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료전지 종류별 특징 ii pemfc 핵심소재 및 응용 -...

20
연료전지 종류별 특징 II PEMFC 핵심소재 및 응용 5주차 대구가톨릭대학교 에너지신소재공학과 한윤수 ■ 과목명: 연료전지이론

Upload: others

Post on 21-Feb-2021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연료전지 종류별 특징 II – PEMFC 핵심소재 및 응용

    5주차

    대구가톨릭대학교 에너지신소재공학과

    한윤수

    ■ 과목명: 연료전지이론

  • 목 차

    1. PEMFC 핵심소재

    2. PEMFC 응용분야

  • 1. PEMFC 핵심소재

  • 4 연료전지이론

    전해질

    ○ 고분자 전해질 막(polymer electrolyte membrane)

    ▶ 역할: 수소이온의 이동통로, 전자이동 차단, 연료(수소)와 산소 분리

    - 높은 이온 전도성, 낮은 기체 투과도

    - 열적 안정성 및 치수안정성, 우수한 기계적 강도

    - 산화, 환원, 수화 등에 대한 우수한 내구성

    ▶ 소재: perfluorosulfonic acid (퍼플루오로 술폰산)

    - 듀폰에서 개발한 Nafion을 사용

    - 불소수지의 주사슬(main chain)이 모인 골격영역(소수성)과,

    술폰산기의 부사슬(side chain)이 모인 이온클러스터 영역(친수성)으로 구성

    ⇒ 이온 클러스터의 크기는 약 30~50Å 정도

    ⇒ 물이 존재하고 있으며, 산화반응으로 생성된 proton을 산화전극에서

    환원전극으로 이동시키는 역할

    1. PEMFC 핵심소재

  • 5 연료전지이론

    전해질

    ○ 고분자 전해질 막(polymer electrolyte membrane) (계속)

    ▶ 소재: perfluorosulfonic acid (퍼플루오로 술폰산) (계속)

    - 불소원자가 탄소원자 주변을 갑옷처름 보호하고 있어서 화학적으로 안정

    - tetrafluoroethylene(4불소화에틸렌)과 술폰산용 모노머를 공중합시켜

    이온교환폴리머 전구체를 얻고, 이를 이용하여 분리막으로 성형하고

    가수분해하여 말단의 -SO3F를 -SO3H로 전환

    ▶ 주요특징

    - 고분자 전해질 막 내부는 적정 수분유지가 중요

    ⇒ 과수분 : flooding 현상 → 반응 속도 저하

    ∙ flooding 현상: 공기극에서 생성된 물이 공기극에 고여서 전극의 미세

    기공을 막아버리는 현상

    ⇒ 저수분 : 수소 이온 전도도 감소, 막 수축 → 반응 속도 저하

    1. PEMFC 핵심소재

  • 6 연료전지이론

    m

    ※ x = 5~13.5 y = 1,000 m ≥ 1

    ※ 출처: 혼마 타쿠야 감수, 이인숙 옮김, “그림으로 보는 연료전지“, p.115, 교보문고(2007).

    ▶ 고분자전해질 구조

    전해질 1. PEMFC 핵심소재

  • 7 연료전지이론

    ※ 출처: 이석현,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 금속분리판용 스테인레스강의 전기전도도 및 부식저항성에 미치는 표면개질 효과“, KAIST 박사학위 논문, p.21 (2010).

    ▶ 고분자전해질 막의 미세 구조 및 이온전도

    ※ 출처: 혼마 타쿠야 감수, 이인숙 옮김, “그림으로 보는 연료전지“, p.45 & p.116, 교보문고(2007).

    전해질 1. PEMFC 핵심소재

  • 8 연료전지이론

    ※ 출처: 혼마 타쿠야 감수, 이인숙 옮김, “그림으로 보는 연료전지“, p.115, 교보문고(2007).

    ▶ 고분자전해질 합성

    전해질 1. PEMFC 핵심소재

  • 9 연료전지이론

    ○ 촉매층 (catalytic layer)

    ▶ 역할: 산화, 환원반응의 촉매역할 ▶ 구성요소 - 카본담지 백금촉매(carbon supported Pt catalyst): Pt 입자를 carbon black(20~40nm)에 담지하여 사용 ⇒ Pt의 표면적을 키우기 위해 미립자(1~5nm) 사용하며, 이를 고정시키면서 전자의 이동통로 역할을 할 수 있는 carbon black(전도성)에 담지시킴 ⇒ 산화전극의 경우 CO(수소 연료에 포함된 불순물)에 의한 피독을 막기 위해 Pt-Ru(50:50) 합금

    촉매를 다공성 탄소전극에 담지시켜 사용

    ∙ 피독작용: 촉매의 역할을 하는 물질이 다른 이물질에 가로막혀(주로 막의 형태로 둘러쌈)

    촉매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현상

    ∙ PEMFC에서는 CO가 Pt주변에 막을 형성(그림 참조)

    ∙ Pt-Ru(50:50) 합금의 Ru의 존재에 의해 CO를 산화시킴: Pt-CO + H2O Pt + CO2 + 2H+ + 2e -

    ⇒ 환원전극은 Pt 촉매만 다공성 탄소전극에 담지시켜 사용

    - 결합체(PTFE or Nafion): 카본담지 백금촉매를 붙들어 주는 역할 (고분자바인더) ▶ 주요 특징 - 물질전달 저항 최소 위해 두께가 얇고 균일해야 함 - 산소 환원 반응이 수소 산화반응 보다 느리므로 cathode의 촉매량이 더 많음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촉매 1. PEMFC 핵심소재

  • 10 연료전지이론

    고분자 전해질(Nafion)

    Carbon black

    Pt (or Pt-Ru 합금)

    Carbon Cloth

    결합체

    ※ 출처: 혼마 타쿠야 감수, 이인숙 옮김, “그림으로 보는 연료전지“, p.45 & p.116, 교보문고(2007).

