

주 기호 및 에서 까지가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DX] [RXO] [RX7]

- 34 -

별표 자리 숫자의 코드 변환표[ 10] 10

자리의 숫자10

십억D2

억D1

천만D2

백만D1

십만D2

만D1

천D2

백D1

십D2

일D1

코드5 코드4 코드3 코드2 코드1

주( )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1 1

및 은 자리 숫자의 자리 숫자 에서 까지를 표시하고 각 코드는2 D2 D1 10 2 00 99

그 자리의 십진수를 코드번호로 한다2

숫자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최상위 자리수의 숫자 앞에 을 포함할 것3 0

별표 해역의 표시방법[ 11]

해역의 표시는 다음과 같은 것

선정되는 지리상의 해역은 메르카토르 도법의 직사각형으로 표시할1 (Mercator)

직사각형의 북서를 해역의 기준점으로 할 것2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존재하는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3 1

으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0] [1] [2] [3]

할 것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위도를 표시할 것4 2 3

제 번째에서 제 번째가지의 숫자는 기준점의 경도를 표시할 것5 4 6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남북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6 7 8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동서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7 9 10

표에 표시하는 해역 및 의 표시의 예는 다음과 같을 것8 ab c

기준점이 북위 도 및 서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1) 10 25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20 35 a

1 1 0 0 2 5 2 0 3 5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2) 10 10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10 10 b

2 1 0 0 1 0 1 0 1 0

- 35 -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3) 12 12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4 7 C

2 1 2 0 1 2 0 4 0 7

별표 주파수 및 채널정보의 코드변환표[ 12]

주파수0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주파수를 의 배수로서 숫자의 십100

만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다 1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2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채 널

3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중단파대 또는 단파대의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 다

8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별도로 정한 채널로 한다

9 0 times times times times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18게기하는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천 백 십 및 일의 숫자로 표시한다

십만 만 천 백 십 일

코드3 코드2 코드1

주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 ) 1

- 36 -

별표 종료신호의 송출순서[ 13]

주 기호 가 종료신호를 표시한다( ) H

- 37 -

제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3

제 절 송수신장치1 DSC VHF

시스템 개요1

본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모든기능을 충족하는 일체형과 전화용 복신방식의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호출 및 수신제어장치 로구분된 독립형 으로 구분되며 DSC DSC

이는 외형상의 구분이며 그주요기능별 구성은 각각의 유니트로된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표시 및 제어장치 와 전원부 로 구분되며 이것들은 다시 하나의DSC

케비넷 또는 독립된장치로서 구성된다

시스템 구성2

장비의 개요 및 특징3

가 개요

본 송수신기는 항만내 또는 연안에서 해안국과 선박국 또는 선박국 상호간VHF FM

의 해상이동업무 통신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기로서 이내의 해상156 ~162

이동 무선통신업무용의 전 을 수용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전파관리법 및CHANNEL

등 국제규격에 적합하도록 설계 제작된 기기로서 전세계ITU SOLAS USA USCG

어느곳에서나 규정에알맞게 사용할 수 있는 국제항만 무선전화기용 무선 송수신기

를 제작한다

- 38 -

나 특징

소형 경량화로서 좁은 장소에 설치가 용의하게 되어 있어야 한다(1)

송신각 각 방식을 채용하였으며 국제 항만 무선전화(2) DIRECT SYNTHESIZER

인 를 수용해야 하며 그외 개의CHANNEL 55(114) CHANNEL 105(527) FREE

이 수용되어 있어야 한다CHANNEL(SIMPLEX)

주 국제 중 미국연안에서 단식방식으로 절환 사용되고 있는1 CHANNEL 55(114)

을 사용 할 수 있을것USA CHANNEL(SIMPLEX)

주 별도의 기상수신 을 수용하고 있어야 한다2 WEATHER CHANNEL( )

USA 3 CHANNELS

CANADIAN 1 CHANNEL

OTHERS 5 CHANNELS

원격조정 회로의 내장으로 본기기의 판넬스위치와는 상관없이(3) REMOTE ( ) HAND

만 으로도 판넬 스위치 조작에 필요한 모든기능을 할 수 있고SET CONTROL VHF

의 원근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어야 한다SET

기능이 첨부되어 있어 미국연안 경비대 의 의무 청취(4) DUAL WATCH USCG( )

인 과 의 개의 을 동시에 수신할 수CHANNEL CH 13 CH 16 2 CHANNEL SCANNING

있으며 과 사용자가 선택하는 임의의 을 동시에CHANNEL 16 CHANNEL SCANNING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에 경보신호 기능의 내장으로 비상시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5) CH 16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국제 개 및 을(6) SCAN CHANNEL 55 FREE CHANNEL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SCANNING

안전통신에 지정되어 있는 은 우선 사용할 수 있도록(7) CHANNEL16 1 STEP

로 되어 있어야 한다SWITCH

국제 해상 인명 안전조약 에 정한 규격으로 되어 있어 전세계 어느곳의(8) SOLAS( )

규정에도 적합하며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구 성4

본 기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가 송 수신기 본체 대 1

나 HAND SET 1 SET

다 WHIP ANTENNA 1 SET

라 벽걸이형 SPEAKER 1 SET

마 전원 공급기 1 SET

- 39 -

규 격5

주파수 및 규격은 현재의 통신방식이며 정보통신부의 고시가 발표되면 협대역(125

로 변경한다)

가 일반사항

사용주파수 범위(1)

송 신 156025 ~ 157425 수 신 (SIMPLEX) 156025 ~ 157425 수 신 (DUPLEX) 160625 ~ 162025 기상수신 (WEATHER) 161650 ~ 162550

사용(2) CHANNEL

A International 55 (114) CHANNELSB USA 25 CHANNELSC FREE 105 (527) CHANNELSD WEATHER 9 CHANNELS

USA 3 CHANNELSCANADIAN 1 CHANNELOTHERS 5 CHANNELS

통신 방식(3) SIMPLEX amp DUPLEX

전파의 형식 전화(4) 16KOF3E( G3E DSC F2BG2B)

주파수 편차(5) 0001 (10 PPM)

사용 온도범위 부터(6) -10 + 50

예열 시간 전원 접속후 즉시 사용가능(7)

공칭(8) ANTENNA IMPEDANCE 50 ohm ( )

공급 전원(9)

전 압 136V plusmn 10전 류 수신시 800

송신시 5A전원 공급기 별도( ) 단상AC115V AC220V 60

부터 까지DC 15V 35V

나 송 신 부

정격 출력(1) HIGH -25 W

LOW - 1W

주 공중선 전력 저하장치로 이하 저하기능 보유1 1WATT주 단 보호 인 및 가 아님 은 송신이2 CHANNEL 7576 1 ~9(01 ~09 )CHANNEL되지 않음 기상수신대의 사용법은 본문 참조 ( )

- 40 -

발진 방식(2) SYNTHESIZER CONTROL SYSTEM

변조 방식(3) FREQUENCY MODULATION

점유 주파수 대역폭(4) 16 (8)

최대 주파수 편의(5) 5 (25)

복사강도 이상(6) SPURIOUS 70

변조 주파수 특성(7) 6 (plusmn 3 ) OCTAVE PRE-EMPHASIS)

(300 ~ 3 )

변조시 이하(8) DISTORTION 1 70 -20

신호 대 잡음비 변조시 이상(9) 1 70 40

저역 여파기 특성 이상에서 이상 감쇄(10) 3 -40log f3( ) (f = )

다 수 신 부

수 신 방 식(1) DOUBLE SUPERHETERODYNE SYSTEM

감 도(2) 이하 신호 대 잡음비 에서 025 V ( 20 )μ

감도(3) SQUELCH 이하 02 Vμ

국부 발진 주파수(4) 1lsquost LOCAL FREQUENCY

RECEIVER FREQUENCY - 214

2nd LOCAL FREQUENCY 10945

중간 주파수(5) 1lsquost IF FREQUENCY 214

2nd IF FREQUENCY 455

선 택 도(6) 저하폭 이상 6 12 (6)

저하폭 이하 70 25 (125)

(7) SPURIOUS RESPONCE 이상 70

감도 억압 효과(8) 이상 80

상호 변조 특성(9) 이상 65 ( 20 40 )

주파수 특성(10) 6 (plusmn3 )OCTAVE DE-EMPHASIS)

( 300 ~ 3 )

신호 대 잡음비(11) 변조시 이상 1 60 40

(12) DISTORTION 변조시 이하 1 70 -20

저주파 출력(13) 이상 1 WATT (IMPEDANCE 8 ohm)

- 41 -

제 절 차년도 개발 범위2 1

제 차년도 개발범위는 기초자료조사와 규정의 연구에 따라 기초회로의 설계 후1

사용부품을 시험하고 각 의 제작 및 시험 연이은 성능미달 의 차 차PCB PCB 2 3

차 재제작 시험을 완료하고 시스템의 설계까지이며 그 세부적인 개발범위는 다음4

과 같다

송수신장치 개발을 위한 제규정 수집 연구1 DSC VHF

기초자료 조사2

가 장비에 대한 기능특성 수집 연구

나 사용자 및 선박통신사의 요구사항에 대한 자료 수집 연구

다 외국장비와 비교 분석

라 부품규격 시험 및 선정

3 HARD WARE

가 고주파 필터코일 재질분석 및 각종코일 설계

나 제작 PCB

송신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1) PCB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시험(2) PCB

수신부회로 제작 시험(3) PCB

신세사이즈 회로 제작 시험(4) PCB

제어장치 제작 시험(5) PCB

표시장치 제작 시험(6) PCB

원격제어기 제작 시험(7) PCB

전원공급부 제작 시험(8) PCB

제작 시험(9) HAND SET PCB

전용수신기 제작 시험(10) DSC PCB

- 42 -

제 장 제 차년도 개발 항목 보고4 1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본 장비를 개발함에 있어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및 부품선정이 개발의 핵심 과제

로 생각하였다

기초자료는 기존 시스템분석과 전파관련법령을 기초하였고 주변회로는 관련된 회

로집을 분석하였으며 부품선정은 폐품종 여부와 수급이 용이하면서 견고하고 증폭

도 및 성능이 우수한 품종으로 장시간 시험을 거쳐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송신부 제작시험2

송신 출력회로 결정 회로설계 완료하여 각부 부품 구입 회 내구성 시험 및SPEC 30

구룹별 장시간 부품 부하 시험등 최종목표 성능을 확보하기위한 제반 기초 제작시

험을 완료 하였으며 주요 내용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의 발열상태등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의 높은 출력으로 증폭하는 송신전(VHF ) 25W

력 증폭기로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높은 고주파전력에 견딜수있어야 하고 열

에의해 발생되는 열잡음이 적으야하며 열에의한 부품의 열화 및 특성의 변화가 적

은 부품을 사용여야 하므로 온습도시험 과 과출력 시험을 통하여 사용될 부품을 시

험하였다

특히 고조파 필터회로 부품인 코일은 동선에 전도율이 좋은 재질로 도금하여 사용

하여야 하며 고조파필터회로 의 차폐용 재료도 동판에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도금

하여 사용 하여야 한다

나 송신 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PCB (PCB NO V-097)

개발과정에서의 설계변경 및 생산시스템의 전산화 에 적용 할수있도록 회로 설계는

물론 설계 회로기판 도안 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설계완료된 는PCB ( ) CAD DATA

회로기판 제작장치 외주 작업 및 부품삽입기 자사 작업 에 직접 컴퓨터용 디스켙( ) ( ) (

으로 입력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회로에 높은 고주파전류가 흐르므로인하여 빌진할 가능성 및 잡음발생의 우려PCB

가 많으므로 특히 부품배치에 유의하여 설계하였으며 송신신호 발생회로 또는 전원

회로 와의 배선은 관통형콘덴서등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였다

회로에 사용되는 코일은 각 코일간에 간섭을 줄이기위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설정하

였으며 전체를 차폐하고 또 고조파 필터회로를 구분하여 차폐하여 제작 하였PCB

- 43 -

또 안정된 출력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회로를 장치하여 설정된 출력 이상의ALC

출력을 제한한다

다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PCB (PCB NO V-096TX)

설계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이 는 미약한 고주파 신호를 발생 변PCB CAD PCB

환 증폭 하므로서 송신부 또는 외부로 부터의 잡음 유입과 내부잡음 발생에 유의

하여 설계되었으며 불요복사 억제에 유의하였다

라 성능시험

메칭상태 시험(1)

옴 파장 수직형 안테나 를 사용할수 있도록 시험하였으며 차적인 시험은 의50 12 1

사부하에 의해 시험하고 의사부하 안테나에 정상적인 메칭이 된 후 실제 사용 안테

나에 확인시험 하였다

이 시험에서 양질의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장치는 물론 안테나의 성능이 중

요하며 인접한 고전력 안테나 및 낙뢰로부터 안정성 등을 감안하여 안테나는 VHF

대역 이하의 주파수에 대하여 쇼트형 안테나가 바람직 하다

기존 시스템의 이상의 성능 확보(2) 90

송신부의 주기능으로서 양질의전파를 안테나로 공중에 발사하는 장치로서 주피수안

정도 고조파억압 불효전파억제 안정된전력 안정된 주파수편이 낮은 왜율 등의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시험결과는 기존의 제품의 특성에 가까운 성능을 확보

하였으나 안테나공용기 복신통신용 필터 특성의 개선및 송신부 관련부품의 배치를( )

개선하므로서 보다 좋은 성능을 확보 할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신부 제작시험3

수신부는 안테나입력회로 입력동조회로 단신통신 및 복신통신 각 주파수 대역 필 (

터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로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 1 1 2 2

로 대역필터회로 신호제한 리미터 회로 복조회로 무신호잡음 차단 회로 저주 ( ) FM

파 증폭회로 및 국부발진회로 로서 구성되나 국부발진회로는 잡음의 발생및 유입

주파수안정도 등을 감안하여 별도의 로서 제작하였으며 그외 수신부와 관련한PCB

내용은 다음과 같다

- 44 -

가 사용부품의 구입 및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증폭과 변환을 반복하여 요구되는 신호(VHF )

를 복조하여 기청음 또는 의 문자표시로 출력되게 하므로서 안정된 주파수 및DSC

증폭이 요구되므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당연히 고주파특성에 유의하여 주파수

차에의한 특성변화 열잡음 및 고주파잡음 능동소자등의 직선성 등이 교려되어야하

므로 항온항습시험과 과전류에의한 잡음발생의 시험 등 을 거처 엄선한 부품으로

설정사용 하였다

특히 회로의 선택도 코알의 값 를 높이기 위하여 가 높은 트랜스 재료를 사용하( Q ) Q

였다

다 수신부회로 제작 PCB (PCB NO V-096RX)

위 항에서의 시험에 의해 선택된 부품을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며 수신부의 특성31

상 잡음의 발생보다는 잡음의 유입에 유의하여 설계되었으며 안정된 증폭 특성 수(

신감도 을 얻기위하여 중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회로기판은 에폭시) 2

수지 양면인쇄동판을 사용하여 부품삽입면은 대부분 공통단자로 이용하여 부품간의

간섭을최소화 하였다

다 수신부 특성시험

수신부 특성상 수신감도 주파수안정도 왜율 통과대역폭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감도억압비 혼변조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신호대 잡음비 일 때의 수신감 20

도 성능이 확보되며 기타 여러 가지 특성도 최종목표 특성에 가까운 성능이05

확보 되었으나 까지 수신감도가 향상되도록 성능개선이 요구된다025 V 120757

신세사이즈부의 회로의 안정도로 인하여 국부발진 신호의 흔들림현상이 있어VCO

통과대역폭 및 잡음발생의 원인이되어 신세사이즈회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신세시이즈회로는 크게 수신국부발진 신호용과 송신신호용으로 구분되며 단신통신

과 복신통신방식일때 각각 동작할수있는 구성으로 설계되었으며 그 내용별로 구분

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전압제어발진기 에 사용되는 부품은 온도 및 전압변동에 특성의변화가 극히(VCO)

적어야하며 외부로부터 정전 및 자계영향이 크므로 회로를 별도로 정전 및 자VCO

계로부터 차폐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혼변조 및 잡음신호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파수선택 표준신호 등 시 수신( )

대역 및 송신대역에 영향이 없는 주파수로 하였으며 가능한 레벨을 제외한 신(TTL

호 파형의 왜율이 적은신호로서 각회로신호를 사용하여 결합하였다)

- 45 -

나 신세사이회로 제작 (PCB NO V-096PLL)

이회로 기판은 여러종류의 신호들이 발생 혼합 증폭 비교 되므로 각부품 간의 배

치에따라 잡음발생의 정도가 크게 좌우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였으며 회로는 외VCO

부영향에 민감하게 작동되므로 차폐 에 유의하여 부품의 배치 적절하게 하였으며

잡음발생을 유의하여 부품을 선정하였다

다 성능시험

이회로의 특성상 주파수안정도 주파수의 흔들림 위상비교기의 비교속도 등에 유의

하여 시험하였으며 여러가지 일반적인 특성은 최종목표사양에 만족될 수 있는 신호

원을 공급할수 있었어나 주파수의 흔들림 현상이 있어 회로의 부품 및 차폐에VCO

개선이 요구된다

제어장치 제작시험5 (PCB NO V-263)

이회로의 주요부품으로서 를 사용하여 당개발과제의 송수신 및 외부V25 CPU DSC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며 아울러 본체 전면표시기와 스윗치 입출력 기능도 한다

이회로의 주요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스 읽기전용 메모리 읽고CPU( ) ROM( ) RAM(

쓰기 메모리 직렬통신용 입출력 병렬통신 입출력 아날로그 디지) SIO( ) PIO( ) AD(

탈 변환기 스윗치입력 표시기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개발 내용은 다음과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에 사용되는 부품은 대부분 디지탈신호를 처리하여 회로로서 및TTL IC

로서 구성되며 저소비전력 및 고속처리능력이 요구되므로 주로 고속용C-MOS IC

중 형 를 사용 하였으며 장치의 초기설정 및 기능 설정의C-MOS(C-MOS IC HC )

변경등 의 목적으로 은 충전형 밧테리로서 메모리내용을 전원의 에 관RAM ONOFF

계없이 유지하도록 하였다

외부 제어기 등 와의 통신용 의 통신속도를 또는 등으로(DSC ) RS-232C 2400 4800

변경 설정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변환기 등을 이용하여 자기진단을 할수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장비의 유지및AD

보수에 많은 도움이된다

- 46 -

나 성능시험

운용시험(1)

이회로의 특성상 전기적 특성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특성 및 성능이 요구되므로 운

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이부분에 대한 시험은 개발자입

장이 아닌 운용자가 시험하여야 하는 관계로 선박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사용자에게

의뢰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로서는 기능면에서는 양호하나 사용상 복잡한 면이 있어 보다 조작 을 간편

히 할수있도록 개선할 필요가있는 것으로 본다

표시장치 시험(2) (PCB NO V-260)

본장치의 사용상 필요한 기능 및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내용과 기기 동작

상태의 일치성이 요구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온습도 및 장기시험 으

로서 확인하였으며 여러 가지 표시장치중 각각 중단점이 나타낮다

즉 액정 표시기 표시기는 저소비전력이며 주위가 밝은곳에서 사용이 가능 하LCD( )

나 반면 온도특성이 나쁘며 형광표시관 표시기는 온도특성은 양호하나 소비전 VFD( )

력이 대체로 높고 보다 낮고 보다 많음 수명이 낮다는 단점이있으며(FND LCD )

발광 다이오드 표시기는 모든면에서 대체로 양호 하나 잡음발생 이많으며 밝FND( )

은곳에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외 여러 가지의 장담점을 검토하여 차적인 결론은 표시기가 적합한 것으로1 LCD

본다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최소의 전기적신호 연결로서 최대의 기능제어및 속도가 요구되는 장치로서 저주파

신호의 입력 마이크 신호 및 출력 스피크 신호 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 제어는( FS ) ( )

직렬통신 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였으며 장거리 일반 공용통신망 을 이(RS-232C)

용할수도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요 구성은 중앙제어장치 스윗치입력 장치 표시장치 메모리장치 직렬통신장치

로 구성되며 그 상세한 개발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의 대부분이 디지탈신호의 처리회로로서 구성되므로 제어장치 의 사용 부품ldquo rdquo

시험 및 선정기준과 같으며 장거리운용상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신속도를

알맞게하며 장거리통신 선로에서 유기되는 잡음을 최소화 하기위한 필터회로 및

소프트웨어적인 오류정정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별도 설계 사용 하였다

- 47 -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V-170)

이장치는 사용상 편리하여야 하므로 소형 경량 으로 제작 하였으며 차적 기능 시 1

험을 목적으로 외형 보다는 성능을 우선하여 시험용으로 제작하였다 이장치의 시

험은 전용케이블 을 이용하여 시험하였고 또 일반 공용통신용 전화 선로를 통하여

원거리 시험을 하였으며 그결과로서 통신속도가 까지 양호하게 동작되나2400bps

그이상의 통신속도로서 운용 할려면 전용회선이 필요하게된다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가 결정 SPEC

각회로 에서 필요로하는 전압 및 전류에 알맞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반 성능

을 차적으로 설정 하였으며 최종목표 사양에 일치하기위하여서는 전원부의 장치에1

대하여 모든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최종 특성이 설정 되어야 한다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P-099)

이장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되나 반면에 안정성이 확고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안

정성을 첫째로 중요시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이회로는 많은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많은 전력이 열로서 손실되므로 방열에 특히 유의하여 제작되었으며 열발생이 많은

부품은 알미늄 방열판에 설치하고 이방열판은 본장치 외함의 바깥쪽에 설치하여 방

열효과를 최대화 하였다

이회로의 시험은 과입력전압 및 과소비전력 일때의 안정성에 중점 시험하였고 그시

험을 위하여 장시간 항온 항습기 를 이용하여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전원부의 안정

성 확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도 이회로를 특별히 개선하지 않고도 최

종목표 사양에 만족하리라 본다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PCB NO V-098)

마이크 회로 수화기 회로 송신 스윗치 회로 로서 구성되며 이장치는 사용 특성상

충격에 강하도록 설계제작 되어야 하며 무게는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재료선택이

중요하며 이러한점을 감안하여 사출금형에 의하여 성형 하였으며 성형 제료로서는

제료를 사용하고 사용 부품을 최소화 하여 제작 하였다ABS

이장치의 특성상 견고하며 방수효과가 최대이어야 하므로 충격 자연낙하 시험 및( )

방수시험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 성형제료 및 외형상의 문제는 없이나

송화기 및 수화기의 선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송화기는 콘텐서형

마이크가 좋으며 수화기로는 가변코일형으로서 떨림판이 평면으로된 수화기가 우수

한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선정하여 제작시험 하였다

- 48 -

전용 수신기9 DSC (PCB NO T-342)

전용수신 장치는 송수신장치중 송신부를 제외한 구조와 유사하므로 개발과정에서

송수신장치중 수신부회로에 복조장치 를 추가하여 별도 로 제작하여 시험DSC PCB

하였으며 개발내용중 전용수신기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DSC

가 기능 및 동작

변조되어 수신된 신호를 필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후 신호 처리용FM DSC DSC

마이크로프로세스 에 공급하여 소프트웨어로서 신호를 분석한후 표시장치 메(CPU)

모리장치 인쇄장치 등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전용 찬넬인 번 찬넬을 항상 DSC 70

수신상태로 동작하여 신호 도트신호 를 검출하고 신호가 있으면 이어서CALL ( ) CALL

수신되는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표시장치 및 경보장치에 출력한다

나 신호 신호 필터회로 와 신호 처리부 및 제어용회로부 DSC (FS ) DSC DSC

제작시험 (PCB NO T-325 T-326 T-327)

이 회로의 성능은 주로 필터 및 디지탈변환 회로에서 결정되며 소프트웨어의 성능

에 따라 안정성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점을 유의하여 설계제작 하여으며 성능 시험

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험용 정보를 송신장치로 통해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후 그

결과를 분석 시험 하였다

다 전용 수신기의 개발과정 에서의 학보된 기술 DSC

신호 및 의 신호 의 필터 및 디지털 변환 기술DSC (1300 2100 FS )

신호 검출 및 직렬신호의 병렬변환 소프트웨어DOT

기술 정보의 비교 및 인쇄출력 소프트웨어 기술

종합시험10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별 차 차 차 보완시험은 만족하며 앞으로 개발의 중점은 사용의 편리성과PCB 1 2 3

생산성에 중점 개발이 요하며 배치에 따라 야기될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 PCB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후 최종제품을 제작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49 -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1

가 전면판 사출금형

나 옆판 스피커 안테나 금형

다 노브 사출금형

라 윗면 및 밑면 프레스 금형

마 설치용 고정장치 사출 금형

바 설치대 프레스 금형

사 뒷면 작업용 프레스 금형

아 항온조용 열차단금형

자 필타 금형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2

가 송수신기 제어장치 프로그램

나 전용 수신기 제어용 프로그램 DSC

다 원격조정기 프로그램

라 송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마 수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3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8: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8 -

제 절 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5 GMDSS

해상통신에 있어서 위성의 이용은 새로운 통신방식을 모색코저 노력한 해운계에 있

어서 획기적인 전환점이 되었다 또한 이를 통한 다수의 새로운 시스템 및 장비의

도입은 해상통신의 중요한 목적인 항행안전 뿐만 아니라 경제성 및 간편성에도 커

다란 발전을 가져왔으나 새로운 제도에 의한 해상통신은 그 가치가 이용의 확대와

시스템의 고도화가 필수요건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는 기존의 통신시스템을 위성통신방식과 와 같은 새로운GMDSS DSC NBDP

기술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자동화를 이룩한 제도이다 물론 가 의 부 DSC GMDSS

분 설비이기는 하지만 이러한 제도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조치

사항과 더불어 관련장비의 국산화가 필요하며 이를 통하여 해운선진국으로서 해상

에서의 인명 재산의 확보라는 국제적 의무사항을 충실히 이행하게 될 것이다ㆍ

년 월 일부터 드디어 의 도입이 시작되었다1992 2 1 GMDSS

에 관한 의 규정은 년 월 일부터 협약은 년 월 일GMDSS RR 1991 7 1 SOLAS 1992 2 1

부터 발효되어 는 도입 시행되고 있다GMDSS ㆍ

이 제도를 도입하기 위하여 국제기구 특히 의 와 의 무 ITU CCIR WARC IMO COM(

선통신소위원회 가 여년 동안의 연구기간이 소요되었다는 것은 그 내용이 얼마) 20

나 복잡하였던가를 말해주고 있다

새로운 제도의 실행을 위해서는 관계법령의 개정 해역의 설정 통신시설의 정비등

에 대한 구체적 계획과 수립이 필요하다 즉 조난구조본부는 어느 부처에서 언제

어디서 설치될 것인지 국내연안을 위한 방송은 어느 해안국에서 언제 실 NAVTEX

시 할 것인지 통신을 위한 해안국은 어디에 언제 설치할 것인지 는 DSC SafetyNET

어떻게 구성하고 있는지 위성 나 트랜스폰더 등에 대한 국내조치와 소 EPIRB RADAR

형 선박 특히 유효한 이들 구명설비의 탑재의무를 어선까지 확대하느냐의 여부 등

이 요구되고 있지만 아직 이러한 조치사항이 일반에게 가시화되어 있지 않다

또한 정보통신부와 항만청간의 소관업무조정 해상전자설비의 국산화지원 설비의

중화문제 등의 조속한 검토와 실행이 요망되고 있다 다만 전파관계법에서 해역2

등 관련용어의 정의 에서의 무선종사자의 자격 조작 및 종사범위GMDSS GMDSS

와 선박의 무선설비 성능조건 및 기술기준 및 전파 설비의 중화 육상정GMDSS ( ) 2

비 전파전자기능사 자격을 수용하는 제도만을 설정하여 공포 하고 있 (1992 6 30)

을 뿐 다른 대응은 아직 구체적으로 마련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행정조치사항을 제시하여 그 대응방안을 논하고자 한다

앞에서 도입에 따른 관련설비의 제규정은 구명 분석되었으나 이 분GMDSS DSC ㆍ

야의 발전여부는 오직 정부정책에 달려있기 때문에 구체적인 건의 사항으로서 이를

재정리하여 현실적인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 9 -

첫째 발전된 기술과 자동화를 이룩한 도입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그 GMDSS

동안 해상통신분야의 인식을 과감히 불식하고 관 산 학 협동을 통하여 이를 위 ㆍ ㆍ

한 현실적인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해상전자통신장비의 국산화를 위하여 관 산 학 연구소간의 협력체제를 강화하고ㆍ ㆍ

적극 지원해야 한다 현재 세계 유수의 해운국이자 조선국인 우리나라는 해상통신

장비분야에 대해서는 아직 후진성을 면치 못하고 주로 수입대치에 의존하는 현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둘째 관계당국은 도입에 따른 해역의 설정 설비의 정비 및 해안국 확정 GMDSS

통신망 및 방송 설비의 수급대책 등에 관한 문제를 계획하SAR NAVTEX NAVAREA

고 현실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정책당국은 정부 관련부처간의 업무를 조정하기 위하여 위원회를 구성

하고 전문가를 초빙하여 연구발표회 또는 간담회 같은 방법을 통하여 관계부처간의

조치 진행 상황을 일반인에게 가시화시켜 선박회사 전자기기 제조회사 조선소 및 ㆍ

종사자 등의 업무대비에 도움이 되도록 해야 한다

셋째 에 관한 국제규정에는 권고 포함 와 총회 결의 GMDSS RR(CCIR ) SOLAS(IMO

및 권고 포함 에 그 근거를 두고 있으나 그 주관청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부처간)

업무조정이 필요하다

협약 제 장 무선통신 의 대부분이 정보통신부 업무에 속하기 때문에 국내 도SOLAS 4 ( )

입의 원활을 기하고 국제적 의무를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정보통신부와 항만청

사이에 업무조정이 필요하다

즉 문서 발착사무는 항만청에서 하되 다음과 같은 업무를 조정해야 한다 IMO ㆍ

협약에서는 육상시설 등에 관한 정보를 에 통보하기로 되어 있고(1) SOLAS IMO

그 밖에 해역의 설정 통보 등 업무가 많으므로 이를 위한 업무의 체계화

정보통신부 소속사무에 속하는 각종 문서의 분류 배포 및 이에 대한 처리(2) IMO

넷째 관계 국제협약의 결의 권고 및 기술기준 등의 용어 및 규정의 정의를 통일시

켜야 한다

이는 각부처간 소관업무에 관한 제규정을 기준없이 비전문인이 원문을 해석하여 이

용자가 규정을 이해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관계전문인

이 참여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다섯째 형식검정을 위한 개선방향으로 대상기기의 정비 및 서류 간소화 민간에서

시험할 수 있는 대상기기의 지정확대 지정시험기관의 안배 확대지정 제조업체 자

체 시험 성적서를 인정하는 문제 등을 지적할 수 있다

물론 형식검정은 제도적으로 성능기준 기술기준 등이 마련되어 있으나 기기별 시

험방법 등이 구체화되어 있지 않고 당국의 자체 검정기준이 각 제조업체 수입자

및 일반인에게 공시화되지 못하여 가져오는 손실에 대하여 정책당국의 확인행정이

절히 요구되고 있다

- 10 -

또한 검정신청서 제출시 미비한 기재사항 하나로 신청서마저 접수되지 못하는 현실

하에서 발생되는 경제적 시간적인 손실등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ㆍ

이러한 본 연구의 노력이 도입에 따른 관련 장치를 설계하고 장비의GMDSS DSC

규격 및 요건을 구현하는 표준자료가 될 것이며 이를 통하여 정책의 개선과 기술

을 촉진하게 되고 나아가서 선진해운발전에 기여하게 될 것을 확신한다

- 11 -

제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2

제 절 외국장비의 사양1

1 Main Unit

가 General Specifications

Transmission 15550-15950

frequency range

Reception frequency 15550-15950 (simplex)

range 16060-16350 (duplex)

Channel capacity ITUUSA channels Up to 57 channels

Private channels Up to 99 channels

Weather channels 9 channels

(only reception)

Memory channels Up to 10 channels

Select channels Up to 10 channels

Channel spacing 25 10

Communication modes Simplex and duplex

(simplex and semi-duplex on privatechannels)

Type of emission G3E G2B(F3E F2B)

Frequency accuracy plusmn 10 x 10-6

Antenna impedance 50Ω unbalanced

Rated input power DC138V plusmn10(supplied

supply voltage fromNQD-1496 power supply unit)

Numbers of DSC file 15 for calling

20 for Distress

call receiving

5 for general

call receiving

Environmental test

conditions

- 12 -

Vibration 1 to 125 32 15min

125 to 25 076 15min

25 to 50 02 15min

Dry heat cycle +55 2hr

Dump heat cycle +40 93RH10hr

Low temp cycle -15 2hr (after maintaining at -25 for

10 hr)

Temperature 0 to +40

range for full

performane

Operating -15 to +55

temperature

range

Storage -25 to +65

temperature

range

Dimensions 290(H) times 240(W) times 145(D)

(excluding protrusions)

Weight Approximately 7

나 Transmitter Unit

Output power 25W

Reduced outpur power 01 to 1W

Oscillation method Frequency synthesizer

Modulation method Frequency modulation

Occupied bandwidth Within 16

Maximum plusmn5

frequency deviation

Microphone input 600Ω(balanced)

Standard

modulation input -53 m

Frequency

characteristics 6 oct +1-3

Overall distortion 10 or less

Signal-to-noise ratio 40 or more

- 13 -

Spurious emission 25 W or less120757DSC data rate 1200baud plusmn30 times 10-6

modulation method FSK

modulation index 2 plusmn10

Mark signal(Y) 1300 plusmn 10

Space signal(B) 2100 plusmn 10

다 Receiver Unit

Receiving system Double super heterodyne

Intermediate frequency 1st IF 214

2nd IF 455

Local oscillation method Frequency synthesizer

Sensitivity 2 V or less120757Sensitivity(DSC)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the input

level of 0 120757Squelch sensitivity 1 V or less120757Selectivity 12 or more at 6 bandwidth

within 25 with a selectivity of 70

Spurious response 80 or more

Spurious response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DSC)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73 120757

Blocking 90 or more

Blocking(DSC)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μ

level of 93 120757Intermodulation 70 or more

Intermodulation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DSC)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68 120757

Overall distortion 10 or less

Signal-to-noise ratio 40 or more

Rated audio output 2W(4Ω)

External speaker 0 m 600 Ω

output level

- 14 -

Frequency 6 oct +1 -3

characteristics

Radiation 1 nW or less

2 Power Supply Unit

Input voltage AC 100V to 120V (5060 ) or AC 200V to

240V (5060 ) and DC 24V (DC 216 to

312V)

Power consumption AC 100V 2A max(main unit)

AC 220V 1A max(main unit)

DC 24V 55A max(main unit)

Input switching Automatically switched to AC mode during

normal operation and to DC mode when AC

power failure

Output Voltage DC 138V plusmn10

Environmental Same as JHS-31 main unit

test conditions

Dimensions 300(H) times 240(W) times 145(D)

(excluding protrusions)

Weight Approximately 65

3 Remote Controller

Operating and Same as JHS-31 main unit

control items

Display items Same as JHS-31 main unit

Power supply DC 138V plusmn10 supplied from

NQD-1469 power supply unit

Environmental test Same as JHS-31 main unit

conditions

Dimensions 290(H) times 240(W) times 80(D)

excluding protrusions)

Weight Approximately 35

- 15 -

4 DSC Watchkeeping Receiver

가 General Specifications

Operation frequency 156525 (CH 70)

Reception mode G2BF2B

Antenna impedance 50Ω nominal unbalanced

DSC AF signal output 0 m plusmn10 (600 Ω balanced)

Self diagnostics Provided with receiver

overall testing functions

Dimmer 4-step control for dimming illuminations

incl extinction

Environmental test Same as JHS-31 main unit

conditions

Warm-up period 30 sec

Dimensions 145(H) times 140(W) times 145(D)

excluding protuberances

Weight approx 15

Power supply 138 VDC plusmn10

Power consumption 10 W or less

나 Receiver

Receiving system Double superheterodyne

Local OSC Crystal controlled

Frequency accuracy Within plusmn10 times 10

Intermediate frequency 1st IF 208

2nd IF 455

Sensitivity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the input

level of 0 μ

Selectivity 6 bandwidth 12 or more

70 bandwidth 25

Adjacent CH selectivity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μ

level of 73 120757(wanted signal frequency plusmn25 )

- 16 -

Spurious response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73 with application of unwanted120757signals in range of 9 to 2

Blocking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93 with application of unwanted120757signals apart plusmn1 to plusmn10 from the

wanted signal

Intermodulation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68 with application of two120757unwanted signals of plusmn25 and plusmn50

simultaneously

Co-channel rejection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ratio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μ

level of -5 120757De-emphasis -6 (+1 -3 ) octave

characteristic 300 +105 (+1 -3 )

3 -95 (+1 -3 )

at reference frequency of 1

Amplitude characteristic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receiver

of receiver limiter input level of 0 to 100 120757 120757Noise and hum -40 or better

Harmonic distortion -20 or better

Spurious emission 1nW of less

5 Guard Receiver

Receiving mode Simultaneous reception of any two channels

selected from ITUUSA channels

Receiving channels Up to 57 channels

Channel spacing 25

Mode of reeption G3E(F3E)

Frequency accuracy Wighin plusmn10 times 10-6

- 17 -

Receiving system Double super heterodyne

Intermediate frequency 1st IF 214

2nd IF 455

Local oscillation method Frequency synthesizer

Sensitivity 2 V or less120757Squelch sensitivity 1 V or less120757Selectivity 12 or more at 6 bandwidth

within 25 with a selectivity of 70

Spurious response 70 or more

Blocking 90 or more

Intermodulaltion 70 or more

Overall distortion 10 or less

Signal-to-noise ratio 40 or more

Rated audio output 2W(4 )Ω

Frequency

characteristics 6 oct +1 -3

Antenna input 50 unbalancedΩ

impedance

Temperature range 0 to +40

for full performance

Operating -15 to +55

temperature range

Storage -25 to +65

temperature range

Power supply voltage DC 138V plusmn10

(supplied from the NQD-1469 power supply

unit)

Dimensions 290(H) times 140(W) times 145(D)

Weight Approximately 25

- 18 -

제 절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2 DSC VHF

디지틀선택호출장치의 조건1

가 점검 및 보수를 쉽게 할수 있을것

나 전원공급후 분이내에 작동할 수 있을 것 1

다 의 주파수를 쉽게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 것 156525

라 초이내에 송신과 수신을 전환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 것 03

마 이상의 제어기를 갖는 경우에는 의 제어기에 우선권이 주어지는 동시에 다 2 1

른 제어기의 사용상태를 표시하는 기능이 있을 것

바 전원전압이 정격전압의 퍼센트이내에서 변동된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 (plusmn)10

할 수 있을것

사 통상 발생하는 온도 및 습도의 변화 진동 또는 충격이 있는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수있을것

선택호출장치의 선택호출신호의 조건2

가 마크주파수는 이고 스페이스주파수는 일것 이 경우 허용편차 1300 2100

는 각각 로 한다10

나 신호전송속도는 매초 비트일것 이 경우 허용편차는 만분의 으로 1200 100 30

한다

다 시간다이버시티의 시간간격은 초일것 003

송신장치의 조건3

가 공중선전력 와트 이상일 것 6

나 전파의 변조지수 허용편차는 로 한다 F2B 2( 02 )

다 감도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자 1

율이 퍼센트이하일 것1

라 실효선택도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1) 14

상태에서 중간 주파수로부터 희망파의 배의 주파수 희망파주파수의 이3 ( (plusmn)375

내의 주파수를 제외한다 까지 수신기입력전압 밀리 볼트의 무변조 방해파를 인) 447

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1

- 19 -

감도억압효과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2) 14

의 정현파에 의하여 주파수 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기입력전압400 3 44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인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이하일1

마 상호변조특성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 14

희망파 보다 떨어진 수신기 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와 희망파25 25

보다 떨어진 의 정현파에 의한 주파수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50 400 3

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25 1

디지틀선택호출전용수신기 의 조건4

가 통신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통신의 수신기능외에 통신의 내용을 볼 수있도록 하

는 기능이 있을것

나 조난통신 또는 긴급통신을 수신한 경우에는 수동으로만 정지시킬 수 있는 특별

경보기능이 있을것

다 수신한 조난통신의 내용을 즉시 인쇄하거나 개이상의 조난통신을 기억할 수 20

있어야 하되 기억한 내용을 일정시간 보존할 수 있을것

라 본체의 보이는 곳에 수신주파수를 표시할 것

마 전원공급후 분이내에 작동할 수 있을것 1

바 전원전압이 정격전압의 퍼센트이내에서 변동된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plusmn)10

수 있을 것

사 통상 발생하는 온도 및 습도의 변화 진동 또는 충격이 있는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수 있을것

아 감도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자율 1

이 퍼센트 이하일 것1

자 실효선택도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1) 14

상태에서 중간 주파수로부터 희망파의 배의 주파수 희망파주파수의 이내3 ( (plusmn)375

의 주파수를 제외한다 까지 수신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를 인접) 447

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1

- 20 -

감도억압효과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2) 14

의 정현파에 의하여 주파수 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기입력전압400 3 44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인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1

차 상호변조특성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 14

희망파 보다 떨어진 수신기 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와 희망파25 25

보다 떨어진 의 정현파에 의한 주파수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50 400 3

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25 1

- 21 -

제 절 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3 DSC VHF

일반적 조건1

가 취급이 용이한 것일 것

나 에서 까지의 숫자 입력판을 갖는 경우에는 그 숫자의 배열은 국제전신전화자 0 9

문위원회의 권고 에 의한 것일 것E161

공중선의 단선 또는 공중선 단자의 단락으로부터 보호수단을 가질 것

과전류 과전압 전원의 과도변동 및 전원극성의 우발적인 반전으로부터 보호수단이

있는 것일 것

노출된 금속부분은 접지하는 것이 가능할 것

전원단자는 접지되어 있지 않을 것

전원 볼트를 초가하는 전기 고주파의 것을 제외 를 통하는 도전부는 용이하게 노55 ( )

출이 되지 않도록 다음의 어느 조건에도 적합한 차폐체를 갖고 있는 것일 것

차폐체를 개방한 때는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되는 구조일 것(1)

차폐체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공구를 필요로 하는 구조이고 또는 고전압에 대한(2)

주의사항이 표시되어 있을 것

다 통상의 설치된 상태에서 제조자명 형식명 및 제조번호가 명확하게 판독 가능하

도록 외부에 표시되어 있을 것

라 장치의 일부를 가열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급전후 분이내에 일정온도에 달하 30

는 것일 것

다만 가열회로에 공급하는 전력은 다른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치단에 의해

절단되지 아니할 것

마 전원공급후 송신장치의 일정분에 전압의 공급을 지연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는 그 지연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것

디지틀선택호출장치의 조건2

선박의 위치 및 위치를 결정한 시각의 자동입력 기능을 갖는 경우에는 동기능의

고장이 장치의 다른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

가 선택호출 신호의 구성

조난경보등 조난경보 조난경보에 대한 응답 조난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1) (

중계에 대한 응답을 말한다 이하 같다 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및 무선설비의 기기 )

의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이하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이외의 선택( ldquo rdquo )

호출신호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1

- 22 -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2) 2

조난 경보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 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3) 3

일 것

조난 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 중계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4)

성을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4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5) 5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오류검정부호를 제외한다 에 사용하는 단위 부호는(6) (dot ) 10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6

나 선택호출신호의 송출조건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오류검정부호를 제외한다 의 송출은 최초의 송출과 반(1) (dot )

복송출과의 사이에 개의 코드가 놓아진 방식일 것4 Time Diversity

선택호출신호의 반복송출은 다음과 같은 것일 것(2)

가 조난경보를 연속하여 송출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조난 경보를 최후의 신호와( )

다음에 송출되는 조난경보의 신호와의 사이를 가격없이 송출가능한 것일 것dot

나 디지탈선택호출통신망을 위한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호출( )

또는 응답의 선택호출 신호의 경우는 별표 에 따라서 회를 초과하지 않는 회수를7 4

반복하여 송출가능할 것

다 가 및 나 이외의 경우는 반복하여 송출이 가능하지 않는 것일 것( ) ( ) ( )

다 선택호출신호의 수신조건

조별 의 장치는 제 호에 규정한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1) (class) A 2

읽어냄이 가능할 것

조별 의 장치는 다음의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표시하는(2) (class) B

것이 가능할 것

가 제 호에 규정하는 선택호출신호중 종별 의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것( ) 2 (class) B

나 포맷 신호가 해역호출인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것( ) (format)

다 제 가 수신되지 아니할 것( ) 1 Telecommand

해안국의 장치는 제 호에 규정하는 선택호출신호 해안국의 장치의 것을 제외(3) 2 (

한다 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읽어냄이 가능할 것)

- 23 -

별표 선택호출신호 조난경보등을 위한 것 및 시험을 위한 것은 제외한다 의[ 1] ( )

구성

dot신 호

동 기신 호

Format신 호

Address신 호

Category신 호

자국의식별신호

정 보신호1

정 보신호2

정 보신호3

종료신호

오류검정신호

주( 1) 주( 2) 주( 3) 주( 45및6)

주( 7) 주( 8) 주( 9) 주( 10) 주( 11) 주( 12) 주( 13)

주( )

중단파대 및 단파대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하는 장치의 선1

택호출신호 이하 중단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에 있어서 선박국을 호출하( ldquo rdquo )

기 위한 선박호출신호의 경우는 비트 선박국에서 해안국으로 호출 및 응답하기200

위한 선택호출신호 및 국제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 계기하는 주파수18

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 하는 장치의 선택호출신호 이하 대 선택( ldquoVHF

호출신호 라 한다 의 경우는 비트일 것rdquo ) 20

표 에 나타내는 코드번호를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하는 것일 것2 8 9

호출의 종류를 나타냄에 있어서 다음의 장치마다 별표 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3 8

류를 표시하는 개의 동일 코드번호일 것2

종별 의 장치 선박국의 장치에서 별표 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류를 사용(1) (class)A ( 8

가능한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

종별 의 장치 선박국의 장치에 있어서 동표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류 중(2) (class) B (

해역호출 및 공통관계를 갖는 선단의 호출을 제외한 것의 사용이 가능한 것을 말한

다 이하 같다 )

해안국의 장치 동표에 게기한 호출의 종류중 조난경보 및 개별국의 반자동 또(3) (

는 자동접속호출을 제외한 것의 사용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

신호가 조난경보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는 상대국 식별4 Format

신호로 하여 선박국식별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 구성되는[0]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신호가 조난경보 또는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선택호출에 있어서는 사용5 Format

하지 않을 것

신호가 해역호출의 경우 종별 의 장치는 제외한다 는 별표 에 따라서6 Format ( B ) 11

해역을 자리 의 숫자를 표시하고 별표 에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통보의 우선순위 또는 종류 신호가 모든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통상업무7 (Format

및 선박업무를 제외한다 를 별표 에 따라 개의 코드번호에 코드화한 것일 것 다) 8 1

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 선박업무를 제외한 것으로 하고 또한 신 (class) B Format

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통상업무를 제외한 것일 것

- 24 -

자국의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8 [0]

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제 및 제 의 정보로 하여 별표 에 따라서 각각 개의 코드번9 1 2 Telecommand 8 1

호에 코드화한 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제 (class) B 1

를 다음과 같이하고 제 코드번호가 일 것Telecommand 2 Telecommand [126]

중단파대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하는 장치의 선택호출신호 이하(1) (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는 신호가 개별국의 호출일때에는 코드번ldquo rdquo ) Format

호 또는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일[119] [111] [118] Format

때에는 코드번호 또는 일 것[109] [111] [111]

선택호출신호는 신호가 개별국의 호출일 때에는 코드번호(2) VHF Format [100]

또는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일 때에는 코드번호[101] Format

또는 일 것[100] [101] [105]

다음의 방식일 것10

호출에 이어 계속 통신에 사용하는 송신 및 수신을 위한 주파수 또는 채널을(1)

나타내는 선택호출신호는 송신파 및 수신파의 순으로 별표 에 코드화한 것일 것12

다만 주파수 또는 채널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송신파 또는 수신파마다에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126]

선박의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선택호출신호는 코드번호 및 다음에 의거 표(2) [55]

시되는 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 자리숫자를 별표 에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가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가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나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부터 제 번째까지의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표시한다

제 가 선박의 위치인 호출에 대한 응답 이하 선박위치응답 이라(3) 1 Telecommand ( ldquo rdquo

한다 을 위한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의 가 및 나 에 의해 표시하는 선박의) (2) ldquo rdquo ldquo rdquo

위치를 나타내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코드화한 것 및 그것에 계속코드번호10 10

일 것[126]

에서 이외의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4) (1) (3) 6 [126]

선박위치응답의 경우 종별 의 장치를 제외한다 및 신호가 개별11 ( (class)B ) Format

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에만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각각 다음의 방

식일 것

선박위치응답의 경우는 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 국제표준시로 한다 이하 같(1) (

다 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2 10

개의 코드번호로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는 개2 2

의 코드번호 일 것[88]

- 25 -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는 아날로그 전화용(2) Format

설비와 접속하기 위한 번호 이하 전화번호 라 한다 등의 네트워크번호를 표시하는( ldquo rdquo )

것으로 하고

네트워크번호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코드번호를 짝수의 경우는 코드번호[105]

과 네트워크를 별표 에 준하여 개부터 개까지의 수의 코드번호로 코드화[106] 10 2 9

한 것일 것

응답을 필요로 하는 호출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응답12 [117]

을 위한 선택 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및 이외의 경우는 코드번호[122] [127]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 다만 신호가 모13 Format

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 코드번호 일 것[127]

오류검정부호는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정보비트 및 제 번째에서 제13 1 7 8

번째까지의 검정비트로부터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생성되는 각 비트10

의 및 이 각각 별표 에 표시하는 및 에 대응하는 단위 부호로[0] [1] 6 [B] [Y] 10

하여서 송출되는 것일 것

정보비트의 각 비트는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동기신호를 제외한다 의 모든(1) (dot )

코드번호 신호 및 종료신호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로 한다 에 대응하(Format 1 )

는 부호의 비트 위치마다 최하위 비트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다만 를 를 B 0 Y 1

로해서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검정비트는 정보비트의 의 수를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B 2

별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해안국의 장치는 제외한다[ 2 ] (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자국 의식별신호

주( 4)

조난종류 의정보신호

주( 5)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

주( 6)

시각정보신호

주( 7)

Tele-command정보 신호

주( 8)

종료신호

주( 9)

오류검정신호

주( 10)

주( )

중단파 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는 비트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비1 200 VHF 20

트일 것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2]

자국의 선박국 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4 [0] 10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조난의 종류를 표시하는 것으로 하여 별표 에 따라 개의 코드번호로 코드화한5 8 1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 (class) B 1 107

- 26 -

조난선박에 위치를 다음과 같이 자리의 숫자로 표시 하는 것으로 별표 에6 10 10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조난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것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99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1)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는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2)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한다

조난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것7 2

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개의 코드번호에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 10 2

를 포함하지않는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88]

계속하여 행하는 통신의 형식을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통신장치가 무선전화 또8

는 협대역직접 인쇄전신장치인 제 를 별표 에 개의 코드번호로1 Telecommand 8 1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방식일 것 (class) B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 일 것(1) 1 [109] [111]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VHF 1 [100]

코드번호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하는 것일 것9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별표 조난경보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선박국의 장치를[ 3] (

제외 )

dot신호

주( 1)

동기신호

주( 2)

For-mat신호

주( 3)

Cate-gory신호

주( 4)

자국의식별신호

주( 5)

Telec-ommand정보신호

주( 6)

조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7)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 8)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 9)

시각정보신호

주( 10)

Tleco-mmand정보신호

주( 11)

종료신호

주( 12)

오 류검 정신 호

주( 13)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6]

별표 의 주 과 같은 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4 1 7 [112]

자국의 해안국 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숫자를5 [0] 10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6 1 [1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일 것7

- 27 -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종류의 정보신호일 것8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일 것9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시각정보신호일 것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정보신호일 것11 Telecommand

코드번호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2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3 1 13

별표 조난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 중계에 대한 응답을 위한[ 4]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dot신호

주(1)

동기신호

주(2)

For-mat신호

주(3)

Addr-ess신 호

주( 4및56)

Cate-gory신 호

주(7)

자국의식별신호

주(8)

Telec-ommand정보신호

주( 9)

조 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10)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11)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12)

시각정보신호

주(13)

Tleco-mmand정보신호

주( 14)

종료신호

주(15)

오류검정신호

주(16)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별표 의 주 과 같다 코드번호 이외의 것으로 한다3 1 3 ( [112] )

신호가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에는 상대국의 식별신호4 Format

로 하고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0] 10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5 Format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6

별표 의 주 과 같은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7 1 7 [112]

별표 이 주 과 같다8 1 8

개의 코드번호 일 것9 1 [112]

수신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 또는 수신한 조난경10

보의 중계의 조난선박국의 식별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종류의 정보11

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선박의 위치12

정보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시각정보일 것13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14 Telecommand

정보신호일 것으로 한다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것으로 하 (class) B

는 것이 가능할 것

- 28 -

중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1) 1 [109] [111]

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2) VHF 1 [100] [101]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코드번호 개별 해안국 앞15 Format [127]

으로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에는 코드번호 로서 별표[122]

의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3

별표 의 주 과 같다16 1 13

별표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대 선택호출신호를 제외한다[ 5] (VHF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Address신 호

주( 4)

Category신호

주( 5)

자국의식별신호

주( 6)

정 보신 호1

주( 7)

정 보신 호2

주( 8)

종 료신 호

주( 9)

오류검정신 호

주( 10)

주( )

비트일 것1 200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20]

상대국의 식별신호로서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이에 계속되는 으로서4 [0]

구성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1 [108]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8

각 개의 코드번호 및 일 것7 1 [118] [126]

개의 코드번호 일 것8 6 [126]

코드번호 또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9 [117] [122] 13

일 것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 29 -

별표 선택호출신호의 단위부호[ 6] 10

는 스페이스주파수 는 마크주파수로 대응하고 비트위치의 에서 송출된다B Y 1

협대역 일때MFHF B=1785 Y=1615

대역 일때VHF B=2100 Y=1300

- 30 -

별표 반복송출의 순서[ 7]

주 기호 는 선택호출신호의 종료신호를 표시하고 기호 는 에서 까( ) H DX RX0 RX7

지가 반복송출되는 선택호출신호의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31 -

별표 코드번호 의 용도[ 8] (100-127)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00 통상업무

화재 또는폭발

또는F3단신G3E

무선전화 이유없음 주( 3)

101 침수 또는F3복신G3E

무선전화 해사교환 센터의혼잡 주( 3)

102 해역호출

충돌 미확정주( 1)

통화중 주( 3)

103 좌초 Polling 대기행렬표시주( 3)

104 의RXO위치의동기신호

경사 및전복의위험

수입불가주( 2)

폐국 주( 3)

105 의RX1위치의동기신호

침몰 호출의 종료주( 4)

의 부재Operator주( 3)

106 의RX2위치의동기신호

선박업무주( 5)

조선불능으로 표류

데이터주( 6)

변복조장치

의Operator일시적 부재 주( 3)

107 의RX3위치의동기신호

기타의조난

미확정주( 1)

장치의 운용불가주( 3)

108 의RX4위치의동기신호

안전 선체의방치

미확정주( 1)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09 의RX5위치의동기신호

J3E 무선전화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10의RX6

위치의동기신호

긴급 조난경보에대한 응답

무력분쟁의당사국이 아닌것을 표시하는선박 및 항공기주( 7)

111 의RX7위치의동기신호

H3E 무선전화 위생수송체 주( 7)

112 조난경보

조난 조난자동통보설비(주 의9)시동

조난경보의중계

공중전화사무소주( 8)

- 32 -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13또는F1B방향오J2B(1

류정정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미확정 주( 1)

114

공통관계를 갖는선단의호출

미확정 주( 1) 미확정 주( 1)

115또는F1B자동재송J2B(

요구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데이터 주( 11)

116모든선박호출

또는F1B J2B수신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2)

11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18 시험 데이타 주( 14)

119또는F1B수신J2B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5)

120개별국의호출

A1A 테이프레코더

데이터 주( 16)

121 선박의 위치 데이타 주( 17)

122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3

개별국의반자동또는자동접속호출

A1A 전건 및핸드셋(Handset)

데이터 주( 18)

124또는F1CF2C

F3C팩시밀리장 데이터 주( 19)

125의DX

위치의동기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6 정보없음 정보없음 주( 20)

12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주( )

앞으로의 사용을 위하여 유보한다1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2 [100] [109] 2 Telecommand

코드번호 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3 [104] 1 Telecommand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 시스템에만 사용한다4

- 33 -

선박의 항해 운항 필수품에 관한 통신과 정부의 기상업무기관으로 보내는 기5

상 관측 통보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6 [115] [124] 2 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을 제외하고 제7 [104][105][106][110][112] [118] 1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의 제 와 조합하여8 [100][101][109][115] [124] 1 Telecommand

사용한다

수색구조용 레이다트랜스폰더를 제외한다9

무선설비규칙의 제 조의 에 정하는 것으로 한다10 69 4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1 (V21)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2 (V22)

앞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1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4 (V2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5 (V2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6 (V1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7 (V26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8 (V27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9 (V32)

코드번호 를 제외하고 제 와 조합하여 사20 [104][110][112] 1 Telecommand

용한다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 코드번호는 중단21 Format

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에서 까지 [102] [124] ([110][112][117]

및 를 제외한다[122] )

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및VHF [100][101][104][105][106][121]

일 것[124]

별표 동기신호의 송출순서[ 9]

주 기호 및 에서 까지가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DX] [RXO] [RX7]

- 34 -

별표 자리 숫자의 코드 변환표[ 10] 10

자리의 숫자10

십억D2

억D1

천만D2

백만D1

십만D2

만D1

천D2

백D1

십D2

일D1

코드5 코드4 코드3 코드2 코드1

주( )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1 1

및 은 자리 숫자의 자리 숫자 에서 까지를 표시하고 각 코드는2 D2 D1 10 2 00 99

그 자리의 십진수를 코드번호로 한다2

숫자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최상위 자리수의 숫자 앞에 을 포함할 것3 0

별표 해역의 표시방법[ 11]

해역의 표시는 다음과 같은 것

선정되는 지리상의 해역은 메르카토르 도법의 직사각형으로 표시할1 (Mercator)

직사각형의 북서를 해역의 기준점으로 할 것2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존재하는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3 1

으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0] [1] [2] [3]

할 것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위도를 표시할 것4 2 3

제 번째에서 제 번째가지의 숫자는 기준점의 경도를 표시할 것5 4 6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남북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6 7 8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동서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7 9 10

표에 표시하는 해역 및 의 표시의 예는 다음과 같을 것8 ab c

기준점이 북위 도 및 서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1) 10 25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20 35 a

1 1 0 0 2 5 2 0 3 5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2) 10 10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10 10 b

2 1 0 0 1 0 1 0 1 0

- 35 -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3) 12 12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4 7 C

2 1 2 0 1 2 0 4 0 7

별표 주파수 및 채널정보의 코드변환표[ 12]

주파수0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주파수를 의 배수로서 숫자의 십100

만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다 1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2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채 널

3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중단파대 또는 단파대의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 다

8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별도로 정한 채널로 한다

9 0 times times times times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18게기하는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천 백 십 및 일의 숫자로 표시한다

십만 만 천 백 십 일

코드3 코드2 코드1

주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 ) 1

- 36 -

별표 종료신호의 송출순서[ 13]

주 기호 가 종료신호를 표시한다( ) H

- 37 -

제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3

제 절 송수신장치1 DSC VHF

시스템 개요1

본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모든기능을 충족하는 일체형과 전화용 복신방식의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호출 및 수신제어장치 로구분된 독립형 으로 구분되며 DSC DSC

이는 외형상의 구분이며 그주요기능별 구성은 각각의 유니트로된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표시 및 제어장치 와 전원부 로 구분되며 이것들은 다시 하나의DSC

케비넷 또는 독립된장치로서 구성된다

시스템 구성2

장비의 개요 및 특징3

가 개요

본 송수신기는 항만내 또는 연안에서 해안국과 선박국 또는 선박국 상호간VHF FM

의 해상이동업무 통신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기로서 이내의 해상156 ~162

이동 무선통신업무용의 전 을 수용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전파관리법 및CHANNEL

등 국제규격에 적합하도록 설계 제작된 기기로서 전세계ITU SOLAS USA USCG

어느곳에서나 규정에알맞게 사용할 수 있는 국제항만 무선전화기용 무선 송수신기

를 제작한다

- 38 -

나 특징

소형 경량화로서 좁은 장소에 설치가 용의하게 되어 있어야 한다(1)

송신각 각 방식을 채용하였으며 국제 항만 무선전화(2) DIRECT SYNTHESIZER

인 를 수용해야 하며 그외 개의CHANNEL 55(114) CHANNEL 105(527) FREE

이 수용되어 있어야 한다CHANNEL(SIMPLEX)

주 국제 중 미국연안에서 단식방식으로 절환 사용되고 있는1 CHANNEL 55(114)

을 사용 할 수 있을것USA CHANNEL(SIMPLEX)

주 별도의 기상수신 을 수용하고 있어야 한다2 WEATHER CHANNEL( )

USA 3 CHANNELS

CANADIAN 1 CHANNEL

OTHERS 5 CHANNELS

원격조정 회로의 내장으로 본기기의 판넬스위치와는 상관없이(3) REMOTE ( ) HAND

만 으로도 판넬 스위치 조작에 필요한 모든기능을 할 수 있고SET CONTROL VHF

의 원근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어야 한다SET

기능이 첨부되어 있어 미국연안 경비대 의 의무 청취(4) DUAL WATCH USCG( )

인 과 의 개의 을 동시에 수신할 수CHANNEL CH 13 CH 16 2 CHANNEL SCANNING

있으며 과 사용자가 선택하는 임의의 을 동시에CHANNEL 16 CHANNEL SCANNING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에 경보신호 기능의 내장으로 비상시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5) CH 16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국제 개 및 을(6) SCAN CHANNEL 55 FREE CHANNEL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SCANNING

안전통신에 지정되어 있는 은 우선 사용할 수 있도록(7) CHANNEL16 1 STEP

로 되어 있어야 한다SWITCH

국제 해상 인명 안전조약 에 정한 규격으로 되어 있어 전세계 어느곳의(8) SOLAS( )

규정에도 적합하며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구 성4

본 기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가 송 수신기 본체 대 1

나 HAND SET 1 SET

다 WHIP ANTENNA 1 SET

라 벽걸이형 SPEAKER 1 SET

마 전원 공급기 1 SET

- 39 -

규 격5

주파수 및 규격은 현재의 통신방식이며 정보통신부의 고시가 발표되면 협대역(125

로 변경한다)

가 일반사항

사용주파수 범위(1)

송 신 156025 ~ 157425 수 신 (SIMPLEX) 156025 ~ 157425 수 신 (DUPLEX) 160625 ~ 162025 기상수신 (WEATHER) 161650 ~ 162550

사용(2) CHANNEL

A International 55 (114) CHANNELSB USA 25 CHANNELSC FREE 105 (527) CHANNELSD WEATHER 9 CHANNELS

USA 3 CHANNELSCANADIAN 1 CHANNELOTHERS 5 CHANNELS

통신 방식(3) SIMPLEX amp DUPLEX

전파의 형식 전화(4) 16KOF3E( G3E DSC F2BG2B)

주파수 편차(5) 0001 (10 PPM)

사용 온도범위 부터(6) -10 + 50

예열 시간 전원 접속후 즉시 사용가능(7)

공칭(8) ANTENNA IMPEDANCE 50 ohm ( )

공급 전원(9)

전 압 136V plusmn 10전 류 수신시 800

송신시 5A전원 공급기 별도( ) 단상AC115V AC220V 60

부터 까지DC 15V 35V

나 송 신 부

정격 출력(1) HIGH -25 W

LOW - 1W

주 공중선 전력 저하장치로 이하 저하기능 보유1 1WATT주 단 보호 인 및 가 아님 은 송신이2 CHANNEL 7576 1 ~9(01 ~09 )CHANNEL되지 않음 기상수신대의 사용법은 본문 참조 ( )

- 40 -

발진 방식(2) SYNTHESIZER CONTROL SYSTEM

변조 방식(3) FREQUENCY MODULATION

점유 주파수 대역폭(4) 16 (8)

최대 주파수 편의(5) 5 (25)

복사강도 이상(6) SPURIOUS 70

변조 주파수 특성(7) 6 (plusmn 3 ) OCTAVE PRE-EMPHASIS)

(300 ~ 3 )

변조시 이하(8) DISTORTION 1 70 -20

신호 대 잡음비 변조시 이상(9) 1 70 40

저역 여파기 특성 이상에서 이상 감쇄(10) 3 -40log f3( ) (f = )

다 수 신 부

수 신 방 식(1) DOUBLE SUPERHETERODYNE SYSTEM

감 도(2) 이하 신호 대 잡음비 에서 025 V ( 20 )μ

감도(3) SQUELCH 이하 02 Vμ

국부 발진 주파수(4) 1lsquost LOCAL FREQUENCY

RECEIVER FREQUENCY - 214

2nd LOCAL FREQUENCY 10945

중간 주파수(5) 1lsquost IF FREQUENCY 214

2nd IF FREQUENCY 455

선 택 도(6) 저하폭 이상 6 12 (6)

저하폭 이하 70 25 (125)

(7) SPURIOUS RESPONCE 이상 70

감도 억압 효과(8) 이상 80

상호 변조 특성(9) 이상 65 ( 20 40 )

주파수 특성(10) 6 (plusmn3 )OCTAVE DE-EMPHASIS)

( 300 ~ 3 )

신호 대 잡음비(11) 변조시 이상 1 60 40

(12) DISTORTION 변조시 이하 1 70 -20

저주파 출력(13) 이상 1 WATT (IMPEDANCE 8 ohm)

- 41 -

제 절 차년도 개발 범위2 1

제 차년도 개발범위는 기초자료조사와 규정의 연구에 따라 기초회로의 설계 후1

사용부품을 시험하고 각 의 제작 및 시험 연이은 성능미달 의 차 차PCB PCB 2 3

차 재제작 시험을 완료하고 시스템의 설계까지이며 그 세부적인 개발범위는 다음4

과 같다

송수신장치 개발을 위한 제규정 수집 연구1 DSC VHF

기초자료 조사2

가 장비에 대한 기능특성 수집 연구

나 사용자 및 선박통신사의 요구사항에 대한 자료 수집 연구

다 외국장비와 비교 분석

라 부품규격 시험 및 선정

3 HARD WARE

가 고주파 필터코일 재질분석 및 각종코일 설계

나 제작 PCB

송신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1) PCB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시험(2) PCB

수신부회로 제작 시험(3) PCB

신세사이즈 회로 제작 시험(4) PCB

제어장치 제작 시험(5) PCB

표시장치 제작 시험(6) PCB

원격제어기 제작 시험(7) PCB

전원공급부 제작 시험(8) PCB

제작 시험(9) HAND SET PCB

전용수신기 제작 시험(10) DSC PCB

- 42 -

제 장 제 차년도 개발 항목 보고4 1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본 장비를 개발함에 있어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및 부품선정이 개발의 핵심 과제

로 생각하였다

기초자료는 기존 시스템분석과 전파관련법령을 기초하였고 주변회로는 관련된 회

로집을 분석하였으며 부품선정은 폐품종 여부와 수급이 용이하면서 견고하고 증폭

도 및 성능이 우수한 품종으로 장시간 시험을 거쳐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송신부 제작시험2

송신 출력회로 결정 회로설계 완료하여 각부 부품 구입 회 내구성 시험 및SPEC 30

구룹별 장시간 부품 부하 시험등 최종목표 성능을 확보하기위한 제반 기초 제작시

험을 완료 하였으며 주요 내용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의 발열상태등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의 높은 출력으로 증폭하는 송신전(VHF ) 25W

력 증폭기로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높은 고주파전력에 견딜수있어야 하고 열

에의해 발생되는 열잡음이 적으야하며 열에의한 부품의 열화 및 특성의 변화가 적

은 부품을 사용여야 하므로 온습도시험 과 과출력 시험을 통하여 사용될 부품을 시

험하였다

특히 고조파 필터회로 부품인 코일은 동선에 전도율이 좋은 재질로 도금하여 사용

하여야 하며 고조파필터회로 의 차폐용 재료도 동판에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도금

하여 사용 하여야 한다

나 송신 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PCB (PCB NO V-097)

개발과정에서의 설계변경 및 생산시스템의 전산화 에 적용 할수있도록 회로 설계는

물론 설계 회로기판 도안 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설계완료된 는PCB ( ) CAD DATA

회로기판 제작장치 외주 작업 및 부품삽입기 자사 작업 에 직접 컴퓨터용 디스켙( ) ( ) (

으로 입력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회로에 높은 고주파전류가 흐르므로인하여 빌진할 가능성 및 잡음발생의 우려PCB

가 많으므로 특히 부품배치에 유의하여 설계하였으며 송신신호 발생회로 또는 전원

회로 와의 배선은 관통형콘덴서등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였다

회로에 사용되는 코일은 각 코일간에 간섭을 줄이기위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설정하

였으며 전체를 차폐하고 또 고조파 필터회로를 구분하여 차폐하여 제작 하였PCB

- 43 -

또 안정된 출력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회로를 장치하여 설정된 출력 이상의ALC

출력을 제한한다

다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PCB (PCB NO V-096TX)

설계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이 는 미약한 고주파 신호를 발생 변PCB CAD PCB

환 증폭 하므로서 송신부 또는 외부로 부터의 잡음 유입과 내부잡음 발생에 유의

하여 설계되었으며 불요복사 억제에 유의하였다

라 성능시험

메칭상태 시험(1)

옴 파장 수직형 안테나 를 사용할수 있도록 시험하였으며 차적인 시험은 의50 12 1

사부하에 의해 시험하고 의사부하 안테나에 정상적인 메칭이 된 후 실제 사용 안테

나에 확인시험 하였다

이 시험에서 양질의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장치는 물론 안테나의 성능이 중

요하며 인접한 고전력 안테나 및 낙뢰로부터 안정성 등을 감안하여 안테나는 VHF

대역 이하의 주파수에 대하여 쇼트형 안테나가 바람직 하다

기존 시스템의 이상의 성능 확보(2) 90

송신부의 주기능으로서 양질의전파를 안테나로 공중에 발사하는 장치로서 주피수안

정도 고조파억압 불효전파억제 안정된전력 안정된 주파수편이 낮은 왜율 등의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시험결과는 기존의 제품의 특성에 가까운 성능을 확보

하였으나 안테나공용기 복신통신용 필터 특성의 개선및 송신부 관련부품의 배치를( )

개선하므로서 보다 좋은 성능을 확보 할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신부 제작시험3

수신부는 안테나입력회로 입력동조회로 단신통신 및 복신통신 각 주파수 대역 필 (

터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로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 1 1 2 2

로 대역필터회로 신호제한 리미터 회로 복조회로 무신호잡음 차단 회로 저주 ( ) FM

파 증폭회로 및 국부발진회로 로서 구성되나 국부발진회로는 잡음의 발생및 유입

주파수안정도 등을 감안하여 별도의 로서 제작하였으며 그외 수신부와 관련한PCB

내용은 다음과 같다

- 44 -

가 사용부품의 구입 및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증폭과 변환을 반복하여 요구되는 신호(VHF )

를 복조하여 기청음 또는 의 문자표시로 출력되게 하므로서 안정된 주파수 및DSC

증폭이 요구되므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당연히 고주파특성에 유의하여 주파수

차에의한 특성변화 열잡음 및 고주파잡음 능동소자등의 직선성 등이 교려되어야하

므로 항온항습시험과 과전류에의한 잡음발생의 시험 등 을 거처 엄선한 부품으로

설정사용 하였다

특히 회로의 선택도 코알의 값 를 높이기 위하여 가 높은 트랜스 재료를 사용하( Q ) Q

였다

다 수신부회로 제작 PCB (PCB NO V-096RX)

위 항에서의 시험에 의해 선택된 부품을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며 수신부의 특성31

상 잡음의 발생보다는 잡음의 유입에 유의하여 설계되었으며 안정된 증폭 특성 수(

신감도 을 얻기위하여 중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회로기판은 에폭시) 2

수지 양면인쇄동판을 사용하여 부품삽입면은 대부분 공통단자로 이용하여 부품간의

간섭을최소화 하였다

다 수신부 특성시험

수신부 특성상 수신감도 주파수안정도 왜율 통과대역폭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감도억압비 혼변조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신호대 잡음비 일 때의 수신감 20

도 성능이 확보되며 기타 여러 가지 특성도 최종목표 특성에 가까운 성능이05

확보 되었으나 까지 수신감도가 향상되도록 성능개선이 요구된다025 V 120757

신세사이즈부의 회로의 안정도로 인하여 국부발진 신호의 흔들림현상이 있어VCO

통과대역폭 및 잡음발생의 원인이되어 신세사이즈회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신세시이즈회로는 크게 수신국부발진 신호용과 송신신호용으로 구분되며 단신통신

과 복신통신방식일때 각각 동작할수있는 구성으로 설계되었으며 그 내용별로 구분

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전압제어발진기 에 사용되는 부품은 온도 및 전압변동에 특성의변화가 극히(VCO)

적어야하며 외부로부터 정전 및 자계영향이 크므로 회로를 별도로 정전 및 자VCO

계로부터 차폐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혼변조 및 잡음신호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파수선택 표준신호 등 시 수신( )

대역 및 송신대역에 영향이 없는 주파수로 하였으며 가능한 레벨을 제외한 신(TTL

호 파형의 왜율이 적은신호로서 각회로신호를 사용하여 결합하였다)

- 45 -

나 신세사이회로 제작 (PCB NO V-096PLL)

이회로 기판은 여러종류의 신호들이 발생 혼합 증폭 비교 되므로 각부품 간의 배

치에따라 잡음발생의 정도가 크게 좌우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였으며 회로는 외VCO

부영향에 민감하게 작동되므로 차폐 에 유의하여 부품의 배치 적절하게 하였으며

잡음발생을 유의하여 부품을 선정하였다

다 성능시험

이회로의 특성상 주파수안정도 주파수의 흔들림 위상비교기의 비교속도 등에 유의

하여 시험하였으며 여러가지 일반적인 특성은 최종목표사양에 만족될 수 있는 신호

원을 공급할수 있었어나 주파수의 흔들림 현상이 있어 회로의 부품 및 차폐에VCO

개선이 요구된다

제어장치 제작시험5 (PCB NO V-263)

이회로의 주요부품으로서 를 사용하여 당개발과제의 송수신 및 외부V25 CPU DSC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며 아울러 본체 전면표시기와 스윗치 입출력 기능도 한다

이회로의 주요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스 읽기전용 메모리 읽고CPU( ) ROM( ) RAM(

쓰기 메모리 직렬통신용 입출력 병렬통신 입출력 아날로그 디지) SIO( ) PIO( ) AD(

탈 변환기 스윗치입력 표시기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개발 내용은 다음과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에 사용되는 부품은 대부분 디지탈신호를 처리하여 회로로서 및TTL IC

로서 구성되며 저소비전력 및 고속처리능력이 요구되므로 주로 고속용C-MOS IC

중 형 를 사용 하였으며 장치의 초기설정 및 기능 설정의C-MOS(C-MOS IC HC )

변경등 의 목적으로 은 충전형 밧테리로서 메모리내용을 전원의 에 관RAM ONOFF

계없이 유지하도록 하였다

외부 제어기 등 와의 통신용 의 통신속도를 또는 등으로(DSC ) RS-232C 2400 4800

변경 설정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변환기 등을 이용하여 자기진단을 할수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장비의 유지및AD

보수에 많은 도움이된다

- 46 -

나 성능시험

운용시험(1)

이회로의 특성상 전기적 특성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특성 및 성능이 요구되므로 운

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이부분에 대한 시험은 개발자입

장이 아닌 운용자가 시험하여야 하는 관계로 선박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사용자에게

의뢰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로서는 기능면에서는 양호하나 사용상 복잡한 면이 있어 보다 조작 을 간편

히 할수있도록 개선할 필요가있는 것으로 본다

표시장치 시험(2) (PCB NO V-260)

본장치의 사용상 필요한 기능 및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내용과 기기 동작

상태의 일치성이 요구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온습도 및 장기시험 으

로서 확인하였으며 여러 가지 표시장치중 각각 중단점이 나타낮다

즉 액정 표시기 표시기는 저소비전력이며 주위가 밝은곳에서 사용이 가능 하LCD( )

나 반면 온도특성이 나쁘며 형광표시관 표시기는 온도특성은 양호하나 소비전 VFD( )

력이 대체로 높고 보다 낮고 보다 많음 수명이 낮다는 단점이있으며(FND LCD )

발광 다이오드 표시기는 모든면에서 대체로 양호 하나 잡음발생 이많으며 밝FND( )

은곳에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외 여러 가지의 장담점을 검토하여 차적인 결론은 표시기가 적합한 것으로1 LCD

본다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최소의 전기적신호 연결로서 최대의 기능제어및 속도가 요구되는 장치로서 저주파

신호의 입력 마이크 신호 및 출력 스피크 신호 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 제어는( FS ) ( )

직렬통신 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였으며 장거리 일반 공용통신망 을 이(RS-232C)

용할수도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요 구성은 중앙제어장치 스윗치입력 장치 표시장치 메모리장치 직렬통신장치

로 구성되며 그 상세한 개발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의 대부분이 디지탈신호의 처리회로로서 구성되므로 제어장치 의 사용 부품ldquo rdquo

시험 및 선정기준과 같으며 장거리운용상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신속도를

알맞게하며 장거리통신 선로에서 유기되는 잡음을 최소화 하기위한 필터회로 및

소프트웨어적인 오류정정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별도 설계 사용 하였다

- 47 -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V-170)

이장치는 사용상 편리하여야 하므로 소형 경량 으로 제작 하였으며 차적 기능 시 1

험을 목적으로 외형 보다는 성능을 우선하여 시험용으로 제작하였다 이장치의 시

험은 전용케이블 을 이용하여 시험하였고 또 일반 공용통신용 전화 선로를 통하여

원거리 시험을 하였으며 그결과로서 통신속도가 까지 양호하게 동작되나2400bps

그이상의 통신속도로서 운용 할려면 전용회선이 필요하게된다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가 결정 SPEC

각회로 에서 필요로하는 전압 및 전류에 알맞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반 성능

을 차적으로 설정 하였으며 최종목표 사양에 일치하기위하여서는 전원부의 장치에1

대하여 모든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최종 특성이 설정 되어야 한다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P-099)

이장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되나 반면에 안정성이 확고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안

정성을 첫째로 중요시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이회로는 많은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많은 전력이 열로서 손실되므로 방열에 특히 유의하여 제작되었으며 열발생이 많은

부품은 알미늄 방열판에 설치하고 이방열판은 본장치 외함의 바깥쪽에 설치하여 방

열효과를 최대화 하였다

이회로의 시험은 과입력전압 및 과소비전력 일때의 안정성에 중점 시험하였고 그시

험을 위하여 장시간 항온 항습기 를 이용하여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전원부의 안정

성 확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도 이회로를 특별히 개선하지 않고도 최

종목표 사양에 만족하리라 본다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PCB NO V-098)

마이크 회로 수화기 회로 송신 스윗치 회로 로서 구성되며 이장치는 사용 특성상

충격에 강하도록 설계제작 되어야 하며 무게는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재료선택이

중요하며 이러한점을 감안하여 사출금형에 의하여 성형 하였으며 성형 제료로서는

제료를 사용하고 사용 부품을 최소화 하여 제작 하였다ABS

이장치의 특성상 견고하며 방수효과가 최대이어야 하므로 충격 자연낙하 시험 및( )

방수시험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 성형제료 및 외형상의 문제는 없이나

송화기 및 수화기의 선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송화기는 콘텐서형

마이크가 좋으며 수화기로는 가변코일형으로서 떨림판이 평면으로된 수화기가 우수

한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선정하여 제작시험 하였다

- 48 -

전용 수신기9 DSC (PCB NO T-342)

전용수신 장치는 송수신장치중 송신부를 제외한 구조와 유사하므로 개발과정에서

송수신장치중 수신부회로에 복조장치 를 추가하여 별도 로 제작하여 시험DSC PCB

하였으며 개발내용중 전용수신기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DSC

가 기능 및 동작

변조되어 수신된 신호를 필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후 신호 처리용FM DSC DSC

마이크로프로세스 에 공급하여 소프트웨어로서 신호를 분석한후 표시장치 메(CPU)

모리장치 인쇄장치 등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전용 찬넬인 번 찬넬을 항상 DSC 70

수신상태로 동작하여 신호 도트신호 를 검출하고 신호가 있으면 이어서CALL ( ) CALL

수신되는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표시장치 및 경보장치에 출력한다

나 신호 신호 필터회로 와 신호 처리부 및 제어용회로부 DSC (FS ) DSC DSC

제작시험 (PCB NO T-325 T-326 T-327)

이 회로의 성능은 주로 필터 및 디지탈변환 회로에서 결정되며 소프트웨어의 성능

에 따라 안정성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점을 유의하여 설계제작 하여으며 성능 시험

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험용 정보를 송신장치로 통해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후 그

결과를 분석 시험 하였다

다 전용 수신기의 개발과정 에서의 학보된 기술 DSC

신호 및 의 신호 의 필터 및 디지털 변환 기술DSC (1300 2100 FS )

신호 검출 및 직렬신호의 병렬변환 소프트웨어DOT

기술 정보의 비교 및 인쇄출력 소프트웨어 기술

종합시험10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별 차 차 차 보완시험은 만족하며 앞으로 개발의 중점은 사용의 편리성과PCB 1 2 3

생산성에 중점 개발이 요하며 배치에 따라 야기될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 PCB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후 최종제품을 제작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49 -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1

가 전면판 사출금형

나 옆판 스피커 안테나 금형

다 노브 사출금형

라 윗면 및 밑면 프레스 금형

마 설치용 고정장치 사출 금형

바 설치대 프레스 금형

사 뒷면 작업용 프레스 금형

아 항온조용 열차단금형

자 필타 금형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2

가 송수신기 제어장치 프로그램

나 전용 수신기 제어용 프로그램 DSC

다 원격조정기 프로그램

라 송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마 수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3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9: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9 -

첫째 발전된 기술과 자동화를 이룩한 도입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그 GMDSS

동안 해상통신분야의 인식을 과감히 불식하고 관 산 학 협동을 통하여 이를 위 ㆍ ㆍ

한 현실적인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해상전자통신장비의 국산화를 위하여 관 산 학 연구소간의 협력체제를 강화하고ㆍ ㆍ

적극 지원해야 한다 현재 세계 유수의 해운국이자 조선국인 우리나라는 해상통신

장비분야에 대해서는 아직 후진성을 면치 못하고 주로 수입대치에 의존하는 현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둘째 관계당국은 도입에 따른 해역의 설정 설비의 정비 및 해안국 확정 GMDSS

통신망 및 방송 설비의 수급대책 등에 관한 문제를 계획하SAR NAVTEX NAVAREA

고 현실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정책당국은 정부 관련부처간의 업무를 조정하기 위하여 위원회를 구성

하고 전문가를 초빙하여 연구발표회 또는 간담회 같은 방법을 통하여 관계부처간의

조치 진행 상황을 일반인에게 가시화시켜 선박회사 전자기기 제조회사 조선소 및 ㆍ

종사자 등의 업무대비에 도움이 되도록 해야 한다

셋째 에 관한 국제규정에는 권고 포함 와 총회 결의 GMDSS RR(CCIR ) SOLAS(IMO

및 권고 포함 에 그 근거를 두고 있으나 그 주관청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부처간)

업무조정이 필요하다

협약 제 장 무선통신 의 대부분이 정보통신부 업무에 속하기 때문에 국내 도SOLAS 4 ( )

입의 원활을 기하고 국제적 의무를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정보통신부와 항만청

사이에 업무조정이 필요하다

즉 문서 발착사무는 항만청에서 하되 다음과 같은 업무를 조정해야 한다 IMO ㆍ

협약에서는 육상시설 등에 관한 정보를 에 통보하기로 되어 있고(1) SOLAS IMO

그 밖에 해역의 설정 통보 등 업무가 많으므로 이를 위한 업무의 체계화

정보통신부 소속사무에 속하는 각종 문서의 분류 배포 및 이에 대한 처리(2) IMO

넷째 관계 국제협약의 결의 권고 및 기술기준 등의 용어 및 규정의 정의를 통일시

켜야 한다

이는 각부처간 소관업무에 관한 제규정을 기준없이 비전문인이 원문을 해석하여 이

용자가 규정을 이해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관계전문인

이 참여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다섯째 형식검정을 위한 개선방향으로 대상기기의 정비 및 서류 간소화 민간에서

시험할 수 있는 대상기기의 지정확대 지정시험기관의 안배 확대지정 제조업체 자

체 시험 성적서를 인정하는 문제 등을 지적할 수 있다

물론 형식검정은 제도적으로 성능기준 기술기준 등이 마련되어 있으나 기기별 시

험방법 등이 구체화되어 있지 않고 당국의 자체 검정기준이 각 제조업체 수입자

및 일반인에게 공시화되지 못하여 가져오는 손실에 대하여 정책당국의 확인행정이

절히 요구되고 있다

- 10 -

또한 검정신청서 제출시 미비한 기재사항 하나로 신청서마저 접수되지 못하는 현실

하에서 발생되는 경제적 시간적인 손실등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ㆍ

이러한 본 연구의 노력이 도입에 따른 관련 장치를 설계하고 장비의GMDSS DSC

규격 및 요건을 구현하는 표준자료가 될 것이며 이를 통하여 정책의 개선과 기술

을 촉진하게 되고 나아가서 선진해운발전에 기여하게 될 것을 확신한다

- 11 -

제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2

제 절 외국장비의 사양1

1 Main Unit

가 General Specifications

Transmission 15550-15950

frequency range

Reception frequency 15550-15950 (simplex)

range 16060-16350 (duplex)

Channel capacity ITUUSA channels Up to 57 channels

Private channels Up to 99 channels

Weather channels 9 channels

(only reception)

Memory channels Up to 10 channels

Select channels Up to 10 channels

Channel spacing 25 10

Communication modes Simplex and duplex

(simplex and semi-duplex on privatechannels)

Type of emission G3E G2B(F3E F2B)

Frequency accuracy plusmn 10 x 10-6

Antenna impedance 50Ω unbalanced

Rated input power DC138V plusmn10(supplied

supply voltage fromNQD-1496 power supply unit)

Numbers of DSC file 15 for calling

20 for Distress

call receiving

5 for general

call receiving

Environmental test

conditions

- 12 -

Vibration 1 to 125 32 15min

125 to 25 076 15min

25 to 50 02 15min

Dry heat cycle +55 2hr

Dump heat cycle +40 93RH10hr

Low temp cycle -15 2hr (after maintaining at -25 for

10 hr)

Temperature 0 to +40

range for full

performane

Operating -15 to +55

temperature

range

Storage -25 to +65

temperature

range

Dimensions 290(H) times 240(W) times 145(D)

(excluding protrusions)

Weight Approximately 7

나 Transmitter Unit

Output power 25W

Reduced outpur power 01 to 1W

Oscillation method Frequency synthesizer

Modulation method Frequency modulation

Occupied bandwidth Within 16

Maximum plusmn5

frequency deviation

Microphone input 600Ω(balanced)

Standard

modulation input -53 m

Frequency

characteristics 6 oct +1-3

Overall distortion 10 or less

Signal-to-noise ratio 40 or more

- 13 -

Spurious emission 25 W or less120757DSC data rate 1200baud plusmn30 times 10-6

modulation method FSK

modulation index 2 plusmn10

Mark signal(Y) 1300 plusmn 10

Space signal(B) 2100 plusmn 10

다 Receiver Unit

Receiving system Double super heterodyne

Intermediate frequency 1st IF 214

2nd IF 455

Local oscillation method Frequency synthesizer

Sensitivity 2 V or less120757Sensitivity(DSC)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the input

level of 0 120757Squelch sensitivity 1 V or less120757Selectivity 12 or more at 6 bandwidth

within 25 with a selectivity of 70

Spurious response 80 or more

Spurious response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DSC)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73 120757

Blocking 90 or more

Blocking(DSC)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μ

level of 93 120757Intermodulation 70 or more

Intermodulation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DSC)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68 120757

Overall distortion 10 or less

Signal-to-noise ratio 40 or more

Rated audio output 2W(4Ω)

External speaker 0 m 600 Ω

output level

- 14 -

Frequency 6 oct +1 -3

characteristics

Radiation 1 nW or less

2 Power Supply Unit

Input voltage AC 100V to 120V (5060 ) or AC 200V to

240V (5060 ) and DC 24V (DC 216 to

312V)

Power consumption AC 100V 2A max(main unit)

AC 220V 1A max(main unit)

DC 24V 55A max(main unit)

Input switching Automatically switched to AC mode during

normal operation and to DC mode when AC

power failure

Output Voltage DC 138V plusmn10

Environmental Same as JHS-31 main unit

test conditions

Dimensions 300(H) times 240(W) times 145(D)

(excluding protrusions)

Weight Approximately 65

3 Remote Controller

Operating and Same as JHS-31 main unit

control items

Display items Same as JHS-31 main unit

Power supply DC 138V plusmn10 supplied from

NQD-1469 power supply unit

Environmental test Same as JHS-31 main unit

conditions

Dimensions 290(H) times 240(W) times 80(D)

excluding protrusions)

Weight Approximately 35

- 15 -

4 DSC Watchkeeping Receiver

가 General Specifications

Operation frequency 156525 (CH 70)

Reception mode G2BF2B

Antenna impedance 50Ω nominal unbalanced

DSC AF signal output 0 m plusmn10 (600 Ω balanced)

Self diagnostics Provided with receiver

overall testing functions

Dimmer 4-step control for dimming illuminations

incl extinction

Environmental test Same as JHS-31 main unit

conditions

Warm-up period 30 sec

Dimensions 145(H) times 140(W) times 145(D)

excluding protuberances

Weight approx 15

Power supply 138 VDC plusmn10

Power consumption 10 W or less

나 Receiver

Receiving system Double superheterodyne

Local OSC Crystal controlled

Frequency accuracy Within plusmn10 times 10

Intermediate frequency 1st IF 208

2nd IF 455

Sensitivity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the input

level of 0 μ

Selectivity 6 bandwidth 12 or more

70 bandwidth 25

Adjacent CH selectivity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μ

level of 73 120757(wanted signal frequency plusmn25 )

- 16 -

Spurious response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73 with application of unwanted120757signals in range of 9 to 2

Blocking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93 with application of unwanted120757signals apart plusmn1 to plusmn10 from the

wanted signal

Intermodulation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68 with application of two120757unwanted signals of plusmn25 and plusmn50

simultaneously

Co-channel rejection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ratio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μ

level of -5 120757De-emphasis -6 (+1 -3 ) octave

characteristic 300 +105 (+1 -3 )

3 -95 (+1 -3 )

at reference frequency of 1

Amplitude characteristic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receiver

of receiver limiter input level of 0 to 100 120757 120757Noise and hum -40 or better

Harmonic distortion -20 or better

Spurious emission 1nW of less

5 Guard Receiver

Receiving mode Simultaneous reception of any two channels

selected from ITUUSA channels

Receiving channels Up to 57 channels

Channel spacing 25

Mode of reeption G3E(F3E)

Frequency accuracy Wighin plusmn10 times 10-6

- 17 -

Receiving system Double super heterodyne

Intermediate frequency 1st IF 214

2nd IF 455

Local oscillation method Frequency synthesizer

Sensitivity 2 V or less120757Squelch sensitivity 1 V or less120757Selectivity 12 or more at 6 bandwidth

within 25 with a selectivity of 70

Spurious response 70 or more

Blocking 90 or more

Intermodulaltion 70 or more

Overall distortion 10 or less

Signal-to-noise ratio 40 or more

Rated audio output 2W(4 )Ω

Frequency

characteristics 6 oct +1 -3

Antenna input 50 unbalancedΩ

impedance

Temperature range 0 to +40

for full performance

Operating -15 to +55

temperature range

Storage -25 to +65

temperature range

Power supply voltage DC 138V plusmn10

(supplied from the NQD-1469 power supply

unit)

Dimensions 290(H) times 140(W) times 145(D)

Weight Approximately 25

- 18 -

제 절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2 DSC VHF

디지틀선택호출장치의 조건1

가 점검 및 보수를 쉽게 할수 있을것

나 전원공급후 분이내에 작동할 수 있을 것 1

다 의 주파수를 쉽게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 것 156525

라 초이내에 송신과 수신을 전환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 것 03

마 이상의 제어기를 갖는 경우에는 의 제어기에 우선권이 주어지는 동시에 다 2 1

른 제어기의 사용상태를 표시하는 기능이 있을 것

바 전원전압이 정격전압의 퍼센트이내에서 변동된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 (plusmn)10

할 수 있을것

사 통상 발생하는 온도 및 습도의 변화 진동 또는 충격이 있는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수있을것

선택호출장치의 선택호출신호의 조건2

가 마크주파수는 이고 스페이스주파수는 일것 이 경우 허용편차 1300 2100

는 각각 로 한다10

나 신호전송속도는 매초 비트일것 이 경우 허용편차는 만분의 으로 1200 100 30

한다

다 시간다이버시티의 시간간격은 초일것 003

송신장치의 조건3

가 공중선전력 와트 이상일 것 6

나 전파의 변조지수 허용편차는 로 한다 F2B 2( 02 )

다 감도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자 1

율이 퍼센트이하일 것1

라 실효선택도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1) 14

상태에서 중간 주파수로부터 희망파의 배의 주파수 희망파주파수의 이3 ( (plusmn)375

내의 주파수를 제외한다 까지 수신기입력전압 밀리 볼트의 무변조 방해파를 인) 447

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1

- 19 -

감도억압효과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2) 14

의 정현파에 의하여 주파수 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기입력전압400 3 44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인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이하일1

마 상호변조특성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 14

희망파 보다 떨어진 수신기 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와 희망파25 25

보다 떨어진 의 정현파에 의한 주파수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50 400 3

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25 1

디지틀선택호출전용수신기 의 조건4

가 통신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통신의 수신기능외에 통신의 내용을 볼 수있도록 하

는 기능이 있을것

나 조난통신 또는 긴급통신을 수신한 경우에는 수동으로만 정지시킬 수 있는 특별

경보기능이 있을것

다 수신한 조난통신의 내용을 즉시 인쇄하거나 개이상의 조난통신을 기억할 수 20

있어야 하되 기억한 내용을 일정시간 보존할 수 있을것

라 본체의 보이는 곳에 수신주파수를 표시할 것

마 전원공급후 분이내에 작동할 수 있을것 1

바 전원전압이 정격전압의 퍼센트이내에서 변동된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plusmn)10

수 있을 것

사 통상 발생하는 온도 및 습도의 변화 진동 또는 충격이 있는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수 있을것

아 감도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자율 1

이 퍼센트 이하일 것1

자 실효선택도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1) 14

상태에서 중간 주파수로부터 희망파의 배의 주파수 희망파주파수의 이내3 ( (plusmn)375

의 주파수를 제외한다 까지 수신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를 인접) 447

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1

- 20 -

감도억압효과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2) 14

의 정현파에 의하여 주파수 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기입력전압400 3 44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인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1

차 상호변조특성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 14

희망파 보다 떨어진 수신기 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와 희망파25 25

보다 떨어진 의 정현파에 의한 주파수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50 400 3

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25 1

- 21 -

제 절 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3 DSC VHF

일반적 조건1

가 취급이 용이한 것일 것

나 에서 까지의 숫자 입력판을 갖는 경우에는 그 숫자의 배열은 국제전신전화자 0 9

문위원회의 권고 에 의한 것일 것E161

공중선의 단선 또는 공중선 단자의 단락으로부터 보호수단을 가질 것

과전류 과전압 전원의 과도변동 및 전원극성의 우발적인 반전으로부터 보호수단이

있는 것일 것

노출된 금속부분은 접지하는 것이 가능할 것

전원단자는 접지되어 있지 않을 것

전원 볼트를 초가하는 전기 고주파의 것을 제외 를 통하는 도전부는 용이하게 노55 ( )

출이 되지 않도록 다음의 어느 조건에도 적합한 차폐체를 갖고 있는 것일 것

차폐체를 개방한 때는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되는 구조일 것(1)

차폐체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공구를 필요로 하는 구조이고 또는 고전압에 대한(2)

주의사항이 표시되어 있을 것

다 통상의 설치된 상태에서 제조자명 형식명 및 제조번호가 명확하게 판독 가능하

도록 외부에 표시되어 있을 것

라 장치의 일부를 가열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급전후 분이내에 일정온도에 달하 30

는 것일 것

다만 가열회로에 공급하는 전력은 다른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치단에 의해

절단되지 아니할 것

마 전원공급후 송신장치의 일정분에 전압의 공급을 지연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는 그 지연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것

디지틀선택호출장치의 조건2

선박의 위치 및 위치를 결정한 시각의 자동입력 기능을 갖는 경우에는 동기능의

고장이 장치의 다른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

가 선택호출 신호의 구성

조난경보등 조난경보 조난경보에 대한 응답 조난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1) (

중계에 대한 응답을 말한다 이하 같다 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및 무선설비의 기기 )

의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이하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이외의 선택( ldquo rdquo )

호출신호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1

- 22 -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2) 2

조난 경보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 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3) 3

일 것

조난 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 중계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4)

성을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4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5) 5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오류검정부호를 제외한다 에 사용하는 단위 부호는(6) (dot ) 10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6

나 선택호출신호의 송출조건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오류검정부호를 제외한다 의 송출은 최초의 송출과 반(1) (dot )

복송출과의 사이에 개의 코드가 놓아진 방식일 것4 Time Diversity

선택호출신호의 반복송출은 다음과 같은 것일 것(2)

가 조난경보를 연속하여 송출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조난 경보를 최후의 신호와( )

다음에 송출되는 조난경보의 신호와의 사이를 가격없이 송출가능한 것일 것dot

나 디지탈선택호출통신망을 위한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호출( )

또는 응답의 선택호출 신호의 경우는 별표 에 따라서 회를 초과하지 않는 회수를7 4

반복하여 송출가능할 것

다 가 및 나 이외의 경우는 반복하여 송출이 가능하지 않는 것일 것( ) ( ) ( )

다 선택호출신호의 수신조건

조별 의 장치는 제 호에 규정한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1) (class) A 2

읽어냄이 가능할 것

조별 의 장치는 다음의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표시하는(2) (class) B

것이 가능할 것

가 제 호에 규정하는 선택호출신호중 종별 의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것( ) 2 (class) B

나 포맷 신호가 해역호출인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것( ) (format)

다 제 가 수신되지 아니할 것( ) 1 Telecommand

해안국의 장치는 제 호에 규정하는 선택호출신호 해안국의 장치의 것을 제외(3) 2 (

한다 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읽어냄이 가능할 것)

- 23 -

별표 선택호출신호 조난경보등을 위한 것 및 시험을 위한 것은 제외한다 의[ 1] ( )

구성

dot신 호

동 기신 호

Format신 호

Address신 호

Category신 호

자국의식별신호

정 보신호1

정 보신호2

정 보신호3

종료신호

오류검정신호

주( 1) 주( 2) 주( 3) 주( 45및6)

주( 7) 주( 8) 주( 9) 주( 10) 주( 11) 주( 12) 주( 13)

주( )

중단파대 및 단파대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하는 장치의 선1

택호출신호 이하 중단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에 있어서 선박국을 호출하( ldquo rdquo )

기 위한 선박호출신호의 경우는 비트 선박국에서 해안국으로 호출 및 응답하기200

위한 선택호출신호 및 국제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 계기하는 주파수18

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 하는 장치의 선택호출신호 이하 대 선택( ldquoVHF

호출신호 라 한다 의 경우는 비트일 것rdquo ) 20

표 에 나타내는 코드번호를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하는 것일 것2 8 9

호출의 종류를 나타냄에 있어서 다음의 장치마다 별표 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3 8

류를 표시하는 개의 동일 코드번호일 것2

종별 의 장치 선박국의 장치에서 별표 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류를 사용(1) (class)A ( 8

가능한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

종별 의 장치 선박국의 장치에 있어서 동표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류 중(2) (class) B (

해역호출 및 공통관계를 갖는 선단의 호출을 제외한 것의 사용이 가능한 것을 말한

다 이하 같다 )

해안국의 장치 동표에 게기한 호출의 종류중 조난경보 및 개별국의 반자동 또(3) (

는 자동접속호출을 제외한 것의 사용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

신호가 조난경보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는 상대국 식별4 Format

신호로 하여 선박국식별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 구성되는[0]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신호가 조난경보 또는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선택호출에 있어서는 사용5 Format

하지 않을 것

신호가 해역호출의 경우 종별 의 장치는 제외한다 는 별표 에 따라서6 Format ( B ) 11

해역을 자리 의 숫자를 표시하고 별표 에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통보의 우선순위 또는 종류 신호가 모든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통상업무7 (Format

및 선박업무를 제외한다 를 별표 에 따라 개의 코드번호에 코드화한 것일 것 다) 8 1

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 선박업무를 제외한 것으로 하고 또한 신 (class) B Format

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통상업무를 제외한 것일 것

- 24 -

자국의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8 [0]

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제 및 제 의 정보로 하여 별표 에 따라서 각각 개의 코드번9 1 2 Telecommand 8 1

호에 코드화한 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제 (class) B 1

를 다음과 같이하고 제 코드번호가 일 것Telecommand 2 Telecommand [126]

중단파대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하는 장치의 선택호출신호 이하(1) (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는 신호가 개별국의 호출일때에는 코드번ldquo rdquo ) Format

호 또는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일[119] [111] [118] Format

때에는 코드번호 또는 일 것[109] [111] [111]

선택호출신호는 신호가 개별국의 호출일 때에는 코드번호(2) VHF Format [100]

또는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일 때에는 코드번호[101] Format

또는 일 것[100] [101] [105]

다음의 방식일 것10

호출에 이어 계속 통신에 사용하는 송신 및 수신을 위한 주파수 또는 채널을(1)

나타내는 선택호출신호는 송신파 및 수신파의 순으로 별표 에 코드화한 것일 것12

다만 주파수 또는 채널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송신파 또는 수신파마다에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126]

선박의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선택호출신호는 코드번호 및 다음에 의거 표(2) [55]

시되는 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 자리숫자를 별표 에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가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가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나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부터 제 번째까지의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표시한다

제 가 선박의 위치인 호출에 대한 응답 이하 선박위치응답 이라(3) 1 Telecommand ( ldquo rdquo

한다 을 위한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의 가 및 나 에 의해 표시하는 선박의) (2) ldquo rdquo ldquo rdquo

위치를 나타내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코드화한 것 및 그것에 계속코드번호10 10

일 것[126]

에서 이외의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4) (1) (3) 6 [126]

선박위치응답의 경우 종별 의 장치를 제외한다 및 신호가 개별11 ( (class)B ) Format

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에만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각각 다음의 방

식일 것

선박위치응답의 경우는 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 국제표준시로 한다 이하 같(1) (

다 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2 10

개의 코드번호로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는 개2 2

의 코드번호 일 것[88]

- 25 -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는 아날로그 전화용(2) Format

설비와 접속하기 위한 번호 이하 전화번호 라 한다 등의 네트워크번호를 표시하는( ldquo rdquo )

것으로 하고

네트워크번호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코드번호를 짝수의 경우는 코드번호[105]

과 네트워크를 별표 에 준하여 개부터 개까지의 수의 코드번호로 코드화[106] 10 2 9

한 것일 것

응답을 필요로 하는 호출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응답12 [117]

을 위한 선택 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및 이외의 경우는 코드번호[122] [127]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 다만 신호가 모13 Format

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 코드번호 일 것[127]

오류검정부호는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정보비트 및 제 번째에서 제13 1 7 8

번째까지의 검정비트로부터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생성되는 각 비트10

의 및 이 각각 별표 에 표시하는 및 에 대응하는 단위 부호로[0] [1] 6 [B] [Y] 10

하여서 송출되는 것일 것

정보비트의 각 비트는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동기신호를 제외한다 의 모든(1) (dot )

코드번호 신호 및 종료신호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로 한다 에 대응하(Format 1 )

는 부호의 비트 위치마다 최하위 비트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다만 를 를 B 0 Y 1

로해서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검정비트는 정보비트의 의 수를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B 2

별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해안국의 장치는 제외한다[ 2 ] (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자국 의식별신호

주( 4)

조난종류 의정보신호

주( 5)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

주( 6)

시각정보신호

주( 7)

Tele-command정보 신호

주( 8)

종료신호

주( 9)

오류검정신호

주( 10)

주( )

중단파 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는 비트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비1 200 VHF 20

트일 것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2]

자국의 선박국 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4 [0] 10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조난의 종류를 표시하는 것으로 하여 별표 에 따라 개의 코드번호로 코드화한5 8 1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 (class) B 1 107

- 26 -

조난선박에 위치를 다음과 같이 자리의 숫자로 표시 하는 것으로 별표 에6 10 10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조난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것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99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1)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는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2)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한다

조난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것7 2

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개의 코드번호에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 10 2

를 포함하지않는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88]

계속하여 행하는 통신의 형식을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통신장치가 무선전화 또8

는 협대역직접 인쇄전신장치인 제 를 별표 에 개의 코드번호로1 Telecommand 8 1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방식일 것 (class) B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 일 것(1) 1 [109] [111]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VHF 1 [100]

코드번호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하는 것일 것9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별표 조난경보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선박국의 장치를[ 3] (

제외 )

dot신호

주( 1)

동기신호

주( 2)

For-mat신호

주( 3)

Cate-gory신호

주( 4)

자국의식별신호

주( 5)

Telec-ommand정보신호

주( 6)

조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7)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 8)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 9)

시각정보신호

주( 10)

Tleco-mmand정보신호

주( 11)

종료신호

주( 12)

오 류검 정신 호

주( 13)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6]

별표 의 주 과 같은 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4 1 7 [112]

자국의 해안국 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숫자를5 [0] 10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6 1 [1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일 것7

- 27 -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종류의 정보신호일 것8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일 것9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시각정보신호일 것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정보신호일 것11 Telecommand

코드번호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2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3 1 13

별표 조난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 중계에 대한 응답을 위한[ 4]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dot신호

주(1)

동기신호

주(2)

For-mat신호

주(3)

Addr-ess신 호

주( 4및56)

Cate-gory신 호

주(7)

자국의식별신호

주(8)

Telec-ommand정보신호

주( 9)

조 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10)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11)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12)

시각정보신호

주(13)

Tleco-mmand정보신호

주( 14)

종료신호

주(15)

오류검정신호

주(16)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별표 의 주 과 같다 코드번호 이외의 것으로 한다3 1 3 ( [112] )

신호가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에는 상대국의 식별신호4 Format

로 하고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0] 10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5 Format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6

별표 의 주 과 같은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7 1 7 [112]

별표 이 주 과 같다8 1 8

개의 코드번호 일 것9 1 [112]

수신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 또는 수신한 조난경10

보의 중계의 조난선박국의 식별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종류의 정보11

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선박의 위치12

정보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시각정보일 것13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14 Telecommand

정보신호일 것으로 한다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것으로 하 (class) B

는 것이 가능할 것

- 28 -

중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1) 1 [109] [111]

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2) VHF 1 [100] [101]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코드번호 개별 해안국 앞15 Format [127]

으로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에는 코드번호 로서 별표[122]

의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3

별표 의 주 과 같다16 1 13

별표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대 선택호출신호를 제외한다[ 5] (VHF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Address신 호

주( 4)

Category신호

주( 5)

자국의식별신호

주( 6)

정 보신 호1

주( 7)

정 보신 호2

주( 8)

종 료신 호

주( 9)

오류검정신 호

주( 10)

주( )

비트일 것1 200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20]

상대국의 식별신호로서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이에 계속되는 으로서4 [0]

구성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1 [108]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8

각 개의 코드번호 및 일 것7 1 [118] [126]

개의 코드번호 일 것8 6 [126]

코드번호 또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9 [117] [122] 13

일 것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 29 -

별표 선택호출신호의 단위부호[ 6] 10

는 스페이스주파수 는 마크주파수로 대응하고 비트위치의 에서 송출된다B Y 1

협대역 일때MFHF B=1785 Y=1615

대역 일때VHF B=2100 Y=1300

- 30 -

별표 반복송출의 순서[ 7]

주 기호 는 선택호출신호의 종료신호를 표시하고 기호 는 에서 까( ) H DX RX0 RX7

지가 반복송출되는 선택호출신호의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31 -

별표 코드번호 의 용도[ 8] (100-127)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00 통상업무

화재 또는폭발

또는F3단신G3E

무선전화 이유없음 주( 3)

101 침수 또는F3복신G3E

무선전화 해사교환 센터의혼잡 주( 3)

102 해역호출

충돌 미확정주( 1)

통화중 주( 3)

103 좌초 Polling 대기행렬표시주( 3)

104 의RXO위치의동기신호

경사 및전복의위험

수입불가주( 2)

폐국 주( 3)

105 의RX1위치의동기신호

침몰 호출의 종료주( 4)

의 부재Operator주( 3)

106 의RX2위치의동기신호

선박업무주( 5)

조선불능으로 표류

데이터주( 6)

변복조장치

의Operator일시적 부재 주( 3)

107 의RX3위치의동기신호

기타의조난

미확정주( 1)

장치의 운용불가주( 3)

108 의RX4위치의동기신호

안전 선체의방치

미확정주( 1)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09 의RX5위치의동기신호

J3E 무선전화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10의RX6

위치의동기신호

긴급 조난경보에대한 응답

무력분쟁의당사국이 아닌것을 표시하는선박 및 항공기주( 7)

111 의RX7위치의동기신호

H3E 무선전화 위생수송체 주( 7)

112 조난경보

조난 조난자동통보설비(주 의9)시동

조난경보의중계

공중전화사무소주( 8)

- 32 -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13또는F1B방향오J2B(1

류정정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미확정 주( 1)

114

공통관계를 갖는선단의호출

미확정 주( 1) 미확정 주( 1)

115또는F1B자동재송J2B(

요구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데이터 주( 11)

116모든선박호출

또는F1B J2B수신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2)

11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18 시험 데이타 주( 14)

119또는F1B수신J2B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5)

120개별국의호출

A1A 테이프레코더

데이터 주( 16)

121 선박의 위치 데이타 주( 17)

122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3

개별국의반자동또는자동접속호출

A1A 전건 및핸드셋(Handset)

데이터 주( 18)

124또는F1CF2C

F3C팩시밀리장 데이터 주( 19)

125의DX

위치의동기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6 정보없음 정보없음 주( 20)

12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주( )

앞으로의 사용을 위하여 유보한다1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2 [100] [109] 2 Telecommand

코드번호 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3 [104] 1 Telecommand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 시스템에만 사용한다4

- 33 -

선박의 항해 운항 필수품에 관한 통신과 정부의 기상업무기관으로 보내는 기5

상 관측 통보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6 [115] [124] 2 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을 제외하고 제7 [104][105][106][110][112] [118] 1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의 제 와 조합하여8 [100][101][109][115] [124] 1 Telecommand

사용한다

수색구조용 레이다트랜스폰더를 제외한다9

무선설비규칙의 제 조의 에 정하는 것으로 한다10 69 4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1 (V21)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2 (V22)

앞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1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4 (V2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5 (V2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6 (V1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7 (V26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8 (V27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9 (V32)

코드번호 를 제외하고 제 와 조합하여 사20 [104][110][112] 1 Telecommand

용한다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 코드번호는 중단21 Format

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에서 까지 [102] [124] ([110][112][117]

및 를 제외한다[122] )

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및VHF [100][101][104][105][106][121]

일 것[124]

별표 동기신호의 송출순서[ 9]

주 기호 및 에서 까지가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DX] [RXO] [RX7]

- 34 -

별표 자리 숫자의 코드 변환표[ 10] 10

자리의 숫자10

십억D2

억D1

천만D2

백만D1

십만D2

만D1

천D2

백D1

십D2

일D1

코드5 코드4 코드3 코드2 코드1

주( )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1 1

및 은 자리 숫자의 자리 숫자 에서 까지를 표시하고 각 코드는2 D2 D1 10 2 00 99

그 자리의 십진수를 코드번호로 한다2

숫자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최상위 자리수의 숫자 앞에 을 포함할 것3 0

별표 해역의 표시방법[ 11]

해역의 표시는 다음과 같은 것

선정되는 지리상의 해역은 메르카토르 도법의 직사각형으로 표시할1 (Mercator)

직사각형의 북서를 해역의 기준점으로 할 것2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존재하는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3 1

으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0] [1] [2] [3]

할 것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위도를 표시할 것4 2 3

제 번째에서 제 번째가지의 숫자는 기준점의 경도를 표시할 것5 4 6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남북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6 7 8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동서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7 9 10

표에 표시하는 해역 및 의 표시의 예는 다음과 같을 것8 ab c

기준점이 북위 도 및 서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1) 10 25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20 35 a

1 1 0 0 2 5 2 0 3 5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2) 10 10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10 10 b

2 1 0 0 1 0 1 0 1 0

- 35 -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3) 12 12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4 7 C

2 1 2 0 1 2 0 4 0 7

별표 주파수 및 채널정보의 코드변환표[ 12]

주파수0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주파수를 의 배수로서 숫자의 십100

만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다 1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2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채 널

3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중단파대 또는 단파대의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 다

8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별도로 정한 채널로 한다

9 0 times times times times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18게기하는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천 백 십 및 일의 숫자로 표시한다

십만 만 천 백 십 일

코드3 코드2 코드1

주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 ) 1

- 36 -

별표 종료신호의 송출순서[ 13]

주 기호 가 종료신호를 표시한다( ) H

- 37 -

제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3

제 절 송수신장치1 DSC VHF

시스템 개요1

본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모든기능을 충족하는 일체형과 전화용 복신방식의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호출 및 수신제어장치 로구분된 독립형 으로 구분되며 DSC DSC

이는 외형상의 구분이며 그주요기능별 구성은 각각의 유니트로된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표시 및 제어장치 와 전원부 로 구분되며 이것들은 다시 하나의DSC

케비넷 또는 독립된장치로서 구성된다

시스템 구성2

장비의 개요 및 특징3

가 개요

본 송수신기는 항만내 또는 연안에서 해안국과 선박국 또는 선박국 상호간VHF FM

의 해상이동업무 통신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기로서 이내의 해상156 ~162

이동 무선통신업무용의 전 을 수용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전파관리법 및CHANNEL

등 국제규격에 적합하도록 설계 제작된 기기로서 전세계ITU SOLAS USA USCG

어느곳에서나 규정에알맞게 사용할 수 있는 국제항만 무선전화기용 무선 송수신기

를 제작한다

- 38 -

나 특징

소형 경량화로서 좁은 장소에 설치가 용의하게 되어 있어야 한다(1)

송신각 각 방식을 채용하였으며 국제 항만 무선전화(2) DIRECT SYNTHESIZER

인 를 수용해야 하며 그외 개의CHANNEL 55(114) CHANNEL 105(527) FREE

이 수용되어 있어야 한다CHANNEL(SIMPLEX)

주 국제 중 미국연안에서 단식방식으로 절환 사용되고 있는1 CHANNEL 55(114)

을 사용 할 수 있을것USA CHANNEL(SIMPLEX)

주 별도의 기상수신 을 수용하고 있어야 한다2 WEATHER CHANNEL( )

USA 3 CHANNELS

CANADIAN 1 CHANNEL

OTHERS 5 CHANNELS

원격조정 회로의 내장으로 본기기의 판넬스위치와는 상관없이(3) REMOTE ( ) HAND

만 으로도 판넬 스위치 조작에 필요한 모든기능을 할 수 있고SET CONTROL VHF

의 원근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어야 한다SET

기능이 첨부되어 있어 미국연안 경비대 의 의무 청취(4) DUAL WATCH USCG( )

인 과 의 개의 을 동시에 수신할 수CHANNEL CH 13 CH 16 2 CHANNEL SCANNING

있으며 과 사용자가 선택하는 임의의 을 동시에CHANNEL 16 CHANNEL SCANNING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에 경보신호 기능의 내장으로 비상시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5) CH 16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국제 개 및 을(6) SCAN CHANNEL 55 FREE CHANNEL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SCANNING

안전통신에 지정되어 있는 은 우선 사용할 수 있도록(7) CHANNEL16 1 STEP

로 되어 있어야 한다SWITCH

국제 해상 인명 안전조약 에 정한 규격으로 되어 있어 전세계 어느곳의(8) SOLAS( )

규정에도 적합하며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구 성4

본 기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가 송 수신기 본체 대 1

나 HAND SET 1 SET

다 WHIP ANTENNA 1 SET

라 벽걸이형 SPEAKER 1 SET

마 전원 공급기 1 SET

- 39 -

규 격5

주파수 및 규격은 현재의 통신방식이며 정보통신부의 고시가 발표되면 협대역(125

로 변경한다)

가 일반사항

사용주파수 범위(1)

송 신 156025 ~ 157425 수 신 (SIMPLEX) 156025 ~ 157425 수 신 (DUPLEX) 160625 ~ 162025 기상수신 (WEATHER) 161650 ~ 162550

사용(2) CHANNEL

A International 55 (114) CHANNELSB USA 25 CHANNELSC FREE 105 (527) CHANNELSD WEATHER 9 CHANNELS

USA 3 CHANNELSCANADIAN 1 CHANNELOTHERS 5 CHANNELS

통신 방식(3) SIMPLEX amp DUPLEX

전파의 형식 전화(4) 16KOF3E( G3E DSC F2BG2B)

주파수 편차(5) 0001 (10 PPM)

사용 온도범위 부터(6) -10 + 50

예열 시간 전원 접속후 즉시 사용가능(7)

공칭(8) ANTENNA IMPEDANCE 50 ohm ( )

공급 전원(9)

전 압 136V plusmn 10전 류 수신시 800

송신시 5A전원 공급기 별도( ) 단상AC115V AC220V 60

부터 까지DC 15V 35V

나 송 신 부

정격 출력(1) HIGH -25 W

LOW - 1W

주 공중선 전력 저하장치로 이하 저하기능 보유1 1WATT주 단 보호 인 및 가 아님 은 송신이2 CHANNEL 7576 1 ~9(01 ~09 )CHANNEL되지 않음 기상수신대의 사용법은 본문 참조 ( )

- 40 -

발진 방식(2) SYNTHESIZER CONTROL SYSTEM

변조 방식(3) FREQUENCY MODULATION

점유 주파수 대역폭(4) 16 (8)

최대 주파수 편의(5) 5 (25)

복사강도 이상(6) SPURIOUS 70

변조 주파수 특성(7) 6 (plusmn 3 ) OCTAVE PRE-EMPHASIS)

(300 ~ 3 )

변조시 이하(8) DISTORTION 1 70 -20

신호 대 잡음비 변조시 이상(9) 1 70 40

저역 여파기 특성 이상에서 이상 감쇄(10) 3 -40log f3( ) (f = )

다 수 신 부

수 신 방 식(1) DOUBLE SUPERHETERODYNE SYSTEM

감 도(2) 이하 신호 대 잡음비 에서 025 V ( 20 )μ

감도(3) SQUELCH 이하 02 Vμ

국부 발진 주파수(4) 1lsquost LOCAL FREQUENCY

RECEIVER FREQUENCY - 214

2nd LOCAL FREQUENCY 10945

중간 주파수(5) 1lsquost IF FREQUENCY 214

2nd IF FREQUENCY 455

선 택 도(6) 저하폭 이상 6 12 (6)

저하폭 이하 70 25 (125)

(7) SPURIOUS RESPONCE 이상 70

감도 억압 효과(8) 이상 80

상호 변조 특성(9) 이상 65 ( 20 40 )

주파수 특성(10) 6 (plusmn3 )OCTAVE DE-EMPHASIS)

( 300 ~ 3 )

신호 대 잡음비(11) 변조시 이상 1 60 40

(12) DISTORTION 변조시 이하 1 70 -20

저주파 출력(13) 이상 1 WATT (IMPEDANCE 8 ohm)

- 41 -

제 절 차년도 개발 범위2 1

제 차년도 개발범위는 기초자료조사와 규정의 연구에 따라 기초회로의 설계 후1

사용부품을 시험하고 각 의 제작 및 시험 연이은 성능미달 의 차 차PCB PCB 2 3

차 재제작 시험을 완료하고 시스템의 설계까지이며 그 세부적인 개발범위는 다음4

과 같다

송수신장치 개발을 위한 제규정 수집 연구1 DSC VHF

기초자료 조사2

가 장비에 대한 기능특성 수집 연구

나 사용자 및 선박통신사의 요구사항에 대한 자료 수집 연구

다 외국장비와 비교 분석

라 부품규격 시험 및 선정

3 HARD WARE

가 고주파 필터코일 재질분석 및 각종코일 설계

나 제작 PCB

송신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1) PCB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시험(2) PCB

수신부회로 제작 시험(3) PCB

신세사이즈 회로 제작 시험(4) PCB

제어장치 제작 시험(5) PCB

표시장치 제작 시험(6) PCB

원격제어기 제작 시험(7) PCB

전원공급부 제작 시험(8) PCB

제작 시험(9) HAND SET PCB

전용수신기 제작 시험(10) DSC PCB

- 42 -

제 장 제 차년도 개발 항목 보고4 1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본 장비를 개발함에 있어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및 부품선정이 개발의 핵심 과제

로 생각하였다

기초자료는 기존 시스템분석과 전파관련법령을 기초하였고 주변회로는 관련된 회

로집을 분석하였으며 부품선정은 폐품종 여부와 수급이 용이하면서 견고하고 증폭

도 및 성능이 우수한 품종으로 장시간 시험을 거쳐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송신부 제작시험2

송신 출력회로 결정 회로설계 완료하여 각부 부품 구입 회 내구성 시험 및SPEC 30

구룹별 장시간 부품 부하 시험등 최종목표 성능을 확보하기위한 제반 기초 제작시

험을 완료 하였으며 주요 내용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의 발열상태등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의 높은 출력으로 증폭하는 송신전(VHF ) 25W

력 증폭기로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높은 고주파전력에 견딜수있어야 하고 열

에의해 발생되는 열잡음이 적으야하며 열에의한 부품의 열화 및 특성의 변화가 적

은 부품을 사용여야 하므로 온습도시험 과 과출력 시험을 통하여 사용될 부품을 시

험하였다

특히 고조파 필터회로 부품인 코일은 동선에 전도율이 좋은 재질로 도금하여 사용

하여야 하며 고조파필터회로 의 차폐용 재료도 동판에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도금

하여 사용 하여야 한다

나 송신 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PCB (PCB NO V-097)

개발과정에서의 설계변경 및 생산시스템의 전산화 에 적용 할수있도록 회로 설계는

물론 설계 회로기판 도안 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설계완료된 는PCB ( ) CAD DATA

회로기판 제작장치 외주 작업 및 부품삽입기 자사 작업 에 직접 컴퓨터용 디스켙( ) ( ) (

으로 입력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회로에 높은 고주파전류가 흐르므로인하여 빌진할 가능성 및 잡음발생의 우려PCB

가 많으므로 특히 부품배치에 유의하여 설계하였으며 송신신호 발생회로 또는 전원

회로 와의 배선은 관통형콘덴서등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였다

회로에 사용되는 코일은 각 코일간에 간섭을 줄이기위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설정하

였으며 전체를 차폐하고 또 고조파 필터회로를 구분하여 차폐하여 제작 하였PCB

- 43 -

또 안정된 출력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회로를 장치하여 설정된 출력 이상의ALC

출력을 제한한다

다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PCB (PCB NO V-096TX)

설계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이 는 미약한 고주파 신호를 발생 변PCB CAD PCB

환 증폭 하므로서 송신부 또는 외부로 부터의 잡음 유입과 내부잡음 발생에 유의

하여 설계되었으며 불요복사 억제에 유의하였다

라 성능시험

메칭상태 시험(1)

옴 파장 수직형 안테나 를 사용할수 있도록 시험하였으며 차적인 시험은 의50 12 1

사부하에 의해 시험하고 의사부하 안테나에 정상적인 메칭이 된 후 실제 사용 안테

나에 확인시험 하였다

이 시험에서 양질의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장치는 물론 안테나의 성능이 중

요하며 인접한 고전력 안테나 및 낙뢰로부터 안정성 등을 감안하여 안테나는 VHF

대역 이하의 주파수에 대하여 쇼트형 안테나가 바람직 하다

기존 시스템의 이상의 성능 확보(2) 90

송신부의 주기능으로서 양질의전파를 안테나로 공중에 발사하는 장치로서 주피수안

정도 고조파억압 불효전파억제 안정된전력 안정된 주파수편이 낮은 왜율 등의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시험결과는 기존의 제품의 특성에 가까운 성능을 확보

하였으나 안테나공용기 복신통신용 필터 특성의 개선및 송신부 관련부품의 배치를( )

개선하므로서 보다 좋은 성능을 확보 할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신부 제작시험3

수신부는 안테나입력회로 입력동조회로 단신통신 및 복신통신 각 주파수 대역 필 (

터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로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 1 1 2 2

로 대역필터회로 신호제한 리미터 회로 복조회로 무신호잡음 차단 회로 저주 ( ) FM

파 증폭회로 및 국부발진회로 로서 구성되나 국부발진회로는 잡음의 발생및 유입

주파수안정도 등을 감안하여 별도의 로서 제작하였으며 그외 수신부와 관련한PCB

내용은 다음과 같다

- 44 -

가 사용부품의 구입 및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증폭과 변환을 반복하여 요구되는 신호(VHF )

를 복조하여 기청음 또는 의 문자표시로 출력되게 하므로서 안정된 주파수 및DSC

증폭이 요구되므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당연히 고주파특성에 유의하여 주파수

차에의한 특성변화 열잡음 및 고주파잡음 능동소자등의 직선성 등이 교려되어야하

므로 항온항습시험과 과전류에의한 잡음발생의 시험 등 을 거처 엄선한 부품으로

설정사용 하였다

특히 회로의 선택도 코알의 값 를 높이기 위하여 가 높은 트랜스 재료를 사용하( Q ) Q

였다

다 수신부회로 제작 PCB (PCB NO V-096RX)

위 항에서의 시험에 의해 선택된 부품을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며 수신부의 특성31

상 잡음의 발생보다는 잡음의 유입에 유의하여 설계되었으며 안정된 증폭 특성 수(

신감도 을 얻기위하여 중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회로기판은 에폭시) 2

수지 양면인쇄동판을 사용하여 부품삽입면은 대부분 공통단자로 이용하여 부품간의

간섭을최소화 하였다

다 수신부 특성시험

수신부 특성상 수신감도 주파수안정도 왜율 통과대역폭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감도억압비 혼변조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신호대 잡음비 일 때의 수신감 20

도 성능이 확보되며 기타 여러 가지 특성도 최종목표 특성에 가까운 성능이05

확보 되었으나 까지 수신감도가 향상되도록 성능개선이 요구된다025 V 120757

신세사이즈부의 회로의 안정도로 인하여 국부발진 신호의 흔들림현상이 있어VCO

통과대역폭 및 잡음발생의 원인이되어 신세사이즈회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신세시이즈회로는 크게 수신국부발진 신호용과 송신신호용으로 구분되며 단신통신

과 복신통신방식일때 각각 동작할수있는 구성으로 설계되었으며 그 내용별로 구분

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전압제어발진기 에 사용되는 부품은 온도 및 전압변동에 특성의변화가 극히(VCO)

적어야하며 외부로부터 정전 및 자계영향이 크므로 회로를 별도로 정전 및 자VCO

계로부터 차폐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혼변조 및 잡음신호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파수선택 표준신호 등 시 수신( )

대역 및 송신대역에 영향이 없는 주파수로 하였으며 가능한 레벨을 제외한 신(TTL

호 파형의 왜율이 적은신호로서 각회로신호를 사용하여 결합하였다)

- 45 -

나 신세사이회로 제작 (PCB NO V-096PLL)

이회로 기판은 여러종류의 신호들이 발생 혼합 증폭 비교 되므로 각부품 간의 배

치에따라 잡음발생의 정도가 크게 좌우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였으며 회로는 외VCO

부영향에 민감하게 작동되므로 차폐 에 유의하여 부품의 배치 적절하게 하였으며

잡음발생을 유의하여 부품을 선정하였다

다 성능시험

이회로의 특성상 주파수안정도 주파수의 흔들림 위상비교기의 비교속도 등에 유의

하여 시험하였으며 여러가지 일반적인 특성은 최종목표사양에 만족될 수 있는 신호

원을 공급할수 있었어나 주파수의 흔들림 현상이 있어 회로의 부품 및 차폐에VCO

개선이 요구된다

제어장치 제작시험5 (PCB NO V-263)

이회로의 주요부품으로서 를 사용하여 당개발과제의 송수신 및 외부V25 CPU DSC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며 아울러 본체 전면표시기와 스윗치 입출력 기능도 한다

이회로의 주요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스 읽기전용 메모리 읽고CPU( ) ROM( ) RAM(

쓰기 메모리 직렬통신용 입출력 병렬통신 입출력 아날로그 디지) SIO( ) PIO( ) AD(

탈 변환기 스윗치입력 표시기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개발 내용은 다음과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에 사용되는 부품은 대부분 디지탈신호를 처리하여 회로로서 및TTL IC

로서 구성되며 저소비전력 및 고속처리능력이 요구되므로 주로 고속용C-MOS IC

중 형 를 사용 하였으며 장치의 초기설정 및 기능 설정의C-MOS(C-MOS IC HC )

변경등 의 목적으로 은 충전형 밧테리로서 메모리내용을 전원의 에 관RAM ONOFF

계없이 유지하도록 하였다

외부 제어기 등 와의 통신용 의 통신속도를 또는 등으로(DSC ) RS-232C 2400 4800

변경 설정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변환기 등을 이용하여 자기진단을 할수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장비의 유지및AD

보수에 많은 도움이된다

- 46 -

나 성능시험

운용시험(1)

이회로의 특성상 전기적 특성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특성 및 성능이 요구되므로 운

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이부분에 대한 시험은 개발자입

장이 아닌 운용자가 시험하여야 하는 관계로 선박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사용자에게

의뢰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로서는 기능면에서는 양호하나 사용상 복잡한 면이 있어 보다 조작 을 간편

히 할수있도록 개선할 필요가있는 것으로 본다

표시장치 시험(2) (PCB NO V-260)

본장치의 사용상 필요한 기능 및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내용과 기기 동작

상태의 일치성이 요구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온습도 및 장기시험 으

로서 확인하였으며 여러 가지 표시장치중 각각 중단점이 나타낮다

즉 액정 표시기 표시기는 저소비전력이며 주위가 밝은곳에서 사용이 가능 하LCD( )

나 반면 온도특성이 나쁘며 형광표시관 표시기는 온도특성은 양호하나 소비전 VFD( )

력이 대체로 높고 보다 낮고 보다 많음 수명이 낮다는 단점이있으며(FND LCD )

발광 다이오드 표시기는 모든면에서 대체로 양호 하나 잡음발생 이많으며 밝FND( )

은곳에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외 여러 가지의 장담점을 검토하여 차적인 결론은 표시기가 적합한 것으로1 LCD

본다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최소의 전기적신호 연결로서 최대의 기능제어및 속도가 요구되는 장치로서 저주파

신호의 입력 마이크 신호 및 출력 스피크 신호 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 제어는( FS ) ( )

직렬통신 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였으며 장거리 일반 공용통신망 을 이(RS-232C)

용할수도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요 구성은 중앙제어장치 스윗치입력 장치 표시장치 메모리장치 직렬통신장치

로 구성되며 그 상세한 개발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의 대부분이 디지탈신호의 처리회로로서 구성되므로 제어장치 의 사용 부품ldquo rdquo

시험 및 선정기준과 같으며 장거리운용상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신속도를

알맞게하며 장거리통신 선로에서 유기되는 잡음을 최소화 하기위한 필터회로 및

소프트웨어적인 오류정정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별도 설계 사용 하였다

- 47 -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V-170)

이장치는 사용상 편리하여야 하므로 소형 경량 으로 제작 하였으며 차적 기능 시 1

험을 목적으로 외형 보다는 성능을 우선하여 시험용으로 제작하였다 이장치의 시

험은 전용케이블 을 이용하여 시험하였고 또 일반 공용통신용 전화 선로를 통하여

원거리 시험을 하였으며 그결과로서 통신속도가 까지 양호하게 동작되나2400bps

그이상의 통신속도로서 운용 할려면 전용회선이 필요하게된다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가 결정 SPEC

각회로 에서 필요로하는 전압 및 전류에 알맞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반 성능

을 차적으로 설정 하였으며 최종목표 사양에 일치하기위하여서는 전원부의 장치에1

대하여 모든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최종 특성이 설정 되어야 한다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P-099)

이장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되나 반면에 안정성이 확고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안

정성을 첫째로 중요시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이회로는 많은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많은 전력이 열로서 손실되므로 방열에 특히 유의하여 제작되었으며 열발생이 많은

부품은 알미늄 방열판에 설치하고 이방열판은 본장치 외함의 바깥쪽에 설치하여 방

열효과를 최대화 하였다

이회로의 시험은 과입력전압 및 과소비전력 일때의 안정성에 중점 시험하였고 그시

험을 위하여 장시간 항온 항습기 를 이용하여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전원부의 안정

성 확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도 이회로를 특별히 개선하지 않고도 최

종목표 사양에 만족하리라 본다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PCB NO V-098)

마이크 회로 수화기 회로 송신 스윗치 회로 로서 구성되며 이장치는 사용 특성상

충격에 강하도록 설계제작 되어야 하며 무게는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재료선택이

중요하며 이러한점을 감안하여 사출금형에 의하여 성형 하였으며 성형 제료로서는

제료를 사용하고 사용 부품을 최소화 하여 제작 하였다ABS

이장치의 특성상 견고하며 방수효과가 최대이어야 하므로 충격 자연낙하 시험 및( )

방수시험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 성형제료 및 외형상의 문제는 없이나

송화기 및 수화기의 선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송화기는 콘텐서형

마이크가 좋으며 수화기로는 가변코일형으로서 떨림판이 평면으로된 수화기가 우수

한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선정하여 제작시험 하였다

- 48 -

전용 수신기9 DSC (PCB NO T-342)

전용수신 장치는 송수신장치중 송신부를 제외한 구조와 유사하므로 개발과정에서

송수신장치중 수신부회로에 복조장치 를 추가하여 별도 로 제작하여 시험DSC PCB

하였으며 개발내용중 전용수신기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DSC

가 기능 및 동작

변조되어 수신된 신호를 필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후 신호 처리용FM DSC DSC

마이크로프로세스 에 공급하여 소프트웨어로서 신호를 분석한후 표시장치 메(CPU)

모리장치 인쇄장치 등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전용 찬넬인 번 찬넬을 항상 DSC 70

수신상태로 동작하여 신호 도트신호 를 검출하고 신호가 있으면 이어서CALL ( ) CALL

수신되는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표시장치 및 경보장치에 출력한다

나 신호 신호 필터회로 와 신호 처리부 및 제어용회로부 DSC (FS ) DSC DSC

제작시험 (PCB NO T-325 T-326 T-327)

이 회로의 성능은 주로 필터 및 디지탈변환 회로에서 결정되며 소프트웨어의 성능

에 따라 안정성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점을 유의하여 설계제작 하여으며 성능 시험

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험용 정보를 송신장치로 통해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후 그

결과를 분석 시험 하였다

다 전용 수신기의 개발과정 에서의 학보된 기술 DSC

신호 및 의 신호 의 필터 및 디지털 변환 기술DSC (1300 2100 FS )

신호 검출 및 직렬신호의 병렬변환 소프트웨어DOT

기술 정보의 비교 및 인쇄출력 소프트웨어 기술

종합시험10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별 차 차 차 보완시험은 만족하며 앞으로 개발의 중점은 사용의 편리성과PCB 1 2 3

생산성에 중점 개발이 요하며 배치에 따라 야기될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 PCB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후 최종제품을 제작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49 -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1

가 전면판 사출금형

나 옆판 스피커 안테나 금형

다 노브 사출금형

라 윗면 및 밑면 프레스 금형

마 설치용 고정장치 사출 금형

바 설치대 프레스 금형

사 뒷면 작업용 프레스 금형

아 항온조용 열차단금형

자 필타 금형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2

가 송수신기 제어장치 프로그램

나 전용 수신기 제어용 프로그램 DSC

다 원격조정기 프로그램

라 송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마 수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3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10: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10 -

또한 검정신청서 제출시 미비한 기재사항 하나로 신청서마저 접수되지 못하는 현실

하에서 발생되는 경제적 시간적인 손실등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ㆍ

이러한 본 연구의 노력이 도입에 따른 관련 장치를 설계하고 장비의GMDSS DSC

규격 및 요건을 구현하는 표준자료가 될 것이며 이를 통하여 정책의 개선과 기술

을 촉진하게 되고 나아가서 선진해운발전에 기여하게 될 것을 확신한다

- 11 -

제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2

제 절 외국장비의 사양1

1 Main Unit

가 General Specifications

Transmission 15550-15950

frequency range

Reception frequency 15550-15950 (simplex)

range 16060-16350 (duplex)

Channel capacity ITUUSA channels Up to 57 channels

Private channels Up to 99 channels

Weather channels 9 channels

(only reception)

Memory channels Up to 10 channels

Select channels Up to 10 channels

Channel spacing 25 10

Communication modes Simplex and duplex

(simplex and semi-duplex on privatechannels)

Type of emission G3E G2B(F3E F2B)

Frequency accuracy plusmn 10 x 10-6

Antenna impedance 50Ω unbalanced

Rated input power DC138V plusmn10(supplied

supply voltage fromNQD-1496 power supply unit)

Numbers of DSC file 15 for calling

20 for Distress

call receiving

5 for general

call receiving

Environmental test

conditions

- 12 -

Vibration 1 to 125 32 15min

125 to 25 076 15min

25 to 50 02 15min

Dry heat cycle +55 2hr

Dump heat cycle +40 93RH10hr

Low temp cycle -15 2hr (after maintaining at -25 for

10 hr)

Temperature 0 to +40

range for full

performane

Operating -15 to +55

temperature

range

Storage -25 to +65

temperature

range

Dimensions 290(H) times 240(W) times 145(D)

(excluding protrusions)

Weight Approximately 7

나 Transmitter Unit

Output power 25W

Reduced outpur power 01 to 1W

Oscillation method Frequency synthesizer

Modulation method Frequency modulation

Occupied bandwidth Within 16

Maximum plusmn5

frequency deviation

Microphone input 600Ω(balanced)

Standard

modulation input -53 m

Frequency

characteristics 6 oct +1-3

Overall distortion 10 or less

Signal-to-noise ratio 40 or more

- 13 -

Spurious emission 25 W or less120757DSC data rate 1200baud plusmn30 times 10-6

modulation method FSK

modulation index 2 plusmn10

Mark signal(Y) 1300 plusmn 10

Space signal(B) 2100 plusmn 10

다 Receiver Unit

Receiving system Double super heterodyne

Intermediate frequency 1st IF 214

2nd IF 455

Local oscillation method Frequency synthesizer

Sensitivity 2 V or less120757Sensitivity(DSC)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the input

level of 0 120757Squelch sensitivity 1 V or less120757Selectivity 12 or more at 6 bandwidth

within 25 with a selectivity of 70

Spurious response 80 or more

Spurious response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DSC)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73 120757

Blocking 90 or more

Blocking(DSC)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μ

level of 93 120757Intermodulation 70 or more

Intermodulation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DSC)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68 120757

Overall distortion 10 or less

Signal-to-noise ratio 40 or more

Rated audio output 2W(4Ω)

External speaker 0 m 600 Ω

output level

- 14 -

Frequency 6 oct +1 -3

characteristics

Radiation 1 nW or less

2 Power Supply Unit

Input voltage AC 100V to 120V (5060 ) or AC 200V to

240V (5060 ) and DC 24V (DC 216 to

312V)

Power consumption AC 100V 2A max(main unit)

AC 220V 1A max(main unit)

DC 24V 55A max(main unit)

Input switching Automatically switched to AC mode during

normal operation and to DC mode when AC

power failure

Output Voltage DC 138V plusmn10

Environmental Same as JHS-31 main unit

test conditions

Dimensions 300(H) times 240(W) times 145(D)

(excluding protrusions)

Weight Approximately 65

3 Remote Controller

Operating and Same as JHS-31 main unit

control items

Display items Same as JHS-31 main unit

Power supply DC 138V plusmn10 supplied from

NQD-1469 power supply unit

Environmental test Same as JHS-31 main unit

conditions

Dimensions 290(H) times 240(W) times 80(D)

excluding protrusions)

Weight Approximately 35

- 15 -

4 DSC Watchkeeping Receiver

가 General Specifications

Operation frequency 156525 (CH 70)

Reception mode G2BF2B

Antenna impedance 50Ω nominal unbalanced

DSC AF signal output 0 m plusmn10 (600 Ω balanced)

Self diagnostics Provided with receiver

overall testing functions

Dimmer 4-step control for dimming illuminations

incl extinction

Environmental test Same as JHS-31 main unit

conditions

Warm-up period 30 sec

Dimensions 145(H) times 140(W) times 145(D)

excluding protuberances

Weight approx 15

Power supply 138 VDC plusmn10

Power consumption 10 W or less

나 Receiver

Receiving system Double superheterodyne

Local OSC Crystal controlled

Frequency accuracy Within plusmn10 times 10

Intermediate frequency 1st IF 208

2nd IF 455

Sensitivity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the input

level of 0 μ

Selectivity 6 bandwidth 12 or more

70 bandwidth 25

Adjacent CH selectivity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μ

level of 73 120757(wanted signal frequency plusmn25 )

- 16 -

Spurious response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73 with application of unwanted120757signals in range of 9 to 2

Blocking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93 with application of unwanted120757signals apart plusmn1 to plusmn10 from the

wanted signal

Intermodulation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68 with application of two120757unwanted signals of plusmn25 and plusmn50

simultaneously

Co-channel rejection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ratio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μ

level of -5 120757De-emphasis -6 (+1 -3 ) octave

characteristic 300 +105 (+1 -3 )

3 -95 (+1 -3 )

at reference frequency of 1

Amplitude characteristic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receiver

of receiver limiter input level of 0 to 100 120757 120757Noise and hum -40 or better

Harmonic distortion -20 or better

Spurious emission 1nW of less

5 Guard Receiver

Receiving mode Simultaneous reception of any two channels

selected from ITUUSA channels

Receiving channels Up to 57 channels

Channel spacing 25

Mode of reeption G3E(F3E)

Frequency accuracy Wighin plusmn10 times 10-6

- 17 -

Receiving system Double super heterodyne

Intermediate frequency 1st IF 214

2nd IF 455

Local oscillation method Frequency synthesizer

Sensitivity 2 V or less120757Squelch sensitivity 1 V or less120757Selectivity 12 or more at 6 bandwidth

within 25 with a selectivity of 70

Spurious response 70 or more

Blocking 90 or more

Intermodulaltion 70 or more

Overall distortion 10 or less

Signal-to-noise ratio 40 or more

Rated audio output 2W(4 )Ω

Frequency

characteristics 6 oct +1 -3

Antenna input 50 unbalancedΩ

impedance

Temperature range 0 to +40

for full performance

Operating -15 to +55

temperature range

Storage -25 to +65

temperature range

Power supply voltage DC 138V plusmn10

(supplied from the NQD-1469 power supply

unit)

Dimensions 290(H) times 140(W) times 145(D)

Weight Approximately 25

- 18 -

제 절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2 DSC VHF

디지틀선택호출장치의 조건1

가 점검 및 보수를 쉽게 할수 있을것

나 전원공급후 분이내에 작동할 수 있을 것 1

다 의 주파수를 쉽게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 것 156525

라 초이내에 송신과 수신을 전환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 것 03

마 이상의 제어기를 갖는 경우에는 의 제어기에 우선권이 주어지는 동시에 다 2 1

른 제어기의 사용상태를 표시하는 기능이 있을 것

바 전원전압이 정격전압의 퍼센트이내에서 변동된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 (plusmn)10

할 수 있을것

사 통상 발생하는 온도 및 습도의 변화 진동 또는 충격이 있는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수있을것

선택호출장치의 선택호출신호의 조건2

가 마크주파수는 이고 스페이스주파수는 일것 이 경우 허용편차 1300 2100

는 각각 로 한다10

나 신호전송속도는 매초 비트일것 이 경우 허용편차는 만분의 으로 1200 100 30

한다

다 시간다이버시티의 시간간격은 초일것 003

송신장치의 조건3

가 공중선전력 와트 이상일 것 6

나 전파의 변조지수 허용편차는 로 한다 F2B 2( 02 )

다 감도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자 1

율이 퍼센트이하일 것1

라 실효선택도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1) 14

상태에서 중간 주파수로부터 희망파의 배의 주파수 희망파주파수의 이3 ( (plusmn)375

내의 주파수를 제외한다 까지 수신기입력전압 밀리 볼트의 무변조 방해파를 인) 447

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1

- 19 -

감도억압효과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2) 14

의 정현파에 의하여 주파수 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기입력전압400 3 44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인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이하일1

마 상호변조특성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 14

희망파 보다 떨어진 수신기 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와 희망파25 25

보다 떨어진 의 정현파에 의한 주파수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50 400 3

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25 1

디지틀선택호출전용수신기 의 조건4

가 통신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통신의 수신기능외에 통신의 내용을 볼 수있도록 하

는 기능이 있을것

나 조난통신 또는 긴급통신을 수신한 경우에는 수동으로만 정지시킬 수 있는 특별

경보기능이 있을것

다 수신한 조난통신의 내용을 즉시 인쇄하거나 개이상의 조난통신을 기억할 수 20

있어야 하되 기억한 내용을 일정시간 보존할 수 있을것

라 본체의 보이는 곳에 수신주파수를 표시할 것

마 전원공급후 분이내에 작동할 수 있을것 1

바 전원전압이 정격전압의 퍼센트이내에서 변동된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plusmn)10

수 있을 것

사 통상 발생하는 온도 및 습도의 변화 진동 또는 충격이 있는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수 있을것

아 감도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자율 1

이 퍼센트 이하일 것1

자 실효선택도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1) 14

상태에서 중간 주파수로부터 희망파의 배의 주파수 희망파주파수의 이내3 ( (plusmn)375

의 주파수를 제외한다 까지 수신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를 인접) 447

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1

- 20 -

감도억압효과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2) 14

의 정현파에 의하여 주파수 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기입력전압400 3 44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인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1

차 상호변조특성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 14

희망파 보다 떨어진 수신기 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와 희망파25 25

보다 떨어진 의 정현파에 의한 주파수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50 400 3

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25 1

- 21 -

제 절 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3 DSC VHF

일반적 조건1

가 취급이 용이한 것일 것

나 에서 까지의 숫자 입력판을 갖는 경우에는 그 숫자의 배열은 국제전신전화자 0 9

문위원회의 권고 에 의한 것일 것E161

공중선의 단선 또는 공중선 단자의 단락으로부터 보호수단을 가질 것

과전류 과전압 전원의 과도변동 및 전원극성의 우발적인 반전으로부터 보호수단이

있는 것일 것

노출된 금속부분은 접지하는 것이 가능할 것

전원단자는 접지되어 있지 않을 것

전원 볼트를 초가하는 전기 고주파의 것을 제외 를 통하는 도전부는 용이하게 노55 ( )

출이 되지 않도록 다음의 어느 조건에도 적합한 차폐체를 갖고 있는 것일 것

차폐체를 개방한 때는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되는 구조일 것(1)

차폐체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공구를 필요로 하는 구조이고 또는 고전압에 대한(2)

주의사항이 표시되어 있을 것

다 통상의 설치된 상태에서 제조자명 형식명 및 제조번호가 명확하게 판독 가능하

도록 외부에 표시되어 있을 것

라 장치의 일부를 가열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급전후 분이내에 일정온도에 달하 30

는 것일 것

다만 가열회로에 공급하는 전력은 다른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치단에 의해

절단되지 아니할 것

마 전원공급후 송신장치의 일정분에 전압의 공급을 지연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는 그 지연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것

디지틀선택호출장치의 조건2

선박의 위치 및 위치를 결정한 시각의 자동입력 기능을 갖는 경우에는 동기능의

고장이 장치의 다른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

가 선택호출 신호의 구성

조난경보등 조난경보 조난경보에 대한 응답 조난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1) (

중계에 대한 응답을 말한다 이하 같다 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및 무선설비의 기기 )

의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이하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이외의 선택( ldquo rdquo )

호출신호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1

- 22 -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2) 2

조난 경보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 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3) 3

일 것

조난 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 중계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4)

성을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4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5) 5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오류검정부호를 제외한다 에 사용하는 단위 부호는(6) (dot ) 10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6

나 선택호출신호의 송출조건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오류검정부호를 제외한다 의 송출은 최초의 송출과 반(1) (dot )

복송출과의 사이에 개의 코드가 놓아진 방식일 것4 Time Diversity

선택호출신호의 반복송출은 다음과 같은 것일 것(2)

가 조난경보를 연속하여 송출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조난 경보를 최후의 신호와( )

다음에 송출되는 조난경보의 신호와의 사이를 가격없이 송출가능한 것일 것dot

나 디지탈선택호출통신망을 위한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호출( )

또는 응답의 선택호출 신호의 경우는 별표 에 따라서 회를 초과하지 않는 회수를7 4

반복하여 송출가능할 것

다 가 및 나 이외의 경우는 반복하여 송출이 가능하지 않는 것일 것( ) ( ) ( )

다 선택호출신호의 수신조건

조별 의 장치는 제 호에 규정한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1) (class) A 2

읽어냄이 가능할 것

조별 의 장치는 다음의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표시하는(2) (class) B

것이 가능할 것

가 제 호에 규정하는 선택호출신호중 종별 의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것( ) 2 (class) B

나 포맷 신호가 해역호출인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것( ) (format)

다 제 가 수신되지 아니할 것( ) 1 Telecommand

해안국의 장치는 제 호에 규정하는 선택호출신호 해안국의 장치의 것을 제외(3) 2 (

한다 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읽어냄이 가능할 것)

- 23 -

별표 선택호출신호 조난경보등을 위한 것 및 시험을 위한 것은 제외한다 의[ 1] ( )

구성

dot신 호

동 기신 호

Format신 호

Address신 호

Category신 호

자국의식별신호

정 보신호1

정 보신호2

정 보신호3

종료신호

오류검정신호

주( 1) 주( 2) 주( 3) 주( 45및6)

주( 7) 주( 8) 주( 9) 주( 10) 주( 11) 주( 12) 주( 13)

주( )

중단파대 및 단파대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하는 장치의 선1

택호출신호 이하 중단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에 있어서 선박국을 호출하( ldquo rdquo )

기 위한 선박호출신호의 경우는 비트 선박국에서 해안국으로 호출 및 응답하기200

위한 선택호출신호 및 국제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 계기하는 주파수18

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 하는 장치의 선택호출신호 이하 대 선택( ldquoVHF

호출신호 라 한다 의 경우는 비트일 것rdquo ) 20

표 에 나타내는 코드번호를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하는 것일 것2 8 9

호출의 종류를 나타냄에 있어서 다음의 장치마다 별표 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3 8

류를 표시하는 개의 동일 코드번호일 것2

종별 의 장치 선박국의 장치에서 별표 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류를 사용(1) (class)A ( 8

가능한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

종별 의 장치 선박국의 장치에 있어서 동표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류 중(2) (class) B (

해역호출 및 공통관계를 갖는 선단의 호출을 제외한 것의 사용이 가능한 것을 말한

다 이하 같다 )

해안국의 장치 동표에 게기한 호출의 종류중 조난경보 및 개별국의 반자동 또(3) (

는 자동접속호출을 제외한 것의 사용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

신호가 조난경보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는 상대국 식별4 Format

신호로 하여 선박국식별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 구성되는[0]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신호가 조난경보 또는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선택호출에 있어서는 사용5 Format

하지 않을 것

신호가 해역호출의 경우 종별 의 장치는 제외한다 는 별표 에 따라서6 Format ( B ) 11

해역을 자리 의 숫자를 표시하고 별표 에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통보의 우선순위 또는 종류 신호가 모든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통상업무7 (Format

및 선박업무를 제외한다 를 별표 에 따라 개의 코드번호에 코드화한 것일 것 다) 8 1

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 선박업무를 제외한 것으로 하고 또한 신 (class) B Format

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통상업무를 제외한 것일 것

- 24 -

자국의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8 [0]

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제 및 제 의 정보로 하여 별표 에 따라서 각각 개의 코드번9 1 2 Telecommand 8 1

호에 코드화한 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제 (class) B 1

를 다음과 같이하고 제 코드번호가 일 것Telecommand 2 Telecommand [126]

중단파대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하는 장치의 선택호출신호 이하(1) (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는 신호가 개별국의 호출일때에는 코드번ldquo rdquo ) Format

호 또는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일[119] [111] [118] Format

때에는 코드번호 또는 일 것[109] [111] [111]

선택호출신호는 신호가 개별국의 호출일 때에는 코드번호(2) VHF Format [100]

또는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일 때에는 코드번호[101] Format

또는 일 것[100] [101] [105]

다음의 방식일 것10

호출에 이어 계속 통신에 사용하는 송신 및 수신을 위한 주파수 또는 채널을(1)

나타내는 선택호출신호는 송신파 및 수신파의 순으로 별표 에 코드화한 것일 것12

다만 주파수 또는 채널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송신파 또는 수신파마다에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126]

선박의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선택호출신호는 코드번호 및 다음에 의거 표(2) [55]

시되는 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 자리숫자를 별표 에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가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가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나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부터 제 번째까지의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표시한다

제 가 선박의 위치인 호출에 대한 응답 이하 선박위치응답 이라(3) 1 Telecommand ( ldquo rdquo

한다 을 위한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의 가 및 나 에 의해 표시하는 선박의) (2) ldquo rdquo ldquo rdquo

위치를 나타내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코드화한 것 및 그것에 계속코드번호10 10

일 것[126]

에서 이외의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4) (1) (3) 6 [126]

선박위치응답의 경우 종별 의 장치를 제외한다 및 신호가 개별11 ( (class)B ) Format

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에만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각각 다음의 방

식일 것

선박위치응답의 경우는 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 국제표준시로 한다 이하 같(1) (

다 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2 10

개의 코드번호로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는 개2 2

의 코드번호 일 것[88]

- 25 -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는 아날로그 전화용(2) Format

설비와 접속하기 위한 번호 이하 전화번호 라 한다 등의 네트워크번호를 표시하는( ldquo rdquo )

것으로 하고

네트워크번호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코드번호를 짝수의 경우는 코드번호[105]

과 네트워크를 별표 에 준하여 개부터 개까지의 수의 코드번호로 코드화[106] 10 2 9

한 것일 것

응답을 필요로 하는 호출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응답12 [117]

을 위한 선택 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및 이외의 경우는 코드번호[122] [127]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 다만 신호가 모13 Format

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 코드번호 일 것[127]

오류검정부호는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정보비트 및 제 번째에서 제13 1 7 8

번째까지의 검정비트로부터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생성되는 각 비트10

의 및 이 각각 별표 에 표시하는 및 에 대응하는 단위 부호로[0] [1] 6 [B] [Y] 10

하여서 송출되는 것일 것

정보비트의 각 비트는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동기신호를 제외한다 의 모든(1) (dot )

코드번호 신호 및 종료신호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로 한다 에 대응하(Format 1 )

는 부호의 비트 위치마다 최하위 비트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다만 를 를 B 0 Y 1

로해서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검정비트는 정보비트의 의 수를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B 2

별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해안국의 장치는 제외한다[ 2 ] (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자국 의식별신호

주( 4)

조난종류 의정보신호

주( 5)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

주( 6)

시각정보신호

주( 7)

Tele-command정보 신호

주( 8)

종료신호

주( 9)

오류검정신호

주( 10)

주( )

중단파 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는 비트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비1 200 VHF 20

트일 것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2]

자국의 선박국 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4 [0] 10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조난의 종류를 표시하는 것으로 하여 별표 에 따라 개의 코드번호로 코드화한5 8 1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 (class) B 1 107

- 26 -

조난선박에 위치를 다음과 같이 자리의 숫자로 표시 하는 것으로 별표 에6 10 10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조난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것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99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1)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는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2)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한다

조난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것7 2

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개의 코드번호에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 10 2

를 포함하지않는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88]

계속하여 행하는 통신의 형식을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통신장치가 무선전화 또8

는 협대역직접 인쇄전신장치인 제 를 별표 에 개의 코드번호로1 Telecommand 8 1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방식일 것 (class) B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 일 것(1) 1 [109] [111]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VHF 1 [100]

코드번호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하는 것일 것9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별표 조난경보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선박국의 장치를[ 3] (

제외 )

dot신호

주( 1)

동기신호

주( 2)

For-mat신호

주( 3)

Cate-gory신호

주( 4)

자국의식별신호

주( 5)

Telec-ommand정보신호

주( 6)

조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7)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 8)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 9)

시각정보신호

주( 10)

Tleco-mmand정보신호

주( 11)

종료신호

주( 12)

오 류검 정신 호

주( 13)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6]

별표 의 주 과 같은 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4 1 7 [112]

자국의 해안국 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숫자를5 [0] 10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6 1 [1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일 것7

- 27 -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종류의 정보신호일 것8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일 것9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시각정보신호일 것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정보신호일 것11 Telecommand

코드번호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2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3 1 13

별표 조난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 중계에 대한 응답을 위한[ 4]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dot신호

주(1)

동기신호

주(2)

For-mat신호

주(3)

Addr-ess신 호

주( 4및56)

Cate-gory신 호

주(7)

자국의식별신호

주(8)

Telec-ommand정보신호

주( 9)

조 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10)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11)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12)

시각정보신호

주(13)

Tleco-mmand정보신호

주( 14)

종료신호

주(15)

오류검정신호

주(16)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별표 의 주 과 같다 코드번호 이외의 것으로 한다3 1 3 ( [112] )

신호가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에는 상대국의 식별신호4 Format

로 하고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0] 10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5 Format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6

별표 의 주 과 같은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7 1 7 [112]

별표 이 주 과 같다8 1 8

개의 코드번호 일 것9 1 [112]

수신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 또는 수신한 조난경10

보의 중계의 조난선박국의 식별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종류의 정보11

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선박의 위치12

정보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시각정보일 것13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14 Telecommand

정보신호일 것으로 한다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것으로 하 (class) B

는 것이 가능할 것

- 28 -

중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1) 1 [109] [111]

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2) VHF 1 [100] [101]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코드번호 개별 해안국 앞15 Format [127]

으로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에는 코드번호 로서 별표[122]

의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3

별표 의 주 과 같다16 1 13

별표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대 선택호출신호를 제외한다[ 5] (VHF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Address신 호

주( 4)

Category신호

주( 5)

자국의식별신호

주( 6)

정 보신 호1

주( 7)

정 보신 호2

주( 8)

종 료신 호

주( 9)

오류검정신 호

주( 10)

주( )

비트일 것1 200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20]

상대국의 식별신호로서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이에 계속되는 으로서4 [0]

구성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1 [108]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8

각 개의 코드번호 및 일 것7 1 [118] [126]

개의 코드번호 일 것8 6 [126]

코드번호 또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9 [117] [122] 13

일 것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 29 -

별표 선택호출신호의 단위부호[ 6] 10

는 스페이스주파수 는 마크주파수로 대응하고 비트위치의 에서 송출된다B Y 1

협대역 일때MFHF B=1785 Y=1615

대역 일때VHF B=2100 Y=1300

- 30 -

별표 반복송출의 순서[ 7]

주 기호 는 선택호출신호의 종료신호를 표시하고 기호 는 에서 까( ) H DX RX0 RX7

지가 반복송출되는 선택호출신호의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31 -

별표 코드번호 의 용도[ 8] (100-127)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00 통상업무

화재 또는폭발

또는F3단신G3E

무선전화 이유없음 주( 3)

101 침수 또는F3복신G3E

무선전화 해사교환 센터의혼잡 주( 3)

102 해역호출

충돌 미확정주( 1)

통화중 주( 3)

103 좌초 Polling 대기행렬표시주( 3)

104 의RXO위치의동기신호

경사 및전복의위험

수입불가주( 2)

폐국 주( 3)

105 의RX1위치의동기신호

침몰 호출의 종료주( 4)

의 부재Operator주( 3)

106 의RX2위치의동기신호

선박업무주( 5)

조선불능으로 표류

데이터주( 6)

변복조장치

의Operator일시적 부재 주( 3)

107 의RX3위치의동기신호

기타의조난

미확정주( 1)

장치의 운용불가주( 3)

108 의RX4위치의동기신호

안전 선체의방치

미확정주( 1)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09 의RX5위치의동기신호

J3E 무선전화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10의RX6

위치의동기신호

긴급 조난경보에대한 응답

무력분쟁의당사국이 아닌것을 표시하는선박 및 항공기주( 7)

111 의RX7위치의동기신호

H3E 무선전화 위생수송체 주( 7)

112 조난경보

조난 조난자동통보설비(주 의9)시동

조난경보의중계

공중전화사무소주( 8)

- 32 -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13또는F1B방향오J2B(1

류정정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미확정 주( 1)

114

공통관계를 갖는선단의호출

미확정 주( 1) 미확정 주( 1)

115또는F1B자동재송J2B(

요구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데이터 주( 11)

116모든선박호출

또는F1B J2B수신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2)

11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18 시험 데이타 주( 14)

119또는F1B수신J2B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5)

120개별국의호출

A1A 테이프레코더

데이터 주( 16)

121 선박의 위치 데이타 주( 17)

122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3

개별국의반자동또는자동접속호출

A1A 전건 및핸드셋(Handset)

데이터 주( 18)

124또는F1CF2C

F3C팩시밀리장 데이터 주( 19)

125의DX

위치의동기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6 정보없음 정보없음 주( 20)

12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주( )

앞으로의 사용을 위하여 유보한다1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2 [100] [109] 2 Telecommand

코드번호 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3 [104] 1 Telecommand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 시스템에만 사용한다4

- 33 -

선박의 항해 운항 필수품에 관한 통신과 정부의 기상업무기관으로 보내는 기5

상 관측 통보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6 [115] [124] 2 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을 제외하고 제7 [104][105][106][110][112] [118] 1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의 제 와 조합하여8 [100][101][109][115] [124] 1 Telecommand

사용한다

수색구조용 레이다트랜스폰더를 제외한다9

무선설비규칙의 제 조의 에 정하는 것으로 한다10 69 4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1 (V21)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2 (V22)

앞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1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4 (V2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5 (V2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6 (V1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7 (V26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8 (V27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9 (V32)

코드번호 를 제외하고 제 와 조합하여 사20 [104][110][112] 1 Telecommand

용한다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 코드번호는 중단21 Format

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에서 까지 [102] [124] ([110][112][117]

및 를 제외한다[122] )

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및VHF [100][101][104][105][106][121]

일 것[124]

별표 동기신호의 송출순서[ 9]

주 기호 및 에서 까지가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DX] [RXO] [RX7]

- 34 -

별표 자리 숫자의 코드 변환표[ 10] 10

자리의 숫자10

십억D2

억D1

천만D2

백만D1

십만D2

만D1

천D2

백D1

십D2

일D1

코드5 코드4 코드3 코드2 코드1

주( )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1 1

및 은 자리 숫자의 자리 숫자 에서 까지를 표시하고 각 코드는2 D2 D1 10 2 00 99

그 자리의 십진수를 코드번호로 한다2

숫자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최상위 자리수의 숫자 앞에 을 포함할 것3 0

별표 해역의 표시방법[ 11]

