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체평가기획위원회 - hongiksejong.hongik.ac.kr/front/files/pdf/selfreport/hongik.pdf ·...

29

Upload: others

Post on 23-Jan-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자체평가기획위원회 - Hongiksejong.hongik.ac.kr/front/files/pdf/selfreport/hongik.pdf · 교육프로그램과교육여건의개선방안모색 2018년대학기본역량진단과2019년2주기대학기관평가인증등에대비
Page 2: 자체평가기획위원회 - Hongiksejong.hongik.ac.kr/front/files/pdf/selfreport/hongik.pdf · 교육프로그램과교육여건의개선방안모색 2018년대학기본역량진단과2019년2주기대학기관평가인증등에대비

❙자체평가�기획위원회구분 소속 직위 성명 보직

위원장 공과대학 교수 서종욱 학사부총장

위� �원

경영대학 교수 이광철 대학원장

법과대학 교수 황병돈 기획처장

공과대학 교수 박상주 교무처장

미술대학 부교수 고경호 학생처장

상경대학 교수 김중인 기획관리처장

과학기술대학 교수 정교범 교학처장

공과대학 교수 황기연 산학협력단장

법인사무국 국장 최영화 사무국장

❙자체평가�평가위원회구분 소속 직위 성명 담당�영역

위원장 법과대학 교수 음선필 총괄

부위원장 공과대학 교수 오이석 대학사명�및�발전계획(총괄)

위� � 원

법과대학 부교수 강준하대학사명�및�발전계획

과학기술대학 부교수 임찬숙

경영대학 교수 윤재원대학�재정

상경대학 교수 육윤복

사범대학 교수 이승복 교육(총괄)사범대학 부교수 김준년

교육사범대학 부교수 이남훈

과학기술대학 부교수 이승현

공과대학 교수 김유진 학생지원(총괄)건축대학 부교수 조� �한 학생지원

법과대학 교수 박현석 교수�직원(총괄)법과대학 부교수 오병두

교수�직원과학기술대학 교수 안병구

미술대학 교수 이수홍 교육시설�및�재정(총괄)서울캠퍼스�교양 부교수 박종천

교육시설�및�재정조형대학 교수 김건동

공과대학 교수 원종인 대학원(총괄)공과대학 교수 허서원

대학원과학기술대학 부교수 김병서

Page 3: 자체평가기획위원회 - Hongiksejong.hongik.ac.kr/front/files/pdf/selfreport/hongik.pdf · 교육프로그램과교육여건의개선방안모색 2018년대학기본역량진단과2019년2주기대학기관평가인증등에대비
Page 4: 자체평가기획위원회 - Hongiksejong.hongik.ac.kr/front/files/pdf/selfreport/hongik.pdf · 교육프로그램과교육여건의개선방안모색 2018년대학기본역량진단과2019년2주기대학기관평가인증등에대비

2017 자체평가보고서� 1

1. 자체평가의�개요

가. 실시�목적❙자체적으로�설정한�평가항목들에�대한�평가를�수행하여�우리�대학교�교육의�질과�발전�상태를�객관적으로� 재점검하며� 대학에� 내재되어� 있는� 문제점들을� 진단하여� 개선방안을� 모색하고� 실천함으

로써�우리�대학교의�교육목표를�달성함

나. 실시�근거❙고등교육법� 제11조의2(평가� 등) 학교는� 교육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해당� 기관의� 교육과� 연구, 조직과�운영, 시설과�설비�등에�관한�사항을�스스로�점검하고�평가하여�그�결과를�공시

❙고등교육기관의�자체평가에�관한�규칙❙본교�자체평가�규정

다. 자체평가�기본방향�및�추진�전략❙제1주기�대학기관평가인증제의�자체평가�이후�대학발전의�상태를�체계적으로�점검❙발전전략인�국제화/내실화/특성화�실현을�위한�기초자료�제공❙특성화�지표인� ‘산업과�예술의�만남’의�실현�정도�자체�점검❙교육프로그램과�교육여건의�개선방안�모색❙2018년�대학기본역량진단과� 2019년� 2주기�대학기관평가�인증�등에�대비

라. 기대효과❙자가진단�및�평가�시스템의�정착을�통한�국내외�대학의�경쟁력�확보❙국제적�수준의�고등교육�질�보증�체제의�확대에�대비한�평가역량�강화❙자체평가보고서를� 작성함으로써� 대외평가에� 대비하고, 실제� 대학기본역량진단, 대학기관평가인증�평가�시�자체평가보고서�및�개선실적을�활용

❙교육�수요자인�학생, 교사, 학부모, 기업과�사회에�선택의�기회�제공❙자체평가를�통한�부서�업무의�장단점을�분석하여�지속적인�발전�체계를�구축

Page 5: 자체평가기획위원회 - Hongiksejong.hongik.ac.kr/front/files/pdf/selfreport/hongik.pdf · 교육프로그램과교육여건의개선방안모색 2018년대학기본역량진단과2019년2주기대학기관평가인증등에대비

2017 자체평가보고서� 2

2. 자체평가의�내용❙본�자체평가의�평가항목들은�교육부의�<2015년�대학구조개혁평가>와�한국대학평가원의�<2013년� 대학기관평가인증>에서� 제시한� 평가기준을� 참조하여� 설정되었다. 평가영역/평가부문/평가항목은�다음과�같다.

평가영역 평가부문 평가항목

1. 대학사명�및�발전계획

1.1 교육목표 1.1.1 대학의�설립�이념과�교육목표

1.2 발전계획1.2.1 발전계획의�수립�및� 개요1.2.2 발전계획의�추진체계�및�주요�성과1.2.3 발전계획의�평가�및� 환류

1.3 특성화�계획1.3.1 특성화�계획의�수립�및� 개요1.3.2 특성화�계획의�추진체계�및�주요성과1.3.3 특성화�계획의�평가�및� 환류

2. 교육

2.1 교육과정

2.1.1 교육목표�실현을�위한�인재상�및�핵심역량2.1.2 교양교육과정의�편성ㆍ운영2.1.3 전공교육과정의�편성ㆍ운영2.1.4 실험ㆍ실습ㆍ실기�교육2.1.5 산업체�요구에�기반한�교육과정�편성ㆍ운영2.1.6 국내ㆍ외�대학과의�학점교류2.1.7 교육과정�및�강의개선을�위한�제도�및�운영

2.2 학사관리

2.2.1 수업관리의�엄정성2.2.2 성적관리2.2.3 수업평가2.3.4 수업�규모의�적절성2.3.5 성적우수자�및�학사경고자에�대한�조치

2.3 교육성과2.3.1 정원내�신입생�충원율2.3.2 정원내�재학생�충원율2.3.3 졸업생의�취업율2.3.4 교육수요자�만족도�관리

3. 학생�지원

3.1 교수ㆍ학습3.1.1 교수ㆍ학습�지원을�위한�조직�및� 예산3.1.2 교수ㆍ학습�지원�프로그램�구축ㆍ운용3.1.3 교수ㆍ학습�지원�프로그램�개선�실적

3.2 진로�및�심리상담3.2.1 진로�및�심리�상담지원을�위한�조직�및� 예산3.2.2 진로�및�심리�상담지원�프로그램�구축ㆍ운용3.2.3 진로�및�심리�상담지원�프로그램�개선�실적

3.3 취ㆍ창업3.3.1 취ㆍ창업�지원을�위한�조직�및�예산3.3.2 취ㆍ창업�지원�프로그램�구축ㆍ운용3.3.3 취ㆍ창업�지원�프로그램�개선�실적

Page 6: 자체평가기획위원회 - Hongiksejong.hongik.ac.kr/front/files/pdf/selfreport/hongik.pdf · 교육프로그램과교육여건의개선방안모색 2018년대학기본역량진단과2019년2주기대학기관평가인증등에대비

