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91
석사학위논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Program for Persons with Chronic Mental Disorder 공주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전공 임순옥 2008. 2.

Upload: others

Post on 28-Dec-2019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석 사 학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한 사회재활

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Program

for Persons with Chronic Mental Disorder

공 주 학 교 학 원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 공

임 순 옥

2008. 2.

Page 2: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석 사 학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한 사회재활

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Program

for Persons with Chronic Mental Disorder

지도교수 강 희 숙

이 논문을 사회복지학 석사학

논문으로 제출함

2008. 2.

공 주 학 교 학 원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 공

임 순 옥

Page 3: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석사학 논문

순 옥 사회복지학 사학

청 논문 함

2007. 12.

심 사 원 ( )

심 사 원 ( )

심 사 원 ( )

공 주 대 학 대 학 원

Page 4: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i -

목 차

국문 록

Ⅰ. 서 론 ················································································1

제1 연구의 필요성 목 ····························································1

제2 연구문제······················································································5

Ⅱ. 이론 배경 ·······································································6

제1 만성정신장애인··········································································6

제2 사회재활 로그램····································································12

제3 정신장애인과 자아존 감 ······················································17

제4 정신장애인과 인 계 ··························································18

제5 정신장애인과 사회 응 ··························································20

Ⅲ. 연구 방법 ·········································································21

제1 연구가설 ····················································································21

제2 연구설계 ····················································································22

제3 연구 상 ····················································································23

제4 측정도구 ····················································································24

제5 로그램의 내용 ······································································25

Page 5: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ii -

제6 자료수집 ····················································································31

제7 자료분석····················································································31

Ⅳ. 연구결과 ···········································································32

제1 연구 상의 동질성 비교························································32

제2 가설검증 ····················································································35

Ⅴ. 결론 제언 ···································································39

제1 결론 ····························································································39

제2 제언 ····························································································42

참고문헌 ····································································································44

ABSTRACT ····························································································48

부 록 ····································································································52

부록1 : 로그램 측정도구 ··································································52

부록2 : 사회재활 로그램의 실시과정·············································65

Page 6: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iii -

표 목차

<표 1> 연구설계 ····················································································22

<표 2> 실험집단의 일반 사항 ························································23

<표 3> 사회재활 로그램의 실시 내용 ············································28

<표 4-1> 연구 상자의 일반 특성에 한 동질성 분석········· 33

<표 4-2>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한 동질성 분석···················34

<표 4-3>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아존 감 사 ·사후 비교···········35

<표 4-4>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인 계 사 ·사후 비교···············36

<표 4-5>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사회행동 사 ·사후 비교···············38

Page 7: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iv -

그림 목차

[그림 1] 자아존 감 평가의 사 -사후 평균 비교························36

[그림 2] 인 계 평가의 사 -사후 평균 비교····························37

[그림 3] 사회행동 평가의 사 -사후 평균 비교····························38

Page 8: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v -

국 문 록

만성정신장애인을 한 사회재활

로그램의 효과

임 순 옥

공주 학교 학원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 공

오랜 기간 동안 정신질환을 앓아온 만성정신장애인은 인지기능과 사회 기

능에 많은 어려움을 보이고, 음성증상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음성증

상은 꾸 한 약물치료에도 한계를 드러내어 잦은 재발을 가져오고, 이에 따른

입·퇴원이 반복되면서 만성정신장애인은 낮은 자아존 감과 인 계의 어려

움 사회부 응을 래하게 된다. 만성정신장애인의 궁극 인 치료목표는

재발을 방지하고, 사회 응력을 향상하여 독립 인 사회생활을 하도록 하

는 데 있다.

만성정신장애인의 성공 인 사회 응을 돕는 방법으로 약물치료 외에 다양

한 재활서비스가 요구되며, 이러한 지역사회 재활서비스 제공은 만성정신장애

인에게 가족 외에 이용 가능한 지지 자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에서 요

하게 작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재활서비스 기 에서 제공되는 사회재활 로

그램이 만성정신장애인들의 자아존 감 향상, 인 계능력 증진과 사회 응

능력 향상을 통하여 그들이 지역사회에서 완 한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살아

갈 수 있도록 돕고 더 나아가서는 정신장애인들의 재발율을 감소시키는 데 있

어서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효과 검증을 하여 충남에 있는 C복지 에서 리하고 있는 만성정신장애

인들을 상으로 실험·통제 집단을 각각 10명씩 20명으로 구성하여 연구실험

Page 9: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vi -

을 하 다. 사회재활 로그램은 일상생활기술훈련, 인 계기술훈련, 인간

계훈련, 인지재활, 정신건강교육, 술요법, 여가·오락 등으로 구성하여 총 16

회기로 주2회 2시간씩 진행하 다.

자료분석은 실헙집단과 통제집단간 차이를 검정하는 비모수 추리통계 방법인

Mann-Whitney의 U검정을 이용하여 두 모집단 사이의 유의미성을 검증하 다.

사회재활 로그램을 실시한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재활 로그램에 참여한 만성정신장애인의 자아존 감이 통제집

단에 비해 향상되었으며, 이는 인 계훈련과 인지재활, 여가활동 등 다양한

하 로그램으로 구성된 사회재활 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자아존 감이 높아

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둘째, 사회재활 로그램이 만성정신장애인의 인 계 향상에 미치는 향

에 있어서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검사 수의 향상을 보 으며, 통

계상으로도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만성 인 정신질환과 빈번한 재발,

장기 인 입원으로 인하여 사회 응력이 부족하고 인 계에 자신감이 결여

된 만성정신장애인들이 로그램 참여로 동료와의 상호작용과 지역사회 이용

기술을 자연스럽게 습득하고, 정기 인 활동을 통하여 무기력한 생활에서 벗

어나면서 사회생활에 자신감을 획득한 결과로 보인다.

셋째, 사회행동 증진에 한 효과성 한 사회재활 로그램에 참여한 실험

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언어 , 비언어 화 내용으로 구성된 하 역

척도에서 향상을 보여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사회재활 로그램이 소집단 내에서 서

로의 느낌과 생각을 교환하고 공유하면서, 스스로는 자신감을 획득하고 성취

감을 느끼며, 타인을 인식하고 배려하는 자연스런 계형성이 유도해낸 결과

로 분석된다.

한편, 만성정신장애인을 한 사회재활 로그램으로의 효과성을 높이고, 후

속연구자들의 발 된 연구를 하여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일상생활 속에서의 용효과를 알아보기 하여 장과제를 활용한

로그램을 용하고 그 효과성을 비교 분석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사회재활 로그램에서 얻은 치료 효과를 유지·강화할 수 있도록 후속

연구와 더불어 상자에 한 지속 인 사후지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만성정신장애인에게 나타나는 음성증상은 정보처리과정에 오류를 발생시

Page 10: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vii -

키는 인지장애를 갖게 하는데, 이에 한 연구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밝 진 것처럼 지역사회에

있는 만성정신장애인들이 약물치료와 함께 사회재활 로그램을 이용하는 것

이 자아존 감과 인 계에 정 인 향을 미치고, 나아가서 사회행동에

변화를 보여 완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 독립된 사회생활을 유지하는데 효과

임을 입증해 주었다.

심어 : 만성정신장애인, 사회재활 로그램, 자아존 감, 인 계, 사회 응

Page 11: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Page 12: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1 -

Ⅰ. 서 론

제1 연구의 필요성 목

사회는 인구증가와 더불어 격한 산업화, 도시화로 인한 복잡한 사회

구조와 문명의 이기에 의한 자동화, 획일화 등으로 인간성 상실과 인간소외

상이 증 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인들은 경쟁 인 인간 계로 변화되

고 있으며, 스트 스가 증가하여 사회심리 응에 장애를 래하여 정신질환

으로 발 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정신장애인의 증가를 가져와 우리나라 사람이 평생 한 가지

이상의 정신질환에 걸릴 확률이 33.5%로, 이러한 수치는 3명 1명꼴로 정신

이상을 겪을 수 있다는 결과를 보여주며, 우리나라 정신장애인의 출 율은

해마다 증가하여 재 7만8천여 명에 이른다(보건복지부, 2007).

이처럼 정신질환자들이 격히 증가하는 것에 반하여 정신장애인 서비스는

만족할 만한 수 에 이르지 못하 고, 부분의 정신장애인들이 가족들의 이

해 부족 속에 숨겨지거나 방치되어 왔으며, 사회로부터는 잘못된 인식과 편견

속에서 인간다운 삶을 제 로 하지 못한 채로 살아 왔다.

그러나 1995년 정신보건법의 제정과 더불어 정신장애인이 개인문제에서 사

회문제로 부각되었으며, 우리나라 정신보건정책도 정신장애인들의 인권을 개

선하고 입원치료 심에서 재활치료를 통해 사회복귀 시키고자 하는 지역사회

정신보건 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정신장애인들은 질병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스트 스에 취약하고 처기술이

빈약하며, 의존성이 강하고 경쟁 계 속에서 직업활동 유지나 인 계에 어

려움을 겪고 있다(황태연 등, 1996). 특히 장기간 입원 후 퇴원한 정신장애인

의 경우 자아존 감이 낮아 원활한 사회생활을 유지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나

타내고 있다.

Page 13: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2 -

이러한 상들은 증상자체보다 정신장애인들이 사회 속에서 자신의 역할과

기회를 갖지 못하는 과 인간으로서의 존엄성 상실 등의 문제가 더욱 심각함

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므로 이들의 하된 능력을 향상시키고 불리한 여건을

없애주는 일에 심을 기울여야 하며, 이들이 속한 지역 내에서 의미 있는

인 계를 맺고 독립된 한 인간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돕기 한 정신사회재활

서비스가 실히 필요하다(김철권, 1996).

만성정신장애인에게 있어 인 계는 자아존 감 자기표 행동과

한 련이 있으나(Smitherman, 1981), 이들은 장기간 사회와의 격리로 인하여

사회생활에 불안감을 나타내고 있으며, 가족이나 친구, 이웃들에 한 열등감

으로 심리 인 축과 우울감을 가지고 독립 인 사회생활에 어려움을 나타낸

다.

한 만성정신장애인의 경우 자신에 한 자아존 감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이정숙, 1999), 이처럼 자아존 감이 낮은 사람은 일의 성취도가

낮고 비극 이며, 타인의 비난에 쉽게 상처를 받는데 비하여 호의 인 우를

받고자 하는 욕구로 인해 외부환경에 쉽게 설득되며, 자기 정체성이 약하다

(김시업, 1995).

이외에도 만성정신장애인은 가족으로부터의 소외와 이웃의 편견, 경제 인

능력상실 등에 따른 심리 압감으로 재발의 가능성이 높으며, 장기간 약물

을 복용하면서도 병을 인식하거나 리하는 능력이 히 부족하여 약물치료

에 한 정확한 정보가 거의 없어 약물복용을 단하거나 자신의 마음 로 증

량을 하거나 먹지 않는 등 나쁜 복용습 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러한 여러 가지 문제들을 완화시키고 정신장애인의 성공 인 사회

응을 돕는 인 계 의사소통 기술의 증진, 독립심과 사회성의 발달,

정 인 자아존 감 진, 성취동기 유발을 통한 사회 응능력 향상, 비친족과

의 계망 형성 등은 정신장애인에게 있어 가족 외에 이용 가능한 지지 자

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에서 요하다(김희정, 1992).

Page 14: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3 -

우리나라 부분의 종합병원 정신과 병동이나 정신병원에서 실시하는 만성정

신장애인의 재활서비스의 종류는 개인정신요법, 집단정신요법, 약물 증상

리교육, 스트 스 리, 생활요법, 오락요법, 그림요법, 음악요법, 운동요법, 행

동요법, 작업요법, 심리극, 사회성훈련, 직업재활, 가족교육 가족치료, 환경

요법 등이 있다..

그러나 병원 심의 장기치료에서 단기치료 경향으로 어느 정도 호 되어

가정과 지역사회로 돌아간다고 하더라도 만성정신장애인 개인과 가족이 지역

사회 응과정에서 요구되는 훈련과 비가 되어있지 않다면 재발과 재입원의

가능성은 높아질 것이다(김철권, 1996).

따라서 만성정신장애인이 퇴원 후 지역사회에서 독립 으로 기능할 수 있는

기술을 체계 이고 반복 으로 훈련시키는 사회재활 로그램이 요구된다.

사회재활은 주로 집단활동으로 이루어지며, 만성정신장애인 스스로가 주체

가 되어 자신이 경험한 일들이나 심있는 주제에 하여 경험과 의견을 나

고 서로간에 지지를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듭하면서 자신의 감정을 다루고

표 하는 방법을 익히게 되고, 합리 인 의사소통을 배우게 된다(이정

균,1992).

이처럼 집단활동은 만성정신장애인의 재발을 효율 으로 방지할 수 있는 정

보제공과 사회 응에 필요한 한 인 계기술, 어려운 상황에서의 처방

법 등을 구체 인 상황을 제시하여 연습, 훈련시켜 재발율 감소와 스스로의

극복능력 사회 응력을 향상시켜 궁극 으로는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유

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김철권, 변원탄 공역, 1995).

한 만성정신장애인 재활에 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박강규(1990)는 정신

분열증 환자의 사회 재활 로그램의 하나인 사회기술을 언 하면서 사회기

술훈련 치료의 요성을 강조하 고, 채 안(2000)은 치료 크리에이션을 활용

한 신체 , 정서 , 사회 행동을 바람직하게 변화시키고 개인의 성장과 발

을 증진시킴을 입증하 으며, 다른 연구에서는 치료 크리에이션이 입원한

Page 15: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4 -

정신질환자의 자아존 감과 우울, 인 계에 정 인 효과가 있음을 밝히기

도 하 다(김상숙,1998). 미술요법은 그림이라는 비언어 의사소통을 통해서

치료자와 환자간의 이작용이 쉽게 일어나고 항을 덜 느끼며, 내면의 심리

까지 드러내어 정신질환자의 자아존 감과 우울, 인 계에 정 인 향을

미쳤다(이상윤, 이경희, 1998).

이외에도 작업요법, 놀이요법, 음악요법, 무용요법, 술요법, 원 치료 등이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지 까지의 연구들은 부분 정신병원의 낮병원이나 정신보건센터에

서 실시한 집단활동요법에 한 연구들로 장애인복지 에서 실시하는 사회재

활 로그램에 한 연구 논문은 무한 상태이어서, 본 연구에서는 만성정신

장애인에게 지역사회 재활서비스기 에서 제공되는 사회재활 로그램의 효과

성을 측정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로 인하여 만성정신장애인들의 자아존 감, 인 계능력과

사회행동능력이 향상되어 그들이 지역사회 내에서 완 한 사회의 한 구성원으

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돕고, 더 나아가서 정신장애인들의 재발율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체 인 목 을 설정하 다.

첫째, 외래치료를 받으면서 지역사회내에 거주하고 있는 정신장애인의 사회

재 활을 하여 통합재활 로그램을 용해 으로써 지역사회 내에서의 사

회재활 로그램의 유용성을 밝히고자 한다.

둘째, 지역사회 거주 만성정신장애인에게 사회재활 로그램을 실시함으로써

이들의 자아존 감, 인 계 사회 응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지 알아본다.

셋째, 지역사회정신보건에서의 사회재활 로그램의 구조화 활용 가능성

을 알아본다.

Page 16: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5 -

제2 연구문제

만성 정신장애인은 오랫동안 만성 정신질환에 시달리고 반복 인 입·퇴원

으로 인한 사회와의 격리 등으로 자아존 감이 낮고, 인 계에 불안감을 나

타내며, 이로 인하여 지역사회 응능력이 떨어지는 문제 이 나타나 사회재

활훈련의 필요성이 두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재활 로그램을 통해 자아존 감과 인 계능력

사회 응 능력의 향상을 도와 만성 정신장애인으로 하여 자신의 삶에 극

으로 처하고 스스로 자존감 있는 삶을 살 수 있는지 그 효과성을 검증하

는데 목 이 있다.

이러한 목 달성을 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제시한다.

1) 연구문제 1 : 사회재활 로그램을 받은 만성정신장애인은 자아존 감

이 향상될 것인가?

2) 연구문제 2 : 사회재활 로그램을 받은 만성정신장애인은 인 계가

향상될 것인가?

3) 연구문제 3 : 사회재활 로그램을 받은 만성정신장애인은 사회 응능

력이 증진될 것인가?

