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컨설팅에 기반한 수업컨설팅의 특성...

28
교육행정학연구 제호 학교컨설팅 에 기반한 수업컨설팅의 특성 분석 세 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충남대학교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컨설팅 의 관점에 기반하여 수행된 수업컨설팅을 경험한 세 학교의 사례를 통해 수업컨설팅의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개 학교의 수업컨설팅 관련자 를 면담하고 의뢰서 컨설팅 일지 컨설팅 결과 보고서 사례 발표 자료집 등을 분석하였다 학교 수업컨설팅의 특성을 수업컨설팅의 원리 즉 자발성 전문성 독립성 자문성 한시 학습성 을 준거로 분석한 결과 고안된 자발성에서 출발하여 과정의 자발성으로 변화 전문성에 대한 의구심이 믿음으로 변화 학교의 행정 체계가 관여하는 컨설팅 활동 해결 방안을 함께 찾아가기 컨설팅 후에도 도움 주고받기 함께 성장하기 등의 특성이 나타났다 이러한 수업컨설팅 사례 분석을 통해 학교컨설팅에 기반한 수업컨설팅의 실행 가능성 수업컨 설팅의 원리 확인과 수정 그리고 협력적인 교사 학습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제어 학교컨설팅 수업컨설팅 원리 협력성 교사 학습 서론 최근 교육현장에서 수업컨설팅 이라는 이름의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육개혁의 새로운 접근을 주창한 학교컨설팅의 원리를 적용하여 새로운 교사 전문성 개 발을 위한 활동으로 실행되기도 하고 예 김도기 조영숙 종전과는 다른 방

Upload: others

Post on 02-Sep-2019

4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교육행정학연구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013, 제31권, 제2호, pp. 297~324

‘학교컨설팅’에 기반한 수업컨설팅의 특성 분석:

세 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1)

이 재 덕(한국교육개발원)**

박 수 정(충남대학교)***

요 약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컨설팅’의 관점에 기반하여 수행된 수업컨설팅을 경험한 세 학교의

사례를 통해 수업컨설팅의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3개 학교의 수업컨설팅 관련자

를 면담하고, 의뢰서, 컨설팅 일지, 컨설팅 결과 보고서, 사례 발표 자료집 등을 분석하였다. 세

학교 수업컨설팅의 특성을 수업컨설팅의 원리, 즉 ‘자발성’, ‘전문성’, ‘독립성’, ‘자문성’, ‘한시

성’, ‘학습성’을 준거로 분석한 결과, ‘고안된 자발성에서 출발하여 과정의 자발성으로 변화’,

‘전문성에 대한 의구심이 믿음으로 변화’, ‘학교의 행정 체계가 관여하는 컨설팅 활동’, ‘해결

방안을 함께 찾아가기’, ‘컨설팅 후에도 도움 주고받기’, ‘함께 성장하기’ 등의 특성이 나타났다.

이러한 수업컨설팅 사례 분석을 통해 학교컨설팅에 기반한 수업컨설팅의 실행 가능성, 수업컨

설팅의 원리 확인과 수정, 그리고 협력적인 교사 학습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제어]:학교컨설팅, 수업컨설팅, 원리, 협력성, 교사 학습

Ⅰ. 서론

최근 교육현장에서 ‘수업컨설팅’이라는 이름의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교

육개혁의 새로운 접근을 주창한 학교컨설팅의 원리를 적용하여 새로운 교사 전문성 개

발을 위한 활동으로 실행되기도 하고(예, 김도기, 2005; 조영숙, 2009), 종전과는 다른 방

* 이 논문은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학교컨설팅연구회, 청주교육대학교교육연구원이 공동 주최

한 학술대회(2012. 7. 21)에서 발표한 연구자들의 논문(수업컨설팅의 특성 분석: 학교컨설팅

에 기반한 수업컨설팅 사례를 중심으로)을 수정, 보완하였음

** 제1저자

*** 교신저자

▣ 접수일(2013. 05. 30), 심사일(2013. 06. 10), 게재확정일(2013. 07. 20) 1)

298 교육행정학연구

식으로 교사의 수업 개선을 돕는 방법으로 연구기관이나 전문가에 의하여 추진되기도

한다(예, 이화진 외, 2006; 천호성, 2008). 지역교육청 기능개편으로 컨설팅 장학이 시행

되기 시작한 2010년부터는 교육지원청이 주관이 되어 실시하는 컨설팅 장학 중 수업 분

야를 지칭하는 말로 쓰이고 있으며, 수석교사제가 법제화된 2012년부터는 수석교사가

담당하는 수업 개선 지원 업무를 수업컨설팅으로 부르고 있다.

이와 같이 수업컨설팅이 현장에서 다양한 관점과 방법으로 진행되고 운영자와 관련자

가 다양해지면서, 수업컨설팅의 개념이 정확하게 무엇인지 파악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즉, 수업컨설팅이라는 이름으로 이루어지는 활동들이 명확한 하나의 개념이나 관점을

바탕으로 수행되는 것이 아니며, 따라서 수업컨설팅의 실제에 대한 사례나 인식을 조사

한 연구들에서 공통된 특성을 규명하거나 개선을 위한 논의를 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

을 수 있다. 예컨대 교사가 경험한 수업컨설팅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한 경우, 동일

한 관점과 방법에서 실시된 수업컨설팅이 아니라면 그것은 이름은 같지만 내용은 다른

활동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선행연구들에서 수업컨설팅에 대한 정의들을 살펴보면, 몇 가지 측면에 있어서는 공

통적인 견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수업컨설팅이 ‘수업의 개선’ 내지 ‘수업의 문제 해결’

을 위하여 ‘컨설턴트’의 전문적인 지원 속에서 협력적, 실질적, 자발적으로 이루어지는

활동이라는 점이다(이상수, 2011; 이재덕, 2008; 천호성, 2007). 그러나 세부적으로 들어가

보면 수업컨설팅에 대한 정의와 철학, 목표, 관점, 학문적 배경, 방법 등이 대단히 다양

하여 그 스펙트럼이 매우 넓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행공학적 관점에서

이상수(2011: 94)는 ‘학습자의 학습개선에 초점을 둔 수업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업을

체제적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접근하는 컨설턴트와 컨설티 즉 교사의 협력적 문제해결과

정’으로 보고 있고, 참여형 수업 연구 모형을 중시하는 천호성(2007: 198)은 ‘수업자 자

신, 동료 교사, 외부의 수업 컨설팅 전문가 등이 협력하여 지속적으로 수업에 대해 진

단, 처방, 실행을 통해 실질적인 개선을 이루어가는 자기 주도적인 전문성 신장의 과정’

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것은 수업컨설팅을 대하는 학문적 배경과 접근법의 차이를 반영

한다고 볼 수 있는데, 연구자에 따라 수업컨설팅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운영 방식을 가

지고 있고 현장에서 다양한 맥락으로 실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업컨설팅이 이론적, 실제적으로 매우 다양한 형태로 개념화되고 실행되

고 있는 상황이므로, 연구에서 취하는 수업컨설팅의 관점과 개념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수업컨설팅의 관점 가운데, 수업컨설팅을 ‘학교컨설팅’의 하

위 영역이자 유형으로 보는 관점(진동섭, 2003; 진동섭․홍창남․김도기, 2008), 즉 ‘학교컨

설팅의 개념과 원리에 기반하여 수행되는 수업컨설팅’에 초점을 둔다. 이와 같이 특정한

관점, 특히 ‘학교컨설팅’에 초점을 둔 구체적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학교컨설팅’에 기반한 수업컨설팅의 특성 분석 299

첫째, 특정 관점에 의거하여 진행된 수업컨설팅 사례는 수업컨설팅의 실체를 명료하

게 하고 진전된 논의를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연구에서 분석하는 사례는 특정

관점을 바탕으로 진행된 사례들이므로, 공통적인 특성을 반영하고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둘째, 학교컨설팅의 관점을 반영하여 수업컨설팅을 구안하거나 논의한 사례가

많고(이재덕, 2008; 조영숙, 2009), 최근 강조되고 있는 컨설팅 장학 또한 기본적으로 학

교컨설팅에 기반하고 있다(김도기․김정현․허은정․김효정, 2012; 이병환․김진규․차성현, 20

10)는 점에서 이 연구에서 선정한 사례는 수업컨설팅 현장에 있어서 보편성을 지닌다.

셋째, 지금까지 수행된 수업컨설팅 관련 연구들은 개별 학교의 사례이거나 개별 컨설팅

사례에 국한된 연구가 많았다. 즉 학교 1개교 또는 교사 1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수업컨

설팅 연구가 대부분이었다(김도기, 2005; 조영숙, 2009; 천호성, 2008). 반면 학교 내 여

러 교사가 동시에 참여하는 수업컨설팅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에 대한 연구는 부

족한 상황에서 이 연구는 차후 학교 단위의 수업컨설팅 실행에 있어서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컨설팅’의 관점에 기반하여 수행

된 수업컨설팅을 경험한 세 학교의 사례를 통해 수업컨설팅의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는 학교컨설팅을 전문적으로 연구하고 실행하고 있는 비영리 민간

단체인 K컨설팅연구회(이하 K연구회)에서 2011년에 수행한 3개 학교의 수업컨설팅 사례

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학교컨설팅에 기반한 수업컨설팅이 현장에서 어떻

게 운영되고 있는지 파악하는 기초 자료가 될 것이며, 수업컨설팅과 교사 전문성 개발

의 측면에서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Ⅱ. 이론적 배경

1. 학교컨설팅과 수업컨설팅

이론적 개념으로서 학교컨설팅은 ‘학교’와 ‘consulting’이라는 단어가 조합된 것이지만,

외국에서 만들어진 개념을 직접 도입한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현재 ‘학교컨설팅’ 내

지 ‘수업컨설팅’으로 번역되는 외래어는 ‘consulting'이 아니라 ’consultation'이며(예, 김

정섭 외 역, 2010; 김정섭 외 역, 2012), 주로 수업 또는 교육심리 전문가들이 학습자나

수업의 문제에 대하여 교사와 협력하기 위한 활동을 의미한다(Rosenfield, 1987). 즉 일

반적으로 사용되는 ‘컨설팅’의 개념을 교육 분야에 적용한 것이라고 보기는 어려우며,

우리나라에서 학교컨설팅의 출발은 ‘학교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라는 점이 특징적이다

300 교육행정학연구

(박수정, 2011: 309). ‘학교컨설팅’이라는 제목으로 발간된 국내 최초의 전문서(진동섭,

2003)의 부제가 ‘교육개혁의 새로운 접근방법’이었다는 점은 우리나라에서 학교컨설팅의

등장 배경을 짐작케 한다. 즉 학교컨설팅은 현장에 기반한 상향적인 방식의 학교개선과

교육개혁을 궁극적으로 지향하고 있다.