2017 자체평가보고서� 3

평가영역 평가부문 평가항목

4. 교육�여건

4.1 교수

4.1.1 전임교원�확보율4.1.2 전임교원�강의담당�비율4.1.3 시간강사의�처우�및�복지4.1.4 교수의�연구실적�및�연구비4.1.5 지식�및�기술의�사회와�산업에�대한�기여도

4.2 직원 4.2.1 직원�규모

4.3 교육기본시설4.3.1 교사�확보율4.3.2 강의실�확보율4.3.3 실험ㆍ실습실�확보율4.3.4 실험ㆍ실습�기자재�구비�정도

4.4 교육지원시설 4.4.1 기숙사�확보�현황4.4.2 도서관�운영

4.5 재정4.5.1 세입�중�등록금�비율4.5.2 세입�중�법인전입금�비율4.5.3 교육비�환원율4.5.4 장학금�지급률

5. 대학원

5.1 대학원�발전계획5.1.1 대학원�교육목표5.1.2 대학원�발전계획�및�주요�성과5.1.3 대학원�특성화�계획�및� 주요�성과

5.2 대학원�교육5.2.1 대학원�교육과정5.2.2 대학원�학사관리5.2.3 대학원�학생의�논문지도�및�학위관리

5.3 대학원�학생선발 및�지원

5.3.1 대학원�학생�선발방법5.3.2 대학원�학생�장학금�지원

Page 7: 자체평가기획위원회 - Hongiksejong.hongik.ac.kr/front/files/pdf/selfreport/hongik.pdf · 교육프로그램과교육여건의개선방안모색 2018년대학기본역량진단과2019년2주기대학기관평가인증등에대비

2017 자체평가보고서� 4

구분 소속 직위 성명 담당�영역

위원장 법과대학 교수 음선필 총괄

부위원장 공과대학 교수 오이석 대학사명�및�발전계획(총괄)

위� � 원

법과대학 부교수 강준하대학사명�및�발전계획

과학기술대학 부교수 임찬숙

경영대학 교수 윤재원대학�재정

상경대학 교수 육윤복

사범대학 교수 이승복 교육(총괄)사범대학 부교수 김준년

교육사범대학 부교수 이남훈

과학기술대학 부교수 이승현

공과대학 교수 김유진 학생지원(총괄)건축대학 부교수 조� �한 학생지원

법과대학 교수 박현석 교수�직원(총괄)

3. 자체평가의�절차가. 자체평가를�위한�조직�및�운영체계❙우리� 대학교는� 자체평가를�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자체평가� 기획위원회, 자체평가� 평가위원회, 자체평가�실무위원회를�구성하였다.

❙자체평가� 기획위원회는� 자체평가를� 위한� 기본방향과� 전략을� 수립하고� 예산을� 확보하여� 자체평가가� 원만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또한, 대학의� 전체� 구성원들이� 자체평가의� 목적과� 그�절차를� 공유하도록� 지원하여�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자체평가� 결과에� 따라� 대학교육을�개선해�나갈�수�있도록�총장을�보좌한다.

구분 소속 직위 성명 보직

위원장 공과대학 교수 서종욱 학사�부총장

위� �원

경영대학 교수 이광철 대학원장

법과대학 교수 황병돈 기획처장

공과대학 교수 박상주 교무처장

미술대학 부교수 고경호 학생처장

상경대학 교수 김중인 기획관리처장

과학기술대학 교수 정교범 교학처장

공과대학 교수 황기연 산학협력단장

법인사무국 국장 최영화 사무국장

❙자체평가� 평가위원회는� 평가영역별로� 전문성을� 갖고� 있거나� 관련� 보직을� 역임한� 10인의� 교수로�구성하였다. 평가위원회는� 자체평가�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실무위원회에서� 제공한� 자료를� 검증� 및�평가하여�보고서를�작성하였으며, 현장평가�준비를�담당한다.

Page 8: 자체평가기획위원회 - Hongiksejong.hongik.ac.kr/front/files/pdf/selfreport/hongik.pdf · 교육프로그램과교육여건의개선방안모색 2018년대학기본역량진단과2019년2주기대학기관평가인증등에대비

2017 자체평가보고서� 5

법과대학 부교수 오병두교수�직원

과학기술대학 교수 안병구

미술대학 교수 이수홍 교육시설�및�재정(총괄)서울캠퍼스�교양 부교수 박종천

교육시설�및�재정조형대학 교수 김건동

공과대학 교수 원종인 대학원(총괄)공과대학 교수 허서원

대학원과학기술대학 부교수 김병서

❙자체평가� 평가위원회를� 지원하기� 위하여� 관련� 부서의� 팀장들로� 자체평가� 실무위원회를� 구성하였다. 실무위원들은�자체평가위원회와의�지속적인�회의를�통하여�자체평가의�목적�및�내용을�인지하였고, 필요한�자료들을�수집하고�정리하여�자체평가�평가위원회에�제공하였다.

구분 소속 직위 성명

서울캠퍼스�위원

기획처�기획팀 부참사 손창원

교무처�입학관리본부�입학관리팀 참사 이성태

교무처�입학관리본부�입학사정관실 부교수 김준엽

교무처�교무팀� 주사 이승훈

교무처�학사지원팀� 참사 최병윤

학생처�학생지원팀 부참사 이성희

학생처�장학팀� 부참사 김명환

사무처�총무팀� 참사 곽봉수

사무처�관재팀 참사 최형배

사무처�건설관리팀� 기술참사 박신석

사무처�구매팀 참사 김기섭

사무처�재무팀� 부주사 정종혁

대학원�교학팀 참사 한문희

중앙도서관�수서팀� � 사서참사 최병헌

중앙도서관�열람팀� 사서참사 이강석

취업진로지원센터�취업지원팀� 참사 단희선

산학협력단�산학협력팀� 참사 서인수

정보전산원�정보전산팀� 기술참사 김상희

세종캠퍼스�위원

기획관리처�총무관리팀 기술부참사 김영광

기획관리처�기획평가팀�부참사 양희준

교학처�교무입시팀�

교학처�학생복지팀 부참사 정종선

교수학습지원센터 참사 문승곤

문정도서관�사서팀 사서참사 유준호

산학협력단�산학협력팀� 참사 서인수

Page 9: 자체평가기획위원회 - Hongiksejong.hongik.ac.kr/front/files/pdf/selfreport/hongik.pdf · 교육프로그램과교육여건의개선방안모색 2018년대학기본역량진단과2019년2주기대학기관평가인증등에대비

2017 자체평가보고서� 6

❙자체평가를�위한�우리�대학교의�조직과�운영체계는�다음�그림과�같다.

나. 자체평가�일정❙우리�대학교의�자체평가�추진�일정�및�내용은�다음과�같다.

일�정 추진�내용

2017년� 8월 ▸기획처를�중심으로�자체평가�기본계획�수립�▸자체평가�기획/평가/실무위원회�구성

2017년� 9월▸자체평가�추진계획�총장�보고▸제1차�자체평가�기획/평가/실무위원회�연석회의▸기초자료�수집�및� 관련부서�협조�요청

2017년� 10월▸제2차�자체평가위원회�회의개최▸각�영역별�평가자료�수집�및�분석▸각�영역별�자체평가�보고서�초안�작성

2017년� 11월▸제3차�자체평가위원회�회의개최▸자체평가보고서�초안�총장�및�기획위원회에�보고▸자체평가보고서�수정ㆍ보완ㆍ편집

2017년� 12월▸자체평가보고서�확정▸자체평가보고서�총장, 이사장�보고▸자체평가보고서�대학교육협의회�제출�및� 홈페이지�공시

Page 10: 자체평가기획위원회 - Hongiksejong.hongik.ac.kr/front/files/pdf/selfreport/hongik.pdf · 교육프로그램과교육여건의개선방안모색 2018년대학기본역량진단과2019년2주기대학기관평가인증등에대비

2017 자체평가보고서� 7

다. 자체평가�결과의�보고❙자체평가�평가위원회는�교육부의�<2015년�대학구조개혁평가>와� 한국대학평가원의�<2013년� 대학기관평가인증>에서� 제시한� 평가기준을� 참조하여� 보고서를� 작성하였고, 총장� 및� 기획위원회에�보고하여�누락된�사항이나�오류�등을�수정ㆍ보완하였다.

