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37
자생생물 조사․발굴 연구 2009.4. 연구기관 :원광대학교 산학협력단 국립생물자원관

Upload: others

Post on 31-Dec-2019

24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자생생물 조사․발굴 연구

2009.4.

연구기 :원 학교산학 력단

국립생물자원

Page 2: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자생생물 조사․발굴 연구

2009.4.

연구기 :원 학교산학 력단

국립생물자원

Page 3: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제 출 문

국립생물자원 장 귀하

본 보고서를 「자생생물 조사․발굴 연구」용역의 3차년도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9년 4월

원 학교 산학 력단장

[연구진]

자생생물 조사․발굴 연구사업단

사 업 단 장: 김 병 진 (원 학교)

세부과제책임자: 이 종 욱 ( 남 학교)

김 원 (서울 학교)

장 엽 ( 북 학교)

이 진 환 (상명 학교)

선 병 윤 ( 북 학교)

이 충 렬 (군산 학교)

Page 4: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목 차

Ⅰ.연구사업의 배경 목 ···························································································1

1.생물다양성의 요성 ···············································································································1

2.국․내외 생물다양성 확보 황 ···························································································2

3.생물다양성 조사의 의의 ·········································································································4

4.연구사업의 목 ·······················································································································5

Ⅱ.연구사업 수행 내용 결과 ·····················································································61.총 ·············································································································································6

가.최종 목표 ·······························································································································6

나.총 사업 계획 ······················································································································7

(1)개요 ·······································································································································7

(2)총 사업계획 ····················································································································· 9

다.연구사업 구성 추진체제 ······························································································10

라.연구진 구성체계 ·················································································································11

마.사업 리·································································································································12

(1)사업 리 추진 계획 ·········································································································12

(2)연구사업 구성 추진체제 ···························································································13

(3)참여연구원별 업무분장표 ·······························································································14

2.총 사업 :한반도 자생 생물자원 발굴․ 리 ································································19

가.당해연도 연구 목표 ···········································································································19

나.당해연도 연구개발 계획 ···································································································20

다.연구 범 ·····························································································································20

라.연구 내용 방법 ··············································································································20

마.연구 결과 ·····························································································································26

3.자생 무척추동물Ⅰ (곤충)자원 조사․발굴 ····································································32

가.당해연도 목표 ·····················································································································32

나.당해연도 연구개발 계획 ···································································································32

다.연구 범 ·······························································································································32

라.연구사업 수행내용···············································································································33

마.연구 결과 ·····························································································································35

4.자생 무척추동물Ⅱ (곤충 제외,원생생물 포함)자원 조사․발굴 ·····························50

가.당해연도 연구 목표 ···········································································································50

나.당해연도 연구개발 계획 ···································································································50

다.연구 범 ·····························································································································50

Page 5: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라.연구사업 수행내용 ·············································································································51

마.연구 결과 ·····························································································································57

5.자생 하등생물 자원 조사․발굴 ·························································································66

가.당해연도 연구 목표 ···········································································································66

나.당해연도 연구개발 계획 ···································································································66

다.연구 범 ·····························································································································67

라.연구사업 수행내용 ·············································································································67

마.연구 결과 ·····························································································································74

6.자생 하등식물(Algae)자원 조사․발굴 ············································································89

가.당해연도 연구 목표·············································································································89

나.당해연도 연구개발 계획·····································································································89

다.연구 범 ·······························································································································89

라.연구사업 수행내용 ·············································································································90

마.연구 결과 ·······························································································································92

7.자생 고등식물 자원 조사․발굴 ·······················································································101

가.당해연도 목표 ···················································································································101

나.당해연도 연구개발 계획···································································································101

다.연구 범 ·····························································································································101

라.연구사업 수행내용·············································································································102

마.연구 결과 ···························································································································104

8.자생 척추동물 자원 조사․발굴 ·······················································································114

가.당해연도 목표·····················································································································114

나.당해연도 연구개발 계획 ·································································································114

다.연구 범 ·····························································································································115

라.연구사업 수행내용 ···········································································································115

마.연구 결과 ···························································································································119

Ⅲ.1단계 자생생물 조사ㆍ발굴 연구사업 내용 결과 ············································130

1.총 사업:한반도 자생 생물자원 발굴ㆍ 리 ································································130

가.연구결과 ·····························································································································130

(1)총 표 ·······························································································································131

(2)연차별 연구 내용 결과 ···························································································134

2.자생 무척추동물Ⅰ (곤충)자원 조사․발굴 ··································································148

가.최종 목표 ···························································································································148

나.연차별 연구 범 ·············································································································148

다.연차별 연구 결과 ·············································································································149

3.자생 무척추동물Ⅱ (곤충 제외,원생생물 포함)자원 조사․발굴 ···························156

가.최종 목표 ·····························································································································156

Page 6: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나.연차별 연구 범 ·············································································································156

다.연차별 연구 결과 ·············································································································157

4.자생 하등생물 자원 조사․발굴 ·······················································································173

가.최종 목표 ···························································································································173

나.연차별 연구 범 ·············································································································173

다.연차별 연구 결과 ·············································································································174

5.자생 하등식물 자원 조사․발굴 ·······················································································201

가.최종 목표 ···························································································································201

나.연차별 연구 범 ·············································································································201

다.연차별 연구 결과 ·············································································································202

6.자생 고등식물 자원 조사․발굴 ·······················································································211

가.최종 목표 ···························································································································211

나.연차별 연구 범 ·············································································································211

다.연차별 연구 결과 ·············································································································212

7.자생 척추동물 자원 조사․발굴 ·······················································································219

가.최종 목표 ···························································································································219

나.연차별 연구 범 ·············································································································219

다.연차별 연구 결과 ·············································································································220

Ⅳ.목표 달성도 련분야에서의 기여도 ·····························································227

1.연구개발 목표 평가의 착안 ·····················································································227

2.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228

3.연구사업 련 분야의 기술발 기여도 ·········································································230

Page 7: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Ⅰ. 연 업의 경 목적

- 1 -

Ⅰ.연구사업의 배경 목

1.생물다양성의 요성

○ 생물다양성은 유 ,종 ,생태 다양성의 총체로서 지구생태계를 구성하는 필수 요

소(Wilson,1988).

○ 생물다양성의 구성 요소는 인류의 건강 유지에 매우 요하며 미국은 조제되는 약의

25%가 식물로부터 추출된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재 3,000여종의 항생제가 미생물

에서 얻어짐.

-동양 통 의약품의 경우에도 5,100여종의 동․식물을 사용.

○ 즉,생물다양성은 작물품종 개량, 통의약 생명공학의 원천재료.

○ 한반도 고유생물을 포함한 생물다양성은 21세기 가장 요한 첨단산업인 생물산업(BT)

의 원천 소재이며 인간 환경의 바탕으로서 고유한 국가 재산임.

○ 생물다양성으로부터 인간이 얻고 있는 최소한의 경제 가치.

-Piementeletal.(1997)-2조9,280억 달러/년으로 추산(표 1).

⇒ 세계 GDP26조 달러의 약 5%.

-Costanzaetal.(1997)-약 33조 달러/년으로 추산.

구 분 미국 (×$109) 세계 (×$10

9)

폐기물 처리 62 760화학물질의 생물학 처리 22.5 121

작물,가축 육종 40 155생명공학 2.5 6

해충의 생물학 방제 17 160화분수정 40 200

야생생물 식품 0.5 180목재 생산 8 84

생태 18 500식물로부터 추출된 의약품 20 84

⋮ ⋮ ⋮

총계 319 2,928

<표 1>생물다양성의 경제 가치(Piementeletal.,1997)

Page 8: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Ⅰ. 연 업의 경 목적

- 2 -

2.국내․외의 생물다양성 확보 황

○ 국내 생물다양성

-문헌상 기록 종 수:동물 19,357종,식물 9,728종(균류 지의류 포함).

-동물:곤충을 제외한 무척추동물 5,699종,곤충류 12,156종,척추동물 1,502종 기록.

-식물: 속식물 3,954종,선태식물 691종,고등균류 1,206종,지의류 600종,수생하등식물

3,277종 기록(표 2,3).

-한반도에 분포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체 생물 종 수 약 10만종으로 재 기록된 생물

다양성은 추정치의 25-30% 정도에 불과.

-한반도 고유생물은 약 2,322분류군(식물 579분류군,동물 1,743분류군)으로 재 기록

되어 있으나,상당수의 분류군에 있어 그 실제 분포 여부,분류학 실체 등이 아직 확

인 불투명.

○ 생물다양성 확보 국내․외 비교 황

국가 기 종류 추정 표본 수(만 )

한국 46개 기 동물 413

18개 기 식물 100

미국스미소니언

국립자연사박물동물/식물/ 물 12,400

미주리 식물 표본 식물 520

국 런던자연사박물 동물/식물/ 물 6,000

왕립 큐식물원 식물 700

※ 한반도 고유 생물자원 발굴 리기반 구축(환경기술진흥원 차세 핵심환경기술개발사업,2006)

○ 식물 유 자원 국내․외 비교 황

미국 러시아 일본

약 43만2천 종 약 40만 종 약 18만 종

※ 한반도 고유 생물자원 발굴 리기반 구축(환경기술진흥원 차세 핵심환경기술개발사업,2006)

Page 9: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Ⅰ. 연 업의 경 목적

- 3 -

문 (phylum)세계

기록종 수

국내 서식

상 종 수

국내

기록종 수

기록종

비율 (%)원생동물문 (Protozoa) 35,000 1,750 628 35.9

형동물문 (Placozoa) 1 - 0 -

생동물문 (Mesozoa) 100 5+ 0 0

해면동물문 (Porifera) 9,000 450 205 45.6

자포동물문 (Cnidaria) 9,000 450 245 54.4

유즐동물문 (Ctenophora) 100 20 0 0

편형동물문 (Platyhelminthes) 20,000 1,000 124 12.4

유형동물문 (Nemertea) 900 45 1 2.2

악구동물문 (Gnatostomulida) 80 4+ 0 0

윤형동물문 (Rotifera) 1,800 (157+) 157 100?

복모동물문 (Gastrotricha) 450 23+ 0 0

동문동물문 (Kinorhyncha) 150 8+ 0 0

선형동물문 (Nematoda) 12,000 600 230 38.3

유선형동물문 (Nematomorpha) 230 12 5 41.7

새 동물문 (Priapula) 15 - 0 -

구두동물문 (Acanthocephala) 700 35 1 2.9

내항동물문 (Entoprocta) 150 8 1 12.5

Loricifera 9 - 0 -

환형동물문 (Annelida) 15,000 750 380 50.7

의충동물문 (Echiura) 135 7+ 2 28.6

성구동물문 (Sipuncula) 250 13+ 9 69.2

유수동물문 (Pogonophora) 135 - 0 -

Vestimentifera 8 - 0 -

완보동물문 (Tardigrada) 400 (50+) 50 100?

유조동물문 (Onychophora) 80 - 0 -

지동물문 (Arthropoda)

각동물 (Chelicheriformes) 65,000 3,250 1,174 36.1

갑각류 (Crustacea) 32,000 1,600 972 60.8

다지류 (Myriapoda) 10,000 200 75 37.5

연체동물문 (Mollusca) 100,000 5,000 997 19.9

완족동물문 (Brachiopoda) 335 17 9 52.9

외항동물문 (Ectoprocta) 4,500 225 135 60.0

추형동물문 (Phoronida) 15 - 0 -

모악동물문 (Chaetognatha) 100 (39) 39 100?

극피동물문 (Echinodermata) 7,000 350 171 48.9

반색동물문 (Hemichordata) 85 5 0 0

척색동물문 (Chordata)

미색동물 (Urochordata) 3,000 150 89 59.3

두색동물 (Cephalochordata) 23 8 0 0

계 327,751 >16,231 5,699 35.1

*곤충류 (Insecta) 850,000 >50,000 12,156 15-25

*척추동물 (Vertebrata) 47,000 2,350 1,502 63.9

총계 1,224,751 >68,581 19,357 28.3

<표 2> 한반도 자생 동물 기록 종 황

※ 한반도 고유 생물자원 발굴 리기반 구축(환경기술진흥원 차세 핵심환경기술개발사업,2006)

Page 10: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Ⅰ. 연 업의 경 목적

- 4 -

종 류 과 속종류(종 종

이하 분류군)

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자엽식물 148 734 2,803

단자엽식물 30 229 837

소 계 207 1,048 3,954

선태식물 - 77 226 691

고등균류 - 82 342 1,206

지의류 - - 600

수생

하등식물

(algae)

담수 녹조류 33 123 1,004

해산 녹조류 16 - 85

담수 규조류 18 89 724

해산 규조류 19 99 667

와편모조류 20 27 192

해산 유 나 기타 편모조류 - - 36

갈조류 25 - 168

홍조류 14 147 401

소 계 - - 3,277

총 계 - - 9,728

<표 3> 한반도 자생식물 기록 종 황

※ 한반도 고유 생물자원 발굴 리기반 구축(환경기술진흥원 차세 핵심환경기술개발사업,2006)

3.생물다양성 조사의 의의

○ 국가 생물자원의 보 ,응용․개발 연구 생물산업 경쟁력 확보

-유용 유 자 도입을 이용한 바이오 상품의 연간 세계시장 규모는 최소 5천억 달러에서

최 8천억 달러로 추정(KateandLaird,1999).

-생물다양성 약(ConventiononBiologicalDiversity;CBD)은 생물자원에 한 주권

권리를 인정하고 있으며,각국의 생물(유 )자원의 개발과 상업 이용에서 발생하는

이득을 생물(유 )자원 제공 국가와 기술개발 국가가 공평하게 분배하도록 규정.

Page 11: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Ⅰ. 연 업의 경 목적

- 5 -

-국내의 고유 자생생물의 실체 악 미비로 인한 리체계의 허 때문에 우리의 고유

생물자원이 상당수 상업 으로 유출되어 외국에서 고부가가치의 생물 상품으로 개발,

시장을 선 되는 사례의 증(환경부,2001).

○ 생물다양성 약 등 생물자원에 한 국제 환경변화에 따른『생물자원의 주권확보』

『동북아 생물자원 R& D의 심국가』로 도약하기 한 기반 구축이 시 히 요구됨.

4.연구사업의 목

○ 신분류군 미기록 생물종 자원을 집 발굴함으로써 새로운 유용 생물자원/유 자원

을 량 확보.

○ 미확인 기록종을 발굴하여 분포여부 실체를 검증함과 동시에 확증표본을 확보.

○ 으로 부족한 고유생물을 포함한 주요 생물자원의 표본 기타 생물재료(생체,종

자,조직,균주,DNA)를 체계 으로 수집.

○ 주요 자생/유용 생물군의 유 자/조직재료 은행을 구축하고 분류․유 특성 평가를 수

행하여 그 응용/개발 연구의 기반을 구축.

○ 궁극 으로는 한반도 고유생물과 주요 생물군의 국가 생물종 목록을 완성하고 국가 생

물자원 리 네트워크(NationalBiologicalResourcesNetwork)를 구축하여 생물자원 정

보를 체계화함으로써 국가 생물자원의 보 ․ 리 기반을 확립.

○ 본 연구사업 과정을 통해 차세 생물분류 인력 양성 확보에 기여함과 동시에 동북

아 생물자원연구의 심 국가로서의 치 선 이 가능.

Page 12: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1. 총

- 6 -

Ⅱ.연구사업 수행 내용 결과

1.총

가.최종 목표

최종 목표 (총 )

■한반도 자생생물자원을 심으로 국가 생물자원에 한 체계 인 발굴 조사:

∙미기록 신분류군 집 발굴 :새로운 국가 생물자원 유 자원 확보

∙주요 생물자원(표본,생체,조직,균주,DNA,기타 생물 재료)의 집 확보

■확증표본 자료 시스템 구축:

∙자생 기록종 실체 악 분류 동정을 한 확증표본 자료 구축

■자생 주요 생물군의 유 자은행 구축:

∙한반도 유용 자생생물 조직 유 자은행 DB구축

■국가 생물자원 리 네트워크 (NationalBiologicalResourcesNetwork)구축

∙자생 주요 생물군 종목록 DB

∙자생 주요 생물자원 표본/생물재료 DB

∙자생 주요 생물자원 분포 DB

∙자생 주요 생물자원 유 자/조직 DB

∙멸종 기 야생 동․식물 DB

▸자생 주요 생물군 국가 생물종 목록 완성

▸국가 생물자원 정보의 체계화

▸국가 생물자원 응용/개발 연구 기반 구축

▸한반도 자생 주요 생물자원의 포 보 ․ 리 기반 구축

▸차세 생물분류 문인력 양성에 기여

Page 13: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1. 총

- 7 -

본 연구사업에서는 한반도 자생생물을 심으로 국가 생물자원에 한 체계 인 발굴 조

사를 수행하여 1)신분류군 미기록 생물종 자원을 집 발굴함으로써 새로운 유용 생물자

원/유 자원을 다수 확보하고, 2)자생 국가 생물자원 표본 기타 생물재료(생체,종자,

조직,균주,DNA 등)를 체계 으로 확보하여 분류 동정을 한 확증표본 자료 시스템을 확립

한다.3)이와 병행하여,자생 주요 생물군의 조직 유 자은행을 구축하여 그 응용/개발

연구의 기반을 구축하며,4)궁극 으로는 자생 주요 생물군의 국가 생물종 목록을 완성하

고, 5)국가 생물자원 리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생물자원 정보를 체계화함으로써 한반도 생

물자원의 보 ․ 리 기반을 확립하는 것을 그 최종 목표로 한다. 6)그리고,이러한 연구사

업 과정을 통해 차세 생물분류 인력 양성 확보에 기여한다.

나.총 사업 계획

(1)개요

■ 총 연구사업 계획: 자생생물 조사․발굴 연구사업

체 과제 추진:자생 생물자원을 심으로 미기록/신분류군의 발굴과 동정 완료된 표

본을 포함한 생물재료의 체계 확보에 을 두어 수행함

세부과제의 내용 추진 략: 주요 생물군의 발굴 수 연구 황에 따라 차별화

된 연구 추진 략을 용

과제 구성:총 과제 6개의 세부과제로 구성

•총 과제:한반도 자생 생물자원의 발굴․ 리

한반도 유용 자생생물 조작 유 자 은행 구축

•세부과제:자생 무척추동물I(곤충),무척추동물II(곤충 제외,원생생물 포함),하등

생물,하등식물(Algae),고등식물,척추동물 자원 조사․발굴

Page 14: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1. 총

- 8 -

(계속)

■ 총 과제:한반도 자생 생물자원의 발굴․ 리

추진 략:

• 세부과제에서 확보된 표본 기타 생물재료의 통합 리

• 산출된 생물자원 정보의 체계화

핵심 연구내용:

•확보된 표본 생물재료의 포 리․이용 지원체계 확립

•자생 생물자원 종목록 /분포 DB구축

•멸종 기 야생 동․식물 DB구축

•자생 생물자원 확증표본 자료 DB구축

■ 총 과제:한반도 유용 자생생물 조작 유 자 은행 구축

추진 략:

• 생물재료 (유 자,조직)은행 구축을 통한 이용 기반 확립

핵심 연구내용:

•유용 자생생물 조직 유 자 정보 축

■ 세부과제

추진 략:

• 자생 생물자원 미기록/신분류군의 집 발굴과 생물재료 (표본,조직,DNA

등)확보에 을 두어 수행

• 미확인 기록종 탐색 조사 분류 동정을 한 확증표본 제작

• 주요 자생생물 종목록 작성 연구기반 구축

• 일차 발굴 상 :

-종 다양성이 비교 높은 분류군

-다수의 미기록/신종 발굴이 상되는 분류군

- 문인력이 존재하는 분류군

핵심 연구내용:

• 한반도 자생 주요 무척추동물I(곤충),무척추동물II(곤충 제외,원생생물 포함),

하등생물,하등식물(Algae),고등식물,척추동물 자원 조사․발굴

•한반도 자생 생물자원 리 정보 축 DB자료 입력

Page 15: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1. 총

- 9 -

(2)총 사업계획

한 국가의 생물자원 발굴․확보․ 리 시스템은 일반 으로 다음과 같은 3단계를 거쳐 확

립 된다.제 1단계는 소규모 지역 생물상 조사들을 통해 각 지역 분류군 목록과 표본이 일차

확보되는 기 단계이다.제 2단계는 지역 생물상 조사 결과를 근거로 생물자원의 체계 인 발

굴 조사 분포조사 연구,그리고 주요 분류군에 한 분류학 ,유 학 특성 평가 계

통연구를 수행하여 생물자원의 표본 기타 생물 재료를 범 하게 확보함과 동시에 그 실

체 규명을 한 특성정보를 축 하는 기반구축 단계이다.마지막 제 3단계는 축 된 생물자원

특성 정보를 체계화하여 분류군 검색기술을 개발하고 생물상의 실체를 밝히고 그 지속 이용

을 한 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실용화 단계이다.

우리나라의 경우,자생 생물자원의 요성에 한 그간의 국가 차원에서의 인식 부족,지

원 부재,그리고 문 인력의 부족 등으로 인해 일부 생물군을 제외하고는 종 목록 작성,표본

기타 생물재료 확보,실체 규명을 한 분류학 기반 연구 등이 거의 되어 있지 않은 실정

이며,연구 황 발굴 수 에 있어서도 주요 생물군 별로 차이가 존재 한다.

따라서 본 연구사업의 경우는 체 으로는 자생 미기록/신분류군의 새로운 발굴과 동

정 완료된 표본을 포함한 생물재료의 체계 확보에 을 두어 사업을 추진하되, 세부 으

로는 주요 생물군의 발굴 수 연구 황에 따라 차별화된 연구 추진 략을 용하는 것

이 보다 효율 일 것으로 단된다.

한 본 과제와 같은 규모 생물자원 발굴 사업에 있어서는 확보된 생물자원 재료(표본

기타 생물재료)와 산출된 정보의 효율 리를 통해 그 활용을 극 화하는 것이 매우

요하다.이러한 하에서 본 연구사업은 다음과 같이 자생 주요 무척추동물I(곤충),무

척추동물II(곤충 제외,원생생물 포함),하등생물,하등식물(Algae),고등식물,척추동물을 각각

집 발굴하는 6개의 세부과제와,이들 세부과제에서 확보된 표본 기타 생물재료를 통합

리하고,산출된 생물자원 정보를 체계화하는 총 과제로 구성된다.

Page 16: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1. 총

- 10 -

다.연구사업 구성 추진체계

립생물 원( )

문 원( 립생물 원 전문가)

사 업 단 (조사․ )

운 원( 별 책 )

무척추(Ⅰ)

무척추(Ⅱ)

하 등생 물

하 등식 물

고 등식 물

척 추동 물

곤충

무척추동물

(곤충

제외)

원생생물

균류

원핵생물

규조류

편모조류

홍조류

나자식물

피자식물

선태류

포유류

조류

양서․

충류

어류

Page 17: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1. 총

- 11 -

라.연구진 구성체계

총 기 별 참여연구원

원 학교 구 분 기 수 인원수 총 인원수

사업단장 김병진 외 206명 학 59 175

207책 임 7명 연구원 80명

국공립기( 학 제외)

8 20

연구보조원

109명 보조원 10명 기 타 6 12

총 주 기

원 학교

총 주 책임자 김병진 외 28명

책 임 1명 연구원 11명

연구보조원

15명 보조원 2명

무척추I분야 세부주 기 하등식물 분야 세부주 기

남 학교 상명 학교

세부책임자 이종욱 외 26명 세부책임자 이진환 외 28명

책 임 1명 연구원 12명 책 임 1명 연구원 13명

연구보조원

14명 보조원 00명연구보조원

15명 보조원 0명

무척추II분야 세부주 기 고등식물 분야 세부주 기

서울 학교 북 학교

세부책임자 김 원 외 26명 세부책임자 선병윤 외 44명

책 임 1명 연구원 12명 책 임 1명 연구원 11명

연구보조원

14명 보조원 00명연구보조원

33명 보조원 00명

하등생물 분야 세부주 기 척추동물 분야 세부주 기

북 학교 군산 학교

세부책임자 장 엽 외 26명 세부책임자 이충렬 외 22명

책 임 1명 연구원 12명 책 임 1명 연구원 10명

연구보조원

14명 보조원 00명연구보조원

4명 보조원 8명

Page 18: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1. 총

- 12 -

마.사업 리

(1)사업 리 추진 계획

추진 내용

추 진 일 정

당해연도(M+)

1 2 3 4 5 6 7 8 9 10

운 원회 구성

자문 원회 구성

진도 리 워크 개최

․착수보고회

․ 간보고회

․Workshop

․최종보고회

성과물 납품(1차)

성과물 남품(최종)

CD제작,배포

Page 19: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1. 총

- 13 -

(2)연구사업 구성 추진체제

립생물 원( )

문 원( 립생물 원 전문가)

사 업 단 (조사․ )

운 원( 별 책 )

무척추(Ⅰ)

무척추(Ⅱ)

하 등생 물

하 등식 물

고 등식 물

척 추동 물

이종욱

외 12명

김 원

외 12명

장 엽

외 12명

이진환

외 13명

선병윤

외 11명

이충렬

외 10명

Page 20: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1. 총

- 14 -

(3)참여연구원별 업무분장표

성명 역할추 진 일 정 (M+) 참여율

(%)1 2 3 4 5 6 7 8 910

김병진

체 연구 과제 총

30

연구 인 라 구축 운

한반도 자생생물자원 리 체계 구축 운

국가 생물자원 리 네트워크 구축

유용 생물자원 조직 유 자 은행 인 라 구축

박찬호 유용 생물자원 조직 유 자은행 구축 20

임채은 유용 생물자원 조직 유 자은행 구축 20

박성 유용 생물자원 조직 유 자은행 구축 20

김상태 유용 생물자원 조직 유 자은행 구축 20

강재신 유용 생물자원 조직 유 자은행 구축 20

이진성 유용 생물자원 조직 유 자은행 구축 20

최승호 유용 생물자원 조직 유 자은행 구축 20

김기경 유용 생물자원 조직 유 자은행 구축 20

안능호 유용 생물자원 조직 유 자은행 구축 20

임재원 유용 생물자원 조직 유 자은행 구축 20

이경진 유용 생물자원 조직 유 자 은행 구축 20

이종욱

무척추Ⅰ조사․발굴 책임

벌목 등의 동정 기재,분류군별 종목록

분포자료 작성

30

배연재수서곤충류의 동정 기재,분류군별 종목록

분포자료 작성20

문태집게벌 목,풀잠자리목 등의 동정 기재,분류군별

종목록 분포자료 작성20

박해철딱정벌 목 등의 동정 기재,분류군별 종목록

분포자료 작성20

최 정빈 하목 등의 동정 기재,분류군별 종목록

분포자료 작성20

Page 21: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1. 총

- 15 -

(계속)

성명 역할추 진 일 정 (M+) 참여율

(%)1 2 3 4 5 6 7 8 9 10

이승환진딧물아목 등의 동정 기재,분류군별 종목록

분포자료 작성20

이종은딱정벌 목 등의 동정 기재,분류군별 종목록

분포자료 작성20

한호연리목 등의 동정 기재,분류군별 종목록

분포자료 작성20

김 락딱정벌 목 등의 동정 기재,분류군별 종목록

분포자료 작성20

정선우노린재목 등의 동정 기재,분류군별 종목록

분포자료 작성20

안기정반날개과 등의 동정 기재,분류군별 종목록

분포자료 작성20

동수서곤충류 등의 동정 기재,분류군별 종목록

분포자료 작성20

김 원

무척추II(원생생물 포함)조사․발굴 책임

지동물(생이류 등 십각류) 편형동물(다 류),

유즐동물 발굴 조사 분류 동정

30

김사흥

무척추II(원생생물 포함)조사․발굴

지동물(펠티드 포함 요각류) 모악동물 발굴

조사 분류 동정

20

노 수무척추II(원생생물 포함)조사․발굴

선형동물 발굴 조사 분류 동정20

김주필무척추II(원생생물 포함)조사․발굴

거미류 발굴 조사 분류 동정20

박 기무척추II(원생생물 포함)조사․발굴

연체동물(부족류)발굴 조사 분류 동정20

민기식무척추II(원생생물 포함)조사․발굴

섬모충류 발굴 조사 분류 동정20

백상규무척추II(원생생물 포함)조사․발굴

환형동물(다모류)발굴 조사 분류 동정20

송성

무척추II(원생생물 포함)조사․발굴

지동물(펠티드 포함 요각류)발굴 조사 분류

동정

20

강동원무척추II(원생생물 포함)조사․발굴

해면동물(보통해면류)발굴 조사 분류 동정20

이경숙무척추II(원생생물 포함)조사․발굴

지동물(올챙이새우류)발굴 조사 분류 동정20

신만균무척추II(원생생물 포함)조사․발굴

섬모충류 발굴 조사 분류 동정20

이원구무척추II(원생생물 포함)조사․발굴

지동물(응애류)발굴 조사 분류 동정20

정종우무척추II(원생생물 포함)조사․발굴

지동물(단각류)발굴 조사 분류 동정20

Page 22: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1. 총

- 16 -

(계속)

성명 역할추 진 일 정 (M+) 참여율

(%)1 2 3 4 5 6 7 8 910

장 엽하등생물 조사․발굴 책임

세균 역 자생생물 발굴 분류30

김규 세균 역 자생생물 발굴 분류 20

김승범 세균 역 자생생물 발굴 분류 20

이 환 세균 역 자생생물 발굴 분류 20

천종식 세균 역 자생생물 발굴 분류 20

조장천 세균 역 자생생물 발굴 분류 20

조기성 세균 역 자생생물 발굴 분류 20

석순자 버섯 역 자생생물 발굴 분류 20

이향범 버섯 역 자생생물 발굴 분류 20

유승헌 버섯 역 자생생물 발굴 분류 20

버섯 역 자생생물 발굴 분류 20

김성환 버섯 역 자생생물 발굴 분류 20

김재진 버섯 역 자생생물 발굴 분류 20

이진환하등식물 조사․발굴 책임

규조류 표본제작 신종 미기록종 발굴30

이정호 규조류 표본제작 신종 미기록종 발굴 20

조경제 규조류 표본제작 신종 미기록종 발굴 20

최 기 규조류 표본제작 신종 미기록종 발굴 20

박종규 규조류 표본제작 신종 미기록종 발굴 20

이 경 규조류 표본제작 신종 미기록종 발굴 20

김창훈 와편모조류 표본제작 신종 미기록종 발굴 20

이 백 와편모조류 표본제작 신종 미기록종 발굴 20

한명수 와편모조류 표본제작 신종 미기록종 발굴 20

김한순 편모조류 표본제작 신종 미기록종 발굴 20

Page 23: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1. 총

- 17 -

(계속)

성명 역할추 진 일 정 (M+) 참여율

(%)1 2 3 4 5 6 7 8 910

신웅기 편모조류 표본제작 신종 미기록종 발굴 20

김명숙 홍조류 표본제작 신종 미기록종 발굴 20

박종근 와편모조류 표본제작 신종 미기록종 발굴 20

남기완 홍조류 표본제작 신종 미기록종 발굴 20

선병윤고등식물 조사․발굴 책임

양치,나자식물 발굴 조사 분류 동정30

고성철고등식물 조사․발굴

양치식물 발굴 조사 분류 동정20

김철환고등식물 조사․발굴

자엽식물 발굴 조사 분류 동정20

김고등식물 조사․발굴

자엽식물 발굴 조사 분류 동정20

김호고등식물 조사․발굴

자엽식물 발굴 조사 분류 동정20

김 휘고등식물 조사․발굴

자엽식물 발굴 조사 분류 동정20

백원기고등식물 조사․발굴

자엽식물 발굴 조사 분류 동정20

이창숙고등식물 조사․발굴

자엽식물 발굴 조사 분류 동정20

정규고등식물 조사․발굴

자엽식물 발굴 조사 분류 동정20

정 철고등식물 조사․발굴

자엽식물 발굴 조사 분류 동정20

최홍근고등식물 조사․발굴

자엽식물 발굴 조사 분류 동정20

태경환고등식물 조사․발굴

자엽식물 발굴 조사 분류 동정20

이충렬척추동물 조사․발굴 책임

어류의 미기록종 신종 발굴과 일반 표본 확보30

최 윤 어류의 미기록종 신종 발굴과 일반 표본 확보 20

박종 어류의 미기록종 신종 발굴과 일반 표본 확보 20

한경호 어류의 미기록종 신종 발굴과 일반 표본 확보 20

유정화 어류의 미기록종 신종 발굴과 일반 표본 확보 20

이철상 어류의 미기록종 신종 발굴과 일반 표본 확보 20

송재양서․ 충류의 미기록종 신종 발굴과 일반

표본 확보20

Page 24: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1. 총

- 18 -

(계속)

성명 역할추 진 일 정 (M+) 참여율

(%)1 2 3 4 5 6 7 8 910

정충훈 어류의 미기록종 신종 발굴과 일반 표본 확보 20

이두표 조류의 미기록종 신종 발굴과 일반 표본 확보 20

유정칠 조류의 미기록종 신종 발굴과 일반 표본 확보 20

한성용 포유류의 미기록종 신종 발굴과 일반 표본 확보 20

Page 25: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2. 총 업

- 19 -

2.총 사업 :한반도 자생 생물자원 발굴․ 리

가.당해연도 연구 목표

구분 목표분야별 목표

분야 당해연도

미기록/신분류군

신종 발굴

(종)

700

무척추Ⅰ(곤충) 175

무척추Ⅱ 140

하등생물 210

하등식물 140

고등식물 17

척추동물 18

소 계 700

표본 확보

( )70,000

무척추Ⅰ(곤충) 14,000

무척추Ⅱ 14,000

하등생물 14,000

하등식물 14,000

고등식물 11,800

척추동물 2,200

소 계 70,000

생물재료 확보

(생체 조직)

( )

2,400

유용 자생생물자원 조직

유 자 은행 (총 )1,900

하등생물 500

소 계 2,400

G-DNA 확보

(종/ )300/600

유용 자생생물자원 조직

유 자 은행 (총 )220/440

하등생물 80/160

소 계 300/600

Page 26: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2. 총 업

- 20 -

나.당해연도 연구개발 계획

연구범 세부목표 내용추진일정 (M+)

1 2 3 4 5 6 7 8 910

생물재료의 통합리 체계 구축

• 표본 생물재료의 포 리․이용지원 체계 구축

• 표본 기타 생물재료 제작 / 리protocol작성

• 표본 생물재료 DB구축

• 표본 리

국가 생물자원리 네트워크구축

• DB자료 입력

확증표본 자료시스템 구축

• 자생/주요 생물자원 확증표본 자료 확보

한반도 자생유용생물자원 조직/유 자은행 구축

• 주요 유용 자생생물자원 연 분류군채집 생체조직 재료 확보

• 조직 /유 자 은행 DB자료 입력

다.연구 범

○ 본 과제에서 확보된 표본 기타 생물재료

라.연구 내용 방법

(1)생물재료의 통합 리 체계 구축

본 연구사업의 각 세부과제에서 발굴사업이 성공 으로 수행될 경우,다양한 생물군으로부

터 매년 약 100,000여 의 표본과 기타 생물재료가 량 확보될 것으로 측된다. 이와 같은

많은 양의 다양한 표본 생물재료를 체계화하여 그 근성 활용성을 극 화하기 해서

는 이들 표본 생물재료를 효율 으로 통합 리하는 체계가 필요하다.따라서 본 연구사업

에서는 확보된 표본 생물재료를 포 으로 리할 수 있는 표본 생물재료 DB를 구축

Page 27: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2. 총 업

- 21 -

하여 이들이 사장되지 않고 효율 으로 활용될 수 있게 하는 리 지원 체계를 구축하고자 한

다. 이러한 체계를 통해 리되는 표본 생물재료들은 “국립생물자원 ”에 모두 이 할

정이다.

○ 본 연구에서 확보된 공간 문 인력을 활용

○ 본 과제에서 확보된 표본 생물재료의 포 리․이용 지원 체계 유지

○ 기 확보된 확보 표본 생물재료를 소장, 리

○ 다양한 표본 기타 생물재료의 제작,처리 리 방법을 보완 발

○ 당해연도 확보된 표본 생물재료 DB자료 입력

(2)자생 주요 생물자원 확증표본 자료 시스템 구축

한편,우리나라의 경우 재 약 3만여 종의 자생생물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문헌상 보고

는 기록되어 있으나,표본 소실/부재 등으로 인하여 그 분류학 실체 는 존재 여부가 확

인되지 않는 분류군이 상당수 존재한다.따라서 본 연구 사업에서는 이와 같은 미확인 기록종

에 한 문헌 확증표본 자료를 확보 정리하여 한반도 분포종의 실체를 규명하는 기반을 구

축하고자 한다.이와 같은 확증표본은 종의 실체 존재를 단하고 증명하는 요한 학문

증거가 된다.

○ 상기 자료를 근거로 각 분류군의 정확한 실체 악 동정을 한 확증표본 제작

○ 분류특성 자료를 확립

○ 확보된 자료의 DB시스템 구축

(3)국가 생물자원 리 네트워크 구축

본 과제에서는 총 각 세부과제에서 산출되는 생물자원 정보를 체계화하여,1)자생

주요 생물자원 표본 생물재료 DB,2)자생 주요 생물군 국가 생물종 목록 분포

DB,3)멸종 기 야생 동․식물 DB,4)유 자/조직표본 은행 DB등을 구축하고,이들 자료를

유기 으로 연계하여 포 으로 운 할 수 있는 국가 생물자원 리 네트워크(National

BiologicalResourcesNetwork)를 통하여,국가 생물권 리 보 체계와 국가 생물산업 육성/

발 을 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Page 28: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2. 총 업

- 22 -

○ 확보된 생물자원 정보를 체계화

○ 자생 주요 생물군 종목록 DB구축

○ 자생 주요 생물자원 표본/기타 생물재료 DB구축

○ 멸종 기 야생 동․식물 DB구축

(4)한반도 자생 유용 생물자원 조직/유 자 은행 DB구축

자원으로서의 활용성이 높은 자생생물들의 생체조직 재료를 체계 으로 확보하여 연 분

야의 연구 개발에 이용할 수 있는 조직은행을 구축한다. 한 이 조직들을 이용하여 특정

분류군의 유 다양성 특성 평가를 수행한다.한반도 자생 생물 고부가 가치를 지닌

유용 생물을 우선 으로 발굴하여 그 다양성에 근거하여 집단별로 조직재료를 확보한다.본 조

직은행에서는 이용방법에 따라 연차별로 상군을 선정하고 유용성 정도를 고려하여 조

직재료를 확보할 계획이다.

○ 유 다양성을 가진 집단을 선정하여 개체(재료)를 채집함.

○ 채집된 개체(재료)는 생체 상태로 드라이아이스에 냉동시켜 운반하거나,살아있는 상

태로 운반하여 실험실에서 동결 건조시킴.

○ 일부 재료의 경우(수서곤충류)생체를 에탄올에 고정하여 실험실로 운반한 후,동결

건조시킴.

○ 동결 건조된 조직은 -70℃ 냉동고에 보 리함.

○ 각 집단별로 증거표본을 병행 채집하여 유 재료의 채집 분류정보 등에 한 자료

를 확보함.

○ 이들 자료를 근거로 조직은행 DB를 구축함.

○ 유용성이 높은 특정분류군을 상으로 G-DNA를 추출,정제 정량화함.

○ 특정분류군의 유 특성을 평가함.

<무척추동물Ⅰ(곤충)>

○ 채집즉시 90-100% Ethanol에 채집물을 보 한 후 온고(-20℃~-70℃)에 냉동 보

○ 국내 주요 표본 에 소장되어 있는 한반도 자생 동물의 기 표본 확증표본들,문헌

자료 는 문가의뢰를 통하여 채집물의 분류군과 종명을 악

○ 연구원은 개체의 크기에 따라 표본 체 혹은 일부분을 사용하여 Qiagen사의 DNA

Page 29: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2. 총 업

- 23 -

extraction(purification)kit으로 GenomicDNA를 추출 (변형 가능)

○ GenomicDNA 추출시 사용된 표본의 일부 혹은 외골격을 검증을 하여 보 하여야

하며,사용된 표본의 손시는 문 으로 동정되어진 실험에 사용된 표본과 동종의

표본을 조표본으로 보

○ 추출된 GenomicDNA는 DNA보 용 장비에서 온(-70℃)보 후 총 연구기 에

이송.

○ GenomicDNA의 결과를 종합하여 분류군별 종 목록 분포자료를 작성

<무척추동물Ⅱ>

○ 각 분류군으로부터 G-DNA를 추출하기 해 채집된 모든 개체는 95%이상의 에탄올에

고정 보 하거나 생체로 얼려 보 .

○ 선별된 개체에서는 QIAGENDNeasytissuekit를 이용하여 G-DNA를 추출.

○ GenomicDNA 추출시 사용된 표본의 일부 혹은 외골격을 검증을 하여 보 하여야

하며,사용된 표본의 손시는 문 으로 동정되어진 실험에 사용된 표본과 동종의

표본을 조표본으로 보

○ 추출된 GenomicDNA는 DNA보 용 장비에서 온(-70℃)보 후 총 연구기 에

이송.

○ GenomicDNA의 결과를 종합하여 분류군별 종 목록 분포자료를 작성

<하등식물>

○ G-DNA분석을 하여 장에서 채집된 해조류는 아이스박스에 넣어 실험실로 운반

○ 멸균해수를 이용하여 시료를 깨끗하게 세척한 뒤에 42℃에서 24시간 건조시키고,지퍼

백에 넣은 후 실리카겔과 함께 실온에서 보

○ G-DNA 추출은 2×CTAB buffer을 이용하고,추출된 DNA의 상태는 EtBr이 첨가된

0.8% agarosegel상에서 확인

○ 추출된 GenomicDNA는 DNA보 용 장비에서 온(-70℃)보 후 총 연구기 에

이송.

○ GenomicDNA의 결과를 종합하여 분류군별 종 목록 분포자료를 작성

<고등식물>

Page 30: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2. 총 업

- 24 -

○ 보 의 가치가 높거나 는 멸종 기종 등 보 의 필요성이 시 한 종 그리고 자원

가치가 크거나 학술 으로 요한 종의 G-DNA 생체 (종자 는 조직).

○ Silicagel을 이용한 속 건조된 잎 5g이상에서 G-DNA추출

○ 추출된 GenomicDNA는 DNA보 용 장비에서 온(-70℃)보 후 총 연구기 에

이송.

○ GenomicDNA의 결과를 종합하여 분류군별 종 목록 분포자료를 작성

<척추동물>

① 시료의 선택과 보

○ 각 지역에서 채집된 자생동물들은 -40℃의 냉동상태로 실험실까지 운반되어 온 것

에서 감염 흔 이 없고 채집 과정에서 발생한 시료의 물리 손상이 없는 개체를 한

개체씩 선택하여 유 체 DNA추출에 사용.

○ 시료 채취는 포유류와 양서류에서는 뒷다리 근육 조직 (femoralmuscletissue)을,조

류는 가슴근육조직 (pectoralismuscletissue), 충류는 등 쪽 (dorsal) 간의 척추

(column)를 포함하는 근육조직을 선택.

○ 해양어류는 꼬리지느러미로부터 등 쪽 (dorsal)0.5㎝ 지 의 조직을 선택.

○ 연한 조직을 가진 물메기 (Liparistessellatus)등의 어류들은 냉동과 해동과정에서

DNA가 괴될 가능성이 높기 떄문에 아가미 (gill)조직을 채취해 유 체 DNA 추출

(Rodríguezetal.,1999).

② 유 체 DNA추출 방법

○ 하 40℃에 보 하고 있던 자생동물의 조직 시료 약 1g을 출하여 막자사발에 넣고

액체질소를 부어 속냉동 시킨 다음 완 한 우더가 될 때까지 분쇄.

○ 완 히 분쇄된 시료를 미세원심분리 튜 (microcentrifugetube)에 200~300㎎ 씩 옮

겨 넣음.

○ 포유류,조류 그리고 충류 시료에는 lysisbuffer(10mM Tris-HClpH 8.0,5mM

EDTA,300mM CH3CO2Na,0.5% SDS,100mM DTT)를 300㎕ 넣고 5㎕의

protenaseK (20mg/㎖)를 첨가하여 55℃ 항온수조에 8시간 동안 놓아둠 (Carteret

al.,2000).

○ 해양어류와 양서류의 경우 분쇄된 조직 시료에 DNA분리 억제 물질들과 조직에 포함

Page 31: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2. 총 업

- 25 -

된 다량의 수분을 제거하기 해 10mM Tris-HClpH8.0,25mM EDTA,100mM

NaCl,0.5% SDS용액을 넣고 약 3분간 혼합한 후 6,000×g에서 2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완 히 제거하는 과정을 2회 반복.

○ 여기에 lysisbuffer(10mM Tris-HClpH 8.0,5mM EDTA,300mM CH3CO2Na,

0.5% SDS,100mM DTT)를 300㎕ 씩 넣고 10㎕의 protenaseK (20mg/㎖)를 넣

고 잘 섞어 다음 55℃ 항온수조에 놓아두어 조직이 완 히 분해되어 투명한 색으

로 변할 때까지 약 6시간 놓아둠.

○ 반응이 끝난 후 phenol/chloroform (50:50)을 첨가하고 1분간 천천히 흔들어 다음

13,000×g에서 5분간 원심분리 한 후 상층액을 새 원심분리 튜 (microcentrifuge

tube)에 옮겨 담음.

○ 이 과정을 2회 반복한 후 chloroform /isoamylachol(24:1)을 넣고 15 간 천천히

섞어주고 14,000× g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한 다음 상층액을 새 원심분리 튜

(microcentrifugetube)에 상층액을 옮김.

○ 여기에 같은 양의 isopropanol을 넣고 아래로 혼합한 후 -20℃ 냉동고에 10분간 놓

아두어 DNA의 응집을 진함 (Konomietal.,2002).

○ 14,000× g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한 후 pellet을 제외한 상층액을 제거하고 70%

ethanol로 1회 세척한 다음 pellet을 실온에서 30분간 건조.

○ 건조된 pellet에 TEbuffer(10mM Tris-HClpH 8.0,1mM EDTA)100㎕를 넣고

65℃ 항온수조에서 30시간 반응시켜 DNA pellet을 녹임.

○ 여기에 1㎕의 RNase(10㎎/㎖)를 첨가하여 37℃에서 3시간 반응시켜 RNA를 분해.

③ DNA의 기 동

○ 유 체 DNA추출이 끝난 후 DNA를 EtBr이 포함된 0.6% agarosegel(SeaKem®LE

agarose,USA)에 2㎕의 DNA와 2㎕의 6× loading buffer(0.25% bromophenol

blue,0.25% xylenecyanolFF,30% glycerol)그리고 8㎕ TE(pH 7.6)를 혼합하여

각각의 well에 loading하고 100V에서 30분간 기 동 함.

○ 기 동이 끝난 후 겔을 gelphotodocumentationsystem (VilberLourmat,France)

으로 추출된 자생동물의 유 체 DNA의 량과 질을 확인하고 사진을 어 기록.

Page 32: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2. 총 업

- 26 -

마.연구 결과

(1)총 표

구분 목표분야별 목표

결과달성률

(%)분야 당해연도

미기록/신분류군

신종 발굴

(종)

700

무척추Ⅰ(곤충) 175 175 100

무척추Ⅱ 140 140 100

하등생물 210 227 108

하등식물 140 153 109.3

고등식물 17 3 17.6

척추동물 18 18 100

소 계 700 716 102.3

표본 확보

( )70,000

무척추Ⅰ(곤충) 14,000 14,250 101.7

무척추Ⅱ 14,000 14,038 100.2

하등생물 14,000 14,148 101.1

하등식물 14,000 14,272 101.9

고등식물 11,800 11,935 106.2

척추동물 2,200 2,296 104.4

소 계 70,000 70,939 101.1

생물재료 확보

(생체 조직)

( )

2,400

유용 자생생물자원 조직

유 자 DB(총 )1,900 2,698 142

하등생물 500 514 102.8

소 계 2,400 3,212 133.8

G-DNA 확보

(종/ )300/600

유용 자생생물자원 조직

유 자 DB(총 )220/440 256/411 116/93

하등생물 80/160 190/575 237.5/359.3

소 계 300/600 446/986 148.7/164.3

Page 33: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2. 총 업

- 27 -

(2)연구사업 수행 내용

사업 내용 목 표 결과 달성률(%)

생물재료(생체 조직)확보 1,900 2,698 142

G-DNA확보 220종/440 256종/411 116/93

(3)생물재료 (생체 조직)확보

당해연도 연구목표 연구사업 결과

생물재료(생체 조직)확보:

총 1,900

- 상분류군

;본 과제에서 확보된 표본 기타 생물

재료

총 2,698 확보 (목표의 142%)

-생물재료(생체 조직)의 체계 인 확보

:1,900

-무척추동물Ⅰ(곤충)총 600

;벌목 :210

;나비목 :221

;메뚜기목 :25

; 리목 :50

;잠자리목 :10

;사마귀목 :1

;집게벌 목 :2

;노린재목 :21

;매미목 :23

;풀잠자리목 :2

;딱정벌 목 :35

Page 34: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2. 총 업

- 28 -

(계속)

당해연도 연구목표 연구사업 결과

-생물재료(생체 조직)의 체계 인 확보

:1,900

-무척추동물Ⅱ 총 603

;극피동물 :13

;성구동물 :4

;연체동물 :147

;자포동물 :5

; 지동물 :424

;태형동물 :1

;해면동물 :8

;환형동물 :1

-하등생물 총 250

;주름버섯목 :41

;민주름버섯목 :190

;목이목 :2

;묽은목이 :1

;고무버섯목 :1

;말불버섯목 :2

;찻잔버섯목 :1

;어리알버섯목 :1

;콩버섯목 :10

;말뚝버섯목 :1

-하등식물 총 150

;Striatella속 :4

;Stephanopyxis속 :2

;Odontella속 :4

;Navicula속 :5

;Licmophora속 :81

;Melosira속 :2

;Grammatophora속 :4

;Fragilaria속 :27

Page 35: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2. 총 업

- 29 -

(계속)

당해연도 연구목표 연구사업 결과

-생물재료(생체 조직)의 체계 인 확보

:1,900

;Ditylum 속 :1

;Diatoma속 :6

;Cylindrotheca속 :5

;Bacillaria속 :4

;Cocconeis속 :1

;Achnanthes속 :4

-고등식물 총 927

;양치식물 :242

;나자식물 :2

;단자엽식물 :324

; 자엽식물 :359

-척추동물 총 168

;뱀장어목 :3

;청어목 :21

;잉어목 :40

;달고기목 :6

;쏨뱅이목 :18

;농어목 :70

;가자미목 :6

;복어목 :4

Page 36: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2. 총 업

- 30 -

(4)G-DNA 확보

당해연도 연구목표 연구사업 결과

-G-DNA 확보 :총 220종/440

- 상분류군

;본 과제에서 확보된 표본 기타

생물재료

총 256종/411 확보

(목표의 116/93%)

-G-DNA:총 220종/440 -무척추동물Ⅰ(곤충)총 40종/80

;메뚜기목 :3종/6

;벌목 :15종/30

;잠자리목 :1종/2

;사마귀목 :1종/2

;노린재목 :1종/2

;매미목 :1종/2

;딱정벌 목 :2종/4

;나비목 :16종/32

-무척추동물Ⅱ 총 40종/80

;극피동물 :2종/4

;연체동물 :7종/14

;자포동물 :1종/2

; 지동물 :26종/52

;해면동물 :3종/6

;환형동물 :1종/2

-하등생물 총 35종/41

;주름버섯목 :9종/11

;민주름버섯목 :22종/26

;고무버섯목 :1종/1

;말불버섯목 :1종/1

;콩버섯목 :2종/2

-하등식물 총 20종/40

;Thalassiosira속 :3종/3

;Striatella속 :2종/2

;Stephanopyxis속 :1종/1

Page 37: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2. 총 업

- 31 -

(계속)

당해연도 연구목표 연구사업 결과

-G-DNA:총 220종/440 ;Skeletonema속 :1종/1

;Odontella속 :1종/1

;Nitzschia속 :2종/2

;Licmophora속 :5종/25

;Eucampia속 :1종/1

;Cylindrotheca속 :2종/2

;Chaetoceros속:2종/2

-고등식물 총 99종/126

;양치식물 :19종/34

;단자엽식물 :6종/7

; 자엽식물 :74종/85

-척추동물 총 22종/44

;청어목 :3종/6

;잉어목 :3종/6

;쏨뱅이목 :6종/12

;농어목 :8종/16

;가자미목 :2종/4

Page 38: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3. 무척추동물Ⅰ(곤충)

- 32 -

3.자생 무척추동물Ⅰ (곤충)자원 조사․발굴

가.당해연도 목표

사업 내용 목 표

미기록 /신종(후보)발굴 175종

표본 확보 14,000

나.당해연도 연구개발 계획

상분류군 세부목표 내용추진일정(M+)

1 2 3 4 5 6 7 8 910

강도래목,나비목,

날도래목,노린재목,

벌 목,매미목

딱정벌 목,바퀴목,

메뚜기목, 들이목,

사마귀목,잠자리목,

벌목,집게벌 목,

리목,톡토기목,

풀잠자리목,

하루살이목,

총채벌 목,흰개미목 등

• 기 문헌 자료 조사

• 자생 종목록 확인

• 분포 황 확인

• 멸종 기 자생 곤충자원 황 확인

• 야외조사를 통한 표본 확보

• 표본 제작 (액침 는 건조)

• 분류군의 동정 기재

• 분류군별 종목록 분포자료 작성

다.연구 범

○ 강도래목,나비목,날도래목,노린재목, 벌 목,딱정벌 목,매미목,메뚜기목,바퀴

목,벌목,사마귀목,잠자리목,집게벌 목,총채벌 목,톡토기목, 리목,풀잠자리목,

Page 39: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3. 무척추동물Ⅰ(곤충)

- 33 -

하루살이목,흰개미목, 들이목 등

라.연구사업 수행내용

본 연구 기간 지형도(1/25,000) 가능한 많은 기존자료를 활용하여 미기록종 특정

곤충류의 서식 가능성이 높고 종 다양성이 풍부할 것으로 상되는 지역과 출 번성 시기

를 단하여 탐색 조사를 수행하 다.이 게 선정된 지역을 상으로 채집조사 분류군들에

한 개체수,우 종,희귀종,미기록종에 한 사항을 상세한 탐색 조사를 통하여 수행하 으며,

이 과정에서 미기록종 특정 곤충류가 발견되면 가능한 경우 개체수,서식지 환경,출 시

기 식이식물 등의 서식 황을 상세히 기술함과 아울러 국내 주요 표본 에 소장되어 있는

한반도 자생 동물의 기 표본 확증표본들은 연구기간 의 방문연구 는 표본 여를 통해

찰함으로써 그 분류학 실체를 악하 고,각 분류군의 기 표본 확증표본 찰 결과와

원기재문 련 문헌을 근거로 학명을 정리하 다.

(1)표본 생물재료 확보

(가)표본 제작

국내에 분포하는 것으로 문헌상 기록되어 있는 기록종에 하여 분류군 개체별 특징에

따라 슬라이드표본,액침표본,건조표본 등으로 제작하여 보 하 다. 부분의 분류군은 족

등을 이용하여 다리를 편 후 건조표본으로 제작하여 표본상자에 보 하거나,90%이상의 에

탄올을 이용한 액침방법으로 크기에 맞는 액침병에 보 하 다.나비류,나방류 등의 일부 나

비목 형 종들은 삼각지에 넣어 보 하거나 는 시 을 이용한 시건조표본으로 제작

하 다. 한 진딧물과 같이 매우 미소한 분류군의 경우는 슬라이드 표본으로 제작하 으며,

일부 미소크기의 분류군이나 수서곤충의 약충과 같이 비교 약하여 건조표본으로 제작할 시

손상이 우려되거나 는 제작이 곤란한 경우는 액침표본으로 제작하 다.건조표본 제작시에는

분류군의 형태 특징에 따라 핀을 꽂는 치 방법을 고려하여 조직의 훼손을 최소화 하도

록 표본을 제작하 다.슬라이드,액침,건조 등의 모든 표본에는 채집장소,이에 해당하는 좌

표값,채집일,채집자 등의 채집정보를 포함하는 채집라벨과 종의 학명,동정일,동정자 등의

동정정보를 기입한 동정라벨을 작성하여 부착하 다.

Page 40: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3. 무척추동물Ⅰ(곤충)

- 34 -

(2)미기록 신종(후보)발굴

동정하는 과정의 가장 기본 인 작업은 국 각지에서 계 별,월별로 채집된 종을 건조,

액침,슬라이드 등의 방법으로 표본을 제작하는 것이며,제작된 표본을 동정 하는 과정에서 첫

번째로 확인해야 할 것은 동정하고자 하는 종이 과연 어떤 분류군인지 확인하는 것이다.연구

자의 경험으로 알 수 있는 경우도 있지만,그 지 않은 경우에는 검색표를 통해서 이를 밝힐

수 있다.검색표는 분류군별로 나 어지며 이와 같은 검색표의 확인 등을 통하여 동정하고자

하는 종이 어떤 분류군에 속한 것인지를 우선 으로 악할 수 있다.두 번째로는 이 분류군에

련된 도감 문헌정보를 확인하여야 한다.기존의 도감을 이용하여 동정하고 기록에 없는

종으로 단되면 각 분류군별로 문헌을 찾아 원기재의 출처와 동물이명 처리된 학명,지역 인

분포 등을 확인해야 한다.세 번째로는 속내에서 동정 후보종을 확인하는 과정이다.만약에 같

은 지리구역 는 인근의 지역에만 분포하는 종들이 있다면,동정후보종의 범 가 좁 질 수

있다.하지만 그 지 않은 경우에는 재까지 기록되어 있는 세계의 모든 종들에 한 문헌

들을 가능한 많이 확보하여야 한다.특히 원기재를 포함하여 동물 지리구에 따른 검색표가 있

는 문헌들을 확인해야 한다.원기재와 검색표의 확인을 통하여 동정후보종의 범 를 많이 좁힐

수 있고,경우에 따라서는 동정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하지만 과거에 기록된 많은 종들이 사

진이나 세 한 그림,자세한 서술이 없이 기재된 경우 문헌상으로는 동정이 용이하지 않는 경

우가 있다.이 경우에 있어서는 조 표본을 확인하여야 한다.모든 경우에 있어서 완모식표본

(holotype)을 확인하면 가장 좋지만,표본의 소실, 는 여 요구에 응답이 없는 경우 등 직

확인할 수 없는 경우도 많다.따라서 모식표본을 소장하고 있는 박물 등이 제공하는 표본 사

진 등을 확인하고,각 분류군의 문가에게 확인을 받는 것도 동정을 한 다른 방법이 될

수 있다.네 번째로 문헌 조 표본에서 확인되지 않는 종은 신종으로 발표되고 타지역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종이나 우리나라에서 처음 발견된 종은 미기록종으로 발표된다.