학교컨설팅이 학교에 대한 조직적 관점으로 출발하였지만, 진동섭(2003)은 학교컨설팅

의 영역에 학교경영 영역과 교육활동 영역이 있고, 2008년에는『학교경영컨설팅과 수업

컨설팅』이라는 제목의 책을 출간하면서 학교컨설팅의 2대 유형이 ‘학교경영컨설팅’과

‘수업컨설팅’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였다. 즉 학교컨설팅에서 수업컨설팅이 중요한 영역

으로 인식되었다. 그런데 학교경영컨설팅과 수업컨설팅은 컨설팅의 영역이 다를 뿐 개

념과 원리는 거의 동일하게 취급되었고, 학교컨설팅이라는 큰 개념 속에서 동일한 위상

으로 다루어졌다. 이러한 이론적 기반 속에서 K연구회는 2006년부터 학교경영컨설팅과

수업컨설팅을 본격적으로 수행하기 시작했다(K연구회 홈페이지, 2013).

한편, 공교육 내실화를 위하여 2002년에 한국교육과정평가원과 각 시․도에 교수학습센

터가 설치되었고(교육인적자원부, 2002), 2006년부터 한국교육과정평가원과 서울특별시

교육청 등에서는 ‘수업컨설팅’이라는 명칭으로 연구와 사업을 추진하였다. 한국교육과정

평가원은 교사의 수업전문성 개발을 위하여 기존 수업장학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수업컨

설팅 사업을 교과 중심으로 수행하였고(이화진 외, 2006), 서울특별시교육청은 ‘수업개선

지원단’을 구성하고 이를 중심으로 수업컨설팅을 추진하였다(강신천, 2006; 문우일,

2006). 이 밖에도 여러 시·도교육청에서 지원적인 성격의 컨설팅 또는 컨설팅과 관련된

활동들이 수행된 것으로 나타났다(박수정, 2011: 313).

이러한 사업들은 이명박 정부가 출범한 후로는 대부분 중단되거나 정리되었는데, 수

업컨설팅이 다시 부각된 것은 2010년 지역교육청 기능개편과 컨설팅 장학의 전면 시행

이 중요한 시점이라고 볼 수 있다(박수정, 2011). 2010년 9월부터 개편된 교육지원청에

컨설팅 장학을 수행하는 기능이 부여됨에 따라, 수업컨설팅은 컨설팅 장학 가운데 수업

분야를 지칭하는 말이 되었다. 이에 따라 서울시에서는 종전에 운영하였던 ‘수업개선지

원단’을 ‘학교컨설팅장학지원단’으로 변경하고, ‘수업컨설팅’ 대신 ‘컨설팅 장학’을 공식

용어로 사용하고 있다. 교육지원청에서는 ‘수업컨설팅장학’과 ‘수업컨설팅’을 혼용하고

있으나 본질을 ‘장학’에 두고 있으며, 기관 장학의 차원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학교를 대

상으로 하는 외부 컨설팅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이 수업컨설팅이 교육청에서 주관하는 컨설팅 장학의 일환으로 전국적으로 추

진되는 가운데, 여전히 학교컨설팅의 관점에서 수업컨설팅을 연구하고 실행하는 전문가

들도 존재하고 있다(김도기․김효정, 2012). 또한 교육방법과 교육공학, 교과교육학에서 수

업컨설팅의 개념과 방법을 독자적으로 연구하는 경향도 나타나고 있으며(민혜리 외,

‘학교컨설팅’에 기반한 수업컨설팅의 특성 분석 301

2012; 이상수 외, 2012), 교사뿐만 아니라 대학의 교수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활동도 수업

컨설팅으로 포괄하는 추세도 나타나고 있다(홍성연, 2010; 심미자, 2012). 수업컨설팅의

‘홍수’ 속에서 다양한 내용과 방법의 활동들이 다양한 주체들에 의하여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2. 수업컨설팅의 개념, 요소, 원리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수업컨설팅에 대한 관점과 기반은 다양하나, 이 연구에서는

‘학교컨설팅에 기반한 수업컨설팅’에 초점을 두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러한 수업컨설

팅의 개념과 요소, 원리 등을 살펴보도록 한다.

학교컨설팅은 ‘학교의 자생적 활력과 학교교육의 질 향상을 위하여, 단위학교와 학교

체제 구성원들의 요청에 따라, 전문성을 갖춘 교육체제 내외 전문가들이, 문제와 과제의

해결을 도와주는 활동’으로 정의되고 있다(진동섭·홍창남·김도기, 2008: 31). 이러한 학교

컨설팅의 정의를 구체적으로 분석해보면 ‘목표’, ‘관련자’, ‘과업’이라는 요소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학교의 자생적 활력과 학교교육의 질 향상’은 목표에 해당하고, ‘단

위학교와 학교체제 구성원들의 요청에 따라 전문성을 갖춘 교육체제 내외 전문가들’은

관련자에 해당한다. 즉, 요청하는 구성원은 의뢰인을 의미하고, 내외 전문가는 컨설턴트

를 의미한다. 그리고 ‘문제와 과제의 해결을 도와주는 활동’은 과업에 해당한다. 과업은

구체적으로 문제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진단, 해결방안 구안 및 선택, 실행 지원, 교

육·훈련, 자원의 발굴·확보, 그리고 지원체제를 구축하는 활동들을 의미한다. 학교컨설팅

의 정의에 나타나지 않은 것은 ‘학교컨설팅 관리자’로, 의뢰인과 컨설턴트를 연결해주고

전반적인 컨설팅 과정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는데, 일반 컨설팅에서는 찾아보기 어렵고

학교컨설팅 모형에만 있는 독특한 관련자이다.

한편 학교컨설팅의 원리는 학교컨설팅의 규범적 지향을 의미하는데, 학교컨설팅의 원

리가 최초로 문헌에 소개된 것은 2003년으로, ‘전문성’, ‘독립성’, ‘자문성’, ‘일시성’, ‘교

육성’, ‘자발성’이 제시되었다(진동섭, 2003: 81-88). 앞의 네 가지 원리는 경영 컨설팅과

유사하고, 뒤의 두 가지 원리는 학교조직의 특성을 반영하였다고 소개되고 있다. 이것은

2007년에 원리의 타당성, 명료성, 현장적합성을 고려하여 ‘자발성’, ‘전문성’, ‘독립성’,

‘자문성’, ‘한시성’, ‘학습성’으로 제시되었고, 그 의미는 <표 1>과 같다. 이중 ‘자발성(의

뢰인의 자발적 요청)’과 ‘전문성(컨설턴트의 전문적 서비스)’이 가장 핵심적인 원리로, 궁

극적인 목적을 규정하는 원리는 ‘학습성’으로 제안되었다(진동섭·김효정, 2007).

302 교육행정학연구

<표 Ⅱ-1> 학교컨설팅의 원리와 의미

구 분 의 미

자발성 학교컨설팅의 시작은 의뢰인의 자발성에 기초해야 한다.

전문성 학교컨설팅은 전문성을 갖춘 학교컨설턴트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

독립성학교컨설턴트가 의뢰인과의 관계에서 독립성과 객관성을 유지하고, 학교의 행정

체계로부터 자유롭게 활동하면서 성과를 보여주어야 한다.

자문성학교컨설턴트는 의뢰인을 대신하여 교육활동을 전개하거나 학교를 경영하지 않아

야 하고, 결과에 대한 최종 책임이 의뢰인에게 있다.

한시성학교컨설팅은 정해진 기간 동안 이루어지는 일시적인 활동이고, 과제가 해결되면

학교컨설팅 관계는 종료되어야 한다.

학습성학교컨설팅 과정에서 의뢰인과 학교 컨설턴트는 각자 학습하고, 서로의 학습에

도움을 주고 받는다.

* 출처: 진동섭·김효정(2007: 36-45)을 재정리함.

이러한 학교컨설팅의 원리는 수업컨설팅에도 그대로 적용된다.1) 수업컨설팅은 학교컨

설팅의 하위 개념이면서 하나의 유형으로서, ‘수업 관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움을

요청한 교원에게 교내외의 수업컨설턴트들이 학교컨설팅의 방법과 원리에 따라 제공하

는 자문활동(진동섭·홍창남·김도기, 2008: 101)’이다. 이를 학교컨설팅의 개념과 비교하

면, 수업컨설팅의 구성요소 중 목표는 ‘교사의 수업개선’으로 구체적이면서 명확하게 좁

혀지며, 과업과 관련자는 모두 동일하고, 원리는 특별한 언급 없이 동일하게 간주되는

것으로 보인다.

3. 관련 선행 연구 검토

수업컨설팅에 대한 연구들은 대체로 실행연구의 성격으로 이루어졌다. 즉, 수업컨설팅

의 모형을 구안하고 이를 직접 실행하면서 보완하여 최종적인 모형을 제안하거나(김도

기, 2005; 조영숙, 2009; 천호성, 2007), 특정 교과나 특정 방법의 측면에서 수업컨설팅이

라는 이름의 활동을 수행하고 이에 대한 만족도나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강명자, 2012;

이선미, 2011; 정용우, 2008)들이 이루어졌다. 대체로 과거의 수업개선 방법이나 전문성

개발 방법과 비교해볼 때 효과가 있다는 결과들이 대부분이나, 이러한 연구들은 대부분

1) 이것은 교육지원청이 수행하는 컨설팅장학에도 그대로 적용되고 있는데, 예컨대 컨설팅장학

의 원리가 학교컨설팅과 동일하게 제시되고 있다(이병환·김진규·차성현, 2010). 그러나 ‘장학’

으로 구안된 컨설팅장학의 원리가 과연 학교컨설팅의 그것과 동일할 수 있는가, 컨설팅장학

의 실제에서 그러한 원리가 발견되는가는 면밀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다. 수업컨설팅 또한 학

교컨설팅의 하위 영역이기는 하지만 학교컨설팅의 원리와 수업컨설팅의 원리가 반드시 동일

하다고 볼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검토가 필요하다.