❙완성된� 자체평가보고서� 요약본은� PDF 파일� 형태로� 공시하고, 원본은� 접근� 가능한� URL 링크로�공시(PDF와�URL 모두�공시) 홈페이지에�게재하였다.

라. 자체평가�결과의�활용❙자체평가의� 목적� 중� 하나는� 대학의� 발전계획과� 교육목표� 달성� 정도를� 스스로� 진단ㆍ규명하고� 그�해결�및�개선�방안을�모색하여�실천해�나감으로써�대학의�발전을�도모하도록�하는�것이다.

❙우리� 대학교는� 자체평가보고서와� 자체평가� 과정에서� 파악된� 우리� 대학교의� 강점과� 문제점을� 면밀히� 검토하여� 강점은�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문제점은� 적극적으로� 개선하는� 계획을� 수립하여� 성실

하게�실천하고자�한다.❙자체평가�결과의�구체적인�활용�방안은�다음과�같다.

▸‘제3주기�발전계획’ 추진전략에�대한�발전방향�모색과�발전전략�수립을�위한�기초자료▸선택과�집중에�따른�특성화ㆍ차별화�정책�수립을�위한�기초자료▸교육프로그램과�교육여건�개선을�위한�정책�수립에�활용▸학생, 교사, 학부모, 기업과�사회가�우리�대학교를�평가하는�데에�활용될�정보로�제공▸우리�대학교의�현황�파악을�통하여�대학발전에�대한�구성원들의�동기�부여

Page 11: 자체평가기획위원회 - Hongiksejong.hongik.ac.kr/front/files/pdf/selfreport/hongik.pdf · 교육프로그램과교육여건의개선방안모색 2018년대학기본역량진단과2019년2주기대학기관평가인증등에대비
Page 12: 자체평가기획위원회 - Hongiksejong.hongik.ac.kr/front/files/pdf/selfreport/hongik.pdf · 교육프로그램과교육여건의개선방안모색 2018년대학기본역량진단과2019년2주기대학기관평가인증등에대비

2017 자체평가보고서� 8

1. 대학의�설립목적�및�교육목표가. 교육이념(건학이념)❙우리�대학교의�건학이념은� ‘홍익인간’과� ‘산학일체’이다.❙홍익인간은� 인간가치로서의� 진선미를� 숭상하고� 사회가치로서의� 자유, 평등, 평화를� 표방한다. 더�구체적으로는�인본정신, 민주원리의�정신, 민족통합의�정신�등을�포함한다.

❙산학일체는� 교육응용의� 측면, 즉� 산업의� 교육성과� 교육의� 산업성이라는� 양� 측면에서� 교육의� 생산성을�높이려는�산업사회�지향의�원칙으로, 교육받은�인재들이�산업사회를�주도하고�능동적으로�기여하기�위한�지향점의�설정이다.

나. 교육목적❙우리� 대학교의� 교육목적은� ‘국가와� 인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자주적이고� 창조적이며� 협동적인�인재�양성’이다.

❙‘자주’란� 자기의�책임을� 다하는�윤리를� 전제로�하여�진정한� 민주주의를� 실현하는� 자세이고, ‘창조’는�민족문화를�수호하고� 학문과�예술의�능력을� 길러� 가치체계를� 건설하려는� 의욕적�자세이고, ‘협동’은�사회생활을�하는�가운데서�공동의�행복을�추구하고�나아가�미래의�번영을�찾는�자세이다.

다. 교육목표❙폭넓은�안목과�소통능력을�갖추어�민주시민으로서�자신의�책임을�다하는�자주적인�교양인�육성❙학문과�예술의�능력을�길러�민족문화를�수호하고�글로벌�시대의�변화를�주도하는�창조적인�전문인�육성❙공동의�행복을�추구하고�미래지향적인�자세로�사회발전에�공헌하는�협동적인�사회인�육성

2. 주요�연혁시�기 내� � 용

1946년 홍문대학관�설립

1947년 홍익대학�교명�변경

1949년 홍익대학�설립�인가

1955년 서울특별시�마포구�상수동으로�교사�이전

1958년 대학원�신설

1960년 강원도�원주시에�제2부(야간) 설치1961년 문교부�대학정비령에�의하여�미술학부� 4개과만�존치되고�기타�학과는�폐과

Page 13: 자체평가기획위원회 - Hongiksejong.hongik.ac.kr/front/files/pdf/selfreport/hongik.pdf · 교육프로그램과교육여건의개선방안모색 2018년대학기본역량진단과2019년2주기대학기관평가인증등에대비

2017 자체평가보고서� 9

시�기 내� � 용

1963년 대학부설�홍익공예고등전문학교�설립

1971년 수도공과대학�합병, 종합대학교�인가, 홍익대학교로�교명�변경1972년 계원학원�합병, 산업미술대학원(특수대학원) 신설1973년 대학원�박사과정�신설, 사범대학�신설1977년 사범대학� 부속학교로� 초‧중‧고등학교� 5개교(홍익국민학교, 홍익중‧고등학교, 홍익여

자중‧고등학교) 설치1978년 이공대학을�공과대학으로�개편

1980년 문과대학�신설, 환경대학원�신설1981년 교육대학원�신설

1986년 미술교육원�설치

1987년 국제경영대학원, 법경대학�신설, 조치원캠퍼스�공공시설�설치�입지�승인1988년 조치원캠퍼스에�산업대학�신설(문교부(1989.2.27.) ‘홍익대학교�일부�이전인가’)1991년 산업대학을�과학기술대학과�조형대학으로�개편, 산업정보대학원�신설1992년 조치원캠퍼스에�상경대학�신설

1993년 세무대학원�신설

1995년 조치원캠퍼스에�산업대학원�신설

1996년 광고홍보대학원, 교육경영관리대학원�신설, 환경대학원을�건축도시대학원으로�개칭1997년 미술대학원�신설, 외국어교육원�신설1999년 지식재산법무대학원�신설, 강남교육원�개원2002년 대학로캠퍼스�개원, 경성학원�합병2004년 영상대학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신설2005년 국제산학협력�프로그램� PACE와�산학협력�체계�구축2006년 건축대학�신설

2007년� 법경대학을�법과대학과�경제학부로�개편�

2008년 국제경영대학원을�경영대학원으로�개칭, 세무대학원과�통합2010년 대학원에�MIP(지식재산학�석사학위) 과정�신설2011년� 조치원캠퍼스를�세종캠퍼스로�명칭�변경

2012년

공연예술대학원�신설, 산업정보융합학부�신설�

대학로캠퍼스�준공, 대학로�아트센터(대공연장, 소공연장, 갤러리) 개관

부속학교� 3개교(초등학교, 여자�중‧고교) 성미산부지로�신축�이전

2013년 제2기숙사�착공

2014년 미술종합강의동�착공, 융합전공, 학생설계전공�신설

2016년 창업교육센터�설치, 제2기숙사�준공, 미술종합강의동�준공, 제3기숙사�착공

2017년 제3기숙사�준공, 세종캠퍼스�학군단�및�공동작업실�준공

Page 14: 자체평가기획위원회 - Hongiksejong.hongik.ac.kr/front/files/pdf/selfreport/hongik.pdf · 교육프로그램과교육여건의개선방안모색 2018년대학기본역량진단과2019년2주기대학기관평가인증등에대비

3. 행정조직�및�기구표

Page 15: 자체평가기획위원회 - Hongiksejong.hongik.ac.kr/front/files/pdf/selfreport/hongik.pdf · 교육프로그램과교육여건의개선방안모색 2018년대학기본역량진단과2019년2주기대학기관평가인증등에대비