본 연구에서는 수집된 표본을 상으로 상기 연구 결과를 종합 으로 실시하여 분류군별

종 목록,미기록종/신종 목록 분포자료를 작성하 으며,미기록종으로 밝 진 경우에는 “속

명 sp.”까지,신종으로 사료되는 경우에는 “속명 n.sp.”로 기록하 다. 한 각 종의 진단형질

과 주요형태형질 사진을 미기록/신종 발굴결과에 한 정확한 증거로 제시하 다.그러나 과거

일부 단행본과 비 문학술지에서 분포기록에 한 정확한 근거 없이 한국에 기록된 것으로 표

기한 종이 다양한 곤충 분류군에 걸쳐 많이 나타남에 따라 미기록종에 한 정확한 근거를 제

시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러한 미기록종의 근거는 국내외 문학술지에서 발표된 문헌 한국

Page 41: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3. 무척추동물Ⅰ(곤충)

- 35 -

혹은 한국의 세부지명이 명기되어 있는 것을 토 로 하거나 충분한 분포 증거가 있는 종의 경

우,그리고 단행본의 경우에는 분포기록과 종의 정확한 문헌정보를 포함하는 Checklist이상의

자료를 포함하는 종의 경우로 제한을 두었다.

마.연구 결과

사업 내용 목 표 결과 달성률(%)

미기록 /신종(후보)발굴 175종 175종 100

표본 확보 14,000 14,250 101.7

(1)표본 생물재료 확보

당해 연도 연구 기간 국내에 분포하는 곤충자원에 한 채집조사를 수행한 결과 확보

된 생물재료는 총 14,250 (당해 연도 목표의 101.7%)으로 이들 개체 크기가 매우 미소한

진딧물류는 슬라이드 표본(1,200 )으로 제작하 으며,수서곤충 등 다소 연약하거나 미소한 분

류군 2,450 은 액침표본으로,나머지 10,600 은 건조표본으로 제작하 다.

분류군별 확보 황을 살펴보면 강도래목 5과 10속 11종 283 ,나비목 7과 21속 26종 278

,날도래목 8과 10속 23종 432 ,노린재목 23과 91속 113종 3,001 , 벌 목 2과 2속 2종

6 ,딱정벌 목 49과 184속 220종 4,965 ,매미목 11과 40속 78종 1,396 ,메뚜기목 10과 36

속 43종 1,014 , 들이목 1과 1속 1종 7 ,바퀴목 1과 1속 2종 39 ,벌목 10과 33속 49종

136 ,사마귀목 1과 3속 4종 24 ,잠자리목 6과 16속 22종 279 ,집게벌 목 3과 4속 5종

125 ,톡토기목 2과 2속 2종 22 , 리목 12과 42속 53종 851 ,풀잠자리목 4과 4속 4종 11

,하루살이목 6과 20속 37종 1,381 으로 당해 연도 목표로 한 분류군 총채벌 목과 흰개

목을 제외하고 총 18목 161과 520속 695종 14,250 (101.7%)을 확보하 다(표 세부1-1,세부1

부록 I-1).이는 표본의 운송 도 손 등을 고려하여 당해 연도 목표인 14,000 을 과 달성

한 것이다.확보한 표본에 한 채집정보 동정정보는 국가생물자원 입력시스템에 입력하

으며,이에 한 목록 상세한 정보는 <세부1부록 I-1>에 제시되어 있다.

Page 42: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3. 무척추동물Ⅰ(곤충)

- 36 -

목(Order) 과(Family) 속(Genus) 종(Species) (Individual)

강도래목 5 10 11 283

나비목 7 21 26 278

날도래목 8 10 23 432

노린재목 23 91 113 3,001

벌 목 2 2 2 6

딱정벌 목 49 184 220 4,965

매미목 11 40 78 1,396

메뚜기목 10 36 43 1,014

들이목 1 1 1 7

바퀴목 1 1 2 39

벌목 10 33 49 136

사마귀목 1 3 4 24

잠자리목 6 16 22 279

집게벌 목 3 4 5 125

톡토기목 2 2 2 22

리목 12 42 53 851

풀잠자리목 4 4 4 11

하루살이목 6 20 37 1,381

18목 161 520 695 14,250

<표 세부1-1>표본 확보

Page 43: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3. 무척추동물Ⅰ(곤충)

- 37 -

당해 연도 연구목표 연구사업 결과

표본 생물재료 확보 :총 14,000

- 상분류군

;강도래목,나비목,날도래목,노린재목,

벌 목,딱정벌 목,매미목,메뚜기목,

들이목,바퀴목,벌목,사마귀목,

잠자리목,집게벌 목,총채벌 목,

톡토기목, 리목,풀잠자리목,

하루살이목,흰개미목

총 14,250 확보 <세부1부록 I-1참조>

-확증표본:14,250

-확증표본:14,250 총 14,250 확보 (목표의 101.7%)

;강도래목 283

;나비목 278

;날도래목 432

;노린재목 3,001

; 벌 목 6

;딱정벌 목 4,965

;매미목 1,396

;메뚜기목 1,014

; 들이목 7

;바퀴목 39

;벌목 136

;사마귀목 24

;잠자리목 279

;집게벌 목 125

;톡토기목 22

; 리목 851

;풀잠자리목 11

;하루살이목 1,381

(2)미기록 신종(후보)발굴

자생 곤충을 상으로 한 발굴 조사 결과,신종 17종,미기록종 157종,신아종 1종을 포함

Page 44: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3. 무척추동물Ⅰ(곤충)

- 38 -

하여 총 175종(당해연도 목표의 100%)이 새롭게 발굴 되었다(표 세부1-2,세부1부록 I-2).본

연구결과 발굴된 17종의 신종에 한 분류군별 황을 살펴보면 노린재목 Eysarcorisn.sp.1

신종,딱정벌 목의 Ischnopterapionn.sp.외 창주둥이바구미과,콩바구미과,병 벌 과,반

날개과 등에서 10신종,벌목 고치벌과 2종(Braconn.sp.1,Braconn.sp.2),풀잠자리목에서

Chrysopan.sp.1외 2신종이 새로이 추가 기록되었다(표 세부1-2).아울러 연구결과 발굴된 미

기록 분류군들은 날도래목 Brachycentrussp.외 11종,노린재목 Amphiareusconstrictus

(Stal) 외 43종, 딱정벌 목에서 Pseudanidorus sp. 외 57종, 메뚜기목 귀뚜라미과

Trigonidium cicindeloidesRambur1종,벌목 Charopsbrachypterus(Cameron)외 8종, 리

목 Conchapelopiamelanops(Meigen)외 26종,하루살이목 Ephemerellanotata(Eaton)외 5

종 등 7목에서 157종이 새로이 추가되었으며, 노린재목 꽃노린재과 Scoloposcelis

albodecussatakoreanusJunget.Lee가 신아종으로써 발굴되었다(표 세부1-3).

목(Order) 신종 미기록종 신아종

날도래목 - 12 -노린재목 1 44 1

딱정벌 목 11 58 -메뚜기목 - 1 -

벌목 2 9 -리목 - 27 -

풀잠자리목 3 - -하루살이목 - 6 -

8목 17종 157종 1종

<표 세부1-2>미기록/신종 발굴 결과

목(Order) 과(Family) 속(Genus) 종(Species)

날도래목 4 7 12노린재목 5 29 46

딱정벌 목 28 47 69메뚜기목 1 1 1

벌목 3 8 11리목 4 15 27

풀잠자리목 2 2 3하루살이목 4 5 6

8목 51 114 175

<표 세부1-3>분류군별 발굴 황

Page 45: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3. 무척추동물Ⅰ(곤충)

- 39 -

당해연도 연구목표 연구사업 결과

미기록/신종(후보)발굴:175분류군 미기록/신종 발굴:175분류군

(157미기록종,17신종후보,1신아종)

(목표의 100%)

;날도래목:12미기록종

;노린재목:44미기록종,1신종,1신아종

;딱정벌 목:58미기록종,11신종

;메뚜기목:1미기록종

;벌목:9미기록종,2신종

; 리목:27미기록종

;풀잠자리목:3신종

;하루살이목:6미기록종

(3)주요 자생생물 자원의 생물학 논의

(가)미기록 신종(후보)

1.Paromiuspiratoides(Costa)큰흑다리긴노린재(신칭)

긴노린재과에 속하는 Paromiuspiratoides(Costa)큰흑다리긴노린재(신칭)는 국내에 서

식이 처음 확인되었고 개체수도 다수가 채집되었다.본 종은 한반도의 남쪽지역인 부산 을숙도

에서 다수가 조사되었다.이 종은 기존에 서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던 일본 남부지방과 필리

핀.태국.미크로네시아 등 더운 지방에 살던 것이었으나 최근에 한반도의 남부지방에 새로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이 종은 체장 8mm 후로 몸은 가늘고 길게 생겼다.다리에 검

은 문양이 있고 앞 다리의 퇴 에는 돌기가 다수 있다.머리와 흉배 은 흑색을 띠고 있으

며,날개의 질부는 갈색을 나타내고 개체에 따라 변이가 심하다.흑다리긴노린재(Paromius

exiguus(Distant))와 유사하나 구문의 길이로 구별이 가능하다.선단이 다리 간기 에 이르는

것으로 흑다리긴노린재(Paromiusexiguus(Distant))와 구별 할 수 있다(그림 세부1-1).특히

paromiuspiratoides은 벼나 보리 등에 해충이므로 개체수의 증가와 분포의 확장이 경제 으

로도 요한 종이라 단된다.앞으로 이 종의 서식과 개체수의 변화에 주의를 기하여 조사를

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Page 46: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3. 무척추동물Ⅰ(곤충)

- 40 -

<그림 세부1-1>Paromiuspiratoides의 형태

2.AmphiareusruficollarisY.etH.

노린재목 꽃노린재과에 속하는 종인 AmphiareusruficollarisY.etH.,2005는 국내에서

처음 발견되었다.본종은 식물을 가해하는 진딧물,응애류의 체액을 빨아먹는 포식성 천 으로

서 유용곤충자원에 속한다. 재까지 아열 지방( 만,오키나와 등지)에서만 발견되는 종이었

으나,우리나라의 경우 이번에 처음 기록된다.아울러 발견지역이 경기 민통선 지역임으로 보

아,구북구 기후에도 응한 것으로 보이며,지구온난화와도 한 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

된다(그림 세부1-2).

노린재목 장님노린재과에 속하는 Orthotylus(Orthotylus)kogurjonicusJosifov,1992 한

국내에서 처음 발견되었다.러시아, 국 일부에서 발생하는 이 종은 북한 근 지인 DMZ인근

민통선에서 처음 발견되었다.일본에서는 발견이 되지 않는 종으로,동물지리 인 측면서 볼

때, 륙과 섬지역의 경계를 나 는 매우 요한 종으로 여겨진다. 한 이 종은 거품벌 류의

천 으로 알려져 있어,유용곤충자원으로의 활용도를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그림 세부1-2).

Page 47: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3. 무척추동물Ⅰ(곤충)

- 41 -

<그림 세부1-2>A.ruficollaris와 O.kogurjonicus의 형태 (A:등면,B:vesica,

C-E:parameres)

3.GyrophaenaasheiKim andAhn

딱정벌 목 반날개과에 속하는 납작버섯반날개속의 한 종인 GyrophaenaasheiKim and

Ahn,2008은 우리나라에서 처음 기록되는 신종이다.이 종은 버섯의 포자를 가해하며,일부버

섯 농장 등에도 피해를 주리라 상되고 있다(그림 세부 1-3).

<그림 세부 1-3>GyrophaenaasheiKim andAhn,2008의 형태

4.Agriluscyanescens(Ratzeburg)

딱정벌 목 비단벌 과에 속하는 호리비단벌 류의 일종인 Agrilus cyanescens

(Ratzeburg,1837)는 국내에서 처음 발견되었다.본 종은 구북구 지역에 리 분포하며 특히

유럽에서는 식물을 가해하여 크고 작은 피해를 주는 주요한 해충 하나로 알려져 있다.성충

Page 48: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3. 무척추동물Ⅰ(곤충)

- 42 -

은 크기가 5.1-7.1mm 정도 이며,몸은 가늘고 길며 짙은 청색을 띠고 강한 택이 있다.이들

은 주로 따뜻하며 햇빛이 강한 시간 에 활발하게 활동하며 기주식물의 잎을 갉아먹기도 한다.

그러나 식물에 있어 큰 피해는 기주식물의 기 는 가지의 체 부를 섭식하는 유충에 의한

것이다.체코(Czech)에서는 1970년 후반부터 1980년 반까지 도심의 공원에 식재된

Lonicera류가 본 종에 의해 큰 피해를 입은 기록이 있다.그러나 국내에서는 피해사례가 알려

진 바 없다(그림 세부 1-4).

<그림 세부 1-4>Agriluscyanescens(Ratzeburg,1837)의 형태

5.Hemigastertaiwanus(Sonan) 만세마디뾰족맵시벌

벌목 맵시벌과 뾰족맵시벌아과에 속하는 만세마디뾰족맵시벌(Hemigastertaiwanus)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미기록종이며, 세계 12종이 기록되어 있는 세마디뾰족맵시벌속

(GenusHemigaster) 한 처음으로 보고되었다.본 속은 배마디가 명확히 세 개의 마디로 보

이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인데,첫 번째에서 세 번째 배마디등 (Tergite)이 상당히 크며 나머지

배마디는 이들 마디 아래에 존재한다. 한 머리에 하나의 돌기를 가지며,두 번째와 세 번째

배마디의 측면아래가 서로 융합되어 있는 것으로 쉽게 구별이 가능하다(그림 세부 1-5).본 속

의 숙주는 명확히 알려져 있지는 않으나,식엽성 해충인 기나방과(FamilyLimacodidae)의 유

충에 기생하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따라서 본 속 본 종에 하여 지속 인 연구가 수행

된다면 과수 정원수 등에 피해를 입히는 기나방에 한 천 을 이용한 생물학 방제로

써의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단된다.

Page 49: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3. 무척추동물Ⅰ(곤충)

- 43 -

<그림 세부 1-5>Hemigastertaiwanus의 형태

6.HomoenuraalbomarginataCzerny

HomoenuraalbomarginataCzerny,1932는 리목 큰날개 리과에 속하며 국내에서는 처

음으로 분포가 확인되었다.큰날개 리과에 속한 종들은 부분이 유충시기에 부식성 습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주로 낙엽이나 식물의 썩은 잎을 섭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 종은 극동러시아 지역과 일본에서는 그 분포가 알려져 있었지만,국내에서 채집된 것은 이

번이 처음이다.이 종과 형태 으로 유사한 HomoneurakolthoffiHendel,1938은 국내에 이미

기록된 이 있다.이 두 종은 독특한 날개무늬를 통해서 속내에서 다른 종들과 쉽게 구별된다

(그림 세부1-6).

리목 기생 리과에 속하는 황딱부리기생 리 Linnaemyaatriventris(Malloch),1935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기록되었다.이 속에 속한 종들은 부분이 농작물을 가해하는 나방 유충을

공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천 을 이용한 생물학 방제에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

지고 있다.이 종은 일본과 동남아시아 지역에 분포가 알려져 있다(그림 세부1-6).

Page 50: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3. 무척추동물Ⅰ(곤충)

- 44 -

Homoenuraalbomarginata Linnaemyaatriventris

<그림 세부1-6>Homoenuraalbomarginata,Linnaemyaatriventris의 형태

7.Ephemerellanotata(Eaton)

하루살이목 알락하루살이과에 속하는 알락하루살이류의 일종인 Ephemerella notata

(Eaton,1887)는 그 동안 국내에서 보고되지 않았었다. 본종은 하천계류에 서식하는 종으로서

재까지 유럽 일 일본 등에 리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우리나라의 경우 경

상북도 상주시 사벌면 매호리에서 채집되었다.국내의 알락하루살이(Ephemerellakeihoensis)는

2∼9배마디에 등가시가 나타나며,앞가슴등 에 무늬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에서 본 종과 다르다

(그림 세부1-7).

8.Triaenodessp.

날도래목 나비날도래과에 속하는 Triaenodessp.는 국내에서 보고되지 않았었다. 본종은

하천계류의 상류에 서식하는 종으로서 재까지 구미,유럽 일 일본 등에 리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북한지역에서도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되었다.본 조사결과,

본종이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덕상리지역에서도 서식하고 있음을 확인하 다. 본종은 머리

가 밝은 황색이며,짙은색의 무늬가 산재해 있으며,균일한 크기의 식물잔사물을 나선모양으

로 붙여 집을 짓는다.배마디 말단에는 강모가 지어 나타난다.국내 서식종에서는 본 종과

같이 균일한 잔사물을 이용한 나비날도래류가 보고되지 않았으며,배마디 말단의 강모열의

치에서 차이가 있다(그림 세부1-7).

Page 51: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3. 무척추동물Ⅰ(곤충)

- 45 -

Ephemerellanotata Triaenodessp.

<그림 세부1-7>Ephemerellanotata,Triaenodessp.의 형태

하천생태계를 구성하는 생물 에서 서성 형무척추동물은 1차소비자(2차생산자) 는 2

차소비자로서 물질의 순환과 에 지 흐름에 매우 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한 이들은

개체수가 풍부하며,이동성이 고,종에 따라 수환경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하천생태

계의 환경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매우 유용하다 이들 깔따구류(Chironomidae)는 1차 2차

소비자로서 상 양단계인 수서곤충류,어류 등에 먹이원으로서 매우 요한 역할을 수행한

다.하지만,우리나라 담수 깔따구류에 한 분류학 연구는 그들이 차지하는 생태 인 요

성에도 불구하고 인 라 구축의 미흡과 련 연구자의 인 부족으로 매우 미진한 상태에

놓여 있다. 리목에 속하는 깔다구류의 생곤충학 ,그리고 환경 해성평가측면의 요성

에도 불구하고 유충분류의 어려움으로 분류학 검토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나)특이종

1.Apionloti

딱정벌 목 뾰족바구미과에 속하는 창주둥이바구미의 일종인 Apionloti는 국내에서 처음

발견되는 미기록종인데,이는 주로 유럽과 지 해를 심으로 분포하는 콩과식물을 숙주로 그

seed/pod즉 종자와 콩깍지 안에서 콩의 미성숙한 종자를 섭식하는 종이다(그림 세부1-8).이

종은 그동안 변산반도와 군산 사이의 모래와 도로 변에 서식하는 콩과식물인 벌노랑이(Lotus

corniculatusvar.japocina)에서 발견되었으며,동일장소에서는 발견되지 않고 여러 해 동안 여

러 장소에서 간헌 으로 채집되었다.따라서 이는 재 추 되지 않은 경로에 의해 침입한 외

래종일 것으로 생각된다.왜냐하면 벌노랑이 종류는 구미에서는 양,말,소 등이 사육되는 목장

에서 가축사료로 리 심어지거나,도로변을 강화시키기 해 선구정착식물로 뿌려지는 종류이

Page 52: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3. 무척추동물Ⅰ(곤충)

- 46 -

므로 도로건설이나 노변보수를 통해 확산되면서 도입될 가능성도 있다.2~3년간 수십 개체가

채집되었으므로,서해안의 간척과 련된 도입경로를 추 할 정이며 서해안 일부에 정착

되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와 함께 다른 Apion속의 종들도 발견되었는데,역시 벌노랑이,토끼풀,갈퀴 등의 콩과

식물들과 련이 있는 종들이어서 Apionloti와 함께 도입되는 경우일 것으로 생각된다.그러

나 이 종들이 해충의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니므로 크게 문제가 될 것은 없고,국내에도 유사한

생태 지 를 가진 종들이 있으나 체로 숙주식물에 한 host-parasite 인 의존특이성이

있으므로 다른 식물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것은 상되지 않는다.그리고 기존에 알려진

Apion종들 외에 신종 내지 변이로 생각되는 개체들도 함께 발견되었으므로 추후 연구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그림 세부1-8>Apionloti의 형태

2.Melanaphisjaponica(Takahashi,1919)제주억새진딧물

진딧물과에 속하는 제주억새진딧물은 과거 제주도와 남해안 일 에서 채집 보고되었으

나 근래 한반도의 기온이 상승하면서 그 분포지역이 부지역까지 확 된 것으로 보인다.생김

새가 매우 특이한 종으로 진딧물아과 진딧물족(Tribe Aphidini) 테두리진딧물아족

(Rhopalosiphina)내에 치하며 뿔 이 왜소하고 끝편이 둥근모양을 한 것이 특징이다.4월

순부터 10월경까지 국의 습지에 분포하는 억새에서 흔히 발견된다.주로 억새의 지제부와

잎과 기 사이의 틈에 서식하는데 특이하게도 개미에 의해 만들어진 흙으로 된 덮개로 둘러

싸여 보호를 받고,개미에 의해 되기도 한다.

무시충의 몸은 색, 갈색 는 연한 자주색을 띤다.표면에 미세하게 흰 랍가루를 덮

고 있다.다리는 밝고 투명한 노란색을 띤다.뿔 과 끝편은 검고 매우 작다.무시충의 몸길이

는 약 1.2mm이다.몸은 머리를 제외하고 체 으로 투명하고,털이 긴 편이다.더듬이는 5마

Page 53: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3. 무척추동물Ⅰ(곤충)

- 47 -

디 는 6마디이다.주둥이 길이는 긴 편이고 그 끝이 거의 뒷다리 마디에 이르며,4+5마디

의 길이는 뒷다리 제 2발마디보다 약간 길다.복부에는 마디마다 측면에 돌기가 존재하고 간

혹 없는 마디도 있다.복부 측면 경 에는 개 5개 이상의 털이 있다.뿔 은 검은색이며 매

우 작은 편이고 끝편 길이보다 짧다.끝편은 끝이 둥 고 잘록한 부분이 있으며 약 15개의 털

이 있다.유시충의 더듬이 제 3,4마디에는 각각 7~10,3~4개의 이차감각기가 있다(그림 세부

1-9).

제주억새진딧물 유시충 개미에 의해 보호를 받는 군집

<그림 세부1-9>Melanaphisjaponica의 유시충(좌)과 개미(우)

(4)논문,학술발표 도서출 등

(가)논문

문태 ,2008.서해안 해안도로 주변의 콩과식물에서 채집된 새로운 곤충군.고신 학교

보건과학연구소보.18:72-74.

이동한,홍성진,황지용,이동 ,윤춘식,정선우,2007.김해시 육상곤충의 군집구조와 한국미기

록종.환경연구논문집 7(1):23-30.

세근,이동 ,윤춘식,황지용,이동한,차진열,정선우,2006.덕유산국립공원의 노린재목 분

포와 한국 1미기록종 Nabiskinbergii.환경연구논문집.6(1).

홍성진,이 철,박희창,윤춘식,박은희,정선우.2008.한려해상국립공원 육상곤충의 2차모니터

링과 Orthotylus속 한국미기록 1종의 보고.환경연구논문집 8(1):53-59.

황지용,홍성진,이동한, 세근,윤춘식,정선우.2007.한려해상국립공원의 1차 육상곤충모니터

Page 54: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3. 무척추동물Ⅰ(곤충)

- 48 -

링과 한국미기록종 Missoniapunctata의 보고.환경연구논문집 7(1):31-38.

Choi,J.-K andJ.-W.Lee,2008.TaxonomicstudyofthegenusCharopsHolmgren

(Hymenoptera:Ichneumonidae:Campopleginae)from theEasternPalaearcticRegion).

EntomologicalResearch.38(2):157∼164.

LeeJ.-W.,J.-M.KwonandT.-H.Kim.FirstRecordoftheFamilyProctotrupidae

(Hymenoptera:Proctotrupoidea)from Korea.TheKoreanJournalofSystematicZoology.

24(2):173∼177.

Sang-WookSuk,Deuk-SooChoiandHo-YeonHan,2008.RedescriptionsofTwoClosely

ResemblingChrysotoxum Species(Insecta:Diptera:Syrphidae)New toKorea.The

KoreanJournalofSystematicZoology.24(3):299∼305.

Jong-SuLim andHo-YeonHan,2008.RedescriptionsofTwoCloselyResembling

LinnaemyaSpecies(Insecta:Diptera:Tachinidae)New toKorea.TheKoreanJournalof

SystematicZoology.24(3):307∼313.

(나)학술발표

한호연,2008. 리목 계통분류의 황과 망:과실 리상과의 .2008한국동물분류학회

춘계 비정기 심포지엄.Pp.109-128.한국동물분류학회 주최,국립생물자원 후원,(2008.

4.25).

Cha,D.-J.andH.-Y.Han,2008.KoreanspeciesofsubfamilyPhasiinae(Diptera:

Tachinidae).P.155.포스터발표.제63회 한국생물과학 회 정기학술 회,목포 학교,

(2008.8.20-22).

Han,H.-Y.andK.-E.Ro,2008.Mitochondrialphylogenyandhigherclassificationof

Tephritidae:currentstatusandfutureperspective.4thInternationalMeetingon

TaxonomyandNaturalHistoryofTephritoidea.GreatSmokyMountainsNationalPark,

Tennessee,USA,(2008.6.9-14).

Han,H.-Y.2008.MolecularphylogenyandhigherclassificationofthefamilyTephritidae

basedonmitochondrialgenes.P.5.2008KTOLInternationalSymposium:Genomics

andPhylogenetics.고려 학교,(2008.12.5).

Jung,J.-M.andH.-Y.Han,2008.ApreliminarystudyoftribeXylotinifrom Korea

(Diptera:Syrphidae).P.167.포스터발표.제63회 한국생물과학 회 정기학술 회,

Page 55: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3. 무척추동물Ⅰ(곤충)

- 49 -

목포 학교,(2008.8.20-22).

Kim Yoon-HoandKee-JeongAhn2008.DescriptionofThreeNew SpeciesoftheGenus

GyrophaenaMannerheim (Coleoptera:Staphylinidae:Aleocharinae)from Korea.

한국생물과학 회 정기학술 회 발표 (2008.8.20-22).

Lee,H.-S.andH.-Y.Han,2008.AsystematicstudyofthegenusMinettiaRobineauand

Desvoidy(Diptera:Lauxaniidae)inKorea.P.152.포스터발표.제63회 한국생물과학 회

정기학술 회,목포 학교,(2008.8.20-22).

LeeJun-GuandJin-IllKim 2008.Fournew recordsofthegenusAgrilusCurtis

(Coleoptera:Buprestidae:Agrilinae)inKorea.한국곤충학회 정기학술발표 (2008.11.

14-15).

Lim,J.-S.andH.-Y.Han,2008.AsystematicstudyofthegenusLinnaemya

Robineau-Desvoidyfrom Korea(Diptera:Tachinidae).P.167.포스터발표.제63회

한국생물과학 회 정기학술 회,목포 학교,(2008.8.20-22).

Suk,S.-W.,C.-H.ParkandH.-Y.Han,2008.AsystematicstudyofChrysotoxum Meigen

(Diptera:Syrphidae)inKorea.P.153.포스터발표.제63회 한국생물과학 회

정기학술 회,목포 학교,(2008.8.20-22).

(다)도서출

Lee,S.,Holman,J.,& Havelka,J.(2002)IllustratedCatalogueofAphididaeintheKorean

Peninsula.PartI,Subfamily Aphidinae(Hemiptera:Sternorrhyncha)KoreaResearch

InstituteofBioscienceandBiotechnology,Daejoen..

Lee,S.and H.Kim.2006.Hemiptera:Sternorrhynch (Aphididae:Aphidini).Economic

InsectsofKorea28.Ins.KoreanaSuppl.35.NationalInstituteofAgriculturalScience

andTechnology,andCenterforInsectSystematics.Suwon.

Page 56: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4. 무척추동물Ⅱ

- 50 -

4.자생 무척추동물Ⅱ (곤충 제외,원생생물 포함)자원 조사․발굴

가.당해연도 연구 목표

사업 내용 목표

미기록 /신종(후보)발굴 140종

표본 확보 14,000

나.당해연도 연구개발 계획

상 내진 정 (M+)

1 2 3 4 5 6 7 8 9 10

절지동물(쏙 등),

절지동물(코 피 드

단각 등), 절지동물(거미 )

절지동물( 애 ),

절지동물(클 티드

각 등),

태 동물(나후 등),

동물(엡실 마티드 등)

동물(원시빈 ,다 등

) 해 동물(보통해 등)

원생동물(해산 ,

담수산 등)

연체동물( 족 , 신복족 ,

후새 등), 악동물,

편 동물 등

• 문헌 료 조사

• 생 종

• 포

• 종 생 무척 동물

• 야 조사 통한 본 보

• 본 제

• 동정

• 별 종 포 료

다.연구 범

○ 연체동물 :부족류,후새류,신복족류 등

○ 지동물 :생이류,쏙류,펠티디드 요각류,클 토티드 요각류,거미류,응애류,코로피

오이드 단각류,감마로이드 단각류,하르 티키드 요각류 등

Page 57: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4. 무척추동물Ⅱ

- 51 -

○ 해면동물 :보통해면류 등

○ 편형동물 :다 류 등

○ 거미류 :홑생식기류 등

○ 모악동물

○ 선형동물 :엡실로네마티드류 등

○ 원생동물 :해산섬모충류,담수산섬모충류 등

○ 환형동물 :원시빈모류,다모류 등

○ 태형동물 등

라.연구사업 수행내용

(1)표본 생물재료 확보

(가)표본 제작

① 십각류

조간 는 SCUBA diving을 이용한 조하 에서 채집된 샘 을 해부 미경 는 나

안으로 개체 선별 후 50%,70% 의 에탄올에 순차 으로 고정,보 한다.

② 선충류

표본은 슬라이드 표본과 액침표본으로 구분된다.슬라이드 표본을 해서는 추출된 표

본들은 하나의 작은 petridish에 모은다.모아진 표본들은 미경 찰을 해 표본을 제

작하여야 하는데,이때 에탄올과 glycerine혼합액(95:5비율)을 표본들이 담긴 용기에

부어 36℃ 항온기(incubator)에 넣고 약 7일 동안 서서히 탈수시킨다.순수한 glycerine

에 담겨 있는 탈수된 표본을 한 개체씩 mountingmedium(glycerin이나 Hoyersolution)

을 사용하여 구 라핀 슬라이드를 만든다.만들어진 슬라이드를 H-Sslide틀(flame)

에 고정하여 찰과 동정을 한다.H-Sslide는 양쪽 면을 모두 찰할 수 있는 장 이

있어 종의 올바른 동정에 필수 이다.액침 표본은 3% 포르말린을 이용하여 동정된 이

후의 표본을 작은 바이알에 보 한다.

③ 섬모충류

Page 58: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4. 무척추동물Ⅱ

- 52 -

액침표본:생시료에 Lugol'ssolution을 10ml/L가 되도록 넣어 후 5개체씩 분리해

1.5mltube에 넣는다.

슬라이드 표본:HgCl₂로 고정한 후 bleachsolution(0.1% NaClO)으로 탈색하고,1%

protargolsolution으로 염색한다.다음 development solution (1% Na2SO3,0.2%

hydroquione)으로 발색한 후 fixationsolution(5% Na2S2O3)으로 염색을 고정한 후 슬

라이드에 표본을 올리고 egg-albumin으로 표본을 고정한다.탈수화 과정을 거친 후

permount를 한 방울 떨어뜨리고 커버슬라이드를 덮는다.

Protargolstainingmethod:Blockdish에 비된 HgCl2로 10~20분간 고정.고정액을

따내고 증류수를 첨가하는 세척을 3회 반복.0.5~1%의 NaOCl용액으로 표백.표백액을

따내고 증류수를 첨가하는 세척을 3회 반복.Protargol가루를 1-3%용액으로 50~60℃에

서 45분간 침투.0.1~0.2%의 Hydroquinone을 Protargol이 침투된 표본 주 에 주입하여

상.표본을 5% sodium thiosulfate로 옮겨 상을 정지. 상이 완료된 표본을 증류수

로 3회 세척.Mayer'salbumin을 Slideglass 에 한 방울 떨어뜨리고 표본을 분리하여

옮긴다.Incubator에서 5~10분간 건조.70-80-90% Ethanol에 각 2분씩,100-100%

Ethanol에 각 5분씩 탈수.Xylol-XylenⅠ-XylenⅡ 단계로 각 2분씩 투명화 시킴.Canada

balsam으로 Mount한다.

‘Dry’silvernitratemethod:알부민을 slidegrass에 한 방울을 떨어뜨리고,매우 얇게

편다.약 1분정도 건조(remarks:알부민에 glycerol을 첨가하지 않는다.그리고 처음 만든

알부민을 약 20시간 정도 온 보 을 해놓고 나서 사용한다.그리고 이 알부민은 3일

정도 사용할 수 있다).건조된 알부민이 있는 slide부 에 시료를 떨어뜨린다.가능한 알

부민 층을 건들지 않게 조심해서 시료를 편다.그리고 실온에서 건조된 표본을 제작.

slide 에 slivernitrate(AgNO3)를 몇 방울 떨어뜨리고 1분정도 용(remarks:pipet으

로 알부민 층을 건들지 않게 한다).UV를 어 다.증류수로 slide뒷면을 세척한다.그

리고 다시 건조.0.1~0.2% hydroquinone(10㎛)+5% sodium sulfate(250㎛)+D․W

(5㎖)을 1~2방울 떨어뜨린 후 뒷면을 세척.Canadabalsam으로 Mount한다.

④ 다모류

갯벌,암반지 ,조하 질 등의 다양한 서식지로부터 채집된 표본들은 채집 후 장

에서 얼린 후 실험실에서 고정을 하거나 멘톨 등으로 마취 후 70% 에탄올으로 고정 한

다.다모류에 있어서 마취 과정은 매우 요한데 이 과정을 거치지 않으면 고정 시 개채

Page 59: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4. 무척추동물Ⅱ

- 53 -

들의 형태가 많이 훼손되거나 주요 분류형질이 드러나지 않은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⑤ 요각류

요각류의 조사는 부유성 요각류와 서성 요각류의 방법을 달리하여 채집을 실시하

다.부유성 요각류는 주로 직경 60cm,망목 300㎛의 원추형 랑크톤 네트를 이용하여

표층채집과 경사채집을 방법을 사용한다.채집속도는 1m/sec( 략 2knot)를 유지하도록

하 고 정량분석을 해 네트에 유량계를 부착한다.시료는 채집 후 즉시 성 포르말린

으로 해수와의 혼합 최종농도가 4~5%가 되도록 고정하 고 표본의 동정을 해 민물

로 세척후 70-80%의 알콜로 보존한다.이들의 분류는 종 수 까지 동정하 으며 분류군

의 동정에는 ChiharaandMurano(1997),Mori(1964),Kim,D.Y.(1985),강(1992),김

(1987),유(1995),임(1989)등의 문헌을 참고하 다.

서성 요각류는 매우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채집을 실시하 다.해양의 다양한

질을 채취하기 하여 grab을 사용하거나 SCUBA diving으로 직 실시하 다. 한

lighttrap을 이용한 야간채집, 다양한 해조류나 각종 무척추동물을 rinsing하여 채집

하는 등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한다.채집된 시료는 포르말린 는 에탄올로 장에서

고정하 고 다시 실험실로 옮겨 망목 60㎛의 핸드네트를 이용하여 다시 rinsing을 하여

에탄올로 보존한다.채집된 시료는 해부 미경 하에서 선별(sorting)하 으며 필요한 경

우 LacticAcid를 midium으로 사용하여 해부한다.해부된 각 부속지는 각각 라트

를 제작하여 슬라이드표본을 제작하고 동정 한다.

⑥ 단각류

주간 조사 시,핀셋,handnet(망목 0.4×0.4㎜),D-Framenet,끌,거름채 등을 이용하

여 조간 ,기수,내륙 습지에 서식하는 서성 무척추동물류 표본을 채집.암반이나 조

수웅덩이에 있는 해조류나 무척추동물을 뜯어 담수에 넣고 쇼크 상태로 만든 다음 채집

망(net)을 이용하여 채집한다.모래갯벌과 펄갯벌 등의 연성기질에서는 채(sieve)나 채집

망(망목 0.5×0.5mm)을 이용하고,암반에 부착된 굴,담치 등과 같은 부착생물에서는 채

집망이나 핀셋 등을 이용해 직 채집 한다.해안의 야간 조사 시에는 연구실에서 제작

한 Lighttrap을 4~5시간 정도 수 에 방치하여 주 성에 의해 몰려드는 무척추동물류

표본들을 채집한다.확보된 표본은 지에서 80~90% EthylAlcohol로 고정시킨 후 일

시,지역,채집방법 등이 힌 라벨지를 넣은 라스틱 병을 이용하여 연구실로 운반하

Page 60: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4. 무척추동물Ⅱ

- 54 -

다.필요에 따라,GPS를 이용하여 정확한 지역의 좌표를 기재하고,조사일지를 이용

조사지역의 특성을 기록하 다.운반된 표본은 해부 미경을 통하여 해당 무척추동물들

을 선별 으로 분류․동정한다.동정한 표본은 표본의 크기에 맞게 유리 병으로 옮긴

후 다시 깨끗한 70% EthylAlcohol용액을 채워 보 한다.

⑦ 진드기류

토양의 표본을 실험실에서 Tulgren장치에 넣어 진드기류를 추출하고 알코올에 고정한

다음 투명화시켜 polyvinylealcohol로 포매하여 미경으로 찰 동정한다.털진드기과를

상으로 Shermantrap으로 등 쥐를 포획하여 귀로부터 털진드기를 수집하거나 쥐 굴

입구의 토양으로부터 털진드기를 채집한다.

⑧ 해면류

조간 부 는 스킨이나 SCUBAdiving을 이용하여 채집하고 심해산일 경우는 자망,

인망,어선 주낙배를 이용하여 표본을 채집한다.채집된 표본은 장에서 80-100% 메

칠 알콜에 고정한 후 실험실로 옮겨 바로 새로운 70% 메틸 알콜로 바꾸어 보 한다.

⑨ 모악동물

NORPECnet(구경 45cm,측장 180cm,meshsize0.33mm)으로 보통 표면에서 150m

에 이르는 수직 채집을 한다.서해,남해와 같이 수면이 150m 미만인 곳은 속에서 표

면까지 NORPECnet으로 채집한다. 다른 방법으로,난 치어 채집망 (구경 130cm,측

장 450cm)을 이용하여 2knot의 속력으로 수평채집을 하기도 한다.미세 Planktonnet

(NORPCT net과 비슷하나 meshsize0.1mm)으로는 50m에서 표면에 이르는 부분을 채

집한다.

⑩ 거미류

다양한 서식지의 거미들을 포충망 는 맨손으로 채집한 후 70% 에탄올에 고정 후 보

한다.

⑪ 연체류

표본의 확보,처리 분류군의 동정은 부착성과 이동성 종들 모두를 상으로 하 으

Page 61: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4. 무척추동물Ⅱ

- 55 -

며,채집된 표본은 분류군에 따라 7% MgCl2수용액이나 멘톨로 마취한 후 80% 메탄올

이나 10% 포르말린으로 고정하여 실험실로 운반하 다.

(2)미기록 신종(후보)발굴

① 십각류

게하목 미기록종은 Ng,Guinot,andDavie(2008),MatinandDavis(2001)의 분류 체

계를 따랐으며 Sakai(1976),GriffinandTranter(1986),Serene(1984)의 기재를 기 으

로 하 다.

② 선충류

각 종들의 동정 분류는 행 해양 선형동물의 분류체계를 따랐다(Allen and

Noffsinger,1978;Gerlach andRiemann,1974;PlattandWarwick,1983;Plattand

Warwick,1988;Warwick,PlattandSomerfield,1998;Timm,1970).

③ 섬모충류

“Lynn,D.H.and E.B.Small.1997.A Revised Classification of the Phylum

CiliophoraDoflein,1901.Rev.Soc.Mex.Hist.Nat.47:65-78.”에 따라 분류 종동정

이 이루어졌다.

④ 다모류

Pettibone(Blake,1994)에 의한 25목 86과를 기본 분류체계로 하여 미기록종을 발굴하

다.

⑤ 요각류

종의 동정을 해 분류군 별로 정리되어진 여러 분류 논문 모노그래 를 이용하

고 이들의 분류체계는 Huysetal.(1996)과 BoxshallandHalsey(2004)의 체계를 따랐다.

Boxshall,G.A.andS.H.Halsey,2004.Anintroductiontocopepoddiversity.The

RaySociety,London166,1:1-421.

Huys,R.,J.M.Gee,C.G.MooreandR.Hammond,1996.Marineandbrackish

Page 62: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4. 무척추동물Ⅱ

- 56 -

waterharpacticoidcopepods.Part1.SynopsesoftheBritishFauna(new series),51,

1-352.

⑥ 단각류

BarnardandKaraman(1991)의 분류체계에 따라 분류하 다.

⑦ 진드기류

분류체게는 Smily(1992)를 따랐으며 Ehara(1980)의 도감을 참조하 다.Smily,R.L.

1992.The predatory mite family Cunaxidae (Acari)ofthe world with a new

classification.IndiraPubl.House,Michigan,356pp.

Ehara S.18980.Illustrationsofthemitesand ticksofJapan.Zenkoku Noson

KyoikuKyokai.Tokyo.561pp.

⑧ 해면류

서식지(조간 ,조하 ,하부천해 ),성장형,외형의 특징(색,질감,소공, 공),피층골

격 배열,내층골격 배열,골편의 구성,골편의 크기 가 동정·분류의 기 이며,분류체계는

HooperandVanSoest(2002)의 체계를 따랐다.

⑨ 연체류

본 조사는 표본 미기록/신종(후보)분류군의 확보를 하여 조간 와 조하 를 모두

포함하 으며,조하 의 경우 수심 50m까지 조사하 다.수 에서의 조사는 모두

SCUBA 다이빙으로 이루어졌는데,깊은 수심에서부터 낮은 수심방향으로 진행하며 조사

를 실시하 다.조사 수 에서 직 기록하거나 세 한 찰이 필요한 종들에 하여는

비닐 지에 담아 하 다.한편 수 카메라(Olympus7070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하여

출 종의 근 촬 서식구조 등을 촬 하 다.

표본의 확보,처리 분류군의 동정은 부착성과 이동성 종들 모두를 상으로 하 으

며,채집된 표본은 분류군에 따라 7% MgCl2수용액이나 멘톨로 마취한 후 80% 메탄올

이나 10% 포르말린으로 고정하여 실험실로 운반하 다.종의 동정에는 Choe(1992),

Habe(1977),Okutani(1986),Okutani& Habe(1990)등을 참고하 다.상기한 분류군의

분류체계 국명은 한국동물명집(1997)을 따랐다.연체동물의 경우 한국동물명집에 없는

Page 63: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4. 무척추동물Ⅱ

- 57 -

분류군의 분류체계는 AbottandBoss(1989)를 따랐다.

마.연구 결과

사업 내용 목표 결과 달성률(%)

미기록 /신종(후보)발굴 140 140종 100

표본 확보 14,000 14,038 100.2

(1)표본 생물재료 확보

본 연구 기간 한반도 분포 무척추동물자원에 한 채집조사 활동을 수행한 결과,십각

류 698 ,섬모충류(담수산)24과 30속 48종 1,201 ,섬모충류(해산)5과 5속 10종 1,206 ,다

모류 37과 76속 98종 1,200 이었으며,요각류 10과 11속 20종 1,244 ,단각류 1,593 ,진드기

류 1과 3속 10종 1,111 ,해면류 12과 13속 20종 1,200 ,편형동물 2과 3속 3종 25 ,모악동

물 1과 1속 1종 10 ,등각류 2과 2속 2종 12 ,무갑류 1과 1속 1종 15 ,완흉류 2과 2속 2종

3 ,올챙이새우류 4과 8속 18종 220 ,완족류 1과 1속 1종 1 ,해 류 1과 1속 1종 1 ,거

미류 17과 34속 47종 1,270 ,연체류 3,028 ,총 14,038 (당해연도 목표의 100%)의 표본이

확보되어 당해연도 연구 목표를 달성하 다.

당해연도 연구목표 연구사업 결과

표본 생물재료 확보 :총 14,000

- 상분류군

연체동물 (부족류,후새류,신복족류 등),

지동물 (생이류,쏙류,펠티디드 요각류,

클 토티드 요각류,거미류,응애류,

코로피오이드 단각류,감마로이드 단각류,

하르 티키드 요각류 등),해면동물,

모악동물,선형동물 (엡실로네마티드류 등),

원생동물 (해산섬모충류,담수산섬모충류),

환형동물 (원시빈모류,다모류 등),

편형동물(다 류등)등

총 14,038 확보

Page 64: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4. 무척추동물Ⅱ

- 58 -

(계속)

당해연도 연구목표 연구사업 결과

-확증표본:14,000 -확증표본:14,038 (목표의 100.2%달성)

;십각류:698

;섬모충류(해산):1,206

;섬모충류(담수산):1,201

;다모류:1,200

;요각류:1,244

;단각류:1,593

;진드기류:1,111

;편형동물:25

;해면류:1,200

;모악동물:10

;등각류:12

;무갑류:15

;완흉류:3

;올챙이새우류:220

;완족류:1

;해 류:1

;거미류:1,270

;연체류:3,028

(2)미기록 신종(후보)발굴

당해연도 연구목표 연구사업 결과

미기록/신종 발굴:140분류군 미기록/신종 발굴:140분류군

(101미기록종,39신종후보)

(목표의 100%)

-미기록종 :101종

;십각류 :2종

;단각류 :13종

;선충류 :14종

;진드기류 :11종

;섬모충류(담수산):12종

Page 65: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4. 무척추동물Ⅱ

- 59 -

(계속)

당해연도 연구목표 연구사업 결과

미기록/신종 발굴:140분류군 ;섬모충류(해산):11종

;거미류 :1종

;해면류 :1종

;후새류 :12종

;다모류 :12종

;요각류 :12종

-신종후보 :39종

;요각류 :19종

;해면류 :11종

;거미류 :3종

;선충류 :5종

;섬모충류(해산)1종

본 발굴 조사 결과,신종 신종 후보 39분류군과 미기록 101분류군 등 미기록/신종(후

보)140분류군(당해연도 목표의 100%)을 발굴하 다.발굴된 신종(후보)분류군들은 선충류

Richtersia n.sp.1,Richtersia n.sp.2,Richtersia n.sp.3,Calomicrolaimusn.sp.,

Cygnoneman.sp.등의 5분류군,섬모충류(해산)Loxophyllum n.sp.1분류군,요각류

Scottolanan.sp.,Elanellan.sp.,Dirathrodesn.sp.,Parathalestrisn.sp.1,Parathalestris

n.sp.2,Leptastacusn.sp.,Paralaophonten.sp.,Halophytophilusn.sp.,Donsiellan.sp.,

Cletodes n.sp.,Enhydrosoma n.sp.,Acrenhydrosoma n.sp.,Laophonte n.sp.6,

Paralaophonten.sp.,Quinquelaophonten.sp.,Echinolaophonten.sp.,Coullian.sp.1,

Algensiellan.sp.,Normanellan.sp.등의 19분류군, 해면류 Geodian.sp.1,Axinellan.

sp.,Topsentian.sp.,Haliclona(Reniera)n.sp.1,Cinachyran.sp.,Biemnan.sp.1,

Biemnan.sp.2,Mycalen.sp.,Haliclona(Reniera)n.sp.2,Erylusn.sp.,Haliclona

(Haliclona)n.sp.등 11분류군,거미류 Pholcuspojunensisn.sp.,Pholcusparkyeonensisn.

sp.,Pholcuskwangkyosanensisn.sp.등의 3분류군 총 39분류군이 새로이 추가 기록되었다.

아울러 발굴된 미기록 분류군들은 십각류 Actaeasp.,Leptodiussp.등의 2분류군,선충류

Desmoscolexsp.,Tricoma(Quadricoma)sp.1,Tricoma(Quadricoma)sp.2,Tricomasp.,

Page 66: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4. 무척추동물Ⅱ

- 60 -

Paratricoma sp., Sphaerolaimus sp., Dorylaimopsis sp. 1, Dorylaimopsis sp. 2,

Dorylaimopsissp.3,Bolbolaimussp.1,Bolbolaimussp.2,Microlaimussp.1,Microlaimus

sp.2,Nudorasp.등의 14 분류군,섬모충류(담수산)Glaucoma scintillans,Paramecium

duboscqui,Euplotesbalteatus,Engelmanniellamobilis,Opisthonectahenneguyi,Kerona

pediculus, Loxodes rostrum, Trachelius ovum, Aspidisca leptaspis, Hemiamphisiella

terricola,Apoamphisiellatihanyiensis,Oxytrichaopisthomuscorum 등의 12분류군,섬모충류

(해산)Pseudoamphisiella alveolata,Amphisiellaannulata,Loxophyllum perihoplophorum,

Litonotus pictus,Litonotus paracygnus,Euplotes crassus,Euplotes rariesta,Euplotes

cristatus,Amphileptuseigneri,Dysteriacrassipes,Dysteriaovalis등의 11분류군,다모류

Dodecaceria sp,Exogone sp.,Leonnates persica,Prionospio pulchra,Prionospio sp.1,

Prionospio sp.2,Prionospio elongata, Pilargis sp.,Scolelepis sp.1,Scolelepis sp.2,

Scolelepissp.3,Dispiosp.등의 12분류군,요각류 Tigriopusigai,Parastenheliahornelli,

Amphiascus varians,Delavalia giesbrechti,Tisbe celata,Ellanella sp.,Enhydrosoma

cuticauda,Laophontedinocerata,Psamoplatypusproprius,Laophontodesbicirnis등의 10분

류군,단각류 Hyale sp.1,Hyale sp.2,Melita sp.,Byblis sp.,Gamaropsis sp.1,

Gamaropsis sp. 2, Gamaropsis sp. 3, Paradexamine sp. 1, Paradexamine sp. 2,

Abludomelitasp.,Iphiplateiasp.,Terepeltopes sp.Leucothoidessp.,Maerasp.등의 13분

류군, 진드기류 Bonzialubiona halacaroides. Parabonzia bdelliformis, Pseudobonzia

clathranthus,Scutascrnuspolyscutosus,Annascirustaurus,Cunaxacapreolus,C.setirostris,

C.veracruzana,Dactyloscirus inermis,Cunaxoides croceus,Neocunaxoides clathratus,

Pulaguspseudominutus등의 11분류군,해면류 Geodiasp.21분류군,거미류 Spheropistha

melanosoma1분류군,후새류 Elysiasp.1,Elysiasp.2,Elysiasp.3,Elysiasp.4,Okenia

sp.,Aeolidinasp.,Bonellasp.,Cuthonasp.,Goniodoridellasp.,Hoplodorissp.,Glossodoris

sp.1,Glossodorissp.2등의 12분류군 총 101분류군이 새로이 추가 기록되었다.

(3)무척추동물Ⅱ 자원의 생물학 논의

(가)미기록 신종(후보)

<선충류>

선형동물은 부분이 몸길이 0.15-10mm를 넘지 않는 미소한 크기이고,이에 반해 기

Page 67: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4. 무척추동물Ⅱ

- 61 -

생성의 경우는 최 8m에 달하는 실모양의 동물로서,외부의 형태 인 특징으로 인해 유선형

동물과 가장 가까운 유연 계를 보이는 형동물의 한 구성원으로 알려져 왔다.해양 선형동물

은 특히 요각류,동문동물,완보동물,복모동물과 함께 주요한 해양 간극수 동물 의 하나이며

해양 생태계에서 차지하는 생태 요성은 매우 크다.해양 선형동물은 재까지 약 5,000여

종이 기록되어 있으나 최근에 반복 으로 이루어진 생태 조사에 의하면 지구상에 서식하는

선형동물의 종 수는 략 40,000에서 100,000,000종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들 추정치의 50%

이상이 해양에서 자유생활 하는 선형동물로 상하고 있다.이러한 추정치는 지 까지 밝 진

종보다 앞으로 기록해야 할 종들이 무수히 많이 남아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해양의 선형동물

은 조간 와 기수역의 질, 륙붕 심해의 질에서도 쉽게 발견되며, 질에 서식하는 여

타 다른 어떤 간극수성 동물들 보다 높은 생물량 ( 체의 약 50-90%)과 종 다양성( 체의 약

90-95%)을 보이며, 지구상의 거의 모든 서식지에서 발견된다.

특히 이들 해양 선형동물은 규조를 포함한 단세포 조류,박테리아,원생동물,선형동물을

포함한 다른 미소한 무척추동물들을 섭식하는 차 소비자이며,해양의 질속에 서식하는 다

른 형 무척추동물(연체동물,환형동물)이나 어류 등의 요한 먹이 공 원으로써 해양 생태

계의 먹이사슬에 요한 연결고리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이와 같이 해양 선형동물이 해양의

서생물군집에서 차지하는 역할의 요성에도 불구하고 미소한 크기,채집상의 어려움,표본

제작과정 조작 등 기술 인 어려움 때문에 재까지 한국에서는 해양 선형동물에 한 분

류학 연구가 극히 일부만이 이루어져 있다.

<섬모충류>

Loxophyllum sp.nov.는 몸체의 측면에 구기부를 갖고 있는 해산 측구류의 일종으로 처

음 기재되는 신종이다.본종은 등면에 3-4개의 wart를 갖고 있으며 다른 종과는 달리,2개의

핵 사이에 소핵을 갖고 있으며 소핵의 크기도 비교 큰 것이 특징이다 (그림 세부2-1).섬

모충류는 범세계 분포가 가능한 분류군으로 수생부유생태계에서 종 다양성이 높고 생물량이

많을 뿐 아니라 상 단계로의 에 지 달자로 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어 생태 분류학

으로 매우 요한 분류군이다.분류형질 찰을 해선 다양한 염색법 (Leeetal.2000)과 배

양이 필수 인 섬모충류는 종 분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실험 어려움이 많아 그 요성

에 비하여 연구가 거의 이루어져있지 않은 상태이다.

Page 68: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4. 무척추동물Ⅱ

- 62 -

<그림 세부2-1>Loxophyllum sp.nov.의 형태

<요각류>

서성 요각류의 50개가 넘는 과(Family)가운데 가장 원시 인 형질을 간직한 분류군은

Polyarthra아목에 속하는 Longipediidae과와 Canuellidae과 2개 과(Family)이다.이들 분류군은

재 분류학 치상으로 많은 논란에 싸여 있으나 재까지는 가장 원시 형질을 간직한

서성 요각류로 알려져 있다.이 가운데 번 3차 조사에서 2속 2종이 발견되었으며

Canuellidae과 역시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과이다.두종 가운데 Scottolanan.sp.는

수심이 깊지 않은 얕은 해안에서 채집되었고 국에서 보고된 종과는 많은 차이를 보여주고

있고 특히 수컷과 암컷의 genitalfield에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한 두 종 모두 일반

인 서성 요각류 보다는 훨씬 체장이 긴,1mm가 넘는 크기를 지니고 있다.그 외 새로이 추

가되는 미기록종 들이 해조류와 같은 서식처에서 주로 채집이 되었는데 이러한 사실로 볼 때

조하 의 사질이나 니질 같은 서식처에서 신종이 나타날 확률이 매우 높음을 추측할 수 있었

다.

<진드기류>

한반도에서는 1종 만이 기록되어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마름이리응애과

(Cunaxidae)를 심으로 하 으며 이 연구에서 조사한 진드기류는 토양에 서식하는 종으로 토

양 시료의 채취는 2008년 6월부터 2009년 2월까지 실시하 다.채취한 토양 시료는 비닐 지

에 넣어 실험실로 운반한 다음에 Berlese-Tullgren장치로 진드기를 분리하 다.진드기는

Page 69: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4. 무척추동물Ⅱ

- 63 -

80% 알코올 는 lacticacid에 고정하여 보 하 다.

진드기는 투명화 시키지 않으면 미경으로 찰하기 어렵다.따라서 Lacticacid를 hole

slide에 넣고 그 속에 진드기를 옮겨 넣은 다음에 40-60℃의 slidewarmer에 1-2시간 넣어

투명화시켰다.

진드기의 체색이 무 어두운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조성의 André용액에 수 분 동안 담

그었다.

증류수 30cc

chloralhydrate 40g

빙 산 30cc

PVA 포매법으로 구 인 포매(permanentmounting)를 실시하 다.

다음과 같은 제조법으로 만든 포매액을 사용하 다.

PVA stocksolution 56cc

lacticacid 22cc

phenol 22cc

찰은 500배의 배율을 가진 일반 미경으로도 찰하 다.그러나 정 한 찰에는 oil

immerionlens 는 상차 장치를 가진 미경을 사용하 다.

<해면류>

자생 생물 발굴 사업을 통하여 11종의 신종후보와 1종의 미기록종을 발굴함으로써 국내

해면동물의 분포양상을 악하고 국제 인 분포를 알아보는데도 요한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 해면동물의 다양한 생리활성물질 추출 실험에 이용될 가능성도 큰 만큼 생물자

원으로서의 이용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겠다.

(4)논문,학술발표 도서출 등

(가)논문

Lee.S.K.,Kim S.H.,Kim W.,2008.New recordofMajoidcrabxenocarcinusconicus

(Crustacea:Decapoda:Epialtidae)from Korea.

Lee.S.K.,Kim S.H.,Kim W.,2008.Reportonfourspeciesofcrabs(Crustacea:Decapoda:

Brachyura)from Korea.

Page 70: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4. 무척추동물Ⅱ

- 64 -

Rho,H.S.,W.G.Min,W.DecraemerandD.S.Kim,2009.Prochaetosomadokdoensesp.

nov.(Nematoda:Draconematidae)from Dokdo,Korea:firstrecord ofthegenus

Prochaetosomafrom ashallow subtidalzoneinthenorthwestPacificOcean.Marine

BiologyResearch,Inpress.