해역의 표시는 다음과 같은 것

선정되는 지리상의 해역은 메르카토르 도법의 직사각형으로 표시할1 (Mercator)

직사각형의 북서를 해역의 기준점으로 할 것2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존재하는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3 1

으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0] [1] [2] [3]

할 것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위도를 표시할 것4 2 3

제 번째에서 제 번째가지의 숫자는 기준점의 경도를 표시할 것5 4 6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남북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6 7 8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동서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7 9 10

표에 표시하는 해역 및 의 표시의 예는 다음과 같을 것8 ab c

기준점이 북위 도 및 서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1) 10 25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20 35 a

1 1 0 0 2 5 2 0 3 5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2) 10 10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10 10 b

2 1 0 0 1 0 1 0 1 0

- 35 -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3) 12 12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4 7 C

2 1 2 0 1 2 0 4 0 7

별표 주파수 및 채널정보의 코드변환표[ 12]

주파수0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주파수를 의 배수로서 숫자의 십100

만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다 1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2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채 널

3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중단파대 또는 단파대의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 다

8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별도로 정한 채널로 한다

9 0 times times times times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18게기하는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천 백 십 및 일의 숫자로 표시한다

십만 만 천 백 십 일

코드3 코드2 코드1

주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 ) 1

- 36 -

별표 종료신호의 송출순서[ 13]

주 기호 가 종료신호를 표시한다( ) H

- 37 -

제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3

제 절 송수신장치1 DSC VHF

시스템 개요1

본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모든기능을 충족하는 일체형과 전화용 복신방식의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호출 및 수신제어장치 로구분된 독립형 으로 구분되며 DSC DSC

이는 외형상의 구분이며 그주요기능별 구성은 각각의 유니트로된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표시 및 제어장치 와 전원부 로 구분되며 이것들은 다시 하나의DSC

케비넷 또는 독립된장치로서 구성된다

시스템 구성2

장비의 개요 및 특징3

가 개요

본 송수신기는 항만내 또는 연안에서 해안국과 선박국 또는 선박국 상호간VHF FM

의 해상이동업무 통신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기로서 이내의 해상156 ~162

이동 무선통신업무용의 전 을 수용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전파관리법 및CHANNEL

등 국제규격에 적합하도록 설계 제작된 기기로서 전세계ITU SOLAS USA USCG

어느곳에서나 규정에알맞게 사용할 수 있는 국제항만 무선전화기용 무선 송수신기

를 제작한다

- 38 -

나 특징

소형 경량화로서 좁은 장소에 설치가 용의하게 되어 있어야 한다(1)

송신각 각 방식을 채용하였으며 국제 항만 무선전화(2) DIRECT SYNTHESIZER

인 를 수용해야 하며 그외 개의CHANNEL 55(114) CHANNEL 105(527) FREE

이 수용되어 있어야 한다CHANNEL(SIMPLEX)

주 국제 중 미국연안에서 단식방식으로 절환 사용되고 있는1 CHANNEL 55(114)

을 사용 할 수 있을것USA CHANNEL(SIMPLEX)

주 별도의 기상수신 을 수용하고 있어야 한다2 WEATHER CHANNEL( )

USA 3 CHANNELS

CANADIAN 1 CHANNEL

OTHERS 5 CHANNELS

원격조정 회로의 내장으로 본기기의 판넬스위치와는 상관없이(3) REMOTE ( ) HAND

만 으로도 판넬 스위치 조작에 필요한 모든기능을 할 수 있고SET CONTROL VHF

의 원근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어야 한다SET

기능이 첨부되어 있어 미국연안 경비대 의 의무 청취(4) DUAL WATCH USCG( )

인 과 의 개의 을 동시에 수신할 수CHANNEL CH 13 CH 16 2 CHANNEL SCANNING

있으며 과 사용자가 선택하는 임의의 을 동시에CHANNEL 16 CHANNEL SCANNING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에 경보신호 기능의 내장으로 비상시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5) CH 16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국제 개 및 을(6) SCAN CHANNEL 55 FREE CHANNEL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SCANNING

안전통신에 지정되어 있는 은 우선 사용할 수 있도록(7) CHANNEL16 1 STEP

로 되어 있어야 한다SWITCH

국제 해상 인명 안전조약 에 정한 규격으로 되어 있어 전세계 어느곳의(8) SOLAS( )

규정에도 적합하며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구 성4

본 기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가 송 수신기 본체 대 1

나 HAND SET 1 SET

다 WHIP ANTENNA 1 SET

라 벽걸이형 SPEAKER 1 SET

마 전원 공급기 1 SET

- 39 -

규 격5

주파수 및 규격은 현재의 통신방식이며 정보통신부의 고시가 발표되면 협대역(125

로 변경한다)

가 일반사항

사용주파수 범위(1)

송 신 156025 ~ 157425 수 신 (SIMPLEX) 156025 ~ 157425 수 신 (DUPLEX) 160625 ~ 162025 기상수신 (WEATHER) 161650 ~ 162550

사용(2) CHANNEL

A International 55 (114) CHANNELSB USA 25 CHANNELSC FREE 105 (527) CHANNELSD WEATHER 9 CHANNELS

USA 3 CHANNELSCANADIAN 1 CHANNELOTHERS 5 CHANNELS

통신 방식(3) SIMPLEX amp DUPLEX

전파의 형식 전화(4) 16KOF3E( G3E DSC F2BG2B)

주파수 편차(5) 0001 (10 PPM)

사용 온도범위 부터(6) -10 + 50

예열 시간 전원 접속후 즉시 사용가능(7)

공칭(8) ANTENNA IMPEDANCE 50 ohm ( )

공급 전원(9)

전 압 136V plusmn 10전 류 수신시 800

송신시 5A전원 공급기 별도( ) 단상AC115V AC220V 60

부터 까지DC 15V 35V

나 송 신 부

정격 출력(1) HIGH -25 W

LOW - 1W

주 공중선 전력 저하장치로 이하 저하기능 보유1 1WATT주 단 보호 인 및 가 아님 은 송신이2 CHANNEL 7576 1 ~9(01 ~09 )CHANNEL되지 않음 기상수신대의 사용법은 본문 참조 ( )

- 40 -

발진 방식(2) SYNTHESIZER CONTROL SYSTEM

변조 방식(3) FREQUENCY MODULATION

점유 주파수 대역폭(4) 16 (8)

최대 주파수 편의(5) 5 (25)

복사강도 이상(6) SPURIOUS 70

변조 주파수 특성(7) 6 (plusmn 3 ) OCTAVE PRE-EMPHASIS)

(300 ~ 3 )

변조시 이하(8) DISTORTION 1 70 -20

신호 대 잡음비 변조시 이상(9) 1 70 40

저역 여파기 특성 이상에서 이상 감쇄(10) 3 -40log f3( ) (f = )

다 수 신 부

수 신 방 식(1) DOUBLE SUPERHETERODYNE SYSTEM

감 도(2) 이하 신호 대 잡음비 에서 025 V ( 20 )μ

감도(3) SQUELCH 이하 02 Vμ

국부 발진 주파수(4) 1lsquost LOCAL FREQUENCY

RECEIVER FREQUENCY - 214

2nd LOCAL FREQUENCY 10945

중간 주파수(5) 1lsquost IF FREQUENCY 214

2nd IF FREQUENCY 455

선 택 도(6) 저하폭 이상 6 12 (6)

저하폭 이하 70 25 (125)

(7) SPURIOUS RESPONCE 이상 70

감도 억압 효과(8) 이상 80

상호 변조 특성(9) 이상 65 ( 20 40 )

주파수 특성(10) 6 (plusmn3 )OCTAVE DE-EMPHASIS)

( 300 ~ 3 )

신호 대 잡음비(11) 변조시 이상 1 60 40

(12) DISTORTION 변조시 이하 1 70 -20

저주파 출력(13) 이상 1 WATT (IMPEDANCE 8 ohm)

- 41 -

제 절 차년도 개발 범위2 1

제 차년도 개발범위는 기초자료조사와 규정의 연구에 따라 기초회로의 설계 후1

사용부품을 시험하고 각 의 제작 및 시험 연이은 성능미달 의 차 차PCB PCB 2 3

차 재제작 시험을 완료하고 시스템의 설계까지이며 그 세부적인 개발범위는 다음4

과 같다

송수신장치 개발을 위한 제규정 수집 연구1 DSC VHF

기초자료 조사2

가 장비에 대한 기능특성 수집 연구

나 사용자 및 선박통신사의 요구사항에 대한 자료 수집 연구

다 외국장비와 비교 분석

라 부품규격 시험 및 선정

3 HARD WARE

가 고주파 필터코일 재질분석 및 각종코일 설계

나 제작 PCB

송신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1) PCB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시험(2) PCB

수신부회로 제작 시험(3) PCB

신세사이즈 회로 제작 시험(4) PCB

제어장치 제작 시험(5) PCB

표시장치 제작 시험(6) PCB

원격제어기 제작 시험(7) PCB

전원공급부 제작 시험(8) PCB

제작 시험(9) HAND SET PCB

전용수신기 제작 시험(10) DSC PCB

- 42 -

제 장 제 차년도 개발 항목 보고4 1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본 장비를 개발함에 있어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및 부품선정이 개발의 핵심 과제

로 생각하였다

기초자료는 기존 시스템분석과 전파관련법령을 기초하였고 주변회로는 관련된 회

로집을 분석하였으며 부품선정은 폐품종 여부와 수급이 용이하면서 견고하고 증폭

도 및 성능이 우수한 품종으로 장시간 시험을 거쳐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송신부 제작시험2

송신 출력회로 결정 회로설계 완료하여 각부 부품 구입 회 내구성 시험 및SPEC 30

구룹별 장시간 부품 부하 시험등 최종목표 성능을 확보하기위한 제반 기초 제작시

험을 완료 하였으며 주요 내용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의 발열상태등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의 높은 출력으로 증폭하는 송신전(VHF ) 25W

력 증폭기로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높은 고주파전력에 견딜수있어야 하고 열

에의해 발생되는 열잡음이 적으야하며 열에의한 부품의 열화 및 특성의 변화가 적

은 부품을 사용여야 하므로 온습도시험 과 과출력 시험을 통하여 사용될 부품을 시

험하였다

특히 고조파 필터회로 부품인 코일은 동선에 전도율이 좋은 재질로 도금하여 사용

하여야 하며 고조파필터회로 의 차폐용 재료도 동판에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도금

하여 사용 하여야 한다

나 송신 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PCB (PCB NO V-097)

개발과정에서의 설계변경 및 생산시스템의 전산화 에 적용 할수있도록 회로 설계는

물론 설계 회로기판 도안 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설계완료된 는PCB ( ) CAD DATA

회로기판 제작장치 외주 작업 및 부품삽입기 자사 작업 에 직접 컴퓨터용 디스켙( ) ( ) (

으로 입력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회로에 높은 고주파전류가 흐르므로인하여 빌진할 가능성 및 잡음발생의 우려PCB

가 많으므로 특히 부품배치에 유의하여 설계하였으며 송신신호 발생회로 또는 전원

회로 와의 배선은 관통형콘덴서등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였다

회로에 사용되는 코일은 각 코일간에 간섭을 줄이기위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설정하

였으며 전체를 차폐하고 또 고조파 필터회로를 구분하여 차폐하여 제작 하였PCB

- 43 -

또 안정된 출력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회로를 장치하여 설정된 출력 이상의ALC

출력을 제한한다

다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PCB (PCB NO V-096TX)

설계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이 는 미약한 고주파 신호를 발생 변PCB CAD PCB

환 증폭 하므로서 송신부 또는 외부로 부터의 잡음 유입과 내부잡음 발생에 유의

하여 설계되었으며 불요복사 억제에 유의하였다

라 성능시험

메칭상태 시험(1)

옴 파장 수직형 안테나 를 사용할수 있도록 시험하였으며 차적인 시험은 의50 12 1

사부하에 의해 시험하고 의사부하 안테나에 정상적인 메칭이 된 후 실제 사용 안테

나에 확인시험 하였다

이 시험에서 양질의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장치는 물론 안테나의 성능이 중

요하며 인접한 고전력 안테나 및 낙뢰로부터 안정성 등을 감안하여 안테나는 VHF

대역 이하의 주파수에 대하여 쇼트형 안테나가 바람직 하다

기존 시스템의 이상의 성능 확보(2) 90

송신부의 주기능으로서 양질의전파를 안테나로 공중에 발사하는 장치로서 주피수안

정도 고조파억압 불효전파억제 안정된전력 안정된 주파수편이 낮은 왜율 등의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시험결과는 기존의 제품의 특성에 가까운 성능을 확보

하였으나 안테나공용기 복신통신용 필터 특성의 개선및 송신부 관련부품의 배치를( )

개선하므로서 보다 좋은 성능을 확보 할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신부 제작시험3

수신부는 안테나입력회로 입력동조회로 단신통신 및 복신통신 각 주파수 대역 필 (

터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로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 1 1 2 2

로 대역필터회로 신호제한 리미터 회로 복조회로 무신호잡음 차단 회로 저주 ( ) FM

파 증폭회로 및 국부발진회로 로서 구성되나 국부발진회로는 잡음의 발생및 유입

주파수안정도 등을 감안하여 별도의 로서 제작하였으며 그외 수신부와 관련한PCB

내용은 다음과 같다

- 44 -

가 사용부품의 구입 및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증폭과 변환을 반복하여 요구되는 신호(VHF )

를 복조하여 기청음 또는 의 문자표시로 출력되게 하므로서 안정된 주파수 및DSC

증폭이 요구되므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당연히 고주파특성에 유의하여 주파수

차에의한 특성변화 열잡음 및 고주파잡음 능동소자등의 직선성 등이 교려되어야하

므로 항온항습시험과 과전류에의한 잡음발생의 시험 등 을 거처 엄선한 부품으로

설정사용 하였다

특히 회로의 선택도 코알의 값 를 높이기 위하여 가 높은 트랜스 재료를 사용하( Q ) Q

였다

다 수신부회로 제작 PCB (PCB NO V-096RX)

위 항에서의 시험에 의해 선택된 부품을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며 수신부의 특성31

상 잡음의 발생보다는 잡음의 유입에 유의하여 설계되었으며 안정된 증폭 특성 수(

신감도 을 얻기위하여 중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회로기판은 에폭시) 2

수지 양면인쇄동판을 사용하여 부품삽입면은 대부분 공통단자로 이용하여 부품간의

간섭을최소화 하였다

다 수신부 특성시험

수신부 특성상 수신감도 주파수안정도 왜율 통과대역폭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감도억압비 혼변조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신호대 잡음비 일 때의 수신감 20

도 성능이 확보되며 기타 여러 가지 특성도 최종목표 특성에 가까운 성능이05

확보 되었으나 까지 수신감도가 향상되도록 성능개선이 요구된다025 V 120757

신세사이즈부의 회로의 안정도로 인하여 국부발진 신호의 흔들림현상이 있어VCO

통과대역폭 및 잡음발생의 원인이되어 신세사이즈회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신세시이즈회로는 크게 수신국부발진 신호용과 송신신호용으로 구분되며 단신통신

과 복신통신방식일때 각각 동작할수있는 구성으로 설계되었으며 그 내용별로 구분

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전압제어발진기 에 사용되는 부품은 온도 및 전압변동에 특성의변화가 극히(VCO)

적어야하며 외부로부터 정전 및 자계영향이 크므로 회로를 별도로 정전 및 자VCO

계로부터 차폐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혼변조 및 잡음신호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파수선택 표준신호 등 시 수신( )

대역 및 송신대역에 영향이 없는 주파수로 하였으며 가능한 레벨을 제외한 신(TTL

호 파형의 왜율이 적은신호로서 각회로신호를 사용하여 결합하였다)

- 45 -

나 신세사이회로 제작 (PCB NO V-096PLL)

이회로 기판은 여러종류의 신호들이 발생 혼합 증폭 비교 되므로 각부품 간의 배

치에따라 잡음발생의 정도가 크게 좌우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였으며 회로는 외VCO

부영향에 민감하게 작동되므로 차폐 에 유의하여 부품의 배치 적절하게 하였으며

잡음발생을 유의하여 부품을 선정하였다

다 성능시험

이회로의 특성상 주파수안정도 주파수의 흔들림 위상비교기의 비교속도 등에 유의

하여 시험하였으며 여러가지 일반적인 특성은 최종목표사양에 만족될 수 있는 신호

원을 공급할수 있었어나 주파수의 흔들림 현상이 있어 회로의 부품 및 차폐에VCO

개선이 요구된다

제어장치 제작시험5 (PCB NO V-263)

이회로의 주요부품으로서 를 사용하여 당개발과제의 송수신 및 외부V25 CPU DSC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며 아울러 본체 전면표시기와 스윗치 입출력 기능도 한다

이회로의 주요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스 읽기전용 메모리 읽고CPU( ) ROM( ) RAM(

쓰기 메모리 직렬통신용 입출력 병렬통신 입출력 아날로그 디지) SIO( ) PIO( ) AD(

탈 변환기 스윗치입력 표시기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개발 내용은 다음과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에 사용되는 부품은 대부분 디지탈신호를 처리하여 회로로서 및TTL IC

로서 구성되며 저소비전력 및 고속처리능력이 요구되므로 주로 고속용C-MOS IC

중 형 를 사용 하였으며 장치의 초기설정 및 기능 설정의C-MOS(C-MOS IC HC )

변경등 의 목적으로 은 충전형 밧테리로서 메모리내용을 전원의 에 관RAM ONOFF

계없이 유지하도록 하였다

외부 제어기 등 와의 통신용 의 통신속도를 또는 등으로(DSC ) RS-232C 2400 4800

변경 설정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변환기 등을 이용하여 자기진단을 할수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장비의 유지및AD

보수에 많은 도움이된다

- 46 -

나 성능시험

운용시험(1)

이회로의 특성상 전기적 특성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특성 및 성능이 요구되므로 운

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이부분에 대한 시험은 개발자입

장이 아닌 운용자가 시험하여야 하는 관계로 선박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사용자에게

의뢰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로서는 기능면에서는 양호하나 사용상 복잡한 면이 있어 보다 조작 을 간편

히 할수있도록 개선할 필요가있는 것으로 본다

표시장치 시험(2) (PCB NO V-260)

본장치의 사용상 필요한 기능 및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내용과 기기 동작

상태의 일치성이 요구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온습도 및 장기시험 으

로서 확인하였으며 여러 가지 표시장치중 각각 중단점이 나타낮다

즉 액정 표시기 표시기는 저소비전력이며 주위가 밝은곳에서 사용이 가능 하LCD( )

나 반면 온도특성이 나쁘며 형광표시관 표시기는 온도특성은 양호하나 소비전 VFD( )

력이 대체로 높고 보다 낮고 보다 많음 수명이 낮다는 단점이있으며(FND LCD )

발광 다이오드 표시기는 모든면에서 대체로 양호 하나 잡음발생 이많으며 밝FND( )

은곳에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외 여러 가지의 장담점을 검토하여 차적인 결론은 표시기가 적합한 것으로1 LCD

본다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최소의 전기적신호 연결로서 최대의 기능제어및 속도가 요구되는 장치로서 저주파

신호의 입력 마이크 신호 및 출력 스피크 신호 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 제어는( FS ) ( )

직렬통신 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였으며 장거리 일반 공용통신망 을 이(RS-232C)

용할수도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요 구성은 중앙제어장치 스윗치입력 장치 표시장치 메모리장치 직렬통신장치

로 구성되며 그 상세한 개발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의 대부분이 디지탈신호의 처리회로로서 구성되므로 제어장치 의 사용 부품ldquo rdquo

시험 및 선정기준과 같으며 장거리운용상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신속도를

알맞게하며 장거리통신 선로에서 유기되는 잡음을 최소화 하기위한 필터회로 및

소프트웨어적인 오류정정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별도 설계 사용 하였다

- 47 -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V-170)

이장치는 사용상 편리하여야 하므로 소형 경량 으로 제작 하였으며 차적 기능 시 1

험을 목적으로 외형 보다는 성능을 우선하여 시험용으로 제작하였다 이장치의 시

험은 전용케이블 을 이용하여 시험하였고 또 일반 공용통신용 전화 선로를 통하여

원거리 시험을 하였으며 그결과로서 통신속도가 까지 양호하게 동작되나2400bps

그이상의 통신속도로서 운용 할려면 전용회선이 필요하게된다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가 결정 SPEC

각회로 에서 필요로하는 전압 및 전류에 알맞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반 성능

을 차적으로 설정 하였으며 최종목표 사양에 일치하기위하여서는 전원부의 장치에1

대하여 모든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최종 특성이 설정 되어야 한다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P-099)

이장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되나 반면에 안정성이 확고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안

정성을 첫째로 중요시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이회로는 많은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많은 전력이 열로서 손실되므로 방열에 특히 유의하여 제작되었으며 열발생이 많은

부품은 알미늄 방열판에 설치하고 이방열판은 본장치 외함의 바깥쪽에 설치하여 방

열효과를 최대화 하였다

이회로의 시험은 과입력전압 및 과소비전력 일때의 안정성에 중점 시험하였고 그시

험을 위하여 장시간 항온 항습기 를 이용하여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전원부의 안정

성 확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도 이회로를 특별히 개선하지 않고도 최

종목표 사양에 만족하리라 본다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PCB NO V-098)

마이크 회로 수화기 회로 송신 스윗치 회로 로서 구성되며 이장치는 사용 특성상

충격에 강하도록 설계제작 되어야 하며 무게는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재료선택이

중요하며 이러한점을 감안하여 사출금형에 의하여 성형 하였으며 성형 제료로서는

제료를 사용하고 사용 부품을 최소화 하여 제작 하였다ABS

이장치의 특성상 견고하며 방수효과가 최대이어야 하므로 충격 자연낙하 시험 및( )

방수시험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 성형제료 및 외형상의 문제는 없이나

송화기 및 수화기의 선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송화기는 콘텐서형

마이크가 좋으며 수화기로는 가변코일형으로서 떨림판이 평면으로된 수화기가 우수

한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선정하여 제작시험 하였다

- 48 -

전용 수신기9 DSC (PCB NO T-342)

전용수신 장치는 송수신장치중 송신부를 제외한 구조와 유사하므로 개발과정에서

송수신장치중 수신부회로에 복조장치 를 추가하여 별도 로 제작하여 시험DSC PCB

하였으며 개발내용중 전용수신기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DSC

가 기능 및 동작

변조되어 수신된 신호를 필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후 신호 처리용FM DSC DSC

마이크로프로세스 에 공급하여 소프트웨어로서 신호를 분석한후 표시장치 메(CPU)

모리장치 인쇄장치 등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전용 찬넬인 번 찬넬을 항상 DSC 70

수신상태로 동작하여 신호 도트신호 를 검출하고 신호가 있으면 이어서CALL ( ) CALL

수신되는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표시장치 및 경보장치에 출력한다

나 신호 신호 필터회로 와 신호 처리부 및 제어용회로부 DSC (FS ) DSC DSC

제작시험 (PCB NO T-325 T-326 T-327)

이 회로의 성능은 주로 필터 및 디지탈변환 회로에서 결정되며 소프트웨어의 성능

에 따라 안정성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점을 유의하여 설계제작 하여으며 성능 시험

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험용 정보를 송신장치로 통해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후 그

결과를 분석 시험 하였다

다 전용 수신기의 개발과정 에서의 학보된 기술 DSC

신호 및 의 신호 의 필터 및 디지털 변환 기술DSC (1300 2100 FS )

신호 검출 및 직렬신호의 병렬변환 소프트웨어DOT

기술 정보의 비교 및 인쇄출력 소프트웨어 기술

종합시험10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별 차 차 차 보완시험은 만족하며 앞으로 개발의 중점은 사용의 편리성과PCB 1 2 3

생산성에 중점 개발이 요하며 배치에 따라 야기될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 PCB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후 최종제품을 제작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49 -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1

가 전면판 사출금형

나 옆판 스피커 안테나 금형

다 노브 사출금형

라 윗면 및 밑면 프레스 금형

마 설치용 고정장치 사출 금형

바 설치대 프레스 금형

사 뒷면 작업용 프레스 금형

아 항온조용 열차단금형

자 필타 금형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2

가 송수신기 제어장치 프로그램

나 전용 수신기 제어용 프로그램 DSC

다 원격조정기 프로그램

라 송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마 수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3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11: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11 -

제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2

제 절 외국장비의 사양1

1 Main Unit

가 General Specifications

Transmission 15550-15950

frequency range

Reception frequency 15550-15950 (simplex)

range 16060-16350 (duplex)

Channel capacity ITUUSA channels Up to 57 channels

Private channels Up to 99 channels

Weather channels 9 channels

(only reception)

Memory channels Up to 10 channels

Select channels Up to 10 channels

Channel spacing 25 10

Communication modes Simplex and duplex

(simplex and semi-duplex on privatechannels)

Type of emission G3E G2B(F3E F2B)

Frequency accuracy plusmn 10 x 10-6

Antenna impedance 50Ω unbalanced

Rated input power DC138V plusmn10(supplied

supply voltage fromNQD-1496 power supply unit)

Numbers of DSC file 15 for calling

20 for Distress

call receiving

5 for general

call receiving

Environmental test

conditions

- 12 -

Vibration 1 to 125 32 15min

125 to 25 076 15min

25 to 50 02 15min

Dry heat cycle +55 2hr

Dump heat cycle +40 93RH10hr

Low temp cycle -15 2hr (after maintaining at -25 for

10 hr)

Temperature 0 to +40

range for full

performane

Operating -15 to +55

temperature

range

Storage -25 to +65

temperature

range

Dimensions 290(H) times 240(W) times 145(D)

(excluding protrusions)

Weight Approximately 7

나 Transmitter Unit

Output power 25W

Reduced outpur power 01 to 1W

Oscillation method Frequency synthesizer

Modulation method Frequency modulation

Occupied bandwidth Within 16

Maximum plusmn5

frequency deviation

Microphone input 600Ω(balanced)

Standard

modulation input -53 m

Frequency

characteristics 6 oct +1-3

Overall distortion 10 or less

Signal-to-noise ratio 40 or more

- 13 -

Spurious emission 25 W or less120757DSC data rate 1200baud plusmn30 times 10-6

modulation method FSK

modulation index 2 plusmn10

Mark signal(Y) 1300 plusmn 10

Space signal(B) 2100 plusmn 10

다 Receiver Unit

Receiving system Double super heterodyne

Intermediate frequency 1st IF 214

2nd IF 455

Local oscillation method Frequency synthesizer

Sensitivity 2 V or less120757Sensitivity(DSC)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the input

level of 0 120757Squelch sensitivity 1 V or less120757Selectivity 12 or more at 6 bandwidth

within 25 with a selectivity of 70

Spurious response 80 or more

Spurious response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DSC)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73 120757

Blocking 90 or more

Blocking(DSC)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μ

level of 93 120757Intermodulation 70 or more

Intermodulation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DSC)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68 120757

Overall distortion 10 or less

Signal-to-noise ratio 40 or more

Rated audio output 2W(4Ω)

External speaker 0 m 600 Ω

output level

- 14 -

Frequency 6 oct +1 -3

characteristics

Radiation 1 nW or less

2 Power Supply Unit

Input voltage AC 100V to 120V (5060 ) or AC 200V to

240V (5060 ) and DC 24V (DC 216 to

312V)

Power consumption AC 100V 2A max(main unit)

AC 220V 1A max(main unit)

DC 24V 55A max(main unit)

Input switching Automatically switched to AC mode during

normal operation and to DC mode when AC

power failure

Output Voltage DC 138V plusmn10

Environmental Same as JHS-31 main unit

test conditions

Dimensions 300(H) times 240(W) times 145(D)

(excluding protrusions)

Weight Approximately 65

3 Remote Controller

Operating and Same as JHS-31 main unit

control items

Display items Same as JHS-31 main unit

Power supply DC 138V plusmn10 supplied from

NQD-1469 power supply unit

Environmental test Same as JHS-31 main unit

conditions

Dimensions 290(H) times 240(W) times 80(D)

excluding protrusions)

Weight Approximately 35

- 15 -

4 DSC Watchkeeping Receiver

가 General Specifications

Operation frequency 156525 (CH 70)

Reception mode G2BF2B

Antenna impedance 50Ω nominal unbalanced

DSC AF signal output 0 m plusmn10 (600 Ω balanced)

Self diagnostics Provided with receiver

overall testing functions

Dimmer 4-step control for dimming illuminations

incl extinction

Environmental test Same as JHS-31 main unit

conditions

Warm-up period 30 sec

Dimensions 145(H) times 140(W) times 145(D)

excluding protuberances

Weight approx 15

Power supply 138 VDC plusmn10

Power consumption 10 W or less

나 Receiver

Receiving system Double superheterodyne

Local OSC Crystal controlled

Frequency accuracy Within plusmn10 times 10

Intermediate frequency 1st IF 208

2nd IF 455

Sensitivity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the input

level of 0 μ

Selectivity 6 bandwidth 12 or more

70 bandwidth 25

Adjacent CH selectivity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μ

level of 73 120757(wanted signal frequency plusmn25 )

- 16 -

Spurious response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73 with application of unwanted120757signals in range of 9 to 2

Blocking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93 with application of unwanted120757signals apart plusmn1 to plusmn10 from the

wanted signal

Intermodulation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68 with application of two120757unwanted signals of plusmn25 and plusmn50

simultaneously

Co-channel rejection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ratio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μ

level of -5 120757De-emphasis -6 (+1 -3 ) octave

characteristic 300 +105 (+1 -3 )

3 -95 (+1 -3 )

at reference frequency of 1

Amplitude characteristic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receiver

of receiver limiter input level of 0 to 100 120757 120757Noise and hum -40 or better

Harmonic distortion -20 or better

Spurious emission 1nW of less

5 Guard Receiver

Receiving mode Simultaneous reception of any two channels

selected from ITUUSA channels

Receiving channels Up to 57 channels

Channel spacing 25

Mode of reeption G3E(F3E)

Frequency accuracy Wighin plusmn10 times 10-6

- 17 -

Receiving system Double super heterodyne

Intermediate frequency 1st IF 214

2nd IF 455

Local oscillation method Frequency synthesizer

Sensitivity 2 V or less120757Squelch sensitivity 1 V or less120757Selectivity 12 or more at 6 bandwidth

within 25 with a selectivity of 70

Spurious response 70 or more

Blocking 90 or more

Intermodulaltion 70 or more

Overall distortion 10 or less

Signal-to-noise ratio 40 or more

Rated audio output 2W(4 )Ω

Frequency

characteristics 6 oct +1 -3

Antenna input 50 unbalancedΩ

impedance

Temperature range 0 to +40

for full performance

Operating -15 to +55

temperature range

Storage -25 to +65

temperature range

Power supply voltage DC 138V plusmn10

(supplied from the NQD-1469 power supply

unit)

Dimensions 290(H) times 140(W) times 145(D)

Weight Approximately 25

- 18 -

제 절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2 DSC VHF

디지틀선택호출장치의 조건1

가 점검 및 보수를 쉽게 할수 있을것

나 전원공급후 분이내에 작동할 수 있을 것 1

다 의 주파수를 쉽게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 것 156525

라 초이내에 송신과 수신을 전환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 것 03

마 이상의 제어기를 갖는 경우에는 의 제어기에 우선권이 주어지는 동시에 다 2 1

른 제어기의 사용상태를 표시하는 기능이 있을 것

바 전원전압이 정격전압의 퍼센트이내에서 변동된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 (plusmn)10

할 수 있을것

사 통상 발생하는 온도 및 습도의 변화 진동 또는 충격이 있는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수있을것

선택호출장치의 선택호출신호의 조건2

가 마크주파수는 이고 스페이스주파수는 일것 이 경우 허용편차 1300 2100

는 각각 로 한다10

나 신호전송속도는 매초 비트일것 이 경우 허용편차는 만분의 으로 1200 100 30

한다

다 시간다이버시티의 시간간격은 초일것 003

송신장치의 조건3

가 공중선전력 와트 이상일 것 6

나 전파의 변조지수 허용편차는 로 한다 F2B 2( 02 )

다 감도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자 1

율이 퍼센트이하일 것1

라 실효선택도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1) 14

상태에서 중간 주파수로부터 희망파의 배의 주파수 희망파주파수의 이3 ( (plusmn)375

내의 주파수를 제외한다 까지 수신기입력전압 밀리 볼트의 무변조 방해파를 인) 447

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1

- 19 -

감도억압효과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2) 14

의 정현파에 의하여 주파수 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기입력전압400 3 44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인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이하일1

마 상호변조특성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 14

희망파 보다 떨어진 수신기 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와 희망파25 25

보다 떨어진 의 정현파에 의한 주파수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50 400 3

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25 1

디지틀선택호출전용수신기 의 조건4

가 통신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통신의 수신기능외에 통신의 내용을 볼 수있도록 하

는 기능이 있을것

나 조난통신 또는 긴급통신을 수신한 경우에는 수동으로만 정지시킬 수 있는 특별

경보기능이 있을것

다 수신한 조난통신의 내용을 즉시 인쇄하거나 개이상의 조난통신을 기억할 수 20

있어야 하되 기억한 내용을 일정시간 보존할 수 있을것

라 본체의 보이는 곳에 수신주파수를 표시할 것

마 전원공급후 분이내에 작동할 수 있을것 1

바 전원전압이 정격전압의 퍼센트이내에서 변동된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plusmn)10

수 있을 것

사 통상 발생하는 온도 및 습도의 변화 진동 또는 충격이 있는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수 있을것

아 감도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자율 1

이 퍼센트 이하일 것1

자 실효선택도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1) 14

상태에서 중간 주파수로부터 희망파의 배의 주파수 희망파주파수의 이내3 ( (plusmn)375

의 주파수를 제외한다 까지 수신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를 인접) 447

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1

- 20 -

감도억압효과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2) 14

의 정현파에 의하여 주파수 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기입력전압400 3 44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인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1

차 상호변조특성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 14

희망파 보다 떨어진 수신기 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와 희망파25 25

보다 떨어진 의 정현파에 의한 주파수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50 400 3

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25 1

- 21 -

제 절 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3 DSC VHF

일반적 조건1

가 취급이 용이한 것일 것

나 에서 까지의 숫자 입력판을 갖는 경우에는 그 숫자의 배열은 국제전신전화자 0 9

문위원회의 권고 에 의한 것일 것E161

공중선의 단선 또는 공중선 단자의 단락으로부터 보호수단을 가질 것

과전류 과전압 전원의 과도변동 및 전원극성의 우발적인 반전으로부터 보호수단이

있는 것일 것

노출된 금속부분은 접지하는 것이 가능할 것

전원단자는 접지되어 있지 않을 것

전원 볼트를 초가하는 전기 고주파의 것을 제외 를 통하는 도전부는 용이하게 노55 ( )

출이 되지 않도록 다음의 어느 조건에도 적합한 차폐체를 갖고 있는 것일 것

차폐체를 개방한 때는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되는 구조일 것(1)

차폐체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공구를 필요로 하는 구조이고 또는 고전압에 대한(2)

주의사항이 표시되어 있을 것

다 통상의 설치된 상태에서 제조자명 형식명 및 제조번호가 명확하게 판독 가능하

도록 외부에 표시되어 있을 것

라 장치의 일부를 가열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급전후 분이내에 일정온도에 달하 30

는 것일 것

다만 가열회로에 공급하는 전력은 다른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치단에 의해

절단되지 아니할 것

마 전원공급후 송신장치의 일정분에 전압의 공급을 지연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는 그 지연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것

디지틀선택호출장치의 조건2

선박의 위치 및 위치를 결정한 시각의 자동입력 기능을 갖는 경우에는 동기능의

고장이 장치의 다른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

가 선택호출 신호의 구성

조난경보등 조난경보 조난경보에 대한 응답 조난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1) (

중계에 대한 응답을 말한다 이하 같다 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및 무선설비의 기기 )

의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이하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이외의 선택( ldquo rdquo )

호출신호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1

- 22 -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2) 2

조난 경보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 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3) 3

일 것

조난 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 중계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4)

성을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4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5) 5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오류검정부호를 제외한다 에 사용하는 단위 부호는(6) (dot ) 10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6

나 선택호출신호의 송출조건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오류검정부호를 제외한다 의 송출은 최초의 송출과 반(1) (dot )

복송출과의 사이에 개의 코드가 놓아진 방식일 것4 Time Diversity

선택호출신호의 반복송출은 다음과 같은 것일 것(2)

가 조난경보를 연속하여 송출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조난 경보를 최후의 신호와( )

다음에 송출되는 조난경보의 신호와의 사이를 가격없이 송출가능한 것일 것dot

나 디지탈선택호출통신망을 위한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호출( )

또는 응답의 선택호출 신호의 경우는 별표 에 따라서 회를 초과하지 않는 회수를7 4

반복하여 송출가능할 것

다 가 및 나 이외의 경우는 반복하여 송출이 가능하지 않는 것일 것( ) ( ) ( )

다 선택호출신호의 수신조건

조별 의 장치는 제 호에 규정한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1) (class) A 2

읽어냄이 가능할 것

조별 의 장치는 다음의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표시하는(2) (class) B

것이 가능할 것

가 제 호에 규정하는 선택호출신호중 종별 의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것( ) 2 (class) B

나 포맷 신호가 해역호출인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것( ) (format)

다 제 가 수신되지 아니할 것( ) 1 Telecommand

해안국의 장치는 제 호에 규정하는 선택호출신호 해안국의 장치의 것을 제외(3) 2 (

한다 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읽어냄이 가능할 것)

- 23 -

별표 선택호출신호 조난경보등을 위한 것 및 시험을 위한 것은 제외한다 의[ 1] ( )

구성

dot신 호

동 기신 호

Format신 호

Address신 호

Category신 호

자국의식별신호

정 보신호1

정 보신호2

정 보신호3

종료신호

오류검정신호

주( 1) 주( 2) 주( 3) 주( 45및6)

주( 7) 주( 8) 주( 9) 주( 10) 주( 11) 주( 12) 주( 13)

주( )

중단파대 및 단파대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하는 장치의 선1

택호출신호 이하 중단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에 있어서 선박국을 호출하( ldquo rdquo )

기 위한 선박호출신호의 경우는 비트 선박국에서 해안국으로 호출 및 응답하기200

위한 선택호출신호 및 국제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 계기하는 주파수18

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 하는 장치의 선택호출신호 이하 대 선택( ldquoVHF

호출신호 라 한다 의 경우는 비트일 것rdquo ) 20

표 에 나타내는 코드번호를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하는 것일 것2 8 9

호출의 종류를 나타냄에 있어서 다음의 장치마다 별표 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3 8

류를 표시하는 개의 동일 코드번호일 것2

종별 의 장치 선박국의 장치에서 별표 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류를 사용(1) (class)A ( 8

가능한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

종별 의 장치 선박국의 장치에 있어서 동표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류 중(2) (class) B (

해역호출 및 공통관계를 갖는 선단의 호출을 제외한 것의 사용이 가능한 것을 말한

다 이하 같다 )

해안국의 장치 동표에 게기한 호출의 종류중 조난경보 및 개별국의 반자동 또(3) (

는 자동접속호출을 제외한 것의 사용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

신호가 조난경보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는 상대국 식별4 Format

신호로 하여 선박국식별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 구성되는[0]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신호가 조난경보 또는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선택호출에 있어서는 사용5 Format

하지 않을 것

신호가 해역호출의 경우 종별 의 장치는 제외한다 는 별표 에 따라서6 Format ( B ) 11

해역을 자리 의 숫자를 표시하고 별표 에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통보의 우선순위 또는 종류 신호가 모든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통상업무7 (Format

및 선박업무를 제외한다 를 별표 에 따라 개의 코드번호에 코드화한 것일 것 다) 8 1

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 선박업무를 제외한 것으로 하고 또한 신 (class) B Format

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통상업무를 제외한 것일 것

- 24 -

자국의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8 [0]

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제 및 제 의 정보로 하여 별표 에 따라서 각각 개의 코드번9 1 2 Telecommand 8 1

호에 코드화한 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제 (class) B 1

를 다음과 같이하고 제 코드번호가 일 것Telecommand 2 Telecommand [126]

중단파대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하는 장치의 선택호출신호 이하(1) (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는 신호가 개별국의 호출일때에는 코드번ldquo rdquo ) Format

호 또는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일[119] [111] [118] Format

때에는 코드번호 또는 일 것[109] [111] [111]

선택호출신호는 신호가 개별국의 호출일 때에는 코드번호(2) VHF Format [100]

또는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일 때에는 코드번호[101] Format

또는 일 것[100] [101] [105]

다음의 방식일 것10

호출에 이어 계속 통신에 사용하는 송신 및 수신을 위한 주파수 또는 채널을(1)

나타내는 선택호출신호는 송신파 및 수신파의 순으로 별표 에 코드화한 것일 것12

다만 주파수 또는 채널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송신파 또는 수신파마다에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126]

선박의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선택호출신호는 코드번호 및 다음에 의거 표(2) [55]

시되는 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 자리숫자를 별표 에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가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가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나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부터 제 번째까지의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표시한다

제 가 선박의 위치인 호출에 대한 응답 이하 선박위치응답 이라(3) 1 Telecommand ( ldquo rdquo

한다 을 위한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의 가 및 나 에 의해 표시하는 선박의) (2) ldquo rdquo ldquo rdquo

위치를 나타내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코드화한 것 및 그것에 계속코드번호10 10

일 것[126]

에서 이외의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4) (1) (3) 6 [126]

선박위치응답의 경우 종별 의 장치를 제외한다 및 신호가 개별11 ( (class)B ) Format

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에만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각각 다음의 방

식일 것

선박위치응답의 경우는 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 국제표준시로 한다 이하 같(1) (

다 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2 10

개의 코드번호로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는 개2 2

의 코드번호 일 것[88]

- 25 -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는 아날로그 전화용(2) Format

설비와 접속하기 위한 번호 이하 전화번호 라 한다 등의 네트워크번호를 표시하는( ldquo rdquo )

것으로 하고

네트워크번호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코드번호를 짝수의 경우는 코드번호[105]

과 네트워크를 별표 에 준하여 개부터 개까지의 수의 코드번호로 코드화[106] 10 2 9

한 것일 것

응답을 필요로 하는 호출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응답12 [117]

을 위한 선택 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및 이외의 경우는 코드번호[122] [127]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 다만 신호가 모13 Format

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 코드번호 일 것[127]

오류검정부호는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정보비트 및 제 번째에서 제13 1 7 8

번째까지의 검정비트로부터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생성되는 각 비트10

의 및 이 각각 별표 에 표시하는 및 에 대응하는 단위 부호로[0] [1] 6 [B] [Y] 10

하여서 송출되는 것일 것

정보비트의 각 비트는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동기신호를 제외한다 의 모든(1) (dot )

코드번호 신호 및 종료신호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로 한다 에 대응하(Format 1 )

는 부호의 비트 위치마다 최하위 비트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다만 를 를 B 0 Y 1

로해서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검정비트는 정보비트의 의 수를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B 2

별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해안국의 장치는 제외한다[ 2 ] (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자국 의식별신호

주( 4)

조난종류 의정보신호

주( 5)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

주( 6)

시각정보신호

주( 7)

Tele-command정보 신호

주( 8)

종료신호

주( 9)

오류검정신호

주( 10)

주( )

중단파 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는 비트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비1 200 VHF 20

트일 것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2]

자국의 선박국 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4 [0] 10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조난의 종류를 표시하는 것으로 하여 별표 에 따라 개의 코드번호로 코드화한5 8 1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 (class) B 1 107

- 26 -

조난선박에 위치를 다음과 같이 자리의 숫자로 표시 하는 것으로 별표 에6 10 10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조난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것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99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1)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는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2)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한다

조난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것7 2

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개의 코드번호에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 10 2

를 포함하지않는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88]

계속하여 행하는 통신의 형식을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통신장치가 무선전화 또8

는 협대역직접 인쇄전신장치인 제 를 별표 에 개의 코드번호로1 Telecommand 8 1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방식일 것 (class) B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 일 것(1) 1 [109] [111]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VHF 1 [100]

코드번호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하는 것일 것9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별표 조난경보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선박국의 장치를[ 3] (

제외 )

dot신호

주( 1)

동기신호

주( 2)

For-mat신호

주( 3)

Cate-gory신호

주( 4)

자국의식별신호

주( 5)

Telec-ommand정보신호

주( 6)

조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7)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 8)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 9)

시각정보신호

주( 10)

Tleco-mmand정보신호

주( 11)

종료신호

주( 12)

오 류검 정신 호

주( 13)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6]

별표 의 주 과 같은 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4 1 7 [112]

자국의 해안국 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숫자를5 [0] 10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6 1 [1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일 것7

- 27 -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종류의 정보신호일 것8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일 것9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시각정보신호일 것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정보신호일 것11 Telecommand

코드번호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2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3 1 13

별표 조난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 중계에 대한 응답을 위한[ 4]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dot신호

주(1)

동기신호

주(2)

For-mat신호

주(3)

Addr-ess신 호

주( 4및56)

Cate-gory신 호

주(7)

자국의식별신호

주(8)

Telec-ommand정보신호

주( 9)

조 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10)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11)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12)

시각정보신호

주(13)

Tleco-mmand정보신호

주( 14)

종료신호

주(15)

오류검정신호

주(16)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별표 의 주 과 같다 코드번호 이외의 것으로 한다3 1 3 ( [112] )

신호가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에는 상대국의 식별신호4 Format

로 하고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0] 10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5 Format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6

별표 의 주 과 같은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7 1 7 [112]

별표 이 주 과 같다8 1 8

개의 코드번호 일 것9 1 [112]

수신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 또는 수신한 조난경10

보의 중계의 조난선박국의 식별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종류의 정보11

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선박의 위치12

정보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시각정보일 것13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14 Telecommand

정보신호일 것으로 한다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것으로 하 (class) B

는 것이 가능할 것

- 28 -

중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1) 1 [109] [111]

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2) VHF 1 [100] [101]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코드번호 개별 해안국 앞15 Format [127]

으로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에는 코드번호 로서 별표[122]

의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3

별표 의 주 과 같다16 1 13

별표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대 선택호출신호를 제외한다[ 5] (VHF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Address신 호

주( 4)

Category신호

주( 5)

자국의식별신호

주( 6)

정 보신 호1

주( 7)

정 보신 호2

주( 8)

종 료신 호

주( 9)

오류검정신 호

주( 10)

주( )

비트일 것1 200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20]

상대국의 식별신호로서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이에 계속되는 으로서4 [0]

구성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1 [108]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8

각 개의 코드번호 및 일 것7 1 [118] [126]

개의 코드번호 일 것8 6 [126]

코드번호 또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9 [117] [122] 13

일 것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 29 -

별표 선택호출신호의 단위부호[ 6] 10

는 스페이스주파수 는 마크주파수로 대응하고 비트위치의 에서 송출된다B Y 1

협대역 일때MFHF B=1785 Y=1615

대역 일때VHF B=2100 Y=1300

- 30 -

별표 반복송출의 순서[ 7]

주 기호 는 선택호출신호의 종료신호를 표시하고 기호 는 에서 까( ) H DX RX0 RX7

지가 반복송출되는 선택호출신호의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31 -

별표 코드번호 의 용도[ 8] (100-127)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00 통상업무

화재 또는폭발

또는F3단신G3E

무선전화 이유없음 주( 3)

101 침수 또는F3복신G3E

무선전화 해사교환 센터의혼잡 주( 3)

102 해역호출

충돌 미확정주( 1)

통화중 주( 3)

103 좌초 Polling 대기행렬표시주( 3)

104 의RXO위치의동기신호

경사 및전복의위험

수입불가주( 2)

폐국 주( 3)

105 의RX1위치의동기신호

침몰 호출의 종료주( 4)

의 부재Operator주( 3)

106 의RX2위치의동기신호

선박업무주( 5)

조선불능으로 표류

데이터주( 6)

변복조장치

의Operator일시적 부재 주( 3)

107 의RX3위치의동기신호

기타의조난

미확정주( 1)

장치의 운용불가주( 3)

108 의RX4위치의동기신호

안전 선체의방치

미확정주( 1)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09 의RX5위치의동기신호

J3E 무선전화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10의RX6

위치의동기신호

긴급 조난경보에대한 응답

무력분쟁의당사국이 아닌것을 표시하는선박 및 항공기주( 7)

111 의RX7위치의동기신호

H3E 무선전화 위생수송체 주( 7)

112 조난경보

조난 조난자동통보설비(주 의9)시동

조난경보의중계

공중전화사무소주( 8)

- 32 -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13또는F1B방향오J2B(1

류정정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미확정 주( 1)

114

공통관계를 갖는선단의호출

미확정 주( 1) 미확정 주( 1)

115또는F1B자동재송J2B(

요구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데이터 주( 11)

116모든선박호출

또는F1B J2B수신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2)

11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18 시험 데이타 주( 14)

119또는F1B수신J2B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5)

120개별국의호출

A1A 테이프레코더

데이터 주( 16)

121 선박의 위치 데이타 주( 17)

122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3

개별국의반자동또는자동접속호출

A1A 전건 및핸드셋(Handset)

데이터 주( 18)

124또는F1CF2C

F3C팩시밀리장 데이터 주( 19)

125의DX

위치의동기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6 정보없음 정보없음 주( 20)

12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주( )

앞으로의 사용을 위하여 유보한다1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2 [100] [109] 2 Telecommand

코드번호 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3 [104] 1 Telecommand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 시스템에만 사용한다4

- 33 -

선박의 항해 운항 필수품에 관한 통신과 정부의 기상업무기관으로 보내는 기5

상 관측 통보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6 [115] [124] 2 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을 제외하고 제7 [104][105][106][110][112] [118] 1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의 제 와 조합하여8 [100][101][109][115] [124] 1 Telecommand

사용한다

수색구조용 레이다트랜스폰더를 제외한다9

무선설비규칙의 제 조의 에 정하는 것으로 한다10 69 4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1 (V21)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2 (V22)

앞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1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4 (V2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5 (V2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6 (V1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7 (V26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8 (V27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9 (V32)

코드번호 를 제외하고 제 와 조합하여 사20 [104][110][112] 1 Telecommand

용한다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 코드번호는 중단21 Format

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에서 까지 [102] [124] ([110][112][117]

및 를 제외한다[122] )

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및VHF [100][101][104][105][106][121]

일 것[124]

별표 동기신호의 송출순서[ 9]

주 기호 및 에서 까지가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DX] [RXO] [RX7]

- 34 -

별표 자리 숫자의 코드 변환표[ 10] 10

자리의 숫자10

십억D2

억D1

천만D2

백만D1

십만D2

만D1

천D2

백D1

십D2

일D1

코드5 코드4 코드3 코드2 코드1

주( )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1 1

및 은 자리 숫자의 자리 숫자 에서 까지를 표시하고 각 코드는2 D2 D1 10 2 00 99

그 자리의 십진수를 코드번호로 한다2

숫자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최상위 자리수의 숫자 앞에 을 포함할 것3 0

별표 해역의 표시방법[ 11]

해역의 표시는 다음과 같은 것

선정되는 지리상의 해역은 메르카토르 도법의 직사각형으로 표시할1 (Mercator)

직사각형의 북서를 해역의 기준점으로 할 것2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존재하는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3 1

으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0] [1] [2] [3]

할 것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위도를 표시할 것4 2 3

제 번째에서 제 번째가지의 숫자는 기준점의 경도를 표시할 것5 4 6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남북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6 7 8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동서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7 9 10

표에 표시하는 해역 및 의 표시의 예는 다음과 같을 것8 ab c

기준점이 북위 도 및 서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1) 10 25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20 35 a

1 1 0 0 2 5 2 0 3 5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2) 10 10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10 10 b

2 1 0 0 1 0 1 0 1 0

- 35 -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3) 12 12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4 7 C

2 1 2 0 1 2 0 4 0 7

별표 주파수 및 채널정보의 코드변환표[ 12]

주파수0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주파수를 의 배수로서 숫자의 십100

만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다 1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2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채 널

3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중단파대 또는 단파대의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 다

8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별도로 정한 채널로 한다

9 0 times times times times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18게기하는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천 백 십 및 일의 숫자로 표시한다

십만 만 천 백 십 일

코드3 코드2 코드1

주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 ) 1

- 36 -

별표 종료신호의 송출순서[ 13]

주 기호 가 종료신호를 표시한다( ) H

- 37 -

제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3

제 절 송수신장치1 DSC VHF

시스템 개요1

본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모든기능을 충족하는 일체형과 전화용 복신방식의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호출 및 수신제어장치 로구분된 독립형 으로 구분되며 DSC DSC

이는 외형상의 구분이며 그주요기능별 구성은 각각의 유니트로된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표시 및 제어장치 와 전원부 로 구분되며 이것들은 다시 하나의DSC

케비넷 또는 독립된장치로서 구성된다

시스템 구성2

장비의 개요 및 특징3

가 개요

본 송수신기는 항만내 또는 연안에서 해안국과 선박국 또는 선박국 상호간VHF FM

의 해상이동업무 통신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기로서 이내의 해상156 ~162

이동 무선통신업무용의 전 을 수용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전파관리법 및CHANNEL

등 국제규격에 적합하도록 설계 제작된 기기로서 전세계ITU SOLAS USA USCG

어느곳에서나 규정에알맞게 사용할 수 있는 국제항만 무선전화기용 무선 송수신기

를 제작한다

- 38 -

나 특징

소형 경량화로서 좁은 장소에 설치가 용의하게 되어 있어야 한다(1)

송신각 각 방식을 채용하였으며 국제 항만 무선전화(2) DIRECT SYNTHESIZER

인 를 수용해야 하며 그외 개의CHANNEL 55(114) CHANNEL 105(527) FREE

이 수용되어 있어야 한다CHANNEL(SIMPLEX)

주 국제 중 미국연안에서 단식방식으로 절환 사용되고 있는1 CHANNEL 55(114)

을 사용 할 수 있을것USA CHANNEL(SIMPLEX)

주 별도의 기상수신 을 수용하고 있어야 한다2 WEATHER CHANNEL( )

USA 3 CHANNELS

CANADIAN 1 CHANNEL

OTHERS 5 CHANNELS

원격조정 회로의 내장으로 본기기의 판넬스위치와는 상관없이(3) REMOTE ( ) HAND

만 으로도 판넬 스위치 조작에 필요한 모든기능을 할 수 있고SET CONTROL VHF

의 원근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어야 한다SET

기능이 첨부되어 있어 미국연안 경비대 의 의무 청취(4) DUAL WATCH USCG( )

인 과 의 개의 을 동시에 수신할 수CHANNEL CH 13 CH 16 2 CHANNEL SCANNING

있으며 과 사용자가 선택하는 임의의 을 동시에CHANNEL 16 CHANNEL SCANNING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에 경보신호 기능의 내장으로 비상시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5) CH 16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국제 개 및 을(6) SCAN CHANNEL 55 FREE CHANNEL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SCANNING

안전통신에 지정되어 있는 은 우선 사용할 수 있도록(7) CHANNEL16 1 STEP

로 되어 있어야 한다SWITCH

국제 해상 인명 안전조약 에 정한 규격으로 되어 있어 전세계 어느곳의(8) SOLAS( )

규정에도 적합하며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구 성4

본 기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가 송 수신기 본체 대 1

나 HAND SET 1 SET

다 WHIP ANTENNA 1 SET

라 벽걸이형 SPEAKER 1 SET

마 전원 공급기 1 SET

- 39 -

규 격5

주파수 및 규격은 현재의 통신방식이며 정보통신부의 고시가 발표되면 협대역(125

로 변경한다)

가 일반사항

사용주파수 범위(1)

송 신 156025 ~ 157425 수 신 (SIMPLEX) 156025 ~ 157425 수 신 (DUPLEX) 160625 ~ 162025 기상수신 (WEATHER) 161650 ~ 162550

사용(2) CHANNEL

A International 55 (114) CHANNELSB USA 25 CHANNELSC FREE 105 (527) CHANNELSD WEATHER 9 CHANNELS

USA 3 CHANNELSCANADIAN 1 CHANNELOTHERS 5 CHANNELS

통신 방식(3) SIMPLEX amp DUPLEX

전파의 형식 전화(4) 16KOF3E( G3E DSC F2BG2B)

주파수 편차(5) 0001 (10 PPM)

사용 온도범위 부터(6) -10 + 50

예열 시간 전원 접속후 즉시 사용가능(7)

공칭(8) ANTENNA IMPEDANCE 50 ohm ( )

공급 전원(9)

전 압 136V plusmn 10전 류 수신시 800

송신시 5A전원 공급기 별도( ) 단상AC115V AC220V 60

부터 까지DC 15V 35V

나 송 신 부

정격 출력(1) HIGH -25 W

LOW - 1W

주 공중선 전력 저하장치로 이하 저하기능 보유1 1WATT주 단 보호 인 및 가 아님 은 송신이2 CHANNEL 7576 1 ~9(01 ~09 )CHANNEL되지 않음 기상수신대의 사용법은 본문 참조 ( )

- 40 -

발진 방식(2) SYNTHESIZER CONTROL SYSTEM

변조 방식(3) FREQUENCY MODULATION

점유 주파수 대역폭(4) 16 (8)

최대 주파수 편의(5) 5 (25)

복사강도 이상(6) SPURIOUS 70

변조 주파수 특성(7) 6 (plusmn 3 ) OCTAVE PRE-EMPHASIS)

(300 ~ 3 )

변조시 이하(8) DISTORTION 1 70 -20

신호 대 잡음비 변조시 이상(9) 1 70 40

저역 여파기 특성 이상에서 이상 감쇄(10) 3 -40log f3( ) (f = )

다 수 신 부

수 신 방 식(1) DOUBLE SUPERHETERODYNE SYSTEM

감 도(2) 이하 신호 대 잡음비 에서 025 V ( 20 )μ

감도(3) SQUELCH 이하 02 Vμ

국부 발진 주파수(4) 1lsquost LOCAL FREQUENCY

RECEIVER FREQUENCY - 214

2nd LOCAL FREQUENCY 10945

중간 주파수(5) 1lsquost IF FREQUENCY 214

2nd IF FREQUENCY 455

선 택 도(6) 저하폭 이상 6 12 (6)

저하폭 이하 70 25 (125)

(7) SPURIOUS RESPONCE 이상 70

감도 억압 효과(8) 이상 80

상호 변조 특성(9) 이상 65 ( 20 40 )

주파수 특성(10) 6 (plusmn3 )OCTAVE DE-EMPHASIS)

( 300 ~ 3 )

신호 대 잡음비(11) 변조시 이상 1 60 40

(12) DISTORTION 변조시 이하 1 70 -20

저주파 출력(13) 이상 1 WATT (IMPEDANCE 8 ohm)

- 41 -

제 절 차년도 개발 범위2 1

제 차년도 개발범위는 기초자료조사와 규정의 연구에 따라 기초회로의 설계 후1

사용부품을 시험하고 각 의 제작 및 시험 연이은 성능미달 의 차 차PCB PCB 2 3

차 재제작 시험을 완료하고 시스템의 설계까지이며 그 세부적인 개발범위는 다음4

과 같다

송수신장치 개발을 위한 제규정 수집 연구1 DSC VHF

기초자료 조사2

가 장비에 대한 기능특성 수집 연구

나 사용자 및 선박통신사의 요구사항에 대한 자료 수집 연구

다 외국장비와 비교 분석

라 부품규격 시험 및 선정

3 HARD WARE

가 고주파 필터코일 재질분석 및 각종코일 설계

나 제작 PCB

송신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1) PCB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시험(2) PCB

수신부회로 제작 시험(3) PCB

신세사이즈 회로 제작 시험(4) PCB

제어장치 제작 시험(5) PCB

표시장치 제작 시험(6) PCB

원격제어기 제작 시험(7) PCB

전원공급부 제작 시험(8) PCB

제작 시험(9) HAND SET PCB

전용수신기 제작 시험(10) DSC PCB

- 42 -

제 장 제 차년도 개발 항목 보고4 1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본 장비를 개발함에 있어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및 부품선정이 개발의 핵심 과제

로 생각하였다

기초자료는 기존 시스템분석과 전파관련법령을 기초하였고 주변회로는 관련된 회

로집을 분석하였으며 부품선정은 폐품종 여부와 수급이 용이하면서 견고하고 증폭

도 및 성능이 우수한 품종으로 장시간 시험을 거쳐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송신부 제작시험2

송신 출력회로 결정 회로설계 완료하여 각부 부품 구입 회 내구성 시험 및SPEC 30

구룹별 장시간 부품 부하 시험등 최종목표 성능을 확보하기위한 제반 기초 제작시

험을 완료 하였으며 주요 내용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의 발열상태등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의 높은 출력으로 증폭하는 송신전(VHF ) 25W

력 증폭기로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높은 고주파전력에 견딜수있어야 하고 열

에의해 발생되는 열잡음이 적으야하며 열에의한 부품의 열화 및 특성의 변화가 적

은 부품을 사용여야 하므로 온습도시험 과 과출력 시험을 통하여 사용될 부품을 시

험하였다

특히 고조파 필터회로 부품인 코일은 동선에 전도율이 좋은 재질로 도금하여 사용

하여야 하며 고조파필터회로 의 차폐용 재료도 동판에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도금

하여 사용 하여야 한다

나 송신 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PCB (PCB NO V-097)

개발과정에서의 설계변경 및 생산시스템의 전산화 에 적용 할수있도록 회로 설계는

물론 설계 회로기판 도안 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설계완료된 는PCB ( ) CAD DATA

회로기판 제작장치 외주 작업 및 부품삽입기 자사 작업 에 직접 컴퓨터용 디스켙( ) ( ) (

으로 입력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회로에 높은 고주파전류가 흐르므로인하여 빌진할 가능성 및 잡음발생의 우려PCB

가 많으므로 특히 부품배치에 유의하여 설계하였으며 송신신호 발생회로 또는 전원

회로 와의 배선은 관통형콘덴서등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였다

회로에 사용되는 코일은 각 코일간에 간섭을 줄이기위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설정하

였으며 전체를 차폐하고 또 고조파 필터회로를 구분하여 차폐하여 제작 하였PCB

- 43 -

또 안정된 출력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회로를 장치하여 설정된 출력 이상의ALC

출력을 제한한다

다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PCB (PCB NO V-096TX)

설계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이 는 미약한 고주파 신호를 발생 변PCB CAD PCB

환 증폭 하므로서 송신부 또는 외부로 부터의 잡음 유입과 내부잡음 발생에 유의

하여 설계되었으며 불요복사 억제에 유의하였다

라 성능시험

메칭상태 시험(1)

옴 파장 수직형 안테나 를 사용할수 있도록 시험하였으며 차적인 시험은 의50 12 1

사부하에 의해 시험하고 의사부하 안테나에 정상적인 메칭이 된 후 실제 사용 안테

나에 확인시험 하였다

이 시험에서 양질의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장치는 물론 안테나의 성능이 중

요하며 인접한 고전력 안테나 및 낙뢰로부터 안정성 등을 감안하여 안테나는 VHF

대역 이하의 주파수에 대하여 쇼트형 안테나가 바람직 하다

기존 시스템의 이상의 성능 확보(2) 90

송신부의 주기능으로서 양질의전파를 안테나로 공중에 발사하는 장치로서 주피수안

정도 고조파억압 불효전파억제 안정된전력 안정된 주파수편이 낮은 왜율 등의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시험결과는 기존의 제품의 특성에 가까운 성능을 확보

하였으나 안테나공용기 복신통신용 필터 특성의 개선및 송신부 관련부품의 배치를( )

개선하므로서 보다 좋은 성능을 확보 할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신부 제작시험3

수신부는 안테나입력회로 입력동조회로 단신통신 및 복신통신 각 주파수 대역 필 (

터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로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 1 1 2 2

로 대역필터회로 신호제한 리미터 회로 복조회로 무신호잡음 차단 회로 저주 ( ) FM

파 증폭회로 및 국부발진회로 로서 구성되나 국부발진회로는 잡음의 발생및 유입

주파수안정도 등을 감안하여 별도의 로서 제작하였으며 그외 수신부와 관련한PCB

내용은 다음과 같다

- 44 -

가 사용부품의 구입 및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증폭과 변환을 반복하여 요구되는 신호(VHF )

를 복조하여 기청음 또는 의 문자표시로 출력되게 하므로서 안정된 주파수 및DSC

증폭이 요구되므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당연히 고주파특성에 유의하여 주파수

차에의한 특성변화 열잡음 및 고주파잡음 능동소자등의 직선성 등이 교려되어야하

므로 항온항습시험과 과전류에의한 잡음발생의 시험 등 을 거처 엄선한 부품으로

설정사용 하였다

특히 회로의 선택도 코알의 값 를 높이기 위하여 가 높은 트랜스 재료를 사용하( Q ) Q

였다

다 수신부회로 제작 PCB (PCB NO V-096RX)

위 항에서의 시험에 의해 선택된 부품을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며 수신부의 특성31

상 잡음의 발생보다는 잡음의 유입에 유의하여 설계되었으며 안정된 증폭 특성 수(

신감도 을 얻기위하여 중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회로기판은 에폭시) 2

수지 양면인쇄동판을 사용하여 부품삽입면은 대부분 공통단자로 이용하여 부품간의

간섭을최소화 하였다

다 수신부 특성시험

수신부 특성상 수신감도 주파수안정도 왜율 통과대역폭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감도억압비 혼변조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신호대 잡음비 일 때의 수신감 20

도 성능이 확보되며 기타 여러 가지 특성도 최종목표 특성에 가까운 성능이05

확보 되었으나 까지 수신감도가 향상되도록 성능개선이 요구된다025 V 120757

신세사이즈부의 회로의 안정도로 인하여 국부발진 신호의 흔들림현상이 있어VCO

통과대역폭 및 잡음발생의 원인이되어 신세사이즈회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신세시이즈회로는 크게 수신국부발진 신호용과 송신신호용으로 구분되며 단신통신

과 복신통신방식일때 각각 동작할수있는 구성으로 설계되었으며 그 내용별로 구분

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전압제어발진기 에 사용되는 부품은 온도 및 전압변동에 특성의변화가 극히(VCO)

적어야하며 외부로부터 정전 및 자계영향이 크므로 회로를 별도로 정전 및 자VCO

계로부터 차폐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혼변조 및 잡음신호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파수선택 표준신호 등 시 수신( )

대역 및 송신대역에 영향이 없는 주파수로 하였으며 가능한 레벨을 제외한 신(TTL

호 파형의 왜율이 적은신호로서 각회로신호를 사용하여 결합하였다)

- 45 -

나 신세사이회로 제작 (PCB NO V-096PLL)

이회로 기판은 여러종류의 신호들이 발생 혼합 증폭 비교 되므로 각부품 간의 배

치에따라 잡음발생의 정도가 크게 좌우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였으며 회로는 외VCO

부영향에 민감하게 작동되므로 차폐 에 유의하여 부품의 배치 적절하게 하였으며

잡음발생을 유의하여 부품을 선정하였다

다 성능시험

이회로의 특성상 주파수안정도 주파수의 흔들림 위상비교기의 비교속도 등에 유의

하여 시험하였으며 여러가지 일반적인 특성은 최종목표사양에 만족될 수 있는 신호

원을 공급할수 있었어나 주파수의 흔들림 현상이 있어 회로의 부품 및 차폐에VCO

개선이 요구된다

제어장치 제작시험5 (PCB NO V-263)

이회로의 주요부품으로서 를 사용하여 당개발과제의 송수신 및 외부V25 CPU DSC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며 아울러 본체 전면표시기와 스윗치 입출력 기능도 한다

이회로의 주요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스 읽기전용 메모리 읽고CPU( ) ROM( ) RAM(

쓰기 메모리 직렬통신용 입출력 병렬통신 입출력 아날로그 디지) SIO( ) PIO( ) AD(

탈 변환기 스윗치입력 표시기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개발 내용은 다음과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에 사용되는 부품은 대부분 디지탈신호를 처리하여 회로로서 및TTL IC

로서 구성되며 저소비전력 및 고속처리능력이 요구되므로 주로 고속용C-MOS IC

중 형 를 사용 하였으며 장치의 초기설정 및 기능 설정의C-MOS(C-MOS IC HC )

변경등 의 목적으로 은 충전형 밧테리로서 메모리내용을 전원의 에 관RAM ONOFF

계없이 유지하도록 하였다

외부 제어기 등 와의 통신용 의 통신속도를 또는 등으로(DSC ) RS-232C 2400 4800

변경 설정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변환기 등을 이용하여 자기진단을 할수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장비의 유지및AD

보수에 많은 도움이된다

- 46 -

나 성능시험

운용시험(1)

이회로의 특성상 전기적 특성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특성 및 성능이 요구되므로 운

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이부분에 대한 시험은 개발자입

장이 아닌 운용자가 시험하여야 하는 관계로 선박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사용자에게

의뢰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로서는 기능면에서는 양호하나 사용상 복잡한 면이 있어 보다 조작 을 간편

히 할수있도록 개선할 필요가있는 것으로 본다

표시장치 시험(2) (PCB NO V-260)

본장치의 사용상 필요한 기능 및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내용과 기기 동작

상태의 일치성이 요구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온습도 및 장기시험 으

로서 확인하였으며 여러 가지 표시장치중 각각 중단점이 나타낮다

즉 액정 표시기 표시기는 저소비전력이며 주위가 밝은곳에서 사용이 가능 하LCD( )

나 반면 온도특성이 나쁘며 형광표시관 표시기는 온도특성은 양호하나 소비전 VFD( )

력이 대체로 높고 보다 낮고 보다 많음 수명이 낮다는 단점이있으며(FND LCD )

발광 다이오드 표시기는 모든면에서 대체로 양호 하나 잡음발생 이많으며 밝FND( )

은곳에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외 여러 가지의 장담점을 검토하여 차적인 결론은 표시기가 적합한 것으로1 LCD

본다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최소의 전기적신호 연결로서 최대의 기능제어및 속도가 요구되는 장치로서 저주파

신호의 입력 마이크 신호 및 출력 스피크 신호 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 제어는( FS ) ( )

직렬통신 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였으며 장거리 일반 공용통신망 을 이(RS-232C)

용할수도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요 구성은 중앙제어장치 스윗치입력 장치 표시장치 메모리장치 직렬통신장치

로 구성되며 그 상세한 개발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의 대부분이 디지탈신호의 처리회로로서 구성되므로 제어장치 의 사용 부품ldquo rdquo

시험 및 선정기준과 같으며 장거리운용상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신속도를

알맞게하며 장거리통신 선로에서 유기되는 잡음을 최소화 하기위한 필터회로 및

소프트웨어적인 오류정정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별도 설계 사용 하였다

- 47 -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V-170)

이장치는 사용상 편리하여야 하므로 소형 경량 으로 제작 하였으며 차적 기능 시 1

험을 목적으로 외형 보다는 성능을 우선하여 시험용으로 제작하였다 이장치의 시

험은 전용케이블 을 이용하여 시험하였고 또 일반 공용통신용 전화 선로를 통하여

원거리 시험을 하였으며 그결과로서 통신속도가 까지 양호하게 동작되나2400bps

그이상의 통신속도로서 운용 할려면 전용회선이 필요하게된다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가 결정 SPEC

각회로 에서 필요로하는 전압 및 전류에 알맞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반 성능

을 차적으로 설정 하였으며 최종목표 사양에 일치하기위하여서는 전원부의 장치에1

대하여 모든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최종 특성이 설정 되어야 한다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P-099)

이장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되나 반면에 안정성이 확고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안

정성을 첫째로 중요시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이회로는 많은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많은 전력이 열로서 손실되므로 방열에 특히 유의하여 제작되었으며 열발생이 많은

부품은 알미늄 방열판에 설치하고 이방열판은 본장치 외함의 바깥쪽에 설치하여 방

열효과를 최대화 하였다

이회로의 시험은 과입력전압 및 과소비전력 일때의 안정성에 중점 시험하였고 그시

험을 위하여 장시간 항온 항습기 를 이용하여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전원부의 안정

성 확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도 이회로를 특별히 개선하지 않고도 최

종목표 사양에 만족하리라 본다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PCB NO V-098)

마이크 회로 수화기 회로 송신 스윗치 회로 로서 구성되며 이장치는 사용 특성상

충격에 강하도록 설계제작 되어야 하며 무게는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재료선택이

중요하며 이러한점을 감안하여 사출금형에 의하여 성형 하였으며 성형 제료로서는

제료를 사용하고 사용 부품을 최소화 하여 제작 하였다ABS

이장치의 특성상 견고하며 방수효과가 최대이어야 하므로 충격 자연낙하 시험 및( )

방수시험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 성형제료 및 외형상의 문제는 없이나

송화기 및 수화기의 선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송화기는 콘텐서형

마이크가 좋으며 수화기로는 가변코일형으로서 떨림판이 평면으로된 수화기가 우수

한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선정하여 제작시험 하였다

- 48 -

전용 수신기9 DSC (PCB NO T-342)

전용수신 장치는 송수신장치중 송신부를 제외한 구조와 유사하므로 개발과정에서

송수신장치중 수신부회로에 복조장치 를 추가하여 별도 로 제작하여 시험DSC PCB

하였으며 개발내용중 전용수신기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DSC

가 기능 및 동작

변조되어 수신된 신호를 필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후 신호 처리용FM DSC DSC

마이크로프로세스 에 공급하여 소프트웨어로서 신호를 분석한후 표시장치 메(CPU)

모리장치 인쇄장치 등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전용 찬넬인 번 찬넬을 항상 DSC 70

수신상태로 동작하여 신호 도트신호 를 검출하고 신호가 있으면 이어서CALL ( ) CALL

수신되는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표시장치 및 경보장치에 출력한다

나 신호 신호 필터회로 와 신호 처리부 및 제어용회로부 DSC (FS ) DSC DSC

제작시험 (PCB NO T-325 T-326 T-327)

이 회로의 성능은 주로 필터 및 디지탈변환 회로에서 결정되며 소프트웨어의 성능

에 따라 안정성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점을 유의하여 설계제작 하여으며 성능 시험

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험용 정보를 송신장치로 통해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후 그

결과를 분석 시험 하였다

다 전용 수신기의 개발과정 에서의 학보된 기술 DSC

신호 및 의 신호 의 필터 및 디지털 변환 기술DSC (1300 2100 FS )

신호 검출 및 직렬신호의 병렬변환 소프트웨어DOT

기술 정보의 비교 및 인쇄출력 소프트웨어 기술

종합시험10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별 차 차 차 보완시험은 만족하며 앞으로 개발의 중점은 사용의 편리성과PCB 1 2 3

생산성에 중점 개발이 요하며 배치에 따라 야기될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 PCB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후 최종제품을 제작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49 -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1

가 전면판 사출금형

나 옆판 스피커 안테나 금형

다 노브 사출금형

라 윗면 및 밑면 프레스 금형

마 설치용 고정장치 사출 금형

바 설치대 프레스 금형

사 뒷면 작업용 프레스 금형

아 항온조용 열차단금형

자 필타 금형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2

가 송수신기 제어장치 프로그램

나 전용 수신기 제어용 프로그램 DSC

다 원격조정기 프로그램

라 송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마 수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3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12: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12 -

Vibration 1 to 125 32 15min

125 to 25 076 15min

25 to 50 02 15min

Dry heat cycle +55 2hr

Dump heat cycle +40 93RH10hr

Low temp cycle -15 2hr (after maintaining at -25 for

10 hr)

Temperature 0 to +40

range for full

performane

Operating -15 to +55

temperature

range

Storage -25 to +65

temperature

range

Dimensions 290(H) times 240(W) times 145(D)

(excluding protrusions)

Weight Approximately 7

나 Transmitter Unit

Output power 25W

Reduced outpur power 01 to 1W

Oscillation method Frequency synthesizer

Modulation method Frequency modulation

Occupied bandwidth Within 16

Maximum plusmn5

frequency deviation

Microphone input 600Ω(balanced)

Standard

modulation input -53 m

Frequency

characteristics 6 oct +1-3

Overall distortion 10 or less

Signal-to-noise ratio 40 or more

- 13 -

Spurious emission 25 W or less120757DSC data rate 1200baud plusmn30 times 10-6

modulation method FSK

modulation index 2 plusmn10

Mark signal(Y) 1300 plusmn 10

Space signal(B) 2100 plusmn 10

다 Receiver Unit

Receiving system Double super heterodyne

Intermediate frequency 1st IF 214

2nd IF 455

Local oscillation method Frequency synthesizer

Sensitivity 2 V or less120757Sensitivity(DSC)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the input

level of 0 120757Squelch sensitivity 1 V or less120757Selectivity 12 or more at 6 bandwidth

within 25 with a selectivity of 70

Spurious response 80 or more

Spurious response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DSC)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73 120757

Blocking 90 or more

Blocking(DSC)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μ

level of 93 120757Intermodulation 70 or more

Intermodulation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DSC)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68 120757

Overall distortion 10 or less

Signal-to-noise ratio 40 or more

Rated audio output 2W(4Ω)

External speaker 0 m 600 Ω

output level

- 14 -

Frequency 6 oct +1 -3

characteristics

Radiation 1 nW or less

2 Power Supply Unit

Input voltage AC 100V to 120V (5060 ) or AC 200V to

240V (5060 ) and DC 24V (DC 216 to

312V)

Power consumption AC 100V 2A max(main unit)

AC 220V 1A max(main unit)

DC 24V 55A max(main unit)

Input switching Automatically switched to AC mode during

normal operation and to DC mode when AC

power failure

Output Voltage DC 138V plusmn10

Environmental Same as JHS-31 main unit

test conditions

Dimensions 300(H) times 240(W) times 145(D)

(excluding protrusions)

Weight Approximately 65

3 Remote Controller

Operating and Same as JHS-31 main unit

control items

Display items Same as JHS-31 main unit

Power supply DC 138V plusmn10 supplied from

NQD-1469 power supply unit

Environmental test Same as JHS-31 main unit

conditions

Dimensions 290(H) times 240(W) times 80(D)

excluding protrusions)

Weight Approximately 35

- 15 -

4 DSC Watchkeeping Receiver

가 General Specifications

Operation frequency 156525 (CH 70)

Reception mode G2BF2B

Antenna impedance 50Ω nominal unbalanced

DSC AF signal output 0 m plusmn10 (600 Ω balanced)

Self diagnostics Provided with receiver

overall testing functions

Dimmer 4-step control for dimming illuminations

incl extinction

Environmental test Same as JHS-31 main unit

conditions

Warm-up period 30 sec

Dimensions 145(H) times 140(W) times 145(D)

excluding protuberances

Weight approx 15

Power supply 138 VDC plusmn10

Power consumption 10 W or less

나 Receiver

Receiving system Double superheterodyne

Local OSC Crystal controlled

Frequency accuracy Within plusmn10 times 10

Intermediate frequency 1st IF 208

2nd IF 455

Sensitivity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the input

level of 0 μ

Selectivity 6 bandwidth 12 or more

70 bandwidth 25

Adjacent CH selectivity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μ

level of 73 120757(wanted signal frequency plusmn25 )

- 16 -

Spurious response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73 with application of unwanted120757signals in range of 9 to 2

Blocking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93 with application of unwanted120757signals apart plusmn1 to plusmn10 from the

wanted signal

Intermodulation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68 with application of two120757unwanted signals of plusmn25 and plusmn50

simultaneously

Co-channel rejection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ratio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μ

level of -5 120757De-emphasis -6 (+1 -3 ) octave

characteristic 300 +105 (+1 -3 )

3 -95 (+1 -3 )

at reference frequency of 1

Amplitude characteristic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receiver

of receiver limiter input level of 0 to 100 120757 120757Noise and hum -40 or better

Harmonic distortion -20 or better

Spurious emission 1nW of less

5 Guard Receiver

Receiving mode Simultaneous reception of any two channels

selected from ITUUSA channels

Receiving channels Up to 57 channels

Channel spacing 25

Mode of reeption G3E(F3E)

Frequency accuracy Wighin plusmn10 times 10-6

- 17 -

Receiving system Double super heterodyne

Intermediate frequency 1st IF 214

2nd IF 455

Local oscillation method Frequency synthesizer

Sensitivity 2 V or less120757Squelch sensitivity 1 V or less120757Selectivity 12 or more at 6 bandwidth

within 25 with a selectivity of 70

Spurious response 70 or more

Blocking 90 or more

Intermodulaltion 70 or more

Overall distortion 10 or less

Signal-to-noise ratio 40 or more

Rated audio output 2W(4 )Ω

Frequency

characteristics 6 oct +1 -3

Antenna input 50 unbalancedΩ

impedance

Temperature range 0 to +40

for full performance

Operating -15 to +55

temperature range

Storage -25 to +65

temperature range

Power supply voltage DC 138V plusmn10

(supplied from the NQD-1469 power supply

unit)

Dimensions 290(H) times 140(W) times 145(D)

Weight Approximately 25

- 18 -

제 절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2 DSC VHF

디지틀선택호출장치의 조건1

가 점검 및 보수를 쉽게 할수 있을것

나 전원공급후 분이내에 작동할 수 있을 것 1

다 의 주파수를 쉽게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 것 156525

라 초이내에 송신과 수신을 전환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 것 03

마 이상의 제어기를 갖는 경우에는 의 제어기에 우선권이 주어지는 동시에 다 2 1

른 제어기의 사용상태를 표시하는 기능이 있을 것

바 전원전압이 정격전압의 퍼센트이내에서 변동된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 (plusmn)10

할 수 있을것

사 통상 발생하는 온도 및 습도의 변화 진동 또는 충격이 있는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수있을것

선택호출장치의 선택호출신호의 조건2

가 마크주파수는 이고 스페이스주파수는 일것 이 경우 허용편차 1300 2100

는 각각 로 한다10

나 신호전송속도는 매초 비트일것 이 경우 허용편차는 만분의 으로 1200 100 30

한다

다 시간다이버시티의 시간간격은 초일것 003

송신장치의 조건3

가 공중선전력 와트 이상일 것 6

나 전파의 변조지수 허용편차는 로 한다 F2B 2( 02 )

다 감도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자 1

율이 퍼센트이하일 것1

라 실효선택도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1) 14

상태에서 중간 주파수로부터 희망파의 배의 주파수 희망파주파수의 이3 ( (plusmn)375

내의 주파수를 제외한다 까지 수신기입력전압 밀리 볼트의 무변조 방해파를 인) 447

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1

- 19 -

감도억압효과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2) 14

의 정현파에 의하여 주파수 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기입력전압400 3 44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인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이하일1

마 상호변조특성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 14

희망파 보다 떨어진 수신기 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와 희망파25 25

보다 떨어진 의 정현파에 의한 주파수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50 400 3

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25 1

디지틀선택호출전용수신기 의 조건4

가 통신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통신의 수신기능외에 통신의 내용을 볼 수있도록 하

는 기능이 있을것

나 조난통신 또는 긴급통신을 수신한 경우에는 수동으로만 정지시킬 수 있는 특별

경보기능이 있을것

다 수신한 조난통신의 내용을 즉시 인쇄하거나 개이상의 조난통신을 기억할 수 20

있어야 하되 기억한 내용을 일정시간 보존할 수 있을것

라 본체의 보이는 곳에 수신주파수를 표시할 것

마 전원공급후 분이내에 작동할 수 있을것 1

바 전원전압이 정격전압의 퍼센트이내에서 변동된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plusmn)10

수 있을 것

사 통상 발생하는 온도 및 습도의 변화 진동 또는 충격이 있는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수 있을것

아 감도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자율 1

이 퍼센트 이하일 것1

자 실효선택도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1) 14

상태에서 중간 주파수로부터 희망파의 배의 주파수 희망파주파수의 이내3 ( (plusmn)375

의 주파수를 제외한다 까지 수신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를 인접) 447

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1

- 20 -

감도억압효과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2) 14

의 정현파에 의하여 주파수 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기입력전압400 3 44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인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1

차 상호변조특성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 14

희망파 보다 떨어진 수신기 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와 희망파25 25

보다 떨어진 의 정현파에 의한 주파수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50 400 3

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25 1

- 21 -

제 절 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3 DSC VHF

일반적 조건1

가 취급이 용이한 것일 것

나 에서 까지의 숫자 입력판을 갖는 경우에는 그 숫자의 배열은 국제전신전화자 0 9

문위원회의 권고 에 의한 것일 것E161

공중선의 단선 또는 공중선 단자의 단락으로부터 보호수단을 가질 것

과전류 과전압 전원의 과도변동 및 전원극성의 우발적인 반전으로부터 보호수단이

있는 것일 것

노출된 금속부분은 접지하는 것이 가능할 것

전원단자는 접지되어 있지 않을 것

전원 볼트를 초가하는 전기 고주파의 것을 제외 를 통하는 도전부는 용이하게 노55 ( )

출이 되지 않도록 다음의 어느 조건에도 적합한 차폐체를 갖고 있는 것일 것

차폐체를 개방한 때는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되는 구조일 것(1)

차폐체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공구를 필요로 하는 구조이고 또는 고전압에 대한(2)

주의사항이 표시되어 있을 것

다 통상의 설치된 상태에서 제조자명 형식명 및 제조번호가 명확하게 판독 가능하

도록 외부에 표시되어 있을 것

라 장치의 일부를 가열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급전후 분이내에 일정온도에 달하 30

는 것일 것

다만 가열회로에 공급하는 전력은 다른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치단에 의해

절단되지 아니할 것

마 전원공급후 송신장치의 일정분에 전압의 공급을 지연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는 그 지연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것

디지틀선택호출장치의 조건2

선박의 위치 및 위치를 결정한 시각의 자동입력 기능을 갖는 경우에는 동기능의

고장이 장치의 다른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

가 선택호출 신호의 구성

조난경보등 조난경보 조난경보에 대한 응답 조난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1) (

중계에 대한 응답을 말한다 이하 같다 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및 무선설비의 기기 )

의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이하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이외의 선택( ldquo rdquo )

호출신호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1

- 22 -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2) 2

조난 경보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 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3) 3

일 것

조난 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 중계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4)

성을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4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5) 5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오류검정부호를 제외한다 에 사용하는 단위 부호는(6) (dot ) 10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6

나 선택호출신호의 송출조건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오류검정부호를 제외한다 의 송출은 최초의 송출과 반(1) (dot )

복송출과의 사이에 개의 코드가 놓아진 방식일 것4 Time Diversity

선택호출신호의 반복송출은 다음과 같은 것일 것(2)

가 조난경보를 연속하여 송출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조난 경보를 최후의 신호와( )

다음에 송출되는 조난경보의 신호와의 사이를 가격없이 송출가능한 것일 것dot

나 디지탈선택호출통신망을 위한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호출( )

또는 응답의 선택호출 신호의 경우는 별표 에 따라서 회를 초과하지 않는 회수를7 4

반복하여 송출가능할 것

다 가 및 나 이외의 경우는 반복하여 송출이 가능하지 않는 것일 것( ) ( ) ( )

다 선택호출신호의 수신조건

조별 의 장치는 제 호에 규정한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1) (class) A 2

읽어냄이 가능할 것

조별 의 장치는 다음의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표시하는(2) (class) B

것이 가능할 것

가 제 호에 규정하는 선택호출신호중 종별 의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것( ) 2 (class) B

나 포맷 신호가 해역호출인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것( ) (format)

다 제 가 수신되지 아니할 것( ) 1 Telecommand

해안국의 장치는 제 호에 규정하는 선택호출신호 해안국의 장치의 것을 제외(3) 2 (

한다 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읽어냄이 가능할 것)

- 23 -

별표 선택호출신호 조난경보등을 위한 것 및 시험을 위한 것은 제외한다 의[ 1] ( )

구성

dot신 호

동 기신 호

Format신 호

Address신 호

Category신 호

자국의식별신호

정 보신호1

정 보신호2

정 보신호3

종료신호

오류검정신호

주( 1) 주( 2) 주( 3) 주( 45및6)

주( 7) 주( 8) 주( 9) 주( 10) 주( 11) 주( 12) 주( 13)

주( )

중단파대 및 단파대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하는 장치의 선1

택호출신호 이하 중단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에 있어서 선박국을 호출하( ldquo rdquo )

기 위한 선박호출신호의 경우는 비트 선박국에서 해안국으로 호출 및 응답하기200

위한 선택호출신호 및 국제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 계기하는 주파수18

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 하는 장치의 선택호출신호 이하 대 선택( ldquoVHF

호출신호 라 한다 의 경우는 비트일 것rdquo ) 20

표 에 나타내는 코드번호를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하는 것일 것2 8 9

호출의 종류를 나타냄에 있어서 다음의 장치마다 별표 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3 8

류를 표시하는 개의 동일 코드번호일 것2

종별 의 장치 선박국의 장치에서 별표 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류를 사용(1) (class)A ( 8

가능한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

종별 의 장치 선박국의 장치에 있어서 동표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류 중(2) (class) B (

해역호출 및 공통관계를 갖는 선단의 호출을 제외한 것의 사용이 가능한 것을 말한

다 이하 같다 )

해안국의 장치 동표에 게기한 호출의 종류중 조난경보 및 개별국의 반자동 또(3) (

는 자동접속호출을 제외한 것의 사용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

신호가 조난경보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는 상대국 식별4 Format

신호로 하여 선박국식별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 구성되는[0]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신호가 조난경보 또는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선택호출에 있어서는 사용5 Format

하지 않을 것

신호가 해역호출의 경우 종별 의 장치는 제외한다 는 별표 에 따라서6 Format ( B ) 11

해역을 자리 의 숫자를 표시하고 별표 에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통보의 우선순위 또는 종류 신호가 모든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통상업무7 (Format

및 선박업무를 제외한다 를 별표 에 따라 개의 코드번호에 코드화한 것일 것 다) 8 1

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 선박업무를 제외한 것으로 하고 또한 신 (class) B Format

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통상업무를 제외한 것일 것

- 24 -

자국의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8 [0]

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제 및 제 의 정보로 하여 별표 에 따라서 각각 개의 코드번9 1 2 Telecommand 8 1

호에 코드화한 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제 (class) B 1

를 다음과 같이하고 제 코드번호가 일 것Telecommand 2 Telecommand [126]

중단파대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하는 장치의 선택호출신호 이하(1) (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는 신호가 개별국의 호출일때에는 코드번ldquo rdquo ) Format

호 또는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일[119] [111] [118] Format

때에는 코드번호 또는 일 것[109] [111] [111]

선택호출신호는 신호가 개별국의 호출일 때에는 코드번호(2) VHF Format [100]

또는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일 때에는 코드번호[101] Format

또는 일 것[100] [101] [105]

다음의 방식일 것10

호출에 이어 계속 통신에 사용하는 송신 및 수신을 위한 주파수 또는 채널을(1)

나타내는 선택호출신호는 송신파 및 수신파의 순으로 별표 에 코드화한 것일 것12

다만 주파수 또는 채널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송신파 또는 수신파마다에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126]

선박의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선택호출신호는 코드번호 및 다음에 의거 표(2) [55]

시되는 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 자리숫자를 별표 에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가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가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나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부터 제 번째까지의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표시한다

제 가 선박의 위치인 호출에 대한 응답 이하 선박위치응답 이라(3) 1 Telecommand ( ldquo rdquo

한다 을 위한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의 가 및 나 에 의해 표시하는 선박의) (2) ldquo rdquo ldquo rdquo

위치를 나타내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코드화한 것 및 그것에 계속코드번호10 10

일 것[126]

에서 이외의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4) (1) (3) 6 [126]

선박위치응답의 경우 종별 의 장치를 제외한다 및 신호가 개별11 ( (class)B ) Format

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에만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각각 다음의 방

식일 것

선박위치응답의 경우는 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 국제표준시로 한다 이하 같(1) (

다 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2 10

개의 코드번호로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는 개2 2

의 코드번호 일 것[88]

- 25 -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는 아날로그 전화용(2) Format

설비와 접속하기 위한 번호 이하 전화번호 라 한다 등의 네트워크번호를 표시하는( ldquo rdquo )

것으로 하고

네트워크번호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코드번호를 짝수의 경우는 코드번호[105]

과 네트워크를 별표 에 준하여 개부터 개까지의 수의 코드번호로 코드화[106] 10 2 9

한 것일 것

응답을 필요로 하는 호출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응답12 [117]

을 위한 선택 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및 이외의 경우는 코드번호[122] [127]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 다만 신호가 모13 Format

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 코드번호 일 것[127]

오류검정부호는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정보비트 및 제 번째에서 제13 1 7 8

번째까지의 검정비트로부터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생성되는 각 비트10

의 및 이 각각 별표 에 표시하는 및 에 대응하는 단위 부호로[0] [1] 6 [B] [Y] 10

하여서 송출되는 것일 것

정보비트의 각 비트는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동기신호를 제외한다 의 모든(1) (dot )

코드번호 신호 및 종료신호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로 한다 에 대응하(Format 1 )

는 부호의 비트 위치마다 최하위 비트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다만 를 를 B 0 Y 1

로해서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검정비트는 정보비트의 의 수를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B 2

별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해안국의 장치는 제외한다[ 2 ] (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자국 의식별신호

주( 4)

조난종류 의정보신호

주( 5)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

주( 6)

시각정보신호

주( 7)

Tele-command정보 신호

주( 8)

종료신호

주( 9)

오류검정신호

주( 10)

주( )

중단파 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는 비트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비1 200 VHF 20

트일 것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2]

자국의 선박국 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4 [0] 10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조난의 종류를 표시하는 것으로 하여 별표 에 따라 개의 코드번호로 코드화한5 8 1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 (class) B 1 107

- 26 -

조난선박에 위치를 다음과 같이 자리의 숫자로 표시 하는 것으로 별표 에6 10 10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조난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것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99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1)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는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2)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한다

조난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것7 2

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개의 코드번호에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 10 2

를 포함하지않는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88]

계속하여 행하는 통신의 형식을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통신장치가 무선전화 또8

는 협대역직접 인쇄전신장치인 제 를 별표 에 개의 코드번호로1 Telecommand 8 1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방식일 것 (class) B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 일 것(1) 1 [109] [111]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VHF 1 [100]

코드번호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하는 것일 것9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별표 조난경보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선박국의 장치를[ 3] (

제외 )

dot신호

주( 1)

동기신호

주( 2)

For-mat신호

주( 3)

Cate-gory신호

주( 4)

자국의식별신호

주( 5)

Telec-ommand정보신호

주( 6)

조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7)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 8)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 9)

시각정보신호

주( 10)

Tleco-mmand정보신호

주( 11)

종료신호

주( 12)

오 류검 정신 호

주( 13)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6]

별표 의 주 과 같은 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4 1 7 [112]

자국의 해안국 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숫자를5 [0] 10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6 1 [1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일 것7

- 27 -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종류의 정보신호일 것8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일 것9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시각정보신호일 것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정보신호일 것11 Telecommand

코드번호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2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3 1 13

별표 조난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 중계에 대한 응답을 위한[ 4]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dot신호

주(1)

동기신호

주(2)

For-mat신호

주(3)

Addr-ess신 호

주( 4및56)

Cate-gory신 호

주(7)

자국의식별신호

주(8)

Telec-ommand정보신호

주( 9)

조 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10)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11)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12)

시각정보신호

주(13)

Tleco-mmand정보신호

주( 14)

종료신호

주(15)

오류검정신호

주(16)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별표 의 주 과 같다 코드번호 이외의 것으로 한다3 1 3 ( [112] )

신호가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에는 상대국의 식별신호4 Format

로 하고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0] 10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5 Format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6

별표 의 주 과 같은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7 1 7 [112]

별표 이 주 과 같다8 1 8

개의 코드번호 일 것9 1 [112]

수신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 또는 수신한 조난경10

보의 중계의 조난선박국의 식별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종류의 정보11

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선박의 위치12

정보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시각정보일 것13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14 Telecommand

정보신호일 것으로 한다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것으로 하 (class) B

는 것이 가능할 것

- 28 -

중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1) 1 [109] [111]

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2) VHF 1 [100] [101]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코드번호 개별 해안국 앞15 Format [127]

으로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에는 코드번호 로서 별표[122]

의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3

별표 의 주 과 같다16 1 13

별표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대 선택호출신호를 제외한다[ 5] (VHF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Address신 호

주( 4)

Category신호

주( 5)

자국의식별신호

주( 6)

정 보신 호1

주( 7)

정 보신 호2

주( 8)

종 료신 호

주( 9)

오류검정신 호

주( 10)

주( )

비트일 것1 200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20]

상대국의 식별신호로서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이에 계속되는 으로서4 [0]

구성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1 [108]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8

각 개의 코드번호 및 일 것7 1 [118] [126]

개의 코드번호 일 것8 6 [126]

코드번호 또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9 [117] [122] 13

일 것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 29 -

별표 선택호출신호의 단위부호[ 6] 10

는 스페이스주파수 는 마크주파수로 대응하고 비트위치의 에서 송출된다B Y 1

협대역 일때MFHF B=1785 Y=1615

대역 일때VHF B=2100 Y=1300

- 30 -

별표 반복송출의 순서[ 7]

주 기호 는 선택호출신호의 종료신호를 표시하고 기호 는 에서 까( ) H DX RX0 RX7

지가 반복송출되는 선택호출신호의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31 -

별표 코드번호 의 용도[ 8] (100-127)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00 통상업무

화재 또는폭발

또는F3단신G3E

무선전화 이유없음 주( 3)

101 침수 또는F3복신G3E

무선전화 해사교환 센터의혼잡 주( 3)

102 해역호출

충돌 미확정주( 1)

통화중 주( 3)

103 좌초 Polling 대기행렬표시주( 3)

104 의RXO위치의동기신호

경사 및전복의위험

수입불가주( 2)

폐국 주( 3)

105 의RX1위치의동기신호

침몰 호출의 종료주( 4)

의 부재Operator주( 3)

106 의RX2위치의동기신호

선박업무주( 5)

조선불능으로 표류

데이터주( 6)

변복조장치

의Operator일시적 부재 주( 3)

107 의RX3위치의동기신호

기타의조난

미확정주( 1)

장치의 운용불가주( 3)

108 의RX4위치의동기신호

안전 선체의방치

미확정주( 1)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09 의RX5위치의동기신호

J3E 무선전화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10의RX6

위치의동기신호

긴급 조난경보에대한 응답

무력분쟁의당사국이 아닌것을 표시하는선박 및 항공기주( 7)

111 의RX7위치의동기신호

H3E 무선전화 위생수송체 주( 7)

112 조난경보

조난 조난자동통보설비(주 의9)시동

조난경보의중계

공중전화사무소주( 8)

- 32 -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13또는F1B방향오J2B(1

류정정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미확정 주( 1)

114

공통관계를 갖는선단의호출

미확정 주( 1) 미확정 주( 1)

115또는F1B자동재송J2B(

요구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데이터 주( 11)

116모든선박호출

또는F1B J2B수신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2)

11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18 시험 데이타 주( 14)

119또는F1B수신J2B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5)

120개별국의호출

A1A 테이프레코더

데이터 주( 16)

121 선박의 위치 데이타 주( 17)

122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3

개별국의반자동또는자동접속호출

A1A 전건 및핸드셋(Handset)

데이터 주( 18)

124또는F1CF2C

F3C팩시밀리장 데이터 주( 19)

125의DX

위치의동기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6 정보없음 정보없음 주( 20)

12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주( )

앞으로의 사용을 위하여 유보한다1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2 [100] [109] 2 Telecommand

코드번호 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3 [104] 1 Telecommand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 시스템에만 사용한다4

- 33 -

선박의 항해 운항 필수품에 관한 통신과 정부의 기상업무기관으로 보내는 기5

상 관측 통보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6 [115] [124] 2 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을 제외하고 제7 [104][105][106][110][112] [118] 1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의 제 와 조합하여8 [100][101][109][115] [124] 1 Telecommand

사용한다

수색구조용 레이다트랜스폰더를 제외한다9

무선설비규칙의 제 조의 에 정하는 것으로 한다10 69 4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1 (V21)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2 (V22)

앞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1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4 (V2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5 (V2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6 (V1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7 (V26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8 (V27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9 (V32)

코드번호 를 제외하고 제 와 조합하여 사20 [104][110][112] 1 Telecommand

용한다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 코드번호는 중단21 Format

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에서 까지 [102] [124] ([110][112][117]

및 를 제외한다[122] )

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및VHF [100][101][104][105][106][121]

일 것[124]

별표 동기신호의 송출순서[ 9]

주 기호 및 에서 까지가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DX] [RXO] [RX7]

- 34 -

별표 자리 숫자의 코드 변환표[ 10] 10

자리의 숫자10

십억D2

억D1

천만D2

백만D1

십만D2

만D1

천D2

백D1

십D2

일D1

코드5 코드4 코드3 코드2 코드1

주( )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1 1

및 은 자리 숫자의 자리 숫자 에서 까지를 표시하고 각 코드는2 D2 D1 10 2 00 99

그 자리의 십진수를 코드번호로 한다2

숫자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최상위 자리수의 숫자 앞에 을 포함할 것3 0

별표 해역의 표시방법[ 11]

해역의 표시는 다음과 같은 것

선정되는 지리상의 해역은 메르카토르 도법의 직사각형으로 표시할1 (Mercator)

직사각형의 북서를 해역의 기준점으로 할 것2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존재하는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3 1

으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0] [1] [2] [3]

할 것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위도를 표시할 것4 2 3

제 번째에서 제 번째가지의 숫자는 기준점의 경도를 표시할 것5 4 6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남북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6 7 8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동서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7 9 10

표에 표시하는 해역 및 의 표시의 예는 다음과 같을 것8 ab c

기준점이 북위 도 및 서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1) 10 25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20 35 a

1 1 0 0 2 5 2 0 3 5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2) 10 10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10 10 b

2 1 0 0 1 0 1 0 1 0

- 35 -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3) 12 12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4 7 C

2 1 2 0 1 2 0 4 0 7

별표 주파수 및 채널정보의 코드변환표[ 12]

주파수0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주파수를 의 배수로서 숫자의 십100

만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다 1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2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채 널

3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중단파대 또는 단파대의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 다

8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별도로 정한 채널로 한다

9 0 times times times times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18게기하는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천 백 십 및 일의 숫자로 표시한다

십만 만 천 백 십 일

코드3 코드2 코드1

주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 ) 1

- 36 -

별표 종료신호의 송출순서[ 13]

주 기호 가 종료신호를 표시한다( ) H

- 37 -

제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3

제 절 송수신장치1 DSC VHF

시스템 개요1

본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모든기능을 충족하는 일체형과 전화용 복신방식의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호출 및 수신제어장치 로구분된 독립형 으로 구분되며 DSC DSC

이는 외형상의 구분이며 그주요기능별 구성은 각각의 유니트로된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표시 및 제어장치 와 전원부 로 구분되며 이것들은 다시 하나의DSC

케비넷 또는 독립된장치로서 구성된다

시스템 구성2

장비의 개요 및 특징3

가 개요

본 송수신기는 항만내 또는 연안에서 해안국과 선박국 또는 선박국 상호간VHF FM

의 해상이동업무 통신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기로서 이내의 해상156 ~162

이동 무선통신업무용의 전 을 수용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전파관리법 및CHANNEL

등 국제규격에 적합하도록 설계 제작된 기기로서 전세계ITU SOLAS USA USCG

어느곳에서나 규정에알맞게 사용할 수 있는 국제항만 무선전화기용 무선 송수신기

를 제작한다

- 38 -

나 특징

소형 경량화로서 좁은 장소에 설치가 용의하게 되어 있어야 한다(1)

송신각 각 방식을 채용하였으며 국제 항만 무선전화(2) DIRECT SYNTHESIZER

인 를 수용해야 하며 그외 개의CHANNEL 55(114) CHANNEL 105(527) FREE

이 수용되어 있어야 한다CHANNEL(SIMPLEX)

주 국제 중 미국연안에서 단식방식으로 절환 사용되고 있는1 CHANNEL 55(114)

을 사용 할 수 있을것USA CHANNEL(SIMPLEX)

주 별도의 기상수신 을 수용하고 있어야 한다2 WEATHER CHANNEL( )

USA 3 CHANNELS

CANADIAN 1 CHANNEL

OTHERS 5 CHANNELS

원격조정 회로의 내장으로 본기기의 판넬스위치와는 상관없이(3) REMOTE ( ) HAND

만 으로도 판넬 스위치 조작에 필요한 모든기능을 할 수 있고SET CONTROL VHF

의 원근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어야 한다SET

기능이 첨부되어 있어 미국연안 경비대 의 의무 청취(4) DUAL WATCH USCG( )

인 과 의 개의 을 동시에 수신할 수CHANNEL CH 13 CH 16 2 CHANNEL SCANNING

있으며 과 사용자가 선택하는 임의의 을 동시에CHANNEL 16 CHANNEL SCANNING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에 경보신호 기능의 내장으로 비상시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5) CH 16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국제 개 및 을(6) SCAN CHANNEL 55 FREE CHANNEL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SCANNING

안전통신에 지정되어 있는 은 우선 사용할 수 있도록(7) CHANNEL16 1 STEP

로 되어 있어야 한다SWITCH

국제 해상 인명 안전조약 에 정한 규격으로 되어 있어 전세계 어느곳의(8) SOLAS( )

규정에도 적합하며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구 성4

본 기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가 송 수신기 본체 대 1

나 HAND SET 1 SET

다 WHIP ANTENNA 1 SET

라 벽걸이형 SPEAKER 1 SET

마 전원 공급기 1 SET

- 39 -

규 격5

주파수 및 규격은 현재의 통신방식이며 정보통신부의 고시가 발표되면 협대역(125

로 변경한다)

가 일반사항

사용주파수 범위(1)

송 신 156025 ~ 157425 수 신 (SIMPLEX) 156025 ~ 157425 수 신 (DUPLEX) 160625 ~ 162025 기상수신 (WEATHER) 161650 ~ 162550

사용(2) CHANNEL

A International 55 (114) CHANNELSB USA 25 CHANNELSC FREE 105 (527) CHANNELSD WEATHER 9 CHANNELS

USA 3 CHANNELSCANADIAN 1 CHANNELOTHERS 5 CHANNELS

통신 방식(3) SIMPLEX amp DUPLEX

전파의 형식 전화(4) 16KOF3E( G3E DSC F2BG2B)

주파수 편차(5) 0001 (10 PPM)

사용 온도범위 부터(6) -10 + 50

예열 시간 전원 접속후 즉시 사용가능(7)

공칭(8) ANTENNA IMPEDANCE 50 ohm ( )

공급 전원(9)

전 압 136V plusmn 10전 류 수신시 800

송신시 5A전원 공급기 별도( ) 단상AC115V AC220V 60

부터 까지DC 15V 35V

나 송 신 부

정격 출력(1) HIGH -25 W

LOW - 1W

주 공중선 전력 저하장치로 이하 저하기능 보유1 1WATT주 단 보호 인 및 가 아님 은 송신이2 CHANNEL 7576 1 ~9(01 ~09 )CHANNEL되지 않음 기상수신대의 사용법은 본문 참조 ( )

- 40 -

발진 방식(2) SYNTHESIZER CONTROL SYSTEM

변조 방식(3) FREQUENCY MODULATION

점유 주파수 대역폭(4) 16 (8)

최대 주파수 편의(5) 5 (25)

복사강도 이상(6) SPURIOUS 70

변조 주파수 특성(7) 6 (plusmn 3 ) OCTAVE PRE-EMPHASIS)

(300 ~ 3 )

변조시 이하(8) DISTORTION 1 70 -20

신호 대 잡음비 변조시 이상(9) 1 70 40

저역 여파기 특성 이상에서 이상 감쇄(10) 3 -40log f3( ) (f = )

다 수 신 부

수 신 방 식(1) DOUBLE SUPERHETERODYNE SYSTEM

감 도(2) 이하 신호 대 잡음비 에서 025 V ( 20 )μ

감도(3) SQUELCH 이하 02 Vμ

국부 발진 주파수(4) 1lsquost LOCAL FREQUENCY

RECEIVER FREQUENCY - 214

2nd LOCAL FREQUENCY 10945

중간 주파수(5) 1lsquost IF FREQUENCY 214

2nd IF FREQUENCY 455

선 택 도(6) 저하폭 이상 6 12 (6)

저하폭 이하 70 25 (125)

(7) SPURIOUS RESPONCE 이상 70

감도 억압 효과(8) 이상 80

상호 변조 특성(9) 이상 65 ( 20 40 )

주파수 특성(10) 6 (plusmn3 )OCTAVE DE-EMPHASIS)

( 300 ~ 3 )

신호 대 잡음비(11) 변조시 이상 1 60 40

(12) DISTORTION 변조시 이하 1 70 -20

저주파 출력(13) 이상 1 WATT (IMPEDANCE 8 ohm)

- 41 -

제 절 차년도 개발 범위2 1

제 차년도 개발범위는 기초자료조사와 규정의 연구에 따라 기초회로의 설계 후1

사용부품을 시험하고 각 의 제작 및 시험 연이은 성능미달 의 차 차PCB PCB 2 3

차 재제작 시험을 완료하고 시스템의 설계까지이며 그 세부적인 개발범위는 다음4

과 같다

송수신장치 개발을 위한 제규정 수집 연구1 DSC VHF

기초자료 조사2

가 장비에 대한 기능특성 수집 연구

나 사용자 및 선박통신사의 요구사항에 대한 자료 수집 연구

다 외국장비와 비교 분석

라 부품규격 시험 및 선정

3 HARD WARE

가 고주파 필터코일 재질분석 및 각종코일 설계

나 제작 PCB

송신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1) PCB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시험(2) PCB

수신부회로 제작 시험(3) PCB

신세사이즈 회로 제작 시험(4) PCB

제어장치 제작 시험(5) PCB

표시장치 제작 시험(6) PCB

원격제어기 제작 시험(7) PCB

전원공급부 제작 시험(8) PCB

제작 시험(9) HAND SET PCB

전용수신기 제작 시험(10) DSC PCB

- 42 -

제 장 제 차년도 개발 항목 보고4 1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본 장비를 개발함에 있어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및 부품선정이 개발의 핵심 과제

로 생각하였다

기초자료는 기존 시스템분석과 전파관련법령을 기초하였고 주변회로는 관련된 회

로집을 분석하였으며 부품선정은 폐품종 여부와 수급이 용이하면서 견고하고 증폭

도 및 성능이 우수한 품종으로 장시간 시험을 거쳐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송신부 제작시험2

송신 출력회로 결정 회로설계 완료하여 각부 부품 구입 회 내구성 시험 및SPEC 30

구룹별 장시간 부품 부하 시험등 최종목표 성능을 확보하기위한 제반 기초 제작시

험을 완료 하였으며 주요 내용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의 발열상태등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의 높은 출력으로 증폭하는 송신전(VHF ) 25W

력 증폭기로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높은 고주파전력에 견딜수있어야 하고 열

에의해 발생되는 열잡음이 적으야하며 열에의한 부품의 열화 및 특성의 변화가 적

은 부품을 사용여야 하므로 온습도시험 과 과출력 시험을 통하여 사용될 부품을 시

험하였다

특히 고조파 필터회로 부품인 코일은 동선에 전도율이 좋은 재질로 도금하여 사용

하여야 하며 고조파필터회로 의 차폐용 재료도 동판에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도금

하여 사용 하여야 한다

나 송신 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PCB (PCB NO V-097)

개발과정에서의 설계변경 및 생산시스템의 전산화 에 적용 할수있도록 회로 설계는

물론 설계 회로기판 도안 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설계완료된 는PCB ( ) CAD DATA

회로기판 제작장치 외주 작업 및 부품삽입기 자사 작업 에 직접 컴퓨터용 디스켙( ) ( ) (

으로 입력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회로에 높은 고주파전류가 흐르므로인하여 빌진할 가능성 및 잡음발생의 우려PCB

가 많으므로 특히 부품배치에 유의하여 설계하였으며 송신신호 발생회로 또는 전원

회로 와의 배선은 관통형콘덴서등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였다

회로에 사용되는 코일은 각 코일간에 간섭을 줄이기위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설정하

였으며 전체를 차폐하고 또 고조파 필터회로를 구분하여 차폐하여 제작 하였PCB

- 43 -

또 안정된 출력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회로를 장치하여 설정된 출력 이상의ALC

출력을 제한한다

다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PCB (PCB NO V-096TX)

설계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이 는 미약한 고주파 신호를 발생 변PCB CAD PCB

환 증폭 하므로서 송신부 또는 외부로 부터의 잡음 유입과 내부잡음 발생에 유의

하여 설계되었으며 불요복사 억제에 유의하였다

라 성능시험

메칭상태 시험(1)

옴 파장 수직형 안테나 를 사용할수 있도록 시험하였으며 차적인 시험은 의50 12 1

사부하에 의해 시험하고 의사부하 안테나에 정상적인 메칭이 된 후 실제 사용 안테

나에 확인시험 하였다

이 시험에서 양질의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장치는 물론 안테나의 성능이 중

요하며 인접한 고전력 안테나 및 낙뢰로부터 안정성 등을 감안하여 안테나는 VHF

대역 이하의 주파수에 대하여 쇼트형 안테나가 바람직 하다

기존 시스템의 이상의 성능 확보(2) 90

송신부의 주기능으로서 양질의전파를 안테나로 공중에 발사하는 장치로서 주피수안

정도 고조파억압 불효전파억제 안정된전력 안정된 주파수편이 낮은 왜율 등의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시험결과는 기존의 제품의 특성에 가까운 성능을 확보

하였으나 안테나공용기 복신통신용 필터 특성의 개선및 송신부 관련부품의 배치를( )

개선하므로서 보다 좋은 성능을 확보 할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신부 제작시험3

수신부는 안테나입력회로 입력동조회로 단신통신 및 복신통신 각 주파수 대역 필 (

터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로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 1 1 2 2

로 대역필터회로 신호제한 리미터 회로 복조회로 무신호잡음 차단 회로 저주 ( ) FM

파 증폭회로 및 국부발진회로 로서 구성되나 국부발진회로는 잡음의 발생및 유입

주파수안정도 등을 감안하여 별도의 로서 제작하였으며 그외 수신부와 관련한PCB

내용은 다음과 같다

- 44 -

가 사용부품의 구입 및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증폭과 변환을 반복하여 요구되는 신호(VHF )

를 복조하여 기청음 또는 의 문자표시로 출력되게 하므로서 안정된 주파수 및DSC

증폭이 요구되므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당연히 고주파특성에 유의하여 주파수

차에의한 특성변화 열잡음 및 고주파잡음 능동소자등의 직선성 등이 교려되어야하

므로 항온항습시험과 과전류에의한 잡음발생의 시험 등 을 거처 엄선한 부품으로

설정사용 하였다

특히 회로의 선택도 코알의 값 를 높이기 위하여 가 높은 트랜스 재료를 사용하( Q ) Q

였다

다 수신부회로 제작 PCB (PCB NO V-096RX)

위 항에서의 시험에 의해 선택된 부품을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며 수신부의 특성31

상 잡음의 발생보다는 잡음의 유입에 유의하여 설계되었으며 안정된 증폭 특성 수(

신감도 을 얻기위하여 중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회로기판은 에폭시) 2

수지 양면인쇄동판을 사용하여 부품삽입면은 대부분 공통단자로 이용하여 부품간의

간섭을최소화 하였다

다 수신부 특성시험

수신부 특성상 수신감도 주파수안정도 왜율 통과대역폭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감도억압비 혼변조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신호대 잡음비 일 때의 수신감 20

도 성능이 확보되며 기타 여러 가지 특성도 최종목표 특성에 가까운 성능이05

확보 되었으나 까지 수신감도가 향상되도록 성능개선이 요구된다025 V 120757

신세사이즈부의 회로의 안정도로 인하여 국부발진 신호의 흔들림현상이 있어VCO

통과대역폭 및 잡음발생의 원인이되어 신세사이즈회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신세시이즈회로는 크게 수신국부발진 신호용과 송신신호용으로 구분되며 단신통신

과 복신통신방식일때 각각 동작할수있는 구성으로 설계되었으며 그 내용별로 구분

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전압제어발진기 에 사용되는 부품은 온도 및 전압변동에 특성의변화가 극히(VCO)

적어야하며 외부로부터 정전 및 자계영향이 크므로 회로를 별도로 정전 및 자VCO

계로부터 차폐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혼변조 및 잡음신호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파수선택 표준신호 등 시 수신( )

대역 및 송신대역에 영향이 없는 주파수로 하였으며 가능한 레벨을 제외한 신(TTL

호 파형의 왜율이 적은신호로서 각회로신호를 사용하여 결합하였다)

- 45 -

나 신세사이회로 제작 (PCB NO V-096PLL)

이회로 기판은 여러종류의 신호들이 발생 혼합 증폭 비교 되므로 각부품 간의 배

치에따라 잡음발생의 정도가 크게 좌우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였으며 회로는 외VCO

부영향에 민감하게 작동되므로 차폐 에 유의하여 부품의 배치 적절하게 하였으며

잡음발생을 유의하여 부품을 선정하였다

다 성능시험

이회로의 특성상 주파수안정도 주파수의 흔들림 위상비교기의 비교속도 등에 유의

하여 시험하였으며 여러가지 일반적인 특성은 최종목표사양에 만족될 수 있는 신호

원을 공급할수 있었어나 주파수의 흔들림 현상이 있어 회로의 부품 및 차폐에VCO

개선이 요구된다

제어장치 제작시험5 (PCB NO V-263)

이회로의 주요부품으로서 를 사용하여 당개발과제의 송수신 및 외부V25 CPU DSC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며 아울러 본체 전면표시기와 스윗치 입출력 기능도 한다

이회로의 주요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스 읽기전용 메모리 읽고CPU( ) ROM( ) RAM(

쓰기 메모리 직렬통신용 입출력 병렬통신 입출력 아날로그 디지) SIO( ) PIO( ) AD(

탈 변환기 스윗치입력 표시기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개발 내용은 다음과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에 사용되는 부품은 대부분 디지탈신호를 처리하여 회로로서 및TTL IC

로서 구성되며 저소비전력 및 고속처리능력이 요구되므로 주로 고속용C-MOS IC

중 형 를 사용 하였으며 장치의 초기설정 및 기능 설정의C-MOS(C-MOS IC HC )

변경등 의 목적으로 은 충전형 밧테리로서 메모리내용을 전원의 에 관RAM ONOFF

계없이 유지하도록 하였다

외부 제어기 등 와의 통신용 의 통신속도를 또는 등으로(DSC ) RS-232C 2400 4800

변경 설정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변환기 등을 이용하여 자기진단을 할수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장비의 유지및AD

보수에 많은 도움이된다

- 46 -

나 성능시험

운용시험(1)

이회로의 특성상 전기적 특성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특성 및 성능이 요구되므로 운

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이부분에 대한 시험은 개발자입

장이 아닌 운용자가 시험하여야 하는 관계로 선박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사용자에게

의뢰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로서는 기능면에서는 양호하나 사용상 복잡한 면이 있어 보다 조작 을 간편

히 할수있도록 개선할 필요가있는 것으로 본다

표시장치 시험(2) (PCB NO V-260)

본장치의 사용상 필요한 기능 및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내용과 기기 동작

상태의 일치성이 요구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온습도 및 장기시험 으

로서 확인하였으며 여러 가지 표시장치중 각각 중단점이 나타낮다

즉 액정 표시기 표시기는 저소비전력이며 주위가 밝은곳에서 사용이 가능 하LCD( )

나 반면 온도특성이 나쁘며 형광표시관 표시기는 온도특성은 양호하나 소비전 VFD( )

력이 대체로 높고 보다 낮고 보다 많음 수명이 낮다는 단점이있으며(FND LCD )

발광 다이오드 표시기는 모든면에서 대체로 양호 하나 잡음발생 이많으며 밝FND( )

은곳에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외 여러 가지의 장담점을 검토하여 차적인 결론은 표시기가 적합한 것으로1 LCD

본다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최소의 전기적신호 연결로서 최대의 기능제어및 속도가 요구되는 장치로서 저주파

신호의 입력 마이크 신호 및 출력 스피크 신호 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 제어는( FS ) ( )

직렬통신 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였으며 장거리 일반 공용통신망 을 이(RS-232C)

용할수도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요 구성은 중앙제어장치 스윗치입력 장치 표시장치 메모리장치 직렬통신장치

로 구성되며 그 상세한 개발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의 대부분이 디지탈신호의 처리회로로서 구성되므로 제어장치 의 사용 부품ldquo rdquo

시험 및 선정기준과 같으며 장거리운용상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신속도를

알맞게하며 장거리통신 선로에서 유기되는 잡음을 최소화 하기위한 필터회로 및

소프트웨어적인 오류정정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별도 설계 사용 하였다

- 47 -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V-170)

이장치는 사용상 편리하여야 하므로 소형 경량 으로 제작 하였으며 차적 기능 시 1

험을 목적으로 외형 보다는 성능을 우선하여 시험용으로 제작하였다 이장치의 시

험은 전용케이블 을 이용하여 시험하였고 또 일반 공용통신용 전화 선로를 통하여

원거리 시험을 하였으며 그결과로서 통신속도가 까지 양호하게 동작되나2400bps

그이상의 통신속도로서 운용 할려면 전용회선이 필요하게된다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가 결정 SPEC

각회로 에서 필요로하는 전압 및 전류에 알맞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반 성능

을 차적으로 설정 하였으며 최종목표 사양에 일치하기위하여서는 전원부의 장치에1

대하여 모든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최종 특성이 설정 되어야 한다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P-099)

이장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되나 반면에 안정성이 확고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안

정성을 첫째로 중요시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이회로는 많은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많은 전력이 열로서 손실되므로 방열에 특히 유의하여 제작되었으며 열발생이 많은

부품은 알미늄 방열판에 설치하고 이방열판은 본장치 외함의 바깥쪽에 설치하여 방

열효과를 최대화 하였다

이회로의 시험은 과입력전압 및 과소비전력 일때의 안정성에 중점 시험하였고 그시

험을 위하여 장시간 항온 항습기 를 이용하여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전원부의 안정

성 확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도 이회로를 특별히 개선하지 않고도 최

종목표 사양에 만족하리라 본다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PCB NO V-098)

마이크 회로 수화기 회로 송신 스윗치 회로 로서 구성되며 이장치는 사용 특성상

충격에 강하도록 설계제작 되어야 하며 무게는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재료선택이

중요하며 이러한점을 감안하여 사출금형에 의하여 성형 하였으며 성형 제료로서는

제료를 사용하고 사용 부품을 최소화 하여 제작 하였다ABS

이장치의 특성상 견고하며 방수효과가 최대이어야 하므로 충격 자연낙하 시험 및( )

방수시험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 성형제료 및 외형상의 문제는 없이나

송화기 및 수화기의 선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송화기는 콘텐서형

마이크가 좋으며 수화기로는 가변코일형으로서 떨림판이 평면으로된 수화기가 우수

한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선정하여 제작시험 하였다

- 48 -

전용 수신기9 DSC (PCB NO T-342)

전용수신 장치는 송수신장치중 송신부를 제외한 구조와 유사하므로 개발과정에서

송수신장치중 수신부회로에 복조장치 를 추가하여 별도 로 제작하여 시험DSC PCB

하였으며 개발내용중 전용수신기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DSC

가 기능 및 동작

변조되어 수신된 신호를 필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후 신호 처리용FM DSC DSC

마이크로프로세스 에 공급하여 소프트웨어로서 신호를 분석한후 표시장치 메(CPU)

모리장치 인쇄장치 등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전용 찬넬인 번 찬넬을 항상 DSC 70

수신상태로 동작하여 신호 도트신호 를 검출하고 신호가 있으면 이어서CALL ( ) CALL

수신되는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표시장치 및 경보장치에 출력한다

나 신호 신호 필터회로 와 신호 처리부 및 제어용회로부 DSC (FS ) DSC DSC

제작시험 (PCB NO T-325 T-326 T-327)

이 회로의 성능은 주로 필터 및 디지탈변환 회로에서 결정되며 소프트웨어의 성능

에 따라 안정성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점을 유의하여 설계제작 하여으며 성능 시험

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험용 정보를 송신장치로 통해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후 그

결과를 분석 시험 하였다

다 전용 수신기의 개발과정 에서의 학보된 기술 DSC

신호 및 의 신호 의 필터 및 디지털 변환 기술DSC (1300 2100 FS )

신호 검출 및 직렬신호의 병렬변환 소프트웨어DOT

기술 정보의 비교 및 인쇄출력 소프트웨어 기술

종합시험10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별 차 차 차 보완시험은 만족하며 앞으로 개발의 중점은 사용의 편리성과PCB 1 2 3

생산성에 중점 개발이 요하며 배치에 따라 야기될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 PCB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후 최종제품을 제작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49 -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1

가 전면판 사출금형

나 옆판 스피커 안테나 금형

다 노브 사출금형

라 윗면 및 밑면 프레스 금형

마 설치용 고정장치 사출 금형

바 설치대 프레스 금형

사 뒷면 작업용 프레스 금형

아 항온조용 열차단금형

자 필타 금형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2

가 송수신기 제어장치 프로그램

나 전용 수신기 제어용 프로그램 DSC

다 원격조정기 프로그램

라 송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마 수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3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13: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13 -

Spurious emission 25 W or less120757DSC data rate 1200baud plusmn30 times 10-6

modulation method FSK

modulation index 2 plusmn10

Mark signal(Y) 1300 plusmn 10

Space signal(B) 2100 plusmn 10

다 Receiver Unit

Receiving system Double super heterodyne

Intermediate frequency 1st IF 214

2nd IF 455

Local oscillation method Frequency synthesizer

Sensitivity 2 V or less120757Sensitivity(DSC)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the input

level of 0 120757Squelch sensitivity 1 V or less120757Selectivity 12 or more at 6 bandwidth

within 25 with a selectivity of 70

Spurious response 80 or more

Spurious response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DSC)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73 120757

Blocking 90 or more

Blocking(DSC)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μ

level of 93 120757Intermodulation 70 or more

Intermodulation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DSC)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68 120757

Overall distortion 10 or less

Signal-to-noise ratio 40 or more

Rated audio output 2W(4Ω)

External speaker 0 m 600 Ω

output level

- 14 -

Frequency 6 oct +1 -3

characteristics

Radiation 1 nW or less

2 Power Supply Unit

Input voltage AC 100V to 120V (5060 ) or AC 200V to

240V (5060 ) and DC 24V (DC 216 to

312V)

Power consumption AC 100V 2A max(main unit)

AC 220V 1A max(main unit)

DC 24V 55A max(main unit)

Input switching Automatically switched to AC mode during

normal operation and to DC mode when AC

power failure

Output Voltage DC 138V plusmn10

Environmental Same as JHS-31 main unit

test conditions

Dimensions 300(H) times 240(W) times 145(D)

(excluding protrusions)

Weight Approximately 65

3 Remote Controller

Operating and Same as JHS-31 main unit

control items

Display items Same as JHS-31 main unit

Power supply DC 138V plusmn10 supplied from

NQD-1469 power supply unit

Environmental test Same as JHS-31 main unit

conditions

Dimensions 290(H) times 240(W) times 80(D)

excluding protrusions)

Weight Approximately 35

- 15 -

4 DSC Watchkeeping Receiver

가 General Specifications

Operation frequency 156525 (CH 70)

Reception mode G2BF2B

Antenna impedance 50Ω nominal unbalanced

DSC AF signal output 0 m plusmn10 (600 Ω balanced)

Self diagnostics Provided with receiver

overall testing functions

Dimmer 4-step control for dimming illuminations

incl extinction

Environmental test Same as JHS-31 main unit

conditions

Warm-up period 30 sec

Dimensions 145(H) times 140(W) times 145(D)

excluding protuberances

Weight approx 15

Power supply 138 VDC plusmn10

Power consumption 10 W or less

나 Receiver

Receiving system Double superheterodyne

Local OSC Crystal controlled

Frequency accuracy Within plusmn10 times 10

Intermediate frequency 1st IF 208

2nd IF 455

Sensitivity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the input

level of 0 μ

Selectivity 6 bandwidth 12 or more

70 bandwidth 25

Adjacent CH selectivity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μ

level of 73 120757(wanted signal frequency plusmn25 )

- 16 -

Spurious response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73 with application of unwanted120757signals in range of 9 to 2

Blocking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93 with application of unwanted120757signals apart plusmn1 to plusmn10 from the

wanted signal

Intermodulation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68 with application of two120757unwanted signals of plusmn25 and plusmn50

simultaneously

Co-channel rejection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ratio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μ

level of -5 120757De-emphasis -6 (+1 -3 ) octave

characteristic 300 +105 (+1 -3 )

3 -95 (+1 -3 )

at reference frequency of 1

Amplitude characteristic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receiver

of receiver limiter input level of 0 to 100 120757 120757Noise and hum -40 or better

Harmonic distortion -20 or better

Spurious emission 1nW of less

5 Guard Receiver

Receiving mode Simultaneous reception of any two channels

selected from ITUUSA channels

Receiving channels Up to 57 channels

Channel spacing 25

Mode of reeption G3E(F3E)

Frequency accuracy Wighin plusmn10 times 10-6

- 17 -

Receiving system Double super heterodyne

Intermediate frequency 1st IF 214

2nd IF 455

Local oscillation method Frequency synthesizer

Sensitivity 2 V or less120757Squelch sensitivity 1 V or less120757Selectivity 12 or more at 6 bandwidth

within 25 with a selectivity of 70

Spurious response 70 or more

Blocking 90 or more

Intermodulaltion 70 or more

Overall distortion 10 or less

Signal-to-noise ratio 40 or more

Rated audio output 2W(4 )Ω

Frequency

characteristics 6 oct +1 -3

Antenna input 50 unbalancedΩ

impedance

Temperature range 0 to +40

for full performance

Operating -15 to +55

temperature range

Storage -25 to +65

temperature range

Power supply voltage DC 138V plusmn10

(supplied from the NQD-1469 power supply

unit)

Dimensions 290(H) times 140(W) times 145(D)

Weight Approximately 25

- 18 -

제 절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2 DSC VHF

디지틀선택호출장치의 조건1

가 점검 및 보수를 쉽게 할수 있을것

나 전원공급후 분이내에 작동할 수 있을 것 1

다 의 주파수를 쉽게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 것 156525

라 초이내에 송신과 수신을 전환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 것 03

마 이상의 제어기를 갖는 경우에는 의 제어기에 우선권이 주어지는 동시에 다 2 1

른 제어기의 사용상태를 표시하는 기능이 있을 것

바 전원전압이 정격전압의 퍼센트이내에서 변동된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 (plusmn)10

할 수 있을것

사 통상 발생하는 온도 및 습도의 변화 진동 또는 충격이 있는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수있을것

선택호출장치의 선택호출신호의 조건2

가 마크주파수는 이고 스페이스주파수는 일것 이 경우 허용편차 1300 2100

는 각각 로 한다10

나 신호전송속도는 매초 비트일것 이 경우 허용편차는 만분의 으로 1200 100 30

한다

다 시간다이버시티의 시간간격은 초일것 003

송신장치의 조건3

가 공중선전력 와트 이상일 것 6

나 전파의 변조지수 허용편차는 로 한다 F2B 2( 02 )

다 감도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자 1

율이 퍼센트이하일 것1

라 실효선택도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1) 14

상태에서 중간 주파수로부터 희망파의 배의 주파수 희망파주파수의 이3 ( (plusmn)375

내의 주파수를 제외한다 까지 수신기입력전압 밀리 볼트의 무변조 방해파를 인) 447

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1

- 19 -

감도억압효과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2) 14

의 정현파에 의하여 주파수 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기입력전압400 3 44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인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이하일1

마 상호변조특성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 14

희망파 보다 떨어진 수신기 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와 희망파25 25

보다 떨어진 의 정현파에 의한 주파수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50 400 3

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25 1

디지틀선택호출전용수신기 의 조건4

가 통신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통신의 수신기능외에 통신의 내용을 볼 수있도록 하

는 기능이 있을것

나 조난통신 또는 긴급통신을 수신한 경우에는 수동으로만 정지시킬 수 있는 특별

경보기능이 있을것

다 수신한 조난통신의 내용을 즉시 인쇄하거나 개이상의 조난통신을 기억할 수 20

있어야 하되 기억한 내용을 일정시간 보존할 수 있을것

라 본체의 보이는 곳에 수신주파수를 표시할 것

마 전원공급후 분이내에 작동할 수 있을것 1

바 전원전압이 정격전압의 퍼센트이내에서 변동된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plusmn)10

수 있을 것

사 통상 발생하는 온도 및 습도의 변화 진동 또는 충격이 있는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수 있을것

아 감도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자율 1

이 퍼센트 이하일 것1

자 실효선택도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1) 14

상태에서 중간 주파수로부터 희망파의 배의 주파수 희망파주파수의 이내3 ( (plusmn)375

의 주파수를 제외한다 까지 수신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를 인접) 447

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1

- 20 -

감도억압효과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2) 14

의 정현파에 의하여 주파수 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기입력전압400 3 44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인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1

차 상호변조특성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 14

희망파 보다 떨어진 수신기 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와 희망파25 25

보다 떨어진 의 정현파에 의한 주파수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50 400 3

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25 1

- 21 -

제 절 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3 DSC VHF

일반적 조건1

가 취급이 용이한 것일 것

나 에서 까지의 숫자 입력판을 갖는 경우에는 그 숫자의 배열은 국제전신전화자 0 9

문위원회의 권고 에 의한 것일 것E161

공중선의 단선 또는 공중선 단자의 단락으로부터 보호수단을 가질 것

과전류 과전압 전원의 과도변동 및 전원극성의 우발적인 반전으로부터 보호수단이

있는 것일 것

노출된 금속부분은 접지하는 것이 가능할 것

전원단자는 접지되어 있지 않을 것

전원 볼트를 초가하는 전기 고주파의 것을 제외 를 통하는 도전부는 용이하게 노55 ( )

출이 되지 않도록 다음의 어느 조건에도 적합한 차폐체를 갖고 있는 것일 것

차폐체를 개방한 때는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되는 구조일 것(1)

차폐체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공구를 필요로 하는 구조이고 또는 고전압에 대한(2)

주의사항이 표시되어 있을 것

다 통상의 설치된 상태에서 제조자명 형식명 및 제조번호가 명확하게 판독 가능하

도록 외부에 표시되어 있을 것

라 장치의 일부를 가열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급전후 분이내에 일정온도에 달하 30

는 것일 것

다만 가열회로에 공급하는 전력은 다른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치단에 의해

절단되지 아니할 것

마 전원공급후 송신장치의 일정분에 전압의 공급을 지연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는 그 지연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것

디지틀선택호출장치의 조건2

선박의 위치 및 위치를 결정한 시각의 자동입력 기능을 갖는 경우에는 동기능의

고장이 장치의 다른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

가 선택호출 신호의 구성

조난경보등 조난경보 조난경보에 대한 응답 조난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1) (

중계에 대한 응답을 말한다 이하 같다 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및 무선설비의 기기 )

의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이하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이외의 선택( ldquo rdquo )

호출신호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1

- 22 -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2) 2

조난 경보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 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3) 3

일 것

조난 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 중계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4)

성을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4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5) 5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오류검정부호를 제외한다 에 사용하는 단위 부호는(6) (dot ) 10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6

나 선택호출신호의 송출조건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오류검정부호를 제외한다 의 송출은 최초의 송출과 반(1) (dot )

복송출과의 사이에 개의 코드가 놓아진 방식일 것4 Time Diversity

선택호출신호의 반복송출은 다음과 같은 것일 것(2)

가 조난경보를 연속하여 송출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조난 경보를 최후의 신호와( )

다음에 송출되는 조난경보의 신호와의 사이를 가격없이 송출가능한 것일 것dot

나 디지탈선택호출통신망을 위한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호출( )

또는 응답의 선택호출 신호의 경우는 별표 에 따라서 회를 초과하지 않는 회수를7 4

반복하여 송출가능할 것

다 가 및 나 이외의 경우는 반복하여 송출이 가능하지 않는 것일 것( ) ( ) ( )

다 선택호출신호의 수신조건

조별 의 장치는 제 호에 규정한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1) (class) A 2

읽어냄이 가능할 것

조별 의 장치는 다음의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표시하는(2) (class) B

것이 가능할 것

가 제 호에 규정하는 선택호출신호중 종별 의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것( ) 2 (class) B

나 포맷 신호가 해역호출인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것( ) (format)

다 제 가 수신되지 아니할 것( ) 1 Telecommand

해안국의 장치는 제 호에 규정하는 선택호출신호 해안국의 장치의 것을 제외(3) 2 (

한다 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읽어냄이 가능할 것)

- 23 -

별표 선택호출신호 조난경보등을 위한 것 및 시험을 위한 것은 제외한다 의[ 1] ( )

구성

dot신 호

동 기신 호

Format신 호

Address신 호

Category신 호

자국의식별신호

정 보신호1

정 보신호2

정 보신호3

종료신호

오류검정신호

주( 1) 주( 2) 주( 3) 주( 45및6)

주( 7) 주( 8) 주( 9) 주( 10) 주( 11) 주( 12) 주( 13)

주( )

중단파대 및 단파대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하는 장치의 선1

택호출신호 이하 중단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에 있어서 선박국을 호출하( ldquo rdquo )

기 위한 선박호출신호의 경우는 비트 선박국에서 해안국으로 호출 및 응답하기200

위한 선택호출신호 및 국제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 계기하는 주파수18

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 하는 장치의 선택호출신호 이하 대 선택( ldquoVHF

호출신호 라 한다 의 경우는 비트일 것rdquo ) 20

표 에 나타내는 코드번호를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하는 것일 것2 8 9

호출의 종류를 나타냄에 있어서 다음의 장치마다 별표 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3 8

류를 표시하는 개의 동일 코드번호일 것2

종별 의 장치 선박국의 장치에서 별표 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류를 사용(1) (class)A ( 8

가능한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

종별 의 장치 선박국의 장치에 있어서 동표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류 중(2) (class) B (

해역호출 및 공통관계를 갖는 선단의 호출을 제외한 것의 사용이 가능한 것을 말한

다 이하 같다 )

해안국의 장치 동표에 게기한 호출의 종류중 조난경보 및 개별국의 반자동 또(3) (

는 자동접속호출을 제외한 것의 사용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

신호가 조난경보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는 상대국 식별4 Format

신호로 하여 선박국식별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 구성되는[0]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신호가 조난경보 또는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선택호출에 있어서는 사용5 Format

하지 않을 것

신호가 해역호출의 경우 종별 의 장치는 제외한다 는 별표 에 따라서6 Format ( B ) 11

해역을 자리 의 숫자를 표시하고 별표 에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통보의 우선순위 또는 종류 신호가 모든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통상업무7 (Format

및 선박업무를 제외한다 를 별표 에 따라 개의 코드번호에 코드화한 것일 것 다) 8 1

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 선박업무를 제외한 것으로 하고 또한 신 (class) B Format

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통상업무를 제외한 것일 것

- 24 -

자국의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8 [0]

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제 및 제 의 정보로 하여 별표 에 따라서 각각 개의 코드번9 1 2 Telecommand 8 1

호에 코드화한 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제 (class) B 1

를 다음과 같이하고 제 코드번호가 일 것Telecommand 2 Telecommand [126]

중단파대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하는 장치의 선택호출신호 이하(1) (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는 신호가 개별국의 호출일때에는 코드번ldquo rdquo ) Format

호 또는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일[119] [111] [118] Format

때에는 코드번호 또는 일 것[109] [111] [111]

선택호출신호는 신호가 개별국의 호출일 때에는 코드번호(2) VHF Format [100]

또는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일 때에는 코드번호[101] Format

또는 일 것[100] [101] [105]

다음의 방식일 것10

호출에 이어 계속 통신에 사용하는 송신 및 수신을 위한 주파수 또는 채널을(1)

나타내는 선택호출신호는 송신파 및 수신파의 순으로 별표 에 코드화한 것일 것12

다만 주파수 또는 채널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송신파 또는 수신파마다에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126]

선박의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선택호출신호는 코드번호 및 다음에 의거 표(2) [55]

시되는 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 자리숫자를 별표 에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가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가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나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부터 제 번째까지의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표시한다

제 가 선박의 위치인 호출에 대한 응답 이하 선박위치응답 이라(3) 1 Telecommand ( ldquo rdquo

한다 을 위한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의 가 및 나 에 의해 표시하는 선박의) (2) ldquo rdquo ldquo rdquo

위치를 나타내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코드화한 것 및 그것에 계속코드번호10 10

일 것[126]

에서 이외의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4) (1) (3) 6 [126]

선박위치응답의 경우 종별 의 장치를 제외한다 및 신호가 개별11 ( (class)B ) Format

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에만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각각 다음의 방

식일 것

선박위치응답의 경우는 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 국제표준시로 한다 이하 같(1) (

다 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2 10

개의 코드번호로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는 개2 2

의 코드번호 일 것[88]

- 25 -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는 아날로그 전화용(2) Format

설비와 접속하기 위한 번호 이하 전화번호 라 한다 등의 네트워크번호를 표시하는( ldquo rdquo )

것으로 하고

네트워크번호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코드번호를 짝수의 경우는 코드번호[105]

과 네트워크를 별표 에 준하여 개부터 개까지의 수의 코드번호로 코드화[106] 10 2 9

한 것일 것

응답을 필요로 하는 호출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응답12 [117]

을 위한 선택 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및 이외의 경우는 코드번호[122] [127]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 다만 신호가 모13 Format

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 코드번호 일 것[127]

오류검정부호는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정보비트 및 제 번째에서 제13 1 7 8

번째까지의 검정비트로부터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생성되는 각 비트10

의 및 이 각각 별표 에 표시하는 및 에 대응하는 단위 부호로[0] [1] 6 [B] [Y] 10

하여서 송출되는 것일 것

정보비트의 각 비트는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동기신호를 제외한다 의 모든(1) (dot )

코드번호 신호 및 종료신호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로 한다 에 대응하(Format 1 )

는 부호의 비트 위치마다 최하위 비트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다만 를 를 B 0 Y 1

로해서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검정비트는 정보비트의 의 수를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B 2

별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해안국의 장치는 제외한다[ 2 ] (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자국 의식별신호

주( 4)

조난종류 의정보신호

주( 5)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

주( 6)

시각정보신호

주( 7)

Tele-command정보 신호

주( 8)

종료신호

주( 9)

오류검정신호

주( 10)

주( )

중단파 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는 비트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비1 200 VHF 20

트일 것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2]

자국의 선박국 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4 [0] 10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조난의 종류를 표시하는 것으로 하여 별표 에 따라 개의 코드번호로 코드화한5 8 1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 (class) B 1 107

- 26 -

조난선박에 위치를 다음과 같이 자리의 숫자로 표시 하는 것으로 별표 에6 10 10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조난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것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99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1)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는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2)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한다

조난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것7 2

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개의 코드번호에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 10 2

를 포함하지않는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88]

계속하여 행하는 통신의 형식을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통신장치가 무선전화 또8

는 협대역직접 인쇄전신장치인 제 를 별표 에 개의 코드번호로1 Telecommand 8 1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방식일 것 (class) B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 일 것(1) 1 [109] [111]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VHF 1 [100]

코드번호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하는 것일 것9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별표 조난경보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선박국의 장치를[ 3] (

제외 )

dot신호

주( 1)

동기신호

주( 2)

For-mat신호

주( 3)

Cate-gory신호

주( 4)

자국의식별신호

주( 5)

Telec-ommand정보신호

주( 6)

조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7)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 8)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 9)

시각정보신호

주( 10)

Tleco-mmand정보신호

주( 11)

종료신호

주( 12)

오 류검 정신 호

주( 13)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6]

별표 의 주 과 같은 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4 1 7 [112]

자국의 해안국 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숫자를5 [0] 10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6 1 [1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일 것7

- 27 -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종류의 정보신호일 것8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일 것9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시각정보신호일 것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정보신호일 것11 Telecommand

코드번호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2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3 1 13

별표 조난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 중계에 대한 응답을 위한[ 4]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dot신호

주(1)

동기신호

주(2)

For-mat신호

주(3)

Addr-ess신 호

주( 4및56)

Cate-gory신 호

주(7)

자국의식별신호

주(8)

Telec-ommand정보신호

주( 9)

조 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10)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11)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12)

시각정보신호

주(13)

Tleco-mmand정보신호

주( 14)

종료신호

주(15)

오류검정신호

주(16)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별표 의 주 과 같다 코드번호 이외의 것으로 한다3 1 3 ( [112] )

신호가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에는 상대국의 식별신호4 Format

로 하고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0] 10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5 Format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6

별표 의 주 과 같은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7 1 7 [112]

별표 이 주 과 같다8 1 8

개의 코드번호 일 것9 1 [112]

수신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 또는 수신한 조난경10

보의 중계의 조난선박국의 식별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종류의 정보11

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선박의 위치12

정보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시각정보일 것13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14 Telecommand

정보신호일 것으로 한다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것으로 하 (class) B

는 것이 가능할 것

- 28 -

중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1) 1 [109] [111]

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2) VHF 1 [100] [101]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코드번호 개별 해안국 앞15 Format [127]

으로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에는 코드번호 로서 별표[122]

의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3

별표 의 주 과 같다16 1 13

별표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대 선택호출신호를 제외한다[ 5] (VHF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Address신 호

주( 4)

Category신호

주( 5)

자국의식별신호

주( 6)

정 보신 호1

주( 7)

정 보신 호2

주( 8)

종 료신 호

주( 9)

오류검정신 호

주( 10)

주( )

비트일 것1 200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20]

상대국의 식별신호로서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이에 계속되는 으로서4 [0]

구성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1 [108]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8

각 개의 코드번호 및 일 것7 1 [118] [126]

개의 코드번호 일 것8 6 [126]

코드번호 또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9 [117] [122] 13

일 것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 29 -

별표 선택호출신호의 단위부호[ 6] 10

는 스페이스주파수 는 마크주파수로 대응하고 비트위치의 에서 송출된다B Y 1

협대역 일때MFHF B=1785 Y=1615

대역 일때VHF B=2100 Y=1300

- 30 -

별표 반복송출의 순서[ 7]

주 기호 는 선택호출신호의 종료신호를 표시하고 기호 는 에서 까( ) H DX RX0 RX7

지가 반복송출되는 선택호출신호의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31 -

별표 코드번호 의 용도[ 8] (100-127)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00 통상업무

화재 또는폭발

또는F3단신G3E

무선전화 이유없음 주( 3)

101 침수 또는F3복신G3E

무선전화 해사교환 센터의혼잡 주( 3)

102 해역호출

충돌 미확정주( 1)

통화중 주( 3)

103 좌초 Polling 대기행렬표시주( 3)

104 의RXO위치의동기신호

경사 및전복의위험

수입불가주( 2)

폐국 주( 3)

105 의RX1위치의동기신호

침몰 호출의 종료주( 4)

의 부재Operator주( 3)

106 의RX2위치의동기신호

선박업무주( 5)

조선불능으로 표류

데이터주( 6)

변복조장치

의Operator일시적 부재 주( 3)

107 의RX3위치의동기신호

기타의조난

미확정주( 1)

장치의 운용불가주( 3)

108 의RX4위치의동기신호

안전 선체의방치

미확정주( 1)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09 의RX5위치의동기신호

J3E 무선전화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10의RX6

위치의동기신호

긴급 조난경보에대한 응답

무력분쟁의당사국이 아닌것을 표시하는선박 및 항공기주( 7)

111 의RX7위치의동기신호

H3E 무선전화 위생수송체 주( 7)

112 조난경보

조난 조난자동통보설비(주 의9)시동

조난경보의중계

공중전화사무소주( 8)

- 32 -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13또는F1B방향오J2B(1

류정정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미확정 주( 1)

114

공통관계를 갖는선단의호출

미확정 주( 1) 미확정 주( 1)

115또는F1B자동재송J2B(

요구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데이터 주( 11)

116모든선박호출

또는F1B J2B수신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2)

11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18 시험 데이타 주( 14)

119또는F1B수신J2B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5)

120개별국의호출

A1A 테이프레코더

데이터 주( 16)

121 선박의 위치 데이타 주( 17)

122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3

개별국의반자동또는자동접속호출

A1A 전건 및핸드셋(Handset)

데이터 주( 18)

124또는F1CF2C

F3C팩시밀리장 데이터 주( 19)

125의DX

위치의동기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6 정보없음 정보없음 주( 20)

12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주( )

앞으로의 사용을 위하여 유보한다1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2 [100] [109] 2 Telecommand

코드번호 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3 [104] 1 Telecommand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 시스템에만 사용한다4

- 33 -

선박의 항해 운항 필수품에 관한 통신과 정부의 기상업무기관으로 보내는 기5

상 관측 통보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6 [115] [124] 2 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을 제외하고 제7 [104][105][106][110][112] [118] 1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의 제 와 조합하여8 [100][101][109][115] [124] 1 Telecommand

사용한다

수색구조용 레이다트랜스폰더를 제외한다9

무선설비규칙의 제 조의 에 정하는 것으로 한다10 69 4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1 (V21)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2 (V22)

앞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1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4 (V2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5 (V2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6 (V1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7 (V26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8 (V27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9 (V32)

코드번호 를 제외하고 제 와 조합하여 사20 [104][110][112] 1 Telecommand

용한다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 코드번호는 중단21 Format

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에서 까지 [102] [124] ([110][112][117]

및 를 제외한다[122] )

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및VHF [100][101][104][105][106][121]

일 것[124]

별표 동기신호의 송출순서[ 9]

주 기호 및 에서 까지가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DX] [RXO] [RX7]

- 34 -

별표 자리 숫자의 코드 변환표[ 10] 10

자리의 숫자10

십억D2

억D1

천만D2

백만D1

십만D2

만D1

천D2

백D1

십D2

일D1

코드5 코드4 코드3 코드2 코드1

주( )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1 1

및 은 자리 숫자의 자리 숫자 에서 까지를 표시하고 각 코드는2 D2 D1 10 2 00 99

그 자리의 십진수를 코드번호로 한다2

숫자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최상위 자리수의 숫자 앞에 을 포함할 것3 0

별표 해역의 표시방법[ 11]

해역의 표시는 다음과 같은 것

선정되는 지리상의 해역은 메르카토르 도법의 직사각형으로 표시할1 (Mercator)

직사각형의 북서를 해역의 기준점으로 할 것2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존재하는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3 1

으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0] [1] [2] [3]

할 것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위도를 표시할 것4 2 3

제 번째에서 제 번째가지의 숫자는 기준점의 경도를 표시할 것5 4 6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남북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6 7 8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동서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7 9 10

표에 표시하는 해역 및 의 표시의 예는 다음과 같을 것8 ab c

기준점이 북위 도 및 서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1) 10 25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20 35 a

1 1 0 0 2 5 2 0 3 5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2) 10 10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10 10 b

2 1 0 0 1 0 1 0 1 0

- 35 -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3) 12 12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4 7 C

2 1 2 0 1 2 0 4 0 7

별표 주파수 및 채널정보의 코드변환표[ 12]

주파수0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주파수를 의 배수로서 숫자의 십100

만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다 1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2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채 널

3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중단파대 또는 단파대의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 다

8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별도로 정한 채널로 한다

9 0 times times times times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18게기하는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천 백 십 및 일의 숫자로 표시한다

십만 만 천 백 십 일

코드3 코드2 코드1

주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 ) 1

- 36 -

별표 종료신호의 송출순서[ 13]

주 기호 가 종료신호를 표시한다( ) H

- 37 -

제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3

제 절 송수신장치1 DSC VHF

시스템 개요1

본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모든기능을 충족하는 일체형과 전화용 복신방식의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호출 및 수신제어장치 로구분된 독립형 으로 구분되며 DSC DSC

이는 외형상의 구분이며 그주요기능별 구성은 각각의 유니트로된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표시 및 제어장치 와 전원부 로 구분되며 이것들은 다시 하나의DSC

케비넷 또는 독립된장치로서 구성된다

시스템 구성2

장비의 개요 및 특징3

가 개요

본 송수신기는 항만내 또는 연안에서 해안국과 선박국 또는 선박국 상호간VHF FM

의 해상이동업무 통신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기로서 이내의 해상156 ~162

이동 무선통신업무용의 전 을 수용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전파관리법 및CHANNEL

등 국제규격에 적합하도록 설계 제작된 기기로서 전세계ITU SOLAS USA USCG

어느곳에서나 규정에알맞게 사용할 수 있는 국제항만 무선전화기용 무선 송수신기

를 제작한다

- 38 -

나 특징

소형 경량화로서 좁은 장소에 설치가 용의하게 되어 있어야 한다(1)

송신각 각 방식을 채용하였으며 국제 항만 무선전화(2) DIRECT SYNTHESIZER

인 를 수용해야 하며 그외 개의CHANNEL 55(114) CHANNEL 105(527) FREE

이 수용되어 있어야 한다CHANNEL(SIMPLEX)

주 국제 중 미국연안에서 단식방식으로 절환 사용되고 있는1 CHANNEL 55(114)

을 사용 할 수 있을것USA CHANNEL(SIMPLEX)

주 별도의 기상수신 을 수용하고 있어야 한다2 WEATHER CHANNEL( )

USA 3 CHANNELS

CANADIAN 1 CHANNEL

OTHERS 5 CHANNELS

원격조정 회로의 내장으로 본기기의 판넬스위치와는 상관없이(3) REMOTE ( ) HAND

만 으로도 판넬 스위치 조작에 필요한 모든기능을 할 수 있고SET CONTROL VHF

의 원근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어야 한다SET

기능이 첨부되어 있어 미국연안 경비대 의 의무 청취(4) DUAL WATCH USCG( )

인 과 의 개의 을 동시에 수신할 수CHANNEL CH 13 CH 16 2 CHANNEL SCANNING

있으며 과 사용자가 선택하는 임의의 을 동시에CHANNEL 16 CHANNEL SCANNING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에 경보신호 기능의 내장으로 비상시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5) CH 16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국제 개 및 을(6) SCAN CHANNEL 55 FREE CHANNEL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SCANNING

안전통신에 지정되어 있는 은 우선 사용할 수 있도록(7) CHANNEL16 1 STEP

로 되어 있어야 한다SWITCH

국제 해상 인명 안전조약 에 정한 규격으로 되어 있어 전세계 어느곳의(8) SOLAS( )

규정에도 적합하며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구 성4

본 기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가 송 수신기 본체 대 1

나 HAND SET 1 SET

다 WHIP ANTENNA 1 SET

라 벽걸이형 SPEAKER 1 SET

마 전원 공급기 1 SET

- 39 -

규 격5

주파수 및 규격은 현재의 통신방식이며 정보통신부의 고시가 발표되면 협대역(125

로 변경한다)

가 일반사항

사용주파수 범위(1)

송 신 156025 ~ 157425 수 신 (SIMPLEX) 156025 ~ 157425 수 신 (DUPLEX) 160625 ~ 162025 기상수신 (WEATHER) 161650 ~ 162550

사용(2) CHANNEL

A International 55 (114) CHANNELSB USA 25 CHANNELSC FREE 105 (527) CHANNELSD WEATHER 9 CHANNELS

USA 3 CHANNELSCANADIAN 1 CHANNELOTHERS 5 CHANNELS

통신 방식(3) SIMPLEX amp DUPLEX

전파의 형식 전화(4) 16KOF3E( G3E DSC F2BG2B)

주파수 편차(5) 0001 (10 PPM)

사용 온도범위 부터(6) -10 + 50

예열 시간 전원 접속후 즉시 사용가능(7)

공칭(8) ANTENNA IMPEDANCE 50 ohm ( )

공급 전원(9)

전 압 136V plusmn 10전 류 수신시 800

송신시 5A전원 공급기 별도( ) 단상AC115V AC220V 60

부터 까지DC 15V 35V

나 송 신 부

정격 출력(1) HIGH -25 W

LOW - 1W

주 공중선 전력 저하장치로 이하 저하기능 보유1 1WATT주 단 보호 인 및 가 아님 은 송신이2 CHANNEL 7576 1 ~9(01 ~09 )CHANNEL되지 않음 기상수신대의 사용법은 본문 참조 ( )

- 40 -

발진 방식(2) SYNTHESIZER CONTROL SYSTEM

변조 방식(3) FREQUENCY MODULATION

점유 주파수 대역폭(4) 16 (8)

최대 주파수 편의(5) 5 (25)

복사강도 이상(6) SPURIOUS 70

변조 주파수 특성(7) 6 (plusmn 3 ) OCTAVE PRE-EMPHASIS)

(300 ~ 3 )

변조시 이하(8) DISTORTION 1 70 -20

신호 대 잡음비 변조시 이상(9) 1 70 40

저역 여파기 특성 이상에서 이상 감쇄(10) 3 -40log f3( ) (f = )

다 수 신 부

수 신 방 식(1) DOUBLE SUPERHETERODYNE SYSTEM

감 도(2) 이하 신호 대 잡음비 에서 025 V ( 20 )μ

감도(3) SQUELCH 이하 02 Vμ

국부 발진 주파수(4) 1lsquost LOCAL FREQUENCY

RECEIVER FREQUENCY - 214

2nd LOCAL FREQUENCY 10945

중간 주파수(5) 1lsquost IF FREQUENCY 214

2nd IF FREQUENCY 455

선 택 도(6) 저하폭 이상 6 12 (6)

저하폭 이하 70 25 (125)

(7) SPURIOUS RESPONCE 이상 70

감도 억압 효과(8) 이상 80

상호 변조 특성(9) 이상 65 ( 20 40 )

주파수 특성(10) 6 (plusmn3 )OCTAVE DE-EMPHASIS)

( 300 ~ 3 )

신호 대 잡음비(11) 변조시 이상 1 60 40

(12) DISTORTION 변조시 이하 1 70 -20

저주파 출력(13) 이상 1 WATT (IMPEDANCE 8 ohm)

- 41 -

제 절 차년도 개발 범위2 1

제 차년도 개발범위는 기초자료조사와 규정의 연구에 따라 기초회로의 설계 후1

사용부품을 시험하고 각 의 제작 및 시험 연이은 성능미달 의 차 차PCB PCB 2 3

차 재제작 시험을 완료하고 시스템의 설계까지이며 그 세부적인 개발범위는 다음4

과 같다

송수신장치 개발을 위한 제규정 수집 연구1 DSC VHF

기초자료 조사2

가 장비에 대한 기능특성 수집 연구

나 사용자 및 선박통신사의 요구사항에 대한 자료 수집 연구

다 외국장비와 비교 분석

라 부품규격 시험 및 선정

3 HARD WARE

가 고주파 필터코일 재질분석 및 각종코일 설계

나 제작 PCB

송신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1) PCB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시험(2) PCB

수신부회로 제작 시험(3) PCB

신세사이즈 회로 제작 시험(4) PCB

제어장치 제작 시험(5) PCB

표시장치 제작 시험(6) PCB

원격제어기 제작 시험(7) PCB

전원공급부 제작 시험(8) PCB

제작 시험(9) HAND SET PCB

전용수신기 제작 시험(10) DSC PCB

- 42 -

제 장 제 차년도 개발 항목 보고4 1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본 장비를 개발함에 있어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및 부품선정이 개발의 핵심 과제

로 생각하였다

기초자료는 기존 시스템분석과 전파관련법령을 기초하였고 주변회로는 관련된 회

로집을 분석하였으며 부품선정은 폐품종 여부와 수급이 용이하면서 견고하고 증폭

도 및 성능이 우수한 품종으로 장시간 시험을 거쳐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송신부 제작시험2

송신 출력회로 결정 회로설계 완료하여 각부 부품 구입 회 내구성 시험 및SPEC 30

구룹별 장시간 부품 부하 시험등 최종목표 성능을 확보하기위한 제반 기초 제작시

험을 완료 하였으며 주요 내용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의 발열상태등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의 높은 출력으로 증폭하는 송신전(VHF ) 25W

력 증폭기로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높은 고주파전력에 견딜수있어야 하고 열

에의해 발생되는 열잡음이 적으야하며 열에의한 부품의 열화 및 특성의 변화가 적

은 부품을 사용여야 하므로 온습도시험 과 과출력 시험을 통하여 사용될 부품을 시

험하였다

특히 고조파 필터회로 부품인 코일은 동선에 전도율이 좋은 재질로 도금하여 사용

하여야 하며 고조파필터회로 의 차폐용 재료도 동판에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도금

하여 사용 하여야 한다

나 송신 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PCB (PCB NO V-097)

개발과정에서의 설계변경 및 생산시스템의 전산화 에 적용 할수있도록 회로 설계는

물론 설계 회로기판 도안 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설계완료된 는PCB ( ) CAD DATA

회로기판 제작장치 외주 작업 및 부품삽입기 자사 작업 에 직접 컴퓨터용 디스켙( ) ( ) (

으로 입력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회로에 높은 고주파전류가 흐르므로인하여 빌진할 가능성 및 잡음발생의 우려PCB

가 많으므로 특히 부품배치에 유의하여 설계하였으며 송신신호 발생회로 또는 전원

회로 와의 배선은 관통형콘덴서등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였다

회로에 사용되는 코일은 각 코일간에 간섭을 줄이기위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설정하

였으며 전체를 차폐하고 또 고조파 필터회로를 구분하여 차폐하여 제작 하였PCB

- 43 -

또 안정된 출력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회로를 장치하여 설정된 출력 이상의ALC

출력을 제한한다

다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PCB (PCB NO V-096TX)

설계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이 는 미약한 고주파 신호를 발생 변PCB CAD PCB

환 증폭 하므로서 송신부 또는 외부로 부터의 잡음 유입과 내부잡음 발생에 유의

하여 설계되었으며 불요복사 억제에 유의하였다

라 성능시험

메칭상태 시험(1)

옴 파장 수직형 안테나 를 사용할수 있도록 시험하였으며 차적인 시험은 의50 12 1

사부하에 의해 시험하고 의사부하 안테나에 정상적인 메칭이 된 후 실제 사용 안테

나에 확인시험 하였다

이 시험에서 양질의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장치는 물론 안테나의 성능이 중

요하며 인접한 고전력 안테나 및 낙뢰로부터 안정성 등을 감안하여 안테나는 VHF

대역 이하의 주파수에 대하여 쇼트형 안테나가 바람직 하다

기존 시스템의 이상의 성능 확보(2) 90

송신부의 주기능으로서 양질의전파를 안테나로 공중에 발사하는 장치로서 주피수안

정도 고조파억압 불효전파억제 안정된전력 안정된 주파수편이 낮은 왜율 등의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시험결과는 기존의 제품의 특성에 가까운 성능을 확보

하였으나 안테나공용기 복신통신용 필터 특성의 개선및 송신부 관련부품의 배치를( )

개선하므로서 보다 좋은 성능을 확보 할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신부 제작시험3

수신부는 안테나입력회로 입력동조회로 단신통신 및 복신통신 각 주파수 대역 필 (

터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로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 1 1 2 2

로 대역필터회로 신호제한 리미터 회로 복조회로 무신호잡음 차단 회로 저주 ( ) FM

파 증폭회로 및 국부발진회로 로서 구성되나 국부발진회로는 잡음의 발생및 유입

주파수안정도 등을 감안하여 별도의 로서 제작하였으며 그외 수신부와 관련한PCB

내용은 다음과 같다

- 44 -

가 사용부품의 구입 및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증폭과 변환을 반복하여 요구되는 신호(VHF )

를 복조하여 기청음 또는 의 문자표시로 출력되게 하므로서 안정된 주파수 및DSC

증폭이 요구되므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당연히 고주파특성에 유의하여 주파수

차에의한 특성변화 열잡음 및 고주파잡음 능동소자등의 직선성 등이 교려되어야하

므로 항온항습시험과 과전류에의한 잡음발생의 시험 등 을 거처 엄선한 부품으로

설정사용 하였다

특히 회로의 선택도 코알의 값 를 높이기 위하여 가 높은 트랜스 재료를 사용하( Q ) Q

였다

다 수신부회로 제작 PCB (PCB NO V-096RX)

위 항에서의 시험에 의해 선택된 부품을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며 수신부의 특성31