2017 자체평가보고서� 11

4. 주요�보직자

보직명 성�명 소속(전공)총� 장 김영환 신소재공학전공

학사담당부총장 서종욱 전자전기공학부

관리담당부총장 김경호 경영학전공

세종캠퍼스� 부총장 김기수 재료공학부

대외협력� 부총장 양우석 전자전기공학과

대학원장 이광철 경영학전공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장 나� � 건 디자인경영전공

건축도시대학원장 공순구 건축설계전공

경영대학원장 이원흠 경영학전공

광고홍보대학원장 성열홍 뉴미디어콘텐츠전공

교육대학원장 김영화 교육학과

미술대학원장 이선우 동양화과

다지인콘텐츠대학원장 김주연 산업디자인전공

영상대학원장 김현석 시각디자인전공

공연예술대학원장 안호상 공연예술·뮤지컬전공문화정보정책대학원장

이정기 기계정보학과스마트도시� 과학경영대학원장

공과대학장 표창우 컴퓨터공학전공

건축대학장 민현준 건축학전공

경영대학장 정영기 경영학전공

문과대학장 김종규 국어국문학과

법과대학장 음선필 법학부

사범대학장 김영화 교육학과

미술대학장 이한순 예술학과

과학기술대학장 지인호 컴퓨터정보통신공학과

조형대학장 서동수 디지털미디어디자인전공

상경대학장 정래용 회계학전공

기획처장 황병돈 법학부

Page 16: 자체평가기획위원회 - Hongiksejong.hongik.ac.kr/front/files/pdf/selfreport/hongik.pdf · 교육프로그램과교육여건의개선방안모색 2018년대학기본역량진단과2019년2주기대학기관평가인증등에대비

2017 자체평가보고서� 12

보직명 성�명 소속(전공)교무처장 박상주 전자전기공학부

학생처장 고경호 조소과

기획관리처장 김중인 글로벌경영전공

교학처장 정교범 전자전기공학과

산학협력단장(서울) 황기연 도시공학전공

산학협력단장(세종) 강내철 회계학전공

중앙도서관장 김태식 역사교육과

문정도서관장 심수만 재료공학부

정보전산원장 박준철 컴퓨터공학전공

5. 교수ㆍ직원ㆍ학생�현황

가. 교수�현황� (2017년� 4월� 1일�기준)

구� �분 교� � 수 부교수 조교수 계(명)학� � 부 287 105 273 665

대학원 6 46 30 82

계 293 151 303 747

나. 직원�현황� (2017년� 4월� 1일�기준)

일반직 기술직 기능직 고용직 계약직 계(명)94 50 25 0 302 471

다. 학생�현황� (2017년� 4월� 1일�기준)

학부생대학원생 계(명)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5학년 계

4,369 4,337 4,141 5,115 138 18,100 3,498 21,598

Page 17: 자체평가기획위원회 - Hongiksejong.hongik.ac.kr/front/files/pdf/selfreport/hongik.pdf · 교육프로그램과교육여건의개선방안모색 2018년대학기본역량진단과2019년2주기대학기관평가인증등에대비

2017 자체평가보고서� 13

6. 교육과정�편성�및�특색❙우리� 대학교의� 교양교육과정과� 전공교육과정은� 교육목적인� ‘국가와� 인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자주적이고�창조적이며�협동적인�인재�양성’을�실현하기�위하여�체계적으로�편성되어�있다.

❙교양교육과정은� 대학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자질� 및� 인성� 함양과� 전공기초소양� 함양을� 위한� 교과목들로� 구성되어� 있다. 교양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연구들(2003년, 2012년, 2015년)의� 결과에�기반하여� ‘공통� 교양선택’ 7개� 영역을� 설계하였다. 그� 중� ‘예술과� 디자인’, ‘제� 2외국어와� 한문’을�포함한� 6개� 영역에서� 1과목� 이상을� 반드시� 이수하게� 하고, 일반� 교양선택으로� 다양한� 계열의� 교과목들을� 제공함으로써� 학문적� 편식을� 줄이는� 동시에� 학제� 간� 융합지식을� 폭넓게� 습득하도록� 하

고�있다.

공통�교양선택�영역 일반�교양선택�계열

예술과�디자인 인문계열제� 2외국어와�한문 사회계열과학과�컴퓨터 자연계열언어와�철학 예체능계열법과�생활 영어계열사회와�경제 제2외국어계열역사와�문화

❙전공교육과정은� 학생들이� 다양한� 학문을� 접하여� 학제� 간� 융합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편성되어�있다. 학부(과)별� 전공필수� 과목은� 15학점� 정도로� 제한하여� 학생들의� 선택의� 폭을� 넓혔고, 공과대학과� 미술대학은� ‘단과대학� 공통� 전공선택� 교과목’들을� 개설하여� 인접한� 학문을� 접할� 수� 있는�기회를� 높이고� 있다. 또한, 이수학점� 요건� 완화를� 통해� 복수전공과� 부전공을� 활성하고� 있으며, 더불어� 문화예술경영, 건축공간예술, 지능로봇공학, 사물인터넷� 공학� 등� 9개의� 융합전공을� 개설하여�다양한�전공선택권을�제공하고�있다.

❙공과대학, 과학기술대학, 건축대학, 경영대학에서는� 공학교육인증제, 건축학교육인증제, 경영학교육인증제를� 시행하며� 사회와� 산업계의� 요구와� 세계적� 기준에� 부합하는�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실무역량강화와�취업지원에�중점을�둔�일학습병행제(IPP)도�운영하고�있다.

❙삼성전자(주)와� 협약을� 체결한� SCSC 프로그램과� 미국� GM의� 지원을� 받는� PACE Program 등을�통하여�기업의�요구를�반영하는�현장중심형�교육을�실시하고�있다.

Page 18: 자체평가기획위원회 - Hongiksejong.hongik.ac.kr/front/files/pdf/selfreport/hongik.pdf · 교육프로그램과교육여건의개선방안모색 2018년대학기본역량진단과2019년2주기대학기관평가인증등에대비

2017 자체평가보고서� 14

7. 주요�시설ㆍ설비�현황� (2017년� 4월� 1일�기준) 구� �분 보유(㎡)

토지

교지 108,054부속토지 415,042미사용토지 4,966지적시설� 합계 528,062

건물

교사기준시설

교육기본시설 236,406지원시설 55,817연구시설 1,441계 293,664

부속시설

특수시설 4,591기숙시설 977

계열별� 부속시설 96,468계 102,036

기타� 시설 6,453합� 계 402,153

8. 예산ㆍ결산�개황가. 예산�현황� (2017. 3. 1~2018. 2. 28)

계정과목금액

(천원)비율(%) 계정과목

금액(천원)

비율(%)

운영

수입

등록금수입 194,662,155 73.5

운영

지출

보수 95,644,358 36.1전입금 900,000 0.3 관리운영비 36,500,324 13.8기부금 2,429,169 0.9 연구학생경비 95,258,932 35.9

국고보조금 27,621,766 10.4 교육외비용 170,000 0.1산학협력단�및

학교기업전입금전출금

교육부대수입 18,778,245 7.1 (예비비)교육외수입 8,402,127 3.2합계 252,793,462 95.4 합계 227,573,614 85.9

자산�및�부채�수입 9,870,986 3.7 자산�및�부채�지출 36,222,973 13.7미사용�전기이월금 2,374,288 0.9 미사용�차기이월자금 1,242,149 0.4자금수입�합계 265,038,736 100.0 자금지출�합계 265,038,736 100.0

※ 홍익대학교�전체(서울�및�세종캠퍼스) 기준임

Page 19: 자체평가기획위원회 - Hongiksejong.hongik.ac.kr/front/files/pdf/selfreport/hongik.pdf · 교육프로그램과교육여건의개선방안모색 2018년대학기본역량진단과2019년2주기대학기관평가인증등에대비

2017 자체평가보고서� 15

나. 결산�현황� (2016. 3. 1~2017. 2. 28) 계정과목

금액(천원)

비율(%) 계정과목

금액(천원)

비율(%)