ShinM-K.,2008.TwonewlyrecordedCiliates,OxytrichalongigranulosaandO.marina

(Ciliophora:Spirotrichea:Sporadotrichida)from Korea.

Shin M-K.,2008.RedescriptionsofDiophrysappendiculataand D.scutum (Ciliophora:

Spirotrichea:Uronychiidae)new toKorea.

Jung,Jong-WooandWonKim,2008.Newlyrecordedlysianassidspecies,Orchomene

japonicus(Crustacea:Amphipoda)from Korea.

Kim,Y.H.andK.S.Lee.,2008.TwoNewlyRecordedSpeciesofPareurystheus

(Crustacea:Amphipoda:Corophiidae)from Korea.

Kim,Y.H.andK.S.Lee.,2008.ANew SpeciesoftheGenusParadexamine(Crustacea:

Amphipoda:Dexaminidae)from Korea.

JeonY,J.andC.J.Sim.,2008.TwoSpeciesofChalinidae(Demospongiae:Haplosclerida)

from Korea.KoreanJ.Syst.Zool.24(2):147-150.

Kang D.W.andC.J.Sim.,2008.TwoNew MarineSpongesofGenusHalichondria

(Halichondrida:Halichondriidae)from Korea.KoreanJ.Syst.Zool.24(2):205-208.

Shim E.J.andC.J.Sim.,2008.TwoNew SpeciesofGenusSuberites(Hadromerida:

Suberitidae)from Korea.KoreanJ.Syst.Zool.24(2):215-218.

JeonY,J.andC.J.Sim.,2008.A New SpeciesoftheGenusBiemna(Demospongiae:

Poecilosclerida:Desmacellidae) from Korea.AnimalCells and Systems 12(4):

241-243.

김주필,유세희,2008.한국산 유령거미과의 1신종.한국거미

(나)학술발표

신만균,권춘 ,2008.TwonewlyrecordedColpodainflataandC.variabilis(Ciliophora:

Colpodida:Colpodidae)from Korea.한국생물과학 회 정기학술 회 발표 (2008.8.

20-22).

Mi-HyunPark,Se-JooKim,Jae-HoJungandGi-SikMin,2008.RedescriptionofaMarine

Page 71: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4. 무척추동물Ⅱ

- 65 -

CyrtophoridCiliate,DysteriabrasiliensisFariaetal.,1922(Ciliophora,Cyrtophorida),

from Korea.The63th AnnualMeeting oftheKorean Association ofBiological

Sciences(2008.8.20-22).

Se-JooKim,Mi-HyunPark,Jae-HoJung andGi-SikMin,2008.TaxonomicStudy of

Litonotussp.nov.spec.(Ciliophora:Pleurostomatida),aNew Record ofMarine

Pleurostomatid Ciliate from Korea.The 63th AnnualMeeting ofthe Korean

AssociationofBiologicalSciences(2008.8.20-22).

Se-JooKim,Mi-HyunPark,Jae-HoJungandGi-SikMin,2008.RedescriptionofThree

Marine Hypotrichous (Ciliophora:Hypotrichida) Ciliates from Korea:Uronychia

binucleata,U.multicirrus,andU.setigera.The63thAnnualMeetingoftheKorean

AssociationofBiologicalSciences(2008.8.20-22).

용진,심정자,2008.TwoNew SpeciesoftheGenusBiemna(Demospongiae:

Poecilosclerida:Desmacellidae)from Korea.한국생물과학 회 정기학술 회 발표

(2008.8.p.153).

Page 72: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5. 하등생물

- 66 -

5.자생 하등생물 자원 조사․발굴

가.당해연도 연구 목표

사업 내용 목표

미기록/신종 발굴 종수 210종

표본 확보 14,000

생물재료(생체 조직)확보 500

GーDNA확보  80종/160

나.당해연도 연구개발 계획

상분류군 세부목표 내용추진일정 (M+)

1 2 3 4 5 6 7 8 9 10

민주름버섯목,

주름버섯목,

반균버섯강,

복균버섯강,

깜부기균목,

목이버섯류,

자낭균류,

변형균류,

합균류,

내생균류

Proteobacteria;alphagroupbetagroupdeltagroupepsilongroup

• 추진 사항의 간 보고

• 1차 성과물 납품

• 분류군의 동정 기재

• 분류군별 종목록 분포자료 작성

• 균주보 stock화

• 진균 특성에 맞춘 리 표본 제작

• 야외조사를 통한 시료 채취

• 유 학 조사 생리학 조사

• 균주의 보 DNA확보 보

Page 73: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5. 하등생물

- 67 -

다.연구 범

○ 진균류 ;민주름버섯목,주름버섯목,반균버섯강,복균버섯강,깜부기균목,목이버섯류

가루균목,자낭균류,변형균류, 합균류,내생균류.

○ 원핵생물 ;Proteobacteria(alpha,beta,delta,epsilon,sub-group)등

해수,육수,육지 기타 이들이 포함되지 않는 서식지.

라.연구사업 수행내용

(1)표본 생물재료 확보

(가)표본 제작

○ 확증표본의 제작을 해 진균류자원의 확보와 Herbarium의 보 제출용으로 함께

나 어 비

○ 자실체를 형성하는 담자균 자낭균의 표본 비는 기존의 표본제작 방법으로 수행.

○ 보 용 시료제작과 련하여 균류의 자실체,토양 식물체 등은 시료의 종류와 연구

목 에 따라 수집

○ 식물병원균 등 기생진균류의 경우 다양한 기주식물의 병반으로부터 균류를 분리하기

하여 병반을 차아염소산나트륨으로 소독한 후에 Agarplate상에 병반을 올려놓고

병원균의 균사나 포자가 발생될 때까지 25℃에서 배양

○ 각각의 병반으로부터 형성된 포자를 단리하고 배지에 성장시켜 포자,균사 형태를 각

각 입체 미경과 학 미경으로 찰

○ 배지에 형성된 균사체 형태를 사진으로 촬 하고 그 특성을 조사

○ 획득된 균주를 PDA배지에 종하고 균사체를 성장시킨 후에 corkborer로 직경 5mm

로 어내어 표본을 제작

○ 기타 표본 장에 일치하는 표본은 사진으로 촬 하여 첨부

○ Glycerol보존균주 제작:1균주당 2-3개의 agarplug를 20% glycerol500ml를 튜 에

넣고 4℃ 는 -70℃의 deepfreezer에 장하며 1-5개 균주를 생균표본으로 비

○ 건조표본은 의 corkborer균사체를 2cm tube에 넣고 동결건조 하여 수분을 완 히

제거 시켜 제작

○ 불완 균류(유사분열균류)는 완존세 의 모습을 자연에서 잘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분

Page 74: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5. 하등생물

- 68 -

류학상 임의 으로 형성시킨 그룹으로서 형태 으로 종 구분이 매우 힘들므로 유

자 염기 서열 분석 는 RAPD,RFLP등의 분자 방법 주사 자 미경을 이용

한 미세구조 찰을 주로 이용하여 분류

○ 형태 으로는 균에 따라 배지에 자란 콜로니(균총)형태,배지변색,균총의 색,균총의

질감,특이한 모습,향,균사의 굵기 넓이,균사에 가근이 있는지 여부,균사가 뻗

는 형태 균사 끝의 분지 정도,균사 끝에 포자가 달리는 방법,포자가 달리는 균

사 가지의 길이 분지 모습,균사가지 끝에 포자가 떨어져 나오는 모습,균사가지

가 뭉쳐서 나오는지 여부 가지의 색깔,가지 끝에 맺히는 포자가 1개냐 여러 개냐

여부,포자가 맺히는 시 이 하나씩 하나씩이냐 동시 다발 이냐 여부,포자의 형태,

크기,색,격벽의 존재유무,격벽의 수, 질물 함유 여부 등등이 속에 따라 기 이

○ 생리,생화학,생태 으로는 병원성의 여부,기주의 종류,병원성의 정도,서식지,약제

항성 정도(서로 다른 항진균제 농약에 한 항력 정도),환경 응력 (건조,포

화,온도,pH,삼투압,UV 항성,최소 양 배지 생존성,공생 계,기질분해력,생

장력,다른 균류와의 길항성 유무 등이 동정 분류된 균류의 요성을 악하는데

기 이 되고 있기도 함

○ 유 으로는 vegetativecompatibility그룹 존재 유무,mycovirus함유 여부,염색체

수,+(자성) 는 -(웅성)균사로서의 기능 유무,일핵 균사냐 이핵균사냐의 여부 등

이 분류 지표가 됨

○ 유사분열균류(불완 균류에 속하는)모식 표본의 확인은 건조 표본 표면의 찰 는

생채표본을 키워서 속 는 종에 따라 이상 열거한 내용에 합당한 것을 확인 하든지,

특정 유 자의 분석을 통해서만 가능

○ 원핵생물의 계 분포를 감안하고 다양한 종이 출연할 장소와 미기록종 신종의

검출 확률이 높은 장소 상 시료를 선정하여 시료를 채취

○ 채취된 시료는 일반 인 원핵생물의 시료 처리과정에 따라 멸균된 용기를 이용하여

해당 시료를 무균조작을 이용하여 채취한 후 신속히 연구실로 이동하며,시표 채취시

주변 환경 조건에 해 상세히 기록

○ 실험실에서 다양한 배지를 이용하여 시료로부터 세균을 분리 배양하며,배양된 세균으

로부터 확증표본 그 세균의 기본 인 DNAdata를 확보함

○ 표본은 colony를 70% Ethanol Formalin 용액에 탁한 후 Cryovial에 넣고

vortexing하여 1종당 9~15 을 제조

○ 균주가 들어 있는 vial은 상온에 보

○ 표본은 이 후 cell특징 찰 DNA추출에 사용될 수 있음

Page 75: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5. 하등생물

- 69 -

○ <부록 1.분류군별 표본제작 제출 방법>참조

(나)생물재료 (생체 조직 등)의 체계 인 확보

<진균류>

○ 균류자원의 수집 보 ,미생물 분리 보존 등은 CBS,ATCC,DSM,CABI등의 미

생물연구소의 기 에 하여 실행

○ 시료제작과 련하여 균류자원의 확보와 herbarium의 보 제출용으로 함께 나

어 비함.자실체를 형성하는 담자균 자낭균의 표본 비는 기존의 표본제작 방법

으로 수행

○ 보 용 시료제작과 련하여 균류의 자실체,토양 식물체 등은 시료의 종류와 연구

목 에 따라 수집

○ 곰팡이의 계통분류는 분자계통분류학 인 방법이외에도 통 인 방법으로 곰팡이의

형태 (균사,포자,자실체 등의 미세구조, 미세구조)의 description을 추가 조사.

○ 종내 strain간 종간 계통분류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rRNA내 ITS (internal

transcribedspacer) 역 증폭 primer등을 이용,분자생물학 지표를 계통분류에

용하거나,신종 (new species) 신속 (new genus)의 탐색을 하여 새로운 분자

marker를 개발하여 분류

○ 국내 고유 자생 균류 미기록 종의 탐색을 해 균 분리원의 다양화를 시도하며,선

택 균 분리방법을 연구

○ PCR기술을 이용하여 유 자의 특정 부분을 선별 으로 증폭하며 이들 증폭된 DNA

를 분석하고 염기서열을 결정하여 각 균주들에 한 분자 정보를 얻은 후 분석 로

그램들을 이용하여 계통도를 작성하고,그 결과를 바탕으로 균류들의 진화 경로

계통 계에 한 결론을 추론하고,특정 유 자의 염기서열을 통합 정리하여 DB화

○ 국내 고유 자생 균류 미기록 종의 탐색을 해 시기 (계 )별,자연환경조건별,지

역별 발생분포를 조사하고 균 분리원,즉 서식지 (기주)를 다양화하고,다양한 선택

균 분리방법 등을 개발 활용

○ 체계 인 조사를 통하여 멸종 기가 아닌 경우 가능한 한 표본을 3 이상을 채집

제작하며,이 완 한 2set을 “국립생물자원 ”에 제출하도록 함

<원핵생물>

○ 신종의 발술 확률을 높이기 해,해수 육수 토양과 함께 우리나라 고유의 발효 식품

등 에서 발굴 한다.

○ 국내에서 신뢰 깊은 culturecollection의 균주 목록과 data를 수집하여 기존에 보고된

Page 76: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5. 하등생물

- 70 -

균주들에 한 정보 수집

○ 원핵생물의 계 분포를 감안하고 다양한 종이 출연할 장소와 미기록종 신종의

검출 확률이 높은 장소 상 시료를 선정

○ 일반 인 원핵생물의 시료 채취에 따라 멸균된 용기를 이용하여 해당 시료를 무균조

작을 이용하여 채취해서 신속히 연구실로 이동하며,시료 채취시 주변환경 조건에

해 상세히 기록

○ 다양한 배지를 이용하여 시료로부터 세균을 배양하며,배양된 세균으로부터는 그 세균

의 기본 인 DNAdata를 확보

○ 추출된 DNA이용하여 분류군 별로 탐색 가능한 primer를 제작,PCR을 수행하여 쉽게

원핵생물의 분류군 별로 탐색

○ 시료 채취된 장소로부터 DNA를 체 조사하여 unculturedmicroorganism의 존재를

확인하고,이 원핵생물의 배양방법과 생물학 치에 한 연구 진행

○ 분리된 모든 원핵생물의 16srRNA의 염기 서열을 분석하고,그 결과를 기존에 알려

진 DNA의 data의 자료(genebank등)와 비교 분석

○ 유 자 분석과 배양을 통해 획득한 생리학 ,생태학 특성을 고려하여 종합 으로

분류작업 진행

○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분류군별 종목록,미기록종 신종 목록을 확보

○ 배양된 균주를 원핵생물의 장기 보 가능한 방법을 이용하여 원핵생물의 표본을 제

작하여 장

(다)G-DNA 확보

○ 확보하고자 하는 G-DNA 균체는 주로 확보한 colony 가 염기서열 분석이 끝

난 균주 (미기록 신종 균주)를 상으로 실시

○ DNA를 추출한 후에 Ethanolppt후 건조하거나 Speed Vac을 이용하여 건조하여

pellet의 형태로 microcentrifuge에 담음

○ 이때 DNA의 추출은 해당 미생물의 DNA를 kit혹은 기타 방법으로 추출하여 Speed

vac으로 건조 후 microcentrifugetube(Eppendorftube)1.5ml,혹은 cryovial에 넣

어 보

○ 진균류는 배지에 균사체를 종하고 배양한 후 균사체를 수거하고 tube에 넣어 동결

건조하고 이쑤시게로 건조된 균사체를 마쇄 하고 SDS2%를 함유한 Lysisbuffer를

첨가하고 20㎕ ProteinaseK(20mg/ml)를 첨가하여 1시간동안 37℃에서 반응

○ 동량의 2X CTAB buffer를 첨가하고 잘 혼합한 후에 65℃에서 1시간 유지시키고

Phenol:Chroroform (1:1)를 동량첨가하고 잘 mix하여 12,000rpm에서 원심분리

Page 77: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5. 하등생물

- 71 -

○ 상층액을 새 튜 에 옮기고 1.5volume의 Isopropanol를 첨가하여 G-DNA를 침 하

으며 침 된 DNA를 200㎕ TEbuffer에 녹이고 G-DNA 시료로 비

(2)미기록 신종(후보)발굴

<진균류>

○ 본 발굴사업에서 발굴하고자 하는 균류의 분류군은 합균문(Zygomycota),자낭균문

(Ascomycota),담자균문(Basidiomycota),불완 균문(Deuteromycota)등 분야의

균류체계를 포함

○ 균류의 분류체계는 아직 완 히 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어서 계통분류시 어떤 분

류체계를 따라야 하는지 어려움이 많은 것이 사실임

○ 세균의 경우 유 자 표식인자(geneticmarker)로서 DB가 잘 이루어진 16SrDNA의

염기서열 분석에 기 하여 계통분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균류의 경우

아직까지 형태 분류가 매우 요하며 최근에 18S rDNA(주로 ITS 유 자) 는

mtDNA 분석 등에 기 한 분자계통분류가 수행되고 있으나 분류군에 따라서는 아직

분자 표식인자가 정해지지 않은 상태이어서 분류 연구에 어려움이 많이 있을 것이라

고 상

○ 국립 생물자원과 과제 속성상 환경보존과 련된 습지 등 특수환경 다양환 환경에

서 다양한 균을 분리 발굴하는 등 지 까지 미개척 분야에서 다양한 진균류 발굴

○ 국내에서 자생하는 고등균류는 일차 으로 지에서 사진촬 을 하고,정확한 분류를

해 자실체 채집

○ 채집한 고등균류는 채집 장소,채집일,채집자,기주식물 발생상황 등을 기록한 후

자실체가 손상되지 않도록 투에 넣어 실험실로 운반

○ 고등균류의 분류 동정은 자실체의 색 크기,갓의 특징,주름살의 수 모양,

의 발생상태 등 육안으로 일차 동정

○ 미경을 사용하여 Largent등 (1977)의 방법에 따라 포자,담자기 자낭,낭상체

조직 상태 등 미세구조를 확인하여 최종 동정을 한 후 필요한 경우,Melzer용액,

KOH,H2SO4,Phenol,NaOH 는 Guaiacol등에 의한 화학반응을 조사하고,색은

Kornerup과 Wanscher(1978)의 방법으로 기록

○ 고등균류의 동정은 주름버섯목 (Agaricales)은 Singer(1986)의 분류체계를 따르며,민

주름버섯목(Aphyllophorales)은 Donk(1964)의 분류체계,고약버섯과(Corticiaceae)는

Eriksson과 Ryvarden(1973-1976) Eriksson등(1978-1984,1988)의 분류체계,구멍

장이버섯과(Polyporaceae)와 소나무비늘버섯과(Hymenochaetaceae)는 Gilbertson과

Page 78: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5. 하등생물

- 72 -

Ryvarden(1986-1987,1993-1994)의 분류체계,복균강(Gasteromycetes)은 Coker와

Couch(1928)등의 분류 체계를 따라 동정

○ 자낭균아문 (Ascomycotina)은 Dennis(1981)의 분류체계에 따라 동정하며,원생모균아

강 (Protohymenomycetidae)은 McNabb(1973)의 분류체계에 따라 동정

○ 자실체의 외부 형태는 Breitenbach와 Kränzlin (1984-2005) Imazeki와 Hongo

(1987-1988)의 도감을 참고

○ 동정된 고등균류의 한국명은 이와 이 (2000)의 명명법에 따름

<원핵생물>

○ 미생물은 형태 으로 매우 단순하고,암컷과 수컷이 구별되지 않는 무성생식을 하기

때문에 고등생물에 용되는 종의 정의는 미생물에는 용될 수 없음

○ 이러한 이유로 근 100여 년 동안 어떻게 미생물의 종의 정의를 내릴 것인가 하는 문

제는 학자들의 주된 심이 되어 왔으며 1987년에야 비로소 지 의 학자들이 동의하

는 수 의 종의 정의가 완성되어왔음

○ 하지만 여 히 계통분류학 학자들 사이에서는 미생물 종에 한 개념을 더욱 치 하

게 수립하기 하여 연구가 계속 진행되고 있음

○ 1987년에 Wayneetal.(1987)은 미생물의 종의 정의를 ‘체 DNA의 유사도가 70%

이상이거나 서로 다른 두 DNA의 재결합 (re-association)시 △Tm 값이 5℃ 미만인

개체군’이라 하 으며 이 정의는 아직까지도 유효하며 ‘원핵생물계통분류 국제 원회’

에서 인정되어 사용되고 있음

○ 1987년도 이래로 많은 수의 미생물 신종이 보고,등록되었으나 DNA-DNA 재결합 실

험을 할 수 있는 연구실이 국제 으로 얼마 되지 않아서 신종의 증가의 속도는 매우

더뎠다.따라서 DNA-DNA 재결합 유사도 70%를 간 으로 추정하는 분자 지표

에 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보조 분자지표로 16SrRNA유 자가 사용

○ 리보소옴에 존재하는 smallsubunitrRNA (원핵생물은 16SrRNA,진핵생물은 18S

rRNA)는 모든 생물체에 존재하며,단백질 합성에 필수 이며,진화의 속도가 매우

느리고,잘 보 된 염기서열과 변이가 심한 염기서열이 공존하고 있어서 분자진화의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음

○ Stackebrandt와 Goebel(2004)은 그 당시까지 알려져 있던 두 미생물 개체 사이의

16SrRNA 유 자 염기서열의 유사도와 DNA-DNA 재결합도를 분석하여,70% 미만

의 DNA-DNA 유사도를 보이는 두 개체의 16SrRNA 유 자 염기서열은 항상 97%

이하라는 결론을 내림

○ 이러한 결과가 거의 모든 미생물학자들에게 동의를 얻게 되어 16SrRNA유 자 유사

Page 79: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5. 하등생물

- 73 -

도의 조사를 통해 폭발 인 미생물 신종이 최근 10여년 사이에 등록되게 되었음

○ 하지만 16SrRNA유 자 염기서열의 유사도가 미생물의 종을 결정하는 데에 가장

요하다고 할지라도 분자 지표 하나 만으로는 신종으로 발표할수 없음.

○ 신종의 공식 인 기술을 해서는 모양,크기,콜로니색깔 등 자 미경 육안으로

찰되는 표 형,G+C함량,인지질의 구성,퀴논의 종류,극성 지방의 구성 등 화학

분류 특징,그리고 탄소원 이용도,자가 양여부,화학합성 여부 등 생리 인 특징

이 종합 으로 찰되어 보고가 이루어 져야 함

○ 16SrRNA 유 자의 유 정보를 분석하기 해서 미생물의 DNA를 추출하고 PCR증

폭을 통해서 16SrRNA유 자를 증폭하고 그것을 sequencing방법을 통해서 분석하

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

○ PCR에 사용할 DNA의 경우,여타의 정 한 실험에 비해 순도 자체에는 크게 구애를

받지 않으므로 DNA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과도하게 정제할 필요 없이 bead-beating

방법이나 freezingandthawing방법을 통하여 미생물의 세포벽을 부수어 주는 것에

을 맞춤.

○ 이 게 얻어진 DNA를 주형(template)으로 하여 PCR반응을 시행하는데,한 개의 반

응당 1X의 PCR 버퍼,200uM의 dNTP (deoxynucleosidetriphosphate),400nM의

PCRprimer와 1U의 Taqpolymerase를 첨가한 후 반응을 진행

○ PCR은 94℃에서 5분 후,94℃에서 1분 55℃에서 1분,72℃에서 1분씩 30회 반복 후

72℃에서 7분을 반응시킴

○ 16SrRNA 유 자를 증폭하기 한 PCRprimer의 경우 많은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16SrRNA유 자 상의 유 정보가 매우 잘 보존된 지역을 타겟으로 제작되었기 때

문에 재 보고된 부분의 미생물에서 16SrRNA유 자를 증폭시킬 수 있음

○ 따라서 동정하고자 하는 미생물의 종류나 특징에 상 없이 그 16SrRNA유 자 확보

○ 경우에 따라서는 DNA 추출 과정을 생략한 채 PCR에 DNA가 아닌 미생물 셀 자체를

넣어 주는 colonyPCR을 시행하여 실험 과정을 간소화 할 수도 있음

○ PCR생성물을 앞서 PCR에 이용했던 primer를 이용하여 sequencing반응을 진행하고

이를 통해 16SrRNA유 자의 유 정보를 획득(표 세부 3-1).

<표 세부 3-1> 16SrRNA유 자를 증폭하기 한 PCRprimer

Name Sequence Target

pBact-27F TTC CGG TTG ATC CYG CCG GA Bacterial 16S rRNA

pUniv-1492R GGY TAC CTT GTT ACG ACT T Bacterial 16S rRNA

Page 80: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5. 하등생물

- 74 -

○ 이러한 유 정보를 BLAST(http://www.ncbi.nlm.nih.gov/blast/)나 EzTaxon (http:

//www.eztaxon.org/)과 같은 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존의 축 된 데이터베이스와 비

교.

○ 일반 으로 16SrRNA genesequencesimilarity를 기존의 ApprovedList에 등록된

종의 것과 비교해서 다음과 같은 기 으로 동정을 함.

16S rRNA gene Similarity 정

97% 하 신종

98% 하 아종 (신종 가 90%)

99% 하 변종

마.연구 결과

사업 내용 목표 결과 달성률(%)

미기록/신종(후보)발굴 210종 227종 108

표본 확보 14,000 14,148 101.1

생물재료(생체 조직)확보 500 514 102.8

GーDNA확보  80종/160 190종/575 237.5/359.4

(1)표본 생물재료 확보

본 연구 기간 한반도 분포 하등생물에 한 채집조사 활동을 수행한 결과,진균류의 경

우 Ascomycota294종 3,341 ,Basidiomycota214종 1,749 ,Zygomycota12종 120 ,기타 5

종 1,112 으로 총 525종 6,322 , 원핵생물의 경우 Actinomycetales 210종 2,100 ,

Aeromonadales 78종 780 , Alteromonadales 20종 186 , Bacillales 129종 1,100 ,

Burkholderiales 40종 400 , Chromatiales 31종 310 , Deinococcales 53종 530 ,

Enterobacteriales  125종 1,250 ,Flavobacteriales70종 700 ,Hodobacterales19종 190 ,

Rhizobiales12종 120 ,기타 64종 160 으로 총 851종 7,826 등을 확보하여 체 으로 총

14,148 (당해연도 목표의 101.1%)의 표본이 확보되어 당해연도 연구 목표를 달성하 다.이들

Page 81: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5. 하등생물

- 75 -

은 액침 건조표본으로 제작ㆍ보 되어 있다.생체 조직 등의 생물재료는 진균류 220 ,

원핵생물 294 으로 총 514 (당해연도 목표의 102.8%)를 확보하 다.

당해연도 연구목표 연구사업 결과

표본 생물재료 확보 :총 14,500

- 상분류군

총 14,662 확보

-확증표본:14,148

-생물재료:514

-G-DNA:190종 575

-확증표본:14,000 -14,148 확보 (목표의 101.1%)

<세균류>851종/7,826

;Actinomycetales210종

;Aeromonadales78종

;Alteromonadales20종

;Bacillales129종

;Burkholderiales40종

;Chromatiales31종

;Deinococcales53종

;Enterobacteriales  125종

;Flavobacteriales70종

;Hodobacterales19종

;Rhizobiales12종

;etc.64종

;Actinomycetales을 포함

<진균류>525종/6,322

;Ascomycota294종

;Basidiomycota214종

;Zygomycota12종

;etc.5종

;Ascomycota을 포함

-표본 기타 생물재료(생체 조직

등)의 체계 인 확보:500

총 514 확보 (목표의 102.8%)

<세균류>일반표본294

<진균류>일반표본220

Page 82: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5. 하등생물

- 76 -

(계속)

당해연도 연구목표 연구사업 결과

-G-DNA:80종/160 총 190종 575 확보

(목표의 237.5%/359.4%)

<세균류>114종/359

<원핵생물>76종/180

(2)미기록 신종(후보)발굴

본 발굴 조사 결과,총 227종의 미기록,신종 후보를 발굴하 다.진균류의 경우 발굴된 미

기록 후보 분류군들은 부분 국내에서 지 까지 분리된 기주 분리원에 한 보고가 없는

식물내생 곰팡이 토양유래의 곰팡이 분류군들로서 주시 용 동 남 캠퍼스내 향나무

의 잎에서 분리한 내생곰팡이 (endophyte)인 Pestalotiopsissp.,충남 인근 토양에서 분리한

Neocosmosporavasinfecta,백양사 소나무 근권토양으로 부터 분리된 Cephalothecasulfurea와

Doratomycesstemonitis, 남 양읍의 보리근권토양으로부터 분리한 Calonectriasp., 남

캠퍼스내 정원의 이팝나무에서 발견된 Phyllactiniasp., 남 양읍 백운산 지역의 쥐꼬리망

에서 Puccinialantanae가 동정 분리되었다. 재 이들 균에 한 연구를 진행 에 있으

며 균학 련 학술지에 발표 정으로 있다.특히 이러한 균들은 재 기주식물체 토양으로

부터 국내 미기록 균이면서 몇 개 균주의 경우는 향후 연구에 따라서는 신종 균주가 될 가능

성이 있는 균으로 생각되어진다.따라서 향후 다른 분자마커를 이용한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Hypocreales목에 속하는 Acremonium implicatum.,Pleosporales에 속하

는 Alternariapomicola.,Epicoccum nigrum,Leptosphaeriamicroscopica,Eurotiales목에 As

pergillusversicolor,Neosartoryahiratsukae.Penicillium citronigrum.Penicillium steckii.T

alaromycesspectabilis,담자균류의 Polyporales목에 속하는 Cerrenaunicolor,Phoma속에 속

하는 P.glomerata,P.herbarum,감자에서 분리한 Alternariasp.1과 코스모스에서 분리한 A

lternariasp.2도 신종에 추가되었다.

Aspergillustubingenesis는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이번 조사에서 두릅 뿌리의 내생균으로

처음 발굴되었다.Nectriamauritiicola는 리기다소나무의 내생균으로는 처음 보고되는 것이다.

버섯의 경우 발굴된 신종(후보)분류군들은 Polyporalessp.(서울 공원),Chroogomphussp.

(치악산)등이고 앞으로 미기록종의 연구를 통해서 더욱 많은 신종이 발굴될 것으로 상된다.

Page 83: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5. 하등생물

- 77 -

원핵생물에서 Alphproteobacteria분류군,Betaproteobacteria분류군,Gammaproteobacteria분

류군,Firmicuters분류군,Bacteroidetes분류군에 속하는 Zunongwangiaprofunda,Flavobacteri

um granuli,Flavobacteria분류군에 속하는 미기록,신종이 다수 발견되었다.

당해연도 연구목표 연구사업 결과

미기록/신종 발굴:210종 미기록/신종 발굴:227종

(143미기록종,84신종후보)

(목표의 108%)

Alternaria속은 자낭균문(Ascomycota),불완 균강(Deuteromycetes,mitosporicfungi),총

생균목(Moniliales),암색선균과(Dematiaceae)에 속하는 균으로서 많은 식물에 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으로 잘 알려진 균이다.Alternariasp.1은 감자에서 분리되었는데 감자 겹둥근무늬병균

으로 알려진 A.solani와 형태 으로 뿐만 아니라 분자생물학 특징으로도 구분되는 균으로서

신종으로 명된다(그림 세부 3-1).이 균의 명명작업은 재 진행 에 있다.

Alternariasp.2는 코스모스에서 분리한 균으로서 형태 특징과 분자생물학 특징으로

신종으로 명된다(그림 세부 3-2).

<그림 세부 3-1>Alternariasp.1의 분생포자

Page 84: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5. 하등생물

- 78 -

<그림 세부3-2>Alternariasp.2의 분생포자

Aspergillus속은 자낭균문(Ascomycota),불완 균강(Deuteromycetes,mitosporicfungi),

총생균목(Moniliales),담색선균과(Moniliaceae)에 속하는 균으로서,이번 조사에서 1종의 국내

미기록 Aspergillus가 발굴되었다.A.tubingensis(그림 세부 3-3)는 식물내생균으로서 구릅나

무 뿌리조직에서 분리되었다.

Nectria속은 자낭균문(Ascomycota), 자낭각균강(Pyrenomycetes), 하이포크리아목

(Hypocreales),Nectriaceae과에 속하는 균으로 국내에서는 그 다양성에 한 연구 보고가 미진

한 실정이다.본 연구를 통하여 N.mauriticola가 리기다소나무 내생균으로 국내에서 처음으로

발굴되었다.

<그림 세부3-3>Aspergillustubingensis의 분생포자

Page 85: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5. 하등생물

- 79 -

Penicillium속은 자낭균문(Ascomycota),불완 균강(Deuteromycetes,mitospricfungi),총

생균목(Moniliales),담색선균과(Moniliaceae)에 속하는 균으로서 자연생태계에 리 분포하는

균이다.이번 조사에서 13종의 Penicillium을 분리하 다.P.chrysogenum은 벼에서 분리하

으며,P.crustosum은 사과와 배,P.digitatum은 오 지와 감귤,P.echinulatum은 포도,P.

expansum은 마늘,P.freii는 옥수수,P.italicum은 양 와 사과,P.paneum은 배,P.

polonicum은 감귤,P.radicicola는 토양,P.sclerotigenum은 마,P.tulipae는 튤립과 백합,P.

verruculosum은 리기다소나무에서 분리하 다.

Acremonium implicatum는 토양과 해바라기 꽃 씨앗에서 분리되는 식물병원균이다.

Talaromycesspectabilis는 보고는 되어 있으나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Alternariapomicola는

사과에 침입하여 검은 반 을 야기 시키는데 여하는 식물병원균이다.Epicoccum nigrum 은

식물병원균이다. 한 피부와 같은 표본의 표면 등을 오염시키는 세계 으로 흔한 균이다.

Leptosphaeriamicroscopica는 겨이삭과 호 ,잠자리피 등 여러 종류의 풀에서 분리되는

식물병원균이다. Aspergillusversicolor는 토양과 실내 기에서 종종 발견되는 흔한 균이다.

알러지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독소도 낸다. Neosartoryahiratsukae는 알러지를 일으키는 균

이다.Penicillium steckii는 독소를 생산하고,단풍속 나무와 땅콩,피칸,오이 등에서 분리된

다. Cerrenaunicolor부생성 곰팡이로 백색부후를 야기시키며,단풍 속 과 나무,오리나

무,가죽나무 등에서 분리된다.Phomaglomerata는 회양목,보리수,향나무,메트로사이드로스

에서 분리된다고 알려져 있는 식물병원균이다.Phomaherbarum는 짚신나물,꽃황새냉이,피

칸, 나도나물속에서 분리된 식물병원균이다.

Puccinialantanae은 양읍 백운산 인근 쥐꼬리망 에서 분리한 것으로 쥐꼬리망 에 식

물병을 일으키는 녹병균으로 일본, 국,타이완 등에서 보고된바 있으나 한국에서는 Puccinia

elytrariae가 보고된 바 있으나 문헌 으로 이에 한 정확한 기술이 없었다.Phyllactiniasp.는

이팝나무기주에서 발견된 종으로 Phyllactinia에 의한 흰가루병의 발생에 해서는 본 보고가

처음이며 국내 미기록 종으로 분류되었다.균의 특징은 자낭각 주변의 부속지의 모양이 기 부

분이 둥 고 기다란 침의 모양을 하고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그림 세부 3-4).

Pestalotiopsissp.는 향나무의 잎에서 분리한 내생곰팡이 (endophyte)로 포자끝 부분에

3-4개의 부속지를 형성하는 모양을 하고 있으며 두 개 정도의 진한 격벽 (세 개의 cell을 이

룸)을 이루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향나무 잎으로부터의 식물내생균으로는 최 의 보고이다.

Cephalothecafoveolata은 남 백양사 인근 소나무의 근권 토양으로부터 분리되었다.본 균은

국내에서도 국소피부감염증을 일으키는 인체병원균으로 보고된바 있으나 국내토양으로부터 C.

Page 86: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5. 하등생물

- 80 -

Puccinialantanae Phyllactiniasp.

<그림 세부3-4>Puccinialantanae,Phyllactiniasp.의 형태

sulfurea에 한 발굴은 본 보고가 최 이다(그림 세부 3-5).

Neocosmosporavasinfecta는 토양에서 분리된 균으로 본 균은 주로 아열 작물의 식물병

원균으로 잘 알려져 왔으나 국내토양에서의 발견은 본 보고가 처음이다(그림 세부 3-6).

Calonectriasp.은 양의 보리 근권토양 으로부터 분리되었고 분석한 결과 Calonectriasp.

(완 세 명이며 불완 세 명은 Cylindrocladium으로 알려져 있으나 체계 인 연구가 이루

어지지 않은 균에 속함)로 동정되었다.균사가 겹친 모양을 하며 penicillate모양의 분생자경과

수개의 격벽으로 이루어진 포자가 특징을 가지고 있고,국내에서는 일부 식물병원균으로 보고

된바 있으나 분자 형태분류학 으로 기술하는 것은 본 보고가 최 이다(그림 세부 3-7).

Pestalotiopsissp Cephalothecafoveolata

<그림 세부3-5>Pestalotiopsissp.,Cephalothecafoveolata의 형태

Page 87: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5. 하등생물

- 81 -

<그림 세부3-6>Neocosmosporavasinfecta의 형태

<그림 세부3-7>Calonectriasp.의 형태

Polyporussp.

Page 88: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5. 하등생물

- 82 -

Chroogomphussp.

Hypomycessubiculosus

Gymnopusbrunneigracilis

<그림 세부3-8>Polyporussp.,Chroogomphussp.,Hypomycessubiculosus,

Gymnopusbrunneigracilis의 형태

버섯은 자루와 갓이 있는 균사체를 말하는 것으로 지구상에서 유기물을 분해하는 분해자로

구멍장이과인 Polyporus는 뚜렷한 공과 반원형의 자실체를 형성한다.서울 공원에서 채집

한 Polyporussp.는 Tyromycessp.와 비슷하지만 LSU 역의 증폭을 통한 유 자 동정에서

99.3%의 동정율을 나타내었다.분자계통학 인 연구 뿐만 아니라 Bioleaching등의 환경학 인

연구에도 응용될 수 있어서 가치가 있는 신종/미기록종 후보라고 생각된다.치악산에서 채집한

Chroogomphussp.(못버섯 속)는 균모가 지름 2.5cm정도로 원추형 갓을 갖고 있으며, 앙부는

Page 89: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5. 하등생물

- 83 -

뾰족한 는 둥근산 모양으로 돌출되어 있다.LSU 역의 증폭을 통한 유 자 동정을 하 고

신종 후보로 분류하 다.Hypomycessubiculosus는 형태 으로 간버섯 유균과 비슷한 면이

많다.LSU 역으로 동정하 고 DB상에 존재하지 않아 국내미기록종으로 분류하 다.개암

버섯 속의 Gymnopusbrunneigracilis는 반구형,끝굽은형의 갓을 갖고 있고 속생을 하는 특징

을 갖고 있다.LSU 역으로 동정하 으며 국내 DB상에 brunneigracilis가 존재하지 않아 미

기록종으로 분류하 다(그림 세부 3-8).

Laetiporussulphureus은 자실체의 색깔이 붉은 L.sulphureus(Fr.)Murrillvar.miniatus

(Jungh)Imaz.와 노랗게 변하는 L.sulphureus(Fr.)Murr.이 있다.노란색은 채집이 쉽지 않고

하얀 색깔은 처음 본 자실체라 희귀종으로 단하 다.다양한 타입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여서

분자계통학 연구의 가치가 있다.LSU 역으로 동정하 다.치명 인 독을 가지고 있는 독

청버섯과 Naematolomafasciculare는 반구형,굽은형의 갓과 주름살이 있으며 속생을 한다.

LSU 역으로 동정하 다(그림 세부 3-9).

Laetiporussulphureus

Naematolomafasciculare

<그림 세부3-9>Gymnopusbrunneigracilis,Laetiporussulphureus,Naematolomafasciculare의 형태

Page 90: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5. 하등생물

- 84 -

Mutinuscaninus(뱀버섯)과 비슷한 형태를 가지고 있지만,창싸리버섯과 볏싸리버섯이다.

다른 볏싸리버섯들이 속생으로 나오는데 반해 단생으로 자라고 있고,자실체가 단단하지 않다.

다른 Type으로 추정이 되고 특이종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요한 자료가 될것으로 상된

다.LSU 역으로 동정하 다(그림 세부 3-10).

<그림 세부3-10>Clavulinacristata(볏싸리버섯)의 형태

당해 연구기간동안 해수환경에서의 분류된 박테리아를 분석한 결과,Alphaproteobacteria,

Gammaproteobacteria가 신종을 차지하 으며, Alphaproteobacteria에서 가장 많은 후보균주

가 발견된 Thalassobiussp.는 주로 해수 해양환경에서 분류,동정이 보고된 종으로써 해양

환경에서 특이 으로 서식하는 분류군임을 알 수 있었으며,Roseovariussp. 한 해양환경에

서 서식하는 분류군으로써 특정종은 hypersaline환경에서 다양한 bacteriochlorophylla를 가지

고 있음을 보여 생태학 으로도 연구가치가 있다.

한 동정 분류된 토양으로부터 배양학 인 방법으로 배양,분리된 박테리아의 분석결

과 토양과 갯벌내에 우 하고 있는 Bacilli,Actinobacteria가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 으며,그

다음으로는 Gammaproteobacteria와 Betaproteobacteria가 많은 수를 차지하 다.신종(후보)

으로 분류된 박테리아에서는 Bacilli,Actinobacteria 순서로 많은 신종후보군이 발굴된 것으

로 분석 되었다. 배양 인 방법을 이용한 방법으로 토양내의 군집을 악할 수 있으며

Bacilli는 토양 내에 존재하는 병원균도 있으나 여러 가지 생분해에 작용하고 유용한 산물을

생산할 수 있다는 보고가 더 많다. 한 Actinobacteria와 같은 경우 토양 내에서 주로 우 하

는 군집이라는 많은 보고가 있으며 생분해와 2차 사산물을 생산할 수 있는 잠재능력을 가진

균주이므로 산업 으로 매우 유용한 군집이라 생각되며 분리된 균주에 해 2차 사산물의

스크리닝을 통해 산업 으로 유용한 미생물을 발굴하여 생물자원을 산업 으로 유용하게 이용

Page 91: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5. 하등생물

- 85 -

하도록 연구를 지속 으로 해야 한다. 한 배양 인 방법을 통해 반 인 토양과 갯벌 환경

내 박테리아 군집을 거시 인 면에서 찰했으며 지역 으로 한국에서 많은 유용한 균주를 분

리함으로 인해 유용한 자원을 확보했다는 데에 큰 의의가 있다.

우리나라 환경샘 에서는 토양에서 주로 발견되는 방선균과 바실러스 균들이 다양하게 발

견되었고,Flavobacteriales목,Sphingobacteriales목,Xanthomonadales목의 종들이 체 분리

균의 1% 내외로 발견되었다.그리고,해수 샘 을 1mL의 배지에 30개 이하의 세포를 종하

여 세균들간의 경쟁을 최 한 없애는 방법을 이용하여 Rhodobacterales목의 신종 2종을 분리

하 다.이는 기존 Agarplate에도 자라지만,최 배양시 이러한 새로운 방법을 용하 을

때 신종이 분리되는 으로 보아,분리 배양 방법의 요성을 보여 다.

서해에서 분리한 C6020 C6031균주는 Pontibcater속에 속하는 신종 후보군으로 알려져

있다.이 신종 후보군은 염 에서 분리한 종으로 색의 색소를 생산하는 내염성 세균에 속하

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분 염 등에서 분리한 균주는 약품 개발이나,산업 생산에 연구

되어 왔던 을 감안하면,이 균주의 보존 가치는 앞으로 더욱 높아 질것으로 보여진다.이 균

주는 최 의 pH가 8이상으로 그이하의 pH에서는 생장을 하지 않는다. 최 생장 조

건은 30도 후에서 매우 잘 자라는 것으로 확인 하 으며,15-30도 사이에서 생장한다. 이

세균들은 매우 다양한 염분 농도에서 생장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는데,각각 0.5-5,0.5-10%의

염분에서 생장을 보 다.pigmentextraction의 결과 480에서 가장 높은 pick가 존재하는등 기

존의 알려진 균주와는 다른 형태의 생리 특징을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따라서

C6020 C6031균주의 분리는 아직도 우리나라 염 지역에 많은 수의 동정되지 않은 미생

물들이 다수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그림 세부 3-11). C6042와 C6043의 균주가 남

증도 일 에서 발굴하 다.이들 균주는 Chryseobacterium 속에 존재하는 신종 후보종으로써,

균 다양성 확보 차원에서 서해안에서 량으로 국과 한국 일본이 새로운 종을 보고하고 있

어 이들 나라 보다 먼 발굴한 것이 요한 것으로 보여진다.이 두 균주는 노란 색의 형태를

지니며,많은 양분에서 잘 자라는 일반 인 미생물로 갯벌 환경에서 리 분포할것으로 추측

된다.이 두 균주는 25-37,25-42도에서 생장하고, 성의 pH인 7에서,염분 농도 0.5와 1.0%

에서 최 의 생장 조건을 지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다양한 효소를 지녀서 alkaline

phosphatase,esterase(C4),esteraselipase(C8),leucinearylamidasevalinearylamidase

cystinearylamidase,trypsin, -chymotrypsin,acidphosphatase등의 효소를 지닌다.gelatin,

DNA,starch에 한 분해 농도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등 양분에 한 다양성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그림 세부 3-12).

Page 92: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5. 하등생물

- 86 -

<그림 세부3-11>16srRNA 를 이용한 C6020 C6031의 진화 유연 계

Page 93: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5. 하등생물

- 87 -

Ch ry s eobac terium ta iw anens e B CR C 1741.. .

C hry s eobac terium w anjuens e R 2A 10-2T(D .. .

C hry s eobac te rium defluvii B 2T(A J309324)

C hry s eobac terium g regarium P 461 /12T(. ..

Chry s eobac te rium daeguens e K 105T(E F 07.. .

C hry s eobac terium indo lthe tic um A TC C 2. ..

C hry s eobac terium aquat ic um 10-46T(A M 7. ..

Ch ry s eobac terium s oldanellic ola P S D 1-. ..

C hry s eobac terium s o li JS 6-6T(E F 591302)

Chry s eobac terium gam brini 5-1S t1aT(A M .. .

6042-full

C hry s eobac terium taeanens e P HA 3-4T(A Y .. .

Ch ry s eobac terium taic hungens e C C-TW G S .. .

Ch ry s eobac terium form os ens e C C-H3-2T(. ..

S e jongia jeon ii A T1047T(A Y 553294)

S e jongia antarc tic a A T1013T(A Y 553293)

6043-F ull

C hry s eobac te rium pallidum 26-3S t2bT(A . ..

C hry s eobac terium hungaric um CH B -20pT(. ..

C hry s eobac te rium m olle DW 3T(A J534853)

C hry s eobac terium his panic um V P 48T(A M 1.. .

Chry s eobac te rium aro thri P 2K 6T(E F 554408)

Chry s eobac te rium hom inis NF 802T(A M 261.. .

Chry s eobac te rium ure ily t ic um F -F ue-04 .. .

Ch ry s eobac terium jejuens e JS 17-8T(E F 5 .. .

Chry s eobac te rium aquifrig idens e C W 9T(.. .

B e rgey ella z oohelc um A TCC 43767T(M 93153)

E m pedobac ter brevis LM G 4011T(A M 177497)

100

100

57

78

95

45

63

51

52

68

36

44

60

42

66

83

32

34

58

4256

17

15

17

8

0.01

<그림 세부3-12>16srRNA 를 이용한 C6042와 C6043의 진화 유연 계

(4)논문,학술발표 도서출 등

(가)논문

HyangBurm Lee,ChangJeonKim,HyungRyulJangandDeanGlawe.2009.Firstreport

ofpowderymildew onAsianfringetreecausedbyPhyllactiniasp.inKorea.New

DiseaseReports(inpreparation).

HyangBurm Lee,ChangJeonKim,HyeYeonMunandDeanGlawe.2009.Firstreportof

leafrustonwaterwillow causedbyPuccinialantanaeFarl.New DiseaseReports

(insubmission).

Page 94: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5. 하등생물

- 88 -

ChangSunKim,MyungSooParkandSeungHunYu.,2008.Twospeciesofendophytic

Penicillium from PinusrigidaeinKorea.Mycobiology36:222-227.

HyangBurm Lee,ChangJeonKim,HyungRyulJangandDeanGlawe.2009.Firstreport

ofpowderymildew onAsianfringetreecausedbyPhyllactiniasp.inKorea.New

DiseaseReports(inpreparation).

HyangBurm Lee,ChangJeonKim,HyeYeonMunandDeanGlawe.2009.Firstreportof

leafrustonwaterwillow causedbyPuccinialantanaeFarl.New DiseaseReports

(insubmission).

(나)학술발표

차상도,안 란,최 호,김성환,2008.서울시 지하철 역사에서 분리된 곰팡이의 종류(Indoor

mouldspeciesisolatedfrom theAirofSubwayStationinSeoul).2008년도 한국

실내환경학회 연차학술 회 논문집 제5권 (2008.9.26).

JianXinDengandSeungHunYu,2008.DiversityofAlternariapanaxisolatedfrom

Araliaceaeplants.한국식물병리학회 춘계학술 회 발표 (2008.4.25).

ChangSunKim,SungKyoonWooandSeungHunYu,2008.Identificationofendophytic

Penicillium isolatedfrom conifers.한국균학회 춘계학술 회 발표 (2008.5.23).

NarayanChandraPaul,DengJianXinandSeungHunYu,2008.Twonew recordsof

Cladosporium asfungalendophytesinKorea.한국균학회 춘계학술 회 발표 (2008.5.

23).

Page 95: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6. 하등식물

- 89 -

6.자생 하등식물(algae)자원 조사․발굴

가.당해연도 목표

사업 내용 목 표

발굴 정 미기록 /신종수 140종

확보할 표본 수 14,000

나.당해연도 연구개발 계획

상분류군 세부목표 내용추진일정 (M+)

1 2 3 4 5 6 7 8 910

편모조류,

규조류,

홍조류

• 문헌 자료 조사

• 국내 미기록종 근거 마련

• 국내 미기록종 목록 작성

• 야외조사를 통한 표본 확보

• 표본 제작

• 분류군의 동정 기재

• 미기록종의 발표( 비)

• 분류군별 종목록 분포자료 작성

다.연구 범

○ 규조류

○ 편모조류

○ 홍조류

Page 96: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6. 하등식물

- 90 -

라.연구사업 수행내용

(1)생물재료 표본 확보

(가)생물재료 확보

<규조류>

부유성 규조류는 채수기 는 식물 랑크톤 네트를 이용하여 채집하 고,부착 규조류는

수 의 돌이나 수생식물 등의 표면을 솔 등을 이용하여 어 채집하 다. 한 니나 수 토

양층 의 규조는 스포이드나 그랩을 사용하여 채집하 다.채집된 시료는 최종농도 4% 성

포르말린으로 고정하여 보 하 다.

<편모조류>

부유성 편모조류는 채수기 는 식물 랑크톤 네트를 이용하여 채집하여 장에서 루골

용액이나 루타알데하이드로 고정시켜 보 하 다. 질 속의 와편모조류의 시스트(cyst)채

집은 gravitycorer 는 mudgrab을 사용하여 니를 채집하여 냉장상태에서 실험실로 운반

하 다.실험실에서 시스트는 capillarymethod를 통하여 분리 후 배양을 통하여 발아시켰다.

<홍조류>

사리 때에 조사지역의 조간 는 조선 아래의 해조류를 일자(一字)드라이버를 이용

하여 부착기에서부터 체를 완 하게 채집하고,해안 암반의 도를 잘 받는 곳과 보호된 곳

을 따라서 으로 채집하 다.조사지역의 해안을 넓게 다니면서 바 도에 려온

것 등 모두 채집하며,다른 해조에 착생 기생하는 해조류들은 숙주해조류와 같이 채집하

다.돌이나 조개껍질에 빛깔이 다른 것이 있을 때는 주의 깊게 살피고,간조시 조수웅덩이에

서식하는 해조류들도 유의해서 채집하 다.해조류는 같은 종류라 해도 생육장소에 따라 모양

이나 색깔이 아주 다르므로 동일종이라고 생각되는 것도 많이 채집 하도록 하며,생식기 도

분류상 요하므로 가 성숙체를 채집하 다.채집한 해조류는 장에서 5-10% 포르말린-

해수액에 고정하여 라스틱통,비닐 투 양 주머니 등에 넣어 운반하며,해조류 생시료는

얼음이 들어있는 아이스박스에 넣어서 실험실로 운반하 다.

(나)표본 제작

Page 97: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6. 하등식물

- 91 -

-규조류 : 심목(Centrales),우상목(Pennales)

-편모조류 :Dinoflagellates,Raphidophytes,Haptophytes,Euglenophytes,Cryptophytes,

Chrysophytes

-홍조류 :마디털목,붉은털목,김 래목,국수나물목,팔손이풀목,분홍치목,

우뭇가사리목,지 아리목,돌가사리목,분홍치목,비단풀목

<규조류>

부유성 는 부착성 규조류(epilithicdiatom)의 구표본의 제작을 하여 채집된 시료를

증류수로 3회 이상 세정 후,KMnO₄법 (HasleandFryxell1970)으로 24시간 동안 세포내 유

기물을 제거하 다.슬라이드 라스와 커버 라스는 표본 제작 24-48시간 에 stainingbox

등에 황산 는 95% ethanol을 넣고 깨끗이 세척하여 비하 다.표본 제작은 세포내 유기물

을 제거된 시료를 흔들어 잘 섞은 후 커버 라스 에 1-2방울 떨어뜨렸다.슬라이드 라스

에 pleurax와 100% ethanol을 1:1로 섞은 입제를 3-4방울 떨어뜨리고,커버 라스를 슬라이

드 라스에 시료가 있는 부분을 아래로 하여 덮은 후 hotplate에서 건조시켰다.그리고 슬라

이드 라스에 label을 기입하 다.

<편모조류>

편모조류의 표본 제작을 하여 채집된 시료를 염분기를 제거하기 하여 증류수로 5회

세척하 다. 비된 시료는 시료를 흔들어 잘 섞은 후 커버 라스 에 1-2방울 떨어뜨렸다.

시료를 고르게 퍼트리게 해 커버 라스 슬라이드 라스는 95% ethanol을 넣고 깨끗이

세척하 다.슬라이드 라스에 입제 (Mountant)를 3-4방울 떨어뜨리고,커버 라스를 슬라

이드 라스에 시료가 있는 부분을 아래로 하여 덮었다.이때 슬라이드 내에 기포를 제거하기

하여 아주 약한 미열로 기포를 제거하 다.그리고 슬라이드 라스에 label을 기입하 다.

<홍조류>

건조 표본의 제작은 해조류를 물통에 넣은 후,흐르는 수돗물로 모래나 잡물을 씻는 동시

에 염분 제거하고,해조에 붙은 잡물을 제거하고,썩은 부분이나 가지가 복잡하여 표본을 만들

었을 때 그 모양을 알아보기 힘든 것들은 일부 양기 을 단하 다.담수가 들어있는 사각

형 통(밧드)에 해조류를 옮긴 후 알맞게 자른 표본 지를 물속에 넣고 핀셋이나 붓으로 해조의

특색이 나타나도록 지 에 펴고,해조류가 붙어있는 표본 지를 물속에서 비스듬히 건져내고

Page 98: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6. 하등식물

- 92 -

베니아 (가로 30cm X 세로 45cm) 에 올려놓고 건조시켰다.건조 후에는 해조류 에

목이나 거어즈를 1장 덮고,신문지 1-2장 올려놓거나,크기가 큰 해조류 인 경우에는 흡습지에

올려놓았다.압착하는 돌은 처음에는 해조류가 뭉그러지지 않도록 조 가볍게 하고,표본이

건조해지면 좀 무겁게 하 다.흡습지는 표본이 완 하게 마를 때까지 하루에 1회 이상 교체

(장마철에는 2회 이상)하 다.표본이 완성되면 표본 지의 오른쪽 아래 끝에 학명,국명,채집

지,채집날짜,채집자등이 들어있는 라벨을 작성하 다.

(2)미기록 신종(후보)발굴

규조류의 동정은 Hustedt(1930,1959),Cupp(1945),PatrickandReimer(1966),vander

WerffandHuls(1976),Roundetal.(1990),KrammerandLange-Bertalot(1991),Hartley

(1996),HasleandSyvertsen(1996)등을 참조하 으며,분류체계는 Simonsen(1979)의 체계

를 따랐다.미기록 종의 단은 규조류의 분류체계 용어를 한국명으로 정리한 최 등 (1995),

이 등 (1995),Lee(1995)의 문헌을 이용하 으며,국립생물자원 DB에 없는 종은 미기록종으

로 하 으며,각종 분류 논문을 바탕으로 보고되지 않은 종은 신종후보로 취 하 다.신종으

로 보고하기 하여 유사종의 모식표본 확인 등을 수행하여야하나 기 표본이 해외의 학,연

구기 ,표본 는 박물 에 소장하고 있으므로 제한된 연구비와 시간과 연구목 상 맞지 않

으므로 발표를 유보하고 있다.

마.연구 결과

사업 내용 목 표 결 과 달성률(%)

미기록 /신종(후보)발굴 140 153종 109.3

표본 확보 14,000 14,272 101.9

(1)표본 생물재료 확보

본 연구 기간 우리나라 담수 해산에 서식하는 하등식물의 표본은 담수산 규조류

2,700 ,해산 규조류 2,800 ,해산 담수산 와편모조류 2,804 ,담수산 유우 나조류

Page 99: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6. 하등식물

- 93 -

1,815 ,담수산 황갈색조류 1,131 ,해조류 홍조류의 갈고리풀목,곱슬이목,김 래목,꼬시

래기목,도박목,돌가사리목,분홍치목,비단풀목,산호말목,우뭇가사리목에 3,022 등 총

14,272 (당해연도 목표의 101.9%)의 표본이 확보되어 당해연도 연구 목표를 달성하 다.규조

류,와편모조류와 편모조류는 슬라이드 표본 11,250 으로 제작․보 되어 있으며,홍조류

3,022 은 지 에 올려 건조표본으로 제작되어 있다.