상 잡음의 발생보다는 잡음의 유입에 유의하여 설계되었으며 안정된 증폭 특성 수(

신감도 을 얻기위하여 중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회로기판은 에폭시) 2

수지 양면인쇄동판을 사용하여 부품삽입면은 대부분 공통단자로 이용하여 부품간의

간섭을최소화 하였다

다 수신부 특성시험

수신부 특성상 수신감도 주파수안정도 왜율 통과대역폭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감도억압비 혼변조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신호대 잡음비 일 때의 수신감 20

도 성능이 확보되며 기타 여러 가지 특성도 최종목표 특성에 가까운 성능이05

확보 되었으나 까지 수신감도가 향상되도록 성능개선이 요구된다025 V 120757

신세사이즈부의 회로의 안정도로 인하여 국부발진 신호의 흔들림현상이 있어VCO

통과대역폭 및 잡음발생의 원인이되어 신세사이즈회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신세시이즈회로는 크게 수신국부발진 신호용과 송신신호용으로 구분되며 단신통신

과 복신통신방식일때 각각 동작할수있는 구성으로 설계되었으며 그 내용별로 구분

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전압제어발진기 에 사용되는 부품은 온도 및 전압변동에 특성의변화가 극히(VCO)

적어야하며 외부로부터 정전 및 자계영향이 크므로 회로를 별도로 정전 및 자VCO

계로부터 차폐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혼변조 및 잡음신호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파수선택 표준신호 등 시 수신( )

대역 및 송신대역에 영향이 없는 주파수로 하였으며 가능한 레벨을 제외한 신(TTL

호 파형의 왜율이 적은신호로서 각회로신호를 사용하여 결합하였다)

- 45 -

나 신세사이회로 제작 (PCB NO V-096PLL)

이회로 기판은 여러종류의 신호들이 발생 혼합 증폭 비교 되므로 각부품 간의 배

치에따라 잡음발생의 정도가 크게 좌우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였으며 회로는 외VCO

부영향에 민감하게 작동되므로 차폐 에 유의하여 부품의 배치 적절하게 하였으며

잡음발생을 유의하여 부품을 선정하였다

다 성능시험

이회로의 특성상 주파수안정도 주파수의 흔들림 위상비교기의 비교속도 등에 유의

하여 시험하였으며 여러가지 일반적인 특성은 최종목표사양에 만족될 수 있는 신호

원을 공급할수 있었어나 주파수의 흔들림 현상이 있어 회로의 부품 및 차폐에VCO

개선이 요구된다

제어장치 제작시험5 (PCB NO V-263)

이회로의 주요부품으로서 를 사용하여 당개발과제의 송수신 및 외부V25 CPU DSC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며 아울러 본체 전면표시기와 스윗치 입출력 기능도 한다

이회로의 주요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스 읽기전용 메모리 읽고CPU( ) ROM( ) RAM(

쓰기 메모리 직렬통신용 입출력 병렬통신 입출력 아날로그 디지) SIO( ) PIO( ) AD(

탈 변환기 스윗치입력 표시기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개발 내용은 다음과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에 사용되는 부품은 대부분 디지탈신호를 처리하여 회로로서 및TTL IC

로서 구성되며 저소비전력 및 고속처리능력이 요구되므로 주로 고속용C-MOS IC

중 형 를 사용 하였으며 장치의 초기설정 및 기능 설정의C-MOS(C-MOS IC HC )

변경등 의 목적으로 은 충전형 밧테리로서 메모리내용을 전원의 에 관RAM ONOFF

계없이 유지하도록 하였다

외부 제어기 등 와의 통신용 의 통신속도를 또는 등으로(DSC ) RS-232C 2400 4800

변경 설정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변환기 등을 이용하여 자기진단을 할수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장비의 유지및AD

보수에 많은 도움이된다

- 46 -

나 성능시험

운용시험(1)

이회로의 특성상 전기적 특성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특성 및 성능이 요구되므로 운

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이부분에 대한 시험은 개발자입

장이 아닌 운용자가 시험하여야 하는 관계로 선박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사용자에게

의뢰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로서는 기능면에서는 양호하나 사용상 복잡한 면이 있어 보다 조작 을 간편

히 할수있도록 개선할 필요가있는 것으로 본다

표시장치 시험(2) (PCB NO V-260)

본장치의 사용상 필요한 기능 및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내용과 기기 동작

상태의 일치성이 요구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온습도 및 장기시험 으

로서 확인하였으며 여러 가지 표시장치중 각각 중단점이 나타낮다

즉 액정 표시기 표시기는 저소비전력이며 주위가 밝은곳에서 사용이 가능 하LCD( )

나 반면 온도특성이 나쁘며 형광표시관 표시기는 온도특성은 양호하나 소비전 VFD( )

력이 대체로 높고 보다 낮고 보다 많음 수명이 낮다는 단점이있으며(FND LCD )

발광 다이오드 표시기는 모든면에서 대체로 양호 하나 잡음발생 이많으며 밝FND( )

은곳에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외 여러 가지의 장담점을 검토하여 차적인 결론은 표시기가 적합한 것으로1 LCD

본다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최소의 전기적신호 연결로서 최대의 기능제어및 속도가 요구되는 장치로서 저주파

신호의 입력 마이크 신호 및 출력 스피크 신호 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 제어는( FS ) ( )

직렬통신 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였으며 장거리 일반 공용통신망 을 이(RS-232C)

용할수도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요 구성은 중앙제어장치 스윗치입력 장치 표시장치 메모리장치 직렬통신장치

로 구성되며 그 상세한 개발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의 대부분이 디지탈신호의 처리회로로서 구성되므로 제어장치 의 사용 부품ldquo rdquo

시험 및 선정기준과 같으며 장거리운용상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신속도를

알맞게하며 장거리통신 선로에서 유기되는 잡음을 최소화 하기위한 필터회로 및

소프트웨어적인 오류정정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별도 설계 사용 하였다

- 47 -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V-170)

이장치는 사용상 편리하여야 하므로 소형 경량 으로 제작 하였으며 차적 기능 시 1

험을 목적으로 외형 보다는 성능을 우선하여 시험용으로 제작하였다 이장치의 시

험은 전용케이블 을 이용하여 시험하였고 또 일반 공용통신용 전화 선로를 통하여

원거리 시험을 하였으며 그결과로서 통신속도가 까지 양호하게 동작되나2400bps

그이상의 통신속도로서 운용 할려면 전용회선이 필요하게된다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가 결정 SPEC

각회로 에서 필요로하는 전압 및 전류에 알맞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반 성능

을 차적으로 설정 하였으며 최종목표 사양에 일치하기위하여서는 전원부의 장치에1

대하여 모든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최종 특성이 설정 되어야 한다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P-099)

이장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되나 반면에 안정성이 확고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안

정성을 첫째로 중요시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이회로는 많은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많은 전력이 열로서 손실되므로 방열에 특히 유의하여 제작되었으며 열발생이 많은

부품은 알미늄 방열판에 설치하고 이방열판은 본장치 외함의 바깥쪽에 설치하여 방

열효과를 최대화 하였다

이회로의 시험은 과입력전압 및 과소비전력 일때의 안정성에 중점 시험하였고 그시

험을 위하여 장시간 항온 항습기 를 이용하여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전원부의 안정

성 확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도 이회로를 특별히 개선하지 않고도 최

종목표 사양에 만족하리라 본다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PCB NO V-098)

마이크 회로 수화기 회로 송신 스윗치 회로 로서 구성되며 이장치는 사용 특성상

충격에 강하도록 설계제작 되어야 하며 무게는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재료선택이

중요하며 이러한점을 감안하여 사출금형에 의하여 성형 하였으며 성형 제료로서는

제료를 사용하고 사용 부품을 최소화 하여 제작 하였다ABS

이장치의 특성상 견고하며 방수효과가 최대이어야 하므로 충격 자연낙하 시험 및( )

방수시험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 성형제료 및 외형상의 문제는 없이나

송화기 및 수화기의 선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송화기는 콘텐서형

마이크가 좋으며 수화기로는 가변코일형으로서 떨림판이 평면으로된 수화기가 우수

한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선정하여 제작시험 하였다

- 48 -

전용 수신기9 DSC (PCB NO T-342)

전용수신 장치는 송수신장치중 송신부를 제외한 구조와 유사하므로 개발과정에서

송수신장치중 수신부회로에 복조장치 를 추가하여 별도 로 제작하여 시험DSC PCB

하였으며 개발내용중 전용수신기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DSC

가 기능 및 동작

변조되어 수신된 신호를 필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후 신호 처리용FM DSC DSC

마이크로프로세스 에 공급하여 소프트웨어로서 신호를 분석한후 표시장치 메(CPU)

모리장치 인쇄장치 등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전용 찬넬인 번 찬넬을 항상 DSC 70

수신상태로 동작하여 신호 도트신호 를 검출하고 신호가 있으면 이어서CALL ( ) CALL

수신되는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표시장치 및 경보장치에 출력한다

나 신호 신호 필터회로 와 신호 처리부 및 제어용회로부 DSC (FS ) DSC DSC

제작시험 (PCB NO T-325 T-326 T-327)

이 회로의 성능은 주로 필터 및 디지탈변환 회로에서 결정되며 소프트웨어의 성능

에 따라 안정성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점을 유의하여 설계제작 하여으며 성능 시험

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험용 정보를 송신장치로 통해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후 그

결과를 분석 시험 하였다

다 전용 수신기의 개발과정 에서의 학보된 기술 DSC

신호 및 의 신호 의 필터 및 디지털 변환 기술DSC (1300 2100 FS )

신호 검출 및 직렬신호의 병렬변환 소프트웨어DOT

기술 정보의 비교 및 인쇄출력 소프트웨어 기술

종합시험10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별 차 차 차 보완시험은 만족하며 앞으로 개발의 중점은 사용의 편리성과PCB 1 2 3

생산성에 중점 개발이 요하며 배치에 따라 야기될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 PCB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후 최종제품을 제작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49 -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1

가 전면판 사출금형

나 옆판 스피커 안테나 금형

다 노브 사출금형

라 윗면 및 밑면 프레스 금형

마 설치용 고정장치 사출 금형

바 설치대 프레스 금형

사 뒷면 작업용 프레스 금형

아 항온조용 열차단금형

자 필타 금형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2

가 송수신기 제어장치 프로그램

나 전용 수신기 제어용 프로그램 DSC

다 원격조정기 프로그램

라 송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마 수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3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14: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14 -

Frequency 6 oct +1 -3

characteristics

Radiation 1 nW or less

2 Power Supply Unit

Input voltage AC 100V to 120V (5060 ) or AC 200V to

240V (5060 ) and DC 24V (DC 216 to

312V)

Power consumption AC 100V 2A max(main unit)

AC 220V 1A max(main unit)

DC 24V 55A max(main unit)

Input switching Automatically switched to AC mode during

normal operation and to DC mode when AC

power failure

Output Voltage DC 138V plusmn10

Environmental Same as JHS-31 main unit

test conditions

Dimensions 300(H) times 240(W) times 145(D)

(excluding protrusions)

Weight Approximately 65

3 Remote Controller

Operating and Same as JHS-31 main unit

control items

Display items Same as JHS-31 main unit

Power supply DC 138V plusmn10 supplied from

NQD-1469 power supply unit

Environmental test Same as JHS-31 main unit

conditions

Dimensions 290(H) times 240(W) times 80(D)

excluding protrusions)

Weight Approximately 35

- 15 -

4 DSC Watchkeeping Receiver

가 General Specifications

Operation frequency 156525 (CH 70)

Reception mode G2BF2B

Antenna impedance 50Ω nominal unbalanced

DSC AF signal output 0 m plusmn10 (600 Ω balanced)

Self diagnostics Provided with receiver

overall testing functions

Dimmer 4-step control for dimming illuminations

incl extinction

Environmental test Same as JHS-31 main unit

conditions

Warm-up period 30 sec

Dimensions 145(H) times 140(W) times 145(D)

excluding protuberances

Weight approx 15

Power supply 138 VDC plusmn10

Power consumption 10 W or less

나 Receiver

Receiving system Double superheterodyne

Local OSC Crystal controlled

Frequency accuracy Within plusmn10 times 10

Intermediate frequency 1st IF 208

2nd IF 455

Sensitivity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the input

level of 0 μ

Selectivity 6 bandwidth 12 or more

70 bandwidth 25

Adjacent CH selectivity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μ

level of 73 120757(wanted signal frequency plusmn25 )

- 16 -

Spurious response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73 with application of unwanted120757signals in range of 9 to 2

Blocking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93 with application of unwanted120757signals apart plusmn1 to plusmn10 from the

wanted signal

Intermodulation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68 with application of two120757unwanted signals of plusmn25 and plusmn50

simultaneously

Co-channel rejection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ratio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μ

level of -5 120757De-emphasis -6 (+1 -3 ) octave

characteristic 300 +105 (+1 -3 )

3 -95 (+1 -3 )

at reference frequency of 1

Amplitude characteristic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receiver

of receiver limiter input level of 0 to 100 120757 120757Noise and hum -40 or better

Harmonic distortion -20 or better

Spurious emission 1nW of less

5 Guard Receiver

Receiving mode Simultaneous reception of any two channels

selected from ITUUSA channels

Receiving channels Up to 57 channels

Channel spacing 25

Mode of reeption G3E(F3E)

Frequency accuracy Wighin plusmn10 times 10-6

- 17 -

Receiving system Double super heterodyne

Intermediate frequency 1st IF 214

2nd IF 455

Local oscillation method Frequency synthesizer

Sensitivity 2 V or less120757Squelch sensitivity 1 V or less120757Selectivity 12 or more at 6 bandwidth

within 25 with a selectivity of 70

Spurious response 70 or more

Blocking 90 or more

Intermodulaltion 70 or more

Overall distortion 10 or less

Signal-to-noise ratio 40 or more

Rated audio output 2W(4 )Ω

Frequency

characteristics 6 oct +1 -3

Antenna input 50 unbalancedΩ

impedance

Temperature range 0 to +40

for full performance

Operating -15 to +55

temperature range

Storage -25 to +65

temperature range

Power supply voltage DC 138V plusmn10

(supplied from the NQD-1469 power supply

unit)

Dimensions 290(H) times 140(W) times 145(D)

Weight Approximately 25

- 18 -

제 절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2 DSC VHF

디지틀선택호출장치의 조건1

가 점검 및 보수를 쉽게 할수 있을것

나 전원공급후 분이내에 작동할 수 있을 것 1

다 의 주파수를 쉽게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 것 156525

라 초이내에 송신과 수신을 전환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 것 03

마 이상의 제어기를 갖는 경우에는 의 제어기에 우선권이 주어지는 동시에 다 2 1

른 제어기의 사용상태를 표시하는 기능이 있을 것

바 전원전압이 정격전압의 퍼센트이내에서 변동된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 (plusmn)10

할 수 있을것

사 통상 발생하는 온도 및 습도의 변화 진동 또는 충격이 있는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수있을것

선택호출장치의 선택호출신호의 조건2

가 마크주파수는 이고 스페이스주파수는 일것 이 경우 허용편차 1300 2100

는 각각 로 한다10

나 신호전송속도는 매초 비트일것 이 경우 허용편차는 만분의 으로 1200 100 30

한다

다 시간다이버시티의 시간간격은 초일것 003

송신장치의 조건3

가 공중선전력 와트 이상일 것 6

나 전파의 변조지수 허용편차는 로 한다 F2B 2( 02 )

다 감도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자 1

율이 퍼센트이하일 것1

라 실효선택도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1) 14

상태에서 중간 주파수로부터 희망파의 배의 주파수 희망파주파수의 이3 ( (plusmn)375

내의 주파수를 제외한다 까지 수신기입력전압 밀리 볼트의 무변조 방해파를 인) 447

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1

- 19 -

감도억압효과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2) 14

의 정현파에 의하여 주파수 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기입력전압400 3 44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인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이하일1

마 상호변조특성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 14

희망파 보다 떨어진 수신기 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와 희망파25 25

보다 떨어진 의 정현파에 의한 주파수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50 400 3

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25 1

디지틀선택호출전용수신기 의 조건4

가 통신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통신의 수신기능외에 통신의 내용을 볼 수있도록 하

는 기능이 있을것

나 조난통신 또는 긴급통신을 수신한 경우에는 수동으로만 정지시킬 수 있는 특별

경보기능이 있을것

다 수신한 조난통신의 내용을 즉시 인쇄하거나 개이상의 조난통신을 기억할 수 20

있어야 하되 기억한 내용을 일정시간 보존할 수 있을것

라 본체의 보이는 곳에 수신주파수를 표시할 것

마 전원공급후 분이내에 작동할 수 있을것 1

바 전원전압이 정격전압의 퍼센트이내에서 변동된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plusmn)10

수 있을 것

사 통상 발생하는 온도 및 습도의 변화 진동 또는 충격이 있는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수 있을것

아 감도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자율 1

이 퍼센트 이하일 것1

자 실효선택도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1) 14

상태에서 중간 주파수로부터 희망파의 배의 주파수 희망파주파수의 이내3 ( (plusmn)375

의 주파수를 제외한다 까지 수신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를 인접) 447

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1

- 20 -

감도억압효과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2) 14

의 정현파에 의하여 주파수 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기입력전압400 3 44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인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1

차 상호변조특성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 14

희망파 보다 떨어진 수신기 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와 희망파25 25

보다 떨어진 의 정현파에 의한 주파수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50 400 3

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25 1

- 21 -

제 절 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3 DSC VHF

일반적 조건1

가 취급이 용이한 것일 것

나 에서 까지의 숫자 입력판을 갖는 경우에는 그 숫자의 배열은 국제전신전화자 0 9

문위원회의 권고 에 의한 것일 것E161

공중선의 단선 또는 공중선 단자의 단락으로부터 보호수단을 가질 것

과전류 과전압 전원의 과도변동 및 전원극성의 우발적인 반전으로부터 보호수단이

있는 것일 것

노출된 금속부분은 접지하는 것이 가능할 것

전원단자는 접지되어 있지 않을 것

전원 볼트를 초가하는 전기 고주파의 것을 제외 를 통하는 도전부는 용이하게 노55 ( )

출이 되지 않도록 다음의 어느 조건에도 적합한 차폐체를 갖고 있는 것일 것

차폐체를 개방한 때는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되는 구조일 것(1)

차폐체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공구를 필요로 하는 구조이고 또는 고전압에 대한(2)

주의사항이 표시되어 있을 것

다 통상의 설치된 상태에서 제조자명 형식명 및 제조번호가 명확하게 판독 가능하

도록 외부에 표시되어 있을 것

라 장치의 일부를 가열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급전후 분이내에 일정온도에 달하 30

는 것일 것

다만 가열회로에 공급하는 전력은 다른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치단에 의해

절단되지 아니할 것

마 전원공급후 송신장치의 일정분에 전압의 공급을 지연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는 그 지연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것

디지틀선택호출장치의 조건2

선박의 위치 및 위치를 결정한 시각의 자동입력 기능을 갖는 경우에는 동기능의

고장이 장치의 다른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

가 선택호출 신호의 구성

조난경보등 조난경보 조난경보에 대한 응답 조난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1) (

중계에 대한 응답을 말한다 이하 같다 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및 무선설비의 기기 )

의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이하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이외의 선택( ldquo rdquo )

호출신호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1

- 22 -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2) 2

조난 경보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 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3) 3

일 것

조난 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 중계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4)

성을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4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5) 5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오류검정부호를 제외한다 에 사용하는 단위 부호는(6) (dot ) 10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6

나 선택호출신호의 송출조건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오류검정부호를 제외한다 의 송출은 최초의 송출과 반(1) (dot )

복송출과의 사이에 개의 코드가 놓아진 방식일 것4 Time Diversity

선택호출신호의 반복송출은 다음과 같은 것일 것(2)

가 조난경보를 연속하여 송출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조난 경보를 최후의 신호와( )

다음에 송출되는 조난경보의 신호와의 사이를 가격없이 송출가능한 것일 것dot

나 디지탈선택호출통신망을 위한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호출( )

또는 응답의 선택호출 신호의 경우는 별표 에 따라서 회를 초과하지 않는 회수를7 4

반복하여 송출가능할 것

다 가 및 나 이외의 경우는 반복하여 송출이 가능하지 않는 것일 것( ) ( ) ( )

다 선택호출신호의 수신조건

조별 의 장치는 제 호에 규정한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1) (class) A 2

읽어냄이 가능할 것

조별 의 장치는 다음의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표시하는(2) (class) B

것이 가능할 것

가 제 호에 규정하는 선택호출신호중 종별 의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것( ) 2 (class) B

나 포맷 신호가 해역호출인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것( ) (format)

다 제 가 수신되지 아니할 것( ) 1 Telecommand

해안국의 장치는 제 호에 규정하는 선택호출신호 해안국의 장치의 것을 제외(3) 2 (

한다 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읽어냄이 가능할 것)

- 23 -

별표 선택호출신호 조난경보등을 위한 것 및 시험을 위한 것은 제외한다 의[ 1] ( )

구성

dot신 호

동 기신 호

Format신 호

Address신 호

Category신 호

자국의식별신호

정 보신호1

정 보신호2

정 보신호3

종료신호

오류검정신호

주( 1) 주( 2) 주( 3) 주( 45및6)

주( 7) 주( 8) 주( 9) 주( 10) 주( 11) 주( 12) 주( 13)

주( )

중단파대 및 단파대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하는 장치의 선1

택호출신호 이하 중단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에 있어서 선박국을 호출하( ldquo rdquo )

기 위한 선박호출신호의 경우는 비트 선박국에서 해안국으로 호출 및 응답하기200

위한 선택호출신호 및 국제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 계기하는 주파수18

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 하는 장치의 선택호출신호 이하 대 선택( ldquoVHF

호출신호 라 한다 의 경우는 비트일 것rdquo ) 20

표 에 나타내는 코드번호를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하는 것일 것2 8 9

호출의 종류를 나타냄에 있어서 다음의 장치마다 별표 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3 8

류를 표시하는 개의 동일 코드번호일 것2

종별 의 장치 선박국의 장치에서 별표 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류를 사용(1) (class)A ( 8

가능한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

종별 의 장치 선박국의 장치에 있어서 동표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류 중(2) (class) B (

해역호출 및 공통관계를 갖는 선단의 호출을 제외한 것의 사용이 가능한 것을 말한

다 이하 같다 )

해안국의 장치 동표에 게기한 호출의 종류중 조난경보 및 개별국의 반자동 또(3) (

는 자동접속호출을 제외한 것의 사용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

신호가 조난경보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는 상대국 식별4 Format

신호로 하여 선박국식별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 구성되는[0]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신호가 조난경보 또는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선택호출에 있어서는 사용5 Format

하지 않을 것

신호가 해역호출의 경우 종별 의 장치는 제외한다 는 별표 에 따라서6 Format ( B ) 11

해역을 자리 의 숫자를 표시하고 별표 에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통보의 우선순위 또는 종류 신호가 모든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통상업무7 (Format

및 선박업무를 제외한다 를 별표 에 따라 개의 코드번호에 코드화한 것일 것 다) 8 1

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 선박업무를 제외한 것으로 하고 또한 신 (class) B Format

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통상업무를 제외한 것일 것

- 24 -

자국의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8 [0]

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제 및 제 의 정보로 하여 별표 에 따라서 각각 개의 코드번9 1 2 Telecommand 8 1

호에 코드화한 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제 (class) B 1

를 다음과 같이하고 제 코드번호가 일 것Telecommand 2 Telecommand [126]

중단파대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하는 장치의 선택호출신호 이하(1) (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는 신호가 개별국의 호출일때에는 코드번ldquo rdquo ) Format

호 또는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일[119] [111] [118] Format

때에는 코드번호 또는 일 것[109] [111] [111]

선택호출신호는 신호가 개별국의 호출일 때에는 코드번호(2) VHF Format [100]

또는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일 때에는 코드번호[101] Format

또는 일 것[100] [101] [105]

다음의 방식일 것10

호출에 이어 계속 통신에 사용하는 송신 및 수신을 위한 주파수 또는 채널을(1)

나타내는 선택호출신호는 송신파 및 수신파의 순으로 별표 에 코드화한 것일 것12

다만 주파수 또는 채널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송신파 또는 수신파마다에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126]

선박의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선택호출신호는 코드번호 및 다음에 의거 표(2) [55]

시되는 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 자리숫자를 별표 에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가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가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나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부터 제 번째까지의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표시한다

제 가 선박의 위치인 호출에 대한 응답 이하 선박위치응답 이라(3) 1 Telecommand ( ldquo rdquo

한다 을 위한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의 가 및 나 에 의해 표시하는 선박의) (2) ldquo rdquo ldquo rdquo

위치를 나타내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코드화한 것 및 그것에 계속코드번호10 10

일 것[126]

에서 이외의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4) (1) (3) 6 [126]

선박위치응답의 경우 종별 의 장치를 제외한다 및 신호가 개별11 ( (class)B ) Format

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에만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각각 다음의 방

식일 것

선박위치응답의 경우는 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 국제표준시로 한다 이하 같(1) (

다 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2 10

개의 코드번호로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는 개2 2

의 코드번호 일 것[88]

- 25 -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는 아날로그 전화용(2) Format

설비와 접속하기 위한 번호 이하 전화번호 라 한다 등의 네트워크번호를 표시하는( ldquo rdquo )

것으로 하고

네트워크번호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코드번호를 짝수의 경우는 코드번호[105]

과 네트워크를 별표 에 준하여 개부터 개까지의 수의 코드번호로 코드화[106] 10 2 9

한 것일 것

응답을 필요로 하는 호출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응답12 [117]

을 위한 선택 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및 이외의 경우는 코드번호[122] [127]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 다만 신호가 모13 Format

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 코드번호 일 것[127]

오류검정부호는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정보비트 및 제 번째에서 제13 1 7 8

번째까지의 검정비트로부터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생성되는 각 비트10

의 및 이 각각 별표 에 표시하는 및 에 대응하는 단위 부호로[0] [1] 6 [B] [Y] 10

하여서 송출되는 것일 것

정보비트의 각 비트는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동기신호를 제외한다 의 모든(1) (dot )

코드번호 신호 및 종료신호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로 한다 에 대응하(Format 1 )

는 부호의 비트 위치마다 최하위 비트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다만 를 를 B 0 Y 1

로해서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검정비트는 정보비트의 의 수를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B 2

별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해안국의 장치는 제외한다[ 2 ] (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자국 의식별신호

주( 4)

조난종류 의정보신호

주( 5)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

주( 6)

시각정보신호

주( 7)

Tele-command정보 신호

주( 8)

종료신호

주( 9)

오류검정신호

주( 10)

주( )

중단파 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는 비트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비1 200 VHF 20

트일 것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2]

자국의 선박국 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4 [0] 10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조난의 종류를 표시하는 것으로 하여 별표 에 따라 개의 코드번호로 코드화한5 8 1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 (class) B 1 107

- 26 -

조난선박에 위치를 다음과 같이 자리의 숫자로 표시 하는 것으로 별표 에6 10 10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조난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것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99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1)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는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2)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한다

조난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것7 2

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개의 코드번호에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 10 2

를 포함하지않는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88]

계속하여 행하는 통신의 형식을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통신장치가 무선전화 또8

는 협대역직접 인쇄전신장치인 제 를 별표 에 개의 코드번호로1 Telecommand 8 1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방식일 것 (class) B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 일 것(1) 1 [109] [111]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VHF 1 [100]

코드번호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하는 것일 것9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별표 조난경보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선박국의 장치를[ 3] (

제외 )

dot신호

주( 1)

동기신호

주( 2)

For-mat신호

주( 3)

Cate-gory신호

주( 4)

자국의식별신호

주( 5)

Telec-ommand정보신호

주( 6)

조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7)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 8)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 9)

시각정보신호

주( 10)

Tleco-mmand정보신호

주( 11)

종료신호

주( 12)

오 류검 정신 호

주( 13)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6]

별표 의 주 과 같은 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4 1 7 [112]

자국의 해안국 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숫자를5 [0] 10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6 1 [1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일 것7

- 27 -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종류의 정보신호일 것8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일 것9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시각정보신호일 것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정보신호일 것11 Telecommand

코드번호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2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3 1 13

별표 조난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 중계에 대한 응답을 위한[ 4]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dot신호

주(1)

동기신호

주(2)

For-mat신호

주(3)

Addr-ess신 호

주( 4및56)

Cate-gory신 호

주(7)

자국의식별신호

주(8)

Telec-ommand정보신호

주( 9)

조 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10)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11)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12)

시각정보신호

주(13)

Tleco-mmand정보신호

주( 14)

종료신호

주(15)

오류검정신호

주(16)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별표 의 주 과 같다 코드번호 이외의 것으로 한다3 1 3 ( [112] )

신호가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에는 상대국의 식별신호4 Format

로 하고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0] 10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5 Format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6

별표 의 주 과 같은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7 1 7 [112]

별표 이 주 과 같다8 1 8

개의 코드번호 일 것9 1 [112]

수신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 또는 수신한 조난경10

보의 중계의 조난선박국의 식별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종류의 정보11

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선박의 위치12

정보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시각정보일 것13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14 Telecommand

정보신호일 것으로 한다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것으로 하 (class) B

는 것이 가능할 것

- 28 -

중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1) 1 [109] [111]

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2) VHF 1 [100] [101]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코드번호 개별 해안국 앞15 Format [127]

으로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에는 코드번호 로서 별표[122]

의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3

별표 의 주 과 같다16 1 13

별표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대 선택호출신호를 제외한다[ 5] (VHF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Address신 호

주( 4)

Category신호

주( 5)

자국의식별신호

주( 6)

정 보신 호1

주( 7)

정 보신 호2

주( 8)

종 료신 호

주( 9)

오류검정신 호

주( 10)

주( )

비트일 것1 200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20]

상대국의 식별신호로서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이에 계속되는 으로서4 [0]

구성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1 [108]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8

각 개의 코드번호 및 일 것7 1 [118] [126]

개의 코드번호 일 것8 6 [126]

코드번호 또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9 [117] [122] 13

일 것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 29 -

별표 선택호출신호의 단위부호[ 6] 10

는 스페이스주파수 는 마크주파수로 대응하고 비트위치의 에서 송출된다B Y 1

협대역 일때MFHF B=1785 Y=1615

대역 일때VHF B=2100 Y=1300

- 30 -

별표 반복송출의 순서[ 7]

주 기호 는 선택호출신호의 종료신호를 표시하고 기호 는 에서 까( ) H DX RX0 RX7

지가 반복송출되는 선택호출신호의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31 -

별표 코드번호 의 용도[ 8] (100-127)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00 통상업무

화재 또는폭발

또는F3단신G3E

무선전화 이유없음 주( 3)

101 침수 또는F3복신G3E

무선전화 해사교환 센터의혼잡 주( 3)

102 해역호출

충돌 미확정주( 1)

통화중 주( 3)

103 좌초 Polling 대기행렬표시주( 3)

104 의RXO위치의동기신호

경사 및전복의위험

수입불가주( 2)

폐국 주( 3)

105 의RX1위치의동기신호

침몰 호출의 종료주( 4)

의 부재Operator주( 3)

106 의RX2위치의동기신호

선박업무주( 5)

조선불능으로 표류

데이터주( 6)

변복조장치

의Operator일시적 부재 주( 3)

107 의RX3위치의동기신호

기타의조난

미확정주( 1)

장치의 운용불가주( 3)

108 의RX4위치의동기신호

안전 선체의방치

미확정주( 1)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09 의RX5위치의동기신호

J3E 무선전화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10의RX6

위치의동기신호

긴급 조난경보에대한 응답

무력분쟁의당사국이 아닌것을 표시하는선박 및 항공기주( 7)

111 의RX7위치의동기신호

H3E 무선전화 위생수송체 주( 7)

112 조난경보

조난 조난자동통보설비(주 의9)시동

조난경보의중계

공중전화사무소주( 8)

- 32 -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13또는F1B방향오J2B(1

류정정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미확정 주( 1)

114

공통관계를 갖는선단의호출

미확정 주( 1) 미확정 주( 1)

115또는F1B자동재송J2B(

요구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데이터 주( 11)

116모든선박호출

또는F1B J2B수신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2)

11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18 시험 데이타 주( 14)

119또는F1B수신J2B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5)

120개별국의호출

A1A 테이프레코더

데이터 주( 16)

121 선박의 위치 데이타 주( 17)

122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3

개별국의반자동또는자동접속호출

A1A 전건 및핸드셋(Handset)

데이터 주( 18)

124또는F1CF2C

F3C팩시밀리장 데이터 주( 19)

125의DX

위치의동기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6 정보없음 정보없음 주( 20)

12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주( )

앞으로의 사용을 위하여 유보한다1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2 [100] [109] 2 Telecommand

코드번호 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3 [104] 1 Telecommand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 시스템에만 사용한다4

- 33 -

선박의 항해 운항 필수품에 관한 통신과 정부의 기상업무기관으로 보내는 기5

상 관측 통보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6 [115] [124] 2 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을 제외하고 제7 [104][105][106][110][112] [118] 1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의 제 와 조합하여8 [100][101][109][115] [124] 1 Telecommand

사용한다

수색구조용 레이다트랜스폰더를 제외한다9

무선설비규칙의 제 조의 에 정하는 것으로 한다10 69 4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1 (V21)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2 (V22)

앞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1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4 (V2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5 (V2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6 (V1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7 (V26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8 (V27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9 (V32)

코드번호 를 제외하고 제 와 조합하여 사20 [104][110][112] 1 Telecommand

용한다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 코드번호는 중단21 Format

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에서 까지 [102] [124] ([110][112][117]

및 를 제외한다[122] )

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및VHF [100][101][104][105][106][121]

일 것[124]

별표 동기신호의 송출순서[ 9]

주 기호 및 에서 까지가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DX] [RXO] [RX7]

- 34 -

별표 자리 숫자의 코드 변환표[ 10] 10

자리의 숫자10

십억D2

억D1

천만D2

백만D1

십만D2

만D1

천D2

백D1

십D2

일D1

코드5 코드4 코드3 코드2 코드1

주( )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1 1

및 은 자리 숫자의 자리 숫자 에서 까지를 표시하고 각 코드는2 D2 D1 10 2 00 99

그 자리의 십진수를 코드번호로 한다2

숫자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최상위 자리수의 숫자 앞에 을 포함할 것3 0

별표 해역의 표시방법[ 11]

해역의 표시는 다음과 같은 것

선정되는 지리상의 해역은 메르카토르 도법의 직사각형으로 표시할1 (Mercator)

직사각형의 북서를 해역의 기준점으로 할 것2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존재하는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3 1

으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0] [1] [2] [3]

할 것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위도를 표시할 것4 2 3

제 번째에서 제 번째가지의 숫자는 기준점의 경도를 표시할 것5 4 6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남북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6 7 8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동서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7 9 10

표에 표시하는 해역 및 의 표시의 예는 다음과 같을 것8 ab c

기준점이 북위 도 및 서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1) 10 25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20 35 a

1 1 0 0 2 5 2 0 3 5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2) 10 10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10 10 b

2 1 0 0 1 0 1 0 1 0

- 35 -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3) 12 12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4 7 C

2 1 2 0 1 2 0 4 0 7

별표 주파수 및 채널정보의 코드변환표[ 12]

주파수0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주파수를 의 배수로서 숫자의 십100

만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다 1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2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채 널

3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중단파대 또는 단파대의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 다

8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별도로 정한 채널로 한다

9 0 times times times times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18게기하는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천 백 십 및 일의 숫자로 표시한다

십만 만 천 백 십 일

코드3 코드2 코드1

주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 ) 1

- 36 -

별표 종료신호의 송출순서[ 13]

주 기호 가 종료신호를 표시한다( ) H

- 37 -

제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3

제 절 송수신장치1 DSC VHF

시스템 개요1

본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모든기능을 충족하는 일체형과 전화용 복신방식의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호출 및 수신제어장치 로구분된 독립형 으로 구분되며 DSC DSC

이는 외형상의 구분이며 그주요기능별 구성은 각각의 유니트로된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표시 및 제어장치 와 전원부 로 구분되며 이것들은 다시 하나의DSC

케비넷 또는 독립된장치로서 구성된다

시스템 구성2

장비의 개요 및 특징3

가 개요

본 송수신기는 항만내 또는 연안에서 해안국과 선박국 또는 선박국 상호간VHF FM

의 해상이동업무 통신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기로서 이내의 해상156 ~162

이동 무선통신업무용의 전 을 수용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전파관리법 및CHANNEL

등 국제규격에 적합하도록 설계 제작된 기기로서 전세계ITU SOLAS USA USCG

어느곳에서나 규정에알맞게 사용할 수 있는 국제항만 무선전화기용 무선 송수신기

를 제작한다

- 38 -

나 특징

소형 경량화로서 좁은 장소에 설치가 용의하게 되어 있어야 한다(1)

송신각 각 방식을 채용하였으며 국제 항만 무선전화(2) DIRECT SYNTHESIZER

인 를 수용해야 하며 그외 개의CHANNEL 55(114) CHANNEL 105(527) FREE

이 수용되어 있어야 한다CHANNEL(SIMPLEX)

주 국제 중 미국연안에서 단식방식으로 절환 사용되고 있는1 CHANNEL 55(114)

을 사용 할 수 있을것USA CHANNEL(SIMPLEX)

주 별도의 기상수신 을 수용하고 있어야 한다2 WEATHER CHANNEL( )

USA 3 CHANNELS

CANADIAN 1 CHANNEL

OTHERS 5 CHANNELS

원격조정 회로의 내장으로 본기기의 판넬스위치와는 상관없이(3) REMOTE ( ) HAND

만 으로도 판넬 스위치 조작에 필요한 모든기능을 할 수 있고SET CONTROL VHF

의 원근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어야 한다SET

기능이 첨부되어 있어 미국연안 경비대 의 의무 청취(4) DUAL WATCH USCG( )

인 과 의 개의 을 동시에 수신할 수CHANNEL CH 13 CH 16 2 CHANNEL SCANNING

있으며 과 사용자가 선택하는 임의의 을 동시에CHANNEL 16 CHANNEL SCANNING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에 경보신호 기능의 내장으로 비상시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5) CH 16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국제 개 및 을(6) SCAN CHANNEL 55 FREE CHANNEL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SCANNING

안전통신에 지정되어 있는 은 우선 사용할 수 있도록(7) CHANNEL16 1 STEP

로 되어 있어야 한다SWITCH

국제 해상 인명 안전조약 에 정한 규격으로 되어 있어 전세계 어느곳의(8) SOLAS( )

규정에도 적합하며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구 성4

본 기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가 송 수신기 본체 대 1

나 HAND SET 1 SET

다 WHIP ANTENNA 1 SET

라 벽걸이형 SPEAKER 1 SET

마 전원 공급기 1 SET

- 39 -

규 격5

주파수 및 규격은 현재의 통신방식이며 정보통신부의 고시가 발표되면 협대역(125

로 변경한다)

가 일반사항

사용주파수 범위(1)

송 신 156025 ~ 157425 수 신 (SIMPLEX) 156025 ~ 157425 수 신 (DUPLEX) 160625 ~ 162025 기상수신 (WEATHER) 161650 ~ 162550

사용(2) CHANNEL

A International 55 (114) CHANNELSB USA 25 CHANNELSC FREE 105 (527) CHANNELSD WEATHER 9 CHANNELS

USA 3 CHANNELSCANADIAN 1 CHANNELOTHERS 5 CHANNELS

통신 방식(3) SIMPLEX amp DUPLEX

전파의 형식 전화(4) 16KOF3E( G3E DSC F2BG2B)

주파수 편차(5) 0001 (10 PPM)

사용 온도범위 부터(6) -10 + 50

예열 시간 전원 접속후 즉시 사용가능(7)

공칭(8) ANTENNA IMPEDANCE 50 ohm ( )

공급 전원(9)

전 압 136V plusmn 10전 류 수신시 800

송신시 5A전원 공급기 별도( ) 단상AC115V AC220V 60

부터 까지DC 15V 35V

나 송 신 부

정격 출력(1) HIGH -25 W

LOW - 1W

주 공중선 전력 저하장치로 이하 저하기능 보유1 1WATT주 단 보호 인 및 가 아님 은 송신이2 CHANNEL 7576 1 ~9(01 ~09 )CHANNEL되지 않음 기상수신대의 사용법은 본문 참조 ( )

- 40 -

발진 방식(2) SYNTHESIZER CONTROL SYSTEM

변조 방식(3) FREQUENCY MODULATION

점유 주파수 대역폭(4) 16 (8)

최대 주파수 편의(5) 5 (25)

복사강도 이상(6) SPURIOUS 70

변조 주파수 특성(7) 6 (plusmn 3 ) OCTAVE PRE-EMPHASIS)

(300 ~ 3 )

변조시 이하(8) DISTORTION 1 70 -20

신호 대 잡음비 변조시 이상(9) 1 70 40

저역 여파기 특성 이상에서 이상 감쇄(10) 3 -40log f3( ) (f = )

다 수 신 부

수 신 방 식(1) DOUBLE SUPERHETERODYNE SYSTEM

감 도(2) 이하 신호 대 잡음비 에서 025 V ( 20 )μ

감도(3) SQUELCH 이하 02 Vμ

국부 발진 주파수(4) 1lsquost LOCAL FREQUENCY

RECEIVER FREQUENCY - 214

2nd LOCAL FREQUENCY 10945

중간 주파수(5) 1lsquost IF FREQUENCY 214

2nd IF FREQUENCY 455

선 택 도(6) 저하폭 이상 6 12 (6)

저하폭 이하 70 25 (125)

(7) SPURIOUS RESPONCE 이상 70

감도 억압 효과(8) 이상 80

상호 변조 특성(9) 이상 65 ( 20 40 )

주파수 특성(10) 6 (plusmn3 )OCTAVE DE-EMPHASIS)

( 300 ~ 3 )

신호 대 잡음비(11) 변조시 이상 1 60 40

(12) DISTORTION 변조시 이하 1 70 -20

저주파 출력(13) 이상 1 WATT (IMPEDANCE 8 ohm)

- 41 -

제 절 차년도 개발 범위2 1

제 차년도 개발범위는 기초자료조사와 규정의 연구에 따라 기초회로의 설계 후1

사용부품을 시험하고 각 의 제작 및 시험 연이은 성능미달 의 차 차PCB PCB 2 3

차 재제작 시험을 완료하고 시스템의 설계까지이며 그 세부적인 개발범위는 다음4

과 같다

송수신장치 개발을 위한 제규정 수집 연구1 DSC VHF

기초자료 조사2

가 장비에 대한 기능특성 수집 연구

나 사용자 및 선박통신사의 요구사항에 대한 자료 수집 연구

다 외국장비와 비교 분석

라 부품규격 시험 및 선정

3 HARD WARE

가 고주파 필터코일 재질분석 및 각종코일 설계

나 제작 PCB

송신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1) PCB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시험(2) PCB

수신부회로 제작 시험(3) PCB

신세사이즈 회로 제작 시험(4) PCB

제어장치 제작 시험(5) PCB

표시장치 제작 시험(6) PCB

원격제어기 제작 시험(7) PCB

전원공급부 제작 시험(8) PCB

제작 시험(9) HAND SET PCB

전용수신기 제작 시험(10) DSC PCB

- 42 -

제 장 제 차년도 개발 항목 보고4 1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본 장비를 개발함에 있어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및 부품선정이 개발의 핵심 과제

로 생각하였다

기초자료는 기존 시스템분석과 전파관련법령을 기초하였고 주변회로는 관련된 회

로집을 분석하였으며 부품선정은 폐품종 여부와 수급이 용이하면서 견고하고 증폭

도 및 성능이 우수한 품종으로 장시간 시험을 거쳐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송신부 제작시험2

송신 출력회로 결정 회로설계 완료하여 각부 부품 구입 회 내구성 시험 및SPEC 30

구룹별 장시간 부품 부하 시험등 최종목표 성능을 확보하기위한 제반 기초 제작시

험을 완료 하였으며 주요 내용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의 발열상태등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의 높은 출력으로 증폭하는 송신전(VHF ) 25W

력 증폭기로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높은 고주파전력에 견딜수있어야 하고 열

에의해 발생되는 열잡음이 적으야하며 열에의한 부품의 열화 및 특성의 변화가 적

은 부품을 사용여야 하므로 온습도시험 과 과출력 시험을 통하여 사용될 부품을 시

험하였다

특히 고조파 필터회로 부품인 코일은 동선에 전도율이 좋은 재질로 도금하여 사용

하여야 하며 고조파필터회로 의 차폐용 재료도 동판에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도금

하여 사용 하여야 한다

나 송신 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PCB (PCB NO V-097)

개발과정에서의 설계변경 및 생산시스템의 전산화 에 적용 할수있도록 회로 설계는

물론 설계 회로기판 도안 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설계완료된 는PCB ( ) CAD DATA

회로기판 제작장치 외주 작업 및 부품삽입기 자사 작업 에 직접 컴퓨터용 디스켙( ) ( ) (

으로 입력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회로에 높은 고주파전류가 흐르므로인하여 빌진할 가능성 및 잡음발생의 우려PCB

가 많으므로 특히 부품배치에 유의하여 설계하였으며 송신신호 발생회로 또는 전원

회로 와의 배선은 관통형콘덴서등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였다

회로에 사용되는 코일은 각 코일간에 간섭을 줄이기위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설정하

였으며 전체를 차폐하고 또 고조파 필터회로를 구분하여 차폐하여 제작 하였PCB

- 43 -

또 안정된 출력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회로를 장치하여 설정된 출력 이상의ALC

출력을 제한한다

다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PCB (PCB NO V-096TX)

설계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이 는 미약한 고주파 신호를 발생 변PCB CAD PCB

환 증폭 하므로서 송신부 또는 외부로 부터의 잡음 유입과 내부잡음 발생에 유의

하여 설계되었으며 불요복사 억제에 유의하였다

라 성능시험

메칭상태 시험(1)

옴 파장 수직형 안테나 를 사용할수 있도록 시험하였으며 차적인 시험은 의50 12 1

사부하에 의해 시험하고 의사부하 안테나에 정상적인 메칭이 된 후 실제 사용 안테

나에 확인시험 하였다

이 시험에서 양질의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장치는 물론 안테나의 성능이 중

요하며 인접한 고전력 안테나 및 낙뢰로부터 안정성 등을 감안하여 안테나는 VHF

대역 이하의 주파수에 대하여 쇼트형 안테나가 바람직 하다

기존 시스템의 이상의 성능 확보(2) 90

송신부의 주기능으로서 양질의전파를 안테나로 공중에 발사하는 장치로서 주피수안

정도 고조파억압 불효전파억제 안정된전력 안정된 주파수편이 낮은 왜율 등의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시험결과는 기존의 제품의 특성에 가까운 성능을 확보

하였으나 안테나공용기 복신통신용 필터 특성의 개선및 송신부 관련부품의 배치를( )

개선하므로서 보다 좋은 성능을 확보 할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신부 제작시험3

수신부는 안테나입력회로 입력동조회로 단신통신 및 복신통신 각 주파수 대역 필 (

터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로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 1 1 2 2

로 대역필터회로 신호제한 리미터 회로 복조회로 무신호잡음 차단 회로 저주 ( ) FM

파 증폭회로 및 국부발진회로 로서 구성되나 국부발진회로는 잡음의 발생및 유입

주파수안정도 등을 감안하여 별도의 로서 제작하였으며 그외 수신부와 관련한PCB

내용은 다음과 같다

- 44 -

가 사용부품의 구입 및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증폭과 변환을 반복하여 요구되는 신호(VHF )

를 복조하여 기청음 또는 의 문자표시로 출력되게 하므로서 안정된 주파수 및DSC

증폭이 요구되므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당연히 고주파특성에 유의하여 주파수

차에의한 특성변화 열잡음 및 고주파잡음 능동소자등의 직선성 등이 교려되어야하

므로 항온항습시험과 과전류에의한 잡음발생의 시험 등 을 거처 엄선한 부품으로

설정사용 하였다

특히 회로의 선택도 코알의 값 를 높이기 위하여 가 높은 트랜스 재료를 사용하( Q ) Q

였다

다 수신부회로 제작 PCB (PCB NO V-096RX)

위 항에서의 시험에 의해 선택된 부품을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며 수신부의 특성31

상 잡음의 발생보다는 잡음의 유입에 유의하여 설계되었으며 안정된 증폭 특성 수(

신감도 을 얻기위하여 중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회로기판은 에폭시) 2

수지 양면인쇄동판을 사용하여 부품삽입면은 대부분 공통단자로 이용하여 부품간의

간섭을최소화 하였다

다 수신부 특성시험

수신부 특성상 수신감도 주파수안정도 왜율 통과대역폭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감도억압비 혼변조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신호대 잡음비 일 때의 수신감 20

도 성능이 확보되며 기타 여러 가지 특성도 최종목표 특성에 가까운 성능이05

확보 되었으나 까지 수신감도가 향상되도록 성능개선이 요구된다025 V 120757

신세사이즈부의 회로의 안정도로 인하여 국부발진 신호의 흔들림현상이 있어VCO

통과대역폭 및 잡음발생의 원인이되어 신세사이즈회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신세시이즈회로는 크게 수신국부발진 신호용과 송신신호용으로 구분되며 단신통신

과 복신통신방식일때 각각 동작할수있는 구성으로 설계되었으며 그 내용별로 구분

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전압제어발진기 에 사용되는 부품은 온도 및 전압변동에 특성의변화가 극히(VCO)

적어야하며 외부로부터 정전 및 자계영향이 크므로 회로를 별도로 정전 및 자VCO

계로부터 차폐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혼변조 및 잡음신호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파수선택 표준신호 등 시 수신( )

대역 및 송신대역에 영향이 없는 주파수로 하였으며 가능한 레벨을 제외한 신(TTL

호 파형의 왜율이 적은신호로서 각회로신호를 사용하여 결합하였다)

- 45 -

나 신세사이회로 제작 (PCB NO V-096PLL)

이회로 기판은 여러종류의 신호들이 발생 혼합 증폭 비교 되므로 각부품 간의 배

치에따라 잡음발생의 정도가 크게 좌우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였으며 회로는 외VCO

부영향에 민감하게 작동되므로 차폐 에 유의하여 부품의 배치 적절하게 하였으며

잡음발생을 유의하여 부품을 선정하였다

다 성능시험

이회로의 특성상 주파수안정도 주파수의 흔들림 위상비교기의 비교속도 등에 유의

하여 시험하였으며 여러가지 일반적인 특성은 최종목표사양에 만족될 수 있는 신호

원을 공급할수 있었어나 주파수의 흔들림 현상이 있어 회로의 부품 및 차폐에VCO

개선이 요구된다

제어장치 제작시험5 (PCB NO V-263)

이회로의 주요부품으로서 를 사용하여 당개발과제의 송수신 및 외부V25 CPU DSC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며 아울러 본체 전면표시기와 스윗치 입출력 기능도 한다

이회로의 주요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스 읽기전용 메모리 읽고CPU( ) ROM( ) RAM(

쓰기 메모리 직렬통신용 입출력 병렬통신 입출력 아날로그 디지) SIO( ) PIO( ) AD(

탈 변환기 스윗치입력 표시기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개발 내용은 다음과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에 사용되는 부품은 대부분 디지탈신호를 처리하여 회로로서 및TTL IC

로서 구성되며 저소비전력 및 고속처리능력이 요구되므로 주로 고속용C-MOS IC

중 형 를 사용 하였으며 장치의 초기설정 및 기능 설정의C-MOS(C-MOS IC HC )

변경등 의 목적으로 은 충전형 밧테리로서 메모리내용을 전원의 에 관RAM ONOFF

계없이 유지하도록 하였다

외부 제어기 등 와의 통신용 의 통신속도를 또는 등으로(DSC ) RS-232C 2400 4800

변경 설정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변환기 등을 이용하여 자기진단을 할수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장비의 유지및AD

보수에 많은 도움이된다

- 46 -

나 성능시험

운용시험(1)

이회로의 특성상 전기적 특성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특성 및 성능이 요구되므로 운

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이부분에 대한 시험은 개발자입

장이 아닌 운용자가 시험하여야 하는 관계로 선박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사용자에게

의뢰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로서는 기능면에서는 양호하나 사용상 복잡한 면이 있어 보다 조작 을 간편

히 할수있도록 개선할 필요가있는 것으로 본다

표시장치 시험(2) (PCB NO V-260)

본장치의 사용상 필요한 기능 및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내용과 기기 동작

상태의 일치성이 요구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온습도 및 장기시험 으

로서 확인하였으며 여러 가지 표시장치중 각각 중단점이 나타낮다

즉 액정 표시기 표시기는 저소비전력이며 주위가 밝은곳에서 사용이 가능 하LCD( )

나 반면 온도특성이 나쁘며 형광표시관 표시기는 온도특성은 양호하나 소비전 VFD( )

력이 대체로 높고 보다 낮고 보다 많음 수명이 낮다는 단점이있으며(FND LCD )

발광 다이오드 표시기는 모든면에서 대체로 양호 하나 잡음발생 이많으며 밝FND( )

은곳에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외 여러 가지의 장담점을 검토하여 차적인 결론은 표시기가 적합한 것으로1 LCD

본다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최소의 전기적신호 연결로서 최대의 기능제어및 속도가 요구되는 장치로서 저주파

신호의 입력 마이크 신호 및 출력 스피크 신호 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 제어는( FS ) ( )

직렬통신 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였으며 장거리 일반 공용통신망 을 이(RS-232C)

용할수도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요 구성은 중앙제어장치 스윗치입력 장치 표시장치 메모리장치 직렬통신장치

로 구성되며 그 상세한 개발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의 대부분이 디지탈신호의 처리회로로서 구성되므로 제어장치 의 사용 부품ldquo rdquo

시험 및 선정기준과 같으며 장거리운용상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신속도를

알맞게하며 장거리통신 선로에서 유기되는 잡음을 최소화 하기위한 필터회로 및

소프트웨어적인 오류정정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별도 설계 사용 하였다

- 47 -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V-170)

이장치는 사용상 편리하여야 하므로 소형 경량 으로 제작 하였으며 차적 기능 시 1

험을 목적으로 외형 보다는 성능을 우선하여 시험용으로 제작하였다 이장치의 시

험은 전용케이블 을 이용하여 시험하였고 또 일반 공용통신용 전화 선로를 통하여

원거리 시험을 하였으며 그결과로서 통신속도가 까지 양호하게 동작되나2400bps

그이상의 통신속도로서 운용 할려면 전용회선이 필요하게된다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가 결정 SPEC

각회로 에서 필요로하는 전압 및 전류에 알맞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반 성능

을 차적으로 설정 하였으며 최종목표 사양에 일치하기위하여서는 전원부의 장치에1

대하여 모든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최종 특성이 설정 되어야 한다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P-099)

이장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되나 반면에 안정성이 확고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안

정성을 첫째로 중요시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이회로는 많은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많은 전력이 열로서 손실되므로 방열에 특히 유의하여 제작되었으며 열발생이 많은

부품은 알미늄 방열판에 설치하고 이방열판은 본장치 외함의 바깥쪽에 설치하여 방

열효과를 최대화 하였다

이회로의 시험은 과입력전압 및 과소비전력 일때의 안정성에 중점 시험하였고 그시

험을 위하여 장시간 항온 항습기 를 이용하여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전원부의 안정

성 확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도 이회로를 특별히 개선하지 않고도 최

종목표 사양에 만족하리라 본다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PCB NO V-098)

마이크 회로 수화기 회로 송신 스윗치 회로 로서 구성되며 이장치는 사용 특성상

충격에 강하도록 설계제작 되어야 하며 무게는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재료선택이

중요하며 이러한점을 감안하여 사출금형에 의하여 성형 하였으며 성형 제료로서는

제료를 사용하고 사용 부품을 최소화 하여 제작 하였다ABS

이장치의 특성상 견고하며 방수효과가 최대이어야 하므로 충격 자연낙하 시험 및( )

방수시험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 성형제료 및 외형상의 문제는 없이나

송화기 및 수화기의 선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송화기는 콘텐서형

마이크가 좋으며 수화기로는 가변코일형으로서 떨림판이 평면으로된 수화기가 우수

한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선정하여 제작시험 하였다

- 48 -

전용 수신기9 DSC (PCB NO T-342)

전용수신 장치는 송수신장치중 송신부를 제외한 구조와 유사하므로 개발과정에서

송수신장치중 수신부회로에 복조장치 를 추가하여 별도 로 제작하여 시험DSC PCB

하였으며 개발내용중 전용수신기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DSC

가 기능 및 동작

변조되어 수신된 신호를 필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후 신호 처리용FM DSC DSC

마이크로프로세스 에 공급하여 소프트웨어로서 신호를 분석한후 표시장치 메(CPU)

모리장치 인쇄장치 등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전용 찬넬인 번 찬넬을 항상 DSC 70

수신상태로 동작하여 신호 도트신호 를 검출하고 신호가 있으면 이어서CALL ( ) CALL

수신되는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표시장치 및 경보장치에 출력한다

나 신호 신호 필터회로 와 신호 처리부 및 제어용회로부 DSC (FS ) DSC DSC

제작시험 (PCB NO T-325 T-326 T-327)

이 회로의 성능은 주로 필터 및 디지탈변환 회로에서 결정되며 소프트웨어의 성능

에 따라 안정성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점을 유의하여 설계제작 하여으며 성능 시험

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험용 정보를 송신장치로 통해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후 그

결과를 분석 시험 하였다

다 전용 수신기의 개발과정 에서의 학보된 기술 DSC

신호 및 의 신호 의 필터 및 디지털 변환 기술DSC (1300 2100 FS )

신호 검출 및 직렬신호의 병렬변환 소프트웨어DOT

기술 정보의 비교 및 인쇄출력 소프트웨어 기술

종합시험10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별 차 차 차 보완시험은 만족하며 앞으로 개발의 중점은 사용의 편리성과PCB 1 2 3

생산성에 중점 개발이 요하며 배치에 따라 야기될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 PCB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후 최종제품을 제작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49 -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1

가 전면판 사출금형

나 옆판 스피커 안테나 금형

다 노브 사출금형

라 윗면 및 밑면 프레스 금형

마 설치용 고정장치 사출 금형

바 설치대 프레스 금형

사 뒷면 작업용 프레스 금형

아 항온조용 열차단금형

자 필타 금형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2

가 송수신기 제어장치 프로그램

나 전용 수신기 제어용 프로그램 DSC

다 원격조정기 프로그램

라 송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마 수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3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15: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15 -

4 DSC Watchkeeping Receiver

가 General Specifications

Operation frequency 156525 (CH 70)

Reception mode G2BF2B

Antenna impedance 50Ω nominal unbalanced

DSC AF signal output 0 m plusmn10 (600 Ω balanced)

Self diagnostics Provided with receiver

overall testing functions

Dimmer 4-step control for dimming illuminations

incl extinction

Environmental test Same as JHS-31 main unit

conditions

Warm-up period 30 sec

Dimensions 145(H) times 140(W) times 145(D)

excluding protuberances

Weight approx 15

Power supply 138 VDC plusmn10

Power consumption 10 W or less

나 Receiver

Receiving system Double superheterodyne

Local OSC Crystal controlled

Frequency accuracy Within plusmn10 times 10

Intermediate frequency 1st IF 208

2nd IF 455

Sensitivity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the input

level of 0 μ

Selectivity 6 bandwidth 12 or more

70 bandwidth 25

Adjacent CH selectivity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μ

level of 73 120757(wanted signal frequency plusmn25 )

- 16 -

Spurious response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73 with application of unwanted120757signals in range of 9 to 2

Blocking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93 with application of unwanted120757signals apart plusmn1 to plusmn10 from the

wanted signal

Intermodulation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68 with application of two120757unwanted signals of plusmn25 and plusmn50

simultaneously

Co-channel rejection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ratio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μ

level of -5 120757De-emphasis -6 (+1 -3 ) octave

characteristic 300 +105 (+1 -3 )

3 -95 (+1 -3 )

at reference frequency of 1

Amplitude characteristic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receiver

of receiver limiter input level of 0 to 100 120757 120757Noise and hum -40 or better

Harmonic distortion -20 or better

Spurious emission 1nW of less

5 Guard Receiver

Receiving mode Simultaneous reception of any two channels

selected from ITUUSA channels

Receiving channels Up to 57 channels

Channel spacing 25

Mode of reeption G3E(F3E)

Frequency accuracy Wighin plusmn10 times 10-6

- 17 -

Receiving system Double super heterodyne

Intermediate frequency 1st IF 214

2nd IF 455

Local oscillation method Frequency synthesizer

Sensitivity 2 V or less120757Squelch sensitivity 1 V or less120757Selectivity 12 or more at 6 bandwidth

within 25 with a selectivity of 70

Spurious response 70 or more

Blocking 90 or more

Intermodulaltion 70 or more

Overall distortion 10 or less

Signal-to-noise ratio 40 or more

Rated audio output 2W(4 )Ω

Frequency

characteristics 6 oct +1 -3

Antenna input 50 unbalancedΩ

impedance

Temperature range 0 to +40

for full performance

Operating -15 to +55

temperature range

Storage -25 to +65

temperature range

Power supply voltage DC 138V plusmn10

(supplied from the NQD-1469 power supply

unit)

Dimensions 290(H) times 140(W) times 145(D)

Weight Approximately 25

- 18 -

제 절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2 DSC VHF

디지틀선택호출장치의 조건1

가 점검 및 보수를 쉽게 할수 있을것

나 전원공급후 분이내에 작동할 수 있을 것 1

다 의 주파수를 쉽게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 것 156525

라 초이내에 송신과 수신을 전환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 것 03

마 이상의 제어기를 갖는 경우에는 의 제어기에 우선권이 주어지는 동시에 다 2 1

른 제어기의 사용상태를 표시하는 기능이 있을 것

바 전원전압이 정격전압의 퍼센트이내에서 변동된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 (plusmn)10

할 수 있을것

사 통상 발생하는 온도 및 습도의 변화 진동 또는 충격이 있는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수있을것

선택호출장치의 선택호출신호의 조건2

가 마크주파수는 이고 스페이스주파수는 일것 이 경우 허용편차 1300 2100

는 각각 로 한다10

나 신호전송속도는 매초 비트일것 이 경우 허용편차는 만분의 으로 1200 100 30

한다

다 시간다이버시티의 시간간격은 초일것 003

송신장치의 조건3

가 공중선전력 와트 이상일 것 6

나 전파의 변조지수 허용편차는 로 한다 F2B 2( 02 )

다 감도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자 1

율이 퍼센트이하일 것1

라 실효선택도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1) 14

상태에서 중간 주파수로부터 희망파의 배의 주파수 희망파주파수의 이3 ( (plusmn)375

내의 주파수를 제외한다 까지 수신기입력전압 밀리 볼트의 무변조 방해파를 인) 447

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1

- 19 -

감도억압효과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2) 14

의 정현파에 의하여 주파수 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기입력전압400 3 44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인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이하일1

마 상호변조특성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 14

희망파 보다 떨어진 수신기 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와 희망파25 25

보다 떨어진 의 정현파에 의한 주파수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50 400 3

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25 1

디지틀선택호출전용수신기 의 조건4

가 통신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통신의 수신기능외에 통신의 내용을 볼 수있도록 하

는 기능이 있을것

나 조난통신 또는 긴급통신을 수신한 경우에는 수동으로만 정지시킬 수 있는 특별

경보기능이 있을것

다 수신한 조난통신의 내용을 즉시 인쇄하거나 개이상의 조난통신을 기억할 수 20

있어야 하되 기억한 내용을 일정시간 보존할 수 있을것

라 본체의 보이는 곳에 수신주파수를 표시할 것

마 전원공급후 분이내에 작동할 수 있을것 1

바 전원전압이 정격전압의 퍼센트이내에서 변동된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plusmn)10

수 있을 것

사 통상 발생하는 온도 및 습도의 변화 진동 또는 충격이 있는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수 있을것

아 감도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자율 1

이 퍼센트 이하일 것1

자 실효선택도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1) 14

상태에서 중간 주파수로부터 희망파의 배의 주파수 희망파주파수의 이내3 ( (plusmn)375

의 주파수를 제외한다 까지 수신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를 인접) 447

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1

- 20 -

감도억압효과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2) 14

의 정현파에 의하여 주파수 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기입력전압400 3 44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인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1

차 상호변조특성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 14

희망파 보다 떨어진 수신기 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와 희망파25 25

보다 떨어진 의 정현파에 의한 주파수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50 400 3

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25 1

- 21 -

제 절 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3 DSC VHF

일반적 조건1

가 취급이 용이한 것일 것

나 에서 까지의 숫자 입력판을 갖는 경우에는 그 숫자의 배열은 국제전신전화자 0 9

문위원회의 권고 에 의한 것일 것E161

공중선의 단선 또는 공중선 단자의 단락으로부터 보호수단을 가질 것

과전류 과전압 전원의 과도변동 및 전원극성의 우발적인 반전으로부터 보호수단이

있는 것일 것

노출된 금속부분은 접지하는 것이 가능할 것

전원단자는 접지되어 있지 않을 것

전원 볼트를 초가하는 전기 고주파의 것을 제외 를 통하는 도전부는 용이하게 노55 ( )

출이 되지 않도록 다음의 어느 조건에도 적합한 차폐체를 갖고 있는 것일 것

차폐체를 개방한 때는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되는 구조일 것(1)

차폐체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공구를 필요로 하는 구조이고 또는 고전압에 대한(2)

주의사항이 표시되어 있을 것

다 통상의 설치된 상태에서 제조자명 형식명 및 제조번호가 명확하게 판독 가능하

도록 외부에 표시되어 있을 것

라 장치의 일부를 가열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급전후 분이내에 일정온도에 달하 30

는 것일 것

다만 가열회로에 공급하는 전력은 다른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치단에 의해

절단되지 아니할 것

마 전원공급후 송신장치의 일정분에 전압의 공급을 지연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는 그 지연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것

디지틀선택호출장치의 조건2

선박의 위치 및 위치를 결정한 시각의 자동입력 기능을 갖는 경우에는 동기능의

고장이 장치의 다른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

가 선택호출 신호의 구성

조난경보등 조난경보 조난경보에 대한 응답 조난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1) (

중계에 대한 응답을 말한다 이하 같다 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및 무선설비의 기기 )

의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이하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이외의 선택( ldquo rdquo )

호출신호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1

- 22 -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2) 2

조난 경보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 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3) 3

일 것

조난 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 중계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4)

성을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4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5) 5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오류검정부호를 제외한다 에 사용하는 단위 부호는(6) (dot ) 10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6

나 선택호출신호의 송출조건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오류검정부호를 제외한다 의 송출은 최초의 송출과 반(1) (dot )

복송출과의 사이에 개의 코드가 놓아진 방식일 것4 Time Diversity

선택호출신호의 반복송출은 다음과 같은 것일 것(2)

가 조난경보를 연속하여 송출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조난 경보를 최후의 신호와( )

다음에 송출되는 조난경보의 신호와의 사이를 가격없이 송출가능한 것일 것dot

나 디지탈선택호출통신망을 위한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호출( )

또는 응답의 선택호출 신호의 경우는 별표 에 따라서 회를 초과하지 않는 회수를7 4

반복하여 송출가능할 것

다 가 및 나 이외의 경우는 반복하여 송출이 가능하지 않는 것일 것( ) ( ) ( )

다 선택호출신호의 수신조건

조별 의 장치는 제 호에 규정한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1) (class) A 2

읽어냄이 가능할 것

조별 의 장치는 다음의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표시하는(2) (class) B

것이 가능할 것

가 제 호에 규정하는 선택호출신호중 종별 의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것( ) 2 (class) B

나 포맷 신호가 해역호출인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것( ) (format)

다 제 가 수신되지 아니할 것( ) 1 Telecommand

해안국의 장치는 제 호에 규정하는 선택호출신호 해안국의 장치의 것을 제외(3) 2 (

한다 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읽어냄이 가능할 것)

- 23 -

별표 선택호출신호 조난경보등을 위한 것 및 시험을 위한 것은 제외한다 의[ 1] ( )

구성

dot신 호

동 기신 호

Format신 호

Address신 호

Category신 호

자국의식별신호

정 보신호1

정 보신호2

정 보신호3

종료신호

오류검정신호

주( 1) 주( 2) 주( 3) 주( 45및6)

주( 7) 주( 8) 주( 9) 주( 10) 주( 11) 주( 12) 주( 13)

주( )

중단파대 및 단파대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하는 장치의 선1

택호출신호 이하 중단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에 있어서 선박국을 호출하( ldquo rdquo )

기 위한 선박호출신호의 경우는 비트 선박국에서 해안국으로 호출 및 응답하기200

위한 선택호출신호 및 국제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 계기하는 주파수18

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 하는 장치의 선택호출신호 이하 대 선택( ldquoVHF

호출신호 라 한다 의 경우는 비트일 것rdquo ) 20

표 에 나타내는 코드번호를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하는 것일 것2 8 9

호출의 종류를 나타냄에 있어서 다음의 장치마다 별표 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3 8

류를 표시하는 개의 동일 코드번호일 것2

종별 의 장치 선박국의 장치에서 별표 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류를 사용(1) (class)A ( 8

가능한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

종별 의 장치 선박국의 장치에 있어서 동표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류 중(2) (class) B (

해역호출 및 공통관계를 갖는 선단의 호출을 제외한 것의 사용이 가능한 것을 말한

다 이하 같다 )

해안국의 장치 동표에 게기한 호출의 종류중 조난경보 및 개별국의 반자동 또(3) (

는 자동접속호출을 제외한 것의 사용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

신호가 조난경보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는 상대국 식별4 Format

신호로 하여 선박국식별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 구성되는[0]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신호가 조난경보 또는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선택호출에 있어서는 사용5 Format

하지 않을 것

신호가 해역호출의 경우 종별 의 장치는 제외한다 는 별표 에 따라서6 Format ( B ) 11

해역을 자리 의 숫자를 표시하고 별표 에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통보의 우선순위 또는 종류 신호가 모든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통상업무7 (Format

및 선박업무를 제외한다 를 별표 에 따라 개의 코드번호에 코드화한 것일 것 다) 8 1

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 선박업무를 제외한 것으로 하고 또한 신 (class) B Format

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통상업무를 제외한 것일 것

- 24 -

자국의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8 [0]

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제 및 제 의 정보로 하여 별표 에 따라서 각각 개의 코드번9 1 2 Telecommand 8 1

호에 코드화한 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제 (class) B 1

를 다음과 같이하고 제 코드번호가 일 것Telecommand 2 Telecommand [126]

중단파대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하는 장치의 선택호출신호 이하(1) (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는 신호가 개별국의 호출일때에는 코드번ldquo rdquo ) Format

호 또는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일[119] [111] [118] Format

때에는 코드번호 또는 일 것[109] [111] [111]

선택호출신호는 신호가 개별국의 호출일 때에는 코드번호(2) VHF Format [100]

또는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일 때에는 코드번호[101] Format

또는 일 것[100] [101] [105]

다음의 방식일 것10

호출에 이어 계속 통신에 사용하는 송신 및 수신을 위한 주파수 또는 채널을(1)

나타내는 선택호출신호는 송신파 및 수신파의 순으로 별표 에 코드화한 것일 것12

다만 주파수 또는 채널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송신파 또는 수신파마다에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126]

선박의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선택호출신호는 코드번호 및 다음에 의거 표(2) [55]

시되는 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 자리숫자를 별표 에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가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가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나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부터 제 번째까지의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표시한다

제 가 선박의 위치인 호출에 대한 응답 이하 선박위치응답 이라(3) 1 Telecommand ( ldquo rdquo

한다 을 위한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의 가 및 나 에 의해 표시하는 선박의) (2) ldquo rdquo ldquo rdquo

위치를 나타내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코드화한 것 및 그것에 계속코드번호10 10

일 것[126]

에서 이외의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4) (1) (3) 6 [126]

선박위치응답의 경우 종별 의 장치를 제외한다 및 신호가 개별11 ( (class)B ) Format

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에만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각각 다음의 방

식일 것

선박위치응답의 경우는 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 국제표준시로 한다 이하 같(1) (

다 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2 10

개의 코드번호로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는 개2 2

의 코드번호 일 것[88]

- 25 -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는 아날로그 전화용(2) Format

설비와 접속하기 위한 번호 이하 전화번호 라 한다 등의 네트워크번호를 표시하는( ldquo rdquo )

것으로 하고

네트워크번호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코드번호를 짝수의 경우는 코드번호[105]

과 네트워크를 별표 에 준하여 개부터 개까지의 수의 코드번호로 코드화[106] 10 2 9

한 것일 것

응답을 필요로 하는 호출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응답12 [117]

을 위한 선택 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및 이외의 경우는 코드번호[122] [127]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 다만 신호가 모13 Format

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 코드번호 일 것[127]

오류검정부호는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정보비트 및 제 번째에서 제13 1 7 8

번째까지의 검정비트로부터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생성되는 각 비트10

의 및 이 각각 별표 에 표시하는 및 에 대응하는 단위 부호로[0] [1] 6 [B] [Y] 10

하여서 송출되는 것일 것

정보비트의 각 비트는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동기신호를 제외한다 의 모든(1) (dot )

코드번호 신호 및 종료신호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로 한다 에 대응하(Format 1 )

는 부호의 비트 위치마다 최하위 비트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다만 를 를 B 0 Y 1

로해서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검정비트는 정보비트의 의 수를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B 2

별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해안국의 장치는 제외한다[ 2 ] (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자국 의식별신호

주( 4)

조난종류 의정보신호

주( 5)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

주( 6)

시각정보신호

주( 7)

Tele-command정보 신호

주( 8)

종료신호

주( 9)

오류검정신호

주( 10)

주( )

중단파 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는 비트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비1 200 VHF 20

트일 것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2]

자국의 선박국 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4 [0] 10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조난의 종류를 표시하는 것으로 하여 별표 에 따라 개의 코드번호로 코드화한5 8 1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 (class) B 1 107

- 26 -

조난선박에 위치를 다음과 같이 자리의 숫자로 표시 하는 것으로 별표 에6 10 10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조난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것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99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1)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는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2)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한다

조난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것7 2

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개의 코드번호에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 10 2

를 포함하지않는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88]

계속하여 행하는 통신의 형식을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통신장치가 무선전화 또8

는 협대역직접 인쇄전신장치인 제 를 별표 에 개의 코드번호로1 Telecommand 8 1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방식일 것 (class) B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 일 것(1) 1 [109] [111]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VHF 1 [100]

코드번호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하는 것일 것9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별표 조난경보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선박국의 장치를[ 3] (

제외 )

dot신호

주( 1)

동기신호

주( 2)

For-mat신호

주( 3)

Cate-gory신호

주( 4)

자국의식별신호

주( 5)

Telec-ommand정보신호

주( 6)

조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7)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 8)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 9)

시각정보신호

주( 10)

Tleco-mmand정보신호

주( 11)

종료신호

주( 12)

오 류검 정신 호

주( 13)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6]

별표 의 주 과 같은 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4 1 7 [112]

자국의 해안국 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숫자를5 [0] 10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6 1 [1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일 것7

- 27 -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종류의 정보신호일 것8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일 것9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시각정보신호일 것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정보신호일 것11 Telecommand

코드번호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2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3 1 13

별표 조난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 중계에 대한 응답을 위한[ 4]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dot신호

주(1)

동기신호

주(2)

For-mat신호

주(3)

Addr-ess신 호

주( 4및56)

Cate-gory신 호

주(7)

자국의식별신호

주(8)

Telec-ommand정보신호

주( 9)

조 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10)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11)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12)

시각정보신호

주(13)

Tleco-mmand정보신호

주( 14)

종료신호

주(15)

오류검정신호

주(16)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별표 의 주 과 같다 코드번호 이외의 것으로 한다3 1 3 ( [112] )

신호가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에는 상대국의 식별신호4 Format

로 하고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0] 10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5 Format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6

별표 의 주 과 같은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7 1 7 [112]

별표 이 주 과 같다8 1 8

개의 코드번호 일 것9 1 [112]

수신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 또는 수신한 조난경10

보의 중계의 조난선박국의 식별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종류의 정보11

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선박의 위치12

정보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시각정보일 것13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14 Telecommand

정보신호일 것으로 한다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것으로 하 (class) B

는 것이 가능할 것

- 28 -

중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1) 1 [109] [111]

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2) VHF 1 [100] [101]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코드번호 개별 해안국 앞15 Format [127]

으로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에는 코드번호 로서 별표[122]

의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3

별표 의 주 과 같다16 1 13

별표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대 선택호출신호를 제외한다[ 5] (VHF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Address신 호

주( 4)

Category신호

주( 5)

자국의식별신호

주( 6)

정 보신 호1

주( 7)

정 보신 호2

주( 8)

종 료신 호

주( 9)

오류검정신 호

주( 10)

주( )

비트일 것1 200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20]

상대국의 식별신호로서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이에 계속되는 으로서4 [0]

구성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1 [108]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8

각 개의 코드번호 및 일 것7 1 [118] [126]

개의 코드번호 일 것8 6 [126]

코드번호 또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9 [117] [122] 13

일 것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 29 -

별표 선택호출신호의 단위부호[ 6] 10

는 스페이스주파수 는 마크주파수로 대응하고 비트위치의 에서 송출된다B Y 1

협대역 일때MFHF B=1785 Y=1615

대역 일때VHF B=2100 Y=1300

- 30 -

별표 반복송출의 순서[ 7]

주 기호 는 선택호출신호의 종료신호를 표시하고 기호 는 에서 까( ) H DX RX0 RX7

지가 반복송출되는 선택호출신호의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31 -

별표 코드번호 의 용도[ 8] (100-127)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00 통상업무

화재 또는폭발

또는F3단신G3E

무선전화 이유없음 주( 3)

101 침수 또는F3복신G3E

무선전화 해사교환 센터의혼잡 주( 3)

102 해역호출

충돌 미확정주( 1)

통화중 주( 3)

103 좌초 Polling 대기행렬표시주( 3)

104 의RXO위치의동기신호

경사 및전복의위험

수입불가주( 2)

폐국 주( 3)

105 의RX1위치의동기신호

침몰 호출의 종료주( 4)

의 부재Operator주( 3)

106 의RX2위치의동기신호

선박업무주( 5)

조선불능으로 표류

데이터주( 6)

변복조장치

의Operator일시적 부재 주( 3)

107 의RX3위치의동기신호

기타의조난

미확정주( 1)

장치의 운용불가주( 3)

108 의RX4위치의동기신호

안전 선체의방치

미확정주( 1)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09 의RX5위치의동기신호

J3E 무선전화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10의RX6

위치의동기신호

긴급 조난경보에대한 응답

무력분쟁의당사국이 아닌것을 표시하는선박 및 항공기주( 7)

111 의RX7위치의동기신호

H3E 무선전화 위생수송체 주( 7)

112 조난경보

조난 조난자동통보설비(주 의9)시동

조난경보의중계

공중전화사무소주( 8)

- 32 -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13또는F1B방향오J2B(1

류정정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미확정 주( 1)

114

공통관계를 갖는선단의호출

미확정 주( 1) 미확정 주( 1)

115또는F1B자동재송J2B(

요구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데이터 주( 11)

116모든선박호출

또는F1B J2B수신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2)

11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18 시험 데이타 주( 14)

119또는F1B수신J2B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5)

120개별국의호출

A1A 테이프레코더

데이터 주( 16)

121 선박의 위치 데이타 주( 17)

122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3

개별국의반자동또는자동접속호출

A1A 전건 및핸드셋(Handset)

데이터 주( 18)

124또는F1CF2C

F3C팩시밀리장 데이터 주( 19)

125의DX

위치의동기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6 정보없음 정보없음 주( 20)

12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주( )

앞으로의 사용을 위하여 유보한다1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2 [100] [109] 2 Telecommand

코드번호 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3 [104] 1 Telecommand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 시스템에만 사용한다4

- 33 -

선박의 항해 운항 필수품에 관한 통신과 정부의 기상업무기관으로 보내는 기5

상 관측 통보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6 [115] [124] 2 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을 제외하고 제7 [104][105][106][110][112] [118] 1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의 제 와 조합하여8 [100][101][109][115] [124] 1 Telecommand

사용한다

수색구조용 레이다트랜스폰더를 제외한다9

무선설비규칙의 제 조의 에 정하는 것으로 한다10 69 4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1 (V21)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2 (V22)

앞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1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4 (V2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5 (V2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6 (V1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7 (V26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8 (V27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9 (V32)

코드번호 를 제외하고 제 와 조합하여 사20 [104][110][112] 1 Telecommand

용한다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 코드번호는 중단21 Format

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에서 까지 [102] [124] ([110][112][117]

및 를 제외한다[122] )

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및VHF [100][101][104][105][106][121]

일 것[124]

별표 동기신호의 송출순서[ 9]

주 기호 및 에서 까지가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DX] [RXO] [RX7]

- 34 -

별표 자리 숫자의 코드 변환표[ 10] 10

자리의 숫자10

십억D2

억D1

천만D2

백만D1

십만D2

만D1

천D2

백D1

십D2

일D1

코드5 코드4 코드3 코드2 코드1

주( )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1 1

및 은 자리 숫자의 자리 숫자 에서 까지를 표시하고 각 코드는2 D2 D1 10 2 00 99

그 자리의 십진수를 코드번호로 한다2

숫자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최상위 자리수의 숫자 앞에 을 포함할 것3 0

별표 해역의 표시방법[ 11]

해역의 표시는 다음과 같은 것

선정되는 지리상의 해역은 메르카토르 도법의 직사각형으로 표시할1 (Mercator)

직사각형의 북서를 해역의 기준점으로 할 것2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존재하는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3 1

으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0] [1] [2] [3]

할 것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위도를 표시할 것4 2 3

제 번째에서 제 번째가지의 숫자는 기준점의 경도를 표시할 것5 4 6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남북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6 7 8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동서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7 9 10

표에 표시하는 해역 및 의 표시의 예는 다음과 같을 것8 ab c

기준점이 북위 도 및 서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1) 10 25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20 35 a

1 1 0 0 2 5 2 0 3 5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2) 10 10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10 10 b

2 1 0 0 1 0 1 0 1 0

- 35 -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3) 12 12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4 7 C

2 1 2 0 1 2 0 4 0 7

별표 주파수 및 채널정보의 코드변환표[ 12]

주파수0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주파수를 의 배수로서 숫자의 십100

만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다 1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2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채 널

3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중단파대 또는 단파대의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 다

8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별도로 정한 채널로 한다

9 0 times times times times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18게기하는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천 백 십 및 일의 숫자로 표시한다

십만 만 천 백 십 일

코드3 코드2 코드1

주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 ) 1

- 36 -

별표 종료신호의 송출순서[ 13]

주 기호 가 종료신호를 표시한다( ) H

- 37 -

제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3

제 절 송수신장치1 DSC VHF

시스템 개요1

본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모든기능을 충족하는 일체형과 전화용 복신방식의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호출 및 수신제어장치 로구분된 독립형 으로 구분되며 DSC DSC

이는 외형상의 구분이며 그주요기능별 구성은 각각의 유니트로된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표시 및 제어장치 와 전원부 로 구분되며 이것들은 다시 하나의DSC

케비넷 또는 독립된장치로서 구성된다

시스템 구성2

장비의 개요 및 특징3

가 개요

본 송수신기는 항만내 또는 연안에서 해안국과 선박국 또는 선박국 상호간VHF FM

의 해상이동업무 통신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기로서 이내의 해상156 ~162

이동 무선통신업무용의 전 을 수용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전파관리법 및CHANNEL

등 국제규격에 적합하도록 설계 제작된 기기로서 전세계ITU SOLAS USA USCG

어느곳에서나 규정에알맞게 사용할 수 있는 국제항만 무선전화기용 무선 송수신기

를 제작한다

- 38 -

나 특징

소형 경량화로서 좁은 장소에 설치가 용의하게 되어 있어야 한다(1)

송신각 각 방식을 채용하였으며 국제 항만 무선전화(2) DIRECT SYNTHESIZER

인 를 수용해야 하며 그외 개의CHANNEL 55(114) CHANNEL 105(527) FREE

이 수용되어 있어야 한다CHANNEL(SIMPLEX)

주 국제 중 미국연안에서 단식방식으로 절환 사용되고 있는1 CHANNEL 55(114)

을 사용 할 수 있을것USA CHANNEL(SIMPLEX)

주 별도의 기상수신 을 수용하고 있어야 한다2 WEATHER CHANNEL( )

USA 3 CHANNELS

CANADIAN 1 CHANNEL

OTHERS 5 CHANNELS

원격조정 회로의 내장으로 본기기의 판넬스위치와는 상관없이(3) REMOTE ( ) HAND

만 으로도 판넬 스위치 조작에 필요한 모든기능을 할 수 있고SET CONTROL VHF

의 원근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어야 한다SET

기능이 첨부되어 있어 미국연안 경비대 의 의무 청취(4) DUAL WATCH USCG( )

인 과 의 개의 을 동시에 수신할 수CHANNEL CH 13 CH 16 2 CHANNEL SCANNING

있으며 과 사용자가 선택하는 임의의 을 동시에CHANNEL 16 CHANNEL SCANNING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에 경보신호 기능의 내장으로 비상시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5) CH 16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국제 개 및 을(6) SCAN CHANNEL 55 FREE CHANNEL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SCANNING

안전통신에 지정되어 있는 은 우선 사용할 수 있도록(7) CHANNEL16 1 STEP

로 되어 있어야 한다SWITCH

국제 해상 인명 안전조약 에 정한 규격으로 되어 있어 전세계 어느곳의(8) SOLAS( )

규정에도 적합하며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구 성4

본 기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가 송 수신기 본체 대 1

나 HAND SET 1 SET

다 WHIP ANTENNA 1 SET

라 벽걸이형 SPEAKER 1 SET

마 전원 공급기 1 SET

- 39 -

규 격5

주파수 및 규격은 현재의 통신방식이며 정보통신부의 고시가 발표되면 협대역(125

로 변경한다)

가 일반사항

사용주파수 범위(1)

송 신 156025 ~ 157425 수 신 (SIMPLEX) 156025 ~ 157425 수 신 (DUPLEX) 160625 ~ 162025 기상수신 (WEATHER) 161650 ~ 162550

사용(2) CHANNEL

A International 55 (114) CHANNELSB USA 25 CHANNELSC FREE 105 (527) CHANNELSD WEATHER 9 CHANNELS

USA 3 CHANNELSCANADIAN 1 CHANNELOTHERS 5 CHANNELS

통신 방식(3) SIMPLEX amp DUPLEX

전파의 형식 전화(4) 16KOF3E( G3E DSC F2BG2B)

주파수 편차(5) 0001 (10 PPM)

사용 온도범위 부터(6) -10 + 50

예열 시간 전원 접속후 즉시 사용가능(7)

공칭(8) ANTENNA IMPEDANCE 50 ohm ( )

공급 전원(9)

전 압 136V plusmn 10전 류 수신시 800

송신시 5A전원 공급기 별도( ) 단상AC115V AC220V 60

부터 까지DC 15V 35V

나 송 신 부

정격 출력(1) HIGH -25 W

LOW - 1W

주 공중선 전력 저하장치로 이하 저하기능 보유1 1WATT주 단 보호 인 및 가 아님 은 송신이2 CHANNEL 7576 1 ~9(01 ~09 )CHANNEL되지 않음 기상수신대의 사용법은 본문 참조 ( )

- 40 -

발진 방식(2) SYNTHESIZER CONTROL SYSTEM

변조 방식(3) FREQUENCY MODULATION

점유 주파수 대역폭(4) 16 (8)

최대 주파수 편의(5) 5 (25)

복사강도 이상(6) SPURIOUS 70

변조 주파수 특성(7) 6 (plusmn 3 ) OCTAVE PRE-EMPHASIS)

(300 ~ 3 )

변조시 이하(8) DISTORTION 1 70 -20

신호 대 잡음비 변조시 이상(9) 1 70 40

저역 여파기 특성 이상에서 이상 감쇄(10) 3 -40log f3( ) (f = )

다 수 신 부

수 신 방 식(1) DOUBLE SUPERHETERODYNE SYSTEM

감 도(2) 이하 신호 대 잡음비 에서 025 V ( 20 )μ

감도(3) SQUELCH 이하 02 Vμ

국부 발진 주파수(4) 1lsquost LOCAL FREQUENCY

RECEIVER FREQUENCY - 214

2nd LOCAL FREQUENCY 10945

중간 주파수(5) 1lsquost IF FREQUENCY 214

2nd IF FREQUENCY 455

선 택 도(6) 저하폭 이상 6 12 (6)

저하폭 이하 70 25 (125)

(7) SPURIOUS RESPONCE 이상 70

감도 억압 효과(8) 이상 80

상호 변조 특성(9) 이상 65 ( 20 40 )

주파수 특성(10) 6 (plusmn3 )OCTAVE DE-EMPHASIS)

( 300 ~ 3 )

신호 대 잡음비(11) 변조시 이상 1 60 40

(12) DISTORTION 변조시 이하 1 70 -20

저주파 출력(13) 이상 1 WATT (IMPEDANCE 8 ohm)

- 41 -

제 절 차년도 개발 범위2 1

제 차년도 개발범위는 기초자료조사와 규정의 연구에 따라 기초회로의 설계 후1

사용부품을 시험하고 각 의 제작 및 시험 연이은 성능미달 의 차 차PCB PCB 2 3

차 재제작 시험을 완료하고 시스템의 설계까지이며 그 세부적인 개발범위는 다음4

과 같다

송수신장치 개발을 위한 제규정 수집 연구1 DSC VHF

기초자료 조사2

가 장비에 대한 기능특성 수집 연구

나 사용자 및 선박통신사의 요구사항에 대한 자료 수집 연구

다 외국장비와 비교 분석

라 부품규격 시험 및 선정

3 HARD WARE

가 고주파 필터코일 재질분석 및 각종코일 설계

나 제작 PCB

송신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1) PCB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시험(2) PCB

수신부회로 제작 시험(3) PCB

신세사이즈 회로 제작 시험(4) PCB

제어장치 제작 시험(5) PCB

표시장치 제작 시험(6) PCB

원격제어기 제작 시험(7) PCB

전원공급부 제작 시험(8) PCB

제작 시험(9) HAND SET PCB

전용수신기 제작 시험(10) DSC PCB

- 42 -

제 장 제 차년도 개발 항목 보고4 1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본 장비를 개발함에 있어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및 부품선정이 개발의 핵심 과제

로 생각하였다

기초자료는 기존 시스템분석과 전파관련법령을 기초하였고 주변회로는 관련된 회

로집을 분석하였으며 부품선정은 폐품종 여부와 수급이 용이하면서 견고하고 증폭

도 및 성능이 우수한 품종으로 장시간 시험을 거쳐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송신부 제작시험2

송신 출력회로 결정 회로설계 완료하여 각부 부품 구입 회 내구성 시험 및SPEC 30

구룹별 장시간 부품 부하 시험등 최종목표 성능을 확보하기위한 제반 기초 제작시

험을 완료 하였으며 주요 내용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의 발열상태등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의 높은 출력으로 증폭하는 송신전(VHF ) 25W

력 증폭기로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높은 고주파전력에 견딜수있어야 하고 열

에의해 발생되는 열잡음이 적으야하며 열에의한 부품의 열화 및 특성의 변화가 적

은 부품을 사용여야 하므로 온습도시험 과 과출력 시험을 통하여 사용될 부품을 시

험하였다

특히 고조파 필터회로 부품인 코일은 동선에 전도율이 좋은 재질로 도금하여 사용

하여야 하며 고조파필터회로 의 차폐용 재료도 동판에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도금

하여 사용 하여야 한다

나 송신 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PCB (PCB NO V-097)

개발과정에서의 설계변경 및 생산시스템의 전산화 에 적용 할수있도록 회로 설계는

물론 설계 회로기판 도안 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설계완료된 는PCB ( ) CAD DATA

회로기판 제작장치 외주 작업 및 부품삽입기 자사 작업 에 직접 컴퓨터용 디스켙( ) ( ) (

으로 입력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회로에 높은 고주파전류가 흐르므로인하여 빌진할 가능성 및 잡음발생의 우려PCB

가 많으므로 특히 부품배치에 유의하여 설계하였으며 송신신호 발생회로 또는 전원

회로 와의 배선은 관통형콘덴서등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였다

회로에 사용되는 코일은 각 코일간에 간섭을 줄이기위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설정하

였으며 전체를 차폐하고 또 고조파 필터회로를 구분하여 차폐하여 제작 하였PCB

- 43 -

또 안정된 출력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회로를 장치하여 설정된 출력 이상의ALC

출력을 제한한다

다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PCB (PCB NO V-096TX)

설계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이 는 미약한 고주파 신호를 발생 변PCB CAD PCB

환 증폭 하므로서 송신부 또는 외부로 부터의 잡음 유입과 내부잡음 발생에 유의

하여 설계되었으며 불요복사 억제에 유의하였다

라 성능시험

메칭상태 시험(1)

옴 파장 수직형 안테나 를 사용할수 있도록 시험하였으며 차적인 시험은 의50 12 1

사부하에 의해 시험하고 의사부하 안테나에 정상적인 메칭이 된 후 실제 사용 안테

나에 확인시험 하였다

이 시험에서 양질의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장치는 물론 안테나의 성능이 중

요하며 인접한 고전력 안테나 및 낙뢰로부터 안정성 등을 감안하여 안테나는 VHF

대역 이하의 주파수에 대하여 쇼트형 안테나가 바람직 하다

기존 시스템의 이상의 성능 확보(2) 90

송신부의 주기능으로서 양질의전파를 안테나로 공중에 발사하는 장치로서 주피수안

정도 고조파억압 불효전파억제 안정된전력 안정된 주파수편이 낮은 왜율 등의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시험결과는 기존의 제품의 특성에 가까운 성능을 확보

하였으나 안테나공용기 복신통신용 필터 특성의 개선및 송신부 관련부품의 배치를( )

개선하므로서 보다 좋은 성능을 확보 할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신부 제작시험3

수신부는 안테나입력회로 입력동조회로 단신통신 및 복신통신 각 주파수 대역 필 (

터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로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 1 1 2 2

로 대역필터회로 신호제한 리미터 회로 복조회로 무신호잡음 차단 회로 저주 ( ) FM

파 증폭회로 및 국부발진회로 로서 구성되나 국부발진회로는 잡음의 발생및 유입

주파수안정도 등을 감안하여 별도의 로서 제작하였으며 그외 수신부와 관련한PCB

내용은 다음과 같다

- 44 -

가 사용부품의 구입 및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증폭과 변환을 반복하여 요구되는 신호(VHF )

를 복조하여 기청음 또는 의 문자표시로 출력되게 하므로서 안정된 주파수 및DSC

증폭이 요구되므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당연히 고주파특성에 유의하여 주파수

차에의한 특성변화 열잡음 및 고주파잡음 능동소자등의 직선성 등이 교려되어야하

므로 항온항습시험과 과전류에의한 잡음발생의 시험 등 을 거처 엄선한 부품으로

설정사용 하였다

특히 회로의 선택도 코알의 값 를 높이기 위하여 가 높은 트랜스 재료를 사용하( Q ) Q

였다

다 수신부회로 제작 PCB (PCB NO V-096RX)

위 항에서의 시험에 의해 선택된 부품을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며 수신부의 특성31

상 잡음의 발생보다는 잡음의 유입에 유의하여 설계되었으며 안정된 증폭 특성 수(

신감도 을 얻기위하여 중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회로기판은 에폭시) 2

수지 양면인쇄동판을 사용하여 부품삽입면은 대부분 공통단자로 이용하여 부품간의

간섭을최소화 하였다

다 수신부 특성시험

수신부 특성상 수신감도 주파수안정도 왜율 통과대역폭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감도억압비 혼변조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신호대 잡음비 일 때의 수신감 20

도 성능이 확보되며 기타 여러 가지 특성도 최종목표 특성에 가까운 성능이05

확보 되었으나 까지 수신감도가 향상되도록 성능개선이 요구된다025 V 120757

신세사이즈부의 회로의 안정도로 인하여 국부발진 신호의 흔들림현상이 있어VCO

통과대역폭 및 잡음발생의 원인이되어 신세사이즈회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신세시이즈회로는 크게 수신국부발진 신호용과 송신신호용으로 구분되며 단신통신

과 복신통신방식일때 각각 동작할수있는 구성으로 설계되었으며 그 내용별로 구분

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전압제어발진기 에 사용되는 부품은 온도 및 전압변동에 특성의변화가 극히(VCO)

적어야하며 외부로부터 정전 및 자계영향이 크므로 회로를 별도로 정전 및 자VCO

계로부터 차폐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혼변조 및 잡음신호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파수선택 표준신호 등 시 수신( )

대역 및 송신대역에 영향이 없는 주파수로 하였으며 가능한 레벨을 제외한 신(TTL

호 파형의 왜율이 적은신호로서 각회로신호를 사용하여 결합하였다)

- 45 -

나 신세사이회로 제작 (PCB NO V-096PLL)

이회로 기판은 여러종류의 신호들이 발생 혼합 증폭 비교 되므로 각부품 간의 배

치에따라 잡음발생의 정도가 크게 좌우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였으며 회로는 외VCO

부영향에 민감하게 작동되므로 차폐 에 유의하여 부품의 배치 적절하게 하였으며

잡음발생을 유의하여 부품을 선정하였다

다 성능시험

이회로의 특성상 주파수안정도 주파수의 흔들림 위상비교기의 비교속도 등에 유의

하여 시험하였으며 여러가지 일반적인 특성은 최종목표사양에 만족될 수 있는 신호

원을 공급할수 있었어나 주파수의 흔들림 현상이 있어 회로의 부품 및 차폐에VCO

개선이 요구된다

제어장치 제작시험5 (PCB NO V-263)

이회로의 주요부품으로서 를 사용하여 당개발과제의 송수신 및 외부V25 CPU DSC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며 아울러 본체 전면표시기와 스윗치 입출력 기능도 한다

이회로의 주요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스 읽기전용 메모리 읽고CPU( ) ROM( ) RAM(

쓰기 메모리 직렬통신용 입출력 병렬통신 입출력 아날로그 디지) SIO( ) PIO( ) AD(

탈 변환기 스윗치입력 표시기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개발 내용은 다음과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에 사용되는 부품은 대부분 디지탈신호를 처리하여 회로로서 및TTL IC

로서 구성되며 저소비전력 및 고속처리능력이 요구되므로 주로 고속용C-MOS IC

중 형 를 사용 하였으며 장치의 초기설정 및 기능 설정의C-MOS(C-MOS IC HC )

변경등 의 목적으로 은 충전형 밧테리로서 메모리내용을 전원의 에 관RAM ONOFF

계없이 유지하도록 하였다

외부 제어기 등 와의 통신용 의 통신속도를 또는 등으로(DSC ) RS-232C 2400 4800

변경 설정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변환기 등을 이용하여 자기진단을 할수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장비의 유지및AD

보수에 많은 도움이된다

- 46 -

나 성능시험

운용시험(1)

이회로의 특성상 전기적 특성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특성 및 성능이 요구되므로 운

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이부분에 대한 시험은 개발자입

장이 아닌 운용자가 시험하여야 하는 관계로 선박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사용자에게

의뢰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로서는 기능면에서는 양호하나 사용상 복잡한 면이 있어 보다 조작 을 간편

히 할수있도록 개선할 필요가있는 것으로 본다

표시장치 시험(2) (PCB NO V-260)

본장치의 사용상 필요한 기능 및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내용과 기기 동작

상태의 일치성이 요구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온습도 및 장기시험 으

로서 확인하였으며 여러 가지 표시장치중 각각 중단점이 나타낮다

즉 액정 표시기 표시기는 저소비전력이며 주위가 밝은곳에서 사용이 가능 하LCD( )

나 반면 온도특성이 나쁘며 형광표시관 표시기는 온도특성은 양호하나 소비전 VFD( )

력이 대체로 높고 보다 낮고 보다 많음 수명이 낮다는 단점이있으며(FND LCD )

발광 다이오드 표시기는 모든면에서 대체로 양호 하나 잡음발생 이많으며 밝FND( )

은곳에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외 여러 가지의 장담점을 검토하여 차적인 결론은 표시기가 적합한 것으로1 LCD

본다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최소의 전기적신호 연결로서 최대의 기능제어및 속도가 요구되는 장치로서 저주파

신호의 입력 마이크 신호 및 출력 스피크 신호 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 제어는( FS ) ( )

직렬통신 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였으며 장거리 일반 공용통신망 을 이(RS-232C)

용할수도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요 구성은 중앙제어장치 스윗치입력 장치 표시장치 메모리장치 직렬통신장치

로 구성되며 그 상세한 개발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의 대부분이 디지탈신호의 처리회로로서 구성되므로 제어장치 의 사용 부품ldquo rdquo

시험 및 선정기준과 같으며 장거리운용상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신속도를

알맞게하며 장거리통신 선로에서 유기되는 잡음을 최소화 하기위한 필터회로 및

소프트웨어적인 오류정정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별도 설계 사용 하였다

- 47 -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V-170)

이장치는 사용상 편리하여야 하므로 소형 경량 으로 제작 하였으며 차적 기능 시 1

험을 목적으로 외형 보다는 성능을 우선하여 시험용으로 제작하였다 이장치의 시

험은 전용케이블 을 이용하여 시험하였고 또 일반 공용통신용 전화 선로를 통하여

원거리 시험을 하였으며 그결과로서 통신속도가 까지 양호하게 동작되나2400bps

그이상의 통신속도로서 운용 할려면 전용회선이 필요하게된다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가 결정 SPEC

각회로 에서 필요로하는 전압 및 전류에 알맞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반 성능

을 차적으로 설정 하였으며 최종목표 사양에 일치하기위하여서는 전원부의 장치에1

대하여 모든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최종 특성이 설정 되어야 한다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P-099)

이장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되나 반면에 안정성이 확고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안

정성을 첫째로 중요시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이회로는 많은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많은 전력이 열로서 손실되므로 방열에 특히 유의하여 제작되었으며 열발생이 많은

부품은 알미늄 방열판에 설치하고 이방열판은 본장치 외함의 바깥쪽에 설치하여 방

열효과를 최대화 하였다

이회로의 시험은 과입력전압 및 과소비전력 일때의 안정성에 중점 시험하였고 그시

험을 위하여 장시간 항온 항습기 를 이용하여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전원부의 안정

성 확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도 이회로를 특별히 개선하지 않고도 최

종목표 사양에 만족하리라 본다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PCB NO V-098)

마이크 회로 수화기 회로 송신 스윗치 회로 로서 구성되며 이장치는 사용 특성상

충격에 강하도록 설계제작 되어야 하며 무게는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재료선택이

중요하며 이러한점을 감안하여 사출금형에 의하여 성형 하였으며 성형 제료로서는

제료를 사용하고 사용 부품을 최소화 하여 제작 하였다ABS

이장치의 특성상 견고하며 방수효과가 최대이어야 하므로 충격 자연낙하 시험 및( )

방수시험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 성형제료 및 외형상의 문제는 없이나

송화기 및 수화기의 선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송화기는 콘텐서형

마이크가 좋으며 수화기로는 가변코일형으로서 떨림판이 평면으로된 수화기가 우수

한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선정하여 제작시험 하였다

- 48 -

전용 수신기9 DSC (PCB NO T-342)

전용수신 장치는 송수신장치중 송신부를 제외한 구조와 유사하므로 개발과정에서

송수신장치중 수신부회로에 복조장치 를 추가하여 별도 로 제작하여 시험DSC PCB

하였으며 개발내용중 전용수신기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DSC

가 기능 및 동작

변조되어 수신된 신호를 필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후 신호 처리용FM DSC DSC

마이크로프로세스 에 공급하여 소프트웨어로서 신호를 분석한후 표시장치 메(CPU)

모리장치 인쇄장치 등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전용 찬넬인 번 찬넬을 항상 DSC 70

수신상태로 동작하여 신호 도트신호 를 검출하고 신호가 있으면 이어서CALL ( ) CALL

수신되는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표시장치 및 경보장치에 출력한다

나 신호 신호 필터회로 와 신호 처리부 및 제어용회로부 DSC (FS ) DSC DSC

제작시험 (PCB NO T-325 T-326 T-327)

이 회로의 성능은 주로 필터 및 디지탈변환 회로에서 결정되며 소프트웨어의 성능

에 따라 안정성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점을 유의하여 설계제작 하여으며 성능 시험

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험용 정보를 송신장치로 통해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후 그

결과를 분석 시험 하였다

다 전용 수신기의 개발과정 에서의 학보된 기술 DSC

신호 및 의 신호 의 필터 및 디지털 변환 기술DSC (1300 2100 FS )

신호 검출 및 직렬신호의 병렬변환 소프트웨어DOT

기술 정보의 비교 및 인쇄출력 소프트웨어 기술

종합시험10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별 차 차 차 보완시험은 만족하며 앞으로 개발의 중점은 사용의 편리성과PCB 1 2 3

생산성에 중점 개발이 요하며 배치에 따라 야기될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 PCB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후 최종제품을 제작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49 -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1

가 전면판 사출금형

나 옆판 스피커 안테나 금형

다 노브 사출금형

라 윗면 및 밑면 프레스 금형

마 설치용 고정장치 사출 금형

바 설치대 프레스 금형

사 뒷면 작업용 프레스 금형

아 항온조용 열차단금형

자 필타 금형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2

가 송수신기 제어장치 프로그램

나 전용 수신기 제어용 프로그램 DSC

다 원격조정기 프로그램

라 송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마 수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3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16: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16 -

Spurious response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73 with application of unwanted120757signals in range of 9 to 2

Blocking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93 with application of unwanted120757signals apart plusmn1 to plusmn10 from the

wanted signal

Intermodulation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120757level of 68 with application of two120757unwanted signals of plusmn25 and plusmn50

simultaneously

Co-channel rejection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wanted

ratio signal level of 3 and unwanted signalμ

level of -5 120757De-emphasis -6 (+1 -3 ) octave

characteristic 300 +105 (+1 -3 )

3 -95 (+1 -3 )

at reference frequency of 1

Amplitude characteristic Symbol error rate is 1 or less at receiver

of receiver limiter input level of 0 to 100 120757 120757Noise and hum -40 or better

Harmonic distortion -20 or better

Spurious emission 1nW of less

5 Guard Receiver

Receiving mode Simultaneous reception of any two channels

selected from ITUUSA channels

Receiving channels Up to 57 channels

Channel spacing 25

Mode of reeption G3E(F3E)

Frequency accuracy Wighin plusmn10 times 10-6

- 17 -

Receiving system Double super heterodyne

Intermediate frequency 1st IF 214

2nd IF 455

Local oscillation method Frequency synthesizer

Sensitivity 2 V or less120757Squelch sensitivity 1 V or less120757Selectivity 12 or more at 6 bandwidth

within 25 with a selectivity of 70

Spurious response 70 or more

Blocking 90 or more

Intermodulaltion 70 or more

Overall distortion 10 or less

Signal-to-noise ratio 40 or more

Rated audio output 2W(4 )Ω

Frequency

characteristics 6 oct +1 -3

Antenna input 50 unbalancedΩ

impedance

Temperature range 0 to +40

for full performance

Operating -15 to +55

temperature range

Storage -25 to +65

temperature range

Power supply voltage DC 138V plusmn10

(supplied from the NQD-1469 power supply

unit)

Dimensions 290(H) times 140(W) times 145(D)

Weight Approximately 25

- 18 -

제 절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2 DSC VHF

디지틀선택호출장치의 조건1

가 점검 및 보수를 쉽게 할수 있을것

나 전원공급후 분이내에 작동할 수 있을 것 1

다 의 주파수를 쉽게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 것 156525

라 초이내에 송신과 수신을 전환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 것 03

마 이상의 제어기를 갖는 경우에는 의 제어기에 우선권이 주어지는 동시에 다 2 1

른 제어기의 사용상태를 표시하는 기능이 있을 것

바 전원전압이 정격전압의 퍼센트이내에서 변동된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 (plusmn)10

할 수 있을것

사 통상 발생하는 온도 및 습도의 변화 진동 또는 충격이 있는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수있을것

선택호출장치의 선택호출신호의 조건2

가 마크주파수는 이고 스페이스주파수는 일것 이 경우 허용편차 1300 2100

는 각각 로 한다10

나 신호전송속도는 매초 비트일것 이 경우 허용편차는 만분의 으로 1200 100 30

한다

다 시간다이버시티의 시간간격은 초일것 003

송신장치의 조건3

가 공중선전력 와트 이상일 것 6

나 전파의 변조지수 허용편차는 로 한다 F2B 2( 02 )

다 감도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자 1

율이 퍼센트이하일 것1

라 실효선택도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1) 14

상태에서 중간 주파수로부터 희망파의 배의 주파수 희망파주파수의 이3 ( (plusmn)375

내의 주파수를 제외한다 까지 수신기입력전압 밀리 볼트의 무변조 방해파를 인) 447

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1

- 19 -

감도억압효과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2) 14

의 정현파에 의하여 주파수 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기입력전압400 3 44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인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이하일1

마 상호변조특성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 14

희망파 보다 떨어진 수신기 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와 희망파25 25

보다 떨어진 의 정현파에 의한 주파수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50 400 3

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25 1

디지틀선택호출전용수신기 의 조건4

가 통신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통신의 수신기능외에 통신의 내용을 볼 수있도록 하

는 기능이 있을것

나 조난통신 또는 긴급통신을 수신한 경우에는 수동으로만 정지시킬 수 있는 특별

경보기능이 있을것

다 수신한 조난통신의 내용을 즉시 인쇄하거나 개이상의 조난통신을 기억할 수 20

있어야 하되 기억한 내용을 일정시간 보존할 수 있을것

라 본체의 보이는 곳에 수신주파수를 표시할 것

마 전원공급후 분이내에 작동할 수 있을것 1

바 전원전압이 정격전압의 퍼센트이내에서 변동된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plusmn)10

수 있을 것

사 통상 발생하는 온도 및 습도의 변화 진동 또는 충격이 있는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수 있을것

아 감도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자율 1

이 퍼센트 이하일 것1

자 실효선택도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1) 14

상태에서 중간 주파수로부터 희망파의 배의 주파수 희망파주파수의 이내3 ( (plusmn)375

의 주파수를 제외한다 까지 수신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를 인접) 447

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1

- 20 -

감도억압효과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2) 14

의 정현파에 의하여 주파수 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기입력전압400 3 44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인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1

차 상호변조특성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 14

희망파 보다 떨어진 수신기 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와 희망파25 25

보다 떨어진 의 정현파에 의한 주파수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50 400 3

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25 1

- 21 -

제 절 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3 DSC VHF

일반적 조건1

가 취급이 용이한 것일 것

나 에서 까지의 숫자 입력판을 갖는 경우에는 그 숫자의 배열은 국제전신전화자 0 9

문위원회의 권고 에 의한 것일 것E161

공중선의 단선 또는 공중선 단자의 단락으로부터 보호수단을 가질 것

과전류 과전압 전원의 과도변동 및 전원극성의 우발적인 반전으로부터 보호수단이

있는 것일 것

노출된 금속부분은 접지하는 것이 가능할 것

전원단자는 접지되어 있지 않을 것

전원 볼트를 초가하는 전기 고주파의 것을 제외 를 통하는 도전부는 용이하게 노55 ( )

출이 되지 않도록 다음의 어느 조건에도 적합한 차폐체를 갖고 있는 것일 것

차폐체를 개방한 때는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되는 구조일 것(1)

차폐체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공구를 필요로 하는 구조이고 또는 고전압에 대한(2)

주의사항이 표시되어 있을 것

다 통상의 설치된 상태에서 제조자명 형식명 및 제조번호가 명확하게 판독 가능하

도록 외부에 표시되어 있을 것

라 장치의 일부를 가열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급전후 분이내에 일정온도에 달하 30

는 것일 것

다만 가열회로에 공급하는 전력은 다른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치단에 의해

절단되지 아니할 것

마 전원공급후 송신장치의 일정분에 전압의 공급을 지연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는 그 지연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것

디지틀선택호출장치의 조건2

선박의 위치 및 위치를 결정한 시각의 자동입력 기능을 갖는 경우에는 동기능의

고장이 장치의 다른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

가 선택호출 신호의 구성

조난경보등 조난경보 조난경보에 대한 응답 조난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1) (

중계에 대한 응답을 말한다 이하 같다 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및 무선설비의 기기 )

의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이하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이외의 선택( ldquo rdquo )

호출신호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1

- 22 -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2) 2

조난 경보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 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3) 3

일 것

조난 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 중계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4)

성을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4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5) 5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오류검정부호를 제외한다 에 사용하는 단위 부호는(6) (dot ) 10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6

나 선택호출신호의 송출조건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오류검정부호를 제외한다 의 송출은 최초의 송출과 반(1) (dot )

복송출과의 사이에 개의 코드가 놓아진 방식일 것4 Time Diversity

선택호출신호의 반복송출은 다음과 같은 것일 것(2)

가 조난경보를 연속하여 송출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조난 경보를 최후의 신호와( )

다음에 송출되는 조난경보의 신호와의 사이를 가격없이 송출가능한 것일 것dot

나 디지탈선택호출통신망을 위한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호출( )

또는 응답의 선택호출 신호의 경우는 별표 에 따라서 회를 초과하지 않는 회수를7 4

반복하여 송출가능할 것

다 가 및 나 이외의 경우는 반복하여 송출이 가능하지 않는 것일 것( ) ( ) ( )

다 선택호출신호의 수신조건

조별 의 장치는 제 호에 규정한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1) (class) A 2

읽어냄이 가능할 것

조별 의 장치는 다음의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표시하는(2) (class) B

것이 가능할 것

가 제 호에 규정하는 선택호출신호중 종별 의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것( ) 2 (class) B

나 포맷 신호가 해역호출인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것( ) (format)

다 제 가 수신되지 아니할 것( ) 1 Telecommand

해안국의 장치는 제 호에 규정하는 선택호출신호 해안국의 장치의 것을 제외(3) 2 (

한다 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읽어냄이 가능할 것)

- 23 -

별표 선택호출신호 조난경보등을 위한 것 및 시험을 위한 것은 제외한다 의[ 1] ( )

구성

dot신 호

동 기신 호

Format신 호

Address신 호

Category신 호

자국의식별신호

정 보신호1

정 보신호2

정 보신호3

종료신호

오류검정신호

주( 1) 주( 2) 주( 3) 주( 45및6)

주( 7) 주( 8) 주( 9) 주( 10) 주( 11) 주( 12) 주( 13)

주( )

중단파대 및 단파대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하는 장치의 선1

택호출신호 이하 중단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에 있어서 선박국을 호출하( ldquo rdquo )

기 위한 선박호출신호의 경우는 비트 선박국에서 해안국으로 호출 및 응답하기200

위한 선택호출신호 및 국제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 계기하는 주파수18

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 하는 장치의 선택호출신호 이하 대 선택( ldquoVHF

호출신호 라 한다 의 경우는 비트일 것rdquo ) 20

표 에 나타내는 코드번호를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하는 것일 것2 8 9

호출의 종류를 나타냄에 있어서 다음의 장치마다 별표 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3 8

류를 표시하는 개의 동일 코드번호일 것2

종별 의 장치 선박국의 장치에서 별표 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류를 사용(1) (class)A ( 8

가능한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

종별 의 장치 선박국의 장치에 있어서 동표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류 중(2) (class) B (

해역호출 및 공통관계를 갖는 선단의 호출을 제외한 것의 사용이 가능한 것을 말한

다 이하 같다 )

해안국의 장치 동표에 게기한 호출의 종류중 조난경보 및 개별국의 반자동 또(3) (

는 자동접속호출을 제외한 것의 사용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

신호가 조난경보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는 상대국 식별4 Format

신호로 하여 선박국식별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 구성되는[0]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신호가 조난경보 또는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선택호출에 있어서는 사용5 Format

하지 않을 것

신호가 해역호출의 경우 종별 의 장치는 제외한다 는 별표 에 따라서6 Format ( B ) 11

해역을 자리 의 숫자를 표시하고 별표 에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통보의 우선순위 또는 종류 신호가 모든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통상업무7 (Format

및 선박업무를 제외한다 를 별표 에 따라 개의 코드번호에 코드화한 것일 것 다) 8 1

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 선박업무를 제외한 것으로 하고 또한 신 (class) B Format

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통상업무를 제외한 것일 것

- 24 -

자국의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8 [0]

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제 및 제 의 정보로 하여 별표 에 따라서 각각 개의 코드번9 1 2 Telecommand 8 1

호에 코드화한 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제 (class) B 1

를 다음과 같이하고 제 코드번호가 일 것Telecommand 2 Telecommand [126]

중단파대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하는 장치의 선택호출신호 이하(1) (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는 신호가 개별국의 호출일때에는 코드번ldquo rdquo ) Format

호 또는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일[119] [111] [118] Format

때에는 코드번호 또는 일 것[109] [111] [111]

선택호출신호는 신호가 개별국의 호출일 때에는 코드번호(2) VHF Format [100]

또는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일 때에는 코드번호[101] Format

또는 일 것[100] [101] [105]

다음의 방식일 것10

호출에 이어 계속 통신에 사용하는 송신 및 수신을 위한 주파수 또는 채널을(1)

나타내는 선택호출신호는 송신파 및 수신파의 순으로 별표 에 코드화한 것일 것12

다만 주파수 또는 채널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송신파 또는 수신파마다에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126]

선박의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선택호출신호는 코드번호 및 다음에 의거 표(2) [55]

시되는 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 자리숫자를 별표 에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가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가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나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부터 제 번째까지의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표시한다

제 가 선박의 위치인 호출에 대한 응답 이하 선박위치응답 이라(3) 1 Telecommand ( ldquo rdquo

한다 을 위한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의 가 및 나 에 의해 표시하는 선박의) (2) ldquo rdquo ldquo rdquo

위치를 나타내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코드화한 것 및 그것에 계속코드번호10 10

일 것[126]

에서 이외의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4) (1) (3) 6 [126]

선박위치응답의 경우 종별 의 장치를 제외한다 및 신호가 개별11 ( (class)B ) Format

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에만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각각 다음의 방

식일 것

선박위치응답의 경우는 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 국제표준시로 한다 이하 같(1) (

다 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2 10

개의 코드번호로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는 개2 2

의 코드번호 일 것[88]

- 25 -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는 아날로그 전화용(2) Format

설비와 접속하기 위한 번호 이하 전화번호 라 한다 등의 네트워크번호를 표시하는( ldquo rdquo )

것으로 하고

네트워크번호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코드번호를 짝수의 경우는 코드번호[105]

과 네트워크를 별표 에 준하여 개부터 개까지의 수의 코드번호로 코드화[106] 10 2 9

한 것일 것

응답을 필요로 하는 호출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응답12 [117]

을 위한 선택 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및 이외의 경우는 코드번호[122] [127]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 다만 신호가 모13 Format

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 코드번호 일 것[127]

오류검정부호는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정보비트 및 제 번째에서 제13 1 7 8

번째까지의 검정비트로부터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생성되는 각 비트10

의 및 이 각각 별표 에 표시하는 및 에 대응하는 단위 부호로[0] [1] 6 [B] [Y] 10

하여서 송출되는 것일 것

정보비트의 각 비트는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동기신호를 제외한다 의 모든(1) (dot )

코드번호 신호 및 종료신호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로 한다 에 대응하(Format 1 )

는 부호의 비트 위치마다 최하위 비트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다만 를 를 B 0 Y 1

로해서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검정비트는 정보비트의 의 수를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B 2

별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해안국의 장치는 제외한다[ 2 ] (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자국 의식별신호

주( 4)

조난종류 의정보신호

주( 5)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

주( 6)

시각정보신호

주( 7)

Tele-command정보 신호

주( 8)

종료신호

주( 9)

오류검정신호

주( 10)

주( )

중단파 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는 비트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비1 200 VHF 20

트일 것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2]

자국의 선박국 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4 [0] 10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조난의 종류를 표시하는 것으로 하여 별표 에 따라 개의 코드번호로 코드화한5 8 1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 (class) B 1 107

- 26 -

조난선박에 위치를 다음과 같이 자리의 숫자로 표시 하는 것으로 별표 에6 10 10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조난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것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99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1)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는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2)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한다

조난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것7 2

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개의 코드번호에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 10 2

를 포함하지않는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88]

계속하여 행하는 통신의 형식을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통신장치가 무선전화 또8

는 협대역직접 인쇄전신장치인 제 를 별표 에 개의 코드번호로1 Telecommand 8 1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방식일 것 (class) B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 일 것(1) 1 [109] [111]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VHF 1 [100]

코드번호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하는 것일 것9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별표 조난경보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선박국의 장치를[ 3] (

제외 )

dot신호

주( 1)

동기신호

주( 2)

For-mat신호

주( 3)

Cate-gory신호

주( 4)

자국의식별신호

주( 5)

Telec-ommand정보신호

주( 6)

조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7)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 8)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 9)

시각정보신호

주( 10)

Tleco-mmand정보신호

주( 11)

종료신호

주( 12)

오 류검 정신 호

주( 13)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6]

별표 의 주 과 같은 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4 1 7 [112]

자국의 해안국 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숫자를5 [0] 10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6 1 [1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일 것7

- 27 -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종류의 정보신호일 것8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일 것9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시각정보신호일 것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정보신호일 것11 Telecommand

코드번호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2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3 1 13

별표 조난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 중계에 대한 응답을 위한[ 4]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dot신호

주(1)

동기신호

주(2)

For-mat신호

주(3)

Addr-ess신 호

주( 4및56)

Cate-gory신 호

주(7)

자국의식별신호

주(8)

Telec-ommand정보신호

주( 9)

조 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10)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11)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12)

시각정보신호

주(13)

Tleco-mmand정보신호

주( 14)

종료신호

주(15)

오류검정신호

주(16)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별표 의 주 과 같다 코드번호 이외의 것으로 한다3 1 3 ( [112] )

신호가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에는 상대국의 식별신호4 Format

로 하고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0] 10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5 Format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6

별표 의 주 과 같은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7 1 7 [112]

별표 이 주 과 같다8 1 8

개의 코드번호 일 것9 1 [112]

수신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 또는 수신한 조난경10

보의 중계의 조난선박국의 식별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종류의 정보11

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선박의 위치12

정보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시각정보일 것13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14 Telecommand

정보신호일 것으로 한다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것으로 하 (class) B

는 것이 가능할 것

- 28 -

중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1) 1 [109] [111]

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2) VHF 1 [100] [101]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코드번호 개별 해안국 앞15 Format [127]

으로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에는 코드번호 로서 별표[122]

의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3

별표 의 주 과 같다16 1 13

별표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대 선택호출신호를 제외한다[ 5] (VHF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Address신 호

주( 4)

Category신호

주( 5)

자국의식별신호

주( 6)

정 보신 호1

주( 7)

정 보신 호2

주( 8)

종 료신 호

주( 9)

오류검정신 호

주( 10)

주( )

비트일 것1 200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20]

상대국의 식별신호로서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이에 계속되는 으로서4 [0]

구성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1 [108]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8

각 개의 코드번호 및 일 것7 1 [118] [126]

개의 코드번호 일 것8 6 [126]

코드번호 또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9 [117] [122] 13

일 것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 29 -

별표 선택호출신호의 단위부호[ 6] 10

는 스페이스주파수 는 마크주파수로 대응하고 비트위치의 에서 송출된다B Y 1

협대역 일때MFHF B=1785 Y=1615

대역 일때VHF B=2100 Y=1300

- 30 -

별표 반복송출의 순서[ 7]

주 기호 는 선택호출신호의 종료신호를 표시하고 기호 는 에서 까( ) H DX RX0 RX7

지가 반복송출되는 선택호출신호의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31 -

별표 코드번호 의 용도[ 8] (100-127)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00 통상업무

화재 또는폭발

또는F3단신G3E

무선전화 이유없음 주( 3)

101 침수 또는F3복신G3E

무선전화 해사교환 센터의혼잡 주( 3)

102 해역호출

충돌 미확정주( 1)

통화중 주( 3)

103 좌초 Polling 대기행렬표시주( 3)

104 의RXO위치의동기신호

경사 및전복의위험

수입불가주( 2)

폐국 주( 3)

105 의RX1위치의동기신호

침몰 호출의 종료주( 4)

의 부재Operator주( 3)

106 의RX2위치의동기신호

선박업무주( 5)

조선불능으로 표류

데이터주( 6)

변복조장치

의Operator일시적 부재 주( 3)

107 의RX3위치의동기신호

기타의조난

미확정주( 1)

장치의 운용불가주( 3)

108 의RX4위치의동기신호

안전 선체의방치

미확정주( 1)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09 의RX5위치의동기신호

J3E 무선전화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10의RX6

위치의동기신호

긴급 조난경보에대한 응답

무력분쟁의당사국이 아닌것을 표시하는선박 및 항공기주( 7)

111 의RX7위치의동기신호

H3E 무선전화 위생수송체 주( 7)

112 조난경보

조난 조난자동통보설비(주 의9)시동

조난경보의중계

공중전화사무소주( 8)

- 32 -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13또는F1B방향오J2B(1

류정정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미확정 주( 1)

114

공통관계를 갖는선단의호출

미확정 주( 1) 미확정 주( 1)

115또는F1B자동재송J2B(

요구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데이터 주( 11)

116모든선박호출

또는F1B J2B수신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2)

11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18 시험 데이타 주( 14)

119또는F1B수신J2B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5)

120개별국의호출

A1A 테이프레코더

데이터 주( 16)

121 선박의 위치 데이타 주( 17)

122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3

개별국의반자동또는자동접속호출

A1A 전건 및핸드셋(Handset)

데이터 주( 18)

124또는F1CF2C

F3C팩시밀리장 데이터 주( 19)

125의DX

위치의동기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6 정보없음 정보없음 주( 20)

12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주( )

앞으로의 사용을 위하여 유보한다1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2 [100] [109] 2 Telecommand

코드번호 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3 [104] 1 Telecommand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 시스템에만 사용한다4

- 33 -

선박의 항해 운항 필수품에 관한 통신과 정부의 기상업무기관으로 보내는 기5

상 관측 통보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6 [115] [124] 2 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을 제외하고 제7 [104][105][106][110][112] [118] 1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의 제 와 조합하여8 [100][101][109][115] [124] 1 Telecommand

사용한다

수색구조용 레이다트랜스폰더를 제외한다9

무선설비규칙의 제 조의 에 정하는 것으로 한다10 69 4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1 (V21)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2 (V22)

앞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1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4 (V2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5 (V2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6 (V1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7 (V26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8 (V27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9 (V32)

코드번호 를 제외하고 제 와 조합하여 사20 [104][110][112] 1 Telecommand

용한다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 코드번호는 중단21 Format

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에서 까지 [102] [124] ([110][112][117]

및 를 제외한다[122] )

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및VHF [100][101][104][105][106][121]

일 것[124]

별표 동기신호의 송출순서[ 9]

주 기호 및 에서 까지가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DX] [RXO] [RX7]

- 34 -

별표 자리 숫자의 코드 변환표[ 10] 10

자리의 숫자10

십억D2

억D1

천만D2

백만D1

십만D2

만D1

천D2

백D1

십D2

일D1

코드5 코드4 코드3 코드2 코드1

주( )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1 1

및 은 자리 숫자의 자리 숫자 에서 까지를 표시하고 각 코드는2 D2 D1 10 2 00 99

그 자리의 십진수를 코드번호로 한다2

숫자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최상위 자리수의 숫자 앞에 을 포함할 것3 0

별표 해역의 표시방법[ 11]

해역의 표시는 다음과 같은 것

선정되는 지리상의 해역은 메르카토르 도법의 직사각형으로 표시할1 (Mercator)

직사각형의 북서를 해역의 기준점으로 할 것2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존재하는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3 1

으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0] [1] [2] [3]

할 것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위도를 표시할 것4 2 3

제 번째에서 제 번째가지의 숫자는 기준점의 경도를 표시할 것5 4 6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남북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6 7 8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동서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7 9 10

표에 표시하는 해역 및 의 표시의 예는 다음과 같을 것8 ab c

기준점이 북위 도 및 서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1) 10 25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20 35 a

1 1 0 0 2 5 2 0 3 5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2) 10 10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10 10 b

2 1 0 0 1 0 1 0 1 0

- 35 -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3) 12 12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4 7 C

2 1 2 0 1 2 0 4 0 7

별표 주파수 및 채널정보의 코드변환표[ 12]

주파수0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주파수를 의 배수로서 숫자의 십100

만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다 1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2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채 널

3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중단파대 또는 단파대의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 다

8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별도로 정한 채널로 한다

9 0 times times times times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18게기하는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천 백 십 및 일의 숫자로 표시한다

십만 만 천 백 십 일

코드3 코드2 코드1

주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 ) 1

- 36 -

별표 종료신호의 송출순서[ 13]

주 기호 가 종료신호를 표시한다( ) H

- 37 -

제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3

제 절 송수신장치1 DSC VHF

시스템 개요1

본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모든기능을 충족하는 일체형과 전화용 복신방식의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호출 및 수신제어장치 로구분된 독립형 으로 구분되며 DSC DSC

이는 외형상의 구분이며 그주요기능별 구성은 각각의 유니트로된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표시 및 제어장치 와 전원부 로 구분되며 이것들은 다시 하나의DSC

케비넷 또는 독립된장치로서 구성된다

시스템 구성2

장비의 개요 및 특징3

가 개요

본 송수신기는 항만내 또는 연안에서 해안국과 선박국 또는 선박국 상호간VHF FM

의 해상이동업무 통신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기로서 이내의 해상156 ~162

이동 무선통신업무용의 전 을 수용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전파관리법 및CHANNEL

등 국제규격에 적합하도록 설계 제작된 기기로서 전세계ITU SOLAS USA USCG

어느곳에서나 규정에알맞게 사용할 수 있는 국제항만 무선전화기용 무선 송수신기

를 제작한다

- 38 -

나 특징

소형 경량화로서 좁은 장소에 설치가 용의하게 되어 있어야 한다(1)

송신각 각 방식을 채용하였으며 국제 항만 무선전화(2) DIRECT SYNTHESIZER

인 를 수용해야 하며 그외 개의CHANNEL 55(114) CHANNEL 105(527) FREE

이 수용되어 있어야 한다CHANNEL(SIMPLEX)

주 국제 중 미국연안에서 단식방식으로 절환 사용되고 있는1 CHANNEL 55(114)

을 사용 할 수 있을것USA CHANNEL(SIMPLEX)

주 별도의 기상수신 을 수용하고 있어야 한다2 WEATHER CHANNEL( )

USA 3 CHANNELS

CANADIAN 1 CHANNEL

OTHERS 5 CHANNELS

원격조정 회로의 내장으로 본기기의 판넬스위치와는 상관없이(3) REMOTE ( ) HAND

만 으로도 판넬 스위치 조작에 필요한 모든기능을 할 수 있고SET CONTROL VHF

의 원근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어야 한다SET

기능이 첨부되어 있어 미국연안 경비대 의 의무 청취(4) DUAL WATCH USCG( )

인 과 의 개의 을 동시에 수신할 수CHANNEL CH 13 CH 16 2 CHANNEL SCANNING

있으며 과 사용자가 선택하는 임의의 을 동시에CHANNEL 16 CHANNEL SCANNING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에 경보신호 기능의 내장으로 비상시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5) CH 16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국제 개 및 을(6) SCAN CHANNEL 55 FREE CHANNEL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SCANNING

안전통신에 지정되어 있는 은 우선 사용할 수 있도록(7) CHANNEL16 1 STEP

로 되어 있어야 한다SWITCH

국제 해상 인명 안전조약 에 정한 규격으로 되어 있어 전세계 어느곳의(8) SOLAS( )

규정에도 적합하며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구 성4

본 기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가 송 수신기 본체 대 1

나 HAND SET 1 SET

다 WHIP ANTENNA 1 SET

라 벽걸이형 SPEAKER 1 SET

마 전원 공급기 1 SET

- 39 -

규 격5

주파수 및 규격은 현재의 통신방식이며 정보통신부의 고시가 발표되면 협대역(125

로 변경한다)

가 일반사항

사용주파수 범위(1)

송 신 156025 ~ 157425 수 신 (SIMPLEX) 156025 ~ 157425 수 신 (DUPLEX) 160625 ~ 162025 기상수신 (WEATHER) 161650 ~ 162550

사용(2) CHANNEL

A International 55 (114) CHANNELSB USA 25 CHANNELSC FREE 105 (527) CHANNELSD WEATHER 9 CHANNELS

USA 3 CHANNELSCANADIAN 1 CHANNELOTHERS 5 CHANNELS

통신 방식(3) SIMPLEX amp DUPLEX

전파의 형식 전화(4) 16KOF3E( G3E DSC F2BG2B)

주파수 편차(5) 0001 (10 PPM)

사용 온도범위 부터(6) -10 + 50

예열 시간 전원 접속후 즉시 사용가능(7)

공칭(8) ANTENNA IMPEDANCE 50 ohm ( )

공급 전원(9)

전 압 136V plusmn 10전 류 수신시 800

송신시 5A전원 공급기 별도( ) 단상AC115V AC220V 60

부터 까지DC 15V 35V

나 송 신 부

정격 출력(1) HIGH -25 W

LOW - 1W

주 공중선 전력 저하장치로 이하 저하기능 보유1 1WATT주 단 보호 인 및 가 아님 은 송신이2 CHANNEL 7576 1 ~9(01 ~09 )CHANNEL되지 않음 기상수신대의 사용법은 본문 참조 ( )

- 40 -

발진 방식(2) SYNTHESIZER CONTROL SYSTEM

변조 방식(3) FREQUENCY MODULATION

점유 주파수 대역폭(4) 16 (8)

최대 주파수 편의(5) 5 (25)

복사강도 이상(6) SPURIOUS 70

변조 주파수 특성(7) 6 (plusmn 3 ) OCTAVE PRE-EMPHASIS)

(300 ~ 3 )

변조시 이하(8) DISTORTION 1 70 -20

신호 대 잡음비 변조시 이상(9) 1 70 40

저역 여파기 특성 이상에서 이상 감쇄(10) 3 -40log f3( ) (f = )

다 수 신 부

수 신 방 식(1) DOUBLE SUPERHETERODYNE SYSTEM

감 도(2) 이하 신호 대 잡음비 에서 025 V ( 20 )μ

감도(3) SQUELCH 이하 02 Vμ

국부 발진 주파수(4) 1lsquost LOCAL FREQUENCY

RECEIVER FREQUENCY - 214

2nd LOCAL FREQUENCY 10945

중간 주파수(5) 1lsquost IF FREQUENCY 214

2nd IF FREQUENCY 455

선 택 도(6) 저하폭 이상 6 12 (6)

저하폭 이하 70 25 (125)

(7) SPURIOUS RESPONCE 이상 70

감도 억압 효과(8) 이상 80

상호 변조 특성(9) 이상 65 ( 20 40 )

주파수 특성(10) 6 (plusmn3 )OCTAVE DE-EMPHASIS)

( 300 ~ 3 )

신호 대 잡음비(11) 변조시 이상 1 60 40

(12) DISTORTION 변조시 이하 1 70 -20

저주파 출력(13) 이상 1 WATT (IMPEDANCE 8 ohm)

- 41 -

제 절 차년도 개발 범위2 1

제 차년도 개발범위는 기초자료조사와 규정의 연구에 따라 기초회로의 설계 후1

사용부품을 시험하고 각 의 제작 및 시험 연이은 성능미달 의 차 차PCB PCB 2 3

차 재제작 시험을 완료하고 시스템의 설계까지이며 그 세부적인 개발범위는 다음4

과 같다

송수신장치 개발을 위한 제규정 수집 연구1 DSC VHF

기초자료 조사2

가 장비에 대한 기능특성 수집 연구

나 사용자 및 선박통신사의 요구사항에 대한 자료 수집 연구

다 외국장비와 비교 분석

라 부품규격 시험 및 선정

3 HARD WARE

가 고주파 필터코일 재질분석 및 각종코일 설계

나 제작 PCB

송신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1) PCB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시험(2) PCB

수신부회로 제작 시험(3) PCB

신세사이즈 회로 제작 시험(4) PCB

제어장치 제작 시험(5) PCB

표시장치 제작 시험(6) PCB

원격제어기 제작 시험(7) PCB

전원공급부 제작 시험(8) PCB

제작 시험(9) HAND SET PCB

전용수신기 제작 시험(10) DSC PCB

- 42 -

제 장 제 차년도 개발 항목 보고4 1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본 장비를 개발함에 있어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및 부품선정이 개발의 핵심 과제

로 생각하였다

기초자료는 기존 시스템분석과 전파관련법령을 기초하였고 주변회로는 관련된 회

로집을 분석하였으며 부품선정은 폐품종 여부와 수급이 용이하면서 견고하고 증폭

도 및 성능이 우수한 품종으로 장시간 시험을 거쳐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송신부 제작시험2

송신 출력회로 결정 회로설계 완료하여 각부 부품 구입 회 내구성 시험 및SPEC 30

구룹별 장시간 부품 부하 시험등 최종목표 성능을 확보하기위한 제반 기초 제작시

험을 완료 하였으며 주요 내용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의 발열상태등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의 높은 출력으로 증폭하는 송신전(VHF ) 25W

력 증폭기로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높은 고주파전력에 견딜수있어야 하고 열

에의해 발생되는 열잡음이 적으야하며 열에의한 부품의 열화 및 특성의 변화가 적

은 부품을 사용여야 하므로 온습도시험 과 과출력 시험을 통하여 사용될 부품을 시

험하였다

특히 고조파 필터회로 부품인 코일은 동선에 전도율이 좋은 재질로 도금하여 사용

하여야 하며 고조파필터회로 의 차폐용 재료도 동판에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도금

하여 사용 하여야 한다

나 송신 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PCB (PCB NO V-097)

개발과정에서의 설계변경 및 생산시스템의 전산화 에 적용 할수있도록 회로 설계는

물론 설계 회로기판 도안 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설계완료된 는PCB ( ) CAD DATA

회로기판 제작장치 외주 작업 및 부품삽입기 자사 작업 에 직접 컴퓨터용 디스켙( ) ( ) (

으로 입력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회로에 높은 고주파전류가 흐르므로인하여 빌진할 가능성 및 잡음발생의 우려PCB

가 많으므로 특히 부품배치에 유의하여 설계하였으며 송신신호 발생회로 또는 전원

회로 와의 배선은 관통형콘덴서등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였다

회로에 사용되는 코일은 각 코일간에 간섭을 줄이기위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설정하

였으며 전체를 차폐하고 또 고조파 필터회로를 구분하여 차폐하여 제작 하였PCB

- 43 -

또 안정된 출력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회로를 장치하여 설정된 출력 이상의ALC

출력을 제한한다

다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PCB (PCB NO V-096TX)

설계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이 는 미약한 고주파 신호를 발생 변PCB CAD PCB

환 증폭 하므로서 송신부 또는 외부로 부터의 잡음 유입과 내부잡음 발생에 유의

하여 설계되었으며 불요복사 억제에 유의하였다

라 성능시험

메칭상태 시험(1)

옴 파장 수직형 안테나 를 사용할수 있도록 시험하였으며 차적인 시험은 의50 12 1

사부하에 의해 시험하고 의사부하 안테나에 정상적인 메칭이 된 후 실제 사용 안테

나에 확인시험 하였다

이 시험에서 양질의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장치는 물론 안테나의 성능이 중

요하며 인접한 고전력 안테나 및 낙뢰로부터 안정성 등을 감안하여 안테나는 VHF

대역 이하의 주파수에 대하여 쇼트형 안테나가 바람직 하다

기존 시스템의 이상의 성능 확보(2) 90

송신부의 주기능으로서 양질의전파를 안테나로 공중에 발사하는 장치로서 주피수안

정도 고조파억압 불효전파억제 안정된전력 안정된 주파수편이 낮은 왜율 등의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시험결과는 기존의 제품의 특성에 가까운 성능을 확보

하였으나 안테나공용기 복신통신용 필터 특성의 개선및 송신부 관련부품의 배치를( )

개선하므로서 보다 좋은 성능을 확보 할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신부 제작시험3

수신부는 안테나입력회로 입력동조회로 단신통신 및 복신통신 각 주파수 대역 필 (

터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로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 1 1 2 2

로 대역필터회로 신호제한 리미터 회로 복조회로 무신호잡음 차단 회로 저주 ( ) FM

파 증폭회로 및 국부발진회로 로서 구성되나 국부발진회로는 잡음의 발생및 유입

주파수안정도 등을 감안하여 별도의 로서 제작하였으며 그외 수신부와 관련한PCB

내용은 다음과 같다

- 44 -

가 사용부품의 구입 및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증폭과 변환을 반복하여 요구되는 신호(VHF )

를 복조하여 기청음 또는 의 문자표시로 출력되게 하므로서 안정된 주파수 및DSC

증폭이 요구되므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당연히 고주파특성에 유의하여 주파수

차에의한 특성변화 열잡음 및 고주파잡음 능동소자등의 직선성 등이 교려되어야하

므로 항온항습시험과 과전류에의한 잡음발생의 시험 등 을 거처 엄선한 부품으로

설정사용 하였다

특히 회로의 선택도 코알의 값 를 높이기 위하여 가 높은 트랜스 재료를 사용하( Q ) Q

였다

다 수신부회로 제작 PCB (PCB NO V-096RX)

위 항에서의 시험에 의해 선택된 부품을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며 수신부의 특성31

상 잡음의 발생보다는 잡음의 유입에 유의하여 설계되었으며 안정된 증폭 특성 수(

신감도 을 얻기위하여 중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회로기판은 에폭시) 2

수지 양면인쇄동판을 사용하여 부품삽입면은 대부분 공통단자로 이용하여 부품간의

간섭을최소화 하였다

다 수신부 특성시험

수신부 특성상 수신감도 주파수안정도 왜율 통과대역폭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감도억압비 혼변조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신호대 잡음비 일 때의 수신감 20

도 성능이 확보되며 기타 여러 가지 특성도 최종목표 특성에 가까운 성능이05

확보 되었으나 까지 수신감도가 향상되도록 성능개선이 요구된다025 V 120757

신세사이즈부의 회로의 안정도로 인하여 국부발진 신호의 흔들림현상이 있어VCO

통과대역폭 및 잡음발생의 원인이되어 신세사이즈회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신세시이즈회로는 크게 수신국부발진 신호용과 송신신호용으로 구분되며 단신통신

과 복신통신방식일때 각각 동작할수있는 구성으로 설계되었으며 그 내용별로 구분

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전압제어발진기 에 사용되는 부품은 온도 및 전압변동에 특성의변화가 극히(VCO)

적어야하며 외부로부터 정전 및 자계영향이 크므로 회로를 별도로 정전 및 자VCO

계로부터 차폐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혼변조 및 잡음신호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파수선택 표준신호 등 시 수신( )

대역 및 송신대역에 영향이 없는 주파수로 하였으며 가능한 레벨을 제외한 신(TTL

호 파형의 왜율이 적은신호로서 각회로신호를 사용하여 결합하였다)

- 45 -

나 신세사이회로 제작 (PCB NO V-096PLL)

이회로 기판은 여러종류의 신호들이 발생 혼합 증폭 비교 되므로 각부품 간의 배

치에따라 잡음발생의 정도가 크게 좌우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였으며 회로는 외VCO

부영향에 민감하게 작동되므로 차폐 에 유의하여 부품의 배치 적절하게 하였으며

잡음발생을 유의하여 부품을 선정하였다

다 성능시험

이회로의 특성상 주파수안정도 주파수의 흔들림 위상비교기의 비교속도 등에 유의

하여 시험하였으며 여러가지 일반적인 특성은 최종목표사양에 만족될 수 있는 신호

원을 공급할수 있었어나 주파수의 흔들림 현상이 있어 회로의 부품 및 차폐에VCO

개선이 요구된다

제어장치 제작시험5 (PCB NO V-263)

이회로의 주요부품으로서 를 사용하여 당개발과제의 송수신 및 외부V25 CPU DSC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며 아울러 본체 전면표시기와 스윗치 입출력 기능도 한다

이회로의 주요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스 읽기전용 메모리 읽고CPU( ) ROM( ) RAM(

쓰기 메모리 직렬통신용 입출력 병렬통신 입출력 아날로그 디지) SIO( ) PIO( ) AD(

탈 변환기 스윗치입력 표시기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개발 내용은 다음과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에 사용되는 부품은 대부분 디지탈신호를 처리하여 회로로서 및TTL IC

로서 구성되며 저소비전력 및 고속처리능력이 요구되므로 주로 고속용C-MOS IC

중 형 를 사용 하였으며 장치의 초기설정 및 기능 설정의C-MOS(C-MOS IC HC )

변경등 의 목적으로 은 충전형 밧테리로서 메모리내용을 전원의 에 관RAM ONOFF

계없이 유지하도록 하였다

외부 제어기 등 와의 통신용 의 통신속도를 또는 등으로(DSC ) RS-232C 2400 4800

변경 설정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변환기 등을 이용하여 자기진단을 할수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장비의 유지및AD

보수에 많은 도움이된다

- 46 -

나 성능시험

운용시험(1)

이회로의 특성상 전기적 특성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특성 및 성능이 요구되므로 운

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이부분에 대한 시험은 개발자입

장이 아닌 운용자가 시험하여야 하는 관계로 선박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사용자에게

의뢰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로서는 기능면에서는 양호하나 사용상 복잡한 면이 있어 보다 조작 을 간편

히 할수있도록 개선할 필요가있는 것으로 본다

표시장치 시험(2) (PCB NO V-260)

본장치의 사용상 필요한 기능 및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내용과 기기 동작

상태의 일치성이 요구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온습도 및 장기시험 으

로서 확인하였으며 여러 가지 표시장치중 각각 중단점이 나타낮다

즉 액정 표시기 표시기는 저소비전력이며 주위가 밝은곳에서 사용이 가능 하LCD( )

나 반면 온도특성이 나쁘며 형광표시관 표시기는 온도특성은 양호하나 소비전 VFD( )

력이 대체로 높고 보다 낮고 보다 많음 수명이 낮다는 단점이있으며(FND LCD )

발광 다이오드 표시기는 모든면에서 대체로 양호 하나 잡음발생 이많으며 밝FND( )

은곳에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외 여러 가지의 장담점을 검토하여 차적인 결론은 표시기가 적합한 것으로1 LCD

본다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최소의 전기적신호 연결로서 최대의 기능제어및 속도가 요구되는 장치로서 저주파

신호의 입력 마이크 신호 및 출력 스피크 신호 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 제어는( FS ) ( )

직렬통신 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였으며 장거리 일반 공용통신망 을 이(RS-232C)

용할수도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요 구성은 중앙제어장치 스윗치입력 장치 표시장치 메모리장치 직렬통신장치

로 구성되며 그 상세한 개발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의 대부분이 디지탈신호의 처리회로로서 구성되므로 제어장치 의 사용 부품ldquo rdquo

시험 및 선정기준과 같으며 장거리운용상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신속도를

알맞게하며 장거리통신 선로에서 유기되는 잡음을 최소화 하기위한 필터회로 및

소프트웨어적인 오류정정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별도 설계 사용 하였다

- 47 -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V-170)

이장치는 사용상 편리하여야 하므로 소형 경량 으로 제작 하였으며 차적 기능 시 1

험을 목적으로 외형 보다는 성능을 우선하여 시험용으로 제작하였다 이장치의 시

험은 전용케이블 을 이용하여 시험하였고 또 일반 공용통신용 전화 선로를 통하여

원거리 시험을 하였으며 그결과로서 통신속도가 까지 양호하게 동작되나2400bps

그이상의 통신속도로서 운용 할려면 전용회선이 필요하게된다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가 결정 SPEC

각회로 에서 필요로하는 전압 및 전류에 알맞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반 성능

을 차적으로 설정 하였으며 최종목표 사양에 일치하기위하여서는 전원부의 장치에1

대하여 모든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최종 특성이 설정 되어야 한다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P-099)

이장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되나 반면에 안정성이 확고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안

정성을 첫째로 중요시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이회로는 많은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많은 전력이 열로서 손실되므로 방열에 특히 유의하여 제작되었으며 열발생이 많은

부품은 알미늄 방열판에 설치하고 이방열판은 본장치 외함의 바깥쪽에 설치하여 방

열효과를 최대화 하였다

이회로의 시험은 과입력전압 및 과소비전력 일때의 안정성에 중점 시험하였고 그시

험을 위하여 장시간 항온 항습기 를 이용하여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전원부의 안정

성 확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도 이회로를 특별히 개선하지 않고도 최

종목표 사양에 만족하리라 본다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PCB NO V-098)

마이크 회로 수화기 회로 송신 스윗치 회로 로서 구성되며 이장치는 사용 특성상

충격에 강하도록 설계제작 되어야 하며 무게는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재료선택이

중요하며 이러한점을 감안하여 사출금형에 의하여 성형 하였으며 성형 제료로서는

제료를 사용하고 사용 부품을 최소화 하여 제작 하였다ABS

이장치의 특성상 견고하며 방수효과가 최대이어야 하므로 충격 자연낙하 시험 및( )

방수시험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 성형제료 및 외형상의 문제는 없이나

송화기 및 수화기의 선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송화기는 콘텐서형

마이크가 좋으며 수화기로는 가변코일형으로서 떨림판이 평면으로된 수화기가 우수

한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선정하여 제작시험 하였다

- 48 -

전용 수신기9 DSC (PCB NO T-342)

전용수신 장치는 송수신장치중 송신부를 제외한 구조와 유사하므로 개발과정에서

송수신장치중 수신부회로에 복조장치 를 추가하여 별도 로 제작하여 시험DSC PCB

하였으며 개발내용중 전용수신기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DSC

가 기능 및 동작

변조되어 수신된 신호를 필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후 신호 처리용FM DSC DSC

마이크로프로세스 에 공급하여 소프트웨어로서 신호를 분석한후 표시장치 메(CPU)

모리장치 인쇄장치 등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전용 찬넬인 번 찬넬을 항상 DSC 70

수신상태로 동작하여 신호 도트신호 를 검출하고 신호가 있으면 이어서CALL ( ) CALL

수신되는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표시장치 및 경보장치에 출력한다

나 신호 신호 필터회로 와 신호 처리부 및 제어용회로부 DSC (FS ) DSC DSC

제작시험 (PCB NO T-325 T-326 T-327)

이 회로의 성능은 주로 필터 및 디지탈변환 회로에서 결정되며 소프트웨어의 성능

에 따라 안정성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점을 유의하여 설계제작 하여으며 성능 시험

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험용 정보를 송신장치로 통해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후 그

결과를 분석 시험 하였다

다 전용 수신기의 개발과정 에서의 학보된 기술 DSC

신호 및 의 신호 의 필터 및 디지털 변환 기술DSC (1300 2100 FS )

신호 검출 및 직렬신호의 병렬변환 소프트웨어DOT

기술 정보의 비교 및 인쇄출력 소프트웨어 기술

종합시험10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별 차 차 차 보완시험은 만족하며 앞으로 개발의 중점은 사용의 편리성과PCB 1 2 3

생산성에 중점 개발이 요하며 배치에 따라 야기될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 PCB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후 최종제품을 제작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49 -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1

가 전면판 사출금형

나 옆판 스피커 안테나 금형

다 노브 사출금형

라 윗면 및 밑면 프레스 금형

마 설치용 고정장치 사출 금형

바 설치대 프레스 금형

사 뒷면 작업용 프레스 금형

아 항온조용 열차단금형

자 필타 금형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2

가 송수신기 제어장치 프로그램

나 전용 수신기 제어용 프로그램 DSC

다 원격조정기 프로그램

라 송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마 수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3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17: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17 -

Receiving system Double super heterodyne

Intermediate frequency 1st IF 214

2nd IF 455

Local oscillation method Frequency synthesizer

Sensitivity 2 V or less120757Squelch sensitivity 1 V or less120757Selectivity 12 or more at 6 bandwidth

within 25 with a selectivity of 70

Spurious response 70 or more

Blocking 90 or more

Intermodulaltion 70 or more

Overall distortion 10 or less

Signal-to-noise ratio 40 or more

Rated audio output 2W(4 )Ω

Frequency

characteristics 6 oct +1 -3

Antenna input 50 unbalancedΩ

impedance

Temperature range 0 to +40

for full performance

Operating -15 to +55

temperature range

Storage -25 to +65

temperature range

Power supply voltage DC 138V plusmn10

(supplied from the NQD-1469 power supply

unit)

Dimensions 290(H) times 140(W) times 145(D)

Weight Approximately 25

- 18 -

제 절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2 DSC VHF

디지틀선택호출장치의 조건1

가 점검 및 보수를 쉽게 할수 있을것

나 전원공급후 분이내에 작동할 수 있을 것 1

다 의 주파수를 쉽게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 것 156525

라 초이내에 송신과 수신을 전환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 것 03

마 이상의 제어기를 갖는 경우에는 의 제어기에 우선권이 주어지는 동시에 다 2 1

른 제어기의 사용상태를 표시하는 기능이 있을 것

바 전원전압이 정격전압의 퍼센트이내에서 변동된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 (plusmn)10

할 수 있을것

사 통상 발생하는 온도 및 습도의 변화 진동 또는 충격이 있는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수있을것

선택호출장치의 선택호출신호의 조건2

가 마크주파수는 이고 스페이스주파수는 일것 이 경우 허용편차 1300 2100

는 각각 로 한다10

나 신호전송속도는 매초 비트일것 이 경우 허용편차는 만분의 으로 1200 100 30

한다

다 시간다이버시티의 시간간격은 초일것 003

송신장치의 조건3

가 공중선전력 와트 이상일 것 6

나 전파의 변조지수 허용편차는 로 한다 F2B 2( 02 )

다 감도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자 1

율이 퍼센트이하일 것1

라 실효선택도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1) 14

상태에서 중간 주파수로부터 희망파의 배의 주파수 희망파주파수의 이3 ( (plusmn)375

내의 주파수를 제외한다 까지 수신기입력전압 밀리 볼트의 무변조 방해파를 인) 447

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1

- 19 -

감도억압효과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2) 14

의 정현파에 의하여 주파수 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기입력전압400 3 44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인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이하일1

마 상호변조특성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 14

희망파 보다 떨어진 수신기 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와 희망파25 25

보다 떨어진 의 정현파에 의한 주파수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50 400 3

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25 1

디지틀선택호출전용수신기 의 조건4

가 통신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통신의 수신기능외에 통신의 내용을 볼 수있도록 하

는 기능이 있을것

나 조난통신 또는 긴급통신을 수신한 경우에는 수동으로만 정지시킬 수 있는 특별

경보기능이 있을것

다 수신한 조난통신의 내용을 즉시 인쇄하거나 개이상의 조난통신을 기억할 수 20

있어야 하되 기억한 내용을 일정시간 보존할 수 있을것

라 본체의 보이는 곳에 수신주파수를 표시할 것

마 전원공급후 분이내에 작동할 수 있을것 1

바 전원전압이 정격전압의 퍼센트이내에서 변동된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plusmn)10

수 있을 것

사 통상 발생하는 온도 및 습도의 변화 진동 또는 충격이 있는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수 있을것

아 감도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자율 1

이 퍼센트 이하일 것1

자 실효선택도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1) 14

상태에서 중간 주파수로부터 희망파의 배의 주파수 희망파주파수의 이내3 ( (plusmn)375

의 주파수를 제외한다 까지 수신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를 인접) 447

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1

- 20 -

감도억압효과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2) 14

의 정현파에 의하여 주파수 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기입력전압400 3 44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인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1

차 상호변조특성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 14

희망파 보다 떨어진 수신기 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와 희망파25 25

보다 떨어진 의 정현파에 의한 주파수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50 400 3

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25 1

- 21 -

제 절 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3 DSC VHF

일반적 조건1

가 취급이 용이한 것일 것

나 에서 까지의 숫자 입력판을 갖는 경우에는 그 숫자의 배열은 국제전신전화자 0 9

문위원회의 권고 에 의한 것일 것E161

공중선의 단선 또는 공중선 단자의 단락으로부터 보호수단을 가질 것

과전류 과전압 전원의 과도변동 및 전원극성의 우발적인 반전으로부터 보호수단이

있는 것일 것

노출된 금속부분은 접지하는 것이 가능할 것

전원단자는 접지되어 있지 않을 것

전원 볼트를 초가하는 전기 고주파의 것을 제외 를 통하는 도전부는 용이하게 노55 ( )

출이 되지 않도록 다음의 어느 조건에도 적합한 차폐체를 갖고 있는 것일 것

차폐체를 개방한 때는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되는 구조일 것(1)

차폐체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공구를 필요로 하는 구조이고 또는 고전압에 대한(2)

주의사항이 표시되어 있을 것

다 통상의 설치된 상태에서 제조자명 형식명 및 제조번호가 명확하게 판독 가능하

도록 외부에 표시되어 있을 것

라 장치의 일부를 가열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급전후 분이내에 일정온도에 달하 30

는 것일 것

다만 가열회로에 공급하는 전력은 다른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치단에 의해

절단되지 아니할 것

마 전원공급후 송신장치의 일정분에 전압의 공급을 지연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는 그 지연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것

디지틀선택호출장치의 조건2

선박의 위치 및 위치를 결정한 시각의 자동입력 기능을 갖는 경우에는 동기능의

고장이 장치의 다른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

가 선택호출 신호의 구성

조난경보등 조난경보 조난경보에 대한 응답 조난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1) (

중계에 대한 응답을 말한다 이하 같다 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및 무선설비의 기기 )

의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이하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이외의 선택( ldquo rdquo )

호출신호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1

- 22 -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2) 2

조난 경보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 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3) 3

일 것

조난 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 중계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4)

성을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4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5) 5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오류검정부호를 제외한다 에 사용하는 단위 부호는(6) (dot ) 10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6

나 선택호출신호의 송출조건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오류검정부호를 제외한다 의 송출은 최초의 송출과 반(1) (dot )

복송출과의 사이에 개의 코드가 놓아진 방식일 것4 Time Diversity

선택호출신호의 반복송출은 다음과 같은 것일 것(2)

가 조난경보를 연속하여 송출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조난 경보를 최후의 신호와( )

다음에 송출되는 조난경보의 신호와의 사이를 가격없이 송출가능한 것일 것dot

나 디지탈선택호출통신망을 위한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호출( )

또는 응답의 선택호출 신호의 경우는 별표 에 따라서 회를 초과하지 않는 회수를7 4

반복하여 송출가능할 것

다 가 및 나 이외의 경우는 반복하여 송출이 가능하지 않는 것일 것( ) ( ) ( )

다 선택호출신호의 수신조건

조별 의 장치는 제 호에 규정한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1) (class) A 2

읽어냄이 가능할 것

조별 의 장치는 다음의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표시하는(2) (class) B

것이 가능할 것

가 제 호에 규정하는 선택호출신호중 종별 의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것( ) 2 (class) B

나 포맷 신호가 해역호출인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것( ) (format)

다 제 가 수신되지 아니할 것( ) 1 Telecommand

해안국의 장치는 제 호에 규정하는 선택호출신호 해안국의 장치의 것을 제외(3) 2 (

한다 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읽어냄이 가능할 것)

- 23 -

별표 선택호출신호 조난경보등을 위한 것 및 시험을 위한 것은 제외한다 의[ 1] ( )

구성

dot신 호

동 기신 호

Format신 호

Address신 호

Category신 호

자국의식별신호

정 보신호1

정 보신호2

정 보신호3

종료신호

오류검정신호

주( 1) 주( 2) 주( 3) 주( 45및6)

주( 7) 주( 8) 주( 9) 주( 10) 주( 11) 주( 12) 주( 13)

주( )

중단파대 및 단파대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하는 장치의 선1

택호출신호 이하 중단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에 있어서 선박국을 호출하( ldquo rdquo )

기 위한 선박호출신호의 경우는 비트 선박국에서 해안국으로 호출 및 응답하기200

위한 선택호출신호 및 국제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 계기하는 주파수18

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 하는 장치의 선택호출신호 이하 대 선택( ldquoVHF

호출신호 라 한다 의 경우는 비트일 것rdquo ) 20

표 에 나타내는 코드번호를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하는 것일 것2 8 9

호출의 종류를 나타냄에 있어서 다음의 장치마다 별표 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3 8

류를 표시하는 개의 동일 코드번호일 것2

종별 의 장치 선박국의 장치에서 별표 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류를 사용(1) (class)A ( 8

가능한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

종별 의 장치 선박국의 장치에 있어서 동표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류 중(2) (class) B (

해역호출 및 공통관계를 갖는 선단의 호출을 제외한 것의 사용이 가능한 것을 말한

다 이하 같다 )

해안국의 장치 동표에 게기한 호출의 종류중 조난경보 및 개별국의 반자동 또(3) (

는 자동접속호출을 제외한 것의 사용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

신호가 조난경보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는 상대국 식별4 Format

신호로 하여 선박국식별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 구성되는[0]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신호가 조난경보 또는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선택호출에 있어서는 사용5 Format

하지 않을 것

신호가 해역호출의 경우 종별 의 장치는 제외한다 는 별표 에 따라서6 Format ( B ) 11

해역을 자리 의 숫자를 표시하고 별표 에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통보의 우선순위 또는 종류 신호가 모든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통상업무7 (Format

및 선박업무를 제외한다 를 별표 에 따라 개의 코드번호에 코드화한 것일 것 다) 8 1

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 선박업무를 제외한 것으로 하고 또한 신 (class) B Format

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통상업무를 제외한 것일 것

- 24 -

자국의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8 [0]

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제 및 제 의 정보로 하여 별표 에 따라서 각각 개의 코드번9 1 2 Telecommand 8 1

호에 코드화한 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제 (class) B 1

를 다음과 같이하고 제 코드번호가 일 것Telecommand 2 Telecommand [126]

중단파대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하는 장치의 선택호출신호 이하(1) (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는 신호가 개별국의 호출일때에는 코드번ldquo rdquo ) Format

호 또는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일[119] [111] [118] Format

때에는 코드번호 또는 일 것[109] [111] [111]

선택호출신호는 신호가 개별국의 호출일 때에는 코드번호(2) VHF Format [100]

또는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일 때에는 코드번호[101] Format

또는 일 것[100] [101] [105]

다음의 방식일 것10

호출에 이어 계속 통신에 사용하는 송신 및 수신을 위한 주파수 또는 채널을(1)

나타내는 선택호출신호는 송신파 및 수신파의 순으로 별표 에 코드화한 것일 것12

다만 주파수 또는 채널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송신파 또는 수신파마다에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126]

선박의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선택호출신호는 코드번호 및 다음에 의거 표(2) [55]

시되는 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 자리숫자를 별표 에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가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가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나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부터 제 번째까지의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표시한다

제 가 선박의 위치인 호출에 대한 응답 이하 선박위치응답 이라(3) 1 Telecommand ( ldquo rdquo

한다 을 위한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의 가 및 나 에 의해 표시하는 선박의) (2) ldquo rdquo ldquo rdquo

위치를 나타내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코드화한 것 및 그것에 계속코드번호10 10

일 것[126]

에서 이외의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4) (1) (3) 6 [126]

선박위치응답의 경우 종별 의 장치를 제외한다 및 신호가 개별11 ( (class)B ) Format

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에만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각각 다음의 방

식일 것

선박위치응답의 경우는 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 국제표준시로 한다 이하 같(1) (

다 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2 10

개의 코드번호로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는 개2 2

의 코드번호 일 것[88]

- 25 -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는 아날로그 전화용(2) Format

설비와 접속하기 위한 번호 이하 전화번호 라 한다 등의 네트워크번호를 표시하는( ldquo rdquo )

것으로 하고

네트워크번호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코드번호를 짝수의 경우는 코드번호[105]

과 네트워크를 별표 에 준하여 개부터 개까지의 수의 코드번호로 코드화[106] 10 2 9

한 것일 것

응답을 필요로 하는 호출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응답12 [117]

을 위한 선택 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및 이외의 경우는 코드번호[122] [127]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 다만 신호가 모13 Format

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 코드번호 일 것[127]

오류검정부호는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정보비트 및 제 번째에서 제13 1 7 8