‘학교컨설팅’에 기반한 수업컨설팅의 특성 분석 303

연구자가 곧 수업컨설팅의 운영자나 실행자라는 한계를 가지며, 개별 사례에 대한 미시

적 접근이 중심이 되었다.

한편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를 통해 수업컨설팅(주로 교육청이 주관하는 컨

설팅 장학의 일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연구(남성경, 2012; 이경진, 2010; 정상진,

2012)가 많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것은 응답자가 경험한 수업컨설팅의 실체가 응답자별

로 상이하다는 근본적인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동일한 관점과 방식으로 이루

어지는 수업컨설팅 대상자/컨설턴트에 대한 연구를 통해 보완될 수 있으나, 의뢰인과

컨설턴트 간에 이루어지는 수업컨설팅은 대단히 역동적인 활동이기 때문에 계량적 접근

에는 한계가 있다.

이 연구의 문제의식과 같이, 수업컨설팅이 실제 어떠한 내용과 방법으로 이루어졌고,

참여자들이 어떠한 경험을 하였으며, 그 경험이 어떠한 특성과 의미를 갖는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가장 가까운 연구로, 자신들의 활동을 ‘수업컨설팅’이라

고 명명했던 서울특별시교육청 수업개선지원단의 조직과 활동을 분석한 최원석의 연구

(2007)가 있다. 그는 수업컨설팅의 여섯 가지 원리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특성을 제시

하였다. 첫째, 의뢰인의 자발성과 관련하여 높은 비율의 ‘위장된 자발성’ 사례가 관찰되

었고, 이러한 경우에도 컨설팅 과정에서 의뢰인의 자발성이 촉발되는 사례가 확인되었

다. 둘째, 컨설턴트의 전문성에 대한 판단은 ‘교직 경력’을 주요 근거로 하여 이루어지

고, 지원단원들은 ‘좋은 교사’와 ‘좋은 컨설턴트’의 이미지를 구분하지 않았다. 셋째, 지

원단원들은 의뢰인과의 관계에서 감독자가 아닌 자문자로서의 위치를 지키고 있었다.

넷째, 교육청이 주관하는 사업 형태로 지원단이 조직ㆍ운영되는 과정에서 독립성이 훼

손당하는 경우가 있었다. 다섯째, 수업컨설팅을 통하여 지원단원과 의뢰 교사에게 학습

이 촉발되고, 지원단원들 간의 학습이 촉발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수업컨설팅의 원리로 제시된 원리들-실제로는 학교컨설팅의 원리들-이 현장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고, 개별 원리의 구체적인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나, 컨설턴트(지원단원) 만을 조사한 연구 결과라는 점에서

수업컨설팅에 대한 입체적 분석에 한계가 있다.

한편, 교육청 컨설팅 관리자와 컨설턴트를 대상으로 학교컨설팅에 대한 인식을 자유

기술형 설문으로 조사한 박수정(2011)의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학교컨설팅에 대하여

‘자발성’과 ‘전문성’이 가장 많은 빈도로 언급되었지만 ‘실질성’과 ‘협력성’에 대한 언급

도 많았다. 이것은 컨설턴트와 의뢰인의 관계에서 주로 나타났던 성격으로, 현장에서 새

롭게 중시되고 있는 원리라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현장을 통해 새롭게 원

리를 발견하거나 검토하는 일도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좀 더 시각을 확대하여, ‘교사의 전문성 개발’이나 ‘교사교육’의 측면에서 수업컨설팅

304 교육행정학연구

의 특성을 분석해 볼 수도 있다. 최근 교사의 전문성 개발에 대한 연구들은 ‘교사의 학

습 기회(learning opportunity)’, ‘교사 학습(teacher learning)’ 등 ‘교사’와 ‘학습’의 관점

이 부각되고 있다(소경희, 2009; 송경오, 2007; Hardy, 2010). 또한 학교 내 또는 학교 밖

의 교사 간 협력적인 학습공동체와 실행이 강조되고 있다(서경혜, 2009; Aubusson et

al., 2007). 김순희(2009)는 수업전문성의 핵심 요소인 ‘반성(reflection)’을 강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수업평가와 수업장학과 같은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수업컨설팅과 실행연구,

수업비평과 같은 대안적인 관점의 방법들이 효과적일 수 있다고 보았다. 즉 능동적 참

여와 상호협력을 전제한 탐구의 장을 제공하는데 일정부분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는 것

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다면, ‘반성’, ‘능동성’. ‘협력성’, ‘탐구’, ‘실행’ 등도 수업컨설팅의

원리나 요소로도 생각해볼 수 있으며, 특히 ‘학습성’의 원리에 대해서는 기존의 개념뿐만

아니라 좀 더 확장된 개념으로도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수업컨설팅이 이루어

지는 현장을 분석하여 기존의 이론과 개념을 귀납적으로 검토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Ⅲ. 연구 방법

1. 연구 과정 및 방법

이 연구는 2012년 3월부터 시작하여 2013년 초까지 이루어졌다. 먼저 연구 목적과 연

구 방법을 정립하고, 수업컨설팅 관련 문서(의뢰서, 컨설팅 일지, 결과보고서 등)를 수집

하여 분석하였다. 문서 자료 분석과 동시에 2012년 3월과 6월에 K연구회에서 개최된 두

학교의 컨설팅 사례 발표회에 참석하여 총괄컨설턴트, 수행컨설턴트, 의뢰인의 사례 발

표를 듣고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사례 발표회 자료집도 분석 자료에 포함하여 분석하였

다. 그 밖에 컨설턴트와 의뢰인, 컨설팅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면담과 이메일 조사를 실

시하였다. 문서 자료 분석과 면담 이후 연구자간 논의를 거쳐 분석 틀을 마련하였고, 최

종 확정된 분석 틀을 바탕으로 문서 자료와 면담 자료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분석은 주제별 약호화(coding) 방식을 활용하였다. 주제별 약호화는 연구

자가 전사된 자료를 읽으면서 텍스트의 특정한 부분이 어떤 특정한 주제나 이슈를 언급

하고 있다고 느낄 때, 연구문제나 자신의 이론적 관점에 근거하여 그 텍스트의 특정 부

분을 가장 잘 설명해 주는 주제로서 이름을 부여하는 것을 말한다(이용숙 외 2005:

347). Miles와 Huberman(1994: 44)에 따르면 일련의 텍스트를 특정한 용어나 이름으로

함께 묶는 연구 활동으로서 약호화는 특정 텍스트의 내용이 갖는 의미를 함축적으로 표

‘학교컨설팅’에 기반한 수업컨설팅의 특성 분석 305

현해 줄 수 있는 수단이다. 연구 목적에 부합되는 부호화의 주제를 현장작업 시작 전에

개발한 다음, 수집된 자료들을 이 약호화들의 목록에 따라서 분석해 나가는 방법은

Miles와 Huverman에 의하여 옹호되는 방식이다(이용숙 외, 2005). 이 연구에서는 수집

된 문서와 발표 및 면담 자료를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이론적 분석틀에 해당하는 주제일

경우 표시하였고, 각 주제별로 내용을 추출하여 주제에 해당하는 의미를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한 뒤에는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제보자 및 관련자들에게 내용

을 발표하고, 교육행정 및 학교컨설팅 전문가로부터 연구 방법에 대한 피드백을 듣고,

제보자들로부터 연구 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받아 연구 결과를 수정·보완하였다.

2. 분석 틀

이 연구에서 수업컨설팅 사례를 분석하는 틀은 기존에 이론적으로 정립된 수업컨설팅

의 ‘원리’로 선정하였고, 그 내용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자발성’, ‘전문성’, ‘독립

성’, ‘자문성’, ‘한시성’, ‘학습성’이다. 학교컨설팅의 원리는 학교컨설팅의 규범적 지향을

의미하며, 실제로 수행되는 컨설팅 활동의 계획․실행․평가의 준거가 된다(진동섭·김효정,

2007: 26).

학교컨설팅의 원리는 2003년에 처음 여섯 가지로 제시되었고 2007년에 확인 및 수정

된 후(Ⅱ장 2절 참고), 지금까지 큰 변화를 보이지 않고 있으며, 최근에는 컨설팅 장학

의 원리로도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이 원리는 기본적으로 학교컨설팅의 원리로서 수업

컨설팅에도 동일하게 적용한 것이기 때문에 수업컨설팅에도 부합한지에 대해서는 본격

적으로 논의되지 않았고, 이러한 규범적 지향이 수업컨설팅의 실제에서 어떻게 구현되

는지 실증적으로 확인하고 검토할 필요가 있다.

3. 수업컨설팅 사례

이 연구에서 분석한 수업컨설팅 사례는 2011년에 K연구회에 의뢰된 사례다. K연구회

는 학교가 컨설팅을 의뢰하면 컨설팅을 책임지고 진행하는 ‘총괄컨설턴트’ 1명과 컨설팅

과정에 대해 조언해주는 ‘메타컨설턴트’ 1명을 배정하고, 컨설팅 대상 교사(팀)에게 수업

컨설팅을 실행하는 ‘컨설턴트’2)를 컨설팅 팀으로 구성하여 수업컨설팅을 진행하였다. 총

괄컨설턴트와 컨설턴트는 K연구회가 주관하여 운영한 ‘학교컨설턴트 양성과정’ 연수를

이수하고 컨설팅 경험이 많은 현직 교원으로 대부분 구성되었고, 메타컨설턴트는 K연구

회의 연구위원이 담당하였다.

2) K연구회에서는 이들을 '실행컨설턴트'라고 불렀으나 여기서는 ‘컨설턴트’로 통일하였다.

306 교육행정학연구

연구 대상이 된 수업컨설팅 실시 학교는 초, 중, 고 각 1개 학교로 총 3개 학교였다.

각 학교의 컨설팅 대상은 초등학교 5명, 중학교 6명(또는 팀), 고등학교 10팀으로 구성

되었다. 학교별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3)

가. 바다초등학교

1) 의뢰 배경

G교육지원청은 에듀업지원센터를 시범적으로 운영하며 교사의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

해 노력하였고, 그 일환으로 2011년 관내 학교로부터 수업컨설팅을 공모하여 컨설팅 비

용을 지원하는 사업을 시작하였다. 이 때 바다초등학교는 학교의 수업개선을 위하여 교

육지원청의 수업컨설팅 지원 사업에 응모하였고, G교육지원청은 지원한 여러 학교 가운

데 바다초등학교를 선정하여 K연구회에 컨설팅을 위탁하였다.