당해연도 연구목표 연구사업 결과

표본 생물재료 확보 :14,000

- 상분류군

규조류,와편모조류,편모조류,홍조류

총 14,272 확보 (목표의 101.9%)

-확증표본:14,272

-확증표본:14,000 총 14,272 확보 (목표의 101.9%)

;규조류:5,500

;와편모조류:2,804

;황갈색조류:1,131

;유 나조류:1,815

;해조류:3,022

(2)미기록 신종(후보)발굴

규조류 에서 우리나라 담수역에서 발굴한 국내 미기록종 는 신종 후보군은 다음의 49

종이었다;Achnanthesbrevipesvar.parvula(Kutzing)Cleve,A.kuwaitensisHendey,A.

minuscula Hustedt, A. obliqua (Gregory) Hustedt, Amphora graeffeana Hendey,

Anomoeoneisbrachysiravar.zellensis(Grunow)Krammer,A.costata(Kutzing)Hustedt,

Anorthoneisexcentrica(Donkin)Grunow,Caloneisventricosavar.truncatula(Grunow in

VanHeurck)Cleve,CocconeispseudomarginataGregory,CyclotelladistinguendaHustedt,

C.ocellata Pantocsek,Cymbella hustedtiivar.compacta Krammer,C.tumidula var.

lacettula Krammer,Encyonema brevicapitatum Krammer,E.pseudogracile Krammer,

Eunotogrammalaevis(leve)Grunow inCleve& Möller,Fragilariacapucinavar.radians

(Kutzing)Lange-Bertalot,F.parvaTujietWilliams,Fragilariasp.,Gomphonemaexiguum

Page 100: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6. 하등식물

- 94 -

var. minutissimum Grunow in Van Heruck, Hantzschia marina (Donkin) Grunow,

HydroseratriquetraWallich,Luticolasp.1,Luticolasp.2,NaviculaabsolutaHustedt,N.

bahusiensis(Grunow)Cleve,N.baileyanaGrunow exSchmidt,N.clipeiformisKönig,N.

dissipataHustedt,N.finmarchiaCleveetGrunow,N.giffenianaFoged,N.gracilisvar.

schizonemoidesVanHeurck,N.humerosaBrebisson,N.luxuriosaGreville,N.pupulavar.

aquaeductae (Krasske) Hustedt, N. subpatrickae Archibald, Nitzschia acidoclinata

Lange-Bertalot,N.debilis(Arnott)Grunow,N.lacunarum Hustedt,N.macedonicaHustedt,

N.punctatavar.minorTemp.& Perag,Orthoseiradendroteres(Ehrenberg)Crawford,

PinnulariaschwabeiKrasske,P.sublinearis(Grunow)Cleve,Pleurosiralaevis(Ehrenberg)

Compere,PunctastriatalinearisWilliamsetRound,SynedragoulardiBrebisson,S.ulnav.

oxyrhynchusf.mediocontractaHustedt.

우리나라 해역에서 발굴한 국내 규조류의 미기록종 는 신종 후보군은 다음의 23종이었

다; Actinoptychusannulatus(Wallich)Grunow,ChaetocerosaffinisLauder,Cocconeissp.1,

Cocconeissp.2,CoscinodiscusblandusSchmidt,C.oculauts(Fauv.)Petit,Cosmioneissp.,

Diploneis decipiens var.parallela Cleve-Euler,Guinardia striata (Stolterfoth) Hasle,

Gyrosigmabalticum var.sinicum Chin etLiu,G.strigilis(Smith)Griffin & Henfrey,

Lioloma pacificum (Cupp)Hasle,Manguinearigida Paddock,Navicula integra (Smith)

Ralfs,Naviculasp.,Pseudo-nitzschiabrasilianaLundholm,Hasle& Fryxell,P.mannii

Amato & Montresor,Surirella fluminensis Grunow,S.ovalis Brebisson,Thalassiosira

concavisculaMakarova,T.diporocyclusHalse,Tropidoneisantarcticavar.polyplastaGran

& Angst.

우리나라 해역에서 발굴한 와편모조류의 국내 미기록종 는 신종 후보군은 아래의 33종이

었다.Ceratium boehmiiGraham etBronikovsky,C.horridum var.claviger (Kofoid)

Graham & Bronikowski,C.longirostrum Gourret,C.massiliense(Gourret)Jørgensen,C.

massiliensevar.massilienseBalech,C.teresKofoid,C.triposvar.pulchellum (Schroder)

Lopez ex Sournia,C.vulturvar.vulturf.angulatum Jørgensen,Dinophysis lenticula

Kofoid,D.mitra(Schutt)Abeeratium,DinophysispunctataJørgensen,D.rotundataClaparede

etLachmann,DiplopsalislenticulaBergh,Diplopsalopsisorbicularis(Paulsen)Meunier,

GonyaulaxmonospinaRampi,G.scippsaeKofoid,Gymnodinium sp.,Heterocapsarotundata

(Lohmann)Hansen,Murrayellarotundata(Kofoid)DeToni,OrnithocercusserratusKofoid,

Page 101: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6. 하등식물

- 95 -

Oxytoxum tesselatum (Stein) Schutt,Peridinium abei (Paulsen) Balech,Peridinium

quinquecorne Abeeratium, Prorocentrum marina, Protoperidinium clavus, P. majus

(Dangeard)Balech,P.obtusum (Karsten)ParkeetDodge,P.parallelum Broch,P.parvum,

Protoperidinium sp.,Pyrodinium bahamensePlate,Pyrophacussteinii(Schiller)Wall&

Dale,Thecadinium ovatum Yoshimatsu.

유 나조류의 국내 미기록종 는 신종 후보군은 다음의 20종이었다.Euglenacuneata

Pringsheim,E.elasticaPrescott,Lepocinclisovum var.buetschlii(Lemmermann)Conrad,L.

ovum var.costataPlayfair,Lepocinclissp.,PhacusagilisSkuja,P.hameliiAllorge&

Lefevre,P.pyrum var.costata(Conrad)Popowa,P.trapezoidesStawinski,Phacussp.,

Strombomonasborysteniensis(Roll)Popowa,S.conspersa(Pascher)Tell& Conforti,S.

costata Deflandre,S.eurystoma f.sinensis(Skvortzov)Popova,S.triquetra (Playfair)

Deflandre,Trachelomonas echinata Singh,T.oblonga var.truncata Lemmermann,T.

pulchraSvirenko,T.rugulosaStein,T.spirogyraBalech.

황갈색조류의 시 라조강의 국내 미기록종 는 신종 후보군은 다음의 12종이었다.

MallomonasadamasHarris& Bradley,M.bronchartianaCompere,M.cf.alataAsmund,

Cronberg& Durrschmidt,M.cristataDurrschmidt,M.morrisonensisCroome& Tyler,M.

ouradion Harris & Bradley,M.splendensf.spelendens(West)Playfairem.Croome,

Durrschmidt& Tyler,Mallomonassp.nov.1,Mallomonassp.nov.2,Synuraleptorrhabda

(Asmund)NichollsinNicholls& Gerrath와,황갈색조류의 국내 미기록종 는 신종 후보군은

다음의 9종이었다.Chrysocapsa sp.,Dinobryon sp.,Ochromonas tuberculata Hibberd,

ParaphysomonascaelifricaPreisig& Hibberd,P.capreolataPreisig& Hibberd,P.vestita

ssp.(Stokes)Saedeleer,SpiniferomonascrucigeraTakahashi,SynuracurtispinaAsmund,S.

sphagnicolaKorshikov.

국내 담수산 은편모조류의 미기록종 는 신종 후보군은 다음의 7종이었다.Cryptomonas

obovoidea Pascher,C.tetrapyrenoidosa Skuja,Cryptomonas sp.1,Cryptomonas sp.2,

Cryptomonassp.3,Cryptomonassp.4,Cryptomonassp.5.

Page 102: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6. 하등식물

- 96 -

당해연도 연구목표 연구사업 결과

미기록/신종 발굴:140분류군 미기록/신종 발굴:153분류군

(150미기록종,2신종후보,1신종)

(목표의 109.3%)

(3)주요 자생생물 자원의 생물학 논의

(가)미기록

본 하등식물분야에서 수행된 미기록 종은 153분류군으로 별도보고서로 제출할 정이다.

식물 랑크톤 와편모조류는 수서생태계의 기 생산자로서 요한 역할을 하며,종 구성과 분포

특성 면에서 요한 분류군 하나이다.최근 지구온난화와 더불어 해역에서도 해황이 달라짐

에 따라 생물의 서식환경이 바 어 특이한 생물의 출 이 일어나고 있다.제주해역에서 채집된

국내 미기록 종 와편모조류는 와편모조강(Dinophyceae)Gonyaulacales목 Ceratiaceae과에 5종

이 있으며 (Ceratium horridum var.claviger (Kofoid)Graham & Bronikowski,Ceratium

longirostrum Gourret,Ceratium massiliensevar.massilienseBalech,Ceratium triposvar.

pulchellum (Schröder)Lópezex Sournia,Ceratium vulturvar.vulturforma angulatum

Jorgensen),Dinophysiales목 Dinophysiaceae과에 2종(DinophysismitraSchütt,Dinophysis

punctata Jorgensen), Peridinales목 Peridiniaceae과에 2종(Diplopsalis lenticula Bergh,

Protoperidinium parallelum Broch), Peridinales목 Gonyaulacaceae과에 3종(Gonyaulax

monospinaRampi,GonyaulaxscrippsaeKofoid,Pyrodinium bahamensePlate),Peridinales목

Pyrophacaceae과에 1종(Pyrophacussteinii(Schiller)Wall& Dale)등 총 3목 5과 8속 13종이

국내에서는 처음 발견되었다(그림 세부6-1). 그러나 많은 종들은 그 크기가 작고,출 빈도와

양이 매우 빈약하기 때문에 그들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울 때가 많았다.따라서 재까

지 학 미경에 의존하던 연구는 자 미경 찰에 의한 동정이 필수이라고 생각되며 계속

인 분류 검토가 요망된다.

Page 103: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6. 하등식물

- 97 -

Ceratium horridum var.claviger Ceratium longirostrum

Ceratium massiliensevar.massiliense Ceratium triposvar.pulchellum

Ceratium vulturvar.vulturformaangulatum Dinophysismitra

Page 104: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6. 하등식물

- 98 -

Dinophysispunctata Diplopsalislenticula

Protoperidinium parallelum Gonyaulaxmonospina

Gonyaulaxscrippsae Pyrodinium bahamense

Pyrophacussteinii

<그림 세부 4-1>제주해역에서 발견된 와편모조류 13종의 형태(11-13)

Page 105: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6. 하등식물

- 99 -

(4)논문,학술발표 도서출 등

(가)논문

신웅기.2007.Twofreshwatercryptomonadsnew toKorea:CryptomonasmarssoniiandC.

pyrenoidifera.Algae.22(3):147-152.

신웅기.2007.UltrastructureofCryptoglenapigraKorea.Algae.22(4):325-331.

한명수.2007.한국 연안에 출 하는 무각와편모조류 5종에 한 형태 분자계통학 특성.

Algae.23(1):15-29.

김한순.2007.Mallomonaskoreanasp.Nov.(synurophyceae).A new speciesfrom South

Korea.NovaHedwigia.86(3-4):469-476.

김한순.2008.Silica-scaledchrysophytes(Synurophyceae)from Jejuisland,Korea.Nova

Hedwigia.87.

이 백.2008.열 해역 지표종 Ornithocercus속 와편모조의 출 동향으로 본 한반도 온난

화.바다 한국해양학회지.13(4):303-307.

한명수.2008.New Record ofFreshwaterDinoflagellate Peridinium umbonatum Stein

(Dinophyceae)from TogyoReservior.Algae.23(2):115-119.

이진환.2008.A StudyonthFineStructureoftheMarineDiatomsofKoreanCoastal

Waters-GenusThalassiosira3.Algae.23(3):187-199.

참고문헌

이경,최 기,이진환 1995.한국산 돌말류(石藻類)의 분류학 연구.II.출 목록.한국조류학

회지 10:13-89.

최 기,이진환,이경.1995한국산 돌말류(石藻類)의 분류학 연구.I.분류체계와 분류계 의

한국명화.한국조류학회지 10:1-11.

Cupp E.E.1945.Marineplankton diatomsofthewestcoastofNorth America.Bull.

ScrippsInst.Oceanogr.,Univ.California.5:1-238.

HasleG.R.andFryxellG.R.1970.Diatoms:Cleaningandmountingforlightandelectron

microscopy.Trans.Amer.Microsc.Soc.89:469-474.

HasleG.R.andSyvertsenE.E.1996.Marinediatoms.In:TomasC.R.(ed.),Identifying

Page 106: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6. 하등식물

- 100 -

marinediatomsanddinoflagellates.AcademicPress,Inc.pp.5-386.

HartleyB.1996.AnAtlasofBritishDiatoms.In:Sims,P.A.(ed.),BiopressLtd.,Bristol.

HustedtF.1930-1959.DieKieselalgen Deutschlands,Osterreichsund derSchweiz.In:

Rabenhorst (eds),Kryptogamen-Flora von Deutschlands,Osterreichs und der

Schweiz.AkademischeVerlagsgesellschaftmbH,Leipzig.920pp.

Krammer,K.andH.Lange-Bertalot.1991.Bacillariophyceae.In:H.Ettl,J.Gerloff,H.

Heynig,andD.Mollenhauer(eds.).Teil3.Centrales,Fragilariaceae,Eunotiaceae.

SüsswasserfloravonMitteleuropa.GustavFischer,Stuttgart,Germany.576pp.

LeeJ.H.1995.Additionalcheck-listofmarineplanktonicalgaeinthecoastalwatersof

Korea.I.Bacillariophyceae.Sangmyung Women's University,J.NaturalSci.2:

71-198.

PatrickRandReimerC.W.1966.ThediatomsoftheUnitedStates.Vol.I,Monograph13,

AcademyNaturalSciences,Philadelphia.

RoundF.E.,CrawfordR.M.andMannD.G.1990.Thediatoms:biologyandmorphologyof

thegenera.Cambridge,747pp.

SimonsenR.1979.Thediatom system:ideasonphylogeny.Bacillaria2:9-71.

vanderWerffA.andHulsH.1976.Diatom floraoftheNetherlands.OttoKoeltzScience

Publishers,Koenigstein,WestGermany,79pp.

Page 107: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7. 고등식물

- 101 -

7.자생 고등식물 자원 조사․발굴

가.당해연도 목표

사업 내용 목표

미기록 /신종(후보)발굴 17종

표본 확보 11,800

나.당해연도 연구개발 계획

상분류군 세부목표 내용추진일정 (M+)

1 2 3 4 5 6 7 8 91011

양치식물,

나자식물,

자엽식물

(목련아강,

석죽아강,

딜 니아아강

)분류군별

종목록

분포자료

작성

• 기 문헌 자료 조사

• 자생 종목록 확인

• 분포 황 확인

• 멸종 기 자생식물자원 황 확인

• 야외조사를 통한 표본 확보

• 표본 제작

• 분류군의 동정 기재

• 분류군별 종목록 분포자료

작성

다.연구 범

○ 양치식물,나자식물, 자엽식물 (목련아강,석죽아강,딜 니아아강)

Page 108: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7. 고등식물

- 102 -

라.연구사업 수행 내용

(1)표본제작 확보

(가)표본 제작

○ 고등식물 발굴(채집)조사 계획은 기존의 표본 문헌 자료를 기 로 수립하며,분포

지역 변이 양상 악을 해 분류군별 는 지역별로 체계 인 채집 조사 계획을

연차별로 수립함.

○ 분포 지역 변이 양상을 악하기 해 분류군 별로 가능한 한 많은 지역 집단에서

채집하며,최소한 5,6개 이상의 지역 집단에서 집단별 3set이상의 확증표본을 제작

함. 단 멸종 기종,희귀종 는 분포가 극히 제한 인 종류의 경우,생육 황에 따

라 확보할 표본의 수를 최소로 결정함.

○ 보 의 가치가 높거나 는 멸종 기종 등 보 의 필요성이 시 한 종 그리고 자원

가치가 크거나 학술 으로 요한 종에 해서는 종자 는 생체를 채취하여 앞으로

국립생물자원 의 온실 는 포장에 이식‧재배하여 장외 증식을 시도함.

○ 표본 기타 생물재료 확보,DB 자료 확보:채집 조사를 통해 종별/지역별로 표본

을 충분히 확보하고,정확한 분포역 서식지 정보를 조사함. 특히 분포(채집지)에

한 GIS정보를 확보함.

○ 모든 표본은 희귀 는 멸종 기종이 아닌 경우 가능한 한 채집품 (collection)당 3

이상을 채집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이 완 한 1set를 “국립생물자원 ”에 소장

함.

○ 채집 확보된 표본 기타 생물자료 목록 이에 련된 모든 정보는 DB화하여 궁

극 으로 국가 생물종 목록 작성의 자료로 사용함.

○ 종 목록 분포도 작성:상기 자료를 근거로 일차 으로 분류군별 종 목록 분포도

를 작성하고 련 정보를 축 ,체계화 함. 종 목록에는 종별로 학명,출 ,국명,분

포,서식지 정보,표본 목록을 수록하고,가능한 경우 련 문헌 정보 기 표본 정

보도 제시함.

○ 국가 생물종 목록 발간:각 분류군/지역의 탐사 연구사업이 완료되면,분류군별/지역별

종 목록 기타 자료를 종합하여 국가 생물종 목록을 완성하고 궁극 으로는 총 과

제에서 구축될 국가 생물자원 리 네트워크와 연계하여 DB화 함.

Page 109: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7. 고등식물

- 103 -

(나)해당 분류군별 표본 제출

○ 분류군 별 표본은 한 채집품(collection)을 표본 1 으로 제작하여 제출함.

(다)표본 라벨 정보의 작성

○ 확증표본의 lable은 최소한 다음의 정보는 꼭 포함.

○ 지리 정보:Locality,latitude,longitude.

-도,시(군),읍(면),리 (동)까지 꼭 표기.국립공원내 일 경우 별도로 표시.

- ) 북 남원군 산내면 반선리 지리산 뱀사골 입구 (지리산 국립공원).

○ 생태 정보:Habitatandecology,altitude(GPS이용).

○ 식물체 정보:Descriptionofplants(특별한 사항).

○ 채집자 정보:Collector'snameandnumber.

○ 채집일 정보:Dateofcollection.

(라)표본 보 방법

○ 동정된 표본은 가로 29.2cm,세로 41.9cm의 백색 240모조의 지 에 창호지

는 식물표본 착제를 이용하여 고정 시킨 후,라벨을 지 오른쪽 하반부에 부착한다.

충분히 건조가 된 표본은 -20℃ 는 그 이상의 온 냉동고에서 최소한 3일 이상 보

하여 해충을 방제한 후 식물표본장에 수장하여 보 .

(2)미기록 신종(후보)발굴

○ 당해연도 조사기간 ,채집,탐색된 자생식물의 표본을 상으로 국내외 유사종의 기

표본 원기재문과의 비교를 통하여 미기록 는 신종가능성 여부를 악함.

○ 미기록식물의 경우, 련 국내 주요 학회지에 투고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특히,신

종일 경우,기 표본 라틴 기재문을 동반한 논문을 작성하여 국내외 주요 학회지에

투고하여 발간함.

Page 110: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7. 고등식물

- 104 -

마.연구 결과

사업 내용 목 표 결 과 달성률(%)

미기록 /신종(후보)발굴 17종 3종 17.6%

표본 확보 11,800 11,935 101.1%

(1)표본 생물재료 확보

본 연구 기간 한반도에 분포하는 유 속식물을 상으로 조사 활동을 수행한 결과,양

치식물이25과 60속 182종 1,209 ,나자식물이 4과 12속 20종의 88 이 채집,확보되었다.그리

고 피자식물 ,국화아강은 31과 172속 498종 2,699 ,닭의장풀아강은7과 79속 244종 983 ,

딜 니아강은 22과 55속 153종 1,120 ,목련아강은 17과 53속 111종 1,009 ,백합아강은 7과

48속 121종 696 ,석죽아강은 9과 29속 86종 451 ,장미아강은 39과 176속 430종 2,911 ,조

록나무아강은 11과 60속 182종 617 ,택사아강은 8과 14속 29종 152 등 도합 151과 655속

1,747종 10,638 이 채집,조사되었다. 따라서 채집된 유 속식물은 총 180과 727속 1,949종

11,935 (당해연도 목표의 101.1%)의 표본이 확보되어 당해연도 연구목표를 과 달성하

다.

당해연도 연구목표 연구사업 결과

표본 생물재료 확보 :총 11,800

- 상분류군

;양치식물

;나자식물

; 자엽식물

(목련아강,석죽아강,딜 니아아강 등)

총 11,935 확보

-확증표본:11,935

-확증표본:11,800 -11,935 확보 (목표의 101.1%)

;양치식물 1,209

;나자식물 88

;피자식물 10,638

Page 111: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7. 고등식물

- 105 -

(계속)

당해연도 연구목표 연구사업 결과

-확증표본:11,800 -국화아강 2,699

-닭의장풀아강 983

-딜 니아강 1,120

-목련아강 1,009

-백합아강 696

-석죽아강 451

-장미아강 2,911

-조록나무아강 617

-택사아강 152

(2)미기록 신종(후보)발굴

본 발굴 조사 결과,신분류군 2분류군과 미기록 분류군 1분류군 등 미기록/신종 3분류군이

이미 국내 주요 학회지에 이미 발표되었고,산형과와 앵 과의 2분류군이 신종후보로서 재

연구 에 있다 (당해연도 목표의 17.6%).발굴된 신분류군으로는 양치식물의 물부추과의 2

종,즉 한라물부추 (Isoeteshallasanensis)와 제주물부추 (Isoetesjejuensis)로 한반도 식물상

에 새로이 추가 기록되었다.그리고 발굴된 미기록 분류군으로는 양치식물의 부처손과의 각시

비늘이끼 (SelaginellaheterostachysBaker)1개의 분류군이 새로이 한반도 식물상에 추가되었

다.한편,주요 멸종 기야생식물로는 애기등,히어리,큰연령 ,깽깽이풀,왕제비꽃,솔나리,

층층둥굴 ,백부자,기생꽃,매화마름,순채,삼백 ,노랑무늬붓꽃,둥근잎꿩의비름,박달목서,

연잎꿩의다리 등 도합 17분류군의 새로운 분포지 장소가 추가되기도 하 다.아울러 기타

주요 식물종으로는 모데미풀,구실바 취, 강 롱꽃,좀미역고사리,삼지구엽 ,털댕강나무,

홀아비바람꽃,회리바람꽃,등칡,고란 ,만주바람꽃,참물부추,물여 ,동강고랭이,나도은조

롱 등이 새로운 분포지에서 발견되기도 하 다.

Page 112: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7. 고등식물

- 106 -

당해연도 연구목표 연구사업 결과

미기록/신종 발굴:17분류군 미기록/신종 발굴:3분류군

(1미기록종,2신종)

(목표의 17.6%)

[신분류군 2종]

;Isoeteshallasanensis

(한라물부추:제주도 한라산 고산습지)

;Isoetesjejuensis

(제주물부추:제주도 해안 지 )

[미기록분류군 1분류군]

;SelaginellaheterostachysBaker

(각시비늘이끼:강원도 춘천시 남산면)

기타 주요종:

;멸종 기종 17종

;기타 18종 등

[멸종 기종 17종]

;애기등 (진도 여귀산)

;히어리 (남원시 연화산)

;큰연령 (강원 태백산;강원 태기산)

;깽깽이풀 (경남 함안군 방어산;경남

의령군 서암리;경북 주왕산)

;왕제비꽃 (강원 횡성군 치악산)

;솔나리 (강원 인제군 방태산)

;층층둥굴 (강원 양구군 화산)

;백부자 (강원 화천군 병풍산; 월군선돌)

;기생꽃 (강원 황병산)

;매화마름 (강화도 경작지)

;순채 (강원 고성;울산;제주도)

;삼백 (제주도)

;노랑무늬붓꽃 (경북 주왕산)

;둥근잎꿩의비름 (경북 주왕산)

;박달목서 ( 남 거문도)

;연잎꿩의다리 (경북 주왕산)

;섬시호 (경북 울릉도)

[기타 18종]

;모데미풀 (강원 태기산)

;구실바 취 (강원 태기산)

Page 113: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7. 고등식물

- 107 -

(계속)

당해연도 연구목표 연구사업 결과

기타 주요종:

;멸종 기종 17종

;기타 18종 등

; 강 롱꽃 (강원 치악산)

;좀미역고사리 (강원 월군 응 산)

; 잣나무, 측백,개석송 (강원 설악산)

;삼지구엽 (강원 양구군 화산)

;털댕강나무 (경기 화악산)

;홀아비바람꽃 (강원 고성군 마산)

;회리바람꽃 (강원 고성군 마산;홍천군

쇠뿔산;경기 유명산)

;등칡 (강원 오 산,박지산)

;고란 ( 남 고흥군 소화록도)

;만주바람꽃 (경기 가평군 화야산;강원

강릉시 고루포기산)

;참물부추 (강원 화천군 논미리,벌말 등지)

;물여 (강화도)

;동강고랭이 (강원 월 동강변)

;나도은조롱 (연도)

(3)주요 자생생물 자원의 생물학 논의

(가)미기록 신종(후보)

한라물부추 (IsoeteshallasanensisChoi):양치식물의 물부추과로 제주 서귀포시 한라산

1,100고지 습지에서 산발 으로 생육하는 것을 확인하 다. 이들은 동아시아에 분포하는 다른

유사분류군과는 달리 포자의 표면구조가 침상 (echinate)으로 확연이 구별된다.일본의 홋카

이도에 분포하는 I.asiatica의 포자 표면구조가 침상이기는 하나 본 종과 달리 소포자의 표

면에 구조물이 없으며 (levigate),괴경열편이 두 개로 갈라지는 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림 세부 5-1).특히, 세계 으로 물부추속 (Isoetes)에 속하는 식물종들은 부분 멸종

기식물의 범주에 포함되어 취 되는 바,이의 보 책이 시 하다 할 수 있다.

제주물부추 (IsoetesjejuensisChoi):양치식물의 물부추과로 제주 남제주군의 해안가에

인 한 지 의 습지,갈매못에서 산발 으로 생육하는 것을 확인하 다.이들의 포자 표

Page 114: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7. 고등식물

- 108 -

<그림 세부5-1>한라물부추

면구조는 독특한 낮은 주름 (regulate)을 갖는다.동아시아 물부추속 식물 ,이러한 포자

표면무늬를 갖는 종은 보고되지 않았다(그림 세부5-2).지리 으로 인 한 국 일본에서는

물부추속의 거의 모든 분류군을 멸종 기식물의 범주로 취 되고 있는 바,국내에서도 이들에

한 보 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각시바늘이끼 (SelaginellaheterostachysBaker):양치식물의 부처손과로 강원도 춘천시

남산면 강 리 지 의 암벽에 붙어 군락을 이루어 자라고 있다.이들은 선비늘이끼와 유사하지

만 측면의 소엽이 난상이며 기부가 심장 이고, 앙부의 소엽은 길며 정단부가 구부러진 으

로 구별된다(그림 세부5-3).이들은 남방계식물로 세계 으로 주로 아열 이남지역에 자라지만

국내 부에서 자라는 은 매우 특이하므로 향후,이들에 한 생태학 인 조사가 필요할 것으

로 나타났다.

한편,산형과와 앵 과의 식물로 신종일 가능성이 있는 분류군이 재 연구 에 있으며,산

형과의 1신종 후보는 강원도지역에서 채집되어 거의 신종일 것으로 단되고 있다.그리고 제주

도 한라산 돈네코계곡에서 채집된 앵 과의 까치수 속의 1신종 후보는 형태 으로 기의 하부

에서 잎이 마주나지만 상부로 갈수록 3출엽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총상화서를 갖는 것으로 보

아 신종일 가능성이 매우 크다.그러나 조사시기가 과기여서 꽃피는 시기에 화서에 한 연구가

추가 으로 필요하여 2009년도 개화기에 이에 한 집 인 조사가 이루어질 정이다.

Page 115: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7. 고등식물

- 109 -

<그림 세부 5-2>제주물부추

<그림 세부 5-3>각시바늘이끼

(나)멸종 기 희귀종

멸종 기야생식물은 17종의 식물군이 확인되었는 데,애기등은 남 진도 여귀산에서,히

어리는 북 남원시 연화산에서,큰연령 는 강원도 태백산과 태기산에서,깽깽이풀은 경북 주

왕산,경남 함안군 방어산과 의령군 서암리에서 발견되었다.왕제비꽃은 강원도 횡성군 치악산

에서,솔나리는 강원 인제군 방태산에서,층층둥굴 는 강원 양구군 화산에서,백부자는 강원

화천군 병풍산과 월군 선돌,섬시호는 울릉도에서 각각 확인되었다.그리고 기생꽃은 강원

황병산,매화마름은 강화도 경작지주변,순채는 강원도 고성,울산 제주도에서,삼백 는 제

주도,노랑무늬붓꽃,연잎꿩의다리와 둥근잎꿩의비름은 경북 주왕산,박달목서는 남 거문도에

Page 116: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7. 고등식물

- 110 -

서 각각 확인되었다(그림 세부5-4).

이 ,층층둥굴 는 등산로 주변에 소수의 개체가 자라기 때문에 등산객의 통행으로 인한

답압,훼손 는 채취당할 우려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이들은 국내 분포역이 강원도 월

군의 동강 주변의 냇가,경기 주의 냇가 주변의 모래밭에 한정될 뿐 아니라 군락이 작기 때

문에 단 한번의 훼손행 에 의해서 지역 멸을 가져올 수 있는 특성을 갖고 있다.매화마름

은 도로 농경지에서 자라기 때문에 인 인 간섭이 심하여 훼손될 가능성이 매우 크고,울

릉도의 섬시호 자생지는 인 하여 밭을 가꾸고 있거나 해안도로를 개설하고 있어 자생지 괴

가 우려된다.아울러 기생꽃의 경우,이들의 국내 자생지가 주로 산지의 능선부 바 틈새에

자라기 때문에 자생지 조건이 매우 취약하므로 이에 한 보 책 한 시 한 것으로 여겨

진다.

순채 (제주도) 매 마 (강 도)

<그림 세부5-4>멸종 기야생식물

(다)특이종

주요종으로 평가되는 식물로는 모데미풀과 구실바 취가 강원도 태기산에서, 강 롱꽃은

강원도 치악산에서,좀미역고사리는 강원도 월군 응 산에서, 잣나무, 측백 개석송은

강원도 설악산에서,삼지구엽 는 강원도 양구군 화산,털댕강나무는 경기도 화악산에서,홀

아비바람꽃은 강원도 고성군 마산에서,회리바람꽃은 강원도 고성군 마산,홍천군의 쇠뿔산

경기도 유명산에서,등칡은 강원도 오 산과 박지산에서,고란 는 남 고흥군 소화록도에서,

만주바람꽃은 경기도 가평군 화야산과 강원 강릉시 고루포기산에서,참물부추는 강원도 화천군

논미리와 벌말 등지에서,물여 는 강화도에서,동강고랭이는 강원도 월군 동강변에서,나도

은조롱은 남 연도에서 각각 자생하고 있음을 확인하 다(그림 세부5-5).

Page 117: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7. 고등식물

- 111 -

나리 ( 태산) 층층 ( 산)

( 태산) 생꽃 ( 병산)

<그림 세부5-4>멸종 기야생식물

Page 118: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7. 고등식물

- 112 -

고란 ( 도) 동강고랭 (강원도 월)

삼지 엽 ( 산) 아비 람꽃 (강원도 마산)

만주 람꽃 ( 야산) 물여뀌 (강 도)

<그림 세부5-5>기타 특이종

Page 119: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7. 고등식물

- 113 -

(4)논문,학술발표 도서출 등

(가)논문

Choi,H.-K.,J.JungandC.Kim .2008.TwoNew SpeciesofIsoetes(Isoetaceae)from

JejuIsland,SouthKorea.JournalofPlantBiology.51:354-358.

Lee,C.S.,Kim,Y.S.,andN.S.Lee.2008.SelaginellaheterostachysBaker

(Selaginellaceae):firstreportforKorea.한국식물분류학회지 38(4):557-563.

Kim,H-J.2008.DistributionofRiparianVegetationinaSmallStream (IanStream),South

Korea.환경 향평가학회지 17(6):367-372.

Kim,H-JandH-K,Lee.2008.TheFloristicStudyintheNorthernregiononMt.Deogyu

NationalPark.JournalofKoreanNature1(2):149-171.

(나)학술발표

김호 .2008.외래종 성류(Tamarixchinensis)의 생태특성 분포.한국환경 향평가학회

추계학술발표 (2008.11.20)

Page 120: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8. 척추동물

- 114 -

8.자생 척추동물 자원 조사․발굴

가.당해연도 목표

사업 내용 목표

미기록 /신종(후보)발굴 18종

표본 확보 2,200

나.당해연도 연구개발 계획

상분류군 세부목표 내용추진일정 (M+)

1 2 3 4 5 6 7 8 9 10

어류분야

연골어강(상어류,

가오리류),

농어목,

돔목,

쏨뱅이목,

색 멸목,

홍매치목,

가자미목,

복어목,

기타 경골어류

양서 충류분야

도롱뇽목,뱀아목

조류분야

바다오리류(해양성조류)

포유류

식충목(고슴도치과)

익수목(긴날개박쥐속,

애기박쥐속)

설치목(비단털쥐아과

밭쥐속,검은밭쥐속,

륙밭쥐속,비단털쥐속)

식육목(개속,여우속),

우제목(노루속)

• 기 문헌 자료 조사

• 자생 종목록 확인

• 분포 황 확인

• 멸종 기 자생 동물 황 확

• 야외조사를 통한 표본 확보

• 표본 제작

• 분류군의 동정 기재

• 분류군별 종 목록 분포자

료 작성

Page 121: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8. 척추동물

- 115 -

다.연구 범

○ 어류:연골어강(상어류,가오리류),농어목, 돔목,쏨뱅이목,색 멸목,홍매치목,

가자미목,복어목.기타 경골어류.

○ 양서/ 충류 :도룡뇽목,뱀아목

○ 조류 :해양성 조류 동해안 이동 조류(바다오리류)실태 황 악

-이동시기 악 후 선박을 이용한 황 조사.

-정치망에 포획된는 사체 정기 수거 후 기록

○ 포유류:식충목(고슴도치과),익수목(긴날개박쥐속,애기박쥐속),설치목(비단털쥐아과

밭쥐속,검은밭쥐속, 륙밭쥐속,비단털쥐속),식육목(개속,여우속),우제목(노루속).

라.연구사업 수행내용

(1)표본 생물재료 확보

(가)표본 제작

척추동물 분야의 표본의 채집 표본 리는 동물군의 특성에 따라서 다양한 채집 방법

과 리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각 연구원별로 자기가 담당한 문 분류군별로 채집에 합한

방법과 표본 보 리를 용하여 연구를 진행한다. 한 최종 연구실 물인 표본을 국립생물

자원 에 보낼 때는 먼 포르말린 용액에 고정한 후 에틸알콜로 치환하여 표본을 제작된 표

본(양서류, 류,어류)은 연구책임자가 각 연구원들로부터 수집하여 일 으로 표본을 택배

로 발송하고,보 발송에 특별한 리가 필요한 분류군은 연구자가 해당 생물 표본에 합

한 방법을 용하여 국립생물자원 에 직 발송한다.모든 표본을 국립생물자원 에 보낼 때

는 각 연구원들은 각 연구원들이 해당 분류군별로 표본을 포장한 후 표본 목록을 작성하고,각

표본의 개체별 는 단 로 라벨을 부착하여 각 연구원별로 표본의 특성에 합한 방법으로

안 하게 포장하여 국립생물자원 에 제출한다.한편 연구 방법과 리 표본 제작 방법은

아래와 같은 요령으로 척추동물의 각 분류군별로 생물재료를 확보 리하 다.

<포유류>

○ 포유류의 경우,표본의 확보에 을 두고 있으나 일부 형종의 경우에는 표본입수

여부의 단은 재로서 거의 불가능(호랑이,표범,늑 ,스라소니, 륙사슴 등)하

Page 122: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8. 척추동물

- 116 -

기 때문에 제외하고 소형, 형 포유류를 상으로 채집을 실시하 다.

○ 쥐 종류와 같은 소형 설치류는 주로 ShermanTrap 기타 소형 포획트랩을 이용하여

장에서 직 채집( ;쥐과동물 포획시 1장소에 통상 30~50개 트랩 설치하 음)하

고,두더지의 경우는 묵정밭에 두더지 이동흔 을 따라 다수의 용트랩을 설치하여

채집하 음.

○ 기타,동물의 종류에 따라 그에 맞는 한 포획방법이 용되었음.

○ 형포유류의 경우에는,HarvartBox트랩,FootTrap,SnareTrap등으로 포획을 시

도하 는데,이 경우에도 각 동물별로 합한 서식지를 찾아야 하며,그 주변에 포획

틀을 이용하 음(이 경우 통상 1서식지당 10-20개 이상의 포획틀 설치가 필요).

○ 표본제작은 박제표본,모피표본,액침표본(박쥐류),골격표본,냉동표본(-40℃ 이하

온 냉동 보 ),기타표본 (훼손되고,일부만 남은 표본의 경우,남아 있는 재료 역시

부분 표본으로 입수)등으로 제작하 음.

○ 제출용 표본은 각 종별 는 개체별 가박제 상태 는 냉동표본 상태로 제출할 것이

고,실물 표본 확보가 어려운 종이나 개체는 사진이나 기타 종을 증명할 만한 증거품

는 그림 등 상 종을 정확히 별하고 증거할 수 있는 자료를 제출할 것임.

<조류>

○ 재 국내에 서식하는 조류 도래 실태에 한 조사가 가장 미진한 부분이 해양성

조류이다.따라서 당해연도의 경우 해양성 조류에 을 두어 조사하 음.

○ 월동시기별 기와 기,말기 그리고 지역 으로는 동해안과 남해안의 지역을 심으

로 집 조사하 음.

○ 조사는 해상과 육상에서 실시하 으며,해상 조사의 경우 선박을 이용하여 육지에서

각 해안의 1~2마일 해상에서 남북으로 이동하며 찰되는 조류 조사하고,육상 조사

의 경우 해안선을 따라 이동하면서 육지에 가까이 근한 조류 조사하 음.

○ 정기 인 수거를 통해 표본을 확보하 고,겨울철 동해상에서는 많은 어망이 설치되어

이곳에 많은 해양성 조류가 걸려서 폐사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동해안 주요 항구를

정기 으로 순회하며 수거함과 동시에 해마다 겨울철이면 항구 주변에 쌓아둔 사체

가 쉽게 찰되므로 정기 으로 수거하여 표본 확보에 효과 인 방법을 용하 음.

○ 표본 제작은 수거한 표본의 경우 상태에 따라 외피를 벗긴 후 외피만을 보 하거나

는 외피 내부를 고형물로 채운 후 살아있을 때의 모습을 복원하는 방법 등 두 가

지 경우의 표본을 만들 계획이며,자원 에 제출용 표본은 각종별 는 개체별 가박

제 는 냉동표본 상태로 제출할 것임.

○ 실물 표본 확보가 어려운 종이나 개체는 사진이나 기타 종을 증명할 만한 증거품

Page 123: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8. 척추동물

- 117 -

는 그림 등 상 종을 정확히 별하고 증거할 수 있는 자료 제출할 것임.

<양서․ 충류>

○ 양서류 에서 유미류는 물이 흐르는 계곡 유속의 흐름이 완만한 곳을 찾아 작은

바 를 들추어 유생을 확인하거나,물이 고여 있는 작은 웅덩이에 산란한 알을 수집

하여 종을 확인하고,성체는 고지 의 활엽수림이 있는 음지쪽에 쓰러져 있는 고목을

들추거나,바 틈 등에서 확인하여 채집하 음.

○ 무미류는 등산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그 주변에 서식하는 개체를 확인하거나,바 틈

혹은 논과 농수로 그리고 습지 주변에서 포충망 등을 이용하고, 논이나 웅덩이에

서 발견된 개구리류 유생 동정에 어려움이 있는 개체는 10% 포르말린에 고정하여

실체 미경을 통하여 유생의 치열을 확인 후 동정하 음.

○ 야간에 무미류의 울음소리를 청취한 후 종을 식별하 음.

○ 충류 에서 장지뱀류는 묵정밭 주변,도로변과 등산로 주변의 햇볕이 잘 드는 곳에

쌓여 있는 돌을 들추어 확인.

○ 도마뱀류는 그늘지고 낙엽이 많이 쌓인 산림지역 내에서 낙엽이나 크고 작은 돌을 들

추어 확인.

○ 뱀류는 지 의 임연부 일 ,묵정밭,등산로 주변에서 확인하면서,추가 으로 뱀의

허물이 발견된 경우 표본을 제작하고 이를 동정하 음(강과 윤(1975),Jietal.,

(1987),MaedaandMatsui(1999),ZhaoandAdler(1993).

○ 양서류의 채집은 부분 쓰러진 고목이나,바 틈,기타 물가 주변에서 발견되는 개

체를 직 채집하 고, 충류의 경우 채집할 당시 얻어야 할 기 자료가 있음으로,

로 손으로 직 포획하지 않고,집게를 이용하여 채집하 음.

○ 채집 후,우선 으로 각 개체의 체온 측정,주변온도,날씨 등을 기록

○ 거북류의 경우 Trap을 이용하여 일몰 시간에 설치한 후,다음 날 새벽에 수거하 다.

○ 채집된 양서류는 1차 으로 마취제를 이용하여 마취를 한 후 포르말린 가스를 이용하

여 고정하 음.

○ 각 표본은 먼 10%포르말린에 완 히 고정한 후,이후 75% Ethanol로 치환하여 보

한 다음 이들을 제출함.

○ 표본 제출 용기는 불투명 라스틱 표본병 는 기타 용기 비닐팩에 넣어 라벨을

부착하여 제출한다.

<어류>

○ 담수어류 채집은 우리나라의 연안에 유입되는 여러 하천을 심으로 투망(망목 7×7

Page 124: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8. 척추동물

- 118 -

mm)족 (망목 4×4mm),정치망(망목 5×5mm),자망 등을 이용하여 채집을 실시하

음.

○ 정치망은 조사 지 별로 하나씩 설치하여 24시간 후에 수거하 음.

○ 채집된 어류는 장에서 동정한 후 일부는 방류하고,채집한 어류들은 장에서 사진

촬 하고 모든 표본은 10% 포르말린 용액에 고정하여 실험실로 운반 후에 자세히

조사하 음.

○ 해산어류의 채집은 연구자가 직 채집이 불가능하므로,우리나라의 연안 일 에서 소

형 선박을 가지고 어업에 종사하는 어민들의 조를 받아 채집하거나,일부 표본은

각 포구나 항구에 치하고 있는 선어 활어 어 장 는 어시장을 통하여 우리나

라 연안에서 조업한 것을 확인한 후 어류를 수집하 다.

○ 채집된 모든 표본의 종 동정은 Masuda etal.(1984),김(1997),김과 박(2002),

Nakabo(2002),김 등(2005)등의 방법을 참고하여 분류하고,어류의 종 목록 작성은

Nelson(1994)과 김 등(2005)의 방법을 따랐음.

○ 하천이나 어시장에서 수집한 표본은 장에서 10% 포르말린 용액에 완 히 고정시킨

후(약 일주일 이상),이들 표본에서 포르말린 용액을 세척한 다음 75% 에틸알콜에 다

시 재 고정하여 보 하 다.

○ 표본 보 은 투명 유리병을 많이 사용하나 여러 가지 단 이 많기 때문에 불투명

라스틱 4각통 는 불투명 원형 통을 이용하여 보 하 다.

○ 모든 어류 표본은 액침 표본으로 제작되며,처음 5~10% 포르말린 용액에 고정한 후

75% 에틸알코올로 치완하여 보 한 것을 실 물로 제출한다.

○ 표본에 한 라벨은 학명,과명,한국명,채집장소,채집일,표본번호 등을 기재하여 표

본 장을 정리하 다.

○ 표본 제출 표본 크기 제출 양에 많으므로 표본을 거즈로 쌓은 후 75% 에틸알콜을

약간 넣어 건조되지 않도록 포장한다.

○ 제출되는 어류의 표본들은 연구기간 동안 연구원별로 자원 에 업로드한 DB의 라벨

을 출력하여 각 표본 단 별로 포장할 때 부착하여 불투명 라스틱 사각통(10호)

에 넣어 표본 목록과 같이 국립생물자원 으로 제출된다.

(2)미기록 신종(후보)발굴

척추동물 분야에서 미기록종의 발굴은 각 분류군(포유류,조류, 충류,양서류,어류)을 채

집하여 동정하는 가운데 확인되는 것이 부분이다.특히 신종 후보 미기록종으로 정하는

것은 재 한국동물명집(1997)과 각 분류군에 해당되는 최근까지 발간된 각종 도감류 각종

Page 125: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8. 척추동물

- 119 -

학회,그리고 연구소에서 지 까지 신종이나 미기록종으로 기재 보고되지 않은 우리나라에서는

새로운 생물종으로써 각 분류군을 담당하고 있는 문연구원들의 단에 의하여 결정하 다.

마.연구 결과

사업 내용 목 표 결 과 달성률(%)

미기록 /신종(후보)발굴 18 18 100

표본 확보 2,200 2,296 104.4

(1)표본 생물재료 확보

당해연도 자생생물 조사 발굴 사업의 척추동물분야(포유류,조류, 충류,양서류,어류)에

한 생물표본 자료는 모두 6강 42목 160과 302속 432종 2,296 을 확보하여 3차년도의 계획을

104.4%완수하 다.이들 표본 에 포유류는 5목 9과 11속 13종 80 이었고,조류는 10목 24

과 31속 46종 190 , 충류는 1목 4과 7속 9종 44 ,양서류는 2목 5과 6속 11종 49 ,어류는

2강 24목 118과 247속 353종 1,933 이 확증 표본으로 확보되어 당해연도 목표를 104.4% 달성

하 다.척추동물의 분류군 에 확보된 표본의 비율 에 가장 높은 분류군은 어류로 체 표

본 에 약 84.2%를 차지하 고,다음으로는 조류가 8.3%,포유류가 3.5%,양서류가 2.1%,

충류가 1.9%의 순으로 나타났다.이들 표본 가운데 어류와 양서류, 충류는 거의 액침표본으

로 제작되었고,조류는 진박제 는 가박제로 제작된 것을 냉동상태 리되다가 제출하고,포

유류는 표본을 박제한 다음 육질은 알콜 액침표본을 제작하여 연구원이 직 자원 에 연구원

별로 직 제출한다.그러나 충류,양서류,어류의 표본은 포르말린 용액에서 에틸알콜로 치

환한 후 라벨을 부착하여 포장한 후 세부책임자가 수합하여 일 으로 국립생물자원 에 발

송한다.

Page 126: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8. 척추동물

- 120 -

당해연도 연구목표 연구사업 결과

표본 생물재료 확보 :총 2,200

- 상분류군

포유류,조류, 충류,양서류,어류

총 2,296 확보(목표의 104.4%)

-확증표본:2,200 -확증표본:2,296

1)포유류-80

;식충목 -13

;박쥐목 -15

;설치목 -48

;식육목 -3

;토끼목 -1

2)조 류 -190

;슴새목 -5

;황새목 -16

;매목 -1

;비둘기목 -1

; 랑새목 -1

;기러기목 -5

;두루미목 -1

;도요목 -14

;올빼미목 -2

;참새목 -144

3) 충류 :-44

;유린목 -44

4)양서류 -49

;유미목 -37

;무미목 -12

5)어류 -1,933

;먹장어목 -1

;흉상어목 -4

Page 127: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8. 척추동물

- 121 -

(계속)

당해연도 연구목표 연구사업 결과

-확증표본:2,200 ;돔발상어목 -1

;홍어목 -24

;뱀장어목 -28

;청어목 -127

;잉어목 -133

;메기목 -21

;바다빙어목 -11

;연어목 -3

;홍메치목 -6

;이악어목 -1

;첨치목 -11

; 구목 -7

;아귀목 -18

;숭어목 -40

;색 멸목 -2

;동갈치목 -39

; 돔목 -1

;달고기목 -17

;큰가시고기목 -9

;쏨뱅이목 -338

;농어목 -826

;가자미목 -179

;복어목 -86

(2)미기록 신종(후보)발굴

당해연도 자생생물 조사 발굴에서 미기록 신종 후보로 확인된 종은 모두 18종이 확인

되어 당 목표량의 100.0%를 달성하 다.이번에 새로 확인된 분류군 에서 신종후보로

측되는 분류군은 양서류의 유미목 도룡뇽과에 해당되는 Hynobiussp.로 남 고흥군 외나로도

에서 채집되었다.수컷의 경우 평균 48.3±3.3mm (41.0-53.0)이며,암컷의 경우 51.5±6.4mm

(37.4-56.9)이다. 다른 도롱뇽에 비해 난괴가 으로 존재하지 않고 1개만 존재하며,알은 500

Page 128: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8. 척추동물

- 122 -

원짜리 동 크기보다 약간 큰 편이다.난괴에 들어있는 알은 20개 내외로 다른 도룡뇽의 특징

과는 확연히 다르게 나타났다.

한편 이외의 17종의 미기록종으로는 모두 어류에서 확인되었는데,이 에 흉상어목의

흉상어과 어류 1종 Carcharhinusbrevipinna,뱀장어목의 바다뱀과에서 1종으로 Plsodonophis

cancrivonus,큰가시고기목의 실고기과에서 1종 즉 Syngnathoidesbiaculeatus가,이악어목의

투라치과에서 1종,Zucristatus,동갈치목의 학공치과에서 1종 즉 Hemiramphusfar,숭어목의

숭어과에서 1종 즉 Chelonmacrolepis,쏨뱅이목에서는 모두 4종이 확인되었는데,이 에 양

볼락과에서 3종 즉 Sebastescheni,Sebastessp.,Sebastesventriconus 고,쏨뱅이목의 도치

과에서 1종 즉 Lethotrimusawae 다.한편 농어목에서는 모두 5종이 확인되었는데,이 에 뿔

돔과에서 1종,Heteropriacanthuscruentatus,자리돔과에서 1종,Pomacentrusmolucensis,장

갱이과에서 1종,Eulophiastanneri,바리과에서 1종,Epinephelusmacropilos,홍갈치과에서 1

종,Acanthocepolaindica등이었고,가자미목에서는 가자미과 어류의 1종 즉 Pleuronectes

proboscideus,복어목의 참복과에서 1종 즉 Takifugusp.등으로 모두 18종의 미기록종이 이번

3차년도 조사에서 새로 확인되었다.그 결과 이번 3차년도 우리나라의 자생생물 조사 발굴에서

새로운 신종후보 는 미리록종으로 확인된 종은 모두 3강 11목 16과 18종으로써 앞으로 우리

나라에서 출 하는 척추동물로 각 분류군의 종 목록에 첨가하게 될 것이다.특히 재 양서류

의 유미목의 도룡뇽과에 해당되는 Hynobiussp.가 남 고흥군 외나로도에서 채집된 은 매

우 흥미로운 발견이며 앞으로 본 표본에 한 분류학 형질 분석 연구가 면 히 진행될 것이

다.

당해연도 연구목표 연구사업 결과

미기록/신종(후보)발굴:총 18종 미기록/신종(후보)발굴:총 18종

(17미기록종,1신종후보)

(목표의 100.0%)

미기록종 -17종

;흉상어목 -1종

;뱀장어목 -1종

;이악어목 -1종

;큰가시고기목 -1종

;동갈치목 -1종

;숭어목 -1종

;쏨뱅이목 -4종

Page 129: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8. 척추동물

- 123 -

(계속)

당해연도 연구목표 연구사업 결과

미기록/신종(후보)발굴:총 18종 ;농어목 -5종

;가자미목 -1종

;복어목 -1종

신종후보-1종

;유미목 --1종

(3)척추동물 자원의 생물학 논의

(가)Hynobiussp.의 신종후보

본 발굴 조사 결과 기존에 알려진 개체군과는 다른 미기록종 는 신종(후보)에 해당되

는 도롱뇽(양서류,유미류,도룡뇽과)을 확인할 수 있었다.이 도롱뇽은 남 고흥군 외나로도

그 인근지역에 서식하는 집단으로 다른 도롱뇽 집단에 비해 난괴의 크기 모양 난

(egg)의 수에서 다소 차이가 있으며,조사 결과 다른 집단에 비해 성체의 크기도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이 집단에 해서 추가 인 조사를 수행하여 미기록 신종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도롱뇽 외나로도 집단에 한 1차 으로 형태 유 자 분석 결과 다른 집단과 다

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그림 세부 6-1).

<그림 세부6-1>외나로도 집단에 한 1차 으로 형태 유 자 분석 결과

Page 130: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8. 척추동물

- 124 -

정 별분석결과,도롱뇽(1번),도롱뇽 외나로도 집단(2번),고리도롱뇽(3번),제주도로뇽

(4번)등 4집단에 해 비교한 결과,외나로도 집단과 고리도롱뇽의 형태 차이가 매우 유사

한 것으로 나타났으나,서구개치열의 모양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이며,유 자 분석 결과에서도

많은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 다.이 집단에 해서는 향후 지속 인 연구를 통해 신종

혹은 미기록종에 유무에 하여 단 할 정이다.

(나)멸종 기 희귀종

① 구 이 륙유 목이

이번 조사에서 확인된 멸종 기Ⅰ 인 구 이는 내륙에서 개체수가 매우 은 것으로 알

려져 있으나,상 으로 도서지역에서는 풍부하게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그림 세부

6-2).특히 다도해 지역(조도,소안도,청산도 등)의 여러 도서지역에서 자주 찰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하지만,청문조사 결과 기존 국내 집단의 서식은 물론, 국 등 국외지역에서 반

입된 개체도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따라서,이 지역에 서식하는 구 이 집단의 형태 유

자 분석 등을 통해 집단 특성을 악해야 할 것으로 단된다.

<그림 세부 6-2>멸종 기Ⅰ 구 이(촬 지:하조도)

그 외에 표본을 확보하지 못하 으나,개체수가 드물고,남부지역에서 찰되는 도마뱀

(=미끈도마뱀),실뱀, 륙유 목이 등도 지조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으며(그림 세부 6-3,

6-4),따라서 고유의 생태계를 유지하고 있는 도서지역에 한 철 한 조사 분석이 필요한

Page 131: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8. 척추동물

- 125 -

것으로 단된다.

<그림 세부 6-3> 륙유 목이(촬 지:거문도)

<그림 세부 6-4>도마뱀(촬 지:흑산도)

② 산양 NemorhaeduscaudatusMilne-Edwards,1867

우리나라의 산양 특성과 분포

산양(Naemorheduscaudatus)은 포유류강 우제목 소과의 동물로,소과의 조상형과 가장

유사한 원시 인 존 동물로써 재 세계 6종이 알려져 있으며(표 세부6-1),우리나라에

는 이 1종만 서식하고 있다.우리나라에서 서식하고 있는 산양은 외국산 산양과 달리 형

태학 으로 많은 차이가 있으며, 재 남한의 태백산 기에 분산되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재 산양은 환경부에서 멸종 기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가)한국산 산양의 형태학 특징

-국내 산양은 형태 으로 다른 유사종과 달리 안선이 없으며,겨울털은 회황갈색으로 머

리 부분은 짙은 황색이고 뺨은 흑색이며 목에는 백색의 큰 반 이 있다.

-산양의 몸은 염소와 비슷하지만 턱에 수염이 없고 몸통이 두껍다.

- 한 다리는 굵고 발은 끝이 뾰족하며 작아 산악 지 에 서식하기에 합하다.

Page 132: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8. 척추동물

- 126 -

-뿔은 암컷과 수컷 모두 가지고 있으며,길지 않고 활모양으로 뒤로 굽었으며 뿔의 부

분에는 고리모양의 두둑이 있다.

<표 세부 6-1> 세계에 서식하는 산양의 종과 분포

명 학 명 분 포

Goral Naemorhedus caudatus 한 , 러시아, 태 , 미얀마, 등

Himalaya Goral N. goral 말라야, 키스탄, 도, , 탄 등

Red Goral N. baileyi 티벳, , 미얀마, 도 등

Sumatran Goral N. sumatraensis 도, , 미얀마, 등

Serow N. crispus 본

Formosan Serow N. swinhoei 만

나)국내 산양의 서식 실태

-1900년 반 국 인 분포 서식 기록 있음

-1950~1960년 내린 폭설에 많은 개체수가 주민들에 의해 포획 당함

-1980년 비무장지 ,강원도 고성 고진동계곡에서 소수의 개체군 서식 확인

-1990년 설악산,강워도 양구 횡성,태박산,비무장지 등지에서 발견

- 재 국 산양의 분포는 환경부(2002)에서 실시한 국 산양 서식실태 조사 보고서

에 따르면 <그림 세부6-5>와 같다.

- 체 추정 600~700마리가 국 으로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으나,설악산,비

무장지 인 지역,양구 화천군,울진-삼척- 화군과 같은 4개 지역에서만 100

개체 이상이 서식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다)국내 복원 황 방향

-환경부의 멸종 기야생동․식물 증식․복원 종합계획에 의거 총 54종이 연차 으로

복원될 계획에 있으며,이 산양도 포함되어 재 복원 에 있다.

-월악산국립공원내 산양 복원사업은 과거 산림청에서 방사한 6개체가 자연 교배를

통해 10여 개체가 서식함을 확인하 다.

-하지만 지속 인 개체수 유지가 힘든 상황으로 2007년 양구-화천의 산양 10마리를 도

Page 133: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8. 척추동물

- 127 -

입 방사하여 지속 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그림 세부 6-6).

<그림 세부6-5> 국 인 산양의 분포도(환경부,2002)

(설악산,비무장지 인 지역,양구군,화천군,매 산,양양군 미천골,오 산,석병산,노추산,덕항

산,백운산,목우산,울진-삼척- 화군)

<그림 세부6-6>2008년 6.8일 촬 된 산양

Page 134: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8. 척추동물

- 128 -

(다)미기록 신종(후보)

척추동물 분야에서 이번 3차년도에 확인된 신종 후보 미기록종은 모두 18종으로 나

타났는데 이 에 1종이 양서류인 유미목의 도룡뇽과에 해당되는 Hynobiussp.가 신종 후보로

나타났고,나머지 17종은 어류에서 미기록종으로 확인되었다(표 세부 6-2). 재 이들 종들은

각 연구원들이 보다 면 한 조사 분석을 통하여 각 종에 한 분류학 치를 확증하기 하

여 연구원별로 면 히 분석하고 있으며,앞으로 이에 한 보다 체계 인 연구 발표가 있을 것

으로 기 된다.