운영

수입

등록금수입 195,201,399 71.9

운영

지출

보수 93,946,216 34.6전입금 900,000 0.3 관리운영비 35,386,258 13.0기부금 3,120,468 1.2 연구학생경비 96,140,024 35.5

국고보조금 27,966,666 10.3 교육외비용 200,325 0.1산학협력단�및

학교기업전입금4,500,000 1.7 전출금

교육부대수입 18,959,856 7.0교육외수입 16,054,105 5.9합계 266,702,494 98.3 합계 225,672,823 83.2

자산�및�부채�수입 1,615,197 0.6 자산�및�부채�지출 43,161,075 15.9미사용�전기이월금 2,979,440 1.1 미사용�차기이월자금 2,463,233 0.9자금수입�합계 271,297,131 100.0 자금지출�합계 271,297,131 100.0

※ 홍익대학교�전체(서울�및�세종캠퍼스) 기준임

9. 대학이�지향하는�대학�사명❙홍익대학교�대학�사명은�교육과�연구를�동시에�추구하는�것이다. ❙우리�대학교�건학이념인� ‘홍익인간’과� ‘산학일체’를�실현하기�위해서�교육을�통하여�사회에�능동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것뿐만� 아니라� 연구를� 통하여� 고급인력을� 양성하고� 또한�

연구에서�얻은�실용적인�지식과�기술의�산업계�이전을�통하여�사회에�기여하고자�노력하고�있다. ❙우리� 대학� 교수들은� 10개� 단과대학<12개� 학부(22개� 전공), 24개� 학과>, 4개� 독립학부� 및� 1개학과의�학부생들과�그리고�대학원, 1개�전문대학원�및� 11개�특수대학원의�대학원생들을�대상으로�충실한�교육과�실용적인�연구를�수행하고�있다.

❙‘학습자� 중심교육� 실현’, ‘선도적� 연구기반� 구축’, ‘글로벌� 교육ㆍ연구� 네트워크� 강화’의� 3개� 과제를� 2006년부터�시작된�제2주기�발전계획의� 7대�분야�추진과제에�포함하여�교육과�연구의�수월성�확보를� 위한�노력을� 지속적으로� 하였으며, 이어서�제3주기�발전계획은� 8대� 분야� 추진전략으로�내실화(전공ㆍ교양� 교육역량� 강화, 비교과� 지원� 역량� 강화, 연구ㆍ산학협력� 역량� 강화, 지원인프라ㆍ대학행정개선), 국제화, 특성화, 종합대학으로서�학문간�균형발전, 지역협력�등을�수립하여�수행하고�있다.

❙세종캠퍼스는� 그� 동안� 캠퍼스가� 아닌� 분교로� 잘못� 인식·평가되어� 외부평가를� 대비해� 두� 개의� 캠퍼스로� 분리되어� 있던� ‘홍익대학교� 2주기� 발전계획� 후반부� 세부� 추진계획’(2013.6) 및� ‘서울·세종� 캠퍼스별� 3주기� 발전계획’(2015.12)을� ‘서울·세종� 캠퍼스� 통합� 3주기� 발전계획’으로� 재수립(2016.9) 하였고, 통합된� 발전계획에서는� 각� 캠퍼스의� 대내외� 여건� 및� 학생수준의� 차이를� 반영하여�캠퍼스�간�공통�전략과�차별화�전략으로�구분하여�수행하고�있다

Page 20: 자체평가기획위원회 - Hongiksejong.hongik.ac.kr/front/files/pdf/selfreport/hongik.pdf · 교육프로그램과교육여건의개선방안모색 2018년대학기본역량진단과2019년2주기대학기관평가인증등에대비
Page 21: 자체평가기획위원회 - Hongiksejong.hongik.ac.kr/front/files/pdf/selfreport/hongik.pdf · 교육프로그램과교육여건의개선방안모색 2018년대학기본역량진단과2019년2주기대학기관평가인증등에대비

2017 자체평가보고서� 16

1. 대학사명�및�발전계획가. 평가결과의�요약

❙우리� 대학교는� 건학이념인� ‘홍익인간ㆍ산학일체’와� 교육목적인� ‘국가와� 인류� 발전에� 이바지할� 수�있는� 자주적이고� 창조적이며� 협동적인� 인재� 양성’을� 실현하기� 위하여� ‘자주적인� 교양인, 창조적인�전문인, 협동적인�사회인의�육성’을�교육목표로�설정하고�있다.

❙우리� 대학교는� ‘제1주기� 장ㆍ단기� 발전계획(1994년~2005년)’에� 이어서� 2005년에� ‘제2주기� 장ㆍ단기� 발전계획(2006년~2015년)’을� 수립하여� 추진하였으며, 2015년에� ‘제3주기� 장ㆍ단기� 발전계획(2016년~2025년)’을� 수립하였다. 제3주기�장ㆍ단기�발전계획은�학령인구�감소, 4차�산업혁명과� 감성사회� 도래� 등� 대내외� 교육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창의적� 융합인재� 양성에�중점을�두었다.

❙‘특성화를� 통한� 홍익브랜드� 구축’을� 제3주기� 발전계획의� 8대� 과제의� 하나로� 설정하고� 그동안� 추진되어� 온� 특성화� 사업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신규� 과제의� 발굴� 및� 활성화� 방안을� 마련

하여�시행하고�있다.❙2009년부터� 2년에� 1회씩� 자체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홈페이지에� 공시하고� 있으며, 평가� 결과를�교육�및�대학�운영에�반영하고�있다.

나. 강점�및�약점

❙건학이념, 교육목적, 교육목표가�체계적으로�연계되어�있다.❙3주기�장ㆍ단기�발전계획에서는� 8대�추진전략으로서�서울캠퍼스와�세종캠퍼스의�공통�주요추진전략으로� 내실화(‘전공․교양� 교육역량� 강화’, ‘비교과� 지원역량� 강화’, ‘연구· 산학협력역량� 강화’, ‘지원인프라· 대학행정개선’)와� 국제화(‘글로벌� 역량� 강화’)의� 5대� 추진전략과� 캠퍼스� 간� 차별화된�추진전략으로� ‘특성화를� 통한� 홍익� 브랜드� 구축’, ‘종합대학으로서� 학문간� 균형발전’, ‘지역사회발전기여’와� 같이� 3대� 추진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 우리� 대학교의� 발전전략이� 지닌� 특징으로는� 주요� 목표를� 중단� 없이� 실천하되, 급변하는� 외부적� 요소를� 감안하여� 세부� 실행전략에서는�실현�가능성에�중점을�두고�탄력적으로�대응하는�점이�강점이다.

❙특성화� 추진목표� 및� 전략으로� ‘산업과� 예술의� 만남’을� 실천하는� 창의적� 융합인재양성이라는� 비전을� 실현하기� 위한� 특성화� 추진전략을� 세우고, 이를� 실천하기� 위하여� 교육, 연구, 산학, 시설� 부문에서� 특성화� 사업을� 집중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창의적� 융합인재양성�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4대�세부�추진전략과� 10대�전략과제를�설정하여�추진하고�있다.

❙상당� 기간에� 걸쳐� 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적립금을� 확보하여�왔으며, 현재�단기� 및� 중장기� 발전계획과�특성화계획을�실현하기�위한�재원을�확보하고�있다.

Page 22: 자체평가기획위원회 - Hongiksejong.hongik.ac.kr/front/files/pdf/selfreport/hongik.pdf · 교육프로그램과교육여건의개선방안모색 2018년대학기본역량진단과2019년2주기대학기관평가인증등에대비

2017 자체평가보고서� 17

다. 개선�방향

❙학문과�사회의�변화가�매우�빠르므로� 10개년�계획인�장기발전계획에�부합하는�세밀한�단기발전계획의�수립도�요망된다.