2) 의뢰인 및 의뢰 과제

의뢰 교사는 총 5명이며, 개인별로 다른 과제를 의뢰하였다. 의뢰 과제는 ‘학습자의

참여를 극대화하기 위한 효과적인 동기유발 설계’(6학년 실과), ‘학습자 배움 중심 수업

의 실천’(6학년 도덕), ‘학습자의 수업 참여 기회 확대 방안과 아동들의 발표력 신장 방

안’(6학년 국어), ‘다양한 영어과 수업 전략’(6학년 영어), ‘국어과 수업 전략’(5학년 국어)

등이었다.

3) 컨설턴트의 특성 및 구성

컨설팅 팀은 메타컨설턴트 1명, 총괄컨설턴트 1명, 컨설턴트 5명으로 구성되었다. 메

타컨설턴트와 총괄컨설턴트는 K연구회가 추천하여 선정하였고, 5명의 컨설턴트들은 총

괄컨설턴트가 선정하였다. 컨설턴트 5명은 모두 2010년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주관한 충

북교육청의 수업컨설팅을 담당하였고, 경기도에서 다수의 컨설팅을 수행한 경험이 있는

수석교사들이었다.

4) 절차

컨설팅은 2011년 4월부터 6월 사이에 약 2개월간 이루어졌다. 전체적인 수업컨설팅은

준비 단계, 진단 단계, 해결방안 구안 및 선택 단계, 실행 단계, 종료 단계로 진행되었

다. 구체적인 일정은 5명의 의뢰인과 컨설턴트의 협의 하에 별도로 진행되었으며, 시작

과 종료일은 맞추어 진행하였다. 구체적인 절차별 활동 내용은 다음과 같다.

3) 학교명은 모두 가명이다.

‘학교컨설팅’에 기반한 수업컨설팅의 특성 분석 307

<표 Ⅲ-1> 바다초등학교의 수업컨설팅 과정

절차 일시 활동 내용

준비 2011년

4월 셋째주

- 첫 만남

- 컨설팅 협약

진단 5월 3일

- 의뢰 과제와 목표 명확화

- 문서자료 분석, 설문 조사, 면담

- 향후 컨설팅 진행 방향 결정

해결방안 구안

및 선택5월 셋째, 넷째주

-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전략 선택

- 수업 설계 및 수업자료 논의

실행 5월 30일- 공개 수업

- 수업 반성 및 환류

종료 6월 20일

- 실행 과정상 어려운 점 상호 교환

- 컨설팅 전반에 걸친 평가

- 최종 보고서 작성

나. 하늘중학교

1) 의뢰 배경

하늘중학교는 ‘소규모 협력학습을 통한 나눔․배움․소통의 교실수업 설계하기’라는 주제로

교육지원청에서 예산을 지원받아 학교 자체 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다. 연수 프로

그램은 배움과 실천이 교차된 교직원 연수로, 매주 금요일에 진행되었다. 배움은 외부 강

사의 강의로 진행되고, 실천은 각 교과 선생님들이 학년별 공개수업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

되었다. 이 때 대부분의 선생님들이 공개수업을 부담스러워하였기 때문에 기존의 동료장학

대신 실질적으로 수업을 변화시킬 수 있는 수업컨설팅을 의뢰하자는 의견이 나왔고, 마침

외부 강사로 강의를 하던 한 선생님의 소개로 K연구회에 수업컨설팅을 의뢰하게 되었다.

2) 의뢰인 및 의뢰 과제

의뢰 교사 4명(3학년 영어, 3학년 사회, 3학년 수학, 3학년 미술)은 개인별로, 2개 팀

은 각각 6인(3학년 국어)과 3인(2학년 과학)의 팀을 구성하여 의뢰하였다. 여섯 가지 의

뢰 과제는 모두 ‘소규모 협력학습을 통한 나눔․배움․소통의 교실수업 설계하기’였는데,

이는 의뢰 배경에서 언급했듯이 학교 특색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었기 때문이다.

3) 컨설턴트의 특성 및 구성

컨설팅 팀은 메타컨설턴트 1명, 총괄컨설턴트 1명, 컨설턴트 5명으로 구성되었다. 메

타컨설턴트와 총괄컨설턴트는 K연구회가 추천하여 선정하였고, 총괄컨설턴트는 과학과

컨설턴트로도 역할을 수행하였다. 5명의 컨설턴트는 총괄컨설턴트가 선정하였고, 모두

K연구회 회원들이었다.

308 교육행정학연구

4) 절차

컨설팅은 2011년 4월부터 7월 사이에 약 4개월간 이루어졌다. 전체적인 수업컨설팅은

준비 단계, 진단 단계, 해결방안 구안 및 선택 단계, 실행 단계, 종료 단계로 진행되었

다. 구체적인 일정은 의뢰인(팀)과 컨설턴트의 협의 하에 별도로 진행되었으며, 모든 팀

들이 전반적으로 진단을 위한 수업 관찰, 수업 설계, 공개수업 및 피드백의 절차로 진행

하였다. 구체적인 절차별 활동 내용은 다음과 같다.

<표 Ⅲ-2> 하늘중학교의 수업컨설팅 과정

절차 일시 활동 내용

준비2011년

4월

- 첫 만남

- 수업 동영상을 보고 비평하는 컨설팅 연습(5회)

- 의뢰인에게 수업컨설팅 안내

- 과제 명료화

- 협약서 체결

진단 4월 ~ 5월- 의뢰인 수업 동영상 분석, 컨설턴트 간 협의

- 진단 보고서 제출

해결방안 구안

및 선택5월 넷째주

- 2~3차에 걸친 공개수업 과정안 설계 및 수정

- 컨설턴트의 시범 수업

- 협력학습에 초점을 둔 과정안 개발

실행 6월 첫째주- 의뢰인의 공개수업

- 공개수업 피드백

종료 7월 - 컨설팅 과정 및 컨설턴트 평가

- 최종 보고서 제출

다. 우주고등학교

1) 의뢰 배경

우주고등학교는 수준별 수업 활성화와 활기찬 교실 수업 분위기를 조성하려는 목적으

로 수업 동영상 촬영을 통한 자기장학 및 동료장학을 계획하여 추진하고 있었다. 그 때

학교장이 모대학교 연수원에서 학교컨설팅에 대한 강의를 들은 후 구청으로부터 받은

지원금 가운데 일부를 활용하여 외부 전문가로부터 수업컨설팅을 받기로 결정하고, K연

구회에 수업컨설팅을 의뢰하였다.

2) 의뢰인 및 의뢰 과제

의뢰인은 모두 10개 팀이고, 각 팀은 2인~4인으로 구성되었다. 의뢰 과제는 ‘지도 제

작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학생들의 흥미도 제고’(1학년 지리, 3인), ‘생활사 관련 사료 수

‘학교컨설팅’에 기반한 수업컨설팅의 특성 분석 309

절차 일시 활동 내용

준비2011년

9월

- 학교측과 총괄 컨설턴트의 만남

- 제안서 제출 및 협약 체결

- 수업 동영상 분석

- 의뢰인 오리엔테이션

- 수업컨설턴트와 의뢰인의 첫만남

- 수행계획서 작성 및 제출

진단 10월 - 팀별 진단

해결방안 구안

및 선택10월 - 팀별 해결방안 구안 및 선택

업을 통한 흥미도 제고’(3학년 역사, 2인), ‘토론 수업을 위한 자료 수집과 수업 절차 계

획’(3학년 사회, 2인), ‘소프트웨어 및 교구를 활용한 수업 참여도 제고’(1학년 수학, 2인),

‘NIE를 활용한 토론 수업 지도 방안’(1학년 가정, 4인), ‘흥미와 호기심을 유발하는 질문

법’(2학년 국어, 3인), ‘읽기와 듣기 수업의 효과적인 지도방안’(3학년 영어, 3인), ‘읽기와

듣기 수업의 효과적인 지도방안’(2학년 영어, 2인), ‘PREZI 프로그램을 활용한 수업자료

제작’(2학년 생명과학, 2인), ‘수업 도입 방식의 개선(3학년 물리․지학, 3인) 등 팀별로 다

양한 과제가 의뢰되었다. 의뢰인은 열 개 팀으로 구성되었는데, 각 팀별로 한 명은 집중

적으로 수업컨설팅을 받고 다른 구성원들은 참관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졌다.

3) 컨설턴트의 특성 및 구성

컨설팅 팀은 메타컨설턴트 1명, 총괄컨설턴트 1명, 컨설턴트 10명으로 구성되었다. 메

타컨설턴트와 총괄컨설턴트는 K연구회가 추천하여 선정하였고, 10명의 컨설턴트들은 K

연구회의 회원들을 대상으로 공모를 통해 구성하였으며, 공모로 모집하지 못한 일부 컨

설턴트는 추천을 받아 선정하였다. 학교컨설팅의 원리나 절차를 학습하지 않은 컨설턴

트가 있었기 때문에 의뢰인과 첫 만남을 갖기 전에 컨설팅 워크숍을 실시하여 학교컨설

팅을 학습하는 시간을 가진 후 컨설팅에 투입되었다.

4) 절차

컨설팅은 2011년 8월부터 2012년 1월 사이에 약 6개월간 이루어졌다. 전체적인 수업

컨설팅은 준비 단계, 진단 단계, 해결방안 구안 및 선택 단계, 실행 단계, 종료 단계로

진행되었다. 진단 단계, 해결방안 구안 및 선택 단계와 실행 단계는 컨설팅 팀별로 각각

따로 이루어졌고, 준비 단계와 종료 단계는 전체 팀이 일률적으로 맞추어 진행되었다.

구체적인 절차별 활동 내용은 다음과 같다.

<표 Ⅲ-3> 우주고등학교의 수업컨설팅 과정

310 교육행정학연구

절차 일시 활동 내용

실행 10월- 의뢰인의 실행

- 컨설턴트의 관찰 및 조언

종료2012년

1월

- 과제별 컨설팅 수행결과 보고서 취합

- 최종 보고서 제출

Ⅳ. 연구 결과

세 학교 수업컨설팅의 특성을 학교컨설팅의 원리, 즉 ‘자발성’, ‘전문성’, ‘독립성’, ‘자

문성’, ‘한시성’, ‘학습성’을 준거로 분석한 결과, ‘고안된 자발성에서 출발하여 과정의 자

발성으로 변화’, ‘전문성에 대한 의구심이 믿음으로 변화’, ‘학교의 행정 체계가 관여하는

컨설팅 활동’, ‘해결 방안을 함께 찾아가기’, ‘컨설팅 후에도 도움 주고받기’, ‘함께 성장

하기’의 특성이 나타났다.