번째까지의 검정비트로부터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생성되는 각 비트10

의 및 이 각각 별표 에 표시하는 및 에 대응하는 단위 부호로[0] [1] 6 [B] [Y] 10

하여서 송출되는 것일 것

정보비트의 각 비트는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동기신호를 제외한다 의 모든(1) (dot )

코드번호 신호 및 종료신호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로 한다 에 대응하(Format 1 )

는 부호의 비트 위치마다 최하위 비트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다만 를 를 B 0 Y 1

로해서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검정비트는 정보비트의 의 수를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B 2

별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해안국의 장치는 제외한다[ 2 ] (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자국 의식별신호

주( 4)

조난종류 의정보신호

주( 5)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

주( 6)

시각정보신호

주( 7)

Tele-command정보 신호

주( 8)

종료신호

주( 9)

오류검정신호

주( 10)

주( )

중단파 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는 비트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비1 200 VHF 20

트일 것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2]

자국의 선박국 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4 [0] 10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조난의 종류를 표시하는 것으로 하여 별표 에 따라 개의 코드번호로 코드화한5 8 1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 (class) B 1 107

- 26 -

조난선박에 위치를 다음과 같이 자리의 숫자로 표시 하는 것으로 별표 에6 10 10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조난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것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99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1)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는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2)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한다

조난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것7 2

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개의 코드번호에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 10 2

를 포함하지않는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88]

계속하여 행하는 통신의 형식을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통신장치가 무선전화 또8

는 협대역직접 인쇄전신장치인 제 를 별표 에 개의 코드번호로1 Telecommand 8 1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방식일 것 (class) B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 일 것(1) 1 [109] [111]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VHF 1 [100]

코드번호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하는 것일 것9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별표 조난경보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선박국의 장치를[ 3] (

제외 )

dot신호

주( 1)

동기신호

주( 2)

For-mat신호

주( 3)

Cate-gory신호

주( 4)

자국의식별신호

주( 5)

Telec-ommand정보신호

주( 6)

조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7)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 8)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 9)

시각정보신호

주( 10)

Tleco-mmand정보신호

주( 11)

종료신호

주( 12)

오 류검 정신 호

주( 13)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6]

별표 의 주 과 같은 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4 1 7 [112]

자국의 해안국 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숫자를5 [0] 10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6 1 [1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일 것7

- 27 -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종류의 정보신호일 것8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일 것9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시각정보신호일 것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정보신호일 것11 Telecommand

코드번호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2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3 1 13

별표 조난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 중계에 대한 응답을 위한[ 4]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dot신호

주(1)

동기신호

주(2)

For-mat신호

주(3)

Addr-ess신 호

주( 4및56)

Cate-gory신 호

주(7)

자국의식별신호

주(8)

Telec-ommand정보신호

주( 9)

조 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10)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11)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12)

시각정보신호

주(13)

Tleco-mmand정보신호

주( 14)

종료신호

주(15)

오류검정신호

주(16)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별표 의 주 과 같다 코드번호 이외의 것으로 한다3 1 3 ( [112] )

신호가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에는 상대국의 식별신호4 Format

로 하고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0] 10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5 Format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6

별표 의 주 과 같은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7 1 7 [112]

별표 이 주 과 같다8 1 8

개의 코드번호 일 것9 1 [112]

수신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 또는 수신한 조난경10

보의 중계의 조난선박국의 식별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종류의 정보11

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선박의 위치12

정보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시각정보일 것13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14 Telecommand

정보신호일 것으로 한다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것으로 하 (class) B

는 것이 가능할 것

- 28 -

중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1) 1 [109] [111]

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2) VHF 1 [100] [101]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코드번호 개별 해안국 앞15 Format [127]

으로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에는 코드번호 로서 별표[122]

의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3

별표 의 주 과 같다16 1 13

별표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대 선택호출신호를 제외한다[ 5] (VHF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Address신 호

주( 4)

Category신호

주( 5)

자국의식별신호

주( 6)

정 보신 호1

주( 7)

정 보신 호2

주( 8)

종 료신 호

주( 9)

오류검정신 호

주( 10)

주( )

비트일 것1 200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20]

상대국의 식별신호로서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이에 계속되는 으로서4 [0]

구성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1 [108]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8

각 개의 코드번호 및 일 것7 1 [118] [126]

개의 코드번호 일 것8 6 [126]

코드번호 또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9 [117] [122] 13

일 것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 29 -

별표 선택호출신호의 단위부호[ 6] 10

는 스페이스주파수 는 마크주파수로 대응하고 비트위치의 에서 송출된다B Y 1

협대역 일때MFHF B=1785 Y=1615

대역 일때VHF B=2100 Y=1300

- 30 -

별표 반복송출의 순서[ 7]

주 기호 는 선택호출신호의 종료신호를 표시하고 기호 는 에서 까( ) H DX RX0 RX7

지가 반복송출되는 선택호출신호의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31 -

별표 코드번호 의 용도[ 8] (100-127)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00 통상업무

화재 또는폭발

또는F3단신G3E

무선전화 이유없음 주( 3)

101 침수 또는F3복신G3E

무선전화 해사교환 센터의혼잡 주( 3)

102 해역호출

충돌 미확정주( 1)

통화중 주( 3)

103 좌초 Polling 대기행렬표시주( 3)

104 의RXO위치의동기신호

경사 및전복의위험

수입불가주( 2)

폐국 주( 3)

105 의RX1위치의동기신호

침몰 호출의 종료주( 4)

의 부재Operator주( 3)

106 의RX2위치의동기신호

선박업무주( 5)

조선불능으로 표류

데이터주( 6)

변복조장치

의Operator일시적 부재 주( 3)

107 의RX3위치의동기신호

기타의조난

미확정주( 1)

장치의 운용불가주( 3)

108 의RX4위치의동기신호

안전 선체의방치

미확정주( 1)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09 의RX5위치의동기신호

J3E 무선전화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10의RX6

위치의동기신호

긴급 조난경보에대한 응답

무력분쟁의당사국이 아닌것을 표시하는선박 및 항공기주( 7)

111 의RX7위치의동기신호

H3E 무선전화 위생수송체 주( 7)

112 조난경보

조난 조난자동통보설비(주 의9)시동

조난경보의중계

공중전화사무소주( 8)

- 32 -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13또는F1B방향오J2B(1

류정정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미확정 주( 1)

114

공통관계를 갖는선단의호출

미확정 주( 1) 미확정 주( 1)

115또는F1B자동재송J2B(

요구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데이터 주( 11)

116모든선박호출

또는F1B J2B수신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2)

11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18 시험 데이타 주( 14)

119또는F1B수신J2B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5)

120개별국의호출

A1A 테이프레코더

데이터 주( 16)

121 선박의 위치 데이타 주( 17)

122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3

개별국의반자동또는자동접속호출

A1A 전건 및핸드셋(Handset)

데이터 주( 18)

124또는F1CF2C

F3C팩시밀리장 데이터 주( 19)

125의DX

위치의동기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6 정보없음 정보없음 주( 20)

12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주( )

앞으로의 사용을 위하여 유보한다1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2 [100] [109] 2 Telecommand

코드번호 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3 [104] 1 Telecommand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 시스템에만 사용한다4

- 33 -

선박의 항해 운항 필수품에 관한 통신과 정부의 기상업무기관으로 보내는 기5

상 관측 통보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6 [115] [124] 2 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을 제외하고 제7 [104][105][106][110][112] [118] 1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의 제 와 조합하여8 [100][101][109][115] [124] 1 Telecommand

사용한다

수색구조용 레이다트랜스폰더를 제외한다9

무선설비규칙의 제 조의 에 정하는 것으로 한다10 69 4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1 (V21)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2 (V22)

앞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1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4 (V2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5 (V2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6 (V1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7 (V26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8 (V27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9 (V32)

코드번호 를 제외하고 제 와 조합하여 사20 [104][110][112] 1 Telecommand

용한다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 코드번호는 중단21 Format

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에서 까지 [102] [124] ([110][112][117]

및 를 제외한다[122] )

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및VHF [100][101][104][105][106][121]

일 것[124]

별표 동기신호의 송출순서[ 9]

주 기호 및 에서 까지가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DX] [RXO] [RX7]

- 34 -

별표 자리 숫자의 코드 변환표[ 10] 10

자리의 숫자10

십억D2

억D1

천만D2

백만D1

십만D2

만D1

천D2

백D1

십D2

일D1

코드5 코드4 코드3 코드2 코드1

주( )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1 1

및 은 자리 숫자의 자리 숫자 에서 까지를 표시하고 각 코드는2 D2 D1 10 2 00 99

그 자리의 십진수를 코드번호로 한다2

숫자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최상위 자리수의 숫자 앞에 을 포함할 것3 0

별표 해역의 표시방법[ 11]

해역의 표시는 다음과 같은 것

선정되는 지리상의 해역은 메르카토르 도법의 직사각형으로 표시할1 (Mercator)

직사각형의 북서를 해역의 기준점으로 할 것2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존재하는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3 1

으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0] [1] [2] [3]

할 것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위도를 표시할 것4 2 3

제 번째에서 제 번째가지의 숫자는 기준점의 경도를 표시할 것5 4 6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남북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6 7 8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동서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7 9 10

표에 표시하는 해역 및 의 표시의 예는 다음과 같을 것8 ab c

기준점이 북위 도 및 서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1) 10 25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20 35 a

1 1 0 0 2 5 2 0 3 5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2) 10 10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10 10 b

2 1 0 0 1 0 1 0 1 0

- 35 -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3) 12 12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4 7 C

2 1 2 0 1 2 0 4 0 7

별표 주파수 및 채널정보의 코드변환표[ 12]

주파수0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주파수를 의 배수로서 숫자의 십100

만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다 1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2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채 널

3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중단파대 또는 단파대의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 다

8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별도로 정한 채널로 한다

9 0 times times times times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18게기하는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천 백 십 및 일의 숫자로 표시한다

십만 만 천 백 십 일

코드3 코드2 코드1

주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 ) 1

- 36 -

별표 종료신호의 송출순서[ 13]

주 기호 가 종료신호를 표시한다( ) H

- 37 -

제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3

제 절 송수신장치1 DSC VHF

시스템 개요1

본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모든기능을 충족하는 일체형과 전화용 복신방식의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호출 및 수신제어장치 로구분된 독립형 으로 구분되며 DSC DSC

이는 외형상의 구분이며 그주요기능별 구성은 각각의 유니트로된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표시 및 제어장치 와 전원부 로 구분되며 이것들은 다시 하나의DSC

케비넷 또는 독립된장치로서 구성된다

시스템 구성2

장비의 개요 및 특징3

가 개요

본 송수신기는 항만내 또는 연안에서 해안국과 선박국 또는 선박국 상호간VHF FM

의 해상이동업무 통신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기로서 이내의 해상156 ~162

이동 무선통신업무용의 전 을 수용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전파관리법 및CHANNEL

등 국제규격에 적합하도록 설계 제작된 기기로서 전세계ITU SOLAS USA USCG

어느곳에서나 규정에알맞게 사용할 수 있는 국제항만 무선전화기용 무선 송수신기

를 제작한다

- 38 -

나 특징

소형 경량화로서 좁은 장소에 설치가 용의하게 되어 있어야 한다(1)

송신각 각 방식을 채용하였으며 국제 항만 무선전화(2) DIRECT SYNTHESIZER

인 를 수용해야 하며 그외 개의CHANNEL 55(114) CHANNEL 105(527) FREE

이 수용되어 있어야 한다CHANNEL(SIMPLEX)

주 국제 중 미국연안에서 단식방식으로 절환 사용되고 있는1 CHANNEL 55(114)

을 사용 할 수 있을것USA CHANNEL(SIMPLEX)

주 별도의 기상수신 을 수용하고 있어야 한다2 WEATHER CHANNEL( )

USA 3 CHANNELS

CANADIAN 1 CHANNEL

OTHERS 5 CHANNELS

원격조정 회로의 내장으로 본기기의 판넬스위치와는 상관없이(3) REMOTE ( ) HAND

만 으로도 판넬 스위치 조작에 필요한 모든기능을 할 수 있고SET CONTROL VHF

의 원근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어야 한다SET

기능이 첨부되어 있어 미국연안 경비대 의 의무 청취(4) DUAL WATCH USCG( )

인 과 의 개의 을 동시에 수신할 수CHANNEL CH 13 CH 16 2 CHANNEL SCANNING

있으며 과 사용자가 선택하는 임의의 을 동시에CHANNEL 16 CHANNEL SCANNING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에 경보신호 기능의 내장으로 비상시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5) CH 16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국제 개 및 을(6) SCAN CHANNEL 55 FREE CHANNEL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SCANNING

안전통신에 지정되어 있는 은 우선 사용할 수 있도록(7) CHANNEL16 1 STEP

로 되어 있어야 한다SWITCH

국제 해상 인명 안전조약 에 정한 규격으로 되어 있어 전세계 어느곳의(8) SOLAS( )

규정에도 적합하며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구 성4

본 기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가 송 수신기 본체 대 1

나 HAND SET 1 SET

다 WHIP ANTENNA 1 SET

라 벽걸이형 SPEAKER 1 SET

마 전원 공급기 1 SET

- 39 -

규 격5

주파수 및 규격은 현재의 통신방식이며 정보통신부의 고시가 발표되면 협대역(125

로 변경한다)

가 일반사항

사용주파수 범위(1)

송 신 156025 ~ 157425 수 신 (SIMPLEX) 156025 ~ 157425 수 신 (DUPLEX) 160625 ~ 162025 기상수신 (WEATHER) 161650 ~ 162550

사용(2) CHANNEL

A International 55 (114) CHANNELSB USA 25 CHANNELSC FREE 105 (527) CHANNELSD WEATHER 9 CHANNELS

USA 3 CHANNELSCANADIAN 1 CHANNELOTHERS 5 CHANNELS

통신 방식(3) SIMPLEX amp DUPLEX

전파의 형식 전화(4) 16KOF3E( G3E DSC F2BG2B)

주파수 편차(5) 0001 (10 PPM)

사용 온도범위 부터(6) -10 + 50

예열 시간 전원 접속후 즉시 사용가능(7)

공칭(8) ANTENNA IMPEDANCE 50 ohm ( )

공급 전원(9)

전 압 136V plusmn 10전 류 수신시 800

송신시 5A전원 공급기 별도( ) 단상AC115V AC220V 60

부터 까지DC 15V 35V

나 송 신 부

정격 출력(1) HIGH -25 W

LOW - 1W

주 공중선 전력 저하장치로 이하 저하기능 보유1 1WATT주 단 보호 인 및 가 아님 은 송신이2 CHANNEL 7576 1 ~9(01 ~09 )CHANNEL되지 않음 기상수신대의 사용법은 본문 참조 ( )

- 40 -

발진 방식(2) SYNTHESIZER CONTROL SYSTEM

변조 방식(3) FREQUENCY MODULATION

점유 주파수 대역폭(4) 16 (8)

최대 주파수 편의(5) 5 (25)

복사강도 이상(6) SPURIOUS 70

변조 주파수 특성(7) 6 (plusmn 3 ) OCTAVE PRE-EMPHASIS)

(300 ~ 3 )

변조시 이하(8) DISTORTION 1 70 -20

신호 대 잡음비 변조시 이상(9) 1 70 40

저역 여파기 특성 이상에서 이상 감쇄(10) 3 -40log f3( ) (f = )

다 수 신 부

수 신 방 식(1) DOUBLE SUPERHETERODYNE SYSTEM

감 도(2) 이하 신호 대 잡음비 에서 025 V ( 20 )μ

감도(3) SQUELCH 이하 02 Vμ

국부 발진 주파수(4) 1lsquost LOCAL FREQUENCY

RECEIVER FREQUENCY - 214

2nd LOCAL FREQUENCY 10945

중간 주파수(5) 1lsquost IF FREQUENCY 214

2nd IF FREQUENCY 455

선 택 도(6) 저하폭 이상 6 12 (6)

저하폭 이하 70 25 (125)

(7) SPURIOUS RESPONCE 이상 70

감도 억압 효과(8) 이상 80

상호 변조 특성(9) 이상 65 ( 20 40 )

주파수 특성(10) 6 (plusmn3 )OCTAVE DE-EMPHASIS)

( 300 ~ 3 )

신호 대 잡음비(11) 변조시 이상 1 60 40

(12) DISTORTION 변조시 이하 1 70 -20

저주파 출력(13) 이상 1 WATT (IMPEDANCE 8 ohm)

- 41 -

제 절 차년도 개발 범위2 1

제 차년도 개발범위는 기초자료조사와 규정의 연구에 따라 기초회로의 설계 후1

사용부품을 시험하고 각 의 제작 및 시험 연이은 성능미달 의 차 차PCB PCB 2 3

차 재제작 시험을 완료하고 시스템의 설계까지이며 그 세부적인 개발범위는 다음4

과 같다

송수신장치 개발을 위한 제규정 수집 연구1 DSC VHF

기초자료 조사2

가 장비에 대한 기능특성 수집 연구

나 사용자 및 선박통신사의 요구사항에 대한 자료 수집 연구

다 외국장비와 비교 분석

라 부품규격 시험 및 선정

3 HARD WARE

가 고주파 필터코일 재질분석 및 각종코일 설계

나 제작 PCB

송신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1) PCB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시험(2) PCB

수신부회로 제작 시험(3) PCB

신세사이즈 회로 제작 시험(4) PCB

제어장치 제작 시험(5) PCB

표시장치 제작 시험(6) PCB

원격제어기 제작 시험(7) PCB

전원공급부 제작 시험(8) PCB

제작 시험(9) HAND SET PCB

전용수신기 제작 시험(10) DSC PCB

- 42 -

제 장 제 차년도 개발 항목 보고4 1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본 장비를 개발함에 있어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및 부품선정이 개발의 핵심 과제

로 생각하였다

기초자료는 기존 시스템분석과 전파관련법령을 기초하였고 주변회로는 관련된 회

로집을 분석하였으며 부품선정은 폐품종 여부와 수급이 용이하면서 견고하고 증폭

도 및 성능이 우수한 품종으로 장시간 시험을 거쳐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송신부 제작시험2

송신 출력회로 결정 회로설계 완료하여 각부 부품 구입 회 내구성 시험 및SPEC 30

구룹별 장시간 부품 부하 시험등 최종목표 성능을 확보하기위한 제반 기초 제작시

험을 완료 하였으며 주요 내용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의 발열상태등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의 높은 출력으로 증폭하는 송신전(VHF ) 25W

력 증폭기로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높은 고주파전력에 견딜수있어야 하고 열

에의해 발생되는 열잡음이 적으야하며 열에의한 부품의 열화 및 특성의 변화가 적

은 부품을 사용여야 하므로 온습도시험 과 과출력 시험을 통하여 사용될 부품을 시

험하였다

특히 고조파 필터회로 부품인 코일은 동선에 전도율이 좋은 재질로 도금하여 사용

하여야 하며 고조파필터회로 의 차폐용 재료도 동판에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도금

하여 사용 하여야 한다

나 송신 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PCB (PCB NO V-097)

개발과정에서의 설계변경 및 생산시스템의 전산화 에 적용 할수있도록 회로 설계는

물론 설계 회로기판 도안 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설계완료된 는PCB ( ) CAD DATA

회로기판 제작장치 외주 작업 및 부품삽입기 자사 작업 에 직접 컴퓨터용 디스켙( ) ( ) (

으로 입력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회로에 높은 고주파전류가 흐르므로인하여 빌진할 가능성 및 잡음발생의 우려PCB

가 많으므로 특히 부품배치에 유의하여 설계하였으며 송신신호 발생회로 또는 전원

회로 와의 배선은 관통형콘덴서등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였다

회로에 사용되는 코일은 각 코일간에 간섭을 줄이기위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설정하

였으며 전체를 차폐하고 또 고조파 필터회로를 구분하여 차폐하여 제작 하였PCB

- 43 -

또 안정된 출력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회로를 장치하여 설정된 출력 이상의ALC

출력을 제한한다

다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PCB (PCB NO V-096TX)

설계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이 는 미약한 고주파 신호를 발생 변PCB CAD PCB

환 증폭 하므로서 송신부 또는 외부로 부터의 잡음 유입과 내부잡음 발생에 유의

하여 설계되었으며 불요복사 억제에 유의하였다

라 성능시험

메칭상태 시험(1)

옴 파장 수직형 안테나 를 사용할수 있도록 시험하였으며 차적인 시험은 의50 12 1

사부하에 의해 시험하고 의사부하 안테나에 정상적인 메칭이 된 후 실제 사용 안테

나에 확인시험 하였다

이 시험에서 양질의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장치는 물론 안테나의 성능이 중

요하며 인접한 고전력 안테나 및 낙뢰로부터 안정성 등을 감안하여 안테나는 VHF

대역 이하의 주파수에 대하여 쇼트형 안테나가 바람직 하다

기존 시스템의 이상의 성능 확보(2) 90

송신부의 주기능으로서 양질의전파를 안테나로 공중에 발사하는 장치로서 주피수안

정도 고조파억압 불효전파억제 안정된전력 안정된 주파수편이 낮은 왜율 등의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시험결과는 기존의 제품의 특성에 가까운 성능을 확보

하였으나 안테나공용기 복신통신용 필터 특성의 개선및 송신부 관련부품의 배치를( )

개선하므로서 보다 좋은 성능을 확보 할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신부 제작시험3

수신부는 안테나입력회로 입력동조회로 단신통신 및 복신통신 각 주파수 대역 필 (

터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로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 1 1 2 2

로 대역필터회로 신호제한 리미터 회로 복조회로 무신호잡음 차단 회로 저주 ( ) FM

파 증폭회로 및 국부발진회로 로서 구성되나 국부발진회로는 잡음의 발생및 유입

주파수안정도 등을 감안하여 별도의 로서 제작하였으며 그외 수신부와 관련한PCB

내용은 다음과 같다

- 44 -

가 사용부품의 구입 및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증폭과 변환을 반복하여 요구되는 신호(VHF )

를 복조하여 기청음 또는 의 문자표시로 출력되게 하므로서 안정된 주파수 및DSC

증폭이 요구되므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당연히 고주파특성에 유의하여 주파수

차에의한 특성변화 열잡음 및 고주파잡음 능동소자등의 직선성 등이 교려되어야하

므로 항온항습시험과 과전류에의한 잡음발생의 시험 등 을 거처 엄선한 부품으로

설정사용 하였다

특히 회로의 선택도 코알의 값 를 높이기 위하여 가 높은 트랜스 재료를 사용하( Q ) Q

였다

다 수신부회로 제작 PCB (PCB NO V-096RX)

위 항에서의 시험에 의해 선택된 부품을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며 수신부의 특성31

상 잡음의 발생보다는 잡음의 유입에 유의하여 설계되었으며 안정된 증폭 특성 수(

신감도 을 얻기위하여 중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회로기판은 에폭시) 2

수지 양면인쇄동판을 사용하여 부품삽입면은 대부분 공통단자로 이용하여 부품간의

간섭을최소화 하였다

다 수신부 특성시험

수신부 특성상 수신감도 주파수안정도 왜율 통과대역폭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감도억압비 혼변조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신호대 잡음비 일 때의 수신감 20

도 성능이 확보되며 기타 여러 가지 특성도 최종목표 특성에 가까운 성능이05

확보 되었으나 까지 수신감도가 향상되도록 성능개선이 요구된다025 V 120757

신세사이즈부의 회로의 안정도로 인하여 국부발진 신호의 흔들림현상이 있어VCO

통과대역폭 및 잡음발생의 원인이되어 신세사이즈회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신세시이즈회로는 크게 수신국부발진 신호용과 송신신호용으로 구분되며 단신통신

과 복신통신방식일때 각각 동작할수있는 구성으로 설계되었으며 그 내용별로 구분

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전압제어발진기 에 사용되는 부품은 온도 및 전압변동에 특성의변화가 극히(VCO)

적어야하며 외부로부터 정전 및 자계영향이 크므로 회로를 별도로 정전 및 자VCO

계로부터 차폐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혼변조 및 잡음신호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파수선택 표준신호 등 시 수신( )

대역 및 송신대역에 영향이 없는 주파수로 하였으며 가능한 레벨을 제외한 신(TTL

호 파형의 왜율이 적은신호로서 각회로신호를 사용하여 결합하였다)

- 45 -

나 신세사이회로 제작 (PCB NO V-096PLL)

이회로 기판은 여러종류의 신호들이 발생 혼합 증폭 비교 되므로 각부품 간의 배

치에따라 잡음발생의 정도가 크게 좌우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였으며 회로는 외VCO

부영향에 민감하게 작동되므로 차폐 에 유의하여 부품의 배치 적절하게 하였으며

잡음발생을 유의하여 부품을 선정하였다

다 성능시험

이회로의 특성상 주파수안정도 주파수의 흔들림 위상비교기의 비교속도 등에 유의

하여 시험하였으며 여러가지 일반적인 특성은 최종목표사양에 만족될 수 있는 신호

원을 공급할수 있었어나 주파수의 흔들림 현상이 있어 회로의 부품 및 차폐에VCO

개선이 요구된다

제어장치 제작시험5 (PCB NO V-263)

이회로의 주요부품으로서 를 사용하여 당개발과제의 송수신 및 외부V25 CPU DSC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며 아울러 본체 전면표시기와 스윗치 입출력 기능도 한다

이회로의 주요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스 읽기전용 메모리 읽고CPU( ) ROM( ) RAM(

쓰기 메모리 직렬통신용 입출력 병렬통신 입출력 아날로그 디지) SIO( ) PIO( ) AD(

탈 변환기 스윗치입력 표시기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개발 내용은 다음과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에 사용되는 부품은 대부분 디지탈신호를 처리하여 회로로서 및TTL IC

로서 구성되며 저소비전력 및 고속처리능력이 요구되므로 주로 고속용C-MOS IC

중 형 를 사용 하였으며 장치의 초기설정 및 기능 설정의C-MOS(C-MOS IC HC )

변경등 의 목적으로 은 충전형 밧테리로서 메모리내용을 전원의 에 관RAM ONOFF

계없이 유지하도록 하였다

외부 제어기 등 와의 통신용 의 통신속도를 또는 등으로(DSC ) RS-232C 2400 4800

변경 설정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변환기 등을 이용하여 자기진단을 할수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장비의 유지및AD

보수에 많은 도움이된다

- 46 -

나 성능시험

운용시험(1)

이회로의 특성상 전기적 특성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특성 및 성능이 요구되므로 운

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이부분에 대한 시험은 개발자입

장이 아닌 운용자가 시험하여야 하는 관계로 선박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사용자에게

의뢰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로서는 기능면에서는 양호하나 사용상 복잡한 면이 있어 보다 조작 을 간편

히 할수있도록 개선할 필요가있는 것으로 본다

표시장치 시험(2) (PCB NO V-260)

본장치의 사용상 필요한 기능 및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내용과 기기 동작

상태의 일치성이 요구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온습도 및 장기시험 으

로서 확인하였으며 여러 가지 표시장치중 각각 중단점이 나타낮다

즉 액정 표시기 표시기는 저소비전력이며 주위가 밝은곳에서 사용이 가능 하LCD( )

나 반면 온도특성이 나쁘며 형광표시관 표시기는 온도특성은 양호하나 소비전 VFD( )

력이 대체로 높고 보다 낮고 보다 많음 수명이 낮다는 단점이있으며(FND LCD )

발광 다이오드 표시기는 모든면에서 대체로 양호 하나 잡음발생 이많으며 밝FND( )

은곳에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외 여러 가지의 장담점을 검토하여 차적인 결론은 표시기가 적합한 것으로1 LCD

본다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최소의 전기적신호 연결로서 최대의 기능제어및 속도가 요구되는 장치로서 저주파

신호의 입력 마이크 신호 및 출력 스피크 신호 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 제어는( FS ) ( )

직렬통신 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였으며 장거리 일반 공용통신망 을 이(RS-232C)

용할수도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요 구성은 중앙제어장치 스윗치입력 장치 표시장치 메모리장치 직렬통신장치

로 구성되며 그 상세한 개발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의 대부분이 디지탈신호의 처리회로로서 구성되므로 제어장치 의 사용 부품ldquo rdquo

시험 및 선정기준과 같으며 장거리운용상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신속도를

알맞게하며 장거리통신 선로에서 유기되는 잡음을 최소화 하기위한 필터회로 및

소프트웨어적인 오류정정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별도 설계 사용 하였다

- 47 -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V-170)

이장치는 사용상 편리하여야 하므로 소형 경량 으로 제작 하였으며 차적 기능 시 1

험을 목적으로 외형 보다는 성능을 우선하여 시험용으로 제작하였다 이장치의 시

험은 전용케이블 을 이용하여 시험하였고 또 일반 공용통신용 전화 선로를 통하여

원거리 시험을 하였으며 그결과로서 통신속도가 까지 양호하게 동작되나2400bps

그이상의 통신속도로서 운용 할려면 전용회선이 필요하게된다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가 결정 SPEC

각회로 에서 필요로하는 전압 및 전류에 알맞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반 성능

을 차적으로 설정 하였으며 최종목표 사양에 일치하기위하여서는 전원부의 장치에1

대하여 모든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최종 특성이 설정 되어야 한다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P-099)

이장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되나 반면에 안정성이 확고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안

정성을 첫째로 중요시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이회로는 많은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많은 전력이 열로서 손실되므로 방열에 특히 유의하여 제작되었으며 열발생이 많은

부품은 알미늄 방열판에 설치하고 이방열판은 본장치 외함의 바깥쪽에 설치하여 방

열효과를 최대화 하였다

이회로의 시험은 과입력전압 및 과소비전력 일때의 안정성에 중점 시험하였고 그시

험을 위하여 장시간 항온 항습기 를 이용하여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전원부의 안정

성 확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도 이회로를 특별히 개선하지 않고도 최

종목표 사양에 만족하리라 본다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PCB NO V-098)

마이크 회로 수화기 회로 송신 스윗치 회로 로서 구성되며 이장치는 사용 특성상

충격에 강하도록 설계제작 되어야 하며 무게는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재료선택이

중요하며 이러한점을 감안하여 사출금형에 의하여 성형 하였으며 성형 제료로서는

제료를 사용하고 사용 부품을 최소화 하여 제작 하였다ABS

이장치의 특성상 견고하며 방수효과가 최대이어야 하므로 충격 자연낙하 시험 및( )

방수시험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 성형제료 및 외형상의 문제는 없이나

송화기 및 수화기의 선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송화기는 콘텐서형

마이크가 좋으며 수화기로는 가변코일형으로서 떨림판이 평면으로된 수화기가 우수

한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선정하여 제작시험 하였다

- 48 -

전용 수신기9 DSC (PCB NO T-342)

전용수신 장치는 송수신장치중 송신부를 제외한 구조와 유사하므로 개발과정에서

송수신장치중 수신부회로에 복조장치 를 추가하여 별도 로 제작하여 시험DSC PCB

하였으며 개발내용중 전용수신기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DSC

가 기능 및 동작

변조되어 수신된 신호를 필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후 신호 처리용FM DSC DSC

마이크로프로세스 에 공급하여 소프트웨어로서 신호를 분석한후 표시장치 메(CPU)

모리장치 인쇄장치 등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전용 찬넬인 번 찬넬을 항상 DSC 70

수신상태로 동작하여 신호 도트신호 를 검출하고 신호가 있으면 이어서CALL ( ) CALL

수신되는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표시장치 및 경보장치에 출력한다

나 신호 신호 필터회로 와 신호 처리부 및 제어용회로부 DSC (FS ) DSC DSC

제작시험 (PCB NO T-325 T-326 T-327)

이 회로의 성능은 주로 필터 및 디지탈변환 회로에서 결정되며 소프트웨어의 성능

에 따라 안정성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점을 유의하여 설계제작 하여으며 성능 시험

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험용 정보를 송신장치로 통해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후 그

결과를 분석 시험 하였다

다 전용 수신기의 개발과정 에서의 학보된 기술 DSC

신호 및 의 신호 의 필터 및 디지털 변환 기술DSC (1300 2100 FS )

신호 검출 및 직렬신호의 병렬변환 소프트웨어DOT

기술 정보의 비교 및 인쇄출력 소프트웨어 기술

종합시험10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별 차 차 차 보완시험은 만족하며 앞으로 개발의 중점은 사용의 편리성과PCB 1 2 3

생산성에 중점 개발이 요하며 배치에 따라 야기될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 PCB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후 최종제품을 제작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49 -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1

가 전면판 사출금형

나 옆판 스피커 안테나 금형

다 노브 사출금형

라 윗면 및 밑면 프레스 금형

마 설치용 고정장치 사출 금형

바 설치대 프레스 금형

사 뒷면 작업용 프레스 금형

아 항온조용 열차단금형

자 필타 금형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2

가 송수신기 제어장치 프로그램

나 전용 수신기 제어용 프로그램 DSC

다 원격조정기 프로그램

라 송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마 수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3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18: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18 -

제 절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2 DSC VHF

디지틀선택호출장치의 조건1

가 점검 및 보수를 쉽게 할수 있을것

나 전원공급후 분이내에 작동할 수 있을 것 1

다 의 주파수를 쉽게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 것 156525

라 초이내에 송신과 수신을 전환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 것 03

마 이상의 제어기를 갖는 경우에는 의 제어기에 우선권이 주어지는 동시에 다 2 1

른 제어기의 사용상태를 표시하는 기능이 있을 것

바 전원전압이 정격전압의 퍼센트이내에서 변동된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 (plusmn)10

할 수 있을것

사 통상 발생하는 온도 및 습도의 변화 진동 또는 충격이 있는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수있을것

선택호출장치의 선택호출신호의 조건2

가 마크주파수는 이고 스페이스주파수는 일것 이 경우 허용편차 1300 2100

는 각각 로 한다10

나 신호전송속도는 매초 비트일것 이 경우 허용편차는 만분의 으로 1200 100 30

한다

다 시간다이버시티의 시간간격은 초일것 003

송신장치의 조건3

가 공중선전력 와트 이상일 것 6

나 전파의 변조지수 허용편차는 로 한다 F2B 2( 02 )

다 감도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자 1

율이 퍼센트이하일 것1

라 실효선택도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1) 14

상태에서 중간 주파수로부터 희망파의 배의 주파수 희망파주파수의 이3 ( (plusmn)375

내의 주파수를 제외한다 까지 수신기입력전압 밀리 볼트의 무변조 방해파를 인) 447

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1

- 19 -

감도억압효과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2) 14

의 정현파에 의하여 주파수 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기입력전압400 3 44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인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이하일1

마 상호변조특성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 14

희망파 보다 떨어진 수신기 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와 희망파25 25

보다 떨어진 의 정현파에 의한 주파수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50 400 3

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25 1

디지틀선택호출전용수신기 의 조건4

가 통신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통신의 수신기능외에 통신의 내용을 볼 수있도록 하

는 기능이 있을것

나 조난통신 또는 긴급통신을 수신한 경우에는 수동으로만 정지시킬 수 있는 특별

경보기능이 있을것

다 수신한 조난통신의 내용을 즉시 인쇄하거나 개이상의 조난통신을 기억할 수 20

있어야 하되 기억한 내용을 일정시간 보존할 수 있을것

라 본체의 보이는 곳에 수신주파수를 표시할 것

마 전원공급후 분이내에 작동할 수 있을것 1

바 전원전압이 정격전압의 퍼센트이내에서 변동된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plusmn)10

수 있을 것

사 통상 발생하는 온도 및 습도의 변화 진동 또는 충격이 있는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수 있을것

아 감도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자율 1

이 퍼센트 이하일 것1

자 실효선택도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1) 14

상태에서 중간 주파수로부터 희망파의 배의 주파수 희망파주파수의 이내3 ( (plusmn)375

의 주파수를 제외한다 까지 수신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를 인접) 447

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1

- 20 -

감도억압효과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2) 14

의 정현파에 의하여 주파수 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기입력전압400 3 44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인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1

차 상호변조특성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 14

희망파 보다 떨어진 수신기 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와 희망파25 25

보다 떨어진 의 정현파에 의한 주파수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50 400 3

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25 1

- 21 -

제 절 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3 DSC VHF

일반적 조건1

가 취급이 용이한 것일 것

나 에서 까지의 숫자 입력판을 갖는 경우에는 그 숫자의 배열은 국제전신전화자 0 9

문위원회의 권고 에 의한 것일 것E161

공중선의 단선 또는 공중선 단자의 단락으로부터 보호수단을 가질 것

과전류 과전압 전원의 과도변동 및 전원극성의 우발적인 반전으로부터 보호수단이

있는 것일 것

노출된 금속부분은 접지하는 것이 가능할 것

전원단자는 접지되어 있지 않을 것

전원 볼트를 초가하는 전기 고주파의 것을 제외 를 통하는 도전부는 용이하게 노55 ( )

출이 되지 않도록 다음의 어느 조건에도 적합한 차폐체를 갖고 있는 것일 것

차폐체를 개방한 때는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되는 구조일 것(1)

차폐체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공구를 필요로 하는 구조이고 또는 고전압에 대한(2)

주의사항이 표시되어 있을 것

다 통상의 설치된 상태에서 제조자명 형식명 및 제조번호가 명확하게 판독 가능하

도록 외부에 표시되어 있을 것

라 장치의 일부를 가열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급전후 분이내에 일정온도에 달하 30

는 것일 것

다만 가열회로에 공급하는 전력은 다른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치단에 의해

절단되지 아니할 것

마 전원공급후 송신장치의 일정분에 전압의 공급을 지연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는 그 지연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것

디지틀선택호출장치의 조건2

선박의 위치 및 위치를 결정한 시각의 자동입력 기능을 갖는 경우에는 동기능의

고장이 장치의 다른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

가 선택호출 신호의 구성

조난경보등 조난경보 조난경보에 대한 응답 조난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1) (

중계에 대한 응답을 말한다 이하 같다 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및 무선설비의 기기 )

의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이하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이외의 선택( ldquo rdquo )

호출신호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1

- 22 -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2) 2

조난 경보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 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3) 3

일 것

조난 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 중계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4)

성을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4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5) 5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오류검정부호를 제외한다 에 사용하는 단위 부호는(6) (dot ) 10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6

나 선택호출신호의 송출조건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오류검정부호를 제외한다 의 송출은 최초의 송출과 반(1) (dot )

복송출과의 사이에 개의 코드가 놓아진 방식일 것4 Time Diversity

선택호출신호의 반복송출은 다음과 같은 것일 것(2)

가 조난경보를 연속하여 송출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조난 경보를 최후의 신호와( )

다음에 송출되는 조난경보의 신호와의 사이를 가격없이 송출가능한 것일 것dot

나 디지탈선택호출통신망을 위한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호출( )

또는 응답의 선택호출 신호의 경우는 별표 에 따라서 회를 초과하지 않는 회수를7 4

반복하여 송출가능할 것

다 가 및 나 이외의 경우는 반복하여 송출이 가능하지 않는 것일 것( ) ( ) ( )

다 선택호출신호의 수신조건

조별 의 장치는 제 호에 규정한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1) (class) A 2

읽어냄이 가능할 것

조별 의 장치는 다음의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표시하는(2) (class) B

것이 가능할 것

가 제 호에 규정하는 선택호출신호중 종별 의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것( ) 2 (class) B

나 포맷 신호가 해역호출인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것( ) (format)

다 제 가 수신되지 아니할 것( ) 1 Telecommand

해안국의 장치는 제 호에 규정하는 선택호출신호 해안국의 장치의 것을 제외(3) 2 (

한다 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읽어냄이 가능할 것)

- 23 -

별표 선택호출신호 조난경보등을 위한 것 및 시험을 위한 것은 제외한다 의[ 1] ( )

구성

dot신 호

동 기신 호

Format신 호

Address신 호

Category신 호

자국의식별신호

정 보신호1

정 보신호2

정 보신호3

종료신호

오류검정신호

주( 1) 주( 2) 주( 3) 주( 45및6)

주( 7) 주( 8) 주( 9) 주( 10) 주( 11) 주( 12) 주( 13)

주( )

중단파대 및 단파대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하는 장치의 선1

택호출신호 이하 중단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에 있어서 선박국을 호출하( ldquo rdquo )

기 위한 선박호출신호의 경우는 비트 선박국에서 해안국으로 호출 및 응답하기200

위한 선택호출신호 및 국제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 계기하는 주파수18

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 하는 장치의 선택호출신호 이하 대 선택( ldquoVHF

호출신호 라 한다 의 경우는 비트일 것rdquo ) 20

표 에 나타내는 코드번호를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하는 것일 것2 8 9

호출의 종류를 나타냄에 있어서 다음의 장치마다 별표 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3 8

류를 표시하는 개의 동일 코드번호일 것2

종별 의 장치 선박국의 장치에서 별표 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류를 사용(1) (class)A ( 8

가능한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

종별 의 장치 선박국의 장치에 있어서 동표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류 중(2) (class) B (

해역호출 및 공통관계를 갖는 선단의 호출을 제외한 것의 사용이 가능한 것을 말한

다 이하 같다 )

해안국의 장치 동표에 게기한 호출의 종류중 조난경보 및 개별국의 반자동 또(3) (

는 자동접속호출을 제외한 것의 사용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

신호가 조난경보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는 상대국 식별4 Format

신호로 하여 선박국식별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 구성되는[0]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신호가 조난경보 또는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선택호출에 있어서는 사용5 Format

하지 않을 것

신호가 해역호출의 경우 종별 의 장치는 제외한다 는 별표 에 따라서6 Format ( B ) 11

해역을 자리 의 숫자를 표시하고 별표 에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통보의 우선순위 또는 종류 신호가 모든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통상업무7 (Format

및 선박업무를 제외한다 를 별표 에 따라 개의 코드번호에 코드화한 것일 것 다) 8 1

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 선박업무를 제외한 것으로 하고 또한 신 (class) B Format

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통상업무를 제외한 것일 것

- 24 -

자국의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8 [0]

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제 및 제 의 정보로 하여 별표 에 따라서 각각 개의 코드번9 1 2 Telecommand 8 1

호에 코드화한 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제 (class) B 1

를 다음과 같이하고 제 코드번호가 일 것Telecommand 2 Telecommand [126]

중단파대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하는 장치의 선택호출신호 이하(1) (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는 신호가 개별국의 호출일때에는 코드번ldquo rdquo ) Format

호 또는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일[119] [111] [118] Format

때에는 코드번호 또는 일 것[109] [111] [111]

선택호출신호는 신호가 개별국의 호출일 때에는 코드번호(2) VHF Format [100]

또는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일 때에는 코드번호[101] Format

또는 일 것[100] [101] [105]

다음의 방식일 것10

호출에 이어 계속 통신에 사용하는 송신 및 수신을 위한 주파수 또는 채널을(1)

나타내는 선택호출신호는 송신파 및 수신파의 순으로 별표 에 코드화한 것일 것12

다만 주파수 또는 채널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송신파 또는 수신파마다에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126]

선박의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선택호출신호는 코드번호 및 다음에 의거 표(2) [55]

시되는 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 자리숫자를 별표 에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가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가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나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부터 제 번째까지의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표시한다

제 가 선박의 위치인 호출에 대한 응답 이하 선박위치응답 이라(3) 1 Telecommand ( ldquo rdquo

한다 을 위한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의 가 및 나 에 의해 표시하는 선박의) (2) ldquo rdquo ldquo rdquo

위치를 나타내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코드화한 것 및 그것에 계속코드번호10 10

일 것[126]

에서 이외의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4) (1) (3) 6 [126]

선박위치응답의 경우 종별 의 장치를 제외한다 및 신호가 개별11 ( (class)B ) Format

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에만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각각 다음의 방

식일 것

선박위치응답의 경우는 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 국제표준시로 한다 이하 같(1) (

다 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2 10

개의 코드번호로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는 개2 2

의 코드번호 일 것[88]

- 25 -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는 아날로그 전화용(2) Format

설비와 접속하기 위한 번호 이하 전화번호 라 한다 등의 네트워크번호를 표시하는( ldquo rdquo )

것으로 하고

네트워크번호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코드번호를 짝수의 경우는 코드번호[105]

과 네트워크를 별표 에 준하여 개부터 개까지의 수의 코드번호로 코드화[106] 10 2 9

한 것일 것

응답을 필요로 하는 호출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응답12 [117]

을 위한 선택 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및 이외의 경우는 코드번호[122] [127]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 다만 신호가 모13 Format

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 코드번호 일 것[127]

오류검정부호는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정보비트 및 제 번째에서 제13 1 7 8

번째까지의 검정비트로부터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생성되는 각 비트10

의 및 이 각각 별표 에 표시하는 및 에 대응하는 단위 부호로[0] [1] 6 [B] [Y] 10

하여서 송출되는 것일 것

정보비트의 각 비트는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동기신호를 제외한다 의 모든(1) (dot )

코드번호 신호 및 종료신호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로 한다 에 대응하(Format 1 )

는 부호의 비트 위치마다 최하위 비트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다만 를 를 B 0 Y 1

로해서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검정비트는 정보비트의 의 수를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B 2

별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해안국의 장치는 제외한다[ 2 ] (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자국 의식별신호

주( 4)

조난종류 의정보신호

주( 5)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

주( 6)

시각정보신호

주( 7)

Tele-command정보 신호

주( 8)

종료신호

주( 9)

오류검정신호

주( 10)

주( )

중단파 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는 비트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비1 200 VHF 20

트일 것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2]

자국의 선박국 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4 [0] 10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조난의 종류를 표시하는 것으로 하여 별표 에 따라 개의 코드번호로 코드화한5 8 1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 (class) B 1 107

- 26 -

조난선박에 위치를 다음과 같이 자리의 숫자로 표시 하는 것으로 별표 에6 10 10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조난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것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99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1)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는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2)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한다

조난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것7 2

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개의 코드번호에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 10 2

를 포함하지않는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88]

계속하여 행하는 통신의 형식을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통신장치가 무선전화 또8

는 협대역직접 인쇄전신장치인 제 를 별표 에 개의 코드번호로1 Telecommand 8 1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방식일 것 (class) B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 일 것(1) 1 [109] [111]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VHF 1 [100]

코드번호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하는 것일 것9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별표 조난경보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선박국의 장치를[ 3] (

제외 )

dot신호

주( 1)

동기신호

주( 2)

For-mat신호

주( 3)

Cate-gory신호

주( 4)

자국의식별신호

주( 5)

Telec-ommand정보신호

주( 6)

조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7)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 8)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 9)

시각정보신호

주( 10)

Tleco-mmand정보신호

주( 11)

종료신호

주( 12)

오 류검 정신 호

주( 13)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6]

별표 의 주 과 같은 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4 1 7 [112]

자국의 해안국 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숫자를5 [0] 10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6 1 [1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일 것7

- 27 -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종류의 정보신호일 것8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일 것9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시각정보신호일 것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정보신호일 것11 Telecommand

코드번호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2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3 1 13

별표 조난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 중계에 대한 응답을 위한[ 4]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dot신호

주(1)

동기신호

주(2)

For-mat신호

주(3)

Addr-ess신 호

주( 4및56)

Cate-gory신 호

주(7)

자국의식별신호

주(8)

Telec-ommand정보신호

주( 9)

조 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10)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11)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12)

시각정보신호

주(13)

Tleco-mmand정보신호

주( 14)

종료신호

주(15)

오류검정신호

주(16)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별표 의 주 과 같다 코드번호 이외의 것으로 한다3 1 3 ( [112] )

신호가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에는 상대국의 식별신호4 Format

로 하고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0] 10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5 Format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6

별표 의 주 과 같은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7 1 7 [112]

별표 이 주 과 같다8 1 8

개의 코드번호 일 것9 1 [112]

수신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 또는 수신한 조난경10

보의 중계의 조난선박국의 식별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종류의 정보11

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선박의 위치12

정보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시각정보일 것13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14 Telecommand

정보신호일 것으로 한다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것으로 하 (class) B

는 것이 가능할 것

- 28 -

중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1) 1 [109] [111]

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2) VHF 1 [100] [101]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코드번호 개별 해안국 앞15 Format [127]

으로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에는 코드번호 로서 별표[122]

의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3

별표 의 주 과 같다16 1 13

별표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대 선택호출신호를 제외한다[ 5] (VHF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Address신 호

주( 4)

Category신호

주( 5)

자국의식별신호

주( 6)

정 보신 호1

주( 7)

정 보신 호2

주( 8)

종 료신 호

주( 9)

오류검정신 호

주( 10)

주( )

비트일 것1 200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20]

상대국의 식별신호로서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이에 계속되는 으로서4 [0]

구성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1 [108]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8

각 개의 코드번호 및 일 것7 1 [118] [126]

개의 코드번호 일 것8 6 [126]

코드번호 또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9 [117] [122] 13

일 것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 29 -

별표 선택호출신호의 단위부호[ 6] 10

는 스페이스주파수 는 마크주파수로 대응하고 비트위치의 에서 송출된다B Y 1

협대역 일때MFHF B=1785 Y=1615

대역 일때VHF B=2100 Y=1300

- 30 -

별표 반복송출의 순서[ 7]

주 기호 는 선택호출신호의 종료신호를 표시하고 기호 는 에서 까( ) H DX RX0 RX7

지가 반복송출되는 선택호출신호의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31 -

별표 코드번호 의 용도[ 8] (100-127)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00 통상업무

화재 또는폭발

또는F3단신G3E

무선전화 이유없음 주( 3)

101 침수 또는F3복신G3E

무선전화 해사교환 센터의혼잡 주( 3)

102 해역호출

충돌 미확정주( 1)

통화중 주( 3)

103 좌초 Polling 대기행렬표시주( 3)

104 의RXO위치의동기신호

경사 및전복의위험

수입불가주( 2)

폐국 주( 3)

105 의RX1위치의동기신호

침몰 호출의 종료주( 4)

의 부재Operator주( 3)

106 의RX2위치의동기신호

선박업무주( 5)

조선불능으로 표류

데이터주( 6)

변복조장치

의Operator일시적 부재 주( 3)

107 의RX3위치의동기신호

기타의조난

미확정주( 1)

장치의 운용불가주( 3)

108 의RX4위치의동기신호

안전 선체의방치

미확정주( 1)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09 의RX5위치의동기신호

J3E 무선전화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10의RX6

위치의동기신호

긴급 조난경보에대한 응답

무력분쟁의당사국이 아닌것을 표시하는선박 및 항공기주( 7)

111 의RX7위치의동기신호

H3E 무선전화 위생수송체 주( 7)

112 조난경보

조난 조난자동통보설비(주 의9)시동

조난경보의중계

공중전화사무소주( 8)

- 32 -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13또는F1B방향오J2B(1

류정정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미확정 주( 1)

114

공통관계를 갖는선단의호출

미확정 주( 1) 미확정 주( 1)

115또는F1B자동재송J2B(

요구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데이터 주( 11)

116모든선박호출

또는F1B J2B수신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2)

11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18 시험 데이타 주( 14)

119또는F1B수신J2B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5)

120개별국의호출

A1A 테이프레코더

데이터 주( 16)

121 선박의 위치 데이타 주( 17)

122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3

개별국의반자동또는자동접속호출

A1A 전건 및핸드셋(Handset)

데이터 주( 18)

124또는F1CF2C

F3C팩시밀리장 데이터 주( 19)

125의DX

위치의동기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6 정보없음 정보없음 주( 20)

12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주( )

앞으로의 사용을 위하여 유보한다1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2 [100] [109] 2 Telecommand

코드번호 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3 [104] 1 Telecommand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 시스템에만 사용한다4

- 33 -

선박의 항해 운항 필수품에 관한 통신과 정부의 기상업무기관으로 보내는 기5

상 관측 통보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6 [115] [124] 2 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을 제외하고 제7 [104][105][106][110][112] [118] 1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의 제 와 조합하여8 [100][101][109][115] [124] 1 Telecommand

사용한다

수색구조용 레이다트랜스폰더를 제외한다9

무선설비규칙의 제 조의 에 정하는 것으로 한다10 69 4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1 (V21)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2 (V22)

앞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1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4 (V2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5 (V2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6 (V1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7 (V26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8 (V27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9 (V32)

코드번호 를 제외하고 제 와 조합하여 사20 [104][110][112] 1 Telecommand

용한다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 코드번호는 중단21 Format

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에서 까지 [102] [124] ([110][112][117]

및 를 제외한다[122] )

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및VHF [100][101][104][105][106][121]

일 것[124]

별표 동기신호의 송출순서[ 9]

주 기호 및 에서 까지가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DX] [RXO] [RX7]

- 34 -

별표 자리 숫자의 코드 변환표[ 10] 10

자리의 숫자10

십억D2

억D1

천만D2

백만D1

십만D2

만D1

천D2

백D1

십D2

일D1

코드5 코드4 코드3 코드2 코드1

주( )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1 1

및 은 자리 숫자의 자리 숫자 에서 까지를 표시하고 각 코드는2 D2 D1 10 2 00 99

그 자리의 십진수를 코드번호로 한다2

숫자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최상위 자리수의 숫자 앞에 을 포함할 것3 0

별표 해역의 표시방법[ 11]

해역의 표시는 다음과 같은 것

선정되는 지리상의 해역은 메르카토르 도법의 직사각형으로 표시할1 (Mercator)

직사각형의 북서를 해역의 기준점으로 할 것2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존재하는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3 1

으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0] [1] [2] [3]

할 것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위도를 표시할 것4 2 3

제 번째에서 제 번째가지의 숫자는 기준점의 경도를 표시할 것5 4 6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남북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6 7 8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동서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7 9 10

표에 표시하는 해역 및 의 표시의 예는 다음과 같을 것8 ab c

기준점이 북위 도 및 서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1) 10 25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20 35 a

1 1 0 0 2 5 2 0 3 5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2) 10 10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10 10 b

2 1 0 0 1 0 1 0 1 0

- 35 -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3) 12 12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4 7 C

2 1 2 0 1 2 0 4 0 7

별표 주파수 및 채널정보의 코드변환표[ 12]

주파수0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주파수를 의 배수로서 숫자의 십100

만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다 1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2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채 널

3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중단파대 또는 단파대의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 다

8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별도로 정한 채널로 한다

9 0 times times times times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18게기하는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천 백 십 및 일의 숫자로 표시한다

십만 만 천 백 십 일

코드3 코드2 코드1

주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 ) 1

- 36 -

별표 종료신호의 송출순서[ 13]

주 기호 가 종료신호를 표시한다( ) H

- 37 -

제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3

제 절 송수신장치1 DSC VHF

시스템 개요1

본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모든기능을 충족하는 일체형과 전화용 복신방식의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호출 및 수신제어장치 로구분된 독립형 으로 구분되며 DSC DSC

이는 외형상의 구분이며 그주요기능별 구성은 각각의 유니트로된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표시 및 제어장치 와 전원부 로 구분되며 이것들은 다시 하나의DSC

케비넷 또는 독립된장치로서 구성된다

시스템 구성2

장비의 개요 및 특징3

가 개요

본 송수신기는 항만내 또는 연안에서 해안국과 선박국 또는 선박국 상호간VHF FM

의 해상이동업무 통신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기로서 이내의 해상156 ~162

이동 무선통신업무용의 전 을 수용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전파관리법 및CHANNEL

등 국제규격에 적합하도록 설계 제작된 기기로서 전세계ITU SOLAS USA USCG

어느곳에서나 규정에알맞게 사용할 수 있는 국제항만 무선전화기용 무선 송수신기

를 제작한다

- 38 -

나 특징

소형 경량화로서 좁은 장소에 설치가 용의하게 되어 있어야 한다(1)

송신각 각 방식을 채용하였으며 국제 항만 무선전화(2) DIRECT SYNTHESIZER

인 를 수용해야 하며 그외 개의CHANNEL 55(114) CHANNEL 105(527) FREE

이 수용되어 있어야 한다CHANNEL(SIMPLEX)

주 국제 중 미국연안에서 단식방식으로 절환 사용되고 있는1 CHANNEL 55(114)

을 사용 할 수 있을것USA CHANNEL(SIMPLEX)

주 별도의 기상수신 을 수용하고 있어야 한다2 WEATHER CHANNEL( )

USA 3 CHANNELS

CANADIAN 1 CHANNEL

OTHERS 5 CHANNELS

원격조정 회로의 내장으로 본기기의 판넬스위치와는 상관없이(3) REMOTE ( ) HAND

만 으로도 판넬 스위치 조작에 필요한 모든기능을 할 수 있고SET CONTROL VHF

의 원근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어야 한다SET

기능이 첨부되어 있어 미국연안 경비대 의 의무 청취(4) DUAL WATCH USCG( )

인 과 의 개의 을 동시에 수신할 수CHANNEL CH 13 CH 16 2 CHANNEL SCANNING

있으며 과 사용자가 선택하는 임의의 을 동시에CHANNEL 16 CHANNEL SCANNING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에 경보신호 기능의 내장으로 비상시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5) CH 16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국제 개 및 을(6) SCAN CHANNEL 55 FREE CHANNEL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SCANNING

안전통신에 지정되어 있는 은 우선 사용할 수 있도록(7) CHANNEL16 1 STEP

로 되어 있어야 한다SWITCH

국제 해상 인명 안전조약 에 정한 규격으로 되어 있어 전세계 어느곳의(8) SOLAS( )

규정에도 적합하며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구 성4

본 기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가 송 수신기 본체 대 1

나 HAND SET 1 SET

다 WHIP ANTENNA 1 SET

라 벽걸이형 SPEAKER 1 SET

마 전원 공급기 1 SET

- 39 -

규 격5

주파수 및 규격은 현재의 통신방식이며 정보통신부의 고시가 발표되면 협대역(125

로 변경한다)

가 일반사항

사용주파수 범위(1)

송 신 156025 ~ 157425 수 신 (SIMPLEX) 156025 ~ 157425 수 신 (DUPLEX) 160625 ~ 162025 기상수신 (WEATHER) 161650 ~ 162550

사용(2) CHANNEL

A International 55 (114) CHANNELSB USA 25 CHANNELSC FREE 105 (527) CHANNELSD WEATHER 9 CHANNELS

USA 3 CHANNELSCANADIAN 1 CHANNELOTHERS 5 CHANNELS

통신 방식(3) SIMPLEX amp DUPLEX

전파의 형식 전화(4) 16KOF3E( G3E DSC F2BG2B)

주파수 편차(5) 0001 (10 PPM)

사용 온도범위 부터(6) -10 + 50

예열 시간 전원 접속후 즉시 사용가능(7)

공칭(8) ANTENNA IMPEDANCE 50 ohm ( )

공급 전원(9)

전 압 136V plusmn 10전 류 수신시 800

송신시 5A전원 공급기 별도( ) 단상AC115V AC220V 60

부터 까지DC 15V 35V

나 송 신 부

정격 출력(1) HIGH -25 W

LOW - 1W

주 공중선 전력 저하장치로 이하 저하기능 보유1 1WATT주 단 보호 인 및 가 아님 은 송신이2 CHANNEL 7576 1 ~9(01 ~09 )CHANNEL되지 않음 기상수신대의 사용법은 본문 참조 ( )

- 40 -

발진 방식(2) SYNTHESIZER CONTROL SYSTEM

변조 방식(3) FREQUENCY MODULATION

점유 주파수 대역폭(4) 16 (8)

최대 주파수 편의(5) 5 (25)

복사강도 이상(6) SPURIOUS 70

변조 주파수 특성(7) 6 (plusmn 3 ) OCTAVE PRE-EMPHASIS)

(300 ~ 3 )

변조시 이하(8) DISTORTION 1 70 -20

신호 대 잡음비 변조시 이상(9) 1 70 40

저역 여파기 특성 이상에서 이상 감쇄(10) 3 -40log f3( ) (f = )

다 수 신 부

수 신 방 식(1) DOUBLE SUPERHETERODYNE SYSTEM

감 도(2) 이하 신호 대 잡음비 에서 025 V ( 20 )μ

감도(3) SQUELCH 이하 02 Vμ

국부 발진 주파수(4) 1lsquost LOCAL FREQUENCY

RECEIVER FREQUENCY - 214

2nd LOCAL FREQUENCY 10945

중간 주파수(5) 1lsquost IF FREQUENCY 214

2nd IF FREQUENCY 455

선 택 도(6) 저하폭 이상 6 12 (6)

저하폭 이하 70 25 (125)

(7) SPURIOUS RESPONCE 이상 70

감도 억압 효과(8) 이상 80

상호 변조 특성(9) 이상 65 ( 20 40 )

주파수 특성(10) 6 (plusmn3 )OCTAVE DE-EMPHASIS)

( 300 ~ 3 )

신호 대 잡음비(11) 변조시 이상 1 60 40

(12) DISTORTION 변조시 이하 1 70 -20

저주파 출력(13) 이상 1 WATT (IMPEDANCE 8 ohm)

- 41 -

제 절 차년도 개발 범위2 1

제 차년도 개발범위는 기초자료조사와 규정의 연구에 따라 기초회로의 설계 후1

사용부품을 시험하고 각 의 제작 및 시험 연이은 성능미달 의 차 차PCB PCB 2 3

차 재제작 시험을 완료하고 시스템의 설계까지이며 그 세부적인 개발범위는 다음4

과 같다

송수신장치 개발을 위한 제규정 수집 연구1 DSC VHF

기초자료 조사2

가 장비에 대한 기능특성 수집 연구

나 사용자 및 선박통신사의 요구사항에 대한 자료 수집 연구

다 외국장비와 비교 분석

라 부품규격 시험 및 선정

3 HARD WARE

가 고주파 필터코일 재질분석 및 각종코일 설계

나 제작 PCB

송신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1) PCB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시험(2) PCB

수신부회로 제작 시험(3) PCB

신세사이즈 회로 제작 시험(4) PCB

제어장치 제작 시험(5) PCB

표시장치 제작 시험(6) PCB

원격제어기 제작 시험(7) PCB

전원공급부 제작 시험(8) PCB

제작 시험(9) HAND SET PCB

전용수신기 제작 시험(10) DSC PCB

- 42 -

제 장 제 차년도 개발 항목 보고4 1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본 장비를 개발함에 있어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및 부품선정이 개발의 핵심 과제

로 생각하였다

기초자료는 기존 시스템분석과 전파관련법령을 기초하였고 주변회로는 관련된 회

로집을 분석하였으며 부품선정은 폐품종 여부와 수급이 용이하면서 견고하고 증폭

도 및 성능이 우수한 품종으로 장시간 시험을 거쳐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송신부 제작시험2

송신 출력회로 결정 회로설계 완료하여 각부 부품 구입 회 내구성 시험 및SPEC 30

구룹별 장시간 부품 부하 시험등 최종목표 성능을 확보하기위한 제반 기초 제작시

험을 완료 하였으며 주요 내용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의 발열상태등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의 높은 출력으로 증폭하는 송신전(VHF ) 25W

력 증폭기로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높은 고주파전력에 견딜수있어야 하고 열

에의해 발생되는 열잡음이 적으야하며 열에의한 부품의 열화 및 특성의 변화가 적

은 부품을 사용여야 하므로 온습도시험 과 과출력 시험을 통하여 사용될 부품을 시

험하였다

특히 고조파 필터회로 부품인 코일은 동선에 전도율이 좋은 재질로 도금하여 사용

하여야 하며 고조파필터회로 의 차폐용 재료도 동판에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도금

하여 사용 하여야 한다

나 송신 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PCB (PCB NO V-097)

개발과정에서의 설계변경 및 생산시스템의 전산화 에 적용 할수있도록 회로 설계는

물론 설계 회로기판 도안 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설계완료된 는PCB ( ) CAD DATA

회로기판 제작장치 외주 작업 및 부품삽입기 자사 작업 에 직접 컴퓨터용 디스켙( ) ( ) (

으로 입력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회로에 높은 고주파전류가 흐르므로인하여 빌진할 가능성 및 잡음발생의 우려PCB

가 많으므로 특히 부품배치에 유의하여 설계하였으며 송신신호 발생회로 또는 전원

회로 와의 배선은 관통형콘덴서등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였다

회로에 사용되는 코일은 각 코일간에 간섭을 줄이기위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설정하

였으며 전체를 차폐하고 또 고조파 필터회로를 구분하여 차폐하여 제작 하였PCB

- 43 -

또 안정된 출력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회로를 장치하여 설정된 출력 이상의ALC

출력을 제한한다

다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PCB (PCB NO V-096TX)

설계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이 는 미약한 고주파 신호를 발생 변PCB CAD PCB

환 증폭 하므로서 송신부 또는 외부로 부터의 잡음 유입과 내부잡음 발생에 유의

하여 설계되었으며 불요복사 억제에 유의하였다

라 성능시험

메칭상태 시험(1)

옴 파장 수직형 안테나 를 사용할수 있도록 시험하였으며 차적인 시험은 의50 12 1

사부하에 의해 시험하고 의사부하 안테나에 정상적인 메칭이 된 후 실제 사용 안테

나에 확인시험 하였다

이 시험에서 양질의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장치는 물론 안테나의 성능이 중

요하며 인접한 고전력 안테나 및 낙뢰로부터 안정성 등을 감안하여 안테나는 VHF

대역 이하의 주파수에 대하여 쇼트형 안테나가 바람직 하다

기존 시스템의 이상의 성능 확보(2) 90

송신부의 주기능으로서 양질의전파를 안테나로 공중에 발사하는 장치로서 주피수안

정도 고조파억압 불효전파억제 안정된전력 안정된 주파수편이 낮은 왜율 등의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시험결과는 기존의 제품의 특성에 가까운 성능을 확보

하였으나 안테나공용기 복신통신용 필터 특성의 개선및 송신부 관련부품의 배치를( )

개선하므로서 보다 좋은 성능을 확보 할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신부 제작시험3

수신부는 안테나입력회로 입력동조회로 단신통신 및 복신통신 각 주파수 대역 필 (

터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로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 1 1 2 2

로 대역필터회로 신호제한 리미터 회로 복조회로 무신호잡음 차단 회로 저주 ( ) FM

파 증폭회로 및 국부발진회로 로서 구성되나 국부발진회로는 잡음의 발생및 유입

주파수안정도 등을 감안하여 별도의 로서 제작하였으며 그외 수신부와 관련한PCB

내용은 다음과 같다

- 44 -

가 사용부품의 구입 및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증폭과 변환을 반복하여 요구되는 신호(VHF )

를 복조하여 기청음 또는 의 문자표시로 출력되게 하므로서 안정된 주파수 및DSC

증폭이 요구되므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당연히 고주파특성에 유의하여 주파수

차에의한 특성변화 열잡음 및 고주파잡음 능동소자등의 직선성 등이 교려되어야하

므로 항온항습시험과 과전류에의한 잡음발생의 시험 등 을 거처 엄선한 부품으로

설정사용 하였다

특히 회로의 선택도 코알의 값 를 높이기 위하여 가 높은 트랜스 재료를 사용하( Q ) Q

였다

다 수신부회로 제작 PCB (PCB NO V-096RX)

위 항에서의 시험에 의해 선택된 부품을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며 수신부의 특성31

상 잡음의 발생보다는 잡음의 유입에 유의하여 설계되었으며 안정된 증폭 특성 수(

신감도 을 얻기위하여 중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회로기판은 에폭시) 2

수지 양면인쇄동판을 사용하여 부품삽입면은 대부분 공통단자로 이용하여 부품간의

간섭을최소화 하였다

다 수신부 특성시험

수신부 특성상 수신감도 주파수안정도 왜율 통과대역폭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감도억압비 혼변조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신호대 잡음비 일 때의 수신감 20

도 성능이 확보되며 기타 여러 가지 특성도 최종목표 특성에 가까운 성능이05

확보 되었으나 까지 수신감도가 향상되도록 성능개선이 요구된다025 V 120757

신세사이즈부의 회로의 안정도로 인하여 국부발진 신호의 흔들림현상이 있어VCO

통과대역폭 및 잡음발생의 원인이되어 신세사이즈회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신세시이즈회로는 크게 수신국부발진 신호용과 송신신호용으로 구분되며 단신통신

과 복신통신방식일때 각각 동작할수있는 구성으로 설계되었으며 그 내용별로 구분

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전압제어발진기 에 사용되는 부품은 온도 및 전압변동에 특성의변화가 극히(VCO)

적어야하며 외부로부터 정전 및 자계영향이 크므로 회로를 별도로 정전 및 자VCO

계로부터 차폐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혼변조 및 잡음신호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파수선택 표준신호 등 시 수신( )

대역 및 송신대역에 영향이 없는 주파수로 하였으며 가능한 레벨을 제외한 신(TTL

호 파형의 왜율이 적은신호로서 각회로신호를 사용하여 결합하였다)

- 45 -

나 신세사이회로 제작 (PCB NO V-096PLL)

이회로 기판은 여러종류의 신호들이 발생 혼합 증폭 비교 되므로 각부품 간의 배

치에따라 잡음발생의 정도가 크게 좌우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였으며 회로는 외VCO

부영향에 민감하게 작동되므로 차폐 에 유의하여 부품의 배치 적절하게 하였으며

잡음발생을 유의하여 부품을 선정하였다

다 성능시험

이회로의 특성상 주파수안정도 주파수의 흔들림 위상비교기의 비교속도 등에 유의

하여 시험하였으며 여러가지 일반적인 특성은 최종목표사양에 만족될 수 있는 신호

원을 공급할수 있었어나 주파수의 흔들림 현상이 있어 회로의 부품 및 차폐에VCO

개선이 요구된다

제어장치 제작시험5 (PCB NO V-263)

이회로의 주요부품으로서 를 사용하여 당개발과제의 송수신 및 외부V25 CPU DSC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며 아울러 본체 전면표시기와 스윗치 입출력 기능도 한다

이회로의 주요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스 읽기전용 메모리 읽고CPU( ) ROM( ) RAM(

쓰기 메모리 직렬통신용 입출력 병렬통신 입출력 아날로그 디지) SIO( ) PIO( ) AD(

탈 변환기 스윗치입력 표시기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개발 내용은 다음과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에 사용되는 부품은 대부분 디지탈신호를 처리하여 회로로서 및TTL IC

로서 구성되며 저소비전력 및 고속처리능력이 요구되므로 주로 고속용C-MOS IC

중 형 를 사용 하였으며 장치의 초기설정 및 기능 설정의C-MOS(C-MOS IC HC )

변경등 의 목적으로 은 충전형 밧테리로서 메모리내용을 전원의 에 관RAM ONOFF

계없이 유지하도록 하였다

외부 제어기 등 와의 통신용 의 통신속도를 또는 등으로(DSC ) RS-232C 2400 4800

변경 설정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변환기 등을 이용하여 자기진단을 할수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장비의 유지및AD

보수에 많은 도움이된다

- 46 -

나 성능시험

운용시험(1)

이회로의 특성상 전기적 특성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특성 및 성능이 요구되므로 운

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이부분에 대한 시험은 개발자입

장이 아닌 운용자가 시험하여야 하는 관계로 선박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사용자에게

의뢰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로서는 기능면에서는 양호하나 사용상 복잡한 면이 있어 보다 조작 을 간편

히 할수있도록 개선할 필요가있는 것으로 본다

표시장치 시험(2) (PCB NO V-260)

본장치의 사용상 필요한 기능 및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내용과 기기 동작

상태의 일치성이 요구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온습도 및 장기시험 으

로서 확인하였으며 여러 가지 표시장치중 각각 중단점이 나타낮다

즉 액정 표시기 표시기는 저소비전력이며 주위가 밝은곳에서 사용이 가능 하LCD( )

나 반면 온도특성이 나쁘며 형광표시관 표시기는 온도특성은 양호하나 소비전 VFD( )

력이 대체로 높고 보다 낮고 보다 많음 수명이 낮다는 단점이있으며(FND LCD )

발광 다이오드 표시기는 모든면에서 대체로 양호 하나 잡음발생 이많으며 밝FND( )

은곳에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외 여러 가지의 장담점을 검토하여 차적인 결론은 표시기가 적합한 것으로1 LCD

본다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최소의 전기적신호 연결로서 최대의 기능제어및 속도가 요구되는 장치로서 저주파

신호의 입력 마이크 신호 및 출력 스피크 신호 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 제어는( FS ) ( )

직렬통신 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였으며 장거리 일반 공용통신망 을 이(RS-232C)

용할수도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요 구성은 중앙제어장치 스윗치입력 장치 표시장치 메모리장치 직렬통신장치

로 구성되며 그 상세한 개발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의 대부분이 디지탈신호의 처리회로로서 구성되므로 제어장치 의 사용 부품ldquo rdquo

시험 및 선정기준과 같으며 장거리운용상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신속도를

알맞게하며 장거리통신 선로에서 유기되는 잡음을 최소화 하기위한 필터회로 및

소프트웨어적인 오류정정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별도 설계 사용 하였다

- 47 -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V-170)

이장치는 사용상 편리하여야 하므로 소형 경량 으로 제작 하였으며 차적 기능 시 1

험을 목적으로 외형 보다는 성능을 우선하여 시험용으로 제작하였다 이장치의 시

험은 전용케이블 을 이용하여 시험하였고 또 일반 공용통신용 전화 선로를 통하여

원거리 시험을 하였으며 그결과로서 통신속도가 까지 양호하게 동작되나2400bps

그이상의 통신속도로서 운용 할려면 전용회선이 필요하게된다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가 결정 SPEC

각회로 에서 필요로하는 전압 및 전류에 알맞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반 성능

을 차적으로 설정 하였으며 최종목표 사양에 일치하기위하여서는 전원부의 장치에1

대하여 모든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최종 특성이 설정 되어야 한다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P-099)

이장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되나 반면에 안정성이 확고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안

정성을 첫째로 중요시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이회로는 많은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많은 전력이 열로서 손실되므로 방열에 특히 유의하여 제작되었으며 열발생이 많은

부품은 알미늄 방열판에 설치하고 이방열판은 본장치 외함의 바깥쪽에 설치하여 방

열효과를 최대화 하였다

이회로의 시험은 과입력전압 및 과소비전력 일때의 안정성에 중점 시험하였고 그시

험을 위하여 장시간 항온 항습기 를 이용하여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전원부의 안정

성 확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도 이회로를 특별히 개선하지 않고도 최

종목표 사양에 만족하리라 본다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PCB NO V-098)

마이크 회로 수화기 회로 송신 스윗치 회로 로서 구성되며 이장치는 사용 특성상

충격에 강하도록 설계제작 되어야 하며 무게는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재료선택이

중요하며 이러한점을 감안하여 사출금형에 의하여 성형 하였으며 성형 제료로서는

제료를 사용하고 사용 부품을 최소화 하여 제작 하였다ABS

이장치의 특성상 견고하며 방수효과가 최대이어야 하므로 충격 자연낙하 시험 및( )

방수시험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 성형제료 및 외형상의 문제는 없이나

송화기 및 수화기의 선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송화기는 콘텐서형

마이크가 좋으며 수화기로는 가변코일형으로서 떨림판이 평면으로된 수화기가 우수

한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선정하여 제작시험 하였다

- 48 -

전용 수신기9 DSC (PCB NO T-342)

전용수신 장치는 송수신장치중 송신부를 제외한 구조와 유사하므로 개발과정에서

송수신장치중 수신부회로에 복조장치 를 추가하여 별도 로 제작하여 시험DSC PCB

하였으며 개발내용중 전용수신기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DSC

가 기능 및 동작

변조되어 수신된 신호를 필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후 신호 처리용FM DSC DSC

마이크로프로세스 에 공급하여 소프트웨어로서 신호를 분석한후 표시장치 메(CPU)

모리장치 인쇄장치 등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전용 찬넬인 번 찬넬을 항상 DSC 70

수신상태로 동작하여 신호 도트신호 를 검출하고 신호가 있으면 이어서CALL ( ) CALL

수신되는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표시장치 및 경보장치에 출력한다

나 신호 신호 필터회로 와 신호 처리부 및 제어용회로부 DSC (FS ) DSC DSC

제작시험 (PCB NO T-325 T-326 T-327)

이 회로의 성능은 주로 필터 및 디지탈변환 회로에서 결정되며 소프트웨어의 성능

에 따라 안정성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점을 유의하여 설계제작 하여으며 성능 시험

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험용 정보를 송신장치로 통해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후 그

결과를 분석 시험 하였다

다 전용 수신기의 개발과정 에서의 학보된 기술 DSC

신호 및 의 신호 의 필터 및 디지털 변환 기술DSC (1300 2100 FS )

신호 검출 및 직렬신호의 병렬변환 소프트웨어DOT

기술 정보의 비교 및 인쇄출력 소프트웨어 기술

종합시험10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별 차 차 차 보완시험은 만족하며 앞으로 개발의 중점은 사용의 편리성과PCB 1 2 3

생산성에 중점 개발이 요하며 배치에 따라 야기될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 PCB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후 최종제품을 제작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49 -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1

가 전면판 사출금형

나 옆판 스피커 안테나 금형

다 노브 사출금형

라 윗면 및 밑면 프레스 금형

마 설치용 고정장치 사출 금형

바 설치대 프레스 금형

사 뒷면 작업용 프레스 금형

아 항온조용 열차단금형

자 필타 금형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2

가 송수신기 제어장치 프로그램

나 전용 수신기 제어용 프로그램 DSC

다 원격조정기 프로그램

라 송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마 수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3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19: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19 -

감도억압효과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2) 14

의 정현파에 의하여 주파수 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기입력전압400 3 44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인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이하일1

마 상호변조특성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 14

희망파 보다 떨어진 수신기 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와 희망파25 25

보다 떨어진 의 정현파에 의한 주파수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50 400 3

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25 1

디지틀선택호출전용수신기 의 조건4

가 통신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통신의 수신기능외에 통신의 내용을 볼 수있도록 하

는 기능이 있을것

나 조난통신 또는 긴급통신을 수신한 경우에는 수동으로만 정지시킬 수 있는 특별

경보기능이 있을것

다 수신한 조난통신의 내용을 즉시 인쇄하거나 개이상의 조난통신을 기억할 수 20

있어야 하되 기억한 내용을 일정시간 보존할 수 있을것

라 본체의 보이는 곳에 수신주파수를 표시할 것

마 전원공급후 분이내에 작동할 수 있을것 1

바 전원전압이 정격전압의 퍼센트이내에서 변동된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plusmn)10

수 있을 것

사 통상 발생하는 온도 및 습도의 변화 진동 또는 충격이 있는 경우에도 지장없이

작동할 수 있을것

아 감도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자율 1

이 퍼센트 이하일 것1

자 실효선택도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1) 14

상태에서 중간 주파수로부터 희망파의 배의 주파수 희망파주파수의 이내3 ( (plusmn)375

의 주파수를 제외한다 까지 수신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를 인접) 447

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1

- 20 -

감도억압효과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2) 14

의 정현파에 의하여 주파수 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기입력전압400 3 44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인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1

차 상호변조특성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 14

희망파 보다 떨어진 수신기 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와 희망파25 25

보다 떨어진 의 정현파에 의한 주파수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50 400 3

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25 1

- 21 -

제 절 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3 DSC VHF

일반적 조건1

가 취급이 용이한 것일 것

나 에서 까지의 숫자 입력판을 갖는 경우에는 그 숫자의 배열은 국제전신전화자 0 9

문위원회의 권고 에 의한 것일 것E161

공중선의 단선 또는 공중선 단자의 단락으로부터 보호수단을 가질 것

과전류 과전압 전원의 과도변동 및 전원극성의 우발적인 반전으로부터 보호수단이

있는 것일 것

노출된 금속부분은 접지하는 것이 가능할 것

전원단자는 접지되어 있지 않을 것

전원 볼트를 초가하는 전기 고주파의 것을 제외 를 통하는 도전부는 용이하게 노55 ( )

출이 되지 않도록 다음의 어느 조건에도 적합한 차폐체를 갖고 있는 것일 것

차폐체를 개방한 때는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되는 구조일 것(1)

차폐체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공구를 필요로 하는 구조이고 또는 고전압에 대한(2)

주의사항이 표시되어 있을 것

다 통상의 설치된 상태에서 제조자명 형식명 및 제조번호가 명확하게 판독 가능하

도록 외부에 표시되어 있을 것

라 장치의 일부를 가열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급전후 분이내에 일정온도에 달하 30

는 것일 것

다만 가열회로에 공급하는 전력은 다른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치단에 의해

절단되지 아니할 것

마 전원공급후 송신장치의 일정분에 전압의 공급을 지연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는 그 지연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것

디지틀선택호출장치의 조건2

선박의 위치 및 위치를 결정한 시각의 자동입력 기능을 갖는 경우에는 동기능의

고장이 장치의 다른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

가 선택호출 신호의 구성

조난경보등 조난경보 조난경보에 대한 응답 조난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1) (

중계에 대한 응답을 말한다 이하 같다 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및 무선설비의 기기 )

의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이하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이외의 선택( ldquo rdquo )

호출신호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1

- 22 -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2) 2

조난 경보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 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3) 3

일 것

조난 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 중계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4)

성을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4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5) 5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오류검정부호를 제외한다 에 사용하는 단위 부호는(6) (dot ) 10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6

나 선택호출신호의 송출조건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오류검정부호를 제외한다 의 송출은 최초의 송출과 반(1) (dot )

복송출과의 사이에 개의 코드가 놓아진 방식일 것4 Time Diversity

선택호출신호의 반복송출은 다음과 같은 것일 것(2)

가 조난경보를 연속하여 송출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조난 경보를 최후의 신호와( )

다음에 송출되는 조난경보의 신호와의 사이를 가격없이 송출가능한 것일 것dot

나 디지탈선택호출통신망을 위한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호출( )

또는 응답의 선택호출 신호의 경우는 별표 에 따라서 회를 초과하지 않는 회수를7 4

반복하여 송출가능할 것

다 가 및 나 이외의 경우는 반복하여 송출이 가능하지 않는 것일 것( ) ( ) ( )

다 선택호출신호의 수신조건

조별 의 장치는 제 호에 규정한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1) (class) A 2

읽어냄이 가능할 것

조별 의 장치는 다음의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표시하는(2) (class) B

것이 가능할 것

가 제 호에 규정하는 선택호출신호중 종별 의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것( ) 2 (class) B

나 포맷 신호가 해역호출인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것( ) (format)

다 제 가 수신되지 아니할 것( ) 1 Telecommand

해안국의 장치는 제 호에 규정하는 선택호출신호 해안국의 장치의 것을 제외(3) 2 (

한다 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읽어냄이 가능할 것)

- 23 -

별표 선택호출신호 조난경보등을 위한 것 및 시험을 위한 것은 제외한다 의[ 1] ( )

구성

dot신 호

동 기신 호

Format신 호

Address신 호

Category신 호

자국의식별신호

정 보신호1

정 보신호2

정 보신호3

종료신호

오류검정신호

주( 1) 주( 2) 주( 3) 주( 45및6)

주( 7) 주( 8) 주( 9) 주( 10) 주( 11) 주( 12) 주( 13)

주( )

중단파대 및 단파대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하는 장치의 선1

택호출신호 이하 중단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에 있어서 선박국을 호출하( ldquo rdquo )

기 위한 선박호출신호의 경우는 비트 선박국에서 해안국으로 호출 및 응답하기200

위한 선택호출신호 및 국제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 계기하는 주파수18

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 하는 장치의 선택호출신호 이하 대 선택( ldquoVHF

호출신호 라 한다 의 경우는 비트일 것rdquo ) 20

표 에 나타내는 코드번호를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하는 것일 것2 8 9

호출의 종류를 나타냄에 있어서 다음의 장치마다 별표 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3 8

류를 표시하는 개의 동일 코드번호일 것2

종별 의 장치 선박국의 장치에서 별표 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류를 사용(1) (class)A ( 8

가능한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

종별 의 장치 선박국의 장치에 있어서 동표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류 중(2) (class) B (

해역호출 및 공통관계를 갖는 선단의 호출을 제외한 것의 사용이 가능한 것을 말한

다 이하 같다 )

해안국의 장치 동표에 게기한 호출의 종류중 조난경보 및 개별국의 반자동 또(3) (

는 자동접속호출을 제외한 것의 사용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

신호가 조난경보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는 상대국 식별4 Format

신호로 하여 선박국식별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 구성되는[0]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신호가 조난경보 또는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선택호출에 있어서는 사용5 Format

하지 않을 것

신호가 해역호출의 경우 종별 의 장치는 제외한다 는 별표 에 따라서6 Format ( B ) 11

해역을 자리 의 숫자를 표시하고 별표 에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통보의 우선순위 또는 종류 신호가 모든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통상업무7 (Format

및 선박업무를 제외한다 를 별표 에 따라 개의 코드번호에 코드화한 것일 것 다) 8 1

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 선박업무를 제외한 것으로 하고 또한 신 (class) B Format

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통상업무를 제외한 것일 것

- 24 -

자국의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8 [0]

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제 및 제 의 정보로 하여 별표 에 따라서 각각 개의 코드번9 1 2 Telecommand 8 1

호에 코드화한 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제 (class) B 1

를 다음과 같이하고 제 코드번호가 일 것Telecommand 2 Telecommand [126]

중단파대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하는 장치의 선택호출신호 이하(1) (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는 신호가 개별국의 호출일때에는 코드번ldquo rdquo ) Format

호 또는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일[119] [111] [118] Format

때에는 코드번호 또는 일 것[109] [111] [111]

선택호출신호는 신호가 개별국의 호출일 때에는 코드번호(2) VHF Format [100]

또는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일 때에는 코드번호[101] Format

또는 일 것[100] [101] [105]

다음의 방식일 것10

호출에 이어 계속 통신에 사용하는 송신 및 수신을 위한 주파수 또는 채널을(1)

나타내는 선택호출신호는 송신파 및 수신파의 순으로 별표 에 코드화한 것일 것12

다만 주파수 또는 채널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송신파 또는 수신파마다에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126]

선박의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선택호출신호는 코드번호 및 다음에 의거 표(2) [55]

시되는 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 자리숫자를 별표 에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가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가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나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부터 제 번째까지의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표시한다

제 가 선박의 위치인 호출에 대한 응답 이하 선박위치응답 이라(3) 1 Telecommand ( ldquo rdquo

한다 을 위한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의 가 및 나 에 의해 표시하는 선박의) (2) ldquo rdquo ldquo rdquo

위치를 나타내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코드화한 것 및 그것에 계속코드번호10 10

일 것[126]

에서 이외의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4) (1) (3) 6 [126]

선박위치응답의 경우 종별 의 장치를 제외한다 및 신호가 개별11 ( (class)B ) Format

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에만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각각 다음의 방

식일 것

선박위치응답의 경우는 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 국제표준시로 한다 이하 같(1) (

다 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2 10

개의 코드번호로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는 개2 2

의 코드번호 일 것[88]

- 25 -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는 아날로그 전화용(2) Format

설비와 접속하기 위한 번호 이하 전화번호 라 한다 등의 네트워크번호를 표시하는( ldquo rdquo )

것으로 하고

네트워크번호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코드번호를 짝수의 경우는 코드번호[105]

과 네트워크를 별표 에 준하여 개부터 개까지의 수의 코드번호로 코드화[106] 10 2 9

한 것일 것

응답을 필요로 하는 호출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응답12 [117]

을 위한 선택 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및 이외의 경우는 코드번호[122] [127]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 다만 신호가 모13 Format

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 코드번호 일 것[127]

오류검정부호는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정보비트 및 제 번째에서 제13 1 7 8

번째까지의 검정비트로부터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생성되는 각 비트10

의 및 이 각각 별표 에 표시하는 및 에 대응하는 단위 부호로[0] [1] 6 [B] [Y] 10

하여서 송출되는 것일 것

정보비트의 각 비트는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동기신호를 제외한다 의 모든(1) (dot )

코드번호 신호 및 종료신호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로 한다 에 대응하(Format 1 )

는 부호의 비트 위치마다 최하위 비트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다만 를 를 B 0 Y 1

로해서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검정비트는 정보비트의 의 수를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B 2

별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해안국의 장치는 제외한다[ 2 ] (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자국 의식별신호

주( 4)

조난종류 의정보신호

주( 5)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

주( 6)

시각정보신호

주( 7)

Tele-command정보 신호

주( 8)

종료신호

주( 9)

오류검정신호

주( 10)

주( )

중단파 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는 비트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비1 200 VHF 20

트일 것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2]

자국의 선박국 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4 [0] 10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조난의 종류를 표시하는 것으로 하여 별표 에 따라 개의 코드번호로 코드화한5 8 1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 (class) B 1 107

- 26 -

조난선박에 위치를 다음과 같이 자리의 숫자로 표시 하는 것으로 별표 에6 10 10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조난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것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99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1)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는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2)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한다

조난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것7 2

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개의 코드번호에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 10 2

를 포함하지않는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88]

계속하여 행하는 통신의 형식을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통신장치가 무선전화 또8

는 협대역직접 인쇄전신장치인 제 를 별표 에 개의 코드번호로1 Telecommand 8 1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방식일 것 (class) B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 일 것(1) 1 [109] [111]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VHF 1 [100]

코드번호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하는 것일 것9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별표 조난경보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선박국의 장치를[ 3] (

제외 )

dot신호

주( 1)

동기신호

주( 2)

For-mat신호

주( 3)

Cate-gory신호

주( 4)

자국의식별신호

주( 5)

Telec-ommand정보신호

주( 6)

조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7)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 8)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 9)

시각정보신호

주( 10)

Tleco-mmand정보신호

주( 11)

종료신호

주( 12)

오 류검 정신 호

주( 13)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6]

별표 의 주 과 같은 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4 1 7 [112]

자국의 해안국 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숫자를5 [0] 10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6 1 [1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일 것7

- 27 -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종류의 정보신호일 것8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일 것9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시각정보신호일 것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정보신호일 것11 Telecommand

코드번호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2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3 1 13

별표 조난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 중계에 대한 응답을 위한[ 4]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dot신호

주(1)

동기신호

주(2)

For-mat신호

주(3)

Addr-ess신 호

주( 4및56)

Cate-gory신 호

주(7)

자국의식별신호

주(8)

Telec-ommand정보신호

주( 9)

조 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10)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11)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12)

시각정보신호

주(13)

Tleco-mmand정보신호

주( 14)

종료신호

주(15)

오류검정신호

주(16)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별표 의 주 과 같다 코드번호 이외의 것으로 한다3 1 3 ( [112] )

신호가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에는 상대국의 식별신호4 Format

로 하고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0] 10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5 Format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6

별표 의 주 과 같은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7 1 7 [112]

별표 이 주 과 같다8 1 8

개의 코드번호 일 것9 1 [112]

수신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 또는 수신한 조난경10

보의 중계의 조난선박국의 식별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종류의 정보11

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선박의 위치12

정보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시각정보일 것13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14 Telecommand

정보신호일 것으로 한다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것으로 하 (class) B

는 것이 가능할 것

- 28 -

중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1) 1 [109] [111]

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2) VHF 1 [100] [101]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코드번호 개별 해안국 앞15 Format [127]

으로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에는 코드번호 로서 별표[122]

의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3

별표 의 주 과 같다16 1 13

별표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대 선택호출신호를 제외한다[ 5] (VHF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Address신 호

주( 4)

Category신호

주( 5)

자국의식별신호

주( 6)

정 보신 호1

주( 7)

정 보신 호2

주( 8)

종 료신 호

주( 9)

오류검정신 호

주( 10)

주( )

비트일 것1 200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20]

상대국의 식별신호로서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이에 계속되는 으로서4 [0]

구성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1 [108]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8

각 개의 코드번호 및 일 것7 1 [118] [126]

개의 코드번호 일 것8 6 [126]

코드번호 또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9 [117] [122] 13

일 것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 29 -

별표 선택호출신호의 단위부호[ 6] 10

는 스페이스주파수 는 마크주파수로 대응하고 비트위치의 에서 송출된다B Y 1

협대역 일때MFHF B=1785 Y=1615

대역 일때VHF B=2100 Y=1300

- 30 -

별표 반복송출의 순서[ 7]

주 기호 는 선택호출신호의 종료신호를 표시하고 기호 는 에서 까( ) H DX RX0 RX7

지가 반복송출되는 선택호출신호의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31 -

별표 코드번호 의 용도[ 8] (100-127)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00 통상업무

화재 또는폭발

또는F3단신G3E

무선전화 이유없음 주( 3)

101 침수 또는F3복신G3E

무선전화 해사교환 센터의혼잡 주( 3)

102 해역호출

충돌 미확정주( 1)

통화중 주( 3)

103 좌초 Polling 대기행렬표시주( 3)

104 의RXO위치의동기신호

경사 및전복의위험

수입불가주( 2)

폐국 주( 3)

105 의RX1위치의동기신호

침몰 호출의 종료주( 4)

의 부재Operator주( 3)

106 의RX2위치의동기신호

선박업무주( 5)

조선불능으로 표류

데이터주( 6)

변복조장치

의Operator일시적 부재 주( 3)

107 의RX3위치의동기신호

기타의조난

미확정주( 1)

장치의 운용불가주( 3)

108 의RX4위치의동기신호

안전 선체의방치

미확정주( 1)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09 의RX5위치의동기신호

J3E 무선전화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10의RX6

위치의동기신호

긴급 조난경보에대한 응답

무력분쟁의당사국이 아닌것을 표시하는선박 및 항공기주( 7)

111 의RX7위치의동기신호

H3E 무선전화 위생수송체 주( 7)

112 조난경보

조난 조난자동통보설비(주 의9)시동

조난경보의중계

공중전화사무소주( 8)

- 32 -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13또는F1B방향오J2B(1

류정정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미확정 주( 1)

114

공통관계를 갖는선단의호출

미확정 주( 1) 미확정 주( 1)

115또는F1B자동재송J2B(

요구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데이터 주( 11)

116모든선박호출

또는F1B J2B수신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2)

11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18 시험 데이타 주( 14)

119또는F1B수신J2B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5)

120개별국의호출

A1A 테이프레코더

데이터 주( 16)

121 선박의 위치 데이타 주( 17)

122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3

개별국의반자동또는자동접속호출

A1A 전건 및핸드셋(Handset)

데이터 주( 18)

124또는F1CF2C

F3C팩시밀리장 데이터 주( 19)

125의DX

위치의동기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6 정보없음 정보없음 주( 20)

12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주( )

앞으로의 사용을 위하여 유보한다1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2 [100] [109] 2 Telecommand

코드번호 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3 [104] 1 Telecommand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 시스템에만 사용한다4

- 33 -

선박의 항해 운항 필수품에 관한 통신과 정부의 기상업무기관으로 보내는 기5

상 관측 통보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6 [115] [124] 2 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을 제외하고 제7 [104][105][106][110][112] [118] 1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의 제 와 조합하여8 [100][101][109][115] [124] 1 Telecommand

사용한다

수색구조용 레이다트랜스폰더를 제외한다9

무선설비규칙의 제 조의 에 정하는 것으로 한다10 69 4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1 (V21)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2 (V22)

앞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1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4 (V2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5 (V2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6 (V1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7 (V26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8 (V27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9 (V32)

코드번호 를 제외하고 제 와 조합하여 사20 [104][110][112] 1 Telecommand

용한다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 코드번호는 중단21 Format

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에서 까지 [102] [124] ([110][112][117]

및 를 제외한다[122] )

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및VHF [100][101][104][105][106][121]

일 것[124]

별표 동기신호의 송출순서[ 9]

주 기호 및 에서 까지가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DX] [RXO] [RX7]

- 34 -

별표 자리 숫자의 코드 변환표[ 10] 10

자리의 숫자10

십억D2

억D1

천만D2

백만D1

십만D2

만D1

천D2

백D1

십D2

일D1

코드5 코드4 코드3 코드2 코드1

주( )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1 1

및 은 자리 숫자의 자리 숫자 에서 까지를 표시하고 각 코드는2 D2 D1 10 2 00 99

그 자리의 십진수를 코드번호로 한다2

숫자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최상위 자리수의 숫자 앞에 을 포함할 것3 0

별표 해역의 표시방법[ 11]

해역의 표시는 다음과 같은 것

선정되는 지리상의 해역은 메르카토르 도법의 직사각형으로 표시할1 (Mercator)

직사각형의 북서를 해역의 기준점으로 할 것2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존재하는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3 1

으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0] [1] [2] [3]

할 것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위도를 표시할 것4 2 3

제 번째에서 제 번째가지의 숫자는 기준점의 경도를 표시할 것5 4 6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남북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6 7 8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동서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7 9 10

표에 표시하는 해역 및 의 표시의 예는 다음과 같을 것8 ab c

기준점이 북위 도 및 서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1) 10 25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20 35 a

1 1 0 0 2 5 2 0 3 5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2) 10 10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10 10 b

2 1 0 0 1 0 1 0 1 0

- 35 -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3) 12 12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4 7 C

2 1 2 0 1 2 0 4 0 7

별표 주파수 및 채널정보의 코드변환표[ 12]

주파수0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주파수를 의 배수로서 숫자의 십100

만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다 1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2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채 널

3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중단파대 또는 단파대의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 다

8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별도로 정한 채널로 한다

9 0 times times times times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18게기하는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천 백 십 및 일의 숫자로 표시한다

십만 만 천 백 십 일

코드3 코드2 코드1

주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 ) 1

- 36 -

별표 종료신호의 송출순서[ 13]

주 기호 가 종료신호를 표시한다( ) H

- 37 -

제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3

제 절 송수신장치1 DSC VHF

시스템 개요1

본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모든기능을 충족하는 일체형과 전화용 복신방식의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호출 및 수신제어장치 로구분된 독립형 으로 구분되며 DSC DSC

이는 외형상의 구분이며 그주요기능별 구성은 각각의 유니트로된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표시 및 제어장치 와 전원부 로 구분되며 이것들은 다시 하나의DSC

케비넷 또는 독립된장치로서 구성된다

시스템 구성2

장비의 개요 및 특징3

가 개요

본 송수신기는 항만내 또는 연안에서 해안국과 선박국 또는 선박국 상호간VHF FM

의 해상이동업무 통신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기로서 이내의 해상156 ~162

이동 무선통신업무용의 전 을 수용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전파관리법 및CHANNEL

등 국제규격에 적합하도록 설계 제작된 기기로서 전세계ITU SOLAS USA USCG

어느곳에서나 규정에알맞게 사용할 수 있는 국제항만 무선전화기용 무선 송수신기

를 제작한다

- 38 -

나 특징

소형 경량화로서 좁은 장소에 설치가 용의하게 되어 있어야 한다(1)

송신각 각 방식을 채용하였으며 국제 항만 무선전화(2) DIRECT SYNTHESIZER

인 를 수용해야 하며 그외 개의CHANNEL 55(114) CHANNEL 105(527) FREE

이 수용되어 있어야 한다CHANNEL(SIMPLEX)

주 국제 중 미국연안에서 단식방식으로 절환 사용되고 있는1 CHANNEL 55(114)

을 사용 할 수 있을것USA CHANNEL(SIMPLEX)

주 별도의 기상수신 을 수용하고 있어야 한다2 WEATHER CHANNEL( )

USA 3 CHANNELS

CANADIAN 1 CHANNEL

OTHERS 5 CHANNELS

원격조정 회로의 내장으로 본기기의 판넬스위치와는 상관없이(3) REMOTE ( ) HAND

만 으로도 판넬 스위치 조작에 필요한 모든기능을 할 수 있고SET CONTROL VHF

의 원근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어야 한다SET

기능이 첨부되어 있어 미국연안 경비대 의 의무 청취(4) DUAL WATCH USCG( )

인 과 의 개의 을 동시에 수신할 수CHANNEL CH 13 CH 16 2 CHANNEL SCANNING

있으며 과 사용자가 선택하는 임의의 을 동시에CHANNEL 16 CHANNEL SCANNING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에 경보신호 기능의 내장으로 비상시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5) CH 16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국제 개 및 을(6) SCAN CHANNEL 55 FREE CHANNEL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SCANNING

안전통신에 지정되어 있는 은 우선 사용할 수 있도록(7) CHANNEL16 1 STEP

로 되어 있어야 한다SWITCH

국제 해상 인명 안전조약 에 정한 규격으로 되어 있어 전세계 어느곳의(8) SOLAS( )

규정에도 적합하며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구 성4

본 기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가 송 수신기 본체 대 1

나 HAND SET 1 SET

다 WHIP ANTENNA 1 SET

라 벽걸이형 SPEAKER 1 SET

마 전원 공급기 1 SET

- 39 -

규 격5

주파수 및 규격은 현재의 통신방식이며 정보통신부의 고시가 발표되면 협대역(125

로 변경한다)

가 일반사항

사용주파수 범위(1)

송 신 156025 ~ 157425 수 신 (SIMPLEX) 156025 ~ 157425 수 신 (DUPLEX) 160625 ~ 162025 기상수신 (WEATHER) 161650 ~ 162550

사용(2) CHANNEL

A International 55 (114) CHANNELSB USA 25 CHANNELSC FREE 105 (527) CHANNELSD WEATHER 9 CHANNELS

USA 3 CHANNELSCANADIAN 1 CHANNELOTHERS 5 CHANNELS

통신 방식(3) SIMPLEX amp DUPLEX

전파의 형식 전화(4) 16KOF3E( G3E DSC F2BG2B)

주파수 편차(5) 0001 (10 PPM)

사용 온도범위 부터(6) -10 + 50

예열 시간 전원 접속후 즉시 사용가능(7)

공칭(8) ANTENNA IMPEDANCE 50 ohm ( )

공급 전원(9)

전 압 136V plusmn 10전 류 수신시 800

송신시 5A전원 공급기 별도( ) 단상AC115V AC220V 60

부터 까지DC 15V 35V

나 송 신 부

정격 출력(1) HIGH -25 W

LOW - 1W

주 공중선 전력 저하장치로 이하 저하기능 보유1 1WATT주 단 보호 인 및 가 아님 은 송신이2 CHANNEL 7576 1 ~9(01 ~09 )CHANNEL되지 않음 기상수신대의 사용법은 본문 참조 ( )

- 40 -

발진 방식(2) SYNTHESIZER CONTROL SYSTEM

변조 방식(3) FREQUENCY MODULATION

점유 주파수 대역폭(4) 16 (8)

최대 주파수 편의(5) 5 (25)

복사강도 이상(6) SPURIOUS 70

변조 주파수 특성(7) 6 (plusmn 3 ) OCTAVE PRE-EMPHASIS)

(300 ~ 3 )

변조시 이하(8) DISTORTION 1 70 -20

신호 대 잡음비 변조시 이상(9) 1 70 40

저역 여파기 특성 이상에서 이상 감쇄(10) 3 -40log f3( ) (f = )

다 수 신 부

수 신 방 식(1) DOUBLE SUPERHETERODYNE SYSTEM

감 도(2) 이하 신호 대 잡음비 에서 025 V ( 20 )μ

감도(3) SQUELCH 이하 02 Vμ

국부 발진 주파수(4) 1lsquost LOCAL FREQUENCY

RECEIVER FREQUENCY - 214

2nd LOCAL FREQUENCY 10945

중간 주파수(5) 1lsquost IF FREQUENCY 214

2nd IF FREQUENCY 455

선 택 도(6) 저하폭 이상 6 12 (6)

저하폭 이하 70 25 (125)

(7) SPURIOUS RESPONCE 이상 70

감도 억압 효과(8) 이상 80

상호 변조 특성(9) 이상 65 ( 20 40 )

주파수 특성(10) 6 (plusmn3 )OCTAVE DE-EMPHASIS)

( 300 ~ 3 )

신호 대 잡음비(11) 변조시 이상 1 60 40

(12) DISTORTION 변조시 이하 1 70 -20

저주파 출력(13) 이상 1 WATT (IMPEDANCE 8 ohm)

- 41 -

제 절 차년도 개발 범위2 1

제 차년도 개발범위는 기초자료조사와 규정의 연구에 따라 기초회로의 설계 후1

사용부품을 시험하고 각 의 제작 및 시험 연이은 성능미달 의 차 차PCB PCB 2 3

차 재제작 시험을 완료하고 시스템의 설계까지이며 그 세부적인 개발범위는 다음4

과 같다

송수신장치 개발을 위한 제규정 수집 연구1 DSC VHF

기초자료 조사2

가 장비에 대한 기능특성 수집 연구

나 사용자 및 선박통신사의 요구사항에 대한 자료 수집 연구

다 외국장비와 비교 분석

라 부품규격 시험 및 선정

3 HARD WARE

가 고주파 필터코일 재질분석 및 각종코일 설계

나 제작 PCB

송신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1) PCB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시험(2) PCB

수신부회로 제작 시험(3) PCB

신세사이즈 회로 제작 시험(4) PCB

제어장치 제작 시험(5) PCB

표시장치 제작 시험(6) PCB

원격제어기 제작 시험(7) PCB

전원공급부 제작 시험(8) PCB

제작 시험(9) HAND SET PCB

전용수신기 제작 시험(10) DSC PCB

- 42 -

제 장 제 차년도 개발 항목 보고4 1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본 장비를 개발함에 있어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및 부품선정이 개발의 핵심 과제

로 생각하였다

기초자료는 기존 시스템분석과 전파관련법령을 기초하였고 주변회로는 관련된 회

로집을 분석하였으며 부품선정은 폐품종 여부와 수급이 용이하면서 견고하고 증폭

도 및 성능이 우수한 품종으로 장시간 시험을 거쳐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송신부 제작시험2

송신 출력회로 결정 회로설계 완료하여 각부 부품 구입 회 내구성 시험 및SPEC 30

구룹별 장시간 부품 부하 시험등 최종목표 성능을 확보하기위한 제반 기초 제작시

험을 완료 하였으며 주요 내용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의 발열상태등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의 높은 출력으로 증폭하는 송신전(VHF ) 25W

력 증폭기로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높은 고주파전력에 견딜수있어야 하고 열

에의해 발생되는 열잡음이 적으야하며 열에의한 부품의 열화 및 특성의 변화가 적

은 부품을 사용여야 하므로 온습도시험 과 과출력 시험을 통하여 사용될 부품을 시

험하였다

특히 고조파 필터회로 부품인 코일은 동선에 전도율이 좋은 재질로 도금하여 사용

하여야 하며 고조파필터회로 의 차폐용 재료도 동판에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도금

하여 사용 하여야 한다

나 송신 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PCB (PCB NO V-097)

개발과정에서의 설계변경 및 생산시스템의 전산화 에 적용 할수있도록 회로 설계는

물론 설계 회로기판 도안 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설계완료된 는PCB ( ) CAD DATA

회로기판 제작장치 외주 작업 및 부품삽입기 자사 작업 에 직접 컴퓨터용 디스켙( ) ( ) (

으로 입력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회로에 높은 고주파전류가 흐르므로인하여 빌진할 가능성 및 잡음발생의 우려PCB

가 많으므로 특히 부품배치에 유의하여 설계하였으며 송신신호 발생회로 또는 전원

회로 와의 배선은 관통형콘덴서등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였다

회로에 사용되는 코일은 각 코일간에 간섭을 줄이기위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설정하

였으며 전체를 차폐하고 또 고조파 필터회로를 구분하여 차폐하여 제작 하였PCB

- 43 -

또 안정된 출력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회로를 장치하여 설정된 출력 이상의ALC

출력을 제한한다

다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PCB (PCB NO V-096TX)

설계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이 는 미약한 고주파 신호를 발생 변PCB CAD PCB

환 증폭 하므로서 송신부 또는 외부로 부터의 잡음 유입과 내부잡음 발생에 유의

하여 설계되었으며 불요복사 억제에 유의하였다

라 성능시험

메칭상태 시험(1)

옴 파장 수직형 안테나 를 사용할수 있도록 시험하였으며 차적인 시험은 의50 12 1

사부하에 의해 시험하고 의사부하 안테나에 정상적인 메칭이 된 후 실제 사용 안테

나에 확인시험 하였다

이 시험에서 양질의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장치는 물론 안테나의 성능이 중

요하며 인접한 고전력 안테나 및 낙뢰로부터 안정성 등을 감안하여 안테나는 VHF

대역 이하의 주파수에 대하여 쇼트형 안테나가 바람직 하다

기존 시스템의 이상의 성능 확보(2) 90

송신부의 주기능으로서 양질의전파를 안테나로 공중에 발사하는 장치로서 주피수안

정도 고조파억압 불효전파억제 안정된전력 안정된 주파수편이 낮은 왜율 등의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시험결과는 기존의 제품의 특성에 가까운 성능을 확보

하였으나 안테나공용기 복신통신용 필터 특성의 개선및 송신부 관련부품의 배치를( )

개선하므로서 보다 좋은 성능을 확보 할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신부 제작시험3

수신부는 안테나입력회로 입력동조회로 단신통신 및 복신통신 각 주파수 대역 필 (

터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로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 1 1 2 2

로 대역필터회로 신호제한 리미터 회로 복조회로 무신호잡음 차단 회로 저주 ( ) FM

파 증폭회로 및 국부발진회로 로서 구성되나 국부발진회로는 잡음의 발생및 유입

주파수안정도 등을 감안하여 별도의 로서 제작하였으며 그외 수신부와 관련한PCB

내용은 다음과 같다

- 44 -

가 사용부품의 구입 및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증폭과 변환을 반복하여 요구되는 신호(VHF )

를 복조하여 기청음 또는 의 문자표시로 출력되게 하므로서 안정된 주파수 및DSC

증폭이 요구되므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당연히 고주파특성에 유의하여 주파수

차에의한 특성변화 열잡음 및 고주파잡음 능동소자등의 직선성 등이 교려되어야하

므로 항온항습시험과 과전류에의한 잡음발생의 시험 등 을 거처 엄선한 부품으로

설정사용 하였다

특히 회로의 선택도 코알의 값 를 높이기 위하여 가 높은 트랜스 재료를 사용하( Q ) Q

였다

다 수신부회로 제작 PCB (PCB NO V-096RX)

위 항에서의 시험에 의해 선택된 부품을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며 수신부의 특성31

상 잡음의 발생보다는 잡음의 유입에 유의하여 설계되었으며 안정된 증폭 특성 수(

신감도 을 얻기위하여 중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회로기판은 에폭시) 2

수지 양면인쇄동판을 사용하여 부품삽입면은 대부분 공통단자로 이용하여 부품간의

간섭을최소화 하였다

다 수신부 특성시험

수신부 특성상 수신감도 주파수안정도 왜율 통과대역폭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감도억압비 혼변조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신호대 잡음비 일 때의 수신감 20

도 성능이 확보되며 기타 여러 가지 특성도 최종목표 특성에 가까운 성능이05

확보 되었으나 까지 수신감도가 향상되도록 성능개선이 요구된다025 V 120757

신세사이즈부의 회로의 안정도로 인하여 국부발진 신호의 흔들림현상이 있어VCO

통과대역폭 및 잡음발생의 원인이되어 신세사이즈회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신세시이즈회로는 크게 수신국부발진 신호용과 송신신호용으로 구분되며 단신통신

과 복신통신방식일때 각각 동작할수있는 구성으로 설계되었으며 그 내용별로 구분

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전압제어발진기 에 사용되는 부품은 온도 및 전압변동에 특성의변화가 극히(VCO)

적어야하며 외부로부터 정전 및 자계영향이 크므로 회로를 별도로 정전 및 자VCO

계로부터 차폐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혼변조 및 잡음신호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파수선택 표준신호 등 시 수신( )

대역 및 송신대역에 영향이 없는 주파수로 하였으며 가능한 레벨을 제외한 신(TTL

호 파형의 왜율이 적은신호로서 각회로신호를 사용하여 결합하였다)

- 45 -

나 신세사이회로 제작 (PCB NO V-096PLL)

이회로 기판은 여러종류의 신호들이 발생 혼합 증폭 비교 되므로 각부품 간의 배

치에따라 잡음발생의 정도가 크게 좌우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였으며 회로는 외VCO

부영향에 민감하게 작동되므로 차폐 에 유의하여 부품의 배치 적절하게 하였으며

잡음발생을 유의하여 부품을 선정하였다

다 성능시험

이회로의 특성상 주파수안정도 주파수의 흔들림 위상비교기의 비교속도 등에 유의

하여 시험하였으며 여러가지 일반적인 특성은 최종목표사양에 만족될 수 있는 신호

원을 공급할수 있었어나 주파수의 흔들림 현상이 있어 회로의 부품 및 차폐에VCO

개선이 요구된다

제어장치 제작시험5 (PCB NO V-263)

이회로의 주요부품으로서 를 사용하여 당개발과제의 송수신 및 외부V25 CPU DSC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며 아울러 본체 전면표시기와 스윗치 입출력 기능도 한다

이회로의 주요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스 읽기전용 메모리 읽고CPU( ) ROM( ) RAM(

쓰기 메모리 직렬통신용 입출력 병렬통신 입출력 아날로그 디지) SIO( ) PIO( ) AD(

탈 변환기 스윗치입력 표시기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개발 내용은 다음과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에 사용되는 부품은 대부분 디지탈신호를 처리하여 회로로서 및TTL IC

로서 구성되며 저소비전력 및 고속처리능력이 요구되므로 주로 고속용C-MOS IC

중 형 를 사용 하였으며 장치의 초기설정 및 기능 설정의C-MOS(C-MOS IC HC )

변경등 의 목적으로 은 충전형 밧테리로서 메모리내용을 전원의 에 관RAM ONOFF

계없이 유지하도록 하였다

외부 제어기 등 와의 통신용 의 통신속도를 또는 등으로(DSC ) RS-232C 2400 4800

변경 설정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변환기 등을 이용하여 자기진단을 할수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장비의 유지및AD

보수에 많은 도움이된다

- 46 -

나 성능시험

운용시험(1)

이회로의 특성상 전기적 특성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특성 및 성능이 요구되므로 운

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이부분에 대한 시험은 개발자입

장이 아닌 운용자가 시험하여야 하는 관계로 선박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사용자에게

의뢰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로서는 기능면에서는 양호하나 사용상 복잡한 면이 있어 보다 조작 을 간편

히 할수있도록 개선할 필요가있는 것으로 본다

표시장치 시험(2) (PCB NO V-260)

본장치의 사용상 필요한 기능 및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내용과 기기 동작

상태의 일치성이 요구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온습도 및 장기시험 으

로서 확인하였으며 여러 가지 표시장치중 각각 중단점이 나타낮다

즉 액정 표시기 표시기는 저소비전력이며 주위가 밝은곳에서 사용이 가능 하LCD( )

나 반면 온도특성이 나쁘며 형광표시관 표시기는 온도특성은 양호하나 소비전 VFD( )

력이 대체로 높고 보다 낮고 보다 많음 수명이 낮다는 단점이있으며(FND LCD )

발광 다이오드 표시기는 모든면에서 대체로 양호 하나 잡음발생 이많으며 밝FND( )

은곳에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외 여러 가지의 장담점을 검토하여 차적인 결론은 표시기가 적합한 것으로1 LCD

본다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최소의 전기적신호 연결로서 최대의 기능제어및 속도가 요구되는 장치로서 저주파

신호의 입력 마이크 신호 및 출력 스피크 신호 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 제어는( FS ) ( )

직렬통신 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였으며 장거리 일반 공용통신망 을 이(RS-232C)

용할수도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요 구성은 중앙제어장치 스윗치입력 장치 표시장치 메모리장치 직렬통신장치

로 구성되며 그 상세한 개발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의 대부분이 디지탈신호의 처리회로로서 구성되므로 제어장치 의 사용 부품ldquo rdquo

시험 및 선정기준과 같으며 장거리운용상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신속도를

알맞게하며 장거리통신 선로에서 유기되는 잡음을 최소화 하기위한 필터회로 및

소프트웨어적인 오류정정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별도 설계 사용 하였다

- 47 -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V-170)

이장치는 사용상 편리하여야 하므로 소형 경량 으로 제작 하였으며 차적 기능 시 1

험을 목적으로 외형 보다는 성능을 우선하여 시험용으로 제작하였다 이장치의 시

험은 전용케이블 을 이용하여 시험하였고 또 일반 공용통신용 전화 선로를 통하여

원거리 시험을 하였으며 그결과로서 통신속도가 까지 양호하게 동작되나2400bps

그이상의 통신속도로서 운용 할려면 전용회선이 필요하게된다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가 결정 SPEC

각회로 에서 필요로하는 전압 및 전류에 알맞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반 성능

을 차적으로 설정 하였으며 최종목표 사양에 일치하기위하여서는 전원부의 장치에1

대하여 모든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최종 특성이 설정 되어야 한다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P-099)

이장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되나 반면에 안정성이 확고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안

정성을 첫째로 중요시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이회로는 많은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많은 전력이 열로서 손실되므로 방열에 특히 유의하여 제작되었으며 열발생이 많은

부품은 알미늄 방열판에 설치하고 이방열판은 본장치 외함의 바깥쪽에 설치하여 방

열효과를 최대화 하였다

이회로의 시험은 과입력전압 및 과소비전력 일때의 안정성에 중점 시험하였고 그시

험을 위하여 장시간 항온 항습기 를 이용하여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전원부의 안정

성 확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도 이회로를 특별히 개선하지 않고도 최

종목표 사양에 만족하리라 본다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PCB NO V-098)

마이크 회로 수화기 회로 송신 스윗치 회로 로서 구성되며 이장치는 사용 특성상

충격에 강하도록 설계제작 되어야 하며 무게는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재료선택이

중요하며 이러한점을 감안하여 사출금형에 의하여 성형 하였으며 성형 제료로서는

제료를 사용하고 사용 부품을 최소화 하여 제작 하였다ABS

이장치의 특성상 견고하며 방수효과가 최대이어야 하므로 충격 자연낙하 시험 및( )

방수시험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 성형제료 및 외형상의 문제는 없이나

송화기 및 수화기의 선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송화기는 콘텐서형

마이크가 좋으며 수화기로는 가변코일형으로서 떨림판이 평면으로된 수화기가 우수

한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선정하여 제작시험 하였다

- 48 -

전용 수신기9 DSC (PCB NO T-342)

전용수신 장치는 송수신장치중 송신부를 제외한 구조와 유사하므로 개발과정에서

송수신장치중 수신부회로에 복조장치 를 추가하여 별도 로 제작하여 시험DSC PCB

하였으며 개발내용중 전용수신기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DSC

가 기능 및 동작

변조되어 수신된 신호를 필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후 신호 처리용FM DSC DSC

마이크로프로세스 에 공급하여 소프트웨어로서 신호를 분석한후 표시장치 메(CPU)

모리장치 인쇄장치 등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전용 찬넬인 번 찬넬을 항상 DSC 70

수신상태로 동작하여 신호 도트신호 를 검출하고 신호가 있으면 이어서CALL ( ) CALL

수신되는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표시장치 및 경보장치에 출력한다

나 신호 신호 필터회로 와 신호 처리부 및 제어용회로부 DSC (FS ) DSC DSC

제작시험 (PCB NO T-325 T-326 T-327)

이 회로의 성능은 주로 필터 및 디지탈변환 회로에서 결정되며 소프트웨어의 성능

에 따라 안정성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점을 유의하여 설계제작 하여으며 성능 시험

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험용 정보를 송신장치로 통해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후 그

결과를 분석 시험 하였다

다 전용 수신기의 개발과정 에서의 학보된 기술 DSC

신호 및 의 신호 의 필터 및 디지털 변환 기술DSC (1300 2100 FS )

신호 검출 및 직렬신호의 병렬변환 소프트웨어DOT

기술 정보의 비교 및 인쇄출력 소프트웨어 기술

종합시험10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별 차 차 차 보완시험은 만족하며 앞으로 개발의 중점은 사용의 편리성과PCB 1 2 3

생산성에 중점 개발이 요하며 배치에 따라 야기될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 PCB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후 최종제품을 제작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49 -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1

가 전면판 사출금형

나 옆판 스피커 안테나 금형

다 노브 사출금형

라 윗면 및 밑면 프레스 금형

마 설치용 고정장치 사출 금형

바 설치대 프레스 금형

사 뒷면 작업용 프레스 금형

아 항온조용 열차단금형

자 필타 금형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2

가 송수신기 제어장치 프로그램

나 전용 수신기 제어용 프로그램 DSC

다 원격조정기 프로그램

라 송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마 수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3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20: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20 -

감도억압효과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2) 14

의 정현파에 의하여 주파수 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기입력전압400 3 44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인접하는 채넬에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1

차 상호변조특성 수신기입력전압 마이크로볼트의 희망파신호를 가한 상태에서 14

희망파 보다 떨어진 수신기 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무변조 방해파와 희망파25 25

보다 떨어진 의 정현파에 의한 주파수편의가 로 되도록 변조된 수신50 400 3

기입력전압 밀리볼트의 방해파를 가한 경우에 문자오차율이 퍼센트 이하일 것25 1

- 21 -

제 절 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3 DSC VHF

일반적 조건1

가 취급이 용이한 것일 것

나 에서 까지의 숫자 입력판을 갖는 경우에는 그 숫자의 배열은 국제전신전화자 0 9

문위원회의 권고 에 의한 것일 것E161

공중선의 단선 또는 공중선 단자의 단락으로부터 보호수단을 가질 것

과전류 과전압 전원의 과도변동 및 전원극성의 우발적인 반전으로부터 보호수단이

있는 것일 것

노출된 금속부분은 접지하는 것이 가능할 것

전원단자는 접지되어 있지 않을 것

전원 볼트를 초가하는 전기 고주파의 것을 제외 를 통하는 도전부는 용이하게 노55 ( )

출이 되지 않도록 다음의 어느 조건에도 적합한 차폐체를 갖고 있는 것일 것

차폐체를 개방한 때는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되는 구조일 것(1)

차폐체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공구를 필요로 하는 구조이고 또는 고전압에 대한(2)

주의사항이 표시되어 있을 것

다 통상의 설치된 상태에서 제조자명 형식명 및 제조번호가 명확하게 판독 가능하

도록 외부에 표시되어 있을 것

라 장치의 일부를 가열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급전후 분이내에 일정온도에 달하 30

는 것일 것

다만 가열회로에 공급하는 전력은 다른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치단에 의해

절단되지 아니할 것

마 전원공급후 송신장치의 일정분에 전압의 공급을 지연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는 그 지연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것

디지틀선택호출장치의 조건2

선박의 위치 및 위치를 결정한 시각의 자동입력 기능을 갖는 경우에는 동기능의

고장이 장치의 다른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

가 선택호출 신호의 구성

조난경보등 조난경보 조난경보에 대한 응답 조난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1) (

중계에 대한 응답을 말한다 이하 같다 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및 무선설비의 기기 )

의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이하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이외의 선택( ldquo rdquo )

호출신호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1

- 22 -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2) 2

조난 경보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 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3) 3

일 것

조난 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 중계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4)

성을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4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5) 5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오류검정부호를 제외한다 에 사용하는 단위 부호는(6) (dot ) 10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6

나 선택호출신호의 송출조건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오류검정부호를 제외한다 의 송출은 최초의 송출과 반(1) (dot )

복송출과의 사이에 개의 코드가 놓아진 방식일 것4 Time Diversity

선택호출신호의 반복송출은 다음과 같은 것일 것(2)

가 조난경보를 연속하여 송출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조난 경보를 최후의 신호와( )

다음에 송출되는 조난경보의 신호와의 사이를 가격없이 송출가능한 것일 것dot

나 디지탈선택호출통신망을 위한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호출( )

또는 응답의 선택호출 신호의 경우는 별표 에 따라서 회를 초과하지 않는 회수를7 4

반복하여 송출가능할 것

다 가 및 나 이외의 경우는 반복하여 송출이 가능하지 않는 것일 것( ) ( ) ( )

다 선택호출신호의 수신조건

조별 의 장치는 제 호에 규정한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1) (class) A 2

읽어냄이 가능할 것

조별 의 장치는 다음의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표시하는(2) (class) B

것이 가능할 것

가 제 호에 규정하는 선택호출신호중 종별 의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것( ) 2 (class) B

나 포맷 신호가 해역호출인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것( ) (format)

다 제 가 수신되지 아니할 것( ) 1 Telecommand

해안국의 장치는 제 호에 규정하는 선택호출신호 해안국의 장치의 것을 제외(3) 2 (

한다 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읽어냄이 가능할 것)

- 23 -

별표 선택호출신호 조난경보등을 위한 것 및 시험을 위한 것은 제외한다 의[ 1] ( )

구성

dot신 호

동 기신 호

Format신 호

Address신 호

Category신 호

자국의식별신호

정 보신호1

정 보신호2

정 보신호3

종료신호

오류검정신호

주( 1) 주( 2) 주( 3) 주( 45및6)

주( 7) 주( 8) 주( 9) 주( 10) 주( 11) 주( 12) 주( 13)

주( )

중단파대 및 단파대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하는 장치의 선1

택호출신호 이하 중단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에 있어서 선박국을 호출하( ldquo rdquo )

기 위한 선박호출신호의 경우는 비트 선박국에서 해안국으로 호출 및 응답하기200

위한 선택호출신호 및 국제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 계기하는 주파수18

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 하는 장치의 선택호출신호 이하 대 선택( ldquoVHF

호출신호 라 한다 의 경우는 비트일 것rdquo ) 20

표 에 나타내는 코드번호를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하는 것일 것2 8 9

호출의 종류를 나타냄에 있어서 다음의 장치마다 별표 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3 8

류를 표시하는 개의 동일 코드번호일 것2

종별 의 장치 선박국의 장치에서 별표 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류를 사용(1) (class)A ( 8

가능한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

종별 의 장치 선박국의 장치에 있어서 동표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류 중(2) (class) B (

해역호출 및 공통관계를 갖는 선단의 호출을 제외한 것의 사용이 가능한 것을 말한

다 이하 같다 )

해안국의 장치 동표에 게기한 호출의 종류중 조난경보 및 개별국의 반자동 또(3) (

는 자동접속호출을 제외한 것의 사용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

신호가 조난경보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는 상대국 식별4 Format

신호로 하여 선박국식별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 구성되는[0]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신호가 조난경보 또는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선택호출에 있어서는 사용5 Format

하지 않을 것

신호가 해역호출의 경우 종별 의 장치는 제외한다 는 별표 에 따라서6 Format ( B ) 11

해역을 자리 의 숫자를 표시하고 별표 에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통보의 우선순위 또는 종류 신호가 모든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통상업무7 (Format

및 선박업무를 제외한다 를 별표 에 따라 개의 코드번호에 코드화한 것일 것 다) 8 1

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 선박업무를 제외한 것으로 하고 또한 신 (class) B Format

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통상업무를 제외한 것일 것

- 24 -

자국의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8 [0]

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제 및 제 의 정보로 하여 별표 에 따라서 각각 개의 코드번9 1 2 Telecommand 8 1

호에 코드화한 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제 (class) B 1

를 다음과 같이하고 제 코드번호가 일 것Telecommand 2 Telecommand [126]

중단파대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하는 장치의 선택호출신호 이하(1) (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는 신호가 개별국의 호출일때에는 코드번ldquo rdquo ) Format

호 또는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일[119] [111] [118] Format

때에는 코드번호 또는 일 것[109] [111] [111]

선택호출신호는 신호가 개별국의 호출일 때에는 코드번호(2) VHF Format [100]

또는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일 때에는 코드번호[101] Format

또는 일 것[100] [101] [105]

다음의 방식일 것10

호출에 이어 계속 통신에 사용하는 송신 및 수신을 위한 주파수 또는 채널을(1)

나타내는 선택호출신호는 송신파 및 수신파의 순으로 별표 에 코드화한 것일 것12

다만 주파수 또는 채널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송신파 또는 수신파마다에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126]

선박의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선택호출신호는 코드번호 및 다음에 의거 표(2) [55]

시되는 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 자리숫자를 별표 에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가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가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나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부터 제 번째까지의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표시한다

제 가 선박의 위치인 호출에 대한 응답 이하 선박위치응답 이라(3) 1 Telecommand ( ldquo rdquo

한다 을 위한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의 가 및 나 에 의해 표시하는 선박의) (2) ldquo rdquo ldquo rdquo

위치를 나타내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코드화한 것 및 그것에 계속코드번호10 10

일 것[126]

에서 이외의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4) (1) (3) 6 [126]

선박위치응답의 경우 종별 의 장치를 제외한다 및 신호가 개별11 ( (class)B ) Format

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에만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각각 다음의 방

식일 것

선박위치응답의 경우는 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 국제표준시로 한다 이하 같(1) (

다 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2 10

개의 코드번호로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는 개2 2

의 코드번호 일 것[88]

- 25 -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는 아날로그 전화용(2) Format

설비와 접속하기 위한 번호 이하 전화번호 라 한다 등의 네트워크번호를 표시하는( ldquo rdquo )

것으로 하고

네트워크번호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코드번호를 짝수의 경우는 코드번호[105]

과 네트워크를 별표 에 준하여 개부터 개까지의 수의 코드번호로 코드화[106] 10 2 9

한 것일 것

응답을 필요로 하는 호출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응답12 [117]

을 위한 선택 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및 이외의 경우는 코드번호[122] [127]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 다만 신호가 모13 Format

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 코드번호 일 것[127]

오류검정부호는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정보비트 및 제 번째에서 제13 1 7 8

번째까지의 검정비트로부터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생성되는 각 비트10

의 및 이 각각 별표 에 표시하는 및 에 대응하는 단위 부호로[0] [1] 6 [B] [Y] 10

하여서 송출되는 것일 것

정보비트의 각 비트는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동기신호를 제외한다 의 모든(1) (dot )

코드번호 신호 및 종료신호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로 한다 에 대응하(Format 1 )

는 부호의 비트 위치마다 최하위 비트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다만 를 를 B 0 Y 1

로해서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검정비트는 정보비트의 의 수를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B 2

별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해안국의 장치는 제외한다[ 2 ] (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자국 의식별신호

주( 4)

조난종류 의정보신호

주( 5)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

주( 6)

시각정보신호

주( 7)

Tele-command정보 신호

주( 8)

종료신호

주( 9)

오류검정신호

주( 10)

주( )

중단파 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는 비트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비1 200 VHF 20

트일 것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2]

자국의 선박국 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4 [0] 10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조난의 종류를 표시하는 것으로 하여 별표 에 따라 개의 코드번호로 코드화한5 8 1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 (class) B 1 107

- 26 -

조난선박에 위치를 다음과 같이 자리의 숫자로 표시 하는 것으로 별표 에6 10 10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조난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것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99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1)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는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2)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한다

조난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것7 2

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개의 코드번호에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 10 2

를 포함하지않는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88]

계속하여 행하는 통신의 형식을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통신장치가 무선전화 또8

는 협대역직접 인쇄전신장치인 제 를 별표 에 개의 코드번호로1 Telecommand 8 1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방식일 것 (class) B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 일 것(1) 1 [109] [111]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VHF 1 [100]

코드번호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하는 것일 것9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별표 조난경보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선박국의 장치를[ 3] (

제외 )

dot신호

주( 1)

동기신호

주( 2)

For-mat신호

주( 3)

Cate-gory신호

주( 4)

자국의식별신호

주( 5)

Telec-ommand정보신호

주( 6)

조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7)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 8)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 9)

시각정보신호

주( 10)

Tleco-mmand정보신호

주( 11)

종료신호

주( 12)

오 류검 정신 호

주( 13)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6]

별표 의 주 과 같은 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4 1 7 [112]

자국의 해안국 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숫자를5 [0] 10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6 1 [1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일 것7

- 27 -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종류의 정보신호일 것8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일 것9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시각정보신호일 것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정보신호일 것11 Telecommand

코드번호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2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3 1 13

별표 조난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 중계에 대한 응답을 위한[ 4]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dot신호

주(1)

동기신호

주(2)

For-mat신호

주(3)

Addr-ess신 호

주( 4및56)

Cate-gory신 호

주(7)

자국의식별신호

주(8)

Telec-ommand정보신호

주( 9)

조 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10)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11)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12)

시각정보신호

주(13)

Tleco-mmand정보신호

주( 14)

종료신호

주(15)

오류검정신호

주(16)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별표 의 주 과 같다 코드번호 이외의 것으로 한다3 1 3 ( [112] )

신호가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에는 상대국의 식별신호4 Format

로 하고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0] 10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5 Format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6

별표 의 주 과 같은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7 1 7 [112]

별표 이 주 과 같다8 1 8

개의 코드번호 일 것9 1 [112]

수신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 또는 수신한 조난경10

보의 중계의 조난선박국의 식별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종류의 정보11

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선박의 위치12

정보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시각정보일 것13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14 Telecommand

정보신호일 것으로 한다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것으로 하 (class) B

는 것이 가능할 것

- 28 -

중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1) 1 [109] [111]

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2) VHF 1 [100] [101]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코드번호 개별 해안국 앞15 Format [127]

으로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에는 코드번호 로서 별표[122]

의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3

별표 의 주 과 같다16 1 13

별표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대 선택호출신호를 제외한다[ 5] (VHF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Address신 호

주( 4)

Category신호

주( 5)

자국의식별신호

주( 6)

정 보신 호1

주( 7)

정 보신 호2

주( 8)

종 료신 호

주( 9)

오류검정신 호

주( 10)

주( )

비트일 것1 200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20]

상대국의 식별신호로서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이에 계속되는 으로서4 [0]

구성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1 [108]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8

각 개의 코드번호 및 일 것7 1 [118] [126]

개의 코드번호 일 것8 6 [126]

코드번호 또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9 [117] [122] 13

일 것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 29 -

별표 선택호출신호의 단위부호[ 6] 10

는 스페이스주파수 는 마크주파수로 대응하고 비트위치의 에서 송출된다B Y 1

협대역 일때MFHF B=1785 Y=1615

대역 일때VHF B=2100 Y=1300

- 30 -

별표 반복송출의 순서[ 7]

주 기호 는 선택호출신호의 종료신호를 표시하고 기호 는 에서 까( ) H DX RX0 RX7

지가 반복송출되는 선택호출신호의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31 -

별표 코드번호 의 용도[ 8] (100-127)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00 통상업무

화재 또는폭발

또는F3단신G3E

무선전화 이유없음 주( 3)

101 침수 또는F3복신G3E

무선전화 해사교환 센터의혼잡 주( 3)

102 해역호출

충돌 미확정주( 1)

통화중 주( 3)

103 좌초 Polling 대기행렬표시주( 3)

104 의RXO위치의동기신호

경사 및전복의위험

수입불가주( 2)

폐국 주( 3)

105 의RX1위치의동기신호

침몰 호출의 종료주( 4)

의 부재Operator주( 3)

106 의RX2위치의동기신호

선박업무주( 5)

조선불능으로 표류

데이터주( 6)

변복조장치

의Operator일시적 부재 주( 3)

107 의RX3위치의동기신호

기타의조난

미확정주( 1)

장치의 운용불가주( 3)

108 의RX4위치의동기신호

안전 선체의방치

미확정주( 1)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09 의RX5위치의동기신호

J3E 무선전화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10의RX6

위치의동기신호

긴급 조난경보에대한 응답

무력분쟁의당사국이 아닌것을 표시하는선박 및 항공기주( 7)

111 의RX7위치의동기신호

H3E 무선전화 위생수송체 주( 7)

112 조난경보

조난 조난자동통보설비(주 의9)시동

조난경보의중계

공중전화사무소주( 8)

- 32 -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13또는F1B방향오J2B(1

류정정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미확정 주( 1)

114

공통관계를 갖는선단의호출

미확정 주( 1) 미확정 주( 1)

115또는F1B자동재송J2B(

요구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데이터 주( 11)

116모든선박호출

또는F1B J2B수신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2)

11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18 시험 데이타 주( 14)

119또는F1B수신J2B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5)

120개별국의호출

A1A 테이프레코더

데이터 주( 16)

121 선박의 위치 데이타 주( 17)

122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3

개별국의반자동또는자동접속호출

A1A 전건 및핸드셋(Handset)

데이터 주( 18)

124또는F1CF2C

F3C팩시밀리장 데이터 주( 19)

125의DX

위치의동기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6 정보없음 정보없음 주( 20)

12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주( )

앞으로의 사용을 위하여 유보한다1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2 [100] [109] 2 Telecommand

코드번호 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3 [104] 1 Telecommand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 시스템에만 사용한다4

- 33 -

선박의 항해 운항 필수품에 관한 통신과 정부의 기상업무기관으로 보내는 기5

상 관측 통보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6 [115] [124] 2 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을 제외하고 제7 [104][105][106][110][112] [118] 1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의 제 와 조합하여8 [100][101][109][115] [124] 1 Telecommand

사용한다

수색구조용 레이다트랜스폰더를 제외한다9

무선설비규칙의 제 조의 에 정하는 것으로 한다10 69 4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1 (V21)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2 (V22)

앞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1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4 (V2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5 (V2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6 (V1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7 (V26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8 (V27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9 (V32)

코드번호 를 제외하고 제 와 조합하여 사20 [104][110][112] 1 Telecommand

용한다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 코드번호는 중단21 Format

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에서 까지 [102] [124] ([110][112][117]

및 를 제외한다[122] )

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및VHF [100][101][104][105][106][121]

일 것[124]

별표 동기신호의 송출순서[ 9]

주 기호 및 에서 까지가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DX] [RXO] [RX7]

- 34 -

별표 자리 숫자의 코드 변환표[ 10] 10

자리의 숫자10

십억D2

억D1

천만D2

백만D1

십만D2

만D1

천D2

백D1

십D2

일D1

코드5 코드4 코드3 코드2 코드1

주( )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1 1

및 은 자리 숫자의 자리 숫자 에서 까지를 표시하고 각 코드는2 D2 D1 10 2 00 99

그 자리의 십진수를 코드번호로 한다2

숫자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최상위 자리수의 숫자 앞에 을 포함할 것3 0

별표 해역의 표시방법[ 11]

해역의 표시는 다음과 같은 것

선정되는 지리상의 해역은 메르카토르 도법의 직사각형으로 표시할1 (Mercator)

직사각형의 북서를 해역의 기준점으로 할 것2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존재하는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3 1

으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0] [1] [2] [3]

할 것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위도를 표시할 것4 2 3

제 번째에서 제 번째가지의 숫자는 기준점의 경도를 표시할 것5 4 6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남북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6 7 8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동서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7 9 10

표에 표시하는 해역 및 의 표시의 예는 다음과 같을 것8 ab c

기준점이 북위 도 및 서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1) 10 25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20 35 a

1 1 0 0 2 5 2 0 3 5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2) 10 10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10 10 b

2 1 0 0 1 0 1 0 1 0

- 35 -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3) 12 12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4 7 C

2 1 2 0 1 2 0 4 0 7

별표 주파수 및 채널정보의 코드변환표[ 12]

주파수0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주파수를 의 배수로서 숫자의 십100

만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다 1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2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채 널

3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중단파대 또는 단파대의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 다

8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별도로 정한 채널로 한다

9 0 times times times times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18게기하는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천 백 십 및 일의 숫자로 표시한다

십만 만 천 백 십 일

코드3 코드2 코드1

주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 ) 1

- 36 -

별표 종료신호의 송출순서[ 13]

주 기호 가 종료신호를 표시한다( ) H

- 37 -

제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3

제 절 송수신장치1 DSC VHF

시스템 개요1

본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모든기능을 충족하는 일체형과 전화용 복신방식의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호출 및 수신제어장치 로구분된 독립형 으로 구분되며 DSC DSC

이는 외형상의 구분이며 그주요기능별 구성은 각각의 유니트로된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표시 및 제어장치 와 전원부 로 구분되며 이것들은 다시 하나의DSC

케비넷 또는 독립된장치로서 구성된다

시스템 구성2

장비의 개요 및 특징3

가 개요

본 송수신기는 항만내 또는 연안에서 해안국과 선박국 또는 선박국 상호간VHF FM

의 해상이동업무 통신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기로서 이내의 해상156 ~162

이동 무선통신업무용의 전 을 수용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전파관리법 및CHANNEL

등 국제규격에 적합하도록 설계 제작된 기기로서 전세계ITU SOLAS USA USCG

어느곳에서나 규정에알맞게 사용할 수 있는 국제항만 무선전화기용 무선 송수신기

를 제작한다

- 38 -

나 특징

소형 경량화로서 좁은 장소에 설치가 용의하게 되어 있어야 한다(1)

송신각 각 방식을 채용하였으며 국제 항만 무선전화(2) DIRECT SYNTHESIZER

인 를 수용해야 하며 그외 개의CHANNEL 55(114) CHANNEL 105(527) FREE

이 수용되어 있어야 한다CHANNEL(SIMPLEX)

주 국제 중 미국연안에서 단식방식으로 절환 사용되고 있는1 CHANNEL 55(114)

을 사용 할 수 있을것USA CHANNEL(SIMPLEX)

주 별도의 기상수신 을 수용하고 있어야 한다2 WEATHER CHANNEL( )

USA 3 CHANNELS

CANADIAN 1 CHANNEL

OTHERS 5 CHANNELS

원격조정 회로의 내장으로 본기기의 판넬스위치와는 상관없이(3) REMOTE ( ) HAND

만 으로도 판넬 스위치 조작에 필요한 모든기능을 할 수 있고SET CONTROL VHF

의 원근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어야 한다SET

기능이 첨부되어 있어 미국연안 경비대 의 의무 청취(4) DUAL WATCH USCG( )

인 과 의 개의 을 동시에 수신할 수CHANNEL CH 13 CH 16 2 CHANNEL SCANNING

있으며 과 사용자가 선택하는 임의의 을 동시에CHANNEL 16 CHANNEL SCANNING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에 경보신호 기능의 내장으로 비상시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5) CH 16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국제 개 및 을(6) SCAN CHANNEL 55 FREE CHANNEL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SCANNING

안전통신에 지정되어 있는 은 우선 사용할 수 있도록(7) CHANNEL16 1 STEP

로 되어 있어야 한다SWITCH

국제 해상 인명 안전조약 에 정한 규격으로 되어 있어 전세계 어느곳의(8) SOLAS( )

규정에도 적합하며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구 성4

본 기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가 송 수신기 본체 대 1

나 HAND SET 1 SET

다 WHIP ANTENNA 1 SET

라 벽걸이형 SPEAKER 1 SET

마 전원 공급기 1 SET

- 39 -

규 격5

주파수 및 규격은 현재의 통신방식이며 정보통신부의 고시가 발표되면 협대역(125

로 변경한다)

가 일반사항

사용주파수 범위(1)

송 신 156025 ~ 157425 수 신 (SIMPLEX) 156025 ~ 157425 수 신 (DUPLEX) 160625 ~ 162025 기상수신 (WEATHER) 161650 ~ 162550

사용(2) CHANNEL

A International 55 (114) CHANNELSB USA 25 CHANNELSC FREE 105 (527) CHANNELSD WEATHER 9 CHANNELS

USA 3 CHANNELSCANADIAN 1 CHANNELOTHERS 5 CHANNELS

통신 방식(3) SIMPLEX amp DUPLEX

전파의 형식 전화(4) 16KOF3E( G3E DSC F2BG2B)

주파수 편차(5) 0001 (10 PPM)

사용 온도범위 부터(6) -10 + 50

예열 시간 전원 접속후 즉시 사용가능(7)

공칭(8) ANTENNA IMPEDANCE 50 ohm ( )

공급 전원(9)

전 압 136V plusmn 10전 류 수신시 800

송신시 5A전원 공급기 별도( ) 단상AC115V AC220V 60

부터 까지DC 15V 35V

나 송 신 부

정격 출력(1) HIGH -25 W

LOW - 1W

주 공중선 전력 저하장치로 이하 저하기능 보유1 1WATT주 단 보호 인 및 가 아님 은 송신이2 CHANNEL 7576 1 ~9(01 ~09 )CHANNEL되지 않음 기상수신대의 사용법은 본문 참조 ( )

- 40 -

발진 방식(2) SYNTHESIZER CONTROL SYSTEM

변조 방식(3) FREQUENCY MODULATION

점유 주파수 대역폭(4) 16 (8)

최대 주파수 편의(5) 5 (25)

복사강도 이상(6) SPURIOUS 70

변조 주파수 특성(7) 6 (plusmn 3 ) OCTAVE PRE-EMPHASIS)

(300 ~ 3 )

변조시 이하(8) DISTORTION 1 70 -20

신호 대 잡음비 변조시 이상(9) 1 70 40

저역 여파기 특성 이상에서 이상 감쇄(10) 3 -40log f3( ) (f = )

다 수 신 부

수 신 방 식(1) DOUBLE SUPERHETERODYNE SYSTEM

감 도(2) 이하 신호 대 잡음비 에서 025 V ( 20 )μ

감도(3) SQUELCH 이하 02 Vμ

국부 발진 주파수(4) 1lsquost LOCAL FREQUENCY

RECEIVER FREQUENCY - 214

2nd LOCAL FREQUENCY 10945

중간 주파수(5) 1lsquost IF FREQUENCY 214

2nd IF FREQUENCY 455

선 택 도(6) 저하폭 이상 6 12 (6)

저하폭 이하 70 25 (125)

(7) SPURIOUS RESPONCE 이상 70

감도 억압 효과(8) 이상 80

상호 변조 특성(9) 이상 65 ( 20 40 )

주파수 특성(10) 6 (plusmn3 )OCTAVE DE-EMPHASIS)

( 300 ~ 3 )

신호 대 잡음비(11) 변조시 이상 1 60 40

(12) DISTORTION 변조시 이하 1 70 -20

저주파 출력(13) 이상 1 WATT (IMPEDANCE 8 ohm)

- 41 -

제 절 차년도 개발 범위2 1

제 차년도 개발범위는 기초자료조사와 규정의 연구에 따라 기초회로의 설계 후1

사용부품을 시험하고 각 의 제작 및 시험 연이은 성능미달 의 차 차PCB PCB 2 3

차 재제작 시험을 완료하고 시스템의 설계까지이며 그 세부적인 개발범위는 다음4

과 같다

송수신장치 개발을 위한 제규정 수집 연구1 DSC VHF

기초자료 조사2

가 장비에 대한 기능특성 수집 연구

나 사용자 및 선박통신사의 요구사항에 대한 자료 수집 연구

다 외국장비와 비교 분석

라 부품규격 시험 및 선정

3 HARD WARE

가 고주파 필터코일 재질분석 및 각종코일 설계

나 제작 PCB

송신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1) PCB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시험(2) PCB

수신부회로 제작 시험(3) PCB

신세사이즈 회로 제작 시험(4) PCB

제어장치 제작 시험(5) PCB

표시장치 제작 시험(6) PCB

원격제어기 제작 시험(7) PCB

전원공급부 제작 시험(8) PCB

제작 시험(9) HAND SET PCB

전용수신기 제작 시험(10) DSC PCB

- 42 -

제 장 제 차년도 개발 항목 보고4 1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본 장비를 개발함에 있어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및 부품선정이 개발의 핵심 과제

로 생각하였다

기초자료는 기존 시스템분석과 전파관련법령을 기초하였고 주변회로는 관련된 회

로집을 분석하였으며 부품선정은 폐품종 여부와 수급이 용이하면서 견고하고 증폭

도 및 성능이 우수한 품종으로 장시간 시험을 거쳐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송신부 제작시험2

송신 출력회로 결정 회로설계 완료하여 각부 부품 구입 회 내구성 시험 및SPEC 30

구룹별 장시간 부품 부하 시험등 최종목표 성능을 확보하기위한 제반 기초 제작시

험을 완료 하였으며 주요 내용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의 발열상태등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의 높은 출력으로 증폭하는 송신전(VHF ) 25W

력 증폭기로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높은 고주파전력에 견딜수있어야 하고 열

에의해 발생되는 열잡음이 적으야하며 열에의한 부품의 열화 및 특성의 변화가 적

은 부품을 사용여야 하므로 온습도시험 과 과출력 시험을 통하여 사용될 부품을 시

험하였다

특히 고조파 필터회로 부품인 코일은 동선에 전도율이 좋은 재질로 도금하여 사용

하여야 하며 고조파필터회로 의 차폐용 재료도 동판에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도금

하여 사용 하여야 한다

나 송신 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PCB (PCB NO V-097)

개발과정에서의 설계변경 및 생산시스템의 전산화 에 적용 할수있도록 회로 설계는

물론 설계 회로기판 도안 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설계완료된 는PCB ( ) CAD DATA

회로기판 제작장치 외주 작업 및 부품삽입기 자사 작업 에 직접 컴퓨터용 디스켙( ) ( ) (

으로 입력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회로에 높은 고주파전류가 흐르므로인하여 빌진할 가능성 및 잡음발생의 우려PCB

가 많으므로 특히 부품배치에 유의하여 설계하였으며 송신신호 발생회로 또는 전원

회로 와의 배선은 관통형콘덴서등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였다

회로에 사용되는 코일은 각 코일간에 간섭을 줄이기위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설정하

였으며 전체를 차폐하고 또 고조파 필터회로를 구분하여 차폐하여 제작 하였PCB

- 43 -

또 안정된 출력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회로를 장치하여 설정된 출력 이상의ALC

출력을 제한한다

다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PCB (PCB NO V-096TX)

설계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이 는 미약한 고주파 신호를 발생 변PCB CAD PCB

환 증폭 하므로서 송신부 또는 외부로 부터의 잡음 유입과 내부잡음 발생에 유의

하여 설계되었으며 불요복사 억제에 유의하였다

라 성능시험

메칭상태 시험(1)

옴 파장 수직형 안테나 를 사용할수 있도록 시험하였으며 차적인 시험은 의50 12 1

사부하에 의해 시험하고 의사부하 안테나에 정상적인 메칭이 된 후 실제 사용 안테

나에 확인시험 하였다

이 시험에서 양질의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장치는 물론 안테나의 성능이 중

요하며 인접한 고전력 안테나 및 낙뢰로부터 안정성 등을 감안하여 안테나는 VHF

대역 이하의 주파수에 대하여 쇼트형 안테나가 바람직 하다

기존 시스템의 이상의 성능 확보(2) 90

송신부의 주기능으로서 양질의전파를 안테나로 공중에 발사하는 장치로서 주피수안

정도 고조파억압 불효전파억제 안정된전력 안정된 주파수편이 낮은 왜율 등의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시험결과는 기존의 제품의 특성에 가까운 성능을 확보

하였으나 안테나공용기 복신통신용 필터 특성의 개선및 송신부 관련부품의 배치를( )

개선하므로서 보다 좋은 성능을 확보 할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신부 제작시험3

수신부는 안테나입력회로 입력동조회로 단신통신 및 복신통신 각 주파수 대역 필 (

터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로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 1 1 2 2

로 대역필터회로 신호제한 리미터 회로 복조회로 무신호잡음 차단 회로 저주 ( ) FM

파 증폭회로 및 국부발진회로 로서 구성되나 국부발진회로는 잡음의 발생및 유입

주파수안정도 등을 감안하여 별도의 로서 제작하였으며 그외 수신부와 관련한PCB

내용은 다음과 같다

- 44 -

가 사용부품의 구입 및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증폭과 변환을 반복하여 요구되는 신호(VHF )

를 복조하여 기청음 또는 의 문자표시로 출력되게 하므로서 안정된 주파수 및DSC

증폭이 요구되므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당연히 고주파특성에 유의하여 주파수

차에의한 특성변화 열잡음 및 고주파잡음 능동소자등의 직선성 등이 교려되어야하

므로 항온항습시험과 과전류에의한 잡음발생의 시험 등 을 거처 엄선한 부품으로

설정사용 하였다

특히 회로의 선택도 코알의 값 를 높이기 위하여 가 높은 트랜스 재료를 사용하( Q ) Q

였다

다 수신부회로 제작 PCB (PCB NO V-096RX)

위 항에서의 시험에 의해 선택된 부품을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며 수신부의 특성31

상 잡음의 발생보다는 잡음의 유입에 유의하여 설계되었으며 안정된 증폭 특성 수(

신감도 을 얻기위하여 중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회로기판은 에폭시) 2

수지 양면인쇄동판을 사용하여 부품삽입면은 대부분 공통단자로 이용하여 부품간의

간섭을최소화 하였다

다 수신부 특성시험

수신부 특성상 수신감도 주파수안정도 왜율 통과대역폭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감도억압비 혼변조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신호대 잡음비 일 때의 수신감 20

도 성능이 확보되며 기타 여러 가지 특성도 최종목표 특성에 가까운 성능이05

확보 되었으나 까지 수신감도가 향상되도록 성능개선이 요구된다025 V 120757

신세사이즈부의 회로의 안정도로 인하여 국부발진 신호의 흔들림현상이 있어VCO

통과대역폭 및 잡음발생의 원인이되어 신세사이즈회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신세시이즈회로는 크게 수신국부발진 신호용과 송신신호용으로 구분되며 단신통신

과 복신통신방식일때 각각 동작할수있는 구성으로 설계되었으며 그 내용별로 구분

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전압제어발진기 에 사용되는 부품은 온도 및 전압변동에 특성의변화가 극히(VCO)

적어야하며 외부로부터 정전 및 자계영향이 크므로 회로를 별도로 정전 및 자VCO

계로부터 차폐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혼변조 및 잡음신호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파수선택 표준신호 등 시 수신( )

대역 및 송신대역에 영향이 없는 주파수로 하였으며 가능한 레벨을 제외한 신(TTL

호 파형의 왜율이 적은신호로서 각회로신호를 사용하여 결합하였다)

- 45 -

나 신세사이회로 제작 (PCB NO V-096PLL)

이회로 기판은 여러종류의 신호들이 발생 혼합 증폭 비교 되므로 각부품 간의 배

치에따라 잡음발생의 정도가 크게 좌우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였으며 회로는 외VCO

부영향에 민감하게 작동되므로 차폐 에 유의하여 부품의 배치 적절하게 하였으며

잡음발생을 유의하여 부품을 선정하였다

다 성능시험

이회로의 특성상 주파수안정도 주파수의 흔들림 위상비교기의 비교속도 등에 유의

하여 시험하였으며 여러가지 일반적인 특성은 최종목표사양에 만족될 수 있는 신호

원을 공급할수 있었어나 주파수의 흔들림 현상이 있어 회로의 부품 및 차폐에VCO

개선이 요구된다

제어장치 제작시험5 (PCB NO V-263)

이회로의 주요부품으로서 를 사용하여 당개발과제의 송수신 및 외부V25 CPU DSC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며 아울러 본체 전면표시기와 스윗치 입출력 기능도 한다

이회로의 주요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스 읽기전용 메모리 읽고CPU( ) ROM( ) RAM(

쓰기 메모리 직렬통신용 입출력 병렬통신 입출력 아날로그 디지) SIO( ) PIO( ) AD(

탈 변환기 스윗치입력 표시기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개발 내용은 다음과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에 사용되는 부품은 대부분 디지탈신호를 처리하여 회로로서 및TTL IC

로서 구성되며 저소비전력 및 고속처리능력이 요구되므로 주로 고속용C-MOS IC

중 형 를 사용 하였으며 장치의 초기설정 및 기능 설정의C-MOS(C-MOS IC HC )

변경등 의 목적으로 은 충전형 밧테리로서 메모리내용을 전원의 에 관RAM ONOFF

계없이 유지하도록 하였다

외부 제어기 등 와의 통신용 의 통신속도를 또는 등으로(DSC ) RS-232C 2400 4800

변경 설정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변환기 등을 이용하여 자기진단을 할수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장비의 유지및AD

보수에 많은 도움이된다

- 46 -

나 성능시험

운용시험(1)

이회로의 특성상 전기적 특성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특성 및 성능이 요구되므로 운

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이부분에 대한 시험은 개발자입

장이 아닌 운용자가 시험하여야 하는 관계로 선박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사용자에게

의뢰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로서는 기능면에서는 양호하나 사용상 복잡한 면이 있어 보다 조작 을 간편

히 할수있도록 개선할 필요가있는 것으로 본다

표시장치 시험(2) (PCB NO V-260)

본장치의 사용상 필요한 기능 및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내용과 기기 동작

상태의 일치성이 요구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온습도 및 장기시험 으

로서 확인하였으며 여러 가지 표시장치중 각각 중단점이 나타낮다

즉 액정 표시기 표시기는 저소비전력이며 주위가 밝은곳에서 사용이 가능 하LCD( )

나 반면 온도특성이 나쁘며 형광표시관 표시기는 온도특성은 양호하나 소비전 VFD( )

력이 대체로 높고 보다 낮고 보다 많음 수명이 낮다는 단점이있으며(FND LCD )

발광 다이오드 표시기는 모든면에서 대체로 양호 하나 잡음발생 이많으며 밝FND( )

은곳에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외 여러 가지의 장담점을 검토하여 차적인 결론은 표시기가 적합한 것으로1 LCD

본다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최소의 전기적신호 연결로서 최대의 기능제어및 속도가 요구되는 장치로서 저주파

신호의 입력 마이크 신호 및 출력 스피크 신호 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 제어는( FS ) ( )

직렬통신 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였으며 장거리 일반 공용통신망 을 이(RS-232C)

용할수도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요 구성은 중앙제어장치 스윗치입력 장치 표시장치 메모리장치 직렬통신장치

로 구성되며 그 상세한 개발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의 대부분이 디지탈신호의 처리회로로서 구성되므로 제어장치 의 사용 부품ldquo rdquo

시험 및 선정기준과 같으며 장거리운용상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신속도를

알맞게하며 장거리통신 선로에서 유기되는 잡음을 최소화 하기위한 필터회로 및

소프트웨어적인 오류정정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별도 설계 사용 하였다

- 47 -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V-170)

이장치는 사용상 편리하여야 하므로 소형 경량 으로 제작 하였으며 차적 기능 시 1

험을 목적으로 외형 보다는 성능을 우선하여 시험용으로 제작하였다 이장치의 시

험은 전용케이블 을 이용하여 시험하였고 또 일반 공용통신용 전화 선로를 통하여

원거리 시험을 하였으며 그결과로서 통신속도가 까지 양호하게 동작되나2400bps

그이상의 통신속도로서 운용 할려면 전용회선이 필요하게된다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가 결정 SPEC

각회로 에서 필요로하는 전압 및 전류에 알맞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반 성능

을 차적으로 설정 하였으며 최종목표 사양에 일치하기위하여서는 전원부의 장치에1

대하여 모든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최종 특성이 설정 되어야 한다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P-099)

이장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되나 반면에 안정성이 확고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안

정성을 첫째로 중요시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이회로는 많은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많은 전력이 열로서 손실되므로 방열에 특히 유의하여 제작되었으며 열발생이 많은

부품은 알미늄 방열판에 설치하고 이방열판은 본장치 외함의 바깥쪽에 설치하여 방

열효과를 최대화 하였다

이회로의 시험은 과입력전압 및 과소비전력 일때의 안정성에 중점 시험하였고 그시

험을 위하여 장시간 항온 항습기 를 이용하여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전원부의 안정

성 확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도 이회로를 특별히 개선하지 않고도 최

종목표 사양에 만족하리라 본다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PCB NO V-098)

마이크 회로 수화기 회로 송신 스윗치 회로 로서 구성되며 이장치는 사용 특성상

충격에 강하도록 설계제작 되어야 하며 무게는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재료선택이

중요하며 이러한점을 감안하여 사출금형에 의하여 성형 하였으며 성형 제료로서는

제료를 사용하고 사용 부품을 최소화 하여 제작 하였다ABS

이장치의 특성상 견고하며 방수효과가 최대이어야 하므로 충격 자연낙하 시험 및( )

방수시험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 성형제료 및 외형상의 문제는 없이나

송화기 및 수화기의 선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송화기는 콘텐서형

마이크가 좋으며 수화기로는 가변코일형으로서 떨림판이 평면으로된 수화기가 우수

한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선정하여 제작시험 하였다

- 48 -

전용 수신기9 DSC (PCB NO T-342)

전용수신 장치는 송수신장치중 송신부를 제외한 구조와 유사하므로 개발과정에서

송수신장치중 수신부회로에 복조장치 를 추가하여 별도 로 제작하여 시험DSC PCB

하였으며 개발내용중 전용수신기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DSC

가 기능 및 동작

변조되어 수신된 신호를 필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후 신호 처리용FM DSC DSC

마이크로프로세스 에 공급하여 소프트웨어로서 신호를 분석한후 표시장치 메(CPU)

모리장치 인쇄장치 등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전용 찬넬인 번 찬넬을 항상 DSC 70

수신상태로 동작하여 신호 도트신호 를 검출하고 신호가 있으면 이어서CALL ( ) CALL

수신되는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표시장치 및 경보장치에 출력한다

나 신호 신호 필터회로 와 신호 처리부 및 제어용회로부 DSC (FS ) DSC DSC

제작시험 (PCB NO T-325 T-326 T-327)

이 회로의 성능은 주로 필터 및 디지탈변환 회로에서 결정되며 소프트웨어의 성능

에 따라 안정성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점을 유의하여 설계제작 하여으며 성능 시험

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험용 정보를 송신장치로 통해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후 그

결과를 분석 시험 하였다

다 전용 수신기의 개발과정 에서의 학보된 기술 DSC

신호 및 의 신호 의 필터 및 디지털 변환 기술DSC (1300 2100 FS )

신호 검출 및 직렬신호의 병렬변환 소프트웨어DOT

기술 정보의 비교 및 인쇄출력 소프트웨어 기술

종합시험10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별 차 차 차 보완시험은 만족하며 앞으로 개발의 중점은 사용의 편리성과PCB 1 2 3

생산성에 중점 개발이 요하며 배치에 따라 야기될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 PCB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후 최종제품을 제작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49 -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1

가 전면판 사출금형

나 옆판 스피커 안테나 금형

다 노브 사출금형

라 윗면 및 밑면 프레스 금형

마 설치용 고정장치 사출 금형

바 설치대 프레스 금형

사 뒷면 작업용 프레스 금형

아 항온조용 열차단금형

자 필타 금형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2

가 송수신기 제어장치 프로그램

나 전용 수신기 제어용 프로그램 DSC

다 원격조정기 프로그램

라 송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마 수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3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21: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21 -

제 절 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3 DSC VHF

일반적 조건1

가 취급이 용이한 것일 것

나 에서 까지의 숫자 입력판을 갖는 경우에는 그 숫자의 배열은 국제전신전화자 0 9

문위원회의 권고 에 의한 것일 것E161

공중선의 단선 또는 공중선 단자의 단락으로부터 보호수단을 가질 것

과전류 과전압 전원의 과도변동 및 전원극성의 우발적인 반전으로부터 보호수단이

있는 것일 것

노출된 금속부분은 접지하는 것이 가능할 것

전원단자는 접지되어 있지 않을 것

전원 볼트를 초가하는 전기 고주파의 것을 제외 를 통하는 도전부는 용이하게 노55 ( )

출이 되지 않도록 다음의 어느 조건에도 적합한 차폐체를 갖고 있는 것일 것

차폐체를 개방한 때는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되는 구조일 것(1)

차폐체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공구를 필요로 하는 구조이고 또는 고전압에 대한(2)

주의사항이 표시되어 있을 것

다 통상의 설치된 상태에서 제조자명 형식명 및 제조번호가 명확하게 판독 가능하

도록 외부에 표시되어 있을 것

라 장치의 일부를 가열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급전후 분이내에 일정온도에 달하 30

는 것일 것

다만 가열회로에 공급하는 전력은 다른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치단에 의해

절단되지 아니할 것

마 전원공급후 송신장치의 일정분에 전압의 공급을 지연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는 그 지연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것

디지틀선택호출장치의 조건2

선박의 위치 및 위치를 결정한 시각의 자동입력 기능을 갖는 경우에는 동기능의

고장이 장치의 다른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

가 선택호출 신호의 구성

조난경보등 조난경보 조난경보에 대한 응답 조난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1) (

중계에 대한 응답을 말한다 이하 같다 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및 무선설비의 기기 )

의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이하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이외의 선택( ldquo rdquo )

호출신호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1

- 22 -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2) 2

조난 경보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 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3) 3

일 것

조난 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 중계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4)

성을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4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5) 5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오류검정부호를 제외한다 에 사용하는 단위 부호는(6) (dot ) 10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6

나 선택호출신호의 송출조건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오류검정부호를 제외한다 의 송출은 최초의 송출과 반(1) (dot )

복송출과의 사이에 개의 코드가 놓아진 방식일 것4 Time Diversity

선택호출신호의 반복송출은 다음과 같은 것일 것(2)

가 조난경보를 연속하여 송출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조난 경보를 최후의 신호와( )