Page 17: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6 -

Ⅱ. 이론 배경

제1 만성 정신장애인

1. 만성정신장애의 개념

부분의 질병은 일반 으로 병의 진행과정과 치료, 회복이라는 차원에서

성과 만성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만성 인 정신장애에 한 개념을 정의하

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아직까지 정신장애의 정확한 원인이 규

명되지 않은 데다 만성에 한 정의도 단순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를 해

정신장애(psychiatric disability)와 정신질환(psychiatric illness)을 구분하는 것

이 필요하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이를 유사한 개념으로 혼용하는 경향이

있으나 정신질환은 신체 질환과는 달리 발병과 진행과정, 회복에 있어 장기

간이 소요되어 장애의 상태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정신질환은 정신병

(psychotic)인 것과 신경 (neurotic)인 것 모두르르 포함하면서 재 질병의

과정이 진행되는 것을 말한다. 반면에 정신장애는 질병 이 의 정신 기능이

회복되지 못하여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에 기능 하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채 안, 2000). 이를 구별해야 하는 이유는 정신병자라는 한 개인에게 주어진

사회 역할과 낙인은 자아감과 행동을 결정하는 동시에 그 사람의 행동에

한 타인들의 반응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회생활을 할 수 없는 환자

로 보기보다는, 사회속에서 비장애인에 비하여 사회 능력 제약과 불리함에

처해있는 장애인으로 보는 것이 재활이라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부분 정신장애의 발병시기는 18세~25세 사이에 90% 이상이 발병하며,

기에는 발견이 어려워 정신병원을 찾을 때는 증의 경우가 부분으로 장기

간의 입·퇴원을 반복하면서, 질병의 심각성을 깨닫게 되고 약물치료의 과정을

거치가면서 만성화 되어간다(이계안, 2000). 이 게 만성화된 정신장애인은 자

신의 증상에 한 통찰력이 거의 없으며, 일상생활에서 자신의 일도 제 로

Page 18: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7 -

처리하지 못하면서 독립 인 생활이 차 어려워진다. 그리고 환자의 보호자

한 장기간이 입·퇴원의 악순환을 거듭하면서 차 병의 심각성을 깨닫게 되

고 가족들이 소진되어 기야는 가족으로부터 소외 되어가고 만다.

다른 연구에서는 (조흥식, 1994) 유병기간이 최소한 2년을 경과하고, 재

입원기간이 1년 이상되고, 재입원의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으며, 병의 장기화로

환자 자신의 능력상실로 인한 가정기능의 약화, 치료의 성격보다 보호 성격

이 강한 가족의 수용시설 욕구, 사회 응의 기회 상실, 정신장애의 복합 요

소로 인한 사회문제화 등을 언 하 다.

이와같이 만성 장애는 사회 계와 한 계가 있는 음성증상을 더욱

악화시켜 특정상황에 한 정보처리과정에 오류를 발생시키는 인지기능장애를

갖게 함으로써 결국 문제해결능력의 감소, 인 계의 어려움 등의 사회 응

력 약화를 래하게 된다(Bellack, 1992 ; Brenner, 1994; William, 2000).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만성 정신장애인들은 사회 고립, 감정표 의

둔화 소실, 말수 감소 상실, 의욕상실, 주의집 장애 등 부분의 음성증상

과 질환 발생후 재발, 만성화로 인해 일상생활과 련된 기능상에서 장애를

경험하고, 이로 인하여 사회 응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가족의 기능이

상실되고, 경제 어려움을 경험하면서 이에 한 책이 요구된다.

한 음성증상은 약물을 통한 개선이 다소 어렵기 때문에 만성 정신장애인이

지역사회에 통합될 수 있도록 사회재활 로그램이 제공되어져야 하며, 이외

에도 주거시설 확보와 생계보장이 선행되어지고 평생계획에 정신보건 문가들

이 극 으로 개입해야 한다(서미경, 2000).

결론 으로 만성정신장애인이란 정신분열병, 기분장애, 조울증 주요 우울증과

같은 만성 이고 심한 주요 정신질환에 이환되어 있는 환자로서 질병으로 인해 일

상생활 사회 , 직업 기능의 장애가 있는 사람(김철권, 변원탄 공역, 1995)으

로 본 연구에서는 정신질환 발병 이후 2년 이상 경과된 사람으로 입·퇴원 반복과

증상지속 등 반 사회기능 하로사회통합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으로 정의한다.

Page 19: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8 -

2. 정신장애의 원인 특성

정신장애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 지지 않은 상태이지만 이와 련하여

여러가지 원인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김윤희 외, 2001).

첫째, 스트 스- 취약성 모델로 이는 체질 으로 취약성을 갖는 개인에게

어떤 스트 스가 가해지면 정신분열병의 증상을 일으키게 된다는 가설이다.

스트 스를 주는 생활 사건들로는 친구나 애인의 상실, 이별, 가출, 군입 등

이며, 이외에도 사회 스트 스(빈곤, 가족이나 친척이 없음 등), 가족환경(지

나친 과보호, 이거나 비 분 기 등), 신체 요인(질병, 술 는 마

약복용 등)을 들 수 있다.

이런 스트 스를 받으면 개인의 체질에 따라서 쉽게 기를 넘기는 강한 사

람이 있는가 하면 이를 극복하지 못해 정신분열병에 걸리는 약한 사람이 있

다.

둘째, 생물학 원인으로 뇌의 이상과 신경 달물질의 이상을 들 수 있다.

뇌의 이상은 지난 10년간 뇌의 어떤 특정한 부 가 정신분열병의 발생과 연

성이 있을 것이라는 여러 연구들이 시행된 결과 두엽(뇌의 부피와 액순

환의 하), 측두엽(간질이 있을 때 정신분열병을 일으키기가 쉬움) 등 몇 가

지 가능성 있는 부 들이 제시되었다.

신경 달물질은 인간의 생각, 감정, 지각, 행동 등 모든 것을 뇌 안에서 정

해진 통로를 통하여 달해 주는 화학물질로서, 신경 달물질을 통하여 우리

는 생각하고 느끼며, 지각하고 행동하게 된다.

재까지 밝 진 뇌 안의 신경 달 물질은 수십종이 넘으며, 이러한 신경 달

물질의 이상이 정신분열병뿐만 아니라 우울증, 조증, 불안증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고 있다.

Page 20: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9 -

재 정신분열병에서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신경 달물질은 도 민으로 정신

분열병은 뇌안에서 도 민이 무 많이 달되기 때문에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지

고 있다.

셋째, 유 학 원인으로 여기에는 가족연구 - 평균 으로 일반인구에서

정신분열병의 유병율은 보통 0.5%-1.5%인데 반해, 정신분열병 환자의 형제

혹은 자녀에서 유병율은 보통 5-15%로서 10배나 높으며, 양쪽 부모 모두 환

자일 경우 40%로 증가하여 연 계가 가까울수록 발병 기 율이 높아지며,

이외에도 생아 연구, 양자연구 등이 있다.

넷째, 정신사회 원인은 환경이 정신분열병의 발병에 요한 역할을 하며,

사회문화 요인 한 정신분열병의 발병을 자극할 뿐만 아니라 진단, 치료

경과에 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에는 외부 정보처리의 이

상으로 정신분열병 환자들은 외부의 자극에 과다하게 민감한 경향이 있으며,

다양한 자극을 분류하기 어렵고, 어떤 시기에는 자료 일부분에 을 맞추는

게 어렵다.

한 사회 환경은 산업화와 도시화가 정신분열병의 원인과 련성이 있다

고 주장하기도 한다. 생상태의 불량, 경제 박탈, 불충분한 교육, 범죄행

등 가족 사회기능의 장애를 요한 원인 스트 스로 들기도 하나, 빈민가

에서도 건강한 아이가 정신분열병에 걸리지 않고 자랄 수 있기 때문에 그 다

고 단정할 수도 없다.

이 게 여러가지 원인이 제시되고 있지만 최근 정신분열병과 련하여 가장

주목받는 이론은 스트 스 취약성 모델이다. 그러나 결론 으로 말하면 정신

분열병은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 으로 작용해서 뇌의 체 인 기능장애를

래하는 복합성 뇌기능 장애이다.

정신분열병에 걸릴 수 있는 소인이 유 요소에 의해 향을 받을 수 있

다는 정도의 지식은 알려져 있으나, 어떠한 유 인자가 결정 으로 작용하는

Page 21: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10 -

지 아직은 잘 모르고 있고, 그것만으로 병의 원인을 충분히 설명할 수 없다.

최근의 연구를 종합해 보더라도 정신분열병은 유 병은 아니지만 가족 인 경

향은 있다는 정보이다.

유 병이 일정한 유 법칙에 따라 자손 로 해 내려오는 병이라면 가

족 인 경향이란 가족 한명 는 여러명이 어떤 병을 앓고 있을 때 나머지

가족이나 자손들에게 그 병이 나타날 가능성이 일반사람보다 큰 것을 말하는

데 일반 으로 체질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환경 요인 한 이에 못지 않게 여하나 그것만으로도 병의 원인에 한

설명이 충분하지 않다. 물론 정신사회 요인 등이 유발인자로 작용할 수 있

음은 거의 확실히 밝 지고 있다.

만성정신장애인의 특성으로는 DSM-Ⅳ에 의한 분류, 의학 인 특성, 사회심

리학 특성으로 근할 수 있다.

먼 DSM-Ⅳ에 의하면 일반 으로 정신질환은 크게 정신증(psychosis), 신

경증(neuroses), 성격장애(personality disorder), 기타장애로 구분한다. 정신증

은 정신분열증과 정동장애로 분류하는데, 첫째 정신분열증은 극단 인 실

왜곡이 특성이다. 한 경과가 만성 이며 외형 으로 환청, 망상, 자기통제력

상실, 괴상한 행동 등을 들 수 있다. 정동장애는 정서혼란이 특성으로 우울증

과 조울증으로 표되며, 인지능력, 활동수 , 언어기능 등 많은 기능에 변화

를 래하며, 그에 따라 인간상호 계, 사회 역할, 직업상에서의 기능 손상

을 가져온다.

신경증은 정신분열과 비슷하지만 사회생활 가운데 사람들과 할 수 있고

질병의 심각성이 덜하다. 증상으로는 불안, 강박장애, 공포증 이며, 사람에 따

라 그 유형이 다양하고 특정 행동마 다르게 나타난다. 성격장애는 지능에

결함이 없고 정신병처럼 사고, 행동, 경험에 있어 심한 퇴행을 보이지 않으면

서도 자신의 문제를 인식하지 못하거나 부정한다는 이다(채 안, 2000).

Page 22: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11 -

다음으로 만성정신장애인에 한 의학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그만 스트 스에도 심한 정신병리 상을 나타낸다.

둘째, 리, 경제활동, 교통수단 이용, 식사 비, 세탁 등 생존을 한

기술이 결여되어 있다.

셋째, 자신을 무력하다고 여기기 때문에 가족이나 정부의 도움이나 지원이

없으면 심한 정신 병리 상을 보인다.

넷째, 보호와 지도아래 기술을 익힐 때는 직업에 어느 정도 응할 수 있으

나 혼자만의 직업유지나 경쟁 계 속에서는 매우 많은 스트 스를 받

게 되고 결국에는 직업을 유지하지 못한다.

다섯째, 부분은 타인과 긴 한 계를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느낀다(황태

연 외 1996).

만성정신장애인의 사회심리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는 유병기간이 최소한 2년을 경과한다. 둘째, 입원기간은 90

일 이상이며, 재입원·퇴원의 악순환이 반복되고, 셋째, 병의 장기화로 인한 능

력상실로 개인생활 가정생활의 기능이 약화된다. 넷째, 단기간의 치료보다

장기 보호의 성격이 강하여 가족의 보호부담이 커지고 그에 따른 욕구가 강하

게 나타난다. 다섯째, 정신장애의 장기화로 가정 탄을 래하고 여섯째, 사

회로 부터의 편견과 낙인으로 인한 사회 응 기회가 상실된다. 일곱째, 만성과

정신장애의 복합 요소로 인해 사회복지 책이 요구된다(양옥경, 1996).

이상과 같이 만성정신장애인의 특성에 하여 DSM-Ⅳ에 의한 분류, 의학

, 사회심리학 근의 결과를 고려해 볼때 이들의 재활과 사회복귀를 한

구체 이고 다양한 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특히 만성정신장애인의 자아

존 감과 인 계를 높여주어 사회 응에 한 극성과 활동성을 강화시켜

주기 하여 사회재활 로그램은 반드시 필요하다.

Page 23: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12 -

제2 사회재활 로그램

1. 사회재활 로그램의 개념

재활(Rehabilitation)의 방법은 매우 다양하지만 그 원리는 개인이 갖고 있는

능력을 가능한 최 한으로 발휘하는데 있다. 재활은 정신과 신체장애의 구별

없이 환자로 하여 신체 , 정신 , 사회 , 직업 으로 그의 능력에 가능한

만큼 만족할 만한 생활을 하고 최 한의 기능을 활용하여 응하도록 하는 형

태의 재활훈련과 응방법을 말한다. 특히 정신과 재활은 재발과 재입원의 방

지, 삶의 질 개선, 한 사회 역할의 획득 이라고 할 수 있다(Campbell,

1976). 한 Thomson과Stand(1994)는 정신재활의 원리를 첫째, 병리학 인

것보다 상자의 능력과 회복에 촛 을 두었다. 두번째로 모든 사람은 개발될

수 있는 잠재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셋째, 의학 건강 리 모델보다 사회

건강 리 모델을 강조하 다. 넷째로는 과거의 문제보다 ‘지 여기에(here &

now)’ 를 강조하 고, 다섯째, 모든 사람은 사회 , 직업 , 교육 , 인 계

기술 등을 지닌다. 여섯째, 모든 인간은 자기결정권과 책임을 갖는다. 일곱째,

서비스는 가능한 한 정상 인 환경에서 제공되어야한다. 여덟째, 각 개인마

다 자신의 능력을 최 한 개발할 수 있도록 개별화 한다. 아홉째, 서비스는

문 이고 권 인 방어나 장애요인이 없는 친 한 환경에서 제공되어야 한

다. 열 번째, 인 계는 변화를 일으키는데 필수 이다. 열 한번째, 직업재활

즉, 일하는 것은 재활과정의 요한 요인이다. 열 두번째, 상자와 가족이 재

활의 주체가 된다. 이처럼 지역사회정신보건사업은 와 같은 재활원칙을 따

를 때 만성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이 향상·유지된다.

이를 해 우리나라에서는 1995년 정신보건법의 제정 이후 수용 심에서 지

역사회 심으로 패러다임이 변화하 고, 만성정신질환자의 재활 로그램에

한 심이 증가하 다. 따라서 사회재활 로그램은 개인의 기능과 능력을

회복시키고 이를 극 화 하는데 을 둔 포 근 방법이며, 정신장애인

Page 24: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13 -

의 강 과 약 을 평가하고, 이들이 지역사회에서 최 의 기능과 역할을 담당

하고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 서비스이다(Liberman, 1988).

실제로 정신장애인에게 있어 사회재활은 약물치료와 함께 정신분열병과 같

은 만성정신장애인의 사회복귀를 해 리 사용되고 있다. 선진각국에서는

정신장애인의 사회재활을 약물치료와 함께 가장 필수 이며 효과 인 방법으

로 인식하고 있어 두 가지 치료를 병행해 나가는 것이 보편화 되어있다.

재 세계 으로 정신재활 역에서의 치료목표는 정신과 증상제거의 소

극 인 목표에서 정신질환자가 사회속에서 독립 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

와 사회복귀를 실 하는 극 목표로 변화되어 정신사회재활 서비스의 요

성 한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정신장애인 사회재활 로그램은 주로 집단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집단 형식의 로그램 용은 재발을 효율 으로 막을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

고 그와 련된 기술훈련을 용하여 약물 스스로가 증상 리를 할 수 있

도록 지도한다. 한 집단 로그램은 자신들의 치료에 해 스스로 토의를 하

는 등 정신장애인 본인이 심이 되어 경험한 일들이나 심있는 주제에 해

장애인과 치료자가 함께 의견을 나 고 상호 지지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

신의 감정을 다루고 표 하는 방법을 배우면서 합리 인 의사소통을 배우게

된다(이정균, 1992).