<표 세부 6-2>3차년도 척추동물분야에서 확인된 한국산 신종 후보 미기록종

분류군 목 명 과 명 종 명 채집장소 비고

양서류 유미목 도룡뇽과 Hinobiussp.남 고흥군

외나로도신종후보

어류 흉상어목 흉상어과 Carcharhinusbrevipinna 경남 사천시 동동 미기록종

어류 뱀장어목 바다뱀과 Plsodonophiscancrivonus 경북 울진군 북면 미기록종

어류 이악어목 투라치과 Zucristatus 상 동 〃

어류 큰가시고기목 실고기과 Syngnathoidesbiaculeatus 경남 거제도 〃

어류 동갈치목 학공치과 Hemiramphusfar 제주도 서귀포 어 장 〃

어류 숭어목 숭어과 Chelonmacrolepis 부산 구 자갈치시장 〃

어류 쏨뱅이목 양볼락과 Sebastescheni 상 동 〃

어류 쏨뱅이목 양복락과 Sebastessp. 부산 송정 앞바다 〃

어류 쏨뱅이목 양볼락과 Sebastesvencricosus 경남 통 시 어시장 〃

어류 쏨뱅이목 도치과 Lethotremusawae남 진도군 조도면

육동〃

어류 농어목 뿔돔과 Heteropriacanthuscruentatus 재주도 서귀포 어 장 〃

어류 농어목 자리돔과 Pomacentrusmoluccensis 제주도 한경면 〃

어류 농어목 장갱이과 Eulophiastanneri 부산시 기장군 〃

어류 농어목 바리과 Epinephelusmacropilos 제주도 서귀포 어 장 〃

어류 농어목 홍갈치과 Acanthocepolaindica 경남 통 시 매물도 〃

어류 가자미목 가자미과 Pleuronetesproboscideus 경북 울진군 북면 〃

어류 복어목 참복과 Takifugusp. 제주도 서귀포 〃

11목 16과 18종

Page 135: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Ⅱ. 연 업 수행 내 결과 : 8. 척추동물

- 129 -

(4)논문,학술발표 도서출 등

(가)논문

박정호,유정화,이 모,김진구.2008.Firstrecordofabandfish,Acanthocepolaindica

(Cepolidae:Perciformes)from Korea.한국어류학회지,20:220-223.

고명훈,박종 .2008.Firstrecord ofZoarceselongatus (Perciformes:Zoarcidae)from

Korea.한국어류학회지.20:70-73.

김병기,정충훈,한경남.New recordworm eel,Muraenichthysgymnopterus(Anguilliformes:

Ophichthidae)from Korea.한국어류학회지,20:318-323.

Page 136: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자생생물 조 ㆍ 연 업 내 결과 : 1. 총

- 130 -

Ⅲ.1단계 자생생물 조사ㆍ발굴 연구사업 내용 결과

1.총 사업 :한반도 자생 생물자원 발굴․ 리

가.연구 결과

1단계 자생생물 조사ㆍ발굴 연구 사업에서는 한반도 자생생물을 심으로 2006년부터

2009년까지 국가 생물자원에 한 체계 인 발굴 조사를 수행하여 신분류군 미기록 생물종

자원을 집 발굴하여 새로운 유용 생물자원/유 자원을 다수 확보하 다. 한 자생 국가

생물자원 표본 기타 생물재료(생체,종자,조직,균주,DNA 등)를 체계 으로 확보하 으며,

주요 기록종을 탐색하여 그 분포와 실체를 확인하고 분류 동정을 한 확증표본 자료 시

스템을 구축하 다.1단계 연구 사업에서 확보 된 자생 주요 생물군의 국가 생물종 목록을

완성하 고,국가 생물자원 리 네트워크 구축을 통하여 생물자원 정보를 체계화함으로써 한

반도 생물자원의 보 ․ 리 기반을 확립하 다.

본 연구 사업 1단계 연구내용이 성공 으로 수행되었으며,그 결과 다음과 같은 주요

결과물들이 산출되었다.

1단계 연구사업 주요 결과물 (총 )

▸ 미기록 는 신분류군:2,836분류군 /3년 확보

▸ 확증표본 제작:244,758 /3년 확보

▸ 체계 으로 확보된 자생 생물재료(생체 조직):13,739 /3년 확보

▸ 체계 으로 확보된 G-DNA:1,538종 /2,886 /3년 확보

▸ 자생 주요 생물군의 국가 생물종 목록 분포 정보/분포도

▸ 자생 주요 생물군의 유 자/조직표본 은행 분류․유 특성 평가 정보

▸ 자생 주요 생물군 국가 생물종 목록 분포 DB,표본 생물재료 DB,멸종

기 야생 동․식물 DB등을 유기 으로 연계한 국가 생물자원 리 네트워크 구축

▸ 학술진흥재단 등재 이상의 학술지 논문 기재

Page 137: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자생생물 조 ㆍ 연 업 내 결과 : 1. 총

- 131 -

구분목표

결과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합계

미기록/신종(후보)발굴 (종) 800 800 700 2,300 2,836

표본 확보 ( ) 80,000 80,000 70,000 230,000 244,758

생물재료 확보(생체 조직)( ) 2,400 2,400 2,400 7,200 13,739

G-DNA 확보 (종/ ) 300/600 300/600 300/600900/1,8001,538/2,886

(1)총 표

(가)1차년도 총 표

구분 목표 분야별 목표 결과달성률

(%)

미기록/신분류군

신종 발굴

(종)

800

무척추Ⅰ(곤충) 200 200 100

무척추Ⅱ 160 160 100하등생물 240 745 310

하등식물 160 148 93

고등식물 20 8 40척추동물 20 15 75

소 계 800 1,276 120

표본 확보

( )80,000

무척추Ⅰ(곤충) 16,000 16,484 103

무척추Ⅱ 16,000 16,006 100하등생물 16,000 21,920 137

하등식물 16,000 16,376 102고등식물 13,500 15,554 115

척추동물 2,500 2,499 100

소 계 80,000 88,839 110

생물재료 확보

(생체 조직)

( )

2,400

무척추Ⅰ 500 533 107

무척추Ⅱ 500 1,166 233

하등생물 500 3,559 712

하등식물 500 946 189

고등식물 320 330 103

척추동물 80 80 100

소 계 2,400 6,614 276

G-DNA 확보

(종/ )300/600

무척추Ⅰ 60/120 72/221 120/184

무척추Ⅱ 60/120 60/122 100/102

하등생물 80/160 258/500 323/312하등식물 20/40 45/66 225/165

고등식물 60/120 94/195 157/163척추동물 20/40 46/46 230/115

소 계 300/600 575/1,150 192/192

Page 138: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자생생물 조 ㆍ 연 업 내 결과 : 1. 총

- 132 -

(나) 2차년도 총 표

구분 목표 분야별 목표 결과달성률

(%)

미기록/신분류군

신종 발굴

(종)

800

무척추Ⅰ(곤충) 200 207 103.5

무척추Ⅱ 160 161 100.6

하등생물 240 293 122.1

하등식물 160 159 99.4

고등식물 20 4 20.0

척추동물 20 20 100.0

소 계 800 844 105.5

표본 확보

( )80,000

무척추Ⅰ(곤충) 16,000 16,718 104.5

무척추Ⅱ 16,000 17,237 107.7

하등생물 16,000 16,587 103.7

하등식물 16,000 16,831 105.2

고등식물 13,500 14,794 109.6

척추동물 2,500 2,813 112.5

소 계 80,000 84,980 106.2

생물재료 확보

(생체 조직)

( )

2,400

유용 자생생물자원 조직

유 자 DB(총 )1,900 2,721 143.2

하등생물 500 1,183 236.6

소 계 2,400 3,904 162.7

G-DNA 확보

(종/ )300/600

유용 자생생물자원 조직

유 자 DB(총 )220/440 387/587 175.9/133.4

하등생물 80/160 130/163 162.5/101.9

소 계 300/600 517/750 172.3/125

Page 139: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자생생물 조 ㆍ 연 업 내 결과 : 1. 총

- 133 -

(다) 3차년도 총 표

구분 목표분야별 목표

결과달성률

(%)분야 당해연도

미기록/신분류군

신종 발굴

(종)

700

무척추Ⅰ(곤충) 175 175 100

무척추Ⅱ 140 140 100

하등생물 210 227 108

하등식물 140 153 109.3

고등식물 17 3 17.6

척추동물 18 18 100

소 계 700 716 102.3

표본 확보

( )70,000

무척추Ⅰ(곤충) 14,000 14,250 101.7

무척추Ⅱ 14,000 14,038 100.2

하등생물 14,000 14,148 101.1

하등식물 14,000 14,272 101.9

고등식물 11,800 11,935 106.2

척추동물 2,200 2,296 104.4

소 계 70,000 70,939 101.1

생물재료 확보

(생체 조직)

( )

2,400

유용 자생생물자원 조직

유 자 DB(총 )1,900 2,698 142

하등생물 500 514 102.8

소 계 2,400 3,212 133.8

G-DNA 확보

(종/ )300/600

유용 자생생물자원 조직

유 자 DB(총 )220/440 256/411 116/93

하등생물 80/160 190/575 237.5/359.4

소 계 300/600 446/986 148.7/164.3

Page 140: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자생생물 조 ㆍ 연 업 내 결과 : 1. 총

- 134 -

(2)연구 내용 결과

(가)1차년도 연구 내용 결과

1차년도 연구목표 연구사업 결과

생물재료의 통합 리 체계 구축

-확보된 표본 생물재료의 포

리․이용 지원 체계 구축

-한국 자생생물 자원 통합 리 시스템

;한반도 자생 생물자원 발굴․ 리를 한

DB서버 시스템

;공개(경쟁)입찰 3회 실시

; 로그램

․ ITIS기반 통합 인텔리 트 생물 DB

콤포 트 (개발완료)

․ Web기반의 인텔리 트 생물정보 입력

콤포 트 (개발완료)

․ Web기반의 자료 검색, 리 통계분석

콤포 트 (개발 완료)

․ 지리정보 GPS좌표 자동변환 콤포 트

(개발 완료)

․ 지리정보 로마자 자동 변환 콤포 트

(개발 완료)

․ 표 생물정보 포맷 환 콤포 트

(개발완료)

-표본 기타 생물재료 리

protocol작성

-세부분야별 표본 기타 생물재료의 제작/

리에 필요한 기본사항 작성 후 분야별 특성에

맞게 조정

;세부책임자 책임 아래 분야별 작성

2차년도 국립생물자원 으로 이

Page 141: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자생생물 조 ㆍ 연 업 내 결과 : 1. 총

- 135 -

(계속)

1차년도 연구목표 연구사업 결과

-표본 기타 생물재료 리

protocol작성

-세부분야별 표본 기타 생물재료의 제작/

리에 필요한 기본사항 작성 후 분야별 특성에

맞게 조정

;세부책임자 책임 아래 분야별 작성

-미기록/신종 발굴 기 마련

; 검회의(자문 원회) 제3차 운 원회

결정

1)1996년 환경부에서 발표한 “한국생물종

황”을 기본으로 하며,

2)국내․외 문학술지에서 발표된 문헌

한국 혹은 한국의 세부지명이 명기되었거나

충분한 분포 증거가 있는 종의 경우

3)단행본의 경우 분포기록과 종의 정확한 문

헌정보를 포함하는 Checklist이상의 자료

( ,한국동물명집,한국곤충명집 등)의 경우

4)환경부에서 운 리하고 있는 DB 는

국가 타 공공기 에서 운 리하고 있

는 DB등으로 제한

;본 연구에서 상기 미기록의 기 을 용할

경우 당해연도의 목표량 달성은 가능하나 2차

년도부터는 목표량을 실에 맞게 재조정 필

;특히 원핵생물의 경우 재 국내 database

를 바탕으로 미기록종,혹은 자생종 여부를

단할 수 없다고 생각되어 향후 3년 동안 국

내 균주의 발굴을 통해 새로운 database를 구

축할 정으로 재 사업단에서 시행하고 있

는 사업이 향후의 기 이 될 것으로 단

2차년도 국립생물자원 으로 이

Page 142: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자생생물 조 ㆍ 연 업 내 결과 : 1. 총

- 136 -

(계속)

1차년도 연구목표 연구사업 결과

-표본 생물재료 DB구축 -한국 자생생물 자원 통합 리 시스템

;ITIS기반 통합 인텔리 트 생물 DB콤포

트 (개발완료)

․ 표 화된 생물정보 DB시스템

․ 한국산 자생생물 자원 종 목록 포함

업데이트 가능

;Web기반의 인텔리 트 생물정보 입력 콤포

트 (개발완료)

․ Web을 통한 개별입력,일 입력,채집지

별입력 제공

․ 서버 리단 의 일 입력장치 제공

;Web기반의 자료 검색, 리 통계분석 콤

포 트 (개발 완료)

․ 보안이 강화된 사용자 리 제공

․ 리자별,분류군별 통계분석 제공

자생 주요 생물자원 확증표본 자료

시스템 구축

-자생 주요 생물자원 확증표본

자료 확보

-세부책임자 책임 아래 세부분야별 조사․발굴

수행

-확증표본 DB시스템 구축 -한국 자생생물 자원 통합 리 시스템

;지리정보 GPS좌표 자동변환 콤포 트 (개

발 완료)

․ GIS정보 시스템을 한 국내지리정보

포함

․ 자동으로 GPS정보값을 출력하여 DB에

할당

;지리정보 로마자 자동 변환 콤포 트 (개발

완료)

․ 한국 행정 지리명 세부명의 로마자

자동 변환시스템

․ 문화 부 고시 제 2000-8호 규정 수

2차년도 국립생물자원 으로 이

Page 143: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자생생물 조 ㆍ 연 업 내 결과 : 1. 총

- 137 -

(계속)

1차년도 연구목표 연구사업 결과

국가 생물자원 리 네트워크 구축

-자생 주요 생물자원 리 정보체계

구축을 한 로그램 개발

-한국 자생생물 자원 통합 리 시스템

;표 생물정보 포맷 환 콤포 트

(개발완료)

․ TDWG에서 인증된 다양한 생물정보

포맷 ABCD,SDD,TCS,GeoCASE,

DC2,NCD등과 상호변환가능

-DB자료 입력 -한국 자생생물 자원 통합 리 시스템

;Web기반의 인텔리 트 생물정보 입력

콤포 트 (개발완료)

;한반도 자생생물 자원에 한 카테고리

별 분류 목록 자료 확보 (2006년

재 27,000여종 이상)

;지속 인 업데이트 가능

홈페이지 제작

-자생생물 조사․발굴 연구사업단

;IBRK.or.kr등록

(InventoriesofBiologicalResources

from Korea)

-한국 자생생물 자원 통합 리 시스템

;IBRKDB.or.kr등록

2차년도 국립생물자원 으로 이

Page 144: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자생생물 조 ㆍ 연 업 내 결과 : 1. 총

- 138 -

(나)2차년도 연구 내용 결과

사업 내용 목 표 결과 달성률(%)

생물재료(생체 조직)확보 1,900 2,721 143.2

G-DNA확보 220종/440 387종/587 175.9/133.4

1)생물재료 (생체 조직)확보

2차년도 연구목표 연구사업 결과

생물재료(생체 조직)확보 :

총 1,900

- 상분류군

;본 과제에서 확보된 표본 기타 생물

재료(표 1-1,그림 1-1)

총 2,721 확보

(목표의 143.2%)

-생물재료(생체 조직)의 체계 인 확보

:1,900 (표 1-1,그림 1-1)

-무척추동물Ⅰ(곤충)총 786

;딱정벌 목 264 ,

;벌목 :58

;메뚜기목 :49

; 리목 :7

;노린재목 :5

;매미목 :402

;집게벌 목 :1

-무척추동물Ⅱ 총 785

;선형동물문 291

; 지동물문 36

;연체동물문 452

;환형동물문 3

;극피동물문 3

Page 145: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자생생물 조 ㆍ 연 업 내 결과 : 1. 총

- 139 -

(계속)

2차년도 연구목표 연구사업 결과

-생물재료(생체 조직)의 체계 인 확보

:1,900

-하등식물 총 304

;고등균류 :25

;해조류 :76

;담수 녹조류 :114

;해산 규조류 :89

-고등식물 총 719

;양치식물 :72

;나자식물 :9

;단자엽식물 :42

; 자엽식물 :596

-척추동물 총 127

;잉어목 :18

;메기목 :1

;숭어목 :12

;농어목 :64

;달고기목 :2

;아귀목 :3

;청어목 :1

;쏨뱅이목 :13

;가자미목 :5

;복어목 :8

<표 1-1>생물재료(생체 조직)확보 황 목록 작성 양식

순표본

번호

채집

번호

채집

날짜목명 과명 학명 국명 부

증거

자료연구자

계 목 과 종

Page 146: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자생생물 조 ㆍ 연 업 내 결과 : 1. 총

- 140 -

<그림 1-1>생물재료(생체 조직)증거자료 ‘작성 ’

1. Myrmica cadusa Kim & Park (항아 뿔개미)

2002.Ⅷ.09 계룡 (충남 공주) (20050809-007)

2)G-DNA 확보

2차년도 연구목표 연구사업 결과

G-DNA 확보 :총 220종/440

- 상분류군

;본 과제에서 확보된 표본 기타 생물

재료(표 1-2,그림 1-2)

총 387종/587 확보

(목표의 175.9%/133.4%)

-G-DNA:총 220종/440 확보 -무척추동물Ⅰ(곤충)122종/228

;딱정벌 목 :32종/60

;벌목 :10종/18

;메뚜기목 :16종/32

;노린재목 :7종/9

;매미목 :43종/84

;풀잠자리목 :4종/8

Page 147: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자생생물 조 ㆍ 연 업 내 결과 : 1. 총

- 141 -

(계속)

2차년도 연구목표 연구사업 결과

-G-DNA:총 220종/440 확보 ;나비목 :2종/2

;날도래목 :2종/4

;하루살이목 :2종/3

;사마귀목 :1종/2

; 리목 :1종/2

;집게벌 목 :2종/4

-무척추동물Ⅱ 총 80종 160

;선형동물문 :11종/22

; 지동물문 :18종/36

;연체동물문 :49종/98

;환형동물문 :1종/2

;극피동물문 :1종/2

-하등식물 총 20종 20

;담수산 녹조류 :10종/10

;해산 규조류 :10종/10

-고등식물 총 152종 155

;양치식물 :18종/18

;나자식물 :2종/2

;단자엽식물 :16종/16

; 자엽식물 :116종/119

-척추동물 총 13종 24

;농어목 :5종/9

;잉어목 :6종/11

;숭어목 :1종/2

;메기목 :1종/2

Page 148: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자생생물 조 ㆍ 연 업 내 결과 : 1. 총

- 142 -

<표 1-2>G-DNA확보 황 목록 작성 양식

순 목명 과명 학명 국명 확보 수 연구자

계 목 과 종

<그림 1-2>G-DNA 황 카드 ‘작성 ’

Page 149: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자생생물 조 ㆍ 연 업 내 결과 : 1. 총

- 143 -

(다)3차년도 연구 내용

사업 내용 목 표 결과 달성률(%)

생물재료(생체 조직)확보 1,900 2,698 142

G-DNA확보 220종/440 256종/411 116.4/93.4

(1)생물재료 (생체 조직)확보

당해연도 연구목표 연구사업 결과

생물재료(생체 조직)확보:

총 1,900

- 상분류군

;본 과제에서 확보된 표본 기타 생물

재료

총 2,698 확보 (목표의 142%)

-생물재료(생체 조직)의 체계 인 확보

:1,900

-무척추동물Ⅰ(곤충)총 600

;벌목 :210

;나비목 :221

;메뚜기목 :25

; 리목 :50

;잠자리목 :10

;사마귀목 :1

;집게벌 목 :2

;노린재목 :21

;매미목 :23

;풀잠자리목 :2

;딱정벌 목 :35

Page 150: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자생생물 조 ㆍ 연 업 내 결과 : 1. 총

- 144 -

(계속)

당해연도 연구목표 연구사업 결과

-생물재료(생체 조직)의 체계 인 확보

:1,900

-무척추동물Ⅱ 총 603

;극피동물 :13

;성구동물 :4

;연체동물 :147

;자포동물 :5

; 지동물 :424

;태형동물 :1

;해면동물 :8

;환형동물 :1

-하등생물 총 250

;주름버섯목 :41

;민주름버섯목 :190

;목이목 :2

;묽은목이 :1

;고무버섯목 :1

;말불버섯목 :2

;찻잔버섯목 :1

;어리알버섯목 :1

;콩버섯목 :10

;말뚝버섯목 :1

-하등식물 총 150

;Striatella속 :4

;Stephanopyxis속 :2

;Odontella속 :4

;Navicula속 :5

;Licmophora속 :81

;Melosira속 :2

;Grammatophora속 :4

;Fragilaria속 :27

Page 151: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자생생물 조 ㆍ 연 업 내 결과 : 1. 총

- 145 -

(계속)

당해연도 연구목표 연구사업 결과

-생물재료(생체 조직)의 체계 인 확보

:1,900

;Ditylum 속 :1

;Diatoma속 :6

;Cylindrotheca속 :5

;Bacillaria속 :4

;Cocconeis속 :1

;Achnanthes속 :4

-고등식물 총 927

;양치식물 :242

;나자식물 :2

;단자엽식물 :324

; 자엽식물 :359

-척추동물 총 168

;뱀장어목 :3

;청어목 :21

;잉어목 :40

;달고기목 :6

;쏨뱅이목 :18

;농어목 :70

;가자미목 :6

;복어목 :4

Page 152: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자생생물 조 ㆍ 연 업 내 결과 : 1. 총

- 146 -

(2)G-DNA 확보

당해연도 연구목표 연구사업 결과

-G-DNA 확보 :총 220종/440

- 상분류군

;본 과제에서 확보된 표본 기타

생물재료

총 256종/411 확보

(목표의 116/93%)

-G-DNA:총 220종/440 -무척추동물Ⅰ(곤충)총 40종/80

;메뚜기목 :3종/6

;벌목 :15종/30

;잠자리목 :1종/2

;사마귀목 :1종/2

;노린재목 :1종/2

;매미목 :1종/2

;딱정벌 목 :2종/4

;나비목 :16종/32

-무척추동물Ⅱ 총 40종/80

;극피동물 :2종/4

;연체동물 :7종/14

;자포동물 :1종/2

; 지동물 :26종/52

;해면동물 :3종/6

;환형동물 :1종/2

-하등생물 총 35종/41

;주름버섯목 :9종/11

;민주름버섯목 :22종/26

;고무버섯목 :1종/1

;말불버섯목 :1종/1

;콩버섯목 :2종/2

-하등식물 총 20종/40

;Thalassiosira속 :3종/3

;Striatella속 :2종/2

;Stephanopyxis속 :1종/1

Page 153: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자생생물 조 ㆍ 연 업 내 결과 : 1. 총

- 147 -

(계속)

당해연도 연구목표 연구사업 결과

-G-DNA:총 220종/440 ;Skeletonema속 :1종/1

;Odontella속 :1종/1

;Nitzschia속 :2종/2

;Licmophora속 :5종/25

;Eucampia속 :1종/1

;Cylindrotheca속 :2종/2

;Chaetoceros속:2종/2

-고등식물 총 99종/126

;양치식물 :19종/34

;단자엽식물 :6종/7

; 자엽식물 :74종/85

-척추동물 총 22종/44

;청어목 :3종/6

;잉어목 :3종/6

;쏨뱅이목 :6종/12

;농어목 :8종/16

;가자미목 :2종/4

Page 154: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2. 무척추동물Ⅰ(곤충)

- 148 -

구분목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합계

미기록/신종(후보)발굴 (종) 200 200 175 575

표본 확보 ( ) 16,000 16,000 14,000 46,000

생물재료 확보(생체 조직)( ) 500 - - 500

G-DNA 확보 (종/ ) 60/120 - - 60/120

2.자생 무척추동물Ⅰ (곤충)자원 조사․발굴

가.최종 목표

상분류군 :한반도 자생 무척추동물I(곤충)자원

▶ 미기록/신종(후보)발굴 :575종 /3년

▶ 확증표본 제작 :46,000 /3년

▶ 생물재료(생체 조직)의 체계 확보 :500 /1년

▶ G-DNA확보 :60종 /120 /1년

자생생물 주요 분류군의 종목록,분포도 작성 유용 생물 유 자 자원의 확보

나.연차별 연구 범

사업년도 연구 범

2006

톡토기목,집게벌 목,메뚜기목,노린재목,매미목,딱정벌 목,나비목, 리목,

벌목,하루살이목,뱀잠자리목,흰개미붙이목,귀뚜라미붙이목,흰개미목,

약 벌 목, 들이목, 벌 목,강도래목 등

2007

톡토기목,집게벌 목,메뚜기목,노린재목,매미목,딱정벌 목,나비목, 리목,

벌목,하루살이목,뱀잠자리목,흰개미붙이목,귀뚜라미붙이목,흰개미목,

약 벌 목, 들이목, 벌 목,강도래목 등

2008

톡토기목,집게벌 목,메뚜기목,노린재목,매미목,딱정벌 목,나비목, 리목,

벌목,하루살이목,뱀잠자리목,흰개미붙이목,귀뚜라미붙이목,흰개미목,

약 벌 목, 들이목, 벌 목,강도래목 등

Page 155: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2. 무척추동물Ⅰ(곤충)

- 149 -

다.연차별 연구 결과

연구내용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합계

미기록/신종(후보)발굴 200 207 175 582

표본 확보 16,484 16,718 14,250 47,452

생물재료(생체 조직)확보 533 - - 533

G-DNA확보 72/221 - - 72/221

(1)표본 생물재료 확보

(가)1차년도

2006년 6월부터 2007년 3월까지 본 연구 기간 한반도 분포 곤충자원에 한 채집조사

활동을 수행한 결과,1차년도 표본 확보량은 강도래목 4과 8속 8종 129 ,나비목 31과 329속

438종 3,602 ,날도래목 8과 11속 20종 435 ,노린재목 22과 73속 85종 1,081 ,딱정벌 목

52과 296속 424종 5,224 ,매미목 6과 8속 8종 105 ,메뚜기목 9과 48속 54종 1,511 ,바퀴목

1과 1속 2종 63 ,뱀잠자리목 1과 1속 1종 10 ,벌목 6과 30속 46종 2,221 ,사마귀목 1과 2

속 3종 38 ,잠자리목 5과 11속 16종 100 ,집게벌 목 3과 3속 3종 106 , 리목 13과 41속

49종 718 ,하루살이목 8과 23속 41종 1,141 이 확인되었으며,총 170과 885속 1,198종 16,484

(1차년도 목표의 103%)의 표본이 확보되었으며 일 입력형식에 입력되고 정리되었다.이들

은 건조표본 13,516 ,액침표본 2,968 으로 제작․보 되어 있으며,이로부터 기록종 1,198종

의 분포 여부를 확인함과 동시에 분류 동정을 한 확증표본을 제작 완료하 다.

(나)2차년도

2007년 6월부터 2008년 3월까지 본 연구 기간 한반도 분포 무척추동물자원 곤충강

에 한 채집조사 활동을 수행한 결과,확보된 표본의 수는 강도래목 5과 9속 11종 190 ,나

비목 20과 202속 243종 1,008 ,날도래목 10과 11속 17종 446 ,노린재목 23과 76속 89종

2,774 , 벌 목 2과 2속 2종 6 ,딱정벌 목 38과 157속 193종 4,252 ,매미목 5과 23속 66

Page 156: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2. 무척추동물Ⅰ(곤충)

- 150 -

종 1,237 ,메뚜기목 9과 37속 42종 1,382 , 들이목 1과 1속 1종 4 ,바퀴목 1과 1속 2종

44 ,벌목 13과 59속 77종 2,088 ,사마귀목 1과 3속 4종 50 ,잠자리목 6과 12속 17종 151

,집게벌 목 2과 3속 3종 87 ,총채벌 목 2과 17속 29종 1,001 ,톡토기목 3과 3속 3종

27 , 리목 14과 36속 40종 744 ,풀잠자리목 3과 5속 5종 24 ,하루살이목 9과 23속 38종

1,113 ,흰개미목 1과 1속 1종 90 등으로 총 20목 168과 681속 883종 16,718 (2차년도 목표

의 104.5%)의 표본이 확보되었으며 이를 국가생물자원입력시스템에 입력하 다.연구 계획서에

포함되었던 분류군 계획된 목 흰개미붙이목은 국 각 지역에 걸쳐 채집을 실시하 으

며,국내 여러 곤충 소장 기 의 소장표본들을 조사하 지만 확보할 수 없었다.이와 같은 결

과 흰개미붙이목에 속하는 종들이 부분 열 와 아열 에 분포하고,국내에서 기록된 1종의

채집지가 서울시 소재 온실인 등으로 미루어,기주식물인 남미 원산의 Pachiraaquatica

A.가 국내 도입될 당시에 일시 으로 국내에 함께 도입된 종 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므로,

추가 이 연구를 통하여 자생종의 진 가 확인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흰개미붙이목을 제외하고 총 20목에 속하는 곤충류의 표본을 확보하 는데 이들은

건조표본 12,387 ,액침표본 2,247 ,슬라이드 표본 2,000 기타 84 으로 제작․보 되어 있

다. 이로부터 기록종 883종의 분포 여부를 확인함과 동시에 분류 동정을 한 확증표본을 제

작 완료하 다.

(다)3차년도

2008년 6월부터 2009년 3월까지 본 연구 기간 국내에 분포하는 곤충자원에 한 채집

조사를 수행한 결과 확보된 생물재료는 총 14,250 (3차년도 목표의 101.7% 달성)으로 이들

개체 크기가 매우 미소한 진딧물류는 슬라이드 표본(1,200 )으로 제작하 으며,수서곤충 등

다소 연약하거나 미소한 분류군 2,450 은 액침표본으로,나머지 10,600 은 건조표본으로 제작

하 다.

분류군별 확보 황을 살펴보면 강도래목 5과 10속 11종 283 ,나비목 7과 21속 26종 278

,날도래목 8과 10속 23종 432 ,노린재목 23과 91속 113종 3,001 , 벌 목 2과 2속 2종

6 ,딱정벌 목 49과 184속 220종 4,965 ,매미목 11과 40속 78종 1,396 ,메뚜기목 10과 36

속 43종 1,014 , 들이목 1과 1속 1종 7 ,바퀴목 1과 1속 2종 39 ,벌목 10과 33속 49종

136 ,사마귀목 1과 3속 4종 24 ,잠자리목 6과 16속 22종 279 ,집게벌 목 3과 4속 5종

125 ,톡토기목 2과 2속 2종 22 , 리목 12과 42속 53종 851 ,풀잠자리목 4과 4속 4종 11

,하루살이목 6과 20속 37종 1,381 으로 3차년도 목표로 한 분류군 총채벌 목과 흰개목

Page 157: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2. 무척추동물Ⅰ(곤충)

- 151 -

을 제외하고 총 18목 161과 520속 695종 14,250 (101.7%)을 확보하 다.이는 표본의 운송 도

손 등을 고려하여 3차년도 목표인 14,000 을 과 달성한 것이다.확보한 표본에 한

채집정보 동정정보는 국가생물자원 입력시스템에 입력하 다.

(2)미기록 신종(후보)발굴

(가)1차년도

본 발굴 조사 결과,신종 38종,신아종후보 3종,미기록종 159종으로 총 200종(1차년도 목

표의 100%)을 발굴하 다.발굴된 신종은 강도래목 ScopuragayaJinandBae외 2종, 날도

래목 GoerajsewoniParkandBae외 1종,딱정벌 목 Hatchianan.sp.외 7종,메뚜기목

Anapidisman.sp.외 5종,벌목 StauropoctonusnigrithoraxLee& Kim 2002외 7종, 리목

Conchapelopian.sp.외 7종,풀잠자리목 Chryoperlan.sp.,하루살이목 CaenismoeHwang

andBae외 1종,총 8목에서 38종이 새로이 추가 기록되었다. 한,딱정벌 목 신아종후보

Carabusnitididorsusssp,Damasterjankowskiissp.1,Damasterjankowskiissp.2의 신아종이

추가 기록되었다.

아울러 발굴된 미기록 분류군들은 나비목 Anthophila  fabriciana(Linnaeus,1767)외 37

종,날도래목 HydropsychekozhantshikoviMartynov외 6종,노린재목 Paromiussp.외 9종,

딱정벌 목 Callosobruchusademptus(Sharp)외 40종,메뚜기목 Velarifictoussp.외 3종,벌

목 HomotherusvaripesGravenhorst,1829외 34종,집게벌 목 Anisolabissp.외 1종, 리

목 Conchapelopia quatuormaculata Fittkau 외 12종,하루살이목 Nigrobaetis acinaciger

Kluge외 8종,총 11목에서 200종이 새로이 추가 기록되었다.

딱정벌 목은 각각 8신종 41미기록종을 발견하 으며 이 병 벌 과(Cantharidae)의 경

우,최근 많은 연구가 있어왔으나,여 히 새로운 종들이 발견되고 있는 분류군이다.이는 병

벌 과 자체가 병 벌 상과(Cantharoidea)내에서 주요 분류군이기 때문이며,이런 이유로 앞

으로도 더 많은 종들이 발견될 것이 기 되는 분류군이다. 한 뿔벌 과(Anthicidae),콩바구

미과(Bruchiidae),개미붙이과(Cleridae),알꽃벼룩과(Helodidae),의병벌 과(Melyridae),애버섯

벌 과(Mycetophagidae), 빠진벌 과(Nitidulidae),거 리과(Tenebrionidae)는 모두 국내에

문가가 없거나 있어도 연구 활동이 미비한 분류군으로 이들 분류군에 한 연구가 진행된다

면,앞으로 신종 미기록종이 확인될 요소가 많을 것으로 사료된다.

나비목은 38미기록종을 발견되었는데 명나방과(Pyralidae)는 외부형태와 날개무늬가 유사

Page 158: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2. 무척추동물Ⅰ(곤충)

- 152 -

한 종이 많아 문가에 의해서 동정된 표본과 직 비교하거나 암수생식기의 해부를 하여 동

정하여야 하는 종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장 용에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다. 한 생활양식

이 다양하여 수목,과수,채소류,화훼류,약용식물 등 작물과 산림생태계의 요해충으로 경제

으로 요한 종이 다수 포함되어 있는 그룹이다.Alucitidae(깃털나방과)는 그 동안 한반도

에서 알려지지 않았던 과로 2006년 변 규 박사에 의해 처음 기록되었다.이 과는 재 3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 Ptertopteryxspilodesma(Meyrick)얼룩깃털나방은 한

반도 남부지방에만 분포하고 있다.출 시기는 7월과 9월과 2회이다.이 종을 포함한 깃털나방

과의 종은 모두 날개가 시맥을 따라 나 어져 있으며 띠 모양이 매우 화려한 나방이다.

리목에서는 기생 리과에 속하는 Pseudogoniarufifrons(Wiedemann,1830)는 국내에서

처음 발견되었다.이 속에 속한 종들은 식물을 가해하는 불나방과 (Arctiidae,Lepidoptera),밤

나방과 (Noctuidae,Lepidoptera)등에 기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따라서 포식성 천 으로

서 앞으로 농업경제 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이 종은 subcosmopolitan종

으로서 역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우리나라에서는 이번에 처음 기록된다.

본 조사연구에서 새로이 발견한 민날개강도래과(Scopuridae)의 3신종(Scopuragaya,S.

scorea,S.jiri)은 세계 인 희귀종으로 그 과에는 일본에 4종과 한국에 1종만이 알려졌으나

번의 연구에서 3종의 신종이 추가되었다.이 과의 종은 성충의 날개가 퇴화된 특이한 진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번에 발견된 고산지 의 발원지 하천에만 서식하는 극히 제한된 분포양상

을 나타낸다.따라서 민날개강도래과의 국내 자생종 4종을 멸종 기종으로 지정할 것을 건의한

다.

고유종이란 지리 으로 한정된 지역에만 분포하여 서식하는 생물 분류군으로 우리나라의

주권이 미치는 토를 포 으로 용하는 지리 개념에서 한민국 내에서만 자연 으로

서식하는 모든 생물 분류군이다.1992년에 발표된 생물다양성 약은 자국 내에 서식하는 생물

자원에 한 주권 권리를 인정하되,가입국에 해 자국 생물종의 자세한 목록 주기 인

감시 체계를 의무화하고 있다.특히 고유종은 자생 생물 에서 특정 지역 내에서만 분포하는

생물종으로 정의되기 때문에 고유종은 장차 국가 고유의 생물 주권 확립의 핵심요소로서 우선

보호 리 상이 되어야 하고,이들에 한 명확한 분류학 실체 동태 악을 실행

하여,이에 한 구체 인 자료를 구축하는 것은 외 으로 이들 생물종의 주권국임을 공식

으로 선언하는 것이다(2005,환경부).

본 조사 결과 밤나방과 탐시버짐나방(TrisuloidestamsiPark)1종이 한반도 고유종에 속

한다. 탐시버짐나방(TrisuloidestamsiPark)의 날개편길이는 20~22mm 이다.더듬이는 정상

Page 159: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2. 무척추동물Ⅰ(곤충)

- 153 -

부에서 거의 이 빗살무늬이고 각각 마디에 1 의 강모가 있다.머리는 덜 착된 회색빛의

털로 덮여 있고 가슴은 길고 거친 털을 가지고 있는 연한 갈색이다.

자나방과 물결자나방아과에 속하는 Trichopteryx속의 5종이 본 연구를 통하여 한반도에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이들 종은 TrichopteryxincertaYazaki,T.inoueiHashimoto,

T.polycommata(DenisandSchiffermuller),T.ussurica(Wehrli),T.ustata(Christoph)이다.

이들 모두 이른 에 출 하는 종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출 시기 등이 변화할 것으로 상되

어 지표종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 Trichopteryx 속과 유연 계가 가까운

Trichopterigia속의 1종인 T.costipunctariaLeech도 본 연구에서 한반도 남부지방에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 다.이 종 한 3월에 출 하는 종으로 환경지표종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나)2차년도

자생 곤충을 상으로 한 발굴 조사 결과,신종 34종과 미기록종 173종을 포함하여 총 207

종(2차년도 목표의 103.5%)이 새롭게 발굴 되었다.본 연구결과 발굴된 신종을 살펴보면 노린

재목의 Aphis(Aphis)veroniciphaga,Kim etLee,2006 외 7종,딱정벌 목의 Carabus

stermberginsp.외 10종,벌목의 Kleidotomansp.1외 8종, 리목의 Adapsiliahispida외 5

종 등 총 4목에서 34종이 새로이 추가 기록되었다.

아울러 연구결과 발굴된 미기록 분류군들은 강도래목의 Kathroperlasp.외 4종,귀뚜라미

붙이목의 Galloisianasp.,나비목의 MelittiainoueiArita& Yata,1987외 12종,날도래목의

Tinodessp.,노린재목의 Aphis(Aphis)fabaeScopoli,1763외 31종,딱정벌 목의 Pteroloma

koebeleiVonDyke,1928외 49종,벌목의 Aoplusrufulus(Uchida,1925)외 35종,총채벌 목

의 HaplothripsnipponicusOkajima,2006외 8종, 리목의 Polypedilum sp.외 17종,풀잠자

리목의 Hemerobiidaesp.1외 1종,하루살이목의 Torleyasp.외 5종 등 총 11목에서 173종이

새로이 추가 기록되었다. 이 특이 사항으로는 첫째 세계 으로 희귀 분류군으로 알려져

있는 귀뚜라미붙이목에 속하는 갈로아벌 의 일종인 Galloisianasp.의 표본이 확보되었으며,

둘째,벌목에서는 신종 9종과 미기록종 36종 등 많은 수의 자생종들이 새로이 발굴되었고 이들

에는 특히 재까지 국내에 미기록으로 남아있던 상과인 Stephanidea 상과의 1종인

Schlettereriussp.와 국내 미기록과 던 Aulacidae과의 PristaulacusintermediusUchida,1932

의 국내분포가 밝 짐으로써 국내 미기록 상 분류군에서의 새로운 추가가 이루어졌다.

귀뚜라미붙이목에 속하는 Galloisianasp.는 몸이 가늘고 다소 납작하며 체로 연하고 창

백하다.귀뚜라미붙이목은 유충 시기가 매우 길며 성충의 수명은 상 으로 짧다.바퀴, 벌

Page 160: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2. 무척추동물Ⅰ(곤충)

- 154 -

와 가까우며 원시 인 메뚜기형 곤충의 모습을 하고 있다. 세계 으로 1과 약 25종 이상이

기록되었으며 한국에는 1과 6종 이상이 분포하지만 고산 지 숲속의 습한 바닥,썩은 나무

,빙하의 가장자리처럼 추운 곳,낙엽과 돌 , 한 빛이 없는 동굴 속에서 주로 발견되기

때문에 표본확보에 어려움이 있었다.

노린재목 진딧물하목 진딧물과에 속하는 Neomacromyzuscyrtomicola,Lee2006는 2002

년 제주도 성산일출 부근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어 신속,신종으로 기재되었다. 생김새가 매

우 특이한 종으로 진딧물아과 수염진딧물족(tribeMacrosiphini)내에서도 이와 비슷한 유사종

이 없다.본 종은 세계 으로 제주도에만 자생하는 고유종으로 서식처 한 특이하여 화산

재로 생긴 무암 지 의 음지에 자생하는 도깨비고비(Cyrtomium falcatum (L.)Presl.)만을

기주로 삼는데 그 수가 매우 고 서식처가 드물어 발견하기 힘든 희귀종이다.

형태 으로 몸길이 1.0-1.5mm로 진딧물아과 내에서 매우 작은 편에 속한다.몸 표면은

검은색에 가까운 짙은 청색을 띄며 각 부속지에 해당하는 더듬이,다리,털,뿔 등이 투명하

게 찰되는 것이 특징이다. 슬라이드 표본 상에서 찰하면 머리 등면은 작은 돌기가 나 있

으며,더듬이혹이 발달하여 안쪽으로 약간 휘어져 있다. 등면 쪽과 측면에 난 털은 곤 형

으로 끝이 납작하고,가슴과 복부 등면의 털 기부는 모두 볼록하게 튀어나와 있다.뿔 뒤쪽

의 등 은 울퉁불퉁한 돌기가 더욱 강하게 나타난다.아직 까지 생활사,기주이동에 한 정확

한 생태는 밝 진 바 없다.

PristaulacusintermediusUchida,1932은 Aulacidae과에 속하며 세계에 리 분포하여

13속 약 150여종이 재까지 보고되어 있다.주로 목질부에 구멍을 뚫는 딱정벌 와 잎벌아목

의 Xyphydriidae과에 기생한다.북미와 유럽에서 다수의 종이 보고 되었으나,우리나라에서는

본 연구를 통하여 처음 기록되어지는 분류군이다.체형은 보통 가늘고 propleura가 길어서 마

치 목처럼 보이는 특징이 있다.

Schlettereriussp.은 Stephanidae과에 속하며 부분의 종들이 형 수목천공성 딱정벌

에 기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송곳벌에 기생하는 종도 기록되어 있다.9속 100여종이 보

고되어 있으며 부분이 열 에 분포한다.머리는 공모양으로 가운데 홑 주변에 몇 개의 치

상가시를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본 종이 속하는 Stephanoidea상과가 본 연구를 통하여 우리

나라에서 처음으로 기록되었다.

Celebarchessp.에 속하는 속은 세계 3종으로 아주 귀한 표본으로 인도,인도네시아,일본

에서 각각 한 종씩 보고 되어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문가에 의해서 수년간 조사,연구 끝에

단 4개체만이 발견된 속이다.

Page 161: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2. 무척추동물Ⅰ(곤충)

- 155 -

(다)3차년도

자생 곤충을 상으로 한 발굴 조사 결과,신종 17종,미기록종 157종,신아종 1종을 포함

하여 총 175종(3차년도 목표의 100%)이 새롭게 발굴 되었다.본 연구결과 발굴된 17종의 신종

에 한 분류군별 황을 살펴보면 노린재목 Eysarcoris n.sp.1신종,딱정벌 목의

Ischnopterapionn.sp.외 창주둥이바구미과,콩바구미과,병 벌 과,반날개과 등에서 10신

종,벌목 고치벌과 2종(Braconn.sp.1,Braconn.sp.2),풀잠자리목에서 Chrysopan.sp.1외 2

신종이 새로이 추가 기록되었다.아울러 연구결과 발굴된 미기록 분류군들은 날도래목

Brachycentrussp.외 11종,노린재목 Amphiareusconstrictus(Stal)외 43종,딱정벌 목에서

Pseudanidorussp.외 57종,메뚜기목 귀뚜라미과 Trigonidium cicindeloidesRambur1종,벌

목 Charopsbrachypterus(Cameron)외 8종, 리목 Conchapelopiamelanops(Meigen)외 26

종,하루살이목 Ephemerellanotata(Eaton)외 5종 등 7목에서 157종이 새로이 추가되었으며,

노린재목 꽃노린재과 ScoloposcelisalbodecussatakoreanusJunget.Lee가 신아종으로써 발

굴되었다

Page 162: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3. 무척추동물Ⅱ

- 156 -

구분목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합계

미기록/신종(후보)발굴 (종) 160 160 140 460

표본 확보 ( ) 16,000 16,000 16,000 46,000

생물재료 확보(생체 조직)( ) 500 - - 500

G-DNA 확보 (종/ ) 60/120 - - 60/120

3.자생 무척추동물Ⅱ (곤충 제외,원생생물 포함)자원 조사․발굴

가.최종 목표

상분류군 :한반도 자생 무척추동물II(곤충 제외,원생생물 포함)자원

▶ 미기록/신종(후보)발굴 :460종 /3년

▶ 확증표본 제작 :46,000 /3년

▶ 생물재료(생체 조직)의 체계 확보 :500 /1년

▶ G-DNA확보 :60종 /120 /1년

자생생물 주요 분류군의 종목록,분포도 작성 유용 생물 유 자 자원의 확보

나.연차별 연구 범

사업년도 연구 범

2006

연체동물(후새류,원시복족류),지동물(거미류,고하류,하르 티키드 요각류,기

생성 요각류,감마로이드 단각류,물맞이게류등),환형동물(다모류,신빈모류등),

태형동물,선형동물(도마뱀선충류),원생동물(해산섬모충류),극피동물,해면동물

2007연체동물(부족류), 지동물(생이류), 지동물(펠티디드 요각류),해면동물(보통해

면류),편형동물(다 류),거미류(홑생식기류),유즐동물,,모악동물 등

2008지동물(쏙류등), 지동물(코로피오이드 단각류),태형동물(나후류), 지동물(클

토티드 요각류),선형동물(엡실로네마티드류),환형동물(원시빈모류)등

Page 163: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3. 무척추동물Ⅱ

- 157 -

다.연차별 연구 결과

연구내용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합계

미기록/신종(후보)발굴 160 161 140 461

표본 확보 16,006 17,237 14,038 47,281

생물재료(생체 조직)확보 1,166 - - 1,166

G-DNA확보 60/122 - - 60/122

(1)표본 생물재료 확보

(가)1차년도

2006년 6월부터 2007년 3월까지 본 연구 기간 한반도 분포 무척추동물자원에 한 채

집조사 활동을 수행한 결과,확증표본,생체시료,G-DNA를 포함하여 해면류 21과 23속 33종

1,061 ,요각류 19과 37속 50종 2,114 ,진드기류 10과 18속 32종 1,031 ,거미류 18과 46속

79종 904 ,십각류 18과 30속 35종 1,857 ,선충류 10과 18속 30종 1,067 ,다모류 19과 30속

33종 1,046 ,단각류 20과 25속 45종 1,363 ,올챙이새우류 2과 3속 5종 79 ,원생동물 29과

32속 62종 3,070 ,빈모류 3과 6속 17종 1,044 ,고하류 2과 4속 10종 61 ,연체류 21과 43속

57종 2,096 ,후새류 13과 17속 23종 499 등 총 205과 332속 510종이 확인되었으며,17,294

(1차년도 목표의 105%)의 표본이 확보되어 1차년도 연구 목표를 달성하 다.

(나)2차년도

2007년 6월부터 2008년 3월까지 본 연구 기간 한반도 분포 무척추동물자원에 한 채

집조사 활동을 수행한 결과,거미류 19과 39속 56종 1,031 ,선충류 5과 16속 20종 1,104 ,섬

모충류(해산)10과 11속 20종 1,203 ,섬모충류(담수산)18과 19속 22종 1,149 ,다모류 13과

20속 21종 1,225 ,해면류 18과 24속 34종 1,100 ,연체류(담수산)7과 14속 19종 1,097 ,단

각류 15과 23속 37종 2,367 ,요각류 16과 25속 35종 2,268 ,모악동물 1과 1속 1종 1 ,십각

류 15과 18속 19종 1,105 ,연체류(해산)31과 46속 50종 2,410 ,진드기류 10과 14속 20종

1,177 등 총 178과 270속 354종이 확인되었으며,17,237 (2차년도 목표의 약 108%)의 표본

Page 164: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3. 무척추동물Ⅱ

- 158 -

이 확보되어 2차년도 연구 목표를 달성하 다. 이들은 액침표본,슬라이드표본 건조표본으

로 제작․보 되었다.

(다)3차년도

2008년 6월부터 2009년 3월까지 본 연구 기간 한반도 분포 무척추동물자원에 한 채

집조사 활동을 수행한 결과,십각류 698 ,섬모충류(담수산)24과 30속 48종 1,201 ,섬모충류

(해산)5과 5속 10종 1,206 ,다모류 37과 76속 98종 1,200 이었으며,요각류 10과 11속 20종

1,244 ,단각류 1,593 ,진드기류 1과 3속 10종 1,111 ,해면류 12과 13속 20종 1,200 ,편형

동물 2과 3속 3종 25 ,모악동물 1과 1속 1종 10 ,등각류 2과 2속 2종 12 ,무갑류 1과 1속

1종 15 ,완흉류 2과 2속 2종 3 ,올챙이새우류 4과 8속 18종 220 ,완족류 1과 1속 1종 1

,해 류 1과 1속 1종 1 ,거미류 17과 34속 47종 1,270 ,연체류 3,028 ,총 14,038 (3

차년도 목표의 100.2%)의 표본이 확보되어 3차년도 연구 목표를 달성하 다.

(2)미기록 신종(후보)발굴

(가)1차년도

본 발굴 조사 결과,신종 신종 후보 49종과 미기록 111종 등 미기록/신종(후보)160종

(1차년도 목표의 100%)을 발굴하 다.발굴된 신종(후보)분류군들은 빈모류 10종,원생동물 1

종,선충류 6종,거미류 1신종,고하류 10종,단각류 1종,진드기류 1종,요각류 19종이 있다.아

울러 발굴된 미기록종 들은 후새류 16종,연체류 7종,원생동물 11종,요각류 20종,거미류 2종,

선충류 7종,단각류 9종,다모류 10종,진드기류 9종,해면류 10종,십각류 10종 등이 발굴되었

다.

1)해면류:자생 생물종 발굴 사업을 통하여 Iotrochotidae와 Dictyonellidae는 국내에 처

음 보고되는 과 (family)로 국내 해면동물의 분포도 작성은 물론 국제 분포 양상을 악하는

데 매우 큰 의미가 있다 할 수 있으며 유두해면과의 Cinachyra,Iotrochotidae의 Iotroata,

Dictyonellidae의 Dictyonella,Halich해변해면과의 Ciocalypta.와 Epipolasis그리고 Spongiidae

의 Hyattella는 국내에 처음 보고되는 속으로 국내 해면동물 연구의 큰 성과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이들은 천연물 연구에 있어 주요 재료로 활용될 가능성을 갖고 있는 종들로 자원종으로

써의 가치 한 크다고 할 수 있다.

2)요각류:Harpacticoida목 Canthocamptidae과에 속하는 Attheyellanamkungi가 단양 고

Page 165: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3. 무척추동물Ⅱ

- 159 -

수 동굴에서 채집되었다.이 종은 AttheyellacoreanaMiura,1969와 매우 흡사하지만,Caudal

rami에서 성 이형이 나타나지 않고,암컷 3번째 endopod2번째 마디에서 한 자리에서 2개의

seta가 나오는 이 특징이다.동굴에서의 담수산 Harpacricoida은 1969년 Miura에 의해 기록

이 된 바가 있으며,그 이후로는 처음 기재되는 신종이다.우리나라 동굴에서 다양한 요각류

종 표본의 확보와 신종발굴에 한 연구가 많이 미흡한 실정이나,최근의 연구를 통해서 많은

시료가 확보되고 있다.

우리나라 근해 서성 요각류들은 기 생산자로서 표되는 동식물 랑크톤을 먹이로 하

여 보다 상 양단계인 어패류,어류 등에 에 지를 달하는 간 고리로서 요한 역할을

수행한다.해양의 먹이 연쇄의 요한 역할을 담당할 뿐만 아니라,이번 연구를 통해서 경상남

도 남해 상주리에서 다수의 신종이 발견 되었다.Rhizothrixsejongi,Ectinosoman.sp.,

Amphiascoidesn.sp.,Leptastacusn.sp.가 발견 되었으며,이 Rhizothrixsejongi는 출

이 완료 되었다.그리고 Ectinosoman.sp.의 경우 Echinosomatidae과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최

로 발견되어 기재 되고 있다.

한 하르 티쿠스목 Huntemannia속에 속하는 Huntemannianew species는 서해안의

진흙성분이 많은 모래에서 채집이 되었고 특히 잘피의 일종인 Zosterajaponica(애기거머리

말)주변에서 다량 채집되었다.순수 해양종으로 극동아시아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종이며

제1가슴다리의 마디에 낫모양의 큰 돌기가 특징 이다.같은 속내의 다른 종들에 비해 제

2-4가슴다리의 가시식이 축소된 형태로 나타나며 수컷의 제3,4가슴다리에서 변형된 가시가

나타났다.

Peltidiidae과의 Alteuthanew species는 해조류에 빈번히 나타나는 종으로 몸의 형태가

등각류처럼 납작한 방패모양이다.Porcellidiidae와 같이 주로 해조류의 표면에 서식하며 특히

구멍갈 래같이 잎의 면 이 넓은 종류에서 두 과(family)의 출 빈도는 매우 높게 나타난다.

Cosmopolitanspecies인 Alteuthadepressa와 매우 유사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꼬리가지

(Caudalramus)의 폭과 비,제2더듬이 외지의 가시수 그리고 암컷 제5가슴다리의 가시 모양

이 다르게 나타난다.A.littoralis와도 유사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제5가슴다리 내지의 가시

배열과 외지 바깥가장자리의 가시에서 차이를 보인다.

3) 진드기류: Mesostigmata 기문목, Parholaspidae 창응애과의 신종 후보인

Neparholaspissp.nov.는 다리 에서 제2각의 퇴 과 슬 에 강한 돌기가 형성되어서 다른

물체를 붙잡을 수 있는 구조를 하고 있어서 특징 이다.이 종에 한 생태는 앞으로 조사해

볼 필요가 있다.

특이할 만한 종은 Prostigmata 기문목,Eriophyidae 혹응애과의 Aceria tjyingi

Page 166: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3. 무척추동물Ⅱ

- 160 -

.(Manson,1973)로서.지 까지 알려진 구기자혹응애 2종과는 달리 배 에 주름이 없어서 민

구기자혹응애라는 우리말 이름을 붙 다.

4)선충류:해양 선형동물은 주요한 해양 간극수 동물 의 하나이며 해양 생태계에서 차

지하는 생태 요성은 매우 크다.해양 선형동물은 재까지 약 5,000여종이 기록되어 있으

나 최근에 반복 으로 이루어진 생태 조사에 의하면 지구상에 서식하는 선형동물의 종수는

략 40,000에서 100,000,000종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들 추정치의 50% 이상이 해양에서 자

유생활 하는 선형동물로 상하고 있다.이러한 추정치는 지 까지 밝 진 종보다 앞으로 기록

해야 할 종들이 무수히 많이 남아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해양 선형동물은 조간 와 기수역의

질, 륙붕 심해의 질에서도 쉽게 발견되며, 질에 서식하는 여타 다른 어떤 간극수성

동물들 보다 높은 생물량 ( 체의 약 50-90%)과 종 다양성( 체의 약 90-95%)을 보이며,

지구상의 거의 모든 서식지에서 발견된다.특히 이들 해양 선형동물은 규조를 포함한 단세포

조류,박테리아,원생동물,선형동물을 포함한 다른 미소한 무척추동물들을 섭식하는 차 소비

자이며,해양의 질속에 서식하는 다른 형 무척추동물(연체동물,환형동물)이나 어류 등의

요한 먹이 공 원으로써 해양 생태계의 먹이사슬에 요한 연결고리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해양 선형동물이 해양의 서생물군집에서 차지하는 역할의 요성에도 불구하고

미소한 크기,채집상의 어려움,표본제작과정 조작 등 기술 인 어려움 때문에 재까지 한

국에서는 해양 선형동물에 한 분류학 연구가 시작 수 에 머물러 있다.

5)원생동물:섬모충류는 수생부유생태계에서 종 다양성이 높고 생물량이 많을 뿐 아니라

상 단계로의 에 지 달자로 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어 생태 분류학 으로 매우 요

한 분류군이라 할 수 있는데 재까지 약 12,000여종이 세계 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해양종

은 약 2,000여종이 알려져 있다. 체 섬모충류 종수에서 알려져 있지 않은 종이 약 80%이상

을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Patterson,1999).한국에서는 재까지 기재 된 섬모충류는 담

수종 31종,해양종 67종으로 총 7목 98종이 기재 되었으며 해양종의 경우는 유종섬모충류가 64

종으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그 외 생태조사를 통하여 18종의 섬모충류가 보고되었으며 이

를 합하여 한반도의 섬모충류는 116종이 알려져 있다.분류형질 찰을 해선 다양한 염색법

(Leeetal.2000)과 배양이 필수 인 섬모충류는 종 분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실험 어려

움이 많으며 재 국내에서는 피각을 가지고 있는 유종섬모충류를 제외한 해양 섬모충류의 형

태분류는 그 요성에 비하여 거의 이루어져있지 않은 상태이다.당해연도에 확보한 12종의 미

기록/신종 에서 Euplotesvannus,Diophrysscutum,Uronychiabinucleata,Amphisiellan.sp.,

Kentrophyllum verrucosum 등 5종은 하구(염도 20‰)에서 출 하 다.향후 하구역의 집

Page 167: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3. 무척추동물Ⅱ

- 161 -

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본 조사에서 발견된 Amphisiellan.sp.는 이 종과 매우 유

사한 Amphisiellaannulata(Kahl,1928)sensuBerger(2004)의와 비교해 보았을 때 세포표면의

corticalgranule의 유형과 배열상태가 다르고,소핵의 수가 달라 신종후보로 단하 다.