다음에 송출되는 조난경보의 신호와의 사이를 가격없이 송출가능한 것일 것dot

나 디지탈선택호출통신망을 위한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호출( )

또는 응답의 선택호출 신호의 경우는 별표 에 따라서 회를 초과하지 않는 회수를7 4

반복하여 송출가능할 것

다 가 및 나 이외의 경우는 반복하여 송출이 가능하지 않는 것일 것( ) ( ) ( )

다 선택호출신호의 수신조건

조별 의 장치는 제 호에 규정한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1) (class) A 2

읽어냄이 가능할 것

조별 의 장치는 다음의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표시하는(2) (class) B

것이 가능할 것

가 제 호에 규정하는 선택호출신호중 종별 의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것( ) 2 (class) B

나 포맷 신호가 해역호출인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것( ) (format)

다 제 가 수신되지 아니할 것( ) 1 Telecommand

해안국의 장치는 제 호에 규정하는 선택호출신호 해안국의 장치의 것을 제외(3) 2 (

한다 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읽어냄이 가능할 것)

- 23 -

별표 선택호출신호 조난경보등을 위한 것 및 시험을 위한 것은 제외한다 의[ 1] ( )

구성

dot신 호

동 기신 호

Format신 호

Address신 호

Category신 호

자국의식별신호

정 보신호1

정 보신호2

정 보신호3

종료신호

오류검정신호

주( 1) 주( 2) 주( 3) 주( 45및6)

주( 7) 주( 8) 주( 9) 주( 10) 주( 11) 주( 12) 주( 13)

주( )

중단파대 및 단파대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하는 장치의 선1

택호출신호 이하 중단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에 있어서 선박국을 호출하( ldquo rdquo )

기 위한 선박호출신호의 경우는 비트 선박국에서 해안국으로 호출 및 응답하기200

위한 선택호출신호 및 국제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 계기하는 주파수18

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 하는 장치의 선택호출신호 이하 대 선택( ldquoVHF

호출신호 라 한다 의 경우는 비트일 것rdquo ) 20

표 에 나타내는 코드번호를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하는 것일 것2 8 9

호출의 종류를 나타냄에 있어서 다음의 장치마다 별표 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3 8

류를 표시하는 개의 동일 코드번호일 것2

종별 의 장치 선박국의 장치에서 별표 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류를 사용(1) (class)A ( 8

가능한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

종별 의 장치 선박국의 장치에 있어서 동표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류 중(2) (class) B (

해역호출 및 공통관계를 갖는 선단의 호출을 제외한 것의 사용이 가능한 것을 말한

다 이하 같다 )

해안국의 장치 동표에 게기한 호출의 종류중 조난경보 및 개별국의 반자동 또(3) (

는 자동접속호출을 제외한 것의 사용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

신호가 조난경보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는 상대국 식별4 Format

신호로 하여 선박국식별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 구성되는[0]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신호가 조난경보 또는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선택호출에 있어서는 사용5 Format

하지 않을 것

신호가 해역호출의 경우 종별 의 장치는 제외한다 는 별표 에 따라서6 Format ( B ) 11

해역을 자리 의 숫자를 표시하고 별표 에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통보의 우선순위 또는 종류 신호가 모든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통상업무7 (Format

및 선박업무를 제외한다 를 별표 에 따라 개의 코드번호에 코드화한 것일 것 다) 8 1

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 선박업무를 제외한 것으로 하고 또한 신 (class) B Format

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통상업무를 제외한 것일 것

- 24 -

자국의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8 [0]

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제 및 제 의 정보로 하여 별표 에 따라서 각각 개의 코드번9 1 2 Telecommand 8 1

호에 코드화한 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제 (class) B 1

를 다음과 같이하고 제 코드번호가 일 것Telecommand 2 Telecommand [126]

중단파대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하는 장치의 선택호출신호 이하(1) (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는 신호가 개별국의 호출일때에는 코드번ldquo rdquo ) Format

호 또는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일[119] [111] [118] Format

때에는 코드번호 또는 일 것[109] [111] [111]

선택호출신호는 신호가 개별국의 호출일 때에는 코드번호(2) VHF Format [100]

또는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일 때에는 코드번호[101] Format

또는 일 것[100] [101] [105]

다음의 방식일 것10

호출에 이어 계속 통신에 사용하는 송신 및 수신을 위한 주파수 또는 채널을(1)

나타내는 선택호출신호는 송신파 및 수신파의 순으로 별표 에 코드화한 것일 것12

다만 주파수 또는 채널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송신파 또는 수신파마다에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126]

선박의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선택호출신호는 코드번호 및 다음에 의거 표(2) [55]

시되는 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 자리숫자를 별표 에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가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가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나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부터 제 번째까지의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표시한다

제 가 선박의 위치인 호출에 대한 응답 이하 선박위치응답 이라(3) 1 Telecommand ( ldquo rdquo

한다 을 위한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의 가 및 나 에 의해 표시하는 선박의) (2) ldquo rdquo ldquo rdquo

위치를 나타내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코드화한 것 및 그것에 계속코드번호10 10

일 것[126]

에서 이외의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4) (1) (3) 6 [126]

선박위치응답의 경우 종별 의 장치를 제외한다 및 신호가 개별11 ( (class)B ) Format

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에만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각각 다음의 방

식일 것

선박위치응답의 경우는 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 국제표준시로 한다 이하 같(1) (

다 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2 10

개의 코드번호로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는 개2 2

의 코드번호 일 것[88]

- 25 -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는 아날로그 전화용(2) Format

설비와 접속하기 위한 번호 이하 전화번호 라 한다 등의 네트워크번호를 표시하는( ldquo rdquo )

것으로 하고

네트워크번호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코드번호를 짝수의 경우는 코드번호[105]

과 네트워크를 별표 에 준하여 개부터 개까지의 수의 코드번호로 코드화[106] 10 2 9

한 것일 것

응답을 필요로 하는 호출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응답12 [117]

을 위한 선택 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및 이외의 경우는 코드번호[122] [127]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 다만 신호가 모13 Format

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 코드번호 일 것[127]

오류검정부호는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정보비트 및 제 번째에서 제13 1 7 8

번째까지의 검정비트로부터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생성되는 각 비트10

의 및 이 각각 별표 에 표시하는 및 에 대응하는 단위 부호로[0] [1] 6 [B] [Y] 10

하여서 송출되는 것일 것

정보비트의 각 비트는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동기신호를 제외한다 의 모든(1) (dot )

코드번호 신호 및 종료신호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로 한다 에 대응하(Format 1 )

는 부호의 비트 위치마다 최하위 비트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다만 를 를 B 0 Y 1

로해서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검정비트는 정보비트의 의 수를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B 2

별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해안국의 장치는 제외한다[ 2 ] (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자국 의식별신호

주( 4)

조난종류 의정보신호

주( 5)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

주( 6)

시각정보신호

주( 7)

Tele-command정보 신호

주( 8)

종료신호

주( 9)

오류검정신호

주( 10)

주( )

중단파 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는 비트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비1 200 VHF 20

트일 것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2]

자국의 선박국 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4 [0] 10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조난의 종류를 표시하는 것으로 하여 별표 에 따라 개의 코드번호로 코드화한5 8 1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 (class) B 1 107

- 26 -

조난선박에 위치를 다음과 같이 자리의 숫자로 표시 하는 것으로 별표 에6 10 10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조난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것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99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1)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는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2)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한다

조난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것7 2

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개의 코드번호에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 10 2

를 포함하지않는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88]

계속하여 행하는 통신의 형식을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통신장치가 무선전화 또8

는 협대역직접 인쇄전신장치인 제 를 별표 에 개의 코드번호로1 Telecommand 8 1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방식일 것 (class) B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 일 것(1) 1 [109] [111]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VHF 1 [100]

코드번호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하는 것일 것9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별표 조난경보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선박국의 장치를[ 3] (

제외 )

dot신호

주( 1)

동기신호

주( 2)

For-mat신호

주( 3)

Cate-gory신호

주( 4)

자국의식별신호

주( 5)

Telec-ommand정보신호

주( 6)

조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7)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 8)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 9)

시각정보신호

주( 10)

Tleco-mmand정보신호

주( 11)

종료신호

주( 12)

오 류검 정신 호

주( 13)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6]

별표 의 주 과 같은 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4 1 7 [112]

자국의 해안국 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숫자를5 [0] 10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6 1 [1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일 것7

- 27 -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종류의 정보신호일 것8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일 것9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시각정보신호일 것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정보신호일 것11 Telecommand

코드번호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2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3 1 13

별표 조난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 중계에 대한 응답을 위한[ 4]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dot신호

주(1)

동기신호

주(2)

For-mat신호

주(3)

Addr-ess신 호

주( 4및56)

Cate-gory신 호

주(7)

자국의식별신호

주(8)

Telec-ommand정보신호

주( 9)

조 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10)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11)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12)

시각정보신호

주(13)

Tleco-mmand정보신호

주( 14)

종료신호

주(15)

오류검정신호

주(16)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별표 의 주 과 같다 코드번호 이외의 것으로 한다3 1 3 ( [112] )

신호가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에는 상대국의 식별신호4 Format

로 하고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0] 10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5 Format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6

별표 의 주 과 같은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7 1 7 [112]

별표 이 주 과 같다8 1 8

개의 코드번호 일 것9 1 [112]

수신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 또는 수신한 조난경10

보의 중계의 조난선박국의 식별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종류의 정보11

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선박의 위치12

정보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시각정보일 것13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14 Telecommand

정보신호일 것으로 한다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것으로 하 (class) B

는 것이 가능할 것

- 28 -

중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1) 1 [109] [111]

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2) VHF 1 [100] [101]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코드번호 개별 해안국 앞15 Format [127]

으로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에는 코드번호 로서 별표[122]

의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3

별표 의 주 과 같다16 1 13

별표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대 선택호출신호를 제외한다[ 5] (VHF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Address신 호

주( 4)

Category신호

주( 5)

자국의식별신호

주( 6)

정 보신 호1

주( 7)

정 보신 호2

주( 8)

종 료신 호

주( 9)

오류검정신 호

주( 10)

주( )

비트일 것1 200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20]

상대국의 식별신호로서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이에 계속되는 으로서4 [0]

구성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1 [108]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8

각 개의 코드번호 및 일 것7 1 [118] [126]

개의 코드번호 일 것8 6 [126]

코드번호 또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9 [117] [122] 13

일 것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 29 -

별표 선택호출신호의 단위부호[ 6] 10

는 스페이스주파수 는 마크주파수로 대응하고 비트위치의 에서 송출된다B Y 1

협대역 일때MFHF B=1785 Y=1615

대역 일때VHF B=2100 Y=1300

- 30 -

별표 반복송출의 순서[ 7]

주 기호 는 선택호출신호의 종료신호를 표시하고 기호 는 에서 까( ) H DX RX0 RX7

지가 반복송출되는 선택호출신호의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31 -

별표 코드번호 의 용도[ 8] (100-127)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00 통상업무

화재 또는폭발

또는F3단신G3E

무선전화 이유없음 주( 3)

101 침수 또는F3복신G3E

무선전화 해사교환 센터의혼잡 주( 3)

102 해역호출

충돌 미확정주( 1)

통화중 주( 3)

103 좌초 Polling 대기행렬표시주( 3)

104 의RXO위치의동기신호

경사 및전복의위험

수입불가주( 2)

폐국 주( 3)

105 의RX1위치의동기신호

침몰 호출의 종료주( 4)

의 부재Operator주( 3)

106 의RX2위치의동기신호

선박업무주( 5)

조선불능으로 표류

데이터주( 6)

변복조장치

의Operator일시적 부재 주( 3)

107 의RX3위치의동기신호

기타의조난

미확정주( 1)

장치의 운용불가주( 3)

108 의RX4위치의동기신호

안전 선체의방치

미확정주( 1)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09 의RX5위치의동기신호

J3E 무선전화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10의RX6

위치의동기신호

긴급 조난경보에대한 응답

무력분쟁의당사국이 아닌것을 표시하는선박 및 항공기주( 7)

111 의RX7위치의동기신호

H3E 무선전화 위생수송체 주( 7)

112 조난경보

조난 조난자동통보설비(주 의9)시동

조난경보의중계

공중전화사무소주( 8)

- 32 -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13또는F1B방향오J2B(1

류정정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미확정 주( 1)

114

공통관계를 갖는선단의호출

미확정 주( 1) 미확정 주( 1)

115또는F1B자동재송J2B(

요구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데이터 주( 11)

116모든선박호출

또는F1B J2B수신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2)

11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18 시험 데이타 주( 14)

119또는F1B수신J2B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5)

120개별국의호출

A1A 테이프레코더

데이터 주( 16)

121 선박의 위치 데이타 주( 17)

122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3

개별국의반자동또는자동접속호출

A1A 전건 및핸드셋(Handset)

데이터 주( 18)

124또는F1CF2C

F3C팩시밀리장 데이터 주( 19)

125의DX

위치의동기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6 정보없음 정보없음 주( 20)

12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주( )

앞으로의 사용을 위하여 유보한다1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2 [100] [109] 2 Telecommand

코드번호 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3 [104] 1 Telecommand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 시스템에만 사용한다4

- 33 -

선박의 항해 운항 필수품에 관한 통신과 정부의 기상업무기관으로 보내는 기5

상 관측 통보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6 [115] [124] 2 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을 제외하고 제7 [104][105][106][110][112] [118] 1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의 제 와 조합하여8 [100][101][109][115] [124] 1 Telecommand

사용한다

수색구조용 레이다트랜스폰더를 제외한다9

무선설비규칙의 제 조의 에 정하는 것으로 한다10 69 4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1 (V21)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2 (V22)

앞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1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4 (V2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5 (V2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6 (V1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7 (V26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8 (V27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9 (V32)

코드번호 를 제외하고 제 와 조합하여 사20 [104][110][112] 1 Telecommand

용한다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 코드번호는 중단21 Format

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에서 까지 [102] [124] ([110][112][117]

및 를 제외한다[122] )

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및VHF [100][101][104][105][106][121]

일 것[124]

별표 동기신호의 송출순서[ 9]

주 기호 및 에서 까지가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DX] [RXO] [RX7]

- 34 -

별표 자리 숫자의 코드 변환표[ 10] 10

자리의 숫자10

십억D2

억D1

천만D2

백만D1

십만D2

만D1

천D2

백D1

십D2

일D1

코드5 코드4 코드3 코드2 코드1

주( )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1 1

및 은 자리 숫자의 자리 숫자 에서 까지를 표시하고 각 코드는2 D2 D1 10 2 00 99

그 자리의 십진수를 코드번호로 한다2

숫자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최상위 자리수의 숫자 앞에 을 포함할 것3 0

별표 해역의 표시방법[ 11]

해역의 표시는 다음과 같은 것

선정되는 지리상의 해역은 메르카토르 도법의 직사각형으로 표시할1 (Mercator)

직사각형의 북서를 해역의 기준점으로 할 것2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존재하는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3 1

으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0] [1] [2] [3]

할 것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위도를 표시할 것4 2 3

제 번째에서 제 번째가지의 숫자는 기준점의 경도를 표시할 것5 4 6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남북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6 7 8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동서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7 9 10

표에 표시하는 해역 및 의 표시의 예는 다음과 같을 것8 ab c

기준점이 북위 도 및 서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1) 10 25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20 35 a

1 1 0 0 2 5 2 0 3 5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2) 10 10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10 10 b

2 1 0 0 1 0 1 0 1 0

- 35 -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3) 12 12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4 7 C

2 1 2 0 1 2 0 4 0 7

별표 주파수 및 채널정보의 코드변환표[ 12]

주파수0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주파수를 의 배수로서 숫자의 십100

만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다 1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2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채 널

3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중단파대 또는 단파대의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 다

8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별도로 정한 채널로 한다

9 0 times times times times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18게기하는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천 백 십 및 일의 숫자로 표시한다

십만 만 천 백 십 일

코드3 코드2 코드1

주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 ) 1

- 36 -

별표 종료신호의 송출순서[ 13]

주 기호 가 종료신호를 표시한다( ) H

- 37 -

제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3

제 절 송수신장치1 DSC VHF

시스템 개요1

본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모든기능을 충족하는 일체형과 전화용 복신방식의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호출 및 수신제어장치 로구분된 독립형 으로 구분되며 DSC DSC

이는 외형상의 구분이며 그주요기능별 구성은 각각의 유니트로된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표시 및 제어장치 와 전원부 로 구분되며 이것들은 다시 하나의DSC

케비넷 또는 독립된장치로서 구성된다

시스템 구성2

장비의 개요 및 특징3

가 개요

본 송수신기는 항만내 또는 연안에서 해안국과 선박국 또는 선박국 상호간VHF FM

의 해상이동업무 통신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기로서 이내의 해상156 ~162

이동 무선통신업무용의 전 을 수용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전파관리법 및CHANNEL

등 국제규격에 적합하도록 설계 제작된 기기로서 전세계ITU SOLAS USA USCG

어느곳에서나 규정에알맞게 사용할 수 있는 국제항만 무선전화기용 무선 송수신기

를 제작한다

- 38 -

나 특징

소형 경량화로서 좁은 장소에 설치가 용의하게 되어 있어야 한다(1)

송신각 각 방식을 채용하였으며 국제 항만 무선전화(2) DIRECT SYNTHESIZER

인 를 수용해야 하며 그외 개의CHANNEL 55(114) CHANNEL 105(527) FREE

이 수용되어 있어야 한다CHANNEL(SIMPLEX)

주 국제 중 미국연안에서 단식방식으로 절환 사용되고 있는1 CHANNEL 55(114)

을 사용 할 수 있을것USA CHANNEL(SIMPLEX)

주 별도의 기상수신 을 수용하고 있어야 한다2 WEATHER CHANNEL( )

USA 3 CHANNELS

CANADIAN 1 CHANNEL

OTHERS 5 CHANNELS

원격조정 회로의 내장으로 본기기의 판넬스위치와는 상관없이(3) REMOTE ( ) HAND

만 으로도 판넬 스위치 조작에 필요한 모든기능을 할 수 있고SET CONTROL VHF

의 원근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어야 한다SET

기능이 첨부되어 있어 미국연안 경비대 의 의무 청취(4) DUAL WATCH USCG( )

인 과 의 개의 을 동시에 수신할 수CHANNEL CH 13 CH 16 2 CHANNEL SCANNING

있으며 과 사용자가 선택하는 임의의 을 동시에CHANNEL 16 CHANNEL SCANNING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에 경보신호 기능의 내장으로 비상시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5) CH 16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국제 개 및 을(6) SCAN CHANNEL 55 FREE CHANNEL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SCANNING

안전통신에 지정되어 있는 은 우선 사용할 수 있도록(7) CHANNEL16 1 STEP

로 되어 있어야 한다SWITCH

국제 해상 인명 안전조약 에 정한 규격으로 되어 있어 전세계 어느곳의(8) SOLAS( )

규정에도 적합하며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구 성4

본 기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가 송 수신기 본체 대 1

나 HAND SET 1 SET

다 WHIP ANTENNA 1 SET

라 벽걸이형 SPEAKER 1 SET

마 전원 공급기 1 SET

- 39 -

규 격5

주파수 및 규격은 현재의 통신방식이며 정보통신부의 고시가 발표되면 협대역(125

로 변경한다)

가 일반사항

사용주파수 범위(1)

송 신 156025 ~ 157425 수 신 (SIMPLEX) 156025 ~ 157425 수 신 (DUPLEX) 160625 ~ 162025 기상수신 (WEATHER) 161650 ~ 162550

사용(2) CHANNEL

A International 55 (114) CHANNELSB USA 25 CHANNELSC FREE 105 (527) CHANNELSD WEATHER 9 CHANNELS

USA 3 CHANNELSCANADIAN 1 CHANNELOTHERS 5 CHANNELS

통신 방식(3) SIMPLEX amp DUPLEX

전파의 형식 전화(4) 16KOF3E( G3E DSC F2BG2B)

주파수 편차(5) 0001 (10 PPM)

사용 온도범위 부터(6) -10 + 50

예열 시간 전원 접속후 즉시 사용가능(7)

공칭(8) ANTENNA IMPEDANCE 50 ohm ( )

공급 전원(9)

전 압 136V plusmn 10전 류 수신시 800

송신시 5A전원 공급기 별도( ) 단상AC115V AC220V 60

부터 까지DC 15V 35V

나 송 신 부

정격 출력(1) HIGH -25 W

LOW - 1W

주 공중선 전력 저하장치로 이하 저하기능 보유1 1WATT주 단 보호 인 및 가 아님 은 송신이2 CHANNEL 7576 1 ~9(01 ~09 )CHANNEL되지 않음 기상수신대의 사용법은 본문 참조 ( )

- 40 -

발진 방식(2) SYNTHESIZER CONTROL SYSTEM

변조 방식(3) FREQUENCY MODULATION

점유 주파수 대역폭(4) 16 (8)

최대 주파수 편의(5) 5 (25)

복사강도 이상(6) SPURIOUS 70

변조 주파수 특성(7) 6 (plusmn 3 ) OCTAVE PRE-EMPHASIS)

(300 ~ 3 )

변조시 이하(8) DISTORTION 1 70 -20

신호 대 잡음비 변조시 이상(9) 1 70 40

저역 여파기 특성 이상에서 이상 감쇄(10) 3 -40log f3( ) (f = )

다 수 신 부

수 신 방 식(1) DOUBLE SUPERHETERODYNE SYSTEM

감 도(2) 이하 신호 대 잡음비 에서 025 V ( 20 )μ

감도(3) SQUELCH 이하 02 Vμ

국부 발진 주파수(4) 1lsquost LOCAL FREQUENCY

RECEIVER FREQUENCY - 214

2nd LOCAL FREQUENCY 10945

중간 주파수(5) 1lsquost IF FREQUENCY 214

2nd IF FREQUENCY 455

선 택 도(6) 저하폭 이상 6 12 (6)

저하폭 이하 70 25 (125)

(7) SPURIOUS RESPONCE 이상 70

감도 억압 효과(8) 이상 80

상호 변조 특성(9) 이상 65 ( 20 40 )

주파수 특성(10) 6 (plusmn3 )OCTAVE DE-EMPHASIS)

( 300 ~ 3 )

신호 대 잡음비(11) 변조시 이상 1 60 40

(12) DISTORTION 변조시 이하 1 70 -20

저주파 출력(13) 이상 1 WATT (IMPEDANCE 8 ohm)

- 41 -

제 절 차년도 개발 범위2 1

제 차년도 개발범위는 기초자료조사와 규정의 연구에 따라 기초회로의 설계 후1

사용부품을 시험하고 각 의 제작 및 시험 연이은 성능미달 의 차 차PCB PCB 2 3

차 재제작 시험을 완료하고 시스템의 설계까지이며 그 세부적인 개발범위는 다음4

과 같다

송수신장치 개발을 위한 제규정 수집 연구1 DSC VHF

기초자료 조사2

가 장비에 대한 기능특성 수집 연구

나 사용자 및 선박통신사의 요구사항에 대한 자료 수집 연구

다 외국장비와 비교 분석

라 부품규격 시험 및 선정

3 HARD WARE

가 고주파 필터코일 재질분석 및 각종코일 설계

나 제작 PCB

송신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1) PCB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시험(2) PCB

수신부회로 제작 시험(3) PCB

신세사이즈 회로 제작 시험(4) PCB

제어장치 제작 시험(5) PCB

표시장치 제작 시험(6) PCB

원격제어기 제작 시험(7) PCB

전원공급부 제작 시험(8) PCB

제작 시험(9) HAND SET PCB

전용수신기 제작 시험(10) DSC PCB

- 42 -

제 장 제 차년도 개발 항목 보고4 1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본 장비를 개발함에 있어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및 부품선정이 개발의 핵심 과제

로 생각하였다

기초자료는 기존 시스템분석과 전파관련법령을 기초하였고 주변회로는 관련된 회

로집을 분석하였으며 부품선정은 폐품종 여부와 수급이 용이하면서 견고하고 증폭

도 및 성능이 우수한 품종으로 장시간 시험을 거쳐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송신부 제작시험2

송신 출력회로 결정 회로설계 완료하여 각부 부품 구입 회 내구성 시험 및SPEC 30

구룹별 장시간 부품 부하 시험등 최종목표 성능을 확보하기위한 제반 기초 제작시

험을 완료 하였으며 주요 내용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의 발열상태등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의 높은 출력으로 증폭하는 송신전(VHF ) 25W

력 증폭기로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높은 고주파전력에 견딜수있어야 하고 열

에의해 발생되는 열잡음이 적으야하며 열에의한 부품의 열화 및 특성의 변화가 적

은 부품을 사용여야 하므로 온습도시험 과 과출력 시험을 통하여 사용될 부품을 시

험하였다

특히 고조파 필터회로 부품인 코일은 동선에 전도율이 좋은 재질로 도금하여 사용

하여야 하며 고조파필터회로 의 차폐용 재료도 동판에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도금

하여 사용 하여야 한다

나 송신 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PCB (PCB NO V-097)

개발과정에서의 설계변경 및 생산시스템의 전산화 에 적용 할수있도록 회로 설계는

물론 설계 회로기판 도안 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설계완료된 는PCB ( ) CAD DATA

회로기판 제작장치 외주 작업 및 부품삽입기 자사 작업 에 직접 컴퓨터용 디스켙( ) ( ) (

으로 입력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회로에 높은 고주파전류가 흐르므로인하여 빌진할 가능성 및 잡음발생의 우려PCB

가 많으므로 특히 부품배치에 유의하여 설계하였으며 송신신호 발생회로 또는 전원

회로 와의 배선은 관통형콘덴서등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였다

회로에 사용되는 코일은 각 코일간에 간섭을 줄이기위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설정하

였으며 전체를 차폐하고 또 고조파 필터회로를 구분하여 차폐하여 제작 하였PCB

- 43 -

또 안정된 출력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회로를 장치하여 설정된 출력 이상의ALC

출력을 제한한다

다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PCB (PCB NO V-096TX)

설계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이 는 미약한 고주파 신호를 발생 변PCB CAD PCB

환 증폭 하므로서 송신부 또는 외부로 부터의 잡음 유입과 내부잡음 발생에 유의

하여 설계되었으며 불요복사 억제에 유의하였다

라 성능시험

메칭상태 시험(1)

옴 파장 수직형 안테나 를 사용할수 있도록 시험하였으며 차적인 시험은 의50 12 1

사부하에 의해 시험하고 의사부하 안테나에 정상적인 메칭이 된 후 실제 사용 안테

나에 확인시험 하였다

이 시험에서 양질의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장치는 물론 안테나의 성능이 중

요하며 인접한 고전력 안테나 및 낙뢰로부터 안정성 등을 감안하여 안테나는 VHF

대역 이하의 주파수에 대하여 쇼트형 안테나가 바람직 하다

기존 시스템의 이상의 성능 확보(2) 90

송신부의 주기능으로서 양질의전파를 안테나로 공중에 발사하는 장치로서 주피수안

정도 고조파억압 불효전파억제 안정된전력 안정된 주파수편이 낮은 왜율 등의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시험결과는 기존의 제품의 특성에 가까운 성능을 확보

하였으나 안테나공용기 복신통신용 필터 특성의 개선및 송신부 관련부품의 배치를( )

개선하므로서 보다 좋은 성능을 확보 할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신부 제작시험3

수신부는 안테나입력회로 입력동조회로 단신통신 및 복신통신 각 주파수 대역 필 (

터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로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 1 1 2 2

로 대역필터회로 신호제한 리미터 회로 복조회로 무신호잡음 차단 회로 저주 ( ) FM

파 증폭회로 및 국부발진회로 로서 구성되나 국부발진회로는 잡음의 발생및 유입

주파수안정도 등을 감안하여 별도의 로서 제작하였으며 그외 수신부와 관련한PCB

내용은 다음과 같다

- 44 -

가 사용부품의 구입 및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증폭과 변환을 반복하여 요구되는 신호(VHF )

를 복조하여 기청음 또는 의 문자표시로 출력되게 하므로서 안정된 주파수 및DSC

증폭이 요구되므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당연히 고주파특성에 유의하여 주파수

차에의한 특성변화 열잡음 및 고주파잡음 능동소자등의 직선성 등이 교려되어야하

므로 항온항습시험과 과전류에의한 잡음발생의 시험 등 을 거처 엄선한 부품으로

설정사용 하였다

특히 회로의 선택도 코알의 값 를 높이기 위하여 가 높은 트랜스 재료를 사용하( Q ) Q

였다

다 수신부회로 제작 PCB (PCB NO V-096RX)

위 항에서의 시험에 의해 선택된 부품을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며 수신부의 특성31

상 잡음의 발생보다는 잡음의 유입에 유의하여 설계되었으며 안정된 증폭 특성 수(

신감도 을 얻기위하여 중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회로기판은 에폭시) 2

수지 양면인쇄동판을 사용하여 부품삽입면은 대부분 공통단자로 이용하여 부품간의

간섭을최소화 하였다

다 수신부 특성시험

수신부 특성상 수신감도 주파수안정도 왜율 통과대역폭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감도억압비 혼변조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신호대 잡음비 일 때의 수신감 20

도 성능이 확보되며 기타 여러 가지 특성도 최종목표 특성에 가까운 성능이05

확보 되었으나 까지 수신감도가 향상되도록 성능개선이 요구된다025 V 120757

신세사이즈부의 회로의 안정도로 인하여 국부발진 신호의 흔들림현상이 있어VCO

통과대역폭 및 잡음발생의 원인이되어 신세사이즈회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신세시이즈회로는 크게 수신국부발진 신호용과 송신신호용으로 구분되며 단신통신

과 복신통신방식일때 각각 동작할수있는 구성으로 설계되었으며 그 내용별로 구분

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전압제어발진기 에 사용되는 부품은 온도 및 전압변동에 특성의변화가 극히(VCO)

적어야하며 외부로부터 정전 및 자계영향이 크므로 회로를 별도로 정전 및 자VCO

계로부터 차폐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혼변조 및 잡음신호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파수선택 표준신호 등 시 수신( )

대역 및 송신대역에 영향이 없는 주파수로 하였으며 가능한 레벨을 제외한 신(TTL

호 파형의 왜율이 적은신호로서 각회로신호를 사용하여 결합하였다)

- 45 -

나 신세사이회로 제작 (PCB NO V-096PLL)

이회로 기판은 여러종류의 신호들이 발생 혼합 증폭 비교 되므로 각부품 간의 배

치에따라 잡음발생의 정도가 크게 좌우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였으며 회로는 외VCO

부영향에 민감하게 작동되므로 차폐 에 유의하여 부품의 배치 적절하게 하였으며

잡음발생을 유의하여 부품을 선정하였다

다 성능시험

이회로의 특성상 주파수안정도 주파수의 흔들림 위상비교기의 비교속도 등에 유의

하여 시험하였으며 여러가지 일반적인 특성은 최종목표사양에 만족될 수 있는 신호

원을 공급할수 있었어나 주파수의 흔들림 현상이 있어 회로의 부품 및 차폐에VCO

개선이 요구된다

제어장치 제작시험5 (PCB NO V-263)

이회로의 주요부품으로서 를 사용하여 당개발과제의 송수신 및 외부V25 CPU DSC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며 아울러 본체 전면표시기와 스윗치 입출력 기능도 한다

이회로의 주요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스 읽기전용 메모리 읽고CPU( ) ROM( ) RAM(

쓰기 메모리 직렬통신용 입출력 병렬통신 입출력 아날로그 디지) SIO( ) PIO( ) AD(

탈 변환기 스윗치입력 표시기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개발 내용은 다음과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에 사용되는 부품은 대부분 디지탈신호를 처리하여 회로로서 및TTL IC

로서 구성되며 저소비전력 및 고속처리능력이 요구되므로 주로 고속용C-MOS IC

중 형 를 사용 하였으며 장치의 초기설정 및 기능 설정의C-MOS(C-MOS IC HC )

변경등 의 목적으로 은 충전형 밧테리로서 메모리내용을 전원의 에 관RAM ONOFF

계없이 유지하도록 하였다

외부 제어기 등 와의 통신용 의 통신속도를 또는 등으로(DSC ) RS-232C 2400 4800

변경 설정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변환기 등을 이용하여 자기진단을 할수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장비의 유지및AD

보수에 많은 도움이된다

- 46 -

나 성능시험

운용시험(1)

이회로의 특성상 전기적 특성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특성 및 성능이 요구되므로 운

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이부분에 대한 시험은 개발자입

장이 아닌 운용자가 시험하여야 하는 관계로 선박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사용자에게

의뢰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로서는 기능면에서는 양호하나 사용상 복잡한 면이 있어 보다 조작 을 간편

히 할수있도록 개선할 필요가있는 것으로 본다

표시장치 시험(2) (PCB NO V-260)

본장치의 사용상 필요한 기능 및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내용과 기기 동작

상태의 일치성이 요구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온습도 및 장기시험 으

로서 확인하였으며 여러 가지 표시장치중 각각 중단점이 나타낮다

즉 액정 표시기 표시기는 저소비전력이며 주위가 밝은곳에서 사용이 가능 하LCD( )

나 반면 온도특성이 나쁘며 형광표시관 표시기는 온도특성은 양호하나 소비전 VFD( )

력이 대체로 높고 보다 낮고 보다 많음 수명이 낮다는 단점이있으며(FND LCD )

발광 다이오드 표시기는 모든면에서 대체로 양호 하나 잡음발생 이많으며 밝FND( )

은곳에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외 여러 가지의 장담점을 검토하여 차적인 결론은 표시기가 적합한 것으로1 LCD

본다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최소의 전기적신호 연결로서 최대의 기능제어및 속도가 요구되는 장치로서 저주파

신호의 입력 마이크 신호 및 출력 스피크 신호 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 제어는( FS ) ( )

직렬통신 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였으며 장거리 일반 공용통신망 을 이(RS-232C)

용할수도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요 구성은 중앙제어장치 스윗치입력 장치 표시장치 메모리장치 직렬통신장치

로 구성되며 그 상세한 개발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의 대부분이 디지탈신호의 처리회로로서 구성되므로 제어장치 의 사용 부품ldquo rdquo

시험 및 선정기준과 같으며 장거리운용상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신속도를

알맞게하며 장거리통신 선로에서 유기되는 잡음을 최소화 하기위한 필터회로 및

소프트웨어적인 오류정정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별도 설계 사용 하였다

- 47 -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V-170)

이장치는 사용상 편리하여야 하므로 소형 경량 으로 제작 하였으며 차적 기능 시 1

험을 목적으로 외형 보다는 성능을 우선하여 시험용으로 제작하였다 이장치의 시

험은 전용케이블 을 이용하여 시험하였고 또 일반 공용통신용 전화 선로를 통하여

원거리 시험을 하였으며 그결과로서 통신속도가 까지 양호하게 동작되나2400bps

그이상의 통신속도로서 운용 할려면 전용회선이 필요하게된다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가 결정 SPEC

각회로 에서 필요로하는 전압 및 전류에 알맞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반 성능

을 차적으로 설정 하였으며 최종목표 사양에 일치하기위하여서는 전원부의 장치에1

대하여 모든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최종 특성이 설정 되어야 한다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P-099)

이장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되나 반면에 안정성이 확고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안

정성을 첫째로 중요시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이회로는 많은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많은 전력이 열로서 손실되므로 방열에 특히 유의하여 제작되었으며 열발생이 많은

부품은 알미늄 방열판에 설치하고 이방열판은 본장치 외함의 바깥쪽에 설치하여 방

열효과를 최대화 하였다

이회로의 시험은 과입력전압 및 과소비전력 일때의 안정성에 중점 시험하였고 그시

험을 위하여 장시간 항온 항습기 를 이용하여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전원부의 안정

성 확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도 이회로를 특별히 개선하지 않고도 최

종목표 사양에 만족하리라 본다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PCB NO V-098)

마이크 회로 수화기 회로 송신 스윗치 회로 로서 구성되며 이장치는 사용 특성상

충격에 강하도록 설계제작 되어야 하며 무게는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재료선택이

중요하며 이러한점을 감안하여 사출금형에 의하여 성형 하였으며 성형 제료로서는

제료를 사용하고 사용 부품을 최소화 하여 제작 하였다ABS

이장치의 특성상 견고하며 방수효과가 최대이어야 하므로 충격 자연낙하 시험 및( )

방수시험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 성형제료 및 외형상의 문제는 없이나

송화기 및 수화기의 선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송화기는 콘텐서형

마이크가 좋으며 수화기로는 가변코일형으로서 떨림판이 평면으로된 수화기가 우수

한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선정하여 제작시험 하였다

- 48 -

전용 수신기9 DSC (PCB NO T-342)

전용수신 장치는 송수신장치중 송신부를 제외한 구조와 유사하므로 개발과정에서

송수신장치중 수신부회로에 복조장치 를 추가하여 별도 로 제작하여 시험DSC PCB

하였으며 개발내용중 전용수신기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DSC

가 기능 및 동작

변조되어 수신된 신호를 필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후 신호 처리용FM DSC DSC

마이크로프로세스 에 공급하여 소프트웨어로서 신호를 분석한후 표시장치 메(CPU)

모리장치 인쇄장치 등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전용 찬넬인 번 찬넬을 항상 DSC 70

수신상태로 동작하여 신호 도트신호 를 검출하고 신호가 있으면 이어서CALL ( ) CALL

수신되는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표시장치 및 경보장치에 출력한다

나 신호 신호 필터회로 와 신호 처리부 및 제어용회로부 DSC (FS ) DSC DSC

제작시험 (PCB NO T-325 T-326 T-327)

이 회로의 성능은 주로 필터 및 디지탈변환 회로에서 결정되며 소프트웨어의 성능

에 따라 안정성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점을 유의하여 설계제작 하여으며 성능 시험

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험용 정보를 송신장치로 통해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후 그

결과를 분석 시험 하였다

다 전용 수신기의 개발과정 에서의 학보된 기술 DSC

신호 및 의 신호 의 필터 및 디지털 변환 기술DSC (1300 2100 FS )

신호 검출 및 직렬신호의 병렬변환 소프트웨어DOT

기술 정보의 비교 및 인쇄출력 소프트웨어 기술

종합시험10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별 차 차 차 보완시험은 만족하며 앞으로 개발의 중점은 사용의 편리성과PCB 1 2 3

생산성에 중점 개발이 요하며 배치에 따라 야기될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 PCB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후 최종제품을 제작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49 -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1

가 전면판 사출금형

나 옆판 스피커 안테나 금형

다 노브 사출금형

라 윗면 및 밑면 프레스 금형

마 설치용 고정장치 사출 금형

바 설치대 프레스 금형

사 뒷면 작업용 프레스 금형

아 항온조용 열차단금형

자 필타 금형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2

가 송수신기 제어장치 프로그램

나 전용 수신기 제어용 프로그램 DSC

다 원격조정기 프로그램

라 송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마 수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3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22: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22 -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2) 2

조난 경보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 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3) 3

일 것

조난 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 중계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4)

성을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4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은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5) 5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오류검정부호를 제외한다 에 사용하는 단위 부호는(6) (dot ) 10

별표 에 나타내는 것일 것6

나 선택호출신호의 송출조건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오류검정부호를 제외한다 의 송출은 최초의 송출과 반(1) (dot )

복송출과의 사이에 개의 코드가 놓아진 방식일 것4 Time Diversity

선택호출신호의 반복송출은 다음과 같은 것일 것(2)

가 조난경보를 연속하여 송출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조난 경보를 최후의 신호와( )

다음에 송출되는 조난경보의 신호와의 사이를 가격없이 송출가능한 것일 것dot

나 디지탈선택호출통신망을 위한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호출( )

또는 응답의 선택호출 신호의 경우는 별표 에 따라서 회를 초과하지 않는 회수를7 4

반복하여 송출가능할 것

다 가 및 나 이외의 경우는 반복하여 송출이 가능하지 않는 것일 것( ) ( ) ( )

다 선택호출신호의 수신조건

조별 의 장치는 제 호에 규정한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1) (class) A 2

읽어냄이 가능할 것

조별 의 장치는 다음의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표시하는(2) (class) B

것이 가능할 것

가 제 호에 규정하는 선택호출신호중 종별 의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것( ) 2 (class) B

나 포맷 신호가 해역호출인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것( ) (format)

다 제 가 수신되지 아니할 것( ) 1 Telecommand

해안국의 장치는 제 호에 규정하는 선택호출신호 해안국의 장치의 것을 제외(3) 2 (

한다 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읽어냄이 가능할 것)

- 23 -

별표 선택호출신호 조난경보등을 위한 것 및 시험을 위한 것은 제외한다 의[ 1] ( )

구성

dot신 호

동 기신 호

Format신 호

Address신 호

Category신 호

자국의식별신호

정 보신호1

정 보신호2

정 보신호3

종료신호

오류검정신호

주( 1) 주( 2) 주( 3) 주( 45및6)

주( 7) 주( 8) 주( 9) 주( 10) 주( 11) 주( 12) 주( 13)

주( )

중단파대 및 단파대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하는 장치의 선1

택호출신호 이하 중단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에 있어서 선박국을 호출하( ldquo rdquo )

기 위한 선박호출신호의 경우는 비트 선박국에서 해안국으로 호출 및 응답하기200

위한 선택호출신호 및 국제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 계기하는 주파수18

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 하는 장치의 선택호출신호 이하 대 선택( ldquoVHF

호출신호 라 한다 의 경우는 비트일 것rdquo ) 20

표 에 나타내는 코드번호를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하는 것일 것2 8 9

호출의 종류를 나타냄에 있어서 다음의 장치마다 별표 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3 8

류를 표시하는 개의 동일 코드번호일 것2

종별 의 장치 선박국의 장치에서 별표 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류를 사용(1) (class)A ( 8

가능한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

종별 의 장치 선박국의 장치에 있어서 동표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류 중(2) (class) B (

해역호출 및 공통관계를 갖는 선단의 호출을 제외한 것의 사용이 가능한 것을 말한

다 이하 같다 )

해안국의 장치 동표에 게기한 호출의 종류중 조난경보 및 개별국의 반자동 또(3) (

는 자동접속호출을 제외한 것의 사용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

신호가 조난경보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는 상대국 식별4 Format

신호로 하여 선박국식별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 구성되는[0]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신호가 조난경보 또는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선택호출에 있어서는 사용5 Format

하지 않을 것

신호가 해역호출의 경우 종별 의 장치는 제외한다 는 별표 에 따라서6 Format ( B ) 11

해역을 자리 의 숫자를 표시하고 별표 에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통보의 우선순위 또는 종류 신호가 모든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통상업무7 (Format

및 선박업무를 제외한다 를 별표 에 따라 개의 코드번호에 코드화한 것일 것 다) 8 1

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 선박업무를 제외한 것으로 하고 또한 신 (class) B Format

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통상업무를 제외한 것일 것

- 24 -

자국의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8 [0]

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제 및 제 의 정보로 하여 별표 에 따라서 각각 개의 코드번9 1 2 Telecommand 8 1

호에 코드화한 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제 (class) B 1

를 다음과 같이하고 제 코드번호가 일 것Telecommand 2 Telecommand [126]

중단파대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하는 장치의 선택호출신호 이하(1) (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는 신호가 개별국의 호출일때에는 코드번ldquo rdquo ) Format

호 또는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일[119] [111] [118] Format

때에는 코드번호 또는 일 것[109] [111] [111]

선택호출신호는 신호가 개별국의 호출일 때에는 코드번호(2) VHF Format [100]

또는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일 때에는 코드번호[101] Format

또는 일 것[100] [101] [105]

다음의 방식일 것10

호출에 이어 계속 통신에 사용하는 송신 및 수신을 위한 주파수 또는 채널을(1)

나타내는 선택호출신호는 송신파 및 수신파의 순으로 별표 에 코드화한 것일 것12

다만 주파수 또는 채널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송신파 또는 수신파마다에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126]

선박의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선택호출신호는 코드번호 및 다음에 의거 표(2) [55]

시되는 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 자리숫자를 별표 에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가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가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나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부터 제 번째까지의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표시한다

제 가 선박의 위치인 호출에 대한 응답 이하 선박위치응답 이라(3) 1 Telecommand ( ldquo rdquo

한다 을 위한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의 가 및 나 에 의해 표시하는 선박의) (2) ldquo rdquo ldquo rdquo

위치를 나타내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코드화한 것 및 그것에 계속코드번호10 10

일 것[126]

에서 이외의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4) (1) (3) 6 [126]

선박위치응답의 경우 종별 의 장치를 제외한다 및 신호가 개별11 ( (class)B ) Format

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에만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각각 다음의 방

식일 것

선박위치응답의 경우는 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 국제표준시로 한다 이하 같(1) (

다 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2 10

개의 코드번호로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는 개2 2

의 코드번호 일 것[88]

- 25 -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는 아날로그 전화용(2) Format

설비와 접속하기 위한 번호 이하 전화번호 라 한다 등의 네트워크번호를 표시하는( ldquo rdquo )

것으로 하고

네트워크번호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코드번호를 짝수의 경우는 코드번호[105]

과 네트워크를 별표 에 준하여 개부터 개까지의 수의 코드번호로 코드화[106] 10 2 9

한 것일 것

응답을 필요로 하는 호출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응답12 [117]

을 위한 선택 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및 이외의 경우는 코드번호[122] [127]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 다만 신호가 모13 Format

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 코드번호 일 것[127]

오류검정부호는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정보비트 및 제 번째에서 제13 1 7 8

번째까지의 검정비트로부터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생성되는 각 비트10

의 및 이 각각 별표 에 표시하는 및 에 대응하는 단위 부호로[0] [1] 6 [B] [Y] 10

하여서 송출되는 것일 것

정보비트의 각 비트는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동기신호를 제외한다 의 모든(1) (dot )

코드번호 신호 및 종료신호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로 한다 에 대응하(Format 1 )

는 부호의 비트 위치마다 최하위 비트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다만 를 를 B 0 Y 1

로해서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검정비트는 정보비트의 의 수를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B 2

별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해안국의 장치는 제외한다[ 2 ] (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자국 의식별신호

주( 4)

조난종류 의정보신호

주( 5)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

주( 6)

시각정보신호

주( 7)

Tele-command정보 신호

주( 8)

종료신호

주( 9)

오류검정신호

주( 10)

주( )

중단파 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는 비트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비1 200 VHF 20

트일 것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2]

자국의 선박국 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4 [0] 10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조난의 종류를 표시하는 것으로 하여 별표 에 따라 개의 코드번호로 코드화한5 8 1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 (class) B 1 107

- 26 -

조난선박에 위치를 다음과 같이 자리의 숫자로 표시 하는 것으로 별표 에6 10 10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조난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것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99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1)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는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2)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한다

조난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것7 2

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개의 코드번호에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 10 2

를 포함하지않는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88]

계속하여 행하는 통신의 형식을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통신장치가 무선전화 또8

는 협대역직접 인쇄전신장치인 제 를 별표 에 개의 코드번호로1 Telecommand 8 1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방식일 것 (class) B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 일 것(1) 1 [109] [111]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VHF 1 [100]

코드번호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하는 것일 것9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별표 조난경보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선박국의 장치를[ 3] (

제외 )

dot신호

주( 1)

동기신호

주( 2)

For-mat신호

주( 3)

Cate-gory신호

주( 4)

자국의식별신호

주( 5)

Telec-ommand정보신호

주( 6)

조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7)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 8)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 9)

시각정보신호

주( 10)

Tleco-mmand정보신호

주( 11)

종료신호

주( 12)

오 류검 정신 호

주( 13)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6]

별표 의 주 과 같은 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4 1 7 [112]

자국의 해안국 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숫자를5 [0] 10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6 1 [1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일 것7

- 27 -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종류의 정보신호일 것8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일 것9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시각정보신호일 것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정보신호일 것11 Telecommand

코드번호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2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3 1 13

별표 조난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 중계에 대한 응답을 위한[ 4]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dot신호

주(1)

동기신호

주(2)

For-mat신호

주(3)

Addr-ess신 호

주( 4및56)

Cate-gory신 호

주(7)

자국의식별신호

주(8)

Telec-ommand정보신호

주( 9)

조 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10)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11)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12)

시각정보신호

주(13)

Tleco-mmand정보신호

주( 14)

종료신호

주(15)

오류검정신호

주(16)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별표 의 주 과 같다 코드번호 이외의 것으로 한다3 1 3 ( [112] )

신호가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에는 상대국의 식별신호4 Format

로 하고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0] 10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5 Format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6

별표 의 주 과 같은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7 1 7 [112]

별표 이 주 과 같다8 1 8

개의 코드번호 일 것9 1 [112]

수신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 또는 수신한 조난경10

보의 중계의 조난선박국의 식별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종류의 정보11

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선박의 위치12

정보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시각정보일 것13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14 Telecommand

정보신호일 것으로 한다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것으로 하 (class) B

는 것이 가능할 것

- 28 -

중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1) 1 [109] [111]

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2) VHF 1 [100] [101]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코드번호 개별 해안국 앞15 Format [127]

으로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에는 코드번호 로서 별표[122]

의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3

별표 의 주 과 같다16 1 13

별표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대 선택호출신호를 제외한다[ 5] (VHF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Address신 호

주( 4)

Category신호

주( 5)

자국의식별신호

주( 6)

정 보신 호1

주( 7)

정 보신 호2

주( 8)

종 료신 호

주( 9)

오류검정신 호

주( 10)

주( )

비트일 것1 200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20]

상대국의 식별신호로서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이에 계속되는 으로서4 [0]

구성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1 [108]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8

각 개의 코드번호 및 일 것7 1 [118] [126]

개의 코드번호 일 것8 6 [126]

코드번호 또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9 [117] [122] 13

일 것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 29 -

별표 선택호출신호의 단위부호[ 6] 10

는 스페이스주파수 는 마크주파수로 대응하고 비트위치의 에서 송출된다B Y 1

협대역 일때MFHF B=1785 Y=1615

대역 일때VHF B=2100 Y=1300

- 30 -

별표 반복송출의 순서[ 7]

주 기호 는 선택호출신호의 종료신호를 표시하고 기호 는 에서 까( ) H DX RX0 RX7

지가 반복송출되는 선택호출신호의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31 -

별표 코드번호 의 용도[ 8] (100-127)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00 통상업무

화재 또는폭발

또는F3단신G3E

무선전화 이유없음 주( 3)

101 침수 또는F3복신G3E

무선전화 해사교환 센터의혼잡 주( 3)

102 해역호출

충돌 미확정주( 1)

통화중 주( 3)

103 좌초 Polling 대기행렬표시주( 3)

104 의RXO위치의동기신호

경사 및전복의위험

수입불가주( 2)

폐국 주( 3)

105 의RX1위치의동기신호

침몰 호출의 종료주( 4)

의 부재Operator주( 3)

106 의RX2위치의동기신호

선박업무주( 5)

조선불능으로 표류

데이터주( 6)

변복조장치

의Operator일시적 부재 주( 3)

107 의RX3위치의동기신호

기타의조난

미확정주( 1)

장치의 운용불가주( 3)

108 의RX4위치의동기신호

안전 선체의방치

미확정주( 1)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09 의RX5위치의동기신호

J3E 무선전화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10의RX6

위치의동기신호

긴급 조난경보에대한 응답

무력분쟁의당사국이 아닌것을 표시하는선박 및 항공기주( 7)

111 의RX7위치의동기신호

H3E 무선전화 위생수송체 주( 7)

112 조난경보

조난 조난자동통보설비(주 의9)시동

조난경보의중계

공중전화사무소주( 8)

- 32 -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13또는F1B방향오J2B(1

류정정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미확정 주( 1)

114

공통관계를 갖는선단의호출

미확정 주( 1) 미확정 주( 1)

115또는F1B자동재송J2B(

요구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데이터 주( 11)

116모든선박호출

또는F1B J2B수신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2)

11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18 시험 데이타 주( 14)

119또는F1B수신J2B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5)

120개별국의호출

A1A 테이프레코더

데이터 주( 16)

121 선박의 위치 데이타 주( 17)

122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3

개별국의반자동또는자동접속호출

A1A 전건 및핸드셋(Handset)

데이터 주( 18)

124또는F1CF2C

F3C팩시밀리장 데이터 주( 19)

125의DX

위치의동기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6 정보없음 정보없음 주( 20)

12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주( )

앞으로의 사용을 위하여 유보한다1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2 [100] [109] 2 Telecommand

코드번호 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3 [104] 1 Telecommand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 시스템에만 사용한다4

- 33 -

선박의 항해 운항 필수품에 관한 통신과 정부의 기상업무기관으로 보내는 기5

상 관측 통보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6 [115] [124] 2 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을 제외하고 제7 [104][105][106][110][112] [118] 1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의 제 와 조합하여8 [100][101][109][115] [124] 1 Telecommand

사용한다

수색구조용 레이다트랜스폰더를 제외한다9

무선설비규칙의 제 조의 에 정하는 것으로 한다10 69 4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1 (V21)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2 (V22)

앞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1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4 (V2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5 (V2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6 (V1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7 (V26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8 (V27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9 (V32)

코드번호 를 제외하고 제 와 조합하여 사20 [104][110][112] 1 Telecommand

용한다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 코드번호는 중단21 Format

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에서 까지 [102] [124] ([110][112][117]

및 를 제외한다[122] )

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및VHF [100][101][104][105][106][121]

일 것[124]

별표 동기신호의 송출순서[ 9]

주 기호 및 에서 까지가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DX] [RXO] [RX7]

- 34 -

별표 자리 숫자의 코드 변환표[ 10] 10

자리의 숫자10

십억D2

억D1

천만D2

백만D1

십만D2

만D1

천D2

백D1

십D2

일D1

코드5 코드4 코드3 코드2 코드1

주( )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1 1

및 은 자리 숫자의 자리 숫자 에서 까지를 표시하고 각 코드는2 D2 D1 10 2 00 99

그 자리의 십진수를 코드번호로 한다2

숫자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최상위 자리수의 숫자 앞에 을 포함할 것3 0

별표 해역의 표시방법[ 11]

해역의 표시는 다음과 같은 것

선정되는 지리상의 해역은 메르카토르 도법의 직사각형으로 표시할1 (Mercator)

직사각형의 북서를 해역의 기준점으로 할 것2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존재하는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3 1

으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0] [1] [2] [3]

할 것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위도를 표시할 것4 2 3

제 번째에서 제 번째가지의 숫자는 기준점의 경도를 표시할 것5 4 6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남북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6 7 8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동서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7 9 10

표에 표시하는 해역 및 의 표시의 예는 다음과 같을 것8 ab c

기준점이 북위 도 및 서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1) 10 25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20 35 a

1 1 0 0 2 5 2 0 3 5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2) 10 10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10 10 b

2 1 0 0 1 0 1 0 1 0

- 35 -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3) 12 12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4 7 C

2 1 2 0 1 2 0 4 0 7

별표 주파수 및 채널정보의 코드변환표[ 12]

주파수0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주파수를 의 배수로서 숫자의 십100

만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다 1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2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채 널

3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중단파대 또는 단파대의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 다

8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별도로 정한 채널로 한다

9 0 times times times times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18게기하는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천 백 십 및 일의 숫자로 표시한다

십만 만 천 백 십 일

코드3 코드2 코드1

주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 ) 1

- 36 -

별표 종료신호의 송출순서[ 13]

주 기호 가 종료신호를 표시한다( ) H

- 37 -

제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3

제 절 송수신장치1 DSC VHF

시스템 개요1

본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모든기능을 충족하는 일체형과 전화용 복신방식의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호출 및 수신제어장치 로구분된 독립형 으로 구분되며 DSC DSC

이는 외형상의 구분이며 그주요기능별 구성은 각각의 유니트로된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표시 및 제어장치 와 전원부 로 구분되며 이것들은 다시 하나의DSC

케비넷 또는 독립된장치로서 구성된다

시스템 구성2

장비의 개요 및 특징3

가 개요

본 송수신기는 항만내 또는 연안에서 해안국과 선박국 또는 선박국 상호간VHF FM

의 해상이동업무 통신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기로서 이내의 해상156 ~162

이동 무선통신업무용의 전 을 수용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전파관리법 및CHANNEL

등 국제규격에 적합하도록 설계 제작된 기기로서 전세계ITU SOLAS USA USCG

어느곳에서나 규정에알맞게 사용할 수 있는 국제항만 무선전화기용 무선 송수신기

를 제작한다

- 38 -

나 특징

소형 경량화로서 좁은 장소에 설치가 용의하게 되어 있어야 한다(1)

송신각 각 방식을 채용하였으며 국제 항만 무선전화(2) DIRECT SYNTHESIZER

인 를 수용해야 하며 그외 개의CHANNEL 55(114) CHANNEL 105(527) FREE

이 수용되어 있어야 한다CHANNEL(SIMPLEX)

주 국제 중 미국연안에서 단식방식으로 절환 사용되고 있는1 CHANNEL 55(114)

을 사용 할 수 있을것USA CHANNEL(SIMPLEX)

주 별도의 기상수신 을 수용하고 있어야 한다2 WEATHER CHANNEL( )

USA 3 CHANNELS

CANADIAN 1 CHANNEL

OTHERS 5 CHANNELS

원격조정 회로의 내장으로 본기기의 판넬스위치와는 상관없이(3) REMOTE ( ) HAND

만 으로도 판넬 스위치 조작에 필요한 모든기능을 할 수 있고SET CONTROL VHF

의 원근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어야 한다SET

기능이 첨부되어 있어 미국연안 경비대 의 의무 청취(4) DUAL WATCH USCG( )

인 과 의 개의 을 동시에 수신할 수CHANNEL CH 13 CH 16 2 CHANNEL SCANNING

있으며 과 사용자가 선택하는 임의의 을 동시에CHANNEL 16 CHANNEL SCANNING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에 경보신호 기능의 내장으로 비상시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5) CH 16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국제 개 및 을(6) SCAN CHANNEL 55 FREE CHANNEL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SCANNING

안전통신에 지정되어 있는 은 우선 사용할 수 있도록(7) CHANNEL16 1 STEP

로 되어 있어야 한다SWITCH

국제 해상 인명 안전조약 에 정한 규격으로 되어 있어 전세계 어느곳의(8) SOLAS( )

규정에도 적합하며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구 성4

본 기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가 송 수신기 본체 대 1

나 HAND SET 1 SET

다 WHIP ANTENNA 1 SET

라 벽걸이형 SPEAKER 1 SET

마 전원 공급기 1 SET

- 39 -

규 격5

주파수 및 규격은 현재의 통신방식이며 정보통신부의 고시가 발표되면 협대역(125

로 변경한다)

가 일반사항

사용주파수 범위(1)

송 신 156025 ~ 157425 수 신 (SIMPLEX) 156025 ~ 157425 수 신 (DUPLEX) 160625 ~ 162025 기상수신 (WEATHER) 161650 ~ 162550

사용(2) CHANNEL

A International 55 (114) CHANNELSB USA 25 CHANNELSC FREE 105 (527) CHANNELSD WEATHER 9 CHANNELS

USA 3 CHANNELSCANADIAN 1 CHANNELOTHERS 5 CHANNELS

통신 방식(3) SIMPLEX amp DUPLEX

전파의 형식 전화(4) 16KOF3E( G3E DSC F2BG2B)

주파수 편차(5) 0001 (10 PPM)

사용 온도범위 부터(6) -10 + 50

예열 시간 전원 접속후 즉시 사용가능(7)

공칭(8) ANTENNA IMPEDANCE 50 ohm ( )

공급 전원(9)

전 압 136V plusmn 10전 류 수신시 800

송신시 5A전원 공급기 별도( ) 단상AC115V AC220V 60

부터 까지DC 15V 35V

나 송 신 부

정격 출력(1) HIGH -25 W

LOW - 1W

주 공중선 전력 저하장치로 이하 저하기능 보유1 1WATT주 단 보호 인 및 가 아님 은 송신이2 CHANNEL 7576 1 ~9(01 ~09 )CHANNEL되지 않음 기상수신대의 사용법은 본문 참조 ( )

- 40 -

발진 방식(2) SYNTHESIZER CONTROL SYSTEM

변조 방식(3) FREQUENCY MODULATION

점유 주파수 대역폭(4) 16 (8)

최대 주파수 편의(5) 5 (25)

복사강도 이상(6) SPURIOUS 70

변조 주파수 특성(7) 6 (plusmn 3 ) OCTAVE PRE-EMPHASIS)

(300 ~ 3 )

변조시 이하(8) DISTORTION 1 70 -20

신호 대 잡음비 변조시 이상(9) 1 70 40

저역 여파기 특성 이상에서 이상 감쇄(10) 3 -40log f3( ) (f = )

다 수 신 부

수 신 방 식(1) DOUBLE SUPERHETERODYNE SYSTEM

감 도(2) 이하 신호 대 잡음비 에서 025 V ( 20 )μ

감도(3) SQUELCH 이하 02 Vμ

국부 발진 주파수(4) 1lsquost LOCAL FREQUENCY

RECEIVER FREQUENCY - 214

2nd LOCAL FREQUENCY 10945

중간 주파수(5) 1lsquost IF FREQUENCY 214

2nd IF FREQUENCY 455

선 택 도(6) 저하폭 이상 6 12 (6)

저하폭 이하 70 25 (125)

(7) SPURIOUS RESPONCE 이상 70

감도 억압 효과(8) 이상 80

상호 변조 특성(9) 이상 65 ( 20 40 )

주파수 특성(10) 6 (plusmn3 )OCTAVE DE-EMPHASIS)

( 300 ~ 3 )

신호 대 잡음비(11) 변조시 이상 1 60 40

(12) DISTORTION 변조시 이하 1 70 -20

저주파 출력(13) 이상 1 WATT (IMPEDANCE 8 ohm)

- 41 -

제 절 차년도 개발 범위2 1

제 차년도 개발범위는 기초자료조사와 규정의 연구에 따라 기초회로의 설계 후1

사용부품을 시험하고 각 의 제작 및 시험 연이은 성능미달 의 차 차PCB PCB 2 3

차 재제작 시험을 완료하고 시스템의 설계까지이며 그 세부적인 개발범위는 다음4

과 같다

송수신장치 개발을 위한 제규정 수집 연구1 DSC VHF

기초자료 조사2

가 장비에 대한 기능특성 수집 연구

나 사용자 및 선박통신사의 요구사항에 대한 자료 수집 연구

다 외국장비와 비교 분석

라 부품규격 시험 및 선정

3 HARD WARE

가 고주파 필터코일 재질분석 및 각종코일 설계

나 제작 PCB

송신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1) PCB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시험(2) PCB

수신부회로 제작 시험(3) PCB

신세사이즈 회로 제작 시험(4) PCB

제어장치 제작 시험(5) PCB

표시장치 제작 시험(6) PCB

원격제어기 제작 시험(7) PCB

전원공급부 제작 시험(8) PCB

제작 시험(9) HAND SET PCB

전용수신기 제작 시험(10) DSC PCB

- 42 -

제 장 제 차년도 개발 항목 보고4 1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본 장비를 개발함에 있어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및 부품선정이 개발의 핵심 과제

로 생각하였다

기초자료는 기존 시스템분석과 전파관련법령을 기초하였고 주변회로는 관련된 회

로집을 분석하였으며 부품선정은 폐품종 여부와 수급이 용이하면서 견고하고 증폭

도 및 성능이 우수한 품종으로 장시간 시험을 거쳐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송신부 제작시험2

송신 출력회로 결정 회로설계 완료하여 각부 부품 구입 회 내구성 시험 및SPEC 30

구룹별 장시간 부품 부하 시험등 최종목표 성능을 확보하기위한 제반 기초 제작시

험을 완료 하였으며 주요 내용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의 발열상태등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의 높은 출력으로 증폭하는 송신전(VHF ) 25W

력 증폭기로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높은 고주파전력에 견딜수있어야 하고 열

에의해 발생되는 열잡음이 적으야하며 열에의한 부품의 열화 및 특성의 변화가 적

은 부품을 사용여야 하므로 온습도시험 과 과출력 시험을 통하여 사용될 부품을 시

험하였다

특히 고조파 필터회로 부품인 코일은 동선에 전도율이 좋은 재질로 도금하여 사용

하여야 하며 고조파필터회로 의 차폐용 재료도 동판에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도금

하여 사용 하여야 한다

나 송신 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PCB (PCB NO V-097)

개발과정에서의 설계변경 및 생산시스템의 전산화 에 적용 할수있도록 회로 설계는

물론 설계 회로기판 도안 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설계완료된 는PCB ( ) CAD DATA

회로기판 제작장치 외주 작업 및 부품삽입기 자사 작업 에 직접 컴퓨터용 디스켙( ) ( ) (

으로 입력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회로에 높은 고주파전류가 흐르므로인하여 빌진할 가능성 및 잡음발생의 우려PCB

가 많으므로 특히 부품배치에 유의하여 설계하였으며 송신신호 발생회로 또는 전원

회로 와의 배선은 관통형콘덴서등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였다

회로에 사용되는 코일은 각 코일간에 간섭을 줄이기위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설정하

였으며 전체를 차폐하고 또 고조파 필터회로를 구분하여 차폐하여 제작 하였PCB

- 43 -

또 안정된 출력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회로를 장치하여 설정된 출력 이상의ALC

출력을 제한한다

다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PCB (PCB NO V-096TX)

설계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이 는 미약한 고주파 신호를 발생 변PCB CAD PCB

환 증폭 하므로서 송신부 또는 외부로 부터의 잡음 유입과 내부잡음 발생에 유의

하여 설계되었으며 불요복사 억제에 유의하였다

라 성능시험

메칭상태 시험(1)

옴 파장 수직형 안테나 를 사용할수 있도록 시험하였으며 차적인 시험은 의50 12 1

사부하에 의해 시험하고 의사부하 안테나에 정상적인 메칭이 된 후 실제 사용 안테

나에 확인시험 하였다

이 시험에서 양질의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장치는 물론 안테나의 성능이 중

요하며 인접한 고전력 안테나 및 낙뢰로부터 안정성 등을 감안하여 안테나는 VHF

대역 이하의 주파수에 대하여 쇼트형 안테나가 바람직 하다

기존 시스템의 이상의 성능 확보(2) 90

송신부의 주기능으로서 양질의전파를 안테나로 공중에 발사하는 장치로서 주피수안

정도 고조파억압 불효전파억제 안정된전력 안정된 주파수편이 낮은 왜율 등의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시험결과는 기존의 제품의 특성에 가까운 성능을 확보

하였으나 안테나공용기 복신통신용 필터 특성의 개선및 송신부 관련부품의 배치를( )

개선하므로서 보다 좋은 성능을 확보 할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신부 제작시험3

수신부는 안테나입력회로 입력동조회로 단신통신 및 복신통신 각 주파수 대역 필 (

터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로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 1 1 2 2

로 대역필터회로 신호제한 리미터 회로 복조회로 무신호잡음 차단 회로 저주 ( ) FM

파 증폭회로 및 국부발진회로 로서 구성되나 국부발진회로는 잡음의 발생및 유입

주파수안정도 등을 감안하여 별도의 로서 제작하였으며 그외 수신부와 관련한PCB

내용은 다음과 같다

- 44 -

가 사용부품의 구입 및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증폭과 변환을 반복하여 요구되는 신호(VHF )

를 복조하여 기청음 또는 의 문자표시로 출력되게 하므로서 안정된 주파수 및DSC

증폭이 요구되므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당연히 고주파특성에 유의하여 주파수

차에의한 특성변화 열잡음 및 고주파잡음 능동소자등의 직선성 등이 교려되어야하

므로 항온항습시험과 과전류에의한 잡음발생의 시험 등 을 거처 엄선한 부품으로

설정사용 하였다

특히 회로의 선택도 코알의 값 를 높이기 위하여 가 높은 트랜스 재료를 사용하( Q ) Q

였다

다 수신부회로 제작 PCB (PCB NO V-096RX)

위 항에서의 시험에 의해 선택된 부품을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며 수신부의 특성31

상 잡음의 발생보다는 잡음의 유입에 유의하여 설계되었으며 안정된 증폭 특성 수(

신감도 을 얻기위하여 중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회로기판은 에폭시) 2

수지 양면인쇄동판을 사용하여 부품삽입면은 대부분 공통단자로 이용하여 부품간의

간섭을최소화 하였다

다 수신부 특성시험

수신부 특성상 수신감도 주파수안정도 왜율 통과대역폭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감도억압비 혼변조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신호대 잡음비 일 때의 수신감 20

도 성능이 확보되며 기타 여러 가지 특성도 최종목표 특성에 가까운 성능이05

확보 되었으나 까지 수신감도가 향상되도록 성능개선이 요구된다025 V 120757

신세사이즈부의 회로의 안정도로 인하여 국부발진 신호의 흔들림현상이 있어VCO

통과대역폭 및 잡음발생의 원인이되어 신세사이즈회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신세시이즈회로는 크게 수신국부발진 신호용과 송신신호용으로 구분되며 단신통신

과 복신통신방식일때 각각 동작할수있는 구성으로 설계되었으며 그 내용별로 구분

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전압제어발진기 에 사용되는 부품은 온도 및 전압변동에 특성의변화가 극히(VCO)

적어야하며 외부로부터 정전 및 자계영향이 크므로 회로를 별도로 정전 및 자VCO

계로부터 차폐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혼변조 및 잡음신호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파수선택 표준신호 등 시 수신( )

대역 및 송신대역에 영향이 없는 주파수로 하였으며 가능한 레벨을 제외한 신(TTL

호 파형의 왜율이 적은신호로서 각회로신호를 사용하여 결합하였다)

- 45 -

나 신세사이회로 제작 (PCB NO V-096PLL)

이회로 기판은 여러종류의 신호들이 발생 혼합 증폭 비교 되므로 각부품 간의 배

치에따라 잡음발생의 정도가 크게 좌우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였으며 회로는 외VCO

부영향에 민감하게 작동되므로 차폐 에 유의하여 부품의 배치 적절하게 하였으며

잡음발생을 유의하여 부품을 선정하였다

다 성능시험

이회로의 특성상 주파수안정도 주파수의 흔들림 위상비교기의 비교속도 등에 유의

하여 시험하였으며 여러가지 일반적인 특성은 최종목표사양에 만족될 수 있는 신호

원을 공급할수 있었어나 주파수의 흔들림 현상이 있어 회로의 부품 및 차폐에VCO

개선이 요구된다

제어장치 제작시험5 (PCB NO V-263)

이회로의 주요부품으로서 를 사용하여 당개발과제의 송수신 및 외부V25 CPU DSC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며 아울러 본체 전면표시기와 스윗치 입출력 기능도 한다

이회로의 주요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스 읽기전용 메모리 읽고CPU( ) ROM( ) RAM(

쓰기 메모리 직렬통신용 입출력 병렬통신 입출력 아날로그 디지) SIO( ) PIO( ) AD(

탈 변환기 스윗치입력 표시기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개발 내용은 다음과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에 사용되는 부품은 대부분 디지탈신호를 처리하여 회로로서 및TTL IC

로서 구성되며 저소비전력 및 고속처리능력이 요구되므로 주로 고속용C-MOS IC

중 형 를 사용 하였으며 장치의 초기설정 및 기능 설정의C-MOS(C-MOS IC HC )

변경등 의 목적으로 은 충전형 밧테리로서 메모리내용을 전원의 에 관RAM ONOFF

계없이 유지하도록 하였다

외부 제어기 등 와의 통신용 의 통신속도를 또는 등으로(DSC ) RS-232C 2400 4800

변경 설정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변환기 등을 이용하여 자기진단을 할수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장비의 유지및AD

보수에 많은 도움이된다

- 46 -

나 성능시험

운용시험(1)

이회로의 특성상 전기적 특성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특성 및 성능이 요구되므로 운

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이부분에 대한 시험은 개발자입

장이 아닌 운용자가 시험하여야 하는 관계로 선박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사용자에게

의뢰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로서는 기능면에서는 양호하나 사용상 복잡한 면이 있어 보다 조작 을 간편

히 할수있도록 개선할 필요가있는 것으로 본다

표시장치 시험(2) (PCB NO V-260)

본장치의 사용상 필요한 기능 및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내용과 기기 동작

상태의 일치성이 요구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온습도 및 장기시험 으

로서 확인하였으며 여러 가지 표시장치중 각각 중단점이 나타낮다

즉 액정 표시기 표시기는 저소비전력이며 주위가 밝은곳에서 사용이 가능 하LCD( )

나 반면 온도특성이 나쁘며 형광표시관 표시기는 온도특성은 양호하나 소비전 VFD( )

력이 대체로 높고 보다 낮고 보다 많음 수명이 낮다는 단점이있으며(FND LCD )

발광 다이오드 표시기는 모든면에서 대체로 양호 하나 잡음발생 이많으며 밝FND( )

은곳에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외 여러 가지의 장담점을 검토하여 차적인 결론은 표시기가 적합한 것으로1 LCD

본다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최소의 전기적신호 연결로서 최대의 기능제어및 속도가 요구되는 장치로서 저주파

신호의 입력 마이크 신호 및 출력 스피크 신호 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 제어는( FS ) ( )

직렬통신 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였으며 장거리 일반 공용통신망 을 이(RS-232C)

용할수도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요 구성은 중앙제어장치 스윗치입력 장치 표시장치 메모리장치 직렬통신장치

로 구성되며 그 상세한 개발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의 대부분이 디지탈신호의 처리회로로서 구성되므로 제어장치 의 사용 부품ldquo rdquo

시험 및 선정기준과 같으며 장거리운용상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신속도를

알맞게하며 장거리통신 선로에서 유기되는 잡음을 최소화 하기위한 필터회로 및

소프트웨어적인 오류정정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별도 설계 사용 하였다

- 47 -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V-170)

이장치는 사용상 편리하여야 하므로 소형 경량 으로 제작 하였으며 차적 기능 시 1

험을 목적으로 외형 보다는 성능을 우선하여 시험용으로 제작하였다 이장치의 시

험은 전용케이블 을 이용하여 시험하였고 또 일반 공용통신용 전화 선로를 통하여

원거리 시험을 하였으며 그결과로서 통신속도가 까지 양호하게 동작되나2400bps

그이상의 통신속도로서 운용 할려면 전용회선이 필요하게된다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가 결정 SPEC

각회로 에서 필요로하는 전압 및 전류에 알맞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반 성능

을 차적으로 설정 하였으며 최종목표 사양에 일치하기위하여서는 전원부의 장치에1

대하여 모든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최종 특성이 설정 되어야 한다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P-099)

이장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되나 반면에 안정성이 확고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안

정성을 첫째로 중요시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이회로는 많은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많은 전력이 열로서 손실되므로 방열에 특히 유의하여 제작되었으며 열발생이 많은

부품은 알미늄 방열판에 설치하고 이방열판은 본장치 외함의 바깥쪽에 설치하여 방

열효과를 최대화 하였다

이회로의 시험은 과입력전압 및 과소비전력 일때의 안정성에 중점 시험하였고 그시

험을 위하여 장시간 항온 항습기 를 이용하여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전원부의 안정

성 확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도 이회로를 특별히 개선하지 않고도 최

종목표 사양에 만족하리라 본다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PCB NO V-098)

마이크 회로 수화기 회로 송신 스윗치 회로 로서 구성되며 이장치는 사용 특성상

충격에 강하도록 설계제작 되어야 하며 무게는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재료선택이

중요하며 이러한점을 감안하여 사출금형에 의하여 성형 하였으며 성형 제료로서는

제료를 사용하고 사용 부품을 최소화 하여 제작 하였다ABS

이장치의 특성상 견고하며 방수효과가 최대이어야 하므로 충격 자연낙하 시험 및( )

방수시험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 성형제료 및 외형상의 문제는 없이나

송화기 및 수화기의 선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송화기는 콘텐서형

마이크가 좋으며 수화기로는 가변코일형으로서 떨림판이 평면으로된 수화기가 우수

한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선정하여 제작시험 하였다

- 48 -

전용 수신기9 DSC (PCB NO T-342)

전용수신 장치는 송수신장치중 송신부를 제외한 구조와 유사하므로 개발과정에서

송수신장치중 수신부회로에 복조장치 를 추가하여 별도 로 제작하여 시험DSC PCB

하였으며 개발내용중 전용수신기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DSC

가 기능 및 동작

변조되어 수신된 신호를 필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후 신호 처리용FM DSC DSC

마이크로프로세스 에 공급하여 소프트웨어로서 신호를 분석한후 표시장치 메(CPU)

모리장치 인쇄장치 등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전용 찬넬인 번 찬넬을 항상 DSC 70

수신상태로 동작하여 신호 도트신호 를 검출하고 신호가 있으면 이어서CALL ( ) CALL

수신되는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표시장치 및 경보장치에 출력한다

나 신호 신호 필터회로 와 신호 처리부 및 제어용회로부 DSC (FS ) DSC DSC

제작시험 (PCB NO T-325 T-326 T-327)

이 회로의 성능은 주로 필터 및 디지탈변환 회로에서 결정되며 소프트웨어의 성능

에 따라 안정성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점을 유의하여 설계제작 하여으며 성능 시험

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험용 정보를 송신장치로 통해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후 그

결과를 분석 시험 하였다

다 전용 수신기의 개발과정 에서의 학보된 기술 DSC

신호 및 의 신호 의 필터 및 디지털 변환 기술DSC (1300 2100 FS )

신호 검출 및 직렬신호의 병렬변환 소프트웨어DOT

기술 정보의 비교 및 인쇄출력 소프트웨어 기술

종합시험10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별 차 차 차 보완시험은 만족하며 앞으로 개발의 중점은 사용의 편리성과PCB 1 2 3

생산성에 중점 개발이 요하며 배치에 따라 야기될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 PCB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후 최종제품을 제작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49 -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1

가 전면판 사출금형

나 옆판 스피커 안테나 금형

다 노브 사출금형

라 윗면 및 밑면 프레스 금형

마 설치용 고정장치 사출 금형

바 설치대 프레스 금형

사 뒷면 작업용 프레스 금형

아 항온조용 열차단금형

자 필타 금형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2

가 송수신기 제어장치 프로그램

나 전용 수신기 제어용 프로그램 DSC

다 원격조정기 프로그램

라 송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마 수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3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23: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23 -

별표 선택호출신호 조난경보등을 위한 것 및 시험을 위한 것은 제외한다 의[ 1] ( )

구성

dot신 호

동 기신 호

Format신 호

Address신 호

Category신 호

자국의식별신호

정 보신호1

정 보신호2

정 보신호3

종료신호

오류검정신호

주( 1) 주( 2) 주( 3) 주( 45및6)

주( 7) 주( 8) 주( 9) 주( 10) 주( 11) 주( 12) 주( 13)

주( )

중단파대 및 단파대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하는 장치의 선1

택호출신호 이하 중단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에 있어서 선박국을 호출하( ldquo rdquo )

기 위한 선박호출신호의 경우는 비트 선박국에서 해안국으로 호출 및 응답하기200

위한 선택호출신호 및 국제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 계기하는 주파수18

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 하는 장치의 선택호출신호 이하 대 선택( ldquoVHF

호출신호 라 한다 의 경우는 비트일 것rdquo ) 20

표 에 나타내는 코드번호를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하는 것일 것2 8 9

호출의 종류를 나타냄에 있어서 다음의 장치마다 별표 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3 8

류를 표시하는 개의 동일 코드번호일 것2

종별 의 장치 선박국의 장치에서 별표 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류를 사용(1) (class)A ( 8

가능한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

종별 의 장치 선박국의 장치에 있어서 동표에 게기하는 호출의 종류 중(2) (class) B (

해역호출 및 공통관계를 갖는 선단의 호출을 제외한 것의 사용이 가능한 것을 말한

다 이하 같다 )

해안국의 장치 동표에 게기한 호출의 종류중 조난경보 및 개별국의 반자동 또(3) (

는 자동접속호출을 제외한 것의 사용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

신호가 조난경보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는 상대국 식별4 Format

신호로 하여 선박국식별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 구성되는[0]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신호가 조난경보 또는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선택호출에 있어서는 사용5 Format

하지 않을 것

신호가 해역호출의 경우 종별 의 장치는 제외한다 는 별표 에 따라서6 Format ( B ) 11

해역을 자리 의 숫자를 표시하고 별표 에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통보의 우선순위 또는 종류 신호가 모든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통상업무7 (Format

및 선박업무를 제외한다 를 별표 에 따라 개의 코드번호에 코드화한 것일 것 다) 8 1

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 선박업무를 제외한 것으로 하고 또한 신 (class) B Format

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통상업무를 제외한 것일 것

- 24 -

자국의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8 [0]

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제 및 제 의 정보로 하여 별표 에 따라서 각각 개의 코드번9 1 2 Telecommand 8 1

호에 코드화한 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제 (class) B 1

를 다음과 같이하고 제 코드번호가 일 것Telecommand 2 Telecommand [126]

중단파대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하는 장치의 선택호출신호 이하(1) (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는 신호가 개별국의 호출일때에는 코드번ldquo rdquo ) Format

호 또는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일[119] [111] [118] Format

때에는 코드번호 또는 일 것[109] [111] [111]

선택호출신호는 신호가 개별국의 호출일 때에는 코드번호(2) VHF Format [100]

또는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일 때에는 코드번호[101] Format

또는 일 것[100] [101] [105]

다음의 방식일 것10

호출에 이어 계속 통신에 사용하는 송신 및 수신을 위한 주파수 또는 채널을(1)

나타내는 선택호출신호는 송신파 및 수신파의 순으로 별표 에 코드화한 것일 것12

다만 주파수 또는 채널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송신파 또는 수신파마다에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126]

선박의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선택호출신호는 코드번호 및 다음에 의거 표(2) [55]

시되는 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 자리숫자를 별표 에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가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가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나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부터 제 번째까지의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표시한다

제 가 선박의 위치인 호출에 대한 응답 이하 선박위치응답 이라(3) 1 Telecommand ( ldquo rdquo

한다 을 위한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의 가 및 나 에 의해 표시하는 선박의) (2) ldquo rdquo ldquo rdquo

위치를 나타내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코드화한 것 및 그것에 계속코드번호10 10

일 것[126]

에서 이외의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4) (1) (3) 6 [126]

선박위치응답의 경우 종별 의 장치를 제외한다 및 신호가 개별11 ( (class)B ) Format

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에만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각각 다음의 방

식일 것

선박위치응답의 경우는 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 국제표준시로 한다 이하 같(1) (

다 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2 10

개의 코드번호로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는 개2 2

의 코드번호 일 것[88]

- 25 -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는 아날로그 전화용(2) Format

설비와 접속하기 위한 번호 이하 전화번호 라 한다 등의 네트워크번호를 표시하는( ldquo rdquo )

것으로 하고

네트워크번호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코드번호를 짝수의 경우는 코드번호[105]

과 네트워크를 별표 에 준하여 개부터 개까지의 수의 코드번호로 코드화[106] 10 2 9

한 것일 것

응답을 필요로 하는 호출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응답12 [117]

을 위한 선택 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및 이외의 경우는 코드번호[122] [127]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 다만 신호가 모13 Format

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 코드번호 일 것[127]

오류검정부호는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정보비트 및 제 번째에서 제13 1 7 8

번째까지의 검정비트로부터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생성되는 각 비트10

의 및 이 각각 별표 에 표시하는 및 에 대응하는 단위 부호로[0] [1] 6 [B] [Y] 10

하여서 송출되는 것일 것

정보비트의 각 비트는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동기신호를 제외한다 의 모든(1) (dot )

코드번호 신호 및 종료신호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로 한다 에 대응하(Format 1 )

는 부호의 비트 위치마다 최하위 비트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다만 를 를 B 0 Y 1

로해서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검정비트는 정보비트의 의 수를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B 2

별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해안국의 장치는 제외한다[ 2 ] (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자국 의식별신호

주( 4)

조난종류 의정보신호

주( 5)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

주( 6)

시각정보신호

주( 7)

Tele-command정보 신호

주( 8)

종료신호

주( 9)

오류검정신호

주( 10)

주( )

중단파 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는 비트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비1 200 VHF 20

트일 것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2]

자국의 선박국 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4 [0] 10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조난의 종류를 표시하는 것으로 하여 별표 에 따라 개의 코드번호로 코드화한5 8 1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 (class) B 1 107

- 26 -

조난선박에 위치를 다음과 같이 자리의 숫자로 표시 하는 것으로 별표 에6 10 10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조난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것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99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1)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는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2)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한다

조난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것7 2

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개의 코드번호에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 10 2

를 포함하지않는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88]

계속하여 행하는 통신의 형식을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통신장치가 무선전화 또8

는 협대역직접 인쇄전신장치인 제 를 별표 에 개의 코드번호로1 Telecommand 8 1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방식일 것 (class) B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 일 것(1) 1 [109] [111]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VHF 1 [100]

코드번호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하는 것일 것9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별표 조난경보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선박국의 장치를[ 3] (

제외 )

dot신호

주( 1)

동기신호

주( 2)

For-mat신호

주( 3)

Cate-gory신호

주( 4)

자국의식별신호

주( 5)

Telec-ommand정보신호

주( 6)

조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7)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 8)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 9)

시각정보신호

주( 10)

Tleco-mmand정보신호

주( 11)

종료신호

주( 12)

오 류검 정신 호

주( 13)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6]

별표 의 주 과 같은 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4 1 7 [112]

자국의 해안국 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숫자를5 [0] 10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6 1 [1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일 것7

- 27 -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종류의 정보신호일 것8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일 것9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시각정보신호일 것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정보신호일 것11 Telecommand

코드번호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2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3 1 13

별표 조난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 중계에 대한 응답을 위한[ 4]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dot신호

주(1)

동기신호

주(2)

For-mat신호

주(3)

Addr-ess신 호

주( 4및56)

Cate-gory신 호

주(7)

자국의식별신호

주(8)

Telec-ommand정보신호

주( 9)

조 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10)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11)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12)

시각정보신호

주(13)

Tleco-mmand정보신호

주( 14)

종료신호

주(15)

오류검정신호

주(16)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별표 의 주 과 같다 코드번호 이외의 것으로 한다3 1 3 ( [112] )

신호가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에는 상대국의 식별신호4 Format

로 하고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0] 10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5 Format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6

별표 의 주 과 같은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7 1 7 [112]

별표 이 주 과 같다8 1 8

개의 코드번호 일 것9 1 [112]

수신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 또는 수신한 조난경10

보의 중계의 조난선박국의 식별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종류의 정보11

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선박의 위치12

정보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시각정보일 것13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14 Telecommand

정보신호일 것으로 한다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것으로 하 (class) B

는 것이 가능할 것

- 28 -

중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1) 1 [109] [111]

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2) VHF 1 [100] [101]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코드번호 개별 해안국 앞15 Format [127]

으로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에는 코드번호 로서 별표[122]

의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3

별표 의 주 과 같다16 1 13

별표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대 선택호출신호를 제외한다[ 5] (VHF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Address신 호

주( 4)

Category신호

주( 5)

자국의식별신호

주( 6)

정 보신 호1

주( 7)

정 보신 호2

주( 8)

종 료신 호

주( 9)

오류검정신 호

주( 10)

주( )

비트일 것1 200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20]

상대국의 식별신호로서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이에 계속되는 으로서4 [0]

구성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1 [108]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8

각 개의 코드번호 및 일 것7 1 [118] [126]

개의 코드번호 일 것8 6 [126]

코드번호 또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9 [117] [122] 13

일 것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 29 -

별표 선택호출신호의 단위부호[ 6] 10

는 스페이스주파수 는 마크주파수로 대응하고 비트위치의 에서 송출된다B Y 1

협대역 일때MFHF B=1785 Y=1615

대역 일때VHF B=2100 Y=1300

- 30 -

별표 반복송출의 순서[ 7]

주 기호 는 선택호출신호의 종료신호를 표시하고 기호 는 에서 까( ) H DX RX0 RX7

지가 반복송출되는 선택호출신호의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31 -

별표 코드번호 의 용도[ 8] (100-127)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00 통상업무

화재 또는폭발

또는F3단신G3E

무선전화 이유없음 주( 3)

101 침수 또는F3복신G3E

무선전화 해사교환 센터의혼잡 주( 3)

102 해역호출

충돌 미확정주( 1)

통화중 주( 3)

103 좌초 Polling 대기행렬표시주( 3)

104 의RXO위치의동기신호

경사 및전복의위험

수입불가주( 2)

폐국 주( 3)

105 의RX1위치의동기신호

침몰 호출의 종료주( 4)

의 부재Operator주( 3)

106 의RX2위치의동기신호

선박업무주( 5)

조선불능으로 표류

데이터주( 6)

변복조장치

의Operator일시적 부재 주( 3)

107 의RX3위치의동기신호

기타의조난

미확정주( 1)

장치의 운용불가주( 3)

108 의RX4위치의동기신호

안전 선체의방치

미확정주( 1)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09 의RX5위치의동기신호

J3E 무선전화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10의RX6

위치의동기신호

긴급 조난경보에대한 응답

무력분쟁의당사국이 아닌것을 표시하는선박 및 항공기주( 7)

111 의RX7위치의동기신호

H3E 무선전화 위생수송체 주( 7)

112 조난경보

조난 조난자동통보설비(주 의9)시동

조난경보의중계

공중전화사무소주( 8)

- 32 -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13또는F1B방향오J2B(1

류정정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미확정 주( 1)

114

공통관계를 갖는선단의호출

미확정 주( 1) 미확정 주( 1)

115또는F1B자동재송J2B(

요구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데이터 주( 11)

116모든선박호출

또는F1B J2B수신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2)

11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18 시험 데이타 주( 14)

119또는F1B수신J2B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5)

120개별국의호출

A1A 테이프레코더

데이터 주( 16)

121 선박의 위치 데이타 주( 17)

122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3

개별국의반자동또는자동접속호출

A1A 전건 및핸드셋(Handset)

데이터 주( 18)

124또는F1CF2C

F3C팩시밀리장 데이터 주( 19)

125의DX

위치의동기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6 정보없음 정보없음 주( 20)

12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주( )

앞으로의 사용을 위하여 유보한다1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2 [100] [109] 2 Telecommand

코드번호 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3 [104] 1 Telecommand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 시스템에만 사용한다4

- 33 -

선박의 항해 운항 필수품에 관한 통신과 정부의 기상업무기관으로 보내는 기5

상 관측 통보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6 [115] [124] 2 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을 제외하고 제7 [104][105][106][110][112] [118] 1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의 제 와 조합하여8 [100][101][109][115] [124] 1 Telecommand

사용한다

수색구조용 레이다트랜스폰더를 제외한다9

무선설비규칙의 제 조의 에 정하는 것으로 한다10 69 4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1 (V21)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2 (V22)

앞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1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4 (V2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5 (V2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6 (V1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7 (V26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8 (V27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9 (V32)

코드번호 를 제외하고 제 와 조합하여 사20 [104][110][112] 1 Telecommand

용한다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 코드번호는 중단21 Format

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에서 까지 [102] [124] ([110][112][117]

및 를 제외한다[122] )

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및VHF [100][101][104][105][106][121]

일 것[124]

별표 동기신호의 송출순서[ 9]

주 기호 및 에서 까지가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DX] [RXO] [RX7]

- 34 -

별표 자리 숫자의 코드 변환표[ 10] 10

자리의 숫자10

십억D2

억D1

천만D2

백만D1

십만D2

만D1

천D2

백D1

십D2

일D1

코드5 코드4 코드3 코드2 코드1

주( )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1 1

및 은 자리 숫자의 자리 숫자 에서 까지를 표시하고 각 코드는2 D2 D1 10 2 00 99

그 자리의 십진수를 코드번호로 한다2

숫자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최상위 자리수의 숫자 앞에 을 포함할 것3 0

별표 해역의 표시방법[ 11]

해역의 표시는 다음과 같은 것

선정되는 지리상의 해역은 메르카토르 도법의 직사각형으로 표시할1 (Mercator)

직사각형의 북서를 해역의 기준점으로 할 것2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존재하는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3 1

으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0] [1] [2] [3]

할 것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위도를 표시할 것4 2 3

제 번째에서 제 번째가지의 숫자는 기준점의 경도를 표시할 것5 4 6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남북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6 7 8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동서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7 9 10

표에 표시하는 해역 및 의 표시의 예는 다음과 같을 것8 ab c

기준점이 북위 도 및 서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1) 10 25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20 35 a

1 1 0 0 2 5 2 0 3 5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2) 10 10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10 10 b

2 1 0 0 1 0 1 0 1 0

- 35 -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3) 12 12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4 7 C

2 1 2 0 1 2 0 4 0 7

별표 주파수 및 채널정보의 코드변환표[ 12]

주파수0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주파수를 의 배수로서 숫자의 십100

만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다 1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2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채 널

3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중단파대 또는 단파대의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 다

8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별도로 정한 채널로 한다

9 0 times times times times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18게기하는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천 백 십 및 일의 숫자로 표시한다

십만 만 천 백 십 일

코드3 코드2 코드1

주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 ) 1

- 36 -

별표 종료신호의 송출순서[ 13]

주 기호 가 종료신호를 표시한다( ) H

- 37 -

제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3

제 절 송수신장치1 DSC VHF

시스템 개요1

본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모든기능을 충족하는 일체형과 전화용 복신방식의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호출 및 수신제어장치 로구분된 독립형 으로 구분되며 DSC DSC

이는 외형상의 구분이며 그주요기능별 구성은 각각의 유니트로된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표시 및 제어장치 와 전원부 로 구분되며 이것들은 다시 하나의DSC

케비넷 또는 독립된장치로서 구성된다

시스템 구성2

장비의 개요 및 특징3

가 개요

본 송수신기는 항만내 또는 연안에서 해안국과 선박국 또는 선박국 상호간VHF FM

의 해상이동업무 통신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기로서 이내의 해상156 ~162

이동 무선통신업무용의 전 을 수용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전파관리법 및CHANNEL

등 국제규격에 적합하도록 설계 제작된 기기로서 전세계ITU SOLAS USA USCG

어느곳에서나 규정에알맞게 사용할 수 있는 국제항만 무선전화기용 무선 송수신기

를 제작한다

- 38 -

나 특징

소형 경량화로서 좁은 장소에 설치가 용의하게 되어 있어야 한다(1)

송신각 각 방식을 채용하였으며 국제 항만 무선전화(2) DIRECT SYNTHESIZER

인 를 수용해야 하며 그외 개의CHANNEL 55(114) CHANNEL 105(527) FREE

이 수용되어 있어야 한다CHANNEL(SIMPLEX)

주 국제 중 미국연안에서 단식방식으로 절환 사용되고 있는1 CHANNEL 55(114)

을 사용 할 수 있을것USA CHANNEL(SIMPLEX)

주 별도의 기상수신 을 수용하고 있어야 한다2 WEATHER CHANNEL( )

USA 3 CHANNELS

CANADIAN 1 CHANNEL

OTHERS 5 CHANNELS

원격조정 회로의 내장으로 본기기의 판넬스위치와는 상관없이(3) REMOTE ( ) HAND

만 으로도 판넬 스위치 조작에 필요한 모든기능을 할 수 있고SET CONTROL VHF

의 원근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어야 한다SET

기능이 첨부되어 있어 미국연안 경비대 의 의무 청취(4) DUAL WATCH USCG( )

인 과 의 개의 을 동시에 수신할 수CHANNEL CH 13 CH 16 2 CHANNEL SCANNING

있으며 과 사용자가 선택하는 임의의 을 동시에CHANNEL 16 CHANNEL SCANNING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에 경보신호 기능의 내장으로 비상시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5) CH 16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국제 개 및 을(6) SCAN CHANNEL 55 FREE CHANNEL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SCANNING

안전통신에 지정되어 있는 은 우선 사용할 수 있도록(7) CHANNEL16 1 STEP

로 되어 있어야 한다SWITCH

국제 해상 인명 안전조약 에 정한 규격으로 되어 있어 전세계 어느곳의(8) SOLAS( )

규정에도 적합하며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구 성4

본 기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가 송 수신기 본체 대 1

나 HAND SET 1 SET

다 WHIP ANTENNA 1 SET

라 벽걸이형 SPEAKER 1 SET

마 전원 공급기 1 SET

- 39 -

규 격5

주파수 및 규격은 현재의 통신방식이며 정보통신부의 고시가 발표되면 협대역(125

로 변경한다)

가 일반사항

사용주파수 범위(1)

송 신 156025 ~ 157425 수 신 (SIMPLEX) 156025 ~ 157425 수 신 (DUPLEX) 160625 ~ 162025 기상수신 (WEATHER) 161650 ~ 162550

사용(2) CHANNEL

A International 55 (114) CHANNELSB USA 25 CHANNELSC FREE 105 (527) CHANNELSD WEATHER 9 CHANNELS

USA 3 CHANNELSCANADIAN 1 CHANNELOTHERS 5 CHANNELS

통신 방식(3) SIMPLEX amp DUPLEX

전파의 형식 전화(4) 16KOF3E( G3E DSC F2BG2B)

주파수 편차(5) 0001 (10 PPM)

사용 온도범위 부터(6) -10 + 50

예열 시간 전원 접속후 즉시 사용가능(7)

공칭(8) ANTENNA IMPEDANCE 50 ohm ( )

공급 전원(9)

전 압 136V plusmn 10전 류 수신시 800

송신시 5A전원 공급기 별도( ) 단상AC115V AC220V 60

부터 까지DC 15V 35V

나 송 신 부

정격 출력(1) HIGH -25 W

LOW - 1W

주 공중선 전력 저하장치로 이하 저하기능 보유1 1WATT주 단 보호 인 및 가 아님 은 송신이2 CHANNEL 7576 1 ~9(01 ~09 )CHANNEL되지 않음 기상수신대의 사용법은 본문 참조 ( )

- 40 -

발진 방식(2) SYNTHESIZER CONTROL SYSTEM

변조 방식(3) FREQUENCY MODULATION

점유 주파수 대역폭(4) 16 (8)

최대 주파수 편의(5) 5 (25)

복사강도 이상(6) SPURIOUS 70

변조 주파수 특성(7) 6 (plusmn 3 ) OCTAVE PRE-EMPHASIS)

(300 ~ 3 )

변조시 이하(8) DISTORTION 1 70 -20

신호 대 잡음비 변조시 이상(9) 1 70 40

저역 여파기 특성 이상에서 이상 감쇄(10) 3 -40log f3( ) (f = )

다 수 신 부

수 신 방 식(1) DOUBLE SUPERHETERODYNE SYSTEM

감 도(2) 이하 신호 대 잡음비 에서 025 V ( 20 )μ

감도(3) SQUELCH 이하 02 Vμ

국부 발진 주파수(4) 1lsquost LOCAL FREQUENCY

RECEIVER FREQUENCY - 214

2nd LOCAL FREQUENCY 10945

중간 주파수(5) 1lsquost IF FREQUENCY 214

2nd IF FREQUENCY 455

선 택 도(6) 저하폭 이상 6 12 (6)

저하폭 이하 70 25 (125)

(7) SPURIOUS RESPONCE 이상 70

감도 억압 효과(8) 이상 80

상호 변조 특성(9) 이상 65 ( 20 40 )

주파수 특성(10) 6 (plusmn3 )OCTAVE DE-EMPHASIS)

( 300 ~ 3 )

신호 대 잡음비(11) 변조시 이상 1 60 40

(12) DISTORTION 변조시 이하 1 70 -20

저주파 출력(13) 이상 1 WATT (IMPEDANCE 8 ohm)

- 41 -

제 절 차년도 개발 범위2 1

제 차년도 개발범위는 기초자료조사와 규정의 연구에 따라 기초회로의 설계 후1

사용부품을 시험하고 각 의 제작 및 시험 연이은 성능미달 의 차 차PCB PCB 2 3

차 재제작 시험을 완료하고 시스템의 설계까지이며 그 세부적인 개발범위는 다음4

과 같다

송수신장치 개발을 위한 제규정 수집 연구1 DSC VHF

기초자료 조사2

가 장비에 대한 기능특성 수집 연구

나 사용자 및 선박통신사의 요구사항에 대한 자료 수집 연구

다 외국장비와 비교 분석

라 부품규격 시험 및 선정

3 HARD WARE

가 고주파 필터코일 재질분석 및 각종코일 설계

나 제작 PCB

송신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1) PCB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시험(2) PCB

수신부회로 제작 시험(3) PCB

신세사이즈 회로 제작 시험(4) PCB

제어장치 제작 시험(5) PCB

표시장치 제작 시험(6) PCB

원격제어기 제작 시험(7) PCB

전원공급부 제작 시험(8) PCB

제작 시험(9) HAND SET PCB

전용수신기 제작 시험(10) DSC PCB

- 42 -

제 장 제 차년도 개발 항목 보고4 1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본 장비를 개발함에 있어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및 부품선정이 개발의 핵심 과제

로 생각하였다

기초자료는 기존 시스템분석과 전파관련법령을 기초하였고 주변회로는 관련된 회

로집을 분석하였으며 부품선정은 폐품종 여부와 수급이 용이하면서 견고하고 증폭

도 및 성능이 우수한 품종으로 장시간 시험을 거쳐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송신부 제작시험2

송신 출력회로 결정 회로설계 완료하여 각부 부품 구입 회 내구성 시험 및SPEC 30

구룹별 장시간 부품 부하 시험등 최종목표 성능을 확보하기위한 제반 기초 제작시

험을 완료 하였으며 주요 내용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의 발열상태등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의 높은 출력으로 증폭하는 송신전(VHF ) 25W

력 증폭기로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높은 고주파전력에 견딜수있어야 하고 열

에의해 발생되는 열잡음이 적으야하며 열에의한 부품의 열화 및 특성의 변화가 적

은 부품을 사용여야 하므로 온습도시험 과 과출력 시험을 통하여 사용될 부품을 시

험하였다

특히 고조파 필터회로 부품인 코일은 동선에 전도율이 좋은 재질로 도금하여 사용

하여야 하며 고조파필터회로 의 차폐용 재료도 동판에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도금

하여 사용 하여야 한다

나 송신 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PCB (PCB NO V-097)

개발과정에서의 설계변경 및 생산시스템의 전산화 에 적용 할수있도록 회로 설계는

물론 설계 회로기판 도안 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설계완료된 는PCB ( ) CAD DATA

회로기판 제작장치 외주 작업 및 부품삽입기 자사 작업 에 직접 컴퓨터용 디스켙( ) ( ) (

으로 입력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회로에 높은 고주파전류가 흐르므로인하여 빌진할 가능성 및 잡음발생의 우려PCB

가 많으므로 특히 부품배치에 유의하여 설계하였으며 송신신호 발생회로 또는 전원

회로 와의 배선은 관통형콘덴서등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였다

회로에 사용되는 코일은 각 코일간에 간섭을 줄이기위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설정하

였으며 전체를 차폐하고 또 고조파 필터회로를 구분하여 차폐하여 제작 하였PCB

- 43 -

또 안정된 출력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회로를 장치하여 설정된 출력 이상의ALC

출력을 제한한다

다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PCB (PCB NO V-096TX)

설계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이 는 미약한 고주파 신호를 발생 변PCB CAD PCB

환 증폭 하므로서 송신부 또는 외부로 부터의 잡음 유입과 내부잡음 발생에 유의

하여 설계되었으며 불요복사 억제에 유의하였다

라 성능시험

메칭상태 시험(1)

옴 파장 수직형 안테나 를 사용할수 있도록 시험하였으며 차적인 시험은 의50 12 1

사부하에 의해 시험하고 의사부하 안테나에 정상적인 메칭이 된 후 실제 사용 안테

나에 확인시험 하였다

이 시험에서 양질의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장치는 물론 안테나의 성능이 중

요하며 인접한 고전력 안테나 및 낙뢰로부터 안정성 등을 감안하여 안테나는 VHF

대역 이하의 주파수에 대하여 쇼트형 안테나가 바람직 하다

기존 시스템의 이상의 성능 확보(2) 90

송신부의 주기능으로서 양질의전파를 안테나로 공중에 발사하는 장치로서 주피수안

정도 고조파억압 불효전파억제 안정된전력 안정된 주파수편이 낮은 왜율 등의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시험결과는 기존의 제품의 특성에 가까운 성능을 확보

하였으나 안테나공용기 복신통신용 필터 특성의 개선및 송신부 관련부품의 배치를( )

개선하므로서 보다 좋은 성능을 확보 할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신부 제작시험3

수신부는 안테나입력회로 입력동조회로 단신통신 및 복신통신 각 주파수 대역 필 (

터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로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 1 1 2 2

로 대역필터회로 신호제한 리미터 회로 복조회로 무신호잡음 차단 회로 저주 ( ) FM

파 증폭회로 및 국부발진회로 로서 구성되나 국부발진회로는 잡음의 발생및 유입

주파수안정도 등을 감안하여 별도의 로서 제작하였으며 그외 수신부와 관련한PCB

내용은 다음과 같다

- 44 -

가 사용부품의 구입 및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증폭과 변환을 반복하여 요구되는 신호(VHF )

를 복조하여 기청음 또는 의 문자표시로 출력되게 하므로서 안정된 주파수 및DSC

증폭이 요구되므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당연히 고주파특성에 유의하여 주파수

차에의한 특성변화 열잡음 및 고주파잡음 능동소자등의 직선성 등이 교려되어야하

므로 항온항습시험과 과전류에의한 잡음발생의 시험 등 을 거처 엄선한 부품으로

설정사용 하였다

특히 회로의 선택도 코알의 값 를 높이기 위하여 가 높은 트랜스 재료를 사용하( Q ) Q

였다

다 수신부회로 제작 PCB (PCB NO V-096RX)

위 항에서의 시험에 의해 선택된 부품을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며 수신부의 특성31

상 잡음의 발생보다는 잡음의 유입에 유의하여 설계되었으며 안정된 증폭 특성 수(

신감도 을 얻기위하여 중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회로기판은 에폭시) 2

수지 양면인쇄동판을 사용하여 부품삽입면은 대부분 공통단자로 이용하여 부품간의

간섭을최소화 하였다

다 수신부 특성시험

수신부 특성상 수신감도 주파수안정도 왜율 통과대역폭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감도억압비 혼변조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신호대 잡음비 일 때의 수신감 20

도 성능이 확보되며 기타 여러 가지 특성도 최종목표 특성에 가까운 성능이05

확보 되었으나 까지 수신감도가 향상되도록 성능개선이 요구된다025 V 120757

신세사이즈부의 회로의 안정도로 인하여 국부발진 신호의 흔들림현상이 있어VCO

통과대역폭 및 잡음발생의 원인이되어 신세사이즈회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신세시이즈회로는 크게 수신국부발진 신호용과 송신신호용으로 구분되며 단신통신

과 복신통신방식일때 각각 동작할수있는 구성으로 설계되었으며 그 내용별로 구분

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전압제어발진기 에 사용되는 부품은 온도 및 전압변동에 특성의변화가 극히(VCO)

적어야하며 외부로부터 정전 및 자계영향이 크므로 회로를 별도로 정전 및 자VCO

계로부터 차폐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혼변조 및 잡음신호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파수선택 표준신호 등 시 수신( )

대역 및 송신대역에 영향이 없는 주파수로 하였으며 가능한 레벨을 제외한 신(TTL

호 파형의 왜율이 적은신호로서 각회로신호를 사용하여 결합하였다)

- 45 -

나 신세사이회로 제작 (PCB NO V-096PLL)

이회로 기판은 여러종류의 신호들이 발생 혼합 증폭 비교 되므로 각부품 간의 배

치에따라 잡음발생의 정도가 크게 좌우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였으며 회로는 외VCO

부영향에 민감하게 작동되므로 차폐 에 유의하여 부품의 배치 적절하게 하였으며

잡음발생을 유의하여 부품을 선정하였다

다 성능시험

이회로의 특성상 주파수안정도 주파수의 흔들림 위상비교기의 비교속도 등에 유의

하여 시험하였으며 여러가지 일반적인 특성은 최종목표사양에 만족될 수 있는 신호

원을 공급할수 있었어나 주파수의 흔들림 현상이 있어 회로의 부품 및 차폐에VCO

개선이 요구된다

제어장치 제작시험5 (PCB NO V-263)

이회로의 주요부품으로서 를 사용하여 당개발과제의 송수신 및 외부V25 CPU DSC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며 아울러 본체 전면표시기와 스윗치 입출력 기능도 한다

이회로의 주요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스 읽기전용 메모리 읽고CPU( ) ROM( ) RAM(

쓰기 메모리 직렬통신용 입출력 병렬통신 입출력 아날로그 디지) SIO( ) PIO( ) AD(

탈 변환기 스윗치입력 표시기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개발 내용은 다음과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에 사용되는 부품은 대부분 디지탈신호를 처리하여 회로로서 및TTL IC

로서 구성되며 저소비전력 및 고속처리능력이 요구되므로 주로 고속용C-MOS IC

중 형 를 사용 하였으며 장치의 초기설정 및 기능 설정의C-MOS(C-MOS IC HC )

변경등 의 목적으로 은 충전형 밧테리로서 메모리내용을 전원의 에 관RAM ONOFF

계없이 유지하도록 하였다

외부 제어기 등 와의 통신용 의 통신속도를 또는 등으로(DSC ) RS-232C 2400 4800

변경 설정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변환기 등을 이용하여 자기진단을 할수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장비의 유지및AD

보수에 많은 도움이된다

- 46 -

나 성능시험

운용시험(1)

이회로의 특성상 전기적 특성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특성 및 성능이 요구되므로 운

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이부분에 대한 시험은 개발자입

장이 아닌 운용자가 시험하여야 하는 관계로 선박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사용자에게

의뢰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로서는 기능면에서는 양호하나 사용상 복잡한 면이 있어 보다 조작 을 간편

히 할수있도록 개선할 필요가있는 것으로 본다

표시장치 시험(2) (PCB NO V-260)

본장치의 사용상 필요한 기능 및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내용과 기기 동작

상태의 일치성이 요구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온습도 및 장기시험 으

로서 확인하였으며 여러 가지 표시장치중 각각 중단점이 나타낮다

즉 액정 표시기 표시기는 저소비전력이며 주위가 밝은곳에서 사용이 가능 하LCD( )

나 반면 온도특성이 나쁘며 형광표시관 표시기는 온도특성은 양호하나 소비전 VFD( )

력이 대체로 높고 보다 낮고 보다 많음 수명이 낮다는 단점이있으며(FND LCD )

발광 다이오드 표시기는 모든면에서 대체로 양호 하나 잡음발생 이많으며 밝FND( )

은곳에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외 여러 가지의 장담점을 검토하여 차적인 결론은 표시기가 적합한 것으로1 LCD

본다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최소의 전기적신호 연결로서 최대의 기능제어및 속도가 요구되는 장치로서 저주파

신호의 입력 마이크 신호 및 출력 스피크 신호 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 제어는( FS ) ( )

직렬통신 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였으며 장거리 일반 공용통신망 을 이(RS-232C)

용할수도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요 구성은 중앙제어장치 스윗치입력 장치 표시장치 메모리장치 직렬통신장치

로 구성되며 그 상세한 개발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의 대부분이 디지탈신호의 처리회로로서 구성되므로 제어장치 의 사용 부품ldquo rdquo

시험 및 선정기준과 같으며 장거리운용상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신속도를

알맞게하며 장거리통신 선로에서 유기되는 잡음을 최소화 하기위한 필터회로 및

소프트웨어적인 오류정정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별도 설계 사용 하였다

- 47 -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V-170)

이장치는 사용상 편리하여야 하므로 소형 경량 으로 제작 하였으며 차적 기능 시 1

험을 목적으로 외형 보다는 성능을 우선하여 시험용으로 제작하였다 이장치의 시

험은 전용케이블 을 이용하여 시험하였고 또 일반 공용통신용 전화 선로를 통하여

원거리 시험을 하였으며 그결과로서 통신속도가 까지 양호하게 동작되나2400bps

그이상의 통신속도로서 운용 할려면 전용회선이 필요하게된다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가 결정 SPEC

각회로 에서 필요로하는 전압 및 전류에 알맞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반 성능

을 차적으로 설정 하였으며 최종목표 사양에 일치하기위하여서는 전원부의 장치에1

대하여 모든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최종 특성이 설정 되어야 한다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P-099)

이장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되나 반면에 안정성이 확고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안

정성을 첫째로 중요시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이회로는 많은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많은 전력이 열로서 손실되므로 방열에 특히 유의하여 제작되었으며 열발생이 많은

부품은 알미늄 방열판에 설치하고 이방열판은 본장치 외함의 바깥쪽에 설치하여 방

열효과를 최대화 하였다

이회로의 시험은 과입력전압 및 과소비전력 일때의 안정성에 중점 시험하였고 그시

험을 위하여 장시간 항온 항습기 를 이용하여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전원부의 안정

성 확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도 이회로를 특별히 개선하지 않고도 최

종목표 사양에 만족하리라 본다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PCB NO V-098)

마이크 회로 수화기 회로 송신 스윗치 회로 로서 구성되며 이장치는 사용 특성상

충격에 강하도록 설계제작 되어야 하며 무게는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재료선택이

중요하며 이러한점을 감안하여 사출금형에 의하여 성형 하였으며 성형 제료로서는

제료를 사용하고 사용 부품을 최소화 하여 제작 하였다ABS

이장치의 특성상 견고하며 방수효과가 최대이어야 하므로 충격 자연낙하 시험 및( )

방수시험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 성형제료 및 외형상의 문제는 없이나

송화기 및 수화기의 선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송화기는 콘텐서형

마이크가 좋으며 수화기로는 가변코일형으로서 떨림판이 평면으로된 수화기가 우수

한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선정하여 제작시험 하였다

- 48 -

전용 수신기9 DSC (PCB NO T-342)

전용수신 장치는 송수신장치중 송신부를 제외한 구조와 유사하므로 개발과정에서

송수신장치중 수신부회로에 복조장치 를 추가하여 별도 로 제작하여 시험DSC PCB

하였으며 개발내용중 전용수신기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DSC

가 기능 및 동작

변조되어 수신된 신호를 필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후 신호 처리용FM DSC DSC

마이크로프로세스 에 공급하여 소프트웨어로서 신호를 분석한후 표시장치 메(CPU)

모리장치 인쇄장치 등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전용 찬넬인 번 찬넬을 항상 DSC 70

수신상태로 동작하여 신호 도트신호 를 검출하고 신호가 있으면 이어서CALL ( ) CALL

수신되는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표시장치 및 경보장치에 출력한다

나 신호 신호 필터회로 와 신호 처리부 및 제어용회로부 DSC (FS ) DSC DSC

제작시험 (PCB NO T-325 T-326 T-327)

이 회로의 성능은 주로 필터 및 디지탈변환 회로에서 결정되며 소프트웨어의 성능

에 따라 안정성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점을 유의하여 설계제작 하여으며 성능 시험

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험용 정보를 송신장치로 통해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후 그

결과를 분석 시험 하였다

다 전용 수신기의 개발과정 에서의 학보된 기술 DSC

신호 및 의 신호 의 필터 및 디지털 변환 기술DSC (1300 2100 FS )

신호 검출 및 직렬신호의 병렬변환 소프트웨어DOT

기술 정보의 비교 및 인쇄출력 소프트웨어 기술

종합시험10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별 차 차 차 보완시험은 만족하며 앞으로 개발의 중점은 사용의 편리성과PCB 1 2 3

생산성에 중점 개발이 요하며 배치에 따라 야기될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 PCB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후 최종제품을 제작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49 -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1

가 전면판 사출금형

나 옆판 스피커 안테나 금형

다 노브 사출금형

라 윗면 및 밑면 프레스 금형

마 설치용 고정장치 사출 금형

바 설치대 프레스 금형

사 뒷면 작업용 프레스 금형

아 항온조용 열차단금형

자 필타 금형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2

가 송수신기 제어장치 프로그램

나 전용 수신기 제어용 프로그램 DSC

다 원격조정기 프로그램

라 송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마 수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3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24: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24 -

자국의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8 [0]

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서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제 및 제 의 정보로 하여 별표 에 따라서 각각 개의 코드번9 1 2 Telecommand 8 1

호에 코드화한 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제 (class) B 1

를 다음과 같이하고 제 코드번호가 일 것Telecommand 2 Telecommand [126]

중단파대의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 부가하는 장치의 선택호출신호 이하(1) (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 라 한다 는 신호가 개별국의 호출일때에는 코드번ldquo rdquo ) Format

호 또는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일[119] [111] [118] Format

때에는 코드번호 또는 일 것[109] [111] [111]

선택호출신호는 신호가 개별국의 호출일 때에는 코드번호(2) VHF Format [100]

또는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일 때에는 코드번호[101] Format

또는 일 것[100] [101] [105]

다음의 방식일 것10

호출에 이어 계속 통신에 사용하는 송신 및 수신을 위한 주파수 또는 채널을(1)

나타내는 선택호출신호는 송신파 및 수신파의 순으로 별표 에 코드화한 것일 것12

다만 주파수 또는 채널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송신파 또는 수신파마다에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126]

선박의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선택호출신호는 코드번호 및 다음에 의거 표(2) [55]

시되는 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 자리숫자를 별표 에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가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가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나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부터 제 번째까지의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표시한다

제 가 선박의 위치인 호출에 대한 응답 이하 선박위치응답 이라(3) 1 Telecommand ( ldquo rdquo

한다 을 위한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의 가 및 나 에 의해 표시하는 선박의) (2) ldquo rdquo ldquo rdquo

위치를 나타내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코드화한 것 및 그것에 계속코드번호10 10

일 것[126]

에서 이외의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4) (1) (3) 6 [126]

선박위치응답의 경우 종별 의 장치를 제외한다 및 신호가 개별11 ( (class)B ) Format

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에만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각각 다음의 방

식일 것

선박위치응답의 경우는 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 국제표준시로 한다 이하 같(1) (

다 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2 10

개의 코드번호로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는 개2 2

의 코드번호 일 것[88]

- 25 -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는 아날로그 전화용(2) Format

설비와 접속하기 위한 번호 이하 전화번호 라 한다 등의 네트워크번호를 표시하는( ldquo rdquo )

것으로 하고

네트워크번호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코드번호를 짝수의 경우는 코드번호[105]

과 네트워크를 별표 에 준하여 개부터 개까지의 수의 코드번호로 코드화[106] 10 2 9

한 것일 것

응답을 필요로 하는 호출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응답12 [117]

을 위한 선택 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및 이외의 경우는 코드번호[122] [127]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 다만 신호가 모13 Format

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 코드번호 일 것[127]

오류검정부호는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정보비트 및 제 번째에서 제13 1 7 8

번째까지의 검정비트로부터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생성되는 각 비트10

의 및 이 각각 별표 에 표시하는 및 에 대응하는 단위 부호로[0] [1] 6 [B] [Y] 10

하여서 송출되는 것일 것

정보비트의 각 비트는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동기신호를 제외한다 의 모든(1) (dot )

코드번호 신호 및 종료신호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로 한다 에 대응하(Format 1 )

는 부호의 비트 위치마다 최하위 비트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다만 를 를 B 0 Y 1

로해서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검정비트는 정보비트의 의 수를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B 2

별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해안국의 장치는 제외한다[ 2 ] (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자국 의식별신호

주( 4)

조난종류 의정보신호

주( 5)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

주( 6)

시각정보신호

주( 7)

Tele-command정보 신호

주( 8)

종료신호

주( 9)

오류검정신호

주( 10)

주( )

중단파 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는 비트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비1 200 VHF 20

트일 것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2]

자국의 선박국 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4 [0] 10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조난의 종류를 표시하는 것으로 하여 별표 에 따라 개의 코드번호로 코드화한5 8 1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 (class) B 1 107

- 26 -

조난선박에 위치를 다음과 같이 자리의 숫자로 표시 하는 것으로 별표 에6 10 10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조난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것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99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1)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는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2)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한다

조난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것7 2

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개의 코드번호에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 10 2

를 포함하지않는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88]

계속하여 행하는 통신의 형식을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통신장치가 무선전화 또8

는 협대역직접 인쇄전신장치인 제 를 별표 에 개의 코드번호로1 Telecommand 8 1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방식일 것 (class) B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 일 것(1) 1 [109] [111]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VHF 1 [100]

코드번호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하는 것일 것9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별표 조난경보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선박국의 장치를[ 3] (

제외 )

dot신호

주( 1)

동기신호

주( 2)

For-mat신호

주( 3)

Cate-gory신호

주( 4)

자국의식별신호

주( 5)

Telec-ommand정보신호

주( 6)

조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7)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 8)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 9)

시각정보신호

주( 10)

Tleco-mmand정보신호

주( 11)

종료신호

주( 12)

오 류검 정신 호

주( 13)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6]

별표 의 주 과 같은 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4 1 7 [112]

자국의 해안국 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숫자를5 [0] 10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6 1 [1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일 것7

- 27 -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종류의 정보신호일 것8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일 것9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시각정보신호일 것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정보신호일 것11 Telecommand

코드번호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2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3 1 13

별표 조난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 중계에 대한 응답을 위한[ 4]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dot신호

주(1)

동기신호

주(2)

For-mat신호

주(3)

Addr-ess신 호

주( 4및56)

Cate-gory신 호

주(7)

자국의식별신호

주(8)

Telec-ommand정보신호

주( 9)

조 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10)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11)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12)

시각정보신호

주(13)

Tleco-mmand정보신호

주( 14)

종료신호

주(15)

오류검정신호

주(16)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별표 의 주 과 같다 코드번호 이외의 것으로 한다3 1 3 ( [112] )

신호가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에는 상대국의 식별신호4 Format

로 하고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0] 10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5 Format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6

별표 의 주 과 같은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7 1 7 [112]

별표 이 주 과 같다8 1 8

개의 코드번호 일 것9 1 [112]

수신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 또는 수신한 조난경10

보의 중계의 조난선박국의 식별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종류의 정보11

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선박의 위치12

정보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시각정보일 것13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14 Telecommand

정보신호일 것으로 한다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것으로 하 (class) B

는 것이 가능할 것

- 28 -

중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1) 1 [109] [111]

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2) VHF 1 [100] [101]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코드번호 개별 해안국 앞15 Format [127]

으로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에는 코드번호 로서 별표[122]

의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3

별표 의 주 과 같다16 1 13

별표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대 선택호출신호를 제외한다[ 5] (VHF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Address신 호

주( 4)

Category신호

주( 5)

자국의식별신호

주( 6)

정 보신 호1

주( 7)

정 보신 호2

주( 8)

종 료신 호

주( 9)

오류검정신 호

주( 10)

주( )

비트일 것1 200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20]

상대국의 식별신호로서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이에 계속되는 으로서4 [0]

구성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1 [108]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8

각 개의 코드번호 및 일 것7 1 [118] [126]

개의 코드번호 일 것8 6 [126]

코드번호 또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9 [117] [122] 13

일 것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 29 -

별표 선택호출신호의 단위부호[ 6] 10

는 스페이스주파수 는 마크주파수로 대응하고 비트위치의 에서 송출된다B Y 1

협대역 일때MFHF B=1785 Y=1615

대역 일때VHF B=2100 Y=1300

- 30 -

별표 반복송출의 순서[ 7]

주 기호 는 선택호출신호의 종료신호를 표시하고 기호 는 에서 까( ) H DX RX0 RX7

지가 반복송출되는 선택호출신호의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31 -

별표 코드번호 의 용도[ 8] (100-127)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00 통상업무

화재 또는폭발

또는F3단신G3E

무선전화 이유없음 주( 3)

101 침수 또는F3복신G3E

무선전화 해사교환 센터의혼잡 주( 3)

102 해역호출

충돌 미확정주( 1)

통화중 주( 3)

103 좌초 Polling 대기행렬표시주( 3)

104 의RXO위치의동기신호

경사 및전복의위험

수입불가주( 2)

폐국 주( 3)

105 의RX1위치의동기신호

침몰 호출의 종료주( 4)

의 부재Operator주( 3)

106 의RX2위치의동기신호

선박업무주( 5)

조선불능으로 표류

데이터주( 6)

변복조장치

의Operator일시적 부재 주( 3)

107 의RX3위치의동기신호

기타의조난

미확정주( 1)

장치의 운용불가주( 3)

108 의RX4위치의동기신호

안전 선체의방치

미확정주( 1)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09 의RX5위치의동기신호

J3E 무선전화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10의RX6

위치의동기신호

긴급 조난경보에대한 응답

무력분쟁의당사국이 아닌것을 표시하는선박 및 항공기주( 7)

111 의RX7위치의동기신호

H3E 무선전화 위생수송체 주( 7)

112 조난경보

조난 조난자동통보설비(주 의9)시동

조난경보의중계

공중전화사무소주( 8)

- 32 -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13또는F1B방향오J2B(1

류정정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미확정 주( 1)

114

공통관계를 갖는선단의호출

미확정 주( 1) 미확정 주( 1)

115또는F1B자동재송J2B(

요구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데이터 주( 11)

116모든선박호출

또는F1B J2B수신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2)

11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18 시험 데이타 주( 14)

119또는F1B수신J2B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5)

120개별국의호출

A1A 테이프레코더

데이터 주( 16)

121 선박의 위치 데이타 주( 17)

122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3

개별국의반자동또는자동접속호출

A1A 전건 및핸드셋(Handset)

데이터 주( 18)

124또는F1CF2C

F3C팩시밀리장 데이터 주( 19)

125의DX

위치의동기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6 정보없음 정보없음 주( 20)

12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주( )

앞으로의 사용을 위하여 유보한다1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2 [100] [109] 2 Telecommand

코드번호 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3 [104] 1 Telecommand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 시스템에만 사용한다4

- 33 -

선박의 항해 운항 필수품에 관한 통신과 정부의 기상업무기관으로 보내는 기5

상 관측 통보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6 [115] [124] 2 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을 제외하고 제7 [104][105][106][110][112] [118] 1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의 제 와 조합하여8 [100][101][109][115] [124] 1 Telecommand

사용한다

수색구조용 레이다트랜스폰더를 제외한다9

무선설비규칙의 제 조의 에 정하는 것으로 한다10 69 4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1 (V21)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2 (V22)

앞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1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4 (V2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5 (V2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6 (V1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7 (V26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8 (V27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9 (V32)

코드번호 를 제외하고 제 와 조합하여 사20 [104][110][112] 1 Telecommand

용한다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 코드번호는 중단21 Format

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에서 까지 [102] [124] ([110][112][117]

및 를 제외한다[122] )

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및VHF [100][101][104][105][106][121]

일 것[124]

별표 동기신호의 송출순서[ 9]

주 기호 및 에서 까지가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DX] [RXO] [RX7]

- 34 -

별표 자리 숫자의 코드 변환표[ 10] 10

자리의 숫자10

십억D2

억D1

천만D2

백만D1

십만D2

만D1

천D2

백D1

십D2

일D1

코드5 코드4 코드3 코드2 코드1

주( )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1 1

및 은 자리 숫자의 자리 숫자 에서 까지를 표시하고 각 코드는2 D2 D1 10 2 00 99

그 자리의 십진수를 코드번호로 한다2

숫자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최상위 자리수의 숫자 앞에 을 포함할 것3 0

별표 해역의 표시방법[ 11]

해역의 표시는 다음과 같은 것

선정되는 지리상의 해역은 메르카토르 도법의 직사각형으로 표시할1 (Mercator)

직사각형의 북서를 해역의 기준점으로 할 것2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존재하는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3 1

으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0] [1] [2] [3]

할 것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위도를 표시할 것4 2 3

제 번째에서 제 번째가지의 숫자는 기준점의 경도를 표시할 것5 4 6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남북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6 7 8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동서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7 9 10

표에 표시하는 해역 및 의 표시의 예는 다음과 같을 것8 ab c

기준점이 북위 도 및 서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1) 10 25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20 35 a

1 1 0 0 2 5 2 0 3 5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2) 10 10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10 10 b

2 1 0 0 1 0 1 0 1 0

- 35 -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3) 12 12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4 7 C

2 1 2 0 1 2 0 4 0 7

별표 주파수 및 채널정보의 코드변환표[ 12]

주파수0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주파수를 의 배수로서 숫자의 십100

만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다 1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2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채 널

3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중단파대 또는 단파대의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 다

8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별도로 정한 채널로 한다

9 0 times times times times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18게기하는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천 백 십 및 일의 숫자로 표시한다

십만 만 천 백 십 일

코드3 코드2 코드1

주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 ) 1

- 36 -

별표 종료신호의 송출순서[ 13]

주 기호 가 종료신호를 표시한다( ) H

- 37 -

제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3

제 절 송수신장치1 DSC VHF

시스템 개요1

본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모든기능을 충족하는 일체형과 전화용 복신방식의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호출 및 수신제어장치 로구분된 독립형 으로 구분되며 DSC DSC

이는 외형상의 구분이며 그주요기능별 구성은 각각의 유니트로된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표시 및 제어장치 와 전원부 로 구분되며 이것들은 다시 하나의DSC

케비넷 또는 독립된장치로서 구성된다

시스템 구성2

장비의 개요 및 특징3

가 개요

본 송수신기는 항만내 또는 연안에서 해안국과 선박국 또는 선박국 상호간VHF FM

의 해상이동업무 통신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기로서 이내의 해상156 ~162

이동 무선통신업무용의 전 을 수용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전파관리법 및CHANNEL

등 국제규격에 적합하도록 설계 제작된 기기로서 전세계ITU SOLAS USA USCG

어느곳에서나 규정에알맞게 사용할 수 있는 국제항만 무선전화기용 무선 송수신기

를 제작한다

- 38 -

나 특징

소형 경량화로서 좁은 장소에 설치가 용의하게 되어 있어야 한다(1)

송신각 각 방식을 채용하였으며 국제 항만 무선전화(2) DIRECT SYNTHESIZER

인 를 수용해야 하며 그외 개의CHANNEL 55(114) CHANNEL 105(527) FREE

이 수용되어 있어야 한다CHANNEL(SIMPLEX)

주 국제 중 미국연안에서 단식방식으로 절환 사용되고 있는1 CHANNEL 55(114)

을 사용 할 수 있을것USA CHANNEL(SIMPLEX)

주 별도의 기상수신 을 수용하고 있어야 한다2 WEATHER CHANNEL( )

USA 3 CHANNELS

CANADIAN 1 CHANNEL

OTHERS 5 CHANNELS

원격조정 회로의 내장으로 본기기의 판넬스위치와는 상관없이(3) REMOTE ( ) HAND

만 으로도 판넬 스위치 조작에 필요한 모든기능을 할 수 있고SET CONTROL VHF

의 원근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어야 한다SET

기능이 첨부되어 있어 미국연안 경비대 의 의무 청취(4) DUAL WATCH USCG( )

인 과 의 개의 을 동시에 수신할 수CHANNEL CH 13 CH 16 2 CHANNEL SCANNING

있으며 과 사용자가 선택하는 임의의 을 동시에CHANNEL 16 CHANNEL SCANNING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에 경보신호 기능의 내장으로 비상시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5) CH 16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국제 개 및 을(6) SCAN CHANNEL 55 FREE CHANNEL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SCANNING

안전통신에 지정되어 있는 은 우선 사용할 수 있도록(7) CHANNEL16 1 STEP

로 되어 있어야 한다SWITCH

국제 해상 인명 안전조약 에 정한 규격으로 되어 있어 전세계 어느곳의(8) SOLAS( )

규정에도 적합하며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구 성4

본 기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가 송 수신기 본체 대 1

나 HAND SET 1 SET

다 WHIP ANTENNA 1 SET

라 벽걸이형 SPEAKER 1 SET

마 전원 공급기 1 SET

- 39 -

규 격5

주파수 및 규격은 현재의 통신방식이며 정보통신부의 고시가 발표되면 협대역(125

로 변경한다)

가 일반사항

사용주파수 범위(1)

송 신 156025 ~ 157425 수 신 (SIMPLEX) 156025 ~ 157425 수 신 (DUPLEX) 160625 ~ 162025 기상수신 (WEATHER) 161650 ~ 162550

사용(2) CHANNEL

A International 55 (114) CHANNELSB USA 25 CHANNELSC FREE 105 (527) CHANNELSD WEATHER 9 CHANNELS

USA 3 CHANNELSCANADIAN 1 CHANNELOTHERS 5 CHANNELS

통신 방식(3) SIMPLEX amp DUPLEX

전파의 형식 전화(4) 16KOF3E( G3E DSC F2BG2B)

주파수 편차(5) 0001 (10 PPM)

사용 온도범위 부터(6) -10 + 50

예열 시간 전원 접속후 즉시 사용가능(7)

공칭(8) ANTENNA IMPEDANCE 50 ohm ( )

공급 전원(9)

전 압 136V plusmn 10전 류 수신시 800

송신시 5A전원 공급기 별도( ) 단상AC115V AC220V 60

부터 까지DC 15V 35V

나 송 신 부

정격 출력(1) HIGH -25 W

LOW - 1W

주 공중선 전력 저하장치로 이하 저하기능 보유1 1WATT주 단 보호 인 및 가 아님 은 송신이2 CHANNEL 7576 1 ~9(01 ~09 )CHANNEL되지 않음 기상수신대의 사용법은 본문 참조 ( )

- 40 -

발진 방식(2) SYNTHESIZER CONTROL SYSTEM

변조 방식(3) FREQUENCY MODULATION

점유 주파수 대역폭(4) 16 (8)

최대 주파수 편의(5) 5 (25)

복사강도 이상(6) SPURIOUS 70

변조 주파수 특성(7) 6 (plusmn 3 ) OCTAVE PRE-EMPHASIS)

(300 ~ 3 )

변조시 이하(8) DISTORTION 1 70 -20

신호 대 잡음비 변조시 이상(9) 1 70 40

저역 여파기 특성 이상에서 이상 감쇄(10) 3 -40log f3( ) (f = )

다 수 신 부

수 신 방 식(1) DOUBLE SUPERHETERODYNE SYSTEM

감 도(2) 이하 신호 대 잡음비 에서 025 V ( 20 )μ

감도(3) SQUELCH 이하 02 Vμ

국부 발진 주파수(4) 1lsquost LOCAL FREQUENCY

RECEIVER FREQUENCY - 214

2nd LOCAL FREQUENCY 10945

중간 주파수(5) 1lsquost IF FREQUENCY 214

2nd IF FREQUENCY 455

선 택 도(6) 저하폭 이상 6 12 (6)

저하폭 이하 70 25 (125)

(7) SPURIOUS RESPONCE 이상 70

감도 억압 효과(8) 이상 80

상호 변조 특성(9) 이상 65 ( 20 40 )

주파수 특성(10) 6 (plusmn3 )OCTAVE DE-EMPHASIS)

( 300 ~ 3 )

신호 대 잡음비(11) 변조시 이상 1 60 40

(12) DISTORTION 변조시 이하 1 70 -20

저주파 출력(13) 이상 1 WATT (IMPEDANCE 8 ohm)

- 41 -

제 절 차년도 개발 범위2 1

제 차년도 개발범위는 기초자료조사와 규정의 연구에 따라 기초회로의 설계 후1

사용부품을 시험하고 각 의 제작 및 시험 연이은 성능미달 의 차 차PCB PCB 2 3

차 재제작 시험을 완료하고 시스템의 설계까지이며 그 세부적인 개발범위는 다음4

과 같다

송수신장치 개발을 위한 제규정 수집 연구1 DSC VHF

기초자료 조사2

가 장비에 대한 기능특성 수집 연구

나 사용자 및 선박통신사의 요구사항에 대한 자료 수집 연구

다 외국장비와 비교 분석

라 부품규격 시험 및 선정

3 HARD WARE

가 고주파 필터코일 재질분석 및 각종코일 설계

나 제작 PCB

송신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1) PCB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시험(2) PCB

수신부회로 제작 시험(3) PCB

신세사이즈 회로 제작 시험(4) PCB

제어장치 제작 시험(5) PCB

표시장치 제작 시험(6) PCB

원격제어기 제작 시험(7) PCB

전원공급부 제작 시험(8) PCB

제작 시험(9) HAND SET PCB

전용수신기 제작 시험(10) DSC PCB

- 42 -

제 장 제 차년도 개발 항목 보고4 1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본 장비를 개발함에 있어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및 부품선정이 개발의 핵심 과제

로 생각하였다

기초자료는 기존 시스템분석과 전파관련법령을 기초하였고 주변회로는 관련된 회

로집을 분석하였으며 부품선정은 폐품종 여부와 수급이 용이하면서 견고하고 증폭

도 및 성능이 우수한 품종으로 장시간 시험을 거쳐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송신부 제작시험2

송신 출력회로 결정 회로설계 완료하여 각부 부품 구입 회 내구성 시험 및SPEC 30

구룹별 장시간 부품 부하 시험등 최종목표 성능을 확보하기위한 제반 기초 제작시

험을 완료 하였으며 주요 내용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의 발열상태등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의 높은 출력으로 증폭하는 송신전(VHF ) 25W

력 증폭기로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높은 고주파전력에 견딜수있어야 하고 열

에의해 발생되는 열잡음이 적으야하며 열에의한 부품의 열화 및 특성의 변화가 적

은 부품을 사용여야 하므로 온습도시험 과 과출력 시험을 통하여 사용될 부품을 시

험하였다

특히 고조파 필터회로 부품인 코일은 동선에 전도율이 좋은 재질로 도금하여 사용

하여야 하며 고조파필터회로 의 차폐용 재료도 동판에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도금

하여 사용 하여야 한다

나 송신 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PCB (PCB NO V-097)

개발과정에서의 설계변경 및 생산시스템의 전산화 에 적용 할수있도록 회로 설계는

물론 설계 회로기판 도안 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설계완료된 는PCB ( ) CAD DATA

회로기판 제작장치 외주 작업 및 부품삽입기 자사 작업 에 직접 컴퓨터용 디스켙( ) ( ) (

으로 입력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회로에 높은 고주파전류가 흐르므로인하여 빌진할 가능성 및 잡음발생의 우려PCB

가 많으므로 특히 부품배치에 유의하여 설계하였으며 송신신호 발생회로 또는 전원

회로 와의 배선은 관통형콘덴서등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였다

회로에 사용되는 코일은 각 코일간에 간섭을 줄이기위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설정하

였으며 전체를 차폐하고 또 고조파 필터회로를 구분하여 차폐하여 제작 하였PCB

- 43 -

또 안정된 출력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회로를 장치하여 설정된 출력 이상의ALC

출력을 제한한다

다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PCB (PCB NO V-096TX)

설계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이 는 미약한 고주파 신호를 발생 변PCB CAD PCB

환 증폭 하므로서 송신부 또는 외부로 부터의 잡음 유입과 내부잡음 발생에 유의

하여 설계되었으며 불요복사 억제에 유의하였다

라 성능시험

메칭상태 시험(1)

옴 파장 수직형 안테나 를 사용할수 있도록 시험하였으며 차적인 시험은 의50 12 1

사부하에 의해 시험하고 의사부하 안테나에 정상적인 메칭이 된 후 실제 사용 안테

나에 확인시험 하였다

이 시험에서 양질의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장치는 물론 안테나의 성능이 중

요하며 인접한 고전력 안테나 및 낙뢰로부터 안정성 등을 감안하여 안테나는 VHF

대역 이하의 주파수에 대하여 쇼트형 안테나가 바람직 하다

기존 시스템의 이상의 성능 확보(2) 90

송신부의 주기능으로서 양질의전파를 안테나로 공중에 발사하는 장치로서 주피수안

정도 고조파억압 불효전파억제 안정된전력 안정된 주파수편이 낮은 왜율 등의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시험결과는 기존의 제품의 특성에 가까운 성능을 확보

하였으나 안테나공용기 복신통신용 필터 특성의 개선및 송신부 관련부품의 배치를( )

개선하므로서 보다 좋은 성능을 확보 할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신부 제작시험3

수신부는 안테나입력회로 입력동조회로 단신통신 및 복신통신 각 주파수 대역 필 (

터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로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 1 1 2 2

로 대역필터회로 신호제한 리미터 회로 복조회로 무신호잡음 차단 회로 저주 ( ) FM

파 증폭회로 및 국부발진회로 로서 구성되나 국부발진회로는 잡음의 발생및 유입

주파수안정도 등을 감안하여 별도의 로서 제작하였으며 그외 수신부와 관련한PCB

내용은 다음과 같다

- 44 -

가 사용부품의 구입 및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증폭과 변환을 반복하여 요구되는 신호(VHF )

를 복조하여 기청음 또는 의 문자표시로 출력되게 하므로서 안정된 주파수 및DSC

증폭이 요구되므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당연히 고주파특성에 유의하여 주파수

차에의한 특성변화 열잡음 및 고주파잡음 능동소자등의 직선성 등이 교려되어야하

므로 항온항습시험과 과전류에의한 잡음발생의 시험 등 을 거처 엄선한 부품으로

설정사용 하였다

특히 회로의 선택도 코알의 값 를 높이기 위하여 가 높은 트랜스 재료를 사용하( Q ) Q

였다

다 수신부회로 제작 PCB (PCB NO V-096RX)

위 항에서의 시험에 의해 선택된 부품을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며 수신부의 특성31

상 잡음의 발생보다는 잡음의 유입에 유의하여 설계되었으며 안정된 증폭 특성 수(

신감도 을 얻기위하여 중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회로기판은 에폭시) 2

수지 양면인쇄동판을 사용하여 부품삽입면은 대부분 공통단자로 이용하여 부품간의

간섭을최소화 하였다

다 수신부 특성시험

수신부 특성상 수신감도 주파수안정도 왜율 통과대역폭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감도억압비 혼변조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신호대 잡음비 일 때의 수신감 20

도 성능이 확보되며 기타 여러 가지 특성도 최종목표 특성에 가까운 성능이05

확보 되었으나 까지 수신감도가 향상되도록 성능개선이 요구된다025 V 120757

신세사이즈부의 회로의 안정도로 인하여 국부발진 신호의 흔들림현상이 있어VCO

통과대역폭 및 잡음발생의 원인이되어 신세사이즈회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신세시이즈회로는 크게 수신국부발진 신호용과 송신신호용으로 구분되며 단신통신

과 복신통신방식일때 각각 동작할수있는 구성으로 설계되었으며 그 내용별로 구분

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전압제어발진기 에 사용되는 부품은 온도 및 전압변동에 특성의변화가 극히(VCO)

적어야하며 외부로부터 정전 및 자계영향이 크므로 회로를 별도로 정전 및 자VCO

계로부터 차폐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혼변조 및 잡음신호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파수선택 표준신호 등 시 수신( )

대역 및 송신대역에 영향이 없는 주파수로 하였으며 가능한 레벨을 제외한 신(TTL

호 파형의 왜율이 적은신호로서 각회로신호를 사용하여 결합하였다)

- 45 -

나 신세사이회로 제작 (PCB NO V-096PLL)

이회로 기판은 여러종류의 신호들이 발생 혼합 증폭 비교 되므로 각부품 간의 배

치에따라 잡음발생의 정도가 크게 좌우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였으며 회로는 외VCO

부영향에 민감하게 작동되므로 차폐 에 유의하여 부품의 배치 적절하게 하였으며

잡음발생을 유의하여 부품을 선정하였다

다 성능시험

이회로의 특성상 주파수안정도 주파수의 흔들림 위상비교기의 비교속도 등에 유의

하여 시험하였으며 여러가지 일반적인 특성은 최종목표사양에 만족될 수 있는 신호

원을 공급할수 있었어나 주파수의 흔들림 현상이 있어 회로의 부품 및 차폐에VCO

개선이 요구된다

제어장치 제작시험5 (PCB NO V-263)

이회로의 주요부품으로서 를 사용하여 당개발과제의 송수신 및 외부V25 CPU DSC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며 아울러 본체 전면표시기와 스윗치 입출력 기능도 한다

이회로의 주요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스 읽기전용 메모리 읽고CPU( ) ROM( ) RAM(

쓰기 메모리 직렬통신용 입출력 병렬통신 입출력 아날로그 디지) SIO( ) PIO( ) AD(

탈 변환기 스윗치입력 표시기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개발 내용은 다음과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에 사용되는 부품은 대부분 디지탈신호를 처리하여 회로로서 및TTL IC

로서 구성되며 저소비전력 및 고속처리능력이 요구되므로 주로 고속용C-MOS IC

중 형 를 사용 하였으며 장치의 초기설정 및 기능 설정의C-MOS(C-MOS IC HC )

변경등 의 목적으로 은 충전형 밧테리로서 메모리내용을 전원의 에 관RAM ONOFF

계없이 유지하도록 하였다

외부 제어기 등 와의 통신용 의 통신속도를 또는 등으로(DSC ) RS-232C 2400 4800

변경 설정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변환기 등을 이용하여 자기진단을 할수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장비의 유지및AD

보수에 많은 도움이된다

- 46 -

나 성능시험

운용시험(1)

이회로의 특성상 전기적 특성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특성 및 성능이 요구되므로 운

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이부분에 대한 시험은 개발자입

장이 아닌 운용자가 시험하여야 하는 관계로 선박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사용자에게

의뢰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로서는 기능면에서는 양호하나 사용상 복잡한 면이 있어 보다 조작 을 간편

히 할수있도록 개선할 필요가있는 것으로 본다

표시장치 시험(2) (PCB NO V-260)

본장치의 사용상 필요한 기능 및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내용과 기기 동작

상태의 일치성이 요구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온습도 및 장기시험 으

로서 확인하였으며 여러 가지 표시장치중 각각 중단점이 나타낮다

즉 액정 표시기 표시기는 저소비전력이며 주위가 밝은곳에서 사용이 가능 하LCD( )

나 반면 온도특성이 나쁘며 형광표시관 표시기는 온도특성은 양호하나 소비전 VFD( )

력이 대체로 높고 보다 낮고 보다 많음 수명이 낮다는 단점이있으며(FND LCD )

발광 다이오드 표시기는 모든면에서 대체로 양호 하나 잡음발생 이많으며 밝FND( )

은곳에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외 여러 가지의 장담점을 검토하여 차적인 결론은 표시기가 적합한 것으로1 LCD

본다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최소의 전기적신호 연결로서 최대의 기능제어및 속도가 요구되는 장치로서 저주파

신호의 입력 마이크 신호 및 출력 스피크 신호 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 제어는( FS ) ( )

직렬통신 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였으며 장거리 일반 공용통신망 을 이(RS-232C)

용할수도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요 구성은 중앙제어장치 스윗치입력 장치 표시장치 메모리장치 직렬통신장치

로 구성되며 그 상세한 개발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의 대부분이 디지탈신호의 처리회로로서 구성되므로 제어장치 의 사용 부품ldquo rdquo

시험 및 선정기준과 같으며 장거리운용상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신속도를

알맞게하며 장거리통신 선로에서 유기되는 잡음을 최소화 하기위한 필터회로 및

소프트웨어적인 오류정정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별도 설계 사용 하였다

- 47 -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V-170)

이장치는 사용상 편리하여야 하므로 소형 경량 으로 제작 하였으며 차적 기능 시 1

험을 목적으로 외형 보다는 성능을 우선하여 시험용으로 제작하였다 이장치의 시

험은 전용케이블 을 이용하여 시험하였고 또 일반 공용통신용 전화 선로를 통하여

원거리 시험을 하였으며 그결과로서 통신속도가 까지 양호하게 동작되나2400bps

그이상의 통신속도로서 운용 할려면 전용회선이 필요하게된다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가 결정 SPEC

각회로 에서 필요로하는 전압 및 전류에 알맞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반 성능

을 차적으로 설정 하였으며 최종목표 사양에 일치하기위하여서는 전원부의 장치에1

대하여 모든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최종 특성이 설정 되어야 한다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P-099)

이장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되나 반면에 안정성이 확고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안

정성을 첫째로 중요시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이회로는 많은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많은 전력이 열로서 손실되므로 방열에 특히 유의하여 제작되었으며 열발생이 많은

부품은 알미늄 방열판에 설치하고 이방열판은 본장치 외함의 바깥쪽에 설치하여 방

열효과를 최대화 하였다

이회로의 시험은 과입력전압 및 과소비전력 일때의 안정성에 중점 시험하였고 그시

험을 위하여 장시간 항온 항습기 를 이용하여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전원부의 안정

성 확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도 이회로를 특별히 개선하지 않고도 최

종목표 사양에 만족하리라 본다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PCB NO V-098)

마이크 회로 수화기 회로 송신 스윗치 회로 로서 구성되며 이장치는 사용 특성상

충격에 강하도록 설계제작 되어야 하며 무게는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재료선택이

중요하며 이러한점을 감안하여 사출금형에 의하여 성형 하였으며 성형 제료로서는

제료를 사용하고 사용 부품을 최소화 하여 제작 하였다ABS

이장치의 특성상 견고하며 방수효과가 최대이어야 하므로 충격 자연낙하 시험 및( )

방수시험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 성형제료 및 외형상의 문제는 없이나

송화기 및 수화기의 선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송화기는 콘텐서형

마이크가 좋으며 수화기로는 가변코일형으로서 떨림판이 평면으로된 수화기가 우수

한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선정하여 제작시험 하였다

- 48 -

전용 수신기9 DSC (PCB NO T-342)

전용수신 장치는 송수신장치중 송신부를 제외한 구조와 유사하므로 개발과정에서

송수신장치중 수신부회로에 복조장치 를 추가하여 별도 로 제작하여 시험DSC PCB

하였으며 개발내용중 전용수신기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DSC

가 기능 및 동작

변조되어 수신된 신호를 필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후 신호 처리용FM DSC DSC

마이크로프로세스 에 공급하여 소프트웨어로서 신호를 분석한후 표시장치 메(CPU)

모리장치 인쇄장치 등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전용 찬넬인 번 찬넬을 항상 DSC 70

수신상태로 동작하여 신호 도트신호 를 검출하고 신호가 있으면 이어서CALL ( ) CALL

수신되는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표시장치 및 경보장치에 출력한다

나 신호 신호 필터회로 와 신호 처리부 및 제어용회로부 DSC (FS ) DSC DSC

제작시험 (PCB NO T-325 T-326 T-327)

이 회로의 성능은 주로 필터 및 디지탈변환 회로에서 결정되며 소프트웨어의 성능

에 따라 안정성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점을 유의하여 설계제작 하여으며 성능 시험

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험용 정보를 송신장치로 통해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후 그

결과를 분석 시험 하였다

다 전용 수신기의 개발과정 에서의 학보된 기술 DSC

신호 및 의 신호 의 필터 및 디지털 변환 기술DSC (1300 2100 FS )

신호 검출 및 직렬신호의 병렬변환 소프트웨어DOT

기술 정보의 비교 및 인쇄출력 소프트웨어 기술

종합시험10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별 차 차 차 보완시험은 만족하며 앞으로 개발의 중점은 사용의 편리성과PCB 1 2 3

생산성에 중점 개발이 요하며 배치에 따라 야기될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 PCB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후 최종제품을 제작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49 -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1

가 전면판 사출금형

나 옆판 스피커 안테나 금형

다 노브 사출금형

라 윗면 및 밑면 프레스 금형

마 설치용 고정장치 사출 금형

바 설치대 프레스 금형

사 뒷면 작업용 프레스 금형

아 항온조용 열차단금형

자 필타 금형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2

가 송수신기 제어장치 프로그램

나 전용 수신기 제어용 프로그램 DSC

다 원격조정기 프로그램

라 송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마 수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3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25: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25 -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는 아날로그 전화용(2) Format

설비와 접속하기 위한 번호 이하 전화번호 라 한다 등의 네트워크번호를 표시하는( ldquo rdquo )

것으로 하고

네트워크번호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코드번호를 짝수의 경우는 코드번호[105]

과 네트워크를 별표 에 준하여 개부터 개까지의 수의 코드번호로 코드화[106] 10 2 9

한 것일 것

응답을 필요로 하는 호출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응답12 [117]

을 위한 선택 호출신호의 경우는 코드번호 및 이외의 경우는 코드번호[122] [127]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 다만 신호가 모13 Format

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 코드번호 일 것[127]

오류검정부호는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정보비트 및 제 번째에서 제13 1 7 8

번째까지의 검정비트로부터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생성되는 각 비트10

의 및 이 각각 별표 에 표시하는 및 에 대응하는 단위 부호로[0] [1] 6 [B] [Y] 10

하여서 송출되는 것일 것

정보비트의 각 비트는 선택호출신호 신호 및 동기신호를 제외한다 의 모든(1) (dot )

코드번호 신호 및 종료신호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로 한다 에 대응하(Format 1 )

는 부호의 비트 위치마다 최하위 비트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다만 를 를 B 0 Y 1

로해서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검정비트는 정보비트의 의 수를 진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2) B 2

별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해안국의 장치는 제외한다[ 2 ] (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자국 의식별신호

주( 4)

조난종류 의정보신호

주( 5)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

주( 6)

시각정보신호

주( 7)

Tele-command정보 신호

주( 8)

종료신호

주( 9)

오류검정신호

주( 10)

주( )

중단파 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는 비트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비1 200 VHF 20

트일 것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2]

자국의 선박국 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숫자를 별표4 [0] 10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조난의 종류를 표시하는 것으로 하여 별표 에 따라 개의 코드번호로 코드화한5 8 1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 (class) B 1 107

- 26 -

조난선박에 위치를 다음과 같이 자리의 숫자로 표시 하는 것으로 별표 에6 10 10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조난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것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99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1)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는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2)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한다

조난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것7 2

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개의 코드번호에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 10 2

를 포함하지않는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88]

계속하여 행하는 통신의 형식을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통신장치가 무선전화 또8

는 협대역직접 인쇄전신장치인 제 를 별표 에 개의 코드번호로1 Telecommand 8 1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방식일 것 (class) B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 일 것(1) 1 [109] [111]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VHF 1 [100]

코드번호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하는 것일 것9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별표 조난경보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선박국의 장치를[ 3] (

제외 )

dot신호

주( 1)

동기신호

주( 2)

For-mat신호

주( 3)

Cate-gory신호

주( 4)

자국의식별신호

주( 5)

Telec-ommand정보신호

주( 6)

조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7)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 8)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 9)

시각정보신호

주( 10)

Tleco-mmand정보신호

주( 11)

종료신호

주( 12)

오 류검 정신 호

주( 13)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6]

별표 의 주 과 같은 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4 1 7 [112]

자국의 해안국 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숫자를5 [0] 10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6 1 [1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일 것7

- 27 -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종류의 정보신호일 것8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일 것9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시각정보신호일 것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정보신호일 것11 Telecommand

코드번호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2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3 1 13

별표 조난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 중계에 대한 응답을 위한[ 4]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dot신호

주(1)

동기신호

주(2)

For-mat신호

주(3)

Addr-ess신 호

주( 4및56)

Cate-gory신 호

주(7)

자국의식별신호

주(8)

Telec-ommand정보신호

주( 9)

조 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10)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11)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12)

시각정보신호

주(13)

Tleco-mmand정보신호

주( 14)

종료신호

주(15)

오류검정신호

주(16)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별표 의 주 과 같다 코드번호 이외의 것으로 한다3 1 3 ( [112] )

신호가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에는 상대국의 식별신호4 Format

로 하고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0] 10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5 Format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6

별표 의 주 과 같은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7 1 7 [112]

별표 이 주 과 같다8 1 8

개의 코드번호 일 것9 1 [112]

수신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 또는 수신한 조난경10

보의 중계의 조난선박국의 식별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종류의 정보11

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선박의 위치12

정보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시각정보일 것13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14 Telecommand

정보신호일 것으로 한다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것으로 하 (class) B

는 것이 가능할 것

- 28 -

중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1) 1 [109] [111]

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2) VHF 1 [100] [101]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코드번호 개별 해안국 앞15 Format [127]

으로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에는 코드번호 로서 별표[122]

의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3

별표 의 주 과 같다16 1 13

별표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대 선택호출신호를 제외한다[ 5] (VHF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Address신 호

주( 4)

Category신호

주( 5)

자국의식별신호

주( 6)

정 보신 호1

주( 7)

정 보신 호2

주( 8)

종 료신 호

주( 9)

오류검정신 호

주( 10)

주( )

비트일 것1 200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20]

상대국의 식별신호로서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이에 계속되는 으로서4 [0]

구성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1 [108]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8

각 개의 코드번호 및 일 것7 1 [118] [126]

개의 코드번호 일 것8 6 [126]

코드번호 또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9 [117] [122] 13

일 것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 29 -

별표 선택호출신호의 단위부호[ 6] 10

는 스페이스주파수 는 마크주파수로 대응하고 비트위치의 에서 송출된다B Y 1

협대역 일때MFHF B=1785 Y=1615

대역 일때VHF B=2100 Y=1300

- 30 -

별표 반복송출의 순서[ 7]

주 기호 는 선택호출신호의 종료신호를 표시하고 기호 는 에서 까( ) H DX RX0 RX7

지가 반복송출되는 선택호출신호의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31 -

별표 코드번호 의 용도[ 8] (100-127)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00 통상업무

화재 또는폭발

또는F3단신G3E

무선전화 이유없음 주( 3)

101 침수 또는F3복신G3E

무선전화 해사교환 센터의혼잡 주( 3)

102 해역호출

충돌 미확정주( 1)

통화중 주( 3)

103 좌초 Polling 대기행렬표시주( 3)

104 의RXO위치의동기신호

경사 및전복의위험

수입불가주( 2)

폐국 주( 3)

105 의RX1위치의동기신호

침몰 호출의 종료주( 4)

의 부재Operator주( 3)

106 의RX2위치의동기신호

선박업무주( 5)

조선불능으로 표류

데이터주( 6)

변복조장치

의Operator일시적 부재 주( 3)

107 의RX3위치의동기신호

기타의조난

미확정주( 1)

장치의 운용불가주( 3)

108 의RX4위치의동기신호

안전 선체의방치

미확정주( 1)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09 의RX5위치의동기신호

J3E 무선전화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10의RX6

위치의동기신호

긴급 조난경보에대한 응답

무력분쟁의당사국이 아닌것을 표시하는선박 및 항공기주( 7)

111 의RX7위치의동기신호

H3E 무선전화 위생수송체 주( 7)

112 조난경보

조난 조난자동통보설비(주 의9)시동

조난경보의중계

공중전화사무소주( 8)

- 32 -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13또는F1B방향오J2B(1

류정정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미확정 주( 1)

114

공통관계를 갖는선단의호출

미확정 주( 1) 미확정 주( 1)

115또는F1B자동재송J2B(

요구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데이터 주( 11)

116모든선박호출

또는F1B J2B수신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2)

11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18 시험 데이타 주( 14)

119또는F1B수신J2B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5)

120개별국의호출

A1A 테이프레코더

데이터 주( 16)

121 선박의 위치 데이타 주( 17)

122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3

개별국의반자동또는자동접속호출

A1A 전건 및핸드셋(Handset)

데이터 주( 18)

124또는F1CF2C

F3C팩시밀리장 데이터 주( 19)

125의DX

위치의동기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6 정보없음 정보없음 주( 20)

12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주( )

앞으로의 사용을 위하여 유보한다1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2 [100] [109] 2 Telecommand

코드번호 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3 [104] 1 Telecommand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 시스템에만 사용한다4

- 33 -

선박의 항해 운항 필수품에 관한 통신과 정부의 기상업무기관으로 보내는 기5

상 관측 통보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6 [115] [124] 2 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을 제외하고 제7 [104][105][106][110][112] [118] 1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의 제 와 조합하여8 [100][101][109][115] [124] 1 Telecommand

사용한다

수색구조용 레이다트랜스폰더를 제외한다9

무선설비규칙의 제 조의 에 정하는 것으로 한다10 69 4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1 (V21)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2 (V22)

앞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1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4 (V2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5 (V2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6 (V1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7 (V26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8 (V27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9 (V32)

코드번호 를 제외하고 제 와 조합하여 사20 [104][110][112] 1 Telecommand

용한다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 코드번호는 중단21 Format

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에서 까지 [102] [124] ([110][112][117]

및 를 제외한다[122] )

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및VHF [100][101][104][105][106][121]

일 것[124]

별표 동기신호의 송출순서[ 9]

주 기호 및 에서 까지가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DX] [RXO] [RX7]

- 34 -

별표 자리 숫자의 코드 변환표[ 10] 10

자리의 숫자10

십억D2

억D1

천만D2

백만D1

십만D2

만D1

천D2

백D1

십D2

일D1

코드5 코드4 코드3 코드2 코드1

주( )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1 1

및 은 자리 숫자의 자리 숫자 에서 까지를 표시하고 각 코드는2 D2 D1 10 2 00 99

그 자리의 십진수를 코드번호로 한다2

숫자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최상위 자리수의 숫자 앞에 을 포함할 것3 0

별표 해역의 표시방법[ 11]

해역의 표시는 다음과 같은 것

선정되는 지리상의 해역은 메르카토르 도법의 직사각형으로 표시할1 (Mercator)

직사각형의 북서를 해역의 기준점으로 할 것2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존재하는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3 1

으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0] [1] [2] [3]

할 것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위도를 표시할 것4 2 3

제 번째에서 제 번째가지의 숫자는 기준점의 경도를 표시할 것5 4 6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남북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6 7 8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동서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7 9 10

표에 표시하는 해역 및 의 표시의 예는 다음과 같을 것8 ab c

기준점이 북위 도 및 서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1) 10 25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20 35 a

1 1 0 0 2 5 2 0 3 5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2) 10 10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10 10 b

2 1 0 0 1 0 1 0 1 0

- 35 -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3) 12 12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4 7 C

2 1 2 0 1 2 0 4 0 7

별표 주파수 및 채널정보의 코드변환표[ 12]

주파수0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주파수를 의 배수로서 숫자의 십100

만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다 1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2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채 널

3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중단파대 또는 단파대의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 다

8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별도로 정한 채널로 한다

9 0 times times times times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18게기하는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천 백 십 및 일의 숫자로 표시한다

십만 만 천 백 십 일

코드3 코드2 코드1

주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 ) 1

- 36 -

별표 종료신호의 송출순서[ 13]

주 기호 가 종료신호를 표시한다( ) H

- 37 -

제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3

제 절 송수신장치1 DSC VHF

시스템 개요1

본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모든기능을 충족하는 일체형과 전화용 복신방식의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호출 및 수신제어장치 로구분된 독립형 으로 구분되며 DSC DSC

이는 외형상의 구분이며 그주요기능별 구성은 각각의 유니트로된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표시 및 제어장치 와 전원부 로 구분되며 이것들은 다시 하나의DSC

케비넷 또는 독립된장치로서 구성된다

시스템 구성2

장비의 개요 및 특징3

가 개요

본 송수신기는 항만내 또는 연안에서 해안국과 선박국 또는 선박국 상호간VHF FM

의 해상이동업무 통신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기로서 이내의 해상156 ~162

이동 무선통신업무용의 전 을 수용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전파관리법 및CHANNEL

등 국제규격에 적합하도록 설계 제작된 기기로서 전세계ITU SOLAS USA USCG

어느곳에서나 규정에알맞게 사용할 수 있는 국제항만 무선전화기용 무선 송수신기

를 제작한다

- 38 -

나 특징

소형 경량화로서 좁은 장소에 설치가 용의하게 되어 있어야 한다(1)

송신각 각 방식을 채용하였으며 국제 항만 무선전화(2) DIRECT SYNTHESIZER

인 를 수용해야 하며 그외 개의CHANNEL 55(114) CHANNEL 105(527) FREE

이 수용되어 있어야 한다CHANNEL(SIMPLEX)

주 국제 중 미국연안에서 단식방식으로 절환 사용되고 있는1 CHANNEL 55(114)

을 사용 할 수 있을것USA CHANNEL(SIMPLEX)

주 별도의 기상수신 을 수용하고 있어야 한다2 WEATHER CHANNEL( )

USA 3 CHANNELS

CANADIAN 1 CHANNEL

OTHERS 5 CHANNELS

원격조정 회로의 내장으로 본기기의 판넬스위치와는 상관없이(3) REMOTE ( ) HAND

만 으로도 판넬 스위치 조작에 필요한 모든기능을 할 수 있고SET CONTROL VHF

의 원근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어야 한다SET

기능이 첨부되어 있어 미국연안 경비대 의 의무 청취(4) DUAL WATCH USCG( )

인 과 의 개의 을 동시에 수신할 수CHANNEL CH 13 CH 16 2 CHANNEL SCANNING

있으며 과 사용자가 선택하는 임의의 을 동시에CHANNEL 16 CHANNEL SCANNING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에 경보신호 기능의 내장으로 비상시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5) CH 16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국제 개 및 을(6) SCAN CHANNEL 55 FREE CHANNEL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SCANNING