그러나 지역사회보건체계의 열악한 상황과 문가들의 부족은 정신장애인에

게 재활을 치료보다 리라는 차원에서의 재활 로그램을 실시할 수밖에 없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어(정선 , 2001), 많은 수의 정신장애인들이 입원이나 외

래치료 수 에 만족하고 있는 실이다. 그러나 만성정신장애인 경우 지속

인 약물복용과 증상 리가 제 로 되지 않아 잦은 재발과 재입원을 되풀이하

고 이로 인하여 자아존 감 인 계는 더욱 어려워진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하여 사회재활 로그램은 정신장애인 각자가 독립

으로 자기 리를 할 수 있으며, 지역사회에서 효율 으로 기능하고 살아가는

데 필요한 처기술을 습득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한 재의 기능수 을

Page 25: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14 -

지지, 강화하여 주는 재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일상생활기술훈련, 사회기술

훈련, 인간 계훈련, 인지재활, 정신건강교육, 술요법, 여가·오락활동 등 삼성

병원의 통합재활 로그램을 용하여 만성정신장애인들이 그들이 속한 지역

사회내에서 의미있는 인 계를 형성하고 독립된 인간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돕기 하여 사회재활 로그램 참여 여부가 인 계증진에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2. 사회재활 로그램의 구성

지역사회 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정신장애인 사회재활 로그램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일상생활기술훈련

일상생활기술훈련은 스스로 자신이 생활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가정 기본

인 개인 생 리, 식생활 요리실습, 세탁 등 의복 리 등을 말한다(이충순

외 1996). 이는 실제 생활에서 훈련을 하여 직업 , 사회 인 계 기술

을 가르침과 동시에 일상생활에서 기능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재활치료 모

델로서 이는 인 계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자기의 어려움 표 과 자기주장

자존감이 향상되어 동기유발과 의욕 증진으로 인 계에서 신뢰감을 경험

하게 된다(이숙자 외, 1999).

2) 사회기술훈련

사회기술훈련은 만성정신장애인의 사회 응에 필요한 화기술과 원만한

인 계기술, 기 처방법을 훈련시키는 것이다. 사회기술훈련은 행동치료와

인지치료에 기본을 둔 것으로 인지의 변화는 행동변화에 선행하기도하고 때로

는 행동을 통해 인지의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 사회기술훈련의 핵심이

다. 이러한 사회기술훈련의 구성요소들은 일상생활기술, 의사소통기술, 사회인

지기술, 사회문제 처기술로 요한 하 내용으로는 화기술, 칭찬하기, 감사

Page 26: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15 -

하기, 정 ·부정 감정표 , 자기주장, 요청(요구)하기, 사과하기, 거 하기,

타 이나 상하기, 문제해결기술, 자기 리기술 등으로 구성된다. 이는 정신

장애인의 기능 수 을 유지·강화하는데 필요한 기술이며, 가족을 비롯하여 타

인과의 인 계에 어려움이 많은 경우 갈등이나 긴장을 완화시켜주는데 효과

인 수단이 된다.

3) 사회 응기술훈련

사회 응기술훈련은 일상생활에서 자주 이용하는 사회시설을 히 이용하

고 사회생활 쉽게 할 수 있는 여러 상황들을 잘 처해 나갈 수 있도록

하여 사회인으로 바르게 살아갈 수 있는 응기술을 익히는 것이다. 이런 훈

련을 통해 자기표 증진, 인 계 향상, 인간 계 경험, 자신감 획득과 자기

주장 사회성 증진을 경험하며 이는 자아존 감과 인 계의 향상을 가져

온다고 보고한다(김진희, 2003).

4) 정신건강교육

정신건강교육은 약물 증상 리에 한 내용으로 구성된다. 많은 정신장

애인들은 퇴원 후 지속 인 약물복용과 증상 리를 제 로 이행하지 않아 잦

은 재발과 재 입원의 과정을 겪는 원인이 되고 있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자 시도된 정신건강교육은 정신장애인의 재발을 감소시키고 병의 치료경과를

호 시켰다고 보고되었다(김철권 등, 1998). 이와 같이 약물 증상 리에

한 정신건강교육은 증상을 조 하는데 효과가 있어 사회심리 근이 가능하

고 치료에 극 인 참여를 가능 하고 심신의 회복과 더불어 재활에 많은 도움

이 된다(이숙자 등, 1999)

5) 직업재활 로그램

직업재활 로그램은 정신장애인이 사회에서 직업을 가질 수 있고 발병 의

직업으로 다시 복귀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정신질환이 발병되어 만성 인

Page 27: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16 -

질병으로 고착이된 후에는 다수의 정신장애인들이 직업을 구하기 어렵고,

직업에 필요한 기술 습득이 어려운게 실이다.

따라서 이러한 만성정신장애인들에게 보호작업장에서 단계 인 훈련을 시키

고, 지역사회내 업체개발을 통하여 취업을 의뢰하고 직업 응을 지원하여 독

립생활을 가능 하는 것이 직업재활의 가장 궁극 인 목표이다.

그러나 만성정신장애인의 경우 직업을 갖고자하는 의지가 결여되었고, 무기

력한 생활태도 등으로 직업을 유지할 수 있는 인내력이 부족하며, 한 기술

인 능력은 있을 지라도 인 계 능력부족과 자신감 결여 등으로 계속 으

로 직업생활을 유지하는 것은 어려운 실이다. 따라서 사회재활 로그램

역에서 앞에서 언 한 일상생활기술, 사회기술, 사회 응기술, 정신건강교육

등이 선행되어질때 사회재활의 최종목표로 직업재활이 성공 으로 수행되어질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개입결과로 직업재활훈련 역에서 정신장애인들의 행동변화는 자신

감 획득, 자존감 향상, 인 계증진, 자기만족감 획득 등이 나타났다고 보고

한다. (이숙자 외, 1999). 한 직업재활 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지역사회에 거

주하는 만성정신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와 자존감이 직업재활 로그램에 참여

하지 않고 외래치료 인 환자보다는 높다는 연구결과 있다(조성진 등, 2003).

따라서 만성정신장애인의 재활을 통한 완 한 사회참여를 해서는 직업재활

로그램의 지속 인 개발과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지역사회

의 인식개선과 더불어 구직의 기회 제공을 한 지역사회 련업체들의 극

인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임상에서의 로그램 용결과도 약물치료와 병행된 사회재활 로그램

참여로 재발율 입원횟수, 입원일수가 히 감소되는 것으로 찰되어진

다. 한 선진각국에서도 사회재활 로그램을 약물치료와 함께 가장 필수 이

며 가장 효과 인 방법으로 인정하고 있으며, 두 가지 치료를 함께 운 해 나

가는 것이 아주 보편화 되어 있다.

Page 28: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17 -

최근 세계 으로 정신과 치료목표가 정신과 증상을 제거하는 소극 인

목표에서 환자가 사회에서 독립 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돕는 사회복귀 실

이 궁극 인 목표로 바 었기 때문에 사회재활 로그램이 만성정신장애인의

자아존 감 인 계와 사회 응력향상, 재발율 감소 등으로 인한 완 한

사회참여에 효과 인 근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문헌고찰을 통하여 만성정신장애인의 재활을 하여 지속 인 약물

치료와 함께 다양한 사회재활 로그램 용이 요구되어짐을 알아보았다.

제3 정신장애인과 자아존 감

자아존 감은 인간의 일생을 통하여 변화하고, 여기에 향을 미치는 요인

은 매우 다양하다. Maslow(1970)는 자아존 감을 다른 사람들이 자기를 존

하기 때문에 갖게되는 외 자기존 과 스스로 자기를 존 하게 하는 내 자

기존 의 두 가지로 구분하 다. Rogenberg(1979)는 자기자신을 존경하고 바

람직하게 여기며 가치있게 생각하는 것을 자아존 감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높은 자아존 감은 극 인 문제해결의 의지를 진하고 자신의 모든 생활을

가치 있고 보람있다고 생각하면서 자신감이 있기에 원만하고 진취 인 사회생

활을 한다. 반면 낮은 자아존 감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자기자신을 무가

치하고 쓸모없는 사람으로 여겨 자신을 학 하거나 열등감으로 우울감을 동반

하고 있다.

특히, 만성정신장애인에게 있어 자아존 감은 기본 으로 장애에 한 응

정도와 련 되어질 수 있으며, 장애인 개인의 심리 ·환경 요인들에 한

반 으로 개인의 사회 활동에 큰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고려될 수 있다.

박순자(1996)에 의하면 외래치료를 받고 있는 정신장애인의 자아존 감이 정

상인에 비해 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 질병이나 사고는 일상생활에

큰 을 가하고 좌 감을 느끼게 한다. 정신질환 역시 다른 질병이나 사고

Page 29: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18 -

와 마찬가지로 자아존 감의 상실을 가져오는 요인이 된다고 하 다.

이러한 사실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정신장애인은 죄의식과 불안을 경험하

기 시작하면서 자존감 상실과 열등감, 비굴함 등 부정 기제를 사용하며, 자신

에 한 불신, 오와 타인에 한 피해의식으로 인 계에 장애를 가져오고

냉 , 기피, 배척을 받게 되어 기야는 망, 도피, 고독감, 부정, 무가치함과

실패 등을 경험하며 극도로 낮은 자아존 감을 갖게 된다(도복늠 등, 2000).

다른 연구결과에서도 자아존 감이 낮은 경우 정신질환이 발병율이 높다는 보

고가 있다.

한 정신장애인들은 치료가 진행됨에 따라 무가치, 무감동을 느껴 정상인

에 비해 상당히 낮은 수 의 자아존 감을 나타내어 생활양상 변화 응에 어

려움을 나타낸다(Smitherman, 1981). 따라서 사회재활 로그램을 통하여 정신

장애인이 실패에 한 두려움을 실 으로 다루어주고 단기간의 목표달성을

통해 실패를 여서 자아존 감과 동기를 향상시키는 근법이 필요하다.

자아존 감은 정신장애인에게 부정 인 상태로 인식되는 상황에 해 이를

극복하고, 극 으로 처하게 하는 자기확신이나 자신감 등과 같은 강

는 자원으로 본 연구에서는 Rogenberg의 자아존 감척도(1969)를 병재

(1974)가 번역한 도구로 측정된 수를 말한다.

제4 정신장애인과 인 계

인간의 삶은 여러가지 형태의 끊임없는 인 계로 이루어지고 있다. 한

다른사람들과의 만족스럽고 즐거운 인 계의 경험은 풍부하고 보다 완성된

인간을 만든다. 따라서 인 계가 만족스러울 때 완 한 한 인간으로 성장,

발달하게 되고 이는 인간의 가정, 학교, 사회, 직업 등 사회 반에 향을

미친다(백은령, 1992). 이처럼 인 계는 삶을 하는데 있어 매우 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Page 30: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19 -

그러나 많은 정신장애인들의 경우 어떠한 상황에서 자신들이 원하는 행동이

나 화를 하고 싶다는 것을 알지만 실패를 두려워하거나 인 계의 갈등으

로 그 게 하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특히 만성 정신장애인들은 인 계의 갈등과 응상의 문제를 경험하면서

사회 상호작용이 감소되고 부 하거나 부당한 행동을 나타내며, 장기간의

입원 등으로 인 계에 장애가능성이 있음이 증명되고 있다.

정신장애인의 사회 응 상태에 한 연구를 보면 부분 인 계, 가족

계상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명선, 1991). 즉 이들에게 나타나는 공통

의 하나가 인 계에서의 문제들을 잘 처리하지 못하고 효과 인 인 계

기술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만성 정신장애인들은 질병의 특성상 입원치료로

증상이 사라진 후에도 장기간 동안 증상이 상당 부분 남아 있게 되고 특히,

일상생활, 인 계기술, 직업기술, 여가활용기술 등이 하된다(이숙, 1996).

인 계에서 가장 요한 기술은 자기표 행동이지만 정신장애인들은 자

신의 감정과 욕구를 상 방에게 분명히 표 하지 못하며, 상 방과 감정을 교

류하고 심을 표 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이런 만성 정신장애인들에게 인

계 향상을 한 효과 인 방법으로 사회 응훈련(김진희, 2003), 사회기술훈

련( 석균, 1994), 치료 크리에이션(정 구, 2001), 무용·동작치료(류분순,

2000) 등의 연구 결과가 보고 되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 인간 계와 사회

응에 어려움을 나타내는 만성정신장애인의 인 계 향상에 매우 효과 이다.

최근 정신장애인의 출 율이 계속 증가하면서 정신질환에 한 심이 증가

하고 이에 따라 지역사회 정신보건 분야는 다양한 재활 로그램이 개발되었

다.

결론 으로 인 계는 두 사람 혹은 그 이상의 인간들 상호간에 일어나는

계로서 본 연구에서는 자아에 한 정 ·부정 태도, 자신의 감정, 생각

이나 소망 등을 잘 표 하고 타인의 감정, 생각, 소망을 알아낼 수 있는 역동

이고 계속 인 상호작용으로 정의한다.

Page 31: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20 -

제5 정신장애인과 사회 응

사회 응이란 개인과 사회환경간의 능동 인 상호 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사회조직내에서 각 개인이 갖게 되는 다양한 사회 지 와 그에 따르는

역할을 어떻게 수행해 나갈 수 있는가를 살펴 으로써 알 수 있다(Weiss,1972).

반면에 부 응이란 개인이 사회로 부터 부여받게 되는 역할에 하게 처

하지 못하면서 이러한 처방법에 한 불만족감을 갖게 되는 것이다.

정신장애인의 사회 응력의 문제 은 반복 인 재발과 입원으로 사회화의

격리속에서 사회 응의 기회가 상실되고 이러한 상태가 반복 으로 이루어지

면서 주의집 력이나 새로운 개념형성능력 감소, 선택 지각과 같은 인지장

애를 유발하는 음성증상이 심화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러한 음성증상은 인지기능의 장애를 더욱 악화시키고 이는 사회기술이나

문제해결능력, 인 계에 어려움을 가 시키면서 결국에는 사회 응력 약화

를 래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김 미, 1998).

이처럼 사회 응력이 낮은 만성 정신장애인의 경우 삶에 한 활동의 결여,

건강 리 부족, 실업과 경제 빈곤으로 이어지게 되고 더 나아가서는 사회

고립과 사회의 거부에 한 외로움과 상실감을 느끼게 되어 재발의 빈도가 더

욱 가속화 되어지고 이는 사회 응을 한 재활동기 약화의 결정 인 요인이

된다. 만성정신장애인이 사회 응 반에 걸쳐 어려움을 느끼는 것은 특히 직

업과 취미활동, 인 계에서의 응을 가장 어려워하고( 명선, 1991), 가족이

나 확 가족과의 응정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평가하고, 사회 계 여

가활동, 직업에 한 응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보고한다(하경희, 1999).

따라서 만성정신장애인에게 있어 사회 응능력은 재활을 더 구체화시키고,

생산 이고 독립 인 생활에 하여 자신감을 획득하게 할 수 있다는 에서

요한 역할을 차지한다. 이처럼 사회 응은 사람이 원만한 사회생활을 유지

하고 각자에게 주어진 사회 지 에 맞는 역할 수행을 하여 사회 활동을

성취하는 능력으로 본 연구에서는 개인이 갖추어야 할 기능들인 인 계, 일

상생활, 직업기능, 여가활동 등을 자발 으로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Page 32: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21 -

Ⅲ. 연구 방법

제1 연구가설

본 연구의 이론 배경을 심으로 만성 정신장애인을 한 사회재활 로

그램의 요성을 인식하게 되었으며, 이를 해 만성 정신장애인을 한 사회

재활 로그램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설정하여 진행한 후 사 ·사후의 변

화도가 있는지 비교해 아래의 세 가지 측면에서 그 효과성을 측정하 다.

가설1. 사회재활 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자아존 감이

향상될 것이다.

가설2. 사회재활 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인 계가

높아질 것이다.

가설3. 사회재활 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사회 응능력이 향상될 것

이다.

Page 33: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22 -

집 단 사 검사실험처치

(사회재활 로그램)사후검사

G1 O1 Ⅹ O2

G2 O3 O4

제2 연구설계

본 연구의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한 실험설계는 사 ·사후 통제집단 설계

이며, 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해 실험집단에는 사회재활 로그램을

실시하 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로그램도 실시하지 않았다. 통제집단과

조군으로 선정된 두 집단을 상으로 사 조사를 실시하 으며, 로그램 종

료 후 다시 두 집단 모두 동일한 사후조사를 실시하여 실험 ·후의 종속변

수의 차이를 비교하 으며, 연구설계를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표 1>.