6)다모류:다모류는 생활사가 비교 짧고 번식력이 강하기 때문에 해양의 풍부한 2차

생산자 역할을 담당할 뿐만 아니라 섭식활동을 통하여 질의 유기성분을 변화시켜 질을 정

화시키기도 하는 등,해양 서생태계에서 매우 요한 치를 하고 있다. 한 다모류는 해

양오염의 지표생물로 이용됨과 동시에 서어류의 주된 먹이 낚시 미끼로 어민 부업의

상이 되고 있다.하지만 다모류 분류에 한 꾸 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일부 종들에 해서는

여 히 분류학 인 오류를 해결하지 못하는 종들이 있다.최근 논문에 따르면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지역에 Perinereisnuntia라는 학명으로 기록된 썹참갯지 이가 P.mictodonta와

P.wilsoni등의 두 종으로 새롭게 보고되는 등 기지종에 한 재검토도 미기록종/신종을 발굴

하는 것과 동시에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

7)거미류:미기록종 (긴꼬리왕거미;ArachnuralogioYaginuma,1956)

거미목 왕거미과에 긴꼬리왕거미속 (Arachnura Vinson,1863;신칭)의 긴꼬리왕거미

(ArachnuralogioYaginuma,1956)가 한국 미기록종으로 암컷만이 이번의 조사를 통하여 남

신안군 흑산도에서 발견되었다.이 종은 거미 을 포식에 이용하는 왕거미과의 구성원 에서

매우 특이한 형태 /행동 특징을 보이는 거미로서,배의 형태와 색이 나뭇가지 는 낙엽과

같은 형태의 의태를 하여 독특하게 변형되어 있으며,외부에 자극에 하여 변형된 배의 뒷

말단부를 말아 올리는 독특한 행동을 보여 scorpion-tailedspider로도 불린다. 재까지 긴꼬리

왕거미속은 세계 으로 국,일본 그리고 Australasain지역에 12종이 분포하고,아 리카와

마다가스카르에 1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는데,긴꼬리왕거미는 일본의 Yagnuma에

의해 보도된 후 일본과 국에서만 그 분포가 확인되어왔다.이 종의 발견으로 한국산 왕거미

과에 1신속이 추가되게 되었다.이번조사를 통하여 발견되지 않은 수컷의 채집과 이 종의 채집

지를 심으로 한,분포조사가 요구된다.

거미목 왕거미과의 어리왕거미속 (LariniariaGrasshoff,1970)에 1신종후보가 남 신안

군 비 도에서 채집되어 비 어리왕거미 (Lariniariabiguemensissp.nov.)로 보고 된다. 세

계 인 분포를 보이는 어리왕거미속은 재까지 47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고,그동

안 한국에는 어리왕거미 [Lariniariaargiopiformis(Bösenberg& Strand,1906)]가 어리왕거미

속에서 유일한 구성원으로 보고 되어 왔다.이 속은 원통형의 배에 앞말단이 혹처럼 돌출한 형

태와 복부의 특징 인 세로 무늬 등에 의하여 왕거미과의 다른 속들과 구별될 수 있는데,이

Page 168: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3. 무척추동물Ⅱ

- 162 -

신종후보는 잘 sclerotised되어 돌출된 '?'형태의 epigynalscape에 의하여 이 속의 다른 종들

과 구별된다.이번 조사에서는 암컷만이 채집되었는데,신종보고에 한 학술 가치를 하여

수컷의 채집 등을 한 향후의 조사가 필요하다.

8)빈모류:빈모강은 주로 육상에 서식하며,최근 삼림토양에서 많이 보고되고 있는데,인

간의 인 인 간섭이 심하지 않고 생태계가 잘 보존된 지역에서 많이 채집되고 있다.이는 토

양동물의 특성상 이동이 활발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단된다. 세계 으로 4,000여종이

기재되어 있다.이 가운데 한반도에서 주로 채집되고 있는 지 이과의 그룹이 가장 크고,이

그룹을 심으로 최근 아시아지역에서 많은 종 기재가 이루어지고 있다. 재 보고된 종 수는

서식하고 있을 종 수의 약 10-30% 정도로 추정된다. 세계 으로 약 20,000종 이상이 서식

하고 있을 것으로 상된다.우리나라에서는 재까지 101종이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신종후보도 이 왕지 이속에 속하는 종들로 최근 아시아 국가를 심

으로 지 이 종 기재 이의 확보에 한 심이 높아지고 있다.특히 필리핀,라오스 지역은

체계 인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고 실제 많은 성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토양생태계

환경 변화로 말미암아 지 이 분류군 내에 멸종 기종이 늘어가고 있는 것으로 단되는 시

에서 국내 자생생물의 고유종으로 이들 종들에 한 확보는 매우 요한 일이며 차후에도 더

많은 종들이 확보되리라 생각된다.

9)단각류,올챙이새우류:수 환경에 서식하는 소형 갑각류는 생산자인 해조류나 해조류

가 분해된 유기쇄설입자를 직 먹이원으로 하거나 유기쇄설입자를 먹이로 하는 미소동물을

먹은 뒤 어류와 같은 상 포식자에게 잡아 먹힘으로써 일차생산을 상 양단계로 연결하는

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소형 갑각류 단각류는 갑각강(Crustacea), 연갑아강

(Malacostraca),단각목(Amphipoda)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소형 갑각류 두 번째(1st

Ostracods)로 많이 발견되어지는 요한 분류군이다.단각류는 해양의 다양한 서식처에서 사는

서성 생물로 해양의 큰 생체량을 나타내고 있으며,조간 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분류군으로

환경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해양환경변화를 평가하는데 지시종으로 많이 이용되는

등 생태학 으로 매우 요시된다.그러나 이러한 요한 분류군임에도 우리나라에서는 생태학

조사에 선행되어야 할 분류학 연구가 다른 나라에 비해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

이다.이웃 일본의 경우 1994년까지 320여종의 서식이 확인되었고 최근까지 꾸 하게 새로운

종의 출 을 보고하고 있다.그러나 우리나라는 1990년 반까지 83종의 단각류 서식이 확인

되었을 뿐이다.지 까지 실험실에서 우리나라 연안을 조사한 표본을 찰 한 결과 상당수의

단각류 미기록종과 신종 후보가 확인되어 이러한 종들의 발표를 비하고 있다. 한 더욱 다

Page 169: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3. 무척추동물Ⅱ

- 163 -

양한 조사방법과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지역을 조사해본다면 더욱 다양한 단각류의 서식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이번에 제출된 미기록종과 신종 후보는 동해안의 한 성 종들로 주로

이루어져 있다.이러한 종들은 비교 크기도 크고 그 출 양도 지 않아 지 까지 우리나라

단각류의 분류학 연구가 많이 미진하 음을 보여주는 이다.그러므로 앞으로 계속 인 연

구가 이루어진다면 보다 다양하고 많은 종의 확인이 가능하리라 보이며 이는 우리나라 생물종

다양성의 확립에 일조할 것으로 생각된다.

10)십각류:생이하목 딱총새우 과에 속하는 Prionalpheussp.와 Bataeussp.이 두종은

한국 미기록종이다.Indo-westpacific에서 재 총 5종으로 보고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Prionalpheus속에 속하는 종이 별로 없음을 알 수 있다.동아시아 지역에는 일본 2종이 있었

으며 한국에서의 Prionalpheus속과 이 종은 처음 기록되는 것이다.따라서 이 종의 보고는 충

분한 가치를 가지고 있음을 내포하고 있다.Bataeussp.는 일본에서 신종을 보고한 뒤 일본을

제외한 타 국가에서는 지 까지 보고된 이 없었다.하지만 이번 한국에서의 이종에 한 보

고는 이 종의 서식지역이 일본에 국한된 것이 아님과 한 이 종의 서식지역 비교와 종의 다

양성을 높이는 연구로 지속 가능하게 할 것이다.

Xenocarcinus sp.는 A.Milne Edwards가 1865년에 보고하 다.한국산 X.sp.의

carapace는 X.sp.와 형태가 약간은 다름을 보인다.X.nakazawai로 Sakai,1938에 기재한 것

이 한국산과 같은 형태를 갖고 있지만 Griffin and Tranter(1986)에서 이종은 X.sp.로

synonyme처리됨으로 이 개체는 X.sp.로 동정한다.그리고 X.sp.는 Antipathesjaponica(한

국 멸종 기 야생 동식물 II )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Sakai(1938)에 기록되어 있다.서식지 정

보를 정확히 할 수 없지만 지속 인 찰과 연구로 서식처가 A.japonica라면 이 종 한 한국

내에서 서식처 감소에 의해 피해가 있음을 고려할 수 있다.

11)후새류:본 조사를 통하여 확인된 미기록 분류군은 총 12과 15종이다.이러한 결과는

① 열 는 아열 지역으로 부터 쿠로시오 난류를 통하여 새로운 종의 유입이 근래에 들어

지속 으로 발생하고 있는 과 ② 근래 들어 스쿠버 다이빙을 통한 채집의 기회와 폭이 확

된 등에 기인한다.그러나,후새류의 생활사 서식 특성상 채집되거나 직 확인된 개체

수가 몇몇 분류군을 제외하고는 매우 으며 조사 시기 지역 한 제한 이었으므로 한국

해역에 서식하는 각 분류군의 분포특성 확산 경향을 포함하는 제반 생물학 논의를 하기

엔 제한 인 요인이 많다고 단된다.

재까지의 동물지리분포 자료를 근거로 볼 때 후새류는 북방기원종이나 열 기원종에

계 없이 그들의 분포한계가 계속 확 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Page 170: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3. 무척추동물Ⅱ

- 164 -

12)연체류:본 사업을 통하여 확인된 미기록종의 경우 총 5과 7종으로 밝 졌다 그러

나,확보된 표본의 개체수가 1,2개체인 경우 이거나 특정지역에서 기회 으로 채집된 경우가

부분이어서 각 분류군 내의 변이를 확인하고 그 들의 지역 특성을 악 하는것 에는 한계

가 있었으며 년도 조사를 통하여 확인된 서식처의 특성을 참고로 장기 에서 본 조사

사업을 지속시킬 필요가 있다. 의 미기록 분류군 자포동물인 연산호류의 체벽에 서식하는

개오지붙이과(Ovulidae)의 종들은 1) 재까지의 조사방법이 제한 이었다는 ,2)그들의 주

서식조건인 연산호류 한국해역 내 분포가 지속 으로 확산 되거나 도가 증가하고 있다는

등을 고려해 볼 때 더 많은 미발굴 분류군의 발굴이 있을 것으로 단된다.

(나)2차년도

본 발굴 조사 결과,신종 신종 후보 44분류군과 미기록 117분류군 등 미기록/신종(후

보)161분류군(당해연도 목표의 100%)을 발굴하 다. 발굴된 신종(후보)분류군들은 선충류

Draconema new species, Dracograllus new species, Prochaetosoma new species,

Cygnonemanew species,Paradraconemanew species,Tenuidraconemanew species1,

Tenuidraconemanew species2, Desmoscolex(Desmolorenzenia)coreensis,Desmoscolex

(Desmolorenzenia)pedunculus등의 9분류군,후새류 Sakuraeolissp.,Tambjasp.22분류

군,요각류 Tisben.sp.,Laophontidaen.gen.,n.sp.,Idomenen.sp.,Tegastesn.sp.,

Halectinosoman.sp.,Maraenobiotusn.sp.,Paramesochran.sp.,Laophontidaen.gen.sp.,

Paralaophonten.sp.1,Paralaophonten.sp.2,Tisben.sp.1,Tisben.sp.2,Porcellidium n.

sp.,Coullian.sp.,등의 14분류군, 단각류 Gitanopsisn.sp.,Guernean.sp.1,Guernean.

sp.2,Atylus(Atylus)n.sp.,Perioculodesn.sp.1,Perioculodesn.sp.2,Perioculodesn.

sp.3,Concarnessp.1,Concarnessp.2 등의 9 분류군,연체류 Limnoperna coreana,

Allopeas chois 등의 2 분류군,해면류 Penares sp.,Biemna sp.,Halichondria sp.,

Halichondriasp.2,Haliclonasp.1,Haliclonasp.2,Haliclona(Gellius)sp.,Petrosiasp.등

의 8분류군등 총 44분류군이 신종 신종 후보로써 새로이 추가 기록되었다. 아울러 발굴

된 미기록 분류군들은 선충류 Epsilonema sp.,Leptepsilonema sp.,Metepsilonema sp.,

Bathyepsilonema sp.,Desmoscolex sp.,Greeffiella sp.,Tricoma sp.,Quadricoma sp.,

Enoplus sp., Thoracostomopsis sp. 등 10분류군, 해산섬모충류 Uronychia setigera,

Uronychia binucleata,Uronychia multicirrus,Euplotesminuta,Aspidisca sp.,Oxytricha

lanceolata,Pseudokeronopsisrubra,Pseudokeronopsissp.,Dysteriabrasiliensis,Dysteria

Page 171: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3. 무척추동물Ⅱ

- 165 -

derouxi,Condylostomamagnum,Frontoniasp.,Loxophyllum rostratum,Loxophyllum shini,

Uronemamarinum 등의 15분류군,후새류 ElysiaobtusaBaba,Placidasp.,Pleurobranchus

mamillatus,Thecacerasp.,Tambjasp.1,Diaphorodorissp.,Dotosp.,Actinocyclussp.,

Dermatobranchus otome 등,총 9 분류군,다모류 Lumbrinerides hayashii,Rhynchospio

glutaea,Heterospiosp.,Prionospiocasfersi,Pistawui,Asabellidessp.,Euzonuswilliamsi,

Clavodorum sp.,Spaerodorum sp.,Praxillellagracilis,Petaloproctusborealis등 11분류군,

요각류 Orthopsyllus sp.,Danielssenia typica,Porcellidium sp.,Dactylopusia gracialis,

Parastenheliaspinosa,Parastenheliasp.,Onychostenheliabispinosa,Parvocalanuselegans,

Perisscopecristatus,Scutellidium arthuri,Orthopsylluslineariscurvaspina,Paramesochra

mielkei,Tisbe graciloides,Tisbe japonica,Amphiascus polaris,Amphiascus gracilis,

Amphiascopsissouthgeorgiensis,Idomenesp.,Tegastessp.등의 19분류군,담수산섬모충류

Blepharismasteini,B.undulans,Climacostomum virens,Linostomellavorticella,Dileptus

margaritifer,Homalozoonvermiculare,Glaucomadragescui,Ophryoglenasp.,Trichodina

pediculus,Histriculushistrio,Notohymenaaustralis등의 11분류군,해면류 Mycalelaevis,

Haliclona(Gellius)marismedi등의 2분류군,단각류 Paramphilochussp.,Abludomelitasp.,

Anonyxsp.,Orchomenesp.,Sinocorophium sinensis,Apocorophium acutum,Orchomene

japonicus,Eohaustoriussp.,Orchomenesp.1,Orchomenesp.2,Hyalesp.,Monocorophium

insidiosum,Monocorophium oaklandense,Crassicorophium bonelli등의 14분류군,진드기류

Pergalumnaduplicata,Malaconothrussquamaeus,Suctobelbellanaginata,Oppiatokyoensis,

Nothrus palustris, Protoribates monodactylus, Protoribates lophotricus, Rostrozetes

foveoletus,Ceratozetesgracilis,Archoplophoravillosa,Hoplophorellacuculata등의 11분류

군,십각류 Asthenognathussp.,Macrophthalmussp.,Eriphiasp.,Philyrasp.,Microcassiope

sp.,porcellanopagurussp.등의 6분류군,연체류 Allopeassp.,Cavernacmellasp.,Aegista

sp.,Akiyoshia sp.,Paladilbiopsis sp.,Diplommatina sp.,Georissa sp.,Carychium sp.,

Nobueasp.등의 9분류군 등,총 117분류군이 새로이 기록되었다.

<선충류>

해양 선형동물은 주요한 해양 간극수 동물 의 하나이며 해양 생태계에서 차지하는 생태

요성이 매우 크다. 해양 선형동물은 규조를 포함한 단세포 조류,박테리아,원생동물,선

형동물을 포함한 다른 미소한 무척추동물들을 섭식하는 차 소비자이며,해양의 질 속에 서

Page 172: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3. 무척추동물Ⅱ

- 166 -

식하는 다른 형 무척추동물(연체동물,환형동물)이나 어류 등의 요한 먹이 공 원으로써

해양 생태계의 먹이사슬에 요한 연결고리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이러한 요성에도 불구하

고 한국에서는 극희 일부의 해양 선형동물만이 분류학 으로 연구가 되어 있을 뿐이다.2차년

도의 자생생물에 한 분류학 연구 결과 다수의 신종들이 조사되었다.본 연구자는 모든 신

종들에 한 분류학 연구논문을 작성할 계획이다. 자국 내의 다양한 서식지에 서식하는 자

생종에 한 정확한 분류학 연구는 향후의 생태학 연구,분자생물학 연구 등 다양한 연

구분야에 매우 요한 기반이 되리라 단된다.

<섬모충류(해산)>

섬모충류는 수생부유생태계에서 종 다양성이 높고 생물량이 많을 뿐 아니라 상 단계로의

에 지 달자로 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어 생태 분류학 으로 매우 요한 분류군이다.

분류형질 찰을 해선 다양한 염색법 (Leeetal.2000)과 배양이 필수 인 섬모충류는 종 분

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실험 어려움이 많아 그 요성에 비하여 연구가 거의 이루어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2차년도에는 해양 섬모충류 10과 11속 20종 1,206개체의 표본을 확보하

다.

<연체류(해산)>

1)Sakuraeolissp.:나새목 하늘소갯민숭이과에 속하는 하늘소갯민숭이류의 일종으로 국

내의 서해(인천시 옹진군 자월면 뭉퉁도)에서 최 로 채집되었으며 근래에 서해안에서 수 사

진작가에 의하여 촬 되었다. 본 속내의 유사종인 S.sakuacea,S.gerberina와는 체색과

각 각의 무늬 양상에 있어서 차이 이 확인되어 재 해부학 형질(생식기 구 ,치설

등)을 확인하는 과정에 있으며 신종 후보종으로 단된다.

2)Tambjasp.2,,:나새목 Polyceridae에 속하는 종으로 그간 수 사진작가 등에 의해 사

진자료를 통하여 서식가능성이 있었으나 본 조사를 통하여 국내에 처음으로 보고되는 종이다.

세계 으로 뉴질랜드와 한국에서만 서식이 확인되고 있어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한 종으로

신종의 가능성이 있다.

3)ElysiaobtusaBaba,1938:낭설목 날씬이갯민숭붙이과에 속하는 종으로 그간 수 사

진작가 등에 의해 사진자료를 통하여 서식가능성이 있었으나 본 조사를 통하여 표본이 확보되

어 국내에 처음으로 보고되는 종이다. 세계 으로는 홍콩,일본,호주동부 등 서태평양에

범 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먹이생물인 해조류(깃털말류, 록엉킨실 등)이 번무

Page 173: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3. 무척추동물Ⅱ

- 167 -

하는 시기에 채집이 되어 먹이 특이성 계 성을 보이는 종으로 재까지 제주 지역에서만

서식이 확인되었다.

4)Placidasp.:낭설목 날씬이갯민숭붙이과에 속하는 종으로 그간 수 사진작가 등에 의

해 사진자료를 통하여 서식가능성이 있었으나 본 조사를 통하여 표본이 확보되어 국내에 처음

으로 보고되는 종이다. 세계 으로는 홍콩,일본,호주동부 등 서태평양 지역과 지 해 연안

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먹이생물인 해조류(깃털말류, 록엉킨실 등)이 번무하는

시기에 채집이 되어 먹이 특이성 계 성을 보이는 종으로 재까지 제주 지역에서만 서식

이 확인되었다.

5)PleurobranchusmamillatusQuoy& Gaimard,1832:측새목(배순목)군소붙이과에 속

하는 종으로 그간 수 사진작가 등에 의해 사진자료를 통하여 서식가능성이 있었으나 본 조사

를 통하여 표본이 확보되어 국내에 처음으로 보고되는 종이다. 세계 으로는 뉴칼 도니니

아,호주,일본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수심 20-40m 의 펄모래지역에 서식한다.

6)Thecacerasp.:나새목 Polyceridae에 속하는 종으로 그간 수 사진작가 등에 의해 사

진자료를 통하여 서식가능성이 있었으나 본 조사를 통하여 국내에 처음으로 보고되는 종이다.

서양의 유럽연안에서 최 로 보고된 이래 남,서 아 리카, 라질,뉴질랜드,호주,일본 등

세계에 결쳐 산발 으로 분포하며 먹이생물인 수지상 태형동물에서 만 채집되어 먹이특이성

인간활동(선박을 통한)종의 이입 등과 련된 연구에 요하다. 한,본 종이 기회 으로

출 하는 것인지 혹은 국내 환경에 응하여 정착한 것인지 등의 지속 인 연구가 필요하다.

7)Tambjasp.1:나새목 Polyceridae에 속하는 종으로 그간 수 사진작가 등에 의해 사

진자료를 통하여 서식가능성이 있었으나 본 조사를 통하여 국내에 처음으로 보고되는 종이다.

열 서태평양 지역에 주로 서식하며 남방한계는 뉴질랜드이고 북방한계는 한국,일본 등으로

알려져 있어 연체류의 동물지리분포 진화에 요한 종이다.

8)Diaphorodorissp.:나새목 Onchidoridae에 속하는 종으로 그간 수 사진작가 등에 의

해 사진자료를 통하여 서식가능성이 있었으나 본 조사를 통하여 국내에 처음으로 보고되는 종

이다.일본,홍콩,호주 등지에서 서식이 보고되었다.

9)Dotosp.:나새목 Dotidae에 속하며 서 서양의 카리 해 연안에서 로리다에 분포하

는 종으로 1971년 일본에서 서식이 확인된 이래 본 조사사업을 통하여 국내에서 서식이 확인

도었다.인간활동에 의해 태평양으로 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보다 많은 비교연구가 필

요다.

10)Actinocyclussp.:나새목 Arminidae에 속하며 본 열 의 인도태평양지역에 분포하는

Page 174: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3. 무척추동물Ⅱ

- 168 -

것으로 알려져 있다.본 종은 수 사진가에 의해 사진으로 확인 된바 있으나 재 까지 1개체

만이 채집되고 있어 표본확보를 통한 지속 인 연구가 필요하다.

11)DermatobranchusotomeBaba,1992:나새목 Arminidae에 속하며 그간 수 사진작가

등에 의해 사진자료를 통하여 서식가능성이 있었으나 본 조사를 통하여 국내에 처음으로 보고

되는 종으로 재까지 한국과 일본에서만 분포하는 것으로 단된다.

<섬모충류(담수산)>

본 발굴 조사 결과,11종의 미기록 종의 원생동물(섬모충류)를 발굴하 다. 발굴된 미기

록종은 Blepharismasteini,B.undulans,Climacostomum virens,Linostomellavorticella,

Dileptus margaritifer,Homalozoon vermiculare,Glaucoma dragescui,Ophryoglena sp.,

Trichodinapediculus,Histriculushistrio,Notohymenaaustralis이다.이 종의 부분은 육상

의 수지,연못,습지,강,하천 등의 다양한 담수서식처에서 채집된 것이다.

<해면류>

자생 생물종 발굴 사업을 통하여 8종의 신종후보와 2종의 미기록종을 발굴함으로써 국내

해면동물의 분포도 작성은 물론 국제 분포 양상을 악하는데 매우 큰 의미가 있다 할 수

있으며 천연물 연구에 있어 주요 재료로 활용될 가능성을 갖고 있는 종들로 자원종으로써의

가치 한 크다고 할 수 있다.

<요각류>

갈고리노벌 목(orderHarpacticoida)에 속하는 요각류는 주로 서성으로 해조류의 엽체,

해 의 다양한 기질,무척추동물의 몸이나 패각,모래 틈 등에 다양하게 서식한다. 2차년도

Harpacticoid요각류의 미기록 신종 발굴을 하여 다양한 서식기질을 상으로 하 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상 서식처 가운데 무척추동물인 얼룩참집게(Pagurussimilis)의

패각과 썩은 나무(teredinidboredwood)에서 가장 많은 종류의 요각류가 출 하 는데,1차년

도 결과와 종합해 보면 얼룩참집게에서 7종,썩은 나무에서 10종 등으로 체(40종)의 약

42.5%를 차지한다. 그 밖에 꽃갯지 이류(Sabellastartesp.),산호모래,잘피류 등에서도 다양

한 종류의 미기록종과 신종이 출 하 다.출 한 요각류들 가운데 분류학 으로 요한 종들

이 다수 있었는데,Coullia속은 Hamond(1973)에 의해 수컷 없이 암컷의 형질만으로 새로운

속이 설정된 무리로써 그 동안 주변 근연속들과의 계성이 불분명 하 는데,2차년도 사업을

Page 175: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3. 무척추동물Ⅱ

- 169 -

통해 울릉도 꽃갯지 이류에서 Coullia속에 속하는 신종이 발견되었으며,다수의 수컷도 발견

되었다.따라서 이 속의 분류학 치가 확실해진 셈이다.한편 Harpacticoid요각류에서 다

양한 종류의 신종이 출 한 것은 그 동안 극 으로 다루어지지 않았던 다양한 유형의 서식

처를 상으로 표본을 확보한 결과로 단된다.

서성 요각류의 일종인 Orthopsyllidae과의 Orthopsyllus속은 Huys(1990)에 의해 비교

최근에 설정된 과이며 세계 6종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으나 번 연구를 통하여 수심 10m의 질 모래로부터 채집이 되었다.과거 주로 해조류에

서 발견되던 것에 비하면 이들 분류군의 분포역이 확장됨을 알 수 있었다.Parastenheliidae과

는 재까지 1종의 고유종만이 기록되어 있지만 실제 cosmoporitan한 종인 P.spinosa가

번 조사에서 확인되었고 아직 정확한 작업이 이루어지진 않았지만 최소한 2종 이상 국내에 서

식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세계 10여종에 불과한 것에 비하여 국내의 종들은 높은 다양

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종의 서식지와 분포에 한 조사와 더불어 지속 인 분류학 인 재

검토가 필요한 실정이다.

Harpacticoida목 Canthocamptidae과에 속하는 Maraenobiotusn.sp.이 라남도 암 월

출산에서 채집이 되었다. 이 종은 P5 baseoendopod에서 5개의 강모가 나타는 것과

mandibularpalp가 한마디로 이루어져 있는 게 특징이다. 한,이 Genus는 세계 인 분포

를 살펴보면 북동아시아에서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는데,국내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어 그 의미

가 크다.해양생태계에서 동물 랑크톤은 기 생산자로서 표되는 식물 랑크톤을 먹이로 하

여 보다 상 양단계인 어패류,어류 등에 에 지를 달하는 간 고리로서 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 가장 풍부한.요각류는 90%가 해산으로 부유, 서 는 기생 생활을 하며,

주로 식물 랑크톤을 섭취하며 모악동물 등 2차 소비자의 주요한 먹이 공 원으로 이용되기

때문에,해양 먹이 연쇄의 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이번 연구를 통해서 연안에서

Laophontidae의 신속과 신종 Paralaophonte 속의 2종,미기록종 Scutellidium arthuri,

Parvocalanuselegans등이 발견되었으며,외양에서는 서해 태안반도 앞바다에서도 미기록종

Onychostenheliabispinosa과 신종 Paramesochran.sp.등이 발견되어 재 기재되어 지고 있

다.이들 외양성 요각류의 종다양성은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근성에 매우

어려움이 있어 분류학 검토가 매우 제한 이다.

(다)3차년도

본 발굴 조사 결과,신종 신종 후보 39분류군과 미기록 101분류군 등 미기록/신종(후

Page 176: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3. 무척추동물Ⅱ

- 170 -

보)140분류군(당해 연도 목표의 100%)을 발굴하 다.발굴된 신종(후보)분류군들은 선충류

Richtersia n.sp.1,Richtersia n.sp.2,Richtersia n.sp.3,Calomicrolaimusn.sp.,

Cygnoneman.sp.등의 5분류군,섬모충류(해산)Loxophyllum n.sp.1분류군,요각류

Scottolanan.sp.,Elanellan.sp.,Dirathrodesn.sp.,Parathalestrisn.sp.1,Parathalestris

n.sp.2,Leptastacusn.sp.,Paralaophonten.sp.,Halophytophilusn.sp.,Donsiellan.sp.,

Cletodes n.sp.,Enhydrosoma n.sp.,Acrenhydrosoma n.sp.,Laophonte n.sp.6,

Paralaophonten.sp.,Quinquelaophonten.sp.,Echinolaophonten.sp.,Coullian.sp.1,

Algensiellan.sp.,Normanellan.sp.등의 19분류군, 해면류 Geodian.sp.1,Axinellan.

sp.,Topsentian.sp.,Haliclona(Reniera)n.sp.1,Cinachyran.sp.,Biemnan.sp.1,

Biemnan.sp.2,Mycalen.sp.,Haliclona(Reniera)n.sp.2,Erylusn.sp.,Haliclona

(Haliclona)n.sp.등 11분류군,거미류 Pholcuspojunensisn.sp.,Pholcusparkyeonensisn.

sp.,Pholcuskwangkyosanensisn.sp.등의 3분류군 총 39분류군이 새로이 추가 기록되었다.

아울러 발굴된 미기록 분류군들은 십각류 Actaeasp.,Leptodiussp.등의 2분류군,선충류

Desmoscolexsp.,Tricoma(Quadricoma)sp.1,Tricoma(Quadricoma)sp.2,Tricomasp.,

Paratricoma sp., Sphaerolaimus sp., Dorylaimopsis sp. 1, Dorylaimopsis sp. 2,

Dorylaimopsissp.3,Bolbolaimussp.1,Bolbolaimussp.2,Microlaimussp.1,Microlaimus

sp.2,Nudorasp.등의 14 분류군,섬모충류(담수산)Glaucoma scintillans,Paramecium

duboscqui,Euplotesbalteatus,Engelmanniellamobilis,Opisthonectahenneguyi,Kerona

pediculus, Loxodes rostrum, Trachelius ovum, Aspidisca leptaspis, Hemiamphisiella

terricola,Apoamphisiellatihanyiensis,Oxytrichaopisthomuscorum 등의 12분류군,섬모충류

(해산)Pseudoamphisiella alveolata,Amphisiellaannulata,Loxophyllum perihoplophorum,

Litonotus pictus,Litonotus paracygnus,Euplotes crassus,Euplotes rariesta,Euplotes

cristatus,Amphileptuseigneri,Dysteriacrassipes,Dysteriaovalis등의 11분류군,다모류

Dodecaceria sp,Exogone sp.,Leonnates persica,Prionospio pulchra,Prionospio sp.1,

Prionospio sp.2,Prionospio elongata, Pilargis sp.,Scolelepis sp.1,Scolelepis sp.2,

Scolelepissp.3,Dispiosp.등의 12분류군,요각류 Tigriopusigai,Parastenheliahornelli,

Amphiascus varians,Delavalia giesbrechti,Tisbe celata,Ellanella sp.,Enhydrosoma

cuticauda,Laophontedinocerata,Psamoplatypusproprius,Laophontodesbicirnis등의 10분

류군,단각류 Hyale sp.1,Hyale sp.2,Melita sp.,Byblis sp.,Gamaropsis sp.1,

Gamaropsis sp. 2, Gamaropsis sp. 3, Paradexamine sp. 1, Paradexamine sp. 2,

Page 177: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3. 무척추동물Ⅱ

- 171 -

Abludomelitasp.,Iphiplateiasp.,Terepeltopes sp.Leucothoidessp.,Maerasp.등의 13분

류군, 진드기류 Bonzialubiona halacaroides. Parabonzia bdelliformis, Pseudobonzia

clathranthus,Scutascrnuspolyscutosus,Annascirustaurus,Cunaxacapreolus,C.setirostris,

C.veracruzana,Dactyloscirus inermis,Cunaxoides croceus,Neocunaxoides clathratus,

Pulaguspseudominutus등의 11분류군,해면류 Geodiasp.21분류군,거미류 Spheropistha

melanosoma1분류군,후새류 Elysiasp.1,Elysiasp.2,Elysiasp.3,Elysiasp.4,Okenia

sp.,Aeolidinasp.,Bonellasp.,Cuthonasp.,Goniodoridellasp.,Hoplodorissp.,Glossodoris

sp.1,Glossodorissp.2등의 12분류군 총 101분류군이 새로이 추가 기록되었다.

<선충류>

선형동물은 부분이 몸길이 0.15-10mm를 넘지 않는 미소한 크기이고,이에 반해 기

생성의 경우는 최 8m에 달하는 실모양의 동물로서,외부의 형태 인 특징으로 인해 유선형

동물과 가장 가까운 유연 계를 보이는 형동물의 한 구성원으로 알려져 왔다.해양 선형동물

은 특히 요각류,동문동물,완보동물,복모동물과 함께 주요한 해양 간극수 동물 의 하나이며

해양 생태계에서 차지하는 생태 요성은 매우 크다.해양 선형동물은 재까지 약 5,000여

종이 기록되어 있으나 최근에 반복 으로 이루어진 생태 조사에 의하면 지구상에 서식하는

선형동물의 종 수는 략 40,000에서 100,000,000종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들 추정치의 50%

이상이 해양에서 자유생활 하는 선형동물로 상하고 있다.이러한 추정치는 지 까지 밝 진

종보다 앞으로 기록해야 할 종들이 무수히 많이 남아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해양의 선형동물

은 조간 와 기수역의 질, 륙붕 심해의 질에서도 쉽게 발견되며, 질에 서식하는 여

타 다른 어떤 간극수성 동물들 보다 높은 생물량 ( 체의 약 50-90%)과 종 다양성( 체의 약

90-95%)을 보이며, 지구상의 거의 모든 서식지에서 발견된다.

특히 이들 해양 선형동물은 규조를 포함한 단세포 조류,박테리아,원생동물,선형동물을

포함한 다른 미소한 무척추동물들을 섭식하는 차 소비자이며,해양의 질속에 서식하는 다

른 형 무척추동물(연체동물,환형동물)이나 어류 등의 요한 먹이 공 원으로써 해양 생태

계의 먹이사슬에 요한 연결고리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섬모충류>

Loxophyllum sp.nov.는 몸체의 측면에 구기부를 갖고 있는 해산 측구류의 일종으로 처

음 기재되는 신종이다.본종은 등면에 3-4개의 wart를 갖고 있으며 다른 종과는 달리,2개의

Page 178: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3. 무척추동물Ⅱ

- 172 -

핵 사이에 소핵을 갖고 있으며 소핵의 크기도 비교 큰 것이 특징이다.섬모충류는 범세계

분포가 가능한 분류군으로 수생부유생태계에서 종 다양성이 높고 생물량이 많을 뿐 아니라

상 단계로의 에 지 달자로 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어 생태 분류학 으로 매우 요

한 분류군이다.

Page 179: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4. 하등생물

- 173 -

구분목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합계

미기록/신분류군 신종 발굴 (종) 240 240 210 690

표본 확보 ( ) 16,000 16,000 14,000 46,000

생물재료 확보(생체 조직)( ) 500 500 500 1,500

G-DNA 확보 (종/ ) 80/160 80/160 80/160 240/480

4.자생 하등생물 자원 조사․발굴

가.최종 목표

상분류군 :진균류 원핵생물

▶ 미기록/신종(후보)발굴 :690종 /3년

▶ 확증표본 제작 :46,000 /3년

▶ 생물재료(생체 조직)의 체계 확보 :1,500 /3년

▶ G-DNA확보 :240종 /480 /3년

자생생물 주요 분류군의 종목록,분포도 작성 유용 생물 유 자 자원의 확보

나.연차별 연구 범

사업년도 연구 범

2006

불완 균문:Leptographium속,Cladosporium속,Alternaria속

자낭균문:Pyrenomycetes류,충생자낭균목,갈반병균목, 룩곰팡이목,외자낭균목,

엔도미세스목,흑분병균목

담자균문:Agaricales목,Aphyllophorales목,Gasteromycetes류,Discomycetes류,

균문 (Myxomycophyta)

Endophytes( 자엽식물,목본식물 내) 식물기생균

Proteobacteria(alpha,beta,delta,epsilonsub-group)<해수,육수 그 sediment>

2007

불완 균문:Penicillium속,Aspergillus속,Alternaria속

자낭균문:Pyrenomycetes류,충생자낭균목,갈반병균목, 룩곰팡이목,외자낭균목,

엔도미세스목,흑분병균목,Hypocreales목

담자균문:Agaricales목,Aphyllophorales목,Gasteromycetes류,Discomycetes류

균문 (Myxomycophyta)

Endophytes( 자엽식물,목본식물 내) 식물기생균

Proteobacteria(alpha,beta,delta,epsilonsub-group)<육지>

Page 180: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4. 하등생물

- 174 -

사업년도 연구 범

2008

불완 균문:Sphaeropsidales목,Melanconiales목,Moniliales목,Acremonium속,Alternaria속

자낭균문:Pyrenomycetes류,충생자낭균목,갈반병균목, 룩곰팡이목,외자낭균목,

엔도미세스목,흑분병균목,Hypocreales목

담자균문:Agaricales목,Aphyllophorales목,Gasteromycetes류,Discomycetes류

균문 (Myxomycophyta)

Endophyte( 자엽식물,목본식물 내) 식물기생균

Proteobacteria(alpha,beta,delta,epsilonsub-group)<기타 서식지>

(계속)

다.연차별 연구 결과

연구내용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합계

미기록/신종(후보)발굴 745 293 227 1,265

표본 확보 21,920 16,587 14,148 52,655

생물재료(생체 조직)확보 3,559 1,183 514 5,256

G-DNA확보 258/500 130/163 190/575 578/1,238

(1)표본 생물재료 확보

(가)1차년도

2006년 6월부터 2007년 3월까지 본 연구 기간 우리나라 일 의 토양 담수와 해수

해양생물에 분포하는 원핵생물(박테리아)에 한 분류 동정을 수행한 결과,Bacilli에 속하는

144종, Acinetobacteria 137종, Alpha-proteobacteria 115종, Beta-proteobacteria 64종,

Gamma-proteobacteria549종,기타 138종 등 총 1,147종이 분류되어,11,470 의 확증표본이

확보되었으며 진균류는 Eubasidiomycetes 2,036 종, Hymenomycetidae 107종,

Sordaryomycetes125종,Pyrenomycetes83종,Ascomycota54종,Coelomycetes52종,기타

289종 등 총 2,746종이 분류되고 10,450 의 건조표본을 획득하여 하등생물세부과제 체로는

총 3,893종 21,920 의 확증표본을 획득하여 1차년도 연구 목표를 과달성 하 다(137%).하

Page 181: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4. 하등생물

- 175 -

등 생물의 경우는 10% Foemalin그리고 70% Ethanol에 50%씩 액침표본으로 제작되어 생물

의 구조와 유 자를 각각 보존하는 확증표본으로 보 되어 있다.98종의 진균류로 118 의 생

체표본을 제작하 으며 1,147종의 원핵생물로 3,441 의 생체표본을 제작하 다.세부과제 체

획득한 생체표본은 총 1,245종 3,559 으로 목표의 712%에 해당된다.G-DNA 시료는 진균의

경우 78종 100 ,원핵생물의 경우 180종 400 ,총 258종 500 의 G-DNA를 획득하 으며 1

차년도 목표치의 323%/313%에 달한다.

(나)2차년도

2007년 6월부터 2008년 3월까지 본 연구 기간 한반도 분포 하등생물에 한 채집조사

활동을 수행한 결과,진균류의 경우 Ascomycota에 속하는 454종 3,987 ,Basidiomycota2,438

종 2,941 ,Deuteromycotina5종 5 ,Myxomycotina5종 으로 모두 2,902종 6,935 ,원핵

생물의 경우 Bacillale가 272종 2,615 ,Pseudomonadales169종 1,501 .Rhodobacteiales77종

832 ,Enterobacteriales79종 743 ,Actinomycetales60종 598,Aeromodales58종 559 ,

Vibrionales62종 530 ,Clostridiales46종 506 ,Flavobacteriales47종 479 기타 134종

1,289 으로 모두 1,004종 9,652 등 총 3,906종이 확인되었으며,16,587 (2차년도 목표의

104%)의 표본이 확보되어 2차년도 연구 목표를 달성하 다.이들은 액침 건조표본으로 제

작․보 되어 있다.생체 조직 등의 생물재료는 Ascomycota78종 176 ,Basidiomycotina

3종 3 , Bacillales등 원핵생물 1,004종 1,004 등 총 1,085종 1,183 (목표 비 237%)이 확

보되었다.

(다)3차년도

2008년 6월부터 2009년 3월까지본 연구 기간 한반도 분포 하등생물에 한 채집조사

활동을 수행한 결과,진균류의 경우 Ascomycota294종 3,341 ,Basidiomycota214종 1,749 ,

Zygomycota 12종 120 , 기타 5종 1,112 으로 총 525종 6,322 , 원핵생물의 경우

Actinomycetales210종 2,100 ,Aeromonadales78종 780 ,Alteromonadales20종 186 ,

Bacillales129종 1,100 ,Burkholderiales40종 400 ,Chromatiales31종 310 ,Deinococcales

53종 530 ,Enterobacteriales  125종 1,250 ,Flavobacteriales70종 700 ,Hodobacterales19

종 190 ,Rhizobiales12종 120 ,기타 64종 160 으로 총 851종 7,826 등을 확보하여 체

으로 총 14,148 (3차년도 목표의 101.1%)의 표본이 확보되어 3차년도 연구 목표를 달성하

다.이들은 액침 건조표본으로 제작ㆍ보 되어 있다.생체 조직 등의 생물재료는 진균류

Page 182: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4. 하등생물

- 176 -

220 ,원핵생물 294 으로 총 514 (3차년도 목표의 102.8%)를 확보하 다.

(2)미기록 신종(후보)발굴

(가)1차년도

본 발굴 조사 결과,1차년도 목표의 310%에 해당하는 신종(아종 변종 포함) 미기록

종 총 745분류군을 발굴하 다.Eubasidiomycetes에 속하는 34종,Sordariomycetes에 속하

는 12종,Coelomycetes에 속하는 10종,Eurotiomycetes 4종,기타 10종을 포함한 총 70종의

진균류가 미기록/신종(후보) 분류군으로 명되었으며 Gamma-proteobacteria 56종,

Actinobacteria 13종,Alpha-proteobacteria 33종,Bacilli25종,Beta-proteobacteria 14종,

Flavobacteria19종,Sphingobacteria8종,기타 12종 등 180종의 신종으로 분석된 원핵생물이

발굴되어 250종의 분류군이 신종 미기록종 후보로 발굴되었다. 그 외에도

Gamma-proteobacteria46종,Actinobacteria47종,Alpha-proteobacteria24종,Bacilli18종,

Beta-proteobacteria 14종, Flavobacteria 15종, 기타 12종 등 176종의 아종과

Gamma-proteobacteria146종,Actinobacteria60종,Alpha-proteobacteria35종,Bacilli38종,

Beta-proteobacteria17종,Flavobacteria13종,기타 10종 등 총 319종의 변종이 발굴되었다.

본 세부과제에서는 지난 10개월간의 발굴을 통하여 80종 이상의 신종 미기록종을 발

굴하 다.이는 원핵생물의 경우 국내기록의 미비 등으로 인하여 이 사업을 통하여 어느 정도

국내 자생 원핵생물의 분포와 범 가 확립되는 발굴사업의 1차 3개년 계획기간 내에서는 미기

록의 의미가 없어,다른 분류군과는 달리 사업의 업 으로 미기록종을 포함하지 않았다는 을

감안하면 매우 많은 수의 결과이며 1차년도 목표치의 200% 이상에 해당하는 결과이다.따라서

이들 발굴종의 생물학 의의를 설명하는 것은 양 으로 무리한 일일뿐 아니라 실제 분리,동

정 후 생리학 특성 등을 악하기 한 후속 연구가 마무리되지 않은 시 에서 분류학 혹

은 산업 의의를 서술하는 작업은 불가능한 작업이기도 하다.따라서 본 보고서에서는 1차년

도 연구를 통하여 발굴된 신종 미기록종 그 의의가 하여 재 어느 정도 추가 연

구가 진행된 종에 하여 작성하고자 한다.

균류인 Phaeomoniellapinifoliorum sp.nov.는 소나무 잎에 착생하는 신종균류로서 산성

조건에 잘 견디고,생장이 느리며,yeast형의 생장과 집락의 모양을 하며 convex모양의 주름

을 하고 있다.부푼 phialide형의 세포가 감소하고 균사로부터 phialide형의 는 측면에 포자를

형성하기도 하며,효모형태의 일차균사로부터 측면 이차 균사를 형성하는 특징을 보인다.

Page 183: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4. 하등생물

- 177 -

Phaeomoniellazymoidessp.nov.는 소나무 잎에 착생하는 신종균류로서 산성조건에 잘

견디고,생장이 느리며,yeast형의 생장과 집락의 모양을 하며 convex모양의 주름을 하고 있

다.거 분생포자 형성 세포는 부풀어 있으며 많은 phialoconidia를 형성함.일차분생포자는 길

쭉한 모세포가 되며 이는 극성 는 측면 이차균사가 됨.Phoma모양의 synanamorph를 생산

하는 특징이 있다.

Alternariapeucedanisp.nov.역시 이번 발굴사업을 통해 나타난 신종후보로서 이 균류

는 갯기름나물에서 분리되었으며 분생자경의 모양은 직선이거나 약간 굽어있으며 다소 실린더

형을 하고 있으며 격벽이 잇고 크기는 12-112x7.5-12.5um에 달한다 분생포자는 단독이며

직선이거나 약간 굽어 있으며 obclavate에서 obpyriform 는 ovoid형을 하고 잇으며 rostrate

하고 6-12개의 종격을 가지고 있다.횡격막은 1개에서 수개이며 크기는 120x20-40(-50)um.

Rostra(beak)는 거의 실린더형이며 분지되어 있지 않고 때로는 정단에서 부풀어 있으며 크기

는 20-100(-150)x5-6um이다.

수목에 가지마름병을 일으키는 병원균 분리를 실시하 다.주로 경기,충청, 라도 지

역으로부터 다양한 수목을 상으로 수목가지 끝에서 마른 병징을 나타내는 가지 단하여 습

실처리와 Agarplate상에서 병원균의 균사체와 포자를 유기 하고 미경으로 찰하여 형태

찰을 실시하 다.

지 까지,Phomopsis종으로 albobestita(호두나무),fukushi(배나무),cinerescens(모과

나무),cryptomeriae(삼나무),citri(귤나무),diospyri(감나무),hibisci(무궁화),mali(사과),

obscuraus(딸기),occulta(이팝나무),phaseoli(고추),prunorum (사과),fruncicola(사과),

vexan(살구),viticola(포도)등 15종이 보고 되고 있으며,종이 밝 지지 않은 Phomopsissp.

로서는 후박나무,목백일홍,풀 죽도, 추,복숭아나무,사과나무,서양배나무,앵두나무,올리

나무,가죽나무,두릅나무,벽오동,상수리나무,자작나무, 나무에서 기주식물체로서 보고되

었다.Phomopsis속은 주로 수목의 가지마름병을 일으키는 식물병원균으로서 국내 수목에

부분 존재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본 발굴조사에서 Phomopsis속내에서 국내에서 보고되

지 않은 종을 발굴 하 으며 이들은 (표 세부3-1)과 같이 네군도단풍,이팝나무,말채나무 ,갈

매나무,가새뽕나무,등나무,호장근,참오동나무,섬오갈피,오가나무로부터 P.lebisey,P.

chionanthi,P.corni,P.syngenesia,P.orientalis,P.seposita,P.polygonorum,P.

imperialis,P.araliae,분리되고 동정 되었다.이 Phomopsis종들은 국외에서 보고된 기주식

물체에서의 분리원과의 일치성과 포자 균사체형태 등을 고려하여 동정 하 다.

Page 184: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4. 하등생물

- 178 -

균주

번호

분리기주 분리

지역분리일시 병원균명

국 명 학 명

HP0632 싸리 Lespedezabicolar 주 06,11.28 Phomopsissp.

HP0634 나무1 Ligustrum japonicum 완도 06,12.01 Phomopsissp.

Pho0635 나무2 Ligustrum japonicum 완도 06,12.01 Phomopsissp.

HP0636 족제비싸리 Ligustrum japonicum 완도 06,12.01 Phomopsissp.

HP0616 계수나무 Cercidiphyllum japonicum 과천 06,11.09 Phomopsissp.

HP0628 회잎나무Euonymusalatusfor

ciliato-deutatus주 06,11.26 Phomopsissp.

HP0622 아카시아 Robiniapseudoacacia 산 06,11.13 Phomopsissp.

HP0624 정향나무Syringavelutinavar.

kangibayashii주 06,11.26 Phomopsissp.

HP0625 콩배나무 Pyruscalleryanavar.fauriei 주 06,11.26 Phomopsissp.

HP0607 노박덩굴 Celastrusorbiculatus 수원 06,11.03 Phomopsissp.

HP0612 수국백당나무 Viburnum sargentii 수원 06,11.06 Phomopsissp.

HP0638 쉬나무 Evodiadanielii 완도 06,12.01 Phomopsissp.

<표 세부3-1>다양한 수목 기주로부터 분리된 미기록 후보의 Phomopsis종

국내에서 보고되지 않은 수목으로부터 Phomopsissp.가 분리 되었으며 Phomopsis속은

(표 세부3-2)과 같다.싸리나무, 나무,족제비싸리,계수나무,회잎나무,아카시아,정향나무,

콩배나무,노박덩굴,수국백당나무,쉬나무에서 12Phomopsis균주가 분리 되었으며 국내에 다

양한 수목에 Phomopsis가 존재 하는 것을 나타낸다.

Phomopsis에의한 수목의 가지마름병은 수목의 어린가지에 공기나 수매 염에의하여 염

되며 곰팡이는 기에서 성장하고 수목은 기가마르면서 고사한다.본 발굴사업으로 채집한

결과 국내의 자생수목 부분에서 Phomopsis병해가 찰 할 수 있었다(그림 세부3-1).

비록 국내에서는 그 피해가 미미한 실정이나 병원성이 강한 Phomopsis출 에 의한 특정

수목의 피해가 우려 되는 것도 사실이며 계속 꾸 히 찰하여 병원성과 새로운 종 출 등을

모니터 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 되었다.주로 시료 채집 시기는 이른 이나 11월에서 12월 사

이에 지하기 에 마른 어린가지 끝부분을 채집하여 균을 분리하 다.병환은 병자각이 가지

에 형성되고 분생포자가 분생자병에 형성되어 다른 식물체로 이동한다.병징은 나뭇가지 정단

부 가 말라죽게 되는 조병징을 보이며 병반부 를 심으로 작고 검은 병자각이 형성된다.

Page 185: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4. 하등생물

- 179 -

균주 리 주 리

지역리 시 병원균

HP0602 도단 Acer negundo 안 06, 11.03 P. lebisey

HP0603 나무 Chionanthus retusa 공주 06, 11.03 P. chionanthi

HP0604 말채나무 Cornus walteri 공주 06, 11.03 P. corni

HP0605 갈매나무 갈매나무Rhamnus davurica 수원 06, 11.03 P. syngenesia

HP0606 가새뽕나무 가새뽕나무Morus bombysis 태안 06, 11.03 P. orientalis

HP0607 등나무 등나무Wisteria floribunda 수원 06, 11.03 P. seposita

HP0608 근 근 (Reynoutria japonica) 태안 06, 11.03 P. polygonorum

HP03609 참 동나무 참 동나무(Paulownia tomemtosa) 수원 06, 11.03 P. imperialis

HP0614 갈피 갈피Acanthopanax koreanum 수원 06, 11.06 P. araliae

HP0626 가나무 Acanthopanax sieboldianum 전주 06, 11.26 P. araliae

<표 세부3-2>새로운 기주로부터 분리된 미확인 된 Phomopsis종

<그림 세부3-1>Phomopsis종에 의해 감염된 수목 가지 마름병 징

포자의 모양은 원통형이며 병자각내의 분생자병에 붙어 있다.(그림 세부3-1)는 표 으로

무화과나무와 포도로부터 분리한 마른가지로부터 분리한 Phomopsis종의 사진을 나타내고 있

다.각 병반으로부터 검은 병자각이 도출 하고 있는 것을 찰 할 수 있다.

Phomopsis종은 인공배양이 잘 되며 부분 PDA (PotatodextroseAgar)배지에서 잘 성

장한다.(그림 세부3-2)는 미기록종으로 생각되는 Phomopsis종을 PDA에 종하고 10일 후

에 찰한 균사체 모양이다. 부분 기 균사가 형성되며 균사체의 모양이 종에 따라 회색,흰

색 균사체 응축,부정형 균사체 형성 등이 다르게 나타났다(그림 세부3-3).균사체에서의 포자

형성은 부분 게 형성 되었다.

Page 186: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4. 하등생물

- 180 -

<그림 세부3-2>Phomopsis의 균사 포자 형태 찰

<그림 세부3-3>다양한 Phomopsis종의 균사체 형태

공주의당일 의 친 환경 밤나무 집 재배단지에서 병고 밤나무 품종에 잎에 심하게 감염

된 밤나무 병징을 채취하여 습실처리와 Agarplate에 병원균을 유기 하여 단포자 분리하고 포

자모양과 균사체 성장 형태등을 찰하여 균을 동정 하 다.그 결과 잎반 으로부터 분리한

균은 모두 Pestalotiopsis종으로 나타났다(그림 세부3-4).

Page 187: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4. 하등생물

- 181 -

밤나무병반 균사체 포자

<그림 세부3-4>밤나무 무늬병원균인 Pestalotiopsissp.의 균사체 포자형태

PDA균사체는 흰색을 나타내고 있으며 10일정도면 petridish(직경 9cm)에 완 성장을

보 다.균사체내에 검은 포자퇴를 형성하고 그 포자퇴안이 포자를 형성 하는 것을 찰 하

다.포자모양은 형 인 Pestalotiopsis종의 형태로서 포자 양 끝에 두 가닥의 부속기 을 가

진 것이 특징이다(그림 세부3-4).국내 밤나무 재배단지에서 본 균이 보고된 것은 매우 희귀한

로서 친환경 재배기술의 용으로 농약살포가 억제되어 최근에 병이 확산 되고 있음을 나타

내고 있다.공주일 에는 친 환경 재배단지의 부분이 이 병에 감염되어 있었으며 재배 후기

인 7월 이후에 병반이 형성 되다가 9월 수확시기에 뚜렷한 병반을 형성 한다.병징은 잎

체가 잎에 노란 원형의 무늬를 형성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한 밤나무 마른 가지에서 한 균류가 분리 되었으며 이 균주는 배양시 진노랑의 균사체

균사체 균사 표자형태

<그림 세부3-5>밤나무 가지에서 분리한 미동정 균류

모양을 하 으며 부정형의 포자가 찰 되었다.그러나 형태 특성으로는 균 동정이 불가능하

여 DNA를 이용한 rDNA분석과 형태 동정이 수행 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 되었다(그림 세부3-5).

Page 188: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4. 하등생물

- 182 -

천안,연기,공주,안동,삼척,태백,화성으로부터 식물병반을 수집하여 탄 병균을 유기하

고 균사체 포자모양을 찰하여 탄 병균의 균학 특성을 조사하고 동정을 실시하 다.복

숭아,포도,호두,사과,바나나 잎과 열매에서 Collectotrichum acutatum이 분리 되었으며 배추

에서Collectotrichum higginsianum 이 분리 되었다. 이 에서 호두나무에서의

Collectotrichum acutatum의 보고가 되어 있지 않으며 국내에서의 미기록 종으로 생각 할 수

있다.

그 외 Fusarium spp.(보리,밤나무,부추)와 Botrytisallii( ),Botrytissquamosa(부추,

토마토 )Botrytiscinerea(딸기),Rhizotoniasolani(배추),Alternariasp.(밤나무)등이 분리

되어 균사체 포자가 찰 되었다(그림 세부3-6).

<그림 세부3-6>부추로부터 분리한 Fusarium oxysporum의 균사체 포자모양

본 조사를 통해 우리나라의 자생 버섯류로 주름버섯목 무당버섯과의 Russula

eburneoaleolataHongo와 민주름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의 Piptoporussoloniensis(Dubois)

Pilat가 새로이 추가 기록되었다.특히 RussulaeburneoaleolataHongo는 1973년 뉴기니아에서

처음 발견된 후 국내는 물론 일본에서 조차 보고된 바 없는 특이한 종으로 본 조사 결과 국내

에서 자생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민주름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에 속하는 Piptoporus

soloniensis(Dubois)Pilat는 1803년 처음 채집 Agaricussoloniensis로 동정되었으며,Boletus

soloniensis, Fomitopsis komatsuzakii, Ischnoderma soloniensis, Polyporus angolensis,

Polyporusirpex,Polyporusappendiculatus,Polyporuskomatsuzakii,Polyporusmedullae,

Polyporus pseudosulphureus, Polyporus soloniensis, Polyporus trichrous, Tyromyces

trichrous Ungulinasoloniensis로 명명되었다가 최근에 Piptoporussoloniensis(Dubois)

Pilat로 개칭된 균류로 우리나라의 경우 이번에 처음 기록 된다.

Ophiostomaceae과에 속하는 분류군은 나무에 침임하여 수목병을 야기시키는데 여하는

Page 189: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4. 하등생물

- 183 -

종이 많고 목재산업에 있어서도 목재변색을 야기시켜 임목산업에 피해를 주는 균류가 많이 포

함된 과이다.알려진 여러 균류가 곤충과 공생하는 계를 가지고 있어서 생태 으로도 주요시

되는 균류이다.과거 유럽을 비롯하여 최근 북미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소나무류를 시들어 죽

게 하는데 여하는 종이 분리되어 국제 으로 심이 고조되고 있는 분류군이기도 하다.본

발굴조사로 목재 변색에 여하는 Ophiostoma ips, Ophiostoma minutum-like sp.,

Ophiostoma galeiforme-like sp.,Ophiostoma piceae,Ophiostoma quercus,Ophiostoma

floccosum 등 6개 종에 한 검증을 확 할 수 있었다.

Hypocreavirens는 불완 세 가 Trichodermavirens로 담자균류인 버섯의 분해에 여

하는 요한 뷴류군의 하나이다. 이에 따라 양송이,느타리,표고 등의 버섯재배 농가에서 문

제가 되는 경제 으로 요한 분류군이다.