안전통신에 지정되어 있는 은 우선 사용할 수 있도록(7) CHANNEL16 1 STEP

로 되어 있어야 한다SWITCH

국제 해상 인명 안전조약 에 정한 규격으로 되어 있어 전세계 어느곳의(8) SOLAS( )

규정에도 적합하며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구 성4

본 기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가 송 수신기 본체 대 1

나 HAND SET 1 SET

다 WHIP ANTENNA 1 SET

라 벽걸이형 SPEAKER 1 SET

마 전원 공급기 1 SET

- 39 -

규 격5

주파수 및 규격은 현재의 통신방식이며 정보통신부의 고시가 발표되면 협대역(125

로 변경한다)

가 일반사항

사용주파수 범위(1)

송 신 156025 ~ 157425 수 신 (SIMPLEX) 156025 ~ 157425 수 신 (DUPLEX) 160625 ~ 162025 기상수신 (WEATHER) 161650 ~ 162550

사용(2) CHANNEL

A International 55 (114) CHANNELSB USA 25 CHANNELSC FREE 105 (527) CHANNELSD WEATHER 9 CHANNELS

USA 3 CHANNELSCANADIAN 1 CHANNELOTHERS 5 CHANNELS

통신 방식(3) SIMPLEX amp DUPLEX

전파의 형식 전화(4) 16KOF3E( G3E DSC F2BG2B)

주파수 편차(5) 0001 (10 PPM)

사용 온도범위 부터(6) -10 + 50

예열 시간 전원 접속후 즉시 사용가능(7)

공칭(8) ANTENNA IMPEDANCE 50 ohm ( )

공급 전원(9)

전 압 136V plusmn 10전 류 수신시 800

송신시 5A전원 공급기 별도( ) 단상AC115V AC220V 60

부터 까지DC 15V 35V

나 송 신 부

정격 출력(1) HIGH -25 W

LOW - 1W

주 공중선 전력 저하장치로 이하 저하기능 보유1 1WATT주 단 보호 인 및 가 아님 은 송신이2 CHANNEL 7576 1 ~9(01 ~09 )CHANNEL되지 않음 기상수신대의 사용법은 본문 참조 ( )

- 40 -

발진 방식(2) SYNTHESIZER CONTROL SYSTEM

변조 방식(3) FREQUENCY MODULATION

점유 주파수 대역폭(4) 16 (8)

최대 주파수 편의(5) 5 (25)

복사강도 이상(6) SPURIOUS 70

변조 주파수 특성(7) 6 (plusmn 3 ) OCTAVE PRE-EMPHASIS)

(300 ~ 3 )

변조시 이하(8) DISTORTION 1 70 -20

신호 대 잡음비 변조시 이상(9) 1 70 40

저역 여파기 특성 이상에서 이상 감쇄(10) 3 -40log f3( ) (f = )

다 수 신 부

수 신 방 식(1) DOUBLE SUPERHETERODYNE SYSTEM

감 도(2) 이하 신호 대 잡음비 에서 025 V ( 20 )μ

감도(3) SQUELCH 이하 02 Vμ

국부 발진 주파수(4) 1lsquost LOCAL FREQUENCY

RECEIVER FREQUENCY - 214

2nd LOCAL FREQUENCY 10945

중간 주파수(5) 1lsquost IF FREQUENCY 214

2nd IF FREQUENCY 455

선 택 도(6) 저하폭 이상 6 12 (6)

저하폭 이하 70 25 (125)

(7) SPURIOUS RESPONCE 이상 70

감도 억압 효과(8) 이상 80

상호 변조 특성(9) 이상 65 ( 20 40 )

주파수 특성(10) 6 (plusmn3 )OCTAVE DE-EMPHASIS)

( 300 ~ 3 )

신호 대 잡음비(11) 변조시 이상 1 60 40

(12) DISTORTION 변조시 이하 1 70 -20

저주파 출력(13) 이상 1 WATT (IMPEDANCE 8 ohm)

- 41 -

제 절 차년도 개발 범위2 1

제 차년도 개발범위는 기초자료조사와 규정의 연구에 따라 기초회로의 설계 후1

사용부품을 시험하고 각 의 제작 및 시험 연이은 성능미달 의 차 차PCB PCB 2 3

차 재제작 시험을 완료하고 시스템의 설계까지이며 그 세부적인 개발범위는 다음4

과 같다

송수신장치 개발을 위한 제규정 수집 연구1 DSC VHF

기초자료 조사2

가 장비에 대한 기능특성 수집 연구

나 사용자 및 선박통신사의 요구사항에 대한 자료 수집 연구

다 외국장비와 비교 분석

라 부품규격 시험 및 선정

3 HARD WARE

가 고주파 필터코일 재질분석 및 각종코일 설계

나 제작 PCB

송신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1) PCB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시험(2) PCB

수신부회로 제작 시험(3) PCB

신세사이즈 회로 제작 시험(4) PCB

제어장치 제작 시험(5) PCB

표시장치 제작 시험(6) PCB

원격제어기 제작 시험(7) PCB

전원공급부 제작 시험(8) PCB

제작 시험(9) HAND SET PCB

전용수신기 제작 시험(10) DSC PCB

- 42 -

제 장 제 차년도 개발 항목 보고4 1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본 장비를 개발함에 있어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및 부품선정이 개발의 핵심 과제

로 생각하였다

기초자료는 기존 시스템분석과 전파관련법령을 기초하였고 주변회로는 관련된 회

로집을 분석하였으며 부품선정은 폐품종 여부와 수급이 용이하면서 견고하고 증폭

도 및 성능이 우수한 품종으로 장시간 시험을 거쳐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송신부 제작시험2

송신 출력회로 결정 회로설계 완료하여 각부 부품 구입 회 내구성 시험 및SPEC 30

구룹별 장시간 부품 부하 시험등 최종목표 성능을 확보하기위한 제반 기초 제작시

험을 완료 하였으며 주요 내용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의 발열상태등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의 높은 출력으로 증폭하는 송신전(VHF ) 25W

력 증폭기로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높은 고주파전력에 견딜수있어야 하고 열

에의해 발생되는 열잡음이 적으야하며 열에의한 부품의 열화 및 특성의 변화가 적

은 부품을 사용여야 하므로 온습도시험 과 과출력 시험을 통하여 사용될 부품을 시

험하였다

특히 고조파 필터회로 부품인 코일은 동선에 전도율이 좋은 재질로 도금하여 사용

하여야 하며 고조파필터회로 의 차폐용 재료도 동판에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도금

하여 사용 하여야 한다

나 송신 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PCB (PCB NO V-097)

개발과정에서의 설계변경 및 생산시스템의 전산화 에 적용 할수있도록 회로 설계는

물론 설계 회로기판 도안 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설계완료된 는PCB ( ) CAD DATA

회로기판 제작장치 외주 작업 및 부품삽입기 자사 작업 에 직접 컴퓨터용 디스켙( ) ( ) (

으로 입력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회로에 높은 고주파전류가 흐르므로인하여 빌진할 가능성 및 잡음발생의 우려PCB

가 많으므로 특히 부품배치에 유의하여 설계하였으며 송신신호 발생회로 또는 전원

회로 와의 배선은 관통형콘덴서등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였다

회로에 사용되는 코일은 각 코일간에 간섭을 줄이기위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설정하

였으며 전체를 차폐하고 또 고조파 필터회로를 구분하여 차폐하여 제작 하였PCB

- 43 -

또 안정된 출력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회로를 장치하여 설정된 출력 이상의ALC

출력을 제한한다

다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PCB (PCB NO V-096TX)

설계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이 는 미약한 고주파 신호를 발생 변PCB CAD PCB

환 증폭 하므로서 송신부 또는 외부로 부터의 잡음 유입과 내부잡음 발생에 유의

하여 설계되었으며 불요복사 억제에 유의하였다

라 성능시험

메칭상태 시험(1)

옴 파장 수직형 안테나 를 사용할수 있도록 시험하였으며 차적인 시험은 의50 12 1

사부하에 의해 시험하고 의사부하 안테나에 정상적인 메칭이 된 후 실제 사용 안테

나에 확인시험 하였다

이 시험에서 양질의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장치는 물론 안테나의 성능이 중

요하며 인접한 고전력 안테나 및 낙뢰로부터 안정성 등을 감안하여 안테나는 VHF

대역 이하의 주파수에 대하여 쇼트형 안테나가 바람직 하다

기존 시스템의 이상의 성능 확보(2) 90

송신부의 주기능으로서 양질의전파를 안테나로 공중에 발사하는 장치로서 주피수안

정도 고조파억압 불효전파억제 안정된전력 안정된 주파수편이 낮은 왜율 등의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시험결과는 기존의 제품의 특성에 가까운 성능을 확보

하였으나 안테나공용기 복신통신용 필터 특성의 개선및 송신부 관련부품의 배치를( )

개선하므로서 보다 좋은 성능을 확보 할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신부 제작시험3

수신부는 안테나입력회로 입력동조회로 단신통신 및 복신통신 각 주파수 대역 필 (

터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로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 1 1 2 2

로 대역필터회로 신호제한 리미터 회로 복조회로 무신호잡음 차단 회로 저주 ( ) FM

파 증폭회로 및 국부발진회로 로서 구성되나 국부발진회로는 잡음의 발생및 유입

주파수안정도 등을 감안하여 별도의 로서 제작하였으며 그외 수신부와 관련한PCB

내용은 다음과 같다

- 44 -

가 사용부품의 구입 및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증폭과 변환을 반복하여 요구되는 신호(VHF )

를 복조하여 기청음 또는 의 문자표시로 출력되게 하므로서 안정된 주파수 및DSC

증폭이 요구되므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당연히 고주파특성에 유의하여 주파수

차에의한 특성변화 열잡음 및 고주파잡음 능동소자등의 직선성 등이 교려되어야하

므로 항온항습시험과 과전류에의한 잡음발생의 시험 등 을 거처 엄선한 부품으로

설정사용 하였다

특히 회로의 선택도 코알의 값 를 높이기 위하여 가 높은 트랜스 재료를 사용하( Q ) Q

였다

다 수신부회로 제작 PCB (PCB NO V-096RX)

위 항에서의 시험에 의해 선택된 부품을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며 수신부의 특성31

상 잡음의 발생보다는 잡음의 유입에 유의하여 설계되었으며 안정된 증폭 특성 수(

신감도 을 얻기위하여 중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회로기판은 에폭시) 2

수지 양면인쇄동판을 사용하여 부품삽입면은 대부분 공통단자로 이용하여 부품간의

간섭을최소화 하였다

다 수신부 특성시험

수신부 특성상 수신감도 주파수안정도 왜율 통과대역폭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감도억압비 혼변조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신호대 잡음비 일 때의 수신감 20

도 성능이 확보되며 기타 여러 가지 특성도 최종목표 특성에 가까운 성능이05

확보 되었으나 까지 수신감도가 향상되도록 성능개선이 요구된다025 V 120757

신세사이즈부의 회로의 안정도로 인하여 국부발진 신호의 흔들림현상이 있어VCO

통과대역폭 및 잡음발생의 원인이되어 신세사이즈회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신세시이즈회로는 크게 수신국부발진 신호용과 송신신호용으로 구분되며 단신통신

과 복신통신방식일때 각각 동작할수있는 구성으로 설계되었으며 그 내용별로 구분

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전압제어발진기 에 사용되는 부품은 온도 및 전압변동에 특성의변화가 극히(VCO)

적어야하며 외부로부터 정전 및 자계영향이 크므로 회로를 별도로 정전 및 자VCO

계로부터 차폐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혼변조 및 잡음신호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파수선택 표준신호 등 시 수신( )

대역 및 송신대역에 영향이 없는 주파수로 하였으며 가능한 레벨을 제외한 신(TTL

호 파형의 왜율이 적은신호로서 각회로신호를 사용하여 결합하였다)

- 45 -

나 신세사이회로 제작 (PCB NO V-096PLL)

이회로 기판은 여러종류의 신호들이 발생 혼합 증폭 비교 되므로 각부품 간의 배

치에따라 잡음발생의 정도가 크게 좌우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였으며 회로는 외VCO

부영향에 민감하게 작동되므로 차폐 에 유의하여 부품의 배치 적절하게 하였으며

잡음발생을 유의하여 부품을 선정하였다

다 성능시험

이회로의 특성상 주파수안정도 주파수의 흔들림 위상비교기의 비교속도 등에 유의

하여 시험하였으며 여러가지 일반적인 특성은 최종목표사양에 만족될 수 있는 신호

원을 공급할수 있었어나 주파수의 흔들림 현상이 있어 회로의 부품 및 차폐에VCO

개선이 요구된다

제어장치 제작시험5 (PCB NO V-263)

이회로의 주요부품으로서 를 사용하여 당개발과제의 송수신 및 외부V25 CPU DSC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며 아울러 본체 전면표시기와 스윗치 입출력 기능도 한다

이회로의 주요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스 읽기전용 메모리 읽고CPU( ) ROM( ) RAM(

쓰기 메모리 직렬통신용 입출력 병렬통신 입출력 아날로그 디지) SIO( ) PIO( ) AD(

탈 변환기 스윗치입력 표시기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개발 내용은 다음과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에 사용되는 부품은 대부분 디지탈신호를 처리하여 회로로서 및TTL IC

로서 구성되며 저소비전력 및 고속처리능력이 요구되므로 주로 고속용C-MOS IC

중 형 를 사용 하였으며 장치의 초기설정 및 기능 설정의C-MOS(C-MOS IC HC )

변경등 의 목적으로 은 충전형 밧테리로서 메모리내용을 전원의 에 관RAM ONOFF

계없이 유지하도록 하였다

외부 제어기 등 와의 통신용 의 통신속도를 또는 등으로(DSC ) RS-232C 2400 4800

변경 설정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변환기 등을 이용하여 자기진단을 할수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장비의 유지및AD

보수에 많은 도움이된다

- 46 -

나 성능시험

운용시험(1)

이회로의 특성상 전기적 특성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특성 및 성능이 요구되므로 운

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이부분에 대한 시험은 개발자입

장이 아닌 운용자가 시험하여야 하는 관계로 선박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사용자에게

의뢰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로서는 기능면에서는 양호하나 사용상 복잡한 면이 있어 보다 조작 을 간편

히 할수있도록 개선할 필요가있는 것으로 본다

표시장치 시험(2) (PCB NO V-260)

본장치의 사용상 필요한 기능 및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내용과 기기 동작

상태의 일치성이 요구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온습도 및 장기시험 으

로서 확인하였으며 여러 가지 표시장치중 각각 중단점이 나타낮다

즉 액정 표시기 표시기는 저소비전력이며 주위가 밝은곳에서 사용이 가능 하LCD( )

나 반면 온도특성이 나쁘며 형광표시관 표시기는 온도특성은 양호하나 소비전 VFD( )

력이 대체로 높고 보다 낮고 보다 많음 수명이 낮다는 단점이있으며(FND LCD )

발광 다이오드 표시기는 모든면에서 대체로 양호 하나 잡음발생 이많으며 밝FND( )

은곳에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외 여러 가지의 장담점을 검토하여 차적인 결론은 표시기가 적합한 것으로1 LCD

본다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최소의 전기적신호 연결로서 최대의 기능제어및 속도가 요구되는 장치로서 저주파

신호의 입력 마이크 신호 및 출력 스피크 신호 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 제어는( FS ) ( )

직렬통신 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였으며 장거리 일반 공용통신망 을 이(RS-232C)

용할수도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요 구성은 중앙제어장치 스윗치입력 장치 표시장치 메모리장치 직렬통신장치

로 구성되며 그 상세한 개발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의 대부분이 디지탈신호의 처리회로로서 구성되므로 제어장치 의 사용 부품ldquo rdquo

시험 및 선정기준과 같으며 장거리운용상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신속도를

알맞게하며 장거리통신 선로에서 유기되는 잡음을 최소화 하기위한 필터회로 및

소프트웨어적인 오류정정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별도 설계 사용 하였다

- 47 -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V-170)

이장치는 사용상 편리하여야 하므로 소형 경량 으로 제작 하였으며 차적 기능 시 1

험을 목적으로 외형 보다는 성능을 우선하여 시험용으로 제작하였다 이장치의 시

험은 전용케이블 을 이용하여 시험하였고 또 일반 공용통신용 전화 선로를 통하여

원거리 시험을 하였으며 그결과로서 통신속도가 까지 양호하게 동작되나2400bps

그이상의 통신속도로서 운용 할려면 전용회선이 필요하게된다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가 결정 SPEC

각회로 에서 필요로하는 전압 및 전류에 알맞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반 성능

을 차적으로 설정 하였으며 최종목표 사양에 일치하기위하여서는 전원부의 장치에1

대하여 모든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최종 특성이 설정 되어야 한다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P-099)

이장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되나 반면에 안정성이 확고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안

정성을 첫째로 중요시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이회로는 많은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많은 전력이 열로서 손실되므로 방열에 특히 유의하여 제작되었으며 열발생이 많은

부품은 알미늄 방열판에 설치하고 이방열판은 본장치 외함의 바깥쪽에 설치하여 방

열효과를 최대화 하였다

이회로의 시험은 과입력전압 및 과소비전력 일때의 안정성에 중점 시험하였고 그시

험을 위하여 장시간 항온 항습기 를 이용하여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전원부의 안정

성 확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도 이회로를 특별히 개선하지 않고도 최

종목표 사양에 만족하리라 본다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PCB NO V-098)

마이크 회로 수화기 회로 송신 스윗치 회로 로서 구성되며 이장치는 사용 특성상

충격에 강하도록 설계제작 되어야 하며 무게는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재료선택이

중요하며 이러한점을 감안하여 사출금형에 의하여 성형 하였으며 성형 제료로서는

제료를 사용하고 사용 부품을 최소화 하여 제작 하였다ABS

이장치의 특성상 견고하며 방수효과가 최대이어야 하므로 충격 자연낙하 시험 및( )

방수시험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 성형제료 및 외형상의 문제는 없이나

송화기 및 수화기의 선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송화기는 콘텐서형

마이크가 좋으며 수화기로는 가변코일형으로서 떨림판이 평면으로된 수화기가 우수

한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선정하여 제작시험 하였다

- 48 -

전용 수신기9 DSC (PCB NO T-342)

전용수신 장치는 송수신장치중 송신부를 제외한 구조와 유사하므로 개발과정에서

송수신장치중 수신부회로에 복조장치 를 추가하여 별도 로 제작하여 시험DSC PCB

하였으며 개발내용중 전용수신기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DSC

가 기능 및 동작

변조되어 수신된 신호를 필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후 신호 처리용FM DSC DSC

마이크로프로세스 에 공급하여 소프트웨어로서 신호를 분석한후 표시장치 메(CPU)

모리장치 인쇄장치 등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전용 찬넬인 번 찬넬을 항상 DSC 70

수신상태로 동작하여 신호 도트신호 를 검출하고 신호가 있으면 이어서CALL ( ) CALL

수신되는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표시장치 및 경보장치에 출력한다

나 신호 신호 필터회로 와 신호 처리부 및 제어용회로부 DSC (FS ) DSC DSC

제작시험 (PCB NO T-325 T-326 T-327)

이 회로의 성능은 주로 필터 및 디지탈변환 회로에서 결정되며 소프트웨어의 성능

에 따라 안정성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점을 유의하여 설계제작 하여으며 성능 시험

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험용 정보를 송신장치로 통해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후 그

결과를 분석 시험 하였다

다 전용 수신기의 개발과정 에서의 학보된 기술 DSC

신호 및 의 신호 의 필터 및 디지털 변환 기술DSC (1300 2100 FS )

신호 검출 및 직렬신호의 병렬변환 소프트웨어DOT

기술 정보의 비교 및 인쇄출력 소프트웨어 기술

종합시험10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별 차 차 차 보완시험은 만족하며 앞으로 개발의 중점은 사용의 편리성과PCB 1 2 3

생산성에 중점 개발이 요하며 배치에 따라 야기될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 PCB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후 최종제품을 제작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49 -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1

가 전면판 사출금형

나 옆판 스피커 안테나 금형

다 노브 사출금형

라 윗면 및 밑면 프레스 금형

마 설치용 고정장치 사출 금형

바 설치대 프레스 금형

사 뒷면 작업용 프레스 금형

아 항온조용 열차단금형

자 필타 금형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2

가 송수신기 제어장치 프로그램

나 전용 수신기 제어용 프로그램 DSC

다 원격조정기 프로그램

라 송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마 수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3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26: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26 -

조난선박에 위치를 다음과 같이 자리의 숫자로 표시 하는 것으로 별표 에6 10 10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조난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것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99

제 번째의 숫자는 선박위치의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 으(1) 1 [0]

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한다 [1] [2] [3]

다만 위도 및 경도는 도의 점을 원점으로 한다 0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 숫자는 위도를 제 번째에서 제 번째까지의(2) 2 5 6 10

숫자는 경도를 각각 도 및 분으로 한다

조난선박의 위치를 결정한 시각의 시 및 분을 각각 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는것7 2

으로 하고 별표 에 준하여 개의 코드번호에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시각정보 10 2

를 포함하지않는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88]

계속하여 행하는 통신의 형식을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통신장치가 무선전화 또8

는 협대역직접 인쇄전신장치인 제 를 별표 에 개의 코드번호로1 Telecommand 8 1

코드화한 것일 것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방식일 것 (class) B

중단파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 일 것(1) 1 [109] [111]

대 선택호출신호의 경우는 개의 코드번호 일 것(2) VHF 1 [100]

코드번호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하는 것일 것9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별표 조난경보에 대한 응답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선박국의 장치를[ 3] (

제외 )

dot신호

주( 1)

동기신호

주( 2)

For-mat신호

주( 3)

Cate-gory신호

주( 4)

자국의식별신호

주( 5)

Telec-ommand정보신호

주( 6)

조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7)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 8)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 9)

시각정보신호

주( 10)

Tleco-mmand정보신호

주( 11)

종료신호

주( 12)

오 류검 정신 호

주( 13)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16]

별표 의 주 과 같은 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4 1 7 [112]

자국의 해안국 식별과 그것에 이어 계속되는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숫자를5 [0] 10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6 1 [1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일 것7

- 27 -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종류의 정보신호일 것8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일 것9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시각정보신호일 것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정보신호일 것11 Telecommand

코드번호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2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3 1 13

별표 조난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 중계에 대한 응답을 위한[ 4]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dot신호

주(1)

동기신호

주(2)

For-mat신호

주(3)

Addr-ess신 호

주( 4및56)

Cate-gory신 호

주(7)

자국의식별신호

주(8)

Telec-ommand정보신호

주( 9)

조 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10)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11)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12)

시각정보신호

주(13)

Tleco-mmand정보신호

주( 14)

종료신호

주(15)

오류검정신호

주(16)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별표 의 주 과 같다 코드번호 이외의 것으로 한다3 1 3 ( [112] )

신호가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에는 상대국의 식별신호4 Format

로 하고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0] 10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5 Format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6

별표 의 주 과 같은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7 1 7 [112]

별표 이 주 과 같다8 1 8

개의 코드번호 일 것9 1 [112]

수신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 또는 수신한 조난경10

보의 중계의 조난선박국의 식별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종류의 정보11

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선박의 위치12

정보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시각정보일 것13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14 Telecommand

정보신호일 것으로 한다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것으로 하 (class) B

는 것이 가능할 것

- 28 -

중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1) 1 [109] [111]

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2) VHF 1 [100] [101]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코드번호 개별 해안국 앞15 Format [127]

으로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에는 코드번호 로서 별표[122]

의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3

별표 의 주 과 같다16 1 13

별표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대 선택호출신호를 제외한다[ 5] (VHF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Address신 호

주( 4)

Category신호

주( 5)

자국의식별신호

주( 6)

정 보신 호1

주( 7)

정 보신 호2

주( 8)

종 료신 호

주( 9)

오류검정신 호

주( 10)

주( )

비트일 것1 200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20]

상대국의 식별신호로서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이에 계속되는 으로서4 [0]

구성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1 [108]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8

각 개의 코드번호 및 일 것7 1 [118] [126]

개의 코드번호 일 것8 6 [126]

코드번호 또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9 [117] [122] 13

일 것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 29 -

별표 선택호출신호의 단위부호[ 6] 10

는 스페이스주파수 는 마크주파수로 대응하고 비트위치의 에서 송출된다B Y 1

협대역 일때MFHF B=1785 Y=1615

대역 일때VHF B=2100 Y=1300

- 30 -

별표 반복송출의 순서[ 7]

주 기호 는 선택호출신호의 종료신호를 표시하고 기호 는 에서 까( ) H DX RX0 RX7

지가 반복송출되는 선택호출신호의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31 -

별표 코드번호 의 용도[ 8] (100-127)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00 통상업무

화재 또는폭발

또는F3단신G3E

무선전화 이유없음 주( 3)

101 침수 또는F3복신G3E

무선전화 해사교환 센터의혼잡 주( 3)

102 해역호출

충돌 미확정주( 1)

통화중 주( 3)

103 좌초 Polling 대기행렬표시주( 3)

104 의RXO위치의동기신호

경사 및전복의위험

수입불가주( 2)

폐국 주( 3)

105 의RX1위치의동기신호

침몰 호출의 종료주( 4)

의 부재Operator주( 3)

106 의RX2위치의동기신호

선박업무주( 5)

조선불능으로 표류

데이터주( 6)

변복조장치

의Operator일시적 부재 주( 3)

107 의RX3위치의동기신호

기타의조난

미확정주( 1)

장치의 운용불가주( 3)

108 의RX4위치의동기신호

안전 선체의방치

미확정주( 1)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09 의RX5위치의동기신호

J3E 무선전화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10의RX6

위치의동기신호

긴급 조난경보에대한 응답

무력분쟁의당사국이 아닌것을 표시하는선박 및 항공기주( 7)

111 의RX7위치의동기신호

H3E 무선전화 위생수송체 주( 7)

112 조난경보

조난 조난자동통보설비(주 의9)시동

조난경보의중계

공중전화사무소주( 8)

- 32 -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13또는F1B방향오J2B(1

류정정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미확정 주( 1)

114

공통관계를 갖는선단의호출

미확정 주( 1) 미확정 주( 1)

115또는F1B자동재송J2B(

요구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데이터 주( 11)

116모든선박호출

또는F1B J2B수신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2)

11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18 시험 데이타 주( 14)

119또는F1B수신J2B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5)

120개별국의호출

A1A 테이프레코더

데이터 주( 16)

121 선박의 위치 데이타 주( 17)

122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3

개별국의반자동또는자동접속호출

A1A 전건 및핸드셋(Handset)

데이터 주( 18)

124또는F1CF2C

F3C팩시밀리장 데이터 주( 19)

125의DX

위치의동기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6 정보없음 정보없음 주( 20)

12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주( )

앞으로의 사용을 위하여 유보한다1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2 [100] [109] 2 Telecommand

코드번호 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3 [104] 1 Telecommand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 시스템에만 사용한다4

- 33 -

선박의 항해 운항 필수품에 관한 통신과 정부의 기상업무기관으로 보내는 기5

상 관측 통보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6 [115] [124] 2 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을 제외하고 제7 [104][105][106][110][112] [118] 1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의 제 와 조합하여8 [100][101][109][115] [124] 1 Telecommand

사용한다

수색구조용 레이다트랜스폰더를 제외한다9

무선설비규칙의 제 조의 에 정하는 것으로 한다10 69 4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1 (V21)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2 (V22)

앞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1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4 (V2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5 (V2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6 (V1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7 (V26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8 (V27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9 (V32)

코드번호 를 제외하고 제 와 조합하여 사20 [104][110][112] 1 Telecommand

용한다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 코드번호는 중단21 Format

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에서 까지 [102] [124] ([110][112][117]

및 를 제외한다[122] )

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및VHF [100][101][104][105][106][121]

일 것[124]

별표 동기신호의 송출순서[ 9]

주 기호 및 에서 까지가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DX] [RXO] [RX7]

- 34 -

별표 자리 숫자의 코드 변환표[ 10] 10

자리의 숫자10

십억D2

억D1

천만D2

백만D1

십만D2

만D1

천D2

백D1

십D2

일D1

코드5 코드4 코드3 코드2 코드1

주( )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1 1

및 은 자리 숫자의 자리 숫자 에서 까지를 표시하고 각 코드는2 D2 D1 10 2 00 99

그 자리의 십진수를 코드번호로 한다2

숫자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최상위 자리수의 숫자 앞에 을 포함할 것3 0

별표 해역의 표시방법[ 11]

해역의 표시는 다음과 같은 것

선정되는 지리상의 해역은 메르카토르 도법의 직사각형으로 표시할1 (Mercator)

직사각형의 북서를 해역의 기준점으로 할 것2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존재하는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3 1

으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0] [1] [2] [3]

할 것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위도를 표시할 것4 2 3

제 번째에서 제 번째가지의 숫자는 기준점의 경도를 표시할 것5 4 6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남북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6 7 8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동서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7 9 10

표에 표시하는 해역 및 의 표시의 예는 다음과 같을 것8 ab c

기준점이 북위 도 및 서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1) 10 25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20 35 a

1 1 0 0 2 5 2 0 3 5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2) 10 10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10 10 b

2 1 0 0 1 0 1 0 1 0

- 35 -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3) 12 12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4 7 C

2 1 2 0 1 2 0 4 0 7

별표 주파수 및 채널정보의 코드변환표[ 12]

주파수0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주파수를 의 배수로서 숫자의 십100

만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다 1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2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채 널

3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중단파대 또는 단파대의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 다

8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별도로 정한 채널로 한다

9 0 times times times times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18게기하는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천 백 십 및 일의 숫자로 표시한다

십만 만 천 백 십 일

코드3 코드2 코드1

주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 ) 1

- 36 -

별표 종료신호의 송출순서[ 13]

주 기호 가 종료신호를 표시한다( ) H

- 37 -

제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3

제 절 송수신장치1 DSC VHF

시스템 개요1

본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모든기능을 충족하는 일체형과 전화용 복신방식의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호출 및 수신제어장치 로구분된 독립형 으로 구분되며 DSC DSC

이는 외형상의 구분이며 그주요기능별 구성은 각각의 유니트로된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표시 및 제어장치 와 전원부 로 구분되며 이것들은 다시 하나의DSC

케비넷 또는 독립된장치로서 구성된다

시스템 구성2

장비의 개요 및 특징3

가 개요

본 송수신기는 항만내 또는 연안에서 해안국과 선박국 또는 선박국 상호간VHF FM

의 해상이동업무 통신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기로서 이내의 해상156 ~162

이동 무선통신업무용의 전 을 수용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전파관리법 및CHANNEL

등 국제규격에 적합하도록 설계 제작된 기기로서 전세계ITU SOLAS USA USCG

어느곳에서나 규정에알맞게 사용할 수 있는 국제항만 무선전화기용 무선 송수신기

를 제작한다

- 38 -

나 특징

소형 경량화로서 좁은 장소에 설치가 용의하게 되어 있어야 한다(1)

송신각 각 방식을 채용하였으며 국제 항만 무선전화(2) DIRECT SYNTHESIZER

인 를 수용해야 하며 그외 개의CHANNEL 55(114) CHANNEL 105(527) FREE

이 수용되어 있어야 한다CHANNEL(SIMPLEX)

주 국제 중 미국연안에서 단식방식으로 절환 사용되고 있는1 CHANNEL 55(114)

을 사용 할 수 있을것USA CHANNEL(SIMPLEX)

주 별도의 기상수신 을 수용하고 있어야 한다2 WEATHER CHANNEL( )

USA 3 CHANNELS

CANADIAN 1 CHANNEL

OTHERS 5 CHANNELS

원격조정 회로의 내장으로 본기기의 판넬스위치와는 상관없이(3) REMOTE ( ) HAND

만 으로도 판넬 스위치 조작에 필요한 모든기능을 할 수 있고SET CONTROL VHF

의 원근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어야 한다SET

기능이 첨부되어 있어 미국연안 경비대 의 의무 청취(4) DUAL WATCH USCG( )

인 과 의 개의 을 동시에 수신할 수CHANNEL CH 13 CH 16 2 CHANNEL SCANNING

있으며 과 사용자가 선택하는 임의의 을 동시에CHANNEL 16 CHANNEL SCANNING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에 경보신호 기능의 내장으로 비상시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5) CH 16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국제 개 및 을(6) SCAN CHANNEL 55 FREE CHANNEL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SCANNING

안전통신에 지정되어 있는 은 우선 사용할 수 있도록(7) CHANNEL16 1 STEP

로 되어 있어야 한다SWITCH

국제 해상 인명 안전조약 에 정한 규격으로 되어 있어 전세계 어느곳의(8) SOLAS( )

규정에도 적합하며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구 성4

본 기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가 송 수신기 본체 대 1

나 HAND SET 1 SET

다 WHIP ANTENNA 1 SET

라 벽걸이형 SPEAKER 1 SET

마 전원 공급기 1 SET

- 39 -

규 격5

주파수 및 규격은 현재의 통신방식이며 정보통신부의 고시가 발표되면 협대역(125

로 변경한다)

가 일반사항

사용주파수 범위(1)

송 신 156025 ~ 157425 수 신 (SIMPLEX) 156025 ~ 157425 수 신 (DUPLEX) 160625 ~ 162025 기상수신 (WEATHER) 161650 ~ 162550

사용(2) CHANNEL

A International 55 (114) CHANNELSB USA 25 CHANNELSC FREE 105 (527) CHANNELSD WEATHER 9 CHANNELS

USA 3 CHANNELSCANADIAN 1 CHANNELOTHERS 5 CHANNELS

통신 방식(3) SIMPLEX amp DUPLEX

전파의 형식 전화(4) 16KOF3E( G3E DSC F2BG2B)

주파수 편차(5) 0001 (10 PPM)

사용 온도범위 부터(6) -10 + 50

예열 시간 전원 접속후 즉시 사용가능(7)

공칭(8) ANTENNA IMPEDANCE 50 ohm ( )

공급 전원(9)

전 압 136V plusmn 10전 류 수신시 800

송신시 5A전원 공급기 별도( ) 단상AC115V AC220V 60

부터 까지DC 15V 35V

나 송 신 부

정격 출력(1) HIGH -25 W

LOW - 1W

주 공중선 전력 저하장치로 이하 저하기능 보유1 1WATT주 단 보호 인 및 가 아님 은 송신이2 CHANNEL 7576 1 ~9(01 ~09 )CHANNEL되지 않음 기상수신대의 사용법은 본문 참조 ( )

- 40 -

발진 방식(2) SYNTHESIZER CONTROL SYSTEM

변조 방식(3) FREQUENCY MODULATION

점유 주파수 대역폭(4) 16 (8)

최대 주파수 편의(5) 5 (25)

복사강도 이상(6) SPURIOUS 70

변조 주파수 특성(7) 6 (plusmn 3 ) OCTAVE PRE-EMPHASIS)

(300 ~ 3 )

변조시 이하(8) DISTORTION 1 70 -20

신호 대 잡음비 변조시 이상(9) 1 70 40

저역 여파기 특성 이상에서 이상 감쇄(10) 3 -40log f3( ) (f = )

다 수 신 부

수 신 방 식(1) DOUBLE SUPERHETERODYNE SYSTEM

감 도(2) 이하 신호 대 잡음비 에서 025 V ( 20 )μ

감도(3) SQUELCH 이하 02 Vμ

국부 발진 주파수(4) 1lsquost LOCAL FREQUENCY

RECEIVER FREQUENCY - 214

2nd LOCAL FREQUENCY 10945

중간 주파수(5) 1lsquost IF FREQUENCY 214

2nd IF FREQUENCY 455

선 택 도(6) 저하폭 이상 6 12 (6)

저하폭 이하 70 25 (125)

(7) SPURIOUS RESPONCE 이상 70

감도 억압 효과(8) 이상 80

상호 변조 특성(9) 이상 65 ( 20 40 )

주파수 특성(10) 6 (plusmn3 )OCTAVE DE-EMPHASIS)

( 300 ~ 3 )

신호 대 잡음비(11) 변조시 이상 1 60 40

(12) DISTORTION 변조시 이하 1 70 -20

저주파 출력(13) 이상 1 WATT (IMPEDANCE 8 ohm)

- 41 -

제 절 차년도 개발 범위2 1

제 차년도 개발범위는 기초자료조사와 규정의 연구에 따라 기초회로의 설계 후1

사용부품을 시험하고 각 의 제작 및 시험 연이은 성능미달 의 차 차PCB PCB 2 3

차 재제작 시험을 완료하고 시스템의 설계까지이며 그 세부적인 개발범위는 다음4

과 같다

송수신장치 개발을 위한 제규정 수집 연구1 DSC VHF

기초자료 조사2

가 장비에 대한 기능특성 수집 연구

나 사용자 및 선박통신사의 요구사항에 대한 자료 수집 연구

다 외국장비와 비교 분석

라 부품규격 시험 및 선정

3 HARD WARE

가 고주파 필터코일 재질분석 및 각종코일 설계

나 제작 PCB

송신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1) PCB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시험(2) PCB

수신부회로 제작 시험(3) PCB

신세사이즈 회로 제작 시험(4) PCB

제어장치 제작 시험(5) PCB

표시장치 제작 시험(6) PCB

원격제어기 제작 시험(7) PCB

전원공급부 제작 시험(8) PCB

제작 시험(9) HAND SET PCB

전용수신기 제작 시험(10) DSC PCB

- 42 -

제 장 제 차년도 개발 항목 보고4 1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본 장비를 개발함에 있어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및 부품선정이 개발의 핵심 과제

로 생각하였다

기초자료는 기존 시스템분석과 전파관련법령을 기초하였고 주변회로는 관련된 회

로집을 분석하였으며 부품선정은 폐품종 여부와 수급이 용이하면서 견고하고 증폭

도 및 성능이 우수한 품종으로 장시간 시험을 거쳐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송신부 제작시험2

송신 출력회로 결정 회로설계 완료하여 각부 부품 구입 회 내구성 시험 및SPEC 30

구룹별 장시간 부품 부하 시험등 최종목표 성능을 확보하기위한 제반 기초 제작시

험을 완료 하였으며 주요 내용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의 발열상태등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의 높은 출력으로 증폭하는 송신전(VHF ) 25W

력 증폭기로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높은 고주파전력에 견딜수있어야 하고 열

에의해 발생되는 열잡음이 적으야하며 열에의한 부품의 열화 및 특성의 변화가 적

은 부품을 사용여야 하므로 온습도시험 과 과출력 시험을 통하여 사용될 부품을 시

험하였다

특히 고조파 필터회로 부품인 코일은 동선에 전도율이 좋은 재질로 도금하여 사용

하여야 하며 고조파필터회로 의 차폐용 재료도 동판에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도금

하여 사용 하여야 한다

나 송신 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PCB (PCB NO V-097)

개발과정에서의 설계변경 및 생산시스템의 전산화 에 적용 할수있도록 회로 설계는

물론 설계 회로기판 도안 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설계완료된 는PCB ( ) CAD DATA

회로기판 제작장치 외주 작업 및 부품삽입기 자사 작업 에 직접 컴퓨터용 디스켙( ) ( ) (

으로 입력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회로에 높은 고주파전류가 흐르므로인하여 빌진할 가능성 및 잡음발생의 우려PCB

가 많으므로 특히 부품배치에 유의하여 설계하였으며 송신신호 발생회로 또는 전원

회로 와의 배선은 관통형콘덴서등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였다

회로에 사용되는 코일은 각 코일간에 간섭을 줄이기위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설정하

였으며 전체를 차폐하고 또 고조파 필터회로를 구분하여 차폐하여 제작 하였PCB

- 43 -

또 안정된 출력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회로를 장치하여 설정된 출력 이상의ALC

출력을 제한한다

다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PCB (PCB NO V-096TX)

설계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이 는 미약한 고주파 신호를 발생 변PCB CAD PCB

환 증폭 하므로서 송신부 또는 외부로 부터의 잡음 유입과 내부잡음 발생에 유의

하여 설계되었으며 불요복사 억제에 유의하였다

라 성능시험

메칭상태 시험(1)

옴 파장 수직형 안테나 를 사용할수 있도록 시험하였으며 차적인 시험은 의50 12 1

사부하에 의해 시험하고 의사부하 안테나에 정상적인 메칭이 된 후 실제 사용 안테

나에 확인시험 하였다

이 시험에서 양질의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장치는 물론 안테나의 성능이 중

요하며 인접한 고전력 안테나 및 낙뢰로부터 안정성 등을 감안하여 안테나는 VHF

대역 이하의 주파수에 대하여 쇼트형 안테나가 바람직 하다

기존 시스템의 이상의 성능 확보(2) 90

송신부의 주기능으로서 양질의전파를 안테나로 공중에 발사하는 장치로서 주피수안

정도 고조파억압 불효전파억제 안정된전력 안정된 주파수편이 낮은 왜율 등의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시험결과는 기존의 제품의 특성에 가까운 성능을 확보

하였으나 안테나공용기 복신통신용 필터 특성의 개선및 송신부 관련부품의 배치를( )

개선하므로서 보다 좋은 성능을 확보 할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신부 제작시험3

수신부는 안테나입력회로 입력동조회로 단신통신 및 복신통신 각 주파수 대역 필 (

터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로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 1 1 2 2

로 대역필터회로 신호제한 리미터 회로 복조회로 무신호잡음 차단 회로 저주 ( ) FM

파 증폭회로 및 국부발진회로 로서 구성되나 국부발진회로는 잡음의 발생및 유입

주파수안정도 등을 감안하여 별도의 로서 제작하였으며 그외 수신부와 관련한PCB

내용은 다음과 같다

- 44 -

가 사용부품의 구입 및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증폭과 변환을 반복하여 요구되는 신호(VHF )

를 복조하여 기청음 또는 의 문자표시로 출력되게 하므로서 안정된 주파수 및DSC

증폭이 요구되므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당연히 고주파특성에 유의하여 주파수

차에의한 특성변화 열잡음 및 고주파잡음 능동소자등의 직선성 등이 교려되어야하

므로 항온항습시험과 과전류에의한 잡음발생의 시험 등 을 거처 엄선한 부품으로

설정사용 하였다

특히 회로의 선택도 코알의 값 를 높이기 위하여 가 높은 트랜스 재료를 사용하( Q ) Q

였다

다 수신부회로 제작 PCB (PCB NO V-096RX)

위 항에서의 시험에 의해 선택된 부품을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며 수신부의 특성31

상 잡음의 발생보다는 잡음의 유입에 유의하여 설계되었으며 안정된 증폭 특성 수(

신감도 을 얻기위하여 중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회로기판은 에폭시) 2

수지 양면인쇄동판을 사용하여 부품삽입면은 대부분 공통단자로 이용하여 부품간의

간섭을최소화 하였다

다 수신부 특성시험

수신부 특성상 수신감도 주파수안정도 왜율 통과대역폭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감도억압비 혼변조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신호대 잡음비 일 때의 수신감 20

도 성능이 확보되며 기타 여러 가지 특성도 최종목표 특성에 가까운 성능이05

확보 되었으나 까지 수신감도가 향상되도록 성능개선이 요구된다025 V 120757

신세사이즈부의 회로의 안정도로 인하여 국부발진 신호의 흔들림현상이 있어VCO

통과대역폭 및 잡음발생의 원인이되어 신세사이즈회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신세시이즈회로는 크게 수신국부발진 신호용과 송신신호용으로 구분되며 단신통신

과 복신통신방식일때 각각 동작할수있는 구성으로 설계되었으며 그 내용별로 구분

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전압제어발진기 에 사용되는 부품은 온도 및 전압변동에 특성의변화가 극히(VCO)

적어야하며 외부로부터 정전 및 자계영향이 크므로 회로를 별도로 정전 및 자VCO

계로부터 차폐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혼변조 및 잡음신호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파수선택 표준신호 등 시 수신( )

대역 및 송신대역에 영향이 없는 주파수로 하였으며 가능한 레벨을 제외한 신(TTL

호 파형의 왜율이 적은신호로서 각회로신호를 사용하여 결합하였다)

- 45 -

나 신세사이회로 제작 (PCB NO V-096PLL)

이회로 기판은 여러종류의 신호들이 발생 혼합 증폭 비교 되므로 각부품 간의 배

치에따라 잡음발생의 정도가 크게 좌우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였으며 회로는 외VCO

부영향에 민감하게 작동되므로 차폐 에 유의하여 부품의 배치 적절하게 하였으며

잡음발생을 유의하여 부품을 선정하였다

다 성능시험

이회로의 특성상 주파수안정도 주파수의 흔들림 위상비교기의 비교속도 등에 유의

하여 시험하였으며 여러가지 일반적인 특성은 최종목표사양에 만족될 수 있는 신호

원을 공급할수 있었어나 주파수의 흔들림 현상이 있어 회로의 부품 및 차폐에VCO

개선이 요구된다

제어장치 제작시험5 (PCB NO V-263)

이회로의 주요부품으로서 를 사용하여 당개발과제의 송수신 및 외부V25 CPU DSC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며 아울러 본체 전면표시기와 스윗치 입출력 기능도 한다

이회로의 주요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스 읽기전용 메모리 읽고CPU( ) ROM( ) RAM(

쓰기 메모리 직렬통신용 입출력 병렬통신 입출력 아날로그 디지) SIO( ) PIO( ) AD(

탈 변환기 스윗치입력 표시기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개발 내용은 다음과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에 사용되는 부품은 대부분 디지탈신호를 처리하여 회로로서 및TTL IC

로서 구성되며 저소비전력 및 고속처리능력이 요구되므로 주로 고속용C-MOS IC

중 형 를 사용 하였으며 장치의 초기설정 및 기능 설정의C-MOS(C-MOS IC HC )

변경등 의 목적으로 은 충전형 밧테리로서 메모리내용을 전원의 에 관RAM ONOFF

계없이 유지하도록 하였다

외부 제어기 등 와의 통신용 의 통신속도를 또는 등으로(DSC ) RS-232C 2400 4800

변경 설정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변환기 등을 이용하여 자기진단을 할수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장비의 유지및AD

보수에 많은 도움이된다

- 46 -

나 성능시험

운용시험(1)

이회로의 특성상 전기적 특성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특성 및 성능이 요구되므로 운

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이부분에 대한 시험은 개발자입

장이 아닌 운용자가 시험하여야 하는 관계로 선박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사용자에게

의뢰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로서는 기능면에서는 양호하나 사용상 복잡한 면이 있어 보다 조작 을 간편

히 할수있도록 개선할 필요가있는 것으로 본다

표시장치 시험(2) (PCB NO V-260)

본장치의 사용상 필요한 기능 및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내용과 기기 동작

상태의 일치성이 요구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온습도 및 장기시험 으

로서 확인하였으며 여러 가지 표시장치중 각각 중단점이 나타낮다

즉 액정 표시기 표시기는 저소비전력이며 주위가 밝은곳에서 사용이 가능 하LCD( )

나 반면 온도특성이 나쁘며 형광표시관 표시기는 온도특성은 양호하나 소비전 VFD( )

력이 대체로 높고 보다 낮고 보다 많음 수명이 낮다는 단점이있으며(FND LCD )

발광 다이오드 표시기는 모든면에서 대체로 양호 하나 잡음발생 이많으며 밝FND( )

은곳에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외 여러 가지의 장담점을 검토하여 차적인 결론은 표시기가 적합한 것으로1 LCD

본다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최소의 전기적신호 연결로서 최대의 기능제어및 속도가 요구되는 장치로서 저주파

신호의 입력 마이크 신호 및 출력 스피크 신호 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 제어는( FS ) ( )

직렬통신 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였으며 장거리 일반 공용통신망 을 이(RS-232C)

용할수도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요 구성은 중앙제어장치 스윗치입력 장치 표시장치 메모리장치 직렬통신장치

로 구성되며 그 상세한 개발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의 대부분이 디지탈신호의 처리회로로서 구성되므로 제어장치 의 사용 부품ldquo rdquo

시험 및 선정기준과 같으며 장거리운용상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신속도를

알맞게하며 장거리통신 선로에서 유기되는 잡음을 최소화 하기위한 필터회로 및

소프트웨어적인 오류정정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별도 설계 사용 하였다

- 47 -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V-170)

이장치는 사용상 편리하여야 하므로 소형 경량 으로 제작 하였으며 차적 기능 시 1

험을 목적으로 외형 보다는 성능을 우선하여 시험용으로 제작하였다 이장치의 시

험은 전용케이블 을 이용하여 시험하였고 또 일반 공용통신용 전화 선로를 통하여

원거리 시험을 하였으며 그결과로서 통신속도가 까지 양호하게 동작되나2400bps

그이상의 통신속도로서 운용 할려면 전용회선이 필요하게된다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가 결정 SPEC

각회로 에서 필요로하는 전압 및 전류에 알맞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반 성능

을 차적으로 설정 하였으며 최종목표 사양에 일치하기위하여서는 전원부의 장치에1

대하여 모든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최종 특성이 설정 되어야 한다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P-099)

이장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되나 반면에 안정성이 확고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안

정성을 첫째로 중요시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이회로는 많은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많은 전력이 열로서 손실되므로 방열에 특히 유의하여 제작되었으며 열발생이 많은

부품은 알미늄 방열판에 설치하고 이방열판은 본장치 외함의 바깥쪽에 설치하여 방

열효과를 최대화 하였다

이회로의 시험은 과입력전압 및 과소비전력 일때의 안정성에 중점 시험하였고 그시

험을 위하여 장시간 항온 항습기 를 이용하여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전원부의 안정

성 확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도 이회로를 특별히 개선하지 않고도 최

종목표 사양에 만족하리라 본다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PCB NO V-098)

마이크 회로 수화기 회로 송신 스윗치 회로 로서 구성되며 이장치는 사용 특성상

충격에 강하도록 설계제작 되어야 하며 무게는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재료선택이

중요하며 이러한점을 감안하여 사출금형에 의하여 성형 하였으며 성형 제료로서는

제료를 사용하고 사용 부품을 최소화 하여 제작 하였다ABS

이장치의 특성상 견고하며 방수효과가 최대이어야 하므로 충격 자연낙하 시험 및( )

방수시험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 성형제료 및 외형상의 문제는 없이나

송화기 및 수화기의 선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송화기는 콘텐서형

마이크가 좋으며 수화기로는 가변코일형으로서 떨림판이 평면으로된 수화기가 우수

한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선정하여 제작시험 하였다

- 48 -

전용 수신기9 DSC (PCB NO T-342)

전용수신 장치는 송수신장치중 송신부를 제외한 구조와 유사하므로 개발과정에서

송수신장치중 수신부회로에 복조장치 를 추가하여 별도 로 제작하여 시험DSC PCB

하였으며 개발내용중 전용수신기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DSC

가 기능 및 동작

변조되어 수신된 신호를 필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후 신호 처리용FM DSC DSC

마이크로프로세스 에 공급하여 소프트웨어로서 신호를 분석한후 표시장치 메(CPU)

모리장치 인쇄장치 등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전용 찬넬인 번 찬넬을 항상 DSC 70

수신상태로 동작하여 신호 도트신호 를 검출하고 신호가 있으면 이어서CALL ( ) CALL

수신되는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표시장치 및 경보장치에 출력한다

나 신호 신호 필터회로 와 신호 처리부 및 제어용회로부 DSC (FS ) DSC DSC

제작시험 (PCB NO T-325 T-326 T-327)

이 회로의 성능은 주로 필터 및 디지탈변환 회로에서 결정되며 소프트웨어의 성능

에 따라 안정성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점을 유의하여 설계제작 하여으며 성능 시험

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험용 정보를 송신장치로 통해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후 그

결과를 분석 시험 하였다

다 전용 수신기의 개발과정 에서의 학보된 기술 DSC

신호 및 의 신호 의 필터 및 디지털 변환 기술DSC (1300 2100 FS )

신호 검출 및 직렬신호의 병렬변환 소프트웨어DOT

기술 정보의 비교 및 인쇄출력 소프트웨어 기술

종합시험10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별 차 차 차 보완시험은 만족하며 앞으로 개발의 중점은 사용의 편리성과PCB 1 2 3

생산성에 중점 개발이 요하며 배치에 따라 야기될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 PCB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후 최종제품을 제작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49 -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1

가 전면판 사출금형

나 옆판 스피커 안테나 금형

다 노브 사출금형

라 윗면 및 밑면 프레스 금형

마 설치용 고정장치 사출 금형

바 설치대 프레스 금형

사 뒷면 작업용 프레스 금형

아 항온조용 열차단금형

자 필타 금형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2

가 송수신기 제어장치 프로그램

나 전용 수신기 제어용 프로그램 DSC

다 원격조정기 프로그램

라 송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마 수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3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27: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27 -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종류의 정보신호일 것8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조난선박의 위치정보신호일 것9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시각정보신호일 것10

수신된 조난경보 선택호출신호의 정보신호일 것11 Telecommand

코드번호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2 [127] 13

별표 의 주 과 같다13 1 13

별표 조난경보의 중계 및 조난경보의 중계에 대한 응답을 위한[ 4]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dot신호

주(1)

동기신호

주(2)

For-mat신호

주(3)

Addr-ess신 호

주( 4및56)

Cate-gory신 호

주(7)

자국의식별신호

주(8)

Telec-ommand정보신호

주( 9)

조 난선박국의식별신호

주( 10)

조난종류의정보신호

주(11)

조난선박위치의정보신호

주(12)

시각정보신호

주(13)

Tleco-mmand정보신호

주( 14)

종료신호

주(15)

오류검정신호

주(16)

주( )

별표 의 주 과 같다1 2 1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별표 의 주 과 같다 코드번호 이외의 것으로 한다3 1 3 ( [112] )

신호가 모든 선박호출 및 해역호출 이외의 경우에는 상대국의 식별신호4 Format

로 하고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그것에 계속 으로서 구성되는 자리의 [0] 10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5 Format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6

별표 의 주 과 같은것으로 가능한한 코드번호 일 것7 1 7 [112]

별표 이 주 과 같다8 1 8

개의 코드번호 일 것9 1 [112]

수신한 조난경보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자국의 식별신호 또는 수신한 조난경10

보의 중계의 조난선박국의 식별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종류의 정보11

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조난선박의 위치12

정보신호일 것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 시각정보일 것13

수신한 조난경보 또는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14 Telecommand

정보신호일 것으로 한다 다만 종별 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의 것으로 하 (class) B

는 것이 가능할 것

- 28 -

중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1) 1 [109] [111]

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2) VHF 1 [100] [101]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코드번호 개별 해안국 앞15 Format [127]

으로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에는 코드번호 로서 별표[122]

의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3

별표 의 주 과 같다16 1 13

별표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대 선택호출신호를 제외한다[ 5] (VHF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Address신 호

주( 4)

Category신호

주( 5)

자국의식별신호

주( 6)

정 보신 호1

주( 7)

정 보신 호2

주( 8)

종 료신 호

주( 9)

오류검정신 호

주( 10)

주( )

비트일 것1 200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20]

상대국의 식별신호로서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이에 계속되는 으로서4 [0]

구성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1 [108]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8

각 개의 코드번호 및 일 것7 1 [118] [126]

개의 코드번호 일 것8 6 [126]

코드번호 또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9 [117] [122] 13

일 것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 29 -

별표 선택호출신호의 단위부호[ 6] 10

는 스페이스주파수 는 마크주파수로 대응하고 비트위치의 에서 송출된다B Y 1

협대역 일때MFHF B=1785 Y=1615

대역 일때VHF B=2100 Y=1300

- 30 -

별표 반복송출의 순서[ 7]

주 기호 는 선택호출신호의 종료신호를 표시하고 기호 는 에서 까( ) H DX RX0 RX7

지가 반복송출되는 선택호출신호의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31 -

별표 코드번호 의 용도[ 8] (100-127)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00 통상업무

화재 또는폭발

또는F3단신G3E

무선전화 이유없음 주( 3)

101 침수 또는F3복신G3E

무선전화 해사교환 센터의혼잡 주( 3)

102 해역호출

충돌 미확정주( 1)

통화중 주( 3)

103 좌초 Polling 대기행렬표시주( 3)

104 의RXO위치의동기신호

경사 및전복의위험

수입불가주( 2)

폐국 주( 3)

105 의RX1위치의동기신호

침몰 호출의 종료주( 4)

의 부재Operator주( 3)

106 의RX2위치의동기신호

선박업무주( 5)

조선불능으로 표류

데이터주( 6)

변복조장치

의Operator일시적 부재 주( 3)

107 의RX3위치의동기신호

기타의조난

미확정주( 1)

장치의 운용불가주( 3)

108 의RX4위치의동기신호

안전 선체의방치

미확정주( 1)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09 의RX5위치의동기신호

J3E 무선전화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10의RX6

위치의동기신호

긴급 조난경보에대한 응답

무력분쟁의당사국이 아닌것을 표시하는선박 및 항공기주( 7)

111 의RX7위치의동기신호

H3E 무선전화 위생수송체 주( 7)

112 조난경보

조난 조난자동통보설비(주 의9)시동

조난경보의중계

공중전화사무소주( 8)

- 32 -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13또는F1B방향오J2B(1

류정정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미확정 주( 1)

114

공통관계를 갖는선단의호출

미확정 주( 1) 미확정 주( 1)

115또는F1B자동재송J2B(

요구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데이터 주( 11)

116모든선박호출

또는F1B J2B수신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2)

11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18 시험 데이타 주( 14)

119또는F1B수신J2B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5)

120개별국의호출

A1A 테이프레코더

데이터 주( 16)

121 선박의 위치 데이타 주( 17)

122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3

개별국의반자동또는자동접속호출

A1A 전건 및핸드셋(Handset)

데이터 주( 18)

124또는F1CF2C

F3C팩시밀리장 데이터 주( 19)

125의DX

위치의동기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6 정보없음 정보없음 주( 20)

12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주( )

앞으로의 사용을 위하여 유보한다1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2 [100] [109] 2 Telecommand

코드번호 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3 [104] 1 Telecommand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 시스템에만 사용한다4

- 33 -

선박의 항해 운항 필수품에 관한 통신과 정부의 기상업무기관으로 보내는 기5

상 관측 통보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6 [115] [124] 2 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을 제외하고 제7 [104][105][106][110][112] [118] 1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의 제 와 조합하여8 [100][101][109][115] [124] 1 Telecommand

사용한다

수색구조용 레이다트랜스폰더를 제외한다9

무선설비규칙의 제 조의 에 정하는 것으로 한다10 69 4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1 (V21)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2 (V22)

앞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1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4 (V2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5 (V2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6 (V1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7 (V26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8 (V27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9 (V32)

코드번호 를 제외하고 제 와 조합하여 사20 [104][110][112] 1 Telecommand

용한다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 코드번호는 중단21 Format

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에서 까지 [102] [124] ([110][112][117]

및 를 제외한다[122] )

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및VHF [100][101][104][105][106][121]

일 것[124]

별표 동기신호의 송출순서[ 9]

주 기호 및 에서 까지가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DX] [RXO] [RX7]

- 34 -

별표 자리 숫자의 코드 변환표[ 10] 10

자리의 숫자10

십억D2

억D1

천만D2

백만D1

십만D2

만D1

천D2

백D1

십D2

일D1

코드5 코드4 코드3 코드2 코드1

주( )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1 1

및 은 자리 숫자의 자리 숫자 에서 까지를 표시하고 각 코드는2 D2 D1 10 2 00 99

그 자리의 십진수를 코드번호로 한다2

숫자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최상위 자리수의 숫자 앞에 을 포함할 것3 0

별표 해역의 표시방법[ 11]

해역의 표시는 다음과 같은 것

선정되는 지리상의 해역은 메르카토르 도법의 직사각형으로 표시할1 (Mercator)

직사각형의 북서를 해역의 기준점으로 할 것2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존재하는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3 1

으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0] [1] [2] [3]

할 것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위도를 표시할 것4 2 3

제 번째에서 제 번째가지의 숫자는 기준점의 경도를 표시할 것5 4 6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남북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6 7 8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동서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7 9 10

표에 표시하는 해역 및 의 표시의 예는 다음과 같을 것8 ab c

기준점이 북위 도 및 서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1) 10 25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20 35 a

1 1 0 0 2 5 2 0 3 5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2) 10 10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10 10 b

2 1 0 0 1 0 1 0 1 0

- 35 -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3) 12 12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4 7 C

2 1 2 0 1 2 0 4 0 7

별표 주파수 및 채널정보의 코드변환표[ 12]

주파수0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주파수를 의 배수로서 숫자의 십100

만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다 1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2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채 널

3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중단파대 또는 단파대의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 다

8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별도로 정한 채널로 한다

9 0 times times times times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18게기하는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천 백 십 및 일의 숫자로 표시한다

십만 만 천 백 십 일

코드3 코드2 코드1

주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 ) 1

- 36 -

별표 종료신호의 송출순서[ 13]

주 기호 가 종료신호를 표시한다( ) H

- 37 -

제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3

제 절 송수신장치1 DSC VHF

시스템 개요1

본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모든기능을 충족하는 일체형과 전화용 복신방식의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호출 및 수신제어장치 로구분된 독립형 으로 구분되며 DSC DSC

이는 외형상의 구분이며 그주요기능별 구성은 각각의 유니트로된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표시 및 제어장치 와 전원부 로 구분되며 이것들은 다시 하나의DSC

케비넷 또는 독립된장치로서 구성된다

시스템 구성2

장비의 개요 및 특징3

가 개요

본 송수신기는 항만내 또는 연안에서 해안국과 선박국 또는 선박국 상호간VHF FM

의 해상이동업무 통신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기로서 이내의 해상156 ~162

이동 무선통신업무용의 전 을 수용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전파관리법 및CHANNEL

등 국제규격에 적합하도록 설계 제작된 기기로서 전세계ITU SOLAS USA USCG

어느곳에서나 규정에알맞게 사용할 수 있는 국제항만 무선전화기용 무선 송수신기

를 제작한다

- 38 -

나 특징

소형 경량화로서 좁은 장소에 설치가 용의하게 되어 있어야 한다(1)

송신각 각 방식을 채용하였으며 국제 항만 무선전화(2) DIRECT SYNTHESIZER

인 를 수용해야 하며 그외 개의CHANNEL 55(114) CHANNEL 105(527) FREE

이 수용되어 있어야 한다CHANNEL(SIMPLEX)

주 국제 중 미국연안에서 단식방식으로 절환 사용되고 있는1 CHANNEL 55(114)

을 사용 할 수 있을것USA CHANNEL(SIMPLEX)

주 별도의 기상수신 을 수용하고 있어야 한다2 WEATHER CHANNEL( )

USA 3 CHANNELS

CANADIAN 1 CHANNEL

OTHERS 5 CHANNELS

원격조정 회로의 내장으로 본기기의 판넬스위치와는 상관없이(3) REMOTE ( ) HAND

만 으로도 판넬 스위치 조작에 필요한 모든기능을 할 수 있고SET CONTROL VHF

의 원근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어야 한다SET

기능이 첨부되어 있어 미국연안 경비대 의 의무 청취(4) DUAL WATCH USCG( )

인 과 의 개의 을 동시에 수신할 수CHANNEL CH 13 CH 16 2 CHANNEL SCANNING

있으며 과 사용자가 선택하는 임의의 을 동시에CHANNEL 16 CHANNEL SCANNING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에 경보신호 기능의 내장으로 비상시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5) CH 16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국제 개 및 을(6) SCAN CHANNEL 55 FREE CHANNEL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SCANNING

안전통신에 지정되어 있는 은 우선 사용할 수 있도록(7) CHANNEL16 1 STEP

로 되어 있어야 한다SWITCH

국제 해상 인명 안전조약 에 정한 규격으로 되어 있어 전세계 어느곳의(8) SOLAS( )

규정에도 적합하며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구 성4

본 기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가 송 수신기 본체 대 1

나 HAND SET 1 SET

다 WHIP ANTENNA 1 SET

라 벽걸이형 SPEAKER 1 SET

마 전원 공급기 1 SET

- 39 -

규 격5

주파수 및 규격은 현재의 통신방식이며 정보통신부의 고시가 발표되면 협대역(125

로 변경한다)

가 일반사항

사용주파수 범위(1)

송 신 156025 ~ 157425 수 신 (SIMPLEX) 156025 ~ 157425 수 신 (DUPLEX) 160625 ~ 162025 기상수신 (WEATHER) 161650 ~ 162550

사용(2) CHANNEL

A International 55 (114) CHANNELSB USA 25 CHANNELSC FREE 105 (527) CHANNELSD WEATHER 9 CHANNELS

USA 3 CHANNELSCANADIAN 1 CHANNELOTHERS 5 CHANNELS

통신 방식(3) SIMPLEX amp DUPLEX

전파의 형식 전화(4) 16KOF3E( G3E DSC F2BG2B)

주파수 편차(5) 0001 (10 PPM)

사용 온도범위 부터(6) -10 + 50

예열 시간 전원 접속후 즉시 사용가능(7)

공칭(8) ANTENNA IMPEDANCE 50 ohm ( )

공급 전원(9)

전 압 136V plusmn 10전 류 수신시 800

송신시 5A전원 공급기 별도( ) 단상AC115V AC220V 60

부터 까지DC 15V 35V

나 송 신 부

정격 출력(1) HIGH -25 W

LOW - 1W

주 공중선 전력 저하장치로 이하 저하기능 보유1 1WATT주 단 보호 인 및 가 아님 은 송신이2 CHANNEL 7576 1 ~9(01 ~09 )CHANNEL되지 않음 기상수신대의 사용법은 본문 참조 ( )

- 40 -

발진 방식(2) SYNTHESIZER CONTROL SYSTEM

변조 방식(3) FREQUENCY MODULATION

점유 주파수 대역폭(4) 16 (8)

최대 주파수 편의(5) 5 (25)

복사강도 이상(6) SPURIOUS 70

변조 주파수 특성(7) 6 (plusmn 3 ) OCTAVE PRE-EMPHASIS)

(300 ~ 3 )

변조시 이하(8) DISTORTION 1 70 -20

신호 대 잡음비 변조시 이상(9) 1 70 40

저역 여파기 특성 이상에서 이상 감쇄(10) 3 -40log f3( ) (f = )

다 수 신 부

수 신 방 식(1) DOUBLE SUPERHETERODYNE SYSTEM

감 도(2) 이하 신호 대 잡음비 에서 025 V ( 20 )μ

감도(3) SQUELCH 이하 02 Vμ

국부 발진 주파수(4) 1lsquost LOCAL FREQUENCY

RECEIVER FREQUENCY - 214

2nd LOCAL FREQUENCY 10945

중간 주파수(5) 1lsquost IF FREQUENCY 214

2nd IF FREQUENCY 455

선 택 도(6) 저하폭 이상 6 12 (6)

저하폭 이하 70 25 (125)

(7) SPURIOUS RESPONCE 이상 70

감도 억압 효과(8) 이상 80

상호 변조 특성(9) 이상 65 ( 20 40 )

주파수 특성(10) 6 (plusmn3 )OCTAVE DE-EMPHASIS)

( 300 ~ 3 )

신호 대 잡음비(11) 변조시 이상 1 60 40

(12) DISTORTION 변조시 이하 1 70 -20

저주파 출력(13) 이상 1 WATT (IMPEDANCE 8 ohm)

- 41 -

제 절 차년도 개발 범위2 1

제 차년도 개발범위는 기초자료조사와 규정의 연구에 따라 기초회로의 설계 후1

사용부품을 시험하고 각 의 제작 및 시험 연이은 성능미달 의 차 차PCB PCB 2 3

차 재제작 시험을 완료하고 시스템의 설계까지이며 그 세부적인 개발범위는 다음4

과 같다

송수신장치 개발을 위한 제규정 수집 연구1 DSC VHF

기초자료 조사2

가 장비에 대한 기능특성 수집 연구

나 사용자 및 선박통신사의 요구사항에 대한 자료 수집 연구

다 외국장비와 비교 분석

라 부품규격 시험 및 선정

3 HARD WARE

가 고주파 필터코일 재질분석 및 각종코일 설계

나 제작 PCB

송신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1) PCB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시험(2) PCB

수신부회로 제작 시험(3) PCB

신세사이즈 회로 제작 시험(4) PCB

제어장치 제작 시험(5) PCB

표시장치 제작 시험(6) PCB

원격제어기 제작 시험(7) PCB

전원공급부 제작 시험(8) PCB

제작 시험(9) HAND SET PCB

전용수신기 제작 시험(10) DSC PCB

- 42 -

제 장 제 차년도 개발 항목 보고4 1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본 장비를 개발함에 있어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및 부품선정이 개발의 핵심 과제

로 생각하였다

기초자료는 기존 시스템분석과 전파관련법령을 기초하였고 주변회로는 관련된 회

로집을 분석하였으며 부품선정은 폐품종 여부와 수급이 용이하면서 견고하고 증폭

도 및 성능이 우수한 품종으로 장시간 시험을 거쳐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송신부 제작시험2

송신 출력회로 결정 회로설계 완료하여 각부 부품 구입 회 내구성 시험 및SPEC 30

구룹별 장시간 부품 부하 시험등 최종목표 성능을 확보하기위한 제반 기초 제작시

험을 완료 하였으며 주요 내용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의 발열상태등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의 높은 출력으로 증폭하는 송신전(VHF ) 25W

력 증폭기로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높은 고주파전력에 견딜수있어야 하고 열

에의해 발생되는 열잡음이 적으야하며 열에의한 부품의 열화 및 특성의 변화가 적

은 부품을 사용여야 하므로 온습도시험 과 과출력 시험을 통하여 사용될 부품을 시

험하였다

특히 고조파 필터회로 부품인 코일은 동선에 전도율이 좋은 재질로 도금하여 사용

하여야 하며 고조파필터회로 의 차폐용 재료도 동판에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도금

하여 사용 하여야 한다

나 송신 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PCB (PCB NO V-097)

개발과정에서의 설계변경 및 생산시스템의 전산화 에 적용 할수있도록 회로 설계는

물론 설계 회로기판 도안 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설계완료된 는PCB ( ) CAD DATA

회로기판 제작장치 외주 작업 및 부품삽입기 자사 작업 에 직접 컴퓨터용 디스켙( ) ( ) (

으로 입력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회로에 높은 고주파전류가 흐르므로인하여 빌진할 가능성 및 잡음발생의 우려PCB

가 많으므로 특히 부품배치에 유의하여 설계하였으며 송신신호 발생회로 또는 전원

회로 와의 배선은 관통형콘덴서등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였다

회로에 사용되는 코일은 각 코일간에 간섭을 줄이기위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설정하

였으며 전체를 차폐하고 또 고조파 필터회로를 구분하여 차폐하여 제작 하였PCB

- 43 -

또 안정된 출력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회로를 장치하여 설정된 출력 이상의ALC

출력을 제한한다

다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PCB (PCB NO V-096TX)

설계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이 는 미약한 고주파 신호를 발생 변PCB CAD PCB

환 증폭 하므로서 송신부 또는 외부로 부터의 잡음 유입과 내부잡음 발생에 유의

하여 설계되었으며 불요복사 억제에 유의하였다

라 성능시험

메칭상태 시험(1)

옴 파장 수직형 안테나 를 사용할수 있도록 시험하였으며 차적인 시험은 의50 12 1

사부하에 의해 시험하고 의사부하 안테나에 정상적인 메칭이 된 후 실제 사용 안테

나에 확인시험 하였다

이 시험에서 양질의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장치는 물론 안테나의 성능이 중

요하며 인접한 고전력 안테나 및 낙뢰로부터 안정성 등을 감안하여 안테나는 VHF

대역 이하의 주파수에 대하여 쇼트형 안테나가 바람직 하다

기존 시스템의 이상의 성능 확보(2) 90

송신부의 주기능으로서 양질의전파를 안테나로 공중에 발사하는 장치로서 주피수안

정도 고조파억압 불효전파억제 안정된전력 안정된 주파수편이 낮은 왜율 등의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시험결과는 기존의 제품의 특성에 가까운 성능을 확보

하였으나 안테나공용기 복신통신용 필터 특성의 개선및 송신부 관련부품의 배치를( )

개선하므로서 보다 좋은 성능을 확보 할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신부 제작시험3

수신부는 안테나입력회로 입력동조회로 단신통신 및 복신통신 각 주파수 대역 필 (

터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로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 1 1 2 2

로 대역필터회로 신호제한 리미터 회로 복조회로 무신호잡음 차단 회로 저주 ( ) FM

파 증폭회로 및 국부발진회로 로서 구성되나 국부발진회로는 잡음의 발생및 유입

주파수안정도 등을 감안하여 별도의 로서 제작하였으며 그외 수신부와 관련한PCB

내용은 다음과 같다

- 44 -

가 사용부품의 구입 및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증폭과 변환을 반복하여 요구되는 신호(VHF )

를 복조하여 기청음 또는 의 문자표시로 출력되게 하므로서 안정된 주파수 및DSC

증폭이 요구되므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당연히 고주파특성에 유의하여 주파수

차에의한 특성변화 열잡음 및 고주파잡음 능동소자등의 직선성 등이 교려되어야하

므로 항온항습시험과 과전류에의한 잡음발생의 시험 등 을 거처 엄선한 부품으로

설정사용 하였다

특히 회로의 선택도 코알의 값 를 높이기 위하여 가 높은 트랜스 재료를 사용하( Q ) Q

였다

다 수신부회로 제작 PCB (PCB NO V-096RX)

위 항에서의 시험에 의해 선택된 부품을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며 수신부의 특성31

상 잡음의 발생보다는 잡음의 유입에 유의하여 설계되었으며 안정된 증폭 특성 수(

신감도 을 얻기위하여 중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회로기판은 에폭시) 2

수지 양면인쇄동판을 사용하여 부품삽입면은 대부분 공통단자로 이용하여 부품간의

간섭을최소화 하였다

다 수신부 특성시험

수신부 특성상 수신감도 주파수안정도 왜율 통과대역폭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감도억압비 혼변조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신호대 잡음비 일 때의 수신감 20

도 성능이 확보되며 기타 여러 가지 특성도 최종목표 특성에 가까운 성능이05

확보 되었으나 까지 수신감도가 향상되도록 성능개선이 요구된다025 V 120757

신세사이즈부의 회로의 안정도로 인하여 국부발진 신호의 흔들림현상이 있어VCO

통과대역폭 및 잡음발생의 원인이되어 신세사이즈회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신세시이즈회로는 크게 수신국부발진 신호용과 송신신호용으로 구분되며 단신통신

과 복신통신방식일때 각각 동작할수있는 구성으로 설계되었으며 그 내용별로 구분

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전압제어발진기 에 사용되는 부품은 온도 및 전압변동에 특성의변화가 극히(VCO)

적어야하며 외부로부터 정전 및 자계영향이 크므로 회로를 별도로 정전 및 자VCO

계로부터 차폐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혼변조 및 잡음신호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파수선택 표준신호 등 시 수신( )

대역 및 송신대역에 영향이 없는 주파수로 하였으며 가능한 레벨을 제외한 신(TTL

호 파형의 왜율이 적은신호로서 각회로신호를 사용하여 결합하였다)

- 45 -

나 신세사이회로 제작 (PCB NO V-096PLL)

이회로 기판은 여러종류의 신호들이 발생 혼합 증폭 비교 되므로 각부품 간의 배

치에따라 잡음발생의 정도가 크게 좌우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였으며 회로는 외VCO

부영향에 민감하게 작동되므로 차폐 에 유의하여 부품의 배치 적절하게 하였으며

잡음발생을 유의하여 부품을 선정하였다

다 성능시험

이회로의 특성상 주파수안정도 주파수의 흔들림 위상비교기의 비교속도 등에 유의

하여 시험하였으며 여러가지 일반적인 특성은 최종목표사양에 만족될 수 있는 신호

원을 공급할수 있었어나 주파수의 흔들림 현상이 있어 회로의 부품 및 차폐에VCO

개선이 요구된다

제어장치 제작시험5 (PCB NO V-263)

이회로의 주요부품으로서 를 사용하여 당개발과제의 송수신 및 외부V25 CPU DSC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며 아울러 본체 전면표시기와 스윗치 입출력 기능도 한다

이회로의 주요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스 읽기전용 메모리 읽고CPU( ) ROM( ) RAM(

쓰기 메모리 직렬통신용 입출력 병렬통신 입출력 아날로그 디지) SIO( ) PIO( ) AD(

탈 변환기 스윗치입력 표시기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개발 내용은 다음과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에 사용되는 부품은 대부분 디지탈신호를 처리하여 회로로서 및TTL IC

로서 구성되며 저소비전력 및 고속처리능력이 요구되므로 주로 고속용C-MOS IC

중 형 를 사용 하였으며 장치의 초기설정 및 기능 설정의C-MOS(C-MOS IC HC )

변경등 의 목적으로 은 충전형 밧테리로서 메모리내용을 전원의 에 관RAM ONOFF

계없이 유지하도록 하였다

외부 제어기 등 와의 통신용 의 통신속도를 또는 등으로(DSC ) RS-232C 2400 4800

변경 설정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변환기 등을 이용하여 자기진단을 할수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장비의 유지및AD

보수에 많은 도움이된다

- 46 -

나 성능시험

운용시험(1)

이회로의 특성상 전기적 특성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특성 및 성능이 요구되므로 운

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이부분에 대한 시험은 개발자입

장이 아닌 운용자가 시험하여야 하는 관계로 선박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사용자에게

의뢰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로서는 기능면에서는 양호하나 사용상 복잡한 면이 있어 보다 조작 을 간편

히 할수있도록 개선할 필요가있는 것으로 본다

표시장치 시험(2) (PCB NO V-260)

본장치의 사용상 필요한 기능 및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내용과 기기 동작

상태의 일치성이 요구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온습도 및 장기시험 으

로서 확인하였으며 여러 가지 표시장치중 각각 중단점이 나타낮다

즉 액정 표시기 표시기는 저소비전력이며 주위가 밝은곳에서 사용이 가능 하LCD( )

나 반면 온도특성이 나쁘며 형광표시관 표시기는 온도특성은 양호하나 소비전 VFD( )

력이 대체로 높고 보다 낮고 보다 많음 수명이 낮다는 단점이있으며(FND LCD )

발광 다이오드 표시기는 모든면에서 대체로 양호 하나 잡음발생 이많으며 밝FND( )

은곳에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외 여러 가지의 장담점을 검토하여 차적인 결론은 표시기가 적합한 것으로1 LCD

본다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최소의 전기적신호 연결로서 최대의 기능제어및 속도가 요구되는 장치로서 저주파

신호의 입력 마이크 신호 및 출력 스피크 신호 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 제어는( FS ) ( )

직렬통신 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였으며 장거리 일반 공용통신망 을 이(RS-232C)

용할수도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요 구성은 중앙제어장치 스윗치입력 장치 표시장치 메모리장치 직렬통신장치

로 구성되며 그 상세한 개발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의 대부분이 디지탈신호의 처리회로로서 구성되므로 제어장치 의 사용 부품ldquo rdquo

시험 및 선정기준과 같으며 장거리운용상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신속도를

알맞게하며 장거리통신 선로에서 유기되는 잡음을 최소화 하기위한 필터회로 및

소프트웨어적인 오류정정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별도 설계 사용 하였다

- 47 -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V-170)

이장치는 사용상 편리하여야 하므로 소형 경량 으로 제작 하였으며 차적 기능 시 1

험을 목적으로 외형 보다는 성능을 우선하여 시험용으로 제작하였다 이장치의 시

험은 전용케이블 을 이용하여 시험하였고 또 일반 공용통신용 전화 선로를 통하여

원거리 시험을 하였으며 그결과로서 통신속도가 까지 양호하게 동작되나2400bps

그이상의 통신속도로서 운용 할려면 전용회선이 필요하게된다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가 결정 SPEC

각회로 에서 필요로하는 전압 및 전류에 알맞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반 성능

을 차적으로 설정 하였으며 최종목표 사양에 일치하기위하여서는 전원부의 장치에1

대하여 모든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최종 특성이 설정 되어야 한다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P-099)

이장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되나 반면에 안정성이 확고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안

정성을 첫째로 중요시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이회로는 많은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많은 전력이 열로서 손실되므로 방열에 특히 유의하여 제작되었으며 열발생이 많은

부품은 알미늄 방열판에 설치하고 이방열판은 본장치 외함의 바깥쪽에 설치하여 방

열효과를 최대화 하였다

이회로의 시험은 과입력전압 및 과소비전력 일때의 안정성에 중점 시험하였고 그시

험을 위하여 장시간 항온 항습기 를 이용하여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전원부의 안정

성 확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도 이회로를 특별히 개선하지 않고도 최

종목표 사양에 만족하리라 본다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PCB NO V-098)

마이크 회로 수화기 회로 송신 스윗치 회로 로서 구성되며 이장치는 사용 특성상

충격에 강하도록 설계제작 되어야 하며 무게는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재료선택이

중요하며 이러한점을 감안하여 사출금형에 의하여 성형 하였으며 성형 제료로서는

제료를 사용하고 사용 부품을 최소화 하여 제작 하였다ABS

이장치의 특성상 견고하며 방수효과가 최대이어야 하므로 충격 자연낙하 시험 및( )

방수시험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 성형제료 및 외형상의 문제는 없이나

송화기 및 수화기의 선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송화기는 콘텐서형

마이크가 좋으며 수화기로는 가변코일형으로서 떨림판이 평면으로된 수화기가 우수

한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선정하여 제작시험 하였다

- 48 -

전용 수신기9 DSC (PCB NO T-342)

전용수신 장치는 송수신장치중 송신부를 제외한 구조와 유사하므로 개발과정에서

송수신장치중 수신부회로에 복조장치 를 추가하여 별도 로 제작하여 시험DSC PCB

하였으며 개발내용중 전용수신기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DSC

가 기능 및 동작

변조되어 수신된 신호를 필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후 신호 처리용FM DSC DSC

마이크로프로세스 에 공급하여 소프트웨어로서 신호를 분석한후 표시장치 메(CPU)

모리장치 인쇄장치 등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전용 찬넬인 번 찬넬을 항상 DSC 70

수신상태로 동작하여 신호 도트신호 를 검출하고 신호가 있으면 이어서CALL ( ) CALL

수신되는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표시장치 및 경보장치에 출력한다

나 신호 신호 필터회로 와 신호 처리부 및 제어용회로부 DSC (FS ) DSC DSC

제작시험 (PCB NO T-325 T-326 T-327)

이 회로의 성능은 주로 필터 및 디지탈변환 회로에서 결정되며 소프트웨어의 성능

에 따라 안정성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점을 유의하여 설계제작 하여으며 성능 시험

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험용 정보를 송신장치로 통해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후 그

결과를 분석 시험 하였다

다 전용 수신기의 개발과정 에서의 학보된 기술 DSC

신호 및 의 신호 의 필터 및 디지털 변환 기술DSC (1300 2100 FS )

신호 검출 및 직렬신호의 병렬변환 소프트웨어DOT

기술 정보의 비교 및 인쇄출력 소프트웨어 기술

종합시험10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별 차 차 차 보완시험은 만족하며 앞으로 개발의 중점은 사용의 편리성과PCB 1 2 3

생산성에 중점 개발이 요하며 배치에 따라 야기될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 PCB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후 최종제품을 제작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49 -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1

가 전면판 사출금형

나 옆판 스피커 안테나 금형

다 노브 사출금형

라 윗면 및 밑면 프레스 금형

마 설치용 고정장치 사출 금형

바 설치대 프레스 금형

사 뒷면 작업용 프레스 금형

아 항온조용 열차단금형

자 필타 금형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2

가 송수신기 제어장치 프로그램

나 전용 수신기 제어용 프로그램 DSC

다 원격조정기 프로그램

라 송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마 수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3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28: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28 -

중단파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1) 1 [109] [111]

대선택호출의 경우에는 개의 코드번호 또는(2) VHF 1 [100] [101]

신호가 모든 선박을 호출하는 경우는 코드번호 개별 해안국 앞15 Format [127]

으로 조난경보의 중계를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경우에는 코드번호 로서 별표[122]

의 순서로 송출되는 것일 것13

별표 의 주 과 같다16 1 13

별표 시험을 위한 선택호출신호의 구성 대 선택호출신호를 제외한다[ 5] (VHF )

dot신 호

주( 1)

동 기신 호

주( 2)

Format신 호

주( 3)

Address신 호

주( 4)

Category신호

주( 5)

자국의식별신호

주( 6)

정 보신 호1

주( 7)

정 보신 호2

주( 8)

종 료신 호

주( 9)

오류검정신 호

주( 10)

주( )

비트일 것1 200

별표 의 주 와 같다2 1 2

개의 코드번호 일 것3 2 [120]

상대국의 식별신호로서 선박국식별 또는 해안국식별과 이에 계속되는 으로서4 [0]

구성 자리의 숫자를 별표 에 따라 코드화한 것일 것10 10

개의 코드번호 일 것5 1 [108]

별표 의 주 과 같다6 1 8

각 개의 코드번호 및 일 것7 1 [118] [126]

개의 코드번호 일 것8 6 [126]

코드번호 또는 에 있어서 별표 에 표시하는 순서로 송출되는 것9 [117] [122] 13

일 것

별표 의 주 과 같다10 1 13

- 29 -

별표 선택호출신호의 단위부호[ 6] 10

는 스페이스주파수 는 마크주파수로 대응하고 비트위치의 에서 송출된다B Y 1

협대역 일때MFHF B=1785 Y=1615

대역 일때VHF B=2100 Y=1300

- 30 -

별표 반복송출의 순서[ 7]

주 기호 는 선택호출신호의 종료신호를 표시하고 기호 는 에서 까( ) H DX RX0 RX7

지가 반복송출되는 선택호출신호의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31 -

별표 코드번호 의 용도[ 8] (100-127)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00 통상업무

화재 또는폭발

또는F3단신G3E

무선전화 이유없음 주( 3)

101 침수 또는F3복신G3E

무선전화 해사교환 센터의혼잡 주( 3)

102 해역호출

충돌 미확정주( 1)

통화중 주( 3)

103 좌초 Polling 대기행렬표시주( 3)

104 의RXO위치의동기신호

경사 및전복의위험

수입불가주( 2)

폐국 주( 3)

105 의RX1위치의동기신호

침몰 호출의 종료주( 4)

의 부재Operator주( 3)

106 의RX2위치의동기신호

선박업무주( 5)

조선불능으로 표류

데이터주( 6)

변복조장치

의Operator일시적 부재 주( 3)

107 의RX3위치의동기신호

기타의조난

미확정주( 1)

장치의 운용불가주( 3)

108 의RX4위치의동기신호

안전 선체의방치

미확정주( 1)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09 의RX5위치의동기신호

J3E 무선전화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10의RX6

위치의동기신호

긴급 조난경보에대한 응답

무력분쟁의당사국이 아닌것을 표시하는선박 및 항공기주( 7)

111 의RX7위치의동기신호

H3E 무선전화 위생수송체 주( 7)

112 조난경보

조난 조난자동통보설비(주 의9)시동

조난경보의중계

공중전화사무소주( 8)

- 32 -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13또는F1B방향오J2B(1

류정정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미확정 주( 1)

114

공통관계를 갖는선단의호출

미확정 주( 1) 미확정 주( 1)

115또는F1B자동재송J2B(

요구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데이터 주( 11)

116모든선박호출

또는F1B J2B수신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2)

11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18 시험 데이타 주( 14)

119또는F1B수신J2B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5)

120개별국의호출

A1A 테이프레코더

데이터 주( 16)

121 선박의 위치 데이타 주( 17)

122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3

개별국의반자동또는자동접속호출

A1A 전건 및핸드셋(Handset)

데이터 주( 18)

124또는F1CF2C

F3C팩시밀리장 데이터 주( 19)

125의DX

위치의동기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6 정보없음 정보없음 주( 20)

12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주( )

앞으로의 사용을 위하여 유보한다1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2 [100] [109] 2 Telecommand

코드번호 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3 [104] 1 Telecommand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 시스템에만 사용한다4

- 33 -

선박의 항해 운항 필수품에 관한 통신과 정부의 기상업무기관으로 보내는 기5

상 관측 통보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6 [115] [124] 2 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을 제외하고 제7 [104][105][106][110][112] [118] 1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의 제 와 조합하여8 [100][101][109][115] [124] 1 Telecommand

사용한다

수색구조용 레이다트랜스폰더를 제외한다9

무선설비규칙의 제 조의 에 정하는 것으로 한다10 69 4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1 (V21)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2 (V22)

앞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1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4 (V2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5 (V2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6 (V1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7 (V26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8 (V27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9 (V32)

코드번호 를 제외하고 제 와 조합하여 사20 [104][110][112] 1 Telecommand

용한다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 코드번호는 중단21 Format

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에서 까지 [102] [124] ([110][112][117]

및 를 제외한다[122] )

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및VHF [100][101][104][105][106][121]

일 것[124]

별표 동기신호의 송출순서[ 9]

주 기호 및 에서 까지가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DX] [RXO] [RX7]

- 34 -

별표 자리 숫자의 코드 변환표[ 10] 10

자리의 숫자10

십억D2

억D1

천만D2

백만D1

십만D2

만D1

천D2

백D1

십D2

일D1

코드5 코드4 코드3 코드2 코드1

주( )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1 1

및 은 자리 숫자의 자리 숫자 에서 까지를 표시하고 각 코드는2 D2 D1 10 2 00 99

그 자리의 십진수를 코드번호로 한다2

숫자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최상위 자리수의 숫자 앞에 을 포함할 것3 0

별표 해역의 표시방법[ 11]

해역의 표시는 다음과 같은 것

선정되는 지리상의 해역은 메르카토르 도법의 직사각형으로 표시할1 (Mercator)

직사각형의 북서를 해역의 기준점으로 할 것2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존재하는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3 1

으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0] [1] [2] [3]

할 것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위도를 표시할 것4 2 3

제 번째에서 제 번째가지의 숫자는 기준점의 경도를 표시할 것5 4 6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남북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6 7 8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동서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7 9 10

표에 표시하는 해역 및 의 표시의 예는 다음과 같을 것8 ab c

기준점이 북위 도 및 서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1) 10 25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20 35 a

1 1 0 0 2 5 2 0 3 5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2) 10 10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10 10 b

2 1 0 0 1 0 1 0 1 0

- 35 -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3) 12 12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4 7 C

2 1 2 0 1 2 0 4 0 7

별표 주파수 및 채널정보의 코드변환표[ 12]

주파수0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주파수를 의 배수로서 숫자의 십100

만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다 1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2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채 널

3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중단파대 또는 단파대의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 다

8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별도로 정한 채널로 한다

9 0 times times times times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18게기하는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천 백 십 및 일의 숫자로 표시한다

십만 만 천 백 십 일

코드3 코드2 코드1

주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 ) 1

- 36 -

별표 종료신호의 송출순서[ 13]

주 기호 가 종료신호를 표시한다( ) H

- 37 -

제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3

제 절 송수신장치1 DSC VHF

시스템 개요1

본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모든기능을 충족하는 일체형과 전화용 복신방식의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호출 및 수신제어장치 로구분된 독립형 으로 구분되며 DSC DSC

이는 외형상의 구분이며 그주요기능별 구성은 각각의 유니트로된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표시 및 제어장치 와 전원부 로 구분되며 이것들은 다시 하나의DSC

케비넷 또는 독립된장치로서 구성된다

시스템 구성2

장비의 개요 및 특징3

가 개요

본 송수신기는 항만내 또는 연안에서 해안국과 선박국 또는 선박국 상호간VHF FM

의 해상이동업무 통신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기로서 이내의 해상156 ~162

이동 무선통신업무용의 전 을 수용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전파관리법 및CHANNEL

등 국제규격에 적합하도록 설계 제작된 기기로서 전세계ITU SOLAS USA USCG

어느곳에서나 규정에알맞게 사용할 수 있는 국제항만 무선전화기용 무선 송수신기

를 제작한다

- 38 -

나 특징

소형 경량화로서 좁은 장소에 설치가 용의하게 되어 있어야 한다(1)

송신각 각 방식을 채용하였으며 국제 항만 무선전화(2) DIRECT SYNTHESIZER

인 를 수용해야 하며 그외 개의CHANNEL 55(114) CHANNEL 105(527) FREE

이 수용되어 있어야 한다CHANNEL(SIMPLEX)

주 국제 중 미국연안에서 단식방식으로 절환 사용되고 있는1 CHANNEL 55(114)

을 사용 할 수 있을것USA CHANNEL(SIMPLEX)

주 별도의 기상수신 을 수용하고 있어야 한다2 WEATHER CHANNEL( )

USA 3 CHANNELS

CANADIAN 1 CHANNEL

OTHERS 5 CHANNELS

원격조정 회로의 내장으로 본기기의 판넬스위치와는 상관없이(3) REMOTE ( ) HAND

만 으로도 판넬 스위치 조작에 필요한 모든기능을 할 수 있고SET CONTROL VHF

의 원근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어야 한다SET

기능이 첨부되어 있어 미국연안 경비대 의 의무 청취(4) DUAL WATCH USCG( )

인 과 의 개의 을 동시에 수신할 수CHANNEL CH 13 CH 16 2 CHANNEL SCANNING

있으며 과 사용자가 선택하는 임의의 을 동시에CHANNEL 16 CHANNEL SCANNING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에 경보신호 기능의 내장으로 비상시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5) CH 16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국제 개 및 을(6) SCAN CHANNEL 55 FREE CHANNEL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SCANNING

안전통신에 지정되어 있는 은 우선 사용할 수 있도록(7) CHANNEL16 1 STEP

로 되어 있어야 한다SWITCH

국제 해상 인명 안전조약 에 정한 규격으로 되어 있어 전세계 어느곳의(8) SOLAS( )

규정에도 적합하며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구 성4

본 기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가 송 수신기 본체 대 1

나 HAND SET 1 SET

다 WHIP ANTENNA 1 SET

라 벽걸이형 SPEAKER 1 SET

마 전원 공급기 1 SET

- 39 -

규 격5

주파수 및 규격은 현재의 통신방식이며 정보통신부의 고시가 발표되면 협대역(125

로 변경한다)

가 일반사항

사용주파수 범위(1)

송 신 156025 ~ 157425 수 신 (SIMPLEX) 156025 ~ 157425 수 신 (DUPLEX) 160625 ~ 162025 기상수신 (WEATHER) 161650 ~ 162550

사용(2) CHANNEL

A International 55 (114) CHANNELSB USA 25 CHANNELSC FREE 105 (527) CHANNELSD WEATHER 9 CHANNELS

USA 3 CHANNELSCANADIAN 1 CHANNELOTHERS 5 CHANNELS

통신 방식(3) SIMPLEX amp DUPLEX

전파의 형식 전화(4) 16KOF3E( G3E DSC F2BG2B)

주파수 편차(5) 0001 (10 PPM)

사용 온도범위 부터(6) -10 + 50

예열 시간 전원 접속후 즉시 사용가능(7)

공칭(8) ANTENNA IMPEDANCE 50 ohm ( )

공급 전원(9)

전 압 136V plusmn 10전 류 수신시 800

송신시 5A전원 공급기 별도( ) 단상AC115V AC220V 60

부터 까지DC 15V 35V

나 송 신 부

정격 출력(1) HIGH -25 W

LOW - 1W

주 공중선 전력 저하장치로 이하 저하기능 보유1 1WATT주 단 보호 인 및 가 아님 은 송신이2 CHANNEL 7576 1 ~9(01 ~09 )CHANNEL되지 않음 기상수신대의 사용법은 본문 참조 ( )

- 40 -

발진 방식(2) SYNTHESIZER CONTROL SYSTEM

변조 방식(3) FREQUENCY MODULATION

점유 주파수 대역폭(4) 16 (8)

최대 주파수 편의(5) 5 (25)

복사강도 이상(6) SPURIOUS 70

변조 주파수 특성(7) 6 (plusmn 3 ) OCTAVE PRE-EMPHASIS)

(300 ~ 3 )

변조시 이하(8) DISTORTION 1 70 -20

신호 대 잡음비 변조시 이상(9) 1 70 40

저역 여파기 특성 이상에서 이상 감쇄(10) 3 -40log f3( ) (f = )

다 수 신 부

수 신 방 식(1) DOUBLE SUPERHETERODYNE SYSTEM

감 도(2) 이하 신호 대 잡음비 에서 025 V ( 20 )μ

감도(3) SQUELCH 이하 02 Vμ

국부 발진 주파수(4) 1lsquost LOCAL FREQUENCY

RECEIVER FREQUENCY - 214

2nd LOCAL FREQUENCY 10945

중간 주파수(5) 1lsquost IF FREQUENCY 214

2nd IF FREQUENCY 455

선 택 도(6) 저하폭 이상 6 12 (6)

저하폭 이하 70 25 (125)

(7) SPURIOUS RESPONCE 이상 70

감도 억압 효과(8) 이상 80

상호 변조 특성(9) 이상 65 ( 20 40 )

주파수 특성(10) 6 (plusmn3 )OCTAVE DE-EMPHASIS)

( 300 ~ 3 )

신호 대 잡음비(11) 변조시 이상 1 60 40

(12) DISTORTION 변조시 이하 1 70 -20

저주파 출력(13) 이상 1 WATT (IMPEDANCE 8 ohm)

- 41 -

제 절 차년도 개발 범위2 1

제 차년도 개발범위는 기초자료조사와 규정의 연구에 따라 기초회로의 설계 후1

사용부품을 시험하고 각 의 제작 및 시험 연이은 성능미달 의 차 차PCB PCB 2 3

차 재제작 시험을 완료하고 시스템의 설계까지이며 그 세부적인 개발범위는 다음4

과 같다

송수신장치 개발을 위한 제규정 수집 연구1 DSC VHF

기초자료 조사2

가 장비에 대한 기능특성 수집 연구

나 사용자 및 선박통신사의 요구사항에 대한 자료 수집 연구

다 외국장비와 비교 분석

라 부품규격 시험 및 선정

3 HARD WARE

가 고주파 필터코일 재질분석 및 각종코일 설계

나 제작 PCB

송신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1) PCB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시험(2) PCB

수신부회로 제작 시험(3) PCB

신세사이즈 회로 제작 시험(4) PCB

제어장치 제작 시험(5) PCB

표시장치 제작 시험(6) PCB

원격제어기 제작 시험(7) PCB

전원공급부 제작 시험(8) PCB

제작 시험(9) HAND SET PCB

전용수신기 제작 시험(10) DSC PCB

- 42 -

제 장 제 차년도 개발 항목 보고4 1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본 장비를 개발함에 있어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및 부품선정이 개발의 핵심 과제

로 생각하였다

기초자료는 기존 시스템분석과 전파관련법령을 기초하였고 주변회로는 관련된 회

로집을 분석하였으며 부품선정은 폐품종 여부와 수급이 용이하면서 견고하고 증폭

도 및 성능이 우수한 품종으로 장시간 시험을 거쳐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송신부 제작시험2

송신 출력회로 결정 회로설계 완료하여 각부 부품 구입 회 내구성 시험 및SPEC 30

구룹별 장시간 부품 부하 시험등 최종목표 성능을 확보하기위한 제반 기초 제작시

험을 완료 하였으며 주요 내용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의 발열상태등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의 높은 출력으로 증폭하는 송신전(VHF ) 25W

력 증폭기로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높은 고주파전력에 견딜수있어야 하고 열

에의해 발생되는 열잡음이 적으야하며 열에의한 부품의 열화 및 특성의 변화가 적

은 부품을 사용여야 하므로 온습도시험 과 과출력 시험을 통하여 사용될 부품을 시

험하였다

특히 고조파 필터회로 부품인 코일은 동선에 전도율이 좋은 재질로 도금하여 사용

하여야 하며 고조파필터회로 의 차폐용 재료도 동판에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도금

하여 사용 하여야 한다

나 송신 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PCB (PCB NO V-097)

개발과정에서의 설계변경 및 생산시스템의 전산화 에 적용 할수있도록 회로 설계는

물론 설계 회로기판 도안 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설계완료된 는PCB ( ) CAD DATA

회로기판 제작장치 외주 작업 및 부품삽입기 자사 작업 에 직접 컴퓨터용 디스켙( ) ( ) (

으로 입력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회로에 높은 고주파전류가 흐르므로인하여 빌진할 가능성 및 잡음발생의 우려PCB

가 많으므로 특히 부품배치에 유의하여 설계하였으며 송신신호 발생회로 또는 전원

회로 와의 배선은 관통형콘덴서등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였다

회로에 사용되는 코일은 각 코일간에 간섭을 줄이기위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설정하

였으며 전체를 차폐하고 또 고조파 필터회로를 구분하여 차폐하여 제작 하였PCB

- 43 -

또 안정된 출력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회로를 장치하여 설정된 출력 이상의ALC

출력을 제한한다

다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PCB (PCB NO V-096TX)

설계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이 는 미약한 고주파 신호를 발생 변PCB CAD PCB

환 증폭 하므로서 송신부 또는 외부로 부터의 잡음 유입과 내부잡음 발생에 유의

하여 설계되었으며 불요복사 억제에 유의하였다

라 성능시험

메칭상태 시험(1)

옴 파장 수직형 안테나 를 사용할수 있도록 시험하였으며 차적인 시험은 의50 12 1

사부하에 의해 시험하고 의사부하 안테나에 정상적인 메칭이 된 후 실제 사용 안테

나에 확인시험 하였다

이 시험에서 양질의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장치는 물론 안테나의 성능이 중

요하며 인접한 고전력 안테나 및 낙뢰로부터 안정성 등을 감안하여 안테나는 VHF

대역 이하의 주파수에 대하여 쇼트형 안테나가 바람직 하다

기존 시스템의 이상의 성능 확보(2) 90

송신부의 주기능으로서 양질의전파를 안테나로 공중에 발사하는 장치로서 주피수안

정도 고조파억압 불효전파억제 안정된전력 안정된 주파수편이 낮은 왜율 등의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시험결과는 기존의 제품의 특성에 가까운 성능을 확보

하였으나 안테나공용기 복신통신용 필터 특성의 개선및 송신부 관련부품의 배치를( )

개선하므로서 보다 좋은 성능을 확보 할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신부 제작시험3

수신부는 안테나입력회로 입력동조회로 단신통신 및 복신통신 각 주파수 대역 필 (

터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로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 1 1 2 2

로 대역필터회로 신호제한 리미터 회로 복조회로 무신호잡음 차단 회로 저주 ( ) FM

파 증폭회로 및 국부발진회로 로서 구성되나 국부발진회로는 잡음의 발생및 유입

주파수안정도 등을 감안하여 별도의 로서 제작하였으며 그외 수신부와 관련한PCB

내용은 다음과 같다

- 44 -

가 사용부품의 구입 및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증폭과 변환을 반복하여 요구되는 신호(VHF )

를 복조하여 기청음 또는 의 문자표시로 출력되게 하므로서 안정된 주파수 및DSC

증폭이 요구되므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당연히 고주파특성에 유의하여 주파수

차에의한 특성변화 열잡음 및 고주파잡음 능동소자등의 직선성 등이 교려되어야하

므로 항온항습시험과 과전류에의한 잡음발생의 시험 등 을 거처 엄선한 부품으로

설정사용 하였다

특히 회로의 선택도 코알의 값 를 높이기 위하여 가 높은 트랜스 재료를 사용하( Q ) Q

였다

다 수신부회로 제작 PCB (PCB NO V-096RX)

위 항에서의 시험에 의해 선택된 부품을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며 수신부의 특성31

상 잡음의 발생보다는 잡음의 유입에 유의하여 설계되었으며 안정된 증폭 특성 수(

신감도 을 얻기위하여 중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회로기판은 에폭시) 2

수지 양면인쇄동판을 사용하여 부품삽입면은 대부분 공통단자로 이용하여 부품간의

간섭을최소화 하였다

다 수신부 특성시험

수신부 특성상 수신감도 주파수안정도 왜율 통과대역폭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감도억압비 혼변조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신호대 잡음비 일 때의 수신감 20

도 성능이 확보되며 기타 여러 가지 특성도 최종목표 특성에 가까운 성능이05

확보 되었으나 까지 수신감도가 향상되도록 성능개선이 요구된다025 V 120757

신세사이즈부의 회로의 안정도로 인하여 국부발진 신호의 흔들림현상이 있어VCO

통과대역폭 및 잡음발생의 원인이되어 신세사이즈회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신세시이즈회로는 크게 수신국부발진 신호용과 송신신호용으로 구분되며 단신통신

과 복신통신방식일때 각각 동작할수있는 구성으로 설계되었으며 그 내용별로 구분

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전압제어발진기 에 사용되는 부품은 온도 및 전압변동에 특성의변화가 극히(VCO)

적어야하며 외부로부터 정전 및 자계영향이 크므로 회로를 별도로 정전 및 자VCO

계로부터 차폐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혼변조 및 잡음신호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파수선택 표준신호 등 시 수신( )

대역 및 송신대역에 영향이 없는 주파수로 하였으며 가능한 레벨을 제외한 신(TTL

호 파형의 왜율이 적은신호로서 각회로신호를 사용하여 결합하였다)

- 45 -

나 신세사이회로 제작 (PCB NO V-096PLL)

이회로 기판은 여러종류의 신호들이 발생 혼합 증폭 비교 되므로 각부품 간의 배

치에따라 잡음발생의 정도가 크게 좌우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였으며 회로는 외VCO

부영향에 민감하게 작동되므로 차폐 에 유의하여 부품의 배치 적절하게 하였으며

잡음발생을 유의하여 부품을 선정하였다

다 성능시험

이회로의 특성상 주파수안정도 주파수의 흔들림 위상비교기의 비교속도 등에 유의

하여 시험하였으며 여러가지 일반적인 특성은 최종목표사양에 만족될 수 있는 신호

원을 공급할수 있었어나 주파수의 흔들림 현상이 있어 회로의 부품 및 차폐에VCO

개선이 요구된다

제어장치 제작시험5 (PCB NO V-263)

이회로의 주요부품으로서 를 사용하여 당개발과제의 송수신 및 외부V25 CPU DSC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며 아울러 본체 전면표시기와 스윗치 입출력 기능도 한다

이회로의 주요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스 읽기전용 메모리 읽고CPU( ) ROM( ) RAM(

쓰기 메모리 직렬통신용 입출력 병렬통신 입출력 아날로그 디지) SIO( ) PIO( ) AD(

탈 변환기 스윗치입력 표시기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개발 내용은 다음과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에 사용되는 부품은 대부분 디지탈신호를 처리하여 회로로서 및TTL IC

로서 구성되며 저소비전력 및 고속처리능력이 요구되므로 주로 고속용C-MOS IC

중 형 를 사용 하였으며 장치의 초기설정 및 기능 설정의C-MOS(C-MOS IC HC )

변경등 의 목적으로 은 충전형 밧테리로서 메모리내용을 전원의 에 관RAM ONOFF

계없이 유지하도록 하였다

외부 제어기 등 와의 통신용 의 통신속도를 또는 등으로(DSC ) RS-232C 2400 4800

변경 설정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변환기 등을 이용하여 자기진단을 할수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장비의 유지및AD

보수에 많은 도움이된다

- 46 -

나 성능시험

운용시험(1)

이회로의 특성상 전기적 특성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특성 및 성능이 요구되므로 운

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이부분에 대한 시험은 개발자입

장이 아닌 운용자가 시험하여야 하는 관계로 선박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사용자에게

의뢰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로서는 기능면에서는 양호하나 사용상 복잡한 면이 있어 보다 조작 을 간편

히 할수있도록 개선할 필요가있는 것으로 본다

표시장치 시험(2) (PCB NO V-260)

본장치의 사용상 필요한 기능 및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내용과 기기 동작

상태의 일치성이 요구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온습도 및 장기시험 으

로서 확인하였으며 여러 가지 표시장치중 각각 중단점이 나타낮다

즉 액정 표시기 표시기는 저소비전력이며 주위가 밝은곳에서 사용이 가능 하LCD( )

나 반면 온도특성이 나쁘며 형광표시관 표시기는 온도특성은 양호하나 소비전 VFD( )

력이 대체로 높고 보다 낮고 보다 많음 수명이 낮다는 단점이있으며(FND LCD )

발광 다이오드 표시기는 모든면에서 대체로 양호 하나 잡음발생 이많으며 밝FND( )

은곳에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외 여러 가지의 장담점을 검토하여 차적인 결론은 표시기가 적합한 것으로1 LCD

본다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최소의 전기적신호 연결로서 최대의 기능제어및 속도가 요구되는 장치로서 저주파

신호의 입력 마이크 신호 및 출력 스피크 신호 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 제어는( FS ) ( )

직렬통신 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였으며 장거리 일반 공용통신망 을 이(RS-232C)

용할수도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요 구성은 중앙제어장치 스윗치입력 장치 표시장치 메모리장치 직렬통신장치

로 구성되며 그 상세한 개발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의 대부분이 디지탈신호의 처리회로로서 구성되므로 제어장치 의 사용 부품ldquo rdquo

시험 및 선정기준과 같으며 장거리운용상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신속도를

알맞게하며 장거리통신 선로에서 유기되는 잡음을 최소화 하기위한 필터회로 및

소프트웨어적인 오류정정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별도 설계 사용 하였다

- 47 -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V-170)

이장치는 사용상 편리하여야 하므로 소형 경량 으로 제작 하였으며 차적 기능 시 1

험을 목적으로 외형 보다는 성능을 우선하여 시험용으로 제작하였다 이장치의 시

험은 전용케이블 을 이용하여 시험하였고 또 일반 공용통신용 전화 선로를 통하여

원거리 시험을 하였으며 그결과로서 통신속도가 까지 양호하게 동작되나2400bps

그이상의 통신속도로서 운용 할려면 전용회선이 필요하게된다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가 결정 SPEC

각회로 에서 필요로하는 전압 및 전류에 알맞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반 성능

을 차적으로 설정 하였으며 최종목표 사양에 일치하기위하여서는 전원부의 장치에1

대하여 모든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최종 특성이 설정 되어야 한다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P-099)

이장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되나 반면에 안정성이 확고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안

정성을 첫째로 중요시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이회로는 많은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많은 전력이 열로서 손실되므로 방열에 특히 유의하여 제작되었으며 열발생이 많은

부품은 알미늄 방열판에 설치하고 이방열판은 본장치 외함의 바깥쪽에 설치하여 방

열효과를 최대화 하였다

이회로의 시험은 과입력전압 및 과소비전력 일때의 안정성에 중점 시험하였고 그시

험을 위하여 장시간 항온 항습기 를 이용하여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전원부의 안정

성 확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도 이회로를 특별히 개선하지 않고도 최

종목표 사양에 만족하리라 본다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PCB NO V-098)

마이크 회로 수화기 회로 송신 스윗치 회로 로서 구성되며 이장치는 사용 특성상

충격에 강하도록 설계제작 되어야 하며 무게는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재료선택이

중요하며 이러한점을 감안하여 사출금형에 의하여 성형 하였으며 성형 제료로서는

제료를 사용하고 사용 부품을 최소화 하여 제작 하였다ABS

이장치의 특성상 견고하며 방수효과가 최대이어야 하므로 충격 자연낙하 시험 및( )

방수시험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 성형제료 및 외형상의 문제는 없이나

송화기 및 수화기의 선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송화기는 콘텐서형

마이크가 좋으며 수화기로는 가변코일형으로서 떨림판이 평면으로된 수화기가 우수

한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선정하여 제작시험 하였다

- 48 -

전용 수신기9 DSC (PCB NO T-342)

전용수신 장치는 송수신장치중 송신부를 제외한 구조와 유사하므로 개발과정에서

송수신장치중 수신부회로에 복조장치 를 추가하여 별도 로 제작하여 시험DSC PCB

하였으며 개발내용중 전용수신기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DSC

가 기능 및 동작

변조되어 수신된 신호를 필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후 신호 처리용FM DSC DSC

마이크로프로세스 에 공급하여 소프트웨어로서 신호를 분석한후 표시장치 메(CPU)

모리장치 인쇄장치 등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전용 찬넬인 번 찬넬을 항상 DSC 70

수신상태로 동작하여 신호 도트신호 를 검출하고 신호가 있으면 이어서CALL ( ) CALL

수신되는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표시장치 및 경보장치에 출력한다

나 신호 신호 필터회로 와 신호 처리부 및 제어용회로부 DSC (FS ) DSC DSC

제작시험 (PCB NO T-325 T-326 T-327)

이 회로의 성능은 주로 필터 및 디지탈변환 회로에서 결정되며 소프트웨어의 성능

에 따라 안정성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점을 유의하여 설계제작 하여으며 성능 시험

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험용 정보를 송신장치로 통해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후 그

결과를 분석 시험 하였다

다 전용 수신기의 개발과정 에서의 학보된 기술 DSC

신호 및 의 신호 의 필터 및 디지털 변환 기술DSC (1300 2100 FS )

신호 검출 및 직렬신호의 병렬변환 소프트웨어DOT

기술 정보의 비교 및 인쇄출력 소프트웨어 기술

종합시험10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별 차 차 차 보완시험은 만족하며 앞으로 개발의 중점은 사용의 편리성과PCB 1 2 3

생산성에 중점 개발이 요하며 배치에 따라 야기될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 PCB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후 최종제품을 제작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49 -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1

가 전면판 사출금형

나 옆판 스피커 안테나 금형

다 노브 사출금형

라 윗면 및 밑면 프레스 금형

마 설치용 고정장치 사출 금형

바 설치대 프레스 금형

사 뒷면 작업용 프레스 금형

아 항온조용 열차단금형

자 필타 금형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2

가 송수신기 제어장치 프로그램

나 전용 수신기 제어용 프로그램 DSC

다 원격조정기 프로그램

라 송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마 수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3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29: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29 -

별표 선택호출신호의 단위부호[ 6] 10

는 스페이스주파수 는 마크주파수로 대응하고 비트위치의 에서 송출된다B Y 1

협대역 일때MFHF B=1785 Y=1615

대역 일때VHF B=2100 Y=1300

- 30 -

별표 반복송출의 순서[ 7]

주 기호 는 선택호출신호의 종료신호를 표시하고 기호 는 에서 까( ) H DX RX0 RX7

지가 반복송출되는 선택호출신호의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31 -

별표 코드번호 의 용도[ 8] (100-127)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00 통상업무

화재 또는폭발

또는F3단신G3E

무선전화 이유없음 주( 3)

101 침수 또는F3복신G3E

무선전화 해사교환 센터의혼잡 주( 3)

102 해역호출

충돌 미확정주( 1)

통화중 주( 3)

103 좌초 Polling 대기행렬표시주( 3)

104 의RXO위치의동기신호

경사 및전복의위험

수입불가주( 2)

폐국 주( 3)

105 의RX1위치의동기신호

침몰 호출의 종료주( 4)

의 부재Operator주( 3)

106 의RX2위치의동기신호

선박업무주( 5)

조선불능으로 표류

데이터주( 6)

변복조장치

의Operator일시적 부재 주( 3)

107 의RX3위치의동기신호

기타의조난

미확정주( 1)

장치의 운용불가주( 3)

108 의RX4위치의동기신호

안전 선체의방치

미확정주( 1)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09 의RX5위치의동기신호

J3E 무선전화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10의RX6

위치의동기신호

긴급 조난경보에대한 응답

무력분쟁의당사국이 아닌것을 표시하는선박 및 항공기주( 7)

111 의RX7위치의동기신호

H3E 무선전화 위생수송체 주( 7)

112 조난경보

조난 조난자동통보설비(주 의9)시동

조난경보의중계

공중전화사무소주( 8)

- 32 -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13또는F1B방향오J2B(1

류정정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미확정 주( 1)

114

공통관계를 갖는선단의호출

미확정 주( 1) 미확정 주( 1)

115또는F1B자동재송J2B(

요구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데이터 주( 11)

116모든선박호출

또는F1B J2B수신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2)

11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18 시험 데이타 주( 14)

119또는F1B수신J2B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5)

120개별국의호출

A1A 테이프레코더

데이터 주( 16)

121 선박의 위치 데이타 주( 17)

122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3

개별국의반자동또는자동접속호출

A1A 전건 및핸드셋(Handset)

데이터 주( 18)

124또는F1CF2C

F3C팩시밀리장 데이터 주( 19)

125의DX

위치의동기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6 정보없음 정보없음 주( 20)

12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주( )

앞으로의 사용을 위하여 유보한다1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2 [100] [109] 2 Telecommand

코드번호 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3 [104] 1 Telecommand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 시스템에만 사용한다4

- 33 -

선박의 항해 운항 필수품에 관한 통신과 정부의 기상업무기관으로 보내는 기5

상 관측 통보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6 [115] [124] 2 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을 제외하고 제7 [104][105][106][110][112] [118] 1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의 제 와 조합하여8 [100][101][109][115] [124] 1 Telecommand

사용한다

수색구조용 레이다트랜스폰더를 제외한다9

무선설비규칙의 제 조의 에 정하는 것으로 한다10 69 4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1 (V21)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2 (V22)

앞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1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4 (V2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5 (V2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6 (V1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7 (V26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8 (V27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9 (V32)

코드번호 를 제외하고 제 와 조합하여 사20 [104][110][112] 1 Telecommand

용한다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 코드번호는 중단21 Format

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에서 까지 [102] [124] ([110][112][117]

및 를 제외한다[122] )

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및VHF [100][101][104][105][106][121]

일 것[124]

별표 동기신호의 송출순서[ 9]

주 기호 및 에서 까지가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DX] [RXO] [RX7]

- 34 -

별표 자리 숫자의 코드 변환표[ 10] 10

자리의 숫자10

십억D2

억D1

천만D2

백만D1

십만D2

만D1

천D2

백D1

십D2

일D1

코드5 코드4 코드3 코드2 코드1

주( )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1 1

및 은 자리 숫자의 자리 숫자 에서 까지를 표시하고 각 코드는2 D2 D1 10 2 00 99

그 자리의 십진수를 코드번호로 한다2

숫자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최상위 자리수의 숫자 앞에 을 포함할 것3 0

별표 해역의 표시방법[ 11]

해역의 표시는 다음과 같은 것

선정되는 지리상의 해역은 메르카토르 도법의 직사각형으로 표시할1 (Mercator)

직사각형의 북서를 해역의 기준점으로 할 것2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존재하는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3 1

으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0] [1] [2] [3]

할 것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위도를 표시할 것4 2 3

제 번째에서 제 번째가지의 숫자는 기준점의 경도를 표시할 것5 4 6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남북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6 7 8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동서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7 9 10

표에 표시하는 해역 및 의 표시의 예는 다음과 같을 것8 ab c

기준점이 북위 도 및 서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1) 10 25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20 35 a

1 1 0 0 2 5 2 0 3 5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2) 10 10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10 10 b

2 1 0 0 1 0 1 0 1 0

- 35 -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3) 12 12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4 7 C

2 1 2 0 1 2 0 4 0 7

별표 주파수 및 채널정보의 코드변환표[ 12]

주파수0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주파수를 의 배수로서 숫자의 십100

만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다 1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2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채 널

3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중단파대 또는 단파대의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 다

8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별도로 정한 채널로 한다

9 0 times times times times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18게기하는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천 백 십 및 일의 숫자로 표시한다

십만 만 천 백 십 일

코드3 코드2 코드1

주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 ) 1

- 36 -

별표 종료신호의 송출순서[ 13]

주 기호 가 종료신호를 표시한다( ) H

- 37 -

제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3

제 절 송수신장치1 DSC VHF

시스템 개요1

본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모든기능을 충족하는 일체형과 전화용 복신방식의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호출 및 수신제어장치 로구분된 독립형 으로 구분되며 DSC DSC

이는 외형상의 구분이며 그주요기능별 구성은 각각의 유니트로된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표시 및 제어장치 와 전원부 로 구분되며 이것들은 다시 하나의DSC

케비넷 또는 독립된장치로서 구성된다

시스템 구성2

장비의 개요 및 특징3

가 개요

본 송수신기는 항만내 또는 연안에서 해안국과 선박국 또는 선박국 상호간VHF FM

의 해상이동업무 통신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기로서 이내의 해상156 ~162

이동 무선통신업무용의 전 을 수용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전파관리법 및CHANNEL

등 국제규격에 적합하도록 설계 제작된 기기로서 전세계ITU SOLAS USA USCG

어느곳에서나 규정에알맞게 사용할 수 있는 국제항만 무선전화기용 무선 송수신기

를 제작한다

- 38 -

나 특징

소형 경량화로서 좁은 장소에 설치가 용의하게 되어 있어야 한다(1)

송신각 각 방식을 채용하였으며 국제 항만 무선전화(2) DIRECT SYNTHESIZER

인 를 수용해야 하며 그외 개의CHANNEL 55(114) CHANNEL 105(527) FREE

이 수용되어 있어야 한다CHANNEL(SIMPLEX)

주 국제 중 미국연안에서 단식방식으로 절환 사용되고 있는1 CHANNEL 55(114)

을 사용 할 수 있을것USA CHANNEL(SIMPLEX)

주 별도의 기상수신 을 수용하고 있어야 한다2 WEATHER CHANNEL( )

USA 3 CHANNELS

CANADIAN 1 CHANNEL

OTHERS 5 CHANNELS

원격조정 회로의 내장으로 본기기의 판넬스위치와는 상관없이(3) REMOTE ( ) HAND

만 으로도 판넬 스위치 조작에 필요한 모든기능을 할 수 있고SET CONTROL VHF

의 원근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어야 한다SET

기능이 첨부되어 있어 미국연안 경비대 의 의무 청취(4) DUAL WATCH USCG( )

인 과 의 개의 을 동시에 수신할 수CHANNEL CH 13 CH 16 2 CHANNEL SCANNING

있으며 과 사용자가 선택하는 임의의 을 동시에CHANNEL 16 CHANNEL SCANNING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에 경보신호 기능의 내장으로 비상시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5) CH 16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국제 개 및 을(6) SCAN CHANNEL 55 FREE CHANNEL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SCANNING

안전통신에 지정되어 있는 은 우선 사용할 수 있도록(7) CHANNEL16 1 STEP

로 되어 있어야 한다SWITCH

국제 해상 인명 안전조약 에 정한 규격으로 되어 있어 전세계 어느곳의(8) SOLAS( )

규정에도 적합하며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구 성4

본 기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가 송 수신기 본체 대 1

나 HAND SET 1 SET

다 WHIP ANTENNA 1 SET

라 벽걸이형 SPEAKER 1 SET

마 전원 공급기 1 SET

- 39 -

규 격5

주파수 및 규격은 현재의 통신방식이며 정보통신부의 고시가 발표되면 협대역(125

로 변경한다)

가 일반사항

사용주파수 범위(1)

송 신 156025 ~ 157425 수 신 (SIMPLEX) 156025 ~ 157425 수 신 (DUPLEX) 160625 ~ 162025 기상수신 (WEATHER) 161650 ~ 162550

사용(2) CHANNEL

A International 55 (114) CHANNELSB USA 25 CHANNELSC FREE 105 (527) CHANNELSD WEATHER 9 CHANNELS

USA 3 CHANNELSCANADIAN 1 CHANNELOTHERS 5 CHANNELS

통신 방식(3) SIMPLEX amp DUPLEX

전파의 형식 전화(4) 16KOF3E( G3E DSC F2BG2B)

주파수 편차(5) 0001 (10 PPM)

사용 온도범위 부터(6) -10 + 50

예열 시간 전원 접속후 즉시 사용가능(7)

공칭(8) ANTENNA IMPEDANCE 50 ohm ( )

공급 전원(9)

전 압 136V plusmn 10전 류 수신시 800

송신시 5A전원 공급기 별도( ) 단상AC115V AC220V 60

부터 까지DC 15V 35V

나 송 신 부

정격 출력(1) HIGH -25 W

LOW - 1W

주 공중선 전력 저하장치로 이하 저하기능 보유1 1WATT주 단 보호 인 및 가 아님 은 송신이2 CHANNEL 7576 1 ~9(01 ~09 )CHANNEL되지 않음 기상수신대의 사용법은 본문 참조 ( )

- 40 -

발진 방식(2) SYNTHESIZER CONTROL SYSTEM

변조 방식(3) FREQUENCY MODULATION

점유 주파수 대역폭(4) 16 (8)

최대 주파수 편의(5) 5 (25)

복사강도 이상(6) SPURIOUS 70

변조 주파수 특성(7) 6 (plusmn 3 ) OCTAVE PRE-EMPHASIS)

(300 ~ 3 )

변조시 이하(8) DISTORTION 1 70 -20

신호 대 잡음비 변조시 이상(9) 1 70 40

저역 여파기 특성 이상에서 이상 감쇄(10) 3 -40log f3( ) (f = )

다 수 신 부

수 신 방 식(1) DOUBLE SUPERHETERODYNE SYSTEM

감 도(2) 이하 신호 대 잡음비 에서 025 V ( 20 )μ

감도(3) SQUELCH 이하 02 Vμ

국부 발진 주파수(4) 1lsquost LOCAL FREQUENCY

RECEIVER FREQUENCY - 214

2nd LOCAL FREQUENCY 10945

중간 주파수(5) 1lsquost IF FREQUENCY 214

2nd IF FREQUENCY 455

선 택 도(6) 저하폭 이상 6 12 (6)

저하폭 이하 70 25 (125)

(7) SPURIOUS RESPONCE 이상 70

감도 억압 효과(8) 이상 80

상호 변조 특성(9) 이상 65 ( 20 40 )

주파수 특성(10) 6 (plusmn3 )OCTAVE DE-EMPHASIS)

( 300 ~ 3 )

신호 대 잡음비(11) 변조시 이상 1 60 40

(12) DISTORTION 변조시 이하 1 70 -20

저주파 출력(13) 이상 1 WATT (IMPEDANCE 8 ohm)

- 41 -

제 절 차년도 개발 범위2 1

제 차년도 개발범위는 기초자료조사와 규정의 연구에 따라 기초회로의 설계 후1

사용부품을 시험하고 각 의 제작 및 시험 연이은 성능미달 의 차 차PCB PCB 2 3

차 재제작 시험을 완료하고 시스템의 설계까지이며 그 세부적인 개발범위는 다음4

과 같다

송수신장치 개발을 위한 제규정 수집 연구1 DSC VHF

기초자료 조사2

가 장비에 대한 기능특성 수집 연구

나 사용자 및 선박통신사의 요구사항에 대한 자료 수집 연구

다 외국장비와 비교 분석

라 부품규격 시험 및 선정

3 HARD WARE

가 고주파 필터코일 재질분석 및 각종코일 설계

나 제작 PCB

송신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1) PCB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시험(2) PCB

수신부회로 제작 시험(3) PCB

신세사이즈 회로 제작 시험(4) PCB

제어장치 제작 시험(5) PCB

표시장치 제작 시험(6) PCB

원격제어기 제작 시험(7) PCB

전원공급부 제작 시험(8) PCB

제작 시험(9) HAND SET PCB

전용수신기 제작 시험(10) DSC PCB

- 42 -

제 장 제 차년도 개발 항목 보고4 1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본 장비를 개발함에 있어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및 부품선정이 개발의 핵심 과제

로 생각하였다

기초자료는 기존 시스템분석과 전파관련법령을 기초하였고 주변회로는 관련된 회

로집을 분석하였으며 부품선정은 폐품종 여부와 수급이 용이하면서 견고하고 증폭

도 및 성능이 우수한 품종으로 장시간 시험을 거쳐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송신부 제작시험2

송신 출력회로 결정 회로설계 완료하여 각부 부품 구입 회 내구성 시험 및SPEC 30

구룹별 장시간 부품 부하 시험등 최종목표 성능을 확보하기위한 제반 기초 제작시

험을 완료 하였으며 주요 내용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의 발열상태등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의 높은 출력으로 증폭하는 송신전(VHF ) 25W

력 증폭기로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높은 고주파전력에 견딜수있어야 하고 열

에의해 발생되는 열잡음이 적으야하며 열에의한 부품의 열화 및 특성의 변화가 적

은 부품을 사용여야 하므로 온습도시험 과 과출력 시험을 통하여 사용될 부품을 시

험하였다

특히 고조파 필터회로 부품인 코일은 동선에 전도율이 좋은 재질로 도금하여 사용

하여야 하며 고조파필터회로 의 차폐용 재료도 동판에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도금

하여 사용 하여야 한다

나 송신 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PCB (PCB NO V-097)

개발과정에서의 설계변경 및 생산시스템의 전산화 에 적용 할수있도록 회로 설계는

물론 설계 회로기판 도안 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설계완료된 는PCB ( ) CAD DATA

회로기판 제작장치 외주 작업 및 부품삽입기 자사 작업 에 직접 컴퓨터용 디스켙( ) ( ) (

으로 입력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회로에 높은 고주파전류가 흐르므로인하여 빌진할 가능성 및 잡음발생의 우려PCB

가 많으므로 특히 부품배치에 유의하여 설계하였으며 송신신호 발생회로 또는 전원

회로 와의 배선은 관통형콘덴서등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였다

회로에 사용되는 코일은 각 코일간에 간섭을 줄이기위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설정하

였으며 전체를 차폐하고 또 고조파 필터회로를 구분하여 차폐하여 제작 하였PCB

- 43 -

또 안정된 출력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회로를 장치하여 설정된 출력 이상의ALC

출력을 제한한다

다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PCB (PCB NO V-096TX)

설계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이 는 미약한 고주파 신호를 발생 변PCB CAD PCB

환 증폭 하므로서 송신부 또는 외부로 부터의 잡음 유입과 내부잡음 발생에 유의

하여 설계되었으며 불요복사 억제에 유의하였다

라 성능시험

메칭상태 시험(1)

옴 파장 수직형 안테나 를 사용할수 있도록 시험하였으며 차적인 시험은 의50 12 1

사부하에 의해 시험하고 의사부하 안테나에 정상적인 메칭이 된 후 실제 사용 안테

나에 확인시험 하였다

이 시험에서 양질의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장치는 물론 안테나의 성능이 중

요하며 인접한 고전력 안테나 및 낙뢰로부터 안정성 등을 감안하여 안테나는 VHF

대역 이하의 주파수에 대하여 쇼트형 안테나가 바람직 하다

기존 시스템의 이상의 성능 확보(2) 90

송신부의 주기능으로서 양질의전파를 안테나로 공중에 발사하는 장치로서 주피수안

정도 고조파억압 불효전파억제 안정된전력 안정된 주파수편이 낮은 왜율 등의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시험결과는 기존의 제품의 특성에 가까운 성능을 확보

하였으나 안테나공용기 복신통신용 필터 특성의 개선및 송신부 관련부품의 배치를( )

개선하므로서 보다 좋은 성능을 확보 할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신부 제작시험3

수신부는 안테나입력회로 입력동조회로 단신통신 및 복신통신 각 주파수 대역 필 (

터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로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 1 1 2 2

로 대역필터회로 신호제한 리미터 회로 복조회로 무신호잡음 차단 회로 저주 ( ) FM

파 증폭회로 및 국부발진회로 로서 구성되나 국부발진회로는 잡음의 발생및 유입

주파수안정도 등을 감안하여 별도의 로서 제작하였으며 그외 수신부와 관련한PCB

내용은 다음과 같다

- 44 -

가 사용부품의 구입 및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증폭과 변환을 반복하여 요구되는 신호(VHF )

를 복조하여 기청음 또는 의 문자표시로 출력되게 하므로서 안정된 주파수 및DSC

증폭이 요구되므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당연히 고주파특성에 유의하여 주파수

차에의한 특성변화 열잡음 및 고주파잡음 능동소자등의 직선성 등이 교려되어야하

므로 항온항습시험과 과전류에의한 잡음발생의 시험 등 을 거처 엄선한 부품으로

설정사용 하였다

특히 회로의 선택도 코알의 값 를 높이기 위하여 가 높은 트랜스 재료를 사용하( Q ) Q

였다

다 수신부회로 제작 PCB (PCB NO V-096RX)

위 항에서의 시험에 의해 선택된 부품을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며 수신부의 특성31

상 잡음의 발생보다는 잡음의 유입에 유의하여 설계되었으며 안정된 증폭 특성 수(

신감도 을 얻기위하여 중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회로기판은 에폭시) 2

수지 양면인쇄동판을 사용하여 부품삽입면은 대부분 공통단자로 이용하여 부품간의

간섭을최소화 하였다

다 수신부 특성시험

수신부 특성상 수신감도 주파수안정도 왜율 통과대역폭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감도억압비 혼변조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신호대 잡음비 일 때의 수신감 20

도 성능이 확보되며 기타 여러 가지 특성도 최종목표 특성에 가까운 성능이05

확보 되었으나 까지 수신감도가 향상되도록 성능개선이 요구된다025 V 120757

신세사이즈부의 회로의 안정도로 인하여 국부발진 신호의 흔들림현상이 있어VCO

통과대역폭 및 잡음발생의 원인이되어 신세사이즈회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신세시이즈회로는 크게 수신국부발진 신호용과 송신신호용으로 구분되며 단신통신

과 복신통신방식일때 각각 동작할수있는 구성으로 설계되었으며 그 내용별로 구분

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전압제어발진기 에 사용되는 부품은 온도 및 전압변동에 특성의변화가 극히(VCO)

적어야하며 외부로부터 정전 및 자계영향이 크므로 회로를 별도로 정전 및 자VCO

계로부터 차폐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혼변조 및 잡음신호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파수선택 표준신호 등 시 수신( )

대역 및 송신대역에 영향이 없는 주파수로 하였으며 가능한 레벨을 제외한 신(TTL

호 파형의 왜율이 적은신호로서 각회로신호를 사용하여 결합하였다)

- 45 -

나 신세사이회로 제작 (PCB NO V-096PLL)

이회로 기판은 여러종류의 신호들이 발생 혼합 증폭 비교 되므로 각부품 간의 배

치에따라 잡음발생의 정도가 크게 좌우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였으며 회로는 외VCO

부영향에 민감하게 작동되므로 차폐 에 유의하여 부품의 배치 적절하게 하였으며

잡음발생을 유의하여 부품을 선정하였다

다 성능시험

이회로의 특성상 주파수안정도 주파수의 흔들림 위상비교기의 비교속도 등에 유의

하여 시험하였으며 여러가지 일반적인 특성은 최종목표사양에 만족될 수 있는 신호

원을 공급할수 있었어나 주파수의 흔들림 현상이 있어 회로의 부품 및 차폐에VCO

개선이 요구된다

제어장치 제작시험5 (PCB NO V-263)

이회로의 주요부품으로서 를 사용하여 당개발과제의 송수신 및 외부V25 CPU DSC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며 아울러 본체 전면표시기와 스윗치 입출력 기능도 한다

이회로의 주요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스 읽기전용 메모리 읽고CPU( ) ROM( ) RAM(

쓰기 메모리 직렬통신용 입출력 병렬통신 입출력 아날로그 디지) SIO( ) PIO( ) AD(

탈 변환기 스윗치입력 표시기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개발 내용은 다음과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에 사용되는 부품은 대부분 디지탈신호를 처리하여 회로로서 및TTL IC

로서 구성되며 저소비전력 및 고속처리능력이 요구되므로 주로 고속용C-MOS IC

중 형 를 사용 하였으며 장치의 초기설정 및 기능 설정의C-MOS(C-MOS IC HC )

변경등 의 목적으로 은 충전형 밧테리로서 메모리내용을 전원의 에 관RAM ONOFF

계없이 유지하도록 하였다

외부 제어기 등 와의 통신용 의 통신속도를 또는 등으로(DSC ) RS-232C 2400 4800

변경 설정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변환기 등을 이용하여 자기진단을 할수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장비의 유지및AD

보수에 많은 도움이된다

- 46 -

나 성능시험

운용시험(1)

이회로의 특성상 전기적 특성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특성 및 성능이 요구되므로 운

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이부분에 대한 시험은 개발자입

장이 아닌 운용자가 시험하여야 하는 관계로 선박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사용자에게

의뢰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로서는 기능면에서는 양호하나 사용상 복잡한 면이 있어 보다 조작 을 간편

히 할수있도록 개선할 필요가있는 것으로 본다

표시장치 시험(2) (PCB NO V-260)

본장치의 사용상 필요한 기능 및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내용과 기기 동작

상태의 일치성이 요구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온습도 및 장기시험 으

로서 확인하였으며 여러 가지 표시장치중 각각 중단점이 나타낮다

즉 액정 표시기 표시기는 저소비전력이며 주위가 밝은곳에서 사용이 가능 하LCD( )

나 반면 온도특성이 나쁘며 형광표시관 표시기는 온도특성은 양호하나 소비전 VFD( )

력이 대체로 높고 보다 낮고 보다 많음 수명이 낮다는 단점이있으며(FND LCD )

발광 다이오드 표시기는 모든면에서 대체로 양호 하나 잡음발생 이많으며 밝FND( )

은곳에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외 여러 가지의 장담점을 검토하여 차적인 결론은 표시기가 적합한 것으로1 LCD

본다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최소의 전기적신호 연결로서 최대의 기능제어및 속도가 요구되는 장치로서 저주파

신호의 입력 마이크 신호 및 출력 스피크 신호 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 제어는( FS ) ( )

직렬통신 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였으며 장거리 일반 공용통신망 을 이(RS-232C)

용할수도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요 구성은 중앙제어장치 스윗치입력 장치 표시장치 메모리장치 직렬통신장치

로 구성되며 그 상세한 개발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의 대부분이 디지탈신호의 처리회로로서 구성되므로 제어장치 의 사용 부품ldquo rdquo

시험 및 선정기준과 같으며 장거리운용상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신속도를

알맞게하며 장거리통신 선로에서 유기되는 잡음을 최소화 하기위한 필터회로 및

소프트웨어적인 오류정정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별도 설계 사용 하였다

- 47 -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V-170)

이장치는 사용상 편리하여야 하므로 소형 경량 으로 제작 하였으며 차적 기능 시 1

험을 목적으로 외형 보다는 성능을 우선하여 시험용으로 제작하였다 이장치의 시

험은 전용케이블 을 이용하여 시험하였고 또 일반 공용통신용 전화 선로를 통하여

원거리 시험을 하였으며 그결과로서 통신속도가 까지 양호하게 동작되나2400bps

그이상의 통신속도로서 운용 할려면 전용회선이 필요하게된다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가 결정 SPEC

각회로 에서 필요로하는 전압 및 전류에 알맞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반 성능

을 차적으로 설정 하였으며 최종목표 사양에 일치하기위하여서는 전원부의 장치에1

대하여 모든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최종 특성이 설정 되어야 한다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P-099)

이장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되나 반면에 안정성이 확고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안

정성을 첫째로 중요시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이회로는 많은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많은 전력이 열로서 손실되므로 방열에 특히 유의하여 제작되었으며 열발생이 많은

부품은 알미늄 방열판에 설치하고 이방열판은 본장치 외함의 바깥쪽에 설치하여 방

열효과를 최대화 하였다

이회로의 시험은 과입력전압 및 과소비전력 일때의 안정성에 중점 시험하였고 그시

험을 위하여 장시간 항온 항습기 를 이용하여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전원부의 안정

성 확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도 이회로를 특별히 개선하지 않고도 최

종목표 사양에 만족하리라 본다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PCB NO V-098)

마이크 회로 수화기 회로 송신 스윗치 회로 로서 구성되며 이장치는 사용 특성상

충격에 강하도록 설계제작 되어야 하며 무게는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재료선택이

중요하며 이러한점을 감안하여 사출금형에 의하여 성형 하였으며 성형 제료로서는

제료를 사용하고 사용 부품을 최소화 하여 제작 하였다ABS

이장치의 특성상 견고하며 방수효과가 최대이어야 하므로 충격 자연낙하 시험 및( )

방수시험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 성형제료 및 외형상의 문제는 없이나

송화기 및 수화기의 선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송화기는 콘텐서형

마이크가 좋으며 수화기로는 가변코일형으로서 떨림판이 평면으로된 수화기가 우수

한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선정하여 제작시험 하였다

- 48 -

전용 수신기9 DSC (PCB NO T-342)

전용수신 장치는 송수신장치중 송신부를 제외한 구조와 유사하므로 개발과정에서

송수신장치중 수신부회로에 복조장치 를 추가하여 별도 로 제작하여 시험DSC PCB

하였으며 개발내용중 전용수신기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DSC

가 기능 및 동작

변조되어 수신된 신호를 필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후 신호 처리용FM DSC DSC

마이크로프로세스 에 공급하여 소프트웨어로서 신호를 분석한후 표시장치 메(CPU)

모리장치 인쇄장치 등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전용 찬넬인 번 찬넬을 항상 DSC 70

수신상태로 동작하여 신호 도트신호 를 검출하고 신호가 있으면 이어서CALL ( ) CALL

수신되는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표시장치 및 경보장치에 출력한다

나 신호 신호 필터회로 와 신호 처리부 및 제어용회로부 DSC (FS ) DSC DSC

제작시험 (PCB NO T-325 T-326 T-327)

이 회로의 성능은 주로 필터 및 디지탈변환 회로에서 결정되며 소프트웨어의 성능

에 따라 안정성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점을 유의하여 설계제작 하여으며 성능 시험

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험용 정보를 송신장치로 통해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후 그

결과를 분석 시험 하였다

다 전용 수신기의 개발과정 에서의 학보된 기술 DSC

신호 및 의 신호 의 필터 및 디지털 변환 기술DSC (1300 2100 FS )

신호 검출 및 직렬신호의 병렬변환 소프트웨어DOT

기술 정보의 비교 및 인쇄출력 소프트웨어 기술

종합시험10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별 차 차 차 보완시험은 만족하며 앞으로 개발의 중점은 사용의 편리성과PCB 1 2 3

생산성에 중점 개발이 요하며 배치에 따라 야기될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 PCB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후 최종제품을 제작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49 -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1

가 전면판 사출금형

나 옆판 스피커 안테나 금형

다 노브 사출금형

라 윗면 및 밑면 프레스 금형

마 설치용 고정장치 사출 금형

바 설치대 프레스 금형

사 뒷면 작업용 프레스 금형

아 항온조용 열차단금형

자 필타 금형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2

가 송수신기 제어장치 프로그램

나 전용 수신기 제어용 프로그램 DSC

다 원격조정기 프로그램

라 송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마 수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3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30: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30 -

별표 반복송출의 순서[ 7]

주 기호 는 선택호출신호의 종료신호를 표시하고 기호 는 에서 까( ) H DX RX0 RX7

지가 반복송출되는 선택호출신호의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31 -

별표 코드번호 의 용도[ 8] (100-127)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00 통상업무

화재 또는폭발

또는F3단신G3E

무선전화 이유없음 주( 3)

101 침수 또는F3복신G3E

무선전화 해사교환 센터의혼잡 주( 3)

102 해역호출

충돌 미확정주( 1)

통화중 주( 3)

103 좌초 Polling 대기행렬표시주( 3)

104 의RXO위치의동기신호

경사 및전복의위험

수입불가주( 2)

폐국 주( 3)

105 의RX1위치의동기신호

침몰 호출의 종료주( 4)

의 부재Operator주( 3)

106 의RX2위치의동기신호

선박업무주( 5)

조선불능으로 표류

데이터주( 6)

변복조장치

의Operator일시적 부재 주( 3)

107 의RX3위치의동기신호

기타의조난

미확정주( 1)

장치의 운용불가주( 3)

108 의RX4위치의동기신호

안전 선체의방치

미확정주( 1)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09 의RX5위치의동기신호

J3E 무선전화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10의RX6

위치의동기신호

긴급 조난경보에대한 응답

무력분쟁의당사국이 아닌것을 표시하는선박 및 항공기주( 7)

111 의RX7위치의동기신호

H3E 무선전화 위생수송체 주( 7)

112 조난경보

조난 조난자동통보설비(주 의9)시동

조난경보의중계

공중전화사무소주( 8)

- 32 -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13또는F1B방향오J2B(1

류정정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미확정 주( 1)

114

공통관계를 갖는선단의호출

미확정 주( 1) 미확정 주( 1)

115또는F1B자동재송J2B(

요구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데이터 주( 11)

116모든선박호출

또는F1B J2B수신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2)

11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18 시험 데이타 주( 14)

119또는F1B수신J2B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5)

120개별국의호출

A1A 테이프레코더

데이터 주( 16)

121 선박의 위치 데이타 주( 17)

122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3

개별국의반자동또는자동접속호출

A1A 전건 및핸드셋(Handset)

데이터 주( 18)

124또는F1CF2C

F3C팩시밀리장 데이터 주( 19)

125의DX

위치의동기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6 정보없음 정보없음 주( 20)

12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주( )

앞으로의 사용을 위하여 유보한다1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2 [100] [109] 2 Telecommand

코드번호 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3 [104] 1 Telecommand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 시스템에만 사용한다4

- 33 -

선박의 항해 운항 필수품에 관한 통신과 정부의 기상업무기관으로 보내는 기5

상 관측 통보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6 [115] [124] 2 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을 제외하고 제7 [104][105][106][110][112] [118] 1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의 제 와 조합하여8 [100][101][109][115] [124] 1 Telecommand

사용한다

수색구조용 레이다트랜스폰더를 제외한다9

무선설비규칙의 제 조의 에 정하는 것으로 한다10 69 4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1 (V21)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2 (V22)

앞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1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4 (V2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5 (V2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6 (V1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7 (V26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8 (V27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9 (V32)

코드번호 를 제외하고 제 와 조합하여 사20 [104][110][112] 1 Telecommand

용한다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 코드번호는 중단21 Format

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에서 까지 [102] [124] ([110][112][117]

및 를 제외한다[122] )

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및VHF [100][101][104][105][106][121]

일 것[124]

별표 동기신호의 송출순서[ 9]

주 기호 및 에서 까지가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DX] [RXO] [RX7]

- 34 -

별표 자리 숫자의 코드 변환표[ 10] 10

자리의 숫자10

십억D2

억D1

천만D2

백만D1

십만D2

만D1

천D2

백D1

십D2

일D1

코드5 코드4 코드3 코드2 코드1

주( )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1 1

및 은 자리 숫자의 자리 숫자 에서 까지를 표시하고 각 코드는2 D2 D1 10 2 00 99

그 자리의 십진수를 코드번호로 한다2

숫자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최상위 자리수의 숫자 앞에 을 포함할 것3 0

별표 해역의 표시방법[ 11]

해역의 표시는 다음과 같은 것

선정되는 지리상의 해역은 메르카토르 도법의 직사각형으로 표시할1 (Mercator)

직사각형의 북서를 해역의 기준점으로 할 것2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존재하는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3 1

으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0] [1] [2] [3]

할 것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위도를 표시할 것4 2 3

제 번째에서 제 번째가지의 숫자는 기준점의 경도를 표시할 것5 4 6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남북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6 7 8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동서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7 9 10

표에 표시하는 해역 및 의 표시의 예는 다음과 같을 것8 ab c

기준점이 북위 도 및 서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1) 10 25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20 35 a

1 1 0 0 2 5 2 0 3 5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2) 10 10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10 10 b

2 1 0 0 1 0 1 0 1 0

- 35 -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3) 12 12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4 7 C

2 1 2 0 1 2 0 4 0 7

별표 주파수 및 채널정보의 코드변환표[ 12]

주파수0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주파수를 의 배수로서 숫자의 십100

만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다 1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2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채 널

3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중단파대 또는 단파대의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 다

8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별도로 정한 채널로 한다

9 0 times times times times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18게기하는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천 백 십 및 일의 숫자로 표시한다

십만 만 천 백 십 일

코드3 코드2 코드1

주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 ) 1

- 36 -

별표 종료신호의 송출순서[ 13]

주 기호 가 종료신호를 표시한다( ) H

- 37 -

제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3

제 절 송수신장치1 DSC VHF

시스템 개요1

본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모든기능을 충족하는 일체형과 전화용 복신방식의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호출 및 수신제어장치 로구분된 독립형 으로 구분되며 DSC DSC

이는 외형상의 구분이며 그주요기능별 구성은 각각의 유니트로된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표시 및 제어장치 와 전원부 로 구분되며 이것들은 다시 하나의DSC

케비넷 또는 독립된장치로서 구성된다

시스템 구성2

장비의 개요 및 특징3

가 개요

본 송수신기는 항만내 또는 연안에서 해안국과 선박국 또는 선박국 상호간VHF FM

의 해상이동업무 통신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기로서 이내의 해상156 ~162

이동 무선통신업무용의 전 을 수용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전파관리법 및CHANNEL

등 국제규격에 적합하도록 설계 제작된 기기로서 전세계ITU SOLAS USA USCG

어느곳에서나 규정에알맞게 사용할 수 있는 국제항만 무선전화기용 무선 송수신기

를 제작한다

- 38 -

나 특징

소형 경량화로서 좁은 장소에 설치가 용의하게 되어 있어야 한다(1)

송신각 각 방식을 채용하였으며 국제 항만 무선전화(2) DIRECT SYNTHESIZER

인 를 수용해야 하며 그외 개의CHANNEL 55(114) CHANNEL 105(527) FREE

이 수용되어 있어야 한다CHANNEL(SIMPLEX)

주 국제 중 미국연안에서 단식방식으로 절환 사용되고 있는1 CHANNEL 55(114)

을 사용 할 수 있을것USA CHANNEL(SIMPLEX)

주 별도의 기상수신 을 수용하고 있어야 한다2 WEATHER CHANNEL( )

USA 3 CHANNELS

CANADIAN 1 CHANNEL

OTHERS 5 CHANNELS

원격조정 회로의 내장으로 본기기의 판넬스위치와는 상관없이(3) REMOTE ( ) HAND

만 으로도 판넬 스위치 조작에 필요한 모든기능을 할 수 있고SET CONTROL VHF

의 원근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어야 한다SET

기능이 첨부되어 있어 미국연안 경비대 의 의무 청취(4) DUAL WATCH USCG( )

인 과 의 개의 을 동시에 수신할 수CHANNEL CH 13 CH 16 2 CHANNEL SCANNING

있으며 과 사용자가 선택하는 임의의 을 동시에CHANNEL 16 CHANNEL SCANNING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에 경보신호 기능의 내장으로 비상시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5) CH 16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국제 개 및 을(6) SCAN CHANNEL 55 FREE CHANNEL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SCANNING

안전통신에 지정되어 있는 은 우선 사용할 수 있도록(7) CHANNEL16 1 STEP

로 되어 있어야 한다SWITCH

국제 해상 인명 안전조약 에 정한 규격으로 되어 있어 전세계 어느곳의(8) SOLAS( )

규정에도 적합하며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구 성4

본 기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가 송 수신기 본체 대 1

나 HAND SET 1 SET

다 WHIP ANTENNA 1 SET

라 벽걸이형 SPEAKER 1 SET

마 전원 공급기 1 SET

- 39 -

규 격5

주파수 및 규격은 현재의 통신방식이며 정보통신부의 고시가 발표되면 협대역(125

로 변경한다)

가 일반사항

사용주파수 범위(1)

송 신 156025 ~ 157425 수 신 (SIMPLEX) 156025 ~ 157425 수 신 (DUPLEX) 160625 ~ 162025 기상수신 (WEATHER) 161650 ~ 162550

사용(2) CHANNEL

A International 55 (114) CHANNELSB USA 25 CHANNELSC FREE 105 (527) CHANNELSD WEATHER 9 CHANNELS

USA 3 CHANNELSCANADIAN 1 CHANNELOTHERS 5 CHANNELS

통신 방식(3) SIMPLEX amp DUPLEX

전파의 형식 전화(4) 16KOF3E( G3E DSC F2BG2B)

주파수 편차(5) 0001 (10 PPM)

사용 온도범위 부터(6) -10 + 50

예열 시간 전원 접속후 즉시 사용가능(7)

공칭(8) ANTENNA IMPEDANCE 50 ohm ( )

공급 전원(9)

전 압 136V plusmn 10전 류 수신시 800

송신시 5A전원 공급기 별도( ) 단상AC115V AC220V 60

부터 까지DC 15V 35V

나 송 신 부

정격 출력(1) HIGH -25 W

LOW - 1W

주 공중선 전력 저하장치로 이하 저하기능 보유1 1WATT주 단 보호 인 및 가 아님 은 송신이2 CHANNEL 7576 1 ~9(01 ~09 )CHANNEL되지 않음 기상수신대의 사용법은 본문 참조 ( )

- 40 -

발진 방식(2) SYNTHESIZER CONTROL SYSTEM

변조 방식(3) FREQUENCY MODULATION

점유 주파수 대역폭(4) 16 (8)

최대 주파수 편의(5) 5 (25)

복사강도 이상(6) SPURIOUS 70

변조 주파수 특성(7) 6 (plusmn 3 ) OCTAVE PRE-EMPHASIS)

(300 ~ 3 )

변조시 이하(8) DISTORTION 1 70 -20

신호 대 잡음비 변조시 이상(9) 1 70 40

저역 여파기 특성 이상에서 이상 감쇄(10) 3 -40log f3( ) (f = )

다 수 신 부

수 신 방 식(1) DOUBLE SUPERHETERODYNE SYSTEM

감 도(2) 이하 신호 대 잡음비 에서 025 V ( 20 )μ

감도(3) SQUELCH 이하 02 Vμ

국부 발진 주파수(4) 1lsquost LOCAL FREQUENCY

RECEIVER FREQUENCY - 214

2nd LOCAL FREQUENCY 10945

중간 주파수(5) 1lsquost IF FREQUENCY 214

2nd IF FREQUENCY 455

선 택 도(6) 저하폭 이상 6 12 (6)

저하폭 이하 70 25 (125)

(7) SPURIOUS RESPONCE 이상 70

감도 억압 효과(8) 이상 80

상호 변조 특성(9) 이상 65 ( 20 40 )

주파수 특성(10) 6 (plusmn3 )OCTAVE DE-EMPHASIS)

( 300 ~ 3 )

신호 대 잡음비(11) 변조시 이상 1 60 40

(12) DISTORTION 변조시 이하 1 70 -20

저주파 출력(13) 이상 1 WATT (IMPEDANCE 8 ohm)

- 41 -

제 절 차년도 개발 범위2 1

제 차년도 개발범위는 기초자료조사와 규정의 연구에 따라 기초회로의 설계 후1

사용부품을 시험하고 각 의 제작 및 시험 연이은 성능미달 의 차 차PCB PCB 2 3

차 재제작 시험을 완료하고 시스템의 설계까지이며 그 세부적인 개발범위는 다음4

과 같다

송수신장치 개발을 위한 제규정 수집 연구1 DSC VHF

기초자료 조사2

가 장비에 대한 기능특성 수집 연구

나 사용자 및 선박통신사의 요구사항에 대한 자료 수집 연구

다 외국장비와 비교 분석

라 부품규격 시험 및 선정

3 HARD WARE

가 고주파 필터코일 재질분석 및 각종코일 설계

나 제작 PCB

송신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1) PCB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시험(2) PCB

수신부회로 제작 시험(3) PCB

신세사이즈 회로 제작 시험(4) PCB

제어장치 제작 시험(5) PCB

표시장치 제작 시험(6) PCB

원격제어기 제작 시험(7) PCB

전원공급부 제작 시험(8) PCB

제작 시험(9) HAND SET PCB

전용수신기 제작 시험(10) DSC PCB

- 42 -

제 장 제 차년도 개발 항목 보고4 1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본 장비를 개발함에 있어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및 부품선정이 개발의 핵심 과제

로 생각하였다

기초자료는 기존 시스템분석과 전파관련법령을 기초하였고 주변회로는 관련된 회

로집을 분석하였으며 부품선정은 폐품종 여부와 수급이 용이하면서 견고하고 증폭

도 및 성능이 우수한 품종으로 장시간 시험을 거쳐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송신부 제작시험2

송신 출력회로 결정 회로설계 완료하여 각부 부품 구입 회 내구성 시험 및SPEC 30

구룹별 장시간 부품 부하 시험등 최종목표 성능을 확보하기위한 제반 기초 제작시

험을 완료 하였으며 주요 내용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의 발열상태등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의 높은 출력으로 증폭하는 송신전(VHF ) 25W

력 증폭기로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높은 고주파전력에 견딜수있어야 하고 열

에의해 발생되는 열잡음이 적으야하며 열에의한 부품의 열화 및 특성의 변화가 적

은 부품을 사용여야 하므로 온습도시험 과 과출력 시험을 통하여 사용될 부품을 시

험하였다

특히 고조파 필터회로 부품인 코일은 동선에 전도율이 좋은 재질로 도금하여 사용

하여야 하며 고조파필터회로 의 차폐용 재료도 동판에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도금

하여 사용 하여야 한다

나 송신 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PCB (PCB NO V-097)

개발과정에서의 설계변경 및 생산시스템의 전산화 에 적용 할수있도록 회로 설계는

물론 설계 회로기판 도안 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설계완료된 는PCB ( ) CAD DATA

회로기판 제작장치 외주 작업 및 부품삽입기 자사 작업 에 직접 컴퓨터용 디스켙( ) ( ) (

으로 입력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회로에 높은 고주파전류가 흐르므로인하여 빌진할 가능성 및 잡음발생의 우려PCB

가 많으므로 특히 부품배치에 유의하여 설계하였으며 송신신호 발생회로 또는 전원

회로 와의 배선은 관통형콘덴서등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였다

회로에 사용되는 코일은 각 코일간에 간섭을 줄이기위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설정하

였으며 전체를 차폐하고 또 고조파 필터회로를 구분하여 차폐하여 제작 하였PCB

- 43 -

또 안정된 출력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회로를 장치하여 설정된 출력 이상의ALC

출력을 제한한다

다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PCB (PCB NO V-096TX)

설계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이 는 미약한 고주파 신호를 발생 변PCB CAD PCB

환 증폭 하므로서 송신부 또는 외부로 부터의 잡음 유입과 내부잡음 발생에 유의

하여 설계되었으며 불요복사 억제에 유의하였다

라 성능시험

메칭상태 시험(1)

옴 파장 수직형 안테나 를 사용할수 있도록 시험하였으며 차적인 시험은 의50 12 1

사부하에 의해 시험하고 의사부하 안테나에 정상적인 메칭이 된 후 실제 사용 안테

나에 확인시험 하였다

이 시험에서 양질의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장치는 물론 안테나의 성능이 중

요하며 인접한 고전력 안테나 및 낙뢰로부터 안정성 등을 감안하여 안테나는 VHF

대역 이하의 주파수에 대하여 쇼트형 안테나가 바람직 하다

기존 시스템의 이상의 성능 확보(2) 90

송신부의 주기능으로서 양질의전파를 안테나로 공중에 발사하는 장치로서 주피수안

정도 고조파억압 불효전파억제 안정된전력 안정된 주파수편이 낮은 왜율 등의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시험결과는 기존의 제품의 특성에 가까운 성능을 확보

하였으나 안테나공용기 복신통신용 필터 특성의 개선및 송신부 관련부품의 배치를( )

개선하므로서 보다 좋은 성능을 확보 할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신부 제작시험3

수신부는 안테나입력회로 입력동조회로 단신통신 및 복신통신 각 주파수 대역 필 (

터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로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 1 1 2 2

로 대역필터회로 신호제한 리미터 회로 복조회로 무신호잡음 차단 회로 저주 ( ) FM

파 증폭회로 및 국부발진회로 로서 구성되나 국부발진회로는 잡음의 발생및 유입

주파수안정도 등을 감안하여 별도의 로서 제작하였으며 그외 수신부와 관련한PCB

내용은 다음과 같다

- 44 -

가 사용부품의 구입 및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증폭과 변환을 반복하여 요구되는 신호(VHF )

를 복조하여 기청음 또는 의 문자표시로 출력되게 하므로서 안정된 주파수 및DSC

증폭이 요구되므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당연히 고주파특성에 유의하여 주파수

차에의한 특성변화 열잡음 및 고주파잡음 능동소자등의 직선성 등이 교려되어야하

므로 항온항습시험과 과전류에의한 잡음발생의 시험 등 을 거처 엄선한 부품으로

설정사용 하였다

특히 회로의 선택도 코알의 값 를 높이기 위하여 가 높은 트랜스 재료를 사용하( Q ) Q

였다

다 수신부회로 제작 PCB (PCB NO V-096RX)

위 항에서의 시험에 의해 선택된 부품을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며 수신부의 특성31

상 잡음의 발생보다는 잡음의 유입에 유의하여 설계되었으며 안정된 증폭 특성 수(

신감도 을 얻기위하여 중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회로기판은 에폭시) 2

수지 양면인쇄동판을 사용하여 부품삽입면은 대부분 공통단자로 이용하여 부품간의

간섭을최소화 하였다

다 수신부 특성시험

수신부 특성상 수신감도 주파수안정도 왜율 통과대역폭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감도억압비 혼변조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신호대 잡음비 일 때의 수신감 20

도 성능이 확보되며 기타 여러 가지 특성도 최종목표 특성에 가까운 성능이05

확보 되었으나 까지 수신감도가 향상되도록 성능개선이 요구된다025 V 120757

신세사이즈부의 회로의 안정도로 인하여 국부발진 신호의 흔들림현상이 있어VCO

통과대역폭 및 잡음발생의 원인이되어 신세사이즈회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신세시이즈회로는 크게 수신국부발진 신호용과 송신신호용으로 구분되며 단신통신

과 복신통신방식일때 각각 동작할수있는 구성으로 설계되었으며 그 내용별로 구분

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전압제어발진기 에 사용되는 부품은 온도 및 전압변동에 특성의변화가 극히(VCO)

적어야하며 외부로부터 정전 및 자계영향이 크므로 회로를 별도로 정전 및 자VCO

계로부터 차폐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혼변조 및 잡음신호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파수선택 표준신호 등 시 수신( )

대역 및 송신대역에 영향이 없는 주파수로 하였으며 가능한 레벨을 제외한 신(TTL

호 파형의 왜율이 적은신호로서 각회로신호를 사용하여 결합하였다)

- 45 -

나 신세사이회로 제작 (PCB NO V-096PLL)

이회로 기판은 여러종류의 신호들이 발생 혼합 증폭 비교 되므로 각부품 간의 배

치에따라 잡음발생의 정도가 크게 좌우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였으며 회로는 외VCO

부영향에 민감하게 작동되므로 차폐 에 유의하여 부품의 배치 적절하게 하였으며

잡음발생을 유의하여 부품을 선정하였다

다 성능시험

이회로의 특성상 주파수안정도 주파수의 흔들림 위상비교기의 비교속도 등에 유의

하여 시험하였으며 여러가지 일반적인 특성은 최종목표사양에 만족될 수 있는 신호

원을 공급할수 있었어나 주파수의 흔들림 현상이 있어 회로의 부품 및 차폐에VCO

개선이 요구된다

제어장치 제작시험5 (PCB NO V-263)

이회로의 주요부품으로서 를 사용하여 당개발과제의 송수신 및 외부V25 CPU DSC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며 아울러 본체 전면표시기와 스윗치 입출력 기능도 한다

이회로의 주요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스 읽기전용 메모리 읽고CPU( ) ROM( ) RAM(

쓰기 메모리 직렬통신용 입출력 병렬통신 입출력 아날로그 디지) SIO( ) PIO( ) AD(

탈 변환기 스윗치입력 표시기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개발 내용은 다음과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에 사용되는 부품은 대부분 디지탈신호를 처리하여 회로로서 및TTL IC

로서 구성되며 저소비전력 및 고속처리능력이 요구되므로 주로 고속용C-MOS IC

중 형 를 사용 하였으며 장치의 초기설정 및 기능 설정의C-MOS(C-MOS IC HC )

변경등 의 목적으로 은 충전형 밧테리로서 메모리내용을 전원의 에 관RAM ONOFF

계없이 유지하도록 하였다

외부 제어기 등 와의 통신용 의 통신속도를 또는 등으로(DSC ) RS-232C 2400 4800

변경 설정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변환기 등을 이용하여 자기진단을 할수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장비의 유지및AD

보수에 많은 도움이된다

- 46 -

나 성능시험

운용시험(1)

이회로의 특성상 전기적 특성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특성 및 성능이 요구되므로 운

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이부분에 대한 시험은 개발자입

장이 아닌 운용자가 시험하여야 하는 관계로 선박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사용자에게