1. 고안된 자발성에서 출발하여 과정의 자발성으로 변화

학교컨설팅의 시작은 의뢰인의 자발적 요청에 기초해야 한다(‘자발성’의 원리). 그러나

의뢰인들은 관리자나 컨설팅 담당 교사의 권유와 설득에 의해서 의뢰 과제를 제출하였

다. 컨설팅에 대한 막연한 기대를 가지고는 있지만 학교의 바쁜 업무 때문에 선뜻 나서

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이렇게 뭔가 부족한 느낌으로 살아가고 있는 때에, 반 타의 반 자의적으로 컨설팅에 참여

하게 되었다. 처음 컨설팅에 대한 얘기를 들었을 때는 하면 좋겠지만 바쁜데... 라는 생각으로

넘겼다. 저항은 없었으나 선뜻 나서지도 못하면서 컨설팅에 올라탔다.(바다초 사례, 최○○ 의

뢰인, 2011.5.3, 컨설팅 일지)

2011년 학교장이 바뀌었고 사립학교의 특성상 교사의 학교이동이 없으며 대부분 10년 이

상 근무하고 있는 관계로 학교에 새로운 변화를 주어보고자 하는 관리자의 의지로 컨설팅이

시작되었다.(우주고 사례, 최○○ 컨설턴트, 2011.9.27, 컨설팅 일지)

이와 같은 ‘고안된 자발성’에 의해 시작한 컨설팅은 진행 초기에 의뢰인과 컨설턴트

모두로 하여금 어려움을 겪게 하였다. 의뢰인이 팀으로 꾸려진 우주고의 경우는 몇 개

팀에서 일부 교사들이 과정에 참여하지 않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학교컨설팅’에 기반한 수업컨설팅의 특성 분석 311

관리자의 설득으로 컨설팅이 시작되었고 선생님들도 이에 동의는 하였으나 업무와 바쁜

학사일정으로 컨설팅을 부담스럽게 생각하는 분위기가 있었다.(우주고 사례, 최○○ 컨설턴트,

2011.9. 27, 컨설팅 일지)

학교컨설팅 관리자 역할을 한 K연구회는 개인의 자발성은 고안된 것이지만 학교의

자발성 기준이 충족되었기 때문에 학교 차원의 컨설팅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의뢰인들

은 컨설턴트와의 만남을 두세 차례 가지면서 점차 마음을 열기 시작하였다. 컨설팅의

과정 중에 자발성이 생기기 시작한 것이다.

처음에는 나도 수업에 대해서는 다 알고 있는데 저 선생님한테 뭘 배울 수 있을까 생각했

는데, 컨설턴트 선생님의 수업을 직접 참관하고 나서 제 마음이 열리기 시작했습니다. 철저히

준비하고, 열정적으로 가르치는 모습을 보고 감동했습니다. 그 다음부터는 저것을 배워야겠다

는 생각을 했습니다.(하늘중 사례, 박○○ 의뢰인, 2012.4.21, 사례발표 내용)

부담을 가지고 출발했으나 진행하면서 컨설턴트의 노력에 마음을 열고 컨설팅을 적극적으

로 수용해준 의뢰인을 보면서 컨설팅의 보람을 느꼈다. 컨설턴트의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마

음과 행동이 컨설팅을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음을 경험하였고...(우주고 사례, 정○○ 컨설턴

트, 2011.1.13., 컨설팅 일지)

의뢰인의 이야기와 컨설턴트의 경험 내용을 보면, 컨설팅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참여

하게 된 이유는 ‘컨설턴트의 수업 전문성과 수업 개선에 대한 열정’ 때문이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컨설턴트가 가지고 있는 전문성과 열정을 배워야겠다는 내적 동기가 의뢰인에

게 생겨났다.

2. 전문성에 대한 의구심이 믿음으로 변화

학교컨설팅은 전문성을 갖춘 학교컨설턴트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전문성’의 원리).

세 학교에 투입된 수업컨설턴트들은 수업 내용에 관한 강의도 많이 하고, 교육청의 컨

설팅 장학이나 한국교육개발원 등에서 시행하는 수업컨설팅에서도 활동을 하면서 컨설

팅 경험을 많이 가지고 있었다. 또한 컨설팅 과정에서도 컨설턴트 간에 연구와 협력을

하는 모습을 보였다.

선정된 5명의 실행컨설턴트들은 2010년 충북교육청의 요청에 의해 그 지역 의뢰교사들을

대상으로 수업컨설팅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경험이 있고, 경기도내 다수의 수업컨설팅에 참여

해서 실제로 컨설턴트로서의 역할을 발휘한 경험이 있는 수석교사로 조직하였으며...(바다초

사례, 2011.4, 컨설팅 수행 보고서 2쪽)

312 교육행정학연구

단원 6명은 4월부터 매주 화요일마다 컨설턴트 단장으로 계시는 교감선생님의 재직학교에

모여 컨설팅 역량 강화를 위한 동료 연수를 실행하였으며, 컨설팅 대상 수업동영상을 함께

보고 비평을 실행해보는 등의 모의 컨설팅 시간을 총 5회 실행하였다.(하늘중 사례, 2011.7,

컨설팅 수행 보고서 1쪽)

이와 같이 많은 컨설팅 경험을 가지고 있고 좋은 컨설팅을 수행하기 위해서 협력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지만, 어떤 컨설턴트들은 자신의 전문성에 대한 걱정을 하고 있는

경우도 있었다.

교장선생님의 의지에 의해 학교컨설팅이 의뢰되었을 때 참가 교사들의 자발성이 없을 수

있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 걱정이 많았습니다.(우주고 사례, 이○○ 총괄컨설턴트, 2012.3.17,

사례발표 내용)

컨설턴트가 현직교사가 아니라는 점 때문에 의뢰인들이 어떻게 생각할까? 도움이 된다고

생각할까? 어떤 도움을 줄 수 있을까? 서로 이야기는 잘 통할까? 어떻게 이야기를 시작할까?

등을 고민하며...(우주고 사례, 2011.10.5, 이○○ 컨설턴트, 컨설팅 일지)

의뢰학교의 담당 부장님과 내부 컨설턴트 그리고 총괄컨설턴트, 실행컨설턴트 사이에서 여

러 가지 마음의 부담을 갖게 되었다.(하늘중 사례, 유○○ 컨설턴트, 2012.6.16, 사례발표 내용)

우주고 사례에서는 컨설턴트가 의뢰인의 자발성을 끌어낼 수 있을까를 걱정하였고,

하늘중 사례에서는 컨설턴트가 컨설팅 관련자(의뢰인, 총괄컨설턴트, 컨설턴트, 내부 협

력자) 사이에서 의견을 조정하는 것에 대해 부담을 갖고 있었다. 하늘중 사례의 유○○

컨설턴트는 컨설팅을 시작할 때 하늘중에서 컨설팅 안내 강의를 했고, K연구회에 컨설

팅을 의뢰하도록 연결을 시켜준 장본인이기도 하여 컨설팅이 잘되기를 바라는 부담이

작용하였다.

컨설턴트의 전문성은 의뢰인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여부로 판단할 수 있

다. 그러나 컨설팅의 결과가 나타나기 전까지는 그러한 전문성을 믿을 수 없는 상황이

나타나는 것이다. 컨설턴트들은 이러한 걱정을 했지만 컨설팅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의

뢰인들이 마음을 열기 시작했고 컨설턴트의 전문성을 믿기 시작했다.

○○초에 갔을 때 수업지원실이 참 보기 좋았습니다. 많은 책들과 자료들, 작은 화분들 선

생님의 모습과 분위기가 비슷했습니다. 그리고 정보 하나라도 더 주고 싶어 하시는 마음이

그대로 전해져서 너무 감사했습니다.(바다초 사례, 이○○ 의뢰인, 2011.5.19, 자가진단 분석

및 이해기술지)

컨설턴트의 학교에 찾아가서 수업을 보았습니다. 그 수업을 보니 선생님이 굉장히 능력 있고, 열

정이 풍부하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리고 행복해하는 아이들을 볼 수 있었습니다. 그 수업을 보고

‘학교컨설팅’에 기반한 수업컨설팅의 특성 분석 313

닫혔던 제 마음이 열리기 시작했습니다.(우주고 사례, 이○○의뢰인, 2012.3.17., 사례발표 내용)

컨설턴트의 전문성에 대한 믿음이 생기기 시작한 핵심적 사건은 컨설턴트의 수업을

참관한 것이다. 많은 자료와 예쁜 꽃으로 꾸며진 교실 환경, 전문성을 가지고 열정적으

로 수업하는 모습, 선생님의 수업을 받으며 행복해 하는 아이들 등 여러 요소들이 의구

심을 믿음으로 변화시켰다. 이 밖에도 의뢰인에게 하나라도 더 주고 싶어 하는 마음과

수업 개선에 대한 열정이 의뢰인의 마음을 변화시키는 요소로 작용하였다.

3. 학교의 행정 체계가 관여하는 컨설팅 활동

학교컨설턴트는 의뢰인과의 관계에서 독립성과 객관성을 유지하고, 학교의 행정 체계

로부터 자유롭게 활동하면서 성과를 보여주어야 한다(‘독립성’의 원리). 세 학교의 사례

는 민간단체 주도의 수업컨설팅임에도 불구하고 학교의 행정 체계가 컨설팅 활동에 관

여하는 특성이 드러났다. 이것은 의뢰인(학교장)과 컨설팅 대상(교사)이 일치하지 않았기

때문에 생긴 특성이다. 명목적으로는 교사가 의뢰인이었지만 내부를 들여다보면 학교장

이 단위 학교의 수업 개선을 위해서 소속 교원들을 대상으로 외부 전문 기관에 컨설팅

을 의뢰한 것이다.

하늘중학교는 학교의 특색사업의 일환으로 동료장학을 하는데 선생님들이 공개수업을

부담스러워 해서 학교 단위로 수업컨설팅을 의뢰하였다.