    ▶ 카본담지 백금 촉매

    촉매 1. PEMFC 핵심소재

  • 11 연료전지이론

    ▶ 산화전극에서의 Pt-Ru의 역할

    산성조건하에서 Pt 촉

    매에 의해 O2 분자는

    O-O 결합분열을 거쳐,

    4개 전자에 의해 환원되

    어 H2O를 생성

    ▶ 환원전극에서의 Pt의 역할

    ※ 출처: 혼마 타쿠야 감수, 이인숙 옮김, “그림으로 보는 연료전지“, p.118 & p.119, 교보문고(2007).

    O2

    O2

    H2O

    H2O

    CO2

    촉매 1. PEMFC 핵심소재

  • 12 연료전지이론

    ○ 가스확산층(gas diffusion layer)

    ▶ 역할: 촉매층 지지, 기체확산, 집전체, 생성수 배출, 열 배출 - MEA를 기계적으로 지지함

    - 반응 기체가 촉매층으로 이동해 가는 통로 제공

    - 촉매층과 분리판을 전기적으로 연결, 전자가 흐르는 통로 제공

    - 생성된 수분이 촉매층으로 부터 빠져 나가는 통로 제공

    - 전기화학 반응에 의해 발생한 열을 분리막으로 전달(전도)하여 열 제거

    ▶ 소재 - 가스투과성과 도전성이 우수한 carbon paper 혹은 carbon cloth ▶ 주요특징 - 두께는 100~300 ㎛ 이며, 밀도는 0.21~0.73 g/cm2, 세공율(porosity)은 70~80% 임

    가스확산층 1. PEMFC 핵심소재

  • 13 연료전지이론

    ○ Bipolar plate(분리막)

    ▶ bipolar plate의 역할 - 연료(수소)와 공기(산소)의 공급 및 이동통로로서 - 셀간의 연료와 공기의 분리 - 미반응 가스 배출을 위한 가스매니폴드(gas manifold) 역할 - 반응생성물(물)의 배출통로 - 전극반응의 열을 제거하기 위한 냉각제의 분배 - 전극반응에서 생성된 전기를 모으고 셀(cell) 간의 전기적 연결 - 연료전지 구조의 지지체 ▶ 소재 - 흑연(graphite), 탄소복합체(탄소+수지), 금속(스테인레스, 알루미늄) ⇒ 흑연: 가공비가 과다 하고 양산성이 낮아 상용화 단계에서는 적용이 어려움 ⇒ 탄소복합체: 우수한 화학적 안정성으로 인해 수명이 길고, 작동 환경에서의 내구성이 우수하여 주로 건물용 연료전지에 적용 ⇒ 금속: 부식에 의한 촉매 오염이나 계면 전기저항 증대의 단점이 있음에도 경박단소와 양산성의 장점이 크므로 자동차용 등 주로 이동형 연료전지용으로 적용

    Molded bipolar plate by 한국타이어

    분리막 1. PEMFC 핵심소재

  • 14 연료전지이론

    ▶ 스택내 분리막의 배치방법 - 분리막은 연료(수소), 공기(산소) 및 냉각수가 흐를 수 있는 통로가 필요함 - 1장의 분리막으로는 3종류의 통로를 제공할 수 없으므로 2장의 분리막을 접합하여, 접합된 분리막의 앞뒤 공간과 접합분리막 사이의 공간을 이용함 - 가정용 1kW급 PEMFC의 경우 MEA가 약 80장, 분리막이 약 150장 소요

    ※ 출처: 한인수, “PEMFC 연료전지 셀스택의 최적 설계”, GS칼텍스주식회사 발표자료.

    ※ 출처: 혼마 타쿠야 감수, 이인숙 옮김, “그림으로 보는 연료전지“, p.110, 교보문고(2007).

    분리막 1. PEMFC 핵심소재

  • 15 연료전지이론

    PEMFC 스택의 구성재료별 가격 비중

    6%

    ○ PEMFC 스택의 가격구조

    ※ 출처: 이석현,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 금속분리판용 스테인레스강의 전기전도도 및 부식저항성에 미치는 표면개질 효과“, KAIST 박사학위 논문, p.29 (2010).

    가격구조 1. PEMFC 핵심소재

  • 2. PEMFC 응용분야

  • 17 연료전지이론

    2. PEMFC 응용분야

    ○ 100 kW급 연료전지 시스템 기술 적용 범위

  • 18 연료전지이론

    PEMFC

    ○ PEMFC의 자동차 응용 (I)

    2. PEMFC 응용분야

  • 19 연료전지이론

    PEMFC

    ○ PEMFC의 자동차 응용 (II)

    2. PEMFC 응용분야

  • 감사합니다.

    슬라이드 번호 1슬라이드 번호 2슬라이드 번호 3슬라이드 번호 4슬라이드 번호 5슬라이드 번호 6슬라이드 번호 7슬라이드 번호 8슬라이드 번호 9슬라이드 번호 10슬라이드 번호 11슬라이드 번호 12슬라이드 번호 13슬라이드 번호 14슬라이드 번호 15슬라이드 번호 16슬라이드 번호 17슬라이드 번호 18슬라이드 번호 19슬라이드 번호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