<표 1> 연구설계

G1 : 실험집단

G2 : 통제집단

O1, O3 : 사 검사(자아존 감척도, 인 계변화척도, 사회행동척도)

O2, O4 : 사후검사(자아존 감척도, 인 계변화척도, 사회행동척도)

Ⅹ : 실험처치(사회재활 로그램)

Page 34: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23 -

상자 성별 연령발병

직업학력 보호자 생활정도

유병

기간

결혼

상태

정신장애

유형

1 남 52 학생 졸 형국민기

생활수 자26년 미혼 정신분열증

2 남 44 서비스업 졸 모국민기

생활수 자19년 미혼 정신분열증

3 남 44 서비스업 졸 본인국민기

생활수 자20년 미혼 기분장애

4 남 43 군인 퇴 부모 상 21년 미혼 정신분열증

5 남 32 회사원 고졸 부모 하 10년 미혼 정신분열증

6 남 36철공소

직원고졸 나

국민기

생활수 자10년 미혼 기분장애

7 남 46 학생 졸 부모국민기

생활수 자20년 미혼 정신분열증

8 여 32 회사원 고졸 부모국민기 생

활수 자8년 미혼 기분장애

9 여 21 학생고

퇴부모

국민기

생활수 자3년 미혼 정신분열증

10 남 27 군인 고졸 부모국민기

생활수 자5년 미혼 기분장애

제3 연구 상

본 연구는 장애인 지역사회재활시설인 C복지 에서 사회재활 로그램을

받고 있는 만성 정신장애인을 상으로 하 다. 상자 모두 퇴원 후 지역사

회에서 생활하고 있는 만성 정신장애인으로 실험집단은 사회재활 로그램(

로그램명 “다시 서는 사람들”)을 운 하기 하여 상자 모집과 상담 과정을

거쳐 22명을 선정하 으나 이 로그램에 참여한 10명을 실험집단으로 하

고, 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상자 10명을 조집단으로 정하 으며, 나머

지 2명은 증상이 재발하여 입원을 하는 계로 상에서 제외되었다.

본 연구의 실험집단 상자들의 일반 인 사항은 <표 2>와 같다.

<표 2> 실험집단의 일반 사항

Page 35: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24 -

제4 측정도구

1. 측정도구

본 연구에서는 사회재활 로그램의 효과성을 입증하기 한 측정도구로 다

음과 같은 3가지 척도를 사용하 다. 자아존 감은 사회기능 향상의 매개요인

으로 사회 응에 한 자신감과 자기확신의 정도를 악하기 하여 사용되었

으며, 인 계변화와 사회 응력 척도를 종합 으로 알아보기 해서는 인

계변화척도와 사회행동척도를 활용하 다.

1) 자아존 감척도

Rogenberg의 자아존 감척도(1969)는 병재(1974)가 번역한 Likert식 4

척도이며 10개 문항으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척도이다. 정 인 문항은 ‘

그러지 않다’ 1 , ‘아주 그 다’ 4 으로 최 10 에서 최고 49 의 범 로

측정되며 부정 인 문항은 역으로 환산하 다. Rogenberg가 개발한 당시의

Cronbach's Alpha가 .85이 고, 김 미(2002) 연구에서 Cronbach's Alpha가

.78이었으며,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77이었다.

2) 인 계변화척도

Schlein과 Guerney의 Relationship Change Scale을 문선모(1980)가 번역하

고 석균(1994)이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 다. 체 25문항으로 된 5 척도

로서 최 25 에서 최고 125 으로 높은 수일수록 인 계가 건강하다고

할 수 있다. 석균(1994)의 연구에서 신뢰도 Cronbach's Alpha가 .88이었으

며,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95이다.

Page 36: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25 -

3) 사회행동척도

이 척도는 여러 가지 일상생활속의 사회 상황에서, 각 개인이 나타내는

언어 , 비언어 행동을 측정하기 한 것으로 Trower(1978) 등이 개발하

으며 홍경자와 김선남(1987)에 의해 번안되었다. 체 21개의 문항으로 구성되

어 있다. 하 역으로는 언어 행동 6개 문항, 비언어 행동 7개 문항,

화내용 8개 문항이 있다. 한 반응일 때는 5 , 매우 부 한 반응일 때는

1 으로 평가하는 5 Likert 척도이다. 이문숙(2005)의 연구에서 Cronbach's

Alpha가 .99이었으며,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95로 나타났다.

제5 로그램의 내용

1. 로그램 실시기간

2007. 3. 20~2007. 6. 28 까지 매주 화·목요일 오후 1시부터 3시까지 2시간씩

총 16회기의 로그램이 운 되었다.

2. 로그램 실행 차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본 연구 로그램의 실험집단은 충남에 있는 C장애인복지 에서 상담을 거

친 정신장애인으로 구성하 다. 복지 에서 상담을 받은 장애인 본 로그

램을 설명하고 로그램 참여를 유도하고 본인 보호자의 동의를 얻어 상

자로 12명을 선정하 다. 나머지 두 명은 로그램이 시작되면서 잦은 결석과

증상악화로 인하여 상자에서 제외하여 10명의 실험집단이 구성되었다. 이와

동시에 통제집단은 복지 에서 상담을 받았으나 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10

Page 37: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26 -

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 으며, 이들은 약물치료는 받고 있으나 사회재활

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았다.

2) 로그램 진행자

연구자(사회복지사 1 )와 보조진행자(자원 사자, 실습생)의 공동 개입으로

진행되었다. 연구자는 장애인복지 에서 12년 동안 근무하 으며, 만성정신장

애인 로그램은 2002년부터 진행하여 왔으며, 부분의 로그램을 본 연구

자가 진행하 으며, 미술활동과 신체활동(요가)은 자원 사자를 활용하 다.

3) 로그램 구성

(1) 일상생활기술훈련

정신장애인의 사회복귀와 응을 해 가장 기본 인 로그램으로 장기

인 입원을 하 던 만성정신장애인들은 의식주 해결과 최소한의 문화생활 유지

도 어려운 경우가 있다. 따라서 개인 생 리, 외모 리, 요리실습을 하 로

그램으로 실시하 다.

(2) 사회기술훈련

사회기술은 자신의 감정과 욕구를 정확하게 상 방에게 달하거나 표 하여 인

계에서 자신의 목표를 성취하게 하는 모든 기술로 정신장애인들은 사회기술 학습기

회의 결여, 장기간 는 잦은 입원으로 인한 사회와의 단 , 증상으로 인한 사회

계의제약 , 인지 손상, 자신감 결여 등으로사회기술이 하되어 있으며 사회기술

로그램 개입으로 원만한 인 계를 도와 독립 인 삶을 돕기 하여 화기술, 칭찬

하기, 정 ·부정 감정표 , 자기주장훈련, 요청하기, 거 하기, 문제해결기술, 자기

리기술 등을교육하 다.

(3) 인간 계훈련

인간 계훈련은 자신과 타인을 바르게 이해하며 상호작용을 체험하고 강화

Page 38: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27 -

하여 바람직한 인간 계를 형성하도록 돕는데 그 목 인 있으며, 로그램 내

용에는 나의자랑거리, 공통 찾기, TV는 사랑을 싣고, 인터뷰 등을 진행하

다.

(4) 인지재활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일상생활에는 다양한 인지기능들이 활용되고 있는데

인지(Cognition)는 주의력, 기억력, 언어능력, 개념형성능력, 시공간 구성능력

등을 말한다. 컨 길을 찾아 갈 때나 요리를 할 때도 일련의 차를 기억

하여 순서에 맞게 처리하는 능력이 필요다. 이를 하여 단어유창성, 이야기

듣고 도형배열하기, 숨은그림찾기(주의집 ), 이야기 기억하여 달하기 등을

실시하 다.

(5) 정신건강교육

정신건강교육은 자신의 질병에 한 이해와 리방법을 인지하여 증상에

히 처하고 재발을 방하는데 목 이 있다. 하 로그램으로는 정신분

열병에 한 이해, 정신분열병의 증상과 진단, 다양한 치료방법, 약물치료, 재

발과 기상황 리 등을 통해 병인식과 증상 리를 한 다양한 내용으로 구

성하 다.

(6) 술요법 오락·여가활동

① 작문요법과 연극활동

정신장애인들의 문학 소질계발이나 언어를 표 하여 경험을 통하여 자신의 사고

과정이나 내용, 감정처리 등을 로 표 하여 심 갈등이나 고통을 표 하도록 하

는 요법으로 이야기 꾸미기, 표정카드로 이야기 만들기 등을 하 다. 연극은 자신이

나 동료들이 상상하지 못했던 기발한 생각들과 자기표 을 통하여 즐거운 분 기 속

에서 웃음을 유발하고 스트 스를 해소하는 계기가 되어지는 활동으로 단어연상을

통한 자기표 하기, 사물사용하여 표 하기, 본읽기, 동화구연 등을 진행하 다.

Page 39: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28 -

회기 로그램명 로그램 목표 로그램 내용

1

오리엔테이션

자기소개하기

집단성원들간의 라포

형성으로 친 감을 쌓

는다.

· 크리에이션으로 워 업 하기

· 자기소개하기 회기별 로그램 소개하

기, 자치회 구성

공통 찾기

자기자신에 한 개

방으로 동질감을 발견

하게 돕는다.

· 먼 자신을 알릴 수 있는 정보, 특성공유

(고향, 출신학교, 형제서열, 선호음식 등)

· 서로에 해 질문하고 공통 찾기

2

정신분열병의

증상과 진단

자신의 구체 인 증

상을 알고 리할 수

있도록 돕는다

· 자신이 경험한 증상에 하여 이야기 하기

· 이 의 증상과 재 경험하고 있는 증상

· 체크리스트 작성하고 증상 처법 교육

요가교실신체의 긴장 이완과

심리 안정을 돕는다

· 복식호흡 요가 기본동작 따라 하기

· 가정에서 활용가능한 간단한 동작 익히기

② 스포츠·여가 기타활동

부분의 정신장애인들은 오랜 약물치료의 부작용과 반복 인 입·퇴원 등으

로 인한 자신감 결여와 인 계 부 응 등으로 무표정한 얼굴과 감정의 둔

마, 긴장된 신체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심신의 긴장감을 해소하고

활력제공과 사회기술훈련에서 습득한 지역사회이용기술을 직 경험하기 하

여 다양한 여가·오락시설을 이용하는 활동이 이루어진다. 신체 활동으로는

탁구, 배드민턴, 요가 등이 진행되었으며, 여가·오락활동으로는 노래방 가기,

화 람, 작업치료(미술)활동, 크리에이션, 숲체험, 미술 가기 등의 야외나

들이와 자존감 향상과 자기결정 훈련을 하여 생일잔치와 자치회 운 이 진

행되었다.

4) 로그램 내용

본 사회재활 로그램은 2007년 3월 20일부터 6월 28일까지 총 16회에 걸쳐

실시되었다. 회기별로 소 로그램이 각각 1세션씩 진행되었으며, 구체 인 실시

과정은 <표 3>과 같다. 한 로그램의 주요 내용은 「정신과 환자를 한 통

합재활 로그램 (삼성서울병원 정신과 낮병원편 : 학지사)」을 활용하 다

<표 3> 사회재활 로그램의 내용

Page 40: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29 -

회기 로그램명 로그램 목표 로그램 내용

3

화기술·

칭찬하기

화기술의 구체 인

방법을 익 상황에 맞

는 화를 할 수 있다.

· 워 업 하기, 사회기술훈련의 목 소개

· 평소 화를 하며 어려웠던 이야기 하기

· 화기술에 한 설명 역할극 하기

단어연상 연기

행동을 자유롭게 연

기하여 자신감과 자발

성, 자기표 진

· 단어가 힌 쪽지를 바구니에 담아 놓는다.

· 단어를 1개씩 뽑아 그 단어를 보고 연상

되는 생각, 경험, 느낌을 동작으로 표 하기

4생일잔치/

노래방가기

자신의존재감을알게

한다.

· 생일축하 노래부르기와 선물 달하기

· 식사 후 노래방 이용하기

5계 달력

만들기

계 감에 한 지남력

을 증진 시키고, 자기

리능력을향상한다.

· 자신에게 의미있는 달을 정하고 의미있는 날을

표시하여 생활계획 세우기

· 자신의월간 계획을발표하고 이야기 나 기

6

나의 자랑거리

자기표 에 한 자신

감 향상과 타인과 정

인간 계를 경험한다.

· 워 업

· ‘나의 자랑거리’ 작성지를 나 어 후 양식

작 성하기.

· 모두 돌아가면서 발표하고, 서로에게 정 인

피드백 주기

요리실습일상생활기술을 향상하

고, 지남력을증진한다.

· 역할을 나 어 조리를 하고 완성된 음식은 보

기 좋게 담아 양념장을넣고 시식하기

7

자기주장

훈련

소극 , 자기주장 , 공

격 자기주장법에 해

이해하고 차이 을안다..

· 간단한게임으로워 업

· 주장행동의 유형 설명한 후 작성지 풀고 발표

하기

· 정답을알려주어 이해를 돕고 소감 나 기

표정카드

이야기만들기

자신의 감정인식과 자

유로운 표 을돕는다.

· 다양한표정에 해 이야기 하고 표정카드

배열하기

· 거리를 상상하여 작성하고 돌아가며 발표하기

8

약물치료약물치료의 효과와 부작

용에 해알게한다.

· 약 복용하며 경험한효과와 부작용 이야기하기

· 약의종류, 용량 부작용 처방안 알기

동화구연자기감정을정확하게

달하는 기술을익힌다.

· 어린시 감동 깊었던 동화 기억하기

· 역할을정하고 동화구연 한후 소감나 기

9 화 람다양한 여가활동 경험으

로삶의질을향상한다.

· 시내에 있는 화 으로 모여 보고 싶은 화

람하기

10

자치회/

숨은그림 찾기

자기표 력 집단의

식 강화와 주의집 력

을향상한다..

· 자치회의를 통한월간 일정계획 수립

· 간단한게임으로신체 긴장이완 긴장해소

· 비된 그림 을통한주의집 게임하기

스포츠활동신체의 활력을 증진하여

건강을유지한다.

· 복지 내 강당으로이동하여 자신이하고 싶은

종목선택하여 배드민턴, 탁구치기

Page 41: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30 -

회기 로그램명 로그램 목표 로그램 내용

11

TV는 사랑을

싣고

인간 계의 요성에

해 알게 한다.

· 과거에 자신에게 의미 있었던 상과추억

떠올리기

· 재 만나고 싶은 사람을 생각해 보고 작성지

요가교실신체의 긴장을 이완하고

심리 안정을도모한다

· 복식호흡을 하며 바른 자세 유지와 긴장된

신체이완 동작 익히기.

12

정 ·부정

감정표

감정표 의 요성을 알

고 한 정 ·부정

표 방법을알게한다.

· 간단한 게임으로긴장풀기

· 감정카드를 뽑아 힌 감정을말이나 표정으

로보여 주고 반응에 해 피드백하기.

이야기 꾸미기

상상력을 발휘해 내용과

련된 을 으로서

창의 사고를 돕는다.

· 유년시 감명 깊게 읽었던 동화에 해 이야

기 나 기

· 미리 비한 원작에 해 간단히 이야기 하고

후속 이야기를 자유롭게 창의 으로 작성하고

발표하기

13

이야기

기억하여

달하기

주의력과 청각 기억력

정확한 의사소통의

요성을인식 한다.

· 워 업 : 번호따라 어깨치기

· 단어카드를 보여주고 기억하여 뒷사람에게

귓속말로 달하여 처음문장과비교하기

상황에 맞는

표 하기

자신의 감정상태에

한 감정표 에 자신

감을갖게 한다.

· 비한 본을 나 어 주고 역할을정한후

연기하기

· 정확한 발음과상황에 맞는 감정표 으로

본 읽기

14 요리실습일상생활 기술을 향상하

고, 지남력을증진한다.

· ‘김밥’ 재료를 비 후 김밥 만들기

· 당한 크기로잘라 그릇에 쁘게 담은 후

시식하기

15

재발과

기상황 리

재발 인식과 효과 인

처방법을알게 한다.

· 자신의재발경험 재발징후 시 처방법

이야기하기

· 재발원인 상황알기, 경고증상 인지하기

칼라 토

활동

손에 감각자극을 주고,

근력을 증진한다

· 만들고 싶은 모양과색을정하기.

· 오색 칼라 토를 이용하여 모양 만들고 소감

나 기

16숲 체험

미술 가기

자연과의 교감으로 정서

인안정을유도한다.

· 모산미술 에서 시작품을감상하기

· 시비(詩碑) 감상하며 성주산 오르기

Page 42: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31 -

제6 자료수집

본 연구자료 수집은 장애인복지 에서 만성정신장애인들을 상으로 실시

한 사회재활 로그램 “다시 서는 사람들”에 참여하고 있는 10명의 실험집단

상자들에게 3개월 동안 로그램을 진행한 결과를 사 ·사후 조사를 하 으

며, 통제집단은 복지 에서 상담은 하 으나 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실험

집단과 유사한 10명의 상자에게 실험집단과 같은 시기에 사 ·사후조사를

실시하 다.