❙구성원들의� 관심도를� 높이고� 환경변화에� 빠르게� 대응하기� 위하여, 발전계획과� 특성화계획의� 지표와� 달성도를� 주기적으로� 구성원들에게� 알리고� 의견을� 수렴하여� 목표를� 재설정하는� 선순환� 구조의�

정착이�요망된다.❙세종캠퍼스는� 그� 동안� 캠퍼스가� 아닌� 분교로� 잘못� 인식·평가되어� 왔기에� 두� 개의� 캠퍼스로� 분리되어� 있던� ‘홍익대학교� 2주기� 발전계획� 후반부� 세부� 추진계획’(2013.6) 및� ‘서울·세종� 캠퍼스별�3주기� 발전계획’(2015.12)을� ‘서울·세종� 캠퍼스�통합� 3주기� 발전계획’으로�재수립(2016.9) 하였으므로�각�캠퍼스별�차이를�극복할�수�있도록�지속적으로�수정보완�노력이�필요하다.

2. 교육가. 평가결과의�요약

❙우리� 대학교는� 학생들이� 졸업할� 때까지� 교육목표� 달성에� 필요한� 핵심역량을� 갖추도록� 하기� 위한�교양�및�전공�교육과정을�적절하게�편성하여�운영하고�있다.

❙졸업을� 위하여� 반드시� 이수해야� 하는� 교양교과목을� 20학점(교양필수� 6학점, 공통교양� 14학점)으로�제한하여�교양교과목에�대한�학생들의�선택권을�폭넓게�보장하고�있다.

❙실험ㆍ실습ㆍ실기가� 중요한� 공과대학, 건축대학, 미술대학의� 경우, 전공교육과정에� 실험ㆍ실습ㆍ실기�교육을�적절한�비율로�실시하여�교육�효과와�현장�적응력을�높이고�있다.

❙산업체와�사회가� 요구하는�현장중심형�인재를� 양성하기�위하여� 공과대학, 건축대학, 경영대학에서는� 인증제를� 시행하고� 있고, STP(Samsung Talent Program)와� PACE 프로그램� 등� 산업체� 요구에�부응하는�교육과정을�운영하고�있다.

❙학생들이� 다양한� 학풍을� 접함으로써� 사고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국내� 25개� 대학� 및� 해외� 44개�대학과�학점교류를�실시하고�있다.

❙교과과정의�개발ㆍ개정ㆍ보완ㆍ운영에�관한�사항을�심의하기�위하여�교과과정�심의위원회를�운영하고�있으며, 매년�학생들의�요구와�사회적�요구에�부응하도록�교과과정을�개선하고�있다.

❙2015년� 현재� 상대평가기준에� 따라� 엄격하게� 성적관리를� 하고� 있으며, 모든� 교과목에� 대하여� 수업평가를�시행하고�있다.

❙교육수요자인�학생, 학부모, 산업체�관계자들을�대상으로�매년�만족도�조사를�시행하고�있다.

Page 23: 자체평가기획위원회 - Hongiksejong.hongik.ac.kr/front/files/pdf/selfreport/hongik.pdf · 교육프로그램과교육여건의개선방안모색 2018년대학기본역량진단과2019년2주기대학기관평가인증등에대비

2017 자체평가보고서� 18

나. 강점�및�약점

❙학생들의� 학문적� 편식을� 방지하고� 학제� 간� 융합역량을� 키우기� 위하여� 교양� 7개� 공통영역을� 지정하고� � 이중� ‘예술과� 디자인’, ‘제2외국어와� 한문’을� 포함하는� 6개� 영역에서� 최소한� 1 강좌를� 이수하도록�하고�있다.

❙외국어� 강좌는� 100% 원어민� 전임교수들이� 담당하고� 있고� 강좌별� 수강인원을� 8~12명으로� 유지하여�실질적인�회화�연습이�가능하도록�하고�있다.

❙수강생�수� 20명�이하�강좌의�비율은�서울� 43.7% 세종� 43.4%로, 100명�이상�강좌의�비율은�서울� 0.7%, 세종� 0.1%로�최소�기준값을�모두�충족하여�수업의�효율성을�높이고�있다.

❙수업유형에� 따라� 수업평가의� 문항을� 달리하고� 있으며, 학생들이� 수강신청을� 할� 때� 수업평가를� 참고할�수�있도록�공개하고�있다.

❙교양교과목의� 전임교원� 강의담당비율이�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서울은� 2015년� 2학기부터�2017년� 2학기까지� 각각� 64.9%, 68.6%, 69.6%, 세종은� 57.7%, 63.3%, 74.1%로� 신장세를�보이고�있다.

❙인증제를� 시행하고� 있는� 공과대학, 건축대학, 경영대학의� 경우� 학생들의� 전공교과목에� 대한� 선택권이�작고, 복수전공ㆍ부전공�참여비율이�낮다.

❙외국� 대학으로� 공부를� 하러가는� outbound 학생의� 수와� 외국에서� 우리� 대학교로� 오는� inbound 학생들의�수가�모두�신장하고�있는�만큼�이에�따른�요구의�분석과�대비가�필요하다.

다. 발전�방향❙외국어� 강좌를� 제외한� 교양교과목의� 전임교원� 강의담당비율을� 높이기� 위해� 지속적인� 신임교원� 확보가�필요하다.

❙학생들이�산업체�요구에�부응하는�교육과정에�참여할�수� 있도록�더� 많은�기업들과�산업체연계�교육과정�협약을�맺는�노력을�해야�한다.

❙우리� 대학교의� 특성화� 지표인� ‘산업과� 예술의� 만남’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고, 교양교육의� 질을� 제고하기� 위해� 교양교육과정을� 개선하고�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며, 졸업� 요건의� 완화를� 통해� 학생들의�수업�부담을�줄일�필요가�있다.

❙복수·부전공의� 활성화를� 위해� 일부� 전공의� 과도한� 복수전공� 이수요건에� 대한� 완화조치가� 필요하며, 융합전공을�활성화하여�학제�간�학습의�기회를�넓힐�필요가�있다.

❙본교�학생들이�외국�대학에서�공부할�수�있는�기회를�더�많이�제공하기�위하여�외국�대학과 학점교류�협약�체결을�적극적으로�추진하는�것이�필요하다.

❙교육수요자�만족도�조사를�시행하고�환류하는�체계를�강화할�필요가�있다.

Page 24: 자체평가기획위원회 - Hongiksejong.hongik.ac.kr/front/files/pdf/selfreport/hongik.pdf · 교육프로그램과교육여건의개선방안모색 2018년대학기본역량진단과2019년2주기대학기관평가인증등에대비

2017 자체평가보고서� 19

3. 학생�지원�

가. 평가결과의�요약

❙2013년� 4월에� 교수학습지원센터를� 설치하여, 종전� 교무처� 등에서� 시행하던� 교수ㆍ학습� 지원프로그램을�교수학습지원센터를�통해�체계적으로�실시하고�있다.

❙교수학습지원센터� 교수지원부에서는� 수업의� 질적� 향상을� 위해� 교수법� 관련� 워크숍� 및� 특강� 개최, 개별�강의컨설팅�시행, 영어�강의�지원�프로그램�운영, 교수법�관련�자료�발간·배포�등� 다양한�노력을�하고�있다.

❙교수학습지원센터� 학습지원부에서는� 학습상담, 학습� 관련� 특강, 독서� 및� 글쓰기� 경진대회� 개최, 멘토링� 프로그램� 및� 국문·영문� 글쓰기� 클리닉� 운영, 학습법� 관련� 책자� 발간� 및� 배포� 등� 다양한�학습지원�프로그램을�운영하고�있다.

❙학생들의� 심리적� 건강, 진로� 탐색� 및� 설계, 학업능력� 증진을� 위하여� 학생상담센터를� 중심으로� 취업진로지원센터, 교수학습지원센터, 성폭력상담소, 국제교류센터, 장애학생지원센터가� 진로, 심리, 학업에� 관한� 통합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모든� 학생들에게� 지도교수를� 지정하여� 학업에� 관한�지도�및�상담이�이루어지도록�지원하고�있다.

❙취업지원을� 위한� 사전�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학년별, 계열별� 및� 지원프로그램� 유형별로� 맞춤형� 취업지원�프로그램을�구축하여�운영하고�있다.