의뢰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로서는 기능면에서는 양호하나 사용상 복잡한 면이 있어 보다 조작 을 간편

히 할수있도록 개선할 필요가있는 것으로 본다

표시장치 시험(2) (PCB NO V-260)

본장치의 사용상 필요한 기능 및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내용과 기기 동작

상태의 일치성이 요구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온습도 및 장기시험 으

로서 확인하였으며 여러 가지 표시장치중 각각 중단점이 나타낮다

즉 액정 표시기 표시기는 저소비전력이며 주위가 밝은곳에서 사용이 가능 하LCD( )

나 반면 온도특성이 나쁘며 형광표시관 표시기는 온도특성은 양호하나 소비전 VFD( )

력이 대체로 높고 보다 낮고 보다 많음 수명이 낮다는 단점이있으며(FND LCD )

발광 다이오드 표시기는 모든면에서 대체로 양호 하나 잡음발생 이많으며 밝FND( )

은곳에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외 여러 가지의 장담점을 검토하여 차적인 결론은 표시기가 적합한 것으로1 LCD

본다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최소의 전기적신호 연결로서 최대의 기능제어및 속도가 요구되는 장치로서 저주파

신호의 입력 마이크 신호 및 출력 스피크 신호 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 제어는( FS ) ( )

직렬통신 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였으며 장거리 일반 공용통신망 을 이(RS-232C)

용할수도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요 구성은 중앙제어장치 스윗치입력 장치 표시장치 메모리장치 직렬통신장치

로 구성되며 그 상세한 개발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의 대부분이 디지탈신호의 처리회로로서 구성되므로 제어장치 의 사용 부품ldquo rdquo

시험 및 선정기준과 같으며 장거리운용상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신속도를

알맞게하며 장거리통신 선로에서 유기되는 잡음을 최소화 하기위한 필터회로 및

소프트웨어적인 오류정정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별도 설계 사용 하였다

- 47 -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V-170)

이장치는 사용상 편리하여야 하므로 소형 경량 으로 제작 하였으며 차적 기능 시 1

험을 목적으로 외형 보다는 성능을 우선하여 시험용으로 제작하였다 이장치의 시

험은 전용케이블 을 이용하여 시험하였고 또 일반 공용통신용 전화 선로를 통하여

원거리 시험을 하였으며 그결과로서 통신속도가 까지 양호하게 동작되나2400bps

그이상의 통신속도로서 운용 할려면 전용회선이 필요하게된다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가 결정 SPEC

각회로 에서 필요로하는 전압 및 전류에 알맞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반 성능

을 차적으로 설정 하였으며 최종목표 사양에 일치하기위하여서는 전원부의 장치에1

대하여 모든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최종 특성이 설정 되어야 한다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P-099)

이장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되나 반면에 안정성이 확고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안

정성을 첫째로 중요시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이회로는 많은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많은 전력이 열로서 손실되므로 방열에 특히 유의하여 제작되었으며 열발생이 많은

부품은 알미늄 방열판에 설치하고 이방열판은 본장치 외함의 바깥쪽에 설치하여 방

열효과를 최대화 하였다

이회로의 시험은 과입력전압 및 과소비전력 일때의 안정성에 중점 시험하였고 그시

험을 위하여 장시간 항온 항습기 를 이용하여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전원부의 안정

성 확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도 이회로를 특별히 개선하지 않고도 최

종목표 사양에 만족하리라 본다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PCB NO V-098)

마이크 회로 수화기 회로 송신 스윗치 회로 로서 구성되며 이장치는 사용 특성상

충격에 강하도록 설계제작 되어야 하며 무게는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재료선택이

중요하며 이러한점을 감안하여 사출금형에 의하여 성형 하였으며 성형 제료로서는

제료를 사용하고 사용 부품을 최소화 하여 제작 하였다ABS

이장치의 특성상 견고하며 방수효과가 최대이어야 하므로 충격 자연낙하 시험 및( )

방수시험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 성형제료 및 외형상의 문제는 없이나

송화기 및 수화기의 선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송화기는 콘텐서형

마이크가 좋으며 수화기로는 가변코일형으로서 떨림판이 평면으로된 수화기가 우수

한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선정하여 제작시험 하였다

- 48 -

전용 수신기9 DSC (PCB NO T-342)

전용수신 장치는 송수신장치중 송신부를 제외한 구조와 유사하므로 개발과정에서

송수신장치중 수신부회로에 복조장치 를 추가하여 별도 로 제작하여 시험DSC PCB

하였으며 개발내용중 전용수신기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DSC

가 기능 및 동작

변조되어 수신된 신호를 필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후 신호 처리용FM DSC DSC

마이크로프로세스 에 공급하여 소프트웨어로서 신호를 분석한후 표시장치 메(CPU)

모리장치 인쇄장치 등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전용 찬넬인 번 찬넬을 항상 DSC 70

수신상태로 동작하여 신호 도트신호 를 검출하고 신호가 있으면 이어서CALL ( ) CALL

수신되는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표시장치 및 경보장치에 출력한다

나 신호 신호 필터회로 와 신호 처리부 및 제어용회로부 DSC (FS ) DSC DSC

제작시험 (PCB NO T-325 T-326 T-327)

이 회로의 성능은 주로 필터 및 디지탈변환 회로에서 결정되며 소프트웨어의 성능

에 따라 안정성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점을 유의하여 설계제작 하여으며 성능 시험

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험용 정보를 송신장치로 통해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후 그

결과를 분석 시험 하였다

다 전용 수신기의 개발과정 에서의 학보된 기술 DSC

신호 및 의 신호 의 필터 및 디지털 변환 기술DSC (1300 2100 FS )

신호 검출 및 직렬신호의 병렬변환 소프트웨어DOT

기술 정보의 비교 및 인쇄출력 소프트웨어 기술

종합시험10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별 차 차 차 보완시험은 만족하며 앞으로 개발의 중점은 사용의 편리성과PCB 1 2 3

생산성에 중점 개발이 요하며 배치에 따라 야기될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 PCB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후 최종제품을 제작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49 -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1

가 전면판 사출금형

나 옆판 스피커 안테나 금형

다 노브 사출금형

라 윗면 및 밑면 프레스 금형

마 설치용 고정장치 사출 금형

바 설치대 프레스 금형

사 뒷면 작업용 프레스 금형

아 항온조용 열차단금형

자 필타 금형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2

가 송수신기 제어장치 프로그램

나 전용 수신기 제어용 프로그램 DSC

다 원격조정기 프로그램

라 송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마 수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3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31: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31 -

별표 코드번호 의 용도[ 8] (100-127)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00 통상업무

화재 또는폭발

또는F3단신G3E

무선전화 이유없음 주( 3)

101 침수 또는F3복신G3E

무선전화 해사교환 센터의혼잡 주( 3)

102 해역호출

충돌 미확정주( 1)

통화중 주( 3)

103 좌초 Polling 대기행렬표시주( 3)

104 의RXO위치의동기신호

경사 및전복의위험

수입불가주( 2)

폐국 주( 3)

105 의RX1위치의동기신호

침몰 호출의 종료주( 4)

의 부재Operator주( 3)

106 의RX2위치의동기신호

선박업무주( 5)

조선불능으로 표류

데이터주( 6)

변복조장치

의Operator일시적 부재 주( 3)

107 의RX3위치의동기신호

기타의조난

미확정주( 1)

장치의 운용불가주( 3)

108 의RX4위치의동기신호

안전 선체의방치

미확정주( 1)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09 의RX5위치의동기신호

J3E 무선전화 제안모드의사용불가 주( 3)

110의RX6

위치의동기신호

긴급 조난경보에대한 응답

무력분쟁의당사국이 아닌것을 표시하는선박 및 항공기주( 7)

111 의RX7위치의동기신호

H3E 무선전화 위생수송체 주( 7)

112 조난경보

조난 조난자동통보설비(주 의9)시동

조난경보의중계

공중전화사무소주( 8)

- 32 -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13또는F1B방향오J2B(1

류정정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미확정 주( 1)

114

공통관계를 갖는선단의호출

미확정 주( 1) 미확정 주( 1)

115또는F1B자동재송J2B(

요구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데이터 주( 11)

116모든선박호출

또는F1B J2B수신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2)

11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18 시험 데이타 주( 14)

119또는F1B수신J2B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5)

120개별국의호출

A1A 테이프레코더

데이터 주( 16)

121 선박의 위치 데이타 주( 17)

122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3

개별국의반자동또는자동접속호출

A1A 전건 및핸드셋(Handset)

데이터 주( 18)

124또는F1CF2C

F3C팩시밀리장 데이터 주( 19)

125의DX

위치의동기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6 정보없음 정보없음 주( 20)

12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주( )

앞으로의 사용을 위하여 유보한다1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2 [100] [109] 2 Telecommand

코드번호 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3 [104] 1 Telecommand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 시스템에만 사용한다4

- 33 -

선박의 항해 운항 필수품에 관한 통신과 정부의 기상업무기관으로 보내는 기5

상 관측 통보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6 [115] [124] 2 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을 제외하고 제7 [104][105][106][110][112] [118] 1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의 제 와 조합하여8 [100][101][109][115] [124] 1 Telecommand

사용한다

수색구조용 레이다트랜스폰더를 제외한다9

무선설비규칙의 제 조의 에 정하는 것으로 한다10 69 4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1 (V21)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2 (V22)

앞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1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4 (V2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5 (V2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6 (V1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7 (V26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8 (V27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9 (V32)

코드번호 를 제외하고 제 와 조합하여 사20 [104][110][112] 1 Telecommand

용한다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 코드번호는 중단21 Format

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에서 까지 [102] [124] ([110][112][117]

및 를 제외한다[122] )

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및VHF [100][101][104][105][106][121]

일 것[124]

별표 동기신호의 송출순서[ 9]

주 기호 및 에서 까지가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DX] [RXO] [RX7]

- 34 -

별표 자리 숫자의 코드 변환표[ 10] 10

자리의 숫자10

십억D2

억D1

천만D2

백만D1

십만D2

만D1

천D2

백D1

십D2

일D1

코드5 코드4 코드3 코드2 코드1

주( )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1 1

및 은 자리 숫자의 자리 숫자 에서 까지를 표시하고 각 코드는2 D2 D1 10 2 00 99

그 자리의 십진수를 코드번호로 한다2

숫자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최상위 자리수의 숫자 앞에 을 포함할 것3 0

별표 해역의 표시방법[ 11]

해역의 표시는 다음과 같은 것

선정되는 지리상의 해역은 메르카토르 도법의 직사각형으로 표시할1 (Mercator)

직사각형의 북서를 해역의 기준점으로 할 것2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존재하는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3 1

으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0] [1] [2] [3]

할 것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위도를 표시할 것4 2 3

제 번째에서 제 번째가지의 숫자는 기준점의 경도를 표시할 것5 4 6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남북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6 7 8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동서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7 9 10

표에 표시하는 해역 및 의 표시의 예는 다음과 같을 것8 ab c

기준점이 북위 도 및 서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1) 10 25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20 35 a

1 1 0 0 2 5 2 0 3 5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2) 10 10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10 10 b

2 1 0 0 1 0 1 0 1 0

- 35 -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3) 12 12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4 7 C

2 1 2 0 1 2 0 4 0 7

별표 주파수 및 채널정보의 코드변환표[ 12]

주파수0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주파수를 의 배수로서 숫자의 십100

만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다 1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2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채 널

3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중단파대 또는 단파대의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 다

8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별도로 정한 채널로 한다

9 0 times times times times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18게기하는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천 백 십 및 일의 숫자로 표시한다

십만 만 천 백 십 일

코드3 코드2 코드1

주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 ) 1

- 36 -

별표 종료신호의 송출순서[ 13]

주 기호 가 종료신호를 표시한다( ) H

- 37 -

제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3

제 절 송수신장치1 DSC VHF

시스템 개요1

본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모든기능을 충족하는 일체형과 전화용 복신방식의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호출 및 수신제어장치 로구분된 독립형 으로 구분되며 DSC DSC

이는 외형상의 구분이며 그주요기능별 구성은 각각의 유니트로된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표시 및 제어장치 와 전원부 로 구분되며 이것들은 다시 하나의DSC

케비넷 또는 독립된장치로서 구성된다

시스템 구성2

장비의 개요 및 특징3

가 개요

본 송수신기는 항만내 또는 연안에서 해안국과 선박국 또는 선박국 상호간VHF FM

의 해상이동업무 통신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기로서 이내의 해상156 ~162

이동 무선통신업무용의 전 을 수용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전파관리법 및CHANNEL

등 국제규격에 적합하도록 설계 제작된 기기로서 전세계ITU SOLAS USA USCG

어느곳에서나 규정에알맞게 사용할 수 있는 국제항만 무선전화기용 무선 송수신기

를 제작한다

- 38 -

나 특징

소형 경량화로서 좁은 장소에 설치가 용의하게 되어 있어야 한다(1)

송신각 각 방식을 채용하였으며 국제 항만 무선전화(2) DIRECT SYNTHESIZER

인 를 수용해야 하며 그외 개의CHANNEL 55(114) CHANNEL 105(527) FREE

이 수용되어 있어야 한다CHANNEL(SIMPLEX)

주 국제 중 미국연안에서 단식방식으로 절환 사용되고 있는1 CHANNEL 55(114)

을 사용 할 수 있을것USA CHANNEL(SIMPLEX)

주 별도의 기상수신 을 수용하고 있어야 한다2 WEATHER CHANNEL( )

USA 3 CHANNELS

CANADIAN 1 CHANNEL

OTHERS 5 CHANNELS

원격조정 회로의 내장으로 본기기의 판넬스위치와는 상관없이(3) REMOTE ( ) HAND

만 으로도 판넬 스위치 조작에 필요한 모든기능을 할 수 있고SET CONTROL VHF

의 원근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어야 한다SET

기능이 첨부되어 있어 미국연안 경비대 의 의무 청취(4) DUAL WATCH USCG( )

인 과 의 개의 을 동시에 수신할 수CHANNEL CH 13 CH 16 2 CHANNEL SCANNING

있으며 과 사용자가 선택하는 임의의 을 동시에CHANNEL 16 CHANNEL SCANNING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에 경보신호 기능의 내장으로 비상시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5) CH 16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국제 개 및 을(6) SCAN CHANNEL 55 FREE CHANNEL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SCANNING

안전통신에 지정되어 있는 은 우선 사용할 수 있도록(7) CHANNEL16 1 STEP

로 되어 있어야 한다SWITCH

국제 해상 인명 안전조약 에 정한 규격으로 되어 있어 전세계 어느곳의(8) SOLAS( )

규정에도 적합하며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구 성4

본 기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가 송 수신기 본체 대 1

나 HAND SET 1 SET

다 WHIP ANTENNA 1 SET

라 벽걸이형 SPEAKER 1 SET

마 전원 공급기 1 SET

- 39 -

규 격5

주파수 및 규격은 현재의 통신방식이며 정보통신부의 고시가 발표되면 협대역(125

로 변경한다)

가 일반사항

사용주파수 범위(1)

송 신 156025 ~ 157425 수 신 (SIMPLEX) 156025 ~ 157425 수 신 (DUPLEX) 160625 ~ 162025 기상수신 (WEATHER) 161650 ~ 162550

사용(2) CHANNEL

A International 55 (114) CHANNELSB USA 25 CHANNELSC FREE 105 (527) CHANNELSD WEATHER 9 CHANNELS

USA 3 CHANNELSCANADIAN 1 CHANNELOTHERS 5 CHANNELS

통신 방식(3) SIMPLEX amp DUPLEX

전파의 형식 전화(4) 16KOF3E( G3E DSC F2BG2B)

주파수 편차(5) 0001 (10 PPM)

사용 온도범위 부터(6) -10 + 50

예열 시간 전원 접속후 즉시 사용가능(7)

공칭(8) ANTENNA IMPEDANCE 50 ohm ( )

공급 전원(9)

전 압 136V plusmn 10전 류 수신시 800

송신시 5A전원 공급기 별도( ) 단상AC115V AC220V 60

부터 까지DC 15V 35V

나 송 신 부

정격 출력(1) HIGH -25 W

LOW - 1W

주 공중선 전력 저하장치로 이하 저하기능 보유1 1WATT주 단 보호 인 및 가 아님 은 송신이2 CHANNEL 7576 1 ~9(01 ~09 )CHANNEL되지 않음 기상수신대의 사용법은 본문 참조 ( )

- 40 -

발진 방식(2) SYNTHESIZER CONTROL SYSTEM

변조 방식(3) FREQUENCY MODULATION

점유 주파수 대역폭(4) 16 (8)

최대 주파수 편의(5) 5 (25)

복사강도 이상(6) SPURIOUS 70

변조 주파수 특성(7) 6 (plusmn 3 ) OCTAVE PRE-EMPHASIS)

(300 ~ 3 )

변조시 이하(8) DISTORTION 1 70 -20

신호 대 잡음비 변조시 이상(9) 1 70 40

저역 여파기 특성 이상에서 이상 감쇄(10) 3 -40log f3( ) (f = )

다 수 신 부

수 신 방 식(1) DOUBLE SUPERHETERODYNE SYSTEM

감 도(2) 이하 신호 대 잡음비 에서 025 V ( 20 )μ

감도(3) SQUELCH 이하 02 Vμ

국부 발진 주파수(4) 1lsquost LOCAL FREQUENCY

RECEIVER FREQUENCY - 214

2nd LOCAL FREQUENCY 10945

중간 주파수(5) 1lsquost IF FREQUENCY 214

2nd IF FREQUENCY 455

선 택 도(6) 저하폭 이상 6 12 (6)

저하폭 이하 70 25 (125)

(7) SPURIOUS RESPONCE 이상 70

감도 억압 효과(8) 이상 80

상호 변조 특성(9) 이상 65 ( 20 40 )

주파수 특성(10) 6 (plusmn3 )OCTAVE DE-EMPHASIS)

( 300 ~ 3 )

신호 대 잡음비(11) 변조시 이상 1 60 40

(12) DISTORTION 변조시 이하 1 70 -20

저주파 출력(13) 이상 1 WATT (IMPEDANCE 8 ohm)

- 41 -

제 절 차년도 개발 범위2 1

제 차년도 개발범위는 기초자료조사와 규정의 연구에 따라 기초회로의 설계 후1

사용부품을 시험하고 각 의 제작 및 시험 연이은 성능미달 의 차 차PCB PCB 2 3

차 재제작 시험을 완료하고 시스템의 설계까지이며 그 세부적인 개발범위는 다음4

과 같다

송수신장치 개발을 위한 제규정 수집 연구1 DSC VHF

기초자료 조사2

가 장비에 대한 기능특성 수집 연구

나 사용자 및 선박통신사의 요구사항에 대한 자료 수집 연구

다 외국장비와 비교 분석

라 부품규격 시험 및 선정

3 HARD WARE

가 고주파 필터코일 재질분석 및 각종코일 설계

나 제작 PCB

송신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1) PCB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시험(2) PCB

수신부회로 제작 시험(3) PCB

신세사이즈 회로 제작 시험(4) PCB

제어장치 제작 시험(5) PCB

표시장치 제작 시험(6) PCB

원격제어기 제작 시험(7) PCB

전원공급부 제작 시험(8) PCB

제작 시험(9) HAND SET PCB

전용수신기 제작 시험(10) DSC PCB

- 42 -

제 장 제 차년도 개발 항목 보고4 1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본 장비를 개발함에 있어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및 부품선정이 개발의 핵심 과제

로 생각하였다

기초자료는 기존 시스템분석과 전파관련법령을 기초하였고 주변회로는 관련된 회

로집을 분석하였으며 부품선정은 폐품종 여부와 수급이 용이하면서 견고하고 증폭

도 및 성능이 우수한 품종으로 장시간 시험을 거쳐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송신부 제작시험2

송신 출력회로 결정 회로설계 완료하여 각부 부품 구입 회 내구성 시험 및SPEC 30

구룹별 장시간 부품 부하 시험등 최종목표 성능을 확보하기위한 제반 기초 제작시

험을 완료 하였으며 주요 내용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의 발열상태등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의 높은 출력으로 증폭하는 송신전(VHF ) 25W

력 증폭기로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높은 고주파전력에 견딜수있어야 하고 열

에의해 발생되는 열잡음이 적으야하며 열에의한 부품의 열화 및 특성의 변화가 적

은 부품을 사용여야 하므로 온습도시험 과 과출력 시험을 통하여 사용될 부품을 시

험하였다

특히 고조파 필터회로 부품인 코일은 동선에 전도율이 좋은 재질로 도금하여 사용

하여야 하며 고조파필터회로 의 차폐용 재료도 동판에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도금

하여 사용 하여야 한다

나 송신 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PCB (PCB NO V-097)

개발과정에서의 설계변경 및 생산시스템의 전산화 에 적용 할수있도록 회로 설계는

물론 설계 회로기판 도안 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설계완료된 는PCB ( ) CAD DATA

회로기판 제작장치 외주 작업 및 부품삽입기 자사 작업 에 직접 컴퓨터용 디스켙( ) ( ) (

으로 입력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회로에 높은 고주파전류가 흐르므로인하여 빌진할 가능성 및 잡음발생의 우려PCB

가 많으므로 특히 부품배치에 유의하여 설계하였으며 송신신호 발생회로 또는 전원

회로 와의 배선은 관통형콘덴서등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였다

회로에 사용되는 코일은 각 코일간에 간섭을 줄이기위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설정하

였으며 전체를 차폐하고 또 고조파 필터회로를 구분하여 차폐하여 제작 하였PCB

- 43 -

또 안정된 출력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회로를 장치하여 설정된 출력 이상의ALC

출력을 제한한다

다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PCB (PCB NO V-096TX)

설계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이 는 미약한 고주파 신호를 발생 변PCB CAD PCB

환 증폭 하므로서 송신부 또는 외부로 부터의 잡음 유입과 내부잡음 발생에 유의

하여 설계되었으며 불요복사 억제에 유의하였다

라 성능시험

메칭상태 시험(1)

옴 파장 수직형 안테나 를 사용할수 있도록 시험하였으며 차적인 시험은 의50 12 1

사부하에 의해 시험하고 의사부하 안테나에 정상적인 메칭이 된 후 실제 사용 안테

나에 확인시험 하였다

이 시험에서 양질의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장치는 물론 안테나의 성능이 중

요하며 인접한 고전력 안테나 및 낙뢰로부터 안정성 등을 감안하여 안테나는 VHF

대역 이하의 주파수에 대하여 쇼트형 안테나가 바람직 하다

기존 시스템의 이상의 성능 확보(2) 90

송신부의 주기능으로서 양질의전파를 안테나로 공중에 발사하는 장치로서 주피수안

정도 고조파억압 불효전파억제 안정된전력 안정된 주파수편이 낮은 왜율 등의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시험결과는 기존의 제품의 특성에 가까운 성능을 확보

하였으나 안테나공용기 복신통신용 필터 특성의 개선및 송신부 관련부품의 배치를( )

개선하므로서 보다 좋은 성능을 확보 할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신부 제작시험3

수신부는 안테나입력회로 입력동조회로 단신통신 및 복신통신 각 주파수 대역 필 (

터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로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 1 1 2 2

로 대역필터회로 신호제한 리미터 회로 복조회로 무신호잡음 차단 회로 저주 ( ) FM

파 증폭회로 및 국부발진회로 로서 구성되나 국부발진회로는 잡음의 발생및 유입

주파수안정도 등을 감안하여 별도의 로서 제작하였으며 그외 수신부와 관련한PCB

내용은 다음과 같다

- 44 -

가 사용부품의 구입 및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증폭과 변환을 반복하여 요구되는 신호(VHF )

를 복조하여 기청음 또는 의 문자표시로 출력되게 하므로서 안정된 주파수 및DSC

증폭이 요구되므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당연히 고주파특성에 유의하여 주파수

차에의한 특성변화 열잡음 및 고주파잡음 능동소자등의 직선성 등이 교려되어야하

므로 항온항습시험과 과전류에의한 잡음발생의 시험 등 을 거처 엄선한 부품으로

설정사용 하였다

특히 회로의 선택도 코알의 값 를 높이기 위하여 가 높은 트랜스 재료를 사용하( Q ) Q

였다

다 수신부회로 제작 PCB (PCB NO V-096RX)

위 항에서의 시험에 의해 선택된 부품을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며 수신부의 특성31

상 잡음의 발생보다는 잡음의 유입에 유의하여 설계되었으며 안정된 증폭 특성 수(

신감도 을 얻기위하여 중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회로기판은 에폭시) 2

수지 양면인쇄동판을 사용하여 부품삽입면은 대부분 공통단자로 이용하여 부품간의

간섭을최소화 하였다

다 수신부 특성시험

수신부 특성상 수신감도 주파수안정도 왜율 통과대역폭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감도억압비 혼변조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신호대 잡음비 일 때의 수신감 20

도 성능이 확보되며 기타 여러 가지 특성도 최종목표 특성에 가까운 성능이05

확보 되었으나 까지 수신감도가 향상되도록 성능개선이 요구된다025 V 120757

신세사이즈부의 회로의 안정도로 인하여 국부발진 신호의 흔들림현상이 있어VCO

통과대역폭 및 잡음발생의 원인이되어 신세사이즈회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신세시이즈회로는 크게 수신국부발진 신호용과 송신신호용으로 구분되며 단신통신

과 복신통신방식일때 각각 동작할수있는 구성으로 설계되었으며 그 내용별로 구분

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전압제어발진기 에 사용되는 부품은 온도 및 전압변동에 특성의변화가 극히(VCO)

적어야하며 외부로부터 정전 및 자계영향이 크므로 회로를 별도로 정전 및 자VCO

계로부터 차폐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혼변조 및 잡음신호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파수선택 표준신호 등 시 수신( )

대역 및 송신대역에 영향이 없는 주파수로 하였으며 가능한 레벨을 제외한 신(TTL

호 파형의 왜율이 적은신호로서 각회로신호를 사용하여 결합하였다)

- 45 -

나 신세사이회로 제작 (PCB NO V-096PLL)

이회로 기판은 여러종류의 신호들이 발생 혼합 증폭 비교 되므로 각부품 간의 배

치에따라 잡음발생의 정도가 크게 좌우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였으며 회로는 외VCO

부영향에 민감하게 작동되므로 차폐 에 유의하여 부품의 배치 적절하게 하였으며

잡음발생을 유의하여 부품을 선정하였다

다 성능시험

이회로의 특성상 주파수안정도 주파수의 흔들림 위상비교기의 비교속도 등에 유의

하여 시험하였으며 여러가지 일반적인 특성은 최종목표사양에 만족될 수 있는 신호

원을 공급할수 있었어나 주파수의 흔들림 현상이 있어 회로의 부품 및 차폐에VCO

개선이 요구된다

제어장치 제작시험5 (PCB NO V-263)

이회로의 주요부품으로서 를 사용하여 당개발과제의 송수신 및 외부V25 CPU DSC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며 아울러 본체 전면표시기와 스윗치 입출력 기능도 한다

이회로의 주요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스 읽기전용 메모리 읽고CPU( ) ROM( ) RAM(

쓰기 메모리 직렬통신용 입출력 병렬통신 입출력 아날로그 디지) SIO( ) PIO( ) AD(

탈 변환기 스윗치입력 표시기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개발 내용은 다음과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에 사용되는 부품은 대부분 디지탈신호를 처리하여 회로로서 및TTL IC

로서 구성되며 저소비전력 및 고속처리능력이 요구되므로 주로 고속용C-MOS IC

중 형 를 사용 하였으며 장치의 초기설정 및 기능 설정의C-MOS(C-MOS IC HC )

변경등 의 목적으로 은 충전형 밧테리로서 메모리내용을 전원의 에 관RAM ONOFF

계없이 유지하도록 하였다

외부 제어기 등 와의 통신용 의 통신속도를 또는 등으로(DSC ) RS-232C 2400 4800

변경 설정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변환기 등을 이용하여 자기진단을 할수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장비의 유지및AD

보수에 많은 도움이된다

- 46 -

나 성능시험

운용시험(1)

이회로의 특성상 전기적 특성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특성 및 성능이 요구되므로 운

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이부분에 대한 시험은 개발자입

장이 아닌 운용자가 시험하여야 하는 관계로 선박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사용자에게

의뢰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로서는 기능면에서는 양호하나 사용상 복잡한 면이 있어 보다 조작 을 간편

히 할수있도록 개선할 필요가있는 것으로 본다

표시장치 시험(2) (PCB NO V-260)

본장치의 사용상 필요한 기능 및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내용과 기기 동작

상태의 일치성이 요구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온습도 및 장기시험 으

로서 확인하였으며 여러 가지 표시장치중 각각 중단점이 나타낮다

즉 액정 표시기 표시기는 저소비전력이며 주위가 밝은곳에서 사용이 가능 하LCD( )

나 반면 온도특성이 나쁘며 형광표시관 표시기는 온도특성은 양호하나 소비전 VFD( )

력이 대체로 높고 보다 낮고 보다 많음 수명이 낮다는 단점이있으며(FND LCD )

발광 다이오드 표시기는 모든면에서 대체로 양호 하나 잡음발생 이많으며 밝FND( )

은곳에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외 여러 가지의 장담점을 검토하여 차적인 결론은 표시기가 적합한 것으로1 LCD

본다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최소의 전기적신호 연결로서 최대의 기능제어및 속도가 요구되는 장치로서 저주파

신호의 입력 마이크 신호 및 출력 스피크 신호 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 제어는( FS ) ( )

직렬통신 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였으며 장거리 일반 공용통신망 을 이(RS-232C)

용할수도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요 구성은 중앙제어장치 스윗치입력 장치 표시장치 메모리장치 직렬통신장치

로 구성되며 그 상세한 개발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의 대부분이 디지탈신호의 처리회로로서 구성되므로 제어장치 의 사용 부품ldquo rdquo

시험 및 선정기준과 같으며 장거리운용상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신속도를

알맞게하며 장거리통신 선로에서 유기되는 잡음을 최소화 하기위한 필터회로 및

소프트웨어적인 오류정정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별도 설계 사용 하였다

- 47 -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V-170)

이장치는 사용상 편리하여야 하므로 소형 경량 으로 제작 하였으며 차적 기능 시 1

험을 목적으로 외형 보다는 성능을 우선하여 시험용으로 제작하였다 이장치의 시

험은 전용케이블 을 이용하여 시험하였고 또 일반 공용통신용 전화 선로를 통하여

원거리 시험을 하였으며 그결과로서 통신속도가 까지 양호하게 동작되나2400bps

그이상의 통신속도로서 운용 할려면 전용회선이 필요하게된다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가 결정 SPEC

각회로 에서 필요로하는 전압 및 전류에 알맞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반 성능

을 차적으로 설정 하였으며 최종목표 사양에 일치하기위하여서는 전원부의 장치에1

대하여 모든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최종 특성이 설정 되어야 한다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P-099)

이장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되나 반면에 안정성이 확고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안

정성을 첫째로 중요시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이회로는 많은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많은 전력이 열로서 손실되므로 방열에 특히 유의하여 제작되었으며 열발생이 많은

부품은 알미늄 방열판에 설치하고 이방열판은 본장치 외함의 바깥쪽에 설치하여 방

열효과를 최대화 하였다

이회로의 시험은 과입력전압 및 과소비전력 일때의 안정성에 중점 시험하였고 그시

험을 위하여 장시간 항온 항습기 를 이용하여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전원부의 안정

성 확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도 이회로를 특별히 개선하지 않고도 최

종목표 사양에 만족하리라 본다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PCB NO V-098)

마이크 회로 수화기 회로 송신 스윗치 회로 로서 구성되며 이장치는 사용 특성상

충격에 강하도록 설계제작 되어야 하며 무게는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재료선택이

중요하며 이러한점을 감안하여 사출금형에 의하여 성형 하였으며 성형 제료로서는

제료를 사용하고 사용 부품을 최소화 하여 제작 하였다ABS

이장치의 특성상 견고하며 방수효과가 최대이어야 하므로 충격 자연낙하 시험 및( )

방수시험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 성형제료 및 외형상의 문제는 없이나

송화기 및 수화기의 선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송화기는 콘텐서형

마이크가 좋으며 수화기로는 가변코일형으로서 떨림판이 평면으로된 수화기가 우수

한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선정하여 제작시험 하였다

- 48 -

전용 수신기9 DSC (PCB NO T-342)

전용수신 장치는 송수신장치중 송신부를 제외한 구조와 유사하므로 개발과정에서

송수신장치중 수신부회로에 복조장치 를 추가하여 별도 로 제작하여 시험DSC PCB

하였으며 개발내용중 전용수신기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DSC

가 기능 및 동작

변조되어 수신된 신호를 필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후 신호 처리용FM DSC DSC

마이크로프로세스 에 공급하여 소프트웨어로서 신호를 분석한후 표시장치 메(CPU)

모리장치 인쇄장치 등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전용 찬넬인 번 찬넬을 항상 DSC 70

수신상태로 동작하여 신호 도트신호 를 검출하고 신호가 있으면 이어서CALL ( ) CALL

수신되는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표시장치 및 경보장치에 출력한다

나 신호 신호 필터회로 와 신호 처리부 및 제어용회로부 DSC (FS ) DSC DSC

제작시험 (PCB NO T-325 T-326 T-327)

이 회로의 성능은 주로 필터 및 디지탈변환 회로에서 결정되며 소프트웨어의 성능

에 따라 안정성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점을 유의하여 설계제작 하여으며 성능 시험

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험용 정보를 송신장치로 통해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후 그

결과를 분석 시험 하였다

다 전용 수신기의 개발과정 에서의 학보된 기술 DSC

신호 및 의 신호 의 필터 및 디지털 변환 기술DSC (1300 2100 FS )

신호 검출 및 직렬신호의 병렬변환 소프트웨어DOT

기술 정보의 비교 및 인쇄출력 소프트웨어 기술

종합시험10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별 차 차 차 보완시험은 만족하며 앞으로 개발의 중점은 사용의 편리성과PCB 1 2 3

생산성에 중점 개발이 요하며 배치에 따라 야기될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 PCB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후 최종제품을 제작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49 -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1

가 전면판 사출금형

나 옆판 스피커 안테나 금형

다 노브 사출금형

라 윗면 및 밑면 프레스 금형

마 설치용 고정장치 사출 금형

바 설치대 프레스 금형

사 뒷면 작업용 프레스 금형

아 항온조용 열차단금형

자 필타 금형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2

가 송수신기 제어장치 프로그램

나 전용 수신기 제어용 프로그램 DSC

다 원격조정기 프로그램

라 송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마 수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3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32: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32 -

코드

번호

동기신호및

특유기능

Format

신 호

Category

신 호

조난의

종 류

제 주1Telecommand( 21)

제2Telecommand

사용및모드 통신장치

113또는F1B방향오J2B(1

류정정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미확정 주( 1)

114

공통관계를 갖는선단의호출

미확정 주( 1) 미확정 주( 1)

115또는F1B자동재송J2B(

요구방식)

협대역직접인쇄전신장치 주( 10)

데이터 주( 11)

116모든선박호출

또는F1B J2B수신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2)

11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18 시험 데이타 주( 14)

119또는F1B수신J2B

직접인쇄전신장치

데이터 주( 15)

120개별국의호출

A1A 테이프레코더

데이터 주( 16)

121 선박의 위치 데이타 주( 17)

122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3

개별국의반자동또는자동접속호출

A1A 전건 및핸드셋(Handset)

데이터 주( 18)

124또는F1CF2C

F3C팩시밀리장 데이터 주( 19)

125의DX

위치의동기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126 정보없음 정보없음 주( 20)

127 종료신호 미사용 주( 13) 미사용 주( 13)

주( )

앞으로의 사용을 위하여 유보한다1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2 [100] [109] 2 Telecommand

코드번호 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3 [104] 1 Telecommand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 시스템에만 사용한다4

- 33 -

선박의 항해 운항 필수품에 관한 통신과 정부의 기상업무기관으로 보내는 기5

상 관측 통보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6 [115] [124] 2 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을 제외하고 제7 [104][105][106][110][112] [118] 1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의 제 와 조합하여8 [100][101][109][115] [124] 1 Telecommand

사용한다

수색구조용 레이다트랜스폰더를 제외한다9

무선설비규칙의 제 조의 에 정하는 것으로 한다10 69 4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1 (V21)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2 (V22)

앞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1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4 (V2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5 (V2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6 (V1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7 (V26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8 (V27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9 (V32)

코드번호 를 제외하고 제 와 조합하여 사20 [104][110][112] 1 Telecommand

용한다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 코드번호는 중단21 Format

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에서 까지 [102] [124] ([110][112][117]

및 를 제외한다[122] )

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및VHF [100][101][104][105][106][121]

일 것[124]

별표 동기신호의 송출순서[ 9]

주 기호 및 에서 까지가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DX] [RXO] [RX7]

- 34 -

별표 자리 숫자의 코드 변환표[ 10] 10

자리의 숫자10

십억D2

억D1

천만D2

백만D1

십만D2

만D1

천D2

백D1

십D2

일D1

코드5 코드4 코드3 코드2 코드1

주( )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1 1

및 은 자리 숫자의 자리 숫자 에서 까지를 표시하고 각 코드는2 D2 D1 10 2 00 99

그 자리의 십진수를 코드번호로 한다2

숫자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최상위 자리수의 숫자 앞에 을 포함할 것3 0

별표 해역의 표시방법[ 11]

해역의 표시는 다음과 같은 것

선정되는 지리상의 해역은 메르카토르 도법의 직사각형으로 표시할1 (Mercator)

직사각형의 북서를 해역의 기준점으로 할 것2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존재하는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3 1

으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0] [1] [2] [3]

할 것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위도를 표시할 것4 2 3

제 번째에서 제 번째가지의 숫자는 기준점의 경도를 표시할 것5 4 6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남북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6 7 8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동서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7 9 10

표에 표시하는 해역 및 의 표시의 예는 다음과 같을 것8 ab c

기준점이 북위 도 및 서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1) 10 25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20 35 a

1 1 0 0 2 5 2 0 3 5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2) 10 10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10 10 b

2 1 0 0 1 0 1 0 1 0

- 35 -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3) 12 12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4 7 C

2 1 2 0 1 2 0 4 0 7

별표 주파수 및 채널정보의 코드변환표[ 12]

주파수0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주파수를 의 배수로서 숫자의 십100

만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다 1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2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채 널

3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중단파대 또는 단파대의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 다

8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별도로 정한 채널로 한다

9 0 times times times times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18게기하는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천 백 십 및 일의 숫자로 표시한다

십만 만 천 백 십 일

코드3 코드2 코드1

주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 ) 1

- 36 -

별표 종료신호의 송출순서[ 13]

주 기호 가 종료신호를 표시한다( ) H

- 37 -

제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3

제 절 송수신장치1 DSC VHF

시스템 개요1

본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모든기능을 충족하는 일체형과 전화용 복신방식의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호출 및 수신제어장치 로구분된 독립형 으로 구분되며 DSC DSC

이는 외형상의 구분이며 그주요기능별 구성은 각각의 유니트로된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표시 및 제어장치 와 전원부 로 구분되며 이것들은 다시 하나의DSC

케비넷 또는 독립된장치로서 구성된다

시스템 구성2

장비의 개요 및 특징3

가 개요

본 송수신기는 항만내 또는 연안에서 해안국과 선박국 또는 선박국 상호간VHF FM

의 해상이동업무 통신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기로서 이내의 해상156 ~162

이동 무선통신업무용의 전 을 수용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전파관리법 및CHANNEL

등 국제규격에 적합하도록 설계 제작된 기기로서 전세계ITU SOLAS USA USCG

어느곳에서나 규정에알맞게 사용할 수 있는 국제항만 무선전화기용 무선 송수신기

를 제작한다

- 38 -

나 특징

소형 경량화로서 좁은 장소에 설치가 용의하게 되어 있어야 한다(1)

송신각 각 방식을 채용하였으며 국제 항만 무선전화(2) DIRECT SYNTHESIZER

인 를 수용해야 하며 그외 개의CHANNEL 55(114) CHANNEL 105(527) FREE

이 수용되어 있어야 한다CHANNEL(SIMPLEX)

주 국제 중 미국연안에서 단식방식으로 절환 사용되고 있는1 CHANNEL 55(114)

을 사용 할 수 있을것USA CHANNEL(SIMPLEX)

주 별도의 기상수신 을 수용하고 있어야 한다2 WEATHER CHANNEL( )

USA 3 CHANNELS

CANADIAN 1 CHANNEL

OTHERS 5 CHANNELS

원격조정 회로의 내장으로 본기기의 판넬스위치와는 상관없이(3) REMOTE ( ) HAND

만 으로도 판넬 스위치 조작에 필요한 모든기능을 할 수 있고SET CONTROL VHF

의 원근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어야 한다SET

기능이 첨부되어 있어 미국연안 경비대 의 의무 청취(4) DUAL WATCH USCG( )

인 과 의 개의 을 동시에 수신할 수CHANNEL CH 13 CH 16 2 CHANNEL SCANNING

있으며 과 사용자가 선택하는 임의의 을 동시에CHANNEL 16 CHANNEL SCANNING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에 경보신호 기능의 내장으로 비상시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5) CH 16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국제 개 및 을(6) SCAN CHANNEL 55 FREE CHANNEL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SCANNING

안전통신에 지정되어 있는 은 우선 사용할 수 있도록(7) CHANNEL16 1 STEP

로 되어 있어야 한다SWITCH

국제 해상 인명 안전조약 에 정한 규격으로 되어 있어 전세계 어느곳의(8) SOLAS( )

규정에도 적합하며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구 성4

본 기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가 송 수신기 본체 대 1

나 HAND SET 1 SET

다 WHIP ANTENNA 1 SET

라 벽걸이형 SPEAKER 1 SET

마 전원 공급기 1 SET

- 39 -

규 격5

주파수 및 규격은 현재의 통신방식이며 정보통신부의 고시가 발표되면 협대역(125

로 변경한다)

가 일반사항

사용주파수 범위(1)

송 신 156025 ~ 157425 수 신 (SIMPLEX) 156025 ~ 157425 수 신 (DUPLEX) 160625 ~ 162025 기상수신 (WEATHER) 161650 ~ 162550

사용(2) CHANNEL

A International 55 (114) CHANNELSB USA 25 CHANNELSC FREE 105 (527) CHANNELSD WEATHER 9 CHANNELS

USA 3 CHANNELSCANADIAN 1 CHANNELOTHERS 5 CHANNELS

통신 방식(3) SIMPLEX amp DUPLEX

전파의 형식 전화(4) 16KOF3E( G3E DSC F2BG2B)

주파수 편차(5) 0001 (10 PPM)

사용 온도범위 부터(6) -10 + 50

예열 시간 전원 접속후 즉시 사용가능(7)

공칭(8) ANTENNA IMPEDANCE 50 ohm ( )

공급 전원(9)

전 압 136V plusmn 10전 류 수신시 800

송신시 5A전원 공급기 별도( ) 단상AC115V AC220V 60

부터 까지DC 15V 35V

나 송 신 부

정격 출력(1) HIGH -25 W

LOW - 1W

주 공중선 전력 저하장치로 이하 저하기능 보유1 1WATT주 단 보호 인 및 가 아님 은 송신이2 CHANNEL 7576 1 ~9(01 ~09 )CHANNEL되지 않음 기상수신대의 사용법은 본문 참조 ( )

- 40 -

발진 방식(2) SYNTHESIZER CONTROL SYSTEM

변조 방식(3) FREQUENCY MODULATION

점유 주파수 대역폭(4) 16 (8)

최대 주파수 편의(5) 5 (25)

복사강도 이상(6) SPURIOUS 70

변조 주파수 특성(7) 6 (plusmn 3 ) OCTAVE PRE-EMPHASIS)

(300 ~ 3 )

변조시 이하(8) DISTORTION 1 70 -20

신호 대 잡음비 변조시 이상(9) 1 70 40

저역 여파기 특성 이상에서 이상 감쇄(10) 3 -40log f3( ) (f = )

다 수 신 부

수 신 방 식(1) DOUBLE SUPERHETERODYNE SYSTEM

감 도(2) 이하 신호 대 잡음비 에서 025 V ( 20 )μ

감도(3) SQUELCH 이하 02 Vμ

국부 발진 주파수(4) 1lsquost LOCAL FREQUENCY

RECEIVER FREQUENCY - 214

2nd LOCAL FREQUENCY 10945

중간 주파수(5) 1lsquost IF FREQUENCY 214

2nd IF FREQUENCY 455

선 택 도(6) 저하폭 이상 6 12 (6)

저하폭 이하 70 25 (125)

(7) SPURIOUS RESPONCE 이상 70

감도 억압 효과(8) 이상 80

상호 변조 특성(9) 이상 65 ( 20 40 )

주파수 특성(10) 6 (plusmn3 )OCTAVE DE-EMPHASIS)

( 300 ~ 3 )

신호 대 잡음비(11) 변조시 이상 1 60 40

(12) DISTORTION 변조시 이하 1 70 -20

저주파 출력(13) 이상 1 WATT (IMPEDANCE 8 ohm)

- 41 -

제 절 차년도 개발 범위2 1

제 차년도 개발범위는 기초자료조사와 규정의 연구에 따라 기초회로의 설계 후1

사용부품을 시험하고 각 의 제작 및 시험 연이은 성능미달 의 차 차PCB PCB 2 3

차 재제작 시험을 완료하고 시스템의 설계까지이며 그 세부적인 개발범위는 다음4

과 같다

송수신장치 개발을 위한 제규정 수집 연구1 DSC VHF

기초자료 조사2

가 장비에 대한 기능특성 수집 연구

나 사용자 및 선박통신사의 요구사항에 대한 자료 수집 연구

다 외국장비와 비교 분석

라 부품규격 시험 및 선정

3 HARD WARE

가 고주파 필터코일 재질분석 및 각종코일 설계

나 제작 PCB

송신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1) PCB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시험(2) PCB

수신부회로 제작 시험(3) PCB

신세사이즈 회로 제작 시험(4) PCB

제어장치 제작 시험(5) PCB

표시장치 제작 시험(6) PCB

원격제어기 제작 시험(7) PCB

전원공급부 제작 시험(8) PCB

제작 시험(9) HAND SET PCB

전용수신기 제작 시험(10) DSC PCB

- 42 -

제 장 제 차년도 개발 항목 보고4 1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본 장비를 개발함에 있어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및 부품선정이 개발의 핵심 과제

로 생각하였다

기초자료는 기존 시스템분석과 전파관련법령을 기초하였고 주변회로는 관련된 회

로집을 분석하였으며 부품선정은 폐품종 여부와 수급이 용이하면서 견고하고 증폭

도 및 성능이 우수한 품종으로 장시간 시험을 거쳐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송신부 제작시험2

송신 출력회로 결정 회로설계 완료하여 각부 부품 구입 회 내구성 시험 및SPEC 30

구룹별 장시간 부품 부하 시험등 최종목표 성능을 확보하기위한 제반 기초 제작시

험을 완료 하였으며 주요 내용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의 발열상태등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의 높은 출력으로 증폭하는 송신전(VHF ) 25W

력 증폭기로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높은 고주파전력에 견딜수있어야 하고 열

에의해 발생되는 열잡음이 적으야하며 열에의한 부품의 열화 및 특성의 변화가 적

은 부품을 사용여야 하므로 온습도시험 과 과출력 시험을 통하여 사용될 부품을 시

험하였다

특히 고조파 필터회로 부품인 코일은 동선에 전도율이 좋은 재질로 도금하여 사용

하여야 하며 고조파필터회로 의 차폐용 재료도 동판에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도금

하여 사용 하여야 한다

나 송신 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PCB (PCB NO V-097)

개발과정에서의 설계변경 및 생산시스템의 전산화 에 적용 할수있도록 회로 설계는

물론 설계 회로기판 도안 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설계완료된 는PCB ( ) CAD DATA

회로기판 제작장치 외주 작업 및 부품삽입기 자사 작업 에 직접 컴퓨터용 디스켙( ) ( ) (

으로 입력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회로에 높은 고주파전류가 흐르므로인하여 빌진할 가능성 및 잡음발생의 우려PCB

가 많으므로 특히 부품배치에 유의하여 설계하였으며 송신신호 발생회로 또는 전원

회로 와의 배선은 관통형콘덴서등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였다

회로에 사용되는 코일은 각 코일간에 간섭을 줄이기위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설정하

였으며 전체를 차폐하고 또 고조파 필터회로를 구분하여 차폐하여 제작 하였PCB

- 43 -

또 안정된 출력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회로를 장치하여 설정된 출력 이상의ALC

출력을 제한한다

다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PCB (PCB NO V-096TX)

설계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이 는 미약한 고주파 신호를 발생 변PCB CAD PCB

환 증폭 하므로서 송신부 또는 외부로 부터의 잡음 유입과 내부잡음 발생에 유의

하여 설계되었으며 불요복사 억제에 유의하였다

라 성능시험

메칭상태 시험(1)

옴 파장 수직형 안테나 를 사용할수 있도록 시험하였으며 차적인 시험은 의50 12 1

사부하에 의해 시험하고 의사부하 안테나에 정상적인 메칭이 된 후 실제 사용 안테

나에 확인시험 하였다

이 시험에서 양질의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장치는 물론 안테나의 성능이 중

요하며 인접한 고전력 안테나 및 낙뢰로부터 안정성 등을 감안하여 안테나는 VHF

대역 이하의 주파수에 대하여 쇼트형 안테나가 바람직 하다

기존 시스템의 이상의 성능 확보(2) 90

송신부의 주기능으로서 양질의전파를 안테나로 공중에 발사하는 장치로서 주피수안

정도 고조파억압 불효전파억제 안정된전력 안정된 주파수편이 낮은 왜율 등의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시험결과는 기존의 제품의 특성에 가까운 성능을 확보

하였으나 안테나공용기 복신통신용 필터 특성의 개선및 송신부 관련부품의 배치를( )

개선하므로서 보다 좋은 성능을 확보 할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신부 제작시험3

수신부는 안테나입력회로 입력동조회로 단신통신 및 복신통신 각 주파수 대역 필 (

터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로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 1 1 2 2

로 대역필터회로 신호제한 리미터 회로 복조회로 무신호잡음 차단 회로 저주 ( ) FM

파 증폭회로 및 국부발진회로 로서 구성되나 국부발진회로는 잡음의 발생및 유입

주파수안정도 등을 감안하여 별도의 로서 제작하였으며 그외 수신부와 관련한PCB

내용은 다음과 같다

- 44 -

가 사용부품의 구입 및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증폭과 변환을 반복하여 요구되는 신호(VHF )

를 복조하여 기청음 또는 의 문자표시로 출력되게 하므로서 안정된 주파수 및DSC

증폭이 요구되므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당연히 고주파특성에 유의하여 주파수

차에의한 특성변화 열잡음 및 고주파잡음 능동소자등의 직선성 등이 교려되어야하

므로 항온항습시험과 과전류에의한 잡음발생의 시험 등 을 거처 엄선한 부품으로

설정사용 하였다

특히 회로의 선택도 코알의 값 를 높이기 위하여 가 높은 트랜스 재료를 사용하( Q ) Q

였다

다 수신부회로 제작 PCB (PCB NO V-096RX)

위 항에서의 시험에 의해 선택된 부품을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며 수신부의 특성31

상 잡음의 발생보다는 잡음의 유입에 유의하여 설계되었으며 안정된 증폭 특성 수(

신감도 을 얻기위하여 중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회로기판은 에폭시) 2

수지 양면인쇄동판을 사용하여 부품삽입면은 대부분 공통단자로 이용하여 부품간의

간섭을최소화 하였다

다 수신부 특성시험

수신부 특성상 수신감도 주파수안정도 왜율 통과대역폭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감도억압비 혼변조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신호대 잡음비 일 때의 수신감 20

도 성능이 확보되며 기타 여러 가지 특성도 최종목표 특성에 가까운 성능이05

확보 되었으나 까지 수신감도가 향상되도록 성능개선이 요구된다025 V 120757

신세사이즈부의 회로의 안정도로 인하여 국부발진 신호의 흔들림현상이 있어VCO

통과대역폭 및 잡음발생의 원인이되어 신세사이즈회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신세시이즈회로는 크게 수신국부발진 신호용과 송신신호용으로 구분되며 단신통신

과 복신통신방식일때 각각 동작할수있는 구성으로 설계되었으며 그 내용별로 구분

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전압제어발진기 에 사용되는 부품은 온도 및 전압변동에 특성의변화가 극히(VCO)

적어야하며 외부로부터 정전 및 자계영향이 크므로 회로를 별도로 정전 및 자VCO

계로부터 차폐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혼변조 및 잡음신호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파수선택 표준신호 등 시 수신( )

대역 및 송신대역에 영향이 없는 주파수로 하였으며 가능한 레벨을 제외한 신(TTL

호 파형의 왜율이 적은신호로서 각회로신호를 사용하여 결합하였다)

- 45 -

나 신세사이회로 제작 (PCB NO V-096PLL)

이회로 기판은 여러종류의 신호들이 발생 혼합 증폭 비교 되므로 각부품 간의 배

치에따라 잡음발생의 정도가 크게 좌우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였으며 회로는 외VCO

부영향에 민감하게 작동되므로 차폐 에 유의하여 부품의 배치 적절하게 하였으며

잡음발생을 유의하여 부품을 선정하였다

다 성능시험

이회로의 특성상 주파수안정도 주파수의 흔들림 위상비교기의 비교속도 등에 유의

하여 시험하였으며 여러가지 일반적인 특성은 최종목표사양에 만족될 수 있는 신호

원을 공급할수 있었어나 주파수의 흔들림 현상이 있어 회로의 부품 및 차폐에VCO

개선이 요구된다

제어장치 제작시험5 (PCB NO V-263)

이회로의 주요부품으로서 를 사용하여 당개발과제의 송수신 및 외부V25 CPU DSC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며 아울러 본체 전면표시기와 스윗치 입출력 기능도 한다

이회로의 주요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스 읽기전용 메모리 읽고CPU( ) ROM( ) RAM(

쓰기 메모리 직렬통신용 입출력 병렬통신 입출력 아날로그 디지) SIO( ) PIO( ) AD(

탈 변환기 스윗치입력 표시기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개발 내용은 다음과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에 사용되는 부품은 대부분 디지탈신호를 처리하여 회로로서 및TTL IC

로서 구성되며 저소비전력 및 고속처리능력이 요구되므로 주로 고속용C-MOS IC

중 형 를 사용 하였으며 장치의 초기설정 및 기능 설정의C-MOS(C-MOS IC HC )

변경등 의 목적으로 은 충전형 밧테리로서 메모리내용을 전원의 에 관RAM ONOFF

계없이 유지하도록 하였다

외부 제어기 등 와의 통신용 의 통신속도를 또는 등으로(DSC ) RS-232C 2400 4800

변경 설정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변환기 등을 이용하여 자기진단을 할수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장비의 유지및AD

보수에 많은 도움이된다

- 46 -

나 성능시험

운용시험(1)

이회로의 특성상 전기적 특성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특성 및 성능이 요구되므로 운

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이부분에 대한 시험은 개발자입

장이 아닌 운용자가 시험하여야 하는 관계로 선박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사용자에게

의뢰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로서는 기능면에서는 양호하나 사용상 복잡한 면이 있어 보다 조작 을 간편

히 할수있도록 개선할 필요가있는 것으로 본다

표시장치 시험(2) (PCB NO V-260)

본장치의 사용상 필요한 기능 및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내용과 기기 동작

상태의 일치성이 요구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온습도 및 장기시험 으

로서 확인하였으며 여러 가지 표시장치중 각각 중단점이 나타낮다

즉 액정 표시기 표시기는 저소비전력이며 주위가 밝은곳에서 사용이 가능 하LCD( )

나 반면 온도특성이 나쁘며 형광표시관 표시기는 온도특성은 양호하나 소비전 VFD( )

력이 대체로 높고 보다 낮고 보다 많음 수명이 낮다는 단점이있으며(FND LCD )

발광 다이오드 표시기는 모든면에서 대체로 양호 하나 잡음발생 이많으며 밝FND( )

은곳에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외 여러 가지의 장담점을 검토하여 차적인 결론은 표시기가 적합한 것으로1 LCD

본다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최소의 전기적신호 연결로서 최대의 기능제어및 속도가 요구되는 장치로서 저주파

신호의 입력 마이크 신호 및 출력 스피크 신호 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 제어는( FS ) ( )

직렬통신 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였으며 장거리 일반 공용통신망 을 이(RS-232C)

용할수도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요 구성은 중앙제어장치 스윗치입력 장치 표시장치 메모리장치 직렬통신장치

로 구성되며 그 상세한 개발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의 대부분이 디지탈신호의 처리회로로서 구성되므로 제어장치 의 사용 부품ldquo rdquo

시험 및 선정기준과 같으며 장거리운용상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신속도를

알맞게하며 장거리통신 선로에서 유기되는 잡음을 최소화 하기위한 필터회로 및

소프트웨어적인 오류정정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별도 설계 사용 하였다

- 47 -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V-170)

이장치는 사용상 편리하여야 하므로 소형 경량 으로 제작 하였으며 차적 기능 시 1

험을 목적으로 외형 보다는 성능을 우선하여 시험용으로 제작하였다 이장치의 시

험은 전용케이블 을 이용하여 시험하였고 또 일반 공용통신용 전화 선로를 통하여

원거리 시험을 하였으며 그결과로서 통신속도가 까지 양호하게 동작되나2400bps

그이상의 통신속도로서 운용 할려면 전용회선이 필요하게된다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가 결정 SPEC

각회로 에서 필요로하는 전압 및 전류에 알맞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반 성능

을 차적으로 설정 하였으며 최종목표 사양에 일치하기위하여서는 전원부의 장치에1

대하여 모든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최종 특성이 설정 되어야 한다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P-099)

이장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되나 반면에 안정성이 확고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안

정성을 첫째로 중요시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이회로는 많은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많은 전력이 열로서 손실되므로 방열에 특히 유의하여 제작되었으며 열발생이 많은

부품은 알미늄 방열판에 설치하고 이방열판은 본장치 외함의 바깥쪽에 설치하여 방

열효과를 최대화 하였다

이회로의 시험은 과입력전압 및 과소비전력 일때의 안정성에 중점 시험하였고 그시

험을 위하여 장시간 항온 항습기 를 이용하여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전원부의 안정

성 확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도 이회로를 특별히 개선하지 않고도 최

종목표 사양에 만족하리라 본다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PCB NO V-098)

마이크 회로 수화기 회로 송신 스윗치 회로 로서 구성되며 이장치는 사용 특성상

충격에 강하도록 설계제작 되어야 하며 무게는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재료선택이

중요하며 이러한점을 감안하여 사출금형에 의하여 성형 하였으며 성형 제료로서는

제료를 사용하고 사용 부품을 최소화 하여 제작 하였다ABS

이장치의 특성상 견고하며 방수효과가 최대이어야 하므로 충격 자연낙하 시험 및( )

방수시험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 성형제료 및 외형상의 문제는 없이나

송화기 및 수화기의 선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송화기는 콘텐서형

마이크가 좋으며 수화기로는 가변코일형으로서 떨림판이 평면으로된 수화기가 우수

한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선정하여 제작시험 하였다

- 48 -

전용 수신기9 DSC (PCB NO T-342)

전용수신 장치는 송수신장치중 송신부를 제외한 구조와 유사하므로 개발과정에서

송수신장치중 수신부회로에 복조장치 를 추가하여 별도 로 제작하여 시험DSC PCB

하였으며 개발내용중 전용수신기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DSC

가 기능 및 동작

변조되어 수신된 신호를 필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후 신호 처리용FM DSC DSC

마이크로프로세스 에 공급하여 소프트웨어로서 신호를 분석한후 표시장치 메(CPU)

모리장치 인쇄장치 등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전용 찬넬인 번 찬넬을 항상 DSC 70

수신상태로 동작하여 신호 도트신호 를 검출하고 신호가 있으면 이어서CALL ( ) CALL

수신되는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표시장치 및 경보장치에 출력한다

나 신호 신호 필터회로 와 신호 처리부 및 제어용회로부 DSC (FS ) DSC DSC

제작시험 (PCB NO T-325 T-326 T-327)

이 회로의 성능은 주로 필터 및 디지탈변환 회로에서 결정되며 소프트웨어의 성능

에 따라 안정성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점을 유의하여 설계제작 하여으며 성능 시험

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험용 정보를 송신장치로 통해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후 그

결과를 분석 시험 하였다

다 전용 수신기의 개발과정 에서의 학보된 기술 DSC

신호 및 의 신호 의 필터 및 디지털 변환 기술DSC (1300 2100 FS )

신호 검출 및 직렬신호의 병렬변환 소프트웨어DOT

기술 정보의 비교 및 인쇄출력 소프트웨어 기술

종합시험10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별 차 차 차 보완시험은 만족하며 앞으로 개발의 중점은 사용의 편리성과PCB 1 2 3

생산성에 중점 개발이 요하며 배치에 따라 야기될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 PCB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후 최종제품을 제작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49 -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1

가 전면판 사출금형

나 옆판 스피커 안테나 금형

다 노브 사출금형

라 윗면 및 밑면 프레스 금형

마 설치용 고정장치 사출 금형

바 설치대 프레스 금형

사 뒷면 작업용 프레스 금형

아 항온조용 열차단금형

자 필타 금형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2

가 송수신기 제어장치 프로그램

나 전용 수신기 제어용 프로그램 DSC

다 원격조정기 프로그램

라 송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마 수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3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33: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33 -

선박의 항해 운항 필수품에 관한 통신과 정부의 기상업무기관으로 보내는 기5

상 관측 통보

코드번호 에서 까지의 제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6 [115] [124] 2 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을 제외하고 제7 [104][105][106][110][112] [118] 1

와 조합하여 사용한다Telecommand

코드번호 및 의 제 와 조합하여8 [100][101][109][115] [124] 1 Telecommand

사용한다

수색구조용 레이다트랜스폰더를 제외한다9

무선설비규칙의 제 조의 에 정하는 것으로 한다10 69 4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1 (V21)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2 (V22)

앞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1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4 (V2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5 (V23)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6 (V12bis)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7 (V26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8 (V27ter)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권고 에 따르는 것일 것19 (V32)

코드번호 를 제외하고 제 와 조합하여 사20 [104][110][112] 1 Telecommand

용한다

신호가 개별국의 반자동 또는 자동접속호출의 경우 코드번호는 중단21 Format

파 단파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에서 까지 [102] [124] ([110][112][117]

및 를 제외한다[122] )

대 선택호출신호에 있어서는 및VHF [100][101][104][105][106][121]

일 것[124]

별표 동기신호의 송출순서[ 9]

주 기호 및 에서 까지가 동기신호를 표시한다( ) [DX] [RXO] [RX7]

- 34 -

별표 자리 숫자의 코드 변환표[ 10] 10

자리의 숫자10

십억D2

억D1

천만D2

백만D1

십만D2

만D1

천D2

백D1

십D2

일D1

코드5 코드4 코드3 코드2 코드1

주( )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1 1

및 은 자리 숫자의 자리 숫자 에서 까지를 표시하고 각 코드는2 D2 D1 10 2 00 99

그 자리의 십진수를 코드번호로 한다2

숫자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최상위 자리수의 숫자 앞에 을 포함할 것3 0

별표 해역의 표시방법[ 11]

해역의 표시는 다음과 같은 것

선정되는 지리상의 해역은 메르카토르 도법의 직사각형으로 표시할1 (Mercator)

직사각형의 북서를 해역의 기준점으로 할 것2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존재하는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3 1

으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0] [1] [2] [3]

할 것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위도를 표시할 것4 2 3

제 번째에서 제 번째가지의 숫자는 기준점의 경도를 표시할 것5 4 6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남북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6 7 8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동서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7 9 10

표에 표시하는 해역 및 의 표시의 예는 다음과 같을 것8 ab c

기준점이 북위 도 및 서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1) 10 25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20 35 a

1 1 0 0 2 5 2 0 3 5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2) 10 10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10 10 b

2 1 0 0 1 0 1 0 1 0

- 35 -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3) 12 12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4 7 C

2 1 2 0 1 2 0 4 0 7

별표 주파수 및 채널정보의 코드변환표[ 12]

주파수0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주파수를 의 배수로서 숫자의 십100

만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다 1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2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채 널

3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중단파대 또는 단파대의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 다

8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별도로 정한 채널로 한다

9 0 times times times times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18게기하는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천 백 십 및 일의 숫자로 표시한다

십만 만 천 백 십 일

코드3 코드2 코드1

주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 ) 1

- 36 -

별표 종료신호의 송출순서[ 13]

주 기호 가 종료신호를 표시한다( ) H

- 37 -

제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3

제 절 송수신장치1 DSC VHF

시스템 개요1

본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모든기능을 충족하는 일체형과 전화용 복신방식의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호출 및 수신제어장치 로구분된 독립형 으로 구분되며 DSC DSC

이는 외형상의 구분이며 그주요기능별 구성은 각각의 유니트로된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표시 및 제어장치 와 전원부 로 구분되며 이것들은 다시 하나의DSC

케비넷 또는 독립된장치로서 구성된다

시스템 구성2

장비의 개요 및 특징3

가 개요

본 송수신기는 항만내 또는 연안에서 해안국과 선박국 또는 선박국 상호간VHF FM

의 해상이동업무 통신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기로서 이내의 해상156 ~162

이동 무선통신업무용의 전 을 수용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전파관리법 및CHANNEL

등 국제규격에 적합하도록 설계 제작된 기기로서 전세계ITU SOLAS USA USCG

어느곳에서나 규정에알맞게 사용할 수 있는 국제항만 무선전화기용 무선 송수신기

를 제작한다

- 38 -

나 특징

소형 경량화로서 좁은 장소에 설치가 용의하게 되어 있어야 한다(1)

송신각 각 방식을 채용하였으며 국제 항만 무선전화(2) DIRECT SYNTHESIZER

인 를 수용해야 하며 그외 개의CHANNEL 55(114) CHANNEL 105(527) FREE

이 수용되어 있어야 한다CHANNEL(SIMPLEX)

주 국제 중 미국연안에서 단식방식으로 절환 사용되고 있는1 CHANNEL 55(114)

을 사용 할 수 있을것USA CHANNEL(SIMPLEX)

주 별도의 기상수신 을 수용하고 있어야 한다2 WEATHER CHANNEL( )

USA 3 CHANNELS

CANADIAN 1 CHANNEL

OTHERS 5 CHANNELS

원격조정 회로의 내장으로 본기기의 판넬스위치와는 상관없이(3) REMOTE ( ) HAND

만 으로도 판넬 스위치 조작에 필요한 모든기능을 할 수 있고SET CONTROL VHF

의 원근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어야 한다SET

기능이 첨부되어 있어 미국연안 경비대 의 의무 청취(4) DUAL WATCH USCG( )

인 과 의 개의 을 동시에 수신할 수CHANNEL CH 13 CH 16 2 CHANNEL SCANNING

있으며 과 사용자가 선택하는 임의의 을 동시에CHANNEL 16 CHANNEL SCANNING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에 경보신호 기능의 내장으로 비상시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5) CH 16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국제 개 및 을(6) SCAN CHANNEL 55 FREE CHANNEL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SCANNING

안전통신에 지정되어 있는 은 우선 사용할 수 있도록(7) CHANNEL16 1 STEP

로 되어 있어야 한다SWITCH

국제 해상 인명 안전조약 에 정한 규격으로 되어 있어 전세계 어느곳의(8) SOLAS( )

규정에도 적합하며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구 성4

본 기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가 송 수신기 본체 대 1

나 HAND SET 1 SET

다 WHIP ANTENNA 1 SET

라 벽걸이형 SPEAKER 1 SET

마 전원 공급기 1 SET

- 39 -

규 격5

주파수 및 규격은 현재의 통신방식이며 정보통신부의 고시가 발표되면 협대역(125

로 변경한다)

가 일반사항

사용주파수 범위(1)

송 신 156025 ~ 157425 수 신 (SIMPLEX) 156025 ~ 157425 수 신 (DUPLEX) 160625 ~ 162025 기상수신 (WEATHER) 161650 ~ 162550

사용(2) CHANNEL

A International 55 (114) CHANNELSB USA 25 CHANNELSC FREE 105 (527) CHANNELSD WEATHER 9 CHANNELS

USA 3 CHANNELSCANADIAN 1 CHANNELOTHERS 5 CHANNELS

통신 방식(3) SIMPLEX amp DUPLEX

전파의 형식 전화(4) 16KOF3E( G3E DSC F2BG2B)

주파수 편차(5) 0001 (10 PPM)

사용 온도범위 부터(6) -10 + 50

예열 시간 전원 접속후 즉시 사용가능(7)

공칭(8) ANTENNA IMPEDANCE 50 ohm ( )

공급 전원(9)

전 압 136V plusmn 10전 류 수신시 800

송신시 5A전원 공급기 별도( ) 단상AC115V AC220V 60

부터 까지DC 15V 35V

나 송 신 부

정격 출력(1) HIGH -25 W

LOW - 1W

주 공중선 전력 저하장치로 이하 저하기능 보유1 1WATT주 단 보호 인 및 가 아님 은 송신이2 CHANNEL 7576 1 ~9(01 ~09 )CHANNEL되지 않음 기상수신대의 사용법은 본문 참조 ( )

- 40 -

발진 방식(2) SYNTHESIZER CONTROL SYSTEM

변조 방식(3) FREQUENCY MODULATION

점유 주파수 대역폭(4) 16 (8)

최대 주파수 편의(5) 5 (25)

복사강도 이상(6) SPURIOUS 70

변조 주파수 특성(7) 6 (plusmn 3 ) OCTAVE PRE-EMPHASIS)

(300 ~ 3 )

변조시 이하(8) DISTORTION 1 70 -20

신호 대 잡음비 변조시 이상(9) 1 70 40

저역 여파기 특성 이상에서 이상 감쇄(10) 3 -40log f3( ) (f = )

다 수 신 부

수 신 방 식(1) DOUBLE SUPERHETERODYNE SYSTEM

감 도(2) 이하 신호 대 잡음비 에서 025 V ( 20 )μ

감도(3) SQUELCH 이하 02 Vμ

국부 발진 주파수(4) 1lsquost LOCAL FREQUENCY

RECEIVER FREQUENCY - 214

2nd LOCAL FREQUENCY 10945

중간 주파수(5) 1lsquost IF FREQUENCY 214

2nd IF FREQUENCY 455

선 택 도(6) 저하폭 이상 6 12 (6)

저하폭 이하 70 25 (125)

(7) SPURIOUS RESPONCE 이상 70

감도 억압 효과(8) 이상 80

상호 변조 특성(9) 이상 65 ( 20 40 )

주파수 특성(10) 6 (plusmn3 )OCTAVE DE-EMPHASIS)

( 300 ~ 3 )

신호 대 잡음비(11) 변조시 이상 1 60 40

(12) DISTORTION 변조시 이하 1 70 -20

저주파 출력(13) 이상 1 WATT (IMPEDANCE 8 ohm)

- 41 -

제 절 차년도 개발 범위2 1

제 차년도 개발범위는 기초자료조사와 규정의 연구에 따라 기초회로의 설계 후1

사용부품을 시험하고 각 의 제작 및 시험 연이은 성능미달 의 차 차PCB PCB 2 3

차 재제작 시험을 완료하고 시스템의 설계까지이며 그 세부적인 개발범위는 다음4

과 같다

송수신장치 개발을 위한 제규정 수집 연구1 DSC VHF

기초자료 조사2

가 장비에 대한 기능특성 수집 연구

나 사용자 및 선박통신사의 요구사항에 대한 자료 수집 연구

다 외국장비와 비교 분석

라 부품규격 시험 및 선정

3 HARD WARE

가 고주파 필터코일 재질분석 및 각종코일 설계

나 제작 PCB

송신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1) PCB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시험(2) PCB

수신부회로 제작 시험(3) PCB

신세사이즈 회로 제작 시험(4) PCB

제어장치 제작 시험(5) PCB

표시장치 제작 시험(6) PCB

원격제어기 제작 시험(7) PCB

전원공급부 제작 시험(8) PCB

제작 시험(9) HAND SET PCB

전용수신기 제작 시험(10) DSC PCB

- 42 -

제 장 제 차년도 개발 항목 보고4 1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본 장비를 개발함에 있어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및 부품선정이 개발의 핵심 과제

로 생각하였다

기초자료는 기존 시스템분석과 전파관련법령을 기초하였고 주변회로는 관련된 회

로집을 분석하였으며 부품선정은 폐품종 여부와 수급이 용이하면서 견고하고 증폭

도 및 성능이 우수한 품종으로 장시간 시험을 거쳐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송신부 제작시험2

송신 출력회로 결정 회로설계 완료하여 각부 부품 구입 회 내구성 시험 및SPEC 30

구룹별 장시간 부품 부하 시험등 최종목표 성능을 확보하기위한 제반 기초 제작시

험을 완료 하였으며 주요 내용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의 발열상태등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의 높은 출력으로 증폭하는 송신전(VHF ) 25W

력 증폭기로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높은 고주파전력에 견딜수있어야 하고 열

에의해 발생되는 열잡음이 적으야하며 열에의한 부품의 열화 및 특성의 변화가 적

은 부품을 사용여야 하므로 온습도시험 과 과출력 시험을 통하여 사용될 부품을 시

험하였다

특히 고조파 필터회로 부품인 코일은 동선에 전도율이 좋은 재질로 도금하여 사용

하여야 하며 고조파필터회로 의 차폐용 재료도 동판에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도금

하여 사용 하여야 한다

나 송신 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PCB (PCB NO V-097)

개발과정에서의 설계변경 및 생산시스템의 전산화 에 적용 할수있도록 회로 설계는

물론 설계 회로기판 도안 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설계완료된 는PCB ( ) CAD DATA

회로기판 제작장치 외주 작업 및 부품삽입기 자사 작업 에 직접 컴퓨터용 디스켙( ) ( ) (

으로 입력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회로에 높은 고주파전류가 흐르므로인하여 빌진할 가능성 및 잡음발생의 우려PCB

가 많으므로 특히 부품배치에 유의하여 설계하였으며 송신신호 발생회로 또는 전원

회로 와의 배선은 관통형콘덴서등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였다

회로에 사용되는 코일은 각 코일간에 간섭을 줄이기위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설정하

였으며 전체를 차폐하고 또 고조파 필터회로를 구분하여 차폐하여 제작 하였PCB

- 43 -

또 안정된 출력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회로를 장치하여 설정된 출력 이상의ALC

출력을 제한한다

다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PCB (PCB NO V-096TX)

설계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이 는 미약한 고주파 신호를 발생 변PCB CAD PCB

환 증폭 하므로서 송신부 또는 외부로 부터의 잡음 유입과 내부잡음 발생에 유의

하여 설계되었으며 불요복사 억제에 유의하였다

라 성능시험

메칭상태 시험(1)

옴 파장 수직형 안테나 를 사용할수 있도록 시험하였으며 차적인 시험은 의50 12 1

사부하에 의해 시험하고 의사부하 안테나에 정상적인 메칭이 된 후 실제 사용 안테

나에 확인시험 하였다

이 시험에서 양질의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장치는 물론 안테나의 성능이 중

요하며 인접한 고전력 안테나 및 낙뢰로부터 안정성 등을 감안하여 안테나는 VHF

대역 이하의 주파수에 대하여 쇼트형 안테나가 바람직 하다

기존 시스템의 이상의 성능 확보(2) 90

송신부의 주기능으로서 양질의전파를 안테나로 공중에 발사하는 장치로서 주피수안

정도 고조파억압 불효전파억제 안정된전력 안정된 주파수편이 낮은 왜율 등의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시험결과는 기존의 제품의 특성에 가까운 성능을 확보

하였으나 안테나공용기 복신통신용 필터 특성의 개선및 송신부 관련부품의 배치를( )

개선하므로서 보다 좋은 성능을 확보 할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신부 제작시험3

수신부는 안테나입력회로 입력동조회로 단신통신 및 복신통신 각 주파수 대역 필 (

터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로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 1 1 2 2

로 대역필터회로 신호제한 리미터 회로 복조회로 무신호잡음 차단 회로 저주 ( ) FM

파 증폭회로 및 국부발진회로 로서 구성되나 국부발진회로는 잡음의 발생및 유입

주파수안정도 등을 감안하여 별도의 로서 제작하였으며 그외 수신부와 관련한PCB

내용은 다음과 같다

- 44 -

가 사용부품의 구입 및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증폭과 변환을 반복하여 요구되는 신호(VHF )

를 복조하여 기청음 또는 의 문자표시로 출력되게 하므로서 안정된 주파수 및DSC

증폭이 요구되므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당연히 고주파특성에 유의하여 주파수

차에의한 특성변화 열잡음 및 고주파잡음 능동소자등의 직선성 등이 교려되어야하

므로 항온항습시험과 과전류에의한 잡음발생의 시험 등 을 거처 엄선한 부품으로

설정사용 하였다

특히 회로의 선택도 코알의 값 를 높이기 위하여 가 높은 트랜스 재료를 사용하( Q ) Q

였다

다 수신부회로 제작 PCB (PCB NO V-096RX)

위 항에서의 시험에 의해 선택된 부품을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며 수신부의 특성31

상 잡음의 발생보다는 잡음의 유입에 유의하여 설계되었으며 안정된 증폭 특성 수(

신감도 을 얻기위하여 중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회로기판은 에폭시) 2

수지 양면인쇄동판을 사용하여 부품삽입면은 대부분 공통단자로 이용하여 부품간의

간섭을최소화 하였다

다 수신부 특성시험

수신부 특성상 수신감도 주파수안정도 왜율 통과대역폭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감도억압비 혼변조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신호대 잡음비 일 때의 수신감 20

도 성능이 확보되며 기타 여러 가지 특성도 최종목표 특성에 가까운 성능이05

확보 되었으나 까지 수신감도가 향상되도록 성능개선이 요구된다025 V 120757

신세사이즈부의 회로의 안정도로 인하여 국부발진 신호의 흔들림현상이 있어VCO

통과대역폭 및 잡음발생의 원인이되어 신세사이즈회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신세시이즈회로는 크게 수신국부발진 신호용과 송신신호용으로 구분되며 단신통신

과 복신통신방식일때 각각 동작할수있는 구성으로 설계되었으며 그 내용별로 구분

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전압제어발진기 에 사용되는 부품은 온도 및 전압변동에 특성의변화가 극히(VCO)

적어야하며 외부로부터 정전 및 자계영향이 크므로 회로를 별도로 정전 및 자VCO

계로부터 차폐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혼변조 및 잡음신호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파수선택 표준신호 등 시 수신( )

대역 및 송신대역에 영향이 없는 주파수로 하였으며 가능한 레벨을 제외한 신(TTL

호 파형의 왜율이 적은신호로서 각회로신호를 사용하여 결합하였다)

- 45 -

나 신세사이회로 제작 (PCB NO V-096PLL)

이회로 기판은 여러종류의 신호들이 발생 혼합 증폭 비교 되므로 각부품 간의 배

치에따라 잡음발생의 정도가 크게 좌우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였으며 회로는 외VCO

부영향에 민감하게 작동되므로 차폐 에 유의하여 부품의 배치 적절하게 하였으며

잡음발생을 유의하여 부품을 선정하였다

다 성능시험

이회로의 특성상 주파수안정도 주파수의 흔들림 위상비교기의 비교속도 등에 유의

하여 시험하였으며 여러가지 일반적인 특성은 최종목표사양에 만족될 수 있는 신호

원을 공급할수 있었어나 주파수의 흔들림 현상이 있어 회로의 부품 및 차폐에VCO

개선이 요구된다

제어장치 제작시험5 (PCB NO V-263)

이회로의 주요부품으로서 를 사용하여 당개발과제의 송수신 및 외부V25 CPU DSC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며 아울러 본체 전면표시기와 스윗치 입출력 기능도 한다

이회로의 주요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스 읽기전용 메모리 읽고CPU( ) ROM( ) RAM(

쓰기 메모리 직렬통신용 입출력 병렬통신 입출력 아날로그 디지) SIO( ) PIO( ) AD(

탈 변환기 스윗치입력 표시기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개발 내용은 다음과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에 사용되는 부품은 대부분 디지탈신호를 처리하여 회로로서 및TTL IC

로서 구성되며 저소비전력 및 고속처리능력이 요구되므로 주로 고속용C-MOS IC

중 형 를 사용 하였으며 장치의 초기설정 및 기능 설정의C-MOS(C-MOS IC HC )

변경등 의 목적으로 은 충전형 밧테리로서 메모리내용을 전원의 에 관RAM ONOFF

계없이 유지하도록 하였다

외부 제어기 등 와의 통신용 의 통신속도를 또는 등으로(DSC ) RS-232C 2400 4800

변경 설정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변환기 등을 이용하여 자기진단을 할수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장비의 유지및AD

보수에 많은 도움이된다

- 46 -

나 성능시험

운용시험(1)

이회로의 특성상 전기적 특성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특성 및 성능이 요구되므로 운

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이부분에 대한 시험은 개발자입

장이 아닌 운용자가 시험하여야 하는 관계로 선박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사용자에게

의뢰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로서는 기능면에서는 양호하나 사용상 복잡한 면이 있어 보다 조작 을 간편

히 할수있도록 개선할 필요가있는 것으로 본다

표시장치 시험(2) (PCB NO V-260)

본장치의 사용상 필요한 기능 및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내용과 기기 동작

상태의 일치성이 요구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온습도 및 장기시험 으

로서 확인하였으며 여러 가지 표시장치중 각각 중단점이 나타낮다

즉 액정 표시기 표시기는 저소비전력이며 주위가 밝은곳에서 사용이 가능 하LCD( )

나 반면 온도특성이 나쁘며 형광표시관 표시기는 온도특성은 양호하나 소비전 VFD( )

력이 대체로 높고 보다 낮고 보다 많음 수명이 낮다는 단점이있으며(FND LCD )

발광 다이오드 표시기는 모든면에서 대체로 양호 하나 잡음발생 이많으며 밝FND( )

은곳에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외 여러 가지의 장담점을 검토하여 차적인 결론은 표시기가 적합한 것으로1 LCD

본다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최소의 전기적신호 연결로서 최대의 기능제어및 속도가 요구되는 장치로서 저주파

신호의 입력 마이크 신호 및 출력 스피크 신호 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 제어는( FS ) ( )

직렬통신 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였으며 장거리 일반 공용통신망 을 이(RS-232C)

용할수도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요 구성은 중앙제어장치 스윗치입력 장치 표시장치 메모리장치 직렬통신장치

로 구성되며 그 상세한 개발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의 대부분이 디지탈신호의 처리회로로서 구성되므로 제어장치 의 사용 부품ldquo rdquo

시험 및 선정기준과 같으며 장거리운용상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신속도를

알맞게하며 장거리통신 선로에서 유기되는 잡음을 최소화 하기위한 필터회로 및

소프트웨어적인 오류정정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별도 설계 사용 하였다

- 47 -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V-170)

이장치는 사용상 편리하여야 하므로 소형 경량 으로 제작 하였으며 차적 기능 시 1

험을 목적으로 외형 보다는 성능을 우선하여 시험용으로 제작하였다 이장치의 시

험은 전용케이블 을 이용하여 시험하였고 또 일반 공용통신용 전화 선로를 통하여

원거리 시험을 하였으며 그결과로서 통신속도가 까지 양호하게 동작되나2400bps

그이상의 통신속도로서 운용 할려면 전용회선이 필요하게된다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가 결정 SPEC

각회로 에서 필요로하는 전압 및 전류에 알맞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반 성능

을 차적으로 설정 하였으며 최종목표 사양에 일치하기위하여서는 전원부의 장치에1

대하여 모든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최종 특성이 설정 되어야 한다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P-099)

이장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되나 반면에 안정성이 확고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안

정성을 첫째로 중요시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이회로는 많은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많은 전력이 열로서 손실되므로 방열에 특히 유의하여 제작되었으며 열발생이 많은

부품은 알미늄 방열판에 설치하고 이방열판은 본장치 외함의 바깥쪽에 설치하여 방

열효과를 최대화 하였다

이회로의 시험은 과입력전압 및 과소비전력 일때의 안정성에 중점 시험하였고 그시

험을 위하여 장시간 항온 항습기 를 이용하여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전원부의 안정

성 확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도 이회로를 특별히 개선하지 않고도 최

종목표 사양에 만족하리라 본다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PCB NO V-098)

마이크 회로 수화기 회로 송신 스윗치 회로 로서 구성되며 이장치는 사용 특성상

충격에 강하도록 설계제작 되어야 하며 무게는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재료선택이

중요하며 이러한점을 감안하여 사출금형에 의하여 성형 하였으며 성형 제료로서는

제료를 사용하고 사용 부품을 최소화 하여 제작 하였다ABS

이장치의 특성상 견고하며 방수효과가 최대이어야 하므로 충격 자연낙하 시험 및( )

방수시험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 성형제료 및 외형상의 문제는 없이나

송화기 및 수화기의 선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송화기는 콘텐서형

마이크가 좋으며 수화기로는 가변코일형으로서 떨림판이 평면으로된 수화기가 우수

한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선정하여 제작시험 하였다

- 48 -

전용 수신기9 DSC (PCB NO T-342)

전용수신 장치는 송수신장치중 송신부를 제외한 구조와 유사하므로 개발과정에서

송수신장치중 수신부회로에 복조장치 를 추가하여 별도 로 제작하여 시험DSC PCB

하였으며 개발내용중 전용수신기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DSC

가 기능 및 동작

변조되어 수신된 신호를 필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후 신호 처리용FM DSC DSC

마이크로프로세스 에 공급하여 소프트웨어로서 신호를 분석한후 표시장치 메(CPU)

모리장치 인쇄장치 등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전용 찬넬인 번 찬넬을 항상 DSC 70

수신상태로 동작하여 신호 도트신호 를 검출하고 신호가 있으면 이어서CALL ( ) CALL

수신되는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표시장치 및 경보장치에 출력한다

나 신호 신호 필터회로 와 신호 처리부 및 제어용회로부 DSC (FS ) DSC DSC

제작시험 (PCB NO T-325 T-326 T-327)

이 회로의 성능은 주로 필터 및 디지탈변환 회로에서 결정되며 소프트웨어의 성능

에 따라 안정성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점을 유의하여 설계제작 하여으며 성능 시험

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험용 정보를 송신장치로 통해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후 그

결과를 분석 시험 하였다

다 전용 수신기의 개발과정 에서의 학보된 기술 DSC

신호 및 의 신호 의 필터 및 디지털 변환 기술DSC (1300 2100 FS )

신호 검출 및 직렬신호의 병렬변환 소프트웨어DOT

기술 정보의 비교 및 인쇄출력 소프트웨어 기술

종합시험10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별 차 차 차 보완시험은 만족하며 앞으로 개발의 중점은 사용의 편리성과PCB 1 2 3

생산성에 중점 개발이 요하며 배치에 따라 야기될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 PCB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후 최종제품을 제작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49 -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1

가 전면판 사출금형

나 옆판 스피커 안테나 금형

다 노브 사출금형

라 윗면 및 밑면 프레스 금형

마 설치용 고정장치 사출 금형

바 설치대 프레스 금형

사 뒷면 작업용 프레스 금형

아 항온조용 열차단금형

자 필타 금형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2

가 송수신기 제어장치 프로그램

나 전용 수신기 제어용 프로그램 DSC

다 원격조정기 프로그램

라 송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마 수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3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34: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34 -

별표 자리 숫자의 코드 변환표[ 10] 10

자리의 숫자10

십억D2

억D1

천만D2

백만D1

십만D2

만D1

천D2

백D1

십D2

일D1

코드5 코드4 코드3 코드2 코드1

주( )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1 1

및 은 자리 숫자의 자리 숫자 에서 까지를 표시하고 각 코드는2 D2 D1 10 2 00 99

그 자리의 십진수를 코드번호로 한다2

숫자의 자리수가 홀수의 경우는 최상위 자리수의 숫자 앞에 을 포함할 것3 0

별표 해역의 표시방법[ 11]

해역의 표시는 다음과 같은 것

선정되는 지리상의 해역은 메르카토르 도법의 직사각형으로 표시할1 (Mercator)

직사각형의 북서를 해역의 기준점으로 할 것2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존재하는 방위각 부분을 표시하고 북동의 방향을3 1

으로 북서의 방향을 로 남동의 방향을 및 남서의 방향을 으로 표시[0] [1] [2] [3]

할 것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기준점의 위도를 표시할 것4 2 3

제 번째에서 제 번째가지의 숫자는 기준점의 경도를 표시할 것5 4 6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남북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6 7 8

제 번째 및 제 번째의 숫자는 직사각형의 동서방향의 거리를 도로 표시할 것7 9 10

표에 표시하는 해역 및 의 표시의 예는 다음과 같을 것8 ab c

기준점이 북위 도 및 서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1) 10 25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20 35 a

1 1 0 0 2 5 2 0 3 5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2) 10 10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10 10 b

2 1 0 0 1 0 1 0 1 0

- 35 -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3) 12 12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4 7 C

2 1 2 0 1 2 0 4 0 7

별표 주파수 및 채널정보의 코드변환표[ 12]

주파수0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주파수를 의 배수로서 숫자의 십100

만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다 1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2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채 널

3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중단파대 또는 단파대의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 다

8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별도로 정한 채널로 한다

9 0 times times times times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18게기하는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천 백 십 및 일의 숫자로 표시한다

십만 만 천 백 십 일

코드3 코드2 코드1

주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 ) 1

- 36 -

별표 종료신호의 송출순서[ 13]

주 기호 가 종료신호를 표시한다( ) H

- 37 -

제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3

제 절 송수신장치1 DSC VHF

시스템 개요1

본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모든기능을 충족하는 일체형과 전화용 복신방식의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호출 및 수신제어장치 로구분된 독립형 으로 구분되며 DSC DSC

이는 외형상의 구분이며 그주요기능별 구성은 각각의 유니트로된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표시 및 제어장치 와 전원부 로 구분되며 이것들은 다시 하나의DSC

케비넷 또는 독립된장치로서 구성된다

시스템 구성2

장비의 개요 및 특징3

가 개요

본 송수신기는 항만내 또는 연안에서 해안국과 선박국 또는 선박국 상호간VHF FM

의 해상이동업무 통신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기로서 이내의 해상156 ~162

이동 무선통신업무용의 전 을 수용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전파관리법 및CHANNEL

등 국제규격에 적합하도록 설계 제작된 기기로서 전세계ITU SOLAS USA USCG

어느곳에서나 규정에알맞게 사용할 수 있는 국제항만 무선전화기용 무선 송수신기

를 제작한다

- 38 -

나 특징

소형 경량화로서 좁은 장소에 설치가 용의하게 되어 있어야 한다(1)

송신각 각 방식을 채용하였으며 국제 항만 무선전화(2) DIRECT SYNTHESIZER

인 를 수용해야 하며 그외 개의CHANNEL 55(114) CHANNEL 105(527) FREE

이 수용되어 있어야 한다CHANNEL(SIMPLEX)

주 국제 중 미국연안에서 단식방식으로 절환 사용되고 있는1 CHANNEL 55(114)

을 사용 할 수 있을것USA CHANNEL(SIMPLEX)

주 별도의 기상수신 을 수용하고 있어야 한다2 WEATHER CHANNEL( )

USA 3 CHANNELS

CANADIAN 1 CHANNEL

OTHERS 5 CHANNELS

원격조정 회로의 내장으로 본기기의 판넬스위치와는 상관없이(3) REMOTE ( ) HAND

만 으로도 판넬 스위치 조작에 필요한 모든기능을 할 수 있고SET CONTROL VHF

의 원근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어야 한다SET

기능이 첨부되어 있어 미국연안 경비대 의 의무 청취(4) DUAL WATCH USCG( )

인 과 의 개의 을 동시에 수신할 수CHANNEL CH 13 CH 16 2 CHANNEL SCANNING

있으며 과 사용자가 선택하는 임의의 을 동시에CHANNEL 16 CHANNEL SCANNING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에 경보신호 기능의 내장으로 비상시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5) CH 16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국제 개 및 을(6) SCAN CHANNEL 55 FREE CHANNEL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SCANNING

안전통신에 지정되어 있는 은 우선 사용할 수 있도록(7) CHANNEL16 1 STEP

로 되어 있어야 한다SWITCH

국제 해상 인명 안전조약 에 정한 규격으로 되어 있어 전세계 어느곳의(8) SOLAS( )

규정에도 적합하며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구 성4

본 기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가 송 수신기 본체 대 1

나 HAND SET 1 SET

다 WHIP ANTENNA 1 SET

라 벽걸이형 SPEAKER 1 SET

마 전원 공급기 1 SET

- 39 -

규 격5

주파수 및 규격은 현재의 통신방식이며 정보통신부의 고시가 발표되면 협대역(125

로 변경한다)

가 일반사항

사용주파수 범위(1)

송 신 156025 ~ 157425 수 신 (SIMPLEX) 156025 ~ 157425 수 신 (DUPLEX) 160625 ~ 162025 기상수신 (WEATHER) 161650 ~ 162550

사용(2) CHANNEL

A International 55 (114) CHANNELSB USA 25 CHANNELSC FREE 105 (527) CHANNELSD WEATHER 9 CHANNELS

USA 3 CHANNELSCANADIAN 1 CHANNELOTHERS 5 CHANNELS

통신 방식(3) SIMPLEX amp DUPLEX

전파의 형식 전화(4) 16KOF3E( G3E DSC F2BG2B)

주파수 편차(5) 0001 (10 PPM)

사용 온도범위 부터(6) -10 + 50

예열 시간 전원 접속후 즉시 사용가능(7)

공칭(8) ANTENNA IMPEDANCE 50 ohm ( )

공급 전원(9)

전 압 136V plusmn 10전 류 수신시 800

송신시 5A전원 공급기 별도( ) 단상AC115V AC220V 60

부터 까지DC 15V 35V

나 송 신 부

정격 출력(1) HIGH -25 W

LOW - 1W

주 공중선 전력 저하장치로 이하 저하기능 보유1 1WATT주 단 보호 인 및 가 아님 은 송신이2 CHANNEL 7576 1 ~9(01 ~09 )CHANNEL되지 않음 기상수신대의 사용법은 본문 참조 ( )

- 40 -

발진 방식(2) SYNTHESIZER CONTROL SYSTEM

변조 방식(3) FREQUENCY MODULATION

점유 주파수 대역폭(4) 16 (8)

최대 주파수 편의(5) 5 (25)

복사강도 이상(6) SPURIOUS 70

변조 주파수 특성(7) 6 (plusmn 3 ) OCTAVE PRE-EMPHASIS)

(300 ~ 3 )

변조시 이하(8) DISTORTION 1 70 -20

신호 대 잡음비 변조시 이상(9) 1 70 40

저역 여파기 특성 이상에서 이상 감쇄(10) 3 -40log f3( ) (f = )

다 수 신 부

수 신 방 식(1) DOUBLE SUPERHETERODYNE SYSTEM

감 도(2) 이하 신호 대 잡음비 에서 025 V ( 20 )μ

감도(3) SQUELCH 이하 02 Vμ

국부 발진 주파수(4) 1lsquost LOCAL FREQUENCY

RECEIVER FREQUENCY - 214

2nd LOCAL FREQUENCY 10945

중간 주파수(5) 1lsquost IF FREQUENCY 214

2nd IF FREQUENCY 455

선 택 도(6) 저하폭 이상 6 12 (6)

저하폭 이하 70 25 (125)

(7) SPURIOUS RESPONCE 이상 70

감도 억압 효과(8) 이상 80

상호 변조 특성(9) 이상 65 ( 20 40 )

주파수 특성(10) 6 (plusmn3 )OCTAVE DE-EMPHASIS)

( 300 ~ 3 )

신호 대 잡음비(11) 변조시 이상 1 60 40

(12) DISTORTION 변조시 이하 1 70 -20

저주파 출력(13) 이상 1 WATT (IMPEDANCE 8 ohm)

- 41 -

제 절 차년도 개발 범위2 1

제 차년도 개발범위는 기초자료조사와 규정의 연구에 따라 기초회로의 설계 후1

사용부품을 시험하고 각 의 제작 및 시험 연이은 성능미달 의 차 차PCB PCB 2 3

차 재제작 시험을 완료하고 시스템의 설계까지이며 그 세부적인 개발범위는 다음4

과 같다

송수신장치 개발을 위한 제규정 수집 연구1 DSC VHF

기초자료 조사2

가 장비에 대한 기능특성 수집 연구

나 사용자 및 선박통신사의 요구사항에 대한 자료 수집 연구

다 외국장비와 비교 분석

라 부품규격 시험 및 선정

3 HARD WARE

가 고주파 필터코일 재질분석 및 각종코일 설계

나 제작 PCB

송신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1) PCB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시험(2) PCB

수신부회로 제작 시험(3) PCB

신세사이즈 회로 제작 시험(4) PCB

제어장치 제작 시험(5) PCB

표시장치 제작 시험(6) PCB

원격제어기 제작 시험(7) PCB

전원공급부 제작 시험(8) PCB

제작 시험(9) HAND SET PCB

전용수신기 제작 시험(10) DSC PCB

- 42 -

제 장 제 차년도 개발 항목 보고4 1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본 장비를 개발함에 있어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및 부품선정이 개발의 핵심 과제

로 생각하였다

기초자료는 기존 시스템분석과 전파관련법령을 기초하였고 주변회로는 관련된 회

로집을 분석하였으며 부품선정은 폐품종 여부와 수급이 용이하면서 견고하고 증폭

도 및 성능이 우수한 품종으로 장시간 시험을 거쳐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송신부 제작시험2

송신 출력회로 결정 회로설계 완료하여 각부 부품 구입 회 내구성 시험 및SPEC 30

구룹별 장시간 부품 부하 시험등 최종목표 성능을 확보하기위한 제반 기초 제작시

험을 완료 하였으며 주요 내용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의 발열상태등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의 높은 출력으로 증폭하는 송신전(VHF ) 25W

력 증폭기로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높은 고주파전력에 견딜수있어야 하고 열

에의해 발생되는 열잡음이 적으야하며 열에의한 부품의 열화 및 특성의 변화가 적

은 부품을 사용여야 하므로 온습도시험 과 과출력 시험을 통하여 사용될 부품을 시

험하였다

특히 고조파 필터회로 부품인 코일은 동선에 전도율이 좋은 재질로 도금하여 사용

하여야 하며 고조파필터회로 의 차폐용 재료도 동판에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도금

하여 사용 하여야 한다

나 송신 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PCB (PCB NO V-097)

개발과정에서의 설계변경 및 생산시스템의 전산화 에 적용 할수있도록 회로 설계는

물론 설계 회로기판 도안 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설계완료된 는PCB ( ) CAD DATA

회로기판 제작장치 외주 작업 및 부품삽입기 자사 작업 에 직접 컴퓨터용 디스켙( ) ( ) (

으로 입력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회로에 높은 고주파전류가 흐르므로인하여 빌진할 가능성 및 잡음발생의 우려PCB

가 많으므로 특히 부품배치에 유의하여 설계하였으며 송신신호 발생회로 또는 전원

회로 와의 배선은 관통형콘덴서등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였다

회로에 사용되는 코일은 각 코일간에 간섭을 줄이기위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설정하

였으며 전체를 차폐하고 또 고조파 필터회로를 구분하여 차폐하여 제작 하였PCB

- 43 -

또 안정된 출력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회로를 장치하여 설정된 출력 이상의ALC

출력을 제한한다

다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PCB (PCB NO V-096TX)

설계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이 는 미약한 고주파 신호를 발생 변PCB CAD PCB

환 증폭 하므로서 송신부 또는 외부로 부터의 잡음 유입과 내부잡음 발생에 유의

하여 설계되었으며 불요복사 억제에 유의하였다

라 성능시험

메칭상태 시험(1)

옴 파장 수직형 안테나 를 사용할수 있도록 시험하였으며 차적인 시험은 의50 12 1

사부하에 의해 시험하고 의사부하 안테나에 정상적인 메칭이 된 후 실제 사용 안테

나에 확인시험 하였다

이 시험에서 양질의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장치는 물론 안테나의 성능이 중

요하며 인접한 고전력 안테나 및 낙뢰로부터 안정성 등을 감안하여 안테나는 VHF

대역 이하의 주파수에 대하여 쇼트형 안테나가 바람직 하다

기존 시스템의 이상의 성능 확보(2) 90

송신부의 주기능으로서 양질의전파를 안테나로 공중에 발사하는 장치로서 주피수안

정도 고조파억압 불효전파억제 안정된전력 안정된 주파수편이 낮은 왜율 등의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시험결과는 기존의 제품의 특성에 가까운 성능을 확보

하였으나 안테나공용기 복신통신용 필터 특성의 개선및 송신부 관련부품의 배치를( )

개선하므로서 보다 좋은 성능을 확보 할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신부 제작시험3

수신부는 안테나입력회로 입력동조회로 단신통신 및 복신통신 각 주파수 대역 필 (

터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로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 1 1 2 2

로 대역필터회로 신호제한 리미터 회로 복조회로 무신호잡음 차단 회로 저주 ( ) FM

파 증폭회로 및 국부발진회로 로서 구성되나 국부발진회로는 잡음의 발생및 유입

주파수안정도 등을 감안하여 별도의 로서 제작하였으며 그외 수신부와 관련한PCB

내용은 다음과 같다

- 44 -

가 사용부품의 구입 및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증폭과 변환을 반복하여 요구되는 신호(VHF )

를 복조하여 기청음 또는 의 문자표시로 출력되게 하므로서 안정된 주파수 및DSC

증폭이 요구되므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당연히 고주파특성에 유의하여 주파수

차에의한 특성변화 열잡음 및 고주파잡음 능동소자등의 직선성 등이 교려되어야하

므로 항온항습시험과 과전류에의한 잡음발생의 시험 등 을 거처 엄선한 부품으로

설정사용 하였다

특히 회로의 선택도 코알의 값 를 높이기 위하여 가 높은 트랜스 재료를 사용하( Q ) Q

였다

다 수신부회로 제작 PCB (PCB NO V-096RX)

위 항에서의 시험에 의해 선택된 부품을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며 수신부의 특성31

상 잡음의 발생보다는 잡음의 유입에 유의하여 설계되었으며 안정된 증폭 특성 수(

신감도 을 얻기위하여 중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회로기판은 에폭시) 2

수지 양면인쇄동판을 사용하여 부품삽입면은 대부분 공통단자로 이용하여 부품간의

간섭을최소화 하였다

다 수신부 특성시험

수신부 특성상 수신감도 주파수안정도 왜율 통과대역폭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감도억압비 혼변조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신호대 잡음비 일 때의 수신감 20

도 성능이 확보되며 기타 여러 가지 특성도 최종목표 특성에 가까운 성능이05

확보 되었으나 까지 수신감도가 향상되도록 성능개선이 요구된다025 V 120757

신세사이즈부의 회로의 안정도로 인하여 국부발진 신호의 흔들림현상이 있어VCO

통과대역폭 및 잡음발생의 원인이되어 신세사이즈회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신세시이즈회로는 크게 수신국부발진 신호용과 송신신호용으로 구분되며 단신통신

과 복신통신방식일때 각각 동작할수있는 구성으로 설계되었으며 그 내용별로 구분

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전압제어발진기 에 사용되는 부품은 온도 및 전압변동에 특성의변화가 극히(VCO)

적어야하며 외부로부터 정전 및 자계영향이 크므로 회로를 별도로 정전 및 자VCO

계로부터 차폐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혼변조 및 잡음신호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파수선택 표준신호 등 시 수신( )

대역 및 송신대역에 영향이 없는 주파수로 하였으며 가능한 레벨을 제외한 신(TTL

호 파형의 왜율이 적은신호로서 각회로신호를 사용하여 결합하였다)

- 45 -

나 신세사이회로 제작 (PCB NO V-096PLL)

이회로 기판은 여러종류의 신호들이 발생 혼합 증폭 비교 되므로 각부품 간의 배

치에따라 잡음발생의 정도가 크게 좌우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였으며 회로는 외VCO

부영향에 민감하게 작동되므로 차폐 에 유의하여 부품의 배치 적절하게 하였으며

잡음발생을 유의하여 부품을 선정하였다

다 성능시험

이회로의 특성상 주파수안정도 주파수의 흔들림 위상비교기의 비교속도 등에 유의

하여 시험하였으며 여러가지 일반적인 특성은 최종목표사양에 만족될 수 있는 신호

원을 공급할수 있었어나 주파수의 흔들림 현상이 있어 회로의 부품 및 차폐에VCO

개선이 요구된다

제어장치 제작시험5 (PCB NO V-263)

이회로의 주요부품으로서 를 사용하여 당개발과제의 송수신 및 외부V25 CPU DSC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며 아울러 본체 전면표시기와 스윗치 입출력 기능도 한다

이회로의 주요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스 읽기전용 메모리 읽고CPU( ) ROM( ) RAM(

쓰기 메모리 직렬통신용 입출력 병렬통신 입출력 아날로그 디지) SIO( ) PIO( ) AD(

탈 변환기 스윗치입력 표시기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개발 내용은 다음과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에 사용되는 부품은 대부분 디지탈신호를 처리하여 회로로서 및TTL IC

로서 구성되며 저소비전력 및 고속처리능력이 요구되므로 주로 고속용C-MOS IC

중 형 를 사용 하였으며 장치의 초기설정 및 기능 설정의C-MOS(C-MOS IC HC )

변경등 의 목적으로 은 충전형 밧테리로서 메모리내용을 전원의 에 관RAM ONOFF

계없이 유지하도록 하였다

외부 제어기 등 와의 통신용 의 통신속도를 또는 등으로(DSC ) RS-232C 2400 4800

변경 설정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변환기 등을 이용하여 자기진단을 할수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장비의 유지및AD

보수에 많은 도움이된다

- 46 -

나 성능시험

운용시험(1)

이회로의 특성상 전기적 특성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특성 및 성능이 요구되므로 운

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이부분에 대한 시험은 개발자입

장이 아닌 운용자가 시험하여야 하는 관계로 선박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사용자에게

의뢰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로서는 기능면에서는 양호하나 사용상 복잡한 면이 있어 보다 조작 을 간편

히 할수있도록 개선할 필요가있는 것으로 본다

표시장치 시험(2) (PCB NO V-260)

본장치의 사용상 필요한 기능 및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내용과 기기 동작

상태의 일치성이 요구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온습도 및 장기시험 으

로서 확인하였으며 여러 가지 표시장치중 각각 중단점이 나타낮다

즉 액정 표시기 표시기는 저소비전력이며 주위가 밝은곳에서 사용이 가능 하LCD( )

나 반면 온도특성이 나쁘며 형광표시관 표시기는 온도특성은 양호하나 소비전 VFD( )

력이 대체로 높고 보다 낮고 보다 많음 수명이 낮다는 단점이있으며(FND LCD )

발광 다이오드 표시기는 모든면에서 대체로 양호 하나 잡음발생 이많으며 밝FND( )

은곳에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외 여러 가지의 장담점을 검토하여 차적인 결론은 표시기가 적합한 것으로1 LCD

본다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최소의 전기적신호 연결로서 최대의 기능제어및 속도가 요구되는 장치로서 저주파

신호의 입력 마이크 신호 및 출력 스피크 신호 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 제어는( FS ) ( )

직렬통신 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였으며 장거리 일반 공용통신망 을 이(RS-232C)

용할수도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요 구성은 중앙제어장치 스윗치입력 장치 표시장치 메모리장치 직렬통신장치

로 구성되며 그 상세한 개발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의 대부분이 디지탈신호의 처리회로로서 구성되므로 제어장치 의 사용 부품ldquo rdquo

시험 및 선정기준과 같으며 장거리운용상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신속도를

알맞게하며 장거리통신 선로에서 유기되는 잡음을 최소화 하기위한 필터회로 및

소프트웨어적인 오류정정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별도 설계 사용 하였다

- 47 -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V-170)

이장치는 사용상 편리하여야 하므로 소형 경량 으로 제작 하였으며 차적 기능 시 1

험을 목적으로 외형 보다는 성능을 우선하여 시험용으로 제작하였다 이장치의 시

험은 전용케이블 을 이용하여 시험하였고 또 일반 공용통신용 전화 선로를 통하여

원거리 시험을 하였으며 그결과로서 통신속도가 까지 양호하게 동작되나2400bps

그이상의 통신속도로서 운용 할려면 전용회선이 필요하게된다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가 결정 SPEC

각회로 에서 필요로하는 전압 및 전류에 알맞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반 성능

을 차적으로 설정 하였으며 최종목표 사양에 일치하기위하여서는 전원부의 장치에1

대하여 모든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최종 특성이 설정 되어야 한다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P-099)

이장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되나 반면에 안정성이 확고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안

정성을 첫째로 중요시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이회로는 많은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많은 전력이 열로서 손실되므로 방열에 특히 유의하여 제작되었으며 열발생이 많은

부품은 알미늄 방열판에 설치하고 이방열판은 본장치 외함의 바깥쪽에 설치하여 방

열효과를 최대화 하였다

이회로의 시험은 과입력전압 및 과소비전력 일때의 안정성에 중점 시험하였고 그시

험을 위하여 장시간 항온 항습기 를 이용하여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전원부의 안정

성 확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도 이회로를 특별히 개선하지 않고도 최

종목표 사양에 만족하리라 본다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PCB NO V-098)

마이크 회로 수화기 회로 송신 스윗치 회로 로서 구성되며 이장치는 사용 특성상

충격에 강하도록 설계제작 되어야 하며 무게는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재료선택이

중요하며 이러한점을 감안하여 사출금형에 의하여 성형 하였으며 성형 제료로서는

제료를 사용하고 사용 부품을 최소화 하여 제작 하였다ABS

이장치의 특성상 견고하며 방수효과가 최대이어야 하므로 충격 자연낙하 시험 및( )

방수시험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 성형제료 및 외형상의 문제는 없이나

송화기 및 수화기의 선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송화기는 콘텐서형

마이크가 좋으며 수화기로는 가변코일형으로서 떨림판이 평면으로된 수화기가 우수

한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선정하여 제작시험 하였다

- 48 -

전용 수신기9 DSC (PCB NO T-342)

전용수신 장치는 송수신장치중 송신부를 제외한 구조와 유사하므로 개발과정에서

송수신장치중 수신부회로에 복조장치 를 추가하여 별도 로 제작하여 시험DSC PCB

하였으며 개발내용중 전용수신기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DSC

가 기능 및 동작

변조되어 수신된 신호를 필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후 신호 처리용FM DSC DSC

마이크로프로세스 에 공급하여 소프트웨어로서 신호를 분석한후 표시장치 메(CPU)

모리장치 인쇄장치 등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전용 찬넬인 번 찬넬을 항상 DSC 70

수신상태로 동작하여 신호 도트신호 를 검출하고 신호가 있으면 이어서CALL ( ) CALL

수신되는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표시장치 및 경보장치에 출력한다

나 신호 신호 필터회로 와 신호 처리부 및 제어용회로부 DSC (FS ) DSC DSC

제작시험 (PCB NO T-325 T-326 T-327)

이 회로의 성능은 주로 필터 및 디지탈변환 회로에서 결정되며 소프트웨어의 성능

에 따라 안정성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점을 유의하여 설계제작 하여으며 성능 시험

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험용 정보를 송신장치로 통해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후 그

결과를 분석 시험 하였다

다 전용 수신기의 개발과정 에서의 학보된 기술 DSC

신호 및 의 신호 의 필터 및 디지털 변환 기술DSC (1300 2100 FS )

신호 검출 및 직렬신호의 병렬변환 소프트웨어DOT

기술 정보의 비교 및 인쇄출력 소프트웨어 기술

종합시험10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별 차 차 차 보완시험은 만족하며 앞으로 개발의 중점은 사용의 편리성과PCB 1 2 3

생산성에 중점 개발이 요하며 배치에 따라 야기될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 PCB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후 최종제품을 제작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49 -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1

가 전면판 사출금형

나 옆판 스피커 안테나 금형

다 노브 사출금형

라 윗면 및 밑면 프레스 금형

마 설치용 고정장치 사출 금형

바 설치대 프레스 금형

사 뒷면 작업용 프레스 금형

아 항온조용 열차단금형

자 필타 금형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2

가 송수신기 제어장치 프로그램

나 전용 수신기 제어용 프로그램 DSC

다 원격조정기 프로그램

라 송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마 수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3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35: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35 -

기준점이 남위 도 및 동경 도와 기준점에서의 직사각형의 남북방향 및 동(3) 12 12

서방향의 거리가 도 및 도의 해역 의 표시예4 7 C

2 1 2 0 1 2 0 4 0 7

별표 주파수 및 채널정보의 코드변환표[ 12]

주파수0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주파수를 의 배수로서 숫자의 십100

만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다 1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2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채 널

3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중단파대 또는 단파대의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만 천 백 십 및 일로 표시한 다

8 times times times times times 별도로 정한 채널로 한다

9 0 times times times times무선통신부속규칙부록 제 호의 표에18게기하는 주파수의 채널번호를 천 백 십 및 일의 숫자로 표시한다

십만 만 천 백 십 일

코드3 코드2 코드1

주 코드 이 최후에 송출된다( ) 1

- 36 -

별표 종료신호의 송출순서[ 13]

주 기호 가 종료신호를 표시한다( ) H

- 37 -

제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3

제 절 송수신장치1 DSC VHF

시스템 개요1

본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모든기능을 충족하는 일체형과 전화용 복신방식의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호출 및 수신제어장치 로구분된 독립형 으로 구분되며 DSC DSC

이는 외형상의 구분이며 그주요기능별 구성은 각각의 유니트로된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표시 및 제어장치 와 전원부 로 구분되며 이것들은 다시 하나의DSC

케비넷 또는 독립된장치로서 구성된다

시스템 구성2

장비의 개요 및 특징3

가 개요

본 송수신기는 항만내 또는 연안에서 해안국과 선박국 또는 선박국 상호간VHF FM

의 해상이동업무 통신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기로서 이내의 해상156 ~162

이동 무선통신업무용의 전 을 수용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전파관리법 및CHANNEL

등 국제규격에 적합하도록 설계 제작된 기기로서 전세계ITU SOLAS USA USCG

어느곳에서나 규정에알맞게 사용할 수 있는 국제항만 무선전화기용 무선 송수신기

를 제작한다

- 38 -

나 특징

소형 경량화로서 좁은 장소에 설치가 용의하게 되어 있어야 한다(1)

송신각 각 방식을 채용하였으며 국제 항만 무선전화(2) DIRECT SYNTHESIZER

인 를 수용해야 하며 그외 개의CHANNEL 55(114) CHANNEL 105(527) FREE

이 수용되어 있어야 한다CHANNEL(SIMPLEX)

주 국제 중 미국연안에서 단식방식으로 절환 사용되고 있는1 CHANNEL 55(114)

을 사용 할 수 있을것USA CHANNEL(SIMPLEX)

주 별도의 기상수신 을 수용하고 있어야 한다2 WEATHER CHANNEL( )

USA 3 CHANNELS

CANADIAN 1 CHANNEL

OTHERS 5 CHANNELS

원격조정 회로의 내장으로 본기기의 판넬스위치와는 상관없이(3) REMOTE ( ) HAND

만 으로도 판넬 스위치 조작에 필요한 모든기능을 할 수 있고SET CONTROL VHF

의 원근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어야 한다SET

기능이 첨부되어 있어 미국연안 경비대 의 의무 청취(4) DUAL WATCH USCG( )

인 과 의 개의 을 동시에 수신할 수CHANNEL CH 13 CH 16 2 CHANNEL SCANNING

있으며 과 사용자가 선택하는 임의의 을 동시에CHANNEL 16 CHANNEL SCANNING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에 경보신호 기능의 내장으로 비상시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5) CH 16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국제 개 및 을(6) SCAN CHANNEL 55 FREE CHANNEL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SCANNING

안전통신에 지정되어 있는 은 우선 사용할 수 있도록(7) CHANNEL16 1 STEP

로 되어 있어야 한다SWITCH

국제 해상 인명 안전조약 에 정한 규격으로 되어 있어 전세계 어느곳의(8) SOLAS( )

규정에도 적합하며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구 성4

본 기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가 송 수신기 본체 대 1

나 HAND SET 1 SET

다 WHIP ANTENNA 1 SET

라 벽걸이형 SPEAKER 1 SET

마 전원 공급기 1 SET

- 39 -

규 격5

주파수 및 규격은 현재의 통신방식이며 정보통신부의 고시가 발표되면 협대역(125

로 변경한다)

가 일반사항

사용주파수 범위(1)

송 신 156025 ~ 157425 수 신 (SIMPLEX) 156025 ~ 157425 수 신 (DUPLEX) 160625 ~ 162025 기상수신 (WEATHER) 161650 ~ 162550

사용(2) CHANNEL

A International 55 (114) CHANNELSB USA 25 CHANNELSC FREE 105 (527) CHANNELSD WEATHER 9 CHANNELS

USA 3 CHANNELSCANADIAN 1 CHANNELOTHERS 5 CHANNELS

통신 방식(3) SIMPLEX amp DUPLEX

전파의 형식 전화(4) 16KOF3E( G3E DSC F2BG2B)

주파수 편차(5) 0001 (10 PPM)

사용 온도범위 부터(6) -10 + 50

예열 시간 전원 접속후 즉시 사용가능(7)

공칭(8) ANTENNA IMPEDANCE 50 ohm ( )

공급 전원(9)

전 압 136V plusmn 10전 류 수신시 800

송신시 5A전원 공급기 별도( ) 단상AC115V AC220V 60

부터 까지DC 15V 35V

나 송 신 부

정격 출력(1) HIGH -25 W

LOW - 1W

주 공중선 전력 저하장치로 이하 저하기능 보유1 1WATT주 단 보호 인 및 가 아님 은 송신이2 CHANNEL 7576 1 ~9(01 ~09 )CHANNEL되지 않음 기상수신대의 사용법은 본문 참조 ( )

- 40 -

발진 방식(2) SYNTHESIZER CONTROL SYSTEM

변조 방식(3) FREQUENCY MODULATION

점유 주파수 대역폭(4) 16 (8)

최대 주파수 편의(5) 5 (25)

복사강도 이상(6) SPURIOUS 70

변조 주파수 특성(7) 6 (plusmn 3 ) OCTAVE PRE-EMPHASIS)

(300 ~ 3 )

변조시 이하(8) DISTORTION 1 70 -20

신호 대 잡음비 변조시 이상(9) 1 70 40

저역 여파기 특성 이상에서 이상 감쇄(10) 3 -40log f3( ) (f = )

다 수 신 부

수 신 방 식(1) DOUBLE SUPERHETERODYNE SYSTEM

감 도(2) 이하 신호 대 잡음비 에서 025 V ( 20 )μ

감도(3) SQUELCH 이하 02 Vμ

국부 발진 주파수(4) 1lsquost LOCAL FREQUENCY

RECEIVER FREQUENCY - 214

2nd LOCAL FREQUENCY 10945

중간 주파수(5) 1lsquost IF FREQUENCY 214

2nd IF FREQUENCY 455

선 택 도(6) 저하폭 이상 6 12 (6)

저하폭 이하 70 25 (125)

(7) SPURIOUS RESPONCE 이상 70

감도 억압 효과(8) 이상 80

상호 변조 특성(9) 이상 65 ( 20 40 )

주파수 특성(10) 6 (plusmn3 )OCTAVE DE-EMPHASIS)

( 300 ~ 3 )

신호 대 잡음비(11) 변조시 이상 1 60 40

(12) DISTORTION 변조시 이하 1 70 -20

저주파 출력(13) 이상 1 WATT (IMPEDANCE 8 ohm)

- 41 -

제 절 차년도 개발 범위2 1

제 차년도 개발범위는 기초자료조사와 규정의 연구에 따라 기초회로의 설계 후1

사용부품을 시험하고 각 의 제작 및 시험 연이은 성능미달 의 차 차PCB PCB 2 3

차 재제작 시험을 완료하고 시스템의 설계까지이며 그 세부적인 개발범위는 다음4

과 같다

송수신장치 개발을 위한 제규정 수집 연구1 DSC VHF

기초자료 조사2

가 장비에 대한 기능특성 수집 연구

나 사용자 및 선박통신사의 요구사항에 대한 자료 수집 연구

다 외국장비와 비교 분석

라 부품규격 시험 및 선정

3 HARD WARE

가 고주파 필터코일 재질분석 및 각종코일 설계

나 제작 PCB

송신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1) PCB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시험(2) PCB

수신부회로 제작 시험(3) PCB

신세사이즈 회로 제작 시험(4) PCB

제어장치 제작 시험(5) PCB

표시장치 제작 시험(6) PCB

원격제어기 제작 시험(7) PCB

전원공급부 제작 시험(8) PCB

제작 시험(9) HAND SET PCB

전용수신기 제작 시험(10) DSC PCB

- 42 -

제 장 제 차년도 개발 항목 보고4 1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본 장비를 개발함에 있어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및 부품선정이 개발의 핵심 과제

로 생각하였다

기초자료는 기존 시스템분석과 전파관련법령을 기초하였고 주변회로는 관련된 회

로집을 분석하였으며 부품선정은 폐품종 여부와 수급이 용이하면서 견고하고 증폭

도 및 성능이 우수한 품종으로 장시간 시험을 거쳐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송신부 제작시험2

송신 출력회로 결정 회로설계 완료하여 각부 부품 구입 회 내구성 시험 및SPEC 30

구룹별 장시간 부품 부하 시험등 최종목표 성능을 확보하기위한 제반 기초 제작시

험을 완료 하였으며 주요 내용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의 발열상태등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의 높은 출력으로 증폭하는 송신전(VHF ) 25W

력 증폭기로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높은 고주파전력에 견딜수있어야 하고 열

에의해 발생되는 열잡음이 적으야하며 열에의한 부품의 열화 및 특성의 변화가 적

은 부품을 사용여야 하므로 온습도시험 과 과출력 시험을 통하여 사용될 부품을 시

험하였다

특히 고조파 필터회로 부품인 코일은 동선에 전도율이 좋은 재질로 도금하여 사용

하여야 하며 고조파필터회로 의 차폐용 재료도 동판에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도금

하여 사용 하여야 한다

나 송신 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PCB (PCB NO V-097)

개발과정에서의 설계변경 및 생산시스템의 전산화 에 적용 할수있도록 회로 설계는

물론 설계 회로기판 도안 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설계완료된 는PCB ( ) CAD DATA

회로기판 제작장치 외주 작업 및 부품삽입기 자사 작업 에 직접 컴퓨터용 디스켙( ) ( ) (

으로 입력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회로에 높은 고주파전류가 흐르므로인하여 빌진할 가능성 및 잡음발생의 우려PCB

가 많으므로 특히 부품배치에 유의하여 설계하였으며 송신신호 발생회로 또는 전원

회로 와의 배선은 관통형콘덴서등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였다

회로에 사용되는 코일은 각 코일간에 간섭을 줄이기위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설정하

였으며 전체를 차폐하고 또 고조파 필터회로를 구분하여 차폐하여 제작 하였PCB

- 43 -

또 안정된 출력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회로를 장치하여 설정된 출력 이상의ALC

출력을 제한한다

다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PCB (PCB NO V-096TX)

설계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이 는 미약한 고주파 신호를 발생 변PCB CAD PCB

환 증폭 하므로서 송신부 또는 외부로 부터의 잡음 유입과 내부잡음 발생에 유의

하여 설계되었으며 불요복사 억제에 유의하였다

라 성능시험

메칭상태 시험(1)

옴 파장 수직형 안테나 를 사용할수 있도록 시험하였으며 차적인 시험은 의50 12 1

사부하에 의해 시험하고 의사부하 안테나에 정상적인 메칭이 된 후 실제 사용 안테

나에 확인시험 하였다

이 시험에서 양질의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장치는 물론 안테나의 성능이 중

요하며 인접한 고전력 안테나 및 낙뢰로부터 안정성 등을 감안하여 안테나는 VHF

대역 이하의 주파수에 대하여 쇼트형 안테나가 바람직 하다

기존 시스템의 이상의 성능 확보(2) 90

송신부의 주기능으로서 양질의전파를 안테나로 공중에 발사하는 장치로서 주피수안

정도 고조파억압 불효전파억제 안정된전력 안정된 주파수편이 낮은 왜율 등의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시험결과는 기존의 제품의 특성에 가까운 성능을 확보

하였으나 안테나공용기 복신통신용 필터 특성의 개선및 송신부 관련부품의 배치를( )

개선하므로서 보다 좋은 성능을 확보 할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신부 제작시험3

수신부는 안테나입력회로 입력동조회로 단신통신 및 복신통신 각 주파수 대역 필 (

터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로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 1 1 2 2

로 대역필터회로 신호제한 리미터 회로 복조회로 무신호잡음 차단 회로 저주 ( ) FM

파 증폭회로 및 국부발진회로 로서 구성되나 국부발진회로는 잡음의 발생및 유입

주파수안정도 등을 감안하여 별도의 로서 제작하였으며 그외 수신부와 관련한PCB

내용은 다음과 같다

- 44 -

가 사용부품의 구입 및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증폭과 변환을 반복하여 요구되는 신호(VHF )

를 복조하여 기청음 또는 의 문자표시로 출력되게 하므로서 안정된 주파수 및DSC

증폭이 요구되므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당연히 고주파특성에 유의하여 주파수

차에의한 특성변화 열잡음 및 고주파잡음 능동소자등의 직선성 등이 교려되어야하

므로 항온항습시험과 과전류에의한 잡음발생의 시험 등 을 거처 엄선한 부품으로

설정사용 하였다

특히 회로의 선택도 코알의 값 를 높이기 위하여 가 높은 트랜스 재료를 사용하( Q ) Q

였다

다 수신부회로 제작 PCB (PCB NO V-096RX)

위 항에서의 시험에 의해 선택된 부품을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며 수신부의 특성31

상 잡음의 발생보다는 잡음의 유입에 유의하여 설계되었으며 안정된 증폭 특성 수(

신감도 을 얻기위하여 중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회로기판은 에폭시) 2

수지 양면인쇄동판을 사용하여 부품삽입면은 대부분 공통단자로 이용하여 부품간의

간섭을최소화 하였다

다 수신부 특성시험

수신부 특성상 수신감도 주파수안정도 왜율 통과대역폭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감도억압비 혼변조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신호대 잡음비 일 때의 수신감 20

도 성능이 확보되며 기타 여러 가지 특성도 최종목표 특성에 가까운 성능이05

확보 되었으나 까지 수신감도가 향상되도록 성능개선이 요구된다025 V 120757

신세사이즈부의 회로의 안정도로 인하여 국부발진 신호의 흔들림현상이 있어VCO

통과대역폭 및 잡음발생의 원인이되어 신세사이즈회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신세시이즈회로는 크게 수신국부발진 신호용과 송신신호용으로 구분되며 단신통신

과 복신통신방식일때 각각 동작할수있는 구성으로 설계되었으며 그 내용별로 구분

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전압제어발진기 에 사용되는 부품은 온도 및 전압변동에 특성의변화가 극히(VCO)

적어야하며 외부로부터 정전 및 자계영향이 크므로 회로를 별도로 정전 및 자VCO

계로부터 차폐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혼변조 및 잡음신호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파수선택 표준신호 등 시 수신( )

대역 및 송신대역에 영향이 없는 주파수로 하였으며 가능한 레벨을 제외한 신(TTL

호 파형의 왜율이 적은신호로서 각회로신호를 사용하여 결합하였다)

- 45 -

나 신세사이회로 제작 (PCB NO V-096PLL)

이회로 기판은 여러종류의 신호들이 발생 혼합 증폭 비교 되므로 각부품 간의 배

치에따라 잡음발생의 정도가 크게 좌우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였으며 회로는 외VCO

부영향에 민감하게 작동되므로 차폐 에 유의하여 부품의 배치 적절하게 하였으며

잡음발생을 유의하여 부품을 선정하였다

다 성능시험

이회로의 특성상 주파수안정도 주파수의 흔들림 위상비교기의 비교속도 등에 유의

하여 시험하였으며 여러가지 일반적인 특성은 최종목표사양에 만족될 수 있는 신호

원을 공급할수 있었어나 주파수의 흔들림 현상이 있어 회로의 부품 및 차폐에VCO

개선이 요구된다

제어장치 제작시험5 (PCB NO V-263)

이회로의 주요부품으로서 를 사용하여 당개발과제의 송수신 및 외부V25 CPU DSC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며 아울러 본체 전면표시기와 스윗치 입출력 기능도 한다

이회로의 주요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스 읽기전용 메모리 읽고CPU( ) ROM( ) RAM(

쓰기 메모리 직렬통신용 입출력 병렬통신 입출력 아날로그 디지) SIO( ) PIO( ) AD(

탈 변환기 스윗치입력 표시기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개발 내용은 다음과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에 사용되는 부품은 대부분 디지탈신호를 처리하여 회로로서 및TTL IC

로서 구성되며 저소비전력 및 고속처리능력이 요구되므로 주로 고속용C-MOS IC

중 형 를 사용 하였으며 장치의 초기설정 및 기능 설정의C-MOS(C-MOS IC HC )

변경등 의 목적으로 은 충전형 밧테리로서 메모리내용을 전원의 에 관RAM ONOFF

계없이 유지하도록 하였다

외부 제어기 등 와의 통신용 의 통신속도를 또는 등으로(DSC ) RS-232C 2400 4800

변경 설정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변환기 등을 이용하여 자기진단을 할수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장비의 유지및AD

보수에 많은 도움이된다

- 46 -

나 성능시험

운용시험(1)

이회로의 특성상 전기적 특성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특성 및 성능이 요구되므로 운

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이부분에 대한 시험은 개발자입

장이 아닌 운용자가 시험하여야 하는 관계로 선박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사용자에게

의뢰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로서는 기능면에서는 양호하나 사용상 복잡한 면이 있어 보다 조작 을 간편

히 할수있도록 개선할 필요가있는 것으로 본다

표시장치 시험(2) (PCB NO V-260)

본장치의 사용상 필요한 기능 및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내용과 기기 동작

상태의 일치성이 요구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온습도 및 장기시험 으

로서 확인하였으며 여러 가지 표시장치중 각각 중단점이 나타낮다

즉 액정 표시기 표시기는 저소비전력이며 주위가 밝은곳에서 사용이 가능 하LCD( )

나 반면 온도특성이 나쁘며 형광표시관 표시기는 온도특성은 양호하나 소비전 VFD( )

력이 대체로 높고 보다 낮고 보다 많음 수명이 낮다는 단점이있으며(FND LCD )

발광 다이오드 표시기는 모든면에서 대체로 양호 하나 잡음발생 이많으며 밝FND( )

은곳에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외 여러 가지의 장담점을 검토하여 차적인 결론은 표시기가 적합한 것으로1 LCD

본다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최소의 전기적신호 연결로서 최대의 기능제어및 속도가 요구되는 장치로서 저주파

신호의 입력 마이크 신호 및 출력 스피크 신호 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 제어는( FS ) ( )

직렬통신 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였으며 장거리 일반 공용통신망 을 이(RS-232C)

용할수도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요 구성은 중앙제어장치 스윗치입력 장치 표시장치 메모리장치 직렬통신장치

로 구성되며 그 상세한 개발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의 대부분이 디지탈신호의 처리회로로서 구성되므로 제어장치 의 사용 부품ldquo rdquo

시험 및 선정기준과 같으며 장거리운용상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신속도를

알맞게하며 장거리통신 선로에서 유기되는 잡음을 최소화 하기위한 필터회로 및

소프트웨어적인 오류정정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별도 설계 사용 하였다

- 47 -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V-170)

이장치는 사용상 편리하여야 하므로 소형 경량 으로 제작 하였으며 차적 기능 시 1

험을 목적으로 외형 보다는 성능을 우선하여 시험용으로 제작하였다 이장치의 시

험은 전용케이블 을 이용하여 시험하였고 또 일반 공용통신용 전화 선로를 통하여

원거리 시험을 하였으며 그결과로서 통신속도가 까지 양호하게 동작되나2400bps

그이상의 통신속도로서 운용 할려면 전용회선이 필요하게된다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가 결정 SPEC

각회로 에서 필요로하는 전압 및 전류에 알맞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반 성능

을 차적으로 설정 하였으며 최종목표 사양에 일치하기위하여서는 전원부의 장치에1

대하여 모든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최종 특성이 설정 되어야 한다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P-099)

이장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되나 반면에 안정성이 확고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안

정성을 첫째로 중요시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이회로는 많은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많은 전력이 열로서 손실되므로 방열에 특히 유의하여 제작되었으며 열발생이 많은

부품은 알미늄 방열판에 설치하고 이방열판은 본장치 외함의 바깥쪽에 설치하여 방

열효과를 최대화 하였다

이회로의 시험은 과입력전압 및 과소비전력 일때의 안정성에 중점 시험하였고 그시

험을 위하여 장시간 항온 항습기 를 이용하여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전원부의 안정

성 확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도 이회로를 특별히 개선하지 않고도 최

종목표 사양에 만족하리라 본다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PCB NO V-098)

마이크 회로 수화기 회로 송신 스윗치 회로 로서 구성되며 이장치는 사용 특성상

충격에 강하도록 설계제작 되어야 하며 무게는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재료선택이

중요하며 이러한점을 감안하여 사출금형에 의하여 성형 하였으며 성형 제료로서는

제료를 사용하고 사용 부품을 최소화 하여 제작 하였다ABS

이장치의 특성상 견고하며 방수효과가 최대이어야 하므로 충격 자연낙하 시험 및( )

방수시험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 성형제료 및 외형상의 문제는 없이나

송화기 및 수화기의 선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송화기는 콘텐서형

마이크가 좋으며 수화기로는 가변코일형으로서 떨림판이 평면으로된 수화기가 우수

한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선정하여 제작시험 하였다

- 48 -

전용 수신기9 DSC (PCB NO T-342)

전용수신 장치는 송수신장치중 송신부를 제외한 구조와 유사하므로 개발과정에서

송수신장치중 수신부회로에 복조장치 를 추가하여 별도 로 제작하여 시험DSC PCB

하였으며 개발내용중 전용수신기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DSC

가 기능 및 동작

변조되어 수신된 신호를 필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후 신호 처리용FM DSC DSC

마이크로프로세스 에 공급하여 소프트웨어로서 신호를 분석한후 표시장치 메(CPU)

모리장치 인쇄장치 등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전용 찬넬인 번 찬넬을 항상 DSC 70

수신상태로 동작하여 신호 도트신호 를 검출하고 신호가 있으면 이어서CALL ( ) CALL

수신되는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표시장치 및 경보장치에 출력한다

나 신호 신호 필터회로 와 신호 처리부 및 제어용회로부 DSC (FS ) DSC DSC

제작시험 (PCB NO T-325 T-326 T-327)

이 회로의 성능은 주로 필터 및 디지탈변환 회로에서 결정되며 소프트웨어의 성능

에 따라 안정성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점을 유의하여 설계제작 하여으며 성능 시험

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험용 정보를 송신장치로 통해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후 그

결과를 분석 시험 하였다

다 전용 수신기의 개발과정 에서의 학보된 기술 DSC

신호 및 의 신호 의 필터 및 디지털 변환 기술DSC (1300 2100 FS )

신호 검출 및 직렬신호의 병렬변환 소프트웨어DOT

기술 정보의 비교 및 인쇄출력 소프트웨어 기술

종합시험10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별 차 차 차 보완시험은 만족하며 앞으로 개발의 중점은 사용의 편리성과PCB 1 2 3

생산성에 중점 개발이 요하며 배치에 따라 야기될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 PCB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후 최종제품을 제작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49 -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1

가 전면판 사출금형

나 옆판 스피커 안테나 금형

다 노브 사출금형

라 윗면 및 밑면 프레스 금형

마 설치용 고정장치 사출 금형

바 설치대 프레스 금형

사 뒷면 작업용 프레스 금형

아 항온조용 열차단금형

자 필타 금형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2

가 송수신기 제어장치 프로그램

나 전용 수신기 제어용 프로그램 DSC

다 원격조정기 프로그램

라 송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마 수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3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36: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36 -

별표 종료신호의 송출순서[ 13]

주 기호 가 종료신호를 표시한다( ) H

- 37 -

제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3

제 절 송수신장치1 DSC VHF

시스템 개요1

본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모든기능을 충족하는 일체형과 전화용 복신방식의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호출 및 수신제어장치 로구분된 독립형 으로 구분되며 DSC DSC

이는 외형상의 구분이며 그주요기능별 구성은 각각의 유니트로된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표시 및 제어장치 와 전원부 로 구분되며 이것들은 다시 하나의DSC

케비넷 또는 독립된장치로서 구성된다

시스템 구성2

장비의 개요 및 특징3

가 개요

본 송수신기는 항만내 또는 연안에서 해안국과 선박국 또는 선박국 상호간VHF FM

의 해상이동업무 통신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기로서 이내의 해상156 ~162

이동 무선통신업무용의 전 을 수용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전파관리법 및CHANNEL

등 국제규격에 적합하도록 설계 제작된 기기로서 전세계ITU SOLAS USA USCG

어느곳에서나 규정에알맞게 사용할 수 있는 국제항만 무선전화기용 무선 송수신기

를 제작한다

- 38 -

나 특징

소형 경량화로서 좁은 장소에 설치가 용의하게 되어 있어야 한다(1)

송신각 각 방식을 채용하였으며 국제 항만 무선전화(2) DIRECT SYNTHESIZER

인 를 수용해야 하며 그외 개의CHANNEL 55(114) CHANNEL 105(527) FREE

이 수용되어 있어야 한다CHANNEL(SIMPLEX)

주 국제 중 미국연안에서 단식방식으로 절환 사용되고 있는1 CHANNEL 55(114)

을 사용 할 수 있을것USA CHANNEL(SIMPLEX)

주 별도의 기상수신 을 수용하고 있어야 한다2 WEATHER CHANNEL( )

USA 3 CHANNELS

CANADIAN 1 CHANNEL

OTHERS 5 CHANNELS

원격조정 회로의 내장으로 본기기의 판넬스위치와는 상관없이(3) REMOTE ( ) HAND

만 으로도 판넬 스위치 조작에 필요한 모든기능을 할 수 있고SET CONTROL VHF

의 원근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어야 한다SET

기능이 첨부되어 있어 미국연안 경비대 의 의무 청취(4) DUAL WATCH USCG( )

인 과 의 개의 을 동시에 수신할 수CHANNEL CH 13 CH 16 2 CHANNEL SCANNING

있으며 과 사용자가 선택하는 임의의 을 동시에CHANNEL 16 CHANNEL SCANNING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에 경보신호 기능의 내장으로 비상시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5) CH 16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국제 개 및 을(6) SCAN CHANNEL 55 FREE CHANNEL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SCANNING

안전통신에 지정되어 있는 은 우선 사용할 수 있도록(7) CHANNEL16 1 STEP

로 되어 있어야 한다SWITCH

국제 해상 인명 안전조약 에 정한 규격으로 되어 있어 전세계 어느곳의(8) SOLAS( )

규정에도 적합하며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구 성4

본 기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가 송 수신기 본체 대 1

나 HAND SET 1 SET

다 WHIP ANTENNA 1 SET

라 벽걸이형 SPEAKER 1 SET

마 전원 공급기 1 SET

- 39 -

규 격5

주파수 및 규격은 현재의 통신방식이며 정보통신부의 고시가 발표되면 협대역(125

로 변경한다)

가 일반사항

사용주파수 범위(1)

송 신 156025 ~ 157425 수 신 (SIMPLEX) 156025 ~ 157425 수 신 (DUPLEX) 160625 ~ 162025 기상수신 (WEATHER) 161650 ~ 162550

사용(2) CHANNEL

A International 55 (114) CHANNELSB USA 25 CHANNELSC FREE 105 (527) CHANNELSD WEATHER 9 CHANNELS

USA 3 CHANNELSCANADIAN 1 CHANNELOTHERS 5 CHANNELS

통신 방식(3) SIMPLEX amp DUPLEX

전파의 형식 전화(4) 16KOF3E( G3E DSC F2BG2B)

주파수 편차(5) 0001 (10 PPM)

사용 온도범위 부터(6) -10 + 50

예열 시간 전원 접속후 즉시 사용가능(7)

공칭(8) ANTENNA IMPEDANCE 50 ohm ( )

공급 전원(9)

전 압 136V plusmn 10전 류 수신시 800

송신시 5A전원 공급기 별도( ) 단상AC115V AC220V 60

부터 까지DC 15V 35V

나 송 신 부

정격 출력(1) HIGH -25 W

LOW - 1W

주 공중선 전력 저하장치로 이하 저하기능 보유1 1WATT주 단 보호 인 및 가 아님 은 송신이2 CHANNEL 7576 1 ~9(01 ~09 )CHANNEL되지 않음 기상수신대의 사용법은 본문 참조 ( )

- 40 -

발진 방식(2) SYNTHESIZER CONTROL SYSTEM

변조 방식(3) FREQUENCY MODULATION

점유 주파수 대역폭(4) 16 (8)

최대 주파수 편의(5) 5 (25)

복사강도 이상(6) SPURIOUS 70

변조 주파수 특성(7) 6 (plusmn 3 ) OCTAVE PRE-EMPHASIS)

(300 ~ 3 )

변조시 이하(8) DISTORTION 1 70 -20

신호 대 잡음비 변조시 이상(9) 1 70 40

저역 여파기 특성 이상에서 이상 감쇄(10) 3 -40log f3( ) (f = )

다 수 신 부

수 신 방 식(1) DOUBLE SUPERHETERODYNE SYSTEM

감 도(2) 이하 신호 대 잡음비 에서 025 V ( 20 )μ

감도(3) SQUELCH 이하 02 Vμ

국부 발진 주파수(4) 1lsquost LOCAL FREQUENCY

RECEIVER FREQUENCY - 214

2nd LOCAL FREQUENCY 10945

중간 주파수(5) 1lsquost IF FREQUENCY 214

2nd IF FREQUENCY 455

선 택 도(6) 저하폭 이상 6 12 (6)

저하폭 이하 70 25 (125)

(7) SPURIOUS RESPONCE 이상 70

감도 억압 효과(8) 이상 80

상호 변조 특성(9) 이상 65 ( 20 40 )

주파수 특성(10) 6 (plusmn3 )OCTAVE DE-EMPHASIS)

( 300 ~ 3 )

신호 대 잡음비(11) 변조시 이상 1 60 40

(12) DISTORTION 변조시 이하 1 70 -20

저주파 출력(13) 이상 1 WATT (IMPEDANCE 8 ohm)

- 41 -

제 절 차년도 개발 범위2 1

제 차년도 개발범위는 기초자료조사와 규정의 연구에 따라 기초회로의 설계 후1

사용부품을 시험하고 각 의 제작 및 시험 연이은 성능미달 의 차 차PCB PCB 2 3

차 재제작 시험을 완료하고 시스템의 설계까지이며 그 세부적인 개발범위는 다음4

과 같다

송수신장치 개발을 위한 제규정 수집 연구1 DSC VHF

기초자료 조사2

가 장비에 대한 기능특성 수집 연구

나 사용자 및 선박통신사의 요구사항에 대한 자료 수집 연구

다 외국장비와 비교 분석

라 부품규격 시험 및 선정

3 HARD WARE

가 고주파 필터코일 재질분석 및 각종코일 설계

나 제작 PCB

송신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1) PCB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시험(2) PCB

수신부회로 제작 시험(3) PCB

신세사이즈 회로 제작 시험(4) PCB

제어장치 제작 시험(5) PCB

표시장치 제작 시험(6) PCB

원격제어기 제작 시험(7) PCB

전원공급부 제작 시험(8) PCB

제작 시험(9) HAND SET PCB

전용수신기 제작 시험(10) DSC PCB

- 42 -

제 장 제 차년도 개발 항목 보고4 1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본 장비를 개발함에 있어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및 부품선정이 개발의 핵심 과제

로 생각하였다

기초자료는 기존 시스템분석과 전파관련법령을 기초하였고 주변회로는 관련된 회

로집을 분석하였으며 부품선정은 폐품종 여부와 수급이 용이하면서 견고하고 증폭

도 및 성능이 우수한 품종으로 장시간 시험을 거쳐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송신부 제작시험2

송신 출력회로 결정 회로설계 완료하여 각부 부품 구입 회 내구성 시험 및SPEC 30

구룹별 장시간 부품 부하 시험등 최종목표 성능을 확보하기위한 제반 기초 제작시

험을 완료 하였으며 주요 내용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의 발열상태등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의 높은 출력으로 증폭하는 송신전(VHF ) 25W

력 증폭기로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높은 고주파전력에 견딜수있어야 하고 열

에의해 발생되는 열잡음이 적으야하며 열에의한 부품의 열화 및 특성의 변화가 적

은 부품을 사용여야 하므로 온습도시험 과 과출력 시험을 통하여 사용될 부품을 시

험하였다

특히 고조파 필터회로 부품인 코일은 동선에 전도율이 좋은 재질로 도금하여 사용

하여야 하며 고조파필터회로 의 차폐용 재료도 동판에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도금

하여 사용 하여야 한다

나 송신 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PCB (PCB NO V-097)

개발과정에서의 설계변경 및 생산시스템의 전산화 에 적용 할수있도록 회로 설계는

물론 설계 회로기판 도안 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설계완료된 는PCB ( ) CAD DATA

회로기판 제작장치 외주 작업 및 부품삽입기 자사 작업 에 직접 컴퓨터용 디스켙( ) ( ) (

으로 입력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회로에 높은 고주파전류가 흐르므로인하여 빌진할 가능성 및 잡음발생의 우려PCB

가 많으므로 특히 부품배치에 유의하여 설계하였으며 송신신호 발생회로 또는 전원

회로 와의 배선은 관통형콘덴서등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였다

회로에 사용되는 코일은 각 코일간에 간섭을 줄이기위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설정하

였으며 전체를 차폐하고 또 고조파 필터회로를 구분하여 차폐하여 제작 하였PCB

- 43 -

또 안정된 출력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회로를 장치하여 설정된 출력 이상의ALC

출력을 제한한다

다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PCB (PCB NO V-096TX)

설계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이 는 미약한 고주파 신호를 발생 변PCB CAD PCB

환 증폭 하므로서 송신부 또는 외부로 부터의 잡음 유입과 내부잡음 발생에 유의

하여 설계되었으며 불요복사 억제에 유의하였다

라 성능시험

메칭상태 시험(1)

옴 파장 수직형 안테나 를 사용할수 있도록 시험하였으며 차적인 시험은 의50 12 1

사부하에 의해 시험하고 의사부하 안테나에 정상적인 메칭이 된 후 실제 사용 안테

나에 확인시험 하였다

이 시험에서 양질의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장치는 물론 안테나의 성능이 중

요하며 인접한 고전력 안테나 및 낙뢰로부터 안정성 등을 감안하여 안테나는 VHF

대역 이하의 주파수에 대하여 쇼트형 안테나가 바람직 하다

기존 시스템의 이상의 성능 확보(2) 90

송신부의 주기능으로서 양질의전파를 안테나로 공중에 발사하는 장치로서 주피수안

정도 고조파억압 불효전파억제 안정된전력 안정된 주파수편이 낮은 왜율 등의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시험결과는 기존의 제품의 특성에 가까운 성능을 확보

하였으나 안테나공용기 복신통신용 필터 특성의 개선및 송신부 관련부품의 배치를( )

개선하므로서 보다 좋은 성능을 확보 할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신부 제작시험3

수신부는 안테나입력회로 입력동조회로 단신통신 및 복신통신 각 주파수 대역 필 (

터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로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 1 1 2 2

로 대역필터회로 신호제한 리미터 회로 복조회로 무신호잡음 차단 회로 저주 ( ) FM

파 증폭회로 및 국부발진회로 로서 구성되나 국부발진회로는 잡음의 발생및 유입

주파수안정도 등을 감안하여 별도의 로서 제작하였으며 그외 수신부와 관련한PCB

내용은 다음과 같다

- 44 -

가 사용부품의 구입 및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증폭과 변환을 반복하여 요구되는 신호(VHF )

를 복조하여 기청음 또는 의 문자표시로 출력되게 하므로서 안정된 주파수 및DSC

증폭이 요구되므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당연히 고주파특성에 유의하여 주파수

차에의한 특성변화 열잡음 및 고주파잡음 능동소자등의 직선성 등이 교려되어야하

므로 항온항습시험과 과전류에의한 잡음발생의 시험 등 을 거처 엄선한 부품으로

설정사용 하였다

특히 회로의 선택도 코알의 값 를 높이기 위하여 가 높은 트랜스 재료를 사용하( Q ) Q

였다

다 수신부회로 제작 PCB (PCB NO V-096RX)

위 항에서의 시험에 의해 선택된 부품을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며 수신부의 특성31

상 잡음의 발생보다는 잡음의 유입에 유의하여 설계되었으며 안정된 증폭 특성 수(

신감도 을 얻기위하여 중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회로기판은 에폭시) 2

수지 양면인쇄동판을 사용하여 부품삽입면은 대부분 공통단자로 이용하여 부품간의

간섭을최소화 하였다

다 수신부 특성시험

수신부 특성상 수신감도 주파수안정도 왜율 통과대역폭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감도억압비 혼변조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신호대 잡음비 일 때의 수신감 20

도 성능이 확보되며 기타 여러 가지 특성도 최종목표 특성에 가까운 성능이05

확보 되었으나 까지 수신감도가 향상되도록 성능개선이 요구된다025 V 120757

신세사이즈부의 회로의 안정도로 인하여 국부발진 신호의 흔들림현상이 있어VCO

통과대역폭 및 잡음발생의 원인이되어 신세사이즈회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신세시이즈회로는 크게 수신국부발진 신호용과 송신신호용으로 구분되며 단신통신

과 복신통신방식일때 각각 동작할수있는 구성으로 설계되었으며 그 내용별로 구분

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전압제어발진기 에 사용되는 부품은 온도 및 전압변동에 특성의변화가 극히(VCO)

적어야하며 외부로부터 정전 및 자계영향이 크므로 회로를 별도로 정전 및 자VCO

계로부터 차폐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혼변조 및 잡음신호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파수선택 표준신호 등 시 수신( )

대역 및 송신대역에 영향이 없는 주파수로 하였으며 가능한 레벨을 제외한 신(TTL

호 파형의 왜율이 적은신호로서 각회로신호를 사용하여 결합하였다)

- 45 -

나 신세사이회로 제작 (PCB NO V-096PLL)

이회로 기판은 여러종류의 신호들이 발생 혼합 증폭 비교 되므로 각부품 간의 배

치에따라 잡음발생의 정도가 크게 좌우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였으며 회로는 외VCO

부영향에 민감하게 작동되므로 차폐 에 유의하여 부품의 배치 적절하게 하였으며

잡음발생을 유의하여 부품을 선정하였다

다 성능시험

이회로의 특성상 주파수안정도 주파수의 흔들림 위상비교기의 비교속도 등에 유의

하여 시험하였으며 여러가지 일반적인 특성은 최종목표사양에 만족될 수 있는 신호

원을 공급할수 있었어나 주파수의 흔들림 현상이 있어 회로의 부품 및 차폐에VCO

개선이 요구된다

제어장치 제작시험5 (PCB NO V-263)

이회로의 주요부품으로서 를 사용하여 당개발과제의 송수신 및 외부V25 CPU DSC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며 아울러 본체 전면표시기와 스윗치 입출력 기능도 한다

이회로의 주요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스 읽기전용 메모리 읽고CPU( ) ROM( ) RAM(

쓰기 메모리 직렬통신용 입출력 병렬통신 입출력 아날로그 디지) SIO( ) PIO( ) AD(

탈 변환기 스윗치입력 표시기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개발 내용은 다음과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에 사용되는 부품은 대부분 디지탈신호를 처리하여 회로로서 및TTL IC

로서 구성되며 저소비전력 및 고속처리능력이 요구되므로 주로 고속용C-MOS IC

중 형 를 사용 하였으며 장치의 초기설정 및 기능 설정의C-MOS(C-MOS IC HC )

변경등 의 목적으로 은 충전형 밧테리로서 메모리내용을 전원의 에 관RAM ONOFF

계없이 유지하도록 하였다

외부 제어기 등 와의 통신용 의 통신속도를 또는 등으로(DSC ) RS-232C 2400 4800

변경 설정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변환기 등을 이용하여 자기진단을 할수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장비의 유지및AD

보수에 많은 도움이된다

- 46 -

나 성능시험

운용시험(1)

이회로의 특성상 전기적 특성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특성 및 성능이 요구되므로 운

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이부분에 대한 시험은 개발자입

장이 아닌 운용자가 시험하여야 하는 관계로 선박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사용자에게

의뢰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로서는 기능면에서는 양호하나 사용상 복잡한 면이 있어 보다 조작 을 간편

히 할수있도록 개선할 필요가있는 것으로 본다

표시장치 시험(2) (PCB NO V-260)

본장치의 사용상 필요한 기능 및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내용과 기기 동작

상태의 일치성이 요구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온습도 및 장기시험 으

로서 확인하였으며 여러 가지 표시장치중 각각 중단점이 나타낮다

즉 액정 표시기 표시기는 저소비전력이며 주위가 밝은곳에서 사용이 가능 하LCD( )

나 반면 온도특성이 나쁘며 형광표시관 표시기는 온도특성은 양호하나 소비전 VFD( )

력이 대체로 높고 보다 낮고 보다 많음 수명이 낮다는 단점이있으며(FND LCD )

발광 다이오드 표시기는 모든면에서 대체로 양호 하나 잡음발생 이많으며 밝FND( )

은곳에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외 여러 가지의 장담점을 검토하여 차적인 결론은 표시기가 적합한 것으로1 LCD

본다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최소의 전기적신호 연결로서 최대의 기능제어및 속도가 요구되는 장치로서 저주파

신호의 입력 마이크 신호 및 출력 스피크 신호 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 제어는( FS ) ( )

직렬통신 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였으며 장거리 일반 공용통신망 을 이(RS-232C)

용할수도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요 구성은 중앙제어장치 스윗치입력 장치 표시장치 메모리장치 직렬통신장치

로 구성되며 그 상세한 개발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의 대부분이 디지탈신호의 처리회로로서 구성되므로 제어장치 의 사용 부품ldquo rdquo

시험 및 선정기준과 같으며 장거리운용상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신속도를

알맞게하며 장거리통신 선로에서 유기되는 잡음을 최소화 하기위한 필터회로 및

소프트웨어적인 오류정정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별도 설계 사용 하였다

- 47 -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V-170)

이장치는 사용상 편리하여야 하므로 소형 경량 으로 제작 하였으며 차적 기능 시 1

험을 목적으로 외형 보다는 성능을 우선하여 시험용으로 제작하였다 이장치의 시

험은 전용케이블 을 이용하여 시험하였고 또 일반 공용통신용 전화 선로를 통하여

원거리 시험을 하였으며 그결과로서 통신속도가 까지 양호하게 동작되나2400bps

그이상의 통신속도로서 운용 할려면 전용회선이 필요하게된다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가 결정 SPEC

각회로 에서 필요로하는 전압 및 전류에 알맞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반 성능

을 차적으로 설정 하였으며 최종목표 사양에 일치하기위하여서는 전원부의 장치에1

대하여 모든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최종 특성이 설정 되어야 한다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P-099)

이장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되나 반면에 안정성이 확고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안

정성을 첫째로 중요시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이회로는 많은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많은 전력이 열로서 손실되므로 방열에 특히 유의하여 제작되었으며 열발생이 많은

부품은 알미늄 방열판에 설치하고 이방열판은 본장치 외함의 바깥쪽에 설치하여 방

열효과를 최대화 하였다

이회로의 시험은 과입력전압 및 과소비전력 일때의 안정성에 중점 시험하였고 그시

험을 위하여 장시간 항온 항습기 를 이용하여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전원부의 안정

성 확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도 이회로를 특별히 개선하지 않고도 최

종목표 사양에 만족하리라 본다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PCB NO V-098)

마이크 회로 수화기 회로 송신 스윗치 회로 로서 구성되며 이장치는 사용 특성상

충격에 강하도록 설계제작 되어야 하며 무게는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재료선택이

중요하며 이러한점을 감안하여 사출금형에 의하여 성형 하였으며 성형 제료로서는

제료를 사용하고 사용 부품을 최소화 하여 제작 하였다ABS

이장치의 특성상 견고하며 방수효과가 최대이어야 하므로 충격 자연낙하 시험 및( )

방수시험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 성형제료 및 외형상의 문제는 없이나

송화기 및 수화기의 선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송화기는 콘텐서형

마이크가 좋으며 수화기로는 가변코일형으로서 떨림판이 평면으로된 수화기가 우수

한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선정하여 제작시험 하였다

- 48 -

전용 수신기9 DSC (PCB NO T-342)

전용수신 장치는 송수신장치중 송신부를 제외한 구조와 유사하므로 개발과정에서

송수신장치중 수신부회로에 복조장치 를 추가하여 별도 로 제작하여 시험DSC PCB

하였으며 개발내용중 전용수신기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DSC

가 기능 및 동작

변조되어 수신된 신호를 필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후 신호 처리용FM DSC DSC

마이크로프로세스 에 공급하여 소프트웨어로서 신호를 분석한후 표시장치 메(CPU)

모리장치 인쇄장치 등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전용 찬넬인 번 찬넬을 항상 DSC 70

수신상태로 동작하여 신호 도트신호 를 검출하고 신호가 있으면 이어서CALL ( ) CALL

수신되는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표시장치 및 경보장치에 출력한다

나 신호 신호 필터회로 와 신호 처리부 및 제어용회로부 DSC (FS ) DSC DSC

제작시험 (PCB NO T-325 T-326 T-327)

이 회로의 성능은 주로 필터 및 디지탈변환 회로에서 결정되며 소프트웨어의 성능

에 따라 안정성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점을 유의하여 설계제작 하여으며 성능 시험

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험용 정보를 송신장치로 통해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후 그

결과를 분석 시험 하였다

다 전용 수신기의 개발과정 에서의 학보된 기술 DSC

신호 및 의 신호 의 필터 및 디지털 변환 기술DSC (1300 2100 FS )

신호 검출 및 직렬신호의 병렬변환 소프트웨어DOT

기술 정보의 비교 및 인쇄출력 소프트웨어 기술

종합시험10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별 차 차 차 보완시험은 만족하며 앞으로 개발의 중점은 사용의 편리성과PCB 1 2 3

생산성에 중점 개발이 요하며 배치에 따라 야기될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 PCB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후 최종제품을 제작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49 -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1

가 전면판 사출금형

나 옆판 스피커 안테나 금형

다 노브 사출금형

라 윗면 및 밑면 프레스 금형

마 설치용 고정장치 사출 금형

바 설치대 프레스 금형

사 뒷면 작업용 프레스 금형

아 항온조용 열차단금형

자 필타 금형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2

가 송수신기 제어장치 프로그램

나 전용 수신기 제어용 프로그램 DSC

다 원격조정기 프로그램

라 송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마 수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3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37: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37 -

제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3

제 절 송수신장치1 DSC VHF

시스템 개요1

본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모든기능을 충족하는 일체형과 전화용 복신방식의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호출 및 수신제어장치 로구분된 독립형 으로 구분되며 DSC DSC

이는 외형상의 구분이며 그주요기능별 구성은 각각의 유니트로된 송수신 장치

전용수신기 표시 및 제어장치 와 전원부 로 구분되며 이것들은 다시 하나의DSC

케비넷 또는 독립된장치로서 구성된다

시스템 구성2

장비의 개요 및 특징3

가 개요

본 송수신기는 항만내 또는 연안에서 해안국과 선박국 또는 선박국 상호간VHF FM

의 해상이동업무 통신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기로서 이내의 해상156 ~162

이동 무선통신업무용의 전 을 수용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전파관리법 및CHANNEL

등 국제규격에 적합하도록 설계 제작된 기기로서 전세계ITU SOLAS USA USCG

어느곳에서나 규정에알맞게 사용할 수 있는 국제항만 무선전화기용 무선 송수신기

를 제작한다

- 38 -

나 특징

소형 경량화로서 좁은 장소에 설치가 용의하게 되어 있어야 한다(1)

송신각 각 방식을 채용하였으며 국제 항만 무선전화(2) DIRECT SYNTHESIZER

인 를 수용해야 하며 그외 개의CHANNEL 55(114) CHANNEL 105(527) FREE

이 수용되어 있어야 한다CHANNEL(SIMPLEX)

주 국제 중 미국연안에서 단식방식으로 절환 사용되고 있는1 CHANNEL 55(114)

을 사용 할 수 있을것USA CHANNEL(SIMPLEX)

주 별도의 기상수신 을 수용하고 있어야 한다2 WEATHER CHANNEL( )

USA 3 CHANNELS

CANADIAN 1 CHANNEL

OTHERS 5 CHANNELS

원격조정 회로의 내장으로 본기기의 판넬스위치와는 상관없이(3) REMOTE ( ) HAND

만 으로도 판넬 스위치 조작에 필요한 모든기능을 할 수 있고SET CONTROL VHF

의 원근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어야 한다SET

기능이 첨부되어 있어 미국연안 경비대 의 의무 청취(4) DUAL WATCH USCG( )

인 과 의 개의 을 동시에 수신할 수CHANNEL CH 13 CH 16 2 CHANNEL SCANNING

있으며 과 사용자가 선택하는 임의의 을 동시에CHANNEL 16 CHANNEL SCANNING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에 경보신호 기능의 내장으로 비상시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5) CH 16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국제 개 및 을(6) SCAN CHANNEL 55 FREE CHANNEL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SCANNING

안전통신에 지정되어 있는 은 우선 사용할 수 있도록(7) CHANNEL16 1 STEP

로 되어 있어야 한다SWITCH

국제 해상 인명 안전조약 에 정한 규격으로 되어 있어 전세계 어느곳의(8) SOLAS( )

규정에도 적합하며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구 성4

본 기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가 송 수신기 본체 대 1

나 HAND SET 1 SET

다 WHIP ANTENNA 1 SET

라 벽걸이형 SPEAKER 1 SET

마 전원 공급기 1 SET

- 39 -

규 격5

주파수 및 규격은 현재의 통신방식이며 정보통신부의 고시가 발표되면 협대역(125

로 변경한다)

가 일반사항

사용주파수 범위(1)

송 신 156025 ~ 157425 수 신 (SIMPLEX) 156025 ~ 157425 수 신 (DUPLEX) 160625 ~ 162025 기상수신 (WEATHER) 161650 ~ 162550

사용(2) CHANNEL

A International 55 (114) CHANNELSB USA 25 CHANNELSC FREE 105 (527) CHANNELSD WEATHER 9 CHANNELS

USA 3 CHANNELSCANADIAN 1 CHANNELOTHERS 5 CHANNELS

통신 방식(3) SIMPLEX amp DUPLEX

전파의 형식 전화(4) 16KOF3E( G3E DSC F2BG2B)

주파수 편차(5) 0001 (10 PPM)

사용 온도범위 부터(6) -10 + 50

예열 시간 전원 접속후 즉시 사용가능(7)

공칭(8) ANTENNA IMPEDANCE 50 ohm ( )

공급 전원(9)

전 압 136V plusmn 10전 류 수신시 800

송신시 5A전원 공급기 별도( ) 단상AC115V AC220V 60

부터 까지DC 15V 35V

나 송 신 부

정격 출력(1) HIGH -25 W

LOW - 1W

주 공중선 전력 저하장치로 이하 저하기능 보유1 1WATT주 단 보호 인 및 가 아님 은 송신이2 CHANNEL 7576 1 ~9(01 ~09 )CHANNEL되지 않음 기상수신대의 사용법은 본문 참조 ( )

- 40 -

발진 방식(2) SYNTHESIZER CONTROL SYSTEM

변조 방식(3) FREQUENCY MODULATION

점유 주파수 대역폭(4) 16 (8)

최대 주파수 편의(5) 5 (25)

복사강도 이상(6) SPURIOUS 70

변조 주파수 특성(7) 6 (plusmn 3 ) OCTAVE PRE-EMPHASIS)