제7 자료분석

본 연구의 자료를 연구목 에 합한 통계기법으로 SPSS 14.0을 사용하

다. 연구 상자의 일반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을 산출하 으며, 일반 특성

에 한 실험집단 통제집단의 차이는 Chi-square로 분석하 다. 실헙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Mann-Whitney의 U검정을 사용하 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수가 각각 10명씩 20명으로 연구집단의 크기가 작아 표집방법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집단간 차이를 검정하는 비모수 추리통계 방법인

Mann-Whitney의 U검정을 이용하여 두 모집단 사이에 유의미성을 검증하

다.

Page 43: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32 -

Ⅳ. 연구결과

제1 연구 상자의 동질성 비교

1. 일반 특성에 한 동질성 분석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 상자의 특성을 성별, 연령, 학력, 주 진단명, 유병기

간, 어려울때 가장 도움을 많이 받는 곳, 재 느끼고 있는 가장 큰 어려움 등

의 항목으로 살펴보았다<표 4-1>.

성별에 있어서 실험집단이 남자 8명, 여자 2명으로 구성되었으며, 통제집단은

남자 6명, 여자 4명으로 구성되어 성별 분포에서 두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

(p=.074)는 없었다.

연령은 20세~55세에 걸쳐 분포되어 있으나, 실험집단은 40세에서 49세 이

하가 40%로 통제집단에서는 30세에서 39세가 50%로 많이 나타났다. 두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p=.993)는 없었다.

학력은 두 집단간 모두 고퇴(졸)이 50%~60%로 가장 많았다. 두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p=.022)가 있다.

주 진단명을 보면 정신분열증은 실험집단에서 60% 분포를 보 고, 통제집

단에서는 기분장애가 60%를 차지하고 있다. 두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

(p=.055)는 없었다.

유병기간은 두 집단에서 10년이상인 경우가 실험집단에서 50%, 통제집단에서

60%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으며 유의미한 차이(p=.011)는 없었다.

재 느끼고 있는 가장 큰 어려움에 한 것으로 실험집단에서는 자신감 결

여 무기력 등에서 가장 많은 40%를 보 고, 통제집단에서는 경제 인 문제

와 자신감 결여 무기력 등에서 각 30%의 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유의미한

차이(p=.753)는 없었다.

Page 44: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33 -

구 분 실험집단(%) 통제집단(%) 2χ p

성별남 8(80) 6(60)

3.20 .074여 2(20) 4(40)

연령

20~29세 2(20) 1(10)

3.80 .99330~39세 3(30) 5(50)

40~49세 4(40) 3(30)

50세이상 1(10) 1(10)

학력

졸이하 1(10) 2(20)

7.60 .022고퇴(졸) 5(50) 6(60)

졸 졸이상 4(40) 2(20)

주진단명정신분열 6(60) 4(40)

7.60 .055정동장애 4(40) 6(60)

유병

기간

5년 이하 2(20) 2(20)

11.20 .0116년~10년 3(30) 2(20)

10년 이상 5(50) 6(60)

느끼는

가장 큰

어려움

경제 인 문제 1(10) 3(30)

1.20 .753

가족의 지지와

이해 부족3(30) 2(20)

사회의 편견 2(20) 2(20)

자신감 결여

무기력 등4(40) 3(30)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통계학 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경우가 일부 있었으나, 인구사회학 특성에서 부분이 동질

인 것으로 나타나 동질성이 어느 정도 확보되었다고 할 수 있다.

<표 4-1> 연구 상자의 일반 특성에 한 동질성 분석

Page 45: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34 -

구 분 집단 평균 표 편차평균

순순 합

Mann-

Whitney

의 U

Z값

자아

존 감

실험집단 2.34 .17 14.55 145.50

39.00-.854

(p=.436)통제집단 2.39 .19 6.45 64.50

인 계

실험집단 2.79 .84 13.45 134.50

20.50-2.233

(p=.023)통제집단 1.91 .47 7.55 75.50

사회행동실험집단 2.69 .74 9.05 90.50

35.50-1.097

(p=.280)통제집단 2.97 .91 11.95 119.50

2. 연구문제에 한 동질성 분석

자아존 감척도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하여 사 검사 수의 평균값을 비

교 분석한 결과, 자아존 감의 평균 수는 실험집단이 2.34, 통제집단이 2.39로

나타났으며, 두 집단간에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두 집단간 체 으

로 비슷한 자아존 감을 보 다.

인 계척도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하여 사 검사 수의 평균값을 비교

분석한 결과, 인 계의 평균 수는 실험집단이 2.79, 통제집단이 1.91로 나타

났으며, 두 집단간에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행동척도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하여 사 검사 수의 평균값을 비교

분석한 결과, 사회행동의 평균 수는 실험집단이 2.69, 통제집단이 2.97로 나타

났으며, 두 집단간에 통계 으로 유의성을 보이지 않아 동질한 집단이라고 볼

수 있다.

<표4-2>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한 동질성 분석

Page 46: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35 -

구 분 집 단 평 균표

편차

평균

순순 합

Mann-

Whitney

의 U

Z값

자아

존 감

실험

집단

사 2.34 .1714.90 149.00

6.00 -3.346***

사후 2.75 .27

통제

집단

사 2.39 .196.10 61.00

사후 2.45 .22

제2 가설검증

[가설 1] 사회재활 로그램 실시 후에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자아존

감이 향상될 것이다.

<표4-3>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아존 감 사 ․사후 비교

***p<.001

[가설 1]을 검증하기 해 사회재활 로그램 실시 과 후의 자기존 감

향상 변화를 알아보기 하여 자기존 감 척도의 사후 수에서 사 수를 뺀

차이 수를 비교 분석한 Mann-Whitney의 U검정 결과인 <표4-5>에서 보면

통제집단의 평균에서 약간의 향상된 변화를 보 지만 통계상으로는 유의수

에 해당되지 않아 결과 으로 실험집단이 통계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변화되었

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가설 1> “사회재활 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자

아존 감이 향상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Page 47: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36 -

구 분 집 단 평 균 편차 순 순 합

Mann-

Whitney

의 U

Z값

인 계

실험

집단

사 2.79 .8415.25 152.50

2.50 -3.593***

사후 3.44 .44

통제

집단

사 1.91 .47

5.75 57.50사후 1.83 .30

자아존중감

2.1

2.2

2.3

2.4

2.5

2.6

2.7

2.8

사전 사후

실험집단

통제집단

<그림 1> 자아존 감 평가의 사 -사후 평균 비교

[가설 2] 사회재활 로그램 실시 후에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인 계도

가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표4-4>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인 계 변화 사 ․사후 비교

***p<.001

Page 48: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37 -

[가설 2]를 검증하기 해 사회재활 훈련 로그램 실시 과 후의 인 계

도 변화를 알아보기 하여 인 계척도의 사후 수에서 사 수를 뺀 차이

수를 비교 분석한 Mann-Whitney의 U검정 결과는 <표4-6>와 같으며 분석

한 결과 실험집단 이 통계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가설 2> “사회재활 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인 계가 향상될 것이다” 는 지지되었다.

대인관계

0

0.5

1

1.5

2

2.5

3

3.5

4

사전 사후

실험집단

통제집단

<그림 2> 인 계 평가의 사 -사후 평균 비교

[가설 3] 사회재활 로그램을 실시 후에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사회행동

능력이 증진될 수 있을 것이다.

Page 49: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38 -

구 분 집 단 평 균 편차 순 순 합

Mann-

Whitney

의 U

Z값

사회행동

실험

집단

사 2.69 .7413.05 130.50

24.50 -1.928*

사후 3.68 .57

통제

집단

사 2.97 .917.95 79.50

사후 2.25 .38

<표4-5>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회행동 사 ․사후 비교

*p<.05

[가설 3]을 검증하기 해 사회재활 훈련 로그램 실시 과 후의 사회행동

을 알아보기 하여 사회행동척도의 사후 수에서 사 수를 뺀 차이 수를

비교 분석한 Mann-Whitney의 U검정 결과는 <표4-7>과 같으며, 분석결과 실

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가설 3> “사회재활 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사

회행동능력이 향상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사 회 행 동

0

0.5

1

1.5

2

2.5

3

3.5

4

사 전 사 후

실 험 집 단

통 제 집 단

<그림3> 사회행동 평가의 사 -사후 평균 비교

Page 50: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39 -

Ⅵ. 결론 제언

제1 결론

본 연구에서는 퇴원하여 지역사회에 거주하면서 약물치료와 더불어 사회재

활 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만성 정신장애인의 사회재활 로그램 용 후

자아존 감 인 계와 사회행동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하

여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삼성서울병원에서 제작한 정신과 환자를 한 통합재활 로그램

워크북을 주 메뉴얼로 활용하여 일상생활훈련, 인간 계훈련, 사회기술훈련,

인지재활, 정신건강교육과 술요법 기타 스포츠·여가·오락 로그램을

용한 후 가설 검증을 통해 그 효과성을 알아보았다.

사회재활 로그램이 만성 정신장애인의 자아존 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에

한 분석결과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이 검사 수의 향상을 나타났고, 통

계상으로도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 이는 다양한 하 로그램으로 구성된 사

회재활 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인 계훈련과 인지재활, 여가활동 등을 통하

여 스스로에 한 자아존 감이 높아진 것으로 여겨진다.

한 사회재활 로그램이 만성 정신장애인의 인 계 향상에 미치는 향

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검사 수의 향상을 보 으며, 통계상으로도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 이 한 만성 인 정신질환과 빈번한 재발, 장기 인 입

원으로 인하여 사회 응력이 부족하고 인 계에 자신감이 결여된 만성정신장

애인들이 다양한 사회재활 로그램을 통하여 동료와의 상호작용과 지역사회

이용기술훈련 등이 자연스럽게 습득되어지고, 정기 인 활동을 통하여 무기력한

생활에서 벗어나면서 사회생활에 자신감이 획득되어진 결과라고 보여진다.

Page 51: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40 -

사회행동 증진에 한 효과성 한 사회재활 로그램에 참석한 실험집단이

아무런 주간 로그램을 이용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언어 , 비언어 ,

화의 내용으로 구성된 하 역 척도에서 향상된 모습을 보여 유의한 결과

를 보 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일상생활기술훈련, 사회기술훈련, 인간

계훈련, 인지재활, 정신건강교육, 술요법을 비롯한 여가·오락활동 등으로 구

성된 사회재활 로그램이 소집단 내에서 서로의 느낌과 생각을 교환하고, 공

유하면서 스스로는 자신감 획득과 성취감을 느끼고, 타인을 인식하고 배려하

는 자연스러운 계형성이 유도해낸 결과라고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밝 진 것처럼, 지역사회에 있는 만성정신

장애인들이 약물치료와 함께 사회재활 로그램을 이용하는 것이 자아존 감

과 인 계에 정 인 향을 미치고, 나아가서 사회행동에 변화를 보여 완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 독립된 사회생활을 유지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검증

되어진다.

한 연구자가 로그램을 진행하면서 느낀 임상 인 사례 찰 결과도 정신

건강교육을 통해 자신의 질병인식과 증상 리 능력이 향상되어지고, 인 계

에 자신감이 생겨 지역사회 이용시에도 연구자가 주도하지 않아도 자신있게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한 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

단의 경우 자신의 감정조 과 정서 리 등 스스로 자기를 통제하는 능력이

찰되어지며, 직업을 갖기 한 자신감도 획득되어 직업재활 담당자와의 면담

을 요청하거나 취업에 한 욕구를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었다.

Page 52: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41 -

이에 만성정신장애인을 한 사회재활 로그램의 효과성을 가설검증에 비

추어 요약해 보면

가설1. 사회재활 로그램 실시 후에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자아존

감이 향상될 것이다. 는 통제집단의 평균에서 약간의 향상된 변화를 보 지

만 통계상으로는 유의수 에 해당되지 않아 결과 으로 실험집단이 통계집단

보다 유의미하게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가설 1> 은 지지되었다. 이것

은 정신장애인들이 만성 인 환자의 역할에서 벗어나 재활치료에 능동 으로

참여할 수 있는 잠재 인 힘을 인식하도록 하는데 재활 로그램의 요성이

입증되었음을 시사한다.

가설2. 사회재활 로그램 실시 후에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인

계가 높아질 것이다. 한 실험집단이 통계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변화되었음

을 알 수 있어 <가설2> 는 지지되었다. 이는 로그램 참여가 잦은 재발과

반복 인 입원으로 인하여 일반 인 인간 계에서 소외되고, 사회 인 편견으

로 축 던 심리 압박이 해소되면서 인 계척도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나

타낸 것으로 보여진다.

가설3. 사회재활 로그램 실시 후에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사회 응

능력이 향상될 것이다. 도 분석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변

화되었음을 알 수 있어 <가설 3> 은 지지되었다.

이 한 사회기술훈련과 스트 스 처를 한 여가·오락활동 등을 통한 다

양한 상황을 경험하게 되면서 부정 인 감정조 과 불안정한 상황을 감소시킨

결과로 사회재활 로그램 효과가 입증된 것이다.

이상을 종합해 볼 때, 연구결과는 만성정신장애인의 자아존 감 증진, 인 계

능력 사회 응력 향상이 재발율 감소와 입원일 수 감소 등 증상 리와 독립

인 사회생활을 해 사회재활 로그램이 효과 이라는 사실을 시사해 다.

Page 53: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42 -

제2 제언

본 연구를 통하여 구조화된 사회재활 로그램이 만성정신장애인의 자아존

감 인 계, 사회행동을 향상시키는 데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몇 가지 한계 을 보 으며, 이에 따라 사회재활

로그램이 만성정신장애인을 한 재활 로그램으로서의 가치를 부여하고 차후

에 더 발 된 연구를 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본 연구가 C복지 한곳만을 상으로 하여 진행되어져 차후에는 다

른 지역의 정신보건센터나 장애인복지 을 상으로 포 인 연구가 이루어

져 로그램 용효과를 비교해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의 부분이 복지 내에서 이루어져 차후에는 장과제를 활

용한 후의 로그램의 효과성과 일상생활 속에서의 용효과를 비교 분석하여

야 할 것이다.

셋째, 사회재활 로그램에서 얻은 치료 효과를 유지하고 강화할 수 있도

록 추후 계속 인 개입과 사후지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본 연구에서 사용된 사회행동척도는 언어 , 비언어 화내용 만으

로 구성되어 사회행동을 측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이에 한 로그램 효과

를 자세히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측정도구가 개발 되어져야 할 것이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는 인지기능에 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 다. 따라

서 차후에는 통합재활 로그램을 용하여 인지기능에 한 연구도 함께 이

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보여진 한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 ·사후조사시 가족들의 의견도 반 하여야 함에도 상자에게만

의존하 고, 상자의 응답시 기분에 따라 약간의 오차가 작용할 것으로 보여

져 문항에 따라 객 성이 부족한 부분이 있다.

Page 54: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43 -

둘째, 연구 상 집단 크기가 작아 사회 , 인구학 , 경제 인 배경 변인 통

제의 미비와 표성에 어려움이 있어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어려움이 있

다.

이상과 같이 사회재활 로그램이 만성정신장애인의 자아존 감 , 인 계,

사회행동 증진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입증된 것에서 볼 수 있듯이 앞으로

만성정신장애인의 재활치료가 단순한 약물치료뿐 아니라 반드시 지역사회재활

치료가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를 해서는 정신보건센터가 지역에

서 실 으로 운 되어져 정신질환이 만성정신장애로 증화·만성화되어지는

것을 방해야 할 것이다.

Page 55: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44 -

참고문헌

김상숙(1998). 「치료 크리에이션 로그램이 정신질환자의 우울과 인간

계에 미치는 향」. 남 학교, 석사학 논문

김시업 역(1995). 「생활 응을 한 심리학」. 서울 : 문음사

김 미(1998). 「정신분열증의 인지 손상과 양성, 음성증상이 응 기능

에 미치는 향」. 고려 학교, 석사학 논문

김윤희, 최 명 편 (2001). 정신분열병 화자교육 지침서. 강북정신보건센터

김진희(2003). 「사회 응훈련 로그램이 만성정신분열병 환자의 자아존

감· 인 계에 미치는 효과」. 동아 학교, 석사학 논문

김철권(1993). 「정신분열병환자의 가족을 한 교육 로그램」. 부산정신

의학, 12. 24-43.

김철권, 변원탄 공역(1995). 「만성정신과 환자를 한 정신재활」. 서울 :

신한.