나. 강점�및�약점

❙교수학습지원센터와� 학생상담센터, 취업진로센터� 등의� 학생� 지원� 부서에� 전문인력을� 보강하여� 교수�및�학습�지원에�대한�다양하고�효과적인�프로그램을�시행하고�있다.

❙전문상담인력을� 보강하여� 학생들의� 심리·정서적�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학생의� 정서적� 안정에�효과적으로�기여하고�있다.

❙1, 2급의�전문상담자격을�갖춘�상담조교의�활동으로�자살충동�및�폭력, 약물관련의�위기상담을�체

계적으로�담당하며, 병원�및�정신보건센터�등과�연계하여�관리하고�있다.

❙상담� 및� 심리검사를� 비롯한� 모든� 프로그램의� 비용을� 학교에서� 전액� 지원함으로써� 도움이� 필요한�학생�전원에게�부담�없이�프로그램에�참여할�수�있는�고른�기회를�제공하고�있다.

❙상담� 공간� 및� 시설을� 확충하여� 상담� 대기시간을� 줄이고, 밝고� 안정된� 상담환경을� 조성하여� 내방

하는�학생들의�정서적�안정을�도모하였다.

❙교수∙학습, 진로�및�심리�상담, 취업을�위한�조직이�갖추어져�있고�기본적인�프로그램들을�제공하고�있음에도�참여�학생의�수가�적다.

❙학생들의�창업을�장려하는�프로그램이�다양하지�않고�참여�학생의�수가�적다.

Page 25: 자체평가기획위원회 - Hongiksejong.hongik.ac.kr/front/files/pdf/selfreport/hongik.pdf · 교육프로그램과교육여건의개선방안모색 2018년대학기본역량진단과2019년2주기대학기관평가인증등에대비

2017 자체평가보고서� 20

다. 발전방향

❙수업평가가�낮은�교원들이�교수방법을�개선할�수� 있도록�수업평가�점수가�일정�수준�이하인�경우�교수학습지원센터의�컨설팅을�받게�하고�있으나. 이를�의무적으로�받도록�제도화하는�것이�요구된다.

❙교수학습지원센터의�활동역량�강화를�위해�전문�인력의�확충�및�다양한�프로그램�개발이�요구된다.❙전문상담인력을� 충원하여� 보다� 많은�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과� 심리적� 안정에� 도움을� 주는� 것이�필요하다.

❙재학생들에게� 효과적인� 진로� 탐색� 및� 설계에� 대한� 도움을� 줄� 수� 있는� 추적상담� 시스템을� 도입하는�것이�필요하다.

❙집단적�상담�프로그램과�병행하여�학생�개개인의�특징에�맞춘�개인별�맞춤형�상담�서비스�프로그램을�개발하여�실시하는�것이�필요하다.

❙재학생들의� 창업을� 위한� 제도적� 지원을� 확충하고, 졸업생들과� 재학생간의� 네트워킹� 시스템� (또는�멘토링�시스템)이�필요하다.

❙우리� 대학교의� 주변� 환경이나� 전공� 특성상� 창업� 여건이� 상대적으로� 우수하므로, 이를� 살려� 재학생들이�창업할�수�있는�방안을�모색하는�것이�필요하다.

❙교수∙학습, 진로� 및� 심리� 상담, 취∙창업에� 관하여� 학생들의� 요구를� 체계적으로� 조사하여� 다양한�프로그램을�구성하고�개발하기�위한�지속적인�노력과�재정적�지원이�필요하다.

4. 교육�여건

가. 평가결과의�요약

❙전임교원� 확보율은� 학생정원� 기준� 73.96%(2015년� 대비� 10.01% 증가), 재학생� 기준�69.04%(2015년� 대비� 3.04% 증가)로� 최소� 기준값인� 61.0% 이상을� 모두� 충족하고� 있다. 전임교원�강의담당�비율은� 71.1%(2015년�대비� 1.2% 감소)로�최소�기준인� 50.0% 이상을� 충족하고�있다.

❙시간강사에게는� 한국대학평가원에서� 제시한� 최소� 기준값� 이상의� 강의료를� 지급하고� 있고, 시간강사�대기실과�도서관�이용�등의�편의를�제공하고�있다.

❙교수의�연구실적�및�연구비�관련�항목들은�전임교원� 1인당�저역서�실적을�제외한�나머지�모든�항목에서� 최소� 기준값을� 충족하고� 있고, 지식� 및� 기술의� 사회와� 산업에� 대한� 기여도� 항목에서는� 국외 특허�출원과�국외�특허�등록�건수를�제외한�나머지�모든�항목에서�최소�기준을�충족하고�있다.

❙직원� 1인당�학생수는� 48.7명으로�최소�기준값� 70명을�충족하고�있다.❙2016년도의� 장학금� 비율� 27.3%는� 최소� 기준값� 10%의� 2.7배에� 달해� 사립대학� 중� 최상위� 수준의�장학금�지급률을�보이고�있다.

Page 26: 자체평가기획위원회 - Hongiksejong.hongik.ac.kr/front/files/pdf/selfreport/hongik.pdf · 교육프로그램과교육여건의개선방안모색 2018년대학기본역량진단과2019년2주기대학기관평가인증등에대비

2017 자체평가보고서� 21

나. 강점�및�약점

❙수업평가가� 우수한� 강사들에게� 매학기� ‘우수강사� 포상’을� 하고� 이를� 경력증명서에� 기재하여� 강의를�열심히�한�시간강사들에�대한�보상을�하고�있다.

❙전임교원� 1인당� 저역서� 실적이� 최소� 기준값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고, 국외� 특허� 출원과� 국외� 특허 등록�건수가�최소�기준을�미충족하고�있다.

❙이상의� 항목을� 제외한� 나머지� 교수의� 연구실적� 및� 연구비� 관련� 항목들과� 지식� 및� 기술의� 사회와�산업에� 대한� 기여도� 항목은� 최소� 기준을� 충족하고� 있으나, 그� 수준이� 타� 대학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낮은�편이다.

다. 발전�방향

❙교수들의� 연구� 활동, 특히� 저·역서실적을� 제고하고� 기술이전� 및� 국내ㆍ외� 특허� 출원을� 장려하기�위하여�다양한�지원책을�마련할�필요가�있다.

5. 대학원가. 평가결과의�요약

❙대학원은� 교육목적� 달성을� 위한� 명료한�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있으며, 교육이념-교육목적-교육목

표를�체계적으로�제시하고, 이를�실현하기�위한�인재상을�명확히�정립하고�있다.

❙대학원의� 장단기� 발전계획은� 대학원� 구성원의� 요구분석� 등에� 근거하여� 수립되어� 있고� 발전계획에�따른�성과를�이루고�있다.

❙대학원의� 장단기� 특성화계획은� 대학원� 구성원의� 요구분석� 등에� 근거하여� 수립되어� 있으며� 산업과�예술의�만남이라는�특성화지표에�따른�교육�및�연구가�충실히�이루어지고�있다.

❙대학원은� 적절한� 교육이념·교육목적·교육목표를� 체계적이고� 명료하게� 설정하고� 있고, 이에� 따

른�교육을�위해�노력하고�있다.

❙대학원은� 교육목표의� 실현을� 위하여� 교육과정을� 적절하게� 편성하고� 충실하게� 운영하며� 주기적으로�개편하여�발전하는�사회적�수요와�학계의�성과를�반영하고�있다.

❙대학원은� 체계적인� 수업계획서에� 의해� 수업을� 충실하게� 운영하고� 있으며, 엄정하고� 타당한� 학사

관리를�행하고�있다.

❙대학원�학생에�대한�논문지도�및�학위수여는�학칙과�학사내규에�따라�엄정하게�관리되고�있다.

❙대학원은�학생들을� 합리적이고�공정하게�선발하고�있으며, 선발�관련�제도의�개선을�위하여�노력

하고�있다.

❙대학원은�공정하고�합리적인�절차에�따라�학생들에게�적절한�포상과�장학금을�지급하고�있다.