Penicillium olsonii,Penicillium glabrum 은 환경에 존재하면서 인체에 알 르기를 일으

킬 수 있는 공기의 질과 련되어 취 되고 있는 균류 의 하나이다. 특히 국내에서도 실내

환경에서의 공기의 질이 요시 되고 있는 가운데 바이오에어로졸의 일부로서 이들 분류군에

한 향 후 분포조사가 요구된다.

이번 조사에서 분류된 털마개 물버섯(신칭)Psathyrellapervelatoidsp.nov.는 갓은 폭이

15-35㎜로 기에는 유구형-유구상원추형이나,성장하면 넓은종형-반반구형으로 되며, 앙부

에 돌출부가 있다.표면은 회오 지,회 새,암 색을 띠고,성장 기에는 방사상으로 불규

칙한 백색섬유질인편(2to3㎜)-강모상인피 는 면모상모가 있으나 성장 후에는 탈락하여 평

활하며,갓끝에는 백색의 피막잔유물이 상당기간 동안 부착되어 있다.조직은 얇고,백색-담갈

색이다.냄새는 불확실하며,맛은 부드럽다.주름살은 에 끝붙은주름살-좁은완 붙은주름살이

며,다소 빽빽하고,성장 기에는 회베이지색을 띠나 성장 후에는 회갈색-암갈색을 띤다. 는

크기가 35-54×1.5-2.5㎜로 원통형이고,상하 굵기가 같으며,가끔 기부쪽이 굵으며,기부는 다

소 유구근상이고,백색 모로 덮여 있다.표면은 황백색-오 지백색을 띠고,백색강면모로 덮여

있다.상부는 백색분질이 있다.턱받이는 면모상이며 성장 후에는 불확실하다. 속은 어릴 때

에는 차있으나 성장하면 비어 있다.포자문은 자흑색,포자는 크기가 7.3-8.2×4.1-4.7㎛,모양은

타원형 표면은 평활하며,포자상단 앙부에 발아공이 있으나 종종 불분명하다.담자기는 크기

가 25.5-26.4×9.1㎛로 4-포자형이며,곤 형-유곤 형이고 종종 기부에 구가 있다.날시스티

디아는 크기가 38.2-41×11.8-13.7㎛로 램 형이며,세포벽은 얇고,투명하며,다수 다발성이다.

측시스티디아는 없다.갓표피상층은 폭이 22.5-31.5㎛인 구형-유구형의 불규칙한 구형각피다

층(epithelium)으로 구성되어 있으며,세포벽은 얇고,자실층조직은 갈색색소가 있으며,격막에

Page 190: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4. 하등생물

- 184 -

구가 있다. 시스티디아는 없다.식용가능성은 불명이며,부식토,매몰된 나무조각 숲속의

나무부스러기 에 무리져 발생하거나 다발로 발생한다.여기에 기술된 종은 자실체가 매우 작

고,백색분질-섬유질인피로 피복되어 있으며,포자는 10㎛,이하이고,측시스티디아가 없으며,자

실층조직세포에 갈색색소가 있고,날시스티디아가 램 형이란 에서 특징 이다.P.pervelata

는 본종과 매우 유사하나 날시스티디아가 오뚜기형(utriform)이고.측시스티디아가 있다는 에

서 다르다.P.sacchariolens 한 본종과 유사하나 매우 독특한 감미로운 냄새가 있며,날시스

티디아가 오뚜기형(utriform)이고.측시스티디아는 날시스티디아 형이며, 시스티디아가 있다

는 에서 다르다.

방울먹물버섯(신칭)Coprinusverrucispermus의 육안 특징으로 갓은 크기가 10-15×8-12

㎜(upto35㎜)로 기에는 난형-유구형이나,성장하면 반반구형-편평하게 펴진다.표면은

갈색-담갈색이나 곧 은색을 띠며, 체에 베일의 잔유물인 갈색의 면모상과립으로 덮여있다.

주름살은 에 완 붙은주름살이며,다소 빽빽하거나 간형이고(L=20-33,L=0-3), 기에는

백색이나,암세피아색-흑색을 띤다.주름살날은 분질상이다.주름살 끝에서부터 서서히 액화

상이 일어난다. 는 크기가 20-55×1-3㎜로 원통형이고,상하 굵기가 같으며,짧으나 성장후에

는 가 길어진다.표면은 백색이고, 체에 백색의 미세한 분질이 피복되어 있으며, 잘 부러

지며,속은 비어 있다.포자는 크기가 10.7-15.8×6.8-9.2㎛,모양은 난형,타원형 약간 살구씨형

(amygdaliform)이고,주름상의 포자 액막(perisporium)으로 덮여있으나,이포자 액막은 KOH

용액에서 수시간 지난 후에는 녹아서 없어진다.포자상단 앙부에 두상발아공이 있다.담자

기는 크기가 16.6-30.5×7.8-9.5㎛,로 2-포자형이며,곤 형-유곤 형이고 기부에 구가 없다.

측사(Pseudoparaphyses)는 4-6개/담자기가 있다.날시스티디아는 크기가 22-58×20-50㎛로

타원형-유구형,구형이며,세포벽은 얇다.측시스티디아는 폭이 30-65㎛로 세포형-타원형이며,

세포벽은 얇다. 갓표면의 외피막(velar)은 구형세포는 폭이10-25㎛이고, 타원상세포는

15-35×8-25㎛이며 세포벽이 얇거나 다소 두껍다. 갓시스티디아(Pileocystidia)는 크기가

80-210×18-25㎛,유마몬드형이나 상단부 가 다소 늘러나 목을 형성하고 폭이 5-8㎛이다.균

사의 격막에 구가 있으나 작고 불확실하다.식용가능성은 밝 지지 않았다.여름~가을에 잘

부휴된 나무나 부식토 는 유기질이 풍부한 곳에 다수 는 산생한다.여기에 기술된 종은 포

자표면에 돌기가 있다는 과 세포형측시스티디아,2포형담자기란 에서 매우 특징 이다.본

종과 외 상 매우 유사한 Coprinussilvaticus는 담자기가 4-포자형이고,측시스티디아는 없으

며,날시스티디아는 램 형이란 과 자실체가 보다 크다는 에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원핵생물의 발굴 결과를 분리 장소별 분석한 결과 남 해안지방을 비롯한 지역에서 다른

Page 191: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4. 하등생물

- 185 -

지역에 비해 신종 미기록종 들이 많이 분리되었고 diversity역시 높게 나타났으며,특히

남의 진도 갈두선착장의 시료에서 많은 균주들이 발견되었다. 체 으로 채취 장소별 신종

미기록종들은 동해보다는 황해 남해에서 많이 발견되었으며,표본종 역시 같은 결과를 보

다. 한 동해 지역에서 분리된 균주들의 동정 결과 다수의 균주들은 황해 남해에서 분리된

균주들에 비해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어서인지 부분 기재가 된 균주들로 동정되어 앞으로의

시료 채취에 있어서 신종 미기록종들의 발굴을 해서는 동해보다는 황해 남해의 시료

가 당할 것이라고 사료된다.특히 동해에서 분리된 균주의 경우 최근 1-2년 이 혹은 수개

월 이 일본의 학자에 의해 학계에 보고된 종이 많았으며,서해안에서 분리된 원핵생물의 경

우 국의 연구자에 의해 최근에 분리된 균주가 많음을 확인하 다.따라서 한국,일본, 국의

동북아 3개국 사이에서 향후 원핵생물의 발굴을 놓고 치열한 경쟁이 진행될 것으로 측된다.

계 별로는 여름과 겨울에 발견되는 균주의 pattern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겨울에 채

취한 시료에서 분리된 균주들은 여름 시료의 균주들보다 늦게 성장하 고,여름 시료에서 보이

지 않았던 균주들이 많이 발견되었다.이에 반해 여름 시료에서 체 으로 우 으로 분리되

던 Vibriosp.가 거의 발견되지 않고,여러 다른 균주들이 발견되었다.이러한 결과는 표본종,

신종 미기록종에서 같은 양상을 보 다.

당해 연구기간동안 분류된 해수 해양생물에서 배양 된 박테리아의 분석 결과 해양에서

우 하고 있는 Alpha-proteobacteria,Gamma-proteobacteria가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 으며,

그 다음으로 Flavobacteria가 많은 수를 차지하 다.신종으로 분류된 박테리아에서도 같은 양

상을 띠는 것으로 분석되었다.이들 박테리아는 해양미생물 군집에서 요한 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Alpha-proteobacteria는 극한 환경에서 박테리아의 생존과 계되어진 light-dependent

protonpump를 가지고 있다는 ,Gamma-proteobacteria는 빈 양,즉 oligotrophic환경에서

주로 생존한다는 ,Flavobacteria는 해양에서의 macromolecules를 분해한다는 에서 요한

의의를 가지고 있다 하겠다.이들에 한 연구는 해양환경에서의 반 인 박테리아 diversity

는 물론 생지화학 인 연결고리를 분석한다는 에서 큰 가치를 가지므로 앞으로도 많은 연구

가 필요하다는 이 강조된다.

새우양식장의 해수에서 분리된 균주 IMCC6165는 기존에 알려진 속과 유연 계가 멀어 새

로운 속으로 추정된다.16SrRNA 유 자의 계통분석 결과 균주 IMCC6165는 Vibriokanaloe

와 92.8%,Vibriocyclitrophicus와 91.8%,Vibriomimicus와 91.3%의 유연 계를 보 다.일반

으로 92-94%의 16SrRNA유 자 염기서열의 유사도가 새로운 속을 구분 짓는 부차 인 척

도로서 여겨지므로 분리균주는 새로운 속으로 추정되었다.이는 계통도에서도 확실하게 알 수

Page 192: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4. 하등생물

- 186 -

있는데 균주 IMCC6165는 Vibrio속의 바깥쪽에 독자 인 계통학 가지를 형성하 다(그림

3-7).해양환경에서 Vibrionales에 속하는 균주들은 다양한 생리 특징을 지닌다.공생을 하거

나 독립생활을 하면서 발 을 하거나,콜 라나 패 증을 일으키는 병원성 세균의 역할을 하고

있다. 한 생물막 형성에 여하여 해양구조물을 오손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본 균주가

새우양식장의 해수양식수에서 분리된 에 비추어 보아,이 균주는 새우에 감염할 수 있는 기

회성 병원균일 가능성도 있어서 이 균주에 한 면 한 생리학 고찰이 요구된다.

<그림 세부3-7>Vibrionales에 속하는 신속,균주 IMCC6165의 16SrRNA계통도

새우양식장의 해수에서 분리된 원핵생물 균주 IMCC6087은 Flavobacterium 속에 속하는

많은 균주들과 비교 낮은 염기서열의 유사도를 보 다.균주 IMCC6087은 Flavobacterium

gelidilacus와 93.4%,Flavobacterium frigoris와 92.7%,Flavobacterium columnare92.4%의

유사도를 보이는 등 알려진 Flavobacterium 속의 여러 종들과 매우 낮은 유사도를 보여 신속

의 가능성을 나타냈다.하지만,계통학 분석 결과,Flavobacterium 속의 역에 정확히 치

하 으므로(그림 세부3-8),이 균주는 Flavobacterium에 속하는 새로운 종으로 동정되었다.

Page 193: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4. 하등생물

- 187 -

<그림 세부3-8>Flavobacterium 속에 속하는 신종,IMCC6087

Flavobacterium이 속해 있는 Flavobacteriaceae는 물질분해,살조능력,glidingmotility를

보이며 주로 노란색의 콜로니의 색깔을 보여주며,많은 수의 균주들의 카로니토이드 계열의

색소를 가지고 있다.Flavobacterium은 배양의 역사가 긴 세균 속으로서 많은 수의 미생물들

이 casein,chitin,cellulose등 고분자 탄수화물을 분해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어서 해양

에서 해조류로부터 유래된 물질을 분해하는 부착성 세균으로 알려져 있다.본 균주가 분리된

새우양식장은 새우양식을 한 건사료 습사료로 인하여 높은 농도의 유기물질 함량을 나타

내는데 아마도 이 균주는 새우로부터 유래된 chitin을 분해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는 균

주라 추정된다.이러한 균주는 양식장 폐수의 생물정화의 원재료로 이후 연구를 통해 사용될

수 있을 망이다.

충남 태안군 창기리에서 분리된 Family Xanthomonadaceae에 속하는 원핵생물은

Lysobacter속의 신종으로 확인되었다.Lysobacter는 학명이 시사하는 바처럼 생체 고분자물

분해효소를 생산하는 것으로 유명하며,주로 토양에서 발견되나 식물뿌리에서도 량으로 발견

되어 식물과의 연 성도 심의 상이 되고 있으며 본 속의 많은 균주들이 효소생산 등의 특

성에 의하여 특허화 되어 있는 상태이다. 재 Lysobacter에는 10종만이 알려져 있어 분리하기

Page 194: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4. 하등생물

- 188 -

가 용이한 분류군은 아님을 알 수 있다.특기할 은 이 6종이 국내에서 분리되어 보고되었

다는 이며,따라서 상 으로 국내에 그 분포가 풍부한 고유의 생물 분류군임을 짐작할 수

있다(그림 세부3-9).

<그림 세부3-9> PhylogenetictreeofLysobacter

충남 태안군의 신두리에서 분리된 FamilyPaenibacillaceae에 속하는 세균은 Paenibacillus

속의 신종으로 분석되었다.Paenibacillus속은 80여종이 속한 형 분류군이며,토양,수환경,

동,식물체내 등 다양한 환경에서 자유생활, 는 공생을 하는 균주들이 발견되고 있어 자연계

에 매우 범 하게 분포하는 세균군으로 남극 등 극지에서도 분리된 바 있다.한천,셀룰로스,

자일란 등의 다당류 분해능을 가진 종들이 다수 알려져 있으며,토양,근권에서 질소를 고정하

여 식물의 생장을 진시키는 주요한 미생물군의 하나로도 알려져 있다.국내에서도 항생물질

을 생산하는 P.koreensis(Chungetal.2000) P.elgii(Kim etal.2004),조류세포의 회수

에 이용할 수 있는 P.kribbensis과 P.terrae(Yoonetal.2003),다당류 분해능을 가진 P.soli

(Parketal.2007) P.chinjuensis(Yoonetal.2002),염기성환경 서식 P.alkaliterrae

(Yoonetal.2005) P.daejeonensis(Leeetal.2002)등이 다양한 환경에서 분리되고 다수

의 종이 등록 되어 있는 분류군이다.본 연구에서는 토양,근권 식물에서 다양한 분리주를

Page 195: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4. 하등생물

- 189 -

얻어 본 속에 속한 신종후보를 다수 확보하 다(그림 세부3-10).

<그림 세부3-10>PhylogenetictreeofPaenibacillus

CGM0020(그림 세부3-11)은 경기도 청계산 토양 샘 에서 분리되었으며 호기 인 조건에

서 25도에서 Metahnosacrinaextractbasalmedium에서 배양되었다.16SrRNA gene분석을

통한 계통학 분석으로 Actinobacteria의 신종으로 상된다.Actinobacteria는 그람 양성의 세

균으로서 부분의 토양에서 발견되며 키틴이나 셀룰로오스 등의 유기물을 분해시켜 토양에

양을 공 해주는데 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Actinobacteria corynebacterium등은 유용

한 aminoacid나 항생물질 등을 생산하는 등 산업 으로 유용한 균주로 여겨지고 있어 생태학

으로나 산업 으로 매우 요한 균주로 취 되고 있다.

Page 196: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4. 하등생물

- 190 -

<그림 세부3-11>CGM0020의 계통수

EP1058은 강원도 홍천 논 샘 에서 분리되었으며 기 인 조건에서 30도에 Reinforced

Clostridia medium에서 배양되었다.16S rRNA gene 분석을 통한 계통학 분석으로

Paenibacillus의 신종으로 추측된다.,Paenibacillus는 원래 Bacillus에 포함되어 있었으며,형태

학 으로는 간균형태를 가진다.토양에서 많이 분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토양내에서 각

종 유기물을 분해하는 역할을 한다.국내에서 토양내에 리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국내에서 발견된 Paenibacillus로는 Paenibacillus alkaliterrae,Paenibacillus chinjuensis,

Paenibacillusdaejeonensis,Paenibacilluskoreensis,Paenibacilluskribbensis,Paenibacillus

terrae등이 있다(그림 세부 3-12).

Page 197: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4. 하등생물

- 191 -

<그림 세부 3-12>EP1058의 계통수

강원도 양양군 포매리에 있는 포매호에서 분리된 PM1061015-005는 NCBI에 등록된 균주

와 염기서열 비교결과 X79939-Rahnellaaquatilis와 가장 높은 유사도를 보 으며,유사도

수치는 96%으로 신종후보로서 보여진다.콜로니 형태는 볼록한 모양의 작은 구형(Circular)이

고 가장자리는 깨끗하다(그림 세부3-13).그람염색으로 미경 찰 결과 간균의 그람음성균이

다.

강원도 강릉시 동에 있는 경포호에서 분리한 KP4061014-053균주를 NCBI에 등록된 균

주와 염기서열 비교결과 CR954246-Pseudoalteromonashaloplanktis와 가장 높은 유사도를 보

으며,우사도 수치는 97%으로 신종 후보로서 보여진다.이 균주의 콜로니 형태는 평평한 모양의

구형(Circular)이고 가장자리는 깨끗하다(그림 세부3-13).그람염색으로 미경 찰 결과 간균의

그람음성균이다.

Page 198: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4. 하등생물

- 192 -

Rahnellasp.(PM1061015-005) Pseudoalteromonassp.(KP4061014-053)

<그림 세부 3-13>Rahnellasp., Pseudoalteromonassp.의 콜로니 형태

;NutrientAgarMedium,25℃,24시간 배양.

Pseudomonassp.B208은 시화공단에서 시화호로 유입되는 지 (126.42.19,37.19.33)에서

분리되었다.이 지역은 공단 지역으로 여러 종류의 난 분해성물질 분해 미생물 이와 유사한

종이 확인되었다.이 균주의 염기 서열을 조사 한 결과(그림 세부3-14),toluene분해 세균인

Pseudomonassp.DSM12877와 3% 이상의 16SrRNA 염기서열 차이가 난 것으로 단되어

신종 후보로 정하 다.

강원도 속 시에 존재하는 송지호(38.20.7,128.31.7)에서는 신종으로 생각되는

Marinomonassp.분리되었다.송지호는 석호로써,석호는 해류 ·조류 ·하천 등의 작용으로 운

반된 토사가 바다의 일부를 폐색함으로써 생성된다.이들 호소는 수심이 얕고 바다와는 모래로

격리되고,지하를 통해서 해수가 섞여드는 일이 많아 염분농도가 높다고 알려져 있다.이곳에

서 분리된 B305 균주는 일반 인 석호에서 발견되는 해양성 미생물과 련이 있는

Marinomonassp.(CultivatedBacteriaAssociated with ArcticSeaIce-EF382679)와 6%의

16SrRNA와 염기서열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2007년 2월 10일에 경상북도 울진의 죽변항에서 막 잡아온 게로부터 원핵생물을 분리하

다.울진 게는 지역 특산물로 각 나라의 게들과는 형태 인 차이를 나타낸다.많은 새로

운 종이 발견되리라는 추측과는 달리 시료 부분은 일본, 국에서 최근에 보도된 신종과

16S rRNA와 유사도가 높았다.그 에서 B537균주는 Pseudoalteromonassp.(LOCUS

EF382710,BacteriaAssociatedwithArcticSeaIce)와 3%이상 16SrRNA와 염기서열의 차이

Page 199: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4. 하등생물

- 193 -

<그림 세부3-14>기존 보고된 균주와 strainB208사이의 16SrRNA비교분석결과

가 난 것으로 단되어 신종 후보로 정하 다.

Flavobacteria는 Commesalbacteriagroup으로 기회감염균(opportunisticpathogen)이며,

Flavobacterium psychrophilum는 무지개 송어 라이증후근과 세균성 cold-water병과 같은

다양한 어류의 질병을 일으킨다.Bernardetetal에 따르면 Flavobacteria는 gram-negative

aerobicrods,2-5mm long,0.3-0.5mm wide의 특징을 가지며 agar상태에서 yellow (cream

toorange)colony를 형성하고 glidingmotility를 해 rounded 는 taperedends를 가진다.

Cellulose를 제외한 다양한 polysaccharide로 구성되어 있으며,32~37%의 G+Ccontent,soil과

freshwaterhabitats에 범 하게 분포되어 있다.본 조사를 통하여 분리된 Flavobacterium

sp.2117D는 16SrRNA분석결과 Flavobacterium psychrophilum와 유사하 으나 그 유사도가

Page 200: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4. 하등생물

- 194 -

97% 이하인 것으로 나타나 신종으로 명되었다.

(나)2차년도

본 발굴 조사 결과,진균류의 경우 50종의 미기록을 발굴하 다.주발버섯과에 속하는 1속

genusCaloscyphaBoud.와 1분류군 Caloscyphafulgens(Pers.)Boud.,종버섯속의 Conocybe

fragilis(Peck)Sing.복균류의 방귀버섯과 속하는 Geastrum pectinatum Pers.,등 1속 3분류

군이 새로이 추가 기록되었다. 지 까지 분리된 기주에 한 보고가 없는 식물내생 곰팡이

토양유래의 곰팡이 분류군들로서 남 장성의 백양사 인근의 고사리 식물체의 잎에서 식물

내생균 (endophyte)인 Pestalotiopsissp.,Fusicoccum sp.근연 종,Hypoxylonsp.근연 종 등

이 분리되었으며, 주시 용 동 남 인근의 왕벗나무 잎으로부터 내생균으로 처음 분리된

Colletotrichum boninense와 한 백양사 소나무 근권토양으로 부터 분리된 Myxotrichum sp.

와 백양사 인근 토양으로부터 분리된 Endomycessp.와 지역 아카시아 근권에서 분리된

Cordycepssp.(불완 세 :Beauveriasp.)가 포함된다. 특히 이러한 균들은 재 기주식물

체 토양으로부터 국내 미기록 균이면서 몇 개 균주의 경우는 향후 연구에 따라서는 신종

균주가 될 가능성이 있는 균으로 생각되어진다. 특히,28S rDNA 유 자분석에 기 한

Fusicoccum sp.근연 종,Hypoxylonsp.근연 종 등은 향후 다른 분자마커를 이용한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고있다. Ampelomycesquercinus,A.foetidus,A.sydowii,

Cladosporium dominicanum, C.oxysporum, C. sphaerospermum, C. tenuissimu, C.

uredinicola,Eurotium amstelodami,E.chevalieri,E.repens,E.rubrum,Penicillium

fellutanum,P.radicicola,P.sclerotigenum,P.toxicarium,Phomeherbarum등의 미기록종도

이번 연구를 통하여 확인되었다. Aspergillusniger는 국내에서 땅콩 양 에 검은곰팡이병

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나 이번 조사에서는 스트로 잣나무의 내생균으로 처음 발

굴되었다. Cladosporium cladosporioides는 감나무그을음병과 벼이삭마름병균으로 보고되어

있으나 민들 와 소나무의 내생균으로는 처음 보고되는 것이다. Penicillium polonicum은 감

귤에서 분리된바 있으나 새로운 기주로 이를 처음 보고한다.자낭균류의 Microascales목에 속

하는 Ceratocystissp.,Herpotrichiellaceae과에 속하는 Exophialasp.,Davidiellaceae에 속하는

Cladosporium sp.,C.sphaerospermum, Trichocomaceae과에 속하는 Penicillium adametzii,

P.minioluteum,P.pinophilum,P.sclerotiorum,P.variabile,Edyuilliaathecia,Aspergillus

penicillioides,Hypocreales목에 속하는 Fusarium sporotrichioides,Ophiostomataceae과에 속

하는 Sporothrixsp.,Saccharomycetaceae과에 속하는 Pichiazsoltii,Saccharomycopsidaceae

Page 201: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4. 하등생물

- 195 -

과에 속하는 Saccharomycopsis crataegensis,Xylariales목에 속하는 Microdochium sp.,

Amphisphaeriaceae에 속하는 Pestalotiopsis sp.,Phoma 속인 P.glomerata.,담자균류의

Filobasidiales목에 속하는 Cryptococcusvishniacii,Sporidiobolales목에 속하는 Rhodotorula

mucilaginosa등도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균주로 새로이 추가 되었다.

원핵생물의 경우 모두 243종의 균주가 신종 새로운 아,변종의 후보균주로 발굴되었다.

이들은 Rhodobacteriales 42, Flavobacteriales 32, Bacillales 29, Pseudomonadales 41,

Enterobacteriales22,Clostridiales18,Actinomycetales13,Alteromonadales14,기타 분류군

32종 등이었으며 이 120분류군이 신종으로 나머지 63분류군이 아종 후보로 그리고 60분

류군이 변종후보로 간주되었다.결과 으로 하등생물 세부 분야의 2차년도 발굴사업을 통하여

모두 50종의 국내 미기록종이 확인되었으며 120종의 신종후보 63종의 새로운 아종 후보

균주,60종의 변종후보 들이 개발되어 목표 비 122%의 성과를 획득하 다.

Clostridium 은 Firmicutes문에 속하는 기성 세균으로서 자연환경 다양한 환경

에서 발견된다.다양한 질병의 병원균이기도 하며,보톡스나 포자를 이용한 암치료법등 의료에

이용되기도 해 요한 분류군 하나라 평가받고 있다.Clostridium은 종 구성이 매우 이질

으로 되어 있어서,1994년에 Collins등에 의해 l9개의 분류군으로 개정되어있다. 그 표 종

(typespecies)인 Clostridium butyricum을 포함한 제 1군 이 진정한 Clostridium으로 인정

받고 있으며, 재까지 170개의 종이 인정되고 있다.이번 연구에서 모두 16종의 Clostridiales

에 속하는 신종후보가 발견되었으며 발견된 Clostridium은 부분 제 1군에 속하는 것으로

명되었으며 제 11군과 제 14a군 역시 많이 발견되었다. 한 발견된 신종 아종에서도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새로운 신종 후보군인 Lysobactersp.와 Pedobactersp.몇몇 종으로 계통학 인 분석을

통해 신종후보군에 진화 인 유연 계를 살펴보았다 (그림 세부3-15).

발굴기간 시화호 인근지역의 질층에서 분리된 균주인 B808은 16SrRNA의 염기서열

분석결과가 기존에 보고된 다른 균주들과 비교하면 91% 이하의 낮은 유사도를 보여 신속의

균주로 생각된다(그림 세부 3-16).

이미 언 한 바와 같이 원핵생물의 종의 개념은 유 학 유사성에 그 바탕을 두고 있으

며 그 유사성을 구분하는 확실한 기 은 totalgenome의 개념으로 70% 이상의 유사도를 갖

을 경우 이들은 동일 종으로 간주한다. 그러나 이의 실험 , 실 한계 때문에 total

genome을 16SrRNA의 염기서열분석으로 치하고 있으며 이 경우 유 자 체의 유사도와

16SrRNA의 유사도 사이의 상 계에 해서는 아직도 학자들 간에 의견의 차이가 존재한

Page 202: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4. 하등생물

- 196 -

다. 그러나 차이가 있다하여도 그 범 는 최고 3% 차이를 벗어나지는 않으며 다수의 분류학

자들은 2.5%이상의 16SrRNA의 염기서열 차이가 나타나는 두 균주는 별도의 종에 속하는 것

으로 보아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따라서 그 차이가 9%이상의 경우에 해당하는 B808균주

는 확실이 신종이 아닌 신속에 해당하는 균주라고 단된다.

신속의 경우는 그 유 특성 뿐 아니라 생리 ,생태 특성에서도 기존의 종 혹은 속

의 다른 균주들과 차이를 보여야 한다.이를 하여 균주의 일반 인 특성과 생리학 특성을

조사한 결과 이 균주는 그람 음성의 간균으로 특이하게 탄소원으로 탄수화물을 거의 이용하지

못하며 신 단백질 아미노산을 주로 사용하는 독특한 생리 특성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

다. 한 이 균주는 수은 등의 속에도 내성을 지니고 있었다.

Ampelomyces 속은 자낭균문(Ascomycota), 불완 균강(Deuteromycetes, mitosporic

fungi),분생자각균목(Sphaeropsidales)에 속하는 균으로서 병자각(pycnidium)을 형성하는 균인

데 A.quisqualis는 흰가루병균(powderymildew)에 기생하는 생물 방제제로 잘 알려진 균

이다.A.quercinus는 잣나무(PInuskoraiensis)의 잎조직내부에서 분리한 내생균류(endophytic

fungus)로서 국내에서는보고된 바가 없으며 처음 보고되는 균이다.

Page 203: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4. 하등생물

- 197 -

<그림 세부 3-15> Lysobactersp.와 Pedobactersp.몇몇 종 신종후보군의 진화 인 유연 계

AJ457206|Chryseobacterium daecheongense

AJ309324|Chryseobacterium defluvii

DQ256729|Chryseobacterium wanjuense

AY315443|Chryseobacterium formosense

DQ318789|Chryseobacterium taiwanense

AY883416|Chryseobacterium taeanense

AY883415|Chryseobacterium soldanellicola

AJ271009|Chryseobacterium scophthalmum

AM040439|Chryseobacterium piscium

EF204450|Chryseobacterium haifense

AM159183|Chryseobacterium hispanicum

AJ843132|Chryseobacterium taichungense

AJ575430|Cloacibacterium normanense

U60101|Riemerella anatipestifer

M58772|Chryseobacterium gleum

M58773|Chryseobacterium indologenes

EF154516|Chryseobacterium flavum

AJ271010|Chryseobacterium joostei

AJ871397|Chryseobacterium vrystaatense

AM489609|Chryseobacterium luteum

EF554366|Sejongia marina

AY553294|Sejongia jeonii

AY553293|Sejongia antarctica

AF493696|Epilithonimonas tenax

AJ704540|Elizabethkingia meningoseptica

AB071953|Elizabethkingia miricola

808-27F

U87101|Ornithobacterium rhinotracheale

0.01

<그림 세부 3-16>신속후보균주인 B808의 진화학 유연 계

Page 204: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4. 하등생물

- 198 -

Aspergillus 속은 자낭균문(Ascomycota), 불완 균강(Deuteromycetes, mitosporic

fungi),총생균목(Moniliales),담색선균과(Moniliaceae)에속하는 균으로서,이번 조사에서 3종의

국내 미기록 Aspergillus가 발굴되었다.그 A.niger와 A.sydowii는 식물내생균으로서 스

트로 잣나무(Pinusstrobus)의 잎조직속에서 분리되었고,A.foetidus는 토양에서 분리되었다.

Cladosporium속은 자낭균문(Ascomycota),불완 균강(Deuteromycete,mitosporicfunfi),

총생균목(Moniliales),암색선균과(Dematiaceae)에 속하는 균으로서 공기,식물병원균,토양

에 흔히 분포하는 균으로 알려져 있으나 식물내생균 에서는 국내에서 보고된바 없다. 번 발

굴조사를 통하여 식물 내생균 에서 5종의 국내 미기록 Cladosporium 균이 발굴되었다.C.

cladosporioides는 민들 와 소나무 조직속의 내생균으로 처음 보고되며,C.dominicanum이

두릅나무의 잎조직에서 분리되었고,C.oxysporum이 소나무 잎조직에서 분리되었으며,C.

sphaerospermum이 소나무 잎조직에서, C. tenuissimum이 민들 와 두릅나무에서, C.

uredinicola가 민들 에서 처음으로 분리되었다.

Eurotium속은 자낭균문(Ascomycota), 룩곰팡이목(Eurotiales), 룩곰팡이과

(Eurotiaceae)에 속하는 균으로서 무성세 (anamorphicstage)는 Aspergillus이다. 이 속은 자

연계에 리 분포하는 균으로 알려져 있으나 국내에서는 그 다양성에 한 연구 보고가 미진

한 실정이다.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토양과 건 등에서 4종의 미기록 Eurotium 즉 E.

amstelodami,E.chevalieri,E.repens,E.rubrum이 발굴되었다.

Penicillium속은 자낭균문(Ascomycota),불완 균강(Deuteromycetes,mitospricfungi),총

생균목(Moniliales),담색선균과(Moniliaceae)에 속하는 균으로서 자연생태계에 리 분포하는

균이다.이번 조사에서 2종의 식물내생 Penicillium과,1종의 토양분리 Penicillium,그리고 1종

의 식물병원 Penicillium이 국내에서 최 로 발굴되었으며 1종은 새로운 기주에서 분리되었다.

미기록 식물내생 Penicillium은 리기다소나무에서 분리된 P.fellutanum,토양에서 분리된 P.

radicicola,리기다소나무에서 분리된 Ptoxicarium이었고 식물병원 Penicillium은 장 인 마

의 부패에 여하는 P.sclerotigenum이었다.마에서는 P.polonicum도 처음으로(기주미기록

종)보고되었다.

Phoma는 자낭균문(Ascomycota),불완 균강(Deuteromycetes,mitosporicfungi),분생자

각균목(Sphaeropsidales)에 속하는 균으로서 병자각(pycnidium)을 형성하는 균으로서 번 조

사에서 P.herbarum이 소나무 내생균으로서 최 로 발굴되었다.

Ceratocystis속에는 고구마에 검은무늬병을 일으키는 Ceratocystisfimbriata,참나무 마름

병을 일으키는 C.fagacearum 등 식물에 여러 가지 병을 일으키는 종이 많이 있다. 본 발굴

Page 205: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4. 하등생물

- 199 -

조사를 통하여 식물 병원에 여하는 Ceratocystis속에 한 검증을 확 할 수 있었다.

Sporothrixsp.는 나무에 침입하여 수목병을 야기 시키는데 여하는 종의 불완 세 이다.

Sporothrix의 완 세 는 목재변색을 야기 시킴으로써 임목산업에 피해를 주는 균류가 많이 포

함되어있다. 게다가 S.chenckii는 인체 병원성균으로 많이 알려져 있다. 본 발굴조사로

Sporothrix속에 한 검증을 확 할 수 있었다.

Cladosporium sp.,C.sphaerospermum,P.adametzii,P.minioluteum,P.pinophilum,P.

sclerotiorum,P.variabile,Aspergilluspenicillioides은 환경에 존재하면서 인체에 알러지를

일으킬 수 있는 공기의 질과 련되어 취 되고 있는 균류 의 하나이다.특히 최근 국내에서

도 실내환경에서의 공기의 질이 요시 되고 있는 가운데 바이오에어로졸의 일부로서 이들 분

류군에 한 향 후 분포조사가 요구된다.Pichiazsoltii,Saccharomycopsiscrataegensis는 많

이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참나무 시들음병이 걸린 감염목과 매개충에서 분리된 균주로 국내

국 으로 발생하여 문제가 되고 있는 참나무 시들음병에 여하는 매개충 는 병원균과 공

생 계가 있을 것이라 추측되어 앞으로 많은 연구를 필요로 하는 균이다.

주발버섯목 주발버섯과 속하는 Caloscyphafulgens(Pers.)Boud.(1885)는 제주도 선흘 곶

자왈 삼나무림 내 지상에 2월에 발생하는 종으로 국내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다. 유럽에서는

주로 고산지 의 침엽수림 는 활엽수림 내에 발생하는 종이며,일본에서는 - 여름에 침엽

수림 내 지상에 발생한다 하 으나,국내(제주도)종은 2월에 해발 100m 이내 지 의 삼나

무 림에서만 발생한다는 에서 국외종과 발생 환경 으로 매우 상이하므로 앞으로 세 한 조

사 찰이 요구된다.

주름버섯목 소똥버섯과에 속하는 Conocybefragilis(Peck)Sing.(1950)는 강원 인제

산의 옥수수밭에 8월에 군생하던 버섯이다. 동구릉에서 발견이 되었으나 아직 국내에 기록된

가 없으며,활엽수부식토에서 발생하는 종이다.

복균류의 방귀버섯과 속하는 Geastrum pectinatum Pers.(1801)2007년 10월에 월정사 입

구 나무림에서 국내 처음으로 발견하 으며,내피막이 청색을 띠는 완벽한 자실체를 수집하

다.세계 으로 희귀종이며,국내 버섯유 자원으로서 가치가 매우 높다.

버섯류는 지구생태계에서 유기물을 분해하는 분해자로서 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일부 버섯은 분해된 모든 무기양료를 수분과 함께 흡수하여 뿌리를 통하여 식물(기주)에 달

하고 버섯이 성장하는데 필요한 양분은 기주로부터 공 받아 공생하고 있어 부휴균 뿐만 아니

라 공생균은 합성을 하는 식물성장에 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하지만,우리나라 부휴균과

공생균에 한 분류학 연구는 그들이 차지하는 생태 인 요성에도 불구하고 인 라 구축

Page 206: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4. 하등생물

- 200 -

의 미흡과 련 연구자의 인 부족으로 답보 상태에 놓여 있다.특히,이러한 버섯류는

비가 온 후 습기가 풍부할 때 짧은 시기에 발생하고 없어지므로 “유성세 생존시기가 매우

짧다” 기에 수집하지 않으면 발생시기를 놓치게 되어 분류학 검토가 매우 제한 이다.

(다)3차년도

본 발굴 조사 결과,총 227종의 미기록,신종 후보를 발굴하 다.진균류의 경우 발굴된 미

기록 후보 분류군들은 부분 국내에서 지 까지 분리된 기주 분리원에 한 보고가 없는

식물내생 곰팡이 토양유래의 곰팡이 분류군들로서 주시 용 동 남 캠퍼스내 향나무

의 잎에서 분리한 내생곰팡이 (endophyte)인 Pestalotiopsissp.,충남 인근 토양에서 분리한

Neocosmosporavasinfecta,백양사 소나무 근권토양으로 부터 분리된 Cephalothecasulfurea와

Doratomycesstemonitis, 남 양읍의 보리근권토양으로부터 분리한 Calonectriasp., 남

캠퍼스내 정원의 이팝나무에서 발견된 Phyllactiniasp., 남 양읍 백운산 지역의 쥐꼬리망

에서 Puccinialantanae가 동정 분리되었다. 재 이들 균에 한 연구를 진행 에 있으

며 균학 련 학술지에 발표 정으로 있다.특히 이러한 균들은 재 기주식물체 토양으로

부터 국내 미기록 균이면서 몇 개 균주의 경우는 향후 연구에 따라서는 신종 균주가 될 가능

성이 있는 균으로 생각되어진다.따라서 향후 다른 분자마커를 이용한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Hypocreales목에 속하는 Acremonium implicatum.,Pleosporales에 속하

는 Alternariapomicola.,Epicoccum nigrum,Leptosphaeriamicroscopica,Eurotiales목에 As

pergillusversicolor,Neosartoryahiratsukae.Penicillium citronigrum.Penicillium steckii.T

alaromycesspectabilis,담자균류의 Polyporales목에 속하는 Cerrenaunicolor,Phoma속에 속

하는 P.glomerata,P.herbarum,감자에서 분리한 Alternariasp.1과 코스모스에서 분리한 A

lternariasp.2도 신종에 추가되었다.

Page 207: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5. 하등식물

- 201 -

구분목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합계

미기록/신분류군 신종 발굴 (종) 160 160 140 460

표본 확보 ( ) 16,000 16,000 14,000 46,000

생물재료 확보(생체 조직)( ) 500 - - 500

G-DNA 확보 (종/ ) 20/40 - - 20/40

5.자생 하등식물(algae)자원 조사․발굴

가.최종 목표

상분류군 :한반도 자생 하등식물(algae)자원

▶ 미기록/신종(후보)발굴 :460종 /3년

▶ 확증표본 제작 :46,000 /3년

▶ 생물재료(생체 조직)의 체계 확보 :500 /1년

▶ G-DNA확보 :20종 /40 /1년

자생생물 주요 분류군의 종목록,분포도 등 상세한 분류 특성 정보 산출 체계화

나.연차별 연구 범

사업년도 연구 범

2006 규조류,편모조류,홍조류

2007 규조류,편모조류,홍조류

2008 규조류,편모조류,홍조류

Page 208: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5. 하등식물

- 202 -

다.연구 결과

연구내용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합계

미기록/신종(후보)발굴 148 159 153 460

표본 확보 16,376 16,831 14,272 47,479

생물재료(생체 조직)확보 946 - - 946

G-DNA확보 45/66 - - 45/66

(1)표본 생물재료 확보

(가)1차년도

2006년 6월부터 2007년 3월까지 1차년도 한반도 분포 하등식물(규조강,편모조강,홍조강)

에 한 채집조사 활동을 수행한 결과,총 34목 90과 186속 532종이 발굴되었으며,그 규조

강이 2목 22과 72속 326종,편모조강이 17목 36과 33속 59종,홍조강이 15목 32과 81속 147종

등으로 조사되었다.

표본 생물재료 확보를 한 확증표본은 16,376 (102%)으로 1차년도 표본 목표치

16,000 을 과 달성하 으며.이 4,211 은 건조표본으로 12,165 은 슬라이드 표본으로

제작하 다.제작된 규조류 편모조류의 슬라이드 표본의 경우,각각의 슬라이드 표본내의

깃 종을 슬라이드 표본 이름으로 명명하 으며,그 치는 Objectmarkerlens로 표시하 다.

하등식물은 슬라이드 표본 특성상 동일지역의 슬라이드 표본의 깃 종 1종에 해 5 까지

복인정이 가능하며,동일종이라 하더라도 채집일자 채집 장소가 다를 경우에는 별개의 표본

으로 인정한다.

생체 조직 등의 생물재료는 총 946 으로,액침시료 14 ,냉동시료 319 ,생체시료

609 등으로 제작하 으며,1차년도 목표의 189%를 달성하 고,G-DNA는 45종/66 을 확보

하여 목표치인 20종/40 을 225%/165%로 과 달성하 다.

(나)2차년도

2007년 6월부터 2008년 3월까지 2차년도 한반도 분포 하등식물(규조강,편모조강,와편모

Page 209: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5. 하등식물

- 203 -

조강,홍조강)에 한 채집조사 활동에서 확보된 분류군은 다음과 같다.

규조강 64과 198속 565종,와편모조강 39과 56속 205종,편모조강 11과 24속 207종,홍조강

53과 94속 168종 총 167과 372속 1,145종 의 표본 생물재료 확보를 한 확증표본은 16,831

(105.2%)으로 2차년도 표본 목표치 16,000 의 831 을 과 달성하 다. 이 2,886 은

건조표본이며,13,945 은 슬라이드 표본으로 제작하 다. 제작된 규조류 편모조류의 슬라

이드 표본의 경우,각각의 슬라이드 표본내의 깃 종을 슬라이드 표본 이름으로 명명하 으며,

그 치는 Objectmarkerlens로 표시하 다. 하등식물은 슬라이드 표본 특성상 동일지역의

슬라이드 표본의 깃 종 1종에 해 5 까지 복인정이 가능하며,동일종이라 하더라도 채집

일자 채집 장소가 다를 경우에는 별개의 표본으로 인정한다.

(다)3차년도

2008년 6월부터 2009년 3월까지 본 연구 기간 우리나라 담수 해산에 서식하는 하등

식물의 표본은 담수산 규조류 2,700 ,해산 규조류 2,800 ,해산 담수산 와편모조류 2,804

,담수산 유 나조류 1,815 ,담수산 황갈색조류 1,131 ,해조류 홍조류의 갈고리풀목,

곱슬이목,김 래목,꼬시래기목,도박목,돌가사리목,분홍치목,비단풀목,산호말목,우뭇가사

리목에 3,022 등 총 14,272 (당해연도 목표의 101.9%)의 표본이 확보되어 3차년도 연구 목

표를 달성하 다.규조류,와편모조류와 편모조류는 슬라이드 표본 11,250 으로 제작․보 되

어 있으며,홍조류 3,022 은 지 에 올려 건조표본으로 제작되어 있다.

(2)미기록 신종(후보)발굴

(가)1차년도

본 미기록 신종(후보)발굴 조사 결과 확인된 미기록종은 총 148분류군 (1차년도 목표

의 93%)으로 조사되었으며,규조강이 64종,편모조강 84종으로 확인되었다.

시 라조강(Synurophyceae)의 시 라목 시 라과의 5종 (MallomonasheterospinaLund,

1942;M.cyathellatavar.kenyanaWujek& Asmund,1979;M.sp.;M.sp.), 침편모조강

(Raphidophyceae) 라피도목(Raphidomonadales) 바쿠오라리아과(Vacuolariaceae)의 2종

(Vacuolaria virescens Cienkowski var. virescens, Gonyostomum semen), 황갈조강

Page 210: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5. 하등식물

- 204 -

(Chrysophyceae)오크로모나스목 오크로모나스과의 1종 (Uroglenavolvox Ehrenberg var.

volvox) 유 나조강(Euglenophyceae)유 나목(Euglenales)유 나과(Euglenaceae)6

종 (Lepocinclisfusiformisvar.amphirhynchusNygaard,Trachellomonasarmatavar.longa

Deflandre, Trachellomonas sp., Strombomonas acuminata var. amphora Playfair; S.

australicavar.Myersii(Stokes)Deflandre,S.fluviatilis(Lemm.)Deflandre)은 국내에서 처음

으로 발견되었다.Mallomonascyathellatavar.kenyana는 아 리카와 북미에서 보고되었으나

그 외 지역에서는 처음으로 발견되었으며,신종으로 생각되는 한 종이 발견되었다.그리고 침

편모조강의 바쿠오라리아과(Vacuolariaceae)에 속하는 종은 세계 으로 8종류가 보고되고 있으

며,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이 과에 속하는 2종이 발견되었다 .

식물 랑크톤은 담수생태계의 기 생산자로서 요한 역할을 수행한다.편모조류는 담수생

태계의 식물 랑크톤 군집 에서 종 구성과 양 인 측면에서 매우 요한 분류군이다.그러나

많은 종들은 세포벽이 없거나 약하여 고정하 을 때 쉽게 세포가 괴되기 때문에 그들의 존

재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울 때가 많으며, 한 시 라조강과 같이 동정이 어렵고 동정에 자

미경 찰이 필수 이기 때문에 이들 그룹의 분류 검토가 매우 제한 이다.

(나)2차년도

본 미기록 신종(후보)발굴 조사 결과 확인된 미기록종은 총 159분류군 (2차년도 목표

의 99.4%)으로 조사되었으며,규조강이 78종,와편모조강 49종,편모조강 32종으로 확인되었다.

㉮ 규조류

돌말강의 심돌말목 끈원반돌말과의 3종,Skeletonemadohrnii, Skeletonemamarinoi,

Skeletonema sp.,끈원반돌말속의 3종 Thalassiosira mala, Thalassiosira curviseriata,

Thalassiosira sp., 체돌말과 체돌말속의 1종 Coscinodiscus sp., 반원반돌말과의 1종

Pseudoguinardiarecta, 돌말아목 돌말과 껍질돌말과 1종 Dactyliosolenphuketensis,실패

돌말아목 센털돌말과 센턴돌말속의 1종 Chaetoceroscf.peruvianus,깃돌말목 등 돌말아목

땅콩돌말과 땅콩돌말속의 1종 Achnanthessp.,쪽배돌말과의 1종 Hasleasp.,등침돌말과 1종

Fragilariopsis sp.과 사슬등침돌말속의 2종 Pseudo-nitzschia cf. delicatissima,

Pseudo-nitzschiacf.pseudodelicatissima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다. 돌말강의 깃털말

목(Pennales)에 속하는 11종류와 심돌말목(Centrales)의 3종류 를 미기록종으로 보고하 다.

즉,쪽배돌말과(Naviculaceae)의 9종류 Amphipleura lindheimeri, Amphiprora paludosa,

Page 211: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5. 하등식물

- 205 -

Caloneisalpestris,Diploneisaestivavar.fusca,Gomphonemaangustatum var.linearis,

Gomphonema olivaceoides var. densestriata, Pleurosigma aestuarii, Pleurosigma

delicatulum,Pleurosigmastrigosum,등침돌말과(Nitzschiaceae)의 1종 Nitzschiasp.,막돌말

과(Diatomaceae)의 Synedratabulatavar.obtusa등이었으며, 심돌말목(Centrales)에서 3종류

로서 체돌말과(Coscinodiscaceae)의 Coscinodiscussubconcavus,Coscinodiscussp.와 끈원반돌

말과(Thalasiosiraceae)의 Thalassiosirasp.,Amphora속 1종인 Amphora.sp.와 Encyonema

속 2종 Encyonema neogracile,Encyonema sp.,Encyonopsis 속 1종 Encyonopsisleei,

Fragilaria속 1종인 Fragilariacapucinavar.austriaca,Gomphonema속 4종 Gomphonema

clavatum,Gomphonemaparvulum var.parvulum f.saprophilumt,Gomphonemaproductum,

Gomphonema sp.,Luticola 속 1종 Luticola sp.,Navicula 속 3종 Navicula aff.lundii,

Navicula normaloides, Navicula upsaliensis, Nitzschia 속 2종 Nitzschia capitellata,

Nitzschiacommutatoides등, 돌말강의 심돌말목(Centrales)의 센털돌말과(Chaetoceraceae)

에 2종Bacteriastrum sp.,Chaetoceros baculites,체원반돌말과(Coscinodiscaceae)에 1종

Coscinodiscus sp. 1, 끈원반돌말과(Thalasiosiraceae)의 11종(Thalassiosira decipiens,

Thalassiosira guillardii,Thalassiosira lentiginosa,Thalassiosira lundiana,Thalassiosira

mala, Thalassiosira oceanica, Thalassiosira partheneia, Thalassiosira pseudonana,

Thalassiosirasimonsenii,Thalassiosiratealata,Thalassiosirasp.1, 돌말과(Eupodiscaceae)

에 1종(Triceratium pentacrinus),쪽배돌말과(Naviculaceae)의 13종류로서 Caloneisfenzlii,

Catenula adhaerens, Navicula alpha, Navicula atomus, Navicula costulata, Navicula

digitatoradiata,Naviculaeta,Naviculaforcipata,Naviculalyravar.constricta,Navicula

marina,Naviculaperminuta,Naviculapseudony,Naviculatenera,등침돌말과(Nitzschiaceae)

의 2종 Hantzschiavirgata,Hantzschiavirgatavar.gracilis등,쪽배돌말과(Naviculaceae)의

3종류 Amphoracostatavar.inflata,Amphoraterroris,Mastogloiafimbriata와 등침돌말과

(Nitzschiaceae)의 1종 Nitzschiasubstilis등 총 78종이 발견 되었다.

㉯ 와편모조류

고니오라목(Gonyaulacales)고니올라과(Gonyaulaceae)의 3종 (Alexandrium sp.,Gonyaulax

sp.2종),김노디니움목(Gymnodiniales)김노디니움과(Gymnodiniaceae)의 2종 (Gymnodinium

sp.,Cochlodinium polykrikoides), 로녹티루카과(Pronoctilucaceae)의 1종 (Oxyrrhismarina),

유각 와편모조목(Dinophysiales)유각 와편모과(Dinophysiaceae)의 1종 (Dinophysismitra),페리

Page 212: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5. 하등식물

- 206 -

디니움목(Peridiales)푸로토페리디니움과(Protoperidiniaceae)의 Protoperidinium sp.3종은 국내에서 처음

으로 발견되었다.

Dinophysismitra는 쿠로시오해류에 분포하고 주로 일본에서 보고되었으나 국내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Oxyrrhismarina도 미국,일본 등에서 보고되었으나 국내에서는 처음 발견되었다.

국내에서 규모 양식피해를 일으키는 Cochlodinium polykrikoides는 명백한 생활사가 보고된

바 없으나 이번 조사에서 세계 최 로 이종의 휴면포자를 발견하여 앞으로 조발생 메카니즘

과 조발생 제어에 한 많은 연구가 수행될 것으로 생각된다.

Peridiniaceae과에 속하는 미기록 2분류군과 Euglenaceae과에 속하는 미기록 12분류군

등 총 14분류군을 발굴하 다.미기록 분류군은 Peridinium속 2종:Peridinium lomnickii,

Peridinium africanum,Trachelomonas속 4종:Trachelomonas cylindrica,Trachelomonas

rugulosavar.steinii,Trachelomonassp.1,Trachelomonassp.2,Phacus속 6종:Phacus

alatus var.atviensis,Phacus applanatus,Phacus elegans,Phacus hispidulus,Phacus

monilatus var.suecicus,Phacus pyrum,Lepocinoclis속 2종:Lepocinoclis playfairiana,

Lepocinoclis sp., 와편모조강(Dinophyceae) Dinophysiales목 Dinophysiaceae과 1종

Dinophysis rapa, Ornithocercaceae과 3종 Ornithocercus heteroporus, Ornithocercus

quadratus,Ornithocercusthumii,Gonyaulacales목 Ceratiaceae과 5종 Ceratium azoricum,

Ceratium lamellicorne,Ceratium platycorn var.cuneatum,Ceratium praelongum,

Ceratium ranipesvar.palmatum,Ceratocoryaceae과 1종 Ceratocorysgourretii,Peridiniales

목 Oxytoxaceae과 2종 Oxytoxum milneri,Oxytoxum tesselatum,Peridiniaceae과 1종

Dissodium asymmetricum, Pyrocystales목 Pyrocystaceae과 2종 Dissodinium elegans,

Pyrocystishamulusvar.inaequalis, 와편모조류강(Dinophyceae)의 고니오라목(Peridiniales)

페리디니움과(Peridiniaceae)의 4종 Peridinium umbonatum, Calciodinellum operosum,

Scrippsiellaprecaria,Peridinium sp.,고니올라과 (Gonyaulaceae)의 1종 Gonyaulaxsp.이

찰되었다.원생생물문(Eukaryota)의 Collodictynidae과 1종 Diphylleiarotans(=Aulacomonas

submarina)이 찰되었고, Chlorophyceae강 Volvocales목 Chlamydomonadaceae과 1종

Carteria sp.,황갈조강(Chrysophyceae) Pedinellales목 Pedinellaceae과 1종 Actinomonas

mirabilis,Cryptomonadales목 Cryptomonadaceae 1종 Rhodomonas sp.,Prasinophyceae강

Pyramimonadales목 Pyramimonadaceae과에 1종 Pyramimonassp.등 총 49종이 발견 되었

다.

Page 213: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5. 하등식물

- 207 -

㉰ 편모조류

시 라조강(Synurophyceae)의 시 라목 말로모나스과 4종 Mallomonas acaroides var.

obtusa, Mallomonas crassisquama var. papillosa, Mallomonas striata var. serrata,

Mallomonassp.nov.,황갈조강(Chrysophyceae)의 크로물리나목(Chromulinales) 라피소모나

스과(Paraphysomonadaceae)의 1종 Paraphysomonas bandaiensis,침편모조강(Raphidophyceae)

라피도목(Raphidomonadales)바쿠오라리아과(Vacuolariaceae)의 1종 Merotrichiacapitata,황

녹색조강(Xanthophyceae)미스코크스목(Mischococcales)미스코크스과 (Mischococcaceae)의 1

종 Mischococcus confervicolavar.confervicola,유 나조강(Euglenophyceae)유 나목

(Euglenales)유 나과(Euglenaceae)8종 Colacium vesiculosum,Phacusranulavar.ranula,

Phacus longicauda var. major,Trachelomonas Stokesiana,Trachelomonas spirogyra,

Trachelomonas nexilis var.nexilis,Trachelomonas sp.,Strombomonas sp. 규조강

(Bacillariophyceae) 심규조목 비듈피아과 2종 Hydroserawhampoensis,Pleurosiralaevis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다.Torquatae 의 Mallomonasinornata와 M.liturata와 유사하

나 bodyscales의 모양,순 의 pore와 window가 없고,apicalscalerhkrearscale의 spine형

태 등이 히 달라 신종으로 생각되는 한 종(Mallomonassp.nov.)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침편모조강은 세계 각지에서 10속 30여종이 보고되어 있으며,2006년도에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2속 2종이 보고된바 있으며,다른 조류군에 비해 매우 드물게 출 하는 Merotrichia속의

MerotrichiacapitataSkuja가 이번 조사에서 발견되었다. 규조류의 심규조목 Hydrosera

whampoensis와 Pleurosiralaevis는 세계 으로도 드물게 보고되어 있으며,본 조사에서 양

염이 높은 수체에서 수온이 높은 여름철에서 가을에 걸쳐 조사되었다.

유 나류의 Phacus simiis,Phacus oscillans,Phacus horridus,Discoplastis sp.,

Euglenatristella,Euglenavelata,,은편모조류의 Cryptomonassp.( 평늪),Cryptomonassp.

(쪽지벌), Cryptomonas sp. (팔락늪)이 기록되었다. 한, 황갈조류의 Mallomonas

portae-ferrae, Mallomonas corymbosa, Mallomonas cratis, Mallomonas heterospina,

Mallomonaspseudocratis,Mallomonasperonoidesvar.bangladeshica가 새로이 분포하는 것

으로 밝 졌다.

(다)3차년도

규조류 에서 우리나라 담수역에서 발굴한 국내 미기록종 는 신종 후보군은 다음의 49

종이었다;Achnanthesbrevipesvar.parvula(Kutzing)Cleve,A.kuwaitensisHendey,A.

Page 214: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5. 하등식물

- 208 -

minuscula Hustedt, A. obliqua (Gregory) Hustedt, Amphora graeffeana Hendey,

Anomoeoneisbrachysiravar.zellensis(Grunow)Krammer,A.costata(Kutzing)Hustedt,

Anorthoneisexcentrica(Donkin)Grunow,Caloneisventricosavar.truncatula(Grunow in

VanHeurck)Cleve,CocconeispseudomarginataGregory,CyclotelladistinguendaHustedt,

C.ocellata Pantocsek,Cymbella hustedtiivar.compacta Krammer,C.tumidula var.

lacettula Krammer,Encyonema brevicapitatum Krammer,E.pseudogracile Krammer,

Eunotogrammalaevis(leve)Grunow inCleve& Möller,Fragilariacapucinavar.radians

(Kutzing)Lange-Bertalot,F.parvaTujietWilliams,Fragilariasp.,Gomphonemaexiguum

var. minutissimum Grunow in Van Heruck, Hantzschia marina (Donkin) Grunow,

HydroseratriquetraWallich,Luticolasp.1,Luticolasp.2,NaviculaabsolutaHustedt,N.

bahusiensis(Grunow)Cleve,N.baileyanaGrunow exSchmidt,N.clipeiformisKönig,N.

dissipataHustedt,N.finmarchiaCleveetGrunow,N.giffenianaFoged,N.gracilisvar.

schizonemoidesVanHeurck,N.humerosaBrebisson,N.luxuriosaGreville,N.pupulavar.

aquaeductae (Krasske) Hustedt, N. subpatrickae Archibald, Nitzschia acidoclinata

Lange-Bertalot,N.debilis(Arnott)Grunow,N.lacunarum Hustedt,N.macedonicaHustedt,

N.punctatavar.minorTemp.& Perag,Orthoseiradendroteres(Ehrenberg)Crawford,

PinnulariaschwabeiKrasske,P.sublinearis(Grunow)Cleve,Pleurosiralaevis(Ehrenberg)

Compere,PunctastriatalinearisWilliamsetRound,SynedragoulardiBrebisson,S.ulnav.

oxyrhynchusf.mediocontractaHustedt.