김철권, 장정희, 김진원, 조진석, 강동호, 심경순, 하 선, 송지형, 변원찬

(1998).「정신재활치료가 정신분열병 환자의 재발유발」. 입

원횟수, 입원일수 그리고 치료경비에 미치는 효과 :

2년 추 조사연구」. 신경정신의학지, 37(5). 811-823.

김희정(1992). 「퇴원한 정신질환자가 지각한 사회 지지와 정신건강상태와

의 계」. 이화여자 학교, 석사학 논문.

도복늠 외15인(2000). 「최신정신간호학 개론」. 서울 : 정담

류분순(2000). 「무용․동작치료가 만성질환자의 불안과 인 계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박강규(1990). 「정신분열증환자의 재활치료」. 신경정신의학지, 29(1),

70-78.

박순자(1996). 「외래치료 정신질환자의 자아존 감에 한 연구」. 이화여

자 학교 사회복지 학원, 석사학 논문.

Page 56: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45 -

백은령(1992). 「정신질환자의 인 계기술 증진을 한 사회기술훈련 로

그램에 한 평가 연구」. 성심여자 학교, 석사학 논문.

보건복지부 장애등록 황(2007).

서미경(2000). 「성인정신장애인의 평생계획에 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회지, 43, 106-130.

양옥경(1996). 「지역사회정신건강-닫힌 시설에서 열린사회로」. 서울 : 나

이계존(2000).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체계의 수립에 한 연구」. 한국장애인

고용 진공단

이문숙(1999). 「정기 치료 크리에이션 활동이 정신분열증환자의 인

계 개선에 미치는 향」. 충남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

이상윤, 이경희(1998). 「미술요법이 정신질환자의 자아존 감, 인 계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8(1), 121-133

이 숙(1996). 「재가정신질환자를 한 정신재활간호 로그램의 효과」. 이

화여자 학교, 박사학 논문.

이숙자, 조원탁, 이정숙(1999). 「만성정신분열병환자의 재활을 한 그란데 로

그램의효과」. 정신간호학회지 8(2), 369-383.

이정균(1992). 「최신정신의학」. 서울 : 한교과서.

이정숙(1999). 「지역사회정신보건 사업과 사례 리」. 간호학논문집, 3(1),

남 학교 간호과학연구소.

이충순, 한은순, 황태연(1996). 「 정신보건과 지역사회-정신장애인을

한 정신사회재활 로그램」. 의료법인 용인정신병원.

석균(1994). 「정신분열증 환자의 재활을 한 사회기술훈련 로그램의 효

과성에 한 연구」. 숭실 학교, 박사학 논문.

정선 (2001). 「지역사회 정신장애인을 한 통합재활 로그램의 효과성에

한 연구」. 이화여자 학교, 박사학 논문.

Page 57: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46 -

정숙희(2004). 「지역사회정신보건 로그램을 이용하는 정신장애인이 회복

사회 응에 향을 미치는 요인」. 경북 학교, 박사학 논문.

정 구(2001). 「정신장애인의 인 계 향상을 한 치료 크리에이션 로

그램의 효과에 한 사례 연구」, 숭실 학교, 석사학 논문.

조성진, 함 진, 서동우(2003). 「정신분열병 분열정동장애 환자에서 리스

페리돈과 퀘티아핀의 효과와 안 성에 한 비 연

구」. 한정신약물학회지, 14(3), 215-222.

채 안(2000). 「치료 크리에이션 입문」. 서울 : 인간과 복지.

하경희(1999). 「정신장애인의 사회 응에 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

학교, 석사학 논문.

한 미(2005). 「정신사회재활 로그랜에 참여한 만성정신장애인의 인

계 변화에 한 연구」. 남 학교, 석사학 논문.

황태연, 한은선, 이충순, 한양순, 이민수, 이 회(1996). 「직업재활 로그램이

만성정신분열병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향」. 용인정신

의학보, 2(2), 156-165.

명선(1991). 「퇴원한 만성정신질환자가 지각한 가족지지와 사회 응과

의 계 연구」. 연세 학교, 석사학 논문.

Bellack, A. S. (1992). 「Cognitive rehabilitation for schizophrenia: is it

possible, is it necessary」. Schizophrenia Bulletin, 18: 43-50.

Brenner, H. D. Hodel, Roder, V, & Corrigan, P.(1994). 「Integrated

psychology therapy for schizophrenia patient」. Seattle :

Hogrefe & Huber, 13-34, 35-40.

Campbell, A. Converse, P. E., and Rodgers, W. L.(1976).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New York; Russel Sage Foundation.

Liberman, R. P.(1988). 「Psychiatric Rehabilitation for Chronic Mental

Patients」. Washington, D. C.: American Psychiatric

Press.

Page 58: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47 -

Rosenberg, M.(1979).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 Basic Books, Inc.

Smitherman, G. W. (1981).「Nursing actions for health promotion」.Philadelphia : Davis 337-343.

Tomson, J. & Stand, k.(1994). 「Psychiatric Nurising a Psychosocial

Setting」. Journal of Psychosocial Nurising, 32(2), 25-29.

Weiss, J. M.(1972). 「Psychological factors in stress and disease」.

Scientific American. 106-226.

William, B.(2000). 「Integrating cognitive-behavioral psychotherapy for

persons with schizophrenia into psychiatric

rehabilitation program: result of a three year trial」.

Community Mental Health Joural, 491-500.

Page 59: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48 -

ABSTRACT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Programs

for Persons with Chronic Mental Disorder

Soon-Ok Yim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Kong ju National University

Kong ju,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Hee-Sook Kang)

Persons with chronic mental disorder over a long period of time have a

lot of defects in cognitive and social functions, and so their negative

symptoms are worsened as time goes by. These negative functions are

limitedly treated with medication, and the recurrence of the disorder is

seen so often. The recurrence results in repetitive hospitalization, which,

in turn, leads to low self-esteem, insufficient interpersonal skills and social

maladjustment. The ultimate goal of the treatment for persons with chronic

mental disorder should be to stop recurrence of the mental disorder and to help

them lead an independent living by improving their adjustment to the society.

Page 60: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49 -

Considering this situation, various rehabilitation services are required to

help those persons with chronic mental disorders adjust to society, and

these services have their importance in providing supportive resources

other than family members of the persons with chronic mental disorders.

In this sense, this study has its purpose of verifying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program to help persons with chronic mental disorder improve

their self-esteem and develop interpersonal and social skills for them to

live as an independent human-being, and to decrease the recurrence rate of

mental disorder.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social rehabilitation program,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twenty persons with chronic mental

disorder who were taken care of in a social welfare center in Chungnam

province. Ten persons were assigned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each. The programs included the training of daily

activity skills and interpersonal skills, cognitive rehabilitation, mental

health, art therapy, and leisure activities, and they were applied for two

hours a week in sixteen session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Mann-Whitney's U-test, one

of non-population inference methods of statistics, to verify their

meaningful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elf-esteem of the persons in experimental group proved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ones in the control group. It seems that the

sub-programs such as the training of daily activity skills and interpersonal

skills, cognitive rehabilitation, and so on were effective in building their

self-esteem.

Page 61: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50 -

Second, it was verified that the social rehabilitation programs were also

effective in developing interpersonal skill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effectiveness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It is estimat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members increased peer interaction and developed skills

of utilizing the community resources, and so regained confidence in social

life, getting out of an inactive life through regular activities.

Third, in terms of social behavior, the experimental group was also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scale of sub-domain consisting of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It is analyzed that the social

rehabilitation programs were effective in getting the experimental group to

regain confidence and feel sense of achievement and to build up the

consciousness of others in the course of exchanging and sharing feelings

and thoughts between members of the group.

In addition to the conclusions mentioned above, some suggestions should

be made to heighten the effectiveness of social rehabilitation program for

persons with chronic mental disorder and for some improved subsequent

studies.

First, the application of field task program and its effectiveness need to

be analyze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in a daily life.

Second, subsequent studies and continuous follow-up service are required

to maintain and reinforce the treatment effects of the social rehabilitation

program.

Third, the study should also be done of cognitive disorder that causes

errors of information processing, which often develops with negative

symptoms found in persons with chronic mental disorder.

Notwithstanding these limitations of this study, it was verified, as some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social rehabilitation program in addition to

Page 62: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51 -

medical car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building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skills, and further getting persons with chronic mental

disorders to lead an independent life as a complete social member.

key words : chronic mental disorder, social rehabilitation program,

self-esteem, interpersonal skill, society

Page 63: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52 -

안녕하십니까 ?

는 공주 학교 일반 학원 사회복지학과에 재학 인 학생입니다.

만성정신질환으로 인하여 사회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정신장애인들

이 사회재활 로그램을 통하여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그 효과성을 알아

보기 하여「만성정신장애인을 한 사회재활 로그램의 효과」란 주제

로 연구논문을 비하면서 필요한 설문지를 조사하고자 합니다.

여러분께서 응답하여 주신 내용은 비 이 보장되며, 연구목 이

외에는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않을 것을 약속합니다.

한 본 연구결과로 여러분들과 같이 정신질환으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

고 있는 동료들에게 조 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간 히 바라면서, 번거로

우실지라도 한 문항도 빠짐없이 응답하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007년 7월

공주 학교 일반 학원 사회복지학과

지도교수 : 강 희 숙

연 구 자 : 임 순 옥

<부 록>

부록1 : 로그램 측정도구

주제 : 만성정신장애인을 한 사회재활 로그램의 효과

* 설문지를 작성하시다가 궁 한 이 있으시면 본 연구자에게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연락처 010-****-**** / 임순옥)

Page 64: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53 -

* 응답자의 일반 사항

1. 귀하의 나이는? ( )

2 귀하의 정신질환명은 ?

□ 1) 정신분열 □ 2) 양극성정동장애(조울병) □ 3) 반복성우울장애 □ 4) 분열형정동장애

⇒ 정신장애 등록을 한 경우 장애등 은? ( )

3. 귀하의 학력은?

□ 1) 졸이하 □ 2) 졸(퇴) □ 3)고졸(톼) □ 4) 졸(퇴) □ 5) 학원졸 이상

4. 귀하의 생활정도는 ?

□ 1) 기 수 □ 2) 극빈 □ 3) 하 □ 4) 하 □ 5) □ 6) 상 □ 7) 상

5. 귀하의 정신질환 발병정도는 ?

□ 1) 1년~2년미만 □ 2) 2년~5년 이하 □ 3) 6년~10년이하 □ 4) 10년이상

6. 귀하는 어려울 때 구로부터 가장 많은 도움을 받습니까 ?

□ 1) 부모, 형제 □ 2) 이웃, 친구 □ 3) 병원, 복지 , 보건소 □ 4) 기타( )

7. 귀하께서 재 느끼고 있는 가장 큰 어려움은 무엇입니까?

□ 1) 경제 인 어려움 □ 2) 가족들의 이해부족 □ 3) 사회의 편견과 이해부족

□ 4) 자신감 결여 무기력 □ 5) 기타( )

8. 귀하께서는 약물을 의사가 처방한 로 잘 복용하고 있습니까?

□ 1) 의사의 처방을 반드시 지켜 복용하고 있다 □ 2) 비교 잘 복용하고 있다.

□ 3) 증상에 따라 스스로 조 하여 복용한다. □ 4) 거의 복용하지 않고 있다.(8-1로)

⇒ “거의 복용하고 있지 않다” 라고 응답한 사람만 답하세요.

8-1. 귀하께서 약을 복용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

□ 1) 증상이 개선되지 않아서 □ 2) 약물의 부작용이 심해서

□ 3) 정해진 시간에 먹는 것이 어려워서 □ 4)기타( )

Page 65: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54 -

자아존 감척도 체크리스트(Self-Esteern Scale : SES)

※ 다음 문장은 여러분이 자신에 하여 어떻게 생각하는 가에 한 질문입니

다. 보기를 참고하여 해당되는 번호를 어 주십시오.

<보 기>

1- 그 지 않다, 2-별로 그 지 않다, 3- 체로 그 다,

4-항상 그 다

1. 나는 어도 내가 다른 사람만큼 가치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 )

2. 나는 좋은 성품을 갖고 있다고 생각한다. ( )

3. 나는 실패한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 )

4. 나는 다른 사람들처럼 일을 잘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

5. 나는 나 자신에 하여 자랑할 것이 별로 없다고 생각한다. ( )

6. 나는 내 자신을 정 으로 생각한다. ( )

7. 나는 나 자신에 하여 만족한다. ( )

8. 나는 나 자신을 좀더 존경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 )

9. 나는 내가 쓸모없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 )

10. 나는 때때로 내가 좋지 않은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 )

Page 66: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55 -

인 계척도 체크리스트(Relationship Chance Scale : RCS)

※ 각 문항을 잘 읽고 여러분에게 가장 합하다고 생각되는 것 한 개를 고르

십시오. (자신의 느낌 로 정확하고 솔직하게 답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나는 나 자신에 하여

1) 매우 불만족스럽다 2) 약간 불만족스럽다 3) 그 그 다

4) 약간 만족스럽다 5) 매우 만족스럽다

2. 나는 다른 사람에 하여

1) 매우 불만족스럽다 2) 약간 불만족스럽다 3) 그 그 다

4) 약간 만족스럽다 5) 매우 만족스럽다

3. 다른 사람들은 나를 ( ) 사람으로 볼 것이라고 생각한다.

1) 매우 불만족스러운 2) 약간 불만족스러운 3) 그 그런

4) 약간 만족스러운 5) 매우 만족스러운

4. 다른 사람들은 자기자신에 하여 ( ) 사람으로 본다.

1) 매우 불만족스러운 2) 약간 불만족스러운 3) 그 그런

4) 약간 만족스러운 5) 매우 만족스러운

5. 다른 사람과 나의 계는

1) 매우 원만하지 못하다 2) 약간 원만하지 못하다 3) 그 그 다

4) 약간 원만하다 5) 매우 원만하다

Page 67: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56 -

6. 나는 다른 사람의 바라는 욕구를

1) 거의 알지 못한다 2) 약간 알지 못한다 3) 그 그 다

4) 약간 아는 편이다 5) 매우 아는 편이다

7. 나는 나 자신의 감정을

1) 거의 이해하지 못한다 2) 약간 이해하지 못한다 3) 그 그 다

4) 약간 이해한다 5) 매우 이해한다

8. 나는 다른 사람의 감정을

1) 거의 이해하지 못한다 2) 약간 이해하지 못한다 3) 그 그 다

4) 약간 이해한다 5) 매우 이해한다

9. 나는 다른 사람과 이야기는 것에 하여

1) 매우 어려움을 느낀다 2) 약간 어려움을 느낀다 3) 그 그 다

4) 약간 쉽게 느낀다 5) 매우 쉽게 느낀다

10. 다른 사람에 한 나의 감수성은

1) 매우 느리다 2) 약간 느리다 3) 그 그 다

4) 약간 빠르다 5) 매우 빠르다

11. 다른 삶에 한 나의 온정 인 태도는

1) 매우 다 2) 약간 다 3) 그 그 다

4) 약간 많다 5) 매우 많다

12. 다른 사람에 한 나의 표 이나 개방성의 정도는

1) 매우 다 2) 약간 다 3) 그 그 다

4) 약간 많다 5) 매우 많다

Page 68: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57 -

13. 다른 사람에 느낌을 이해하는 것이

1) 매우 어렵다 2) 약간 어렵다 3) 그 그 다

4) 약간 쉽다 5) 매우 싑다

14. 나는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듣는 것이

1) 매우 어렵다 2) 약간 어렵다 3) 그 그 다

4) 약간 쉽다 5) 매우 싑다

15. 나는 다른 사람을

1) 거의 믿지 않는다 2) 약간 믿지 않는 편이다 3) 그 그 다

4) 약간 믿는다 5) 매우 믿는다

16. 나는 다른 사람에 하여

1) 매우 거리감을 느낀다 2) 약간 거리감을 느낀다 3) 그 그 다

4) 약간 친근검을 느낀다 5) 매우 친근감을 느낀다

17. 나는 사람들과 만나는데 있어서 자신감이

1) 매우 다 2) 약간 다 3) 그 그 다

4) 약간 많다 5) 매우 많다

18. 나는 다른 사람과 의견이 맞지 않을 경우 그것을 좋게

1) 매우 못다룬다 2) 약간 못다룬다 3) 그 그 다

4) 약간 잘 못다룬다 5) 매우 잘 다룬다

19. 나는 다른 사람과 이야기를 할 경우 어려움을

1) 매우 많이 느낀다 2) 약간 많이 느낀다 3) 그 그 다

4) 약간 안 느낀다 5) 거의 안 느낀다

Page 69: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58 -

20. 나는 다른 사람에 한 정 인 표 을

1) 거의 표 하지 못한다 2) 약간 표 하지 못한다 3) 그 그 다

4) 약간 표 한다 5) 매우 표 한다

21. 나는 다른 사람에 한 부정 인 느낌을 (건설 으로)

1) 거의 표 하지 못한다 2) 약간 표 하지 못한다 3) 그 그 다

4) 약간 표 한다 5) 매우 표 한다

22. 나는 나의 개인 인 심사에 하여 다른 사람과

1) 거의 나 지 않는다 2) 약간 나 지 않는다 3) 그 그 다

4) 약간 나 다 5) 매우 잘 나 다

23. 다른 사람이 나에 한 느낌을 표 할 경우 그것을 믿고 받아들이는 정

도는

1) 매우 다 2) 약간 다 3) 그 그 다

4) 약간 많다 5) 매우 많다

24. 다른 사람이 나에 한 부정 인 느낌을 표 할 때 내가 건설 으로 하는

태도는

1) 매우 다 2) 약간 다 3) 그 그 다

4) 약간 많다 5) 매우 많다

25. 나는 다른 사람과 앞으로 인 계를 어떻게 해야 할 지를

1) 거의 이해하지 못한다 2) 약간 이해하지 못한다 3) 그 그 다

4) 어느 정도 잘 이해한다 5) 매우 잘 이해한다

Page 70: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59 -

사회행동척도 검사(Social Behaviour Scale)

성 명 :

평 가 일 : 년 월 일 ( 요일)

평 가 자 :

■ 언어 인 면

1. 목소리 굵기

1) 아 들리지 않을 정도로 작거나 는 극단 으로 크다.