'소규모 협력학습을 통한 나눔·배움·소통의 교실수업 설계하기'란 주제로 학교 자체 연수

프로그램으로 운영할 예정입니다. 배움은 외부강사의 강의식으로 진행되며 실천은 각 교과

선생님들이 학년별 공개수업을 하면서 진행됩니다. 대부분의 선생님들이 공개수업을 부담스

러워하시며 기존의 동료장학으로는 수업의 변화를 기대할 수 없어 의뢰합니다.(하늘중, 박○

○ 내부 협력자, 2011.3.22, 의뢰서)

하늘중의 컨설팅 활동을 보면 컨설턴트와 컨설팅 대상인 교사 간에는 독립적인 관계

즉, 수평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나, 학교의 요청에 의하여 컨설팅에 참여한 여섯 팀

이 모두 공개수업을 진행하였다. 공개 수업은 컨설턴트와 컨설팅 대상인 교사가 결정한

것이 아니라 학교의 결정 사항이 반영된 과업이었다.

우주고 사례에서도 학교의 행정 체계가 수업컨설팅 과정을 주도하는 특성을 보였다. 우주고

의 컨설팅 활동을 보면 컨설턴트와 컨설팅 대상 교사가 직접 만나기 전에 학교의 내부 협력자

가 수업 촬영 동영상을 일괄적으로 컨설턴트에게 보내서 분석하게 한 뒤에 첫 만남을 하였다.

314 교육행정학연구

학교 측에서 의뢰교사의 수업을 모두 촬영하여 수행컨설턴트에게 제공하여 사전에 의뢰교

사에 대한 이해와 준비가 가능하였다.(우주고, 이○○ 총괄컨설턴트, 2012.3.17, 사례발표 내용)

총괄컨설턴트가 메일로 보내준 의뢰인의 수업동영상을 의뢰교사의 수업진행방법과 학생들

의 학습태도를 수업분석 관점으로 두고 분석하였다.(우주고, 정○○ 컨설턴트, 2011.9.15, 컨설

팅 수행 보고서 10쪽)

현재는 학교컨설팅의 초창기이기 때문에 현장의 교사들은 학교컨설팅을 통해 어떤 방

식으로 어떤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 또는 누구에게 의뢰해야 하는지 잘 모르고 있다.

그래서 컨설팅을 의뢰하는 주체와 컨설팅을 받는 주체가 다를 수 있다. 또한 학교가 컨

설팅에 대한 수임료를 지불하고 협약의 주체가 되기 때문에 학교 행정 체계가 관여하는

컨설팅 활동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이러한 특

성은 앞에서도 밝혔듯이 컨설팅 대상이 되는 교사들의 내재적 자발성을 이끌지 못하고

형식적으로 참여하게 만드는 부작용을 일으킬 수도 있다.

4. 해결 방안을 함께 찾아가기

학교컨설턴트는 의뢰인을 대신하여 교육활동을 전개하거나 학교를 경영하지 않아야

하고, 결과에 대한 최종 책임이 의뢰인에게 있다(‘자문성’의 원리). 세 학교의 사례에서

는 컨설턴트가 의뢰인의 문제를 직접 해결해주거나 지도해주는 모습보다는 컨설턴트와

의뢰인이 상호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해가는 특성이 나타났다. 의뢰인이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방법으로 컨설턴트들은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였다.

첫 번째는 수업 내용을 전사하고 전사 자료를 읽으며 이야기하는 방식이다. 컨설턴트

가 전사를 해주고 의뢰인이 읽으며 수업을 되짚어 보는 경우도 있었고, 의뢰인이 전사

를 하면서 자신의 수업을 되짚어 보는 경우도 있었다.

오디오 전사과정에서 드러난 의뢰자의 문제점을 최단시간에 수정하기 위해 미리 의뢰자

본인의 전사본과 이 단점이 보완된 동영상 및 동영상 전사본을 미리 파일로 보낸 후, 자신의

수업과 비교 대조하여 정리해 둘 것을 당부하고...(하늘중 사례, 류○○ 컨설턴트, 2011.5.25,

컨설팅 일지)

두 번째는 브레인스토밍이다. 의뢰인과 함께 좋은 수업의 모습을 발표하고 다양한 아

이디어들을 유형별로 분류하는 활동을 수행하기도 하고, 수업 후 협의회에서도 의뢰인

과 함께 다양한 의견을 발표하는 활동이 수행되었다.

‘학교컨설팅’에 기반한 수업컨설팅의 특성 분석 315

이번 위크샵은 포스트잇을 이용하여 오픈코딩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진

행한 이유는 의뢰과제 자체가 토론을 이끌어 내는 수업이므로 컨설팅 과정에서도 정보를 전달하

는 강의식을 지양하고 실제 교실에서 적용할 수 있는 토론의 방법들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

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우주고 사례, 오○○ 컨설턴트, 2011.10.24, 컨설팅 일지)

세 번째는 컨설턴트가 자신의 수업을 의뢰인에게 보여주는 것이다. 의뢰인이 수업을

어떻게 계획해야 할지 고민할 때 컨설턴트의 수업을 보고 아이디어를 찾는 방식으로 진

행되었다. 의뢰인이 수업을 공개하고 컨설턴트가 평가하는 기존의 방식과는 전혀 다른

모습이었다.

선생님이 전해주는 수업에 대한 열정과 개선되고자 하는 의지, 학생을 향해 열려있는 마음

이 충분히 느껴지면서... 나의 현실을 돌아보며 많은 반성을 하게 되었죠. 수업에 대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고 항상 고민하시는 컨설팅 선생님의 모습을 보면서 나의 모습을 되돌

아보게 되었어요.(우주고 사례, 노○○ 의뢰인, 2011.11.16, 컨설팅 일지)

네 번째는 일지를 쓰는 것이다. 의뢰인과 컨설턴트 모두 컨설팅의 내용이나 방법에

관해 반성적 일지를 써서 스스로를 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다음은 의뢰인이 작성한

일지의 예이다.

몇 가지 오고가는 질문 속에서도 몸 둘 바를 모르게 부끄러웠다. 그러면서 느껴지는 게 이

렇게 자신감이 없는 게 결국은 나에게 내세울 만한 소신이 없다는 것이다. 교수기법이나 자

료 활용에 앞서서 가장 근본이 되는 교육철학을 정립하는 게 우선이라는 생각이 들었다.(바다

초 사례, 최○○ 의뢰인, 2011.5.3, 컨설팅 일지)

학습의 계열과 실태조사를 의미 있게 함으로써 단원의 큰 목표를 세우고 각 차시별로 지

도 내용을 계획하는 밑받침이 되며, 이러한 내용이 지도안에 드러나도록 작성해야 한다는 말

씀은, 마치 하나의 큰 프로젝트를 준비하는 회사처럼 수업을 체계적으로 준비한다는 그 마음

가짐에서부터 앞으로 있을 교직 생활 내내 나에게 큰 나침반이 되리라 확신이 든다.(바다초

사례, 나○○ 의뢰인, 2011.5.18, 컨설팅 일지)

컨설턴트가 의뢰인과 함께 해결방안을 찾아가는 방식은 의뢰인들을 과업에 몰입시켰

고, 의뢰인이 컨설팅 과정에서 주체적인 역할을 하도록 만들어 주었다.

5. 컨설팅 후에도 도움 주고받기

학교컨설팅은 정해진 기간 동안 이루어지는 일시적인 활동이고, 과제가 해결되면 학

교컨설팅 관계는 종료되어야 한다(‘한시성’의 원리). 이 원리를 설정한 것은 기간을 정해

놓고 의뢰과제를 완결해야 하고 컨설팅 기간 내에 최선을 다한다는 의미도 포함하고 있

316 교육행정학연구

다. 그러나 컨설턴트와 의뢰인은 이러한 한시성의 의미를 일시성 또는 일회성의 의미로

생각하고 있었다. 그래서 사례 발표에서는 한시성의 원리를 ‘지속성’으로 수정해야 하지

않느냐는 의견이 나오기도 했다.

의뢰교사의 지속적인 성장을 돕기 위해 ‘사후관리’를 제공하는 것은 한시성의 원리에 따라

‘결과보고’로 컨설팅을 종결하는 것과 배치되는 걸까요?(우주고 사례, 이○○ 총괄컨설턴트,

2012.3.17, 사례발표 내용)

컨설팅이 끝나고 나서도 선생님이 계속 연락을 해옵니다. 필요한 자료도 드리고, 밥도 같

이 먹었어요. 앞으로 계속적으로 관계를 맺고 도움을 드리려고 합니다.(우주고 사례, 이○○

컨설턴트, 2012.3.17, 사례발표 내용)

컨설팅이 짧은 기간 안에 끝나서 아쉬움이 남았습니다. 교육과정의 일정상 해결 대안을 수

업에서 실행해보지 못했는데, 다음 학기에 실제 수업에서 대안을 실행할 때 피드백을 받을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우주고, 이○○ 의뢰인, 2012.3.17, 사례발표 내용)

의뢰인은 컨설팅 기간 동안 만들어진 대안을 실행하는 것에 대한 부담을 갖고 있다.

그리고 지속적인 도움을 받고 싶어 한다. 그래서 종료 이후에도 컨설턴트에게 자료도

요구하고, 종료 후에 대안을 실행할 때 피드백도 해달라고 요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컨설팅 종료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도움을 주고받는 특성은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사 간

의 네트워크 구축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종료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도움을 주고자 하는 특성은 컨설턴트들의 인성이나

품격에서 나오는 헌신성 때문에 가능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헌신성은 사익

을 추구하는 기업컨설팅과 다르게 학교컨설팅에서 나타나는 독특한 관계적 특성이라고

볼 수 있다.

6. 함께 성장하기

학교컨설팅 과정에서 의뢰인과 학교 컨설턴트는 각자 학습하고, 서로의 학습에 도움

을 주고 받는다(‘학습성’의 원리). 수업컨설팅에서 의뢰인은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고 성

장하는 과정을 경험하고 있었다. 의뢰인의 성장은 문제 해결 능력을 갖게 되는 것뿐만

아니라 전문성 개발의 의지와 실천으로 이어지고 있다.