우리나라 해역에서 발굴한 국내 규조류의 미기록종 는 신종 후보군은 다음의 23종이었

다; Actinoptychusannulatus(Wallich)Grunow,ChaetocerosaffinisLauder,Cocconeissp.1,

Cocconeissp.2,CoscinodiscusblandusSchmidt,C.oculauts(Fauv.)Petit,Cosmioneissp.,

Diploneis decipiens var.parallela Cleve-Euler,Guinardia striata (Stolterfoth) Hasle,

Gyrosigmabalticum var.sinicum Chin etLiu,G.strigilis(Smith)Griffin & Henfrey,

Lioloma pacificum (Cupp)Hasle,Manguinearigida Paddock,Navicula integra (Smith)

Ralfs,Naviculasp.,Pseudo-nitzschiabrasilianaLundholm,Hasle& Fryxell,P.mannii

Amato & Montresor,Surirella fluminensis Grunow,S.ovalis Brebisson,Thalassiosira

concavisculaMakarova,T.diporocyclusHalse,Tropidoneisantarcticavar.polyplastaGran

& Angst.

우리나라 해역에서 발굴한 와편모조류의 국내 미기록종 는 신종 후보군은 아래의 33종이

Page 215: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5. 하등식물

- 209 -

었다.Ceratium boehmiiGraham etBronikovsky,C.horridum var.claviger (Kofoid)

Graham & Bronikowski,C.longirostrum Gourret,C.massiliense(Gourret)Jørgensen,C.

massiliensevar.massilienseBalech,C.teresKofoid,C.triposvar.pulchellum (Schroder)

Lopez ex Sournia,C.vulturvar.vulturf.angulatum Jørgensen,Dinophysis lenticula

Kofoid,D.mitra(Schutt)Abeeratium,DinophysispunctataJørgensen,D.rotundataClaparede

etLachmann,DiplopsalislenticulaBergh,Diplopsalopsisorbicularis(Paulsen)Meunier,

GonyaulaxmonospinaRampi,G.scippsaeKofoid,Gymnodinium sp.,Heterocapsarotundata

(Lohmann)Hansen,Murrayellarotundata(Kofoid)DeToni,OrnithocercusserratusKofoid,

Oxytoxum tesselatum (Stein) Schutt,Peridinium abei (Paulsen) Balech,Peridinium

quinquecorne Abeeratium, Prorocentrum marina, Protoperidinium clavus, P. majus

(Dangeard)Balech,P.obtusum (Karsten)ParkeetDodge,P.parallelum Broch,P.parvum,

Protoperidinium sp.,Pyrodinium bahamensePlate,Pyrophacussteinii(Schiller)Wall&

Dale,Thecadinium ovatum Yoshimatsu.

유 나조류의 국내 미기록종 는 신종 후보군은 다음의 20종이었다.Euglenacuneata

Pringsheim,E.elasticaPrescott,Lepocinclisovum var.buetschlii(Lemmermann)Conrad,L.

ovum var.costataPlayfair,Lepocinclissp.,PhacusagilisSkuja,P.hameliiAllorge&

Lefevre,P.pyrum var.costata(Conrad)Popowa,P.trapezoidesStawinski,Phacussp.,

Strombomonasborysteniensis(Roll)Popowa,S.conspersa(Pascher)Tell& Conforti,S.

costata Deflandre,S.eurystoma f.sinensis(Skvortzov)Popova,S.triquetra (Playfair)

Deflandre,Trachelomonas echinata Singh,T.oblonga var.truncata Lemmermann,T.

pulchraSvirenko,T.rugulosaStein,T.spirogyraBalech.

황갈색조류의 시 라조강의 국내 미기록종 는 신종 후보군은 다음의 12종이었다.

MallomonasadamasHarris& Bradley,M.bronchartianaCompere,M.cf.alataAsmund,

Cronberg& Durrschmidt,M.cristataDurrschmidt,M.morrisonensisCroome& Tyler,M.

ouradion Harris & Bradley,M.splendensf.spelendens(West)Playfairem.Croome,

Durrschmidt& Tyler,Mallomonassp.nov.1,Mallomonassp.nov.2,Synuraleptorrhabda

(Asmund)NichollsinNicholls& Gerrath와,황갈색조류의 국내 미기록종 는 신종 후보군은

다음의 9종이었다.Chrysocapsa sp.,Dinobryon sp.,Ochromonas tuberculata Hibberd,

ParaphysomonascaelifricaPreisig& Hibberd,P.capreolataPreisig& Hibberd,P.vestita

Page 216: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5. 하등식물

- 210 -

ssp.(Stokes)Saedeleer,SpiniferomonascrucigeraTakahashi,SynuracurtispinaAsmund,S.

sphagnicolaKorshikov.

Page 217: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6. 고등식물

- 211 -

구분목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합계

미기록/신분류군 신종 발굴 (종) 20 20 17 57

표본 확보 ( ) 13,500 13,500 11,800 38,800

생물재료 확보(생체 조직)( ) 320 - - 320

G-DNA 확보 (종/ ) 60/120 - - 60/120

6.자생 고등식물 자원 조사․발굴

가.최종 목표

상분류군 :한반도 자생 고등식물 자원

▶ 미기록/신종(후보)발굴 :57종 /3년

▶ 확증표본 제작 :38,800 /3년

▶ 생물재료(생체 조직)의 체계 확보 :320 /1년

▶ G-DNA확보 :60종 /120 /1년

자생생물 주요 분류군의 종목록,분포도 작성 유용 생물 유 자 자원의 확보

나.연차별 연구 범

사업년도 연구 범

2006

양치식물

나자식물

자엽식물

(목련아강,석죽아강,딜 니아아강)

2007

양치식물

나자식물

자엽식물

(목련아강,석죽아강,딜 니아아강)

2008

양치식물

나자식물

자엽식물

(목련아강,석죽아강,딜 니아아강)

Page 218: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6. 고등식물

- 212 -

다.연구 결과

연구내용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합계

미기록/신종(후보)발굴 8 4 3 15

표본 확보 15,554 14,794 11,935 42,283

생물재료(생체 조직)확보 330 - - 330

G-DNA확보 94/195 - - 94/195

(1)표본 생물재료 확보

(가)1차년도

2006년 6월부터 2007년 3월까지 본 연구 기간 한반도에 분포하는 유 속식물을 상으

로 조사 활동을 수행한 결과,양치식물이 27과 68속 208종 2아종 16변종 2품종의 2,306 ,나자

식물이 6과 15속 21종의 175 이 채집,확보되었다.그리고 피자식물 ,국화아강은 21과 159

속 426종 7아종 106변종 1품종의 2,319 ,닭의장풀아강은 7과 73속 164종 50변종의 869 ,딜

니아강은 20과 54속 58종 1아종 43변종 12품종의 1,992 ,목련아강은 16과 51속 44종 2아종

46변종의 2,287 ,백합아강은 6과 42속 97종 29변종 2품종의 698 ,석죽아강은 9과 40속 116

종 36변종 4품종의 1,639 ,장미아강은 33과 187속 346종 85변종 15품종의 2,671 ,조록나무

아강은 10과 35속 80종 16변종 3품종의 529 ,종려아강은 2과 7속 6종 1변종의 23 택사

아강은 5과 9속 11종의 46 등 도합 129과 657속 1,348종 10아종 412변종 37품종의 13,073

이 채집,조사되었다.따라서 채집된 유 속식물은 총 162과 740속 1,577종 12아종 428변종 39

품종의 15,554 (1차년도 목표의 115%)의 표본이 확보되어1차년도 연구목표를 과 달성하

다.

한편,종자를 포함한 기타 생물재료는 양치식물이 8과 9속 11종류의 28 ,나자식물이 3과

3속 3종류의 21 ,피자식물이 55과 92속 121종류의 281 이 확보되었다.따라서 채집된 기타

생물재료는 66과 104속 135종류의 330 (1차년도 목표의 103%)의 재료가 확보되어 1차년도

연구목표를 과 달성하 다. 그리고 G-DNA는 양치식물이 3과 4속 5종류의 14 ,나자식물

이 2과 2속 2종류의 7 ,피자식물이 42과 72속 87종류의 174 이 확보되었다. 따라서 채집,

Page 219: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6. 고등식물

- 213 -

확보된 G-DNA 재료는 47과 78속 94종류의 195 (1차년도 목표의 157%/163%)이 확보되어 당

해연도 연구목표를 과 달성하 다.

(나)2차년도

2007년 6월부터 2008년 3월까지 본 연구 기간 한반도에 분포하는 유 속식물을 상으

로 조사 활동을 수행한 결과,양치식물이 24과 54속 142종 1,337 ,나자식물이 6과 14속 20종

의 246 이 채집,확보되었다.그리고 피자식물 ,국화아강은 23과 151속 347종 3,204 ,닭의

장풀아강은 6과 69속 168종 1,099 ,딜 니아강은 19과 46속 124종 1,767 ,목련아강은 14과

50속 107종 1,456 ,백합아강은 6과 50속 103종 974 ,생강아강은 1과 1속 1종 3 ,석죽아강

은 9과 31속 81종 777 ,장미아강은 33과 144속 316종 3,215 ,조록나무아강은 12과 31속 69

종 627 ,종려아강은 2과 4속 11종 54 택사아강은 6과 8속 13종 35 등 도합 131과 585

속 1,340종 13,211 이 채집,조사되었다.따라서 채집된 유 속식물은 총 161과 653속 1,502종

14,794 (2차년도 목표의 109.6%)의 표본이 확보되어 2차년도 연구목표를 과 달성하 다.

(다)3차년도

2008년 6월부터 2009년 3월까지 본 연구 기간 한반도에 분포하는 유 속식물을 상으

로 조사 활동을 수행한 결과,양치식물이25과 60속 182종 1,209 ,나자식물이 4과 12속 20종의

88 이 채집,확보되었다.그리고 피자식물 ,국화아강은 31과 172속 498종 2,699 ,닭의장풀

아강은7과 79속 244종 983 ,딜 니아강은 22과 55속 153종 1,120 ,목련아강은 17과 53속

111종 1,009 ,백합아강은 7과 48속 121종 696 ,석죽아강은 9과 29속 86종 451 ,장미아강

은 39과 176속 430종 2,911 ,조록나무아강은 11과 60속 182종 617 ,택사아강은 8과 14속 29

종 152 등 도합 151과 655속 1,747종 10,638 이 채집,조사되었다.따라서 채집된 유 속식

물은 총 180과 727속 1,949종 11,935 (3차년도 목표의 101.1%)의 표본이 확보되어 3차년도

연구목표를 과 달성하 다.

(2)미기록 신종(후보)발굴

(가)1차년도

본 발굴 조사 결과,신종 후보 2분류군,미기록 6분류군 멸종 기식물군 12분류군

등 20분류군 (당해연도 목표의 40%)을 발굴하 다.발굴된 신종 후보 분류군들은 열당과의

Page 220: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6. 고등식물

- 214 -

Orobancesp.nov.혹은 var.nov.,돌나물과의 Sedum sp.nov.등의 2분류군,도합 2분류군

이 새로이 추가 기록되었다.그리고 발굴된 미기록 식물군들은 수선화과의 Hypoxisaurea(노

랑별수선),장미과의 Rubusnishimuranus(큰장딸기),양귀비과의 Papaversetigerum (나도양

귀비), 삼과의 Veronicaserpyllifolia(좀개불알풀),빌 나무과의 Maesajaponica(빌 나무),

십자화과의 Cardaminetanake(꼬마냉이)등 도합 6개 분류군이 새로이 추가되었다.한편,주

요 멸종 기식물군으로는 릉요강꽃,깽깽이풀,갯 추,기생꽃,지네발란,솔나리,왕제비꽃,

연잎꿩의다리,자주솜 ,층층둥굴 ,노랑무늬붓꽃,매화마름 등 도합 12분류군의 확인되어

새로운 분포지가 추가되기도 하 다.아울러 기타 주요식물로는 지리반하,요강나물,자주꿩의

다리,자란 큰구와꼬리풀 등의 식물군이 확인되었다.

1)Papaversetigerum (나도양귀비): 양귀비과에 속하는 P.setigerum (나도양귀비)는

지 해 연안지역이 원산지로,외국으로부터 유입된 미기록식물군이다. 이들은 codine,

morphine,protopine등 마약의 성분이 되는 alkaloid의 조성이 양귀비와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마약류 단속법에 의해 양귀비와 함께 세계 으로 재배와 유통을 엄격히 지하고 있는 식물

군으로 제주도지역에서 확인되었다.이들은 형태 으로 꽃이 형이고 식물체에 털이 없

는 등에서 양귀비와 식별된다.

2)Hypoxisaurea(노란별수선): 수선화과 혹은 별개의 과,Hypoxidaceae로 취 되는

H.aurea(노란별수선)는 1935년 5월 Ohwi에 의해 국내의 제주도에서 채집한 이후 (경도 학

교 표본 소장),이때까지 채집된 바 없어 국내의 자생여부가 불투명했던 아주 귀 한 식물군

이다. 이우철 교수 (1985)는 일본의 표본 에 소장 인 국내의 표본을 확인하고 국내 미기록

식물로 기록한 바 있지만 한국식물명고 (1996)에는 언 하지 않고 있다.이들은 일본 남

부, 국,인도 말 이시아 등지의 열 아열 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제주도 서귀포시

의 습한 지역의 풀밭에 소수의 개체가 자라고 있는 것을 확인하 다.

3)Veronicaserpyllifolia(좀개불알풀): 삼의 V.serpyllifolia(좀개불알풀)은 유럽 원

산으로 북아메리카와 아시아지역에 리 귀화되어 있는 국내 미기록식물군이다. 그러나 이들

이 국에 자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근연종인 방패꽃이 국내에 자생하기도 하여 외국 유입

종이 아닌 국내 자생종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들은 기의 습성,꽃의 수,엽병의 유

무,잎 가장자리의 특성 등,여러 형질에서 다른 유사종과 식별된다.

4)Cardaminetanakae(꼬마냉이):십자화과의 C.tanakae(꼬마냉이)는 제주도 낙엽수림

의 습기가 많은 계곡 주변에 자라는 미기록식물이다.이들은 식물체의 높이가 15cm 내외의

소형식물로, 기의 습성,소엽,털의 유무 등에 의해 다른 종과 식별된다.

Page 221: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6. 고등식물

- 215 -

5)Rubusnishimuranus(큰장딸기): 장미과에 속하는 R.nishimuranus(큰장딸기)는 제

주도 남부지역의 장딸기와 거문딸기가 혼재하는 일부 지역에 생육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 다.

이들은 외형 으로 꽃의 형질은 장딸기와 유사한 반면,잎의 형질은 거문딸기에 유사하여 앞에

서 언 한 2종간의 자연교잡종으로 인식되고 있는 식물군이다.

6)Maesajaponica(빌 나무): 빌 나무과 (Maesaceae)에 포함되는 M.japonica(빌

나무)는 제주도산 미기록식물군으로,소포엽의 유무,자방의 치 과실의 종류 등에 의하여

자 우과 앵 과와는 식별되는 국내 미기록 과 (family)이다.이들은 주로 열 와 아열 지역

에 자라며,제주도내 지역 (고도 약 150m)의 종가시나무림내 는 숲 가장자리에 독립 혹

은 무리지어 생육하고,분포지역 개체수가 매우 소하거나 희소한 요식물이다.

7)Sedum sp.(남해안):남해안의 바 겉에서 채집된 돌나물과의 본 식물군은 체 으

로 땅채송화와 유사하지만 잎의 길이 비는 돌나물과 매우 유사하여 마치 두 식물군의

간형인 것처럼 보인다. 재 이들의 분류학 치 분류학 인 특성을 검토하고 있다.

8)Orobanchesp.nov.혹은 var.nov.:동해안과 남해안에서 채집된 본 식물군은 열당과

의 종용과 매우 유사하지만 식물체의 털 꽃받침의 형태에서 다르다. 재 이들의 분류학

치 분류학 인 특성을 검토하고 있는 이다.

멸종 기식물종은 12종의 식물군이 확인되었는데,이 분포지가 새로이 밝 진 종류로는

다음과 같다.갯 추는 이때까지 제주도의 정,삼양,구좌,한경,남원,성산 등지에 국한하여

바닷가 근처의 바 틈새에 생육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 조사활동을 통해

추자도의 산지 벽에 수십개체가 자생하는 것을 확인하 으며,이들의 생태 인 입지 한 제

주도와는 다른 것으로 조사되었다. 릉요강꽃은 경기도 집단의 경우,과거에 부분 남

획되어 그들의 생육지가 거의 괴되었고, 재 야생하는 개체수가 백개체 내외에 불과할 것으

로 추정되고 있는 데,덕유산에서 61개체가 확인되었으며,이들이 국가 으로 가장 요한 집

단임을 확인하 다.깽깽이풀은 경북 주왕산, 구 청룡산,용제 ,경기 지장 ,명지산,화산,

부천,수원,경남 집 산,미륵도,충북 단양, 주 무등산, 남 순천 등지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경북 안동에서도 이들이 자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 다.지네발란은 제주도,

라남도의 목포를 포함한 일부 도서지역 경남의 일부 도서지역의 암벽 노목 겉에 붙어

자라는 남방계식물이다.이들은 본 조사활동을 통하여 남 완도,청산도 고흥반도 지역의

바 겉에 소수의 개체가 자생하는 것을 확인하 다.왕제비꽃은 강원도 계방산,삼악산,지방

종,경기 명지산,유명산 충북 국사 등지에 햇빛이 잘 드는 곳에 무리를 짓거나 산발 으

로 생육한다.본 조사활동을 통하여 충북의 설운산 지역에서 자생하고 있음을 확인하 다.연

Page 222: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6. 고등식물

- 216 -

잎꿩의 다리는 북방계 국내 고유식물로 주로 강원도지역에 분포하지만 충청북도의 북부와 경

상북도 북부지역의 산지수림 내에 생육한다. 본 조사 활동을 통해 경북 양일 에서도 이들

이 자생하고 있음을 확인하 다. 층층둥굴 는 충북 단양, 월,강원 춘천시 추곡,경기 주

등지에 국한하여 강가 주변의 모래밭에 생육한다.본 조사활동을 통해 경북 안동일 에서도 자

생하고 있음을 확인하 다.매화마름은 경기 강화도, 흥도,선재도, 부도,인천시 소속 도서

지방,화성,평택,충남 안면도,삽시도,장고도, 북 내변산,고창군 해리면, 남 군 법성

면 등지의 논가 바닷가 주변의 습지에 분포하지만 본 조사를 통하여 충남 태안의 모향리의

습지에도 자생하고 있음을 확인하 다.

(나)2차년도

본 발굴 조사 결과,신분류군 1변종,미기록 분류군 3분류군 등 미기록/신종(후보)4분류

군 (당해연도 목표의 20%)과 멸종 기 야생식물 10분류군 기타 주요 식물군으로는 닻꽃을

비롯하여 6종 등 20분류군을 발굴하 다. 발굴된 신 분류군으로는 삼과의 흰꽃며느리밥풀

(Melamphyrum roseum var.album)로 한반도 식물상에 새로이 추가 기록되었다. 그리고 발

굴된 미기록 식물군들은 가는물마디꽃(Rotala mexicana subsp. pusilla), 민 리장나무

(Clerodendrontrichotomum var.fargesii),가거꼬리고사리(Asplenium yoshinagae)등 도합 3

개의 분류군이 새로이 한반도 식물상에 추가되었다. 한편,주요 멸종 기 야생식물로는 솔잎

난,깽깽이풀,히어리,미선나무,단양쑥부쟁이,진노랑상사화, 흥란,백운란,섬시호,섬개야

나무 등 도합 10분류군의 새로운 분포지 장소가 추가되기도 하 다.아울러 기타 주요 식

물군으로는 닻꽃,만주바람꽃,참좁 풀,참배암차즈기,벌개미취 강 롱꽃 등이 새로운

분포지에서 발견되기도 하 다.

흰꽃며느리밥풀 (Melamphyrum roseum var.album): 남 고흥군 래면 외나로도에서

군락을 이루어 생육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들은 꽃며느리밥풀과 형태 으로 유사하지만 꽃

색이 흰색인 에서 구분된다. 한편,며느리밥풀속의 여러 분류군,수염며느리밥풀,알며느리

밥풀 애기며느리밥풀은 기존에 흰색 꽃이 확인되어 이들은 모두 품종으로 처리하고 있다

(이,2007).그러나 꽃며느리밥풀의 흰색 변종은 처음으로 발견되었다.

가는물마디꽃 (Rotalamexicanasubsp.pusilla): 남 장흥군 강진은 임 수지와 남

양시 온양면 곡리의 논에서 발견되었다.그동안 국내의 마디꽃속의 식물 ,화 이 없는

식물은 유일하게 가는마디꽃(R.mexicanasubsp.mexicanavar.spruceana)만이 알려졌으나

본 조사에서 가는물마디꽃이 확인되었다.이들은 3-4개의 잎이 윤생하는 1년 로 잎의 선단이

Page 223: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6. 고등식물

- 217 -

평두이거나 드물게 2열하기도 하며,꽃받침열편은 5개이고,수술은 2-3개인 등에서 다른 분

류군들과 식별된다.

민 리장나무 (Clerodendrontrichotomum var.fargesii): 남 신안군 가거도의 산자락에

서 발견되었다. 이들은 원변종인 리장나무와는 달리 잎의 앞면은 털이 없고,뒷면에도 앙

맥의 기부에만 털이 일부 있는 에서 구별된다. 아울러 리장나무의 염색체 수는 2n=46과

92인 반면 본 변종은 2n=24개로 식별된다. 이들은 일본의 Kyushu의 남부, 국 오키나와

군도 등지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거꼬리고사리 (Asplenium yoshinagae):본 양치식물은 남 신안군 가거도의 숲속 습한

바 틈새에 생육하고 있다.이들은 국내에 분포하지 않는 Asplenium planicaule와 가장 유사

하지만 우편이 보다 두껍고, 축에 무성아가 달리는 에서 구별된다. 기존에 일본, 만

국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본 조사에서 한반도 자생종으로 추가하 다.

멸종 기 야생식물은 10종의 식물군이 확인되었는데,이 분포지가 새로이 밝 진 종

류로는 다음과 같다.솔잎난은 제주도의 해안가 근처의 바 틈새에 생육하는 알려지고 있었지

만 남 고흥군 외나로도 남쪽 해안가 바 틈에 소수의 개체가 생육하는 것이 확인되었다.솔

잎난의 경우,도서지역이 아닌 남 화순의 한 야산에서도 발견된 바 있다. 깽깽이풀은 경북

주왕산, 구 청룡산,용제 ,경기 지장 ,명지산,화산,부천,수원,경남 집 산,미륵도,충

북 단양, 주 무등산, 남 순천 경북 안동 등지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본 조사

에서 경기 연천군 연천읍 동막리 골의 3x2m 내에 수개체가 산발 으로 생육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들의 자생지가 국도변 강가에 치하고 있어 훼손될 우려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히어리는 국내 주로 남 경남에 분포하고,일부 개체군은 북 등지에

분포하는 남방계 고유 식물로 불연속 으로 경기도와 강원도에 분포하는 특성을 갖는다.이들

은 본 조사에서 채집된 경기도 포천 백운산이 북방한계지역이다.미선나무는 한반도에만 국한

하여 자라는 고유 식물로 북한지역에서는 황해도 장수산,국내에서는 충북 진천,괴산, 동군

북의 내변산의 석지나 야산에서 자생하고 있다. 본 조사에서 미선나무는 경북 안동의

갈라산 계곡 부근에서 100개체 내외가 군락 으로 자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 다.이들은 법

으로 멸종 기 야생식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국내 부분의 지역 개체군

이 천연기념물로 보호받고 있다. 본 종의 희귀성이 알려지면서 무분별한 남획으로 인하여 진

천군의 미선나무 개체군은 멸되어 천연기념물에서 제외되기도 하 다.본 조사지역 한 경

작지와 인 해 있어 훼손될 험에 처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백운란은 남 백운산을

포함하여 울릉도,제주도,내장산 등지의 습기가 많은 산지의 낙엽수림 에 소수의 개체가 자

Page 224: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6. 고등식물

- 218 -

라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본 조사에서는 경북 장산의 계곡 근처에서 5개체 정도를 확인

할 수 있었다.진노랑상사화는 기 표본 채집지인 내장산을 포함하여 고창 선운산, 불갑

산 등지에 소수의 개체가 자라고 있으며,본 조사에서는 제주시의 아라동 공원 주변에도 수개

체가 자라고 있는 것을 확인하 다.

(다)3차년도

본 발굴 조사 결과,신분류군 2분류군과 미기록 분류군 1분류군 등 미기록/신종 3분류군이

이미 국내 주요 학회지에 이미 발표되었고,산형과와 앵 과의 2분류군이 신종후보로서 재

연구 에 있다 (당해 연도 목표의 17.6%).발굴된 신분류군으로는 양치식물의 물부추과의 2

종,즉 한라물부추 (Isoeteshallasanensis)와 제주물부추 (Isoetesjejuensis)로 한반도 식물상

에 새로이 추가 기록되었다.그리고 발굴된 미기록 분류군으로는 양치식물의 부처손과의 각시

비늘이끼 (SelaginellaheterostachysBaker)1개의 분류군이 새로이 한반도 식물상에 추가되었

다.한편,주요 멸종 기야생식물로는 애기등,히어리,큰연령 ,깽깽이풀,왕제비꽃,솔나리,

층층둥굴 ,백부자,기생꽃,매화마름,순채,삼백 ,노랑무늬붓꽃,둥근잎꿩의비름,박달목서,

연잎꿩의다리 등 도합 17분류군의 새로운 분포지 장소가 추가되기도 하 다.아울러 기타

주요 식물종으로는 모데미풀,구실바 취, 강 롱꽃,좀미역고사리,삼지구엽 ,털댕강나무,

홀아비바람꽃,회리바람꽃,등칡,고란 ,만주바람꽃,참물부추,물여 ,동강고랭이,나도은조

롱 등이 새로운 분포지에서 발견되기도 하 다.

Page 225: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7. 척추동물

- 219 -

구분목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합계

미기록/신분류군 신종 발굴 (종) 20 20 18 58

표본 확보 ( ) 2,500 2,500 2,200 7,200

생물재료 확보(생체 조직)( ) 80 - - 80

G-DNA 확보 (종/ ) 20/40 - - 20/40

7.자생 척추동물 자원 조사․발굴

가.최종 목표

상분류군 :한반도 자생 척추동물 자원

미기록/신종(후보)발굴 :58종 /3년

확증표본 제작 :7,200 /3년

표본 기타 생물재료의 체계 확보 :80 /1년

G-DNA:20종 /40 /1년

자생생물 주요 분류군의 종목록,분포도 등 상세한 분류 특성 정보 산출 체계화

나.연차별 연구 범

사업 도 연

2006

포 ; 식 , 치 , 식 , 우제

조 ; 해양 조 ( 다 리 )

․양 ; 도룡뇽, 아

어 ; 어 , 어 , 쏨 , 연골어 , 아귀 , 타 경골어

2007

포 ; 식 , 수 , 끼 , 치 , 식 , 우제

조 ; 해양 조 ( 다 리 )

․양 ; 도룡뇽, 아

어 ; 연골어 , 어 , 쏨 , 복어 , 아귀 , 타 경골어

2008

포 ; 식 , 수 , 끼 , 치 , 식 , 우제

조 ; 해양 조 ( 다 리 )

․양 ; 도룡뇽, 아

어 ; 연골어 , 어 , 쏨 , 가 미 , 복어 , 아귀 , 타 경골어

Page 226: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7. 척추동물

- 220 -

다.연구 결과

연구내용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합계

미기록/신종(후보)발굴 15 20 18 53

표본 확보 2,499 2,813 2,296 7,608

생물재료(생체 조직)확보 80 - - 330

G-DNA확보 46/46 - - 46/46

(1)표본 생물재료 확보

(가)1차년도

2006년 6월부터 2007년 3월까지 1차년도 자생생물 조사․발굴 사업의 척추동물분야(포유

류,조류, 충류,양서류,어류)에 한 생물표본 자료는 모두 6강 38목 140과 282속 318종

2,499 을 확보하여 1차년도의 계획을 완수하 다.이들 표본 에 포유류는 4목 8과 14속 17

종 234 이었고,조류는 10목 22과 37속 43종 135 , 충류는 1목 4과 6속 8종 26 ,양서류는

2목 4과 6속 15종 296 ,어류는 2강 21목 92과 207속 253종 1,808 이 확증 표본으로 확보되

어 1차년도 목표를 달성하 다.척추동물의 분류군 에 확보된 표본의 비율 에 가장 높은

분류군은 어류로 체 표본 에 약 72.4%를 차지하 고,다음으로는 양서류로 11.8%,포유류

가 9.4%,조류가 5.4%, 충류가 1.0%의 순으로 나타났다.이들 표본 가운데 어류와 양서류,

충류는 거의 액침표본으로 제작되었고,조류와 포유류는 냉동상태 리되다가 최종 제출된

이후 각 종들의 특성에 맞는 형태인 가박제나 완박제 상태로 표본이 작업할 수 있도록 재는

해당 분류군의 연구원이 보 리하고 있으나 차후 제출 장소를 알려주면 모두 분류군의 특

성을 살려서 납품할 계획이다.

한편 생체 조직의 확보는 당 계획 로 80종이 확보되었으며,이들 총 8 이 확보된

포유류에는 쥐목에서 6 ,식육목과 박쥐목에서 각 1 씩이었고,총 18 이 확보된 조류는 참

새목이 15 , 랑새목,도요목,기러기목에서 각각 1 씩이었다.한편 총 6 인 충류에서는

유린목에서만 확보하 고,총 8 인 양서류에서는 무미목에서 모두 확보되었다.한편 총 40

이 확보된 어류는 농어목이 26 ,쏨뱅이목이 5 ,동갈치목이 4 ,바다빙어목이 3 ,가자미

Page 227: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7. 척추동물

- 221 -

목이 2 등 모두 40 이 확보되었는데,이것 역시 재 -40℃ 이하로 냉동상태이므로 각 연구

원이 재의 냉동을 유지하는 방법으로 최종 보 장소에 이송될 것이다.

자생동물 유 자원 보존에 선정된 총 46종 (포유류 5종,조류 4종,양서류 2종, 충류 3종

그리고 어류 32종)의 자생동물로부터 유 체 DNA를 성공 으로 추출하 다. 유 체 DNA추

출에 사용된 자생동물의 시료들은 부분 성체들의 근육 조직 (tissue)에서 출된 것으로 본

실험에 사용된 액체질소 조직 쇄법과 lysisbuffer를 통하여 추출된 DNA는 일부 시료에서 다

소 분해된 경향을 보 지만 각각의 지역에서 채집된 자생동물의 유 체DNA분석과 미토콘드리

아 DNA 분석과 보존에 충분한 량의 DNA를 추출할 수 있었다.추출된 유 체 DNA는 DNA

손상을 최소화하고 구보 이 가능하도록 하기 해 외부공기를 차단시킬 수 있는 고무 개스

킷이 있는 1.25㎖ 시험 에 넣어 하 80℃ 냉동 상태에서 진공건조 시키고 시험 에 수분이

침투하지 않도록 뚜껑을 단단히 닫았다.냉동 건조된 DNA가 담겨져 있는 시험 표면에는 각

각의 자생동물의 한 이름과 학명을 표기 하여 쉽게 구별할 수 있게 하 다.추출된 DNA는

염색체 DNA뿐만 아니라 미토콘드리아 DNA가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향후 각 자생동물들의

유 체 연구(유 자 지도 작성,유 자지문 분석,유 자 발 분석,유 자 클로닝등,게놈 로

젝트)와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유 자지도 분석,분자생태학 계통분류)연구 등 다양한 연

구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Piaggio와 Spicer(2001)는 다람쥐 과에 속하는 동물의

미토콘드리아에서 사이토크롬 b유 자와 CytochromeOxidaseII유 자의 염기서열을 해독해

종별 그리고 서식지역별 유 자 연과 계를 체계화하기도 하 다. 충류의 경우 과거와 재

서식하고 있는 다양한 충류의 종에 해 미토콘드리아 DNA염기서열을 분석해 서로의 유

연 성과 DNA 변이에 해 연구한 바 있다(Utigeretal.,2002).비둘기 계통의 조류에서

유 체 DNA와 미토콘드리아 DNA를 분석함으로써 각 조류의 종별 DNA상의 특이 과 분자

계통학 연 계를 밝 내기도 하 다(Johnsonetal.,2001). 한 해양어류인 볼락종류의

미토콘드리아를 동시에 여러 부분을 분석할 수 있는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서식 지역별 유 자

특이성을 발견하 다(Olivares.1998).자생동물의 분자생태학 (molecularecology)연구와 분

자계통분류학(phylogeneticsystematics)연구를 해 그 생물의 특유한 DNA에 한 PCR,

AFLP,RAPD 그리고 RFLP등의 분석 방법들이 사용되는데 본 실험에서 추출된 자생동물들

의 DNA는 향후 이와 같은 연구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나)2차년도

2007년 6월부터 2008년 3월까지 2차년도 자생생물 조사․발굴 사업의 척추동물분야(포유

Page 228: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7. 척추동물

- 222 -

류,조류, 충류,양서류,어류)에 한 생물표본 자료는 모두 42목 134과 236속 287종 2,813

을 확보하여 2차년도 당 목표액의 112.5%를 달성하 다.이들 표본 에 포유류는 3목 7과

12속 16종 208 이 확보 되었고,조류는 12목 31과 50속 67종 285 , 충류는 1목 4과 6속 7

종 30 ,양서류는 2목 6과 7속 9종 86 ,어류는 24목 86과 161속 188종 2,204 이 확증 표본

으로 확보되어 2차년도 목표를 달성하 다.척추동물의 분류군 에 확보된 표본의 비율 에

가장 높은 분류군은 어류로 체 표본 에 약 78.4%를 차지하 고,다음으로는 조류가 10.1%,

포유류가 7.4%,양서류가 3.1%, 충류가 1.1%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표본 가운데 어류와

양서류, 충류는 거의 액침표본으로 제작되었고,조류와 포유류는 냉동상태 리되고 있으며,

최종 으로 표본을 제출될 경우에는 각 동물군의 특성에 합한 상태 즉 어류를 비롯한 액침

표본 상태로 보 된 표본은 표본이 건조되지 않도록 알콜에 젖은 거즈로 쌓아 진공 비닐팩에

넣어 라벨을 붙여 발송하고,냉동상태의 표본은 드라이아이스를 넣어 계속 냉동시켜 발송하여

국립생물자원 에서 가박제나 완박제 는 냉동 상태로 표본을 작업할 수 있도록 조치한다.

척추동물 분야는 재는 모든 표본을 해당 분류군의 연구원이 보 리하고 있으며,각 분류

군의 연구원들이 차후에 지정된 장소에 각 분류군의 특성에 맞게 포장하여 직 납품할 계획

이다.

(다)3차년도

2008년 6월부터 2009년 3월까지 3차년도 자생생물 조사 발굴 사업의 척추동물분야(포유류,

조류, 충류,양서류,어류)에 한 생물표본 자료는 모두 6강 42목 160과 302속 432종 2,296

을 확보하여 3차년도의 계획을 104.4%완수하 다.이들 표본 에 포유류는 5목 9과 11속

13종 80 이었고,조류는 10목 24과 31속 46종 190 , 충류는 1목 4과 7속 9종 44 ,양서류

는 2목 5과 6속 11종 49 ,어류는 2강 24목 118과 247속 353종 1,933 이 확증 표본으로 확보

되어 3차년도 목표를 104.4% 달성하 다.척추동물의 분류군 에 확보된 표본의 비율 에

가장 높은 분류군은 어류로 체 표본 에 약 84.2%를 차지하 고,다음으로는 조류가 8.3%,

포유류가 3.5%,양서류가 2.1%, 충류가 1.9%의 순으로 나타났다.이들 표본 가운데 어류와

양서류, 충류는 거의 액침표본으로 제작되었고,조류는 진박제 는 가박제로 제작된 것을

냉동상태 리되다가 제출하고,포유류는 표본을 박제한 다음 육질은 알콜 액침표본을 제작하

여 연구원이 직 자원 에 연구원별로 직 제출한다.그러나 충류,양서류,어류의 표본은

포르말린 용액에서 에틸알콜로 치환한 후 라벨을 부착하여 포장한 후 세부책임자가 수합하여

일 으로 국립생물자원 에 발송한다.

Page 229: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7. 척추동물

- 223 -

(2)미기록 신종(후보)발굴

(가)1차년도

1차년도 연구 조사에서 확인된 미기록 신종 후보는 모두 15종이 확인되어 목표량의

75%를 달성하 다.확인된 분류군을 분석해 보면 조류에서 2종으로 도요목과 두견이목에서 각

각 1종씩 확인되었다.도요목에 해당되는 종으로는 Urialomvia(큰부리바다오리)로 우리나라의

강원도 동해안에서 출 하고 있었고,두견이목의 Surniculuslugubris(검은두견이)는 남 신안

군 흑산면 홍도에서 처음 확인되었다.

이외의 13종의 미기록종으로는 모두 어류에서 확인되었는데,농어목은 망둑어과에서 2종으

로 Acentrogobius sp.,Asterropteryx semipunctata가,청베도라치과에서는 Omobranchus

loxozonus, 양동미리과에서는 Parapercis muronis가, 날개 고기과에서는 Hypsagonus

corniger,등가시치과에서는 Zoarcessp., 갱이과에서는 Scomberoidestol,먹도라치과에서는

Enneapterygiusrubicauda가 각각 1종씩 확인되어 농어목에서는 모두 8종이 나타났고,다음은

쏨뱅이목과 가자미목에서 2종이 확인되었는데,쏨뱅이목에서는 둑 개과에서 Ricuzeniussp.와

꼼치과에서 Liparissp.,그리고 가자미목에서는 넙치과에서 Pseudorhonusoculocirris,가자미

과에서는 Plagiopsetta glossa가 각각 1종씩 출 하 다.이외 첨치목의 Bythitidae과에서

Oligopusrobustus의 1종이 출 하 다.따라서 이번 조사에서 척추동물 분야에서는 총 2강 6

목 14과 15종이 우리나라에서 출 하고 있는 것으로 새로 확인된 것이다.이 에 망둑어과의

Acentrogobiussp.와 둑 개과의 Ricuzeniussp.는 신종 후보로 분류되어 재 보다 정 하게

분석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번 1차년도는 연구가 시작되면서 비교 짧은 기간임에도 불구하고 매우 많은 종을 확

인하 다고 사료된다. 재 미기록종 13종 에 2종 Hypsagonus corniger(가시 고기)와

Asterropteryxsemipunctata(청별망둑)이 문학술지에 기재되어 인쇄 에 있다.그리고 어

류에서 2종의 신종후보가 출 하 다.

(나)멸종 기 희귀종

무미목 개구리과 개구리(Ranaplancyichosenica)의 경우,환경부 지정

멸종 기야생동식물 Ⅱ 에 지정된 종으로 이 까지 참개구리(R.nigromaculata)와 형태

서식환경이 비슷하여 참개구리의 아종으로 취 되어 오다가,등 면의 융기선이 2개로 3개를

가진 참개구리와의 차이로 Shannon(1956)에 의해 별종으로 게재되었으며,그 후,Yang(1988)

Page 230: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7. 척추동물

- 224 -

에 의해 두 종이 형태 ,유 ,구애울음소리,번식기 등에 뚜렷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우리나라에서는 주로 경기도 충청남도, 라도를 거치는 서해안 해안사구의 배후습지

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최근 연구에 의하면 충청남도와 경기도의 서해안 지역

과 내륙일부지역에서만 소수가 발견되어 격한 감소 추세에 놓여있다. 개구리는 다른 무미

양서류에 비해 좁은 행동반경을 가지고 수면을 벗어나 생활하는 일이 거의 없기 때문에 특히,

서식지 훼손과 감소가 개구리개체군의 수에 직 인 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다)특이종

이번 남 신안군 홍도에서 발견된 조류 가운데,두견이目(Cuculiformes) 두견이科

(Cuculidae)인 검은두견이(신칭, 명 AsianDrongoCuckoo,학명 Surniculuslugubris)로

확인되었는데 본 종은 이번 조사에서 한국 최 의 기록종이 되겠다.검은두견이는 몸길

이 25㎝이며,번식지는 인도의 북부와 북동부,스리랑카,티벳의 남동부, 국의 남부

와 서부,필리핀 등이며,월동지는 태국의 남부,말 시아 반도,싱가포르이며, 간

기착지는 태국의 남부,말 이시아 반도,싱가포르 등이다(Charlesetal.,1990;Craig,

2000).두견이目(Cuculiformes)두견이科(Cuculidae)의 조류는 한국에 1속 6종이 기록

되었으나(이등,2000), 번에 검은두견이가 추가됨에 따라 한국의 두견이과 조류는

총 1속 7종이 된다.

(나)2차년도

2차년도 연구 조사에서 확인된 신종 후보는 3종,그리고 미기록종 모두 17종이 확인되어

총 20종으로 당 목표량의 100%를 달성하 다. 확인된 분류군을 분석해 보면 포유류,조류,

충류,양서류에서는 확인되지 않았고,어류에서만 출 이 확인되었다.신종후보로 확인

된 어류는 쏨뱅이목의 양볼락과에서 1종 즉 Sebastesn.sp.,농어목의 망둑어과에서 2종 즉

Chaeturichthysn.sp.,Mugilogobiusn.sp.로 확인되었다.한편 미기록종은 큰가시고기목에서

Solenostomus cyanopterus, Syngnathoides biaculeatus의 2종이고, 쏨뱅이목에서

Parascopaena mossambica와 Icellus stenosomus의 2종이 각각 출 하 고,가자미목에서

Engyprosoponmultisquama,Dexistesricuzenius,Psettinatosana등의 3종이,농어목에서

Chaenogobiuslaevis,Decapterusrusselli,Amphiprionocellaris,Acentrogobiouscaninus,

Acanthocepolaindica등의 5종이 출 다.아울러 이 외도 흉상어목의 두툽상어과에 해당되

는 Galeusniphonensis가,홍어목의 기가오리과 어류인 Crassinarkedomitor,뱀장어목의 바

다뱀과에 속하는 Scolecenchelysmacroptera가,첨치목의 첨치과에서는 Oligopusrobustus가,

Page 231: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7. 척추동물

- 225 -

홍매치목의 매퉁이과에서는 Synodusfuscus가 각각 1종씩이 새로이 출 하고 있는 것으로 확

인되었다.앞으로 이들 어류에 한 종의 기재와 보고를 하여 보다 면 한 조사와 분류학

형질을 분석을 통하여 계통분류학 으로 유사종과의 차이 을 밝히면서 신종 는 미기록종으

로 기재할 수 있도록 연구할 계획이다

2차년도 척추동물 분야에서 한반도에서 서식하면서 출 하고 있는 포유류,조류, 충류,

양서류,어류 가운데 우리나라에서 서식하고 있으나 출 이 확인되지 않아 기록되지 않은 신종

미기록종을 면 히 조사한 결과 다른 분류군에서는 확인되지 않았고,어류에서만 20종이 확

인되었다. 재 한반도에서 출 하고 있어 이번 조사에서 확인된 신종후보 미기록종은 2표

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신종후보가 3종이었고,미기록종은 17종이 확인되어 이번 2차년도의 사

업 목표인 신종 미기록종 20종을 기록하게 되었다.

이들 종들의 정확한 분류학 치에 하여 앞으로 많은 자료를 근거로 하여 지속 으로

분류학 특징을 심으로 비교 검토한 후에 종을 확정할 것이나, 재까지 나타난 신종후보에

는 쏨뱅이목의 양볼락과에 해당되는 Sebastern.sp.와,농어목의 망둑어과에서 Chaeturichthys

n.sp.와 Mugilogobiusn.sp.등의 3종이 확인되었다.아울러 2차년도에 미기록종으로 확인된

어류는 모두 17종으로 확인되었는데,이들 가운데 큰가시고기목과 쏨뱅이목에서 각각 2종씩이

출 하 고,가자미목에서 3종,농어목에서 5종이 출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고,이 외 흉상어

목,홍어목,뱀장어목,첨치목,홍매치목 등에서 각각 1종씩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들 어류에

한 종의 기재와 보고는 앞으로 면 한 조사와 분류학 형질을 분석을 통하여 분류학 으로

유사종과의 차이 을 밝히면서 신종 는 미기록종으로서 인정할 수 있는 확실한 근거를 제시

하면서 한반도산 신종 는 미기록종으로 보고될 정이다.

(다)3차년도

3차년도 자생생물 조사 발굴에서 미기록 신종 후보로 확인된 종은 모두 18종이 확인되

어 당 목표량의 100.0%를 달성하 다.이번에 새로 확인된 분류군 에서 신종후보로 측

되는 분류군은 양서류의 유미목 도룡뇽과에 해당되는 Hynobiussp.로 남 고흥군 외나로도에

서 채집되었다.수컷의 경우 평균 48.3±3.3mm (41.0-53.0)이며,암컷의 경우 51.5±6.4mm

(37.4-56.9)이다. 다른 도롱뇽에 비해 난괴가 으로 존재하지 않고 1개만 존재하며,알은 500

원짜리 동 크기보다 약간 큰 편이다.난괴에 들어있는 알은 20개 내외로 다른 도룡뇽의 특징

과는 확연히 다르게 나타났다.

한편 이외의 17종의 미기록종으로는 모두 어류에서 확인되었는데,이 에 흉상어목의

Page 232: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Ⅲ. 1단계 연 업 내 결과 : 7. 척추동물

- 226 -

흉상어과 어류 1종 Carcharhinusbrevipinna,뱀장어목의 바다뱀과에서 1종으로 Plsodonophis

cancrivonus,큰가시고기목의 실고기과에서 1종 즉 Syngnathoidesbiaculeatus가,이악어목의

투라치과에서 1종,Zucristatus,동갈치목의 학공치과에서 1종 즉 Hemiramphusfar,숭어목의

숭어과에서 1종 즉 Chelonmacrolepis,쏨뱅이목에서는 모두 4종이 확인되었는데,이 에 양

볼락과에서 3종 즉 Sebastescheni,Sebastessp.,Sebastesventriconus 고,쏨뱅이목의 도치

과에서 1종 즉 Lethotrimusawae 다.한편 농어목에서는 모두 5종이 확인되었는데,이 에 뿔

돔과에서 1종,Heteropriacanthuscruentatus,자리돔과에서 1종,Pomacentrusmolucensis,장

갱이과에서 1종,Eulophiastanneri,바리과에서 1종,Epinephelusmacropilos,홍갈치과에서 1

종,Acanthocepolaindica등이었고,가자미목에서는 가자미과 어류의 1종 즉 Pleuronectes

proboscideus,복어목의 참복과에서 1종 즉 Takifugusp.등으로 모두 18종의 미기록종이 이번

3차년도 조사에서 새로 확인되었다.그 결과 이번 3차년도 우리나라의 자생생물 조사 발굴에서

새로운 신종후보 는 미리록종으로 확인된 종은 모두 3강 11목 16과 18종으로써 앞으로 우리

나라에서 출 하는 척추동물로 각 분류군의 종 목록에 첨가하게 될 것이다.특히 재 양서류

의 유미목의 도룡뇽과에 해당되는 Hynobiussp.가 남 고흥군 외나로도에서 채집된 은 매

우 흥미로운 발견이며 앞으로 본 표본에 한 분류학 형질 분석 연구가 면 히 진행될 것이

다.

척추동물 분야에서 이번 3차년도에 확인된 신종 후보 미기록종은 모두 18종으로 나타

났는데 이 에 1종이 양서류인 유미목의 도룡뇽과에 해당되는 Hynobiussp.가 신종 후보로 나

타났고,나머지 17종은 어류에서 미기록종으로 확인되었다. 재 이들 종들은 각 연구원들이

보다 면 한 조사 분석을 통하여 각 종에 한 분류학 치를 확증하기 하여 연구원별로

면 히 분석하고 있으며,앞으로 이에 한 보다 체계 인 연구 발표가 있을 것으로 기 된다.

본 발굴 조사 결과 기존에 알려진 개체군과는 다른 미기록종 는 신종(후보)에 해당되

는 도롱뇽(양서류,유미류,도룡뇽과)을 확인할 수 있었다.이 도롱뇽은 남 고흥군 외나로도

그 인근지역에 서식하는 집단으로 다른 도롱뇽 집단에 비해 난괴의 크기 모양 난

(egg)의 수에서 다소 차이가 있으며,조사 결과 다른 집단에 비해 성체의 크기도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이 집단에 해서 추가 인 조사를 수행하여 미기록 신종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도롱뇽 외나로도 집단에 한 1차 으로 형태 유 자 분석 결과 다른 집단과 다

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age 233: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Ⅳ. 목표 달 련분야에 의 기여

- 227 -

Ⅳ.목표 달성도 련분야에서의 기여도

가.연구개발 목표 평가의 착안

구분 연도 세부연구개발 목표 평가의 착안 기

1차

년도

2006.6-

2007.4

미기록 는 신분류군 발굴ㆍ미기록 는 신분류군 발굴 여부

-800분류군

표본 확보ㆍ한반도 유용 자생생물 재료 확보 여부

-표본 확보:80,000

생물재료(생체 조직)확보 ㆍ생물재료(생체 조직)확보:2,400

G-DNA확보 ㆍG-DNA확보:300종/600

2차

년도

2007.6-

2008.4

미기록 는 신분류군 발굴ㆍ미기록 는 신분류군 발굴 여부

-800분류군

표본 확보ㆍ한반도 유용 자생생물 재료 확보 여부

-표본 확보:80,000

생물재료(생체 조직)확보 ㆍ생물재료(생체 조직)확보:2,400

G-DNA확보 ㆍG-DNA확보:300종/600

3차

년도

2008.6-

2009.4

미기록 는 신분류군 발굴ㆍ미기록 는 신분류군 발굴 여부

-700분류군

표본 확보ㆍ한반도 유용 자생생물 재료 확보 여부

-표본 확보:70,000

생물재료(생체 조직)확보 ㆍ생물재료(생체 조직)확보:2,400

G-DNA확보 ㆍG-DNA확보:300종/600

최종2006.6-

2009.4

미기록 는 신분류군 발굴ㆍ미기록 는 신분류군 발굴 여부

-2,300분류군

표본 확보ㆍ한반도 유용 자생생물 재료 확보 여부

-표본 확보:230,000

생물재료(생체 조직)확보 ㆍ생물재료(생체 조직)확보:7,200

G-DNA확보 ㆍG-DNA확보:900종/1,800

Page 234: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Ⅳ. 목표 달 련분야에 의 기여

- 228 -

2.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목 표 연구개발 수행내용 달성도(%)

총 사엽 :한반도 자생생물 자원

발굴ㆍ 리

ㆍ한반도 유용 자생생물 재료 확보

-생물재료(생체 조직)

확보:3,800 /2년

:총 5,419 확보

-무척추Ⅰ:1,386

-무척추Ⅱ:1,388

-하등생물:250

-하등식물:454

-고등식물:1,646

-척추동물:295

목표 149% 달성

-G-DNA확보:

440종/880 /2년

:총 643종/998 확보

-무척추Ⅰ:162종/308

-무척추Ⅱ:120종/240

-하등생물:35종/41

-하등식물:40종/60

-고등식물:251종/281

-척추동물:35종/68

목표 146/113% 달성

자생 무척추동물Ⅰ(곤충)자원

조사ㆍ발굴

ㆍ미기록 는 신분류군 발굴 여부

-575분류군/3년

:582분류군 확보

-미기록 :489

-신종(후보):89

-신아종(후보):4

목표 101% 달성

ㆍ한반도 유용 자생생물 재료 확보 여부

-표본 확보:46,000 /3년

:확증표본 47,452 확보

-건조표본:36,503

-액침표본:7,665

-슬라이드표본:3,200

-기타:84

목표 103% 달성

ㆍ한반도 유용 자생생물 재료 확보

-생물재료(생체 조직)

확보:500 /1년

:생물재료(생체 조직)

-533 확보목표 107% 달성

-G-DNA확보:

60종/120 /1년

:G-DNA

-72종/221목표 120/184% 달성

자생 무척추동물Ⅱ(곤충제외,

원생생물포함)자원 조사ㆍ발굴

ㆍ미기록 는 신분류군 발굴 여부

-460분류군/3년

:461분류군 확보

-미기록 :329

-신종(후보):132

목표 100% 달성

Page 235: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Ⅳ. 목표 달 련분야에 의 기여

- 229 -

(계속)

목 표 연구개발 수행내용 달성도(%)

ㆍ한반도 유용 자생생물 재료 확보 여부

-표본 확보:46,000 /3년:확증표본 47,281 확보 목표 103% 달성

ㆍ한반도 유용 자생생물 재료 확보

-생물재료(생체 조직)

확보:500 /1년

:생물재료(생체 조직)

-1,166 확보목표 233% 달성

-G-DNA확보:

60종/120 /1년

:G-DNA

-60종/122목표 100/102% 달성

자생 하등생물 자원 조사ㆍ발굴

ㆍ미기록 는 신분류군 발굴 여부

-690분류군/3년:1,265분류군 확보 목표 183% 달성

한반도 유용 자생생물 재료 확보 여부

-표본 확보:46,000 /3년:52,655 확보 목표 114% 달성

-생물재료(생체 조직)확보:

1,500 /3년:5,256 확보 목표 350% 달성

-G-DNA확보:240종/480 /3년 :578종/1,238 확보 목표 241%/258% 달성

자생 하등식물 자원 조사ㆍ발굴

ㆍ미기록 는 신분류군 발굴 여부

-460분류군/3년:460분류군 확보 목표 100% 달성

ㆍ한반도 유용 자생생물 재료 확보 여부

-표본 확보:46,000 /3년

:확증표본 47,479 확보

-건조표본:10,119

-슬라이드표본:37,360

목표 103% 달성

ㆍ한반도 유용 자생생물 재료 확보

-생물재료(생체 조직)

확보:500 /1년

:생물재료(생체 조직)

-946 확보목표 189% 달성

-G-DNA확보:

20종/40 /1년

:G-DNA

-45종/66목표 225/102% 달성

자생 고등식물 자원 조사ㆍ발굴

ㆍ미기록 는 신분류군 발굴 여부

-57분류군/3년

:15분류군 확보

-미기록 :10

-신종(후보):5

목표 20% 달성

Page 236: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Ⅳ. 목표 달 련분야에 의 기여

- 230 -

(계속)

목 표 연구개발 수행내용 달성도(%)

ㆍ한반도 유용 자생생물 재료 확보 여부

-표본 확보:38,800 /3년:확증표본 42,283 확보 목표 109% 달성

ㆍ한반도 유용 자생생물 재료 확보

-생물재료(생체 조직)

확보:320 /1년

:생물재료(생체 조직)

-330 확보목표 103% 달성

-G-DNA확보:

60종/120 /1년

:G-DNA

-94종/195목표 157/163% 달성

자생 척추동물 자원 조사ㆍ발굴

ㆍ미기록 는 신분류군 발굴 여부

-57분류군/3년

:53분류군 확보

-미기록 :47

-신종(후보):6

목표 91% 달성

ㆍ한반도 유용 자생생물 재료 확보 여부

-표본 확보:7,200 /3년:확증표본 7,608 확보 목표 106% 달성

ㆍ한반도 유용 자생생물 재료 확보

-생물재료(생체 조직)

확보:80 /1년

:생물재료(생체 조직)

-80 확보목표 100% 달성

-G-DNA확보:

20종/40 /1년

:G-DNA

-46종/46목표 230/115% 달성

다.연구사업 련 분야의 기술발 기여도

○ 본 연구 사업은 한반도 자생생물을 심으로 국가 생물자원에 한 체계 인 발굴 조사를

수행하여 신분류군 미기록 생물종 자원을 집 발굴함으로써 새로운 유용 생물자원/유

자원과 자생 국가 생물자원 표본 기타 생물재료(생체,종자,조직,균주,DNA 등)

를 체계 으로 확보하여 분류 동정을 한 확증표본 자료 시스템 구축의 기본 자료를 제공

하 다.

○ 생물자원 확보를 하여 국내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총 세부분야 200명

이상의 연구진이 1단계 연구기간동안 야외 채집 조사 문헌조사를 실시하여 한반도 고유

/주요 동물자원의 표본 기타 동물재료를 확보하 고,이를 바탕으로 신분류군 미기록

Page 237: 자생생물조사․발굴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6/5001900.pdf · 2015-11-02 · 관속식물 양치식물 21 64 250 나자식물 8 21 64 피자식물 쌍자엽식물

Ⅳ. 목표 달 련분야에 의 기여

- 231 -

생물종,생물자원 표본 기타 생물재료(생체,종자,조직,균주,DNA등)에 한 보고서

작성 확증표본을 제작하 음.

○ 1단계 사업 결과 미기록/신종(후보)발굴은 연구목표 2,300종을 과한 2,836종(달성률

123%)에 한 표본을 확보 하 으며,확증표본 연구목표 230,000 을 과한 244,758 (달성률

106%)의 확증표본을 확보하 다.생물재료(생체 조직)와 G-DNA는 연구목표 7,200 ,900

종/1,800 을 과한 13,739 (달성률 191%),1,538종(달성률 171%)/2,886 (달성률 160%)을 확

보 하 다.1단계 사업은 범 한 발굴 조사 활동을 통하여 고등식물,척추동물분야의 미발굴

부분에 있어 약간의 미흡한 부분이 있지만 발굴조사의 시간과 환경 인 제약 등을 감안하면 1

단계 사업의 주요 목표를 계획 로 달성하 다고 단됨.