2) 지나치게 작거나 는 커서 불쾌감을 다.

3) 무 작거나 는 커서 신경에 거슬린다.

4) 작거나 는 큰 편이지만 지장은 없다.

5) 크기가 하다

2. 목소리의 질

1) 극단 으로 지루하고 단조로와서 매우 불쾌감을 다.

2) 지나치게 지루하고 단조로와서 불쾌감을 다.

3) 약간 지루하고 단조로와서 다소 불쾌감을 다.

4) 그 그런 정도이나 불쾌하지 않다.

5) 하다.

3. 음성의 높낮이(고 )

1) 극단 으로 높거나 는 낮거나 단조로와서 매우 불쾌감을 다.

2) 지나치게 높거나 는 낮거나 단조로와서 불쾌감을 다.

3) 무 높거나 는 낮거나 단조로와서 약간 불쾌감을 다.

Page 71: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60 -

4) 약간 높거나 는 낮거나 단조롭지만 불쾌하지는 않다.

5) 높낮이가 하다.

4. 소리의 명확성

1) 극단 으로 렸하지 않게 발음하거나 극단 으로 마디마디 끊어지는 경향

이 있어서 알아듣기가 매우 불쾌하다.

2) 지나치게 렷하지 않게 발음하거나 지나치게 마디마디 끊어지는 경향이

있어서 알아듣기가 불가능하거나 불쾌하다.

3) 무 렷하지 않게 발음하거나 마디마디 끊어지는 경향이 있어서 알아듣기

가 불가능하거나 불쾌하다.

4) 렷하지 않게 발음하거나 마디마디 끊어지는 경향이 있다.

5) 소리가 명확하다.

5. 말의 속도

1) 극단 으로 느리거나 는 빠른 편이어서 따라가기가 불가능하다.

2) 지나치게 느리거나 는 빠른 편이어서 때때로 따라가기가 힘들다.

3) 무 느리거나 는 빠른 편이어서 따라가기가 다소 어렵다.

4) 약간 느리거나 는 빠른 편이지만 듣기에는 지장이 없다.

5) 말의 속도가 당하다.

6. 언어장애

1) 극단 으로 더듬거나 반복 이거나 생략하여서 극히 당황스럽다.

2) 지나치게 더듬거나 반복 이거나 생략하여서 당황스럽다.

3) 무 더듬거나 반복 이거나 생략하여서 부정 인 인상을 다.

4) 때때로 더듬거나 반복 이거나 생략하지만 부정 인 인상을 주지는 않는다.

5) 언어상의 장애가 없다.

Page 72: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61 -

■ 비언어 인 면

7. 상 방과의 거리

1) 극단 으로 멀거나 는 가까운 편이어서 소외감이나 불쾌감을 다

2) 지나치게 멀거나 는 가까운 편이어서 불쾌감을 다.

3) 다소 멀거나 는 가까움 편이어서 부정 인 인상을 다.

4) 약간 멀거나 는 가까운 편이지만 부정 인 인상을 주지는 않는다.

5) 거리가 당하다.

8. 상 방에 한 몸의 각도

1) 완 히 외면(90˚이상으로) 하는 편이어서 매우 불쾌감을 다.

2) 지나치게 외면(90˚이상으로) 하는 편이어서 불쾌감을 다.

3) 다소 외면하는 편이어서 부정 인 인상을 다.

4) 약간 외면하는 편이지만 부정 인 인상을 주지는 않는다.

5) 각도가 하다.

9. 외모

1) 극단 으로 매력이나 호감이 없는 편이다.

2) 매우, 매력이나 호감이 없는 편이다.

3) 다소 매력이나 호감이 없는 편이다.

4) 약간 매력이나 호감이 없는 편이지만 부정 인 인상을 주지는 않는다.

5) 외모가 당하다.

10. 얼굴표정(상황에서의 성)

1) 극단 으로 무표정하거나 극단 으로 부 하다.

2) 지나치게 무표정하거나 지나치게 부 하다.

3) 다소 무표정하거나 다소 부 하다.

Page 73: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62 -

4) 약간 무표정하거나 약간 부 하다.

5) 얼굴표정이 하다.

11. 시선

1) 극단 으로 시선을 피하거나 쳐다보는 편이어서 매우 불쾌하다.

2) 지나치게 시선을 피하거나 쳐다보는 편이어서 불쾌하다.

3) 다소 시선을 피하거나 쳐다보는 편이어서 불쾌하다.

4) 시선을 피하거나 쳐다보는 편이지만 불편하지는 않다.

5) 정당한 시선 을 한다.

12. 몸의 긴장상태

1) 극단 으로 경직되거나 는 축 처진 편이다.

2) 지나치게 경직되거나 는 축 처진 편이다.

3) 다소 경직되거나 는 축 처진 편이다.

4) 약간 경직되거나 는 축 처진 편이지만, 부정 인 인상을 주지는 않는다.]

5) 보통 정도의 편안한 상태이다.

13. 제스처의 사용

1) 거의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이 매우 부 하다.

2) 지나치게 제한된 편이거나 지나치게 부 하다.

3) 다소 제한된 편이거나 다소 부 하다.

4) 제한된 편이지만, 부정 인 인상을 주지는 않는다.

5) 하다.

■ 화의 내용

14. 화의 길이

Page 74: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63 -

1) 단음 에 그치거나 는 극단 으로 긴편이다.

2) 지나치게 짧거나 는 긴편이다.

3) 다소 짧거나 긴편이다.

4) 짧거나 긴편이지만 부정 인 인상을 주지는 않는다.

5) 화의 길이가 하다.

15. 화내용의 일반성(상황에서의 성)

1) 극단 으로 일반 인 화제이거나 는 특수한 화제이어서 하지 않다.

2) 지나치게 일반 인 화제이거나 는 특수한 내용이다.

3) 다소 일반 인 화제이거나 는 특수한 내용이다.

4) 일반 인화제이거나 는 특수한내용이지만부정 인인상을주지는 않는다.

5) 일반 인 내용과 특수한 화제가 당히 섞여있다.( 하다)

16. 화시의 격식

1) 극단 으로 격식을 차리거나 는 상 를 무시하는 편이다.

2) 지나치게 격식을 차리거나 는 상 를 무시하는 편이다.

3) 다소 격식을 차리거나 상 를 무시하는 편이다.

4) 격식을 차리거나 상 를 무시하는 면이 있기는 하지만 부정 인 인상을 주

지는 않는다.

5) 당한 정도의 스스럼 없는 화를 한다.

17. 화 내용의 다양성

1) 한가지 종류의 단순한 화제만 있다.

2) 지나치게 다양성이 결여되어 있다.

3) 다소 다양성이 결여되어 있다.

4) 약간 다양성이 결여되어 있는 정도이다.

5) 한 정도의 다양성이 있다.

Page 75: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64 -

18. 유우머

1) 유우머가 극단 으로 은 편이다.

2) 유우머가 지나치게 은 편이다.

3) 유우머가 다소 은 편이다.

4) 유우머가 다소 은 편이지만 부정 인 인상을 주지는 않는다.

5) 유우머를 당하게 사용한다.

19. 반응을 주고받기(피드백)

1) 극단 으로 피드백이 드물거나, 비 인 피드백을 다.

2) 지나치게 피드백이 드물거나, 비 인 피드백을 다.

3) 다소 피드백이 드물거나 비 인 피드백을 다.

4) 피드백이 드물거나, 비 인 피드백을 주기도 하지만 불쾌감은 없다.

5) 당하게 피드백을 주고 받는다.

20. 발언횟수

1) 극단 으로 발언을 하지 않는 편이거나 무 자주하는 편이다.

2) 지나치게 발언을 하지 않는 편이거나 는 자주 하는 편이다.

3) 다소 발언을 하지 않는 편이거나 는 자주하는 편이다.

4) 발언을하지않는편이거나하는편이지만부정 인인상을주지는않는다.

5) 하게 발언한다.

21. 집단내에서의 행동

1) 극단 으로 한 행동에서 벗어나 있다.

2) 지나치게 한 행동에서 벗어나 있다.

3) 다소 한 행동에서 벗어나 있다.

4) 한 행동에서 약간 벗어나 있으나 부정 인 인상을 주지는 않는다.

5) 하고 일반 인 행동을 한다.

Page 76: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65 -

제목 인간 계훈련 1 - 공통 찾기

활동

목표

자기자신에 해 개방해 보고, 서로간의 동질감을 발견하여 친

감을 형성시킨다.

비물 작성지, 필기구

실 시

방 법

< 워 업 - 아, 반갑습니다 ! >

1. 둥그 게 원으로 앉아 각자 자신에게 해당되는 지시

가 있을 경우, 앞으로 나와 서로 인사(아, 반갑습니

다!)하고 자리에 앉는다.

2. 느낌 발표시, 참가자 모두가 다 만나 보았는지 살펴

몇 사람과 인사를 나 었고 그 때마다 느낌은 어떠

했는지 등을 발표 한다.

< 본 로그램 >

1. 먼 자신을 알릴 수 있는 정보나 함께 공유할 수 있

는 특성을 생각해 본다.( : 고향, 거주지, 출신학

교, 형제서열, 나이, 좋아하는 음식,취미 등)

2. 둘씩 짝을 지어 서로에 해 질문하며 최 한 공통

을 찾아본다.

3. 주어진 시간내에 가장 많은 공통 을 찾아낸 이

우승하는 게임 형식으로 진행한다.

4. 각 이 서로가 찾아낸 공통 을 발표하며 공유하

는 시간을 갖는다.

5. 마지막으로 소감을 나 고 종결한다.

1. 자신과 비슷한 성격을 가지고 있거나 특성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는 친 감을 느끼게 되므로, 최 한 서로간의 공통

을 많이 찾아내도록 격려한다.

2. 상자들의 특성을 잘 배려하여 히 짝이 되도록 배려한다.

3. 구체 이고 세 한 공통 을 찾도록 유도한다.

부록2 : 사회재활 로그램 회기별 내용

Page 77: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66 -

제목 인간 계훈련 2 - 나의 자랑거리

활동

목표

자신의 자랑거리를 소개하고 표 함으로써 자신감을 향상시키

고 타인들의 심과 호감을 유도하여 정 인 인간 계를 경

험한다.

비물 작성지, 필기구

실 시

방 법

1. “나의 자랑거리” 작성지를 나 어 다.

2. 양식을 작성하도록 한다.

3. 참석자 모두 돌아가면서 발표하고, 진행자는 상

자들이 정 인 피드백을 받도록 진행한다.

4. 소감을 나 고 종결한다.

1. 자랑거리가 없다며 소극 인 태도를 보이는 회원에게는 즉

석에서 참석자들이 자랑거리를 찾아주도록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2. 자랑거리를 단순히 자신에 국한시키지 않고 자신과자신이

속한 주변에서 모두 찾아보도록 범 를 확 하여생각해 볼

수 있도록 격려한다.

3. 작성지에 쓰는 과정에서 자신에 하여 생각해 보는 것도

요하지만, 발표과정에서 타인에게 정 인 피드백을 받

는 것이 포인트 이므로 교사는 이를 고려한다.

응용

하기

1. 나의 장 과 단 ,내가 사랑하는 것들을 어와 다음시간에

발표하게 한다.

Page 78: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67 -

제목 인간 계훈련 3 - TV는 사랑을 싣고

활동

목표

과거의 의미 있었던 사람들과의 추억을 회상하며 인간 계의

요성에 해 생각해 본다

비물 작성지, 필기구, 배경음악

실 시

방 법

1. 잘 알려진 TV 로그램이므로 이를 시청한 경험이

있는 회원들을 통해 로그램에 하여 소개하도록

한다.

2. 과거에 자신에게 의미가 있었던 상과의 추억을 떠

올려보고, 그 사람들 에서 재 만나고 싶은 사람

을 생각해 보도록 한다. 생각을 돕기 해서 배경음

악을 사용한다.

3. 작성지를 완성한 후 돌아가면서 발표한다.

4. 발표를 들으면서 다른 회원들이 궁 한 을 물어보

도록 격려하여 분 기를 활성화 시킨다.

5. 소감을 나 고 종결한다.

1. 찾을 사람이 없다고 하는 경우 가족이나 재의 계로 범

를 넓 다.

2. 배경음악은 TV 로그램시 사용하는 셀린디온의 음악을 트

는 것이 분 기 조성에 도움이 된다.

응용

하기

1. 찾고 싶은 사람에게 편지쓰기

2. 빈의자 기법을 활용하여 만나고 싶은 사람에게 하고 싶은

말하기

3. 평소 만나보고 싶었던 유명인, 연 인 만나기

Page 79: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68 -

제목 인지재활훈련 1- 단어유창성

활동

목표

특성 성으로 시작되는 단어를 떠올리게 함으로써 단어유창성

을 기르고 두엽 기능을 활성화 시킨다.

비물 성만 포함된 문자 , 필기구, 작성지

실시

방법

1. 일상생활에서 언어능력이 필요한 경우를 함께 이야

기해 으로써 언어능력의 요성을 상기시킨다.

2. 단어 만들기와 유사한 과제를 할 것이라고 설명한

뒤 한 두개 를 들어 함께 실시한다.( : 'ㄴㅁ‘-

나무)

3. 상자들의 기능 수 을 고려하여 을 구성한다.

4. 성으로 이루어진 문자 을 보고, 가능한 한 많은

단어를 생각해 내도록 유도한다.

5. 별로 생각해 낸 단어들을 비교해 본다.

6. 소감을 나 다.

1. 상자의 수 을 고려하여 을 구성하는 것이 요하며,

이때 기능수 이 좋은 사람이 과제를 주도해 나가지 않도

록 주의가 필요하고, 서로 상의하여 단어를 찾아기도록 지

도한다.

2. 주어진 성 수가 많아 한 단어만 만드는 것보다 은 수

의 성으로 여러개의 단어를 만들 수 있는 것이 좋다.

응용

하기

1. 서로 상 에게 문제를 내고 맞추도록 한다.

2. 카테고리를 정해서 로그램을 진행한다.

( : 화제목, 노래제목, 드라마 제목 등)

Page 80: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69 -

제목 인지재활훈련 2- 숨은 그림 찾기(주의집 )

활동

목표

숨은 그림을 찾는 탐색하는 과정에서 주의집 을 유도하고 유

지한다.

비물 숨은 그림 찾기 그림

실시

방법

< 워 업 : 넝쿨풀기 >

1. 모두 손을 잡고 빙 둘러 선다. 먼 교사가 잡은

손을 움직이면 달받은 사람이 으로 느낌을

달하게 한다 .

2. 달이 끊어지지 않고 처음 시작한 사람에게 까지

오도록 한다.

3. 다음은 서로의 손을 엇갈려 잡은 뒤 같은 방법으로

손을 움직여 시작한 사람까지 달되도록 한다.

4. 이제 서로 엇갈린 손을 풀지 않고 서로 동하여

얽 진 넝쿨을 풀어나간다.