(300 ~ 3 )

변조시 이하(8) DISTORTION 1 70 -20

신호 대 잡음비 변조시 이상(9) 1 70 40

저역 여파기 특성 이상에서 이상 감쇄(10) 3 -40log f3( ) (f = )

다 수 신 부

수 신 방 식(1) DOUBLE SUPERHETERODYNE SYSTEM

감 도(2) 이하 신호 대 잡음비 에서 025 V ( 20 )μ

감도(3) SQUELCH 이하 02 Vμ

국부 발진 주파수(4) 1lsquost LOCAL FREQUENCY

RECEIVER FREQUENCY - 214

2nd LOCAL FREQUENCY 10945

중간 주파수(5) 1lsquost IF FREQUENCY 214

2nd IF FREQUENCY 455

선 택 도(6) 저하폭 이상 6 12 (6)

저하폭 이하 70 25 (125)

(7) SPURIOUS RESPONCE 이상 70

감도 억압 효과(8) 이상 80

상호 변조 특성(9) 이상 65 ( 20 40 )

주파수 특성(10) 6 (plusmn3 )OCTAVE DE-EMPHASIS)

( 300 ~ 3 )

신호 대 잡음비(11) 변조시 이상 1 60 40

(12) DISTORTION 변조시 이하 1 70 -20

저주파 출력(13) 이상 1 WATT (IMPEDANCE 8 ohm)

- 41 -

제 절 차년도 개발 범위2 1

제 차년도 개발범위는 기초자료조사와 규정의 연구에 따라 기초회로의 설계 후1

사용부품을 시험하고 각 의 제작 및 시험 연이은 성능미달 의 차 차PCB PCB 2 3

차 재제작 시험을 완료하고 시스템의 설계까지이며 그 세부적인 개발범위는 다음4

과 같다

송수신장치 개발을 위한 제규정 수집 연구1 DSC VHF

기초자료 조사2

가 장비에 대한 기능특성 수집 연구

나 사용자 및 선박통신사의 요구사항에 대한 자료 수집 연구

다 외국장비와 비교 분석

라 부품규격 시험 및 선정

3 HARD WARE

가 고주파 필터코일 재질분석 및 각종코일 설계

나 제작 PCB

송신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1) PCB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시험(2) PCB

수신부회로 제작 시험(3) PCB

신세사이즈 회로 제작 시험(4) PCB

제어장치 제작 시험(5) PCB

표시장치 제작 시험(6) PCB

원격제어기 제작 시험(7) PCB

전원공급부 제작 시험(8) PCB

제작 시험(9) HAND SET PCB

전용수신기 제작 시험(10) DSC PCB

- 42 -

제 장 제 차년도 개발 항목 보고4 1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본 장비를 개발함에 있어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및 부품선정이 개발의 핵심 과제

로 생각하였다

기초자료는 기존 시스템분석과 전파관련법령을 기초하였고 주변회로는 관련된 회

로집을 분석하였으며 부품선정은 폐품종 여부와 수급이 용이하면서 견고하고 증폭

도 및 성능이 우수한 품종으로 장시간 시험을 거쳐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송신부 제작시험2

송신 출력회로 결정 회로설계 완료하여 각부 부품 구입 회 내구성 시험 및SPEC 30

구룹별 장시간 부품 부하 시험등 최종목표 성능을 확보하기위한 제반 기초 제작시

험을 완료 하였으며 주요 내용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의 발열상태등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의 높은 출력으로 증폭하는 송신전(VHF ) 25W

력 증폭기로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높은 고주파전력에 견딜수있어야 하고 열

에의해 발생되는 열잡음이 적으야하며 열에의한 부품의 열화 및 특성의 변화가 적

은 부품을 사용여야 하므로 온습도시험 과 과출력 시험을 통하여 사용될 부품을 시

험하였다

특히 고조파 필터회로 부품인 코일은 동선에 전도율이 좋은 재질로 도금하여 사용

하여야 하며 고조파필터회로 의 차폐용 재료도 동판에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도금

하여 사용 하여야 한다

나 송신 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PCB (PCB NO V-097)

개발과정에서의 설계변경 및 생산시스템의 전산화 에 적용 할수있도록 회로 설계는

물론 설계 회로기판 도안 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설계완료된 는PCB ( ) CAD DATA

회로기판 제작장치 외주 작업 및 부품삽입기 자사 작업 에 직접 컴퓨터용 디스켙( ) ( ) (

으로 입력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회로에 높은 고주파전류가 흐르므로인하여 빌진할 가능성 및 잡음발생의 우려PCB

가 많으므로 특히 부품배치에 유의하여 설계하였으며 송신신호 발생회로 또는 전원

회로 와의 배선은 관통형콘덴서등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였다

회로에 사용되는 코일은 각 코일간에 간섭을 줄이기위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설정하

였으며 전체를 차폐하고 또 고조파 필터회로를 구분하여 차폐하여 제작 하였PCB

- 43 -

또 안정된 출력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회로를 장치하여 설정된 출력 이상의ALC

출력을 제한한다

다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PCB (PCB NO V-096TX)

설계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이 는 미약한 고주파 신호를 발생 변PCB CAD PCB

환 증폭 하므로서 송신부 또는 외부로 부터의 잡음 유입과 내부잡음 발생에 유의

하여 설계되었으며 불요복사 억제에 유의하였다

라 성능시험

메칭상태 시험(1)

옴 파장 수직형 안테나 를 사용할수 있도록 시험하였으며 차적인 시험은 의50 12 1

사부하에 의해 시험하고 의사부하 안테나에 정상적인 메칭이 된 후 실제 사용 안테

나에 확인시험 하였다

이 시험에서 양질의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장치는 물론 안테나의 성능이 중

요하며 인접한 고전력 안테나 및 낙뢰로부터 안정성 등을 감안하여 안테나는 VHF

대역 이하의 주파수에 대하여 쇼트형 안테나가 바람직 하다

기존 시스템의 이상의 성능 확보(2) 90

송신부의 주기능으로서 양질의전파를 안테나로 공중에 발사하는 장치로서 주피수안

정도 고조파억압 불효전파억제 안정된전력 안정된 주파수편이 낮은 왜율 등의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시험결과는 기존의 제품의 특성에 가까운 성능을 확보

하였으나 안테나공용기 복신통신용 필터 특성의 개선및 송신부 관련부품의 배치를( )

개선하므로서 보다 좋은 성능을 확보 할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신부 제작시험3

수신부는 안테나입력회로 입력동조회로 단신통신 및 복신통신 각 주파수 대역 필 (

터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로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 1 1 2 2

로 대역필터회로 신호제한 리미터 회로 복조회로 무신호잡음 차단 회로 저주 ( ) FM

파 증폭회로 및 국부발진회로 로서 구성되나 국부발진회로는 잡음의 발생및 유입

주파수안정도 등을 감안하여 별도의 로서 제작하였으며 그외 수신부와 관련한PCB

내용은 다음과 같다

- 44 -

가 사용부품의 구입 및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증폭과 변환을 반복하여 요구되는 신호(VHF )

를 복조하여 기청음 또는 의 문자표시로 출력되게 하므로서 안정된 주파수 및DSC

증폭이 요구되므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당연히 고주파특성에 유의하여 주파수

차에의한 특성변화 열잡음 및 고주파잡음 능동소자등의 직선성 등이 교려되어야하

므로 항온항습시험과 과전류에의한 잡음발생의 시험 등 을 거처 엄선한 부품으로

설정사용 하였다

특히 회로의 선택도 코알의 값 를 높이기 위하여 가 높은 트랜스 재료를 사용하( Q ) Q

였다

다 수신부회로 제작 PCB (PCB NO V-096RX)

위 항에서의 시험에 의해 선택된 부품을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며 수신부의 특성31

상 잡음의 발생보다는 잡음의 유입에 유의하여 설계되었으며 안정된 증폭 특성 수(

신감도 을 얻기위하여 중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회로기판은 에폭시) 2

수지 양면인쇄동판을 사용하여 부품삽입면은 대부분 공통단자로 이용하여 부품간의

간섭을최소화 하였다

다 수신부 특성시험

수신부 특성상 수신감도 주파수안정도 왜율 통과대역폭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감도억압비 혼변조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신호대 잡음비 일 때의 수신감 20

도 성능이 확보되며 기타 여러 가지 특성도 최종목표 특성에 가까운 성능이05

확보 되었으나 까지 수신감도가 향상되도록 성능개선이 요구된다025 V 120757

신세사이즈부의 회로의 안정도로 인하여 국부발진 신호의 흔들림현상이 있어VCO

통과대역폭 및 잡음발생의 원인이되어 신세사이즈회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신세시이즈회로는 크게 수신국부발진 신호용과 송신신호용으로 구분되며 단신통신

과 복신통신방식일때 각각 동작할수있는 구성으로 설계되었으며 그 내용별로 구분

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전압제어발진기 에 사용되는 부품은 온도 및 전압변동에 특성의변화가 극히(VCO)

적어야하며 외부로부터 정전 및 자계영향이 크므로 회로를 별도로 정전 및 자VCO

계로부터 차폐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혼변조 및 잡음신호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파수선택 표준신호 등 시 수신( )

대역 및 송신대역에 영향이 없는 주파수로 하였으며 가능한 레벨을 제외한 신(TTL

호 파형의 왜율이 적은신호로서 각회로신호를 사용하여 결합하였다)

- 45 -

나 신세사이회로 제작 (PCB NO V-096PLL)

이회로 기판은 여러종류의 신호들이 발생 혼합 증폭 비교 되므로 각부품 간의 배

치에따라 잡음발생의 정도가 크게 좌우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였으며 회로는 외VCO

부영향에 민감하게 작동되므로 차폐 에 유의하여 부품의 배치 적절하게 하였으며

잡음발생을 유의하여 부품을 선정하였다

다 성능시험

이회로의 특성상 주파수안정도 주파수의 흔들림 위상비교기의 비교속도 등에 유의

하여 시험하였으며 여러가지 일반적인 특성은 최종목표사양에 만족될 수 있는 신호

원을 공급할수 있었어나 주파수의 흔들림 현상이 있어 회로의 부품 및 차폐에VCO

개선이 요구된다

제어장치 제작시험5 (PCB NO V-263)

이회로의 주요부품으로서 를 사용하여 당개발과제의 송수신 및 외부V25 CPU DSC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며 아울러 본체 전면표시기와 스윗치 입출력 기능도 한다

이회로의 주요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스 읽기전용 메모리 읽고CPU( ) ROM( ) RAM(

쓰기 메모리 직렬통신용 입출력 병렬통신 입출력 아날로그 디지) SIO( ) PIO( ) AD(

탈 변환기 스윗치입력 표시기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개발 내용은 다음과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에 사용되는 부품은 대부분 디지탈신호를 처리하여 회로로서 및TTL IC

로서 구성되며 저소비전력 및 고속처리능력이 요구되므로 주로 고속용C-MOS IC

중 형 를 사용 하였으며 장치의 초기설정 및 기능 설정의C-MOS(C-MOS IC HC )

변경등 의 목적으로 은 충전형 밧테리로서 메모리내용을 전원의 에 관RAM ONOFF

계없이 유지하도록 하였다

외부 제어기 등 와의 통신용 의 통신속도를 또는 등으로(DSC ) RS-232C 2400 4800

변경 설정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변환기 등을 이용하여 자기진단을 할수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장비의 유지및AD

보수에 많은 도움이된다

- 46 -

나 성능시험

운용시험(1)

이회로의 특성상 전기적 특성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특성 및 성능이 요구되므로 운

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이부분에 대한 시험은 개발자입

장이 아닌 운용자가 시험하여야 하는 관계로 선박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사용자에게

의뢰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로서는 기능면에서는 양호하나 사용상 복잡한 면이 있어 보다 조작 을 간편

히 할수있도록 개선할 필요가있는 것으로 본다

표시장치 시험(2) (PCB NO V-260)

본장치의 사용상 필요한 기능 및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내용과 기기 동작

상태의 일치성이 요구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온습도 및 장기시험 으

로서 확인하였으며 여러 가지 표시장치중 각각 중단점이 나타낮다

즉 액정 표시기 표시기는 저소비전력이며 주위가 밝은곳에서 사용이 가능 하LCD( )

나 반면 온도특성이 나쁘며 형광표시관 표시기는 온도특성은 양호하나 소비전 VFD( )

력이 대체로 높고 보다 낮고 보다 많음 수명이 낮다는 단점이있으며(FND LCD )

발광 다이오드 표시기는 모든면에서 대체로 양호 하나 잡음발생 이많으며 밝FND( )

은곳에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외 여러 가지의 장담점을 검토하여 차적인 결론은 표시기가 적합한 것으로1 LCD

본다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최소의 전기적신호 연결로서 최대의 기능제어및 속도가 요구되는 장치로서 저주파

신호의 입력 마이크 신호 및 출력 스피크 신호 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 제어는( FS ) ( )

직렬통신 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였으며 장거리 일반 공용통신망 을 이(RS-232C)

용할수도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요 구성은 중앙제어장치 스윗치입력 장치 표시장치 메모리장치 직렬통신장치

로 구성되며 그 상세한 개발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의 대부분이 디지탈신호의 처리회로로서 구성되므로 제어장치 의 사용 부품ldquo rdquo

시험 및 선정기준과 같으며 장거리운용상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신속도를

알맞게하며 장거리통신 선로에서 유기되는 잡음을 최소화 하기위한 필터회로 및

소프트웨어적인 오류정정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별도 설계 사용 하였다

- 47 -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V-170)

이장치는 사용상 편리하여야 하므로 소형 경량 으로 제작 하였으며 차적 기능 시 1

험을 목적으로 외형 보다는 성능을 우선하여 시험용으로 제작하였다 이장치의 시

험은 전용케이블 을 이용하여 시험하였고 또 일반 공용통신용 전화 선로를 통하여

원거리 시험을 하였으며 그결과로서 통신속도가 까지 양호하게 동작되나2400bps

그이상의 통신속도로서 운용 할려면 전용회선이 필요하게된다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가 결정 SPEC

각회로 에서 필요로하는 전압 및 전류에 알맞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반 성능

을 차적으로 설정 하였으며 최종목표 사양에 일치하기위하여서는 전원부의 장치에1

대하여 모든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최종 특성이 설정 되어야 한다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P-099)

이장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되나 반면에 안정성이 확고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안

정성을 첫째로 중요시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이회로는 많은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많은 전력이 열로서 손실되므로 방열에 특히 유의하여 제작되었으며 열발생이 많은

부품은 알미늄 방열판에 설치하고 이방열판은 본장치 외함의 바깥쪽에 설치하여 방

열효과를 최대화 하였다

이회로의 시험은 과입력전압 및 과소비전력 일때의 안정성에 중점 시험하였고 그시

험을 위하여 장시간 항온 항습기 를 이용하여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전원부의 안정

성 확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도 이회로를 특별히 개선하지 않고도 최

종목표 사양에 만족하리라 본다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PCB NO V-098)

마이크 회로 수화기 회로 송신 스윗치 회로 로서 구성되며 이장치는 사용 특성상

충격에 강하도록 설계제작 되어야 하며 무게는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재료선택이

중요하며 이러한점을 감안하여 사출금형에 의하여 성형 하였으며 성형 제료로서는

제료를 사용하고 사용 부품을 최소화 하여 제작 하였다ABS

이장치의 특성상 견고하며 방수효과가 최대이어야 하므로 충격 자연낙하 시험 및( )

방수시험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 성형제료 및 외형상의 문제는 없이나

송화기 및 수화기의 선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송화기는 콘텐서형

마이크가 좋으며 수화기로는 가변코일형으로서 떨림판이 평면으로된 수화기가 우수

한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선정하여 제작시험 하였다

- 48 -

전용 수신기9 DSC (PCB NO T-342)

전용수신 장치는 송수신장치중 송신부를 제외한 구조와 유사하므로 개발과정에서

송수신장치중 수신부회로에 복조장치 를 추가하여 별도 로 제작하여 시험DSC PCB

하였으며 개발내용중 전용수신기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DSC

가 기능 및 동작

변조되어 수신된 신호를 필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후 신호 처리용FM DSC DSC

마이크로프로세스 에 공급하여 소프트웨어로서 신호를 분석한후 표시장치 메(CPU)

모리장치 인쇄장치 등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전용 찬넬인 번 찬넬을 항상 DSC 70

수신상태로 동작하여 신호 도트신호 를 검출하고 신호가 있으면 이어서CALL ( ) CALL

수신되는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표시장치 및 경보장치에 출력한다

나 신호 신호 필터회로 와 신호 처리부 및 제어용회로부 DSC (FS ) DSC DSC

제작시험 (PCB NO T-325 T-326 T-327)

이 회로의 성능은 주로 필터 및 디지탈변환 회로에서 결정되며 소프트웨어의 성능

에 따라 안정성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점을 유의하여 설계제작 하여으며 성능 시험

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험용 정보를 송신장치로 통해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후 그

결과를 분석 시험 하였다

다 전용 수신기의 개발과정 에서의 학보된 기술 DSC

신호 및 의 신호 의 필터 및 디지털 변환 기술DSC (1300 2100 FS )

신호 검출 및 직렬신호의 병렬변환 소프트웨어DOT

기술 정보의 비교 및 인쇄출력 소프트웨어 기술

종합시험10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별 차 차 차 보완시험은 만족하며 앞으로 개발의 중점은 사용의 편리성과PCB 1 2 3

생산성에 중점 개발이 요하며 배치에 따라 야기될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 PCB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후 최종제품을 제작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49 -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1

가 전면판 사출금형

나 옆판 스피커 안테나 금형

다 노브 사출금형

라 윗면 및 밑면 프레스 금형

마 설치용 고정장치 사출 금형

바 설치대 프레스 금형

사 뒷면 작업용 프레스 금형

아 항온조용 열차단금형

자 필타 금형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2

가 송수신기 제어장치 프로그램

나 전용 수신기 제어용 프로그램 DSC

다 원격조정기 프로그램

라 송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마 수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3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38: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38 -

나 특징

소형 경량화로서 좁은 장소에 설치가 용의하게 되어 있어야 한다(1)

송신각 각 방식을 채용하였으며 국제 항만 무선전화(2) DIRECT SYNTHESIZER

인 를 수용해야 하며 그외 개의CHANNEL 55(114) CHANNEL 105(527) FREE

이 수용되어 있어야 한다CHANNEL(SIMPLEX)

주 국제 중 미국연안에서 단식방식으로 절환 사용되고 있는1 CHANNEL 55(114)

을 사용 할 수 있을것USA CHANNEL(SIMPLEX)

주 별도의 기상수신 을 수용하고 있어야 한다2 WEATHER CHANNEL( )

USA 3 CHANNELS

CANADIAN 1 CHANNEL

OTHERS 5 CHANNELS

원격조정 회로의 내장으로 본기기의 판넬스위치와는 상관없이(3) REMOTE ( ) HAND

만 으로도 판넬 스위치 조작에 필요한 모든기능을 할 수 있고SET CONTROL VHF

의 원근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어야 한다SET

기능이 첨부되어 있어 미국연안 경비대 의 의무 청취(4) DUAL WATCH USCG( )

인 과 의 개의 을 동시에 수신할 수CHANNEL CH 13 CH 16 2 CHANNEL SCANNING

있으며 과 사용자가 선택하는 임의의 을 동시에CHANNEL 16 CHANNEL SCANNING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에 경보신호 기능의 내장으로 비상시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5) CH 16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국제 개 및 을(6) SCAN CHANNEL 55 FREE CHANNEL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SCANNING

안전통신에 지정되어 있는 은 우선 사용할 수 있도록(7) CHANNEL16 1 STEP

로 되어 있어야 한다SWITCH

국제 해상 인명 안전조약 에 정한 규격으로 되어 있어 전세계 어느곳의(8) SOLAS( )

규정에도 적합하며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구 성4

본 기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가 송 수신기 본체 대 1

나 HAND SET 1 SET

다 WHIP ANTENNA 1 SET

라 벽걸이형 SPEAKER 1 SET

마 전원 공급기 1 SET

- 39 -

규 격5

주파수 및 규격은 현재의 통신방식이며 정보통신부의 고시가 발표되면 협대역(125

로 변경한다)

가 일반사항

사용주파수 범위(1)

송 신 156025 ~ 157425 수 신 (SIMPLEX) 156025 ~ 157425 수 신 (DUPLEX) 160625 ~ 162025 기상수신 (WEATHER) 161650 ~ 162550

사용(2) CHANNEL

A International 55 (114) CHANNELSB USA 25 CHANNELSC FREE 105 (527) CHANNELSD WEATHER 9 CHANNELS

USA 3 CHANNELSCANADIAN 1 CHANNELOTHERS 5 CHANNELS

통신 방식(3) SIMPLEX amp DUPLEX

전파의 형식 전화(4) 16KOF3E( G3E DSC F2BG2B)

주파수 편차(5) 0001 (10 PPM)

사용 온도범위 부터(6) -10 + 50

예열 시간 전원 접속후 즉시 사용가능(7)

공칭(8) ANTENNA IMPEDANCE 50 ohm ( )

공급 전원(9)

전 압 136V plusmn 10전 류 수신시 800

송신시 5A전원 공급기 별도( ) 단상AC115V AC220V 60

부터 까지DC 15V 35V

나 송 신 부

정격 출력(1) HIGH -25 W

LOW - 1W

주 공중선 전력 저하장치로 이하 저하기능 보유1 1WATT주 단 보호 인 및 가 아님 은 송신이2 CHANNEL 7576 1 ~9(01 ~09 )CHANNEL되지 않음 기상수신대의 사용법은 본문 참조 ( )

- 40 -

발진 방식(2) SYNTHESIZER CONTROL SYSTEM

변조 방식(3) FREQUENCY MODULATION

점유 주파수 대역폭(4) 16 (8)

최대 주파수 편의(5) 5 (25)

복사강도 이상(6) SPURIOUS 70

변조 주파수 특성(7) 6 (plusmn 3 ) OCTAVE PRE-EMPHASIS)

(300 ~ 3 )

변조시 이하(8) DISTORTION 1 70 -20

신호 대 잡음비 변조시 이상(9) 1 70 40

저역 여파기 특성 이상에서 이상 감쇄(10) 3 -40log f3( ) (f = )

다 수 신 부

수 신 방 식(1) DOUBLE SUPERHETERODYNE SYSTEM

감 도(2) 이하 신호 대 잡음비 에서 025 V ( 20 )μ

감도(3) SQUELCH 이하 02 Vμ

국부 발진 주파수(4) 1lsquost LOCAL FREQUENCY

RECEIVER FREQUENCY - 214

2nd LOCAL FREQUENCY 10945

중간 주파수(5) 1lsquost IF FREQUENCY 214

2nd IF FREQUENCY 455

선 택 도(6) 저하폭 이상 6 12 (6)

저하폭 이하 70 25 (125)

(7) SPURIOUS RESPONCE 이상 70

감도 억압 효과(8) 이상 80

상호 변조 특성(9) 이상 65 ( 20 40 )

주파수 특성(10) 6 (plusmn3 )OCTAVE DE-EMPHASIS)

( 300 ~ 3 )

신호 대 잡음비(11) 변조시 이상 1 60 40

(12) DISTORTION 변조시 이하 1 70 -20

저주파 출력(13) 이상 1 WATT (IMPEDANCE 8 ohm)

- 41 -

제 절 차년도 개발 범위2 1

제 차년도 개발범위는 기초자료조사와 규정의 연구에 따라 기초회로의 설계 후1

사용부품을 시험하고 각 의 제작 및 시험 연이은 성능미달 의 차 차PCB PCB 2 3

차 재제작 시험을 완료하고 시스템의 설계까지이며 그 세부적인 개발범위는 다음4

과 같다

송수신장치 개발을 위한 제규정 수집 연구1 DSC VHF

기초자료 조사2

가 장비에 대한 기능특성 수집 연구

나 사용자 및 선박통신사의 요구사항에 대한 자료 수집 연구

다 외국장비와 비교 분석

라 부품규격 시험 및 선정

3 HARD WARE

가 고주파 필터코일 재질분석 및 각종코일 설계

나 제작 PCB

송신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1) PCB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시험(2) PCB

수신부회로 제작 시험(3) PCB

신세사이즈 회로 제작 시험(4) PCB

제어장치 제작 시험(5) PCB

표시장치 제작 시험(6) PCB

원격제어기 제작 시험(7) PCB

전원공급부 제작 시험(8) PCB

제작 시험(9) HAND SET PCB

전용수신기 제작 시험(10) DSC PCB

- 42 -

제 장 제 차년도 개발 항목 보고4 1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본 장비를 개발함에 있어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및 부품선정이 개발의 핵심 과제

로 생각하였다

기초자료는 기존 시스템분석과 전파관련법령을 기초하였고 주변회로는 관련된 회

로집을 분석하였으며 부품선정은 폐품종 여부와 수급이 용이하면서 견고하고 증폭

도 및 성능이 우수한 품종으로 장시간 시험을 거쳐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송신부 제작시험2

송신 출력회로 결정 회로설계 완료하여 각부 부품 구입 회 내구성 시험 및SPEC 30

구룹별 장시간 부품 부하 시험등 최종목표 성능을 확보하기위한 제반 기초 제작시

험을 완료 하였으며 주요 내용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의 발열상태등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의 높은 출력으로 증폭하는 송신전(VHF ) 25W

력 증폭기로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높은 고주파전력에 견딜수있어야 하고 열

에의해 발생되는 열잡음이 적으야하며 열에의한 부품의 열화 및 특성의 변화가 적

은 부품을 사용여야 하므로 온습도시험 과 과출력 시험을 통하여 사용될 부품을 시

험하였다

특히 고조파 필터회로 부품인 코일은 동선에 전도율이 좋은 재질로 도금하여 사용

하여야 하며 고조파필터회로 의 차폐용 재료도 동판에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도금

하여 사용 하여야 한다

나 송신 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PCB (PCB NO V-097)

개발과정에서의 설계변경 및 생산시스템의 전산화 에 적용 할수있도록 회로 설계는

물론 설계 회로기판 도안 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설계완료된 는PCB ( ) CAD DATA

회로기판 제작장치 외주 작업 및 부품삽입기 자사 작업 에 직접 컴퓨터용 디스켙( ) ( ) (

으로 입력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회로에 높은 고주파전류가 흐르므로인하여 빌진할 가능성 및 잡음발생의 우려PCB

가 많으므로 특히 부품배치에 유의하여 설계하였으며 송신신호 발생회로 또는 전원

회로 와의 배선은 관통형콘덴서등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였다

회로에 사용되는 코일은 각 코일간에 간섭을 줄이기위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설정하

였으며 전체를 차폐하고 또 고조파 필터회로를 구분하여 차폐하여 제작 하였PCB

- 43 -

또 안정된 출력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회로를 장치하여 설정된 출력 이상의ALC

출력을 제한한다

다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PCB (PCB NO V-096TX)

설계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이 는 미약한 고주파 신호를 발생 변PCB CAD PCB

환 증폭 하므로서 송신부 또는 외부로 부터의 잡음 유입과 내부잡음 발생에 유의

하여 설계되었으며 불요복사 억제에 유의하였다

라 성능시험

메칭상태 시험(1)

옴 파장 수직형 안테나 를 사용할수 있도록 시험하였으며 차적인 시험은 의50 12 1

사부하에 의해 시험하고 의사부하 안테나에 정상적인 메칭이 된 후 실제 사용 안테

나에 확인시험 하였다

이 시험에서 양질의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장치는 물론 안테나의 성능이 중

요하며 인접한 고전력 안테나 및 낙뢰로부터 안정성 등을 감안하여 안테나는 VHF

대역 이하의 주파수에 대하여 쇼트형 안테나가 바람직 하다

기존 시스템의 이상의 성능 확보(2) 90

송신부의 주기능으로서 양질의전파를 안테나로 공중에 발사하는 장치로서 주피수안

정도 고조파억압 불효전파억제 안정된전력 안정된 주파수편이 낮은 왜율 등의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시험결과는 기존의 제품의 특성에 가까운 성능을 확보

하였으나 안테나공용기 복신통신용 필터 특성의 개선및 송신부 관련부품의 배치를( )

개선하므로서 보다 좋은 성능을 확보 할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신부 제작시험3

수신부는 안테나입력회로 입력동조회로 단신통신 및 복신통신 각 주파수 대역 필 (

터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로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 1 1 2 2

로 대역필터회로 신호제한 리미터 회로 복조회로 무신호잡음 차단 회로 저주 ( ) FM

파 증폭회로 및 국부발진회로 로서 구성되나 국부발진회로는 잡음의 발생및 유입

주파수안정도 등을 감안하여 별도의 로서 제작하였으며 그외 수신부와 관련한PCB

내용은 다음과 같다

- 44 -

가 사용부품의 구입 및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증폭과 변환을 반복하여 요구되는 신호(VHF )

를 복조하여 기청음 또는 의 문자표시로 출력되게 하므로서 안정된 주파수 및DSC

증폭이 요구되므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당연히 고주파특성에 유의하여 주파수

차에의한 특성변화 열잡음 및 고주파잡음 능동소자등의 직선성 등이 교려되어야하

므로 항온항습시험과 과전류에의한 잡음발생의 시험 등 을 거처 엄선한 부품으로

설정사용 하였다

특히 회로의 선택도 코알의 값 를 높이기 위하여 가 높은 트랜스 재료를 사용하( Q ) Q

였다

다 수신부회로 제작 PCB (PCB NO V-096RX)

위 항에서의 시험에 의해 선택된 부품을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며 수신부의 특성31

상 잡음의 발생보다는 잡음의 유입에 유의하여 설계되었으며 안정된 증폭 특성 수(

신감도 을 얻기위하여 중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회로기판은 에폭시) 2

수지 양면인쇄동판을 사용하여 부품삽입면은 대부분 공통단자로 이용하여 부품간의

간섭을최소화 하였다

다 수신부 특성시험

수신부 특성상 수신감도 주파수안정도 왜율 통과대역폭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감도억압비 혼변조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신호대 잡음비 일 때의 수신감 20

도 성능이 확보되며 기타 여러 가지 특성도 최종목표 특성에 가까운 성능이05

확보 되었으나 까지 수신감도가 향상되도록 성능개선이 요구된다025 V 120757

신세사이즈부의 회로의 안정도로 인하여 국부발진 신호의 흔들림현상이 있어VCO

통과대역폭 및 잡음발생의 원인이되어 신세사이즈회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신세시이즈회로는 크게 수신국부발진 신호용과 송신신호용으로 구분되며 단신통신

과 복신통신방식일때 각각 동작할수있는 구성으로 설계되었으며 그 내용별로 구분

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전압제어발진기 에 사용되는 부품은 온도 및 전압변동에 특성의변화가 극히(VCO)

적어야하며 외부로부터 정전 및 자계영향이 크므로 회로를 별도로 정전 및 자VCO

계로부터 차폐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혼변조 및 잡음신호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파수선택 표준신호 등 시 수신( )

대역 및 송신대역에 영향이 없는 주파수로 하였으며 가능한 레벨을 제외한 신(TTL

호 파형의 왜율이 적은신호로서 각회로신호를 사용하여 결합하였다)

- 45 -

나 신세사이회로 제작 (PCB NO V-096PLL)

이회로 기판은 여러종류의 신호들이 발생 혼합 증폭 비교 되므로 각부품 간의 배

치에따라 잡음발생의 정도가 크게 좌우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였으며 회로는 외VCO

부영향에 민감하게 작동되므로 차폐 에 유의하여 부품의 배치 적절하게 하였으며

잡음발생을 유의하여 부품을 선정하였다

다 성능시험

이회로의 특성상 주파수안정도 주파수의 흔들림 위상비교기의 비교속도 등에 유의

하여 시험하였으며 여러가지 일반적인 특성은 최종목표사양에 만족될 수 있는 신호

원을 공급할수 있었어나 주파수의 흔들림 현상이 있어 회로의 부품 및 차폐에VCO

개선이 요구된다

제어장치 제작시험5 (PCB NO V-263)

이회로의 주요부품으로서 를 사용하여 당개발과제의 송수신 및 외부V25 CPU DSC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며 아울러 본체 전면표시기와 스윗치 입출력 기능도 한다

이회로의 주요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스 읽기전용 메모리 읽고CPU( ) ROM( ) RAM(

쓰기 메모리 직렬통신용 입출력 병렬통신 입출력 아날로그 디지) SIO( ) PIO( ) AD(

탈 변환기 스윗치입력 표시기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개발 내용은 다음과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에 사용되는 부품은 대부분 디지탈신호를 처리하여 회로로서 및TTL IC

로서 구성되며 저소비전력 및 고속처리능력이 요구되므로 주로 고속용C-MOS IC

중 형 를 사용 하였으며 장치의 초기설정 및 기능 설정의C-MOS(C-MOS IC HC )

변경등 의 목적으로 은 충전형 밧테리로서 메모리내용을 전원의 에 관RAM ONOFF

계없이 유지하도록 하였다

외부 제어기 등 와의 통신용 의 통신속도를 또는 등으로(DSC ) RS-232C 2400 4800

변경 설정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변환기 등을 이용하여 자기진단을 할수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장비의 유지및AD

보수에 많은 도움이된다

- 46 -

나 성능시험

운용시험(1)

이회로의 특성상 전기적 특성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특성 및 성능이 요구되므로 운

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이부분에 대한 시험은 개발자입

장이 아닌 운용자가 시험하여야 하는 관계로 선박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사용자에게

의뢰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로서는 기능면에서는 양호하나 사용상 복잡한 면이 있어 보다 조작 을 간편

히 할수있도록 개선할 필요가있는 것으로 본다

표시장치 시험(2) (PCB NO V-260)

본장치의 사용상 필요한 기능 및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내용과 기기 동작

상태의 일치성이 요구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온습도 및 장기시험 으

로서 확인하였으며 여러 가지 표시장치중 각각 중단점이 나타낮다

즉 액정 표시기 표시기는 저소비전력이며 주위가 밝은곳에서 사용이 가능 하LCD( )

나 반면 온도특성이 나쁘며 형광표시관 표시기는 온도특성은 양호하나 소비전 VFD( )

력이 대체로 높고 보다 낮고 보다 많음 수명이 낮다는 단점이있으며(FND LCD )

발광 다이오드 표시기는 모든면에서 대체로 양호 하나 잡음발생 이많으며 밝FND( )

은곳에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외 여러 가지의 장담점을 검토하여 차적인 결론은 표시기가 적합한 것으로1 LCD

본다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최소의 전기적신호 연결로서 최대의 기능제어및 속도가 요구되는 장치로서 저주파

신호의 입력 마이크 신호 및 출력 스피크 신호 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 제어는( FS ) ( )

직렬통신 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였으며 장거리 일반 공용통신망 을 이(RS-232C)

용할수도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요 구성은 중앙제어장치 스윗치입력 장치 표시장치 메모리장치 직렬통신장치

로 구성되며 그 상세한 개발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의 대부분이 디지탈신호의 처리회로로서 구성되므로 제어장치 의 사용 부품ldquo rdquo

시험 및 선정기준과 같으며 장거리운용상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신속도를

알맞게하며 장거리통신 선로에서 유기되는 잡음을 최소화 하기위한 필터회로 및

소프트웨어적인 오류정정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별도 설계 사용 하였다

- 47 -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V-170)

이장치는 사용상 편리하여야 하므로 소형 경량 으로 제작 하였으며 차적 기능 시 1

험을 목적으로 외형 보다는 성능을 우선하여 시험용으로 제작하였다 이장치의 시

험은 전용케이블 을 이용하여 시험하였고 또 일반 공용통신용 전화 선로를 통하여

원거리 시험을 하였으며 그결과로서 통신속도가 까지 양호하게 동작되나2400bps

그이상의 통신속도로서 운용 할려면 전용회선이 필요하게된다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가 결정 SPEC

각회로 에서 필요로하는 전압 및 전류에 알맞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반 성능

을 차적으로 설정 하였으며 최종목표 사양에 일치하기위하여서는 전원부의 장치에1

대하여 모든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최종 특성이 설정 되어야 한다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P-099)

이장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되나 반면에 안정성이 확고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안

정성을 첫째로 중요시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이회로는 많은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많은 전력이 열로서 손실되므로 방열에 특히 유의하여 제작되었으며 열발생이 많은

부품은 알미늄 방열판에 설치하고 이방열판은 본장치 외함의 바깥쪽에 설치하여 방

열효과를 최대화 하였다

이회로의 시험은 과입력전압 및 과소비전력 일때의 안정성에 중점 시험하였고 그시

험을 위하여 장시간 항온 항습기 를 이용하여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전원부의 안정

성 확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도 이회로를 특별히 개선하지 않고도 최

종목표 사양에 만족하리라 본다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PCB NO V-098)

마이크 회로 수화기 회로 송신 스윗치 회로 로서 구성되며 이장치는 사용 특성상

충격에 강하도록 설계제작 되어야 하며 무게는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재료선택이

중요하며 이러한점을 감안하여 사출금형에 의하여 성형 하였으며 성형 제료로서는

제료를 사용하고 사용 부품을 최소화 하여 제작 하였다ABS

이장치의 특성상 견고하며 방수효과가 최대이어야 하므로 충격 자연낙하 시험 및( )

방수시험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 성형제료 및 외형상의 문제는 없이나

송화기 및 수화기의 선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송화기는 콘텐서형

마이크가 좋으며 수화기로는 가변코일형으로서 떨림판이 평면으로된 수화기가 우수

한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선정하여 제작시험 하였다

- 48 -

전용 수신기9 DSC (PCB NO T-342)

전용수신 장치는 송수신장치중 송신부를 제외한 구조와 유사하므로 개발과정에서

송수신장치중 수신부회로에 복조장치 를 추가하여 별도 로 제작하여 시험DSC PCB

하였으며 개발내용중 전용수신기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DSC

가 기능 및 동작

변조되어 수신된 신호를 필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후 신호 처리용FM DSC DSC

마이크로프로세스 에 공급하여 소프트웨어로서 신호를 분석한후 표시장치 메(CPU)

모리장치 인쇄장치 등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전용 찬넬인 번 찬넬을 항상 DSC 70

수신상태로 동작하여 신호 도트신호 를 검출하고 신호가 있으면 이어서CALL ( ) CALL

수신되는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표시장치 및 경보장치에 출력한다

나 신호 신호 필터회로 와 신호 처리부 및 제어용회로부 DSC (FS ) DSC DSC

제작시험 (PCB NO T-325 T-326 T-327)

이 회로의 성능은 주로 필터 및 디지탈변환 회로에서 결정되며 소프트웨어의 성능

에 따라 안정성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점을 유의하여 설계제작 하여으며 성능 시험

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험용 정보를 송신장치로 통해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후 그

결과를 분석 시험 하였다

다 전용 수신기의 개발과정 에서의 학보된 기술 DSC

신호 및 의 신호 의 필터 및 디지털 변환 기술DSC (1300 2100 FS )

신호 검출 및 직렬신호의 병렬변환 소프트웨어DOT

기술 정보의 비교 및 인쇄출력 소프트웨어 기술

종합시험10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별 차 차 차 보완시험은 만족하며 앞으로 개발의 중점은 사용의 편리성과PCB 1 2 3

생산성에 중점 개발이 요하며 배치에 따라 야기될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 PCB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후 최종제품을 제작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49 -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1

가 전면판 사출금형

나 옆판 스피커 안테나 금형

다 노브 사출금형

라 윗면 및 밑면 프레스 금형

마 설치용 고정장치 사출 금형

바 설치대 프레스 금형

사 뒷면 작업용 프레스 금형

아 항온조용 열차단금형

자 필타 금형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2

가 송수신기 제어장치 프로그램

나 전용 수신기 제어용 프로그램 DSC

다 원격조정기 프로그램

라 송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마 수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3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39: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39 -

규 격5

주파수 및 규격은 현재의 통신방식이며 정보통신부의 고시가 발표되면 협대역(125

로 변경한다)

가 일반사항

사용주파수 범위(1)

송 신 156025 ~ 157425 수 신 (SIMPLEX) 156025 ~ 157425 수 신 (DUPLEX) 160625 ~ 162025 기상수신 (WEATHER) 161650 ~ 162550

사용(2) CHANNEL

A International 55 (114) CHANNELSB USA 25 CHANNELSC FREE 105 (527) CHANNELSD WEATHER 9 CHANNELS

USA 3 CHANNELSCANADIAN 1 CHANNELOTHERS 5 CHANNELS

통신 방식(3) SIMPLEX amp DUPLEX

전파의 형식 전화(4) 16KOF3E( G3E DSC F2BG2B)

주파수 편차(5) 0001 (10 PPM)

사용 온도범위 부터(6) -10 + 50

예열 시간 전원 접속후 즉시 사용가능(7)

공칭(8) ANTENNA IMPEDANCE 50 ohm ( )

공급 전원(9)

전 압 136V plusmn 10전 류 수신시 800

송신시 5A전원 공급기 별도( ) 단상AC115V AC220V 60

부터 까지DC 15V 35V

나 송 신 부

정격 출력(1) HIGH -25 W

LOW - 1W

주 공중선 전력 저하장치로 이하 저하기능 보유1 1WATT주 단 보호 인 및 가 아님 은 송신이2 CHANNEL 7576 1 ~9(01 ~09 )CHANNEL되지 않음 기상수신대의 사용법은 본문 참조 ( )

- 40 -

발진 방식(2) SYNTHESIZER CONTROL SYSTEM

변조 방식(3) FREQUENCY MODULATION

점유 주파수 대역폭(4) 16 (8)

최대 주파수 편의(5) 5 (25)

복사강도 이상(6) SPURIOUS 70

변조 주파수 특성(7) 6 (plusmn 3 ) OCTAVE PRE-EMPHASIS)

(300 ~ 3 )

변조시 이하(8) DISTORTION 1 70 -20

신호 대 잡음비 변조시 이상(9) 1 70 40

저역 여파기 특성 이상에서 이상 감쇄(10) 3 -40log f3( ) (f = )

다 수 신 부

수 신 방 식(1) DOUBLE SUPERHETERODYNE SYSTEM

감 도(2) 이하 신호 대 잡음비 에서 025 V ( 20 )μ

감도(3) SQUELCH 이하 02 Vμ

국부 발진 주파수(4) 1lsquost LOCAL FREQUENCY

RECEIVER FREQUENCY - 214

2nd LOCAL FREQUENCY 10945

중간 주파수(5) 1lsquost IF FREQUENCY 214

2nd IF FREQUENCY 455

선 택 도(6) 저하폭 이상 6 12 (6)

저하폭 이하 70 25 (125)

(7) SPURIOUS RESPONCE 이상 70

감도 억압 효과(8) 이상 80

상호 변조 특성(9) 이상 65 ( 20 40 )

주파수 특성(10) 6 (plusmn3 )OCTAVE DE-EMPHASIS)

( 300 ~ 3 )

신호 대 잡음비(11) 변조시 이상 1 60 40

(12) DISTORTION 변조시 이하 1 70 -20

저주파 출력(13) 이상 1 WATT (IMPEDANCE 8 ohm)

- 41 -

제 절 차년도 개발 범위2 1

제 차년도 개발범위는 기초자료조사와 규정의 연구에 따라 기초회로의 설계 후1

사용부품을 시험하고 각 의 제작 및 시험 연이은 성능미달 의 차 차PCB PCB 2 3

차 재제작 시험을 완료하고 시스템의 설계까지이며 그 세부적인 개발범위는 다음4

과 같다

송수신장치 개발을 위한 제규정 수집 연구1 DSC VHF

기초자료 조사2

가 장비에 대한 기능특성 수집 연구

나 사용자 및 선박통신사의 요구사항에 대한 자료 수집 연구

다 외국장비와 비교 분석

라 부품규격 시험 및 선정

3 HARD WARE

가 고주파 필터코일 재질분석 및 각종코일 설계

나 제작 PCB

송신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1) PCB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시험(2) PCB

수신부회로 제작 시험(3) PCB

신세사이즈 회로 제작 시험(4) PCB

제어장치 제작 시험(5) PCB

표시장치 제작 시험(6) PCB

원격제어기 제작 시험(7) PCB

전원공급부 제작 시험(8) PCB

제작 시험(9) HAND SET PCB

전용수신기 제작 시험(10) DSC PCB

- 42 -

제 장 제 차년도 개발 항목 보고4 1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본 장비를 개발함에 있어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및 부품선정이 개발의 핵심 과제

로 생각하였다

기초자료는 기존 시스템분석과 전파관련법령을 기초하였고 주변회로는 관련된 회

로집을 분석하였으며 부품선정은 폐품종 여부와 수급이 용이하면서 견고하고 증폭

도 및 성능이 우수한 품종으로 장시간 시험을 거쳐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송신부 제작시험2

송신 출력회로 결정 회로설계 완료하여 각부 부품 구입 회 내구성 시험 및SPEC 30

구룹별 장시간 부품 부하 시험등 최종목표 성능을 확보하기위한 제반 기초 제작시

험을 완료 하였으며 주요 내용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의 발열상태등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의 높은 출력으로 증폭하는 송신전(VHF ) 25W

력 증폭기로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높은 고주파전력에 견딜수있어야 하고 열

에의해 발생되는 열잡음이 적으야하며 열에의한 부품의 열화 및 특성의 변화가 적

은 부품을 사용여야 하므로 온습도시험 과 과출력 시험을 통하여 사용될 부품을 시

험하였다

특히 고조파 필터회로 부품인 코일은 동선에 전도율이 좋은 재질로 도금하여 사용

하여야 하며 고조파필터회로 의 차폐용 재료도 동판에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도금

하여 사용 하여야 한다

나 송신 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PCB (PCB NO V-097)

개발과정에서의 설계변경 및 생산시스템의 전산화 에 적용 할수있도록 회로 설계는

물론 설계 회로기판 도안 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설계완료된 는PCB ( ) CAD DATA

회로기판 제작장치 외주 작업 및 부품삽입기 자사 작업 에 직접 컴퓨터용 디스켙( ) ( ) (

으로 입력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회로에 높은 고주파전류가 흐르므로인하여 빌진할 가능성 및 잡음발생의 우려PCB

가 많으므로 특히 부품배치에 유의하여 설계하였으며 송신신호 발생회로 또는 전원

회로 와의 배선은 관통형콘덴서등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였다

회로에 사용되는 코일은 각 코일간에 간섭을 줄이기위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설정하

였으며 전체를 차폐하고 또 고조파 필터회로를 구분하여 차폐하여 제작 하였PCB

- 43 -

또 안정된 출력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회로를 장치하여 설정된 출력 이상의ALC

출력을 제한한다

다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PCB (PCB NO V-096TX)

설계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이 는 미약한 고주파 신호를 발생 변PCB CAD PCB

환 증폭 하므로서 송신부 또는 외부로 부터의 잡음 유입과 내부잡음 발생에 유의

하여 설계되었으며 불요복사 억제에 유의하였다

라 성능시험

메칭상태 시험(1)

옴 파장 수직형 안테나 를 사용할수 있도록 시험하였으며 차적인 시험은 의50 12 1

사부하에 의해 시험하고 의사부하 안테나에 정상적인 메칭이 된 후 실제 사용 안테

나에 확인시험 하였다

이 시험에서 양질의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장치는 물론 안테나의 성능이 중

요하며 인접한 고전력 안테나 및 낙뢰로부터 안정성 등을 감안하여 안테나는 VHF

대역 이하의 주파수에 대하여 쇼트형 안테나가 바람직 하다

기존 시스템의 이상의 성능 확보(2) 90

송신부의 주기능으로서 양질의전파를 안테나로 공중에 발사하는 장치로서 주피수안

정도 고조파억압 불효전파억제 안정된전력 안정된 주파수편이 낮은 왜율 등의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시험결과는 기존의 제품의 특성에 가까운 성능을 확보

하였으나 안테나공용기 복신통신용 필터 특성의 개선및 송신부 관련부품의 배치를( )

개선하므로서 보다 좋은 성능을 확보 할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신부 제작시험3

수신부는 안테나입력회로 입력동조회로 단신통신 및 복신통신 각 주파수 대역 필 (

터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로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 1 1 2 2

로 대역필터회로 신호제한 리미터 회로 복조회로 무신호잡음 차단 회로 저주 ( ) FM

파 증폭회로 및 국부발진회로 로서 구성되나 국부발진회로는 잡음의 발생및 유입

주파수안정도 등을 감안하여 별도의 로서 제작하였으며 그외 수신부와 관련한PCB

내용은 다음과 같다

- 44 -

가 사용부품의 구입 및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증폭과 변환을 반복하여 요구되는 신호(VHF )

를 복조하여 기청음 또는 의 문자표시로 출력되게 하므로서 안정된 주파수 및DSC

증폭이 요구되므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당연히 고주파특성에 유의하여 주파수

차에의한 특성변화 열잡음 및 고주파잡음 능동소자등의 직선성 등이 교려되어야하

므로 항온항습시험과 과전류에의한 잡음발생의 시험 등 을 거처 엄선한 부품으로

설정사용 하였다

특히 회로의 선택도 코알의 값 를 높이기 위하여 가 높은 트랜스 재료를 사용하( Q ) Q

였다

다 수신부회로 제작 PCB (PCB NO V-096RX)

위 항에서의 시험에 의해 선택된 부품을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며 수신부의 특성31

상 잡음의 발생보다는 잡음의 유입에 유의하여 설계되었으며 안정된 증폭 특성 수(

신감도 을 얻기위하여 중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회로기판은 에폭시) 2

수지 양면인쇄동판을 사용하여 부품삽입면은 대부분 공통단자로 이용하여 부품간의

간섭을최소화 하였다

다 수신부 특성시험

수신부 특성상 수신감도 주파수안정도 왜율 통과대역폭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감도억압비 혼변조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신호대 잡음비 일 때의 수신감 20

도 성능이 확보되며 기타 여러 가지 특성도 최종목표 특성에 가까운 성능이05

확보 되었으나 까지 수신감도가 향상되도록 성능개선이 요구된다025 V 120757

신세사이즈부의 회로의 안정도로 인하여 국부발진 신호의 흔들림현상이 있어VCO

통과대역폭 및 잡음발생의 원인이되어 신세사이즈회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신세시이즈회로는 크게 수신국부발진 신호용과 송신신호용으로 구분되며 단신통신

과 복신통신방식일때 각각 동작할수있는 구성으로 설계되었으며 그 내용별로 구분

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전압제어발진기 에 사용되는 부품은 온도 및 전압변동에 특성의변화가 극히(VCO)

적어야하며 외부로부터 정전 및 자계영향이 크므로 회로를 별도로 정전 및 자VCO

계로부터 차폐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혼변조 및 잡음신호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파수선택 표준신호 등 시 수신( )

대역 및 송신대역에 영향이 없는 주파수로 하였으며 가능한 레벨을 제외한 신(TTL

호 파형의 왜율이 적은신호로서 각회로신호를 사용하여 결합하였다)

- 45 -

나 신세사이회로 제작 (PCB NO V-096PLL)

이회로 기판은 여러종류의 신호들이 발생 혼합 증폭 비교 되므로 각부품 간의 배

치에따라 잡음발생의 정도가 크게 좌우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였으며 회로는 외VCO

부영향에 민감하게 작동되므로 차폐 에 유의하여 부품의 배치 적절하게 하였으며

잡음발생을 유의하여 부품을 선정하였다

다 성능시험

이회로의 특성상 주파수안정도 주파수의 흔들림 위상비교기의 비교속도 등에 유의

하여 시험하였으며 여러가지 일반적인 특성은 최종목표사양에 만족될 수 있는 신호

원을 공급할수 있었어나 주파수의 흔들림 현상이 있어 회로의 부품 및 차폐에VCO

개선이 요구된다

제어장치 제작시험5 (PCB NO V-263)

이회로의 주요부품으로서 를 사용하여 당개발과제의 송수신 및 외부V25 CPU DSC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며 아울러 본체 전면표시기와 스윗치 입출력 기능도 한다

이회로의 주요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스 읽기전용 메모리 읽고CPU( ) ROM( ) RAM(

쓰기 메모리 직렬통신용 입출력 병렬통신 입출력 아날로그 디지) SIO( ) PIO( ) AD(

탈 변환기 스윗치입력 표시기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개발 내용은 다음과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에 사용되는 부품은 대부분 디지탈신호를 처리하여 회로로서 및TTL IC

로서 구성되며 저소비전력 및 고속처리능력이 요구되므로 주로 고속용C-MOS IC

중 형 를 사용 하였으며 장치의 초기설정 및 기능 설정의C-MOS(C-MOS IC HC )

변경등 의 목적으로 은 충전형 밧테리로서 메모리내용을 전원의 에 관RAM ONOFF

계없이 유지하도록 하였다

외부 제어기 등 와의 통신용 의 통신속도를 또는 등으로(DSC ) RS-232C 2400 4800

변경 설정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변환기 등을 이용하여 자기진단을 할수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장비의 유지및AD

보수에 많은 도움이된다

- 46 -

나 성능시험

운용시험(1)

이회로의 특성상 전기적 특성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특성 및 성능이 요구되므로 운

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이부분에 대한 시험은 개발자입

장이 아닌 운용자가 시험하여야 하는 관계로 선박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사용자에게

의뢰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로서는 기능면에서는 양호하나 사용상 복잡한 면이 있어 보다 조작 을 간편

히 할수있도록 개선할 필요가있는 것으로 본다

표시장치 시험(2) (PCB NO V-260)

본장치의 사용상 필요한 기능 및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내용과 기기 동작

상태의 일치성이 요구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온습도 및 장기시험 으

로서 확인하였으며 여러 가지 표시장치중 각각 중단점이 나타낮다

즉 액정 표시기 표시기는 저소비전력이며 주위가 밝은곳에서 사용이 가능 하LCD( )

나 반면 온도특성이 나쁘며 형광표시관 표시기는 온도특성은 양호하나 소비전 VFD( )

력이 대체로 높고 보다 낮고 보다 많음 수명이 낮다는 단점이있으며(FND LCD )

발광 다이오드 표시기는 모든면에서 대체로 양호 하나 잡음발생 이많으며 밝FND( )

은곳에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외 여러 가지의 장담점을 검토하여 차적인 결론은 표시기가 적합한 것으로1 LCD

본다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최소의 전기적신호 연결로서 최대의 기능제어및 속도가 요구되는 장치로서 저주파

신호의 입력 마이크 신호 및 출력 스피크 신호 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 제어는( FS ) ( )

직렬통신 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였으며 장거리 일반 공용통신망 을 이(RS-232C)

용할수도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요 구성은 중앙제어장치 스윗치입력 장치 표시장치 메모리장치 직렬통신장치

로 구성되며 그 상세한 개발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의 대부분이 디지탈신호의 처리회로로서 구성되므로 제어장치 의 사용 부품ldquo rdquo

시험 및 선정기준과 같으며 장거리운용상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신속도를

알맞게하며 장거리통신 선로에서 유기되는 잡음을 최소화 하기위한 필터회로 및

소프트웨어적인 오류정정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별도 설계 사용 하였다

- 47 -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V-170)

이장치는 사용상 편리하여야 하므로 소형 경량 으로 제작 하였으며 차적 기능 시 1

험을 목적으로 외형 보다는 성능을 우선하여 시험용으로 제작하였다 이장치의 시

험은 전용케이블 을 이용하여 시험하였고 또 일반 공용통신용 전화 선로를 통하여

원거리 시험을 하였으며 그결과로서 통신속도가 까지 양호하게 동작되나2400bps

그이상의 통신속도로서 운용 할려면 전용회선이 필요하게된다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가 결정 SPEC

각회로 에서 필요로하는 전압 및 전류에 알맞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반 성능

을 차적으로 설정 하였으며 최종목표 사양에 일치하기위하여서는 전원부의 장치에1

대하여 모든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최종 특성이 설정 되어야 한다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P-099)

이장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되나 반면에 안정성이 확고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안

정성을 첫째로 중요시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이회로는 많은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많은 전력이 열로서 손실되므로 방열에 특히 유의하여 제작되었으며 열발생이 많은

부품은 알미늄 방열판에 설치하고 이방열판은 본장치 외함의 바깥쪽에 설치하여 방

열효과를 최대화 하였다

이회로의 시험은 과입력전압 및 과소비전력 일때의 안정성에 중점 시험하였고 그시

험을 위하여 장시간 항온 항습기 를 이용하여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전원부의 안정

성 확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도 이회로를 특별히 개선하지 않고도 최

종목표 사양에 만족하리라 본다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PCB NO V-098)

마이크 회로 수화기 회로 송신 스윗치 회로 로서 구성되며 이장치는 사용 특성상

충격에 강하도록 설계제작 되어야 하며 무게는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재료선택이

중요하며 이러한점을 감안하여 사출금형에 의하여 성형 하였으며 성형 제료로서는

제료를 사용하고 사용 부품을 최소화 하여 제작 하였다ABS

이장치의 특성상 견고하며 방수효과가 최대이어야 하므로 충격 자연낙하 시험 및( )

방수시험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 성형제료 및 외형상의 문제는 없이나

송화기 및 수화기의 선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송화기는 콘텐서형

마이크가 좋으며 수화기로는 가변코일형으로서 떨림판이 평면으로된 수화기가 우수

한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선정하여 제작시험 하였다

- 48 -

전용 수신기9 DSC (PCB NO T-342)

전용수신 장치는 송수신장치중 송신부를 제외한 구조와 유사하므로 개발과정에서

송수신장치중 수신부회로에 복조장치 를 추가하여 별도 로 제작하여 시험DSC PCB

하였으며 개발내용중 전용수신기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DSC

가 기능 및 동작

변조되어 수신된 신호를 필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후 신호 처리용FM DSC DSC

마이크로프로세스 에 공급하여 소프트웨어로서 신호를 분석한후 표시장치 메(CPU)

모리장치 인쇄장치 등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전용 찬넬인 번 찬넬을 항상 DSC 70

수신상태로 동작하여 신호 도트신호 를 검출하고 신호가 있으면 이어서CALL ( ) CALL

수신되는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표시장치 및 경보장치에 출력한다

나 신호 신호 필터회로 와 신호 처리부 및 제어용회로부 DSC (FS ) DSC DSC

제작시험 (PCB NO T-325 T-326 T-327)

이 회로의 성능은 주로 필터 및 디지탈변환 회로에서 결정되며 소프트웨어의 성능

에 따라 안정성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점을 유의하여 설계제작 하여으며 성능 시험

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험용 정보를 송신장치로 통해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후 그

결과를 분석 시험 하였다

다 전용 수신기의 개발과정 에서의 학보된 기술 DSC

신호 및 의 신호 의 필터 및 디지털 변환 기술DSC (1300 2100 FS )

신호 검출 및 직렬신호의 병렬변환 소프트웨어DOT

기술 정보의 비교 및 인쇄출력 소프트웨어 기술

종합시험10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별 차 차 차 보완시험은 만족하며 앞으로 개발의 중점은 사용의 편리성과PCB 1 2 3

생산성에 중점 개발이 요하며 배치에 따라 야기될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 PCB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후 최종제품을 제작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49 -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1

가 전면판 사출금형

나 옆판 스피커 안테나 금형

다 노브 사출금형

라 윗면 및 밑면 프레스 금형

마 설치용 고정장치 사출 금형

바 설치대 프레스 금형

사 뒷면 작업용 프레스 금형

아 항온조용 열차단금형

자 필타 금형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2

가 송수신기 제어장치 프로그램

나 전용 수신기 제어용 프로그램 DSC

다 원격조정기 프로그램

라 송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마 수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3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40: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40 -

발진 방식(2) SYNTHESIZER CONTROL SYSTEM

변조 방식(3) FREQUENCY MODULATION

점유 주파수 대역폭(4) 16 (8)

최대 주파수 편의(5) 5 (25)

복사강도 이상(6) SPURIOUS 70

변조 주파수 특성(7) 6 (plusmn 3 ) OCTAVE PRE-EMPHASIS)

(300 ~ 3 )

변조시 이하(8) DISTORTION 1 70 -20

신호 대 잡음비 변조시 이상(9) 1 70 40

저역 여파기 특성 이상에서 이상 감쇄(10) 3 -40log f3( ) (f = )

다 수 신 부

수 신 방 식(1) DOUBLE SUPERHETERODYNE SYSTEM

감 도(2) 이하 신호 대 잡음비 에서 025 V ( 20 )μ

감도(3) SQUELCH 이하 02 Vμ

국부 발진 주파수(4) 1lsquost LOCAL FREQUENCY

RECEIVER FREQUENCY - 214

2nd LOCAL FREQUENCY 10945

중간 주파수(5) 1lsquost IF FREQUENCY 214

2nd IF FREQUENCY 455

선 택 도(6) 저하폭 이상 6 12 (6)

저하폭 이하 70 25 (125)

(7) SPURIOUS RESPONCE 이상 70

감도 억압 효과(8) 이상 80

상호 변조 특성(9) 이상 65 ( 20 40 )

주파수 특성(10) 6 (plusmn3 )OCTAVE DE-EMPHASIS)

( 300 ~ 3 )

신호 대 잡음비(11) 변조시 이상 1 60 40

(12) DISTORTION 변조시 이하 1 70 -20

저주파 출력(13) 이상 1 WATT (IMPEDANCE 8 ohm)

- 41 -

제 절 차년도 개발 범위2 1

제 차년도 개발범위는 기초자료조사와 규정의 연구에 따라 기초회로의 설계 후1

사용부품을 시험하고 각 의 제작 및 시험 연이은 성능미달 의 차 차PCB PCB 2 3

차 재제작 시험을 완료하고 시스템의 설계까지이며 그 세부적인 개발범위는 다음4

과 같다

송수신장치 개발을 위한 제규정 수집 연구1 DSC VHF

기초자료 조사2

가 장비에 대한 기능특성 수집 연구

나 사용자 및 선박통신사의 요구사항에 대한 자료 수집 연구

다 외국장비와 비교 분석

라 부품규격 시험 및 선정

3 HARD WARE

가 고주파 필터코일 재질분석 및 각종코일 설계

나 제작 PCB

송신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1) PCB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시험(2) PCB

수신부회로 제작 시험(3) PCB

신세사이즈 회로 제작 시험(4) PCB

제어장치 제작 시험(5) PCB

표시장치 제작 시험(6) PCB

원격제어기 제작 시험(7) PCB

전원공급부 제작 시험(8) PCB

제작 시험(9) HAND SET PCB

전용수신기 제작 시험(10) DSC PCB

- 42 -

제 장 제 차년도 개발 항목 보고4 1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본 장비를 개발함에 있어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및 부품선정이 개발의 핵심 과제

로 생각하였다

기초자료는 기존 시스템분석과 전파관련법령을 기초하였고 주변회로는 관련된 회

로집을 분석하였으며 부품선정은 폐품종 여부와 수급이 용이하면서 견고하고 증폭

도 및 성능이 우수한 품종으로 장시간 시험을 거쳐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송신부 제작시험2

송신 출력회로 결정 회로설계 완료하여 각부 부품 구입 회 내구성 시험 및SPEC 30

구룹별 장시간 부품 부하 시험등 최종목표 성능을 확보하기위한 제반 기초 제작시

험을 완료 하였으며 주요 내용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의 발열상태등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의 높은 출력으로 증폭하는 송신전(VHF ) 25W

력 증폭기로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높은 고주파전력에 견딜수있어야 하고 열

에의해 발생되는 열잡음이 적으야하며 열에의한 부품의 열화 및 특성의 변화가 적

은 부품을 사용여야 하므로 온습도시험 과 과출력 시험을 통하여 사용될 부품을 시

험하였다

특히 고조파 필터회로 부품인 코일은 동선에 전도율이 좋은 재질로 도금하여 사용

하여야 하며 고조파필터회로 의 차폐용 재료도 동판에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도금

하여 사용 하여야 한다

나 송신 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PCB (PCB NO V-097)

개발과정에서의 설계변경 및 생산시스템의 전산화 에 적용 할수있도록 회로 설계는

물론 설계 회로기판 도안 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설계완료된 는PCB ( ) CAD DATA

회로기판 제작장치 외주 작업 및 부품삽입기 자사 작업 에 직접 컴퓨터용 디스켙( ) ( ) (

으로 입력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회로에 높은 고주파전류가 흐르므로인하여 빌진할 가능성 및 잡음발생의 우려PCB

가 많으므로 특히 부품배치에 유의하여 설계하였으며 송신신호 발생회로 또는 전원

회로 와의 배선은 관통형콘덴서등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였다

회로에 사용되는 코일은 각 코일간에 간섭을 줄이기위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설정하

였으며 전체를 차폐하고 또 고조파 필터회로를 구분하여 차폐하여 제작 하였PCB

- 43 -

또 안정된 출력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회로를 장치하여 설정된 출력 이상의ALC

출력을 제한한다

다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PCB (PCB NO V-096TX)

설계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이 는 미약한 고주파 신호를 발생 변PCB CAD PCB

환 증폭 하므로서 송신부 또는 외부로 부터의 잡음 유입과 내부잡음 발생에 유의

하여 설계되었으며 불요복사 억제에 유의하였다

라 성능시험

메칭상태 시험(1)

옴 파장 수직형 안테나 를 사용할수 있도록 시험하였으며 차적인 시험은 의50 12 1

사부하에 의해 시험하고 의사부하 안테나에 정상적인 메칭이 된 후 실제 사용 안테

나에 확인시험 하였다

이 시험에서 양질의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장치는 물론 안테나의 성능이 중

요하며 인접한 고전력 안테나 및 낙뢰로부터 안정성 등을 감안하여 안테나는 VHF

대역 이하의 주파수에 대하여 쇼트형 안테나가 바람직 하다

기존 시스템의 이상의 성능 확보(2) 90

송신부의 주기능으로서 양질의전파를 안테나로 공중에 발사하는 장치로서 주피수안

정도 고조파억압 불효전파억제 안정된전력 안정된 주파수편이 낮은 왜율 등의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시험결과는 기존의 제품의 특성에 가까운 성능을 확보

하였으나 안테나공용기 복신통신용 필터 특성의 개선및 송신부 관련부품의 배치를( )

개선하므로서 보다 좋은 성능을 확보 할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신부 제작시험3

수신부는 안테나입력회로 입력동조회로 단신통신 및 복신통신 각 주파수 대역 필 (

터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로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 1 1 2 2

로 대역필터회로 신호제한 리미터 회로 복조회로 무신호잡음 차단 회로 저주 ( ) FM

파 증폭회로 및 국부발진회로 로서 구성되나 국부발진회로는 잡음의 발생및 유입

주파수안정도 등을 감안하여 별도의 로서 제작하였으며 그외 수신부와 관련한PCB

내용은 다음과 같다

- 44 -

가 사용부품의 구입 및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증폭과 변환을 반복하여 요구되는 신호(VHF )

를 복조하여 기청음 또는 의 문자표시로 출력되게 하므로서 안정된 주파수 및DSC

증폭이 요구되므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당연히 고주파특성에 유의하여 주파수

차에의한 특성변화 열잡음 및 고주파잡음 능동소자등의 직선성 등이 교려되어야하

므로 항온항습시험과 과전류에의한 잡음발생의 시험 등 을 거처 엄선한 부품으로

설정사용 하였다

특히 회로의 선택도 코알의 값 를 높이기 위하여 가 높은 트랜스 재료를 사용하( Q ) Q

였다

다 수신부회로 제작 PCB (PCB NO V-096RX)

위 항에서의 시험에 의해 선택된 부품을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며 수신부의 특성31

상 잡음의 발생보다는 잡음의 유입에 유의하여 설계되었으며 안정된 증폭 특성 수(

신감도 을 얻기위하여 중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회로기판은 에폭시) 2

수지 양면인쇄동판을 사용하여 부품삽입면은 대부분 공통단자로 이용하여 부품간의

간섭을최소화 하였다

다 수신부 특성시험

수신부 특성상 수신감도 주파수안정도 왜율 통과대역폭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감도억압비 혼변조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신호대 잡음비 일 때의 수신감 20

도 성능이 확보되며 기타 여러 가지 특성도 최종목표 특성에 가까운 성능이05

확보 되었으나 까지 수신감도가 향상되도록 성능개선이 요구된다025 V 120757

신세사이즈부의 회로의 안정도로 인하여 국부발진 신호의 흔들림현상이 있어VCO

통과대역폭 및 잡음발생의 원인이되어 신세사이즈회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신세시이즈회로는 크게 수신국부발진 신호용과 송신신호용으로 구분되며 단신통신

과 복신통신방식일때 각각 동작할수있는 구성으로 설계되었으며 그 내용별로 구분

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전압제어발진기 에 사용되는 부품은 온도 및 전압변동에 특성의변화가 극히(VCO)

적어야하며 외부로부터 정전 및 자계영향이 크므로 회로를 별도로 정전 및 자VCO

계로부터 차폐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혼변조 및 잡음신호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파수선택 표준신호 등 시 수신( )

대역 및 송신대역에 영향이 없는 주파수로 하였으며 가능한 레벨을 제외한 신(TTL

호 파형의 왜율이 적은신호로서 각회로신호를 사용하여 결합하였다)

- 45 -

나 신세사이회로 제작 (PCB NO V-096PLL)

이회로 기판은 여러종류의 신호들이 발생 혼합 증폭 비교 되므로 각부품 간의 배

치에따라 잡음발생의 정도가 크게 좌우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였으며 회로는 외VCO

부영향에 민감하게 작동되므로 차폐 에 유의하여 부품의 배치 적절하게 하였으며

잡음발생을 유의하여 부품을 선정하였다

다 성능시험

이회로의 특성상 주파수안정도 주파수의 흔들림 위상비교기의 비교속도 등에 유의

하여 시험하였으며 여러가지 일반적인 특성은 최종목표사양에 만족될 수 있는 신호

원을 공급할수 있었어나 주파수의 흔들림 현상이 있어 회로의 부품 및 차폐에VCO

개선이 요구된다

제어장치 제작시험5 (PCB NO V-263)

이회로의 주요부품으로서 를 사용하여 당개발과제의 송수신 및 외부V25 CPU DSC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며 아울러 본체 전면표시기와 스윗치 입출력 기능도 한다

이회로의 주요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스 읽기전용 메모리 읽고CPU( ) ROM( ) RAM(

쓰기 메모리 직렬통신용 입출력 병렬통신 입출력 아날로그 디지) SIO( ) PIO( ) AD(

탈 변환기 스윗치입력 표시기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개발 내용은 다음과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에 사용되는 부품은 대부분 디지탈신호를 처리하여 회로로서 및TTL IC

로서 구성되며 저소비전력 및 고속처리능력이 요구되므로 주로 고속용C-MOS IC

중 형 를 사용 하였으며 장치의 초기설정 및 기능 설정의C-MOS(C-MOS IC HC )

변경등 의 목적으로 은 충전형 밧테리로서 메모리내용을 전원의 에 관RAM ONOFF

계없이 유지하도록 하였다

외부 제어기 등 와의 통신용 의 통신속도를 또는 등으로(DSC ) RS-232C 2400 4800

변경 설정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변환기 등을 이용하여 자기진단을 할수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장비의 유지및AD

보수에 많은 도움이된다

- 46 -

나 성능시험

운용시험(1)

이회로의 특성상 전기적 특성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특성 및 성능이 요구되므로 운

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이부분에 대한 시험은 개발자입

장이 아닌 운용자가 시험하여야 하는 관계로 선박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사용자에게

의뢰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로서는 기능면에서는 양호하나 사용상 복잡한 면이 있어 보다 조작 을 간편

히 할수있도록 개선할 필요가있는 것으로 본다

표시장치 시험(2) (PCB NO V-260)

본장치의 사용상 필요한 기능 및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내용과 기기 동작

상태의 일치성이 요구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온습도 및 장기시험 으

로서 확인하였으며 여러 가지 표시장치중 각각 중단점이 나타낮다

즉 액정 표시기 표시기는 저소비전력이며 주위가 밝은곳에서 사용이 가능 하LCD( )

나 반면 온도특성이 나쁘며 형광표시관 표시기는 온도특성은 양호하나 소비전 VFD( )

력이 대체로 높고 보다 낮고 보다 많음 수명이 낮다는 단점이있으며(FND LCD )

발광 다이오드 표시기는 모든면에서 대체로 양호 하나 잡음발생 이많으며 밝FND( )

은곳에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외 여러 가지의 장담점을 검토하여 차적인 결론은 표시기가 적합한 것으로1 LCD

본다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최소의 전기적신호 연결로서 최대의 기능제어및 속도가 요구되는 장치로서 저주파

신호의 입력 마이크 신호 및 출력 스피크 신호 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 제어는( FS ) ( )

직렬통신 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였으며 장거리 일반 공용통신망 을 이(RS-232C)

용할수도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요 구성은 중앙제어장치 스윗치입력 장치 표시장치 메모리장치 직렬통신장치

로 구성되며 그 상세한 개발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의 대부분이 디지탈신호의 처리회로로서 구성되므로 제어장치 의 사용 부품ldquo rdquo

시험 및 선정기준과 같으며 장거리운용상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신속도를

알맞게하며 장거리통신 선로에서 유기되는 잡음을 최소화 하기위한 필터회로 및

소프트웨어적인 오류정정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별도 설계 사용 하였다

- 47 -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V-170)

이장치는 사용상 편리하여야 하므로 소형 경량 으로 제작 하였으며 차적 기능 시 1

험을 목적으로 외형 보다는 성능을 우선하여 시험용으로 제작하였다 이장치의 시

험은 전용케이블 을 이용하여 시험하였고 또 일반 공용통신용 전화 선로를 통하여

원거리 시험을 하였으며 그결과로서 통신속도가 까지 양호하게 동작되나2400bps

그이상의 통신속도로서 운용 할려면 전용회선이 필요하게된다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가 결정 SPEC

각회로 에서 필요로하는 전압 및 전류에 알맞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반 성능

을 차적으로 설정 하였으며 최종목표 사양에 일치하기위하여서는 전원부의 장치에1

대하여 모든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최종 특성이 설정 되어야 한다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P-099)

이장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되나 반면에 안정성이 확고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안

정성을 첫째로 중요시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이회로는 많은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많은 전력이 열로서 손실되므로 방열에 특히 유의하여 제작되었으며 열발생이 많은

부품은 알미늄 방열판에 설치하고 이방열판은 본장치 외함의 바깥쪽에 설치하여 방

열효과를 최대화 하였다

이회로의 시험은 과입력전압 및 과소비전력 일때의 안정성에 중점 시험하였고 그시

험을 위하여 장시간 항온 항습기 를 이용하여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전원부의 안정

성 확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도 이회로를 특별히 개선하지 않고도 최

종목표 사양에 만족하리라 본다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PCB NO V-098)

마이크 회로 수화기 회로 송신 스윗치 회로 로서 구성되며 이장치는 사용 특성상

충격에 강하도록 설계제작 되어야 하며 무게는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재료선택이

중요하며 이러한점을 감안하여 사출금형에 의하여 성형 하였으며 성형 제료로서는

제료를 사용하고 사용 부품을 최소화 하여 제작 하였다ABS

이장치의 특성상 견고하며 방수효과가 최대이어야 하므로 충격 자연낙하 시험 및( )

방수시험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 성형제료 및 외형상의 문제는 없이나

송화기 및 수화기의 선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송화기는 콘텐서형

마이크가 좋으며 수화기로는 가변코일형으로서 떨림판이 평면으로된 수화기가 우수

한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선정하여 제작시험 하였다

- 48 -

전용 수신기9 DSC (PCB NO T-342)

전용수신 장치는 송수신장치중 송신부를 제외한 구조와 유사하므로 개발과정에서

송수신장치중 수신부회로에 복조장치 를 추가하여 별도 로 제작하여 시험DSC PCB

하였으며 개발내용중 전용수신기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DSC

가 기능 및 동작

변조되어 수신된 신호를 필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후 신호 처리용FM DSC DSC

마이크로프로세스 에 공급하여 소프트웨어로서 신호를 분석한후 표시장치 메(CPU)

모리장치 인쇄장치 등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전용 찬넬인 번 찬넬을 항상 DSC 70

수신상태로 동작하여 신호 도트신호 를 검출하고 신호가 있으면 이어서CALL ( ) CALL

수신되는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표시장치 및 경보장치에 출력한다

나 신호 신호 필터회로 와 신호 처리부 및 제어용회로부 DSC (FS ) DSC DSC

제작시험 (PCB NO T-325 T-326 T-327)

이 회로의 성능은 주로 필터 및 디지탈변환 회로에서 결정되며 소프트웨어의 성능

에 따라 안정성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점을 유의하여 설계제작 하여으며 성능 시험

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험용 정보를 송신장치로 통해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후 그

결과를 분석 시험 하였다

다 전용 수신기의 개발과정 에서의 학보된 기술 DSC

신호 및 의 신호 의 필터 및 디지털 변환 기술DSC (1300 2100 FS )

신호 검출 및 직렬신호의 병렬변환 소프트웨어DOT

기술 정보의 비교 및 인쇄출력 소프트웨어 기술

종합시험10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별 차 차 차 보완시험은 만족하며 앞으로 개발의 중점은 사용의 편리성과PCB 1 2 3

생산성에 중점 개발이 요하며 배치에 따라 야기될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 PCB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후 최종제품을 제작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49 -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1

가 전면판 사출금형

나 옆판 스피커 안테나 금형

다 노브 사출금형

라 윗면 및 밑면 프레스 금형

마 설치용 고정장치 사출 금형

바 설치대 프레스 금형

사 뒷면 작업용 프레스 금형

아 항온조용 열차단금형

자 필타 금형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2

가 송수신기 제어장치 프로그램

나 전용 수신기 제어용 프로그램 DSC

다 원격조정기 프로그램

라 송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마 수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3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41: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41 -

제 절 차년도 개발 범위2 1

제 차년도 개발범위는 기초자료조사와 규정의 연구에 따라 기초회로의 설계 후1

사용부품을 시험하고 각 의 제작 및 시험 연이은 성능미달 의 차 차PCB PCB 2 3

차 재제작 시험을 완료하고 시스템의 설계까지이며 그 세부적인 개발범위는 다음4

과 같다

송수신장치 개발을 위한 제규정 수집 연구1 DSC VHF

기초자료 조사2

가 장비에 대한 기능특성 수집 연구

나 사용자 및 선박통신사의 요구사항에 대한 자료 수집 연구

다 외국장비와 비교 분석

라 부품규격 시험 및 선정

3 HARD WARE

가 고주파 필터코일 재질분석 및 각종코일 설계

나 제작 PCB

송신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1) PCB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시험(2) PCB

수신부회로 제작 시험(3) PCB

신세사이즈 회로 제작 시험(4) PCB

제어장치 제작 시험(5) PCB

표시장치 제작 시험(6) PCB

원격제어기 제작 시험(7) PCB

전원공급부 제작 시험(8) PCB

제작 시험(9) HAND SET PCB

전용수신기 제작 시험(10) DSC PCB

- 42 -

제 장 제 차년도 개발 항목 보고4 1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본 장비를 개발함에 있어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및 부품선정이 개발의 핵심 과제

로 생각하였다

기초자료는 기존 시스템분석과 전파관련법령을 기초하였고 주변회로는 관련된 회

로집을 분석하였으며 부품선정은 폐품종 여부와 수급이 용이하면서 견고하고 증폭

도 및 성능이 우수한 품종으로 장시간 시험을 거쳐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송신부 제작시험2

송신 출력회로 결정 회로설계 완료하여 각부 부품 구입 회 내구성 시험 및SPEC 30

구룹별 장시간 부품 부하 시험등 최종목표 성능을 확보하기위한 제반 기초 제작시

험을 완료 하였으며 주요 내용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의 발열상태등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의 높은 출력으로 증폭하는 송신전(VHF ) 25W

력 증폭기로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높은 고주파전력에 견딜수있어야 하고 열

에의해 발생되는 열잡음이 적으야하며 열에의한 부품의 열화 및 특성의 변화가 적

은 부품을 사용여야 하므로 온습도시험 과 과출력 시험을 통하여 사용될 부품을 시

험하였다

특히 고조파 필터회로 부품인 코일은 동선에 전도율이 좋은 재질로 도금하여 사용

하여야 하며 고조파필터회로 의 차폐용 재료도 동판에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도금

하여 사용 하여야 한다

나 송신 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PCB (PCB NO V-097)

개발과정에서의 설계변경 및 생산시스템의 전산화 에 적용 할수있도록 회로 설계는

물론 설계 회로기판 도안 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설계완료된 는PCB ( ) CAD DATA

회로기판 제작장치 외주 작업 및 부품삽입기 자사 작업 에 직접 컴퓨터용 디스켙( ) ( ) (

으로 입력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회로에 높은 고주파전류가 흐르므로인하여 빌진할 가능성 및 잡음발생의 우려PCB

가 많으므로 특히 부품배치에 유의하여 설계하였으며 송신신호 발생회로 또는 전원

회로 와의 배선은 관통형콘덴서등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였다

회로에 사용되는 코일은 각 코일간에 간섭을 줄이기위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설정하

였으며 전체를 차폐하고 또 고조파 필터회로를 구분하여 차폐하여 제작 하였PCB

- 43 -

또 안정된 출력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회로를 장치하여 설정된 출력 이상의ALC

출력을 제한한다

다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PCB (PCB NO V-096TX)

설계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이 는 미약한 고주파 신호를 발생 변PCB CAD PCB

환 증폭 하므로서 송신부 또는 외부로 부터의 잡음 유입과 내부잡음 발생에 유의

하여 설계되었으며 불요복사 억제에 유의하였다

라 성능시험

메칭상태 시험(1)

옴 파장 수직형 안테나 를 사용할수 있도록 시험하였으며 차적인 시험은 의50 12 1

사부하에 의해 시험하고 의사부하 안테나에 정상적인 메칭이 된 후 실제 사용 안테

나에 확인시험 하였다

이 시험에서 양질의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장치는 물론 안테나의 성능이 중

요하며 인접한 고전력 안테나 및 낙뢰로부터 안정성 등을 감안하여 안테나는 VHF

대역 이하의 주파수에 대하여 쇼트형 안테나가 바람직 하다

기존 시스템의 이상의 성능 확보(2) 90

송신부의 주기능으로서 양질의전파를 안테나로 공중에 발사하는 장치로서 주피수안

정도 고조파억압 불효전파억제 안정된전력 안정된 주파수편이 낮은 왜율 등의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시험결과는 기존의 제품의 특성에 가까운 성능을 확보

하였으나 안테나공용기 복신통신용 필터 특성의 개선및 송신부 관련부품의 배치를( )

개선하므로서 보다 좋은 성능을 확보 할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신부 제작시험3

수신부는 안테나입력회로 입력동조회로 단신통신 및 복신통신 각 주파수 대역 필 (

터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로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 1 1 2 2

로 대역필터회로 신호제한 리미터 회로 복조회로 무신호잡음 차단 회로 저주 ( ) FM

파 증폭회로 및 국부발진회로 로서 구성되나 국부발진회로는 잡음의 발생및 유입

주파수안정도 등을 감안하여 별도의 로서 제작하였으며 그외 수신부와 관련한PCB

내용은 다음과 같다

- 44 -

가 사용부품의 구입 및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증폭과 변환을 반복하여 요구되는 신호(VHF )

를 복조하여 기청음 또는 의 문자표시로 출력되게 하므로서 안정된 주파수 및DSC

증폭이 요구되므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당연히 고주파특성에 유의하여 주파수

차에의한 특성변화 열잡음 및 고주파잡음 능동소자등의 직선성 등이 교려되어야하

므로 항온항습시험과 과전류에의한 잡음발생의 시험 등 을 거처 엄선한 부품으로

설정사용 하였다

특히 회로의 선택도 코알의 값 를 높이기 위하여 가 높은 트랜스 재료를 사용하( Q ) Q

였다

다 수신부회로 제작 PCB (PCB NO V-096RX)

위 항에서의 시험에 의해 선택된 부품을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며 수신부의 특성31

상 잡음의 발생보다는 잡음의 유입에 유의하여 설계되었으며 안정된 증폭 특성 수(

신감도 을 얻기위하여 중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회로기판은 에폭시) 2

수지 양면인쇄동판을 사용하여 부품삽입면은 대부분 공통단자로 이용하여 부품간의

간섭을최소화 하였다

다 수신부 특성시험

수신부 특성상 수신감도 주파수안정도 왜율 통과대역폭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감도억압비 혼변조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신호대 잡음비 일 때의 수신감 20

도 성능이 확보되며 기타 여러 가지 특성도 최종목표 특성에 가까운 성능이05

확보 되었으나 까지 수신감도가 향상되도록 성능개선이 요구된다025 V 120757

신세사이즈부의 회로의 안정도로 인하여 국부발진 신호의 흔들림현상이 있어VCO

통과대역폭 및 잡음발생의 원인이되어 신세사이즈회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신세시이즈회로는 크게 수신국부발진 신호용과 송신신호용으로 구분되며 단신통신

과 복신통신방식일때 각각 동작할수있는 구성으로 설계되었으며 그 내용별로 구분

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전압제어발진기 에 사용되는 부품은 온도 및 전압변동에 특성의변화가 극히(VCO)

적어야하며 외부로부터 정전 및 자계영향이 크므로 회로를 별도로 정전 및 자VCO

계로부터 차폐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혼변조 및 잡음신호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파수선택 표준신호 등 시 수신( )

대역 및 송신대역에 영향이 없는 주파수로 하였으며 가능한 레벨을 제외한 신(TTL

호 파형의 왜율이 적은신호로서 각회로신호를 사용하여 결합하였다)

- 45 -

나 신세사이회로 제작 (PCB NO V-096PLL)

이회로 기판은 여러종류의 신호들이 발생 혼합 증폭 비교 되므로 각부품 간의 배

치에따라 잡음발생의 정도가 크게 좌우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였으며 회로는 외VCO

부영향에 민감하게 작동되므로 차폐 에 유의하여 부품의 배치 적절하게 하였으며

잡음발생을 유의하여 부품을 선정하였다

다 성능시험

이회로의 특성상 주파수안정도 주파수의 흔들림 위상비교기의 비교속도 등에 유의

하여 시험하였으며 여러가지 일반적인 특성은 최종목표사양에 만족될 수 있는 신호

원을 공급할수 있었어나 주파수의 흔들림 현상이 있어 회로의 부품 및 차폐에VCO

개선이 요구된다

제어장치 제작시험5 (PCB NO V-263)

이회로의 주요부품으로서 를 사용하여 당개발과제의 송수신 및 외부V25 CPU DSC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며 아울러 본체 전면표시기와 스윗치 입출력 기능도 한다

이회로의 주요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스 읽기전용 메모리 읽고CPU( ) ROM( ) RAM(

쓰기 메모리 직렬통신용 입출력 병렬통신 입출력 아날로그 디지) SIO( ) PIO( ) AD(

탈 변환기 스윗치입력 표시기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개발 내용은 다음과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에 사용되는 부품은 대부분 디지탈신호를 처리하여 회로로서 및TTL IC

로서 구성되며 저소비전력 및 고속처리능력이 요구되므로 주로 고속용C-MOS IC

중 형 를 사용 하였으며 장치의 초기설정 및 기능 설정의C-MOS(C-MOS IC HC )

변경등 의 목적으로 은 충전형 밧테리로서 메모리내용을 전원의 에 관RAM ONOFF

계없이 유지하도록 하였다

외부 제어기 등 와의 통신용 의 통신속도를 또는 등으로(DSC ) RS-232C 2400 4800

변경 설정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변환기 등을 이용하여 자기진단을 할수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장비의 유지및AD

보수에 많은 도움이된다

- 46 -

나 성능시험

운용시험(1)

이회로의 특성상 전기적 특성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특성 및 성능이 요구되므로 운

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이부분에 대한 시험은 개발자입

장이 아닌 운용자가 시험하여야 하는 관계로 선박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사용자에게

의뢰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로서는 기능면에서는 양호하나 사용상 복잡한 면이 있어 보다 조작 을 간편

히 할수있도록 개선할 필요가있는 것으로 본다

표시장치 시험(2) (PCB NO V-260)

본장치의 사용상 필요한 기능 및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내용과 기기 동작

상태의 일치성이 요구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온습도 및 장기시험 으

로서 확인하였으며 여러 가지 표시장치중 각각 중단점이 나타낮다

즉 액정 표시기 표시기는 저소비전력이며 주위가 밝은곳에서 사용이 가능 하LCD( )

나 반면 온도특성이 나쁘며 형광표시관 표시기는 온도특성은 양호하나 소비전 VFD( )

력이 대체로 높고 보다 낮고 보다 많음 수명이 낮다는 단점이있으며(FND LCD )

발광 다이오드 표시기는 모든면에서 대체로 양호 하나 잡음발생 이많으며 밝FND( )

은곳에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외 여러 가지의 장담점을 검토하여 차적인 결론은 표시기가 적합한 것으로1 LCD

본다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최소의 전기적신호 연결로서 최대의 기능제어및 속도가 요구되는 장치로서 저주파

신호의 입력 마이크 신호 및 출력 스피크 신호 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 제어는( FS ) ( )

직렬통신 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였으며 장거리 일반 공용통신망 을 이(RS-232C)

용할수도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요 구성은 중앙제어장치 스윗치입력 장치 표시장치 메모리장치 직렬통신장치

로 구성되며 그 상세한 개발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의 대부분이 디지탈신호의 처리회로로서 구성되므로 제어장치 의 사용 부품ldquo rdquo

시험 및 선정기준과 같으며 장거리운용상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신속도를

알맞게하며 장거리통신 선로에서 유기되는 잡음을 최소화 하기위한 필터회로 및

소프트웨어적인 오류정정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별도 설계 사용 하였다

- 47 -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V-170)

이장치는 사용상 편리하여야 하므로 소형 경량 으로 제작 하였으며 차적 기능 시 1

험을 목적으로 외형 보다는 성능을 우선하여 시험용으로 제작하였다 이장치의 시

험은 전용케이블 을 이용하여 시험하였고 또 일반 공용통신용 전화 선로를 통하여

원거리 시험을 하였으며 그결과로서 통신속도가 까지 양호하게 동작되나2400bps

그이상의 통신속도로서 운용 할려면 전용회선이 필요하게된다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가 결정 SPEC

각회로 에서 필요로하는 전압 및 전류에 알맞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반 성능

을 차적으로 설정 하였으며 최종목표 사양에 일치하기위하여서는 전원부의 장치에1

대하여 모든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최종 특성이 설정 되어야 한다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P-099)

이장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되나 반면에 안정성이 확고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안

정성을 첫째로 중요시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이회로는 많은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많은 전력이 열로서 손실되므로 방열에 특히 유의하여 제작되었으며 열발생이 많은

부품은 알미늄 방열판에 설치하고 이방열판은 본장치 외함의 바깥쪽에 설치하여 방

열효과를 최대화 하였다

이회로의 시험은 과입력전압 및 과소비전력 일때의 안정성에 중점 시험하였고 그시

험을 위하여 장시간 항온 항습기 를 이용하여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전원부의 안정

성 확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도 이회로를 특별히 개선하지 않고도 최

종목표 사양에 만족하리라 본다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PCB NO V-098)

마이크 회로 수화기 회로 송신 스윗치 회로 로서 구성되며 이장치는 사용 특성상

충격에 강하도록 설계제작 되어야 하며 무게는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재료선택이

중요하며 이러한점을 감안하여 사출금형에 의하여 성형 하였으며 성형 제료로서는

제료를 사용하고 사용 부품을 최소화 하여 제작 하였다ABS

이장치의 특성상 견고하며 방수효과가 최대이어야 하므로 충격 자연낙하 시험 및( )

방수시험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 성형제료 및 외형상의 문제는 없이나

송화기 및 수화기의 선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송화기는 콘텐서형

마이크가 좋으며 수화기로는 가변코일형으로서 떨림판이 평면으로된 수화기가 우수

한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선정하여 제작시험 하였다

- 48 -

전용 수신기9 DSC (PCB NO T-342)

전용수신 장치는 송수신장치중 송신부를 제외한 구조와 유사하므로 개발과정에서

송수신장치중 수신부회로에 복조장치 를 추가하여 별도 로 제작하여 시험DSC PCB

하였으며 개발내용중 전용수신기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DSC

가 기능 및 동작

변조되어 수신된 신호를 필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후 신호 처리용FM DSC DSC

마이크로프로세스 에 공급하여 소프트웨어로서 신호를 분석한후 표시장치 메(CPU)

모리장치 인쇄장치 등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전용 찬넬인 번 찬넬을 항상 DSC 70

수신상태로 동작하여 신호 도트신호 를 검출하고 신호가 있으면 이어서CALL ( ) CALL

수신되는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표시장치 및 경보장치에 출력한다

나 신호 신호 필터회로 와 신호 처리부 및 제어용회로부 DSC (FS ) DSC DSC

제작시험 (PCB NO T-325 T-326 T-327)

이 회로의 성능은 주로 필터 및 디지탈변환 회로에서 결정되며 소프트웨어의 성능

에 따라 안정성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점을 유의하여 설계제작 하여으며 성능 시험

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험용 정보를 송신장치로 통해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후 그

결과를 분석 시험 하였다

다 전용 수신기의 개발과정 에서의 학보된 기술 DSC

신호 및 의 신호 의 필터 및 디지털 변환 기술DSC (1300 2100 FS )

신호 검출 및 직렬신호의 병렬변환 소프트웨어DOT

기술 정보의 비교 및 인쇄출력 소프트웨어 기술

종합시험10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별 차 차 차 보완시험은 만족하며 앞으로 개발의 중점은 사용의 편리성과PCB 1 2 3

생산성에 중점 개발이 요하며 배치에 따라 야기될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 PCB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후 최종제품을 제작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49 -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1

가 전면판 사출금형

나 옆판 스피커 안테나 금형

다 노브 사출금형

라 윗면 및 밑면 프레스 금형

마 설치용 고정장치 사출 금형

바 설치대 프레스 금형

사 뒷면 작업용 프레스 금형

아 항온조용 열차단금형

자 필타 금형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2

가 송수신기 제어장치 프로그램

나 전용 수신기 제어용 프로그램 DSC

다 원격조정기 프로그램

라 송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마 수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3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42: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42 -

제 장 제 차년도 개발 항목 보고4 1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본 장비를 개발함에 있어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및 부품선정이 개발의 핵심 과제

로 생각하였다

기초자료는 기존 시스템분석과 전파관련법령을 기초하였고 주변회로는 관련된 회

로집을 분석하였으며 부품선정은 폐품종 여부와 수급이 용이하면서 견고하고 증폭

도 및 성능이 우수한 품종으로 장시간 시험을 거쳐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송신부 제작시험2

송신 출력회로 결정 회로설계 완료하여 각부 부품 구입 회 내구성 시험 및SPEC 30

구룹별 장시간 부품 부하 시험등 최종목표 성능을 확보하기위한 제반 기초 제작시

험을 완료 하였으며 주요 내용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의 발열상태등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의 높은 출력으로 증폭하는 송신전(VHF ) 25W

력 증폭기로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높은 고주파전력에 견딜수있어야 하고 열

에의해 발생되는 열잡음이 적으야하며 열에의한 부품의 열화 및 특성의 변화가 적

은 부품을 사용여야 하므로 온습도시험 과 과출력 시험을 통하여 사용될 부품을 시

험하였다

특히 고조파 필터회로 부품인 코일은 동선에 전도율이 좋은 재질로 도금하여 사용

하여야 하며 고조파필터회로 의 차폐용 재료도 동판에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도금

하여 사용 하여야 한다

나 송신 출력회로 설계 및 제작 PCB (PCB NO V-097)

개발과정에서의 설계변경 및 생산시스템의 전산화 에 적용 할수있도록 회로 설계는

물론 설계 회로기판 도안 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설계완료된 는PCB ( ) CAD DATA

회로기판 제작장치 외주 작업 및 부품삽입기 자사 작업 에 직접 컴퓨터용 디스켙( ) ( ) (

으로 입력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회로에 높은 고주파전류가 흐르므로인하여 빌진할 가능성 및 잡음발생의 우려PCB

가 많으므로 특히 부품배치에 유의하여 설계하였으며 송신신호 발생회로 또는 전원

회로 와의 배선은 관통형콘덴서등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였다

회로에 사용되는 코일은 각 코일간에 간섭을 줄이기위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설정하

였으며 전체를 차폐하고 또 고조파 필터회로를 구분하여 차폐하여 제작 하였PCB

- 43 -

또 안정된 출력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회로를 장치하여 설정된 출력 이상의ALC

출력을 제한한다

다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PCB (PCB NO V-096TX)

설계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이 는 미약한 고주파 신호를 발생 변PCB CAD PCB

환 증폭 하므로서 송신부 또는 외부로 부터의 잡음 유입과 내부잡음 발생에 유의

하여 설계되었으며 불요복사 억제에 유의하였다

라 성능시험

메칭상태 시험(1)

옴 파장 수직형 안테나 를 사용할수 있도록 시험하였으며 차적인 시험은 의50 12 1

사부하에 의해 시험하고 의사부하 안테나에 정상적인 메칭이 된 후 실제 사용 안테

나에 확인시험 하였다

이 시험에서 양질의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장치는 물론 안테나의 성능이 중

요하며 인접한 고전력 안테나 및 낙뢰로부터 안정성 등을 감안하여 안테나는 VHF

대역 이하의 주파수에 대하여 쇼트형 안테나가 바람직 하다

기존 시스템의 이상의 성능 확보(2) 90

송신부의 주기능으로서 양질의전파를 안테나로 공중에 발사하는 장치로서 주피수안

정도 고조파억압 불효전파억제 안정된전력 안정된 주파수편이 낮은 왜율 등의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시험결과는 기존의 제품의 특성에 가까운 성능을 확보

하였으나 안테나공용기 복신통신용 필터 특성의 개선및 송신부 관련부품의 배치를( )

개선하므로서 보다 좋은 성능을 확보 할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신부 제작시험3

수신부는 안테나입력회로 입력동조회로 단신통신 및 복신통신 각 주파수 대역 필 (

터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로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 1 1 2 2

로 대역필터회로 신호제한 리미터 회로 복조회로 무신호잡음 차단 회로 저주 ( ) FM

파 증폭회로 및 국부발진회로 로서 구성되나 국부발진회로는 잡음의 발생및 유입

주파수안정도 등을 감안하여 별도의 로서 제작하였으며 그외 수신부와 관련한PCB

내용은 다음과 같다

- 44 -

가 사용부품의 구입 및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증폭과 변환을 반복하여 요구되는 신호(VHF )

를 복조하여 기청음 또는 의 문자표시로 출력되게 하므로서 안정된 주파수 및DSC

증폭이 요구되므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당연히 고주파특성에 유의하여 주파수

차에의한 특성변화 열잡음 및 고주파잡음 능동소자등의 직선성 등이 교려되어야하

므로 항온항습시험과 과전류에의한 잡음발생의 시험 등 을 거처 엄선한 부품으로

설정사용 하였다

특히 회로의 선택도 코알의 값 를 높이기 위하여 가 높은 트랜스 재료를 사용하( Q ) Q

였다

다 수신부회로 제작 PCB (PCB NO V-096RX)

위 항에서의 시험에 의해 선택된 부품을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며 수신부의 특성31

상 잡음의 발생보다는 잡음의 유입에 유의하여 설계되었으며 안정된 증폭 특성 수(

신감도 을 얻기위하여 중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회로기판은 에폭시) 2

수지 양면인쇄동판을 사용하여 부품삽입면은 대부분 공통단자로 이용하여 부품간의

간섭을최소화 하였다

다 수신부 특성시험

수신부 특성상 수신감도 주파수안정도 왜율 통과대역폭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감도억압비 혼변조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신호대 잡음비 일 때의 수신감 20

도 성능이 확보되며 기타 여러 가지 특성도 최종목표 특성에 가까운 성능이05

확보 되었으나 까지 수신감도가 향상되도록 성능개선이 요구된다025 V 120757

신세사이즈부의 회로의 안정도로 인하여 국부발진 신호의 흔들림현상이 있어VCO

통과대역폭 및 잡음발생의 원인이되어 신세사이즈회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신세시이즈회로는 크게 수신국부발진 신호용과 송신신호용으로 구분되며 단신통신

과 복신통신방식일때 각각 동작할수있는 구성으로 설계되었으며 그 내용별로 구분

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전압제어발진기 에 사용되는 부품은 온도 및 전압변동에 특성의변화가 극히(VCO)

적어야하며 외부로부터 정전 및 자계영향이 크므로 회로를 별도로 정전 및 자VCO

계로부터 차폐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혼변조 및 잡음신호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파수선택 표준신호 등 시 수신( )

대역 및 송신대역에 영향이 없는 주파수로 하였으며 가능한 레벨을 제외한 신(TTL

호 파형의 왜율이 적은신호로서 각회로신호를 사용하여 결합하였다)

- 45 -

나 신세사이회로 제작 (PCB NO V-096PLL)

이회로 기판은 여러종류의 신호들이 발생 혼합 증폭 비교 되므로 각부품 간의 배

치에따라 잡음발생의 정도가 크게 좌우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였으며 회로는 외VCO

부영향에 민감하게 작동되므로 차폐 에 유의하여 부품의 배치 적절하게 하였으며

잡음발생을 유의하여 부품을 선정하였다

다 성능시험

이회로의 특성상 주파수안정도 주파수의 흔들림 위상비교기의 비교속도 등에 유의

하여 시험하였으며 여러가지 일반적인 특성은 최종목표사양에 만족될 수 있는 신호

원을 공급할수 있었어나 주파수의 흔들림 현상이 있어 회로의 부품 및 차폐에VCO

개선이 요구된다

제어장치 제작시험5 (PCB NO V-263)

이회로의 주요부품으로서 를 사용하여 당개발과제의 송수신 및 외부V25 CPU DSC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며 아울러 본체 전면표시기와 스윗치 입출력 기능도 한다

이회로의 주요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스 읽기전용 메모리 읽고CPU( ) ROM( ) RAM(

쓰기 메모리 직렬통신용 입출력 병렬통신 입출력 아날로그 디지) SIO( ) PIO( ) AD(

탈 변환기 스윗치입력 표시기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개발 내용은 다음과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에 사용되는 부품은 대부분 디지탈신호를 처리하여 회로로서 및TTL IC

로서 구성되며 저소비전력 및 고속처리능력이 요구되므로 주로 고속용C-MOS IC

중 형 를 사용 하였으며 장치의 초기설정 및 기능 설정의C-MOS(C-MOS IC HC )

변경등 의 목적으로 은 충전형 밧테리로서 메모리내용을 전원의 에 관RAM ONOFF

계없이 유지하도록 하였다

외부 제어기 등 와의 통신용 의 통신속도를 또는 등으로(DSC ) RS-232C 2400 4800

변경 설정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변환기 등을 이용하여 자기진단을 할수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장비의 유지및AD

보수에 많은 도움이된다

- 46 -

나 성능시험

운용시험(1)

이회로의 특성상 전기적 특성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특성 및 성능이 요구되므로 운

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이부분에 대한 시험은 개발자입

장이 아닌 운용자가 시험하여야 하는 관계로 선박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사용자에게

의뢰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로서는 기능면에서는 양호하나 사용상 복잡한 면이 있어 보다 조작 을 간편

히 할수있도록 개선할 필요가있는 것으로 본다

표시장치 시험(2) (PCB NO V-260)

본장치의 사용상 필요한 기능 및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내용과 기기 동작

상태의 일치성이 요구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온습도 및 장기시험 으

로서 확인하였으며 여러 가지 표시장치중 각각 중단점이 나타낮다

즉 액정 표시기 표시기는 저소비전력이며 주위가 밝은곳에서 사용이 가능 하LCD( )

나 반면 온도특성이 나쁘며 형광표시관 표시기는 온도특성은 양호하나 소비전 VFD( )

력이 대체로 높고 보다 낮고 보다 많음 수명이 낮다는 단점이있으며(FND LCD )

발광 다이오드 표시기는 모든면에서 대체로 양호 하나 잡음발생 이많으며 밝FND( )

은곳에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외 여러 가지의 장담점을 검토하여 차적인 결론은 표시기가 적합한 것으로1 LCD

본다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최소의 전기적신호 연결로서 최대의 기능제어및 속도가 요구되는 장치로서 저주파

신호의 입력 마이크 신호 및 출력 스피크 신호 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 제어는( FS ) ( )

직렬통신 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였으며 장거리 일반 공용통신망 을 이(RS-232C)

용할수도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요 구성은 중앙제어장치 스윗치입력 장치 표시장치 메모리장치 직렬통신장치

로 구성되며 그 상세한 개발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의 대부분이 디지탈신호의 처리회로로서 구성되므로 제어장치 의 사용 부품ldquo rdquo

시험 및 선정기준과 같으며 장거리운용상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신속도를

알맞게하며 장거리통신 선로에서 유기되는 잡음을 최소화 하기위한 필터회로 및

소프트웨어적인 오류정정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별도 설계 사용 하였다

- 47 -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V-170)

이장치는 사용상 편리하여야 하므로 소형 경량 으로 제작 하였으며 차적 기능 시 1

험을 목적으로 외형 보다는 성능을 우선하여 시험용으로 제작하였다 이장치의 시

험은 전용케이블 을 이용하여 시험하였고 또 일반 공용통신용 전화 선로를 통하여

원거리 시험을 하였으며 그결과로서 통신속도가 까지 양호하게 동작되나2400bps

그이상의 통신속도로서 운용 할려면 전용회선이 필요하게된다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가 결정 SPEC

각회로 에서 필요로하는 전압 및 전류에 알맞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반 성능

을 차적으로 설정 하였으며 최종목표 사양에 일치하기위하여서는 전원부의 장치에1

대하여 모든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최종 특성이 설정 되어야 한다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P-099)

이장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되나 반면에 안정성이 확고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안

정성을 첫째로 중요시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이회로는 많은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많은 전력이 열로서 손실되므로 방열에 특히 유의하여 제작되었으며 열발생이 많은

부품은 알미늄 방열판에 설치하고 이방열판은 본장치 외함의 바깥쪽에 설치하여 방

열효과를 최대화 하였다

이회로의 시험은 과입력전압 및 과소비전력 일때의 안정성에 중점 시험하였고 그시

험을 위하여 장시간 항온 항습기 를 이용하여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전원부의 안정

성 확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도 이회로를 특별히 개선하지 않고도 최

종목표 사양에 만족하리라 본다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PCB NO V-098)

마이크 회로 수화기 회로 송신 스윗치 회로 로서 구성되며 이장치는 사용 특성상

충격에 강하도록 설계제작 되어야 하며 무게는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재료선택이

중요하며 이러한점을 감안하여 사출금형에 의하여 성형 하였으며 성형 제료로서는

제료를 사용하고 사용 부품을 최소화 하여 제작 하였다ABS

이장치의 특성상 견고하며 방수효과가 최대이어야 하므로 충격 자연낙하 시험 및( )

방수시험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 성형제료 및 외형상의 문제는 없이나

송화기 및 수화기의 선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송화기는 콘텐서형

마이크가 좋으며 수화기로는 가변코일형으로서 떨림판이 평면으로된 수화기가 우수

한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선정하여 제작시험 하였다

- 48 -

전용 수신기9 DSC (PCB NO T-342)

전용수신 장치는 송수신장치중 송신부를 제외한 구조와 유사하므로 개발과정에서

송수신장치중 수신부회로에 복조장치 를 추가하여 별도 로 제작하여 시험DSC PCB

하였으며 개발내용중 전용수신기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DSC

가 기능 및 동작

변조되어 수신된 신호를 필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후 신호 처리용FM DSC DSC

마이크로프로세스 에 공급하여 소프트웨어로서 신호를 분석한후 표시장치 메(CPU)

모리장치 인쇄장치 등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전용 찬넬인 번 찬넬을 항상 DSC 70

수신상태로 동작하여 신호 도트신호 를 검출하고 신호가 있으면 이어서CALL ( ) CALL

수신되는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표시장치 및 경보장치에 출력한다

나 신호 신호 필터회로 와 신호 처리부 및 제어용회로부 DSC (FS ) DSC DSC

제작시험 (PCB NO T-325 T-326 T-327)

이 회로의 성능은 주로 필터 및 디지탈변환 회로에서 결정되며 소프트웨어의 성능

에 따라 안정성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점을 유의하여 설계제작 하여으며 성능 시험

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험용 정보를 송신장치로 통해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후 그

결과를 분석 시험 하였다

다 전용 수신기의 개발과정 에서의 학보된 기술 DSC

신호 및 의 신호 의 필터 및 디지털 변환 기술DSC (1300 2100 FS )

신호 검출 및 직렬신호의 병렬변환 소프트웨어DOT

기술 정보의 비교 및 인쇄출력 소프트웨어 기술

종합시험10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별 차 차 차 보완시험은 만족하며 앞으로 개발의 중점은 사용의 편리성과PCB 1 2 3

생산성에 중점 개발이 요하며 배치에 따라 야기될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 PCB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후 최종제품을 제작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49 -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1

가 전면판 사출금형

나 옆판 스피커 안테나 금형

다 노브 사출금형

라 윗면 및 밑면 프레스 금형

마 설치용 고정장치 사출 금형

바 설치대 프레스 금형

사 뒷면 작업용 프레스 금형

아 항온조용 열차단금형

자 필타 금형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2

가 송수신기 제어장치 프로그램

나 전용 수신기 제어용 프로그램 DSC

다 원격조정기 프로그램

라 송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마 수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3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43: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43 -

또 안정된 출력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회로를 장치하여 설정된 출력 이상의ALC

출력을 제한한다

다 송신신호 발생회로 제작 PCB (PCB NO V-096TX)

설계를 에 의해 설계 하였으며 이 는 미약한 고주파 신호를 발생 변PCB CAD PCB

환 증폭 하므로서 송신부 또는 외부로 부터의 잡음 유입과 내부잡음 발생에 유의

하여 설계되었으며 불요복사 억제에 유의하였다

라 성능시험

메칭상태 시험(1)

옴 파장 수직형 안테나 를 사용할수 있도록 시험하였으며 차적인 시험은 의50 12 1

사부하에 의해 시험하고 의사부하 안테나에 정상적인 메칭이 된 후 실제 사용 안테

나에 확인시험 하였다

이 시험에서 양질의 전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장치는 물론 안테나의 성능이 중

요하며 인접한 고전력 안테나 및 낙뢰로부터 안정성 등을 감안하여 안테나는 VHF

대역 이하의 주파수에 대하여 쇼트형 안테나가 바람직 하다

기존 시스템의 이상의 성능 확보(2) 90

송신부의 주기능으로서 양질의전파를 안테나로 공중에 발사하는 장치로서 주피수안

정도 고조파억압 불효전파억제 안정된전력 안정된 주파수편이 낮은 왜율 등의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시험결과는 기존의 제품의 특성에 가까운 성능을 확보

하였으나 안테나공용기 복신통신용 필터 특성의 개선및 송신부 관련부품의 배치를( )

개선하므로서 보다 좋은 성능을 확보 할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신부 제작시험3

수신부는 안테나입력회로 입력동조회로 단신통신 및 복신통신 각 주파수 대역 필 (

터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로 제 혼합회로 제 중간주파수 증폭회) 1 1 2 2

로 대역필터회로 신호제한 리미터 회로 복조회로 무신호잡음 차단 회로 저주 ( ) FM

파 증폭회로 및 국부발진회로 로서 구성되나 국부발진회로는 잡음의 발생및 유입

주파수안정도 등을 감안하여 별도의 로서 제작하였으며 그외 수신부와 관련한PCB

내용은 다음과 같다

- 44 -

가 사용부품의 구입 및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증폭과 변환을 반복하여 요구되는 신호(VHF )

를 복조하여 기청음 또는 의 문자표시로 출력되게 하므로서 안정된 주파수 및DSC

증폭이 요구되므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당연히 고주파특성에 유의하여 주파수

차에의한 특성변화 열잡음 및 고주파잡음 능동소자등의 직선성 등이 교려되어야하

므로 항온항습시험과 과전류에의한 잡음발생의 시험 등 을 거처 엄선한 부품으로

설정사용 하였다

특히 회로의 선택도 코알의 값 를 높이기 위하여 가 높은 트랜스 재료를 사용하( Q ) Q

였다

다 수신부회로 제작 PCB (PCB NO V-096RX)

위 항에서의 시험에 의해 선택된 부품을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며 수신부의 특성31

상 잡음의 발생보다는 잡음의 유입에 유의하여 설계되었으며 안정된 증폭 특성 수(

신감도 을 얻기위하여 중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회로기판은 에폭시) 2

수지 양면인쇄동판을 사용하여 부품삽입면은 대부분 공통단자로 이용하여 부품간의

간섭을최소화 하였다

다 수신부 특성시험

수신부 특성상 수신감도 주파수안정도 왜율 통과대역폭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감도억압비 혼변조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신호대 잡음비 일 때의 수신감 20

도 성능이 확보되며 기타 여러 가지 특성도 최종목표 특성에 가까운 성능이05

확보 되었으나 까지 수신감도가 향상되도록 성능개선이 요구된다025 V 120757

신세사이즈부의 회로의 안정도로 인하여 국부발진 신호의 흔들림현상이 있어VCO

통과대역폭 및 잡음발생의 원인이되어 신세사이즈회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신세시이즈회로는 크게 수신국부발진 신호용과 송신신호용으로 구분되며 단신통신

과 복신통신방식일때 각각 동작할수있는 구성으로 설계되었으며 그 내용별로 구분

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전압제어발진기 에 사용되는 부품은 온도 및 전압변동에 특성의변화가 극히(VCO)

적어야하며 외부로부터 정전 및 자계영향이 크므로 회로를 별도로 정전 및 자VCO

계로부터 차폐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혼변조 및 잡음신호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파수선택 표준신호 등 시 수신( )

대역 및 송신대역에 영향이 없는 주파수로 하였으며 가능한 레벨을 제외한 신(TTL

호 파형의 왜율이 적은신호로서 각회로신호를 사용하여 결합하였다)

- 45 -

나 신세사이회로 제작 (PCB NO V-096PLL)

이회로 기판은 여러종류의 신호들이 발생 혼합 증폭 비교 되므로 각부품 간의 배

치에따라 잡음발생의 정도가 크게 좌우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였으며 회로는 외VCO

부영향에 민감하게 작동되므로 차폐 에 유의하여 부품의 배치 적절하게 하였으며

잡음발생을 유의하여 부품을 선정하였다

다 성능시험

이회로의 특성상 주파수안정도 주파수의 흔들림 위상비교기의 비교속도 등에 유의

하여 시험하였으며 여러가지 일반적인 특성은 최종목표사양에 만족될 수 있는 신호

원을 공급할수 있었어나 주파수의 흔들림 현상이 있어 회로의 부품 및 차폐에VCO

개선이 요구된다

제어장치 제작시험5 (PCB NO V-263)

이회로의 주요부품으로서 를 사용하여 당개발과제의 송수신 및 외부V25 CPU DSC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며 아울러 본체 전면표시기와 스윗치 입출력 기능도 한다

이회로의 주요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스 읽기전용 메모리 읽고CPU( ) ROM( ) RAM(

쓰기 메모리 직렬통신용 입출력 병렬통신 입출력 아날로그 디지) SIO( ) PIO( ) AD(

탈 변환기 스윗치입력 표시기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개발 내용은 다음과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에 사용되는 부품은 대부분 디지탈신호를 처리하여 회로로서 및TTL IC

로서 구성되며 저소비전력 및 고속처리능력이 요구되므로 주로 고속용C-MOS IC

중 형 를 사용 하였으며 장치의 초기설정 및 기능 설정의C-MOS(C-MOS IC HC )

변경등 의 목적으로 은 충전형 밧테리로서 메모리내용을 전원의 에 관RAM ONOFF

계없이 유지하도록 하였다

외부 제어기 등 와의 통신용 의 통신속도를 또는 등으로(DSC ) RS-232C 2400 4800

변경 설정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변환기 등을 이용하여 자기진단을 할수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장비의 유지및AD

보수에 많은 도움이된다

- 46 -

나 성능시험

운용시험(1)

이회로의 특성상 전기적 특성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특성 및 성능이 요구되므로 운

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이부분에 대한 시험은 개발자입

장이 아닌 운용자가 시험하여야 하는 관계로 선박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사용자에게

의뢰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로서는 기능면에서는 양호하나 사용상 복잡한 면이 있어 보다 조작 을 간편

히 할수있도록 개선할 필요가있는 것으로 본다

표시장치 시험(2) (PCB NO V-260)

본장치의 사용상 필요한 기능 및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내용과 기기 동작

상태의 일치성이 요구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온습도 및 장기시험 으

로서 확인하였으며 여러 가지 표시장치중 각각 중단점이 나타낮다

즉 액정 표시기 표시기는 저소비전력이며 주위가 밝은곳에서 사용이 가능 하LCD( )

나 반면 온도특성이 나쁘며 형광표시관 표시기는 온도특성은 양호하나 소비전 VFD( )

력이 대체로 높고 보다 낮고 보다 많음 수명이 낮다는 단점이있으며(FND LCD )

발광 다이오드 표시기는 모든면에서 대체로 양호 하나 잡음발생 이많으며 밝FND( )

은곳에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외 여러 가지의 장담점을 검토하여 차적인 결론은 표시기가 적합한 것으로1 LCD

본다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최소의 전기적신호 연결로서 최대의 기능제어및 속도가 요구되는 장치로서 저주파

신호의 입력 마이크 신호 및 출력 스피크 신호 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 제어는( FS ) ( )

직렬통신 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였으며 장거리 일반 공용통신망 을 이(RS-232C)

용할수도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요 구성은 중앙제어장치 스윗치입력 장치 표시장치 메모리장치 직렬통신장치

로 구성되며 그 상세한 개발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의 대부분이 디지탈신호의 처리회로로서 구성되므로 제어장치 의 사용 부품ldquo rdquo

시험 및 선정기준과 같으며 장거리운용상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신속도를

알맞게하며 장거리통신 선로에서 유기되는 잡음을 최소화 하기위한 필터회로 및

소프트웨어적인 오류정정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별도 설계 사용 하였다

- 47 -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V-170)

이장치는 사용상 편리하여야 하므로 소형 경량 으로 제작 하였으며 차적 기능 시 1

험을 목적으로 외형 보다는 성능을 우선하여 시험용으로 제작하였다 이장치의 시

험은 전용케이블 을 이용하여 시험하였고 또 일반 공용통신용 전화 선로를 통하여

원거리 시험을 하였으며 그결과로서 통신속도가 까지 양호하게 동작되나2400bps

그이상의 통신속도로서 운용 할려면 전용회선이 필요하게된다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가 결정 SPEC

각회로 에서 필요로하는 전압 및 전류에 알맞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반 성능

을 차적으로 설정 하였으며 최종목표 사양에 일치하기위하여서는 전원부의 장치에1

대하여 모든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최종 특성이 설정 되어야 한다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P-099)

이장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되나 반면에 안정성이 확고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안

정성을 첫째로 중요시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이회로는 많은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많은 전력이 열로서 손실되므로 방열에 특히 유의하여 제작되었으며 열발생이 많은

부품은 알미늄 방열판에 설치하고 이방열판은 본장치 외함의 바깥쪽에 설치하여 방

열효과를 최대화 하였다

이회로의 시험은 과입력전압 및 과소비전력 일때의 안정성에 중점 시험하였고 그시

험을 위하여 장시간 항온 항습기 를 이용하여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전원부의 안정

성 확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도 이회로를 특별히 개선하지 않고도 최

종목표 사양에 만족하리라 본다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PCB NO V-098)

마이크 회로 수화기 회로 송신 스윗치 회로 로서 구성되며 이장치는 사용 특성상

충격에 강하도록 설계제작 되어야 하며 무게는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재료선택이

중요하며 이러한점을 감안하여 사출금형에 의하여 성형 하였으며 성형 제료로서는

제료를 사용하고 사용 부품을 최소화 하여 제작 하였다ABS

이장치의 특성상 견고하며 방수효과가 최대이어야 하므로 충격 자연낙하 시험 및( )

방수시험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 성형제료 및 외형상의 문제는 없이나

송화기 및 수화기의 선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송화기는 콘텐서형

마이크가 좋으며 수화기로는 가변코일형으로서 떨림판이 평면으로된 수화기가 우수

한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선정하여 제작시험 하였다

- 48 -

전용 수신기9 DSC (PCB NO T-342)

전용수신 장치는 송수신장치중 송신부를 제외한 구조와 유사하므로 개발과정에서

송수신장치중 수신부회로에 복조장치 를 추가하여 별도 로 제작하여 시험DSC PCB

하였으며 개발내용중 전용수신기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DSC

가 기능 및 동작

변조되어 수신된 신호를 필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후 신호 처리용FM DSC DSC

마이크로프로세스 에 공급하여 소프트웨어로서 신호를 분석한후 표시장치 메(CPU)

모리장치 인쇄장치 등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전용 찬넬인 번 찬넬을 항상 DSC 70

수신상태로 동작하여 신호 도트신호 를 검출하고 신호가 있으면 이어서CALL ( ) CALL

수신되는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표시장치 및 경보장치에 출력한다

나 신호 신호 필터회로 와 신호 처리부 및 제어용회로부 DSC (FS ) DSC DSC

제작시험 (PCB NO T-325 T-326 T-327)

이 회로의 성능은 주로 필터 및 디지탈변환 회로에서 결정되며 소프트웨어의 성능

에 따라 안정성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점을 유의하여 설계제작 하여으며 성능 시험

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험용 정보를 송신장치로 통해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후 그

결과를 분석 시험 하였다

다 전용 수신기의 개발과정 에서의 학보된 기술 DSC

신호 및 의 신호 의 필터 및 디지털 변환 기술DSC (1300 2100 FS )

신호 검출 및 직렬신호의 병렬변환 소프트웨어DOT

기술 정보의 비교 및 인쇄출력 소프트웨어 기술

종합시험10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별 차 차 차 보완시험은 만족하며 앞으로 개발의 중점은 사용의 편리성과PCB 1 2 3

생산성에 중점 개발이 요하며 배치에 따라 야기될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 PCB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후 최종제품을 제작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49 -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1

가 전면판 사출금형

나 옆판 스피커 안테나 금형

다 노브 사출금형

라 윗면 및 밑면 프레스 금형

마 설치용 고정장치 사출 금형

바 설치대 프레스 금형

사 뒷면 작업용 프레스 금형

아 항온조용 열차단금형

자 필타 금형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2

가 송수신기 제어장치 프로그램

나 전용 수신기 제어용 프로그램 DSC

다 원격조정기 프로그램

라 송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마 수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3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44: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44 -

가 사용부품의 구입 및 시험

본장치는 낮은 입력고주파신호 대역 를 증폭과 변환을 반복하여 요구되는 신호(VHF )

를 복조하여 기청음 또는 의 문자표시로 출력되게 하므로서 안정된 주파수 및DSC

증폭이 요구되므로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은 당연히 고주파특성에 유의하여 주파수

차에의한 특성변화 열잡음 및 고주파잡음 능동소자등의 직선성 등이 교려되어야하

므로 항온항습시험과 과전류에의한 잡음발생의 시험 등 을 거처 엄선한 부품으로

설정사용 하였다

특히 회로의 선택도 코알의 값 를 높이기 위하여 가 높은 트랜스 재료를 사용하( Q ) Q

였다

다 수신부회로 제작 PCB (PCB NO V-096RX)

위 항에서의 시험에 의해 선택된 부품을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며 수신부의 특성31

상 잡음의 발생보다는 잡음의 유입에 유의하여 설계되었으며 안정된 증폭 특성 수(

신감도 을 얻기위하여 중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회로기판은 에폭시) 2

수지 양면인쇄동판을 사용하여 부품삽입면은 대부분 공통단자로 이용하여 부품간의

간섭을최소화 하였다

다 수신부 특성시험

수신부 특성상 수신감도 주파수안정도 왜율 통과대역폭 스프리어스 리스폰스

감도억압비 혼변조 특성을 중점 시험하였으며 신호대 잡음비 일 때의 수신감 20

도 성능이 확보되며 기타 여러 가지 특성도 최종목표 특성에 가까운 성능이05

확보 되었으나 까지 수신감도가 향상되도록 성능개선이 요구된다025 V 120757

신세사이즈부의 회로의 안정도로 인하여 국부발진 신호의 흔들림현상이 있어VCO

통과대역폭 및 잡음발생의 원인이되어 신세사이즈회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신세시이즈회로는 크게 수신국부발진 신호용과 송신신호용으로 구분되며 단신통신

과 복신통신방식일때 각각 동작할수있는 구성으로 설계되었으며 그 내용별로 구분

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전압제어발진기 에 사용되는 부품은 온도 및 전압변동에 특성의변화가 극히(VCO)

적어야하며 외부로부터 정전 및 자계영향이 크므로 회로를 별도로 정전 및 자VCO

계로부터 차폐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혼변조 및 잡음신호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파수선택 표준신호 등 시 수신( )

대역 및 송신대역에 영향이 없는 주파수로 하였으며 가능한 레벨을 제외한 신(TTL

호 파형의 왜율이 적은신호로서 각회로신호를 사용하여 결합하였다)

- 45 -

나 신세사이회로 제작 (PCB NO V-096PLL)

이회로 기판은 여러종류의 신호들이 발생 혼합 증폭 비교 되므로 각부품 간의 배

치에따라 잡음발생의 정도가 크게 좌우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였으며 회로는 외VCO

부영향에 민감하게 작동되므로 차폐 에 유의하여 부품의 배치 적절하게 하였으며

잡음발생을 유의하여 부품을 선정하였다

다 성능시험

이회로의 특성상 주파수안정도 주파수의 흔들림 위상비교기의 비교속도 등에 유의

하여 시험하였으며 여러가지 일반적인 특성은 최종목표사양에 만족될 수 있는 신호

원을 공급할수 있었어나 주파수의 흔들림 현상이 있어 회로의 부품 및 차폐에VCO

개선이 요구된다

제어장치 제작시험5 (PCB NO V-263)

이회로의 주요부품으로서 를 사용하여 당개발과제의 송수신 및 외부V25 CPU DSC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며 아울러 본체 전면표시기와 스윗치 입출력 기능도 한다

이회로의 주요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스 읽기전용 메모리 읽고CPU( ) ROM( ) RAM(

쓰기 메모리 직렬통신용 입출력 병렬통신 입출력 아날로그 디지) SIO( ) PIO( ) AD(

탈 변환기 스윗치입력 표시기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개발 내용은 다음과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에 사용되는 부품은 대부분 디지탈신호를 처리하여 회로로서 및TTL IC

로서 구성되며 저소비전력 및 고속처리능력이 요구되므로 주로 고속용C-MOS IC

중 형 를 사용 하였으며 장치의 초기설정 및 기능 설정의C-MOS(C-MOS IC HC )

변경등 의 목적으로 은 충전형 밧테리로서 메모리내용을 전원의 에 관RAM ONOFF

계없이 유지하도록 하였다

외부 제어기 등 와의 통신용 의 통신속도를 또는 등으로(DSC ) RS-232C 2400 4800

변경 설정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변환기 등을 이용하여 자기진단을 할수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장비의 유지및AD

보수에 많은 도움이된다

- 46 -

나 성능시험

운용시험(1)

이회로의 특성상 전기적 특성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특성 및 성능이 요구되므로 운

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이부분에 대한 시험은 개발자입

장이 아닌 운용자가 시험하여야 하는 관계로 선박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사용자에게

의뢰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로서는 기능면에서는 양호하나 사용상 복잡한 면이 있어 보다 조작 을 간편

히 할수있도록 개선할 필요가있는 것으로 본다

표시장치 시험(2) (PCB NO V-260)

본장치의 사용상 필요한 기능 및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내용과 기기 동작

상태의 일치성이 요구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온습도 및 장기시험 으

로서 확인하였으며 여러 가지 표시장치중 각각 중단점이 나타낮다

즉 액정 표시기 표시기는 저소비전력이며 주위가 밝은곳에서 사용이 가능 하LCD( )

나 반면 온도특성이 나쁘며 형광표시관 표시기는 온도특성은 양호하나 소비전 VFD( )

력이 대체로 높고 보다 낮고 보다 많음 수명이 낮다는 단점이있으며(FND LCD )

발광 다이오드 표시기는 모든면에서 대체로 양호 하나 잡음발생 이많으며 밝FND( )

은곳에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외 여러 가지의 장담점을 검토하여 차적인 결론은 표시기가 적합한 것으로1 LCD

본다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최소의 전기적신호 연결로서 최대의 기능제어및 속도가 요구되는 장치로서 저주파

신호의 입력 마이크 신호 및 출력 스피크 신호 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 제어는( FS ) ( )

직렬통신 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였으며 장거리 일반 공용통신망 을 이(RS-232C)

용할수도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요 구성은 중앙제어장치 스윗치입력 장치 표시장치 메모리장치 직렬통신장치

로 구성되며 그 상세한 개발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의 대부분이 디지탈신호의 처리회로로서 구성되므로 제어장치 의 사용 부품ldquo rdquo

시험 및 선정기준과 같으며 장거리운용상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신속도를

알맞게하며 장거리통신 선로에서 유기되는 잡음을 최소화 하기위한 필터회로 및

소프트웨어적인 오류정정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별도 설계 사용 하였다

- 47 -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V-170)

이장치는 사용상 편리하여야 하므로 소형 경량 으로 제작 하였으며 차적 기능 시 1

험을 목적으로 외형 보다는 성능을 우선하여 시험용으로 제작하였다 이장치의 시

험은 전용케이블 을 이용하여 시험하였고 또 일반 공용통신용 전화 선로를 통하여

원거리 시험을 하였으며 그결과로서 통신속도가 까지 양호하게 동작되나2400bps

그이상의 통신속도로서 운용 할려면 전용회선이 필요하게된다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가 결정 SPEC

각회로 에서 필요로하는 전압 및 전류에 알맞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반 성능

을 차적으로 설정 하였으며 최종목표 사양에 일치하기위하여서는 전원부의 장치에1

대하여 모든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최종 특성이 설정 되어야 한다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P-099)

이장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되나 반면에 안정성이 확고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안

정성을 첫째로 중요시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이회로는 많은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많은 전력이 열로서 손실되므로 방열에 특히 유의하여 제작되었으며 열발생이 많은

부품은 알미늄 방열판에 설치하고 이방열판은 본장치 외함의 바깥쪽에 설치하여 방

열효과를 최대화 하였다

이회로의 시험은 과입력전압 및 과소비전력 일때의 안정성에 중점 시험하였고 그시

험을 위하여 장시간 항온 항습기 를 이용하여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전원부의 안정

성 확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도 이회로를 특별히 개선하지 않고도 최

종목표 사양에 만족하리라 본다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PCB NO V-098)

마이크 회로 수화기 회로 송신 스윗치 회로 로서 구성되며 이장치는 사용 특성상

충격에 강하도록 설계제작 되어야 하며 무게는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재료선택이

중요하며 이러한점을 감안하여 사출금형에 의하여 성형 하였으며 성형 제료로서는

제료를 사용하고 사용 부품을 최소화 하여 제작 하였다ABS

이장치의 특성상 견고하며 방수효과가 최대이어야 하므로 충격 자연낙하 시험 및( )

방수시험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 성형제료 및 외형상의 문제는 없이나

송화기 및 수화기의 선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송화기는 콘텐서형

마이크가 좋으며 수화기로는 가변코일형으로서 떨림판이 평면으로된 수화기가 우수

한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선정하여 제작시험 하였다

- 48 -

전용 수신기9 DSC (PCB NO T-342)

전용수신 장치는 송수신장치중 송신부를 제외한 구조와 유사하므로 개발과정에서

송수신장치중 수신부회로에 복조장치 를 추가하여 별도 로 제작하여 시험DSC PCB

하였으며 개발내용중 전용수신기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DSC

가 기능 및 동작

변조되어 수신된 신호를 필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후 신호 처리용FM DSC DSC

마이크로프로세스 에 공급하여 소프트웨어로서 신호를 분석한후 표시장치 메(CPU)

모리장치 인쇄장치 등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전용 찬넬인 번 찬넬을 항상 DSC 70

수신상태로 동작하여 신호 도트신호 를 검출하고 신호가 있으면 이어서CALL ( ) CALL

수신되는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표시장치 및 경보장치에 출력한다

나 신호 신호 필터회로 와 신호 처리부 및 제어용회로부 DSC (FS ) DSC DSC

제작시험 (PCB NO T-325 T-326 T-327)

이 회로의 성능은 주로 필터 및 디지탈변환 회로에서 결정되며 소프트웨어의 성능

에 따라 안정성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점을 유의하여 설계제작 하여으며 성능 시험

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험용 정보를 송신장치로 통해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후 그

결과를 분석 시험 하였다

다 전용 수신기의 개발과정 에서의 학보된 기술 DSC

신호 및 의 신호 의 필터 및 디지털 변환 기술DSC (1300 2100 FS )

신호 검출 및 직렬신호의 병렬변환 소프트웨어DOT

기술 정보의 비교 및 인쇄출력 소프트웨어 기술

종합시험10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별 차 차 차 보완시험은 만족하며 앞으로 개발의 중점은 사용의 편리성과PCB 1 2 3

생산성에 중점 개발이 요하며 배치에 따라 야기될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 PCB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후 최종제품을 제작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49 -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1

가 전면판 사출금형

나 옆판 스피커 안테나 금형

다 노브 사출금형

라 윗면 및 밑면 프레스 금형

마 설치용 고정장치 사출 금형

바 설치대 프레스 금형

사 뒷면 작업용 프레스 금형

아 항온조용 열차단금형

자 필타 금형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2

가 송수신기 제어장치 프로그램

나 전용 수신기 제어용 프로그램 DSC

다 원격조정기 프로그램

라 송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마 수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3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45: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45 -

나 신세사이회로 제작 (PCB NO V-096PLL)

이회로 기판은 여러종류의 신호들이 발생 혼합 증폭 비교 되므로 각부품 간의 배

치에따라 잡음발생의 정도가 크게 좌우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였으며 회로는 외VCO

부영향에 민감하게 작동되므로 차폐 에 유의하여 부품의 배치 적절하게 하였으며

잡음발생을 유의하여 부품을 선정하였다

다 성능시험

이회로의 특성상 주파수안정도 주파수의 흔들림 위상비교기의 비교속도 등에 유의

하여 시험하였으며 여러가지 일반적인 특성은 최종목표사양에 만족될 수 있는 신호

원을 공급할수 있었어나 주파수의 흔들림 현상이 있어 회로의 부품 및 차폐에VCO

개선이 요구된다

제어장치 제작시험5 (PCB NO V-263)

이회로의 주요부품으로서 를 사용하여 당개발과제의 송수신 및 외부V25 CPU DSC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며 아울러 본체 전면표시기와 스윗치 입출력 기능도 한다

이회로의 주요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스 읽기전용 메모리 읽고CPU( ) ROM( ) RAM(

쓰기 메모리 직렬통신용 입출력 병렬통신 입출력 아날로그 디지) SIO( ) PIO( ) AD(

탈 변환기 스윗치입력 표시기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개발 내용은 다음과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에 사용되는 부품은 대부분 디지탈신호를 처리하여 회로로서 및TTL IC

로서 구성되며 저소비전력 및 고속처리능력이 요구되므로 주로 고속용C-MOS IC

중 형 를 사용 하였으며 장치의 초기설정 및 기능 설정의C-MOS(C-MOS IC HC )

변경등 의 목적으로 은 충전형 밧테리로서 메모리내용을 전원의 에 관RAM ONOFF

계없이 유지하도록 하였다

외부 제어기 등 와의 통신용 의 통신속도를 또는 등으로(DSC ) RS-232C 2400 4800

변경 설정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변환기 등을 이용하여 자기진단을 할수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장비의 유지및AD

보수에 많은 도움이된다

- 46 -

나 성능시험

운용시험(1)

이회로의 특성상 전기적 특성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특성 및 성능이 요구되므로 운

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이부분에 대한 시험은 개발자입

장이 아닌 운용자가 시험하여야 하는 관계로 선박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사용자에게

의뢰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로서는 기능면에서는 양호하나 사용상 복잡한 면이 있어 보다 조작 을 간편

히 할수있도록 개선할 필요가있는 것으로 본다

표시장치 시험(2) (PCB NO V-260)

본장치의 사용상 필요한 기능 및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내용과 기기 동작

상태의 일치성이 요구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온습도 및 장기시험 으

로서 확인하였으며 여러 가지 표시장치중 각각 중단점이 나타낮다

즉 액정 표시기 표시기는 저소비전력이며 주위가 밝은곳에서 사용이 가능 하LCD( )

나 반면 온도특성이 나쁘며 형광표시관 표시기는 온도특성은 양호하나 소비전 VFD( )

력이 대체로 높고 보다 낮고 보다 많음 수명이 낮다는 단점이있으며(FND LCD )

발광 다이오드 표시기는 모든면에서 대체로 양호 하나 잡음발생 이많으며 밝FND( )

은곳에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외 여러 가지의 장담점을 검토하여 차적인 결론은 표시기가 적합한 것으로1 LCD

본다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최소의 전기적신호 연결로서 최대의 기능제어및 속도가 요구되는 장치로서 저주파

신호의 입력 마이크 신호 및 출력 스피크 신호 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 제어는( FS ) ( )

직렬통신 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였으며 장거리 일반 공용통신망 을 이(RS-232C)

용할수도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요 구성은 중앙제어장치 스윗치입력 장치 표시장치 메모리장치 직렬통신장치

로 구성되며 그 상세한 개발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의 대부분이 디지탈신호의 처리회로로서 구성되므로 제어장치 의 사용 부품ldquo rdquo

시험 및 선정기준과 같으며 장거리운용상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신속도를

알맞게하며 장거리통신 선로에서 유기되는 잡음을 최소화 하기위한 필터회로 및

소프트웨어적인 오류정정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별도 설계 사용 하였다

- 47 -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V-170)

이장치는 사용상 편리하여야 하므로 소형 경량 으로 제작 하였으며 차적 기능 시 1

험을 목적으로 외형 보다는 성능을 우선하여 시험용으로 제작하였다 이장치의 시

험은 전용케이블 을 이용하여 시험하였고 또 일반 공용통신용 전화 선로를 통하여

원거리 시험을 하였으며 그결과로서 통신속도가 까지 양호하게 동작되나2400bps

그이상의 통신속도로서 운용 할려면 전용회선이 필요하게된다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가 결정 SPEC

각회로 에서 필요로하는 전압 및 전류에 알맞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반 성능

을 차적으로 설정 하였으며 최종목표 사양에 일치하기위하여서는 전원부의 장치에1

대하여 모든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최종 특성이 설정 되어야 한다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P-099)

이장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되나 반면에 안정성이 확고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안

정성을 첫째로 중요시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이회로는 많은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많은 전력이 열로서 손실되므로 방열에 특히 유의하여 제작되었으며 열발생이 많은

부품은 알미늄 방열판에 설치하고 이방열판은 본장치 외함의 바깥쪽에 설치하여 방

열효과를 최대화 하였다

이회로의 시험은 과입력전압 및 과소비전력 일때의 안정성에 중점 시험하였고 그시

험을 위하여 장시간 항온 항습기 를 이용하여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전원부의 안정

성 확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도 이회로를 특별히 개선하지 않고도 최

종목표 사양에 만족하리라 본다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PCB NO V-098)

마이크 회로 수화기 회로 송신 스윗치 회로 로서 구성되며 이장치는 사용 특성상

충격에 강하도록 설계제작 되어야 하며 무게는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재료선택이

중요하며 이러한점을 감안하여 사출금형에 의하여 성형 하였으며 성형 제료로서는

제료를 사용하고 사용 부품을 최소화 하여 제작 하였다ABS

이장치의 특성상 견고하며 방수효과가 최대이어야 하므로 충격 자연낙하 시험 및( )

방수시험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 성형제료 및 외형상의 문제는 없이나

송화기 및 수화기의 선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송화기는 콘텐서형

마이크가 좋으며 수화기로는 가변코일형으로서 떨림판이 평면으로된 수화기가 우수

한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선정하여 제작시험 하였다

- 48 -

전용 수신기9 DSC (PCB NO T-342)

전용수신 장치는 송수신장치중 송신부를 제외한 구조와 유사하므로 개발과정에서

송수신장치중 수신부회로에 복조장치 를 추가하여 별도 로 제작하여 시험DSC PCB

하였으며 개발내용중 전용수신기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DSC

가 기능 및 동작

변조되어 수신된 신호를 필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후 신호 처리용FM DSC DSC

마이크로프로세스 에 공급하여 소프트웨어로서 신호를 분석한후 표시장치 메(CPU)

모리장치 인쇄장치 등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전용 찬넬인 번 찬넬을 항상 DSC 70

수신상태로 동작하여 신호 도트신호 를 검출하고 신호가 있으면 이어서CALL ( ) CALL

수신되는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표시장치 및 경보장치에 출력한다

나 신호 신호 필터회로 와 신호 처리부 및 제어용회로부 DSC (FS ) DSC DSC

제작시험 (PCB NO T-325 T-326 T-327)

이 회로의 성능은 주로 필터 및 디지탈변환 회로에서 결정되며 소프트웨어의 성능

에 따라 안정성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점을 유의하여 설계제작 하여으며 성능 시험

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험용 정보를 송신장치로 통해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후 그

결과를 분석 시험 하였다

다 전용 수신기의 개발과정 에서의 학보된 기술 DSC

신호 및 의 신호 의 필터 및 디지털 변환 기술DSC (1300 2100 FS )

신호 검출 및 직렬신호의 병렬변환 소프트웨어DOT

기술 정보의 비교 및 인쇄출력 소프트웨어 기술

종합시험10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별 차 차 차 보완시험은 만족하며 앞으로 개발의 중점은 사용의 편리성과PCB 1 2 3

생산성에 중점 개발이 요하며 배치에 따라 야기될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 PCB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후 최종제품을 제작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49 -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1

가 전면판 사출금형

나 옆판 스피커 안테나 금형

다 노브 사출금형

라 윗면 및 밑면 프레스 금형

마 설치용 고정장치 사출 금형

바 설치대 프레스 금형

사 뒷면 작업용 프레스 금형

아 항온조용 열차단금형

자 필타 금형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2

가 송수신기 제어장치 프로그램

나 전용 수신기 제어용 프로그램 DSC

다 원격조정기 프로그램

라 송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마 수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3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46: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46 -

나 성능시험

운용시험(1)

이회로의 특성상 전기적 특성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특성 및 성능이 요구되므로 운

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이부분에 대한 시험은 개발자입

장이 아닌 운용자가 시험하여야 하는 관계로 선박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사용자에게

의뢰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로서는 기능면에서는 양호하나 사용상 복잡한 면이 있어 보다 조작 을 간편

히 할수있도록 개선할 필요가있는 것으로 본다

표시장치 시험(2) (PCB NO V-260)

본장치의 사용상 필요한 기능 및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내용과 기기 동작

상태의 일치성이 요구되므로 이점에 유의하여 시험하였으며 온습도 및 장기시험 으

로서 확인하였으며 여러 가지 표시장치중 각각 중단점이 나타낮다

즉 액정 표시기 표시기는 저소비전력이며 주위가 밝은곳에서 사용이 가능 하LCD( )

나 반면 온도특성이 나쁘며 형광표시관 표시기는 온도특성은 양호하나 소비전 VFD( )

력이 대체로 높고 보다 낮고 보다 많음 수명이 낮다는 단점이있으며(FND LCD )

발광 다이오드 표시기는 모든면에서 대체로 양호 하나 잡음발생 이많으며 밝FND( )

은곳에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외 여러 가지의 장담점을 검토하여 차적인 결론은 표시기가 적합한 것으로1 LCD

본다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최소의 전기적신호 연결로서 최대의 기능제어및 속도가 요구되는 장치로서 저주파

신호의 입력 마이크 신호 및 출력 스피크 신호 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 제어는( FS ) ( )

직렬통신 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였으며 장거리 일반 공용통신망 을 이(RS-232C)

용할수도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요 구성은 중앙제어장치 스윗치입력 장치 표시장치 메모리장치 직렬통신장치

로 구성되며 그 상세한 개발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부품 및 회로설계

이회로의 대부분이 디지탈신호의 처리회로로서 구성되므로 제어장치 의 사용 부품ldquo rdquo

시험 및 선정기준과 같으며 장거리운용상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신속도를

알맞게하며 장거리통신 선로에서 유기되는 잡음을 최소화 하기위한 필터회로 및

소프트웨어적인 오류정정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별도 설계 사용 하였다

- 47 -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V-170)

이장치는 사용상 편리하여야 하므로 소형 경량 으로 제작 하였으며 차적 기능 시 1

험을 목적으로 외형 보다는 성능을 우선하여 시험용으로 제작하였다 이장치의 시

험은 전용케이블 을 이용하여 시험하였고 또 일반 공용통신용 전화 선로를 통하여

원거리 시험을 하였으며 그결과로서 통신속도가 까지 양호하게 동작되나2400bps

그이상의 통신속도로서 운용 할려면 전용회선이 필요하게된다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가 결정 SPEC

각회로 에서 필요로하는 전압 및 전류에 알맞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반 성능

을 차적으로 설정 하였으며 최종목표 사양에 일치하기위하여서는 전원부의 장치에1

대하여 모든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최종 특성이 설정 되어야 한다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P-099)

이장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되나 반면에 안정성이 확고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안

정성을 첫째로 중요시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이회로는 많은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많은 전력이 열로서 손실되므로 방열에 특히 유의하여 제작되었으며 열발생이 많은

부품은 알미늄 방열판에 설치하고 이방열판은 본장치 외함의 바깥쪽에 설치하여 방

열효과를 최대화 하였다

이회로의 시험은 과입력전압 및 과소비전력 일때의 안정성에 중점 시험하였고 그시

험을 위하여 장시간 항온 항습기 를 이용하여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전원부의 안정

성 확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도 이회로를 특별히 개선하지 않고도 최

종목표 사양에 만족하리라 본다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PCB NO V-098)

마이크 회로 수화기 회로 송신 스윗치 회로 로서 구성되며 이장치는 사용 특성상

충격에 강하도록 설계제작 되어야 하며 무게는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재료선택이

중요하며 이러한점을 감안하여 사출금형에 의하여 성형 하였으며 성형 제료로서는

제료를 사용하고 사용 부품을 최소화 하여 제작 하였다ABS

이장치의 특성상 견고하며 방수효과가 최대이어야 하므로 충격 자연낙하 시험 및( )

방수시험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 성형제료 및 외형상의 문제는 없이나

송화기 및 수화기의 선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송화기는 콘텐서형

마이크가 좋으며 수화기로는 가변코일형으로서 떨림판이 평면으로된 수화기가 우수

한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선정하여 제작시험 하였다

- 48 -

전용 수신기9 DSC (PCB NO T-342)

전용수신 장치는 송수신장치중 송신부를 제외한 구조와 유사하므로 개발과정에서

송수신장치중 수신부회로에 복조장치 를 추가하여 별도 로 제작하여 시험DSC PCB

하였으며 개발내용중 전용수신기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DSC

가 기능 및 동작

변조되어 수신된 신호를 필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후 신호 처리용FM DSC DSC

마이크로프로세스 에 공급하여 소프트웨어로서 신호를 분석한후 표시장치 메(CPU)

모리장치 인쇄장치 등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전용 찬넬인 번 찬넬을 항상 DSC 70

수신상태로 동작하여 신호 도트신호 를 검출하고 신호가 있으면 이어서CALL ( ) CALL

수신되는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표시장치 및 경보장치에 출력한다

나 신호 신호 필터회로 와 신호 처리부 및 제어용회로부 DSC (FS ) DSC DSC

제작시험 (PCB NO T-325 T-326 T-327)

이 회로의 성능은 주로 필터 및 디지탈변환 회로에서 결정되며 소프트웨어의 성능

에 따라 안정성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점을 유의하여 설계제작 하여으며 성능 시험

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험용 정보를 송신장치로 통해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후 그

결과를 분석 시험 하였다

다 전용 수신기의 개발과정 에서의 학보된 기술 DSC

신호 및 의 신호 의 필터 및 디지털 변환 기술DSC (1300 2100 FS )

신호 검출 및 직렬신호의 병렬변환 소프트웨어DOT

기술 정보의 비교 및 인쇄출력 소프트웨어 기술

종합시험10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별 차 차 차 보완시험은 만족하며 앞으로 개발의 중점은 사용의 편리성과PCB 1 2 3

생산성에 중점 개발이 요하며 배치에 따라 야기될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 PCB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후 최종제품을 제작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49 -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1

가 전면판 사출금형

나 옆판 스피커 안테나 금형

다 노브 사출금형

라 윗면 및 밑면 프레스 금형

마 설치용 고정장치 사출 금형

바 설치대 프레스 금형

사 뒷면 작업용 프레스 금형

아 항온조용 열차단금형

자 필타 금형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2

가 송수신기 제어장치 프로그램

나 전용 수신기 제어용 프로그램 DSC

다 원격조정기 프로그램

라 송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마 수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3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47: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47 -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V-170)

이장치는 사용상 편리하여야 하므로 소형 경량 으로 제작 하였으며 차적 기능 시 1

험을 목적으로 외형 보다는 성능을 우선하여 시험용으로 제작하였다 이장치의 시

험은 전용케이블 을 이용하여 시험하였고 또 일반 공용통신용 전화 선로를 통하여

원거리 시험을 하였으며 그결과로서 통신속도가 까지 양호하게 동작되나2400bps

그이상의 통신속도로서 운용 할려면 전용회선이 필요하게된다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가 결정 SPEC

각회로 에서 필요로하는 전압 및 전류에 알맞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반 성능

을 차적으로 설정 하였으며 최종목표 사양에 일치하기위하여서는 전원부의 장치에1

대하여 모든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최종 특성이 설정 되어야 한다

나 제작 및 시험 PCB (PCB NO P-099)

이장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되나 반면에 안정성이 확고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안

정성을 첫째로 중요시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이회로는 많은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많은 전력이 열로서 손실되므로 방열에 특히 유의하여 제작되었으며 열발생이 많은

부품은 알미늄 방열판에 설치하고 이방열판은 본장치 외함의 바깥쪽에 설치하여 방

열효과를 최대화 하였다

이회로의 시험은 과입력전압 및 과소비전력 일때의 안정성에 중점 시험하였고 그시

험을 위하여 장시간 항온 항습기 를 이용하여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전원부의 안정

성 확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앞으로도 이회로를 특별히 개선하지 않고도 최

종목표 사양에 만족하리라 본다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PCB NO V-098)

마이크 회로 수화기 회로 송신 스윗치 회로 로서 구성되며 이장치는 사용 특성상

충격에 강하도록 설계제작 되어야 하며 무게는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재료선택이

중요하며 이러한점을 감안하여 사출금형에 의하여 성형 하였으며 성형 제료로서는

제료를 사용하고 사용 부품을 최소화 하여 제작 하였다ABS

이장치의 특성상 견고하며 방수효과가 최대이어야 하므로 충격 자연낙하 시험 및( )

방수시험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 성형제료 및 외형상의 문제는 없이나

송화기 및 수화기의 선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송화기는 콘텐서형

마이크가 좋으며 수화기로는 가변코일형으로서 떨림판이 평면으로된 수화기가 우수

한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선정하여 제작시험 하였다

- 48 -

전용 수신기9 DSC (PCB NO T-342)

전용수신 장치는 송수신장치중 송신부를 제외한 구조와 유사하므로 개발과정에서

송수신장치중 수신부회로에 복조장치 를 추가하여 별도 로 제작하여 시험DSC PCB

하였으며 개발내용중 전용수신기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DSC

가 기능 및 동작

변조되어 수신된 신호를 필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후 신호 처리용FM DSC DSC

마이크로프로세스 에 공급하여 소프트웨어로서 신호를 분석한후 표시장치 메(CPU)

모리장치 인쇄장치 등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전용 찬넬인 번 찬넬을 항상 DSC 70

수신상태로 동작하여 신호 도트신호 를 검출하고 신호가 있으면 이어서CALL ( ) CALL

수신되는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표시장치 및 경보장치에 출력한다

나 신호 신호 필터회로 와 신호 처리부 및 제어용회로부 DSC (FS ) DSC DSC

제작시험 (PCB NO T-325 T-326 T-327)

이 회로의 성능은 주로 필터 및 디지탈변환 회로에서 결정되며 소프트웨어의 성능

에 따라 안정성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점을 유의하여 설계제작 하여으며 성능 시험

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험용 정보를 송신장치로 통해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후 그

결과를 분석 시험 하였다

다 전용 수신기의 개발과정 에서의 학보된 기술 DSC

신호 및 의 신호 의 필터 및 디지털 변환 기술DSC (1300 2100 FS )

신호 검출 및 직렬신호의 병렬변환 소프트웨어DOT

기술 정보의 비교 및 인쇄출력 소프트웨어 기술

종합시험10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별 차 차 차 보완시험은 만족하며 앞으로 개발의 중점은 사용의 편리성과PCB 1 2 3

생산성에 중점 개발이 요하며 배치에 따라 야기될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 PCB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후 최종제품을 제작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49 -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1

가 전면판 사출금형

나 옆판 스피커 안테나 금형

다 노브 사출금형

라 윗면 및 밑면 프레스 금형

마 설치용 고정장치 사출 금형

바 설치대 프레스 금형

사 뒷면 작업용 프레스 금형

아 항온조용 열차단금형

자 필타 금형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2

가 송수신기 제어장치 프로그램

나 전용 수신기 제어용 프로그램 DSC

다 원격조정기 프로그램

라 송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마 수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3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48: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48 -

전용 수신기9 DSC (PCB NO T-342)

전용수신 장치는 송수신장치중 송신부를 제외한 구조와 유사하므로 개발과정에서

송수신장치중 수신부회로에 복조장치 를 추가하여 별도 로 제작하여 시험DSC PCB

하였으며 개발내용중 전용수신기 특징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DSC

가 기능 및 동작

변조되어 수신된 신호를 필터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후 신호 처리용FM DSC DSC

마이크로프로세스 에 공급하여 소프트웨어로서 신호를 분석한후 표시장치 메(CPU)

모리장치 인쇄장치 등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전용 찬넬인 번 찬넬을 항상 DSC 70

수신상태로 동작하여 신호 도트신호 를 검출하고 신호가 있으면 이어서CALL ( ) CALL

수신되는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표시장치 및 경보장치에 출력한다

나 신호 신호 필터회로 와 신호 처리부 및 제어용회로부 DSC (FS ) DSC DSC

제작시험 (PCB NO T-325 T-326 T-327)

이 회로의 성능은 주로 필터 및 디지탈변환 회로에서 결정되며 소프트웨어의 성능

에 따라 안정성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점을 유의하여 설계제작 하여으며 성능 시험

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험용 정보를 송신장치로 통해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후 그

결과를 분석 시험 하였다

다 전용 수신기의 개발과정 에서의 학보된 기술 DSC

신호 및 의 신호 의 필터 및 디지털 변환 기술DSC (1300 2100 FS )

신호 검출 및 직렬신호의 병렬변환 소프트웨어DOT

기술 정보의 비교 및 인쇄출력 소프트웨어 기술

종합시험10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별 차 차 차 보완시험은 만족하며 앞으로 개발의 중점은 사용의 편리성과PCB 1 2 3

생산성에 중점 개발이 요하며 배치에 따라 야기될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 PCB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후 최종제품을 제작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49 -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1

가 전면판 사출금형

나 옆판 스피커 안테나 금형

다 노브 사출금형

라 윗면 및 밑면 프레스 금형

마 설치용 고정장치 사출 금형

바 설치대 프레스 금형

사 뒷면 작업용 프레스 금형

아 항온조용 열차단금형

자 필타 금형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2

가 송수신기 제어장치 프로그램

나 전용 수신기 제어용 프로그램 DSC

다 원격조정기 프로그램

라 송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마 수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3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49: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49 -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1

가 전면판 사출금형

나 옆판 스피커 안테나 금형

다 노브 사출금형

라 윗면 및 밑면 프레스 금형

마 설치용 고정장치 사출 금형

바 설치대 프레스 금형

사 뒷면 작업용 프레스 금형

아 항온조용 열차단금형

자 필타 금형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2

가 송수신기 제어장치 프로그램

나 전용 수신기 제어용 프로그램 DSC

다 원격조정기 프로그램

라 송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마 수신시험용 신호발생 프로그램 DSC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3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50: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50 -

주요기능별 계통도14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51: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51 -

제 장 제 차 년도 개발 계획5 2

차년도 개발 목표1 2

가 차년도에 연구된 재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최종 에 따른 시제품을 제작 1 SPEC

한다

나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각 별 기능별 성능별 시험을 실시하고 보 MODULE

완하여 최종 에 합치될 때까지 보완 개선한다SPEC

다 최종 시스템 시제품을 실선에서 장기시험을 실시하여 상품화를 위한 미비점을

보완한다

라 필요 형식검정 및 승인을 획득한다

마 상품화를 위한 기반 준비에 착수한다

차년도 개발내용 및 범위2 2

가 시제품 제작

제 장 본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의 에 따름(1) 3 Specification

제작(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전용 수신 및 송수신 제작(3) DSC Antenna Antenna

표시 및 제어장치 제작(4)

전원 공급장치 제작(5)

판금 금형 제작(6) Case

나 시 험 및 보 완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1)

시험(2) Transmitter Receiver DSC TerminalWatch keeping Receiver Module

각 별 기능시험 결과분석(3) Module

각 별 성능시험 결과분석(4) Module

성능미달 재제작(5) Part

토탈 시스템 시험 및 결과분석(6)

토탈 시스템 보완(7)

현장 시험(8)

실선탑계에 따른 장기성능 시험-

미비점 최종보완(9)

다 형식 검정

형식검정을 위한 표준시험방법 연구(1)

전파연구소 및 해당 시험기관에 형식승인 의뢰 및 승인 획득(2)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52: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52 -

라 상품화 및 양산 채비

양산제품 등 설계(1) PCB

참여기업의 송수신장치 생산 준비(2) DSC VHF Line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53: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53 -

參 考 文 獻

김웅주 박광수 선박위성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1 1988ㆍ 「 」

김웅주 박광수 교재 부산 한국해기연수원2 GMDSS-ROC 1994ㆍ 「 」

김웅주 박광수 김석재 통신운용 부산 한국해기연수원3 GMDSS 1993ㆍ ㆍ 「 」

김주년 해사법규해설 부산 제일문화사4 1991「 」

신상각 김기문 표준전파법규해설 서울 동양과학사5 1992ㆍ 「 」

손태현 부산 도서출판 경양사6 IMOSTCW 1986「 」

신기철 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 상권 서울 삼성출판사7 1988ㆍ 「 」

왕지균 전파관리법강의 서울 전기교육사8 1968「 」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9 IMO 1985「 」

상선 수색 및 구조 지침서 서울 해문출판사10 1985「 」

최신 해상인명안전협약 부산 해인출판사11 1993「 」

한국무선관리사업단 전파관계법령집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2 1993「 」

전파관계고시법 서울 한국무선관리사업단13 1993――― 「 」

김기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종사자의 수급균형화에 관한 연구14 GMDSS 「 」

해대산업기술연구소 제 집 부산 한국해양대학교10 1992

김기문 외 인 도입에 따른 전파통신교육의 개선방안 부산 한국15 3 GMDSS 「 」

해양대학교 1993

조성준 한국전기통신기술의 발달 정보통신 제 집 서울 한국통신학16 ldquo rdquo 1 「 」

회 1984

한국통신학회 신해상통신제도의 국내수용방안의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17 「 」

회 1991

해상통신방식 연구 서울 한국통신학회18 (GMDSS) 1988――― 「 」

한국전기통신공사 이동업무에 관한 세계 무선통신 주관청회의 최종 의정19 「

서 서울 한국통신 MOB-87 1988」

한국통신기술협회 권고 서울 한국통신기술협회20 ldquoITU-R CCIR 1992「 」

체신부 무선통신규칙 서울 체신부21 1990「 」

무선통신규칙 부록 서울 체신부22 1990――― 「 」

무선통신규칙 결의 및 권고 서울 체신부23 1990――― 「 」

체신부 보고서 제 권 상 하 서울 체신부24 CCIR 8 3( ) 1990「 」 ㆍ

형식검정 무선기기의 시험방법 일본 무선설비검사검정협회25 1992「 」

형식검정 시험방법 안양 전파연구소26 1993「 」

일본 무선기기 형식검정 시험 및 확인 업무 서울 한국전파진흥협회27 「 」

1994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54: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54 -

선박통신 통권 제 호 서울 한국선박통신연구소28 87 1992「 」

전파 통권 제 호 제 호 서울 무선국관리사업단29 57 ~ 60 1994「 」

설비의 예30 ( ) GMDSS Nishinomuya FURUNO 1992古野電氣 株 「 」

31 ITU 1987世界 通信衛星 日本 協會の「 」

32 GMDSS ( ) 1991無線裝置 日本 株アソりツ「 」

33 IMO Chapter RadiocommunicationsⅣ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OLAS London IMO 1990

34 SC and NBDP Equipment Annex 3――― 985170 GMDSS Handbook London

IMO 1992

35 ITU Mobile Radiodetermination and Related Satellite Service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6 Maritime Mobile Services ANnex 2 to vol ―――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7 Maritime Mobile Services(Aeronautical Land Maritime Mobile and―――

Radiodetermination) Aeronautical Mobile Service Annex 3 to vol Ⅷ CCIR

Reports Switzerland ITU 1990

38 Robert LShrader Electronic Communication New York McGrow-Hill

Book Co 1998

39 William Lee CY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82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55: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55 -

요 약 문

보고서명1 송수신장치 차년도 중간보고서DSC VHF 1해당기간2 1994 12 1 - 1995 11 30사업과제명3 중기거점 기술개발 사업총괄주관기관4 한국해양대학교주관기관 삼영전자 부설 전자통신 연구소참여기업 삼영전자공업 주( )

내용 요약문5

본 장비는 규정에 따라 여객선 및 총톤수 톤 이상의 신조선박은GMDSS 300 1995

월부터 기존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에는 알부터 적용되어 탑재가2 1 1999 2 1

의무화되는 통신장비이다

개발내용의 요약은 하기와 같은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며 차년도 상품화 및 양산계2

획에 차질없이 실시될 것으로 판단된다

회로의 핵심부품및 주변회로 기초자료 수집 완료1 DSC

송신부 제작시험2

수신부 제작시험3

신세사이회로 제작시험4

제어장치 제작시험5

원격제어기 제작시험6

전원부 제작 및 시험7

회로 설계 및 제작 시험8 HAND SET PCB

전용 수신기 제작 시험9 DSC PCB

각종 금형 설계 및 제작10

시험용 소프트웨어 설계 제작및 시험11

송수신장치 기능 운용법 등에 관한 개발규격 설정12

종합시험13

설계된 최종목표 사양과의 일치여부를 시험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각 주요 기능별

특성시험을 하고 각 주요회로를 종합결선 제작한후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은 최종

성능시험이아닌 각 주요기능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함으로서 최종목표 성능과는 차

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의 미비점은 외함이 정상적으로 개발완료 되어 조립하므

로서 보완될것으로 본다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
Page 56: 송수신장치기술개발에관한연구 (1 ) - ITFIND · < -2>gmdss itu,imo iho itcⅡ 도입에따른 및 등국제기구의활동상황과 의 전파규칙 의 협약등의정비현황과우리나라의조치상황을분석(rr),imo

- 56 -

  • 제 1 장 제 규 정 연구
    • 제 1 절 연구의 목적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제 4 절 기대되는 성과 및 활용 방안
    • 제 5 절 GMDSS에 대응한 행정조정방안 및 결론
      • 제 2 장 기 존 시 스 템 분 석
        • 제 1절 외국장비의 사양
        • 제 2 절 DSC VHF 송수신장치의 기능적 조건
        • 제 3 절 DSC VHF송수신장치의 기술적 조건
          • 제 3 장 본 연구에서 개발할 시스템
            • 제 1 절 DSC VHF 송수신장치
            • 제 2 절 1차년도 개발 범위
              • 제 4 장 제 1 차년도 개발 항목
              • 제 5 장 제 2차 년도 개발 계획
              • 參考文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