Page 27: 자체평가기획위원회 - Hongiksejong.hongik.ac.kr/front/files/pdf/selfreport/hongik.pdf · 교육프로그램과교육여건의개선방안모색 2018년대학기본역량진단과2019년2주기대학기관평가인증등에대비

2017 자체평가보고서� 22

나. 강점�및�약점

❙‘홍익인간ㆍ산학일체’의� 교육이념에� 의거� 국내� 최상위권� 연구중심대학원� 진입을� 목표로� 특성

화, 내실화, 국제화를�위한�체계적이고�구체적인�발전전략을�수립하고�있다.

❙산업과�예술의�만남이라는�특성화지표에�따른�교육�및�연구가�행해지고�있다.

▸심도있는�이론�교육과�함께�실무경험이�풍부한�대학원�전임교원에�의한�교육�및�취업지도 ▸수업과정에서의� 실험, 실습, 실기의� 적절한� 활용: 교육효과� 증진과� 전문가로서의� 현장� 적응� 능

력�배양

❙미술·디자인�계열�교육�및�연구에�있어�높은�대외적�지명도를�가지고�있다.

▸미술·디자인�계열에�대한�높은�사회적�명성

▸다수의�미술·디자인�계열�석·박사학위자�배출

▸미술·디자인�중심의�특성화�및�융합�교육이�가능한�관련�분야�우수�교원�확보

❙미술·디자인계열�학생들의� 지원이�몰리면서�미술계열�전공�교원의�과중한�논문지도�부담과�미술

계열�일부�전공에서의�실기실�부족�현상이�나타나고�있다.

❙학문적�수요와�사회적�필요에�맞는�학과�및�전공�과정이�개설되어�있다.

▸공학·디자인·경영·법학의�융합적�지식과�실무능력을�갖춘�국제적�지식재산전문가�양성

▸스마트도시� 건축설계, 환경디자인, 정보시스템� 등� 전문지식을� 현장에서� 적용, 활동할� 수� 있는�

과학비즈니스�융합전문가(PSM: Professional Science Master) 양성

▸공연예술�분야에서의�교육·연구와�공연예술�현장�활동을�연계하는�교육과정�운영�

❙심도�있는�학문연구와�높은�수준의�학위논문�작성을�위한�여건을�확보하고�있다.

▸다수의�우수한�교수진�확보 ▸학문�발전의�추세에�따른�교과목의�탄력적�신설�및�운용�체제 ▸논문지도교수�선정부터�학위�취득�시까지의�전�과정을�학칙에�따라�체계적이며�합리적으로�진행 ▸강좌�당�적정�학생�수의�유지 ▸국내·외�타�대학원과의�학점교류를�통한�폭넓은�수업선택권�제공: 국내� 8개, 국외� 70여�개교

▸특수대학원에서의�졸업논문�이외의�다양한�학위취득�방법�인정❙일부�이공계열�및�인문계열에서�대학원생�지원이�감소하고�있다.

▸적은�학생�수로�말미암아�다양하며�효율적인�강좌�개설의�곤란� ▸교수와의�원활한�연구�저해 ▸역량을�갖춘�강의조교�및�연구조교�선발�곤란❙우수학생�선발을�위한�객관적이고�합리적인�입시체계가�확립되어�있다.

▸대학원�학칙�및�학사내규를�기초로�적절한�절차에�따른�공정한�학생�선발 ▸계열별, 학과별�특성을�반영한�합리적인�학생선발�방법과�기준�마련

▸미술·디자인계열에서의� 엄격� 심사: 채점위원� 풀(pool)제도, 시험� 직전� 채점위원선정� 및� 통보,

가번호-진번호�제도, 최고점수�및�최저점수를�제외한�점수산출�방식�등�

▸입시요강�및�대학원�홈페이지�등을�통한�전형방법의�상세한�공고

Page 28: 자체평가기획위원회 - Hongiksejong.hongik.ac.kr/front/files/pdf/selfreport/hongik.pdf · 교육프로그램과교육여건의개선방안모색 2018년대학기본역량진단과2019년2주기대학기관평가인증등에대비

2017 자체평가보고서� 23

❙대학원생�연구�장려를�위한�장학제도를�갖추고�있다.

▸이공계우수장학금 ▸연구(R/A)장학금

▸강의(T/A)장학금

▸연구보조(R/AS)장학금

▸글로벌�스칼라쉽�장학금 ▸기타�교내·외�다수�연구지원�장학금�

❙특수대학원의�장학금�지급률이�높지�않다.

▸특수대학원의�경우�타교�특수대학원에�비해�적은�장학금�지원� ▸우수�학생�및�외국인�유학생�유치에�부정적�요인❙국제화�정도가�높지�않다.

▸외국�대학, 연구�기관과의�실질적�교류�미약

▸경쟁대학에�대비하여�적은�외국인�대학원생�수 ▸미술·디자인계열에�비해�적은�이공계열�및�인문계열의�외국인�대학원생�수

다. 발전�방향

❙학문과� 사회의� 변화에� 맞추어� 주기적으로� 미래지향적인� 분석� 작업을� 행하고� 학과별� 교육목표를�수정·보완해야�한다.

❙대학원의�교육목표에�대한�대학�구성원의�이해를�높이기�위한�대내적�홍보�및�정보제공이�필요하다.

❙교수, 대학원생�등�학내�구성원의�대학원�발전에�대한�지속적이고�충분한�의견을�수렴한다.

❙발전계획에�따른�교육·연구�환경을�지속적으로�개선한다.

❙최적의�교과과정�운용을�위하여�노력한다.

▸대학원�강좌에�대한�지속적인�개선을�유도하고�강좌�간�경쟁을�도모 ▸대학원�강좌의�특성에�맞는�강의평가시스템�개발 ▸국·내외� 대학과의� 학점� 상호인정, 협동강의� 및� 세미나� 개최, 공동학위� 수여� 등� 다양한� 부문에

서�교류협력�강화

▸사회적�수요�및�학문�발전의�추세에�대한�지속적�점검� ▸각�학과의�적극적인�교과과정�개정�작업�제안�및�참여❙교육�및�연구�기반을�지속적으로�확충한다.

▸첨단�교육�및�연구시설�구비 ▸대학원생�연구를�위한�장서, 국내외�전자저널, 웹�데이터베이스�등의�확충

▸대학원�전임교원의�지속적�충원� � �❙우수학생�확보를�위한�유인책을�마련한다.

▸교육�및�연구에�충분한�실험실, 연구�공간�등�확보

▸미술계열�실기실�여건�개선� ▸미술·디자인계열�교원의�지속적�충원

Page 29: 자체평가기획위원회 - Hongiksejong.hongik.ac.kr/front/files/pdf/selfreport/hongik.pdf · 교육프로그램과교육여건의개선방안모색 2018년대학기본역량진단과2019년2주기대학기관평가인증등에대비

2017 자체평가보고서� 24

▸학위논문�등�연구성과에�대한�우수논문상�시상�제도�도입 ▸장학금�지원�확대❙외국인�대학원생�유치노력을�경주한다.

▸장학금�및�기숙시설�지원�확대 ▸한국어�교육기회�확대�제공 ▸영어�강의가�의미를�갖는�과목의�경우�이를�적극적으로�확대�시행 ▸대학원� 영문홈페이지� 상시� 업데이트: 입학제도, 장학제도, 학과(전공) 등� 상세� 소개� 및� 최신�

정보�제공, 외국인의�학교�정보에�대한�접근성�및�가독성�제고�

❙세종캠퍼스�일반대학원의�입학정원이�극히�적음으로�인해�학부생�교육�및� 교원�연구�활동에�제약이� 많다.(총� 학부학생수� 대비� 석·박사� 입학정원은� 서울캠퍼스� 6.41%, 세종캠퍼스� 0.65%로� 서

울캠퍼스의� 1/10 수준)

▸최소한의�학과별�학사운영�활력을�유지할�수�있는�정원으로�재조정이�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