5. 넝쿨을 다 풀면 처음 시작할 때와 같이 원이 만들

어져야 한다.

6. 풀린 시간을 측정하여 비교해 본다.

7. 서로의 소감을 이야기 한다.

< 본 로그램 >

1. 주의집 로그램의 요성에 해 이야기해 본

다.

2. 상자를 두 으로 나 다.

3. 비된 그림 을 제시하고 빨리 찾는 이 승리한

다.

4. 그림찾기가 끝나면 소감을 나 다.

1. 개인별 진행도 가능하지만 상자의 수 을 고려하여 2~3

명씩 짝을 지어 실시한다.

2. 단순한 게임이 아니라 주의집 이 필요한 과제임을 설명한

다.

3. 상자 모두 흥미롭게 참여할 수 있도록 분 기를 유도한

다.

Page 81: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70 -

제목 인지재활훈련 3 - 이야기 기억하여 달하기

활동

목표

주의력과 함께 청각 기억력을 함양하고, 정확한 의사소통의

요성을 인식하도록 한다.

비물 이야기 구성카드, 화이트보드

실시

방법

< 워 업 : 번호 따라 어깨 치기 >

1. 둘씩 짝을 지어, 한 사람씩 양쪽 어깨에 번호를 붙인

다.(1~4까지 번호가 매겨지게 된다)

2. 진행자가 번호를 부르면, 해당 어깨를 손으로 친다.

이때 자신의 어깨 번호가 불릴 때, 상 방이 치기

에 손으로 막을 수 있다.

< 본 로그램 >

1. 두 으로 나 어 일렬로 서게 한다.

2. 의 앞사람에게 이야기 카드를 보여주고, 잘 기억하

여 뒷사람에게 귓속말로 달하도록 한다.

3. 맨 끝의 사람까지 이야기를 기억하여 귓속말 로

달되면, 마지막 사람은 칠 에 나와 자신이 들은 이

야기를 는다.

4. 처음 문장과 비교해 본다.

5. 차이가 생긴 이유를 생각해 보고, 기억책략에 하여

생각해 본다.

6. 소감을 나 고 마무리 한다.

1. 기억력과 련된 과제이므로 무 부담을 느끼지 않도록 간

단한 문장부터 로그램을 진행한다.

2. 문장을 정확하게 기억하지 못하는 것에 해 좌 감을 느낄

수 있으므로 기억의 특성에 해 설명해 다.

1) 두효과: 먼 처리된 항목들이 상 으로 많은 시연

의 기회를 갖게 되므로 더 많이 기억하게 된다.

2) 최신효과 : 나 에 제시된 항목들은 잊을 확률이 상

으로 어 더 많이 기억하게 된다.

3. 기능수 이 낮은 경우 카드를 보고 읽어서 달하게 한다.

Page 82: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71 -

제목 정신건강교육 1 -정신분열병의 증상과 진단

활동

목표

1. 구체 인 증상에 해 알고 이를 리할 수 있도록 돕는다.

2. 진단과정을 알고 이것을 통해 치료의지, 투약의 순응도를

증진시킨다.

비물 필기구, 교육자료

실시

방법

1. 자신이 경험한 증상이나 직 경험하지는 안않지만

다른사람의 경험을 통해 알고 있는 증상에 해 이야

기해 본다.

2. 이 에 경험했던 증상과 재 경험하고 있는 증상으

로 나 어 증상 체크리스트를 체크한다.

3. 증상으로 인해 힘들었던 , 가장 힘들게 느껴지는

증상이나 최근에 심해진 증상, 증상에 처하는 방법

등에 해 이야기 하도록 한다.

4. 양성증상, 음성증상, 인지증상, 엉뚱한 행동과 말에

해 설명한다.

5. 기타 의문사항을 질문할 수 있는 질의· 응답 시간을

갖는다.

1. 병식이 부족한 회원의 경우 진단과정에 해 의문 을 제기

할 수 있으므로 병력청취에 한 자세한 근거를 제시한다.

2. 증상에 해 개방하는 것을 어려워하는 회원들이 있을 수 있

으므로 배려하고, 스스로 표 하지 않아도 다른 회원의 이야

기를 경청한 것에 해 정 인 피드백을 제공한다.

3. 교육이 끝난 후 교육 효과를 평가한다.

4. 시청각 자료를 사용하여 단조로움을 피하고 주의집 을 유도

한다.

Page 83: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72 -

제목 정신건강교육 2 - 약물치료

활동

목표

약물치료의 효과와 부작용에 해 알고 처할 수 있도록 도

와 약복용의 순응도를 증진시킨다.

비물 자신이 복용하고 있는 약, 교육자료(시청각 자료)

실시

방법

1. 약을 복용하면서 경험했던 효과에 하여 각자 돌아

가면서 이야기를 한다.

2. 투약의 목표(환각, 망상, 불안, 불면, 집 력 하,

축등의 증상완화와 재발방지 효과)를 설명한다.

3. 재 자신들이 복용하고 있는 약을 보면서 자신들이

복용 했던 약, 재 복용하고 있는 약의 종류, 용량

에 해 알도록 교육한다.(ppt자료)

4. 약을 복용하면서 본인들이 경험한 부작용에 하여

이야기 한다.

5. 부작용에 하여 설명한다.(교육자료)

6. 부작용이 나타났을 때 처해야 할 방법에 해 설

명한다.

7. 기타 궁 해 하는 내용에 하여 질의하는 시간을

갖는다.

8. 문제풀이 형태로 진행하여 이해가 빠르게 교육한다.

- 약에 하여 반응이 좋지 않거나 부작용이 심했던 회원들이

부정 인 의견을 표 할 수 있는데 다른 동료들에게 부정 인

향을 미치지 않도록 약이 주는 효과와 약을 먹지 않을 경우

생길 수 있는 문제 에 해 지도한다.

Page 84: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73 -

제목 정신건강교육 3 - 재발과 기상황 리

활동

목표

1. 병의 경과상 재발이 있을 수 있음을 설명하고 효과 으로 방,

리 할 수 있도록 돕는다.

2. 기상황에 하여 인식하고 바르게 처할 수 있도록 돕는다.

비물 상황체크리스트, 경고증상 체크리스트, 작성지 , 필기구

실시

방법

1. 자신의 재발경험이나 동료들의 재발경험에 한 상황

이나 경험했던 증상 등을 미리 체크해 보고 서로 이

야기하도록 한다

2. 재발의 징후가 있을 때 자신들이 취했던 행동에 해

서로 이야기 한다.

3. 재발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상황에 해 설명한다.

4. 재발 기에 나타나는 경고증상에 해 설명한다.

5. 재발상황에 해 동료들의 감정을 이해하고 지지해주

며, 담당의사나 주변사람에게 도움을 요청하도록 지도

한다.

6. 부작용이 나타났을 때 처해야 할 방법에 해 설명

한다.

7. 기 상황에 해 설명하고 자신들이 느 던 경우에

스 스의 향에 해 이야기 한다.

8. 스트 스를 해소하기 하여 시도했던 방법과 효과가

없었던 방법에 해 이야기 나 고, 효과 인 방법(수

면, 음악, 화, 운동 등)을 소개한다.

9. 자살이나 폭력 인 행동을 한 경험이 있는지, 그리고

어떻게 처했는지 이야기 한다.

10. 기상황에서 주변의 가족이나 담당의사 등에게 도

움을 청할 수 있을 수 인식시킨다.

11. 기타사항에 하여 질의·응답 시간을 갖는다.

- 단정 이거나 비난하는 말투로 들리지 않도록 유의하고, 논

쟁을 하기보다는 지지 인 태도를 도움을 수 있도록 유도

한다.

-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사람들을 어보게 한다.

Page 85: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74 -

제목 작문요법 1 - 표정카드로 이야기 만들기

활동

목표

여러 장의 표정카드를 연결하여 이야기를 완성하는 과정에서

감정의 인식과 표 을 돕는다.

비물여러 가지 표정이 그려진 표정카드, 작성지, 가 , 풀,

색연필, 필기구

실시

방법

1. 각 회원들의 다양한 표정에 해 이야기를 나 다.

2. 회원들에게 표정카드를 나 어 주어 자유롭게 배열

하도록 하고, 배열된 표정카드에 따른 거리를 상상

하여 작성하도록한다.

3. 회원들은 자신의 을 돌아가면서 발표한다.

4. 소감을 나 고 마무리 한다.

1. 기능수 이 낮은 경우 어떠한 상황에서 주어진 표정카드와

같은 표정이 연출될 수 있는지에 해 간략히 을 쓰도록

한다.

2. 회원의 기능 수 에 따라서 표정카드의 수를 조 한다

응용

하기

1. 자신의 경험을 표정카드로 나타내고 그때의 감정 변화나 생

각 등을 말로 표 하거나 로 쓰게 한다.

2. 표정카드를 이용하여 집에서 일기를 써보도록 한다.

Page 86: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75 -

제목 작문요법 2 - 이야기 만들기

활동

목표

상상력을 발휘해 내용과 련된 을 이어 으로서 창의

사고를 돕는다.

비물 이야기를 요약한 자료, 필기구

실시

방법

1. 교사는 유년시 읽었던 동화에 해 회원들과 이야

기를 나 다.

2. 교사가 비한 이야기의 원작에 해 간단히 이야기

하고 후속이야기를 자유롭고 창의 으로 작성하게

한다.

3. 회원들은 자신의 을 돌아가면서 발표한다.

4. 소감을 나 고 마무리 한다.

1. 회원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자료를 비한다.

2. 잘 참여하지 못하는 회원의 경우 이야기를 쉽게 풀어갈 수

있도록 감동깊게 읽었던 부분을 떠올리게 한다.

3. 을 여러 단락으로 나 어 회원들이 원하는 부분의 이야기

를 구성하도록 한다.

Page 87: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76 -

제목 연극요법 2 - 동 화 구 연

활동

목표

어린시 추억을 떠올리고 다양한 표정과 최 한 큰 동작을

취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발음과 한 표정으로 달하는

기술을 연습해본다

비물 동화구연 본, 종이, 필기구, 오디오, 음악CD나 테이

실 시

방 법

1. 어린시 들었거나 책에서 읽었던 기억나는 동화에

해 이야기를 나 뒤, 동화구연에 해 설명한다.

2. 인원수에 따라 히 2 으로 나 어서 동화구연

내용을 제시하고 주제를 정하게 한다.

3. 동화구연 본을 가지고 각자의 역할을 정하여 동

화구연을 하도록 한다.

4. 연습할 시간을 다.

5. 연습이 끝나면 모여서 각 별 발표를 한다.

6. 각자의 소감을 이야기하고 종결한다.

1. 발표를 힘들어하는 소극 인 회원에게는 동화구연하는 사

람뒤에서 사없이 상황에 맞는 동작을 표 하게 하거나

사를 맡긴다. → : 효과음(“펑~”, "와~”등), 토끼와 거북이

의 경주에서 잠을 자는 토끼 모습 흉내 등

2. 실감나는 동화구연을 해 진행자 는 보조진행자가 시연

을 한다.

3. 잘 알려진 동화를 선택한다.( : 흥부와 놀부, 토끼와 거북

등)

4. 마이크 등의 소도구를 이용하고 주변의 환경을 내용에 맞

게 꾸며 휠씬 실감나는 동화구연을 할 수 있도록 한다.

Page 88: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77 -

제목 연극요법 1 - 단어연상 연기

활동

목표

본없이 사나 행동을 자유롭게 연기함으로써 자신감을 얻고

창의성과 자발성, 자기표 을 진한다.

비물 단어쪽지

실시

방법

1. 단어가 힌 쪽지를 비한다.

2. 쪽지를 바구니나 통에 담아 놓고 각자가 1개씩 제비

뽑기를 한다.

3. 단어가 힌 쪽지를 이용해 그 단어를 보고 떠오르

는 생각이나 경험, 느낌을 동작 상황연기로 표

하도록 한다.

4. 소감을 이야기하고 종결한다.

1. 교사는 상자가 실감나게 연기할 때 칭찬해주고 분이기가

활발해지도록 격려한다.

2. 제시된 단어에 얽매이지 말고 그것을 바탕으로 구체 이고

다양한 동작이나 표 이 나오도록 유도한다.

3. 교사의 개입이 많지 않고 상자들이 주도 , 자발 으로

표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응용

하기

1. 미리 비된 자료 없이 스스로 즉흥연기를 할 수 있는 주제

나 상황을 제시하여 자연스런 표 이 나오도록 하는 즉흥연

기도 시도해 본다.

Page 89: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78 -

제목 연극요법 3 - 본 읽 기

활동

목표

본을 읽으면서 상황에 맞는 감정을 느끼고 하게 표 하

는 능력을 향상시켜 자기표 에 한 자신감을 갖게한다.

비물 드라마 본

실시

방법

1. 밝고 정 인 캐릭터로 구성된 “ 헬로우 발바리

”(kbs 시트콤) 본을 비하고, 비한 본을 나

어 후 역할을 정한다.

2. 연습할 시간을 주고 연기하도록 한다.

3. 정확한 발음과 일맞은 목소리 크기로 본을 읽도

록하고, 사나 상황에 맞는 감정을 느끼고 이를 표

하도록 한다.

4. 소감을 이야기하고 종결한다.

1. 회원 주도하에 내에서 인물의 성격을 분석하고 각자 역

할을 맡도록 진행한다.

2. 을 향해 서서, 큰 목소리로, 표정이나 동작까지 표 하

도록 유도한다.

3. 특히 사나 상황에 맞는 한 감정표 을 요시하고 지

문에 주의하도록 격려한다.

응용

하기

1. 등장인물이 회원수 보다 많을 경우 체집단이 함께 모여

본을 읽도록 유도한다.

2. 한 명이 특정한 인물을 맡지 말고 돌아가면서 읽도록 유도

한다.

3. 오늘 연습한 본 읽기로 “이용자 성탄행사”에 연극으로

공연을 기획 할 수 있도록 제안한다.

Page 90: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79 -

제목 작업치료 활동 1 - 계 달력 만들기

활동

목표

계 달력을 만드는 과정에서 계 감에 한 지남력을 증진시

키고 스스로 생활에 한 계획을 세우도록 함으로써 자기 리

능력을 강화한다.

비물

12개월 월별 달력(날짜와 요일이 힌 것), 도화지, 잡

지, 스텔, 그 스, 컬러 사인펜, 가 , 자, 풀, 가 ,

필기도구

실시

방법

1. 자신에게 의미 있는 달을 생각하며 달을 결정한

다.

2. 잡지를 보면서 계 의 이미지를 잘 나타내었거나,

자신이 표 하고 싶은 이미지가 있는 사진들을 선

정한다.

3. 가 와 풀을 이용하여 오려 붙이고, 날짜들을 기

록 한다.

4. 일요일이나 공휴일, 기념일, 가족의 경조사 는

기억해야 하는 날을 표시한다.

5. 자신의 월간 계획표에 하여 발표하고 회원들과

함께 이야기 나 다.

6. 소감을 이야기하며 로그램을 종결한다.

1. 그림을 넣을 공간과 날짜를 어 넣을 공간을 히 배치

하도록 한다.

2. 특정 달을 정하여 이벤트를 계획해 보는 “상상달력”을 만들

어보도록 유도한다 .

Page 91: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석 사 학 위 논 문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 80 -

제목 작업치료활동 2 -칼라 토 메모 홀더

활동

목표

고무 성분으로 되어있는 칼라 토를 손으로 주물러 물체를 만

들어 으로써 손에 감각 자극을 제공하고 근력을 증진 시키며,

창의 인 작품을 만들어 본다.

비물오색(흰색, 노랑색, 빨강색, 랑색, 검정색) 칼라 토,

보조도구, 가 , 본드, 칼, 자석, 도안집

실시

방법

1. 만들고 싶은 모양과 색상을 생각한다.

2. 당량의 기본 오색 칼라 토를 알맞은 비율로 섞

어 원하는 색을 만든다.

3. 원하는 모양을 만든다.

4. 본드를 이용하여 작품 뒤쪽에 자석을 붙인다.

5. 서로 만든 것을 보며, 감상하고 소감을 나 다.

1. 색깔이나 모양을 잘 못내는 경우 도안집을 보고 할 수 있도

록 유도한다.

2. 칼라 토는 마르면 갈라지는 성질이 있음을 알게하고, 모양

이 일그러지면 약간의 물을 넣고 다시 주물러 사용하게

한다.

응용

하기

1. 칼라믹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일상용품을 만들어 본다.

2. 다음시간에는 골 지 종이감기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작품을

만들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