선생님과 만난 게 부담도 되었지만 이렇게 하면 되겠다하는 돌파구를 찾은 느낌이었다. 단

순히 스킬을 나누는 것 보다 좋은 시간이 된 건 사실이에요. 앞으로 뭔가를 시도할 수 있는

밑불을 피우게 된 경험이었어요. 이후에 활활 타오를 수 있는 밑불이요.(우주고 사례, 노○○

‘학교컨설팅’에 기반한 수업컨설팅의 특성 분석 317

의뢰인, 2011.11.16, 컨설팅 일지)

훌륭한 컨설턴트를 만나 컨설팅 내용이 매우 유익했고요, 앞으로는 저와 비슷한 문제를 가

지고 있는 학교 선생님들과 그룹컨설팅을 함께 했으면 좋겠습니다... 동학년 선생님과 같이

컨설팅을 받은 후에 방학 때 컨설턴트 분께서 추천해주신 책을 사서 같이 스터디를 해보자고

제안했어요.(바다초 사례, 김○○ 의뢰인, 2011.6.20, 컨설팅 종결 간담회)

의뢰인 뿐만 아니라 컨설턴트도 수업컨설팅에서 성장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컨설

팅 후기에서 “의뢰교사 뿐만 아니라 컨설턴트인 나 자신도 많이 배울 수 있는 시간이

되었다.”고 진술하고 있다.

컨설턴트의 부족함으로 몇 가지 아쉬운 점이 있었지만 의뢰교사들의 열정과 열린 마음은

수정된 컨설팅 계획을 무리 없이 진행할 수 있게 하였다. 의뢰교사에게 고마움을 느낀다. 이

과정에서 의뢰교사 뿐만 아니라 컨설턴트인 나 자신도 많이 배울 수 있는 시간이 되었다.(우

주고 사례, 오○○ 컨설턴트, 2011.11.16, 컨설팅 일지)

2개월 동안 5번의 면대면 컨설팅과 15회 이상의 메일과 전화로 함께 한 나○○선생님과의

컨설팅 활동으로 함께 성장하는 느낌을 가지게 되었다. 변화와 성장으로 서로 윈윈하는 이번

활동이 교직활동의 교사전문가로서 효능감이 백배 충만되었고 장래 서로의 발전하는 모습을

지켜보기로 약속하고 컨설팅을 마무리 하였다.(바다초 사례, 임○○ 컨설턴트, 2011.6.20, 컨설

팅 종결 간담회)

컨설팅을 통해서 의뢰인은 과제를 해결하는 것 뿐만 아니라 교육에 대한 열정을 다시

찾아가는 모습을 보였고, 컨설팅을 종료한 후에는 학교 내에서 동료 교사 간에도 수업

컨설팅이 충분히 가능하겠다는 변화된 인식을 보였다. 컨설턴트 또한 의뢰 과제의 내용

이나 컨설팅 방법의 측면에서 많은 학습을 하였고, 컨설턴트로서의 역량을 키우는 기회

였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Ⅴ. 논의 및 결론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컨설팅’의 관점에 기반하여 수행된 수업컨설팅을 경험한 세 학

교의 사례를 통해 수업컨설팅의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학교컨설팅을 전문

적으로 연구하고 실천하는 K연구회에서 2011년에 수행한 3개 학교의 수업컨설팅 사례

를 분석하였다. 수업컨설팅 관련자를 면담하고, 의뢰서, 컨설팅 일지, 컨설팅 결과 보고

서, 사례 발표 자료집 등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컨설팅이 시작될 때 고안된 자발성으로 시작되었다가 과정 중에 진정한

318 교육행정학연구

자발성이 나타났고, 컨설턴트의 전문성에 대한 의구심이 믿음으로 변화되었다. 학교의

행정 체제가 컨설팅 활동을 관여하는 특성이 나타났고, 의뢰인이 스스로 해결 방안을

찾을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면서 상호 협력하는 특성이 나타났으며, 컨설팅이

종료된 후에도 지속적으로 도움을 주고받는 특성이 나타났다. 그리고 의뢰인뿐만 아니

라 컨설턴트도 함께 성장하고 있는 특성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대하여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안된 자발성이 진정한 자발성으로 변화된 것은 최원석(2007)이 교육청에서 주

관한 수업컨설팅에서 ‘위장된 자발성’이 ‘과정 중 자발성’으로 변화되었다고 분석한 결과

와 일맥상통한다. 컨설팅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자발성이 강화되는 현상은 최원석의 연

구(2007)나 조영숙(2009)의 연구에서도 밝혀졌다. 조영숙(2009)은 의뢰인과 컨설턴트의

노력이 더해지면서 의뢰인이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적극성을 띠게 되었고, 컨설턴

트의 자문을 적극적으로 선택하고 실행함으로써 만족도가 매우 높아졌다고 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진정한 자발성으로 가기 위해서는 컨설턴트의 열정과 전문성이 필수적이다.

일단 권유에 의해서 시작한 컨설팅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육에 대한 열

정과 과제 해결을 위한 전문성을 갖춘 컨설턴트를 연결해주어야 한다. 그러면 의뢰인은

컨설팅 과정에서 진정한 자발성을 발현하게 되고, 컨설팅 이후 만족감을 느끼고 주위에

컨설팅을 전파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수업컨설팅이 도입된 이후에도 교육지원청이나 학교장의 의지는 강력한 힘을 발휘하

여 고안된 자발성을 바탕으로 컨설팅을 시작하게 된다. 최원석의 연구(2007)에서는 이러

한 특성 때문에 독립성이 훼손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교육청이나 학교장의 의지는

동전의 양면과 같은 성격을 가지고 있다. 즉, 개인 교사가 수업을 개선하고 싶어서 외부

전문가로부터 도움을 받고 싶을 때 교육청이나 학교장이 지원해주지 않으면 실행하기가

어려운 반면, 교육청이나 학교장이 나서서 도움을 주려고 할 때 반감을 가지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컨설팅이 무엇이며, 어떤 효과가 있는지 홍보하

고 설득하는 접근을 해야 하며, 의뢰 여부의 최종 결정권은 의뢰인에게 주어야 한다. 이

는 의뢰인이 적극적으로 자신의 과제를 찾고 컨설팅 과정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하

여 궁극적으로 컨설팅의 성공을 가져다줄 수 있는 핵심적인 장치다.

둘째, 의뢰인이 컨설팅의 과정과 결과에 만족할 때 컨설턴트의 전문성을 인정받을 수

있다. 이것을 다시 해석하면 컨설팅의 결과가 나오기 전 또는 컨설팅 초기에는 의뢰인

이 컨설턴트의 전문성에 대한 의구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분

위기를 감지하고 컨설턴트들은 자신의 전문성에 대해서 걱정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

나 시간이 지나면서 의뢰인들은 변화를 시작하고 그러한 모습을 본 컨설턴트는 안도하

게 된다. 컨설턴트의 문제 해결에 대한 전문성은 의뢰인의 ‘과정의 자발성’과 밀접한 관

‘학교컨설팅’에 기반한 수업컨설팅의 특성 분석 319

련을 가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최원석(2007), 서석호(2012) 등의 연구에서는 의

뢰인들이 컨설턴트의 전문성을 교직 경력과 같이 눈에 보이는 것을 근거로 판단하는 경

향이 있다고 했는데, 교직 경력뿐만 아니라 컨설턴트의 수업 실행력이나 하나라도 더

주고 싶어 하는 열정, 그리고 아이들을 사랑하는 마음도 전문성을 판단하는 중요한 근

거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연구에서 컨설턴트에 대한 전문성을 인증해줄 수

있는 자격제도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셋째, 컨설팅이 도입된 초기에는 학교장이나 교육청이 의뢰인이 되고 학교의 구성원

들은 컨설팅의 대상이 되는 특성이 나타날 수 있다. 정수현 등의 연구(2011)도 교육과학

기술부가 의뢰인이 되고 자율형 공립고등학교가 컨설팅의 대상이 되는 형식으로 이루어

졌다. 이러한 특성은 학교의 구성원들이 컨설팅에 대해 관심이 없기 때문에 학교나 교

육청이 학교를 개선하기 위해 주도권을 가지면서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컨설팅 대상

의 자발성이 확보되지 않았기 때문에 컨설팅의 효과가 반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

다. 그러므로 이러한 형식의 컨설팅을 컨설팅이라고 볼 수 있는지 논란거리가 될 수도

있다. 컨설팅이라고 보는 입장에서는 학교가 교육청의 지시 없이 자발성에 의해서 컨설

팅을 의뢰했다면 그 학교에 소속된 교원들은 학교의 운영 방침에 따라야 하는 것이라고

주장할 수도 있다. 그러나 추후 컨설팅은 컨설턴트와 의뢰인 그리고 관리자로 구성되는

3자 모형으로 변화되어야 하며, 궁극적으로는 컨설턴트와 의뢰인으로 구성되는 2자 모

형으로 변화되는 것이 수업컨설팅의 원리에 부합한다.

넷째, 컨설턴트와 의뢰인이 상호 협력하는 방법은 과정과 결과에서 높은 만족을 이끌

어 낸다. 협력성은 박수정의 연구(2011)에서 컨설턴트와 의뢰인의 관계에서 주로 나타났

고, 김순희의 연구(2009)에서 수업컨설팅이 상호협력을 전제한 탐구의 장을 제공하고 있

다고 밝히고 있다. 수업컨설팅 사례들에서도 이러한 협력성이 발견되었다. 컨설턴트는

지도하는 입장을 취하기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의뢰인과 상호 협력하는 자세를

취하고, 컨설턴트가 과제를 직접 해결해주는 것이 아니라 협력의 과정을 통해서 의뢰인

이 스스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활용하고 있었으며, 이것은 컨설팅의 성과 및

만족도와 연결되었다.

다섯째, 컨설팅 종료 후에도 도움을 지속적으로 주고받는 특징은 한시성의 원리와 충

돌하고 있다. 이러한 충돌은 컨설턴트가 한시성의 의미를 일시성 또는 일회성으로 오해

하고 있기 때문에 발생된 것이었다. 한시성 원리는 기간을 정해놓고 의뢰과제를 완결해

야 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는데, 의뢰인 혼자서도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되었다면 더 이상 그 관계가 지속되지 않아도 된다는 의미도 내포하고 있다. 물론 다른

과제로 같은 컨설턴트에게 다시 의뢰할 수도 있으며, 같은 과제라도 좀 더 심도 깊은

과제를 가지고 컨설턴트에게 다시 의뢰할 수도 있다. 이 연구에서 분석한 바와 같이 의

320 교육행정학연구

뢰인이 종료 이후 대안의 실행에 대해 지원해달라고 요구할 때는 협약서를 작성할 때부

터 실행에 관한 협약을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한시성의 원리라는 개념을 떠나서 컨설팅 종료 후에도 도움을 주고받는 특성

은 교원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네트워크 형성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수업컨설팅을

통해서 지리적으로 심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교원 간에 밀접한 인간관계가 형성되고 정

보 교환을 위한 네트워크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진다면 전문가 단체로서의 기능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여섯째, 컨설팅은 의뢰인과 컨설턴트가 함께 성장하는 과정이다. 의뢰인과 컨설턴트

모두가 서로의 학습에 도움을 주고받는다는 학습성의 원리가 실제에서도 실현되고 있음

이 밝혀졌다. 이 결과는 수업컨설팅을 연구한 윤소희(2012)와 최원석(2007)의 연구에서도

밝히고 있다. 교원 전문성 개발을 위해서 현장 기반의 실천적 학습 경험이 매우 중요하

다는 연구 결과(김병찬, 2012; 이종재 외, 2012)도 이미 밝혀진바 있다. 이와 같이 현장

중심의 학습 경험은 수업컨설팅을 실행하면서 더욱 강화될 것이다.

종합적으로 볼 때, 수업컨설팅 사례 분석을 통하여 학교컨설팅에 기반한 수업컨설팅

의 실행 가능성, 수업컨설팅의 원리의 확인 및 재검토, 그리고 협력적인 교사 학습의 가

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컨설팅의 개념과 원리에 기반하는 수업컨설팅이 실제로 수행되고 있고 실

행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학교 변화와 교사 전문성 개발의 필요성을 느낀 학교

가 교사 능력 개발에 지원된 비용으로 수업컨설팅을 요청하였고, 학교컨설팅의 관점에

따라 수업컨설팅이 진행되었다. 단, 고안된 자발성과 학교 행정 체계의 관여 등 다소 이

상과 거리가 있는 모습을 보였는데, 이 또한 수업컨설팅의 실제적인 운영 모형으로 검

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수업컨설팅의 원리를 확인하고 재검토하였다. 지금까지 수업컨설팅의 원리는 학

교컨설팅의 원리와 별다른 차이 없이 준용된다고 제시되었는데, 이러한 원리들이 수업

컨설팅의 실제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 수 있었다. 특히 ‘전문성’과 ‘학습

성’은 강하게 확인되었고, ‘자발성’과 ‘한시성’은 재검토가 필요하며, ‘자문성’과 ‘독립성’

은 다른 표현이 필요하다. 예컨대 ‘학습성’, ‘전문성’, ‘협력성’, ‘주체성’, ‘현장성’ 등이 현

장에서 도출된 수업컨설팅의 원리로 생각할 수 있고, 이는 추후 연구에서 수업컨설팅의

실제적 원리로서 엄밀하게 검토, 분석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협력적인 교사 학습(collaborative teacher learning)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수

업컨설팅이 컨설턴트와 의뢰인 간 학습, 그리고 의뢰인 팀 간 학습을 촉진하고, 교사 전

문성 개발이 학교 단위에서 공동학습(collective learning)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협력

적인 교사 학습의 특성을 발견할 수 있다. 이것은 교사 학습과 전문성 개발의 측면에서

‘학교컨설팅’에 기반한 수업컨설팅의 특성 분석 321

수업컨설팅을 학문적으로 탐구하고 실행연구를 수행하고 계속적으로 보완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 연구는 학교컨설팅에 기반하여 민간의 컨설팅연구회에 의하여 수행되고 학교 단위

로 운영된 수업컨설팅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기관 장학의 일환으로 교육지원청에서 수

업컨설팅(흔히 컨설팅 장학)을 수행하는 경우가 실제로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고, 교내장

학의 일환으로 학교 내에서 수업컨설팅을 기획하여 운영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며,

다양한 학문적 배경에서 수업컨설팅이 실시될 수도 있다. 이러한 수업컨설팅 사례에 대

한 연구도 필요하며, 수업컨설팅의 다양한 관련자에 대한 다각적인 접근과 분석도 필요

하다. 또한 교사의 진정한 학습과 성장, 그리고 학교의 개선과 변화를 실질적으로 지원

할 수 있는 수업컨설팅의 모형을 연구, 개발, 실행하는 작업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322 교육행정학연구

참고문헌

강명자(2012). PCK(교과내용교수지식) 수업컨설팅을 통한 수업혁신 효과 연구: 초등학

교 국어교과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강신천(2006). 수업개선지원단의 역할과 발전 방안. 서울교육, 2006년 겨울호. 17-24.

교육인적자원부(2002). 공교육 내실화를 위한 교수-학습 방법 개선 지원 방안.

김도기(2005). 컨설팅 장학에 관한 질적 실행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도기․김효정(2012). 수업컨설팅의 개념과 위상.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학교컨설팅연

구회, 청주교육대학교교육연구원 공동 주최 학술대회(2012. 7. 21) 자료집.

김도기․김정현․허은정․김효정(2012). 컨설팅 장학매뉴얼. 충북대학교 한국지방교육연구소.

김병찬(2012). 핀란드의 교원 현직교육 특성 분석. 교육과학연구, 43(3). 27-57.

김순희(2009). 교사의 반성적 수업 실천을 위한 방안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26(2).

101-121.

김정섭․유순화․윤경미 역(2010). 학습과 행동 문제 해결을 위한 학교 컨설팅. 학지사.

(원제: Collaborative consultation in the schools)

김정섭․이영만․유순화 역(2012). 학교와 지역사회를 위한 심리 및 학습컨설팅. Cenage

learning. (원제: Psychological consultation and collaboration in school and

community settings)

남성경(2012). 중등학교 컨설팅 장학에 대한 교원의 인식 분석.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문우일(2006). 수업개선지원단에서 시작하는 수업컨설팅 문화운동. 서울교육. 2006년 겨

울호. 44-47.

민혜리․심미자․윤희정(2012). 한국형 수업컨설팅. 학이시습.

박수정(2011). 학교컨설팅과 교육청의 만남: 가능성과 한계. 한국교원교육연구, 28(3),

307-331.

서석호(2012). 교육지원청 컨설팅장학 실제 사례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소경희(2009). 교사학습 이해를 위한 이론적 기초 탐색. 교육과정연구, 27(3). 107-126.

송경오(2007). 교사의 학습기회증진에 효과적인 정책수단에 관한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5(2). 121-144.

심미자(2012). 좋은 수업을 위한 수업컨설팅의 새로운 방향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29(2). 371-396.

윤소희(2012). 하늘교육청 수업컨설팅 특성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경진(2010). 수업컨설팅 장학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연구.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병환·김진규·차성현(2010). 학교컨설팅 장학 모형 및 평가 지표 개발 연구. 교육과학

기술부 정책연구보고서.

이상수(2011). 수행공학을 적용한 수업컨설팅 모형. 교육공학연구, 26(4). 87-120.

‘학교컨설팅’에 기반한 수업컨설팅의 특성 분석 323

이상수․강정찬․이유나․오영범(2012). 체계적 수업분석을 통한 수업컨설팅. 학지사.

이선미(2011). 수업컨설팅을 통한 고경력 초등교사의 과학수업전문성 변화. 서울교육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용숙․김영천․이혁규․김영미․조덕주조재식(2005). 실행연구방법. 서울: 학지사.

이재덕(2008). 수업컨설팅을 위한 코칭 기법의 특징과 활용 방안. 초등교육연구, 21(2).

307-332.

이종재․이차영․김용․송경오(2012). 한국교육행정론. 교육과학사.

이화진 외(2006). 수업 컨설팅 지원 프로그램 및 교과별 내용 교수법(PCK) 개발 연구 :

KICE 교수학습개발센터 운영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정상진(2012). 초등교사들의 체육 수업 컨설팅에 대한 인식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정수현·김도기·김민조·김민희·송경오·홍창남(2011). 2011년 자율형 공립고등학교 현황

진단 및 컨설팅 종합보고서. 교육과학기술부·경상남도교육청.

정용우(2008). 수업컨설팅이 교사의 수업효율성과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및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조영숙(2009). 초등학교 수업컨설팅 모형 탐색과 실행 과정의 효과 연구.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진동섭(2003). 학교컨설팅: 교육개혁의 새로운 접근방법. 서울: 학지사.

진동섭·김효정(2007). 학교 컨설팅의 원리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5(1). 25-50.

진동섭·홍창남·김도기(2008). 학교경영컨설팅과 수업컨설팅. 경기: 교육과학사.

천호성(2007). 사회과 수업의 협력적 실행 연구. 사회과교육, 46(3). 5-30.

천호성(2008). 수업 컨설팅을 통한 교실 수업 지원 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 교육,

47(3). 109-134.

최원석(2007). 서울시교육청 초등과학 수업개선지원단 특성 분석: 학교 컨설팅 원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성연(2010). 대학 강의 개선을 위한 수업컨설팅 사례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11(3).

97-127.

Aubusson, P., Steele, F., Dinham S., Brady, L. (2007). Action learning in teacher

learning community formation: informative or transformative? Teacher

Development, 11(2). 133-148.

Hardy, I. (2010). Critiquing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teacher learning

within the field of teachers' work. Critical Studies in Education, 51(1). 71-84.

Rosenfield, S. A. (1987). Instructional Consultation. Hillsdale, NJ: Erlbaum.

K컨설팅연구회 홈페이지 (2013. 5. 1 검색)

http://www.schoolconsulting.net/html/about.php?ptype=0504

324 교육행정학연구

Abstract

Characters of Instruction Consulting

based on School Consulting:

Focused on Three School Cases

Lee, Jae-Duck(KEDI)

Park, Soo-Jung(Chungnam National University)

This study aims to find specific characters of ‘instruction consulting’ based on

three school cases in terms of 'the concept of school consulting. To achieve it, this

study collected the data from 1) interviews with related persons in the consulting

and 2) documentations of letters for requesting consulting, consulting daily record,

final report, case analysis presentations and so on. For analysis process, this study

utilized the theory of school consulting. Based on 6 principles of spontaneity,

professionalism, independence, advisory service, temporary service, and learning in

the consulting, the result of the specific characters are the following changes: 1) from

contrived autonomous to autonomous in process, 2) from suspicion to confidence

about expertise, 3) school administration system involved in instruction consulting

process, 4) together in finding solutions, 5) assistance each other after finishing the

consulting process, 6) together in growing expertise. Through the result, this study 1)

confirms principles of school consulting and possibility of collaboration in teacher

learning in the consulting, 2) identifies and specifies performance possibility and

characters in instruction consulting.

[Key words] School Consulting, Instruction Consulting, Principles, Collaboration,

Teacher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